지방과학기술연감 |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5-02-26
|
|
<p><span style="font-size: 10pt;">목적</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발간</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지역과학기술 및 산업현황 관련 정보조사 및 종합</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다양한 통계에 산재된 지방과학기술정보를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종합한 지방과학기술연감 구축 및 발간</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주요내용</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국내 정부 부처별 지역 관련 정책(산업부, 중기부, 과기부 등)현황 및 지방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현황 조사</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지역 R&D 거점기관 소속 전문가 자문을 통한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추진현황 및 지역별 중점 추진사항 도출</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17개 시·도 대상으로 인구, 산업, 과학기술혁신역량에 대한 주요지표 통계조사 및 비교분석</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결론</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맞춤형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연구개발기획역량 제고에 기여</span></p>목 차
∙ 연구진
- 연구책임자
- 참여연구원
김승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권명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박석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김덕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안소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김동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류주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전문연구원)
기관 2024-042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연구기간 : 2024.1.1.~2024.12.31.)
∙ 발행인 : 정병선
∙ 발행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Tel) 043-750-2300
∙홈페이지 : http://www.kistep.re.kr
제1장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 3
1. 발간배경 ··············································································································· 3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 4
1. 중앙부처의 2024년 주요 정책 동향 ······································································ 4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 19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 31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 31
2. 지방 과학기술예산 ······························································································ 45
제2장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 49
1. 인구 ···················································································································· 49
2. 지역내총생산 ······································································································ 50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53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 57
1. 투입 ···················································································································· 57
2. 역량 ···················································································································· 67
3. 성과 ···················································································································· 78
제3장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제1절 서울특별시 ··············································································· 88
1. 지역・산업현황 ···································································································· 8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96
3. 성과 ················································································································· 111
4. 중점 추진사항 ··································································································· 112
제2절 부산광역시 ············································································· 114
1. 지역・산업현황 ·································································································· 11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23
3. 성과 ················································································································· 138
4. 중점 추진사항 ··································································································· 139
목 차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제3절 대구광역시 ············································································· 142
1. 지역・산업현황 ·································································································· 14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50
3. 성과 ················································································································· 162
4. 중점 추진사항 ··································································································· 163
제4절 인천광역시 ············································································· 169
1. 지역・산업현황 ·································································································· 16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77
3. 성과 ················································································································· 191
4. 중점 추진사항 ··································································································· 192
제5절 광주광역시 ············································································· 196
1. 지역・산업현황 ·································································································· 19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04
3. 성과 ················································································································· 216
4. 중점 추진사항 ··································································································· 217
제6절 대전광역시 ············································································· 219
1. 지역・산업현황 ·································································································· 21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27
3. 성과 ················································································································· 239
4. 중점 추진사항 ··································································································· 240
제7절 울산광역시 ············································································· 242
1. 지역・산업현황 ·································································································· 24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52
3. 성과 ················································································································· 263
4. 중점 추진사항 ··································································································· 264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 266
1. 지역・산업현황 ·································································································· 26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74
3. 성과 ················································································································· 284
4. 중점 추진사항 ··································································································· 285
제9절 경기도 ···················································································· 287
1. 지역・산업현황 ·································································································· 28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03
3. 성과 ················································································································· 320
4. 중점 추진사항 ··································································································· 321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 324
1. 지역・산업현황 ·································································································· 32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34
3. 성과 ················································································································· 346
4. 중점 추진사항 ··································································································· 347
제11절 충청북도 ·············································································· 350
1. 지역・산업현황 ·································································································· 35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62
3. 성과 ················································································································· 374
4. 중점 추진사항 ··································································································· 375
제12절 충청남도 ·············································································· 378
1. 지역・산업현황 ·································································································· 37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90
3. 성과 ················································································································· 402
4. 중점 추진사항 ··································································································· 403
제13절 전라북도 ·············································································· 406
1. 지역・산업현황 ·································································································· 40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16
3. 성과 ················································································································· 429
4. 중점 추진사항 ··································································································· 430
제14절 전라남도 ·············································································· 433
1. 지역・산업현황 ·································································································· 43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44
3. 성과 ················································································································· 456
4. 중점 추진사항 ··································································································· 457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5절 경상북도 ·············································································· 459
1. 지역・산업현황 ·································································································· 45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71
3. 성과 ················································································································· 485
4. 중점 추진사항 ··································································································· 486
제16절 경상남도 ·············································································· 488
1. 지역・산업현황 ·································································································· 48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02
3. 성과 ················································································································· 514
4. 중점 추진사항 ··································································································· 515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 518
1. 지역・산업현황 ·································································································· 51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26
3. 성과 ················································································································· 538
4. 중점 추진사항 ··································································································· 539
참 고 문 헌 ······················································································· 544
<표 1-2-1> 중앙 부처의 지역균형발전사업 ······················································································ 5
<표 1-3-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 ·························································· 31
<표 1-3-2>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3년) ········································· 45
<표 2-1-1>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9년~2023년) ······················································ 50
<표 2-1-2>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20년~2024년) ··················································· 56
<표 3-1-1>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88
<표 3-1-2>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89
<표 3-1-3>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90
<표 3-1-4>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91
<표 3-1-5>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 92
<표 3-1-6>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93
<표 3-1-7>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94
<표 3-1-8>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96
<표 3-1-9>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97
<표 3-1-10>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97
<표 3-1-11>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98
<표 3-1-12>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3년) ··············································································· 99
<표 3-1-13> 서울특별시 경제실의 경제정책과, 창업정책과, 대학협력과, 첨단산업과에서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00
<표 3-1-14>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101
<표 3-1-15>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102
<표 3-1-16>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103
<표 3-1-17>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4년) ················································································· 104
<표 3-1-18>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104
<표 3-1-19>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105
<표 3-1-20>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108
<표 3-1-21>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109
<표 3-1-22>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110
<표 3-1-23>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111
<표 3-1-24> 서울특별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111
<표 3-2-1>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114
<표 3-2-2>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115
<표 3-2-3>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116
표 목 차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2-4>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117
<표 3-2-5>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18
<표 3-2-6>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119
<표 3-2-7>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121
<표 3-2-8>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123
<표 3-2-9>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124
<표 3-2-10>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124
<표 3-2-11>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125
<표 3-2-12>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 126
<표 3-2-13>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 첨단산업국 소속 5개 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26
<표 3-2-14>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130
<표 3-2-15>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131
<표 3-2-16>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132
<표 3-2-17>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 133
<표 3-2-18>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133
<표 3-2-19>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134
<표 3-2-20>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135
<표 3-2-21>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135
<표 3-2-22>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136
<표 3-2-23>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137
<표 3-2-24>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137
<표 3-2-25>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138
<표 3-2-26> 부산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138
<표 3-3-1>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142
<표 3-3-2>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143
<표 3-3-3>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144
<표 3-3-4>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145
<표 3-3-5>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46
<표 3-3-6>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146
<표 3-3-7>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148
<표 3-3-8>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150
<표 3-3-9>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151
<표 3-3-10>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151
<표 3-3-11>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152
<표 3-3-12>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 153
<표 3-3-13>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53
<표 3-3-14>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154
<표 3-3-15>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155
<표 3-3-16>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156
<표 3-3-17>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 157
<표 3-3-18>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157
<표 3-3-19>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158
<표 3-3-20>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159
<표 3-3-21>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160
<표 3-3-22>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61
<표 3-3-23>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161
<표 3-3-24>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162
<표 3-3-25> 대구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162
<표 3-4-1>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169
<표 3-4-2>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170
<표 3-4-3>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171
<표 3-4-4>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172
<표 3-4-5>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73
<표 3-4-6>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174
<표 3-4-7>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175
<표 3-4-8>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177
<표 3-4-9>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178
<표 3-4-10>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178
<표 3-4-11>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179
<표 3-4-12>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 181
<표 3-4-13> 인천광역시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 181
<표 3-4-14>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183
<표 3-4-15>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184
<표 3-4-16>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185
<표 3-4-17>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 186
<표 3-4-18>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186
<표 3-4-19>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187
<표 3-4-20>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188
<표 3-4-21>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188
<표 3-4-22>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189
<표 3-4-23>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189
<표 3-4-24>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190
<표 3-4-25>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191
<표 3-4-26> 인천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191
<표 3-5-1>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196
<표 3-5-2>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2023년) ·················································· 197
<표 3-5-3>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198
<표 3-5-4>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199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5-5>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00
<표 3-5-6>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201
<표 3-5-7>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202
<표 3-5-8>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204
<표 3-5-9>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205
<표 3-5-10>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205
<표 3-5-11>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206
<표 3-5-12>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 206
<표 3-5-13>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07
<표 3-5-14>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209
<표 3-5-15>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210
<표 3-5-16>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211
<표 3-5-17>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 212
<표 3-5-18>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212
<표 3-5-19>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213
<표 3-5-20>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214
<표 3-5-21>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215
<표 3-5-22>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215
<표 3-5-23>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216
<표 3-5-24> 광주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216
<표 3-6-1>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219
<표 3-6-2>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220
<표 3-6-3>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221
<표 3-6-4>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222
<표 3-6-5>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23
<표 3-6-6>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224
<표 3-6-7>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225
<표 3-6-8>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2023년) ···························································· 227
<표 3-6-9>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228
<표 3-6-10>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228
<표 3-6-11>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229
<표 3-6-12>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 229
<표 3-6-13> 대전광역시 미래전략산업실(전략산업정책과, 과학협력과)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30
<표 3-6-14>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231
<표 3-6-15>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232
<표 3-6-16>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233
<표 3-6-17>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 234
<표 3-6-18>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234
<표 3-6-19>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235
<표 3-6-20>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236
<표 3-6-21>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236
<표 3-6-22>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237
<표 3-6-23>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238
<표 3-6-24>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238
<표 3-6-25>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239
<표 3-6-26> 대전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239
<표 3-7-1>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242
<표 3-7-2>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243
<표 3-7-3>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244
<표 3-7-4>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245
<표 3-7-5>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46
<표 3-7-6>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248
<표 3-7-7>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250
<표 3-7-8>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252
<표 3-7-9>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253
<표 3-7-10>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253
<표 3-7-11>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254
<표 3-7-12>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 255
<표 3-7-13> 울산광역시 미래전략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55
<표 3-7-14>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2월 기준) ···································· 256
<표 3-7-15>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257
<표 3-7-16>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258
<표 3-7-17>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 259
<표 3-7-18>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259
<표 3-7-19>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260
<표 3-7-20>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262
<표 3-7-21>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262
<표 3-7-22>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263
<표 3-7-23> 울산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263
<표 3-8-1>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 266
<표 3-8-2>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267
<표 3-8-3>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268
<표 3-8-4>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269
<표 3-8-5>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 270
<표 3-8-6>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271
<표 3-8-7>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272
<표 3-8-8>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274
<표 3-8-9>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275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8-10>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75
<표 3-8-11>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276
<표 3-8-12>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3년) ······································································· 277
<표 3-8-13>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77
<표 3-8-14>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278
<표 3-8-15>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279
<표 3-8-16>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280
<표 3-8-17>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4년) ·········································································· 281
<표 3-8-18>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281
<표 3-8-19> 세종특별자치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282
<표 3-8-20>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282
<표 3-8-21>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283
<표 3-8-22>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283
<표 3-8-23>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284
<표 3-8-24>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284
<표 3-9-1> 경기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287
<표 3-9-2>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288
<표 3-9-3>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289
<표 3-9-4>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290
<표 3-9-5>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 291
<표 3-9-6>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295
<표 3-9-7>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301
<표 3-9-8>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303
<표 3-9-9>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304
<표 3-9-10>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304
<표 3-9-11>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305
<표 3-9-12>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3년) ··················································································· 306
<표 3-9-13>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국 및 AI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06
<표 3-9-14>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310
<표 3-9-15>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311
<표 3-9-16>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312
<표 3-9-17> 경기도 대학 현황(2024년) ······················································································ 313
<표 3-9-18>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313
<표 3-9-19>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314
<표 3-9-20>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315
<표 3-9-21>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316
<표 3-9-22>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318
<표 3-9-23>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319
<표 3-9-24>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319
<표 3-9-25>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320
<표 3-9-26> 경기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320
<표 3-10-1> 강원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324
<표 3-10-2> 강원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325
<표 3-10-3>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326
<표 3-10-4>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327
<표 3-10-5> 강원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328
<표 3-10-6> 강원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329
<표 3-10-7> 강원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332
<표 3-10-8>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334
<표 3-10-9> 강원특별자치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335
<표 3-10-10>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335
<표 3-10-11>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336
<표 3-10-12>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3년) ····································································· 337
<표 3-10-13>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 및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37
<표 3-10-14>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338
<표 3-10-15>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339
<표 3-10-16>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340
<표 3-10-17> 강원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4년) ········································································ 341
<표 3-10-18> 강원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341
<표 3-10-19> 강원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342
<표 3-10-20> 강원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343
<표 3-10-21> 강원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343
<표 3-10-22>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344
<표 3-10-23> 강원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345
<표 3-10-24>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345
<표 3-10-25> 강원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346
<표 3-10-26> 강원특별자치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346
<표 3-11-1> 충청북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350
<표 3-11-2>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351
<표 3-11-3>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352
<표 3-11-4>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353
<표 3-11-5>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 354
<표 3-11-6>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355
<표 3-11-7>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360
<표 3-11-8>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362
<표 3-11-9>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9년~2023년) ······································ 363
<표 3-11-10>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363
<표 3-11-11>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364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1-12>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3년) ·············································································· 365
<표 3-11-13> 충청북도 과학인재국 및 바이오식품의약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65
<표 3-11-14>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366
<표 3-11-15>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367
<표 3-11-16>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368
<표 3-11-17>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4년) ·················································································· 369
<표 3-11-18>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369
<표 3-11-19>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370
<표 3-11-20>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371
<표 3-11-21>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371
<표 3-11-22>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372
<표 3-11-23>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372
<표 3-11-24>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373
<표 3-11-25>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374
<표 3-11-26> 충청북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374
<표 3-12-1> 충청남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378
<표 3-12-2>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379
<표 3-12-3>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380
<표 3-12-4>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381
<표 3-12-5>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 382
<표 3-12-6>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383
<표 3-12-7>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388
<표 3-12-8>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390
<표 3-12-9>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391
<표 3-12-10>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391
<표 3-12-11>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392
<표 3-12-12>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3년) ·············································································· 393
<표 3-12-13> 충청남도 산업경제실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93
<표 3-12-14>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395
<표 3-12-15>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396
<표 3-12-16>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397
<표 3-12-17>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4년) ·················································································· 398
<표 3-12-18>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398
<표 3-12-19>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399
<표 3-12-20>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400
<표 3-12-21>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400
<표 3-12-22>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401
<표 3-12-23>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401
<표 3-12-24>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402
<표 3-12-25> 충청남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402
<표 3-13-1> 전라북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406
<표 3-13-2>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407
<표 3-13-3>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408
<표 3-13-4>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409
<표 3-13-5>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 410
<표 3-13-6>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411
<표 3-13-7>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414
<표 3-13-8>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416
<표 3-13-9>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417
<표 3-13-10>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417
<표 3-13-11>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418
<표 3-13-12>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3년) ·············································································· 419
<표 3-13-13> 전라북도 미래첨단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19
<표 3-13-14>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420
<표 3-13-15>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422
<표 3-13-16>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423
<표 3-13-17>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4년) ·················································································· 424
<표 3-13-18>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424
<표 3-13-19>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425
<표 3-13-20>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426
<표 3-13-21>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426
<표 3-13-22>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427
<표 3-13-23>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427
<표 3-13-24> 전라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428
<표 3-13-25>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429
<표 3-13-26> 전라북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429
<표 3-14-1> 전라남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433
<표 3-14-2>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434
<표 3-14-3>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435
<표 3-14-4>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436
<표 3-14-5>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 437
<표 3-14-6>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438
<표 3-14-7>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442
<표 3-14-8>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444
<표 3-14-9>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445
<표 3-14-10>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445
<표 3-14-11>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446
<표 3-14-12>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3년) ············································································· 447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4-13> 전라남도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47
<표 3-14-14>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448
<표 3-14-15>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449
<표 3-14-16>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450
<표 3-14-17>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4년) ·················································································· 451
<표 3-14-18>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451
<표 3-14-19>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452
<표 3-14-20>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453
<표 3-14-21>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453
<표 3-14-22>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454
<표 3-14-23>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455
<표 3-14-24>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455
<표 3-14-25>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456
<표 3-14-26> 전라남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456
<표 3-15-1> 경상북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459
<표 3-15-2>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460
<표 3-15-3>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461
<표 3-15-4>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462
<표 3-15-5>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 463
<표 3-15-6>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464
<표 3-15-7>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469
<표 3-15-8>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471
<표 3-15-9>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472
<표 3-15-10>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472
<표 3-15-11>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473
<표 3-15-12>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3년) ············································································· 474
<표 3-15-13> 경상북도 메타AI과학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74
<표 3-15-14>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475
<표 3-15-15>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477
<표 3-15-16>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478
<표 3-15-17>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4년) ·················································································· 479
<표 3-15-18>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479
<표 3-15-19>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480
<표 3-15-20>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481
<표 3-15-21>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481
<표 3-15-22>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483
<표 3-15-23>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484
<표 3-15-24>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484
<표 3-15-25>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485
<표 3-15-26> 경상북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485
<표 3-16-1> 경상남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488
<표 3-16-2>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489
<표 3-16-3>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490
<표 3-16-4>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491
<표 3-16-5>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 492
<표 3-16-6>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493
<표 3-16-7>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500
<표 3-16-8>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502
<표 3-16-9>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503
<표 3-16-10>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503
<표 3-16-11>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504
<표 3-16-12>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3년) ············································································· 505
<표 3-16-13> 경상남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05
<표 3-16-14>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ㅁ ·································· 506
<표 3-16-15>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507
<표 3-16-16>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508
<표 3-16-17>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4년) ·················································································· 509
<표 3-16-18>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509
<표 3-16-19>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510
<표 3-16-20>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511
<표 3-16-21>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512
<표 3-16-22>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513
<표 3-16-23>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513
<표 3-16-24>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514
<표 3-16-25> 경상남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514
<표 3-17-1>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 518
<표 3-17-2>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 519
<표 3-17-3>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520
<표 3-17-4>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 521
<표 3-17-5>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522
<표 3-17-6>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 523
<표 3-17-7>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 524
<표 3-17-8>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 526
<표 3-17-9>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 527
<표 3-17-10>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 527
<표 3-17-11>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 528
<표 3-17-12>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3년) ···································································· 529
<표 3-17-13>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29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7-14>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4년 11월 기준) ·························· 531
<표 3-17-15>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 532
<표 3-17-16>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 533
<표 3-17-17>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4년) ········································································ 534
<표 3-17-18>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 534
<표 3-17-19> 제주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 535
<표 3-17-20>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4년) ············································· 535
<표 3-17-21>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536
<표 3-17-22>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 536
<표 3-17-23>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 537
<표 3-11-27> 제주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 537
<표 3-17-24>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 538
<표 3-17-25>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 538
[그림 1-2-1] 2024년 지방시대위원회 4+10 중점 이행과제 ······························································ 12
[그림 1-2-2] 2024년 중앙부처의 부문별 시행계획 (5대 전략별 핵심과제・실천과제) ··························· 15
[그림 1-2-3] 2024년 초광역권발전 시행계획 개관 (추진 목표 및 전략) ·············································· 18
[그림 1-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 20
[그림 1-2-5] 교육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 23
[그림 1-2-6]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 25
[그림 1-2-7] 중소벤처기업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 28
[그림 1-2-8] 2024년 행정안전부 주요업무계획 ·············································································· 29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3년) ··························································································· 49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3년) ······································································ 50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3년) ········································································ 51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3년) ································································ 52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4년) ··············································································· 53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2년~2023년) ··························· 54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3년~2024년) ·································································· 55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2년~2023년) ································································ 57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2년~2023년) ············································ 58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3년) 59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2년~2023년) ································································ 60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2년~2023년) ············································ 61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2년~2023년) ······················································ 62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2년~2023년) ··············································· 63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9년~2023년) ·········· 64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9년~2023년) ······························ 65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3년) ·························· 66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 67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 68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 69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 70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 71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 72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4년) ················································ 73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 74
그 림 목 차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 75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 76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 77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3년) ··························································· 78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2년~2023년) ························································· 79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2년~2023년) ························································· 80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3년) ···························· 81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1년~2022년) ···················································· 82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2~2023년) ············································· 83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3년) ···························································· 84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 98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25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52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79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06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29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25년 1월 개편 예정) ····················································· 254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276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305
[그림 3-10-1]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336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364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392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418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446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473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504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528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4년 주요 정책 동향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2. 지방 과학기술예산
개 요
1
Regional S&T Yearbook 2024 3
1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최근 고령화・인구유출 등으로 인한 지방소멸 등 다양한 경제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의 자율성과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혁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있어 근간이 되는 각 지역의 과학기술과
산업 수준 파악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지역산업 육성
정책,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시・도의 산업, 인프라, 과학기술 현황 등을 담아 1997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는 지방과학기술연감의 필요성 또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과학기술연감의 목적은 관련 연구자와 정책결정자 등에게 지방과학기술 및 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연구, 정책수립 등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에 과학기술기
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정부의 중장기계획 수립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를 높이고자 관련된 최신 정보를 보고서에 수록하고 있다.
또한, 지역정책 유관기관이 소관 지역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감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에서는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24년 주요 부처의 정책 동향과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 계획, 지자체 과학기술
관련 행정체계 및 예산 등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주요 산업지표 및 과학기술지표,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한 총괄적 현황 및 특징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17개 시・도별로 각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혁신역량과 관련한 현황, 논문, 특허 등의 성과 현황 등을 점검하고 지역별
향후 중점 추진전략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4년 주요 정책 동향
본 장에서는 중앙부처의 2024년 주요 정책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
(NABIS : NAtional Balanced-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지역사업
이라 정의할 수 있는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사업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더 나아가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23~2027」에 반영되어 있는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합동 또는 각 중앙부처별 2024년도 발표된 지방 과학기술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가. 국가균형발전사업 : 균형발전특별회계(現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먼저, 국가균형발전사업은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6조 에 따라 지방자치
분석 및 지역균형발전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5년 단위로 「지방시대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년 단위로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방시대 종합계획은 지방정부-
중앙정부의 협의와 유관기관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수립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세부과제에
해당하는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중앙부처 부문별 시행계획과 시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는 형태로 구성
되어 있다. 정부는 국가재정 관점에서 지역사업에 관한 효율적 예산운용을 위해 일반회계와 달리 「지방
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 5장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제74조~제94조」에 따라 “균형
발전특별회계사업”을 별도로 편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지역 간 불균형 해소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립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효율적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1).
국가균형발전시스템(NABIS)에 따르면 최근까지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를 통한 사업은 총 254개로
부처별로는 국토교통부(34개), 산업통상자원부(32개), 중소벤처기업부(32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9개), 행정안전부(19개), 해양수산부(19개)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2023년 말을 기준으로 종료된
사업(46개)을 제외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업 254개 기준의 부처별 비중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국토교통부(31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23개), 산업통상자원부(20개), 중소벤처기업부(20개), 행정
안전부(18개), 해양수산부(17개)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의
균형발전특별회계 전체 사업 수 중 종료 사업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역혁신, 지역
1) 국가균형발전시스템(NABIS : NAtional Balanced-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
URL : https://www.nabis.go.kr/contentsDetailView.do?menucd=143&menuFlag=Y, 접속일 : 2024.10.10.
Regional S&T Yearbook 2024 5
활력, 지역균형, 지역특화 등의 키워드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종료사업은 대체로 2022년 이전에
종료되었으며, 사업기간이 1~3년 정도의 사업임을 감안할 때 ‘지역산업 역량강화’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판단된다. 추가로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신규사업은 ‘ESG형 산단 공동혁신 지원사업(R&D)’, ‘동남권 그린수소 항만조성’, ‘지역협력혁
신성장(R&D)’, ‘환동해해양헬스케어융합산업벨트조성사업’, ‘웰에이징휴먼헬스케어밸리조성사업’,
‘지역 산업잠재위기 대응 프로젝트’로 대부분 단년도~3년의 사업에 해당되는 특징이 있다. 중소벤처기업
부는 규제자유특구, 산학연협력, 지역특화, 지역기업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종료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마찬가지로 2022년 이전에 사업이 종료되었으며, 사업
기간이 1~3년인 사업의 비중이 높은 편에 속해 ‘지역 중소기업 자생력 강화’라는 정책목표 아래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포스트 규제자
유특구 연계’ 사업을 신설하였다. 그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체 29개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
중에서 5개 사업이 종료되었으며, 이 중에서 2023년 종료사업은 ‘5G시험망기반테스트베드구축’, ‘지역
균형발전 SW・ICT융합 기술개발’ 등 2개 사업이었으며, ‘60㎓ 이하 대역 5G 전파 응용서비스 활용기반
조성’, ‘디지털혁신거점 조성지원’,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R&D)’ 등의
4개 사업이 신설되었다. 다만,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이 전체 지역 과학기술 사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 일반회계, 타 특별회계를 통해서도 실질적인 사업 수행이 이뤄지고 있는 점을 주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고용노동부
(3/0)
사회적기업육성(지특) ‘03 ~ ’24
사회적기업육성(제주) ‘08 ~ ’24
지역산업 맞춤형일자리 창출지원 ’06 ~ 계속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29/6)
5G기반조선해양스마트통신플랫폼및융합서비스개발(R&D) ’20 ~ ’23 종료
5G시험망기반테스트베드구축 ’19 ~ ’23 종료
60㎓ 이하 대역 5G 전파 응용서비스 활용기반 조성(R&D) ’23 ~ ’27 신규
ICT융합 Industry4.0S(조선해양, R&D) ’16 ~ ’20 종료
ICT융합 제조운영체제 개발 및 실증(R&D) ’20 ~ ’24
ICT이노베이션스퀘어조성 ’18 ~ 계속
K-Health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 ’22 ~ ’25
SW융합클러스터2.0 ’19 ~ 계속
공공연구성과기반 BIG 선도모델지원 ’20 ~ ’25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R&D) ’21 ~ ’27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랩 실증단지 조성(R&D) ’22 ~ ’25
디지털혁신거점 조성지원 ‘23 ~ ’25 신규
산학연협력 활성화 지원(R&D) ’06 ~ 계속
표 1-2-1 ❙ 중앙 부처의 지역균형발전사업
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수출용 신형 연구로 개발 및 실증(R&D) ’12 ~ ’27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23 ~ 계속 신규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20 ~ ’21 종료
연구개발특구운영 및 인프라지원 ’09 ~ 계속
연구개발특구육성(R&D) ’05 ~ 계속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R&D) ’20 ~ ’24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R&D) ’10 ~ ’26
지역SW산업진흥지원(정보화, 세종) `18 ~ 계속
지역SW산업진흥지원(정보화, 제주) `08 ~ 계속
지역SW산업진흥지원(정보화, 지역지원) `06 ~ 계속
지역균형발전 SW・ICT융합 기술개발(R&D) ‘19 ~ ‘23 종료
지역연구개발혁신지원 ‘07 ~ 계속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R&D) ‘23 ~ ’25 신규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R&D) ‘22 ~ ‘27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지원(R&D) ‘15 ~ ‘20 종료
혁신원자력연구개발 기반조성사업 ’21 ~ ’25
교육부
(8/0)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3.0)
(세부사업명: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지원)
’17 ~ ’27
마이스터대 지원(R&D) ’21 ~ 계속
산학연협력 고도화 지원(R&D) ’06 ~ 계속
전문대학 미래기반 조성(R&D) ’21 ~ ’25
전문대학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 지원 ’21 ~ 계속
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 ’19 ~ ’25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D) ’20 ~ 계속
학교기업지원사업(R&D) ’04 ~ 계속
국토교통부
(34/3)
개발제한구역관리 ’01 ~ 계속
광역BRT 구축 ’06 ~ 계속
광역도로 사업(11개 세부사업) ’98 ~ 계속
광역철도건설지원(15개 세부사업) ’95 ~ 계속
국가지원지방도건설(61개 세부사업) ’96 ~ 계속
국토교통기술지역특성화(R&D) ’05 ~ ’19 종료
국토교통지역혁신기술개발(R&D) ’20 ~ ’23 종료
노후공단 재정비지원 ’09 ~ ’30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15개 세부사업) ’06 ~ 계속
도시재생사업 ‘16 ~ 계속
도시재생사업(지원・세종계정) ’14 ~ 계속
도시형교통모델(세종) ’19 ~ 계속
도시형교통모델(제주) ’19 ~ 계속
도시형교통모델(지역자율) ’19 ~ 계속
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 ’11 ~ 계속
도심융합특구지원 ’21 ~ 계속
발전거점형 지역계획 시범사업(핵심관광지육성연계) ’13 ~ ’30
버스공영차고지 지원 ’20 ~ 계속
벽지노선지원 ’20 ~ 계속
Regional S&T Yearbook 2024 7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부처연계형 노후산단개발 ‘19 ~ 계속
산업단지 진입도로 지원(78개 세부사업) ’94 ~ 계속
성장촉진지역개발 `10 ~ 계속
장기미집행공원지방채이자지원 ’19 ~ ’27
제주 구국도 건설 ’07 ~ 계속
제주 구국도 유지관리 ’07 ~ 계속
제주국제자유도시기반시설지원(선도프로젝트) ’05 ~ 계속
지방하천정비사업(지역,제주,세종) ’99 ~ 계속
지역거점조성지원 ’07 ~ 계속
지역도심 융합기술 연구개발사업(R&D) ’23 ∼ ’26 신규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 ’19 ~ ’23 종료
충청권 자율주행 모빌리티 상용화 지구 조성 `22 ~ `25
투자선도지구 기반시설 지원 ’20 ~ 계속
해안 및 내륙권발전사업 ’13 ~ ’30
환승센터구축지원 ’09 ~ 계속
농림축산식품부
(15/0)
농업기반정비 ’10 ~ 계속
농촌관광활성화(지원) ‘02 ~ 계속
농촌유휴시설활용지역활성화 ‘19 ~ 계속
농촌자원 복합산업화지원 ’10 ~ 계속
농촌형교통모델(자율) ’18 ~ 계속
반려동물 인프라구축사업 ’19 ~ 계속
일반 농산어촌 개발(세종) ’15 ~ 계속
일반 농산어촌 개발(자율) ’10 ~ 계속
일반 농산어촌 개발(자율) ’10 ~ 계속
일반 농산어촌 개발(제주) ’10 ~ 계속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자율,제주) ’05 ~ 계속
지역행복생활권협력사업 ’13 ~ 계속
취약 지역 생활여건 개조 사업 ’15 ~ 계속
친환경농업기반구축 ’95 ~ 계속
토양개량제사업(제주계정) ’14 ~ 계속
농촌진흥청
(3/0)
농식품가공체험기술보급(지역지원・제주계정) ’06 ~ 계속
지역농업연구기반 및 전략작목육성(지역지원・제주계정) ’15 ~ 계속
지역농촌지도사업활성화지원(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09 ~ 계속
문화재청
(4/3)
광주 세계유산 남한산성박물관 건립 ’17 ~ ’22 종료
문화유산관광자원개발 ’05 ~ ’19 종료
보은 법주사 성보박물관 건립 ’19 ~ ’22 종료
양산 통도사 문화공간 건립 ’22 ~ ’24
문화체육관광부
(16/5)
3대 문화권 생태관광 기반조성 ’10 ~ ’21 종료
관광자원 개발 ’81 ~ 계속
관광자원 기반조성 ’10 ~ 계속
기업도시 진입도로 지원 ’13 ~ ‘22 종료
문화도시 조성(지역지원) ’20 ~ 계속
문화시설 확충(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89 ~ 계속
서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 ’17 ~ ’26
제주관광진흥지원 ’17 ~ ’25
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중부내륙권 관광개발 ’13 ~ ’22 종료
지방문화산업기반조성 ’19 종료
지역문화 컨설팅 지원(지원・제주 계정) ’05 ~ 계속
지역콘텐츠산업균형발전지원 ‘15 ~ 계속
체육진흥시설지원(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82 ~ 계속
충청유교문화권 광역관광개발 ’19 ~ ’28
폐산업시설 등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지역자율) ’14 ~ 계속
한반도생태평화벨트 조성 ’13 ~ ’22 종료
보건복지부
(10/0)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20 ~ 계속
다함께 돌봄센터 사업 ’18 ~ 계속
다함께 돌봄센터 사업 지원(세종) ’18 ~ 계속
다함께 돌봄센터 사업 지원(제주) ’18 ~ 계속
독거노인・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08 ~ 계속
사례관리 전달체계 개선 ’18 ~ 계속
읍면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 ’16 ~ 계속
의료 및 분만취약지 지원 ’11 ~ 계속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04 ~ 계속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09 ~ ’38
산림청
(10/0)
도시 바람길숲 조성(세종) ’23 ~ 계속 신규
도시 바람길숲 조성(자율) ’23 ~ 계속 신규
도시 바람길숲 조성(제주) ’23 ~ 계속 신규
산림경영자원육성(지역자율) ’88 ~ 계속
산림휴양녹색공간조성(지역자율・제주계정) ’88 ~ 계속
새만금수목원 조성 ’18 ~ ’26
숲길네트워크 구축 ’12 ~ 계속
임도시설(세종계정) ’84 ~ 계속
임도시설(제주) ’84 ~ 계속
임도시설(지역자율) ’84 ~ 계속
산업통상자원부
(32/12)
ESG형 산단 공동혁신 지원사업(R&D) ’22 ~ ’24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사업 ’21 ~ 계속
광역협력권산업육성 ’15 ~ ’20 종료
광역협력권산업육성(R&D/지원・세종 계정) ’15 ~ ’20 종료
구역청투자유치지원 ’04 ~ 계속
권역별신산업육성사업(R&D) ’17 ~ ’21 종료
기타 기반시설 지원 ’04 ~ 계속
동남권 그린수소 항만조성 ’22 ~ ’23 종료
사회적경제 혁신성장 ’20 ~ ‘24
사회적경제혁신성장(R&D) ’20 ~ ’22 종료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R&D) ’05 ~ 계속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R&D) ’11 ~ 계속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 ’20 ~ 계속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20 ~ ’25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R&D)(지역지원・제주계정) ’11 ~ ’20 종료
외국교육연구기관 등 유치지원 ’08 ~ 계속
웰에이징휴먼헬스케어밸리조성사업 ’22 ~ ’22 종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9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인천경제자유구역 전시컨벤션센터건립(BTL) ’19 ~ ’38
주요 기반시설 지원 ’05 ~ 계속
지역 산업잠재위기 대응 프로젝트 ’22 ~ ’22 종료
지역균형발전지원 ’03 ~ 계속
지역투자촉진 ’04 ~ 계속
지역특성화산업육성 ’10 ~ ’19 종료
지역혁신체계운영지원 ’14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광역협력권산업육성 ’18 ~ ’19 종료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18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지역지원・제주・세종계정) ’14 ~ 계속
지역협력혁신성장(R&D) ’22 ~ ’24
지역활력프로젝트 ’20 ~ ’21 종료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R&D) ’10 ~ 계속
투자유치기반조성 ’94 ~ 계속
환동해해양헬스케어융합산업벨트조성사업 ’22 ~ ’22 종료
식품의약품
안전처(1/0)
식의약품 안전감시 및 대응(지역지원・제주계정) ’10 ~ 계속
여성가족부
(2/0)
가족센터 건립 ’15 ~ 계속
청소년시설확충 ’90 ~ 계속
중소벤처기업부
(32/12)
국가융복합단지 연계 지역기업 상용화R&D 지원(R&D) ’19 ~ ’20 종료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R&D) ’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정보화) ’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제도운영 ’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 ’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R&D) ’19 ~ 계속
기술지주회사자회사R&BD지원사업 ’20 ~ ’23 종료
대전실패박물관 ’20 ~ ’21 종료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 ’21 ~ ’22 종료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지원 ’21 ~ ’22 종료
산학연 Collabo R&D ’19 ~ ’27
산학연 플랫폼 협력기술개발사업 ‘22 ~ ’24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93 ~ ’20 종료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사업 ’20 ~ ’22 종료
세종산업기술단지(TP) 조성 ’19 ~ ’23 종료
전통시장 및 중소유통물류기반조성 ’02 ~ 계속
제주중소기업업무지원 ’06 ~ 계속
지식산업센터(세종) ’21 ~ 계속
지식산업센터(자율) ’21 ~ 계속
지식산업센터(제주) ’21 ~ 계속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19 ~ ’19 종료
지역기업 혁신성장 지원(R&D) ’19 ~ ’19 종료
지역중소기업 공동수요기술개발 ’20 ~ ’23 종료
지역특화산업육성 `13 ~ 계속
지역특화산업육성(R&D) ’95 ~ ’20 종료
지역특화산업육성(세종) ’13 ~ 계속
1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지역특화산업육성(제주) `13 ~ 계속
지역특화산업육성+(R&D) ’20 ~ ’25
창업인프라지원 ’98 ~ 계속
창업인프라지원(세종) ’15 ~ 계속
창업인프라지원(제주) ’07 ~ 계속
포스트규제자유특구연계 ’23 ~ ’26 신규
해양수산부
(19/2)
국가어항(제주) ’07 ~ 계속
산지유통시설 지원 ’12 ~ 계속
서남권 친환경 수산종합지원단지 조성 ’14 ~ ’20 종료
수산물가공산업육성(제주) ’87 ~ 계속
수산물가공산업육성(지역자율) ’87 ~ 계속
수산물안전검사체계구축(지역자율) ’09 ~ 계속
수산식품산업 거점단지 조성 ’08 ~ ’23 종료
어업기반정비(지역자율) ’13 ~ 계속
어촌신활력증진 ’23 ~ ’30 신규
제주외항(2단계) ’16 ~ ’25
제주일반항건설 ’17 ~ 계속
제주항 ’14 ~ 계속
제주해양항만 운영지원 ’06 ~ 계속
지방이양항만 지원 ’21 ~ 계속
추자항 ’19 ~ 계속
항만시설유지보수 ’06 ~ 계속
해양 및 수자원 관리 ’97 ~ 계속
해양 및 수자원 관리(제주) ’97 ~ 계속
화순항 ’12 ~ 계속
행정안전부
(19/1)
강정마을 주변지역 연결도로 ’21 ~ ’25
마을기업육성사업 ’11 ~ 계속
서해5도 종합발전지원 ’11 ∼ ’25
섬발전협력사업추진 ’18 ~ 계속
소하천정비 ’95 ~ 계속
위험도로구조개선(지원・제주 계정) ’04 ~ ’23 종료
자원봉사활성화지원 ’06 ~ 계속
재해위험지역정비 ’98 ~ 계속
접경권 발전지원 ’11 ~ ’30
주민참여 지역문제해결 확산 ’18~ 계속
지방자치단체자율통합지원금 ’11 ~ ’25
지역공동체 기반조성 및 역량강화 ‘14 ~ 계속
지역공동체일자리 ’11 ~ 계속
지역교통안전환경개선(지원・제주・세종계정) ’03 ~ 계속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08 ~ 계속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지원(R&D) ‘20 ~ ’24
지역발전활성화 ’04 ~ 계속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지역자율・세종계정) ’19 ~ 계속
특수상황지역개발 ’10 ~ 계속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건립 ’13 ~ ’19 종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11
※ 출처 :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NABIS), URL : https://www.nabis.go.kr/bg1List.do?menucd=147, 접속일 : 2024.10.10.
나.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2024.4.)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연차별 이행계획으로 당해연도 재정투입이 수반되는
실천계획을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제7~9조에 따라 지방시대위원회가 심의・
의결(2024.4.4.)하였다. 지방시대 정책에 예산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었다2).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의 목표인 ‘지방주도 균형발전, 책임
있는 지방분권’ 달성을 위한 5대 전략3)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4+10 중점 이행과제’(4대 특구와 10대
중점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2024년에 범정부적으로 추진할 지방시대 과제로 ①지방정부 역점 과제에
대한 추진 목표 및 전략, ②중앙정부 22개 핵심과제 및 68개 실천과제의 이행 방안, ③초광역권 설정
지차체 협력 과제에 대한 추진 목표 및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2)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 이행을 위한 재정투입액은 42.2조원으로 국비가 24.6조원(58.3%), 지방비 15.0조원(35.6%), 민자 2.6
조원(6.1%)으로 구성되었다.
3) 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의 5대 전략은 자율성을 키우는 과감한 지방분권, 인재를 기르는 담대한 교육개혁,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개성을 살리는 주도적 특화발전, 삶의 질을 높이는 맞춤형 생활복지 등이었다.
부처
(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노후상수도 정비(지원・제주계정) ’17 ~ ’24
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지원 ’98 ~ 계속
농어촌마을하수도 정비 ’15 ~ 계속
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 지원(세종) ’19 ~ 계속
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 지원(자율) ’19 ~ 계속
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 지원(제주) ’19 ~ 계속
상수도시설 확충 및 관리(지역자율계정) ’94 ~ 계속
생태하천 복원(세종) ’18 ~ 계속
생태하천 복원(지역자율) ’87 ~ 계속
생태휴식공간 확대(지원) ’12 ~ 계속
슬레이트관리(자율) ’11 ~ 계속
자연환경보전 및 관리 ’99 ~ 계속
지방산업단지 공업용수도건설지원 ’98 ~ 계속
폐기물처리시설 확충(제주) ’06 ~ ’19 종료
하수관로정비 ’14 ~ 계속
하수처리시설 확충 및 관리 ’07 ~ 계속
총 합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전체사업 수 : 254개
균특회계 추진사업 수(2023년 말 기준) : 208개
균특회계 종료사업 수(2023년 말 기준) : 46개
1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지방시대위원회의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은 4대 특구와 10대 중점과제(4+10)으로 구성
되었다. 4대 특구 실행방안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교육발전특구
도입 및 지역-대학 동반 성장,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활성화 기반 구축, 문화특구와 로컬
콘텐츠로 지역활역강화 등이며, 10대 중점과제4)는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 초광역권 활성화,
지역정책과제의 체계적 이행’ 등 포괄적 과제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 출처 :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 (2024.4.4)
4) 10대 중점 이행과제는 ❶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 ❷ 지역 특성에 맞는 권한이양, ❸ 초광역권 활성화, ❹ 지역정책
과제의 체계적 이행, ❺ 현장규제 해소, ❻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❼ 디지털 재창조, ❽ 매력있는 농어촌 조성,
❾ 지방재정 건전성・안정성 강화, ❿ 자치역량 제고 등이었다.
그림 1-2-1 2024년 지방시대위원회 4+10 중점 이행과제
Regional S&T Yearbook 2024 13
이중 지방 과학기술 정책과 관련성이 높은 중점 이행과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활성화 기반구축”, “△초광역권 활성화 본격 추진
으로 지방경쟁력 제고”, “△현장 규제 해소로 지방기업 활력 제고 및 투자 확대”,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 둥으로 판단
된다. 이에 지방과학기술과 유관한 중점 추진과제를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4대 특구 중에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은 ‘지역주도형 균형발전’이라는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철학을 실현할 핵심적인 정책으로 지방정부가 지역의 발전전략에 부합하는 기업을 유치하여
‘기회발전특구 계획’을 수립・신청하면, 중앙정부는 신속한 검토를 통해 특구로 지정하는 방식이다.
올해 처음으로 대구, 부산, 전남, 경북 등이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었으며, 「지역균형투자촉진 특별법」
제정과 인센티브 지원을 통해 내실 있는 특구지원 체계 구축도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2월
국세・지방세 감면 혜택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우대 관련 법령 개정을 완료5)하였으며, 기회발전
특구펀드에 10년 이상 투자할 경우, 이자・배당소득에 대한 세제혜택(분리과세 9%)을 지원하는 세부
적인 금융 지원 방안도 계획하였다. 또한 기회발전특구에 규제 특례를 과감히 도입하고자 「지역균형
투자촉진 특별법」도 제정 중으로 특별법을 통해 지방기업 인력양성 지원, 기회발전 특구 지원 및
특구 근로자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로 ‘도심융합특구’ 조성을 추진하여 지방 대도시 도심에 지방정부 주도로 산업・주거・문화
등을 복합개발하여 기업을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도심융합특구’를 관계부처
특구사업 등과 결합하여 공간적으로 중첩 적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제고하도록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도심융합특구’는 기존 교통과 문화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일자리
(산업)와 삶(주거), 여가(상업・문화)가 집약되는 고밀도 복합개발을 통해 ‘지방판 판교테크노밸리’를
조성하고 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도심융합특구’를 조성하기 위한 특별법이
2023년 10월 국회를 통과하였으며 2024년 4월에 시행되으며, 지방 5개 광역시(부산, 울산, 대구,
광주, 대전)를 선도 사업지로 선정하였다. 또한, 도심융합특구에 필요한 국토교통분야 융합 기술의
개발・실증을 통해 지역의 특화산업 및 기업육성을 위한 지원도 계속되었다. 선도사업 지역별로 AI,
서비스로봇, 미래 모빌리티, 스마트빌딩, 친환경 에너지 산업 등 핵심 기술을 2023년 선정하였으며,
2026년까지 R&D 사업에 국비 28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음은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의 ‘10대 중점 이행’이다. 첫째 “초광역권 활성화 본격 추진으로
지방경쟁력 제고”는 초광역권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확산하는 한편, 초광역권발전 시행계획
이행을 위한 규제・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기 위한 중점이행 과제이다. 초광역권 산업・문화・SOC분야
5) ①수도권 사업장 양도세 과세이연, ②가업상속공제 사후관리요건 완화, ③지방이전 창업 또는 공장 신・증설시 취득세・재산세 감면,
④사업장 신설 또는 창업시 법인세 감면 등의 제도를 개선하였다.
1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협력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고, 협력 거버넌스 구축・확산 및 초광역권 발전 관련 규제・제도 개선 등
초광역권 활성화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협력사업’은 산업・문화・SOC 등 분야별 ‘초광역권 협력
사업’(첨단바이오 헬스 산업생태계 조성, 광역 관광개발, 광역 철도・도로망 구축 등)을 초광역 지자체
별로 본격 추진기 위해 지방시대위원회에서는 초광역권 사업의 실행력 제고방안을 마련하고, 성공사례
공유,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현장점검과 워크숍을 지속 실시하였다. 또한 ‘초광역권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초광역권 권역별 거버넌스 방안’와 ‘특별지방자치단체 표준모델・기본규약안’ 등을 마련
중이다. 이와 더불어 초광역권 발전 활성화를 위해 중앙 차원의 행・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둘째 “현장 규제 해소로 지방기업 활력 제고 및 투자 확대”는 지방기업의 활력을 제고하고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자 네거티브 규제 특례 등이 적용되는 ‘글로벌 혁신특구’를 조성하고, 불합리한 산업
단지 입지 킬러규제를 해소하고 지자체별로 숙원과제를 발굴・개선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2024년에는
글로벌 혁신특구로 4곳을 지정하고, 특구 후보지 3곳을 신규 선정 중이다.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된
부산(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강원(AI헬스케어), 충북(첨단재생바이오), 전남(에너지신산업) 등에는
첨단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규제 실증・인증・허가・보험 등 국제 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산업단지 입지 킬러규제 혁파 방안(2023.8월) 이행을 위한 산업집적법 개정안이 2024년 7월부터
시행되었으며, 산업단지환경개선펀드를 대폭 확대(2023년 958억원 → 2024년 1,868억원)하여
복합용지, 토지용도 전환 규제 완화 등 민간투자 제도를 정비하여 주거・편의시설 조성 투자 확대를
지원하였다. 동시에 지역개발과 기업활동 지원을 위해 행안부・지자체 협의를 통해 지자체별 숙원
핵심과제를 선정하고, 부처 협의를 거쳐 지방규제혁신위원회에 상정・심의하여 규제 개선권고 등
신속히 조정하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셋째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을 위해 ‘첨단 특화단지 종합지원방안’을
2024년 3월에 마련하데 이어 ‘지역 주력산업 육성 품목 연차별 기술 로드맵’ 수립, ‘지역 과학기술혁신
계획’ 수립 등의 계획도 제시하였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종합지원방안’(2024.3월)을 통해 기반
시설, 첨단 생태계 구축, 개별 특화단지 경쟁력 제고 등의 맞춤형 지원전략을 추진하였으며, 2024년
6월에는 인천・경기(시흥), 대전(유성), 강원(춘천・홍천), 전남(화순), 경북(안동・포항) 등을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하였다.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해서 1.5조원 규모(2025년~
2030년)의 지역 중소기업 전용의 대규모 연구개발(R&D) 사업을 기획 중에 있다. 한편, 지역 주도로
특화된 과학기술 기반의 중장기 발전전략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하였다. 지역별로
집중 육성할 중점기술 분야를 설정하여 지역 산업과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설정하면 정부는
지역별 계획의 컨설팅을 지원하고, 핵심 신규사업의 예산 연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Regional S&T Yearbook 2024 15
마지막으로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라는 중점과제를 통해 지방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청년이 희망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업과 인재를
집적하고 지역 신산업 허브로 성장할 ‘디지털 혁신지구’를 기존 3개 지역(부산 센텀, 대구 수성, 광주
AI융합단지) 이외에 경남 창원산업단지를 추가로 선정하였다. 기존 선정 지역은 지방정부의 주도의
중장기 조성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예타사업 사전 기획을 컨설팅 지원 중이며, 경남
창원산업단지에 대해서는 26년까지 3년간 인프라 기반 조성, 네트워크 구성・운영 등 초기 활성화
방안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지방 제조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디지털 전환이 안착되도록 2024년에
5천여개 중소・중견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였으며, ‘SW중심대학’으로 17개 대학을 신규로 선정
(2024.3월, 925억원 지원)하여 지방 산업현장의 수요와 연계한 SW전문・융합 인재를 양성(2027년
까지 100개 선정 예정)하였다.
그림 1-2-2 2024년 중앙부처의 부문별 시행계획 (5대 전략별 핵심과제・실천과제)
5대 전략 22개 핵심과제
68개 실천과제
과제명
사업수
(개)
‘24 국비
(억원)
부처
I. 자율성
키우는
과감한
지방분권
I-1. 자율적 자치기반 마련
(1) 지방정부 행정권한 확대 3 - 행안부
(2) 특별지방행정기관 기능 정비 1 - 행안부
(3) 자치입법권 강화 2 -
행안부
법제처
I-2. 지방재정 경쟁력 강화
(1) 자주재원 확충 및 세입기반 강화 2 -
행안부
기재부
(2) 지방재정 자율성 강화 2 -
기재부
행안부
(3) 지자체 간 재정균형장치 강화 3 - 행안부
I-3. 지방의 자치역량 제고
(1) 지방정부 역량 강화 2 16 행안부
(2) 지방의회 역량 강화 2 - 행안부
(3) 주민참여 증진 3 135 행안부
I-4. 지역 맞춤형
자치모델 개발
(1) 자치경찰 이원화 1 -
행안부
경찰청
(2) 특별자치시도의 선도적
자치분권 모델 구현
1 - 행안부
(3) 특별지방자치단체 등 지역
맞춤형 기능수행모델 개발
2 - 행안부
I-5. 지방의 책임성 확보
(1) 지방정부 감사 기능 강화 1 - 행안부
(2) 재정건전성과 투명성 제고 3 - 행안부
(3) 지방의회 책임성 제고 3 - 행안부
합계 15개 실천과제 31개 151억원
II. 인재를
기르는
담대한
교육개혁
II-1. 지역 어디서나 수준
높은 교육 기회 제공
(1) 교육발전특구 지정・운영 등을 통한 지역
공교육 발전
2 - 교육부
(2) 디지털 교육혁신으로
수도권・지방의 교육격차 해소
2 106 교육부
1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5대 전략 22개 핵심과제
68개 실천과제
과제명
사업수
(개)
‘24 국비
(억원)
부처
(3) 세계적 수준의 글로컬대학 육성 1 - 교육부
II-2. 대학과 지역의
동반성장 지원
(1)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 1 - 교육부
(2) 대학 규제 개혁을 통한
자율적 발전 지원
2 53 교육부
(3) 지역혁신 및 지역창업 허브로서 지방대학의
역할 강화
5 2,145
중기부
교육부
II-3. 지방자치 - 교육자치
연계・협력 강화
(1) 시도-교육청 행정 및
교육재정 연계・협력 강화
2 -
교육부
행안부
(2)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 1 - 교육부
(3) 지역-학교 협업의
초등돌봄 서비스 제공
1 - 교육부
(4) 맞춤형 교육 환경 조성 및
정주여건 개선
1 - 교육부
합계 10개 실천과제 18개 2,304억원
III.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III-1. 기회발전특구와
혁신성장거점
육성으로 성장동력
확충
(1) 기회발전특구 조성 및
지방투자 활성화
9 5,843 산업부
(2) 지역별 첨단산업 육성거점 신설 9 331 산업부
(3) 지역 성장거점 고도화 6 941 산업부
III-2. 지역의 효율적
성장을 지원하는
공간조성
(1) 지방 광역도시 융합 거점 개발 4 290 국토부
(2) 강소지역의 자생력 강화 지원 5 1,595 국토부
III-3. 지역특화형
산업육성 및 일자리
창출 촉진
(1) 지역 전략산업 발굴 및
혁신기반 확충
13 6,617
산업부
중기부
(2) 지역 특화형 고용창출 촉진 3 1,575 고용부
III-4. 글로벌 선도형
지역과학기술 진흥
(1) 글로벌 선도형 과학기술
혁신역량 확충
10 2,571 과기부
(2) 지방과학기술 성과확산 및
사업화 촉진
6 1,808 과기부
(3) 지역 과학기술문화 저변확대 1 28 과기부
III-5. 지역 디지털
혁신을 통한
균형발전 실현
(1) 지역 디지털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 7 1,175
과기부
산업부
(2)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기술 보급∙확산
8 1,334
과기부
산업부
(3) 디지털 기술 기반의
공공서비스 발굴 확산
1 29 행안부
III-6. 지역 맞춤형 창업 및
혁신생태계 조성
(1) 지역 창업・벤처투자 기반 구축 4 1,609 중기부
(2) 지역중소・중견기업 혁신생태계
구축 지원
8 821
중기부
산업부
(3) 데이터 기반의 지역중소기업
제조혁신 촉진
2 2,062 중기부
(4) 지역중소기업의 위기대응
역량 강화
2 249 중기부
합계 17개 실천과제 98개 28,878억원
IⅤ. 개성을
살리는
주도적
특화발전
IV-1. 지역의 자생적
창조역량 강화
(1) 산업 분야 지역정책과제 24 739 산업부
(2) 과학기술 분야 지역정책과제 11 326 과기부
(3) 로컬콘텐츠를 통한
지역사회 활성화 및 재생
4 128 중기부
IV-2. 지역 고유 자원을
활용한 문화 관광
육성
(1) 문화・관광 분야 지역정책과제 9 300 문체부
(2) 환경・복지 분야 지역정책과제 13 593
환경부
복지부
Regional S&T Yearbook 2024 17
※ 출처 :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 (2024.4.4)
5대 전략 22개 핵심과제
68개 실천과제
과제명
사업수
(개)
‘24 국비
(억원)
부처
(3) 지역자원 기반의
특화형 문화관광 육성
19 4,223 문체부
(4) 지역 연안자원 기반
특화형 해양관광 육성 지원
3 417 해수부
IV-3. 지역 특성화
발전에 기여하는
핵심 인프라 확충
(1) 국토 분야 지역정책과제 34 12,980 국토부
(2) 해양 분야 지역정책과제 11 6,873 해수부
(3) 자치분권 등 분야 지역정책과제 7 622 행안부
(4) 지역특화형 교통∙물류 인프라
지원 및 구축
27 54,923
국토부
해수부
IV-4. 지역주도의
경쟁력 있는
농산어촌 조성
(1) 농림수산 분야 지역정책과제 5 89
농식품부
해수부
(2) 농촌의 특화발전 및
경쟁력 강화
20 4,914 농식품부
(3) 해양수산 지역 특화발전 및
경쟁력 강화
5 1,280 해수부
합계 14개 실천과제 192개 88,407억원
Ⅴ. 삶의 질
높이는
맞춤형
생활복지
Ⅴ-1. 지방소멸
위기대응 지원
(1)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체계 개선
14 32,540 행안부
(2) 취약지역 자립 역량 강화 지원 4 2,831 행안부
(3) 농촌형 서비스 강화, 정주환경 개선으로
농촌 소멸위기 극복 지원
8 9,620 농식품부
(4) 어촌 진입장벽 완화, 복지환경 개선으로
어촌 소멸위기 대응 지원
6 1,170 해수부
Ⅴ-2. 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생활여건 개선
(1) 행복도시 및 혁신도시 고도화 3 1,640 국토부
(2) 지역정착 지원을 위한
정주여건 개선
4 2,844 국토부
(3) 활력있는 새만금 도시조성 기반 마련 1 - 국토부
Ⅴ-3. 삶의 질 높이는
지역
의료・보건・복지
확충
(1) 지역 맞춤형 복지지원체계 구축 15 14,220 복지부
(2) 의료 사각지대 해소 및
의료 접근성 개선
4 1,009 복지부
(3) 안전한 지역사회∙건강한
가족 만들기
13 21,538
행안부
여가부
Ⅴ-4. 지역 환경・생태
자원의
보전 및 활용
(1) 친환경∙탄소중립기반 구축 15 37,293
환경부
산업부
산림청
(2) 지역 생태복원 및 지역환경
보전∙활용
10 1,792
환경부
해수부
산림청
합계 12개 실천과제 97개 126,497억원
총계
(5대 전략 22개 핵심과제)
68개 실천과제 436개 24.6조원
1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충청권
목표 바이오・모빌리티 등 혁신자원을 연계한 미래 新성장동력 확보
전략
◈ 충청권 연계・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초광역 산업발전 및 경쟁력 제고
◈ 혁신거점 클러스터 확장 및 광역생활경제권 조성을 위한 교통망 연결
◈ 충청권 문화-관광 동질성 강화
광주전남권
목표 광주・전남 초광역권 형성을 위한 기반 구축
전략
◈ 탄소중립 선도를 위한 초광역권 에너지신산업 육성
◈ 첨단 바이오산업에 기반한 의료헬스케어 분야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인프라 구축
◈ 공간혁신을 통한 새로운 성장거점 조성 및 혁신산업 간 유기적 연결 네트워크 구축
대구경북권
목표 대구경북 산업 대전환과 신공항 연계 강화로 지방시대 선도
전략
◈ (산업) 500만 경제공동체 기반 대구경북 산업구조 대전환 선도
◈ (협력) 지역 간 역사문화 콘텐츠의 상호활용, 신공항-신항만 연계로 세계로 열린 대구경북 실현
◈ (제도) 산업육성을 위한 규제완화 등 제도 개선으로 지역 간 발전 기반 마련
부울경
목표 주력・신산업 혁신기반 마련 및 광역교통망 확충, 생활여건 개선으로 지방시대를 선도하는 부울경
전략
◈ 주력산업 및 신산업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 1시간 생활권 조성을 위한 초광역 교통망 구축
◈ 시・도민 여가생활 및 건강권 향상(광역관광개발 국비 138억원 확보)
전북권
목표 새로운 전북, 특별한 기회 글로벌 생명경제도시 전북
전략
◈ 산업생태계 기반 구축을 통한 바이오융복합 산업 거점화
◈ 특수목적용 모빌리티 기반구축 및 탄소복합소재 다변화
◈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등 동서내륙 SOC
강원권
목표 미래산업 선도, 초광역협력 생태계 중심지 도약
전략
◈ 미래산업육성을 통한 탄소중립 초광역경제권 구축
◈ 생활인구 확대를 위한 융복합 관광허브 구축
◈ 순환경제 혁신을 위한 교통망 확대・거점간 네크워크 강화
제주권
목표 초광역 생태계 조성으로 「다함께 미래로, 빛나는 제주」 구현
전략
◈ 특화생물자원 활용 초광역협력으로 기술 경쟁력 확보 및 국내외 시장 확산
◈ 데이터 기반 SW융합 신산업 육성을 통한 스마트 도시 기반 조성
※ 출처 : 2024년 지방시대 시행계획, (2024.4.4)
그림 1-2-3 2024년 초광역권발전 시행계획 개관 (추진 목표 및 전략)
Regional S&T Yearbook 2024 19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6)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서,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도약”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 세계 최고 R&D허브 조성”, “▲ 도전적 R&D로 혁신 견인”, “▲ 인공
지능・디지털 대전환 선도”, “▲ 국민과 함께하는 따뜻한 AI・디지털” 등의 4대 추진 전략을 설정하였다.
이어 “① 글로벌R&D 협력기반 강화”, “② 글로벌 선도인재 육성”, “③ 세계 최고수준 R&D 시스템으로
혁신”, “④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성과 창출 본격화”, “⑤ 3대 글로벌 선도기술 중점 육성”, “⑥ 미래 유망
기술 연구개발 활성화”, “⑦ 인공지능 기반 경제・산업 대도약”, “⑧ 인공지능 공존시대, 새로운 디지털
질서 안착”, “⑨ 인공지능・디지털 글로벌 주도권 확보”, “⑩ 전국민・전지역 인공지능・디지털 활용・확산”,
“⑪ 디지털 기반 민생 안정”, “⑫ 더 촘촘하고 빈틈없는 디지털 안전” 등 12대 핵심 추진과제를 선정
하였다. 특히, 12대 핵심 추진과제 중 「⑩ 전국민・전지역 인공지능・디지털 활용・확산」은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핵심 추진과제 “⑩ 전국민・전지역 인공지능・디지털 활용・확산”은 “디지털 기반 지역혁신”, “디지털
교육”, “디지털 접근・활용권 보장”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우선, “디지털 기반 지역혁신”의 경우 AI・
디지털 허브와 지역 주력산업 디지털 혁신을 통해 지역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디지털로 지역인재 양성
및 현안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역산업 활력을 위해 지역에 AI 핵심인프라를 집적하는 디지털
혁신지구를 조성(‘23년 3개 → ’24년 5개)하고, 권역별 AI지역융합사업(충청・강원・호남・영남)을 추진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지역 혁신 프로젝트 및 스마트빌리지를 ‘24년 99개 과제 약 1천1백억원 규모의
지원을 통해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 디지털 기업 및 인재가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실증하고 디지털로
지역 현안 및 문제를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노후 우체국을 교육 및 창업 등의
공간으로 개발하여 활용할 예정이다.
다음으로 “디지털 교육”을 통해 학교안팎에서, 학업・전공・지역에 관계없이 AI・디지털을 통해 꿈을
키우고 자립 및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우선 소외지역 학생을 위해 “SW미래
채움센터”(13개), “SW 동행프로젝트7)”, 온라인채널을 통한 EBS-이솝 등을 SW 강좌 및 실습환경 등을
활용한 학교수업 지원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보호아동의 디지털 기반 교육과 자립준비청년 디지털
창업・창작 교육, 직업훈련, 인턴십 연계 등 진로 설계 및 취・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6) 각 부처의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년 12월, ’24년 1월), 각 부처 보도자료 등 참고
7) SW메래채운센터: 정보소외지역 초중등 SW 교육 지원, SW 동행프로젝트: 청년・청소년 디지털 기업연계
2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마지막으로 “디지털 접근・활용권 보장”을 통해 전국 디지털 배움터(100개소 미만)를 상설운영 구조로
통합 및 내실화하고 에뮬레이터8) 기반 실습 등 온라인 교육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12대 핵심 추진과제 중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 내용으로는
“③ 세계 최고수준 R&D 시스템으로 혁신” 중 “국가연구기관 혁신”의 내용 일부에서 “지역R&D기관”의
기술사업화 및 성과창출 강화를 위해 지역거점대학과 출연연간 인력교류, 장비공동활용 등 협력을
강화하고, 신특구모델9) 도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비
전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도약
4대
추진
전략
세계 최고
R&D허브 조성
도전적 R&D로
혁신 견인
1.
글로벌R&D
협력기반 강화
4.
3대 게임체인저 기술
성과창출 본격화
2. 글로벌 선도인재 육성 5.
3대 글로벌 선도기술
중점 육성
3.
세계 최고수준
R&D시스템으로 혁신
6.
미래 유망기술
연구개발 활성화
인공지능 ・ 디지털
대전환 선도
국민과 함께하는
따뜻한 AI ・ 디지털
7.
인공지능 기반
경제・산업 대도약
10.
전국민・전지역
인공지능・디지털 활용・확산
8.
인공지능 공존시대,
새로운 디지털 질서 안착
11. 디지털 기반 민생 안정
9.
인공지능 ・ 디지털
글로벌 주도권 확보
12.
더 촘촘하고 빈틈없는
디지털 안전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24.2.13.)
8) 디지털 활용이 어려운 고령층・장애인 대상 디지털 기기(키오스크 등) 교육 실습용 프로그램
9) 各강소특구별 획일적 지원 → 자율적 목표설정・기획, 우수성과 파격 인센티브 제공 등
그림 1-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4 21
나. 교육부
교육부는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에서, “교육개혁으로 사회 난제 해결”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에 맞춰 “세계 최고의 교육・돌봄을 국가가 책임집니다!”,
“새학기 교육현장이 전면 바뀝니다!”, “대학개혁으로 역동적 지방시대를 견인합니다!” 등 3대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이와 함께 2개의 현안 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 세계 최고의 교육・돌봄을 국가가
책임집니다!”에서는 “① 초등학교 방과후와 돌봄을 통합・개선한 늘봄학교 전국 도입” 및 “② 0세부터
국가책임 교육・보육 체제 구축을 위해 유보통합 추진”을 “저출생 위기대응” 난제 해결을 위한 중점
과제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 새학기 교육현장이 전면 바뀝니다!”에서는 “③ 교권을 강화해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혁명 실현”, “④ 학교폭력을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예방”, “⑤ 학생의 마음건강을 최우선
지원”, “⑥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 지원” 등을 “교육의 과도한 경쟁 완화” 해결을
위한 중점과제로 설정하였다. “ 대학개혁으로 역동적 지방시대를 견인합니다!”는 “⑦ 지역과 대학
간의 벽을 과감히 허물어 동반성장 혁신생태계 구축” 및 “⑧ 청년들의 성장을 위한 기회와 투자 확대”
등을 “지역성장동력 창출” 해결을 위한 중점과제로 설정하였다. 2개의 현안 과제로는 “⑨ 교육의 힘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발전특구 전국 도입” 및 “⑩ 사교육 카르텔 혁파 및 사교육비 경감 총력 대응”을
“사교육 부담 대폭 경감” 해결을 위해 제시하였다. 이 중 「 대학개혁으로 역동적 지방시대를 견인
합니다!」의 경우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교육부는 “ 대학개혁으로 역동적 지방시대를 견인합니다!”를 위해, “⑦ 지역과 대학 간의 벽을
과감히 허물어 동반성장 혁신생태계 구축”에서는 “대학지원 패러다임의 과감한 전환으로 글로컬대학
등 혁신모델 창출” 및 “첨단분야 인재양성 및 산학협력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대학지원
패러다임의 과감한 전환으로 글로컬대학 등 혁신모델 창출”에서는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Education)”로 통칭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과 “글로컬대학”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RISE”는 대학과 지역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지역발전계획(산업, 과학, 문화 등)과 연계한
재정지원을 통해 대학을 지역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24년 상반기
에는 시도 전담조직 및 RISE 센터 등 RISE 추진체계 구축을 완료하고, 같은해 하반기에는 지자체 주도로
대학, 기업 등과 협력하여 산학협력, 평생・직업교육 및 지역현안 해결 등을 위한 RISE 5개년(’25~‘29)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RISE관련 재원확보는 교육부의 대학재정사업 개편을 통해 지역혁신을 촉진
할 예정이다.
“글로컬대학”은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을 추구하는 대학에 과감한 재정지원을 하여,
대학개혁의 성공모델 창출 및 글로벌 인재 양성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23년 글로컬
2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지정대학으로 선정정된 10개교의 사례를 통해 대학혁신 성공사례의 조기창출 및 전체 대학으로의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대학 및 출연의 벽 허물기 등 다양한 혁신모델을 포함하여 ‘24년 글로컬
대학 10개 내외의 추가 지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⑧ 청년들의 성장을 위한 기회와 투자 확대”에서는 지역과 관련된 내용으로 “지역과 연계한 맞춤형
해외인재 유치 전략 마련” 및 “지역의 평생・직업교육 활성화”를 담고 있다. 지역과 연계한 맞춤형 해외
인재 유치 전략 마련”에서는 ’24년 상반기에 해외 한국교육원을 통해 지자체-대학의 유학생 유치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국유학 원스톱 서비스 기능 및 전문성을 강화하고 대학 내 우수한 한국어
교육 시설, 지자체 평생학습시설 등을 한국어센터로 지정・운영하고, K-MOOC에 유학생 대상 한국어・
한국이해 강좌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기업 등과 연계한 인턴십・현장실습 등 진로설계 지원을
강화하고 ,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실무인재 양성 및 취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도 담고 있다.
“지역의 평생・직업교육 활성화”에서는 첫째, 일반 및 전문대를 대상으로 지역발전계획을 바탕으로
한 광역지자체-대학 간 연계를 통해 대학을 지역의 평생교육플랫폼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전문대를 대상으로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을 개편하여 전문대-폴리텍 연계 및 협력
트랙을 별도로 신설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사이버대를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대학원 신설을 통한
박사과정 최초 도입 및 소외계층 교육혁신모델 개발 지원 등 원격교육 내실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2개의 현안 과제로는 “⑨ 교육의 힘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발전특구 전국 도입” 및 “⑩ 사교육 카르텔
혁파 및 사교육비 경감 총력 대응”을 제시하였으며, 이 중 “⑨ 교육의 힘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발전
특구 전국 도입”의 경우 과감한 중앙정부의 권한이양으로 지역 인재양성 및 정주기반을 지역 특성에
맞게 조성하는 교육발전특구 도입 추진관련 내용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중심 교육개혁 선도모델이
만들어지고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지역을 위한 자율적 학교모델을 구현하고 우수인재 지역유치를 지원
할 계획이다.
Regional S&T Yearbook 2024 23
비전 교육개혁으로 사회 난제 해결
목표 6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
추진방향 중점과제 난제
해결
세계 최고의
교육・돌봄을
국가가
책임집니다!
❶ 초등학교 방과후와 돌봄을 통합・개선한
늘봄학교 전국 도입
❷ 0세부터 국가책임 교육・보육 체제 구축을 위해
유보통합 추진
저출생
위기
대응
새학기
교육현장이
전면
바뀝니다!
❸ 교권을 강화해 교사가 주도하는 교실혁명 실현
❹ 학교폭력을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예방
❺ 학생의 마음건강을 최우선 지원
❻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 지원
교육의
과도한
경쟁
완화
대학개혁으로
역동적
지방시대를
견인합니다!
❼ 지역과 대학 간의 벽을 과감히 허물어
동반성장 혁신생태계 구축
❽ 청년들의 성장을 위한 기회와 투자 확대
지역
성장
동력
창출
현안 과제
❾ 교육의 힘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발전특구 전국 도입
사교육 카르텔 혁파 및 사교육비 경감 총력 대응
사교육
부담
대폭
경감
지원체계 정책 소통 활성화 및 데이터 개방・연계
※ 출처 : 교육부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24.01.24)
그림 1-2-5 교육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2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주요정책 추진계획에서, “수출・투자로 민생 경제 활력 회복”이라는 비전과
“수출 7,000억불, 외국인투자 350억불”, “첨단산업 중심으로 민간 투자 150조원”이라는 2개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에 맞춰 “역대 최고 수출 달성”, “첨단산업 초격차 역량 확보”, “공급망과 경제안보 확립”,
“무탄소 에너지 대전환”, “지역 경제 및 투자 활성화”‘ “국민 체감형 업무 혁신” 등 6대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6대 추진방향 중 “지역 경제 및 투자 활성화”와 관련된 내용들이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지역 경제 및 투자 활성화”는 2개의 핵심 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지방
투자 촉진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방이 원하는 산업, 투자, 일자리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
한다. 이를 위해 “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기업의 지방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세부내용
으로는 65조원 규모(14개 지방정부)의 기업 투자 프로젝트 적기 이행을 위한 애로사항 해소의 지속적
추진, 그리고 비수도권 및 수도권 일부 지역(인구감소지역, 접경지역)에 ‘기회발전특구’를 신규지정하여
기업의 대규모 지방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투자촉진보조금에 대한 지원한도(기업당 100
→ 200억원), 비율(입지보조금(중견) 5%p 등) 상향 및 지원요건 완화로 기업 지방투자에 대한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② 지방이 주도하고 중앙은 지원하는 미래전략산업 육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제시하였다.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24년 산업부 관련 25개 과제 및 1,047억원 규모로 미래
모빌리티, SMR 등 지역별로 선정한 미래 신산업 혁신 인프라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첨단산업
관련 기업에 필요한 초기 현장인력을 맞춤형으로 양성하고 적기 공급할 수 있도록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지방시대위원회와 함께 지방정부의 ’24년 초광역권발전
시행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시・도간 연계협력 산업을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③ 민간수요
중심, 지방 주도로 경제자유구역・자유무역지역 개발 촉진”에서는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권한 등
중앙 권한의 지방이양 확대를 주요 내용으로 경제자유구역 신규・추가지정 수요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수시지정을 활성화하여 지역투자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자유무역지역 제도혁신
전략 ”마련을 통해 자유무역지역을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하여 첨단 수출・투자유치 거점 및 제조・물류
융복함 중심지역으로 육성할 계획도 담고 있다.
Regional S&T Yearbook 2024 25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4.1.31)
그림 1-2-6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2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둘째, “지역 산업단지 혁신 가속화”에서는 산업단지를 기업과 청년이 모이는 혁신공간으로 전환한
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① 기업 투자를 가로막는 불합리한 킬러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
개선”할 계획이다. 세부내용으로는 입주업종, 토지용도, 매매・임대 제한 등 입지 킬러규제 개선방안의
차질없는 이행과 기업의 신산업 투자장애 발굴 및 신속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지방 일반산단
입주기업의 경영・투자활동 애로사항 발굴 및 개선을 위해 산업부, 지자체, 산업단지공단, 지방 산단
관리기관 등으로 구성된 지방산단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② 문화・편의・주거시설 확대로
‘청년이 일하고 싶은 산단’으로 탈바꿈”을 제시하였다.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정부자금 마중물과 민간
투자 제도정비로 주거, 편의시설 조성에 민간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복합문화센터(‘24년
30개소), 아름다운 거리(’24년 28개소), 노후공장 리뉴얼(‘24년 150개사) 등 산단혁신 사업의 패키지
지원을 통한 환경개선 효과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③ 디지털・저탄소 전환 가속화로
산단 입주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서는 제조 전주기 디지털화 지원 인프라 확산 및 저탄소화
촉진을 위해 산단 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인근 재생에너지 단지(태양광, 풍력)와 연계한 PPA
(전력구매계약) 확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10). 또한, 생애주기 배출량 측정 플랫폼 구축, 감축수단 지원
(인근 신재생 인프라 연계 PPA 등) 등의 내용들을 포함하여 산단 내 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라.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중소・벤처・소상공인이 모두 행복한 민생경제
구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의 원칙하에 현장 중심 행정”이라는
전략 하에 5대 핵심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핵심추진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당면 현안
및 고질적 문제 해결”, “② 소상공인 안전망 강화 및 성장기반 마련”, “③ 민・관협업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④ 스타트업 코리아 실현 및 글로벌 창업벤처 중추국가 도약”. “⑤ 글로벌 기업
환경 변화 대응력 제고” 등이 있다. 이 중, “③ 민・관협업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④ 스타트업 코리아 실현 및 글로벌 창업벤처 중추국가 도약”. “⑤ 글로벌 기업환경 변화 대응력 제고”
등의 내용에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성이 있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③ 민・관협업으로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서는 “글로벌 혁신 특구 본격 조성” 및
“글로벌 인력의 국내 유치 지원” 등이 지역 R&D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글로벌 혁신 특구
본격 조성11)”의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협력체계 구축”과 “제도 개선”으로 정리할 수 있다. “협력체계
10) (신재생 인프라 및 에너지효율화) ‘23년 590억원 → ’24년 1,060억원
11) ‘24년 글로벌 혁신 특구 선정지역(4곳): 부산(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강원(보건의료데이터), 충북(첨단재생바이오), 전남(에너지 신산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27
구축”은 글로벌 인증기관과의 연계12)를 통해 개발역량을 강화하고 해외 혁신 클러스터와의 국제 공동
R&D를 지원(’24년 20억원)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신산업 분야 비즈니스 창출 및 업계 선도를
위한 개발협력13)을 추진한다. “제도 개선”의 경우 실증기준・임시허가 명확화, 국내 제도 부재 시 해외
제도 잠정 적용, 신산업 보험 도입 등을 위한 “지역특구법” 개정14) 추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글로벌
환경 변화 선제 대응, 수출 대상국 분석, 기술침해 예방과 분쟁 해결 등을 위한 ‘글로벌 기술보호 지원단’15)
운영을 중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글로벌 인력의 국내 유치 지원”에서는 유학생 매칭을 위해
지자체, 대학 등과 연계하여 권역별 취업박람회 개최 및 국내 유학생-지역 기업간 인턴쉽 확대 등 중소
기업과의 취업연계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④ 스타트업 코리아 실현 및 글로벌 창업벤처 중추국가 도약”에서는 “단단한 지역 창업・벤처
생태계 구축”에 지역 R&D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단단한 지역 창업・벤처 생태계 구축”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인프라 고도화’와 ‘지역 벤처투자 확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인프라 고도화’의 경우 대학・혁신・캐주얼 등 테마에 따라 맞춤형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 번째 테마인 ‘대학창업’과 관련해서는 권역별 창업중심대학(9개)을 거점으로 대학발 창업기업16)
발굴・육성을 강화하고, 기업 수요맞춤형 역량강화 프로그램17)을 구성할 계획이다. 두 번째 테마인
‘혁신창업’에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을 활성화하고, 일・문화・소통・주거가 결합
된 복합 창업공간으로 ‘지역창업허브’ 구축(1곳)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 테마인 ‘캐주얼
창업18)’에서는 창업관련 다양한 기능을 집적한 ‘K-창업캠퍼스19)’(가칭)를 시범 구축하고, 그간 분산
개최되던 여러 창업경진대회를 통합한다는 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역 벤처투자 확대’의 경우 지역 벤처펀드 확대 및 엔젤투자허브 추가를 통해 지방소재
벤처・스타트업이 투자기회를 얻을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 벤처펀드를
1천억원 이상 추가 조성하고 2개 권역을 추가20) 선정하는 한편, 지역 엔젤투자 지원 목적의 ‘지역
엔젤투자 재간접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수도권-비수도권간의 투자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
투자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역 엔젤투자허브21)’를 운영(‘24년 4개)할 계획이다.
12) (예) UL Solutions가 보유한 미국 현지의 검증 인프라와 전문인력 활용
13) 신제품 인증 기준이 없는 개도국에 신제품, 제도, 인증체계를 결합한 패키지 지원 → 잡재시장 개척 추진
14) 안전성이 입증된 기술은 토론회 및 공청회를 통해 여론을 형성 → 빠른 법제화 추진
15) 분야별 전문 법무법인 지정・운영을 통해 글로벌 실증, 공동 R&D 등 신기술・서비스 개발 전 과정의 법률 및 보안리스크 종합
관리・지원
16) 대학구성원 창업, 대학 보육기업, 대학 기술이전 기업, 대학 기술지주 투자기업 등
17) 창업사업화 지원기업 선정 후, 기업수요에 따라 운영 프로그램 재구성
18) 비용과 부담이 낮아 쉽게 도전할 수 있는, 창의적 아이디어 중심의 창업
19) BI, 중장년센터, 1인창조센터, 메이커스페이스 등 창업인프라 외 AC・VC 등 민간도 집적
20) (기존) 4개 권역(부산/충청/울산・경남/대구・제주・광주/전북・강원)에 4,800억원 조성(‘23.11) → (개선) 5개 권역 중 2개 권역을
추가 선정하고, ’24년 1,000억원 이상 추가 조성
2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셋째, “⑤ 글로벌 기업환경 변화 대응력 제고”에서는 “중소기업의 중장기 경쟁력 제고” 중 “지역
중소기업 육성”에서 지역 R&D와 관련이 높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 육성”은 지역
주도로 지역주력산업 등과 연계하여 기획한 프로젝트를 정부-지역이 함께 집중지원하는 “레전드 50+”
추진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레전드50+”에 ’23년에 선정된 21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1년차에 2,800억원 규모의 자금 및 스마트공장 등 핵심 정책수단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그림 1-2-7 중소벤처기업부 2024년 업무추진 방향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4.1.10)
21) (역할) 지역 스타트업을 위한 투자 네트워크 구축 및 엔젤투자 활성화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4 29
마. 행정안전부
그림 1-2-8 2024년 행정안전부 주요업무계획
※ 출처 : 행정안전부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4.3.15)
3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행정안전부는 2024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안전한 일상, 역동적인 지방, 따뜻하고 신뢰받는
정부”라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5대 분야 14대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5대 분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역동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방시대 정부』”, “② 과학과 현장
중심의 『국민안전 정부』”, “③ 신뢰와 협업 기반의 『디지털플랫폼정부』”, “④ 서민・취약계층을 먼저
생각하는 『민생 정부』”. “⑤ 함께 잘사는 사회를 만드는 『대통합 정부』” 등이 있다. 이 중, “② 과학과
현장 중심의 『국민안전 정부』” 및 “③ 신뢰와 협업 기반의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내용에서 직・간접적
으로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성이 있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② 과학과 현장 중심의 『국민안전 정부』”의 “데이터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을 확립한다.”에서는
‘스마트계측관리시스템’과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을 확대하여 하천 범람 및 인파 밀집 위험 파악 및
대처능력을 높이겠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계측관리시스템’은 2024년 440개소인 것을
2027년까지 총 2,200개소로 확대 설치할 예정이며,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은 2023년 10월부터 12월
까지 30곳을 시범운영한 후 2023년 12월말에 정식으로 개시를하고 있으며, 2024년에 100곳을 운영
할 예정이다.
“③ 신뢰와 협업 기반의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더 편리하고 빈틈없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에서는 국민비서 ‘구삐’를 지역 특화정보 제공 기능까지 추가하여 ‘지역형 국민비서’로 업그레이트 할
예정이다. 기존의 건강검진, 자동차검사 일정 등 전국 일괄 안내에서 지역별 청년지원 정보(일자리,
주거 등), 지역별 출산・육아・임신 복지정보 등 지역형 알림서비스가 추가된다. “정부의 일하는 방식을
전면 개선해 문제해결형 정부를 구현한다.”에서는 각종 문서 작성 등을 지원하는 ‘AI 행정비서’(2024년
4월 시범운영 예정), 회의 내용을 문자로 자동 변환해주는 ‘AI 자동회의록’(2024년 3월 예정) 등을 통해
공무원의 업무 효율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정부전용 초거대 AI 공통기반’22)을 구축하여 전 부처가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공공데이터 활용 강화 측면에서는 민간 영역에서 공공데이터를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연관 데이터는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고, 특히 지자체별로 상이한 형태의 데이터는
통합 제공23)할 예정이다.
22) 중복 개발로 발생하는 예산낭비 방지, 서비스 표준화 등을 위해 구축(2024년, BPR/ISP)
23) 예) 전국 공영자전거 데이터(서울 따릉이, 대전 타슈, 세종 어울링 등)
Regional S&T Yearbook 2024 31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17개 광역자치단체는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관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두고 있다. ’24년에는 전지역 과학기술관련 조직에서 전년 대비 상당한 개편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2024년 각 광역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3-1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서울
경제정책과
창업정책과
대학협력과
첨단산업과
∙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 수립, 4차산업혁명위원회 운영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인재육성지원 종합계획, 산학연협력 종합계획 수립
∙ 서울형 R&D 지원 사업, 테스트베드 서울 추진,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 사업 총괄
∙ 서울형 규제혁신 지원, 지역특화프로젝트 사업
∙ 경제・산업 분야 신사업 발굴・육성 관리, 서울 지식재산 창출 및 지원 등에 관한 사항
∙ 전략산업 선정 및 정책 수립, 로봇산업 육성계획 및 드론산업 육성계획 수립・실행
∙ 창업지원 종합계획 수립・시행 추진 총괄
∙ 미래혁신성장 펀드 및 서울 Vision 2030 펀드 조성・운용
∙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창업성장센터, 창업디딤터 등 지원사업 총괄
∙ 서울시 RISE 및 캠퍼스타운 전략 검토 및 수립
∙ 산학협력 R&D 선도 과제, 미래산업 인재양성 과제, 지역사회 동반성장 과제
세부계획 수립 및 추진 관리
∙ 서울 바이오 의료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신규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 검토
∙ 서울 AI 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양재 AI 혁신지구 조성 운영 업무 총괄
∙ 양자기술산업 육성 전략 수립 및 양자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홍릉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 및 도시재생 추진 총괄
부산
디지털경제혁신실
첨단산업국
∙ 전략산업육성계획 수립, 전략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원에 관한 사항
∙ 부산형 앵커기업 육성사업 추진・제조 강소(중소중견)기업 육성
∙ 지역산업진흥게획수립 및 성과관리,글로벌강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관한 사항, 미래산업
정책동향발간 등
∙ 기계부품산업분야 신규사업 발굴 및 기획・유치, 제조혁신산업 육성 및 관련 사업에
관한 사항, 기계부품분야 전략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로봇산업육성 관련 업무, 로봇산업 육성 조례 및 계획수립에 관한사항, 로봇산업
육성사업에 관한 사항, 로봇분야 인력 양성에 관한 사항
∙ 항공 및 드론 육성 발전에 관한 사항, 항공(드론)산업 집적화에 관한 사항, 항공
관련 연구개발, 학술대회 등에 관한 사항, DaaS기반 글로벌 스마트오션시티
구축에 관한 사항, 무인기(드론), PAV, UAM 기술개발 실증 지원에 관한 사항 등
∙ 항공 부품산업 기술고도화 지원사업, 중소기업 품질경영 진단 및 기술지도 지원
사업에 관한 사항, 수소차(버스 포함) 보급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드론 육성 발전에
관한 사항 등
3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부산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LPG선박 실증사업, LNG벙커링 기자재 시험평가
설비 및 시험기술 개발사업, 가스(LNG)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지원 기반구축 사업,
심해해양공학수조 기반구축 사업, 해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 해양
플랜트 O&M 엔지니어링 기술기반 구축사업, 조선해양플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사업,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Offshore Korea) 개최 및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협동화단지 지원에 관한 사항,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클러스터 조성사업, 조선
해양산업 지능정보서비스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친환경 조선해양기자재 재제조
기술개발사업 등
∙ 신발산업 육성계획 수립, 한국신발관(K-슈즈센터) 운영 지원, 첨단신발융합허브
센터 운영 지원, 신발산업 생태계 강화지원사업, 신발산업 디자인 활성화사업,
신발패션 창업・물류 특화 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 추진,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신발산업 인력양성사업, 신발산업 집적화단지 및 신발산업 성장거점 특구에 관한
사항 등
∙ 섬유패션산업 육성계획 수립, 부산패션비즈센터 운영 지원, 메타버스 기반 섬유
패션산업 고도화 추진, 패션테크 활성화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패션테크 클러스터
조성 및 관련 과제 발굴 지원, 섬유패션산업 재정사업 지원, 섬유패션 역량강화
지원사업, 뿌리기업(염색・가공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사업, 섬유소재기업
수요맞춤형 역량강화사업 등
∙ 신발산업 디자인 활성화사업, 신발・피혁 관련 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디지털 기반 신속 신발제조 지원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항, 기능성 소재부품기업
경쟁력 강화사업, 신발산업 신규사업 발굴・제안에 관한 사항 등
∙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부산형 SiC 연구플랫폼 활성화
지원사업,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
파워반도체 생산플랫폼 파워반도체 신뢰성평가인증센터 사업관리, 반도체 관련
전문가 협의체 및 협회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총괄 및 반도체 관련 전문가 협의체 및 협회 지원 등
∙ 신소재산업 업무 총괄 및 탄성, 탄소, 복합소재 기술개발 및 연구소 건립 등
∙ 바이오매스 기반 비건레더 기술개발 사업, 화학재생 그린소재 기술개발 사업 등
∙ 인공지능정책 업무 총괄, 디지털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 등
∙ 인공지능산업 육성, K-ICT Week in busan 개최, 인공지능 관련 공모사업 발굴,
U-헬스케어 운영 및 관련업무 지원 등
∙ SW・ICT 산업 육성 및 지역 기업 성장지원에 관한 사항, XR 기술 보급 및 확산,
XR 신규사업 발굴 및 공모사업 추진, 정보보호산업육성 및 기본계획 수립,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 동남정보보호지원센터 운영 등
∙ EDC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랩(LAP) 조성, 스마트
도시계획, 스마트도시기반시설, 스마트시티 법령 및 조례,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스마트도시협회.각종 연구회 등 협력에 관한 사항,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관한 사항 등
∙ 부산 센텀 디지털 혁신거점 기반 지역 디지털 혁신엔진 개발 예타사업 추진,
정보기술(ICT) 산업 육성 지원, 스마트시티 관련 공모사업에 관한 사항(거점형, 강소형,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 지역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확산사업 운영, 기업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운영, 기업 맞춤형 부산정보산업인력육성사업 운영,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홍보
추진, ICT 인재양성 국가공모사업 발굴 및 연계
∙ 센텀 클라우드 클러스터 조성, EDC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 동남정보보호지원센터 관리, 클라우드 엑스포 코리아
개최, 클라우드 혁신센터 관리, 클라우드 기업 유치 등
Regional S&T Yearbook 2024 33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양자산업 생태계 기반 조성, 양자산업 인력양성, 기술 사업화에 관한 사항, 양자
관련 전문가 네트워킹 및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
∙ 양자과학기술 대학ICT연구센터 과제 발굴 및 지원 양자과학기술 포럼,컨퍼런스,
워크숍 등 행사지원 양자전문기업 협력 양자 인력양성 교육추진
∙ 국비 R&D 총괄 관리, 연구개발사업(R&D) 예산배분 조정, 연구개발사업 성과
평가, 연구개발 관련 신규사업 발굴・유치, 부산 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관리
∙ 국립부산과학관 운영 지원 및 인프라 확충 건립 추진, 과학관 관련 신규 협력
프로그램 발굴 및 협의회 운영 등, 공・사립 과학관 지원 및 과학관 육성 시행
계획 수립 등, 서부산권 EDC 내 스마트과학관 관련 사항 등
∙ 부산과학기술협의회 CTO 및 이사회 운영 지원 등, 부산출향과학기술인협의회
운영지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운영 지원 및 신규사업 발굴(하이테크 부품
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 및 신규사업 발굴 등) 기술거래 활성화 및 이전기술
사업화 개발 지원사업(TP), 지역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 지원, 우주발사체・우주 수송 교육연구센터 사업지원
∙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 관련 업무,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과제발굴 등)사업
운영지원, 부산 R&D주간 운영지원
∙ 선도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원, 초광역 R&D특구 연계・협력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사업 추진, 부산특구 편드 조성・운영 등
∙ 국가핵심기술 선도프로젝트 기획・유치사업 운영, 신규 R&D사업 발굴, 기획, 유치
지원 등, 부산 R&D 혁신기관 네트워크 교류회 구축・운영, 국제협력 R&D 추진에
관한 사항, 부산과학기술혁신상, 이노비즈 포상 추진계획 수립 및 관리, 과학기술
도시 조성 혁신리더 유공자 포상 추진, 부산과학기술상, 부산미래과학자상 추진
계획 수립 및 관리 등
∙ 보건의료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클러스터
조성 총괄
∙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 건립에 관한 사항,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 장비 구축
등 국비 사업에 관한 사항,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연구센터 추진
∙ 의료마이데이터 실증 등 데이터 사업화 지원, 부산의료수학센터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사항, AI기반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구축에 관한 사항, 디지털헬스케어
특화 창업공간 조성에 관한 사항 등
∙ 바이오헬스 전용 펀드 조성 및 운영, 스타트업 투자 콘서트 운영 지원 등
∙ 건강관리서비스 도입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메디허브특구 연계 의료・헬스케어 제품
고도화 육성
∙ 의료바이오 관련 오픈이노베이션 랩 구축에 관한 사항, 의료바이오산업 인력양성 등에
관한 사항,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지원에 관한 사항, 글로벌 헬스케어 위크 전시회
총괄, R&D(의료바이오산업) 과제 발굴 및 지원, 치의학산업 육성기반 구축에
관한 사항, 치의학산업단지 조성 등에 관한 사항 등
∙ 의료산업기술지원센터 운영 및 관리 고령친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고령친화
산업 육성 지원사업, 현장중심 고령친화용품 홍보체험관 운영,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기 지원사업,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지원,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
육성사업, 제약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랩 구축에 관한 사항 R&D(의료기기 및
고령친화용품) 과제발굴 및 지원 등
∙ 항노화산업 육성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치의학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조정, 지원에
관한 사항, 치의학 산업화 기술개발 및 실용화 등 지원, 치과기공소 스마트 환경
개선 사업추진, 디지털상용화 기술지원사업 추진 등
∙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지원 사업,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사업,
3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디지털 치의학 신기술 교육지원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치의학관련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R&D(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분야) 과제발굴 및 지원
∙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에 관한 사항(총괄), 탄소중립(에너지분야) 총괄 계획수립,
2050 클린에너지 마스터플랜 이행 관리,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 평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 개최, 부울경 초광역 실무협의회(에너지동맹-전기요금
차등제), 타 지자체 협력과제 추진 분산에너지 지원조례 제정 전문가 워킹그룹
운영, 분산에너지지원센터 설립, 원전사고 대응 재난근무 총괄 전력수요대비 전력
공급 협의체 운영 등
∙ 수소경제 육성 발전에 관한 사항(기본계획 수립 및 이행상항 점검 등), 수소 관련
기업 지원(전환, 전문기업, 유치, 수소동맹 등),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 사업, 수소 항만 조성사업, 수소 선박 빅데이터 플랫폼 설계 사업, 수소
관련 법령 및 조례 제・개정에 관한 사항, 수소산업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 수소
관련 국정과제, 국정감사, 구상사업 등 주요 업무추진
∙ 수소 관련 기업 유치・지원, 수소기업 및 수소전환기업 유치지원, 수소전문기업 및
수소동맹기업 지원, 수소 관련 특화단지 유치 추진, 예비 수소특화단지 및 수소
클러스터 조성사업, 이산화탄소 CCUS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수소 도시 조성사업 등
∙ 암모니아 관련 실증사업 추진(규제자유특구), 수소/암모니아 R&D 발굴 추진,
친환경에너지 관련 R&D 발굴추진, 기업지원
∙ 산업단지 탄소중립, RE100 조성관련 업무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 추진,
연료전지 발전 보급확대 관련업무, 바이오, 폐기물 연료화 보급확대
∙ 신재생에너지보급 융복합지원 사업, 신재생에너지 보급 통계자료 관리에 관한 사항,
중・소형 풍력발전 보급사업 관련 업무, 해양에너지 보급에 관한 사항, 풍력발전
부품사업 협동조합 관련 업무, 풍력발전 보급 확대 관련 업무, 에너지 신산업
발굴 및 사업화 지원에 관한 사항, 에너지신산업 협업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대구
미래혁신성장실
미래혁신정책관
∙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혁신인재 양성
∙ 에너지산업의 육성・지원
∙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
∙ 첨단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육성 및 지원
∙ 기계로봇 산업육성 및 지원 등
∙ 지역주도 혁신성장 정책 수립・시행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반도체산업 육성 및 유관기업 협력
∙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육성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등
인천
미래산업국
산업정책과
창업벤처과
데이터산업과
반도체바이오과
에너지산업과
환경국
환경기후정책과
해양항공국
∙ 인천시 미래 전략산업 업무 총괄(산학연 협력, 인력양성, 연구개발, 혁신인프라 구축 등)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연구개발 지원, 산업 육성 등)
∙ 지역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수립
∙ 인천시 과학기술진흥 협의회 운영, 과학기술상 시상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운영(인천TP 위탁)
∙ 지역과학 거점센터 운영지원
∙ 지역 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운영
∙ 인천 미래산업 육성 및 기획(미래차 등)
∙ 인천 제조산업 육성 및 지원
∙ 창업정책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창업육성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창업 인프라 조성 및 관련 프로그램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4 35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항공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스마트시티과
투자유치기획과
신성장산업유치과
∙ 벤처기업 육성
∙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 사업 운영
∙ 글로벌스케일업캠퍼스 사업 운영
∙ AI Playground 인천 조성 사업 운영(기업육성 사업 발굴・추진)
∙ 인천 데이터허브 구축사업 운영
∙ 데이터 관련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지원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
∙ 수소생태계 구축전략 및 수소충전인프라 구축계획 수립
∙ 수소 모빌리티 보급사업 추진
∙ 환경기후 업무 총괄(환경보전 중장기 계획 수립, 환경정책 수립, 온실가스 배출권
관리 등)
∙ 탄소중립 정책 및 환경산업 교육, 녹색기후기금(GCF) 지원 협력 총괄
∙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지원
∙ 인천서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 녹색기후산업 중장기계획 수립 및 시행
∙ 창업벤처녹색융합클러스터 기업지원
∙ 항공정책 및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총괄
∙ 항공정책 민간협의체 및 인천공항 경제권 추진 협의회 운영
∙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
∙ 항공정비・부품 산업 육성 지원,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 지원
∙ 항공우주산학융합지구 육성 지원, 드론사업생태계 구축 지원
∙ 항공산업 인재양성 및 교육훈련 지원
∙ 스마트시티 전략 수립
∙ 스마트시티 공공데이터개방 및 지식재산 관리, 리빙랩 기획 및 운영
∙ 인천 스타트업파크 운영 및 기업 육성프로그램 운영
∙ IFEZ 혁신성장플랫폼 운영 및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운영 및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GBC) 지원
∙ ICT융합, 수소 등 첨단산업 분야 및 국내・외 R&D센터 투자 유치
∙ 원천기술 분야 국책 연구기관 유치
∙ K-바이오랩허브 구축 운영
∙ 대학 내 산・학・연 조성사업 추진 및 청소년 바이오 아카데미 운영
광주
미래산업총괄관
투자산단과
AI반도체과
미래차산업과
에너지산업과
로봇가전의료산업과
∙ 미래먹거리산업 발굴 및 기획
∙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산업정책 발전전략 수립
∙ 산학연 협의회 운영지원, 산학융합지구 조성에 관한 사항
∙ 지역 주력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및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산업 추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지원 및 지방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지원
∙ 투자유치기업 지원 및 설명회・홍보
∙ 국내 투자기업 협약체결 및 지원
∙ 산업단지 계획 및 개발・관리
∙ 인공지능 융합사업 신규기획 및 AI 투자펀드 조성 및 운영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및 인공지능 인재양성(AI영재고) 추진
3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국가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반도체산업 육성(인재양성, 반도체 공동연구소 등) 추진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정책 수립 및 미래차 대전환 대응전략 수립
∙ 미래차 신규산단조성 및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에 관한 사항
∙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 무인(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지원
∙ 뿌리산업 종합계획 수립 및 뿌리산업발전위원회 운영
∙ 에너지 정책수립 및 초광역 협력 에너지위원회 운영
∙ 지역에너지클러스터 및 융합보안 핵심인재 인재양성
∙ 차세대배터리산업 진흥협의회 운영 및 배터리관련 기술개발 등
∙ 에너지 융복합단지 조성 및 관리
∙ 로봇가전사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산업육성 신규국비사업 발굴
∙ 스마트가전산업 및 디지털가전기업 육성지원
∙ 광융합산업육성지원 및 종합기획・조정
∙ 지역 IT・SW 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시행・육성 지원 등
∙ 의료산업 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및 의료산업 육성지원
대전
미래전략산업실
전략산업정책과
과학협력과
∙ 산업정책 추진, 과학산업진흥원 및 대전테크노파크 운영
∙ 연구산업, 이차전지산업, 양자・센서산업 육성
∙ 연구개발지원단 육성 지원사업
∙ 지역주도 과학기술 진흥정책 추진 및 과학문화 대중화
∙ 대덕특구 재창조 이행과제 및 대덕특구 상생협력 사업추진
∙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지원
울산
미래전략국
신산업과
미래전략기획과
투자유치과
기업현장지원과
대학청년과
∙ 과학기술진흥, 첨단산업정책 수립
∙ 지역혁신성장계획, 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 이차전지, ICT, 3D프린팅, ,바이오산업, 저탄소산업 등 신산업 지원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미래전략과제 발굴, 미래기반조성 사업 검토
∙ 투자유치종합계획, 시투자유치보조금 지원
∙ 외자유치 전략, 국제교류 정책・기획, 해외 자매・우호도시 교류
∙ 기업 현장지원
∙ RISE 및 글로컬대학 등 대학혁신지원 업무 지원
∙ 울산청년정책네트워크, 울산청년정책플랫폼 지원
세종
경제산업국
미래산업과
∙ 시 경제정책 수립 등 경제산업분야 업무 총괄
∙ 미래 성장 견인을 위한 체계적 지역 산업 육성
∙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 확보
∙ 미래산업(양자, 사이버보안, SW융합클러스터, 연구개발지원단) 업무 총괄
∙ 과학기술분야(과학기술진흥 지원, SW산업 진흥) 업무 총괄
∙ 모빌리티산업,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혁신클러스터 등
∙ 바이오산업육성 및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원사업 추진, 정부공모사업 지원 등
경기
미래성장산업국
디지털혁신과
벤처스타트업과
반도체산업과
첨단모빌리티산업과
∙ 신산업 등 미래성장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디지털 대전환 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기금 운용에 관한 사항
∙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산학연 협력 및 지역혁신 지원체계 구축・추진에 관한 사항
Regional S&T Yearbook 2024 37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바이오산업과
AI국
AI프런티어사업과
AI산업육성과
AI미래행정과
AI데이터인프라과
∙ 차세대 성장동력 기술개발사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산업혁신클러스터(IICC) 지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신산업 등 경제분야 규제개혁에 관한 사항
∙ 지식재산 진흥에 관한 사항
∙ 기술거래 네트워크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과학관 관리 및 등록에 관한 사항
∙ 공무원 직무발명에 관한 사항
∙ 산학공동기술개발 및 기업부설연구소 지원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기술개발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국가지원 R&D 협력사업에 관한 사항
∙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게임산업 육성 및 진흥에 관한 사항
∙ VR/AR 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블록체인 기반사업 발굴, 확산에 관한 사항
∙ 지역산업활성화를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에 관한 사항
∙ 스마트제조혁신 (3D프린팅 포함) 지원에 관한 사항
∙ 로봇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스마트시티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국 내 다른 과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창업정책종합계획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한 사항
∙ 벤처기업지원・육성에 관한 사항
∙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 창업교육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기업 자금지원에 관한 사항
∙ 창업공간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지원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 창업 오디션 지원에 관한 사항
∙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경기창업허브 운영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창업플랫폼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기업 투자유치 및 해외진출 지원에 관한 사항
∙ 창업생태계 민간 교류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사항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 반도체산업 육성 관련 중앙부처 및 시・군 협력사업 기획에 관한 사항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운영 및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반도체 벨트 조성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공급망 관리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기업 설비투자 등 기업의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기술개발사업 계획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인력양성사업 계획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의 기획・조정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관한 사항
3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반도체 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승인・변경에 관한 사항(준공된 사업단지)
∙ 반도체 산업단지 투자의향서 협의 및 검토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내 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설치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투자유치에 관한 사항
∙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 등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기업 투자 유치에 관한 사항
∙ 한국나노기술원 지원에 관한 사항
∙ 양자산업 및 디스플레이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반도체산업 관련 다른 부서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첨단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정책 개발 등 정책 수립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 등 기반 마련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박람회 및 경진대회 운영에 관한 사항
∙ K-미래차 혁신 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미래차 전환 거점지원센터 건립에 관한 사항
∙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에 관한 사항
∙ 자율주행차 한정운수면허 발급에 관한 사항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지구 지정, 관리, 운영 및 확대에 관한 사항
∙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 조성
∙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운영 및 활성화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자율주행 실증 챌린지 등 자율주행 상용화 촉진에 관한 사항
∙ 경기도형 UAM 도입 및 기반 인프라 구축에 관한 사항
∙ UAM 산업 생태계 조성에 관한 사항
∙ 드론 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제2판교테크노밸리 및 자율주행 실증단지 조성, 인프라 구축에 관한 사항
∙ 친환경자동차 보급촉진에 관한 사항
∙ 천연가스버스 등 저공해자동차 보급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 수소에너지 생태계 기반구축에 관한 사항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 K-바이오밸리 혁신거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 위원회 및 산・학・연・병・관 협의체 운영에 관한 사항
∙ 바이오 전문인력양성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기업 및 연구개발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스타트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지원에 관한 사항
∙ 광교테크노밸리 바이오산업 거점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사무 중 바이오산업과 소관 사무의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첨단바이오 및 융합바이오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바이오 및 융합바이오 규제과학 지원에 관한 사항
∙ 융합바이오 거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디지털헬스 제품 개발 및 실증 지원에 관한 사항
∙ 메디컬・바이오 육성에 관한 사항
∙ 뷰티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Regional S&T Yearbook 2024 39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대한민국 뷰티박람회 개최 등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분야 기획 전반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관련 윤리 및 법제도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기반 도민 서비스 구축・운영
∙ 인공지능(AI) 기술활용 신규사업 발굴 및 확산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관련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산업 육성계획
∙ 인공지능(AI) 실증지원
∙ 경기AI 클러스터 조성사업
∙ AI기업 GPU지원사업
∙ 소프트웨어 미래채움 사업
∙ 인공지능 인재양성
∙ 디지털 역량 강화교육
∙ 정보화 종합계획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한 사항
∙ 정보화사업 통합・조정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기반 행정서비스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공공기관 공통 정보시스템 구축・관리에 관한 사항
∙ 스마트오피스 및 스마트워크센터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홈페이지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 인터넷・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사항
∙ 공공데이터 개방 및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사항
∙ 경기도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운영에 관한 사항
∙ 정보시스템 통합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 행정정보시스템 및 온나라시스템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업무용 PC 및 소프트웨어 관리에 관한 사항
∙ 정보보안 정책 수립 및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
∙ 개인정보보호 업무에 관한 사항
∙ 사이버위협 대응 및 보안취약점 관리에 관한 사항
∙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공사업 및 자가전기통신설비 신고 처리에 관한 사항
∙ 방범 CCTV 통합 정책 수립 및 설치・운영 지원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 및 방송통신 관련 정책 수립・추진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망 구축 운영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설비 구축 운영에 관한 사항
∙ 충무시설 안의 정보통신 시설 및 통신실 운영에 관한 사항
강원
산업국
전략산업과
반도체산업과
바이오헬스과
투자유치과
디지털산업과
에너지정책과
∙ 전략산업육성 기획 및 첨단산업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 지역산업발전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미래차, 이모빌리티 산업 육성
∙ 과학기술진흥계획(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연구개발사업 운영
∙ 지식재산, 과학문화 및 산학연협력사업 운영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및 관련 규제 개선 업무
∙ 반도체 연구개발 및 교육 지원, 반도체 제조 기업 발굴 및 관리
∙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부지조성 및 인허가 지원 업무
4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미래산업국
에너지신산업과
폐광지역지원과
자원산업과
∙ 바이오 산업분야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및 정책 방향 분석
∙ 디지털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산업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 바이오특화단지 조성, 정밀의료 산업 육성 및 규제자유특구 업무
∙ 투자유치정책 수립, 기업유치 및 외자유치 업무
∙ 산업입지 업무, 산업단지(국가, 일반, 도시첨단, 농공) 운영 및 고도화
∙ 혁신 및 기업도시 업무 기획
∙ 인공지능, 디지털산업기반 육성 정책 기획(중장기 전략) 및 산업 생태계 조성
∙ 디지털콘텐츠, 메타버스산업 정책 기획(공모사업 기획) 및 기반 조성
∙ 빅데이터 산업 육성 정책 및 디지털 산업 전환 기획(신규 사업 발굴)
∙ 데이터 산업 단지 기획 및 조성
∙ 수열에너지 및 수자원 활용 신산업 발굴 추진
∙ 빅데이터 서비스 전략 및 신규과제 발굴, 관련 기업 육성 지원
∙ 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동향 관리(신규 사업 발굴)
∙ 신재생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현안사항 관리
∙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업무 및 지도 감독
∙ 에너지신산업 발굴 및 육성
∙ 광물주변지역 환경개선, 채굴계획 인가, 자원관련 연구개발 지원
∙ 수소 저장 및 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 추진
∙ 수소 생산기지 구축 및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R&D 기관 유치)
∙ 수소 시범 도시 개발 및 기획
∙ 첨단소재와 뿌리산업 육성 및 관련 네크워크 구축
∙ 신소재(세라믹) 및 부품 장비 관련 연구개발 및 기업 지원
∙ 폐광지역개발 지원 및 특별법 운영
∙ 폐광지역 종합발전계획(중장기 계획) 수립 및 관리
∙ 무연탄 활용 연구개발 및 경석활용 활용 소재 산업 발굴 및 육성
∙ 핵심 광물 클러스터 조성 및 국가산단 유치
∙ 첨단 가속기 기반 의료산업 클러스터 구축
충북
과학인재국
과학기술정책과
산업육성과
미래인재육성과
방사광가속기추진과
바이오식품의양국
바이오정책과
첨단바이오과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양자산업, 강소특구, 신성장산업 관련 현안 추진 등
∙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디지털혁신, 가상융합콘텐츠 등 ICT 경쟁력강화
∙ 데이터서비스, 공공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허브플랫폼 운영 등
∙ 지역주력산업 및 시군 경쟁력 강화 육성, 산업육성 관련 현안 추진 등
∙ 반도체 인프라 구축, 반도체 인력양성,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 자동차부품기업지원, 미래차 전환, 자율주행시범지구 운영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이차전지 인프라 구축, 이차전지산업 인력양성
∙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개발, 시험인증산업특구, 뿌리산업
∙ 지산학협력, 평생교육대학 혁신, 여성과학인재 육성 등 전문인력 양성
∙ 방사광가속기 미래인재 양성, 가속기 활용 확산
∙ 방사광가속기 데이터구축, 가속기장치 선도 기술개발 등
∙ 바이오밸리 정책개발, 혁신창업 기술상용화센터, 바이오 의과학실험 경연대회 등
∙ 바이오의약품 소부장특화단지, 융합바이오 신규사업 발굴, 바이오융합산업육성 지원
∙ 첨단재생바이오, 바이오 연구개발 및 지역혁신사업
∙ 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 화장품 지원사업, 국제바이오코스메틱컨퍼런스
∙ 천연물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천연물 육성, 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 임상시험센터, 의약품, 의료기기 등 바이오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4 41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충남
산업경제실
미래산업과
∙ 실, 과 소관 업무의 종합계획 수립, 조정 총괄
∙ 지방과학기술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과학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발굴・기획
∙ 충남연구원 과학기술 분야 업무 협력
∙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및 지방과학축전 지원
∙ 신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사업 추진(국책연구소 협력)
∙ 과학기술 관련 국내외 기술현황의 조사 분석
∙ 지방과학기술 네트워크 구축
∙ 모빌리티 신산업(UAM 등) 발굴 및 육성
∙ 제조업 혁신 및 고도화 추진에 관한 사항
∙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민간협의체 구성・운영
∙ 소프트웨어 융합산업 육성 추진
∙ 지역지식재산 관련 산업 육성
∙ 과학관 등록・사립과학관 설립계획 승인
∙ 천안아산 KTX역세권 R&D 집적지구 조성
∙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지원
∙ 국방・우주 산업 육성
∙ ICT 융합산업 육성
∙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육성 시책 추진
∙ 충남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 첨단 정보 및 미래기술 육성・지원
전북
미래점단산업국
이차전지탄소산업과
∙ 지역 신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산업정책발굴・조정, 지역산업육성 및 위기지역대응
현안 정책수립・조정 등 지역R&D 컨트롤 타워
∙ 산업구조개편 및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과학관 추진, 지역 R&D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총괄 등
∙ 산업구조 개편 및 성장동력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진흥사업 세부사업 총괄
∙ 규제자유특구 총괄,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특성화기반
구축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분야(R&D) 정책적 사무의 기획・조정・자문 지원,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전북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시행, 전라북도 연구기반 확충 지원,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구축 운영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 과학관 관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 중소
기업 기술융합 활성화, 연구산업진흥단지 사업
∙ 전북테크비즈센터 관리 및 운영 지원
∙ 전북 이차전지 산업육성 전반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종합계획 수립 등, 전북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업무 -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 및 세부 육성계획
수립 등, 이차전지 R&D센터 구축 및 유치
∙ 이차전지 인력양성 지원 (전북 이차전지 인력양성 센터 지원 등 ・전북 이차전지
기업 역량강화 지원 사업 ・이차전지 산업 육성 펀드 운영 지원 ・전북 반도체
산업 육성 전반, 전북 반도체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반도체 공모사업 발굴 등)
∙ 탄소산업 활성화 T2B 지원, 민간보급지원 사업,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탄소소재 적용 영농축산 기자재 개발 및 기술지원사업, 지역주력산업(탄소복합
소재) 육성사업, 탄소복합재 수소용기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탄소복합재 신뢰성
4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평가기반 구축 및 고도화, 탄소융복합 전시관 운영, 탄소기반 슈퍼커패시터 융합
기술 혁신기반, 수송기계용 미래전지 융합 시스템 개발 지원사업
∙ 탄소 선도기업 협렵체계 구축 사업지원, 우수조달등록 지원사업, 탄소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 탄소응용제품 공공구매 마케팅 지원사업, 다공성 탄소소재
기반 환경소재 및 부품개발 지원사업
전남
전략산업국
기반산업과
신성장산업과
연구바이오산업과
에너지산업국
에너지정책과
해상풍력산업과
미래에너지산업과
∙ 지역경제정책 수립 추진, 전남테크노파크 운영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정 준비
∙ 조선해양산업 육성사업 발굴, 조선산업 기반구축, 조선산업 기반구축사업, 조선
산업 인력양성지원 등
∙ 소재・부품산업육성, 석유화학산업 육성, 금속 및 기계가공산업 육성, 뿌리산업 육성 등
∙ 신소재 이차전지 산업육성, 신소재(세라믹, 고분자소재) 등
∙ 친환경 연안선박 클러스터 구축
∙ 항공, 드론 산업 육성, 우주 항공 클러스터 조성,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운영, 국가
종합비행성능시험장 구축, 드론산업 육성 및 블루이코노미 사업 추진 등
∙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련산업 육성, 전기자동차 서비스산업 육성, e-모빌리티
엑스포 추진, 자율주행 자동차산업 육성 등
∙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수립,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추진, 반도체 전문인력 수급 및
인재 양성, 반도체 협력네트워크 추진
∙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데이터산업 육성대책 추진, 연계 협력사업 발굴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연구개발사업업무, 산학업무 전반, 지역 SW 육성사업 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바이오 인력 개발
∙ 백신, 신약개발 업무 추진, 천연물 업무 추진
∙ 에너지산업국 종합기획, 지역에너지 절약사업, 분산에너지 관련 업무, 에너지신
산업 연구개발기획사업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원, 녹색에너지연구원관리, 지역특성화
사업,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
∙ 전남형 상생일자리 상생협의회 운영 및 융복합산업화 플랫폼 구축 추진
∙ 해상풍력 단계별 사업 개발 및 추진, 지원항만 개발 및 배후단지 조성, 특화구역
지정, 해상풍력이익공유 모델 개발
∙ 신안 8.2GW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확보 지원, 육상풍력 인허가 등
∙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메가 클러스터 구축 추진
∙ 그린수소 시범도시 및 수소특화단지 구축 조성사업 추진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사업 관계기관 협력사업 개발
∙ 레이저 인력양성 방안 마련, 관련 대학,연구기관 MOU 추진
경북
메타AI과학국
디지털메타버스과
미래첨단산업과
AI데이터과
소재부품산업과
바이오생명산업과
∙ 디지털 대전환 기본계획 수립 및 정책
∙ 지역 디지털・SW 산업 육성 및 가상융합산업 진흥
∙ 산・학・연 협력 사업 추진
∙ 신규 규제자유특구・글로벌 혁신특구 기획・지정
∙ 지역과학기술 진흥 종합정책 수립
∙ 지역R&D 정책지원 및 과학문화 확산
∙ 반도체 및 이차전지 산업육성
∙ 국가첨단전략산업(반도체・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 로봇산업 육성 및 생태계 구축
∙ 양자기술산업 육성・지원
∙ 인공지능, 홀로그램 등 지능정보기술 및 산업 육성
∙ 5G, 게임산업 등 이동통신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4 43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경북형 데이터 생태계 조성 및 데이터 활용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공공데이터 수집, 개방 및 활용
∙ 국가 및 지역통계조사 시행
∙ 지역주력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강화 지원
∙ 미래 자동차 산업 육성
∙ 기계・금속・방산 산업 육성
∙ 섬유・탄소・화학 소재산업 육성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추진
∙ 제약・백신, 그린바이오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 화장품, 의료기기 산업 육성 및 거점 활성화 지원
∙ 푸드테크 신산업 육성 및 대체식품산업 생태계 조성
경남
산업국
산업정책과
주력산업과
우주항공과
미래산업과
에너지산업과
창업지원과
∙ 국가(첨단)전략기술 대응 및 지속가능경영 확산・지원
∙ 지역산업 발전・육성・진흥계획 수립・추진
∙ 규제자유특구 및 및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추진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및 구축 지원
∙ 과학기술 진흥 및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 과학기술기관 설립 및 KAIST 협력 추진
∙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경쟁력 강화사업 추진
∙ 지능형기계・승강기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
∙ 제조로봇산업 고도화 및 서비스로봇 성장기반 마련 등 로봇산업육성
∙ 친환경・스마트 선박 육성 및 조선기자재 경쟁력 강화
∙ 미래자동차산업 육성 및 기술혁신사업 추진
∙ 항공산업 기술혁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
∙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및 인프라 확충・연구개발 지원
∙ 미래항공산업 인프라 구축 및 기업 육성・지원
∙ 우주항공청 성공적 안착 지원
∙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추진
∙ 디지털산업 육성 및 ICT 융합기술 개발・지원
∙ 반도체산업 인프라 조성, 기업 육성 및 지원
∙ 소재, 나노, 세라믹, 뿌리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인프라 구축
∙ 바이오의료산업 기반 조성 및 기술개발 지원
∙ 항노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항노화기업 산업화 지원
∙ 에너지 신산업 육성 및 에너지 효율 향상 지원
∙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개발 및 원전산업 생태계 구축 지원
∙ 청정 수소 생산・공급기반 마련 및 수소차 보급 확대
∙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산업 육성
∙ 에너지 자원(도시가스, 전기, 석유, 광업 등) 관리 및 안정 공급
∙ 창업정책 종합계획 수립 및 창업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
∙ 성장단계별 창업지원사업 추진 및 창업문화 확산
∙ 권역별 3대 창업거점 조성 및 창업보육센터 지원
∙ 중소기업투자기금 운영 및 창업・벤처펀드 조성・운용・관리
∙ 창업・벤처투자 유치 및 벤처기업 인증획득 지원
4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각 시・도청 홈페이지 참고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제주
혁신산업국
미래성장과
에너지산업과
미래모빌리티과
정보정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대학 과학기술 R&D사업 지원 관리, 국내외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
∙ 지역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을 위한 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수소경제 기본계획 수립, 그린수소 생산 및 보급사업 운영
∙ 지역바이오산업, 화장품산업, 식품산업 등 지역산업 계획수립 및 시행
∙ 스마트시티, UAM, 우주, 전기차 관련산업 중장기 계획수립 및 육성
∙ 지역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인력양성 등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혁신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 도내 과학기술 R&D사업 관리・지원 및 연구기관 유치
∙ (가칭)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추진
∙ 지역 디지털(ICT・SW) 콘텐츠 산업 육성 및 인력양성
∙ 지역 주력산업, 국가혁신클러스터, 경제협력권산업 육성 사업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추진, 규제자유특구 기획・지원
∙ RISE 기본계획 수립 및 워킹그룹 운영・지원
∙ 3.3MW 그린수소 생산시설 운영, 12.5MW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추진
∙ 수소경제 기본계획 수립 및 미래신산업 기반 조성
∙ 제주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계획 수립・추진 (레드・그린・해양 세부계획 수립)
∙ 제주화장품산업진흥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 디지털 전환 계획 수립 및 제주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고도화
∙ 지역에너지 계획 수립 및 에너지 대전환 추진
∙ 제주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 및 지정 추진
∙ 신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대응, 분산에너지 활성화 신사업 추진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풍력발전 종합관리계획, 풍력자원 개발계획 수립 및 지원
∙ 신재생에너지・풍력발전 사업 지원
∙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인・허가 및 개발사업 시행승인
∙ 스마트시티 업무 계획 수립 및 서비스 발굴 추진
∙ 공간정보 통합 가상화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제주형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민간 해상 발사 산업 육성, 우주기업 유치 지원
∙ 국가위성운영센터 인프라 고도화 지원, 위성영상 활용 플랫폼 구축・운영
∙ UAM 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 드론서비스모델 발굴 및 구축
∙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등 실증사업 추진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제조제품 시험평가・인증지원 기반 구축사업
∙ 자율주행 정책수립 및 미래모빌리티 정책연구센터 운영, 전기차 보급사업 추진
∙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행
∙ 정보격차 해소사업 계획 수립 및 추진
∙ 사이버 보안관제센터 및 침해대응계획 수립, 추진
∙ 정보통신망 고도화 추진계획 수립 및 운영, 국가정보통신망 구축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45
2. 지방 과학기술예산
▣ 2023년도부터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변경된 기준으로 집계
■ 2023년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69.0%로 나타났으며, 재정자주도 1위인 서울(77.2%)의 과학기술
관련 예산 비중은 0.26%, 2위 강원(72.8%) 0.06%, 3위 경북(70.7%) 0.13%로 나타남
표 1-3-2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서울 819,232 2,095 0.26 77.2
부산 278,643 395 0.14 58.5
대구 185,420 492 0.27 64.7
인천 244,429 563 0.23 65.0
광주 117,999 338 0.29 65.1
대전 117,991 1,015 0.86 64.6
울산 95,172 105 0.11 68.0
세종 27,069 2 0.01 63.5
경기 1,008,752 946 0.09 69.1
강원 248,895 144 0.06 72.8
충북 211,728 579 0.27 68.6
충남 283,752 217 0.08 68.3
전북 259,813 757 0.29 67.1
전남 325,022 267 0.08 67.7
경북 401,327 533 0.13 70.7
경남 362,834 500 0.14 67.1
제주 85,931 358 0.42 70.1
합계(전국) 5,074,009 9,306 0.22(전국평균) 69.0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
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지방재정 전문통계>결산>지역통합재정통계>세출결산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결산)>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2. 지역내총생산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2. 역량
3. 성과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2
Regional S&T Yearbook 2024 49
2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 경기(1,378만 명), 서울(940만 명), 부산(328만 명), 경남(327만 명) 순으로 인구가 많음
■ 2023년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약 2,619만 명이며,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의 비중은
50.6%로 전년도(50.5%)와 비슷한 수준임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3년) (단위 : 명)
※ 주 : 추계인구 기준(조사시점 : 2024년 12월)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인구・가구> 장래인구 추계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0년 7월 1일자) 확정
5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내총생산
▣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2,246조 원
■ 17개 시・도 중 경기(578조 원), 서울(508조 원), 충남(134조 원), 경남(124조 원) 순으로 지역
내총생산 규모가 큼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GRDP는 약 1,198조 원으로 총 GRDP의 53.3%를 차지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3년) (단위 : 백만원)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표 2-1-1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
연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도권 비중(%) 52.13 52.91 53.12 53.41 53.32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4 51
▣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울산(81.24백만원), 충남(64.71백만원), 서울(58.26백만원), 전남
(55.51백만원) 순으로 높음
■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전체 평균은 46.49백만원으로 전체 평균을 넘는 시・도는 울산, 충남, 서울,
전남, 충북, 경북 총 6개 지역으로 나타남
■ 특히 울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체 평균 대비 1.75배인 81.24백만원으로 타 시・도에
비하여 월등히 높음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3년) (단위 : 백만원/명)
※ 주 : 1인당 지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실질) ÷ 지역별 추계 인구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지역별 추계 인구(2023년)
5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별 산업 구조 현황을 살펴보면, 울산, 충남, 충북, 경북, 경기, 경남 순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편임(30% 이상)
■ 반면, 서울, 대전, 부산, 제주 등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등
기타 서비스업에 대한 비중이 높았음(45% 이상)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3년) (단위 : %)
GRDP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백만원) 508,134,358 103,284,364 67,890,242 111,713,519 48,615,925 50,363,397 77,569,555 15,567,924 578,124,323
GRDP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백만원) 56,534,548 83,254,787 134,256,079 58,845,640 85,319,020 119,278,381 123,721,632 24,073,959 2,246,567,225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53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 ~ 제8조에 의해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
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를 조사 대상으로 함
■ 한국산업단지공단 2024년도 3분기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가산업단지 52개, 일반산업단지
739개, 도시첨단산업단지 47개, 농공단지 482개로 총 1,320개의 산업단지 조성
■ 경남(210개), 경기(199개), 충남(178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많으며, 반면 서울(4개), 대전
(6개), 제주(6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남
■ 부산, 대구, 인천, 울산 등의 광역시, 경기, 충북, 경남 등은 일반산업단지의 비중이 높은 반면,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등은 농공단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4년) (단위 : 개)
※ 주1 : 각 시도별 단지 개수의 합은 1,324개나, 전체 산업단지 개수가 1,320인 것은 두개 지역에 걸쳐있는 산업단지 때문(중복되는 4개단지를 제외)
주2 : 두개지역에 걸친 산업단지 : 한국수출산업단지(서울, 인천), 빛그린국가산업단지(광주, 전남), 아산국가산업단지(경기, 충남),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부산, 경남)
※ 출처 :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4.3/4분기)
5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수는 경기 607개, 서울 431개로 집중되어 있으며,
전국적으로 신규지정 된 INNOBIZ 기업은 2022년에 비하여 총 3개(0.1%) 증가
■ 서울, 광주, 세종, 강원 및 전북 지역에서 신규지정 기업 수 증가(10% 이상)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Regional S&T Yearbook 2024 55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경기, 서울이 각각 12,106개, 11,124개로 높게 나타남
■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벤처기업 수는 총 25,009개로 전국 벤처기업 수 대비
65.4%를 차지
■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평균 4.7% 벤처기업 수가 감소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3년~2024년) (단위 : 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5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20년 3만 9,511개에서 ’24년에 3만 8,216개로 감소하여 5년간 연평균
0.66% 감소
■ 최근 5년간(’20∼’24) 연평균 증가율은 세종 5.2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제주 3.01%,
서울 2.40% 순임
표 2-1-2 ❙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20년~2024년) (단위 : 개, %)
지역별 2020 2021 2022 2023 2024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서울 9,880 10,450 10,231 11,675 11,124 2.40
부산 2,227 2,024 1,662 1,814 1,676 -5.53
대구 1,677 1,431 1,233 1,337 1,249 -5.72
인천 1,761 1,707 1,596 1,861 1,779 0.20
광주 805 769 645 717 671 -3.58
대전 1,544 1,509 1,417 1,576 1,527 -0.22
울산 544 485 418 473 465 -3.09
세종 158 177 173 213 204 5.24
경기 12,020 11,637 10,925 12,571 12,106 0.14
강원 760 733 628 701 672 -2.43
충북 1,138 1,035 869 1,002 962 -3.30
충남 1,350 1,247 1,126 1,320 1,244 -1.62
전북 875 819 757 903 876 0.02
전남 889 813 662 748 703 -4.59
경북 1,708 1,551 1,252 1,426 1,318 -5.05
경남 1,937 1,710 1,302 1,465 1,364 -6.77
제주 238 222 227 279 276 3.01
합계 39,511 38,319 35,123 40,081 38,216 -0.66
※ 주 : 각 년도 말 기준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Regional S&T Yearbook 2024 57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가. 총 연구개발비24)
▣ 2023년도 총 연구개발비는 119조 740억원이며, 시・도별로는 경기(61조 981억 원), 서울(18조
8,712억 원), 대전(11조 851억 원) 순으로 많음
■ 2023년 연구개발비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21.0%), 경북(20.2%), 제주
(8.7%), 대전(6.8%) 순으로 나타났으나, 울산과 전남은 각각 25.5%, 5.1% 감소 추세를 보임
■ 2023년 17개 시・도별 연구개발비의 평균은 7조 44억 원이며, 서울, 경기, 대전 지역만 평균보다
연구개발비가 높음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4) 정부・공공재원, 민간재원, 외국재원에서 투입되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총액
5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많은 지역은 대전(2.77억 원), 경기(2.74억 원), 충남
(2.44억 원) 순
■ 2022년 대비 2023년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경북(21.9%), 제주(13.6%), 충남(13.3%) 지역이며,
울산(27.3%), 세종(7.0%), 전남(3.1%), 광주(2.7%) 4개 지역은 감소세를 보임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억원/명)
※ 주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 총 연구개발비 ÷ 총 연구원 수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59
▣ 2023년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은
대전이 각각 22.01%, 16.49%로 가장 높음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경기(10.57%), 세종
(4.79%), 서울(3.71%), 충남(3.71%) 지역으로 대전 및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임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세종(4.39%),
전북(1.95%), 경남(1.66%), 광주(1.32%)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3년) (단위: %)
※ 주 : 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GRDP
※ 출처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4),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
6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 중 서울이 3조 9,432억 원의 가장 많은 대학 연구개발비를 보유
■ 17개 시・도의 대학 연구개발비 평균은 6,408억 원이며,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3조
9,432억 원), 경기(1조 6,511억 원), 대전(8,625억 원)
■ 2022년 대학 연구개발비 대비 2023년 증가율은 제주(32.3%), 경남(13.2%), 인천(11.8%),
전남(11.8%) 순으로 높음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2년~2023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61
▣ 2023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6조 848억 원, 43.8%), 서울(1조 3,305억 원,
9.6%), 경기(1조 1,457억 원, 8.3%) 순
■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세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총합은 5조 3,227억 원으로 전체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의 38.3%를 차지
■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 대비 2023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충북(32.0%), 강원
(17.2%), 경북(15.7%), 대전(9.9%) 등 12개 지역으로 증가세를 보임, 나머지 5개 지역(서울,
인천, 광주, 울산, 전남)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2년~2023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58조 3,013억 원, 61.8%), 서울(13조 5,975억 원,
14.4%), 대전(4조 1,379억 원, 4.4%) 순으로 높음
■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두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총합은 22조 3,980억 원으로 전체 기업체 연구개발비 94조 2,968억 원의 19.4%를 차지
■ 2022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 대비 2023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경북(25.2%), 충남
(24.0%), 서울(7.5%) 순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2년~2023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63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2023년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는 대전(8조 3,050억 원, 27.72%), 서울(5조
6,024억 원, 18.70%), 경기(4조 1,064억 원, 13.71%) 순으로 높게 나타남
■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대비 2023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 경기, 인천,
울산지역으로 각각 전년 대비 40.2%, 36.7%, 28.2%, 25.6%씩 증가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수도권 34.7%, 대전 27.7%, 그 외 지역 37.6%로
나타남
■ 2022년 대비 2023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1.3%p 증가하였으며,
대전 지역은 1.1%p 증가, 그 외 지역은 0.3%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그 외 지역(대전 제외)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2020년 이후 감소 추세나 수도권과
대전의 비중보다 높아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냄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9년~2023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65
▣ 최근 5년(2019년~2023년) 간 시・도별 평균 투자점유율은 대전, 서울, 경기 순으로 각각 평균
28.3%, 18.7%, 12.1%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 증가율은 충남, 인천, 경기가 각각 14.2%,
11.6%, 11.2% 순으로 높았음
■ 경상남도는 투자점유율이 8.2%로 전년과 동일하게 전체 시・도 중 네 번째로 높았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전년도 5.8%보다 감소함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9년~2023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자체별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투자 현황
▣ 2023년의 각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25)의 평균은 2,985억 원, 그중 국비와 기타 민간
예산을 제외한 지방비의 평균은 약 547억 원임
■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지방비)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2,095억 원), 대전(1,015억 원),
경기(946억 원) 순
■ 재정자주도 및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모두 평균보다 낮은 지역은 세종, 울산, 광주,
충남, 전남, 대구, 경남임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3년)
※ 주 : 재정자주도는 세입결산, 순계 기준이며, 재정자주도 평균은 전국 대상 기준임
※ 출처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
25)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은 국비+지방비+기타민간 예산의 합계로, 본 보고서에서는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2023년 추진실적을 기준으로 함
Regional S&T Yearbook 2024 67
2. 역량
가. 연구인력
▣ 2023년도 총 연구원 수는 경기(22만 3,253명, 37.0%), 서울(15만 8,706명, 26.3%), 대전(4만
24명, 6.6%) 순으로 많음
■ 2023년도의 총 연구원 수는 60만 3,566명이며, 17개 시・도의 평균 연구원 수는 3만 5,504명
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
■ 2022년 대비 2023년 총 연구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6.3%), 세종(6.2%), 대전
(4.0%), 울산(2.4%), 서울(1.5%), 광주(0.3%) 순이며, 나머지 11개 지역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대전(27.2명), 서울(16.9명), 경기(16.2명), 세종(13.8명)
순으로 많음
■ 2022년 대비 2023년 증가율은 충남(5.6%), 세종(5.3%), 대전(4.0%), 울산(3.1%), 서울
(1.7%), 광주(0.3%), 대구(0.1%) 순으로 높으며 나머지 10개 지역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명)
※ 주 : 인구는 추계인구 기준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4 69
▣ 2023년도 여성 연구원은 17개 시・도 중 서울(4만 9,623명, 34.7%), 경기(4만 3,407명,
30.3%)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 2023년 전국 여성 연구원 수는 14만 3,127명으로 2022년 대비 10.1% 증가
■ 2022년 대비 2023년 여성 연구원 수는 충남(11.5%), 광주(9.1%), 대전(9.1%), 울산(8.3%) 등
15개 지역이 증가하였으며, 충북과 전북이 전년 대비 각각 2.1%, 1.0% 감소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대학 연구원 수는 서울(4만 5,325명, 37.9%), 경기(1만 5,901명, 13.3%), 대전
(9,119명, 7.6%), 경북(6,682명, 5.6%) 순으로 많음
■ 2023년도 전국 대학 연구원 수는 11만 9,447명으로 2022년 대비 4.2% 증가
■ 2022년 대비 2023년 대학 연구원 수 증가율은 인천(12.7%), 제주(6.8%), 대전(5.9%), 서울
(4.9%) 순으로 높으나, 충북(-5.8%), 세종(-3.1%), 경남(-0.7%) 등 3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71
▣ 2023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는 대전(1만 1,406명, 25.1%), 서울(6,421명, 14.1%), 경기
(6,004명, 13.2%) 순으로 많음
■ 2023년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의 총합은 4만 5,445명으로 2022년 대비 6.8% 증가
■ 2022년 대비 2023년 증감률은 충북(17.9%), 충남(17.5%), 광주(15.0%) 순으로 높음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기업체 연구원은 경기(20만 1,348명, 45.9%), 서울(10만 6,960명, 24.4%) 지역에
집중분포되어 있음
■ 2023년도 기업체 연구원 수의 총합은 43만 8,674명으로 2022년 대비 9,209명(2.1%) 증가
■ 2022년 대비 2023년 증감률은 세종(17.6%), 충남(6.4%), 대전(4.9%) 순으로 높음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73
▣ 2024년도 이공계 석사 및 박사과정 대학원생 수의 총합은 각각 5만 5,740명, 3만 3,721명
■ 2024년도 이공계 박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1,108명, 32.9%), 대전(5,987명,
17.8%), 경기(3,609명, 10.7%) 순이며, 전체 이공계 박사의 61.4%가 이 세 지역에 분포
■ 2024년도 이공계 석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2만 247명, 36.3%), 경기(7,695명,
13.8%), 대전(4,875명, 8.7%) 순이며, 이 세 지역에 전체 이공계 석사의 58.9%가 분포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4년) (단위 : 명)
※ 주 : 이공계 대학원생 수는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대학원생 수를 의미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https://kess.kedi.re.kr>알림서비스>주요요청자료>학교/학과별 데이터셋>대학>학교별X학과별(하반기) (2024년)
7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연구개발조직
▣ 2023년도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 수는 6만 1,761개로 2022년(6만 5,471개)에 비하여 5.7% 감소
■ 총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2만 1,623개, 35.0%), 서울(1만 5,742개,
25.5%) 순으로,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의 60.5%가 이 두 지역에 분포
■ 2022년 대비 2023년의 총 연구개발조직 수의 감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15.7%), 전북
(-11.6%), 전남(-9.6%), 경북(-9.4%), 경남(-9.1%) 순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75
▣ 2023년 전국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462개로 전년도 418개에 비하여 44개(10.5%) 증가
■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00개, 21.6%), 경기(83개, 18.0%), 충남
(29개, 6.3%), 경남(25개, 5.4%) 순
■ 2022년 대비 2023년의 대학 연구개발조직 수는 광주(-1개) 지역에서만 감소했으며, 전년 대비
변동이 없는 대구, 전남, 제주를 제외한 13개 지역은 증가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전국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751개로 2022년(683개)에 비하여 10.0% 증가
■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52개, 20.2%), 경기(87개,
11.6%), 대전(50개, 6.7%) 및 경북(50개, 6.7%) 순
■ 2022년 대비 2023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조직 수는 충남(28.6%), 세종(21.1%), 경북
(19.0%), 충북(17.6%), 경기(17.6%), 인천(13.0%) 등 총 14개 지역이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전년 대비 변동이 없는 지역은 부산, 광주, 제주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77
▣ 2023년 전국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만 0,548개로 2022년(6만 4,370개)에 비하여
5.9% 감소
■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은 경기(2만 1,453개, 35.4%), 서울(1만 5,490개, 25.4%)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전년 대비 2023년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 감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
(-17.1%), 전북(-12.4%), 전남(-10.5%), 경북(-10.4%) 순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지식창출 성과
▣ 공저자 기준 2023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수는 총 11만 3,711건이며, 서울 지역이 3만
7,920건(33.3%)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서울 다음으로는 경기(1만 7,107건, 15.0%), 대전(1만 122건, 8.9%), 부산(5,622건, 4.9%)
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논문 1편당 피인용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92)이며, 경북(3.39), 서울(2.69), 경남(2.47)
지역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음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3년) (단위 : 건, 횟수)
※ 주 : 논문 발표 건수 및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공저자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79
▣ 2023년 국내 전체 특허 출원 수는 총 19만 1,142건이며, 이 중 경기(6만1,623건, 32.2%), 서울
(5만 4,023건, 28.3%) 지역이 전체의 60.5%를 차지
■ 2022년 대비 2023년 증가율은 경북(22.3%), 전북(15.6%), 제주(10.8%) 순으로 높으며, 울산
(-0.8%), 경남(-0.5%)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11개, 전체의 0.01%)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8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국내 전체 특허 등록 수는 총 9만 9,315건이며, 이 중 경기(3만 3,265건, 33.5%) 및 서울
(2만 7,717건, 27.9%) 지역이 전체의 61.4%를 차지
■ 2022년 대비 2023년 증가율은 세종(13.3%), 제주(11.1%), 경남(5.6%) 순으로 높으며, 인천
(-7.7%), 전북(-7.4%), 서울(-3.7%)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571개, 전체의 0.6%)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Regional S&T Yearbook 2024 81
▣ 연구원 1인당 특허 등록 수는 전남(0.31건), 강원(0.22건), 세종(0.21건) 순으로 높으며,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은 전남(2.24건), 강원(1.88건), 제주(1.52건) 순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3년) (단위 : 건)
※ 출처 : 2024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비, 연구원 수), 특허청(특허등록 건수)
8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경제적 성과
▣ 2022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57.1백만 원), 충남(56.0백만 원), 서울
(48.8백만 원) 순
■ 2021년 대비 2022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증가한 지역은 인천(6.8%), 울산(5.6%), 경남
(4.7%), 제주(4.6%) 등 16개 지역이며, 유일하게 세종(1.4%)은 감소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1년~2022년) (단위 : 백만원/명)
※ 주1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는 실질 부가가치 기준으로 하며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통계정보를 기준으로 함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및 요소소득(24.12.31 갱신)
Regional S&T Yearbook 2024 83
▣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건수는 총 3만 573건이며, 그 중 경기(5,935건, 17.5%) 및
서울(4,172건, 13.6%) 지역이 전체 사업화 건수의 31.1%를 차지
■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의 평균은 1,798건으로, 경기, 서울 외에 대전(3,132건),
충북(2,013건), 전북(1,855건)이 평균보다 높은 사업화 건수를 기록
■ 2022년 대비 2023년에는 부산(-19.7%), 전남(-19.3%) 등 8개 지역 감소 및 그 외 9개 지역에서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충북(75.2%)), 대전(63.3%), 울산(32.9%) 순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2~2023년) (단위 : 건)
※ 주 : 지역분류가 기타(분산수행되어 지역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사업화 실적 제외
※ 출처 : 2023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8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의 총합은 11,373건, 기술료 징수액은 총 2,200억 원으로
기술이전 1건당 약 0.19억 원의 기술료 징수
■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2,377건, 20.9%), 서울(2,309건, 20.3%),
대전(1,311건, 11.5%), 경남(608건, 5.3%)순으로 나타남
■ 시・도별 기술료 징수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502억 원, 22.8%), 대전(490억 원, 22.3%),
서울(467억 원, 21.2%), 경남(141억 원, 6.4%) 순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3년) (단위 : 건, 억원)
※ 주 : 지역 분류가 기타(분산 수행되어 지역 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기술료 징수 건수는 제외
※ 출처 : 2023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제1절 서울특별시
제2절 부산광역시
제3절 대구광역시
제4절 인천광역시
제5절 광주광역시
제6절 대전광역시
제7절 울산광역시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제9절 경기도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제11절 충청북도
제12절 충청남도
제13절 전라북도
제14절 전라남도
제15절 경상북도
제16절 경상남도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3
Regional S&T Yearbook 2024 87
3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 17개 각 광역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선정, 해당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
■ 지역별 과학기술 진흥 척도로서 분석 지표들을 활용하고 향후 유관 정책 수립에 근거 자료로
활용
▣ 분석 대상 지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역 산업 현황
인구현황
∙ 인구수
∙ 전국인구대비 비율
∙ 경제활동참가율
∙ 실업률
산업현황
∙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구조
∙ 특화제조업
∙ 지자체 중점전략분야
∙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투입지표
∙ 과학기술자원
∙ 조직체계
∙ 과학기술 투자
과학기술 하부구조
∙ 연구개발조직 현황
∙ 대학
∙ 주요 R&D 거점 현황
성과
특허
∙ 특허 출원
∙ 특허 등록
논문 현황
∙ 논문수 및 점유율
∙ 피인용수
∙ 1인당 피인용수
8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절 서울특별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서울의 인구는 약 940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서울 인구의 비율은 18.18%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1 ❙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9,657,296 9,617,795 9,501,528 9,411,443 9,400,365
전국인구대비 비율(%) 18.66 18.55 18.59 18.63 18.18
경제활동참가율(%) 62.7 62.1 62.3 62.5 62.8
실업률(%) 4.4 4.6 4.8 3.4 2.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성 및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8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서울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08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35%의 증가율을 나타냄
- 서울의 경우 기타서비스업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여 산업구조의 중심을 이루고 있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업은 5년 간 2.32%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2 ❙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475,206,455 472,863,219 491,388,714 504,359,507 508,134,358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42,864 412,927 485,815 438,941 454,037
(지역내비중,%) (0.09) (0.09) (0.10) (0.09) (0.09)
제조업 21,462,062 19,684,474 20,323,280 20,175,264 20,568,085
(지역내비중,%) (4.52) (4.16) (4.14) (4.00) (4.0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081,736 2,184,518 2,240,759 2,225,421 2,263,246
(지역내비중,%) (0.44) (0.46) (0.46) (0.44) (0.45)
건설업 15,078,057 15,054,543 13,852,141 12,931,689 13,910,588
(지역내비중,%) (3.17) (3.18) (2.82) (2.56) (2.74)
기타서비스업 332,915,573 331,543,995 344,856,108 357,964,137 360,162,049
(지역내비중,%) (70.06) (70.11) (70.18) (70.97) (70.8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60,486,504 60,442,139 63,530,542 65,931,495 67,819,655
(지역내비중,%) (12.73) (12.78) (12.93) (13.07) (13.35)
순생산물세 42,579,018 43,540,623 46,100,069 44,695,422 42,847,209
(지역내비중,%) (8.96) (9.21) (9.38) (8.86) (8.43)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9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서울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33조 5,476억 원이고, 3,93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만 7,77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이 생산액(약 12조 8,229억 원, 38.22%), 사업체 수(1,167개,
29.64%), 종사자 수(2만 8,956명, 29.61%)의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
표 3-1-3 ❙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416,483 4.22 161 4.09 4,350 4.45
음료 제조업 194,002 0.58 8 0.20 259 0.2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25,757 3.95 187 4.75 3,550 3.6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2,822,991 38.22 1,167 29.64 28,956 29.6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861,711 2.57 141 3.58 2,977 3.0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151 0.02 5 0.13 64 0.0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496,878 1.48 111 2.82 2,786 2.8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688,374 5.03 360 9.14 7,509 7.6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8,479 0.08 3 0.08 47 0.0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249,810 6.71 105 2.67 3,563 3.6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54,614 0.76 36 0.91 1,363 1.3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59,903 1.97 77 1.96 1,599 1.6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69,008 1.10 17 0.43 636 0.65
1차 금속 제조업 28,700 0.09 13 0.33 173 0.1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23,949 2.16 108 2.74 2,265 2.3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552,265 10.59 335 8.51 9,812 10.0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886,258 5.62 318 8.08 8,594 8.79
전기장비 제조업 1,565,951 4.67 241 6.12 5,940 6.0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04,118 5.68 245 6.22 6,743 6.9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6,350 0.11 13 0.33 279 0.2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2,562 0.19 9 0.23 262 0.27
가구 제조업 72,241 0.22 20 0.51 318 0.33
기타 제품 제조업 1,298,979 3.87 247 6.27 5,551 5.68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2,066 0.13 10 0.25 181 0.19
합 계 33,547,600 100.00 3,937 100.00 97,777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9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기타 제품 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4 ❙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기타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9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서울시는 ‘서울형 R&D 지원’,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 ‘캠퍼스타운 조성’, ‘양재 AI
글로벌 혁신거점 육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 ❙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서울형 R&D 지원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성장 산업분야 유망 기술기업 R&D 지원
유망기업 스케일업 및 민간투자 연계 R&D 지원
혁신기술 발굴,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실증 및 후속지원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
홍릉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추진
홍릉 일대 서울 바이오의료 산업 육성을 위한 바이오 의료 R&D 클러스터 운영
상월곡역 사이언스 스테이션 운영
캠퍼스타운 조성
캠퍼스타운 추진 및 정책협의회 운영
캠퍼스타운 온라인 플랫폼 구축・운영
서울캠퍼스타운 창업 축제 운영
양재 AI 글로벌 혁신거점 육성
양재 AI 융・복합 산업거점 조성 및 서울 AI 허브 운영
AI 기업 성장 가속화 지원 및 AI 전문인재 양성
국내외 AI 네트워크 활성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93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로 서울디지털(한국수출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인 마곡산업단지와 서울온수
산업단지, 강동산업단지 3개가 서울에 위치
- 총 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97,021개, 총 종사자 수는 182,838명
표 3-1-6 ❙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한국수출산업 1,925 1,925 15,163 13,838 142,434 100 완료
일반 서울온수 158 158 196 196 1,531 100 완료
일반 마곡 1,124 1,124 199 149 38,873 83 조성중
일반 강동 78 78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서울시에는 총 1만 1,124개의 벤처기업이 위치해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를 제외
하고 가장 많은 수임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 분야가 5,267개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678개, ‘도매 및 소매업’ 882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460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304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273개)부분에 상대적
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9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7 ❙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6 14 13
광업(05~08) 1 1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56 188 177
음료 제조업 15 14 1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7 75 6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58 180 16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1 72 5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9 10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0 21 2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1 33 2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34 276 27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0 98 9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4 81 6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14 15
1차 금속 제조업 10 9 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5 54 5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79 525 46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29 341 304
전기장비 제조업 217 231 21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0 225 21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 15 1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1 22 12
가구 제조업 30 38 35
기타 제품 제조업 189 202 17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 3 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5 5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7 5 3
건설업(41~42) 156 175 176
Regional S&T Yearbook 2024 95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도매 및 소매업(45~47) 715 875 882
운수 및 창고업(49~52) 32 46 5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30 40 45
정보통신업(58~63) 4,932 5,556 5,267
금융 및 보험업(64~66) 45 58 60
부동산업(68) 18 21 2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459 1,735 1,67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02 133 137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35 157 16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6 6 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75 92 10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2 29 2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0,217 11,675 11,124
9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서울은 경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연구개발인력을 보유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22만 1,294명으로 ’19년부터 ’23년까지 총연구개발인력은 계속 증가 추세를 보임
-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4.18%이며 ’22년 전국대비 비중은 전국의 27.19% 차지
- 연구주체별로 기업 연구개발인력은 12만 6,519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8만 5,577명, 공공연구소
9,198명으로, 주체별 총계에 대한 전국대비 비중은 각각 24.19%, 36.60%, 12.93%로 나타남
표 3-1-8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8,830 35.45 74,086 35.79 74,870 35.62 80,426 36.18 85,577 36.60
∙ 국공립 16,800 21.03 18,022 20.81 18,158 20.91 18,777 20.91 19,438 20.51
∙ 사립 52,030 45.55 56,064 46.56 56,712 45.99 61,649 46.54 66,139 47.57
공공연구소 8,347 13.37 7,638 11.91 8,462 12.71 9,235 13.48 9,198 12.93
∙ 국공립 345 2.68 365 2.85 376 2.86 403 3.04 412 3.13
∙ 정부출연 3,474 10.08 2,997 8.83 3,102 9.15 3,320 9.57 3,423 9.59
∙ 병원 및 기타 4,528 30.05 4,276 24.62 4,976 25.87 5,512 26.82 5,363 26.10
기업 103,134 22.31 108,893 22.87 122,093 23.99 126,717 24.23 126,519 24.19
∙ 정부투자기관 176 4.58 177 4.73 225 5.82 208 5.22 303 8.02
∙ 민간기업 102,958 22.46 108,716 23.01 121,868 24.13 126,509 24.38 126,216 24.31
합 계 180,311 25.09 190,617 25.51 205,425 26.15 216,378 26.59 221,294 27.1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97
■ ’23년 서울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8명 증가한 168.8명임
표 3-1-9 ❙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37.7 145.1 159.3 166.0 168.8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대학, 공공연구소, 기업을 합친 ’23년 서울의 총 연구개발비는 18조 8,712억 원으로 전국의
16.75%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02%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기업은 작년 대비 증가하여 ’23년 13조 5,974억 원을
기록하였고,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투자액은 지난해 대비 증가하여 각각 3조 9,432억 원과 1조
3,304억 원을 차지함
- 전국 대비 비중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공공연구소만 전국 대비 비중이 하락하여서 9.58%를 차지함
표 3-1-10 ❙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00,120 35.27 2,994,226 35.84 3,252,990 34.86 3,702,217 35.92 3,943,249 36.20
∙ 국공립 802,306 24.50 956,024 25.33 1,068,815 25.35 1,121,793 24.76 1,243,136 25.73
∙ 사립 1,797,814 43.88 2,038,202 44.52 2,184,175 42.71 2,580,424 44.68 2,700,113 44.54
공공연구소 1,015,931 9.99 1,032,113 9.28 1,177,557 9.82 1,335,221 10.34 1,330,499 9.58
∙ 국공립 38,725 4.63 39,677 4.66 43,761 4.52 57,250 5.61 49,427 4.66
∙ 정부출연 591,688 7.58 555,703 6.71 632,129 7.25 736,953 7.95 697,994 6.99
∙병원 및 기타 385,518 25.26 436,734 22.03 501,667 21.71 541,018 20.61 583,078 20.58
기업 9,828,888 13.75 10,405,652 14.14 11,773,795 14.57 12,651,097 14.15 13,597,494 14.42
∙정부투자기관 22,731 2.62 23,121 2.64 24,456 2.85 31,579 3.55 19,215 2.57
∙ 민간기업 9,806,157 13.88 10,382,531 14.28 11,749,339 14.70 12,619,518 14.25 13,578,279 14.51
합 계 13,444,939 15.10 14,431,991 15.51 16,204,342 15.87 17,688,535 15.70 18,871,242 16.7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9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서울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조 6,024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18.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75%
표 3-1-11 ❙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
(전국대비비중)
38,571 41,715 48,767 51,223 56,024
(18.9) (18.4) (20.1) (19.7) (18.7)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서울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실의 경제정책과, 창업정책과, 대학협력과, 첨단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Regional S&T Yearbook 2024 99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표 3-1-12 ❙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56,366 3 47,701 417 25 232 7,434 - 544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10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13 ❙ 서울특별시 경제실의 경제정책과, 창업정책과, 대학협력과, 첨단산업과에서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경제정책과
∙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 수립, 4차산업혁명위원회 운영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인재육성지원 종합계획, 산학연협력 종합계획 수립
∙ 서울형 R&D 지원 사업, 테스트베드 서울 추진,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 사업 총괄
∙ 서울형 규제혁신 지원, 지역특화프로젝트 사업
∙ 경제・산업 분야 신사업 발굴・육성 관리, 서울 지식재산 창출 및 지원 등에 관한 사항
∙ 전략산업 선정 및 정책 수립, 로봇산업 육성계획 및 드론산업 육성계획 수립・실행
창업정책과
∙ 창업지원 종합계획 수립・시행 추진 총괄
∙ 미래혁신성장 펀드 및 서울 Vision 2030 펀드 조성・운용
∙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창업성장센터, 창업디딤터 등 지원사업 총괄
대학협력과
∙ 서울시 RISE 및 캠퍼스타운 전략 검토 및 수립
∙ 산학협력 R&D 선도 과제, 미래산업 인재양성 과제, 지역사회 동반성장 과제 세부계획 수립 및 추진 관리
첨단산업과
∙ 서울 바이오 의료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신규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 검토
∙ 서울 AI 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양재 AI 혁신지구 조성 운영 업무 총괄
∙ 양자기술산업 육성 전략 수립 및 양자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홍릉 바이오의료 클러스터 조성 및 도시재생 추진 총괄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제 10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4차 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의 수립・변경 및 4차 산업혁명 정책방향 심의・자문
- 4차 산업혁명 정책과제 및 과업 추진상황 점검
- 4차 산업혁명 촉진 관련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심의・자문
-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시행에 따른 기관・부서 간 조정이 필요한 사항 심의・자문
- 그밖에 4차 산업혁명 촉진을 위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심의・자문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오세훈(위원장), 2년(임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
- 2024년 서울시 미래산업 전략육성 방안(2024.03.06.)
Regional S&T Yearbook 2024 101
▣ 위원회 명단
표 3-1-14 ❙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당연직
위 원 이해우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장 재직 시
위 원 박진영 서울특별시 디지털정책관 재직 시
위 원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이사 재직 시
위 원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김용수 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2022.12.14~2024.12.13
위 원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부 교후 2022.12.14~2024.12.13
위 원 정연만 전)환경부 차관 2022.12.14~2024.12.13
위 원 김효정 세종사이버대학교 컴퓨터AI공학과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박화진 숙명여자대학교 ICT 융합공학부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연구소장 2022.12.14~2024.12.13
위 원 손영숙 경희대학교 유전생명공학과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조혜경 한성대학교 IT융합공학부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22.12.14~2024.12.13
위 원 이숙자 서울특별시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 2022.12.14~2024.12.13
위 원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실 수석논설위원 2023.06.08~2025.06.07
10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서울시의 총예산은 81조 9,232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4,850억 원 규모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6%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서울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3.20%
표 3-1-15 ❙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 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819,232
재정자주도(%) 77.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85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09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3.20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10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서울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5,742개로 전국의 25.4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22% 증가
- 5년간 대학 14개 증가, 공공연구소 20개 증가, 기업 2,270개 증가
표 3-1-16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6 20.72 84 20.44 87 20.57 91 21.77 100 21.65
∙ 국공립 11 13.10 11 12.94 11 12.79 11 12.50 12 13.19
∙ 사립 75 22.66 73 22.39 76 22.55 80 24.24 88 23.72
공공연구소 132 20.56 125 18.85 129 18.72 143 20.94 152 20.24
∙ 국공립 9 6.29 9 6.29 9 5.88 9 6.57 9 6.72
∙ 정부출연 25 14.79 23 14.11 23 13.53 22 13.33 22 12.94
∙ 병원 및 기타 98 29.70 93 26.05 97 26.50 112 29.40 121 27.07
기업 13,220 24.11 14,230 24.33 15,884 25.52 16,370 25.43 15,490 25.58
∙ 정부투자기관 9 16.36 8 14.81 9 15.25 7 11.48 7 12.50
∙ 민간기업 13,211 24.12 14,222 24.33 15,875 25.53 16,363 25.44 15,483 25.60
합 계 13,438 24.05 14,439 24.24 16,100 25.41 16,604 25.36 15,742 25.4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0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서울 소재 대학 수는 51개
- 일반대학 3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 방송통신대, 기술대학 및 기능대학이 각각 1개씩 존재
표 3-1-17 ❙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1 34 3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9 9
방송통신대 1 - - 1
기술대학 - - 1 1
기능대학 - - 1 1
합계 5 1 45 5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서울시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66만 6,12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6만 823명(전체의 9.13%), 공학계열 학생이 14만 6,646명
(전체의 22.01%)
표 3-1-18 ❙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60,823 146,646 207,469 33,488 81,498 42,075 101,753 199,843 666,126
비중(%) 9.13 22.01 31.15 5.03 12.23 6.32 15.28 30.00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10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12월 기준 서울특별시에는 총 64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서울대 23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고려대가 10개, 중앙대 및 연세대가 6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19 ❙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1개 센터)
2019 빅데이터 기반 암진화 연구센터 MRC
건국대학교
(2개 센터)
2023 디지털인문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 CRC
2024 글로벌 식물스트레스 연구센터 SRC
경희대학교
(1개 센터)
2020 한약물 재해석 암 연구 센터 MRC
고려대학교
(10개 센터)
2018 극한핵물질연구센터 SRC
2020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 ERC
2021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 ERC
2022 인지증강 메타통신 연구센터 ERC
2023 나노 생체유체 검사 연구단 ERC
2023 메카노지노믹스 연구 센터 SRC
2023 복원력을 가진 자율 운영 전력망 센터 ERC
2023 마이오카인 융합 연구센터 MRC
2023 보건사회환경시스템 융복합연구센터 CRC
2024 워터 리파이너리 플랫폼 자동화/모듈화 선도연구센터 ERC
동국대학교
(2개 센터)
2018 암 관해 표적제어 혁신의약품 연구센터 MRC
2018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CRC
서울대학교
(23개 센터)
2018 식물면역연구센터 SRC
2018 코팅기반 화학공정 연구센터 ERC
10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2018 생체지질 인터액토믹스 연구센터 MRC
2018 치아 • 치주 복합체 연구센터 MRC
2018 기억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세포 분해 생물학 연구단 SRC
2020 모듈과 공간의 양자구조 연구센터 SRC
2020 시스템스 노화기전 연구센터 SRC
2021 신개념 에피성장 양자신소재 연구센터 SRC
2021 전자전달 연구센터 SRC
2021 식물 가소성 연구센터 SRC
2021 비교의학 질환 연구센터 SRC
2021 다분야 통합 도심항공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 센터 ERC
2022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 ERC
2022 스토카스틱 줄기성 연구센터 SRC
2022 지구심부-지표 상호작용 연구센터 SRC
2022 인공지능 신뢰성 CRC
2023 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ERC
2023 초거대 AI 모델 및 플랫폼 최적화센터 ERC
2023 항암 면역세포 디스커버리 플랫폼 기술개발 연구센터 ERC
2023 인공지능 예술 연구 센터 CRC
2023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요소 기술 개발 IRC
2024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센터 IRC
성균관대학교
(1개 센터)
2023 메타버스 기반 방사선 안전 ICT 연구센터 CRC
숙명여자대학교
(2개 센터)
2022 근육피지옴 연구센터 MRC
2023 이질성기반 세포적응 연구센터 SRC
연세대학교
(6개 센터)
2018 비가역적 기후변화 연구센터 SRC
2018 만성난치질환 시스템의학 연구센터 MRC
2020 에이로겔소재연구센터 ERC
2023 다상소재 혁신 생산공정 연구센터 ERC
2024 플러스앤플레이(P&P) 칩렛 인티그레이션 연구센터 ERC
2024 미각-구강기능 융합연구센터 MRC
이화여자대학교
(5개 센터)
2018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MRC
2023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 SRC
2023 사회 이익 실현을 위한 환경블라인드스팟 전략 선도연구센터 MRC
2024 혼성계면 화학구조 연구센터 SRC
중앙대학교
(6개 센터)
2018 미생물 생존 시스템 연구센터 SRC
2020 베리곡물 기반 신물성 연구센터 SRC
Regional S&T Yearbook 2024 107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서울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1개의 지원센터가 존재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2020 나노-광 융합 바이오의료 진단 연구센터 ERC
2022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SRC
2023 순환경제 기반 탄소중립 건축센터 ERC
2024 시스템 화학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SRC
한양대학교
(5개 센터)
2018 생존 신호정보 연구센터 CRC
2018
초연결사회 위험 관리를 위한 빅테이터 기반 사회 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사회 시뮬레이션 시스템
CRC
2022 스마트 혈류역학 지표 기반 실시간 정밀의료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23 H3(극한 스케일 극한 물성-이종 집적)한계 극복 반도체 기술 연구 센터 IRC
2024 Beyond-G 글로벌 혁신센터 IRC
10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4년 서울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20 ❙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reative Business Center(중앙대) 2020-05-19
한국국토정보공사 LX공간드림센터(서울) 2018-03-12
서울대학교기술지주㈜ S-INNOVATION(에스이노베이션) 2013-10-18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5-11
경희대학교 경희창업보육센터(서울) 2000-12-15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크림슨창업지원단 2000-03-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운창업지원센터 2020-02-03
국민대학교 국민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7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6
마포구청 마포비즈니스센터 2008-07-14
주식회사 비채나 비채나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1
서강대학교 서강비즈니스센터 1999-11-30
서울시립대학교 서대문구-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00-04-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10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0-31
한성대학교 성북구 한성대 벤처창업지원센터 2001-03-12
성신여자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성신유니콘센터 2019-03-02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 2001-01-1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대 창업보육센터 2012-03-05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 2000-01-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트앤디자인테크 창업보육센터(홍익대_서울) 2004-03-17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2000-01-31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창업지원단 2014-05-14
인덕대학교 인덕대학창업지원단 2000-03-31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2011-12-23
주식회사 알파브라더스 주식회사 알파브라더스 창업보육센터 2023-06-19
Regional S&T Yearbook 2024 109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서울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11개소가 운영 중
표 3-1-21 ❙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공립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공립
서울시립과학관 공립
육영재단어린이회관 사립
LG사이언스홀 사립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 사립
한생연휴먼탐구과학관 사립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 사립
한생연실험누리과학관 사립
한생연인간과로봇과학관 사립
한생연생명과학박물관 사립
과학동아천문대 사립
롯데월드아쿠아리움 사립
코엑스아쿠아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과 명단(2025. 02. 기준)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창업진흥원, 한국엔젤투자협회 팁스타운 2015-07-14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7-09-01
호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서울창업보육센터 2012-05-15
(재)한국기술벤처재단 홍릉벤처밸리 창업보육센터 2001-12-15
11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서울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4년 서울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5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8,258명임
표 3-1-22 ❙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264 367 328 373 358
수혜자 수 5,265 5,485 6,940 7,655 8,25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11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서울시 특허출원 건수는 5만 4,02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만 7,717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0.28% 증가, 특허등록건수 모두 ’22년 대비 3.7% 감소
표 3-1-23 ❙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45,482 47,123 52,270 53,124 54,042 53,871 54,023
특허등록 건수 27,527 25,224 26,483 29,293 31,576 28,781 27,71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서울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만 7,920편, 주저자 기준 2만 2,50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0.83%, 39.16%를 차지
표 3-1-24 ❙ 서울특별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34,724 51.66 615,722 17.73 22,042 40.18 309,543 14.04
2020 37,488 50.87 530,135 14.14 23,387 39.21 247,431 10.58
2021 40,844 51.16 327,853 8.03 25,127 39.47 146,900 5.85
2022 38,673 50.17 105,642 2.73 23,443 39.00 46,336 1.98
2023 37,920 50.83 102,078 2.69 22,506 39.16 42,763 1.9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11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성장 분야 중심 R&D 지원
- 신성장 R&D 분야 확대
- 글로벌 진출 및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중・장기 R&D 지원체계 마련
-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대・중견기업 네트워크 활성화
- 약자를 위한 기술투자 확대 및 약자동향 신기술 발굴・전파
■ 글로벌 바이오・의료 시장 선도 도시 서울
- R&D 고도화 지원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격차 해소
- 바이오 의료기업 글로벌 시장진출 지원
- 자생적 선순환 생태계 구축 지원
■ 대학과 함께하는 「글로벌 미래 혁신성장 도시 서울」
- 산학협력 R&D 혁신
- 미래산업 인재 양성
- 대학창업 활성화
- 지역사회 동반성장
- 추진기반 마련
■ 글로벌 인공지능(AI) 선도 혁신거점 육성
- AI 클러스터 및 첨단산업 기술 생태계 조성
- 글로벌 수준의 AI 인재양성 및 유치
- AI 연구개발 및 산업활성화 지원
- AI 저변확대 및 지원인프라 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4 113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 주도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 지역과학기술혁신법 제정 대응을 위한 지역과학기술 관련 조례 정비
■ 서울시 R&D 관리시스템 과제 및 성과관리 체계 기능 강화 및 확대
■ 「서울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발 강화를 위한 체계 구축 기반 마련
▣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및 지역 혁신주체 연계
■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활성화를 통한 서울형 R&D 효율성 증대
■ 산학협력 생태계 강화를 위한 서울특별시 경제・산업 전략 연계
▣ 미래성장 동력확보를 위한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바이오) 바이오기업 인프라 확충 및 연구장비 고도화, 원천기술의 임상 기반 사업화 확대를 통한
홍릉 일대 바이오 인프라 완성
■ (AI) AI 지원센터, AI 서울 테크시티 조성 등 AI 인프라 확대 및 AI 기업 스케일업 가속화
▣ 지자체 주도 창업 혁력체계 구축・운영
■ 스타트업 해외 진출 거점 조성, 서울-해외 액셀러레이터 지원 등을 통한 글로벌 창업 거점 구축
■ 4대 미래산업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 스타트업 스케일업 지원
■ 서울혁신챌린지,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등을 통한 중소・스타트업의 성장과 판로개척 지원
11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부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부산의 인구는 약 328만 명으로 작년 대비 소폭 감소
- 전국 인구대비 부산 인구의 비율은 6.3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2-1 ❙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3,381,208 3,355,632 3,327,350 3,299,396 3,284,246
전국인구대비 비율(%) 6.53 6.48 6.43 6.39 6.35
경제활동참가율(%) 58.8 58.1 58.2 58.9 59.6
실업률(%) 3.7 4.2 3.4 3.0 3.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11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부산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03조 원이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0.40%로 나타냄
- 부산시 산업 구조는 기타서비스업이 지역내 총생산의 49.3%로 거의 절반을 차지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 간 2.46%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2-2 ❙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 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101,231,135 98,225,367 100,759,135 102,497,863 103,284,364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19,873 444,342 535,815 463,359 463,309
(지역내비중, %) (0.41) (0.45) (0.53) (0.45) (0.45)
제조업 16,448,961 15,330,176 15,715,839 16,221,933 15,924,361
(지역내비중, %) (16.25) (15.61) (15.60) (15.83) (15.4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495,515 1,900,961 1,894,721 2,244,837 -1,913,430
(지역내비중, %) (1.48) (1.94) (1.88) (2.19) -(1.85)
건설업 6,049,789 5,517,591 5,370,742 4,801,627 4,858,761
(지역내비중, %) (5.98) (5.62) (5.33) (4.68) (4.70)
기타서비스업 49,627,718 47,843,084 48,780,841 49,687,209 50,955,646
(지역내비중, %) (49.02) (48.71) (48.41) (48.48) (49.34)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9,814,750 20,016,225 20,986,559 21,972,859 22,379,188
(지역내비중, %) (19.57) (20.38) (20.83) (21.44) (21.67)
순생산물세 7,327,059 7,172,988 7,474,618 7,166,715 6,749,946
(지역내비중, %) (7.24) (7.30) (7.42) (6.99) (6.54)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11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부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47조 3,536억 원이고 4,29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3만
44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측면에서 ‘1차 금속 제조업’이 9조 11억 원(전체 19.01%),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754개(17.57%), 종사자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만 671명(전체 15.85%)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2-3 ❙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754,626 7.93 324 7.55 10,525 8.07
음료 제조업 219,603 0.46 13 0.30 432 0.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25,972 2.80 205 4.78 5,671 4.3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52,881 1.59 204 4.75 5,117 3.92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839,416 1.77 156 3.64 3,835 2.9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28,116 0.69 38 0.89 818 0.6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74,495 0.58 58 1.35 1,422 1.0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6,440 0.20 54 1.26 858 0.6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09,142 0.86 6 0.14 181 0.14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985,863 4.19 75 1.75 2,665 2.0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41,865 0.51 18 0.42 710 0.5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469,319 5.21 310 7.22 9,330 7.1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41,712 1.36 75 1.75 1,483 1.14
1차 금속 제조업 9,001,196 19.01 313 7.29 10,721 8.2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227,579 8.93 650 15.15 14,836 11.3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01,843 3.81 56 1.31 6,755 5.1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293,725 2.73 108 2.52 4,480 3.43
전기장비 제조업 3,221,207 6.80 280 6.53 8,975 6.8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080,865 12.84 754 17.57 20,671 15.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699,943 12.04 258 6.01 10,458 8.0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27,765 4.07 118 2.75 6,298 4.83
가구 제조업 151,158 0.32 37 0.86 701 0.54
기타 제품 제조업 155,319 0.33 57 1.33 1,149 0.88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53,598 0.96 124 2.89 2,358 1.81
합 계 47,353,648 100.00 4,291 100.00 130,449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11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산업임
표 3-2-4 ❙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
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
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낮음
∙ 음료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코크스 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가구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11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부산시는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과학기술・산업)’,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인프라)’, ‘지산학 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인재양성)’, ‘지역R&D 시스템 정립을 통한 지역혁신 성과 극대화(R&D시스템)’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2-5 ❙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과학기술・산업)
(양자)양자정보기술 생태계기반 조성
(의료바이오)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지원
(에너지)재사용 배터리 적용 E-모빌리티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
(해양)해양위성 정보 기반 스마트해양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미래수송기기)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사업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인프라)
동남정보보호지원센터 운영
부산 디지털융합 연구산업진흥단지 육성사업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부산 도심항공모빌리티 상용화 기술지원 사업
지산학 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인재양성)
우주발사체・우주수송 교육연구센터 지원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지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부산 콘텐츠 아카데미 운영, 및 부산콘텐츠코리아랩 운영
지역R&D 시스템 정립을
통한 지역혁신 성과 극대화
(R&D시스템)
국가핵심기술 선도프로젝트 기획유치사업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운영 및 지역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추진
부산연구개발정보 플랫폼(BTIS) 고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11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 32개, 도시첨단단지 5개 및 농공단지 1개가 있음
- 39개 단지의 가동 업체는 7,302개, 총 종사자는 118,203명
표 3-2-6 ❙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명지・녹산 8,841 8,814 1,539 1,289 27,329 100 완료
일반
부산과학 1,967 1,967 229 229 4,884 97 완료
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
물류도시(1단계)
5,708 5,624 538 529 9,331 92 완료
명례 1,566 1,566 105 99 2,663 100 완료
산양 52 52 0 0 0 100 조성중
신평・장림 2,815 2,815 836 619 14,399 100 완료
센텀시티 1,178 1,178 2,250 2,250 15,770 100 완료
풍상 61 61 3 3 101 100 완료
생곡 538 538 103 99 1,221 100 완료
명동지구 506 506 31 1 X 94 조성중
미음지구 3,848 3,847 395 354 8,547 84 완료
동남권방사선의과학 1,479 1,442 37 14 830 78 조성중
부산신소재 256 256 4 3 397 100 완료
반룡 547 547 87 87 1,151 100 완료
오리 608 538 76 57 1,338 84 완료
동부산E-PARK
일반산업단지(구:기장대우)
344 344 1 0 X 100 조성중
에코장안 201 201 22 14 363 100 완료
정주 97 97 2 2 X 100 완료
사상공업지역[재생사업지구] 3,021 3,021 900 900 12,069 100 조성중
성우(구:거화) 64 63 18 18 156 100 완료
기룡 83 83 1 1 X 100 완료
기룡2 46 46 2 1 X 100 완료
장안 1,301 1,301 91 90 3,855 100 완료
정관 1,209 1,209 203 202 3,702 100 완료
정관코리 84 84 6 5 153 100 완료
신호 3,121 3,121 83 83 3,401 100 완료
12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전지구 2,448 2,448 315 315 6,215 100 완료
강서보고 104 104 19 19 152 100 완료
지사글로벌 417 417 0 0 0 0 조성중
강서해성 104 104 0 0 0 0 미개발
지사2(구 진우) 99 99 18 18 176 100 완료
부산연구개발특구
첨단복합지구
1,744 1,744 0 0 0 0 미개발
부산명서일반산업단지 121 121 0 0 0 0 미래발
도시
첨단
부산에코델타시티 552 552 1 1 X 9 조성중
회동.석대 229 228 108 108 2,584 100 완료
모라 11 11 236 236 1,525 100 조성중
금곡 46 46 0 0 0 0 조성중
센텀2지구 1,912 1,913 0 0 0 0 미개발
농공 정관 258 258 33 32 1,61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121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부산시에는 총 1,676개의 벤처기업이 위치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 분야에 321개 업체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6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15개), ‘전기 장비 제조업’(115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84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이 분포
표 3-2-7 ❙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4 4 4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59 65 67
음료 제조업 2 2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9 29 3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7 17 1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0 34 2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 7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 11 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 7 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8 70 6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 10 1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1 57 4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1 13 13
1차 금속 제조업 35 36 3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3 97 8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4 74 6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2 77 73
전기장비 제조업 119 124 11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51 258 21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0 36 3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0 68 64
가구 제조업 3 5 7
기타 제품 제조업 58 59 5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 6 6
12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3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4 4
건설업(41~42) 37 40 37
도매 및 소매업(45~47) 43 58 61
운수 및 창고업(49~52) 3 4 7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5
정보통신업(58~63) 282 328 321
금융 및 보험업(64~66) 3 3 1
부동산업(68) - -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64 174 16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1 11 10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6 14 1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4 5 6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662 1,814 1,676
Regional S&T Yearbook 2024 12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부산의 연구개발인력은 전국 8위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5,997로 전국 대비 비중 3.19%이며 ’19년부터 ’23년의 최근 5년간 연
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2.38%로 증가 추세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대학 12,041명(전국의 5.15%), 공공연구소 2,717명(전국의 3.82%), 기업 1만
1,239명(전국의 2.15%)으로 나타남
표 3-2-8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313 4.80 9,943 4.80 10,682 5.08 11,577 5.21 12,041 5.15
∙ 국공립 4,980 6.23 5,245 6.06 5,771 6.64 6,717 7.48 7,042 7.43
∙ 사립 4,333 3.79 4,698 3.90 4,911 3.98 4,860 3.67 4,999 3.60
공공연구소 2,385 3.82 2,688 4.19 2,690 4.04 2,687 3.92 2,717 3.82
∙ 국공립 409 3.17 391 3.05 376 2.80 405 3.05 437 3.32
∙ 정부출연 1,286 3.73 1,248 3.68 1,301 3.84 1,295 3.73 1,253 3.51
∙ 병원 및 기타 690 4.58 1,049 6.04 1,013 5.27 987 4.80 1,027 5.00
기업 11,417 2.47 11,938 2.51 11,851 2.33 12,370 2.37 11,239 2.15
∙ 정부투자기관 10 0.26 21 0.56 8 0.21 21 0.53 21 0.56
∙ 민간기업 11,407 2.49 11,917 2.52 11,843 2.35 12,349 2.38 11,218 2.16
합 계 23,115 3.22 24,569 3.29 25,223 3.21 26,634 3.27 25,997 3.1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2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부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5명 감소한 52.3명으로 조사됨
표 3-2-9 ❙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48.8 51.6 52.3 53.8 52.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부산의 총 연구개발비는 2조 23억 원으로 전국의 1.78%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83%
- 연구주체별로 살펴보면 대학의 연구개발비는 5,256억 원(전국의 4.82%), 공공연구소는 5,472억원
(전국의 3.94%),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9,295억 원(전국의 0.99%)으로 나타남
표 3-2-10 ❙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84,992 5.22 422,003 5.05 459,778 4.93 502,030 4.87 525,610 4.82
∙ 국공립 263,124 8.04 294,383 7.80 315,431 7.48 339,461 7.49 361,477 7.48
∙ 사립 121,868 2.97 127,620 2.79 144,347 2.82 162,569 2.82 164,133 2.71
공공연구소 403,748 3.97 459,805 4.14 447,122 3.73 534,595 4.14 547,244 3.94
∙ 국공립 99,354 11.89 139,378 16.37 122,004 12.61 128,631 12.61 124,842 11.76
∙ 정부출연 224,339 2.87 231,453 2.79 244,388 2.80 284,786 3.07 334,092 3.34
∙ 병원 및 기타 80,055 5.24 88,974 4.49 80,730 3.49 121,178 4.62 88,310 3.12
기업 792,966 1.11 815,026 1.11 855,837 1.06 1,001,051 1.12 929,521 0.99
∙ 정부투자기관 1,142 0.13 2,208 0.25 1,230 0.14 2,948 0.33 2,609 0.35
∙ 민간기업 791,824 1.12 812,818 1.12 854,607 1.07 998,103 1.13 926,912 0.99
합 계 1,581,706 1.78 1,696,834 1.82 1,762,737 1.73 2,037,676 1.81 2,002,375 1.7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12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부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3,31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4.4%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86%
표 3-2-11 ❙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9,120 9,626 10,002 11,355 13,312
(4.5) (4.2) (4.1) (4.4) (4.4)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부산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디지털경제혁신실의 첨단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12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2-12 ❙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1,281 2 17,171 249 40 71 3,74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2-13 ❙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 첨단산업국 소속 5개 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산업정책과
∙ 전략산업육성계획 수립, 전략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원에 관한 사항
∙ 부산형 앵커기업 육성사업 추진・제조 강소(중소중견)기업 육성
∙ 지역산업진흥게획수립 및 성과관리, 글로벌강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관한 사항, 미래산업 정책동향발간 등
∙ 기계부품산업분야 신규사업 발굴 및 기획・유치, 제조혁신산업 육성 및 관련 사업에 관한 사항, 기계부품
분야 전략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로봇산업육성 관련 업무, 로봇산업 육성 조례 및 계획수립에 관한사항, 로봇산업 육성사업에 관한 사항,
로봇분야 인력 양성에 관한 사항
∙ 항공 및 드론 육성 발전에 관한 사항, 항공(드론)산업 집적화에 관한 사항, 항공관련 연구개발, 학술대회 등에
관한 사항, DaaS기반 글로벌 스마트오션시티 구축에 관한 사항, 무인기(드론), PAV, UAM 기술개발
실증 지원에 관한 사항 등
∙ 항공 부품산업 기술고도화 지원사업, 중소기업 품질경영 진단 및 기술지도 지원사업에 관한 사항, 수소차
(버스 포함) 보급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드론 육성 발전에 관한 사항 등
∙ 부산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LPG선박 실증사업, LNG벙커링 기자재 시험평가 설비 및 시험기술 개발
사업, 가스(LNG)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지원 기반구축 사업, 심해해양공학수조 기반구축 사업, 해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 해양플랜트 O&M 엔지니어링 기술기반 구축사업, 조선해양플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사업,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Offshore Korea) 개최 및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협동화단지
지원에 관한 사항,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클러스터 조성사업, 조선해양산업 지능정보서비스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친환경 조선해양기자재 재제조 기술개발사업 등
∙ 신발산업 육성계획 수립, 한국신발관(K-슈즈센터) 운영 지원, 첨단신발융합허브센터 운영 지원, 신발
산업 생태계 강화지원사업, 신발산업 디자인 활성화사업, 신발패션 창업・물류 특화 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
추진,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신발산업 인력양성사업 ◦ 신발산업 집적화단지 및 신발산업 성장거점
특구에 관한 사항 등
∙ 섬유패션산업 육성계획 수립, 부산패션비즈센터 운영 지원, 메타버스 기반 섬유패션산업 고도화 추진,
패션테크 활성화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패션테크 클러스터 조성 및 관련 과제 발굴 지원, 섬유패션산업
재정사업 지원, 섬유패션 역량강화 지원사업, 뿌리기업(염색・가공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사업, 섬유
소재기업 수요맞춤형 역량강화사업 등
∙ 신발산업 디자인 활성화사업, 신발・피혁 관련 기술개발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디지털 기반 신속 신발
제조 지원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항, 기능성 소재부품기업 경쟁력 강화사업, 신발산업 신규사업 발굴・
제안에 관한 사항 등
반도체
신소재과
∙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부산형 SiC 연구플랫폼 활성화 지원사업,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 실증 인프라 구축사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 파워반도체 생산플랫폼 파워반도체 신뢰성평가
인증센터 사업관리, 반도체 관련 전문가 협의체 및 협회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총괄 및 반도체 관련 전문가 협의체 및 협회 지원 등
∙ 신소재산업 업무 총괄 및 탄성, 탄소, 복합소재 기술개발 및 연구소 건립 등
∙ 바이오매스 기반 비건레더 기술개발 사업, 화학재생 그린소재 기술개발 사업 등
Regional S&T Yearbook 2024 127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과
∙ 인공지능정책 업무 총괄, 디지털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 등
∙ 인공지능산업 육성, K-ICT Week in busan 개최, 인공지능 관련 공모사업 발굴, U-헬스케어 운영 및
관련업무 지원 등
∙ SW・ICT 산업 육성 및 지역 기업 성장지원에 관한 사항, XR 기술 보급 및 확산, XR 신규사업 발굴 및
공모사업 추진, 정보보호산업육성 및 기본계획 수립, 지역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 동남
정보보호지원센터 운영 등
∙ EDC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랩(LAP) 조성, 스마트 도시계획, 스마트도시
기반시설, 스마트시티 법령 및 조례,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스마트도시협회.각종 연구회 등 협력에
관한 사항,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관한 사항 등
∙ 부산 센텀 디지털 혁신거점 기반 지역 디지털 혁신엔진 개발 예타사업 추진, 정보기술(ICT) 산업 육성
지원, 스마트시티 관련 공모사업에 관한 사항(거점형, 강소형, 스마트시티 솔루션 확산)
∙ 지역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확산사업 운영, 기업주도형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운영, 기업 맞춤형 부산
정보산업인력육성사업 운영,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홍보 추진, ICT 인재양성 국가공모사업 발굴 및 연계
∙ 센텀 클라우드 클러스터 조성, EDC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
동남정보보호지원센터 관리, 클라우드 엑스포 코리아 개최, 클라우드 혁신센터 관리, 클라우드 기업 유치 등
∙ 양자산업 생태계 기반 조성, 양자산업 인력양성, 기술 사업화에 관한 사항, 양자관련 전문가 네트워킹 및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
∙ 양자과학기술 대학ICT연구센터 과제 발굴 및 지원 양자과학기술 포럼,컨퍼런스,워크숍 등 행사지원
양자전문기업 협력 양자 인력양성 교육추진
바이오헬스
연구개발과
∙ 국비 R&D 총괄 관리, 연구개발사업(R&D) 예산배분 조정,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연구개발 관련 신규
사업 발굴・유치, 부산 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관리
∙ 국립부산과학관 운영 지원 및 인프라 확충 건립 추진, 과학관 관련 신규 협력 프로그램 발굴 및 협의회
운영 등, 공・사립 과학관 지원 및 과학관 육성 시행계획 수립 등, 서부산권 EDC 내 스마트과학관
관련 사항 등
∙ 부산과학기술협의회 CTO 및 이사회 운영 지원 등, 부산출향과학기술인협의회 운영지원,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 운영 지원 및 신규사업 발굴(하이테크 부품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 및 신규사업 발굴 등)
기술거래 활성화 및 이전기술 사업화 개발 지원사업(TP), 지역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창의융합형 공학
인재 양성지원사업 지원, 우주발사체・우주 수송 교육연구센터 사업지원
∙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 관련 업무,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과제발굴 등)사업 운영지원, 부산 R&D
주간 운영지원
∙ 선도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원, 초광역 R&D특구 연계・협력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사업 추진, 부산특구 편드 조성・운영 등
∙ 국가핵심기술 선도프로젝트 기획・유치사업 운영, 신규 R&D사업 발굴, 기획, 유치지원 등, 부산 R&D 혁신
기관 네트워크 교류회 구축・운영, 국제협력 R&D 추진에 관한 사항, 부산과학기술혁신상, 이노비즈 포상
추진계획 수립 및 관리, 과학기술도시 조성 혁신리더 유공자 포상 추진, 부산과학기술상, 부산미래과학자상
추진계획 수립 및 관리 등
∙ 보건의료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클러스터 조성 총괄
∙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 건립에 관한 사항,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 장비 구축 등 국비 사업에 관한 사항,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연구센터 추진
∙ 의료마이데이터 실증 등 데이터 사업화 지원, 부산의료수학센터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사항, AI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구축에 관한 사항, 디지털헬스케어 특화 창업공간 조성에 관한 사항 등
∙ 바이오헬스 전용 펀드 조성 및 운영, 스타트업 투자 콘서트 운영 지원 등
∙ 건강관리서비스 도입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메디허브특구 연계 의료・헬스케어 제품 고도화 육성
∙ 의료바이오 관련 오픈이노베이션 랩 구축에 관한 사항, 의료바이오산업 인력양성 등에 관한 사항,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지원에 관한 사항, 글로벌 헬스케어 위크 전시회 총괄, R&D(의료바이오산업) 과제 발굴 및
지원, 치의학산업 육성기반 구축에 관한 사항, 치의학산업단지 조성 등에 관한 사항 등
∙ 의료산업기술지원센터 운영 및 관리 고령친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고령친화산업 육성 지원사업, 현장
중심 고령친화용품 홍보체험관 운영,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기 지원사업,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지원,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 육성사업, 제약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랩 구축에 관한 사항 R&D(의료기기 및
고령친화용품) 과제발굴 및 지원 등
12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 항노화산업 육성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치의학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조정, 지원에 관한 사항, 치의학 산업화
기술개발 및 실용화 등 지원, 치과기공소 스마트 환경개선 사업추진, 디지털상용화 기술지원사업 추진 등
∙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지원 사업,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사업, 디지털 치의학 신기술
교육지원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치의학관련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R&D(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분야) 과제발굴 및 지원
미래에너지
산업과
∙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에 관한 사항(총괄), 탄소중립(에너지분야) 총괄 계획수립, 2050 클린에너지
마스터플랜 이행 관리,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 평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 개최, 부울경
초광역 실무협의회(에너지동맹-전기요금 차등제), 타 지자체 협력과제 추진 분산에너지 지원조례 제정
전문가 워킹그룹 운영, 분산에너지지원센터 설립, 원전사고 대응 재난근무 총괄 전력수요대비 전력공급
협의체 운영 등
∙ 수소경제 육성 발전에 관한 사항(기본계획 수립 및 이행상항 점검 등), 수소 관련 기업 지원(전환, 전문
기업, 유치, 수소동맹 등),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 사업, 수소 항만 조성사업, 수소 선박
빅데이터 플랫폼 설계 사업, 수소 관련 법령 및 조례 제・개정에 관한 사항, 수소산업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 수소 관련 국정과제, 국정감사, 구상사업 등 주요 업무추진
∙ 수소 관련 기업 유치・지원, 수소기업 및 수소전환기업 유치지원, 수소전문기업 및 수소동맹기업 지원,
수소 관련 특화단지 유치 추진, 예비 수소특화단지 및 수소 클러스터 조성사업, 이산화탄소 CCUS 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 수소 도시 조성사업 등
∙ 암모니아 관련 실증사업 추진(규제자유특구), 수소/암모니아 R&D 발굴 추진, 친환경에너지 관련
R&D 발굴추진, 기업지원
∙ 산업단지 탄소중립, RE100 조성관련 업무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 추진, 연료전지 발전 보급확대
관련업무, 바이오, 폐기물 연료화 보급확대
∙ 신재생에너지보급 융복합지원 사업, 신재생에너지 보급 통계자료 관리에 관한 사항, 중・소형 풍력발전 보급
사업 관련 업무, 해양에너지 보급에 관한 사항, 풍력발전부품사업 협동조합 관련 업무, 풍력발전 보급 확대
관련 업무, 에너지 신산업 발굴 및 사업화 지원에 관한 사항, 에너지신산업 협업 네트워크 구성 및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129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부산과학기술진흥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시의 과학기술진흥의 방향과 전략에 관한 사항,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조정에 관한 사항,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혁신 및 연구개발의 지원에 관한 사항, 연구개발
사업의 기획・평가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연구개발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조정 등 연구개발예산의 투자효율화에 관한 사항,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에 관한 사항,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균형적 지원 및 발전에 관한 사항, 「부산광역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 조례」 제7조제1항 각 호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 임기 : 위원장(시장, 당연직), 부위원장(미래산업국장(당연직), 민간위원 중 1명
호선), 위원(2년, 한 차례만 연임 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 15회(평가조정위원회 3회 포함)
- 본위원회(1회, ’24.12.4.) : 제1호 부산과학기술혁신계획(안), 제2호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3년도 추진실적 및 '24년도 시행계획(안), 제3호 2025년도 부산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제4호
2025년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제5호 2024년도 부산광역시 기획・유치 지원
사업 추진 경과, 제6호 부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2023년도 분과위원회 추진 경과
- 운영위원회(4회, ’24.1/4/4/9월 ) : 제1호 부산광역시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도
추진실적 및 2024년도 시행계획, 2023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실시계획(안), 2022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보고, 제2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3년도 추진실적 및 24
년도 시행계획(안), 부산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안)
- 기획전략위원회(7회, ’24.1/2/4/5/6/8/10월) : (1월) 제1호 2023년도 연구기획 네트워크 기반
기획 완료 사업의 유치지원(안), 제2호 2023년도 제2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3호 2023년도 제3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1호
2024년도 국가핵심기술 선도프로젝트 기획・유치사업 계획(안), (2월) 제1호 2024년도 제1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2호 신속유치지원(Fast-Track) 신청 사업
유치지원(안), (4월) 제1호 제2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2호 신속
유치지원(Fast-Track) 신청 사업 유치지원(안), 제1호 2024년도 R&D사업 발굴・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5월) 제1호 2024년도 PM 발굴 완료 사업 기획 지원(안), (6월) 2024년도 제3차 대외
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4년도 PM 발굴 완료 사업 기획지원(안),
2024년도 R&D사업 발굴・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8월) 2024년도 PM 발굴 완료 사업 기획지원(안),
(10월) 제1호 2024년도 PM 발굴 완료 사업 기획지원(안), 제2호 제1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
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1호 2024년도 R&D사업 발굴・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13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2-14 ❙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형준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박동석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김영부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24.10.26. ~ ’25.9.22.
위원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23. 9.23. ~ ᾽25. 9.22.
위원 권기룡 부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황성주 연세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김도훈 부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 ᾽23. 9.23. ~ ᾽25. 9.22.
위원 정충교 부산정보기술협회 ᾽23. 9.23. ~ ᾽25. 9.22.
위원 김윤희 경상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장지현 UNIST ᾽23. 9.23. ~ ᾽25. 9.22.
위원 신현석 부산연구원 ᾽23. 9.23. ~ ᾽25. 9.22.
위원 장석영 금양 ᾽23. 9.23. ~ ᾽25. 9.22.
위원 이희승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3. 9.23. ~ ᾽25. 9.22.
위원 진성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3. 9.23. ~ ᾽25. 9.22.
위원 윤장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3. 9.23. ~ ᾽25. 9.22.
위원 조만기 LSTME ᾽23. 9.23. ~ ᾽25. 9.22.
위원 김종도 한국해양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김현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3. 9.23. ~ ᾽25. 9.22.
위원 김효정 부산광역시의회 ᾽23. 9.23. ~ ᾽25. 9.22.
Regional S&T Yearbook 2024 131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부산시의 총 예산은 약 27조 8,643억 원으로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395억원
- 지역 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14%
- 과학기술 예산 중 부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10.17%
표 3-2-15 ❙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278,643
재정자주도(%) 58.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88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39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10.17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13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부산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533개로 전국의 4.1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0.79%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2개 증가, 기업 96개 증가
표 3-2-16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 5.78 23 5.60 23 5.44 22 5.26 24 5.19
∙ 국공립 5 5.95 5 5.88 5 5.81 5 5.68 5 5.49
∙ 사립 19 5.74 18 5.52 18 5.34 17 5.15 19 5.12
공공연구소 35 5.45 39 5.88 39 5.66 37 5.42 37 4.93
∙ 국공립 5 3.50 4 2.80 5 3.27 5 3.65 4 2.99
∙ 정부출연 12 7.10 11 6.75 11 6.47 11 6.67 12 7.06
∙ 병원 및 기타 18 5.45 24 6.72 23 6.28 21 5.51 21 4.70
기업 2,376 4.33 2,524 4.31 2,498 4.01 2,634 4.09 2,472 4.08
∙ 정부투자기관 1 1.82 2 3.70 2 3.39 3 4.92 2 3.57
∙ 민간기업 2,375 4.34 2,522 4.32 2,496 4.01 2,631 4.09 2,470 4.08
합 계 2,435 4.36 2,586 4.34 2,560 4.04 2,693 4.11 2,533 4.1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133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부산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가 존재
표 3-2-17 ❙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10 1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8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 부산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5만 4,37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841명(전체의 약 8.32%), 공학계열 학생이 4만 108명
(전체의 약 25.98%)
표 3-2-18 ❙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841 40,108 52,949 17,637 17,267 7,953 16,698 41,873 154,377
비중(%) 8.32 25.98 34.30 11.42 11.18 5.15 10.82 27.12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3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인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부산광역시에는 총 8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부경대에 1개, 부산대에 7개 센터 설치・운영
표 3-2-19 ❙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부경대학교
(1개 센터)
2022 스마트짐 기반 액티브 시니어 헬스케어 중개연구 센터 RLRC
부산대학교
(7개 센터)
2018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ERC
2018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친환경스마트선박부품기술혁신센터 RLRC
2021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ERC
2022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2023 인간중심-탄소 중립 글로벌 공급망 연구센터 ERC
2024 휴머노이드 후각디스플레이센터 I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4 135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부산의 지역혁신센터는 총 2개로, 동의대, 동아대가 각각 1개를 운영 중에 있음
표 3-2-20 ❙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동의대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동아대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부산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2-21 ❙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동명대학교 동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9
동서대학교 동서대Dream.E.Valley 1999-11-22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4
13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부산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총 9개의 과학관이 운영 중
표 3-2-22 ❙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수산과학관 국립
국립부산과학관 국립
낙동강하구에코센터 공립
부산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부산광역시어린이창의교육관 공립
부산광역시교육청 유아교육진흥원 공립
부산과학체험관 공립
씨라이프부산아쿠아리움 사립
LG디스커버랩 부산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2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중소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1-1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부산이노비즈센터 2005-02-01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 지식 창업보육센터 1999-12-13
중소조선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0-09-01
한국소재융합연구원 한국소재융합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3-04-30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 한국폴리텍Ⅶ대학 부산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0-04-27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벤처진흥센터 2001-06-01
Regional S&T Yearbook 2024 137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부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부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51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0,461명임
표 3-2-23 ❙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641 644 660 958 451
수혜자 수 13,473 17,632 12,758 19,213 10,461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부산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11명 양성
표 3-2-24 ❙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사)부산과학기술
협의회
5
전용공간
4개(233.58㎡)
116 761,38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13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부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6,346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107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2년 대비 각각 2.79%, 3.3% 증가
표 3-2-25 ❙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6,422 6,172 6,058 6,676 6,504 6,174 6,346
특허등록 건수 3,061 3,412 3,300 3,410 3,570 3,008 3,10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3년 부산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622편, 주저자 기준 2,85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54%, 4.97%를 차지
표 3-2-26 ❙ 부산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5,315 7.91 78,633 14.79 2,686 4.90 30,239 11.26
2020 5,583 7.58 61,052 10.94 2,882 4.83 24,006 8.33
2021 6,040 7.57 39,175 6.49 3,057 4.80 14,813 4.85
2022 5,765 7.48 12,026 2.09 2,902 4.83 4,496 1.55
2023 5,622 7.54 13,313 2.37 2,856 4.97 4,807 1.6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13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과학기술로 앞서가는 혁신 허브 도시 ‘부산’
■ (목표) 대전환 시대 인재가 모이고 기업이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추진전략)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지역
R&D시스템 정립을 통한 혁신성과 극대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전략1)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 (과학기술 혁신) 지역 과학기술 역량 개선을 통한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 지원 및 지역
연계 강화 R&D 추진 기반 마련
- (디지털・에너지 전환)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에너지 전환을 통한 고도화 및 규제자유특구 연계
실증 등을 통한 디지털・에너지 전환 기반 신산업 육성
- (지역 산업 성장) 지역 주력산업 맞춤형 기술지원을 통한 고도화 및 지역 기반 연계 신산업 기술
경쟁력 확보 지원
- (개방형 혁신) 디지털 기술 및 지식재산 기반의 지역 산업 서비스화 지원
■ (전략2)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 (디지털・에너지 전환) 디지털 산업 지역 혁신거점 조성 및 디지털・에너지 전환 기반시설 구축 및
운영, 실증 연계
- (지역 산업 혁신성장) 첨단・주력・미래산업 기반 조성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초광역 연계・협력・상생) 수소, 물류, 조선, 항공, 원전기자재 등 협력 추진
- (혁신생태계 조성) 연구인프라 거버넌스 강화 과학기술 문화 확산 지원
■ (전략3)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 (성장) 지역 디지털・에너지 전환, 전략산업 및 신산업 분야의 맞춤형 인재양성 및 지산학 협력
중심의 공유대학 운영
14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잠재인재) 재직자 역량 강화 및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지원
- (정주) 지역 인재 유지를 위한 취・창업 연계 지원 프로그램 운영
■ (전략4) 지역R&D시스템 정립을 통한 지역혁신 성과 극대화
- (기획) 정부 중점투자방향과 연계한 지역 유망분야, 첨단 전략산업 중심의 R&D 발굴・기획 확대
및 공약사업・기존 기획사업 등에 대한 맞춤형 유치 지원
- (예산) 정부 정책 및 부산시 여건을 고려한 ̀ 25년도 부산 연구개발 투자방향 수립 및 예산 배분・조정
시행, 신규 R&D투자 효율화 제도 개선 추진
- (평가・관리) (평가・관리) 지역R&D 성과평가(분석) 시행 및 연구개발정보 플랫폼 고도화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부산의 산업이 전환 시기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중점추진과제 구성
- 과학기술혁신을 통해 신산업 핵심기술 개발 및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 문제 해결 역량을 확보하여
지역 미래 성장기반 마련
- 지역 산업이 디지털・에너지 전환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 적용 추진 및 관련 신산업 육성
- 지역 우위 산업의 기술고도화 및 수요기반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 성장동력 마련
- 지식기반 융합 및 지식재산 활용을 활성화하여 지역 산업 구조를 전환하고, 가치를 제고하는 개방형
혁신 전략 추진
■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 디지털・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반과 혁신거점을 구축하고, 구축된 거점을 중심으로 사업간 연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디지털・에너지 신산업 생태계 조성
- 지역 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첨단 미래기술분야 R&D 역량 강화와 고부가가치 영역 신규 산업・시장
진입 견인 등 디지털 융・복합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기반 조성
- 초광역권 전략산업 및 코어산업 혁신거점 재구조화 및 연계・협력・상생 가속화 기반 조성 등 초광역
혁신 플랫폼 구축
- 디지털・에너지 전환과 첨단 미래신산업에 대한 효율적 육성・지원을 위한 민간R&D활성화 및
과학기술 문화 저변 확대, 연구인프라 연계・활용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141
■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 지산학 협력을 기반으로 초격차기술 등 신산업 및 지역 특성화 산업 혁신인재 양성 및 재직자,
여성 등 수요맞춤형 교육을 통한 지역인재 성장 지원
- 지역에서 성장한 인재와 타 지역으로부터 유입된 인재가 지역 내 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취・
창업 지원 및 지역 정주여건 조성
- 인재순환 관점에서 우수 인재가 부산지역에 머무르며 활약할 수 있는 기반 조성 및 타 지역 인재와의
교류・협력 활성화
■ 지역R&D시스템 정립을 통한 혁신성과 극대화
- 미래수요와 이슈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규 R&D사업 기획 체계를 마련하고, 중복・연계・
협력을 조정하는 총괄 기획 역할 강화
- R&D투자 전략 마련과 투자 대상 사업의 사전 검토 기능 강화로 예산 투입 필요성을 면밀히 검토
하고 지역에 필요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체계 고도화
- 종합계획 이행 점검, R&D사업 정책부합성 검토, R&D사업 평가 체계 정비를 통해 R&D사업
성과가 종합적으로 모니터링・관리될 수 있도록 추진
14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3절 대구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대구의 인구는 약 236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대구 인구의 비율은 4.56%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3-1 ❙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2,436,776 2,414,262 2,387,631 2,363,420 2,359,734
전국인구대비 비율(%) 4.71 4.67 4.61 4.57 4.56
경제활동참가율(%) 60.2 58.9 60.5 60.9 61.7
실업률(%) 3.7 3.9 3.7 2.9 3.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14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구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6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4%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은 전체의 44.1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3.11%로
뒤를 이음
- 제조업은 지난 5년 간 10.87%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3-2 ❙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63,321,613 62,597,844 65,647,017 67,070,053 67,890,242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52,120 130,944 127,419 122,992 130,297
(지역내비중,%) (0.24) (0.21) (0.19) (0.18) (0.19)
제조업 12,320,482 11,359,915 12,105,463 12,641,645 12,765,134
(지역내비중,%) (19.46) (18.15) (18.44) (18.85) (18.80)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47,415 498,657 530,433 688,768 582,048
(지역내비중,%) (0.55) (0.80) (0.81) (1.03) (0.86)
건설업 3,137,167 3,725,537 4,104,965 4,136,556 4,201,167
(지역내비중,%) (4.95) (5.95) (6.25) (6.17) (6.19)
기타서비스업 28,728,772 28,077,225 28,879,838 29,282,391 29,993,526
(지역내비중,%) (45.37) (44.85) (43.99) (43.66) (44.1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3,962,463 14,097,207 14,731,952 15,258,117 15,689,424
(지역내비중,%) (22.05) (22.52) (22.44) (22.75) (23.11)
순생산물세 4,654,291 4,708,359 5,166,947 5,050,405 4,538,953
(지역내비중,%) (7.35) (7.52) (7.87) (7.53) (6.6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14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대구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33조 5,418억 원이고, 3,295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0만 1,778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6조 4,503억 원(전체의 19.23%),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724개(전체의 21.97%), 종사자 수에서는 ‘금속 가공
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1만 7,148명(전체의 16.8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3-3 ❙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908,884 5.69 148 4.49 4,976 4.89
음료 제조업 159,924 0.48 7 0.21 434 0.4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685,161 8.01 522 15.84 12,818 12.5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50,146 0.75 85 2.58 1,771 1.7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4,569 0.04 5 0.15 87 0.09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94,551 0.28 18 0.55 410 0.4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94,152 4.16 83 2.52 2,859 2.8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20,647 0.66 51 1.55 1,275 1.2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45,499 1.33 44 1.34 1,049 1.0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23,080 0.37 19 0.58 655 0.6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91,942 6.24 260 7.89 8,955 8.8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94,126 1.47 45 1.37 1,007 0.9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008,639 5.99 87 2.64 2,839 2.79
1차 금속 제조업 4,439,165 13.23 724 21.97 17,148 16.8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62,756 2.87 60 1.82 3,566 3.5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49,838 3.13 151 4.58 4,020 3.9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268,226 9.74 133 4.04 6,476 6.36
전기장비 제조업 5,204,409 15.52 510 15.48 14,730 14.4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450,363 19.23 283 8.59 15,242 14.9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1,927 0.15 10 0.30 253 0.2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5,616 0.29 18 0.55 494 0.49
가구 제조업 73,482 0.22 25 0.76 546 0.54
기타 제품 제조업 54,787 0.16 7 0.21 168 0.1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3,541,889 100.00 3,295 100.00 101,778 100.00
Regional S&T Yearbook 2024 14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으로
나타남
표 3-3-4 ❙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
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
기계및가구제외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14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구광역시는 ‘반도체’, ‘UAM‘, ‘로봇’, ‘헬스케어’, ‘ABB‘, ‘핵심인재 육성’ 사업을 집중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3-5 ❙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반도체
센서산업 지역거점 구축지원
AI 반도체 핵심기술 실증지 사업 등
UAM
미래모빌리티 선도기술 개발지원
자동차산업 미래 기술혁신 오픈 플랫폼 생태계 구축 등
로봇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정밀기계가공산업 육성사업 등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대구 스마트 웰니스)
지역 바이오헬스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지원사업 등
ABB
디지털혁신거점 조성사업
국가 디지털데이터 허브구축 등
핵심인재 육성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등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16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단지 24곳의 가동 업체는 9,814개, 총 종사자는 116,463명
표 3-3-6 ❙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구국가 8,559 7,355 286 203 6,406 62 조성중
일반
성서1차[재생사업지구] 2,687 2,687 886 881 11,493 100 완료
성서2차[재생사업지구:부분] 4,750 4,701 1,120 1,113 17,576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147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성서3차 3,329 2,895 702 695 9,698 100 완료
성서4차 432 432 65 65 3,507 100 완료
대구출판 242 242 114 113 976 100 완료
대구이시아폴리스 1,176 1,176 59 58 1,563 100 완료
검단 782 782 588 580 7,878 100 완료
대구염색[재생사업지구] 849 849 127 123 4,620 100 완료
달성1차 4,078 4,078 331 308 13,152 100 완료
달성2차 2,707 2,377 290 269 4,488 100 완료
대구테크노폴리스 7,259 7,259 79 79 3,357 74 조성중
성서5차첨단 1,470 1,407 116 115 3,903 100 완료
대구제3[재생사업지구] 1,685 1,684 2,563 2,563 8,949 100 완료
달성대성하이스코 57 57 2 0 0 70 완료
금호워터폴리스 1,185 1,185 0 0 0 57 조성중
서대구[재생사업지구] 2,662 2,661 2,600 2,535 16,991 100 완료
도시
첨단
대구신서혁신도시(공공주택지구) 149 149 0 0 0 29 완료
율하 167 167 0 0 0 0 조성중
경북대캠퍼스혁신파크 29 29 0 0 0 0 미개발
농공
구지 193 193 22 22 546 100 완료
옥포 162 162 49 49 521 100 완료
군위 301 301 36 31 655 100 완료
호령 112 112 13 12 184 100 완료
14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대구시에는 총 1,249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2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0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93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89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83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3-7 ❙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1 2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2 36 46
음료 제조업 1 2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0 69 5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3 13 9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 6 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 3 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 11 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1 12 10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4 35 3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 7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3 46 4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9 12 10
1차 금속 제조업 16 16 1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5 97 8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8 55 5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00 101 89
전기장비 제조업 71 76 7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84 202 19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3 68 61
Regional S&T Yearbook 2024 149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1 11 7
가구 제조업 6 6 5
기타 제품 제조업 34 34 3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 3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3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4 2
건설업(41~42) 16 22 20
도매 및 소매업(45~47) 26 29 38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2
정보통신업(58~63) 216 239 226
금융 및 보험업(64~66) - 1 1
부동산업(68) 1 1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1 97 10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7 9 1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5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231 1,337 1,249
15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 대구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0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1,297명으로 전국 대비 2.62%를 차지하였고, 최근 연구개발인력 5개년
동안 연평균 1.53% 증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9,991명(전국의 4.27%)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9,559명(전국의 1.83%)으로 대학이 뒤를 이었으며, 공공연구소는 1,747명(전국의 2.47%)으로
가장 적게 나타남
표 3-3-8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096 4.17 8,633 4.17 9,205 4.38 9,329 4.20 9,991 4.27
∙ 국공립 6,155 7.70 6,489 7.49 7,100 8.17 7,443 8.29 8,066 8.51
∙ 사립 1,941 1.70 2,144 1.78 2,105 1.71 1,886 1.42 1,925 1.38
공공연구소 1,643 2.63 1,799 2.81 1,647 2.47 1,621 2.37 1,747 2.46
∙ 국공립 488 3.79 155 1.21 152 1.13 155 1.17 165 1.25
∙ 정부출연 525 1.52 523 1.54 425 1.25 449 1.29 470 1.32
∙ 병원 및 기타 630 4.18 1,121 6.45 1,070 5.56 1,017 4.95 1,112 5.41
기업 10,000 2.16 10,064 2.11 10,188 2.00 9,900 1.89 9,559 1.83
∙ 정부투자기관 49 1.27 61 1.63 44 1.14 61 1.53 49 1.30
∙ 민간기업 9,951 2.17 10,003 2.12 10,144 2.01 9,839 1.90 9,510 1.83
합 계 19,739 2.75 20,496 2.74 21,040 2.68 20,850 2.56 21,297 2.6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151
■ ’23년 대구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와 같은 61.2명으로 조사됨
표 3-3-9 ❙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7.6 60.1 62.2 61.2 61.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대구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5,890억 원으로 전국의 1.41%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5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914억(전국의 4.51%), 공공연구소는 약
2,868억 원(전국의 2.07%), 기업이 약 8,108억 원(전국의 0.86%)을 기록
표 3-3-10 ❙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45,594 4.69 391,422 4.69 431,055 4.62 450,273 4.37 491,410 4.51
∙ 국공립 291,210 8.89 330,633 8.76 362,176 8.59 396,534 8.75 427,668 8.85
∙ 사립 54,384 1.33 60,789 1.33 68,879 1.35 53,739 0.93 63,742 1.05
공공연구소 209,394 2.06 224,681 2.02 261,320 2.18 270,272 2.09 286,816 2.07
∙ 국공립 35,041 4.19 10,292 1.21 31,576 3.26 9,858 0.97 13,342 1.26
∙ 정부출연 101,405 1.30 69,819 0.84 59,968 0.69 66,917 0.72 70,760 0.71
∙ 병원 및 기타 72,948 4.78 144,571 7.29 169,776 7.35 193,497 7.37 202,714 7.15
기업 781,038 1.09 748,003 1.02 795,267 0.98 857,891 0.96 810,849 0.86
∙ 정부투자기관 6,550 0.75 5,396 0.62 5,324 0.62 5,533 0.62 5,494 0.74
∙ 민간기업 774,488 1.10 742,607 1.02 789,943 0.99 852,358 0.96 805,355 0.86
합 계 1,336,026 1.50 1,364,107 1.47 1,487,642 1.46 1,578,436 1.40 1,589,075 1.4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5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대구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8,68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9%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64%
표 3-3-11 ❙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301 6,842 7,168 7,376 8,689
(3.1) (3.0) (3.0) (2.8) (2.9)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구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혁신성장실에서 담당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153
표 3-3-12 ❙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4,951 2 11,689 160 73 47 2,98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3-13 ❙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7조(위원회의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유공자 선정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2년(1회에 한하여 연임가능)
미래혁신성장실
∙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혁신인재 양성
∙ 에너지산업의 육성・지원
∙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
∙ 첨단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육성 및 지원
∙ 기계로봇 산업육성 및 지원 등
미래혁신정책관
∙ 지역주도 혁신성장 정책 수립・시행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반도체산업 육성 및 유관기업 협력
∙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육성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등
15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2024.09.26)
- 「대구시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과기부 제출을 위한 안건 심의 등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3-14 ❙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정장수 대구광역시 재직시
부위원장 최운백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김지인 대구보건대학교 2025.09.08 ~ 2027.09.07
위원 김춘희 대구사이버대학교 2025.09.08 ~ 2027.09.07
위원 김현덕 경북대학교 2025.09.08 ~ 2027.09.07
위원 남윤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5.09.08 ~ 2027.09.07
위원 문기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5.09.08 ~ 2027.09.07
위원 박철영 대구대학교 2025.09.08 ~ 2027.09.07
위원 신진교 계명대학교 2025.09.08 ~ 2027.09.07
위원 이난희 (사)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2025.09.08 ~ 2027.09.07
위원 이혜진 경북대학교 2025.09.08 ~ 2027.09.07
위원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2025.09.08 ~ 2027.09.07
위원 김대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5.09.08 ~ 2027.09.07
Regional S&T Yearbook 2024 15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구시의 총예산은 약 18조 5,420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492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92%
- 과학기술 예산 중 대구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4.28%
표 3-3-15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185,420
재정자주도(%) 64.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33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492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1.12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15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대구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2,066개로 전국의 3.3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0.53% 감소
- 5년간 대학 3개 증가, 공공연구소 1개 감소, 기업 58개 감소
표 3-3-16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3.61 16 3.89 18 4.26 18 4.31 18 3.90
∙ 국공립 5 5.95 5 5.88 6 6.98 6 6.82 5 5.49
∙ 사립 10 3.02 11 3.37 12 3.56 12 3.64 13 3.50
공공연구소 30 4.67 31 4.68 28 4.06 27 3.95 29 3.86
∙ 국공립 2 1.40 2 1.40 2 1.31 2 1.46 2 1.49
∙ 정부출연 12 7.10 10 6.13 9 5.29 10 6.06 10 5.88
∙ 병원 및 기타 16 4.85 19 5.32 17 4.64 15 3.94 17 3.80
기업 2,077 3.79 2,150 3.68 2,202 3.54 2,096 3.26 2,019 3.33
∙ 정부투자기관 2 3.64 2 3.70 2 3.39 2 3.28 2 3.57
∙ 민간기업 2,075 3.79 2,148 3.68 2,200 3.54 2,094 3.26 2,017 3.33
합 계 2,122 3.80 2,197 3.69 2,248 3.55 2,141 3.27 2,066 3.3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157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대구 소재 대학 수는 12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7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3-17 ❙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7 7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9 1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 대구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4,31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988명(전체의 약 11.85%), 공학계열 학생이 1만 9,240명
(전체의 약 22.82%)
표 3-3-18 ❙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988 19,240 29,228 16,354 8,048 6,449 5,831 18,400 84,310
비중(%) 11.85 22.82 34.67 19.40 9.55 7.65 6.92 21.82 100.00
※ 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5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대구광역시에는 총 9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경북대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대구한의대학교에 1개가 있음
표 3-3-19 ❙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6개센터)
2018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ERC
2020 혈관-장기 상호작용 제어 연구센터 MRC
2021 소프트웨어재난 연구센터 ERC
2021 종양 가소성 연구센터 MRC
2022 비선형 동역학 수리응용 센터 SRC
2022 메타버스 가상서원 구축을 위한 딥러닝 기반 전통기록물 해독 C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기상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 ERC
2018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 ERC
대구한의대학교
(1개 센터)
2018 간질환 한약 융복합활용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4 159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구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에 계명대가 3개, 대구한의대, 경북대, 영진전문대에서 각 1개씩
존재했지만, ’23년에는 계명대 2개만 운영 중에 있음
표 3-3-20 ❙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계명대
예측설계기반 전자화자동차부품 지역혁신센터
전통미생물 자원개발 및 산업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16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대구광역시에는 대학・연구기관 등에 1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3-21 ❙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9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6-22
계명문화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7-06-30
한국환경공단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창업보육센터 2019-09-04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대구경북중소기업청 경북대학교 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9-12-24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9-06-08
(대구)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대구 창업보육센터(포스트BI) 1998-05-28
대구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30
대구광역시 대구스케일업허브(DASH) 2021-06-30
수성대학교 수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0-2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4 16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구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총 6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3-22 ❙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대구기상과학관 국립
국립대구과학관 국립
대구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대구광역시어린이세상 공립
네이처파크 천문과학관 사립
대구 아쿠아리움 전문 과학관 사립
※ 출처 : 2025년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구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대구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8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851명임
표 3-3-23 ❙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295 231 283 247 186
수혜자 수 2,278 3,809 4,950 5,514 5,85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16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대구 특허출원 건수는 4,705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450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0.47% 증가 등록건수 모두 ’22년 대비 2.4% 감소
표 3-3-24 ❙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4,779 4,619 4,801 4,782 5,037 4,683 4,705
특허등록 건수 2,612 2,519 2,781 2,881 2,837 2,509 2,45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대구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660편, 주저자 기준 2,25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25%, 3.92%를 차지
표 3-3-25 ❙ 대구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4,211 6.26 67,869 16.12 2,087 3.80 25,963 12.44
2020 4,880 6.62 56,527 11.58 2,515 4.22 22,990 9.14
2021 5,209 6.52 40,935 7.86 2,630 4.13 14,522 5.52
2022 5,040 6.54 11,611 2.30 2,559 4.26 4,423 1.73
2023 4,660 6.25 10,968 2.35 2,253 3.92 4,487 1.9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16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기반 글로벌 미래번영 도시 대구
■ 목표 :
- 미래번영의 토대 마련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제고
- 과학기술 기반의 지속가능한 미래 신산업 창출・육성
-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및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전략 :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 지역혁신 주체의 성장을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혁신을 뒷받침하는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 주도 R&D 혁신 거버넌스 구축
- 지역 과학기술진흥위원회, 과학기술 전담조직 등 과학기술 정책 의사결정체의 위상 강화
- 지자체 주도의 과학기술 정책・사업조정 및 예산배분 등 정책-예산간 연계체계 강화 등
■ 지역 R&D 정책기획 역량 강화
- 증거 기반의 R&D 정책 기획 및 수립을 통한 지역 주도의 자생적 혁신생태계 조성
- 지역 내 산・학・연・관 협업・협력 기반의 지역 경제산업 분석 및 지역 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 및 정책사업 발굴・기획 등
■ DTIS 기반의 지역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환류체계 강화
- 지역 내 연구개발사업 간 연계・중복 조정 및 컨설팅을 통한 예산 투자 효율성 향상 및 사업성과의
극대화
- 전국 최초 지역 연구개발사업 조・분・평 체계 기반인 “대구과학기술정보서비스(DTIS)”을 통한
성과관리체계 확립 및 대구형 조사・분석・평가 플랫폼 고도화 등
16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대학・혁신기관의 지역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 지역대학 중심의 지역 전략산업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 기반 창업・사업화 지원 강화를
통한 기술혁신 선도 및 혁신성과 창출
- 지역대학 및 지역 혁신기관의 연계협력 플랫폼 구축・운영을 통한 미래 신산업 발굴・육성 및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 고도화 등
■ 출연연 중심 지역대학-혁신기관 연계 융합・중개연구 거점 활성화
- 지역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대학-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킹, 지식 공유 플랫폼 및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육성
- 지역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협력 문제해결 플랫폼 구축과 주력산업 기반 융합연구를 통한 미래
기술 개발 및 임무지향형 연구거점 구축 등
■ 산・학・연 연구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선순환 체계 활성화
- 지역이 필요로 하는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지역산업과 연계한 개방형 연구 활성화로 지역 혁신
기관의 기술역량 강화 및 미래 지역 혁신활동 촉진
-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
■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플랫폼 강화
- 지역 공공연구 성과가 사업화・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학 창업 및 연구소기업 성장 체계적 지원
- 지역 기반 공공, 민간 TLO의 안정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역 비중 확대 및 사업체계 개편 등
■ 지역 맞춤형 산업기술 인재 양성
-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기술 전문인력 양성 및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신산업 및 미래 전략산업
분야의 인재 양성
- 지역 수요기반의 산업구조 전환 대응을 위한 미래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 역량과 산업 경쟁력을 동반
강화시키는 우수 석・박사 연구 고급인력 양성 등
■ 대구형 창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기업 육성・지원
- 창업기업의 질적 성장구현을 위한 혁신기관 연계・협력 체계 구축
- 지역 주도의 창업 붐업 및 창업 전주기 지원을 통한 창업・벤처투자 생태계 강화 등
■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 지역기업의 중개연구, 사업화 비즈니스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 지역혁신기관의 협력 강화를 통한
지역 R&D 공공연구 성과의 지역확산
- 지역기업의 단계별 성장 촉진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출연(연) 등 이해관계자 참여로 지역
혁신기관 연계 연구개발 플랫폼 활용성 증대 등
Regional S&T Yearbook 2024 165
■ 기술・산업 변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및 탈탄소화 전환 지원
- 기존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개선 및 입주 업종의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기반 인프라 개선 등 첨단
업종 및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지원
- 기존 클러스터 내 산・학・연 간 협력 연구개발 기능 강화로 제조・서비스업 기업의 디지털 기반 전환,
제조혁신 지원 등 기술 변화 대응을 위한 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추진 등
■ 차세대 연구혁신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지역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규제개혁을 통한 지역 주도의 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연구중심의 혁신클러스터 구축 등
■ 지역 R&D 거점기관과 연계한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R&D 거점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 연계・협력 강화
- 디지털화를 통한 산업별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및 미래 신산업 기반의 클러스터 첨단화 기반 마련 등
■ 도심형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확산
-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반의 첨단 디지털 도시환경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력난 해소를 위한 도심형 벤처・창업 혁신거점 조성 등
■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정착지원체계 마련
- 지역 과학기술 인력의 현장중심형 인재 양성 및 지역 정착 유도
-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사업모델 혁신, 아이템
고도화 등 지역의 유망 청년창업기업 활성화 추진 등
■ 지역 내 과학기술 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산업의 비즈니스 창출과 신성장 산업육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중심의 신기술 교류협력 및 마케팅
활로 개척 등 전시회 개최 지원
- 시민 과학기술 체험 및 활동 기회 확대를 통한 지역 기반의 과학기술문화 저변확대 등
■ 지역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미래유망 ICT 신기술(5G, AI, VR・AR)과 이종분야(교통, 제조, 농업 등) 간 디지털 융합을 통한 혁신
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혁신적 창작 아이디어 발굴과 개발 지원을 위한 융복합형 랩을 통해 창의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혁신생태계 기반 구축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시민 접근 편의성・만족도 제고와 함께 첨단
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16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R&D 혁신주체(시민, 연구기관, 대학 등)들이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R&D로 기획・수행
경험을 통한 자생적 R&D 생태계 구축 및 역량 강화 추진 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 R&D 혁신 거버넌스 구축
- 지역과학기술진흥위원회 기능 강화를 통한 지역 주도 R&D 거버넌스 구축
-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조정회의를 통한 R&D 사업의 지역 효과성 및 예산투자 효율성 강화
■ 지역 R&D 정책기획 역량 강화
- 지역 과학기술 씽크탱크로 조사분석 기반의 정책 기획・수립 역량 강화
- 소통・공유・협력을 통한 과학기술기반 대구경제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산・학・연・관 협업・협력의
경제산업 정책 및 사업 발굴・기획 플랫폼 구축
■ DTIS 기반의 지역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환류체계 강화
-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를 통한 사업수행 책임성 강화, 사업간 중복 조정 및 우수사례 확산
으로 투자 효율성 향상
- 대구과학기술정보서비스(DTIS) 정보 현행화를 통한 체계적인 정책수립, 기업지원, 예산 조정・
배분의 시의성 높은 정보제공 및 활용성 강화
■ 지역 대학・혁신기관의 지역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 권역별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전략산업・기술과 연계한 융합형 핵심기술 산・학・연 협력
연구 촉진
- 지역 미래산업 분야 공동연구 등 기술 중심 중・장기 산학협력 및 도출된 기술 기반 창업・사업화 지원
강화로 지역 기술혁신 선도
■ 출연연 중심 지역대학-혁신기관 연계 융합・중개연구 거점 활성화
- 지역 융합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 출연연-거점대학 연계 임무지향형 연구거점 구축
- 출연연, 대학의 우수 연구 인프라 개방・공유를 통한 디지털 전략산업육성 지원체계 활성화
■ 산・학・연 연구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선순환 체계 활성화
- 지역 산・학・연 협력으로 구성된 기술혁신 생태계 구축을 통해 기업 수요 기반의 기초・원천연구, 중개
연구, 사업화 지원 및 미래 유망 기술개발 등 지역혁신 역량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167
- 연구개발 성과가 지역혁신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 지원체계 강화
■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플랫폼 강화
-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지차체 또는 초광역 단위의 ‘개념검증
센터’ 구축・지원
- 지역 기반 공공, 민간 TLO의 상호 협력 기반으로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산업기술 인재 양성
- 지역 산업・기업육성 정책을 연계 등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사업의 추진으로 실무 중심의
인재 양성 교육과정 확대
- 신산업 및 지역 전략산업 분야 종합적 미래인재 양성 및 기업가형 대학 육성지원을 위해 지역대학,
연구기관 등 산・학・연・관 교육 협력체계 활성화
■ 대구형 창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기업 육성・지원
- 지역 주도의 창업 및 기술사업화 관련 산・학・연이 참여하는 창업 협력체계 구축
- 고성장 스타트업 등 유망 창업기업 지원 및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주기 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창업문화 확산
■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 지역 기업이 First Mover로 변화하기 위한 독일 Industry 4.0의 연결성 기반 지역 혁신기관간 수평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중개연구 중심 정책・원천융합연구 추진
- 지역 기업의 단계별 성장 촉진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출연(연) 등 지역혁신기관과 연계한
연구개발 플랫폼 활용성 강화
■ 기술・산업 변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및 탈탄소화 전환 지원
- 기존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개선 및 입주 업종의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기반 인프라 개선 등 첨단
업종 및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지원
- 기존 제조・서비스업 기업의 디지털 기반 전환,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스마트 제조 및 보안 인프라
개발・실증 관련 연구개발 기능 강화
■ 차세대 연구혁신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지역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혁신사업 발굴을 위한 규제개혁 및 생태계 조성을
주도할 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역 특화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지속발전을 위한 연구중심의 혁신클러스터 지원체계 구축
16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R&D 거점기관과 연계한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특화산업별 혁신클러스터 맞춤형 지원을 위한 발전방향 수립 및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신시장 및
고용 창출 촉진
- 지역 R&D 거점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 내, 클러스터 간 연계・협력 강화 및 지원
효율성 제고
■ 도심형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확산
- 첨단 디지털 도시환경 조성 및 지역주도 디지털 혁신 거점 구축 등 SW・ICT융합산업 기반 조성 및 활성화
- 인공지능 인프라 기술 선도를 위한 AI산업 생태계 기반 조성 및 전 분야 확산 지원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정착지원체계 마련
- 지역 산업의 고용 관련 기관・단체 등 협력을 기반으로 중앙부처의 산업・경제정책 지원사업 등과 연계
추진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일자리 사업추진
-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사업모델 혁신, 아이템
고도화 등 지역의 유망 청년창업기업 활성화 추진
■ 지역 내 과학기술 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산업의 비즈니스 창출과 신성장 산업육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중심의 신기술 교류협력 및 마케팅
활로 개척 등 전시회 개최 지원
- 지자체 등 협력 기관과 연계한 과학교실 운영으로 실생활에서 과학기술 체험 및 활동 기회 제공으로
지역 기반의 과학기술문화 저변 확대
■ 지역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미래유망 ICT 신기술(5G, AI, VR・AR)과 이종분야(교통, 제조, 농업 등) 간 디지털 융합을 통한
혁신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혁신적 창작 아이디어 발굴과 개발 지원을 위한 융복합형 랩을 통해 창의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
생태계 구축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혁신생태계 기반 구축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시민 접근 편의성・만족도 제고와 함께
첨단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 지역 R&D 혁신주체(시민, 연구기관, 대학 등)들이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R&D 기획・수행을
통한 자생적 R&D 생태계 구축 및 역량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169
제4절 인천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인천의 인구는 약 301만 명으로 특・광역시 중 부산 이후 처음으로 300만 돌파
- 전국 인구대비 인천 인구의 비율은 5.82%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4-1 ❙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2,952,200 2,951,065 2,940,927 2,960,685 3,008,826
전국인구대비 비율(%) 5.70 5.70 5.68 5.73 5.82
경제활동참가율(%) 65.4 64.2 63.9 64.8 65.2
실업률(%) 4.4 4.6 4 3.3 3.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조사 시점: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17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인천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1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67%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3.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24.67%로 그 뒤를 이음
- 건설업은 지난 5년간 6.5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4-2 ❙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97,928,366 95,297,255 99,781,575 106,604,503 111,713,519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49,514 372,284 366,407 309,544 300,223
(지역내비중, %) (0.36) (0.39) (0.37) (0.29) (0.27)
제조업 23,781,580 23,928,855 25,140,753 26,080,676 27,561,924
(지역내비중, %) (24.28) (25.11) (25.20) (24.46) (24.6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282,582 2,019,667 2,044,066 1,973,810 1,019,208
(지역내비중, %) (2.33) (2.12) (2.05) (1.85) (0.91)
건설업 5,420,710 6,521,228 7,422,424 7,967,453 7,454,962
(지역내비중, %) (5.54) (6.84) (7.44) (7.47) (6.67)
기타서비스업 42,901,638 38,806,513 39,697,269 44,235,342 48,352,970
(지역내비중, %) (43.81) (40.72) (39.78) (41.49) (43.2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5,128,899 15,511,919 16,368,860 17,206,810 17,668,349
(지역내비중, %) (15.45) (16.28) (16.40) (16.14) (15.82)
순생산물세 8,168,724 8,136,789 8,741,796 8,783,976 8,575,562
(지역내비중, %) (8.34) (8.54) (8.76) (8.24) (7.6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17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인천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77조 8,810억 원이고, 4,732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2,60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생산액 약 11조 5,405억 원(전체의 14.82%), 사업체 수 909개(전체의
19.21%), 종사자 수 2만 9,072명 (전체의 16.8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4-3 ❙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주1: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517,196 8.37 261 5.52 9,491 5.50
음료 제조업 - - 1 0.02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66,997 0.34 61 1.29 1,438 0.8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479,228 0.62 69 1.46 1,901 1.1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97,083 0.25 14 0.30 242 0.1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065,362 2.65 149 3.15 4,632 2.6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35,166 0.69 78 1.65 2,163 1.2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42,934 0.31 47 0.99 1,240 0.7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6,690,558 8.59 6 0.13 716 0.4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029,603 3.89 234 4.95 8,102 4.6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854,024 4.95 21 0.44 7,448 4.3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518,302 4.52 381 8.05 13,559 7.8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398,347 1.80 101 2.13 2,905 1.68
1차 금속 제조업 10,550,996 13.55 226 4.78 8,847 5.1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352,797 5.59 788 16.65 18,245 10.5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699,492 11.17 387 8.18 22,425 12.9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009,313 1.30 165 3.49 4,662 2.70
전기장비 제조업 3,434,461 4.41 402 8.50 12,259 7.1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1,540,581 14.82 909 19.21 29,072 16.8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056,976 10.35 208 4.40 17,140 9.9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76,851 0.23 20 0.42 622 0.36
가구 제조업 753,415 0.97 103 2.18 2,694 1.56
기타 제품 제조업 426,183 0.55 92 1.94 2,336 1.3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9 0.19 - -
합 계 77,881,005 100.00 4,732 100.00 172,609 100.00
17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4-4 ❙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
제외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4 17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인천시는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혁신자원 효율화’, ‘투자재원 확대’,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효과적인 양성인력 활용’ 사업을 중점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4-5 ❙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인천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인천 연구개발(R&D) 활성화 사업
혁신자원 효율화
AI playground 조성사업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
반도체산업 대・중소기업 동반 생태계 조성사업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사업
인천 항공기업 인증획득 지원
투자재원 확대 인천 서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사업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지원사업
K-바이오랩허브 건립사업
인천 스타트업파크 운영사업
인천남동 에너지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및 운영사업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인천 어린이과학관 운영
인천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지원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인천시 생활과학교실 운영 지원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광역형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
미래우주교육센터 구축
화이트바이오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
지역지능화 혁신인재 양성사업
청소년 바이오 아카데미
효과적인 양성인력 활용 이차전지 혁신융합대학 지원사업
17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4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18개 산업단지의 가동업체는 13,296개이며, 총 종사자 수는 149,689명
표 3-4-6 ❙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남동[재생사업지구] 9,574 9,574 8,034 7,741 83,721 100 완료
한국수출산업 1,786 1,786 3,204 3,198 23,631 100 완료
일반
인천기계 350 350 179 177 2,466 100 완료
인천 1,136 1,136 591 591 6,929 100 완료
뷰티풀파크
(구:인천검단)
2,251 2,250 1,034 955 10,907 98 완료
인천서부 939 938 287 280 5,671 100 완료
청라1지구 194 194 35 35 751 100 완료
송도지식정보 2,402 2,400 137 89 9,307 93 완료
강화하점 59 59 10 9 126 100 완료
강화 462 462 81 64 879 100 완료
서운 525 525 70 69 3,583 100 완료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 56 56 23 20 101 100 완료
I-FoodPark 283 273 84 68 1,617 100 조성중
영종항공
(인천경제자유구역)
495 495 0 0 0 0 조성중
계양 243 243 0 0 0 0 미개발
인천검단2일반산업단지 770 770 0 0 0 0 미개발
도시첨단
IHP
(인천경제자유구역)
1,171 1,165 515 413 1,865 65 완료
남동 233 234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4 175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인천시에는 총 1,779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23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14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71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제조업(177개)’, ‘전기장비 제조업(15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4-7 ❙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1 2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58 75 85
음료 제조업 1 2 3
담배 제조업 - - 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5 17 1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 7 6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4 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6 23 2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5 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5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3 128 12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1 13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6 73 6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13 12
1차 금속 제조업 29 34 3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31 149 12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71 196 17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3 92 85
전기장비 제조업 141 158 15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76 302 271
17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4 29 3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3 17 15
가구 제조업 22 24 24
기타 제품 제조업 52 57 5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6 4
건설업(41~42) 20 26 30
도매 및 소매업(45~47) 40 52 44
운수 및 창고업(49~52) 6 7 7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 3 3
정보통신업(58~63) 163 202 223
금융 및 보험업(64~66) 2 2 2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06 121 11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4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6 8 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3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93 1,861 1,779
Regional S&T Yearbook 2024 17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인천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5위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843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34%이며,
전국대비 비중은 3.79%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2,346명(전국의 4.27%)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은
6,187명(전국의 2.65%), 공공연구소는 2,310명(전국의 3.25%) 차지
표 3-4-8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543 2.86 5,255 2.54 5,230 2.49 4,279 1.93 6,187 2.65
∙ 국공립 1,211 1.52 1,189 1.37 1,253 1.44 21 0.02 21 0.02
∙ 사립 4,332 3.79 4,066 3.38 3,977 3.23 4,258 3.21 6,166 4.43
공공연구소 2,109 3.38 2,267 3.53 2,352 3.53 2,410 3.52 2,310 3.25
∙ 국공립 999 7.75 1,096 8.55 1,088 8.10 1,170 8.81 1,047 7.95
∙ 정부출연 590 1.71 558 1.64 546 1.61 507 1.46 533 1.49
∙ 병원 및 기타 520 3.45 613 3.53 718 3.73 733 3.57 730 3.55
기업 21,204 4.59 21,443 4.50 22,372 4.40 23,415 4.48 22,346 4.27
∙ 정부투자기관 142 3.69 162 4.33 148 3.83 139 3.49 143 3.78
∙ 민간기업 21,062 4.60 21,281 4.51 22,224 4.40 23,276 4.48 22,203 4.28
합 계 28,856 4.01 28,965 3.88 29,954 3.81 30,104 3.70 30,843 3.7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7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인천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3명 감소한 73.7명으로 조사됨
표 3-4-9 ❙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3.5 74.3 78.7 77.0 73.7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인천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6,031억 원(전국의 3.20%),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8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923억 원(전국의 2.68%), 공공연구소는
약 3,094억 원(전국의 2.23%), 기업이 약 3조 12억 원(전국의 3.18%)
표 3-4-10 ❙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52,153 3.42 259,824 3.11 286,127 3.07 261,443 2.54 292,341 2.68
∙ 국공립 33,499 1.02 38,934 1.03 44,393 1.05 429 0.01 1,193 0.02
∙ 사립 218,654 5.34 220,890 4.82 241,734 4.73 261,014 4.52 291,148 4.80
공공연구소 274,881 2.70 287,472 2.59 307,266 2.56 332,318 2.57 309,478 2.23
∙ 국공립 77,884 9.32 79,866 9.38 88,795 9.18 79,523 7.80 82,175 7.74
∙ 정부출연 143,554 1.84 141,466 1.71 133,102 1.53 143,745 1.55 157,848 1.58
∙ 병원 및 기타 53,443 3.50 66,140 3.34 85,369 3.69 109,050 4.15 69,455 2.45
기업 2,318,878 3.24 2,389,333 3.25 2,633,600 3.26 3,009,166 3.37 3,001,299 3.18
∙ 정부투자기관 24,308 2.80 27,311 3.12 26,985 3.14 22,964 2.58 18,657 2.50
∙ 민간기업 2,294,570 3.25 2,362,022 3.25 2,606,615 3.26 2,986,202 3.37 2,982,642 3.19
합 계 2,845,912 3.20 2,936,629 3.16 3,226,992 3.16 3,602,927 3.20 3,603,118 3.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179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인천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93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3%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1.55%
표 3-4-11 ❙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016 4,787 5,243 5,410 6,937
(2.0) (2.1) (2.2) (2.1) (2.3)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 “환경국”, “해양항공국”,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담당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18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Regional S&T Yearbook 2024 181
표 3-4-12 ❙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7,894 2 14,138 218 84 47 3,40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4-13 ❙ 인천광역시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미래산업국
∙ 인천시 미래 전략산업 업무 총괄(산학연 협력, 인력양성, 연구개발, 혁신인프라 구축 등)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연구개발 지원, 산업 육성 등)
산업정책과
∙ 지역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수립
∙ 인천시 과학기술진흥 협의회 운영, 과학기술상 시상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운영(인천TP 위탁)
∙ 지역과학 거점센터 운영지원
∙ 지역 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운영
∙ 인천 미래산업 육성 및 기획(미래차 등)
∙ 인천 제조산업 육성 및 지원
창업벤처과
∙ 창업정책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창업육성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창업 인프라 조성 및 관련 프로그램 지원
∙ 벤처기업 육성
데이터
산업과
∙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 사업 운영
∙ 글로벌스케일업캠퍼스 사업 운영
∙ AI Playground 인천 조성 사업 운영(기업육성 사업 발굴・추진)
∙ 인천 데이터허브 구축사업 운영
∙ 데이터 관련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반도체
바이오과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지원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
에너지
산업과
∙ 수소생태계 구축전략 및 수소충전인프라 구축계획 수립
∙ 수소 모빌리티 보급사업 추진
환경국
∙ 환경기후 업무 총괄(환경보전 중장기 계획 수립, 환경정책 수립, 온실가스 배출권 관리 등)
∙ 탄소중립 정책 및 환경산업 교육, 녹색기후기금(GCF) 지원 협력 총괄
환경기후
정책과
∙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지원
∙ 인천서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 녹색기후산업 중장기계획 수립 및 시행
∙ 창업벤처녹색융합클러스터 기업지원
해양항공국
∙ 항공정책 및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총괄
∙ 항공정책 민간협의체 및 인천공항 경제권 추진 협의회 운영
18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15조 (협의회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 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 ( 2023.10.27.∼ 2025.10.26.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2023.12.)
- 인천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4년 추진실적 및 ’25년 시행계획 심의
항공과
∙ 공항개발 기본계획 수립
∙ 항공정비・부품 산업 육성 지원,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 지원
∙ 항공우주산학융합지구 육성 지원, 드론사업생태계 구축 지원
∙ 항공산업 인재양성 및 교육훈련 지원
인천경제
자유구역청
스마트시티과
∙ 스마트시티 전략 수립
∙ 스마트시티 공공데이터개방 및 지식재산 관리, 리빙랩 기획 및 운영
∙ 인천 스타트업파크 운영 및 기업 육성프로그램 운영
인천경제
자유구역청
투자유치
기획과
∙ IFEZ 혁신성장플랫폼 운영 및 국내・외 기업 투자유치
∙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운영 및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GBC) 지원
인천경제
자유구역청
신성장산업
유치과
∙ ICT융합, 수소 등 첨단산업 분야 및 국내・외 R&D센터 투자 유치
∙ 원천기술 분야 국책 연구기관 유치
∙ K-바이오랩허브 구축 운영
∙ 대학 내 산・학・연 조성사업 추진 및 청소년 바이오 아카데미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183
▣ 위원회 명단
표 3-4-14 ❙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 위원장을 비롯한 일부 위원의 경우 임기중 인사발령 등으로 교체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덕수 인천광역시(행정부시장) 2023. 10. 27. ~ 2024. 7. 7.
하병필 인천광역시(행정부시장) 2024. 7. 8. ~ 2025. 10. 26.
위원
이남주 인천광역시(미래산업국장) 2023. 10. 27. ~ 2024. 1. 14.
유제범 인천광역시(미래산업국장) 2024. 1. 15. ~ 2025. 10. 26.
위원
이강구 인천광역시의회(시의원) 2023. 10. 27. ~ 2024. 10. 13.
허 식 인천광역시의회(시의원) 2024. 10. 14. ~ 2025. 10. 26.
위원 한재길
(재)인천테크노파크
미래산업추진단장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윤석진 인천연구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최태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뿌리기술연구소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현승균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장)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김규원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장)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주미
인천재능대학교
(산학협력단장)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한균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약학대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김희숙 한국폴리텍대학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심상미 ㈜파버나인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고춘자 (주)홀리랜드테크놀러지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백영순 엠텍/인천비전기업협회 위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함지연 도원바이오테크 2023. 10. 27. ~ 2025. 10. 26.
18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인천시의 총 예산은 약 24조 4,42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56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3%
- 과학기술 예산 중 인천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7.18%
표 3-4-15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244,429
재정자주도(%) 65.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9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6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7.18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185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인천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3,743개로 전국의 6.0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68% 증가
- 5년간 대학 4개 증가, 공공연구소 2개 증가, 기업 458개 증가
표 3-4-16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34 16 3.89 18 4.26 16 3.83 22 4.76
∙ 국공립 2 2.38 2 2.35 2 2.33 1 1.14 2 2.20
∙ 사립 16 4.83 14 4.29 16 4.75 15 4.55 20 5.39
공공연구소 24 3.74 24 3.62 26 3.77 23 3.37 26 3.46
∙ 국공립 7 4.90 7 4.90 7 4.58 5 3.65 5 3.73
∙ 정부출연 2 1.18 2 1.23 2 1.18 3 1.82 3 1.76
∙ 병원 및 기타 15 4.55 15 4.20 17 4.64 15 3.94 18 4.03
기업 3,237 5.90 3,518 6.01 3,709 5.96 3,875 6.02 3,695 6.10
∙ 정부투자기관 6 10.91 6 11.11 5 8.47 5 8.20 5 8.93
∙ 민간기업 3,231 5.90 3,512 6.01 3,704 5.96 3,870 6.02 3,690 6.10
합 계 3,279 5.87 3,558 1.76 3,753 5.92 3,914 5.98 3,743 6.0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8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인천 소재 대학 수는 8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3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4-17 ❙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3 3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 6 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인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6만 13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5,735명(전체의 약 9.5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147명(전체의
약 36.83%)
표 3-4-18 ❙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5,735 22,147 27,882 5,342 3,793 4,824 4,452 13,843 60,136
비중(%) 9.54 36.83 46.36 8.88 6.31 8.02 7.40 23.02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187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인천광역시에는 총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4-19 ❙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인하대학교
(2개 센터)
2021 세포교신 제어 연구센터 MRC
2022 소상공인 경제생태계 연구센터 C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인천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인하대와 인천대에 각각 4개, 3개의 센터가 존재했지만, ’24년
기준 인하대 1개만 남아 있음
18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4-20 ❙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인하대 열플라즈마 환경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인천에는 대학・연구기관 등에 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4-21 ❙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미래서비스 미래혁신창업보육센터 2021-07-06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송도 창업보육센터 2000-06-13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한국폴리텍2대학 한국폴리텍2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02-0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녹색창업센터 2001-12-01
Regional S&T Yearbook 2024 189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인천에는 공립과학관 4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6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4-22 ❙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인천광역시교육청과학정보원 공립
인천어린이과학관 공립
인천나비공원 공립
강화천문과학관 공립
강화은암자연사박물관 사립
소리체험박물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인천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4년 인천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7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478명임
표 3-4-23 ❙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270 313 591 89 478
수혜자 수 4,335 7,565 5,519 1,436 12,47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19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인천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7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17명 양성
표 3-4-24 ❙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인천대학교 5
전용공간
3개(456.3㎡)
134 130,485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19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인천의 특허출원 건수는 6,98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543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1.28% 증가, 등록건수는 ’22년 대비 7.7% 감소
표 3-4-25 ❙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6,195 6,236 6,439 6,728 7,095 6,900 6,988
특허등록 건수 3,400 3,499 3,585 3,916 3,921 3,838 3,54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인천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438편, 주저자 기준 1,868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95%, 3.25%를 차지
표 3-4-26 ❙ 인천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4,328 6.44 63,403 14.65 2,005 3.65 26,783 13.36
2020 4,666 6.33 51,829 11.11 2,110 3.54 20,204 9.58
2021 4,978 6.23 32,096 6.45 2,159 3.39 12,082 5.60
2022 4,737 6.15 10,117 2.14 2,045 3.40 3,762 1.84
2023 4,438 5.95 9,945 2.24 1,868 3.25 3,307 1.77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19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성장하는 도시 인천
■ 목표 :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의 성장 기반 마련
■ 전략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과학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활용
- 과학기술인력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재 양성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혁신생태계 조성 및 지속가능한 미래성장동력 기반 마련
■ 중점 추진전략
1)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 지역의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능 강화 및 활성화(정책기획, 예산배분, 성과관리 등)
・ 과학기술 총괄체계 구축(인천연구개발지원단, 인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 인천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산업(항공/미래차/바이오/로봇/IT) 분야 연구개발 지원
강화 및 내실화
・ 인천시 특화 기술로드맵 수립을 통한 지역 기술경쟁력 확보
2) 과학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활용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 산업전환에 대응하는 연구인프라 재구축(연구장비 재정비, 실증인프라 조성 등)
・ 민간 주도형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및 네트워크 활성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193
-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 시민들이 생활속에서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지역 혁신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해 과학기술
문화 홍보 및 확산(과학관, 생활과학교실, 지역 과학인재 육성 프로그램 등)
・ 과학기술 기반 지역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테스트 베드 조성 및 실증 기회 제공
3) 과학기술인력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재 양성
-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 인천형 과학기술 인재 양성 지원체계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 인천형 직업전환교육, 연구개발 관련 장기재직자 성장 프로그램(지역대학 연계)
19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전략적 투자) 인천시 6대 전략산업 분야 지정 및 연구개발 투자 강화
-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제적 R&D 투자 강화
- 인천시 6대 전략산업 : 바이오, 반도체, 로봇, 디지털・데이터, 미래차, 항공
전략산업 육성방안
바이오 - 생태계 조성, 전주기적 지원, 전문인력 양성,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 등
반도체 - 첨단패키징 인프라 구축, R&D, 전문인력 양성 등
로봇 - 생태계 조성, 로봇문화 확산, 특화로봇 수요 창출 등
디지털・데이터
- 혁신 거점 조성, 실증환경 구축, 인재양성, AI 서비스(제품) 실증을 통한 사업화
지원, 지역특화산업 연계를 위한 AI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
미래차 - 커넥티드카 특화 육성,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선도, 부품기업 기술전환 촉진 등
항공 -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심의기능 강화) 지역의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능 강화 및 활성화
- 연구개발 사업・정책 기획 및 예산 배분・조정, 성과관리 등 지역의 산업발전과 기술혁신에 필요한
전반적인 업무 수행
※ 현재 인천과학기술진흥협의회는 주로 심의기구의 역할만 수행하고 있으므로, 지역의 과학기술
육성에 필요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기능 확대
■ (지역 R&D 거버넌스) 지역주도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 지원 총괄체계 구축
- 「인천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과 「인천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총괄 체계 구축 기반 마련
- 「인천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중장기 개선방안(’25~’29) 연구를 통한 5대 전략 및 15대 핵심과제 도출
구분 인천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 중장기 비전 및 목표(‘25~’29)
비전 R&D로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혁신도시 인천
목표
Incheon R&D (2025~2029)
“인천 혁신기업 육성을 통한 산업 R&D 중심도시 조성”
성과
지표
• 국비 및 민간투자 확대
(국가 R&D 유치 1,000억, 민간투자 300억)
• 혁신기업 발굴 지원
(혁신기업 200개사, 특허출원・등록 100건, 신규 고용창출 200명)
• 인천형 R&D 체계 고도화
(인천 R&D 투자 400억, 전담조직 구축)
추진
전략
① 인천 중소기업 R&D 역량 강화
② 지역 미래선도 R&D 혁신 지원
③ 국가 R&D 연계 강화
④ R&D 혁신성과 확산
⑤ 인천형 R&D 체계 고도화
※ 5대 전략 15개 핵심과제
Regional S&T Yearbook 2024 195
- 인천R&D관리시스템 과제 및 성과관리 통합 프로세스 기능 강화 및 사용 확대
■ (현신산업 연구개발투자)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 산업전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별 특화수준 제고 추진(예 : 산업단지별
혁신지원센터 도입 및 혁신기능 집적화)
- 기업간 협업이 가능한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및 지원
■ (과학문화・실증인프라) 과학기술 문화 확산 및 혁신기술 테스트 베드 조성
- 지역 내 혁신기술 제품 및 서비스 실증 공간을 조성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결과물 활용 기회 제공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활성화)
- 과학문화 체험공간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과학기술 관심 제고 및 지역 내 과학문화 대중화 실현
■ (인력양성)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 추진
- 인천형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협의회 조직 및 지역수요 기반 인력양성 사업 기획)
- 지자체 주도 인천시 전략산업 선도 연구개발 전문인력 육성(장기재직자 성장 프로그램, 직업전환
교육 운영)
- 글로벌 캠퍼스를 활용한 Young Research Campus 조성(해외 우수인력이 지역 내 산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 추진)
19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5절 광주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광주의 인구는 약 146만 명으로 2021년 이후 지속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광주 인구의 비율은 2.83%로 작년과 동일
표 3-5-1 ❙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489,142 1,479,550 1,468,912 1,463,411 1,463,254
전국인구대비 비율(%) 2.88 2.86 2.84 2.83 2.83
경제활동참가율(%) 61.5 61 60.3 60.4 61.6
실업률(%) 3.7 3.9 3.6 2.9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19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광주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8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66%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0.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6.52%)과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2.52%)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지난 5년 간 14.71%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5-2 ❙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44,768,906 45,603,430 47,473,959 47,950,970 48,615,925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35,340 103,019 113,206 137,468 115,088
(지역내비중, %) (0.30) (0.23) (0.24) (0.29) (0.24)
제조업 11,051,690 11,496,642 12,076,461 12,586,622 12,891,880
(지역내비중, %) (24.69) (25.21) (25.44) (26.25) (26.5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44,885 488,784 520,743 621,108 684,982
(지역내비중, %) (0.77) (1.07) (1.10) (1.30) (1.41)
건설업 2,069,912 2,316,900 2,349,359 2,100,826 1,970,531
(지역내비중, %) (4.62) (5.08) (4.95) (4.38) (4.05)
기타서비스업 18,634,433 18,371,739 19,138,177 19,077,775 19,469,159
(지역내비중, %) (41.62) (40.29) (40.31) (39.79) (40.05)
정부/민간비영리생산 9,756,322 9,869,210 10,246,866 10,677,631 10,946,028
(지역내비중, %) (21.79) (21.64) (21.58) (22.27) (22.52)
순생산물세 2,771,210 2,957,136 3,029,147 2,831,037 2,727,674
(지역내비중, %) (6.19) (6.48) (6.38) (5.90) (5.61)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19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광주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8조 8,591억원이고, 1,31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6만
4,261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약 15조 84억원(전체의 38.62%)과
1만 6,368 명(전체의 25.47%),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32개(전체의
17.6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5-3 ❙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3,599 2.61 86 6.54 2,811 4.37
음료 제조업 563,626 1.45 4 0.30 495 0.77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10,609 0.80 20 1.52 1,135 1.7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5,638 0.04 12 0.91 247 0.3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8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8,420 0.12 15 1.14 255 0.4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36,730 0.61 21 1.60 675 1.0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1,839 0.13 13 0.99 298 0.4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1 0.08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6,620 0.27 21 1.60 491 0.7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215 0.02 4 0.30 72 0.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398,781 8.75 151 11.49 8,287 12.9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8,993 0.64 27 2.05 683 1.06
1차 금속 제조업 1,257,512 3.24 73 5.56 1,667 2.5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871,290 4.82 179 13.62 4,576 7.1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422,095 8.81 70 5.33 7,275 11.3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36,632 0.61 54 4.11 1,903 2.96
전기장비 제조업 7,391,251 19.02 127 9.67 8,270 12.8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324,970 8.56 232 17.66 7,969 12.4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008,464 38.62 170 12.94 16,368 25.4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 1 0.08 - -
가구 제조업 63,744 0.16 20 1.52 328 0.51
기타 제품 제조업 14,065 0.04 8 0.61 125 0.1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3,232 0.03 3 0.23 45 0.07
합 계 38,859,172 100.00 1,314 100.00 64,261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19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5-4 ❙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음료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20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광주시는 ‘인공지능(EE, AI+X)’와 ‘기계(EA, 첨단모빌리티)’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
하고 있음
표 3-5-5 ❙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인공지능
(EE, AI+X)
국가 AI혁신거점육성 AI집적단지고도화(2단계)
초거대 AI 맞춤형 데이터전처리 실증환경 조성
K-Health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
호남권 AI융합 지능형 농업 생태계 구축
광주인공지능 사관학교, 인공지능 대학원 지원, 반도체 특성화 대학지원
딥테크스케일업밸리육성사업
(차세대지능형 반도체 기반 온디바이스 AI스케일업 육성)
지역혁신메가프로젝트
(슈퍼비전 AI를 위한 겹눈 모방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프로젝트
AI+X지역산업기술개발지원(AI+X융합지원)
AI데이터센터 서비스 및 통합지원 서비스 플랫폼 운영
기계
(EA, 첨단모빌리티)
미래모빌리티 사각지대 위험감지 및 주행제어 부품 기능오류 개선 실증
플랫폼 구축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 중량 200g급 카고드론 기술개발
미래소부장특화단지 추진단 운영
자율주행부품 융합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미래자동차 핵심부품 개발지원 공동활용 플랫폼 구축
EV배터리 접합기술 실증기반 구축
첨단제조 로봇 실증
빅데이터기반 자동차 전장부품 신뢰성 기술고도화
전장부품도장 공정 자율 제조시스템 기술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4 20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9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4,741개, 총 종사자 수는 67,470명
표 3-5-6 ❙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광주첨단과학 9,991 3,643 2,370 2,113 18,065 100 완료
빛그린 1,845 1,696 100 92 1,286 81 완료
일반
평동 5,064 5,064 677 676 14,022 100 완료
소촌 190 189 55 55 539 100 완료
송암 415 414 64 64 1,505 100 완료
본촌 877 878 146 140 2,121 100 완료
진곡 1,909 1,909 392 332 4,060 100 완료
평동3차(1단계) 1,175 1,175 142 106 2,850 100 완료
광주에너지밸리 918 918 33 0 0 66 조성중
하남[재생사업지구:부분] 5,944 5,937 1,095 1,094 21,360 100 완료
광주연구개발특구첨단3지구
(광주경제자유구역)
3,617 3,617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남구 486 486 7 5 60 77 조성중
전남대캠퍼스혁신파크 35 35 0 0 0 0 미개발
농공 소촌 324 324 64 64 1,602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20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광주광역시에는 총 67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40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49개, ‘도매 및 소매업’이 2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77개), ‘전기 장비 제조업’(68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65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5-7 ❙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1 2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2 32 23
음료 제조업 -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 3 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 3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1 19 1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2 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9 20 1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7 6
1차 금속 제조업 6 7 1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9 33 2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6 67 5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1 66 65
전기장비 제조업 72 78 68
Regional S&T Yearbook 2024 203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2 87 7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0 22 2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 4 4
가구 제조업 3 5 4
기타 제품 제조업 12 12 1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2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 1 1
건설업(41~42) 17 19 16
도매 및 소매업(45~47) 18 21 20
운수 및 창고업(49~52) -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108 129 140
금융 및 보험업(64~66) 1 1 1
부동산업(68) 2 4 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4 52 4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1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4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3 2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644 717 671
20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광주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2위임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5,034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1.22%이며,
전국의 1.85%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9,130명(전국의 3.90%)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4,709명(전국의 0.90%), 공공연구소는 1,195명(전국의 1.68%)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5-8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351 4.30 9,199 4.44 9,006 4.29 8,746 3.93 9,130 3.90
∙ 국공립 6,201 7.76 7,148 8.25 6,386 7.35 6,132 6.83 6,591 6.96
∙ 사립 2,150 1.88 2,051 1.70 2,620 2.12 2,614 1.97 2,539 1.83
공공연구소 916 1.47 1,032 1.61 1,085 1.63 1,086 1.59 1,195 1.68
∙ 국공립 145 1.12 158 1.23 204 1.52 209 1.57 202 1.53
∙ 정부출연 310 0.90 392 1.15 356 1.05 363 1.05 360 1.01
∙ 병원 및 기타 461 3.06 482 2.77 525 2.73 514 2.50 633 3.08
기업 4,881 1.06 4,934 1.04 5,026 0.99 5,139 0.98 4,709 0.90
∙ 정부투자기관 1 0.03 4 0.11 5 0.13 7 0.18 1 0.03
∙ 민간기업 4,880 1.06 4,930 1.04 5,021 0.99 5,132 0.99 4,708 0.91
합 계 14,148 1.97 15,165 2.03 15,117 1.92 14,971 1.84 15,034 1.8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205
■ ’23년 광주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작년도에 비해 0.2명 증가한 61.1명으로 조사됨
표 3-5-9 ❙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63.6 67.4 63.9 60.9 61.1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광주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12위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1,016억 원(전국의 0.98%)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91%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548억 원(전국의 4.18%), 공공연구소는
약 2,158억 원(전국의 1.55%), 기업이 약 4,309억 원(전국의 0.46%)
표 3-5-10 ❙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19,901 4.34 374,822 4.49 473,043 5.07 483,855 4.69 454,806 4.18
∙ 국공립 254,428 7.77 307,241 8.14 373,148 8.85 383,388 8.46 350,215 7.25
∙ 사립 65,473 1.60 67,581 1.48 99,895 1.95 100,467 1.74 104,591 1.73
공공연구소 146,873 1.44 195,437 1.76 223,892 1.87 216,340 1.67 215,816 1.55
∙ 국공립 9,907 1.19 1,147 0.13 3,653 0.38 14,842 1.46 13,243 1.25
∙ 정부출연 66,631 0.85 71,466 0.86 86,373 0.99 89,193 0.96 93,618 0.94
∙ 병원 및 기타 70,335 4.61 122,824 6.19 133,867 5.79 112,305 4.28 108,955 3.85
기업 360,107 0.50 383,687 0.52 411,960 0.51 429,095 0.48 430,990 0.46
∙ 정부투자기관 64 0.01 69 0.01 74 0.01 81 09.01 3 0.00
∙ 민간기업 360,043 0.51 383,618 0.53 411,886 0.52 429,014 0.48 430,987 0.46
합 계 826,881 0.93 953,946 1.02 1,108,895 1.09 1,129,290 1.00 1,101,612 0.9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0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광주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39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9%
표 3-5-11 ❙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827 5,607 5,708 5,678 6,396
(2.4) (2.5) (2.4) (2.2) (2.1)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인공지능산업실에서 담당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시장
문화경제부시장
인공지능산업실
미래산업총괄관 투자산단과 AI반도체과 미래차산업과 에너지산업과
로봇가전
의료산업과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표 3-5-12 ❙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9,544 2 7,707 146 34 37 1,61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207
(나) 역할
표 3-5-13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산업
총괄관
∙ 미래먹거리산업 발굴 및 기획
∙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산업정책 발전전략 수립
∙ 산학연 협의회 운영지원, 산학융합지구 조성에 관한 사항
∙ 지역 주력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및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산업 추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지원 및 지방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지원
투자산단과
∙ 투자유치기업 지원 및 설명회・홍보
∙ 국내 투자기업 협약체결 및 지원
∙ 산업단지 계획 및 개발・관리
AI반도체과
∙ 인공지능 융합사업 신규기획 및 AI 투자펀드 조성 및 운영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및 인공지능 인재양성(AI영재고) 추진
∙ 국가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반도체산업 육성(인재양성, 반도체 공동연구소 등) 추진
미래차
산업과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정책 수립 및 미래차 대전환 대응전략 수립
∙ 미래차 신규산단조성 및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에 관한 사항
∙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 무인(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지원
∙ 뿌리산업 종합계획 수립 및 뿌리산업발전위원회 운영
에너지
산업과
∙ 에너지 정책수립 및 초광역 협력 에너지위원회 운영
∙ 지역에너지클러스터 및 융합보안 핵심인재 인재양성
∙ 차세대배터리산업 진흥협의회 운영 및 배터리관련 기술개발 등
∙ 에너지 융복합단지 조성 및 관리
로봇가전
의료산업과
∙ 로봇가전사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산업육성 신규국비사업 발굴
∙ 스마트가전산업 및 디지털가전기업 육성지원
∙ 광융합산업육성지원 및 종합기획・조정
∙ 지역 IT・SW 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시행・육성 지원 등
∙ 의료산업 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및 의료산업 육성지원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20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조례(21.2.25 일부개정) 제4조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
제5조의2 전담기관 지정・운영
■ 주요 기능 및 역할
- (심의 조정)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조정
- 지역과학기술의 혁신과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위촉직위원 2년, 연임 1회, 보궐위원 전임위원의 잔여 임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3회
- 1회 (2024.01.09) : (안건1) 제3차 국가지식재산기본계획 ’23년 추진실적 및 ’24년 시행계획(안)
- 2회 (2024.06.21) : (안건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혁신계획(2024~2028) 수립(안), (안건2) 과학기술
진흥위원회 소위원회 구성 및 운영 계획(안)
- 3회 (2024.12.) : (안건1)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4년 추진실적 및 ’25년 시행
계획 보고
Regional S&T Yearbook 2024 209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5-14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상갑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김용승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김영집 테크노파크 재임기간
위원 신용진 한국광기술원 재임기간
위원 공석 국립광주과학관 재임기간
위원 원광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 재임기간
부위원장 박정수 성균관대 2022.12.17.~2024.12.16.
위원 노선식 광주대 2022.12.17.~2024.12.16.
위원 박윤경 조선대 2022.12.17.~2024.12.16.
위원 양승학 호남대 2022.12.17.~2024.12.16.
위원 안동규 조선대 2023.11.27.~2025.12.26.
위원 유난이 광주과학기술원 2023.11.27.~2025.12.26.
위원 방희선 조선대 2023.11.27.~2025.12.26.
위원 유용민 전남대 2023.11.27.~2025.12.26.
위원 강미영 호남대 2023.11.27.~2025.12.26.
21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광주시의 총 예산은 11조 7,99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338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9%
- 과학기술 예산 중 광주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11.99%
표 3-5-15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117,999
재정자주도(%) 65.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81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33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11.99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21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광주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991개로 전국의 1.60%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0.38% 감소
- 5년간 대학은 1개 증가, 기업 17개 감소, 공공연구소 2개 감소
표 3-5-16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 4.10 16 3.89 16 3.78 18 4.31 17 3.68
∙ 국공립 4 4.76 4 4.71 5 5.81 5 5.68 5 5.49
∙ 사립 13 3.93 12 3.68 11 3.26 13 3.94 12 3.23
공공연구소 21 3.27 22 3.32 22 3.19 19 2.78 19 2.53
∙ 국공립 3 2.10 2 1.40 2 1.31 2 1.46 2 1.49
∙ 정부출연 9 5.33 9 5.52 10 5.88 9 5.45 9 5.29
∙ 병원 및 기타 9 2.73 11 3.08 10 2.73 8 2.10 8 1.79
기업 972 1.77 1,012 1.73 1,034 1.66 1,048 1.63 955 1.58
∙ 정부투자기관 1 1.82 1 1.85 1 1.69 2 3.28 1 1.79
∙ 민간기업 971 1.77 1,011 1.73 1,033 1.66 1,046 1.63 954 1.58
합 계 1,010 1.81 1,050 1.76 1,072 1.69 1,085 1.66 991 1.6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1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광주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10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5-17 ❙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8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6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5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광주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5,12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8,046명(전체의 약 10.71%), 공학계열 학생이 1만 7,368명
(전체의 약 23.12%)
표 3-5-18 ❙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수 8,046 17,368 25,414 15,441 7,174 7,039 6,176 13,883 75,127
비중(%) 10.71 23.12 33.83 20.55 9.55 9.37 8.22 18.4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21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광주광역시에는 총 1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전남대가 7개, 조선대가 2개, 광주과학기술원이 2개 센터를 운영
표 3-5-19 ❙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광주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21 도시형 생활폐기물 가스화 물질 혁신적 전환 선도연구센터 ERC
2024 AI 기반 중대 분자 연구 센터 IRC
전남대학교
(7개 센터)
2018 복합암면역치료 연구센터 MRC
2018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19 경조직 바이오인터페이스 연구 센터 MRC
2020 심혈관 환자맞춤형 차세대 정밀의료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중성미자 정밀 연구센터 SRC
2023 숙주표적 항바이러스 연구센터 SRC
2023 신장질환 제어 및 투석기기 고도화 선도연구센터 RLRC
조선대학교
(2개 센터)
2022 악성암 제어 연구센터 MRC
2023 구강연조직 질환극복 융복합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1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광주 내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조선대(3개), 호남대(1개), 전남대(1개)에 위치했으나, ’18년도
기준 전 사업이 종료되어 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광주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5-20 ❙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기업지원센터 2000-12-14
광주대학교 광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2
(광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광주드림파크 1996-12-29
남부대학교 남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1-01
동강대학교 동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8
송원대학교 송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1-30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7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02
호남대학교 호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2-1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4 21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광주에는 과기정통부 산하 국립과학관 1개소와 광주시교육청 산하 공립과학관 1개소로 총 2개소가
운영 중
표 3-5-21 ❙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광주과학관 국립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24년 광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관련 사업 예산 지원 중단으로 폐지됨
표 3-5-22 ❙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90 73 81 - -
수혜자 수 1,149 885 969 - -
※ 주2 :샹활과학교실 관련 사업예산 지원 중단으로 2023년 폐지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21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광주의 특허출원 건수는 3,46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624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2.55% 증가, 등록건수는 ’22년 대비 1.3% 감소
표 3-5-23 ❙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3,279 3,431 3,458 3,522 3,549 3,378 3,464
특허등록 건수 1,694 1,765 1,806 1,846 1,817 1,645 1,62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광주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742편, 주저자 기준 1,944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02%, 3.38%를 차지
표 3-5-24 ❙ 광주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3,698 5.50 59,459 16.08 1,891 3.45 24,326 12.86
2020 3,933 5.34 44,897 11.42 2,058 3.45 19,427 9.44
2021 4,221 5.29 32,178 7.62 2,259 3.55 11,874 5.26
2022 3,832 4.97 8,814 2.30 2,013 3.35 3,863 1.92
2023 3,742 5.02 8,819 2.36 1,944 3.38 3,486 1.7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21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산업 혁신 기반 융복합 첨단 실증도시 광주 조성
■ 목표 : 과학・산업 융복합 기술 구현으로 미래혁신을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생태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AI기술과 주력산업간 융합・연계를 통한 신산업・기술・서비스 창출
- 인공지능+X 연구기관의 거점형성과 활성화
- 인공지능+X 융복합 촉진을 위한 산학연 연계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 인공지능+X 전환 기술을 활용한 기업경쟁력 제고
■ 자동차 부품산업 고도화를 통한 첨단모빌리티 기술 상용화
- 첨단모빌리티 생태계 기반 고도화
- Mobility Of Thing 융복합 기술개발
- 기업역량강화 중심 첨단모빌리티 혁신생태계 조성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글로벌 인공지능 혁신 중심도시, 광주
- 국가 AI혁신 거점 중심 AI 융복합 핵심인프라 고도화
- AI융복합 기술개발 및 실증으로 사업화 성공모델 확산
- AI융복합 혁신 생태계를 위한 기업지원 및 인재육성
■ 미래모빌리티 기술서비스 융합도시 조성
- 지상・항공・목적기반 모빌리티 등 공통기술 선도 및 실증 인프라 확대
- 자동차산업 유연성 확대 및 기업역량 강화 중심 모빌리티 혁신생태계 조성
- 소프트웨어 기반 초연결 교통융합서비스 중심도시 도약
■ 글로벌 수준 기술 확보를 통한 광융합 기술 선도국 도약
- 핵심 광융합산업 주력(광통신) 및 기반(광반도체) 분야 고도화
- 주력산업과 연계 융합(메디헬스케어, 모벨리티 등)분야 선도
- 미래유망기술 육성 및 신사업 발굴 (국방/양자기술 등)
21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35 글로벌 메디헬스케어 대표도시 광주
- 메디헬스케어 클러스터 조성 추진 및 활성화
- 산업육성 유망품목(생체의료, 바이오의약품, 디지털헬스케어)선정 및 투자확대
- 글로벌 시장진출 역량 강화 및 메디헬스케어 전문인력 양성 확대
■ 지능형 분산에너지 중심 에너지 특화도시, 광주
-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기반(국가혁신클러스터, 그린에너지 ESS 규제자유특구 등)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활성화 연계 전략산업 육성
- 그린에너지 첨단산업을 선도하는 초격차기술확보 및 고도화
- AI기반 도심형 고효율 에너지 서비스 산업 창출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자체 과학기술 총괄 조정체계 실질화 및 기능 강화
- 광주 과학기술활동의 최고의사 결정 기구로서 과학기술진흥위원회의 역할 강화
- 호남・제주 과학・산업 광역협의체 운영을 권역 단위 전략 협의 조정 및 공동사업추진
■ 지역주도 과학산업 R&D 정책 추진체계 정립
- 지역 중장기 과학기술혁신계획의 정기적 수립 및 참여 다양성 및 전문성 강화
- 중앙정부 역매칭 R&D 사업발굴 및 기획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전담기관으로서 연구개발지원단 역할과 기능 강화
■ 지역 R&D 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 지자체 재원 투입 R&D사업 평가체계 강화(사전 검토・집행・사후 평가)
- 지방정부 R&D 재원 확대를 위한 행정 노력 강화
- 중앙정부에 블록펀딩 형태의 지자체 R&D예산 증액 지속 요청
- 지역성을 반영한 R&D 예산 배분・조정 및 평가 환류 체계 구축
- 광주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개편하여 지역 R&D 통합정보 플랫폼 구축
■ 지・산・학 연구기관의 거점형성 및 활성화
- 과학기술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광주광역시 지역 중점과학기술 육성 및 독보적 과학기술 확보
- 지역 내 최고 수준의 연구인력 및 인프라를 갖춘 연구거점기관을 활용 및 집중 지원을 통해 지역 내
AI+X, 첨단모빌리티 기술 현안 문제해결
Regional S&T Yearbook 2024 219
제6절 대전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대전의 인구는 약 147만 명으로 작년 대비 증가
- 전국 인구대비 대전 인구의 비율은 2.85%로 작년과 동일
표 3-6-1 ❙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503,212 1,491,876 1,478,831 1,471,563 1,473,897
전국인구대비 비율(%) 2.90 2.88 2.86 2.85 2.85
경제활동참가율(%) 62.4 63.4 63 63.1 63.4
실업률(%) 4.2 4.4 3.3 2.4 2.8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22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전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0.3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01%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7.5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22.89%)과 제조업
(16.8%)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8.62%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6-2 ❙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45,590,349 46,659,399 47,751,082 48,631,895 50,363,397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9,750 41,419 42,136 47,607 45,778
(지역내비중, %) (0.09) (0.09) (0.09) (0.10) (0.09)
제조업 7,780,157 7,976,209 8,224,741 8,309,389 8,460,191
(지역내비중, %) (17.07) (17.09) (17.22) (17.09) (16.8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69,507 500,873 513,225 627,248 709,782
(지역내비중, %) (1.03) (1.07) (1.07) (1.29) (1.41)
건설업 2,264,142 2,458,208 2,624,142 2,425,928 2,822,170
(지역내비중, %) (4.97) (5.27) (5.50) (4.99) (5.60)
기타서비스업 21,391,141 21,827,141 22,123,910 23,005,482 23,944,406
(지역내비중, %) (46.92) (46.78) (46.33) (47.31) (47.54)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0,736,390 10,662,557 11,052,446 11,206,466 11,529,913
(지역내비중, %) (23.55) (22.85) (23.15) (23.04) (22.89)
순생산물세 2,914,052 3,192,992 3,170,482 3,068,350 2,986,277
(지역내비중, %) (6.39) (6.84) (6.64) (6.31) (5.93)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22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대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20조 2,274억 원이고, 973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4만
4,173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은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조 2,268억 원(전체의 15.95%),
사업체 수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38개(전체의 14.18%), 종사자 수에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이 5,015명(전체의 11.35%)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6-3 ❙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538,984 7.61 103 10.59 3,260 7.38
음료 제조업 502,820 2.49 5 0.51 316 0.7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3,362 0.71 31 3.19 836 1.8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96,342 0.48 23 2.36 707 1.6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2,562 0.11 5 0.51 115 0.2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5,745 0.13 5 0.51 88 0.2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17,457 6.51 16 1.64 1,648 3.7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4,930 0.22 17 1.75 290 0.6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2 0.21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274,906 11.25 72 7.40 4,110 9.3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57,482 2.26 25 2.57 1,736 3.9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440,170 7.12 45 4.62 3,841 8.7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1,415 1.54 24 2.47 681 1.54
1차 금속 제조업 317,772 1.57 17 1.75 477 1.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40,003 7.12 68 6.99 2,608 5.9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226,873 15.95 107 11.00 4,967 11.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82,600 5.85 123 12.64 5,015 11.35
전기장비 제조업 744,001 3.68 57 5.86 1,684 3.8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563,934 12.68 138 14.18 6,222 14.0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92,673 3.42 35 3.60 2,368 5.3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7,847 0.98 12 1.23 1,044 2.36
가구 제조업 73,986 0.37 13 1.34 237 0.54
기타 제품 제조업 124,347 0.61 24 2.47 890 2.0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401 0.07 4 0.41 103 0.23
합 계 20,227,432 100.00 973 100.00 44,173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22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6-4 ❙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제조업
∙ 음료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낮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4 22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전시는 ‘우주산업분야’, ‘바이오산업분야’, ‘반도체산업분야’, ‘국방산업분야’, ‘양자산업분야’,
‘로봇산업분야’에 초점을 두고 운영
표 3-6-5 ❙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우주산업분야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대전SAT(위성) 프로젝트
바이오산업분야
KAIST 혁신 디지털 의과학원 구축
대전바이오창업원 구축
반도체산업분야
나노・반도체 산업생태계 구축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실증평가 및 기술지원
반도체공학대학원 지원
국방산업분야
국방산업발전협의회 운영
방산혁신클러스터
양자산업분야
대전 양자산업 혁신기반 조성
KAIST 양자대학원 지원
대덕양자클러스터 조성
로봇산업분야
로봇드론지원센터 조성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
22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3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691개, 총 종사자 수는 47,001명
표 3-6-6 ❙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덕연구개발특구 49,683 49,683 1,763 1,749 40,456 100 조성중
일반
하소친환경 306 306 64 58 563 100 완료
대전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2,317 2,317 1,231 884 5,982 100 완료
평촌 859 859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한남대캠퍼스혁신파크 31 32 0 0 0 0 미개발
대전장대 73 73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4 225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대전광역시에는 총 1,52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372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256개, ‘도매 및 소매업’이 3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56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53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42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
기업 위치
표 3-6-7 ❙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2 2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25 27 25
음료 제조업 1 1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 14 1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 5 6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 4 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4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96 108 9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5 34 2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0 12 1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11 12
1차 금속 제조업 1 2 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8 30 2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54 160 14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0 149 153
전기장비 제조업 79 87 8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56 170 15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 8 1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8 23 27
가구 제조업 6 5 5
기타 제품 제조업 28 31 3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 4 3
22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4 2
건설업(41~42) 27 31 24
도매 및 소매업(45~47) 22 29 33
운수 및 창고업(49~52) 1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1
정보통신업(58~63) 319 357 372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13 250 25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3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5 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419 1,576 1,527
Regional S&T Yearbook 2024 22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3위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5만 7,267명(전국의 7.04%)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3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3,846명(전국의 4.56%)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
연구소는 1만 7,041명(전국의 23.96%), 대학은 1만 6,380명(전국의 7.0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6-8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159 8.84 17,068 8.24 15,901 7.57 16,338 7.35 16,380 7.01
∙ 국공립 14,510 18.16 14,385 16.61 13,024 14.99 13,570 15.11 14,131 14.91
∙ 사립 2,649 2.32 2,683 2.23 2,877 2.33 2,768 2.09 2,249 1.62
공공연구소 15,901 25.48 15,983 24.92 16,105 24.20 16,508 24.10 17,041 23.96
∙ 국공립 372 2.89 276 2.15 304 2.26 393 2.96 433 3.29
∙ 정부출연 15,118 43.88 15,402 45.38 15,488 45.70 15,800 45.56 16,321 45.73
∙ 병원 및 기타 411 2.73 305 1.76 313 1.63 315 1.53 287 1.40
기업 20,582 4.45 18,979 3.99 21,893 4.30 23,178 4.43 23,846 4.56
∙ 정부투자기관 2,049 53.30 2,056 54.93 2,159 55.87 2,111 52.95 1,857 49.14
∙ 민간기업 18,533 4.04 16,923 3.58 19,734 3.91 21,067 4.06 21,989 4.23
합 계 53,642 7.46 52,030 6.96 53,899 6.86 56,024 6.88 57,267 7.0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2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대전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0.5명 증가한 271.6명으로 조사됨
표 3-6-9 ❙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48.5 239.2 257.0 261.1 271.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대전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3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1조 851억 원(전국의 9.84%)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54%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8,624억 원(전국의 7.92%), 공공연구소는
약 6조 847억 원(전국의 43.83%), 기업이 약 4조 1,378억 원(전국의 4.39%)
표 3-6-10 ❙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19,394 8.40 691,423 8.28 742,856 7.96 872,638 8.47 862,492 7.92
∙ 국공립 559,197 17.08 609,300 16.14 665,801 15.79 762,166 16.82 772,423 15.99
∙ 사립 60,197 1.47 82,123 1.79 77,055 1.51 110,472 1.91 90,069 1.49
공공연구소 4,204,174 41.34 4,988,331 44.86 5,086,426 42.40 5,538,583 42.87 6,084,797 43.83
∙ 국공립 17,865 2.14 20,292 2.38 20,881 2.16 20,267 1.99 20,817 1.96
∙ 정부출연 4,159,456 53.28 4,941,595 59.65 5,036,942 57.77 5,487,248 59.17 6,032,487 60.40
∙ 병원 및 기타 26,853 1.76 26,444 1.33 28,603 1.24 31,068 1.18 31,493 1.11
기업 2,882,330 4.03 3,193,938 4.34 3,613,514 4.47 3,967,894 4.44 4,137,877 4.39
∙ 정부투자기관 625,637 72.00 617,295 70.47 618,215 71.93 559,625 62.97 490,428 65.68
∙ 민간기업 2,256,693 3.19 2,576,643 3.54 2,995,299 3.75 3,408,269 3.85 3,647,449 3.90
합 계 7,705,898 8.65 8,873,691 9.53 9,442,797 9.25 10,379,115 9.21 11,085,166 9.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229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대전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8조 3,050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7.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28%
표 3-6-11 ❙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8,439 65,132 68,208 74,698 83,050
(28.6) (28.7) (28.2) (28.8) (27.7)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전략산업실(전략산업정책과, 과학협력과)에서 담당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시장)
미래전략산업실
(전략산업정책과, 과학협력과)
분과위원회
과학기술진흥 관련 전담기관(DISTEP)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표 3-6-12 ❙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8,903 2 7,086 118 34 33 1,63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23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6-13 ❙ 대전광역시 미래전략산업실(전략산업정책과, 과학협력과)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과 관련한 종합적인 시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과학대중화 실현
- 과학기술진흥 연구개발과 관련 지원사업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특화적 기술개발
- 벤처기업 육성・지원 및 중소기업체의 기술혁신 지원
- 기술이전 및 신용평가에 관련한 사항
-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법 제13조 제2항의 심의사항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시장이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은 시장으로 시장 임기 내, 위원 임기는 3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2회
- 1회 (2024.01.08) : (안건1)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3년 추진실적 및 ’24년 시행계획(안)
- 2회 (2024.10.21) : (안건1) 임원(부위원장) 선출(안), (안건2) 대전형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안)
전략산업정책과
∙ 산업정책 추진, 과학산업진흥원 및 대전테크노파크 운영
∙ 연구산업, 이차전지산업, 양자・센서산업 육성
∙ 연구개발지원단 육성 지원사업
과학협력과
∙ 지역주도 과학기술 진흥정책 추진 및 과학문화 대중화
∙ 대덕특구 재창조 이행과제 및 대덕특구 상생협력 사업추진
∙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4 23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6-14 ❙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장우 대전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장호종 대전광역시 당연직
위원 한선희 대전광역시 당연직
위원 김선광 대전광역시 의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방승찬 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주한규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임혜원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안동만 (사)과학기술인연우연합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이건완 국방과학연구소 2024.03.24 ~ 2027.03.23
위원 이광형 카이스트 2024.03.24 ~ 2027.03.23
위원 김정겸 충남대학교 2024.03.24 ~ 2027.03.23
위원 이승철 한남대학교 2024.03.24 ~ 2027.03.23
위원 김용하 건양대학교 2024.03.24 ~ 2027.03.23
위원 정태희 대전상공회의소 2024.03.24 ~ 2027.03.23
위원 김병순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황순화 대전세종충남여성벤처협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강도묵 대전세종충남경영자총협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24.03.24 ~ 2027.03.23
위원 김판건 미래과학기술지주 2024.03.24 ~ 2027.03.23
위원 이광축 TJB 2024.03.24 ~ 2027.03.23
위원 윤혜정 대덕넷 2024.03.24 ~ 2027.03.23
위원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 2024.03.24 ~ 2027.03.23
위원 정희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24.03.24 ~ 2027.03.23
위원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2024.03.24 ~ 2027.03.23
위원 이동한 대전과학산업진흥원 2024.03.24 ~ 2027.03.23
위원 김영진 대전세종연구원 2024.03.24 ~ 2027.03.23
23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전시의 총 예산은 약 11조 7,991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01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86%
- 과학기술 예산 중 울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4.26%
표 3-6-15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117,991
재정자주도(%) 64.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96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01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8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4,26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23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대전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018개로 전국의 3.2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75% 증가
- 5년간 대학은 1개 증가, 공공연구소 5개, 기업 250개 증가
표 3-6-16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2 5.30 22 5.35 23 5.44 22 5.26 23 4.98
∙ 국공립 5 5.95 5 5.88 5 5.81 5 5.68 5 5.49
∙ 사립 17 5.14 17 5.21 18 5.34 17 5.15 18 4.85
공공연구소 45 7.01 45 6.79 46 6.68 47 6.88 50 6.66
∙ 국공립 6 4.20 6 4.20 7 4.58 6 4.38 6 4.48
∙ 정부출연 25 14.79 25 15.34 26 15.29 26 15.76 27 15.88
∙ 병원 및 기타 14 4.24 14 3.92 13 3.55 15 3.94 17 3.80
기업 1,695 3.09 1,837 3.14 1,969 3.16 2,024 3.14 1,945 3.21
∙ 정부투자기관 13 23.64 13 24.07 15 25.42 15 24.59 14 25.00
∙ 민간기업 1,682 3.07 1,824 3.12 1,954 3.14 2,009 3.12 1,931 3.19
합 계 1,762 3.15 1,904 3.20 2,038 3.22 2,093 3.20 2,018 3.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3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대전 소재 대학 수는 16개
- 일반대학 11개, 전문대학 4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6-17 ❙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4 4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3 16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대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0만 7,73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4,361명(전체의 약 13.33%), 공학계열 학생이 3만 2,631명
(전체의 약 30.29%)
표 3-6-18 ❙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4,361 32,631 46,992 13,975 9,759 4,178 9,250 23,578 107,732
비중(%) 13.33 30.29 43.62 12.97 9.06 3.88 8.59 21.89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23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대전광역시에는 총 1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한국과학기술원에 9개 센터가 구축되어 있고, 충남대에 3개 센터가 구축・운영됨
표 3-6-19 ❙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남대학교
(3개 센터)
2020 마이크로바이옴 - 뇌신경질환 융합연구센터 RLRC
2022 라이프사이클 기반 시니어헬스 융합연구센터 CRC
2024 시스템 네트워크 염증 조절 연구센터 MRC
한국과학기술원
(9개 센터)
2018 세포 정체성 연구 센터 SRC
2018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SRC
2018 인류세 연구센터 CRC
2019 확률 해석 및 응용 연구센터 SRC
2022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ERC
2022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상 연구센터 ERC
2023 응집상 양자 결맞음 연구센터 SRC
2024 뇌혈관장벽 연구센터 SRC
2024 글로벌 생체융합 인터페이싱 소재 센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3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전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한밭대 소속 2개의 센터를 비롯하여, 목원대, 대전대,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한남대에 각각 1개씩 운영했으나, ’24년 기준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인 센터는 없으며,
목원대는 성과활용만 진행 중임
표 3-6-20 ❙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목원대 방재정보통신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대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6-21 ❙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대덕대학교 대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7-02-21
대전대학교 대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6
목원대학교 목원대학교 창업진흥센터 1999-12-28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5-12-26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01
Regional S&T Yearbook 2024 23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6개가 운영 중
표 3-6-22 ❙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대전과학체험관 공립
대전시민천문대 공립
대전나비곤충박물관 사립
대전 엑스포 아쿠아리움 사립
신세계 넥스페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 2000-06-01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전력벤처기업육성센터 1999-11-23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23
한밭대학교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01
23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전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대전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5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592명임
표 3-6-23 ❙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124 170 149 97 85
수혜자 수 2,594 2,895 3,616 2,836 2.59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대전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2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54명 양성
표 3-6-24 ❙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대전관광공사 5
전용공간
2개(144㎡)
66 286,57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23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대전 특허출원 건수는 1만 1,59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6,018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2년 대비 4.72%, 4.8% 증가
표 3-6-25 ❙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10,734 10,767 10,632 10,867 11,374 11,071 11,594
특허등록 건수 6,503 5,877 6,504 6,712 6,688 5,740 6,01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대전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만 122편, 주저자 기준 4,967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3.57%, 8.64%를 차지
표 3-6-26 ❙ 대전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10,047 14.95 165,867 16.51 4,988 9.09 71,584 14.35
2020 10,947 14.86 134,524 12.29 5,673 9.51 60,094 10.59
2021 11,220 14.05 80,637 7.19 5,683 8.93 33,153 5.83
2022 10,431 13.53 24,669 2.36 5,207 8.66 10,225 1.96
2023 10,122 13.57 24,286 2.4 4,967 8.64 9,962 2.0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4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대전-전남-경남 간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을 위한 초광역 협력
■ 지역 주도 중장기 과학기술 혁신계획 마련 및 R&I사업 성과진단・조사분석 체계 구축으로
예산투자 효과성 극대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중점추진 아젠다
- 사람, 연구, 산업 활력이 넘치는 글로벌 경제도시
- 혁신이 일상이 되는 과학수도, 국가 경제를 이끌어가는 경제허브 대전 완성
■ 실행전략
- 지속가능한 산업성장 기반조성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기업 육성
- 지역에 특화된 연구개발・실증 추진
- 글로벌 창업 경쟁력 강화
- 창의적인 지역 전문인재 양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 초광역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
- 글로벌 과학기술 및 도시혁신을 위한 ‘세계경제과학도시 연합’ 추진
■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지역주도 중장기 과학기술 혁신계획 수립 및 중점 신규사업 발굴 추진
- 지역 R&D사업 기획, 집행, 성과관리 체계 확립・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241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학연 대형연구시설 활용 촉진, 다양한 과학기술 정보 교류 촉진과 산학연간 협력체계 유지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지역 주도로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
-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 연계 패키지 지원, 지자체 주도 창업 협력체계 구축・운영
24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7절 울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울산의 인구는 약 111만 명으로 2019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울산 인구의 비율은 2.14%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7-1 ❙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145,761 1,139,069 1,123,676 1,112,807 1,106,306
전국인구대비 비율(%) 2.21 2.20 2.17 2.15 2.14
경제활동참가율(%) 61.7 60.7 59.8 61.1 61.9
실업률(%) 4.2 4.2 3.6 3.2 3.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24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울산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7.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약 0.6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산업구조 상 제조업이 51.6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이 17.63%를 차지함
- 건설업은 5년 간 3.82%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7-2 ❙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75,021,093 67,807,980 72,410,215 75,151,722 77,569,555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211,944 183,163 192,234 197,148 159,974
(지역내비중, %) (0.28) (0.27) (0.27) (0.26) (0.21)
제조업 39,178,543 32,491,059 36,580,373 38,481,846 40,058,720
(지역내비중, %) (52.22) (47.92) (50.52) (51.21) (51.64)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625,801 2,052,313 2,079,622 2,057,218 -393,451
(지역내비중, %) (2.17) (3.03) (2.87) (2.74) -(0.51)
건설업 2,827,266 2,593,456 2,350,353 2,650,415 3,410,414
(지역내비중, %) (3.77) (3.82) (3.25) (3.53) (4.40)
기타서비스업 13,205,462 13,002,642 13,194,877 13,461,725 13,676,347
(지역내비중, %) (17.60) (19.18) (18.22) (17.91) (17.63)
정부/민간비영리생산 6,044,138 6,070,836 6,354,484 6,638,151 6,863,352
(지역내비중, %) (8.06) (8.95) (8.78) (8.83) (8.85)
순생산물세 11,981,205 11,414,511 11,658,272 11,619,631 11,173,356
(지역내비중, %) (15.97) (16.83) (16.10) (15.46) (14.4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24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울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209조 6,449억 원이고, 1,81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6만
49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은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이 약 57조 6,627억원(전체의 27.5%), 사업체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약 318개(전체의 17.5%), 종사자 수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5만 3,092명(전체의 33.0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7-3 ❙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66,321 0.46 41 2.26 1,295 0.81
음료 제조업 50,850 0.02 3 0.17 89 0.0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920,030 0.44 80 4.40 3,398 2.1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8,282 0.02 9 0.50 160 0.1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6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46,908 0.07 18 0.99 408 0.2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04,402 0.57 23 1.27 1,567 0.9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 0.06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57,662,715 27.50 26 1.43 5,104 3.1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45,425,574 21.67 178 9.80 16,918 10.5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4,772 0.02 4 0.22 105 0.0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952,431 1.41 88 4.84 6,516 4.0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569,563 0.27 43 2.37 1,184 0.74
1차 금속 제조업 22,950,719 10.95 88 4.84 6,660 4.1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75,289 0.75 203 11.17 5,940 3.7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5,171 0.06 4 0.22 383 0.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27,352 0.11 40 2.20 903 0.56
전기장비 제조업 8,384,001 4.00 87 4.79 8,326 5.1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496,141 2.62 209 11.50 10,206 6.3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9,671,069 23.69 314 17.28 53,092 33.0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1,046,796 5.27 318 17.50 36,737 22.89
가구 제조업 - - 2 0.11 - -
기타 제품 제조업 11,485 0.01 7 0.39 143 0.0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31,341 0.06 30 1.65 1,238 0.77
합 계 209,644,986 100.00 1,817 100.00 160,490 100.00
Regional S&T Yearbook 2024 24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 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7-4 ❙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24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울산시는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
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 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지역별 과학
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7-5 ❙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해오름동맹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울산연구원 운영사업
중소,중견 4차산업 기술적용에너 효율향상 지원사업
친환경 수소산업 전주기 연구센터
수소전기트램 실증사업
세라믹 3D적층성형기반 신속생산 체제 구축
국가인프라 지능정보화 사업
5G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 운영사업
세포간 신호교신에 의한 암제어 기술 개발사업
희귀난치성 질환 면역억제 치료제 개발사업
세포간 신호교신에 의한 암제어 기술 개발사업
폐플라스틱 새활용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기술 개발사업
울산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사업
학연협력플랫폼 구축사업
지역 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뿌리기업 기술첨단화 지원사업
화학산업 경쟁력 강화지원사업
시-화연 정밀화학 기술협력사업
자동차-화학 융합산업 기술개발사업
지역 첨단화학소재 기술개발 지원사업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울산국방벤처센터 운영사업
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 구축사업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건립사업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친환경 선박 개발 및 실증사업
1MW급 AEM 수전해 스택 개발 및 실증사업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AI기반 중량화물이동체 물류플랫폼 실증사업
조선해양미래혁신인재양성센터사업
자율 무인시스템 기반 스마트환경 모니터링 기술개발사업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사업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247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안전기반소형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차세대 원자력 원천기술 창출형 IP-R&D 인력양성사업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사업
인공지능대학원 지원사업
AI이노베이션파크 지원사업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4단계 두뇌한국 21 사업 지원사업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LINC 3.0)사업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사업
울산산학융합원 출연금 지원사업
산학융합 혁신기반 활용사업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생태계 구축 지원사업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기술지원사업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사업
조선해양기자재 KOLAS 인증지원사업
고에너지응용기술 기반활용 미래차부품 제조역량 강화지원사업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
지능형 전력구동 핵심부품지원 기반구축사업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및 차량 안정성 확보 지원사업
도심 외 자율주행차 개발 및 실증사업
부유식 해상풍력 종합지원 콤플렉스 조성사업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사업
지역 디지털 기업 성장지원사업
지역SW품질역량강화 지원사업
울산시-ETRI 공동협력사업
SDF 기반 자동차공정 AI 자율제조 기술개발사업
협동로봇 기반 조선공정 AI 자율제조 기술개발('25년 신규)사업
화학산업 고도화를 위한 바이오소재 기술지원사업
온실가스 감축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실증화 사업
디지털기반 자원순환 시범 산업단지 운영사업
산업단지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및 온실가스 저감사업
뿌리기업 기술첨단화 지원사업
화학산업 경쟁력 강화지원사업
시-화연 정밀화학 기술협력사업
자동차-화학 융합산업 기술개발사업
지역 첨단화학소재 기술개발 지원사업
청년CEO 육성사업
톡톡팩토리 운영사업
창업보육센터 운영 활성화사업
1인창조기업지원센터운영사업
벤처기업 육성지원 사업
R&D맞춤형 기술정보 제공 사업
기술강소기업 유치지원사업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지역협력혁신성장사업
24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25개, 도시첨단 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총 32개의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749개, 총 종사자 수는 137,460명
표 3-7-6 ❙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울산・미포 48,444 45,595 1,085 657 99,479 100 조성중
온산 25,939 20,513 385 250 15,162 100 조성중
일반
매곡 565 565 58 55 1,535 97 완료
모듈화 863 863 31 30 2,476 100 완료
이화 694 694 1 1 X 100 조성중
중산 134 134 19 19 364 100 완료
길천 1,515 1,503 97 90 2,192 91 완료
신 3,261 2,423 111 107 3,358 100 완료
와지 126 125 28 28 570 100 완료
울산 High Tech Valley 1,939 1,939 19 18 512 100 조성중
봉계 258 255 11 10 450 100 완료
KCC울산 1,222 1,165 48 41 1,217 99 완료
전읍 72 72 4 4 74 100 완료
반천 1,373 1,373 79 67 1,625 100 완료
작동 150 150 0 0 0 100 조성중
중산2차 365 365 40 39 865 100 완료
매곡2 77 77 13 13 235 100 완료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지원(비R&D)사업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사업화 지원사업
주력산업 3D프린팅 기술융합 실증지원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거점기관개방형혁신사업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울산지역 우수학생 육성지원사업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지역 자율형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249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매곡3 158 158 20 20 756 100 완료
울산테크노 1,287 1,287 150 143 2,980 100 완료
GW 454 454 39 22 421 90 완료
모바일테크밸리 315 315 20 7 191 0 조성중
에너지융합 1,017 1,017 3 3 20 0 완료
청양 201 200 0 0 0 0 미개발
머거본 56 56 0 0 0 0 미개발
울산도하일빈산업단지 423 423 0 0 0 0 미개발
울산KTX역세권일반산업단지 421 421 0 0 0 0 미개발
대대일반산업단지 115 115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울산장현 317 317 0 0 0 0 미개발
농공
달천 260 260 102 95 1,230 100 완료
두동 70 70 4 4 466 100 완료
두서 123 123 15 14 641 100 완료
상북 139 139 12 12 641 100 완료
25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울산광역시에는 총 465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69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65개), ‘전기장비 제조업’(45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38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7-7 ❙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 -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 6 7
음료 제조업 1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 5 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4 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2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2 41 3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5 18 1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10 8
1차 금속 제조업 2 3 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3 25 2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6 20 1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8 17 18
전기장비 제조업 40 46 45
Regional S&T Yearbook 2024 251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72 76 6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6 26 2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2 16 17
가구 제조업 - - -
기타 제품 제조업 10 16 1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 2 3
건설업(41~42) 10 15 15
도매 및 소매업(45~47) 4 4 4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54 57 69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5 59 5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3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421 473 465
25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울산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1,007명(전국의 1.35%)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증가율은
약 1.0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5,772명(전국의 1.10%)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4,116명(전국의 1.76%), 공공연구소는 1,119명(전국의 1.5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7-8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640 1.87 3,720 1.80 3,820 1.82 3,948 1.78 4,116 1.76
∙ 국공립 2,410 3.02 2,522 2.91 2,740 3.15 2,850 3.17 3,005 3.17
∙ 사립 1,230 1.08 1,198 0.99 1,080 0.88 1,098 0.83 1,111 0.80
공공연구소 982 1.57 1,084 1.69 1,077 1.62 1,105 1.61 1,119 1.57
∙ 국공립 213 1.65 221 1.72 237 1,76 230 1.73 230 1.75
∙ 정부출연 476 1.38 485 1.43 476 1.40 469 1.35 482 1.35
∙ 병원 및 기타 293 1.94 378 2.18 364 1.89 406 1.98 407 1.98
기업 5,823 1.26 5,479 1.15 5,453 1.07 5,694 1.09 5,772 1.10
∙ 정부투자기관 11 0.29 13 0.35 15 0.39 13 0.33 17 0.45
∙ 민간기업 5,812 1.27 5,466 1.16 5,438 1.08 5,681 1.09 5,755 1.11
합 계 10,445 1.45 10,283 1.38 10,350 1.32 10,747 1.32 11,007 1.3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253
■ ’23년 울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3명 증가한 75.6명으로 조사됨
표 3-7-9 ❙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0.0 69.4 70.7 73.3 75.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울산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9,746억 원(전국의 0.87%)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감소율은 2.57%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217억 원(전국의 2.04%), 공공연구소는
약 1,351억 원(전국의 0.97%), 기업이 약 6,177억 원(전국의 0.66%)
표 3-7-10 ❙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0,634 2.18 179,862 2.15 196,612 2.11 226,897 2.20 221,750 2.04
∙ 국공립 125,448 3.83 140,901 3.73 158,755 3.77 184,220 4.07 180,533 3.74
∙ 사립 35,186 0.86 38,961 0.85 37,857 0.74 42,677 0.74 41,217 0.68
공공연구소 108,847 1.07 108,656 0.98 131,821 1.10 141,136 1.09 135,195 0.97
∙ 국공립 11,482 1.37 11,199 1.32 15,230 1.57 13,608 1.33 13,747 1.29
∙ 정부출연 86,085 1.10 77,640 0.94 96,741 1.11 105,683 1.14 96,003 0.96
∙ 병원 및 기타 11,281 0.74 19,816 1.00 19,850 0.86 21,845 0.83 25,445 0.90
기업 840,482 1.18 778,678 1.06 861,528 1.07 939,845 1.05 617,749 0.66
∙ 정부투자기관 4,366 0.50 3,312 0.38 3,294 0.38 3,064 0.34 3,410 0.46
∙ 민간기업 836,116 1.18 775,366 1.07 858,234 1.07 936,781 1.06 614,339 0.66
합 계 1,109,963 1.25 1,067,196 1.15 1,189,961 1.17 1,307,878 1.16 974,694 0.8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5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울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784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98%
표 3-7-11 ❙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112 3,234 3,651 3,810 4,784
(1.5) (1.4) (1.5) (1.5) (1.6)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전략국 5개 관련과(신산업과, 미래전략기획과, 투자
유치과, 기업현장지원과, 대학청년과)에서 담당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25년 1월 개편 예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울산광역시 미래전략국 울산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울산과학기술혁신협의회 울산연구개발지원단 울산R&D혁신기관협의체
지역혁신기관
대학 공공기관 및 연구소 지원기관
울산과학기술원
울산대학교
울산과학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한국화학연구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구건자통신연구원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경제진흥원
한국화학기술정보연구원
울산지역산업진흥원
울산연구원
※ 출처 : 울산광역시
Regional S&T Yearbook 2024 255
표 3-7-12 ❙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7,486 2 5,924 115 25 21 1,399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7-13 ❙ 울산광역시 미래전략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조례)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울산시 과학기술진흥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 심의 및 자문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과학기술진흥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안효대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재임기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 (2024.12.)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4년 추진실적 및 '25년 시행계획(안) 심의
신산업과
∙ 과학기술진흥, 첨단산업정책 수립
∙ 지역혁신성장계획, 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 이차전지, ICT, 3D프린팅, 바이오산업, 저탄소산업 등 신산업 지원
미래전략기획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미래전략과제 발굴, 미래기반조성 사업 검토
투자유치과
∙ 투자유치종합계획, 시투자유치보조금 지원
∙ 외자유치 전략, 국제교류 정책・기획, 해외 자매・우호도시 교류
기업현장지원과 ∙ 기업 현장지원
대학청년과
∙ RISE 및 글로컬대학 등 대학혁신지원 업무 지원
∙ 울산청년정책네트워크, 울산청년정책플랫폼 지원
25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7-14 ❙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안효대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재직기간
위원 김정익 울산광역시 미래전략국장 재직기간
위원 안대룡 울산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재직기간
위원 이재신 울산대 산학협력부총장 2024. 12 ~ 2026. 11
위원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장 2024. 12 ~ 2026. 11
위원 김주연 울산과학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2024. 12 ~ 2026. 11
위원 김창락 한국전력국제원자력 대학원대학교 학장 2024. 12 ~ 2026. 11
위원 이은규 울산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 2024. 12 ~ 2026. 11
위원 이준정 울산테크노파크 기술사업화실장 2024. 12 ~ 2026. 11
위원 박현철 울산정보산업진흥원 디지털융합본부장 2024. 12 ~ 2026. 11
위원 서봉국 한국화학연구원 울산본부장 2024. 12 ~ 2026. 11
위원 김홍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지역본부장 2024. 12 ~ 2026. 11
위원 석주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2024. 12 ~ 2026. 11
위원 엄영희 울산상공회의소 지식재산센터장 2024. 12 ~ 2026. 11
Regional S&T Yearbook 2024 25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울산시의 총 예산은 9조 5,172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0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11%
- 과학기술 예산 중 울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6.93%
표 3-7-15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95,172
재정자주도(%) 68.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51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0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6.93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25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울산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744개로 전국의 1.2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33%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77개 증가
표 3-7-16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20 6 1.46 7 1.65 5 1.20 6 1.30
∙ 국공립 1 1.19 1 1.18 1 1.16 1 1.14 1 1.10
∙ 사립 4 1.21 5 1.53 6 1.78 4 1.21 5 1.35
공공연구소 15 2.34 16 2.41 18 2.61 16 2.34 18 2.40
∙ 국공립 4 2.80 3 2.10 4 2.61 3 2.19 3 2.24
∙ 정부출연 6 3.55 7 4.29 8 4.71 8 4.85 9 5.29
∙ 병원 및 기타 5 1.52 6 1.68 6 1.64 5 1.31 6 1.34
기업 643 1.17 678 1.16 720 1.16 757 1.18 720 1.19
∙ 정부투자기관 1 1.82 1 1.85 2 3.39 2 3.28 2 3.57
∙ 민간기업 642 1.17 677 1.16 718 1.15 755 1.17 718 1.19
합 계 663 1.19 700 1.18 745 1.18 778 1.19 744 1.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259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울산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7-17 ❙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울산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2만 3,59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144명(전체의 약 9.09%), 공학계열 학생이 1만 552명(전체의
약 44.73%)
표 3-7-18 ❙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144 10,552 12,696 4,672 1,404 418 997 3,403 23,590
비중(%) 9.09 44.73 53.82 19.81 5.95 1.77 4.23 14.43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6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울산광역시에는 총 4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울산과학기술원에 2개, 울산대학교에 2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7-19 ❙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울산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대사스트레스 세포대응 연구센터 SRC
2020 미세플라스틱 대응 화공/바이오 융합 공정 연구센터 ERC
울산대학교
(2개 센터)
2018 줄기세포 면역제어 연구센터 MRC
2023 친환경 수소산업 전주기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4 261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울산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울산대에 2개가 운영했으나, ’23년 기준으로 모두 운영 종료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울산의 창업보육센터는 과거 2개가 운영되고 있었으나, ’24년 기준으로 현황에 잡히지 않음
26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울산에는 공립 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7-20 ❙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태화강생태관 공립
울산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울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울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70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5,586명임
표 3-7-21 ❙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412 432 525 646 709
수혜자 수 5,447 7,783 10.521 12,898 15,58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263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울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2,21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133건
- 특허출원은 ’22년 대비 0.81% 감소, 특허등록은 ‘22년 대비 2.0% 감소
표 3-7-22 ❙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2,267 2,347 2,277 2,499 2,209 2,228 2,210
특허등록 건수 1,269 1,308 1,268 1,560 1,557 1,156 1,13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울산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2,307편, 주저자 기준 1,150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09%, 2.00%를 차지
표 3-7-23 ❙ 울산광역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2,266 3.37 57,082 25.19 1,174 2.14 25,733 21.92
2020 2,576 3.50 45,827 17.79 1,321 2.21 21,428 16.22
2021 2,627 3.29 28,397 10.81 1,317 2.07 13,243 10.06
2022 2,444 3.17 7,945 3.25 1,236 2.06 3,655 2.96
2023 2,307 3.09 9,047 3.92 1,150 2.00 3,782 3.2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6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 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위대한 울산
■ 목표
- 과학기술 기반 주력산업 혁신과 신산업 육성을 통한 경쟁력 확보
- 혁신성장거점기반 좋은 일자리 창출형 지역 특화형 미래도시 육성
- 과학기술 중심 창의적 혁신 인재 육성 및 사회적 분위기 조성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중점추진 아젠다
- 주력산업 고도화 및 미래신산업 육성
■ 실행전략
-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기반 구축 확대
-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
- 친환경・스마트 선박으로 조선해양산업 경쟁력 강화
- 화학소재 산업의 고도화 및 뿌리산업 육성 지원
- 이차전지 기업 지원 생태계 기반 강화
-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통한 수소도시 육성
- 선택과 집중을 통한 바이오산업 육성
- 친환경 에너지 허브 항만 조성 및 미래에너지 선점
- 지역 해양자원의 신산업화와 기후변화 선제적 대응
- 원자력 산업 전 주기 경쟁력 강화
-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및 탄소중립 실현
- 울산형 저탄소・순환경제 산업 추진으로 탄소중립 선도
- 3D프린팅 산업 기반 구축으로 기업지원 발판 마련
Regional S&T Yearbook 2024 265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자체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지자체 간 공통 정책의제 및 초광역 협력 정책・사업 수요 등 파악・발굴을 위한 지역 간 협력체계 구축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 과학기술 정책 수립체계 정립
- 울산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및 중점 추진 분야 발굴
- 울산지역 R&D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신규・계속・종료 과제 평가 관리
■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기획 및 사업 추진역량 제고
- 울산 연구개발지원단 정책기획 역량 강화
- 과학기술 분야 자문기구 활성화 추진
■ 지역 주도 구현을 위한 법・제도, 통계 등 기반 고도화
- 울산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통한 통계 신뢰성 제고
- R&D관리 전담조직 구축 및 전주기평가 관리 훈령 제정을 통한 울산시 R&D 관리체계 마련
■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 간 연계를 통한 연구거점 활성화
-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의 연구역량 강화 및 거점화를 위해 지역 주요 대학, 연구기관의 연구역량 및
자원 등에 대한 실태조사 추진
■ 과학기술 기반 혁신 활성화를 위한 지역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울산과학기술혁신협의회, 연구개발 협의체 등의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확대
■ 연구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지역 기업의 도약 지원
- 부설연구소 및 전담부서 등의 연구개발기반 설립지원을 통한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원 확대
■ 지역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울산지역 클러스터 현황분석을 통한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
- 울산지역 규제자유특구 패키지 지원을 통한 신규특구 기획 및 기존 특구 강화
■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협력체계 강화
- 지식기술 창업센터 및 울산글로벌스타트업허브(U-Hub) 운영을 통한 창업 협력체계 구축
26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세종의 인구는 약 39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세종 인구의 비율은 0.75%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8-1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9년~2023년)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329,422 348,302 366,165 382,760 387,256
전국인구대비 비율(%) 0.64 0.67 0.71 0.74 0.75
경제활동참가율(%) 64.3 64.5 64.0 65.0 65.9
실업률(%) 2.7 2.8 2.1 2.0 2.0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26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세종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61%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38.0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4.42%, 제조업이
20.99%로 그 뒤를 따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의 산업 내 비중은 5년간 5.12%로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이며, 기타서비스업이
1.73% 증가하여 세종시 내 산업구조에서 서비스업이 중심적임을 시사함
표 3-8-2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구 분
지역내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13,684,126 14,005,902 15,040,763 15,374,819 15,567,924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85,868 159,746 167,409 163,499 154,729
(지역내비중, %) (1.36) (1.14) (1.11) (1.06) (0.99)
제조업 2,609,127 2,949,652 3,175,520 3,351,768 3,267,028
(지역내비중, %) (19.07) (21.06) (21.11) (21.80) (20.99)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41,968 260,985 256,185 274,465 159,219
(지역내비중, %) (1.77) (1.86) (1.70) (1.79) (1.02)
건설업 1,610,270 1,345,929 1,246,110 1,257,577 1,256,687
(지역내비중, %) (11.77) (9.61) (8.28) (8.18) (8.07)
기타서비스업 3,489,579 3,448,475 3,769,772 3,764,226 3,801,430
(지역내비중, %) (25.50) (24.62) (25.06) (24.48) (24.4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613,608 4,887,546 5,384,031 5,619,349 5,922,652
(지역내비중, %) (33.72) (34.90) (35.80) (36.55) (38.04)
순생산물세 938,727 953,569 1,041,736 951,280 910,678
(지역내비중, %) (6.86) (6.81) (6.93) (6.19) (5.85)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26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세종시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조 4,112억 원이고, 32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만
8,31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는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에 각각 약 1조 3,853억 원
(전체의 14.72%), 2,610명(전체의 14.25%), 사업체 수는 ‘식료품 제조업’이 42개(전체의
12.8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8-3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28,198 10.93 42 12.88 2,087 11.40
음료 제조업 20,266 0.22 3 0.92 57 0.3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0,408 0.11 3 0.92 43 0.2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0.31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31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486 0.08 3 0.92 39 0.2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732,590 7.78 13 3.99 673 3.6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5,484 0.59 15 4.60 406 2.2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223,494 13.00 36 11.04 1,714 9.3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62,419 8.10 12 3.68 1,522 8.3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8,379 8.48 35 10.74 1,948 10.6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26,391 8.78 29 8.90 1,698 9.27
1차 금속 제조업 283,498 3.01 15 4.60 465 2.5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0,606 0.75 14 4.29 222 1.2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85,363 14.72 11 3.37 2,610 14.2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83,560 6.20 11 3.37 911 4.97
전기장비 제조업 870,661 9.25 32 9.82 1,831 10.0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77,206 0.82 17 5.21 352 1.9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71,802 6.08 24 7.36 1,419 7.7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 1 0.31 - -
기타 제품 제조업 23,294 0.25 6 1.84 160 0.8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2 0.61 - -
합계 9,411,222 100.00 326 100.00 18,312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26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8-4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
약품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식료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
통신장비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27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세종시는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지자체 주도 창업 협력체계 구축・운영’ 등에
초점을 맞춘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8-5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 주도 중장기 과학기술 혁신계획 수립(중점 추진분야 : 과학기술 분야
인프라 조성, 기업지원, 기반구축, 인력양성, 교육 및 플랫폼, 기술개발)
연구개발지원단의 역량 및 기능 강화
지자체 과학기술 전담부서 기능・역랑 강화 등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지역 산학연 전문가 플랫폼 구축(미래모빌리티 산업 분야 등)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지역 주도로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SW융합클러스터2.0 등)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 연계 패키지 지원
지자체 주도 창업 협력체계 구축・운영 디지털신기술 ICT이노베이션스퀘어 과정 운영 등
Regional S&T Yearbook 2024 27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세종시에는 국가 1개, 일반산업단지 1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단지 4개가 있음
- 총 19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74개, 총 종사자 수는 12,227명
표 3-8-6 ❙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세종스마트 2,753 2,754 0 0 0 0 미개발
일반
소정 272 272 1 1 X 100 완료
월산 1,380 1,380 0 0 0 100 완료
전의 481 481 8 7 1,433 100 완료
전의2 867 866 32 30 1,287 100 완료
조치원 940 940 12 11 581 100 완료
명학 838 838 36 35 4,059 100 완료
부강(구 부용) 562 562 11 11 2,010 100 완료
세종미래 560 560 24 13 308 100 완료
세종스마트그린 849 832 0 0 0 99 조성중
세종벤처밸리 590 590 0 0 0 0 미개발
세종첨단 664 663 25 24 1,146 100 완료
전동 140 138 0 0 0 54 조성중
세종복합 829 827 0 0 0 0 미개발
도시첨단
행정중심복합도시
4-2생활권
822 822 19 19 213 81 조성중
농공
부용 203 201 1 1 X 100 완료
노장 162 162 16 15 582 100 완료
응암 116 116 5 4 424 100 완료
청송 82 82 3 3 184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27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세종시에는 총 204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에서는 ‘정보통신업’이 45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3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8-7 ❙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1 3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 7 9
음료 제조업 -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2 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1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2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 13 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 3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 11 1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 1 2
1차 금속 제조업 - 1 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0 10 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 14 1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 13 12
전기장비 제조업 8 10 12
Regional S&T Yearbook 2024 273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8 25 2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 4 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2 1
가구 제조업 1 1 -
기타 제품 제조업 1 1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 - -
건설업(41~42) 4 5 7
도매 및 소매업(45~47) 3 4 2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37 46 45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3 31 3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 1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1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4 213 204
27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세종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7,808명으로 전국대비비중은 약 0.9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
인력 증가율은 약 6.03%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공공연구소가 3,582명(전국의 5.04%)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2,482명(전국의 0.47%), 대학이 1,744명(전국의 0.75%)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8-8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62 0.50 1,351 0.65 1,671 0.80 1,542 0.69 1,744 0.75
∙ 국공립 - - 108 0.12 155 0.18 197 0.22 185 0.20
∙ 사립 962 0.84 1,243 1.03 1,516 1.23 1,345 1.02 1,559 1.12
공공연구소 3,426 5.49 3,610 5.63 3,415 5.13 3,497 5.11 3,582 5.04
∙ 국공립 18 0.14 18 0.14 18 0.13 19 0.14 18 0.14
∙ 정부출연 3,390 9.84 3,519 10.37 3,327 9.82 3,389 9.77 3,471 9.73
∙ 병원 및 기타 18 0.12 73 0.42 70 0.36 89 0.43 93 0.45
기업 1,438 0.31 1,642 0.34 1,825 0.36 2,041 0.39 2,482 0.47
∙ 정부투자기관 - - - - - - - 0.00 - 0.00
∙ 민간기업 1,438 0.31 1,642 0.35 1,825 0.36 2,041 0.39 2,482 0.48
합 계 5,826 0.81 6,603 0.88 6,911 0.88 7,080 0.87 7,808 0.96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인력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275
■ ’23년 세종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보다 7명 증가한 138.4명으로 조사됨
표 3-8-9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27.5 136.1 136.0 131.4 138.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세종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7,449억 원(전국의 0.66%)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6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714억 원(전국의 0.66%), 공공연구소는 약
3,390억 원(전국의 2.44%), 기업이 약 3,344억 원(전국의 0.35%)
표 3-8-10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4,618 0.61 52,352 0.63 72,941 0.78 68,583 0.67 71,463 0.66
∙ 국공립 - - - - 2,576 0.06 4,023 0.09 4,084 0.08
∙ 사립 44,618 1.09 52,352 1.14 70,365 1.38 64,560 1.12 67,379 1.11
공공연구소 344,229 3.39 350,981 3.16 327,364 2.73 335,119 2.59 339,051 2.44
∙ 국공립 1,125 0.13 1,285 0.15 1,495 0.15 1,495 0.15 1,725 0.16
∙ 정부출연 342,227 4.38 346,640 4.18 323,844 3.71 330,833 3.57 334,031 3.34
∙ 병원 및 기타 877 0.06 3,056 0.15 2,025 0.09 2,791 0.11 3,295 0.12
기업 205,233 0.29 208,211 0.28 253,086 0.31 347,585 0.39 334,483 0.35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0.00
∙ 민간기업 205,233 0.29 208,211 0.29 253,086 0.32 347,585 0.39 334,483 0.36
합 계 594,080 0.67 611,544 0.66 653,391 0.64 751,287 0.67 744,997 0.66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비 집계 시작
27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세종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830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3%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14%
표 3-8-11 ❙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837 5,159 5,877 6,218 6,830
(2.4) (2.3) (2.4) (2.4) (2.3)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주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집계 시작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세종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산업국 미래산업과에서 추진 중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277
표 3-8-12 ❙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608 3 1,937 38 35 10 58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8-13 ❙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에 관한 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자문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지식재산 진흥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4.20. ~ 2025.4.19.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2024.11.25.)
- 「제4차 산업혁명 종합계획 수립(안)」 심의
경제산업국
미래산업과
∙ 시 경제정책 수립 등 경제산업분야 업무 총괄
∙ 미래 성장 견인을 위한 체계적 지역 산업 육성
∙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 확보
∙ 미래산업(양자, 사이버보안, SW융합클러스터, 연구개발지원단) 업무 총괄
∙ 과학기술분야(과학기술진흥 지원, SW산업 진흥) 업무 총괄
∙ 모빌리티산업,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혁신클러스터 등
∙ 바이오산업육성 및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원사업 추진, 정부공모사업 지원 등
27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위원 소속기관
표 3-8-14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승원 세종특별자치시 / 경제부시장 2023. 4. 20. ~ 2025. 4. 19.
당연직 김현기 세종특별자치시 / 경제산업국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박성희 고려대학교 가속기학과 학과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유동영 홍익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부교수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유세문 한국영상대학교 방송영상미디어과 산학협력단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이성빈 카이스트 물리학과 부교수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윤권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중부정보보호지원센터
센터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길연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형실감콘텐츠연구실 실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정미애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기업연구단
연구위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남영식 대전세종연구원 세종연구실 연구위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임재현 루먼랩(주) 대표이사 / 대청병원 진료부원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오미경 세종사이언스(주) 대표이사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김태상 비전세미콘 스토랑스 사업본부장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김선희 ㈜에이치이브이 대표이사 2023. 4. 20. ~ 2025. 4. 19.
Regional S&T Yearbook 2024 27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세종시의 총 예산은 약 2조 7,06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01%
- 과학기술 예산 중 세종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0.40%
표 3-8-15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277,069
재정자주도(%) 63.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9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0.40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28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세종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322개로 전국의 0.5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6.78% 증가
- 5년간 대학 5개, 공공연구소 5개, 기업 80개 증가
표 3-8-16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 0.96 5 1.22 6 1.42 5 1.20 9 1.95
∙ 국공립 - - 1 1.18 1 1.16 1 1.14 2 2.20
∙ 사립 4 1.21 4 1.23 5 1.48 4 1.21 7 1.89
공공연구소 18 2.80 19 2.87 18 2.61 19 2.78 23 3.06
∙ 국공립 1 0.70 1 0.70 1 0.65 1 0.73 2 1.49
∙ 정부출연 15 8.88 14 8.59 13 7.65 13 7.88 13 7.65
∙ 병원 및 기타 2 0.61 4 1.12 4 1.09 5 1.31 8 1.79
기업 210 0.38 249 0.43 286 0.46 311 0.48 290 0.48
∙ 정부투자기관 - - - - - - - 0.00 - 0.00
∙ 민간기업 210 0.38 249 0.43 286 0.46 311 0.48 290 0.48
합 계 232 0.42 273 0.46 310 0.49 335 0.51 322 0.5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281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세종 소재 대학 수는 3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1개 존재
표 3-8-17 ❙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 - 2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1 1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 - 3 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 세종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5,73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185명(전체의 약 7.53%), 공학계열 학생이 4,255명(전체의
약 27.05%)
표 3-8-18 ❙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85 4,255 5,440 342 4,920 0 1,150 3,880 15,732
비중(%) 7.53 27.05 34.58 2.17 31.27 0.00 7.31 24.66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8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총 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에 1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8-19 ❙ 세종특별자치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1개 센터)
2021 생체시계 기반 항노화 융합연구 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세종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8-20 ❙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세종창업키움센터 2019-04-25
한국영상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28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벤처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0-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4 28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세종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세종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9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145명임
표 3-8-21 ❙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99 93 83 126 98
수혜자 수 2,051 1,581 1,601 2,131 2,145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세종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3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50명 양성
표 3-8-22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재)세종테크노파크 7
전용공간
3개(157.61m3)
163 19,673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28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세종시 특허출원 건수는 979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521건
- 특허출원은 ’22년 대비 4.93% 증가, 특허등록은 ‘22년 대비 13.3%씩 증가
표 3-8-23 ❙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736 811 813 874 922 933 979
특허등록 건수 307 394 405 482 564 460 52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세종시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862편, 주저자 기준 344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16%, 0.60%를 차지
표 3-8-24 ❙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743 1.11 9,150 12.31 335 0.61 3,542 10.57
2020 785 1.07 7,656 9.75 325 0.54 2,841 8.74
2021 947 1.19 4,889 5.16 404 0.63 1,736 4.30
2022 999 1.30 1,778 1.78 371 0.62 529 1.43
2023 862 1.16 1,615 1.87 344 0.6 513 1.4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28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육성을 통한 미래전략수도 세종
■ 목표 : 과학기술 중심의 지역 혁신성장 가속화
■ 전략 :
- 세종시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지원생태계 조성
- 지역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혁신의 가속화
- 세종시 과학기술혁신 기반 조성과 문화 확산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세종시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 및 스마트시티 기반구축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스마트시티 혁신 공간 조성 및 서비스 모델 검증
- 대전-세종-오창의 충청권 과학벨트를 연계한 가속기산업 초광역 협력
■ 혁신기관 협력 기반 지역특화 산업 육성을 위한 기업지원 및 생태계 활성화
-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지역 혁신기관(대학, 연구기관 등) 협력 기반 기업 창업 및 연구장비 지원
■ 세종시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를 위한 거점기관 설립 및 지원기관 역량강화
-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를 위한 거점기관 설립
- 지역 과학기술 전담기관 역량 강화 및 기능 고도화
■ 세종시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인프라 고도화
- 지역 혁신 인재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년 연구인력 지역 정착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지원환경 강화
28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세종시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문화 콘텐츠 개발 및 플랫폼 활성화
- 지역 과학문화 접근성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접목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 혁신기관 협력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미래 선도기술 확보
- 미래차 모빌리티 기업 제품 상용화 지원 및 혁신 생태계 조성
- 바이오헬스 지원 서비스 고도화 및 혁신 생태계 조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미래 핵심기술 융합 및 4차 산업혁명 선도기업 육성을 통한 지속성장도시 실현
- (혁신기반 조성) 4차 산업혁명 선도기업 육성과 기업 투자 유치 활성화를 위한 AI・디지털 융합기술,
미래모빌리티 상용화 플랫폼 등 기반 조성
- (기업육성) AI・디지털헬스케어 등 분야 대상 4차 산업분야 앵커기업 육성 등 핵심기업 유치 및
연계 통한 4차 산업 혁명 대응
- (기술개발) 세종시에 구축된 연구 인프라와 신기술 테스트베드간 신기술 고도화를 통해 미래 핵심
기술 융합 및 신기술 개발 확대
- (혁신생태계 구축)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혁신기반-기업-대학이 연계한 전문인력 양성 등
지속 성장 생태계 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4 287
제9절 경기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경기도의 인구는 약 1,378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경기도 인구의 비율은 약 26.65%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9-1 ❙ 경기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3,241,253 13,452,422 13,611,628 13,680,911 13,781,261
전국인구대비 비율(%) 25.58 26.00 26.31 26.49 26.65
경제활동참가율(%) 64.3 62.8 63.5 65.7 65.7
실업률(%) 3.8 4.0 3.7 2.7 2.6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4.12.시점)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28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기도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78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59%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 36%로 경기도 산업의 큰 축을 이룸
-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간 3.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3.3%로 뒤를 이음.
표 3-9-2 ❙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508,689,650 523,161,883 554,006,378 571,942,091 578,124,323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694,075 3,407,419 3,425,358 3,432,146 3,255,675
(지역내비중, %) (0.73) (0.65) (0.62) (0.60) (0.56)
제조업 179,697,029 188,882,346 204,483,425 210,164,217 213,221,657
(지역내비중, %) (35.33) (36.10) (36.91) (36.75) (36.8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788,133 5,115,501 5,559,506 5,694,623 5,677,586
(지역내비중, %) (0.94) (0.98) (1.00) (1.00) (0.98)
건설업 33,436,120 31,924,188 32,170,391 34,102,797 33,445,398
(지역내비중, %) (6.57) (6.10) (5.81) (5.96) (5.79)
기타서비스업 188,632,678 192,328,039 200,844,668 208,598,507 212,183,227
(지역내비중, %) (37.08) (36.76) (36.25) (36.47) (36.7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64,257,252 65,728,073 69,707,211 73,044,980 75,575,370
(지역내비중, %) (12.63) (12.56) (12.58) (12.77) (13.07)
순생산물세 34,305,875 35,776,317 37,815,819 36,871,519 34,844,351
(지역내비중, %) (6.74) (6.84) (6.83) (6.45) (6.03)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289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경기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492조 6,784억 원이고, 2만 5,97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3만 1,544명이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186조 3,015억원
(전체의 37.81%), 17만 9,528명(전체의 19.2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922개(전체의 15.1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9-3 ❙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25,933,110 5.26 1,678 6.46 62,077 6.66
음료 제조업 3,553,228 0.72 53 0.20 3,084 0.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424,965 1.10 1,014 3.90 23,391 2.5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544,051 0.31 287 1.11 5,709 0.6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370,124 0.28 175 0.67 4,327 0.4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729,120 0.35 275 1.06 5,084 0.5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0,091,979 2.05 970 3.73 25,700 2.7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533,336 0.51 560 2.16 12,629 1.3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787,466 0.16 20 0.08 601 0.0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5,312,792 5.14 1,144 4.40 40,304 4.3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939,353 2.22 289 1.11 20,835 2.2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660,112 4.80 2,884 11.10 75,248 8.0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9,596,407 1.95 742 2.86 22,927 2.46
1차 금속 제조업 17,326,342 3.52 893 3.44 23,975 2.5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2,568,496 4.58 3,479 13.40 76,983 8.2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6,301,505 37.81 1,804 6.95 179,528 19.2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3,922,763 2.83 1,220 4.70 48,567 5.21
전기장비 제조업 22,524,583 4.57 2,013 7.75 61,391 6.5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4,258,821 8.98 3,922 15.10 122,656 13.1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1,531,519 10.46 898 3.46 72,278 7.7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71,010 0.16 69 0.27 2,529 0.27
가구 제조업 6,293,725 1.28 940 3.62 19,483 2.09
기타 제품 제조업 2,485,564 0.50 470 1.81 10,357 1.1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218,043 0.45 172 0.66 11,881 1.28
합 계 492,678,414 100.00 25,971 100.00 931,544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29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가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9-4 ❙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가구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기타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4 291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기도는 ‘글로벌 신산업 육성’,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R&D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균형
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혁신클러스터 조성’,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과학문화 저변 확대’, ’과학
기술 인력양성‘, ‘지역균형발전 기여’,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9-5 ❙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글로벌 신산업 육성
AI 기반 미래차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AI 기반 의료・바이오 분야 응용연구 지원
경기도 디스플레이기술개발지원사업
경기도 시스템 반도체 OSAT분야 기술개발지원 사업
경기도 양자-반도체융합산업경쟁력강화추진
경기도 테스트베드 활용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 개발
데이터 산업육성지원
디지털 혁신 의료기기개발지원
메디 바이오산업혁신 기반 구축
바이오산업혁신생태계 활성화
반도체 소부장 요소기술 테스트베드 구축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시스템반도체검증지원센터구축
에너지혁신기술지원사업
의료기기기업해외진출지원
자동차부품기업친환경차진입지원
차세대반도체 패키징 장비 재료산업전 등 개최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XR 기기 부품 모듈 시험 제작 및 사업화 지원
경기도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
경기도AI실증지원
경기도형스마트공장구축및컨설팅지원
29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경기도형스마트공장종합지원
대학창의적자산실용화지원(BRIDGE3.0)
산업데이터표준확산기반구축
산업밸류체인디지털전환지원센터조성
청정수소시험평가및실증화지원기반구축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3D프린팅 기술지원
경기도 로봇산업 육성지원
드론 산업육성지원
드론 아카데미운영
드론 체험 활성화 지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산업화지원 기반 구축
메타버스 산업 육성
메타버스산업융합지원및실증
R&D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AI국제협력강화
R&D첫걸음기업연구소지원
게임산업육성
경기도(예비)초기기술창업지원
경기도AI기업고성능컴퓨팅지원
경기도R&D과제관리시스템(G-PMS)운영
경기도기술창업재도전지원
경기도대학생융합기술창업지원
경기도대학혁신플랫폼지원
경기도민간투자연계형기술창업지원사업
경기도바이오기업R&DB종합지원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
경기도형혁신오픈이노베이션지원
경기바이오스타트업랩구축및운영
글로벌성장지원프로그램운영
기술개발사업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293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기술닥터사업운영
기술이전창업지원
디지털바이오헬스연구장비고도화
메이커스페이스전문랩구축운영
메타버스창업등기업종합지원거점센터운영
뷰티산업육성지원
뿌리산업경쟁력강화
섬유기업맞춤형신소재개발사업
섬유기업현장기술돌봄이지원
섬유분야기술개발사업
섬유분야유해물질시험분석및인증지원
섬유제조활성화및역량강화사업
소부장기업육성지원
스타트업랩운영지원
연구장비공동활용시스템운영
연구중심병원육성R&D사업지원
자율주행분야공동R&D사업
지식재산보호강화
지식재산창출및창업지원
차세대수소에너지기술개발지원사업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Station-G(안산)운영지원
경기도형미래차혁신생태계조성
경기안산강소연구개발특구지원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조성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인프라확충
판교벤처스타트업클러스터활성화
판교제1TV관리
판교제2TV산업단지관리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혁신클러스터
조성
경기AI혁신클러스터조성
경기도4차산업혁명센터운영
경기산학융합지구성과활용지원
29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AI,마이데이터기반고독사예방및대응서비스
AI스마트케어
AI챌린지프로그램
경기생성형AI데이터플랫폼사전컨설팅
데이터기반의도정현안분석
발달장애인AI돌봄서비스지원
열린혁신디지털오픈랩구축
과학문화 저변 확대
2024년퓨쳐모빌리티“개벽”Festa
2024디지털퓨처쇼
경기스타트업서밋개최
지역과학문화역량강화사업
과학기술 인력양성
경기도인공지능교육센터구축(인공지능인재양성)
경기스타트업아카데미운영
그랜드-ICT연구센터지원
글로벌바이오네트워크캠퍼스구축및인력양성
나노기술인력양성사업
미래기술학교운영지원
바이오전문인력양성
반도체산업전문인력양성교육장비도입
반도체산업전문인력양성사업
인공지능(AI)대학원지원
인공지능리터러시교육운영(인공지능인재양성)
인공지능전문인력양성(인공지능인재양성)
첨단산업인재양성부트캠프
한국배터리아카데미경기도교육장지원사업
지역균형발전 기여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경기도인공지능종합계획수립
도심항공교통(UAM)기본계획수립연구용역
양자산업중장기기본계획수립을위한연구용역
경기연구개발지원단연구지원
과학기술정책연구지원
바이오산업종합계획수립연구용역
Regional S&T Yearbook 2024 29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179개, 도시첨단단지 14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99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5,370개, 종사자 수는 539,162명
표 3-9-6 ❙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반월특수지역 150,766 38,010 22,305 21,745 248,609 100 조성중
파주출판 1,562 1,515 958 940 6,386 100 완료
파주탄현 80 77 48 45 253 100 완료
아산국가 20,193 17,796 251 236 24,541 100 조성중
동두천 267 266 0 0 0 100 조성중
일반
김포항공 336 336 8 8 221 100 완료
상마 79 79 37 37 353 100 완료
양촌 1,686 1,685 960 960 9,038 100 완료
율생 49 49 13 13 98 100 완료
통진(팬택) 34 34 4 3 97 100 완료
학운 56 56 34 34 326 100 완료
학운2 634 634 122 122 2,405 100 완료
동두천 262 262 46 46 1,071 100 완료
동두천2 187 187 24 24 613 96 완료
상봉암 54 54 6 6 784 100 완료
오정 291 291 103 103 2,696 100 완료
성남[재생사업지구] 1,513 1,511 2,900 2,890 42,626 100 완료
반월도금 162 161 103 103 909 100 완료
가율 58 58 3 3 506 100 완료
공도 69 69 5 5 151 100 완료
금산 58 58 17 13 580 100 완료
덕산 59 59 10 10 181 100 완료
동항 57 57 14 13 296 100 완료
두교 56 56 8 7 351 100 완료
미양2 160 160 6 5 873 100 완료
방초 60 60 9 9 207 100 완료
안성제1 668 668 48 43 3,735 100 완료
안성제2 716 716 53 50 2,697 100 완료
29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제3 397 397 50 45 1,322 100 완료
안성제4 811 811 22 20 772 96 완료
용월 59 59 12 12 165 100 완료
원곡 100 100 6 6 512 100 완료
장원1 60 59 16 15 195 100 완료
월정 59 59 5 5 176 100 완료
구암 46 46 2 1 X 100 완료
남면 207 207 27 23 561 100 완료
도하 67 67 1 1 X 100 완료
상수 59 59 10 10 306 100 완료
가장 513 513 40 34 3,676 100 완료
문발1 50 50 16 15 415 100 완료
문발2 206 206 16 16 2,352 100 완료
신촌 190 190 78 67 1,410 100 완료
일반
오산 232 232 76 67 800 100 완료
축현 298 298 103 85 740 100 완료
파주LCD 1,741 1,741 8 5 17,339 100 완료
법원2 330 330 23 17 305 100 완료
고덕국제화계획지구 3,906 3,906 1 1 X 100 완료
어연한산 690 690 34 30 5,514 100 완료
오성(외국인) 601 600 6 5 174 100 완료
장당 150 150 5 5 557 100 완료
진위 486 485 17 17 2,477 100 완료
추팔 610 610 32 32 2,399 100 완료
칠괴 641 641 16 15 809 100 완료
평택 535 534 64 62 3,530 100 완료
현곡 723 723 27 27 1,994 92 완료
신평 57 57 9 9 226 100 완료
양문 180 180 52 52 1,150 92 완료
동탄 1,974 1,951 410 298 13,979 100 완료
마도 929 929 268 165 3,940 100 완료
발안 1,825 1,815 548 398 8,916 100 완료
장안첨단(1)(외국인) 602 602 14 14 1,754 100 완료
장안첨단(2)(외국인) 614 614 8 7 713 100 완료
전곡해양 1,617 1,617 295 227 4,059 100 완료
팔탄(한미약품) 80 80 1 1 X 100 완료
향남제약 648 644 52 49 4,42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29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남 149 149 42 36 459 100 조성중
화성 964 964 1 1 X 100 조성중
장남 99 87 1 1 X 100 완료
청산대전 188 188 23 22 363 100 완료
적성 600 600 94 92 1,146 100 완료
한강시네폴리스 1,121 1,121 0 0 0 0 조성중
장호원 60 59 10 8 150 100 완료
설성 48 48 6 4 54 100 완료
모가 60 60 2 1 X 100 완료
삼교 56 56 2 2 X 100 완료
지문 177 176 1 1 X 100 완료
학운4 492 492 167 167 2,400 100 완료
홍죽 586 582 83 79 1,726 100 완료
가장2 595 594 65 56 4,132 100 완료
신둔 39 39 2 2 X 100 완료
고렴 265 265 9 9 359 64 완료
용정 947 947 123 81 2,754 100 완료
일반
LG Digital Park 125 125 1 1 X 100 완료
경기화성바이오밸리 1,740 1,740 306 217 4,803 100 완료
안녕일반산업단지(구 한강씨엠) 51 50 1 1 X 0 조성중
학운3 958 960 315 315 3,515 100 완료
매화 376 376 266 253 1,520 100 조성중
원삼 109 109 3 3 205 100 조성중
진위2 956 956 33 13 783 100 완료
군포첨단 288 287 84 84 3,215 100 완료
장자(구 신평3리) 486 483 79 53 670 76 완료
대월 60 60 8 6 186 100 완료
광릉테크노밸리(구 팔야) 209 205 36 31 1,545 100 완료
백학통구 84 84 1 1 X 100 완료
제일바이오 60 59 2 2 X 100 조성중
금곡 130 130 33 32 815 100 완료
진관 142 142 64 64 1,018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1블록)(구 수원1) 287 287 358 358 3,374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2블록)(구 수원2) 123 121 60 60 1,708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3블록)(구 수원3) 847 847 537 537 11,177 100 완료
개정지방 209 209 12 10 758 100 완료
검준 145 145 56 52 1,229 100 완료
29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용현 346 345 133 133 2,310 100 완료
당동(외국인) 641 641 5 5 793 100 완료
선유 1,313 1,313 119 102 4,142 100 완료
금파 80 78 11 9 202 100 완료
월롱 837 836 3 3 1,783 100 완료
탄현 123 123 52 41 431 100 완료
법원1 305 305 0 0 0 0 미개발
송탄 1,086 1,086 141 139 5,498 100 완료
포승(2) 627 626 7 7 302 88 완료
목동 60 60 14 11 248 100 완료
장안 59 58 1 1 X 100 완료
강천 58 58 7 6 126 100 완료
백학 439 439 58 43 845 100 완료
파주스튜디오시티일반산업단지
(구 월롱2)
119 119 2 0 0 0 조성중
주곡 200 200 34 25 515 100 조성중
도암 60 60 7 7 121 100 완료
도드람 52 52 1 1 X 100 완료
남여주 71 56 7 2 X 100 완료
팔곡 143 141 0 0 0 100 조성중
농서 54 54 1 1 X 100 완료
일반
완장 124 124 2 2 X 100 조성중
마정 61 60 3 2 X 100 조성중
볼빅 70 70 0 0 0 0 조성중
신갈 60 60 1 1 X 100 완료
마산 75 75 1 1 X 100 완료
세마 92 92 9 7 1,277 100 완료
금현 141 140 14 13 252 100 완료
화성정남 570 570 117 90 2,946 100 조성중
장원2 60 60 8 7 215 83 완료
평택브레인시티 4,825 4,825 0 0 0 0 미개발
통삼 49 49 8 6 438 100 완료
강문 88 88 0 0 0 0 조성중
서울우유 195 195 1 1 X 100 완료
원 121 121 0 0 0 100 조성중
진위3(kdb Utoplex) 828 826 0 0 0 0 미개발
지곡 72 72 3 1 X 100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4 29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동항2 150 150 20 19 507 100 완료
용인패키징디자인 59 50 8 6 110 100 완료
관리 38 38 4 2 X 100 완료
용인SG패션 50 50 0 0 0 100 조성중
한컴 59 59 1 1 X 100 조성중
화성송산테크노파크 529 528 144 95 1,500 100 완료
대포 250 250 46 32 861 0 조성중
의왕테크노파크 158 158 679 676 2,216 100 완료
은남 992 992 0 0 0 0 미개발
동방 119 119 0 0 0 0 조성중
가유 114 114 0 0 0 0 조성중
학운6 565 559 163 163 1,800 0 조성중
에코그린 308 308 0 0 0 77 조성중
연천BIX(은통) 600 600 25 0 0 21 완료
영진바이오 45 45 1 1 X 100 완료
학운4-1 137 138 41 39 516 0 조성중
동문 78 78 0 0 0 0 조성중
진목 90 90 1 0 0 0 미개발
마산2 126 127 0 0 0 0 조성중
북좌 42 42 0 0 0 0 미개발
축현2 71 69 1 1 X 100 완료
용인테크노밸리(구 덕성) 839 839 141 106 3,034 100 완료
평택드림테크(구 신재생) 1,345 1,344 0 0 0 0 미개발
일반
광명시흥 975 973 0 0 0 0 미개발
파주센트럴밸리 493 493 39 13 182 100 조성중
서탄(구 유창) 280 280 0 0 0 0 미개발
평택BIX(경기경제자유구역) 1,044 1,044 37 6 269 47 완료
안성중소기업 709 709 0 0 0 0 미개발
제일 56 56 0 0 0 100 조성중
안성하이랜드 293 293 0 0 0 0 조성중
학운5 893 893 2 2 X 0 조성중
동진 182 182 1 1 X 0 조성중
학운7 187 187 0 0 0 0 미개발
파평 596 595 19 0 0 66 완료
오산가장제3 163 163 25 7 907 100 완료
남이천 55 54 3 0 0 100 완료
용인반도체클러스터 4,156 4,026 0 0 0 0 조성중
30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테크노밸리 765 765 0 0 0 0 조성중
백암 50 50 0 0 0 100 조성중
이천유산 50 50 2 0 0 0 조성중
제2용인테크노밸리 272 272 0 0 0 0 미개발
학운3-1 119 119 9 0 X 0 미개발
H-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 736 735 0 0 0 0 미개발
평택첨단복합인반산업단지 460 460 0 0 0 0 미개발
안산신길일반산업단지 279 279 0 0 0 0 미개발
대월2일반산업단지 46 46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동탄도시첨단 149 149 480 136 3,923 100 조성중
용인기흥힉스 77 77 672 672 1,573 0 조성중
회천 104 104 0 0 0 0 미개발
용인기흥ICT밸리 42 42 502 502 4,254 100 완료
용인일양히포 66 66 0 0 0 0 미개발
평촌스마트스퀘어 255 255 28 26 3,752 100 완료
판교제2테크노밸리
(구 판교창조경제밸리)
366 350 207 207 2,794 99 조성중
광명시흥첨단R&D 493 493 0 0 0 0 조성중
한양대에리카캠퍼스혁신파크 79 78 0 0 0 0 미개발
고양일산 100 100 0 0 0 0 조성중
경기양주테크노밸리 218 217 0 0 0 0 미개발
부천대장제1도시첨단산업단지 334 335 0 0 0 0 미개발
부천대장제2도시첨단산업단지 226 226 0 0 0 0 미개발
용인기흥미래도시첨단산업단지 94 94 0 0 0 0 미개발
농공 미양 117 117 4 4 18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301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경기도에는 총 12,10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1,646개로 가장 많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98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850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329개), ‘전기장비 제조업’(950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9-7 ❙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2 40 40
광업(05~08) 8 11 1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38 399 405
음료 제조업 13 17 17
담배 제조업 1 1 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1 160 14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8 70 6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1 38 3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4 54 4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02 118 10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8 52 4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02 588 58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5 142 13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37 495 44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0 122 121
1차 금속 제조업 123 140 14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99 714 66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36 1,440 1,32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62 713 684
전기장비 제조업 912 1,015 950
30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738 2,014 1,85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0 167 16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2 78 69
가구 제조업 112 132 131
기타 제품 제조업 375 409 35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8 11 1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0 13 1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5 45 45
건설업(41~42) 224 267 286
도매 및 소매업(45~47) 263 362 387
운수 및 창고업(49~52) 17 22 26
숙박 및 음식점업(55~56) 5 9 16
정보통신업(58~63) 1,386 1,635 1,646
금융 및 보험업(64~66) 4 6 8
부동산업(68) 6 9 1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31 956 98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6 41 59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2 38 3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3 2 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5 20 2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5 1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0,936 12,571 12,106
Regional S&T Yearbook 2024 30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기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위로 가장 많음
- ʼ23년 연구개발인력은 27만 7,533명(전국의 34.10%)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2.9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3만 9,180명(전국의 45.73%)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2만 9,795명(전국의 12.74%), 공공연구소는 8,558명(전국의 12.03%)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9-8 ❙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412 12.57 25,883 12.50 25,387 12.08 28,974 13.03 29,795 12.74
∙ 국공립 1,612 2.02 1,781 2.06 1,671 1.92 2,173 2.42 1,841 1.94
∙ 사립 22,800 19.96 24,102 20.02 23,716 19.23 26,801 20.23 27,954 20.10
공공연구소 6,497 10.41 6,769 10.55 7,459 11.21 7,850 11.46 8,558 12.03
∙ 국공립 953 7.39 967 7.54 982 7.31 959 7.22 852 6.47
∙ 정부출연 2,822 8.19 1,855 5.47 1,841 5.43 1,943 5.60 1,978 5.54
∙ 병원 및 기타 2,722 18.06 3,947 22.72 4,636 24.11 4,948 24.08 5,728 27.88
기업 209,062 45.23 218,000 45.79 229,662 45.13 234,909 44.92 239,180 45.73
∙ 정부투자기관 459 11.94 429 11.46 351 9.08 482 12.09 491 12.99
∙ 민간기업 208,603 45.51 217,571 46.06 229,311 45.41 234,427 45.17 238,689 45.97
합 계 239,971 33.39 250,652 33.54 262,508 33.42 271,733 33.39 277,533 34.1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0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경기도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4명 감소한 162명으로 조사됨
표 3-9-9 ❙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48.0 153.1 158.0 163.4 162.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경기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61조 981억 원(전국의 54.24%)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연구개발투자 규모가 가장 높음
-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87%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조 6,510억 원(전국의 15.16%), 공공
연구소는 약 1조 1,457억 원(전국의 8.25%)이며, 특히 기업이 약 58조 3,013억 원(전국의
61.83%)으로 전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표 3-9-10 ❙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064,774 14.44 1,201,774 14.39 1,406,156 15.07 1,513,458 14.69 1,651,073 15.16
∙ 국공립 77,735 2.37 87,482 2.32 129,831 3.08 118,483 2.61 122,235 2.53
∙ 사립 987,039 24.09 1,114,292 24.34 1,276,325 24.96 1,394,975 24.16 1,528,838 25.22
공공연구소 853,919 8.40 887,468 7.98 992,448 8.27 1,098,649 8.50 1,145,702 8.25
∙ 국공립 58,193 6.96 58,902 6.92 65,786 6.80 64,646 6.34 67,932 6.40
∙ 정부출연 474,144 6.07 385,310 4.65 416,044 4.77 409,651 4.42 415,145 4.16
∙ 병원 및 기타 321,582 21.07 443,256 22.36 510,618 22.09 624,352 23.78 662,625 23.38
기업 44,016,140 61.56 44,955,885 61.08 49,558,522 61.33 55,090,724 61.61 58,301,334 61.83
∙ 정부투자기관 91,985 10.59 98,012 11.19 71,607 8.33 114,802 12.92 94,499 12.66
∙ 민간기업 43,924,155 62.18 44,857,873 61.68 49,486,915 61.90 54,975,922 62.10 58,206,835 62.22
합 계 45,934,833 51.58 47,045,127 50.55 51,957,126 50.87 57,702,830 51.22 61,098,109 54.2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0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경기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조 1,06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3.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28%
표 3-9-11 ❙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4,139 25,611 28,082 30,038 41,064
(11.8) (11.3) (11.6) (11.6) (13.7)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성장산업국 및 AI국에서 담당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30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9-12 ❙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8,311 4 55,591 471 618 132 11,49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9-13 ❙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국 및 AI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성장산업국
디지털혁신과
∙ 신산업 등 미래성장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디지털 대전환 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기금 운용에 관한 사항
∙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산학연 협력 및 지역혁신 지원체계 구축・추진에 관한 사항
∙ 차세대 성장동력 기술개발사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산업혁신클러스터(IICC) 지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신산업 등 경제분야 규제개혁에 관한 사항
∙ 지식재산 진흥에 관한 사항
∙ 기술거래 네트워크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과학관 관리 및 등록에 관한 사항
∙ 공무원 직무발명에 관한 사항
∙ 산학공동기술개발 및 기업부설연구소 지원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기술개발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국가지원 R&D 협력사업에 관한 사항
∙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게임산업 육성 및 진흥에 관한 사항
∙ VR/AR 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블록체인 기반사업 발굴, 확산에 관한 사항
∙ 지역산업활성화를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에 관한 사항
∙ 스마트제조혁신 (3D프린팅 포함) 지원에 관한 사항
∙ 로봇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스마트시티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국 내 다른 과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미래성장산업국
벤처스타트업과
∙ 창업정책종합계획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한 사항
∙ 벤처기업지원・육성에 관한 사항
∙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 창업교육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기업 자금지원에 관한 사항
Regional S&T Yearbook 2024 307
∙ 창업공간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보육센터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지원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 창업 오디션 지원에 관한 사항
∙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경기창업허브 운영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창업플랫폼 운영에 관한 사항
∙ 창업기업 투자유치 및 해외진출 지원에 관한 사항
∙ 창업생태계 민간 교류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사항
미래성장산업국
반도체산업과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 반도체산업 육성 관련 중앙부처 및 시・군 협력사업 기획에 관한 사항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운영 및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반도체 벨트 조성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공급망 관리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기업 설비투자 등 기업의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기술개발사업 계획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인력양성사업 계획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의 기획・조정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승인・변경에 관한 사항(준공된 사업단지)
∙ 반도체 산업단지 투자의향서 협의 및 검토 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내 기반시설 및 공공시설 설치지원에 관한 사항
∙ 반도체 산업단지 투자유치에 관한 사항
∙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 등에 관한 사항
∙ 반도체 기업 투자 유치에 관한 사항
∙ 한국나노기술원 지원에 관한 사항
∙ 양자산업 및 디스플레이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반도체산업 관련 다른 부서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미래성장산업국
첨단모빌리티산업과
∙ 첨단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정책 개발 등 정책 수립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 등 기반 마련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박람회 및 경진대회 운영에 관한 사항
∙ K-미래차 혁신 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미래차 전환 거점지원센터 건립에 관한 사항
∙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모빌리티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에 관한 사항
∙ 자율주행차 한정운수면허 발급에 관한 사항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지구 지정, 관리, 운영 및 확대에 관한 사항
∙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 조성
∙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운영 및 활성화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자율주행 실증 챌린지 등 자율주행 상용화 촉진에 관한 사항
∙ 경기도형 UAM 도입 및 기반 인프라 구축에 관한 사항
∙ UAM 산업 생태계 조성에 관한 사항
∙ 드론 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30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2판교테크노밸리 및 자율주행 실증단지 조성, 인프라 구축에 관한 사항
∙ 친환경자동차 보급촉진에 관한 사항
∙ 천연가스버스 등 저공해자동차 보급사업 추진에 관한 사항
∙ 수소에너지 생태계 기반구축에 관한 사항
미래성장산업국
바이오산업과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 K-바이오밸리 혁신거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 위원회 및 산・학・연・병・관 협의체 운영에 관한 사항
∙ 바이오 전문인력양성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기업 및 연구개발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스타트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지원에 관한 사항
∙ 광교테크노밸리 바이오산업 거점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사무 중 바이오산업과 소관 사무의 지도・감독에 관한 사항
∙ 첨단바이오 및 융합바이오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첨단바이오 및 융합바이오 규제과학 지원에 관한 사항
∙ 융합바이오 거점 조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디지털헬스 제품 개발 및 실증 지원에 관한 사항
∙ 메디컬・바이오 육성에 관한 사항
∙ 뷰티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대한민국 뷰티박람회 개최 등에 관한 사항
AI국
AI프런티어사업과
∙ 인공지능(AI) 분야 기획 전반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관련 윤리 및 법제도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기반 도민 서비스 구축・운영
∙ 인공지능(AI) 기술활용 신규사업 발굴 및 확산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관련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AI국
AI산업육성과
∙ 인공지능(AI)산업 육성계획
∙ 인공지능(AI) 실증지원
∙ 경기AI 클러스터 조성사업
∙ AI기업 GPU지원사업
∙ 소프트웨어 미래채움 사업
∙ 인공지능 인재양성
∙ 디지털 역량 강화교육
AI국
AI미래행정과
∙ 정보화 종합계획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한 사항
∙ 정보화사업 통합・조정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AI) 기반 행정서비스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공공기관 공통 정보시스템 구축・관리에 관한 사항
∙ 스마트오피스 및 스마트워크센터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홈페이지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 인터넷・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사항
∙ 공공데이터 개방 및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사항
AI국
AI데이터인프라과
∙ 경기도 통합데이터센터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운영에 관한 사항
∙ 정보시스템 통합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Regional S&T Yearbook 2024 309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혁신 및 인력육성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신기술 제안제도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9조에 따른 신기술 제안 심사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해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행정2부지사/ 위촉직 위원은 도지사가 위촉하며 임기 2년(1회 연임 가능, 보궐 위원의
임기는 전임위원의 남은 기간으로 함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건(2024.07.10. ~ 12)
- 2024년 경기도 대학혁신플랫폼 선정
- 경기도 R&D 운영전략 및 로드맵 수립 연구 계획
- 경기과학문화거점센터 운영기관 변경
∙ 행정정보시스템 및 온나라시스템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
∙ 업무용 PC 및 소프트웨어 관리에 관한 사항
∙ 정보보안 정책 수립 및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
∙ 개인정보보호 업무에 관한 사항
∙ 사이버위협 대응 및 보안취약점 관리에 관한 사항
∙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보호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공사업 및 자가전기통신설비 신고 처리에 관한 사항
∙ 방범 CCTV 통합 정책 수립 및 설치・운영 지원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 및 방송통신 관련 정책 수립・추진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망 구축 운영에 관한 사항
∙ 정보통신설비 구축 운영에 관한 사항
∙ 충무시설 안의 정보통신 시설 및 통신실 운영에 관한 사항
31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9-14 ❙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당연직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 2024.07.15.~2026.07.14
당연직 이희준 경기도 기획조정실장 2024.07.15.~2026.07.14
당연직 이성호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국장 2024.07.15.~2026.07.14
당연직 강성천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원장 2024.07.15.~2026.07.14
도의원 남경순 경제노동위원회 의원 2024.07.15.~2026.07.14
도의원 서현옥 미래과학협력위원회 의원 2024.07.15.~2026.07.14
유관기관장 차석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원장 2024.07.15.~2026.07.14
유관기관장 유동준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2024.07.15.~2026.07.14
유관기관장 양은익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원장 2024.07.15.~2026.07.14
유관기관장 서광석 한국나노기술원 원장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박철우 한국공학대학교 교수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김성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신은종 단국대학교 교수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민동원 단국대학교 교수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김아영 ㈜포도 수석연구원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김민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변희정 수원대 교수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이은정 경기대학교 교수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손미애 성균관대학교 교수 2024.07.15.~2026.07.14
민간전문위원 박주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24.07.15.~2026.07.14
Regional S&T Yearbook 2024 311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기도의 총예산은 100조 8,752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94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09%
- 과학기술 예산 중 경기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7.75%
표 3-9-15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1,008,752
재정자주도(%) 69.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40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4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7.75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31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경기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만 1,623개로 전국의 35.0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08% 증가
- 5년간 대학 8개 증가, 공공연구소 21개 증가, 기업 2,085개 증가
표 3-9-16 ❙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5 18.07 75 18.25 76 17.97 75 17.94 83 17.97
∙ 국공립 5 5.95 5 5.88 6 6.98 6 6.82 5 5.49
∙ 사립 70 21.15 70 21.47 70 20.77 69 20.91 78 21.02
공공연구소 66 10.28 68 10.26 75 10.89 74 10.83 87 11.58
∙ 국공립 11 7.69 13 9.09 13 8.50 11 8.03 10 7.46
∙ 정부출연 10 5.92 8 4.91 8 4.71 8 4.85 10 5.88
∙ 병원 및 기타 45 13.64 47 13.17 54 14.75 55 14.44 67 14.99
기업 19,368 35.33 20,715 35.41 21,738 34.92 22,541 35.02 21,453 35.43
∙ 정부투자기관 7 12.73 6 11.11 6 10.17 7 11.48 7 12.50
∙ 민간기업 19,361 35.35 20,709 35.43 21,732 34.94 22,534 35.04 21,446 35.45
합 계 19,509 34.91 20,858 35.01 21,889 34.55 22,690 34.66 21,623 35.0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13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경기도 소재 대학 수는 61개
- 일반대학 30개, 전문대학 3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9-17 ❙ 경기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9 3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30 3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1 - 60 6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경기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34만 2,523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3만 510명(전체의 약 8.91%), 공학계열 학생이 9만 8,519명
(전체의 약 28.76%)
표 3-9-18 ❙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30,510 98,519 129,029 31,433 59,435 13,830 31,717 77,079 342,523
비중(%) 8.91 28.76 37.67 9.18 17.35 4.04 9.26 22.50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1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에 경기도에는 총 9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성균관대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가천대, 아주대, 한양대가 각각 1개씩 운영 중임
표 3-9-19 ❙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성균관대
(6개 센터)
2019 에피지놈 다이나믹스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R2R 인쇄 유연컴퓨터개발 연구센터 ERC
2023 극한 양자기능물질 연구센터 SRC
2023 비대칭 촉매반응 디자인센터 SRC
2024 e-Chem 메디트로닉 시스템 글로벌 연구 센터 ERC
2024 환자맞춤형 면역항암치료 연구센터 MRC
가천대학교
(1개 센터)
2021 선천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MRC
아주대
(1개 센터)
2019 뇌질환 융합연구센터 MRC
한양대
(1개 센터)
2023 약물대사마이크로바이오믹스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4 315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는 21년 기준 3개소로 감소하였으나 ‘22년 기준 경희대에 1개 추가되어
’24년 기준 4개로 운영 중임
표 3-9-20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가천대 나노입자 지역혁신센터
경희대
피부생명공학 지역혁신센터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성균관대 정보통신용 신기능성 소재 및 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경기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31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9-21 ❙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주)케이벤처스 KAIST-화성시 동탄 사이언스 허브 2023-06-27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24
가톨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12
강남대학교 강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9-09
경기도일자리재단 여성능력개발본부 경기도여성창업보육센터 2008-12-24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벤처창업보육센터 2007-01-24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경기청) 경기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4-07-16
경기대학교 경기창업보육센터(경기대) 2001-01-01
경기테크노파크 경기테크노파크 안산창업보육센터 2014-11-13
경민대학교 경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1-22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창업보육센터 1999-03-02
재단법인 군포산업진흥원 군포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7-06-27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4-15
대진대학교 대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3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BMC 창업보육센터 2011-05-19
동서울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우정바이오 랩클라우드 2022-12-01
명지대학교 명지대 창업보육센터(용인) 1999-02-27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창업보육센터 2020-06-01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 창업지원센터 2001-09-24
엠젠글로벌 서판교 챌린지타운 벙글다 2023-12-06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성남산업진흥원 성남창업센터 정글ON 2021-07-06
수원대학교 수원대 창업보육센터 2001-04-27
수원시청 수원시 시니어창업보육센터 2012-05-24
신구대학교 신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16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6
Regional S&T Yearbook 2024 31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여주대학교 여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30
연성대학교 연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2
오산대학교 오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올콘텐츠 올콘텐츠 창업보육센터 2022-10-01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1-17
중앙대학교 중앙대휴먼테크노 창업보육센터 2000-12-01
(안산)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안산 포스트BI 1994-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스타트업 창업보육센터 2017-11-01
투썬인베스트(주) 투썬창업보육센터 2012-05-07
한경국립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06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창업보육센터 2000-10-06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부천 창업보육센터 2017-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한국세라믹기술원(이천분원)
공예디자인 창업보육센터
2011-02-2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 창업보육센터 2001-03-24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0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6
한양대학교 에리카 한양대학교 에리카 창업보육센터 1999-03-09
협성대학교 협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2-12
31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기도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10개소로 16개를 운영 중
표 3-9-22 ❙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과천과학관 국립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과학전시관 공립
안성맞춤천문과학관 공립
의정부과학도서관 어린이과학체험실 공립
포천아트밸리 천문과학관 공립
의왕조류생태과학관 공립
한생연 마이크로박물관 사립
재단법인 송암스페이스센터 사립
어메이징파크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일산 사립
아쿠아플라넷 광교 사립
우석현자연사디스커버리센터 사립
광명에디슨뮤지엄 사립
자연과별가평천문대 사립
민제생태환경과학관 사립
한얼테마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319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4년 경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7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113명임
표 3-9-23 ❙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298 621 502 410 379
수혜자 수 10,216 13,977 16,416 12,680 12,113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기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52명 양성
표 3-9-24 ❙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차세대융합과학기술원 5
전용공간
1개(53㎡)
57 58,42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32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는 6만 1,62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만 3,265건
- 특허출원은 ’22년 대비 5.81% 증가, 특허등록은 ’22년 대비 1.3%씩 증가
표 3-9-25 ❙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46,133 47,175 49,685 54,696 57,830 58,241 61,623
특허등록 건수 24,820 25,440 27,708 31,565 34,663 32,839 33,265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경기도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만 7,107편, 주저자 기준으로 7,756편으로
각각의 점유율은 전국 논문 수의 22.93%, 13.49%임
표 3-9-26 ❙ 경기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14,709 21.88 228,643 15.54 7,104 12.95 95,725 13.47
2020 16,128 21.89 191,299 11.86 7,739 12.98 77,039 9.95
2021 17,720 22.19 124,472 7.02 8,422 13.23 48,491 5.76
2022 17,347 22.51 39,481 2.28 8,072 13.43 15,194 1.88
2023 17,107 22.93 40,996 2.40 7,756 13.49 15,448 1.9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32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혁신으로 경기도 디지털 경제 활성화 및 도민의 삶의 질 향상
■ 목표 :
- 글로벌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로 첨단산업의 성장 거점 확충
-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및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
■ 추진전략 :
-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성장 동력확보 및 R&D 역량 강화
- 글로벌 신산업 육성
-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 과학문화 저변확대
32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과학기술 인력양성
- 지역균형발전 기여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미래성장 동력확보 및 R&D 역량 강화
➊ 글로벌 신산업 육성
- (바이오) 바이오소재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술 활용 기반 구축, 공공 연구장비 및 기업지원 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기업지원의 효과성 제고
- (미래차) 실제 자율주행 도시를 구현하고 스마트모빌리티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및 경기도형 UAM
도입 기본계획 수립
- (반도체) 반도체 핵심 소재부품 경쟁력 제고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술개발, 인프라, 인력양성 등
기반구축
➋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데이터・AI기술 실증) 차량 데이터의 가공기술 고도화 및 지역기업의 데이터・AI 활용 제조혁신 촉진
- (디지털융합 실증) 메타버스 실증지원, 메타버스 스타기업 육성, 메타버스 공공서비스 적용 실증
- (스마트 제조혁신) 스마트 제조혁신 인프라 구축・활용 및 스마트 제조혁신 보급 확대
➌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 로봇,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산업 및 기업 육성
➍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혁신주체(산・학・연) 대상 R&D 지원
- 섬유 뷰티산업 등 지역특화산업 기술경쟁력 확보
- 기술창업 촉진을 위한 교육, 공간, 기술 등을 지원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➊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광교) BT-IT 융복합 혁신거점을 위한 인프라 구축,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 추진
- (판교) 첨단 ICT기업 집적, 스마트모빌리티 실증허브 및 시스템 반도체 거점으로 자리매김
Regional S&T Yearbook 2024 323
- (안산) 소재・부품・장비 중심 강소특구 활성화 및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화
➋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제3판교, 광명시흥, 양주, 고양/파주(바이오메디컬) 테크노밸리 조성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➊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및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서비스 도입
➋ 과학문화 저변확대
- 시・군협력 과학축제 개최 및 생애주기별 과학교육 추진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➊ 과학기술 인력양성
-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관련 교육과정 지원 및 채용 연계 프로그램 운영
➋ 지역균형발전 기여
- 경기북부의 혁신역량 확충을 위해 인프라 확충, 디지털 전환 촉진 및 지식재산권 획등 지원 등을 통해
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➌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 과학기술정책 추진체계 강화 및 R&D투자 확대
- 과학기술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초자료 수집 근거 마련, 평가체계 도입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
32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강원특별자치도 인구는 약 152만 명으로 작년 대비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강원도 인구 비율은 2.9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0-1 ❙ 강원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520,117 1,519,291 1,520,457 1,525,912 1,525,473
전국인구대비 비율(%) 2.94 2.94 2.94 2.96 2.95
경제활동참가율(%) 64.6 63.3 63.7 63.9 65.1
실업률(%) 3.6 3.9 3.6 3.2 2.8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32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강원특별자치도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6.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49%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35.45%)에 이어 기타서비스업(33.62%)이 강원도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간 4.9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0-2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52,507,151 51,573,015 54,326,451 55,031,064 56,534,548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071,441 2,857,294 2,960,193 2,952,069 3,077,000
(지역내비중, %) (5.85) (5.54) (5.45) (5.36) (5.44)
제조업 4,893,911 4,833,246 4,837,463 5,126,579 5,168,606
(지역내비중, %) (9.32) (9.37) (8.90) (9.32) (9.14)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198,421 1,083,949 1,128,791 1,325,297 1,528,377
(지역내비중, %) (2.28) (2.10) (2.08) (2.41) (2.70)
건설업 4,263,877 4,439,179 4,522,347 4,012,918 4,205,680
(지역내비중, %) (8.12) (8.61) (8.32) (7.29) (7.44)
기타서비스업 17,853,768 16,866,758 18,068,847 18,657,749 19,004,929
(지역내비중, %) (34.00) (32.70) (33.26) (33.90) (33.6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7,509,531 17,768,585 18,932,664 19,220,450 20,039,620
(지역내비중, %) (33.35) (34.45) (34.85) (34.93) (35.45)
순생산물세 3,729,869 3,724,004 3,876,146 3,773,235 3,676,935
(지역내비중, %) (7.10) (7.22) (7.13) (6.86) (6.5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32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강원도 제조업의 총 생산액은 약 15조 2,463억 원, 1,10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4만
1,098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모두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약 3조 8,702억 원(전체의 25.38%)이며,
369개(전체의 33.27%), 12,140명(전체의 29.5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0-3 ❙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870,204 25.38 369 33.27 12,140 29.54
음료 제조업 1,242,052 8.15 29 2.61 2,054 5.0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0,804 0.14 12 1.08 234 0.5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6,654 0.50 11 0.99 411 1.0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9,035 0.32 14 1.26 249 0.6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0,392 0.59 17 1.53 490 1.1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4 0.36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0,148 0.26 4 0.36 83 0.2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62,466 3.69 56 5.05 1,940 4.7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25,979 6.07 32 2.89 2,624 6.3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46,564 2.93 51 4.60 1,672 4.0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604,061 17.08 161 14.52 4,956 12.06
1차 금속 제조업 703,195 4.61 16 1.44 602 1.4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74,379 3.11 64 5.77 1,650 4.0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1,899 0.67 17 1.53 444 1.0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0,129 5.77 51 4.60 2,472 6.01
전기장비 제조업 823,843 5.40 49 4.42 1,359 3.3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56,242 5.62 72 6.49 3,035 7.3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321,242 8.67 37 3.34 3,120 7.5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 1 0.09 - -
가구 제조업 22,544 0.15 6 0.54 79 0.19
기타 제품 제조업 65,691 0.43 15 1.35 834 2.0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62,986 0.41 21 1.89 585 1.42
합 계 15,246,315 100.00 1,109 100.00 41,098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32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0-4 ❙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기타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낮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
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32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강원도는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과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환경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0-5 ❙ 강원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지역 중점과학기술 중심의 과학기술혁신 정책기획))
과기정통부-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혁신 R&D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
(중앙 정부 협력 과학기술혁신 정책기획)
강원연구원 운영지원(강원특별자치도 미래산업글로벌 도시 육성 정책 기획)
수도권 협력 강원선도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역거점 과학기술 R&D 기획・관리)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환경 기반의
미래산업 육성
강원특별자치도 광역연구개발특구 종합 육성계획 수립
(기술사업화 촉진 환경 조성 정책 기획)
헬스에이징 스마트 전주기 사업 기획
(기능성 바이오소재 과학기술 및 임상 데이터 활용 관련 지역혁신 중장기 R&D 기획)
반도체 Tech. Shrink 공정대응 첨단 세라믹 소재・부품 혁신 기술개발 사업기획
(세라믹제조공정 과학기술의 반도체 공정내 소재・부품 산업 활용을 위한
지역혁신 중장기 R&D 기획)
강원형 반도체 R&D 지원(반도체 산업 육성 기업 R&D 지원)
강원주도 R&D 마중물 지원(미래 과학기술 분야 R&D 신속 지원)
강원 소규모 의료기기 기업 엑셀러레이팅 지원(디지털 의료기기 기업 성장 지원)
강원 바이오 스타기업 육성 및 유망기업 성장패키지 지원
(첨단 바이오 기업 성장 패키지 지원)
강원 지식재산 첫걸음 지원(중소기업 지적재산 확보 지원)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지원 사업(금속 및 세라믹 제조 기업 기술 지원)
소재・부품・장비 선도기업 육성 지원(첨단산업 소부장 기업의 상용화 R&D 지원)
스크립스코리아 항체연구원 운영 지원(신・변종 감염병 및 고령질환 해결 R&D 추진)
플라즈마산업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플라즈마 활용 첨단산업 적용 R&D 지원)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강원과학기술원설립 기획(글로벌 수준의 전문인력 양성 정책 기획)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확산(초・중・고 과학인재 양성 플랫폼 운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운영 지원 사업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기술실용화 본부의 지역 신소재 및 청정에너지 관련
학연 플랫폼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32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26개, 도시첨단단지 6개, 농공산업단지 49개가 있음
- 총 82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935개, 총 종사자 수는 31,157명
표 3-10-6 ❙ 강원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북평국가 4,278 1,861 78 52 1,753 84 완료
일반
강릉과학 1,487 1,487 167 162 1,819 94 완료
강릉중소 164 164 36 22 339 100 완료
원주자동차부품 93 93 6 6 111 100 완료
남면 65 65 1 1 X 100 완료
전력IT문화복합 354 354 15 15 250 100 완료
홍천북방 525 525 2 2 X 100 완료
우천 755 755 20 18 784 93 완료
삼척종합발전 2,581 2,581 1 0 0 100 완료
남춘천 1,453 1,453 21 5 62 100 완료
북평제2 593 593 0 0 0 28 조성중
강릉옥계 482 482 1 0 0 100 조성중
송정 323 323 1 1 X 100 완료
동화 409 409 28 27 1,042 100 완료
부론 609 609 0 0 0 0 조성중
플라즈마 315 315 1 0 0 3 조성중
동점(구 태백스포츠) 216 218 5 5 25 80 완료
문막[재생사업지구] 410 336 24 20 968 96 완료
문막반계 423 419 35 26 860 92 완료
우산 355 355 21 18 1,472 100 완료
포진 96 96 0 0 0 0 조성중
후평[재생사업지구] 483 483 390 334 1,412 100 완료
호산(LNG) 982 980 1 1 X 100 완료
동춘천(구 봉명) 539 539 19 14 244 89 완료
옥계첨단소재융합 383 383 0 0 0 0 완료
철암고터실일반산업단지 200 199 0 0 0 0 미개발
삼척수소특화일반산업단지 139 139 0 0 0 0 미개발
도시 춘천도시첨단문화 187 187 8 7 293 100 완료
33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첨단
춘천도시첨단정보 25 25 1 1 0 100 완료
삼성SDS춘천센터 40 40 1 1 X 100 완료
네이버도시첨단
(구 춘천NHN)
100 101 1 1 X 100 완료
강원대캠퍼스혁신파크 67 66 0 0 0 0 조성중
홍천 46 46 0 0 0 0 미개발
농공
주문진 143 143 37 37 746 100 완료
근덕 130 130 29 29 198 100 완료
도계 71 68 9 9 44 100 완료
대포제2 106 106 30 30 393 100 완료
동화 332 332 45 40 1,101 100 완료
문막 501 501 45 35 1,873 100 완료
태장 298 297 155 127 1,316 100 완료
거두 297 298 27 26 1,544 100 완료
당림 53 53 1 1 X 100 완료
창촌 114 115 27 27 185 100 완료
퇴계 341 341 169 168 1,856 100 완료
수동 77 78 6 6 1,875 100 완료
장성 137 137 17 13 136 93 완료
철암 127 127 29 27 244 100 완료
고성해양심층수전용 100 100 23 19 202 96 완료
향목 34 33 14 14 106 100 완료
하리 143 142 31 29 187 100 완료
포월 117 115 39 39 358 100 완료
영월 114 114 17 12 123 100 완료
영월제3 259 257 23 20 196 100 완료
팔괴 143 143 27 25 231 100 완료
원통 144 144 36 35 206 100 완료
예미 107 107 13 13 67 89 완료
증산 118 118 22 22 165 100 완료
함백 100 100 7 7 107 100 완료
갈말 129 129 3 3 111 100 완료
김화 148 143 26 25 350 95 완료
방림 62 62 11 11 118 100 완료
평창 106 106 37 37 215 100 완료
상오안 127 127 23 18 466 100 완료
양덕원 42 42 2 1 X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33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전 269 269 21 17 261 100 완료
원천 112 112 27 24 244 100 완료
농공
공근 329 329 29 26 689 91 완료
묵계 176 175 13 13 834 100 완료
우천 173 173 25 23 334 100 완료
우천제2 329 329 28 24 816 100 완료
대포제3 162 162 50 50 485 98 완료
동송 176 185 16 16 265 87 완료
양양제2그린 103 102 16 13 150 100 완료
주문진제2 158 158 18 18 246 100 완료
대포제1 178 177 40 40 373 100 완료
귀둔 54 54 0 0 0 26 완료
북방 101 101 0 0 0 0 조성중
퇴계제2 93 93 34 27 307 100 완료
고성제2특화농공단지 130 130 0 0 0 0 미개발
양양친환경스마트육상
연어양식농공단지
106 106 0 0 0 0 미개발
횡성조곡농공단지 185 184 0 0 0 0 미개발
근덕제2농공단지 52 51 0 0 0 0 미개발
33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강원도에는 총 67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83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통신업’이 82개, ‘건설업’이 3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80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61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48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0-7 ❙ 강원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7 6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72 88 80
음료 제조업 5 5 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9 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1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1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10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48 52 4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3 23 2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9 22 1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 21 18
1차 금속 제조업 8 6 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3 26 2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4 25 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7 66 61
전기장비 제조업 36 37 26
Regional S&T Yearbook 2024 333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5 40 4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 9 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 6 5
가구 제조업 3 3 1
기타 제품 제조업 21 21 2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2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 1 2
건설업(41~42) 37 40 37
도매 및 소매업(45~47) 14 18 20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2
정보통신업(58~63) 65 77 82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5 73 8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5 6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1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625 701 672
33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강원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2,612명(전국의 1.55%)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4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7,616명(전국의 3.26%)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3,209명(전국의 0.61%), 공공연구소는 1,787명(전국의 2.5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0-8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041 3.63 7,404 3.58 8,099 3.85 7,041 3.17 7,616 3.26
∙ 국공립 4,437 5.55 4,581 5.29 4,970 5.72 3,926 4.37 4,450 4.70
∙ 사립 2,604 2.28 2,823 2.34 3,129 2.54 3,115 2.35 3,166 2.28
공공연구소 1,623 2.60 1,712 2.67 2,064 3.10 1,897 2.77 1,787 2.51
∙ 국공립 981 7.61 985 7.68 1,241 9.24 1,074 8.09 932 7.08
∙ 정부출연 207 0.60 222 0.65 207 0.61 240 0.69 251 0.70
∙ 병원 및 기타 435 2.89 505 2.91 616 3.20 583 2.84 604 2.94
기업 3,091 0.67 3,079 0.65 3,325 0.65 3,410 0.65 3,209 0.61
∙ 정부투자기관 67 1.74 60 1.60 84 2.17 75 1.88 68 1.80
∙ 민간기업 3,024 0.66 3,019 0.64 3,241 0.64 3,335 0.64 3,141 0.60
합 계 11,755 1.64 12,195 1.63 13,488 1.72 12,348 1.52 12,612 1.5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35
■ ’23년 강원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9명 감소한 45.2명으로 조사됨
표 3-10-9 ❙ 강원특별자치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46.6 47.8 52.2 46.1 45.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강원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7,944억 원(전국의 0.71%) 17개 시・도 중 15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96%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ㄷ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180억 원(전국의 2.92%), 공공연구소는
약 1,906억 원(전국의 1.37%), 기업이 약 2,858억 원(전국의 0.30%)
표 3-10-10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8,700 2.42 200,785 2.40 246,849 2.65 285,810 2.77 318,023 2.92
∙ 국공립 105,432 3.22 110,209 2.92 124,630 2.96 159,094 3.51 191,001 3.95
∙ 사립 73,268 1.79 90,576 1.98 122,219 2.39 126,716 2.19 127,022 2.10
공공연구소 95,624 0.94 106,830 0.96 147,343 1.23 162,658 1.26 190,637 1.37
∙ 국공립 40,243 4.82 38,381 4.51 49.709 5.14 49,090 4.81 60,194 5.67
∙ 정부출연 31,134 0.40 37,007 0.45 42,461 0.49 69,624 0.75 58,657 0.59
∙ 병원 및 기타 24,247 1.59 31,442 1.59 55,173 2.39 43,944 1.67 71,786 2.53
기업 242,892 0.34 247,475 0.34 291,710 0.36 315,052 0.35 285,827 0.30
∙ 정부투자기관 4,550 0.52 6,976 0.80 12,326 1.43 13,719 1.54 10,726 1.44
∙ 민간기업 238,342 0.34 240,499 0.33 279,384 0.35 301,333 0.34 275,101 0.29
합 계 517,215 0.58 555,090 0.60 685,902 0.67 763,520 0.68 794,487 0.7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3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강원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53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64%
표 3-10-11 ❙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996 3,156 3,601 4,217 4,534
(1.5) (1.4) (1.5) (1.6) (1.5)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국 및 미래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0-1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강원특별자치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337
표 3-10-12 ❙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529 3 17,228 321 433 34 4,463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0-13 ❙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 및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산업국
전략산업과
∙ 지역산업발전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미래차, 이모빌리티 산업 육성
∙ 과학기술진흥계획(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연구개발사업 운영
∙ 지식재산, 과학문화 및 산학연협력사업 운영
산업국
반도체산업과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및 관련 규제 개선 업무
∙ 반도체 연구개발 및 교육 지원, 반도체 제조 기업 발굴 및 관리
∙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부지조성 및 인허가 지원 업무
산업국
바이오헬스과
∙ 바이오 산업분야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및 정책 방향 분석
∙ 디지털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산업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 바이오특화단지 조성, 정밀의료 산업 육성 및 규제자유특구 업무
산업국
투자유치과
∙ 투자유치정책 수립, 기업유치 및 외자유치 업무
∙ 산업입지 업무, 산업단지(국가, 일반, 도시첨단, 농공) 운영 및 고도화
∙ 혁신 및 기업도시 업무 기획
산업국
디지털산업과
∙ 인공지능, 디지털산업기반 육성 정책 기획(중장기 전략) 및 산업 생태계 조성
∙ 디지털콘텐츠, 메타버스산업 정책 기획(공모사업 기획) 및 기반 조성
∙ 빅데이터 산업 육성 정책 및 디지털 산업 전환 기획(신규 사업 발굴)
∙ 데이터 산업 단지 기획 및 조성
∙ 수열에너지 및 수자원 활용 신산업 발굴 추진
∙ 빅데이터 서비스 전략 및 신규과제 발굴, 관련 기업 육성 지원
산업국
에너지정책과
∙ 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동향 관리(신규 사업 발굴)
∙ 신재생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현안사항 관리
∙ 탄소중립, 기후변화 대응 업무 및 지도 감독
∙ 에너지신산업 발굴 및 육성
∙ 광물주변지역 환경개선, 채굴계획 인가, 자원관련 연구개발 지원
미래산업국
에너지신산업과
∙ 수소 저장 및 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 추진
∙ 수소 생산기지 구축 및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R&D 기관 유치)
∙ 수소 시범 도시 개발 및 기획
∙ 첨단소재와 뿌리산업 육성 및 관련 네크워크 구축
∙ 신소재(세라믹) 및 부품 장비 관련 연구개발 및 기업지원
미래산업국
폐광지역자원과
∙ 폐광지역개발 지원 및 특별법 운영
∙ 폐광지역 종합발전계획(중장기 계획) 수립 및 관리
미래산업국
자원산업과
∙ 무연탄 활용 연구개발 및 경석활용 활용 소재 산업 발굴 및 육성
∙ 핵심 광물 클러스터 조성 및 국가산단 유치
∙ 첨단 가속기 기반 의료산업 클러스터 구축
33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현황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강원도과학기술진흥조례」제4조(‘23. 6월 개정 / ‘23. 6. 11 시행)
■ 주요기능 및 역할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진흥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 관련 정책 자문・심의
- 국내・외 과학기술 동향 파악 정보 제공, 지역내 중장기 과학기술 과제 수주를 위한 컨설팅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1회 연임 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2회
-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계획 심의 의결, 강원 반도체 연구개발 지원산업 사업추진 적절성 심의
의결, 제9회 강원과학기술대상 수장자 선정 의결(’24.08.14)
- 제4회 강원미래과학자상 수상자 선정 의결(’24.09.12 ~ 13)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0-14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공석) - -
부위원장 이대희 강릉원주대학교 해양바이오식품학과 2023.02.22.~2025.02.21.
위원 구영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강원지식프라자 2024.09.02.~2026.09.01.
위원 임성환 강원대학교 배터리융합공학과 2024.09.02.~2026.09.01.
위원 김성호 강원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2024.09.02.~2026.09.01.
위원 박광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기술실용화본부 2024.09.02.~2026.09.01.
위원 이용진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연구본부 2024.09.02.~2026.09.01.
위원 황동훈 원주의료기기테크노벨리 전력기획실 2024.09.02.~2026.09.01.
위원 박성준 강릉원주대학교 전자공학과 2024.09.02.~2026.09.01.
위원 유지욱 前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장 2023.02.22.~2025.02.21.
위원 손선영 상지대학교 반도체에너지공학과 2023.02.22.~2025.02.21.
위원 박미리
(재)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지역특화산업육성본부
2023.08.13.~2025.08.12.
위원 김치호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종합지원본부 2023.08.13.~2025.08.12.
Regional S&T Yearbook 2024 33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강원도의 총예산은 24조 8,89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44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06%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강원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73%
표 3-10-15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 산 248,895
재정자주도(%) 72.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514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4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73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박정안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2023.08.13.~2025.08.12.
위원 김수남
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천연물유효성최적화연구센터
2023.08.13.~2025.08.12.
위원 라문진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천연물화학연구실 2023.08.13.~2025.08.12.
위원 남진우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 -
34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강원도의 연구개발조직은 797개로 전국의 1.2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37% 증가
- 5년간 대학 2개 증가, 공공연구소 6개 증가, 기업 80개 증가
표 3-10-16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3.61 14 3.41 16 3.78 16 3.83 17 3.68
∙ 국공립 6 7.14 6 7.06 6 6.98 6 6.82 6 6.59
∙ 사립 9 2.72 8 2.45 10 2.97 10 3.03 11 2.96
공공연구소 34 5.30 37 5.58 38 5.52 37 5.42 40 5.33
∙ 국공립 10 6.99 11 7.69 13 8.50 12 8.76 12 8.96
∙ 정부출연 6 3.55 6 3.68 7 4.12 7 4.24 7 4.12
∙ 병원 및 기타 18 5.45 20 5.60 18 4.92 18 4.72 21 4.70
기업 660 1.20 684 1.17 744 1.20 777 1.21 740 1.22
∙ 정부투자기관 2 3.64 2 3.70 2 3.39 2 3.28 2 3.57
∙ 민간기업 658 1.20 682 1.17 742 1.19 775 1.21 738 1.22
합 계 709 1.27 735 1.23 798 1.26 830 1.27 797 1.2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41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강원도 소재 대학 수는 17개
- 일반대학 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7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0-17 ❙ 강원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6 7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3 17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강원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1,33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586명(전체의 약 13.44%), 공학계열 학생이 1만 4,256명
(전체의 약 19.99%)
표 3-10-18 ❙ 강원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586 14,256 23,842 14,632 6,302 4,897 5,579 16,078 71,330
비중(%) 13.44 19.99 33.42 20.51 8.83 6.87 7.82 22.54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4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강원도에는 강원대가 2개, 연세대가 2개, 한림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0-19 ❙ 강원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강원대학교
(2개 센터)
2020 바이오 신약 혁신소재 융합 선도연구센터 RLRC
2023
인문의료인 양성과 전인적 환자 돌봄을 위한 의료 • 인문 케어
센터
CRC
연세대학교
(2개 센터)
2023
소아 • 노인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향한
자율보행로봇(‘Miracle’)개발 센터
CRC
2024 세포소기관의학 연구센터 MRC
한림대학교
(1개 센터)
2022 뇌혈관질환 전주기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 플랫폼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Regional S&T Yearbook 2024 343
■ 한림대와 강릉원주대의 사업이 종료되면서, ’24년 강원도의 지역혁신센터 수는 총 2곳 운영 중
표 3-10-20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강원대 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 지역혁신센터
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강원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0-21 ❙ 강원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1-05-23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01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창업보육센터 2000-11-02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강원 창업보육센터 2000-10-31
강원도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9-21
동해시청 동해시 창업보육센터 2000-11-30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창업보육센터 2021-07-06
강원대학교삼척산학협력단 삼척창업보육센터 2002-04-29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7-23
연세대학교(원주) 연세원주창업보육센터 2000-01-20
영월군청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2020-03-31
(원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원주 포스트BI 1997-04-21
34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강원도에는 공립과학관 4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7개를 운영 중
표 3-10-22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토정중앙천문대 공립
홍천생명건강과학관 공립
인제곤충바이오센터 공립
화천조경철천문대 공립
로하스파크 와카푸카 사립
한생연 자연속과학체험관 사립
천문인마을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강원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4년 강원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0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0,578명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한라대학교 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7-03
한림대학교 한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4-01
Regional S&T Yearbook 2024 345
표 3-10-23 ❙ 강원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389 443 555 554 403
수혜자 수 9,928 7,537 11,652 11,242 10,57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강원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3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6명 양성
표 3-10-24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강원연구원 1 전용공간 1개(32.39㎡) 29 6,825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34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강원도 특허출원 건수는 3,052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495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2년 대비 8.73%, 5.0% 증가
표 3-10-25 ❙ 강원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2,572 2,666 2,604 2,800 2,898 2,807 3,052
특허등록 건수 1,459 1,479 1,462 1,572 1,706 1,424 1,495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3년 강원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216편, 주저자 기준 1,83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65%, 3.19%를 차지
표 3-10-26 ❙ 강원특별자치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3,752 5.58 53,517 14.26 1,628 2.97 17,740 10.90
2020 4,186 5.68 42,483 10.15 1,795 3.01 15,462 8.61
2021 4,477 5.61 28,013 6.26 1,971 3.10 10,652 5.40
2022 4,432 5.75 8,257 1.86 1,949 3.24 3,158 1.62
2023 4,216 5.65 7,793 1.85 1,832 3.19 2,816 1.5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34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강원특별자치도를 선도하는 혁신적 과학기술 성과 창출
■ 목표 : 과학기술 고도화와 지역산업육성의 연계
■ 추진과제 및 전략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환경 기반의 미래산업 육성
-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강원권 K-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 반도체 개발 실증사업 추진
-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 글로벌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조성
- 강원 바이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 홍천 면역항체 전문대학원 설립
- 강원 천연물 산업화 혁신센터 조성
- AI 기반 체외진단 디지털화 기반 구축
- 디지털 기반 스마트 건강관리 체계 구축
■ 혁신적 미래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 전기차 재제조 배터리 안정성 평가시스템 구축
- 수요맞춤형 전기구동 경형 특장차 개발 지원기반 구축
- 캠핑카 클러스터 조성
34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1차산업을 고부가가치 푸드테크로 산업화 클러스터 조성
- 식용곤충 미래식품산업육성
- 수산가공식품 고도화 및 해양바이오 식품 육성
- 비건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조성
■ 미래에너지 핵심 소재・부품의 국산화 선도
- 수소 동력시스템 시험평가 기반구축 추진
- 청정메탄올 산업육성 추진
■ 디지털 중심의 ICT 산업 육성
- 디지털 혁신 거점 조성
-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허브화
- 산림소득형 디지털전환 구축 실증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과기부-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바이오, 반도체・모빌리티 분야의 중・장기적 R&D
지원 마스터 플랜 시행 계획 수립
- 수도권-강원지역간 바이오헬스 및 반도체 분야에 대한 상호 R&D 협력 체계 강화
- 강원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조성을 위한 강원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 강원 과학기술 R&D 거점 기관의 자립화를 위한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정책 기획 및 조사・분석 역량
고도화 추진
- 강원 과학기술위원회 및 분과별 과학기술혁신 연구회의 기능 강화를 위한 강원과학기술정책 수립
자문단 체계 구축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 및 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강원 미래산업(반도체, 바이오・헬스케어, 미래모빌리티, 미래에너지, 푸드테크) 글로벌 도시 육성을
위한 지역 산・학・연・관 협력 RISE(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추진
- 강원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혁신 기관 간 협력을 통한 지역 과학기술 및 산업 육성 생태계 조성 및
중・장기적 R&D 사업 기획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4 349
- 강원 미래산업 육성 관련 해외 과학기술과의 격차 감소를 위한 강원혁신기관과 해외 우수기관 간의
공동 R&D 추진 체계 마련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강원 지역 기업의 동반 성장을 위한 지역내 클러스터 간 연계 사업화 패키지 지원 체계 구축
- 강원 기업의 기술 성장 촉진을 위한 출연연구소 중심의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사업화 지원 추진
35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1절 충청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충북의 인구는 약 163만 명으로 작년 대비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충북 인구의 비율은 3.1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1-1 ❙ 충청북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629,249 1,630,839 1,632,358 1,633,687 1,627,269
전국인구대비 비율(%) 3.15 3.15 3.15 3.16 3.15
경제활동참가율(%) 64.9 65.3 65 66.5 67.0
실업률(%) 3.1 3.2 2.5 2.5 2.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35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북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83.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55%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3.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4.10%,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6.33%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간 17.8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1-2 ❙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77,100,362 75,771,650 80,225,958 83,583,153 83,254,787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2,245,511 1,982,370 2,019,043 2,101,158 2,138,187
(지역내비중, %) (2.91) (2.62) (2.52) (2.51) (2.57)
제조업 34,954,407 33,672,919 36,539,459 37,935,419 36,617,871
(지역내비중, %) (45.34) (44.44) (45.55) (45.39) (43.9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29,894 774,929 811,476 982,367 976,641
(지역내비중, %) (0.56) (1.02) (1.01) (1.18) (1.17)
건설업 4,411,469 3,896,684 3,845,213 4,488,358 4,635,766
(지역내비중, %) (5.72) (5.14) (4.79) (5.37) (5.57)
기타서비스업 18,086,539 17,910,888 18,736,947 19,426,947 20,065,937
(지역내비중, %) (23.46) (23.64) (23.36) (23.24) (24.1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763,827 12,125,067 12,655,407 13,202,811 13,599,619
(지역내비중, %) (15.26) (16.00) (15.77) (15.80) (16.33)
순생산물세 5,235,048 5,408,793 5,618,413 5,515,577 5,247,931
(지역내비중, %) (6.79) (7.14) (7.00) (6.60) (6.3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35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충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13조 2,753억 원이고, 3,452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8만
6,806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이 약 22조 6,094억 원(전체의 19.9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541개(전체의 15.67%), 2만 9,875명(전체의
15.9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1-3 ❙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3,514,648 11.93 541 15.67 29,875 15.99
음료 제조업 1,636,199 1.44 26 0.75 2,431 1.3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70,627 0.77 79 2.29 2,141 1.1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1,639 0.02 7 0.20 188 0.1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50,542 0.13 9 0.26 280 0.15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1,005 0.27 37 1.07 658 0.3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332,494 2.06 119 3.45 4,455 2.3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3,911 0.05 21 0.61 457 0.2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01,571 0.09 8 0.23 132 0.07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2,892,091 11.38 304 8.81 14,624 7.8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574,446 4.92 90 2.61 8,790 4.7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191,697 5.47 409 11.85 15,776 8.4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956,997 3.49 282 8.17 9,713 5.20
1차 금속 제조업 3,764,817 3.32 126 3.65 4,254 2.2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140,670 3.66 379 10.98 10,874 5.8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025,916 15.91 136 3.94 25,040 13.4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60,159 0.76 69 2.00 3,165 1.69
전기장비 제조업 22,609,451 19.96 224 6.49 23,900 12.7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431,872 4.80 275 7.97 11,674 6.2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9,318,000 8.23 200 5.79 13,825 7.4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19,587 0.28 8 0.23 676 0.36
가구 제조업 640,680 0.57 44 1.27 1,602 0.86
기타 제품 제조업 332,163 0.29 28 0.81 1,218 0.6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24,177 0.20 31 0.90 1,058 0.57
합 계 113,275,359 100.00 3,452 100.00 186,806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35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모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료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1-4 ❙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 영상, 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가구제조업
낮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35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북도는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 주도 정책・사업 추진
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지역의 교
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한 창업・기업 경쟁력 제고’,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인프라 고도화’,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1-5 ❙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도정 주요 현안 정책지원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산업 컨트롤타워 기반구축
공공데이터 품질 진단 및 개선
지역 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스마트 충북 공간정보 플랫폼 운영 및 유지관리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충북도립대학교 운영
산림환경연구소 운영
내수면산업연구소 운영
충북지역대학혁신지원센터 운영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충북 엔젤투자 100억 조성
KAIST 바이오 혁신경영 전문대학원 운영
친환경에너지페스티벌
가속기장치 선도기술개발지원사업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한 창업・기업
경쟁력 제고
미래차 전장부품 기능안전 및 신뢰성 기반구축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 개최
유기농 특화구역 조성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지원사업
소기업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인프라 고도화
외국인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충북 창업스타티움 운영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한방바이오 박람회 지원
저출산 극복을 위한 충북형 데이터플랫폼 상용화 사업
바이오 의・과학 실험경연대회
Regional S&T Yearbook 2024 35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3개, 일반산업단지 92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44개가 있음
- 총 142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844개, 총 종사자 수는 120,473명
표 3-11-6 ❙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보은 4,178 4,179 1 1 X 100 조성중
오송생명과학 4,833 2,595 73 70 5,724 100 완료
충주바이오헬스 2,241 2,241 0 0 0 0 미개발
일반
제천 1,472 1,472 45 44 3,120 100 완료
제천제2 1,307 1,307 52 48 1,921 100 완료
청주[재생사업지구:부분] 4,098 4,098 732 710 25,040 100 완료
청주테크노폴리스 3,804 1,937 19 16 3,245 100 조성중
중원 375 375 31 29 697 100 완료
충주DH 77 77 3 2 X 100 완료
만정 50 50 2 2 X 100 완료
충주제1 1,286 1,286 40 33 2,048 100 완료
충주제3 129 129 8 6 99 100 완료
충주제4 176 176 4 4 233 100 완료
충주첨단 1,992 1,920 48 43 1.513 100 완료
괴산첨단 468 468 14 8 1,536 100 완료
주곡 149 149 0 0 0 0 조성중
영동 999 999 36 25 621 98 완료
청산 353 352 10 10 64 88 완료
금왕 571 571 11 10 339 98 완료
대풍 439 435 11 10 989 100 완료
맹동 419 419 50 42 1,492 100 완료
원남 1,113 1,111 78 63 2,844 100 완료
육령 63 63 1 0 0 100 완료
음성이테크 135 135 21 14 133 100 완료
음성하이텍 397 397 19 18 926 100 완료
중부 148 148 3 2 X 100 완료
증평 682 682 11 10 1,601 100 완료
증평2 702 703 35 29 940 100 완료
35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이월 300 300 6 6 447 100 완료
초평은암 611 611 12 9 251 100 완료
리노삼봉 246 245 11 7 160 100 조성중
문백정밀기계 400 400 4 4 141 100 완료
괴산자연드림파크산업단지
(구 괴산유기식품)
806 806 16 16 302 27 조성중
단양(구 단양신소재) 351 350 9 9 188 93 완료
상우(구 감곡) 581 582 0 0 0 100 조성중
문백금성 118 118 2 2 X 100 완료
문백태흥(구 태략협동화) 97 97 4 3 174 100 조성중
대신 47 47 1 1 X 100 완료
덕유 60 60 1 0 0 0 완료
생극 457 457 41 34 501 100 완료
죽현 145 145 2 2 X 100 완료
KGC예본(구 KT&G) 87 87 1 1 X 100 완료
일반
괴산대제(건축자재) 849 849 46 43 667 100 완료
오선 459 459 20 14 290 100 완료
오창과학 8,603 8,357 173 172 19,389 99 완료
오창제2 1,390 1,390 8 8 3,953 100 완료
현도 719 719 4 4 645 100 완료
옥산 1,393 1,392 58 53 2,368 100 완료
청주에어로폴리스2지구 409 409 0 0 0 0 조성중
유촌 413 413 46 34 948 100 완료
강내 67 66 1 0 0 100 완료
산수 1,304 1,296 75 70 4,180 100 완료
보은동부 688 688 1 1 X 100 완료
오송제2생명과학 3,284 1,680 115 65 1,112 100 완료
충주제5 296 296 7 6 627 3 완료
보은 1,276 1,276 53 42 678 91 완료
제천제3 1,088 1,088 12 12 501 72 완료
충주인프라시티 149 149 0 0 0 0 조성중
옥천테크노밸리
(구:옥천제2의료기기)
357 357 3 3 127 93 완료
성본 2,002 2,002 61 33 837 76 완료
에스폼 414 413 2 2 X 100 완료
케이푸드밸리(구 송두) 832 832 5 3 1,538 100 완료
충청북도수산식품 76 76 4 4 33 83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35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성안 136 136 0 0 0 100 조성중
금왕테크노밸리 1,044 1,044 70 48 1,496 100 조성중
화석 71 71 0 0 0 100 완료
청주센터럴벨리일반산업단지
(구: 국사)
956 956 0 0 0 0 미개발
오창테크노폴리스 1,494 1,493 0 0 0 0 조성중
충주특화기술(구 녹색패션) 201 201 0 0 0 100 조성중
신척(구 진천) 1,536 1,536 99 94 2,321 100 완료
오창제3(구 성재) 576 576 37 35 850 100 완료
충주메가폴리스 1,811 1,802 55 53 6,663 91 완료
동충주(구:북부) 1,401 1,400 0 0 0 0 조성중
맹동인곡 1,729 1,729 9 0 0 0 조성중
성안제2 301 301 0 0 0 100 조성중
산척 132 132 0 0 0 0 조성중
남청주현도 1,051 1,029 0 0 0 0 조성중
용산 1,041 1,041 23 3 242 100 조성중
서오창테크노밸리 904 904 0 0 0 0 미개발
오송화장품 795 795 0 0 0 0 미개발
일반
청주하이테크밸리 1,003 973 0 0 0 0 미개발
북이 1,012 1,012 0 0 0 0 조성중
제천봉양 134 134 0 0 0 100 조성중
충주드림파크 1,698 1,683 0 0 0 0 미개발
청주한국전통공예촌복합문화 303 303 0 0 0 0 미개발
진천테크노폴리스 806 806 0 0 0 100 조성중
충주비즈코어시티 274 274 0 0 0 0 미개발
음성테크노폴리스 653 653 0 0 0 0 미개발
오송바이오 283 283 0 0 0 0 미개발
문백 299 298 0 0 0 0 미개발
진천스마트복합산업단지 1,135 1,135 0 0 0 0 미개발
진천메가폴리스산업단지 1,460 1,449 0 0 0 0 미개발
청주에어로폴리스3일반산업
단지(충북경제자유구역)
1,129 1,129 0 0 0 0 미개발
황간산업단지 210 210 0 0 0 0 미개발
음성삼성테크노 1,481 1,481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청주도시첨단문화 49 49 60 60 354 100 완료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224 223 246 197 447 100 완료
35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도시첨단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2)산업단지
104 103 0 0 0 0 미개발
농공
강저테크노빌(구 강저) 142 126 22 21 250 100 완료
고암테크노빌(구 고암) 168 168 21 20 231 100 완료
금성테크노빌(구 금성) 86 85 16 14 122 100 완료
송학테크노빌(구 송학) 90 89 9 9 123 100 완료
양화테크노빌(구 양화) 149 148 17 17 132 50 완료
중앙탑(구 가금) 225 225 9 9 398 100 완료
가주 132 132 16 15 125 100 완료
용탄 192 192 26 19 412 100 완료
주덕 159 155 26 19 329 100 완료
괴산 55 55 9 8 122 100 완료
사리 112 112 14 13 527 100 완료
대강 82 80 16 12 164 100 완료
매포자원순환 150 149 2 2 X 100 완료
보은 70 69 8 6 339 100 완료
삼승 150 145 14 11 264 100 완료
장안 281 281 36 27 337 100 완료
법화 123 123 5 5 212 100 완료
영동 74 74 8 7 106 100 완료
용산 262 262 3 2 X 100 완료
구일 132 132 9 9 138 100 완료
동이 161 161 15 15 363 100 완료
옥천 282 282 15 15 456 100 완료
이원 142 142 8 8 417 100 완료
청산 65 65 3 3 131 100 완료
금왕 139 132 16 13 468 100 완료
농공
삼성 163 158 9 9 542 100 완료
음성 68 62 28 25 317 100 완료
도안테크노밸리
(구 도안농공)
93 93 5 4 483 100 완료
증평테크노밸리
(구 증평농공)
89 89 2 2 X 100 완료
광혜원 86 86 5 5 551 100 완료
덕산 91 91 5 4 559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359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문백전기전자 124 124 3 3 1,102 100 완료
이월 127 127 11 10 540 100 완료
이월전기전자 329 329 15 14 750 100 완료
진천 58 58 17 17 242 100 완료
초평 136 136 3 3 356 100 완료
적성 124 124 17 9 185 100 완료
내수 107 107 3 3 149 100 완료
현도 72 72 1 1 X 100 완료
광혜원제2 335 335 5 4 327 100 완료
괴산발효식품 321 321 22 22 502 100 완료
옥천의료기기 145 145 7 7 147 100 완료
도안2테크노밸리
(구 도안2농공)
133 133 8 1 X 70 완료
옥천제2농공단지 78 78 0 0 0 0 조성중
36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충북에는 총 96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04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통신업’이 67개, ‘도매 및 소매업’이 16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18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101개), ‘식료품 제조업’(89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1-7 ❙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7 6 8
광업(05~08) -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0 95 89
음료 제조업 3 5 4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 15 1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6 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 13 1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1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2 115 10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4 15 1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3 59 5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28 24
1차 금속 제조업 13 16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3 80 8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6 53 4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43 44 43
전기장비 제조업 50 57 5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24 138 118
Regional S&T Yearbook 2024 361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7 21 1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 6 4
가구 제조업 3 5 5
기타 제품 제조업 20 25 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9 10 11
건설업(41~42) 8 10 11
도매 및 소매업(45~47) 9 12 16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56 63 6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3 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3 92 10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4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2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74 1,002 962
36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9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3,881명(전국의 2.93%)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4.60%로 증가 추세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1,543명(전국의 2.21%)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7,537명(전국의 3.22%), 공공연구소는 4,801명(전국의 6.75%)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1-8 ❙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285 2.72 5,629 2.72 7,027 3.34 7,609 3.42 7,537 3.22
∙ 국공립 3,573 4.47 3,861 4.46 4,900 5.64 5,450 6.07 5,820 6.14
∙ 사립 1,712 1.50 1,768 1.47 2,127 1.72 2,159 1.63 1,717 1.23
공공연구소 3,453 5.53 3,972 6.19 4,057 6.10 4,264 6.22 4,801 6.75
∙ 국공립 1,329 10.31 1,242 9.69 1,425 10.61 1,449 10.92 1,470 11.16
∙ 정부출연 1,505 4.37 2,060 6.07 2,112 6.23 2,155 6.21 2,209 6.19
∙ 병원 및 기타 619 4.11 670 3.86 520 2.70 660 3.21 1,122 5.46
기업 10,332 2.24 10,830 2.27 11,847 2.33 12,243 2.34 11,543 2.21
∙ 정부투자기관 62 1.61 64 1.71 68 1.76 60 1.50 55 1.46
∙ 민간기업 10,270 2.24 10,766 2.28 11,779 2.33 12,183 2.35 11,488 2.21
합 계 19,070 2.65 20,431 2.73 22,931 2.92 24,116 2.96 23,881 2.9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63
■ ’23년 충청북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9명 감소한 95.1명으로 조사됨
표 3-11-9 ❙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1.7 86.7 93.6 100.0 95.1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충청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4,259억 원(전국의 2.15%) 17개 시・도 중 8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89%로 증가 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637억 원(전국의 2.42%), 공공연구소는
약 7,167억 원(전국의 5.16%), 기업이 약 1조 4,454억 원(전국의 1.53%)
표 3-11-10 ❙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4,255 2.64 199,119 2.38 201,105 2.16 250,700 2.43 263,730 2.42
∙ 국공립 141,141 4.31 152,818 4.05 148,440 3.52 177,167 3.91 198,115 4.10
∙ 사립 53,114 1.30 46,301 1.01 52,665 1.03 73,533 1.27 65,615 1.08
공공연구소 346,166 3.40 381,339 3.43 470,210 3.92 542,930 4.20 716,772 5.16
∙ 국공립 74,349 8.90 72,011 8.46 78,022 8.07 92,361 9.06 105,241 9.91
∙ 정부출연 218,983 2.81 269,460 3.25 326,280 3.74 368,109 3.97 459,448 4.60
∙ 병원 및 기타 52,834 3.46 39,868 2.01 65,908 2.85 82,460 3.14 152,083 5.37
기업 1,119,112 1.57 1,341,262 1.82 1,459,346 1.81 1,693,809 1.89 1,445,400 1.53
∙ 정부투자기관 3,511 0.40 7,039 0.80 9,608 1.12 6,893 0.78 9,620 1.29
∙ 민간기업 1,115,601 1.58 1,334,223 1.83 1,449,738 1.81 1,686,916 1.91 1,435,780 1.53
합 계 1,659,533 1.86 1,921,720 2.06 2,130,661 2.09 2,487,439 2.21 2,425,902 2.1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6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충청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9,13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41%
표 3-11-11 ❙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101 7,239 7,656 8,121 9,134
(3.0) (3.2) (3.2) (3.1) (3.1)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인재국 및 바이오식품의약국에서 담당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365
표 3-11-12 ❙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6,599 2 13,038 277 369 25 2,845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1-13 ❙ 충청북도 과학인재국 및 바이오식품의약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설치근거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9조(충청북도 과학기술위원회의 설치 및 기능),
제10조(위원회의 구성), 제11조(위원회의 운영)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 주요 정책 수립 및 조정
과학인재국
과학기술정책과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양자산업, 강소특구, 신성장산업 관련 현안 추진 등
∙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디지털혁신, 가상융합콘텐츠 등 ICT 경쟁력강화
∙ 데이터서비스, 공공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허브플랫폼 운영 등
과학인재국
산업육성과
∙ 지역주력산업 및 시군 경쟁력 강화 육성, 산업육성 관련 현안 추진 등
∙ 반도체 인프라 구축, 반도체 인력양성,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 자동차부품기업지원, 미래차 전환, 자율주행시범지구 운영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이차전지 인프라 구축, 이차전지산업 인력양성
∙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개발, 시험인증산업특구, 뿌리산업
과학인재국
미래인재육성과
∙ 지산학협력, 평생교육대학 혁신, 여성과학인재 육성 등 전문인력 양성
과학인재국
방사광가속기
추진과
∙ 방사광가속기 미래인재 양성, 가속기 활용 확산
∙ 방사광가속기 데이터구축, 가속기장치 선도 기술개발
바이오식품의약국
바이오정책과
∙ 바이오밸리 정책개발, 혁신창업 기술상용화센터, 바이오 의과학실험 경연대회 등
∙ 바이오의약품 소부장특화단지, 융합바이오 신규사업 발굴, 바이오융합산업육성 지원
∙ 첨단재생바이오, 바이오 연구개발 및 지역혁신사업
바이오식품의약국
첨단바이오과
∙ 첨단재생바이오, 바이오 연구개발 및 지역혁신사업
∙ 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 화장품 지원사업, 국제바이오코스메틱컨퍼런스
∙ 천연물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천연물 육성, 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 임상시험센터, 의약품, 의료기기 등 바이오산업 육성
36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충북도민의 과학기술 이해 증진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사업에 관한 사항
- 신사업 발굴・육성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부지사 재임기간(관련 조례 제10조 의거, 업무를 관장하는
부지사(당연직))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2회
- 「충청북도 과학기술혁신계획(안)」수립에 관한 사항 (’24.09.25)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추진실적 및 시행계획」수립에 관한 사항(’24.12.3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1-14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정선용 충청북도(행정부지사) 당연직(재임기간)
부위원장 김진형 충청북도(과학인재국) 당연직(재임기간)
부위원장 권영주 충청북도(바이오식품의약국) 당연직(재임기간)
위 원 오세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2.12.21.~2024.12.20.
위 원 권경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2.12.21.~2024.12.20.
위 원 박보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22.12.21.~2024.12.20.
위 원 조진희 충북연구원 2022.12.21.~2024.12.20.
위 원 우영미 충북테크노파크 2022.12.21.~2024.12.20.
위 원 성현아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손영수 청주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신문선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신용국 세명대학교 바이오제약산업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이용준 극동대 해킹보안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최상범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12.21.~2024.12.20.
위 원 박용환 유원대학교 교양융합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이근영 과학문화전문기업 사이콘 2022.12.21.~2024.12.20.
위 원 오철우 케이이씨㈜ 2022.12.21.~2024.12.20.
Regional S&T Yearbook 2024 36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북도의 총예산은 21조 1,728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579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27%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1.97%
표 3-11-15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 산 211,728
재정자주도(%) 68.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63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79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1.97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36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850개로 전국의 3.0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23%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11개 증가, 기업 98개 증가
표 3-11-16 ❙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 4.58 19 4.62 19 4.49 18 4.31 20 4.33
∙ 국공립 6 7.14 6 7.06 6 6.98 6 6.82 6 6.59
∙ 사립 13 3.93 13 3.99 13 3.86 12 3.64 14 3.77
공공연구소 29 4.52 31 4.68 34 4.93 34 4.98 40 5.33
∙ 국공립 8 5.59 9 6.29 10 6.54 10 7.30 11 8.21
∙ 정부출연 9 5.33 10 6.13 11 6.47 10 6.06 10 5.88
∙ 병원 및 기타 12 3.64 12 3.36 13 3.55 14 3.67 19 4.25
기업 1,692 3.09 1,775 3.03 1,820 2.92 1,943 3.02 1,790 2.96
∙ 정부투자기관 1 1.82 1 1.85 1 1.69 1 1.64 1 1.79
∙ 민간기업 1,691 3.09 1,774 3.04 1,819 2.92 1,942 3.02 1,789 2.96
합 계 1,740 3.11 1,825 3.06 1,873 2.96 1,995 3.05 1,850 3.0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69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충청북도 소재 대학 수는 17개
- 일반대학 1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5개 존재
표 3-11-17 ❙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4 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1 12 17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충청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3,44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644명(전체의 약 11.56%), 공학계열 학생이 1만 9,642명
(전체의 약 23.54%)
표 3-11-18 ❙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644 19,642 29,286 11,740 8,598 10,646 4,949 18,229 83,448
비중 11.56 23.54 35.09 14.07 10.30 12.76 5.93 21.84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7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충청북도에는 충북대가 3개, 국립한국교통대학교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19 ❙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북대
(3개 센터)
2020 중증 폐질환 연구센터 MRC
2022 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융합 연구센터 RLRC
2023 기업수요 대응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선도연구센터 RLRC
국립한국교통대학교
(1개 센터)
2024 미래혁신소재 글로벌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21년 기준, 충청북도에는 4개의 지역혁신센터가 소재하며, 2024년 기준 4개의 지원 센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4 371
표 3-11-20 ❙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세명대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 지역혁신센터
서원대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및 식품 지역혁신센터
건국대 바이오 식・의약 지역혁신센터
한국교통대 친환경에너지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충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1-21 ❙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12-11-16
대원대학교 대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6
서원대학교 서원대 창업보육센터 2000-11-14
세명대학교 세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세종창업혁신센터 2012-12-12
유원대학교 유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중원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2-29
청주대학교 청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충북청) 충북대학교 G-테크 벤처센터 2010-05-01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5-01
충북도립대학 충북도립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12-2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7-18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31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37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북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7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9개를 운영 중
표 3-11-22 ❙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충주기상과학관 국립
증평좌구산천문대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공립
충주자연생태체험관 공립
제천한방생명과학관 공립
충주어린이과학관 공립
충북농업과학관 공립
충북산림과학박물관 공립
별새꽃돌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4년 충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50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425명임
표 3-11-23 ❙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560 470 352 362 250
수혜자 수 9,942 10,572 11,787 6,511 6,425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373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충북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4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21명 양성
표 3-11-24 ❙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한국교통대학교 6 전용공간 1개(36㎡) 45 55,851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37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충청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4,022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071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0.38% 증가, 등록건수는 ’22년 대비 1.1% 감소
표 3-11-25 ❙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3,166 3,509 3,700 4,053 4,353 3,989 4,022
특허등록 건수 1,861 1,921 2,167 2,359 2,413 2,094 2,07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충청북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039편, 주저자 기준 1,284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07%, 2.23%를 차지
표 3-11-26 ❙ 충청북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2,776 4.13 34,264 12.34 1,173 2.14 12,209 10.41
2020 2,990 4.06 36,010 12.04 1,277 2.14 11,982 9.38
2021 3,279 4.11 20,049 6.11 1,419 2.23 6,869 4.84
2022 3,080 4.00 5,698 1.85 1,313 2.18 1,984 1.51
2023 3,039 4.07 6,156 2.03 1,284 2.23 2,095 1.6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37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더 나은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시대
■ 목표 : 도민의 삶을 바꾸는 자생적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추진과제 및 전략
- 역량 강화 : 국가과학기술 선도 창의연구 인프라 강화
- 연계 확대 : 산학연 융합을 통한 지역전략산업 성장경로 구축
- 성과 확산 :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확산되는 혁신지원 생태계 조성
- 인재 양성 : 충북형 맞춤 연구인재 양성체계 구축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역량 강화
- 지역 전략 산업 기술개발로드맵 구축・운영
- 지역전략산업 거점연구소 운영
- 지역전략산업 고도화 실증・인증 지원인프라 강화
- 방사광가속기 중심 신산업 지역혁신 클러스터 조성
-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맞춤지원
■ 연계 확대
- 지역혁신 확산 공동연구 중개인프라 구축
- 연구성과 상용화 전문기관 육성
- 지역혁신 클러스터 연계 상용화 지원체계 구축
- 지역 과학기술-산업 간 혁신네트워크 강화
- 도민 체감 디지털 실증기술 고도화
■ 성과 확산
- 지역연구 성과확산지원 전문기관 육성
- 산업기술단지 조성
37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청년기술창업 펀드 운영
- 과학기술 문화・체험 인프라 확대
- 충북전략기술 PM제도 운영
■ 인력 양성
- 카이스트 오송 바이오 메디컬 캠퍼스타운 조성
- AI영재학교 설립
- 충북형 연구산업인력 HRD허브 구축
- ICT 고급 연구인재 양성 대학육성 지원
- 미래신산업 육성 연계 인력양성사업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개편
- 충청권 초광역 UAM 상용화 추진산업기반 조성
-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협의회 구성 및 공동연계협력사업 발굴 추진
- 국제공동연구 및 글로벌 컨퍼런스 등 개최 추진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협의체, 포럼, 보고회 등을 통한 지자체, 혁신기관 연계 협력과제 발굴
○ 지역주도 정책・사업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 창업・엔젤펀드 조성으로 안정적 투자자금 지원 및 창업생태계 활성화
- 소부장클러스터 지원펀드 운영,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및 성장동력 확보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대학・연구기관의 대형화 및 연구 거점화
- 지자체 주도 대형연구시설장비 활용사업 및 연구시설장비 활용 전문인력 프로그램 운영 추진
○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 지역전략산업 기술개발 및 사회문제 해결형 지역거점연구소 운영 추진
- 과학기술위원회, 방사광가속기지원위원회 등 전문위원회 활성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377
- 지역 주력산업 분야 특성화로 수요기반 인재 육성 및 글로벌 연구 중심대학 도약(글로컬대학30) 마련
○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기업과 산업 경쟁력 제고
- 맞춤형 실증지원, 창업공간 제공 등 혁신창업생태계 활성화 추진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우수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규제 최소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체계 마련
- 기회발전특구(제천, 보은, 진천, 음성)에 따른 지역주도 균형발전 및 경제 활성화
○ 혁신 촉진을 위한 제도・인프라 고도화
- 중소・벤처기업 판로확보 및 마케팅 능력 강화 추진
- 혁신창업 주체 간 네트워크 구축 지원 및 개방형 커뮤니티 허브공간 운영
- 창조적 상상력과 융합 기반의 해외 벤치마킹 기회 제공
37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2절 충청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충남의 인구는 약 220만 명으로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충남 인구의 비율은 4.26%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2-1 ❙ 충청남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2,189,132 2,176,641 2,176,548 2,180,086 2,204,306
전국인구대비 비율(%) 4.23 4.21 4.21 4.22 4.26
경제활동참가율(%) 65.6 64.6 64.5 65.8 66.5
실업률(%) 2.9 3.5 2.3 2.3 2.6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37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남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3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99%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8.58%로 전체 산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19%)와 정부/민간비영리
생산(12.43%)이 그 뒤를 이음
- 건설업은 5년간 4.5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2-2 ❙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121,633,745 122,866,948 129,853,261 133,543,615 134,256,079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435,733 4,153,092 4,463,045 4,333,047 4,177,075
(지역내비중,%) (3.65) (3.38) (3.44) (3.24) (3.11)
제조업 57,701,811 58,184,173 63,082,127 64,782,703 65,226,876
(지역내비중,%) (47.44) (47.36) (48.58) (48.51) (48.5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877,292 4,483,948 4,448,035 4,563,716 4,021,992
(지역내비중,%) (4.01) (3.65) (3.43) (3.42) (3.00)
건설업 6,034,606 6,525,067 6,694,753 6,823,103 7,531,482
(지역내비중,%) (4.96) (5.31) (5.16) (5.11) (5.61)
기타서비스업 23,325,986 23,556,142 24,243,628 25,367,724 25,505,289
(지역내비중,%) (19.18) (19.17) (18.67) (19.00) (19.0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4,683,458 15,205,896 15,609,555 16,260,026 16,686,976
(지역내비중,%) (12.07) (12.38) (12.02) (12.18) (12.43)
순생산물세 10,678,546 10,758,630 11,312,118 11,441,311 10,834,296
(지역내비중,%) (8.78) (8.76) (8.71) (8.57) (8.07)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38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충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224조 1,050억 원이고, 4,66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6만
5,325개의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43조 6,622억 원(전체의
19.4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사업체 수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666개(전체의
14.27%),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4만 1,418명(전체의
15.61%)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표 3-12-3 ❙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1,637,279 5.19 585 12.54 22,261 8.39
음료 제조업 872,504 0.39 24 0.51 1,318 0.5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33,002 0.37 78 1.67 2,146 0.8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8,535 0.03 18 0.39 552 0.2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04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63,345 0.16 46 0.99 950 0.3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949,619 0.87 121 2.59 4,307 1.6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25,675 0.06 16 0.34 670 0.2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5,207,406 11.25 14 0.30 1,945 0.7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1,932,367 14.25 317 6.79 18,146 6.8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60,878 1.28 63 1.35 4,984 1.8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369,510 3.73 441 9.45 21,197 7.9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892,485 2.18 286 6.13 11,631 4.38
1차 금속 제조업 26,509,321 11.83 229 4.91 17,210 6.4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142,943 2.74 497 10.65 16,154 6.0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3,662,290 19.48 144 3.09 41,418 15.6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276,847 1.46 133 2.85 6,865 2.59
전기장비 제조업 11,628,594 5.19 245 5.25 17,522 6.6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6,443,388 7.34 666 14.27 30,718 11.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6,331,151 11.75 631 13.52 41,040 15.4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07,896 0.14 17 0.36 808 0.30
가구 제조업 194,043 0.09 29 0.62 646 0.24
기타 제품 제조업 - - 18 0.39 -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38,472 0.20 46 0.99 2,453 0.92
합 계 224,105,095 100.00 4,666 100.00 265,325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38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특화도가 매우 높으면서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분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 제품 제조업’이 있음
표 3-12-4 ❙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식료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
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음료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38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남도는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존형 기술개발’,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구축’, ‘휴먼바이오 산업
혁신 핵심 거점조성’, ‘디스플레이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충남 탄소중립 경제 선도혁신모델
개발’, ‘ICT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확대’ 사업을 중점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2-5 ❙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과학기술 정책연구 및 R&D과제발굴・기획 일원화
충남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기반조성
충남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운영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충남 R&D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충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고도화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존형 기술개발
지역 특화분야 산・학・연 핵심기술 연구역량 강화
지역사회 주도형 민관 협력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지역 미래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수립
지역 대학연계 과학기술대학원 대학 설립
충청남도 라이즈사업 운영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산・학・연 협업 R&D기반의 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신규사업 기획 확대
지역 미래산업 분야 우수 전문 연구기관 유치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도민과 함께하는 충남 과학기술의 날 제정・운영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구축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구축・운영
차량용 반도체 혁신생태계 조성
자율주행 모빌리티 종합기반 구축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부문 기술개발 및 실증플랫폼 조성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해양 바이오 기반 혁신 클러스터 조성
해양 바이오소재 혁신기술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디스플레이 스마트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충남 탄소중립 경제 선도혁신모델 개발
충남 탄소중립 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이행전략 수립
탄소중립 경제 R&D기획 및 실증・상용화 기반조성
ICT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확대
충남형 디지털 국방산업 육성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AI・메타버스 기반 도로・생활 안전 관리체계 강화 사업
메타버스 기반 산업단지 고도화 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383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6개, 일반산업단지 75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94개가 있음
- 총 17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833개, 총 종사자 수는 131,472명
표 3-12-6 ❙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고정 6,304 6,304 1 1 X 100 조성중
대죽자원비축 912 912 1 1 X 100 완료
석문 12,012 9,471 212 99 1,626 81 완료
아산국가 6,155 4,988 138 129 4,576 100 완료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2,751 2,217 36 20 825 51 조성중
논산국방국가산업단지 870 869 0 0 0 0 미개발
일반
탄천 996 996 34 28 780 100 완료
유구자카드 96 96 12 8 143 100 완료
논산 253 253 24 24 977 100 완료
논산2 509 509 10 10 461 100 완료
동산 729 728 22 15 462 100 완료
관창 2,442 2,442 15 15 2,439 100 조성중
영보 1,251 1,251 0 0 0 100 조성중
대산 1,103 1,103 4 4 1,495 100 완료
대죽 2,101 2,101 12 12 861 100 완료
서산테크노밸리 1,986 1,986 68 49 1,135 100 완료
인주 3,530 3,527 48 43 6,125 100 완료
아산테크노밸리 2,984 2,984 84 82 6,242 100 완료
운용 74 74 9 8 380 100 완료
천안3 2,134 2,100 53 51 15,239 100 완료
천안제2 823 827 232 207 3,809 100 완료
천안제4 1,006 1,006 85 85 4,824 100 완료
천안산업기술 183 183 187 187 1,329 100 완료
천흥 651 649 14 13 1,125 100 완료
풍세 1,645 1,644 81 79 3,477 100 완료
합덕 970 969 59 56 1,391 99 완료
홍성 1,135 1,135 10 9 572 95 완료
일반
예산 1,507 1,506 42 42 2,220 100 완료
예산신소재 1,040 654 15 15 386 100 완료
대산컴플렉스 648 648 3 3 296 100 완료
현대제철(구 송산) 5,717 5,715 1 1 X 100 조성중
38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합덕인더스파크 641 640 5 5 725 77 완료
당진1철강 2,038 2,012 4 4 1,314 100 조성중
현대대죽 673 671 4 2 X 100 조성중
예당 1,040 1,040 41 41 1,005 98 미개발
계룡제1(구 입암) 323 323 26 24 542 100 완료
세종(구 가산) 664 660 0 0 0 0 미개발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구 탕정2)
2,095 2,094 1 0 0 100 조성중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
2,451 2,451 6 6 15,401 100 완료
천안제5 1,995 1,995 65 60 2,544 100 조성중
서산남부(구 서산도시형) 878 878 0 0 0 0 미개발
아산제2테크노밸리 1,200 1,200 99 89 3,630 100 완료
대산3 539 539 12 12 89 100 완료
남공주 732 731 22 4 285 95 조성중
마정 150 149 52 52 705 100 완료
금산 921 921 1 1 X 100 완료
천안LG생활건강퓨처 389 389 0 0 0 100 완료
천안동부바이오 334 334 0 0 0 0 조성중
아산탕정테크노 685 682 4 0 0 34 조성중
탕정 505 505 10 7 363 61 완료
송산2 4,280 4,277 46 40 1,198 92 조성중
아산스마트밸리 451 451 20 13 858 100 조성중
서산오토밸리(구 서산) 3,990 3,989 49 43 5,998 99 완료
서산인더스밸리(구 서산2) 812 811 12 9 412 100 완료
씨지엔대산전력(구 엠피씨) 184 183 1 0 0 100 완료
웅천(구 선진) 686 686 16 6 92 43 완료
아산디지털(구 음봉디지털) 356 356 7 7 1,763 100 완료
쌍신 227 227 0 0 0 0 미개발
염치 381 379 3 0 0 93 조성중
인주(3공구) 1,817 1,780 0 0 0 0 미개발
천안북부BIT 875 875 0 0 0 0 조성중
일반
동현 301 301 0 0 0 0 미개발
성거 306 306 0 0 0 100 조성중
예산제2 1,120 1,120 0 0 0 0 조성중
천안테크노파크 918 918 0 0 0 0 미개발
음봉 419 418 1 0 0 3 조성중
풍세2 345 345 0 0 0 0 미개발
천안제6 967 967 0 0 0 0 미개발
현대대죽2 681 681 0 0 0 0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4 385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예당2 719 719 0 0 0 0 미개발
부여 467 467 0 0 0 0 미개발
송선 317 318 0 0 0 0 미개발
대산그린컴플렉스일반산업단지 2,261 2,222 0 0 0 0 미개발
케이밸리아산일반산업단지 567 568 0 0 0 100 미개발
아산신창일반산업단지 484 484 0 0 0 0 미개발
대산충의일반산업단지 121 120 0 0 0 100 미개발
청양일반산업단지 732 732 0 0 0 0 미개발
대산3(확장) 778 778 0 0 0 0 미개발
천안신사일반산업단지 633 633 0 0 0 0 미개발
천안에코밸리 349 349 0 0 0 0 미개발
선장그린큼플렉스일반산업단지 942 942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태안도시첨단 39 39 2 2 X 100 완료
내포도시첨단 1,260 1,259 42 27 556 69 조성중
천안직산 334 334 0 0 0 0 미개발
농공
검상 408 408 29 27 2,253 100 완료
계룡 50 50 1 1 X 100 완료
보물 134 134 7 7 183 100 완료
우성(전문) 142 142 5 5 70 100 완료
유구 278 278 3 3 483 100 조성중
장기 91 91 39 39 483 100 완료
정안2 288 288 19 19 496 100 완료
월미 149 149 20 19 378 100 완료
의당복합 147 147 2 2 X 100 완료
가야곡 186 186 18 18 654 100 완료
동산 83 83 2 2 X 100 완료
양지 117 117 5 5 27 100 완료
양지제2 137 137 4 4 180 100 완료
연무 124 123 1 1 X 100 완료
연산 81 81 14 14 137 100 완료
은진 70 70 3 3 132 100 완료
대천 102 102 15 15 411 100 완료
웅천 229 229 33 33 381 100 완료
웅천석재 150 150 21 21 72 100 완료
주산 154 154 3 3 102 100 완료
주포 165 165 19 19 411 100 완료
주포제2 143 143 14 14 94 94 완료
청소 147 146 21 21 264 100 완료
고북 125 124 12 9 99 100 완료
명천자동차전문 143 143 6 6 442 100 완료
38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성연 777 775 3 3 3,714 100 완료
수석 231 223 22 22 531 100 완료
농공
도고 198 198 7 5 544 100 완료
둔포 74 73 4 4 343 100 완료
둔포제2 116 116 3 3 547 100 완료
득산 216 216 25 25 904 100 완료
배미 75 74 3 3 222 100 완료
신인 64 56 2 2 X 100 완료
신창 56 56 6 6 327 100 완료
영인 154 154 4 4 612 100 완료
탕정 93 93 3 3 39 100 완료
동면 69 69 6 6 210 100 완료
목천 100 100 2 1 X 100 완료
백석 350 350 120 120 2,487 100 완료
직산 172 172 17 14 360 100 완료
금성 222 221 24 23 480 100 완료
복수 118 117 17 13 189 100 완료
인삼약초특화 115 115 10 4 144 72 완료
추부 245 244 30 30 481 100 완료
당진 85 84 14 14 231 100 완료
면천 139 138 10 10 518 100 완료
석문 215 213 4 4 894 100 완료
송악 171 170 25 24 284 100 완료
신평 138 137 12 12 301 100 완료
한진 143 143 2 2 X 89 완료
합덕 106 108 27 23 315 100 완료
서면(김가공특화) 79 85 7 7 159 73 완료
종천 251 251 33 31 535 100 완료
종천2 197 197 10 9 133 73 완료
고덕 159 158 2 2 X 100 완료
관작전문 144 144 9 9 377 100 완료
삽교전문 146 146 5 5 86 100 완료
신암 153 152 10 10 308 100 완료
예덕 205 192 1 1 X 100 완료
예산 189 189 25 25 496 100 완료
응봉 151 150 6 6 508 100 완료
증곡전문 145 144 2 2 X 100 완료
비봉 156 153 10 8 306 100 완료
운곡 149 140 13 10 127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387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정산 274 264 3 3 631 100 완료
학당 130 129 3 3 106 100 완료
화성 144 139 20 18 139 100 완료
태안 105 105 26 26 194 100 완료
갈산전문 122 122 16 16 319 100 완료
갈산2전문 136 136 0 0 0 30 조성중
결성전문 141 141 27 23 257 100 완료
광천 145 145 14 14 168 100 완료
광천김특화 57 57 9 9 277 100 완료
구항 167 167 9 7 265 100 완료
은하 110 110 3 0 0 100 완료
은하전문 95 95 9 8 103 100 완료
운곡2 146 142 10 10 355 100 완료
월미2 69 69 10 10 123 86 완료
계룡제2 192 192 19 19 465 83 완료
강경 130 130 7 7 471 100 완료
은산패션전문 55 55 0 0 0 100 완료
장항원수 480 480 31 25 533 100 완료
정안1 159 159 19 19 341 100 완료
노성특화 173 173 9 6 97 95 완료
가야곡2 311 311 0 0 0 0 미개발
은산산업단지
(구 은산농공단지)
123 123 19 17 159 100 완료
은산2산업단지
(구 은산2농공단지)
227 226 11 9 125 100 완료
임천산업단지
(구 임천농공단지)
171 171 6 6 70 100 완료
장암산업단지
(구 장암농공단지)
158 157 1 1 X 100 완료
홍산산업단지
(구 홍산농공단지)
132 127 12 12 135 100 완료
정산2 187 187 0 0 0 0 미개발
청라 67 66 3 0 0 42 완료
제이팜스 45 45 0 0 0 0 미개발
태안제2 89 90 0 0 0 0 미개발
38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충남에는 총 1,244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77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72개, ‘건설업’이 29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63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1개) ‘식료품 제조업’(84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2-7 ❙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4 19 16
광업(05~08) 4 5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4 101 84
음료 제조업 3 3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 12 1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3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2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 8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 14 1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0 87 8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5 17 1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2 64 6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2 26 24
1차 금속 제조업 16 17 1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6 99 9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8 77 6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4 61 53
전기장비 제조업 70 89 8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41 269 263
Regional S&T Yearbook 2024 389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4 60 6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 21 18
가구 제조업 6 5 5
기타 제품 제조업 24 30 28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3 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11 9
건설업(41~42) 19 23 29
도매 및 소매업(45~47) 16 18 24
운수 및 창고업(49~52) 2 2 4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9 83 7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6 78 7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3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5 5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2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125 1,320 1,244
39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9,116명(전국의 3.58%)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12% 증가 추세를 나타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8,437명 (전국의 3.55%)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8,046명(전국의 3.44%), 공공연구소는 2,614명(전국의 3.6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2-8 ❙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713 3.46 7,193 3.47 7,376 3.51 7,789 3.50 8,046 3.44
∙ 국공립 1,520 1.90 1,844 2.13 1,646 1.90 1,837 2.05 2,182 2.30
∙ 사립 5,193 4.55 5,349 4.44 5,730 4.65 5,952 4.49 5,864 4.22
공공연구소 1,755 2.81 1,813 2.83 2,072 3.11 2,219 3.24 2,614 3.67
∙ 국공립 680 5.27 680 5.30 867 6.45 877 6.61 1,134 8.61
∙ 정부출연 619 1.80 641 1.89 641 1.89 643 1.85 633 1.77
∙ 병원 및 기타 456 3.03 492 2.83 564 2.93 699 3.40 847 4.12
기업 16,500 3.57 16,536 3.47 17,276 3.39 17,208 3.29 18,456 3.53
∙ 정부투자기관 35 0.91 17 0.45 51 1.32 51 1.28 19 0.50
∙ 민간기업 16,465 3.59 16,519 3.50 17,225 3.41 17,157 3.31 18,437 3.55
합 계 24,968 3.47 25,542 3.42 26,724 3.40 27,216 3.34 29,116 3.5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391
■ ’23년 충청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9명 증가한 92.5명으로 조사됨
표 3-12-9 ❙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84.0 85.4 89.2 87.6 92.5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충청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4조 9,793억 원 (전국의 4.42%) 17개 광역시・도 중 4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46%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722억 원(전국의 2.50%), 공공연구소는
약 3,898억 원(전국의 2.81%), 기업이 약 4조 3,173억 원(전국의 4.58%)
표 3-12-10 ❙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7,612 2.82 231,838 2.78 255,090 2.73 270,380 2.62 272,212 2.50
∙ 국공립 44,004 1.34 54,662 1.45 64,902 1.54 77,522 1.71 68,125 1.41
∙ 사립 163,608 3.99 177,176 3.87 190,188 3.72 192,858 3.34 204,087 3.37
공공연구소 546,308 5.37 396,362 3.56 300,057 2.50 363,194 2.81 389,803 2.81
∙ 국공립 51,615 6.18 47,283 5.55 53.590 5.54 51,297 5.03 80,005 7.54
∙ 정부출연 419,522 5.37 246,047 2.97 119,471 1.37 136,003 1.47 105,324 1.05
∙ 병원 및 기타 75,171 4.92 103,032 5.20 126,996 5.49 175,894 6.70 204,474 7.22
기업 2,721,301 3.81 3,036,888 4.13 3,077,810 3.81 3,482,813 3.89 4,317,383 4.58
∙ 정부투자기관 3,383 0.39 1,816 0.21 4,406 0.51 4,522 0.51 2,675 0.36
∙ 민간기업 2,717,918 3.85 3,035,072 4.17 3,073,404 3.84 3,478,291 3.93 4,314,708 4.61
합 계 3,475,221 3.90 3,665,088 3.94 3,632,957 3.56 4,116,387 3.65 4,979,398 4.4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9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충청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28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4.22%
표 3-12-11 ❙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289 5,903 6,455 7,333 10,284
(2.6) (2.6) (2.7) (2.8) (3.4)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경제실 미래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393
표 3-12-12 ❙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776 2 17,585 289 547 38 4,266 - 49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2-13 ❙ 충청남도 산업경제실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 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에 관한 사항
미래산업과
∙ 실, 과 소관 업무의 종합계획 수립, 조정 총괄
∙ 지방과학기술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과학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발굴・기획
∙ 충남연구원 과학기술 분야 업무 협력
∙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및 지방과학축전 지원
∙ 신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사업 추진(국책연구소 협력)
∙ 과학기술 관련 국내외 기술현황의 조사 분석
∙ 지방과학기술 네트워크 구축
∙ 모빌리티 신산업(UAM 등) 발굴 및 육성
∙ 제조업 혁신 및 고도화 추진에 관한 사항
∙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민간협의체 구성・운영
∙ 소프트웨어 융합산업 육성 추진
∙ 지역지식재산 관련 산업 육성
∙ 과학관 등록・사립과학관 설립계획 승인
∙ 천안아산 KTX역세권 R&D 집적지구 조성
∙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지원
∙ 국방・우주 산업 육성
∙ ICT 융합산업 육성
∙ 지식서비스산업 육성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육성 시책 추진
∙ 충남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 첨단 정보 및 미래기술 육성・지원
39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 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규모조정 등 투자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 사업 기획 및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대학, 기업체・연구소의 연구개발지원에 관한 사항
- 도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 진흥을 위하여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4회
- 「충남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3년도 추진실적 및 ’24년도 시행계획」 등(’24.1.31.)
- 「충남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3년도 추진실적 및 ’24년도 시행계획」재심의(’24.2.16. ~
’24.2.22. 서면)
- 「충청남도 디지털산업 육성 및 융합 활성화 기본계획(안) ’24년도 추진현황 및 시행계획(안)」 심의
(’24.7.11. ~ ’24.7.17. 서면)
-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안)」 등(’24.8.26.)
Regional S&T Yearbook 2024 395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2-14 ❙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전형식 충청남도 당연직
위원 유재룡 충청남도 당연직
위원 - 충남연구원 공석
위원 이철수 충청남도의회 2023.1.1.~2024.12.31.
위원 박현주 상명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신숙경 한국연구재단 2023.1.1.~2024.12.31.
위원 이안호 단국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이재준 한국교통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정영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한정수 호서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강형석 참좋은특허법률사무소 2023.1.1.~2024.12.31.
위원 김상경 에너지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김인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서점수 디펜스 에듀&컨설팅 2023.1.1.~2024.12.31.
위원 연순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이구용 충남도립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장재선 한국폴리텍대학 2023.1.1.~2024.12.31.
위원 장호상 한서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정지향 엔씨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23.1.1.~2024.12.31.
위원 한재도 한얼시스템 2023.1.1.~2024.12.31.
39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남도의 총예산은 약 28조 3,752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17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08%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10.30%
표 3-12-15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283,752
재정자주도(%) 68.3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10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17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10.30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39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098개로 전국의 3.4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0.38%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6개 증가, 기업 32개 증가
표 3-12-16 ❙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 6.75 27 6.57 29 6.86 28 6.70 29 6.28
∙ 국공립 5 5.95 5 5.88 5 5.81 5 5.68 6 6.59
∙ 사립 23 6.95 22 6.75 24 7.12 23 6.97 23 6.20
공공연구소 21 3.27 22 3.32 24 3.48 21 3.07 27 3.60
∙ 국공립 12 8.39 12 8.39 13 8.50 11 8.03 12 8.96
∙ 정부출연 3 1.78 3 1.84 3 1.76 2 1.21 2 1.18
∙ 병원 및 기타 6 1.82 7 1.96 8 2.19 8 2.10 13 2.91
기업 2,010 3.67 2,070 3.54 2,161 3.47 2,232 3.47 2,042 3.37
∙ 정부투자기관 2 3.64 1 1.85 2 3.39 2 3.28 1 1.79
∙ 민간기업 2,008 3.67 2,069 3.54 2,159 3.47 2,230 3.47 2,041 3.37
합 계 2,059 3.68 2,119 3.56 2,214 3.49 2,281 3.48 2,098 3.4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9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충청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3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2-17 ❙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1 13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5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충청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2만 8,36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836명(전체의 약 9.22%), 공학계열 학생이 3만 2,199명
(전체의 약 25.08%)
표 3-12-18 ❙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836 32,199 44,035 16,802 18,057 8,841 11,538 29,089 128,362
비중 9.22 25.08 34.31 13.09 14.07 6.89 8.99 22.66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39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충청남도에는 단국대학교 2개, 순천향대학교가 3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2-19 ❙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단국대학교
(2개 센터)
2021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MRC
2023 쉐프(SEHPc) : 지속가능한 수소 생산 변환 에너지 생태계 RLRC
순천향대
(3개 센터)
2019 대사질환 조직 항상성 연구센터 RLRC
2023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2023 감성 지능형 아동케어 융합연구센터 C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 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40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4년 기준 3개의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
표 3-12-20 ❙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한국기술교육대 기전 융합형 부품소재 Trouble Shooting 지역혁신센터
공주대 자동차 의장 및 편의부품 지역혁신센터
순천향대 고부가 생물소재 산업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충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표 3-12-21 ❙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양대학교 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7-23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7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8-01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생명공학 창업보육센터 2001-05-11
백석대학교 백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5-01
백석문화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2-03-01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14-02-01
선문대학교 선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4
순천향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30
신성대학교 신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중부창업보육센터 2021-07-06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2-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0
한서대학교 한서대학교 항공해양 창업보육센터 2001-07-19
호서대학교 호서벤처 창업보육센터 1996-01-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4 40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남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8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9개를 운영 중
표 3-12-22 ❙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충남기상과학관 국립
갯벌생태과학관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공립
장영실과학관 공립
칠갑산천문대스타파크 공립
홍성조류탐사과학관 공립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천안홍대용과학관 공립
대안군 별똥별 하늘공원 공립
충청남도교육청과학교육원 공립
천리포수목원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4년 충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11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557명임
표 3-12-23 ❙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213 266 200 232 211
수혜자 수 4,300 4,418 5,023 4,980 6,557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40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충청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7,606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023건
- 특허출원은 ’22년 대비 3.01% 증가, 특허등록은 ‘22년 대비 4.3% 증가
표 3-12-24 ❙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6,046 6,482 6,917 7,217 7,274 7,384 7,606
특허등록 건수 3,492 3,808 3,966 4,396 4,987 3,856 4,02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충청남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115편, 주저자 기준 1,370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18%, 2.38%를 차지
표 3-12-25 ❙ 충청남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2,811 4.18 35,507 12.63 1,250 2.28 12,767 10.21
2020 3,192 4.33 29,987 9.39 1,353 2.27 9,740 7.20
2021 3,414 4.28 19,360 5.67 1,515 2.38 6,880 4.54
2022 3,291 4.27 5,676 1.72 1,515 2.52 2,130 1.41
2023 3,115 4.18 5,410 1.74 1,370 2.38 1,868 1.3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40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로 미래산업을 육성하는 과학기술경제 특별도 충남
■ 목표 : 과학기술・산업・생활경제 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한 충남 혁신성장 가속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 전략
■ 지속가능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위한 R&D 지원체계 조성
-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 지역이 주도하는 산・학・연・민・관 협력 과학기술 혁신체계 강화
-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전형 기술개발
-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 지역 균형발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조성
-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 조성
-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산업 혁신단지 조성
- 충남특화 탄소중립경제 선도혁신 모델 개발
- ICT 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사업 확대
40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속가능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위한 R&D 지원체계 조성
○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 과학기술 정책연구 및 R&D 과제발굴・기획 일원화
- 충남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기반조성
- 충남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운영
○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 충남 R&D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 충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고도화
■ 지역이 주도하는 산・학・연・민・관 협력 과학기술 혁신체계 강화
○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전형 기술개발
- 지역 특화분야 산・학・연 핵심기술 연구역량 강화
- 지역사회 주도형 민・관 협력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지역 미래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수립
- 지역 대학연계 과학기술대학원 대학 설립
- 충청남도 라이즈사업 운영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산・학・연 협력 R&D 기반외 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및 지역 미래산업 분야 우수 전문 연구기관 유치
-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신규사업 기획 확대
○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 도민과 함께하는 충남 과학기술인의 날 제정・운영
■ 지역 균형발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조성
- 차량용 반도체 혁신생태계 조성,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구축・운영
-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부문 기술개발 및 실증 플랫폼 조성 등
Regional S&T Yearbook 2024 405
○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 조성
- 해양 바이오 기반 혁신 클러스터 조성
- 해양 바이오소재 혁신기술 플랫폼 구축
○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산업 혁신단지 조성
- 디스플레이 스마트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 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 충남특화 탄소중립경제 선도혁신 모델 개발
- 충남 탄소중립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이행전략 수립
- 탄소중립 경제 R&D기획 및 실증・상용화 기반조성
○ ICT 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사업 확대
- 인공지능기반 안전관리체계 및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 충남형 디지털 국방산업 육성
40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3절 전라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전북의 인구는 약 177만 명으로 2019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전북 인구의 비율은 3.42%로 작년대비 감소
표 3-13-1 ❙ 전라북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811,958 1,805,688 1,794,192 1,780,234 1,768,352
전국인구대비 비율(%) 3.50 3.48 3.47 3.45 3.42
경제활동참가율(%) 61 61.5 62.6 63.7 64.9
실업률(%) 2.7 2.5 2.2 2.4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좌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40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북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8.8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83%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22.12%), 정부/민간비영리생산(25.94%), 제조업(20.57%)이 각각 2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며 산업구조는 5년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간 2.40%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3-2 ❙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 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56,458,982 56,361,767 58,223,882 58,988,748 58,845,640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769,193 3,464,430 3,504,460 3,639,227 3,367,925
(지역내비중,%) (6.68) (6.15) (6.02) (6.17) (5.72)
제조업 12,352,612 11,916,479 12,447,335 12,543,177 12,104,383
(지역내비중,%) (21.88) (21.14) (21.38) (21.26) (20.5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185,341 1,405,527 1,527,341 1,652,888 -1,614,865
(지역내비중,%) (2.10) (2.49) (2.62) (2.80) -(2.74)
건설업 3,879,129 3,940,472 3,774,404 3,578,876 3,597,392
(지역내비중,%) (6.87) (6.99) (6.48) (6.07) (6.11)
기타서비스업 17,396,526 17,288,271 18,010,646 18,331,996 18,901,367
(지역내비중,%) (30.81) (30.67) (30.93) (31.08) (32.1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3,555,765 13,997,668 14,459,741 14,962,472 15,265,545
(지역내비중,%) (24.01) (24.84) (24.83) (25.36) (25.94)
순생산물세 4,334,962 4,348,920 4,499,955 4,324,229 4,071,085
(지역내비중,%) (7.68) (7.72) (7.73) (7.33) (6.9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40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전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46조 3,067억 원이고, 1,90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8,47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9조
6,875억 원(전체의 20.92%), 383개(전체의 20.06%), 1만 8,796명(전체의 21.24%)
표 3-13-3 ❙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687,564 20.92 383 20.06 18,796 21.24
음료 제조업 821,136 1.77 22 1.15 1,150 1.3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71,870 1.02 57 2.99 2,030 2.2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70,024 0.37 55 2.88 1,194 1.3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0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579,098 1.25 40 2.10 1,268 1.4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509,891 3.26 53 2.78 2,629 2.9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7 0.37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7,395 0.04 5 0.26 65 0.07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786,267 16.81 136 7.12 8,077 9.1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65,484 1.44 19 1.00 1,320 1.4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189,015 2.57 95 4.98 3,116 3.5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770,489 3.82 152 7.96 4,719 5.33
1차 금속 제조업 6,655,573 14.37 86 4.50 7,439 8.4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51,458 3.35 182 9.53 4,876 5.5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82,906 1.69 32 1.68 2,589 2.9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17,821 0.47 29 1.52 986 1.11
전기장비 제조업 1,597,525 3.45 80 4.19 3,074 3.4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601,894 7.78 152 7.96 5,820 6.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816,113 14.72 251 13.15 17,188 19.4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22,430 0.26 14 0.73 533 0.60
가구 제조업 49,271 0.11 15 0.79 309 0.35
기타 제품 제조업 197,958 0.43 31 1.62 847 0.9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3,776 0.05 11 0.58 298 0.34
합 계 46,306,770 100.00 1,909 100.00 88,477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40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3-4 ❙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비교적
높음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낮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41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락북도는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과 ‘친환경 농생명・에너지/SW산업’을 중점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3-5 ❙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
(탄소소재,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방산 등)
산업・수송용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
재활용탄소섬유 활용 융복합부품 상용화 지원
탄소산업 T2B 지원
탄소복합재 공정장비 활용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
특장차산업 활성화 및 산업생태계 모델 구축
농기계 부품 기술 고도화 지원사업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뿌리기업 그린환경시스템 구축
조선기자재 친환경 스마트 기술지원사업
나노소재 미래형 전자부품 상용화 R&D지원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차 부품 고도화 사업
전북 특화 방위산업 육성지원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지원사업
수요맞춤형 항공신산업 육성 지원
친환경 농생명・에너지/SW 산업
(농생명, 식품, 바이오, 에너지, SW분야 등)
전북 바이오헬스기업 고도화 및 창업활성화 지원
허브산채 고품질 친환경 안정생산 기술개발
화장품산업 육성 및 기술혁신 지원
에그테크 기반 연구(환경친화)
새만금 간척지 농업개발 활성화 및 농업생산물 바이오에너지화 연구
홀로그램 산업 확산지원 사업
융복합 SW강소기업 육성
바이오 지역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구축
AI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사업
전북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추진단 운영지원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구축사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전문인력양성센터 운영 지원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지원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41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6개, 일반산업단지 2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0개가 있음
- 총 9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509개, 총 종사자 수는 82,948명
표 3-13-6 ❙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군산 13,702 6,828 212 180 4,441 100 완료
군산2(구 군장지구) 51,715 14,612 647 569 6,980 99 완료
익산(재생사업지구) 1,336 1,336 309 227 3,141 100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 2,322 2,191 197 99 1,114 81 완료
새만금지구 18,465 18,465 71 35 1,649 82 조성중
전주탄소소재 656 656 0 0 0 - 미개발
일반
군산 5,641 5,641 62 62 4,614 100 완료
김제순동 262 262 34 33 796 100 완료
익산제2 3,309 3,309 201 201 8,120 100 완료
전주제2 687 687 29 29 1,104 100 완료
전주친환경첨단복합(1단계) 291 291 83 83 1,187 100 완료
전주시자원순환특화 80 80 11 10 77 100 완료
정읍제1 185 185 7 7 272 100 완료
정읍제2 999 999 69 68 1,494 100 완료
정읍제3 1,025 1,025 55 55 1,870 100 완료
정읍첨단과학(RFT) 896 871 44 35 881 99 완료
고창 837 837 3 3 37 40 조성중
부안신・재생에너지 354 354 3 1 X 78 완료
완주 3,359 3,359 85 85 10,918 100 완료
전주과학 3,074 3,074 175 175 5,824 100 완료
완주테크노밸리 1,311 1,311 97 97 2,229 100 완료
익산제4(구 익산종합의료과학) 503 503 28 27 1,662 92 완료
익산제3 2,793 2,685 106 99 2,742 88 완료
완주테크노밸리(2단계) 2,110 2,110 17 17 375 90 조성중
전주친환경첨단복합(3-1단계) 284 284 3 3 504 100 완료
41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지평선 2,986 2,986 110 89 2,796 92 완료
남원 776 717 1 1 X 12 조성중
전주제1[재생사업지구] 1,806 1,806 112 106 2,530 100 완료
백구 336 337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전주도시첨단 110 110 72 72 520 100 완료
농공
서수 287 287 44 44 1,010 100 완료
성산 142 142 24 24 205 100 완료
옥구 140 130 43 43 460 100 완료
대동전문 331 331 22 22 416 100 완료
만경 215 215 30 30 766 100 완료
봉황 233 233 43 43 575 100 완료
서흥 277 277 43 43 571 100 완료
월촌 145 145 25 23 274 100 완료
황산 73 73 11 11 453 100 완료
광치1(구 광치) 140 140 11 11 177 100 완료
광치2 113 112 19 18 164 100 완료
노암 147 147 10 10 74 100 완료
노암제2 179 180 4 4 279 100 완료
어현 117 116 1 1 X 100 완료
인월 51 50 1 1 X 100 완료
낭산 129 128 17 17 407 100 완료
삼기 132 131 34 34 515 100 완료
왕궁 330 330 17 17 802 100 완료
황등 147 147 55 55 268 100 완료
고부 151 151 14 14 414 100 완료
농소 186 185 6 6 301 100 완료
북면 211 211 42 42 772 100 완료
신용전문 143 143 6 6 425 100 완료
신태인 150 150 14 13 98 100 완료
태인 247 247 31 31 315 100 완료
고수 106 106 22 21 162 96 완료
복분자 196 195 14 12 341 90 완료
아산 140 140 26 25 12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13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흥덕 315 315 17 15 319 100 완료
무주 147 147 2 2 X 100 완료
농공
무주제2 98 98 9 9 87 100 완료
안성 94 94 12 7 45 100 완료
부안 149 149 32 32 233 100 완료
부안제2 344 343 11 11 817 100 완료
줄포 89 89 16 16 202 100 완료
가남 83 83 2 2 X 100 완료
쌍암 154 154 8 7 48 100 완료
풍산 138 138 9 8 161 90 완료
이서특별 398 398 6 6 124 100 완료
신평 53 53 10 10 175 100 완료
오수 132 132 23 23 150 100 완료
임실 147 147 1 1 X 100 완료
장계 290 290 9 4 129 100 완료
천천 57 57 10 7 47 100 완료
진안제2 146 146 36 36 187 100 완료
진안홍삼한방 266 266 38 38 278 100 완료
임피 239 238 40 39 397 87 완료
인계(구 제2장류) 149 149 10 10 188 100 완료
노암제3 325 325 17 17 172 84 완료
장수 143 140 17 16 105 87 완료
임실제2 339 339 0 0 0 100 완료
백구 328 322 32 30 315 100 조성중
풍산제2 169 169 6 6 78 88 완료
소성특화 230 230 19 15 73 61 완료
진안연장 53 53 10 9 69 100 완료
부안제3 327 326 10 8 87 20 완료
함열 329 328 2 1 X 0 완료
철도산업 222 222 3 1 X 73 완료
완주 298 298 34 34 219 65 완료
오수제2 171 171 0 0 0 23 조성중
41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전북에는 총 87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1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5개, ‘건설업’이 2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105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84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6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3-7 ❙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11 14
광업(05~08) 2 2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2 104 105
음료 제조업 2 3 4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 11 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8 9 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 2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 8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3 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1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44 52 5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4 16 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9 31 3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 27 24
1차 금속 제조업 10 12 1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6 63 5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1 59 5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3 27 25
전기장비 제조업 58 65 6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8 96 84
Regional S&T Yearbook 2024 415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0 73 6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3 17 17
가구 제조업 8 6 5
기타 제품 제조업 24 30 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1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7 6
건설업(41~42) 15 19 21
도매 및 소매업(45~47) 11 13 16
운수 및 창고업(49~52) 1 1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8 76 81
금융 및 보험업(64~66) - 1 1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1 50 5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 1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4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757 903 876
41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8,358명(전국의 2.2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3.33%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7,931명(전국의 3.39%)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6,062명(전국의 1.16%), 공공연구소는 4,365명(전국의 6.14%)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3-8 ❙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788 2.98 6,388 3.09 6,731 3.20 7,745 3.48 7,931 3.39
∙ 국공립 4,209 5.27 4,622 5.34 4,774 5.50 5,226 5.82 5,497 5.80
∙ 사립 1,579 1.38 1,766 1.47 1,957 1.59 2,519 1.90 2,434 1.75
공공연구소 3,975 6.37 4,210 6.56 4,339 6.52 4,244 6.20 4,365 6.14
∙ 국공립 2,573 19.96 2,737 21.34 2,811 20.92 2,534 19.09 2,573 19.54
∙ 정부출연 843 2.45 883 2.60 904 2.67 996 2.87 1,038 2.91
∙ 병원 및 기타 559 3.71 590 3.40 624 3.24 714 3.47 754 3.67
기업 5,820 1.26 5,840 1.23 6,435 1.26 6,590 1.26 6,062 1.16
∙ 정부투자기관 90 2.34 108 2.89 114 2.95 120 3.01 101 2.67
∙ 민간기업 5,730 1.25 5,732 1.21 6,321 1.25 6,470 1.25 5,961 1.15
합 계 15,583 2.17 16,438 2.20 17,505 2.23 18,579 2.28 18,358 2.2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417
■ ’23년 전라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1명 감소한 61.9명으로 조사됨
표 3-13-9 ❙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50.8 55.6 59.5 63.0 61.9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전라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4,756억 원(전국의 1.31%)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5.64%로 증가 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140억 원(전국의 3.80%), 공공연구소는
약 5,058억 원(전국의 3.64%), 기업이 약 5,557억 원(전국의 0.59%)
표 3-13-10 ❙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71,432 3.68 317,355 3.80 346,554 3.71 389,330 3.78 414,020 3.80
∙ 국공립 192,617 5.88 244,308 6.47 255,434 6.06 289,754 6.39 318,741 6.60
∙ 사립 78,815 1.92 73,047 1.60 91,120 1.78 99,576 1.72 95,279 1.57
공공연구소 342,801 3.37 396,104 3.56 475,329 3.96 485,240 3.76 505,845 3.64
∙ 국공립 133,310 15.95 145,635 17.11 179,038 18.51 183,260 17.97 175,788 16.56
∙ 정부출연 141,056 1.81 167,378 2.02 188,263 2.16 173,960 1.88 187,691 1.88
∙ 병원 및 기타 68,435 4.48 83,091 4.19 108,028 4.67 128,020 4.88 142,366 5.02
기업 507,461 0.71 522,638 0.71 589,277 0.73 601,007 0.67 555,791 0.59
∙ 정부투자기관 13,189 1.52 16,248 1.85 15,966 1.86 43,003 4.84 15,453 2.07
∙ 민간기업 494,272 0.70 506,390 0.70 573,311 0.72 558,004 0.63 540,338 0.58
합 계 1,121,693 1.26 1,236,097 1.33 1,411,160 1.38 1,475,578 1.31 1,475,656 1.3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1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전라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1,475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80%
표 3-13-11 ❙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7,526 8,808 9,296 9,759 11,475
(3.7) (3.9) (3.8) (3.8) (3.8)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첨단산업국 이차전지탄소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419
표 3-13-12 ❙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526 3 16,256 270 491 50 3,456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3-13 ❙ 전라북도 미래첨단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미래첨단산업국
∙ 지역 신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산업정책발굴・조정, 지역산업육성 및 위기지역대응 현안 정책수립・
조정 등 지역R&D 컨트롤 타워
∙ 산업구조개편 및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과학관 추진, 지역 R&D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
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총괄 등
이차전지탄소
산업과
∙ 산업구조 개편 및 성장동력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진흥사업
세부사업 총괄
∙ 규제자유특구 총괄,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특성화기반 구축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분야(R&D) 정책적 사무의 기획・조정・자문 지원,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전북지방과학
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시행, 전라북도 연구기반 확충 지원,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구축 운영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 과학관 관리, 강소
연구개발특구 육성,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 중소기업 기술융합 활성화, 연구산업진흥단지 사업
∙ 전북테크비즈센터 관리 및 운영 지원
∙ 전북 이차전지 산업육성 전반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종합계획 수립 등, 전북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
단지 조성 업무 -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 및 세부 육성계획 수립 등, 이차전지 R&D센터 구축 및 유치
∙ 이차전지 인력양성 지원 (전북 이차전지 인력양성 센터 지원 등・전북 이차전지 기업 역량강화 지원
사업・이차전지 산업 육성 펀드 운영 지원・전북 반도체 산업 육성 전반, 전북 반도체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반도체 공모사업 발굴 등)
∙ 탄소산업 활성화 T2B 지원, 민간보급지원 사업,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탄소소재 적용 영농
축산 기자재 개발 및 기술지원사업, 지역주력산업(탄소복합소재) 육성사업, 탄소복합재 수소용기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탄소복합재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및 고도화, 탄소융복합 전시관 운영, 탄소
기반 슈퍼커패시터 융합기술 혁신기반, 수송기계용 미래전지 융합 시스템 개발 지원사업
∙ 탄소 선도기업 협렵체계 구축 사업지원, 우수조달등록 지원사업, 탄소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
탄소응용제품 공공구매 마케팅 지원사업, 다공성 탄소소재 기반 환경소재 및 부품개발 지원사업
42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과 연구개발 역량강화 사항 심의・조정
-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 자문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도지사 1명
- (위원구성) 총 30명(당연직 9, 위촉직 21명)/10기(위촉예정)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
- ’24년 전북특별자치도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및 과제보고회(40개 내외) 등
※ ‘24년 12월: 연구회운영결과 및 과제발굴 보고회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3-14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비고
위원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 -
위원 (代)오택림 기업유치지원실 -
위원 오택림 전라북도 미래첨단산업국 -
위원 최재용 농생명축산식품국 -
위원 이정석 문화체육관광국 -
위원 강해원 환경산림국 -
위원 황철호 복지여성보건국 -
위원 이남호 전북연구원 -
위원 이규택 전북테크노파크 -
위원 서민강 에코융합섬유연구원 -
Regional S&T Yearbook 2024 421
※ 기존 위원회의 임기가 2024년 3월에 종료되고 차기 위원회는 2025년 1월부터 임기 시작(본 연감은 2024년 기준이므로 기존 위원회 명단으로 유지 기재)
구분 성명 소속 비고
위원 김대혁 전북대학교 -
위원 김은미 호원대학교 -
위원 최원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
위원 김차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
위원 김혜미 전주비전대 -
위원 김회경 원광대학교 -
위원 민지호 전북대학교 -
위원 백형희 한국식품연구원 -
위원 박성신 군산대학교 -
위원 임문택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 -
위원 설경원 전북대학교 -
위원 정인성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본부 -
위원 양문식 한국과학기술단체 전북연합회 -
위원 오상남 전주대학교 -
위원 정병엽 첨단방사선연구소 -
위원 이말례 전북대학교 -
위원 이미경 우석대학교 -
위원 이홍기 우석대학교 -
위원 채한정 전북대학교 -
위원 이상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본부 -
42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북도의 총예산은 약 25조 9,81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757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9%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4.51%
표 3-13-15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259,813
재정자주도(%) 67.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08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757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4.51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42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277개로 전국의 2.0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35% 증가
- 5년간 대학 수는 1개 증가, 공공연구소 4개 증가, 기업 78개 증가
표 3-13-16 ❙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34 18 4.38 19 4.49 17 4.07 19 4.11
∙ 국공립 5 5.95 5 5.88 5 5.81 5 5.68 5 5.49
∙ 사립 13 3.93 13 3.99 14 4.15 12 3.64 14 3.77
공공연구소 40 6.23 43 6.49 43 6.24 41 6.00 44 5.86
∙ 국공립 11 7.69 11 7.69 12 7.84 9 6.57 9 6.72
∙ 정부출연 11 6.51 11 6.75 11 6.47 10 6.06 10 5.88
∙ 병원 및 기타 18 5.45 21 5.88 20 5.46 22 5.77 25 5.59
기업 1,136 2.07 1,190 2.03 1,343 2.16 1,386 2.15 1,214 2.01
∙ 정부투자기관 2 3.64 3 5.56 3 5.08 3 4.92 2 3.57
∙ 민간기업 1,134 2.07 1,187 2.03 1,340 2.15 1,383 2.15 1,212 2.00
합 계 1,194 2.14 1,251 2.10 1,405 2.22 1,444 2.21 1,277 2.0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2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전라북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존재
표 3-13-17 ❙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1 -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전라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2,59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349명(전체의 약 12.53%), 공학계열 학생이 1만 7,540명
(전체의 약 21.24%)
표 3-13-18 ❙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0,349 17,540 27,889 14,689 11,022 6,302 6,350 16,338 82,590
비중(%) 12.53 21.24 33.77 17.79 13.35 7.63 7.69 19.7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42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전라북도에는 원광대 1개, 전북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3-19 ❙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전북대
(1개 센터)
2019 나노탄소기반 에너지소재 응용기술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원광대
(1개 센터)
2021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에 원광대가 추가되면서 4개 센터 운영 중인 것으로 ‘24년에 4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42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20 ❙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우석대 수소연료전지 부품 및 응용기술 지역혁신센터
군산대 고등기술융합연구원(구. 군산대TIC)
캠틱종합기술원 (구. 전북대TIC) 캠틱종합기술원
원광대 차세대 방사선 산업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전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3-21 ❙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군산대학교 군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2-01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바이오플렉스 창업보육센터 2014-10-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코인쇄전자 창업보육센터 2012-07-05
ECO융합섬유연구원 에코파이버 창업보육센터 2014-01-27
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IT・BT 창업보육센터 2001-05-28
(사)전북창업공유지원센터 익산창업보육센터 2017-12-22
전북과학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1-20
전북대학교 전북대 창업보육센터 1999-09-10
전주대학교 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전주비전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2-17
한국농수산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0-29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0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희망전북 POST-BI 2010-07-0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4 42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북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8개소로 10개를 운영 중
표 3-13-22 ❙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농업과학관 국립
국립전북기상과학관 국립
전라북도과학교육원 공립
남원항공우주천문대 공립
남원시 어린이과학체험관 공립
무주 반디별천문과학관 공립
부안곤충탐사과학관(누애곤충과학관) 공립
만경강수생생물체험과학관 공립
순창건강장수체험과학관 공립
순창 옹기종기놀이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4년 전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80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4,647명임
표 3-13-23 ❙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693 753 782 829 580
수혜자 수 12,739 13,260 13,771 14,611 14,647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42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4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전남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전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전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9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07명 양성
표 3-13-24 ❙ 전라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국립군산대학교 3
전용공간
1개(52.43㎡)
98 8,765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42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전북의 특허출원 건수는 4,576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958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15.64%, 등록건수는 ’22년 대비 7.4% 감소
표 3-13-25 ❙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4,121 3,995 4,343 4,529 4,354 3,957 4,576
특허등록 건수 1,860 1,995 2,137 2,277 2,357 2,114 1,95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전라북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777편, 주저자 기준 1,79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06%, 3.12%를 차지
표 3-13-26 ❙ 전라북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3,404 5.06 47,511 13.96 1,644 3.00 21,099 12.83
2020 3,766 5.11 40,296 10.70 1,848 3.10 18,156 9.82
2021 4,038 5.06 26,841 6.65 1,900 2.98 11,209 5.90
2022 3,820 4.96 8,596 2.25 1,838 3.06 3,957 2.15
2023 3,777 5.06 8,344 2.21 1,796 3.12 3,942 2.1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3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혁신선도형 과학기술전환을 통한 지역경제발전과 삶의 질 향상
■ 목표
- 과학기술 선도형 지역특화기술 및 혁신밸류체인 강화로 산업・기술 고도화
- 과학기술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 지원 확대
- 전북특별자치도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 맞춤형 융복합R&D 다각화 및 협력체계 고도화
- 지역내 수요-공급자간 파트너십 강화 지원에 필요한 다양한 융복합 R&D과제추진 및 기술적
밸류체인 완결형 협력성장・지원체계 강화
■ 미래 선도형 혁신과학기술・산업육성을 위한 R&D선순환 구조 확대
-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 우주항공・UAM, 방산, 바이오분야 등에 활용가능한 미래선도형R&D 및
기업혁신성장을 지원하는 시설・장비・인프라 '구축-활용-연계R&D' 선순환구조 확보
■ 산・학・연 협력 지역혁신 플랫폼 기반의 공동연구 및 상용화 확대
- 지역 주력산업, 중점과학기술분야 산・학・연 공동연구협력플랫폼을 통한 R&D제품다변화, 고객
다각화로 선도형 기업육성 및 新과학기술 및 산업분야(우주, 방산, 배터리, 바이오) R&BD강화
■ 지역 내 유기적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산업별 수요자 맞춤형 전문인력양성 체계구축・확대
- 전북특자도 전환산업 및 생명산업분야 내 기술적 영역별,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차원의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을 위한 정책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4 431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전략
■ R&D 투자강화 및 투자효율성 확보
- 전북특별자치도 생명 및 전환산업, 지역특화산업 투자예산 확보
∙ 이슈 도출 ⇨ R&D과제 기획 ⇨ 과학기술위원회 심의 ⇨ 중앙정부제안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산하 연구회를 활용한 과학기술 혁신 기획
∙ 12대 국가전략기술 선도형 기술개발을 위한 성장연계형 전략적 기획/투자
<전북형 바이오특화단지(첨단바이오산업) 및 수소시범도시 추진 등>
- R&D 예산・배분・조정 체계 정비를 통한 투자효율성 점검
∙ R&D 예산의 투자-성과 관리 선순환 구조화(P-D-C-F 체계확립)
∙ ‘사업 수행 → 성과 조사 → 분석・평가 → 환류’ 체계 확립
∙ 기업지원 사업 체계 단순화로 예산편성 및 집행・관리의 효율성 확보
■ 전북특별자치도 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구축
- 전북형 거버넌스 중심의 R&D 체제 개편
∙ 지역 혁신기관들의 체계적 거버넌스구축 및 지역내 R&D의 효율성 확보
∙ R&D기획・지원부터 전후방산업 연계로의 사업화지원까지 자생적 생태계구축이 될 수 있도록
단계별 협력형 거버넌스 구축/운영
- 전북 R&D 기획의 전주기 체계 확립 및 강화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상향식-하향식 R&D 과제 발굴・기획)
∙ 전주기적 R&D 기획-관리 연계 강화 및 과제 사업화율 제고(모니터링 강화)
■ 과학문화 콘텐츠 개발 및 확산, 과학-인문-문화 융복합 인재양성 확대
- 지역발전을 선도할 미래 과학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운영
∙ 과학기술과 인문학, 전북의 과학기술과 전통문화를 접목한 콘텐츠 발굴/개발, 유통, 소비 플랫폼을
구축, 관련분야 맞춤형 인재양성 강화
- 도민과의 소통하는 과학문화 공감대 활성화
∙ 지역 과학문화 콘텐츠 서비스 공간을 마련하고 R&D 전담기관이 도내 R&D 기관들과 연계한
다양한 SNS 채널을 운영 등
43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전북자치도 특화형R&D 강화 및 지역혁신동력 확보
- 지역특화 생명산업, 전환산업 기반의 新산업분야로의 확장 및 경쟁력 확대
∙ 주력산업(모빌리티, 첨단소재, 농건설기계 등) 친환경/스마트화 대전환 추진강화
∙ 생명산업(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농식품 등) 연구개발R&D 및 기술경쟁력 확보
■ 지역주도형 R&D 확대 및 과학기술 거버넌스 운영활성화
- 전담조직 강화 : R&D 총괄 관리체계 마련을 통한 과학기술 전담부서 운영체계 활성화
- 네트워크 : 지역 내 연구기관 연계 R&D 산학연 상호협력체계 구축 및 네트워킹 강화
∙ R&D기획/지원부터 전후방산업 연계로의 사업화지원까지 자생적 생태계 R&D가 추진될 수
있도록 산학연 연계 단계별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 R&D 재정투입 효율화 및 성과 극대화(투자효율성 확보)
- R&D 투자확대 및 과학기술 기반 수요 맞춤형 R&D 활성화
∙ 지역 과학・산업 진흥을 위한 단계별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과학기술 기반 수요자중심의
현장접목 R&D 및 신사업기획 확대
- 기획→환류의 전주기 정책관리 체계 완성도 제고
∙ 투입 후 성과중심의 사업기획→예산배분→평가조정→환류 체계 정비(도비투입 사업의 “표준
성과지표 및 관리 지침” 최신화 등)
■ 지역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지원체계 구축・강화
- 지자체/대학/기업 간 협력형 지역특화분야별 인력양성전문체계를 구축, 대학별 핵심분야 연계 및
교육체계 개편으로 교육-취업-정주체계 강화
- 글로컬대학 연계 미래 新산업분야 우수인재 양성 및 글로벌 허브(HUB)기능 강화
■ 지역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 기반 혁신클러스터 연계 고도화
- 지역 내 입지한 연구개발특구, 강소특구, 국가융복합단지, 이차전지특화단지 등과 연계하여 주력
산업 및 新성장동력산업과의 연계R&D 확대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4 433
제14절 전라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전남의 인구는 약 176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전남 인구의 비율은 3.42%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4-1 ❙ 전라남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1,793,043 1,793,108 1,782,951 1,768,620 1,767,592
전국인구대비 비율(%) 3.46 3.46 3.45 3.43 3.42
경제활동참가율(%) 65.1 65.4 66.2 67.8 68.4
실업률(%) 2.6 2.4 2.3 2.2 2.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43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남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85.3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68%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26.7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5%),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0.55%)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2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4-2 ❙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82,491,753 81,298,601 84,905,891 84,275,132 85,319,020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5,626,852 5,377,523 5,693,492 5,586,078 5,417,612
(지역내비중,%) (6.82) (6.61) (6.71) (6.63) (6.35)
제조업 23,385,842 20,637,427 22,233,070 22,208,681 22,807,191
(지역내비중,%) (28.35) (25.38) (26.19) (26.35) (26.7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541,958 2,987,367 3,191,962 3,025,393 3,446,793
(지역내비중,%) (3.08) (3.67) (3.76) (3.59) (4.04)
건설업 6,185,870 6,993,613 6,172,744 5,778,746 5,624,692
(지역내비중,%) (7.50) (8.60) (7.27) (6.86) (6.59)
기타서비스업 19,960,910 20,068,364 21,389,948 21,083,604 21,328,887
(지역내비중,%) (24.20) (24.68) (25.19) (25.02) (25.0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5,324,141 15,762,493 16,257,888 16,993,065 17,529,970
(지역내비중,%) (18.58) (19.39) (19.15) (20.16) (20.55)
순생산물세 9,424,549 9,471,814 9,966,787 9,546,737 9,121,676
(지역내비중,%) (11.42) (11.65) (11.74) (11.33) (10.6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435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전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25조 9,917억 원이고, 2,01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만
2,33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44조 9,555억 원(전체의
35.6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485개(전체의 24.0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1만 8,782명(전체의 20.3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4-3 ❙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4,659,114 3.70 485 24.06 12,040 13.04
음료 제조업 156,650 0.12 11 0.55 375 0.4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4,132 0.11 32 1.59 700 0.7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46,396 0.04 7 0.35 270 0.29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5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4,859 0.09 24 1.19 404 0.4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22,931 0.26 28 1.39 827 0.9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15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1,752,047 25.20 12 0.60 2,339 2.5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44,955,556 35.68 146 7.24 16,536 17.9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37,029 0.27 9 0.45 708 0.7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034,698 1.61 114 5.65 4,448 4.8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277,976 1.81 193 9.57 4,971 5.38
1차 금속 제조업 27,112,421 21.52 93 4.61 12,043 13.0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005,413 1.59 232 11.51 6,651 7.2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1,786 0.10 14 0.69 664 0.7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34,412 0.11 27 1.34 509 0.55
전기장비 제조업 1,770,135 1.40 96 4.76 2,933 3.1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87,906 0.70 123 6.10 3,429 3.7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18,235 0.17 30 1.49 735 0.8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22,662 5.18 255 12.65 18,782 20.34
가구 제조업 27,498 0.02 8 0.40 136 0.15
기타 제품 제조업 33,527 0.03 15 0.74 221 0.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51,786 0.28 58 2.88 2,566 2.78
합 계 125,991,780 100.00 2,016 100.00 92,339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43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 정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1차 금속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특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표 3-14-4 ❙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1차금속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4 437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라남도는 ‘이차전지’, ‘첨단모빌리티’, ‘첨단바이오’, ‘에너지’, ‘탄소중립’, ‘농수산’ 분야를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4-5 ❙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이차전지
(중대형 이차전지, 폐배러티 리사이클링,
소재 등)
EV・ESS 사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친환경 리튬이차전지 재활용 기술개발 실증센터
전기차(EV 배터리) 전주기 탄소중립환경관리체계 구축
첨단모빌리티
(초소형 E모빌리티, 드론 등)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 구축
전남 개조전기차 규제자유특구
Evtol 자율비행 핵심기술 및 비행안정성, 운용성 시험평가기술 개발 사업
첨단바이오
(백신, 세포・유전자치료, 향장, 헬스케어 등)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기능확대
m-RNA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미생물실증지원센터 활용 백신산업화 기업지원
에너지
(발전, 배전 저장, 변환 관련 기자재 및
소프트웨어)
에너지신소재산업화 플랫폼 구축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기반구축
저압직류 핵심기기 인증지원 센터구축
탄소중립
(수소 생산・저장・운송, 소재부품 등)
수전해 시스템 신뢰성 제고 기술개발
탄소중립 전환기술 실증지원센터 구축
CCU실증지원센터 구축 사업
농수산
(농기계, 수산기자재, 식품, 스마트팜 등)
고품질 쌀 유통 활성화
첨단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조성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
43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32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9개가 있음
- 총 10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309개, 총 종사자 수는 79,382명
표 3-14-6 ❙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삼일자원비축 4,157 4,088 2 2 X 100 완료
여수 51,229 32,319 307 284 25,082 100 조성중
대불국가산업단지 20,886 11,591 422 360 7,969 100 완료
빛그린 2,229 1,455 40 27 289 97 조성중
광양국가 96,405 27,517 195 166 14,353 100 조성중
일반
신금 397 397 42 35 363 91 완료
황금 1,116 1,116 1 1 X 55 조성중
광양익신 474 190 58 53 627 94 완료
나주 549 549 48 32 465 99 완료
문평 323 323 9 8 485 100 완료
세라믹 116 115 16 11 117 44 완료
삽진 218 216 49 46 284 100 완료
대양 1,546 1,062 197 149 1,907 99 완료
순천[재생사업지구] 576 576 34 33 1,150 100 완료
해룡 1,592 1,592 45 45 588 100 조성중
율촌제1 9,450 9,443 149 124 5,864 99 조성중
여수오천 222 222 39 36 488 100 완료
율촌제2 3,793 3,793 0 0 0 0 미개발
삼호 2,971 2,971 1 1 X 100 완료
장성나노기술 901 901 214 187 1,908 100 완료
군내 686 686 1 0 0 100 조성중
세풍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2,426 2,426 5 5 175 81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4 43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대마전기자동차
(구 대마)
1,652 1,652 42 32 575 82 완료
장흥바이오식품
(구 해당)
2,892 2,891 82 31 641 65 조성중
화원조선(구 화원) 2,058 2,053 0 0 0 100 조성중
일반
화순생물의약(구 화순) 755 755 19 19 595 99 완료
용당 337 337 0 0 0 0 미개발
동함평 739 738 79 46 323 92 완료
에코하이테크담양(구 담양) 581 580 109 104 744 100 완료
묘도녹색 368 368 0 0 0 0 조성중
나주신도 298 297 16 14 88 88 완료
운남 85 75 0 0 0 0 조성중
강진 655 646 32 5 89 61 완료
나주혁신(구 나주미래) 1,789 1,789 172 103 1,239 97 완료
무안항공특화 350 350 0 0 0 15 완료
화순생물의학제2 308 308 0 0 0 0 미개발
강진제2일반산업단지 304 304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순천 190 190 0 0 0 0 조성중
농공
금천 103 103 1 1 X 100 완료
노안 125 125 35 26 186 100 완료
동수 209 209 56 34 187 100 완료
문평 69 69 7 4 20 100 완료
봉황 100 100 20 9 77 100 완료
오량 245 245 53 35 399 100 완료
산정 530 529 164 143 1,403 100 완료
주암 106 105 33 33 221 100 완료
화양 119 119 20 19 249 100 완료
마량 56 56 15 15 105 100 완료
풍양 55 50 9 6 32 100 완료
겸면 301 300 12 8 162 100 완료
석곡 126 126 13 7 110 100 완료
입면 522 522 1 1 X 100 완료
44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간전 102 102 14 14 71 100 완료
금성 233 233 28 25 591 100 완료
무정 190 187 34 31 252 100 완료
삼향 220 220 50 45 246 100 완료
일로 164 164 32 23 158 100 완료
청계 314 314 55 52 548 100 완료
청계2 304 304 29 24 387 100 완료
미력 107 106 21 15 175 100 완료
벌교 145 145 17 17 190 100 완료
농공
조성 146 146 34 32 166 100 완료
지도 272 272 1 1 X 100 완료
군서 118 118 25 20 152 100 완료
칠곡 149 149 1 0 0 100 완료
군서 128 128 15 15 162 100 완료
신북 145 145 16 16 91 100 완료
완도 322 322 86 84 422 100 완료
죽청 222 222 46 42 281 100 완료
동화 120 120 28 28 774 100 완료
동화전자종합 284 284 34 33 631 100 완료
삼계 88 88 17 16 203 100 완료
장평 103 102 20 15 92 100 완료
고군 101 101 25 17 92 100 완료
군내 260 260 10 0 0 42 완료
학교 171 171 25 23 347 100 완료
함평 103 103 9 9 137 100 완료
옥천 103 103 22 20 147 100 완료
능주 109 109 43 43 152 100 완료
도곡 165 165 39 37 428 100 완료
동면 258 258 69 69 477 100 완료
이양 151 151 13 13 86 100 완료
남평 112 112 1 0 0 0 미개발
장흥 150 148 5 2 X 2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4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해보 245 245 44 40 269 100 완료
장평제2 47 47 2 2 X 100 완료
영광식품산업특화 109 109 0 0 0 0 조성중
완도해양생물특화 181 110 22 9 11 100 완료
땅끝해남식품특화 143 142 19 14 38 100 완료
청정식품(구 동강) 145 145 21 15 277 100 완료
자연드림파크(구 용방) 144 144 16 16 298 100 완료
영암특화 116 116 16 12 64 100 완료
송림그린테크 (구 송림) 144 144 32 31 250 100 완료
동면제2 147 141 23 21 239 100 완료
농공
에코-하이테크 329 327 41 39 599 100 완료
학교명암축산특화 318 318 1 1 X 9 조성중
화원조선 153 153 1 1 X 100 완료
화순식품 136 136 2 2 X 100 완료
화양한옥 34 34 0 0 0 0 조성중
동강특화 299 296 0 0 0 0 조성중
해룡선월지구 144 143 0 0 0 100 조성중
자연드림파크2단지 49 49 3 2 X 100 완료
운곡특화 183 183 0 0 0 0 미개발
칠량 149 149 23 22 220 100 완료
몽탄특화 89 89 1 1 X 9 완료
묘량 214 217 0 0 0 0 조성중
고흥무인항공영농기술
특화농공단지
137 137 0 0 0 0 미개발
44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전남에는 총 70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57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3개, ‘건설업’이 34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89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73개), ‘식료품 제조업’(58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4-7 ❙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8 9
광업(05~08) 3 3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73 75 58
음료 제조업 4 6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 4 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2 16 1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1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46 56 5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6 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3 34 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 26 24
1차 금속 제조업 9 9 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8 51 4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8 26 2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 14 15
전기장비 제조업 86 98 89
Regional S&T Yearbook 2024 443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8 75 7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 8 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3 30 29
가구 제조업 1 2 2
기타 제품 제조업 13 17 1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1 11 14
건설업(41~42) 33 38 40
도매 및 소매업(45~47) 11 13 15
운수 및 창고업(49~52) 1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46 56 57
금융 및 보험업(64~66) - - 1
부동산업(68) - -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0 53 5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7 5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1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664 748 703
44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5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10,357명(전국의 1.27%)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46%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4,299명(전국의 0.82%)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4,074명(전국의 1.74%), 공공연구소는 1,984명(전국의 2.7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4-8 ❙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058 1.58 3,327 1.61 2,947 1.40 3,855 1.73 4,074 1.74
∙ 국공립 2,561 3.21 2,570 2.97 2,447 2.82 3,310 3.69 3,576 3.77
∙ 사립 497 0.44 757 0.63 500 0.41 545 0.41 498 0.36
공공연구소 1,645 2.64 1,704 2.66 1,821 2.74 1,964 2.87 1,984 2.79
∙ 국공립 602 4.67 764 5.96 797 5.93 901 6.79 903 6.86
∙ 정부출연 396 1.15 419 1.23 398 1.17 396 1.14 415 1.16
∙ 병원 및 기타 647 4.29 521 3.00 626 3.25 667 3.25 666 3.24
기업 4,036 0.87 4,102 0.86 4,367 0.86 4,577 0.88 4,299 0.82
∙ 정부투자기관 155 4.03 148 3.95 163 4.22 195 4.89 206 5.45
∙ 민간기업 3,881 0.85 3,954 0.84 4,204 0.83 4,382 0.84 4,093 0.79
합 계 8,739 1.22 9,133 1.22 9,135 1.16 10,396 1.28 10,357 1.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445
■ ’23년 전라남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8명 감소한 36.6명으로 조사됨
표 3-14-9 ❙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0.9 32.2 34.0 37.4 36.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전라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8,977억 원(전국의 0.80%)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 연구개발비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40%로 증가 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064억 원(전국의 1.90%), 공공연구소는
약 2,376억 원(전국의 1.71%), 기업이 약 4,536억 원(전국의 0.48%)
표 3-14-10 ❙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23,345 1.67 133,176 1.59 157,811 1.69 184,671 1.79 206,485 1.90
∙ 국공립 113,864 3.48 117,947 3.12 138,124 3.28 161,563 3.57 180,568 3.74
∙ 사립 9,481 0.23 15,229 0.33 19,687 0.38 23,108 0.40 25,917 0.43
공공연구소 167,093 1.64 194,962 1.75 239,008 1.99 253,771 1.96 237,603 1.71
∙ 국공립 33,713 4.03 25,863 3.04 37,612 3.89 41,779 4.10 42,704 4.02
∙ 정부출연 66,404 0.85 78,636 0.95 89,869 1.03 91,861 0.99 94,008 0.94
∙ 병원 및 기타 66,976 4.39 90,463 4.56 111,527 4.83 120,131 4.58 100,891 3.56
기업 433,398 0.61 376,004 0.51 417,437 0.52 508,004 0.57 453,629 0.48
∙ 정부투자기관 26,313 3.03 29,878 3.41 27,202 3.16 34,974 3.94 30,063 4.03
∙ 민간기업 407,085 0.58 346,126 0.48 390,235 0.49 473,030 0.53 423,566 0.45
합 계 723,836 0.81 704,142 0.76 814,256 0.80 946,446 0.84 897,717 0.8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4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전라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270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95%
표 3-14-11 ❙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199 3,671 3,654 4,108 4,270
(1.6) (1.6) (1.5) (1.6) (1.4)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447
표 3-14-12 ❙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6,542 2 20,815 456 643 49 4,516 - 61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4-13 ❙ 전라남도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기반산업과
∙ 지역경제정책 수립 추진, 전남테크노파크 운영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정 준비
∙ 조선해양산업 육성사업 발굴, 조선산업 기반구축, 조선산업 기반구축사업, 조선산업 인력양성지원 등
∙ 소재・부품산업육성, 석유화학산업 육성, 금속 및 기계가공산업 육성, 뿌리산업 육성 등
∙ 신소재 이차전지 산업육성, 신소재(세라믹, 고분자소재) 등
신성장산업과
∙ 친환경 연안선박 클러스터 구축
∙ 항공, 드론 산업 육성, 우주 항공 클러스터 조성,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운영,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
구축, 드론산업 육성 및 블루이코노미 사업 추진 등
∙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련산업 육성, 전기자동차 서비스산업 육성, e-모빌리티 엑스포 추진, 자율주행
자동차산업 육성 등
∙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수립,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추진, 반도체 전문인력 수급 및 인재 양성,
반도체 협력네트워크 추진
∙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데이터산업 육성대책 추진, 연계 협력사업 발굴
연구바이오
산업과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연구개발사업업무, 산학업무 전반, 지역 SW 육성사업 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바이오 인력 개발
∙ 백신, 신약개발 업무 추진, 천연물 업무 추진
에너지정책과
∙ 에너지산업국 종합기획, 지역에너지 절약사업, 분산에너지 관련 업무, 에너지신산업 연구개발기획사업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원, 녹색에너지연구원관리, 지역특성화사업, 국가혁신융
복합단지 지원
해상풍력
산업과
∙ 전남형 상생일자리 상생협의회 운영 및 융복합산업화 플랫폼 구축 추진
∙ 해상풍력 단계별 사업 개발 및 추진, 지원항만 개발 및 배후단지 조성, 특화구역 지정, 해상풍력
이익공유 모델 개발
∙ 신안 8.2GW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확보 지원, 육상풍력 인허가 등
미래에너지
산업과
∙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메가 클러스터 구축 추진
∙ 그린수소 시범도시 및 수소특화단지 구축 조성사업 추진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사업 관계기관 협력사업 개발
∙ 레이저 인력양성 방안 마련, 관련 대학,연구기관 MOU 추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44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조례)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조정
- 과학기술 발전 및 과학 기술인 육성 제도와 과학기술 대상 심사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전라남도 정무부지사(당연직)
- 위원임기 : 위촉직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가능. 다만, 위원이 궐위된 경우 새로 선임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하며, 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해당 위원이 그 직위에 재임하는 기간으로 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2회
- 제1차 협의회(2024. 1. 24. ~ 1. 26.)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추진실적 및
2024년 시행계획 안건 심의
- 제2차 협의회(2024. 8. 28. ~ 8. 30.) : 전라남도 과학기술 혁신계획 안건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 소속기관
표 3-14-14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창환 전라남도정무부지사 당연직
위 원 황기연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 당연직
위 원 김종갑 전라남도 전략산업국장 당연직
위 원 한춘옥 전라남도 도의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최용국 한국과총 광주전남지역회장 2021.12.03.~2024.12.02.
위 원 나해영 목포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박기영 순천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이경환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송하철 목포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문봉진 광주과학기술원 2021.12.03.~2024.12.02.
위 원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이경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12.03.~2024.12.02.
위원 곽인실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원 양현정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원 이상연 전라남도 연구바이오과장 간사
Regional S&T Yearbook 2024 44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남도의 총예산은 약 32조 5,022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예산은 약 267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08%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13.50%
표 3-14-15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 산 325,022
재정자주도(%) 67.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97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67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13.50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45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015개로 전국의 1.64%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28%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94개 증가
표 3-14-16 ❙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3.61 15 3.65 14 3.31 16 3.83 16 3.46
∙ 국공립 6 7.14 6 7.06 6 6.98 7 7.95 7 7.69
∙ 사립 9 2.72 9 2.76 8 2.37 9 2.73 9 2.43
공공연구소 34 5.30 37 5.58 40 5.81 40 5.86 44 5.86
∙ 국공립 11 7.69 11 7.69 6 6.98 13 9.49 11 8.21
∙ 정부출연 4 2.37 4 2.45 4 2.35 3 1.82 4 2.35
∙ 병원 및 기타 19 5.76 22 6.16 24 6.56 24 6.30 29 6.49
기업 858 1.57 933 1.59 1,019 1.64 1,067 1.66 955 1.58
∙ 정부투자기관 3 5.45 3 5.56 5 8.47 5 8.20 6 10.71
∙ 민간기업 855 1.56 930 1.59 1,014 1.63 1,062 1.65 949 1.57
합 계 907 1.62 985 1.65 1,073 1.69 1,123 1.72 1,015 1.6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4 451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전라남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10개, 전문대학 9개 존재
표 3-14-17 ❙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4 - 6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8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3 1 15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전라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4만 4,81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450명(전체의 약 9.93%), 공학계열 학생이 1만 2,275명
(전체의 약 27.40%)
표 3-14-18 ❙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450 12,276 16,726 9,627 3,179 2,386 2,391 10,502 44,811
비중(%) 9.93 27.40 37.33 21.48 7.09 5.32 5.34 23.44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5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전라남도에는 동신대 1개, 목포대 1개, 전남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4-19 ❙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동신대
(1개 센터)
2022 비위(脾胃)조절기반 Gut-Brain 시스템 제어 한의과학 연구센터 MRC
목포대
(1개 센터)
2022 바이오 메디슨 첨단제형 연구센터 RLRC
전남대
(1개센터)
2023 골다공증 토탈 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전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4년 기준 목포대 1개, 전남대 1개, 순천대 1개 총 3개 센터가 각각 운영 중.
순천대 1곳의 운영이 종료됨
Regional S&T Yearbook 2024 453
표 3-14-20 ❙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전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4-21 ❙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양보건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나노융합의료부품소재 창업보육센터 2010-04-01
동신대학교 동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10
목포대학교 목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05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2018-06-01
목포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0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바이오융합 창업보육센터(친환경) 2012-11-01
순천대학교 순천대창업보육센터 1999-12-15
전남대학교 여수사무소 전남대학교 여수창업보육센터 2005-12-08
전남도립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2-01
(재)전남환경산업진흥원 전남환경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천연자원연구센터 천연소재실용화 창업보육센터(천연자원) 2013-08-01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당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4-09-30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 창업보육센터 2017-02-0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주관기관 센터명
목포대 IT기반 서남권 중형조선산업 지역혁신센터
전남대(여수) 중화학설비 안전진단기술 지역혁신센터
순천대 차세대 전략산업용 희유자원 실용화 지역혁신센터
45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남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16개를 운영 중
표 3-14-22 ❙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여수해양기상과학관 국립
전라남도과학교육원 공립
고흥우주천문과학관 공립
곡성섬진강천문대 공립
함평자연생태과학관 공립
순천만천문대 공립
장흥 정남진천문과학관 공립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관 공립
섬진강어류생태관 공립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공립
장흥 정남진물과학관 공립
한국토종민물고기과학관 공립
무안생태갯벌센터 공립
국제환경천문대과학관 사립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여수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455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4년 전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65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607명임
표 3-14-23 ❙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303 325 373 494 465
수혜자 수 2,430 3,936 4,506 5,592 6,607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전남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0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76명 양성
표 3-14-24 ❙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재)전남테크노파크 3
전용공간
9개(4,890㎡)
86 67,486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45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전라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4,29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009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8.16% 증가, 등록건수 ’22년 대비 3.5% 감소
표 3-14-25 ❙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2,902 3,223 3,424 3,592 4,050 3,973 4,297
특허등록 건수 1,616 1,605 1,836 1,906 2,101 2,082 2,00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전라남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552편, 주저자 기준 59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2.08%, 1.04%를 차지
표 3-14-26 ❙ 전라남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1,174 1.75 14,783 12.59 489 0.89 4,707 9.63
2020 1,355 1.84 12,331 9.10 561 0.94 3,916 6.98
2021 1,514 1.90 8,414 5.56 593 0.93 2,464 4.16
2022 1,558 2.02 3,612 2.32 606 1.01 1,115 1.84
2023 1,552 2.08 3,315 2.14 596 1.04 1,036 1.7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45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혁신으로 도약하는 지역경제!
■ 목표 : 자생력 높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정책역량)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혁신기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인프라 고도화
■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성장) 지역 대학, 연구기관 역량 강화 및 거점화
- (연계)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 (성과)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한 기업 경쟁력 제고
■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민간 중심 생태계 활성화
- (공간)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산업) 지역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추진
- (문화)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자생력 높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실행전략 :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민간 중심 생태계 활성화
45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연구개발 총괄기능 제고) 지역주도 과학기술 지원체계 혁신을 통한 과학기술 정책기획 및 국비
확보 시스템 고도화
- 중앙정부 첨단전략기술 분야와 전남도 과학기술정책과 연계한 지역내 산학연 연계협력 지원체계
조성 추진
- 연구바이오산업과를 총괄로 R&D전담기관인 ‘전남테크노파크’를 통해 기획기능 확대에 따른 기획
추진 체계 확립 및 효율성 제고
■ (전남형 연구개발 정립) 사회 및 산업분야별 문제해결형 중장기 정책발굴 및 사업 기획
- 지역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및 전남의 미래산업 창출을 위한 중대형 R&D 사업 기획지원
- 전남 미래산업 현장과 직접 소통하고 중장기적인 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정책수립을 위한 전남형
PD제도 시범운영
■ (과학기술 연구기반 확대) 산학연 연구개발 집적화를 위한 특구 운영 및 과학문화 증진을 위한
과학관 건립 등 추진
- 강소연구개발특구, 규제자유특구 등 혁신클러스터 중심으로 광역 연구개발특구와 연계협력을 통해
기술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소재전문과학권(광양), 에너지전문과학관(나주)건립과 과학문화 활성화 지원사업을 통해 과학
기술 저변 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4 459
제15절 경상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경북의 인구는 약 261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경북 인구의 비율은 5.0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5-1 ❙ 경상북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2,671,108 2,651,789 2,640,965 2,628,220 2,611,408
전국인구대비 비율(%) 5.16 5.12 5.10 5.09 5.05
경제활동참가율(%) 64.2 63.7 63 64.5 65.2
실업률(%) 3.9 4 3.2 2.5 2.6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46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북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1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65% 증가하였음
- 제조업이 38.93%로 가장 높고, 기타서비스업이 24.6%,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6.92%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이 5년간 8.6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5-2 ❙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115,485,515 112,072,885 114,892,653 115,612,472 119,278,381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6,157,460 5,712,808 5,972,400 5,793,258 5,682,776
(지역내비중,%) (5.33) (5.10) (5.20) (5.01) (4.76)
제조업 48,177,696 45,372,736 46,047,383 45,008,744 46,437,337
(지역내비중,%) (41.72) (40.49) (40.08) (38.93) (38.93)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703,218 4,236,741 4,066,551 4,477,444 5,615,900
(지역내비중,%) (3.21) (3.78) (3.54) (3.87) (4.71)
건설업 6,076,105 5,792,991 5,601,720 5,999,176 6,757,200
(지역내비중,%) (5.26) (5.17) (4.88) (5.19) (5.67)
기타서비스업 26,940,006 26,156,793 27,524,330 28,191,839 29,338,385
(지역내비중,%) (23.33) (23.34) (23.96) (24.38) (24.6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7,989,736 18,384,236 18,972,306 19,933,308 20,178,696
(지역내비중,%) (15.58) (16.40) (16.51) (17.24) (16.92)
순생산물세 6,368,496 6,416,580 6,707,963 6,405,695 6,293,125
(지역내비중,%) (5.51) (5.73) (5.84) (5.54) (5.2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Regional S&T Yearbook 2024 46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경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58조 2,265억 원이고, 5,31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3만
4,22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1차 금속 제조업’이 약 42조 9,737억 원(전체의 27.1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691개(전체의 13.0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만 6,188명(전체의
15.4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5-3 ❙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5,307,469 3.35 411 7.73 13,230 5.65
음료 제조업 287,127 0.18 29 0.55 1,113 0.48
담배 제조업 1,011,825 0.64 3 0.06 465 0.2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850,373 2.43 398 7.49 10,851 4.6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3,637 0.04 23 0.43 694 0.3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3,347 0.01 3 0.06 94 0.0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02,595 0.19 66 1.24 1,000 0.4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695,719 1.07 130 2.44 3,802 1.6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9,516 0.01 9 0.17 190 0.0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14,006 0.14 21 0.39 416 0.1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849,661 4.33 271 5.10 11,314 4.8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194,755 0.76 21 0.39 1,409 0.6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817,517 4.31 465 8.75 16,297 6.9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012,995 2.54 336 6.32 11,163 4.77
1차 금속 제조업 42,973,761 27.16 364 6.85 25,725 10.9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856,791 5.60 691 13.00 21,906 9.3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0,554,052 25.63 241 4.53 36,188 15.4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206,923 1.39 108 2.03 5,125 2.19
전기장비 제조업 9,453,191 5.97 272 5.12 18,923 8.0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530,681 4.13 635 11.94 17,041 7.2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423,832 9.12 636 11.96 29,395 12.5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82,476 0.24 60 1.13 1,476 0.63
가구 제조업 244,818 0.15 36 0.68 830 0.35
기타 제품 제조업 449,547 0.28 27 0.51 735 0.3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09,973 0.32 61 1.15 4,847 2.07
합 계 158,226,587 100.00 5,317 100.00 234,229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46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1차 금속 제조업’, ‘담배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5-4 ❙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1차금속제조업
∙ 담배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비교적
높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및
신장비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4 46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북도는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지역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5 ❙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경상북도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
경상북도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스마트 이송・물류 자율주행로봇 플랫폼 구축
초광역권 메타버스 허브 구축 운영
국가첨단전략산업(반도체, 이차전지) 특화단지 추진단 운영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바이오 원부자재 산업화 지원 기반 조성
로봇직업혁신센터 구축사업
뿌리산업 제조공정혁신 지원을 위한 DX기반 구축
첨단제조플랫폼기반ICT혁신제품화지원 사업
지역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국가첨단전략산업(반도체,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사업(R&D)
고안전 보급형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상용화 기반 구축
46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7개, 일반산업단지 79개, 도시첨단 1개 및 농공산업단지 67개가 있음
- 총 15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314개, 총 종사자 수는 166,964명
표 3-15-6 ❙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월성전원 3,693 3,692 1 1 X 100 완료
구미국가(1단지)[재생사업지구] 10,089 10,098 2,814 2,259 79,045 100 완료
구미국가(2-4단지) 16,652 16,627 23 23 3,944 99 조성중
구미하이테크밸리 9,325 9,153 0 0 0 98 조성중
포항국가 28,755 17,624 102 97 12,406 100 조성중
포항블루밸리 6,079 5,480 38 15 236 49 조성중
영주첨단베어링국가산업단지 1,186 1,185 0 0 0 0 미개발
일반
경산1 1,577 1,577 194 166 8,113 100 완료
경산2 489 486 105 97 1,746 100 완료
강동 992 991 77 60 628 99 조성중
건천제1 147 147 6 6 494 100 완료
일반
건천제2 990 990 21 21 1,125 100 완료
명계2 104 104 2 1 X 33 완료
문산 315 315 26 26 363 100 완료
석계 146 146 35 35 429 100 완료
석계2 122 122 14 14 250 100 완료
외동 142 142 22 22 795 100 완료
외동2 603 603 39 39 1,242 100 완료
천북 1,862 1,863 117 116 2,153 98 조성중
화산 150 149 14 14 611 100 완료
신기제2 440 439 23 15 353 87 완료
상주청리 1,295 1,221 9 6 200 98 완료
상주한방 766 766 2 2 X 97 완료
경북바이오 941 940 40 32 781 98 완료
신흥 112 112 0 0 0 0 조성중
영일만2 720 720 10 9 1,245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65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포항4 2,047 2,047 101 87 1,205 100 완료
개진 148 148 35 35 345 100 완료
성산 113 113 1 0 0 100 조성중
성주 851 851 53 52 1,365 100 완료
월항 78 78 14 11 46 100 완료
두전 55 54 6 5 57 100 완료
영주 178 178 53 53 293 100 완료
고경 1,565 1,563 0 0 0 0 조성중
왜관 2,540 2,540 382 365 7,995 100 완료
왜관3 747 744 51 50 1,259 100 완료
가흥 230 230 8 8 677 100 완료
광명 728 728 10 6 262 79 조성중
영일만3 195 195 6 2 X 55 완료
영일만4 2,600 2,600 7 1 X 100 조성중
모화 377 377 43 43 832 100 완료
경산4 2,402 2,402 0 0 0 0 미개발
갈산 149 149 5 4 129 87 완료
영일만 964 964 16 13 1,079 100 완료
제내2 84 84 4 1 X 98 조성중
일반
서동 270 260 1 1 X 100 완료
구어2 829 829 44 32 843 100 완료
건천용명 116 116 6 6 140 100 조성중
연화 52 52 9 9 119 100 완료
천북2 104 104 1 1 X 13 조성중
녹동 140 140 16 13 184 100 조성중
석포 185 185 0 0 0 0 미개발
성주2 959 959 27 27 763 100 완료
건천3 149 149 0 0 0 0 미개발
나아 120 120 0 0 0 70 조성중
제내5 137 137 0 0 0 100 조성중
그린 871 871 0 0 0 0 미개발
문산2 836 836 35 6 454 100 완료
검단 932 932 2 2 X 52 조성중
46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석계4 121 117 9 7 56 27 완료
양남 1,739 1,739 0 0 0 0 미개발
열뫼 224 224 0 0 0 100 조성중
김천1 2,228 2,218 78 78 2,461 100 완료
신기 126 126 3 1 X 100 완료
영천첨단부품소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1,461 1,459 61 54 2,430 100 완료
월성 668 668 0 0 0 0 조성중
경북바이오2차 496 485 0 0 0 0 조성중
건천4 629 629 0 0 0 0 조성중
명계3 823 823 17 5 340 100 조성중
김천1(3단계) 1,156 1,155 26 26 1,001 100 완료
대곡2 242 242 0 0 0 0 조성중
경산3(구 진량2) 1,497 1,456 69 60 3,689 100 완료
경산1-1(구 진량3) 78 78 0 0 0 0 조성중
고령1(구 다산) 636 636 68 65 1,517 100 완료
고령2(구 다산2) 766 704 86 80 1,549 100 완료
SK머티리얼즈
(구 OCI머티리얼즈) 171 171 3 3 225 100 완료
동고령(구 박곡) 748 748 66 60 673 100 완료
일반
송곡 262 262 0 0 0 0 미개발
상주 391 391 4 4 196 63 완료
외동3 110 110 0 0 0 0 조성중
혁신원자력연구 2,200 2,200 0 0 0 0 조성중
대창 460 460 0 0 0 0 미개발
경산화장품특화 149 149 0 0 0 0 조성중
영천금호 282 282 0 0 0 0 미개발
의성바이오밸리 225 225 0 0 0 0 미개발
경산상림재활산업특화단지 541 540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경북김천혁신도시 39 39 0 0 0 0 조성중
농공
건천 102 102 4 4 424 100 완료
내남 90 90 3 3 302 100 완료
서면 113 113 14 13 20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67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강 150 150 13 12 364 100 완료
외동 109 109 5 5 1,359 100 완료
고아 206 206 47 44 783 100 완료
산동 69 68 16 15 164 100 완료
해평 62 62 16 16 219 100 완료
감문 113 105 14 14 224 100 완료
대광 551 550 32 32 683 100 완료
아포 190 190 29 29 552 100 완료
지례 57 57 4 4 86 100 완료
가은 82 82 12 10 91 100 완료
가은제2 78 78 7 6 168 100 완료
마성 264 264 18 17 360 100 완료
산양 172 172 15 14 315 100 완료
영순 84 84 4 4 179 100 완료
영순제2 141 141 12 10 263 100 완료
공성 113 100 11 9 100 100 완료
외답 235 210 27 21 256 100 완료
함창 119 119 14 11 185 100 완료
함창제2 126 122 14 10 118 100 완료
화동 94 78 7 5 66 100 완료
화서 105 92 5 4 37 100 완료
화서제2 140 139 6 3 43 89 완료
남선 67 66 15 14 53 100 완료
남후 288 288 41 37 247 100 완료
풍산 215 215 25 24 416 100 완료
문수 149 149 15 14 200 100 완료
농공
반구전문 427 427 19 19 839 100 조성중
봉현 110 110 25 25 383 100 완료
장수 224 224 38 38 364 100 완료
적서 308 308 1 1 X 100 완료
휴천 253 253 1 1 X 100 완료
고경 57 57 11 8 64 100 완료
도남 330 330 17 15 1,608 100 완료
46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본촌 152 152 10 10 793 100 완료
북안 157 157 15 14 225 100 완료
화산 118 118 17 14 106 100 완료
청하 195 195 25 23 376 100 완료
개진 139 139 32 29 337 100 완료
쌍림 255 255 46 40 510 100 완료
봉화 149 149 16 12 149 100 완료
봉화제2 135 135 16 16 127 100 완료
선남 73 73 10 10 147 100 완료
성주 146 146 12 11 270 100 완료
월항 258 258 27 26 584 100 완료
영덕 150 150 15 13 139 100 완료
예천 129 129 8 7 250 100 완료
울진 126 126 12 11 93 100 완료
다인 206 206 18 11 119 100 완료
봉양 195 194 23 19 293 100 완료
의성 165 165 23 16 194 100 완료
단밀 144 144 17 14 213 100 완료
청도 139 139 14 12 365 100 완료
풍각 252 252 27 23 285 100 완료
기산 176 176 22 18 204 100 완료
산양제2 134 134 11 11 76 57 완료
평해 149 149 17 12 101 66 완료
유곡 248 246 13 11 96 59 완료
영덕로하스특화 148 147 20 12 165 100 완료
농공
영덕제2 326 326 7 2 X 25 완료
예천제2 257 257 19 18 198 89 완료
칠곡농기계특화 245 245 29 28 411 100 완료
남영양 30 30 4 3 38 79 완료
죽변해양바이오 149 149 6 5 40 17 완료
고아제2 263 263 0 0 0 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69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경북에는 총 1,318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91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통신업’이 88개, ‘건설업’이 3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97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09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01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5-7 ❙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4 16 11
광업(05~08) 2 3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6 101 90
음료 제조업 6 8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5 50 4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4 4 2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2 11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 12 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1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2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6 90 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3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7 76 6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0 33 30
1차 금속 제조업 23 31 3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6 113 10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8 118 10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42 48 48
전기장비 제조업 83 86 78
47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0 217 19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2 86 8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 8 10
가구 제조업 9 8 7
기타 제품 제조업 39 42 3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2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2 13 12
건설업(41~42) 19 25 30
도매 및 소매업(45~47) 9 14 17
운수 및 창고업(49~52) 1 1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2
정보통신업(58~63) 82 94 88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4 89 9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4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2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4 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252 1,426 1,318
Regional S&T Yearbook 2024 47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8,768명(전국의 3.54%)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5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4,374명(전국의 2.75%)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11,634명(전국의 4.98%), 공공연구소는 2,760명(전국의 3.88%) 차지
표 3-15-8 ❙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532 4.91 9,463 4.57 9,965 4.74 10,993 4.95 11,634 4.98
∙ 국공립 1,009 1.26 1,068 1.23 1,086 1.25 1,642 1.83 2,317 2.45
∙ 사립 8,523 7.46 8,395 6.97 8,879 7.20 9,351 7.06 9,317 6.70
공공연구소 2,709 4.34 2,529 3.94 2,591 3.89 2,594 3.79 2,760 3.88
∙ 국공립 1,196 9.28 1,113 8.68 1,019 7.58 955 7.19 846 6.42
∙ 정부출연 238 0.69 246 0.72 286 0.84 256 0.74 267 0.75
∙ 병원 및 기타 1,275 8.46 1,170 6.74 1,286 6.69 1,383 6.73 1,647 8.02
기업 14,401 3.12 14,035 2.95 14,842 2.92 14,921 2.85 14,374 2.75
∙ 정부투자기관 482 12.54 373 9.97 391 10.12 405 10.16 408 10.80
∙ 민간기업 13,919 3.04 13,662 2.89 14,451 2.86 14,516 2.80 13,966 2.69
합 계 26,642 3.71 26,027 3.48 27,398 3.49 28,508 3.50 28,768 3.5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7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경상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6명 감소한 77.6명으로 조사됨
표 3-15-9 ❙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73.1 72.4 75.3 78.2 77.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경상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8,412억 원(전국의 3.41%)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7위에 해당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6.49%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5,128억 원(전국의 4.71%), 공공연구소는
약 4,479억 원(전국의 3.23%), 기업이 약 2조 8,804억 원(전국의 3.05%)
표 3-15-10 ❙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37,130 4.57 379,579 4.54 441,565 4.73 507,816 4.93 512,840 4.71
∙ 국공립 28,253 0.86 32,168 0.85 38,560 0.91 55,810 1.23 61,764 1.28
∙ 사립 308,877 7.54 347,411 7.59 403,005 7.88 452,006 7.83 451,076 7.44
공공연구소 282,216 2.78 327,370 2.94 363,987 3.03 387,296 3.00 447,982 3.23
∙ 국공립 54,799 6.56 73,435 8.63 77,511 8.01 85,175 8.35 68,156 6.42
∙ 정부출연 42,293 0.54 47,774 0.58 61,593 0.71 55,674 0.60 58,386 0.58
∙ 병원 및 기타 185,124 12.13 206,160 10.40 224,883 9.73 246,447 9.39 321,440 11.34
기업 2,186,048 3.06 1,980,108 2.69 1,969,523 2.44 2,300,198 2.57 2,880,417 3.05
∙ 정부투자기관 36,853 4.24 32,114 3.67 36,946 4.30 41,271 4.64 39,727 5.32
∙ 민간기업 2,149,195 3.04 1,947,994 2.68 1,932,577 2.42 2,258,927 2.55 2,840,690 3.04
합 계 2,805,393 3.15 2,687,056 2.89 2,775,075 2.72 3,195,310 2.84 3,841,239 3.4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473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경상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75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94%
표 3-15-11 ❙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272 6,882 7,271 8,127 10,075
(3.1) (3.0) (3.0) (3.1) (3.4)
전국 204,597 227,242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메타AI과학국에서 담당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47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5-12 ❙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30,520 2 23,835 376 739 36 5,489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5-13 ❙ 경상북도 메타AI과학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디지털메타버스과
∙ 디지털 대전환 기본계획 수립 및 정책
∙ 지역 디지털・SW 산업 육성 및 가상융합산업 진흥
∙ 산・학・연 협력 사업 추진
∙ 신규 규제자유특구・글로벌 혁신특구 기획・지정
미래첨단산업과
∙ 지역과학기술 진흥 종합정책 수립
∙ 지역R&D 정책지원 및 과학문화 확산
∙ 반도체 및 이차전지 산업육성
∙ 국가첨단전략산업(반도체・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 로봇산업 육성 및 생태계 구축
∙ 양자기술산업 육성・지원
AI데이터과
∙ 인공지능, 홀로그램 등 지능정보기술 및 산업 육성
∙ 5G, 게임산업 등 이동통신산업 육성
∙ 경북형 데이터 생태계 조성 및 데이터 활용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공공데이터 수집, 개방 및 활용
∙ 국가 및 지역통계조사 시행
소재부품산업과
∙ 지역주력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강화 지원
∙ 미래 자동차 산업 육성
∙ 기계・금속・방산 산업 육성
∙ 섬유・탄소・화학 소재산업 육성
바이오생명산업과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추진
∙ 제약・백신, 그린바이오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 화장품, 의료기기 산업 육성 및 거점 활성화 지원
∙ 푸드테크 신산업 육성 및 대체식품산업 생태계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4 475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조례 제2조 및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심의・의결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식정보산업진흥종합계획, 지자체 R&D사업 신규과제 등
- 자문 :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제도・정책,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신규사업 검토 및
조정, 지방과학기술 아젠다 발굴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 1월 ~ 2025. 1월 (2년)
- 위원장 :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양금희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2회
- 제6차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도 추진실적 2024년도 시행계획(안) 심의・의결
(2024.01.15.~16)
- 경상북도 과학기술 혁신계획(안) 심의・의결(2024.10.07.~08)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5-14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2023.01 ~ 2025.01
위원(당연직) 김호진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 2023.01 ~ 2025.01
위원(당연직) 이정우 경상북도 메타AI과학국장 2023.01 ~ 2025.01
위원 하인성 경북테크노파크 2023.01 ~ 2025.01
위원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2023.01 ~ 2025.01
위원 나혜중 경북테크노파크 하이브리드연구소 2023.01 ~ 2025.01
위원 이동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3.01 ~ 2025.01
위원 김종규 포스텍 2023.01 ~ 2025.01
위원 이대식 대구대 2023.01 ~ 2025.01
위원 황형주 포스텍 2023.01 ~ 2025.01
위원 김상욱 동국대 2023.01 ~ 2025.01
위원 강미숙 영남대 2023.01 ~ 2025.01
47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문추연 구미전자정보기술원 2023.01 ~ 2025.01
위원 김기근 대구한의대 2023.01 ~ 2025.01
위원 이난희 국립 대구과학관 2023.01 ~ 2025.01
위원 권영희 대구경북첨단벤처 기업인협의회 2023.01 ~ 2025.01
위원 김부진 코리아향진원 2023.01 ~ 2025.01
위원 서인숙 인당(주) 2023.01 ~ 2025.01
위원 최성광 ㈜브이알크루 2023.01 ~ 2025.01
위원 연규식 경상북도의회 2023.01 ~ 2025.01
Regional S&T Yearbook 2024 47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북도의 총예산은 약 40조 1,32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53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13%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18.13%
표 3-15-15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401,327
재정자주도(%) 70.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94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3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18.13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47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014개로 전국의 3.2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0.92% 증가
- 5년간 대학 7개 증가, 공공연구소 6개 증가, 기업 77개 증가
표 3-15-16 ❙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 5.54 24 5.84 22 5.20 23 5.50 30 6.49
∙ 국공립 4 4.76 4 4.71 3 3.49 5 5.68 5 5.49
∙ 사립 19 5.74 20 6.13 19 5.64 18 5.45 25 6.74
공공연구소 44 6.85 45 6.79 47 6.82 42 6.15 50 6.66
∙ 국공립 19 13.29 18 12.59 18 11.76 15 10.95 13 9.70
∙ 정부출연 7 4.14 7 4.29 9 5.29 8 4.85 8 4.71
∙ 병원 및 기타 18 5.45 20 5.60 20 5.46 19 4.99 29 6.49
기업 1,857 3.39 1,968 3.36 2,067 3.32 2,159 3.35 1,934 3.19
∙ 정부투자기관 2 3.64 1 1.85 1 1.69 1 1.64 1 1.79
∙ 민간기업 1,855 3.39 1,967 3.37 2,066 3.32 2,158 3.36 1,933 3.20
합 계 1,924 3.44 2,037 3.42 2,136 3.37 2,224 3.40 2,014 3.2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479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경상북도 소재 대학 수는 32개
- 일반대학 18개, 전문대학 14개 존재
표 3-15-17 ❙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6 1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13 14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2 1 29 3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경상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3만 6,66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446명(전체의 약 9.11%), 공학계열 학생이 3만 5,339명
(전체의 약 25.86%)
표 3-15-18 ❙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446 35,339 47,785 23,648 12,506 9,120 10,549 33,052 136,660
비중(%) 9.11 25.86 34.97 17.30 9.15 6.67 7.72 24.19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8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경상북도에는 포항공대에 7개, 영남대에 3개, 경북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15-19 ❙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1개 센터)
2021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시스템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영남대학교
(3개 센터)
2019 자율형 자동차 부품소재 정책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세노테라피 기반 대사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23 라이프로그용 멀티모달 언텍트센싱 선도연구센터 RLRC
포항공과대학교
(7개 센터)
2019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 ERC
2020 양자동역학 연구센터 SRC
2021 탄소제로 그린 암모니아 사이클링 연구센터 ERC
2022 해태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 ERC
2023 수리 기계학습 연구센터 SRC
2023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 IRC
2024 양자 각운동량 동역학 센터 S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4 481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나,’24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
대구가톨릭대 1곳, 영남대 1곳으로 총 3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5-20 ❙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4년)
주관기관 센터명
경일대 자동차 부품 시험 지역혁신센터
대구가톨릭대 해양바이오산업 지역혁신센터
영남대 대경 태양전지/모듈 소재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경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2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5-21 ❙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9-07-11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RIST창업보육센터(리스트) 1999-07-10
경북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8-01
48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24-06-04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9-15
경북전문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2-18
경운대학교 경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4-08
경일대학교 경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2-06
구미대학교 구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구미시 구미시 창업보육센터 2005-12-31
금오공과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5-01
국립안동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0-21
대경대학교 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2-28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2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2
대구한의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한방바이오창업보육센터 2007-01-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국대학교 벤처창업보육센터(경주) 2000-10-27
서라벌대학교 서라벌 창업보육센터 2023-02-27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영진전문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위덕대학교 위덕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8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창업보육센터 1998-07-06
포항대학교 포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한동대학교 한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14
Regional S&T Yearbook 2024 48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북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5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19개를 운영 중
표 3-15-22 ❙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해양과학관 국립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공립
경상북도교육청 발명체험교육관 공립
구미과학관 공립
경상북도민물고기생태체험관 공립
영천시보현산천문과학관 공립
영양반딧불이천문대 공립
울진 곤충여행관 공립
울진과학체험관 공립
울진해양생태관(울진아쿠아리움) 공립
고령어린이과학체험관 공립
성주과일어린이 과학체험관 공립
영천시 최무선과학관 공립
김천녹색미래과학관 공립
콩세계과학관 공립
칠곡 꿀벌테마과학관 공립
신라역사과학관 사립
예천천문우주센터 사립
로보라이프뮤지엄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48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경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7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806명임
표 3-15-23 ❙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153 197 222 167 73
수혜자 수 12,892 7,215 8,948 7,582 2,80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북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2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51명 양성
표 3-15-24 ❙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재)경북테크노파크 5
전용공간
5개(515.35㎡)
55 52,965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48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경상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7,79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470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2년 대비 22.34%, 5.2% 증가
표 3-15-25 ❙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6,764 6,634 6,615 6,698 6,733 6,374 7,798
특허등록 건수 4,633 4,176 4,477 4,457 4,390 3,297 3,47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경상북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6,213편, 주저자 기준 2,71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8.33%, 4.72%를 차지
표 3-15-26 ❙ 경상북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4,644 6.91 80,769 17.39 2,215 4.04 36,893 16.66
2020 5,111 6.94 69,582 13.61 2,446 4.10 31,649 12.94
2021 5,691 7.13 47,519 8.35 2,646 4.16 19,372 7.32
2022 5,859 7.60 18,835 3.21 2,584 4.30 6,744 2.61
2023 6,213 8.33 21,051 3.39 2,712 4.72 8,009 2.9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8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지역이 주도하는 미래첨단산업의 혁신성장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디지털 산업 육성 및 지역 성장동력 확보
- 산업혁명 대변혁기에 지역 주력산업과 디지털을 결합하고, 산・학・연 협력, 규제혁신으로 지역 성장
동력을 확보
■ 지역이 주도하는 미래첨단산업의 혁신성장
-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에 특화된 미래첨단산업 육성기반 구축
■ 데이터 기반 AI 기술개발・융합으로 신성장 동력 확보
- 데이터 구축・개방으로 AI생태계를 조성하고, AI 핵심기술 개발 및 지역특화산업과의 융합으로
신성장 동력 확보
■ 소재부품 기술혁신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
- 지역주력 산업의 제조 공정 전환 및 첨단 친환경 섬유소재산업 육성 지원으로 산업 대전환 가속화
■ 첨단기술융합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
- 전략적 지역특화 바이오산업 육성을 통한 신성장 동력 기반 마련과첨단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4 487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R&D 지원 강화(젊은 과학자 네트워크, 경북과학기술정보서비스(GBTIS) 구축
- 글로벌 데이테센터 운영, 기업 유치 등의 형태로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강소연구개발특구 특화발전 추진
- 경북 바이오산업 엑스포, 국제백신산업포럼 등 바이오 신산업 연구개발 및 네트워크 강화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국가첨단전략산업 반도체,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을 통한 혁신 생태계 구축
- 규제자유특구 활성화 및 글로벌 혁신특구 추진으로 신산업 글로벌 진출 전진기지 마련
48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6절 경상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경남의 인구는 약 327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경남 인구의 비율은 6.32% 작년 대비 감소
표 3-16-1 ❙ 경상남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3,350,142 3,340,211 3,317,568 3,289,257 3,266,517
전국인구대비 비율(%) 6.47 6.46 6.41 6.37 6.32
경제활동참가율(%) 63.7 63.1 63.2 63.1 63.6
실업률(%) 3.8 4 4.1 3.3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48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남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23.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0.38%씩 증가함
- 제조업(35.07%)이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9.14%)과 정부/민간비영리
생산(19.35%)이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간 2.21%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6-2 ❙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121,423,721 114,653,976 116,960,035 121,090,992 123,721,632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301,876 3,945,607 3,806,897 4,025,342 3,753,412
(지역내비중, %) (3.54) (3.44) (3.25) (3.32) (3.03)
제조업 44,055,759 40,027,702 39,893,497 41,387,330 43,386,667
(지역내비중, %) (36.28) (34.91) (34.11) (34.18) (35.0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2,395,687 2,010,255 2,242,452 2,700,470 1,120,899
(지역내비중, %) (1.97) (1.75) (1.92) (2.23) (0.91)
건설업 6,291,509 5,732,036 5,352,761 5,459,732 5,985,745
(지역내비중, %) (5.18) (5.00) (4.58) (4.51) (4.84)
기타서비스업 34,383,316 32,904,982 34,909,950 35,797,833 36,056,098
(지역내비중, %) (28.32) (28.70) (29.85) (29.56) (29.14)
정부 / 민간비영리생산 21,467,048 21,841,815 22,353,663 23,380,158 23,943,274
(지역내비중, %) (17.68) (19.05) (19.11) (19.31) (19.35)
순생산물세 8,615,921 8,191,579 8,400,815 8,431,922 8,218,162
(지역내비중, %) (7.10) (7.14) (7.18) (6.96) (6.64)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49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경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33조 460억 원이고, 7,15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0만
2,626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약 21조 5,271억 원(전체의 16.1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422개(전체의 19.8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5만 840명(전체의 16.8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6-3 ❙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587,540 5.70 467 6.52 16,870 5.5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454,556 1.09 31 0.43 1,839 0.6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030,598 0.77 145 2.03 3,769 1.25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5,252 0.08 15 0.21 417 0.1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1,721 0.09 25 0.35 609 0.2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51,741 0.34 90 1.26 1,747 0.5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009,197 1.51 116 1.62 3,883 1.2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 30 0.42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26,276 0.32 23 0.32 472 0.1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217,181 1.67 176 2.46 4,764 1.5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2,951 0.09 10 0.14 432 0.14
1차 금속 제조업 7,961,435 5.98 576 8.05 25,219 8.3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022,338 1.52 274 3.83 6,527 2.1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1,622,063 8.74 405 5.66 16,233 5.3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800,943 11.12 1,254 17.52 40,612 13.42
전기장비 제조업 2,571,946 1.93 123 1.72 7,131 2.3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232,234 0.93 102 1.42 3,464 1.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734,692 11.83 409 5.71 27,669 9.1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1,527,113 16.18 1,422 19.86 50,065 16.54
가구 제조업 17,597,828 13.23 781 10.91 34,992 11.56
기타 제품 제조업 20,917,214 15.72 566 7.91 50,840 16.8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98,917 0.15 42 0.59 773 0.26
합 계 333,648 0.25 46 0.64 1,629 0.5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20,478 0.09 29 0.41 961 0.32
합계 133,046,062 100.00 7,159 100.00 302,626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49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가장 높은 특화도를 나타냄
표 3-16-4 ❙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음료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49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남도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과 ‘중점 고도화 산업 육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
관리하고 있음
표 3-16-5 ❙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미래 첨단산업 육성
(원전, 수소, 우주항공, 첨단소재•부품,
바이오, ICT•SW•반도체 등)
소형모듈원자로(SMR) 첨단 제조공정 기술개발
원자력 종합지원센터 구축 사업
원전 첨단제조기술 및 부품장비개발 R&D 사업
SMR 로봇활용 제자지원센터 구축
수소 소재부품 인증센터 설치 사업
소수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
우주산업클러스터 조성
전기추진 경량항공기 시범기 개발 및 인증체계 구축 사업
AAM 시대를 대비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사
첨단소재 실증단지 조성(3단계) 사업
나노소재•제품 안정성 평가 지원센터 사업
우주항공•방산용 실란트소재 초격차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기기 기술 실용화 사업
첨단바이오 의약품 전문 위탁개발생산 지원센터 사업
다중영상 융합 진단 치료기기개발 기반구축 사업
중점 고도화 산업 육성
(방위, 스마트 조선, 미래차•로봇 등)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 계획
방산 강소기업 육성 지원
방산 수출 생산성 향상 지원
절삭가공 자율제조공장 구축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DX) 기술지원센터 사업
조선업 생산생산공정혁시 기술지원 사업
선박 소조립 생산지능화 혁신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사업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 사업
디지털트윈 활용 가상환경시험 기반 구축 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4 493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0개, 일반산업단지 117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81개가 있음
- 총 21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7,135개, 총 종사자 수는 224,721명
표 3-16-6 ❙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옥포 5,987 5,987 1 1 X 100 조성중
죽도 4,180 4,180 1 1 X 100 조성중
지세포자원비축 2,942 2,942 1 1 X 100 완료
안정 3,866 3,776 10 8 1,172 100 조성중
명지・녹산 1,672 1,672 0 0 0 0 완료
창원(재생사업지구:부분) 35,870 25,726 3,187 2,728 120,206 100 조성중
진해 3,269 1,663 3 3 1,183 100 조성중
밀양나노융합 1,656 1,507 3 3 600 42 조성중
경남항공 1,655 1,642 0 0 0 3 조성중
마산자유무역지역국가산업
단지
957 957 201 199 5,559 100 완료
일반
오비 196 195 4 4 521 100 완료
나전 68 68 0 0 0 100 조성중
덕암 155 155 35 35 206 100 완료
명동 263 263 37 37 315 100 완료
주호 117 116 20 20 265 100 완료
사포 746 745 46 46 1,538 100 완료
용전 634 634 23 23 713 100 완료
하남 1,020 1,020 7 7 184 100 완료
흥사 673 514 0 0 0 0 미개발
덕계 360 360 34 34 689 95 완료
유산 118 118 15 15 348 100 완료
산막 1,222 1,221 206 206 3,796 100 완료
어곡 1,244 1,244 161 161 3,959 100 완료
49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가산 296 276 0 0 0 33 완료
정촌 1,711 1,711 102 96 2,683 100 완료
진주상평 2,135 2,057 456 422 5,359 100 완료
일반
법송동원(구:법송) 621 621 0 0 0 0 조성중
덕포 1,017 1,017 0 0 0 0 미개발
안정 1,305 1,305 0 0 0 0 조성중
거창 741 741 51 44 776 100 완료
내산 523 523 1 1 X 100 조성중
대가룡 74 74 1 1 X 100 완료
대독 266 265 2 1 X 100 조성중
율대 182 182 4 3 138 100 완료
장좌 695 695 1 1 X 100 조성중
매촌 98 98 2 2 X 100 완료
매촌제2 75 75 3 3 70 100 완료
넥센 594 593 1 1 X 100 조성중
대합 949 949 44 44 968 100 완료
억만 82 82 2 1 X 100 완료
갈사만조선 5,613 5,613 0 0 0 0 조성중
대송 1,371 1,371 0 0 0 16 조성중
군북월촌 188 188 7 6 220 100 완료
법수우거 124 124 11 8 223 100 완료
칠서 3,051 3,051 104 104 3,697 100 완료
함양 741 741 5 3 143 92 완료
휴천 83 83 1 0 0 100 완료
대사 294 294 31 21 173 95 완료
덕계경동스마트밸리일반
산업단지(구:덕계월라)
442 441 0 0 0 0 조성중
법수강주 136 136 20 16 353 100 완료
천선 110 109 25 25 660 100 완료
수곡 79 79 8 8 102 100 조성중
진전평암 81 80 1 1 X 100 완료
진북 875 873 61 61 1,806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95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남양지구 293 293 49 49 635 100 완료
마천 611 611 115 115 1,625 100 완료
죽곡 138 138 7 7 269 100 완료
창원 478 477 54 54 1,124 100 완료
어곡제2 341 330 0 0 0 30 조성중
일반
나전2 122 122 0 0 0 60 조성중
지수 123 123 2 2 X 100 완료
오척 149 149 21 21 232 100 완료
김해GoldenRoot(구 김해) 1,524 1,270 153 153 4,816 100 완료
모사 633 633 1 1 X 100 조성중
하리 222 222 1 1 X 0 조성중
창곡 64 64 6 6 174 100 완료
축동 270 270 5 5 9 0 조성중
대동 103 103 0 0 0 0 조성중
장지 292 292 1 1 X 100 완료
김해테크노밸리 1,590 1,590 388 388 3,899 100 완료
대의 291 291 0 0 0 0 조성중
서김해 449 449 26 26 410 93 완료
정곡백곡 147 147 0 0 0 0 미개발
가산 98 98 2 1 X 100 완료
이노비즈밸리 212 212 3 3 46 100 완료
덕암2 42 42 0 0 0 100 조성중
김해사이언스파크 850 850 0 0 0 100 조성중
칠북영동 258 258 6 3 30 100 완료
신천 246 246 7 7 72 100 완료
사내 291 291 2 1 X 100 조성중
종포 376 366 11 9 353 100 완료
토정 309 309 0 0 0 0 조성중
용당 269 268 45 45 805 100 완료
가연 37 14 0 0 0 0 완료
오비2 109 109 0 0 0 0 미개발
동전 499 497 51 35 771 91 완료
49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서창 276 276 48 48 799 100 완료
병동 296 296 0 0 0 100 조성중
안골 237 237 0 0 0 0 미개발
덕곡 150 150 0 0 0 0 조성중
석계2 995 969 129 129 1,676 100 완료
법송2 87 87 0 0 0 100 완료
일반
봉암동원 299 299 1 1 X 74 완료
대진 251 251 0 0 0 0 조성중
화천 296 188 0 0 0 0 미개발
금진 298 298 0 0 0 0 미개발
본산 59 59 0 0 0 0 미개발
용전3 252 252 11 0 0 0 미개발
죽곡2 251 251 0 0 0 0 미개발
칠원용산 189 189 0 0 0 0 조성중
상복 116 116 6 6 108 42 완료
진주(사봉) 810 810 73 71 950 100 완료
AM하이테크 163 163 38 38 322 100 완료
이지(Eco-Zone) 304 304 0 0 0 100 조성중
향촌2 69 68 0 0 0 0 완료
산청한방항노화 159 159 0 0 0 0 완료
사천제1 2,545 2,543 52 48 11,048 100 완료
사천제2 1,616 1,362 19 16 573 100 완료
영남 1,410 1,410 0 0 0 0 미개발
김해대동첨단 2,807 2,804 0 0 0 77 조성중
가산 672 662 0 0 0 0 조성중
부목2 134 134 0 0 0 0 미개발
양산[재생사업지구] 1,529 1,529 120 120 10,924 100 완료
뿌리 962 962 46 44 630 73 완료
함안(구 군북) 1,780 1,780 97 97 3,280 100 완료
군북유현 75 75 0 0 0 0 미개발
용당(항공MRO) 149 149 0 0 0 0 조성중
대성하이스코 72 72 0 0 0 0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4 497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이당 131 119 1 1 X 86 조성중
평성 696 696 0 0 0 0 미개발
덕산 250 250 0 0 0 0 미개발
군북 818 824 0 0 0 0 조성중
부림 352 352 0 0 0 0 조성중
일반
하계 262 261 0 0 0 0 미개발
사천서부 314 313 0 0 0 0 미개발
거창첨단 304 304 0 0 0 0 미개발
고성양촌・용정 1,575 1,575 0 0 0 0 조성중
도시
첨단
창원덴소도시첨단
(구 경남지능형홈산업)
145 143 1 1 X 100 완료
해양신도시 33 34 0 0 0 0 조성중
농공
한내조선특화 278 278 1 1 X 100 완료
나전 144 144 30 30 491 100 완료
내삼 113 112 39 39 339 100 완료
병동 148 148 26 26 412 100 완료
본산 131 131 16 16 585 100 완료
봉림 93 93 2 2 X 100 완료
안하 127 127 46 46 412 100 완료
진영죽곡 405 405 79 79 2,716 100 완료
하계 136 136 32 32 196 100 완료
미전 166 166 22 22 320 100 완료
부북특별 161 108 3 3 250 100 조성중
상남특별 84 84 2 2 X 100 완료
제대 192 192 2 2 X 100 완료
초동특별 317 307 44 44 803 100 완료
하남 179 177 30 28 499 100 완료
춘화 212 209 20 18 264 100 완료
곤양 84 84 10 10 243 100 완료
두량전문 118 118 26 23 335 100 완료
사남 568 568 42 42 456 100 완료
송포 104 104 18 18 107 100 완료
49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축동구호 117 117 12 12 85 100 완료
향촌삽재 92 92 36 36 156 100 완료
웅상 86 86 11 11 385 100 완료
대곡 133 133 16 15 397 100 완료
사봉 148 148 19 18 440 100 완료
생물산업전문 147 147 21 21 356 100 완료
실크전문 132 132 32 29 212 100 완료
이반성 141 141 22 22 415 100 완료
진성 86 86 16 16 231 100 완료
농공
남산 154 154 18 16 70 100 완료
당산 103 103 10 9 60 100 완료
서울우유 93 93 1 1 X 100 완료
석강 152 152 9 8 512 100 완료
정장 52 52 8 7 69 100 완료
석강제2 42 42 5 5 233 100 완료
마동 288 287 8 4 144 100 완료
세송 150 150 6 5 106 100 완료
율대 105 105 12 7 312 100 완료
회화 92 92 9 5 107 100 완료
고현 54 54 11 11 77 100 완료
금서 156 156 11 11 271 100 완료
금서제2 197 197 6 6 417 100 완료
산청 112 112 9 9 136 100 완료
동동 291 275 22 15 129 100 완료
봉수 317 317 31 30 310 100 완료
부림 147 147 8 8 172 100 완료
정곡 62 57 5 5 21 100 완료
남지 44 44 7 6 70 100 완료
대지 64 64 10 7 98 100 완료
대합 86 86 12 10 235 100 완료
서리전문 198 198 19 19 670 100 완료
송진전문 274 274 5 4 14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4 499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고전 76 76 6 6 59 100 완료
금성조선 146 146 0 0 0 100 조성중
적량 65 65 7 5 24 100 완료
진교 138 138 7 6 94 100 완료
가야 77 77 4 4 55 100 완료
군북 99 99 17 17 330 100 완료
모로 92 91 4 4 106 100 완료
법수 226 226 21 18 665 100 완료
산인 129 129 22 16 480 100 완료
장암 145 145 1 1 X 77 완료
농공
칠원용산 100 97 22 22 259 100 완료
칠원운서 95 95 59 56 386 97 완료
파수 166 166 36 29 606 100 완료
황사 146 144 14 12 260 100 완료
수동 102 102 14 14 143 100 완료
안의전문 147 146 5 5 58 100 완료
원평 136 136 3 3 156 100 완료
이은 40 40 6 6 90 100 완료
야로 114 114 17 10 163 100 완료
율곡 234 234 20 17 253 100 완료
적중 94 94 6 2 X 100 완료
대미 88 65 1 1 X 100 완료
진북 133 133 21 21 538 100 완료
제일 44 45 2 2 X 100 완료
승강기전문 308 308 15 13 155 100 완료
안의제2전문 275 272 16 11 156 100 완료
화현 88 87 7 2 X 73 완료
함양중방전문 99 99 6 3 15 100 완료
인산죽염항노화 210 206 1 0 0 0 조성중
50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경남에는 총 1,364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8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68개, ‘건설업’이 3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20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26개), ‘전기장비 제조업’(87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6-7 ❙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4 6 8
광업(05~08) 4 5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66 73 66
음료 제조업 6 6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 16 1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 2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12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 4 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 4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1 56 5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 13 1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9 75 7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1 23 19
1차 금속 제조업 35 38 3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37 150 12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4 60 6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49 62 54
전기장비 제조업 83 88 8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1 345 320
Regional S&T Yearbook 2024 501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4 71 6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3 86 87
가구 제조업 5 4 5
기타 제품 제조업 39 40 2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2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7 8 9
건설업(41~42) 24 28 30
도매 및 소매업(45~47) 12 15 19
운수 및 창고업(49~52) 1 2 3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1
정보통신업(58~63) 68 88 88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2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9 67 6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3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5 4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303 1,465 1,364
50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4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2,715명(전국의 4.0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0.09%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8,611명(전국의 3.56%)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9,676명(전국의 4.14%), 공공연구소는 4,428명(전국의 6.22%)를 차지
표 3-16-8 ❙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678 4.47 10,379 5.01 10,066 4.79 9,829 4.42 9,676 4.14
∙ 국공립 7,023 8.79 9,140 10.55 8,631 9.94 8,318 9.26 8,317 8.78
∙ 사립 1,655 1.45 1,239 1.03 1,435 1.16 1,511 1.14 1,359 0.98
공공연구소 4,194 6.72 4,386 6.84 4,402 6.61 4,332 6.32 4,428 6.22
∙ 국공립 1,123 8.71 1,079 8.41 957 7.12 953 7.18 943 7.16
∙ 정부출연 2,567 7.45 2,400 7.07 2,387 7.04 2,355 6.79 2,472 6.93
∙ 병원 및 기타 504 3.34 907 5.22 1,058 5.50 1,024 4.98 1,013 4.93
기업 19,702 4.26 19,537 4.10 19,479 3.83 19,682 3.76 18,611 3.56
∙ 정부투자기관 35 0.91 32 0.85 20 0.52 22 0.55 21 0.56
∙ 민간기업 19,667 4.29 19,505 4.13 19,459 3.85 19,660 3.79 18,590 3.58
합 계 32,574 4.53 34,302 4.59 33,947 4.32 33,843 4.16 32,715 4.0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503
■ ’23년 경상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1명 감소한 68.3명으로 조사됨
표 3-16-9 ❙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68.1 70.0 69.0 69.4 68.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경상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3,415억 원(전국의 2.97%)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56%로 증가 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115억 원(전국의 2.86%), 공공연구소는
약 8,910억 원(전국의 6.42%), 기업이 약 2조 1,389억 원(전국의 2.27%)
표 3-16-10 ❙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37,130 4.57 218,661 2.62 275,877 2.96 275,232 2.67 311,566 2.86
∙ 국공립 28,253 0.86 193,580 5.13 241,769 5.73 239,227 5.28 270,058 5.59
∙ 사립 308,877 7.54 25,081 0.55 34,108 0.67 36,005 0.62 41,508 0.68
공공연구소 282,216 2.78 710,301 6.39 951,590 7.93 815,338 6.31 891,038 6.42
∙ 국공립 54,799 6.56 46,492 5.46 45,815 4.74 69,831 6.85 71,089 6.70
∙ 정부출연 42,293 0.54 601,748 7.26 835,040 9.58 696,989 7.52 765,058 7.66
∙ 병원 및 기타 185,124 12.13 62,060 3.13 70,735 3.06 48,518 1.85 54,891 1.94
기업 2,186,048 3.06 2,160,855 2.94 2,180,569 2.70 2,164,949 2.42 2,138,944 2.27
∙ 정부투자기관 36,853 4.24 1,762 0.20 285 0.03 2,283 0.26 1,890 0.25
∙ 민간기업 2,149,195 3.04 2,159,093 2.97 2,180,284 2.73 2,162,666 2.44 2,137,054 2.28
합 계 2,805,393 3.15 3,089,817 3.32 3,408,036 3.34 3,255,519 2.89 3,341,548 2.9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0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경상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조 59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6.9%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32%
표 3-16-11 ❙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8,365 22,156 19,628 20,362 20,598
(9.0) (9.7) (8.1) (7.8) (6.9)
전국 204,597 227,224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505
표 3-16-12 ❙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9,391 2 22,919 363 481 51 5,501 - 74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6-13 ❙ 경상남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산업정책과
∙ 국가(첨단)전략기술 대응 및 지속가능경영 확산・지원
∙ 지역산업 발전・육성・진흥계획 수립・추진
∙ 규제자유특구 및 및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추진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및 구축 지원
∙ 과학기술 진흥 및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 과학기술기관 설립 및 KAIST 협력 추진
주력산업과
∙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경쟁력 강화사업 추진
∙ 지능형기계・승강기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
∙ 제조로봇산업 고도화 및 서비스로봇 성장기반 마련 등 로봇산업육성
∙ 친환경・스마트 선박 육성 및 조선기자재 경쟁력 강화
∙ 미래자동차산업 육성 및 기술혁신사업 추진
우주항공과
∙ 항공산업 기술혁신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
∙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및 인프라 확충・연구개발 지원
∙ 미래항공산업 인프라 구축 및 기업 육성・지원
∙ 우주항공청 성공적 안착 지원
∙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추진
미래산업과
∙ 디지털산업 육성 및 ICT 융합기술 개발・지원
∙ 반도체산업 인프라 조성, 기업 육성 및 지원
∙ 소재, 나노, 세라믹, 뿌리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인프라 구축
∙ 바이오의료산업 기반 조성 및 기술개발 지원
∙ 항노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항노화기업 산업화 지원
에너지산업과
∙ 에너지 신산업 육성 및 에너지 효율 향상 지원
∙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개발 및 원전산업 생태계 구축 지원
∙ 청정 수소 생산・공급기반 마련 및 수소차 보급 확대
∙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산업 육성
∙ 에너지 자원(도시가스, 전기, 석유, 광업 등) 관리 및 안정 공급
창업지원과
∙ 창업정책 종합계획 수립 및 창업지원기관 네트워크 구축
∙ 성장단계별 창업지원사업 추진 및 창업문화 확산
∙ 권역별 3대 창업거점 조성 및 창업보육센터 지원
∙ 중소기업투자기금 운영 및 창업・벤처펀드 조성・운용・관리
∙ 창업・벤처투자 유치 및 벤처기업 인증획득 지원
50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 등
-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심의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03.04.~2025.03.03.(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 (2024년) : 2회
- “경남 과학기술혁신계획” 심의・의결(2024.10.28.)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4년 실적 및 25년 시행계획 심의・의결(2024.12.)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6-14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명주 경상남도 2023.03.04.~2025.03.03.
위 원 류명현 경상남도 2023.03.04.~2025.03.03.
위 원 서민호 경상남도의회 2023.03.04.~2025.03.03.
위 원 홍현욱 창원대학교 2023.03.04.~2025.03.03.
위 원 이선아 경상국립대학교 2023.03.04.~2025.03.03.
위 원 김지연 인제대학교 2023.03.04.~2025.03.03.
위 원 지영주 경남대학교 2023.03.04.~2025.03.03.
위 원 이건웅 한국전기연구원 2023.03.04.~2025.03.03.
위 원 김형욱 한국재료연구원 2023.03.04.~2025.03.03.
위 원 김경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2023.03.04.~2025.03.03.
위 원 임근희 한국과총경남지역연합회 2023.03.04.~2025.03.03.
위 원 오경문 경상남도교육청 2023.03.04.~2025.03.03.
위 원 김승철 (재)경남테크노파크 2023.03.04.~2025.03.03.
위 원 김정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경남지회 2023.03.04.~2025.03.03.
Regional S&T Yearbook 2024 50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남도의 총예산은 약 36조 2,834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500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14%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1.39%
표 3-16-15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362,834
재정자주도(%) 67.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33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0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1.39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50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687개로 전국의 4.3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0.04% 감소
- 5년간 대학 수 2개 감소,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13개 감소
표 3-16-16 ❙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7 6.51 27 6.57 26 6.15 24 5.74 25 5.41
∙ 국공립 12 14.29 12 14.12 11 12.79 11 12.50 12 13.19
∙ 사립 15 4.53 15 4.60 15 4.45 13 3.94 13 3.50
공공연구소 36 5.61 40 6.03 42 6.10 44 6.44 46 6.13
∙ 국공립 13 9.09 13 9.09 13 8.50 12 8.76 13 9.70
∙ 정부출연 10 5.92 9 5.52 11 6.47 10 6.06 10 5.88
∙ 병원 및 기타 13 3.94 18 5.04 18 4.92 22 5.77 23 5.15
기업 2,629 4.80 2,761 4.72 2,807 4.51 2,887 4.49 2,616 4.32
∙ 정부투자기관 2 3.64 2 3.70 1 1.69 2 3.28 1 1.79
∙ 민간기업 2,627 4.80 2,759 4.72 2,806 4.51 2,885 4.49 2,615 4.32
합 계 2,692 4.82 2,828 4.75 2,875 4.54 2,955 4.51 2,687 4.3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509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경상남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7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1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6-17 ❙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5 7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2 8 1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2 14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 경상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2,143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046명(전체의 약 12.5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25명(전체의
약 28.03%)
표 3-16-18 ❙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046 20,225 29,271 16,599 3,647 5,904 4,135 12,587 72,143
비중 12.54 28.03 40.57 23.01 5.06 8.18 5.73 17.4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51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경상남도에는 경상대 4개, 인제대 1개, 창원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표 3-16-19 ❙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상국립대학교
(4개 센터)
2021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 RLRC
2022 식물생체리듬연구센터 SRC
2023 대사이상 간질환 연구센터 MRC
2024 산업수요기반 고효율・안전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ERC
인제대
(1개 센터)
2018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MRC
창원대
(1개 센터)
2019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 부품 설계/제조 혁신 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024년 시점으로 운영하는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4 511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경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6-20 ❙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경남대학교 경남대학교 창업보육관 1999-09-30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거창대학디자인창업보육센터 2000-12-3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칠암창업보육센터 2001-06-29
경상남도(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경상남도창업보육센터(GNBI) 2001-10-18
마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9-12-14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3-04-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스마트바이오 창업보육센터 2022-11-13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스 창업보육센터 2001-01-05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 그린창업보육센터 2000-02-10
인제대학교 인제대 김해창업보육센터 2001-03-2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03-01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14
창원문성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창업지원단 창업보육센터 1999-11-10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기술창업센터 2001-07-1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51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남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5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18개를 운영 중
표 3-16-21 ❙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밀양기상과학관 국립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공립
거제조선해양문화관 공립
창원과학체험관 공립
통영수산과학관 공립
천적생태과학관 공립
지리산생태과학관 공립
옥포대첩기념공원 공립
의령곤충생태학습관 공립
김해천문대 공립
고성공룡테마과학관 공립
경상남도 교육청 과학교육원 공립
사천첨단항공우주과학관 공립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공립
양산3D과학체험관 공립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공립
아라미루 아쿠아리움 사립
거제씨월드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Regional S&T Yearbook 2024 513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4년 경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5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798명임
표 3-16-22 ❙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259 479 337 597 356
수혜자 수 7,886 9,081 9.874 11,258 11,79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남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8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51명 양성
표 3-16-23 ❙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재)경남테크노파크 7
전용공간
8개(1,296.7㎡)
159 17,89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51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경상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6,71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889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0.53% 감소, 등록건수는 ’22년 대비 5.6% 증가
표 3-16-24 ❙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6,609 6,521 6,657 6,810 6,964 6,746 6,710
특허등록 건수 3,738 3,751 3,956 4,059 4,099 3,683 3,88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경상남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802편, 주저자 기준 1,749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10%, 3.04%를 차지
표 3-16-25 ❙ 경상남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3,590 5.34 54,726 15.24 1,688 3.08 19,975 11.83
2020 3,978 5.40 41,513 10.44 1,818 3.05 15,500 8.53
2021 4,381 5.49 28,666 6.54 2,030 3.19 10,922 5.38
2022 4,076 5.29 7,579 1.86 1,909 3.18 3,285 1.72
2023 3,802 5.10 9,386 2.47 1,749 3.04 3,144 1.8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51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혁신으로 다시 도약하는 튼튼한 경남 경제
■ 목표 : 과학기술혁신 역량 제고를 통한 미래성장 동력 확보
▣ 추진전략
■ 과학기술혁신 추진체계 구축
- 거버넌스 재편
- 전주기적 관리 역량 강화
- 혁신기관 유치
■ 과학기술생태계 육성
- 과학기술 인재양성 및 활용
- 생태계 기반 조성 및 거점 육성
- 문화 확산 및 격차 해소
■ 산업 연계 과학기술 역량 강화
- 미래 첨단산업 육성
- 중점산업 고도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G-RESTART’, 제조산업 혁신
- 산업생태계 확장 : 특화단지・클러스터 조성으로 산업생태계 고도화 및 집적화 유도
- 미래첨단 산업 육성 : 주력산업과 연계가능한 신성장 첨단산업기술 개발로 미래먹거리 확보
- 주력산업 고도화 : 첨단소재산업, ICT 접목으로 전통제조산업의 고도화와 체질개선, 산업계 당면
문제점 해소와 지역인재 유출방지를 위한 과학기술인재 육성, 국가・지역혁신기관과 연계한 국책
사업 발굴(시행)으로 기술자립 도모
- 지속가능 성장동력 확보 : 탄소중립 로드맵 이행, 지속가능경영(ESG) 확대 등 국내외 이슈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지속 성장 가능성 확보
51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적 거버넌스재편, 전주기적 관리역량 강화, 혁신기관 유치 등을 통한 “경남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 추진
- 경남지역의 중점산업을 연계한 과학기술혁신협의회 운영
∙ 과학기술 및 중점산업 정보공유, 협력을 위한 협의회 운영 추진
- 정부・초광역 협업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지역 간 네트워크 기반 협력프로젝트를 통한 초광역 협력 추진
∙ 지역의 혁신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 시너지 창출
∙ 부・울・경의 초광역권 발전계획에 따른 초광역 협력 선도
- 지역 R&D과제 성과관리체계 확립・운영
∙ 경남 산・학・연・관 및 민간 등 R&D과제 정보에 대한 접근성 용이 추진
∙ 경남의 R&D과제 및 모니터링・성과관리 체계구축
- 연구개발 활동 조사・분석 기능 강화
∙ 경남 R&D과제 및 성과에 대한 조사・분석의 고도화 및 신뢰도 향상
∙ 정부의 지역 과학기술 정책센터 지정・지원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 과학기술기관 설립
∙ 설립 방안에 대한 다각적 검토・실시를 통한 기관설립 추진
∙ 세계적 연구거점이 되도록 기존 과학기술원과 특화・차별화 추진
■ 경남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및 생태계 기반조성・활성화,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통한 “지속 가능한
혁신성장동력 확보”
- 지역산업 맞춤형 과학기술 인재양성
∙ 산업계 수요 및 대학특성에 맞는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 지역 대학간, 대학과 연구기관 간 교육협력 확대
- 과학기술 인재 정주공간 확충
∙ 산・학 협력의 고도화를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 추진
∙ 사이언스파크(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를 활용한 과학기술 인재 체류 지원
- 규제특례 실증특구 조성・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517
∙ 경남지역 및 중앙정부의 클러스터 지원 협력체계 구축
∙ 강소연구개발특구 고도화
- 기술사업화・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 기술사업화・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운영
∙ 지역 핵심 전략기술 개발 및 성과 창출・확산 대응 체계구축
- 원천기술연구 지원강화 및 산・학・연 협력 연구촉진
∙ 경남 산・학・연 중심의 지역기술혁신허브 구축을 통한 상생협력 추진
- 주민 참여형 과학문화 확산 플랫폼 구축
∙ 경남도민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운영
∙ 과학관 전시체험 운영 및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추진
- 과학관, 연구기관 기반 과학문화 프로그램 확대
∙ 과학문화 사업 추진체계 고도화를 위한 과학문화 얼라이언스 구축
∙ 경남 중점산업과 연계한 지역특화 과학문화사업 추진
∙ 공립과학관 콘텐츠 개선 지원을 통한 과학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간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
∙ 경남 과학문화 활성화 프로그램의 지역 간 확대 운영 추진
∙ 지역화합을 위한 기초・첨단 과학기술 기반 과학대전 개최・운영
∙ 지역별 연계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튜터(Tutor) 운영사업
■ 경남 중점산업에 대한 과학기술을 연계한 산업생태계 고도화 및 신성장육성, 전통제조산업의
체질 개선 등 산업고도화 기반 마련
- 미래첨단 원전, 수소, 우주항공, 소재・부품, 바이오, ICT・SW・반도체산업 육성
∙ 정부 정책대응을 위한 경남 원전생태계 복원 및 활성화 추진
∙ 수소경제 조기정착 및 수소의 전주기(생산, 저장, 이송,활용) 체계 구축
∙ 수소 소재・부품 인증기관 및 시스템 체계, 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 경남 진주・사천을 중심으로 위성 특화지구 조성을 통한 우주산업의 전초기지 도약
∙ AAM(Advanced Air Mobility)시대를 대비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 중점산업 방위, 스마트 조선, 미래차・로봇 등 고도화 육성
∙ 방산분야 강소기업 육성 및 수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경남의 다양한 산업에 대한 육성 및 고도화 추진을 통한 성장기반 마련 등
51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3년 제주도의 인구는 약 68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제주도 인구의 비율은 1.31%로 작년과 동일
표 3-17-1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인구(명) 663,803 668,699 673,189 675,505 676,557
전국인구대비 비율(%) 1.28 1.29 1.30 1.31 1.31
경제활동참가율(%) 69.9 68.8 69.6 71.4 70.6
실업률(%) 2.1 2.5 3.1 2.1 1.9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4.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4.12.)
3)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3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4 51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제주도의 ’23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2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약 0.96%의 증가율을 보임
- 기타서비스업이 약 48.51%로 비중이 가장 높고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3.80%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간 21.36%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7-2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지역내총생산 22,951,902 21,668,785 22,346,390 23,364,427 24,073,959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897,981 1,921,738 1,967,385 2,081,108 2,277,349
(지역내비중, %) (8.27) (8.87) (8.80) (8.91) (9.46)
제조업 758,664 726,089 773,026 762,677 764,113
(지역내비중, %) (3.31) (3.35) (3.46) (3.26) (3.1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254,685 313,750 314,395 425,011 670,593
(지역내비중, %) (1.11) (1.45) (1.41) (1.82) (2.79)
건설업 1,890,753 1,542,105 1,279,318 1,296,241 1,508,657
(지역내비중, %) (8.24) (7.12) (5.72) (5.55) (6.27)
기타서비스업 11,295,619 10,424,243 10,971,875 11,559,138 11,677,827
(지역내비중, %) (49.21) (48.11) (49.10) (49.47) (48.5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997,321 5,074,405 5,307,813 5,551,421 5,728,792
(지역내비중, %) (21.77) (23.42) (23.75) (23.76) (23.80)
순생산물세 1,835,730 1,666,455 1,732,578 1,723,846 1,734,698
(지역내비중, %) (8.00) (7.69) (7.75) (7.38) (7.21)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3)
52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1년 제주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조 9,401억 원이고, 22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5,65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7,538억 원
(전체의 38.86%), 98개(전체의 43.36%), 2,378명(전체의 42.09%)
표 3-17-3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1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753,877 38.86 98 43.36 2,378 42.09
음료 제조업 409,265 21.09 10 4.42 864 15.29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8,741 3.54 8 3.54 223 3.9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 0.88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8,901 3.55 15 6.64 273 4.8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 2 0.88 X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4,128 2.27 11 4.87 202 3.5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08,708 10.76 45 19.91 709 12.55
1차 금속 제조업 - - 1 0.44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9,734 1.53 6 2.65 104 1.8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 1 0.44 -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608 0.29 3 1.33 83 1.47
전기장비 제조업 33,105 1.71 9 3.98 153 2.7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6,706 1.38 7 3.10 86 1.52
기타 제품 제조업 - - 2 0.88 -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2 0.88 - -
합 계 1,940,111 100.00 226 100.00 5,650 100.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사업체 수,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4 52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분야는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7-4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1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낮음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종사자 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시군구)/산업분류별 주요지표(10인 이상) /
부가가치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등록기반>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참고
52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제주도는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와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7-5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자율운영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친환경농업 육성사업 통합지원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미래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
제주 특화자원 활용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 자립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소프트웨어 미래채움 사업
농업마이스터대학 운영,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 지원사업
제주 ICT 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 청년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SW융합클러스터2.0사업, 홈페이지 개편 확대 구축 및 기능 보강
도 구축 개방형 충전기 통합운영관리
전기차 민간 충전서비스 산업 육성 사업
제주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및 시각화 서비스 구축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지역선도기업사업화 지원 사업,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기능성 식품(액상조미료)산업 다각화 사업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생산기술실용화 기술개발 및 지원사업
스마트그리드 및 청정에너지 융복합 기술개발 지원사업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제2단계 제주산학융합지구 활성화 지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인프라 실증사업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제주지식산업센터 건립 공사, 디지털 참여 플랫폼 운영 및 활성화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바이오(항노화, 화장품 등) 박람회 및 학술포럼 지원 사업
테크플러스 제주 개최, 제주과학축전, 제주수학축전
Regional S&T Yearbook 2024 523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3년 추진실적 및 2024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3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66개, 총 종사자 수는 4,532명
표 3-17-6 ❙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4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제주첨단과학기술 1,099 1,071 190 190 3,587 100 완료
제주첨단과학기술2단지 848 847 0 0 0 0 미개발
일반 용암해수 198 198 18 17 186 100 완료
농공
대정 115 115 25 22 213 100 완료
구좌 67 67 18 18 160 100 완료
금능 130 130 19 19 386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4, 3/4 분기)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제주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지역주도형 과학기술 R&D사업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제주한의약연구원 등 운영지원
52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4년 제주도에는 총 27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3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35개, ‘도매 및 소매업’이 2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46개), ‘전기장비 제조업’(16개), ‘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14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7 ❙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4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7 8 7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29 42 46
음료 제조업 3 2 4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 1 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6 17 1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 2 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 1 1
1차 금속 제조업 -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 6 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4 4 4
전기장비 제조업 15 16 16
Regional S&T Yearbook 2024 525
※ 제11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4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2 2023 20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 8 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 2 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 2 1
가구 제조업 - - -
기타 제품 제조업 7 5 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 1 1
건설업(41~42) 5 5 4
도매 및 소매업(45~47) 15 22 23
운수 및 창고업(49~52) -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1
정보통신업(58~63) 74 90 83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1 1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4 31 3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5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4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26 279 276
52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제주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7위 수준
- ’23년 연구개발인력은 4,076명(전국의 0.50%)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3.8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2,329명(전국의 1.00%)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
연구소 929명(전국의 1.31%), 기업이 818명(전국의 0.16%)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7-8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35 0.89 2,104 1.02 2,180 1.04 2,260 1.02 2,329 1.00
∙ 국공립 1,692 2.12 2,046 2.36 2,144 2.47 2,218 2.47 2,284 2.41
∙ 사립 43 0.04 58 0.05 36 0.03 42 0.03 45 0.03
공공연구소 852 1.37 938 1.46 922 1.39 988 1.44 929 1.31
∙ 국공립 466 3.61 576 4.49 575 4.28 589 4.44 571 4.34
∙ 정부출연 84 0.24 90 0.27 94 0.28 102 0.29 115 0.32
∙ 병원 및 기타 302 2.00 272 1.57 253 1.32 297 1.45 243 1.18
기업 788 0.17 798 0.17 937 0.18 988 0.19 818 0.16
∙ 정부투자기관 21 0.55 18 0.48 18 0.47 17 0.43 19 0.50
∙ 민간기업 767 0.17 780 0.17 919 0.18 971 0.19 799 0.15
합 계 3,375 0.47 3,840 0.51 4,039 0.51 4,236 0.52 4,076 0.5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4 527
■ ’23년 제주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6명 감소한 34.6명으로 조사됨
표 3-17-9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명)
2019년 2020 2021 2022 2023
30.3 33.5 34.5 36.2 34.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3년 제주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2,476억 원으로 전국 대비 0.22%
- 지난 5년간 연구개발비의 증가율은 7.27%로 증가 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804억 원(전국의 0.74%), 공공연구소는 약
1,094억 원(전국의 0.79%), 기업이 약 578억 원(전국의 0.06%)
표 3-17-10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2023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4,437 0.87 105,129 1.26 84,206 0.90 60,789 0.59 80,410 0.74
∙ 국공립 63,527 1.94 104,373 2.76 83,538 1.98 60,430 1.33 80,039 1.66
∙ 사립 910 0.02 756 0.02 668 0.01 359 0.01 371 0.01
공공연구소 58,699 0.58 70,346 0.63 94,260 0.79 105,927 0.82 109,424 0.79
∙ 국공립 44,108 5.28 40,212 4.72 52,785 5.46 56,997 5.59 71,246 6.71
∙ 정부출연 11,160 0.14 15,333 0.19 26,002 0.30 26,449 0.29 27,823 0.28
∙ 병원 및 기타 3,431 0.22 14,801 0.75 15,473 0.67 22,481 0.86 10,355 0.37
기업 51,287 0.07 56,136 0.08 64,847 0.08 61,119 0.07 57,857 0.06
∙ 정부투자기관 2,599 0.30 3,462 0.40 1,594 0.19 1,510 0.17 2,168 0.29
∙ 민간기업 48,688 0.07 52,674 0.07 63,253 0.08 59,609 0.07 55,689 0.06
합 계 174,423 0.20 231,611 0.25 243,313 0.24 227,835 0.20 247,691 0.2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2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3년 중앙정부의 제주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10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0.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23%
표 3-17-11 ❙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487 1,714 1,858 1,884 2,108
(0.7) (0.8) (0.8) (0.7) (0.7)
전국 204,597 22,724 242,125 259,717 299,56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제주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4 529
표 3-17-12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3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518 5 4,837 141 103 46 1,229 157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4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3.12.31. 기준)
(나) 역할
표 3-17-13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혁신산업국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대학 과학기술 R&D사업 지원 관리, 국내외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
∙ 지역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을 위한 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수소경제 기본계획 수립, 그린수소 생산 및 보급사업 운영
∙ 지역바이오산업, 화장품산업, 식품산업 등 지역산업 계획수립 및 시행
∙ 스마트시티, UAM, 우주, 전기차 관련산업 중장기 계획수립 및 육성
∙ 지역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인력양성 등
미래성장과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혁신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 도내 과학기술 R&D사업 관리・지원 및 연구기관 유치
∙ (가칭)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추진
∙ 지역 디지털(ICT・SW) 콘텐츠 산업 육성 및 인력양성
∙ 지역 주력산업, 국가혁신클러스터, 경제협력권산업 육성 사업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추진, 규제자유특구 기획・지원
∙ RISE 기본계획 수립 및 워킹그룹 운영・지원
∙ 3.3MW 그린수소 생산시설 운영, 12.5MW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추진
∙ 수소경제 기본계획 수립 및 미래신산업 기반 조성
∙ 제주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계획 수립・추진 (레드・그린・해양 세부계획 수립)
∙ 제주화장품산업진흥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 디지털 전환 계획 수립 및 제주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고도화
에너지산업과
∙ 지역에너지 계획 수립 및 에너지 대전환 추진
∙ 제주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 및 지정 추진
∙ 신재생에너지 출력제한 대응, 분산에너지 활성화 신사업 추진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풍력발전 종합관리계획, 풍력자원 개발계획 수립 및 지원
∙ 신재생에너지・풍력발전 사업 지원
∙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 인・허가 및 개발사업 시행승인
우주모빌리티과
∙ 스마트시티 업무 계획 수립 및 서비스 발굴 추진
∙ 공간정보 통합 가상화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제주형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민간 해상 발사 산업 육성, 우주기업 유치 지원
∙ 국가위성운영센터 인프라 고도화 지원, 위성영상 활용 플랫폼 구축・운영
∙ UAM 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 드론서비스모델 발굴 및 구축
∙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등 실증사업 추진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제조제품 시험평가・인증지원 기반 구축사업
∙ 자율주행 정책수립 및 미래모빌리티 정책연구센터 운영, 전기차 보급사업 추진
53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사항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2023.3.13.~2025.3.12.)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4년) : 1회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시행계획 심의(2024.12.)
정보정책과
∙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행
∙ 정보격차 해소사업 계획 수립 및 추진
∙ 사이버 보안관제센터 및 침해대응계획 수립, 추진
∙ 정보통신망 고도화 추진계획 수립 및 운영, 국가정보통신망 구축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4 53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7-14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4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진명기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2024.06.28.~2025.03.12.
위원 양제윤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장 2024.01.22.~2025.03.12.
위원 천지연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임희정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이윤정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김명숙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고봉운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한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호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강영준 제주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한승철 제주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희정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2023.03.13.~2025.03.12.
위원 이남호 제주산학융합원 2023.03.13.~2025.03.12.
위원 한충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3.03.13.~2025.03.12.
위원 최백준 ㈜틸론소프트 2023.03.13.~2025.03.12.
53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주도의 총예산은 약 8조 5,931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358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42%
- 과학기술 예산 중 제주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3.72%
표 3-17-15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3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3년
총 예산 85,931
재정자주도(%) 70.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50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35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4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3.72
※ 주1 : 총 예산 : 2023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매칭/자체)+민간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자체))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4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4 53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3년 제주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41개로 전국의 0.3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39%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1개 증가, 기업 36개 증가
표 3-17-16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 0.96 4 0.97 4 0.95 4 0.96 4 0.87
∙ 국공립 2 2.38 2 2.35 2 2.33 2 2.27 2 2.20
∙ 사립 2 0.60 2 0.61 2 0.59 2 0.61 2 0.54
공공연구소 18 2.80 19 2.87 20 2.90 19 2.78 19 2.53
∙ 국공립 11 7.69 11 7.69 12 7.84 11 8.03 10 7.46
∙ 정부출연 3 1.78 4 2.45 4 2.35 5 3.03 4 2.35
∙ 병원 및 기타 4 1.21 4 1.12 4 1.09 3 0.79 5 1.12
기업 182 0.33 204 0.35 249 0.40 263 0.41 218 0.36
∙ 정부투자기관 1 1.82 2 3.70 2 3.39 2 3.28 2 3.57
∙ 민간기업 181 0.33 202 0.35 247 0.40 261 0.41 216 0.36
합 계 204 0.37 227 0.38 273 0.43 286 0.44 241 0.3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3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4년도 제주도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17-17 ❙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4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4년에 제주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5,67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614명(전체의 약 16.68%), 공학계열 학생이 1,961명(전체의
약 12.51%)
표 3-17-18 ❙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4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614 1,961 4,575 2,950 1,158 1,521 1,153 4,315 15,672
비중(%) 16.68 12.51 29.19 18.82 7.39 9.71 7.36 27.53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4 53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
핵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4년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제주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표 3-17-19 ❙ 제주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4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제주대
(1개 센터)
2024 그린수소 글로컬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4년 12월 말 기준)
※ 2024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제주의 경우 2024년 기준 1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7-20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4년 12월 기준)
536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4년 제주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7-21 ❙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4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 창업보육센터 2002-07-19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10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3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제주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7개를 운영 중
표 3-17-22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5년)
과학관명 구분
제주미래교육연구원 공립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공립
제주별빛누리공원 공립
제주해양과학관(아쿠아플라넷 제주) 사립
로봇플래닛 사립
로봇스퀘어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5. 02.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4 537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제주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4년 제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85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2,738명임
표 3-17-23 ❙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20년~2024년) (단위 : 개, 명)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강좌 수 194 471 2,638 875 3,858
수혜자 수 5,853 9,560 24,115 37,212 62,73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4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충북지역 과학문화 거점
센터를 지정・운영
■ 제주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제주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9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07명 양성
표 3-11-27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4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제주과학문화협회 4
전용공간
3개(60.9㎡)
116 3,564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4년 12월 기준)
538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3년도 제주도 특허출원 건수는 1,13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51건
- 특허출원 건수는 ’22년 대비 10.81% 증가, 등록건수는 ’22년 대비 11.1% 증가
표 3-17-24 ❙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3년) (단위 : 건)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특허출원 건수 817 837 891 1,003 1,046 1,027 1,138
특허등록 건수 384 412 430 485 470 406 45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3년 제주특별자치도의 SCI 논문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057편, 주저자 기준 437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42%, 0.76%를 차지
표 3-17-25 ❙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게재 현황(2019년~2023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9 867 1.29 12,437 14.34 428 0.78 6,046 14.13
2020 1,046 1.42 10,918 10.44 498 0.84 5,082 10.20
2021 1,118 1.40 7,314 6.54 497 0.78 3,203 6.44
2022 1,154 1.50 2,850 2.47 493 0.82 1,034 2.10
2023 1,057 1.42 2,424 2.29 437 0.76 849 1.9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4 53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 과학기술 혁신 기반의 지속가능한 제주 미래가치 선도
■ 목표 : 과학기술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으로 지역특화 미래 신산업 창출
▣ 추진전략
■ 지역특화 R&D 활성화 기반 조성
-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 산학연 과학기술 혁신역량 및 협력 강화
-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선순환 체계 마련
-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R&D 컨트롤타워 구축과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도내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전담기관 (가칭)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추진 (설립 전까지 제주 연구개발지원단 확대 운영 계획)
- 지식산업센터 구축을 통한 국가연구기관 및 유망기업 유치 지원
- 제주 과학기술혁신협의회 구성・운영 등 산학연관 연구협력 혁신체계 구축
- 제주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540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디지털 신산업을 통한 스마트시티 기반 추진
- 지역문제 해결에 중심을 둔 지속 발전 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
-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제주관광의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모델 발굴
- 민간협업 기반 디지털 전환 생태계 구축
■ 생약자원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 제주 레드바이오산업 혁신성장 계획 발표를 통한 신약・의약품 소재 개발, 디지털 헬스케어
선도도시 구축, 레드바이오 일자리 창출 등 목표 제시
- 천연자원 유래 맞춤형 식품(메디푸드, 대체식품, 고령친화식품 등) 소재 기술개발 및 실용화 기반
마련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구축을 통한 제주형 뷰티산업 육성
■ 우주산업・미래 모빌리티 선도지역 육성
- 전국 최초 JAM(제주항공교통) 상용화 및 드론 허브도시 조성
- 자율주행차 기반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거점 조성
- 제주 특화형 우주항공산업 기본계획 수립 및 하원테크노캠퍼스 기회발전특구 지정(우주산업과 연구
개발 중심 클러스터 조성 계획)
■ 에너지 대전환을 통한 2035 탄소중립 비전 선포
- 재생에너지 확충 및 제주형 전력시장 시범운영(전국 최초)
- 분산에너지 특구 조성을 통한 에너지 자립기반 마련
- 전국 최대규모 재생에너지저장시스템(ESS) 구축, 섹터커플링(그린수소 생산, 열에너지 전환, 모빌리티
활용 등) 사업 확대
■ 그린수소 글로벌허브 기반 조성
-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연계 권역별 그린수소 생산단지 구축
- 주요 거점별 수소충전소의 전략적 배치 등 미래 그린수소 도시 구현을 위한 제주형 산업・인프라 구축
- RLRC사업 연계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 및 인재양성
Regional S&T Yearbook 2024 541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특화 R&D 활성화 기반 조성
-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제주 주축산업(지능형관광서비스, 청정바이오, 그린에너지솔루션) 분야 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해
고용 창출형 기술개발, 사업화지원: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문제 해결 기술개발 및 상용화,
시설・장비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 대학별 강점 및 특성화를 토대로 기초과학분야 연구거점 육성과 성장가능성 있는 연구 등을
지원함으로써 핵심기술 확보 및 기초연구 역량 제고
∙ 친환경 기반 조성 확대 및 소비 확산으로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그린농업과 탄소배출 저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지역 주도로 유망기술 분야 핵심원천기술 R&D를 발굴하고, 중장기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선도기술
확보 및 기술격차 극복 지원
∙ 해수를 이용한 능동형 초장주기 친환경 에너지저장기술 개발 및 이를 응용한 섹터커플링 기술검증
∙ 미래 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을 통한 혁신성장 동력 마련: 제주형 우주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위성데이터 활용 공공서비스 개발 및 민간 투자, 기업 유치 등 추진
∙ 고령화 추세, 성인병 인구증가 등 특수 의료용 식품 수요 증가에 따라 제주 특화자원을 활용한
메디컬푸드, 천연물식의약품 소재개발 등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 대한민국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통한 에너지자립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기반 마련
-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 양질의 소프트웨어 교육 기회가 부족한 도내 초중등학생, 도서벽지, 저소득층 등의 학생들에게 4차
산업혁명 관련 SW 교육 기회 제공 및 SW 강사 양성
∙ 도내 ICT/SW 기업 취업(예정)자에 대한 ICT 심화 교육 제공으로 전문기술 인력 확보
∙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인력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구인난 해소와 청년의 조속한 취업지원:
미래모빌리티, ICT 분야 등
∙ 공학교육혁신을 통한 혁신인프라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공학교육인증 획득을 통한 우수한
엔지니어 양성
∙ 현장 중심의 실습형 기술・경영교육을 통해 고급기술, 지식 및 경영능력을 갖춘 지역농업의 핵심리더 육성
542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 지역 특화산업에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의 신기술을 융합, ICT・SW 신산업
먹거리 발굴 및 관련 산업 육성
∙ 도 구축 개방형 전기차 충전기를 체계적으로 운영・관리하여 전기차 이용자의 충전수요 대응 및
이용불편 해소, 이용 편의 증진
∙ 제주특별자치도 내 빅데이터 수집・저장・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빅데이터
활용 컨설팅・분석지원, 빅데이터 인력양성, 빅데이터 분석 경진대회 개최 등을 통한 활성화 지원
∙ 제주형 농업관측・공공데이터센터를 설립・운영하고 농업관측 및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개발 및 제공
∙ 공간정보 데이터 공유・활용을 통한 인프라 구축 및 각종 인・허가, 하천개발, 재난대응 등 과학적인
행정업무 추진체계 구축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연안 지역 해양생물자원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체계 구축
■ 산학연 과학기술 혁신역량 및 협력 강화
-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 도내 예비 SW선도기업 대상 기술고도화, 국내외마케팅, 컨설팅 등 지원을 통한 지역 기업의 우수한
SW서비스 개발 및 시장 진출 기회 확대
∙ 제주혁신기관(TP, 대학, 연구소 등)이 보유한 연구개발장비의 공동활용을 지원하여 영세 중소
기업 연구개발 촉진
∙ 용암해수 제품 다각화를 위한 생산지원시설, 입주기업 인프라 확충 및 용암해수 농축수 활용한
미네랄 기반 기능성 식품(액상조미료) 다각화로 지역특화 고부가가치 산업화 구현
∙ 제주 중소기업 수요 맞춤형 기술실용화 지원을 통한 지역 자립형 생산지원 체계 구축
∙ 스마트그리드 융복합산업 육성을 위한 도내 기업 기술경쟁력 지원체계 구축
-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지자체와 대학 간 파트너십을 통한 ‘인재 양성양질의 일자리 창출정주여건 개선’을 통한 지역
혁신 생태계를 구축: 지자체, 대학, 혁신기관이 협업하여 3대 핵심분야(청정바이오, 그린에너지・
미래모빌리티, 지능형서비스) 육성에 필요한 인재 양성, 기술고도화, 기업지원, 창업생태계 조성 등
지역혁신사업 추진
∙ 산학융합형 인재양성 및 산・학・연 협력 사업 육성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도내 중소기업의 R&D 활성화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개발 및 활용을 통한 자원 선순환 체계 마련
Regional S&T Yearbook 2024 543
■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선순환 체계 마련
-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혁신창업 및 신산업 육성 거점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을 통한 산업고도화,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및 지역경제 발전 도모
∙ 유망 창업 아이템・기술을 보유한 업력 3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시장
진입 및 성장 도모
∙ 과학기술 문화 확산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반 구축: 지역의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여 지역
현안을 발굴하고, 과학기술 및 디지털 기술을 통해 해결하는 개방형 플랫폼 활성화
∙ 도내 청소년과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다채로운 과학, 수학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청소년의
사고력・탐구력 배양은 물론 과학기술 분야 미래인재 양성 도모
-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 제주 과학기술 및 R&D에 대한 기획・분석・평가・확산을 전담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가칭)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 지역의 과학기술 전담기관인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을 통해 제주 과학기술 혁신역량 및 지역
발전을 위한 지역 R&D 기획・관리 역량 강화
∙ 제주의 과학기술 R&D 기획・추진 역량 제고와 대규모 국비 R&D 유치를 위한 지역주도형 R&D
사업 추진: 지역 생활문제 해결형, 지역산업 육성형 R&D 사업 지원 및 지역 과학기술 역량 제고를
위한 유관기관 실무협의체 운영
∙ 제주 생물자원 주권 확보 및 지속 이용가능한 연구기반(생물종다양성연구소), 제주 특화 생약자원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및 한의약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연구원(제주한의약연구원) 등
과학기술 거점 연구기관 설립 운영
544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참 고 문 헌
강원도 홈페이지 www.provin.gangwon.kr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
경상남도 홈페이지 www.gsnd.net
경상북도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관계부처 합동,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www.gwangju.go.kr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교육통계연보 2024
국가균형발전시스템 https://www.nabis.go.kr/contentsDetailView.do?menucd=142&menuFlag=Y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www.daegu.go.kr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www.daejeon.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https://www.smes.go.kr/venturein/home/viewHome
벤처인 홈페이지 http://www.venturein.or.kr/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www.busan.go.kr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4년 3/4분기)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www.seoul.go.kr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www.sejong.go.kr
연구개발지원단(공동사업), 전국 연지단 지역혁신기관 활동조사보고서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www.ulsan.go.kr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www.incheon.go.kr
전라북도 홈페이지 www.jeonbuk.go.kr
전라남도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www.jeju.go.kr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http://www.mss.go.kr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www.innobiz.or.kr
Regional S&T Yearbook 2024 545
지방재정 365 http://lofin.mois.go.kr
지방시대위원회,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bi.go.kr
충청남도 홈페이지 www.chungnam.net
충청북도 홈페이지 www.cb21.ne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특허청 홈페이지 http://www.kipo.go.k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4),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9~2023)
한국RIC협회 홈페이지 http://www.ric.re.kr
행정안전부, 행정안전통계연보
각 부처 2024년 업무보고 및 보도자료
2024 지방과학기술연감
인쇄 : 2025년 2월
발행 : 2025년 2월
편집 및 발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지역혁신정책센터
Tel. 043-750-2502 http://www.kistep.re.kr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94, 세종파이낸스센터 2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전략과
Tel. 044-202-6735 http://www.msit.go.kr
|
과학기술연감 |
2023년 과학기술연감
|
2024-06-24
|
|
<p> </p>∙∙∙ 1
지난 2023년은 과학기술 분야에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던 해였습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의 실용위성 발사 능력을 입증하였고, 선도적인 R&D로 도약하기 위한
R&D 예산 효율화와 제도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글로벌 R&D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세계를
선도하기 위한 발판도 마련하였습니다.
기술패권 경쟁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기술육성도 지속해서 추진하였습니다. 2022년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한 데 이어 기술 분야별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육성 체계를 확립해 나갔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우주 경제 시대를 선도할 핵심 기관인 우주항공청 설립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앞으로 우주항공청은 우주산업 육성, 우주 인재 양성, 우주항공
거버넌스 강화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입니다.
한편, 2023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을 맞이한 뜻깊은 해이기도 했습니다. 짧은 기간에
우리나라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는데 대덕특구를 비롯한 과학기술의 힘이 컸던 것처럼,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데도 과학기술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지난 한 해 동안 과학기술계의 크고 작은 노력과 성과를 모아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으로
발간하였습니다. 과학기술 분야 사료로서 매년 발간되는 연감이 국민과 과학기술계 종사자
모두에게 국가 과학기술정책을 돌아보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 발간을 위해 노력해 주신 모든 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앞으로도 과학기술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 종 호
ii
특집테마
제1장 R&D 혁신방안 마련 ················································································3
1. 추진배경 ·············································································································3
2. R&D 혁신방안의 주요 내용 ···············································································6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11
제2장 대덕특구 50주년의 성과와 나아갈 길 ····················································12
1. 추진배경 ···········································································································12
2. 대덕특구 50주년의 주요 성과와 발자취 ····························································13
3. 대덕특구의 미래 비전 ·······················································································19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25
제1절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25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30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30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36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48
제1절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전략적 배분 ···································································48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48
2.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 ····················································50
3. 2024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52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53
제2절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55
1.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55
2.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개선 ·······································································59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66
iii
제3장 질적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73
제1절 국가전략기술 발굴・육성 ··················································································73
제2절 연구환경 조성 및 성과활용기반 강화 ······························································83
1. 자율적 연구환경 조성 ·······················································································83
2. 연구데이터 및 정보시스템 고도화 ·····································································88
3. 연구시설 및 장비 관리 체계 고도화 ·································································91
4. 연구보안 관리 체계 확립 ··················································································97
5. 국가 핵심 IP 창출 및 표준특허 마련 ·····························································100
제3절 미래 핵심 인재육성 ······················································································110
제4절 기초연구 진흥역량 제고 및 지원기반 강화 ····················································115
제5절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122
제4장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126
제1절 민간주도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126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질적 성과 향상 ·································································126
2.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 및 성장지원 강화 ·················································132
3. 기업의 혁신 R&D역량강화 지원 ·····································································137
4.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138
5. 신기술・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신 ····························································146
제2절 대학 교육・연구 역량 강화 ············································································150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 거점 ··································································150
2. 대학 연구 기반 구축 ······················································································153
제3절 공공연구기관 역할 제고 ················································································158
제4절 지역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161
제5절 과학기술 외교・글로벌 협력 강화 ···································································167
1. 국가 간 협력(양자) ·························································································167
2. 국제기구 협력 ································································································172
3. 글로벌 진출 지원 ···························································································174
iv
국가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현황 및 성과
제1장 탄소중립 ······························································································179
제1절 에너지 ··········································································································179
제2절 핵융합/원자력 ·······························································································182
1. 핵융합 ············································································································182
2. 원자력 ············································································································185
제3절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189
제4절 환경 ·············································································································195
제5절 산림 ·············································································································201
제2장 디지털전환 ···························································································206
제1절 반도체/디스플레이 ························································································206
제2절 인공지능 ·······································································································214
제3절 양자 ·············································································································220
제4절 차세대통신/네트워크/빅데이터/IOT ·······························································230
1. 차세대통신/네트워크/IOT ···············································································230
2. 빅데이터 ·········································································································238
제5절 미디어콘텐츠 ································································································241
1.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241
2. 문화콘텐츠 분야(CT) ······················································································244
제6절 자동차 ··········································································································250
제7절 로봇 및 기계/장비 ························································································254
1. 로봇 ···············································································································254
2. 기계/장비 ·······································································································256
제8절 스마트건설/스마트시티 ··················································································260
제9절 교통/물류 ·····································································································271
제3장 의료/복지 ····························································································280
제1절 차세대 첨단 바이오 연구 ··············································································280
v
제2절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 지원 ·······································································286
제3절 감염병 대응 및 바이오헬스 제도개선 ····························································294
제4장 재난/위기 ····························································································302
제1절 재난안전 ·······································································································302
제2절 기상 ·············································································································308
제5장 공급망/자원 ·························································································312
제1절 소재 ·············································································································312
제2절 나노기술 ·······································································································314
제3절 농림・축산・식품 ·····························································································316
제4절 수산 ·············································································································321
제6장 국방/안보 ····························································································326
제1절 국방 ·············································································································326
1. 국방 기본계획 ································································································326
2. 국방 연구개발 ································································································329
제2절 정보보호 ·······································································································333
1. 사이버보안 ·····································································································333
2. 블록체인 ·········································································································336
제7장 우주/해양 ····························································································339
제1절 우주/항공 ·····································································································339
제2절 조선/해양 ·····································································································344
1. 조선 ···············································································································344
2. 해양 ···············································································································350
3. 극지개발 ·········································································································356
vi
첨부 자료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및 우수사례 ··························································365
제1절 주요 과학기술 통계(주요통계 및 연구시설 장비현황 포함) ····························365
제2절 연구개발 성과 사례 ······················································································404
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404
2.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추적조사 ·························································418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425
제3장 2023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446
제4장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474
vii
표 목 차
<표 1-1> R&D 혁신방안 수립경과 ·····································································································3
<표 1-2> 연구개발특구(광역, 강소) 지정 현황 ··················································································13
<표 2-1> 자문회의 소위원회 및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31
<표 2-2> 심의회의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32
<표 2-3> 2023년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개최 실적 ································································34
<표 2-4> 2023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35
<표 2-5>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 실적 ······························································36
<표 2-6>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39
<표 2-7>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현황 ··············40
<표 2-8>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45
<표 2-9>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60
<표 2-10>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평가 및 상위점검 결과 ·················································62
<표 2-11>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67
<표 2-12> 2023년도 우수성과 100선 분야별 최우수성과 ································································69
<표 2-13> 2023년 전문기관 실태조사 대상 기관 현황 ····································································71
<표 2-14>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방향 ······················································································76
<표 2-15>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 특례(제12조) ···············································································79
<표 2-16> 2023년도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개최 현황 ································································81
<표 2-17> 2023년도 제도개선 기본지침 방향 ·················································································84
<표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안) ·······································································87
<표 2-19>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IRIS) 개념 및 유형 ·····························································89
<표 2-20> IRIS 2.0 주요 기능 ·······································································································89
<표 2-21> 2022년 대비 2023년 IRIS 적용 확대 실적 ···································································90
<표 2-22> 2023년 IRIS 주요 기능의 개선 ······················································································90
<표 2-2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정기관 ·············································································94
<표 2-24> 유휴장비 활용 중소기업 현황 ··························································································95
<표 2-25> 보안등급 정의 및 조치(안) ······························································································98
<표 2-26>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절차 ·······························································102
<표 2-27> 주요 지원 현황 ·············································································································103
viii
<표 2-28>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108
<표 2-29> 기초연구사업 예산 ········································································································116
<표 2-30> ‘과학문화 바우처’ 우수 이용수기 ··················································································123
<표 2-31> 스케일업 팁스 지원 개요 ······························································································128
<표 2-32> 주요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예산 ···················································································142
<표 2-33> 규제샌드박스 추진전략 및 10대 혁신과제 ·····································································148
<표 2-34> 2023년도 선도연구센터 및 기초연구실 지원 내역 ························································151
<표 2-35> 최근 5년 간(’17~’21) 집단연구사업 주요 연구성과 ······················································152
<표 2-36>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159
<표 2-37>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23년) ········································································160
<표 2-38>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사례 ······································································164
<표 2-39> 과학기술 및 ICT 분야 주요 다자기구 및 협의체 현황 ··················································172
<표 3-1> 2023년 한국 조달품목별 주요 실적 ················································································184
<표 3-2> 2023년 환경 분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 ···········································································195
<표 3-3> 최근 2년간 특허 성과 비교 ····························································································212
<표 3-4> 최근 2년간 등록특허 논문 점수 ······················································································213
<표 3-5> 양자기술산업법 주요 내용 ·······························································································226
<표 3-6> 2단계 6G R&D 주요 사업별 분야별 전략기술 ·······························································236
<표 3-7> 6G 전파 기반기술 분야의 전략기술 ················································································236
<표 3-8> 빅데이터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내용 및 규모 ·························································239
<표 3-9> 2023년도 방송・미디어 분야 주요성과 ············································································243
<표 3-10> 콘텐츠 분야 대표성과 사례 ···························································································245
<표 3-11> 저작권 분야 대표성과 사례 ···························································································246
<표 3-12> 스포츠 산업 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248
<표 3-13> 2023년 스마트시티 국제 및 국내 표준개발 현황 ··························································266
<표 3-14> 의약품 분야의 기술수출 성과(’21~’23) ·········································································290
<표 3-15> 연도별 정부 전체 R&D와 재난안전 R&D 예산 규모 비교 ············································303
<표 3-16> 2021~2022년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303
<표 3-17> 2021~2022년 재난유형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304
<표 3-18> 2021~2022년 재난관리단계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304
<표 3-19> 농림식품 R&D 투자 현황 ·····························································································316
<표 3-20>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연구 분야 투자현황 ····································································319
<표 3-21> 최근 5개년 해양수산 R&D 연도별 투자현황 ·································································321
ix
<표 3-22> 해양 R&D 연도별 투자동향 ··························································································351
<표 3-23> 해양 R&D(극지포함) 분야별 투자비중 ···········································································351
<표 3-24> 2023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352
<표 3-25>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354
<표 3-26> 2023년 극지 분야 세부사업 현황 ·················································································358
<표 3-27> 2023년 극지연구소 기관고유사업별 투자현황 ·······························································359
x
그림 목차
[그림 1-1] 최근 10년간 R&D예산과 R&D 성과 추이 ········································································4
[그림 1-2] R&D 혁신방안 비전 및 전략 ····························································································5
[그림 1-3] 글로벌 인력지도 예시 ·······································································································6
[그림 1-4] 연구시설 장비 심의・조달 평균 소요 기간(현행) ································································7
[그림 1-5] 범부처 임무중심 예산 배분・조정 개념도 ···········································································8
[그림 1-6] 전략기술 플래그십 R&D 프로젝트 추진 내용 ···································································9
[그림 1-7] NTC 도입 전/후 비교 (예시) ·························································································10
[그림 1-8] 신진 연구자 성장단계별 지원 ·························································································11
[그림 2-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29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30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30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32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49
[그림 2-6]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51
[그림 2-7] 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 중점 투자분야 ·········································································53
[그림 2-8] 민간R&D협의체 현황 ······································································································54
[그림 2-9] 예타규모 미만 통합・재기획 계속사업 예타 허용 개선방향 ···············································58
[그림 2-10] 연구개발 예타 현장방문・기업간담회 및 교육사진 ··························································59
[그림 2-11]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72
[그림 2-12] 12대 국가 전략기술 ·····································································································74
[그림 2-13] 국가전략기술 중점 분야별 ’24년 예산 배분・조정 결과 ·················································75
[그림 2-1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6개 사업 (2022-2023년 확정 기준) ········································78
[그림 2-15]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및 기술별 조정위 운영체계 ···················································80
[그림 2-1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83
[그림 2-17] 2023년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분야별 건수 ···························································85
[그림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86
[그림 2-19]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23년 추진실적 ······································92
[그림 2-20]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93
[그림 2-21] ZEUS 운영 활성화 지원 강화 ······················································································95
xi
[그림 2-22] KSFree2023 ···············································································································96
[그림 2-23]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현장 ···············································································99
[그림 2-24]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언론보도 ·········································································99
[그림 2-25]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124
[그림 2-26]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124
[그림 2-27] 중소기업 R&D 주요성과 현황 ····················································································126
[그림 2-28]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 절차 수립 ················································································132
[그림 2-29]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목표 및 중점과제 ·························································134
[그림 2-30] 부처 내 전문기관 간 기술 스케일업 협업체계 ····························································135
[그림 2-31] ‘과학기술 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사업’ 관계부 간 협업체계 ·····································136
[그림 2-32] 수행기관 성과보고회 및 워크숍 ··················································································138
[그림 2-33] CES 혁신상 수상 추이 ······························································································139
[그림 2-34]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141
[그림 2-35]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143
[그림 2-36]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144
[그림 2-37] 창업중심대학 ··············································································································144
[그림 2-38] 스타트업 코리아 추진전략 ··························································································144
[그림 2-39]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2023년 기준) ·································································146
[그림 2-40] 규제샌드박스 제도 개요 ······························································································147
[그림 2-41] ICT 규제샌드박스 경제적 성과 ···················································································148
[그림 2-42]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61
[그림 2-43]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162
[그림 2-44] 연구개발특구 규제특례 지정 절차 ···············································································163
[그림 2-45]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지원 과제 및 유형 ··································································165
[그림 3-1] 실증로 설계 TF 구성 ···································································································183
[그림 3-2] 2023년 원자력 기술 분야 주요성과 ·············································································187
[그림 3-3] 2023년 방사선 기술 분야 주요성과 ·············································································188
[그림 3-4] 「CCU 기술고도화 전략」상 CCU 기술분류 및 추진과제 ···············································190
[그림 3-5] 「CCU 기술고도화 전략」 비전 및 목표 ·········································································191
[그림 3-6]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개요 ···························································································193
[그림 3-7] 제21차 CTCN 이사회 개최 ··························································································194
[그림 3-8] 기후산업국제박람회 內 기후기술관 운영 ·······································································194
[그림 3-9] 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198
xii
[그림 3-10] 자원・토양 분야 주요 연구성과 ···················································································199
[그림 3-11] 생태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199
[그림 3-12] 기후・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200
[그림 3-13]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성과 ·······························································216
[그림 3-14]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사업 추진내용 ·······························································217
[그림 3-1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18
[그림 3-16] 2023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218
[그림 3-17] 제5차 솔베이 회의 ·····································································································220
[그림 3-18] 2차 양자혁명 시대의 도래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1
[그림 3-19] 양자과학기술의 파급력 예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2
[그림 3-20]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과 정책목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3
[그림 3-21] ‘K-Network 2030’ 비전 및 추진전략 ·······································································230
[그림 3-22] 2단계 6G 추진 기획 방향 및 주요 내용 ····································································231
[그림 3-23]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 비전, 목표 및 추진과제 ···························································231
[그림 3-24] 2단계 6G R&D 주요 사업분야 ··················································································233
[그림 3-25] 2단계 6G R&D 기술 시연 로드맵 및 분야별 전략기술 ··············································233
[그림 3-26]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234
[그림 3-27] 정지궤도 위성 통신 탑재체 활용 계획 ········································································235
[그림 3-28] 2단계 6G R&D 추진 체계 ························································································237
[그림 3-29]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예비타당성조사 中) ················237
[그림 3-30] 민・관 합동 협의체(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 구성 ·············································238
[그림 3-31] 세계 최고 규모 로봇학회(ICRA2023) 챌린지 2개 부문 우승 ······································255
[그림 3-32] 기존 수작업 공정(좌) 및 제조로봇 도입(우) ································································255
[그림 3-33] 사축식 주행모터 장착구조 ··························································································258
[그림 3-34]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생산 및 수출입 추이와 2024년 전망 ·········································259
[그림 3-35]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2023~2027)의 목표 및 주요과제 ·································261
[그림 3-36]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비전 및 전략 ·························································265
[그림 3-37]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주요내용 ································································266
[그림 3-38]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사업 최종 성과 ······················································268
[그림 3-39] AIoT 네트워크 특화 IoT 플랫폼 장치 및 서비스 연계 구성도 ····································269
[그림 3-40]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개요 ·······································································271
[그림 3-41]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주요 연구내용 ····································································272
[그림 3-42] 인프라 융합 플랫폼 아키텍처 ·····················································································273
xiii
[그림 3-43] 국제표준 제안 ············································································································274
[그림 3-44] 인프라 가이던스 시스템 아키텍처 ···············································································274
[그림 3-45]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아키텍처 ··················································································275
[그림 3-46]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 주요 연구내용 ·····················277
[그림 3-47] 2023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287
[그림 3-48]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291
[그림 3-49] 과학적 근거 마련을 통한 치료기술 개발 성과 ····························································291
[그림 3-50] 노인성 치매 관련 기술개발 성과 ················································································292
[그림 3-51] 장애인, 고령자 대상의 보조기기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292
[그림 3-52]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309
[그림 3-53] 관측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309
[그림 3-54]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310
[그림 3-55]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감시기술 연구개발 성과 ·························································311
[그림 3-56] 어업자원 평가・예측 및 원양어업 발전 기반 마련 주요 성과 ·····································322
[그림 3-57] 부화 150일령의 특화생산 및 일반생산 참조기 ···························································322
[그림 3-58] 스마트 양식 관련 기술 ·······························································································323
[그림 3-59] 기후변화 및 현장대응 연구성과 ················································································324
[그림 3-60]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327
[그림 3-61]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비전과 목표 ···············································328
[그림 3-62]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28
[그림 3-63] 기술성숙도에 따른 핵심기술의 단계별 구분 ································································329
[그림 3-64]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330
[그림 3-65] 미래도전국방기술 ’23년 추진방향 ···············································································331
[그림 3-66] 우주기술 관련 민군 겸용기술 개발과제 ·······································································332
[그림 3-67] 해양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355
[그림 3-68] 2023년 극지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360
∙3∙
제1장 R&D 혁신방안 마련
1. 추진배경
1964년 정부 예산 1,207억 원 중 1.66%인 20억 원에 불과하였던 R&D예산은 2008년
10조 원을 초과하였고, 정부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5% 내외로 확대되었다. 경제・사회
발전과 함께 심화된 과학기술의 복잡다기성에 따라 정부는 R&D투자의 전략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 왔다.
<표 1-1> R&D 혁신방안 수립경과
연도 2015년 2016년 2018년
안건명
(1차)
정부R&D 혁신방안
(2차)
정부R&D 혁신방안
(국가기술혁신체계 고도화를 위한)
국가R&D 혁신방안
회의명 국가재정전략회의 과학기술전략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첫 번째 「정부 R&D 혁신방안」은 2015년 5월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정부
R&D투자가 연평균 8.7% 증가(’06년∼’15년)하고,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이
연평균 7.7% 증가(’05년∼’13년)한 가운데, ‘전략 없는 R&D 투자 확대’에 따른 ‘혁신의
위기’를 문제점으로 진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Fast-Follower형 R&D, 정부-민간 간,
산・학・연 간, 부처 간, 출연연 간 영역 충돌과 협업 부족, 출연연・대학의 시장을 외면한 나홀로
연구, 공급자 중심의 복잡한 평가・관리체계, 정부의 컨트롤타워 기능 미흡 등을 현장에서 발생
하는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정부R&D가 First-Mover형 R&D로 근원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R&D 혁신방안은 2016년 5월, 대통령이 주재하는 과학기술전략회의를 통해 발표
되었다. 압축성장 시대에 유효했던 추격형 R&D전략은 기술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민간의 역량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한계에 이르렀음을 명문화하였다. 민간 R&D에서 개발연구 비중이 70%에
달하나 정부 R&D도 개발연구 비중(48.9%)이 높아 민간과 중복되고, 정부 과제 수주를 위한
∙4∙
무한경쟁으로 산・학・연 주체 간 차별화가 부족하며, R&D예산 배분 방식이 부처별 요구에 따른
Bottom-up 방식으로 국가 차원의 전략성이 미흡함을 문제로 지적하고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R&D 시스템의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로 방안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R&D 혁신방안은 2018년 7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통해 발표되었다.
과학기술은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주력산업의 핵심원천기술을
제공하며 국가경쟁력 향상을 견인하고 있음을 명시함과 동시에, 높은 R&D투자 비중에 비해
질적성과가 미흡한 Korea R&D Paradox 극복과 4차 산업혁명, 삶의 질 요구 증대 등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어야 한다고 규정
하였다. 혁신방안의 비전으로 ‘R&D 시스템을 대혁신하여 혁신성장 선도’를 설정하고, R&D
혁신의 중심을 국민과 연구자에 두는 사람중심의 혁신을 추진함과 동시에 R&D의 도전성과
혁신성을 강화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혁신성장을 이끌어가기 위하여
국가기술혁신체계의 발전적 모델(NIS 2.0)을 제시하고 3대 전략과 13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1] 최근 10년간 R&D예산과 R&D 성과 추이
2015년부터 세 번에 걸쳐 발표된 R&D 혁신방안은 First-Mover형 R&D로의 변화(’15),
선도형 체계로 R&D 혁신(’16), 시스템 혁신을 통한 혁신성장 선도(’18)를 목표로 후속 안건이
마련되고 실행계획과 프로그램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세계 5위 수준까지 증가한 정부R&D
투자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논문 발표, 특허 출원・등록 등 양적 성과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성과의 질적 수준은 여전히 정체 중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원인을 도전과 혁신을 견인하지
못하는 연구제도, 정부R&D 본연의 역할에 맞지 않은 투자, 전략성 없는 소규모・단발성 국제
협력으로 분석하고, 2023년 11월 27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전원회의에서 심의・
의결한 「윤석열 정부 R&D 혁신 방안(이하 R&D 혁신방안)」을 통하여 정책방향과 추진과제를
발표하였다.
∙5∙
R&D 혁신의 기본 방향은 기존의 한계를 넘어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적 R&D를 육성하여
퍼스트무버로 도약하기 위한 제도, 투자, 국제협력 3대 분야의 혁신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특히
R&D에 맞지 않는 관리자 중심의 제도와 규제를 없애고 도전적・혁신적 연구가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혁신”, 현안 중심의 단기적 투자에서 벗어나 정부R&D 본연의
역할인 기초・원천기술, 차세대 기술 중심의 투자로 전환하는 “투자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세계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는 것을 R&D 혁신의 비전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제도혁신 분야에서 도전과 혁신을 견인하는 제도 도입과 R&D에 맞지 않는
규제 혁파 등 두 가지 전략을, 그리고 투자혁신 분야에서 차세대 기술분야 대형 R&D 투자
확대와 출연연・대학을 세계적 기초・원천 연구 허브로 육성 등 2개 전략을 포함하여 4대 전략
16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2] R&D 혁신방안 비전 및 전략
∙6∙
2. R&D 혁신방안의 주요 내용
가. 도전과 혁신을 견인하는 제도 도입
첫 번째 추진과제로 실패를 용인하는 혁신적・도전적 연구제도를 도입한다. 연구과제 선정,
수행방식, 평가 등 R&D 전주기에 걸쳐 혁신성과 도전성을 강화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과제
선정평가 시 도전성・혁신성 지표를 대폭 강화하고 연구비 이월사용, 연구목표 재조정, 조기종료
등 연구수행 과정에서도 제도를 개선하며, 경쟁형R&D・포상형R&D 등 다양한 연구방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선한다. 또한 도전적 연구가 실패하더라도 후속과제 선정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성공과 실패를 구분 짓는 평가 등급을 폐지하고, 정성적 검토를
통하여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두 번째로 인력지도를 활용하여 잠재력이 높고 탁월한 연구자를 발굴하고 지원한다. 연구
계획서 기반으로 짧은 발표를 통해 연구과제를 선정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연구자의 학업
이력, 세부전공, 연구 성취도, 유망성 등을 고려해 잠재력과 탁월성이 높은 연구자를 선정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또한 정부 R&D 과제를 수행한 연구자의 경력경로와 취업현황 등을 분석하여
인재정책의 근거 기반을 강화하고, 전략기술 분야별로 주요국 최고 수준 연구자 정보와 연구
기관 정보를 논문과 특허 데이터 기반으로 수집・분석하여 글로벌 인력지도를 구축한다. 이를
활용하여 잠재력 있는 연구자의 해외 진출과 전략적 글로벌 공동연구를 과학적으로 지원하고
과제기획부터 투자까지 연계할 수 있는 예산체계를 구축한다.
[그림 1-3] 글로벌 인력지도 예시
세 번째로 최신・고성능 연구시설・장비에 대한 특례를 도입하여 도입 기간을 단축한다. 혁신적・
도전적 R&D에 필요한 최신의 고성능 연구시설・장비의 도입계약에 걸리는 기간을 현재의
120일 내외에서 절반 이하로 단축할 계획이다. 조달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연구
∙7∙
시설・장비 구매를 수의계약 대상에 추가하도록 국가계약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도입심의 기간의
단축 또한 검토한다.
[그림 1-4] 연구시설 장비 심의・조달 평균 소요 기간(현행)
네 번째 추진과제로 연구자에게 성과 중심의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연구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가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기술료 사용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연구자에게 돌아가는
기술료 보상 비율을 현행 50%에서 60% 이상으로 상향한다. 또한 연구자의 지적재산권(IP)
기여율을 명확화하고 유망 IP의 해외출원 확대 등을 통해 강한 IP 창출과 발명자 권리 확보를
도모한다. 우수 지적재산권(IP)을 보유한 연구자에게 특허 고도화, 사업화 R&D를 지원하여
IP 스타과학자를 육성한다.
다섯 번째 과제로 연구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관리조직의 역량 강화를 추진한다. 통합
연구지원시스템(IRIS)을 2024년 상반기 전면 적용함으로써 연구과제 선정의 신뢰성, 집행의
투명성, 평가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또한 연구관리전문기관이 R&D 기획・성과관리・연구지원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한다. R&D
기획 전담기관의 역량을 강화하고 프로젝트 매니저(PM, Project Manager) 확대, 연구과제
유형별 맞춤형 관리 등 다양한 개선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분야별 협・단체, 지역
테크노파크(TP, Techno Park),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사실상 연구관리전문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을 점검하고 예산집행 전달체계 효율화를 추진한다.
나. R&D에 맞지 않는 규제 혁파
첫 번째 추진과제는 혁신적・도전적 R&D 적기투자를 위한 R&D 예비타당성조사 개선이다.
국가적으로 시급한 도전적・혁신적 R&D사업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패스트트랙이나
면제를 적극 인정하고 기존의 통과/탈락 중심의 조사에서 전문가 검토와 대안 제시를 통해
혁신성 등 사업기획의 완성도를 높이는 예비타당성조사로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각 부처는
가용예산 범위 내에서 예타를 신청하고, 통과된 사업은 부처별 지출 한도 내로만 신청 및
∙8∙
편성함으로써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두 번째로 부처별 R&D 예산 지출한도의 탄력있는 운영을 도모한다. 지출한도(예산상한)
설정 시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사전협의를 통해 조율하고, 부처별로 할당되는 지출
한도를 초과 또는 미달하여 배분함으로써 비효율 발생 요인을 차단한다. 또한 국가전략기술,
혁신적・도전적 R&D사업 등 국가적 임무와 관련된 분야는 범부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략적 예산 배분・조정을 추진한다.
[그림 1-5] 범부처 임무중심 예산 배분・조정 개념도
세 번째 과제로 예산 집행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제도를 개선한다. 연중 언제든지
우수 연구과제를 착수하고, 국제협력의 편의성을 높이며 연구비 집행지연 등의 불편을 해소
하기 위해 연구과제비 사용기간과 ‘회계연도 일치’에 대해 글로벌 공동연구와 기초연구 사업
부터 시범적으로 적용을 제외할 예정이며, 다른 사업에 대해서도 단계적 폐지를 검토한다.
또한 종이없는 연구행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등록된 연구비 사용 증빙자료는 별도
문서로 보관하지 않고, 정산・감사 시에도 시스템에 등록된 자료를 활용하도록 대통령령으로
법제화할 계획이며, 연구 관리와 수행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운영이 가능함을
제도적으로 명시할 예정이다.
네 번째로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과제 평가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인다. 최고가 최고를 평가할
수 있도록 연구과제 신청자와 동일한 기관에 속하는 연구자의 평가 참여를 제한하는 상피제를
폐지하기로 하였다. 대신 평가위원 및 평가 결과를 피평가자에게 공개하여 투명성을 높이고,
평가위원의 이해상충행위 금지 의무를 부과하는 행동강령 등을 통해 전문성과 공정성 간의
균형을 맞춰 나갈 계획이다. 또한 우수 평가위원 발굴을 위한 ‘평가위원 평가제’를 도입하고,
기획위원이 선정-최종 평가까지 참여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높이는 ‘책임평가위원제’도 확대
한다. 이와 함께 우수 은퇴 과학자, 해외 한인 과학자 등을 적국 발굴하고 정부연구과제
책임자는 연 1~2회 과제평가에 참여하도록 의무를 부여함으로써 평가자 풀을 양적으로, 질적
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9∙
다. 차세대 기술분야 대형R&D 투자 확대
첫 번째 과제로 연구과제의 파편화를 지양하고 연구과제 당 연구비를 적정규모 이상으로
확대하여 의미 있는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독려한다. 다만 학생 및 박사후과정생의 연수 지원,
순수 이론 연구, 개념연구 등 소액으로 가능한 분야에 대해서는 과제 당 지원규모를 유지한다.
두 번째 추진과제로 R&D사업 일몰제 운영과 예산의 급속한 확대로 인하여 분산・파편화된
주요R&D 사업을 통합・재편한다. 주요R&D 사업은 2013년 395개에서 2019년 694개, 2023년
1,266개로 급속히 늘어났으며 이 중 사업의 내용과 성격을 고려하여 파편화된 사업들을 대형
계속사업으로 전환한다. 또한 부처의 고유임무에 부합하는 소규모・단기 R&D사업을 통합・
재기획한 계속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가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주기적으로 사업 규모 및 계속
지원여부에 대한 적절성을 점검함으로써 사후관리를 강화한다.
세 번째로 국가전략기술 등 차세대 첨단기술에 대하여 집중 투자한다. 세계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리나라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12대 국가전략기술 R&D’를 年 5조 원 수준으로 지속
확대한다. 세계 1등 유지를 위한 초격차 기술이나 아직 절대강자가 없어 초기 우위 선점이 필요한
신격차 기술은 2023년 차세대원자력, 2024년 차세대통신, 첨단모빌리티, 우주를 시작으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성공 시 파급효과가
큰 초고난도 목표를 지닌, 美DARPA 방식 ‘고위험・고수익형 R&D’도 확대한다. 사업별 PM이
사업관리자로서 과제 기획-선정-진도관리-평가 등 사업 전주기 관리에 전권을 갖고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알키미스트 사업에 이어 ‘ARPA-H
프로젝트’, ‘한계도전 R&D 프로젝트’를 본격화하고 향후 고위험・고수익형 신규 R&D과제를
발굴한다.
[그림 1-6] 전략기술 플래그십 R&D 프로젝트 추진 내용
∙10∙
라. 출연연・대학을 세계적 기초・원천 연구 허브로 육성
출연연은 소모적인 과제 수주 경쟁에서 벗어나 대학・기업이 할 수 없는 대형 원천기술 개발에
몰입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출연연을 국가전략기술 등 국가 임무의 전진 기지인
‘국가기술연구센터(NTC, National Technology Center)’ 중심 체제로 전환하고, 핵심 연구
인력과 장비를 집중한다. 특정기술과 관련된 출연연 기본사업과 정부수탁사업을 全출연연
차원에서 통합 편성・관리하고 NTC 중심으로 운영한다. 이와 함께 기관 간 칸막이를 없앤
글로벌TOP 전략연구단을 도입・확대하여 국내외 산・학・연과 개방형 협력체계로 전환함으로써
글로벌 연구소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연구개발목적기관의 특수성을 반영한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또한 글로벌 수준 연구자, NTC 참여 연구자 등의 핵심 연구자들에
대해서는 과제수탁 부담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인건비 100%를 보장하는 등 PBS 제도의
합리적 개선도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림 1-7] NTC 도입 전/후 비교 (예시)
우리나라의 대학을 글로벌 선도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인프라 확충과 대학 연구소 지원을
강화한다. 혁신적・도전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초저온현미경과 같은 핵심 연구장비와 이에
필요한 운영인력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대형 R&D사업에 대해 연구장비 활용성을 평가하여
우수사업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고가 장비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연구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단의 연구장비 구매 등 행정지원을 강화하고 연구지원체계 역량을 평가한다.
또한 대학 내에 인력, 정보, 지식 등 R&D 자원이 집적되고 대학의 연구역량을 확충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연구소와 같은 연구기반 구축을 지원한다. 신진연구인력을 중심으로 기초과학・거대
공동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중점테마연구소 구축을 확대하고 반도체, 이차전지 등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연구거점을 육성하는 혁신연구센터를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젊고 유망한 연구자가 세계적 수준의 리더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별
지원을 강화한다. 석・박사 인력 등을 양성하기 위해 양자, 반도체, 첨단바이오, 인공지능, 이차전지
∙11∙
등 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박사후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기술
선도국으로 연수기회 등을 확대하여 연구현장으로의 진입과 안정적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젊은
연구자가 독립된 연구자로 빠르게 성장하도록 초기 연구실 구축과 규모 있는 연구과제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이와 함께 연구책임자가 연구비를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학생연구원의 학업 단절과
연구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 인건비만큼은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그림 1-8] 신진 연구자 성장단계별 지원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정부는 R&D 혁신방안을 통하여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우수인재를 확보하고자 한다.
4개 부문에서 6개 정량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부문은 보통수준의 추격형
R&D를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R&D로 전환하는 것이다. 세계 최고국 대비 90% 이상의 기술
수준을 보이는 세계적 수준의 전략기술 분야를 3개에서 8개로 늘리고,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5년 주기)을 3.87%에서 4.80%로 확대한다.
두 번째로 국내에 갇힌 나홀로 R&D를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로 혁신한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수(Highly Cited Researcher, HCR)를 65명에서 100명까지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세 번째 부문은 관행적 연구에 치우친 연구기관을 혁신과 도전으로 성장하는
연구기관으로 탈바꿈시키고 Nature에서 발표하는 우수 연구기관(Leading Institutions)의
200위 이내 기관 수를 현재의 두 배 수준인 10개까지 확대한다.
네 번째 부문은 나눠주기식 연구를 규모있는 연구로 전환해 성과를 제고하는 것으로 연구비
10억 원당 SCI(E) 논문 수를 1.82편에서 3.0편으로 늘리고 연구비 100억 원당 해외특허 등록
수를 0.75건에서 1.5건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년에는 혁신도전형 R&D에 대한 별도 분류체계 마련 및 투자 확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투자 강화 및 제도개선 등 각 추진과제를 성실히 이행하고 또한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과제발굴을 지속할 계획이다.
∙12∙
제2장 대덕특구 50주년의 성과와 나아갈 길
1. 추진배경
1973년 출범한 대덕연구단지(대덕연구개발특구의 전신)는 그 당시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정부의 주도 아래 ‘과학입국’을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다양한 연구분야의 출연(연)을 만들어내고, 정주 환경을 조성하여 우수 과학기술자를 유치하는
등 인프라를 구축하여 1992년 마침내 대덕연구단지로 준공될 수 있었다.
대덕의 과학기술인들은 밤낮으로 끊임없이 헌신한 끝에 반도체, 통신, 원자력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를 놀라게 할 연구성과를 만들어 내는 기적을 일궈냈다.
2005년에 공공연구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덕연구개발특구로 확대・개편된
이후,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이 협업하여 창업기업이 확대되고, 기업의 매출이 증가되고,
고용이 확대되는 등 또 다른 지역 혁신성과 창출의 모델로서 국가대표 혁신클러스터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클러스터 모델은 광주, 대구, 부산, 전북으로 확산되어 5개의 광역특구라는 한 축을
구성하였고, 이후 소규모 고밀도의 강소특구 모델이 만들어져 14개 지역이 지정, 지역의 특화
분야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각 지역 간 연계・협력을 통해 또 다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제, 2023년 어느덧 반세기인 50주년을 맞이한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출범 이래 이루어 온
수많은 연구성과를 통해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고, 국민의 삶 증진에 일익을
담당했다.
대덕특구가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사업화하는 단계를 넘어서 공공기술 기반의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하기까지 그 발자취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50년을 이끌어 나갈 방향을 함께 그려나가고자 한다.
∙13∙
<표 1-2> 연구개발특구(광역, 강소) 지정 현황
구분 지정 범 위 총면적 특화 분야
대덕 ’05.07 대전시 유성구 등 일원 49.7㎢ IT, 나노 융복합, 바이오 등
광주 ’11.01 광주시 및 장성군 일원 18.6㎢ 친환경자동차 부품소재 등
대구 ’11.01 대구시 및 경산시 일원 19.4㎢ 의료용 융복합기기 등
부산 ’12.11 부산시 강서구 등 일원 15.8㎢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등
전북 ’15.08 전주시, 정읍시, 완주군 일원 16.1㎢ 농생명 융합, 융복합 소재부품 등
강
소
특
구
안산 ’19.08 안산 상록구, 단원구 일원 1.73㎢ ICT융복합 부품소재
김해 ’19.08 김해 주촌면, 풍유동, 명법동 일원 1.13㎢ 의생명・의료기기
진주 ’19.08 진주 가좌동, 충무공동 등 일원 2.17㎢ 항공우주부품・소재
창원 ’19.08 창원 성산구 일원 0.65㎢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
포항 ’19.08 포항 남구, 홍해읍 일원 2.72㎢ 첨단 신소재
청주 ’19.08 청주 서원구, 청원구 일원 2.20㎢ 스마트IT부품・시스템
구미 ’20.08 구미 거의동, 신평동 등 일원 2.57㎢ 스마트 제조 시스템
홍릉 ’20.08 서울 성북구, 동대문구 일원 1.36㎢ 디지털 헬스케어
울주 ’20.08 울산 울주군 일원 3.01㎢ 미래형 전지
나주 ’20.08 나주 빛가람동, 동수동 등 일원 1.69㎢ 지능형 태양광・에너지저장
군산 ’20.08 군산 미룡동, 소룡동 등 일원 2.70㎢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
천안・아산 ’20.08 천안 서북구 등, 아산 배방읍 등 일원 1.32㎢ 차세대 자동차 부품
인천 ’22.06 인천 서구, 미추홀구, 연수구 등 일원 2.22㎢ ICT 융복합 환경오염 처리 및 관리
춘천 ’22.06 춘천 효자동, 후평동, 동내면 등 일원 1.86㎢ 바이오 의약 신소재
2. 대덕특구 50주년의 주요 성과와 발자취
가. 대덕연구단지 건설과 출연(연) 입주
한국형 국가주도 연구시설이 처음 건설된 것은 1966년 서울 홍릉의 한국과학기술연구소였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와 국방과학연구소가 입주했다. 이곳은 ‘서울연구단지’ 또는 ‘제1
연구단지’로 명명했으나 ‘홍릉연구단지’로도 불렸다.
하지만, 당시 정부 각 부처에 소속돼 있는 국립시험연구기관 총 35개 중 20개가 서울시내와
그 주변에 있었다. 이들 대부분은 부지가 협소해 발전의 여지가 없거나 도시의 소음 등으로
연구환경이 적합하지 않았다. 이런 실정에 비추어 각종 연구기관이 한곳에 집결할 수 있는 연구
단지의 조성이 시급히 요구됐다.
정부는 1973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한강 이남에 제2 연구단지 건설 추진을 확정하고, 신규
연구기관들을 제2 연구단지에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민간기업도 단지입주에 적극 참여하도록
∙14∙
유도한다는 방침이었다. 아울러 기존 지방대학 중 이공계로 이전이 가능한 대학이나 대학원을
연구단지 내에 입주시켜 이상적인 연구학원도시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과학기술처는 인구 5만 명을 수용할 수 있고 서울에서 2시간대에 위치한 곳에 단지를 조성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정부의 인구 분산책에 저촉되지 않는 지역에 설립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각 도(道)에 후보 부지를 추천해 줄 것을 시달했다.
그해 5월 과학기술처는 건설부 등 관계당국과 협의, 제2 연구단지 후보입지로 대전 이남,
경기 일원 등 3개 지구를 선정, 조사를 마쳤다. 같은 달 18일, 청와대에서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2 연구단지 건설계획 보고회의’가 열렸고, 제2 연구단지 건설계획(안)이 1973년 5월 28일자로
대통령 재가를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제2 연구단지 입지는 충청남도 대덕군(유성면, 탄동면,
구즉면) 일원으로 결정됐다. 그곳에 과학기술 기반 구축을 위해 국내외 자본 90억 원을 투입,
전략산업 연구기관을 이전시킨다는 새 계획도 세웠다. 이 내용은 5월 30일 국회 경제과학
위원회에서 이창석 과학기술처 차관에 의해 1단계로 1976년까지 완성한다는 마스터플랜이
공개됐다.
이 차관은 과학기술 기반구축을 위한 제2 연구단지로 인구 5만 명이 상주하는 연구학원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같은 달, 미국이 제2 연구단지의 조성을 위해 개발차관 2,000만 달러를 한국에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과거와 같은 물자차관 형식이 아니라 미국이 달러를 한국에 직접 송금해 한국정부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좋은 조건이었다.
연구단지의 명칭으로 ‘연구학원도시’, ‘과학기술단지’, ‘연구교육단지’ 등이 두루 쓰였지만, 당시는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소득(GNP)이 500달러에도 못 미치는 경제 수준이었다. 때문에 ‘연구학원
도시’라는 용어가 너무 현실을 무시한 과학기술자의 이상론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당할 우려가
있었다. 더욱이 정책 결정자에게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도 전에 거부감을 준다는 지적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공업단지’나 ‘주택단지’와 유사한 ‘연구교육단지’라는 용어가 사용됐다. 그런데 실제
연구단지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명칭이 변경됐다. 처음에는 홍릉연구단지와 구분하는 ‘제2
연구단지’나 ‘연구학원도시’ 등이 명칭으로 쓰였다가 1976년 이후부터 ‘대덕전문연구단지’,
‘대덕연구단지’ 등으로 불렸다.
1977년에 이르러 토지 매입 및 개발의 효율적 수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가
대덕연구단지 지역을 「산업기지개발촉진법」에 의거, ‘대덕산업기지 개발구역’으로 고시했다.
그해 12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됐다. 이에 따라 대덕지구는 충남 대덕군 탄동면, 구즉면
및 유성읍의 일부지역을 포함, 모두 2,776만 8,595㎡에 이르렀다.
∙15∙
연구학원도시 건설계획 대덕연구학원도시 토지 이용계획도
서울 홍릉을 대신할 대규모 과학연구기관 집적단지로서 조성되기 시작한 대덕연구단지는
1978년 한국표준연구소(現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첫 입주를 시작으로 다양한 기관들이 대덕
단지에 모였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주거 등의 정주시설도 꾸준히 확충됐다.
마침내 1992년 11월, 대덕연구단지의 준공식을 가졌는데 “2001년까지 선진과학 7개국에
진입한다.”는 목표가 선포됐다. 준공식 이후 15개 출연(연), 8개 민간연구기관, 3개 대학 등
33개 기관이 입주하면서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듬해 1993년 8월, 대전에서 세계박람회(EXPO)가 열렸다. 개최 당시 대덕연구단지에 총
50여 개 연구기관이 입주해 있었는데 이들은 연구 성과물을 바탕으로 세계인과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기회로 삼았다.
한국표준연구소 기공식 시삽(1976.9.23.) 대덕연구단지 공사 현장(1980.9.11.)
∙16∙
나. 연구개발특구로의 발돋움, 사업화를 통한 공공기술의 확산
2004년 6월 정부는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중에는 대덕연구개발
특구 조성을 계기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R&D) 핵심거점 구축과 연구성과의 산업화 전략이
포함돼 있었다. 여기에 집중하기 위한 4대 전략산업으로 ①정보통신산업 ②바이오산업 ③첨단
부품・소재산업 ④메카트로닉스산업 등이 선정돼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춰 과학기술부는 「대덕연구개발특구특별법」의 추진 방향을 정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를 혁신주도형 경제의 전환을 위한 핵심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하에 R&D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 곳을 집중 육성한다는 게 핵심이었다. 특히 이 법안은 전국으로 혁신
성과를 확산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본부(현 연구개발특구
진흥재단)를 설치, 연구개발 촉진, 실용화 강화, 외국인 투자 활성화 등을 추진하겠다는 방침
이었다.
같은 해 7월 과학기술부는 ‘연구개발특구위원회’를 신설했다. 연구개발특구에 관한 주요정책을
심의하는 기구였다. 위원회는 과학기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재정경제부 등 11개 부처장관
(당연직 위원)과 민간 전문가 7명,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등 모두 20명으로 구성
됐다.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특구 지정 및 해제 등 특구에
관련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8월 들어 과학기술부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특별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
법안은 정부가 대덕연구단지와 인근지역을 특구로 지정해 5년마다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특구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특구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해 연말,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법」의 본회의 의결이 이뤄졌다. 특별법의
국회 통과는 대덕연구단지가 우리나라 최대 과학기술 집산지로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었다.
2005년 7월 특별법이 발효됨에 따라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대한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대덕연구단지에는 새바람이 일기 시작했다. 국제화된 R&D 기반이 구축되면서
특구 내 벤처기업들은 정부의 벤처 활성화 대책에 힘입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기회를 맞이
했다. 출연(연)의 경우에는 기술 출자나 연구소기업 설립 등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R&D 고도화와
함께 기술사업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 연구소 창업 등이 활발해질 전망이었다. 대덕밸리
벤처기업들도 벤처 활성화 대책 덕분에 자금조달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이 예상됐다. 특구 내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국유재산 임대료 감면 등 각종 세제 혜택의 수혜도 기대할 수 있었다.
∙17∙
다. 혁신클러스터 대표모델, 연구개발특구 모델의 확산
정부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들의 혁신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세계화를 유도하는 데 힘썼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 ‘2010년 IASP(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ce Park and
Areas of Innovation) 총회’가 개최되고 ‘한국 STP(Science & Technology Park)교육원’이
발족돼 개도국에 대해 한국의 과학기술 모델을 전수했다.
2011년 5월 말, 대덕연구개발특구를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구와 광주는 연구개발
특구로 추가 지정하였다. 국가 혁신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혁신클러스터 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었다. 2012년 11월에는 부산 강서구에 조성될 국제물류산업도시 일원에 지정됐다.
2015년 11월, 대덕특구 1단계 사업지구 전체 사업이 준공 전, 문지동 일대의 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도 2012년 9월 첫 삽을 떴다. 유성구 신동・둔곡지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지구로 결정된 이후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됐다.
2015년 6월 말 전북특구 지정이 확정됐다. 또 자생・자족하는 지역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해
도입된 특구모델로서 현재까지 14개 지역을 강소특구로 추가 지정했다. 이를 통해 5개의
광역특구라는 큰 축과 14개의 강소특구라는 고밀도・소규모 클러스터가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대덕특구가 만들어진 지 반세기에 가까워지며, 인프라의 노후화가 연구-산업 선순환
혁신 생태계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새로운 산업환경에 맞춰 각종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들이
집약된 대덕특구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졌다. 이에 따라,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을
추진하였다.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마스터플랜 기본구상(안)’은 출연(연) 바로 옆에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을 재창조해 기업과 협업이 혁신창업으로 이어지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또 유휴
공간 및 시설 활용을 고도화하고 공동시설 확충을 통해 연구소와 기업이 함께 열린 혁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충한다는 계획이었다. 대전을 데이터 산업 중심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구상도 밝혔다.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연구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과학벨트 거점 둔곡지구를 중심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등 데이터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계획이었다. 아울러 대덕
특구 내 미개발지의 효율적 개발 및 활용으로 연구・산업부지의 미래 수요에 대응한다는 구상
이었다.
이후, 2021년 5월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덕특구 재창조
(리노베이션) 종합계획안 등 6개 안건을 논의・확정했다.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은 2023년
∙18∙
출범 50주년을 맞이하는 대덕특구가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혁신
생태계・공간적 대전환을 추구하는 내용이었다. 이 안건의 확정으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중심으로 마련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계획이 정부의 지원 속에 본격 추진될 수 있게 됐다.
이어 세부 목표와 비전, 과제 등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해 재창조 종합계획을 최종 수립했다.
라. 대덕특구가 만들어 온 길
대덕특구 내 출연(연) 등은 80년대 DRAM 개발, 1990년대 CDMA 상용화, 2000년대 핵융합
연구로(KSTAR), 2010년대 나로호, 2020년대 누리호까지 대한민국 발전을 견인할 기술을 개발,
상용화함으로써 국민 삶과 밀접한 국가R&D 성과 창출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또한, 정부는 대덕에서 시작된 특구 모델을 광주, 대구, 부산, 전북으로 확산하고 소규모・
고밀도 혁신클러스터인 강소특구 모델을 신규 도입, 14개 강소특구를 지정・육성하는 등 「R&D
→사업화→재투자」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 성공하였다.
앞서 기술하였듯, 연구개발특구는 기존 R&D 중심의 연구단지에서 공공기술사업화를 접목한
혁신 클러스터로 진화하여 산・학・연・관 구성원이 협업하여 유망기술 발굴, 기술이전, 창업,
기업지원 등 다양한 혁신성과를 창출하였고, 연구개발특구 내에서 발생한 성과를 통해 2021년
말 기준, 기술이전 5,972건, 특허등록 189,078건(누적, 국내·국제특허 포함), 기업매출 60.9조
원, 고용 288,957명 등 지역 및 국가 경제발전 주요부문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업체는 2005년 이후 13.5배 증가, 매출액은 23.8배 증가, 고용은 12.3배가 증가
하였으며, 특허 성과는 국내특허등록 기준 6.5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특구의 양적 확대와 함께
유망 기술발굴 및 이전, 창업・기업성장 지원 등 다방면의 노력으로 질적 성장이 더해진 결과
라고 볼 수 있다.
기업체 매출액 고용현황 국내특허등록(누적)
∙19∙
3. 대덕특구의 미래 비전
2023년 11월 2일 오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미래비전
선포식’이 열렸다. 선포식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과기정통부 1차관, 대전시장, 과기
자문회의 부의장, 과학기술 연구기관장・협단체장, 과학영재・우수연구원, 과학기술계 원로, 지역
주민・기업・학생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대덕특구의 출범 50주년을 축하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략)… ‘과학입국’의 기치 아래 쉼 없이 달려온 결과 이제 대전과 대덕은 대한민국 과학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쟁의 폐허에서 가내 수공업으로 출발해 철강, 조선, 화학 등 중화학공업에 이어 디지털, 반도체, 이차전지
등을 선도하는 첨단산업 국가로 우리는 발전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대한민국의 이러한 고도성장은,
압축성장은 과학기술인의 땀과 열정으로 이뤄낸 것입니다.
이제 과거 50년의 영광 위에 새로운 50년을 준비해야 합니다. 국가 경쟁력은 과학기술에 달려 있습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해 세계를 선도하는 First Mover로 탈바꿈해야 할 때입니다. 양적 위주의 성장에서 질적 위주의
성장으로,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중략)…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하여 우리 미래의 성장과 번영을 다져가야 합니다. …(후략)…”
이어서 대덕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구성원들이 직접 향후 50년 미래비전을 발표하였다. 이
비전은 혁신 현장의 연구자, 기업인, 교육계,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희망하는 대덕의 이상적인
미래상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과제를 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미래 비전은 크게 과학기술, 산업, 인재, 공간의 4대 분야별 발전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과학기술 분야에서 미래의 대덕특구가 세계 최고 연구기관들과 함께 세상을 바꿀 과감한
목표를 설계한다는 계획이었다. 대덕의 고유한 연구역량을 활용, 양자・AI 같은 첨단기술을
선도하며, 출연(연)은 기관 간의 벽을 허물고 역량을 집중하여 국가의 미래를 이끄는 기술을
∙20∙
연구하기로 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국내외 선도기관, 산업계와 더욱
활발히 협력한다는 방침이었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산업을 이끌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고 성장하는 거점으로 대전환하는 대덕의
미래상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산・학・연이 출연(연) 유휴부지 등을 활용하여 가까운 곳에서
금융・법률・경영 컨설팅 등 맞춤형 전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첨단기술 기반 창업타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와 더불어 대덕특구가 산업별 네거티브 규제 운영 등 자유로운 현장
실증을 위한 완전한 규제프리존으로 변모하는 미래가 그려졌다. 또한 해외 선진 클러스터와의
연계・협력을 통해 우리 기술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인재 관점에서는 글로벌 혁신을 주도할 미래세대의 희망찬 꿈을 실현한다는 미래상이 그려
졌다. 이에 따라 출연(연), 대학, 기업이 함께 공동 캠퍼스를 조성하는 등 첨단연구・실험 인프라를
공동 활용하며 실전에 강한 과학기술 핵심인재를 양성한다는 방침이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끌어들이고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과 함께 젊은 연구자 펠로십, 해외 우수 인력의 유치와
단계적 정착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공간적으로는 연구자와 창업자 간 교류와 소통이 자유로운 초일류 융복합 클러스터로 재탄생
하는 미래상이 제시됐다. ‘지구에서 가장 혁신적인 1마일’로 알려진 보스턴 클러스터와 같은
K-켄달스퀘어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2012년 시설낙후의 문제로 세대 전원이 퇴거한
뒤 그대로 방치된 공동관리아파트 부지를 첨단 연구개발・사업화 및 과학자 정주공간으로 거듭
나게 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대덕특구의 50주년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새롭게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촉발된 전 세계적인 기술패권 경쟁은
자원 하나 없이 과학기술로 먹거리를 창출해 왔던 대한민국에도 생존의 문제로,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대덕특구가 황무지에서 대한민국 과학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업계, 학계,
연구계 간 연결을 통해 수많은 성과들을 창출해왔다면, 이제는 향후 50년에 대한 미래비전을
토대로 민간・지자체・중앙정부 협력을 통해 기술, 산업, 인재, 공간 부문의 집중 육성을 추진
하고, 양적 성과가 아닌 대한민국 미래를 이끌어 갈 세계적으로 경쟁력 높은 질적 성과 창출에
집중해 나갈 것이다.
과거 50년 동안 대한민국 과학기술사의 1막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지금, 우리에게는 성공적인
1막의 중심에 있었던 고경력 과학기술인들과 미래에 대한 꿈과 열정을 가진 청년 과학기술인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 신・구세대 간의 조화를 통해서 앞으로 50년, 새롭게 만들어 나갈 역사의 2막을
기대해 보아도 좋을 것이다.
∙21∙
대덕특구 50년 미래비전
우리가 상상하고, 도전하는 모든 혁신이 가능한
글로벌 과학기술 융복합 클러스터
민 간 ・지 자 체 ·중 앙 정 부 협 력 을 통 해 집 중 지 원
4대 미래상
향후 발전과제
1. [기술] 미래 혁신을 선도하는 기술의 발원지
혁신
대덕이 선도하는 도전적인 연구로 글로벌 이슈 선점
출연(연)의 개방적 운영을 통한 핵심기술 공급허브 강화
2. [산업] 유니콘-데카콘 기업이 탄생하는 신산업 창출 거점
도전
기술과 법률・금융 등 서비스가 결합된 딥사이언스 창업 타운 구축
유니콘-데카콘으로 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 및 해외진출 지원
3. [인재] 글로벌 시대를 주도할 미래세대 육성의 요람
성장
미래 유망분야 핵심 인재 양성과 지역기업 협력 촉진
글로벌 인재 발굴 및 유입 확대
4. [공간] 대덕의 대전환을 뒷받침하는 개방형 융합・소통의 장
융합
K-켄달스퀘어로 직장・주거・문화가 함께하는 정주하고 싶은 환경 조성
제2대덕연구단지 조성 및 기업 수요 산업단지 확보로 미래먹거리 창출
∙25∙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절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1.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가. 개요
과학기술기본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근거한 과학기술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5년 간 과학기술 발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과학기술
기본계획에는 과학기술의 발전 목표, 정책 방향, 연구개발, 인재양성, 국제협력, 지역혁신, 민간
혁신 촉진 등 법정 사항을 포함하게 되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른 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게 된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른 과학기술기본계획 법정 필수사항
1. 과학기술의 발전목표 및 정책의 기본방향
2. 과학기술혁신 관련 산업정책, 인력정책 및 지역기술혁신정책
등의 추진방향
3. 과학기술투자의 확대
4.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추진 및 협동・융합연구개발 촉진
4의2. 미래유망기술의 확보
5. 기업, 교육기관, 연구기관 및 과학기술 관련 기관・단체 등의
과학기술혁신 역량의 강화
6. 연구개발성과의 확산, 기술이전 및 실용화의 촉진, 기술창업의
활성화
6의2.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성장동력의 발굴・육성
6의3. 과학기술을 활용한 삶의 질 향상, 경제적・사회적 현안
및 범지구적 문제의 해결
7. 기초연구의 진흥
8. 과학기술교육의 다양화 및 질적 고도화
9.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및 활용 증진
10. 과학기술지식과 정보자원의 확충・관리 및 유통체제의 구축
11. 지방과학기술의 진흥
12. 과학기술의 국제화 촉진
13. 남북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의 촉진
14. 과학기술문화의 창달 촉진
15. 민간부문의 과학기술혁신 촉진
15의2. 과학기술혁신의 촉진을 위한 제도나 규정의 개선
15의3.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지식재산의 창출・보호・활용의
촉진과 그 기반의 조성
15의4. 성별 등 특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구현
1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중요
사항
∙26∙
정부는 2022년 12월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비전을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담대한 미래 -
행복한 국민, 역동적 경제, 강한나라”로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3대 전략, 17대 추진과제,
50개 세부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기본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각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는
매년 기본계획에 제시된 추진과제에 대한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제4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중앙행정기관・지자체의 연도별 시행계획과 전년도 추진
실적을 종합하고 점검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진행하고 있다(「과학기술기본법」제7조
제5항).
나. 주요 성과
1) 2023년도 시행계획 수립
정부는 2023년도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대내외 환경변화 및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과학
기술기본계획의 이행점검체계 고도화 방향 등을 바탕으로 2023년도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2023년도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방향을 설정하였다.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산업・사회
대전환의 기틀 마련을 위하여, 과학기술혁신 추진체계를 개선하고, 디지털 환경을 조성・확산
하며, 민간 R&D 생태계 활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가전략기술의 육성 등에 임무중심
R&D 추진체계를 본격 적용하고, 데이터 기반 연구행정지원시스템 등 R&D 혁신 시스템을
지속 강화하였다. 인재 양성의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 계약학과 제도개선 등을 지속 추진하고,
해외 우수 인력의 발굴-유치-정착 지원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국민 일상 밀접 분야의 AI 활용을
확대하고,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시티 등 전 산업 분야로의 디지털 전환 확산을 추진하였다.
또한 연구성과의 민간 확산 강화를 위해 기술지주회사의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미래선도 분야
딥테크 유망 기업에 대한 지원, 기업부설연구소의 역량별 맞춤형 지원 등을 확대 추진하였다.
둘째,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성과지표에 대한 점검 방법 및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대표지표 5개, 전략별 성과지표 30개 총 35개 성과지표에 대하여 일관된 기준으로
연도별 목표를 설정하였다. 정책 효력 발생까지의 소요 기간을 고려하여, 기본계획 추진 전반기
(’23~’25) 동안 점진적으로 목표치를 증가시키다가 후반기(’25~’27) 동안 연도별 목표 상승률을
높이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성과지표별로 매년 목표 달성 여부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녹/황/적
삼색 신호등 체계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세 가지 색깔은 각각 당해연도 목표 달성,
당해연도 목표는 미달성이나 전년 대비 개선, 당해연도 목표 미달성이며 전년 대비 악화를 의미
한다. 매년 성과지표 및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지표 미달성 혹은 부처의 이행이 부진한 과제를
중심으로 심층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27∙
셋째,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과의 통합 시행계획 안건을 마련하였다. 제1차 국가연구
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이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수립 주기에 맞추어 2022년 12월 수립됨에
따라, 과학기술기본계획 및 중장기 투자전략의 시행계획 수립 주기 역시 일치하게 되었다. 정부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계획인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연구개발에 대한 최상위 투자전략인 중장기
투자전략의 시행계획 통합 수립을 통하여 과학기술 정책과 예산 간의 연계성 강화를 도모하였다.
2) 전략 1. 질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첫 번째 전략인 ‘질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는 R&D 추진
체계 고도화, 연구환경 개선, 인재양성, 과학문화 확산 등을 포괄한다. 해당 전략에서는 임무
중심 R&D 추진체계 혁신, 전략기술 발굴 육성, 개방형 혁신 연구기반 구축, 기업 맞춤형 혁신
지원 체계 확립, 과학기술인재 양성 및 확보, 민간・지역 중심 과학기술 문화산업 활성화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정부는 국가전략기술의 본격적인 육성을 위하여 12대 전략기술별 로드맵 수립 및 민관
합동 프로젝트 선정 등을 추진하고, 임무중심 R&D 추진에 걸맞도록 R&D 예산 배분・조정,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적극 개선하였다. R&D 성과를 통한 혁신 가속화를 위하여 기술지주
회사의 보유기술 및 의무지분 제한 등의 규제를 완화하였다. 또한, 산업 수요를 반영한 과학
기술인재 양성을 위하여 계약정원제 등 계약학과 제도를 개선하고, 기업주도형 및 혁신형 교육
과정을 확대하였다.
3) 전략 2.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두 번째 전략인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은 민간
주도 혁신, 대학・공공연구기관 역할 강화, 창업 지원, 지역 혁신체계 구축, 과학기술 외교・협력
리더십 확보 등을 포괄한다. 해당 전략에서는 민간 혁신 역량 강화 및 규제 혁신, 대학 및 공공
연구기관의 역할 제고, 도전적・혁신적 창업 촉진, 자생적 지역 혁신 기반 구축, 전략적 국제
공동연구 및 의제 주도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정부는 민간 R&D 세제 지원 확대, 기업부설연구소 R&D 역량별 맞춤형 지원, 신산업 핵심
규제 개선 등 민간의 혁신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였다. 국가전략기술과 관련된 대학의 강점
분야 R&D를 지원하기 위한 혁신연구센터(IRC)를 구축하고, 출연(연)의 융합연구를 지원하는
등 공공 부문의 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을 또한 추진하였다. 특히 투자 연계형 사업인
TIPS 사업 내 딥테크 창업 지원 트랙을 신설하고,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등 유망
창업・벤처기업의 성장 지원을 지속 추진하였다.
∙28∙
4) 전략 3. 과학기술 기반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세 번째 전략인 ‘과학기술 기반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미래대응’은 탄소
중립 선도, 디지털 전환 대응, 과학기술 기반 국민건강 증진, 미래 위험 대응, 공급망 재편 대응,
국방・안보 강화, 우주・해양・극지 개척 등을 포괄한다. 해당 전략에서는 탄소 중립 기반 기술
확보 및 정책 추진체계 구축, 디지털 전환 선도 기반 조성, 데이터 활용 바이오 연구개발 촉진,
데이터 기반 재난・안전 관리, 공급망 안정성 제고, 국방과학기술 혁신, 사이버 보안 기술 기반
강화, 우주 탐사・수송・활용 역량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정부는 주력산업의 그린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국제 탄소배출 규제에 대응하는 국내 제도적
기반 마련을 추진하였다. 가이드라인 마련 등 마이데이터의 전 분야 확산 기반을 조성하고,
디지털 의료기술 및 차세대 스마트팜 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실증 등의 추진을 통해 AI 등
신기술의 전 산업 분야 확산을 촉진하였다. 한국형 발사체(누리호) 3차 발사,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 개발 등 우주산업 생태계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4년에는 2023년 주요 과제 이행실적 및 성과지표 달성도 점검 결과 등을 바탕으로 과학
기술기본계획의 이행계획을 수정・보완하고, 통합 시행계획의 지속 운용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분야 정책 및 예산 간 연계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비전
및 목표가 과학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추진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할 예정이다.
∙29∙
[그림 2-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30∙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가. 개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헌법 제127조를 근거로 과학기술혁신 등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1989년 한시적 자문기구로 출발하였으나, 1991년 「국가과학기술자문
회의법」이 제정되면서 상설기구로 발족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제2조에 나타나 있듯이,
국가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인력의 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 전략 및 주요 정책방향에 관한
사항, 과학기술 분야의 제도 개선 및 정책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응하기
위해 출범하였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의 대통령 자문기구로서
과학기술정책의 중장기 방향 설정, 과학기술 주요 이슈 등에 대한 자문을 수행해 왔다. 현재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17년 12월 국회에서 의결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전부 개정
법률이 2018년 4월 17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 주요 정책의 심의 기능을 수행하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통합되면서 지금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는 총 30명의 위원으로 의장은 대통령, 부의장은 의장이 지명하는 민간위원으로
구성된다. 또한 간사위원은 대통령비서실 내 과학기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비서관(정무직
공무원)으로 경제수석비서관에서 2024년 1월부터는 과학기술수석실 신설로 과학기술수석
비서관으로 변경되었다.
1991 ~ 2007 2008 ~ 2012 2013 ~ 2017 2018 ~ 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舊과학기술부
소관
舊교육과학기술부 소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舊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사무처 독립)
15인 이내 자문위원
(비상설)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지원단)
30인 이내 자문・심의위원
(상설, 지원단)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의장 : 대통령 / 부의장 : 민간 1인 / 간사위원 1인)
전원회의
(자문회의 및 심의회의 위원 전원)
자문회의
(민간위원/20인 이내)
심의회의
(민간・정부위원/20인 이내)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31∙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제1기와 제2기에 걸쳐 연임한
이우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맡아 과학기술 자문 및 심의 기능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2기 민간위원은 주요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의 기관장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핵심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위원의 대표성 및 전문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지원단장에 신규 일반직 고위공무원 가급(별도정원)을 반영함으로써 대통령 자문기능을 수행
하는 자문회의 운영, 과학기술분야 정부정책 방향 수립,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R&D 분야별
계획 등 자문・심의 업무의 효율성과 지원 기능을 강화하였다.
1) 자문회의 구성
자문회의는 의장,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20명 이하로 의장, 간사위원 외 전원 민간위원으로
현재 12명(부의장 포함)으로 구성된다. 또한 자문회의는 분야별로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 등 3개 소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표 2-1> 자문회의 소위원회 및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명칭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
소관
분야
∙ 과학기술 중장기 국가전략 및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관련 법・제도 개선에 관한
사항
∙ 기초연구 진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분야 청년과학자 등 미래인재
성장 지원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경제성장 정책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육성, 제조업 혁신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관한 사항
∙ 연구성과 활용 및 확산 촉진에 관한 사항
∙ 국민의 삶의 질 제고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인류의 지속가능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사회복지 및 보건의료
증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활용 사회구조・문제 해결에
관한 사항
위원
구성
총 4명 (소위원장 : 이정아) 총 4명 (소위원장 : 현택환) 총 3명 (소위원장 : 유욱준)
∙ 이정아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 오정미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
∙ 이영국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 정항근 (전북대학교 전자공학부 명예
교수)
∙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장)
∙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
∙ 주세돈 (포스코 기술연구원 원장)
∙ 진교영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원장)
∙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2) 심의회의 구성
심의회의는 의장 및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18명으로 구성되었다. 정부위원은 기획재정부・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
담당 비서관(간사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민간위원은 현재 총 10명(부의장 제외)이다.
심의회의는 심의사항의 사전검토 및 실무적인 자문, 전결안건 심의를 위해 운영위원회를
두었으며, 심의사항 중 특별한 사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6개의 특별위원회와
∙32∙
특정분야 추진시책에 대한 지속적 논의를 위한 2개의 협의회를 두었다. 또한 심의회의 및 운영
위원회 상정 안건의 효율적인 검토를 위해 운영위원회 내 전문위원회(총 10개 분야)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제1회 전원회의 개최 이후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새 정부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탄소중립기술 육성 등을 중심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특별위원회를 재정비하였다.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 혁신성장동력특별위원회,
소재・부품・장비기술특별위원회 등 3개 특별위원회를 폐지하고 그 기능은 타 위원회로 이관
하였으며, 국가전략기술의 지정・관리, 기본계획 수립 등 전략기술 정책 전반을 총괄・조정하는
국가전략기술특별위원회 신설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전략기술 전반에 걸친 정책 의결 기구이자
전략기술 관련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심의회의
미
래
인
재
바
이
오
감
염
병
탄
소
중
립
기
술
양
자
기
술
국
가
전
략
기
술
운영위원회
지방
과학
기술
진흥
기
초
연
구
진
흥
정
책
조
정
성
과
평
가
대
형
연
구
시
설
공
공
우
주
에
너
지
환
경
ICT
융
합
기
계
소
재
생
명
의
료
기
초
기
반
국
방
특별위원회 (6) 전문위원회 (10) 협의회(2)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표 2-2> 심의회의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민간위원 정부위원
총 10명 총 6명
∙ 김준범 (울산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 김태완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김현정 (서강대학교 물리학전공 교수)
∙ 남기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 오세현 ((주)SK텔레콤 WEB3컴퍼니 부사장)
∙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 이신두 ((전)서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분원장)
∙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홍순국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장)
∙ 기획재정부 장관
∙ 교육부 장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 담당 비서관(간사위원)
∙33∙
나. 2023년도 주요성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23년 전원회의 2회, 자문회의 7회, 심의회의 5회를 개최하였다.
제3회 전원회의는 대통령 주재 간담회와 연계하여 개최하고 2개의 안건을 논의하였으며, 자문
회의는 총 3건의 안건을 의결하고 자문의제를 보고(서면)하였다. 또한 심의회의는 18건의
안건을 의결 및 접수하였으며, 그 밖의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자문방향 및 의제 관련
전문가・실무 회의를 27회 개최하는 등 자문의제 발굴 활동을 수행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제1회 전원회의의 후속조치로 제2회 전원회의를 서면으로 개최하여
새 정부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탄소중립기술 육성 등을 중심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특별위원회를 재정비하였다. 특히, 국가전략기술특별위원회
설치는 국가전략기술의 지정・관리, 기본계획 수립 등 전략기술 정책 전반을 총괄・조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오찬 간담회(2023년 11월 27일(월))는
제3회 전원회의 개최 전 대통령 주재로 ‘R&D다운 R&D, 세계 최고를 향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대통령실 누리홀에서 개최되었다. 간담회는 제1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들의 지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치하함과 동시에 새롭게 구성되는 제2기 자문위원, 심의위원(민간위원) 소개
및 위촉장을 수여하고 R&D 혁신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되었다. 간담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 전략에 따른 예산의 효율적 운영, 글로벌 공동연구의 필요성, 출연연구기관의
공공기관 해제 등의 의견이 제안되었으며, 의장(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전략으로 전환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오찬 간담회 이후 부의장
주재로 개최된 제3회 전원회의는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을 심의・의결하였다. 전원회의에서는 과학기술이 국가 안보 및 미래 성장 등에서의
역할,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방안, 다양한 선진 국가들과 공동연구 및 네트워크
확대 전략 등에 대해 토론과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문회의는 7회에 걸쳐 회의를 개최하고 윤석열 정부의 제1기 자문회의 의제를 마련하였다.
제1기 자문회의는 ‘해외 과학기술 인재 유입 및 활용 확대 방안’, ‘도전・혁신형 국가R&D 체계
혁신 전략’, ‘미래전장의 게임체인저 국방과학기술 인재 양성 방안’ 등 3건에 대해 윤석열 정부의
주요 과학기술 정책 자문의제로 제안하였다. 또한, 위원 간 소통을 강화하고 다양한 자문의제를
발굴・의제화하기 위해 논의하고 사전검토하는 소위원회 회의를 총 19회 개최하였다. 의제별
전문가 회의 및 실무회의를 수시 개최(총 32회)하고 자문위원과 전문위원뿐만 아니라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자문 안을 마련하였다.
심의회의는 총 5회 회의를 개최하고 총 18건의 안건(심의 17건, 보고 1건)을 상정하여 의결・
접수하였다. 기초연구부터 개발・응용연구 분야까지 과기정통부, 국방부, 산업부, 해양수산부 등
∙34∙
다양한 부처의 중장기 계획이 심의회의에서 검토되었다. 특히, 수월성 중심의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3~’27)(안)’,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제3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23~’27)(안)’, 국가안보, 첨단과학기술 기반 강군
건설과 국방역량 강화를 위한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안)’ 등 12개의 중장기
계획을 심의하였다. 또한 국가연구자산의 체계적 보호와 연구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과 선도적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를 촉진하고자 ‘국가연구
개발행정제도 개선(안)’ 등을 심의・의결함으로써 연구자의 연구몰입 환경에 기여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의제 발굴 및 현황 분석을 위한 실무회의 등을 32회 개최하며 폭넓은 연구현장과의
의사소통 통로를 확보하였으며, 자문기능의 효과적 수행 및 민간전문가 중심의 정책 논의 기반
조성을 위해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을 2022년 12월 이후 지속 운영하였다. 포럼의 총괄
운영을 위해 산・학・연・지역의 최고 전문가 8인의 총괄위원회를 구성하고, 시의성 있는 주제
선정 후 총 7회의 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민간이 공동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과학기술 관련 국가적 현안 및 범정부 이슈를 발굴하고 민관 간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었다.
포험 주제 및 개최일
∙ (2차) 기술패권・인구절벽 시대, 과학기술인재 위기 돌파
(’23.1.18)
∙ (3차) 국방R&D 개방과 혁신으로 첨단 과학기술 강군 육성
(’23.2.16)
∙ (4차) R&D시스템 혁신을 통해 과학기술의 질적 성장 전환
(’23.3.2)
∙ (5차) 새로운 기정학 ‘판’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패러다임 전환
(’23.7.13)
∙ (6차) 첨단과학기술 기반 복합재난 대응(’23.8.10)
∙ (7차) 민간주도 혁신성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개혁
(’23.9.7)
∙ (8차) 축소사회에서의 생산성 위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3.10.12)
<표 2-3> 2023년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개최 실적
아울러 국민경제자문회의와 ‘과학기술 디지털경제 선도국가에 걸맞은 혁신친화형 규제정책
방향’을 주제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우리나라가 혁신을 선도하는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혁신친화형 규제정책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학기술 기반 혁신생태계 구축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공동 심포지엄 개최로 경제계와 과학기술계에서 각각
논의해 오던 우리나라의 혁신정책 방향성에 대한 고민과 우리나라가 선도형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토론과 논의를 진행할 수 있었다.
∙35∙
의제발굴 회의 운영 주요 성과 및 대국민 소통 활동
∙ 자문회의 7회, 심의회의 5회, 전원회의 2회
∙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등 27회
∙ 자문방향 등 실무회의 32회
∙ 국민경제자문회의 등과 공동 심포지엄 개최
∙ 연구현장 방문・관계자 인터뷰 등 현안 및 정책관련 요구사항 청취
∙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7회 개최
∙ 전략기술(이차전지, 수소) 분야 라운드테이블 회의 4회 개최
<표 2-4> 2023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다. 향후 계획
제2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현장과 정부를 잇는 가교로서 다양한 과학기술 현장과 소통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제8회 자문회의 개최를 통해 각 소위원회는 향후 자문의제로
발전시켜야 할 의제 후보를 논의하고, 소위별로 현황 분석・진단, 전문가 및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바탕으로 대통령께 자문보고를 위한 자문의제를 개발・작성할 계획이다. 소위의제의 작성
추진을 위해 필요시에는 해당 사안에 대한 현황을 심도있게 분석하는 정책연구용역을 병행할
것이며, 이렇게 작성된 자문의제는 대통령의 국정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을 통해
결과물을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기술 분야는 물론 경제・인문・사회 다양한 영역의 동향조사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시의성 있는 자문주제 발굴과 이슈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보는
대통령실, 정부부처, 유관 연구기관 등과 공유를 통해 이슈페이퍼, 브리프 등으로 발간하여
대국민 정책 소통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그룹과 지속적인 교류활동으로 주요 현안 이슈에 대해 정책 세미나 및 컨퍼런스 등을
개최할 예정이며, 국민경제자문회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의 유관기관과의 협력도 계속해
나갈 것이다.
∙36∙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가. 설치목적 및 변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근거하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원, 육성 및 체계적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1999년 총리실 산하에 기초기술연구회, 공공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등 3개
연구회를 설립・운영하였으며, 이후 과학기술부 이관(2004), 공공기술연구회 통폐합 및 교육
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이관(2008)을 거쳐 2014년 6월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 개편되었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운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이사회는 총 24회 개최되었으며(정기 3회, 임시 21회), 총
89건의 안건이 상정되어(보고안건 11건, 의결안건 78건), 83건이 접수・의결 되었고, 3건의
원장 재선임(안)을 심의하였다.
<표 2-5>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 실적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83회 2023.1.10. 의결1 한국화학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전문가 선임(안)
외부전문가 2인
선임
제184회 2023.1.12. 보고1 제183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84회 2023.1.12. 의결1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선임(안) 김남균 선임
제185회 2023.2.7. 보고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선임직 이사 추천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제185회 2023.2.7.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보고1 2022년 소관연구기관 감사 결과 보고 원안접수
제186회 2023.3.2. 의결1 2023년 소관연구기관 감사 계획(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의결2 소관연구기관 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의결3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청사 이전(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의결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87회 2023.3.10. 보고1 제185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87회 2023.3.10. 보고2 제186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87회 2023.3.10.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선임직이사 임명후보자 선정 및 추천(안)
임명후보자 7인
추천
제188회 2023.3.24. 의결1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영국 선임
제188회 2023.3.24. 의결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37∙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88회 2023.3.24. 의결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4 소관연구기관 2022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6 소관연구기관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7 2023년 1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술사업화 전문조직 설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 증축・운영 계획(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10 한국화학연구원 전남(여수) 지역조직 설치・운영계획 변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1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제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189회 2023.4.13. 의결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9회 2023.4.13. 의결2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9회 2023.4.13. 의결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0회 2023.4.27. 보고1 제189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90회 2023.4.2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 하지 않음
제191회 2023.5.1. 의결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1회 2023.5.1. 의결2 한국기계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1회 2023.5.1. 의결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92회 2023.5.10. 보고1 제191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92회 2023.5.10.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 선임(안) 양성광 선임
제193회 2023.5.18.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4년도 예산 요구(안) 원안의결
제193회 2023.5.18. 의결2 소관연구기관 2024년도 예산 요구(안) 원안의결
제193회 2023.5.18. 의결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193회 2023.5.18. 의결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4회 2023.6.2. 의결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상목 선임
제195회 2023.6.16. 의결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창근 선임
제196회 2023.7.18. 의결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 하지 않음
제197회 2023.7.24. 의결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보고1 제197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98회 2023.8.9. 의결1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198회 2023.8.9. 의결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의결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의결4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의결5 2023년 2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제199회 2023.8.28. 의결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9회 2023.8.28. 의결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중요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199회 2023.8.28. 의결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199회 2023.8.28. 의결4 소관연구기관 관계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200회 2023.9.7. 보고1 제199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200회 2023.9.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201회 2023.9.26. 의결1 한국전기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38∙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201회 2023.9.26. 의결2 소관연구기관 사실상의 지역조직 정비계획(안) 원안의결
제201회 2023.9.26. 의결3 소관연구기관 본원 외 조직 설치・운영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201회 2023.9.26. 의결4 2023년도 소관연구기관 기관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제201회 2023.9.26. 의결5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제202회 2023.10.1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
위원 선임(안)
각 외부위원 2인
선임
제203회 2023.11.21. 의결1 「소관연구기관 협동감사제도 운영규정」 폐지(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2 「감사위원 및 감사단장 임용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3 한국식품연구원 경북본부 설치・운영계획 변경(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4 한국전기연구원 지역조직(RSS센터) 폐지 계획(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5 소관연구기관 중요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6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204회 2023.11.27. 보고1 제202회, 제203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 보고 원안접수
제204회 2023.11.27. 의결1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 하지 않음
제204회 2023.11.27. 의결2 2023년 3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제204회 2023.11.27. 의결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 월정기지 매각(수용) 계획 변경(안) 원안의결
제204회 2023.11.27. 의결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205회 2023.12.7. 보고1 출연(연) 연수직 석사후연구원 신설・운영방안 보고 원안접수
제205회 2023.12.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호성 선임
제205회 2023.12.7. 의결2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안) 류석현 선임
제205회 2023.12.7. 의결3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4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205회 2023.12.7. 의결5 한국화학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6 소관연구기관 부설기관 설치・운영 등에 관한 규정 제정(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21개 연구기관 정관 개정(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역조직(융합기술연구소) 부지 임차(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9 소관연구기관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4 소관연구기관 2024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4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조직 운영 혁신방안(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조직(수도권통합센터) 구축・운영(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역조직(서남본부 금형TRYOUT센터) 폐지
계획(안)
원안의결
∙39∙
2) 출연(연) 신임기관장 선임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25명 중 임기종료 등의 사유발생에
따라 총 7명의 신임 기관장을 선임하였다.
<표 2-6>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기 관 명 직 위 성 명 임 기 주 요 경 력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김남균 ’23.01.13.∼’26.01.12.
∙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부회장 겸 SiC연구회 회장
∙ 한국세라믹학회 부회장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이영국 ’23.03.27.∼’26.03.26.
∙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소재부품단장
∙ 한국결정성장학회 회장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 양성광 ’23.05.11.∼’26.05.10.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 국립중앙과학관 관장
∙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비서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이상목 ’23.06.05.∼’26.06.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UST 대표교수
∙ 한국주조공학회 회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이창근 ’23.06.19.∼’26.06.1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회장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의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이호성 ’23.12.08.∼’26.12.0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럽연구소 소장
∙ 한국연구재단 나노융합단 단장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류석현 ’23.12.08.∼’26.12.07.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협력처장
∙ 한국공학한림원 기획위원장
∙ 두산중공업 부사장, CTO&기술연구원장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경영협의회와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는 총 6회(경영협의회
3회, 기관장 간담회 3회)가 개최되었으며, 39건의 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40∙
<표 2-7>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현황
회차 일시 안건명 담당부서(기관)
2월 기관장 간담회 2023.2.21.
2022년도 출연(연) 연구성과 보도자료 배포 주요 결과 대외협력부
출연(연) 연구안전 직무 및 조직 개선에 관한 연구 결과 평가사업부
2023년 출연(연) 기관운영평가 주요 개선사항 평가사업부
「과기정통부 소관 연구개발목적기관 채용 기준」안내 인재개발부
출연(연) 교육훈련 추진실적 및 계획 안내 인재개발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출연(연) 연계 강화방안(안) 과기정통부
제25회 경영협의회 2023.4.20.∼21.
연세대 송도국제캠퍼스 IBM 양자컴퓨터 구축 관련 강연 연세대학교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추진 현황 공유 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 및 2023년 개선방향 과기정통부
제주도 하원테크노 캠퍼스 조성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대형연구시설 운영 현안 및 개선방향 한국원자력연구원
출연(연) 기업 간 파트너쉽 구축 경과 및 향후계획
한국과학기술정보
연구원
연구회 부서별 현안 공유 경영본부
대한민국 전략기술 그리고 인재양성 서울대학교
출연(연) 임무형 전략기술 추진 방향 미래전략부
6월 기관장 간담회 2023.6.28.
“Pax Technica 시대 국가 출연기관의 역할” 강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3년도 출연(연) 통합홍보 상반기 성과 및 하반기 계획 대외협력부
출연(연) 통합보안메일 서비스 운영계획(안) 보고 경영기획부
’24년도 정부예산요구 및 국회 주요 현황 재정지원부
기타 현안사항 공유 경영본부
국정원 사이버안보 및 우주안보 설명 국가정보원
제26회 경영협의회 2023.8.25.
출연(연) 과학기술고경력인의 경력경로 소프트랜딩 지원방안 인재개발부
한국과학기술지주혁신방안 한국과학기술지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영혁신 사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민 일상 지키기 그리고 미래 치안 경찰청
과학치안을 위한 경찰청-출연(연) 협력방향(안) 미래전략부
11월 기관장 간담회 2023.11.1.
해외기술 유출 동향 및 연구보안 방안 국가정보원
출연(연) 기술의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활성화 방안 녹색기술연구소
출연(연) 학생연구원 지속 활용 방안 인재개발부
지속가능한 출연(연) 조직문화 혁신 추진 방안 연구행정혁신부
출연(연) 해외 전자저널 구독 및 오픈액세스 출판 연구행정혁신부
제27회 경영협의회 2023.12.14.
출연(연) 정책 역량 강화와 대덕특구 미래 50주년 충남대 이찬구교수
출연(연) 연구행정 디지털 전환 RPA구축 지원 사례 보고 연구행정혁신부
출연(연) 연수직 석사후연구원 신설 안내 인재개발부
출연(연) AI통합교육 ’23년 실적 및 ’24년 계획 인재개발부
2023년도 국정감사 수감 결과 보고 재정지원부
K-방산문명의 출현 그리고 융성을 위한 발걸음 ADD
AI 과학경호경비 플랫폼 구축사업 소개 대통령 경호처
과학경호를 위한 경호처-출연(연) 협력방향(안) 미래전략부
∙41∙
4) 출연(연) 예산・결산・사업계획 등 관리
2024년도 출연(연) 예산은 강도 높은 R&D효율화를 실시하여 전년대비 1,972억 원(△8.3%)
감액된 2조 1,711억 원이 국회 의결되었으며, 12대 국가전략기술에 8,946억 원이 반영되었다.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을 통해 연구사업계획 상 전략목표 실행을 위한 주요사업
개편 내용을 반영하고, 1,779억 원의 연구개발적립금 사용 승인 및 변경을 통해 기관별 R&R과
부합하는 자체연구개발사업과 기관발전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른 경상비 수권 감액 기준에 대해 재정당국과 협의하여 공동자회사 운영비용, 제세공과금,
시설사업 완공소요 등에 대한 특이소요(176억)를 반영함으로써 출연(연)의 안정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였다.
기존 융합연구사업의 한계를 보완하고, 기관 간 협력을 넘어 산・학・연 융합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신규사업의 예산 1,000억 원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본 사업은 출연(연)이 핵심 기술분야별 국가R&D임무에 집중하여 기관별 인력・조직 전방위에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통합예산사업으로 도입되었다. 2024년 출연(연)에 제도적 변화와
더불어 연구현장의 혁신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5) 고경력 과학기술인 경력경로 개발, AI 교육 지원, 장애인 고용 활성화
출연(연)의 퇴직연구자 수는 해마다 증가 추이(’19년 196명→’20년 278명→’21년 283명
→’22년 334명)를 보이고 있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동시다발적인 퇴직으로 일부에서는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대거 이탈과 이에 따른 공공 R&D의 위축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있다.
연구회는 밀려드는 퇴직 과학기술인 수요에 대비하고자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퇴직 후 경력경로
지원방안으로 경력개발 3단계, 5유형의 경력유형별 지원체계와 단기・중기・장기 6개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회는 출연(연) 재직자의 AI-R&D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24년까지 1만 명의 AI교육
수료생을 목표로 AI통합교육을 운영해오고 있다. 비전공자도 이수할 수 있는 입문・기초단계
부터 AI를 R&D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전문・심화단계까지 총 3단계 6개 과정을 운영하였으며
2023년 한 해 동안 4,069명의 교육 수료생을 배출하였다.(’22년 2,612명 수료) 2024년에는
국가전략기술 등을 반영하여 양자기술, 시스템반도체 등과 연계한 AI혁신과정(3단계 7개 과정)을
신설하여 AI통합교육을 고도화시킬 예정이다.
또한 과기출연(연)들이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장애인고용공단과
협력을 통해 장애인력 고용컨설팅, 맞춤훈련을 활용한 장애인력 채용 확대(’22년 28명→’23년
45명)와 함께 맞춤형 장애인력 적성 직무 개발(2개 기관)을 새롭게 추진하였다. 동시에 장기적
∙42∙
이공계 장애인력 양성을 위하여 이공계 대학・대학원생 38명을(’22년 24명) 출연(연)과 매칭
하여 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출연(연) 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6)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연구회는 2009년부터 국내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들을 대상으로 출연(연)에서 연구역량
향상 및 경력개발을 통해 신진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R&D 연수를 지원하는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5년(’19∼’23) 간 동사업으로 배출된 인원 372명
중 약 95%인 351명의 취업실적은 소관 출연(연) 47.6% > 산업계 23.1% > 학계 16.8% > 기타
12.5%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도 출연(연) 박사후연구원 557명을 대상으로 창의도전
연구, 연구네트워크, 교육훈련, 경력개발 지원 등 다양한 연수를 지원했다. 한편, ’23년도 말에는
출연(연) 연수직의 R&D 성장경로 지원의 공백으로 지적되었던 석사학위 취득자 연수를 위해
석사후연구원을 신설한 바 있다.
7) 출연(연) 정책 및 제도 개선
가) 국가임무 수행 기반 연구협력 활성화
지난 해 출연(연)의 연구기획 및 협동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기구로서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이하 ‘연전위’)의 출범을 계기로, 국가임무 수행을 위한 범출연(연) 연구협력을 기획하고 수행
체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연전위 출범 후 국가전략기술과 같은 출연(연)을 아우르는 공통임무 중심의 협력연구 방안을
도출하고자 출연(연)의 분야별 기술・정책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문분과를 구성하였다. 연전위
전문분과는 출연(연) 연구자 중심의 교류・협력을 통하여 국가임무 기반으로 출연(연)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연구협력 체계를 기획하고 제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12대 국가전략기술을 기준으로 출연(연)의 공통임무를 설정하고 임무 달성을
위하여 분야별로 출연(연)의 역량결집 방안과 역할분담 체계를 정리한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출연(연) 공동목표・협력(안)’을 도출하였다. 단순히 협력안을 발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분야별
오픈포럼 개최를 통하여 관련 산・학・연・관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하였다.
향후에도 출연(연) 간 기관별 역량을 결집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구협력을 수행 지원
함으로써 출연(연)만이 할 수 있는 임무지향적 연구과제를 도출하고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해 나갈 예정이다.
∙43∙
나)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실현
정부 국정과제 80번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로 지역 주도 혁신성장 실현」 및 과기정통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중점 추진과제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
혁신 가속화」 설정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연구회는 출연(연) 지역조직이 지역혁신의 구심점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과기정통부와 연구회는 주기적으로 출연(연) 지역조직을 방문하여 연구자들과 소통을 강화
하고 지역조직의 주요 성과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또한,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R&D 혁신의 구심점 역할 강화를 위해 ‘출연(연) 지역조직협의체’ 중심의 지역 협력 연구사업
기획 연구를 지원(’22. 10.∼’23. 3.)하여 연구회 ‘창의형 융합연구사업’을 비롯한 지역 현안
해결 사업을 도출하였다. 이어, 상기 성과를 확대・확산하기 위해 지역조직협의체의 의견을
수렴한 운영방식 개편(’23. 11.)을 실시하였고, 기존 기획 연구 지원의 대상 수 및 연구기관을
확대하여 지속 추진(’23. 12.∼)하였다(총 연구비 220백만 원). 더불어 ’22년부터 구축한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연구허브 역할 수행 모델을 바탕으로 관련 신규사업을 정부에 제안(’23. 3.)해
출연(연) 지역조직 역할 강화를 지속 추진하였다.
또한, 연구회는 출연(연) 지역조직 관련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 등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조직 현장의 주요의견을 반영
하여 지역조직 설치・운영 절차 체계화를 위한 규정 개정을 실시(’23. 9.)하였고, 지역조직 관리
체계 효율화를 위한 「소관연구기관 사실상의 지역조직 정비계획(안)(’23. 9.)」을 수립하였다.
앞으로도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기여를 계속해서 독려하고 출연(연) 지역조직들이 지역
주도 지역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기반을 갖추도록 지원함으로써 출연(연) 지역조직의 효율화・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8) 출연(연) 기관평가
기관운영평가 계획에 따라 ’23.1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23.5월 한국
재료연구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및 ’23.9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를 대상으로 기관장 임기와 연계한 기관운영평가를 실시하였다.
특히 ’23년에는 기관운영평가 제도개선을 통해 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높이고자 노력
하였다. 기관별 평가위원 수를 기존 9명에서 12명으로 확대하고 평가위원 한 명이 담당하는
성과목표 수(평가 대상범위)를 줄임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평가의견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성과목표별 평가위원이 제시한 정성의견에 대해 평가단 전체가 함께
∙44∙
의견을 나누고 정성의견에 합당한 평가등급을 도출하는 절차를 새로 도입함으로써 평가결과가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공정하게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9) 출연(연) 연구행정업무 효율화
정부는 연구현장의 행정부담 경감 등을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고자 출연(연) 연구행정혁신을 추진해 왔다. 출연(연) 연구행정혁신을 위해 2017년부터 연구
행정혁신위원회(구. 총괄자문위원회), 분과운영위원회, 연구자협의체, 전문분과로 구성된 연구
행정혁신추진단을 운영해오고 있다. 2023년에는 수요자 중심의 연구행정혁신 추진체계 개편을
통한 현장 체감도 향상, 융합분과 신설 및 공통 애로사항 해결체계 고도화 중심으로 운영체계를
개편하여 4개 위원회 및 8개 전문분과(융합분과, 조직문화 별도), 총 91명 위원으로 구성하였다.
2023년 연구행정혁신추진단은 30여 회에 달하는 활동을 통해 과제를 발굴하고 세부 이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현안발굴을 위한 정기설문조사, 현장인터뷰, 상시의견수렴 채널 등을 통해 연구
현장의 실질적 의견을 수렴하여 현장에서의 효과와 체감도가 향상되도록 4개의 신규과제를
도출하였다. 기존 추진과제로는 출연(연) 법무자문, 법정교육, 출장제도 등 출연(연) 공통행정
기능을 연구회로 일원화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출연(연) 통합 연구행정 디지털전환 전략 수립을
통해 통합보안메일, 스마트연구 플랫폼(문서중앙화), 전자연구노트 등을 새롭게 추진 중이다.
연구행정 디지털 전환을 통해 출연(연) 연구행정업무를 선진화함으로써 연구몰입환경 조성 지원에
기여할 예정이다.
10)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기초원천 및 응용기술 개발 등을 통해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혁신성장을 선도
하는 것은 출연(연)의 사명 중 하나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제고와
출연(연)-중소・중견기업 간 상호 R&D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 기술상담 중심의 ‘테크비즈파트너링’을 개편하여 출연(연)의 상용화 기술 체험부스 운영,
기후기술 공유 및 투자유치를 위한 컨퍼런스 개최 등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해 출연(연) 간
원활한 기술교류 및 기술금융 연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출연(연)의 연구성과 확산에 기여
하였다.
또한 기후・자원・생태 R&BD 촉진을 위해 현대차 정몽구 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출연(연)이 개발한 연구성과가 사회적으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협력체계를
마련하였다.
∙45∙
이러한 연구성과 확산 노력과 함께 과학기술인의 자긍심 고취 및 우수성과 창출을 독려
하고자 ’22년 창출된 본원 성과(장관상 대상) 및 지역조직 성과(이사장상 대상)를 대상으로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장관상 10점, 이사장상 5점)를 선정・시상하였다.
아울러 출연(연) TLO 및 연구인력의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해 전략형 TLO 교육(18명
수료) 및 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창업 교육(21명 수료)을 기획・운영하는 등 출연(연)의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다.
11) 출연(연)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
모든 경계가 붕괴되고 융합하는 초융합화 시대에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복잡성도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실질적인 문제해결
성과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다. 최근 협력 중심의 연구생태계는 전통적인 지식 및 기술의 공공
이전(transfer) 방식에서 벗어나 지식의 공동생산(co-creation of knowledge)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다양한 부문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 연계시스템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전환, 거버넌스 개편 등이 함께 추진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하여 연구회는 소관 출연(연)을 중심으로 융합을 통한 더 큰
도전과 혁신에 퀀텀점프를 이룸으로써 대한민국이 당면하고 있는 국가・사회적 현안에 기여하고자
융합연구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표 2-8>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구분 융합연구단 창의형 선행융합연구 융합클러스터
개요
국가・사회 현안해결 및
신성장분야 핵심기술 개발
도전・창의적 연구 및
연구성과 고도화
연구 주제 및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선행 연구
출연(연) 및 산・학・연
연구자 간 교류의 장 지원
추진
현황
’14∼’23년 27개
’23년 12개 수행중
’14∼’23년 67개
’23년 30개 수행중
’17∼’23년 82개
’23년 32개 수행중
’14∼’23년 245개
’23년 76개 수행중
※ 수행중 과제 : ’23.1.1∼’23.12.31 기간 중 수행한 융합연구과제
연구회는 2023년도 기준 150여 개 융합연구 및 융합기획과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On-site,
책임평가위원, 무빙타겟, IP-R&D, 기관부담금 등 융합연구에 특화된 제도를 운영하여 출연(연)
융합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융합연구사업을 통해 약 2,900여 명(누적 32,000여
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산・학・연간 활발한 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형성뿐만
아니라 연구내용 공유, 성과확산 및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까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46∙
다. 향후 계획
1) 이사회・기관장 선임, 경영협의회 등 위원회 개최・운영
월 1회 이상의 이사회 개최를 원칙으로 격월 단위의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를
통해 소통과 공감 기반의 효율적인 출연(연) 운영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임기만료
예정인 이사회 임원 및 약 10여 명의 출연(연) 기관장 선임을 추진할 계획이다.
2) 고경력 지원・활용 활성화
연구회는 ‘고경력 과학기술인 경력경로 소프트랜딩 추진과제’의 순차적인 이행을 추진하는
한편 ‘은퇴 과학기술인 연계 플랫폼 설계방안’ 정책연구를 통해 고경력 과학기술인 지원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출연(연)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기술역량의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출연(연)의 R&D혁신 리더급 핵심인재
확보전략 및 국가전략기술 육성정책에 부합하는 인력운영을 위해 핵심인재 유치・활용을 위한
제도를 기획할 예정이다.
3) 안정적 연구환경 지원
연구회는 1998년부터 도입된 고용계약제(3년 단위 재계약)의 법적 정합성 여부 등 개선 필요
부분이 없는지 검토하여 고용불안감의 해소를 통해 연구환경 안정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고용안정성의 보장과 함께 저성과자에 대한 관리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연구자의
개인역량 제고 및 성과관리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4)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연구회는 2024년에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의 지원규모를 143명, 예산을 90.6억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해외 네트워킹 지원 프로그램 기획・운영 등을 통한
연수지원 프로그램 고도화로 사업운영 효과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박사후연구원들의 R&D
경력개발과 연구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전문교육 및 연수성과 교류회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5)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활성화
출연(연) 공동기술마케팅 수행, TLO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등을 통해 출연(연)의
연구성과 확산 역량을 제고하고, 출연(연) 기술창업 교육 수료자 중 유망 기술 사업화 계획을
∙47∙
수립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창업 컨설팅 지원까지 연계함으로써 출연(연)의 공공기술 사업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출연(연) 사업화공동추진을 통해 바이오 분야의 대형성과 창출과 융합형 창업 기획을
주도하는 데에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6) 출연(연) 거버넌스 및 기능 조정
연구회는 연구기관 및 부설기관의 설치・운영・이관 등에 관하여 발생하는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특히 ’24. 1월 우주항공청 특별법 제정에 따라 연구회 소관연구기관인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의 소관부처가 우주항공청으로 변경 예정(’24. 5.)에 따라,
안정적인 이관을 위한 사전검토 및 관련 조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타 출연(연) 거버넌스
및 기능 조정 이슈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48∙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가. 예산 배분・조정 체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과기
정통부에서 배분・조정한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예산요구서를 각 부처로부터
제출받아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배분・조정 내역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를 기획재정부에 알려야 한다. 기획재정부는 정부 재정규모 조정 등을 고려
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와 그 외 일반적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부 연구개발 예산안을 편성한다.
과기정통부의 심의를 거치는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5년 이상의 중장기 대형 국가
연구개발사업,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기초과학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시설・장비 구축
사업, 출연(연) 주요사업비 및 운영경비 등이 해당하며, 기획재정부가 심의하는 일반 국가연구
개발사업 예산은 인문사회 연구개발, 국공립 연구기관 운영경비, ODA 등을 포함한다.
나. 예산 배분・조정 절차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에 따라 관계 부처에서 차차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우선
순위에 대한 의견과 중기사업계획서를 과기정통부와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면, 과기정통부는
이를 검토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을 수립하고 관계
부처와 기획재정부에 알린다.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의 가이드라인이자 관계 부처에서 예산요구서 작성 시 기준이 된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산안 편성지침과 중앙관서별 지출한도에 따라 관계 부처가 예산요구서를
∙49∙
5월 31일까지 제출하면, 과기정통부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을 실시한다. 과기
정통부 배분・조정 시에는 기술 분야별 효율적・전문적인 예산 심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법 시행령 제9조에 따른 전문위원회의 사전검토를 거치며, 2023년에는 29개 부처・
청에서 제출한 2024년 예산안에 대해 7개 기술분야 133명의 전문위원들이 심층 검토하였다.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50∙
2.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
가. 투자방향 개요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제5항에 따라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예산 배분・조정의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투자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투자방향 수립에 앞서 과기정통부는 부처별로 다음
연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를 제출받아,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부처 간
협의・조정 등을 거친다. 2024년 투자방향 수립 시에는 민간기업 CTO로 구성된 민간R&D
협의체, 과학기술 주요학회와 대학 연구자, 직할・출연연구기관 등 산・학・연의 다양한 연구개발
수행 주체로부터 폭넓게 의견을 수렴하였다. 아울러 관계부처 협의와 함께 대국민 온라인
공청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정책고객을 대상으로 소통을 강화하였다. 투자방향은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 후 관계부처에 통보된다.
나. 2024년도 투자방향 주요 내용
2024년 투자방향에서는 임무 중심의 전략적 투자와 적극적인 민・관 협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성장과 경제도약의 기반 확충을 위해 3대 분야 8대 중점투자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술주권 확립과 미래성장기반 확충을 위해 ➊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12대 국가전략
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➋창의・도전적 기초연구 지속 지원과 과학기술 인재확보 방안 다각화,
➌미래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 주도를 위한 선제적 투자 등을 중점 추진한다.
다음으로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 대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➍전 산업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국가 생산성 혁신, ➎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미래기술 확보 및 신성장동력化,
➏기업 주도 국가 혁신성장을 위한 도전적 투자 등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을 통해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확충하고자, 지역의 산・학・연 연구거점
육성 등 지역의 자강적 혁신기반 조성과 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한 정부R&D 역할도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예산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과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R&D 투자시스템
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먼저, 2050 탄소중립 달성과 12대 국가전략기술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임무중심 통합형
예산배분」을 추진한다. 탄소중립과 국가전략기술 분야는 범부처 전략로드맵과 연계하여 부처 간
칸막이를 넘어 통합적 관점에서 예산 배분・조정이 추진된다.
또한, 민간의 수요가 정부 연구개발투자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상시적 협력체계를 강화해
∙51∙
나가는 한편, 민・관 협력 사업을 예산에 우선 반영하는 등 민・관 협력투자도 강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림 2-6]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52∙
3. 2024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가. 주요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결과(’23.8월 기준)
과기정통부가 수행한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 국가R&D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혁신적R&D 집중투자와 대한민국을 이끌 미래세대 육성
강화 등 윤석열 정부의 국정철학에 부합하는 주요 연구개발사업(이하 ‘주요R&D’) 예산 21.5조
원이 반영되었다. 예산배분・조정 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 최고 수준을 지향하는 혁신R&D에 집중 투자한다. 보스턴 바이오협력 프로젝트
등 국내외 우수그룹 간 세계최고 연구, 글로벌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와 협력하는 글로벌
R&D지원을 확대하고, 젊고 유능한 연구자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외 선도연구 참여와 초기 실험실・인프라 조성 등을 파격 지원한다. 또한, 첨단바이오, 인공
지능, 사이버보안, 양자, 반도체, 이차전지, 우주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는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국가 임무수행을 위한 필수 R&D에 지속 투자한다. 국방 분야는 국가 안보에 직결되는 무기
체계 기술개발 고도화와 필수요소 기술의 적기 확보가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공R&D 분야는 재난・안전, 과학수사 등 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일선현장에서 꼭 필요한
기술에 중점 투자한다. 탄소중립 분야는 철강, 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의 저탄소전환과
직결된 기술확보, 수소기술 등 핵심 R&D를 중심으로 투자하고, 사업화 분야는 공공기술
사업화나 첨단기술 분야 초기창업 등을 중심으로 지원한다.
R&D 투자의 비효율을 개선한다. 기업 보조금 성격, 나눠주기식, 관행적 추진, 유사중복
사업 등은 이번에 강도 높게 구조조정하였으며, 재정집행점검을 통해 추가적인 구조조정도
계속한다. 또한, 단기 현안 대응을 위해 최근 몇 년간 예산이 급증한 분야는 임무 재설정 및
예산 재구조화를 통해 투자를 내실화하였다. 이를 통해 경쟁 없이 가져가는 R&D, 한 번 증가
하면 줄어들지 않는 경직적 예산 구조 등 예산 급증에 따라 나타난 비효율과 부작용들이 전반적
으로 조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 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최종 확정 결과(’23.12월 기준)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년 정부 연구개발예산(주요+일반) 편성 규모는 총 25.9조
원으로 국회 심의단계를 거쳐 26.5조 원 규모로 최종 확정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연구자들의 안정적 연구를 지원하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에 전년대비 1.7%
증가한 2.63조 원을 투자하고, 젊고 유능한 연구자 파격 지원에 전년 대비 54.6% 증가된
∙53∙
0.8조 원을 지원한다. 보스턴 바이오협력 프로젝트, Top-tier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등 국내외
선도그룹 간 세계 최고 연구 등 대형성과 창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R&D는 전년대비 258%
증가한 1.8조 원으로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다. 첨단바이오, AI, 반도체, 이차전지, 양자・우수
기술 등 국가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기술의 신속한 내재화, 초격차 유지 지원 등을 위한
국가전략기술에는 전년 대비 7.3% 증가한 5조 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그림 2-7] 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 중점 투자분야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과기정통부는 한정된 재원 여건 속에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심화, 수출부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에 대응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정부
R&D 투자시스템을 개선하여 투자의 전략성과 효과성을 높여가고 있다.
먼저 민・관 협업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분야별 선도기업으로 구성된 민간R&D
협의체를 2023년에는 11개 분과 170여 개社 참여로 확대하였다. 민간R&D협의체 운영을
통해 발굴한 기술 수요는 관련 부처에 전달하여 신규사업으로 기획하고, 예산 심의 과정을 통해
반영하고 있다. 기술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가 R&D 투자의 전략성과 효과성 제고를 지원할
국가기술전략센터도 2022년 2개에서 2023년에는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국방, 양자 분야 등
4개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54∙
[그림 2-8] 민간R&D협의체 현황
연구개발 투자의 전략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기술・정책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수립
하여 예산 배분・조정에 연계하고 있다. 5년간(2023~2027) 연구개발 투자의 중장기 방향성을
담은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을 2023년 2월에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른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한다.
국가 차원의 문제해결이 필요한 분야의 전략적 투자를 위해 부처 간 칸막이 없는 범부처
통합형 R&D 예산 배분・조정을 시행한다. 2024년 예산 배분・조정 시에도 국가전략기술 등
통합적 목표 달성이 중요한 분야에 대해 연구의 혁신성, 정부지원 필요성, 재원배분의 전략성
등을 기준으로 부처 간 칸막이 없이 전체사업을 원점 검토하여 투자의 비효율성을 제거하였다.
∙55∙
제2절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1.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연구개발 예타’)는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면서 국비 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실시한다. 연구개발 예타의 목적은 신규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통해 신규투자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조사한다. 기본적으로 예타를 신청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대상선정 단계로써 「과학기술
기본법」 제12조의3에 따라 기술성을 평가받으며, 평가결과 적합으로 판명된 사업에 대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예타 대상선정은 기술개발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구체성, 기존사업의 유사・중복성, 국고 지원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연구개발 예타 대상에 적합한
사업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대상선정 결과 적합으로 판정받은 사업은 7개월 내외의 본격적인
타당성조사를 실시한다. 타당성조사는 전문 조사기관이 수행하며, 조사 시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진이 구성되어,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수행한다. 조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종합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 상정하게 되면 해당 사업의 예타는
마무리된다.
연구개발 예타는 SOC 등의 재정사업과 함께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하였으나, 「국가재정법」
제38조의3이 신설되면서 2018년 4월 17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업무가 위탁되었다.
업무위탁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 예타의 과학기술적 전문성을 높이고 연구개발
사업의 특성(비정형성, 결과의 불확실성, 효과의 잠재성 및 간접성 등)을 반영한 제도를 안착
시키는데 주력하였다. 2022년 9월 그동안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어 왔던 예타 기준
금액 상향, 경직적인 사업운영의 개선, 보다 빠른 사업추진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졌고, 이를 반영하여 ‘유연성 확대’, ‘적시성 강화’ 등을 위한 7대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
하고 2023년 예타 추진 시 적용하였다. 또한, 도전・혁신적 사업 활성화, R&D 제도 혁신 등
내용을 담은 2023년 11월 R&D 혁신방안에 발맞춰 연구개발 예타 본연의 재정 효율성 기능을
제고하면서 효율적이고 혁신적 기술 발전을 촉진하도록 2023년 12월까지 재정당국 협의,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 공청회를 거쳐 2024년 1월 예타 제도개편안을 추가 마련하였다.
∙56∙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2022년 연구개발 예타 제도개선 사항 현장안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획재정부로부터 연구개발 예타 제도를 위탁받은 이후 여러 번의
제도개선을 통해 연구개발사업의 특성에 맞는 예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왔지만, 예타
접수 시부터 사업시행까지 장기간이 소요되거나, 예타 통과사업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등 제도운영에 일부 아쉬움이 존재했다. 이에
2022년 9월 16일 7대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2023년 3월 관련 지침 개정을 거쳐 실
예타에 적용하여,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좀 더 유연하고, 적시에 대응할 수 있는 예타로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단계별 구성이 많은 중장기 사업(단계형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기획 시 구체화가
어려운 후속단계는 계획의 구체성 요건을 완화하였다. 이를 통해 후속단계 사업 구성이 예타
조사시점에 확정되기 어려운 도전적인 사업도 초기 계획이 합리적이라면 초기 단계 개시가
가능하도록 조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기술이 지정된 사업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연구개발 예타 제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기술을 특정할 수 없는 사업(기술비지정형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조사지표를
마련하고 보완설명서를 2023년 3월 발간하였다.
또한 예타를 통과한 사업들도 기술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업의 지속적인 질적 제고가
가능하도록 사업계획의 변경을 허용하였다. 사업 운영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계획변경이 논의될
수 있도록 예타 결과보고서에 정책제언으로 관련 내용을 제시하고, 임무중심형 사업들은 사업
시행 중이라도 사업계획 변경이 필요한 경우 특정평가를 통해 계획변경을 허용하는 절차를
2023년 6월 마련하였다. 2024년 후보사업을 선정하고 약 5개월간 특정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연구개발 예타 기준을 상향하고, 대형・중장기 사업은 사전평가를 강화하여 투자의 건전성을
제고한다. 적정규모의 사업은 예타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예타 기준 금액은 500억 원
에서 1,000억 원으로 상향을 추진한다. 현재 관련 조항을 담은 국가재정법 개정안이 국회 계류
중으로 국가재정법이 개정되면 연구개발 예타 관련 지침을 후속 개정할 예정이다. 그리고 투자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총사업비 1조 이상이면서, 사업기간이 6년 이상인 대형사업은 사전검토
기간을 2개월로 확대하고, 사전검토 결과 사업계획 등에 재검토의 필요성이 확인된 경우 예타
접수를 보류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2023년 동해가스전 활용 CCS실증, 지역특화산업육성3.0,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 3개 사업에 대해 전문가 사전검토를 추진하였다.
임무중심형 R&D 등 주요 정책 관련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예타 기간을 7개월에서 4.5개월로 단축하였다. 대상사업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57∙
총괄위원회 의결 등을 통해 시급한 조사의 필요성이 인정된 주요 정책 관련 사업으로, 총사업비
3,000억 원 이하이고, 사업기간이 5년 이하인 사업 중 내역사업이 3개 이하로 구성되고, 각
부처 R&D 총괄 부서에서 자체 타당성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하였다. 2023년 국가전략
기술 사업인 이차전지, K-UAM 사업 2건에 대해 신속조사(Fast-Track)를 통해 4.5개월 이내
완료하였다.
2) 연구개발 예타 제도 추가 개편
정부 R&D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
하기 위해 정부는 2023년 8월 22일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 11월 27일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이에 발맞춰 예타 본연의 재정 효율화 기능을 강화함과
동시에, 혁신적 기술 발전을 촉진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예타 제도 개편방안을 수립하였다.
2023년 12월까지 재정당국, R&D 전문가, R&D 수행기관 및 관계부처 의견을 수렴하고 12월
12일 공청회를 개최하여 크게 3가지 안을 담은 「R&D 예타 제도 개편방안」을 2024년 1월
16일 최종 확정・발표하였다.
먼저, 재정 효율 제고라는 예타 제도 본연의 취지를 고려하여 예타 신청 부처가 자율과
책임하에 실천 가능성 있는 재원 조달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각 부처는 신규 가용재원 내에서
사업별 우선순위에 따라 예타를 신청하고, 예타가 통과한 경우 소관 부처별 지출한도 내 예산으로
편성하도록 하여 과도한 R&D 예산 증액을 방지한다.
아울러, 각 부처가 고유 임무로 수행하는 예타 규모 미만(500억 원 미만) 연구개발 사업들을
통합・재기획한 계속사업도 예타 대상으로 인정하여, 연구개발 사업 파편화로 발생한 사업관리
및 기획・평가 행정부담 등 비효율을 완화한다. 과거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타 전면 적용
(’08)과 대형・장기 계속사업 R&D 일몰제 도입(’15)으로 예타 규모 미만의 연구개발사업이 급증
하고, R&D 연속성 저하와 사업관리 및 기획・평가 등 행정부담이 늘어나는 부작용도 있었다.
앞으로는 각 부처 고유 임무에 부합하는 계속사업 편성을 허용하며, 개별 사업마다 수행해야
했던 예・결산, 후속 사업기획, 성과평가 행정 등을 하나의 사업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 과도한 예산 지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 통과 후 주기적으로 사업 규모 및 계속 지원 여부에
대해 적절성 점검을 실시한다. 적절성 점검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와 시기적으로 연계
하여 행정부담을 완화한다.
∙58∙
< 현행 > < 개선방향 >
비예타 규모 A사업
비예타 규모 B사업
비예타 규모 C사업
비예타 규모 D사업
※ 사업종료/재기획 지속
유사・중복, 행정소요↑
통합・
재기획
사업규모 조정분
사업규모 조정분
사업규모 조정분
부처 고유 임무형 계속
(A・B・C・D 기능 통합)
사업
↑(편성) ↑(5년 주기) ↑(5년 주기) ↑(5년)
예타 적절성 점검 적절성 점검 적절성 점검
(사업
부처)
[그림 2-9] 예타규모 미만 통합・재기획 계속사업 예타 허용 개선방향
또한, 도전・혁신형 R&D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예타 조사를 합리화한다. 도전・혁신형
사업이면서 사전에 구체적 산출물 특정이 어려운 사업(기술비지정사업)의 경우 통과/탈락보다
예타 조사 과정에서 기획의 보완,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여 기획 완성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 그리고, 불확실성이 큰 R&D 특성을 감안하여 예타 조사진이 평가항목을 유연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조사원칙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기술변화에 시급하게 대응하기 위한 도전・
혁신적 R&D 사업에 대한 예타면제 근거도 명확화하여 예타면제를 적극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3) 교육 및 현장방문 등을 통해 효과적인 예타 제도 운영 도모
연구개발 예타 제도의 신속한 현장 안착,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부처의 효율적인 예타
준비 지원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부처 및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교육 및 현장방문을 수행하였다.
특히 연구자, 전문기관 등 연구개발 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역별・권역별로 연 상/하반기에
걸쳐 대면 교육을 총 5회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예타 진행 사업별로 수혜 및 지원 대상 시설, 지역 등 현장을 방문하여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관계 기업 간담회 등을 통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등
현장중심의 예타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예타를 통과한 사업도 현장방문을
추진하여 실제 운영에 필요한 세부 추진계획을 점검하고, 사업 추진 상의 어려움 등을 경청하는
등 사후 모니터링 활동도 강화하였다.
∙59∙
[그림 2-10] 연구개발 예타 현장방문・기업간담회 및 교육사진
다. 향후 계획
「R&D 예타 제도 개편방안」에 따라 2024년 3월 관련 규정 개정을 완료할 예정이며, 도전・
혁신형 사업의 발전적 예타 적용, 예타면제 적극 검토 등을 2024년 3월 1차 예타 사업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부처 고유임무형 계속사업의 통합・재기획 사업 접수는 2024년 7월부터
접수를 시작하여 2025년 예산안 마련과 연계하여 예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위탁
이후 두 번째 기재부의 위탁운영평가 결과가 2024년 5월에 확정 예정되어 있는 바, 평가 결과
및 제도개선 요구사항 등을 적극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예타 제도개편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2.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개선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의 주무 부처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연구성과평가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와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과제평가에 대해서는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을 마련하여 관계부처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 활동을 성과 중심으로 평가함으로써 연구
개발투자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21년부터
∙60∙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에 따라 평가에 대한 자율성과 평가결과
공개를 통한 책임성 강화, 국가 차원의 전략성 제고 및 일관된 평가체계 구축, R&D 성과가치
다양성 존중 및 경제・사회적 기여 제고, 정보의 활용・축적을 통한 데이터 기반 정성평가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표 2-9>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구분 내용 결과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평가
착수
단계
전략계획
(부처)
점검
(과기정통부)
예산 반영
및
제도개선
(과기정통부)
수행
단계
중간평가
(부처)
점검
(과기정통부)
특정평가 (혁신본부)
성과 관리
종료
직후
성과 관리・활용
계획 수립
(부처)
점검(과기정통부)
ㅇ
종료 후
5년
효과성 분석
(부처)
점검(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
과제
과제평가 표준지침 운영(과기정통부)
과제
운용・활용
(부처, 전문기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기관운영 및
연구사업 계획
(부처・연구회)
자체평가
(부처・연구
회)
상위평가
(과기정통부)
기관개선,
기관장연봉 반영
(부처, 연구회)
2022년에는 ‘제4차 성과평가 기본계획’에 따라 「연구성과평가법」을 16년 만에 전부 개정하여
제4차 기본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 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2023년에는
사업 자체평가에 상대평가를 도입하고, R&D 특성에 따른 맞춤형 평가제도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아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R&D 비효율을 개선과 혁신・
도전적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제도적 개선을 추진하였다.
∙61∙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사업평가의 실시
가) 중간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는 연구개발의 투자효율성 확보, 성과 창출 및 활용 제고를 위해
사업 중간 단계에서 실시하는 평가로 사업의 성과목표달성도와 성과우수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
이다. 2023년 중간평가는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 및 부처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으로 운영되었다. 부처는 2023년 중간평가 지침에 따라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사업 소관부처의 자체평가 과정, 근거 및 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총 2회에 걸쳐
점검(상위점검)하였다. 2023년도는 2022년도와 마찬가지로 상위점검 결과 ‘부적절’ 사업은
사업부처가 스스로 ‘재평가’를 통해 점수와 등급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체평가 관대화
최소화 및 변별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평가등급 체계(3단계, ‘우수’-‘보통’-‘미흡’)는 유지하되
부처 자율로 평가등급 배분 비율(‘우수’ 10~30% 이내, ‘미흡’ 10% 이상)을 설정하고 그 사유를
자체평가계획에 제시하여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2022 2023
등급
기준
[3단계]
등급 우수 보통 미흡
점수 85이상
85미만
~
70이상
70미만
※ 우수의 30%
이상
[3단계]
등급 우수 보통 미흡
점수 85이상
85미만
~
70이상
70미만
※ ‘우수’ 10~30% 이내, ‘미흡’ 10% 이상 부처 사업별 적정
등급비율 자율 설정
2023년 중간평가는 자체평가 계획에 근거한 부처의 평가 자율성 확대 및 책임성을 강화하고,
평가등급 비율의 자율 설정・배분을 통한 자체평가 변별력을 제고하여 차년도 예산 연계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환류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처 단위로 자체평가 계획의
준수 여부를 점검한 후 계획을 준수하지 않은 부처의 소관 사업을 상위점검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체평가 과정, 근거 및 결과의 적절성을 총 2회에 걸쳐 점검하였다. 그 결과, 각 회차별 적절성
점검 통과율은 1차 점검 16.5%, 2차 점검 90.1%로 1차 점검 대비 2차 점검 통과율이 큰 폭
으로 향상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평가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해당 년도에 종료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중간평가를
면제하였고 사업의 성과창출시기를 고려하여 3년을 주기로 평가하였다. 특히, 기초연구 사업
유형에 대해서는 사업 착수 4년차까지 평가를 미실시하도록 하여 기초연구사업에서의 성과창출
시기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62∙
2023년 R&D 중간평가는 19개 부처 총 174개 세부사업(’22년 예산 4조 8,355억 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 사업별 소관 부처가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에 대해, 부처 단위의 자체평가
계획의 준수 여부를 점검한 후 계획을 준수하지 않은 부처의 소관 사업을 대상으로 적절성 점검
(상위점검)을 실시하였다. 최근 3년간 연평균 투자액 30억 원 이하 소규모 사업 및 다부처 사업은
상위점검을 제외하되, 소규모 사업 중 ‘우수’ 등급 사업은 우수성과 관리・확산 및 유공 포상
사업 선정을 위해 상위점검 실시 대상에 포함하여 5개 부처 총 97개의 사업에 대해 1차 상위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16개 사업이 적절성을 인정받았다(16.5%). 부적절 사업으로
판정된 81개 사업은 해당 사업 소관 부처가 스스로 점수・등급을 조정하였고 재평가 결과에
대해 2차 상위점검을 실시하여 최종 점검 결과 총 97개 대상 사업 중 적절 사업은 89개로
우수 등급 25개(25.8%), 보통 등급 63개(64.9%), 미흡 등급 1개(1.0%)이며, 부적절 사업은
8개(8.3%)로 사업 소관 부처가 제출한 점수・등급을 불인정하였다.
특히, 각 사업별 소관 부처가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 미흡 사업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실시한 상위점검에서 ‘부적절’ 판정을 받은 사업은 평가결과에 따라 예산 배분・조정 등에
연계함으로 2023년 R&D 중간평가에 대한 환류 및 활용의 효과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 ‘우수’ 사업의 연구자 및 연구지원(행정원)에게는 훈・포장 등을 포상하여 연구원의 사기
진작과 그간의 연구 활동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표 2-10>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평가 및 상위점검 결과
구분
대상
사업 수
(개)
최종 결과
적절(개, %)
부적절(개, %)
우수 보통 미흡
2023년
자체평가
97
29(29.9%) 67(69.1%) 1(1.0%) -
상위점검 25(25.8%) 63(64.9%) 1(1.0%) 8(8.3%)
나) 특정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평가 대상 사업을 직접 선정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정책・예산에 환류하는 평가이다. 2023년에는 인체 감염병(진단・백신・
치료제) 사업군과 핵심재정사업 성과관리를 위한 양자R&D(양자컴퓨팅) 특정평가를 수행하였고,
평가 목적에 맞는 전략적 평가를 위한 평가 트랙을 세분화하였다.
인체 감염병(진단・백신・치료제) 사업군 특정평가의 경우 정책 제언, 사업간 연계・조정에 대한
평가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양자R&D 특정평가의 경우 사업 성과의 조기 달성을 위해 필요한
지원사항 위주로 평가 의견을 제시하며 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개선적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했다.
∙63∙
한편, 평가 트랙 세분화의 경우 국가전략기술이나 혁신・도전형 R&D 등 국가연구개발 사업
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평가 체계 마련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
으로, 2024년 연중 이를 구체화한 가이드라인을 공개할 예정이다.
2023년 하반기는 현안 이슈 등을 고려하여 다부처 사업군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재 평가가 진행 중이고, 반도체 분야와 원자력 분야에서 핵심재정사업 성과관리를 위한 특정
평가를 수행할 예정으로 현재 착수 준비 중이다.
다) 전략계획서 점검
사업 전략계획서 점검은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에 따라
사업 부처가 수립한 ‘성과목표・지표’를 ‘전략계획서’로 대체하여 추진되었다. 「연구성과평가법」
제6조(사업 전략계획의 수립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사업 전략계획의 제출) 및 제4조(사업
전략계획의 점검)에 근거하여 각 사업부처가 사업 추진 시 사업개요, 전략목표, 성과목표・지표,
평가계획을 담은 전략계획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업
기획-전략목표-성과목표-성과지표 간의 연계성을 점검한다. ‘전략계획서’는 기존 성과지표의
목표치 달성 여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성과평가를 개편하여 성과목표 달성도 중심으로 사업
기획의도에 따라 사업을 수행했는지 정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신규 도입되었다.
각 부처는 전략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전략계획서를 작성・제출하고 과학기술정보
통신부가 사업개요, 성과목표・지표, 평가계획 등 적절성 여부를 점검한다.
금년 전략계획서는 2023년도 신규사업(194개), 2024년도 중간평가 대상사업(40개) 및 부처
수요사업(26개) 등 24개 부처 총 260개 사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점검을 실시하였다.
특히, 전략계획서 점검 효율화를 위해 점검항목의 간소화(12→7개)를 추진하여 사업별 ‘사업
개요(2)’, ‘성과목표(2)’, ‘성과지표(2)’, ‘평가계획(1)’ 등 4개 항목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되, 1차
점검 시 총 6개 사업이 점검 기준을 충족하여 ‘완료(적절)’로 점검을 종료한 바 있고, 미완료 사업
전체를 대상으로 2차 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63개 사업을 ‘완료(적절)’로 점검을 추진하였다.
2차 점검 결과 미완료 사업 총 191개를 대상으로 3차 점검을 실시하여 2023년도 전략계획서
점검 대상 사업 모두 ‘완료(적절)’로 점검을 종료하였다. 향후 사업 소관부처는 최종 점검 완료된
전략계획서를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평가를 실시하게 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하는
적절성 점검 시 기초 자료로도 활용된다.
2) 기관평가의 실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는 출연연구기관의 발전과 역할・책임(R&R) 수행을
∙64∙
효율적으로 지원・유도할 수 있도록 기관 특성을 반영해 연구 부문 및 기관운영 부문을 각각
평가하는 체계이다. 출연연구기관이 중장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2019년 기관평가 제도
개선을 통해 종합평가에서 연구사업평가와 기관운영평가를 분리하고, 기관별 특성을 반영해
연구사업에 대한 평가 주기를 차별화(3년 → 3・5・6년)하였다. 2021년에 기관장 임기 동안의
연구 및 연구지원부문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던 임무중심형 종합평가 체계가 종료되며
2022년부터 이원화된 평가 체계가 본격적으로 적용되었다.
2023년도 기관평가는 피평가기관의 평가부담 완화 및 비효율 해소, 계획서 수립 및 평가의
전문성 강화를 목적으로 제도 개편이 추진되었다. 우선 부설기관 등 소규모 기관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정원 및 예산이 하위 25% 이내 연구기관(’23년 기준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항목 및 방법을 간소화하였다. 기관운영 부문에서는 현안대응영역의 3개 세부평가항목 중
기관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평가항목을 선별해 주요 성과만 평가하도록 하였고, 기관장
기여 우수성과는 1개 대표성과만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구사업 부문에서는 연구
결과의 영향력 평가를 면제하여 관계부처・연구회 및 연구기관의 호응을 얻었다.
또한 평가의 자율성과 책임성 제고를 위해 상위평가에서 출연연구기관 단위로 이루어지던
자체평가 결과의 적절성 평가(35점 배점/총 100점)를 폐지하고, 자체평가의 절차・체계의 적절성
및 기관발전방향 제시의 충실성 중심으로 점검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세계 유수의 해외 석학・
전문가 평가 참여 유도를 위해 상위평가 가점 항목(+5점)으로 ‘평가의 글로벌 다양성’을 신설
하여, ’23년도에 원안위 소관의 원자력안전통제기술원 자체평가에 최초로 해외 석학이 참여하여
상위평가에서 가점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출연연구기관의 기관의 고유 임무 및 역할과 책임(R&R)에 따른 기관운영계획서 수립
지원을 위해 기관운영계획 상위점검을 신설하였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분과별 상위점검단이
소관 기관의 특성을 고려해 자체점검의 적절성 및 기관발전방안 제시의 충실성을 중심으로 2주
동안 점검・컨설팅을 수행한다. 2023년도에는 3개 부처, 총 14개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상위
점검이 이루어졌다.
2023년도 기관평가는 총 기관운영부문 17개 기관, 연구사업 부문 1개 기관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2023년부터 2024년 5월까지 기관장 교체 예정인 17개 기관이 기관운영평가를
기관장 임기 만료 시기가 비슷한 기관별로 묶어 연 3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의 2개 기관, 연구회 소관의 1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의 1개 기관, 연구회 소관의 2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3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의 2개 기관, 방사청 소관 1개 기관, 연구회 소관 8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그리고 연구사업 평가 주기가 도래한 원안위 소관의 1개 기관을 대상으로 9월∼’24년
1월까지 연구사업평가를 실시하였다.
∙65∙
2023년도 기관평가 결과, 매우우수 1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우수 8개(국가보안기술연구소,
극지연구소, 울산과학기술원, 한국재료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연구사업)), 보통 9개(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국가
수리과학연구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철도
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관이 평가 등급을 받아,
자체평가 및 상위평가를 거쳐 그 결과가 최종 확정되었다. 평가 결과는 국과가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보고하고,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한다.
3)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년마다 수립되는 성과평가 기본계획에 따라, 국가연구개발 사업평가
및 기관평가 등에 대한 세부 실시사항을 담아 매년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23년도에는
사업평가에 상대평가 도입, 기관평가에 평가위원 전문성 강화, 과제평가 표준지침 개정 계획
등을 담아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을 수립하였다.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사업
평가에 상대평가를 도입하고, 전략계획서 점검과정을 성과지표 중심으로 효율화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2024년도부터 소관 부처가 수행하는 사업 자체평가에 상대평가를 도입하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부처가 자율적으로 성과 부진사업을 자체 조정하고 우수사업을 확대토록 유도
할 예정이다. 또한 전략계획서 점검항목을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등 실제 평가에 중점적으로
활용되는 점검항목 중심으로 효율화하였다. 특정평가의 경우는 실패 가능성이 큰 전략적・도전적
R&D에 대한 맞춤형 평가 트랙 등 도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두 번째로, 기관평가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기관평가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키로
하였다. 상위평가 항목의 경우 기관평가 평가위원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자체평가위원 전문성
제고 활동의 충실성’을 포함하도록 개편한다. 실적 허위 기재 등 평가 부적절 행위 기관에
대해서는 평가 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기관 평가에 대한 평가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4년에는 11개 기관에 대한 기관운영평가와 8개 기관에
대한 연구사업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세 번째로, 과제평가 제도 운영 및 평가기반 관리・운영을 지속한다. 그간 연구현장에서 제기된
제도 개선 필요 사항을 반영하여 과제평가 표준지침을 개정하고, 변경된 개정 사항에 대한 현장
이해도 제고를 위해 전문기관 대상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성과평가정보시스템
(PEIS)을 통해 전주기 평가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66∙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에 따라 개편된 평가제도를
바탕으로 사업평가와 기관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업평가의 경우 부처별 자체평가 단계에서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해 상대평가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위 점검을
통해 자체평가의 적절성을 점검할 예정이다. 기관평가는 올해부터 상위평가 시 자체평가위원
전문성 제고 활동의 충실성을 함께 평가할 예정이며, 개정된 표준지침의 현장 이해도 제고 및
활용촉진을 위해 전문기관 대상으로 설명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 창출을 촉진하고, 성과평가 결과의 환류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평가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과학・기술・경제・사회적 성과의 효과적인
관리・활용을 위한 지원 체계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방향, 성과정보
활용체계에 관한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연구성과의 체계적
관리와 효율적 활용을 지원하는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을 지정・운영하는 한편, 연구
성과 실용화 촉진이라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철학을 구현하기 위해 분산된 연구개발성과의
통합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범부처 통합성과활용플랫폼’ 구축 계획을 마련하였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여 연구개발 효과가 우수한 성과를 홍보함으로 국민의 연구성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있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구
성과를 관리・활용하도록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의 수행을 관리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정부 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평가 및 성과관리 측면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에 대한 실태 조사・분석을 실시하여 관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연구자의
연구의욕 고취와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 기술료 제도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2023년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4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2021~2025)’(이하 ‘제4차 기본
계획’)을 이행하기 위하여 매년 범부처 성과관리・활용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23년에는
∙67∙
①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연구성과 관리체계 마련, ②연구개발성과 활용을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 ③수요자 중심 성과관리・활용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혁신의 세 가지로 주요
추진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제4차 기본계획의 3대 전략-10대 과제 달성을 위해 37개 세부
과제에 대해 15개 부・처・청의 추진계획을 종합하여 ‘2023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을
마련하였다.
2)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성과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 제고를 위하여 논문, 특허, 보고서
원문, 연구시설・장비 등 10개 연구성과에 대해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이하 ‘전담
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전담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하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전담기관을 4개 분과로 그룹화하여 실적 및 계획을 점검하였으며, 모든 기관이
지정요건을 충족하고 실적・계획 보고 의무를 이행하여 지정을 유지하였다. 점검을 통해 도출한
개선요구사항 대응과 연구성과 관리・활용 제고 방안 논의를 위해 전담기관 실무협의회를 운영
하였으며 연구성과 수요・관리・공급자 간의 소통 강화와 효율적인 수집・관리・활용방안을 논의
하고자 전담기관-연구관리전문기관 협의회를 운영하였다. 협의회를 통해 발굴한 의견은 국가
연구개발 성과관리・활용 토대 마련을 위한 제도 개선에 반영할 예정이다.
<표 2-11>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연구개발성과 전담기관 관리대상(등록・기탁 기준)
논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내외 학술단체에서 발간하는 학술(대회)지에 수록된 학술논문(전자원문을 포함
한다)
보고서원문 연구개발 연차보고서, 단계보고서 및 최종보고서의 원문
특허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특허정보
연구시설・
장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취득한 3천만 원 이상(부가가치세 및 부대비용을 포함
한다)의 연구시설・장비 또는 공동활용이 가능한 모든 연구시설・장비
기술요약정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연차보고・단계보고・최종보고가 완료된 연구개발성과의 요약 기술정보
신품종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자원 중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농업용 신품종 및 관련 정보
소프트웨어
한국저작권위원회
창작된 소프트웨어 및 등록에 필요한 관련 정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생
명
자
원
*
생명
정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KOBIC)
서열・발현정보 등 유전체정보, 서열・구조・상호작용 등 단백체정보, 유전자(DNA)
칩・단백질칩 등 발현체정보 및 그 밖의 생명정보
생물
자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미생물자원,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수정란 등 동물자원,
식물세포・종자 등 식물자원, DNA, RNA, 플라스미드 등 유전체자원 및 그 밖의
생물자원
∙68∙
* 생명자원의 관리・유통 전담기관은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자원법’)」 제11조에 따라
범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가 지정되어 있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 하되, 생명자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생명자원법
제8조에 의해 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정한 기탁등록보존기관에 생명자원의 정보와 실물을 등록・기탁 가능
3) 범부처 통합성과활용 플랫폼 구축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74-2(질적 성장 중심의 R&D 전략성 제고)의
일환으로 축적된 연구성과의 활용을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 통합성과활용플랫폼’ 구축을 추진
하고 있다.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은 성과 전담기관과 IRIS의 부처・기관별 연구성과 관련 정보를 연계・통합
하여 하나의 사이트에서 성과정보를 검색・활용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서 기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의 구축에 대한 청사진으로서 2023년
6월 ‘국가연구개발 통합성과활용플랫폼 추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중심의 통합 DB를 구축한다. 그간 부처・기관별로 분산되어 관리되던 연구 성과
정보를 핵심 활용정보 중심으로 연계하여 통합 DB를 구축한다. 둘째, 통합성과 검색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합 DB를 바탕으로 One-Stop 통합 검색 및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하나의
사이트에서 필요한 성과정보를 한 번에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셋째, 성과 연계 활용・
확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구개발 성과가치를 높이는 성과활용・확산 생태계 구축하기
위해, R&D 수요자-공급자 매칭 서비스, R&D 후속과제 및 연계정보 전달, 기업 대상 관련
분야 연구자 추천 서비스 등 제공을 추진한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연구자, 기업 등 현장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여 서비스를 구체화
하는 한편,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의 기초설계, DB 구축 등에 착수할 계획이다.
4) 우수성과 100선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연구개발성과 전담기관 관리대상(등록・기탁 기준)
화합물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
합성 또는 천연물에서 추출한 유기화합물 및 관련 정보
표준
한국표준협회
「국가표준기본법」제3조에 명시된 국제표준(ISO, IEC, ITU), 국가표준(측정, 참조,
성문)으로 채택(등록, 고시)된 공식 표준정보(소관 기술위원회를 포함한 공식 국제
표준화기구가 공인한 단체・사실표준화기구에서 채택한 표준정보를 포함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측정표준서비스그룹
∙69∙
선정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정부지원을 받아 수행한 약 7만5천여 연구개발과제(2021년 기준)
중 각 부・처・청으로부터 추천받은 854건의 후보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우수성과 선정위원회에서 연구개발 효과 및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선정위원회는 총괄위원회 및 6대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산・학・연 전문가 총 100명의
평가위원이 기술 수준 향상 효과, 경제 활성화 효과 등의 세부기준에 따라 우수성을 심층 평가
하였다. 최종 후보로 선정된 성과는 정밀검증과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최종 100선으로 선정
되었다.
<표 2-12> 2023년도 우수성과 100선 분야별 최우수성과
분야 성과명 연구자 소속기관
기계・
소재
한국형발사체(누리호) 개발 성공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불 타지 않는 전고체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기술 개발 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
생명・
해양
초소형유전자가위기술 개발 및 기술수출 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알츠하이머병 가속병인인자 혈액 ASM의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체신약 개발 배재성 경북대학교
에너지・
환경
탄소중립 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 핵심기술 국산화 조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무급유 다단 원심 압축 기술 자기베어링을 적용한 대용량 다단계 원심식 냉매
압축 기술
이남수 LG 전자
정보・
전자
2차원반도체와 양자점을 이용한 고해상도 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 안종현 연세대학교
주석 기반 3차원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p형 트랜지스터 세계 최초 보고 노용영 포항공과대학교
융합
초고감도 카이랄 분자 측정기술 개발 이승우 고려대학교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당뇨 진단 및 당뇨 합병증 치료 시스템 한세광 포항공과대학교
순수기초・
인프라
구리 산화의 작동원리 규명 및 녹슬지 않는 초평탄 구리박막성장기술 개발 정세영 부산대학교
폐암환자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성 예측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연구성과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선정 과정에서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성과 온라인투표’ 절차를 운영하였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은 전자책
으로 제작하여 다수의 인터넷 서점에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였으며, 최우수성과에
대해서는 TV 방송프로그램 편성을 추진하고 별도의 홍보동영상을 제작하여 전국 약 8,000곳
에서 공공 전광판 홍보와 YouTube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를 진행하였다.
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활용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 상위점검을
실시하고 제도 시행 2년 차를 맞아 연구개발 현장의 의견을 토대로 제도를 개선하였다.
성과 관리・활용 계획 수립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한 다음 해에 실시하며 국가연구개발
∙70∙
사업의 추진결과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확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제도이다.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은 2022년도에 종료된 17개
부처, 114개 세부사업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이 중 12개 부처, 23개 세부사업에 대해 과학기술
정보통신부가 상위점검을 실시했다. 효과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한 후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5년 이내에 실시하며 사업 종료 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성과관리・활용 활동을 수행한
결과와 이에 따라 나타난 파급효과 등을 분석하는 제도이다.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효과성
분석은 2018년도에 종료된 6개 부처, 16개 세부사업에 대해 수행되었고, 이 중 3개 부처, 3개
세부사업에 대해 상위점검을 실시하였다.
두 제도가 수행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부 지침에 따라
성과관리・활용 계획을 수립하거나 효과성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 후 이를 부처 자체적으로 점검
하여 그 결과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한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출된 결과 중
일부에 대해 적절성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상위점검을 수행한다. 이때 상위점검 대상 사업은
국가 예산 투입 규모, 사업 기간 등 다양한 정보와 부처 간 협의 및 전문가 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부처별 30% 내외로 선정되었다.
제도 시행과정에서 「연구성과평가법」의 취지에 따라 계획과 효과성 분석을 통한 성과 향상에
중점을 두고, 부처 자체점검 책임성 강화 및 점검절차 효율화를 위해 자체점검 위원회를 의무화
하고 상위점검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자체・상위점검을 통해 성과관리・활용 계획과 효과성
분석 보고서에 대한 컨설팅 관점의 의견을 제시하고, 자체점검결과를 부처 계획 및 보고서에
반영하여 제출하도록 하여 점검결과의 환류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렇게 수행된 점검 결과는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성과관리・활용의 촉진이라는 제도 취지를 강조하기 위해 ‘우수’, ‘보통’
두 가지로 결과를 분류했다. 본 제도에서는 점검 결과를 종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
하는 부・처・청이 연구성과 관리・활용의 함의를 확인하고 정책방향 및 사업추진에 환류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제도 시행과정에서 발견한 함의와 다양한 사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해 관련 제도개선 및 계획 수립 등에 반영할 예정이다.
6) 연구관리 전문기관 지정・운영에 대한 실태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부터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23조(전문기관 지정・운영에 관한
실태조사 등)에 근거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중앙행정기관 및 주요 연구관리 전문
기관을 대상으로 전문기관 지정・운영에 대한 실태조사・분석(이하 ‘전문기관 실태조사’)을
실시하고 있다. 중앙행정기관별 전문기관 지정・운영 현황, 전문기관별 사업관리 현황 및 효율성,
기획과 성과관리 효율성, 수혜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 등의 조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71∙
2022년부터는 기관평가 목적의 고객 만족도 조사와 별개로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제공하는
연구관리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와 혁신적・도전적 R&D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대대적인 혁신이 논의되고 있으며, 2023년 전문기관 실태조사에서는
전문기관의 전문성・공정성・투명성 등 실태조사를 위해 ①PD, PM 등 연구사업관리 전문가
현황, ②기획 사업별 수요조사 현황, ③중간 진도 컨설팅 현황 등의 항목들을 새롭게 조사
항목으로 추가하였다.
<표 2-13> 2023년 전문기관 실태조사 대상 기관 현황
구분 기관명 담당부처
관리사업 수
(개)
관리과제 수
(개)
관리 예산
(백만 원)
혁신법 시행령 제49조
제1항의 12개 기관 및
부설기관 1개
한국연구재단 과기부 188 35,056 6,627,766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과기부 99 1,343 1,371,22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자부 125 3,605 2,811,520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기부 45 13,123 1,599,773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부 103 529 618,58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복지부 66 3,057 696,982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해수부 94 360 482,164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식품부 23 501 224,07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청 40 363 301,910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기상청 9 114 25,764
한국콘텐츠진흥원 문체부 12 123 122,334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원안위 6 147 57,963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청 13 187 54,606
과기자문회의 추가
확정 기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산자부 83 747 1,037,231
사업단위 연구관리
업무 위탁기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과기부 4 593 159,269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과기부 11 294 138,61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자부 62 1,501 1,356,859
7) 기술료 제도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 강화를
위해 기술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72∙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연구개발성과
창출
기술이전・사업화 기술료 징수
연구개발 재투자 및
연구원 보상
[그림 2-11]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2023년에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21.1.) 이후 변화된 기술료 제도의 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연구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여 제도를 개선하였다. 우선 연구자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기술이전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연구자 보상 강화 등 기술료 사용기준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39조제3항의 신설을 추진하여
기존에는 연구개발성과의 직접실시에 의해 수익의 일부를 납부 시 매출액 관련 자료 제출・확인
등이 필요했으나, 개정안에서는 기업의 행정적 불편을 해소하고자 납부 상한을 납부하는 경우에
관련 자료 제출 의무를 면제하였다. 향후 제도개선안에 맞게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등 관련 법령의
개정을 추진하고, 기술료 제도 매뉴얼 등에 반영할 예정이며, 연구현장에 개선된 제도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사항을 안내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 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현장과 소통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등 발전적으로 제도를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73∙
제3장 질적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제1절 국가전략기술 발굴・육성
1. 개요
가. 기술패권 경쟁 주요국 동향
치열해진 미・중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Global Value Chain) 이슈로 인한 정치・경제・
산업 지형의 변화는 새로운 질서로의 재편이 본격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국익을 최우선으로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앞다투어 국가전략을 구체화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다. 국가 간 견제와 동맹을 기반으로 한 치열한 경쟁의 이면에는 첨단기술,
전략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내재되어 있으며, 주요국의 핵심정책이 기술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음이 그 방증으로 그 추진 속도가 이례적으로 공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초당적 협력하에 「반도체와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제정하여 반도체 등
10개 핵심기술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로 하였고, 중국 역시 인공지능, 양자, 유전자 바이오
등을 포함한 7대 과학기술과 8대 산업을 선정하고 집중 육성을 통해 핵심 원천기술 자립화를
이루겠다는 전략을 천명하였다. 일본은 기시다 내각 출범 이후 「경제안보법」을 제정하고 경제
안보상을 신설하는 등 분주히 움직이고 있으며, 20개 특정 주요 기술을 조사・분석하는 등 연구
지원을 시작하였다. EU는 수소, 반도체, 클라우드・엣지기술 등 6대 신산업 육성계획 발표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나.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의 본격화
우리도 예외일 수 없다. 먹거리 산업의 대부분이 기술에 의존하고 있으며, 세계 산업 질서
재편의 한 가운데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미래를 위해 사활을 걸어야 할 분야에 자원을
집중해서 국가 차원의 통합적 기술육성과 보호 전략을 마련하고 차질없이 실행으로 옮겨야 할
∙74∙
때인 것이다. 이에 정부는 민관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범정부 전략인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수립(’22.10.28, 전원회의)하였고, 작년에 「국가전략기술 선정(안)」을 심의・의결하여 12대 국가
전략기술을 최종 확정(’23.12.20, 전원회의)하였다.
[그림 2-12] 12대 국가 전략기술
정부는 2024년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을 통해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액을 ’23년(4.7조
원)보다 6.3% 증가한 5조 원으로 확대하였으며, 특히 이차전지(19.7%↑), 반도체(5.5%↑)
분야에서 주력 산업경쟁력 유지는 물론 전고체배터리, AI반도체 등 미래 판도를 바꿀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 투자를 강화하였다. 기술주권 확립을 목표로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집중 투자가 본격화된 것이다.
∙75∙
[그림 2-13] 국가전략기술 중점 분야별 ’24년 예산 배분・조정 결과
2.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임무중심 로드맵’ 수립
가. 로드맵 수립
국가전략기술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범부처 전략기술 연구개발 정책의 명확한 우선순위 설정
및 전략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전략로드맵’ 수립을 국정과제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전략
로드맵은 그간의 다다익선식 기술확보 전략과 달리, 기술패권 경쟁시대 기술주권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핵심기술을 식별하고자 하였다. 즉, 경제안보 관점 분석에 기초하여 중점기술 단위에서
2030년까지 꼭 달성해야 할 가시적 임무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임무 달성을 위한 길목기술을
식별하는 하향식(Top-Down)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전략로드맵은 ‘국가 최상위 기술전략’으로, 산・학・연 전문가 및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전략기술 특위 산하 기술별 조정위원회와 국가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과학기술혁신
본부가 함께 기존 부처별 전략을 국가임무 관점에서 정밀 분석하여 국가적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정량목표를 제시하였다. 임무 달성・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중점 투자
방향과 함께 인재양성・국제협력・제도개선 등 전략기술 생태계 조성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정부는
제시된 임무・목표의 달성을 위해 로드맵을 연구개발 정책・투자・평가 전 과정의 나침반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로드맵은 총 3차례에 걸쳐서 수립되었다. 우선, 지난 8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 기술패권 경쟁 3개 분야 로드맵을 1차 발표하였으며, 10월에는 대표적인 신흥・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첨단바이오 분야의 국가 연구개발 임무・전략 2차 수립이 완료되었다.
∙76∙
<표 2-14>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방향
중점기술 단위
경쟁력 분석
국가임무 설정 기술개발 타깃 도출 임무달성 전략 구체화
30년 기준
구체적 목표
임무달성 및 기술・안보적
우선순위 고려
R&D 투자 마일스톤 +
국제협력 ・ 인재확보 ・ 제도개선
나. 분야별 로드맵 주요 내용
「이차전지」의 경우, 미국・유럽연합(EU)의 규제 강화에 대비한 친환경성 강화를 포함한 안정적
공급망 확보와 동시에,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에 대응하는 성능・가격 경쟁력 고도화가
시급하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 기술강국 수성’을 목표로 △리튬이온전지 셀・소재, △차세대
이차전지, △이차전지 모듈・시스템, △재사용・재활용 등 4개 중점기술별 세부 목표를 제시했다.
「반도체」는 초미세 공정의 기술난이도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국제 공급망 속 반도체 강국의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선 초거대 인공지능 본격화에 대비하여 막대한 전력소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전력・고효율화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메모리 1위 수성 + AI반도체
신격차 확보’를 목표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전력반도체, △고성능 센서 △소재・부품・장비 등 6개 중점기술 중심의 로드맵을 수립
하였다.
「디스플레이」는 LCD 등 저가형 제품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추격이 우리 주력 제품인
OLED까지 확산되고 있는 상황으로, 우리 경쟁력 유지를 위한 성능 초격차화가 시급하다. 특히
폴더블・AR/VR 등 융복합 제품의 대중화 단계 진입과, 스마트 헬멧・메타버스 훈련 등 높은
미래국방 활용성을 고려할 때 차세대 시장 주도권 선점은 우리 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
이다. 이에 ‘디스플레이 세계 경쟁력 1위 탈환’을 목표로 △무기발광, △유연・신축(프리폼),
△소재・부품・장비 등 3가지 중점기술에 주목하였다.
우리 기업의 소프트웨어 중심 전환(SDV) 선언, 미국 연방항공청의 도심항공교통 감항인증
취득 등 기술개발 경쟁 가속화와 함께, 인플레이션 감축법,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규제 중심의
경제안보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인 「첨단 모빌리티」는 ‘수용성・안정성・친환경성 구현’을
목표로 △자율주행시스템 △도심항공교통 △전기・수소차 등 3가지 중점기술 중심으로 분석이
수행되었다.
∙77∙
「인공지능」은 Chat-GPT, LLaMA 등 초거대 인공지능이 보편화되고 있으나, 모델 학습 과정에
소모되는 데이터・자원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규모의 경제’에 따른 빅테크 기업 편중도 강화
되고 있다. 이에 기존 양적 경쟁 판도를 뒤집을 차세대 기술 선점과 ‘인공지능 핵심기술 및
산업활용 기반 확보’를 목표로 △효율적 학습 및 인공지능(AI) 인프라 고도화, △첨단 모델링・
의사결정, △산업활용・혁신AI, △안전・신뢰AI 등 4개 중점기술별 임무를 구체화했다.
「첨단 바이오」 분야는 디지털・바이오의 융합으로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이 제조・산업 등 밸류
체인 고도화 및 난제해결형・개인맞춤형 연구로 확장됨에 따라, 우리 산업에도 새로운 추격의
기회가 도래할 전망이다. 이에 ‘디지털・바이오 융합 선제 대응, 바이오제조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합성생물학, △유전자・세포치료 △감염병 백신・치료 △디지털 헬스데이터 분석・활용 등 4개
중점기술 중심의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로드맵 내 임무・목표는 정부 연구개발 투자・평가 등의 주요 기준으로 활용될 계획
이며, 특히 인공지능・첨단바이오는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만큼 2030년을 기준시점으로 설정
된 목표를 기술・산업 동향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검토・조정해나갈 계획이다.
∙78∙
3.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추진
국가임무 달성을 위한 범부처 민・관 합동 대형 연구개발 사업인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도
본 궤도에 올랐다. 동 프로젝트의 핵심 골자는 국가전략기술 분야 R&D 사업 중 정부의 집중
지원이 필요한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범부처 민관 합동 대형 전략
기술 연구개발 프로젝트’로서 임무목표 기반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지향하고자 한다.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에 따라 총 10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할 계획으로 추진된 동 프로젝트는,
R&D 부처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후보 제안서를 취합하여 혁신본부 및 전문가(전략기술 12대
분야별 기술조정위원회) 검토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에서 최종
프로젝트를 확정하는 절차로 진행되었다.
2022년 10월 △양자 기술,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2개 프로젝트 선정 이후, 2023년 4월
△달탐사2단계(달착륙선개발)사업, △차세대네트워크(6G)산업기술개발사업, △K-UAM안전운용
체계핵심기술개발, △친환경모빌리티고성능차세대이차전지개발사업 등 4개 사업을 포함하여
총 6개의 프로젝트를 선정 완료하였다. 이 중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인 양자 분야를 제외한
5개 사업은 2023~2024년부터 본 사업에 착수하는 등 강력한 추진 의지를 발휘하고 있다.
[그림 2-1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6개 사업 (2022-2023년 확정 기준)
2023년 하반기에는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중 프로젝트 미선정 6개 분야(첨단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수소, 첨단로봇・제조, 사이버보안)에 대하여 7개 부처에서 총
22건의 프로젝트 제안서를 접수하여 후보 사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4개 사업을 추가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2024년 상반기에 10개 프로젝트 확정을 앞두고 있다. 선정된 프로젝트는
예비타당성 조사 및 예산 반영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프로젝트별 성과 달성을
위해 정부와 사업 부처가 함께 추진실적을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79∙
4. 국가전략기술 육성 특별법 시행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3년 3월 21일에 「국가
전략기술육성특별법」을 제정하였고, 9월 22일에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동 특별법은 과학기술이
국제질서의 중심에 놓이는 기정학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의 기술주권 확립이 시급하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법률의 주요 내용으로는 국가적으로 중요성이 큰 국가전략기술을 선정,
연구개발, 사업화, 인력양성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전주기 차원에서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5조 제3항과 제8조 제1항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의 최상위 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통해 범부처 차원의 주요 정책사항을 결정하며, 제10조에 따라
국가전략기술 관련 체계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이를 전담하는 ‘국가전략기술 정책센터’를
지정한다. 또한, 제11조 제1항에 따라 명확한 목표를 기반으로 임무중심형 국가전략기술 연구
개발사업을 지정하며, 신속한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특례를 부여한다는 내용이
제12조에 제시되어 있다.
<표 2-15>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 특례(제12조)
구분 주요 내용
신속한 연구과제 선정 공모 외의 방법으로 국가연구개발 과제와 기관 선정 가능
우수과제 추가지원 최종평가가 우수한 전략연구과제에 대한 추가 후속연구 지원
연구비 부담완화 연구개발 출연금 지원 기준 및 현금 부담 비율을 달리 적용
기술료 부담완화 전략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기술료 납부액 전부 혹은 일부 감면
이 외에도 국가전략기술의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관련 특화교육기관을
지정 및 육성하는 내용과 해외 우수인력 유치를 위한 시책 추진도 동 특별법의 제25조와
제26조에 언급되어 있다. 국가전략기술은 법 취지에 따라 국방 및 안보 관련 협력이 중요하고,
필요시 국제협력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요 정보에 대한 보호 조치를 강화할 필요도
있으므로, 제27조에 따라 국가전략기술 연구과제 중 일부는 보안과제로 분류하여 정보보호
조치를 강화한다. 또한, 제29조에 따라 국제 공동연구 등의 전략적인 국제협력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80∙
5. 전략기술특별위원회 구성・운영
전략기술 특위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 관련하여 산・학・연 최고 전문가들이 범부처 주요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의 민・관합동 특별위원회로
2023년 4월 출범하였다. 동 위원회는 범부처 국가전략기술 주요 정책을 심의・조정하고, 전략
기술 연구개발 관련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으로서,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에 따라 집중
육성할 국가전략기술 분야를 선정・관리하고, 범부처 차원의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분야별 국가 차원의 임무 및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임무
달성을 위한 기술육성・투자 전략 “임무중심 전략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범부처 “국가전략
기술 과제(프로젝트)” 선정 등 주요 정책을 의결하며 △그 외 핵심 인재양성, 국제협력, 산학연
협력 등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확충에 관한 사항을 심의・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국가전략기술 육성정책 수립 시 관계 부처 뿐 아니라 기술분야별 산・학・연 전문가와의
긴밀한 소통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략기술 핵심 분야 관련 대표기업의 현장 전문가를
포함해 기술, 정책, 외교・안보 분야의 민간 전문가 14인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여 외교・안보 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경제부처와 함께 국방부, 외교부,
국가정보원 등 안보 주요기관을 포함하여 정부위원 9명(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포함) 등
총 23인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기술 분야별
전략기획・조정
의사결정기구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기술별 조정위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수소
우주항공
해양
. ... 이차전지 양자
첨단
바이오
기술 분야별 출연(연) 등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그림 2-15]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및 기술별 조정위 운영체계
전략기술 특위 산하에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전략기획 체계를 갖추기 위해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술별 조정위를 구성하였다. 기술별 조정위는 △전략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수립, 국가 과제(프로젝트) 후보 검토・평가 및 주요 사업 발굴 등을 민간 중심으로 주도하며,
△유관 분야 출연연구기관 및 향후 특별법에 따라 지정될 정책지원기관 등과 협업하여 전략
기술별 국가적 대응 방안을 도출하여 정부 정책으로 연계하여 추진 중이다.
∙81∙
<표 2-16> 2023년도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개최 현황
구분 (일자) 의결 안건
제1회 (’23.4.)
➊호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운영계획(안)
➋호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후보 선정(안) 심의・확정
제2회 (’23.6.) ➊호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기술별 조정위원회 위원 선임(안)
제3회 (’23.8.)
➊호 국가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안)
- 이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첨단 모빌리티
➋호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안)
제4회 (’23.10.) ➊호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상 국가전략기술 선정(안)
6. 전략기술 연구현장과의 소통 강화
정부는 전략기술 분야별로 연구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해당 분야의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추진하였다. 원자력 분야의 전문가 간담회는 원자력연구원 내에
소형모듈원자로(SMR) 종합효과 시험장치 등 차세대 원자력 관련 연구시설을 살펴보며 연구자와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정부 출범 1주년을 계기로 마련된 첨단바이오 현장 간담회는
우리나라 생명공학 협력단지(바이오클러스터)인 홍릉강소특구를 방문하여 기술핵심 관계자들과
우리나라의 첨단바이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또한, 전략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임무와 기술개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토론회(포럼)도 이차전지, 수소, 첨단바이오 분야의 순차로 개최되었다. 과학기술이 우리나라의
생존과 직결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전략기술 분야별로 최고의 전문가들이 함께 전략
기술 육성・확보 방향을 논의하는 장을 통해서 연구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논의된 내용을 통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기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국가의 역량이 집중해야 할 분야를 신속히 식별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82∙
7. 기대효과
과학기술이 외교・안보 등 국제질서까지 뒤흔드는 현시점에,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통한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은 우리에게 필수적인 과업이다. 기존의 추격자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초격차 전략기술확보’를 목표로 기술패권 경쟁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 공급망・통상, 국가안보, 신산업 등 통합적 관점에서
기술주권 확보를 최종 종착지로 하여 글로벌 리더십의 변화, 공급망 이슈 등에 흔들림 없는
과학기술 주도국으로서의 입지가 공고해질 것을 기대한다.
∙83∙
제2절 연구환경 조성 및 성과활용기반 강화
1. 자율적 연구환경 조성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에 따라 매년 이해관계인과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한다. 혁신법 제28조에 따라
누구든지 연구제도의 개선을 제안할 수 있으며, 동법 제29조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년 3월 31일까지 관계부처에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안 마련에 관한 기본지침을 통보
하고(제1항), 개선의견이 있는 관계부처는 기본지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당해 4월
30일까지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제2항). 과기정통부는 부처 의견 등을 반영하여 다음 연도 국가
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안을 수립하고 8월 31일까지 관계부처에 통보하며(제3항), 관계부처는
통보받은 개선안의 내용을 다음 연도 소관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에 반영하는 체계이다.
[그림 2-1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에 따라 올해 3월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 기본지침(안)」(이하 ‘기본지침’)을 마련하여 연구개발 제도개선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관계부처와 연구현장의 제도개선 의견을 수렴하였다. 특히, 제도개선 전
과정에서 민간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로 제도개선위원회(15인)를 구성하여
2023년 1월 출범하였으며, 온라인 소통창구(www.iris.go.kr) 및 주제별・주체별・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연구현장의 제도개선 의견 342건(온라인 156건 및 간담회 186건)을 접수했다. 접수한
의견 중 제도관련성, 명료성 및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선별된 66개 의견을 민간전문가인 제도
개선위원회가 현장시각에서의 중요성과 시의성을 검토하여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안)」(이하 ‘제도개선(안)’)을 마련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10월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도개선(안)을 관계부처에 통보하였다.
∙84∙
그리고 2023년 12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가 구성됨에 따라 제6회 회의에서 제도
개선(안)을 보고하고, 제도개선(안)에 대한 후속 조치로 혁신법 시행령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기준(고시)의 일부를 개정하여 공포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제도개선 기본방향의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도개선 전 과정에서 민간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제도개선위원회를 운영하고 주제별(도전혁신, 국제협력, 사회문제해결, 연구
보안 등), 주체별(대기업, 중소・중견기업 등), 권역별(서울,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문가 간담회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현장의 현안과 관련된 추가 개선 의제를 발굴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자율기반의 선도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연구
성과를 보호하는 R&D제도 기반 강화’라는 목표 아래 ①연구몰입 지원 강화 및 연구자 권익
보호 ②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기반 강화 ③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촉진 ④핵심 연구자산 유출방지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등 총 4개의 추진 방향을
수립하고 총 12개 구체적인 세부 과제를 도출하였다.
<표 2-17> 2023년도 제도개선 기본지침 방향
목표 자율기반의 선도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연구성과를 보호하는 R&D 제도기반 강화
추진방향
연구몰입 지원 강화 및 연구자 권익 보호
혁신법과 다른 부처규정 지속정비 및 혁신법 현장교육 확산
종이문서 보관관행 혁파 등 연구자 행정부담 경감
간접비 산출방식 개선 등을 통한 연구지원 모색
학생연구자, 박사 후 연구자 등 신진연구자 지원 안정화
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기반
강화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유연성 제고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제도 지원을 통한 국제협력 활성화
도전혁신형 연구개발 지원 및 사회문제해결형 연구 애로사항 해소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촉진
양자 등 초기 기초연구에 대한 대기업 참여유인 제고
정부납부기술료 제도, 정산금 유예근거 등 기업 및 연구분야 특성
반영 제도개선
창업 초기기업, 중소기업에 대한 안정적 연구환경 지원
핵심 연구자산 유출방지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기술패권시대에 대응하여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이해상충방지방안 등 선진사례 분석을 통한 제도 보완
‘연구몰입 지원 강화 및 연구자 권익 보호’를 위해 혁신법의 규정과 다른 관계부처의 R&D
규정에 대한 정비 지속, 현장교육 확산, 간접비 산출방식 개선, 신진연구자 지원 안정화, 종이
문서 보관관행 혁파 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85∙
‘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유연성
제고, 국제협력 활성화, 도전혁신 및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 지원과 애로사항 해소 등의 제도
개선 방향을 검토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촉진’을 위해서는 기초연구에 대한 대기업
참여유인 제고, 기업과 연구분야 특성을 반영한 정부납부기술료 및 정산금 유예근거 마련, 창업
초기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안정적 지원 등의 제도개선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핵심 연구자산 유출방지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를 위해서는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이해
상충방지방안 등 선진사례 분석 등을 통해 제도 보완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을 마련하였다.
2) 온라인 현장 제도개선 의견수렴
2023년 4월에서 5월까지 관계부처 제도개선 의견을 접수함과 동시에 연구현장 제도개선
의견을 온라인 소통창구(IRIS)를 통해 수렴하여, 총 156건(연구자 86건, 연구지원인력 65건,
관계부처 5건)의 개선 의견을 접수하였다.
IRIS를 통한 온라인 현장 제도개선 의견수렴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자 및 연구지원인력 모두
‘연구개발비 지급 및 관리’에 대한 제도개선 의견이 각 60% 이상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그 외
연구자의 경우에는 통합과제관리 시스템 및 평가 관련 의견이 약 10% 내외로 많았으며, 연구
지원 인력의 경우에는 과제 협약 및 변경과 시스템 관련 제도개선 의견이 높았다.
구 분 전체 %
연
구
자
연구개발비 지급 및 관리 55 63.95
사전검토 및 선정평가 8 9.30
연구개발성과 보고 및 평가 1 1.16
과제 협약・변경・해약 1 1.16
기획・공고・신청 5 5.81
제재처분 기준 1 1.16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 1 1.16
제정취지, 적용범위, 다른 법률과의 관계 0 0
기술료 징수 및 사용 2 2.33
적용시점 및 경과조치 0 0
연구개발성과의 귀속 및 활용촉진 1 1.16
연구개발정보의 수집・생산・관리 0 0
연구지원기준 및 연구지원체계평가 0 0
통합과제관리 시스템 10 11.63
연구비통합관리 시스템 1 1.16
연구노트 작성・관리 0 0
연구윤리 확보 0 0
총 합계 86 100
[23년 제도개선 의견 연구자의 분야별 제안 건수]
구 분 전체 %
연
구
지
원
인
력
연구개발비 지급 및 관리 39 60.00
과제 협약・변경・해약 4 6.15
적용시점 및 경과조치 0 0
통합과제관리 시스템 8 12.31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 0 0
연구지원기준 및 연구지원체계평가 0 0
사전검토 및 선정평가 1 1.54
기술료 징수 및 사용 1 1.54
연구개발성과 보고 및 평가 0 0
연구개발성과의 귀속 및 활용촉진 0 0
연구비통합관리 시스템 4 6.15
제정취지, 적용범위, 다른 법률과의 관계 3 4.62
기획・공고・신청 1 1.54
연구개발정보의 수집・생산・관리 0 0
제재처분 절차 0 0
연구노트 작성관리 2 3.08
기타 2 3.08
총 합계 65 100
[23년 제도개선 의견 연구지원인력의 분야별 제안 건수]
[그림 2-17] 2023년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분야별 건수
∙86∙
온라인으로 접수된 제도개선 의견은 과제 협약 및 변경, 연구개발비 사용 및 관리, 관련 시스템
사용에 집중하여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23년도 제도개선안 마련
온라인 소통창구를 통해 접수된 의견은 일차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제도개선
위원회에 의해 연구현장에서의 중요성・시의성을 기준으로 검토・분류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
(안)」을 마련하였다.
[그림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혁신・도전의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이라는 목표 아래 ①
효율적 연구환경 조성 ②개방형 연구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③연구자산 보호 강화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④연구현장 부담 완화 및 연구성과 활용 제고 등 총 4개의 부문에서 총 14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효율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부처・전문기관별 자체규정에 대해 혁신법 정합성을
검토하는 일괄 점검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혁신법 현장교육 확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종이 없는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증명자료의 보관 의무를 면제하고
출력을 요구할 수 없도록 규정을 강화하였다. 학생 인건비의 경우 실지급 향상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학생인건비 확약시 10% 단위로 계상률 설정을 확약하도록 하고 최저 지급 금액인
균등 지급 금액을 보장함으로써 기관단위의 내실화를 가질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간접비가
연구지원에 사용되지 않고 잉여재원이 과다하다는 지적에 따라 실소요 간접비를 정교하게 산출
하기 위한 새로운 분류기준을 마련하는 등 간접비 관리체계를 개선하였다.
∙87∙
<표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안)
기본방향 R&D 시스템을 혁신・도전의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
세부
추진과제
효율적 연구환경 조성
혁신법 정착을 위한 부처별 규정 정비 지속 및 현장교육 확산
종이없는 연구환경을 위한 증명자료 보관 면제 명확화
학생인건비 제도 내실화 및 효율성 제고
간접비 관리체계 개선
개방형 연구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제도 마련
국제공동연구 수행 영리기관의 연구비 부담 기준 개선
국제공동연구 동시수행 과제 수 적용 기준 완화
연구자산 보호 강화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국외 수혜정보 관리체계 구축
보안과제 분류 기준 구체화 및 인센티브 확대
연구보안 현장 가이드라인 및 해외사례집 마련
연구현장 부담 완화 및 연구성과 활용
제고
연구개발기관의 파견비 사용 인정범위 확대
지식재산권 포기 시 부처 승인 제도 폐지
환경변화에 대응한 특별평가 활용 지원
연구성과 부분공개 제도 신설
개방형 연구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혁신법상 인정되지 않은 해외기관을
혁신법상 인정할 수 있는 근거 마련과 함께 글로벌 R&D 과제 수행 및 관리를 위한 매뉴얼
마련 계획을 수립하였다. 영리기관의 경우에는 국제공동연구비를 계상할 경우 해외기관에 지급
하는 연구개발비도 기관부담금 산정 기준에 포함되어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줄여주기 위해
기관부담금 산정 시 국제공동개발비를 제외한 연구개발비에 대해서만 매칭비율을 적용하도록
규정 개정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연구비가 매칭되는 국제공동연구에
한해서는 연구개발과제 동시수행 수 제한에서 예외를 두도록 허용하였다.
연구자산 보호 강화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시 연구자의
이해상충 방지 등을 위해 국외 수혜정보 신고제도 도입 및 운영을 신설하였다. 보안과제 분류
기준이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분류가 어렵다는 점에서 보안과제 분류 기준을 추가하였으며 보안
수당 대상 확대와 함께 연구지원체계평가 시 연구보안 관련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강화
하였다. 또한 연구기관이 연구보안 규정을 제정하거나 해외로부터 연구 제의 등 특이사항이
있을 때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제작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현장의 부담 완화 및 연구성과 활용 제고를 위해 부처의 승인을 전제로 국가연구개발
사업 과제에서 연구개발기관의 파견비 사용 인정범위를 확대하였다. 매년 수백 건의 포기 특허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개별 특허에 대한 포기 시 승인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승인 의무를 폐지하고
지식재산권 관리에 관한 기관 자체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유연한
과제 관리를 위해 도입된 특별평가가 그 취지와 달리 부정행위 등으로 인한 제재처분의 사전
절차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
∙88∙
개정을 통해 제도 취지에 맞는 다양한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개선을 추진하였다. 연구성과
공개와 관련하여 보안과제 등 비공개가 필요한 경우 최종보고서 및 성과정보 전체를 비공개
하는 경우가 많아 우수 연구성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비공개가 필요한 부분 외에는 성과
공개를 하도록 하는 연구성과 일부 비공개 제도를 신설하였다.
다. 향후 계획
혁신법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는 일부 규정 때문에 혁신법으로 인한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연구현장의 의견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어 관계부처, 출연연, 전문기관의 R&D 관련 규정에
대한 정비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과기정통부는 부처, 전문기관, 출연연 자체 규정을 검토하여
혁신법과의 정합성을 갖추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각 소관 기관과 함께 협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비 및 점검할 예정이다.
혁신법에 따른 연구개발제도개선은 연구자 중심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매년 지속적으로 연구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기반으로 추진될 것이며, 이해관계자・전문가 검토 및 의견수렴 등
합리적인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체계 확립을 통해 발전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2. 연구데이터 및 정보시스템 고도화
가. 개요
새로운 지식・가치 창출의 원천으로서 연구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로 산출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하여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근거 법령인 「국가연구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 마련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의 제19조(연구개발정보의 처리)
및 제20조(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따라 연구자 중심 연구환경 구현과 연구행정 개선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각 부처・기관별로 별도 운영 중인 과제관리시스템
(59개)을 표준화된 연구관리 규정에 적용하여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이하 ‘IRIS’)으로
단일화해 2022년 1월 개통하여 본격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2023년에는 과학기술자문회의
「창의와 도전,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8월),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
(11월)」의 후속 조치로 데이터 기반의 통합 관리체계(IRIS 2.0)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89∙
<표 2-19>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IRIS) 개념 및 유형
◈ 정부 R&D과제의 수행 과정 및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①과제지원시스템, ②연구자정보시스템, ③연구비관리
시스템 연계로 구분(Integrated R&D Information System)
❶ (과제지원시스템) 전문기관 및 연구기관에서 정부 R&D 과제의 전주기 업무(기획-선정-협약-평가-성과관리 등)를 지원
(기존 20개) ⇨ ’22.1월 통합・개통
❷ (연구자정보시스템) 연구재단, NTIS, 전문기관 등에서 정부 R&D에 참여하는 연구자 및 연구이력, 평가위원, 연구개발기관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정보시스템(기존 22개) ⇨ ’20.12월 통합・개통
❸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관리전문기관 및 연구기관에서 정부 R&D 연구비의 지급, 집행, 정산 지원(기존 17개) ⇨ ’19.9월
개통 / 단일포탈 내 2개 시스템(Ezbaro, RCMS)
<표 2-20> IRIS 2.0 주요 기능
추진 과제 내 용
➊ 투명성 강화 연구비 일정규모, 일정횟수 이상인 기업 등의 과제 및 연구비 내역 공개
➋ 우수연구자 빅데이터・AI로 연구자 업적 정보 등 분석, 탁월한 연구자 선별
➌ 전문성 제고 국내・외 평가위원 Pool을 공동 활용, 평가 전문성 제고
➍ 비리 척결 유사・중복연구, 특정인 연구 독식 등 부적절 실태 방지
➎ 검증 강화 연구실적, 연구비 집행, 연구자 자격 등의 투명성 제고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국가연구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 마련 및 입법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현장의 상황과 요구에 부합하는 법률안 제정을 위해 연구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국가연구
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마련한 후 입법예고(9.27~11.6) 하였다.
2) IRIS 적용기관 확대 및 안전성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RIS 개통(2022년 1월) 당시 기준인 5개 전문기관에서 2023년 29개
전문기관으로 적용 범위를 대폭 확대 운영하였으며,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 인증획득을 통해 법적 준거성을 마련하였다.
∙90∙
<표 2-21> 2022년 대비 2023년 IRIS 적용 확대 실적
구분 ’22년 ’23년
적용기관 수 연구재단, 산기평 등 5개 기관 농진청 등 29개 기관(당초 목표 19개)
신규과제 적용률 15.4% 70.9%(10월 기준)
접수과제 수 4,998개 41,017개
등록 연구자 수 399,280명 707,806명
등록 평가위원 23,713명 33,372명
3) IRIS 이용자 의견수렴 및 주요 기능의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부처(전문기관) 협의체(통합추진단), 대응 전담조직, 전문기관
및 연구자 간담회・설명회 등을 2023년 실시(총 115회)하여 의견수렴 결과 총 348건 중 250건
반영하였고 그 외 98건은 반영 예정으로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구현을 위해 다각적인 방법으로
소통하고 있다.
<표 2-22> 2023년 IRIS 주요 기능의 개선
기능명 요구사항 개선내용
IRIS 운영 권한
전문기관 이양
연구현장 민원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연구관리 효율성을 위해
일부 IRIS 운영 권한을 각 전문
기관으로 위임
구분 위임사항
공고
협약서, 계획서 작성 과정의
기관대표자 서명관리
과제수행
협약서, 계획서 작성 과정의
기관대표자 서명관리
평가관리
평가계획 수립과정에 단순변경 등
유연성 확보를 위한 세부계획 변경권한
성과관리
전문기관 내부 MIS 연동 과정의
전산오류처리가 가능하도록 위임
※ 관련 규정 및 시스템 영향도 분석결과에 따라 순차적 확대 예정
평가위원 활용범위 확대를
위한 전문가 추출기능
분야별 전문가 위촉 필요 시 평가
위원 풀 활용 필요
기획위원회 등 사용용도에 따라 기술분류, 전문분야, 산학연
등 추천 조건을 통해 조회 및 활용 가능하도록 개선
IRIS 챗봇 서비스
단순/반복적 문의까지 콜센터
에서 대응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필요한 문의 대응에 어려워
연구자 불만 증대
혁신법 매뉴얼, FAQ, 콜센터 누적 문의 등을 종합하여 학습형
챗봇 서비스 제공
다. 향후 계획
1) 연구데이터 관리・활용 체계 확립
「국가연구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기반하여 연구데이터의 생산과 관리를
개별 연구자에게 일임하던 기존의 관리체계를 연구개발기관이 주도적으로 수집・관리 할 수
∙91∙
있도록 개편하고, 국가연구개발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검색・활용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 체계를 확립해 나갈 예정이다.
2) IRIS 2.0 전환 등 R&D혁신방안 후속조치 지원
2024년에는 정부R&D 과제관리(기획・집행・평가)를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고, AI・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과제 선정의 신뢰성,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평가의 전문성 제고
(R&D 제도혁신)를 추진할 계획이다.
3. 연구시설 및 장비 관리 체계 고도화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본법」제28조와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제42조에 따라
효율적인 국가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시설・장비의 확충・고도화 및 관리・활용에 관한 시책을
세우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2023년은 2022년 수립한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2027)」의 단계적
이행을 위해 각 세부과제별 정책연구 수행, 이행방안을 마련하고, 국가연구시설장비 운영・활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국가연구시설장비 정책수립
정부는 연구시설・장비 투자 및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연구시설・장비의 활용 활성화를 위해
국가연구시설장비에 관한 고도화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 1, 2차 고도화계획의 성과,
대내외 환경 분석 및 다양한 현장의견을 종합하여 현장 중심의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3대
전략 및 10대 추진과제를 도출하여 2022년에는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
2027)」을 발표하였다.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10대 추진과제별로 연차별 세부추진
과제를 구분하고, 2023년에 선행연구가 필요한 12개 세부추진과제를 선별하여 정책방향, 제도
개선(안) 및 신규사업 추진기반 마련 등 기반연구를 실시하였다.
∙92∙
이를 통해 2024년부터 운영할 수 있는 ‘전문운영인력 인턴과정’, ‘재직자 대상 재교육’, ‘대형
연구인프라 사전기획강화지원’ 사업 3건, ‘대형연구시설 활용종료제도’, ‘연구시설・장비 관리・
활용・처분계획 수립’ 제도 2건을 신설하였다. ‘연구현장 구축수요 조사・수집’과 ‘심의단계별
정보공유’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였고, 2024년에 후속연구를 위한 기반조사 및 정책연구
5건을 실시하였다. 정책, 제도 및 사업의 신설에 따라 표준지침을 개정하는 등 이행근거를
마련하였다.
사업 제도 표준지침 정책 연구
과제명 주요 연구결과
❶ 수요조사
정책
연구자 및 연구기관 대상 구축수요 조사체계 및 결과활용방안(안) 도출
ZEUS 수요조사 기능개발(안) 기획
❷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
부처별 대형연구인프라 구축・운영 중장기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초안 마련
중장기계획에 반영된 연구인프라의 투자연계방안 제안
❸ 사전기획강화
사업 지침
대형연구인프라 구축사업의 사전기획강화를 위한 사업기획(안) 기획
기획지원 단계별 제출 양식(안) 및 사업홍보기획(안) 제안
❹ 심의항목연계
정책
총사업비(STEP)-도입심의(RED) 정보공유체계 마련
예타-총사업비-도입심의 단계적 심의항목 연계방안 제안(ZEUS개선 포함)
❺ 은퇴제 도입
제도 지침
대형연구시설 활용종료체계 마련 및 표준지침 근거 반영
처분위원회 구성・운영(안) 개발
❻ 기관관리계획
제도 지침
연구시설・장비 관리 및 활용・처분계획 수립방안 마련 및 표준지침 근거 반영
우수 공동활용 연구시설(실험실) 인증제도(안) 제안
❼ 재활용촉진
연구
재활용촉진을 위한 유관 법・규정 검토 및 제도적 개선사항 발굴
❽ 지역거점지정
연구
12대 전략기술분야별 연구시설 역량・수준 조사・분석
연구시설 거점 지정 및 네트워크 구축방안 제안
❾ 전문인력관리
연구 지침
전담운영인력의 직무구분, 역할 및 NCS 기반 직무기술서(공통) 개발
전담운영인력 역량강화계획 마련에 관한 표준지침 근거 반영
❿ 인력양성(인턴)
사업
신규 인력의 인턴과정 프로그램 개발 및 사업기획(안) 기획
● 인력양성(재교육)
사업
핵심연구지원센터 전문운영인력 재직자 대상 방문맞춤교육 추진
● ZEUS 개선
연구
ZEUS 전면 개편 정보화 전략(ISMP) 수립을 위한
차세대 ZEUS 주요 목표도출 및 재구축 이행계획 수립
[그림 2-19]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23년 추진실적
∙93∙
2) 국가연구시설장비 통합 실태조사 실시
정부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제42조 제1항 및 제42조의2 제3항에 따라 연구시설・
장비 전주기 단계별 관리체계 현황 및 시설장비의 활용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정책・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부처합동으로 국가연구시설장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대학 및 공공기관 등 총 467개 비영리연구기관을 대상으로 3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조사시스템을 통해 표준지침의 이행실태(연구시설・장비 관리체계 조사, 활용・처분실적 조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리체계 미흡(4개 기관), 활용실적 저조(9개 기관), 미활용 장비 다수
보유(6개 기관) 기관에 대해서는 현장 방문을 통해 실태를 점검하고 컨설팅도 실시하였다.
2023년 실태조사에서는 부처 간담회 및 실태조사 사전설명회를 개최하여 관계 부처 의견을
수렴하고 대상기관의 조사 이해도를 증진하였으며, 현장조사 대상 기관에는 표준지침 이행
개선 필요사항을 공식적으로 안내하여 관리체계 개선 및 장비 상태점검을 유도하였다.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화면 2023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보고서
[그림 2-20]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원 강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는 국가연구개발(R&D) 재원으로 도입하였거나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활용된 연구시설・장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연구과제 기간 동안 연구시설・장비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미리 적립해 두고 연구과제가 종료된 후 유지・보수, 임차・사용대차, 이전・
설치비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올해는 대학교 2개 기관을 신규로 선정하여,
2023년 12월 현재 총 73개 기관이 제도 시행기관으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94∙
<표 2-2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정기관
연번 기관명 연번 기관명 연번 기관명
1 가천대학교 26 상지대학교 51 제주대학교
2 강원대학교 27 서강대학교 52 중소조선연구원
3 건국대학교 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53 창원대학교
4 경남대학교 29 서울대학교 54 충남대학교
5 경북대학교 30 서울시립대학교 55 포항공과대학교
6 경상국립대학교 31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5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경성대학교 32 성균관대학교 5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8 경희대학교 33 세종대학교 5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 계명대학교 34 수원대학교 59 한국과학기술원
10 고려대학교 35 숙명여자대학교 60 한국교통대학교
11 공주대학교 36 순천대학교 6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2 광주과학기술원 37 순천향대학교 6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3 국립군산대학교 38 아주대학교 63 한국식품연구원
14 국민대학교 39 안전성평가연구소 64 한국외국어대학교
15 단국대학교 40 연세대학교 65 한국재료연구원
16 대구경북과학기술원 41 영남대학교 6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17 대구기계부품연구원 42 울산과학기술원 6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 대구한의대학교 43 울산대학교 68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19 동아대학교 44 원광대학교 6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 동의대학교 45 이화여자대학교 70 한국해양대학교
21 명지대학교 46 인제대학교 71 한국화학연구원
22 목포대학교 47 인천대학교 72 한양대학교
23 부경대학교 48 인하대학교 73 호서대학교
24 부산대학교 49 전남대학교
25 삼육대학교 50 전북대학교
2023년에는 통합관리제의 안정적 제도 정착을 위해 제도 안내를 위한 현장 방문 및 통합
관리제 운영 교육을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제도 시행기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매뉴얼을 개정하였고, 담당자 변경으로 인한 제도 운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신규담당자 대상 심층 교육을 오프라인으로 실시(2회)하였고, 통합관리기관 담당자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95∙
4) 유휴・저활용 장비 활용도 촉진
유휴・저활용 장비 활용 촉진을 위해 연구기관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활용성이 떨어진 장비를
필요로 하는 기관으로 이전, 지원하는 나눔(유휴・저활용) 장비 이전・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나눔장비 사업은 기관 내 불용 처분절차를 거친 유휴・저활용 장비를 ZEUS 나눔터에 게시하면,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나눔장비심의위원회 개최를 통해 양수기관에 이전비용(자문료, 수리비,
이전비 등)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는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에도 장비
이전을 지원하도록 하여 연구기반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2023년에는 총 12차례 나눔장비심의워원회 개최를 통해 565점의 나눔장비를 이전・지원하였고
이 중 51.9%인 293점을 중소기업에 이전하였다.
<표 2-24> 유휴장비 활용 중소기업 현황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이전장비수(점) 56 161 191 245 293
5) 연구시설・장비 종합정보시스템(ZEUS: Zone for Equipment Utilization Service, 이하
‘ZEUS’) 운영・지원
과기정통부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 제4항에 따라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운영 및 공동활용 촉진을 위해 2013년부터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을 운영하고 있다.
ZEUS는 연구시설・장비 도입, 등록, 공동활용 예약, 처분 등 전주기 단계별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2023년에는 ZEUS 장비예약 설명회를 개최(6월)하여 시설장비예약 실습 등을 통해
공동활용서비스 활성화 강화를 지원하였다. 또한, ZEUS 회원 대상으로 ZEUS 이용 만족도
조사(10월)를 실시하고, ZEUS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8월)를 개최함
으로써 이용자 수요에 맞는 서비스와 기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하였다.
ZEUS 장비예약 설명회(6월) ZEUS 이용자만족도조사(10월)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8월)
[그림 2-21] ZEUS 운영 활성화 지원 강화
∙96∙
6) 「KSFree 연구장비 지식공유 포럼」 개최
「KSFree 2023, 연구장비 지식공유 포럼」은 연구장비 전문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인적 네트
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소통과 교류의 장이다. 5년째를 맞이한 올해는
국가연구인프라의 정부 지자체간 상생협력 관계 구축 및 지역산업 혁신성장 기반 마련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지방 중소기업 혁신생태계 강화전략
및 중앙・지역간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협력지원 체계구축 방안에 대해 발표를 진행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할 수 있었다.
[그림 2-22] KSFree2023
다.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2027)」의 세부 과제를 계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대형연구시설・장비의 체계적 구축・관리와 연구장비 관리・활용 시스템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하고 연구인프라 역량강화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한편, 범부처 통합실태
조사,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핵심연구지원시설 운영지원, 나눔(유휴・저활용)장비 이전・
지원사업 등 핵심 정책・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여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활용 혁신을 통한
연구활동 지원 및 성과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97∙
4. 연구보안 관리 체계 확립
가. 개요
미・중 기술패권 경쟁 격화 등을 거치면서 국가안보의 범주는 ‘군사’에서 ‘경제’와 ‘과학
기술’로 확장되고 있다. 이미 미국, 일본, 영국, 호주 등 주요국들은 연구자의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관리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개방형 협력과 연구보안 간 균형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 중
이다. 또한, OECD와 G7 등 글로벌 다자협의체 역시 연구보안에 관한 국제공조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국제협력을 통한 성과 창출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연구보안이 필수적 요소로 연구문화 전반에 정착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즉 타 분야 간 협력 및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되는 현 상황에서 위험완화(de-
risking) 관점으로 연구보안 관리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른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안대책」(고시)을 과기정통부
주관으로 제정(’22.6월)하고,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23.3월)을 통해 외국
으로부터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보요청 시 부처 보고를 의무화하고 보안과제의 보안조치에
대한 부처의 예산지원 근거를 규정하는 등 지속적으로 유관 제도개선 노력을 경주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외 수혜정보 관리체계 미흡 및 저조한 보안과제 분류에 따른 법・제도
개선 필요성, 보안인식 제고 및 인력관리・인센티브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과기
정통부는 2023년 9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을
주도하여 입안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본회의에 상정하였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2023년 11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입안한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안)」에서도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를 세부 추진방안에 명시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과기정통부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을 주도적
으로 수립하는 과정에서 ①연구보안 관련 법・제도 정비 ②보안과제 관리 내실화 ③연구보안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연구자 및 연구자산 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
과기정통부는 국외 수혜정보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국가R&D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책임자가
향후 해외로부터의 수혜 및 지원의 형태로 외국의 연구간섭 등을 받을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
∙98∙
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R&D 과제에 대한 체계적인 보안관리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안대책」 중 보안등급 분류, 보고・승인 의무사항, 연구기관 보안대책 포함사항 등 주요사항을
상향입법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2) 국가 핵심연구인 보안과제 관리 내실화
과기정통부는 보안등급 세분화 및 분류기준 체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경제안보 관점
에서 중요한 기술이 될 수 있는 연구성과 및 정보를 선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안과제와
일반과제의 중간 보안등급으로 ‘민감과제’를 신설하고 완화된 보안조치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표 2-25> 보안등급 정의 및 조치(안)
구분 일반과제 민감과제 보안과제
정의(안)
보안・민감과제로
분류되지 않은 과제
유출 시 기술적・재산적 가치의
상당한 손실이 예상되어 국민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제
국가안보와 관련되거나,
국민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제
보안조치(예시) 국외수혜정보 보고
국외수혜정보 보고
외국 접촉 사후보고(1년 이내 수행자)
국외수혜정보 보고
외국 접촉 사전승인(3년 이내 수행) 외국인
참여・공동연구 사전보고・승인
또한 과제 주기별로 보안등급을 분류할 수 있는 절차를 명확화하고 분류가이드를 제시한다는
정책방향을 제안하였으며, 보안・민감과제 연구성과 보호 및 활용을 위해 비밀특허 대상 확대
검토 및 성과 부분공개 제도 신설을 제시하였다.
3) 지속 가능한 연구를 지원하는 연구보안 지원체계 구축
과기정통부는 연구보안 정책기능을 강화하고 관계부처 정책협의체 및 전담 집행체계를 구성
하는 한편 미국 등 주요 과학기술협력국과 연구보안 정책 협력을 강화하며, 연구보안 특성화
대학 지정 등을 통해 연구보안 전문가를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참여 관리,
유학・취업비자 심사 강화 등 검토, 보안과제 수행자 및 국가전략기술 전문가 등 핵심인력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라인 마련 및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연구보안에 관한
연구현장의 인식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연구기관 및 연구자 대상 연구보안 현장지침
마련, (가칭)연구보안 교육포털 구축・운영, 연구자 및 연구기관 대상 인센티브 확대 및 홍보
등이 포함된다.
∙99∙
4)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개최(’23.11.14.)
과기정통부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를 개최하여 연구보안 정책 공론화의 장을 마련하였다.
연구보안 제도의 국제동향, 국내 산업보안 정책동향 및 과기정통부가 주도하는 연구보안 정책
방향을 관련 전문가가 발제하고, 토론과 질의응답 등을 통해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와 연구
보안을 동시에 제고하기 위한 정책 착안점을 모색하고 이에 관한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청취
하고자 하였다. 토론회에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포함 산・학・연・관 전문가 및 현장
연구자 등 약 160인이 참석하였으며, 연합뉴스 등 토론회 관련 언론보도(8건)를 통한 이슈선점
및 확산에도 기여하였다. 무엇보다도 해당 토론회를 통해 연구보안 정책방향을 연구현장 및
대중에 최초로 공개함과 동시에 산・학・연・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향후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의 현장 수용도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토론회 전경 패널토론
※ 연합뉴스, 뉴스1, 아시아투데이, 머니투데이, 이뉴스투데이, 열린뉴스통신, 보안뉴스, 대한경제 등 보도
[그림 2-23]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현장
연합뉴스 기사 뉴스1 기사
[그림 2-24]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언론보도
∙100∙
다.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에서 제시한
관계 법령 개정 및 가이드 마련 등 후속조치를 이행 및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①국외
수혜현황 보고, 보안과제 분류기준, 성과 부분공개, 보안 인센티브 대상 확대, 지원체계평가
반영 강화 등 주요 사항을 반영하여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시행규칙 및 하위규정 등을
개정할 예정이다. 또한, ②보안대책(고시) 상향입법 및 제재, 기관 단위 의무 강화, 보안등급
세분화 및 분류절차, 전담 집행기능 근거, 보안과제 외국 참여관리 등 관련 법령체계 개선
연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부분개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시범운영 등의
수단을 강구하여 ③보안등급 분류절차를 명확화하고 연구기관 및 연구자 대상 현장가이드를
마련할 예정이다.
5. 국가 핵심 IP 창출 및 표준특허 마련
가. 개요
기술패권 경쟁 속 공급망 재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불안한 중동 정세 등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견인할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전략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주요국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핵심기술 분야를 지정하여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국제표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 정부 차원에서 기술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국가전략기술을 지정하는 등 전략기술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첨단기술・산업 패권전쟁의 승패는 핵심특허 선점・보호가 좌우
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국가정책 차원에서 지식재산과 연계한 기술 확보 및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정부 R&D가 양적 성장에 치중했다면 ’24년부터는 R&D 효율화를 통한 질적 성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초기단계에서 5억 3천만여 건에 이르는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①최적의 연구개발(R&D) 방향 설정, ②해외장벽 특허를 극복, ③특허기술 공백
영역에 대한 유망특허 선점 등을 지원하여 중복투자 방지 및 R&D 효율화 도모하는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코로나19 백신수급 위기 등 국가적 위기를
극복함에 있어, IP-R&D 전략 수립이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정부 소부장 R&D 과제와 연계하여
∙101∙
IP-R&D 전략을 지원하였으며, 관련 부처와 협의하여 백신・치료제 등에 대한 IP-R&D 지원도
추진하였다. 또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정부 R&D 과제 수행 시
IP-R&D(지재권에 대한 전략적 조사・분석)를 의무실시하도록 제도화하였으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민간 R&D를 지원하기 위해 산학연 맞춤형 IP-R&D 과제 지원을 신규 추진하였다. 그
외에도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IP-R&D를 수행하여 중복연구를 방지하고, 우수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간 특허 조사・분석업체인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을 확대하였다. 또한 표준특허를
확보할 수 있도록 표준특허 확보 관점에서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정부・민간 R&D 기획을 지원
하였으며, 표준기술 획득을 목적으로 R&D・표준화를 추진 중인 산・학・연에 표준특허 확보
전략을 제공하였다.
특허청은 지식재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활동들도 지속하였다. 기술탈취로 피해를 입는
기업들이 신속하고 공정하게 구제받을 수 있도록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기술유출 범죄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 해결을 위해 양형기준 개정을 추진하였으며, 기술탈취・영업 비밀 침해 최소화를
위한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또한, 산업재산 분쟁 조정 제도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역대 최다 건수를 기록하였고, 수사・행정조사와 분쟁 조정 간
연계를 강화하는 원스톱 분쟁 해결 체계구축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스위스 국제
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지표 중 지식재산권 보호 순위가 전년 대비 9단계
상승(’22년 37위 → ’23년 28위) 하였다.
대학・공공연은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60%를 사용하며, 박사급 연구인력의 72.8%를 보유한
기술혁신의 원천으로, 대학・공공연이 혁신적인 특허기술을 충분히 공급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할 때, 혁신성장과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2023년에는 정부 지원 종료 후에도 대학・공공연이 지속적으로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수익-회수-재투자’의 선순환 체계구축 및 지속 가능한 자립
환경 조성을 위해 지원하였고, 대학・공공연의 IP 경영 진단 및 심층 컨설팅을 기반으로 기관별
IP 경영 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특허 빅데이터는 세계 각국의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기술혁신을 위해 각고의 노력과 비용을
들인 R&D 성과물임과 동시에 고급 기술정보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경쟁 국가나 기업에서 어떠한 R&D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우리의
경쟁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향후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R&D를 주력할지에 대한 객관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102∙
이에 국가 R&D의 효율성 제고 및 우수특허 선점 등을 위해 2023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가신약개발재단 등 R&D 부처・전문기관에서 기획 중인 R&D 수요를 사전 조사하여 특허
분석이 필요한 총 12개 부처・전문기관의 124개 R&D 기획 수요를 발굴하는 등 최초로 수요
맞춤형 특허 분석을 지원하였다. 발굴한 수요는 AI, 양자기술, 항체 약물 접합체(ADC) 등 총
20개의 특허 분석 대상 산업으로 그룹화하였고 R&D 부처・전문기관의 R&D 기획 수요에 맞춰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별 국내외 기술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향후 미래 유망
기술을 도출하는 등 정부 R&D 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다.
<표 2-26>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절차
① 환경분석 ② 정량분석 ③ 심층분석 ④ 정책제안
∙ 주요국 정책동향
∙ 경제・산업 DB
∙ 시장 분석 보고서
∙ 유효특허 추출
∙ 정량지표 산출
∙ Landscape 분석
∙ 키워드・SNA 분석
∙ 특허 군집화
∙ 정책・규제 관점 분석
∙ 유망기술 발굴
∙ 투자전략 도출
∙ 정책제언 도출
또한 분석 초기부터 R&D 부처・전담기관의 PD/PM이 포함된 자문위원회를 산업별로 구성・
운영하여 특허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정부 R&D 과제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
으며, 민간에서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산・학 전문가도 자문위원회에 포함하는 등 분석 결과의
활용도를 제고하였다.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망기술은 관련 국내 부처・전문
기관의 R&D 기획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으며, 국내 민간 R&D 지원을 위해 국내
기업・대학・연구소는 특허 빅데이터센터 포털(biz.kista.re.kr/pbcenter)을 통해 분석 보고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더불어 IP-R&D 컨퍼런스를 개최(12.18)하여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미래 유망기술을 해당 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에게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
하였으며, 민간 유관기관 대상으로 항체 약물접합체(ADC) 분석 결과 공유회를 개최(12.14)하는
등 특허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민간 분야에도 널리 확산되어 효율적인 국가 R&D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2) 국가전략기술, 공급망, 탄소중립 등 국가중점분야 지식재산 기반 기술 자립 추진
’23년 기술 패권시대에 과학기술 주권을 확립하고 국민경제 발전과 국가안보에 이바지하기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국가전략기술 지원방안을 수립하였다. 특히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1. 1.), 국가첨단전략산업법(’22. 8.)에 이어 국가전략기술육성법(’23. 9.)에 지식 재산권에
대한 전략적 조사・분석 실시 의무에 관한 규정을 반영하여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주요 R&D 부처와 협업하여 반도체・이차전지 등 국가전략기술, 공급망, 탄소중립 등 국가중점
분야 R&D 효율화를 지원하였다.
∙103∙
먼저, 국가전략기술 IP-R&D 확대를 위해, 국가전략기술 정책방향, 국가전략기술 IP-R&D
의무화 이행점검 방안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IP-R&D 수행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 「12개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IP-R&D 우선 지원 기술 자료집」을 제작하여 산・학・연에 제공하였다
(IP-R&D 컨퍼런스, ’23. 12.). 또한, 국가전략기술 특화 지정공모 IP-R&D 과제를 민간 주도의
국가전략기술 R&D를 지원하기 위해 신설하였다(50개).
공급망 R&D 효율화 및 대체기술 확보를 위해 기존의 주력산업 중심 소재・부품・장비 100대
품목에서 미래산업 중심 150대 품목으로 확대 지원하였다. 또한 旣지원과제의 성과 극대화를
위한 후속 진단* 및 국방 부품 국산화를 위한 국방 R&D 지원**을 확대하였으며, 고난도 융합
연구 활성화를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 지원***도 확대하였다. 이 외에 환경부, 산업부 등과 협업
하여 탄소중립 정부 R&D 연계 지원, 과기부의 디지털 전환 R&D와 연계한 서비스 IP-R&D
과제 신규 추진 등 지원 분야 다변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R&D 효율화 및 우수특허 창출을
지원하였다.
* ’22. 30개 → ’23. 42개 / ** ’22. 3개 → ’23. 6개 / *** ’22. 18개 → ’23. 23개
구 분 내 용 ’23년
민간R&D 국가전략기술 국가전략기술 분야 민간 R&D 과제 지원 50개
정부R&D
과기부
(소부장)
나노소재기술개발 등과 연계 지원 25개
산업부
(소부장)
소재부품기술개발,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사업 등 116개
산업부 탄소혁신스타즈프로젝트 사업 5개
중기부
(소부장)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등 93개
환경부 환경 R&D 우수성과 선정기업 등 20개
방사청 국방부품 국산화 등과 연계 지원 6개
후속진단 旣지원 과제 대상 R&D 방향 재설정 및 권리화 지원 42개
범부처R&D 범부처 사업단(의료기기, 신약개발)과 연계 지원 23개
<표 2-27> 주요 지원 현황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의 주도권 확보 및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 확산을 위해 국가
전략기술 정부 R&D에 지식재산권의 전략적 특허 조사・분석을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국가
전략기술육성법에 관련 규정을 반영하였으며(’23.3월 제정), 국가전략기술 지정공모 IP-R&D
과제 지원을 신설(50개)하여 산・학・연의 국가전략기술 분야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을
지원하였다.
민간 주도의 R&D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기술가치 평가, 의약품 허가, 신산업 진출’을
∙104∙
연계하는 고부가가치 창출형 IP-R&D를 확대(16개→18개) 하고, 지식재산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비용으로 특정 기능을 집중 제공하는 선택형 과제(24개→40개)
및 후속 진단형 과제(30개→42개)를 대폭 확대하여 개별기업의 R&D 효율화 및 IP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과정에서 특허 조사・분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 특허
조사・분석 업체인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을 확대하였으며(’22년 248개 → ’22년 269개
기관), 진단기관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여 산・학・연에서 고품질의 산업재산권 진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진단기관 실태조사 및 간담회 결과를 반영하여 진단기관 역량강화 교육을 확대・
내실화하였다.
이런 그간의 노력은 특허 창출 및 경제적 성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17∼’21) IP-R&D
지원 성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IP-R&D 지원과제는 미지원 과제 평균 대비 우수특허 1.4배,
日・유럽 특허 2.5배 등 질적 특허성과가 우수했다. 또한, IP-R&D를 지원받은 기업은 예산
투입(1,120억 원) 대비 12.3배 높은 경제적 효과(13,790억 원)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공공연 과제의 경우 미지원 과제 평균 대비 특허이전율 1.2배, 계약당 기술료 3.7배 등
활용성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국제표준 연관 기술분야 표준특허 창출 지원
표준특허는 표준기술 구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특허로, ‘표준필수특허’라 칭하기도
한다. 표준특허는 표준의 ‘개방성’과 특허권으로서의 ‘독점 배타성’을 동시에 갖는 특허로서
일반 특허 대비 차별화된 가치를 지닌 ‘시장 지배적 특허’이다. 최근 ICT 융합이 활성화되며
사람・사물 등이 모두 연결되는 ‘초연결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상호 호환성 확보를 위한 표준
기술과 표준특허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일례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
회사 중 하나인 현대・기아차는 통신 특허풀 Avanci에 커넥티드카 구현을 위한 통신 표준특허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가) 표준특허 관점의 유망기술 발굴을 통한 R&D 기획 지원
차세대 이동통신(6G)과 도심 항공교통(UAM) 분야의 특허와 표준 문서를 종합적으로 분석
하여 표준특허 선점이 시급한 유망기술 17개를 도출하였다. 세부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6G)은 ‘Extreme massive MIMO 기술’ 등 9개 기술, 도심 항공교통(UAM)은 ‘실시간 운항
정보 기반 UAM 교통관리 자동화 기술’ 등 8개 기술이 도출되었다. 해당 기술들을 과제화하여
과기정통부와 국토부에 총 17개의 신규 과제를 제안하였으며, 이 중 14개가 차년도 신규과제로
∙105∙
최종 채택되었다. 이와 더불어, 도출된 유망기술 정보는 과기정통부와 특허청이 공동 주최한
「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2023」를 통해 산・학・연에도 공유되었다.
나) 표준특허 확보 전략 지원
이동통신, 자율주행 등 핵심기술 분야의 R&D・표준화를 추진하는 산・학・연의 R&D 과제
52개를 대상으로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지원하였다. 지원기업 중 8개 기업은 이제 표준화에
발을 들인 ‘표준화 초보 기업’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과기정통부 등과 협력하여 표준 전문가의
표준화 컨설팅과 표준특허 확보전략 지원을 병행함으로써, 향후 국제표준화 무대의 주요
플레이어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국가기술표준원(ISO/IEC전문
위원회)과 국립전파연구원(ITU연구위원회) 대상으로 원자력 원격시스템 및 로봇(IEC TC45
등)과 테라헤르츠파 대인탐지기술(ITU-R SG5 등) 분야의 표준화 대응전략을 특허 관점을 담아
제공하였다. 또한 민간 주도로 결성되어 사실 표준화에 대응하는 ‘사실표준화포럼’ 중 ‘실감형
혼합현실기술포럼’ 대상으로 특허 관점의 표준화 대응전략을 지원하였다.
4) 지식재산권 보호기반 강화
가) 기술유출・탈취 분쟁해결 기반 마련
기업・국가 간 핵심기술 확보 경쟁이 심화되며 첨단산업의 기술유출 및 침해 범죄도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특허청은 기술탈취 분쟁 해결을 위해 피해 기업, 전문가 및 관계 부처와의 협의로
수사・행정조사와 분쟁조정 간의 연계를 강화한 원스톱 분쟁해결체계 구축 등 내용이 담긴 종합
대책을 발표(’23.6)하였다.
영업 비밀・기술 유출 범죄 근절을 위한 정부 노력이 사법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판결에서
형량 결정의 기준이 되는 양형기준 정비를 대검찰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추진하였고 대법원
(양형위원회)에서 정비대상 안건으로 최종 채택(’23.6)되었으며, 대통령실 주관으로 지난 11월에
출범한 범정부 기술유출 합동 대응단에 참여하고, 방첩기관으로 특허청이 신규 지정(6→7개)
되는 등 국가 전체 기술 범죄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체계 기반을 마련하였다.
나) 지식재산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법 개정 추진
기술탈취 행위가 고도화・다양화됨에 따라 법인의 조직적인 영업 비밀 유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징벌적 손해배상을 5배까지 높이고 법인 벌금형을 상향(자연인의 3배)・공소시효를 연장(5→
10년)하며, 영업 비밀 침해 물품 제조설비 등에 대한 몰수 규정 도입, 부정경쟁행위 행정조사
∙106∙
제도에 시정명령・과태료 부과제 도입, 해킹 등에 의한 영업비밀 훼손・삭제 행위 처벌 등 대책이
담긴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24.1)하였다. 개정법이 시행되면 기술탈취・
영업 비밀 침해 등을 최소화하여 우리 산업 경쟁력의 위협 요소를 제거하고, 건전한 기술 혁신
생태계 형성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다) 산업재산 분쟁조정 활성화
산업재산권 분쟁조정 제도는 특허・상표・영업 비밀 등 지식 재산 분쟁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당사자 간 대화와 합의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로, 별도의 비용 없이 3개월 내에
조정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2023년은 분쟁조정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22년
76건 → ’23년 159건)해 역대 최다 건수를 기록하였고, 개인・중소기업 신청이 84%를 차지하는
등 사회・경제적 약자를 위한 신속・효과적인 분쟁해결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특허청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 유관부처와 업무협의를 통해 법원(서울중앙・수원지방법원)과
조정 연계제도를 실시하였고, 경찰 수사와 조정 연계를 시범 실시하는 등 지재권 분쟁이 조정
으로 제도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고, 늘어난 조정 수요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 분야별로 조정위원을 추가 위촉하는 등 분쟁 조정 인프라를 개선하였다.
라) 특허청 특별사법경찰 수사 강화
심사・심판 경력자, 박사, 변호사・변리사 등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특허청 특별사법경찰은
지식재산과 법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검찰・국정원 등과 적극적인 협업을 진행하는 등,
국가 주요 기술 유출 범죄・위조상품 유통 방지 등에 대한 전문 수사기관의 역할을 수행 중이다.
2023년 12월에는 특허청 특사경의 수사 범위를 주요 부정경쟁행위와 실용신안권 침해 및 영업
비밀 침해행위 전반으로 확대하는 사법경찰 직무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에
향후 특허청 특사경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사업무를 진행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권리 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 해외 지식 재산권 보호 활동 강화
2023년에는 중소・중견기업의 특허분쟁 예방・대비 지원을 더욱 강화하였다. 특허분쟁 예방을
위해 3월에 특허분쟁 위험경보 시스템을 개통하여 기술 분야별 특허분쟁 위험등급, 등급별
행동요령 및 분쟁 고위험 특허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어서 12월에는 산업계 의견수렴을 통해
기업맞춤형 분쟁위험 분석, 해외 NPE・경쟁사 특허분쟁 동향 등 경보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
하였다. 소부장특화단지 60개 사에 특허분쟁 위험 조기진단을 지원하여 전문가가 직접 기업을
∙107∙
방문하여 특허분쟁 위험을 진단하고 기업의 자체적 분쟁 예방・대비 활동을 위한 교육을 실시
하였다. 또한, 특허분쟁 대응전략 컨설팅 지원도 확대하여 2022년 346건에서 2023년 425건
으로 지원이 증가했다.
해외에서 우리 기업의 K-브랜드 보호체계도 강화하였다. 위조상품의 경우, 해외 온라인 위조
상품 모니터링 전문 서비스를 본격 실시하여 미국, 유럽 등 약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16만여 건의
온라인 위조상품 판매 게시물을 차단하였다. 그리고 식품, 화장품 등 해외 위조상품 피해 빈발
업종 협・단체를 중심으로 ‘K-브랜드 위조상품 민관 공동대응 협의회’를 신규 구성하여 해외
위조상품 유통 차단을 강화하였다. 상표 무단선점의 경우, 작년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싱가포르를
올해부터 정규 모니터링 대상국가로 포함하여 중국・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싱가포르 총 5개
국가를 대상으로 해외 상표 무단선점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피해기업에 총 5천여 건의 무단 선점
의심상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패스트트랙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피해기업 총 92개社에
상표 무단선점 대응전략 컨설팅을 제공해 신속한 분쟁대응을 지원하였다.
해외 지식 재산센터(해외IP센터)를 통한 지재권 침해 단속, 현지 분쟁 대응 지원체계 개선 등
해외 현지 지재권 보호 지원도 확대・강화했다. 중국 광둥성 내 의류, 가방 등 K-패션 제품에
대한 위조상품 기획 침해 조사를 실시하여 위조상품 유통현황을 조사한 후 형사 단속을 통해
K-브랜드 위조상품 6,100여 점을 압수하여 정품가 기준 약 5.2억 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하였다.
또한, 해외 지재권 관련 공무원 대상 한국 초청 세미나를 재개하여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주요
수출국에 우리 수출기업의 현지 지재권 애로사항을 직접 전달하고 단속 협조를 요청하는 등
현지 단속기관과의 협력을 촉진하였고, 우리 수출기업이 국내・외 위조상품에 직접 대응할 수
있도록 위조상품 대응기술 가이드북을 발간하였다.
6) 공공 IP・연구성과의 경제적 활용성 제고
2023년도에는 대학・공공연이 정부 지원 종료 후에도 스스로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수행
하여 지속적인 ‘기술사업화-수익-회수-재투자’가 일어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해당 사업은 대학・공공연의 지식재산 전담부서의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업의 기술수요 발굴 및 대학・공공연의 공급 기술과 기업의 수요기술 간
기술 성숙도 격차를 줄이는 활동에 주로 투자하며, 기술이전이 성공할 경우 수익금의 일부를 회수
하여 다른 특허기술의 사업화 활동에 다시 투자하도록 한다. 정부는 3년간의 1차 지원이 종료된
기관 중 성과가 우수한 1개 기관(서울대)을 추가 선정하여 2차(3년) 지원을 시작하였고, 총 13개
기관에 기술이전・사업화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108∙
<표 2-28>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수익 재투자 (선순환 방식 지원) 기존 사업 (1회성 지원)
정부
재투자
지원
기술
이전
발명자,
대학・공공연
정부
사업화
검증
기술
이전
발명자,
대학・공공연
또한, 대학・공공연에 대한 IP 경영 진단 및 심층 컨설팅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관의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유연하게 제공하는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 사업은 우수특허 창출부터 기술
이전・사업화, 연구자 창업까지 IP 경영 진단을 기반으로 각 기관의 IP 경영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장기간(3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원 기관이 IP 경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
한다. 2023년에는 부산대, 연세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7개 대학・공공연을 추가 선정하여
지원을 시작하였고, 총 25개 기관에 IP 경영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다. 향후 계획
특허 등 지식재산 기반의 기술 자립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특허 확보와 지식재산 혁신 생태계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
할 것이다. 특허청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됨에 따라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품목에
대한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국내외 기술 수준 비교 및 국내생산 대체 가능성을 파악하고,
정부의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책 수립 및 R&D 과제 기획에 활용하도록 관련 부처에 제공하여
기술 주권의 확립 및 경제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R&D 부처 협력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공급망 등 주요 정부 R&D 효율화를 위한
IP-R&D 전략지원을 강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구비한 산업재산권 창출을 지원하고 소부장
R&D 전반에 적용했던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 전략 지원을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탄소중립 등 국가중점 기술 분야로 확대하여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IP-R&D 방법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재산 확산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그리고
글로벌 선도 제품 창출을 위해 제조-서비스 융합 IP-R&D를 확대하고, 기술가치 평가, 의약품
허가, 신산업 진출을 연계하는 고부가가치 IP-R&D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
영업비밀・기술 보호 제도의 완비를 위해 기술유출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한 피해액 산정기준
정립과, 특허 침해 소송에서 증거수집 제도의 개선 및 해외 기업이 국내 법인을 통한 영업비밀
유출 행위를 규율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분쟁조정위와 특허청
∙109∙
수사・행정조사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종합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며,
기술의 해외 유출 수사에 특허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하는 등 범정부 기술유출 방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대학・공공연 대상으로는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 성과의 환류・확산을 통해 지식
재산 투자-회수-재투자 선순환 구조의 내재화 지원을 확대하고, 기관별 특허 활동 규모에 따른
우수특허 창출, 보유 특허 기술이전・사업화, 연구자 창업 등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2024년 6월에는 선진 5개국(한・미・일・유럽・중) 특허청장 회의(IP5)가 서울에서 개최
될 예정으로, 한국의 우수한 지식재산 생태계를 홍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포용적 지식재산 시스템 구축을 주제로 IP5 차원의 협력 방안을 도출한다.
∙110∙
제3절 미래 핵심 인재육성
1. 개요
국가의 핵심 성장동력이자 안보 전략자산인 첨단산업의 각축전 속에서 세계 각 주요국은
파괴적 혁신을 이끌 인재와 기술 중심의 전방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신성장동력 창출 및 잠재 성장력 제고를 위해 첨단 분야 주요 정책을 발표하고 집중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첨단산업의 성패는 초격차를 이끌 인재 확보에 좌우되는데, 시시각각
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창의성을 바탕으로 산업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됨에 따라,
첨단기술 분야의 인력 수요와 공급 간 미스매치를 대비하면서도 질적으로 탁월한 인재를 확보
하고 양성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대내외 환경과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정부는 창의・도전적 인재를 육성・확보하고 미래세대
유입 및 성장 활약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과학기술 인재 양성 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정부는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에 따라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 정책의
최상위 계획인 「과학기술인재 육성 지원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23년에는 ’21년 수립된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을 토대로 제4차
기본계획의 체계적 이행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신(新)
정부의 과학기술 인재정책의 주요 방향을 기술혁신 주도형 인재양성 정책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요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정부는 과학기술인이 우대받고 존중받는 사회문화를 조성하여 미래세대 인재의 과학
기술 분야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 ’23년 시행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과학기술유공자 신규 지정, 과학기술유공자 증서수여, 헌정강연 등을 통한 유공자
예우 및 지원과 더불어 실태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유공자 지정분야 개선 등 제도 개선도 추진
하였다.
∙111∙
2. 2023년도 주요 추진현황
가.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에 따른 ’23년 시행계획 수립
정부는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의 ①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②청년
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③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구축, ④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 등 4대 전략과 14개 추진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자 「제4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의 ’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확정하였다. ’22년도 추진
실적 점검을 포함하여 범부처 합동으로 총 272개 사업(중앙부처 185개, 지자체 87개)에 대해
주요 추진 계획을 수립하였다.
우선,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초・중등 수・과학 및 디지털
기초역량 제고, 미래사회를 선도할 우수인재 발굴 및 유입촉진, 이공계 대학생의 변화대응역량
강화 등을 주요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둘째, ‘청년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 기반 구축, 청년과학기술인의 성장 지원 강화, 미래 유망분야 혁신인재
양성 등을 주요 과제로 포함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구축’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하여 과학기술인 평생
학습 지원체계 강화, 현장수요 기반 디지털・전문 역량 제고, 여성과학기술인의 성장・진출
활성화 체계 마련, 고경력・핵심 과학기술인 역량 활용 고도화 등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넷째, ‘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해외 인재의 국내 유입
활성화, 산학연 간 인재 유동성 확대, 과학과 사회 간 소통 강화, 이공계 법・제도 인프라 선진화
등을 ’23년 주요 추진과제로 포함하였다.
나.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 수립
정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최고급 인재 확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R&D 기반
인재 정책을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에 담아 이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23.12.20)를 통해 확정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정된 인적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양성・활용하고자 한다. 기존 범부처 인재정책은
직무/직종에 대한 고려 없이 부처별 소관에 따른 기술 분야별로 분절적으로 인재를 양성해
왔던 한계가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상세 직무분석을 통해 각 기술군별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인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향후 인재정책에 담아 특화교육기관(전략기술법
∙112∙
제25조), 특화연구소(전략기술법 제16조)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R&D인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인재정책의 근거 기반을 강화한다. 과기
정통부의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 등록 연구자 약 51만명에 대해 고용부 고용보험DB 정보를
연계하여 국가 R&D과제 참여인력의 취업정보를 조사할 계획이다. 연구자 공급・수요 분석,
연구자 경력경로 등을 통해 보다 세심한 근거기반의 인력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셋째, 최고급 인재로의 성장을 위한 국제 교류 지원을 강화한다. 정부의 해외 연수지원 사업을
분야별・대상별로 체계화한 ‘(가칭)K-starship’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원 공백영역 발굴 및
총괄계획을 수립할 것이다. 이를 통해 주요 R&D 신규사업화 및 기존사업 확대 등 R&D인재의
글로벌 교류 지원을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다. 창의・융합형 미래 인재양성 ’23년 성과
1)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초・중등 수학・과학 교육체계 강화를 위하여 첨단기술 기반의 실질적 수학・과학 실험・탐구
활동을 위한 공간인 스마트 수・과학실을 운영하였으며,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성장 지원을
위하여 온라인 ‘先교육’ 과정, 찾아가는 STEM+I 생각교실을 운영하고,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과학영재 교육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였다. 또한, AI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사회 등과 연계한 다양한 AI 교육수업 모델을 개발・확산하고, SW・AI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코딩파티 및 SW교육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였다.
2) 청년연구자의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및 성장지원 강화
박사후연구원의 정부출연연구소 R&D연수 기회 제공, 박사후연구원이 중심이 되는 연구단
(KIURI), 박사후연구자 등 젊은 과학자의 도전적 연구를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등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사업을 지속하였다. 우수 대학생 대상 대통령
과학장학금 및 국가우수장학금 지원과, 과학기술전문사관 및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통해 우수한
청년들이 학업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23년에는 청년연구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에도 주력하였다. 독창적인 연구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젊은 과학자를 선정해
세계 최정상급 석학들과의 직접적 교류를 지원하였다.
연구자 보호 강화를 위해 연구실 외의 공간에서 연구활동 중 발생한 사고도 연구실사고 범위로
확대하는 내용 등을 포함하는 연구실안전법을 개정(’23.10.31. 공포)하였고, 고위험 유해인자
∙113∙
(고압가스, 실험동물 등)에 대한 연구실 특화 안전관리 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단속
적발 위주의 현장검사 방식에서 벗어나 기관의 규모, 연구특성, 관리 역량 등을 고려한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맞춤형 관리・감독을 추진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현장의
안전정보 접근성을 제고하고 자체 사고예방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일상점검, 사고사례,
교육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탑재한 연구실안전 모바일 앱 개발을 착수하였다.
3) 전략기술 등 미래 유망분야 핵심 고급인재 양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인력 수요에 대응한 석・박사 고급 R&D 인재양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
하였다. 특히, 반도체, 양자, 우주, 기후기술, 감염병, 무인이동체 등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
추진하였으며, 연구개발서비스 분야 인력양성 지원을 신규 추진하였다.
국내 연구기관의 전략적인 해외 우수연구자 초청・활용을 지원하고 유연한 유입환경을 마련
하여 글로벌 연구역량을 강화하였다. 특히, 핵심기술 확보가 시급한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과제 유치 시 선정 우대하는 등 국가필수전략기술 인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산・학 공동프로젝트를 통해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인공지능
융합혁신대학원, 메타버스 기술과 인문사회의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메타버스융합대학원, 인공
지능반도체대학원 및 융합보안대학원 등 디지털 분야 대학원을 신설・확대하였다.
4)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및 민・관 협력형 인재양성
산업현장에 기반한 문제 해결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이공계 대학생 중심으로 구성된 실전문제
연구팀(X-Corps+) 컨소시엄 연구단(4개)을 운영하였으며, 이공계 학부 졸업생 및 석・박사
미취업자(1,334명)에게 기업 맞춤형 전문기술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직무역량 향상 및 취업
연계를 지원하였다. 또한, 캠퍼스 SW아카데미 등 기업주도형 교육과정과 SW마에스트로 및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 혁신형 교육과정을 통해 실무형 전문인재를 양성하였으며, 대학 디지털
교육 혁신과 전공자 확충을 위해 SW중심대학(’22년 44개→ ’23년 51개)과 정보보호특성화
대학(’22년 3개→ ’23년 5개)을 확대하였다.
5) 여성, 장애인, 고경력 과학기술인 등 다양한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 기반 조성
여성과학기술인 생애 전주기 맞춤형 플랫폼 서비스(W브릿지)를 통해 경력단계별 교육, 취업・
경력개발 컨설팅, 지원사업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여성과학기술인의 R&D
연구 현장 복귀를 위한 연구과제 지원 및 여대학원생의 자기 주도적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114∙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한 기술멘토링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경영 등
애로사항을 해결하였고, 특히 ’23년에는 ‘고경력 과학기술인 지원센터’ 지정・운영, 고경력 과학
기술인의 사업참여 확대를 위해 자격요건 완화 검토,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력DB 확충 등을 통해
고경력 과학기술인 또한, 역량 있는 이공계 장애대학(원)생의 R&D 역량 제고를 위해 출연연
맞춤형 현장 연수・교육을 신규 추진하였다.
3. 향후 계획
정부는 혁신적인 과학기술인력이 양성・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전략・
중점 기술별 국가전략기술 인력 현황을 분석하고, 기술수준・특성별 맞춤형 인재 확보 방안을
마련・추진할 예정이다. 원자력, 이차전지, 반도체패키징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기술혁신을 주도
할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해외 우수한 연구자를
유치하고 글로벌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수학영재 발굴・육성 지원 및 젊은 수학자에 대한 성장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25년부터
시행되는 초・중등학생의 정보과목(SW・AI) 필수 시수 2배 확대에 대비하여 교・강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교육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부처 간 협력을 통해 AI선도학교 및 SW
미래채움센터 등 “학교 내 교육”과 “학교 밖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기업이 교육과정에 설계・참여하는 기업 주도형 과정과 심화 컨설팅 및 자기주도학습 기반의
혁신형 교육과정 등을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실무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인공
지능반도체・사이버보안・메타버스 등 디지털 분야 석・박사급 인재 육성을 통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자 한다.
’23년에 신규 추진한 이공계 장애대학(원)생 대상 R&D 교육・연수를 ’24년에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잠재력을 지닌 우수한 학생을 발굴하고 미래 핵심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여성과학기술인의 R&D 연구현장 복귀지원과 함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대체
인력지원을 확대하고, 여대학원생의 자율적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공학연구팀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경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활동 분야를 추가 발굴하고,
우수 연구인력 활용을 위한 ‘중장년 과기인 공동연구 프로젝트 기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115∙
제4절 기초연구 진흥역량 제고 및 지원기반 강화
1.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가. 개요
‘기초연구’에 대해 OECD(2015, Frascati Manual)에서는 ‘어떤 특정한 응용이나 사용을
계획하지 않고 현상들이나 관찰 가능한 사실들의 근본 원리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해
행해진 실험적 또는 이론적 작업’1)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기초과학(자연현상에 대한 탐구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공학・의학・
농학 등의 밑바탕이 되는 기초 원리와 이론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 또는 기초과학과 공학・의학・
농학 등과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이론과 지식 등을 창출하는 연구활동’2)으로 정의하고 있다.
기초연구는 새로운 지식 창출과 창의적 인력 양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의 근본 원천인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새로운 산업 창출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기초연구는 특성상 가시적・직접적 성과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 안목의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에 정부는 2008년부터 5개년 정부 계획인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긴 호흡에서
관련 학문생태계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에 따라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대폭
증액(2017년 1.26조 원 → 2023년 2.58조 원)하여 연구자의 창의・자율성 바탕의 다양하고
우수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 확충해왔다. 이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2022년 예산) 대비 약 2.4% 증가한 2조 501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 과기정통부(개인연구지원사업, 집단연구지원사업), 교육부(개인기초연구사업,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사업) 등
4개 사업
1) ‘Basic research is experimental or theoretical work undertaken primarily to acquire new knowledge of
the underlying foundation of phenomena and observable facts, without any particular application or use
in view.’ (OECD, Frascati manual, 2015)
2) http://www.law.go.kr,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시행 2022.8.4.)
∙116∙
<표 2-29> 기초연구사업 예산
(단위 : 백만 원)
구분 2022년(A) 2023년(B) 증감액(B-A) 증감율
연
구
자
주
도
기
초
연
구
개인
연구
우수연구
리더연구 73,055 77,892 4,837 6.6%
중견연구 972,404 996,319 23,915 2.5%
신진연구 310,902 310,111 △791 △0.3%
계 1,356,361 1,384,322 27,961 2.1%
생애기본연구
생애첫연구 36,454 35,533 △921 △2.5%
재도약연구 2,500 - △2,500 순감
기본연구 233,015 216,873 △16,142 △6.9%
계 271,969 252,406 △19,563 △7.2%
소계 1,628,330 1,636,728 8,398 0.5%
집단
연구
선도연구센터 199,774 234,841 35,067 17.6%
기초연구실 173,309 178,555 5,246 3.0%
소계 373,083 413,396 40,313 10.8%
소 계 2,001,413 2,050,124 48,711 2.4%
기초
연구
기반
구축
전문연구정보활용 2,400 1,950 △450 △18.8%
기초연구 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3,120 3,020 △100 △3.2%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 5,888 7,094 1,206 20.5%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연구지원 791 791 - -
소 계 12,199 12,855 656 5.4%
합 계 2,013,612 2,062,979 49,367 2.5%
※ 출처: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2023년도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의 주요 목표는 세계적 수준의 우수 연구자 육성 및 국가
기초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지원체계 구축과 창의적・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점 추진방향으로
① 연구자의 자율성・창의성 보장과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
②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지원 조성,
③ 대학의 연구역량이 지속적으로 축적・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등을 설정하여 지원하였다.
∙117∙
중점 방향 세부 추진내용
연구자의 자율성・창의성 보장과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신규사업 신설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 확대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지원 조성
신진연구자 지원 기준 확대
연구비 집행 기준 완화
대학의 연구역량이 지속적으로
축적・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전략성 강화, 공동연구 활성화로 대학의 거점 역할 수행
지속적 제도혁신을 통한 연구환경 최적화
집단연구의 목적성 강화를 위한 평가항목 등 개선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전면 도입
기초연구기반구축 지원 국내외 대형 연구시설 및 대용량연구데이터 활용 확대
이를 통해 기초연구사업에서 창출된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SCI논문 실적은 2019년
19,862건에서 2021년 28,459건으로, JCR 상위 10% 학술지 SCI(E) 논문 건수는 2019년
3,852건에서 2021년에는 5,241건으로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SCI(E) 논문 평균
질적 수준(mrnIF* )의 경우, 2019년 70.7에서 2021년 73.9으로 증가하여 기초연구사업의 질적
성과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 분 2019 2020 2021 평 균
SCI 논문 실적(건) 19,862 23,619 28,459 23,980
JCR 상위 10% 저널논문(건) 3,852 4,132 5,241 4,408
평균 mrnIF* 70.7 71.2 73.9 71.9
* 표준화된 순위보정지수(mrnIF): SCI 논문 영향력지수(IF)의 분야 간 차이를 순위에 기반하여 보정하는 지표로 논문성과
질적 수준 제시(100이 가장 높고, 0이 가장 낮음.)
※ 출처: 2024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내 ‘기초연구사업 성과 주요 통계’ 기준
1)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수립
정부는 국가 차원의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중장기 계획인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을 ‘기초연구
진흥 및 기술개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수립해오고 있다.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은
’23년부터 ’27년까지에 대한 계획이며, 기존의 확대된 기초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수월성을
지향하여 세계 7대 기초연구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최초・최고를 지향하는 기초연구’, ‘차세대 글로벌 인재와 함께 도약하는
기초연구’, ‘혁신주체가 힘을 모으는 기초연구’, ‘선도형 기초연구로 나아가기 위한 시스템・제도
개선’ 등 4개의 추진과제를 설정하였다.
제4차 계획과 비교한 본 계획의 주요 특징으로는 제4차 계획에서는 연구자 주도의 기초연구
2배 확대를 통해 기초연구 저변을 공고화하는데 큰 목표를 두고 있었다면, 본 계획에서는 확대된
기반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수월성을 지향하는 것에
∙118∙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글로벌 R&D 활성화, 혁신・도전적 연구 기회 확대 및 유망한
젊은 연구자 지원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제4차 계획이 수월성과 다양성 간 균형 있는 지원, 분야・지역 중심의 연구거점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면, 본 계획에서는 예측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 구축, 지속적인
역량 축적을 통한 영속적인 연구거점 구축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
2) 연구자의 자율성・창의성 보장과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
가)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신규사업 신설
장기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수요를 반영하여 신진연구사업 내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를
신설하였다. 이를 통해 유망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꾸준히 하여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10년에 걸쳐 연 2억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하였다.
특히, 기존 신진연구사업에 대해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로 지원 대상을 설정하였던 것과
대비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더욱 많은 신진연구자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 확대
첨단과학기술분야 등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신규사업
추진 시 국가전략기술분야에 지원하여 전략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국가전략기술] 경제・국가안보, 미래혁신 관점에서 주도권을 확보해야할 12개 기술(’22.10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① 반도체・디스플레이, ② 이차전지, ③ 첨단 모빌리티, ④ 차세대 원자력, ⑤ 첨단 바이오, ⑥ 우주항공・해양, ⑦ 수소,
⑧ 사이버보안, ⑨ 인공지능, ⑩ 차세대 통신, ⑪ 첨단로봇・제조, ⑫ 양자
이를 위해, 세종과학펠로우십 내 국외연수트랙을 신설하여 우수한 박사후연구자가 국가전략
기술분야 핵심인재로 성장하여 국가경쟁력 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에 대해 2년(1+1)간 연 7천만 원(인건비) 정액 지원
또한, 선도연구센터 내 혁신연구센터(IRC) 신규 추진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관련 대학의
특성화분야 연구역량 축적 및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고, 대학의 특성화분야를 영속성 있는
연구소 체계 중심으로 연구 역량을 결집하여 전략기술의 기초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하였다.
※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 관련 대학별 특성화분야에 대해 10년(3+4+3)간 연 50억 원 이내 지원
∙119∙
3)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지원 환경 조성
가) 신진연구자 지원 대상 확대
연구자 생애주기를 반영한 연구관리 지원 제도 개선 및 신진연구자 지원 확대를 위해 기존
신진연구자 자격에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교원 또한
신청가능 하도록 하여, 신진연구자 신청 자격을 완화하였다.
나) 연구비 집행 기준 완화
세종과학펠로우십의 경우, 원활한 연구 수행을 위해 회의비의 계상과 집행을 허용하여 연구비
집행 제한 사항을 완화하였으며, 연구 수행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비전임에서 전임으로)
신분변동 시 연구수당의 계상・집행을 허용하고, 1단계 수행 후 과제중단 희망 시에는 정당한
사유로 인정하여 조기종료가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생애첫연구에 대해서는 소규모과제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간접비 비율을 5%로 일괄 적용하여 연구자들이 보다 많은 연구비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4) 대학의 연구역량이 지속적으로 축적・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집단연구의 산학연계 강화를 위해 지역대학 중심으로 지자체, 지역기업 등 지역혁신 주체들의
참여를 통한 연계성을 강화하여 우수성과 창출의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혁신연구센터(RLRC)에 대해 동일 권역 내에 소재한 중소・중견기업 뿐만 아니라 권역 내
대기업도 참여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RLRC에 참여 중인 연구원을 참여 기업이 채용할 경우,
해당 인건비를 기업의 현금부담금으로 인정하도록 기준을 완화하였다. 또한, 지역기업, 지역 내
R&D 전문기관이 단계평가 및 현장컨설팅 등에 참여하여 센터의 지역 내 경제・사회적 역할을
극대화하도록 하였으며, 2단계 지자체 매칭금액 보장을 통해 안정적인 지원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5) 지속적 제도혁신을 통한 연구환경 최적화 추진
가) 집단연구의 목적성 강화를 위한 평가항목 등 개선
기초연구사업의 공동연구 강화를 위해 사업・유형별 목적에 부합하도록 평가 주안점 및 평가
지표를 구체화하여, 수월성・공동연구・인재양성 등 유형별 집단연구의 목적 달성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평가 시에는 집단연구 네트워크의 목표 설정 및 구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을 반영하였으며, 단계평가 시에는 유형별 네트워크 구성 및 활동의 적절성, 최종평가
시에는 집단연구성과 활용 확산 계획 등을 추가하여 구체화하였다.
∙120∙
또한, 집단연구에 대해 참여연구원의 ‘공공・민간연구소 선임연구원(정규직) 이상 참여 불가’
라는 제한을 폐지하여 산학연 협력을 장려하고자 하였다.
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전면 도입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에 대해 접수・선정평가・협약 등 연구관리 전 단계에 걸쳐
IRIS를 전면 도입하여 연구자 중심의 표준화된 연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국가연구
개발혁신법」 시행 및 IRIS 도입에 따라 연차점검(리더, 집단) 및 중간점검(우수신진연구, 중견
등)을 폐지하여 연구자 행정부담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6) 기초연구기반구축 지원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은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해외 대형연구장비 활용 지원 및
연구정보 제공을 통한 기초연구 역량과 글로벌 창의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올해는
기초연구에 필요한 대형연구 장비 활용 국제협력 및 대용량 실험데이터 제공, 연구정보 제공
등 기초연구기반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안정적인 예산 확보(2023년 예산
기준 약 129억)를 통해 내실 있는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사 업 사업목적 및 특성 연간 연구비 지원기간
유럽핵입자
물리연구소
(CERN)협력
CERN 연구소의 검출기 실험 및 이론 물리 연구에 참여하고 대형 검출기
(CMS, ALICE) 내 주요 장치를 공동 개발하는 등 국제협력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 역량 확보
CMS 40억 내외
ALICE 17억 내외
이론물리 6.4억
참여부담금 7억
3년
(계속)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허브구축
첨단 연구 장비, 거대 관측 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
데이터의 공유 분석 환경 및 컴퓨팅 인프라 지원
30억 내외
3년
(계속)
해외대형연구시설
활용연구지원
국내에 없거나 성능이 우월한 해외 최첨단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국내
연구진의 접근성 향상으로 국제교류 및 선진 실험기법 습득 기회를 제공
하여 연구역량 향상 및 우수성과 창출
사업단별
1~2억 내외
3년
전문연구정보활용
기초연구 분야의 연구정보를 수집・가공・재생산하여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이용자 간 교류・소통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기초연구 활성화 도모
정보센터 당
3억 내외
6년
(3+3)
※ 출처: 2024년도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121∙
3. 향후 계획
2024년부터 기초연구사업은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성과 창출을 위해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위한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유망한 연구자가 창의・도전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 기회를 확대하고, 초기에 연구현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연구
시설・장비 등 인프라 구축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존의 리더 연구, 선도연구센터 등
우수한 연구과제를 글로벌 R&D 형태로 추진하는 등 글로벌 기초연구를 활성화하여 글로벌
수준의 연구자와의 교류를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소규모지만 우수한 연구를 지원하는 ‘창의 연구’를 신설하여 역량 있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새롭게 지원할 계획이다.
그리고 집단연구에서는 대학의 우수한 연구거점이 지속적인 역량 축적을 통해 글로벌 연구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국가적 수요가 높은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경우, 작년에 신설된 ‘혁신연구센터(IRC)’를 추가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지속적인 제도혁신을 통해 우수한 연구자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성과 창출을
통해 글로벌 기초연구 역량을 확보하고,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122∙
제5절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1. 개요
우리나라는 현재 지방지역 소멸,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재해의 복합화, 기술패권 경쟁의 심화
등 눈앞에 놓인 국가적인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책으로 과학기술이 기반이 되는
미래를 선도적으로 준비 중이다. 과학기술은 우리나라가 확보해야 하는 최우선 목표가 되
었으며,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중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인-국가-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중심 연구개발
(R&D)이 강화되면서, 사회와의 소통과 참여가 중요하게 되었으며, 지역 소멸에 대응하는 과학
기술 기반 지역 자생력 강화를 위해 과학기술문화의 중요성 또한 같이 증대되었다.
그렇기에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문화 활성화를 통해 국민의 삶을 바꾸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나아가 국가의 미래 성장을 주도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이끌 과학기술 소통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에 있으며, 과학기술문화의 창달을 위해 제1차 과학
기술문화 창달 5개년 계획(’03∼’07)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및 관련 산업의
육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지역 중심의 과학기술문화 생태계 활성화
「과학기술기본법」 제30조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지식 수준을 높이고 과학
기술이 사회전반에 널리 이용되며 국민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문화를 창달
한다.”는 조문이 있다. 이는, 온 국민이 차별 없이 과학문화를 누릴 수 있게 정부에서 여러
시책을 수립하도록 법적으로 명시한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위해 지역 및 사회・
경제적 배려계층을 대상으로 격차 해소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는 전국 광역지자체별로 구축되어 지역 내 풀뿌리 과학문화를 활성화
하는 핵심기관으로, 지역 과학문화 사업을 총괄 기획・운영하며,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 협・단체
발굴 및 지역이 보유한 과학문화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각 지역 내 과학문화를 활성화
하고 있다. 2023년에는 지역 과학문화 주체들의 주도적인 정책 및 사업추진을 위한 지역거점
∙123∙
센터 대상 역량 교육과 자생적인 지역 과학문화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전문 컨설팅을 제공
했으며, 지역이 보유한 대표 자원을 활용하여 특색있는 브랜드 발굴을 통한 프로그램을 운영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부산에서는 동래읍성 ‘장영실 과학동산’에서 장영실의 발명품과 발명
기기를 활용한 천문 행사를 운영하는 등 지역민 참여를 활성화했다.
또한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를 위해 과학문화바우처, 생활과학교실 운영 및 두드림 프로젝트
(찾아가는 과학관 운영)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하였는데, 대표적으로 과학문화바우처는 연 30,000명의
소외지역・계층을 대상으로 과학전시・체험・공연 등 과학문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1인당
지원 금액을 상향(3→5만 원)하고, 주요 권역별 과학문화상품 발굴을 통해 전년 대비 219종
증가한 총 747종의 상품을 제공하여 수혜자 편의성을 제고하였으며, 과학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강원 정선, 충북 음성, 경남 합천) 주민 대상 ‘찾아가는 바우처’ 신규 운영으로 과학에 관심은
있으나 기회가 많지 않았던 국민들의 과학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었다.
<표 2-30> ‘과학문화 바우처’ 우수 이용수기
“바우처가 없었다면 평생 ‘과학은 어렵다’라고 생각했을 텐데 이번 기회로 잊고 있었던 어릴 적 꿈을 되찾으며, 과학과
다시 가까워지게 되었습니다. 대학교 진학을 준비할 때 과학 관련 전공을 새로 고려할 만큼 과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일상에서도 과학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더 깊게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바우처 이용 학생)
“과학문화바우처로 로켓 만들기 교구를 구매해 아이들의 답답하고 심심한 마음을 달래주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로켓을
만들어 주말마다 학교 운동장에서 시간을 보냈고, 높이 날리기, 멀리 날리기, 목표물 조준하기 등 로켓을 가지고 노는 방법도
다양하게 고안해 내며 신나게 뛰어놀았답니다. 덕분에 딸은 과학을 더 좋아하게 되었고, 우리 가족은 좋은 추억을 많이
만들 수 있었습니다.” (바우처 이용 가족)
나. 민간 자생력 강화를 통한 과학문화산업 육성 본격화
민간 협・단체의 자생적인 과학문화 활동 기반 마련 지원을 위해 과학카페를 개점하여 과학적
요소를 가미한 식음료를 개발・판매하고, 공간 내 과학기술 전문가 강연, 체험, 워크숍 등을
운영하였다. 올해 2년차를 맞이한 과학카페는 13,713명 방문 및 9,773만 원의 수익을 창출
하였고, 경력단절 여성 및 은퇴 과학자 등 70명에게 강사 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민간 주도의
실질적인 경제효과 창출 및 판로 확대를 지원하였다.
또한, 과기계 이슈를 반영한 다누리호 브릭, 티셔츠 등 항공우주 테마 굿즈, 과학위인 굿즈
등을 제작 판매하여 15,120개 굿즈를 판매하고, 7,662만 원 수익을 창출하였으며, 소외
지역・계층 청소년 대상 과학문화 프로그램 운영하였다.
올해 신규로 대중 과학소통 활성화를 위해 ①AI-사회문제 관련 전문 포럼을 운영(전문가,
일반인 등 240명 참가), ②달탐사 기후위기 등 16개 과학기술 이슈를 발굴하여 이슈페이퍼
∙124∙
8종을 발간 및 배포, ③과기계 학회 연계 어려운 과학용어를 100건 발굴하고, 대체용어를
제시하여 기획기사를 출고, ④국가전략기술 콘텐츠 제작 활동을 지원하였다.
과학카페 ‘QUA(쿠아)’ 과학기자 대회 과학굿즈 제작・판매
[그림 2-25]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아울러, 공공이 보유한 과학문화 역량(인력, 콘텐츠 등)과 민간의 우수한 인프라(공간, 자본
등)를 매칭하여 과학문화 시장 확대를 위해 우수과학문화상품 아이디어 사업화를 지원하고,
우수과학도서를 인증하고 홈플러스와 연계하여 상품 전시 및 판매를 진행하였다.
다. 과학기술인과 함께 과학과 사회 소통 가속화
매년 4월 21일은 법정기념일인 ‘과학의 날’로, 과학기술처의 발족을 기념하고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을 ‘과학의 달’로 지정하여
다양한 과학행사를 운영 중인데, 1997년 이래로 올해 27회째를 맞이한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중앙-지역(대전)-민간(과민협) 공동기획・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역대 최대 관람객 수를 달성
하는 등 도심형 과학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특히, 차세대 모빌리티 시승 체험 및 과학
문화 전문인력의 강연,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대중이 과학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큰 호응을 받으며 함께 즐기는 과학기술문화를 확립하였다.
[그림 2-26]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125∙
또한, 미래 과학기술인재 양성 기반을 위한 청소년 과학활동지원사업도 운영하였다. 과학기술
인프라 연계・협력을 통해 최고・최신 과학기술 분야를 현장 탐방하는 ‘청소년 과학대장정’을
확대 운영하여 반도체, AI, 로보틱스 분야 국내 주요 연구기관 및 기업을 방문하고, 취리히연방
공대, CERN 등 해외유수기관을 탐방하여 과학진로 설계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청소년 과학
페어를 개최하여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이 지닌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연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과학문화 혁신 포럼’(3회)과 ‘과학문화 심포지엄’(1회)을 개최하여 과학기술문화
이슈를 발굴하고, 과학문화 생태계 활성화 노력 및 향후 방향성 제시 등 과학문화 정책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다. 정책 논의 결과는 언론보도, 유튜브 채널(사이언스프렌즈) 등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하여 과학문화 이슈를 확산하였다.
3. 향후 계획
‘지역・민간의 자생적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함께 즐기는 과학기술문화’,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반’을 추진해야 할 중점 방향으로 설정하고 과학기술문화 혁신 주체들의 성장과 참여로
풍성해지는 역동적 과학기술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먼저 ‘지역・민간의 자생적 과학기술문화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과학문화 주체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소외지역 및 계층 대상 맞춤형 과학기술문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함께하는 성장을
만들고자 한다. 민간 과학문화 주체 또한 다양하게 발굴하여 과학문화 활성화를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과학축제’ 등 오프라인 과학문화 축제 대표 브랜딩을 확립하고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 제고에 힘쓰며, 성인 과학기술 기초소양 고도화 및 참여 확대를 통해 ‘함께
즐기는 과학기술 문화’를 형성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플랫폼 확장을 통하여 국민의 과학문화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국내외
과학문화 네트워크 소통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한다.
∙126∙
제4장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제1절 민간주도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질적 성과 향상
가. 개요
최근 중소기업을 둘러싼 경제 상황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유동성 축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고금리, 경기 둔화 등 여러 위기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였다. 외부 환경에
취약한 중소기업은 경영상의 어려움이 가중되었으나,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R&D를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그림 2-27] 중소기업 R&D 주요성과 현황
그 결과, 고용, 매출, 수출, 특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5년간 중기부 R&D를 지원받은 중소기업 성과를 분석하면, 신규 고용은 총 156,021명이며,
∙127∙
이 중 R&D 전문인력은 77,01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를 통한 매출은 총 17조 원이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은 31.2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 2,153
개사 중 824개사가 최초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였다. 또한, 26,334건의 특허가 출원・등록되었고
국가 R&D 등록 특허 중 중소기업 R&D로 인해 창출된 특허 비중은 증가 추세이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중소기업 R&D 제도개선
지난 2021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COSTII)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
역량’ 종합순위는 OECD 회원국 내 평가대상국인 36개국 중 5위인 반면 제도적 여건은 30위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지원 효과성은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전문가 간 의견수렴을 거쳐 중소기업 기술
개발 지원사업 제도 현황을 점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질적 전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1) 역량과 잠재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R&D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2) 성과 창출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기술개발
과정에서는 환경 변화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유연성을 확대하는 등 R&D 전 과정을
점검・개선하였다.
먼저 결격요건을 최소화하고, 신청절차를 간소화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과제 신청기업의 재무
요건 결격 기준을 완화하고, 연구개발계획서 서식을 연구개발 내용 중심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였다. 중소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하던 신청서류 역시 기존 13종에서 5종으로 대폭
축소하는 등 중소기업의 R&D사업 신청 부담을 대폭 완화하였다.
둘째, 지원과제 선정평가 기준을 개선하였다. 과제 내용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제에 대한 분류 절차를 개선하고, 기존 개발 중심 평가에서 기업의 성장 관점까지
아우를 수 있도록 ‘선행연구’에 대한 평가 기준을 신설하였다.
셋째, 기술개발 계획 변경의 자율성을 확대하였다. 기존에는 사전승인을 받아야 기술개발
추진전략, 방법 등이 변경 가능했으나, 연구기관이 자체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연구비 사용기준을 완화하고, 인정 범위는 확대하였으며, 증빙에 대한 부담은 완화하였다.
이번 제도개선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98.1%가 보통 또는 만족으로 응답하였으며, 실제
기업의 신청서류 준비 부담이 35.1%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중소기업의 R&D 여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8∙
2) 민간주도 방식의 R&D 확대
글로벌 시장의 기술혁신 주기, 소비자의 신기술 수용 속도는 과거 대비 현저하게 빨라지고
있다. 특히 AI의 성능 향상 속도는 기존 무어의 법칙보다 7배가 빠르다는 발표(AI Index
2019, 스탠포드大)가 있을 정도로 중소벤처기업을 둘러싼 R&D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 지원만으로는 근본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으며, 민간투자시장과
연계하여 스케일업 단계의 유망기업을 엄선하고 집중 지원하는 스케일업 팁스를 도입하여
R&D를 민간주도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먼저, 운영사 방식을 도입하였다. 민간투자사와 연구개발전문회사가 운영사 컨소시엄을 구성
하여 기업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민간투자사의 기업 성장 가능성에 대한 안목, 투자
역량과, 연구개발전문회사의 기술 역량을 십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민간 운영사가 유망기업을 先투자(10억 원 이상)하여 정부에 추천하면, 정부는 평가를
거쳐 매칭투자(최대 20억 원)와 출연R&D(최대 3년 12억 원) 방식으로 R&D를 지원한다. 이 중
매칭투자는 정부 투자액의 50% 이상을 R&D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출연 R&D 대비 자금
집행의 자율성이 높다는 것이 장점이다.
<표 2-31> 스케일업 팁스 지원 개요
구 분 매칭투자 출연R&D
지원대상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서 정한 중소기업
지원조건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10억 원 이상 투자 후 신청
재원 모태펀드 연구개발출연금
지원방식 매칭투자 R&D출연
지원
내용
지원기간 제한없음 36개월
지원한도 1배수 이내 매칭, 최대 20억 원 최대 12억 원
기업부담금 - 총 연구개발비의 25% 이상
신청・접수 수시
선정평가 3, 5, 7, 9, 11월
그간 스케일업 팁스를 통해 ’21.12월부터 ’23.12월까지 총 200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그 중
제조・하드웨어 분야 기업의 지원 비율은 73.5%로 일반적인 벤처투자시장 투자비율(41.0%)의
1.8배 수준이었으며, 비수도권 기업 지원 비중은 41.0%로 일반적인 벤처투자시장 투자비율
(24.4%)의 1.7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창기임에도 불구하고 지원기업 중 43개사(21.5%)가 1,403억 원의 후속투자를 유치
하였으며, 코스닥(3개사) 및 코넥스(1개사) 상장, 2024 CES혁신상 수상(4개사) 등 다양한 성과가
조기에 나타나고 있다.
∙129∙
또한 2023년 3월 「高위험・高성과 R&D 추진계획」을 통해 역량, 의지를 보유한 중소벤처
기업이 혁신적 R&D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민간으로부터 파급력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민・관 합동 1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지원, 연구 자율성 보장, 실패 부담
경감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도전적 R&D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지난 5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접수된 수요를 바탕으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운영하였으며,
3개의 프로젝트 RFP를 최종 도출하였다. 각 프로젝트 RFP에 대해 운영사가 先투자(20억 원)를
수행기업을 추천하였으며, 4단계의 평가를 통해 2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다. 2024년부터
본격적인 R&D 지원과 전담 PM을 통한 마일스톤 관리가 진행될 예정이다.
3) 중소기업 R&D 구조개편
그간 정부는 중소기업 R&D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가면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했으나,
혁신역량에 따른 선택과 집중 필요, 개별기업 단편 지원을 넘어 장기적 관점의 혁신 전략성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제3회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에
전략적 지원, 글로벌 R&D 협력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중소벤처기업부 R&D 구조 개편 방안’을
발표하였다.
먼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 구조 효율화를 위해 유사・소규모 사업을 기축사업을 중심으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통해 포괄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전략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하였으며, 성장・육성, 혁신 생태계, 혁신 인프라 등 R&D 지원방향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혁신역량에 따라 혁신선도기업과 일반중소기업으로 구분하는 투트랙 지원으로 장기
전략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국내 혁신선도기업은 전략기술 테마를 중심으로 민・관 합동 100억 원
규모의 과감한 R&D지원을 통해 글로벌 선도기업(World-Frontier)으로 육성해 나가며, 일반
중소기업은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업종별 공통수요 기반 지식
재산(IP)을 공유하는 등 R&D 성과확산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해외 선도연구기관과 R&D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 위해 보스턴, 뉴욕에서 2차례의
밋업(Meet Up) 행사를 진행하였으며,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마일스퀘어’로 불리는 보스턴
켄달스퀘어(Kendall Square) 내 R&D 협력 거점(TIPS@Boston)을 개소하였다.
∙130∙
4) 중소기업・소상공인 디지털전환 기술개발 지원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스마트화가 생산 및 제조업의 혁신방안으로 자리잡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 ICT 등을 포함하는 정보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화・지능화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 중 하나로 제조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품질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22년 총 395개 과제를 선정하여 20,750백만 원을 지원하였고, ’23년에는 총
441개 과제를 선정하여 24,383백만 원을 지원하였다.
특히, 2023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노후화 설비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트로핏*
기술에 대한 제조 중소기업의 수요를 적극 반영하여 설비・부품 기능 개선, 네트워크 구축 등
기존 노후 생산장비의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과제를 우대 지원하였다.
* 리트로핏(Retrofit) : 노후화된 기계장비・장치의 성능개선 및 디지털화를 위해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등을 추가 설치하는 단기 공정개선 방법
또한, 스마트 제조 3대 핵심 기술분야(1.첨단제조, 2.유연생산, 3.현장적용)의 공급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23년 440개 신규과제 등에 42,042억 원을
지원하였고, 실제 제조 현장의 수요 반영을 위해 온・오프라인 공청회를 실시하여 현장적용분야
세부품목서 30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계속 과제 관리를 위한 기업 간담회 개최 및 고객 문의
전용메일을 개설하는 등 소통채널을 확대함으로써, SCIE급 논문 12건, 지식재산권 79건, 신규
고용 창출 210명 등의 의미있는 성과도 창출하였다.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도 스마트화 지원을 위한 “스마트 서비스 ICT솔루션
개발” 사업을 운영중이다. ’21년 사업을 신설하여 22개 과제 선정・지원을 시작으로 ’23년엔
65개 계속과제에 대해 12,125백만 원을 지원하였다. 해당 사업으로 서비스 분야 중소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맞춤형 솔루션 개발 및 관련 공급기업들의 기술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개술개발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국가경제의 근간을 지탱하는 중요한 주체이나 코로나19 이후 매출감소 등 경영난에
직면하면서 디지털 전환이 필요했다. ’21년 스마트 플랫폼 실태조사(중기부) 결과, 플랫폼
이용업체 중 74%가 매출액의 절반 이상이 플랫폼을 통해 발생했으며, 디지털 장비・기술에 대한
수요는 65.3%이나 실제 실행은 18.4%에 불과했다.
이에, 정부는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하여, 3개의 기술개발 사업을 운영하였다. 소상
공인이 직접 기술개발을 수행하는 “소상공인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전통시장・상점가의
∙131∙
스마트화를 추진하기 위한 “스마트 전통시장 상점가 기술개발 사업”,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소상공인 디지털화를 위한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기술개발사업”이 정부의 신규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사업이다.
소상공인 맞춤형 기술개발 사업 운영을 통해, ’20년부터 ’23년까지 2,898개 소상공인 사업장에
개발한 기술・제품 보급을 완료하였으며, 과제에 참여한 소상공인 등은 사업화 성공률이 70%에
달하고 있다. 특히, 과제 매출액은 정부출연금 1억 원당 3.72억 원으로 높은 경제적 성과를 창출
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중소기업-전문가로 구성된
“스마트 얼라이언스” 협의체를 통해 유기적인 기술개발 수요-공급 연결을 통해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5)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
신(新)기후체제로의 전환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산업은 ‘고탄소 산업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탄소 배출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
이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 대비 전환 역량이 부족한 상황으로, 저탄소 공정으로 전환하려는
중소기업의 상당수는 전환 방법을 알지 못하여 아직 준비하지 못하거나, 해외기업 컨설팅 등에
의존하고 있다.
* 연평균 증가율(’14~’18): 전체(1.3%) < 산업부문 대기업(1.7%) < 산업부문 중소기업(2.9%)
중소기업의 저탄소 전환은 국가적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개별 중소기업이 탄소국경세,
글로벌 공급망 탄소관리 강화에 대응,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정부는 2022년부터 중소규모 산업현장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 탄소중립 선도
모델 개발’, ‘중소기업 Net-Zero 기술혁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2년 총 26개 과제를
선정하여 12,000백만 원을 지원하였고, ’23년에는 동 과제에 대하여 계속사업비로 총 18,627
백만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검증기관과 연계하여, 수행기관과의 1:1 컨설팅 지원 및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절차 수립을 통해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신속한 탄소중립 전환을
위해 국내・외 기술개발사례 분석, 현장의견 청취 등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132∙
’22년 ’23년 ’24~’25년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감축기술 평가 방향 수립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준비
Net-Zero기술 및 감축유형 분석 타당성평가 보고서 작성 개발기술 적용 모니터링 보고서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산정 감축기술 타당성 평가 감축기술 검증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Tool개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보고서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 확인서
주기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주기 모니터링(컨설팅, 현장방문 등)
[그림 2-28]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 절차 수립
향후, 계속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저탄소 전환 촉진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여 저탄소 분야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기술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 향후 계획
중소기업 R&D 지원 전략성을 지속 확립하여 ‘R&D다운 R&D’로서의 면모를 강화할 예정
이다.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는 추진 경과와 지원 성과를 점검
하여 보완・확대해 나가고, 유망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선도연구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계속해서 조성해나갈 예정이다.
2.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 및 성장지원 강화
가. 개요
세계 각국은 미래 신기술・신산업 분야를 선점하고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과학
기술 기반 혁신경쟁을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또한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국가
도약과 성장을 국정운영 비전으로 제시하고, 혁신 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세부 전략으로 수립하였다.
과학기술 성과의 경제적・산업적 활용을 통한 혁신을 위해 정부에서도 『딥테크 유니콘기업
창출을 위한 스케일업 R&D 투자전략(2023.1.12., 관계부처 합동)』을 발표하는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각종 사업화・창업 지원과 민간 투자 확대에 따라 최근 창업기업 수와
∙133∙
기술이전 건수 등은 양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지만, 서비스플랫폼・상품중개업 등의 단순 플랫폼
중심 창업기업 비중이 증가하고 소규모 기술이전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혁신경쟁을 선도할
고난도 과학기술기반 사업화・창업의 투자 확대를 통한 질적 성장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고난도 과학기술 기반 사업화・창업은 신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성장을 이끄는
혁신의 원천이다. 최근 조사 결과, 대학・출연(연)의 기초・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험실창업
기업의 평균 고용 규모는 9.5명으로 전체 창업기업 평균 2.85명에 비하여 3배 이상의 고용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국내 전체 일자리 순 증가분 중 약 90%가 창업기업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고무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2023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반 기술사업화 및 실험실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과 정책을 추진하였다. 전문기관을 연계한 기초-원천-기술사업화의 전주기 기술
고도화 지원 및 기초・원천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시장 수요에 맞게 동시・병렬적인
기술성숙도 향상 지원 등 다양한 기술 스케일업 사업을 추진하였고, 교육부・중기부와 합동 사업
추진으로 대학 發 실험실창업 전주기 지원 및 대학・출연(연) 이공계 연구원의 연구성과 기반
창업과 시장친화적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창업탐색교육 또한 추진하였다.
특히, 2023년 6월에는 고난도의 과학적 지식과 R&D를 기반으로 하는 신흥 기술분야의 도전적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수립 및 추진
정부는 2023년 6월 21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딥사이언스 창업은 고난도의 과학적 지식과 R&D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기술, 핵융합, 합성생물학 등 신흥 기술분야의 도전적 창업을 의미한다. 정부는 딥사이언스에
기반한 기술혁신이 미래 신산업의 씨앗으로 성장하여 창업과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본 방안에는 딥사이언스 맞춤 창업지원과 딥사이언스 창업 성장 생태계 조성을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8대 중점과제를 제시하였다. 딥사이언스 맞춤 창업지원과 관련하여 연구자-경영자
협력형 창업 R&D지원, 경쟁형 방식의 강한 지식재산 발굴 확보, (가칭) 딥사이언스 마중물
펀드 조성, 핵심 연구시설・장비 및 전문인력 확보 지원을 중점 추진한다. 딥사이언스 창업 성장
생태계 조성과 관련해서는 민간 중심의 지식재산 활용 및 기획형 창업지원 강화, 해외 시장으로
∙134∙
이어지는 창업 성장 사다리 구축, 딥사이언스 분야 혁신제품 지정 및 시범구매 확대, 공정한
성과배분 및 보상방식 다양화 등을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또한, 딥사이언스 분야에서 도전성・혁신성이 인정되는 기업을 딥사이언스 기업으로 지정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한다. 이들 기업은 정책금융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병역지정업체 추천 시
가점부여, 연구기관 또는 클러스터 내 유휴・저활용 장비 우선 이전・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한다.
아울러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를 통한 미래 먹거리 산업 창출을 위해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딥사이언스 분야 창업을 준비하는 연구자에게 최대 5년
(3+2년)간 기술고도화 R&D와 창업기업 성장지원을 통해 고난도 과학기술이 경제적 가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목표 과학기술 성과를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R&D 창업을 통해 신산업의 씨앗을 육성
추진방향 주요 추진과제
딥사이언스 맞춤 창업
지원
연구자-경영자 협력형 창업 R&D 지원
경쟁형 방식의 강한 지식재산 발굴・확보
(가칭) 딥사이언스 마중물 펀드 조성
핵심 연구시설・장비 및 전문인력 확보 지원
딥사이언스 창업 성장
생태계 조성
민간 중심의 지식재산 활용 및 기획형 창업 지원강화
해외시장으로 이어지는 창업 성장 사다리 구축
딥사이언스 분야 혁신제품 지정 및 시범구매 확대
공정한 성과 배분 및 보상방식 다양화
[그림 2-29]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목표 및 중점과제
2) 기초・원천 연구성과 기술 스케일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2023년에 정부는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창출된 연구성과를 연구자 주도로 빠르게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고도화 할 수 있도록 부처 내 전문기관 간 협력을 통한 전주기
기술 스케일업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기초-원천-기술사업화 전주기 연계 지원을 위해 전문
기관 공동으로 우수 기초연구성과・기업수요를 발굴하였으며, 매칭된 연구성과-수요에 대해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연구자 주도・출연(연) 중심 기술고도화를,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은 고도화된
기술의 기술 실용화를 지원하는 등 전문기관 간 협업으로 단절 없는 부 내 이어달리기를 추진
하여 2023년에는 14개 과제를 선정・지원하였다.
∙135∙
[그림 2-30] 부처 내 전문기관 간 기술 스케일업 협업체계
또한, 우수 기초・원천 연구성과를 발굴하여 다양한 시장 수요에 맞게 동시・병렬적으로 기술
고도화 및 실용화 지원하는 ‘공공연구성과 가치창출 기술키움 사업’ 또한 추진하였다. 과기
정통부는 테크노믹스 시대 기술 확보 전략으로서 기초・원천기술 활용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원천기술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 스케일업 지원 사업을 2022년에 착수하였고, 지난
2년간 74.6억 원을 투자하여 현재 4개 기술키움 연구단을 구성하여 지원하고 있다. 본 사업은
기초・원천 연구자(기술 보유자), 수요기업, TLO 협력 방식의 사전기획 및 단계별 경쟁형 지원
방식을 도입한 기술 실용화를 위한 기술키움 패키지 지원 사업으로, 사업 착수 이후 4개 기술
키움 연구단을 통해 기술이전 계약 15건, 계약 금액 113억 원(건당 계약 금액 7.53억 원) 및
창업을 통한 연구소기업 설립 등 우수한 양적・질적 성과를 창출하였다.
3) 대학・출연(연)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창업 전주기 지원
2023년 정부는 관계부처 간 협력을 통해 대학 실험실창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 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사업’을 추진하였다. 본 사업은 연구성과와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선정하여 창업 유망기술 발굴부터 후속 R&BD, 창업까지 지원하는 다부처 협력형 사업이다.
교육부는 창업 인프라 조성, 과기정통부는 기술개발 등을 포함한 창업 준비를 지원한다. 창업에
성공한 초기 실험실 창업기업은 중기부의 ‘실험실 특화 창업중심대학 사업’과 연계하여 사업화
자금과 멘토링 등을 지원받는다.
∙136∙
부처 교육부
+
과기정통부 중기부
시행기관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창업진흥원
사업명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과학기술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
실험실 특화
창업중심대학
역할 실험실창업 인프라 조성 실험실창업 준비 지원 실험실 창업기업 성장지원
지원내용
창업 교과목・동아리,
학생 수당 등 지급
BM고도화, 후속 R&D,
실전 창업교육
사업화 자금, 멘토링 등
창업 유도 창업기업 성장
[그림 2-31] ‘과학기술 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사업’ 관계부 간 협업체계
2023년은 2단계 사업이 시작되는 첫해로 실험실창업 성공률 제고를 위해 사업을 개편하여
시행하였다. 첫 번째로 혁신창업 실험실 선정 단계에서 대학별 사전기획을 통해 기술의 우수
성과 창업 성공 가능성 등을 검증한 후 본 과제 지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기존 대학 단일 지원방식에서 대학 간 컨소시엄 참여를 허용하여 창업에 필요한 우수 유망기술
범위를 확대하였다. 이는 실험실창업 시 각 대학의 강한 분야 특허 혹은 기술을 융합한 포트
폴리오를 구성하여 대형 창업 성과 창출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세 번째는 실험실창업의 주체를
확대하였다. 기존의 대학 교원뿐만 아니라 실험실 소속 대학원생 및 박사후연구원 창업으로
확대하였다.
2023년에는 13개 주관대학을 포함하여 23개 대학을 선정・지원하였다. 주관대학의 자체평가
및 전문기관 검토를 통해 142개의 혁신창업실험실을 선정하였고, 2023년 12월 말까지 101개
혁신창업실험실이 창업에 성공하여 창업률 71%를 달성하였다.
또한, 이공계 대학원생과 박사후연구원, 과기분야 출연(연) 연구자를 대상으로 ‘I-Corps
방법론’을 활용한 시장연계 창업탐색교육・창업보육 등을 지원하는 ‘공공기술 시장연계 창업
탐색 지원사업’ 추진하였다. 과기정통부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우수 창업모델인 ‘I-Corps
방법론’을 벤치마킹하여 2015년에 2개 대학과 국내・외 창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본 프로그램을
국내에 시범적으로 도입하였고, 지난 9년간 650억 원을 투자하여 현재 전국 7개 대학 실험실
창업혁신단과 국내・외 창업교육기관을 통해 권역별 창업탐색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2023년에는 170억 원을 투입하여 대학원 연구자로 구성된 125개의 창업탐색팀과 과기분야
출연(연) 연구자로 구성된 15개 창업탐색팀의 창업탐색교육 및 창업보육을 지원하였다.
2015년 사업 착수 이후 705개 창업탐색팀이 본 창업탐색교육을 수료하였고, 305개의 창업
기업 설립을 지원, 이들 기업에서 2,224명의 신규 고용창출과 4,173억 원의 후속 투자를 유치
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137∙
다. 향후 계획
국가 R&D의 지속 확대가 과학적 성과 확대를 이끌고 있고, 창업・벤처 생태계 또한 양적,
질적 측면에서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신기술・신산업 분야 창업 기술
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사업추진, 제도 정비, 생태계 조성 등을 지속 수행하여 R&D를 통해 창출된
연구성과가 미래성장동력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창업기업이 미래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성장
하여 국가 경쟁력의 디딤돌이 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3. 기업의 혁신 R&D역량강화 지원
가. 개요
기업부설연구소는 민간기업의 R&D 활동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제도 시행(1981년) 이후부터
그 규모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현재 약 4만 4천여 개가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연구개발비의 80%를 집행하는 등 국가R&D의 주축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자,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역량을 수치화하여 진단하는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진단 모델’을 개발(2021년 12월), 이를 활용하여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강화 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2022년∼).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강화 지원사업’은 기업부설연구소를 R&D역량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위 그룹으로의 도약에 필요한 방안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용 육성사업이다. 역량진단 모델에 따라 구분된 [잠재형], [성장형],
[도약형] 연구소는 본 사업을 통해 각각 기술애로 해결, 보유기술의 고도화, 선도기술・제품의
개발을 지원받는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2023년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강화 지원사업’은 민간R&D협의체에서 도출된 5개 혁신
성장 산업분야(△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첨단바이오, △미래 모빌리티, △디지털전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R&D과제(25개)를 선정・지원하였다. 상대적으로 R&D역량이
미흡한 [잠재형] 연구소에 대해서는 대학・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 매칭을 실시하여 연구소가
직면한 기술애로의 해결을 지원하였으며, [성장형], [도약형] 연구소에 대해서는 연구소가 기술
은행에서 이전받은 공공기술을 활용하여 자사 주력제품(기술)의 고도화 및 혁신적 신제품・
신기술 개발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138∙
더불어, 기업부설연구소의 R&D역량증진 및 효율적 연구수행을 도모하고자 성과보고회,
워크숍을 개최하고 현장컨설팅(전수대상)을 실시하는 등 수행기관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리하였으며, 각 과제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사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의견을
수렴 및 적극 사업에 반영함으로써 효율적 연구활동 지원에 노력하였다.
수행기관 성과보고회(7.20~7.21) 수행기관 워크숍(8.31~9.1)
[그림 2-32] 수행기관 성과보고회 및 워크숍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 수립한 기본계획의 추진과제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기업부설
연구소의 지속적 기술경쟁력 향상 및 질적 성장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기업R&D 역량기반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 성장을 위한 후속 신사업을 기획・발굴하여,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체제에서 우리 기업이 글로벌 혁신 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4.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가. 개요
2023년 한 해는 창업・벤처 생태계에 있어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높은 기준금리로 인해 벤처・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가 경색되면서, 온라인・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 창업생태계는 여전히 뜨겁다.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에서 발표하는 전 세계 창업 생태계 순위에서 서울은 ’22년 세계 10위를 기록한데
∙139∙
이어,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23년 10위권(12위)을 유지하였다. 1월에는 역대 최고치인
111개 벤처・창업 기업이 CES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벤처・스타트업이 전 세계 최고
수준임을 나타내었다. 한편, 중기부 소속 벤처 투자회사 기준으로 집계된 신규 벤처 투자
(1~3분기 기준) 역시 저금리 기조였던 ’21년(10.9조 원), ’22년(10.2조 원)보다는 낮은 수준
이지만 코로나19 수준인 ’19년(5.4조 원), ’20년(5.4조 원)보다 높은 7.7조 원을 나타내 벤처
투자가 회복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림 2-33] CES 혁신상 수상 추이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법령 개선
정부는 벤처 투자 생태계의 고도화와 민간 자본 유입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2023년 4월 「벤처 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벤처
투자조합에 더하여, 벤처 투자조합에 대한 간접・분산 출자를 통해 안정성・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민간 재간접 벤처 투자조합’ 결성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어 6월 추가적인 법률 개정을
통해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스타트업의 투자유치를 위한 ‘조건부지분전환계약’, 저금리
융자와 신주인수권을 결합해 스타트업의 자금을 지원하는 ‘투자조건부 융자’, 벤처 투자조합의
대규모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한 ‘특수목적회사’ 설립 등 투・융자 복합 벤처금융기법의 도입
근거를 마련하였다.
∙140∙
증권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벤처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1주당
최대 10개의 의결권을 가진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2023년 5월에 개정, 2023년 11월 17일자로 시행되었다. 벤처기업의 창업주에게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하여 기업 성장에 필요한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외부자금의
용이한 조달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미국 등 벤처 선도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복수의결권
주식을 활발히 활용하고 있으며, 나스닥에 상장된 구글(Google)과 쿠팡(Coupang)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에도 복수의결권 주식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벤처기업의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9월에는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에 지원금 환수 규정이 신설되었다. 그동안 지원금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 보조금 관리법 또는 공공재정 환수법에 따라 환수하였고 그 외 사업
포기, 사업 수행 불량 등에 대해서는 참여기업과 창업지원사업 수행기관 간의 협약과 사업지침에
따라 환수처분을 하여 왔다. 이번 개정을 통해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침익적 처분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고, 환수 주체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로
확대함으로써 중앙 및 지방 정부 전체의 창업지원사업에 대해 통일된 환수 규정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2)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지원 정책
정부는 역량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위하여 2019년부터 「창업 준비→초기(창업 후 3년 이내)
→도약(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내)」의 단계별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우선, 창업준비
단계에서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에게 창업교육 및 멘토링,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을 제공하는 예비창업패키지가 있다.
창업 후 3년 이내의 초기 단계에서는 초기창업패키지를 통해 시장에 본격 진출이 가능하도록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함께 대학 등 창업지원 주관기관의 특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창업 후 3년 이상의 도약단계에서는 창업도약패키지를 통해 창업한 지 3년이 지나면 매출
부진과 자금 부족 등으로 위기를 맞아 사업화에 실패하는 ‘죽음의 계곡’(데스밸리)을 극복하고
성장(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최대 3억 원의 사업화 자금 등을 제공한다.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를 통해 예비창업자 1,260명의 창업을 지원하여 매출 357억 원과
고용 3,140명을 달성하고, 초기창업패키지를 통해 지원한 960개 기업은 매출 6,224억 원, 고용
3,074명의 성과를 창출했다. 또한 창업도약패키지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은 480개 기업은 매출
1조 590억 원, 고용 7,101명 등 데스밸리(Death Valley)에 있는 창업기업의 성장과 일자리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141∙
창업기업 성장단계 맞춤형 창업정책
창업준비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방향 결정, 비즈니스
모델 개발
예비창업
패키지
BM 고도화, 시제품 제작 등 지원(최대 1억 원)
창업후
3년 이내
창업 제품・서비스를 사업화하여 시장에
본격 진출
초기창업
패키지
실증(PoC)지원, 시장 진입・검증, 마케팅 등
지원 (최대 1억 원)
창업후
3~7년
비즈니스 모델, 제품 고도화, 신제품 출시
등 사업 확장
창업도약
패키지
민간협업, 해외진출 등 사업 고도화, M&A
등 지원 (최대 3억 원)
[그림 2-34]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한편, 민간의 투자를 유치한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는 기술 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
(TIPS)의 성과도 매우 뛰어난데, 2013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기업
2,734개사 중 약 53%가 민간의 후속투자를 유치하였으며, 총 투자 유치규모는 13조 원에
달했다. 2013~2022년 기간, 팁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은 평균 10.5명을 신규로 고용하는 등
일자리 창출 효과도 뛰어났다. 또한 2023년 12월 기준, 19개사가 기업공개(IPO)에, 73개사가
피인수・합병(M&A)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성공 사례도 도출되었다.
정부는 팁스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개선하여 왔다. 2019년 3월에는 팁스 지원체계를 「프리
팁스-팁스-포스트팁스」 3단계로 고도화하였으며, 2021년 5월에는 비수도권 최초로 대전
광역시에 「팁스타운」을 신규 조성하였다. 2023년에는 지역 내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을 유도
하는 등 비수도권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포항 체인지업 그라운드를 민・관 협력형
팁스 타운으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한편, 기술과 환경이 급변하는 디지털 전환시대에 대응하여 정부는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우위를 점하고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하기 위해 2022년 11월 발표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핵심 내용은 향후 5년간 10대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을 1,000개사 이상 선정하여 민・관 공동으로 약 2조 원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으로,
초격차 10대 분야를 영위하는 창업 후 10년 이내 기업을 중점 지원한다. ’23년에는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분야 총 295개사를 초격차 스타트업으로 선정하였으며, 기업의
선발부터 기술완성까지 3년간 기술사업화 자금 및 정부의 R&D 지원과 함께 분야별 정부출연
연구소 등 전문기관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24년에는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약
380개사의 초격차 스타트업을 신규 선정할 계획이다.
∙142∙
3) 지역혁신 창업 기반 구축
그간 주요 창업지원 인프라・시설 및 자금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어 비수도권 창업 생태계는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지역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기반 창업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 전체창업 중 비수도권 비중(’20년 43.5% → ’21년 42.6% → ’22년 44.4%)
<표 2-32> 주요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예산
(단위 : 억 원)
구 분 ’20년 ’21년 ’22년 ’23년
창조경제 혁신센터 398 364 364 364
메이커 활성화 지원 376 345 437 283
창업보육센터 124 119 120 96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45 42 46 37
2018년에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세부 운영방안」을 발표, 혁신센터를 지역창업 혁신 허브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고용, 투자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였다. 개편 이후 집중적으로 육성한 창업기업은 연평균 3,100여 개사이며, 약 1.5조 원
규모(’18~’23.6월)로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다. 아울러 육성 기업 중 51개사가 인수합병 또는
기업공개(IPO)에 성공하였다. ’23년말 현재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모두 액셀러레이터
등록을 완료하였고, 8개사가 팁스 운영사이며 약 1.9조 원 규모의 펀드를 직・간접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7년 국민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창업으로 연결하는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을 마련하여, 2018년도 전국 65개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전문랩 30개 등 전국에 227개 메이커 스페이스를 구축하였다. 최근 5년간(’18~’22년) 211만
명의 이용자, 시제품 58만여 건을 지원하는 등 메이커 문화확산 및 제조창업 저변 확대에 기여
하였고 2023년부터는 신규 구축은 종료, 기존랩 중 문화확산 중심의 일반랩(5년간 지원)은
자율운영으로 전환하되 제조창업에 친화적인 전문랩은 협업형으로 선별지원(’23년 5개)하는 등
지역의 캐주얼 제조창업 활성화 지원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창업초기 사업화에 가장
큰 걸림돌인 제조창업자의 초도양산을 지원하기 위해 공유형 제조창업 양산 인프라를 시범
구축(’26년 완공)하여 안정적인 제조 창업을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美 랩센트럴을 벤치마킹하여 바이오・의약 분야 창업기업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보육, 시험분석, 특허・세무 등을 지원하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의
성공적 구축・운영을 위해 2023년 국내 주요 바이오 관계기관 및 美 랩센트럴과 협력체계
∙143∙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2024년부터는 랩허브 사업추진단을 통하여 바이오
스타트업의 혁신기술 확보 및 글로벌시장 진출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 및 협력
방안을 구체화시킬 예정이다.
병원, 대학교, 연구소
임상실험 ⇅ 기술협력
K-바이오 랩허브
바이오
전문VC
회수 R&D센터
국내외
제약사
⇆ ⇆창업
보육실
연구
장비・시설
특화
지원프로그램
전문서비스
멘토링투자 사업화
연구장비・시설 활용 ⇅ 거버넌스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그림 2-35]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4) 청년창업 활성화 대책
청년창업은 청년들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래의 기회를 열어가는 우리 경제 혁신의
출발점이라는 의미가 있다. 국내 벤처・스타트업이 세계시장에서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대거
선정되는 등 국내 기업의 국제위상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국내 전체 창업기업 중 청년
창업기업 비중은 상승 추세이다. 그러나 청년들은 여전히 창업 자금과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곤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청년창업 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매년 청년
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청년 맞춤형 창업 사업, 창업 중심대학 등을 비롯하여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청년창업 사업인 「청년창업사관학교」(이하 ‘청창사’)는 2011년부터 현재까지
7,638명의 청년창업가를 배출했으며, ‘토스’ ‘직방’과 같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는 등 청년
기술 창업의 대표 양성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2년 민간 창업기획자가 우수 청년창업자를
직접 선발・육성하고 투자유치까지 책임지는 ‘민간주도형 청년창업사관학교’ 모델을 대전에
시범 도입하고, 2023년에는 부산, 제주, 경기 북부(구리) 청창사를 민간주도형으로 전환하였다.
2024년부터 청년창업자의 스케일업 지원과 글로벌 진출 및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거점지역의
청년창업사관학교에 글로벌 기업과 협업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민간주도형 청창사 1개소를
늘려 총 5개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타트업의 인공지능(AI) 기술 인력 수요급증에 따른 개발인력난 문제를 해소하고자
2021년 시범 운영한 「이어드림 스쿨」은 2023년까지 359명의 AI 실무인재를 양성하였으며,
∙144∙
캐글・데이콘 등 국내외 AI 경진대회에서 다수 교육생이 수상하는 등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2022년부터 교육을 대면・비대면 과정으로 운영하고, 2023년에는 인공지능 교육을 직무별로
데이터사이언티스트(DS), 데이터엔지니어링(DE) 특화 과정을 운영하고, 청년창업사관학교 등과
연계한 창업 트랙을 정규과정으로 편성하였다. 2024년부터는 SW 개발인력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는 스타트업에 해외 SW분야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베트남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SW 실무교육
후 국내・현지진출 스타트업으로 취업매칭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림 2-36]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활용하여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창업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6개의 「창업중심대학」을 신규 지정・운영하였다. 2023년에는 3개
대학을 추가 지정하였으며, 신산업분야 특화형 주관기관을 지정하여 시스템반도체, AI・빅데이터
등 6대 신산업분야 창업기업을 지원하였다. 또한 ’23년 ’23년 창업 중심대학 지원기업 743개사
중 대학발 창업기업 240개사, 비수도권 창업기업 421개사를 지원하는 등 창업중심대학을 통해
대학발 창업 활성화와 지역 창업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창업중심대학은 ‘청년의 날’
맞이 권역별 청년창업 행사, 창업기업 투자유치 IR 피칭 등 청년창업 행사를 개최하여 청년의
창업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그림 2-37] 창업중심대학 [그림 2-38] 스타트업 코리아 추진전략
∙145∙
5) 스타트업 글로벌화
정부는 8월 30일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스타트업 코리아 전략 회의」를 통해, 향후
중장기 창업정책 방향을 담은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대책에는 지역 창업 활성화, 민간 주도
벤처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과제가 포함되었지만, 가장 큰 핵심 메시지는 한국 창업 생태계의
글로벌화에 관한 내용이었다. 그간 국내 창업기업의 국내 창업화 중심에서 벗어나서, 한국인이
국외에서 창업한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국내에서 창업한 외국인까지 지원 범위에
포함시키는 내용 등이다. 정부는 대한민국을 「글로벌 창업대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글로벌 창업지원사업 중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사업은 업력 7년 이내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BM) 전환 교육, 법률・세무・회계 자문, 현지 액셀러레이터(AC)를 통한
보육, 사업화자금 지원까지 해외 진출의 초기 진출을 지원해왔다. 2011년 사업 시작 이후
’23년까지 총 983개 창업기업을 지원하여 4,351억 원 매출, 3,776명 고용 창출, 4,078억 원의
투자유치 등을 이끌어냈다.
또한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인프라인 「K-스타트업 센터」(프로그램형)의 경우 창업기업에게
글로벌 프로그램을 통한 1:1 네크워킹, 현지진출 관련 컨설팅, 현지 사무공간, 해외 진출자금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19년부터 ’23년까지 총 291개사를 지원하여 최근 5년간 해외법인
설립 37개사, 해외매출 110개사, 파트너십 112개사, 해외투자 9개사 등 사업 누적 성과를
달성하였다. 최근에는 KSC 하노이 거점을 개소(’23.9)하여 민관협력을 통해 동남아에 진출한
한국 스타트업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스타트업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이어나가고, 나아가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 개선, 글로벌 진출 확대 등 홀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와 난관이 존재한다. 이에
시장・산업별 최고의 전문성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기술교육, 솔루션, 컨설팅 등 협력하여
스타트업의 애로사항을 함께 해결하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023년에는 총 9개 기업과 협업하여 스타트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총 11개 기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2022년 총 200개사를 지원하여 국내・외 투자
유치 976억 원, 신규 고용 449명, 매출 1,100억 원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146∙
협력
기업
구글
플레이
엔비디아
마이크로
소프트
다쏘
시스템
앤시스 지멘스 AWS 오라클 IBM
프로
그램명
미정
주요
지원
분야
모바일 앱
및 게임
인공
지능
클라우드
기반 B2B
솔루션
제약
바이오 및
헬스케어
스마트
모빌리티,
전자전기,
기계
전자・전기・
기계,
장비・부품,
의료용
기기
클라우드
기반
바이오/
헬스케어
및 ESG
클라우드
기반
AI/ML
양자
컴퓨팅
관련
솔루션/
서비스
지원
규모
100개사
내외
30개사
내외
3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3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5개사 내외
[그림 2-39]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2023년 기준)
한편, 정부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위해,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을 한국 창업생태계로
유입시키고 창업과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24년 상반기에는 종합지원 인프라인 「글로벌
창업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인 (가칭)K-스카우터도 신설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그간 한국의 창업・벤처 생태계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괄목하게 성장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대한민국이 혁신 창업국가와 글로벌 벤처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향후 지속적으로 제도 정비, 지원 확대, 인프라 강화 등을 통해 창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5. 신기술・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신
가. ICT 규제샌드박스를 통한 혁신서비스의 시장출시 지원
1) 개요
정부는 기업들이 신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신서비스를 제공하려 하지만 현행 규제에 막혀
시장출시가 불가능한 경우, 한시적으로 현행 규제를 유예해 주는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2019년
부터 운영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아이들이 모래놀이터(sandbox)에서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것처럼 혁신적인 기술이나 신서비스가 규제로 인해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혁신의
실험장’ 역할을 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규제 유무를 명확히 확인해주는 ①신속처리, 안전성에
∙147∙
문제가 없는 경우로서 허가 등의 근거가 되는 법령이 기준・요건이 없을 때 우선 시장출시가
가능하도록 임시로 허가하는 ②임시허가, 허가 등의 근거가 되는 법령에 의해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 일정 조건 하에서 시장에서 실증테스트를 허용하는 ③실증특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무
조정실의 총괄 운영하에 6개 부처에서 8개 분야(과기정통부(ICT, 연구개발특구), 산업부(산업
융합), 국토부(스마트도시, 모빌리티), 금융위(혁신금융), 중기부(규제자유특구), 환경부(순환경제))가
운영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간 ICT 분야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운영하며 임시허가・실증특례를
통해 총 200건의 혁신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고, 2023년도에는 제도
운영 5년차를 맞아 변화된 정책 환경과 현장의 애로사항 등을 고려하여 ‘ICT 규제샌드박스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발표하였다.
[그림 2-40] 규제샌드박스 제도 개요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혁신 서비스의 시장 출시 지속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도에 스쿨버스 플랫폼 서비스, 인공지능을 활용한 반려동물
건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도심형 스마트 보관 서비스 등 39건의 ICT 규제샌드박스 임시
허가・실증특례를 지정하여 총 200건(누적)을 달성하였다. 이렇게 현행 규제가 유예된 200건의
서비스 중 127건이 시장에 출시(나머지는 출시 준비 중)되어, 매출 1,493억 원, 투자유치
2,232억 원, 고용증가 7,542명의 경제적 성과가 나타났다. 또한 시장에 출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련 규제 71건(약 56%)이 개선되어 합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148∙
[그림 2-41] ICT 규제샌드박스 경제적 성과
나) ICT 규제샌드박스 발전방안 수립 및 이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도 운영 5년차를 맞아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변화된 정책 환경과
현장의 애로사항 등을 고려하여 규제샌드박스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 ‘ICT 규제샌드박스 발전
방안’을 수립하였다. 최근 새로운 규제특례를 위한 상담・신청이 감소하는 추세(2019년 1,247건
→ 2022년 694건)이고, 규제개선 속도・불확실성 등에 대한 실증기업의 애로가 대두되는 등
추가적인 제도개선에 대한 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여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디지털 혁신의
실험장’ 실현을 목표로 규제샌드박스 전주기(발굴・검토→실증→제도화→확산)에 걸친 10대
혁신과제를 도출하였다.
<표 2-33> 규제샌드박스 추진전략 및 10대 혁신과제
추진단계 추진전략 10대 혁신과제
발굴・검토 실증과제 발굴 방식・경로 확대
① 전략기획형 실증과제 발굴・기획
② 민간주도 실증모델 발굴을 위한 홍보강화
③ 과제특성별 검토절차 효율화
실증 실증여건 개선・지원 강화
④ 실증특례 부가조건 최소화・합리화
⑤ 맞춤형 실증사업 지원 강화
제도화 데이터 기반 규제혁신 책임추진
⑥ 실증데이터 기반 규제혁신 체계 확립
⑦ 갈등과제 제도화 지원
⑧ 규제혁신 적극행정 여건 조성
확산 국내 시장안착 및 글로벌 진출 지원
⑨ 제도화된 혁신서비스의 공공수요 창출
⑩ 글로벌 진출 지원사업 연계
다) 갈등해결형 규제샌드박스 및 전략기획형 규제샌드박스 도입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새로운 혁신서비스를 시장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의 갈등은
불가피하여, 이러한 갈등 요소를 정책실험을 통한 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갈등해결형
규제샌드박스’를 도입(국조실)하였다. 1호 과제로서 ‘AI를 활용한 수의사의 반려동물 건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가 선정되어 향후 2년간 안전성 검증을 위한 실증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149∙
이해관계자와 관계부처, 민간 전문가가 같이 실증부터 제도개선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기존
과제와 차이가 있다.
또한, 최근 기업의 규제특례 신청건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기업이 과제를 신청하던 방식
에서 벗어나, 정부정책과 연계하여 실증데이터 확보가 필요한 분야를 선제적으로 발굴・기획
하는 ‘전략기획형 규제샌드박스’도 도입하였다. 1호 과제로서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하여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을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실증특례를 지정하였다.
3) 향후 계획
2024년도에는 규제샌드박스 발전방안의 혁신과제에 대한 본격 이행의 일환으로 실증과제들이
실증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규제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제도화된 혁신 서비스들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다방면
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150∙
제2절 대학 교육・연구 역량 강화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 거점
가. 개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17~’22)의 시행 이후 기초연구사업은 예산 2배 이상 확대3)
및 학술성과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였으나, 국가별 학술
역량 순위에서는 기존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4) 정체 현상을 보였다. 특히, 제4차 종합계획
에서는 개인 연구자 성장 중심의 지원체계로 인해 연구기관 등이 우수 연구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투자・정책적 기반이 미흡하여 글로벌 수준의 연구자・연구기관은 기초연구 선도국가에
비해 부족한 한계를 나타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6위 수준의 우수 연구기관을 보유
하고 있으나, 절대량으로는 세계 1위와 10배 이상 격차가 나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연구사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연구거점 육성과
함께 우수한 연구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수준의 인재 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3)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예산: (’17) 1.26조 원 → (’20) 2.00조 원 → (’23) 2.58조 원
4) 네이처 인덱스 기준 국가별 연구경쟁력 중 한국은 ’21년부터 현재(’24.2월 기준)까지 8위를 유지하고 있음.
∙151∙
구분 사업명 사업 목적 및 지원 내용
과기정통부
집단연구
선도연구센터
창의성과 탁월성을 보유한 우수 연구집단 발굴・육성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핵심연구분야 육성 및 국가기초연구역량 향상
※ 연 14~50억 원 이내에 대해 7~10년간 지원
기초연구실
특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지원하여 국가 기초연구
역량 강화
※ 연 5억 원 이내에 대해 1~3년간 지원
개인연구
(시설 장비)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신진연구자의 핵심 인프라 등 연구실 조기 구축을 통해 연구 초기부터 도전적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
※ 연 1~5억 원 이내에 대해 1년간 지원
집단연구 기초연구기반구축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연구정보 제공 및 해외 대형연구장비 활용
지원을 통한 기초연구 역량과 글로벌 창의 역량 강화
※ 세부사업별 지원 내용 상이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거점 구축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집단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 및 기초연구실)을 통해 우수 연구
집단을 발굴・육성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축적하여 지속 가능한 글로벌 연구거점
으로서의 역할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왔다.
<표 2-34> 2023년도 선도연구센터 및 기초연구실 지원 내역
(단위: 개, 백만 원)
사 업
신규과제(후속 포함) 계속과제 합 계
과제 수 연구비 과제 수 연구비 과제 수 연구비
집단
연구
선도
연구
센터
이학 분야(SRC) 8 9,620 28 41,528 36 51,148
공학 분야(ERC) 8 13,000 31 60,400 39 73,400
기초의과학 분야(MRC) 5 5,250 37 47,701 42 52,951
융합 분야(CRC) 8 1,800 9 12,740 17 14,540
지역혁신 분야(RLRC) 6 6,750 16 24,000 22 30,750
혁신 분야(IRC) 3 12,052 - - 3 12,052
소 계(A) 38 48,472 121 186,369 159 234,841
기초연구실(B) 133 53,396 255 125,159 388 178,555
합 계(A+B) 171 101,868 376 311,528 547 413,396
이를 통해, 매년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매년
성과교류회 개최를 통해 연구자 간 네트워크 형성 및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유・확산하는 학술
정보 교류의 場을 마련하였다.
∙152∙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SCI(E) 논문 건수(건) 3,467 3,741 4,117 4,529 5,152
JCR 상위 10% 저널
게재 논문 건수(건)
671 892 929 898 1,140
표준화된 순위보정 지수(mrnIF) 71.57 73.20 73.24 73.47 73.93
세계 3대 저널(NSP)
게재 논문 건수(건)
11 17 24 31 35
등록 특허(건) 358 331 325 394 403
석박사학위 인력배출(명) 1,337 1,250 1,196 1,375 1,367
<표 2-35> 최근 5년 간(’17~’21) 집단연구사업 주요 연구성과
※ 출처: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통계연보
또한, 지역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확대5)를 통해 지역의 혁신성장 기반 마련을 도모하였다.
이 외에도 지역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기초연구실 사업에 대해 지역대학 할당 비율을 설정
하여 신규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일부 개인기초연구(중견(유형1), 우수신진, 생애첫연구, 기본
연구)에 대해서도 최초신규과제 예산 기준으로 5% 범위 내에서의 지역 과제 추가 선정 제도를
지속 운영하여 우수한 지역대학 연구자가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전략 분야의 우수 연구그룹 체계적 확보
2023년에는 기초연구의 공동연구 활성화 및 전략성 강화를 중점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혁신연구센터(IRC) 사업을 신설하였다. 2023년에는 총 3개 과제에 약 112억 원을 지원하였다.
혁신연구센터 사업은 과제 당 연 50억 원 이내의 연구비를 10년(3+4+3)간 장기 지원하여
국가전략기술 관련 대학의 특성화 분야 연구역량 축적 및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고, 전략기술의
기초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다. 향후 계획
향후에도 기초연구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거점 구축 지원과 전략 분야의 우수
연구그룹의 체계적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개선 및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2024년에는
세계 최초・최고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R&D로의 전환을 목표로 기초연구사업 지원체계를
개편한 바, 선도연구센터에 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와 자유롭고 다양한 방식의 협력을
5) 지역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규모: (’22년) 약 225억 원, 16개 과제 지원(4개 과제 선정) → (’23년) 약 308억 원,
22개 과제 지원(6개 과제 선정)
∙153∙
통해 혁신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글로벌 R&D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혁신연구센터
(IRC)의 경우, 신규 선정 과제수를 전년 대비 2배로 확대6)하여, 우수한 전략기술분야 연구
그룹을 육성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혁신선도구센터(RLRC)에 대해서도 지역 대학의 기초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지속하고, 지역 혁신성장 선도분야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지역
산학연 협력 및 인력양성에 초점을 두고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더불어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학 내 인프라 고도화 관련 사업 등과 더불어 우수한
연구그룹의 집단 연구, 신진 연구자의 연구실 구축 지원 등을 바탕으로 우수 연구거점을 양성
하고, 혁신・도전적 연구수행을 위한 기반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2. 대학 연구 기반 구축
가. 개요
세계화에 따른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고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인재와 정보・지식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되면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혁신적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거점으로서 대학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편 학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동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체제를 전반적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대학 내적인 요구도 강해지면서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의
하나로 ‘연구능력 확보’가 주목받고 있다.
대학은 다양한 분야의 우수전문인력이 밀집되어 있어, 투입 대비 창출이 예상되는 성과의
기대치가 매우 높은 조직이다. 또한 일반 기업, 산업체와 달리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중장기
투자가 가능한 주체이기도 하다. 정부는 대학 내의 개인, 집단 또는 기관 등 다양한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지원을 통해 대학의 연구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나아가 이러한
지원은 일회성 연구 수행을 돕는데 그치지 않고 대학 내 연구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대학
연구기반을 구축하는 방향으로도 이루어졌다.
6) 혁신연구센터(IRC) 지원 규모: (’23년) 약 112억 원, 총 3개 과제 신규 선정 → (’24년) 300억 원, 총 6개 과제 신규
선정 예정
∙154∙
나. 대학 내 연구전담기구로서 연구소 조직 지원
1) 개요
과학기술이 융・복합화되고 다학제간 연구가 강조되면서 장비, 시설, 연구팀이 거대화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대학은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축적할 수 있도록 인력과
인프라를 집적한 전문연구전담조직으로서 대학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대학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부터 「학술진흥법」제5조(학술 지원사업의 추진
등)에 근거하여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을 추진해 왔다. 본 사업은 이공분야 대학
부설 연구소의 특성화와 전문화를 이끌어내어 대학 연구의 거점으로 변화시키면서, 우수한
신진연구인력을 육성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안정적인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해 지원기간은 최대 9년으로 하였고, 연구팀 구성 시 박사후연구원
및 학생연구원을 일정 이상 포함하도록 하였다.
국가정책방향에 조응하고 현장의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유형을 다양화
하였다. 이공계 전 분야를 대상으로 자유 공모를 통해 지원과제를 선정하는 유형, 과학기술정책
및 비대면 테크놀로지 등 특정 지원분야를 대상으로 지정 공모하는 유형, 연구소 단위의 블록
펀딩을 통해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연구 수행을 지원하는 자율운영 유형을 지원한다.
2) 2023년 성과
가)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사업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지원연구소 수 는 2015년 46개
에서 2023년 160개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지원예산 역시 2015년 254억 원 수준에서
2023년에는 1,232억 원까지 증가하였다.
나) 램프(LAMP) 사업 신설
(1) 추진 배경
대학 대내외의 요구에 부응하여 대학부설연구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2022년 자연
과학, 공학, 의약학 및 농수 해양학 분야 대학연구소는 2,873개에 이르게 된다. 다만 여전히
학과 또는 전공마다 개별 연구실을 칸막이식으로 구축하고 운영함에 따라 대학의 인력 및 자원이
서로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과제 유치 목적으로 연구소를 급조하여 사업 종료 이후
비활성화되거나 후속 관리 미흡 등 비효율성을 보이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155∙
정부는 연구소 운영이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대학 차원의 연구소 관리 지원체계가 구축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 하에, 대학 연구자가 안정적인 환경 내에서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의 연구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목적에 따라 2023년부터 램프(LAMP) 사업을
추진하였다.
(2) 주요 내용
램프사업은 대학이 소속 연구자의 연구역량 발휘를 전폭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젊고 유능한
연구자가 찾아오고 나아가 대학이 새로운 지식 창출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램프 사업에 참여한 대학은 ‘연구소 관리・지원 체계 강화’, ‘중점테마연구소의 혁신적 운영’
이라는 2가지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소 관리・지원 체계 강화’는 대학 내 자연과학 분야
연구소를 대상으로 하며, 기존 연구소의 통폐합 및 개편, 연구소 현황 조사 및 공개, 연구소
평가 및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연구소 평가 결과 인력, 장비, 과제, 예산 등 기본적인
사항이 부족한 연구소는 폐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대학에 대해서는 일정한 연구비를 인센티브로
지원할 수 있다.
‘중점테마연구소’는 기초과학 10개 분야7) 중 1개를 선택하여 학제 간 칸막이를 넘어선
‘테마’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연구소이다. 지정된 연구소는 미래의 인류 난제의 해결을 위해
필요하고, 최신 기술이나 트렌드 분야가 아닌 개척되지 않은 분야로서 새로운 지식 창출이
가능하고, 해당 분야 발전을 위한 잠재성과 성장가능성이 충분해야 한다. 다양한 학과・전공
소속 연구자가 함께 모여 연구할 수 있도록 공동연구 형식으로 운영되며, 거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세부과제가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공동연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연구를 관리한다.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핵심인력은 신진전임교원, 박사후연구원 등
신진연구인력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교육부는 2023년 총 8개 대학을 신규 지원대학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6개 대학은 비수도권
대학으로 선정하여 상대적으로 여건이 취약한 지방의 연구역량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선정대학은
총 5년간 매년 약 30억 원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대학의 연구소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중점
테마연구소를 통해 평소 실행하기 어려웠던 자연과학 분야의 거대 공동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7)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지정한 분야로, ① 수리・통계과학 ② 원자과학 ③ 천체・입자・우주과학
④ 분자수준과학 ⑤ 나노단위과학 ⑥ 물질・에너지과학 ⑦ DNA・RNA 분자생물학 ⑧ 진화・종의 다양성 ⑨ 지구・해양・
대기과학 ⑩ 뇌・신경과학・기초의학으로 구성됨
∙156∙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대학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을 통해 지원하는 연구소의 지원과 관리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아울러 그간 사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한계를 극복하고 장점을 발전적
으로 계승할 수 있도록 신규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램프 사업은 글로벌 협력을 강조하는 국가 R&D 정책 방향에 맞추어 기존의 사업 내용에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을 추가하여 G-LAMP 사업으로 전환한다. 해외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를
촉진하고 대학이 연구소 단위의 연구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교당 지원금을
연 50억 원으로 증액하는 한편, 6교를 추가로 선정하여 총 14교를 지원할 계획이다.
다. 대학의 R&D 성과 창출을 위한 연구시설・장비 효율성 제고 노력
1) 개요
연구시설・장비는 과학기술 발전을 지탱하는 핵심기반으로, 보다 발전된 연구시설・장비를
통해 새로운 과학적 원리를 규명한 사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미국, EU 등 해외
주요국은 대학 등 연구 주체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첨단 인프라 구축을 국가 기술 경쟁력
확보의 필수 요소로 인식하여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R&D지원사업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구시설・장비의 지원이 이루어져
대학 내에 상당한 규모의 시설・장비가 구축되었다. 다만 연구 과제 종료 후 장비를 구동할
예산이 없어 유휴화되는 사례, 시설・장비를 구축한 연구과제를 수주한 연구자 또는 연구팀이
해당 장비를 사실상 개인 소유처럼 단독 활용하는 사례 등 비효율적인 운용 사례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시설・장비 운영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공동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부는
2019년부터 ‘기초과학연구역량 강화’ 사업을 추진한다. 학과(단과대) 또는 연구분야 단위로
대학 내 단독활용 중인 연구장비 또는 유휴 연구장비를 집적하여 공동활용 할 수 있도록 전환
하고, 장비전담인력을 배치하고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대학의 R&D 성과를 제고하기 위함이다.
‘기초과학연구역량 강화’ 사업은 연구장비를 집적하기 위한 공간 및 조직으로서 핵심연구지원
센터의 구축・운영을 지원하는 1유형,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집적된 구형 장비를 교체하거나 최신
연구장비 도입을 지원하는 2유형,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집적된 장비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3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157∙
2) 2023년 성과
당 사업을 통해 핵심연구지원센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23년 말일 기준으로 총
68개소가 조성되어 다양한 분야의 연구성과를 지원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장비전담
운영인력은 293명이 채용되어 연구장비 전문인력의 직위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다.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집적한 연구장비의 수는 2020년 총 930점에서 2022년 총 2,291점까지
증가하였으며, 공동활용 건수와 공동활용 수익은 2020년 49,599건 2,305백만 원에서 2022년
95,964건 8,059백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2023년부터는 신규 지원대상을 공동실험실습관, 부설연구소로 한정하고 소규모 연구
집단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대학이 기존 조직을 적극 활용하도록 하고 장비의 집적
및 공동활용이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기존 지정한 핵심연구지원센터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한편, 대학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존 연구 지원금을
통해서는 도입하기 어려웠던 고가의 첨단 R&D 장비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 고도화’ 유형을 신설하였다. 총 1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하며, 과제당 1년차에는 평균
50억 원 수준의 연구장비 구축비용을 지원하며 5년 동안 평균 5억 원의 장비 운영비를 지원
할 예정이다.
∙158∙
제3절 공공연구기관 역할 제고
1. 개요
4차 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와 융합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국가 과학기술정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역할 정립과 사회적 변화를 감안한 미래
방향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정책 관점을 탈피하여 출연(연) 현장이 공감
하면서 스스로 변화도 함께 도모할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
보통신부는 연구자와 연구기관에게 자율과 책임을, 국민에게는 혜택을 최대화하는 연구지원
체계로 혁신하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또한, 국가 현안 발생 등 내・외부 환경변화 발생 시, 기관별 중장기 재정전략(수입구조 포트
폴리오)의 리뷰 및 보완을 통해 기관의 재정 여건을 반영하여, R&R 부합 연구에 기관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출연(연) 간 융합・협력 연구 중심의 미래전략 및 연구기획
자문을 위해 지난해 출범한 연구개발전략위원회도 올해 본격적인 활동을 통하여 소기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12대 국가전략기술별로 범출연(연) 공통임무를 설정하여 임무 중심으로 출연(연)
간 연구협력을 기획하고 촉진하는 과정을 주도하였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출연(연) R&R 운영
출연(연) 별로 정립된 미래 지향적 R&R은 기관별 사업 및 예산과 연계하여 이행 중이다.
출연(연) R&R은 중장기 계획으로서 정책적 지속성을 견지하는 한편, 국내외 기술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한 운영 역시 필요함에 따라, 기관별로 상이한 중장기 주요 계획
수립 시점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출연(연) R&R 중장기 운영방안(안)을 마련하였다.
R&R이 출연(연) 활동의 나침반으로서, 기관의 실질적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유연성 확보의
필요성은 수립 당시부터 강조되었다. 기관 내・외부 환경변화에 맞추어 R&R을 비롯해 사업구조
등의 수정・보완이 가능한 롤링플랜으로서의 운영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
연구원(’19. 1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20. 2.), 한국한의학연구원(’20. 4.),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21.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22. 5.), 세계김치연구소(’22. 6.), 녹색기술센터(’22. 7.),
한국원자력연구원(’23. 12.)은 대내외 환경변화에 발맞추어 R&R변경을 위한 협의를 완료하였다.
∙159∙
2023년도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R&R이 수정되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2대 국가전략
기술로 ‘차세대 원자력’분야가 선정되면서 국내 정책현황을 반영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국가・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R&R을 수정하였다. 국민 안심의 원자력 기술개발로 국가
에너지 확보에 기여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시대적 사명을 R&R에 명확히 표현하여
임무 중심의 R&D 실행 기반을 마련하였다.
<표 2-36>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연구사업계획 R&R 추 진 연 도
연구사업계획 작성
※ 25개 기관
R&R 정립
(’19. 5.)
* 연구사업계획 작성 시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 ↓ ↓ ↓ ↓
중간 컨설팅
필요시,
일부 R&R
변경 가능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기관운영계획 수립 후에도 일부 R&R 변경 가능
⇓ ↓ ↓ ↓ ↓
연구사업평가 실시
R&R 갱신을
위한 검토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 ↓ ↓ ↓ ↓
R&R 갱신(안)
확정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차기 연구사업계획
작성
* 연구사업계획 수립-추진-평가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나.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운영
지난해 출연(연)의 연구기획 및 협동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기구로서 연구개발전략위원회(이하
‘연전위’)가 출범함에 따라, 범출연(연) 연구전략・정책을 연구자의 시각에서 제언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올해는 2개의 전문분과 출범으로 연전위 운영체계가 안정화되어 본격적인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총괄위원회와 분과위원회를 포함하여 총 13회 개최로 연중 상시 운영하면서, 다양한
출연(연) 연구자와 관련 외부전문가 참여로 범출연(연) 차원의 연구정책과 전략을 도출하는
열린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다.
∙160∙
또한, 연전위 운영 경험과 성과를 연구회 내부 역량으로 축적하기 위하여 연구회 내부에
전략기획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운영인력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연구회가
국가 임무수행 기반의 출연(연) 간 연구협력을 기획・조정하는 촉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역량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다. 출연(연) 연구행정혁신 추진
정부는 대학 및 출연(연)의 전문성・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연구행정혁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써오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는 연구행정혁신
추진단 운영을 통해 상향식(출연(연) 주도, 연구회 지원) 추진과제를 도출해오고 있으며 정보화,
표준화, 집중화 등 문제 해결방식 기준으로 추진과제를 분류・운영하고 있다. 2023년 현재 공통
행정기능집중 7개 과제를 포함한 총 44개 연구행정혁신 과제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하여
2023년 기준 약 400억 원 가량의 행정자원 절감 정량 성과가 창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23년에는 국정과제인 디지털 전환과 연계하여 출연(연)간 데이터 전환・공유를 목적으로
RPA 자동화 시스템 구축・지원 및 전자연구노트 활용 전략 수립을 통해 디지털전환 추진을
본격화하였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행정혁신 활동과 출연(연)이 체감가능한 실효성 있는
디지털 전환 업무 환경 구축 지원을 통해 연구자의 행정부담 경감 및 연구몰입환경 조성을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표 2-37>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23년)
과제명 추진내용
법무자문 공동운영
일원화를 통한 자문서비스 제공으로 외부자문관리 효율성 및 자문 전문성 제고
※ ’23년 총 523회 이용(법률:363・노무:126・회계:34)
법정교육 공동운영
통합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관별 교육 기획 및 운영 업무 경감
※ 「출연(연) 법정교육의 날」지정 운영(9회)
채용 공동운영
기관별 채용에서 공동채용으로의 전환을 통한 채용업무 투입인력 및 비용 경감
※ (1차, ’23.3) 14개기관, 233명 (2차, ’23.6) 7개기관, 49명 (3차, ’23.9) 12개기관, 226명
출장시스템 공동운영
국내 출장여비 실비정산 폐지 및 출장시스템 정보화
※ (’23년 기준) 증빙APP 사용자수 11,116명, 327,532건 누적 사용
포털시스템 공동운영
출연(연) 포털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보체계 기반 출연(연)간 정보공유 및 소통 활성화
※ 메신저, 라운지, 화상회의, 출장증빙, 출연(연)TV, 출입신청 등 서비스를 제공
화상회의 서비스
공동운영
비대면 회의 방식의 확산을 통한 비용절감 및 모바일 메신저 연동으로 접근성 향상
※ 全출연(연) 이용 및 39,805명, 9,054건, 9,559시간 누적 이용(’23.12.)
연구용학술지공동운영
전자저널 全출연(연) 통합계약을 통해 정보자원의 상향평준화 및 오픈액세스 출판 권리 확보
※ 논문 접근성이 극대화된 Collection 구독* 및 오픈엑세스 무료 출판 지원
* Elsevier 2,200여종, Wiley 820여종 저널
* 오픈액세스 출판 증가(Elsevier 144건(36%), Wiley 103건(181%))
∙161∙
제4절 지역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1. 개요
과학기술 중심으로 지역의 혁신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부는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하였다. 연구개발특구는 2022년 기준으로
총 연구개발비 13.6조 원, 연구기관 150여 개, 기업체 10,348개사, 박사급 연구원 6.5만 명
등이 집적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혁신 클러스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가 보유한 우수한 혁신자원과 인프라는 신기술의 창출, 그리고 이를 활용한
사업화를 통해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특히,
신기술을 활용한 실증이나 사업 시 임시로 규제를 풀어주는 규제샌드박스 제도, 3,038억 규모의
연구개발특구 펀드, 연구소기업·첨단기술기업에 대한 조세감면 제도, 기업을 위한 인프라 공간
마련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특구 내의 기술기업들을 초기 창업부터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연구개발특구에 대한 지원 외에도 지역의 자생적인 과학기술 기반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지역 주도의 연구개발 정책기획을 지원하는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역
경제 발전에 필요한 핵심 과학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지역 연구개발 프로젝트(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지역혁신메가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이 보유한 기술적, 산업적 역량에
부합하는 연구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다.
[그림 2-42]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62∙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지역 혁신 클러스터 조성
1) 연구개발특구 육성 사업
정부는 연구개발특구를 혁신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 ‘특구육성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및 기술 지주회사 등이 보유한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기업의 후속 성장도 지원하고 있다.
세부 추진내용으로는 수요자 중심 공공기술 사업화 지원을 통해 ‘기술수요자 발굴, 공공기술
매칭 및 BM 수립, R&D 및 후속 마케팅 지원’ 등 사업화 전단계를 지원하고, 특구 내 주요혁신
자원인 대학의 역량을 활용하여 ‘아이디어 발굴-검증-멘토링-투자유치’ 등 창업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러한 체계적 지원을 위해서 2023년에는 1,283억 원의 정부재원을
투입하였고, 기술이전 276건, 지원기업 매출액 2,237억, 신규 일자리 창출 2,175명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최근 4년간 일자리 창출 실적 최근 4년간 과제기여 매출액 실적
[그림 2-43]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2) 연구개발특구 펀드 운용
정부는 2022년에 조성한 606억 원 규모의 제5-1차 연구개발특구펀드에 이어 2023년에도
400억 원 규모로 제5-2차 연구개발특구펀드인 「초기 중부권 특구펀드」를 조성하였다. 이번
제5-2호 연구개발특구펀드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 4개 펀드를 2,300억 원 규모로 조성
하겠다는 「제5차 연구개발특구펀드」의 두 번째 펀드로서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高)
상황 속에서도 당초 계획했던 400억 원 규모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결성된
400억 원은 지역별 균형 있는 투자를 위해 대덕 광역특구, 충북 청주 강소특구 등 중부권 특구
기업에 집중 투자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특구 권역 내 업력 7년 이하 초기기업과 국가전략
∙163∙
기술 등 주요 신성장 분야의 공공기술사업화 기업까지 주목적 투자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지역
기술 기업들의 자금난을 적극 해소할 계획이다. 벤처투자가 수도권 위주로 이루어지는 투자
관행 속에서 연구개발특구펀드가 지역의 기술 금융 공백을 메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3)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 운영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란 현행 법령상 규제로 인해 신기술 실증이나 신기술을
활용한 사업이 어려운 경우, 관련 규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연구개발특구 내 적용하지 않도록
특례를 부여해주는 제도이다. 2021년 3월 실증특례 제도 도입에 이어 2023년 3월 연구개발
특구법을 개정하며 임시허가와 신속확인 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특구 내 모든 기관·기업이
단독으로 신청이 가능하도록 신청주체를 넓히고, 법령정비 청구권을 도입하는 등 기업친화적
으로 제도를 개선하였다.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가 확대됨에 따라 본격적 운영을 위해 수요발굴 채널을
다각화하였으며, 사업화 과정에서 예상되는 규제를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자문하기 위한 규제
예측지원단을 도입·운영하여 핵심분야별 규제 12건을 발굴하는 등 총 71건의 규제특례 후보
과제를 발굴하였다. 또한 발굴된 후보과제를 대상으로 신청부터 특례 지정까지 기술 및 시장
수요분석, 법률 자문, 규제부처와의 적극적인 협의 등을 통해 특구기업의 규제애로 해결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였다.
그 결과, 규제특례 신청 건수는 29건(실증특례 23건, 신속확인 6건)으로 전년(14건) 대비
2배로 증가했으며, 수요발굴-신청 연계성과 비율 또한 39.4%로 전년(20.3%) 대비 약 2배 증가
하였다. 신청 건에 대해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9건(실증특례 6건, 적극해석
3건)의 규제 특례를 부여하여, 특구 기업의 규제 애로를 해결하였다. 앞으로 이와 같은 성과가
질적·양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2-44] 연구개발특구 규제특례 지정 절차
∙164∙
<표 2-38>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사례
지정기관 한국광기술원, ㈜코리아모빌리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퓨처드라이브, ㈜씨엘모빌리티
실증내용
규제사항
실증제품에 적용 가능한 안전확인 기준 부재(자전거법
제20조의2,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제15조)
교통수단 이용 광고물에 전기 사용한 조명 설치 불가(옥외
광고물법 시행령 제19조)
자기인증능력 미충족한 자동차제작자는 피견인 자동차
연결 금지, 임시운행 획득 불가(자동차관리법 제27조)
실증특례
기대효과
세계 최초 바퀴구조물에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전기자전
거의 자전거도로 운행 실증
자율주행 무인운반차량 기술을 적용한 비대면 배송 및
이동 가능
나. 지역 연구개발 지원
지역의 자생적 R&D 발굴·기획·추진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의 자생적 R&D 혁신체계 구축을 전담할 ‘연구개발지원단’의 예산지원 규모를 확대
하고 지역 내 역할을 재정립하였다. 독립기능을 갖는 전담기관이 혁신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선도연지단’으로 지정하고, 중장기 혁신전략 수립・이행과 지역 내 연계 사업 발굴 등 역할을
부여하였다. 이외에도 지역과학기술 정책연구센터를 신규 지정하여 지역의 역량분석, 정책기획
등 연지단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지역혁신메가프로젝트’ 등 지역 R&D를 통해
지역 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지역 경제 성장을 촉진하였다.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는 지역 주도로 지역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자체 기획하고, 중앙
정부가 기술 개발 및 사업화 R&D를 5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3년에는 총 9개 계속과제
(부산, 대구, 경북, 강원, 경기, 전남, 광주, 전북, 제주)를 지원하였다. 2023년 신규로 추진한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는 지역의 중대형 과학기술현안을 해결할 지역전략산업 연계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산업·경제로의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사업으로 지역의 산학연의 혁신
역량을 결집하여 지자체 기획-중앙정부 컨설팅을 통해 5개 과제(충남, 경북・대구, 전북, 경남・
울산, 광주・전남)를 선정·지원하였다.
∙165∙
[그림 2-45]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지원 과제 및 유형
3. 향후 계획
가. 강소특구 특화발전 모델 마련
강소특구 제도는 연구개발특구의 혁신 모델을 기초지자체 단위에서도 적용하기 위해 도입
되었으며, 2019년 6개, 2020년 6개, 2022년 2개 총 14개의 특구가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뛰어난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한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 고집적의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해왔다.
2024년은 2019년에 지정된 1기 강소특구가 육성 5년 차에 진입하는 해이다. 혁신 클러스터가
기술-창업-성장-재투자라는 선순환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의 지원이 필요하다.
∙166∙
조성 이후 최초 5년은 기업의 집적, 기반 구축에 집중하기 위해 노력했다면, 이후 강소특구는
특화 발전이 가능한 전략적인 지원 모델을 통해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강소특구 내 특화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체화하고, 혁신자원의 연결, 특화분야
기술기업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지원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기초지자체에서도 기존 광역지자체 단위의 연구개발특구에 못지않은, 과학
기술 기반의 혁신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 지역기술혁신허브 구축
2024년에는 ‘지역기술혁신허브’를 신규 추진하여 지역과학기술 자생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성장을 촉진하고자 한다. ‘지역기술혁신허브’는 국가전략기술의 연구생태계 조성과 함께 지역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 출연연 등 기술육성주체들이 상호협력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 거점이다. 2023년에 제정된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 및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기술혁신허브’를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기술혁신허브’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가이드라인과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으로 ‘지역기술혁신허브’가 지역의 혁신역량을 결집하는 거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67∙
제5절 과학기술 외교・글로벌 협력 강화
1. 국가 간 협력(양자)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대통령 순방과 연계한 정상외교, ②한국정부와 상대국 간 체결한
과학기술협력협정(49개국+EU)기반의 정부 간 협의체(과학기술공동위원회 등)등 협력채널을
통해 국가 간 협력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인력교류, 공동연구, 기업의 해외진출 등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통령 순방 지원(북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UAE 등 10회), 정부 간 협의체
신설・개최(13회), 장차관급 면담(39회), 국가・정부 간 합의문 체결・개정・발효(10회) 등 다양한
협력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강대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국가로 협력
지평을 확대하는 한 해였다.
나. 2023년 성과
1) 주요국 협력(미국, 중국, 유럽강국 등)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하여, ’23.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디지털, AI, 바이오 기술 등 첨단
기술 분야 협력뿐만 아니라 우주 및 양자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 발표 및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한 전방위적 협력을 위한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였다. 또한,
첨단기술 협력을 총괄하는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신설 등을 합의하여, 동년 12월 양국
안보실장 주재로 ‘1차 한-미 핵심신흥기술(CET) 대화’를 개최하여 반도체, 양자, 바이오 분야
에서의 협력을 논의하며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화하였다. 다자회의 계기가 아닌 3국 정상 간
만남을 목적으로 한 첫 한미일 정상회담(’23.8)에서도 첨단과학기술 협력 문안을 반영한 공동
성명문을 발표하여 3국 기술 파트너십을 구축하였다.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논의 및 기술동맹 강화를 위하여, 정부 간 정례협의체인 ‘제11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23.5월)’를 개최하여 반도체, 핵융합, 신흥기술 분야(AI, 바이오)
에서의 공동연구 등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제7차 한-미 ICT 정책 포럼(’23.9월)’을
통해 정상회담 합의한 사항들의 발전・이행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양국 간 오픈랜, 양자기술분야
협력 및 다자기구에서의 AI 협력 등을 포함한 첫 공동성명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캐나다와는 ’23년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23.5월 한캐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인공
∙168∙
지능에 대한 글로벌 파트너십(GPAI) 등에서 유사입장국과 협력해 나가고, 인공지능과 양자
기술의 활용과 적용에 대한 다자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ICT, 인공지능, 생명과학 분야 뿐 아니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청정기술 방안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합의에 기반하여, 양국 간 과학기술혁신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제4차 한-캐 과학기술혁신공동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며(’24.上), 한국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와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와 MOU 체결을 검토 중이다.
또한, 일본과는 ’23년 5월・11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합의한 정부 협의체 복원의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한-일 과학기술분야 협력을 재개하였다. ’23년 12월 문부과학성과 장관급
면담을 통해 우주 과학기술 및 퀀텀 공동연구 확대 등 신흥기술 분야에 대한 협력 강화를 추진
하였다. 더불어, 총무성과의 장관급 회담인 ‘제1차 한・일 ICT정책포럼’을 개최하여, ICT분야
양국의 정책분야에 대해 논의하고 지속적으로 협력사항을 구체화하기로 하였다.
한편, 중국과는 정부 간 협력활동으로 바이오・ICT・신재생에너지・기후변화 등의 분야에서
기초 연구(연 6천만 원)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중 신진과학자 교류프로그램의
지속 운영을 통해 한중 신진과학자의 정례적인 교류를 도와 상대국 우위 기술을 상호학습하여
양국의 과학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다. ’23년에는 한국 측은 6명을 파견하였고 중국 측
과학자는 10명을 초대하였다. 또한 고위급 협의체(중국과의 제15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제5차
한・중 ICT협력 전략대화)의 개최를 위한 양국 정부의 실무자 간 협의(’23.10월)를 통해 과학
기술・ICT협력의 지속 및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유럽 기술강국과도 정상외교 등을 계기로 바이오, 양자,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ICT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본격화하는 해였다.
27개 회원국에 단일한 신기술 규제를 적용하는 유럽연합(EU)과 한-EU 정상회담(5.22, 서울)을
계기로 Horizon Europe 준회원국 가입 탐색단계를 종료하고 본 협상 단계에 진입함으로써
한-EU 간 과학기술 협력네트워크 공고화를 위한 기반 마련을 본격화하고, 장관급 협의체인
제1차 한-EU 디지털 파트너십 협의회를 개최(6.30, 서울)하여 반도체, HPC/양자, 5G/6G,
인공지능, 온라인/디지털플랫폼, 사이버보안 등 한-EU 간 디지털 분야 협력의 실질적 이행을
추진하였다.
수교 140주년을 맞은 영국과는 11월 국빈 방문 계기에 글로벌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및 협력 강화를 담은 ‘다우닝街 합의’ 채택에 우주, 합성생물학, 양자 등 과학기술・ICT 11대
협력 분야를 반영하여 양국 간 협력 심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반도체, 5G/6G 등 11대
디지털 분야에서의 협력강화를 위한 ‘디지털 파트너십’ 및 정부 간 과학기술협의체를 통합하여
종합적・체계적 관점에서 과학기술협력 추진을 위한 ‘과학혁신기술 이행약정’ 체결 등을 통해
∙169∙
협력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다.
프랑스와는 과기공동위를 개최하여 양자, 바이오, 오픈사이언스, 인력교류 등 협력 확대 및
공동연구 신설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한-독일 과학산업기술공동위를 통해 신규 공동
연구사업, 기관 간 기술사업화, 에너지, 바이오 분야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2) 동・서남아시아 등 협력
강대국 중심의 과학기술 협력 전략에서 벗어나 협력대상국을 확대하고 아시아 국가와의
본격적인 협력을 위한 해외 거점 구축 등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에서 양 부처 양자면담, 협의체 개최 등 협력을 강화하였다.
한국과 베트남의 과학기술 협력의 상징인 한-베 과학기술연구원(VKIST)이 1단계 사업
(’14년~’22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VKIST 2단계 사업(’26년~) 시작 전 기관의 안정적
운영 및 연구역량 확보 지원을 위해 VKIST 1단계 사업 사후 지원(’23.12 ~’25.8)을 추진 중
이다. 또한 한-베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 간 과학기술・디지털 협력 강화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을 방문, 한-베 과학기술연구원(VKIST), 베트남 국가과학기술정보원 및 하노이IT
지원센터를 각각 방문하여 그간 협력성과를 점검하고 연구자 및 기업인들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아울러, 제9차 한-베트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23.10, 서울)하여 한-베 R&D 혁신센터
설립을 통한 연구개발・인력교류 및 베트남 현지에 과학기술 창업센터 설립 계획 등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22년 개정된 ICT 협력 MOU를 바탕으로 베트남 수요에 맞는 IT
협력프로젝트를 3년간(’23년~’25년) 수행 중이다. IT협력 프로젝트는 상대국 정보화 수요에
기반하여 진행하는 사업으로 ’20년부터 ’22년까지 말레이시아와 스마트팜 사업, 카자흐스탄과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인도와는 수교 50주년을 맞이하여, 과기정통부 장관과
주한 인도대사 아밋 쿠마(Amit Kumar)가 만나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공통 관심사항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관계를 한층 더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싱가포르와는 영국
에서 개최된 제1차 AI 안전성 정상회의(’23.11월)를 통해 양국 장관(싱가포르 통신정보부,
조세핀 테오)은 장단기 AI위험에 공동대응 등 현안을 공유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국가와 양자 면담을 갖고 우주협력, 사이버보안, 5G・6G 및 인공지능 등 과학
기술・정보통신 분야에 대해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3) 기타 국가 간 협력
중남미 지역의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도입과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 위한 정책 동향과 연계
하여 과학기술・ICT 협력의 외연을 확대해 나가는 활동을 지속 추진하였다.
∙170∙
먼저, 다수 고위급 면담을 통해 우리나라의 우수한 과학기술 정책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의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 가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과기정통부 장관은 아르헨티나
과학기술혁신부 장관, 주한 파나마 대사 등 15개국이 참여한 주한중남미대사단과의 면담을
통해 생명공학, 보건, 재생에너지 등 과학기술 분야와 더불어 디지털 전환 등 상대국과의 신규
협력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또한, 브라질 개발산업통상서비스부 차관급
면담을 통해 디지털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우리 디지털 기업의 중남미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오세아니아 지역은 과학기술 역량이 우수한 호주, 뉴질랜드와의 공동연구, 인력교류 사업을
통해 연구현장의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올해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전략기술에 대한 기회와 위기요인’을 주제로 호주의 전략기술연구소(ASPI)가 주관한 ‘시드니
대화(The Sidney Dialogue) 포럼에 과기정통부가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참석하였다. 이를
계기로, 호주의 산업과학자원부(DISR), 연방과학산업연구소(CSIRO) 등과 고위급 면담을 통해
한국의 12대 전략기술을 소개하고, 양국의 최신 과학기술정책 동향을 공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향후 호주 및 뉴질랜드와 ‘한-호주 제6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 ‘한-뉴질랜드
제6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19년 4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시 카자흐스탄과 ICT협력을 도모
하고 양국 우호증진을 목적으로 체결한 협력의향서에 따라 IT협력프로젝트 사업(’20∼’22년)을
추진하였으며, 카자흐스탄 디지털발전부 장관의 연장 요청에 따라 협력기간을 연장하여 ’23~
’25년까지 국가 AI 발전전략 및 빅데이터 활용방안 컨설팅 등 ICT협력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더불어, 국내 출연연 모델 해외 확산, 공동연구・인력교류, 기술 활용 등을 통한
화학산업 협력 기반 구축을 위해 우즈벡 화학연구소 설립(~’27년)을 지원 중이다. 11월에는
우즈베키스탄 디지털기술부와 양자면담을 추진하여 과학기술・ICT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으며
’22.8월 몽골 디지털개발통신부의 제안에 따라 양국 간 5G, AI, 주파수 관리 등 ICT 분야 협력
MOU 체결 추진을 위한 초안 마련 등 협력을 강화해 나아가기로 하였다.
북유럽 지역에서는 북유럽과학기술협력센터를 중심으로 유전학, 신경과학, 나노과학 등의
분야에서 리더급 연구자 워크숍(LEDARE)을 5회 개최함으로써 우리 리더급 연구자를 알리고
네트워킹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본격적으로 마련하였다. 또한, 한-스위스 수교 60주년, 한-
핀란드 수교 50주년 계기, 양국 간 과기공동위 및 고위급 면담을 통해 첨단기술분야의 협력 확대
방안 모색하고, 이스라엘과 AI, 양자 등 전략기술 분야에서 공동연구 등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하였다.
한편, UAE 국빈방문 계기, 우주 MoU를 개정하고 과학기술 혁신 분야에서 미래비전 두바이
∙171∙
포럼을 개최하였으며, 현지 진출 ICT 기업인 간담회 등을 통해 우리나라 ICT 기업의 중동 진출을
지원하였다. 아울러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 방한에 따른 장관 간 면담을 통해 디지털 협력,
KACST와의 기관 간 협력 등을 논의하고 10월 사우디 국빈방문 계기에 왕립과학원에서 한-
사우디 미래기술포럼을 개최하는 등 중동국가와도 보다 긴밀한 협력관계를 형성하였다.
68회에 달하는 고위급 면담(장관 24회, 차관 16회, 실・국장 28회)에서는 미국, 일본, EU,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국 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아일랜드, 튀르키예 등 교류가
적었던 국가와 초기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국제협력 지평을 확대하였다.
4) 국가 간 공동연구
정상회담, 정부 간 협의체 등을 계기로 발굴된 연구 협력 의제를 실질적인 공동연구 활동으로
이어가기 위해 ‘국가간협력기반조성사업’을 통해 96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215건(’24.2.13.
기준)의 논문 성과(SCI 190건, 비SCI 25건)를 창출하였다. 또한, 국내-해외 우수 연구기관 간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연구 지원을 통해 선진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전염병 등 글로벌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 간 공동연구 지원을 통한 국제적 리더십 제고에도 기여하였다.
더불어 ‘국제협력네트워크전략강화사업’을 통해 양자(스위스), 극지(덴마크), 사이버보안
(그리스), 수소(체코), 첨단바이오(노르웨이) 분야의 5개 공동연구 과제를 우리 연구현장의
수요와 전략적 필요성을 종합 고려한 과제를 지정하여 지원함으로써 R&D에서 국제협력의
전략성을 높였다.
다. 향후 계획
2024년은 주요 협력국인 미국과 구축한 경제안보동맹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주요
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며,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 등 유사입장국과 과기공동위
개최 등을 통해 과학기술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전망이다. 작년 체결한 한-영 디지털파트너십,
과학혁신기술 이행약정 후속 협의체 가동을 통한 실질적인 협력을 개시할 뿐만 아니라, EU,
독일 등과도 과기공동위, 디지털정책대화 등을 통해 과학기술・ICT 협력을 더욱 심화・확장할
예정이다. 아울러 Horizon Europe 준회원국 가입 협상도 원활히 추진할 계획이다.
∙172∙
2. 국제기구 협력
가. 개요
최근 국제사회가 기정학(techno-politics) 경쟁 시대로 돌입하면서 과학기술・ICT 기반
국제공조 대응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의 우수한 과학기술・ICT 혁신역량을 기반으로 우수사례를 소개・
공유하고 국제기구에서의 의제 논의를 주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또한, 주요 국제기구에
한국인 고위직 및 의장단 진출을 통하여 6G, AI 등 주요기술에 대한 의제 발굴 및 논의
주도력을 제고하고, 각종 협력사업 추진을 통하여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국제사회 기여도 및 국가 위상을 높여왔으며, 대표적 성과로는 선진국 협의체인
G7에 ’20년 미국에 이어 ’21년 영국에 연속 초청, 2018년 ITU 표준화총국장 연임 및 이사국
8선 연임 성공, ’20.6월 신설된 GPAI에 창립 회원국 가입, ’22년 UN ESCAP과 공동주관으로
제1회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장관회의 개최, ’22년 ITU 이사국 9선 연임 성공, ’23년 한-태평양
도서국 디지털 장관회의 최초 개최 등을 들 수 있다.
<표 2-39> 과학기술 및 ICT 분야 주요 다자기구 및 협의체 현황
구 분 다자기구 및 협의체
국가별 협의체 G7, G20, OECD, ITU, HFSP, ISTC, GPAI
지역별 협의체 ASEAN, APEC, APT, UN ESCAP, AIBD
기타 협의체 WEF, IGF, UNDP, 세계은행, 미주개발은행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주요 선진국 협의체 참여 및 역할 확대(G20, OECD 등)
2023년에는 G20, OECD 등 주요 국제기구・선진국 협의체에 참석하여 의제 주도를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특히 ’23년 7월 인도에서 개최된 G20 연구장관회의와 ’23년 8월에 개최된
G20 디지털경제장관회의 등 2개 장관회의에 참석하여 ‘2050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임무
지향 연구개발’,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K-Network 2030 전략’ 등 선도적 정책을 공유
하고, 디지털 규범 마련을 위한 국제기구 설립을 제시하는 등 과학기술・ICT 선진국 위상을
제고하였다. OECD에서는 의장단 진출을 통한 의제 주도, 한-OECD 과학기술혁신포럼 공동
개최,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생명기술작업반 워크숍 개최 등의 협력사업 추진으로 OECD 내
한국의 기여도 강화 노력을 지속하였다. ’23.6월 OECD 글로벌 기술 포럼에서는 정보통신
정책관이 ‘인류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책임감 있는 기술 개발 및 활용’을 주제로 토론 기조
∙173∙
발표를 하였으며, 11월 한-OECD 공동주최 디지털 권리 워크숍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권리장전을 공유하고 OECD 차원의 디지털 규범 질서
논의를 주도하였다. 그리고 같은 11월에 열린 제1차 AI 안전성 정상회의 프로그램 중 장관
회의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참석하여 AI 국제 회의체 신설을 위해 의제를 제안
하고, 한국의 AI 윤리・신뢰성 정책 등을 소개하였다.
2) 아태지역 내 국제협력 구심점 역할 수행(ASEAN, UN ESCAP 등)
2023년은 아태지역 내 국제협력의 리더십을 강화한 한 해였다.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ASEAN 우수과학기술혁신상 시상식 개최, APEC 과학영재멘토링센터 운영, UN ESCAP
데이터 공유・거래 모델 구축 및 시범 적용 사업 추진 등 역내 협력사업을 통해 아세안 내 한국
기여도 제고 및 위상 강화 노력을 지속해 왔다. 5월 31일에는 한-태평양도서국(7개국) 디지털
장관회의를 최초로 개최하여 장관선언문을 도출함으로써, 태평양 지역 디지털 공동 번영을
위한 연대를 형성하고 ICT 분야 협력 계기를 마련하였다. 9월 7일에는 ASEAN-인도태평양
포럼 및 한-인니-ASEAN이 공동개최하는 AI 워크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기조
연설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전략을 소개하였다. 11월 23일에는 인니에서 역내 화이트해커
발굴을 위한 제1차 ASEAN 사이버쉴드 해킹방어대회를 개최하여, 과학인력 교류 및 공동연구
기반 조성에 기여하였다.
3) 국제기구 진출 지원을 통한 글로벌 영향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ICT 주요 국제기구에 한국인 의장단 진출을 지원하여 우리
나라의 국제적 영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OECD 차원의 디지털 기술 발전 동향과 경제・
사회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출범한 디지털경제 정책위원회 부의장직에 다자협력담당관이
진출하였다. 그리고 UN 산하 ICT 전문 국제기구인 ITU의 이사회 작업반에 한국인 부의장이 진출
하였고, 표준화부문 연구그룹에는 한국인 의장이 진출하는 등 ITU 내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4) 개도국 발전 지원 및 국내기업 해외진출 기반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제기구 및 개발은행 등과 협력을 토대로 우리 기업과 함께 동남아・
중남미 등 수요국에 기술지원을 제공해, 우리 ICT 기술의 우수성을 전파하고 기업-수요국 간
협력관계 구축을 지원하였다. 또한 세계은행과 같은 주요 개발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ICT・보안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23년 11월 제9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을 개최하여
우리나라의 정책・경험을 공유하고 개도국의 정보통신 정책 수립 및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같은
∙174∙
11월 과학정보통신부 2차관이 세계은행 부총재와 만나 디지털 공적개발원조(ODA) 과제에
세계은행의 협력을 요청하였다. 이 외에도 UN ESCAP 산하 ICT전문 교육기관인 APC-ICT 등
운영을 지원하여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APT에 공동 연구팀을 매칭하여 ICT 응용기술
전수・활용을 촉진하는 등, 개도국 지원사업을 통해 형성된 수혜국과의 호의적 관계를 기반으로
후속사업을 연계하여 국내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과학기술・ICT 정책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국제기구・다자
협의체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의 국제사회 위상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24.4월, 파리), G20 연구 장관회의(9월, 브라질), G20 디지털경제 장관회의
(9월, 브라질) 등 국제회의에 참여하여 우리나라의 주요정책을 소개하고 의견을 반영하는 등
주요의제 논의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그리고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고 OECD와 ITU 등 주요 국제기구 의장단에 한국인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
할 것이다.
3. 글로벌 진출 지원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혁신센터(Korea Innovation Center, KIC) 및 IT지원센터
등 해외거점 10개를 운영하여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과학기술・ICT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디지털 경제 전환 가속화 및 디지털 분야의 국제협력 확대
흐름에 맞추어 WTO・FTA 등 통상 협상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글로벌 기술사업화 지원
글로벌혁신센터(KIC)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유망한 국내 기술의 글로벌 기술
사업화, 현지기관 연계 멘토링 등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과 국제 박람회 참석 지원 등을 추진
하여 국내외 3,960만 불 투자유치를 지원하였다. 미・중・EU에 기술 강국이자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4개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175∙
2) 국내 ICT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수출 유망시장(동남아, 중남미, 일본, CIS, 몽골) 국가를 대상으로 바이어 발굴・매칭, 1:1 수출
상담회, 현지 네트워킹 활동(기관방문 워크숍 등) 등을 포함하는 현지 ICT 비즈니스, 콘텐츠
파트너십을 개최하여 69개 기업 지원 및 303.4만 불의 계약체결을 지원하였다. 아울러, 미・
중・일・아세안에 6개 해외IT지원센터를 운영하여 97개의 입주기업을 지원하고, ’23년 11월
기준 139백만 불의 수출 및 투자유치를 달성하였다.
3) WTO・FTA 등 통상 협상 대응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통상 규범 논의를 주도하고, 인공지능, 데이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산업의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과학기술・ICT 분야의 다자・양자 통상 협상(WTO 전자상거래 9건, IPEF 7건, 한-GCC 3건,
한-UAE 2건, 한-에콰도르 2건, DEPA 2건 등)에 적극 대응하였다. 아울러, 국내 제도와 국제
규범 간 합치성을 검토하여 WTO체제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 통상분쟁(양자 간 FTA
이행 이슈 등)에 대비하고 있다.
4) 국제개발협력(ODA)
한국은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된 유일한 국가이며, 특히 개도국에서 높은 수요를 가진
ICT 선도국으로서 과학기술・ICT ODA를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동시에
우리나라의 ICT 국제리더로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몽골 울란바토르시의 노후버스에 플라즈마
버너 기반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적용 미세먼지저감기술을 지원하였고, 현지 주민의 IT기기
활용을 위한 정보접근센터를 신규 3개국(캄보디아,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고도화 3개국
(라오스, 요르단, 키르기스스탄)을 개소하였으며, 개도국 방송산업 자립을 위한 인프라 지원
사업인 개도국 방송환경 개선사업으로 4개국(방글라데시, 파라과이, 라오스, 탄자니아)을 지원
하였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라오스, 우즈베키스탄, 볼리비아에 디지털제작시설(K-Lab)을
구축하여 디지털 제작장비 활용교육, 산업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또한, 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퇴역 계획에 맞춰 슈퍼컴퓨터 노드 일부를 인도네시아에 무상양허하고 재난・
재해 예측 솔루션을 구축하여 수원국의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였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개의 해외거점(KIC, IT지원센터)을 중심으로 우리 ICT기업의 해외
진출을 밀착・상시 지원하고 해외 ICT 프로젝트 수주 지원사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176∙
해외시장 진출을 원하는 과학기술・ICT 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UN-SDGs(지속가능
발전목표)에 기여하고자 지속적인 국제개발협력(ODA)을 확대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비즈니스 관련 신규 시장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WTO・FTA 등 통상 협상(IPEF 등)과 이행 이슈
관리에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177∙
∙179∙
제1장 탄소중립
제1절 에너지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에너지 정세가
지속되고, 2023년 12월 개최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탄소중립
이행의 중요성이 재확인되는 상황 속에서 세계 각국은 에너지 안보 확대와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우리나라는 새정부 출범 이후 국정
과제(□21 에너지 안보 확립과 에너지 新산업・新시장 창출)를 중심으로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과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 나아가 에너지 新산업 창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기후대응 계획과 관련한 정책틀을 확립하기 위해 2022년 「새정부
에너지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에너지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에너지혁신벤처 육성 및 新산업
창출 등 전략과제를 명시하였다. 이에 맞춰 2023년에는 「에너지新산업 수출동력화 전략」
(’23.7월)을 발표하고 수출 유망품목 기술개발・사업화, 글로벌 신시장 진출 활성화, 수출동력화
혁신기반 조성이라는 3대 전략과 9대 추진 과제를 설정하는 등 에너지新산업 수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탄소중립 관련 핵심기술개발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에너지 분야
R&D에 2023년 정부예산 1조 2,065억 원을 투자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원자력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자력 핵심기술개발,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가동원전 안전성
∙180∙
향상 핵심기술개발, 사용후 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원전 안전
운영을 위한 핵심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기술개발 등 13개 사업에 2023년 1,189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수입의존도가 높은 원전 안전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노내 핵 계측기를 개발하고, 노심 보호를 위한 혁신 기술을 확보하였다. 또한 중대사고
해석코드 국산화 및 고도화를 통해 원전 중대사고 해석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원전기술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였다.
2)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핵심기술개발, 잉여전력 부문간 연계(섹터커플링) 기술개발,
노후 수력발전시스템 성능개선 및 상태진단 기술개발,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구축 등
12개 사업에 2023년 1,969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2023년에는 태양광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태양광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를 준공하여 소재・부품・장비・제품별 연구장비
공유 기반을 확보하고 셀・모듈 시범양산 라인을 활용한 양산성 검증 지원이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8MW급 해상풍력 시스템 설치가 가능한 해상풍력 전용 설치선(船)을 국산화하였으며,
개발된 설치 선박은 제주 한림 해상풍력단지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3) 수소에너지
그린수소 생산, P2G 등 수소・연료전지 분야 핵심기술개발, 수소충전 인프라 안전관리 기술
개발, 액체수소 충전소용 저장 용기 및 수소공급시스템 기술개발 등 13개 사업에 2023년
1,72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그간의 지원성과로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고 패키지형 수소
충전소를 개발하였다. 특히, 개질기, 압축기, 디스펜서 등 핵심부품 개발로 패키지형 수소충전소
10기 공급계약을 수주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4) 에너지 수요관리
에너지 수요부문을 고효율・저소비 구조로 전환하고, 차세대 에너지 신산업 육성 및 온실가스
감축 등 국정과제 전략 이행에 기여하기 위해 에너지효율향상, 에너지신산업 등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2,48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이러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2023년에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를 이용한 초고효율(기존 대비 2~3% 향상) 전력변환
장치(8종) 개발 등 핵심 기기의 효율 향상과 산업 분야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 가능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181∙
5) 전력・스마트그리드
합리적 에너지믹스를 뒷받침하는 미래형 전력망 구축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청정화력, 차세대 AC/DC 하이브리드 배전 네트워크 등에 2023년 1,578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수용성을 고려한 안정화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실시간 양방향 전력 제어가 가능한 전압형 HVDC 변환설비 국산화에 성공하여 HVDC
변환설비 설계・제작・성능평가 전주기 기술을 확보하였다.
다.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 에너지신산업 창출 및 에너지 안보 강화, 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 및 국정과제 등을 추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원자력 분야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차세대원전 및 계속운전 원전 기자재의
제조 혁신, 원전해체 산업기반 조성 등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방폐 분야에서는 단계적 중・저준위 방폐물 복합처분시설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운영기술 개발 및 고준위 방폐물의 장기 안전성 예측 분야에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분야는 재생에너지 정책 이행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태양광 분야는 국내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기술 개발, 국내 태양광 산업 저탄소 순환경제 구축 등을 지원하고, 풍력 분야는 고정식・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부품 단가저감, 단지개발・운영 관련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수소에너지 분야는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와 안전기술 개발, 안정적
수소충전소 운영 및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한 핵심부품 국산화, 연료전지 적용처 확대 및 핵심
부품 개발 등 수소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 수요관리 분야는 수요부문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효율적 사용을 위해 에너지 기기와
공정의 초고효율화, 무탄소・전기화 전환 등의 효율 혁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수요부문
디지털화를 통한 에너지관리시스템 고도화, 수요 유연화를 위한 수요자원 확대 등을 통해
고효율・에너지 저소비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력・스마트그리드 분야는 전력 계통부문의 AC/DC hybrid 배전망의 운용성능 검증, 분산
자원 활성화, ESS 화재안전성 강화 등 기반조성과 연계하여 신산업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182∙
제2절 핵융합/원자력
1. 핵융합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핵융합에너지는 청정하고 안전한 대용량 전력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닌 미래 에너지이다.
특히 최근 기후위기 및 에너지안보 위협이 심각해짐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핵융합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 또한 더욱
심화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는 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뛰어드는
스타트업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공공 부문에서는 ITER 참여국을 중심으로 핵융합에너지
개발 로드맵 가속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통한 지속 가능한 국가 신에너지 확보”를 목표로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을 확정하는 한편, 산・학・연이 참여하는 설계 TF 구성하여 실증로
설계에 본격 착수하였다. 우리나라 유일의 초전도핵융합실험장치인 KSTAR의 경우, 텅스텐
디버터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고 플라즈마 운전 실험에 돌입하였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실증로 기본개념 마련 및 예비개념 설계 착수
2023년 2월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을 확정하고 핵융합 실증로 개발의 기준점을
마련하였다. ‘실증로 기본개념’에서는 실증로 역할을 차세대 기저전력원으로서 핵융합에너지를
활용한 전력생산의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경제적 타당성 입증, 사회적 수용성 확보로 명시하였
으며, 실증로 최상위 목표를 최대 전기출력 500MWe 이상, 삼중수소 유효자급률 1이상, 핵융합
고유 안전성 검증, 경제성 평가 가능 데이터 확보로 제시하였다.
2023년 6월에는 실증로 기본개념을 토대로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증로 설계 TF’를
구성하고 실증로 설계의 첫 단계인 예비개념설계에 본격 착수하였다. 실증로 예비개념설계는
2026년 완료를 목표로 하며, 성공적인 설계 추진을 위해 설계 TF는 총괄위원회 및 자문위원회,
설계통합전담, 12개 분야별 워킹그룹 등 총 4개 조직으로 구성하였다. 2023년 12월 기준 분야별
워킹그룹 참여인원은 총 107명으로, 29개 산업체, 13개 대학, 3개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183∙
한편, 실증로 설계단계는 ‘제4차 기본계획’과 ‘실증로 기본개념’에 따라 예비개념설계(~2026년)
→ 개념설계(~2030년) → 공학설계(~2035년)로 추진될 예정이다.
[그림 3-1] 실증로 설계 TF 구성
나) KSTAR 연구 및 핵융합 연구기반 강화
KSTAR의 주요 연구목표는 2026년까지 초고온 고밀도 플라즈마 운전기술을 개발하여 1억도
플라즈마 300초 장시간 운전 목표를 달성하고, 2035년까지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운전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2023년 3월~10월까지 KSTAR의
디버터 재료를 기존의 탄소(graphite)에서 텅스텐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2023년 12월 실험에 본격 돌입하였다. 디버터는 플라즈마 대면장치 중 하나로, 플라즈마 열속이
진공용기에 직접 닿지 않도록 진공용기를 보호하고 핵융합 과정에서 발생한 불순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어 고성능 플라즈마의 장시간 유지를 돕는다. 특히 텅스텐 디버터는 탄소 디버터 대비
녹는점과 저항성, 방사화 등에서 우수하며 열속 한계치 또한 10MW/㎡로 2배 이상 높다.
플라즈마 성능 및 안정성 예측을 위해 KSTAR 실험데이터를 활용하여 국산 시뮬레이션 코드
(gKPSP)를 개발, 검증하였고, 실증로 설계의 기반이 되는 가상 KSTAR(Virtual KSTAR)의
기능을 고도화하였다. 디지털 트윈 기술이 적용된 가상 KSTAR의 경우, 2023년에는 가열
장치로부터 주입된 고속이온의 KSTAR 내벽손실 영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탑재하였고, KSTAR
실험 검증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했다.
다) ITER 참여 및 기술・인력・산업 기반 강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업은 핵융합에너지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해 주요
7개국(미국, 러시아, EU, 일본, 중국, 한국, 인도)이 공동으로 대형 초전도 핵융합 실험로를
건설・운영하는 사업이다.
∙184∙
한국은 2003년부터 ITER에 참여해오고 있으며, 9개 주요 품목(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진공용기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조립장비류, 열차폐체, 삼중수소 저장・공급 시스템, 전원공급
장치 및 진단장치)을 개발・제작 및 조달하고, 할당 품목 이외의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전원공급장치 최종본제품(TF 변압기) 제작을 완료하고
운송에 착수하였으며, 진단장치 분광기 EPP 11번 장치의 최종설계를 완료하였다.
ITER 조달을 통해 축적한 기술 역량을 토대로 국내 산업체의 해외 수주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3년 국내 산업체 수주 경우, 전년 대비 약 242% 증가한 약 356억 원을
달성하였다. 2007년 이후 누적 수주 총액은 총 7,329억 원에 달한다. 또한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을 위해 ITER 조달 참여 기업을 포함해 핵융합 실증 참여를 희망기업이 중심이
되는 핵융합기술 얼라이언스를 발족하였다.
국내 핵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ITER 기구(ITER Organization) 근무자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2023년에는 신규근무자가 8명 증가하여 현재 ITER 기구 한국인 근무자는 총
68명(6.1%)이다. 핵융합 신진인력 양성 지원을 위한 ‘Korea-ITER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을
통해서는 총 3명의 박사후연구원을 ITER에 추가 파견하였다.
진공용기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전원공급장치 삼중수소 SDS 진단장치
• 하부 주포트 총 18개
중 누적 18개 제작 완료
(’23.12)
• 진공용기 지지구조물
9개 중 누적 8개 조달
완료(’23.11)
• 본제품 총 220개 중
누적 100개 제작 완료
(’23.12)
• 본제품 제작용 소재
160세트 제작・공급
(’23.11)
• TF 변압기 제작 완료
및 운송 착수(’23.11)
• 전원장치 예비부품 목록
개정본 승인(’23.9)
• TF 컨버터 ITER 운송
완료(’23.5)
• ITER SDS DU 실험실
(군산) 환경 개선 공사
완료(’23.8)
• 삼중수소 SDS 예비
설계 배관/기기도 개정
(안) 검토(’23.4)
• 진단장치 분광기 EPP
11번 장치 최종설계
완료(’23.10)
• 진공자외선 디버터 분
광기(VUV-Divertor)
일차거울 제작 수행
<표 3-1> 2023년 한국 조달품목별 주요 실적
라) 국제 핵융합 연구협력 확대
핵융합에너지 개발은 모든 국가가 최초로 도전하는 기술로, 주요 기술 선도국과 적극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핵심기술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특히 2023년에는 ITER의 핵융합 환경에서 삼중수소 증식, 열추출 등 핵심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블랑켓모듈(TBM) 개발을 위해, 한-EU 파트너쉽 약정을 체결하고 공동개발에 본격 착수
∙185∙
하였다. 핵융합 주요국과의 양자협력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갔다. 2023년 5월 한-미 과학
기술공동위원회, 2023년 6월 한-영 과학기술공동위원회, 2023년 9월 제19차 한-일 핵융합
협력 공동조정위원회를 비롯해 총 13개 해외 주요 기관과 MoU를 체결하고, 각국과 중점 협력
분야 및 실증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기술협력을 발굴・강화하였다.
마) 향후 계획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 및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
개념’을 토대로 핵융합에너지 전력생산 실증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핵융합에너지개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핵융합 핵심기술을 선도하고 기술경쟁력에서 우위를 점유할 수 있도록 공공-민간 협력을 강화
하는 한편, 해외 핵융합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4년에는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을 위한 장기 연구개발 로드맵을 완성하고 핵융합
규제체계 기본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유관 산업체의 핵융합 실증 관심을 유도하고
해외 프로젝트 참여 지원 등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육성해 나갈 것이다.
2. 원자력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원자력・방사선 분야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고, 미래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자력 핵심기술 개발, 원자력 안전・
해체 기술,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기술 확보, 원자력과 타 기술 분야 간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개척 등에 중점을 두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기확보된 방사선 기술의 고도화, 의료・소재 등 신산업 분야 개척, 우주・나노 등의 차세대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원자력・방사선 분야의 연구 기반 확충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인력양성 및 국제공동연구 등을 지원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2023년 과기정통부는 원자력・방사선 분야 37개 사업에 2,675억 원을 지원하였다(’22년
∙186∙
대비 204억 원 증가(8.2% 증가)).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
개발사업, 용융염원자로(MSR) 원천기술개발사업,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사업,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 총 16개 사업에 1,355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첨단방사선융합치료기술개발사업, 데이터과학기반 차세대 비파괴검사
기술개발사업, 방사선안전소재및의학기술개발사업 등 총 8개 사업에 713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원자력 기초・기반 분야에서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원자력기초연구지원사업 등 총
13개 사업에 607억 원을 지원하였다.
가) 원자력 기술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한 수요 증대에 따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관계부처 및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차세대 원자로 개발을 추진하였다. 민-관 공동의 신속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민간의 차세대 원자로 개발 및 사업화 역량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동 사업은 혁신형 SMR의 표준설계 및 인허가 획득과 핵심기술의
개발・검증을 통한 30년대 세계 소형원전 시장 선점을 목표하고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용융염원자로(MSR) 원천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착수하였다. 동 사업은 선박 추진,
부유식 원전, 해양 플랜트 등의 무탄소 해양 시스템에 적합한 용융염원자로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형 소형원자로인 SMART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강화하고,
수출 경쟁력 향상을 위한 혁신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였다.
한편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기술 개발, 가동 원전의 안전성 향상 등 원전의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 지원하였다. 또한 해양, 극지, 우주, 에너지 및 환경 등 미래 전략
분야와 원자력 기술 간의 융・복합을 통한 미래 원자력 기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지속 지원하였다.
이러한 정부 R&D사업 지원을 통해 SMART, 대형원전 등에 적용이 가능한 열효율이 높은
인쇄기판형 증기발생기 개발과 원자로 적용 설계기술을 확보하였다. 또한 원자로 내 극한 환경
에서 균열을 탐지하여 가동 원전의 안전성 검증에 활용이 가능한 레이저 관찰 기술과 원자력
중대사고/재해확산 현상 해석에 활용이 가능한 고성능컴퓨팅 기반의 방사선 입자 전산 해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187∙
인쇄기판형 증기발생기
성능 검증 시험 모형
고온고압 수환경 부식
실시간 레이저 관찰 기술
재난확산 해석
[그림 3-2] 2023년 원자력 기술 분야 주요성과
2024년에는 ①소형모듈원자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저감 핵연료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SMR의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을 저감하는 핵연료 노심기술, 소재・부품 원천기술 확보와 국내 개발
SMR의 친환경성 증진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②민관합작 차세대 원자로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민・관 공동개발을 바탕으로 고온 가스로 원천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 기술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나) 방사선 기술 분야
향후 구축될 신형 연구로에서 생산 예정인 의료・산업용 동위원소의 상용화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 수출용 신형연구로 생산 동위원소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추진
하였다. 아울러 높은 신뢰성의 비파괴 검사 기술 개발과 기술적 한계극복을 위해서 데이터과학
기반 차세대 비파괴검사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라돈 등의 생활 방사선에 대한
제어시스템 및 안전 소재를 개발하고, 방사선 인체영향 평가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는 방사선
안전소재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부 지원을 통해 자동차, 반도체 등의 국가 핵심 산업의 제조 공정 내 결함 등을
실시간 검증할 수 있는 AI 기반 첨단 비파괴 검사 기술 5건을 개발하였다. 또한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지방 대사 과정 분석 및 데이터 기반 약물 재창출 등을 통한 방사선
저항성 교모세포종의 치료전략을 발굴하였다.
2024년에는 신형연구로에 적용하기 위한 장비 운용 및 상용화 기술 검증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희귀 난치질환 치료, 폐플라스틱 저감, 데이터과학 기반 비파괴 검사 등 공공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핵심 방사선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188∙
테라헤르츠기반 첨단 반도체
검사시스템 개발
수소인프라 강건성 평가 및
누설 평가 장치 개발
DGAT1-유도 지방독성 조절을 통한
DGKB의 교모세포종 방사선저항성
조절 기전 연구
[그림 3-3] 2023년 방사선 기술 분야 주요성과
다) 기초・기반 분야
원자력・방사선 분야 연구자의 생애주기별 맞춤형・혁신형 기초연구 지원을 통한 안정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미래 원자력 기술 수요에 대비하여 융복합 연구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연구 및 교육용 시설과 장비 구축, 공동 활용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방사성동위원소 산업 육성 및 고도화 기술 사업을 통해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활용・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과 핵심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방사선 기술의 사업화
지원 및 방사선 기술을 활용하여 우주・나노・생명 등 여러 분야의 기술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목적지향형 기초연구도 지원 중이다.
이 외에도 원자력 선진국과 국제 공동연구 확대, 양・다자 간 원자력 국제협력 활동 지원을
통한 선진 원자력 기술 확보, 국내 원자력의 국제 영향력 강화 및 해외 진출기반 마련을 추진
하고 있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업 주도의 원자력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차세대 원자로 기술
개발에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 실증・상용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다른 분야와의 융・
복합을 통한 새로운 원자력 연구 분야를 발굴하여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세계 시장에서 확대
되고 있는 내방사선 반도체, 방사성 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기술실증・사업화를 통한 신산업 창출에
노력할 계획이다.
∙189∙
제3절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1. 개요
최근 전 세계는 가뭄, 폭우, 고온 등 기후변화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기후변화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면서,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
가스 감축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5년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 총회
에서는 지구 평균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C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파리협정을 체결하였고,
각 국가는 파리협정을 이행하기 위하여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탄소
중립을 앞다퉈 선언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과 함께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목표
(NDC)를 발표하였으며,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촉진법”과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 등에 근거하여 과학기술 기반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또한, 「CCU 기술 고도화 전략」 수립,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지정・운영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CCU 기술고도화 전략」 마련(2023.12월)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는 발전소, 철강, 시멘트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를 대기 중에 방출하지 않고 포집하여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산화탄소는 지구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의 76%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온실가스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CCU
기술을 조기 상용화하기 위해 「CCU 기술고도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해당 전략에서는 CCU
기술을 크게 ①주력기술, ②산업전략기술, ③미래혁신기술, ④차세대 新산업 등 4가지로 분류
하여 기술별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0∙
[그림 3-4] 「CCU 기술고도화 전략」상 CCU 기술분류 및 추진과제
①주력기술에 대해서는 4대 권역별 CCU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②산업전략기술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민・관 공동투자를 지원하고, ③미래혁신기술에 대해서는 국책연구 및 출연
(연) 간 연구역량을 결집하고, ④차세대 新산업에 대해서는 제도적 기반을 조성한다.
∙191∙
[그림 3-5] 「CCU 기술고도화 전략」 비전 및 목표
∙192∙
나.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 수립(2023.12월)
청정수소는 수소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적게 배출하는 수소를 말한다.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고,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정수소 생산을 확대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청정수소 생산 방법은 전기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수전해로, 사용되는
전해질과 반응 조건에 따라 알칼라인 수전해, PEM 수전해, 고체산화물 수전해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여건과 더불어 수전해 기술과 장비를 외국에 의존하기 때문에 청정수소
생산단가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2030년 MW급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국가 수소 중점
연구실 운영방안」을 수립하였다(’23.12.18.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은 수소 분야의 국가 연구개발 브랜드로서 국가의 R&D 역량을 결집하고,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개별 연구실을 잇는 가상의 연구팀이다.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은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되, 개발된 기술의 스케일-업을
통한 기업으로의 이전, 장기간 성능평가를 통한 트랙레코드 확보를 지원한다. 또한 해외 유수
기관과의 공동연구와 수소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 측정 연구도 병행하여 향후 국내외
청정수소 인증제와 같은 제도적인 부분과 기술을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알칼라인, PEM,
고체산화물,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분야에 대해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우선, 기술 성숙도가 높은 수전해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하고자 알칼라인과 PEM 수전해 분야의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하였다. 알칼라인 수전해 연구실은 2030년 10MW급 수전해 기술
확보를 목표로, 대용량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고밀도・가압형 혁신기술 개발을 수행할 예정
이다. PEM 수전해 연구실은 2030년 수MW급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설비단가
(CAPEX) 저감,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193∙
[그림 3-6]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개요
이와 더불어, 아직 상용화 전 단계이지만 2040년 글로벌 시장 선점이 가능한 고체산화물
수전해와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분야에 대해서도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할 예정이다.
고체산화물 수전해 연구실에서는 수소 생산에 투입되는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중온형
시스템을 개발하고,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연구실에서는 수소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단일스택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194∙
다. 기후기술 글로벌 협력 강화
과기정통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기술의 개발 및 이전에 관한 협력을
담당하는 국가 기술협력 창구(NDE, National Designated Entity)로, 우리나라의 우수기술이
개도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기술개발・협력・이전을 활발히 지원하고 있다.
유엔 산하의 국가 간 기후기술협력 이행기구인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이 설립된 이래 최초로 유럽이 아닌 지역에서 처음으로 CTCN의 이사회가 개최되었다
(2023.3.24.~29, 인천 송도). 지난해 개소한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를 국제사회에
정식으로 소개하는 한편, 기후변화가 극심한 아・태지역에서 국가 간 기술협력을 확대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의결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그림 3-7] 제21차 CTCN 이사회 개최
과기정통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에의 기여를 확대하고, 국내 우수한 기후변화
대응 기술이 해외에 진출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그 시작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CTCN 기술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방글라데시, 남아공, 우간다 세 국가를 대상으로
한 기술협력 사업을 지원하였다. 또한 5월 부산에서 개최된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기후
기술관을 운영하여 과기정통부 산하 출연(연)이 보유한 우수 기후기술을 국제사회에 홍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10여 개 개발도상국 정부관계자를 초청하여 한국과의 기술협력
수요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그림 3-8] 기후산업국제박람회 內 기후기술관 운영
∙195∙
제4절 환경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환경부는 범부처 종합계획인 제5차 환경기술 환경산업 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2023년∼
2027년)을 통하여 향후 5년의 환경 분야 R&D 정책 추진방향과 전략과제를 제시하였고,
2021년에는 국제적인 탄소중립사회 이행 추세, IoT・AI 기반의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미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년∼2030년)을 수립하여 ‘탄소중립 이행
기반 마련’, ‘녹색인프라 강화’, ‘환경 안전사회 구축’의 3대 추진전략에 따라 지속가능한 녹색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기술 혁신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2023년에는 과학적인 탄소중립 이행, 순환경제 완성, 건강한 생활환경 구현 등 환경 분야
주요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 관측기반 온실가스 저감기술실증 기술개발사업, 생태계기반 탄소
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 물・대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
사업, 범부처감염병 방역체계고도화 등의 신규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표 3-2> 2023년 환경 분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
(단위: 백만 원)
사업명 주요내용 2023년 예산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
자연재난(지진, 태풍 등)으로 인한 환경시설의 파괴, 기능정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
5,854
생태모방기반
환경오염관리기술 개발
생태모방 기초・원천 연구 성과를 활용한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10,000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기술개발
지중오염 발생 사전예방 및 인체건강에 대한 악영향 신속차단을 위한 위해도
기반 매체 통합 오염관리 고도화 기술개발
14,522
표토보전관리 기술개발 표토침식 고위험지역 표토 침식 방지・복원 및 지역별 최적 관리 기술 확보 3,200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
유해화학물질 사고 발생 최소화, 사후 피해영향평가 기술 개발 4,974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
생활화학제품 사용으로 발생 가능한 위해를 관리하기 위한 유해성 및 노출평가,
위해저감기술 확보
20,736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
개발 사업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예측・평가하고, 그 결과를 3D 시각화
하여 개발 사업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 시 친환경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
개발
4,440
∙196∙
사업명 주요내용 2023년 예산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
개발
공공복합통신위성의 정보수집 탑재체 주관 및 홍수재해대응을 위한 수문관측
통신망 고도화 및 활용 시스템 개발
7,082
감염우려 의료폐기물 처리
기술개발
의료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의료폐기물 멸균・분쇄 및 비대면 처리기술
개발・고도화, 추가 감염 방지 등 감염병 확산 대응 환경기술 개발
7,604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
관리대상 인자-질환 범위 확대를 위한 환경성질환 상관성 규명 기술 개발, 피해
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객관적으로 추적・평가하기 위한 환경성 질환 예측・
평가 기술 개발
13,860
환경보건 디지털조사 기반
구축 기술개발
환경보건 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영향 감시・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취약지역・계층 건강보호 및 환경보건 정책의 질적 서비스
제고
7,806
실내공기 생물학적 위해인자
관리 기술개발
감염성 및 건강 위해성이 높은 실내공기 중 생물학적 유해인자를 분석・측정하고,
인체 건강영향평가 및 감시체계 구축
6,469
플랜트연구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사업에 요구되는 핵심공정 개발, 기본설계 및 실증 기술
개발
3,211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
상・하수도 시설 에너지 소비 절감,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 제고, 신종오염물질
관리 강화에 필요한 기술개발
26,366
고순도 공업용수 생산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공업용수 생산시설 국산화 기술개발 및 테스트 베드 현장 적용을 통한 국내
수처리 관련 업계실적 확보 기회 제공
9,718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 생활 및 산업활동 변화로 인해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위협 요인의 체계적 관리 기술개발을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17,778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및 인체 건강영향 평가 기술 개발
4,520
생물다양성위협
외래생물관리 기술개발사업
유입 외래생물의 예찰 및 위해성 평가 기술,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기술 개발 11,100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수열에너지 융복합 기술 및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1,924
유망 녹색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우수・유망 녹색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실증 및 시험인증 등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 경쟁력 제고 및 환경산업 활성화
6,600
야생생물 유래 친환경
신소재 및 공정기술개발사업
국내 야생생물자원을 활용한 소재 및 공정 개발을 통하여 친환경 화이트 바이오
기반기술 확보
5,110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보존・관리 표준화, 수요 맞춤형 특성분석을 통해 담수
야생생물 소재 활용 기반 마련
6,730
생물자원발굴 및 분류 국내 자생 생물종 발굴 및 유전자 다양성 연구 15,822
야생동물 첨단연구 국가 야생동물 자원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장기적 모니터링 및 현황 연구 3,200
탄소자원화범부처프로젝트
제철・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온실가스 등 탄소자원을 화학원료・연료
등 자원화
50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분석기술 개발
유해화학물질사고(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내/외부)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고물질
측정 및 방제기술, 화학사고 후 인근지역의 생태계・인체 영향평가 기술 개발
750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
개발사업
도시 인구 집중, 가뭄 주기 감소와 같은 물공급 환경변화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
기준과 가뭄 규모별 물 배분의 과학적 근거 마련
5,944
기후위기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홍수 피해 증가로 기존 홍수 방어 대응체계 한계점 극복
및 탄력적인 이상홍수 방어대책 마련
8,510
∙197∙
사업명 주요내용 2023년 예산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및
탄소흡수 가치증진기술개발
생태기반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생물다양성, 탄소 흡수를 고려한 습지생태계
조성・복원 기술개발 등
4,070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이행평가 기술 개발, 글로벌 기후변화 및 대기오염 통합
평가・관리 기술 개발, 미래 기후변화 영향 평가체계 고도화 및 기후탄력성 제고
기술 개발
13,786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기술개발
폐유기자원의 C2 단량체 전환을 통한 탄소저감 및 폐기물 고부가가치화 공정
기술 개발
3,500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
연료화 기술개발사업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선별 고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한 물질・
화학적 재활용 기술 고도화
7,650
미래 발생 폐자원의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사업
폐이차전지, 재생에너지 관련 폐기물, 폐전자제품 재활용 기술개발 8,050
에너지 자원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공정
기술개발사업
에너지 회수형 하・폐수처리 통합 시스템 개발, 고농도 하・폐수 유용자원(질소・인)
회수시설 구축 등
7,175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사업
동・식물 잔재물 등 유기성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시스템 최적화, 통합 바이오
가스 플랜트 설치
6,300
수자원/수재해 중형위성개발 기후변화로 인한 불확실한 홍수・가뭄 등 감시를 위한 위성 개발 25,473
야생동물질병연구사업
야생동물 질병 적기 대응과 생태계 건강성 유지를 위한 야생동물 질병(ASF,
AI 등) 모니터링, 시료 분석, 감시망 구축・운영, 진단・연구
6,181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미세먼지와 전구물질의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4차 혁명 기술을 대기오염방지
설비 공정에 적용
11,200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기술 실증 기술개발사업
축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 기술 개발, 대체
냉매 활용 친환경 냉매 냉장 장치 개발
4,500
관측기반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
관측기반(위성 등) 지역단위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미래 배출량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시공간적으로 통합표출하는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
6,004
생태계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 평가 고도화 기술 및 NbS기반 탄소흡수 증진 기술개발 2,055
물・대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기자재 국산화
기술개발
물산업 및 대기산업 7개 품목에 대해 자체 생산기술 개발, 기존 기기・공정 등에
적용하여 실증화, 외산 대체를 위한 상용화・사업화 지원
5,000
범부처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코로나19가 남겨놓은 현장의 애로사항과 수요를 기반으로 미래 방역체계 구현에
필요한 빠른 감시, 지능적 예측・차단, 신속 진단, 효능이 입증된 방역물품 개발검증
기반 고도화 기술개발 지원
700
∙198∙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물관리 분야
그간 해외기업이 독점했던 초순수 생산 시장에서 국내 설계기술로 완성한 초순수 실증플랜트
구축(1,200톤/일)을 통해 국내 최초 반도체 초순수 생산시설 사업을 수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한 고효율・초집적 담수화 공정을 탑재한 해상 이동형 해수 담수화 선박 설계 및 개발과
하루 300톤의 담수를 생산하고 물부족 도서지역에 물 공급을 통해 급수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플랜트 내부 설비 선박 탑재형 해수 담수화 장치
[그림 3-9] 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나. 자원・토양 분야
플라스틱 사용량을 13~18% 줄이면서 강도 및 가스(탄산) 차단성을 기존 페트병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페트병 생산 기술(삼양패키징)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켜 기존 대비 약 20%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지질별 표토훼손 고위험지역 예측 및 최적관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는 강우에 따른
표토훼손지 모니터링기법과 환경방사성동위원소기반 훼손지 평가 기술, 강우에 의한 토양층
붕괴와 퇴적 물질 이동 해석 프로그램, 지질 특성에 따른 최적 기준 설정을 마련하여 실시간
토양층 붕괴 예측정보 생산을 제공할 계획이다.
∙199∙
제품 생산 설비 지표-지중흐름 모니터링 기술
[그림 3-10] 자원・토양 분야 주요 연구성과
다. 생태보건 분야
현장에서 실시간 검출할 수 있는 활용 가능한 휴대용 장비로 공기 중 유해인자를 실시간
측정하여 코로나 등 다양한 감염병 진단에 활용을 통해 감염병 확산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무색・무취로 감별 및 체내 검출이 어려운 약물 검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향정신성
약물(GHB, Gamma-Hydroxybutyric acid)의 현장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스마트폰 기반 바이러스 변이체 감지 시스템 대사체 네트워크 모델링 도식
[그림 3-11] 생태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라. 기후・대기 분야
우리나라 최초로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 기반에 근거하여 배출과 감축, 이동을
분석・관리할 수 있는 동북아 규모(국내 포함) 통합관리 모형(GUIDE-Global/-Local) 개발을
통하여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감축, 이동,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후변화
정책 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다.
∙200∙
또한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유속, 유량, 수분을 일정하게 변환할 수 있는
다단희석 샘플링 기술을 적용하여 배출가스 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동시에 연속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후-대기 정책모형(GUIDE-Global/-Local) 현장 실증(충남 소재 소각장)
[그림 3-12] 기후・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3. 향후 계획
환경부는 환경 분야에 필요한 탄소중립, 기후위기 물관리, 순환경제, 환경보건・화학안전 4대
중점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투자를 지속 추진하여 환경 안심사회 구축 및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시켜 나갈 것이다.
아울러 민간 참여를 바탕으로 환경정책 방향 및 현장 수요를 고려한 환경정책 연계와 임무지향
중심의 전략적 기술개발 추진 강화를 하고, 녹색산업 육성 및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실증사업화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201∙
제5절 산림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산림청은 「제2차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18∼’27)」에 따라 ‘산림과학기술路 경제산림, 복지
산림, 생태산림 구현’을 위한 8개 핵심과제・33개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추진하고 있다. 8대
핵심과제는 ①산림 분야 R&D 성과 활용 제고, ②산림자원 순환 체계 구축으로 임업 진흥, ③
목재산업 선진화 연구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 구축, ④산림생명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경제
견인, ⑤사람 중심의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및 일자리 연구, ⑥산림서비스 R&D 확대로 삶의
질 개선, ⑦산림재해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생태계 구현, ⑧국제산림협력 전략 및 기술
개발로 국제사회 기여이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제2차 중장기 기술개발계획(’18∼’27)’를 통해 국가 혁신동력
창출을 위한 산림과학기술 기초・원천 연구 강화를 목표로 ‘산림생태계 서비스를 통한 국민 삶
의 질 향상’, ‘산림자원 가치 증진을 통한 임업경쟁력 강화’, ‘한반도 보전과 국민 안전을 위한
산림부분 이행체계 구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제2차 중장기 기술개발계획
(’18∼’27)’을 통해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보전→서비스’의
연구성과 창출 및 활용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복원 및 생물자원 주권
확립에 기여하며 국・공・사립 수목원 연구를 선도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수목원 기능 강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23년 6월에는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23~’27)」을 수립하여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내 산림부문 기여를 위한 6대 전략 및 20개 핵심과제를 설정하였다.
탄소흡수원 증진을 위한 연구개발은 「전략 6. 산림 탄소정책 지원체계 구축」 - 기후위기
연구개발(R&D) 확대에 포함되어 있다. 세부 연구과제로는 산림의 탄소흡수・저장・감축 필수
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 R&D 발굴,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재난 등 기후변화 적응연구
강화 등이 있다.
’23년 산림청 소관 23개 R&D 세부사업의 총 예산은 1,655억 원 규모로, ’22년(1,645억 원)
대비 0.6% 증가하였고 주요 R&D 예산(소속연구기관 인건비 등 제외)은 1,3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하였다. 이 중 출연연구개발사업은 계속과제에 395억 원, 신규과제에 147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23년 신규과제 투자 규모는 ’22년 202억 원 대비 41.1% 증가하였다. 그리고
과제기획, 평가 등 사업관리예산으로 한국임업진흥원에 18.6억 원을 지원하였다. 국립산림과
∙202∙
학원은 계속과제에 537억 원, 신규과제에 121억 원을 지원하였고, 국립수목원은 계속과제에
167억 원, 신규과제에 17억 원을 지원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과학적 성과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 등 기초・원천 연구결과와 응용・개발 단계의
성과이어달리기를 위해 ‘기후변화 대응 용재수 육성을 위한 우량자원 선발 및 활용기반 구축’,
‘주요 조림수종의 진전세대 육성을 위한 유전검정 및 유전간벌 기술 개발’, ‘산림약용자원
소재은행 구축 및 천연물 물질지도 작성’, ‘산양삼 재배유형별 약리효능 기반 품질 규격화’,
‘모발건강 유용 산림자원 소재화 원천기술 확보’, ‘잠재 산림생물자원 발굴 및 활용가치 탐색을
위한 생물다양성 조사’, ‘광릉숲 등 산림 핵심 보호구역에 대한 보전・관리기술 확보’, ‘희귀・
특산식물 등 산림생태계 취약종 보전을 위한 복원시스템 고도화’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복원, 조림 등 정책 수립을 위해 ‘산림 천이에 따른 탄소흡수량
예측 및 산림 취약성 평가 기술 개발’, ‘산림복원 대상 지역 고해상도 기후변화자료 상세화
기술 확보’, ‘산림 생장모형 고도화를 위한 기존 DB 검토와 AI분석 기반의 생장모형 개발’,
‘수종별 적정수확시기 산출 및 탄소흡수량 예측’, ‘국내외 수확 및 영급 관련 모형・사례 분석’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2) 기술적 성과
산림과학기술 기초・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산림 산업의 국내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산림
자원 이용의 고도화를 통한 산업 활성화 도모를 위해 ‘산림탄소흡수량 장기전망 및 2021년
기준 산림경영률 산정’, ‘2021년 기준 산림자원 평가 및 산림탄소 MRV 구축 방안 도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이용한 다공성 나노구조 제어 및 활용기술 특허 출원’, ‘복령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 출원’,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유전다양성 및 원산지 판별’, ‘DMZ 산림생태 복원을 위한 소재식물 우량종자 생산’,
‘산림식물자원의 대량증식・재배기술 개발 및 증식법 보급’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이라는 거대 국가과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산림 지역별 보정치 적용을 위한
원격탐사 기반 임분 바이오매스 예측 모델 개발’, ‘산림 분야 ESG 기준과 지표를 적용한 자가
진단 프로그램 구축’, ‘산림 탄소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림경영 분야 ESG 투자 프로토콜 개발’,
‘소규모 목재생산 체계에 적합한 소형 임업기계 장비 기능 개선품 설계 및 시작품 제작’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203∙
3) 경제적 성과
신품종 개발 및 산림자원 DB 구축을 통한 임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산림자원의 보존・
관리・활용을 통한 지역 및 국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탁월한 천마종자 발아활성을 갖는 신규
한애주름버섯 NFOS101 균주 및 이의 이용 기술이전 실시’, ‘분자표지자를 이용한 리기다소
나무와 테다소나무의 식별 방법 기술이전 실시’, ‘목재칩을 이용한 구조용 판상재 제조방법
기술이전 실시’, ‘기능성 경량 목섬유 단열재 제조 및 난연처리 기술이전’, ‘숯과 열전도체를
포함하는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기술이전’, ‘사카린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방제 방법 기술이전 실시’, ‘자생식물(꼬리풀류) 신품종에 대해
품종보호 출원’, ‘우수개체 식물의 교잡・선발육종 및 염색체 배가 프로토콜 개발’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을 위한 국산 목질계 소재 개발・활용을 통한 임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개인 위생용 흡수성 제품 개발을 위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이용한 고흡수성 소재 제조방법의
기술이전 및 매출액(약 7억 원) 창출’, ‘방염, 난연, 준불연 성능이 확보된 옥외용 마감재 개발로
매출액(18.9억 원) 창출 기여’, ‘친환경 스마트 건축자재 및 가구 제작을 위한 초정밀 레이저
패터닝 연구장비 개발로 매출액(1.5억 원) 창출’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4) 사회적 성과
미세먼지, 산불, 일자리 등 사회 현안문제 대응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미세먼지 및 폭염 대응 도시숲 유형별 최적 조성 모델(안) 제시’,
‘대형산불 피해저감을 위한 정밀 연료 분석 및 진화 신기술 개발’, ‘국가숲길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2030 REDD+ 감축 포트폴리오 개발 및 국가별 실질
ITMOs 잠재량 분석’, ‘DMZ 산림자원량(84㎥/ha) 추정 및 ICT 기반 NFI 기술 협력 방안 도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중심 수목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생활권 기반 정원 확충모델
개발 및 미래 도시의 대안으로 정원도시 도입 가이드라인 개발’, ‘지역수준(regional level)의
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 사회 실현 시기 단축 및 저탄소 녹색 성장 선도를 위해 ‘목질화 리모델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목조건축 플랫폼 및 탄소중립 기여도 산출 프로세스 개발’, ‘산림 생장
산림경영 모듈 개발을 통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대응한 산림경영활동 계획 수립’, ‘목조
건축 활성화를 위한 국산 목재 활용 학교건축 모델 개발’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204∙
나. 향후 계획
산림청은 ’24년도 연구개발 투자의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탄소중립
대응과 목구조물 산업 공급망 기반 구축, 둘째, 산림경영 기술 고도화, 셋째, 산림산업 인력양성,
넷째, 고유사업 투자 확대를 통한 산림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이다.
이를 위해 먼저 탄소중립 대응과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해 중고층 목구조물 설계, 구조・부재・
내화 기술과 에너지 모니터링 설비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산림경영 기술 고도화를
위해 국내 산지에서 목재수확이 가능한 기계장비를 개발하고,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임무
중심의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산림 분야 탄소중립 연구개발 강화를 위해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기후변화 대응 육종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탄소저장 확대를 위한 건축소재 등
목재활용 확대 연구, 국산목재 공급을 위한 생산유통 기반 강화 연구 등을 지원할 계획이며,
국산 산림바이오매스 공급 및 이용 활성화로 화석연료 대체 및 신재생에너지 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실용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산림경영의 품질 제고를 위한 측정・보고・검증
(MRV) 체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재해 대응을 위해 산불 진화자원 배치, 산림 작물 병해의 신속정밀 진단정보를 확보하고,
산림자원 기능성 원료 표준화와 신소재 발굴을 통해 산림생물소재 활용 기술을 고도화하며,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여 임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 중심의 산림 특화산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창의・도전적 기초・기반연구 활성화 지원을 위해 차세대 중형위성 발사체 제작의 차질 없는
지원 및 산림 분야 위성 활용 수요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처리・활용 기반을 확립할 예정이며,
산림 및 임산업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의 저변을 확대하고 R&D 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림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고유사업의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과학연구, 기후영향 적응 연구, 농림위성 산림특화정보 기반연구,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등 산림 분야의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은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보호지역 확대・관리
기반 연구(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조치, OECM)를 집중적으로 추진하며, 산림 내 주요
보존 대상종인 희귀・특산식물의 보전전략 마련 및 정원산업 내실화를 위한 식물소재 국산화 등
공급기반 구축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방향에 맞추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산림청의 투자구조 조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산림기반 사회문제해결 실증기술 개발’,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 사업’은
∙205∙
구조 조정을 실시해서 신규사업의 재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신규사업은 탄소중립과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산재 활용 중고층 목구조물 기술개발, 산림환경 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최적 산림 생산 기술개발, 산림 분야 인재확보를 위한 임무중심형 인재양성 등이다.
∙206∙
제2장 디지털전환
제1절 반도체/디스플레이
1. 시스템반도체 분야
시스템반도체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미래 첨단산업의 핵심 부품으로서
2021년~2028년간 연평균성장률 6.3%로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시스템반도체 산업생태계는
설계전문기업(팹리스), 위탁제조기업(파운드리), 후공정기업 등으로 분업화되어 있다. 최고 수준의
설계기술력을 보유한 미국 팹리스기업이 전체 팹리스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 팹리스기업의 시장점유율은 1%대에 불과하다. 국내 팹리스 대부분이 중소기업
으로서 규모, 기반이 열악하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스타팹리스 기업을 선정하여 집중 지원
기술혁신 역량과 글로벌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팹리스 기업 20개를 ‘스타팹리스’로 선정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토록 집중 지원한다.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주도형 연구개발 15개
과제를 지원하는 동시에 MPW(Multi Project Wafer)시제품 제작, 금융지원, 국내외 마케팅
등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을 우대 지원한다.
2) 수요-공급기업 협력 시제품 개발 지원 강화
시스템반도체 수요-공급 정보매칭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COMPASS)을 통해 수요기업의
니즈와 공급기업의 기술정보를 교류하고, 기업간 공동기술개발 및 시제품 제작을 지원함으로써
실시간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팹리스기업의 시장진출 가능성을 제고한다.
∙207∙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글로벌스타팹리스 기업 20개 선정
글로벌 상위권 팹리스 육성을 위해 사업공고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팹리스 20개사를
“스타팹리스”로 선정했다. 창업 7년 이상의 글로벌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팹리스(글로벌
스타)에는 어보브반도체, 픽셀플러스 등 10개 기업이 선정되었으며, 창업 7년 미만의 기술혁신
역량을 보유한 팹리스(라이징 스타)로 퀄리타스반도체, 사피엔반도체 등 10개 기업이 선정되어,
산업통상자원부 명의의 인증서를 수여하는 출범식 행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디스플레이, 통신, 자동차 등 유망분야에 대한 기업주도형 자유공모
과제 15개를 선정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 시스템반도체설계지원센터 입주, 해외 마케팅 지원
대상 기업 선정평가시 가점을 부여하여 기업 성장을 집중 지원한다.
2) 수요-공급기업 협력 시제품 개발 지원 강화
시스템반도체 분야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단기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자
온라인플랫폼(COMPASS)을 통해 수요-공급 기업 간의 제품개발 매칭이 이루어질 경우 수시
선정평가를 통해 총개발비의 50%를 정부출연금으로 지원한다. 단, 28nm 이하 첨단공정은
최대 10억 원, 28nm 초과 공정은 최대 5억 원으로 사업비 규모를 차등하여 지원한다.
2023년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총 23건의 개발 의뢰가 접수되었으며, 데이터센터,
로봇용 AI 반도체 등 첨단공정 활용 기술개발 6건, 전력관리칩, 통신칩 등 일반공정 활용 기술
5건 등 11개 과제가 선정・지원했다.
2. 공정/장비 분야
반도체는 대표적인 장치 산업으로 반도체 장비가 산업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며, 반도체 시장의
확대, 공정 난이도 증가 등으로 장비 시장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이다. 단, 우리나라는
증착, 세정 등 특정 분야에 일부 경쟁력을 보유 중이나, 세계 시장에서는 고전 중이다. 또한
향후 공정의 미세화 등으로 웨이퍼 당 재료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반도체 소재 시장 또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은 실리콘 웨이퍼를 중심으로 증착 소재, 식각 가스 등 신소재 확보
집중하고 있다.
∙208∙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민관 협력의 반도체 선행 기술 연구개발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소자・공정 사업’을 통해 민관 협력의
반도체 R&D 생태계 환경 조성에 기반을 다졌다. 또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민관공동
투자 반도체고급인력양성 사업’을 개시하여 민간 주도의 반도체 선행기술 개발을 통한 반도체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저변 확대의 초석을 다졌다.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민관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 투자 체결
2023년에는 ‘민관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이 개시되었다. 이는 반도체 산업의
기술 경쟁력 유지와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반도체 연구인력 확보가 필수적임을 반도체 기업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생긴 결과이다. 2023년 2월에는 산업부와 반도체 기업의 투자체결식을
개최하여 투자 의지를 확인하였다. 투자체결식에는 삼성전자와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연구소장이
참석하였다.
이 사업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2,365명의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반도체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총사업비 2,228억원 규모를 반도체 기업과 정부가 1:1로 투자하여 운영
되며,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R&D를 수행한다. 대학 및 연구소에서는 메모리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반도체공정장비, 반도체 소재 등 반도체 전 분야에서 기업이 제안한 수요기반의 반도체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2023년에는 총 47개의 반도체 선행기술 연구가 200억 원 규모로 시작되었으며, 440여 명의
반도체 석・박사 학생들이 참여하여 반도체 연구개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2)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소자・공정 사업 운영
2022년부터 시작한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소자・공정 사업’은 총 3개 반도체 기업이
산업부와 함께 공동투자에 나서 총 36개의 연구개발과제를 운영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R&D 수행을 위하여 투자기관에서는 연구개발비 투자뿐만 아니라, 사내 엔지니어 총 131명을
연구과제별 멘토링을 지원하고 있다. 총 2023년에는 에서는 투자기관으로부터 아직 과제가
종료되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이전 1건 사례가 있다. 연구기술 성과로는 1억당
0.04개의 논문, 0.03개의 특허출원이 도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9∙
3. 전력반도체 분야
전력을 처리하거나 조정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개선하는 전력반도체는 에너지기기 디지털화의
핵심기술로 전기차, 산업용, IoT/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전력반도체 시장(OMDIA)은 2023년 601억 불에서 2030년 1,086억 불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전력반도체 시장은 약 20억 불 규모로 기술력 부족과 해외기업의 특허
선점 등으로 국내 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제품이 점유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반도체 기술력 제고, 생태계 고도화 및 차세대 전력반도체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2017~2023)”,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2021~2024)” 및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2022~2025)”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2024~2028)”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2024년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1)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2017년부터 추진한 전력반도체 첫 번째 예타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으로 전력반도체 볼모지
였던 국내 생태계 구축을 위해 Si 기반 소자, IC 패키지 및 공정기반구축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2023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2)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
2017년 산업자원통상부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를 통해 국내 산화갈륨 연구가 본격적인
정부지원을 받아 활성화되었다. 특히 국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세라믹
기술원은 소자 개발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에피기술과 소자기술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사업은 2021년부터 한국반도체연구
조합을 주축으로 공동연구팀을 구성하고 초고전압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원료분말 소재 개발을,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전력반도체 소자 개발을 함께 진행하는 다부처 협업 형태(함께 달리기
사업)로 진행되고 있다.
∙210∙
3)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화합물반도체의 대표적인 소재인 GaN, SiC 기반의 소자, IC 개발을 통해 전기차, 태양광,
가전에 적용하는 수요연계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화합물 공정지원을 위해 8인치
SiC 전력반도체 양산 공정기반을 구축하는 사업도 병행하여 추진하고 있다.
4)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산학연 전문가 50여
명이 총괄위원회, 기술위원회 활동과 사전공청회 등을 거쳐 예비타당성 보고서를 제출하여
총사업비 1,384.6억 원으로 통과되었으며 총 18개의 세부과제를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전력반도체 연구개발사업의 성과항목으로는 핵심원천기술 확보, SCI 논문, 특허, 사업매출
및 고용으로 타 연구개발 사업 대비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1)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2023년 종료된 “전력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총 44건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그중 67.4%
(27건)은 SCI 논문에 해당되며 10억 원당 SCI 논문 성과는 0.5건으로 나타났다. 특허의
경우, 85건의 특허실적을 창출하여 그중 34.1%(29건)이 등록특허에 해당되며 10억 원당
특허성과는 1.6건이며, 매출액은 총 439억원이고 고용은 73명으로 10억원당 1.5명의 성과가
있었다.
2)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
3차년도 사업을 진행했던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 사업의
세부주관인 파워큐브세미㈜에서는 기술개발 및 연구를 통해 국내외 전문학술지에서 9건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국내외 학술대회에서는 29건을 발표하였다. 한국세라믹기술원에서는 국내 최초로
엣지필름공급(EFG, Edge- defined Film-fed Growth) 방법을 활용한 산화갈륨 단결정 성장
결과를 SCI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밖에 기술적 성과로 특허 출원 14건과 기술이전 6건으로
총 계약액은 13.5억을 달성했다. 국내 특허 출원은 10건이며, 이 중 국내에서 등록된 특허가
1건 있다. 또한, 국외에서의 특허 출원은 4건으로 진행되었다. 기술이전은 총 6건으로, 2023년
에는 이를 통해 정액기술료로 2.2억원을 계약 완료했다.
∙211∙
3)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2차년도 사업을 진행했던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은 출원특허
54건(등록특허 1건)으로 특히 2023년 10억 원당 특허출원은 4.89개이며, SCI 21건, 비SCI
18건, 학술대회 47건으로, SCI논문의 평균 IF 4.69, 평균 mrnIF 60.31로 나타나 2023년
기준 목표치(mrnIF 59.82)를 초과 달성했다. 또한 수행기간 중 10건의 사업화 성과가 발생
하였으며 10억 원당 4.16억 원의 사업화 매출액 달성했다. 신규고용은 72명으로 지난 2년간
10억 당 4.43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나타났다.
4. 센서 분야
모든 기기와 사물을 서로 연결하는 초연결 시대의 도래로 센서가 핵심 부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센서는 단순 감지,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자동차,
가전, 로봇 등 어플리케이션에 주변환경 인지 및 상황 추론 기능이 추가되며 제품 성능에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세계 센서 시장 규모는 2023년 1,797억 불에서 2029년 3,005억 불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기술력 부족과 수요처 확보의 어려움으로 국내 센서시장 규모는 41.8억 불로 세계시장
점유율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센서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시장선도형 차세대센서 기술개발사업
(2021~2023)”을 추진하였고, 모바일, 자동차, 바이오, 공공 등 4대 분야 핵심 센서기술 확보
및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 제조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현재 “시장선도를 위한 한국주도형
K-센서 기술개발사업(2022~2028)”을 추진 중이다.
1) 시장선도형 차세대센서 기술개발사업
2021년에 시작된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사업은 기존 국산화 전략에서 벗어나 수요
산업 맞춤형 차세대 센서기술을 개발하여 급성장하는 센서 시장 선점 및 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
되었다. 자동차, 바이오, 공공분야에 적용되는 라이다, 레이더, 바이오센서 10개 아이템이 개발
되었고 2023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212∙
2) 시장선도를 위한 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2022년에 시작된 “시장선도를 위한 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사업은 주력산업 분야
데이터 수집 및 처리에 필요한 7대 핵심센서(모션, 광, 온/습도, 가스, 압력, 바이오, 레이더)
기술개발과 센서산업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여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을 통한 센서 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시작되었다. 시장경쟁, 미래선도, 플랫폼 과제를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제조혁신플랫폼을 통해 시제품 제작 및 신뢰성 평가, 센서 제조에 필요한 공정기술을 개발
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K-센서 기술개발 사업은 타 사업(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대비 논문 및 특허 등 과학적
성과지표에서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1) 특허등록현황 및 사업화 매출성과
등록특허 SMART 등급점수를 보면, 10억 원 당 4.63건을 등록하며,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사업 3.89건과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성과를 도출한 것을 볼 수 있고, SCI논문의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지수 역시 10억 원당 2.88건으로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사업 1.94건과 비교
하면 매우 높은 성과를 도출한 것으로 보인다. 동 사업은 ’22년에 시작되어, 아직 과제 종료가
도래되지 않아 매출실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기업 지원을 통해 수혜받은 기업을 통해 약
3.8억 원의 매출이 달성되었다.
<표 3-3> 최근 2년간 특허 성과 비교
(단위 : 건)
구분 2022 2023
최근2년
(2022-2023)
출원 건수 / 10억 원
시장선도를위한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국내출원 52 128 180
4.63해외출원 2 17 19
소계 54 145 199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사업
국내출원 362 495 857
3.89해외출원 48 63 111
소계 410 558 968
∙213∙
<표 3-4> 최근 2년간 등록특허 논문 점수
(단위 : 평균, 건수)
구분 2022 2023
최근2년
(2022-2023)
SCI 건수 / 10억 원
시장선도를위한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I.F.(평균) 12.13 8.87 9.57
2.88mrnIF(평균) 84.74 77.03 78.7
SCI(건수) 27 97 124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사업
I.F.(평균) 6.18 6.85 6.53
1.94mrnIF(평균) 68.16 75.19 71.82
SCI(건수) 231 251 482
2) 수상실적
2022년~2023년 기준 기업에서만 mrnIF 94.37이라는 우수한 질적수준의 논문 실적을
거두었고 또한 사업에 참여중인 “솔”은 반도체 센서를 활용한 자동세포 계수기를 세계최초로
개발하고, CES 한국센서관에 참가하여 CES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214∙
제2절 인공지능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1950년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은 ‘계산기 기계와 지능’이라는 논문에서 기계의 생각 가능
여부를 테스트하는 방법, 지능적 기계의 개발 가능성, 학습하는 기계 등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세간에서는 이것을 인공지능 역사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이후 1950년대 후반에는 코넬대
프랭크 로젠블럿이 뇌의 동작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퍼셉트론’이라는 간단한 인공 신경망
개념을 발표하면서 인공지능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후 긴 시간 동안 인공
지능 연구는 부침을 거치긴 했으나 큰 진전 없는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2006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 제프리 힌튼 교수가 발표한 심층신경망 개념은 초기에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으나, 이후 컴퓨터 성능의 발전, 딥러닝 알고리즘의 개선, 인터넷을 통한 빅데이터
생성 등의 도움으로 실용화되어 특히 이미지 인식/분류 문제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면서
인공지능 연구는 다시 부활하기 시작했다. 2017년 구글이 발표한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2022년 챗GPT 같은 거대언어모델 기반 서비스가 출시되는 등 인공지능은 획기적인
기술적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전문가들은 거대언어모델의 성공에 심취해 범용
인공지능(AGI) 시대가 머지않아 도래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피력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인공지능 연구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다. 전체 여정 중 여전히 초입 수준에 불과
하다. 현재 인공지능은 체스・바둑 게임, 단백질 구조 예측 등 협소한 특정 분야에서만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뿐, 범용적인 용도로는 효용성이 낮으며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수준
까지는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전히 정보오류, 설명 부족, 높은 유지보수 비용, 학습
데이터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즉, 인공지능 연구는 종착역에 임박한
것이 아니라 레이스 초반에 있는 것으로, 어떤 국가와 기업이 주도권을 선점하느냐에 따라 미래
국가 경쟁력 판도가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중국은 기술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인공지능 분야에 투자와 육성을 아끼지 않고 있다.
IITP 기술수준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 수준은 기술선도국
미국 대비 89.1%로 1.3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 관련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투자액,
고급 인력 등 모든 비교 수치에서 미국, 중국 등 인공지능 선도 국가와 격차가 매우 큰 실정
이다. 기술과 시장을 선점한 1위 국가・기업에 종속되어 기술 주도권을 상실하여 필요한 기술을
전적으로 해외에 의존하게 되면 우리의 자주성이 훼손될 수 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215∙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 주권 확보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
연구는 우리나라의 당면 핵심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정부는 2023년 1월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을 수립하여 세계 인공지능
글로벌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2023년 4월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챗GPT 등 초거대 AI로 촉발된 새로운 기술과 시장의 흐름에 대응할 전략을 마련
했으며, 2023년 9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 실행계획’을 통해 대한민국의 모든 사람이 AI
혜택을 공유하고 세계에서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제고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분야 R&D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딥러닝 기술이 가지는 한계점를 극복하기 위해, AI 학습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인간과 소통능력 및 신뢰성을 강화하는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과 한국어 처리 기술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대용량 한국어 데이터로부터 범용적
의미・표현을 사전학습하고 이를 응용 분야에 적용・활용하기 위한 ‘한국어 대형 언어모델 기술
개발’을 2022년부터 지속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시각적 학습 기반 능동적 준지도(Semi-Supervised) 적응 기술을 활용하여
소리로부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소리-영상 전환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모든 종류의 픽셀
레이블링 문제에 대해 적은 데이터로도 학습과 추론을 할 수 있는 범용적인 퓨샷(few-shot)
학습기법 개발과 분포가 변화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편향되지 않은 판단을 내리도록 돕는 공
정한 인공지능 학습기법 등을 개발하였다.
정량적 성과로는 32개 과제지원을 통해 SCI 논문 154건, 학술대회 논문 693건, 특허 출원
256건, 등록 17건, 표준화 채택 11건을 달성하였으며, 10건의 기술이전을 통해 5.5억 원의
기술료 창출 등 다수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216∙
세계 최초로 인식이 가능한 정도의
소리-영상 전환 기술 개발
(SBS 등 다수 언론 보도, ’23.5월)
픽셀 레이블링 문제를 소량의 데이터로
해결할 수 있는 범용적 방법론 개발
(한국경제 등 다수 언론 보도, ’23.5월)
데이터의 편향패턴이 변화해도
공정하게 학습하는 프레임워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등 다수 언론 보도, ’23.10월)
[그림 3-13]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성과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제품・서비스 연구개발 지원으로 다양한 분야의 인공
지능 전문기업을 육성하여 AI+X R&D활성화 및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인공지능산업
융합기술개발사업’을 2023년에 추진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5개의 연구개발과제를 지원하였으며, 멀티모달 AI기반 대화형 통합 검색 기술,
질병 관리를 위한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의 자가 진단시스템,
AI기반의 의약품 제조품질 리스크 분석 및 예측 고도화 기술, 64TOPS급 국산 반도체를 활용한
인공지능 동영상 배경제거 SaaS 서비스, 영유아 Motion Diffusion 행동 생성 모델 및 3D
AI 행동 분석 시뮬레이션 기반 어린이집 영유아 안전 강화 플랫폼 등을 개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과학, 공공 및 산업의 각 분야에서 겪고 있는 난제(難題)를 인공지능 기술로 해결
하기 위한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였으며, 고난이도 과학난제
및 공공・사회문제를 AI 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AI기반 과학・공공 난제
해결 기술개발’과 산업 분야에 AI 적용 연구를 통해 경쟁국 대비 월등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AI기반 산업 난제 해결 기술개발’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다.
∙217∙
[그림 3-14]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사업 추진내용
사업 시작인 2023년에는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맞춤형 교육을 위한 과정중심평가 인공지능기술, 차세대 이차전지 성능개선, 신품종 육종 인공
지능기술 등 4개 과제가 진행되고 있다.
2) 인공지능 연구생태계 활성화 및 저변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생태계 활성화, 저변확대, 인공지능 활용
사회문제해결 가능성 모색 등을 위해 2017년부터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우수한 연구팀을 경진대회(챌린지)를 통해 선발하고, 선발팀은 후속연구를
추진하는 새로운 R&D 지원방식이다. 2019년에는 시각지능, 청각지능, 로보틱스 제어지능 등
개별 인지지능을 복합 인지지능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단계로 구성된 통합 문제
시나리오를 풀어내는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로 확대 개편되어 2019년 복합재난상황 대응을
주제로 한 3차 대회, 2020년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주제로 한 4차 대회가 시작되었고, 2021년에는
3・4차 대회에서 출제된 과제의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여 각각 진행하였으며, 참가한
61개의 팀 중 총 7팀의 우수 연구팀을 선발하여 후속연구를 지원하였다. 2022년에는 상기
3, 4, 5차 대회의 마지막 단계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최종 순위를 공개・시상하고 각 팀의 우승
전략과 성과들을 발표・전시하는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218∙
[그림 3-1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022년부터는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을 도전주제로 ’22년 1단계를 시작
으로 ’24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난이도를 높여 가며 도전해 나가는 신규 대회를 시작하였다.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 정책 지원 AI’로 명명된 ’22년 1단계 대회에는 54개팀(339명)이
참가하였으며, 그 중 상위 6개 팀을 후속연구 지원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2023년 2단계 대회
에서는 작년 1단계 대회에서 우수팀으로 선발된 6개팀과 올해 초 새롭게 ‘오픈 트랙’ 대회를
통해 도전하게 된 3개팀을 포함한 총 9개팀(79명)이 참가하여, “국가균형발전 정책” 등 특정
정책과 관련한 심층적인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문제에 도전하였다. 올해 도전한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①표・도표를 이해・생성하고, ②답에 대한
근거를 정확히 제시하며, ③계위(서론-본론-결론 등)를 구분하여 보고서 작성한다는 점에서
챗GPT 등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대회 결과에 따라 과기정통부 장관상 등 시상이 이루어졌다.
[그림 3-16] 2023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3)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투자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분야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신뢰성, 윤리성 등의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 생성AI 기술개발’ 사업을 ’24년부터 신규 추진한다. 동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초거대
생성형 AI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초거대 생성형 AI가 해결하기 어려운 결과물의
윤리성, 진실성, 최신성 등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을 선점하고, 아울러 국내 생성형 AI 생태계를
∙219∙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공공 및 산업 분야 난제를 인공지능 기술개발로
극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첨단 유망 원천기술개발 사업’과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제품・서비스 R&D 지원으로 다양한 산업 도메인의 인공지능 전문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인공지능 산업융합 기술개발’ 사업을 ’24년에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인공지능 기술은 全산업의 혁신과 직결되는 디지털 전환(DX)의 핵심기술로서, 세계 주요국들은
자국의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특히, 챗 GPT 출시(’22.11.)로 가시화된
생성형 AI는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하는, ‘AI 일상화 시대’의 문을 여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천문학적인 자본을 투자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의한 AI 기술 독점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차세대 AI 핵심 원천기술개발을 통해 AI 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산업 전반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선택과 집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우리 정부도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자 한다. 현 딥러닝의 기술적 한계와 생성형 AI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R&D를 지속 지원하고, 이와 연계한 실증 R&D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인 인공일반지능(AGI :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방안 모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산・학・연 협력 지원, 해외 유수 기관과의 공동
연구 등을 통해 우리 AI 연구 수준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글로벌 역량을 갖춘
연구자 육성에도 적극 경주할 예정이다.
∙220∙
제3절 양자
1. 개요
1927년 10월 24일부터 29일까지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솔베이 연구소에서 당시 양자
물리학의 주류를 이루는 코펜하겐 해석에 대해 세계적인 물리학자들이 모여 회의를 열었다.
제5차 솔베이 회의라 부르는 이 회의에는 보어, 아인슈타인을 필두로 하여 플랑크, 퀴리,
로렌츠, 하이젠베르크, 드브로이, 보른 등 당대 물리학의 거물들이 참석하였고, 코펜하겐
해석에 대해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코펜하겐 해석이란 입자의 상태는 파동함수에 의해 결정
되며, 물리량은 관측의 영향을 받고, 서로 관계를 갖는 물리량은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다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코펜하겐 해석과 제5차 솔베이 회의를 통해
양자 역학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인류는 이러한 양자역학을 바탕으로 지난 세기 반도체,
ICT 등 눈부신 발전을 이끌었다. (제1차 양자혁명)
Fifth conference participants, 1927. Institut International de Physique Solvay in Leopold Park
출처 : Solvay Conference Wikipedia
[그림 3-17] 제5차 솔베이 회의
∙221∙
이러한 발전에 이어 20세기 후반 초미세영역에서 나타나는 간섭, 얽힘, 중첩, 압착 등의 양자
현상이나 특성을 통신, 센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에 활용하는 양자과학기술이 대두되었다.
이는 미세암을 검출하는 양자 MRI, 스텔스기를 탐지하는 양자레이더처럼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제2차 양자혁명의 시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제2차 양자혁명은 기존 센서로는
볼 수 없었던 정보를 계측(양자센서)하고, 일부 영역에서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난 성능으로 초고속
연산을 가능하게 하며(양자컴퓨터), 그리고 양자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여 양자정보기반의
ICT 생태계를 새롭게 창출(양자통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주요국은 이러한 3대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소부장과 인력양성, 표준화와 산업화, 국제협력 등 종합적인 육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3-18] 2차 양자혁명 시대의 도래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자통신은 현대의 네트워크가 ICT산업을 창출하여 경제와
안보에 큰 파급력을 준 것처럼 양자기기 간 연결을 통해 양자정보를 유통시켜 양자경제를 여는
주요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양자통신 기술 중에서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중첩, 복제
불가능, 비가역성’ 등의 양자적 성질을 활용하여 도청 시도 시 암호 키를 파괴하여 물리적으로
도청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국방 및 보안이 중요한 산업에서 활용가능성이 커서
양자 분야 중 가장 먼저 활용되고 있는 사례 중 하나이다. EU는 27개 모든 회원국에 양자인터넷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EuroQCI)을 추진하고 관련 테스트베드(OpenQKD
Testbed)를 구축하고 있으며 중국도 4천km에 달하는 양자암호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보안 관련하여 그 중요성을 깨닫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ITP),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양자암호통신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술 개발부터
주요 기업과 연계하여 연구하여 연구 결과물이 사장되지 않고 기술개발부터 상용화까지 빠른
∙222∙
성과를 창출하여 세계 3번째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상용화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국가정보원, ETRI, TTA, KRISS가 협력하여 공공기관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할 때
필요한 양자암호통신 장비 검증제도를 세계 최초로 마련하였다.
* 양자암호통신은 양자(광자)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암호키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마치 비눗방울로 양자키를
보내는 것에 비유할 수 있는데, 비눗방울을 건들면 터지는 것과 같이 도청 시도가 있을 경우 양자키가 파괴되고,
네트워크 운용자는 도청 시도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양자센서는 고전센서로 측정하기 힘든 물리량 등을 계측하여 기존 기술로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였던 정보를 계측・수집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美 백악관 보고서나 맥킨지 보고서 등에서는
양자산업을 이끌 대표적인 기술로 보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활용사례를 갖고 있다.
미래에 기대되는 양자센서의 산업적 예시로 ‘미세암 검출 양자 MRI’의 경우 기존에 검출하지
못했던 매우 작은 미세암 검출이 가능해져 중증의 암치료 시장이 경증의 암예방 시장으로
변하는 등 제약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국방 분야 예시로 1대당 수천억
에서 조 단위의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 있는 ‘양자레이더’는 비대칭 전략무기에 큰 파급력을
줄 것으로 예상되어 국방전술과 국방산업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 양자중력센서를 만들었고, 단일 광자 검출기와 같은 일부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양자 컴퓨터의 경우 슈퍼컴퓨터의 역할을 모두 대체할 수는 없으나,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불가능했던 일부 영역에 대해 매우 빠른 초고속 연산으로 소재, 신약 등 첨단산업과 국방 전술
등 국방 분야를 포함한 광범위한 영역에 큰 파급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시로 양자컴퓨터가
수십억 개 이상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DNA를 분석하고 방대한 양의 염기서열 변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혁신적인 질병치료 기술과 신약개발의 물꼬를 트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외국에서
극초기 수준의 양자컴퓨터가 연구개발 시장을 대상으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분야 예시 국방 분야 예시
[그림 3-19] 양자과학기술의 파급력 예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3∙
2. 2023년 연구개발 추진현황
우리나라는 ‘2035년 대한민국,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국가’를 비전으로 하여 ‘우리 기술로
양자컴퓨터 개발활용’, ‘인터넷 강국에서 양자인터넷 강국으로 도약’, ‘최고 수준 양자센서로
세계시장 선점’의 3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림 3-20]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과 정책목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가. 양자통신
국내 양자통신 분야는 양자통신 기술을 상용화기술로 연계한 양자암호통신과 양자기기
간 연결을 위한 양자네트워크(양자인터넷)기술, 이와 관련된 양자난수생성기, 단일광자 생성기 및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며, 국내 양자 분야 중에 두 번째로 기술수준이 높으며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하여 86%의 기술 수준을 갖고 있다.
∙224∙
양자암호통신의 경우 기존 통신망,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양자암호통신을 보급하기 위하여
경제성 확보를 위한 통신칩 집적화, 전송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더불어 전송속도
향상, 전송거리 확대 및 수신기의 고도화 등 양자암호통신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양자인터넷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양자기기 간 연결을 위한 양자 정보의 전송과
양자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얽힘 전송기술과 양자메모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원거리 얽힘 분배・교환 기술 및 전송손실 보상 등 양자 중계기(리피터)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하고 있으며, 무선 분야의 경우 노이즈(태양광) 감쇄가 있는 환경에서 장시간 운용
가능한 무선 양자전송 플랫폼 개발을 하고 있다. 특히,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에 있어서 초기
부터 관련 기업과의 연계로 산・학・연 역량을 결집하여 빠른 기술추격을 달성한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양자인터넷 관련 기술개발에도 국가지정양자인터넷연구소(ETRI, KIST)와 미래양자
융합포럼을 통해 산・학・연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양자 중계기의
핵심 부품인 양자메모리의 경우 양자정보의 저장시간, 파장변환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원자,
원자 앙상블, 고체 플랫폼 기반으로 한 양자메모리를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나. 양자센서
국내 양자센서 분야는 관성, 시간・주파수, 광(이미징), 자기장, 전기장 5대 양자센서플랫폼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중장기적인 원천기술 확보와 단기적인 상용화 선도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양자 기반의 계측 이론과 관련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양자 분야 중 가장 기술 수준이 높으며 양자중력
센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세계 수준 대비 3위~4위 정도의
기술수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하여 87%의 기술수준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방・의료・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세계 최고수준의 양자센서
기술 확보를 목표로, 無GPS 항법 기술 및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 국방・공공 관련
분야뿐 아니라 배터리・반도체・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산업계 실수요를 바탕으로 시장 활용에
중점을 둔 양자센서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양자센서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국내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양자 자기
센서, 양자 미세 이미징 시스템 등의 원천기술 개발과, 산업현장 응용확대를 위한 무진동 극저온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연구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초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는 양자
센서의 국내 기술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양자센서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을 신규 추진하여 5대 양자센서 주요 플랫폼(관성,
∙225∙
시간, 전기장, 자기장, 이미징) 핵심원천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양자센서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고성능 레이저 등 양자시스템 구현에 필수적인 양자 지원기술 국산화 등을 지원
하고 있다.
다. 양자컴퓨터
2030년대 초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자체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양자컴퓨팅 기술의 경우, 현재 시장지배적 기술이 정해지지 않은 가운데
다양한 후보 방식(플랫폼) 간 경쟁이 진행 중이다. 정부는 각 플랫폼의 혁신 가능성을 열어두고
기술로드맵을 마련하였으며 기술성숙도와 국내 기술수준에 따라 유형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먼저 초전도 현상을 활용하여 양자 연산을 수행하는 초전도 기반 범용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양자컴퓨팅 연구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양자
컴퓨팅 분야의 핵심적이고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시스템 요소기술을 확보하고 알고리즘,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큐피트 양자컴퓨터 구축을 위한 20큐비트
칩 설계 및 제작 기술, 3차원 초전도 연결기술 등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오는 2024년
국내 기술로 개발한 20큐비트급 초전도 방식 양자컴퓨터 첫 시연을 앞두고 있다.
양자컴퓨팅 분야 양자기술 연구개발 선도 사업은 초전도와 중성원자를 제외한 양자컴퓨팅 4대
유망플랫폼 기술(이온포획, 광자, 반도체 양자점, 고체점결함)을 시스템 수준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다학제 참여 역량결집형 집단 연구와 이를 구현하고 운영, 응용하기 위한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도전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분자의 열역학 특성을 계산하는 양자시뮬
레이터와 분자 동역학을 모사하는 양자시뮬레이터의 개발이 진행 중이며 양자시뮬레이터에
수소에너지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신소재 후보 물질 발굴 및 액상 유기 수소 운반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함께 추진 중이다. 이 연구는 소재혁신 양자시뮬레이터 개발 사업으로 2021년
혁신도전 프로젝트 연구테마로 선정되었다.
한편, 양자컴퓨팅을 활용하여 사회 전 분야의 혁신을 창출하고 난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실제적인 양자 이득 연구도 추진 중이다. 시작단계에 있는 양자컴퓨팅 활용 분야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양자 최적화 계산, 양자AI 등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이 사업은 2023년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5개의 신규과제를 선정하여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였다.
∙226∙
3. 2023년 주요성과
가. 양자경제 선도국가를 향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
1)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양자기술산업법)」 제정(’23.10.)
2023년 10월 6일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만장일치로
통과하고, 10월 31일 제정되었다.
이는 정부와 여・야가 기존 디지털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기존 기술로 불가능한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과학기술이 국방과 첨단산업의 판도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공감하고,
기술개발과 산업발전, 관련 인프라 구축과 생태계 조성을 종합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 박성중 의원 대표발의안과 변재일 의원 대표발의안을 기반으로 ‘부처-여야 공동 TF’에서 병합안 도출
<표 3-5> 양자기술산업법 주요 내용
❶ 양자과학기술(통신・센서・컴퓨터 등)의 연구기반 조성과 양자 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종합진흥 체계를 구축한다.
양자과학기술 및 지원기술,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시책을 수립・시행하여 과학기술혁신과 국가안보,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제1조~제3조)
❷ 범부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양자전략위원회를 설치하고 양자종합계획을 수립한다.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민간위원 포함 20인 이내의 양자전략위원회를 설치(제7조)하고, 양자기술・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제5조)한다.
또한, 양자과학기술의 파급력이 국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양자기술 발전에 따른 보안위협 대응방안을
마련한다.(제10조)
❸ 양자과학기술의 역량집중과 기존 첨단산업과의 융합을 위해 기술개발과 산업의 허브를 구축해 나간다.
정부는 산・학・연 연구 협력의 거점기능을 담당할 양자과학기술 연구센터를 지정 (제18조)하고, 양자 연구・산업육성의
중심역할을 수행할 양자클러스터를 지정 (제24조~제28조)한다.
❹ 양자 분야를 이끌어 나갈 인력 양성 및 우수 인력의 유치・활용을 지원하고, 전문교육기관을 선정・지원한다.
양자과학기술과 산업을 이끌어 나갈 인력의 양성부터 정착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고 양자과학기술에 특화된 인력양성을
담당할 대학 및 대학원 등 전문교육기관을 선정・지원할 수 있다.(제21조~제23조)
❺ 양자 기술개발 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종합지원과 특례를 통해 산업화를 촉진한다.
양자 기술개발과 양자산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상용화 촉진, 창업 및 기업육성 체계를 구축하고(제14조,
제16조),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현금 부담비율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례 및 기술이전 시 기업에 전용실시권을
설정할 수 있는 특례를 규정한다.(제12조, 제13조)
❻ 기술패권 확보를 위한 경쟁 속에서 전략적인 국제협력 추진을 위한 근거 조항을 마련한다.
국제 공동연구, 국내 인력의 해외연수 및 인력 교류, 국제 표준화 등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제29조), 해외
우수 연구개발센터의 국내 유치를 지원한다.(제30조)
∙227∙
2) 「대한민국 양자 대도약 원년」 선포(’23.1.19) 및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 발표
(’23.6.27)
대통령 주재로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에서 글로벌 양자 석학들과 양자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2023년을 “대한민국 양자 대도약의 원년” 선포한 데 이어 2035년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국가를 목표로 비전과 육성 방향을 제시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을 발표
하였다. 이 안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중장기 비전과 발전전략을 담은 국가전략으로 3대 정책
목표와 전략 과제를 제시하였다. 양자과학기술 3대기술 분야(컴퓨터, 통신, 센싱)의 정책목표로
‘우리 기술로 양자컴퓨터 개발・활용’, ‘인터넷 강국에서 양자인터넷 강국 도약’, ‘최고 수준 양자
센서로 세계시장 선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전략과제로 2035년까지 양자과학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양자 핵심인재 2,500백 명 확보, 기술 수준 85%, 세계 시장 점유율 10%
도달을 제시하고 민-관 공동으로 3조 원 규모의 투자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기술-산업
융합을 위해 양자 활용 공급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3) 양자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 도입 및 지원
우리부와 NIA 양자산업생태계 지원센터는 양자통신, 센서 등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 분야를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기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래 양자융합포럼을 통해 110개
기관, 472명이 참여하여 양자산업활성화를 위한 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4월 우리부와
국정원, NIA, ETRI, KRISS, TTA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국정원과 협업하여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제품군 대상 보안검증체계”를 마련하였으며,
11월에 보안검증을 통과한 첫 국가검증사례를 창출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검증을 통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금융・의료 등 보안이 중요한 분야의 양자암호통신 도입을 촉진하고, 초기 시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암호통신 장비기업 시장 창출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금융위와
협업하여 양자 스타트업 및 전환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지원책도 마련하였다.
나. 양자과학기술 기술역량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 확대
정부는 2022년 수립된 양자기술 전략로드맵을 기반으로 양자과학기술 산업의 기술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3년 기준, 양자과학기술 분야 투자
규모는 9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5% 증가하였다. 이는 50큐비트급 자체 양자컴퓨팅 시스템
개발, 양자정보 전송용 초기 양자중계기 핵심기술, 배터리 설계혁신용 양자센서 등 주요 사업
예산으로 반영되어 핵심 기술 개발을 가속하였다. 동시에 현 수준의 양자과학기술의 공공 분야,
산업 분야의 다각적 활용방안을 탐색하고 지원하여 양자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228∙
다. 양자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 구축 및 국제협력 강화
1) 양자 연구-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력양성
양자과학기술 분야 중요 핵심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운영 중인 고려대학교 양자대학원을
이어 2023년 4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주도의 두 번째 양자대학원을 개소하였다. 정부는
양자대학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대상으로 양자과학기술 이론-실습-프로젝트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대학・연구소의 양자교육, 연구센터 지정, 해외연수 및 단기교육, 훈련 등을 실시하여
양자 핵심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양자 기술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한편, 양자정보의 처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형공용연구장비를 활용한 연구개발 지원이
필수적이나, 소재의 충돌로 현행 나노팹 등에서는 지원이 어려운 실정으로 기술개발을 지원
하는데 한계가 있는 상황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양자 소자 제작공정 기반을 구축
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 양자 전문가와 펩 운영기관이 참여하여 개방형 양자팹을 기획하였
으며, ’24년 2개 기관을 선정하여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초전도 플랫폼의 경우 양자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제공형 초전도 양자팹을 성균관대에 구축하여 ’23년부터
시범운영을 하고 있다.
3) 첨단신흥기술인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글로벌 기술동맹 구축
정부는 국내 양자과학기술 역량을 선도국 수준으로 조기에 향상시키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먼저, 미국, 독일 등 13개국이
참여한 다자협의체에 참여국 지위를 확보(3월)하였으며 한-미 양자과학기술 협력 공동성명(4월),
한-룩셈부르크 양자기술협력 MoU 체결(7월), 한-영 양자과학기술 협력 확대 합의(11월)가
이루어지는 등 양자과학기술 글로벌 동향 파악, 인력교류,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제적
지위와 기반을 다졌다. 글로벌 공동연구 및 교류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는 워싱턴에 위치한
미주권역 협력센터에 이어 유럽 권역 협력센터를 브뤼셀에 개소(7월)하였고 연 10억씩 5년간
지원되는 기술 분야별 공동연구센터를 10개로 확대하였다.
라.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제고
1) 「퀀텀코리아 2023」 개최(’23.6.)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양자 분야의 국제적 교류 및 소통의 장을 마련
∙229∙
하기 위한 행사로 「퀀텀코리아 2023」를 개최하였다.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4일간
진행된 이 행사에는 정부, 주요국 대사, 국내・외 양자과학기술 전문가, 산업계 인사 등 3천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이 중에는 ’2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클라우저 박사를 비롯한 세계적
양자석학 및 양자기업, 관련 대학・연구소 연구자가 대거 참여하였다. 최신 양자 연구 및 산업
성과를 전시하고 기술 발표를 통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등 양자 산업계 확장을 도모하는 동시에 일반 국민 대상의 경진대회, 공모전, 대중강연도 함께
진행된 의미있는 행사였다.
4. 소결
정부는 국회 만장일치로 제정된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양자기술
산업법)」이 시행되는 24년 11월 범부처 양자전략위원회를 신설하고 기반조성, 기술개발부터
산업화까지 양자 분야를 종합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230∙
제4절 차세대통신/네트워크/빅데이터/IOT
1. 차세대통신/네트워크/IOT
가. 개요
통신 인프라는 10년 주기의 세대적 진화를 통해 사회 및 산업 발전의 필수 인프라가 되었으며,
자체 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파급력이 크고 경제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국가 보안 측면
에서도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술패권 경쟁의 핵심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19. 4월)를 시작으로, 2030년 이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주도권 확보를 위해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20.
8월)’ ‘6G R&D 실행계획(’21. 4월)’ 및 ‘K-network 2030 전략(’23. 2월)’을 발표하였으며,
미래 통신서비스의 공간적 확장(지상에서 → 해상・공중까지)에 대비해서 ‘위성통신활성화 전략
(’23. 9월)’을 발표하였다.
[그림 3-21] ‘K-Network 2030’ 비전 및 추진전략
이 계획을 바탕으로 ’21년 1단계 6G 원천기술 R&D와 병행하여 2단계 상용화・표준화 기술
R&D에는 6G 네트워크 전체 5대 요소(무선통신, 모바일 코어,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 표준화)에
대해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모든 요소에서 저전력과 안전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231∙
[그림 3-22] 2단계 6G 추진 기획 방향 및 주요 내용
또한, 위성통신에서도 ‘제2의 CDMA 신화’를 창출하여 선진국 대열로 진입하고 디지털 대한
민국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완성하기 위해,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을 통해 마련된 정책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예정이다.
[그림 3-23]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 비전, 목표 및 추진과제
∙232∙
나. 2023년도 주요성과
2023년은 ’21년부터 시작한 6G 원천기술 R&D의 지속적인 추진과 더불어 클라우드・SW
기반 네트워크 패러다임 전환 등 개방형 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통신장비의 국산화 기술 확보
및 국내 오픈랜 기술의 적합성 시험검증체계(K-OTIC) 마련 등을 위한 개방형 네트워크(오픈랜)
핵심기술개발 역시 추진되었다. 또한 6G 국제 표준화 일정과 6G 후보 기술 변화(Upper-mid
대역, Cloud-Native, AI-Native 등)에 따른 2단계 6G R&D를 기획, 예비타당성조사가 ’23년
8월 통과되어 ’24년부터 2단계 6G R&D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동력을 마련하였다. 또한
’23년 11월에는 우리나라 의장단이 주도하여 만든 ITU 6G 비전이 발표되었고, 12월 세계전파
통신회의(WRC,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에서 한국이 제안한 6G 주파수
후보 대역 4개 중 3개가 후보 대역으로 최종 채택되면서 2단계 6G R&D 전략을 통해 우리
나라가 글로벌 표준을 선도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주요 추진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6G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수립된
연차별 추진 계획에 따라 6G 통신단말・시스템 및 전자파 안전성 등에 대한 요소기술 고도화를
추진하였다. 또한 산업계에서 연구하기 힘든 도전적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2년에 이어 국내
대학원 내 6G 연구센터(’23년 KAIST,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숭실대, 아주대 6개 대학
7개 연구센터에 52억 원 지원) 지속 지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부터 6G 개발에 참여토록 하여
기초연구 강화 및 인력양성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Mobile Korea 2023’ 글로벌 행사 개최를
통해 5G/5G-advanced 이동통신 시장과 6G 이동통신 비전 및 기술표준을 선도하는 등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에서 국제 지도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패권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본격화 되고, Upper-mid
대역이 6G 주파수 후보대역으로 대두되고, HW 중심에서 SW와 클라우드 중심으로 네트워크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추세에 따라 1단계 6G R&D 전략에서 다루지 못했던 분야에 대해 2단계
6G R&D를 기획하였다. 2단계 6G R&D사업인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 기술개발 사업’
에서는 6G 기술・표준 선점을 통해 6G 조기 상용화를 추진, 글로벌 6G 시장선도를 목적으로
기술・산업 연계형 사업을 5개 분야(①6G 무선통신, ②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③6G 유선
네트워크, ④6G 시스템, ⑤6G 표준화)로 구성하였다.
∙233∙
[그림 3-24] 2단계 6G R&D 주요 사업분야
6G 무선통신에서는 Upper-mid band 대역에 대한 E-MIMO 기술 등의 개발과 함께 커버리지
확대 기술 연구를 다루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지능화가 강조됨에 따라 AI-Native,
Cloud-Native 기반의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 관련 과제 기획을 완료하였다.
특히 2단계 6G R&D에서는 기존과 다르게 6G 유무선 핵심 표준화를 위한 표준특허 전담
과제를 구성하여 표준특허 36건 이상을 목표로 6G 무선전송, 네트워크, 산업융합 등 각 분야별
표준 선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2단계 R&D는 ’26년 Pre-6G 기술 시연과 ’28년 6G 통합 기술
시연 등 단계적인 6G 기술 구현/검증 절차를 마련하였으며, 단순 R&D가 아닌 개발성과물이
실제 산업에 활용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그림 3-25] 2단계 6G R&D 기술 시연 로드맵 및 분야별 전략기술
∙234∙
셋째, 6G와 같은 미래 기술뿐만 아니라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개방형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통신장비의 공급망 다각화, 통신망 구축 비용 감소 등의 해결을 위해 오픈랜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 정책에서는 오픈랜 시장 확산에 필요한 주요 핵심 부품・SW의 국산화 계획 및
오픈랜 검증・필드테스드 운영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고, 이를 통해 기존 폐쇄형 RAN 시장을
대체할 오픈랜 장비의 신뢰성 확보와 국내 통신장비 산업 육성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픈랜 정책에서는 ①전주기 시험환경 인프라 구축, ②기술/표준 경쟁력 확보, ③민관 협력 기반
생태계 조성 등 국내 장비의 글로벌 공인 인증 및 오픈랜 산업의 시장진입 단계부터 고도화까지의
핵심기술・제품 R&D 지원, 그리고 국내 역량을 총 결집하는 민・관 합동 협의체(ORIA) 추진
등을 담고 있다.
기존의 RAN 환경 Open RAN 환경
무선장치
안테나
독점 프론트홀(Fronthaul)
광섬유 케이블(CPRI)
기존 기지국
신호처리
RF 장비
네트워크 액세스
액티브 안테나로
무선장치(RU) 통합
분산 장치(DU)
중앙 집중식 또는 셀 사이트
신호 처리
네트워크 액세스
오픈 프론트홀(Fronthaul)
광섬유 케이블 (eCPRI 분할 7.2x)
오픈 미드홀(Midhaul)
중앙 집중식 장치(CU)
백홀(Backhaul
[그림 3-26]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이와 더불어 오픈랜 경쟁력 확보 및 국내외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내 역량을 총 결집하는
민・관 합동 협의체인 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ORIA, Open RAN Industry Alliance)를
창립(’23. 4월)하여 민・관 협력을 통해 지속성장 가능한 오픈랜 생태계의 디딤돌을 구축하였다.
넷째, 미래의 통신서비스는 지상에서 해상, 공중까지 공간적으로 확장되면서 위성통신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공공 목적(통신・항법보정・
∙235∙
수자원정보수집)용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을 개발(~’27년)하고, 해상구조 및 영해보호
역량 강화 등 재난・재해 대비와 미래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 대비 등을 위한 공공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위성은 수재해 감시정보 확보, 해상・산악 및 지상망소실
통신음영지역에 대한 긴급 재난・재해통신을 지원하여 원활한 구조・안보 활동과 국민편의를
지원하고, 통신위성과 지상이동통신 간 연계가 국제표준으로 포함됨에 따라, 선도적인 연계
기술을 확보하고 기술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베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림 3-27] 정지궤도 위성 통신 탑재체 활용 계획
이처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3년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을 위해 기존 추진
전략의 충실한 이행 및 급변하는 이동통신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규전략 수립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점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글로벌 6G 표준 선점과,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립된 6G R&D 전략의 수행을 위해 기존 1단계 6G 사업을 지속적
으로 추진・개선하는 동시에, 2단계 6G R&D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2단계
∙236∙
6G R&D 사업은 ’24년 210억 원 규모를 시작으로 총 5년간 정부출연금 3,732억 원 규모로
<표 3-6>과 같이 5대 분야 13대 전략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표 3-6> 2단계 6G R&D 주요 사업별 분야별 전략기술
분야 전략기술
1. 6G 무선통신
① 6G Upper-mid Band E-MIMO 시스템 기술
② 6G Upper-mid Band E-MIMO 기지국 핵심 부품기술
③ 6G Upper-mid Band 통신단말 핵심 부품기술
④ 6G 커버리지 확대 기술
2. 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⑤ 6G 모바일 코어망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기술
⑥ AI-Native 6G 모바일 코어망 자동화/최적화 기술
3. 6G 유선 네트워크
⑦ 6G 프론트홀 광링크 및 광전송 시스템 기술
⑧ 6G 유무선 통합 광액세스 시스템 및 부품 기술
⑨ 6G 네트워킹 전달망 장비 및 부품 기술
4. 6G 시스템
⑩ 6G 종단간 서비스 응용성능 보장 프레임워크 기술
⑪ AI-Native 응용서비스 지원 6G 시스템 기술
⑫ 6G 개방형 서비스 검증 플랫폼 기술
5. 6G 표준화 ⑬ 6G 유무선 핵심 표준화 기술
이와 더불어 ITU-R 6G 프레임워크 권고안(’23. 6월)에서 새롭게 제시된 센싱・통신 결합
신규 서비스를 위한 전파 기반 기술 및 세계전파통신회의(WRC, ’23. 12월)에서 채택한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이종 서비스 혼간섭 분석・공동사용 기술, 인체 영향성 분석 등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표 3-7> 6G 전파 기반기술 분야의 전략기술
분야 전략기술
6G 전파 기반기술
∙ 통신인프라(기지국, 단말 등) 센싱기능 병행 전파 기반 기술
∙ 6G 후보 주파수 대역 혼간섭 분석 및 공동사용 기술
∙ 6G 전파서비스 진화에 따른 전자파 인체 영향 분석
또한 [그림 3-28]과 같은 추진체계 하에서 6G 민관 합동 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사업단을 구성하여 수시로 산・학・연의 의견을 듣고, 사업 추진 방향의 수정, 추진
현황과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237∙
[그림 3-28] 2단계 6G R&D 추진 체계
차세대 네트워크 완성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지궤도 위성(고도 36,000km) 대비
짧은 지연시간으로 고속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세대 통신 인프라의 ‘혈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저궤도 위성(고도 300~1,500km) 통신기술 자립화 및 시범망 구축을 추진하고, 시범망을
활용하여 기술 성능과 효용성, 서비스 여건 등을 검증할 예정이다.
[그림 3-29]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예비타당성조사 中)
∙238∙
오픈랜 전략의 실행 계획 측면에서는 2023년 61.5억 원의 규모를 시작으로 총 5년 동안
330.5억 원 규모의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오픈랜 민・관협의체를 통해 국내 통신
장비 기업이 오픈랜 기술 및 표준화에 쉽게 접근하도록 지원하고 국내외 기업 간의 협업을 유도
하여 오픈랜 기술을 국내에 원활하게 도입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그림 3-30] 민・관 합동 협의체(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 구성
2. 빅데이터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빅데이터 기술 연구는 데이터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서비스 적용 환경에 맞춰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재학습
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효율성 높은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성능 향상을 위해 실제 데이터와 융합된 고부가가치의 데이터를 인공적으로 생성
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AI 학습용과 같이 유용한 서비스의 기반으로 사용되어 그 중요도가 더
커짐에 따라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완전성을 관리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를 통한 의사결정 기술이 점점 발전하여 이를 지원하기 위해 차세대의 생산적인
데이터를 발굴하고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패권 경쟁에서 선두에 서기
위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데이터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다.
∙239∙
2) 2023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빅데이터의 수집・저장부터, 처리・분석・예측 및 활용・시각화까지 동
분야 전반에 걸친 핵심기술 고도화를 위해 투자를 하고 있으며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사업의 ‘빅데이터 핵심기술’ 분야에 총 200억 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으로 12개의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국내외 다양하게 산재된 데이터로 데이터맵을 자동구성하고 사용자 분석목적에 맞는 정확한
데이터셋 탐색과 활용을 지원하는 기술, 비전문가도 손쉽게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분석모델 추천 자동과 기술 개발, 스마트홈이나 공장, 금융 등에서 생성된 시간 정보나
시간 의미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기술, 이종 융합 데이터 탐지, 추적 판단 및
차단(지원) 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특히, 2023년도 신규과제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분산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논리적으로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패브릭 기술 개발과 실세계
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해 합성데이터를 고품질로 생성하고 이의 품질에 대해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의료영상 분야와 환경 분야에 적용하는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표 3-8> 빅데이터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내용 및 규모
(단위 : 백만 원)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구분 과제명 주관기관 ’23년도 예산
SW컴퓨팅산업
원천기술개발
(빅데이터
핵심기술)
계속
과제
(10)
데이터맵 기반 지능형 빅데이터 탐색・활용 핵심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00
데이터 특징과 문제를 정의하는 빅데이터 분석모델 추천 자동화
기술 개발
(주)시큐레이어 2,000
파편화된 데이터의 적극 활용을 위한 시계열 기반 통합 플랫폼
기술 개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000
이종 융합 데이터 탐지 및 추적 기술 개발 (주)피씨엔 1,200
데이터 규모 확장과 정확성 향상을 위한 다크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주)와이즈넛 2,000
능동적 즉시 대응 및 빠른 학습이 가능한 적응형 경량 엣지
연동분석 기술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0
빅데이터 인과 분석을 위한 복잡계 기반 추론 인공지능(REX)
개발 및 실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2,000
고품질 데이터셋의 적시・적소 활용을 지원하는 데이터옵스
프레임워크(DataOps Framework)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00
산업 데이터 상태 진단 및 개선 극대화를 위한 증강분석 기반
자동 데이터 시멘틱 정보 구성/표현 기술 개발
(주)피씨엔 1,400
머신러닝 개발 전주기를 연결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
MLOps 플랫폼 기술 개발
(주)와이즈넛 1,400
∙240∙
3) 향후 계획
데이터는 사회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기반으로 데이터를 통해 문제해결,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가능한 데이터를 발굴하고, 예외 상황 등 부족한 데이터를 고품질로
생성하여 인공지능 고도화에 기여하며, 데이터 드리프트와 같은 문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로 신뢰도 하락을 방지하여 데이터의 동적 변화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로 민간・공공에게
활용가치가 높은 데이터공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다. 활용성이 높은
다종/대량의 빅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투자를
통해 데이터 경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구분 과제명 주관기관 ’23년도 예산
신규
과제
(2)
분산된 데이터에 대한 논리적 데이터 통합과 복합분석을 지원하는
데이터 패브릭 기술개발
㈜모비젠 1,125
목적 맞춤형 합성데이터 생성 및 평가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1,125
합계 19,250
∙241∙
제5절 미디어콘텐츠
1.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최근 미디어방송 환경은 새로운 디지털 혁신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고, 어느 분야보다 더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1인 미디어의 성장, 스마트폰 활용 증가, 인터넷동영상서비스
(OTT)를 통한 콘텐츠 소비가 대중화되면서 미디어 시장 구조가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방송
미디어시장은 IP기술 위주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고,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AI, VP(버츄얼프로덕션), XR(확장현실) 등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하면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전달하는 방식도 크게 바뀌어 가고 있다.
이렇듯 방송산업의 환경은 이전과 다른 차별화되는 방송기술 및 서비스를 더욱 요구하고
있으며,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우리의 강점인 ATSC 3.0 차세대 방송 분야를 집중 개발・육성하는 한편, 방송
산업의 활성화 및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강화하기 위한 민관협력 기반의 방송장비산업 발전
협의회(’24.3월)를 발족하였다.
또한, 국내 미디어・콘텐츠 산업의 AI 접목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AI와 디지털
기반의 미래 미디어 계획」(’23.9월)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는 미디어+AI 융합을 통한
미디어 산업의 저비용・고효율화를 목표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방송・미디어 분야 기술개발에 약 330억을 지원하였다. 방송
분야는 차세대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간의 융합을 위한 이종망 연동기반 기술을 개발
하였으며, 고화질 방송미디어 전송을 위한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 개발을 계속 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방송미디어 서비스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기술개발을 위해 ATSC3.0
기반의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도 신규과제로 추진하였으며, 미디어 분야는 AI 기술을 방송・
OTT콘텐츠 제작 및 유통과정에 적용하여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미디어
지능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국내 OTT의 글로벌 진출 및 서비스 혁신을 위해
음성 현지화, OTT이용 분석 등 OTT경쟁력강화 기술을 지원하였다.
∙242∙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방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3년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서비스 기술개발에
41억,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개발에 20억, ATSC3.0 이동방송 수신칩개발에 3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먼저,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 서비스 기술개발은 ’20년부터 4년간의 기술개발을
통해 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 간 동기화 및 융합을 위한 이종망 연동기술과 방송망을
이용한 시분할 방식의 동시 송신(방송+통신)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향후 차량 등 이동 중인
상황에서 지능형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고품질의 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8K급 차세대 미디어 전송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채널 결합 및 다중 안테나 송수신 시스템 성능 검증용 채널 에뮬레이터 개발까지 완료하였다.
아울러, 이동환경에서 직접 고화질 방송수신이 가능한 ‘ATSC 3.0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에
착수, 다중신호 수신기술 개발 및 수신 플랫폼(FPGA) 설계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이동방송 미디어 핵심 부품 및 장비에 대한 국산화를 지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품질
미디어의 보편적 시청권 제공 및 주파수 이용 효율 개선, 방송 통신 산업에서의 기술 우위 확보를
하였다.
나) 디지털미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디어지능화기술개발 69억, 인터넷동영상서비스글로벌경쟁력핵심기술
개발 64억, 미디어팔레트시장가치창출형기술개발 52억, 메타버스미디어핵심기술개발 58억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특히, 올해는 지능적 미디어 시맨틱 추출 기술, 미디어 시맨틱 기반 감정
정보 분석 기술 등 기술이전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기술 활용성과 기대효과를 입증했다. OTT
분야의 경우, 미디어 콘텐츠 음성 언어 현지화 기술이 DCASE 2023 Challenge 음향 사건 탐지
분야에서 전체 1위를 달성하였고 VoxSRC 2023 Challenge 화자 분할 분야 전체 4위(국내
1위)를 달성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아바타로 동화 속 주인공이 되어 경험을 제공하는 ‘스토리
셀프’ 소프트웨어는 신SW상품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메타버스 분야
에서는 다중 객체 미디어 생성 기술이 글로벌 IT 기업과의 격차를 크게줄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기술적 차별성을 인정받아 CVPR 하이라이트 논문에 선정되는 등 대내외적 주목을 받게 되었다.
∙243∙
<표 3-9> 2023년도 방송・미디어 분야 주요성과
주요 내용 대표성과
방송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서비스 기술개발>
∙ 망 융합 송신 실험 방송을 위한 5G망, 방송망 테스트베드 구축
(경기 북감악 KBS 송신사이트)
∙ 5G 및 ATSC 3.0 IP 계층 연동 수신 검증을 위한 플랫폼 구현
∙ 5G와 방송망(ATSC 3.0) 연동 기술 관련 국제 특허출원 등록
2건, 국제 표준 기고서 채택 9건, 표준안 채택 2건 5G 및 ATSC 3.0 IP 계층 연동 송수신 시제품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 기술개발>
∙ 채널 결합 방송 송수신기 HW 시작품 개발 및 시뮬레이터를 통한
성능 분석
∙ 8K급 차세대 미디어 전송기술 관련 국제 특허출원 등록 5건,
국내 출원 등록 3건, 시제품 개발 2건
송수신기 회로기판 시스템 구조기능 설계
<기술변화 선도형 방송미디어 장비 기술개발>
∙ 다중신호 수신기술 요구사항 정의 및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 수신 플랫폼(FPGA) 및 RF 튜너 설계
∙ ATSC 3.0 이동방송 수신기술 관련 국내 특허출원 2건, 국제
기고서 제출 1건, 시제품 개발 1건
ATSC 3.0 이동방송 수신기 구조
디지털
미디어
∙ 시계열 특성 기반 미디어 시맨틱 자원 생성 기술 관련 특허 출원
(’23.8)
- 콘텐츠에 내재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맥락을 분석하고 콘텐츠
스토리를 통해 미디어 시맨틱 자원을 생성하는 연구를 통해
영상에서 인물 중심 맥락 추출 방법 및 장치 특허 출원
장면 설명 문장 데이터 구축
∙ 미디어 콘텐츠 언어 현지화를 위한 음성 생성 기술 및 인식 기술
고도화를 통한 사업화(’23.11)
- AI 기술을 기반으로 약 30분 분량의 화자 음성을 이용하여
해외 진출국의 언어・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 합성 연구
진행 및 음성인식기술 고도화를 통한 STT 솔루션 사업화 약
6억 원 달성
미디어콘텐츠 음성 언어 영어 현지화 데모영상
∙ Cross-메타버스 아바타 생태계를 위한 아바타 솔루션 MoiiMe
개발 및 Moii 서비스 출시(’23.6)
- 얼굴 사진 기반 아바타 생성, 모션캡쳐 시스템, 아바타 의상
교체, 아바타 파츠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및 아바타 솔루션 개발・출시
커스터마이징 아바타 생성 및 대화 서비스 모이(Moii)
∙ 다중 객체 미디어 생성 기술을 통해 CVPR 학회 하이라이트 논문
선정(’23.6)
- 고해상도 단일영상에서 복원을 수행하는 기술이 없어 해당
기술의 차별성을 인정받아 2023년에 개최된 CVPR학회에서
highlight 논문 선정
대중 객체 미디어 생성 관련 언론보도
∙244∙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방송・미디어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기 위해 8K급 차
세대미디어 전송기술, 기술변화선도형 방송・미디어 장비 기술 등과 관련한 핵심기술을 지속
지원하는 한편, 방송미디어 송수신 기술 개발 등 향후 모빌리티 환경에 대비한 국내 핵심기술
확보에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미디어+AI 융합을 통한 미디어 산업의 저비용・고효율을 목표로 AI・디지털 기반
미디어・콘텐츠 기획・제작・유통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핵심기술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와 연계된 영상 자동 생성을 위한 관련 기술, 몰입 디바이스의 확산을 위한
공간 미디어 3D 확장, 영상 제작 현장에서 요구사항을 즉각 반영할 수 있는 사전시각화 기술뿐만
아니라 민간의 혁신 아이디어 도출을 위해 챌린지 형식의 경진대회 등 다각도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체 미디어・콘텐츠 워크플로우의 혁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문화콘텐츠 분야(CT)
문화체육관광 R&D 사업은 ‘제4차 문화기술 R&D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하여, 신기술
기반의 선도적 R&D 추진 및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 창작・향유환경 조성,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 등의 R&D 기반 강화를 중점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3년 문화체육관광 R&D 사업은 콘텐츠(780억 원, 64%), 저작권(188억 원, 15%), 스포츠
(189억 원, 15%), 관광(67억 원, 6%)의 비중으로 투자하였으며, 2022년 기준 문화체육관광
분야 R&D의 특허, 사업화 등 기술・경제적 성과는 국가 R&D 평균 대비 2~3배 높은 실적을
달성하였다.
* 2023년 성과는 2024년 상반기 성과조사・분석 완료 예정
1) 콘텐츠 분야
2023년도 문화콘텐츠 연구개발 사업은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콘텐츠 산업 기술경쟁력
및 K-콘텐츠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메타버스・인공지능(AI)・신기술융합콘텐츠 등 신기술을
접목해 활용도를 높이고 향후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분야의 선도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
하고 있다.
콘텐츠 산업의 진흥을 위해 문화산업 선도형・확산형 기술개발과 더불어 신기술융합콘텐츠
∙245∙
(XR 등)를 활용한 기술개발, 시장 수요를 반영한 혁신성장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였고, 글로벌
가상공연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실연-가상 공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를
신규로 진행하였다. 또한 다학제 간 교육과정과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CT R&D 전문인력 양성도
지속 추진하였다.
<표 3-10> 콘텐츠 분야 대표성과 사례
분야 주요성과
선도형
R&D
시각장애인의 스마트관람을 위한 멀티모달 전시안내 단말 및 저작기술
(’20~’22년, 38억 원 지원)
다중 배열 촉각패드를 활용한 디지털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개발을 통한
시각장애인들의 문화향유권 향상
CES 2023 최고 혁신상 수상, 라이프스굿 어워드 대상 수상
국내・외 공공기관, 박물관 등 보급확대, Google, 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협업 추진
디지털 3D 애셋의 지능형 축적 및 공유 플랫폼 개발
(’23~’25, 43억 원 지원)
지능형 3D 애셋 및 XR 콘텐츠 메타플랫폼 구축 및 실증을 통한 신시장
견인
CES 2024 최고 혁신상 수상, 롯데 칼리버스, 메가플랜, 브릴라 등 업무
협약(MOU) 체결을 통해 협업 추진중(’23년~)
확산형
R&D
실감형 문화유산 체험을 위한 애셋 기반 지능형 큐레이션 및 서비스 운영기술
개발(’20~’22, 60억 원 지원)
H-PBR 기술 개발 및 디지털 애셋 활용을 통해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5G기반 실감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운영 콘텐츠 제작 사업화 매출
8.2억,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디지털 콘텐츠 제작
사업화 매출 3.7억 등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베를린 ‘IF Design 2023’ 본상 수상
시청각 장애인의 문화예술 창작 및 협업 지원 기술 개발
(’21~’24, 23억 원 지원)
감각 전달 장치를 활용해 장애와 관계없이 누구나 동작을 공유하고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문화 경험 제공
23년 문화체육관광 분야 디지털 혁신공모전 아이디어 부문 최우수상
수상, 2023년 <SBS 스페셜> ‘빵터지는 노벨상’ 개발 기술 방영 등
기업
혁신형
디지털 가상인간의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가능한 성장형 메타휴먼 방송
콘텐츠 제작 기술의 개발(’22, 2억 원 지원)
디지털 가상인간의 메타버스 및 차세대 방송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성장
가능형 메타휴먼 제작 기술
가상아이돌 페이스 모델 제작 및 메타휴먼 3D 애셋 공급 등 관련 사업화
매출 발생(약 260백만 원)
∙246∙
2) 저작권 분야
2023년도 저작권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가상공간과 실공간이 이질감 없이 혼합되어 언제
어디서든 행동하고 반응하는 미래 콘텐츠 유통・소비 환경에서 유통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산・유통 환경에서 저작권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하였다.
2023년도 신규과제는 총 8건(지정공모 5건/38.74억 원, 자유공모 3건/20억)으로 웹툰, 시/
소설 문학창작물 등 저작권 산업의 신생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개방형
소프트웨어 생산・유통 환경에서 저작권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SW 기술적 보호조치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하였다. 또한 SW저작권기술+법 융합인재 양성 지원 사업을 신규 내역사업으로 추진
하여 3개 대학(OTT, 블록체인, 메타버스 기반 저작권기술법 융합인재 양성)을 지원하였다.
<표 3-11> 저작권 분야 대표성과 사례
분야 주요성과
메타버스
콘텐츠
IP
NeRF 기반 초실감 공연자 캐릭터 생성 기술 개발 및 실증(’23~’25,
25억 원 지원)
사용자와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공연자 캐릭터 생성 및 서비스 기술
개발 및 NeRF 기반 초실감 공연자 팬서비스/NFT/공연 연계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CES 2024 최고 혁신상 수상, 사우디 정부(MOI) 및 네옴시티 기업
관계자와 생성형 AI 휴먼 챗봇 사업화 협력 추진중(’23.10.~)
성과명 성과 활용 요약
(전자책)
전자책 DRM
(문서 암호화)
국내외 표준 제정
및 활용
(2018~2020) <DRM도입현황>
전자책 표준 DRM을 통해 전자책마다 다른 DRM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전자책
유통과정과 소비과정에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하는 문제를 해결함
알라딘, 예스24 등 11개 공급사 활용, 22개 국내 공공도서관 적용을 통해
산하도서관 420여개 적용 효과를 통해 높은 활용 예상
전자책 산업의 고질적 문제였던 DRM(저작권관리기술) 호환기술을 세계 최초로
국내외 표준화로 해결하여 경제적, 사회적 파급
(웹툰, 웹소설 등)
저작권 침해사이트
추적 대응
(프로파일링) 기술
(2019~2021) <침해게시물 수집 웹툰
사례>
콘텐츠 공유 사이트의 저작권 침해 이상징후를 사전에 분석, 예측하여, 기존의
저작권 침해 사이트의 늦은 사후 대처(침해 사례 후 사이트 접속 차단등)로
인한 피해사례 확산 문제를 최소화함
토렌트, 유튜브, SNS등 저작권 불법 공유 채널에 침해기술을 바탕으로 침해
사례 자동 수집
-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와 치안뉴스 분석시스템 ASP 임대사업 용역계약을
통한 사업화 진행
- 저작권 침해 추적 기술을 바탕으로 ‘Huntter CC’ 개발
∙247∙
3) 스포츠 분야
2023년도 스포츠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디지털 전환 기술을 위한 경기력 향상, 개인 맞춤형
재활서비스, 지속 가능한 신체적・심리적 스포츠 케어 서비스, 스포츠 엘리트 양성 기술개발에
집중하였다.
「스포츠 산업 혁신기반 조성」 사업을 위해 8개 과제 119억 원을 지원(계속과제 5개 89억 원,
신규과제 3개 30억 원)하여 비대면 스포츠 신시장 개척을 통한 신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보건복지부 주관 다부처 사업인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총 3개 과제 50억 원을 지원하여 장애인의 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인지・신체 증강 기술개발에 집중하였다.
그 외에도 「종목별 경기력 향상 지원」 사업을 신설하여 4개 과제(신규과제 4개, 20억 원)를
통해 국가대표를 비롯한 스포츠 선수, 일반 국민 등 개인의 운동 역량을 개발하고 경기력
향상을 추진하였다.
성과명 성과 활용 요약
(신기술융합콘텐츠,
홀로그램)
3D콘텐츠
암호화한 보호
기술
(2021~2023) <MBC ‘너를 만났다’>
세계 최초로 개발한 홀로그램 프린터에 저작권 보호 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프린팅 과정에서 고가의 홀로그램 원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유출 문제를
해결함
MBC 방송콘텐츠(‘너를 만났다’, 고인이 된 대상을 가상현실(VR/AR)로 구현하여
참여자들이 체험)에 동 사업에서 개발한 저작권 보호기술을 적용하여 방영
기존 타부처 기술개발 사업으로 제작된 디지털 홀로그램 프린팅기술을 동 사업의
저작권 보호 기능을 통해 자료 공유 서비스 한계를 해결하여 상용화
(음원)
대용량 음원 이용
모델 및 시각화
기술
(2021~2023)
<정보선별 자동게시
솔루션>
음원의 메타데이터, 저작권 데이터 등 대용량 데이터를 지능형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기존 음원 데이터의 불법적인 거래 및 비정상 거래 행위 등을
사전에 탐지하는 등 음원 유통 시장의 투명성을 개선함
음원 저작권 보호를 위해 대용량의 정형/비정형 음원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능형 검증 시스템 개발(음원유통 추적기술 신뢰도 향상)
불법적 거래 및 비정상 거래 탐지 인공지능 모델로 일본에 개발 수주
입법 데이터 및 뉴스, 정책 정보를 선별하여 자동으로 게시
교육콘텐츠 저작권
침해 의심요소
사전점검기술
(2021-2024)
<저작권점검 서비스>
교육용 콘텐츠의 저작권 사전 점검 및 저작권에 자유로운 인공지능 재료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 온/오프라인 교육자료의 저작권 침해 문제를
개선하고, 교육자의 저작권 이용활성화 확대에 기여함
교육용 콘텐츠에 포함된 폰트, 이미지, 음원에 대한 저작권 침해의심요소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웹기반 서비스 시스템 개발
한글/영문 폰트, 이미지, 음원에 대한 130만 건 이상의 점검 DB 구축
사용자 제작 문서(MS-Office, 한글, PDF)와 이미지, 영상 등 파일형태에
관계 없이 통합 검사 기능 제공
교사 교육용 콘텐츠 공유 플랫폼 내 사전점검 실증서비스
∙248∙
<표 3-12> 스포츠 산업 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구분 내용
스포츠
산업
혁신
기반
조성
<선수들의 훈련/경기 데이터 관리 및 AI기반의 경기력 향상 솔루션 기술 개발>
주관 : (주)스포츠투아이
내용 : 비대면 상황에서도 배구(네트 종목) 및 농구(골 종목) 국가대표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개인/팀별 선수 관련 자료의 자동 수집 및 관리 플랫폼
개발
SCI 논문지 1편, 특허출원 2건, S/W 등록 3건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플레이 트위닝 및 실감화 기술개발>
주관 : (재)세종테크노파크
내용 : 현실 공간의 골프 데이터를 디지털전환을 통해 골프 전용 메타버스
공간으로 확장하고 원격지 친구, 트레이너를 실물처럼 구현한 공간에서 만나
상호작용하며 함께 운동과 훈련할 수 있는 골프 플레이 트위닝 실감 플랫폼
개발
SCI 논문지 1편, 특허출원 3건
<한국형 Total Force Fitness 스포츠케어 서비스 기술개발>
주관 : (주)현대엠아이비인터내셔널
내용 : 공공 분야 심리상담체계의 고도화 및 한계극복을 위한 신체・심리
융합 케어 서비스 및 데이터 플랫폼 구축 기술개발
비SCI 논문지 1편, 데이터 플랫폼 1식, 020 서비스 플랫폼 1식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
<지능형 개인맞춤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 개발>
주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내용 : 운동재활의 비용감소와 장애인 및 노인 등 취약계층의 운동재활 효율성
강화를 위한 재활빅데이터플랫폼 연계 AI 기반 개인맞춤형 운동재활 서비스
기술개발
특허출원 2건, 기술공개 및 기술이전 1건, 기술료 수입액 45,000천 원
종목별
경기력
향상
지원
<지능형 동작코칭 분석기반 스마트컬링 전략지도 기술개발>
주관 :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용 : 컬링 종목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시간 스마트 컬링 동작코칭 전략지도
솔루션 개발 및 구축
비SCI 논문지 2편, 특허출원 1건
4) 관광 분야
2023년도 관광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디지털 시대 전환에 따른 관광산업 변화에 발맞춰
전통 관광기업에 디지털 전환 기회와 기술자립성을 제공하고, 주요 관광서비스에 대한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관광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249∙
「관광서비스 혁신성장 연구개발」 사업에 총 10개 과제에 66.5억 원을 지원(계속과제 4개
41억 원, 신규과제 6개 25.5억 원) 하여 전통 관광기업의 강소형 관광기업으로의 도약 기반
마련 및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의 관광서비스 연계 확대를 통해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였다.
다. 향후 계획
정부는 앞으로도 변화와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화기술 R&D 중장기 계획을
포함한 관련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적극적으로 투자를 지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문화기술
(K-CT) 글로벌 도약으로 문화매력국가 실현에 앞장설 예정이다.
∙250∙
제6절 자동차
2023년 자동차산업은 사상 최초로 K-자동차 709억 달러의 수출 대기록을 달성한 한 해로
요약된다.
709억 달러 실적은 기존의 최고 수출액을 30% 이상 상회하는 실적이다. 이는 자동차 업계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화, 전동화 추세에 맞춰 고가의 친환경차 수출(242억 달러, ’22년
대비 +51%)을 확대한 전략이 주효하였다. 또한 ’23년 자동차 수출단가 또한 최초로 2.3만
달러(기존 최고: ’22년 2.1만 달러)를 돌파하며 질적인 혁신도 함께 이루었다.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소비자 중심의 자생적 시장경쟁력을 갖는
xEV 핵심 요소기술인 에너지 저장 및 충전, 구동 및 전력변환, 공조 및 열관리, 수소연료전지
등 자동차 4대 핵심 분야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초소형 전기차 산업 실증 지원, 수소전기트램,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과 상용화
전주기 지원체계 등 개별 기업이 구축하기 힘든 공동 활용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해 중소・중견
기업의 산업기술 혁신역량을 제고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은 기존의 서라운드 센서 등 자동차 독립적으로 개발되던 영역을 벗어나,
소프트웨어, 통신, 보안, ICT 인프라, IOT 센서,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기술영역과의 융・복합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기술선도국의 완성차 업체들은 부품 기업과 IT 계열의 기업 등과
협력하여 완전 자율주행차 출시를 목표로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년 전국 주요 도로 완전자율주행(레벨4) 세계최초 상용화를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부품기술, 인프라,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안전한 자율주행 차량 선도
기술 확보를 위해 주변상황 인식범위 확대, 인식오차 감소, 개인행동계획 맞춤 제어 등 핵심
인지센서 기술을 집중 지원하고, 차량 플랫폼 기술과 부품・시스템의 성능평가 기술개발도 병행
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전체 88개 추진 과제의 부처 간 연계 기술을 검토하고, 연계 방안
및 협업 시너지 효과를 지속 점검할 예정이며, 참여 부처의 기술개발과 관련된 산・학・연・관
표준화 Umbrella 체제를 구축하고 국제표준 및 인증 체계 개발 또한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251∙
계획이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고도화 및 전장화에 따른 데이터 SW 플랫폼 구축 및 사이버 공격
대응 기술개발 기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가. 2023년도 정책 방향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Fast but Smooth Transition)과
모빌리티 신산업으로의 자동차 산업 경계 확장을 통해 자동차 산업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담은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를 위한 4대 전략으로는 ➊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 도약, ➋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➌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➍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을 제시하였다.
글로벌 3강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목표로 ’30년 글로벌 전기차 생산 330만 대 및 세계
시장 점유율 12%, 향후 5년간(’22~’26) 자동차 업계 투자 95조 원+α, ’30년까지 미래차 전문
인력 3만 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1) 전동화 탑티어(Top-tier) 도약
21년 기준 5% 수준인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30년 12%까지 끌어올려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로의 도약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
반도체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여 ‘소프트웨어가 중심인 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2)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Smooth Transition)
기존 내연기관차 중심 생태계의 미래차 전환 과정에서 전환 비용(Legacy cost)을 최소화하고,
내연기관의 캐시카우(Cash-cow) 역할도 함께 고려될 수 있도록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을
모색 및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사업 다각화와 미래차 전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0년
신차 판매의 약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연기관차의 고도화도 병행하여, 건강하고
경쟁이 있는 시장구조를 위해 중형 3사 및 협력사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지원하고, 신규 기업
(New player) 진입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 중에 있다.
∙252∙
3)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자동차 분야 자국 중심주의에 적극 대응하고, 공급망 혁신을 통해
안정성 제고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에 민・관 합동으로 총력 대응하여
이번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으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또한, 주요국의 자국 중심주의에 대응하여 주요 시장별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고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민・관 공급망 공조를 강화하고, 핵심품목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4)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고, 모빌리티 혁명에
대응하여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신산업 창출을 추진 중에 있다.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자율주행 핵심부품 경쟁력을 ’27년 100% 수준으로
제고하고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서비스(교통약자 이동지원, 순찰 등), 언택트 서비스
(무인상점, 헬스케어), 인포테인먼트(AI관광안내) 등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서비스 콘텐츠
개발과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동차 산업 국제 3강 달성을 위해 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 자율주행
경쟁력 확보, 연구개발 기반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311개 과제 4,994억 원 지원하였다. 이는
작년 대비 15% 확대 지원되었으며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
(2,293억 원), 자율주행 등 디지털 분야(1,383억 원), 기반구축・사업화 지원(1,003억 원), 인력
양성(315억 원) 등이 지원되었다.
1) 친환경차 기술 확보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친환경 내연차 등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자동차 요소 부품 및
국내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촉진을 위한 사업(2009년~)을 지원해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행거리 600km까지 연장하기 위한 배터리팩 기술, 전비 개선을 위한 모터 효율
개선 및 소형화/경량화 기술, 난방 시 감소되는 주행거리 개선 및 열관리 최적화 기술, 상용
수소차 내구성 향상, 고압 수소저장용기 등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열폭주 방지 배터리팩 기술개발, 해외수출형 전기기관차 기술개발・실증, 재생합성연료
(e-Fuel) 활용 원천기술개발 등 2023년 신규과제를 기획 및 발굴하였다.
∙253∙
2) 자율주행, SW 경쟁력 확보
’27년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를 목표로 센서, 카메라 등 자율주행 핵심부품 기술력 확보와
디지털전환(DX)을 위한 데이터 구축・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기계 중심의 자동차에서 반도체, 인공지능 등 IT 기술의 도입으로 자동차의 최첨단화를 위한
스마트카 사업(2009년~)을 수행해 왔으며, 레벨4 자율주행 기술 확보와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
선점 기술개발,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 개념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하고 있다.
스마트카 사업을 통해 자동차 제어기, 센서 등의 부품 개발을 통해 차량이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여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 기술 확보로 운전자의 편리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유럽의 신차 안전성 평가제도인 Euro NCAP에 대응하기 위한 도로이탈 방지
시스템, 자동긴급 제동 장치 등 관련 부품 및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였다.
레벨4 기술확보를 위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2021~2027년)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 판단, 제어의 핵심기술과 차량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자율주행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 표준 및 특허 개발을 지원하였다.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자동차 산업에서 구독형 서비스와 업데이트 및 변경이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차로 개념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아키텍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모델 개발을 지원하였다.
∙254∙
제7절 로봇 및 기계/장비
1. 로봇
디지털전환 추세에 따라 로봇은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혁신을 촉진하는 기반 산업화가
되고 있다. 첨단로봇은 AI, 5G 등 신기술이 융합되고, 산업활동 전반에 인간과 로봇의 협업이
확장되어 생산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자본재로 부상하고 있으며, 서비스 부문도 이동성과
지능화 수준이 고도화되면서 물류, 생활안전, 국방, 식품제조 등에 혁신을 가져오는 신비즈니스
시장이 본격 개화 중이다.
로봇은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인력수급 불균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기도 하며, 고위험 업종에 투입되어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어 점점
높아지는 산업안전 기대치에 부응하는 한편, 위험직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
이렇듯 첨단로봇은 반도체, AI, 이차전지, 첨단 부품 등이 융복합되어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신성장동력이자 국가적 전략산업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로봇을 미래 전략산업이자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부문으로 인식하고, 다각적 지원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81개 과제(신규 13개, 계속 68개),
901억 원(신규 125억 원, 계속 776억 원) 지원을 통하여 성장・유망 분야 핵심 로봇 제품 및
로봇 제품의 기반이 되는 원천 및 공통기술 개발을 추진하였다.
‘제조로봇’ 분야에서는 제조공정 전주기에 걸쳐 유연생산 및 고난이도 작업에 대응하기 위해
AI・DT 기술에 기반한 자율작업 성능 및 작업 유연성 확대 기술개발에 투자하였다. 세부추진
사업으로는 유연생산 관련 재구성 가능한 로보틱 워크셀 기술, 고난이도 작업 관련 다종 커넥터
조립체 고속/고정밀 조립기술, 자율작업 관련 다중대차 견인형 자율주행 로봇 기술과 도장 공정
자동화 플랫폼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서비스로봇’ 분야에서는 사회문제 해결, 국민적 요구 등에 대응하여 의료, 돌봄,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로봇 기술개발에 투자하였다. 세부 추진사업으로는 의료 관련 통증
중재시술 보조 로봇 플랫폼 기술, 돌봄 관련 사람의 일상행동을 이해하는 모바일 생활지원
로봇 기술, 안전 관련 소방용 4족 보행 로봇 기술, 농업 관련 실외 과수환경 농작업 로봇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255∙
‘핵심부품・SW’ 분야에서는 AI가 탑재된 자율주행조작 부품, 지능 모듈 솔루션 등 AI융합
로봇부품 및 SW 플랫폼 기술개발에 투자하였다. 세부 추진사업으로는 센서 관련 열악한 실내외
주행환경 대응 LiDAR 기술, 구동기 관련 신규 치형이 적용된 제조로봇용 감속기 기술, SW
관련 다중 이동로봇을 위한 협력적 자율주행 기술과 원격 로봇의 작업 고도화를 위한 AI 및
공유제어 원천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자율주행의 핵심기술인 환경 인지 기술(지도 제작 기술) 및 로봇 제어 기술 개발 및 고도화
과제를 통해 KAIST에서 동적, 비정형 환경에서 강인한 자율주행 사족 보행로봇 기술을 개발
하였고 세계 최고 로봇학회(ICRA 2023) 내 챌린지 2개 부문에서 우승하였다.
[그림 3-31] 세계 최고 규모 로봇학회(ICRA2023) 챌린지 2개 부문 우승
제조업(기계, 금속, 플라스틱, 자동차, 전기・전자, 섬유, 식음료, 항공, 선박, 바이오・화학
분야) 대상 업종별・공정별 제조로봇 도입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계과제를 통해 로봇 활용기술의
시장 확산을 가속화하였으며, 공정모델 개발(147개(’20 ~ ’23)) 및 생산성 향상(60.4%), 불량률
감소(58.7%), 로봇SI 매출(4,357억 원)을 달성하였다.
[그림 3-32] 기존 수작업 공정(좌) 및 제조로봇 도입(우)
∙256∙
2. 기계/장비
기계산업은 표준산업분류(KSIC)에 따라 자동차・조선 등 수송기계 및 가전・전동기 등 전기
기계 등을 제외한 기타 기계 및 장비(C29)를 의미하며 광의의 범위에 수송기계(자동차 등),
전기기계(가전 등)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산업 분야로는 제조장비, 산업용 기계, 열원
공급・냉난방 등 에너지설비 등이 일반기계산업의 대부분을 차지(95% 이상)하고 있다.
* (제조장비) 공작기계, 섬유기계, 제조로봇, 반도체 장비, 바이오 장비 등
(산업용 기계) 건설기계, 농기계 등, (에너지설비) 냉동공조, 펌프・압축기 등
기계산업은 제조업・건설업 및 에너지산업 등 주요 산업에 자본재를 제공하는 핵심 기반
산업이며,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 축적에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축적
이후에는 수십 년간 국가 산업의 성장 및 위상을 결정하며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 국내 일반기계산업 주요 기업은 시총 상위 10대 기업과 비교 시, 시총 대비 고용 수준이 4배이며, 고용유발계수는
6.2로 제조업 평균(4.7) 대비 매우 높음(’19년)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첨단기계 분야에 48개 과제
(신규 12개, 계속 36개), 531.4억 원(신규 97.4억 원, 계속 434억 원) 지원을 통하여 건설・
농작업기계의 자율주행 및 자율작업을 위한 핵심기술개발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히트펌프
및 무탄소보일러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건설기계 분야에서는 기존 주력품목 고도화 및 신규 유망기종 개발로 건설기계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하였다. 다양한 작업에 투입되는 범용
장비인 굴착기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지능화, 친환경 기술 고도화 및 에너지 효율화에 필요한
∙257∙
요소기술 확보를 위한 과제를 지원하였으며, 시장경쟁력, 기술 파급력 등이 유망하나 국내 생산
역량이 떨어지는 크레인(대형자주식), 건설로봇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추진하였다.
농기계 분야에서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하여 수출 주력 기종인 트랙터의 친환경화를 위한
전기동력 트택터 플랫폼 공용화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밭농업용 Level 3 자율작업 및 원격관제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스마트농업을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에너지기계 분야에서는 제조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무탄소 산업용 보일러 기술개발 및
기존 산업공정에서 높은 온도구간의 보일러를 대체할 수 있는 히트펌프 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또한, 사고빈도가 높은 발전설비의 핵심부품에 대한 예지보전 기술개발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승강기 분야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승강로 설치공사 자동화 장비 개발 및 로봇 탑승을
고려한 디지털 기반 차세대 승강기 개방형 운영시스템 개발 지원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과의 연계기술을 지원하였다.
제조장비 분야는 향후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신산업에서 필요한 핵심 제조장비 시장
선점을 목표로 과제지원을 하였고, 제조공정의 인력난 해소,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존 공정의
로봇화 장비 개발을 지원하였다. 세부 추진내용으로는 자율주행차량용 센싱 카메라 광축 정렬
장비, 딥러닝 기반 프레스 금형 폴리싱 자동화 시스템 등을 지원하였다.
또한, 제조장비의 경쟁력과 제조업의 생산성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장비의 지능화
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였다. 세부 추진내용으로 디지털 트윈・디지털 스레드 기반 공작기계
지능화 및 공정 최적화 기술, 3D프린팅 제조데이터를 축적・활용하기 위한 3D프린팅 디지털
전환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였다.
이와 함께 개발된 제조장비의 신뢰성 확보를 통해 기존 해외 장비의 대체, 첨단 공정 도입
등을 통해 수요-공급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실증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세부적으로
마이크로 드릴 제조용 다축 레이저 가공장비 실증, 자동차용 고속 레이저 스코링 시스템 실증
등을 지원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소형 휠 굴착기용 핵심부품인 가변형 사축식 주행모터의 개발과제를
통해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선진사(독일/렉스룩스, 일본/가와사키)대비 동등 이상의
성능 구현에 성공하였다. 또한, 국내외 MOU체결을 통한 수요기업 확보 및 자체투자를 통해
전용생산라인을 구축하여 향후 본격적인 사업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258∙
[그림 3-33] 사축식 주행모터 장착구조
국제 표준 기반 PLC 제어기의 장비-로봇 통합 제조 모델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였다. 국제
산업 표준 네트워크(RAPIENet)를 지원하는 국산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장비・로봇 간 연동 통합 모델을 개발하여, 전기차 모터 헤어핀 스테이터 제조, 섬유 염색 자동화
설비 등에 적용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외산 PLC에 의존하던 제조현장에 국산 장비-로봇
등 패키지 공급 역량을 확보하여 타 공정으로 확산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APIEnet 구조도 PLC 적용 스테이터 제조공정
2023년 기계산업 생산은 전년(113.5조 원) 대비 0.6% 증가한 114.2조 원, 수출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614억 달러를 기록(1.6%)하였으며, 2022년 대비 정체상태이며 전반적인 주요
수요산업의 생산경기 위축이 반영되었다. 미・중 무역갈등, 지정학적 리스크의 확대(러-우 전쟁,
이-팔 전쟁 등), 주요국의 긴축적 통화정책 등으로 인하여 세계 경제 침체가 지속될 우려가
있으나, 미국, 유럽, 중동 등 주요 수출시장의 산업기계 수요 증가 등으로 기계산업 생산액은
0.6% 증가하였다.
∙259∙
[그림 3-34]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생산 및 수출입 추이와 2024년 전망
∙260∙
제8절 스마트건설/스마트시티
1. 스마트건설
가.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은 건설산업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를 위한 “기술혁신 및 산업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2020년∼2025년까지 정부 143,479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한 사업이다. 주요
내용으로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전통적 토목・건축기술에
BIM, 드론, Big Data 기술 등이 융합되어 건설 全과정의 디지털화로 생산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
하는 기술),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등 요소기술의 개발 및
연계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제7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2023~2027)의 이행을 위해 건설장비 자동화,
도로구조물 스마트 시공,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 관리, 스마트 건설정보 표준 등 핵심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그 주요내용으로 ①토공・포장장비 관제, 초정밀 Digital Map 생성
및 건설장비(롤러, 도저, 그레이더)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②설계-제작-시공 일원화, 원격・
자동화 시공 및 도로구조물 시공품질 관리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③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
건설현장 근로자 및 임시구조물 안전 확보 기술을 개발, ④디지털 데이터 통합・관리,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종합 테스트베드 실증 등이 해당한다.
∙261∙
[그림 3-35]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2023~2027)의 목표 및 주요과제
∙262∙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초정밀 Digital Map 및 건설정보 통합 플랫폼 고도화 Digital Map을 시범 구축하고,
자동화 장비(도저, 그레이더, 롤러) 모듈 현장적용을 통한 고도화 및 현장 운영시스템(S/W)을
개발하는 등 지능형 관제 플랫폼과 외부시스템 간 통합 작업과 김포-파주 현장 실증(’23.11)을
추진하였다.
나)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디지털 모델기반 프리팹 부재 생산시의 자동 품질관리 기술 개발과 프리팹 구조물 시공품질
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실증 등 협업형 로보틱 크레인 장비를 이용한 원격시공 시스템을 개발
하고 현장 실증(’23.9)을 실시하였다.
다)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센서 기반 안전보호장치 및 통합 운영시스템 개발, 가설기자재 품질평가 디바이스 및 통합
시스템 구축, 임시구조물 실시간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안전통합 관제 운영시스템
시작품의 개발 및 실증(’23.7)을 추진하였다.
라)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테스트베드
스마트 건설기술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종합 테스트베드를 운용하여 스마트
건설기술을 통합 검증하는 등 종합・개별 테스트베드 고속도로 13개소를 확보하고 현장 실증
하며, 종합운영센터를 구축 및 운영(’23.12)하였다.
건설장비 이동형 관제센터 프리팹 가상교량 테스트베드
∙263∙
스마트 안전 통합관제센터 연계 테스트베드 종합운영센터 관제
3) 향후 계획
가) 지능형 건설장비 관제기술 개발 및 건설현장 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 개발
지능형 토공/포장 장비 관제 시스템 개발과 스마트 네트워크 기반 토공/포장 장비 IoT 운영
및 무인화 기술 개발 등 ‘지능형 건설장비 관제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자율계측 기반 초정밀
Digital Map 구축 기술 개발과 디지털 트윈 기반 건설 현장정보 분석 및 맵핑 기술 개발 등
‘건설현장 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나) 디지털 기반 도로건설장비 자동화기술 개발 및 디지털 기반 도로구조물 설계-제작-시공
지원기술 개발
자동화 건설장비의 경로 추종 및 자율작업 기술과 시공장비 및 품질문서 관리 자동화, 자동화
장비 연동 품질관리 및 실용화 기반 구축 등 ‘디지털 기반 도로 건설장비 자동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프리팹 도로구조물의 설계와 제작을 지원하는 디지털 엔지니어링 모델 개발 및 실증
등 ‘디지털 기반 도로구조물 설계-제작-시공에 대한 지원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다) 도로구조물 원격・자동화 시공 기술 개발 및 지능형 도로구조물 시공품질 관리기술 개발
Telerobotics 기반의 교량 고소/고위험 시공 원격・자동화 기술 개발과 머신러닝 기반의 터널
기계화 시공(TBM) 자동화 기술 개발 등 ‘도로구조물 원격・자동화 시공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복합 센싱정보 기반의 도로구조물 운반/시공 중 구조 건전성 및 시공품질 모니터링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264∙
라)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 개발 및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확보 기술 개발
건설안전과 관련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반의 건설 안전 분석 기술 개발, 건설현장 긴급 재해
대응 기술 개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을 개발하고, 건설현장 근로자
위협요인 인지 기술 개발, 현장 맞춤형 근로자 위험 예방 및 평가 기술 개발 등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확보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마) 임시구조물 스마트 안전확보 기술 개발 및 도로 분야 디지털 데이터 통합 표준
가설기자재 품질관리 기술 개발과 임시구조물 설치・해체 및 운영 시 스마트 안전 확보 기술
개발 등 ‘임시구조물 스마트 안전확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도로 분야 데이터 통합 표준
개발 및 스마트 지식관리 통합 체계와 프리팹 공정지원 스마트 딜리버리 시스템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바) 스마트 건설 통합 디지털 플랫폼 및 스마트 건설기술 종합 테스트베드 구축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스마트 건설기술
종합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을 통한 스마트 건설기술 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2. 스마트시티
가.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사업은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국가(First
Mover)’로 발돋움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세계기술선도를 위한 국제표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전략 및 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시티 연계 도메인별 기술표준 개발 및
국제표준화 역량개발과 국제협력 추진을 목적으로 하여 2020년∼2023년까지 정부 11,782
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①첫째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체계 및 프레임워크와 통합플랫폼 등 공공
서비스 표준화 및 표준인덱스,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개발과 도시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 및 가이드라인 정립을 통한 스마트시티 표준화 전략 및 체계 구축, ②둘째
스마트교통-에너지, 스마트에너지-빌딩,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스마트 ICT 분야 표준지침
∙265∙
개발을 통한 스마트시티 도메인별 기술표준 및 서비스 시험표준 개발, ③셋째 국제표준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품질 평가체계 구축 및 인증, 국제표준화를 위한 협력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역량개발 및 국제협력 추진이 있다.
2023년에는 국제 및 국내 표준개발 절차 최종단계로서 연구목표인 국제공식/사실표준 12건,
KS표준 3건, 국내단체표준 25건의 국제・국내표준 개발을 지원하였다.
[그림 3-36]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비전 및 전략
∙266∙
[그림 3-37]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주요내용
2) 2023년도 주요 성과
2023년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사업을 통해 스마트교통-에너지, 스마트시티 에너지-
빌딩, 공간정보, IoT 국제 표준 플랫폼과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상호연동 국제표준 등을
개발하였다.
<표 3-13> 2023년 스마트시티 국제 및 국내 표준개발 현황
순번 표준명 연도 표준화기구 표준 유형
1
loT 국제 표준 플랫폼과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상호연동 표준(안) (NG-SI-LD/oneM2M
interworking proxy proposal)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2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기술표준(안) (Case Study of NGSI-LD Adoptions)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3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페더레이션 기술 표준(안) (Study of NGSI-LD Architecture
Deployment Scenarios)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4 스마트시티 도시데이터 상호운용성 평가체계 기술보고서 (TR)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5
Developing the GDF Metadata Catalogue in UML model for Model Driven
Approach (MDA)
2023 ISO TC 211 국제공식표준
6 Guidelines for bidirectional GlS/BIM information exchange 2023 ISO TC 211 국제공식표준
∙267∙
순번 표준명 연도 표준화기구 표준 유형
7
How to build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domain data models of a smart
city in terms of model registration
2023 ISO TC 211 국제공식표준
8
Requirements for Real-time Event Monitor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s in Smart City
2023 ISO TC 국제공식표준
9
Services for providing power suppIy & demand information of EV charging
stations in the Smart cities
2023 ISO/TC 국제공식표준
10 Smart transportation-energy test methods for data exchange 2023 ISO TC 204 국제공식표준
11
스마트 빌딩-에너지 데이터 처리, 관리 및 분석 서비스 프레임워크(Framework of
city-level energy data sharing and analytics among buildings)
2023 ITU-T 국제공식표준
12 스마트 빌딩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평가 기준 2023 ITU-T 국제공식표준
13 스마트시티 에너지 관리 플랫폼(City Level EMP)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요구사항 2023 ITU-T 국제공식표준
14 BIM(IFC) 데이터의 디지털 트윈 데이터(CityGML)의 변환을 위한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15 MaaS 플랫폼과 에너지 데이터 정보연계 표준 2023 ITS-K 국내단체표준
16 공간 및 건축(BIM) 분야의 표준 상호운용성을 위한 용어 정의 2023 TTA 국내단체표준
17 공간 및 교통 분야의 표준 상호운용성을 위한 용어 정의 2023 TTA 국내단체표준
18 공간정보 연계 COVID-19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19 공간정보기반의 건축(BIM) 및 교통 분야 상호운용성을 위한 온톨로지 구현 가이드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0 데이터 허브 기반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거래 거버넌스 모델 기술 보고서(TR) 2022 TTA 국내단체표준
21 데이터 허브 기반 데이터 유통거래 가이드라인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2 디지털 트윈 데이터(CityGML)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23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모델 표준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4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제1부 요구사항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5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제2부 참조 구조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6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제3부 데이터모델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7 스마트시티 ICT 통합 프레임워크 구조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8 스마트시티 ICT 통합 프레임워크 플랫폼 간 연동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9 스마트시티 ICT 통합 프레임워크 활용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30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와 공간정보 플랫폼 간 실시간 연계 구조 및 인터페이스 규격 2023 TTA 국내단체표준
31 스마트시티 서비스 객체식별을 위한 데이터맵 프레임워크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32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리체계・메타정보 스키마・객체식별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33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 기능 및 상호연동 시험규격 2.0 2021 SCA 국내단체표준
34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2020 SCA 국내단체표준
35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연계를 위한
데이터 교환규격
2020 SCA 국내단체표준
36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연계를 위한
데이터 교환규격_R1
2021 SCA 국내단체표준
37 스마트시티 포트폴리오 - 프로그램 - 프로젝트 프로세스 매뉴얼 2023 SCA 국내단체표준
38 실외 IoT 센서 위치 데이터 규격 2022 TTA 국내단체표준
39 에너지 긴급상황 및 정전시 충/방전 정보연계 표준 2023 KSGA 국내단체표준
∙268∙
3) 향후 계획
2023년 12월 연구개발사업은 종료되었지만, 총 47건의 국제・국내 표준을 개발하였고, 연구
과정에서 축적된 스마트시티 표준화 역량 및 스마트시티 기술표준화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와
프레임워크 구축,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를 위한 협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속적인 국제・
국내 표준을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그림 3-38]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사업 최종 성과
나.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핵심기술 개발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핵심기술 개발사업은 AI 기반 지능형 스마트시티 구현과 활성화를
위해 도시 인프라 정밀 모니터링 및 디지털 트윈 등 혁신기술의 기반이 되는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AI+IoT) 핵심기술 개발・실증을 통한 기술 고도화가 목적으로, 2022년∼2025년까지
순번 표준명 연도 표준화기구 표준 유형
40 영상 연계 및 활용 서비스 - 제1부 참조 구조 2021 SCA 국내단체표준
41 영상 연계 및 활용 서비스 - 제2부 기능 요구사항 2021 SCA 국내단체표준
42 영상 연계 및 활용 서비스 - 제3부 재생을 위한 기술규격 2022 SCA 국내단체표준
43 전기차 긴급 충전 인프라 플랫폼 에너지 데이터 정보연계 표준 2023 ITS-K 국내단체표준
44 플랫폼 PM 서비스 운영사간 API 정보연계 표준 2023 ITS-K 국내단체표준
45 공간정보 기반 도시 에너지 데이터 표준 모델 및 식별체계(안) 2023 KS KS표준
46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 제1부 소프트웨어 일반요구사항 및 기능(안) 2022 KS KS표준
47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운영 및 관리 Part2. 통합플랫폼과 지리정보시스템 연계 방안 2023 KS KS표준
∙269∙
정부 24,490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①첫째, 스마트시티 초대규모 AIoT 핵심기술 개발・실증을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지자체 확산 체계를 마련하고, ②둘째,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네트워크, Edge AIoT 플랫폼, 표준 네트워크 시험・인증 규격, AIoT 통합플랫폼 모델 및
민감정보 보안기술 등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며, ③셋째,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통합 실증을 통한 AIoT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검증・보완 및 기술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개발과 스마트시티
도시 인프라 지능화 기술 통합 실증 추진을 위해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공통 활용기술 기초를 개발하고, 도시 인프라 지능화 Use Case 서비스 발굴・설계 등을
지원하였다.
[그림 3-39] AIoT 네트워크 특화 IoT 플랫폼 장치 및 서비스 연계 구성도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개발
AIoT 핵심기술의 빠른 상용화 및 실증과제에 대한 지원・검증・확산을 위해 엣지컴퓨팅 공통
활용기술, AIoT 네트워크 기술 및 망설계 기술, 표준화 및 시험규격을 개발하고,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AI 분석하는 엣지컴퓨팅 임베디드
장치를 개발하였다.
∙270∙
나)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지원을 위해 16채널 RF 모듈 동시 수신, 무선 데이터
성능 시험 지원(PER(패킷 에러율-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전송된 총 데이터 수와 오류발생 데이터
수의 비율), RSSI(전파신호 강도에 따른 비례식 거리 측정 방식), GPS, Time 동기), 국내전파
모델 적용한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성능분석 지원 등 실측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 Edge AI 탑재 스마트폴
세계 최초 도시 상황을 근접 판단하고 제어하는 Edge AI 서버를 탑재, 저지연 시민 밀착형
Edge AI 스마트폴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폴은 WiFi 및 Massive IoT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AIoT 네트워크 단말 연동, 엣지AI 기반 영상처리, DID 홍보, 현장 경고, 비상벨 등 기능을
탑재하였다.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엣지컴퓨팅 임베디드 장치
멀티채널 데이터 수집장치 Edge AI 스마트폴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도시
인프라 지능화 기술 통합 실증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초고밀도 데이터 처리, 초저지연・고신뢰 데이터 처리, 초저전력 단말기술을 적용한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Edge AIoT 플랫폼, 표준 네트워크
시험・인증 규격, AIoT 통합플랫폼 모델 및 민감정보 보안기술 개발을 추진하며, 도시홍수 대응
및 배수시설 관리, 도심지 공사현장・시설물 등의 안전・재난・환경 감시, 스마트 시민 안심 공원
등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통합실증을 통한 AIoT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의 검증 및 보완 등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271∙
제9절 교통/물류
1. 교통
가.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은 자동차-ICT-도로교통 융합신기술 서비스의 개발 및 법・제도
개선, 표준화 등 융합생태계 기반 마련을 통해 자율주행 융합신산업을 발굴・육성하고, 자율주행
신뢰도 확보 및 공공서비스 개발을 통한 국민수용성 향상으로 교통사고 저감 등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2021년∼2027년까지 정부 294,974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그림 3-40]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개요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플랫폼 기술 개발과
리빙랩 실증환경 구축 등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을 개발하고, 교통약자 이동지원, 실시간 수요
응답 자율주행 대중교통 등 미래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하며,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을 위한
Lv.4 안전성 평가기술 및 표준화 등 관련 법・제도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자율차전용지도 표준 기반 지도생성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 개발, 도로객체 변화
정보 자동인식 기술 플랫폼 개발, 자율주행 실증환경을 위한 리빙랩 구축 등의 연구를 중점
추진하였다.
∙272∙
특히 ①인프라 센서 기반의 도로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Lv.4/4+(고등 자율주행 단계) 자율
주행 테스트베드 환경 구축, AI기반 자율주행모빌리티 운영 플랫폼 개발, 메타버스 기반 자율
주행 가상시험환경 구축, 자율주행 실증환경을 위한 리빙랩 구축 등 도로교통융합 인프라 신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②교통약자 이동지원, 수요대응 대중교통 모빌리티, 도로교통 인프라 모니터링
및 긴급복구 지원, 공유차 서비스,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긴급차량 통행지원 서비스 등 공공
수요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③자율주행 생태계 조기 완비를 위해 주행/충돌/시스템/환경대응/사고분석 안전성 평가
기술, 자율차/도로인프라 상태정보 융합 동적 안전성 평가기술, V2X(Vehicle to Everything:
자동차가 자율주행하기 위해 도로에 있는 다양한 요소와 소통하는 기술) 통신성능 안전성 및
전자파 적합성 평가기술, 자율주행 상호호환성 지원 데이터 및 시험인증체계 표준화 등 자율
주행을 위한 제작・운행 안전기준, 법제도 등 개발도 추진하였다.
[그림 3-41]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주요 연구내용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플랫폼 논리・물리 아키텍처 개발
국제표준 기반 자율주행차 전용지도 개발 및 연계구축,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정보화
플랫폼의 상호운용성, 호환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개발, 그리고 인프라 정보화 플랫폼 서비스
구현을 위한 아키텍처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273∙
[그림 3-42] 인프라 융합 플랫폼 아키텍처
나) 자율주행 분야 국제표준제안 및 국내 법제도 개정(안) 도출
ISO-TC 204(PWI 2건, ’23.10), ASAM(’23.09) 등 자율주행 국제표준제안을 통한 글로벌
표준 확보 및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2건, ’23.08∼),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안)(2건, ’23.11), V2X 통신장치 관련 기술
규정(안)(KNCAP-TP-SS-9, ’24.01 시행) 등 국내 자율주행 법제 개정(안) 및 기준(안)을
도출하였다.
∙274∙
[그림 3-43] 국제표준 제안
다)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 정의 및 메시지, 아키텍처 개발
Lv.4/4+ 자율주행 및 자율협력주행 구현을 위한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 정의 및 메시지
개발, 인프라 가이던스 메시지 및 데이터 제공을 위한 아키텍처 개발,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
및 시나리오 검증용 시작품을 개발하였다.
[그림 3-44] 인프라 가이던스 시스템 아키텍처
∙275∙
라) Lv.4/4+ 자율주행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개발
Lv.4/4+ 자율주행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요구사항 정의 및 아키텍처
개발, 디지털 트윈 기반 교통관리 및 운영용 Virtual pair를 위한 객체 모델링 방안 개발, 디지털
트윈 기반 관제, 운영, 정보연계를 위한 개방형 플랫폼 및 디지털 Thread를 개발하였다.
[그림 3-45]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아키텍처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자율주행서비스 구현과 인프라 및 공공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한 자율주행모빌리티
센터 운영 플랫폼 및 주요 도로 디지털/물리 인프라 개발, 자율주행 표준체계 개발, Lv.4/4+
자율주행 6대 공공서비스 기술 개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3단계 실증(가상시험환경-
테스트베드-리빙랩)을 위한 환경 설계, Lv.4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을 위한 안전성 평가기술
및 법제 개발, 표준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가)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분야
자율차 정밀지도 플랫폼 SW 설계 및 개발, 도로상황 인지 인프라 센서 네트워크 개발 및
MEC(Mobile Edge Computing: 5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서버를 구축
하여 데이터 전송 거리를 단축하고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통합시스템
∙276∙
시제품 제작, Lv.4/4+ 가상시험환경 설계, 자율주행 테스트베드(K-City) 고도화, 리빙랩 선정
도시 대상 상세 설계 및 구축 등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나) 자율주행 서비스 분야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및 지원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알고리즘
개발, 인프라 모니터링 지원 SW 및 HW 구축, 자율주행 도시환경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기반 긴급차량 및 통행지원 서비스 개발 등 자율주행 서비스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 자율주행 생태계 분야
고속도로/도심도로 기반 주행 안전기준 및 시행세칙 개발, 실차 기반 VILS/HILS(Vehicle
In the Loop System/Hardware In the Loop System: 가상환경 시뮬레이션 검증시스템)
환경 구축, V2E(Vehicle to Environment) 인지판단 시제품 제작, 차량 사이버보안 평가
시나리오 도출 및 데이터 보호 법제 개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데이터 표준 개발 등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2. 물류
가.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은 공공 인프라를 이용하여 도시
공동 생활물류 기술 및 라스트마일 스마트 배송기술을 개발하고, 물류 디지털 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및 인터페이스 구축을 통한 표준화・실증 추진을 목적으로 2021년∼2027년까지 정부
105,444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도시 공공인프라를 이용한 공동 생활물류 기술 및 라스트마일 스마트 배송 기반기술을 개발
하고, 표준화를 통한 물류정보 디지털 플랫폼 구축 및 실증 기술 개발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공공인프라 기반 도시 공동물류, 친환경 말단배송수단 및 순환물류 시스템, 육상
화물 운송 디지털정보 표준, 물류정보 통합연계 플랫폼 구축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기술의
핵심・구성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하고 있다.
∙277∙
특히 ①도심 공동물류 택배터미널 구축・운영 기술 및 지하공간 활용 도시물류 기술 개발 등
공공인프라 기반 도시 공동물류 기술 개발과 ②온도민감성 화물의 안전과 생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신선물류 포장 기술, 환경부하 저감 친환경 고효율 말단배송 기술 개발 등 생활물류 안전・
환경부하 저감 배송 및 포장기술도 추진하고 있으며, ③고밀도 스마트 택배 말단 보관 인프라
기술, 배송기사 노동부하 저감 저상형 적재함 및 하역 기술, 말단배송 로봇 및 운영기술 개발 등
배송기사 협업용 스마트 말단 배송 및 보관기술도 추진하였다.
또한 ④물류정보 통합연계 플랫폼 및 실증・검증 인터페이스 기술, 육상화물 운송 디지털정보
표준 기반 거래・공유・관리 기술 개발 등 물류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과 ⑤콜드체인
상태정보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체계 구축 기술 등 화물 상태정보 관제기술도 지원하고 있다.
[그림 3-46]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 주요 연구내용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지하공간을 활용한 도시물류 기술
도시철도 운영자가 물류부대사업을 위해 도시철도 차량기지 등에 설치하는 물류시설이 ‘도시
철도시설’에 포함되도록 도시철도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하여 도시철도 물류서비스 도입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였다.
∙278∙
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친환경 고효율 말단배송 기술
교통정체,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전기기반 친환경 말단배송 장비 시작품(적재 50kg 및 주행
거리 50km 화물용 전기자전거)의 제작 및 기술 검증을 위해 경북 스마트그린물류 규제자유
특구에서 화물용 전기자전거 성능 및 안전성 등 기술 검증 실증을 추진(’23.5∼10)하였다.
다) 생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신선물류 포장기술 및 시스템
100회 재사용 가능한 순환물류용기(상온, 정온 등)와 전자종이 기반 디지털 송장 시작품을
제작하는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라) 배송기사 노동부하 저감 적재함 및 하역장비
배송기사 노동부하 저감을 위한 차량 탑재형 중형 상하역 장비인 케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시작품(5톤 이상 화물차 탑재 가능, 적재 능력 1톤 이상, 등판 각도 22° 이상, 무게 중심의
이동 조정 가능)을 제작(’23.4)하였다.
화물용 전기자전거 순환물류용기(좌), 디지털 송장(우) 케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3) 향후 계획
가) 공공인프라 기반 도시 공동물류 기술
도심 내 공동 인프라(지자체 및 철도차량기지 유휴지 등)를 활용한 공동물류 택배터미널 장비
및 운영기술 개발・실증을 위한 복수물류 대응형 멀티슈트 분류시스템 물품 분류부 개발, 공동
물류거점 시스템 구성 통합 조정 및 운영 대상별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 도시철도 시설 및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택배 등 도심 화물 운송을 위한 기술 개발・실증을 위한 화물전용 차량 시험
인증, 지하공간 물류 핵심기술 통합 테스트베드 구축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279∙
나) 생활물류 안전・환경부하 저감 배송 및 포장기술
온도민감성 화물의 안정성 확보 및 생활폐기물 절감을 위한 신선물류용 순환물류포장(RTP)
용기 성능 검증 및 표준화, 스마트 수거함 시작품의 개발 및 기존 말단배송 시스템으로 인한
교통정체,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친환경 말단배송 시스템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계획(지역,
시나리오 등) 수립과 말단배송 시작품 현장 시험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다) 배송기사 협업용 스마트 말단 배송 및 보관기술
비대면 말단 배송이 가능한 가변형 택배 고밀도 보관함 스마트셀 성능 보완 및 로봇 연계형
스마트셀 시작품 제작, 자체 실증 추진 및 생활물류의 자동 하역을 위한 메커니즘과 하역가능
공간 판별 기술 개발 고도화, 작업지시 및 배송 내역 확인을 위한 연계 기술 개발, 배송기사
작업환경 개선 및 말단배송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저상형 적재함 트럭 성능수준 비교시험, 차량
탑재형 상하역 장비 및 차량 탑재부(중형/소형) 시제품 개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라) 물류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 및 화물 상태정보 관제기술 및 물류자원 관리기술
국가물류 디지털 정보표준 및 식별체계 개발, 국가물류지도 개발을 추진하고 택배 배송거래
표준 전자문서 공유 시스템, 콜드체인 상태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플랫폼 및 물류 창고 디지털
트윈 실증 테스트, 물적자원 관리, 물류활동 환경 모니터링 및 최적 관리 등도 연구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280∙
제3장 의료/복지
제1절 차세대 첨단 바이오 연구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주요성과
1) 개 요
바이오 분야 기술의 발전과 방대한 데이터의 축적으로, 기존 바이오 연구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며 바이오 대전환기가 도래하였다. 이제 바이오는 전 산업 분야에 파급되어 감염병, 기후
변화, 식량 문제 등 글로벌 난제를 해결하고,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기술로서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세계 주요국을 중심으로 바이오를 국가 차원의 핵심 기술로 지정하며, 기술력
확보를 위한 경쟁 구도가 가속화되고, 첨단 전략 기술에 대한 국가적 우위를 독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도 확대되고 있다. 기술력이 곧 국력이라는 새로운 관점이 부상하며, 전통 안보의
개념을 넘어 기술-산업이 안보의 최대 화두가 되었다.
이러한 바이오 대전환에 맞춰 ‘2030 바이오경제 선도국 도약’을 위해 생명공학 분야 최상위
법정 계획인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3-’32)」을 수립하고, 전체 정부 R&D 투자액의
약 18% 이상을 차지하는 바이오 기술에 대한 향후 10년의 정책 방향을 수립하였다. 더불어,
급속한 코로나19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다양한 뇌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요구에 맞춰 「제4차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23-’32)」을 수립하고, 혁신과 융합을 통한 뇌연구 선도국가 진입을
계획하였다.
또한, 미래성장과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 첨단 바이오를 12대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하였고,
중점기술에 대한 임무중심의 전략로드맵을 수립하였다. 특히, 합성생물학의 경우, ’22년 12월
발표한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의 후속조치로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을
발표하며, 2030년 석유기반 제조 산업의 30%를 바이오 전환하기 위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6대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실제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9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또한,
∙281∙
합성생물학의 핵심 인프라인 바이오파운드리 구축을 위해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 사업’
예타를 통과시키며, 2029년까지 1,26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국가 바이오제조 가속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신약개발
신약개발 전주기 지원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21년부터 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
복지부) 사업으로 국가신약개발사업(’23년 370.85억 원)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은 ①신약
기반 확충 연구, ②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③신약 임상개발 이상 3개의 R&D 내역사업과
④신약 R&D 사업화 지원을 위한 1개의 내역사업으로 구성돼 2023년 총 333개의 과제(계속
과제 215개, 신규과제 118개)를 지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한 2023년 주요 성과로는 IND 승인
15건(임상1상 13건, 임상2상 2건), 기술이전 9건(1,000억 원 이상 대형 글로벌 기술이전 3건,
국내 기술이전 6건)을 통한 정액기술료 3조 3,830억 원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특히, 레고
켐바이오사이언스사의 ADC 플랫폼 기술은 미국 얀센사에 2.2조 원 규모의 대형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아울러 2023년 신규 선정과제 118개 중, 혁신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한 64개의 새로운 타깃 및 모달리티(Novel target/New modality) 과제를 선정
(전체 선정과제의 약 57%)하여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우수한 과제를 선정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신약개발사업의 공백 분야로 타겟 발굴・검증, 기반기술 등 신약
기초연구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혁신신약 기초기반기술개발사업(’23년 70.5억 원, 32개 과제
(계속 16개, 신규 16개))을 추진하여 염증성 장 질환 핵심 타겟 후보 유전자 발굴 등 특정 질병
대상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 분야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신약 타겟 및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활용 혁신신약 발굴
사업(’23년 68억 원, 6개 과제(계속 3개, 신규 3개))도 지원하여 신약 개발의 낮은 성공률,
고비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시적 성과 도출을 위해 국내 연구개발 역량을 총결집하고 있다.
나) 재생의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핵심・기초 원천기술부터 임상 시험까지의 전주기
지원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23년에는
①첨단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신기술 개발, ②신기술 검증 목적의 응용기술 및 치료제
확보기술 개발, ③질환 타겟 치료제의 임상 1・2상 완료 지원 등 3개 분야 152개(계속 107개,
신규 45개) 과제에 583억 원(과기정통부・복지부 각 291.5억 원)을 지원하였다. 동 사업으로
∙282∙
’23년 SCI 논문 243편, 특허 등록 13건, 기술이전 13건(총 36.7억 원), IND 승인 1건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난치질환 극복 및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23년부터 차별화되고 창의적인 원천기술 및 선도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자 ‘줄기세포
ATLAS 기반 난치성 치료기술개발’(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역사업)을 지원 중이다. ①줄기
세포 ATLAS 구축, ②재건줄기세포 생성기전 연구 및 제어기술 개발, ③줄기세포 ATLAS 활용
생태계 구축 3개 분야에 대하여 8개 신규과제, 45억 원을 지원하였다. 특히, 국내 줄기세포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줄기세포 정책플랫폼’을 운영함으로써 정책
아젠다 발굴 및 재생 분야 기초 원천 연구성과의 지속적인 축적 등 바이오 과학・의료기술 혁신의
근간이 될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다) 의료기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장지향형 혁신적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의료기기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20년부터 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
식약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을 통해 ①글로벌 제품 개발, ②미래의료 선도, ③의료
복지 구현, ④사업화 역량 강화 등 4개 분야에 248개(신규과제 69개, 계속과제 122개, 종료
과제 57개) 과제 2,033억 원(과기정통부 656억 원)을 지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한 2023년 주요 성과로는 ‘CE MDR 획득 (Portable ventilator, Class IIb)’ 등
43건의 의료기기가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암진단검사소프트웨어(ExoPred_Lung)’ 등 8건이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었다.
라) 융복합헬스케어
의료기술과 BT・IT, 유전정보 등을 접목한 융복합헬스케어는 고령화시대에 맞춰 수요가 급증
하는 분야로 특히, 소비자에게는 건강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평생건강관리, 맞춤진단・치료기술
및 서비스 등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기업에는 신성장동력의 기회로 부각되고
있다.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오믹스기반정밀의료기술개발 사업(약 60억 원)을
통해 유전체, 단백체, 전사체 등 생체오믹스 정보의 통합적 분석에 기반한 암・당뇨 등의 예측・
진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 ②바이오융복합 내역사업 및 ③차세대
의료기술개발 내역사업을 통해 실시간 진단・치료를 가능케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개발과
바이오와 IT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혁신형 핵심원천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23년 약 58억 원).
또한 ④한의디지털융합기술개발사업(약 26억 원)을 통해 한의기술에 디지털 등 첨단과학
∙283∙
기술・지식을 융합하여 고령화 등 국가적 난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⑤질병중심중개
연구사업을 통해 진단, 예방, 치료법 등 기초연구 성과의 중개연구로 임상・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마) 뇌연구
인간 뇌의 작동원리는 현재 과학기술이 밝혀내지 못한 분야로,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두뇌
활동방식을 규명하고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해 뇌 관련 과학을 융합하는 기술
(미국),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의 뇌를 시뮬레이션 하고 ICT 융합 프랫폼을 구축하는 기술
(EU), 비인간 영장류(마모셋 원숭이) 뇌구조 및 기능지도 작성과 뇌신경질환 연구(일본) 등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4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23.6월) 및 「뇌연구개발 투자전략」
(’21.8월) 수립을 통해, 정부 R&D 전략적 투자 확대기반 및 뇌융합기술 육성 지원체계를 구축
하고 뇌연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뇌과학선도융합기술개발, 뇌과학원천기술개발,
미래뇌융합기술개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뇌질환극복연구사업 등 뇌연구 관련 사업에서 ’23년
약 714억 원을 지원하였다. 생각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생체 내 초고속 뇌신경활동 영상기술을
개발(Science 게재, ’22.10.),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Nature Medicine 게재,
’22.8.), 치매 뇌에서 요소회로 작동 병리기전 최초 규명(Cell Metabolism 게재, ’22.6.) 등
우수한 연구 성과도 창출하였다. 또한, 치매 판단을 위한 아밀로이드 PET 정량화 기술을
병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를 개발, 한・미・일 등 4개국 허가를 받는 우수한 실용화
성과도 창출하였다. 아울러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와 MOU를 체결(’22.8, 치매극복연구
개발사업단)하고 한국뇌연구원-미국 REACT Neuro-칠곡경북대병원 간 공동연구 파트너십
구축(’23.9.) 등 뇌연구 분야 국제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바) 감염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근본적인 과학기술 역량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운영을 통해 감염병 분야 기초연구를 지속 강화하고,
감염병 전문 연구인력 양성사업을 통한 감염병 기초・원천 연구인력 및 전임상시험 서비스 지원
인력을 양성하여 감염병 연구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출연(연) 등이 보유한 연구
인프라・역량을 활용하는 ‘국가 전임상시험 지원센터’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민간의 감염병
치료제・백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생물안전3등급연구시설(BL3, ABL3)을 민간과 공동
활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연구자원센터’를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등에 구축하여 2024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으로 감염병 분야의
기초・원천 연구 생태계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84∙
사) 그린・화이트바이오
바이오공학의 기술 발전에 따라 바이오는 전통적인 의약품 이외 산업 전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영역 확장으로 새로운 신사업 창출의 동력으로 기대받고 있다. 그린・화이트 바이오는 인구
고령화 문제, 식량 문제,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 등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성장
동력 분야로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 대응과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그린・화이트 바이오의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기존의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기초
원천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대사성질환 제어 신소재 발굴 및 생산
플랫폼 구축” 신규과제를 지원하였다.
아) 생명연구자원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감염병 재난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생명공학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1개 관계부처는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
계획(’20~’25)(부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20.5월)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부처별로 운영되어 왔던 생명연구자원 관련 사업들을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으로
재편하고, 관계부처가 협력하여 바이오 연구・산업 활동에 필요한 바이오소재와 연구데이터의
활용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바이오소재의 경우, 소재 종류, 보존・관리 방식 등이 유사한 14개 소재 분야별 클러스터(배양
세포, 미생물, 모델동물, 인체유래물, 종자, 해양생물 등)로 재편하고, 바이오 연구 및 산업 현장이
필요로 하는 소재의 확보 및 고품질화 등을 위해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 사업으로 246.4억 원
(’24년 기준)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소재의 품질관리를 순차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으며, 소재 클러스터별로 특화된 전문포털을 구축하고, 질병・유전자 관련 바이오소재를
한곳에서 검색・분양 신청할 수 있는 원스톱 플랫폼(BioOne)을 시범오픈(’23.12월) 하였다.
데이터 기반 개방형 연구의 핵심 자원이 될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등록 양식
표준화를 통해 수집・공유 체계를 고도화하고, 연구데이터 전주기 과정에서의 연구개발 주체별
이행절차 안내를 위한 ‘생명연구자원(바이오연구데이터) 확보・관리 및 활용 표준 가이드라인
(안)’을 마련(’22.6)하여 과기정통부 사업에 시범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24년 기준 136.4억
원을 지원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수집・관리・공유를 위한 플랫폼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Korea-Bio Data Station)을 운영하고, 분야별 고품질 데이터의
확보 및 활용 지원 확대를 위해 단백체, 대사체, 이미징, 화합물 등 분야별 품질선도센터
(’22~’26)를 운영하는 등 바이오 연구데이터 공유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85∙
자) 창업・사업화
바이오 기술개발부터 기술사업화, 창업, 성장, 회수까지 바이오 생태계 전주기에 걸쳐 정보와
지식 제공 및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은 첨단바이오 분야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일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창업유도, 기업성장 촉진,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에 총 388억
원을 지원하였다. 우수 R&D 성과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창업 보육 및
창업 환경 제공을 위해 바이오 아이코어 사업, 바이오 Core Facility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임상현장의 수요 및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의료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위해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 육성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더불어 매년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투자포럼 개최를 지원하여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 간 자유로운 교류 환경 조성을 통해 기술
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기술이전 및 투자 촉진을 지원하고 있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 바이오 한계 극복을 위한 공통기반
기술의 개발 및 고도화, 미래 산업을 선도할 첨단바이오 전략기술의 선제적 확보 등을 위한
R&D 투자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2024년에는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24년 73.12억 원),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24년 12.25억 원), 「인공 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24년 26.66억 원),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24년 107.77억 원) 등의
사업을 신규 추진할 예정이다.
∙286∙
제2절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 지원
1. 개요
코로나19와 같은 보건위기 상황을 겪으며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에서는 보건안보를 비롯한
건강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위험-고이득 임무중심형 R&D 추진 체계를 구축하는 등 혁신적인
보건의료기술 육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보건의료 국가적 난제 해결을
위해 ‘실패 가능성이 크고, 연구비용이 높아 기업 단독으로 도전하기 어려우며, 다학제간
융합과 협력이 필요한 도전적 과제’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이 밖에도 심뇌혈관・
응급과 같이 생명과 직결되고, 분만・소아 등 시장실패로 적정 공급이 어려운 필수의료 분야
확충에 대한 요구 증가 및 디지털 대전환에 의한 의료시스템 패러다임 변화로 새로운 바이오
헬스 산업 영역 창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새로운 보건의료기술의 메가트렌드에 발맞춘 혁신적
R&D 추진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보건복지부가 보건의료 기술육성을 위해 매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의 제2차 계획이 2022년을 기준으로 종료됨에 따라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
계획(2023∼2027)」이 새로 수립되었다. 이번 3차 기본계획에는 해양수산부가 새로 참여하며
기존 10개 부처・청에서 총 11개 부처・청이 함께 하여 더욱 많은 보건의료 분야 R&D 사업을
포괄하게 되었으며,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제4차 뇌연구
촉진기본계획」 등 복지부 내 관련 계획 및 타 부처 계획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부처 간 협력
및 계획의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이번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은 의료・건강・생활습관 데이터를 모두 연결하는 혁신
기술을 활용하여 보편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국민이 건강한 헬스케어 4.0 시대 구현’을
비전으로, 보건의료기술 수준을 2022년 79.4%에서 2027년 82%까지 향상시키고, 보건안보
위기 시 100일 내 백신・치료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며, 바이오헬스 수출을 2022년 242억
달러에서 2027년 447억 달러로 확대시키는 등의 세부 목표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
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력했다.
팬데믹, 필수의료 위기 등 국가난제 극복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새롭게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5대 임무(보건안보 확립, 미정복질환 극복, 바이오
헬스 혁신, 복지・돌봄 개선, 필수의료 확충)를 도출하여 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PM 중심의 신속
결정, 실패를 용인하는 등 기존 보건의료 R&D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파급력 있는 도전적
연구를 지원하여 보건의료 난제 해결 및 국민 건강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신약・의료기기 개발,
∙287∙
맞춤의료 등에 활용되는 국가전략자산인 임상정보, 유전체 데이터, 공공데이터를 구성 및 개방
하는 범부처 사업인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기존 R&D 방식이 가진 빅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바이오뱅크의 연구데이터를 활용
하여 극대화된 R&D 성과를 이끌어내 국민 건강에 기여하는 등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 2023년도 연구개발 추진현황 및 주요 성과
가. 보건의료 분야 기술개발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지난 2023년에는 국민의 생명・건강과 직결되는 심뇌・응급질환 등 필수의료 분야 중요성을
강조하고, 암・치매와 같이 국민 부담이 높은 질병 극복 연구 지원으로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했으며, 노인・장애인 돌봄 사업을 지원하여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고자 했다. 또한
감염병 전주기 대응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변이 바이러스 출현 및 재유행 반복 등 여전히 산재
하는 신・변종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노력도 지속했다. 또한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기술 보유 기업의 사업화 촉진, 규제 합리화 및 전문인력 양성 등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투자도 확대하였다.
중 점 추 진 방 향
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중심형 R&D 강화
- 중증・만성질환 관리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극복 중점 투자
신・변종 감염병 전주기 대응 역량 강화
- 지속적 감염병 대응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바이오헬스 차세대 유망기술 확보
- 재생의료 R&D 전주기 지원 강화
-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 지속 투자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 바이오헬스 디지털 전환 촉진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 산・학・연・병 연구협력 강화 및 글로벌 협력 확대
* 출처: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23~2027) 2023년도 시행계획
[그림 3-47] 2023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288∙
1) 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중증・만성질환 관리와 난임 극복, 암・치매 대응 기술 고도화 등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
하는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투자를 강화했다. 뇌신경계질환의 진단, 치료, 예방 등 미충족 의료
수요 해결을 위한 환자 체감형 의료기술과 한의약 디지털 헬스케어 및 근거중심 한의약 의료
서비스 중개・임상연구를 신규 지원했다. 한국형 암 예방・진단・치료법 개발과 ‘국가 치매책임제’와
연계한 치매 전주기 연구개발, 만성 구강질환 극복을 위한 치의학 의료기술, 치의학 데이터
생성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했다. 이 밖에도 수요자중심의 돌봄로봇 개발과 실증 지원, 환자의
선호와 가치에 맞는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사결정 실증 연구 등을 신규 지원했으며,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인구집단별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환자 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고령자
및 이동약자를 위한 보조기기 개발 및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스마트 운동 치료기기
개발을 지속 지원하는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도 강화했다.
2) 신・변종 감염병 전주기 대응 역량 강화
신・변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치료제 개발 지원도 지속했다. 미지의 감염병(Disease X)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RNA 바이러스 생활사에 작용하는 항바이러스제 개발, 미래 방역체계
구현을 위한 방역물품 고도화 연구개발을 신규 추진했다. 또한 감염병 치료, 확산 방지를 위한
백신・진단기술・치료제 개발과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 대응 가능한 mRNA 백신의 임상시험
단계별 집중 연구개발을 지속 지원했다.
3) 바이오헬스 차세대 유망기술 확보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과 함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
하기 위한 신산업 육성을 추진했다.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한 인공혈액 생산기술 제조 시스템
구축, 이종세포이식의 임상연구 진입 및 이종고형장기의 전임상 가능성 검증 연구를 신규 추진
했다. 국내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범국가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혁신적인 약물 전달
치료기술 개발 연구를 지원하였으며, 화장품 분야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 소재 개발연구를 추진
했다. 전자약 등 첨단 융복합 기술 기반의 의료기기 개발을 지속 지원하고, 혁신형 의료기기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품의 임상적 유효성 창출 및 해외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투자를 강화했다. 또한 가상환경 기반의 의료서비스 모델 발굴, 한국형 인간마이크로바이옴
의료기술 개발 및 의료 마이데이터 활용기술 개발을 신규 지원하였으며, 비대면 진료기술
고도화와 의료기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 및 수술질 향상을 위한 수술 합병증 데이터
구축 등 데이터・AI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추진했다.
∙289∙
4)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 및 산・학・연・병 연구 플랫폼 및 글로벌 연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투자를 강화했다. 영국・미국・스위스 등 주요 보건의료 분야 선도 국가의 연구자와 국내 연구자
간의 공동연구를 신규 추진했다. 이 밖에도 백신・치료제의 비임상시험 소요기간・비용 단축을
위한 실증・개발 연구를 신규 지원했으며, 신진 의사과학자 및 정밀의료・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분야 인재양성 지원사업에도 지속 투자하여 융합 인재 양성을 촉진했다.
나. 보건의료 R&D 주요 성과
1) (과학・기술적 성과) 논문・특허의 높은 질적 수준 유지
2022년 SCI(E)급 국내외 논문은 1,944건, 정부출연금 10억 원당 논문실적은 4.48건으로
국가 전체 1.82건(’21년) 보다 높으며, 논문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
지수(mrnIF)는 68.13점으로 국가 전체 평균 65.25점(’21년) 대비 우수한 수준이다. 2022년
국내 등록특허 실적은 473건, 정부출연금 10억 원당 국내 등록특허 실적은 1.26건으로 국가
전체 0.89건(’21년) 보다 높으며, 국내 등록특허의 SMART 평균 점수는 4.11점으로 국가 전체
평균 3.95점(’21년) 대비 우수한 수준이다.
2) (경제적 성과)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한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
2019년부터 2023년 11월까지 5년간 의약품 기술수출 계약은 최대 약 18.7조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웅제약은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인 ‘베르시포로신’을 중국, 홍콩,
마카오 등 중화권에 약 4,130억 원 규모로 기술수출 하였으며(’23.1.), 2019년에는 미국 FDA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되어, 현재(’23.2.~) 글로벌 임상 2상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고관절 인공
관절 수술 시 골반(비구)에 삽입하는 컵 형태의 장치인 인공비구컵을 세계 최초로 ‘고에너지
적층(DED)’ 방식의 생체금속 3D 프린팅 코팅 기술로 개발하여 인공관절 치료재료의 국산화를
실현하였다.
* 품목허가(韓 ’21.2월, 매출액 5.8억 원 / 美 ’22.5월, 매출액 2.9억 원)
∙290∙
<표 3-14> 의약품 분야의 기술수출 성과(’21~’23)
연번
주관
연구기관
제품(물질)명 종류 기술이전 금액
기술이전 기업
(기술이전일)
비고
(지원사업)
1 알테오젠 히알루로니다제 피하주사 원천기술 약 1,266억 원
Intas
Pharmaceuticals
(’21.1.7)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2 제넥신 GX-17
코로나19치료 및
면역항암제
약 1조 2,000억 원
KG BIO
(’21.2.18)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3 이뮨온시아 IMC-002 항암신약 후보물질 약 5,412억 원
3D Medicines
(’21.3.30)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4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3,800억 원
Shanghai Haini
(’21.3.17)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5 CMG제약 CHC2014
Pan-TRK 저해
표적항암제
약 1,934억 원
AUM 바이오사이언스
(’21.5.10)
국가항암
신약개발사업
6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5,160억 원
Neurogastrx
(’21.6.8)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7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340억 원
BIOPAS
(’21.6.23)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8
바이오팜
솔루션즈
JBPOS0101 소아연축뇌전증 치료제 약 468억 원
경신제약
(’21.08.30)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9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4,841억 원
아그라스
(’21.10.14)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0 보로노이 VRN08
MPS1 타깃 고형암
치료제
비공개
바이오테크 피라미드
바이오사이언스
(’21.11.3)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1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약 2,180억 원
이그니스테라퓨틱스
(’21.11.11)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2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약 433억 원
Endo ventures
limited
(’21.12.23)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3
에이비엘
바이오
ABL301 파킨슨병 치료제 약 1조 2,700억 원
사노피
(’22.01.12.)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4
레고켐
바이오
ADC linker
플랫폼 기술
플랫폼 기술 약 1조 6,000억 원
암젠
(’22.12.)
국가신약
개발사업
15 알테오젠 ALT-B4
인간히알루로니다제
원천기술
약 1,839억 원
산도스
(’22.12.)
국가신약
개발사업
16 인투셀
ADC linker
플랫폼 기술
플랫폼 기술 약 6.5억 원
ADC테라퓨틱스
(’22.12.)
국가신약
개발사업
17 대웅제약
베르시
포로신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약 4,130억 원
중화권
(’23.01.)
국가신약
개발사업
∙291∙
세계 최초 DED 방식의 골유합 향상 금속 3D 프린팅 코팅이 적용된 인공비구컵
[그림 3-48]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3) (의학적 성과) 질병의 발병 원인과 치료방법 등의 과학적 근거 마련
종양 미세환경 내 조절 T 세포 표면에 발현한 PD-1 단백질이 조절 T 세포의 안정성 및 지질
대사를 유도해 항암 면역반응 억제를 규명함으로써 암 환자의 PD-1 항암 요법의 효능과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어 면역항암치료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만성 B형
간염의 수치에 따른 항바이러스제의 조기 치료 필요성 규명을 통해 간암 발생 및 사망률 감소와
의료비 부담 감소가 기대된다.
종양 미세환경 내 조절 T 세포 특이적 PD-1 역할 규명 만성 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
[그림 3-49] 과학적 근거 마련을 통한 치료기술 개발 성과
∙292∙
4) (사회적 성과)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노인성 치매와 관련한 뇌질환, 인간의 발생과정 및 노화 등의 연구를 통해 성체 해마 신경
발생 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간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유전자에 누적되는
최적 모자이크 돌연변이 검출법을 제시 규명하였다.
모자이크 돌연변이의 발생 및 탐지 과정 향상된 모자이크 돌연변이 검출 방법 제시
[그림 3-50] 노인성 치매 관련 기술개발 성과
장애인, 고령자 대상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안내방송 무선 청취환경인
약자형 히어링 루프 개발, 하지절단 장애인용 ‘보급형 대퇴 의지’ 기술개발 및 교통약자용 전동
휠체어, 스쿠터의 국산화 제품개발 및 사업화에 성공하였다.
액자형 히어링 루프 보급형 대퇴 의지 리튬전지 적용 전동스쿠터
[그림 3-51] 장애인, 고령자 대상의 보조기기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293∙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미래 감염병 위험 대비 보건안보를 강화하고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정신건강과 관련한 보건의료 기술에 투자하는 등 임무중심형 R&D를 추진한다. 또한 글로벌
협력・공동연구 활성화 및 국가전략기술 집중 육성을 목표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보건의료기술, ▲미래 위험을 대비하는 보건안보 강화,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 등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의 4대 전략 중심의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먼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와 주요 질환에 대한 진단・치료
혁신기술 연구 및 정신건강 증진, 건강약자 지원 등 국민 체감 중심 연구에 집중 투자하며,
고난도이나 파급효과가 큰 임무중심형 R&D 추진 및 미래 팬데믹 대응을 위한 백신・치료・진단
등의 영역에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또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첨단 재생의료 원천기술
확보 등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과 관련한 연구에도 적극 투자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보스턴
-코리아 프로젝트 등 글로벌 선도기관과의 협력・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의사과학자 등 전문
인력 전주기 양성・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294∙
제3절 감염병 대응 및 바이오헬스 제도개선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개발사업은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법」 제5조에 근거한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하고 있다. 식품・의약품 등8)의 안전기술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안전관리 기술과 인허가 및 과학적 규제를 위한 평가기술을 말하며 국민
생활과 밀접하며 공공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신・변종 감염병의 유행, 이상기후, 환경오염에 따른 건강 위협요인의 증가, 디지털・
바이오기술의 발전에 따라 식품・의약품 등의 생산・유통・사용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안전관리
컨트롤타워로서 규제수요에 대한 식약처의 신속한 대응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식약처는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연구, 혁신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인허가 평가
기술 연구, 규제과학 연구 인프라 강화 등 미래 분야 안전관리 기반 마련에 집중하였다.
2023년 주요 R&D사업은 전년 대비 65억 원 증액된 1,350억 원 규모로 식품, 의약품, 의료
기기 등 분야별 안전관리 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5개 고유사업과 민간 제조현장 등에 활용
가능한 8개 출연사업 등 총 13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신규사업으로는 범부처 R&D에서 개발
되는 의료기기의 제품화 성공률 제고 및 맞춤형 인허가 지원 등을 위한 범부처 의료기기 규제
과학 지원 사업과 컴퓨터모델링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신개념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신속 제품화
지원을 위한 컴퓨터모델링 기반 의료기기 평가체계 구축 사업 등 2개 사업을 100억 규모로
추진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식품 및 농・축・수산물 안전 분야
식품 및 농・축・수산물 생산부터 유통・소비까지 전(全) 단계의 안전관리를 위해 식품 등 안전
관리 사업(1998~)과 농축산 안전관리 사업(농식품부에서 이관, 2013~)을 수행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ICT 기술을 식품안전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식품 안전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축・수산물 생산과정에서 사용 후 잔류하는 농약이나 동물용의약품 또는 토양・해양・대기
등을 통해 식품으로 축적되는 오염물질, 가공식품 등의 제조・가공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8) 식품, 농축수산물, 주류, 건강기능식품, 의약품・한약・의약외품, 화장품, 위생용품, 의료기기 등
∙295∙
유해물질에 대한 분석 시험법을 마련하고 허용 가능한 기준・규격 설정을 위한 위해성평가 등을
하고 있다. 농약 및 동물용의약품의 오・남용 방지와 잔류물질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시행9)에 따라 위해성평가(743건), 축산물 중 농약 동시다성분시험법 총 5건
(215종/181종(1건), 34종(4건)), 34건의 개별시험법을 개발・개선하였다. 또한 국내 건삼의 수출
활성화 지원(메타락실 시험법 국제기준 선정), 수산물 중 삼중수소 신속 시험법(방사능오염수
방출대비) 등을 마련하였으며, 동물성 원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인정 범위를 설정(시험검사 비용
절감)하였다.
또한 인체적용제품의 위해성평가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1차 위해성평가 기본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프탈레이트류(7종), 알루미늄의 사람중심 통합위해성평가를 완료하였고, 폴리염화비페닐
등의 국내 인체노출안전기준을 설정하여 관계부처에 제공하였다. 식품 관련 위해정보에 대응하기
위해서 커피 및 기타 식물성유지류 중 대마성분, 고춧가루 중 미허용 착색료인 수단색소, 일회용
종이빨대 중 과불화화합물 등에 대한 시험법을 개발하였고, 식품첨가물공전 시험법 중 잔탄검
등 분석법을 개선하였다. 또한, 동물성 원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인정 범위를 설정하여 검사
비용 등을 절감시켰다. 식중독 원인・추적 조사 강화를 위하여 식중독균을 수집 및 자원화
(19,650주)하였으며, 첨단기술을 활용한 식중독 원인체 분석기술 및 동시 신속 검출법을 개발
하였다. 국가 식품영양성분 함량분석 DB 구축(3,152건), 식품원료 진위판별 정보 DB 구축
(1,944건) 등 자원 및 분석자료 확보를 통해 분석 인프라를 확대하였다. 그밖에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새로운 위해요소 등장으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수행
하였고, 식품용 기구・용기・포장의 재생지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 마련 및 기능형 기구・용기・
포장에서 이행되는 물질의 시험법을 개발함으로써 식품용 기구・용기・포장의 과학적 규제기반을
마련하였다.
건강기능식품 및 새로운 식품원료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심사를 거쳐 인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품화 기술지원을 위한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안전성
및 기능성 평가 가이드를 개발하고, 기능성 원료에 대한 현장 맞춤형 컨설팅(원료 75개), 기능성
원료 인정심사 및 제출자료 등 실무교육 등 기술지원을 수행하였다.
스마트 식품 안전관리 사업을 통해서는 식품유형별 데이터 수집・분석・활용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관련 인터페이스 구축 및 무선 전자기파를 이용한 실시간 비파괴 이물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식품통합정보와 유통정보 융・복합 활용방안 마련과 연계 플랫폼 기능을 구현
하였으며 해외업체별 위해도 예측모형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부정・불량 취약 식품을 자동
탐지하는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VACCP 모델을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건강기능
9) 농약 : 2016년에 도입되어 2019년부터 농산물 전체에 시행
동물용의약품 : 2024년에 축수산물(소, 돼지, 닭, 우유, 달걀, 어류)에 대해 일부 시행
∙296∙
식품 등 적정 섭취 기반 구축과 관련하여 중복/병용 섭취 안전성 예측 모델 및 통합 DB를
개발하였고 개인 맞춤 영양 서비스 사업(비즈니스) 모델(안)을 마련하였다.
2) 의약품 등 안전 분야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및 한약(생약), 화장품・의약외품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의약품 등
안전관리 사업(2000~)을 통해 의약품 등 전주기 안전관리의 과학적 근거를 개발해 왔으며,
2021년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사업, 2022년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연구 사업을
통해 국민 건강에 꼭 필요한 의약품의 안전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의약품 분야 기준・규격의 국제 위상 제고 추진을 위해 대한민국약전의 재정비 및 국제조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3년에는 국제약전인증협의체(PDG, Pharmacopoeia Discussion
Group) 가입을 위해 규제 조화 대상, 첨가제 48건 및 일반시험법・일반정보 33건에 대한 제・
개정을 통한 국제조화를 완료하였으며, 국내 미허가 품목 381건의 삭제(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업계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시험법 개선 등 민원 수요를 반영한 약전 개정(안) 68건을 마련
하였으며, 국가필수의약품의 안정적 제조・공급을 위해 대한민국약전 각조 답손 정 등 제・개정
(안) 25품목을 마련하였다. 또한 품질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나 구매가 어려운 표준품이나
국가필수의약품인 경우, 제약업계 등에 분양할 수 있도록 20건의 표준품을 신규 확립하였다.
의약품의 비의도적 불순물이 국민 안전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약처는 고혈압 치료제 중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 검출 시작부터 새로운 ‘주성분 유사
구조 니트로사민류 불순물(NDSRIs)’ 이슈까지 대응을 지속하고 있다. 2023년에 산학관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규제기관 및 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한 불순물 저감화 방안 마련 및 저감화
분석법 개발 연구를 주요하게 추진하고 있다. 업계 수요조사 등을 통한 저감화 대상 우선순위
선정과 대상 의약품에 대한 합성・제제화・보관 단계의 불순물 발생원인 평가 사례집을 마련하였고,
주요 니트로화물인 첨가제 중 아질산염에 대한 분석법 등 저감화 분석법(8건)을 개발하였다.
또한, 식약처 개발 국・영문 시험법(24종) 자료집을 발간하여 업계의 불순물 안전관리를 지원
하였다.
미국 FDA와 유럽 EMA 등 국외 규제기관에서 2025년까지 연 10~20건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승인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는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수요가 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2023년에
대한민국약전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 일반정보 3건을 개정하고 이종이식제제 품질평가법, 첨단
유전체 분석기술을 활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질평가 시험법 등 11건의 시험법을 개발하였으며,
관련 연구개발자 대상 전문 정보집을 제공하는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허가심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297∙
한약(생약) 분야에서는 고가 한약재 사향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시험법 개발, 위령선, 백출 등
오・혼용 우려 한약재의 유전자 감별법 및 한약(생약)제제 동시분석법을 개발하고 「대한민국
약전」・「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개정(안) 54건을 마련하여 통한 규제과학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생약자원 표본의 세계식물표본관총람(IH) 등재(6,133점) 및 신규 수집 생약자원
정보 DB등록(187건)을 통해 국내 생약자원 주권확보 및 나고야의정서 대응 기반을 마련하였다.
화장품・의약외품・위생용품 분야에서는 화장품 중 염모제 위해성평가 및 화장품 위해평가
가이드라인 개정 등 위해평가 기반을 강화하였고, 화장품・의약외품・위생용품의 비의도적 유해
물질 시험법을 개발하고 기준・규격 시험법을 현대화하는 등 안전관리 기반을 강화하였다.
신・변종, 미해결 감염병 대응에 필수적인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대상 감염병과 개발
되고 있는 신기술 등을 고려해 제품의 품질 및 유효성 평가기술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메티실린 내성세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결핵백신의
면역원성 평가법을 개발하는 한편, 인수공통 및 만성감염병 치료용 백신 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
개발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최근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아데노바이러스 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의 백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어 이러한 신기술 기반 백신에 요구되는 품질, 유효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의 무균시험법을 대체할 수 있는
신속 무균시험법의 개발,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저분자항체(어피바디, Affibody)의 품질평가
법을 개발하였고, 바이오의약품의 유통체계를 고려한 적정 온도관리 방안 등 바이오의약품의
안전관리를 보다 촘촘히 관리하기 위한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의약품의 개발 과정이나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실험동물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대체시험법의 개발 및 활용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기존 동물유래 시약을 대체한 유전자재조합 시약을 이용한
엔도톡신 시험법을 개발해 대한민국약전에 수재하였다. 또한 생물학적제제의 품질관리에 적용
가능한 동물대체시험법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해 연구개발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연구개발자 및 산업계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최신 연구
개발 동향 등이 수록된 정보집을 마련하였다.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관리 체계 확립과 융복합 의료제품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민간 식의약 안전기술 촉진지원연구 사업에서는 의약품・의료기기가 융복합된 제품에 대해
민간(산・학・연) 수요 중심의 안전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집중적으로 투자하였다. 산・학・연
전문가 협의체 운영을 통해 민간-공공 상생의 실질적 연구성과를 도출하였으며, 임상시험, 시험
인증, 인허가 인프라 지원을 위한 다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제고를 위한 시험분석・
인허가 관련 기업 및 기관과 MOU를 체결(3건)하여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사에 대한 협력 지원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현장형 전문 지식 함양’, ‘전주기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 등의 교육
프로그램 심화과정 개발 및 교육을 통하여 전문가 양성 교육 체계를 마련하였고, 번역집, 동향
∙298∙
보고서 배포 등 전문정보 제공을 통해 민간 수요를 신속하게 반영하는 민간 주도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의약품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사업에서는 약물
감시 분야에서의 의료빅데이터(RWD/RWE) 활용 가이드라인 및 시판 후 안전관리 실태 분석
및 RWD 활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국가필수의약품 완제의약품 2개 및 원료의약품 3개
등 국내생산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인공혈액 관련 용어・규제를 검토하는 등 국내 세포기반 인공
혈액 규제체계 기반을 마련하였다.
감염병 백신・치료제 제품화 지원과 체계적인 유통・사후관리를 위한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사업에서는 감염병 백신 분야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의 규제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mRNA 백신 기술 기반 백신 특성 분석 시험법(안) 등 평가기술(10건)을 개발하였으며, WHO
mRNA 백신 가이드라인 대응 국내용 상세 독성평가법 연구를 통해 백신 안전성 확보 및 국내
연구개발 지원 방안을 마련하였다. 백신 시판 후 안전관리 기술 선진화의 일환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인과성 분석 및 코로나19 백신 등의 안전성에 대한 실마리 연구를 수행하여 관련
분야 SICE급 논문(11건) 게재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보건용 마스크 수요 및 안전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용 마스크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장비 개발 및 표준 시험법(안) 마련 등
국내 마스크 평가기술 첨단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의료기기 안전 분야
의료기기 분야는 안전관리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사업
(2002~)과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하는 의료기기의 제품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다부처 규제과학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사업은 의료기기의 개발부터 제품화, 시판 후 안전관리 등을 위한 과학적
규제에 근거한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여 인허가를 지원하고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우리나라는 국제의료기기 규제당국자 포럼(IMDRF) 가입국 중 하나로 의료
기기 규제 조화 이행 및 규제과학 선진국 진입을 위해 국제표준 기반 평가기술 연구를 수행
중이다. 2023년에는 의료기기 기준규격의 최신 국제조화를 위한 ‘기준규격별 산업표준 적용
방안’ 등 5건의 의료기기 안전관리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AI 기반의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의 선제적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 병리진단 체외진단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안)’ 등 25건의 의료기기 평가기술을 마련하였다. 감염병 대응
체외진단 의료기기 업체의 신제품 개발 및 품질관리 지원을 위해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20종의 표준품 등을 신규 제조・등록하고, 281건을 분양하였다.
∙299∙
기존 타 세부사업에서 수행 중인 의료기기 분야 범부처 사업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를 위해
2023년부터 범부처 의료기기 규제과학 지원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범부처 개발 의료기기의 평가
기술 개발 및 맞춤형 인허가를 지원하고 있다. 신뢰성 평가 시험 기준서(5건), 평가기술 보고서
(11건) 등 의료기기 제품화 지원을 위한 규제과학적 근거(안)를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시험검사,
기술문서 또는 임상시험계획서 작성 지원 등 인허가 및 임상시험 관련 기술지원(371건)을 실시
하였다. 특히, 5개 의료기기 분야의 제품개발 단계별로 확인・준비가 필요한 인허가 자료를 안내
하는 의료기기 규제과학 마일스톤(개정판) 및 제품개발 단계별 작성 요령, 근거 법령과 판단
기준 등을 수록한 마일스톤 해설서를 배포하였다.
또한 범부처(과기정통부・복지부・질병청・농식품부・환경부・식약처・산업부・행안부) 차원의 ‘R&D
→ 인허가・제품화 → 지자체 연계’ 전주기 지원으로, 미래 방역체계 구현에 필요한 빠른 감시,
지능적 예측・차단, 신속 진단, 효능이 입증된 방역물품 개발・검증 기반 고도화를 위한 범부처
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R&D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개발된 방역 기술, 물품・기기의 안전성
검토, 생산 인허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3년 신규사업인 컴퓨터모델링 기반 의료기기 평가체계 구축 사업은 2023년부터 5개년
동안 추진하여 의료기기 안전성・유효성 등 평가 환경의 디지털 기반 마련을 위해 의료기기
디지털 개발도구(이하, ‘M3DT’, Medical Device Digital Development Tool) 개발과 M3DT의
활용 및 보급을 위한 공유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M3DT는 의료기기의 안전성・유효성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디지털화된 가상의 평가도구로 인허가 및 제품 설계・평가 등에 폭 넓게
활용이 가능하며, 본 사업을 통해 디지털 트윈의 핵심기술인 컴퓨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CM&S)을 이용하여 정형・치과・심혈관・재활・디지털치료기기・의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및
전자약 등 의료기기 전문 분야별로 다양한 M3DT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M3DT의 개발을 위해
산업계・학계・의료계 분야별 17개 기관이 함께하는 연구 컨소시엄을 구축하였으며,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확산 및 연구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 개최(2회)로 기술개발과 교류를 병행
하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였다.
4) 독성・안전성 분야
식품・의약품 등 안전관리의 기반이 되는 비임상・임상 시험법 개발, 독성정보 및 실험자원 관리,
마약・담배 등의 안전관리를 지원하는 독성・안전성 분야에서는 1998년부터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오가노이드 등 첨단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2022년부터 4년간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사업을 통해서 간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평가법 세부검토보고서
∙300∙
작성을 위한 표준작업제안서 및 인체피부모델(KeraSkinTM)을 이용한 광독성 시험법 표준작업
제안서를 OECD에 제출하여 동물대체시험법의 국제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실험동물의
고품질 관리를 위한 품질관리 기반구축 연구를 통하여 실험동물(설치류)의 미생물 품질관리
안내서 및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사회적 이슈인 마약류 안전평가 관리 강화를 위하여 4-플루
오로에틸페니데이트(4-Fluoroethylphenidate) 등 임시마약류 20종에 대한 「마약류관리법
시행령」 개정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취약계층 임상시험 대상자 안전관리의 과학적 지원을 위하여
환자 중심・신기술 활용 임상시험 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적응적 임상시험 사례집과 항암제
마스터 프로토콜 임상시험 사례 정보집 등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식품 중 호흡기질환 개선・
치료 목적 불법 혼입 가능 성분 동시분석법 개발 등 불법 식의약품 차단을 위한 신규 분석법을
개발하였으며, 담배제품 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신종담배 분석법을 마련하였다.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기반한 첨단 독성평가기술 확보를
위해 오가노이드 독성 평가법 및 심혈관계 약리 평가법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오가노이드
분야에서는 간 오가노이드 기반 독성평가 시험법 및 표준작업지침서(SOP)를 최적화하였고,
장 독성평가를 위한 최적의 인체 장 모델을 확보하고, 약물 2종에 대한 독성평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심혈관계 약리평가법 분야에서는 in vitro 심장다중이온채널 평가법, 심장 부정맥
예측 in silico 평가시스템 및 인간 iPSC 유래 심근세포 영향 평가시스템에 대한 객관성 검증을
추진하였다.
5) 규제과학 인프라 구축 분야
의약품 의료기기 등 규제의 대상이 되는 제품들의 안전성, 유효성, 품질 및 성능 등을 평가
하기 위해 새로운 도구, 기준 및 방법 등을 개발하는 ‘규제과학’의 수요 증가에 따라 선제적・
혁신적인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을 위해 바이오헬스 분야 대학교를 지정하여 인재를 양성하는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을 2021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식의약 규제정책, 식품, 의약품, 의료
기기 등 전문 분야별로 8개 대학이 선정되어 2023년까지 472명을 선발하여 실무 중심의 전문
역량을 교육하고 있으며, 논문 156건, 특허출원 및 등록 15건, 기술이전 9건, 현장 교육 23회
및 국제협력 15건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규제과학연구지원센터는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의
우수한 성과 달성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규제과학
연구정책 수립과 산업체 인턴십을 지원하고, 국내・외 15개 기관・단체와 MOU 체결 및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논문 경진대회를 개최하는 등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 인프라 구축으로
규제과학의 발전과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301∙
다. 향후 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 국제기준을 선도하는 식의약 행정혁신을 위해 국민의 일상을
든든하게 할 안전혁신, 식의약 산업을 단단하게 할 규제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분야별 안전관리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국제 규제기준을 선도하여 안전혁신을 지원
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한 혁신제품의 신속한 시장 공급을 위한 맞춤형 다부처 협업
사업을 집중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및 제품화 지원에 관한 규제과학혁신법」시행(’24.2월)에 따라 신기술을
적용한 혁신제품에 대한 규제정합성을 검토해 신속하게 제품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혁신
제품개발 지원을 위한 규제과학연구를 확대 운영할 예정으로, 2024년부터 5년간 추진되는
신규 출연연구 사업으로 총 190억 원 규모의 평가기술 개발연구와 총 152억 원 규모의 글로벌
협력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수준의 규제과학인재양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규제과학통합플랫폼 구축을 통해 규제과학인력들이 현장 곳곳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동물대체시험법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첨단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등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기술 연구를 지원하고자 한다. 안전기준・규격,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 개발 등 공공성이 강한 연구 등을 통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302∙
제4장 재난/위기
제1절 재난안전
1. 개요
태풍, 집중호우와 도시침수, 폭염과 한파, 지진, 화재 등 국민의 평안을 위협하는 재난으로
부터 국민 누구나가 안전하고 안심하며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가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이 국민 안전에 보다 많은 기여와 역할을 할 것에 대한 국민적 요구와
기대가 점증하고 있다.
재난 및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투자
전략 수립을 통해 재난안전 분야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연구개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21개 재난안전 연구개발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2027, 이하 ‘제4차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71조의2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4차 종합계획은 국민의 행복과 안전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연구개발, 재난 현장과 국민이 원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제4차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의 2022년 투자실적 및 주요 성과를 바탕
으로 재난안전 연구현황 및 성과를 정리하였다.
2. 연구개발 추진현황 및 주요 성과
가. 재난안전 연구개발 예산투자 현황
제4차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에 따라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앙행정
기관의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투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303∙
2022년 재난안전 R&D 투자규모는 2조 1,391억 원이며, 이는 전년 대비 2,733억 원
(14.6%) 증가한 규모이다. 최근 5년(’18~’22) 연평균 증가율은 25%(정부 전체 R&D는
10.9%)로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투자가 다른 분야 대비 컸던 것을 알 수 있다.
<표 3-15> 연도별 정부 전체 R&D와 재난안전 R&D 예산 규모 비교
(단위 : 조원, %)
구 분 ’18 ’19 ’20 ’21 ’22
정부 R&D 예산(조원) 19.7 20.5 24.2 27.4 29.8
재난안전 R&D 예산(조원) 0.87 1.05 1.41 1.86 2.14
재난안전 R&D 예산 비중(%) 4.4 5.1 5.8 6.8 7.2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재난안전 R&D 부처별 투자실적을 보면, 과기정통부 5,241억 원(전년대비 73.3% 증), 복지부
1,926억 원(전년대비 30.3% 감), 산업부 1,926억 원(전년대비 2.3% 감), 국토부 1,416억 원
(증감 없음), 환경부 1,292억 원(전년대비 3.4% 증) 순으로 투자하였다. 부처별 투자규모 증감의
주요 요인은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등 첨단 전략기술 집중 투자,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자급화
노력, 대형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수요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표 3-16> 2021~2022년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합계 교육 과기 법무 행안 농식품 산업 복지 환경 국토 해수
’22년 21,391 10 5,241 26 1,034 1,215 1,926 2,155 1,292 1,416 1,740
’21년 18,658 8 3,025 23 923 749 1,971 3,092 1,250 1,416 1,188
증감(%) 14.6 25.0 73.3 13.0 12.0 62.2 △2.3 △30.3 3.4 - 46.5
구 분 중기 관세 경찰 소방 농진 산림 질병 기상 해경 식약 원안
’22년 106 44 437 231 760 161 714 634 381 1,157 711
’21년 75 30 494 201 856 117 523 580 261 1,052 824
증감(%) 41.3 46.7 △11.5 14.9 △11.2 37.6 36.5 9.3 46.0 10.0 △13.7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재난유형별 투자실적을 보면 사회재난 1조 5,047억 원(70.3%), 안전사고 3,418억 원
(16.0%), 자연재난 1,574억 원(7.4%), 재난안전일반 40억 원(0.2%)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유형별 집중 투자 분야를 보면, 사회재난은 감염병 및 가축전염병, 붕괴사고 등
재난 이슈 분야, 자연재난은 집중호우(도시침수), 초강력 태풍 등 기후변화 대응 분야, 안전
사고는 식품안전, 범죄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04∙
<표 3-17> 2021~2022년 재난유형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합계 자연재난 사회재난 안전사고 재난일반 기타
’22년(억원) 21,391 1,574 15,047 3,418 40 1,312
’21년(억원) 18,658 1,730 13,628 2,881 132 287
증감(%) 14.6 △9.0 10.4 18.6 △69.7 357.1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재난관리단계별 투자실적은 예방 8,359억 원(39.1%), 대비 4,544억 원(21.2%), 대응 5,582억
원(26.1%), 복구 362억 원(1.7%), 기타 2,544억 원(11.9%)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
대비 분야의 투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18년 6,118억 원 → ’22년 1조 2,903억 원)하고
있으나, 비중은 감소(’18년 70.4% → ’22년 60.3%)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8> 2021~2022년 재난관리단계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합계
사전 대비 사후 수습
기타
예방 대비 대응 복구
’22년(억원) 21,391 8,359 4,544 5,582 362 2,544
’21년(억원) 18,658 5,963 4,173 5,816 471 2,235
증감(%) 14.6 40.2 8.9 △4.0 △23.1 13.8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나. 부처별 주요 연구현황
2022년 부처별 주요 연구현황을 (1)현장 적용・실증, (2)국산화・사업화, (3)신기술・첨단화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현장 적용・실증형 주요 연구현황 및 성과를 보면, 재난 현장(화재 등)과 이상기후 예측
(태풍 등) 등 현장 적용과 확산에 필요한 현장 밀착형 R&D를 추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행안부, 국토부, 산업부는 다부처 공동사업으로 지하 공동구의 다양한 재난상황을 가상공간에
통합하여 재난 상황 발생 시 조기 예측 및 사전 대응하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AI로봇이 지하
공동구를 40km/h 속도로 상시주행하면서 화재, 폭발, 누수, 가스를 감지하여 지하공동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조기대응 할 수 있다. 본 연구성과는 오창 공동구, 방위사업청, 고양시
등에 설치 운영하고 있다. 행안부는 세계 최고 수준인 0.01mm 지반 변위(기존 5mm급) 감지가
가능한 감지 센서 및 IoT기반 지반붕괴 예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성과는 도로공사 등
70여 개소에 설치・운영하고 있다.
∙305∙
국산화 및 사업화 주요 연구현황 및 성과를 보면 국제적 수준의 질병 치료제・백신 자급화,
타 분야 응용 등 사회적 수요가 높은 문제해결형 R&D를 추진하고 있었다. 농식품부는 면역
증강 효과가 있는 구제역 항바이러스제(과당화 인터페론 발현 BacMam)를 세계 최초로 개발
하여 해당 항바이러스 물질을 기존 구제역 백신과 혼합・접종한 결과 접종 하루 뒤부터 방어
기제가 발생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신기술 및 첨단화 주요 연구현황 및 성과를 보면 AI, 빅데이터, 나노기술 등 첨단기술을
융복합해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디지털 선도형 R&D를 추진하고 있었다. 원안위・
과기정통부・산업부는 실험 증거수집, 방사성 물질 불법 거래 추적 등이 가능한 핵사찰 시료
탐지용 프로브(Probe) 기반 무인 방사성 물질 탐지・채취 로봇을 개발하였다. 이 로봇은 고속
현장스캔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양팔로 총 200kg 중량의 물건 운반이 가능하며 무한궤도로 험지
이동이 가능하다.
다. 재난안전 연구개발 주요 성과
2022년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학・기술적 성과를
보면 SICE 논문은 총 2,418편으로 전년 대비 116편(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등록)는 총 674건으로 전년 대비 22건(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성과를 보면 먼저 법제도 제・개정 및 정책반영 603건, 전문인력양성은 850명으로
전년 대비 각 288건(91%), 299명(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사업화 성과는 518건
으로 전년 대비 197건(61%) 증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은 1,4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7억(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19년 평균 매출액은 408억 원, ’20
∼’22년 평균 매출액은 1,275억 원으로 ’20년 이후 매출액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기술료는 3,431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1,245백만 원(2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료
실적의 감소는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적용한 기술료 감면 조치의 영향
이라 볼 수 있다.
∙306∙
< (참고) 제3차 종합계획(’18~’22) 양적 성과 >
◈ (투자규모) 3차 종합계획 5년간(’18~’22) 연평균 투자 규모는 1.46조 원
- 2차(’13~’17) 종합계획 기간 연평균 투자 규모(0.55조 원) 대비 2.7배 증가
◈ (과학・기술적 성과) 3차 종합계획 5년간(’18~’22) 연평균 논문 3,228편 게재, 국내외 특허 출원・등록 1,881건으로
- 2차(’13~’17) 종합계획 기간 연평균 논문(1,841편), 출원・등록(899건) 대비 각 1.8배, 2.1배 증가
연도
과학적 성과(건) 기술적 성과(건)
SICE 논문 국내 논문
특허출원 특허등록
국내 국외 국내 국외
2018 1,255 1,189 737 110 409 42
2019 1,220 1,223 923 132 535 37
2020 1,856 1,361 1,098 141 476 31
2021 2,534 1,482 1,469 140 664 32
2022 2,418 1,601 1,561 196 616 58
연평균 1,857 1,371 1,158 144 540 40
◈ (사회・경제적 성과) 3차 종합계획 5년간(’18~’22) 연평균 기술료는 3,670백만 원으로,
- 2차(’13~’17) 종합계획 기간 연평균 기술료(2,414백만 원) 대비 1.5배 증가
연도
사회적 성과(건, 명) 경제적 성과(백만 원, 건)
법제도 제개정
(건)
정책반영
(건)
전문인력양성
(명)
기술료
(백만 원)
사업화
(건)
매출액
(백만 원)
2018 445 294 598 1,698 97 23,343
2019 526 114 542 2,775 135 58,306
2020 623 147 511 5,768 169 104,677
2021 214 101 551 4,676 321 137,063
2022 410 193 850 3,431 518 140,810
연평균 444 170 610 3,670 248 92,840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307∙
3. 향후 계획
2023년은 제4차 종합계획의 시행 원년이다. 그간 재난안전 연구개발에 있어 미흡하다고
지적되어 왔던 부분들을 보완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책 기조를 갖고 있다. 기술 향상 관점
일변에서 탈피하여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 연구성과 창출과 함께 연구성과의 현장
적용 및 현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재난을 대비할 수
있는 미래 신종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연구개발도 추진하려고 한다.
이에 제4차 종합계획은 다음의 세 가지 전략으로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첫째,
현장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 임무형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 활동에 신속히 적용하려고 한다. 둘째, 국민 누구도 안전에 소외되지 않도록,
안전의 사각지대와 재난의 불평등(취약계층 등) 문제를 국민의 눈높이에서 해결하기 위한 ‘국민
안전 지향 기술’을 개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AI 등 첨단기술을 통해 그동안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미래재난 예측 수준을 높여 기후위기 대비, 과학・정밀 방역, 재난안전관리 선진화를
실현하기 위한 ‘첨단과학을 활용한 미래사회 위기 극복’ 전략을 수립・추진하고자 한다.
∙308∙
제2절 기상
1. 개요
기후변화로 그간 경험하지 못한 극한 기상 현상이 빈발하면서 위험기상에 따른 국민 안전에
대한 위협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전 지구 공동의 기후변화 제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기후
변화의 과학적 근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기상청은 2023년 ‘위험기상과 기후위기로
부터 안전한 국민, 든든한 국가’를 정책 목표로 삼고 예보, 관측, 기후,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분야에 대해 약 915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였다. 올해는 그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향상된 예보 정확도에 기반하여 매우 강한 호우 발생 시 읍・면・동 단위로 위험 지역 주민들에게
직접 긴급재난문자(CBS)를 발송하는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수도권 대상, 총 6건)하였고,
기상 관측 이래 처음으로 한반도 내륙을 종단한 제6호 태풍 ‘카눈’의 불규칙한 진로를 한・미・일
각국 예상 대비 가장 일관되고 정확하게 예측하여 인명피해 ‘제로’의 국가적 재해 대응에 기여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예보기술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더욱 복잡・다양해지는 기상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위험기상
예측 역량을 강화하고, 수치 예측기술 향상을 추진하였다. 올해 여름 두 번의 방향 전환을 거치며
한반도를 종단한 제6호 태풍 ‘카눈’의 경로를 정확히 예측함에 있어 성능이 개선된 한국형수치
예보모델이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신속・정확하게 강수를 예측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초단기 강수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강한 강수역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성능을 보임으로써
대표적인 기상재해 유발 현상인 집중호우를 예측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309∙
태풍 ‘카눈’ 관련 언론보도
(중앙일보, 8.2.)
태풍 ‘카눈’ 관련 언론보도
(동아일보, 8.10.)
2023.7.15. 06:00KST
레이더 실황 및 AI 3시간 예측 결과
레이더 실황 AI 예측
출처: (좌) 중앙일보, (중) 동아일보, (우) 관측자료 기반 AI 초단기 강수 예측모형 시험평가 결과보고
[그림 3-52]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나. 관측기술
기상청은 정확한 기상 예보에 필수 요소인 기상 관측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상
관측 핵심기술 및 관측자료 활용 기법 개발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2023년에는 기상 관측장비
3종(라디오존데, 시정계, 운고계)에 대한 형식승인 시험 절차 표준 기술 개발을 완료하였고,
여러 관측기기 중 특히 해외 의존도가 높은 기상레이더 신호처리기 시작품과 해상에서도
복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초소형・초경량 복사계를 개발하여 자체 기술력 확보에 힘을 쏟았다.
또한 기상 조절의 대표적인 기술인 인공강우 분야에서는 구름물리 챔버(2022년 구축)를 활용해
개발한 기상 조절용 新 구름씨(염화나트륨을 이용한 가공분말)를 항공 실험에 적용한 결과 최대
추정 강우량 기준 증우값 4.1mm라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다. 이는 기존 실험 결과의
최댓값인 3.7mm 대비 약 10% 정도 향상된 결과이다.
해상용 복사계 장비 구성 긴급재난문자 첫 발송 지원(2023.7.11. 15:48)
정체영역 자동탐지
15:15
구로.동작 통합조회
15:30
긴급재난문자
15:48
출처: (좌) 2023년 ‘해상용 초소형・초경량 라디오미터 개발’ 과제 연차보고회 발표자료, (우) 기상청 자체연구개발과제
2023년 연차보고서
[그림 3-53] 관측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310∙
원격 관측기술 분야에서는 기상레이더와 기상위성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기상레이더 분야에서는 읍・면・동 단위의 촘촘한 집중호우 감시 체계를 구축하여 기상청의 호우
관련 긴급재난문자(CBS) 발송 의사 결정을 지원하였고, 위성 분야에서는 천리안 위성 2A호
자료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위성 기반 자외선 지수’를 개발하여 대국민에 제공하는
등 국민 안전 확보와 보건 향상에 기여하였다.
다.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
기상청은 탄소중립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온실가스(CO2, CH4, SF6)
자료동화를 적용한 기원추적 모델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리고 온난화 수준에 따른 극한 고온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1.5/2.0/3.0℃ 온난화 수준에 따라 극한 고온의 재현 빈도가 각각
2.8/1.6/1.2년 빨라지고, 재현 온도는 각각 39.6/40.6/41.6℃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본 결과는 기후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위험 수준을 평가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
고해상도 온실가스 기원추적 모델 개발 현재 대비 극한 기온의 재현 빈도 변화
실선: 현재(검정), 1.5도 온난화(파랑), 2.0도 온난화(녹색),
3.0도 온난화(적색)/ 점선: 20년 재현 수준
출처: (좌) 기후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정보 응용 기술개발 2023년 사업추진 결과보고서, (우) 기상청 자체연구개발과제
2023년 연차보고서
[그림 3-54]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라. 융합기상 기술
기상청은 도시 데이터와 환경 특성을 반영하여 도시에서 활용 가능한 안전・에너지・헬스케어
분야의 스마트시티 기상기후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현실과 동일한 3차원 디지털
공간에 상세 기상・기후 융합서비스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스마트시티
기상기후 디지털트윈은 2023년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서 에너지&환경 분야 어워즈를
∙311∙
수상하여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기상청은 2025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상용화
연구의 일환으로 실증지역(전남 고흥)에서의 삼차원 바람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상세바람예측
모델을 개발하였고, ‘4D 통합 항공기상 데이터 플랫폼’ 기술의 기본 설계 및 ‘차세대 항공기상
서비스 운영개념도’를 도출 완료하는 등 미래 항공교통 체계 전환 연구를 위한 국가 사업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마. 지진・화산 감시기술
기상청은 지진 재해에 대한 국민 체감도 향상 및 안전한 사회 실현을 위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저층 구조물 특성에 따른 진동 추정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사용자
위치 기반의 영향정보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진해일 검출 시스템의 성능을 8% 향상시켜
지진해일에 대한 초동 대응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차세대 항공교통 지원 항공기상서비스 운영 개념도 수요자 중심의 진도 영향정보 생산
출처: (좌) 차세대 항공교통 지원 항공기상 기술개발 2023년 과제별 연차보고서, (우) 기상청 2023년 연구개발보고서
[그림 3-55]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감시기술 연구개발 성과
3. 향후 계획
기상청은 ‘일상으로 다가온 기후위기,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를 2024년도
정책 목표로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안전 중심의 기상 예・특보 체계 개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신뢰도 높은 기후변화 과학 정보 생산 등을 목표로 다각적인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후 위기의 일상화로 기상・기후가 국민 개개인의 삶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이 커지고
있는 시대에 앞으로도 기상청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
하고 고유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312∙
제5장 공급망/자원
제1절 소재
1. 개요
소재는 부품과 제품을 구성하고 성능을 좌우하는 기초 물질로, 다학제적 융합 접근이 필요한
대표적인 분야이다. 최근 과학기술 경쟁력이 국가의 외교・안보에도 영향을 미치는 기술 패권
시대가 도래하면서, 각 국가는 핵심기술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2021년 6월 미국은 경제 안보를 지키고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노・소재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된 공급망 검토보고서를 발표하고 혁신・경쟁법안을 가결하였으며, 2021년 3월
중국 또한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나노・소재 기반 첨단기술에 매년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정부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하여 육성키로 하였으며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 발표. ’22.10.28, 과학기술자문회의),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도 국가
전략기술에 발맞추어 미래소재를 확보하는 데 전념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국가전략기술을 뒷받침하는 미래소재 확보전략 수립
과기정통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를 고려하여 미래에 필요한 100대 미래소재를 발굴
하고, 글로벌 기술우위 선점을 위해 향후 10년 뒤까지 확보해야 할 기술로드맵을 수립하였다.
100대 미래소재 발굴 과정에는 국가전략기술 분야별로 구성된 전문연구회에 총 350여 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전략기술 분야별 세계수준의 목표와 이를 위한 초격차 소재
∙313∙
목표를 도출하고, 상향식(Bottom-up) 기술수요조사와 하향식(Top-down) 전략 분석을 통해
기술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소재를 발굴하였다.
’22년 11월 100대 미래소재 확보 전략(안)에 대한 공청회를 실시하고, 미래소재별로 시장성과
기술성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발굴된 미래소재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성공적인 미래소재 확보・지원을 위해 임무 중심으로 연구개발사업을 운영하고, 디지털
기반 소재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나. 극한소재 실증연구시설 구축 착수
극한소재는 초고온, 극저온, 초고압, 산화・부식 등과 같은 극한환경을 견디는 소재로서, 우주
항공 위성발사체, 액체수소 저장, 초고온 가스터빈 등 미래산업에 활용되는 국가전략 소재이다.
미래산업 환경이 극한화됨에 따라 극한소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는 극한소재
기초연구성과를 실제 제품화・사업화까지 연계할 수 있는 실증연구 기반이 부재하여 극한소재의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극한소재의 시험평가와 시범생산 등 기업,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실증연구 기반을
조성하고자 동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동 사업으로 초고온, 극저온, 특정극한 관련 극한소재
실증연구 3개 시설 및 44종의 장비를 구축하여, 확보가 시급한 28개 극한소재 실증연구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동 사업을 통해 우주항공, 수소, 에너지 등 미래산업의 핵심 소재인 극한소재를 확보하고,
나아가 극한소재 기술 자립을 이끄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314∙
제2절 나노기술
1. 개요
나노기술이란 10억분의 1m(10-9m)인 나노미터(nm) 크기에서 원자나 분자의 제어를 통해
새로운 구조, 재료 혹은 장치를 생산하여 완전히 새로운 특성 창출 혹은 신규 응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나노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파급력이 큰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로서 전자, 에너지, 의료, 우주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혁신을 촉진한다.
2021년 우리 정부 또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탄소중립, 글로벌 반도체 전쟁 등 국제・국내의
주요이슈를 해결하고, 국가 장기적인 나노기술발전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제5기 국가나노기술
종합발전계획(안)(’21.4)』을 마련하였다. 제5기 종합계획 마련에는 100여 명의 나노 분야 산・
학・연 전문가들이 기획위원회에 참여하여, 국가 나노기술 그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10년
나노기술발전의 이정표를 세우는 데에 기여하였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
나노기술개발 중장기로드맵이자 나노기술 투자전략을 고도화하고자 하는 「제4기 국가나노
기술지도」는 2023년 4월부터 나노기술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5개의 기술 분과*의
수립위원회를 통해 마련하였다.
* 나노정보전자, 나노에너지, 나노환경, 나노바이오, 나노기반(나노소재, 나노공정・분석・장비, 나노안전성)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는 9개의 도전적 질문(Big Question)을 정의하고, 문제해결
중심 나노기술 역할 제시 및 나노인프라 혁신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선정된 9대 도전적
질문(Big Question)별 기술난제(한계)와 제약요인을 분석하여 한계 극복을 위한 나노기술 기반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도전적 질문(Big Question)해결을 위한 나노기술로드맵과 미래상을
그렸다.
나노인프라 부분에서는 나노팹 시설・장비를 고도화하고 인프라 간 연계・협력 확대를 통한
분야별 연구・산업화 지원역량 강화, 나노인프라 첨단 장비를 활용한 나노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나노기술촉진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자 한다.
∙315∙
나. 나노・소재 전문인력양성 및 기업파견 지원
나노・소재 분야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나노팹 인프라와 연계한 실습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23년 기준,
소재기술 개발 경쟁력 강화에 일조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약 3,200여 명 배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2021년에는 소재・부품・장비 공공 연구인력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애로 해소를 돕는 공공연 연구인력 소재부품장비 기업파견 지원사업을 새로이 추진하여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동 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전문인력이 기업 현장에서 애로기술 해결을 밀착
지원하여 소부장기업의 단기, 중장기 기술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316∙
제3절 농림・축산・식품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과학기술의 발달로 산업별 경계가 무너지며, 농산업 또한 융복합 산업으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향후 지속적인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업 R&D 투자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타 분야,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 연구 확대, 민간 주도 농식품
R&D 투자 등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해 왔다.
<표 3-19> 농림식품 R&D 투자 현황
(단위: 억원)
구 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농식품부・양청
R&D 예산(A)
9,930 10,770 12,273 13,080 13,456
국가연구개발비(B) 205,328 242,195 274,005 297,770 310,574
A/B(%) 4.8 4.4 4.5 4.4 4.3
나. 2023년도 주요성과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20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방형 혁신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을 육성’하고자,
농업 혁신성장 연구개발 강화, 개방형 연구 협력 네트워크 고도화, 민간 농식품 R&D 활성화
및 사업화 강화, R&D 추진체계 개편 및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하고, 5대 중점연구 분야(ICT
융복합 스마트농림업, 그린 바이오산업, 수요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탄소저감・이상
기후・재난・질병 대응 농림업생산, 농림업인, 농산촌주민, 국민 삶의 질)에 투자 비중을 확대
하였다.
또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그간
중점투자 분야별 실적 현황을 파악하고, 최종 성과목표 달성률*을 점검하여 차질 없이 종합
계획을 이행하였다.
* 목표 대비 달성도 :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 수준(99.6%), 농림식품 민간 R&D 비중(102.9%), 사업화
성공률(99.1%)
∙317∙
1) 빅데이터・AI・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림업 고도화
ICT, 인공지능, 로봇 등 신기술 융복합 지원을 통한 농산업 전반의 첨단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기존 스마트팜 R&D를 통해 개발한 스마트팜 표준모델의 품목별 적용, 농작업
자동화, 농업 로봇의 시각 지능화를 위한 다차원 객체 인식, 드론을 이용한 노지작물 생산량
추정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스마트팜 R&D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개방형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고도화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현장에서 발생하는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협업 환경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빅데이터 스마트팜 R&D 플랫폼으로 시설원예 및 축산
분야의 약 20여 품목에 대한 데이터(30TB 수준) 수집도 완료하였다.
친환경 농기계,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노동력 절감 및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부품・기술의
국산화 지원 등 역량 강화 연구를 추진하였다. 밭작물용 승용관리기, 트랙터 부착용 복합작업기,
영농형 태양광 관련 표준설계 개발, 작물별 모듈 개발 및 실증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농산물 위생관리 매뉴얼 개발(단순처리) 및 GAP 기준개선 방안, 농업위성정보 기반기술
및 소프트웨어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2) 육종 기술, 미생물, 신소재 등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농생명 유래 자원(동물・식물・곤충・미생물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산업소재 개발 등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였다. 식용곤충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국내 농생명 자원을 활용한 식물방제제,
인체질환의 유전형 및 표현형을 나타내는 흑색종 중대동물(돼지, 개) 질환 모델 개발, 효모를
활용한 식용 미생물 유래 단백질 소재 생산 기술개발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농산업 분야의 유용 미생물의 발굴 및 유전체 해독 등 정보 분석을 통한 산업화 및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미생물 유전체 및 오믹스 분석 정보 자원 관리, 미생물 균주 및 메타 유전체 자원
실물자원 관리, 한우 유전체 빅데이터 통합 유전능력 평가시스템 및 농가 활용플랫폼 개발,
특이적인 무작위 유전자교정 기술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글로벌 종자 시장 확대와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는 디지털 육종 개발 지원을 위한 제3차
종자산업 육성 5개년 계획(2023~2027)을 수립하여 종자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
하였다. 또한, 디지털 육종 전환을 위한 고밀도 분자표지 활용 기술, 유전체・표현체 빅데이터
기반의 상관분석 시스템 개발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육성 품종 활용 지역 특화
약용작물 기능성 소재 이용 확대 연구, 바이오소재 유망 특용작물 대사체・유전체 융복합 연구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318∙
3) 소비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생산
소비 다변화, 고령화 등에 대비하기 위해 고품질의 농・축산물 생산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였다. 맞춤형 식이 설계 플랫폼 개발 및 고령・여성농 노동력 저감 장치 개발,
양파・마늘 농기계 고도화, 한우 도체 발골 자동화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고부가
가치 축산물 생산을 위한 국내 젖소(홀스타인 품종)의 내서성 및 장수성 관련 우수 형질 보유
축군 구축, 돼지 육성율 향상 및 안전축산물 생산을 위한 스마트 광헬스케어 생육시스템 구축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농축산물 생산 현장 안전, 환경자원 관리 기술 및 신품종 개발 등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국산 로봇 착유 시스템(젖소) 활용 기술, 디지털 기반 돼지 임신 여부
자동 판정 및 이상행동 탐지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식품의 제조・관리의 고도화와 온라인 플랫폼에 의한 유통의
편의성, 로봇서빙・조리 등 식품생태계 전 영역에 첨단기술을 접목한 푸드테크 지원 기반 마련을
위한 제4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하였다.
아울러, 식품 품질・안전 관리 개선을 위한 가공 기술개발 등 안심 먹거리 공급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로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였다. 식물・미생물 등 유래 대체식품, 질환 관리식, 개인
맞춤형 식품 등 메디푸드 개발과 친환경 식품 포장 HMR 생산설비, 지역특산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상품화 등 실용화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4) 이상기후, 재난, 질병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림업생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 기상 변화 대응체계 구축 및 피해경감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농산업 기반을 강화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농업 수리 구조물 홍수 조절 능력 분석 연구, 빅데이터
기반 농업용 저수지 이수안전도 산정・관리 기술개발, ICT 기반 농업용 저수지 스마트 물관리
기술 고도화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유기 농경지 기후변화 대응 생태기능 강화,
밭농업의 물과 비료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원격 통합관리 및 데이터 축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농업 재난 대응능력 강화 및 예방을 위한 재난관리 플랫폼 개발 등 재난으로부터 안정적인
농업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시공간적 실시간 유역 유출 및 홍수 예측 시스템
개발, 물 부족 대비 농업용수 스마트 재이용 시스템 기술개발, 기후변화에 따른 논・밭 범용
활용 기반 조성 및 용수 공급 기술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식량・원예・특용 작물 등에 발생하는 농산물 바이러스병 예방을 위한 선제 대응을 강화하였다.
고추 탄저병균의 약제저항성 메커니즘 구명 및 방제제 기술, 과수화상병 억제를 위한 유용
∙319∙
미생물 이용기술, 주요 식물 바이러스 전파 과정의 바이러스-매개충-중간기주 등 상호관계
규명과 확산억제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동물감염병, 인수공통전염병 대응을 위해 국제연구네트워크 기반 신변종 가축 감염병에
대한 유전자 DB 구축 및 신속현장 유전자진단키트 실용화 연구, 오리 유래 신변종 바이러스
질병의 국제 공동 감시시스템과 선제적 방제 기술 구축 연구, 소 인플루엔자 D바이러스를
포함한 소 호흡기 질병 유전자 특성 연구 등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용 질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식품 부산물을 활용한 반려동물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기능성 사료 개발, 고양이
난치성 갑상샘기능항진증 진단・치료용 의약품 개발 등 동물복지 연구도 추진하였다.
5) 농림업인, 농산촌 주민, 국민 삶의 질에 기여
시장개방 확대,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미래 농산업 시장 변화 대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개발 지원을 확대 등 농업・농촌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축산악취 저감 및 농작업
안전관리 실증모델 구축, 농촌 폭염・가뭄피해 저감, 농경지 양분 균형 관리를 위한 유기성
폐자원 활용 체계 구축, 가축분뇨・농업부산물과 음식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및 발전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산림자원의 순환 체계 구축을 통한 안전하고 건강한 친환경 산림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자생식물의 종자를 활용한 산림생태계 회복력 증진 및 산림복원, 스마트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산줄기 주소 체계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생산 현장의 안전관리 기술개발을 통한 농식품 품질 제고 및 농축산물 안정성 확보 등 맞춤형
먹거리를 위해 축산물 생산단계 중 위해요소 오염 저감 기술, 식품 산업 현장형 식중독균 신속
진단 기술, 농업 환경 중 잔류항생제 안전관리 방안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표 3-20>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연구 분야 투자현황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2023년 차이
(%)예산 비중 예산 비중
AI・ICT 융복합 스마트농림업 1,574 12.0 1,569 11.7 △0.4
그린 바이오산업 1,488 11.4 1,287 9.6 △1.8
수요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생산 2,036 15.6 1,912 14.2 △1.4
이상기후・재난・질병 대응 농림업생산 1,840 14.1 1,873 13.9 △0.1
농림업인, 농촌주민, 국민 삶의 질 850 6.5 654 4.9 △1.6
5대 중점연구 분야 합계 7,788 59.5 7,295 54.2 △5.3
기 타 5,292 40.5 6,161 45.8 5.3
총 계 13,080 100.0 13,456 100.0 -
∙320∙
다. 향후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첨단화 기술개발 및 수요 기반 문제해결형 R&D 사업을 추진하고, 그린
바이오 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농식품 산업 혁신성장과 농정현안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 및 타 분야 첨단기술의 적용으로 농산업을 스마트 산업으로 전환하고, 종자 및
품종 생산 기술 확보와 신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혁신 식품 개발 지원을 확대하여 식량
안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기후변화, 동식물 감염병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업 생산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향후 5개년의 농식품 R&D 정책 방향과 중점계획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부・청 협업을
통한 제4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5∼2029)을 수립하여 국가 농정정책에 부응
하는 농식품 R&D 투자를 지속할 것이다.
∙321∙
제4절 수산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우리 수산업은 연근해 수산자원 감소, 어장환경 악화에 따른 생산성 약화, 이상기후로 인한
고수온 피해 등으로 ‘지속 가능한 수산업 구현’이 순조롭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이에, 해양
수산부는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제2차 해양수산과학
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 및 이에 따른 「2023년도 시행계획(2023.2.)」을 마련하여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였다. 또한 해양수산 분야의 R&D 투자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9,152억 원이 반영되어 R&D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표 3-21> 최근 5개년 해양수산 R&D 연도별 투자현황
(단위 : 원)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정부 R&D 20.5 조 24.2 조 27.4 조 29.8 조 31.1 조
해양수산 R&D 6,362 억 6,906 억 7,825 억 8,529 억 9,152 억
해양수산 R&D 비중 3.10% 2.85% 2.86% 2.86% 2.95%
해양수산부 내의 수산 분야 연구개발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023. 1.)을 수립・추진하여 ①지속 가능한 성장, ②첨단・융합 기술개발
및 ③기후변화 연구・현장기술 중심의 우수 연구성과를 다수 도출하였다. 2023년 사업추진
연구개발 예산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409억 원을 확보하였다.
* (’19) 1,266 → (’20) 1,327 → (’21) 1,384 → (’22) 1,379 → (’23) 1,409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연구
가) 연근해 어업자원 평가 및 어황변동 정밀분석・예측 기술개발
자원평가 측면에서는 대상종을 확대(’22년 60종→’23년 65종)하여 전체 생산량의 93.7%에
대한 자원평가가 가능해졌으며, 자원예측 측면에서는 2가지 대표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첫
번째는 연근해 어황변동 정밀분석 및 수산자원변화 예측 고도화를 추진하여 멸치자원의 생물・
해양・환경 융합형 어장형성 시나리오 구축 및 예측정보를 제공한 성과로, 출어경비 절감을
∙322∙
통한 어업인 소득 창출이 기대된다. 두 번째는 서해 꽃게의 어획량 급변 원인 구명 성과로 장단기
해황과 수산자원 인공위성 자료를 분석하여 황해저층냉수의 연안유입이 원인임을 밝힌 성과
이다. 또한 국제기구의 과학기여 측면에서는 세계 최초로 이빨고기(메로)의 장거리 이동 근거*를
밝혀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제고 및 원양어업발전 기반도 마련하였다.
* 1,200km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밝히고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26개 회원국) 회의(2023.10.)에서
발표하여 ‘다국가 위성전자표지 연구 싱크탱크 협의체’ 결성 주도
멸치 어황예측 시나리오 황해저층냉수 분포와 꽃게 어황 이빨고기 장거리 이동 경로
[그림 3-56] 어업자원 평가・예측 및 원양어업 발전 기반 마련 주요 성과
나) 고부가가치 양식품종 개발을 통한 수산물의 안정적 생산
고상품성 암컷(알배기) 참조기 특화생산 기술개발을 위해, 대형개체 생산을 위한 연중(다회)
종자생산기술 및 고비율 암컷 유도기술(수온 및 천연물 복합처리)을 확보하고, 생산성 저하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넙치 양식장을 활용한 시험양식을 실시하여, 성장이 빠르고 암컷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 100g 이상 참조기 비율 75%(자연산 약 5%) / 암컷 비율 약 90%(자연산 약 50%)
특화생산 참조기(약 15cm, 40g) 일반생산 참조기(약 12cm, 15g)
[그림 3-57] 부화 150일령의 특화생산 및 일반생산 참조기
∙323∙
2) 첨단・융합 기술개발
가) 스마트 수산양식 기술개발
디지털 정보기반 넙치 스마트육종 실용화 기술개발을 위해 ‘넙치 고효율 60K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염기 다형성) chip을 개발하여 효용성을 80.81%에서 92.95%
까지 개선하고 참조집단 유전자형 디지털 정보 총 10,864개체 정보를 생산・등록하였다. 이를 통해
넙치 유전체 정보활용 후대생산 및 참조집단(고수온 내성, 저어분 적응)을 구축하였다.
나) 수산생명자원 활용 기술개발
고부가가치 기능성 수산바이오 산업소재 개발 및 산업화의 대표성과는 ‘양식 넙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수산용 프로바이오틱스 개발’이다. 넙치 장내 미생물균주 확보(3,000여
점) 및 유용균주 선별을 통해 선별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첨가사료 3종을 개발하고(체중 증가
및 폐사율 감소),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해 제품을 출시하였다.
다) 산업계 현장수요(정어리 대량발생 및 집단폐사 대응) 맞춤형 가공기술 개발
지난 22년간 어획 수준이 낮았던 정어리의 연안 유입량이 급증*하면서, 집단폐사로 인한 악취
및 사후처리에 대한 대응기술 개발이 시급함에 따라, 급증한 정어리 어획물을 활용한 고품질
정어리 통조림(2종) 및 펫푸드 가공기술(3종)을 개발하고, 정어리 폐사체를 활용한 어류 곤충
사료(동애등에)의 먹이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단미사료 가공기술(4종)을 개발하였다.
* (’00) 288 → (’10) 3,315 → (’22) 12,030 → (’23) 33,287톤
넙치 고효율 60K SNP chip 프로바이오틱스 첨가사료 시제품 정어리 활용 동물사료
[그림 3-58] 스마트 양식 관련 기술
∙324∙
3) 기후변화 연구・현장대응 기술개발
가) 국내 최초, 동해로 유입되는 해류 세기 정보의 생산 및 제공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해류(대마난류, 동한난류)의 세기는 이전까지 일본자료에
의존하여 수개월의 시간차 발생 후 확보되는 정보였으나, 본 연구개발을 통해 30년(1991~
2020) 평균대비 최근 5년간의 변동성을 도식화하여 기관 누리집을 통해 제공가능하게 되었다.
이 연구성과는 우리나라 동해의 수산자원 변동 파악 및 고수온 등 수산피해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나) 세계 최초, 천연물 기반 수산용 구충제 개발 및 산업화
양식 넙치에 큰 피해를 입히는 스쿠티카병(기생충성 질병의 일종)은 높은 폐사율과 치료제
(포르말린 등)의 안전성 문제로 안전하고 효능 높은 천연물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질병
이다. 이에 천연 후보물질 29종을 대상으로 항기생충 효능과 세포독성(안전성)을 분석하여
‘추목피(가래나무 껍질)’를 선정하여 수산용 구충제로 개발하였다(약욕 및 경구투여에 의한
상대생존율은 60~80%). 약욕투여 3일 후부터 체표궤양이 호전되어 7일 후에는 상처 흔적만
남을 정도로 효과가 뛰어나고, 기존 구충제와 달리 경구 투여가 가능해 지면서 중증감염
(기생충이 뇌조직에 침투)이 넙치에도 효과를 보이는 점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기술은
제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조기 산업화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현재 의약품 품목허가를
추진 중에 있다.
해류 모식도와 세기 천연물 수산용 구충제 투여 및 효능검증 모식도
[그림 3-59] 기후변화 및 현장대응 연구성과
∙325∙
다. 향후 계획
해양수산부는 ①기술혁신, ②난제해결 및 ③산업・연구진흥을 중심 R&D 사업을 추진할 계획
이다. ①기술혁신을 위해 4차 산업혁명 대응을 넘어 기술 패권경쟁, 탄소중립 등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디지털 대전환, 초격차 기술 확보에 집중하며, ②난제해결을 위해 국민 생활안전
대응과 함께 고령화, 경기침체 등 사회・경제 문제, 기후위기 문제, 공급망 안전 등에 국가
생존력 확보에 힘쓰며, 마지막으로 ③산업・연구진흥을 위해 산・학・연 기관들과 지역의 기술
개발 역량을 결집하고 협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에 대한 점검 및 보완결과에
따라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여 해양수산 R&D 투자 효율성 제고 및 국정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326∙
제6장 국방/안보
제1절 국방
1. 국방 기본계획
가. 개요
첨단과학기술의 도입이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국방부는 제2창군
수준의 국방혁신 4.0을 통해 AI 과학기술강군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국방
분야에서 과학기술 관련 유일한 중・장기 계획문서인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국방과학기술 발전에 관한 중・장기 목표와 정책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국방과학기술과 국가
과학기술의 상호 유기적 발전을 위한 국방부 차원의 정책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10대
분야의 국방전략기술을 선정하여 중점 연구개발 분야 및 집중투자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수립
국방부는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국방과학기술
중・장기 정책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매 5년마다 향후 15년을 대상기간으로 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작성하여, 「방위사업법」 제9조에 따른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의
심의 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거쳐 공표한다.
국방부는 「’19 ~ ’33 국방과학기술진흥 정책서」 수립 ( ’19. 7월 ) 이후 4년간의 기술발전 추세,
주요정책 및 안보환경 등 국내・외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23 ~ ’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작성하였다.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은 국방의 목표를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뒷받침하는 기본서로,
∙327∙
국방부가 수립하는 「국방전략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립하는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상위
지침으로 둔다. 이를 통해 「국방전략서」가 제시한 국방정책 기조 및 분야별 정책 구현을 위한
중・장기 목표와 정책 기본방향뿐만 아니라, 국방과학기술과 국가과학기술의 유기적 발전을
위한 국방부 차원의 정책 방침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은 국방과학
기술에 관한 최상위 문서로 하위문서에 정책적 지침을 제공하며, 방위사업청이 매년 작성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 시행계획」과 「국방기술기획서」의 직접적인 상위문서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림 3-60]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국방부는 「’23 ~ ’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통해 ‘미래전장을 주도할 과학기술 강군
건설’이라는 비전 및 ‘북핵 미사일 위협 및 주변국 대응을 위한 AI 첨단과학기술 기반구축’,
‘첨단기술 분야 국가적 차원의 국방연구개발 역량 확보’의 2가지 목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해 ①현존 위협 및 미래전장 대비 첨단기술 분야 집중 투자, ②혁신・개방・융합의
국방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③국방과학기술 거버넌스 재정립, ④국방과학기술
인력양성 및 인프라 강화, ⑤국방과학기술 민군협력 강화 및 국제협력 확대의 5가지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
국방부는 5가지 추진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미래전장 환경 대비 첨단기술 집중 투자, 국방
연구개발 예산 규모 확대, 개방형 국방연구개발 수행체계 정립, AI・빅데이터 중심의 개발사업을
위한 제도 개선, 국방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체계 재정립, 군 참여 범위 확대 및 군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AI를 포함한 한・미 국방과학기술협력 강화 등 총 17개의 세부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328∙
[그림 3-61]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비전과 목표
2) 국방전략기술 선정
국방부는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통해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를 선정하였다. 국방
전략기술은 국가안보 유지, 미래전장 선도, 국가과학기술융합의 관점에서 국방목표달성을 위해
전략적 투자 및 육성이 필요한 기술을 의미한다. 국방부는 전략적 중요성, 기술혁신성, 개발
시급성, 확보 가능성의 4가지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국방 및 민간 관련 기관의 검토・조정을
거쳐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0개 세부기술을 선정하였다.
이는 미래 국방을 대비하는 동시에, 국가 과학기술과의 유기적 연계를 고려해 도출된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 (’22. 10월 ) 한 인공지능, 양자 등 12대 국가전략기술과의 연계를
고려한 것이다. 국방부는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를 기준으로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에
국방연구개발 재원배분 방향 및 발전 방향을 명시하였으며, 향후 국방연구개발은 국방부가
선정한 10대 분야 및 30개 세부기술에 근거하여 추진될 예정이다.
미래전장 선도 국가 과학기술 융합 현존 위협 대응
[그림 3-62]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29∙
2. 국방 연구개발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최첨단 과학기술의 가속적인 발전 속도에 따라 전쟁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무기체계가 고도화・
정밀화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방위사업의 위상이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미래
선도자(First Mover)로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차기무기체계(Game Changer) 확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첨단무기를 우리나라가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기 위하여 선진국 수준의
첨단 핵심기술 확보와 기술경쟁력 강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위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핵심기술개발 사업과 미래도전국방기술 사업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무기체계 수요의 예측과 대응에 노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우수한 산・학・
연의 기술을 빠르게 획득・적용하기 위해 민간과 국방의 과학기술역량을 융합하는 민군기술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무기체계의 원활한 공급 및 보수를 위해 부품국산화 지원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핵심기술개발
핵심기술개발 사업은 미래 무기체계의 국내개발 또는 생산에 필요한 첨단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선진국에서 기술이전을 꺼려하는 이미 개발된 기술이나 국가안보차원에서 반드시
확보가 요구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핵심기술개발은 기술의 성숙도에 따라 기초연구,
응용연구, 시험개발 단계로 구분한다.
[그림 3-63] 기술성숙도에 따른 핵심기술의 단계별 구분
∙330∙
독자적 무기체계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기술력 확충을 위하여 2023년 핵심기술 연구개발비에
전년 대비 35.2% 증가한 1조 911억 원을 투자하는 등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예산 확대 추이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국방기술 연구개발의 핵심 토대 마련을 위한 국방 기초연구 분야의 집단연구센터인
특화연구센터(국방수직이착륙기, 국방 양자 컴퓨팅&센싱) 2개소를 신설하였다.
국방수직이착륙기 특화연구센터 개소 국방 양자 컴퓨팅&센싱 특화연구센터 개소
[그림 3-64]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추가로, 무기체계에 적용을 목표로 하는 핵심기술 연구개발 과제 69개를 성공적으로 완료
하고 일부 과제의 성과에 대해 대국민 대상으로 홍보하였다.
2023년에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국방연구개발 수행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산・학・연과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방기술혁신협의체(정부, 육군・해군・공군, 산・
학・연으로 구성)의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국방기술기획에 참여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방과학
연구소만 참여 가능하던 국제공동기술R&D의 수행주체를 산・학・연으로 확대하여 민간 역량의
국방 참여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국방과학기술 정책에 따라 수립된 10대 국방전략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10대 국방
전략기술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핵심기술개발사업의 동 분야 투자 비중을 2022년
2,038억 원(핵심기술개발사업 예산의 26%)에서 2023년 4,044억 원(40%)로 14% 늘렸으며,
「’23∼’37 국방기술기획서」를 발간하여 71개의 무기체계를 선정하여 기술분석을 하고, 기술
확보계획을 수립하여 핵심기술 본연의 목적인 핵심기술 성과물의 무기체계 적용률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나)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
미래도전국방기술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가져올 미래 전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기술을
신속하게 반영해 신개념 무기체계 소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무기체계 소요가 결정되지 않았거나,
∙331∙
예정되지 않은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위해 도입되었다.
미래도전국방기술은 2023년 전년 대비 약 30% 증가한 3,56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국방
기술 5대강국 달성”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 전략성 보강, 2) 도전성
강화라는 큰 틀 안에서 과제기획 단계별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비전 국방기술 5대강국 달성
목표 전략성・도전성 강화를 통한 게임체인저 기술 선제 확보
추진
단계별
제도개선사항
추진방향 수립 전략성 보강 全국방정책과의 연계 강화
과제기획 및 선정 전략성 보강 하향식 기획제도 보강
과제관리 도전성 강화 연구행정 간소화
평가・제재 도전성 강화
평가・제재・면책제도 개선
우수과제 인센티브 부여
후속활용 전략성 보강
성과분석 및 활용 고도화
소요 연계방안 구체화・내실화
[그림 3-65] 미래도전국방기술 ’23년 추진방향
먼저, 미래도전국방기술의 전략성 보강을 위해 ➀기존 미래도전국방기술사업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던 8대 게임체인저 분류체계를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상의 10대 국방전략기술로
재구성하였고, ➁하향식 과제기획을 전략적 로드맵에 기반한 방향으로 보강하였다. 또한, ➂
성과분석서를 내실화하고 과제와 소요 간 연계 강화를 위한 기술전환연구를 추진하였다.
도전성 강화를 위해서는 ①연구행정에 관하여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준용하여 절차 등을
간소화하였고, ②연구자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성실수행 인정 시 제재 완화를 확대하였다.
마지막으로 ③우수과제 수행자가 후속과제 제기 시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도전적 연구개발이
연속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토대 아래서 2023년에는 우주, 유・무인복합, 대량살상무기(WMD) 대응 등 국정과제와
국방혁신4.0 등 국방정책에 부합하는 신규과제 10건을 착수하였다. 또한, 2022년 최초 종료
과제가 나온 이래로 2023년에는 인공지능, 유・무인복합, 우주 분야 등에서 7건의 과제가
성공적으로 종료되어 후속연구 및 체계개발사업으로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 민군기술협력
1999년부터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으로 시작한 민군기술협력사업은 2023년 예산이 2,284억
원으로 2,000억 원을 초과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발전하였다. 2023년에는 민군겸용기술개발
∙332∙
사업(Spin-up)에 1,585억 원, 민군기술이전사업(Spin-on & Spin-off)에 456억 원을 투자
하는 등 211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특히, 2022년부터 역점을 두고 추진해 온 ‘뉴스페이스 시대 도래에 따른 우주기술’ 확보를
위해 2023년에는 우주 관련 민군겸용기술개발과제 2개를 추가로 착수하였다.
저궤도 우주물체 광역 감시레이다 수신 데이터 처리
기술개발
2,900Wh급 저궤도 인공위성용 리튬이온 셀
및 팩 개발
[그림 3-66] 우주기술 관련 민군 겸용기술 개발과제
또한, 국방기술의 민간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간에 파급력이 높은 유망기술을 적극 발굴・
지원하는 ‘민군기술이전사업(Spin-off)’을 지속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유해가스 발생 밀폐
공간 현장작업자 보호 관련 시스템의 개발’ 등 11개 신규과제에 69억 원을 투자하였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을 통해 민과 군이 협력하여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우수한 민간기술을
국방분야에 적용하며, 국방기술의 민간 활용을 지원하는 등 향후 시너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 예산 축소에 따라, 첨단 항공엔진, 국방반도체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미흡한 기술 보완을 위해 국방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방
기술 연구개발 효율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특히, 핵심기술개발사업은 중・장기 국방과학기술 확보계획에 따라 핵심기술 사업단계별 연계
기획을 확대하고, 핵심기술의 성과분석 결과를 기획에 적극적으로 환류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하여 기술기획을 내실화할 예정이다.
∙333∙
제2절 정보보호
1. 사이버보안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생활・산업 전 분야에서 디지털전환이 급속히 확산되고, AI・클라우드・양자 등 디지털 신기술의
등장에 따라 신규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여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23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Global Risks Report 2023」에서도 ‘사이버범죄 및
불안 확산’을 글로벌 10대 리스크로 선정하였다. 또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국가 간
분쟁에서 사이버戰이 본격화되고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사이버보안이 국가안보의 핵심
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미국, EU 등 주요국들을 중심으로 ‘사이버보안’을 주요 국가안보전략 요소로 선정하고
있으며, 주변 동맹국들 간 주요 협력 분야에 ‘사이버보안’이 포함되고 있다. 미국은 「국가사이버
보안 전략(’23.3)」을 통해 공격자 행위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하고 모든 사이버 보안 역량을
총동원하여 공격의 예측과 대응력을 강화하는 공세적・능동적 방어 기술 개념을 제시하고, 글로벌
협력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도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그간의 한미 동맹을 사이버 공간까지
확장하기로 선언하고, 「한・미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23.4)」를 공동발표하였다.
우리 정부는 사이버보안을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국가전략기술육성방안, ’22.10)
하고 R&D 투자를 확대하는 등 사이버보안 기술역량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기술적・정책적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국가전략기술 사이버보안의 4대 중점 기술에 집중하고,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 안보 등 공공서비스보안 연구를 중점 추진하기 위해 정보보호 분야 메인 사업인 「정보
보호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의 내역사업 개편을 추진하였다.
기존 내역 개편 내역 핵심기술
ICT인프라・서비스 보호강화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호 기술개발
데이터・AI보안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유망신기술 및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취약점 대응 및 신산업 융합 보호
기술 개발
신산업・가상융합 보안
디지털취약점 분석・대응
융합산업 및 공공기술 역량 강화 공공 서비스 보호 강화
사이버치안, 안보 등
공공 서비스 보안
∙334∙
또한, 사이버보안 선도국・신흥국과 공동기술 개발 협력, 인력파견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보안
기술・인력・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보안국제협력기반기술개발」 내역사업을 신규로
추가하고 83.2억 원의 ’24년 신규 예산을 확보하였다.
사이버보안의 패러다임 변화, 사이버범죄/사이버안보의 위협 증가 등으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정보보호 분야 R&D 예산도 ’23년 931.65억 원
대비 22.5%가 증가한 1,141.05억 원을 ’24년 예산으로 책정하였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호 기술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는 프라이버시 강화기술(PET), 양자내성암호 등 차세대
암호 및 검증기술, AI 기반 지능형 대응기술, AI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제로
트러스트 보안 기술,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기술, 5G/6G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챗GPT의 등장으로 ’23년도 사이버보안 기술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AI를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악성코드를 생성하고, 정교한 피싱/스미싱 문자를 발송할 수 있는 등
AI 기술은 사이버 공격자들에게 강력한 공격 수단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 양자컴퓨팅 환경에서 안전하게 암호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와 국정원은
양자내성암호 전환 종합 대책이 포함된 마스터플랜을 발표함으로써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지원
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AI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Security for AI)과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 예방・대응 기술(AI for Security)에 중점을 두었다.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암호체계의 취약성 탐지・식별 및 양자내성암호로의 변환과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표성과로는 세계최고 수준의 고속화된 동형기계학습 알고리즘 및 라이브러리(HEaaN.lib)를
개발하고 해외 글로벌 업체(IBM사)와 계약 체결한 사례를 들 수 있다. 연구주관기관인 서울대
에서는 효율적인 동형 근사연산 알고리즘, 동형 암호문 변환 원천기술, 동형 재부팅 정확도
확대 알고리즘 등 동형암호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IT 업체인 IBM의 인공지능 소프트
웨어에 탑재(’22.3월)하였다. 또한, 2023년 3월 서울대에서 국제 동형암호 표준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동형암호를 ISO 표준으로 추진 중이다.
∙335∙
나) 취약점 대응 및 신산업 융합 보호 기술
디지털 취약점 및 신산업 보안 분야에서는 신산업・가상융합,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 등
디지털 전환 및 산업 융합 확산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위협대응 및 보호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은 가상융합 및 모빌리티보안, 지능형 영상보안 등 신산업・가상융합 보안,
무결성 검증, SW공급망 보안, 랜섬웨어 등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 기술 등이 있다.
솔라윈즈社 IT모니터링 툴에 백도어가 설치되어, 전 세계 주요업체 및 美 국방부, 재무부
등 정부기관까지 피해를 입고, 美 최대 송유관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로 서비스가
일시 중지되는 사태로 인해 SW 공급망 보안과 디지털 취약점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전 세계
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 스마트선박, 스마트팩토리 등 융합 산업 시장에서
글로벌 사이버보안 규제・인증이 강화되고 있어 융합보안 분야의 기술확보가 시급하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사이버보안 챌린지 사업을 통해 스마트시티 보안을 주제로 공격・방어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둔 2개 팀을 선정하였으며, 이 팀들에게 ’24년 연구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융합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및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 연구를 시작하였다. SW/HW 공급망 보안, 전기자동차
충전기 보안/선박보안/위성보안 등 융합보안은 ’24년에 연구를 시작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
하고 관련 주제로 과제를 기획하였다.
대표성과로는 국내 최초/최고 수준의 범죄 징후 감지/예측이 가능한 지능형 CCTV 기술을
들 수 있다. 세계 최초로 과거 범죄통계정보와 실시간 지능형 CCTV 영상을 연계하여 범죄예측
기술을 개발(예측률: 80%)하여 세종시, 서초구 등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 경찰 등에 연구
결과물의 적용 및 서비스화에 성공하였다. 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사람의 눈으로 식별 불가능한
범죄현장 CCTV의 차량번호판을 AI로 복원하여 사람에 의해 2~3일(복원율 70%) 소요되는
복원을 1~2분(복원율 82%)으로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다) 공공 서비스 보호 기술
공공 서비스 보호 기술은 민・군, 민・경 수요기반 R&D 추진 및 협업을 통해 사이버 안보・
치안・경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서비스 보호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가사이버보안 R&D 조정협의회」를 구성・운영하여 국방부, 대검찰청, 경찰청, 국정원 등
유관 부처 간 협의로 사이버 보안 R&D 수요 발굴 및 협업을 하고 있다. 각종 사이버범죄로 인해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환경의 변화로 사이버 치안, 사이버
안보 등 공공 서비스 보안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공격억지-선제면역-회복탄력”의 3단계 사이버보안 기술을 확보하여
능동보안 역량을 강화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 ’23년부터 국방부와
∙336∙
차세대 사이버전에 대한 개념을 연구하고, 주요 취약점 연구를 착수하였다. 수사기관과는 디지털
증거의 증명력을 높일 수 있는 인과관계 추론 및 표현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성과로는 사이버범죄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가상자산의 부정거래를 탐지・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들 수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해킹, 랜섬웨어 공격 등 불법적인 가상자산 탈취 사례가
급증하고 있지만, 불법 가상자산 추적 및 수사는 외산 솔루션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기술로 가상자산 추적기술을 확보하고, 가상자산 거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이전
및 사업화하였으며 수출액은 6.78억 원을 달성하였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사이버보안 기술의 중장기 전략로드
맵을 ’24년에 발표하고, 전략 기술별 국가임무 설정, 핵심요소기술 발굴, R&D 투자 방향 등
을 도출할 예정이다. 초거대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은 물론, SW공급망, 국가 인프라 등
신종 보안위협이 급증하고 있고, 우리 보안산업은 성장 중이지만 아직 주요국에 비해 영세하다. 사
이버 위협에 대한 사전탐지, 회복탄력성 등 전주기 역량 강화를 위해 사이버 회복탄력성을 갖춘 전
주기 능동대응력 확보를 달성하기 위해 중장기 기술개발을 지속할 예정이다.
4대 중점기술인 데이터・AI보안, 디지털 공급망 분석・대응,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신산업・
가상융합보안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의 예방・탐지 위주의 수동적인
보안에서 능동보안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공격 기만기술, 사이버 공격 추적・수사 기술, 디지털
포렌식 기술 등 능동보안 연구를 확대할 예정이다.
2. 블록체인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의 중개 기관이나 사전 신뢰가 없는 환경에서 거래 당사자 간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디지털 신산업을 촉진하는 기술이다. 분산장부 공유기술(1세대)을
시작으로 스마트 계약(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조건이 충족
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시도하는
2세대에 이어, 확장성, 보안성, 상호운용성 등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3세대로 발전 중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2021년 우리나라는 최고국(美) 대비 87.0% 수준, 정보통신
∙337∙
기획평가원, 2023)를 축소하고,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기술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이러한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형성을 촉진하고 기술력을 길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산업 진흥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2018.6.)」과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
(2020.6.)」을 수립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경제・사회에 조기 적용・확산에 노력하였다. 최근 블록
체인 기술이 메타버스와 함께 웹 3의 비전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의 하나로 각광받는
상황에서 이에 발맞춰 「블록체인 산업 진흥 전략(2022.11.)」을 발표하여 디지털 시대의 신뢰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지원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블록체인
블록체인 분야는 그간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수준이 향상 중(’19년 83.4%, ’20년
85.6%, ’21년 87.0%)이나,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기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외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원천기술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므로,
블록체인 시장의 흐름을 신속히 반영하고 국내 기업이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활용도 높은 기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전적 분야의 블록체인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기획된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이 2020년 6월 R&D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동 사업은
現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신뢰 사회 구축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①완전 탈중앙화 고성능 합의기술, ②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기술, ③분산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신원관리기술, ④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 개발 등 4대 분야 총 9개 과제를 선정하여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2021년
7월 예타 R&D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여 사업수행기관의 과제 내용을 소개하고 연구 교류 및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고,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2022년에는 1단계(’21~’22년)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탈중앙화 및 합의 비용
최적화,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동적 분석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암호화 기술, 대용량 트랜잭션
분산 저장기술 등 설계가 완성되었다. 대표성과로는 동 사업의 영지식증명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한 서비스가 CES 2023에서 블록체인 온라인 투표시스템(zkVoting)은 최고혁신상,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장이 되는 거래 서비스(Azeroth)는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2023년에는 2단계
(’23~’25년)가 시작되는 시점으로 성능 고도화 및 상용 수준 제품 개발을 추진하였다. 2년
연속으로 CES 2024에서 지케이보팅 투표소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하여 본격적인 서비스 대중화
및 해외 블록체인 투표서비스 시장에 진출 계획을 모색 중이며, HP2B 기반 블록체인 응용서비스
(HealthBit)를 통해 개인의 건강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제주자치도 연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어류 이상 탐지 모니터링 실증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였다.
∙338∙
한편, 모든 사회・경제 활동에 블록체인 기반 AI, IoT 등 기술과 융합하여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진행 중이다. 주요국(미국, EU, 중국 등)은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확보
하고 주력 산업을 고도화하려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내는 아직 블록체인과 AI,
IoT 등 융합기술과 타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화 융합기술 확보가 미흡한 상황이다. 블록
체인 분야는 2022년 블록체인 산업고도화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30억 원(신규과제
4개)을 투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 고도화를 위한 AI・IoT 등 혁신기술
융합과 블록체인을 타 사업에 적용하여 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대응하고 있다. 대표
적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상호운용성 분야는 이종 블록체인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 기술을 개발한다. IoT 분야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블록체인 노드가 되어 저사양 디바이스
에서 구동 가능한 경량 사물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AI 분야는 온체인 상에서 인공지능
작업을 요청 및 검증하고 온-오프체인 연동기술을 통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연산자원, 프레임
워크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한다. 5G 분야는 MEC(Mobile
Edge Computing) 에지 클라우드 상에서 수행하는 초저지연 블록체인 플랫폼과 저지연 5G
단말 노드 간의 고속 연합학습 및 추론을 수행하는 기술개발도 진행한다. 2023년은 40억 원
(계속과제 4개)을 지원하여 기술 및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여 유의미한 성과를 확보하였다. BIoT
플랫폼 고도화 및 IoT 연동 기술 개발을 통해 부산항, 스마트시티 실증을 모색 중이며, 국내
5G 이동통신 사업자들과의 협의체 구성으로 DFL 인프라 서비스 PoC 시연 및 실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다. 이 외 블록체인 기반의 AI Network 거대 모델을 지원하여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표준화 아이템 ITU-T 채택으로 상호운용성을 위한 분산원장
기술(DLT) 게이트웨이 보안요구사항의 표준 개발에 참여 중이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사업을 2단계(’23~’25년)를
지속 추진한다. 고성능 합의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기술, 분산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
신원관리기술, 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개발 등 4가지 전략분야에서 응용 및 실증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응용 및 실증 서비스 개발을 지속 추진하여
성과를 창출할 예정이다. 이 외 웹3 기반의 공정성, 익명성, 투명성을 보장하는 여론조사 기술
개발로 자기주권신원, 영지식증명 등의 기술개발을 통해 여론조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예정
이다. 또한, 변화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DAO, 보상체계, 콘텐츠 거래 등 웹3 생태계
변화를 촉진하는 웹3 신뢰 인프라 핵심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준비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블록체인 산업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339∙
제7장 우주/해양
제1절 우주/항공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2023년도 우주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인공위성 개발 및 활용
서비스 고도화, 우주탐사 및 우주감시,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우주산업 육성 등 6개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4,339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한국형 발사체
국내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은 2023년 5월 25일 “누리호”
3차 발사를 수행하였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료하였다. 누리호 3차 발사는 실용급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첫 발사로,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부탑재
위성인 큐브위성 7기를 목표궤도(고도 550km,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하기 위해 발사되었다.
지난 누리호 2차 발사 시 누리호의 성능검증을 위해 1개의 실험위성만을 발사한 것에 비해,
주탑재 위성을 목표궤도에 높은 정밀도로 투입하여 임무에 착수하도록 하는 진일보한 성과를
거두었다. 우리나라는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 이어 3차 발사 성공으로 누리호의 신뢰성 향상과
함께 실용급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발사할 수 있는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여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었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에서는 민간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 체계종합기업으로서 발사
준비와 발사 운용에 일부 참여하였고, 국내 300여 개 산업체가 누리호 제작에 기여하여 향후
민간주도 발사와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의미도 있다. 누리호 3차 발사
∙340∙
성공을 시작으로 앞으로 누리호 반복 발사를 3차례(4차 발사 25년, 5차 발사 26년, 6차 발사
27년) 실시하여 성능과 신뢰성을 높이고, 누리호 발사로 확보한 핵심 기술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리호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발사체를 2032년까지 개발 완료하여 지구에서 38만km 떨어져
있는 달까지 착륙선을 보낼 계획이다. 우주발사체 개발이 우주산업과 우리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누리호 반복 발사와 차세대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민간기업(체계종합기업)을
참여시켜 민간 주도의 우주경제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차세대발사체에 참여할 민간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2023년 12월 21일부터 60일간의 입찰공고를 진행 중에 있으며 2024년 2월 말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2) 인공위성개발
가) 다목적실용위성
’94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사업은 ’23년도에 6호, 7호, 7A호 위성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 중에 있다. 고성능 영상레이더 위성인 6호 위성의 경우 위성체의 총조립/시험
등을 완료하고 발사계약을 2023년 체결하고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초고해상도 광학/적외선
위성인 7호 위성의 경우 탑재체 비행모델 개발이 진행되어 우주환경모사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한반도 관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7호 위성의 성능을 개량하여 개발 중인 7A호는
위성의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 부품 제작을 수행 중에 있다.
나) 차세대중형위성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은 주관부처인 과기정통부와 다양한 활용부처(국토부, 농진청, 산림청,
환경부)가 함께 추진 중인 사업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쌓아온 위성개발 기술과 경험의
민간 이전을 통해, 국내 산업체(한국항공우주산업) 주도로 다양한 공공 수요에 대응하는 저궤도
위성을 개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된 위성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 산업체는
항우연 주관의 1호 위성 개발에 참여하면서 이전 받은 기술을 활용하여 총 4기(2・3・4・5호)의
중형위성을 개발 중이다. 국토부가 참여하는 2호 위성은 위성체의 총조립/시험 등을 완료하고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가 단독으로 개발하는 위성으로 한국형발사체 기술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 수행이
예정된 3호 위성은 2021년 개발 착수회의를 시작으로 2022년에 시스템설계, 예비설계를 완료
하고 상세설계 중이다. 또한 농진청, 산림청의 농업・산림상황 관측용 광역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할 예정인 4호 위성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 부품 제작을 수행 중이며, 환경부의
수자원 관측용 5호 위성 개발에 착수하는 등 각 위성별 개발 단계에 맞춰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 중이다.
∙341∙
다)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
미래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한 공공 위성통신서비스 제공, 해상구조 및 영해보호
역량강화 등 재난・재해 대비를 위한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위성 3호) 개발사업이
과기정통부 주관으로 다양한 활용부처(국토부, 환경부, 해경청)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21년 착수되어, ’22년 4월 시스템설계 검토회의를 거쳐 ’23년 7월 예비설계를 완료하고 현재
상세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라) 초소형위성
2020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2023년 말 현재 시제기 비행
모델 개발 완료 단계이다. 2023년 2월 인증모델 시험결과 검토회의와 시제기 제작준비 검토회의
개최, 2023년 7월 시제기 조립준비 검토회의 개최, 2023년 9월 인증모델 발사환경시험 최종
검증을 마쳤고, 2023년 12월 시제기 비행모델 기능점검 및 조립을 완료하였으며, 2024년 2월
까지 인수수준 환경시험을 마친 후 2024년 상반기에 발사할 예정이다. 지상 분야(지상국・검보정・
활용시스템 등)도 2023년 12월까지 지상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시제기 운영을 목표로
통합시험을 수행 중이다. 또한, 위성정보를 활용하는 기관들의 실제 현장 수요를 반영한 활용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위성활용워크샵을 개최(’23.7)하여, 군집위성 운영개념, 관측 영상 특성
및 위성영상 활용에 대하여 관계기관 전문가들과 공유하였으며, 안보・재난재해 대응 등 국가
활용 수요와 산업화 방안 도출을 위한 관계기관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였다.
3) 우주 탐사
우주탐사 분야에서는 2022년 12월 27일, 다누리가 달 궤도에 진입한 이후 2023년 1월 2일
부터 2월 3일까지 약 1개월에 걸친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해당 기간에 다누리는
달 임무궤도(달 상공 약 100km) 상에서 달 표면을 고해상도카메라로 촬영하였으며, 이는 우리
나라가 처음으로 달에서 촬영한 달 표면사진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달에서 본
지구의 위상변화를 관측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시운전 종료 후 본격적인 정상임무 수행에 착수한 다누리는 달 착륙 주요 후보지 촬영 및
달 표면 영상 확보(고해상도카메라), 라이너 감마 지역 등의 달 전체 편광지도 제작을 위한 달
표면 편광영상 촬영(광시야편광카메라), 토륨 및 우라늄 등의 원소지도(감마선분광기), 전자기
파동을 이용한 달 뒷면 내부구조 관측(자기장측정기), 달 궤도에서의 메시지/파일/동영상 전송
통신시험(우주인터넷탑재체) 등 다양한 과학・기술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당초 2023년까지 예정되었던 다누리 임무는 지구-달 전이과정에서 성공적인 발사・관제・
∙342∙
항행을 통해 절약한 연료를 활용해 2년이 연장되었으며, 2025년 12월 말까지 보다 풍성한
과학적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달 착륙선을 독자 개발하고, 달 표면 연착륙 실증 및 과학기술임무 수행을 통해 우주
탐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2023년 10월 국가연구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2024년부터 10년간 5,303억 원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다.
본 사업은 2031년 달 표면 연착륙 검증선 발사 및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통한 달 표면
에서의 과학임무 수행을 목표로 추진된다.
민간달착륙선 탑재체 국제공동연구사업에서는 NASA의 민간달착륙선 사업(CLPS; 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 중인 4기의 과학 탑재체 중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와 ‘달 표면 자기장 측정기(LSMAG)’의 비행모델 제작을 완료했다. ‘LUSEM
비행모델’은 미국 NASA 측으로 이송한 뒤 달 착륙 임무 담당기업과 현장시험을 마쳤으며,
향후 착륙선에 통합 조립될 예정이다. 더불어, ‘달 표토 3차원 영상 카메라(GrainCams)’와 ‘달
표면 우주방사선 측정기(LVRAD)’의 인증모델을 제작하고 상세설계검토회의(CDR; Critical
Design Review)를 마쳤다.
4)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2022년 착수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은 한반도 인근에 초정밀 위치・항법・
시각 정보 제공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다. 현재 시스템 설계 단계로, ’23년
6월 기본설계 검토회의(SDR)를 개최하여 체계 및 하위시스템(위성・지상・사용자 시스템) 기본
설계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KPS 구축 기반 확보를 위해 양・다자 간 국제협력 관계도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는
KPS-GPS 기술 작업반을 출범하여 ’23년 3월・9월에 제1・2차 회의를 실시하였다. ’23년 10월
에는 제17차 UN ICG(국제위성항법위원회) 연례회의에 참석하여 KPS 진행현황에 대해 발표
하는 등 위성항법시스템 간 공존성・상호운용성 강화 논의에 기여하고 있다.
5) 우주산업/우주핵심・원천기술개발
’23년에는 ’22년 발표된 제4차 우주개발 진흥계획의 5대 임무 목표 달성을 위한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과 「국가 중점우주기술 로드맵 3.0」 기획이 진행되었으며, ’24년 상반기 발표
예정이다.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은 우주산업의 국가 주력 산업화를 위한 R&D, 인프라
구축, 기업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국가 중점우주기술 로드맵 3.0」 발표 이후 우주 분야
∙343∙
연구개발 관리 관련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DB 구축 및 로드맵 고도화 사업이 추진된다. 또한
12대 국가핵심전략기술의 우주 부문 적용을 위한 R&D 사업도 계획 중이다.
우주 분야 주요 R&D 사업으로는 우주산업생태계 조성 및 국가전략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및 스페이스챌린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21~’30년, 총 2,115억 원)은 첨단 우주기술 국산화를 통해 국가 우주개발 역량 향상과 우주
산업 생태계 선순환 기반마련을 목적으로 현재 위성(11개)・발사체(3개) 중점기술 14개 과제를
지원 중이다. ’23년에는 항법위성용 코드/메시지 생성기 개발과 위성 탑재체 컴퓨터를 위한
ASIC 기반 멀티코어 컨트롤러 개발 등 2개 과제를 신규로 추진하였으며, ’26년에는 마이크로파
라이오미터 준광학 안테나시스템 및 저잡음수신기 및 SAR 탑재체용 디지털 빔포밍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스페이스챌린지사업」을 통해 다학제가 참여하는 창의적 우주 분야
미래선도 기술 확보를 위해 경쟁형 R&D 형태의 1개 연구주제를 도출하여 주제별 2개 과제,
총 2개 과제를 선정・지원하였고 누리호(KSLV-Ⅱ) 이후 국가 우주수송 역량의 획기적 증가를
위해 고성능 액체로켓 엔진의 설계, 제작기술 및 핵심 구성품 개발 등의 선행연구(2년, 120억
원)를 추진하여 차세대 우주발사체 개발 성공을 위한 기술확보를 지원하였다. 또한 나로우주
센터 등과 연계한 우주과학 교육・체험 시설 구축 기획 및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과제(1년, 5억)를
지원하였다.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2023년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
위원회에서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확정하였다.
동 사업은 2024년부터 2031년까지 발사체(전남), 위성(경남), 연구・인재개발(대전) 특화지구별
주요 인프라(민간 발사장・우주환경시험시설)와 거점센터 구축을 추진한다. 동 사업으로 국내
우주산업 인프라를 확보하고, 우주경제의 초석을 마련한다.
아울러, 2023년 신규사업인 ‘뉴스페이스투자지원사업’을 통해 우주기업의 기술 역량을
높이고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는 전용펀드 출자사업을 추진하였다. 우주산업 및 연관 산업에
해당하는 중소・벤처기업에 초기 사업화 자금을 집중 투자함으로써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동 사업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에
걸쳐 매년 정부자금과 민간자금을 매칭한 신규펀드를 결성하며, 올해의 경우에는 3월에 사업
공고를 하여 6월에 운용사를 선정하였으며 9월에 최종 펀드를 결성(총 100억 원, 정부자금
50억 원)하였다. 이후, 12월에 우주기업을 발굴하여 투자하는 등 활발하게 우주기업에 투자
하고 있다.
∙344∙
제2절 조선/해양
1. 조선
가. 개요
선박을 만드는 조선(造船)기술은 다종 다양한 기자재를 포함해 선박의 설계, 생산, 운영, 유지・
보수에 적용되는 지식 기반형 종합엔지니어링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 본격적으로
세계 조선시장에 진출하여 유럽, 일본 등 조선 선진 국가에 비해 짧은 기간에 세계 1위 조선
강국으로 도약하였다. 또한, 조선산업은 기술 인력과 기능 인력 등 전문인력을 포함한 고용창출
효과가 크고 방산・철강・해운 등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는 물론 기술 파급효과가 크며 수출
기여도가 높은 대표적인 주력산업이다.
2000년 이후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해 오고 있는 국내 조선・해양산업에 중국의 추격 심화,
일본・유럽의 미래 기술 선점 노력 등은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기반 확보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기술・기능 인력의 부족, 구조조정에 따른 조선해양산업 체력 저하, 고숙련 인력의
퇴직 등의 이슈도 현재 신규 전문 기술인력의 현장 진입을 저해하면서 향후 선박 생산능력 및
경쟁력 제고에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조선해양 산업의 지속적인 국가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 추진
과제는 2020년 12월 2030 친환경선박 추진전략, 2021년 9월 K-조선 재도약 전략, 2022년 10월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 전략, 2023년 11월 K-조선 차세대 선도전략을 통해 발표된 바 있다.
최근에는 회복세를 보이는 조선산업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는 시황개선 및 친환경・
디지털 전환의 기회요인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인력부족 등 위협요인에는 선제적으로 대응
하면서 한국 조선산업의 시장・기술 초격차 경쟁력을 실현해나가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나. 연구개발 동향
1) 해외동향
2023년 7월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선박에서 기인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존 초기전략인 50%에서 100%로 도전적으로 상향
했다. 또한 선박 연료의 전주기 평가에 대한 지침(LCA)도 채택하였다. 온실가스 감축 이행을
위한 중기 조치는 2024년 가을 종합영향평가 최종보고서 제출 이후 2025년 가을에 채택될
예정이며 채택 시 16개월 이후 발효 예정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또한 2023년 1월부터는
∙345∙
새로 건조되는 선박뿐만 아니라 기존에 운항하던 선박까지도 에너지효율지수(EEXI)와 선박운항
탄소집약도지수(CII)의 규제를 도입하여 해양 온실가스 감축 유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노르웨이, 독일과 영국 등 북유럽 국가의 선급과 엔진 기술회사 및 연구기관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LNG 연료추진 선박에서,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 다양한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과 수소연료전지(SOFC, PEMFC 등) 및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복합적으로 사용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신뢰성・안전성 실증 평가기술로
연구를 확대하는 추세이다.
특히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암모니아 내연기관의 경우 유럽의 엔진 기술회사는 ’23년 선박용
2행정 엔진의 연소 시험을 성공한 바 있으며, ’24년 초 엔진개발을 마무리하고 당해 말까지
암모니아 이중연료 엔진을 납품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메탄올 추진엔진의 경우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고, 국제내연기관협회 회원들이 ’45년 선박용 연료 선호도에서 가장 지지받고 있지만
연소 결과물로 탄소를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전환하는 합성연료(e-Fuel) 기술과 결합하여 무탄소 연료로 인정받기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선박 운항의 경제성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율운항선박 등 스마트 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지능, 빅데이터, 선박설계, 원격조종, 자율운항 등의 기술을 단계적
으로 확보하여 자율운항선박 기술의 기술적, 법・제도적,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자율운항
선박을 둘러싼 행정적 지원, 선박의 안전성과 자동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다. 관련
프로젝트로는 EU의 ‘MUNIN, EfficienSea’, 노르웨이의 ‘AUTOSEA, Milli-Ampere, ReVolt’,
핀란드의 ‘AAWA, ONE SEA’, 중국의 ‘Green-Dolphin’, 일본의 ‘MMS, SSAP’ 등이 경쟁적
으로 추진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기 위해서는 위치정보에 대한 신뢰성
강화와 사이버 보안 강화 등 추가로 해결해야 한다. 위치정보 파악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기술은 GPS와 GNSS로 단순 재밍 수준에서 지능화된 기만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는
전파교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m 이하의 정확도를 갖춘 강건한 백업 항법시스템의 탑재를
권고하고 있다. 또한 선육 간의 통신 기반의 항법 시스템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율운항
선박의 해킹으로 인한 선박 나포, 테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 해사안전
위원회(MSC)에서 2024년 12월 선박 사이버 보안에 대한 강제코드 개발을 착수(MASS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할 예정이며, 2025년 상반기 중 코드 개발 완료 및
2026년 채택을 수행할 예정이며, 채택된 코드는 ’28년 발효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조선산업은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디지털・자동화 공정 도입으로 제조산업
∙346∙
혁신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설계 자동화와 생산 자동화, 생산관리 시스템 기술개발을 진행
하고 있다.
조선산업에서 설계는 영업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생산설계로 분류되며, 상세설계는 선체
설계와 의장설계로 구분이 된다. 전통적인 선박의 경우 상세설계 단계까지 생성되는 도면의
종류는 370종 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친환경선박, 자율운항선박 등 미래 선박의
경우 탑재 장비 등이 복잡하게 되어, 도면의 종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SIEMENS(독일), AVEVA(영국), HEXAGON(스웨덴), Aspentech(미국), Bentley
(미국) 등 글로벌 선진기업들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설계 소프트웨어에 디지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선박 설계 단계에서 자동화, 협업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한 선박 설계에
적용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생산자동화는 국외 기업의 경우에도 용접공정을 제외한 배재, 취부, 검사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나 부재의 용접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Inrotech(덴마크)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부재를 스캐닝하고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플로어 자동 용접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Pema(핀란드)는 4대의 겐트리 로봇을
통해 용접 작업자가 작업을 지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Kranendonk(네덜란드)는 프로파일
절단 및 패널용접, 파이프 공정에 이르는 프로세스 체인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생산자동화 시스템 적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난퉁중위안촨치선박그룹
(NACKS)은 중국 최초의 지능형 조선소로 선박 건조 공정 로봇 공정으로 전환하고 있다.
2) 국내동향
가) 친환경선박 기술
정부(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는 2020년 해양환경 규제 및 친환경 선박 新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20.1.)
하였다. 친환경선박 개발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 7월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
발통합사업단’이 출범하였고, 2022년부터 2031년까지 10년간 국비 1,783억 원을 포함하여
총 2,540억 원 규모가 투입될 예정이다.
‘친환경선박 전주기 핵심 기술개발’ 사업은 기술개발 분야와 실증 분야으로 구성되며,
△암모니아 혼소엔진, 암모니아 엔진, 연료전지 등 저탄소・무탄소 연료 및 하이브리드 추진
선박을 포함한 친환경선박 핵심기자재 및 설계 기술개발, △전기추진 선박의 시험・평가 실증
기술 개발, △친환경 연안선박 개발・실증 및 보급기반 확보, △친환경선박 국제 대응 및 국내외
표준화, 제도 개선 등을 중점 추진한다. 본 사업을 통하여 IMO의 선박 배출 온실가스 규제에
∙347∙
대비하고, 미래선박 시장 선점을 위한 새로운 조선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음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5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IMO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비
하기 위한 중간 단계인 중간점검 지표에 대비하기 위해 저탄소 선박 기술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선박 배출 온실가스를 선박에서 바로 포집하기 위한 선박용 탄소포집처리장치 기술, 선박
엔진에서 불완전 연소 후 배출되는 메탄 후처리 기술, 중대형 현존선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위한
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추진 연료시스템 개조 기술개발 등 무탄소 선박의 도입을 위한 중간
단계 규제를 대비하기 위해 ‘조선해양산업핵심기술개발’을 통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친환경선박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소재 및 기자재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을 진행
하고 있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액체 수소 운송선박의 화물창 소재
및 기자재 적용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전기추진 선박의 전동기 개발을 위한 핵심소재인
영구자석 및 드라이브 유닛 개발, 풍력 추진 선박의 시스템 및 경량 복합재・실증 기술개발 및
시험・실증 인프라구축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친환경선박 기자재의 해외 수입이 아닌
국내 공급망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기자재 공급 및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 스마트 및 자율운항 선박 기술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 디지털전환(DX) 기술을
융합하여 선박을 조종하는 선원 없이 선박이 자체적으로 최적의 항로를 결정하고 항해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 집약된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정부(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는 산・학・연
51개 기관이 참여하는 ‘자율운항선박개발사업단’을 발족하고,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약 1,600억 원을 투입해 △지능형 항해시스템 기술개발, △기관자동화시스템 기술개발, △자율
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및 실증, △운용기술 및 표준화 기술개발 등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을 통해 개발된 지능형 항해시스템, 기관자동화시스템은 2023년 진수한 자율운항선박
시험선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검증을 진행 중이며, 2024년 인도 예정인 1,800TEU급의
한・중・일 정기항로 컨테이너선에 탑재되어 실운항을 통한 시스템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친환경선박과 더불어 자율운항선박도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정부는 노력 중이다. 우리
나라는 표준 선점을 위해 국제해사기구 컨퍼런스를 진행하는 등 국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해사기구의 비강제 자율운항선박코드(MASS) 개발에서도 수십 건의
문서를 제안하는 등 코드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은 기존 조선해운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탈피하여 ICT융합기술과의 연계를
∙348∙
통한 기술 수준 향상, 표준화 선도,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한 산업으로, 시장 선점을
통해 우리나라 조선해운산업 재도약을 이끌어갈 미래선박의 한 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다) 조선산업 디지털전환
최근 국내 조선산업은 조선산업 불황기에 산업을 이탈하여 타 산업으로 유출된 인력의 복귀가
더뎌, 숙련 작업자의 부족으로 인한 생산 공기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통 제조업으로
인식되어 새로운 생산・기술인력의 유입 또한 기피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조선소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자동화,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등 다양한 응용 기술 연구를 통해 조선소의
스마트화를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예로 세계 최대 조선사인 HD현대중공업은 2030년까지 스마트조선소로 전환하기
위한 FOS(Future of Shipyard)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19년 대비 생산성
30% 향상, 공기 30% 개선, 낭비 제로(Zero)등을 달성하여 초격차 우위 확보를 계획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선박 생산 공정 중 마킹, 절단, 용접, 도장 및 전처리, 의장 작업 등에 20여 종의
100여 대 자동화 생산 장비를 개발하여 적용을 시도하고 있으며, 삼성중공업은 선박 소조립,
대조립 공정 분야에 6축 다관절 로봇을 적용하여 용접 자동화율을 68% 수준으로 향상하고,
수작업 대비 50% 이상 생산성 증대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내 대형조선소에 비해 중견・중소 조선소는 인력, 자본력 등의 한계로 후발국과의
기술격차 감소에 따른 수주경쟁력의 악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소형
조선소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통해 선박건조 공정 스마트화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선박의 설계자동화 기술개발을 위해 ‘선박해양 의장설계 디지털전환 기술개발’ 사업을 2023년
시작하여 인력이 많이 필요한 선박해양 배관 및 철의장 기본/상세설계의 디지털전환 기술을
개발 중이다. 동 사업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국비 총 23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선박 소부재의 자동 생산을 위해서는 ‘선박 소부재생산 지능화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2023년
시작하여 2026년까지 4년간 국비 총 25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동 사업은 선박의 소형
블록 생산을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배재・취부・용접・검사에 이르는
소부재 생산 전과정을 디지털 기반의 생산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동 사업들의 개발이
성공 시, 국내 조선산업의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비용 절감으로 국내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49∙
다. 향후 전망
조선산업은 수출・제조업 고용의 약 3%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이자, 국내 해운산업
발주량의 90%를 공급하며(2022년 기준), 철강산업 후판 생산량의 50%를 소화하는 전・후방
산업과 상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국가 전략산업이다. 현재 국내 조선산업은 과거 불황을
딛고 전 세계 고부가 선박의 60%, 친환경 선박의 41%를 수주(2023년 기준)하며 세계 조선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안전과 환경 관련 국제규제가 단계적으로 강화되고,
온실가스저감 효과가 높은 대체연료 사용이 확대되는 등 연료체계의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우리의 주력 선종인 고부가・저탄소 선박에서 경쟁국과의 기술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미래 초격차 기술 확보, 생산・기술인력 확보, 중소 조선사・기자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조선업계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압도적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선산업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생산시스템 혁신을 달성해야 하고, 친환경연료 및 디지털기술 기반의 친환경 및
스마트 선박 등 미래선박 시장의 주요 선종 및 기술에 대한 기술경쟁력 확보의 전략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부가가치 측면에서 조선해양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형
선박과 기자재 분야의 기술력강화 및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매진해야 한다. 또한,
친환경 선박과 불가분의 관계인 자율운항선박 등 스마트 선박과 운영서비스 분야도 기술역량
고도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조선해양산업이 더 이상 노동집약적 기계제조업이 아닌 ICT 기반의 제품서비스 융합산업으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는 점을 고려하여, 산・학・연・관 등 산업생태계 주체별 분업체계를 구축하여
원천, 응용 및 실용화 기술의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민간의 노력과 함께 정부에서는 2028년까지 총 7,100억 원의 예산을 집중투입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에 의해 민간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 및 제조
시스템 고도화를 달성할 예정이다.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을 위해서는 ‘탄소 저감 미래선박 기술
포트폴리오 확보’ 및 ‘자율운항선박 세계 선도기술 확보’, ‘핵심 기술인재 양성 및 해외 기술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며, ‘제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조선소 디지털전환(DX)・스마트화를
통한 현장 생산성 제고’를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를 추진하기 위한 근거 마련을 위해 차세대
조선산업법 등 법・제도 정비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저탄소에서
무탄소로, 자동화를 넘어 자율화로 전환되는 기술의 패러다임을 선제적으로 선박에 적용하기 위한
민관 노력이 결실을 맺어 글로벌 조선해양산업의 초격차 경쟁력이 지속 유지되길 기대한다.
∙350∙
2. 해양
가. 연구 개발사업 추진 현황 및 주요 성과
1) 개요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해상교통물류체계 구축, 해양영토 수호 및 지속가능한 해양 관리,
풍요로운 어촌・활기찬 해양을 국정과제로 정하고 해양 신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자
추진 중에 있다. 또한 국가과학기술 정책방향 7대 분야에 해양, 친환경선박, 디지털 양식 등
핵심기술이 반영되었다. 해외 주요국들도 해양산업을 경제성장의 원천으로 인식해 관련 산업의
성장을 추구하고 코로나 이후 성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은 14대 분야 국가과학
기술에 해양을 포함시키고, 해양탐사, 도면제작, 배타적경제수역 관리 등에 집중 투자 중에 있다.
미국은 대서양 지역의 해상풍력 발전을 촉진하고, 공급망 강화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30년까지 30GW 해상풍력 배치를 위한 안정적인 공급방안 제공을 목표로 한 대서양지역
해상풍력 송전시스템 개발 실행계획을 발표(’23)했다. 중국은 “칭다오시 해양인재 집성 행동
계획(’23)”을 기반으로 해양과학기술 및 해양연구 인력 집성지인 칭다오의 위상을 강화하여
해양인재 메카로 조성하고자 하며 해양인재 60만 명, 과학기술최고인재와 혁신단 100명, 청년
과학기술 인재 500명 집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일본은 종합적인 해양안보와 지속
가능한 해양구축(탄소저감)을 중점 추진사항으로 “제3차 해양기본계획”을 수립(’23)하였으며,
EU는 민관 협력형 R&D로 국제표준선도와 스마트항만을 통해 항만물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타 노르웨이에서는 Green Voyage 2050 프로젝트 추진, 싱가포르는 완전
자동화 항만 구축(∼’40) 등 항만물류 분야 디지털・그린 대전환을 위해 지속 투자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에 근거,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2017~2022) 이후 향후 5년간의 해양수산 R&D 분야 중점기술 개발전략,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 투자방향, 인력양성 등을 포괄하는 법정계획인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기본계획
(’23~’27)을 수립하였다. 2023년은 제2차 기본계획 “오션디지털・탄소중립 대전환”,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민간성장 동력강화”, “해양강국 R&D생태계 조성” 등 4대전략에
따른 해양 연구개발 분야의 투자를 본격화하는 한해였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2023년도 해양수산부의 해양(극지포함) 분야 정부 R&D 투자액은 6,381억 원으로 2022년도
투자액 5,954억 원 대비 427억 원이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8%이며, 정부
∙351∙
전체 R&D 투자액 대비 2.1% 수준에 해당한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선진국의 전체 R&D 예산
대비 해양수산 R&D 예산 비중이 5.1~11.4%인 수준10)(’20년 기준)임을 고려하면, 지속적인
해양수산 R&D 투자 규모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표 3-22> 해양 R&D 연도별 투자동향
(단위 : 억원,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해양 R&D 4,370 4,873 5,292 5,954 6,381
정부 R&D 205,328 242,195 274,005 297,770 306,574
해양 R&D 예산 비중 2.1 2.0 1.9 2.0 2.1
해양연구개발사업(극지포함)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관리하는 공모형 사업과 한국해양
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의 기관 지원을 위한 연구기관 지원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공모형 사업은 해양 R&D의 61.8%인 4,075억 원이 투자
되었으며, 연구기관 지원사업은 36.1%인 2,306억 원이 투자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분야의 경우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KPS) 개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등 탄소저감・디지털
전환을 위한 1,987억 원(31.1%)을 투자하였으며, 해양바이오, 헬스케어 등 고령화와 산업인력
감소에 대응하는 한편, 국민들의 해양안전 향상, 미래 해양자원 확보 추진을 위해 1,745억 원
(27.3%), 창업부터 유니콘까지 완결형 벤처생태계를 구현하고, 공공연 및 지역・국제기구를
포함하는 연구 협력체계 구축 등 “민간 성장 동력 강화” 분야에 310억 원(4.9%), 해양수산
R&D의 질적 성장 체제로 전환, 데이터・인프라 공유체계 확립 등 R&D 생태계 조성, 성장단계별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에 2,306억 원(0.5%)을 투자하였다.
<표 3-23> 해양 R&D(극지포함) 분야별 투자비중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2023년
투자액 비중 투자액 비중
공모형
R&D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1,644 28.9 1,987 31.1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1,358 23.9 1,745 27.3
민간 성장 동력 강화 260 4.6 310 4.9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29 0.5 33 0.5
연구기관 지원 등 2,391 42.1 2,306 36.1
합 계 56.8 63.8
10) 주요국 해양수산 R&D 투자동향 분석연구(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3)
∙352∙
2023년 공모형 해양 R&D는 총 80개 세부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분야에 11개 신규사업,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분야에 7개 신규사업 등 총 18개
신규 세부사업이 추진되었다.
<표 3-24> 2023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총계 5,434 5,931
1.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1,644 1,946
무인항공기 기반 해양안전 및 수산생태계 관리 기술 33 -
LNG 벙커링 핵심기술 개발 및 체계 구축 31 -
조류발전 청정재생에너지 시스템 개발 21 -
해양청정에너지기술개발 41 40
스마트 자동화 항만 상용화 기술개발 4 5
선박배출 미세먼지 통합저감 기술개발 48 19
대규모 CCS 통합실증 기반 구축(다부처) 41 21
수소선박안전기준개발 51 51
전기추진 차도선 및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개발 22 19
해양PNT고도화기술개발 58 33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127 101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개발 및 실증 91 79
선체부착생물 처리기술 개발 50 50
스마트 항로표지 및 연계기술 개발 73 75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56 63
해상디지털 통합활용연계 기술개발 61 51
해양플랜트 친환경 해체 실용화 기술개발(다부처) 186 9
해양 기후변화 진단 및 장기전망 연구 24 32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68 113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 조성 기술개발 58 112
중소선박 보급형 온실가스 등 저감장치 개발 34 47
해양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생산기술개발 31 65
내항선박 연료전환 및 효율향상 기술개발 44 42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다부처) 24 24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135 368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운송시스템 개발 및 실증 22 91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19 36
수출입 물류 항만-내륙연계 기술개발 52 81
항만 하역장비 자동화 시스템 기술개발 63 64
컨테이너 스마트화 및 자동통합검색 기술개발 78 69
∙353∙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신규)LNG 벙커링 동시작업 기술개발 - 9
(신규)갯벌공간 정보변화 모니터링 기술개발 - 18
(신규)순환적응형 연안침식관리 기술개발 - 20
(신규)스마트 선박 용수로정보 표준개발 - 20
(신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파력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 20
(신규)해양 디지털 항로 실증기술개발 - 12
(신규)국제표준 기반 지상파-위성 통합VDES체계 기술개발 - 13
(신규)암호화 사이버위협 대응기술 연구개발 및 실증 - 20
(신규)선박배출 온실가스(GHG) 통합관리 기술개발 - 20
(신규)해양CCS 중규모 실증을 위한 해양환경평가・감시체계 및 기반기술개발 - 30
(신규)용융염원자로(MSR) 혁신기술개발 - 4
2.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1,211 1,218
해양과학조사 및 예보기술개발 116 -
안전한 항만 구축 및 관리기술 개발 71 -
해양수산환경 기술개발 46 21
극지 및 대양과학 연구 102 60
해양 장비연구 성과활용 촉진 72 45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83 64
ICT 기반 항만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 53 36
해양위험유해물질(HNS) 배출 등 관리기술개발 40 76
스마트 해양조사 및 정보 활용 기술개발 78 83
EEZ관심해역 및 해양과학 탐사기술개발 94 73
관할해역 첨단 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융합연구 53 41
심해저 광물자원 기술개발 38 39
과학기술 기반 해양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 65 58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반응・변화연구 26 35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 32 64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대응 및 관리 기술개발 73 87
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 개발 38 44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친환경 선박 개발 및 실증 18 21
해저공간 창출 및 활용 기술개발 33 41
해양레저장비 및 안전기술 개발 20 40
천리안 2B호 산출물 정확도 향상 연구 34 63
머신러닝 기반 해저면 특성 분류 기술개발 23 45
(신규)기후변화 예측력 향상을 위한 대양 연구 - 55
(신규)고품질 준실시간 해양 그리드 데이터서비스 체계개발 - 17
(신규)쿠로시오 해류로 인한 한반도 해양위기 대응기술개발 - 21
(신규)해양 무인시스템 실증시험・평가 기술개발 - 20
∙354∙
* 극지개발 분야 공모형 R&D 사업 제외
나) 주요 연구성과
2023년도 해양R&D의 SCI 논문 연구성과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혁신법 시행, 기술료
감면 연계 청년채용 시행 등으로 기술이전, 기술료 및 사업화 실적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3-25>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단위 : 건, 백만 원)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SIC 논문 628 670 737 753 786
기술이전 계약 148 114 97 130 120
기술료 3,482 1,986 1,955 1,625 1,954
※ 해양수산 R&D 중 공모형 R&D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종료사업 포함), 2023년 성과는 예측치
2023년 해양 분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 2건의 성과가 선정되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의 주성분인 이타콘산의 효율적인 생산공정 구축으로 석유화학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개발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술용
봉합사가 필요없는 새로운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을 통해 신경봉합과 조직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의료산업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기술은 현재 제품개발을 통해 현실화를 앞두고 있다.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신규)해저 활성단층 특성 규명 연구 - 10
(신규)해양 방사능 오염사고 대비 신속탐지・예측기술 개발 - 28
(신규)4대강 물길복원에 따른 연안 하구역 환경, 생태계 모니터링 및 활용 기술 개발 - 14
3. 민간 성장 동력 강화 260 310
해양산업 수요기반 기술개발 55 -
해양수산산업 핵심 기자재 국산화 및 표준화 기술개발 86 105
해양수산 기술창업 Scale-up 70 99
해양수산 신산업 기술사업화 지원 49 106
4.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29 33
정책연구개발 9 9
해양수산 과학기술 국제협력 고도화 기술개발 20 24
5. 연구기관 지원 2,391 2,48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운영지원 855 830
극지연구소 운영지원 894 942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운영지원 400 457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운영지원・기획평가관리비 241 255
∙355∙
바이오플라스틱 원료인 이타콘산 전구체 생산 홍합접착단백질을 활용한 의료 접착제
[그림 3-67] 해양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분야별 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주요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션디지털・친환경
대전환” 분야에서는 액화수소 기반 레저어선의 설계 AIP 인증(KR선급)을 획득하였으며, 액화
수소 운송선 화물창 설계기술 개발 및 수소 확산 및 폭발 특성 분석에 대한 IMO 의제문서
개발을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에 기여했다. 그리고 세계 최대 규모인 30MW급 전기
추진선박 시험평가 설비의 시험평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구축 공사에 착수했으며 세계 최초・
최대 규모 해양바이오수소 실증플랜트 연속운전으로 수소 대량생산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편,
항만-선박 운영 최적화를 위한 입출항 시나리오, 디지털포트 시뮬레이션, 항만-선박 운영 최적화
등 서비스 시나리오 설계・개발과 표준 성능평가 및 인증체계 가이드라인 개발 등의 성과를
창출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친환경선박 전환율 15% 달성, 항만 자동화 운영시스템 운영
으로 2만5천TEU급 선박처리시간을 24시간 내 완료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두 번째 전략인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분야의 성과는 인도양 중앙해령 수심
2,000m 해저산 시험 시추, 서태평양 고코발트 망간각 실해역 탐사 투입으로 해저산에서 총
66회 망간각 시추를 진행하고 63개 코어시료 획득을 완료하였다. 해양방사능 오염사고대응을
위해 해양방사능 유출 사고 시 해양방사능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신속 분석 방법 개발 및
선상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선상 신속 분석 시스템 현장 적용을 통해 국내 방사능 유입
경로해역 모니터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육・해상기인 해양쓰레기
발생요인 및 발생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육상과 해상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해 쓰레기 수거선을
제작하고 해변의 미세플라스틱 수거를 위한 자가이동형 및 휴대형 수거장비 시제품 제작을
완료하였다.
“민간성장 동력강화” 분야에서는 기업역량 제고 및 시장창출 산업생태계 활성화 마련을
위한 해양신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실용화 성과 창출에 기여
∙356∙
하였다.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선박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을 대상으로 실증한
결과 탄소배출량 5%이상 절감에 기여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개발된 기술을 기업에
이전한 사례도 있다. 해녀 어업지원 스마트 안전시스템 시제품의 개발 및 핵심기술의 확보,
기술이전을 통한 제품 성능인증 및 현장 적용성을 확보했다. 뿐만 아니라 해수온도차 발전의
출력성능 평가를 위한 국제표준을 세계 최초로 제안함으로써 해양수산산업 기자재 표준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분야에서는 ‘해양수산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센터
(KIMST)’를 지정・운영하여 신규 과학기지, 선박, 장비운영, 기술지원 등 공동활용 지원사업
수행을 통해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글로벌 해양수산 협력과 전략적
제휴를 위해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국제이슈 과제지원, 국제해사기구(IMO) 규제강화에
따른 친환경전환관련 의제 발굴 등 국제기구 중심의 국제협력을 추진하였으며, 한・ACS해양
과학공동연구센터의 운영을 통해 해양환경 보존, 친환경 해양개발 등 해양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고 국제사회에서의 공동관심 분야에 대한 공조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이를 통해 해양
과학의 영역을 태평양과 인도양, 북극해와 남극해에서 대서양까지 확대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3) 향후 계획
2023년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3~’27)에 따라 친환경・디지털 전환 및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기술개발이 중점 추진되었다. 향후에는 국가 투자의 효율적 배분과 역량
결집을 위해 연안 광역시・도별로 특성화 기술과 신산업 과제를 발굴・지원하고 해양수산 과학
기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 10대 플래그십,
12대 국가전략기술, 17대 탄소저감기술, 정책현안・지역협업, 글로벌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공백
기술 수요를 발굴하여 해양수산 R&D 투자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3. 극지개발
가. 연구 개발사업 추진 현황 및 주요성과
1) 개요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International Arctic Science Committee)와 남극연구과학
위원회(SCAR,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는 남・북극 연구의 과학적
우선순위와 조언을 제공하는 국제기구이다. 국제북극과학위원회는 제3차 북극연구계획에 관한
∙357∙
회의(ICARP Ⅲ,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rctic Research Planning)를 통해 북극
연구의 로드맵과 우선순위를 발표하였으며, 2018-2023년 동안 국제 북극연구전략의 기본
방향을 제시해왔다. 이후 위원회의 액션그룹 활동을 통해 전략을 수정 및 업데이트하였고,
2023-2026의 3대 북국연구전략인 ‘북극연구 협력 촉진’, ‘과학활동 참여 촉진’, ‘지식교류의
보장’을 제시하였다. SCAR는 2022년 9월 제37차 총회에서 2023-2028 남극전략계획을 발표
하였다. 주요 내용으로 ‘과학적 리더십 강화’, ‘정책 입안자에게 과학적 조언 제공’, ‘데이터 접근과
샘플 공유 장려 및 촉진’ 등 향후 5년 동안 달성하고자 하는 7대 전략과 이를 위한 5개 이행
계획을 수립하였다.
국제 남・북극 연구 로드맵에 발맞추어 대한민국의 남・북극 활동 체계와 투자 계획을 마련
하는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2023~2027)과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2023~2027)이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수립되었다. 이들 기본계획은 극지 대기, 해양, 빙권,
환경변화 연구를 통해 극지 변화가 초래하는 전 지구적 영향 진단 및 예측, 신성장 동력 창출,
미답지 개척 등에 관한 주요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등 글로벌 현안 대응에 필요한
자료 확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와 한국형 내륙 연구 거점 구축・
운영에 관한 투자를 강조하고 있다. 정부 투자와 국민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대한
민국의 남・북극 진출 및 과학활동의 범위가 확대될 것이며,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
계획(2023~2027) 12대 추진과제 가운데 하나인 ‘해양・극지 개척으로 해양과학영토 확대’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극지 분야 연구개발사업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관리하는 공모형 R&D 사업과 극지
연구소 기관 지원을 위한 운영지원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도 총 연구개발사업 투자액은
155,800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42.1%가 증가하였다. 공모형 R&D 사업은 ‘오션 디지털・
친환경 대전환’과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세부사업에 반영되어 있으며, 2023년
투자규모는 61,638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206% 증가되었다.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세부사업에는 ‘급격한 남극 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지구 해수면 상승 예측기술 개발’을
위해 4,060백만 원 규모의 신규 사업이 착수되었다. 신규 사업은 최근 10년간 남극 빙상
융해가 세 배 이상 가속화되는 심각성을 반영하여, 남극 빙상 융해에 따른 재해 영향 최소화를
위한 해수면 상승 예측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세부
사업의 2023년 투자규모는 57,578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186%가 증가하였다. 2023년도
사업비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착수 2년차에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358∙
사업’의 기본설계, 선행 기반기술 개발, 선박건조 착수 등을 위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되었
다는 점이다. 극지연구소 운영지원 사업이 담긴 ‘민간 성장 동력 강화’ 세부사업의 2023년도
예산은 94,162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5.3%가 증가하였다.
<표 3-26> 2023년 극지 분야 세부사업 현황
(단위: 백만 원)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총계 109,611 155,800
1.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 4,060
(신규)급격한 남극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 지구 해수면상승 예측기술개발 - 4,060
2.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20,167 57,578
극지 해양환경 및 해저조사 연구 8,604 8,304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 이동체 시스템 기술개발(다부처) 2,713 2,207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3,350 42,190
극지 유전자원 활용기술 개발 5,500 4,877
3. 민간 성장 동력 강화 89,444 94,162
극지연구소 운영지원 89,444 94,162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에서 극지연구소의 핵심임무는 ‘기후
변화에 의한 극지 환경 변화 감시와 원인규명’, ‘극지역 온난화가 초래하는 국가・사회문제 해결’,
‘극지연구 신성장 동력 및 실용화 성과 창출’, 그리고 ‘미답지 진출 및 신연구영역 개척’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 핵심임무는 2020년 수립된 극지연구소 R&R의 4가지 상위역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극지연구소 고유기능에 부합하는 중장기 전략사업인 기관고유사업의 세부과제에
구체적인 연구 내용이 담겨져 있다.
극지연구소 기관목적사업은 4개의 세부과제와 연구정책지원사업으로 구성되며, 4개의
세부과제는 16개의 연구과제로 나뉜다. 기관목적사업의 직접비 기준 2023년도 총 연구비는
20,145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2.9%가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부과제1) 기후변화에 의한 극지환경변화 감시와 원인규명’의 과제수는
7개로 2023년도 예산은 8,759백만 원이다. ‘(세부과제2) 극지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연구와
사회문제 해결’의 과제수는 3개로 2023년도 예산은 2,400백만 원이다. 대부분의 과제 연구비가
2022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북극한반도 통합 재해기상 예측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과제의 2023년도 연구비는 2022년 대비 59.1%가 증가한 1,004백만 원이다. 이는
최근 북극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재해기상 발생의 상관관계가 발표됨에 따라 북극-한반도 통합
재해기상 예측 시스템 구축에 투자를 확대한 결과이다. ‘(세부과제3) 극지연구 신성장 동력과
실용화 성과 창출’의 과제수는 5개로 2023년도 예산은 4,225백만 원이다. 또한 ‘(세부과제4) 극지
미답지 개척 및 탐사기술 개발’의 과제수는 3개로 2023년도 예산은 3,979백만 원이다.
∙359∙
<표 3-27> 2023년 극지연구소 기관고유사업별 투자현황
(단위 : 백만 원)
세부과제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총계 20,740 20,145
합계 19,958 19,363
(세부과제1) 기후변화에 의한 극지환경변화 감시와 원인 규명 9,086 8,759
남극권 맨틀활동과 지체구조 진화 연구 1,880 1,779
과거 온난기의 서남극 빙상 후퇴 및 해양 순환 변화 연구 996 974
국제심부빙하시추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기-빙상 상호작용의 자연적・인위적 특성 규명 1,135 1,007
오로라 발생과 극지 고층대기 변동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579 565
서남극해 온난화에 따른 탄소흡수력 변동 및 생태계 반응 연구 1,882 1,936
온난화로 인한 극지 서식환경 변화와 생물 적응진화 연구 1,501 1,400
환경변화에 다른 남극 육상생물의 생리생태 반응 규명 1,113 1,098
(세부과제2) 극지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연구와 사회문제 해결 2,108 2,400
남극 기후 환경 변화 이해와 전지구 영향 평가 801 766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북극-한반도 통합 재해기상 예측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631 1,004
북극 빙권변화 정량 분석을 위한 원격탐사 연구 676 630
(세부과제3) 극지연구 신성장 동력과 실용화 성과 창출 4,469 4,225
극지 바이오신소재 상용화 구축 사업 864 810
얼음의 미세구조 특성연구를 통한 저온 정화기술 및 환경/에너지 신소재 개발 1,135 1,169
포스트 극지유전체 프로젝트 : 극지 유용유전자 발굴을 위한 기능유전체 연구 769 749
국내 학・연 극지연구진흥 프로그램(PAP) 1,201 1,057
국내 산・연 극지공동연구 프로그램(PIP) 500 440
(세부과제4) 극지 미답지 개척 및 탐사기술 개발 4,295 3,979
남극내륙 연구거점 구축과 기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빙원탐사 2,742 2,498
남극 David 빙하 빙저호 지구물리 탐사기술 및 열수시추 기술개발 936 824
고환경 및 동물 진화 연구를 통한 북그린란드 미답지 진출 617 657
합계 782 782
연구정책지원사업 782 782
나) 주요 연구성과
극지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는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등의 현안 해결을 위한 데이터
축적과 과학적・정책적 분석 결과 도출’, ‘국제 극지과학 거버넌스 내 과학외교를 통한 영향력
확보 및 국가 위상 강화’, ‘극지 자원 활용 기술 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 등이 있다.
공모형 R&D 사업을 통해 나온 대표적인 성과로는 아라온호 탐사를 통해 ‘북극해 해양생태계
에서 주변 지역 강물의 유입에 따른 북극해 어장지도가 바뀌고 있음’을 밝히거나, ‘남극 빙붕
하부로 열이 전달되는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남극 빙붕의 붕괴 원인을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360∙
‘극지방의 빙하가 녹을 경우 2050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약 3.6cm가 오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 대한민국 인천은 지구 평균보다 10% 높은 약 4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극지연구소 기관고유사업을 통해 나온 성과 가운데 2023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서
2건의 연구결과가 선정되었다. 첫 번째 성과는 ‘지구온난화 영향에도 불구하고 남극 바다 얼음이
증가하는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에너지・환경 분야의 우수 성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남극 해빙 증가의 원인을 자연 발생과 인간 활동에 의한 변화로 구분함으로써 남극 미래
예측의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성과는 ‘남극 빙하를 녹이는
바닷물의 계절변동성을 최초로 규명’하여 생명・해양 분야의 우수 성과로 선정되었다. 이는 남극해
해수 순환 변동성과 빙붕 융해과정의 이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향후 남극 빙하 사라지는 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지구온난화에 반하는 남극 바다 얼음의 증가 원인 규명
(Nature Climate Change, ’22.4월)
남극 빙하 녹이는 바닷물 계절변동성 최초 규명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2.3월)
[그림 3-68] 2023년 극지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이 외에도, ‘남극에서 꽃을 피우는 식물이 곰팡이에 감염되어 병든 사례를 세계 최초로 확인’
하여 최근 남극의 이상고온을 통해 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활성화를 추정하거나, ‘빙하가 녹아
연안으로 유입되는 담수로 인해 남극해의 탄소보관기능에 문제 발생’ 혹은 ‘남극 대기 중 극초
미세먼지가 기후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름형성과정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국제사회에 알리기도 하였다. 국내 산・연 극지공동연구 프로그램(PIP)을 통해 “다중
센서 검보정 및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공동연구기관에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극지
기술을 활용한 산업화 기반도 마련하였다. 2022년 온난화로 인해 장보고기지 앞 테라노바만
해빙이 깨지고, 해빙 활주로를 활용한 인프라 사용이 불가하여 중단되었던 남극내륙 진출루트
∙361∙
개척이 2023년 재개되었다. 그 결과로 ‘장보고기지-3대 연구거점-내륙기지 후보지’를 잇는
총 길이 2,200km의 코리안루트 개척이 완료되어, 향후 세계에서 6번째 내륙기지 건설의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3) 향후 계획
최근 극지활동에 관한 정부정책 추진의 핵심 내용은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현안에 대응
하기 위해 극지의 미지 영역을 개척하고 과학영토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제1차 극지
활동 진흥 기본계획(2023~2027)의 ‘미지의 영역 개척을 통한 미래 연구 도전’, △제5차 과학
기술기본계획(2023~2027)의 ‘우주・해양・극지 개척을 통한 과학영토 확대’, △제2차 해양수산
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의 ‘극지・대양 등 미지영역 개척’은 이러한 정책동향을
반영한다. 뿐만 아니라, 극지연구는 어느 한 국가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특수성이 있는
연구 분야로 공동의 글로벌 현안 해결을 위해 대부분의 연구가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정책 의지와 연구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가 이루어진다면,
△2050 북극활동 전략(2021)에서 제시된 ‘2050 북극 거버넌스 선도국가 도약’과 △제4차
남극 연구활동 진흥 기본계획(2022~2026)의 ‘남극 연구 10대 선도국 그룹 진입’의 비전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363∙
∙365∙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및 우수사례
제1절 주요 과학기술 통계(주요통계 및 연구시설 장비현황 포함)
1. 주요 과학기술 통계 지표
가.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원 수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연구개발
투자
총 연구개발비(억 원)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930,717 1,021,352 1,126,460
GDP대비(%) 3.98 3.99 4.29 4.52 4.63 4.80 4.91 5.21
정부・공공 : 민간・외국 25:75 24:76 23:77 21:79 21:79 23:77 24:76 23:77
정부연구개발예산(억 원) 189,361 191,492 195,018 197,483 208,531 242,558 275,072 295,138
연구원 수
연구원 수(명) 453,262 460,769 482,796 514,170 538,136 558,045 586,666 601,530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
(FTE기준, 명)
13.2 13.3 13.9 14.7 15.4 16.0 16.7 17.0
연구원 1인당 연구비(천원) 145,522 150,630 163,194 166,732 165,473 166,782 174,094 187,266
주 : 추경예산 및 수정된 기금운용계획 기준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나.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원 수 국제 비교
구 분
한국
(2022)
미국
(2021)
일본
(2021)
독일
(2021)
프랑스
(2021)
영국
(2021)
중국
(2021)
연구개발
투자
총연구개발비(억 US달러) 872.3 8,060.1 1,649.7 1,338.7 656.4 910.1 4,335.0
GDP대비(%) 5.21 3.46 3.30 3.13 2.22 2.91 2.43
연구원
수
연구원수
(FTE 기준, 천 명)
489
1,493
(’20)
705 462 334
296
(’17)
2,406
인구천명당 연구원 수
(FTE 기준, 명)
9.4
4.5
(’20)
5.6 5.5 4.9
4.5
(’17)
1.7
자료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6∙
다. 과학기술논문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인구 만명당 과학기술논문(SCI) 수(편)
(2022)
14.7 13.5 7.3 15.6 11.9 22.3 5.1
연구원(FTE) 백명당 과학기술논문(SCI) 수(편)
15.57
(’22)
35.25
(’20)
14.67
(’21)
32.85
(’21)
28.68
(’21)
50.58
(’17)
26.85
(’21)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
(2018~2022)
9.26 10.83 8.35 11.01 11.15 11.69 9.89
자료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3-9)
KISTEP,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라. 과학기술성과 국제비교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특허(2020) 삼극특허(건) 3,379 13,294 17,053 4,454 1,875 1,732 6,039
하이테크무역(2021)
수출액
(A, 억 달러)
1,717
(’20)
3,867 1,209 2,971 1,186 960 9,943
수입액
(B, 억 달러)
1,118
(’20)
6,771 1,687 2,631 1,189 1,124 8,040
무역수지비
(A/B)
1.54
(’20)
0.57 0.72 1.13 1.00 0.85 1.24
무역수지액
(억 달러)
599.5
(’20)
△2904.9 △478.5 340.1 △3.4 △164.6 1902.8
IMD평가(2023)
국가경쟁력순위 28 9 35 22 33 29 21
과학경쟁력 2 1 8 3 15 9 10
기술경쟁력 23 12 33 36 15 29 9
자료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3-9)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7∙
2. 연구개발 투자
가. 총연구개발비
1) 재원별 연구개발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8∙
2) 주요국 재원별 연구개발비 비중
주 : 중국의 비중 합계는 100.0%가 되지 않음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추이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9∙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 주요국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0∙
5) 우리나라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추이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1∙
6) 주요국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주 : 미국, 프랑스, 일본은 기타 부문이 제외되어 있어 합계가 100.0%가 되지 않음, 영국은 최근 자료갱신으로 데이터
미제공
자료 : OECD,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istics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7) 우리나라 지역별 연구개발비 추이
(단위 : 억 원)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서울 107,027 96,356 100,306 104,839 131,697 134,754 134,449 144,320 162,043 176,885
부산 9,655 11,048 12,862 12,417 14,033 15,449 15,817 16,968 17,627 20,377
대구 8,212 9,705 11,040 11,958 12,380 13,258 13,360 13,641 14,876 15,784
인천 21,328 22,829 24,996 23,895 25,482 27,613 28,459 29,366 32,270 36,029
광주 5,937 6,798 7,332 8,353 7,933 9,010 8,269 9,539 11,089 11,293
대전 59,401 63,330 66,551 72,741 76,985 79,922 77,059 88,737 94,428 103,791
울산 7,405 8,153 9,723 8,015 7,299 11,103 11,100 10,672 11,900 13,079
세종 1,881 3,925 4,887 4,685 4,837 5,171 5,941 6,115 6,534 7,513
경기 273,095 310,330 318,390 330,506 384,625 436,153 459,348 470,451 519,571 577,028
강원 3,565 3,705 4,142 3,921 4,503 4,818 5,172 5,551 6,859 7,635
충북 10,598 12,539 13,797 21,054 22,129 16,287 16,595 19,217 21,307 24,874
충남 26,282 23,238 22,837 29,801 25,614 25,878 34,752 36,651 36,330 41,164
전북 8,751 8,705 8,043 9,003 10,322 10,846 11,217 12,361 14,112 14,756
전남 6,456 7,485 5,739 5,198 5,491 6,608 7,238 7,041 8,143 9,464
경북 21,355 26,966 26,680 24,177 28,468 30,204 28,054 26,871 27,751 31,953
경남 20,749 20,620 20,948 21,937 24,537 28,625 31,895 30,898 34,080 32,555
제주 1,313 1,609 1,320 1,555 1,560 1,590 1,744 2,316 2,433 2,278
합계 593,009 637,341 659,593 694,055 787,892 857,287 890,471 930,717 1,021,352 1,126,46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2∙
8)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단위 : 억 원)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IT(정보기술) 202,612 219,391 213,099 234,879 287,317 307,329 330,158 348,158 391,210 437,861
BT(생명공학기술) 45,043 48,097 59,946 56,137 62,111 66,401 76,262 89,162 103,754 116,987
NT(나노기술) 78,193 83,587 86,609 85,499 76,201 87,377 88,185 94,129 101,368 112,952
ST(우주항공기술) 7,312 7,088 13,049 12,230 11,603 14,789 15,436 16,671 15,260 17,046
ET(환경기술) 60,359 65,577 62,271 62,777 70,009 79,636 77,641 88,952 101,260 112,180
CT(문화기술) 4,346 4,917 7,027 9,365 7,841 8,075 8,098 8,277 10,602 11,113
기타 195,145 208,683 217,592 233,169 272,810 293,680 294,691 285,368 297,899 318,321
합 계 593,009 637,341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930,717 1,021,352 1,126,46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3∙
나. 기업부문 연구개발 현황
1)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연구개발비 추이
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4∙
2)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추이
주 : 중소기업은 비벤처 중소기업을 의미(통상적인 의미에서 중소기업은 ‘중소, 벤처기업’)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주 : 중소기업은 비벤처 중소기업을 의미(통상적인 의미에서 중소기업은 ‘중소, 벤처기업’)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5∙
3) 우리나라 기업용도별 연구개발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6∙
4) 연구개발투자 세계 Top 50 기업(2022년)
순위 기업명 국가 순위 기업명 국가
1 ALPHABET 미국 26 NVIDIA 미국
2 META 미국 27 ELI LILLY 미국
3 MICROSOFT 미국 28 STELLANTIS 네덜란드
4 APPLE 미국 29 SANOFI 프랑스
5
HUAWEI INVESTMENT &
HOLDING
중국 30
CHINA STATE CONSTRUCTION
ENGINEERING
중국
6 VOLKSWAGEN 독일 31 BAYER 독일
7 SAMSUNG ELECTRONICS 한국 32 CISCO SYSTEMS 미국
8 INTEL 미국 33 HONDA MOTOR 일본
9 ROCHE 스위스 34 SAP 독일
10 JOHNSON & JOHNSON 미국 35 ABBVIE 미국
11 MERCK US 미국 36 NTT 일본
12 PFIZER 미국 37 IBM 미국
13 GENERAL MOTORS 미국 38 SIEMENS 독일
14 ASTRAZENECA 영국 39 GSK 영국
15 BRISTOL-MYERS SQUIBB 미국 40 SONY 일본
16 TOYOTA MOTOR 일본 41 BOEHRINGER SOHN 독일
17 NOVARTIS 스위스 42 TAIWAN SEMICONDUCTOR 대만
18 MERCEDES-BENZ 독일 43 SALESFORCE 미국
19 TENCENT 중국 44 ADVANCED MICRO DEVICES 미국
20 ORACLE 미국 45 GILEAD SCIENCES 미국
21 QUALCOMM 미국 46 BROADCOM 미국
22 ALIBABA GROUP HOLDING 중국 47 NOKIA 핀란드
23 ROBERT BOSCH 독일 48 TAKEDA PHARMACEUTICAL 일본
24 FORD MOTOR 미국 49 ERICSSON 스웨덴
25 BMW 독일 50 AMGEN 미국
자료 : European Commission, The 2023 EU Industrial R&D Investment Scoreboard,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7∙
다. 정부 연구개발비
1) 정부 연구개발 예산 추이
주 : 추경예산 및 수정된 기금운용계획 기준
자료 : KISTEP,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주요국 정부 연구개발 예산 비교
(단위 : 백 만 US달러,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정부R&D예산 15,660 16,852 16,743 16,497 17,243 17,950 17,894 20,551 24,046 22,853
GDP 대비 1.14 1.14 1.14 1.10 1.06 1.04 1.08 1.25 1.33 1.37
미국
정부R&D예산 109,608 112,502 115,220 126,093 127,306 144,459 149,971 169,901 161,885 169,938
GDP 대비 0.65 0.64 0.63 0.67 0.65 0.70 0.70 0.81 0.69 0.67
일본
정부R&D예산 36,987 34,464 28,730 32,786 39,729 43,215 52,590 86,167 74,529 71,454
GDP 대비 0.71 0.70 0.65 0.66 0.81 0.86 1.03 1.71 1.49 1.69
독일
정부R&D예산 33,696 33,901 29,439 31,380 34,072 37,507 38,057 42,457 47,844 45,371
GDP 대비 0.90 0.87 0.88 0.90 0.92 0.94 0.98 1.09 1.12 1.11
프랑스
정부R&D예산 19,896 19,686 15,726 15,550 16,660 18,376 18,115 19,427 20,887 18,849
GDP 대비 0.71 0.69 0.64 0.63 0.64 0.66 0.66 0.74 0.71 0.68
영국
정부R&D예산 15,611 16,747 15,515 13,953 14,098 15,767 15,540 17,955 19,293
GDP 대비 0.56 0.55 0.53 0.52 0.53 0.55 0.54 0.66 0.62
주 : 한국의 정부R&D 예산은 KISTEP 자료에 수록된 원화에 OECD(https://data.oecd.org/)에 수록된 대미환율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외 국가는 MSTI (2023-9)에 수록된 예산과 대미환율을 활용하여 산출
자료 : KISTEP,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각 연도)
그 외 국가 OECD, Main Science&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8∙
3) 우리나라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2020년-2023년)
구 분 2020년1) 2021년1) 2022년(A) 2023년(B)
증감
(B-A)
연평균
증가율
%
정부연구개발예산(A+B+C)
242,195
(242,558)
274,005
(275,072)
297,770
(295,138)
310,778 13,008 4.4
예산(A+B)
224,431
(224,494)
253,921
(254,988)
272,407
(270,066)
286,349 13,942 5.1
- 일반회계(A)
178,556
(178,935)
198,864
(199,931)
214,752
(213,721)
205,286 △9,466 △4.4
- 특별회계(B)
45,874
(45,559)
55,056
(55,056)
57,655
(56,345)
81,063 23,408 40.6
기금(C)
17,764
(18,064)
20,085
(20,085)
25,363
(25,072)
24,429 △933 △3.7
주 : 1) 괄호 안은 추경예산 및 수정된 기금운용계획 기준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4) 우리나라 부처별 정부연구개발사업 투자액 추이
(단위 : 억 원, %)
구 분 2022(A) 2023(B) 증감(B-A) 증감률(B/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92,799 96,558 3,759 4.1
산업통상자원부 53,248 54,324 1,075 2.0
방위사업청 48,310 50,823 2,513 5.2
교육부 24,331 28,804 4,473 18.4
중소벤처기업부 17,888 17,701 △188 △1.0
농촌진흥청 8,533 9,022 489 5.7
해양수산부 8,237 8,824 587 7.1
보건복지부 8,361 7,555 △805 △9.6
기획재정부 5,507 5,830 323 5.9
국토교통부 5,788 5,571 △217 △3.8
국무조정실 및 국무총리비서실 5,457 5,567 110 2.0
환경부 3,776 3,914 138 3.7
농림축산식품부 2,902 2,779 △124 △4.3
질병관리청 1,461 2,008 548 37.5
산림청 1,575 1,574 △1 △0.1
식품의약품안전처 1,340 1,405 64 4.8
문화체육관광부 1,323 1,354 31 2.3
행정안전부 1,200 1,262 62 5.2
기상청 1,236 1,224 △12 △1.0
원자력안전위원회 1,149 979 △170 △14.8
기타1) 3,348 3,701 353 10.6
합 계 297,770 310,778 100.0 13,008
자료 : 주1) 20개 부처: 국방부, 문화재청, 경찰청, 특허청, 해경청, 소방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관세청, 법무부, 조달청(’23년
신규), 대통령경호처(’23년 신규), 새만금개발청, 고용노동부, 인사혁신처, 외교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통일부,
공정거래위원회, 여성가족부, 법제처(’23년 예산 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379∙
5) 우리나라 지역 구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 비중 추이
자료 :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지역으로 구분된 것만을 대상으로 함(해외, 기타 제외)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각 연도
6) 2022년도 6T별 투자현황 및 과학기술표준분류별 투자현황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380∙
3. 연구개발 인력
가. 총 연구원
1) 연구원 수 추이
주 : FTE(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연구원 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연구개발인력 수 추이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1∙
3) 주요국 연구원 수
(단위 : 명, FTE 기준)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321,842 345,463 356,447 361,292 383,100 408,370 430,690 446,739 470,728 488,774
미국 1,188,093 1,230,471 1,252,907 1,248,221 1,300,600 1,410,842 1,435,937 1,493,075
일본 660,489 682,935 662,071 665,566 676,292 678,134 681,821 689,889 704,502
독일 354,463 351,923 387,982 399,605 419,617 433,685 450,697 450,796 461,645
프랑스 265,466 271,772 279,470 285,488 296,324 305,439 313,374 321,398 333,800
영국 267,699 276,584 285,855 291,103 295,842
중국 1,484,040 1,524,280 1,619,028 1,692,176 1,740,442 1,866,109 2,109,460 2,281,134 2,405,509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 주요국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
(단위 : 명, FTE 기준)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12.4 13.0 13.2 13.3 13.9 14.7 15.4 16.0 16.7 17.0
미국 7.6 7.8 7.9 7.8 8.0 8.6 8.7 9.2
일본 10.0 10.4 10.0 10.0 10.1 9.9 9.9 10.0 10.2
독일 8.5 8.4 9.2 9.3 9.7 10.0 10.3 10.5 10.7
프랑스 9.0 9.2 9.5 9.7 10.0 10.3 10.6 10.9 11.1
영국 8.3 8.5 8.7 8.8 8.9
중국 1.9 1.9 2.0 2.1 2.2 2.4 2.7 2.9 3.1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2∙
나.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다. 우리나라 학위별 연구원 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3∙
라. 우리나라 전공별 연구원
(단위 : 명,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이학
연구원 수 51,494 54,772 57,976 56,710 67,736 72,884 86,248 81,152 88,727 93,889
비중 13.4 12.5 12.5 12.8 12.3 14.0 14.2 16.0 14.5 15.6
공학
연구원 수 279,388 298,436 308,230 312,987 322,952 344,916 350,000 371,068 386,778 394,529
비중 68.2 68.1 68.2 68.0 67.9 66.9 67.1 65.0 66.5 65.6
의약보건학
연구원 수 23,292 23,522 24,066 26,347 27,911 29,774 31,848 33,262 35,396 36,765
비중 5.0 5.7 5.4 5.3 5.7 5.8 5.8 5.9 6.0 6.1
농업과학
연구원 수 10,102 10,662 11,045 11,378 10,423 10,991 11,051 10,853 11,361 11,388
비중 2.5 2.5 2.4 2.4 2.5 2.2 2.1 2.1 1.9 1.9
인문학
연구원 수 20,834 22,870 23,996 24,734 26,576 27,931 28,854 30,213 32,267 32,542
비중 5.1 5.1 5.2 5.3 5.4 5.5 5.4 5.4 5.4 5.4
사회과학
연구원 수 25,223 27,185 27,949 28,613 27,198 27,674 30,135 31,497 32,137 32,417
비중 6.0 6.1 6.2 6.2 6.2 5.6 5.4 5.6 5.6 5.4
총계
연구원 수 410,333 437,447 453,262 460,769 482,796 514,170 538,136 558,045 586,666 601,530
비중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 과학기술 성과
가. 논문
1) 우리나라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 및 세계 점유율
(단위 : 편, %, 순위)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논문 수 52,818 55,849 58,986 60,688 61,672 64,482 70,723 76,883 84,111 76,100
세계 점유율 3.35 3.43 3.50 3.46 3.37 3.40 3.34 3.39 3.46 3.34
세계 순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주 : 세계 점유율(%)은 세계 총 논문 수에 대한 점유율이며, 논문 1편을 여러 국가의 연구자가 공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국가별 논문 발표 수 합계는 세계 총 논문 수 보다 많음
자료 : KISTEP,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4∙
2) 주요국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 및 세계 점유율
(단위 : 편, %, 순위)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논문 발표수 52,818 55,849 58,986 60,688 61,672 64,482 70,723 76,883 84,111 76,100
세계 점유율 3.35 3.43 3.50 3.46 3.37 3.40 3.34 3.39 3.46 3.34
세계 순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미국
논문 발표수 423,457 435,012 440,416 457,604 472,711 478,446 512,813 526,361 530,857 451,249
세계 점유율 26.88 26.72 26.16 26.06 25.81 25.21 24.23 23.21 21.87 19.83
세계 순위 1 1 1 1 1 1 1 2 2 2
일본
논문 발표수 82,060 81,020 80,513 83,822 86,086 87,602 92,582 98,819 103,365 91,308
세계 점유율 5.21 4.98 4.78 4.77 4.70 4.62 4.37 4.36 4.26 4.01
세계 순위 5 5 5 5 5 5 5 7 7 7
독일
논문 발표수 109,394 112,102 114,736 120,859 124,602 126,848 136,494 142,294 151,654 131,087
세계 점유율 6.94 6.89 6.82 6.88 6.80 6.68 6.45 6.27 6.25 5.76
세계 순위 4 4 4 4 4 4 4 4 4 4
프랑스
논문 발표수 75,884 76,677 79,077 82,779 84,110 84,115 88,228 92,917 95,718 81,627
세계 점유율 4.82 4.71 4.70 4.71 4.59 4.43 4.17 4.10 3.94 3.59
세계 순위 6 6 6 6 6 6 10 10 10 10
영국
논문 발표수 126,592 126,700 134,390 142,280 149,639 152,321 167,177 173,661 178,675 150,975
세계 점유율 8.04 7.78 7.98 8.10 8.17 8.03 7.90 7.66 7.36 6.64
세계 순위 3 3 3 3 3 3 3 3 3 3
중국
논문 발표수 217,257 252,197 282,804 313,175 350,255 402,910 495,055 555,418 645,958 714,702
세계 점유율 13.79 15.49 16.80 17.83 19.13 21.23 23.39 24.49 26.61 31.41
세계 순위 2 2 2 2 2 2 2 1 1 1
주 : 세계 점유율(%)은 세계 총 논문 수에 대한 점유율이며, 논문 1편을 여러 국가의 연구자가 공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국가별 논문 발표 수 합계는 세계 총 논문 수 보다 많음
자료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 주요국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수 추이(InCites 기준)
(단위 : 회)
구분 2013-2017 2014-2018 2015-2019 2016-2020 2017-2021 2018-2022
한국 6.12 6.50 7.02 7.62 8.58 9.26
미국 8.15 8.29 8.63 9.20 10.22 10.83
일본 6.31 6.44 6.76 7.27 7.96 8.35
독일 8.54 8.73 9.08 9.60 10.48 11.01
프랑스 8.32 8.52 8.95 9.53 10.54 11.15
영국 8.26 8.54 8.99 9.68 10.84 11.69
중국 6.24 6.72 7.34 8.13 9.25 9.89
주 : 5년 주기별 논문 1편 당 피인용수는 논문 발표연도부터 5년간 누적 피인용수의 평균으로 Incites 기준
자료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5∙
4) 우리나라 주요 3대 저널 논문 발표 현황 추이
주 : 논문 유형은 Full Paper(Article + Review)만을 대상으로 제한
자료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6∙
나. 특허
1) 우리나라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 추이
자료 : 특허청, 지식재산통계연보(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주요국 PCT 출원 건수 추이
주 : 1. PCT(Patent Cooperation Treaty, 특허협력조약) : 외국에서 발명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각 국가의 법규, 절차
및 언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 나라의 제도와 절차에 따라 특허 출원 절차를 밟아야 했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국제적인 발명 보호의 간소화를 위한 목적으로 체결한 국제조약
자료 : WIPO, WIPO Statistics Database(2023.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7∙
다. 기술무역
1) 우리나라 기술무역 추이
(단위 : 백만 US달러)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기술수출 5,311 6,846 9,765 10,408 10,687 11,798 12,430 13,756 12,780 14,921
기술도입 11,052 12,038 15,540 16,409 14,842 16,476 16,292 17,876 17,098 18,692
기술무역규모 16,363 18,884 25,305 26,817 25,529 28,275 28,722 31,632 29,878 33,613
기술무역수지 △5,741 △5,193 △5,775 △6,001 △4,155 △4,678 △3,862 △4,121 △4,318 △3,772
기술무역수지비 0.48 0.57 0.63 0.63 0.72 0.72 0.76 0.77 0.75 0.8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무역통계조사 보고서(각 연도)
2) 주요국 하이테크 산업 무역수지 추이
주 : 하이테크산업은 OECD가 R&D-intensive industries로 정의한 3개 산업(Pharmaceutical/Computer, electronic
and optical/Aerospace industry)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8∙
라. 6대 등록・기탁성과
1) 국가연구개발사업 화합물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2) 국가연구개발사업 생물자원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389∙
3) 국가연구개발사업 생명정보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4) 국가연구개발사업 소프트웨어(저작권)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390∙
5) 국가연구개발사업 소프트웨어(기술상세정보) 추이(’13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6) 국가연구개발사업 신품종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391∙
마. 연구 시설・장비 구축
1) 국가연구개발사업 대비 시설・장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조사・분석 보고서
2) 최근 5년간 구축된 시설・장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 산출기준 : 최근 5년간(’18년~’22년) 국가연구개발예산으로 구축한 3천만원 이상의 국가연구시설장비를 대상으로 하였음
(국방R&D 사업의 시설・장비 제외, 불용 포함, ZEUS 등록연도 2022년 12월 31일까지 등록 기준)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조사・분석 보고서
∙392∙
바. 국제경쟁력 평가
1) IMD 평가 결과
가) 주요 국가의 국가경쟁력 순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한국 26 25 29 29 27 28 23 23 27 28
미국 1 1 3 4 1 3 10 10 10 9
일본 21 27 26 26 25 30 34 31 34 35
독일 6 10 12 13 15 17 17 15 15 22
프랑스 27 32 32 31 28 31 32 29 28 33
영국 16 19 18 19 20 23 19 18 23 29
중국 23 22 25 18 13 14 20 16 17 21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나) 주요 국가의 과학경쟁력 순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한국 6 6 8 8 7 3 3 2 3 2
미국 1 1 1 1 1 1 1 1 1 1
일본 2 2 2 2 5 6 8 8 8 8
독일 3 4 6 6 6 5 4 4 2 3
프랑스 11 13 12 13 12 12 14 14 15 15
영국 10 10 9 9 9 11 11 9 14 9
중국 7 7 5 3 2 2 10 10 9 10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다) 주요 국가의 기술경쟁력 순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한국 8 13 15 17 14 22 13 17 19 23
미국 3 3 3 6 3 6 6 5 11 12
일본 17 23 10 19 13 20 31 32 42 33
독일 15 15 16 12 16 23 25 25 33 36
프랑스 13 17 17 13 11 9 11 11 15 15
영국 18 19 11 16 12 12 15 14 18 29
중국 20 14 18 4 1 2 10 9 12 9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3∙
라) 우리나라 과학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총 연구개발투자 5 5 5 5 5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연구개발투자비 비중 1 2 2 2 2
국민 1인당 연구개발투자 9 8 9 9 8
기업 연구개발비 지출 5 5 5 5 5
GDP 대비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 2 2 2 2 2
총 연구개발인력 6 6 6 5 6
인구 천 명당 연구개발인력 5 3 3 3 4
기업 총 연구개발인력 6 5 5 5 5
인구 천 명당 기업 연구개발인력 3 3 3 3 3
인구 천 명당 R&D 연구자 2 2 1 1 1
과학기술분야 졸업자 수 비율 11 16 10 11 9
과학분야 논문 수 9 10 9 8 8
노벨상 수상 29 29 29 28 29
인구 백만 명당 노벨상 수상 29 29 29 28 29
출원인 국적별 특허 출원 수 4 4 4 4 4
인구 10만 명당 출원인 국적별 특허 출원 수 3 3 2 2 2
출원인 국적별 특허 등록 수 4 4 4 4 4
인구 10만 명당 출원인 국적별 권리유효 특허건수 4 4 4 4 3
중간-첨단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4 4 4 5 4
과학연구 관련 법률의 혁신 지원정도 34 31 30 31 32
지적재산권의 보호정도 37 38 36 37 28
산학 간의 지식 전달정도 35 30 25 30 26
종합 순위 3 3 2 3 3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마)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국내총생산(GDP) 대비 통신분야 투자 비중 46 42 44 15 23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10 10 9 11 12
1인당 월평균 이동전화 요금 57 55 57 54 56
기업의 요구에 대한 통신기술의 충족도 12 10 12 12 11
보안 인터넷 서버 수(신규) 43 43
인구 천 명당 인터넷 사용자 수 16 16 7 8 9
인구 천 명당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21 27 26 25 24
평균 인터넷 대역폭 속도 27 2 12 12 15
∙394∙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COSTII(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결과
가)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디지털 기술의 사용 용이성 26 18 33 46 48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정도 31 25 37 42 47
공공・민간부문 벤처의 기술개발 지원 정도 41 29 38 46 40
법적 환경의 기술개발과 응용 지원 정도 50 44 45 48 52
기술개발자금의 충분성 42 38 34 30 36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액 8 4 6 5 6
제조업 수출액 중 첨단기술제품 비중 19 6 7 6 6
서비스업 수출액 중 ICT 비중 28 41 41 35 37
사이버보안이 기업에서 적절히 다루어지는 정도 23 21 23 28 24
전세계 사용 컴퓨터 수 대비 점유율(삭제) 22 13 17 19 23
인구 천 명당 컴퓨터 수(삭제) 17 17 17 26
종합 순위 14 22 13 17 19
∙395∙
나) 국가별 자원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다) 국가별 활동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6∙
라) 국가별 네트워크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마) 국가별 환경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7∙
바) 국가별 성과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8∙
사. 기타 과학기술 통계
1) 에너지
가) 우리나라 전력수급 현황
주 : 1. 최대전력수요 : 일년 중 전력사용이 최대로 되는 순간의 전력수요를 의미하며 단위는 kW를 사용. 과거에는 주로
여름철 냉방기기의 가동이 많은 7월 중순∼8월 중순 15시를 전후한 낮 시간대에 발생하였으나, 2009년도부터는
겨울철에 발생
2. 발전설비 용량 : 전력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소 용량의 확보 정도를 의미하며, 단위로 kW를 사용
3. 공급능력 : 일정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최대발전가능 출력(공급능력=총설비용량-감발전력,
여기서 감발전력은 고장, 정비 등으로 발전이 불가능한 설비규모)
자료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나) 우리나라 석유수급 동향
자료 : e-나라지표(한국석유공사, 한국무역협회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9∙
다) 우리나라 1차 에너지 소비 추이
주 : 1. 본 자료의 1차 에너지는 오랜 세월동안 자연의 역학적인 절차의 반복으로 형성된 천연상태의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 수력, 원자력, 태양열, 지열 등을 말함
2. 기타에는 수력과 신재생이 포함되어 있음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월보(2023.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라) 우리나라 신재생 에너지 보급 추이
주 : 공급비중은 1차 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임
자료 :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0∙
마) 주요국 에너지 공급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 추이
자료 : OECD, Renewable energy (indicator)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우주개발예산
가) 주요국 경제사회목적별 정부연구개발예산 중 우주 분야 연구개발비 추이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1∙
나) 주요국 기업 연구개발비 대비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 바이오
가) 우리나라 바이오 산업 동향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2∙
나)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부문 인력 추이
주 : 1. 연구인력은 바이오산업 부문 연구개발 인력을 말함
2. 생산인력은 연구소 이외의 바이오산업 부문에 근무하는 생산직, 시설・품질 관리직 등을 포함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3∙
아. 경제사회지표
1) 국가별 인구(2022년)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국가별 인구 1인당 국내총생산(GDP)(2022년)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4∙
제2절 연구개발 성과 사례
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가. 2023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개요
1) 선정 과정
가) 선정 목적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과학기술 역할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있음
* 근거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7조 4항
국가 R&D과제에서 2022년에 창출된 우수성과 중 부・처・청 추천을 받은 후보 가운데 6대
기술분야별 우수성과 100선을 2023년에 선정하였음
- 6대 기술분야 :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전자, 융합, 순수기초・인프라
- 선정대상 성과 : 논문, 특허 및 지식재산권, 기술이전/사업화, 표준 등
∙405∙
나) 선정 절차
후보 추천・접수: 부・처・청이 추천한 854건 성과를 접수하고 요건을 확인하였음
기술분야별 심층평가: 선정평가위원회를 구성(100명)하여, 각 분야 후보에 대한 과학기술적
및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의 우수성을 평가하여 100선 후보를 선별하였음
성과검증: 성과(논문, 특허. 기술이전・사업화, 특수성과 등)에 대한 정밀검증을 실시하였음
공개검증・확정: 대국민 사회문제해결성과 온라인 투표 및 성과 공개검증 후 확정하였음
2) 연구개발 단계별・주체별 선정 현황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기초연구가 46건으로 가장 많이 선정되었으며, 개발연구 31건, 응용
연구는 23건이 선정되었음
연구수행 주체별로는 정부출연연구소가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학(34건), 기업(8건),
병원(3건) 순으로 선정되었음
연구개발 단계별 선정 현황 연구수행 주체별 선정 현황
3) 6대 기술분야별 선정 현황
2023년 우수성과 100선 선정 현황을 기술분야별로 보면 생명・해양분야(24건)가 가장
많이 선정되었으며, 정보・전자(21건), 기계・소재(19건) 및 에너지・환경(17건), 융합(11건),
순수기초・인프라(8건) 순으로 선정되었음
※ 선정 연도별 기술분야 구분 기준
- ’06년~’09년 : ‘연구개발’, ‘연구기반조성’ 분야로 구분
- ’10년~’14년 :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전자, 순수기초・인프라
- ’15년~’23년 :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전자, 융합, 순수기초・인프라
∙406∙
기술분야별 선정현황
연도별 기술분야 선정분포
∙407∙
나. 2023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목록(6대 기술분야별)
□ 기계・소재 : 19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한국형발사체(누리호) 개발 성공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불 타지 않는 전고체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기술 개발
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개발 및 발사 성공 김대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그래핀-액정탄성체 복합소재 개발로 인간근육 보다 17배 강한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세계 최초 구현
김상욱 한국과학기술원
5 국토교통부
세계 최고 방향성 추진시스템과 이수 순환 통합 시스템 국내・외
실증 및 사업화 성공
김영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 공정가스 공급용 극청정 강관 및 밸브 국산화 박만호 ㈜아스플로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초고해상도 대면적 양자점 패턴화 기술 개발 배완기 성균관대학교
8 산업통상자원부 능동형 자동차 칵핏 모듈 감성디자인 및 제품 개발
서은아
(현 캠시스)
㈜쎄보모빌리티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프리폼 디스플레이 및 헬스케어소자 구현을 위한
로봇암 기반 전방위 3D프린팅 기술 개발
설승권 한국전기연구원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DNA 나노소재를 이용한 세포 동결보존 기술 (3,500배 낮은
농도로 더 높은 세포 복원율 달성)
안동준 고려대학교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MS MgO, 전기차 화재 방지용 열관리 소재기술 개발 및
실용화
안철우 한국재료연구원
12 국토교통부 세계 최초 자율주행기반 대용량 굴절버스 운행제어 기술 개발 윤혁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생명체를 자연모사한 지속 가능형 저마찰/방오 표면기술
개발
이상준 포항공과대학교
14 산업통상자원부 선진 디자인 프로세스 도입 및 협동 로봇 디자인 개발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효율 고안정성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이태우 서울대학교
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체모방형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안정적 그린수소 생산 소재
개발
이형석 연세대학교
17 방위사업청
국내기술로 완성한 감시정찰체계, 중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
(MUAV) 체계 개발
정상준 국방과학연구소
18 산업통상자원부 세계 최고속 디스플레이 AOI용 자동초점 시스템 제품화 지원수 (주)앤비젼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 에너지소재에 사용 가능한 고성능 금속수소화물 제조
기술 개발
천동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408∙
□ 생명해양 : 24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초소형유전자가위기술 개발 및 기술수출 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
보건복지부
(최우수)
알츠하이머병 가속병인인자 혈액 ASM의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체신약 개발
배재성 경북대학교
3 보건복지부 생체 유래 초대 세포의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개발 곽종영 아주대학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NA의 조립에 따라 달라지는 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 규명 김기광 충남대학교
5 질병관리청 한국인 유전체정보 기반 당뇨병 고위험군 조기 진단 방법 개발 김봉조 국립보건연구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암연관 섬유아세포 억제 기반의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필요한
핵심 in vivo 플랫폼 개발
김석형 삼성서울병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도마뱀 재생의 핵심인 아체의 유사세포를 포유류에서
최초로 확인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8 해양수산부 남극 빙하 녹이는 바닷물 계절변동성 최초 규명 김태완 극지연구소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염기변환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종양 변이의 대량 기능평가
플랫폼 개발
김형범 연세대학교
10 보건복지부 알츠하이머치매의 새로운 조기진단 MR 영상마커개발 문원진 건국대학교병원
11 보건복지부
유방암에서 내유림프절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전향적
3상 임상연구
서창옥 차의과학대학교
12 산업통상자원부
줄기세포 분화 기술을 이용한 장 오가노이드 기술 및 상용화
원천 기술 개발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 영장류 질병 모델 개발 유경록 서울대학교
14 농촌진흥청
합성생물학 유전자 디자인 기술 및 플랫폼 개발을 활용한 고부가
가치 기술이전
이동엽 성균관대학교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합성생물학 기반 On-demand, All-in-one 기능을 탑재한
신개념 인공세포 첨단화 기술 개발
이주영 한국화학연구원
16 해양수산부 해양 바이오매스에서 만드는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정규열 포항공과대학교
17 농촌진흥청
제2 농업혁명의 골든시드, 3세대 잡종벼 개발을 위한 꽃가루
매개 웅성불임벼 생산기술
정기홍 경희대학교
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대인 유전체 분석을 통해 역사의 미스테리였던 중세 헝가리
초원 아바르 칸국의 기원 규명
정충원 서울대학교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매트리젤을 대체할 수 있는 장기 특이적 오가노이드 배양/이식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조승우 연세대학교
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조윤경 기초과학연구원
21 농촌진흥청
세계 최초 밀 “Speed breeding” 기술개발로 품종개발 기간
46% 단축!
차진경 국립식량과학원
22 해양수산부
세계최초 절단된 신경의 무봉합 연결과 효과적인 재생을 위한
광(光)가교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손상된 DNA 조각의 체내 분해요인 세계 최초 발견 최준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4 농촌진흥청 식물 에너지 분배 촉진을 통한 토마토 생산성 향상 기술 제안 황일두 포항공과대학교
∙409∙
□ 에너지・환경 : 17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탄소중립 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 핵심기술
국산화
조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
산업통상자원부
(최우수)
무급유 다단 원심 압축 기술 자기베어링을 적용한 대용량 다단계
원심식 냉매 압축 기술
이남수 LG전자
3 환경부
국내 최초 반도체 초순수 생산시설 사업 수주를 통한 해외
기술의존도 탈피 및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
길대수 한성크린텍(주)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점-SnO2 이중층을 이용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개발
김동석 울산과학기술원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억도 이상 초고온 핵융합 반응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운전 방식 개발
나용수 서울대학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수소를 포함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플랜트 개발
라호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면적 용액공정 고효율 유기기반 광에너지변환 기술 개발 손해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 산업통상자원부
고성능 저에너지소비형 연소 후 습식 CO2 포집기술(KoSol)
상용화
심재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기화학적 CO2 전환을 통해 에틸렌을 생산하는 e-Chemical
제조 기술 개발 및 기술이전
오형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성능-고내구성 나노 촉매 개발로
차세대 그린수소생산 기술 확보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소전기차 내구성 개선을 위한 PTFE 나노섬유 적용
멤브레인 개발
윤기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폭발하지 않는 물 기반 아연전지 개발 이상영 연세대학교
13 산업통상자원부
산업 에너지효율화 보급・확산 견인을 위한 공장에너지관리
시스템 표준 플랫폼 기술
이일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 해양수산부 지구온난화에 반하는 남극 바다 얼음의 증가 원인 규명 정의석 극지연구소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암모니아로부터 고효율 수소 생산 촉매 기술 채호정 한국화학연구원
16 산업통상자원부
고성능・고내구성 인산형 연료전지용 대형 분리판 국산화 기술
개발
천재민 (주)제이앤엘테크
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폐폴리스타이렌 연속식 해중합 촉매 공정 기술이전 및 사업화 황동원 한국화학연구원
∙410∙
□ 정보・전자 : 21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2차원반도체와 양자점을 이용한 고해상도 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
안종현 연세대학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주석 기반 3차원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p형 트랜지스터
세계 최초 보고
노용영 포항공과대학교
3 산업통상자원부
미래 인공지능 시장을 위한 지능형 반도체 고신뢰성・저비용・
테스트 안정성 기술 확보
강성호 연세대학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언어를 이해하고 대화를 통해 학생에게 가르치는 ‘외국어 AI
선생님’ 원천기술 개발 및 사업화
권오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위험 패턴/징후감지를 통한 범죄 예측기술 김건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 및 사물인터넷 보안 시스템을 위한 자기조립 나노기술
(Nature Electronics)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이동통신 기반 통신 및 센싱 원천기술 개발 및 프로토타이핑 김선우 한양대학교
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준강자성체 기반 스핀트로닉스 기술 개발 김세권 한국과학기술원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계 최고 수준의 적층형 반도체 나노소자의 실시간 3D 측정
기술 개발
김영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 방위사업청
국내 최초 완전디지털 다기능레이다를 탑재한 동급 최강 전투
능력의 호위함 전투체계 개발
김은로 국방과학연구소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특화망, 인빌딩, 도심핫스팟에 활용되는 5G 스몰셀 소프트
웨어 기술 국산화
나지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이버-물리 융합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어하는 지능형
네트워크 기술
박경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13 방위사업청 센싱자율화 화학탐지드론시스템 설계기술 박명규 국방과학연구소
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다양한 환경에 적용가능한 영상 이해 인공지능 핵심기술 개발과
시민 안전 분야 실증 및 사업화
배유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테라비트 시대를 열어가는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 이준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 산업통상자원부
서울로보틱스 LV5 CTRL TOWER, BMW 독일 공장 적용
및 사업화 성공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영상 기반 실시간 검출 기술 개발을 통한 미국 AST 기술이전
및 CVPR challenge 수상
전재욱 성균관대학교
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스플레이용 컬러포토레지스트(일본 3대 핵심 수출 규제)
국산화 및 사업화
조남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형암호 라이브러리 개발 및 해외 시장 개척 천정희 서울대학교
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등 디지털 인프라의 전자파로부터 인체보호 최형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K와 같은 초실감 미디어를 위한 전송 핵심기술 개발 및 필드
테스트 성공
허남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1∙
□ 융합 : 11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초고감도 카이랄 분자 측정기술 개발 이승우 고려대학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당 진단 및 당뇨 합병증 치료
시스템
한세광 포항공과대학교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주치의 ‘닥터.AI’, 기술개발에서 연구소기업설립까지
전주기적 국가연구성과
김승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움직임에도 노이즈 없는 뇌파측정 바이오전자소자 개발 김태일 성균관대학교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동형 3D 바이오프린팅 펜 노인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각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생체 내 뇌 신경활동 영상 기술
세계 최초 개발
박장연 성균관대학교
7 보건복지부 흡입전달용 폐 계면활성제입자 기술 개발 박지호 한국과학기술원
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엑스선 핵심부품 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 검사 글로벌 리딩 송윤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간 달팽이관을 모사한 음성센서 기반의 생체인증 기술 개발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 연구 자동화 및 뇌질환 원격 치료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무선 뇌 제어 시스템 개발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람처럼 촉각으로 느끼며 물체를 잡을 수 있는 로봇핸드 개발 황동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순수기초・인프라 : 8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구리 산화의 작동원리 규명 및 녹슬지 않는 초평탄 구리박막
성장기술 개발
정세영 부산대학교
2
산업통상자원부
(최우수)
폐암환자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성 예측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3 농촌진흥청
식품안전 확보 및 국내 생물자원 주권 확립을 위한 발효미생물
ONE-STEP 보급플랫폼 구축
김소영 국립농업과학원
4 교육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면역 반응의 이해 김우섭
서울대학교
(현 고려대학교)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속해서 유지되는 플로켓-안드레브 속박 상태 관측 이길호 포항공과대학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뇌 속 반응성 별세포의 ‘요소회로’, 치매의 새 원인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차원 위상 자성체 소재 고에너지 스핀의존 전자구조 정밀
측정기술 개발
정수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변화가 현생인류의 진화를 이끌었다
Axel
Timmermann
기초과학연구원
∙412∙
다. 6대 기술분야별 최우수성과
∙413∙
∙414∙
∙415∙
∙416∙
∙417∙
∙418∙
2.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추적조사
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추적조사 개요
1) 추진과정
계획수립
성과활용
현황조사
기술분과 위원회 심층인터뷰 총괄위원회 홍보・확산
대상과제 성과・
연구자 현황
조사
제도개선* 및
추진계획 수립
(1~3월)
100선 선정 후
성과활용 현황
조사
(연구자 대상)
(4월)
심층조사 후보
20건 선정
(홍보 2배수+α)
(7월)
20건 심층
인터뷰
(연구자 대상)
(8월~11월)
대표 사례
10건 선정
(12월)
(1월) 사례집
(2월∼) 유튜브,
카드뉴스, TV
등
(1월∼)
2) 추진목적
R&D 우수성과 100선 선정 이후 10년 이상 경과된 과제(’14년)가 현재 어떻게 활용・확산*
되고 있는지 심층 조사・분석하고 대표 활용・확산 사례를 홍보
* 후속 연구개발 추진, 기술이전 및 사업화 등
- 과학기술에 대한 정부R&D 투자의 영향력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우수성과 100선의
활용・확산 사례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국민에게 전파
3) 조사대상
10년 전 R&D 우수성과 100선으로 선정된 과제(’14년) 89건
4) 선정절차
(성과활용 현황조사) 89건의 성과활용 현황조사를 통하여 조사・분석 후보 42건 압축
(’23.4.~6.)
(기술분과 위원회) 조사・분석 우선순위 20건+α 추천(’23.7., 4개 분과*).
* ① 기계소재, ② 생명해양, ③ 에너지환경, ④ 정보전자
(조사・분석) 활용・확산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사례 수집・정리(’23.8.~11.)
(총괄위원회) 과학기술・사회경제적 파급효과, 국민 공감도 고려, 활용・확산 사례(10선
/10선외) 확정(’23.12.)
* 기술분과 위원(장), 홍보 전문가
∙419∙
나. 대표 활용・확산 사례 10선 목록
구분 부처 기술분과 연구자
당시 소속
(현재 소속)
성과명
1 산업통상자원부 기계・소재 김영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수심 3,000m에 적용되는 수직이동형 시추
시스템의 Derrick, Riser, Compensator
핵심 기술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기계・소재 박종오
전남대학교
(한국마이크로로봇연구원)
암 진단・치료용 박테리아기반 나노로봇
3 산업통상자원부 기계・소재 이종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연료전지기술
4 미래창조과학부 생명・해양 권기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를 위한 표적인자 발굴 및 응용
연구
5 미래창조과학부 생명・해양 안지훈 고려대학교 식물의 온도계 단백질 발견
6 농촌진흥청 생명・해양 조인철 국립축산과학원
재래돼지의 우수한 고기맛 결정 유전자가
고정된 흑돼지 신품종 개발
7 국토교통부 에너지・환경 김정현 한국수자원공사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분산형/수직형
정수시설 설계 시공기술
8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환경 문명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양에서 기름을 분리하는 탄소 나노스펀지
기술 개발
9 미래창조과학부 정보・전자 조인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0W급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개발
10 방위사업청 정보・전자 홍운선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형 다목적 헬리콥터용 위성/관성 항법
장치 개발
∙420∙
다. 대표 활용・확산 사례 10선 요약
□ 기계・소재 분야
01
석유・가스 시추시스템 가격 경쟁력 확보, 국산화 이끈다!
수심 3,000m에 적용되는 수직 이동형 시추시스템의 Derrick, Riser, Compensator* 핵심 기술 개발
* Derrick[시추 파이프와 장비의 무게를 지탱하는 철제 구조물(시추탑)], Riser[해상의 시추선과 해저의 유정을 연결하는
파이프], Compensator[시추선의 상하동요를 보정하는 설비]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영주
∙ (인터뷰 참여 연구자) 김영주
∙ (공동연구자) 우남섭, 김상식, 현장환, 황동환
성과소개
∙ 현재의 시추시스템에 IT 기술, 친환경 기술, 극한 기술을 접목한 업그레이드된 형태의 차세대 시추시스템을
독자모델로 개발
∙ 수심 3,000m에 적용되는 시추용 육상 드릴링 시스템의 방향제어 추진체 개발
활용처
∙ 육상 및 해상 석유가스 시추 시스템, 생산 시스템
∙ 자체 개발 드릴 시스템과 실증 데이터를 토대로 해외 가스전 탐사・개발 서비스 시장 진출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국토교통부의 플랜트연구사업으로 7년간 ‘시추용 육상 드릴링 시스템의 방향제어 추진체 및 이수순환기술 개발’
과제 수행,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수직이동형 실증연구 이후 캐나다 기업과 판매계약 체결 - 국토교통부
지원으로 ‘오일 생산플랜트의 패키지화 설계 및 통합실증 기술개발’ 과제 수행(’14~)
기술수준 ∙ 방향성 드릴링 시스템 실증 개발을 통한 독자기술 확보로 글로벌 자원 개발 기술경쟁력 확보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방향성 드릴링 시스템 실증 개발을 통한 독자기술 확보로 글로벌 자원 개발 기술경쟁력 확보
∙ (경제적) 에너지자원 개발을 위한 방향성 드릴링 시스템 및 기자재, 이를 이용한 서비스산업 진출을 위한 신기술의
개발 및 적용 확대를 통하여 신산업 창출에 기여
∙ (사회・문화적) 지반탐사 및 개발, 방향성시공, 관련 기자재 및 시스템 조달 등에 소요되는 국비유출저감
02
스스로 암세포 찾아가는 나노로봇, 질병치료 패러다임 전환!
암 진단・치료용 박테리아기반 나노로봇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박종오
∙ (인터뷰 참여 연구자) 박종오
∙ (공동연구자) 박성준, 박승환, 조성훈, 김덕미, 이연경,
고성영, 홍영진, 최현이, 민정준, 박석호
성과소개
∙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암 치료 시장에서 박테리아 편모의 운동성을 의료용 마이크로・나노로봇에 적용할
원천기술 확보
∙ 생체 세포 기반 마이크로 로봇 분야의 무한한 가능성 제시
활용처 ∙ 특정 질환을 추적해서 진단ㆍ치료하는 마이크로ㆍ나노로봇 개발(의료 분야)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직 당시 21세기 프런티어 사업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사업단’ 과제 수행(’99) - (박테리아
기반) 능동적으로 이동하고 특정질환을 추적해서 진단ㆍ치료하는 마이크로・나노로봇 개발(’14) - 줄기세포를
이용한 마이크로 의료로봇이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의 표지를 장식(’17) - 미국 스타트업과 ‘20억
+매출액의 2%’ 조건으로 기술이전 계약 체결(’17) - 박테리아 대신 인체에 안전하고 유용한 생체 세포(면역
세포,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마이크로 의료로봇 개발 중(’17∼)
기술수준 ∙ 박테리오봇을 이용해 관련 암치료제 개발과 의료용 마이크로ㆍ나노로봇 개발 등에 필요한 원천기술 확보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생체세포 기반 마이크로/나노 로봇 분야 세계주도
∙ (경제적) 첨단연구결과의 기업에 대한 기술이전, 연구인력 및 장비/시설 인프라 보유(세계최고급)
∙ (사회・문화적) 기존 의료기기와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
∙421∙
03
청정발전기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상용화로 탄소중립 한 발짝 ‘더’!
나노연료전지기술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종호
∙ (인터뷰 참여 연구자) 이종호
∙ (공동연구자) 지호일, 손지원, 윤경중, 김형철, 양성은, 이해원
성과소개
∙ 세계 최초 CSD(Chemical Solution Deposition) 공정을 이용해 전해질 초박막을 성공적으로 완성
∙ 박막양극의 확산특성 분석기술, 구형 기공 전구체를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제조기술 개발
활용처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용 부품 소재, 그린수소 생산용 고온수전해(SOEC), 프로톤 전도성 세라믹 기반의
차세대 연료전지(PCFC) 및 수전해(PCEC)
∙ 신재생에너지(연료전지 기술) 및 그린수소(수전해 기술) 생산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이온전도성/혼합전도성 나노 복합화 세라믹 소재 기술(나노연료전지기술) 개발(’10~’13) -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10kW급 건물용 SOFC 시스템 실증(’14~’16) - SOFC 스택 수명 연장을 위한 열화 진단 및
억제 기술 개발(’14~’17) - 동적 변화 대응형 고성능/고신뢰성 SOFC 스택 구성요소 및 디자인 개발(’17~’21)
- 그린수소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중저온 작동형 프로톤 세라믹 수전해 기술 개발(’22~’26)
기술수준
∙ 나노복합화 소재기술을 통해 SOFC용 부품 소재 분야의 독자적인 원천기술 개발
∙ 나노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SOFC용 미래 기술 분야의 초일류 기술 선점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SOFC용 부품 소재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로 미래 산업사회를 대비한 세계적 일류 기술 선점
∙ (경제적) 나노복합 세라믹 소재기술 개발로 SOFC의 조기 상용화 촉진, 약 10조 원의 시장창출 기대
∙ (사회・문화적) 신에너지(연료전지)를 통해 탄소배출 및 환경오염 같은 사회문제 해결 기여
□ 생명・해양 분야
04
고령화 시대 대비한 미션, 근육노화를 막아라!
노화제어를 위한 표적인자 발굴 및 응용연구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권기선
∙ (인터뷰 참여 연구자) 권기선
∙ (공동연구자) 이광표, 양용렬, 권은수, 이승민, 박성섭, 유대열,
김동욱, 박영우, 황채영, 최정이, 이근우, 이영랑, 신여진, 손영훈,
이보라, 윤종현, 곽주연, 강재숙, 김민주
성과소개
∙ 근육노화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 표적 발굴
∙ 근감소증 진단을 위한 혈액 바이오마커, 신약재창출을 통한 근감소증 치료제 신약후보, 마이크로 RNA 기반
근감소증 치료 후보물질 특허 기술이전 및 사업화
활용처 ∙ 노화성 및 퇴행성 질환 발병을 표적으로 한 신약 개발 및 노인성 근감소증 진단에 활용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과학연구센터 설립(’08) - 다중 오믹스 스크리닝을 통한 근육 노화 원인 및 이론
확립,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근육유래 인자 기반 생체노화 극복기술 개발’ 연구 진행(’17~’22) - 근육노화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표적 발굴, 신약후보물질 이전 및 ㈜아벤티 창업(’20) - 국내최초 노인성 근감소증
치료제 임상2a 시험 식품의약품안전처 IND승인(’22) - 국내 4개 병원에서 임상2a상 시험 진행(’22~)
기술수준
∙ 세계 최초로 노화근육의 지질분석을 수행하여 근육노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표적 발굴
∙ 4건의 노인성 근감소증 진단 및 치료제 특허 상용화를 위한 파이프라인 개발 진행중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노화 연구의 조명 및 노인성 질환 발병율 감소, 노인환자들의 근력, 근기능 향상
∙ (경제적) 제약사와 임상시험용 약품 생산, 임상2a상 시험개시, 기술 라이센싱아웃 진행
∙ (사회・문화적) 고령화 사회 경제인구 증가, 사회적 갈등 감소
∙422∙
05
꽃 피는 시기 조절해 생태계 복원!
식물의 온도계 단백질 발견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안지훈
∙ (인터뷰 참여 연구자) 안지훈
∙ (공동연구자) 이정환, 황금비, Hendry Susila, 진수현, 윤금민
성과소개
∙ 20~27℃ 대기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백질 FLM 발견
∙ 기온 변화 감지 온도계 단백질인 SVP와 FLM의 작용온도 범위가 다르다는 사실, 이들이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여 기온 변화를 인지한다는 사실, SVP가 RNA 수준이 아닌 단백질 수준에서 조절된다는 사실 최초규명
활용처
∙ 기후 변화로 인해 작물을 키우기 힘든 미래 환경 개선
∙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식물생장 모델링 연구에 활용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낮은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식물체 신호 전달 경로가 존재한다는 가설로 연구 시작(’03) - 대기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백질 SVP (’07)와 FLM 발견(’13)(Science, IF:56.9) - ABF3와 ABF4 단백질이 NF-YC 단백질들과
high-order complex를 형성하여 개화 신호 통합자인 SOC1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혀내어
Molecular Plant지(IF:27.5)에 발표(’19) - 식물 단백질 플로리겐이 인지질 포스파티딜글리세롤과 결합해
개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Science지(IF: 56.9)에 발표(’21) - SVP 단백질의 세포 내 위치와 운명은 FLM
단백질의 베타 형태 혹은 델타 형태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밝혀내어 Molecular Plant지(IF:27.5)에 발표(’22)
- SVP 단백질의 분해는 LFH1-CUL3A-UBC15 complex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밝혀내어 Plant
Communications지(IF:10.5)에 발표(’24)
기술수준 ∙ 대기온도 변화를 감지해 식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단백질과 유전자 최초규명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기후 변화로 인한 식물 및 생태계 환경 변화 개선, 육종소재 개발 기여
∙ (경제적) 기후 변화로 감소할 수 있는 작물 성장 환경 개선 및 작물 생산성 향상
∙ (사회・문화적) 생태계 개선을 통한 자연환경 보전, 이상기후에 대응할 수 있는 식물체 개발 기대
06
한국인 입맛에 딱 맞는 신품종 흑돼지, ‘난축맛돈’ 개발!
재래돼지의 우수한 고기맛 결정 유전자가 고정된 흑돼지 신품종 개발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조인철
∙ (인터뷰 참여 연구자) 조인철
∙ (공동연구자) 고문석, 이성수, 한상현, 조원모, 조상래, 박용상
성과소개 ∙ 제주재래흑돼지의 우수한 고기맛과 전신 흑모색을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2개 개발 및 흑돼지 ‘난축맛돈’ 품종 탄생
활용처
∙ 돼지고기의 비선호 부위를 구이용으로 적극 활용하여 ‘사육농가-유통-소비시장’까지 연계된 일원화된 유통망
조성에 기여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연구를 위해 제주재래흑돼지에 주목(’05) - 표현형 연관 유전자 개발을 위한 1273두 참조축군 조성 및 표현형
데이터 생산을 통한 우수한 고기맛과 전신 흑모색 유발 핵심 유전자 2개 개발(’10) - 흑돼지 신품종 ‘난축맛돈’
개발(’13) -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제주재래돼지 기반 고육질형 축군 ‘난축맛돈’의 능력개량 연구개발
(’14~’16) - 신품종 산업화(’17~) - 고육질형 흑돼지 난축맛돈 균일성 향상 및 사양관리 체계 확립 연구개발
(’17~’19) - 난축맛돈 계통조성 및 개량종 육질 형질 개선 연구개발(’20~’24)
기술수준 ∙ 제주재래흑돼지의 우수한 고기맛과 전신 흑모색을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2개) 세계최초 개발(→‘난축맛돈’ 탄생)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돼지의 주요 경제형질을 조절하는 유전자 탐색 및 개발을 통한 현안문제 해결
∙ (경제적) 육질향상 및 전체부위를 구이용으로 이용가능 하여 경제성 향상, 난축맛돈 농가확대 보급에 따른
수입종 대체 사육 및 수입물량 감소
∙ (사회・문화적) 비선호 부위 적체 해소, 난축맛돈연구회와 협업을 통한 난축맛돈 전용 시장 육성
∙423∙
□ 에너지・환경 분야
07
수돗물, 그냥 마셔도 안전하게, 분산 정수시설로 수질 확보!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분산형/수직형 정수시설 설계 시공기술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한국수자원공사
김정현
∙ (인터뷰 참여 연구자) 김정현
∙ (공동연구자) 강기훈, 강문선, 김성수, 박노석, 박동을, 박준식,
서인석, 윤희철, 정의용
성과소개 ∙ 고효율 컴팩트형 신개념 분산형/수직형 정수시설 설계 시공 운영기술 개발
활용처
∙ 노후화된 수도시설 개선 및 새로운 기술 적용
∙ 국내외 스마트시티/신도시 스마트정수장 구축 및 물 공급
∙ 소규모 수도시설, 마을 상수도 등 확대 적용 가능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신개념 주민친화적, 고효율, 컴팩트형 분산형/수직형 정수시설 설계・운영기술 개발 - 세계물학회(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프로젝트 혁신상(Project Innovation Award) 수상(’14) - 시장 맞춤형 모듈화 기반의
분산형 용수공급시설 실증연구(’16~’20) - 분산형 용수공급 기반의 스마트정수장 구축, 운영 최적화 및 고도화
연구(’21~’23) - 부산 EDC 스마트정수장 시범사업(’23~)
기술수준 ∙ 신개념의 주민친화적, 고효율, 컴팩트형 분산형/수직형 정수시설 설계ㆍ운영기술 확보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모듈기반 압력식 수처리 설계기술 확보를 통한 분산형 용수공급시스템 구축
∙ (경제적) 수돗물 음용에 대한 지불의사 증가, ODA사업 등을 통한 해외 물산업 진출기반 마련
∙ (사회・문화적) 소비자 인근 정수시설 설치를 통한 수돗물 신뢰성 제고 및 주민친화
08
바다로 유출된 기름 제거하는 ‘나노 스펀지’ 개발!
해양에서 기름을 분리하는 탄소 나노 스펀지 기술 개발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문명운
∙ (인터뷰 참여 연구자) 문명운
∙ (공동연구자) 김성진, 고태준, 이영아, 윤선미, 권오창, 조서현,
박영철, 이초희
성과소개
∙ 다공성 구조체 표면에 고종횡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기술개발 중 기름을 흡착ㆍ탈착하는 ‘탄소 나노 스펀지’ 개발
∙ 이를 발전시킨 나노기름뜰채(수동 기술) 개발, 다공성 래칫 구조 기반의 유회수기(자동화 기술) 개발
활용처
∙ 유수분리 필터, 나노기름뜰채, 기름포집네트, 자동화 유회수기(스키머) 등 다양한 해양오염 방제기기에 적용
∙ 공장 폐유 처리, 불필요한 기름 제거용 (조리용)국자, 에너지용 촉매, 중금속 필터에 적용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친수소유성 김서림 방지기술 발표(’06) - 자연모사 응용 스마트 물/용제 순환기술개발(’10) - 탄소 나노스펀지
기술 개발(’13) -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나노기름뜰채 기술 개발(’14~’20) - 나노구조체 기반 기름뜰채
및 저장용기 유수분리필터 개발(’16∼’20) - 오즈세파(청수인더스트리) 기술이전(’17) - 친수 스펀지 스키머
개발(’20~’23) - 해상 유출 저유황유 오염 방제기술 및 장비 개발(’21∼’23) - 미세플라스틱 오염 제거
기술(친수 래칫 기술) 이전(’22)
기술수준 ∙ 탄소 나노 스펀지, 나노기름뜰채, 친수 스펀지 스키머 관련 원천기술 확보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탄소 나노 스펀지, 나노기름뜰채(수동 기술), 자동화 유회수기(스키머) 기술 개발
∙ (경제적) 10여 건의 특허 출원, 15억 원 이상의 기술이전 완료, 해양오염 대응 분야 신시장 개척
∙ (사회・문화적) 해양오염 대응 기술로서 해양 생태계의 안전 확보
∙424∙
□ 정보・전자 분야
09
49조 시장 열린다, 고효율 무선 충전 기술 경쟁력 향상!
60W급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개발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조인귀
∙ (인터뷰 참여 연구자) 조인귀
∙ (공동연구자) 김성민, 문정익, 윤재훈, 전상훈
성과소개 ∙ 자기공명이라는 새로운 무선 전력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2m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 개발
활용처
∙ 6G 등의 이동통신 기기 다중급속충전, 옥내 가전기기(TV, PC, 노트북, 로봇 청소기), 로봇, 간판・사이니지,
옥외 충전장치 등에 활용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무선 충전 기술 연구 진행(’10) - 자기공진 무선전력전송 시스템 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CES에
출품해 4개국 특허 출원(’17) - 자기공진 방식 휴대기기 충전기 개발 완료 및 시장 진입 준비 중(’23∼)
기술수준 ∙ 상품・서비스 생산에 필요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스마트 기기 무선충전 상용화를 위한 원천기술 확보, 국제표준 획득
∙ (경제적) 급속도로 성장하는 글로벌 무선 충전 시장 진입(상용화 성공)
∙ (사회・문화적) 스마트 기기 사용의 편리성 제고, 관련 전자파, 전기 학회 활성화 기여
10
국내 항법장치 기술 수준 끌어올린 결정적 연구!
한국형 다목적 헬리콥터용 위성/관성 항법장치 개발
소속기관 대표 연구자 주요 공동연구진
홍운선
∙ (인터뷰 참여 연구자) 홍운선
∙ (공동연구자) 김광진, 문홍기, 박찬국, 박효환, 백복수, 손승현,
최상욱
성과소개
∙ 복합 외란 환경에서 운용하는 관성항법장치 시스템과 이에 수반되는 각종 SW 및 HW 기술 개발
∙ 디지털 관성항법장치 설계부터 GPS 수신기 제어까지 국산화 기술 개발 성공
활용처
∙ 헬기에 유입되는 각종 진동 충격 등 복합 외란 상황에 도입
∙ 유도무기용 위성/관성 항법장치, 무인기 및 유인기용 위성/관성 항법장치
연구 및
성과확산
흐름
∙ ‘링 레이저 자이로스코프의 ARW 측정장치 및 그 방법’ 특허등록(’13) - ‘관성항법 시스템의 바이어스 추정치를
이용한 정렬장치 및 그 항법 시스템’ 특허등록(’13) - 복합 외란 상황의 잦은 고장과 이에 따른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저하방지를 위한 관성센서(자이로스코프) 및 가속도계 독립 모듈화, 우수성과 100선
선정(’14) - 국산화 개발 진행 중
기술수준
∙ 열악한 운용환경에도 불구하고 기존 지상 정렬시간 대비 약 40% 정도밖에 되지 않는 짧은 시간 동안 항법
성능을 유지하는 기술 확보
파급효과
∙ (과학・기술적) 항법장치 세대(generation)가 기술 선진국에서 구현하는 최종 세대(final generation)와 같아
졌으므로 국가적으로 항법장치 연구의 기준선 상승
∙ (경제적) 신규 제품들의 연구개발 및 생산 향상, 관련 기술 및 제품의 수출 증대, 개발품 및 개발응용품 적용
무기체계 증가로 인한 무기 국산화율 및 고용증대 효과 유발
∙ (사회・문화적) 주요 무기 국산화율 및 고용 증대 효과 유발, 기술보유국으로서의 위상을 인정받아 제품구매
및 기술협상의 경쟁력 제고
∙425∙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1. 법률 제・개정 현황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특정평가 및 상위평가의 결과를 평가가 종료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하도록 기한을 명시함.
2023.10.31.
2023.10.3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하위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공개 대상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제재처분 기준을 법률로
상향하여 규정하고, 통합정보시스템 외의 다른 방식으로도 공개할 수 있도록 하며,
제재처분과 관련하여 행정소송이 계류 중인 경우 등에는 공개를 하지 않을 수 있도록
예외규정을 신설함.
2023.3.21.
2023.9.22.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신속한 국가전략기술의 개발・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정책과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특례의 근거를 마련하고, 전략기술 육성 기반조성, 인력양성, 국내외 협력
강화 등 견고한 추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과학기술주권을 확립하고
국민경제 발전과 국가 안보에 이바지하려는 것임.
2023.3.21.
2023.9.22.
방송법
국가가 공공의 목적으로 운영하는 공공채널의 보도나 해설・논평, 그 밖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지역채널에서의 편성・송신을 허용함.
2023.4.6.
2023.4.6.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현행법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 방송통신위원회가 기간통신사업자, 지상파방송
사업자 등 주요방송통신사업자의 방송통신서비스에 관하여 방송통신재난의 발생을
예방하고, 방송통신재난을 신속히 수습・복구하기 위한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있음.
최근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하여 카카오 서비스 중단, 네이버 서비스 오류 등
국민 실생활에 밀접한 서비스의 장애가 발생했지만, 데이터센터 사업자와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온라인 서비스 사업자가 주요방송통신사업자에 해당하지 않아 신속한 수습・복구
관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국민 피해가 컸음.
이에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대상이 되는 주요방송통신사업자의 범위에 일정 규모
이상의 부가통신사업자와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를 추가하고, 서버, 저장장치, 네트워크,
전력공급장치 등의 분산 및 다중화 등 물리적・기술적 보호조치 등을 방송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에 담도록 함.
2023.1.3.
2023.7.4.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인증기관의 지정을 취소하는 경우 청문을 하도록 규정하여 해당 기관이 소명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
2023.4.18.
2023.4.18.
소프트웨어 진흥법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은 날부터 3년으로 하고,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며,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를 실시하는 시기를 하위법령
으로 위임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의 결과 등을 검토
하여 국가기관 등의 장과 개선조치에 대하여 협의한 후에 개선조치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함.
2023.4.18.
2023.10.19.
∙426∙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실증특례의 신청 주체를 연구개발특구 내의 모든 기업으로 확대하여 실증특례 제도의
활용도를 높이고, 연구개발특구 내 신기술 창출과 관련된 규제의 유무를 국민이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규제 신속확인 제도, 연구개발특구에서 신기술을 활용하여 사업을 하려는
경우 관련 규제가 불명확하거나 불합리한 경우 등에는 안전성이 검증되었다면 임시적으로
시장 출시를 허용해주는 임시허가 제도를 도입하는 한편, 법령 정비 요청권의 도입,
신청인의 실증특례 지정 사항에 대한 변경 절차 도입 및 실증특례의 요건에 대한 명확화
등으로 제도의 완결성을 높이려는 것임.
2023.3.21.
2023.9.22.
우주개발 진흥법
국가우주위원회 위원 중 공무원이 아닌 사람에 대한 벌칙 적용에서 공무원 의제 조항을
마련함으로써 국가우주위원회에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의・의결이 이루어지도록 함.
2023.3.21.
2023.6.22.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의 원권리자 등에게 관련 사항을 알리기 위한 경우에는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장관이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주민등록전산정보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함.
2023.4.18.
2023.10.19.
원자력안전법
피성년후견인 또는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이유로 발전용원자로 등의 건설
허가가 취소되거나 18세 미만의 사람 또는 피성년후견인을 이유로 원자로 운전 등의
면허가 취소된 경우에는 취소된 날부터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허가나 면허를
받을 수 없도록 하던 것을, 그 사유 해소 즉시 제한기간 없이 허가 또는 면허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원자로조종면허를 받으려고 하거나 원자로조종면허의 갱신을 받으려고 하는 사람에
대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실시하는 신체검사에 합격하도록 하고, 원자로조종면허의
유효기간 및 갱신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함.
2023.10.31.
2023.10.31.
전기통신사업법
부가통신사업자가 정기적인 서비스 안정수단 확보 이행 현황 관련 자료 등을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국내 대리인의 업무 범위에 자료 제출 등을 추가
하는 한편, 통신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 수를 최대 10명에서 최대 30명으로 증원하고,
통신분쟁조정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무국을 둘 수 있도록 하며, 직권조정
결정 제도를 도입하는 등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통신분쟁조정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정비함.
2023.1.3.
2023.7.4.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보보호 투자 및 인력 현황, 정보보호 관련 인증 등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하고,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 수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며,
공시 내용의 검증을 거부 또는 방해하거나 수정 요청에 따르지 않은 경우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함.
2023.4.18.
2023.10.19.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신기술・서비스심의위원회의 위원 중 공무원이 아닌 사람에 대한 벌칙 적용에서 공무원
의제 조항을 마련함으로써 신기술・서비스심의위원회에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의・
의결이 이루어지도록 함.
2023.3.21.
2023.6.22.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일반에게 공개를 목적으로 제공된 정보의 삭제 등을 요청하는
자가 문자메시지, 전자우편 등 그 처리 경과 및 결과를 통지받을 수단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삭제 등을 요청하는 자의 권리를 두텁게 보호하고자 함.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기적으로 정보통신시설에 대한 보호조치의 이행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 규모에 해당하는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 등은
재난 등으로 인하여 정보통신서비스 제공 중단이 발생한 경우 그 중단 현황, 발생원인,
응급조치 및 복구대책을 지체 없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보고하도록 하는 한편,
집적정보통신시설 임차사업자에 대하여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의 보호조치 이행에
협조하도록 의무를 부과함.
2023.1.3.
2023.7.4.
∙427∙
2.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법률 제・개정 현황
주요내용 법령명
공포일
시행일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립적 발전과
지방자치분권 등을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지역균형발전을 추진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어디에 살든 균등한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지방시대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과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을
통합함으로써, 그간 자치분권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기능을 분산적으로 수행
하면서 상호연계가 미흡하였던 점을 보완하고, 통합된 위원회의 실효성을 강화하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지방자치분권, 지방행정체제 개편 및 지역균형발전의 추진체계를
구축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023.6.9.
2023.7.10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립적 발전과
지방자치분권 등을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지역균형발전을 추진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어디에 살든 균등한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지방시대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과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을
통합함으로써, 그간 자치분권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기능을 분산적으로 수행
하면서 상호연계가 미흡하였던 점을 보완하고, 통합된 위원회의 실효성을 강화하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지방자치분권, 지방행정체제 개편 및 지역균형발전의 추진체계를
구축함.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2023.6.9.
2023.7.10.
법률용어 정비를 위한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관 43개 법률 일부개정법률
법률을 더 알기 쉽게 만들기 위해 국회사무처・법제처 및 국립국어원이 공동으로 선정한
순화어를 법률에 반영함.
콘텐츠산업 진흥법
2023.8.8.
2023.8.8.
∙428∙
3. 시행령 제・개정 현황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조정실장의 분장사무에 중대재해 관련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의 총괄・관리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면서 이에 필요한 인력 1명(5급 1명)을 증원
하고,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인력 1명(5급 1명) 및 디지털
안전관리 기능 강화를 위하여 필요한 인력 4명(4급 또는 5급 1명, 5급 3명)을 각각
증원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4.11.
2023.4.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우주 국제협력 기능 강화를 위하여 필요한 인력 3명(5급 3명)을
2025년 10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정원으로 증원하려는 것임
2023.10.24.
2023.1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형가속기 구축・운영 및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운영・관리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 2명(4급 또는 5급 1명, 6급 1명)을 증원하고,
전문과학관 건립 및 어린이 과학체험공간 조성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에 증원한 한시정원 1명(5급 1명)을 정규정원으로 전환하며,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증원한 한시정원 2명
(5급 1명, 6급 1명) 및 송파 정보통신기술(ICT) 보안 클러스터 조성사업 중 공공청사
건립 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기관인 중앙전파관리소에
증원한 한시정원 1명(5급 1명)의 존속기한을 각각 2023년 12월 31일까지에서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2년 연장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의 정원 7명(5급 3명, 6급 2명, 7급 1명, 9급 1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기관인 국립전파연구원의 정원 3명(6급 1명, 7급 1명, 9급 1명) 및 중앙전파관리소의
정원 8명(5급 1명, 6급 2명, 7급 2명, 8급 3명)을 각각 감축하려는 것임.
2023.12.19.
2023.12.19.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통합정보시스템 등에 공개하여야 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부정행위에 대한 제재처분의 종류와 수준을 정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연구개발혁신
법」이 개정(법률 제19235호, 2023. 3. 21. 공포, 9. 22. 시행)됨에 따라, 법률에서
위임한 제재처분 정보공개의 예외사유를 정하는 한편,
연구개발성과소유기관의 장이 연구개발성과의 유지・관리를 위해 지식재산권 관리에
관한 운영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하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9.19.
2023.9.19.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통합정보시스템 등에 공개하여야 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부정
행위에 대한 제재처분의 종류와 수준을 정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개정(법률 제19235호, 2023. 3. 21. 공포, 9. 22. 시행)됨에 따라, 법률에서 위임한
제재처분 정보공개의 예외사유를 정하는 한편,
연구개발성과소유기관의 장이 연구개발성과의 유지・관리를 위해 지식재산권 관리에
관한 운영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하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9.22.
2023.9.22.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과학기술주권을 확립하고 국민경제 발전과 국가 안보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신속한
국가전략기술의 개발・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정책과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특례의 근거를 마련하고, 전략기술 육성 기반조성, 인력양성, 국내외 협력 강화
등 견고한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법률 제19236호, 2023. 3. 21. 공포, 9. 22. 시행)됨에 따라,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계획의 수립, 국가전략기술의 선정 및 관리, 국가전략기술 특화연구소의 지정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9.19.
2023.9.22.
∙429∙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기상청에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의 기상서비스에 필요한 인력 1명(6급 1명)을
증원하고, 기상서비스진흥국장의 분장사무 중 ‘응용특화기상’ 관련 사무를 ‘융합특화
기상’ 관련 사무로 용어를 변경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상청의 정원 4명(5급 1명, 7급 1명, 8급 1명, 연구사
1명), 국가기상위성센터의 정원 3명(5급 1명, 6급 1명, 8급 1명) 및 지방기상청의
정원 2명(9급 2명)을 각각 감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
데이터 품질인증을 실시하는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으려는 자는 데이터 품질인증에 필요한
전문인력 및 전담조직 등을 갖추어 지정 신청서에 데이터 품질인증에 관한 사업계획서
등을 첨부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데이터 품질인증을 실시
하는 인증기관은 데이터 내용의 안전성, 유효성 및 정확성, 데이터 구조의 일관성 등에
관한 품질기준에 따라 데이터 품질인증을 하도록 하여 데이터 품질 향상을 통해 데이터의
거래 및 활용을 촉진하려는 것임.
2023.1.3.
2023.1.3.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
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의 조기 성과 창출 및 대내외 정책기능 강화를 위하여 디지털플랫폼
정부위원회에 3명 이내의 부위원장을 두도록 하고, 부위원장은 위촉위원 중에서 대통령이
지명하도록 하려는 것임.
2023.9.7.
2023.9.7.
방송법 시행령
전기요금과 결합하여 고지・징수되고 있는 텔레비전방송수신료 징수방식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수신료 징수 여부와 그 금액을 명확하게 알고 납부할
수 있도록 한국방송공사의 지정으로 수신료 징수업무를 위탁받은 자가 한국방송공사의
수신료를 납부통지 및 징수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고유업무와 관련된 고지행위와 결합하여
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수신료를 전기요금과 분리하여 납부통지 및 징수하도록 하려는 것임.
2023.7.12.
2023.7.12.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시행령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대상이 되는 주요방송통신사업자의 범위에 일정 규모 이상의
부가통신사업자와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를 추가하는 등의 내용으로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이 개정(법률 19152호, 2023. 1. 3. 공포, 7. 4. 시행)됨에 따라, 평균 이용자
수가 1천만명 이상인 부가통신사업자 및 전년도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집적정보통신
시설 사업자 등이 주요방송통신사업자에 포함되도록 기준을 정하고, 방송통신재난관리
계획의 이행에 관한 시정명령을 따르지 않는 주요방송통신사업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할
때 중대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사업자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7.3.
2023.7.4.
방송통신위원회와 그
소속기관 직제
방송통신시장 환경 변화 대응 및 방송통신이용자 보호 관련 정책을 강화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정책국을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으로 개편하고, 방송통신이용자
정책국에 평가대상 조직으로 시장조사심의관을 신설하면서 이에 필요한 인력 1명(고위
공무원단 1명)을 증원하며, 이용자 보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
하부조직을 개편하면서 이에 필요한 인력 4명(5급 3명, 경감 1명)을 증원하고, 감사
업무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사담당관을 신설하면서 이에 필요한
인력 3명(4급 1명, 4급 또는 5급 1명, 6급 1명)을 증원하며,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원 2명(5급 1명, 6급 1명)
및 방송통신위원회 소속기관인 방송통신사무소의 정원 1명(7급 1명)을 각각 감축하고,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 하부조직의 분장사무 일부를 조정하는
한편, 방송통신위원회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통신 관련 분쟁의 조정 및 지원을 위하여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2026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통신분쟁조정팀을, 부가통신
시장에 대한 원활하고 체계적인 조사 지원을 위하여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2026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부가통신조사지원팀을 각각 신설하고, 총액인건비제를 활용
하여 설치한 단말기유통조사팀을 폐지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11.28.
2023.11.28.
∙430∙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시행령
삼차원프린팅 장비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임대차계약 또는 공동사용에 관한 계약을 맺어
해당 장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보유한 것으로 보도록 삼차원프린팅
서비스사업 신고 요건을 완화함으로써 삼차원프린팅산업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한편,
고의 또는 중과실이 없는 위반행위자가 「소상공인기본법」에 따른 소상공인에 해당하는
경우 위반행위자의 현실적인 부담능력, 경제위기 등으로 위반행위자가 속한 시장・산업
여건이 지속적으로 악화된 상태인지 여부를 고려하여 영업정지 처분 또는 과태료 금액을
100분의 70 범위에서 감경할 수 있도록 제재처분의 감경 사유를 정비하려는 것임.
2023.1.3.
2023.1.3.
생활주변방사선 안전
관리법 시행령
항공운송사업자로 하여금 우주방사선에 피폭될 우려가 있는 항공승무원에 대하여 건강
진단을 실시하도록 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실시하는 우주방사선 피폭 등에 관한
교육을 받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 개정(법률 제
18971호, 2022. 6. 10. 공포, 2023. 6. 11. 시행)됨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가 국제
항공노선에 탑승 근무하는 승무원에 대하여 실시해야 하는 건강진단의 항목 및 주기와
교육의 내용 등을 정하고, 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의 안전관리에 관하여 항공운송
사업자가 받아야 하는 정기검사의 구체적인 항목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6.7.
2023.6.11.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의 결과 등을 검토하여 민간 소프트
웨어 시장의 침해 가능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국가기관 등의 장과 개선조치에 대하여
협의한 후에 개선조치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소프트웨어 진흥법」이
개정(법률 제19349호, 2023. 4. 18. 공포, 10. 19. 시행)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장관의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의 결과 등에 대한 검토 및 개선조치에 대한
협의절차를 정하는 한편,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 및 재평가 결과의 공시기한을 정하고,
공시기한 등을 고려하여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 및 재평가의 실시기한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10.17.
2023.10.19.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
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
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3.7.
2023.3.7.
실증특례의 신청 주체를 연구개발특구 내의 모든 기업으로 확대하고, 연구개발특구
내 신기술 창출과 관련된 규제의 유무를 국민이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규제 신속확인
제도와 관련 규제가 불명확하거나 불합리한 경우 안전성이 검증되었다면 임시적으로
시장 출시를 허용해주는 임시허가 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법률 제19237호, 2023. 3. 21. 공포, 9. 22. 시행)됨에
따라, 실증특례의 신청 주체의 범위를 삭제하고, 실증특례 재심의 신청 절차, 실증특례에
따른 법령정비 요청 절차, 규제의 신속확인 요청 절차와 임시허가의 신청 절차 등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9.22.
2023.9.22.
우정사업본부 직제
민첩하고 유연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방형 직위를 총리령・부령으로 정하도록
하던 것을 훈령・예규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정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및 「개방형 직위 및 공모 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고,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공무원임용령」이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정비하며,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정원의 한도를 총정원의
2023.8.30.
2023.8.30.
∙431∙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우정사업본부 직제
7퍼센트에서 10퍼센트로 상향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
보완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직제」 등 55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우정청의
정원 55명(6급 4명, 7급 19명, 8급 25명, 9급 7명)을 감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우정청의
정원 55명(6급 4명, 7급 19명, 8급 25명, 9급 7명)을 감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30.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우체국예금・보험소비자의 권익증진 및 보호를 위하여 현행 분쟁조정절차에 예금 관련
분쟁을 포함하고,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의 원권리자 등에게 관련 사항을 알리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주민등록전산정보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9239호
2023. 3. 21. 공포, 9. 22. 시행 및 법률 제19350호 2023. 4. 18. 공포, 10. 19.
시행)됨에 따라, 우체국예금・보험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 대상을 우체국예금의 계약
및 지급, 우체국보험의 모집・계약 및 보험금지급 등에 관한 분쟁으로 정하고,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장관이 소멸시효가 완성된 예금 및 보험금 지급 등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원권리자의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자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9.12.
2023.10.19.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대형 방사선발생장치의 준공 후 사용 허가 단계에서 해당 장치가 허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그 보완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대형 방사선발생장치의 사용 허가를 받으려는 자로 하여금 대형 방사선발생장치가
사용 허가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관한 사전검토를 미리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신청
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원자력안전법」이 개정(법률 제18972호, 2022. 6. 10.
공포, 2023. 3. 11. 시행)됨에 따라, 사전검토를 신청해야 하는 방사선발생장치의
대상을 가속시킨 전자(電子)의 입자당 에너지가 50메가전자볼트를 초과하는 방사선
발생장치 등으로 정하려는 것임.
2023.3.7.
2023.3.11.
원자력관계사업자가 방사성폐기물을 소각, 매립 또는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자체처분을
하기 위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자체처분계획서를 제출하기 전에 그 자체처분계획서의
내용 중 폐기물의 방사능 농도 측정 방법 등에 대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사전검토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절차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8.1.
2023.8.1.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그 소속기관 직제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인접국 방사능 대응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 2명(5급
1명, 6급 1명)을 2025년 12월 25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정원으로 증원하고, 한울원자력
발전소의 현장 안전규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한울원전지역사무소장의 직급을 5급에서
4급 또는 5급으로 상향조정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원자력안전
위원회의 정원 1명(6급 1명)을 감축하려는 것임.
2023.12.26.
2023.12.26.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시행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
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432∙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
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
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3.7.
2023.3.7.
국가를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국가유공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예우・지원 등 보훈 기능의
위상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보훈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가보훈처를 국가보훈부로
개편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228호, 2023. 3. 4. 공포, 6. 5.
시행)됨에 따라, 국가보훈처장의 명칭을 국가보훈부장관으로 변경하는 한편,
국가유공자나 그 선순위 유족에게 발급되는 ‘국가유공자증’ 및 ‘국가유공자유족증’을
‘국가보훈등록증’으로 통합하고, 국가보훈등록증을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공무원으로
등록된 사람과 그 선순위 유족에게도 발급할 수 있도록 하며,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의
발급에 관한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보훈등록증의 발급・재발급・관리 및 진위확인을 위해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국가보훈등록증의 발급・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5.23.
2023.6.5.
부가통신사업자로 하여금 전기통신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치의 이행 현황
등의 자료를 제출하도록 하고, 통신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 수를 최대 10명에서 30명으로
증원하면서 5명의 상임위원을 두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법률
19153호, 2023. 1. 3. 공포, 7. 4. 시행)됨에 따라, 부가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치의 이행 현황 등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자료를
제출하는 경우 1차 위반 시 350만원, 2차 위반 시 700만원, 3차 이상 위반 시 1,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고,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통신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 중
5명의 상임위원을 지명하도록 하며, 심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6명 이내의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위원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를 설치・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7.3.
2023.7.4.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국가안보 강화 및 국민안전 보호를 위해 국가정보원의 직무범위 등을 개편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정보원법」이 개정된 것에 맞추어 국가정보원의 기획・조정의 대상이 되는
정보의 범위에 ‘북한정보’를 추가하고, 방첩・대테러・국제범죄조직에 관한 정보와 정보
사범 등에 관한 정보를 ‘안보위해정보’로 정의하며, 국가정보원장이 ‘국가 정보목표
우선순위’를 결정하려면 국가안전보장회의에 보고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정보사범 등의 신병처리 및 공소보류에 대해 국가정보원장의 조정을 받도록 하던 것을
국가정보원장의 의견을 듣도록 변경하며, 국가정보원의 정보사업 및 보안업무 감사
결과 업무성과 우수기관 등에 대해 포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12.19.
2023.12.19.
∙433∙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전파법 시행령
어구(漁具) 및 폐어구(廢漁具)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어구마다 그
소유자 등을 표시해야 하는 ‘어구실명제’ 및 일정기간 특정 해역의 어업을 제한하여
어구 수거를 명할 수 있는 ‘어구 일제회수 제도’ 등을 도입하고, 대통령령에서 규정하고
있던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의 실시 근거를 법률에 직접 규정하면서 전체적인 조문
구조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으로 「수산업법」이 전부개정(법률 제18755호, 2022. 1. 11.
공포, 2023. 1. 12. 시행)됨에 따라, 법률 개정 내용에 맞추어 조문 체계를 정비하고,
어구실명제 실시 의무자의 범위, 어구 수거 명령 등의 방법 및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
대상자의 요건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1.10.
2023.1.12.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
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
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3.7.
2023.3.7.
급변하는 수상레저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체계를 정비하고
국민들이 수상레저 안전관련 법규의 체계와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상레저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동력수상레저기구의 등록 및 검사에 관한
사항을 분리하여 「수상레저기구의 등록 및 검사에 관한 법률」이 제정(법률 제18957호,
2022. 6. 10. 공포, 2023. 6. 11. 시행)됨에 따라, 동력수상레저기구 등록원부의
작성 방법 및 기재사항, 동력수상레저기구의 압류등록・해제의 통지 방법, 동력수상레저
기구 검사대행자에 대한 감독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6.11.
2023.6.11.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
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
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보보호 투자 및 인력 현황, 정보보호 관련 인증 등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하고,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 수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며,
공시 내용의 검증을 거부 또는 방해하거나 수정 요청에 따르지 않은 경우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으로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9351호, 2023. 4. 18. 공포, 10. 19. 시행)됨에 따라, 공시 내용의 검증을 거부
또는 방해하거나 수정 요청에 따르지 않은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금액을 1차 위반 시
300만원, 2차 위반 시 600만원, 3차 이상 위반 시 1,000만원으로 정하고, 정보보호
공시 내용의 검증 업무를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위탁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10.10.
2023.10.19.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
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
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2023.3.7.
2023.3.7.
∙434∙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복합적 요인으로 인한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재도약을
지원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이 기술인력의 퇴직 등으로 등록기준에 일시적으로 미달하는
경우 자발적으로 시정할 충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재처분 유예 기간을 현행
50일 또는 90일 이내에서 180일 이내로 확대하는 내용으로 「골재채취법 시행령」
등 4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9.12.
2023.9.12.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시행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
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
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서 “3년” 으로 조정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3.7.
2023.3.7.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속이는 행위로 인한 정보 수집 등의 피해 예방 및 방지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등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접속경로의 차단 등의 조치를
요청하는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약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경찰청장 등이 속이는 행위에 이용된 전화번호를 확인한 때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전기통신역무 제공의 중지를 요청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8871호, 2022. 6. 10. 공포, 12. 11. 시행)됨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속이는 행위로 인한 피해 예방・방지와 관련하여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이용
약관으로 정해야 하는 사항을 구체화하고, 전화번호에 대한 전기통신역무 제공이 중지
된 이용자의 이의신청 절차를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7.3.
2023.7.4.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신규 정보통신융합 등 기술・서비스의 실증을 위한 규제특례를 부여받은 사업자가 규제
특례 사항과 관련된 법령의 정비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 관계기관의 장에게 요청
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신규 정보통신융합 등 기술・서비스의 안전성이 입증되어
관계기관의 장이 법령정비에 착수한 경우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해당 사업에
대하여 임시허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으로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법률 제18872호, 2022. 6. 10. 공포, 12. 11. 시행)됨에
따라, 규제특례 사항과 관련된 법령정비의 요청 절차와 법령정비 착수에 따른 임시허가의
신청 절차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신기술・
서비스심의위원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신기술・서비스심의위원회에 두는 사전
검토위원회의 기능 및 위원 수를 확대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7.3.
2023.7.4.
지식재산 기본법
시행령
지식재산의 가치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사회적 여건과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식재산의 진흥 및 학술활동을 수행하거나 지원할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 또는
단체를 육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으로 「지식재산 기본법」이 개정(법률
제18873호, 2022. 6. 10. 공포, 12. 11. 시행)됨에 따라, 정부가 육성해야 하는
법인 또는 단체 등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소관 업무와 관련한 지식재산 분야의
조사・연구, 지식재산의 창출・보호・활용 및 진흥・학술활동 등의 실적이 우수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법인 또는 단체 등으로 정하려는 것임.
2023.7.3.
2023.7.4.
∙435∙
4.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시행령 제・개정 현황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공무원임용령 일부개정령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고, 일반직공무원의 직급표상 과학기술직군을 행정직군
보다 앞에 배치하도록 하는 한편,
해양수산직렬의 효율적인 인력 운영을 위하여 표지운영직류를 해양교통시설직류로
통합하고, 임기제공무원 임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공직후보자 등에 관한 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인사혁신처장으로부터 적격자 추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시행령
2023.8.30.
2023.8.30.
행정조직 운영의 자율성 확대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민첩하고 유연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방형 직위를 총리령・부령으로 정하도록
하던 것을 훈령・예규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정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및 「개방형 직위 및 공모 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고,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
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공무원임용령」이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정비하며,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정원의 한도를 총정원의 7퍼센트에서 10퍼센트로 상향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직제」 등 55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2023.8.30.
2023.8.30.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립적
발전과 지방자치분권 등을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지역균형발전을 추진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어디에 살든 균등한 기회를 누릴 수 있는 지방시대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과 「국가균형
발전 특별법」을 통합하면서, 그간 자치분권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기능이
분산적으로 수행되어 상호연계가 미흡하였던 점을 보완하고, 통합된 위원회의
실효성을 강화하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지방자치분권, 지방행정체제 개편 및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시행령
2023.7.7.
2023.7.10.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 활성화 및 정보보안에 관한 사항을 강화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 보안인증을 실시하고, 국가기관 등이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8738호, 2022. 1. 11. 공포, 2023. 1. 12. 시행)됨에
따라,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보안인증의 절차,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보안인증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지정 기준・절차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1.10.
2023.1.12.
한국과학기술원법
시행령
지방자치단체도 국가와 같이 한국과학기술원에 공유재산의 양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한국과학기술원법」이 개정됨에 따라, 공유재산의 무상 양여 또는
무상 대부는 해당 공유재산의 관리청과 한국과학기술원의 양여 또는 대부의 계약에
따르도록 하려는 것임.
2023.9.12.
2023.9.12.
∙436∙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지역균형발전의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으로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법률 제19430호, 2023. 6. 9. 공포, 7. 10. 시행)됨에 따라,
지방시대 종합계획의 수립절차, 기회발전특구의 지정・변경・해제 절차, 지방시대
위원회의 운영 및 지방시대기획단의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하여 공급망안정품목 및 공급망안정
사업을 선정하고, 공급망안정품목의 안정적 수급에 중대한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는 경우에 특정 기업이 해외에서 생산하고 있는 품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국내에
반입할 것을 명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망안정품목의 국내 총재고량 등을 검토하여
재고확대를 권고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이 개정(법률 제19438호, 2023. 6. 13. 공포, 12. 14.
시행)됨에 따라, 공급망안정품목의 선정, 비상시 해외생산품목의 반입명령 절차,
공급망안정사업의 선정절차 및 재고확대 권고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023.12.5.
2023.12.14.
과도한 학력 기준으로 인한 고용 기회 불평등을 해소하고 청년 등의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법령상 인력 요건 중 학력 기준을 학사학위 취득에서
전문학사학위 취득 또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 등까지로 완화하면서, 필요시 실무
경력을 추가하도록 그 기준을 다양화・유연화하는 내용으로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20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기술사법 시행령
2023.11.21.
2023.11.21.
과도한 학력 기준으로 인한 고용 기회 불평등을 해소하고 청년 등의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법령상 인력 요건 중 학력 기준을 학사학위 취득에서
전문학사학위 취득 또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 등까지로 완화하면서, 필요시 실무
경력을 추가하도록 그 기준을 다양화・유연화하는 내용으로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20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촉진법 시행령
2023.11.21.
2023.11.21.
규제 재검토기한 정비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
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
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방송법 시행령
2023.3.7.
2023.3.7.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시행령
2023.12.12.
2023.12.12.
∙437∙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소상공인 경제회복 지원을 위한 61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부담을
완화하고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고의 또는 중과실이 없는 소상공인의
위반행위에 대한 과태료・과징금 또는 영업정지 등의 처분을 최대 100분의 70
범위까지 감경할 수 있도록 하고, 등록취소・허가취소 등의 처분을 영업정지 처분
등으로 감경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소상공인에 대한 제재처분 감경기준을 신설하는
내용으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61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23.4.25.
2023.4.25.
공무원임용령 일부개정령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고, 일반직공무원의 직급표상 과학기술직군을 행정직군
보다 앞에 배치하도록 하는 한편,
해양수산직렬의 효율적인 인력 운영을 위하여 표지운영직류를 해양교통시설직류로
통합하고, 임기제공무원 임용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공직후보자 등에 관한 정보의
수집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인사혁신처장으로부터 적격자 추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우정사업 운영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2023.8.30.
2023.8.30.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2023.12.12..
2023.12.12.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
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23.12.12..
2023.12.12.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23.12.12.
2023.12.12.
∙438∙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사업법 시행령
2023.12.12.
2023.12.12.
규제 재검토기한 정비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
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23.3.7.
2023.3.7.
민첩하고 유연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방형 직위를 총리령・부령으로 정하도록
하던 것을 훈령・예규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정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및 「개방형 직위 및 공모 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고,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
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공무원임용령」이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정비하며,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자율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정원의 한도를 총정원의 7퍼센트에서 10퍼센트로 상향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직제」 등 55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우정사업본부 직제
2023.8.30.
2023.8.30.
규제 재검토기한 정비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
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2023.3.7.
2023.3.7.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개정령
국가를 위해 헌신하고 희생한 국가유공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예우・지원 등 보훈
기능의 위상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보훈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가보훈처를
국가보훈부로 개편하는 내용으로 「정부조직법」이 개정(법률 제19228호, 2023.
3. 4. 공포, 6. 5. 시행)됨에 따라, 국가보훈처장의 명칭을 국가보훈부장관으로
변경하는 한편, 국가유공자나 그 선순위 유족에게 발급되는 ‘국가유공자증’ 및
‘국가유공자유족증’을 ‘국가보훈등록증’으로 통합하고, 국가보훈등록증을 국가
유공자에 준하는 군경・공무원으로 등록된 사람과 그 선순위 유족에게도 발급할
2023.5.23.
2023.6.5.
∙439∙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수 있도록 하며,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의 발급에 관한 근거를 마련하고, 국가보훈
등록증의 발급・재발급・관리 및 진위확인을 위해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국가보훈등록증의 발급・관리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국가안보 강화 및 국민안전 보호를 위해 국가정보원의 직무범위 등을 개편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정보원법」이 개정된 것에 맞추어 국가정보원의 기획・조정의
대상이 되는 정보의 범위에 ‘북한정보’를 추가하고, 방첩・대테러・국제범죄조직에
관한 정보와 정보사범 등에 관한 정보를 ‘안보위해정보’로 정의하며, 국가정보원장이
‘국가 정보목표 우선순위’를 결정하려면 국가안전보장회의에 보고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정보사범 등의 신병처리 및 공소보류에 대해 국가정보원장의
조정을 받도록 하던 것을 국가정보원장의 의견을 듣도록 변경하며, 국가정보원의
정보사업 및 보안업무 감사 결과 업무성과 우수기관 등에 대해 포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12.19.
2023.12.19.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
본법 시행령
2023.12.12.
2023.12.12.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종전에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만 적용되던 개인정보 이용・제공내역의 통지
의무 등을 모든 개인정보처리자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하고, 개인정보를
국외로 이전할 수 있는 경우를 확대하여 규정하는 등의 내용으로 「개인정보 보호
법」이 개정(법률 제19234호, 2023. 3. 14. 공포, 9. 15. 시행)됨에 따라, 개인정보의
이용・제공 내역을 통지하여야 하는 개인정보처리자의 기준을 정하고, 개인정보
처리자가 아동의 법정대리인이 아동의 개인정보 처리에 동의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규정하며, 개인정보 보호위원회가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을 위해
국가 또는 국제기구의 개인정보 보호체계 등이 이 법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수준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수준을 갖추었다고 인정하려는 경우 고려해야 하는 사항 및
절차를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공공부문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침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을 운영하는 공공기관은 일반적인 개인정보처리자가 하여야
하는 안전성 확보 조치 외에 추가적인 조치를 하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전자서명법 시행령
2023.9.12.
2023.9.15.
∙440∙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수산업법 시행령 전부개정령
어구(漁具) 및 폐어구(廢漁具)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어구마다
그 소유자 등을 표시해야 하는 ‘어구실명제’ 및 일정기간 특정 해역의 어업을 제한
하여 어구 수거를 명할 수 있는 ‘어구 일제회수 제도’ 등을 도입하고, 대통령령에서
규정하고 있던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의 실시 근거를 법률에 직접 규정하면서
전체적인 조문 구조를 정비하는 등의 내용으로 「수산업법」이 전부개정(법률 제
18755호, 2022. 1. 11. 공포, 2023. 1. 12. 시행)됨에 따라, 법률 개정 내용에
맞추어 조문 체계를 정비하고, 어구실명제 실시 의무자의 범위, 어구 수거 명령
등의 방법 및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 대상자의 요건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전파법 시행령
2023.1.10.
2023.1.12.
규제 재검토기한 정비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
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3.7.
2023.3.7.
수상레저기구의 등록 및 검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급변하는 수상레저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체계를 정비하고
국민들이 수상레저 안전관련 법규의 체계와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상레저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동력수상레저기구의 등록 및
검사에 관한 사항을 분리하여 「수상레저기구의 등록 및 검사에 관한 법률」이 제정
(법률 제18957호, 2022. 6. 10. 공포, 2023. 6. 11. 시행)됨에 따라, 동력수상레
저기구 등록원부의 작성 방법 및 기재사항, 동력수상레저기구의 압류등록・해제의
통지 방법, 동력수상레저기구 검사대행자에 대한 감독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6.7.
2023.6.11.
2023.6.11.
2023.6.11.
행정법제 혁신을 위한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기본법」과 같은 법 시행령에 과징금의 납부기한 연기 및 분할 납부에 관한
일반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별 법령상 이와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규정을
정비하고, 「행정기본법」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자로부터 수수료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법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함에 따라 개별 법령에
수수료에 관한 명시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법 체계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행정법의 적용관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 등 123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규제 재검토기한 정비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
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정보통신공사업법 시행령
2023.3.7.
2023.3.7.
∙441∙
타법 주요내용 시행령
공포일
시행일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복합적 요인으로 인한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의
재도약을 지원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이 기술인력의 퇴직 등으로 등록기준에 일시적으로
미달하는 경우 자발적으로 시정할 충분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제재처분 유예
기간을 현행 50일 또는 90일 이내에서 180일 이내로 확대하는 내용으로 「골재
채취법 시행령」 등 4개 대통령령을 개정하려는 것임.
2023.9.12.
2023.9.12.
규제 재검토기한 정비를 위한 55개 법령의 일부개정에 관한 대통령령
행정규제에 대한 체계적・합리적 검토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인 행정규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동산투자회사법 시행령」에 따른 내부통제기준 및 「약사법
시행령」에 따른 한약업사 및 의약품 도매상 등의 시설기준 등 40건의 규제사항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방제분담금의
부과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재검토기한을 “1년”에서 “3년”으로 조정하며, 「공인
중개사법 시행령」에 따른 과태료 부과기준 및 「방송법 시행령」에 따른 수신료의
면제 및 감액 기준 등 37건에 대해서는 규제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여 비규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55개의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시행령
2023.3.7.
2023.3.7.
정보및보안업무기획・조정규정 일부개정령
국가안보 강화 및 국민안전 보호를 위해 국가정보원의 직무범위 등을 개편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정보원법」이 개정된 것에 맞추어 국가정보원의 기획・조정의
대상이 되는 정보의 범위에 ‘북한정보’를 추가하고, 방첩・대테러・국제범죄조직에
관한 정보와 정보사범 등에 관한 정보를 ‘안보위해정보’로 정의하며, 국가정보원장이
‘국가 정보목표 우선순위’를 결정하려면 국가안전보장회의에 보고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정보사범 등의 신병처리 및 공소보류에 대해 국가정보원장의
조정을 받도록 하던 것을 국가정보원장의 의견을 듣도록 변경하며, 국가정보원의
정보사업 및 보안업무 감사 결과 업무성과 우수기관 등에 대해 포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통신비밀보호법 시행령
2023.12.19.
2023.12.19.
∙442∙
5. 시행규칙 제・개정 현황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과학관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사립과학관 설립계획의 승인 또는 변경승인을 받으려는 자가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
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하는 신청서에 첨부해야 하는
서류 중 토지이용계획확인서의 경우 앞으로는 별도로 제출하지 않고 관련 정보를 「전자
정부법」에 따른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해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신청의 편의를 높이는
한편, 종전에는 등록과학관 중 과학관의 설립・운영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과학관 관리・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한 수익사업을 앞으로는 국립과학관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립과학관의 원활한 재원 마련을 도모하려는 것임.
2023.2.24.
2023.2.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비상대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비상대비자원 관리법」이 「비상대비에 관한 법률」로 제명이 변경된 것에 맞추어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소관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이 규칙의 제명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비상대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으로 변경하는 한편,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이
「소프트웨어 진흥법」으로 제명이 변경되고 소프트웨어사업자 신고 제도가 폐지된 것에
맞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비상대비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중점관리 대상 업체로
지정하는 소프트웨어사업자의 기준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기술인력 등의
자료를 제출한 업체로 정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
하려는 것임.
2023.11.9.
2023.1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조정실장의 분장사무에 중대재해 관련 안전・보건에 관한
업무의 총괄・관리에 관한 사항을 추가하면서 이에 필요한 인력 1명(5급 1명)을 증원하고,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인력 1명(5급 1명) 및 디지털 안전관리
기능 강화를 위하여 필요한 인력 4명(4급 또는 5급 1명, 5급 3명)을 각각 증원하는
내용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33383호, 2023. 4.
11. 공포・시행)가 개정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는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의 네트워크안전기획과를 디지털기반안전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네트
워크정책실 하부조직의 분장사무를 일부 조정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4.11.
2023.4.11.
민첩하고 유연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방형 직위를 총리령・부령으로 정하도록
하던 것을 훈령・예규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정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및 「개방형 직위 및 공모 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고,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공무원임용령」이 개정되며, 총액인건비제를 활용
하여 자율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정원의 한도를 총정원의 7퍼센트에서 10퍼센트로 상향하는
내용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가 개정(대통령령 제33687호,
2023. 8. 30. 공포・시행)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설치한 연구기관지원팀, 과학기술안전기반팀, 디지털포용
정책팀 및 디지털인재양성팀의 존속기한을 각각 2023년 9월 11일에서 2025년 9월
11일로 2년 연장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설치한 디지털
소통팀의 존속기한을 2023년 9월 26일에서 2025년 9월 26일로 연장하며, 총액
인건비제를 활용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원 10명(6급 10명)의 직급을 상향 조정(5급
10명)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기관인 국립전파연구원의 열관리운영직렬 정원
1명(9급 1명)을 행정・기술직렬 정원으로 변경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8.30.
2023.8.30.
∙443∙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우주 국제협력 기능 강화를 위하여 필요한 인력 3명(5급 3명)을
2025년 10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정원으로 증원하는 내용으로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대통령령 제33830호, 2023. 10. 24. 공포・시행)가 개정
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는 한편,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위하여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하부조직의 분장사무 일부를 조정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10.24.
2023.1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형가속기 구축・운영 및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운영・관리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 2명(4급 또는 5급 1명, 6급 1명)을 증원하고,
전문과학관 건립 및 어린이 과학체험공간 조성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에 증원한 한시정원 1명(5급 1명)을 정규정원으로 전환하며,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증원한 한시정원
2명(5급 1명, 6급 1명) 및 송파 정보통신기술(ICT) 보안 클러스터 조성사업 중 공공청사
건립 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기관인 중앙전파관리소에
증원한 한시정원 1명(5급 1명)의 존속기한을 각각 2023년 12월 31일까지에서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2년 연장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원 7명(5급 3명, 6급 2명, 7급 1명, 9급
1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기관인 국립전파연구원의 정원 3명(6급 1명, 7급 1명,
9급 1명) 및 중앙전파관리소의 정원 8명(5급 1명, 6급 2명, 7급 2명, 8급 3명)을
각각 감축하는 내용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가 개정(대통령령
제33974호, 2023. 12. 19. 공포・시행)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는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평가대상 조직으로 설치한 성과평가정책국 연구윤리권익보호과의
평가기간을 그동안의 평가결과에 따라 2023년 12월 31일까지에서 2025년 12월
31일까지로 2년 연장하고, 효율적인 조직 및 인력 운영을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하부조직의 분장사무 일부를 조정하며, 중앙전파관리소의 관리운영직군
일부를 과학기술직군・행정직군으로 전환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
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12.19.
2023.12.19.
기상법 시행규칙
기후자료와 기상업무 외의 분야의 자료를 접목하여 생산하는 융합특화기상정보의 분야를
생활안전 분야, 교통안전 분야 및 산업 분야 등으로 구체화함으로써 기상현상의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증가하는 현실에 대응하고 국민에게 제공하는 융합특화기상정보의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하려는 것임.
2023.6.28.
2023.6.28.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시행규칙
데이터 품질 향상을 통해 데이터의 거래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데이터 품질인증을 받기 위하여 제출해야 하는 신청서의
서식 및 데이터 품질인증을 받은 자가 그 인증을 표시하려는 경우 준수해야 하는 표시기준
등을 정하려는 것임.
2023.1.3.
2023.1.3.
별정우체국직원
인사규칙
직원이 신체상 또는 정신상의 장애로 장기 요양이 필요한 사유 등으로 휴직 등을 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기간을 정하여 직원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정우체국
업무 수행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종전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업무상 재해로 인한 휴직은 3년 이내의 기간
내에서만 할 수 있던 것을 부득이한 경우에는 2년의 범위에서 연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정우체국 직원의 처우를 개선하려는 것임.
2023.1.26.
2023.2.1.
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의 부담을
완화하고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고의 또는 중과실이 없는 소상공인의
위반행위에 대한 업무정지 처분을 최대 100분의 70 범위까지 감경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2023.4.25.
2023.4.25.
∙444∙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시행규칙
삼차원프린팅 장비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임대차계약 또는 공동사용에 관한 계약을
맺어 해당 장비의 사용권을 확보하는 경우 해당 장비를 보유한 것으로 보도록 하는
내용으로 「삼차원프린팅산업 진흥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삼차원프린팅서비스사업
신고 서식의 삼차원프린팅 장비 현황란 등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1.4.
2023.1.4.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항공운송사업자로 하여금 우주방사선에 피폭될 우려가 있는 항공승무원에 대하여 건강
진단을 실시하도록 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실시하는 우주방사선 피폭 등에 관한
교육을 받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 개정(법률 제18971호,
2022. 6. 10. 공포, 2023. 6. 11. 시행)됨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의 승무원 피폭방사
선량 조사・분석 결과 등의 기록・보관・보고 및 제출의 기준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6.7.
2023.6.11.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규칙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의 유효기간 및 유효기간 연장에 관한 사항을 상향 입법하는
내용으로 「소프트웨어 진흥법」(법률 제19349호, 2023. 4. 18. 공포, 10. 19. 시행) 및
같은 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3807호, 2023. 10. 17. 공포, 10. 19. 시행)이 개정됨에
따라,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표지 및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유효기간
연장 등에 관한 인용조문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3.10.17.
2023.10.19.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연구개발특구 내 신기술 창출과 관련된 규제의 유무를 국민이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규제 신속확인 제도와 관련 규제가 불명확하거나 불합리한 경우 안전성이 검증되었다면
임시적으로 시장 출시를 허용해주는 임시허가 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연구개발특
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및 같은 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실증특례 재심의 신청,
실증특례에 따른 법령정비 요청, 규제의 신속확인 요청 및 임시허가 신청에 필요한
서식 등 관련 서식을 정하려는 것임.
2023.10.6.
2023.10.6.
우정사업본부 직제
시행규칙
민첩하고 유연한 정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방형 직위를 총리령・부령으로 정하도록
하던 것을 훈령・예규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정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및 「개방형 직위 및 공모 직위의 운영 등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고,
과학기술분야의 전문성이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기술직군의 명칭을
과학기술직군으로 변경하는 내용으로 「공무원임용령」이 개정되며, 총액인건비제를 활용
하여 자율적으로 증원할 수 있는 정원의 한도를 총정원의 7퍼센트에서 10퍼센트로
상향하는 내용으로 「우정사업본부 직제」가 개정(대통령령 제33687호, 2023. 8. 30.
공포・시행)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려는 것임.
2023.8.30.
2023.8.30.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방우정청의
정원 55명(6급 4명, 7급 19명, 8급 25명, 9급 7명)을 감축하는 내용으로 「우정사업본부
직제」가 개정(대통령령 제33936호, 2023. 12. 12. 공포・시행)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는 한편,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직급을 상향 조정한 정원 94명(우정5급
46명, 우정6급 48명)의 존속기한을 2023년 12월 31일까지에서 2025년 12월 31일
까지로 연기하며, 존속기한 없이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직급을 상향 조정한 정원
776명(5급 44명, 6급 239명, 우정5급 10명, 우정6급 110명, 우정7급 373명) 중
5명(6급 5명)을 종전의 직급(8급 5명)으로 환원하고, 771명(5급 44명, 6급 234명,
우정5급 10명, 우정6급 110명, 우정7급 373명)의 존속기한을 2024년 12월 31일까지로
신설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3.12.12.
2023.12.12.
2023.12.12.
2023.12.30.
우주개발 진흥법
시행규칙
-
2023.4.19.
2023.4.19.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우체국예금・보험소비자의 권익증진을 위하여 현행 분쟁조정절차에 예금 관련 분쟁을
포함하도록 하고, 조정 대상 분쟁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우체국
예금・보험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9239호, 2023. 3. 21. 공포, 9. 22. 시행)됨에
따라, 이 규칙의 조정 대상 분쟁에 관한 규정을 삭제하는 한편,
2023.9.22.
2023.9.22.
∙445∙
6.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시행규칙 제・개정 현황 (없음)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우체국예금・보험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험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우정사업본부장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보험금을 지급받은 자를 신고하는 자에게 부당이득 신고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인용조문을 정비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
원자력관계사업자가 방사성폐기물을 자체처분하기 위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자체
처분계획서를 제출하기 전에 자체처분계획서의 내용 중 핵종별 농도 측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사전검토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원자력안전법 시행령」이 개정(대통령령 제33658호, 2023. 8. 1. 공포 및 시행)됨에
따라, 핵종별 농도 측정 및 평가 방법 사전검토 신청서의 서식과 사전검토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를 정하고, 자체처분계획서를 제출받은 날부터 20일 이내에,
사전검토 신청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그 검토 결과를 원자력관계사업자에게 통지
하도록 처리기간을 정하는 등 대통령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8.1.
2023.8.1.
원자력안전위원회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인접국 방사능 대응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력 2명(5급
1명, 6급 1명)을 2025년 12월 25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정원으로 증원하고, 한울 원자력
발전소의 현장 안전규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한울원전지역사무소장의 직급을 5급에서
4급 또는 5급으로 상향조정하며, 범정부 차원에서 인력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활용정원제 운영 계획에 따라 국정과제・정책현안 등의 추진을 위한 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정원 1명(6급 1명)을 감축하는 내용으로 「원자력
안전위원회와 그 소속기관 직제」가 개정(대통령령 제34036호, 2023. 12. 26. 공포・
시행)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는 한편, 원자력안전위원회 본부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부 직급의 보임 직렬을 확대하려는 것임.
2023.12.26.
2023.12.26.
전파법 시행규칙
전파응용설비의 운용 허가를 받으려는 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하는
전파응용설비 공사설계서의 작성 항목 중 운용 허가 검토에 불필요한 항목을 삭제하고
전파응용설비 공사설계서와 함께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간소화함으로써 운용 허가
신청의 편의를 높이려는 것임.
2023.1.18.
2023.2.19.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보보호 투자 및 인력 현황, 정보보호 관련 인증 등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하고,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 수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며,
정보보호 공시 내용의 검증 업무를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위탁하는 등의 내용으로 「정보
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법률 제19351호, 2023. 4. 18. 공포, 10. 19. 시행) 및
같은 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3788호, 2023. 10. 10. 공포, 10. 19. 시행)이 개정됨에
따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정보보호 공시 내용에 대한 검증을 연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검증 결과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에는 이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에게 보고하도록 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3.10.19.
2023.10.19.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이용 활성화 및 정보보안에 관한 사항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인터넷
진흥원 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에 대한
보안인증을 실시하는 등의 내용으로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18738호, 2022. 1. 11. 공포, 2023. 1. 12. 시행) 및 같은 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3220호, 2023. 1. 10. 공포, 2023. 1. 12. 시행)이 개정됨에 따라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의 보안인증을 받으려는 경우 제출해야 하는 신청서의 서식과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보안인증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가 보안인증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하여 제출해야
하는 신청서의 서식 등을 정하려는 것임.
2023.1.10.
2023.1.12.
∙446∙
제3장 2023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 한국전기연구원 김남균 원장 직무대행, 새해에도 안전 강조 한국전기연구원
1.2. ETRI, 올해 연구・경영 계획 발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 2023년 KICT 신년식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2. 지질자원연, 우주자원 탐사 대응 연구조직 개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 원자력연, 2023년 경영계획 발표 한국원자력연구원
1.2.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자랑스런 KFE인 선정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3. 한의학연, 90종 한약처방 대한 의약품 정보 구축 완료 한국한의학연구원
1.3. 지질자원연, KIGAM 대표과학자 선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3. 다누리가 달 상공에서 촬영한 지구-달 사진 공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5. 자가진단키트보다 더 빠른 PCR, 5분만에 진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5. 키스트미래재단, KT&G 장학재단 장학금 수여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5. 국내 최초 치매 조기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 인공수정체 기술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1.6. KISTI-통일연구원, 데이터 기반 북한・통일 지식공유 및 융합연구 협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9. 생명연, 감염병 대응 전문인력 양성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9. 전기연구원-부산대, 하이브리드형 아연-망간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한국전기연구원
1.9.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에 관심있는 학생들을 위한 ‘제1회 찾아가는 화학콘서트’ 개최 한국화학연구원
1.10. KIST, 광(光) 기반 양자컴퓨팅 글로벌 선두기업 자나두와 본격적인 연구협력 시작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0. 유성국화축제 천체관측 및 별자리 해설 체험 행사 운영 한국천문연구원
1.10. 암 면역치료 효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면역관문 발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10. 원자력연, 지역 소외계층에 지정기탁금 전달 한국원자력연구원
1.10. 재료연, 스마트 윈도우 산업기술교류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1.11. 재료연 연구소기업 ㈜트윈위즈, 20억 원 규모 프리A 투자 유치 한국재료연구원
1.12. 표준연, 2022년 올해의 KRISS인상 선정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12. 다누리에 장착된 NASA 섀도우캠 관측사진 첫 공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12. 재료연 유지훈 박사, 제25대 한국분말재료학회장 취임 한국재료연구원
1.13. 에너지연 구성원의 소중한 실패 경험이 축적의 시간으로 공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5. 연료전지의 경제성, 안정성 두 마리 토끼 다 잡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6. 세계김치연구소, 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국제 표준 인증 획득 세계김치연구소
∙447∙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6. 한국전기연구원 김남균 원장 취임, “전기화로 미래 열겠다!” 한국전기연구원
1.17. 스마트폰・노트북 배터리 성능 향상하는 리튬이온배터리 전극 설계 세계 최초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1.18. KBSI-중앙대, 교육․연구․학연협력 업무협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18. 에너지연, 연구노트 작성 ・ 관리 우수기관 선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8. 원자력연, 체렌코프 효과 이용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1.19. KIST, 소셜로봇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9.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세포선별 시스템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19. ETRI, 암・종양 조기진단 가능한 영상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9. 세계 최초 합성섬유 폐기물 재활용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1.19. 3D 프린팅, 손상 부품 복원으로 탄소저감과 비용절감에 앞장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1.25. 고성능 NDR 소자 개발...차세대 회로 소자 실용화 속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25.
매일 버려지는 일회용마스크의 주원료 폴리프로필린(PP), 나노플라스틱이 되어
폐 손상 유발한다.
안전성평가연구소
1.25. 재료연, 현장형 신속 암 조기진단 센서 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1.26. KBSI, 분석과학 최고 명장 ‘분석과학 마이스터’ 선정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26. 한의학연, 개원의와 함께 소아 자폐 치료 증례 보고서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
1.26. 지질박물관 ‘지각의 상처’ 단층 테마 전시관 개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6. 원자력연, SMR 압력용기용 금속 분말 소재 개발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
1.27. 재료연, ㈜파인텍에 ‘압출형 한외여과 세라믹 분리막 제조 기술’ 이전해 한국재료연구원
1.27.
핵융합(연)-전북 군산 강소특구 혁신기관 기업 수요 기반 공공기술 창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30. 미세먼지 속 세균이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는 기전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31. 스스로 공진하는 스마트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31. 건설연-시흥시, 군자동 행정복지센터 에너지효율화 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성능 개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31.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영국 런던 ‘킹스턴구 김치의 날’ 선포 세계김치연구소
1.31. ICT기반 기술로 블랙파우더에서 양극재 물질 찾아낸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31. 중소・중견기업 탄소중립, 온라인 플랫폼으로 해결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1. 상용화를 위한 삼박자 갖춘 태양전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 생명연, 설립 38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1. 하수 속 골칫덩어리인 암모니아, 유용한 자원으로 재탄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1. 표준연, 양자・AI 연구 날개 달 스커미온 트랜지스터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1. 지질자원연, 지역특산 자원의 발굴〮특화로 지역 자립화 앞장선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1. 한국전기연구원, 안전 분야 연이은 인증・포상 ‘눈길’ 한국전기연구원
2.2. KISTI, 디지털 혁신 이끄는 미래기술 10선 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2. ETRI, 공장 에너지다이어트 선도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 전임 원장 초빙 KICT 40주년 시니어 특강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2.
기존 상용막 대비 효율이 1.5배 이상 향상된 친환경 수소 생산용 고성능 전해질막
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2.3. 천문우주 취약계층(시각장애)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한국천문연구원
∙448∙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2.3. 건설연, 세계 암의 날 5k Challenge 캠페인 참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6. 천문연-에티오피아 아다마 과학기술대학교 MOA 체결 한국천문연구원
2.6. 내비게이션 기능 가진 스마트 콘택트렌즈, 3D 프린터로 만든다! 한국전기연구원
2.7. 폐수로 전기와 식수를 동시에 생산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7. 버려지는 고염도 농축수에서 리튬 추출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8. 제25회 송곡과학기술상에 성균관대학교 김태일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8.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 개최 한국천문연구원
2.8. KISTI, 충청권 관광산업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8. ETRI, AI로 98% 정확도 피부부착 센서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 한미연합군사령부 공병부장 방원 및 기술교류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8. 기계연-재료연 차별화된 국가전략기술력 확보 위해 맞손 한국기계연구원
2.8. 노인성 희귀 난치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 및 림프암 치료 후보물질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2.8. 고집적, 고신뢰성의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 세계 최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2.8. 2023 한국진공학회 정기학술 전시회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2.9. KBSI, UAE와 과학기술 공동연구 지평 넓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9.
KISTI, ‘설명가능 AI 사이버위협정보 자동분석 기술’ S/W개발 전문기업 (주)에이펙스
이에스씨에 기술이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9. 명품 K-철도기술 선정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10. KIST, 제57주년 개원기념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0. 주한 외교사절들이 KIST에 모인 까닭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0. 원자력연, 경상북도 등과 원자력 선박・해양시스템 기술개발 MOU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
2.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와 틔르키예 지진 복구에 위성영상 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13. 다누리가 처음으로 달에서 촬영한 달 표면사진 공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13. 한-태국 우주발사장 구축 타당성 조사 협력 이행약정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13. 한국전기연구원, 반도체 변압기 통해 에디슨 ‘직류 시대’ 꿈 이룬다! 한국전기연구원
2.13. 원자력연-IAEA, 인수공통감염병 감시・대응 역량 높이는 국제 교육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2.13. 3D프린팅 전용 알루미늄합금 분말 및 결함억제 적층공정기술 국산화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2.14. 체액 속에 숨겨진 정신질환의 비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4. 튀르키예 강진, 국내 지하수 수위 변화 감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14. 차세대 태양전지 효율・안정성 한층 더 끌어올린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14.
조류독감, 코로나 19 등 다양한 바이러스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차단하는 친환경
방역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2.14. 예뻐지고 싶으면? 예뻐지는 화학 한국화학연구원
2.14.
KIT, 올해의 우수연구자로 ‘약물대사 기능이 크게 개선된 독성평가용 간 오가노이드
모델 개발’ 김혜민, 박한진 박사 선정
안전성평가연구소
2.15. 소프트 광결정 로봇으로 인체에 유해한 메탄올 검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5. ETRI, 김포공항서 버스 와이파이 시연 성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5.
“김치산업 위생・안전 신뢰성 강화시킨다” 세계김치연구소 – 광주지방식약청 업무
협약 체결
세계김치연구소
∙449∙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2.16. 빛으로 수돗물 속 미세플라스틱 잡아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6. 건설연・LH, 「대한민국 건축혁신 서밋(summit)」 공동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16. 철도차량 잔존수명 평가 프로그램 GS인증 획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16. 허벅지 절단 환자 돕는 인공지능 스마트 맞춤형 의족 소켓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2.17. 노화 조절이 가능한 식이 제한요법 찾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17.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보좌진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17. 식품연, 15일 일본 식품총합연구소와 한일 공동 심포지엄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2.20. KISTI, ‘2023년 KISTI-충북대학교 HPC・AI 겨울학교’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20. 김치의 과학화․선진화․자원화 통해 성장산업으로 육성 세계김치연구소
2.21. 혈관질환의 새로운 치료 타겟 발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21. ETRI, 세계 최고 수준 5G 스몰셀 SW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1. 27주년기념 국제세미나 디지털 시대의 철도안전과 유지보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21. 2023 플라즈마 과학 및 공학도 교류회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2.22. 해수 수전해 시스템 핵심기술 공동개발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 한국재료연구원
2.22. 창원시청 기후환경국 직원 대상으로 ESG경영 특강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2.22. 게임 코딩으로 핵융합 원리 배우는 퓨전스쿨 과학캠프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2.23. 전기 통하는 차세대 아라미드 섬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23. 국가녹색기술연구소, ‘보령시 녹색・기후・에너지 혁신 정책 포럼’ 개최(보령시 공동) 국가녹색기술연구소
2.23. WHO 연구과제 선정 한국한의학연구원
2.23. 은닉형 보행 보조로봇 ‘ASSIST’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23. ETRI, MWC서 최신 5개 기술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23. 원자력연, 파랗고 동그란 ‘파동이’로 토이어워드 특별상 수상 한국원자력연구원
2.24. 바이오헬스 기업지원의 모든 것, 한자리에서 살펴본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24. 대한항공과 항공기 소재 부품 분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재료연구원
2.24. 핵융합 실현을 위한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 발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2.27. 2023년 기계산업, 대내외 여건 악화로 소폭 감소 전망 한국기계연구원
2.28. 더 오래 가는 전기자동차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28. 국가녹색기술연구소, 한-아세안 협력 심포지움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2.28. 에너지 구두쇠 다중저항 기억 산화물 반도체 소자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28. 주목받는 탈모 산업, 2025년 211억 달러 규모 세계시장 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28. 누리호・다누리의 산실, 항우연 견학 재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28. 온실가스를 대량・신속 처리 가능한 고안정성 나노 촉매, 자동화 합성 기술로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28. 원자력연, 전자선 이용 미세먼지 저감 기술 (주)앱스필에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
2.28. 대한금속・재료학회 부산・경남지부 동계 학술강연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2.28. KIMS 어린이집 개원식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3.1. 한-EU TBM 공동개발 파트너십 약정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3.2. NK세포 항암 효능을 조절하는 RNA 변형 기전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3.2. 차세대 논문 투고심사시스템 ACOMS+ 오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50∙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3.2. ETRI, 25Gbps・30km 전송가능한 광원소자 상용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 건설연-몽골 건설개발센터, 동북아 인프라 협력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2. 재료연, ‘KIMS 인공지능 과학토크 공모전’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3.3. 재료硏 등 공동연구팀, 금속 3D프린팅 펜 적층제조 원천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3.7. KIST, 탄소중립 전략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7. KISTI, 인공지능 활용 화학반응 예측 연구 발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7. 건설연,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와 업무협약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7. 햇빛과 물로 생산하는 ‘그린 수소’ 시대 앞당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8. 스스로 과일 따고 알아서 운반하는 로봇 팀워크 완성 한국기계연구원
3.8. 핵융합(연)-한밭대 상호협력협약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3.9. KISTI, 국방 무기체계 CBM+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9.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건설기술 협력 강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9. TJB 특집 8뉴스 “대덕특구 50년 미래 100년” 한국기계연구원편 한국기계연구원
3.9. 원자력(연)-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원자력 로봇 국제표준 회의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3.10. KISTI, 국내 최초 데이터 가치평가기관 선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13. 주칠레 대한민국 대사관 녹색건축인증 최우수 등급 취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14. 3D 프린팅으로 인쇄하는 자유형상 초소형 리튬이온전지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14. 국가녹색기술연구소, ‘한-영 녹색기술 협력포럼’ 개최(SDX재단, BCI, DISTEP 공동) 국가녹색기술연구소
3.14. 표준연, 양자 국가기술전략센터 공식 지정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14. 토양 속 나노입자, 식탁 위 농작물로 전이 안전성평가연구소
3.14. 2050 KFE 비전선포식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3.15. 고온 열처리 없애고, 탄성・생산성 높은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15. KISTI, 인도네시아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LOI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15. KISTI, 아시아태평양・유럽 다국적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15. 국내 최초 고전력 전기추력기 개발, 기술자립 발판 마련 기대 한국원자력연구원
3.16.
한의학연, 약효 증진 가공포제 기술 개발 - 현대화 가공포제 기술로 KIOM숙지황의
유효성분 및 효능 증진 효과 확인 -
한국한의학연구원
3.16. ETRI, 국제표준화 실적 빛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6. 지질자원연, 리튬 최대 생산지 서호주와 핵심광물 협력 약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6. 재료연, 기업 주력산업 사업화 촉진 한국재료연구원
3.17. 인공지능의 시대, 과학자-예술가에게 ‘인간성’에 대해 묻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17. KISTI 디지털융합R&D플랫폼 기반 인재양성을 위한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17. 미 육군공병단(USACE) 태평양지부 대표단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20. 한국 고유 특산식물 개느삼, ‘항염증’ 효과 입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3.20. KERI-금오공대, 전고체전지 성능 UP ‘황화실리콘 최적 제조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
3.21. 키스트 미래재단에 이어지는 기부 약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21. 촉매 표면에 쌓인 탄소로 암모니아 촉매 합성 성능 향상시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21. 암 탐지와 표적 치료까지 가능한 항암 생균치료제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51∙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3.21. 건설연, 지반 붕괴의 감시자 반딧불 센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21. 철도시설물 자동점검 실용화에 성큼, 국내 최초 K마크 인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3.22. 탄소중립의 핵심 기술, CCUS 신공정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22. 고출력 리튬 배터리 더 오래, 더 안전하게 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22. 원자력연,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워크숍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3.22. 재료연, ‘내플라즈마성 세라믹 나노복합체 신조성 및 공정 기술’ 국내 최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3.22. 제11회 표면처리도장산업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3.23. (기고) ‘기후지옥’ 벗어나 녹색 일자리 해법 모색하자 국가녹색기술연구소
3.23. 조선시대 혜성 관측 기록,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한국천문연구원
3.23. ‘논 메탄가스’ 상시 측정 신뢰도 높일 원천기술 확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3.23. 재료연, 기업지원플랫폼 기반으로 ‘기술사업화’ 중심의 기업지원사업 추진 방향 제시 한국재료연구원
3.24. 한국전기연구원-가톨릭대 의생명산업연구원, 방사선 암 치료 ‘맞손’ 한국전기연구원
3.26. 생활 속 악취 획기적으로 줄여줄 신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27. (인터뷰) 기후위기는 점이 아닌 공간적 대응이 중요 국가녹색기술연구소
3.27. 난치암 ‘담도암’에 단백유전체 연구 적용해 새로운 치료전략 제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3.27. KISTI, 성균관대학교 업무협력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27.
핵융합(연)-UKAEA, 핵융합 실증로 원격유지보수 기술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MOU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3.28. 초 고강도 PET 섬유 제조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28. 건설연 등 5개 기관, 산업시설 내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협력 업무협약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29. ETRI, 경북도와 문화유산 디지털보존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9. 재료연, 극한소재 실증연구 산학연 간담회와 추진단 발족식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3.30. 표면 오염에 의한 일함수 변화 상관관계 규명 성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3.30. 4,500개 소행성의 구성성분을 파헤친다 한국천문연구원
3.30. KISTI, 2023년 법무부 외국인행정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 운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30. ETRI, 엑소브레인 연구로 한국어 AI 정착 크게 앞당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0. 국가 김치산업 진흥, ‘기술과 협력’이 핵심! 2023 김치산업진흥 기술교류회 개최 세계김치연구소
4.2. 인공장기 인쇄하는 안전한 바이오 잉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4.2. (기고) 기후위기 주범 CO2, 탈탄소 시대의 소중한 자원으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4.2. 라돈 차단 조성물 특허 기술 5건 출자로 연구소기업 (주)해븐코리아 출범 한국원자력연구원
4.3. KISTI-서울여자대학교 업무협력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3. KIGAM 지구사랑 미술대회가 돌아왔어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3. 누리호・다누리 성공 특별성과급 지급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4. ETRI, 편리하고 안전한 드론비행 토대 마련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 기계연, 3차원 반도체소자 구현할 나노 인쇄 기술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4.4. 함정 손상평가 기술이전으로 국방력 강화 힘쓴다 한국기계연구원
4.4. 차세대 수전해 분리막 기술로 세계 수소시장 우위 선점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5. 올해의 ETRI 연구자상에 강찬모 박사 선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2∙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4.5. “찌릿한 전기, 짜릿한 체험”, KERI 과학콘서트 성료 한국전기연구원
4.6. 한국전기연구원, 창원시 의료・바이오 산업 이끌 258억 규모 사업 선정 한국전기연구원
4.7. KISTI, 제5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10. KISTI, 사람과 소통하는 언어모델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10. 3D프린팅 기술이 3,200톤급 구축함 띄웠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4.10. 아시아 지질자원전문가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10. 초미세먼지 속 위험한 중금속! 멜라토닌으로 잡는다. 안전성평가연구소
4.10. 원자력硏, 119특수구조단 대상 원자력 방재교육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4.10. 재료연, 양면 발전성을 가진 BIPV용 유연기판 투명 박막 태양전지 세계 최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4.11. 암흑에너지 주제 영상, 천체투영관서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4.11. ETRI-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AI기반 빅데이터 분석으로 스포츠 첨단화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1. 국방시설본부장 건설연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11. 세계 최초 필터 없이 정전기로 실내 초미세먼지 박멸 한국기계연구원
4.11. 누리호, 5월 24일 발사 추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11. 재료연, 소재기술백서2022 발간 한국재료연구원
4.12. 단일 분자로도 측정 가능한 고효율 신약발굴 센서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12. 건설연-SK임업, 녹색기술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12. 수소도시 조성 첫걸음! 수소 저장시설 지하화를 위한 설계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12. 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12. 1kg에 200원짜리 값싼 황 폐기물로 고부가가치 적외선 투과 렌즈 소재를 만든다 한국화학연구원
4.12. 2023 세라믹학회 춘계학술전시회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4.13. KISTI, 산업용 헴프(HEMP) 지식연구회 발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13. 한의학연, 주변 식물에서 천연 피부약 개발 가능성 탐색 한국한의학연구원
4.13. 한의학연, 안전・보건문화 확산 캠페인 시행 한국한의학연구원
4.13.
“김치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한곳에 모아” 김치(연), 김치 과학・산업・문화 분야별
플랫폼 구축!
세계김치연구소
4.13. 튀르키예 대지진, 위성자료로 지표변형 분석해보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14. KISTI, 제5차 데이터기술경제포럼 성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14. 카자흐스탄 대표단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14. 에너지연, 태양열 온실, 아열대 작물 생산의 새로운 패러다임 가능성 제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17. ETRI, NAB서 ‘꿈의 UHD방송 시대’선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7. 한국전기연구원, 전력기기 분야 ACCREDIA 공인검사기관 인정 한국전기연구원
4.17. 재료연, ‘제14회 경남초등학생 과학상상그리기 대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4.18. 생명연, 「2022년 유전자변형생물체 주요 통계」 발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4.18. KISTI-KRISS, 연구데이터 참조표준화 위한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18. 리튬 다음은 나트륨! 나트륨 배터리 수명과 출력 높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18. 원자력硏,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 기술 검증 국제 공동연구 회의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4.19. KIST-서울대학교-RIST, 탄소중립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453∙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4.19.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발표 한국천문연구원
4.19. ETRI, 로봇 두 대 동시 무선충전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9. 인공지능기반 지하철 역사 공조설비 제어기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4.19. 세계김치연구소 - ㈜메디오젠 업무협약 체결 세계김치연구소
4.19. 원자력硏-캐나다 앨버타주, SMR 해외진출 위한 상호협력 협약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
4.19. 2023 월드IT쇼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4.20. 한의학연, 한의온라인정책서비스 뉴스레터 창간호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
4.20. 한의학연, 한약소재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역제 효과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4.20. KIGAM이 개발하면 ESRIC이 추출하는 우주자원개발시대 열린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20. 자율주행차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자가치유 렌즈 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4.20. 방사선 이용해 콜레라균 독성 제어 실마리 찾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
4.20. 재료연 ‘배달해 과학’, 창원시 민관협력 배달앱 ‘누비고’와 협력해 한국재료연구원
4.21. KISTI 부울경지원, 수혜기업 성과확산 세미나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21. 김병석 원장, ‘슈퍼콘크리트’ 연구로 과학기술훈장(혁신장) 서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원 40주년 기념 특별 포럼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22. 우주아카데미 강연회 실시 한국천문연구원
4.24. 「국가연구데이터법」제정 토론회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24. KERI-중진공, 지역 중소벤처기업에 ‘전기화 DNA’ 심는다 한국전기연구원
4.24. 재료연, ‘제56회 과학의 날’ 맞아 대통령 표창 등 받아 한국재료연구원
4.24. 제41회 ITPA 페더스탈 및 언저리 물리 그룹회의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4.25. 2023 주니어닥터 ‘과학상상 그림 그리기 대회’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4.25. 한의학연, 중국 제4기 국의대사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
4.25. ETRI, 자율주행 레벨 국제표준 에디터 선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5. 표준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과 업무협약 체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4.25. 재료연, 제16주년 창립기념식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4.26. KISTI, 거대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기반 줄기세포 분화 기저 규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26. 연료전지 표면 결함, ‘매의 눈’ 인공지능으로 실시간 검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4.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전기안전공사, 해상풍력 안전기술 고도화를 위한 업무
협약 체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26. 세계적 규모 ‘초고압 직류 시험인프라’ 한국에 생겼다! 한국전기연구원
4.26. 핵융합(연)-VTT 핵융합 실증로 원격 유지보수, 가상 토카막 개발 관련 MOU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4.27. 사상 최초로 M87 블랙홀의 부착 원반 구조 포착 한국천문연구원
4.27. ETRI, 도로공사와 오픈소스 협력해 디지털 고속도로 닦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7.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BIM 기반의 위험도로 평가모델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27. 함정 탑재장비 중소・중견기업 고민 해결, 기계연이 나선다 한국기계연구원
4.27.
핵융합(연)-ORNL 실증로 디버터의 물리해석 결과 도출을 목적으로 하는 Strategic
Partnership Projects Agreement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4.28. KIT, 새로운 20년을 위한 21주년 설립 기념식 개최 안전성평가연구소
4.28. 국민 의료 복지 향상 위한 ‘수출용신형연구로’ 본격 건설 착수 한국원자력연구원
∙454∙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4.29. 2023년 퓨전 팬 데이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4.30. 한국전기연구원, ‘제조 AI’ 전국 강소특구 기업에 전파한다 한국전기연구원
5.2. 완치를 위한 핵심기술, 첨단재생의료의 현재와 미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5.2. 한의학연, 2021 한국한의약연감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
5.2. 전기차 유지보수 A부터 Z까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5.2. 전기연구원, 항공모빌리티용 전기파워트레인 ‘선두주자’ 한국전기연구원
5.2. 원자력연, 항우연과 우주 원자력 전력 및 추진 기술 개발 MOU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
5.3. 서울 상공 ‘에어택시’ 등장 앞당길 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3. ‘세포 간 소통’ 채널, 커넥신의 구조를 밝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5.3. KISTI, 2023년 소방 빅데이터 분석 교육훈련 과정 운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3. ETRI, 「전략산업 분야 유망기술 포트폴리오」 발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4. KISTI, 디지털 기발 ‘2023년 청렴 서약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4. 가정의 달 맞이 선배시민 미용 봉사활동 실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4. 원자력연, 기타공공기관 중 3년 연속 안전관리 최고 등급 유일 획득 한국원자력연구원
5.4. 핵융합연-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MOU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5.8. 우주과학 발전 위해 학・연 전문가들 머리 맞댄다 한국천문연구원
5.8. 전 세계 26개국 우주날씨 연구자들 대전 천문연서 워크숍 개최 한국천문연구원
5.8. ETRI, 인천시와 6G 입체통신 실증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8. 전자선 조사로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촉진 한국원자력연구원
5.9. ETRI, ‘예비유니콘’ 트위니 성장 돕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9. 식품연 - 전북대 업무협약 체결 한국식품연구원
5.10. KIST 강릉 천연물연구소 개원 20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10.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평창지역망센터 개소식 및 서울대학교와 업무협약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10. 상수도 배관 안전성, 납 없는 친환경 센서로 검사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5.10. 재생에너지 혁신기술로 산업단지 탄소중립 가속화 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5.10. “창원 강소특구 함께할 기업 모집해요” 한국전기연구원
5.11. 과산화수소 대량생산을 위한 고효율 탄소 촉매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11.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창립 10주년 비전 선포식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5.11. 양성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신임 원장 ‘취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5.11. 한의학연, 할미꽃 뿌리에서 알레르기 비염 개선효능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5.12. 건설연, 제58회 발명의 날 국무총리 표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12. 기후위기 대응책 마련을 위한 환경연구기관 간 공동협력계획 수립 착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15. KISTI, 충청권 대학(원)생 대상 ‘슈퍼컴분야’ 사이버위협 시나리오 공모전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15. KISTI, 「데이터셋 연계전략」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15. 세계김치연구소, 공공기관 안전관리 ‘최고등급’ 올해도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세계김치연구소
5.15.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저가 대량생산 길 여는 최적 조합 찾았다 한국전기연구원
5.15. 어린이 핵융합 학습만화 공동기획 ‘출동! 솔라특공대’ 단행본 발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5.16. 건설연, 스페인 EURECAT과 업무협약 체결 및 공동워크숍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55∙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5.16. 지질자원 지하수 선정기술로, 취약지역 가뭄 해결에 나선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16. 원자력硏, 메이신 관련 특허 출자해 연구소기업 등록 승인받아 한국원자력연구원
5.17. 표준연, 세계측정의 날 기념행사 개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5.17. 지질자원연, 벼룩시장 열고 기부와 나눔 참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17. 창원 강소특구에 해상풍력 기술 저변 넓힌다 한국전기연구원
5.17. 원자력연, 제8회 사업화 유망 원자력 기술 설명회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5.18. 그린수소 생산비용 저감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18. KBSI 창립 35주년 기념식, 대통령표창 등 유공자 시상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5.18. 건설연, 캄보디아에 앙코르 유적 복원 기술 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18. 쉿~ 조용히! 철도레일 소음진동 잡는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5.18. 지질자원 연구활동에 따른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해보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18. 옥수수속대, 항공유・대형차 연료로 변신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5.20. 베트남 건설부 공무원 초청 스마트시티 및 건설기술 분야 연수 실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22. LED 발광소자 에너지 낭비 막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22. 불량 반도체 칩, 16배 빠르게 잡아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5.22. 원자력硏, 고준위폐기물 심층처분장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5.22. 재료연, 5월 20일 ‘제14회 경남초등학생 과학상상그리기 대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5.23. [천문연 참고자료] 나노위성 도요샛 관련 개요 및 참고 영상 한국천문연구원
5.23. 식품연 신희순 단장, 국민 건강 대응 마련 유공 ‘산업포장’ 선정 한국식품연구원
5.25. 미세플라스틱, 작을수록 심장에 더 큰 위협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5.25. KISTI, ChatGPT Prompt 특별교육 과정 운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25. ETRI, 중・고교생 7백명에게 37억원 장학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5. 우리 독자기술 누리호 3차 발사, 민간우주개발(뉴스페이스)시대 본격 개막 한국항공우주연구원
5.25. 한국전기연구원-한국서부발전, 전력분야 디지털 기술 협력 한국전기연구원
5.25. 2023 기후산업 국제박람회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5.26.
기계연, EU 제조분야 네트워크 확대 유럽 우수 기계기술 선도국과 첨단 로봇・제조
분야 연구협력 맞손
한국기계연구원
5.26. 재료연, 고려대와 KU-KIMS 미래융합소재학과 설치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재료연구원
5.29. 세계에서 가장 긴 경전철 고가구조물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5.30. 한의학연, 한약재 강활에서 혈당조절 효능 찾아 한국한의학연구원
5.31. 폐암에서 발현한 유전자가 전이를 유발하는 기전 발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5.31. KISTI-인도네시아,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 MOU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31. 비만 관련 유전자 억제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발표 한국식품연구원
5.31. 대한민국 김치 최고 전문가 양성 교육기관, 김치(연) “김치산업 핵심 리더 양성에 주력” 세계김치연구소
5.31. 지질자원연-강원도-태백시, 핵심광물 전략산업 육성 위해 손잡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1.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기후테크 솔루션 주제 청년 컨퍼런스 및 테크비즈 IR-Day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6.1. ETRI, 방사능 걱정 없이 뇌 종양 찾는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1. 지질자원연, 태백산광화대를 핵심광물 전략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만듭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56∙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6.1. 넘쳐나는 재생에너지, 그린수소 만든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6.2. ‘제16회 홍릉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2. KISTI - Karger 오픈액세스 확산 공동 협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2. 합동참모본부 공병부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2. 원자력연-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원자력 분야 공동연구・인력양성 MOU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
6.4. ETRI, 세계적 스몰셀SW 분야 최고상 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5. 마그네슘 이차전지 상용화 걸림돌 제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5. 생명연-연세대 의료원, 원큐어젠㈜과 위암 맞춤형 치료제 개발 위해 손잡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6.5. 이산화탄소를 화학원료로 전환하는 세계 최대 규모 CO2 활용 건식개질 플랜트 완공 한국화학연구원
6.7. 한의학연, KAIST와 공동연구 업무협약 체결 한국한의학연구원
6.7. KIT Challenger, 새로운 독성 연구 시작한다. 안전성평가연구소
6.7. 원자력연, ‘찾아가는 원자력 교실’ 열어 한국원자력연구원
6.7. 재료연, 고효율 및 고수명 에너지 저장장치용 집전체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6.7. 2023 국제해양방위산업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6.8. KIST 개발 스파이킹 신경망 반도체로 국내 뉴로모픽 컴퓨팅 연구 생태계 조성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8. 그린수소를 더 빠르게 생산하는 촉매 구조의 비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8. 누리호에 실려 올라간 차세대소형위성 2호 속 우주방사선 측정장비 ‘레오도스’ 한국천문연구원
6.8. 웹 망원경이 관측할 외계행성 이름에 한국어‘마루-아라’선정 한국천문연구원
6.8. 넥스트 팬데믹 대응을 위한 신속 신약개발 전략을 말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6.8. KISTI-한남대학교 업무협력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8. KICT, 개원 40주년 기념 행사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8. 철도연, 유럽에서 K-대중교통 기술 빛내 한국철도기술연구원
6.8. 기계연, 친환경 수소 선박 상용화 지원 앞장선다 한국기계연구원
6.8. 핵융합연- 프랑스 CEA 자기 핵융합 분야 협력 협약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6.8.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설계 준비팀 착수식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6.9. KISTI, 다부처공동 암호화 사이버위협 대응 기술 개발 착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9. KIGAM의 도시 지질재난 대응 기술 영국, 유럽, 동남아시아에 보급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9. 원자력연, UAE와 함께 바라카 원전 안전성 강화 공동연구 나서 한국원자력연구원
6.12. 주니어닥터 성공 개최 힘 보탠다...참여기관 워크숍 열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6.13. KIST, 토페스와 스마트 시티 교통관제 기술 개발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13. KISTI,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13. 제10회 아시아-태평양 수송 그룹 회의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6.14.
KIST 강릉 천연물연구소, 몽골과 손잡고 그린바이오 분야 연구 협력 네크워크를
만들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14. KBSI, 파킨슨병 극복에 새 지평 열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6.14. KISTI, 산업・시장 분석예측 시스템(KMAPS NEO) 대국민 서비스 실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14. 지질자원연, 희소한 지구의 가치 알리기 위한 아이디어 챌린지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14. 국가전략기술 확보육성 위한 기계기술 청사진 제시한다 한국기계연구원
∙457∙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6.14. 원자력연 최기용 박사, OECD/NEA 원자력시설안전위원회 의장단에 선출 한국원자력연구원
6.14. 재료연, ㈜EG에 6G대역 전자파 흡수능을 갖는 자성 소재 제조기술 이전 한국재료연구원
6.15. 수소연료전지 수명의 관건 촉매 안정성 새로운 AI 기술로 70초 만에 계산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15.
KIST 강릉 천연물연구소, 몽골과 손잡고 그린바이오 분야 연구 협력 네트워크를
만들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15. 철강사업장 온실가스 줄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6.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사발령 한국생산기술연구원
6.15. 표준연, 분유 속 발암추정물질 정확히 측정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6.15. 재료연, 미래 e모빌리티 전동화 부품산업 교류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6.16. 한의학연, 지역과 함께하는 과학문화 프로그램 운영 한국한의학연구원
6.16. ‘핵융합 연구 안전 이상무’ 집중안전점검 실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6.17. 2023 제5회 대덕에서 ‘과학을 그리다’ 미술대회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6.19. 생활제품 속 유해물질 잡아 내는 신개념 촉매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6.19. KISTI, 「연구데이터 생태계 지원 통합 인프라 구축 방안」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19. KISTI, 핀란드 ICT 국영기업 CSC와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19. 한국 방사능 측정기술로 ‘원전 비상사고’ 대비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6.19. 김치 세계화 선도기술’ 국내외 석학 한자리에… 김치연, 오는 22일 국제 심포지엄 개최 세계김치연구소
6.19. 에너지연 이창근 원장 취임, “초격차・초융합으로 혁신하겠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6.19. 재료연, 차세대 웨어러블 엣지 뉴로모픽 컴퓨팅 반도체 소자 세계 최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6.20. 글로벌 협력 강화로 합성생물학 및 바이오파운드리 발전 모색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6.20. 한의학연, 제13차 ISO 전통의학 총회서 신규 표준안 100% 상정 쾌거 한국한의학연구원
6.20. 단오에 창덕궁에서 동의보감 만나세요 한국한의학연구원
6.20. ETRI, 임무중심 연구개발로 혁신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20. 혈관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생체 필름 개발 안전성평가연구소
6.20. 연구로 이용 표준물질 공동연구센터, 도시 미세먼지 인증표준물질 추가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6.21. ETRI, 인간을 이해하는 AI연구 논문대회 성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21. 철도연, 세계 최초로 인체에 치명적인 지하철 초미세먼지 발생량 줄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6.21. 지질자원연, 2027 국제암반공학회 유치 기념 심포지엄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21. 취약계층 여성 청소년과 함께하는 「핑크박스」 한국원자력연구원
6.22. 2024년도 월력요항 발표 한국천문연구원
6.22. 초미세먼지 독성 영향 분석의 새로운 실마리 마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6.22. 한의학연, 눈 움직임 추적기술로 치매위험군 선별 도전 한국한의학연구원
6.22. 에티오피아 도로국 공무원 초청 연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22. 건설연, 지역 연구혁신 네트워크 구축에 앞장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22. 플라즈마 기술로 인공지능・자율주행 성능 앞당긴다 한국기계연구원
6.22. 원자력연, ETRI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분야 유망기술 설명회’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6.23. 누리호 3차 발사 비행정보 분석 결과 보고 및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연구책임자 선정 한국항공우주연구원
6.23. 재료연, ㈜금호피앤비화학에 친환경 열경화성 수지 제조기술 이전 한국재료연구원
∙458∙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6.26. 국가보훈대상자 가족 위한 ‘KBSI 초청과학교실’ 큰 호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6.26. 장 마이크로바이옴의 면역 항상성 유지 기능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6.26. 한의학연, 2023 임직원 걷기 프로젝트 성황리 마무리 한국한의학연구원
6.26. 지속가능한 김치산업 발전의 열쇠…기술 혁신! 김치연, 오는 29일 국제심포지엄 개최 세계김치연구소
6.26. 지질자원연, 베트남과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26. 2023 화학창의콘텐츠 공모전 개최 한국화학연구원
6.27. KISTI-중앙대학교 업무협력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장마철 대비 안전 관리에 만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6.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업무협약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6.27. 유해화학물질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6.28. 석유 정제공정의 골칫거리 황 폐기물로 열화상 카메라 렌즈 만든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28. KISTI, ChatGPT 활용 교육 과정 운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28. KISTI, ‘데이터 경제 시대의 핵심, 데이터 기술’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29. 약물 구조 정밀 규명 가능한 NMR 분석법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29.
KIST, IBK기업은행-독일 잘란트 주 정부와 국내 스타트업 유럽 진출 지원 업무
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29. KISTI, ‘2023년 KISTI-성균관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 HPC・AI 여름학교’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6.29. 건설연-키엘연구원, 녹색건축물 조성 활성화를 위한 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6.29. 한-독 힘 모아 레이저 가공 기술로 연료전지 생산 효율 높인다 한국기계연구원
6.29. 220V 과금형 콘센트만 있으면 전기차 충전부터 결제까지 쉽게! 한국전기연구원
6.29. 원자력硏, 네이버클라우드와 손잡고 원자력 AI 인재양성 나서 한국원자력연구원
6.30. 2023 알성달성 수소쇼케이스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7.2. 미세먼지, 악취 동시에 잡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7.3. 한의학연, 감초의 천식 완화 효능 실마리 밝혀 한국한의학연구원
7.3. 식품연, 전북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 사업단 공동 워크숍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7.4. KBSI, 연구산업 기업에 혁신 성장 사다리 놓는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7.4. KISTI–UNESCO 오픈 사이언스 국제협력 등을 위한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4. ETRI, 최신 나노기술 일반에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4. 전자빔 조사해 배터리를 한 번에 대량 생산하는 ‘원팟(one-pot)’ 신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7.4. 재료연, 대형 타이타늄 압축기 블레이드 제조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7.5. 한의학연, 한의약 정책 전문저널 ‘한의정책’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
7.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디지털 건설, 그린 건설 R&D 통합 협의체 토론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5. 우주자원 탐사・개발 생태계 KIGAM이 주도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5. 새로운 항암제 개발을 위한 국내 최초 에텍(ATTEC) 플랫폼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7.5. 나노코리아 2023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7.6. 최첨단 바다 위 연구소 ’탐해3호’가 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6. 바이오 장비 경쟁력 확보에 ‘정부 신속한 기술지원 필요’ 한국기계연구원
7.6. KERI, 중앙대와 손잡고 전기화 시대 미래 그린다 한국전기연구원
∙459∙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7.6. KIT, 지역 혁신과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메가 프로젝트’ 추진 안전성평가연구소
7.6. 원자력연, 방사능 분석 ‘특급 기술’ 교육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7.7. 3차원 구조체 제어 기술로 더 높은 안정성을 갖는 고성능 연료전지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7. KISTI, 2023 DATA・AI 분석 경진대회 ‘문제해결 부문’ 참가 모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7. 재료연, 창원한마음병원과 업무협약 맺고 신의료기술 개발 협력 약속 한국재료연구원
7.10.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현상 막는 난연성 전해액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10. 장마철 안전한 도시생활을 위한 침수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10. 표준연, KAIST와 양자대학원 공동운영 협약 체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7.11.
빠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건설산업 디지털화! ‘스마트건설 창업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11.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암세포 제거한다 한국기계연구원
7.11. 재료연,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국내 산업 중대형사고 절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재료연구원
7.12.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에 의한 폐 면역반응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7.12. KISTI,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의 미래’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12. 건설연-한국기술사회 간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12.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 국산화 10년차, 성과와 목표는? 한국전기연구원
7.13. KBSI, 13~19일 ‘제16회 주니어닥터’ 참가자 모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7.13. 한의학연, 당근 잎에서 항염증 효능 밝혀 한국한의학연구원
7.13. ETRI, 『테크비즈 인사이트』 발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13. 건설연, 실제 하천기반 가상 홍수 상황 재연해 재난상황 예측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13. 철도연, 철도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힘 쏟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7.13. 원자력연 임인철 부원장, IAEA 원자력 에너지 자문위원 위촉 한국원자력연구원
7.14. 유학 생활의 생생한 이야기 … 한인 학생과 교수에게 듣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16. 체온 남김없이 수확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3D 프린팅으로 만든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17. 한의학연 국제학술지 IMR, CiteScore(인용지수) Q1 달성 한국한의학연구원
7.17.
“미래 인재의 식품 위생・안전 의식수준 강화” 세계김치연구소, 지역인재 양성
프로그램 개최
세계김치연구소
7.17. 지질자원연, 호주 퀸스랜드와 핵심광물 공동연구 추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17. 기업과 환경 모두를 살리는 ‘슈퍼 프리미엄’급 산업용 전동기 개발 한국전기연구원
7.17. 재료연, 국내 여성 1호 원자력공인검사원 배출 한국재료연구원
7.18. ETRI, 차세대 디지털 방송 선도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19. 선생님과 천문 종사자를 위한 천문우주 교실 실시 한국천문연구원
7.19. KISTI, 산업용 헴프(HEMP) 지식연구회 회원사 방문 및 협력 방안 모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19. 건설연-한국건설산업연구원 간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19.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19. 지질자원연, 동해(강원) 해역 연속지진 분석해보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7.20. 서울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 GRaND-K(창업학교) 3기 오디션 시작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20.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그리너스리그 2030’ 출범식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7.20. KISTI, 제12회 정보보호의 날 국무총리 기관 표창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60∙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7.20. 한의학연, ‘나한과’에서 폐질환 치료효능 찾아 한국한의학연구원
7.20. ETRI, 메타버스 기술 국제표준화 주도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20. 개원 40주년 기념 지역사회 나눔 기부 물품(쌀) 전달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20. 철도연, 폭우 뒤 철도교량은 안전할까? 한국철도기술연구원
7.20.
핵융합(연)-UNIST-요크대, 더럼대, 리버풀대, 맨체스터대, 옥스포드대, 셰필드대
핵융합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MOU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7.21. KISTI-대전방위산업연합회, 방위산업 지식연구회 발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24. 철도・대중교통 아이디어공모전 우수작 발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7.24.
기존 대비 2배 이상 향상된 세계 최고 성능의 CO2 전환용 음이온교환막 소재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7.25. 건강하게 늙자!... 지방세포의 노화 촉진 새 기전 규명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7.25.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난제 풀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7.25. 표준연, 6G 주도권 선점할 전자파 측정표준 확립 한국표준과학연구원
7.25. 식품연, 식품기술 세계최대 박람회(IFT) 참가로 R&D 국제협력 교두보 마련한다 한국식품연구원
7.26. 갈색지방 열 생성에 관여하는 신규 단백질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7.26. KISTI, 「2023 코센브릿지포럼 2차」 반도체・디스플레이 편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26. 경기북부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금 및 물품 전달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26. 식품연, Monell연구소와 맛인지 뇌활성 지도 제작을 위하여 맞손 한국식품연구원
7.27. KIST, ㈜엠오피와 대량 세포증식 플랫폼 개발 협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27. 우주탐사 협력 강화 위해 천문연-KAI 맞손 한국천문연구원
7.27. 한의학연, 대청엽 추출물에서 아토피 완화 효과 발견 한국한의학연구원
7.27. 도시 침수와 중소규모 하천 홍수에 대한 위험정보 제공 필요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27.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시멘트 제로 콘크리트 침목 한국철도기술연구원
7.27. 식품연, 美 농무부 동부연구소와 심포지엄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7.27.
김치연, We-키움 연수 프로그램 2기 성료…김치 분애 학문후속세대 양성・연구
역량 증진
세계김치연구소
7.28. ETRI, 95%절전 반도체 패키징기술 최초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31. KISTI, 다부처사업 추진 협의체 킥오프 행사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7.31. 원자력연, 차세대 방사성의약품 품질 높일 핵자료 측정법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8.1. KIST, 미래 팬데믹 대비를 위해 질병관리청과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1. KBSI, 세균과의 ‘창과 방패’ 전쟁에 생존의 길 제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8.1. 한국전기연구원, 창원 강소특구 창업인 대상 워크숍 개최 한국전기연구원
8.1. 원전 소부장 중소기업 생태계 복원, 원자력연이 앞장선다 한국원자력연구원
8.2. 서울바이오허브, 스위스 바젤대와 글로벌 바이오 스타트업 육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2. ETRI, 국제공동연구 성공스토리로 빛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3. 수소 가스 폭발 위험, 색 변화로 사전 감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3. ‘난공불락’ 내성균, 이제 다중타깃 항균기술로 정복한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8.4.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제1차 기후변화-미세먼지 대응 정책 포럼 개최(서울시 공동) 국가녹색기술연구소
8.4. 한국한의학연구원 제12기 어린이 본초탐사대 행사 개최 한국한의학연구원
∙461∙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8.6. 돌연사 원인 1위 심근경색, 면역반응 조절로 치료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7. KBSI, ‘UKC 2023’ 참가...방사광가속기 등 R&D 국제협력 본격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8.7. 다누리 발사 1주년 기념식 및 우주탐사 심포지엄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8.7. 3D프린팅으로 빛 제어, 첨단 디스플레이에 활용한다! 한국전기연구원
8.7. 아시아 최대 규모 가속기 국제 스쿨 우리나라에서 열렸다 한국원자력연구원
8.8. 서울바이오허브, 의약품 해외 인허가(RA) 전문가 양성과정 참가자 모집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8. KISTI, “#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8. ETRI, DNA+드론 기술로 드론 활성화 발벗고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8.
장해춘 세계김치연구소장, 일회용품 ZERO 챌린지 동참…김치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속도
세계김치연구소
8.8. K-반도체’, 20% 비용 절감으로 국내 생산 강화한다 한국기계연구원
8.8. 원자력연, 원전 등 각종 산업 안전 책임질 압전형 센서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
8.9. KISTI, 2023년 쿠웨이트 고등학생 대상 DATA・AI 캠프 운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9. 몽골 도로교통개발부(MRTD)와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8.9. 한국재료연구원, 「금속재료분야 남.북 학술용어집」 발간 한국재료연구원
8.10. KISTI,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지 ‘S&T DATA’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10. ETRI, NFC기반 인터넷 통신 국제표준 제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10. 산업공정 탄소배출 저감용 대체가스, 표준기술로 검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8.11. 탄소중립 시대 새로운 성장 동력 찾는다, ‘원자력 열 이용 협의체’ 출범 한국원자력연구원
8.14. 미세먼지가 염증성 장(腸) 질환 악화를 유발하는 기전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8.14. 한의학연, 무궁화에서 스트레스 및 수면장애 해결책 찾아 한국한의학연구원
8.14. ETRI, 메타버스 세상 위한 초실감 기술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15. 땀과 움직임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의류 나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16. 슬기로운 유학 생활 비법 … 한인 유학생에게 직접 듣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16. ETRI, KT와 제2회 Network-AI 해커톤 개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17. 꿈의 신소재 맥신, 대량생산의 길 열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17. 독일 연방건축공간연구원(BBSR)과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8.17. 숙련 기술자가 없어도 안전한 도로 및 토공 건설 현장 구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8.17.
김치연・식품진흥원, EU 인증 젓갈을 활용한 100% 국산김치 개발 지원으로 EU
수출길 열었다
세계김치연구소
8.17. 필요에 따라 수소도 전기도 만드는 고출력, 고수명 전지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8.17. 한국전기연구원, 경남 김해에 전력반도체 대형 인프라 구축한다! 한국전기연구원
8.18. 홍릉 투자기관협의회, 홍릉특구 내 바이오 투자 마중물 역할 확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18. 생명연, 감염병 대응 전략적 우선순위 선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
8.18. 한・중・일서 발간된 동의보감 판본 ‘한 자리에’ 한국한의학연구원
8.18. ETRI, 얇고 유연한 전고체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18. 원자력연-대우건설, 차세대 소형모듈원전 및 원자력 기술개발 MOU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
8.20. 해수 담수화에 쓰이는 분리막 화학약품 없이 세척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21. “Beyond HPC to AI” 2023 KSC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62∙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8.21. 원자력硏, 2023 을지연습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8.21. 재료硏,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는 유연 기판 투명 박막 태양전지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8.21. 핵융합(연),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획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8.21. 제2회 국제 핵융합 및 플라즈마 학회(iFPC 2023) 참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8.22. ETRI, MZ세대 연구리더 적극 육성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23. KISTI, 동아시아 국제 연구망 협력을 위한 다국적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23. 에너지연,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지식 공유의 장 마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8.23. 원자력연, 상온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 가능성 찾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
8.23. 원자력硏, 2023 을지연습에서 드론 공격 대비 훈련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8.24. 중증 노인성 질환 진단을 혈당 측정처럼 쉽고, 간편하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24. ETRI, 디지털휴먼 품질평가 국제표준 제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24.
효율과 대면적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새로운 태양전지 반사방지 코팅 소재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8.24. 원자력硏, 충청남도 및 제주도와 함께 이동형 실시간 해수 방사능 감시 강화 한국원자력연구원
8.28. KBSI, 충북 지역 교원 대상 ‘방사광가속기 교사연수’ 성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8.28. 8월 31일 올해 가장 큰 달 한국천문연구원
8.28.
KISTI, 제조기업 비전공자 대상 데이터 활용 세미나 개최로 지역산업 DX혁신에
앞장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28. ETRI, 기업・연구부서 손잡고 시장 개척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28.
세계김치연구소,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김치 콘텐츠 창작 공모전 ‘우리가 함께
지키는 김치 종주국’ 개최
세계김치연구소
8.28. 지질자원연, ‘꿀잼과학, 체험교실’ 통해 지구과학을 재미있고 유익하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28.
원자력硏 김찬중 박사, 일반인을 위한 과학 교양서 「초전도, 저항제로의 세상을
열다」발간
한국원자력연구원
8.28. 재료硏-포항공대 공동연구팀, 통합된 미세조직 상 구분 프레임워크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8.29. 한인연구자 간 소통을 통해 바이오 경제 시대의 협력 논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8.29. 2023년 제3회 K-건설 콘페스트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8.29.
국가전략기술 이차전지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업무협약
(MOU) 체결
한국화학연구원
8.30. 사상 최초로 포착한 M87 블랙홀, 이번엔 M87 제트의 자기장 강도 추정 성공 한국천문연구원
8.31. 제품 불량, AI가 찾아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8.31. ETRI, 광산 내 40m 무선통신 가능길 열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31. 고속・대용량 미세먼지 집진전동차 공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8.31. 차세대 이차전지, 고수명 유기전극 개발로 실용화 가속 한국표준과학연구원
8.31.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재로봇 투입 훈련 최초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9.1. ETRI, 독일 IFA서 차세대 핵심기술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1. 휴가철 관광명소의 출렁다리, 관광객의 안전을 위해 시스템으로 빈틈없이 관리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1. 한국화학연구원, 창립 제47주년 기념 행사 개최 한국화학연구원
9.1. IMC20(International Microscopy Congress)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463∙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9.1. 제19차 한-일 핵융합협력 공동조정관회의 참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9.4. 인도네시아 홍수 예측・경보 유관기관 초청 연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5. AI로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성공률・속도 획기적으로 높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5. KBSI, 주니어닥터 홈페이지 ‘웹 접근성 인증마크’ 2년 연속 획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9.5. 건설연-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간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5. 숨은 김치 고수를 찾아라! 제30회 대한민국 김치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세계김치연구소
9.5. 기계연, 경상남도-김해시 액화수소 국산화 연구개발 ‘맞손’ 한국기계연구원
9.6. ETRI, 동형암호 고속연산 칩기술 확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6. 에너지연, 한국-호주 수소 연구협력 워크숍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9.6. 원자력硏, 방사성원료의약품 ‘I-131액’ 개발 및 식약처 품목허가 신청 한국원자력연구원
9.7.
수소차 시대 열린다…수소연료 100% 사용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 수소엔진 기술
국내 최초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9.7. 세계동위원소기구와 손잡고 방사성동위원소・의약품 기술 전문가 훈련 과정 개설 한국원자력연구원
9.8. 철도연, S-BRT 해외 기술사업화 시동 한국철도기술연구원
9.8.
한국재료연구원 연구원창업기업 ㈜알링크, 창원한마음병원에 전도성 공기정화모
듈 실증시험 실시
한국재료연구원
9.10. 그린수소 생산비용 획기적으로 낮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1. 세계적 양자컴퓨팅 기업 CEO가 KIST를 찾은 까닭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1. 지질자원연, 핵심광물 재활용 기술 인니에 이전하고 희토류 및 리튬 공동연구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11. 가축분뇨, 음식물 쓰레기를 도시가스・수송 연료로! 자원순환 기술 실증 성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9.11. 전기연구원, ‘SiC 전력반도체 이온 주입 평가기술’ 헝가리 기술이전 한국전기연구원
9.11. 재료연, 제2회 스마트윈도우 산업기술 교류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9.12. 사람의 코를 더 닮은 인공후각 시냅스 전자소자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2. 홍릉, 한-미 젊은 과학자 협력의 場이 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2. 아시아 8개국, 포스트 팬데믹을 논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9.12. KISTI, 2023 전국 ASTI 리더스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12. 한의학연, 알레르기 비염 첩약 치료 효과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9.12. 충전시대 가고 공유시대 온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9.12. ETRI, 캐나다 양자컴퓨팅기업 ‘자나두’와 손잡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12. 2023년 킥톡 페스타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12. 모듈러의 무한 변신... 폴더블 모듈러 선별진료소 국내 최초 개발 성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12. 원자력硏, 지상에서 우주환경 모사해 우주용 반도체 성능 시험 나서 한국원자력연구원
9.12.
핵융합(연)-CIEMAT 핵융합로공학연구시설 설계 경험 협력 등 핵융합 에너지
연구 협력 MOU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9.13. 130g 소프트 로봇 그리퍼가 100kg을 들어 올린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3.
KBSI, 국가 연구인프라 혁신을 선도하는 임무중심형 전문연구소 육성...‘기관운영
계획(2023~2026)’ 수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9.14. 또 한번 뒤집힌 오우무아무아(1I/2017 U1, ‘Oumuamua’)의 정체 한국천문연구원
9.14. KISTI, ORCID 협력으로 연구성과 자동연계 기능 런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64∙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9.14. 한의학연, 생물정보학 활용 한약 표적장기 예측 한국한의학연구원
9.14. ETRI, ‘시각지능 딥뷰’ 행안부장관상 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14. 지질자원연, 창립 75주년(기원 105년) 기념 포상식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14. 기계연, 기계기술정책 ‘일본의 최신 수소경제 정책동향과 시사점’ 발간 한국기계연구원
9.14. 원자력硏, 사용후핵연료 처분 위한 핵심 소재 국산화 공정 개발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
9.14. 재료硏, 빛-인공지능 기반 현장형 미세 플라스틱 검출 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9.15. 청소년을 위한 맞춤 플라즈마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9.17. KIST, 인간의 눈처럼 색을 구분하는 인공 신경회로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신임 기관장 기자간담회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9.18. 철도연, 노후 지하철 선로, 3시간 이내 빠르게 유지보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9.18. 한국전기연구원-스웨덴국영연구소, 과학기술 협력 MoU 체결 한국전기연구원
9.18. 국산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저마늄-68, 지르코늄-89) 아시아권 첫 수출 한국원자력연구원
9.19. 리튬이온전지 대체할 싸고, 안전한 수계이차전지가 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19. ETRI, 스마트 제조 ‘디지털 트윈’ 가이드라인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19. 건설연-JICE, 제33회 한・일 건설기술 세미나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19. 더 안전하고 정확한 건설 현장의 말뚝 시공관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19. 에너지연, 포스코기술연구원과 ‘그린 철강’ 위해 손잡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9.19.
(韓)한국화학연구원-(美)국립표준기술연구소 간 중점기술 분야 협력수요 발굴 등
국제협력 본격 추진
한국화학연구원
9.20. KISTI, ‘도시 침수 예측에서 대응까지’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20. 한의학연, ‘국산 밤꿀’에서 항바이러스 효과 밝혀 한국한의학연구원
9.20. 라오스 공공사업교통부 장관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20. 태양광발전소 고장, 인공지능이 물샐틈없이 관리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9.20. 한국전기연구원, 2023년 공공 인적자원 개발 최우수기관 선정 한국전기연구원
9.21. 빛으로 작동하는 ‘다진법 메모리’ 시대 연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21. ‘기술패권시대 연구장비가 경쟁력’...다목적 방사광가속기 활용방안 포럼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9.21. 한가위 보름달 9월 29일 오후 6시 23분에 뜬다 한국천문연구원
9.21.
KISTI, 캐나다 양자컴퓨팅 기업 Xanadu와 양자컴퓨팅 핵심기술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21. ETRI, AI로 한문고서 번역해 문화유산 접근성 높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21. 건설연-창원시, 지역협력 기술개발사업 공동연구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21. 철도연, 철도 시험검사인증 평가기관 국제세미나 개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9.21. 표준연, 커피콩 성분분석 인증표준물질 세계최초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9.21. 지질자원연, 희소한 지구의 가치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아이디어 발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9.21. 초전도케이블・LNG선박 활용 가능한 극저온 냉각기술 국내 최초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9.21. 항공우주・군사 핵심소재 CMC, 에너지연 주최로 기술교류회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9.21.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선량・이동형 중성자 발생장치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9.21. 제10회 나노융합산업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9.22. 재료연, 2023년도 출연(연) 박사후연구원 연수성과 공모전 대상 수상 한국재료연구원
∙465∙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9.25.
‘이온전도도・유연성’ 동시에 높인 전해질막 기술 개발... EV용 전고체 전지 상용화
기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9.25. UN 세계우주주간 천체사진기획전 실시 한국천문연구원
9.25. 철도연, 철도 인공지능 경진대회 우수팀 시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9.25. 재료연, 지역기업 핵심기술 맞춤정보 R&D 지원 한국재료연구원
9.26. KIST, 유해가스 맞춤형 공기정화 신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26. KISTI, KT와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업무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26. KISTI,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오프닝 기념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9.26. ETRI, 『지식재산 경영 우수기관』 2회연속 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26. 건설연, ‘제1회 서울 스마트도시 프라이즈’ 기관상 수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26. 스마트건설지원센터 입주기업 제1회 졸업식 및 졸업기업 네트워킹 데이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9.26.
공기 중 악취가스 검출과 물 속의 미세 오염물질 분해 모두 가능한 고성능 환경
센서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9.27. KBSI,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기술 이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9.27. ETRI, 사물인터넷・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선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27. 식품연, 비타민 E 등 노인 필수 영양소를 안전하게 섭취하도록 하는 신기술 개발 한국식품연구원
9.28. M87 블랙홀 중심, 11년 주기로 팽이처럼 회전한다 한국천문연구원
10.4. 거대마젤란망원경(GMT) 마지막 반사경 제작 시작 한국천문연구원
10.5. KISTI,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 AccessON 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5. 2023 동의보감 국제포럼・컨퍼런스 개최 한국한의학연구원
10.5. ETRI, 로봇이 토마토 크기와 신선도 촉감까지 판단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5. ‘1조분의 1’ 공기 중 미세한 유해가스 잡아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5. 로봇 휠체어로 계단 오르내리고, 혼자 서서 이동한다 한국기계연구원
10.5. 2023 재료한마당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0.6. 해외 POST-DOC 노하우, 재외한인과학자에게 직접 듣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6. 항우연, 중소기업 지원 통해 국내 최초로 민간 위성의 관측 정보 해외 수출 결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9. (기고) 고효율 에너지 친환경 거대 도시를 꿈꾸며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0.9. 역사-천문 융합프로그램 세종과 천문학 운영 한국천문연구원
10.10. 국가녹색기술연구소, 탄소중립 규제혁신 포럼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0.10. ETRI, 최첨단 사물인터넷 16종 일반에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10. 자전거 도로 운영관리 첨단화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건강 Up!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10. 세계김치연구소, 묵은지로부터 바이러스에 저항성 높은 김치유산균 발굴해 세계김치연구소
10.10. 원자력연, IAEA SMR 비상대책 및 대응 역량 강화 워크숍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10.11. 서울홍릉강소특구 GRaND-K 창업학교 3주년, 혁신기술창업의 메카로 자리매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11. ETRI, 오픈소스 테크데이 2023 개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11. 전기차 폐배터리 친환경 재활용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10.12. 청바지 염색하는 ‘프러시안 블루’로 물 속 나노 플라스틱 안전하게 제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12. KISTI 등 12개 기관 ‘대한민국 학술 생태계의 오픈액세스 실천 선언’발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12. 한국전기연구원, ‘2023 대한민국 SNS 대상’ 최우수기관 선정 한국전기연구원
∙466∙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0.13. 홍릉특구, 서울 최초 비대면 진료 실증특례 사업 개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13. ETRI, 인공지능 패션 코디네이터 경진대회 큰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13. 한국식품연구원, 2023 식품기술대상 수상작 발표 한국식품연구원
10.13.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본격 착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16. 색 변화로 공기 속 병원성 박테리아를 검출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0.16. KISTI, “데이터 기술 분류체계 공개 설명회”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16. 지질자원연, 핵비확산을 위한 국제회의 열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16. 우주 탐사 핵심전원, 독일도 주목하는 한국전기연구원 열전발전 기술 한국전기연구원
10.16. 소량으로 30kg 이상 무게를 버티는 친환경 접착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
10.16. 원자력硏,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중성자흡수재 개발해 5개국 특허 출원 한국원자력연구원
10.17. 차세대 리튬 금속전지용 무음극 집전체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0.17. ETRI 디지털휴먼 기술, 아리랑TV에 생방송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17. 철도연, 2023년 대도시권 광역교통혁신 공모전 우수팀 시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0.18. 태양 연구분야 국제협력 강화 위해 천문연-미국 뉴저지 공과대학 맞손 한국천문연구원
10.18. 생명연, 바이오기업의 나고야의정서 이행을 돕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0.18. 지질자원연, 몽골에 희소금속센터 만든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18.
한국화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공동연구 추진 및 우수 인력육성・교류를 위한 연구
교류회 및 업무협정(MOU) 체결
한국화학연구원
10.18. 2023 국제세라믹융복합기술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0.18. 금속산업대전 2023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0.18. 2023 소부장뿌리기술대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0.19. 허블갈등 해소의 실마리는 초기 우주에서 찾아야 한국천문연구원
10.19. 한의학연, APOE4와 알츠하이머 치매 연결고리 찾아내 한국한의학연구원
10.19. ETRI, 25Gbps 광액세스 기술로 초연결 수요 앞당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19. 철도연, 한영 철도안전인증기관 공동세미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0.19. 원자력硏, 아이들과 하천 토양 정화하는 “그린 볼 & 그린 워크” 캠페인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10.20. 2023 KCUE-KESLI 전자정보 엑스포 성황리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20. 국립부산과학관 KIMS 특별전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10.22. 원장님 우리와 공감 더하기 어때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23. KBSI, 주한 탄자니아 대사 방문단 일행 대덕본원 내방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0.23. 10월 29일 달 일부가 지구에 가려지는 부분월식 천문현상 예보 한국천문연구원
10.23. 우주 향해 꿈을 키우는 학생들 위한 축제가 펼쳐진다! 한국천문연구원
10.23. 인공지능 분야 글로벌 협력을 위한 한인과학기술자 연구 교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23. ETRI, 전자전서 최신기술 일반에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23. 한국전기연구원, 친환경 선박 충전 시스템 국제 표준화 주도 한국전기연구원
10.23. 첨단 중성자 활용 장치로 2차전지 성능 결함 분석・제어하는 방법 최초 제시 한국원자력연구원
10.24. KIST, 인류의 난제에 과학기술로 해법을 모색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24. 에너지연, 이산화탄소 줄이는 친환경 연료 ‘e-Fuel’ 워크숍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67∙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0.24. 2023 카본코리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0.25. 우울증 여성 해마 타우린 농도, 일반인 대비 20% 낮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0.25. 온병학 고전 ‘임증지남의안’ 온라인에서 만나다 한국한의학연구원
10.25. 말레이시아 건설산업발전위원회(CIDB) 대표단 방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5. 원자력硏 김시환 전 부소장 「원자력 기술 자립 여정」 출간 한국원자력연구원
10.25. 재료연, AMDC 참여기관 간 업무협약 체결 한국재료연구원
10.26. 생기원-인도네시아, 친환경 산업생태계 구축 협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0.26. ETRI, MPEG 국제표준화 회의서 세계 1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26. 제6회 KICT-지역협력 상생협의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6. 한국식품연구원 국제 식품분야 숙련도 우수 분석기관 입증 한국식품연구원
10.26.
버려지는 폐기물, 이제 자원으로 탈바꿈한다 … 김치 가공 부산물의 미래가치
창출 기대
세계김치연구소
10.26. 지질자원연,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26. ‘맞춤형 스마트 의류’ 구현한 친환경 전자 섬유 기술 세계 최초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10.26. 재생에너지 변덕에도 수소생산 끄떡없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0.26. 한국전기연구원 창립 47주년, 김남균 원장 ‘큰기술’ 개발 강조 한국전기연구원
10.26. 원자력硏 창업기업 내일테크놀로지(주), 질화붕소 나노튜브 전해질 첨가제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10.27. KISTI, AI제조혁신플랫폼 MC 기반 스마트제조 데이터융합 지식연구회 공동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27. 프리텐션 긴장 PSC U형 거더 제작 공장 밖으로 나오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7. 2023 경남과학대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0.29. 식품연, Food Tech Alliance ‘AI 기반 맞춤형 푸드큐레이션’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10.30. ETRI, 노코드 기계학습 개발도구(MLOps)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30. 철도연, 스마트 게이트 프리시스템 현장시험 성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0.30. 차세대 폐자원 재활용 기술 보러 오세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30. 우리는 소중해, 안전하고 건강한 미래의 기술을 찾아라! 안전성평가연구소
10.31. KIST, 산업폐수에서 고가금속 회수하는 섬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31. 2023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자연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 훈련 실시 한국천문연구원
10.31. 탈세계화 시대, 미래 전략기술 주도권 확보의 길 찾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0.31. 한의학연, 북경서 중국중의과학원과 국제 심포지엄 개최 한국한의학연구원
10.31. 스마트한 주거 생활을 위한 주거 서비스 플랫폼 구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31. 철도연, 위성벙보와 빅데이터로 철도인프라 관리한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1. ETRI, ‘K-가드’ 전국에 확산해 생활안전 책임진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1. 2023 노피어(No-fear) 성과발표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1. 지구온난화 주범 ‘SF6’ 대체하는 절연가스 개발 한국전기연구원
11.1. 안전성평가연구소, 2023년 KIT Annual Conference 개최 안전성평가연구소
11.1. 원자력硏, 2023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
11.1. 원자력연 캐릭터 ‘파동이’, 특허청이 인정한 우수 디자인으로 선정 한국원자력연구원
11.2. KISTI, 과학기술정보 자동 구축하는‘스마트’AI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68∙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2. 철도연, 노후철도를 개량하는 급속 시공 경량 교좌장치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3. KISTI, 2023 KREONET 워크숍 개최 및 테라급 연구망 시대 개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3. ETRI, 『디지털혁신으로 만드는 행복한 내일』 선뵌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6. KISTI, 차세대 논문 투고 시스템(ACOMS+)데이터 이관 완료 및 신규 서비스 시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6. ETRI, 사업화 유망기술 먼저 만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6. KIT,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으로 안전한 분석 기술 입증 안전성평가연구소
11.7. 2023 서울 과학기술 포럼(Seoul S&T Forum)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7. 신개념 약물 전달 기술 ‘주목’...생체이용률 8배 껑충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1.7. KISTI, 2023 글로벌 기술사업화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7. ETRI, 디지털 혁신 핵심인재 등용문 활짝 연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7. 전세계 바이오 표준 전문가 한 자리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1.7. 원자력연, 제15회 한국원자력연구원장배 어머니탁구대회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11.7. 재료硏, 질화규소 베어링 볼 제조기술 국산화 한국재료연구원
11.8.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양자소재 기반 스핀 반도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8. 건설연, 환경부 지정 ⌜실내환경관리센터⌟ 선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8. 고효율 촉매 개발로 이산화탄소 자원화 ‘성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8. 원자력硏, 고준위폐기물 처분장 핵심 소재 품질관리 기술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
11.9. 발달장애 연구 나아갈 방향 모색하는 ‘이음 페스티벌’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9.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제10회 국제기후금융・산업 컨퍼런스 공동주관’ 및 라운드
테이블, 세션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1.9. 2023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참여 및 전시 부스 운영(4일간)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1.9. 천문연, 세계 최대급 망원경인 제미니천문대 전용 분광기 개발 한국천문연구원
11.9. ETRI, 중기 애로기술해결 선두주자로 우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9. 철도 인공지능 기술은 어디까지 왔을까?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9. 식품연, 우간다 농업연구청(NARO)과 업무협약 체결 한국식품연구원
11.9. 원자력연, 제4회 기술애로 상담회 개최, 20여 개 중소・중견기업 참여 한국원자력연구원
11.9. 재료연, 첨단소재 실증연구단지 1단계 조성 착공식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11.9. ITER 초전도자석 전원공급장치 최종품 제작 완료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1.11.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글로벌 기후테크 IR파트너링 데이’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1.12. 전고체 전지 열화 메커니즘 규명해 상용화에 또 한 걸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출연(연) 최초 해외사무소 개방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1.13. 건설연, 국가공간정보발전 유공 국무총리 표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13. 건설연, 플랜트 시설물의 재난 안전성 평가를 위한 통합위험관리시스템 개발 완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13. 전기연구원,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최우수’ 배출 한국전기연구원
11.13. 안전성평가연구소(KIT)-독일연방위해평가원(BfR), 국제 협력 연구 본격화 안전성평가연구소
11.13. 원자력硏 창업기업 2개 社, 중기부 유망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선정 한국원자력연구원
11.13. 재료硏, 자체 개발한 무인기용 연료전지 동력원 공중 실증 한국재료연구원
11.14. 열과 진동을 동시에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469∙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14. 건강 체크, 이제 집에서 편하게...급성 염증・감염 신속 진단 슬립칩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1.14. ETRI, 5년연속 『국가연구개발 우수 성과』 최다선정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14. 지방 하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제방 보강 신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14. 지질자원연,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기술 시험장 첫 공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14. 한국화학연구원, 2023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 3건 선정 한국화학연구원
11.14. 재료硏, 성림첨단산업(주)에 기술 지원해 중희토류 저감형 희토 자석 국산화 한국재료연구원
11.15. ETRI, 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소장에 황수훈 선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15.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제9대 황수훈 소장 취임 국가보안기술연구소
11.15.
건설연, 지자연, 철도연, UNIST, 서울대, ‘AI기반 노후 취약 지역 지진 안정성
확보 융합연구’ 위해 손 맞잡았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15. 서울 도심 한복판 최첨단 옥상온실, 에너지 신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빌딩을 실현하다 한국기계연구원
11.15. 세계 최고 수준의 저비용, 고효율 암모니아 분해 촉매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15. 재료연 안철우 박사 연구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한국재료연구원
11.16. 생명연-IBS 손잡고 첨단바이오 허들 넘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1.16. KISTI, 부산 지역 산・학・연 “제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력 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16. 생기원, 제조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1.16. 미세플라스틱, 토양 생태계와 질소순환 교란시킨다. 안전성평가연구소
11.17. ETRI, ADD와 6G 위성통신 선점 위해 힘 모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17. 건설연, 동절기 혹한 기후 대응 고성능 콘크리트 시공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17. 지질자원연, 육상용 시추 시스템 개발로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17. 재생에너지 변동성 극복 위해 산・학・연・관 힘 합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17. 전기연구원-가톨릭대, 의료기기 유망기술 심포지엄 성료 한국전기연구원
11.19. 인공지능 기술로 하폐수 속 미량물질 농도 쉽고 빠르게 예측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20. KIST-서울시, 서울퀀텀플랫폼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20. KBSI-KAIST, 알츠하이머병 유발하는 독성 단백질 발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1.20. 양자과학기술산업 혁신을 위한 협력과 교류, 한국양자산업리더스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20. 무인 저속 특장차, 특구 종료 후에도 도로 달린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1.20.
김치유산균, 국가 자원으로서 가치 높인다! 김치연, 공인생물자원은행・공인시험
기관 KOLAS 인정
세계김치연구소
11.20. 에너지연, 국가연구개발 에너지・환경 분야 최우수 성과 창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20. 원자력연, 벨기에 원자력연구소와 연구로 핵연료 성능검증 2단계 착수 한국원자력연구원
11.21. KISTI, 충남대 ‘디지털 농업 공동연구센터’ 개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21. 11월 22일 김치의 날은 국민과 함께! 세계김치연구소, 2023 위킴 페스티벌 개최 세계김치연구소
11.21. 기존 이차전지 에너지밀도 뛰어넘는 전고체 전지 나왔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21. 체온으로 전기 생산, ‘메타물질’ 통해 신축성・효율성 높인다! 한국전기연구원
11.21. 원자력硏, 글로벌 강소기업 키운다... ‘KAERI 코어기업’ 올해 5곳 지정 한국원자력연구원
11.22. 2023 그린비즈니스위크 참여 및 전시 부스 운영(NST 공동/3일간)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1.22. 생명연, 영국과의 협력으로 바이오의약 미래 이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1.22. KISTI, ‘중국과학원 국제학술지 조기경보저널의 글로벌 출판동향’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70∙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22. ETRI, 로봇 자율 제품조립 인공지능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22. “무단 굴착 멈춰” 지하매설 배관 파손 원천차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1.22.
11월 22일은 세계인의 축제 ‘김치의 날’…김치의 미래는 김치산업의 혁신에 달려
있다(기획기사)
세계김치연구소
11.22. 2023 그린비즈니스위크 참가 한국재료연구원
11.23. 인공지능으로 초음파 뇌질환 치료의 문턱 낮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23. 건설연-울산광역시, 스마트 건설 인프라 구축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23. 철도연, ‘철도 인프라 BIM 적용지침’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23. 노잼→유잼→꿀잼? 지질자원연, 꿀잼과학 체험교실 연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23. 온실가스↓ 에너지 효율↑ ‘친환경 에어컨’ 우리 곁에… 한국기계연구원
11.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관장 기자간담회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23.
핵융합(연)-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핵융합 공학기술 발전 및 인력양성 등 상호 협력을
위한 협약서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1.24. KISTI,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ScienceON 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24. KISTI 안부영 센터장,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 진흥부문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24. ETRI,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야각 협소문제 실마리 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24. 2023년 ‘사랑의 김치 담그기’ 행사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27. KISTI-(사)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업무협력 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27. ETRI, 美 노스이스턴대와 오픈랜 본격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27. 2023년 평가제도 개정 직원 공청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27. 중소중견기업 탄소중립 달성 위해 산・학・연 머리 맞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27. 원자력연, 경주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서 감포중학교생 대상 초청과학캠프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11.27. 재료연, 제9회 2023 올해의 SNS 대상 수상 한국재료연구원
11.28. 2023 제1회 서울기후테크컨퍼런스 참여 및 전시 부스 운영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1.28. 한의학연, 국제공동연구로 경혈자극 효과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
11.28. 한국식품연구원, 2023 KFRI Conference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11.28. 깊은 땅 속을 정밀탐사하는 측정도우미, K-DEV 개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28. 재료연, N-Lab.(국가연구실) 성과발표회 개최 한국재료연구원
11.29. ETRI, 기술창업기업 50여 개 네트워킹 큰 호응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29. 건설연 2023년 연탄봉사 사회공헌 활동 성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29. 미세먼지 걱정 없어요! 안전하고 조용한 교실 실내 환경 구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29. 핵융합(연), 플라즈마 기술 미국 해외 기술이전 성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1.30. 수전해 기술 한계 극복할 나노촉매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30. 한의학연, 작약감초탕의 근육 위축 예방 효능 밝혀 한국한의학연구원
11.30.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도 스마트해집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30. 철도연, 장대레일 실시간 모니터링 장기계측 시스템 구축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1.30. 지질자원연, 우주자원 국제워크숍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30. 청정수소 생산, 해외 기술격차 넘어 선도해 나간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1.30. 전기연구원, ‘2023년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 2건 선정 한국전기연구원
∙471∙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30. 원자력硏,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지하 처분장 거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11.30. 재료연, 2023년 제12회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수상 한국재료연구원
12.1. KISTI, 2023 미래연구정보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1. ETRI, 조작 및 삭제불가한 신뢰보장 데이터 플랫폼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4. ‘제17회 홍릉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4. 국가녹색기술연구소, 독일 아델피와 탄소중립 국제협력을 위한 온라인 세미나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2.4. 인류를 구원할 바이오기술, ʻ첨단바이오의약과 노화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2.4.
핵융합(연)-UKAEA RACE 핵융합 실증로 원격 유지보수 관련 연구개발 협력
협약 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2.5. ETRI, 불법 현수막 탐지에 AI 기술 적용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5. 나노소재 융복합물성 원샷으로 측정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2.5. 심각한 기후 위기, 출연연 힘 모아 늘어나는 농작물 병해충 밀착 감시한다 한국기계연구원
12.5. 에너지연, 광주센터 안전관리 최우수 인증연구실 선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2.5. “선생님 힘내세요!” 지역 교원 응원키트 「옐로박스」 전달 한국원자력연구원
12.6. 극한환경을 견디는 전도성 열복사 제어 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6. 안전・성능 모두 잡은 ‘레독스 플로 전지’ 기술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2.6. KISTI,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지 ‘S&T DATA’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6. 전세계 우주기관 우주탐사 수장들, 대한민국에 모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2.6. 2023 핵융합 산업 상생한마당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2.7.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기후기술 전문 데이터 플랫폼 ‘플라넷(PLANET)’ 오픈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2.7. KISTI,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의 과학기술 스코어보드 발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7. ETRI 홀로그램 기술, CES 혁신상 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7. 건설연, 유기소금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헤파 필터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2.7. 세계 최초 친환경 리튬인산철(LFP)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 성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7. KIT, 올해의 산업부 대표성과 10선 선정 안전성평가연구소
12.8. 국가녹색기술연구소, 한-아세안 기후테크 스타트업 데모데이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2.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16대 이호성 원장 취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2.8. 인도네시아 할랄인증 의무화 대비 기업설명회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12.8. 지질자원연, 지역주민을 위한 이웃사랑 실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8. 기계연, 제19대 류석현 원장 취임 한국기계연구원
12.8. 국가전략기술 거점 197억원 규모의 나노 인프라 구축 한국전기연구원
12.10. 원자력硏 주한규 원장,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신임 회장 선출 한국원자력연구원
12.11. 키스트미래재단, KT&G 장학재단 장학증서 수여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11.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기후테크 솔루션 데이 2024 개최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2.11. 김치, 세계인의 마음을 사로잡다! 세계김치연구소
12.11.
한국화학연구원, 내부 압력 해소 통한 근원적 해법을 제시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 확보
한국화학연구원
12.11. 원자력연, 교원초청 「원자력 바로알기 세미나」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
12.11. 원자력硏-현대엔지니어링, SMART 해외진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
∙472∙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12. 한반도 이상 한파 원인, 걸프류에 있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12. KISTI, 이슈대응형 융합서비스 ScienceON TREND 고도화 실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12. 세계김치연구소, 세계 최초 코호트 분석으로 김치의 항비만 효과 구명 세계김치연구소
12.12. 고마웠어!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2호 안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12. 임신 중 프탈레이트 노출, 태아의 뇌 발달 장애 유발할 수 있어… 안전성평가연구소
12.13. ETRI 기술사업화 통합지원체계, 기업성장 견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13. ETRI 방승찬 원장, 제19대 연기협 회장 선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13. 철도연, 철도 인프라 BIM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2.13. 시각・청각 넘어 촉각까지, ‘초실감 메타버스’ 온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2.13. 식품연, 농생명바이오소재 참여기업 간담회 개최 한국식품연구원
12.13. 기계연, 국내 최초 수소터빈 시험연구센터 선도 한국기계연구원
12.13. 태양광 그린수소, 경제성과 생산성 동시에 잡는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2.13. 아시아태평양 지역 핵융합 협회 컨퍼런스(APFA)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2.14. 항바이러스 컬러 나노코팅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14. 선생님과 천문 종사자 위한 온라인 천문 연수 실시 한국천문연구원
12.14. 생명연, 유전자변형생물체 정보 한 권에 담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2.14. 디지털트윈으로 작업자 안전 지킨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2.14. 1만 년 전 쌓인 동해 해양머드로 빛나는 피부 만들어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14. K-Energy 성과 창출을 위한 밑거름, ‘KIER Conference 2023’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2.15. KISTI, 인도네시아 대학교 컴퓨터과학과와 MOA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15. 다누리의 성과를 예술로 펼치다!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展)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2.18. 2023년 12월 31일 일몰 및 2024년 1월 1일 일출시각 발표 한국천문연구원
12.18. 2024년도 주목할 천문현상 한국천문연구원
12.18. KISTI, ‘휴먼 디지털 트윈: 인체 연구에 대한 효과적 대체제’ 이슈브리프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 지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2.19. 실시간 극미량 수소가스 누출 검출 가능한 신개념 테라헤르츠파 광센서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19. KIST, 재활용 가능한 에어 모빌리티 소재 개발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19. 생명연-서울대병원, 첨단바이오 치료제 개발 진일보시킨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2.19. 5G 스몰셀 세계최고 수준 3Gbps 성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19. 에너지연, ‘K에너지’ 실현을 위한 국제협력 시동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12.19. 원자력硏, 방사선 이용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제조기술 이레콘텍(주)에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
12.20. 에너지 하베스팅과 이미징이 동시에 가능한 풀컬러 이미지 센서 기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20. 미세먼지 유래 성분, 이제 인공지능으로 밝힌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12.20. 새로 지어진 KVN 평창 전파망원경, 고주파 첫 신호 검출에 성공하다 한국천문연구원
12.20. KISTI, 생성형 언어 모델 KONI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20. 기계연, 2023년 최우수연구성과에 지그센터 국산화 기술 선정 한국기계연구원
12.20. 마이크로파 토양 가열로 병해충 방제, 농가 근심 ‘연작장해’ 해소 한국전기연구원
12.20. 원자력硏, 지역 소외계층 대상 방한용품 총 100박스 지원 한국원자력연구원
∙473∙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20. 미생물 플라스틱 분해 효율 높이는 플라즈마 기술 개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2.21. ‘뉴런-시냅스-뉴런’ 구조 블록처럼 쌓아 인공 신경망 하드웨어 시스템 구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21. 지방 대사 조절 기전을 활용한 난치성 위암의 새로운 해법 제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2.21. IoT 기술과 스마트폰 앱으로 시각장애인 길 찾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2.21. 표준연, 상처 치유와 재생의 비밀 풀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2.21.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의 흔적 지질박물관에서 찾아봐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21. 사람 피부처럼 다양한 촉각을 동시에 느끼는 시스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12.21. 2023 KSTAR 캠페인 플라즈마 실험 시작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12.22. KIST, 의료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 협력과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22.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기업 성장에 날개 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22.
건설연, (주)킨텍스 등과 2024 아시아콘크리트엑스포 공동 주관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2.22. 창원 강소특구 기업 ‘황금 인맥 구축’ 돕는다! 한국전기연구원
12.25. (기고) 과학기술 R&D, 글로벌 협력 생태계 갖춰야 국가녹색기술연구소
12.26. 세계김치연구소, 제2기 글로벌 김치 앰배서더와 함께 김치 세계화 확산 앞장선다! 세계김치연구소
12.26. 국내 1호 ‘전자식 변성기’ 시험 성적서 발행 한국전기연구원
12.26. 재료硏 한승전 박사, 두 번째 과학교양서적‘네오 알키미스트’출간 한국재료연구원
12.27. 저산소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 발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2.27. ETRI, 비전문가도 로봇 이용해 작업 가능해진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27. 확 바뀐 지질박물관, 신규 전시관 개관 나도 이제 달자원탐사와 핵심광물 전문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27. 재료硏, 「2023년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10」 국민투표 결과 발표 한국재료연구원
12.28. 자율주행차 핵심 라이다 센서 소자, 이제는 우리 기술로 만든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2.28. 건설연-국방시설본부 기술교류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2.28. 철도시설물안전점검기술 시스템 실용화 성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2.28. 플리마켓 기부부터 김장김치 나눔까지…세계김치연구소 사랑의 온도 Up! 세계김치연구소
∙474∙
제4장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2023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2024.3월 제출일 기준)
목차 담당 / 집필
제1부 특집테마
제1장 R&D 혁신방안 마련
1. 추진배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윤지영 서기관2. R&D 혁신방안의 주요 내용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제2장 대덕특구 50주년의 성과와 나아갈 길
1. 추진배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과학기술진흥과 정유진 과학기술서기관2. 대덕특구 50주년의 주요 성과와 발자취
3. 대덕특구의 미래 비전
제2부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절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한성민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서봉군 선임연구원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 김덕용 전문위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 안지용 전문위원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기관지원팀 박용호 행정사무관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제1절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전략적 배분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예산총괄과 진수민 행정서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예산총괄과 윤상훈 방송통신사무관
2.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
3. 2024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제2절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1.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 염동수 사무관
2.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송영훈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평가혁신과 사공영은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평가혁신과 안민호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평가혁신과 손희수 사무관
∙475∙
목차 담당 / 집필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정재식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장종덕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모윤우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송영훈 사무관
제3장 질적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제1절 국가전략기술 발굴・육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장동력기획과 노명종 사무관
제2절 연구환경 조성 및 성과활용기반 강화
1. 자율적 연구환경 조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제도혁신과 박지영 사무관
2. 연구데이터 및 정보시스템 고도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분석과 홍재표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분석과 진대성 주무관
3. 연구시설 및 장비 관리 체계 고도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평가혁신과 최승혁 사무관
4. 연구보안 관리 체계 확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제도혁신과 한지현 사무관
5. 국가 핵심 IP 창출 및 표준특허 마련 특허청 산업재산창출전략팀 박승배 공업사무관
제3절 미래 핵심 인재육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정책과 장태은 사무관
제4절 기초연구 진흥역량 제고 및 지원기반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진흥과 박재홍 사무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기획실 이두진 팀장
제5절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문화과 서경희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문화과 길병구 주무관
제4장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제1절 민간주도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질적 성과 향상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정책과 최영훈 사무관
2.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 및 성장지원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 주원재 공업사무관
3. 기업의 혁신 R&D역량강화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산업진흥과 전진수 사무관
4.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과 유제환 사무관
5. 신기술・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신산업제도과 최태석 방송통신사무관
제2절 대학 교육・연구 역량 강화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 거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진흥과 박재홍 사무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기획실 이두진 팀장
2. 대학 연구 기반 구축 교육부 학술연구정책과 김성회 서기관
제3절 공공연구기관 역할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기관지원팀 박용호 행정사무관
제4절 지역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역과학기술진흥과 정꽃보라 행정사무관
제5절 과학기술 외교・글로벌 협력 강화
1. 국가 간 협력(양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주아시아협력담당관 김상원 공업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 박석춘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다자협력담당관 배지영 행정주사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총괄협력담당관 이민경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 이상범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주아시아협력담당관 김영근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주아시아협력담당관 황지선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주아시아협력담당관 최은미 행정사무관
2. 국제기구 협력
3. 글로벌 진출 지원
제3부 국가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현황 및 성과
제1장 탄소중립
제1절 에너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과 정권호 사무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정책실 오정환 책임
∙476∙
목차 담당 / 집필
제2절 핵융합/원자력
1. 핵융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협력과 정석현 행정사무관
2. 원자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연구개발과 신은경 서기관
제3절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환경대응팀 조현우 사무관
제4절 환경 환경부 녹색기술개발과 이재환 행정주사
제5절 산림 산림청 산림정책과 김재훈 산림주무관
제2장 디지털전환
제1절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과 유소영 행정사무관
제2절 인공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진흥과 박경환 사무관
제3절 양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과학기술산업과 이정기 사무관
제4절 차세대통신/네트워크/빅데이터/IOT
1. 차세대통신/네트워크/IOT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과 황원준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과 도하림 공업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과 노수정 행정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기획과 김현진 방송통신사무관
2. 빅데이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진흥과 정상오 사무관
제5절 미디어콘텐츠
1.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과 김성봉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방송정책과 박문식 사무관
2. 문화콘텐츠 분야(CT)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오종석 행정사무관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산업과 조성호 과학기술서기관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과 정은송 행정사무관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김아라 행정사무관
제6절 자동차 산업통상자원부 자동차과 조성욱 사무관
제7절 로봇 및 기계/장비
1. 로봇 산업통상자원부 기계로봇항공과 김민정 사무관
2. 기계/장비 산업통상자원부 기계로봇항공과 김민정 사무관
제8절 스마트건설/스마트시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예산정책실 정시교 실장
제9절 교통/물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예산정책실 정시교 실장
제3장 의료/복지
제1절 차세대 첨단 바이오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강성환 서기관
제2절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 지원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윤수현 서기관
제3절 감염병 대응 및 바이오헬스 제도개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기획조정과 권광일 보건연구관
제4장 재난/위기
제1절 재난안전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R&D관리・평가센터 정태웅 공업연구사
제2절 기상 기상청 연구개발담당관 오현종 기상연구관
제5장 공급망/자원
제1절 소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최부용 서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김명희 사무관
제2절 나노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이차연 사무관
제3절 농림・축산・식품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 전종찬 사무관
제4절 수산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원경미 해양수산연구관
제6장 국방/안보
∙477∙
목차 담당 / 집필
제1절 국방
1. 국방 기본계획 국방부 국방연구개발총괄과 문찬호 사무관
2. 국방 연구개발 방위사업청 기술정책과 박신렬 서기관
제2절 정보보호
1. 사이버보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기획과 이웅비 행정사무관
2. 블록체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사회기획과 성창원 행정사무관
제7장 우주/해양
제1절 우주/항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기술과 송민혁 주무관
제2절 조선/해양
1. 조선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과 홍길표 사무관
2. 해양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정책개발실 이혜지 연구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정책개발실 김정애 선임연구원
3. 극지개발 극지연구소 정책개발실 김형준 실장
제4부 첨부 자료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및 우수사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모윤우 사무관
KISTEP 혁신정보분석센터/성과확산센터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정책기획실 김우현 기술원
제1절 주요 과학기술 통계(주요통계 및 연구시설 장비현황 포함)
제2절 연구개발 성과 사례
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2.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추적조사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KISTEP 과학기술정책센터
제3장 2023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홍보팀 배은혜 팀원
제4장 2023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 과학기술정책과
30109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Tel: 044-202-6728, http:// www.msit.go.k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과학기술정책센터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Tel: 043-750-2356, http:// www.kistep.re.kr
인 쇄
발 행
편집 및 발행
제 작
: 2024년 5월
: 2024년 5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화신문화(043-882-5583)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4-02-27
|
|
<p> </p>∙ 연구진
- 연구책임자
- 참여연구원
안소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권명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오서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류주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전문연구원)
기관 2023-0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연구기간 : 2023.1.1.~2023.12.31.)
∙ 발행인 : 정병선
∙ 발행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Tel) 043-750-2300
∙홈페이지 : http://www.kistep.re.kr
제1장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 3
1. 발간배경 ··············································································································· 3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 4
1.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 동향 ······································································ 4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 20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 37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 37
2. 지방 과학기술예산 ······························································································ 43
제2장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 47
1. 인구 ···················································································································· 47
2. 지역내총생산 ······································································································ 48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51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 55
1. 투입 ···················································································································· 55
2. 역량 ···················································································································· 65
3. 성과 ···················································································································· 76
제3장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제1절 서울특별시 ··············································································· 86
1. 지역・산업현황 ···································································································· 8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93
3. 성과 ················································································································· 115
4. 중점 추진사항 ··································································································· 116
제2절 부산광역시 ············································································· 120
1. 지역・산업현황 ·································································································· 12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29
3. 성과 ················································································································· 146
4. 중점 추진사항 ··································································································· 147
제3절 대구광역시 ············································································· 150
1. 지역・산업현황 ·································································································· 150
목 차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58
3. 성과 ················································································································· 174
4. 중점 추진사항 ··································································································· 175
제4절 인천광역시 ············································································· 181
1. 지역・산업현황 ·································································································· 18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89
3. 성과 ················································································································· 203
4. 중점 추진사항 ··································································································· 204
제5절 광주광역시 ············································································· 208
1. 지역・산업현황 ·································································································· 20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16
3. 성과 ················································································································· 230
4. 중점 추진사항 ··································································································· 231
제6절 대전광역시 ············································································· 234
1. 지역・산업현황 ·································································································· 23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42
3. 성과 ················································································································· 257
4. 중점 추진사항 ··································································································· 258
제7절 울산광역시 ············································································· 260
1. 지역・산업현황 ·································································································· 26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69
3. 성과 ················································································································· 282
4. 중점 추진사항 ··································································································· 283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 286
1. 지역・산업현황 ·································································································· 28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94
3. 성과 ················································································································· 306
4. 중점 추진사항 ··································································································· 307
제9절 경기도 ···················································································· 309
1. 지역・산업현황 ·································································································· 30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24
3. 성과 ················································································································· 340
4. 중점 추진사항 ··································································································· 341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 344
1. 지역・산업현황 ·································································································· 34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54
3. 성과 ················································································································· 369
4. 중점 추진사항 ··································································································· 370
제11절 충청북도 ·············································································· 372
1. 지역・산업현황 ·································································································· 37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84
3. 성과 ················································································································· 398
4. 중점 추진사항 ··································································································· 399
제12절 충청남도 ·············································································· 402
1. 지역・산업현황 ·································································································· 40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15
3. 성과 ················································································································· 429
4. 중점 추진사항 ··································································································· 430
제13절 전라북도 ·············································································· 433
1. 지역・산업현황 ·································································································· 43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43
3. 성과 ················································································································· 458
4. 중점 추진사항 ··································································································· 459
제14절 전라남도 ·············································································· 464
1. 지역・산업현황 ·································································································· 46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75
3. 성과 ················································································································· 490
4. 중점 추진사항 ··································································································· 491
제15절 경상북도 ·············································································· 493
1. 지역・산업현황 ·································································································· 49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05
3. 성과 ················································································································· 521
4. 중점 추진사항 ··································································································· 522
제16절 경상남도 ·············································································· 524
1. 지역・산업현황 ·································································································· 5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38
3. 성과 ················································································································· 555
4. 중점 추진사항 ··································································································· 556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 562
1. 지역・산업현황 ·································································································· 56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70
3. 성과 ················································································································· 584
4. 중점 추진사항 ··································································································· 585
참고문헌 ·························································································· 589
<표 1-2-1> 주요 5개 부처 균형발전사업 ·························································································· 5
<표 1-3-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 ·························································· 37
<표 1-3-2>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1년) ········································· 43
<표 1-3-3>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2년) ········································· 44
<표 2-1-1>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8년~2022년) ······················································ 48
<표 2-1-2>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9년~2023년) ··················································· 54
<표 3-1-1>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86
<표 3-1-2>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87
<표 3-1-3>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88
<표 3-1-4>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89
<표 3-1-5>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 90
<표 3-1-6>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90
<표 3-1-7>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91
<표 3-1-8>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93
<표 3-1-9>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94
<표 3-1-10>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94
<표 3-1-11>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95
<표 3-1-12>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2년) ··············································································· 99
<표 3-1-13> 서울특별시 디지털정책관, 경제정책실, 도시교동실, 기후환경본부에서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00
<표 3-1-14>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04
<표 3-1-15>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05
<표 3-1-16>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106
<표 3-1-17>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07
<표 3-1-18>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3년) ················································································· 108
<표 3-1-19>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08
<표 3-1-20>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109
<표 3-1-21>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112
<표 3-1-22>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13
<표 3-1-23>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9년~20223년) ························· 114
<표 3-1-24>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115
<표 3-1-25>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115
<표 3-2-1>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120
<표 3-2-2>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121
표 목 차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2-3>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22
<표 3-2-4>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23
<표 3-2-5>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24
<표 3-2-6>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125
<표 3-2-7>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127
<표 3-2-8>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1년) ······················································· 129
<표 3-2-9>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130
<표 3-2-10>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130
<표 3-2-11>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131
<표 3-2-12>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133
<표 3-2-13>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34
<표 3-2-14>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37
<표 3-2-15>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38
<표 3-2-16>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139
<표 3-2-17>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40
<표 3-2-18>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141
<표 3-2-19>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41
<표 3-2-20>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142
<표 3-2-21>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143
<표 3-2-22>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143
<표 3-2-23>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44
<표 3-2-24>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145
<표 3-2-25>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145
<표 3-2-26>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146
<표 3-2-27>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146
<표 3-3-1>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150
<표 3-3-2>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151
<표 3-3-3>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52
<표 3-3-4>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53
<표 3-3-5>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54
<표 3-3-6>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155
<표 3-3-7>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156
<표 3-3-8>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158
<표 3-3-9>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159
<표 3-3-10>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159
<표 3-3-11>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160
<표 3-3-12>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162
<표 3-3-13>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62
<표 3-3-14>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65
<표 3-3-15>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66
<표 3-3-16>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167
<표 3-3-17>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68
<표 3-3-18>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169
<표 3-3-19>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69
<표 3-3-20>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170
<표 3-3-21>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171
<표 3-3-22>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172
<표 3-3-23>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73
<표 3-3-24>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173
<표 3-3-25>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174
<표 3-3-26>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174
<표 3-4-1>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181
<표 3-4-2>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182
<표 3-4-3>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83
<표 3-4-4>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84
<표 3-4-5>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85
<표 3-4-6>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186
<표 3-4-7>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187
<표 3-4-8>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189
<표 3-4-9>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190
<표 3-4-10>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190
<표 3-4-11>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191
<표 3-4-12>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192
<표 3-4-13> 인천광역시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 193
<표 3-4-14>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95
<표 3-4-15>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96
<표 3-4-16>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 ····························································· 197
<표 3-4-17>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98
<표 3-4-18>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199
<표 3-4-19>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99
<표 3-4-20>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00
<표 3-4-21>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201
<표 3-4-22>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01
<표 3-4-23>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02
<표 3-4-24>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02
<표 3-4-25>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203
<표 3-4-26>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03
<표 3-4-27>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5-1>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08
<표 3-5-2>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2022년) ·················································· 209
<표 3-5-3>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10
<표 3-5-4>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11
<표 3-5-5>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12
<표 3-5-6>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13
<표 3-5-7>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214
<표 3-5-8>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216
<표 3-5-9>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17
<표 3-5-10>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17
<표 3-5-11>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18
<표 3-5-12>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19
<표 3-5-13>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20
<표 3-5-14>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22
<표 3-5-15>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223
<표 3-5-16>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224
<표 3-5-17>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225
<표 3-5-18>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226
<표 3-5-19>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226
<표 3-5-20>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27
<표 3-5-21>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28
<표 3-5-22>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29
<표 3-5-23>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29
<표 3-5-24>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30
<표 3-5-25>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30
<표 3-6-1>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34
<표 3-6-2>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235
<표 3-6-3>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36
<표 3-6-4>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37
<표 3-6-5>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38
<표 3-6-6>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39
<표 3-6-7>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240
<표 3-6-8>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8~20212년) ························································ 242
<표 3-6-9>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43
<표 3-6-10>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43
<표 3-6-11>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44
<표 3-6-12>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46
<표 3-6-13> 대전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46
<표 3-6-14>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48
<표 3-6-15>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249
<표 3-6-16>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250
<표 3-6-17>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251
<표 3-6-18>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252
<표 3-6-19>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252
<표 3-6-20>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53
<표 3-6-21>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254
<표 3-6-22>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54
<표 3-6-23>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55
<표 3-6-24>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56
<표 3-6-25>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256
<표 3-6-26>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57
<표 3-6-27>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57
<표 3-7-1>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60
<표 3-7-2>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261
<표 3-7-3>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62
<표 3-7-4>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63
<표 3-7-5>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64
<표 3-7-6>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65
<표 3-7-7>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267
<표 3-7-8>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269
<표 3-7-9>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270
<표 3-7-10>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70
<표 3-7-11>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71
<표 3-7-12>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73
<표 3-7-13> 울산광역시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과 건설주택국 스마트도시과와 경제산업실 주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73
<표 3-7-14>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74
<표 3-7-15>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275
<표 3-7-16>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276
<표 3-7-17>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277
<표 3-7-18>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278
<표 3-7-19>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278
<표 3-7-20>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79
<표 3-7-21>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80
<표 3-7-22>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81
<표 3-7-23>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81
<표 3-7-24>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82
<표 3-7-25>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8-1>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86
<표 3-8-2>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287
<표 3-8-3>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88
<표 3-8-4>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89
<표 3-8-5>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 290
<표 3-8-6>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91
<표 3-8-7>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292
<표 3-8-8>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294
<표 3-8-9>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295
<표 3-8-10>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95
<표 3-8-11>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96
<표 3-8-12>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97
<표 3-8-13>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98
<표 3-8-14>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99
<표 3-8-15>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00
<표 3-8-16>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01
<표 3-8-17>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02
<표 3-8-18>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3년) ·········································································· 303
<표 3-8-19>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03
<표 3-8-20> 세종특별자치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04
<표 3-8-21>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04
<표 3-8-22>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05
<표 3-8-23>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305
<표 3-8-24>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06
<표 3-8-25>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06
<표 3-9-1> 경기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309
<표 3-9-2>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310
<표 3-9-3>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11
<표 3-9-4>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12
<표 3-9-5>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 313
<표 3-9-6>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316
<표 3-9-7>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322
<표 3-9-8>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324
<표 3-9-9>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325
<표 3-9-10>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325
<표 3-9-11>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326
<표 3-9-12>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2년) ···················································································· 327
<표 3-9-13>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28
<표 3-9-14>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329
<표 3-9-15>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30
<표 3-9-16>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31
<표 3-9-17>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32
<표 3-9-18> 경기도 대학 현황(2023년) ······················································································· 333
<표 3-9-19>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33
<표 3-9-20>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34
<표 3-9-21>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335
<표 3-9-22>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36
<표 3-9-23>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338
<표 3-9-24>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39
<표 3-9-25>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339
<표 3-9-26>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40
<표 3-9-27>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40
<표 3-10-1> 강원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344
<표 3-10-2> 강원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345
<표 3-10-3>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46
<표 3-10-4>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47
<표 3-10-5> 강원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348
<표 3-10-6> 강원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349
<표 3-10-7> 강원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352
<표 3-10-8>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354
<표 3-10-9> 강원특별자치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1년) ································ 355
<표 3-10-10>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355
<표 3-10-11>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356
<표 3-10-12>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 358
<표 3-10-13>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59
<표 3-10-14>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360
<표 3-10-15>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61
<표 3-10-16> 강원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62
<표 3-10-17>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63
<표 3-10-18> 강원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 364
<표 3-10-19> 강원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64
<표 3-10-20> 강원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65
<표 3-10-21> 강원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366
<표 3-10-22> 강원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66
<표 3-10-23>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367
<표 3-10-24> 강원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68
<표 3-10-25>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368
<표 3-10-26> 강원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69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0-27> 강원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69
<표 3-11-1> 충청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372
<표 3-11-2>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373
<표 3-11-3>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74
<표 3-11-4>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75
<표 3-11-5>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 376
<표 3-11-6>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377
<표 3-11-7>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382
<표 3-11-8>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384
<표 3-11-9>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78년~20212년) ·································· 385
<표 3-11-10>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385
<표 3-11-11>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386
<표 3-11-12>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 388
<표 3-11-13> 충청북도 과학인재국, 바이오식품의약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88
<표 3-11-14>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389
<표 3-11-15>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90
<표 3-11-16>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91
<표 3-11-17>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92
<표 3-11-18>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3년) ·················································································· 393
<표 3-11-19>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93
<표 3-11-20>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94
<표 3-11-21>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395
<표 3-11-22>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95
<표 3-11-23>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396
<표 3-11-24>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96
<표 3-11-25>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397
<표 3-11-26>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98
<표 3-11-27>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98
<표 3-12-1> 충청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02
<표 3-12-2>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03
<표 3-12-3>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04
<표 3-12-4>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05
<표 3-12-5>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 406
<표 3-12-6>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07
<표 3-12-7>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413
<표 3-12-8>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415
<표 3-12-9>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416
<표 3-12-10>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416
<표 3-12-11>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417
<표 3-12-12>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 419
<표 3-12-13> 충청남도 산업경제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19
<표 3-12-14>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421
<표 3-12-15>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422
<표 3-12-16>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423
<표 3-12-17>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424
<표 3-12-18>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3년) ·················································································· 425
<표 3-12-19>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425
<표 3-12-20>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426
<표 3-12-21>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427
<표 3-12-22>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427
<표 3-12-23>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428
<표 3-12-24>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428
<표 3-12-25>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429
<표 3-12-26>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429
<표 3-13-1> 전라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33
<표 3-13-2>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34
<표 3-13-3>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35
<표 3-13-4>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36
<표 3-13-5>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 437
<표 3-13-6>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38
<표 3-13-7>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441
<표 3-13-8>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443
<표 3-13-9>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444
<표 3-13-10>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444
<표 3-13-11>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445
<표 3-13-12>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 447
<표 3-13-13> 전라북도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47
<표 3-13-14>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450
<표 3-13-15>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451
<표 3-13-16>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452
<표 3-13-17>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453
<표 3-13-18>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3년) ·················································································· 454
<표 3-13-19>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454
<표 3-13-20>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455
<표 3-13-21>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456
<표 3-13-22>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456
<표 3-13-23>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457
<표 3-13-24>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457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25>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458
<표 3-13-26>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458
<표 3-14-1> 전라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64
<표 3-14-2>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65
<표 3-14-3>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66
<표 3-14-4>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67
<표 3-14-5>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 468
<표 3-14-6>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69
<표 3-14-7>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473
<표 3-14-8>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475
<표 3-14-9>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476
<표 3-14-10>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476
<표 3-14-11>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477
<표 3-14-12>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 480
<표 3-14-13> 전라남도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80
<표 3-14-14>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481
<표 3-14-15>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482
<표 3-14-16>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483
<표 3-14-17>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484
<표 3-14-18>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3년) ·················································································· 485
<표 3-14-19>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485
<표 3-14-20>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486
<표 3-14-21>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487
<표 3-14-22>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487
<표 3-14-23>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488
<표 3-14-24>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489
<표 3-14-25>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489
<표 3-14-26>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490
<표 3-14-27>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490
<표 3-15-1> 경상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93
<표 3-15-2>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94
<표 3-15-3>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95
<표 3-15-4>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96
<표 3-15-5>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 497
<표 3-15-6>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98
<표 3-15-7>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503
<표 3-15-8>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505
<표 3-15-9>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506
<표 3-15-10>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506
<표 3-15-11>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507
<표 3-15-12>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 509
<표 3-15-13>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과 경제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09
<표 3-15-14>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511
<표 3-15-15>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512
<표 3-15-16>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513
<표 3-15-17>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514
<표 3-15-18>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3년) ·················································································· 515
<표 3-15-19>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515
<표 3-15-20>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516
<표 3-15-21>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517
<표 3-15-22>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517
<표 3-15-23>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519
<표 3-15-24>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520
<표 3-15-25>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520
<표 3-15-26>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521
<표 3-15-27>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521
<표 3-16-1> 경상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524
<표 3-16-2>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525
<표 3-16-3>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526
<표 3-16-4>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527
<표 3-16-5>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 528
<표 3-16-6>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529
<표 3-16-7>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536
<표 3-16-8>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538
<표 3-16-9>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539
<표 3-16-10>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539
<표 3-16-11>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540
<표 3-16-12>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 543
<표 3-16-13> 경상남도 산업통상국과 균형발전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43
<표 3-16-14>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ㅁ ·································· 546
<표 3-16-15>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547
<표 3-16-16>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548
<표 3-16-17>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549
<표 3-16-18>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3년) ·················································································· 550
<표 3-16-19>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3년) ················································· 550
<표 3-16-20>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551
<표 3-16-21>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552
<표 3-16-22>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553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6-23>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554
<표 3-16-24>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554
<표 3-16-25>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555
<표 3-16-26>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555
<표 3-17-1>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562
<표 3-17-2>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563
<표 3-17-3>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564
<표 3-17-4>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565
<표 3-17-5>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566
<표 3-17-6>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567
<표 3-17-7>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568
<표 3-17-8>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570
<표 3-17-9>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571
<표 3-17-10>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571
<표 3-17-11>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572
<표 3-17-12>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 575
<표 3-17-13>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75
<표 3-17-14>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3년 11월 기준) ·························· 577
<표 3-17-15>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578
<표 3-17-16>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579
<표 3-17-17>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8년~20212년) ·········································· 580
<표 3-17-18>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 581
<표 3-17-19>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3년) ········································ 581
<표 3-17-20>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3년) ············································· 582
<표 3-17-21>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582
<표 3-17-22>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583
<표 3-17-23>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583
<표 3-17-24>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584
<표 3-17-25>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584
[그림 1-2-1] 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 12
[그림 1-2-2]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 13
[그림 1-2-3] 지방시대위원회 중점 추진과제 ··················································································· 16
[그림 1-2-4]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중앙정부 부문별 계획 ······································· 19
[그림 1-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 20
[그림 1-2-6] 고용노동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 22
[그림 1-2-7] 교육부 2023년 추진과제 및 추진체계 ········································································· 24
[그림 1-2-8] 국토교통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 27
[그림 1-2-9]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정책방향 ·············································································· 30
[그림 1-2-10]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 32
[그림 1-2-11] 2023년 행정안전부의 약속 ······················································································ 34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2년) ··························································································· 47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2년) ······································································ 48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2년) ········································································ 49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2년) ································································ 50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3년) ················································································ 51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1년~2022년) ··························· 52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3년) ··································································· 53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 55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 56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2년) ·· 57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 58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 59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 60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1년~2022년) ··············································· 61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8년~2022년) ·········· 62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8년~2022년) ······························ 63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2년) ·························· 64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5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6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7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68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9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70
그 림 목 차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3년) ················································ 71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2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3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4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5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2년) ··························································· 76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1년~2022년) ························································· 77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1년~2022년) ························································· 78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2년) ···························· 79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0년~2021년) ···················································· 80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1~2022년) ············································· 81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2년) ···························································· 82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 96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33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61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92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19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45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72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297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327
[그림 3-10-1]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358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387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418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446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479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508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542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574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 동향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2. 지방 과학기술예산
개 요
1
REGIONAL S&T YEARBOOK 2023 3
1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최근 고령화・인구유출 등으로 인한 지방소멸 등 다양한 경제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에 효
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의 자율성과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혁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있어 근간이 되는 각 지역의 과학기술
과 산업 수준 파악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지역산업 육성
정책,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시・도의 산업, 인프라, 과학기술 현황 등을 담아 1997년부터 매년 발간되
고 있는 지방과학기술연감의 필요성 또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과학기술연감의 목적은 관련 연구자와 정책결정자 등에게 지방과학기술 및 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연구, 정책수립 등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에 과학기술
기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정부의 중장기계획 수립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를 높이고자 관련된 최신 정보를 보고서에 수록하고
있다. 또한, 지역정책 유관기관이 소관 지역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감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에서는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23년 주요 부처의 정책 동향과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 계획, 지자체 과학기
술 관련 행정체계 및 예산 등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주요 산업지표 및 과학기술지표, 성과지표를 중
심으로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한 총괄적 현황 및 특징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17개 시・도
별로 각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혁신역량과 관련한 현황, 논문, 특허 등의 성과 현황 등을 점검하고 지
역별 향후 중점 추진전략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 동향
본 장에서는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
(NABIS : NAtional Balanced-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지역사
업이라 정의할 수 있는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사업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더 나아가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23~2027」에 반영되어 있는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고, 관계부
처 합동 또는 각 중앙부처별 2023년도 발표된 지방 과학기술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가. 국가균형발전사업 : 균형발전특별회계
먼저, 국가균형발전사업은 국가균형발전법 특별법 제4조 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하
여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년 단위로 시행계획을 수
립하고 있다.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체계는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기반으로 세부과제에 해
당하는 시행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바탕으로 중앙부처 부문별 시행계획과 시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
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정부는 국가재정 관점에서 지역사업에 관한 효율적 예산운용을 위해 일반회
계와 달리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 5장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제30조~제48조」에 따라 “균형발전특
별회계사업”을 별도로 편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지역 간 불균형 해소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
립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효율적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1).
국가균형발전시스템(NABIS)에 따르면 최근까지 전체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은 총 198개 세부사업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처별로는 산업통상자원부(32개), 국토교통부(25개), 중소벤처기업부(23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22개), 해양수산부(17개)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2022년을 기준으
로 종료된 사업(37개)을 제외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업 161개 기준의 부처별 비중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국토교통부(24개), 산업통상자원부(2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19개), 해양수산부(16개),
중소벤처기업부(14개)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균형발전
특별회계 전체 사업 수 중 종료 사업의 수 비중이 타 부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는 지역혁신, 지역활력, 지역균형, 지역특화 등의 키워드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종료사업은 대체로
1) 국가균형발전시스템(NABIS : NAtional Balanced-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 URL : https://www.nabis.go.kr/
contentsDetailView.do?menucd=142&menuFlag=Y, 접속일 : 2023.08.31.
REGIONAL S&T YEARBOOK 2023 5
사업기간이 1~3년 정도의 사업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지역산업 역량강화’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판단된다. 추가로 산업통상자원부
의 2022년 신규사업은 ‘ESG형 산단 공동혁신 지원사업(R&D)’, ‘동남권 그린수소 항만조성’, ‘지역협
력혁신성장(R&D)’, ‘환동해해양헬스케어융합산업벨트조성사업’, ‘웰에이징휴먼헬스케어밸리조성사
업’, ‘지역 산업잠재위기 대응 프로젝트’로 대부분 단년도~3년의 사업에 해당되는 특징이 있다. 중소
벤처기업부는 규제자유특구, 산학연협력, 지역특화, 지역기업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균형발전특별
회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종료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마찬가지로 사업기간이 1~3년인 사업의 비
중이 높은 편에 속해 ‘지역 중소기업 자생력 강화’라는 정책목표 아래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체 22개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
수 대비 3개의 사업이 종료되었으며, 종료사업은 ‘ICT융합 Industry 4.0s(조선해양, R&D)’와 ‘연구
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지원(R&D)’이다. 2022
년 신규사업은 ‘K-Health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랩
실증단지 조성(R&D)’,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R&D)’에 해당된다. 다만,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
이 전체 지역 과학기술 사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 일반회계, 타 특별회계를 통해서도 실질적인
사업 수행이 이뤄지고 있는 점을 주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고용노동부
(2/0)
사회적기업육성(지역지원・제주계정) 2003 ~ 계속
지역산업 맞춤형일자리 창출지원 2006 ~ 계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3)
5G기반조선해양스마트통신플랫폼및융합서비스개발(R&D) 2020 ~ 2023
5G시험망기반테스트베드구축 2019 ~ 2023
ICT융합 Industry4.0S(조선해양, R&D) 2016 ~ 2020 종료
ICT융합 제조운영체제 개발 및 실증(R&D) 2020 ~ 2024
K-Health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 2022 ~ 2025
공공연구성과기반 BIG 선도모델지원 2020 ~ 2025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R&D) 2021 ~ 2027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랩 실증단지 조성(R&D) 2022 ~ 2025
산학연협력 활성화 지원(R&D) 2006 ~ 계속
수출용 신형 연구로 개발 및 실증(R&D) 2012 ~ 2027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2020 ~ 2021 종료
연구개발특구운영 및 인프라지원 2009 ~ 계속
연구개발특구육성(R&D) 2005 ~ 계속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2020 ~ 2024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R&D) 2020 ~ 2024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R&D) 2010 ~ 2026
표 1-2-1 ❙ 주요 5개 부처 균형발전사업
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지역SW산업진흥지원(지원・제주・세종계정) 2006 ~ 계속
지역균형발전 SW・ICT융합 기술개발(R&D) 2019 ~ 2023
지역연구개발혁신지원(R&D) 2007 ~ 계속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R&D) 2022 ~ 2027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지원(R&D) 2015 ~ 2020 종료
혁신원자력연구개발 기반조성사업 2021 ~ 2025
교육부
(8/0)
마이스터대 지원(R&D) 2021 ~ 계속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3.0)
(세부사업명: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지원)
2017 ~ 계속
산학연협력 고도화 지원(R&D) 2006 ~ 계속
전문대학 미래기반 조성(R&D) 2021 ~ 2025
전문대학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 지원 2021 ~ 계속
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 2019 ~ 2025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D) 2020 ~ 계속
학교기업지원사업(R&D) 2004 ~ 계속
국토교통부
(25/1)
개발제한구역관리 2001 ~ 계속
광역BRT 구축 2006 ~ 계속
광역도로 사업(11개 세부사업) 1998 ~ 계속
광역철도건설지원(15개 세부사업) 1995 ~ 계속
국가지원지방도건설(61개 세부사업) 1996 ~ 계속
국토교통기술지역특성화(R&D) 2005 ~ 2019 종료
국토교통지역혁신기술개발(R&D) 2020 ~ 2023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15개 세부사업) 2006 ~ 계속
도시재생사업(지원・세종계정) 2014 ~ 계속
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 2011 ~ 계속
발전거점형 지역계획 시범사업(핵심관광지육성연계) 2013 ~ 2030
버스공영차고지 지원 2020 ~ 계속
벽지노선지원 2020 ~ 계속
산업단지 진입도로 지원(78개 세부사업) 1994 ~ 계속
성장촉진지역개발 2010 ~ 계속
장기미집행공원지방채이자지원 2019 ~ 2027
제주구국도건설지원(4개 세부사업) 2007 ~ 계속
제주구국도유지관리 2007 ~ 계속
제주국제자유도시기반시설지원(선도프로젝트) 2005 ~ 계속
지방하천정비사업(지역,제주,세종) 1999 ~ 계속
지역거점조성지원 2007 ~ 계속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 2019 ~ 2023
투자선도지구 기반시설 지원 2020 ~ 계속
해안 및 내륙권발전사업 2013 ~ 2030
환승센터구축지원 2009 ~ 계속
농림축산식품부
(10/0)
농업기반정비 2010 ~ 계속
농촌자원 복합산업화지원 2010 ~ 계속
REGIONAL S&T YEARBOOK 2023 7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농촌형교통모델(지역자율계정) 2018 ~ 계속
반려동물 인프라구축사업 2019 ~ 계속
일반농산어촌개발(자율・제주・세종계정) 2010 ~ 계속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자율,제주) 2005 ~ 계속
지역행복생활권협력사업 2013 ~ 계속
취약지역생활여건개조사업 2015 ~ 계속
친환경농업기반구축 1995 ~ 계속
토양개량제사업(제주계정) 2014 ~ 계속
농촌진흥청
(3/0)
농식품가공체험기술보급(지역지원・제주계정) 2006 ~ 계속
지역농업연구기반 및 전략작목육성(지역지원・제주계정) 2015 ~ 계속
지역농촌지도사업활성화지원(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2009 ~ 계속
문화재청
(4/3)
광주 세계유산 남한산성박물관 건립 2017 ~ 2022 종료
문화유산관광자원개발 2005 ~ 2019 종료
보은 법주사 성보박물관 건립 2019 ~ 2022 종료
양산 통도사 문화공간 건립 2022 ~ 2024
문화체육관광부
(15/5)
3대 문화권 생태관광 기반조성 2010 ~ 2021 종료
관광자원개발 1981 ~ 계속
기업도시 진입도로 지원 2013 ~ 2022 종료
문화도시 조성 2020 ~ 계속
문화시설 확충(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1989 ~ 계속
서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 2017 ~ 2026
제주관광진흥지원 2017 ~ 2025
중부내륙권 관광개발 2013 ~ 2022 종료
지방문화산업기반조성 2019 ~ 2019 종료
지역문화 컨설팅 지원(지원・제주 계정) 2005 ~ 계속
지역콘텐츠산업 균형발전 지원 2015 ~ 계속
체육진흥시설지원(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1982 ~ 계속
충청유교문화권 광역관광개발 2019 ~ 2028
폐산업시설 등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지역자율・세종계정)
2014 ~ 계속
한반도생태평화벨트 조성 2013 ~ 2022 종료
보건복지부
(2/0)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2004 ~ 계속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2009 ~ 2038
산림청
(6/0)
산림경영자원육성(지역자율) 1988 ~ 계속
산림휴양녹색공간조성(지역자율・제주계정) 1988 ~ 계속
새만금수목원 조성 2018 ~ 2026
숲길네트워크 구축 2012 ~ 계속
임도시설(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1984 ~ 계속
임도시설(지역지원계정) 1968 ~ 계속
산업통상자원부
(32/12)
ESG형 산단 공동혁신 지원사업(R&D) 2022 ~ 2024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사업 2021 ~ 계속
광역협력권산업육성 2015 ~ 2020 종료
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광역협력권산업육성(R&D/지원・세종 계정) 2015 ~ 2020 종료
구역청투자유치지원 2003 ~ 계속
권역별신산업육성사업(R&D) 2017 ~ 2021 종료
기타 기반시설 지원 2004 ~ 계속
동남권 그린수소 항만조성 2022 ~ 2023
사회적경제 혁신성장 2020 ~ 2022 종료
사회적경제혁신성장(R&D) 2020 ~ 2022 종료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R&D) 2005 ~ 계속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R&D) 2011 ~ 계속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 2020 ~ 계속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지역지원・제주계정) 2020 ~ 2025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R&D)(지역지원・제주계정) 2011 ~ 2020 종료
외국교육연구기관 등 유치지원 2008 ~ 계속
웰에이징휴먼헬스케어밸리조성사업 2022 ~ 2022 종료
인천경제자유구역 전시컨벤션센터건립(BTL) 2019 ~ 2038
주요 기반시설 지원 2005 ~ 계속
지역 산업잠재위기 대응 프로젝트 2022 ~ 2022 종료
지역균형발전지원 2003 ~ 계속
지역투자촉진(지역지원・세종계정) 2004 ~ 계속
지역특성화산업육성 2010 ~ 2019 종료
지역혁신체계운영지원 2014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광역협력권산업육성 2018 ~ 2019 종료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2018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지역지원・제주・세종계정) 2014 ~ 계속
지역협력혁신성장(R&D) 2022 ~ 2024
지역활력프로젝트 2020 ~ 2021 종료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R&D) 2010 ~ 계속
투자유치기반조성 1994 ~ 계속
환동해해양헬스케어융합산업벨트조성사업 2022 ~ 2022 종료
식품의약품안전처
(1/0)
식의약품 안전감시 및 대응(지역지원・제주계정) 2010 ~ 계속
여성가족부
(2/0)
가족센터 건립 2015 ~ 계속
청소년시설확충 1990 ~ 계속
중소벤처기업부
(23/9)
국가융복합단지 연계 지역기업 상용화R&D 지원(R&D) 2019 ~ 2020 종료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R&D)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정보화)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제도운영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R&D) 2019 ~ 계속
기술지주회사자회사R&BD지원사업 2020 ~ 2023
대전실패박물관 2020 ~ 2021 종료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 2021 ~ 2022 종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9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지원 2021 ~ 2022 종료
산학연 Collabo R&D 2019 ~ 2027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1993 ~ 2020 종료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사업 2020 ~ 2022 종료
세종산업기술단지(TP) 조성 2019 ~ 2023
전통시장 및 중소유통물류기반조성 2002 ~ 계속
제주중소기업업무지원 2006 ~ 계속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2019 ~ 2019 종료
지역기업 혁신성장 지원(R&D) 2019 ~ 2019 종료
지역중소기업 공동수요기술개발 2020 ~ 2023
지역특화산업육성(R&D) 1995 ~ 2020 종료
지역특화산업육성(지원・세종계정) 2013 ~ 계속
지역특화산업육성+(R&D)(지원・세종계정) 2020 ~ 2025
창업인프라지원(지원・제주・세종계정) 1998 ~ 계속
해양수산부
(17/1)
국가어항(제주) 2007 ~ 계속
산지유통시설 지원 2012 ~ 계속
서남권 친환경 수산종합지원단지 조성 2014 ~ 2020 종료
수산물가공산업육성(제주) 1987 ~ 계속
수산물가공산업육성(지역자율) 1987 ~ 계속
수산물안전검사체계구축(지역자율) 2009 ~ 계속
수산식품산업 거점단지 조성 2008 ~ 2023
어업기반정비(지역자율) 2013 ~ 계속
제주외항(2단계) 2016 ~ 2025
제주일반항건설 2017 ~ 계속
제주항 2014 ~ 계속
제주해양항만 운영지원 2006 ~ 계속
지방이양항만 지원 2021 ~ 계속
추자항 2019 ~ 계속
항만시설유지보수 2006 ~ 계속
해양 및 수자원 관리(지역자율・제주계정) 1997 ~ 계속
화순항 2012 ~ 계속
행정안전부
(12/0)
섬발전협력사업추진 2018 ~ 계속
소하천정비 1995 ~ 계속
위험도로구조개선(지원・제주 계정) 2004 ~ 2023
자원봉사활성화지원 2006 ~ 계속
재해위험지역정비 1998 ~ 계속
접경권 발전지원 2011 ~ 2030
지방자치단체자율통합지원금 2011 ~ 2025
지역공동체일자리 2011 ~ 계속
지역교통안전환경개선(지원・제주・세종계정) 2003 ~ 계속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2008 ~ 계속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지역자율・세종계정) 2019 ~ 계속
특수상황지역개발(지역자율・제주계정) 2010 ~ 계속
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NABIS), URL : https://www.nabis.go.kr/bg1List.do?menucd=147, 접속일 : 2023.08.31.
나.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관계부처 합동, 2023. 2. 16.)
중소벤처기업부는 경제부총리 주재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을 발표했다. 본 대책은 “지역과 지역이 함께하고, 기존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을
함께 육성하며, 기업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지역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을 기본 원칙으로 하여, “지
역 중소기업 중심의 혁신생태계 조성으로 어디에 살든 다함께 잘사는 대한민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설
정하였다. “함께 성장하는 지역 중소기업, 대한민국을 견인하는 지역경제”라는 방향을 수립하며, △주
축산업 지원체계 개편 △미래신산업 육성 프로그램 마련, △제도・기반 고도화의 3대 추진전략을 수립
하였다. 먼저, 지역주력산업을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으로 분리 개편한다. 지역주력산업은 기술 성
숙도, 산업기반, 공급망 등의 다각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으로 분리되어 개편한
다. 주축산업은 기존 48개 산업을 41개로 정비하며, 이 중에서 성장 효과가 미흡한 11개 산업은 제외
하고, 추가로 4개의 신산업이 도입되어 산업 구조가 혁신적으로 조정한다. 기존 31개 산업은 핵심 품
목과 연관 품목 중심으로 지원 범위를 축소・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지원체계를 확립한다. 또한, 지역
내 고용과 생산 비중이 큰 6개 산업은 유지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경제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
고자 한다. 이어, 미래 신산업은 지역 내 기업과 산업 기반이 아직 충분하지 않지만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기술인 12대 국가전략기술과 신성장 4.0 사업 등을 활용하여 19개의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환경부
(14/3)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2013 ~ 2022 종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건립 2013 ~ 2019 종료
노후상수도 정비(지원・제주계정) 2017 ~ 2024
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지원 1998 ~ 계속
농어촌마을하수도 정비 2015 ~ 계속
상수도시설 확충 및 관리(지역자율계정) 1994 ~ 계속
생태하천 복원(세종) 2018 ~ 계속
생태하천 복원(지역자율) 1987 ~ 계속
생태휴식공간 확대(지원) 2012 ~ 계속
자연환경보전 및 관리 1999 ~ 계속
지방산업단지 공업용수도건설지원 1998 ~ 계속
폐기물처리시설 확충(제주) 2006 ~ 2019 종료
하수관로정비(세종) 2015 ~ 계속
하수처리시설 확충 및 관리 2007 ~ 계속
총 합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전체사업 수 : 198개
2023년 현재 균특회계 추진사업 수 : 161개
2023년 현재 균특회계 종료사업 수 : 37개
REGIONAL S&T YEARBOOK 2023 11
산업을 새롭게 선정한다. 이 중에서 14개 산업은 특정 지역 내에 선도기업이나 혁신기관과 같은 요소
가 존재하여 비교적 우위를 가지고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5개 산업은 지역협력형으
로 지역 간 차별화된 역량을 기반으로 초광역권 협력을 통해 공급망을 형성하고 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선정한다.
다음은,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을 차별화된 지원전략을 통해 주력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특히 중
소기업에 대한 지원 방식을 성과 중심의 지원으로 변경함으로써 지원 효과를 극대화하고, 미래 신산업
이 주축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밀접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주축산업은 혁신성과 성장성
을 기준으로 기업군을 유형화하여 지원하고, 지역 대표기업의 육성을 강화하고 기업군(컨소시엄) 단위
의 지원 방식을 적용한다. 아울러, 평가 결과에 대한 인센티브 차등 규모를 확대하여 지역 간 경쟁을 통
한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등 성과 기반 정책으로 전환한다. 미래 신산업은 중장기 로드맵을 기반으
로 기술과제 기획과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통합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산업 기반을 강
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개편된 지역주력산업이 원활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필요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원체
계를 정비한다. 주력산업 개편 주기를 정례화하고 (가칭) 지역주력산업선정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주력
산업의 체계적인 개편과 안정적 육성을 위해 지역주력산업 법제화를 추진한다. 더불어 테크노파크의 역
할과 기능을 강화하며, 지역종합통계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 중심의 육성 기반을 더욱 강화한다.
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관계부처 합동,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23.02.16.)
그림 1-2-1 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13
다.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2023.11.)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을 발표했다. 이는 「지방자치
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제6조에 따라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2023.10.23.과 국무
회의 심의(2023.10.30.)를 거쳐 대통령 승인에 따라 확정되었다. 특히,「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
(’23~’27)」은 ’04년 이후 각기 수립되어 오던 지방분권(자치분권) 종합계획과 국가균형발전(지역발
전) 5개년계획을 최초로 통합하였다.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비전과 “지방주도 균
형발전, 책임있는 지방분권”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자율성을 키우는 과감
한 지방분권, 인재를 기르는 담대한 교육개혁,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개성을 살리
는 주도적 특화발전, 삶의 질을 높이는 맞춤형 생활복지 등 지방시대 5대 전략을 수립하였다.
※ 출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2023.11.)
그림 1-2-2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지방시대위원회 중점 추진과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교육발전특
구 도입 및 지역-대학 동반 성장,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활성화 기반 구축, △로컬리즘(‘지방다
움’)을 통한 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 △매력있는 농어촌 조성으로 생활인구 늘리기, △지방 킬러규제
의 속도감 있는 일괄 해소로 지역 민간투자 활성화, △분권형 국가 경영시스템 구축으로 지역맞춤형 자
치모델 마련이다. 이중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도심융합특구 조성으
로 지방활성화 기반구축”,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디지털 재창조
롤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가 지방 과학기술 정책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이에 지방과학기술과 유관한 중점 추진과제를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첫째, △기회발전특구 지정으
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계단계부터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新특구를 지
정한다. 각 산업별 육성전략과, 정책 및 사업 지원계획, 기업 투자계획・집적성 및 근로자의 정주환경을
고려하여 지방정부 주도하의 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하며 조례 중심의 법 체계로 지역별 특구 면적 총
량 내 지방정부에 운영상의 자율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어, 투자재원 마련 및 투자이행, 경영활동 등
기업 활동 全단계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기존 특례와 더불어 지방정부가 규제를 직접 설계하는 ‘기회
발전특구 특례’제도 및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비율 가산, 민간재원 특구펀드에 일정기간 투자시 이
자・배당소득 세제 혜택을 적용하는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지방투자거점으로 육성한다. 또
한, 지역 도심 내 핵심 권역에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스타트업 클러스터’ 조성 및 지방정부와 기회발
전 특구의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세부적으로 창업기반시설 집중 구축 및 창업 유관기관 이전을 통해 창
업 인프라를 집적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통한 차별화된 스타트업 지원(지방이전 초격차 스타트
업 R&D・바우처 등 우대, 민간 중심의 네트워킹 특화지원 등)을 추진한다.
둘째,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활성화 기반 구축을 위해 쇠퇴해 가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청년
들이 직(일터)-주(주거)-락(여가)거점을 복합 개발하는 등 도심융합특구 개념을 도입한다. 기업 지원공
간과 양질의 문화・주거・상업 시설을 도심에 종합적으로 제공하며, 도시・건축 규제를 완화하여 공간을
조성하고,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각 부처의 다양한 특구 중첩 지정(중기부-규제자유특구, 과기부-디지
털혁신거점, 산업부-기회발전특구 등) 및 기업지원 프로그램 연계・집중 지원을 실시한다. 주택공급 특
례, 학교 및 교육과정 특례 등의 정주여건을 위한 지원과 전담기관을 설립하여 운영・관리의 체계성을
확보한다. 그 외 지방 5대 광역시(광주・대구・대전・부산・울산)를 선정하고 지역별 특화사업을 육성하
기 위한 기본계획 및 실시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특별법 및 하위법령을 마련하는 등 5대 광역시 선도사
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15
셋째,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을 위해서 3가지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첨단산업이 국가경쟁력 향상과 지역경제활력 회복의 구심점이 되도록 지역별로 특화된 첨단전략산업
거점을 육성한다. 여기서 첨단전략산업 거점이란 15개 국가 첨단산단을 신규로 조성하고, 7개의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한다. 6대 첨단산업(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로봇
등) 투자프로젝트에 세제・인프라(인허가 신속처리, 킬러규제 혁파, 세제・예산 지원, 용적률 완화, 전
력・용수 공급) 등 범정부 차원에서 약 550조원 규모를 지원한다. 이어, 유연한 산단 관리를 통해 첨단・
신산업의 입주를 활성화하고 투자지원을 확대하며, 문의・편의시설 확충 등의 청년들이 선호하는 정주
여건으로의 획기적 개선 등 30년 만에 산단 제도의 혁신을 추진한다. 또한, 지역별 과학기술기반 발전
전략인 「지역 과학기술혁신계획」을 지방 주도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지역
혁신 메가프로젝트(이차전지-대구・경북, 첨단모빌리티-경남・울산, 인공지능-광주・전남, 해양바이오
-충남, 농생명-전북) 지원(시범 ’23~’25, 327억원) 및 연구산업 밀집 지역을 ‘연구산업 진흥단지’로
지정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한다(’23~’26, 420억원).
마지막으로,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에서 창업하여 혁신기업으
로 성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업・인재가 집적된 ‘디지털 혁신지구’를 ’30년까지 5개 이상 조성을 추진
하며,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지역에 최적화된 중장기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정부는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인프라 구축, 규제 특례, 산학연 협력, 정부R&D, 청년선호 정주환경 제공 등 체계적이고 과감한
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27년까지 SW중심대학 100개로 확대하고, 지방 주도로 수립하는 ‘RISE 계
획’, ‘글로컬대학 혁신계획’과 연계하여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비학위 고급・전문 교육과정을 확산하여
지방기업 수요 중심의 지역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등 ‘현장형 고숙련 디지털 핵심 인재’ 양성을 추진한
다. 또한, 충청권 AI활용 재난관리, 대구・경북・강원 메타버스 실증, 부울경 정보보호클러스터 등 선도
지역 중심으로 디지털 신기술 역량을 확보한다. 또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이 활용하는 디지털 전환서
비스(SW) 개발・실증을 통한 전환 촉진, 지역 디지털 서비스 강소기업 100개 이상 육성한다. 그 외에도
지방주민 디지털 활용능력 제고 및 활용 접근성을 개선한다.
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2023.11.)
그림 1-2-3 지방시대위원회 중점 추진과제
REGIONAL S&T YEARBOOK 2023 17
다음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중앙정부 부문별 계획이다. 각 5대 전략에 따른 범
부처 차원의 22개 핵심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5대 전략 중 “Ⅲ.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은 지방 과학기술정책과 관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세부과제Ⅲ-1은 “기회발전특구와 혁신성장거점 육성으로 성장동력 확충(산업부)”이다. 기업 지방
투자 촉진을 위한 특구신설 및 지방투자 제도개선 등 파격적・획기적 접근과 지원을 시도한다. 또한 지
역별 첨단산업 투자 촉진을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소부장 특화단지 등 혁신거점 육성, 국가산업단지
생태계 지원을 실시한다. 또한, 지역에 자율성을 대폭 부여하는 지역주도 특화산업 육성 거점을 위한
성장거점(지역혁신클러스터) 고도화를 추진한다.
세부과제 Ⅲ-2는 “지역의 효율적 성장을 지원하는 공간조성(국토부)”이다. 반도체・미래차・우주 등
지역별 첨단산업 투자촉진 및 전 국토에 균형된 첨단산업 구축을 위해 국가산업단지를 신규 추진한다.
또한, 획기적인 규제완화와 기업 지원을 통해 기업이 자유롭게 개발하고 투자하는 기업주도 성장거점
인 기업 혁신 파크를 조성한다. 대학 내 주거・문화・복지가 결합된 도시첨단산단을 조성하고, 지방 대
도시 도심에 산업・주거・문화를 복합개발하여 청년이 모이는 융복합 거점인 도심융합특구를 조성한다.
그 외 쇠퇴한 원도심에 일자리 창출 및 경제적 효과가 큰 거점사업 시설을 조성하는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을 추진하며, 노후산단은 대규모 고밀 복합개발을 통해 국가 제조 경쟁력 강화 및 청년 일자리・첨
단산업이 유입되는 혁신산단으로 변화를 추진한다.
세부과제 Ⅲ-3은 “지역특화형 산업육성 및 일자리 창출 촉진(산업부・고용부)”이다. 먼저, 전략산업
지원을 위해 지역 주도 산업을 고려한 인프라 구축 및 연계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첨단・신산업의 기존
산업단지 입주 확대, 청년들이 선호하는 정주여건으로의 획기적 개선 등 30년 만에 산단관리제도를 혁
신한다. 또한, 지역이 지역・산업에 맞는 일자리 사업을 설계・실시하여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등을 자율
적으로 추진토록 지원한다.
세부과제 Ⅲ-4는 “글로벌 선도형 지역과학기술(과기부)”이다. 지방 주도로 전략산업과 연계한 과학
기술 현안을 발굴・기획하고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지방 전반으로 연구성과를 확산한다. 또한 연구개
발특구 활성화 및 고도화, 연구산업단지 지정 등을 통해 혁신거점을 확산하고 ‘오픈랩’을 활용한 대학
과 기업의 기술발굴・이전 촉진, ‘학연 협력 플랫폼’을 통한 인력양성・공동기술・기술사업화를 지원하
여 지방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혁신역량을 집결한다. 이어 지방주도 과학기술기반 발전전략인 중・
장기 혁신 계획 수립과 지방 과학기술 씽크탱크(연구개발지원단) 기능 강화를 통한 지방혁신 추진을
지원하며,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지역경제와 접목하여 집중 육성하기 위한 새로운 거점인 지역기술혁신
허브를 조성한다. 이는 전략기술 관련 강점이 있는 지역기관을 허브로 지정하고, 국가전략기술 로드맵
에 부합하는 미션을 부여하며, 해당기술의 연구개발, 실증, 사업화, 인재유치 등 집중 지원을 실시한다.
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세부과제 Ⅲ-5는 “지역 디지털 혁신을 통한 균형발전 실현(과기부・산업부・행안부)”이다. 디지털 신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 내 최적 입지를 대상으로 디지털 생태계의 초기기반에 해당하는 디지
털 혁신지구 조성을 지원한다. 또한, 선도지역(권역별 AI융합프로젝트,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 부울경
정보보호클러스터 등)을 중심으로 AI・디지털트윈・메타버스・블록체인 등 4대 디지털 신기술을 확산하
고, 지역 주력산업 맞춤형 디지털서비스를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한다. 생활SOC(주민센터, 경로당 등)
기반 디지털 활용교육 고도화 및 디지털 SOC 확충을 위한 스마트빌리지를 확산하며, 세부적으로 지자
체・공공기관으로의 공공서비스 모델 확산 및 도입을 촉진한다. 그 외에도 SW중심대학, 이노베이션아
카데미, 이노베이션스퀘어 등의 지역 확산 및 고도화를 통해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디지털 인재를 양성
한다.
마지막으로, 세부과제 Ⅲ-6은 “지역 맞춤형 창업 및 혁신생태계 조성(중기부)”이다. 먼저 지역 도심
내 핵심 권역에 창업활성화를 위한 「스타트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기회발전 특구와 연계를 통해 창
업활성화를 추진한다. 또, 개별 기관의 분절적 지원에서 벗어나 중앙-지자체-혁신기관이 연계되는 지
역 중소기업 혁신생태계를 구축하여 컨베이어 형태의 패키지 지원을 추진한다. 전면적인 네거티브 규
제 특례 및 실증부터 사업화까지 국제기준에 맞는 제도가 적용되는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며, AI・디
지털트윈 기반 자율형 공장, 디지털 협업공장 등 선도모델을 육성하고 지역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제
조혁신 지원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그 외 지역중소기업 위기대응을 위해 지역별 위기지원센터 추가설
치, 현장 밀착형 위기 징후 모니터링강화하고, 지역소멸 대응을 위해 인구유출 방지를 위한 지역 연고
자원을 활용한 사업화 지원 및 지방소멸대응기금과의 연계를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중견기업을 대상
으로 지역소재 대학-중견기업간 공동 R&D・석박사 인력양성 확대, 중견기업 최대 채용행사인 “중견
일자리박람회” 지역 개최 등 혁신인재 확보를 지원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19
※ 출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2023.11.)
그림 1-2-4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중앙정부 부문별 계획
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2)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서,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전략기술, 미래산업 육성, ▲디지털 전면 확산, ▲인재・지역적 기반
확보의 3대 추진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어 ①대한민국 우주경제 가동, ②국가전략기술 본격 육성, ③신
기술 기반 미래산업 선점, ④디지털 일상화, ⑤K-디지털 글로벌 확산, ⑥디지털 안심・포용사회 실현,
⑦혁신을 이끌 핵심인재 육성・확보, ⑧지역과 함께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이라는 8대 핵심과제를
선정하였다. 특히, 8대 핵심과제 중 「⑧지역과 함께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은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12.28.)
2) 각 부처의 2023년 업무보고(’22년 12월, ’23년 1월), 각 부처 보도자료 등 참고
그림 1-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21
“핵심과제 ⑧ 지역과 함께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을 위해서 지역 연구 역량을 확충하고, 디지털
혁신거점을 조성 및 고도화한다. 우선, 지역주도, 정부지원의 추진체계 구축 및 지역 역량 제고를 뒷받
침하기 위한 「지역과학기술혁신법」제정을 추진한다. 선도연구개발지원단(신규 5개) 및 지역과학기술
혁신센터를 지정하여 지역의 과학기술 싱크탱크 기능을 강화한다. 지역 주도 중장기 현안 프로젝트
(’23년 신규, 77억원 / 4대 권역, 5개 과제)를 추진하여 지역의 선도 기술 확보 및 기술격차 극복을 달
성하고자 한다. 지역대학과 출연연을 연계하는 거점 협력 플랫폼(’23년 신규, 52.4억 원, 4대 권역)을
구축하고, 사업간 연계 및 지역혁신 역량을 결집하여 연구기관 주도의 지역혁신 거점을 구축한다. 이
는 지역 주도, 지역 기반의 자생적 혁신을 유도하기 위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각 지자체별 디지털 관련 정책을 종합・연계한 「지역 디지털 생태계 경쟁력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23년 1분기), 지역 디지털 과제 발굴을 위한 ‘지방시대위원회’ 협력을 강화한다. 각 권역별 산업과 디
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공지능(AI) 지역융합사업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광주 AI 인프라, 강원 AI 의
료・건강, 영남 AI 자율제조, 충청 AI・메타버스 융합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지자체 주도 지역 특화 디
지털 신산업 성장 여건 및 가능성이 높은 공간을 디지털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고 지원한다. 시범지역 2
곳을 선정(공모)하여 디지털 인프라 집적 등의 초기 조성비(지역 당 22억 원)를 지원하고, 지자체가 추
진 중인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에 관한 예비타당성조사 기획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한다. 스마트 빌리
지 확대 지원(’22년 100억 원 → ’23년 632억 원)을 통해 농어촌에 디지털을 접목해 생산성을 향상하
고 생활 편의를 개선한다. 또한,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를 ’23년 1개소를 구축하고 ’26년까지 4
개 권역으로 확대 추진한다.
나.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는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서, “상생과 연대의 노동시장 구축”이라는 비전을 제시
하며 “노동개혁의 성공적 완수”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맞춰 노동개혁 완수,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
선, 일자리 불확실성 선제적 대응이라는 3대 핵심과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핵심과제1. 노동개혁을 완
수하겠습니다.”는 ① 노사 법치주의 확립, ② 노동규범 현대화, ③ 중대재해의 획기적 감축의 세부 추진
과제를 설정하였으며, “핵심과제2.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개선하겠습니다.”는 ① 상생형 임금체계 개
편, ② 상생과 연대의 산업・노동생태계 조성, 법적 보호의 사각지대 해소의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하였
다. “핵심과제3. 일자리 불확실성에 선제적 대응하겠습니다.”는 ①기업 구인난 해소, ②취약계층 일자
리 장벽 제거, ③노동시장 참여 촉진형 고용안전망으로 개편, ④고용상황 대응 : 단기컨틴전시 플랜 +
중장기체질개선이라는 세부추진과제를 설정하였다. 특히,「핵심과제3의 세부추진과제① 기업 구인난
해소」는 지역, 과학기술분야 일자리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고용노동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09)
그림 1-2-6 고용노동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23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불확실성에 선제적 대응, 기업 구인난 해소를 위해, 업종・지역・기업 맞춤형 취
업을 지원한다. 먼저 업종 차원에서는 지역을 넘어 산업벨트를 현성하고 있는 업종에 대한 체계적인 대
응을 위해 「업종별 취업지원 허브」를 신설(반도체・조선 2개소)한다. 조선업(울산, 목포 등 6개소), 뿌
리산업(인천, 수원, 부산 등 11개소) 등 상시 인력난 업종에 대해 신속취업지원TF를 구성하고, 서비스
업 48개소에 각 고용센터에 전담자를 지정하여 밀착지원을 추진한다. 지역차원에서는 지방정부가 지
역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중앙정부 일자리사업에 추가(PLUS)하여 지원할 수 있는 상향식 사업을 도입
(’23년)하고, 지역단위로 산업・고용 현황을 제공하는 일자리 정보시스템을 구축(’23년 1분기)한다. 기
업차원에서는 채용 및 취업애로 해소를 위해 진단・컨설팅・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구직자 도
약보장 패키지」를 시행한다. 2022년 15개소를 시범 운영하였으며, 2023년 하반기까지 전국 48개 센
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산업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핵심 인력 신속 양성을 추진한다. ‘기업 주도형 혁신훈련’, 훈
련분야 및 양성규모를 2.8만 명에서 3.6만 명으로 확대하고, 대기업 참여를 확대하여 첨단산업 공동훈
련 지원을 강화한다. 훈련분야 확대는 기존 디지털 분야(인공지능, 클라우드, IoT, 메타버스, 5G・6G,
일반SW,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이버 보안)에서 첨단산업(지능형로봇・드론, 시스템반도체, 3D프린
팅, 차세대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에코업, 신재생에너지, 이차전지, 첨단소재)로 확대하고, 공동훈련
지원 강화를 위해 첨단산업 공동훈련센터 5개소 신설, 기존 20개소의 K-디지털 플랫폼을 35개소로
확대한다. 더 나아가, 신기술 분야별 기초실태조사 문항 및 주기를 통일성 있게 정비하고 현장 심층인
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등 질적 분석을 강화하는 등 신기술 분야 인력수급 전망을 고도
화하고, 「인재 양성 신속절차」를 신설하여 연도 중 시급한 훈련과정을 신설할 수 있는 유연한 제도를
도입한다. 기계・전자 등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 훈련 지원 또한 확대(4,648억 원)한다.
다. 교육부
교육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교육개혁, 대한민국 재도약의 시작”이라는 비전을 제시
하며 4대 개혁분야, 10대 핵심정책을 설정하였다. ➊ 학생맞춤 단 한명도 놓치지 않는 개별 맞춤형 교
육, ➋ 가정맞춤 출발선부터 공정하게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돌봄, ➌ 지역맞춤 규제없는 과감한 지원
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 ➍ 산업・사회맞춤 사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에 신속히 대응하는 교육 등 4대
개혁분야를 설정하였다. 관련하여 ①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② 학교교육력 제고, ③ 교사혁신 지원체
제 마련, ④유보통합 추진, ⑤늘봄학교 추진, ⑥과감한 규제혁신・권한이양 및 대학 구조 개혁, ⑦지역
혁신중심 대학지원 체계(RISE) 구축, ⑧학교시설 복잡화 지원, ⑨핵심 첨단분야 인재 육성 및 인재양성
전략회의 출범, ⑩ 러닝메이트법, 교육자유특구법, 고등교육법, 사립학교법 등 4대 교육개혁 입법 추
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진의 10대 핵심 정책을 설정하였다. 이 중, “➌규제없는 과감한 지원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과 “➍사
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에 신속히 대응하는 교육”의 개혁분야가 지역혁신과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출처 : 교육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05)
그림 1-2-7 교육부 2023년 추진과제 및 추진체계
REGIONAL S&T YEARBOOK 2023 25
교육부는 “규제없는 과감한 지원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을 위해, 지자체・교육청과 함께 학교를 지
역혁신 성장의 허브로 육성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2023년 목표는 5개 지자체 RISE 시범운영
및 정원・학사・재정 규제 제거로 설정하였으며 2026년까지는 지역의 대학 지원 권한 대폭 확대 및 중
앙정부의 대학규제 제로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3대 핵심정책을 설정하였다.
먼저, ⑥과감한 규제혁신・권한이양 및 대학 구조개혁을 고등교육과 유・초・중등 교육분야를 구분하
여 추진한다. 고등교육 분야는 총 정원 내 학과 신설 및 정원 조정을 완전 자율화하고, 신규 캠퍼스 설
치 및 대학 통합 시 규제를 혁신하는 등 대학 규제 제로화를 추진한다. 또한 사립대학 재산처분을 유연
화하고, 일반재정지원사업 집행 시 각종 규제를 없애 재정운영의 자율성을 제고하여 규제혁신을 도모
한다. 경제자유구역 내 고등외국교육기관 설폐 승인 등 권한, 지방대 지원 계획수립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하는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정부의 획일적 평가 폐지, 대교협의 인증평가 및 사학진흥 재단
재정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재정을 지원하고 경영위기 대학을 지정하는 등 권한이양과 구조개혁을 실
시한다. 유・초・중등 교육분야는 학교설립에서 운영까지 교육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정형적 모델이 아
닌 지역별 맞춤형 공교육 선도 ‘교육자유특구3)’를 지정하고 운영한다. 2023년 교육자유특구 지정・운
영 방안 마련 및 법령 정비를 실시하고, 2024년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또한 지역 여건별 학교 설립이
용이하도록 중앙투자심사 대상을 축소(소규모학교, 학교 이전 신설 등의 경우 중앙투자심사 면제 등)
하는 등 규제 개선으로 교육청 자율권을 확대해 학급 과밀 해소를 지원한다.
이어서, ⑦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를 구
축한다. 지역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지자체의 대학 지원 권한을 확대하고 규제를 대폭적으로 완화
하며 선택과 집중에 의한 재정 투자를 추진한다. 2023년 의지와 역량이 있는 5개 내외 지역의 지자체
를 선정하여 시범 추진하고 2025년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 추진한다. 시범지역은 고등교육혁신특화지
역으로 지정하고 규제특례 적용 및 지역주도 재정지원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한다. 지자체와 중앙
부처가 협력하여 지역발전전략과 연계한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역과 동반 성장하며 세계적 수준의 경
쟁력을 갖춘 글로컬(Glocal) 대학 육성을 지원하고, 지자체에 대학 지원을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등 지역의 대학지원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또한 실시한다.
⑧ 학교시설 복합화 지원을 추진한다. 지역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초・중・고, 대학 등 학교시설을 지
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학교시설 복합화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늘봄학교(교육부), 도시재생사업
(국토부), 공공기관 이전(균형위) 등 부내・외의 다양한 사업과 연계해 학교시설 활용방안을 모색할 계
획이다. 특히 ‘학교시설 복합화 활성화 방안’은 특별교부금 등을 활용하여 지자체・교육청에 재정지원
3) 교육자유특구 방향은 특구 내 대안학교의 설립 절차 개선, 행정적・재정적 지원 강화 및 교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지역 특성
에 맞는 선택적 규제 특례 등 교육청-지자체 중심의 창의적인 교육자유특구로 설정하였다.
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을 추가하고, 교육부・행안부 투자심사 간소화 및 「학교복합시설법」 개정사항 발굴 등 규제를 개선한
다. 동 방안은 교육부가 관계부처, 지자체, 교육청 협업의 컨트롤 타워로서 사업을 총괄하고 현장 중심
의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자 한다.
핵심정책 이외, 지역 중심 재정지원을 확대 추진한다. 이는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 도입으로
고등교육 재정을 안정적으로 확충하여 지역대학을 두텁게 지원하고 대학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고자
하며 세부적으로 지역 인재양성과 국가 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국립대학 육성 지원규모를 확대하
며, 지방 사립대학이 지역의 발전계획과 연계하여 교육을 혁신하고 특성화 할 수 있도록 ‘지방대학 활
성화 사업’ 또한 신설한다. 대학 창업 교육이 혁신 인재의 실전 창업까지 연결되도록 창업교육 혁신 공
유대학 대상 권역을 2개(’22년)에서 5개(’23년)로 확대하고 규모 또한 5.6억 원(’22년)에서 52억 원
(’23년)으로 확대한다.
라.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멈추지 않는 혁신과 성장의 엔진, 국토교통부”라는
정책비전을 제시하며 “균형 발전 / 민생 안정 / 경제 재도약 / 국민안전”의 정책방향을 설정하였다. 국
토교통부는 ➊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성장 인프라 확충, ➋주택 시장 안정과 주거약자 복
지 구현, ➌국민 편의와 미래산업기반인 교통 혁신 실현, ➍민간 중심 국토교통산업 활력 제고, ➎안전
하고 살기 좋은 생활환경 조성 등 5대 정책과제를 추진에 역량을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 중, 정책과제
➊에 해당하는 “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성장 인프라 확충”에서 규제혁신, 지역주도 혁신
성장 공간 조성 등의 내용이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27
※ 출처 : 국토교통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03)
국토교통부는 “지역 주도-정부 뒷받침”을 통한 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해 과감한 규제혁신 등을 추진
하여 지역에 자유를 확대하며, 특히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혁신 성장 공간 조성 등을 추진한다. 실
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성장 인프라 확충을 위해, ①과감한 규제혁신과 협업 강화로 지방
자율성을 확대하고, ②지역 주도 혁신 성장 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그림 1-2-8 국토교통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먼저, ①과감한 규제 혁신과 협업 강화로 지방 자율성을 확대한다. 크게 개발제한구역(GB) 규제 개
선, 도시계획, 토지수용, 거버넌스로 구분하여 추진계획을 구체화하였다. 비수도권 지자체 GB 해제 권
한을 대폭 확대하여 지역의 GB 활용도를 제고한다(’23년 상반기). 반도체, 방산, 원전산업 등 국가적
으로 중요한 전략사업을 지역에 추진하는 경우 GB 해제 총량에서 제외하며 GB 내의 환경 우수 지역과
같은 보전 필요 지역은 보다 철저하게 관리하고 GB 해제 시 공영개발 요건 강화 등을 통해 질서 있는
개발을 유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조건을 고려하여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장을 비수도권 위원으
로 위촉하고 해제절차 전 지자체 사전 컨설팅 기능도 강화한다. 이는 현재 국토부 협의만으로 판단하지
만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사전 심사반 신설 및 운영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주거, 업무, 여가 등
다양한 기능이 융복합된 도심 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도시계획체계가 유연하게 개편한다(’23년 상반
기). 토지의 용도와 밀도에 대해 민간과 지자체의 자율성이 대폭 반영될 수 있도록 공간혁신구역을 도
입한다. 여기서 공간혁신구역이란 토지의 용도・밀도 등 도시규제 없이 자유롭게 개발가능한 도시혁신
구역, 용도지역 변경 없이 허용 건축물 용도를 다양화하는 복합용도구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추가로
토지수용과 거버넌스 창원에서 기초지자체가 추진하는 사업은 지방에서 판단 및 결정할 수 있도록 공
익성 협의 권한을 이용하고, 지역과 함께 광역권별 지원전략, 인프라 투자계획 등을 검토하기 위한 「지
역균형발전지원단」운영을 본격화 한다(’23.01).
이어, ②지역주도 혁신 성장공간을 조성한다. 이를 위한 세부추진과제 은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 지
원한다. 도심융합특구는 기업・인재가 선호하는 도심에서 특화산업이 육성되도록 기업 공간・디지털인
프라 금융・R&D 등 범부처 패키지를 제공한다. 범부처 패키지는 디지털 인프라(과기부), 펀드・금융(중
기부), R&D(산업부・과기부・중기부) 등 협업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23.12). 법인・소득세 등 세제혜
택과 규제실증 특례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산업특화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교육특례 부여도 검
토한다. 국가산단은 소형모듈원전, 원자력수소생산, 나노・반도체, 우주발사체 등 지역의 미래첨단전
략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산단을 신규 조성한다. 미래첨단전략산업에 대한 국가지원도 병행하여 지역
산업 육성이 국가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기존보다 2배 이상(10개 이상) 국
가산단을 조성하고, 후보지 발표 전 관계기관 협의(GB・농지 등)를 완료하는 등 추진기간을 대폭(1/3)
단축한다. 특히 기업 수요 및 애로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기업과 지역・중앙정부가 함께하
는 전담 지원팀을 구성한다. 신규 조성 이외 기존 노후산단은 고밀・복합개발하여 첨단산업에 맞게 리
뉴얼 할 수 있도록 활성화 구역을 선정한다. 세부추진과제 는 기존 거점 고도화이다. 공공기관 2차 이
전을 위해 1차 이전 성과평가와 시사점을 토대로 이전시관 선정기준 및 입지원칙 등을 담은 ‘공공기관
2차이전 기본계획’을 2023년 상반기에 수립하고, 신속한 이전이 가능한 임차기관부터 연내 이전을
2023년 하반기에 착수한다. 그 외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와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지원해 행정수도
기능을 제고하고, 새만금에 세제혜택 등 기업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국제투자진흥지구를 도입・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29
정(’23.08)하고, 2023년 6월 첫 도시인 수변도시 매립공사를 준공한다. 관련하여 남북도로(’23.07),
지역 간 연결도로(’23년 하반기 발주)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세부추진과제 은 지역주도 맞춤형 신성장거점 조성이다. 일자리 거점으로서 지역대학 활성화를
위해 연구역량과 청년인재를 활용하는 캠퍼스 내 산단・창업공간을 조성(캠퍼스 혁신파크 선정, 2개소)
한다. 도심 내 기업입지 조성을 위해 기업혁신파크를 도입하고, 이를 위한 규제특례 등을 담은 기업도
시법을 개정하고(’23년 하반기) 선도사업지를 선정한다(2개소). 또한 연섹권 등에 지방특성(산단, 관
광 등)을 반영한 주거・산업・문화 복합 거점을 조성하는 투자선도지구를 2023년 4곳 이상 선정하는 방
향으로 확대한다. 지역정착거점으로서 은퇴자・귀농귀촌자 등의 지역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돌
봄・일자리 등이 복합된 지역활력타운을 2023년 상반기 7곳을 선정하여 조성한다. 여기서 지역활력타
운은 타운하우스형태(고령친화설계, 제로에너지)로 분양・임대주택으로 공급하며 생활 인프라(국토
부), 돌봄(복지부), 여가(행안부), 체육(문체부) 서비스 등을 지역주민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마을기업, 재능기부 등을 통해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그 외 생활인
구 기반 지원으로서 정주인구 외에 관광・산업 등 생활인구를 고려해 기반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생
활권 계획을 2023년 상반기에 도입한다. 세부추진과제 는 국토의 입체적 개발을 통한 국토 경쟁력
제고이다. 이를 위해 철도지하화, 지하고속도로, 환승센터, 기반마련 등을 추진한다. 먼저 상부 구도심
공간을 미래 도시공간으로 재구조화하고, 단절된 지역 복원을 위해 특별법 발의(’23년 상반기) 및 후속
절차를 추진한다. 또한 임기 내 경인(인천~서울) 착공(’27년 상반기), 경부(기흥~양재) 설계 완료(’27
년 상반기), 수도권1순환선(퇴계원~판교) 설계 착수 등을 목표로 사전 절차를 신속 진행한다. 또, 삼성
역 등 주요 교통거점에 계획된 지하 환승센터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복합개발 추진 등을 위한 포럼을
발족한다. 그 외에도 대학교・유원지・터미널 등 도시계획시설 지상・지하공간에 쇼핑몰・전시장 등이
복합화 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다(’23년 상반기, 국토계획법 개정).
마.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26년까지 비전으로 “「수출 5위 + 제조 3위 + 경
제영토 1위」달성”을 제시하며, ▲수출 플러스 달성, ▲투자주도성장을 통한 좋은 일자리 확충, ▲저소
비・고효율 에너지 구조로 전환, ▲글로벌 통상 중추국가 실현의 ’23년 목표를 제시하였다. 산업통상자
원부는 이러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➊범정부 역량 결집을 통한 수출 플러스 달성, ➋실물경제
활력 회복과 역동적 성장, ➌에너지 안보 확립과 시스템 혁신, ➍국익을 우선하는 선제적 통상 등 핵심
추진과제를 중점 추진한다.4)
4)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23년 수출 6,800억불 이상 달성, 설비투자 100조원, 외투 300억불 이상 유치로 민
간주도성장 견인, 산업통상자원부 보도 참고자료(’22.12.27)
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12.27)
여기서 “➋실물경제 활력 회복과 역동적 성장”에서 “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추진
한다.”는 내용이 지역 과학기술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
리 창출을 위해 지역경제 기반 확충,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연계형 지역투자 확대, 산업단지의 디지털・
저탄소 전환 및 안전관리 강화로 구분하여 추진한다. 지역경제 기반 확충을 위해 지역 주도로 선정한
전략산업에 R&D, 실증인프라 우선 지원을 통해 지역 클러스터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중복・분산 투자
를 방지한다. 기회발전특구 신규 지정 및 적극 세제 및 규제 특례를 적용 추진하고, 지역 주도 투자 프
그림 1-2-9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정책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31
로젝트(14개 시・도, 538건, 50조 원)를 밀착 지원한다. 지역 주도 투자프로젝트는 충북 이차전지(4조
원), 구미 기판소재(1.4조 원), 울산 이차전지 핵심소재(1조 원) 등 지방투자보조금 지원한도(현재 100
억 원)를 확대하고 고용보조금(지식서비스업)을 신설한다.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연계형 지역투자 확대를 위해, 2023년 2개 지역에 시범사업으로서「한국형
퀵 스타트 프로그램」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지방투자 기업의 적기 인력확보를 지원한다. 지방 대학과
의 채용 연계형 공동 R&D, 계약 Lab 지원 사업을 통한 지역기업의 기술・인력 부족애로를 해소한다.
이는 ’23년 기준으로 공동 R&D 및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3개 컨소시엄별 연간 9억 원 규모로 지원한
다. 그 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산업단지 디지털・저탄소 전환 및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 개선방안 → 투자 패키지 지원” 체계의 디지털 전환 대진단을 실시하고, 공정혁신을 위한 디
지털 시뮬레이션 센터 등을 구축한다. 또한 산업단지별 친환경 에너지 보급 등 저탄소 산단을 2022년
3개에서 2023년 10개로 확대하고, 유해・위험물질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IoT,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원격 감시시스템을 구축한다.
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가상・데이터가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경제 시
대 전환의 환경에서, “디지털 경제 시대, 미래를 만드는 글로벌 창업대국”이라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크게 ▲글로벌, ▲디지털, ▲함께도약의 3대 성장전략 하에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의 전면적인 글로
벌 진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압축성장 과정에서 누적된 양극화를 해소하는 신동반성장과 복합위
기 장기화에 대한 안전판 마련 및 현장체감 규제해소도 병행한다. 핵심추진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➊신산업・신시장 개척의 첨병, 창업벤처 집중 육성, ➋단단한 우리경제의 허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➌우리동네 생활혁신가,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➍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 등이 있다. 이 중, “➋단단한 우리 경제의 허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내 세부 추진과제에 해당하
는 “제조 디지털화 및 고부가 R&D확대”와 “➍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의 세
부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지역위기 관리”, “글로벌 혁신특구”, “규제자유특구” 등의 내용이 지역 과학
기술과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12.27)
➋단단한 우리 경제의 허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디지털 분야 세부 추진과제 은 “지역・생산성
혁신”이다. 크게 지역 주력산업을 개편하고, 지역특화 제조혁신, 투자여건 개선, 위기관리 등 「지역 중
소기업 육성전략」을 ’23년 상반기에 마련하고자 한다. 이는 수도권 격차 확대, 인구 유출 등 지역소멸
위기를 지역기업 혁신성장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서비스
R&D 확대, 투자형 마케팅 전문회사 도입, 인재 확보 지원 강화 등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지원대책」
또한 ’23년 상반기에 마련하고자 한다. 여기서 투자형 마케팅 전문회사는 마케팅회사가 마케팅 비용을
그림 1-2-10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33
매출 성과와 연동하거나 주식 지분으로 받는 제도를 의미한다.
다음은, 핵심추진과제➍ 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에서 위기극복 중 “지역위
기관리”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위기지원센터를 2022년 5개(강원・전남・대구・경
북・부산)에서 2023년 12개(세종・제주 제외 비수도권 전역)로 확대하여 위기 모니터링 범위를 확장하
고, 위기기업에 R&D・사업화, 사업전환을 연계한다. 이는 지역위기 관리 차원에서 모니터링 범위를
확대하되 위기 중소기업에 대하여 R&D・사업화를 지원하여 사업전환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서 R&D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어서, 핵심추진과제➍ 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에서 규제혁파 중 “글로벌
혁신특구”와 “규제자유특구”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글로벌 수준의 혁신환경을 조
성하고 국내・외 혁신기업을 집적하여 신산업을 선도하는 새로운(新) 지역혁신 클러스터를 도입한다.
세부적으로 해외에 없는 규제는 실증특례를 허용(사회합의 필요 시, 해외진출 조건부 특례 부여) 등 획
기적으로 규제를 완화하고, 대규모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를 제공한다. 또한 혁신인재 육성 및 해외 실
증 R&D, 스케일업 지원 등을 추진한다. 규제자유특구는 소관부처의 개정계획 제출 의무화 및 정당한
사유 없이 지연 시 개정권고와 같은 안전검증 완료 특례에 대한 신속한 규제법령을 정비하고, ‘법령상
금지사항’은 임시허가 전환이 불가하여 법령 개정 전까지 특례 연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례 자동연장,
특례 재심의 요청 등의 절차를 신설한다.
그 외에도 「정부 공통과제 이행계획」에서 대학의 창업거점 역할 강화 및 민간역량 활용 확대를 추진
한다.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하여 대학발 창업 활성화 및 지역 창업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2022년 기준 6개 대학(한양, 강원, 호서, 부산, 대구, 전북)에서 2023년 9개
대학으로 확대한다.
사.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일 잘하는 정부, 함께 잘 사는 안전한 나라”라는 비
전을 제시하며, ➊일상이 안전한 나라, ➋활력이 넘치는 지방시대, ➌일 잘하는 정부, ➍함께하는 위기
극복, ➎성숙한 공동체 등 5대 약속과 함께, ▲민생치안 확립 및 준법질서 구현(경찰), ▲선진 소방안전
체계 구축(소방)의 약속을 제시하였다.
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행정안전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27)
이 중, “➊일상이 안전한 나라”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국가안전시스템 전면 개편”과 “➋활
력 넘치는 지방시대”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지역주도 경제활력 회복, ②기회균등을 위한 지
역균형발전 추진, ③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자치개혁 촉진”, “➍함께하는 위기극복”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새로운 성장동력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이 직・간접적으로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성이 있
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2-11 2023년 행정안전부의 약속
REGIONAL S&T YEARBOOK 2023 35
약속➊ 「일상이 안전한 나라」의 핵심 추진과제인 “①국가안전시스템 전면 개편”에서는 「국가안전
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재난안전관리 체계 패러다임을 대전환(관점, 방식, 행동)하고, 5대
추진 전략과 65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여기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5대 추진전략 중 “디
지털 플랫폼 기반의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구현이 관련된 내용이다. 재난관리책임기관(58개)별 분산
관리하는 데이터(1,953종)를 통합・공동 활용 할 수 있는 「재난안전정보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대국
민 재난안전정보 원스톱 제공 서비스 창구인 「국민안전24」를 신설한다. 더 나아가 수해・지진・산불・
감염병 등 각종 재난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서 예측・감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과학적 의사결정
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관측망을 확충하고 예측모델을 고도화하고, ICT・지능형CCTV・AI 등
을 활용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약속➋ 「활력 넘치는 지방시대」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지역주도 경제활력 회복, ③핵심역
량을 강화하는 자치개혁 촉진, 약속➍ 「함께하는 위기극복」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새로운 성
장동력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역 기업 R&D 지원에 관련된 내용이다. 먼저, 지역주도 경제 활
력 회복을 위해 기업의 지방이전 환경 조성 및 지방소재 기업 지원을 강화한다. 기업 활동에 수반되는
지자체 재정소요를 뒷받침하고, 지방이전 기업에 대한 지자체의 지방세 감면액의 300%를 교부세 수
요에 반영하는 등 지방교부세를 활용하여 지역 기업 지원(R&D, 인프라, 인력, 수출 등)을 강화한다.
이어서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자치개혁 촉진을 위해서 일반자치-교육자치 관계 재정립을 추진한다.
시・도지사와 교육감 선거 ‘러닝메이트제’ 도입 대비 일반-교육자치의 통합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대책
등을 추진한다. 특히, 지자체가 교육행정과 지역발전을 연계할 수 있도록 교육 기능 수행체계 재설계
및 시・도-교육청 정책・재정 협력을 강화한다. 시・도-교육청 간 협력 사무(교육자유특구, 돌봄 등) 효
율화 및 지방대학・R&D 지원 권한 확대 등이 이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안전산업의 스케일업(scale-up)을 견인한다. 「재난안전산업진흥법」 시행
(‘23.1.5)됨에 따라 안전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한다. ’23년부터 ’26년까지 18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국제인증・성능시험・제품상용화 등을 지원하는 등 진흥시설을 조성하고, R&D확대, 전문인
력 양성, 해외진출 지원 등의 총력 지원을 추진한다. 안전산업은 기업 영세성, 투자 부족 등으로 산업
비중이 미약하고 ’21년 매출액이 52조 원이나, 이러한 지원을 통해 ’27년 80조 원 이상 매출액을 달성
하도록 목표를 상향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약속➋ 「활력 넘치는 지방시대」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②기회균등을 위한 지역균
형발전 추진”에 관한 내용이다. 세부추진과제 로서 지방시대위원회 출범으로 지방분권-균형발전의
통합적 추진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하여
위원회 출범 근거를 마련하고 기획단 발족 및 “지방시대 종합계획(5년)” 수립 등의 위원회 지원을 수행
한다. 세부추진과제 로서 인구감소 위기 극복 및 생활인구 활성화를 목표로 전방위적 지원을 강화한
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상향식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교부세 지원을 1조 원에서 2조 원으로 확대하고
창업・사업장 이전・사업전환기업 대상 취・등록세 감면(50~100%)을 확대하는 등의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행・재정 지원을 강화한다. 지원의 효과성을 제고를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연 1조 원)과 타 사업
간 연계하여 추진한다. 또한, 인구 정책의 획일성 극복을 위해 생활인구를 본격 도입하며, 생활인구를
고려한 각종 제도 적용 및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한다. 이는 일부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23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24년부터 전 인구감소지역으로 확대 추진한다. 세부추진계획 로서 지역 주도
발전을 위한 정책환경 및 제도를 개선한다. 1・2단계 재정분권의 성과를 기반으로 새정부 국정기조에
부합하는 지방 자율・책임 중심의 지방재정 자주권 제고 방안을 수립하고, 특별자차시・도 특성에 맞는
특례 발굴, 특별지자체 설치 지원, 자치경찰 이원화 시범실시, 지역수요 기반 행정구역 개편 지원 등 지
역 맞춤형 자치모델을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고향사랑기부제 제도 개선 및 홍보를 강화하고 기부로 형
성된 관계가 방문으로 이어지는 지역활력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여 제도의 안착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약속 ▲민생치안 확립 및 준법질서 구현에서 “선도적 미래 치안 전개”에 관한 내용이다.
이는 신설된 미래치안정책국을 통해서 △미래치안전략 △첨단장비・시스템 등 연구개발(R&D) △AI・
사이버보안 등을 선도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중장기 치안전략인 “경찰 미래비전 2050” 역점 사
업을 추진하여 장비・시스템을 혁신하고 인력 중심에서 시스템 중심으로의 경찰운용 패러다임을 개선
한다. 세부적으로 정보화 관점에서 △AI 맞춤형 교육 플랫폼 △다크웹 불법행위 추적 기술 △과학수사
플랫폼 등이 있으며, R&D관점에서 △인공지능 통합관제탑시스템 구축 △사이버보안・위장수사 △차
세대 방검・방탄복 등이 있으며, 장비 등 관점에서 △저위험권총・한국형 전자충격기 △스마트순찰차
모바일 오피스 △치안드론 등을 다룰 예정이다. 더 나아가, △4족보행 순찰로봇 도입, △재난・범죄 현
장 자동 탐지 체계 개발, △차세대 CPTED 도입 등 첨단 안전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과학기술 기반 치안
활동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순찰로봇은 ’24~’25년 4족보행 순찰로봇을 도입・상용화하기 위해
R&D 제반 법령 개정 등을 추진하며, 위험행동 패턴 등 위험징후 탐지 시 경찰・모니터링 요원 등에게
즉시 알리는 인공지능 통합관제를 추진하며, 비명감지 비상벨 등 사업에 IoT를 도입하고 전국 표준화
를 위해 정책협의회를 구성하여 차세대 CPTED를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첨단교차로 등 ICT기술 도
입, 자율주행 사고분석 기술・자율차 운전능력 평가기술개발 등 완전자율주행(Lv4)에 선제적으로 대비
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37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17개 광역자치단체는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관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두고 있다. ’23년에는 광주, 경기, 충북, 경북, 제주 지역 과학기술관련 조직에
전년 대비 상당한 개편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2023년 각 광역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
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3-1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서울
경제정책과
산학협력팀
∙ 서울 경제정책 총괄, 서울형 R&D 지원 총괄, 4차산업혁명 대응
∙ 금융산업 지원정책, 콘텐츠 산업 육성, 중소기업 지원
∙ 서울시 산학연 R&D 지원,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
∙ 혁신성장펀드(4차산업혁명, 스마트시티) 조성・운영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부처 시행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운영(4차 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 등)
∙ 로봇과학관 건립 및 전시 중장기 계획 수립
부산
디지털경제혁신실
미래산업국
미래기술혁신과
∙ 지역산업 및 과학기술, 에너지 분야 종합계획 수립
∙ 지역산업 및 과학기술 육성・진흥 지원
∙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 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규제자유특구 지정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스마트시티 서비스 확산, 글로벌 네트워킹
∙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및 문화 확산, 기술・지식재산 기반 기업 성장지원
∙ 비대면 경제정책 총괄, 비대면 비즈니스 역량 강화, 비대면 판로지원
대구
미래혁신성장실
혁신성장정책관
∙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혁신인재 양성
∙ 에너지산업의 육성・지원
∙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
∙ 첨단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육성 및 지원
∙ 기계로봇 산업 육성 및 지원 등
∙ 지역주도 혁신성장 정책 수립・시행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반도체산업 육성 및 유관기업 협력
∙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육성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등
인천
미래산업국
산업정책과
창업벤처과
∙ 인천시 미래 전략산업 업무 총괄(산학연 협력, 인력양성, 연구개발, 혁신인프라 구축 등)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연구개발 지원, 산업 육성 등)
∙ 지역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수립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운영(인천TP 위탁)
∙ 창업정책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반도체바이오과
∙ 창업육성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창업 인프라 조성 및 관련 프로그램 지원
∙ 벤처기업 육성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지원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
광주
미래산업총괄관
투자산단과
AI반도체과
미래차산업과
에너지산업과
로봇가전의료산업과
∙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산업정책 발전전략 수립
∙ 과학기술진흥지원 및 지방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지원
∙ 국내 투자기업 협약체결 및 지원
∙ 산업단지 계획 및 개발・관리
∙ 인공지능 융합사업 신규기획 및 AI 투자펀드 조성 및 운영
∙ 국가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반도체산업 육성(인재양성, 반도체 공동연구소 등) 추진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정책 수립 및 미래차 대전환 대응전략 수립
∙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 무인(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지원
∙ 에너지 정책수립 및 초광역 협력 에너지위원회 운영
∙ 차세대배터리산업 진흥협의회 운영 및 배터리관련 기술개발 등
∙ 로봇가전사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산업육성 신규국비사업 발굴
∙ 스마트가전산업 및 디지털가전기업 육성지원
∙ 의료산업 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및 의료산업 육성지원
대전
전략산업추진실
경제과학국
∙ 연구개발지원단 육성 지원사업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및 산업 생태계 조성(공약) 추진
∙ 반도체, 소부장 실증평가 및 신규사업 발굴 및 기획 등
∙ 청년, 지역 등 일자리 종합대책 수립 및 시행
∙ 과학대중화사업 및 과학문화 관련 사업 추진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지원
∙ 대전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등
울산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
∙ 미래전략본부 업무 총괄, 주요 시책사업 추진
∙ 신규 전략과제발굴 및 추진 등
∙ 과학기술 업무 총괄
∙ R&D사업 관리 전반, 과학기술 인재양성 등
세종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과학기술)
∙ 시 경제정책 수립 등 경제산업분야 업무 총괄
∙ 미래 성장 견인을 위한 체계적 지역 산업 육성
∙ 세종 테크노파크 설립 및 운영 지원을 통한 지역 산업 역량 강화
∙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 확보
∙ 신재생에너지 확충 및 에너지 복지 실현
∙ 미래산업(양자, 사이버보안, SW융합클러스터, 연구개발지원단) 업무 총괄
∙ 과학기술분야(과학기술진흥 지원, SW산업 진흥) 업무 총괄
경기
미래성장산업국
디지털혁신과
∙ 과학기술진흥 관련 정책수립 및 시행
∙ 신산업 등 미래성장산업 육성
∙ 미래산업기술 관련 업무 총괄
REGIONAL S&T YEARBOOK 2023 39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벤처스타트업과
반도체산업과
AI빅데이터산업과
첨단모빌리티산업과
바이오산업과
∙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도・감독
∙ 창업정책종합계획의 수립 및 추진
∙ 벤처기업지원 /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관리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운영 및 지도・감독
∙ 반도체 인력양성 / 기업지원 / 기술개발사업 등 운영
∙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획 및 활용
∙ 데이터 플랫폼 구축・운영 /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
∙ 첨단모빌리티 산업 육성 지원 및 정책 수립
∙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운영 및 활성화
∙ 경기도형 UAM 도입 및 기반 인프라 구축 / 산업 생태계 조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 및 지원
강원
전략산업과
투자유치과
바이오헬스과
에너지정책과
빅데이터산업과
반도체산업추진단
∙ 전략산업육성 기획 및 첨단산업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 지역산업발전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양자, 드론, 미래차, 이모빌리티 산업 육성
∙ 과학기술진흥계획(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연구개발사업 운영
∙ 투자유치정책 수립, 기업유치 및 외자유치 업무
∙ 지역특화형 프로젝트 발굴 및 추진
∙ 산업입지 업무, 산업단지(국가, 일반, 도시첨단, 농공) 운영 및 고도화
∙ 바이오 산업분야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및 정책 방향 분석
∙ 디지털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산업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 정밀의료 산업 육성 및 규제자유특구 업무
∙ 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동향 관리(신규 사업 발굴)
∙ 신재생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현안사항 관리
∙ 에너지신산업 발굴 및 육성
∙ 빅데이터 산업 육성 정책 및 디지털 산업 전환 기획(신규 사업 발굴)
∙ 데이터 산업 단지 기획 및 조성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및 관련 규제 개선 업무
∙ 반도체 교육 지원 및 반도체 제조 기업 발굴 및 관리
∙ 수소 저장 및 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 추진
∙ 수소 생산기지 구축 및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R&D 기관 유치)
∙ 첨단소재와 뿌리산업 육성 및 관련 네크워크 구축
∙ 디지털산업기반 육성 정책 기획(중장기 전략) 및 산업 생태계 조성
∙ 인공지능 기반(디지털 특화, 디지털 해양바이오) 산업 육성
∙ 디지털콘텐츠, 메타버스산업 정책 기획(공모사업 기획) 및 기반 조성
∙ 폐광지역 종합발전계획(중장기 계획) 수립 및 관리
∙ 무연탄 활용 연구개발 및 경석활용 세라믹 원료 산업 기반 조성
충북
과학인재국
과학기술정책과
산업육성과
RISE추진과
∙ 강소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청주SB플라자 활성화 및 과학기술포럼 운영 등
∙ 산업 디지털전환 정책 수립,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팩토리 등 제조혁신 추진
∙ 지역 SW산업, 블록체인기술산업 및 로봇산업 육성 등
∙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광역협력권사업 육성,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 국가
혁신융복합 단지 등
∙ 반도체산업 육성,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반도체 인력양성, 국가 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등
∙ 자동차부품 기업지원, 순환경제 혁신 인프라 구축, 자율주행 시범 운행지구 운
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방사광가속기추진과
영 및 데스트베드 구축 등
∙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 및 기반구축, 이차전지 인프라 구축 및 기업지원,
인력양성 등
∙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개발 지원, 뿌리산업 육성, 승강기산업 및 시험인증사업 추진 등
∙ 충북도립대학교 운영, RISE 기본계획 수립, 글로컬대학 육성, 대학 일자리
플러스센터 지원, 지방대학 육성 등
∙ 방사광 산업체 역량강화 및 미래인재 양성, 방사광가속기 연구회 운영, 가속기
활용 확산 홍보
∙ 방사광가속기 부지 기반조성, 가속기 활용지원센터 구축, 활용 연구개발 지원
충남
미래산업국
미래산업과
∙ 지방과학기술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과학기술진흥조례 운영 및 과학기술진흥 추진
∙ 충남 과학기술진흥 중장기계획(5개년) 수립
∙ 충남형 과학기술의 날 운영 및 비전 수립
∙ 양자산업 활성화 과제 발굴 및 기반 조성
∙ 우주산업 분야 신사업 발굴 및 육성
∙ 국방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방산혁신 클러스터 사업 추진
∙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추진
∙ UAM 등 모빌리티 신산업 발굴 및 육성
∙ 디지털 혁신산업 육성 및 활성화 지원
∙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ICT・SW 융합산업 육성 지원 사업 추진
∙ SW 융합 클러스터 2.0, SW 미래채움 사업, 충청권 SW품질역량 강화사업 지원
∙ 지식재산 창출 지원 사업 추진 및 활용기반 조성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추진
∙ 지역대학 R&D 과제 발굴 및 공모 지원
∙ 전문경력인사 초빙 활용 지원사업 관리
∙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 충남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 R&D 집적지구 부지조성.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 업무 추진
∙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연구소기업 유치
∙ 충남국제전시컨벤션센터 종합운영 계획수립 등
전북
미래산업국
미래산업과
∙ 지역 신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산업정책발굴・조정, 지역산업육성 및 위기지역대
응 현안 정책수립・조정 등 지역R&D 컨트롤 타워
∙ 산업구조개편 및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과학관 추진, 지역 R&D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총괄 등
∙ 산업구조 개편 및 성장동력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진흥사업 세부사업 총괄
∙ 규제자유특구 총괄,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특성화기반
구축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분야(R&D) 정책적 사무의 기획・조정・자문 지원,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전북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시행, 전라북도 연구기반 확충 지원,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구축 운영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 과학관 관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 중소
기업 기술융합 활성화, 연구산업진흥단지 사업
∙ R&D기술사업화, 소기업 역량강화, 재난안전 등 긴급분야 R&D 지원 등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육성 전반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종합계획 수립 등, 전북
REGIONAL S&T YEARBOOK 2023 41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업무 -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 및 세부 육성계획
수립 등, 이차전지 R&D 센터 구축 및 유치
∙ 이차전지 인력양성 지원 -전북 이차전지 인력양성 센터 지원 등 ・전북 이차전
지 기업 역량강화 지원 사업 ・이차전지 산업 육성 펀드 운영 지원 ・전북 반도
체 산업 육성 전반 -전북 반도체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반도체 공모사업 발
굴 등
∙ 빅데이터 정책의 총괄・조정 및 지원, 빅데이터 기본계획 수립 및 활용 활성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대응 및 빅데이터 센터의 설치, 운영, 데이터기
반행정 정책 총괄・조정 및 지원 등
∙ 새만금 데이터산업 클러스터 조성 업무, 디지털뉴딜 총괄 추진 및 지원, ICT
분야 중・장기 정책 수립, 분야별 4차 산업혁명 계획 수립 및 총괄 등
∙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및 핵심기술 사업화 실증사업,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센터 업무 추진, XR 소재・부품・장비 개발지원센터 지원 및 스마트 융복합 멀
티플렉스 조성・운영, 메타버스 산업육성 지원 등
∙ 미래전지 산업육성 지원, 산학융합플라자 건립 지원, 융복합 SW강소기업 육성
및 소재・부품・장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대체부품산업 육성업무 추진,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정책 수립,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조성, 수상
형태양광 종합평가센터 구축,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탄소복합체 다이텍가공공학센터 기반구축, 대선공약 탄소소재부품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4대 실증기반)
전남
전략산업국
연구바이오산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 관련 현안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등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지자체의 R&D 총괄부서,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과학기술 종합(시행) 계획 수립, 연구개발사업의 총괄 관리
∙ 연구개발사업업무, 산학업무 전반, 지역 SW 육성사업 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바이오 인력 개발
∙ 백신, 신약개발 업무 추진, 천연물 업무 추진
경북
메타버스과학국
메타버스혁신과
과학기술과
4차산업기반과
빅데이터과
정보통신과
∙ 디지털전환 정책・서비스 사업 발굴 및 추진
∙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 수립
∙ 지역과학기술 진흥 종합정책 수립
∙ 지역기초연구활성화사업 지원 및 과학문화 확산사업 추진
∙ 산단 대개조 및 스마트 그린산단 추진
∙ 가속기(양성자, 방사광) 신산업 발굴 및 사업 지원
∙ 로봇・반도체산업 육성
∙ 미래산업 인재양성 및 산・학・연 협력 연구개발 사업 추진
∙ 4차 산업혁명 대응에 관한 사항
∙ SW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 규제자유특구 및 후속사업 추진
∙ 통계・데이터의 기획・조정과 계획수립
∙ 국가 및 지역통계조사의 시행
∙ 빅데이터 활용 과제 발굴 및 분석
∙ 지능정보화업무 종합기획・조정 및 시책 개발
∙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지역중소기업 보안역량강화
∙ 철강・자동차・기계・항공・방위산업 육성
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각 시・도청 홈페이지 참고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탄소・섬유소재산업 육성
∙ (재)경북테크노파크・(재)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운영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추진
∙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추진
∙ 백신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지원
∙ 신약, 한의약, 바이오 메디푸드 산업 육성
∙ 화장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육성
∙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운영 지원
경남
산업통상국
산업정책과
∙ 연구개발특구 지정(변경) 추진
∙ 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에너지 분야, 원자력산업, 수소산업, 신재생에너지 육성
∙ 선도연구센터 지원
∙ 중소기업 R&D 사업화 지원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및 시행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추진
∙ 경상남도과학기술대상 선정 및 시상
∙ 공립 과학관 및 사립과학관 등록
∙ 경상남도 과학대전 개최
∙ 생활용품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 (재)백엽장학재단 운영
∙ 과학 관련 비영리단체 등록 및 관리
∙ 경남과학기술기관 설립 추진 및 기본계획 수립
∙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추진
∙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지원 등
제주
혁신산업국
미래성장과
에너지산업과
미래모빌리티과
정보정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4차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지역과학기술진흥계획,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을 위한 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수소경제 실행계획 수립 및 그린수소 생산 및 보급사업 운영
∙ 지역바이오산업, 화장품산업, 식품산업 등 지역산업 계획수립 및 시행
∙ 스마트시티, UAM, 우주, 전기차 관련산업 중장기 계획수립 및 육성
∙ 방송통신장비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차세대 방송기술 도입・육성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수립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 도내 과학기술 R&D사업 관리・지원 및 연구기관 유치
∙ 제주바이오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추진
∙ 제주화장품산업진흥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 계획 수립 및 시행 총괄
∙ 제주 스마트그리드 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
∙ 스마트시티계획 수립 및 사업・과제 발굴 추진
∙ UAM 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 드론서비스모델 발굴 및 구축
∙ 우주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
∙ 지역 정보화 계획 수립・조정 및 평가
REGIONAL S&T YEARBOOK 2023 43
2. 지방 과학기술예산
시도별 총 예산 중 과학기술관련 분야 투자 비중에 대한 2021년도 시・도별 지자체 평균은 순계 기준 0.75%
로 이는 2020년도 0.44%와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가장 높은 투자 비율을 보인 지역은 광주(1.88%)이며 제주
와 세종이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65.7%로 ’20년인 68.11%에 비하여 하락하였다. 재
정자주도 1위인 서울(77.6%)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중은 0.36%로 2020년의 0.1%에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표 1-3-2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1년)5)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서울 748,995 2,732 0.36 77.6
부산 261,606 1,529 0.58 58.4
대구 184,385 1,623 0.88 60.2
인천 243,898 645 0.26 62.7
광주 118,559 2,226 1.88 60.7
대전 116,035 1,228 1.06 60.1
울산 82,009 776 0.95 65.2
세종 24,370 260 1.07 65.8
경기 1,041,847 1,334 0.13 67.2
강원 230,032 730 0.32 67.5
충북 187,535 1,338 0.71 63.2
충남 257,011 1,567 0.61 64.4
전북 241,639 2,508 1.04 60.8
전남 309,700 1,924 0.62 63.1
경북 350,594 1,891 0.54 64.1
경남 345,110 2,218 0.64 62.9
제주 72,469 820 1.13 62.5
합계(전국) 4,815,793 25,349 0.75(전국평균) 65.7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
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지방재정 전문통계>결산>지역통합재정통계>세출결산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결산)>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5) 「2022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별 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 ‘총 예산’ 수치 오류로 재작성
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별 총 예산 중 과학기술관련 분야 투자 비중에 대한 2022년도 시・도별 지자체 평균은 순계 기준
0.74%로 이는 2021년도 0.75%와 비교하여 소폭 하락하였다. 가장 높은 투자 비율을 보인 지역은 광
주(1.95%)이며 대전과 울산이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68.8%로 ’21년인 65.7%
에 비하여 상승하였다. 재정자주도 1위인 서울(78.6%)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중은 0.28%로 2021년
의 0.36%에 비교하여 하락하였다.
표 1-3-3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서울 837,405 2,323 0.28 78.6
부산 275,220 1,564 0.57 59.6
대구 192,767 1,766 0.92 64.8
인천 245,329 703 0.29 66.5
광주 120,896 2,354 1.95 62.4
대전 123,739 1,773 1.43 64.0
울산 85,813 966 1.13 66.7
세종 25,290 236 0.93 63.4
경기 1,031,309 970 0.09 70.7
강원 249,177 588 0.24 71.6
충북 214,456 1,404 0.65 67.5
충남 282,737 1,589 0.56 67.1
전북 263,193 2,145 0.81 65.5
전남 325,845 1,736 0.53 67.5
경북 404,325 2,260 0.56 69.1
경남 364,360 2,166 0.59 65.1
제주 86,315 935 1.08 66.1
합계(전국) 5,128,175 25,478 0.74(전국평균) 68.8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
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지방재정 전문통계>결산>지역통합재정통계>세출결산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결산)>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2. 지역내총생산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2. 역량
3. 성과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2
REGIONAL S&T YEARBOOK 2023 47
2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 경기(1,368만 명), 서울(941만 명), 부산(330만 명), 경남(329만 명) 순으로 인구가 많음
■ 2022년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약 2,605만 명이며,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의 비중
은 50.5%로 전년도(50.4%)와 비슷한 수준임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2년) (단위 : 명)
※ 주 : 추계인구 기준(조사시점 : 2023년 12월)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인구・가구> 장래인구 추계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0년 7월 1일자) 확정
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내총생산
▣ 2022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1,972조 원
■ 17개 시・도 중 경기(516조 원), 서울(439조 원), 충남(121조 원), 경남(110조 원) 순으로 지역
내총생산 규모가 큼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GRDP는 약 1,051조 원으로 총 GRDP의 53.3%를 차지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2년) (단위 : 백만원)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표 2-1-1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
연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수도권 비중(%) 51.92 52.00 52.79 53.09 53.27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3 49
▣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울산(77.51백만원), 충남(58.94백만원), 서울(51.61백만원), 전남
(51.42백만원) 순으로 높음
■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전체 평균은 41.33백만원으로 전체 평균을 넘는 시・도는 울산, 충남, 서
울, 전남, 충북, 경북 총 6개 지역으로 나타남
■ 특히 울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체 평균 대비 1.88배인 77.51백만원으로 타 시・도에 비
하여 월등히 높음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2년) (단위 : 백만원/명)
※ 주 : 1인당 지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실질) ÷ 지역별 추계 인구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지역별 추계 인구(2022년)
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별 산업 구조 현황을 살펴보면, 울산, 충남, 충북, 경북, 경기, 경남 순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편임(30% 이상)
■ 반면, 서울, 대전, 부산, 제주, 대구 등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
험업 등 기타 서비스업에 대한 비중이 높았음(40% 이상)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2년) (단위 : %)
GRDP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백만원) 438,537,013 89,883,761 56,996,357 95,712,639 41,939,597 44,395,434 69,204,235 12,916,427 516,358,207
GRDP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백만원) 48,179,338 73,629,729 121,401,399 51,678,429 75,475,342 107,057,669 110,265,302 19,003,180 1,972,396,056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51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 ~ 제8조에 의해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
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를 조사 대상으로 함
■ 한국산업단지공단 2023년도 3분기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가산업단지 48개, 일반산업단지
719개, 도시첨단산업단지 42개, 농공단지 480개로 총 1,289개의 산업단지 조성
■ 경남(206개), 경기(193개), 충남(168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많으며, 반면 서울(4개), 대전
(6개), 제주(6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남
■ 부산, 대구, 울산 등의 광역시, 경기, 충북, 경남 등은 일반산업단지의 비중이 높은 반면,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등은 농공단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3년) (단위 : 개)
※ 주1 : 각 시도별 단지 개수의 합은 1,293개나, 전체 산업단지 개수가 1,289인 것은 두개 지역에 걸쳐있는 산업단지 때문(중복되는 4개단지를 제외
주2 : 두개지역에 걸친 산업단지 : 한국수출산업단지(서울, 인천), 빛그린국가산업단지(광주, 전남), 아산국가산업단지(경기, 충남),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부산, 경남)
※ 출처 :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3.3/4분기)
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수는 경기 655개, 서울 377개로 집중되어 있으
며, 전국적으로 신규지정 된 INNOBIZ 기업은 2021년에 비하여 총 262개(12%) 감소
■ 인천, 울산, 세종, 전북과 전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신규지정 수 감소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REGIONAL S&T YEARBOOK 2023 53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경기, 서울이 각각 11,675개, 12,571개로 높게 나타남
■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벤처기업 수는 총 26,107개로 전국 벤처기업 수 대비
65.1%를 차지
■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평균 14.6% 벤처기업 수가 증가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19년 3만 7,008개에서 ’23년에 4만 81개로 증가하여 5년간 연평균
1.61% 증가
■ 최근 5년간(’19∼’23) 연평균 증가율은 세종 10.7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제주
5.75%, 서울 5.63% 순임
표 2-1-2 ❙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개, %)
지역별 2019 2020 2021 2022 2023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서울 8,877 9,880 10,450 10,231 11,675 5.63
부산 2,201 2,227 2,024 1,662 1,814 -3.79
대구 1,633 1,677 1,431 1,233 1,337 -3.92
인천 1,642 1,761 1,707 1,596 1,861 2.54
광주 792 805 769 645 717 -1.97
대전 1,468 1,544 1,509 1,417 1,576 1.43
울산 481 544 485 418 473 -0.33
세종 128 158 177 173 213 10.72
경기 11,433 12,020 11,637 10,925 12,571 1.92
강원 713 760 733 628 701 -0.34
충북 1,011 1,138 1,035 869 1,002 -0.18
충남 1,297 1,350 1,247 1,126 1,320 0.35
전북 821 875 819 757 903 1.92
전남 813 889 813 662 748 -1.65
경북 1,671 1,708 1,551 1,252 1,426 -3.12
경남 1,816 1,937 1,710 1,302 1,465 -4.20
제주 211 238 222 227 279 5.75
합계 37,008 39,511 38,319 35,123 40,081 1.61
※ 주 : 각 년도 말 기준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REGIONAL S&T YEARBOOK 2023 55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가. 총 연구개발비6)
▣ 2022년도 총 연구개발비는 112조 6,460억원이며, 시・도별로는 경기(57조 7,028억 원), 서울
(17조 6,885억 원), 대전(10조 3,791억 원) 순으로 많음
■ 2022년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16.7%), 전남(16.2%), 부산
(15.6%), 경북(15.1%) 순으로 나타났으나, 제주와 경남은 각각 6.4%, 4.5% 감소 추세를 보임
■ 2022년 17개 시・도별 연구개발비의 평균은 6조 63억 원이며, 서울, 경기, 대전 지역만 평균보
다 연구개발비가 높음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 정부・공공재원, 민간재원, 외국재원에서 투입되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총액
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많은 지역은 대전(2.70억 원), 경기(2.58억 원), 충남
(2.16억 원) 순
■ 2021년 대비 2022년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25.5%), 충남(15.2%), 세종(13.9%), 인천
(13.4%) 지역이며, 제주(11.0%), 경남(4.3%), 전북(0.4%) 3개 지역은 감소세를 보임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억원/명)
※ 주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 총 연구개발비 ÷ 총 연구원 수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7
▣ 2022년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은
대전이 각각 23.38%, 16.83%로 가장 높음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경기(11.17%), 세종
(5.82%), 서울(4.03%), 인천(3.76%) 지역으로 대전 및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높은 경향을 보임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세종(4.81%),
전북(1.89%), 경남(1.85%), 광주(1.35%)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2년) (단위: %)
※ 주 : 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GRDP
※ 출처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
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 중 서울이 3조 7,022억 원의 가장 많은 대학 연구개발비를 보유
■ 17개 시・도의 대학 연구개발비 평균은 6,062억 원이며,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3조
7,022억 원), 경기(1조 5,135억 원), 대전(8,726억 원)
■ 2021년 대학 연구개발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충북(24.7%), 대전(17.5%), 전남(17.0%),
강원(15.8%) 순으로 높음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9
▣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5조 5,386억 원, 42.9%), 서울(1조 3,352억 원,
10.3%), 경기(1조 986억 원, 8.5%) 순
■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세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
역의 총합은 4조 9,461억 원으로 전체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의 38.3%를 차지
■ 2021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 대비 2022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52.3%), 제주
(50.6%), 충북(42.4%), 전남(30.2%) 등 15개 지역으로 증가세를 보임, 나머지 2개 지역(세종,
충남)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주1 : 공공연구기관은 국공립연구기관, 출연연, 기타비영리기관으로 한정
주2 : 출연연 = 정부출연연구기관 + 지방자치단체출연연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55조 907억 원, 61.6%), 서울(12조 6,511억 원,
14.1%), 대전(3조 9,679억 원, 4.4%) 순으로 높음
■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두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의 총합은 21조 6,795억 원으로 전체 기업체 연구개발비 89조 4,213억 원의 24.2%를 차지
■ 2021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 대비 2021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37.3%), 전남
(21.7%), 부산(17.0%) 순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61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2022년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는 대전(7조 4,608억 원, 28.76%), 서울(5조
1,223억 원, 19.72%), 경기(3조 38억 원, 11.57%) 순으로 높게 나타남
■ 20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대비 2022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 충남, 부산 지
역으로 각각 전년 대비 17.1%, 13.6%, 13.5%씩 증가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수도권 33.4%, 대전 28.8%, 그 외 지역 37.9%
로 나타남
■ 2021년 대비 2022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0.5%p 감소하였으며,
대전 지역은 0.6%p 증가, 그 외 지역은 0.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그 외 지역(대전 제외)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2020년 이후 감소 추세나 수도권과
대전의 비중보다 높아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냄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8년~2022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63
▣ 최근 5년(2018년~2022년) 간 시・도별 평균 투자점유율은 대전, 서울, 경기 순으로 각각 평균
28.6%, 19.2%, 11.7%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 증가율은 전남, 강원, 제주가 각각 8.6%,
8.5%, 7.9% 순으로 높았음
■ 경상남도는 투자점유율이 8.5%로 전년과 동일하게 전체 시・도 중 네 번째로 높았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5.8%로 전년도 11.21% 보다 감소함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8년~2022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자체별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투자 현황
▣ 2022년의 각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7)의 평균은 3,604억 원, 그 중 국비와 기타 민간예
산을 제외한 지방비의 평균은 약 1,499억 원임
■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지방비)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2,354억 원), 서울(2,323억
원), 경북(2,260억 원) 순
■ 재정자주도 및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모두 평균보다 낮은 지역은 울산, 제주, 인천,
세종임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2년)
※ 주 : 재정자주도는 세입결산, 순계 기준이며, 재정자주도 평균은 전국 대상 기준임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
7)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은 국비+지방비+기타민간 예산의 합계로, 본 보고서에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2022년 추진실적을 기준으로 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65
2. 역량
가. 연구인력
▣ 2022년도 총 연구원 수는 경기(22만 3,612명, 37.2%), 서울(15만 6,269명, 26.0%), 대전(3
만 8,417명, 6.4%) 순으로 많음
■ 2022년도의 총 연구원 수는 60만 1,530명이며, 17개 시・도의 평균 연구원 수는 3만 5,384명
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총 연구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8.3%), 충북(6.52%), 제주
(5.0%) 순이며, 강원(-12.7%), 광주(-5.3%), 대구(-2.8%), 충남(-1.7%), 인천(-1.6%), 경남
(-0.2%) 지역은 감소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대전(26.1명), 서울(16.6명), 경기(16.3명), 세종(13.1명) 순
으로 많음
■ 021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전남(10.0%), 충북(6.9%), 전북(5.8%) 순으로 높으며 강원
(-11.6%), 광주(-4.7%), 세종(-3.4%) 지역은 감소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주 : 인구는 추계인구 기준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3 67
▣ 2022년도 여성 연구원은 17개 시・도 중 서울(4만 8,421명, 35.0%), 경기(4만 1,701명,
30.2%)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 2022년 전국 여성 연구원 수는 13만 8,286명으로 2021년 대비 6.3%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여성 연구원 수는 전남(15.8%), 제주(15.1%), 전북(12.2%), 충북
(11.9%) 등 15개 지역이 증가하였으며, 강원과 광주가 전년 대비 각각 11.6%, 9.3% 감소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대학 연구원 수는 서울(4만 3,218명, 37.6%), 경기(1만 5,176명, 13.2%), 대전
(8,614명, 7.5%), 경북(6,452명, 5.6%) 순으로 많음
■ 2022년도 전국 대학 연구원 수는 11만 4,854명으로 2021년 대비 0.2%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대학 연구원 수 증가율은 전남(22.7%), 충북(11.8%), 전북(9.4%), 경북
(8.3%) 순으로 높으나, 인천(-31.8%), 강원(-25.4%), 세종(-13.5%) 등 9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69
▣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는 대전(1만 1,218명, 25.8%), 서울(6,221명, 14.3%), 경기
(5,352명, 12.3%) 순으로 많음
■ 2022년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의 총합은 4만 3,406명으로 2021년 대비 2.0%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증감률은 전남(7.0%) 경기(6.95%) 서울(6.1%) 순으로 높음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기업체 연구원은 경기(20만 3,084명, 45.8%), 서울(10만 6,830명, 24.1%)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음
■ 2022년도 기업체 연구원 수의 총합은 44만 3,270명으로 2021년 대비 1만 3,805명(3.2%)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증감률은 세종(10.2%), 제주(6.7%), 충북(2.3%) 순으로 높음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71
▣ 2023년도 이공계 석사 및 박사과정 대학원생 수의 총합은 각각 5만 3,062명, 3만 3,447명
■ 2023년도 이공계 박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903명, 32.6%), 대전(5,869명,
17.5%), 경기(3,556명, 10.6%) 순이며, 전체 이공계 박사의 60.8%가 이 세 지역에 분포
■ 2022년도 이공계 석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9,316명, 36.4%), 경기(7,005명,
13.2%), 대전(4,520명, 8.5%) 순이며, 이 세 지역에 전체 이공계 석사의 58.1%가 분포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3년) (단위 : 명)
※ 주 : 이공계 대학원생 수는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대학원생 수를 의미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시스템(2023.4 기준)
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연구개발조직
▣ 2022년도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 수는 6만 5,471개로 2021년(6만 3,362개)에 비하여 3.3% 증가
■ 총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2만 2,690개, 34.7%), 서울(1만 6,604개,
25.4%) 순으로,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의 60.0%가 이 두 지역에 분포
■ 2021년 대비 2022년의 총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8.1%), 충북
(6.5%), 부산(5.2%), 제주(4.8%) 순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73
▣ 2022년 전국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418개로 전년도 423개에 비하여 5개(-1.2%) 감소
■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91개, 21.8%), 경기(75개, 17.9%), 충남(28
개, 6.7%), 경남(24개, 5.7%) 순
■ 2021년 대비 2022년의 대학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분은 서울(4개), 전남(2개), 광주(2개),
경북(1개) 등 4개 지역이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변동이 없는 대구, 강원, 제주를 제외한 10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전국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83개로 2021년(689개)에 비하여 0.9%
감소
■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43개, 20.9%), 경기(74개,
10.8%), 경북(47개, 6.8%), 대전(47개, 6.9%) 순
■ 2021년 대비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조직 수는 광주(-13.6%)와 충남( -12.5%), 인천
(-11.5%), 울산(-11.1%), 경북(-10.6%) 등 총 11개 지역이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며, 증가율
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0.9%), 세종(5.6%), 경남(4.8%), 대전(2.2%) 순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75
▣ 2022년 전국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만 4,370개로 2021년(6만 2,250개)에 비하여
3.4% 증가
■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은 경기(2만 2,541개, 35.0%), 서울(1만 6,370개, 25.4%) 지역에 집
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전년 대비 2022년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8.7%),
충북(6.8%), 제주(5.6%), 부산(5.4%) 순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지식창출 성과
▣ 공저자 기준 2022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수는 총 11만 6,538건이며, 서울 지역이 3만
8,673건(33.2%)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서울 다음으로는 경기(1만 7,347건, 14.9%), 대전(1만 431건, 9.0%), 부산(5,859건, 5.0%)
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논문 1편당 피인용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25)이며, 경북(3.21), 서울(2.73), 제주(2.47)
지역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음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2년) (단위 : 건, 횟수)
※ 주 : 논문 발표 건수 및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공저자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77
▣ 2022년 국내 전체 특허 출원 수는 총 18만 3,748건이며, 이 중 경기(5만 8,241건, 31.7%), 서
울(5만 3,871건, 29.3%) 지역이 전체의 61.0%를 차지
■ 2021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충남(1.5%), 세종(1.2%), 울산(0.9%) 순으로 높으며, 전북
(-9.1%), 충북(-8.4%), 대구(-7.0%)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12개, 전체의 0.01%)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국내 전체 특허 등록 수는 총 9만 9,202건이며, 이 중 경기(3만 2,839건, 33.1%) 및 서
울(2만 8,781건, 29.0%) 지역이 전체의 62.1%를 차지
■ 202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없고 모든 지역이 감소하였으며, 울산(-25.8%), 경북(-24.9%),
충남(-22.7%), 세종(-18.4%) 지역은 전년 대비 크게 감소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570개, 전체의 0.6%)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79
▣ 연구원 1인당 특허 등록 수는 전남(0.32건), 강원(0.20건), 충남(0.20건) 순으로 높으며,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은 전남(2.20건), 강원(1.87건), 제주(1.78건) 순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2년) (단위 : 건)
※ 출처 : 2022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비, 연구원 수), 특허청(특허등록 건수)
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경제적 성과
▣ 2021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51.3백만 원), 충남(49.7백만 원), 서
울(41.2백만 원) 순
■ 2020년 대비 2021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증가한 지역은 충북(7.6%), 인천(6.4%), 대구
(5.7%), 광주(5.6%), 울산(4.4%) 순이며, 나머지 12개 지역 모두 증가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0년~2021년) (단위 : 백만원/명)
※ 주1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는 실질 부가가치 기준으로 하며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통계정보를 기준으로 함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및 요소소득(23.12.22 갱신)
REGIONAL S&T YEARBOOK 2023 81
▣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건수는 총 2만 8,596건이며, 그 중 경기(4,998건, 17.5%)
및 서울(4,507건, 15.8%) 지역이 전체 사업화 건수의 33.2%를 차지
■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의 평균은 1,682건으로, 경기, 서울 외에 부산(2,123건),
경남(2,029건), 대전(1,918건), 전북(1,855건)이 평균보다 높은 사업화 건수를 기록
■ 2021년 대비 2022년에는 세종(-29.9%) 감소 외의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제주
(105.5건), 전남(99.6%), 부산(83.5%) 순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1~2022년) (단위 : 건)
※ 주 : 지역분류가 기타(분산수행되어 지역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사업화 실적 제외
※ 출처 : 2022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의 총합은 7,098건, 기술료 징수액은 총 2,738억 원으로 기술
이전 1건당 약 0.39억 원의 기술료 징수
■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459건, 20.6%), 경기(1,148건, 16.2%),
대전(861건, 12.1%), 경남(427건, 6.0%)순으로 나타남
■ 시・도별 기술료 징수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782억 원, 28.6%), 경북(439억 원, 16.0%),
대전(375억 원, 13.7%), 경기(230억 원, 8.4%)순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2년) (단위 : 건, 억원)
※ 주 : 지역 분류가 기타(분산 수행되어 지역 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기술료 징수건수는 제외
※ 출처 : 2022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제1절 서울특별시
제2절 부산광역시
제3절 대구광역시
제4절 인천광역시
제5절 광주광역시
제6절 대전광역시
제7절 울산광역시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제9절 경기도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제11절 충청북도
제12절 충청남도
제13절 전라북도
제14절 전라남도
제15절 경상북도
제16절 경상남도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3
REGIONAL S&T YEARBOOK 2023 85
3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 17개 각 광역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선정, 해당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
■ 지역별 과학기술 진흥 척도로서 분석 지표들을 활용하고 향후 유관 정책 수립에 근거 자
료로 활용
▣ 분석 대상 지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역 산업 현황
인구현황
∙ 인구수
∙ 전국인구대비 비율
∙ 경제활동참가율
∙ 실업률
산업현황
∙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구조
∙ 특화제조업
∙ 지자체 중점전략분야
∙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투입지표
∙ 과학기술자원
∙ 조직체계
∙ 과학기술 투자
과학기술 하부구조
∙ 연구개발조직 현황
∙ 대학
∙ 주요 R&D 거점 현황
성과
특허
∙ 특허 출원
∙ 특허 등록
논문 현황
∙ 논문수 및 점유율
∙ 피인용수
∙ 1인당 피인용수
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절 서울특별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서울의 인구는 약 940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서울 인구의 비율은 18.63%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1 ❙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9,697,449 9,657,296 9,617,795 9,501,528 9,411,443
전국인구대비 비율(%) 18.80 18.66 18.55 18.59 18.63
경제활동참가율(%) 62.6 62.7 62.1 62.3 62.5
실업률(%) 4.8 4.4 4.6 4.8 3.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성 및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8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서울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3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6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서울의 경우 기타서비스업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여 산업구조의 중심을 이루고 있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2%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2 ❙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03,605,888 414,092,568 417,638,547 431,678,812 438,537,013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60,226 439,078 399,390 457,551 397,789
(지역내비중,%) (0.11) (0.11) (0.10) (0.11) 0.09%
제조업 15,095,113 15,212,795 14,172,140 14,916,563 14,350,020
(지역내비중,%) (3.74) (3.67) (3.39) (3.46) (3.27)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994,744 2,315,887 2,790,705 2,887,553 2,694,833
(지역내비중,%) 0.49 0.56 0.67 0.67 0.61
건설업 12,142,426 11,873,481 11,757,747 10,758,261 10,109,425
(지역내비중,%) (3.01) (2.87) (2.82) (2.49) (2.31)
기타서비스업 288,811,798 297,857,669 299,504,924 309,283,633 319,311,657
(지역내비중,%) (71.56) (71.93) (71.71) (71.65) (72.8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0,902,502 52,980,372 52,221,729 54,520,619 57,232,282
(지역내비중,%) (12.61) (12.79) (12.50) (12.63) (13.05)
순생산물세 34,324,997 33,741,615 37,799,356 40,172,381 36,042,528
(지역내비중,%) (8.50) (8.15) (9.05) (9.31) (8.2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서울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9조 1,820억 원이고, 3,95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0만 2,761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이 생산액(약 10조 7,937억 원, 36.99%), 사업체 수(1,085
개, 27.47%), 종사자 수(2만 8,549명, 27.78%)의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
표 3-1-3 ❙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648,600 5.65 169 4.28 4,591 4.47
음료 제조업 183,498 0.63 9 0.23 179 0.1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975 0.02 2 0.05 0 0.0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7,853 0.34 375 9.49 8,289 8.0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25,918 0.77 37 0.94 1,011 0.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59,222 1.92 76 1.92 1,451 1.4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8,826 1.09 15 0.38 576 0.56
1차 금속 제조업 38,326 0.13 19 0.48 195 0.19
전기장비 제조업 1,472,677 5.05 242 6.13 6,568 6.3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92,632 6.83 272 6.89 7,726 7.5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4,309 0.49 12 0.30 130 0.1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945 0.23 10 0.25 86 0.08
가구 제조업 202,564 0.69 24 0.61 569 0.55
기타 제품 제조업 1,120,497 3.84 247 6.25 5,656 5.5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590 0.14 17 0.43 177 0.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92,668 3.40 156 3.95 3,227 3.1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15,233 2.45 132 3.34 2,393 2.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60,687 3.98 183 4.63 3,649 3.5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58,277 5.00 312 7.90 8,705 8.4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793,657 36.99 1,085 27.47 28,549 27.7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284,489 11.26 336 8.51 10,922 10.6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5,696 0.09 3 0.08 0 0.0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70,990 1.27 100 2.53 2,088 2.0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260,941 7.75 117 2.96 3,494 3.40
합 계 29,182,070 100 3,950 100 102,761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조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
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8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기타 제품 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의
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4 ❙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기타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
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식료품제조업
∙ 가구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
외
낮음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서울시는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 ❙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
혁신성장펀드 조성 운영(4차 산업혁명 펀드)
서울형 R&D 지원(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서울혁신챌린지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사업(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사업)
※ 출처 : 서울특별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로 서울디지털(한국수출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인 마곡산업단지와 서울온
수산업단지, 강동산업단지 3개가 서울에 위치
- 총 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2,839개, 총 종사자 수는 181,075명
표 3-1-6 ❙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한국수출산업 1,925 1,925 13,732 12,512 140,684 100 완료
일반 서울온수 158 158 196 196 1,518 100 완료
일반 마곡 1,124 1,124 200 164 38,873 83 조성중
일반 강동 78 78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3 91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서울시에는 총 11,675개의 벤처기업이 위치해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를 제외하
고 가장 많은 수임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 분야가 5,556개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735개, ‘도매 및 소매업’ 87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25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341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276개)부분에 상대적
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 ❙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1 16 14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49 156 188
음료 제조업 14 15 14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9 67 7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00 158 18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0 61 7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9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5 20 2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9 31 3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61 234 27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6 90 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8 74 8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1 10 14
1차 금속 제조업 13 10 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5 45 5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33 479 52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51 329 341
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장비 제조업 244 217 23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4 200 22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 14 1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9 21 22
가구 제조업 25 30 38
기타 제품 제조업 222 189 20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3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4 5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7 5
건설업(41~42) 183 156 175
도매 및 소매업(45~47) 618 715 875
운수 및 창고업(49~52) 29 32 46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0 30 40
정보통신업(58~63) 4,959 4,932 5,556
금융 및 보험업(64~66) 35 45 58
부동산업(68) 13 18 2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460 1,459 1,73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19 102 13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1 - -
교육 서비스업(85) 147 135 15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6 6 6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75 75 9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4 22 29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1 - -
총합계 10,424 10,217 11,675
REGIONAL S&T YEARBOOK 2023 9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서울은 경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연구개발인력을 보유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1만 6,378명으로 ’18년부터 ’22년까지 총연구개발인력은 계속 증가 추세
를 보임
-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4.50%이며 ’22년 전국대비 비중은 전국의 26.59% 차지
- 연구주체별로 기업 연구개발인력은 12만 6,71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8만 426명, 공공연구소
9,235명으로, 주체별 총계에 대한 전국대비 비중은 각각 24.23%, 36.18%, 13.48%로 나타남
표 3-1-8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7,541 35.10 68,830 35.45 74,086 35.79 74,870 35.62 80,426 36.18
∙ 국공립 16,510 20.78 16,800 21.03 18,022 20.81 18,158 20.91 18,777 20.91
∙ 사립 51,031 45.16 52,030 45.55 56,064 46.56 56,712 45.99 61,649 46.54
공공연구소 7,978 13.66 8,347 13.37 7,638 11.91 8,462 12.71 9,235 13.48
∙ 국공립 325 2.66 345 2.68 365 2.85 376 2.86 403 3.04
∙ 정부출연 3,349 10.28 3,474 10.08 2,997 8.83 3,102 9.15 3,320 9.57
∙ 병원 및 기타 4,304 31.70 4,528 30.05 4,276 24.62 4,976 25.87 5,512 26.82
기업 98,116 22.29 103,134 22.31 108,893 22.87 122,093 23.99 126,717 24.23
∙ 정부투자기관 175 4.48 176 4.58 177 4.73 225 5.82 208 5.22
∙ 민간기업 97,941 22.45 102,958 22.46 108,716 23.01 121,868 24.13 126,509 24.38
합 계 173,635 25.13 180,311 25.09 190,617 25.51 205,425 26.15 216,378 26.5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서울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7명 증가한 166.0명임
표 3-1-9 ❙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31.3 137.7 145.1 159.3 166.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대학, 공공연구소, 기업을 합친 ’22년 서울의 총 연구개발비는 17조 6,885억 원으로 전국의
15.70%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59%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기업은 작년 대비 증가하여 ’22년 12조 6,511억 원을
기록하였고,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투자액은 지난해 대비 증가하여 각각 3조 7,022억 원과 1조
2,651억 원을 차지함
- 전국 대비 비중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기업만 전국 대비 비중이 하락하여서 14.15%를 차지함
표 3-1-10 ❙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77,232 37.97 2,600,120 35.27 2,994,226 35.84 3,252,990 34.86 3,702,217 35.92
∙ 국공립 836,351 27.08 802,306 24.50 956,024 25.33 1,068,815 25.35 1,121,793 24.76
∙ 사립 1,840,880 46.46 1,797,814 43.88 2,038,202 44.52 2,184,175 42.71 2,580,424 44.68
공공연구소 1,021,909 10.38 1,015,931 9.99 1,032,113 9.28 1,177,557 9.82 1,335,221 10.34
∙ 국공립 47,098 5.79 38,725 4.63 39,677 4.66 43,761 4.52 57,250 5.61
∙ 정부출연 644,888 8.54 591,688 7.58 555,703 6.71 632,129 7.25 736,953 7.95
∙병원 및 기타 329,923 22.28 385,518 25.26 436,734 22.03 501,667 21.71 541,018 20.61
기업 9,776,223 14.20 9,828,888 13.75 10,405,652 14.14 11,773,795 14.57 12,651,097 14.15
∙정부투자기관 29,990 3.30 22,731 2.62 23,121 2.64 24,456 2.85 31,579 3.55
∙ 민간기업 9,746,233 14.35 9,806,157 13.88 10,382,531 14.28 11,749,339 14.70 12,619,518 14.25
합 계 13,475,364 15.72 13,444,939 15.10 14,431,991 15.51 16,204,342 15.87 17,688,535 15.7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9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서울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조 1,223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19.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20%
표 3-1-11 ❙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
(전국대비비중)
36,175 38,571 41,715 48,767 51,223
(18.5) (18.9) (18.4) (20.1) (19.7)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국제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4대 신성장 혁신축 중심 R&D 집중지원
-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111개 과제, 5,000백만원) 및 비대면분야 R&D 지원 지속
- 로봇, 미디어콘텐츠 등 신성장산업 R&D 지원(49개 과제, 100억)
- 서울형 R&D 우수과제와 혁신성장편드의 투자 연계로 기업 지원효과 극대화
- 캠퍼스타운-기술상용화지원 연계 창업기업 혁신 아이디어의 기술매칭 추진
■ 홍릉・마곡・창동 등 거점별 지원체계 확립 및 활성화를 통한 기술개발 지원 강화
- 홍릉・마곡 거점센터 운영 등 기업지원 강화(홍릉: 13,891백만원, 마곡: 418백만원)
- 뉴미디어 마케팅 기반 스타트업 거점 센터로 서울창업허브 창동 특화 운영
- 테스트베드사업 연계를 통한 거점별 수요과제에 대한 실증장소 연계・제공
■ 환경변화 및 현장수요를 고려한 융합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혁신 지원체계 강화
- 현장 실무전문성 및 융합연계 능력을 갖춘 AI 인재 양성(564백만원, 732명 교육)
- 창의융합인재 육성 교육 및 기후위기대응교육, 이동과학버스, 온라인 컨텐츠 개발 및 보급 등 서울
시립과학관 프로그램 운영(18개 사업(6개분야), 2,159백만원)
- 4차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한 서울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확립
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서울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디지털정책관, 경제정책실, 도시교통실, 기후환경본부에서 담당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REGIONAL S&T YEARBOOK 2023 97
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REGIONAL S&T YEARBOOK 2023 99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표 3-1-12 ❙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56,251 3 47,598 416 24 235 7,434 - 541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1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13 ❙ 서울특별시 디지털정책관, 경제정책실, 도시교동실, 기후환경본부에서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디지털정책관
∙ 스마트도시 기본계획 수립・시행, 수상도시 특전 기획 및 관리, 서울디지털재단 사업추진 및 지도감
독,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기본계획 수립, 스마트도시 글로벌 인덱스 관리
∙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시행계획 수립, 스마트도시 인증 및 공모 추진, 성과관리계획(BSC), 목표관
리, 지표관리 총괄
∙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사업 계획 수립 및 추진, 공공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 추
진, 공공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 추진 지원, 디지털 역량강화 계획 수립
∙ 메타버스 서울’ 기본 및 시행계획 수립, 메타버스 서울’ 2단계 사업 추진 및 관리, 감리 추진, ‘메
타버스 서울’ 저작도구 관리 및 활용방안 수립 추진, 메타버스 서울’ 운영 활성화를 위한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
∙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시행계획 수립, 생활 현장 스마트시티 특구 조성 사업 추진, 시민 체감 스마
트 서비스 확산 사업 추진, 스마트폴 표준모델 설계 및 확산 추진, IoT 데이터 인프라 고도화 추
진, 제로트러스트 IoT 보안체계 구축 추진
∙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구축 기본계획 수립,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사업 계획 수립, 서울시
민카드 운영 및 유지관리 사업 계획 수립, 엠보팅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사업 계획 수립
빅데이터담당관
∙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총괄 및 추진,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감리용역
추진, 통합저장소 운영관리계획 수립 총괄, 스마트 서울뷰 사업 발주 및 사업관리, 스마트 서울뷰
시정현황 콘텐츠 기획 및 개발, 서울시 메타데이터 시스템 운영 및 품질관리
∙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 서울센터 고도화, 112 치안데이터 연계 협의 및 이용 활성화 추진,
AI휴먼서비스 이용 활성화 추진
∙ 데이터기반행정 추진을 위한 빅데이터분석 총괄, 생활인구 등 통신데이터 융합개발 기획 및 정책
연구,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데이터 역량진단 및 개선계획 수립 등, 빅데이터 분
석과 활용 활성화 연간계획 수립
∙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기획・운영 총괄, 실시간 도시데이터 등 융합데이터 분석사업 추진, 시민참여
형 민관 융합데이터 신규개발・서비스, 데이터기반행정 추진을 위한 빅데이터분석 지원
∙ 열린데이터광장(데이터 활성화) 기획 및 총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중
장기 개방계획 수립관련 공공데이터 개방, 빅데이터캠퍼스 이용 확대 활성화사업 추진, 공공데이터
발굴 및 개방 관련 업무 추진(BSC 포함)
∙ 기본통계(연보) 및 통계서비스 총괄, 통계통합플랫폼 구축(개선) 및 운영 업무 총괄, 서울도시정책
지표 관리, 승인통계품질 진단 및 통계부문 정부합동평가지표 관리
정보공개담당관
∙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시・구 전자기록물 이관 추진,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기능점검 및 유지관
리, 모바일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확산 및 유지관리,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자치구 확산 및 유
지관리, 자치구 오픈 및 운영계획 수립・시행
∙ 정보공개 시행계획 수립, 정보소통광장 인프라 환경 분석 및 구축, 문서공개시스템 기능개선 및 유
지관리 계획 수립, 자치구 및 투출기관 문서공개 연계시스템 구축 지원
∙ 기능분류체계(BRM) 운영 및 기록관리기준표 운영, 통합 기록관리시스템(시,자치구 25식)운영 및
사업관리, 전자기록물 인수 및 검수(업무관리시스템→기록관리시스템), 자치구 전자기록물 이관(전
자문서시스템→기록관리시스템)
∙ 기록관리시스템 접근권한 및 열람승인 관리
REGIONAL S&T YEARBOOK 2023 101
정보시스템담당관
∙ AI(인공지능) 기술동향 분석, AI(인공지능) 종합계획 수립 및 현황 조사, AI(인공지능) 신규 서비스
발굴 및 추진체계 정비, 인공지능 혁신TF 및 거버넌스 운영
∙ 대시민 챗봇(서울톡) 시스템 확대 구축 및 운영, 직원용 업무 챗봇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인공지능
기반 시정서비스(음성봇 등) 과제 발굴, AI 기반 하수관로 결함탐지 학습데이터 및 시스템 구축
∙ 전자정부 성과관리 및 예비검토 총괄, 정보화사업 예산타당성 심사 총괄,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및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관리
∙ 공통행정시스템, 시도 행정정보시스템 기본계획, 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 기본계획, 공통행정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기본계획 수립, 공통행정시스템 노후 서버 이관 통합계획 수립 및 이관 추진, 차세
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고도화 구축 확산
∙ 개인정보보호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보호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개인정보 관리수
준 진단평가 계획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 유출사고 조사.분석, 재발방지 대책 수립 및 시행, 가명
정보 활용 활성화 계획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보호시스템 운영・유지관리 계획 수립・시행
공간정보담당관
∙ 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수립, 3D 기반 Virtual Seoul DB 구축 및 운영 총괄, 디지털 트윈(3D
공간정보 등) 구축 및 운영 총괄, 개방형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활용체계 구축 총괄
∙ 공간정보 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공간정보 대외(국내・외)협력 및 중앙부처 연계사업 추
진, S-Map 행정혁신 및 서비스 모델 확대 추진
∙ 서울시 공간정보 정책 기본계획 수립 및 주소정보 시행(집행)계획 수립 추진, 주소정보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공간정보 융복합 사업 추진
∙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변화 신속탐지(오픈랩 활용), 디지털 가상실험실 오픈랩(OpenLab) 구축
및 운영, 민관협력 공간정보 혁신 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변화 신속탐지
(오픈랩 활용) 추진
∙ 드론공간정보 DB구축・운영관리, 산학연관 상생협력을 위한 드론공간정보 공유체계 구축, 항공사진
수치판독현황도 제작・관리, 드론 규제 샌드박스 및 실증사업 추진, 드론 전용 비행구역의 확대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산학연관 상생협력을 위한 드론공간정보 공유체계 구축, 드론 규제 샌드박스 및 실증사업 추진, 변
화탐지 인공지능 응용시스템 운영, 공공데이터 기업 매칭 사업 추진(안심귀가길)
∙ 공간정보운영 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지하시설물 공간정보 활용개선 추진 및 DB 품질개선 추진,
통합공간정보시스템(SDW) 개선 및 운영 총괄, 시스템 운영 및 개선계획 수립, 시스템 기능개선
및 공간정보 시스템 연계,
∙ 지하시설물 통합정보시스템 유지관리 사업 추진, 지하시설물(지하구조물) 통합DB 구축 및 현행화
추진, 서울시 공간정보 보안업무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 지도정보 플랫폼(스마트서울맵) 서비스 총괄 기획・운영, 지도정보 플랫폼 고도화 계획 수립, 스마
트서울맵 UI/UX 개선 등 서비스 활성화 추진
경제정책과
∙ 경제정책실 주요 업무계획 수립,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 수립, 중장기 경제정책 수립
지원, 경제정책실 시정운영계획 수립 및 공약관리
∙ 국내외 산업・경제 동향 모니터링, 통계 수집 및 관리, 서울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구축・운영
1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바이오AI산업과
∙ 서울 바이오 의료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해외 바이오 클러스터(도시) 협력 추진, 재생의료 분야
국내・외 협력 및 기업 육성사업 추진,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육성
∙ 홍릉 일대 특정개발진흥지구 추진, 바이오의료 R&D 기술사업화 사업 운영, 지역특화발전특구 추
진, 서울 AI산업 발전계획 수립, 서울 AI 클러스터 거버넌스 구성 계획
∙ AI 양재 허브 운영계획 수립 및 지도점검 추진, 서울 AI 허브 공간 구성 및 자산 취득 계획 수립
∙ 홍릉 일대 도시재생뉴딜사업 계획수립(변경) 추진, 회기로 스마트문화거리 조성 사업, 홍릉 R&D지
원센터 조성 사업,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바이오헬스센터 복합건립, 홍릉 스타트업랩 조성 사업
∙ 양자기술산업 생태계 조성, 정책자문기구 운영, 네트워크 확대, 산업육성전략 수립, 양자기술 발굴,
공동연구 및 R&D 지원, 홍릉강소연구특구 육성 사업, 강소특구 사업계획 수립
미래첨단교통팀
∙ 미래첨단교통과 주요업무 계획 수립 및 현안업무 추진 등, 서울 미래교통 비전 수립, 서울형 도심
항공교통(UAM) 도입 기반 마련, 서울형 UAM 버티포트 개발・운용(법제・도시계획・시공 분야), 서
울형 UAM 생태계 조성, 한강유역 UAM 항로 안전성 연구
∙ 서울시 도심항공교통(UAM) 로드맵, 서울형 도심항공교통 도입 기본계획 수립 연구, UAM 시범운
용구역 지정 및 UAM 인프라 조성 추진
∙ 교통약자 대상 통합교통서비스 체계 구축, 서울형 MaaS 도입 및 시행계획 수립, 미래교통 대비
신규사업 발굴 및 교통운영 핵심사업 기획
∙ AI기반 스마트 교통운영 시범지역 조성(스마트교차로), 교통분야 드론활용 사업, 드론활용 교통지
표분석 알고리즘 개발 및 관리시스템 구축, 미래교통 대비 신규사업 발굴 및 교통운영 핵심사업
기획(지원)
자율주행팀
∙ 자율주행자동차 활성화 등 혁신 추진, 자율협력주행시스템 구축 사업계획 수립, 강남 자율차 시범
운행지구 자율주행시설 구축 사업, 청와대, 청계천 자율주행시설 구축 사업
∙ 심야 자율주행버스 도입 추진, 운영계획 수립, 사업자 선정, 운영플랫폼 연계 등, 자율주행 무인
청소차 실증 사업 추진, 자율주행기반 미래형 ITS 구축 사업 추진
∙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운영 및 관리(총괄 및 센터), 자율주행자동차 운송관리플랫폼 운영
관리
∙ 자율주행 배달로봇 서비스 실증 사업 추진, 스마트 ITS 2.0 구축 사업 추진, Soft V2X 기반 어
린이 교통사고 예방 서비스 실증
녹색에너지과
∙ 분산에너지 활성화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및 서울시 발전방안, 집단에너지 사업의 국내외 정책동
향 및 서울시 발전방안,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보급・활성화 정책 개발
∙ 지역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분산에너지 활성화정책 수립 및 추진,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
화 계획 수립 및 추진
∙ 신재생에너지 보급계획 검토 및 수립, 신재생에너지 보급 계획 수립 총괄, 주유소 및 정유사 종합
에너지스테이션(TES) 전환 추진, 탄소중립 지원사업(광진소방서 고효율 태양광) 추진
∙ 정보시스템 관련 고도화 및 정보화 사업 추진, (민간)신기술, 고효율 태양광 보급정책 수립・시행
(BIPV, 루버형 등), 태양광 실증단지 운영 및 시범사업 추진업무
REGIONAL S&T YEARBOOK 2023 103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제 10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기본계획의 수립・변경 및 4차 산업혁명 정책방향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정책과제 및 과업 추진상황 점검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촉진 관련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시행에 따른 기관・부서 간 조정이 필요한 사항
- 그밖에 4차 산업혁명 촉진을 위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당연직 및 임명직 (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창업 2030 계획 및 로봇산업 육성계획 종합계획
1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표 3-1-14 ❙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당연직
위 원 김태균 경제정책실장 22.11 ~ 24.11(임명직)
위 원 이혜경 디지털정책관 22.11 ~ 24.11(임명직)
위 원 김현우 서울산업진흥원장 22.11 ~ 24.11(임명직)
위 원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김용수 (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22.11 ~ 24.11
위 원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정연만 (전)환경부 차관 22.11 ~ 24.11
위 원 김효정 세종사이버대학교 컴퓨터AI공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박화진 숙명여자대학교 공과대학 ICT융합공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연구소장 22.11 ~ 24.11
위 원 손영숙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유전생명공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조혜경 한성대학교 IT융합공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22.11 ~ 24.11
위 원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2.11 ~ 24.11
위 원 이숙자 서울특별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 22.11 ~ 24.11
위 원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실 수석논설위원 23.07 ~ 25.07
※ 출처 : 서울특별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0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서울시의 총예산은 83조 7,40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323억 원 규모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8%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서울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99.44%
표 3-1-15 ❙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 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837,405
재정자주도(%) 78.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33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32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99.44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1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서울시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912억 원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11억 원, 지방비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
권 강화’ 91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1-16 ❙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서울형 R&D 지원
혁신성장 펀드 조성 운영
- 91,202 - 91,202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서울 연구개발지원단 운영지원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구성・운영
180 290 - 47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1,120 39,045 - 40,16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서울기술연구원 운영
서울창업허브 창동 조성・운영
- 20,175 - 20,17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경쟁형 R&D 추진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 12,416 - 12,41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 - -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서울산업진흥원 출연 - 54,310 - 54,31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운영
마곡 AI양재허브인재양성조성
- 14,873 - 14,873
합 계 1,300 232,311 - 233,611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10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서울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6,604개로 전국의 25.3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5.78% 증가
- 5년간 대학 3개 증가, 공공연구소 15개 증가, 기업 4,051개 증가
표 3-1-17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8 24.11 86 20.72 84 20.44 87 20.57 91 21.77
∙ 국공립 12 15.19 11 13.10 11 12.94 11 12.79 11 12.50
∙ 사립 76 26.57 75 22.66 73 22.39 76 22.55 80 24.24
공공연구소 128 20.92 132 20.56 125 18.85 129 18.72 143 20.94
∙ 국공립 9 6.87 9 6.29 9 6.29 9 5.88 9 6.57
∙ 정부출연 22 13.17 25 14.79 23 14.11 23 13.53 22 13.33
∙ 병원 및 기타 97 30.89 98 29.70 93 26.05 97 26.50 112 29.40
기업 12,319 25.38 13,220 24.11 14,230 24.33 15,884 25.52 16,370 25.43
∙ 정부투자기관 7 16.67 9 16.36 8 14.81 9 15.25 7 11.48
∙ 민간기업 12,312 25.39 13,211 24.12 14,222 24.33 15,875 25.53 16,363 25.44
합 계 12,535 25.42 13,438 24.05 14,439 24.24 16,100 25.41 16,604 25.3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서울 소재 대학 수는 51개
- 일반대학 3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 방송통신대, 기술대학 및 기능대학이 각각 1개씩 존재
표 3-1-18 ❙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1 34 3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9 9
방송통신대 1 - - 1
기술대학 - - 1 1
기능대학 - - 1 1
합계 5 1 45 5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서울시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1만 7,80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6만 5,928명(전체의 9.18%), 공학계열 학생이 15만 2,263명
(전체의 21.21%)
표 3-1-19 ❙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65,928 152,263 218,191 38,301 85,596 47,695 112,665 215,354 717,802
비중(%) 9.18 21.21 30.40 5.34 11.92 6.64 15.70 30.00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10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12월 기준 서울특별시에는 총 64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서울대 22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고려대가 9개, 한양대 7개, 이화여대 및 중앙대, 연세대가 5
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20 ❙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1개 센터)
2019 빅데이터 기반 암진화 연구센터 MRC
건국대학교
(1개 센터)
2023 디지털인문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 CRC
경희대학교
(2개 센터)
2017 뉴로바이오타 연구센터 MRC
2020 한약물 재해석 암 연구 센터 MRC
고려대학교
(9개 센터)
2018 극한핵물질연구센터 SRC
2020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 ERC
2021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 ERC
2022 인지증강 메타통신 연구센터 ERC
2023 나노 생체유체 검사 연구단 ERC
2023 메카노치노믹스 연구 센터 SRC
2023 복원력을 가진 자율 운영 전력망 센터 ERC
2023 마이오카인 융합 연구센터 MRC
2023 보건사회환경시스템 융복합연구센터 CRC
국민대학교
(1개 센터)
2015 모듈형 스마트 패션 플랫폼 연구센터 CRC
동국대학교
(2개 센터)
2018 암 관해 표적제어 혁신의약품 연구센터 MRC
2018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CRC
1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서울대학교
(22개 센터)
2018 식물면역연구센터 SRC
2018 코팅기반 화학공정 연구센터 ERC
2018 생체지질 인터액토믹스 연구센터 MRC
2018 치아 • 치주 복합체 연구센터 MRC
2018 기억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세포 분해 생물학 연구단 SRC
2020 모듈과 공간의 양자구조 연구센터 SRC
2020 시스템스 노화기전 연구센터 SRC
2021 신개념 에피성장 양자신소재 연구센터 SRC
2021 전자전달 연구센터 SRC
2021 식물 가소성 연구센터 SRC
2021 비교의학 질환 연구센터 SRC
2021 다분야 통합 도심항공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 센터 ERC
2022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 ERC
2022 스토카스틱 줄기성 연구센터 SRC
2022 지구심부-지표 상호작용 연구센터 SRC
2022 인공지능 신뢰성 CRC
2023 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ERC
2023 초거대 AI 모델 및 플랫폼 최적화센터 ERC
2023 항암 면역세포 디스커버리 플랫폼 기술개발 연구센터 ERC
2023 인공지능 예술 연구 센터 CRC
2023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요소 기술 개발 IRC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1개 센터)
2023 메타버스 기반 방사선 안전 ICT 연구센터 CRC
숙명여자대학교
(2개 센터)
2022 근육피지옴 연구센터 MRC
2023 이질성기반 세포적응 연구센터 SRC
숭실대학교
(1개 센터)
2017 지능형 바이오메디컬 무선전력전송 연구센터 ERC
연세대학교
(5개 센터)
2017 반데르발스 물질 연구센터 SRC
2018 비가역적 기후변화 연구센터 SRC
2018 만성난치질환 시스템의학 연구센터 MRC
2020 에이로겔소재연구센터 ERC
2023 다상소재 혁신 생산공정 연구센터 ERC
이화여자대학교
(5개 센터)
2017 혼성계면 화학구조 연구센터 SRC
2018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MRC
2023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 SRC
2023 사회 이익 실현을 위한 환경블라인드스팟 전략 선도연구센터 MRC
REGIONAL S&T YEARBOOK 2023 111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서울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1개의 지원센터가 존재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지원센터가 없
는 것으로 조사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
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중앙대학교
(5개 센터)
2018 미생물 생존 시스템 연구센터 SRC
2020 베리곡물 기반 신물성 연구센터 SRC
2020 나노-광 융합 바이오의료 진단 연구센터 ERC
2022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SRC
2023 순환경제 기반 탄소중립 건축센터 ERC
한양대학교
(7개 센터)
2017 세포내외 노화 및 병적환경개선에 의한 조직재생 촉진 연구 MRC
2018 생존 신호정보 연구센터 CRC
2018
초연결사회 위험 관리를 위한 빅테이터 기반 사회 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사회 시뮬레이션 시스템
CRC
2021 차세대유기합성연구센터 SRC
2022 스마트 혈류역학 지표 기반 실시간 정밀의료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22 탄소중립형 물-에너지 통합시스템 선도연구센터 ERC
2023 H3(극한 스케일 극한 물성-이종 집적)한계 극복 반도체 기술 연구 센터 IRC
1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서울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2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21 ❙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reative Business Center(중앙대) 2020-05-19
서울대학교기술지주㈜ S-INNOVATION(에스이노베이션) 2013-10-18
창업진흥원, 한국엔젤투자협회 TIPS타운(팁스타운) 2015-07-14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5-11
경희대학교 경희창업 보육센터(서울) 2000-12-15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크림슨창업지원단 2000-03-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운창업지원센터 2020-02-03
국민대학교 국민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7
(주)닷네임코리아,창업지원센터 글로벌벤처센터 2012-06-01
서울대학교 덴탈메디케어 창업보육센터 2012-05-01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6
마포구청 마포비즈니스센터 2008-07-14
주식회사 비채나 비채나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1
서강대학교 서강비즈니스센터 1999-11-30
서울시립대학교 서대문구-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00-04-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창업보육센터 2000-04-10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0-31
한성대학교 성북구한성대벤처창업지원센터_SHBI 2001-03-12
성신여자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성신유니콘센터 2019-03-02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 2001-01-1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대 창업보육센터 2012-03-05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 2000-01-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트앤디자인테크 창업보육센터(홍익대_서울) 2004-03-17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2000-01-31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 1999-03-0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5-14
REGIONAL S&T YEARBOOK 2023 113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서울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12개소가 운영 중
표 3-1-22 ❙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공립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공립
서울시립과학관 공립
육영재단어린이회관 사립
LG사이언스홀 사립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 사립
한생연휴먼탐구과학관 사립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 사립
한생연실험누리과학관 사립
한생연인간과로봇과학관 사립
한생연생명과학박물관 사립
충우곤충박물관 사립
과학동아천문대 사립
롯데월드아쿠아리움 사립
코엑스아쿠아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과 명단(2023. 11. 기준)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인덕대학교 인덕대학창업지원단 2000-03-31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서울지역센터) 2011-12-23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7-09-01
호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서울 창업보육센터 2012-05-15
(재)한국기술벤처재단 홍릉벤처밸리 창업보육센터 2001-12-15
1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서울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서울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7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7,655명임
표 3-1-23 ❙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02 264 367 328 373
수혜자 수 4,427 5,265 5,485 6,940 7,655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11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서울시 특허출원 건수는 5만 3,87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만 8,781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각각 0.3%, 8.9% 감소
표 3-1-24 ❙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47,288 45,482 47,123 52,270 53,124 54,042 53,871
특허등록 건수 25,087 27,527 25,224 26,483 29,293 31,576 28,78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서울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만 8,673편, 주저자 기준 2만 3,44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0.17%, 39.00%를 차지
표 3-1-25 ❙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2,443 50.88 708,927 21.85 20,876 39.79 352,493 16.89
2019 34,724 51.66 615,722 17.73 22,042 40.18 309,543 14.04
2020 37,488 50.87 530,135 14.14 23,387 39.21 247,431 10.58
2021 40,844 51.16 327,853 8.03 25,127 39.47 146,900 5.85
2022 38,673 50.17 105,642 2.73 23,443 39.00 46,336 1.9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1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 과학기술 정책 수립체계 정립
■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기획 및 사업 추진역량 제고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과학기술 기반 혁신 활성화를 위한 지역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지역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협력체계 강화
▣ 서울형 R&D지원
■ 권역별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전략산업・기술과 연계한 융합형 (가칭) 핵심기술연구
단 설치 및 산학연 협력연구 촉진
■ 지역에 특화된 자원 및 기술을 활용한 예비・초기 창업 지원
■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문제 해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시설・장비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창업・기술사업화 및 지역 기업 지원을 장려할 수 있도록 제도 혁신
▣ 4차산업혁명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위원회 후보 추천 및 구성
■ 정기회(연 1회) 및 임시회(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시) 운영
■ 협의사항 발생 시 소그룹 임시회의 수시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3 117
▣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 분기별 1회 및 수시 위원회 개최를 통해 산학연 협력지원 사업 과제 선정평가 심의 및 주요 운
영사항 논의
- 산학연협력사업의 정책방향 논의 및 기술상용화 지원, 신성장산업 R&D 등 지원 과제 선정평가
심의(분기 1회)
▣ 서울산업진흥원 출연
■ 서울시 창업생태계 혁신을 통한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및 투자 지원
■ 국제유통센터 운영, 우수제품 브랜드 및 국내외 판로지원 등 기업매출 증대 지원
■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 인재 양성 및 고용지원
■ 혁신 기술개발 지원 및 지식
■ 마곡 DMC・G밸리 등 주요 거점별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등 산업거점 활성화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 콘텐츠기업 발굴 및 육성 등 콘텐츠산업 육성
▣ 서울연구개발지원단 운영
■ 정책수립 지원 및 기획, 서울시 R&D 사업 및 성과 조사분석, R&D사업기획 지원 및 정보 구
축제공 등
■ 연지단 협의회, 지역과학기술 발전자문위원회 등 혁신기관 전문가 네트워킹 및 국제교류 협력
강화
▣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
■ (기존 앵커시설 운영) 서울바이오허브, 서울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서울바이오 산학 협력
센터(경희대 舊이과대학), BT-IT융합센터 등
※ 바이오・의료 R&D 및 기술사업화원, 스타트업 육성, 네트워크 지원 및 인재양성 등
■ (인프라 확충) 해외시장 진출 종합 지원공간 ‘글로벌협력동’ 조성(ʼ23. 7.)
■ 지역별 중장기 계획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주도하여 R&D사업을 기획하고, R&D사업 집행, 성
과관리 체계 확립・운영
■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R&D 투자 목표제 도입 등을 통해 지자체의 R&D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이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검토
1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마곡 R&D 클러스터 조성
■ 마곡산업단지 정책심의위원회 운영 : 융복합산업 중심의 R&D 첨단클러스터로 조성 중인 마
곡산업단지 관련 중요 정책사항 심의
■ 민간 R&D센터 4개소 중 3개소 공사중(1개소는 ‘23년 상반기 착공), 공공 R&D센터 착공(’23
년 상반기) : 대중소 상생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기술력은 있으나, 재정이 어려운 강소・벤
처・창업기업에 연구공간을 제공
■ 마곡 M-융합캠퍼스 조성 : 입주희망 연구기관, 서울산업진흥원 및 산단 내 입주기업과 협의를
거쳐 M-융합캠퍼스 조성 추진 예정
▣ AI 양재 허브 인재양성
■ (실무전문) 전공・실무자 대상 역량 증진을 통한 취업 연계 강화
■ (융합특화) 기존 산업 종사자 대상 AI 접목 교육을 통한 융합인재 양성
※ 신규 수탁기관 선정에 따라 예산 및 사업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서울시립과학관 운영
■ (프로그램 및 콘텐츠 기획) 맞춤형 온라인학습시스템(LMS) 구축, 온라인용 교육콘텐츠 개발
및 보급, 웹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운영 등 온라인 과학교육 활성화 등
■ (프로그램 운영) 체험형 전시 프로그램 운영 및 신규전시물 개발・기획전 개최, 상상을 자극하
는 과학 콘텐츠 개발, 천문대 및 이동과학버스 운영, 수요자 중심 맞춤형 과학서비스 제공 등
■ (복지확산 및 인프라 강화) 과학복지 확산을 위한 이동형 전시 운영및 과학관 환경 재구조화,
확충 등
▣ 서울 Vision 2030 펀드 조성 운영
■ 6개분야 펀드 운용사(GP) 모집 및 펀드조성 지속 추진
※ (사업목표) 6개분야 신규 펀드 조성 6,000억원 이상
■ 선정된 운용사(GP)를 활용한 유망기업 발굴 및 투자활성화 추진
▣ 서울 Vision 2030 펀드 조성 운영
■ 6개분야 펀드 운용사(GP) 모집 및 펀드조성 지속 추진
※ (사업목표) 6개분야 신규 펀드 조성 6,000억원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119
■ 선정된 운용사(GP)를 활용한 유망기업 발굴 및 투자활성화 추진
▣ 서울창업허브 창동 운영
■ (차세대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오픈이노베이션 고도화 및 외부 자금 유치를 위한 투자
최적화 집중 지원
■ (뉴미디어 마케팅 활용 국내・외 판로개척 집중 지원) 글로벌 SNS 등 뉴미디어 마케팅 지원 강
화로 스타트업 매출 증대 추진
■ (동북권 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 창업생태계 활성화) 동북권 유관기관 협력과 XR스튜디오 고도
화 등 뉴미디어 인프라 제공
▣ 서울기술연구원 운영
■ '23년 신규과제 90건(2,760백만원) 및 기타 추가 수시과제(260백만원) 등 총 30.2억원
규모 연구사업 추진
■ 서울시 현안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도시문제 대응 지원
- 4차 산업혁명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시정책 수립 지원
1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부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부산의 인구는 약 330만 명으로 작년 대비 소폭 증가
- 전국 인구대비 부산 인구의 비율은 6.39%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2-1 ❙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3,403,116 3,381,208 3,355,632 3,327,350 3,299,396
전국인구대비 비율(%) 6.60 6.53 6.48 6.43 6.39
경제활동참가율(%) 58.1 58.8 58.1 58.2 58.9
실업률(%) 4.1 3.7 4.2 3.4 3.0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12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부산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89.9조 원이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0.68%
- 부산시 산업 구조는 기타서비스업이 지역내 총생산의 48.3%로 거의 절반을 차지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2-2 ❙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 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86,889,875 89,105,372 85,962,709 87,629,325 89,883,761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53,226 397,021 423,607 493,140 413,975
(지역내비중, %) (0.52) (0.45) (0.49) (0.56) (0.46)
제조업 14,187,013 14,663,793 13,906,542 14,075,097 14,561,488
(지역내비중, %) (16.33) (16.46) (16.18) (16.06) (16.2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730,861 1,675,381 2,220,222 2,195,171 2,416,514
(지역내비중, %) (1.99) (1.88) (2.58) (2.51) (2.69)
건설업 4,868,200 4,838,008 4,364,889 4,242,229 3,794,256
(지역내비중, %) (5.60) (5.43) (5.08) (4.84) (4.22)
기타서비스업 42,973,636 44,093,390 41,630,253 42,371,628 43,417,237
(지역내비중, %) (49.46) (49.48) (48.43) (48.35) (48.3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6,492,769 17,102,926 17,142,523 18,040,138 18,775,834
(지역내비중, %) (18.98) (19.19) (19.94) (20.59) (20.89)
순생산물세 6,284,848 6,428,341 6,466,985 6,473,259 6,833,266
(지역내비중, %) (7.23) (7.21) (7.52) (7.39) (7.6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
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1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부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9조 3,532억 원이고 3,99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2만
9,88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측면에서 ‘1차 금속 제조업’이 6조 1,397억 원(전체 15.60%),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695개(17.38%), 종사자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만 9,160명(전체
14.7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2-3 ❙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070,587 7.80 290 7.25 9,272 7.14
음료 제조업 220,388 0.56 12 0.30 229 0.1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3,229 0.67 33 0.83 606 0.4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137 0.01 47 1.18 701 0.5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0,544 0.51 13 0.33 191 0.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34,403 5.93 297 7.43 8,469 6.5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00,911 1.53 75 1.88 1,488 1.15
1차 금속 제조업 6,139,717 15.60 302 7.55 10,059 7.74
전기장비 제조업 2,669,849 6.78 253 6.33 8,040 6.1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085,981 12.92 695 17.38 19,160 14.7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136,556 13.05 257 6.43 9,112 7.0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22,807 4.89 109 2.73 3,096 2.38
가구 제조업 131,384 0.33 35 0.88 559 0.43
기타 제품 제조업 143,096 0.36 54 1.35 1,181 0.9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48,924 1.39 110 2.75 1,924 1.4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51,815 1.91 147 3.68 3,835 2.9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58,315 9.04 611 15.28 14,796 11.3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36,791 2.89 201 5.03 5,951 4.5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47,657 3.93 101 2.53 3,364 2.5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59,216 1.42 183 4.58 4,948 3.8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233,785 3.14 49 1.23 1,308 1.0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1,317 0.82 6 0.15 60 0.0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39,506 0.61 53 1.33 1,019 0.7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532,239 3.89 66 1.65 2,619 2.02
합 계 39,353,154 100 3,999 100 129,887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12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산업임
표 3-2-4 ❙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
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
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음료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코크스 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가구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1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부산시는 ‘미래형 신산업 창출(스마트 해양, 지능정보서비스, 지능형 기계, 라이프케어, 미래
수송기기, 클린테크)’와 ‘전통 주력산업 고부가가치화(스마트공장,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뿌
리기업 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미래창의인재 양성(스마트제조 고급인력, SW중심대학, 창
의융합형 공학인재)’, ‘과학기술 혁신플랫폼(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플랫폼, 부산특구 성과
창출 및 확산, 부산형 국가혁신클러스터)’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2-5 ❙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스마트 해양) 지능형 무인자동화 스마트물류 시스템 구축
(지능정보서비스)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
(지능형 기계)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
(라이프케어)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지원
(미래수송기기)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클린테크) 신에너지 산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 구
전통 주력산업(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R&D투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
부산 뿌리기업 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구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SW중심대학 지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플랫폼 구축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
부산형 국가혁신클러스터 구축
※ 출처 : 부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2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 30개, 도시첨단단지 4개 및 농공단지 1개가 있음
- 36개 단지의 가동 업체는 8,811개, 총 종사자는 126,138명
표 3-2-6 ❙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명지・녹산 8,841 8,814 1,503 1,289 28,266 100 완료
일반
부산과학 1,967 1,967 225 225 4,696 98 완료
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
물류도시(1단계)
5,708 5,708 519 504 8,667 90 완료
명례 1,566 1,566 82 76 2,103 100 완료
산양 54 54 0 0 0 50 조성중
신평・장림 2,815 2,815 692 621 14,188 100 완료
센텀시티 1,178 1,178 2,222 2,222 15,597 100 완료
풍상 61 61 3 3 101 100 완료
생곡 538 538 99 96 1,173 100 완료
명동지구 506 506 31 0 0 94 조성중
미음지구 3,849 3,848 393 382 8,079 84 완료
동남권방사선의과학 1,479 1,096 21 0 0 52 조성중
부산신소재 256 256 4 3 396 100 완료
반룡 547 547 84 84 1,105 100 완료
오리 608 538 71 50 1,269 74 완료
기장대우 344 344 1 0 0 100 조성중
에코장안 201 201 22 10 426 100 완료
정주 97 97 2 2 X 100 완료
사상공업지역[재생사업지구] 3,021 3,021 2,104 2,101 16,640 100 완료
성우(구:거화) 64 63 18 18 154 100 완료
기룡 83 83 1 1 X 100 완료
기룡2 46 46 2 1 X 100 완료
장안 1,301 1,301 88 88 3,579 100 완료
정관 1,209 1,209 216 216 3,803 100 완료
정관코리 84 84 4 3 131 100 완료
신호 3,121 3,121 83 83 3,397 100 완료
1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전지구 2,448 2,448 309 309 6,336 100 완료
강서보고 104 104 19 19 152 100 완료
지사글로벌 417 417 0 0 0 0 조성중
강서해성 104 104 0 0 0 0 미개발
지사2(구 진우) 99 99 18 18 176 100 완료
도시
첨단
부산에코델타시티 659 659 1 1 X 9 조성중
회동.석대 229 228 120 120 2,253 100 완료
모라 11 11 231 231 1,501 100 조성중
금곡 46 46 0 0 0 0 조성중
센텀지구2 1,912 1,912 0 0 0 0 미개발
농공 정관 258 258 35 35 1,61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127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부산시에는 총 1,814개의 벤처기업이 위치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 분야에 328개 업체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74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58개), ‘전기 장비 제조업’(124개), ‘금속 가공제
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이 분포
표 3-2-7 ❙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4 4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9 59 65
음료 제조업 4 2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7 29 2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7 17 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6 30 3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 7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1 9 1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 6 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9 68 7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 7 1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6 51 5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11 13
1차 금속 제조업 47 35 3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3 93 9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9 64 7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4 72 77
전기장비 제조업 142 119 1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5 251 2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7 30 3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4 60 68
가구 제조업 4 3 5
기타 제품 제조업 63 58 5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7 4 6
1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3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4 4
건설업(41~42) 44 37 40
도매 및 소매업(45~47) 52 43 58
운수 및 창고업(49~52) 4 3 4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1
정보통신업(58~63) 305 282 328
금융 및 보험업(64~66) 3 3 3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94 164 17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7 11 1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2 16 1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8 4 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019 1,662 1,814
REGIONAL S&T YEARBOOK 2023 12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부산의 연구개발인력은 전국 8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6,634로 전국 대비 비중 3.21%이며 ’18년부터 ’22년의 최근 5년간 연
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3.17%로 증가 추세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대학 11,577명(전국의 5.21%), 공공연구소 2,687명(전국의 3.92%), 기업 1만
2,370명(전국의 2.37%)으로 나타남
표 3-2-8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1년)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321 4.84 9,313 4.80 9,943 4.80 10,682 5.08 11,577 5.21
∙ 국공립 4,689 5.90 4,980 6.23 5,245 6.06 5,771 6.64 6,717 7.48
∙ 사립 4,632 4.10 4,333 3.79 4,698 3.90 4,911 3.98 4,860 3.67
공공연구소 2,386 4.09 2,385 3.82 2,688 4.19 2,690 4.04 2,687 3.92
∙ 국공립 480 3.92 409 3.17 391 3.05 376 2.80 405 3.05
∙ 정부출연 1,202 3.69 1,286 3.73 1,248 3.68 1,301 3.84 1,295 3.73
∙ 병원 및 기타 704 5.19 690 4.58 1,049 6.04 1,013 5.27 987 4.80
기업 11,084 2.52 11,417 2.47 11,938 2.51 11,851 2.33 12,370 2.37
∙ 정부투자기관 - - 10 0.26 21 0.56 8 0.21 21 0.53
∙ 민간기업 11,084 2.54 11,407 2.49 11,917 2.52 11,843 2.35 12,349 2.38
합 계 22,791 3.30 23,115 3.22 24,569 3.29 25,223 3.21 26,634 3.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부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5명 증가한 53.8명으로 조사됨
표 3-2-9 ❙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8.1 48.8 51.6 52.3 53.8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부산의 총 연구개발비는 2조 377억 원으로 전국의 1.81%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69%
- 연구주체별로 살펴보면 대학의 연구개발비는 5,020억 원(전국의 4.87%), 공공연구소는 5,346억
원(전국의 4.14%),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1조 11억 원(전국의 1.12%)으로 나타남
표 3-2-10 ❙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80,463 5.40 384,992 5.22 422,003 5.05 459,778 4.93 502,030 4.87
∙ 국공립 263,417 8.53 263,124 8.04 294,383 7.80 315,431 7.48 339,461 7.49
∙ 사립 117,046 2.95 121,868 2.97 127,620 2.79 144,347 2.82 162,569 2.82
공공연구소 431,635 4.38 403,748 3.97 459,805 4.14 447,122 3.73 534,595 4.14
∙ 국공립 104,957 12.90 99,354 11.89 139,378 16.37 122,004 12.61 128,631 12.61
∙ 정부출연 235,405 3.12 224,339 2.87 231,453 2.79 244,388 2.80 284,786 3.07
∙ 병원 및 기타 91,273 6.16 80,055 5.24 88,974 4.49 80,730 3.49 121,178 4.62
기업 732,825 1.06 792,966 1.11 815,026 1.11 855,837 1.06 1,001,051 1.12
∙ 정부투자기관 - 0.00 1,142 0.13 2,208 0.25 1,230 0.14 2,948 0.33
∙ 민간기업 732,825 1.08 791,824 1.12 812,818 1.12 854,607 1.07 998,103 1.13
합 계 1,544,922 1.80 1,581,706 1.78 1,696,834 1.82 1,762,737 1.73 2,037,676 1.8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3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부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1,355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4.4%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31%
표 3-2-11 ❙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8,765 9,120 9,626 10,002 11,355
(4.5) (4.5) (4.2) (4.1) (4.4)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 [스마트 해양] 다목적 해상실증 플랫폼 구축(169억원), 스마트양식 테스트베드 조성(104억원), 지
능형 무인자동화 스마트물류 시스템 구축(26억원) 등
- [지능정보서비스]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97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63
억원), 디지털트윈 기반의 스마트시티 LAB 조성(30억원) 등[지능정보서비스] SW중심대학 지원
(83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63억원),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51억원)
- [지능형 기계] 부산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구축(58억원), AI기반 중소형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협
업・실증 플랫폼 구축(53억원),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33억원) 등
- [라이프케어]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307억원),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167억원), 연구
중심병원육성 R&D 지원(15억원) 등[라이프케어]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223억원), 차세대 재활
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108억원),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92억원)
- [미래수송기기] 전기차 e-파워트레인 부품기술 허브센터 구축(101억원),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
자유특구(43억원), DaaS 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60억원) 등[미래수송기기] 전기차 e-파워트
레인 허브센터 구축(64억원), DaaS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57억원), 전기차 안전편의부품 고
도화 기술지원(32억원)
1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클린테크]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187억원), 신에너지 산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
폼 구축(70억원),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 기반 구축(67억원) 등
■ 전통 주력산업(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R&D투자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350억원)
-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185억원)
-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 지원(20억원)
-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12억원)
■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71억원)
- SW중심대학 지원(55억원)
-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23억원)
-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지원(18억원)
-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15억원)
■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플랫폼 구축(107억원)
-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96억원)
- 부산형 국가혁신클러스터 구축(59억원)
- 대학혁신연구단지(I-URP) 조성(32억원)
- 대학내 산학연 협력단지 조성(10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133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부산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디지털경제혁신실에서 담당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표 3-2-12 ❙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1,184 2 17,074 248 40 72 3,74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1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2-13 ❙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과
∙ 양자정보통신, 차세대스마트미디어서비스구축, 공공데이터활용 안전안심솔루션개발, 5G융복합산업육
성, KCA.KISTI.NST 협력사업
∙ 정보기술(ICT) 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 4차 산업혁명 융합기술센터 설립 등 혁신 거점 구축, 해양
ICT융합비지니스벨트, 메타버스 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신규)
∙ 센텀 클라우드 클러스터 조성, EDC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
성, 클라우드 엑스포 코리아 개최, 클라우드 혁신센터 관리(아마존웹서비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
라우드 기업 유치
∙ 가상증강현실(VR/AR)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실감콘텐츠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ICT 기술 보
급, 확산 및 기업육성, 지역SW산업 육성, 지역SW기업성장지원, 지역SW품질역량관리사업, SW서비
스사업화 사업, IT엑스포 등
∙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기획.운영,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기업 맞춤형 부산정보산업인력육성사
업 운영 및 취업연계, 지역주도청 청년일자리 지원사업(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연계) 운영, ICT 인력
양성을 위한 부산기업 협・단체 TF 운영 등
빅데이터
통계과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시책발굴 및 시행계획 수립, 데이터기반행정 책임관 협의회 운영 및 관리, 데
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BSC 지표 등), 데이터안심구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 데이터 가
명정보 활용 및 결합 활성화에 관한 사항
∙ 공공데이터 개방시스템 대민서비스 확대 사업 추진, 공공데이터관련 공모 사업 발굴 및 사업 추진, 공
공데이터 오픈 API 서비스 운영, 빅데이터 센터 구축(금융 분야) 추진 등
∙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유지관리, 민간데이터 구매 및 활용, 데이터 분석컨설팅 제도운영 및 활성
화, 데이터마트 구축 및 유지관리
∙ 인구주택・농림어업총조사, 광업제조업조사, 환경산업조사, 지역소득(지역내총생산), 소상공인통계, 청년
통계, 통계기획조정, 통계발전계획수립 등
제조혁신과
∙ 전략산업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진흥계획,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 신발산업 육성계획 수립, 한국
신발관(K-슈즈센터) 운영 지원, Enjoy Shoes Busan 사업, 신발산업 생태계 강화 지원 사업, 신발
산업 디자인 활성화 사업
∙ 탄성소재 클러스터 구축, 섬유소재산업 육성 지원, 디자인산업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
립
∙ 부산스마트공장보급확산지원사업(국가), 친환경고효율공기조화부품기술고도화지원사업, 레이저가공기술
고도화지원사업, 부산국제기계대전 지원사업,스마트 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 청정공기산업 특화를 통
한 기업육성 및 신성장 창출기반 구축사업
미래기술
혁신과
∙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 및 육성,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 및 운영, 선도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역혁
신 메가프로젝트 기획 및 유치,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초광역 연구개발특구 연계협력
사업 추진 등
∙ EDC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랩(LAP) 조성,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사업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및 통합플랫폼 구축 운영 IOT 창업생태계 조성사업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유지관리 사항 등
∙ 지식재산종합진흥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 지식재산 지원사업(부산지식재산센터), 부산시 지식재
산위원회 운영
∙ 수소차(버스 포함) 보급 및 지원사업, 수소전기차 부품기업 기술지원사업, 부산 자동차 부품산업 기술
연구 역량 강화, 미래자동차산업 부품생태계 지원사업, 스마트기반구축사업(미래차전동화 부품설계검증
지원 구축)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135
미래기술
혁신과
∙ 부산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LPG선박 실증사업, LNG벙커링 기자재 시험평가 설비 및 시험기술
개발사업, 가스(LNG)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지원 기반구축 사업, 심해해양공학수조 기반구축 사업, 해
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 해양플랜트 O&M 엔지니어링 기술기반 구축사업, 조선해양플
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사업,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Offshore Korea) 개최 및 지원, 조선해양기자
재 협동화단지 지원에 관한 사항,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클러스터 조성사업, 조선해양산업 지능정보
서비스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사업(신규), 친환경 조선해양기자재 재제조 기술개발사업(신규 발굴), 조
선업 생산기술인력 양성사업, 조선기자재 성능고도화 기반구축 사업,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기
반구축 사업, 조선해양기자재 수출 및 A/S거점기지 구축 및 운영 사업
미래에너지
산업과
∙ 탄소중립(에너지분야) 총괄 계획수립, 재생에너지 3020 정책추진 총괄(공약, 합동평가), 2050 클린에
너지 마스터플랜 이행 관리,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 평가, 에너지이용합리화 실시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평가【클린에너지 계획 및 육성전문관,,「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에 관한 사항(시행계획
수립, 특화지역 등)
∙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부서소관) 총괄,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최 및 지원, (가칭)부산통합에너지센터
설립 추진, 에너지특화기업 지정 지원, 뉴딜사업 신규과제 발굴 및 총괄관리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
생에너지 국내외 교류사업 추진 등
∙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 사업, 저온 작동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스택 개발, 수소 항만
조성사업, 수소 선박 빅데이터 플랫폼 설계 사업, 수소 관련 특화단지 유치 추진, CCUS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부울경 수소배관망 구축, 수소시범도시 조성사업
∙ 도시철도 회생전력 기반 수소생산충전시스템 구축,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암
모니아 관련 R&D 발굴・추진, 암모니아 항만 실증, 암모니아 연료전지 시스템 및 신뢰성평가 기술개
발사업, 암모니아 연료전지 개발 등 신규사업 추진, 클린에너지 혁신기업 발굴・육성 지원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용역 추진, 반도체 산업 육성 추진, 전력반도체 소부장산업 특화단지
추진, 방사선 의과학 산업 육성, 중입자가속지 구축사업 추진, 파워반도체 산업 육성 추진, 전력반도
체 소부장산업 특화단지 운영 추진
∙ 동남권 차량용 반도체 밸류체인 구축 추진(대통령 지역공약), 메디컬 반도체 관련 사항 추진, 수출용
연구로 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방사선동위원소 활용 연구센터 건립 추진, ICT 기반 방사성의약품 헬
스케어센터 구축 추진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임대주택 지원사업 추진, 동남권 인공태양에너지 실증기
반 구축사업 추진,「전력반도체 소부장산업 특화단지」운영 지원, 인프라 확충, 기업유치, 인력양성,
R&D 유치 등
첨단의료
산업과
∙ AI기반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구축,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연구센터 추진, 보건의료산업육성
위원회 운영,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사업 추진, 항노화산업지원위원회 운영,글로벌 헬스위크 전시회
개최 총괄 등
∙ 의사과학자 역량강화 지원 사업, 지역거점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사업, 고령친화산업 육성계획
수립, 고령친화용품 사업화 지원사업 추진,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사업, 결핵 정밀맞춤치
료 선도연구센터 사업, 개방형 실험실 구축 사업, R&D 과제발굴 및 지원
∙ 치의학 산업화 기술개발 및 실용화 등 지원, 디지털상용화 기술지원사업 추진, 치과기공소 스마트 환
경개선 사업 추진, 치의학관련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추진 등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1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부산과학기술진흥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시의 과학기술진흥의 방향과 전략에 관한 사항,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
립・조정에 관한 사항,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혁신 및 연구개발의 지원에 관한 사항, 연구개발
사업의 기획・평가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연구개발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
비 조정 등 연구개발예산의 투자효율화에 관한 사항,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에 관한 사항,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균형적 지원 및 발전에 관한 사항, 「부산
광역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 조례」 제7조제1항 각 호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 임기 : 위원장(시장, 당연직), 부위원장(미래산업국장(당연직), 민간위원 중 1명
호선), 위원(2년, 한 차례만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 16회
- 본위원회(1회, ’23.12.22.) : 제1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18∼'22), 2022년도 추진실적 및
제2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 2023년도 시행계획, 2024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
발 투자방향 및 기준, 2024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2023년도 부산광역시
기획・유치 지원사업 추진 경과, 부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산하 분과위원회 2023년도 추진
경과
- 운영위원회(3회, ’23.1/2/4월 ) : 제1호 부산광역시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도
추진실적, 제1호 부산광역시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도 시행계획(안), 제1호
2022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실시계획(안), 제2호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도
추진실적 및 23년도 시행계획(안), 제1호 2021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보고
- 기획전략위원회(7회, ’23.2/3/5/6/7/8/9월) : 2022년도 제2차 및 제3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2년도 연구기획 네트워크 기반 기획 완료 사업 유치지원(안),
2022년도 기획 완료 사업 패스트트랙 유치지원(안), 2023년도 지역 R&D사업 발굴・기획・유치지
원 기본 방향(안), 2023년 제1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3년
제1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3년 제1회 기획전략위원회 의결안건
제1호 의결결과 조치 사항, 2023년 제2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패스트트랙(유형① 지자체수요 대응형) 신청 사업 유치지원(안), 2023년도 지역 R&D사업 발굴・
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2023년 제2회 연구기획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3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3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연구기획 네트워크 기반 기획 완료 사업 유치지원(안), 2023년도 지역 R&D사업 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137
굴・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제4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패스트트
랙(유형① 지자체수요 대응형) 신청 사업 유치지원(안), 제5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1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 평가조정위원회(5회, ’23.4/5/7/7/9월) : 제1호 제1차 부산 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안), 제1호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2023년도 성과평가 실시계획(안), 제1호 제2기 기술전문위원회 구성,
제1호 2024년도 부산 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제2호 2024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예산 배
분・조정 시행계획(안), 제3호 제2기 기술전문위원회 구성 변경(안), 제1호 2023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상위평가위원회 추진결과(안), 제1호 2024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2-14 ❙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부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형준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이경덕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서용철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당연직
위원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23. 9.23. ~ ᾽25. 9.22.
위원 권기룡 부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황성주 연세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김도훈 부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정충교 (사)부산정보기술협회 ᾽23. 9.23. ~ ᾽25. 9.22.
위원 오현주 국립해양조사원해양과학조사연구실 ᾽23. 9.23. ~ ᾽25. 9.22.
위원 김효정 부산광역시의회 ᾽23. 9.23. ~ ᾽25. 9.22.
위원 조만기 FAU ᾽23. 9.23. ~ ᾽25. 9.22.
위원 김윤희 경상국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장지현 UNIST ᾽23. 9.23. ~ ᾽25. 9.22.
위원 윤장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3. 9.23. ~ ᾽25. 9.22.
위원 장석영 금양 ᾽23. 9.23. ~ ᾽25. 9.22.
위원 김종도 한국해양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김현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3. 9.23. ~ ᾽25. 9.22.
위원 신현석 부산연구원 ᾽23. 9.23. ~ ᾽25. 9.22.
위원 진성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3. 9.23. ~ ᾽25. 9.22.
위원 이희승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3. 9.23. ~ ᾽25. 9.22.
1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부산시의 총 예산은 약 27조 5,220억 원으로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564억원
- 지역 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7%
- 과학기술 예산 중 부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9.28%
표 3-2-15 ❙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75,220
재정자주도(%) 59.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342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6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9.28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139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부산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302억 원을 투자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국비는 1,216억 원, 지방비 700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2-16 ❙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CENTAP 조성운영사업 80 1,380 - 1,46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혁신 플랫폼 구축
(재)부산산업과학혁신원 운영지원
2,005 10,696 433 13,13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원전해체인력양성지원 - 31 11 42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3.0)
SW중심대학 지원 사업
65,916 5,349 6,898 78,163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
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
국립부산과학관 운영지원
58,621 34,017 12,323 104,96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부산스마트공장 보급확산지원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
121,612 70,033 35,647 230,22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사업
27,039 11,819 4,434 43,292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전기차 e-파워트레인 부품기술 허브센터구축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 추가사업 1차
21,358 14,620 6,654 42,632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부산)
파워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신뢰성평가인증센터 구축사업
10,853 8,422 1,057 20,332
합 계 307,484 156,367 67,457 534,23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부산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693개로 전국의 4.1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21% 증가
- 5년간 대학 2개 감소, 공공연구소 2개 증가, 기업 393개 증가
표 3-2-17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 6.58 24 5.78 23 5.60 23 5.44 22 5.26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19 6.64 19 5.74 18 5.52 18 5.34 17 5.15
공공연구소 35 8.73 35 5.45 39 5.88 39 5.66 37 5.42
∙ 국공립 6 8.33 5 3.50 4 2.80 5 3.27 5 3.65
∙ 정부출연 12 15.79 12 7.10 11 6.75 11 6.47 11 6.67
∙ 병원 및 기타 17 5.41 18 5.45 24 6.72 23 6.28 21 5.51
기업 2,241 4.62 2,376 4.33 2,524 4.31 2,498 4.01 2,634 4.09
∙ 정부투자기관 - - 1 1.82 2 3.70 2 3.39 3 4.92
∙ 민간기업 2,241 4.62 2,375 4.34 2,522 4.32 2,496 4.01 2,631 4.09
합 계 2,300 4.67 2,435 4.36 2,586 4.34 2,560 4.04 2,693 4.1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41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부산 소재 대학 수는 21개
- 일반대학 12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가 존재
표 3-2-18 ❙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9 1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8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7 2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부산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6만 6,865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4,510명(전체의 약 8.70%), 공학계열 학생이 4만 2,924명
(전체의 약 25.72%)
표 3-2-19 ❙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4,510 42,924 57,434 18,346 19,014 9,203 16,116 46,752 166,865
비중(%) 8.70 25.72 34.42 10.99 11.39 5.52 9.66 28.02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인 지
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부산광역시에는 총 7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부경대에 1개, 부산대에 6개 센터 설치・운영
표 3-2-20 ❙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부경대학교
(1개 센터)
2022 스마트짐 기반 액티브 시니어 헬스케어 중개연구 센터 RLRC
부산대학교
(6개 센터)
2018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ERC
2018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친환경스마트선박부품기술혁신센터 RLRC
2021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ERC
2022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2023 인간중심-탄소 중립 글로벌 공급망 연구센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143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부산의 지역혁신센터는 총 2개로, 동의대, 동아대가 각각 1개를 운영 중에 있음
표 3-2-21 ❙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동의대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동아대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부산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2-22 ❙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동명대학교 동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9
동서대학교 동서대Dream.E.Valley 1999-11-22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4
1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부산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4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총 8개의 과학관이 운영 중
표 3-2-23 ❙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수산과학관 국립
국립부산과학관 국립
낙동강하구에코센터 공립
부산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부산광역시어린이창의교육관 공립
부산과학체험관 공립
씨라이프부산아쿠아리움 사립
LG디스커버랩 부산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2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중소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1-1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부산이노비즈센터 2005-02-01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 지식 창업보육센터 1999-12-13
중소조선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0-09-0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3-04-30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0-04-27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벤처진흥센터 2001-06-01
REGIONAL S&T YEARBOOK 2023 145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부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부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95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9,213명임
표 3-2-24 ❙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525 641 644 660 958
수혜자 수 18,589 13,473 17,632 12,758 19,213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부산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7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235명 양성
표 3-2-25 ❙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사)부산과학기술
협의회
4
전용공간
4개(233.58㎡)
242 734,262 66.4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1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부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6,17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008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각각 5.1%, 15.7% 감소
표 3-2-26 ❙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5,989 6,422 6,172 6,058 6,676 6,504 6,174
특허등록 건수 2,527 3,061 3,412 3,300 3,410 3,570 3,00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2년 부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765편, 주저자 기준 2,90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48%, 4.83%를 차지
표 3-2-27 ❙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4,758 7.46 99,729 20.96 2,624 5.00 33,434 12.74
2019 5,315 7.91 78,633 14.79 2,686 4.90 30,239 11.26
2020 5,583 7.58 61,052 10.94 2,882 4.83 24,006 8.33
2021 6,040 7.57 39,175 6.49 3,057 4.80 14,813 4.85
2022 5,765 7.48 12,026 2.09 2,902 4.83 4,496 1.5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14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과학기술로 앞서가는 혁신 허브 도시 ‘부산’
■ (목표) 대전환 시대 인재가 모이고 기업이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2023년도 목표: 혁신허브도시로서 산업 환경의 선도적 대전환 추진 기반 조성
■ (추진전략)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
학기술 인프라 조성,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지역R&D
시스템 정립을 통한 혁신성과 극대화
- 2023년도 추진전략 : 산업 환경의 선도적 대전환을 위한 연구개발 및 기반시설 마련 추진, 산학연
협력에 기반한 지역 산업 성장 추동 방안의 구체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전략1)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 (과학기술 혁신) 지역의 기초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신성장 동력을 발굴할 수 있는 집단 연구 활동
및 플랫폼 추진
- (디지털・에너지 전환) 규제자유특구, 데이터 활용 등 디지털 전환 및 탄소중립 대응에 필요한 기
술을 도입하고, 실증하여 기술을 산업으로 연계 추진
- (지역 산업 성장) 지역 산업이 활로를 개척하고, 산업 환경의 대전환에 지역 산업이 대응할 수 있
도록 디지털 융합 및 친환경 기술 도입 지원
- (개방형 혁신) 지식재산과 ICT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 추진 지원
■ (전략2)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 (디지털・에너지 전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 및 운영
- (지역 산업 혁신성장) 지역 산업이 산업 환경 대전환에 대응하고, 첨단화를 지향하며, 신산업을 도
입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 구축 및 운영 지원
- (초광역 연계・협력・상생) 수소, 자동차, 조선, 항공 분야 사업 연계
- (혁신생태계 조성) 연구 지원을 위한 인프라 운영 및 과학문화 확산 지원
1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전략3)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 (성장) 지역 수요 기반의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관련 신산업 및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을 지원하여
지역 성장 기반 조성
- (정주) 취・창업 지원을 위한 연계 프로그램 운영
- (체류・교류) 지역 간 인재 교류 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 발굴
■ (전략4) 지역R&D시스템 정립을 통한 지역혁신 성과 극대화
- (기획) 탄소중립 분야 및 디지털 전환 분야 R&D 사업 발굴・기획, 중앙부처 연계 강화를 통한 기
획 사업 후속 지원, 발굴 고도화 등 추진
- (예산) 제1차 부산 연구개발 중장기 투자 전략 수립・배포를 통한 핵심 분야 제시 및 예산 배분・조
정 실행으로 전문성 강화
- (평가・관리) 성과 창출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성과평가 실시 및 부산과학기술정보서비스 기반 정보
제공 확대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전략별 이행점검 고도화 : 중점추진과제의 세부과제 중 도전적인 과제에 대한 조치 마련 필요
- (초광역 협력 강화) 최근 초광역권 사업 추진이 주춤하고 있으나, 지역산업의 가치사슬을 고려하
여 초광역권 협력에 대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인재양성 등의 사업 발
굴・기획・유치 필요
- (민간 R&D 활성화 제도 마련) 민간의 R&D 참여 확대,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역에
서 추진할 수 있는 세제 혜택이나 공공구매 등 민간 R&D 활성화 제도 및 정책 마련 필요
- (인재 활용 방안의 다양화) 스타트업 인재 양성,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 및 고경력 은퇴 과학기
술인 활용, 비전공자 대상 과학기술 융합인재 육성, 지역문제해결 발굴 연계 등 도전적인 인재 활
용에 대한 지역 차원의 사업 발굴・추진 및 국비 유치 필요
- (정책연계) 유학생 활용, 정주여건 개선, 워케이션 프로그램 운영 등 청년 정책, 인구 정책 등과 연
계하여 과학기술 분야 정책 외연 확대 필요
■ R&D 예산 확대 방안 마련
ㅇ (국비 유치) 인재양성, 기반조성 유형의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사업기획 및 유치 추진
필요
REGIONAL S&T YEARBOOK 2023 149
-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전략은 국비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전략적 국비 유치 필요
・ 인재양성 전략에 투입되는 사업비에서 국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82.5%
・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 잠재적 인재 확보 등은 국가적으로 당면한 문제에도 맞닿으므로 국비 유
치를 위한 전략적 사업기획 필요
- 기반조성 유형 사업에 대한 연계사업 및 국비 유치방안 마련 필요
・ 기반조성 유형은 부산시 과학기술 분야 예산에서 34.9%, 지방비 예산에서 3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자체수행 사업비는 기반조성 유형 사업비의 5.5%를 차지하고 있어 국비 의존도와
지방비 투입 비중이 높은 편
・ 기존에 수행하던 수출용신형연구로 구축, 파워반도체 생산플랫폼, 스마트양식 테스트베드 조성
등 대형 기반조성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이르면서 사업비가 10억 이상 감축된 상태
・ 기반조성 유형의 사업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국
비를 활용하기 위한 사업기획 필요
ㅇ (연계사업 기획) 구축된 기반시설 활용 및 정책 외연 확장 측면에서 연계사업 기획 추진
- 마무리 단계에 있는 기반조성 시설을 활용하여 지역에서 추진할 수 있는 기술개발,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등의 사업기획・추진 필요
- 인재 관리, 정주여건 개선, 유학생 유치 등 지역에서 필요한 인재양성 문제를 해결하고, 정책 외연
확장을 위한 지역 고유의 사업기획 및 추진 필요
ㅇ (민간 투자 확대 방안 마련)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기술개발 유형 사업 기획 시 민간 자본을 확대
할 수 있는 정책개발 필요
-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유형은 부산시 자체수행 과학기술 분야 사업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
고 있으나 지역산업 생태계 조성 관점에서 기업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 기술개발 유형은 전체 사업비 투자 비중이 높은 편이나, 부산시 자체수행 과학기술 분야 사업에서
는 비중이 낮은 편이고 기타 재원의 활용도 적은 편이므로, 지역 차원에서 기업 참여를 통한 기술
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정책개발 및 사업기획・추진 필요
1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3절 대구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대구의 인구는 약 236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대구 인구의 비율은 4.57%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3-1 ❙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448,800 2,436,776 2,414,262 2,387,631 2,363,420
전국인구대비 비율(%) 4.75 4.71 4.67 4.61 4.57
경제활동참가율(%) 60.9 60.2 58.9 60.5 60.9
실업률(%) 4.4 3.7 3.9 3.7 2.9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15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구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1%의 증가율을 나타
냄
- 기타서비스업은 전체의 43.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2.98%로
뒤를 이음
- 건설업은 지난 5년 간 7.3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3-2 ❙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53,964,991 54,762,237 53,668,577 56,017,462 56,996,357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33,367 128,705 110,468 108,497 105,602
(지역내비중,%) (0.25) (0.24) (0.21) (0.19) (0.19)
제조업 11,421,725 10,825,618 9,914,159 10,865,507 11,265,713
(지역내비중,%) (21.17) (19.77) (18.47) (19.40) (19.77)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77,427 384,650 542,293 512,736 376,998
(지역내비중,%) (0.70) (0.70) (1.01) (0.92) (0.66)
건설업 2,358,042 2,507,401 2,972,764 3,295,073 3,358,490
(지역내비중,%) (4.37) (4.58) (5.54) (5.88) (5.89)
기타서비스업 24,279,722 24,814,180 23,978,170 24,313,590 24,564,988
(지역내비중,%) (44.99) (45.31) (44.68) (43.40) (43.1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617,260 12,182,702 12,192,536 12,839,147 13,099,677
(지역내비중,%) (21.53) (22.25) (22.72) (22.92) (22.98)
순생산물세 3,791,220 3,902,862 3,929,434 4,032,532 4,113,402
(지역내비중,%) (7.03) (7.13) (7.32) (7.20) (7.2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1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대구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6조 1,973억 원이고, 3,24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만 9,63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5조 3,542억 원(전체의 20.44%), 사업체 수에서
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707개(전체의 21.77%), 종사자 수에서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1만 5,598명(전체의 15.6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3-3 ❙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593,626 6.08 146 4.50 3,678 3.69
음료 제조업 241,433 0.92 8 0.25 231 0.2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9,844 0.34 20 0.62 358 0.3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7,486 0.07 50 1.54 897 0.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2,665 0.51 18 0.55 339 0.3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93,147 6.84 258 7.95 6,835 6.8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24,384 1.62 44 1.36 1,040 1.04
1차 금속 제조업 1,450,197 5.54 82 2.53 2,741 2.75
전기장비 제조업 1,892,587 7.22 126 3.88 5,232 5.2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440,764 16.95 506 15.58 13,159 13.2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354,176 20.44 273 8.41 13,873 13.9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9,670 0.15 7 0.22 124 0.12
가구 제조업 80,551 0.31 15 0.46 234 0.23
기타 제품 제조업 75,148 0.29 25 0.77 425 0.4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5,010 0.06 7 0.22 148 0.1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2,921 0.05 2 0.06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231,363 12.33 707 21.77 15,598 15.6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802,439 6.88 539 16.60 13,291 13.3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6,134 3.38 149 4.59 3,724 3.7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1,131 0.84 84 2.59 1,912 1.9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93,088 3.03 60 1.85 2,261 2.2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12,242 4.63 83 2.56 2,966 2.9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7,246 1.52 38 1.17 987 0.99
합 계 26,197,252 100 3,247 100 99,635 100
REGIONAL S&T YEARBOOK 2023 15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로 나타남
표 3-3-4 ❙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
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비교적
높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음료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1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구광역시는 ‘반도체’, ‘UAM‘, ‘로봇’, ‘헬스케어’, ‘ABB‘, ‘핵심인재 육성’ 사업을 집중적으
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3-5 ❙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반도체
센서산업 지역거점 구축지원
시간기반 회로를 이용한 가변형 다중 센서 인터페이스 개발 등
UAM
미래모빌리티 선도기술 개발지원
자동차 산업 미래 기술혁신 오픈 플랫폼 생태계 구축
로봇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정밀기계가공산업 육성사업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대구 스마트 웰니스)
지역 바이오헬스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지원사업
ABB
지역산업 맞춤형 인공지능 응용기술 지원
지역산업기반 지능형 무인이동체 응용기술 개발 지원
핵심인재 육성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
※ 출처 : 대구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5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16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단지 21곳의 가동 업체는 9,782개, 총 종사자는 118,777명
표 3-3-6 ❙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구국가 8,559 7,479 274 159 4,626 95 조성중
일반
성서1차[재생사업지구] 2,687 2,687 875 868 11,400 100 완료
성서2차[재생사업지구:부분] 4,750 4,544 1,110 1,102 17,639 100 완료
성서3차 3,329 2,831 695 688 10,649 100 완료
성서4차 433 433 62 62 3,594 100 완료
대구출판 243 243 110 109 971 100 완료
대구이시아폴리스 1,176 1,176 58 57 1,535 100 완료
검단 782 782 579 571 7,856 100 완료
대구염색[재생사업지구] 849 849 127 123 4,620 100 완료
달성1차 4,078 4,078 342 316 13,114 100 완료
달성2차 2,707 2,377 289 254 4,559 99 완료
대구테크노폴리스 7,258 7,258 79 79 6,354 73 조성중
성서5차첨단 1,470 1,406 118 117 4,064 100 완료
대구제3[재생사업지구] 1,685 1,684 2,501 2,501 8,377 100 완료
달성대성하이스코 58 58 2 0 0 70 완료
금호워터폴리스 1,185 1,185 0 0 0 57 조성중
서대구[재생사업지구] 2,662 2,660 2,689 2,664 17,410 100 완료
도시
첨단
대구신서혁신도시
(공공주택지구)도시첨단
149 149 0 0 0 26 완료
율하 167 167 0 0 0 0 조성중
농공
구지 193 193 21 21 561 100 완료
옥포 162 162 48 48 509 100 완료
1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군위 301 301 33 30 749 100 완료
호령 112 112 14 13 190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대구시에는 총 1,33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39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9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02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
업’(101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
기업 위치
표 3-3-7 ❙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1 1
광업(05~08) 3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5 32 36
음료 제조업 1 1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1 70 6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 13 1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5 6 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 2 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 8 1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5 11 1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3 34 3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 7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7 43 46
REGIONAL S&T YEARBOOK 2023 15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4 9 12
1차 금속 제조업 19 16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33 95 9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3 48 5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1 100 101
전기장비 제조업 75 71 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32 184 20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2 63 6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2 11 11
가구 제조업 8 6 6
기타 제품 제조업 41 34 3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 3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3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4 4
건설업(41~42) 22 16 22
도매 및 소매업(45~47) 27 26 29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223 216 239
금융 및 보험업(64~66) - - 1
부동산업(68) 2 1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9 81 97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7 7 9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6 4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429 1,231 1,337
1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구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0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850명으로 전국 대비 2.56%를 차지하였고, 최근 연구개발인력 5개년
동안 연평균 5.63% 증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9,900명(전국의 1.8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이 9,329명(전국의 4.20%)으로 대학이 뒤를 이었으며, 공공연구소는1,621명(전국의 2.37%)으로
가장 적게 나타남
표 3-3-8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815 4.06 8,096 4.17 8,633 4.17 9,205 4.38 9,329 4.20
∙ 국공립 5,990 7.54 6,155 7.70 6,489 7.49 7,100 8.17 7,443 8.29
∙ 사립 1,825 1.61 1,941 1.70 2,144 1.78 2,105 1.71 1,886 1.42
공공연구소 1,511 2.59 1,643 2.63 1,799 2.81 1,647 2.47 1,621 2.37
∙ 국공립 415 3.39 488 3.79 155 1.21 152 1.13 155 1.17
∙ 정부출연 478 1.47 525 1.52 523 1.54 425 1.25 449 1.29
∙ 병원 및 기타 618 4.55 630 4.18 1,121 6.45 1,070 5.56 1,017 4.95
기업 9,634 2.19 10,000 2.16 10,064 2.11 10,188 2.00 9,900 1.89
∙ 정부투자기관 57 1.46 49 1.27 61 1.63 44 1.14 61 1.53
∙ 민간기업 9,577 2.19 9,951 2.17 10,003 2.12 10,144 2.01 9,839 1.90
합 계 18,960 2.74 19,739 2.75 20,496 2.74 21,040 2.68 20,850 2.5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59
■ ’22년 대구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1명 감소한 61.2명으로 조사됨
표 3-3-9 ❙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54.8 57.6 60.1 62.2 61.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대구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5,874억 원으로 전국의 1.40%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55%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503억(전국의 4.37%), 공공연구소는 약
2,703억 원(전국의 2.09%), 기업이 약 8,579억 원(전국의 0.96%)을 기록
표 3-3-10 ❙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26,642 4.63 345,594 4.69 391,422 4.69 431,055 4.62 450,273 4.37
∙ 국공립 276,975 8.97 291,210 8.89 330,633 8.76 362,176 8.59 396,534 8.75
∙ 사립 49,667 1.25 54,384 1.33 60,789 1.33 68,879 1.35 53,739 0.93
공공연구소 215,880 2.19 209,394 2.06 224,681 2.02 261,320 2.18 270,272 2.09
∙ 국공립 27,653 3.40 35,041 4.19 10,292 1.21 31,576 3.26 9,858 0.97
∙ 정부출연 107,320 1.42 101,405 1.30 69,819 0.84 59,968 0.69 66,917 0.72
∙ 병원 및 기타 80,907 5.46 72,948 4.78 144,571 7.29 169,776 7.35 193,497 7.37
기업 783,257 1.14 781,038 1.09 748,003 1.02 795,267 0.98 857,891 0.96
∙ 정부투자기관 3,841 0.42 6,550 0.75 5,396 0.62 5,324 0.62 5,533 0.62
∙ 민간기업 779,416 1.15 774,488 1.10 742,607 1.02 789,943 0.99 852,358 0.96
합 계 1,325,779 1.55 1,336,026 1.50 1,364,107 1.47 1,487,642 1.46 1,578,436 1.4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대구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37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42%
표 3-3-11 ❙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233 6,301 6,842 7,168 7,376
(3.2) (3.1) (3.0) (3.0) (2.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
- 지역 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5억원), 대구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5.7억원), 대구산업경제
혁신성장거버넌스 구축・운영(6.6억원) 등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217억원),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연구개발 실증사업(123.8
억원) 등
■ 의료산업 육성 및 위드 코로나 대구의료관광 활성화
- 대경권 지역기반 스마트 의료ICT 융복합 중소기업 활성화(16.1억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
재단 운영(21.9억원), 3D프린팅 의료기기 상용화 실증지원(21억원) 등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미래형자동차 선도기술 개발지원사업(60억원), 전기자율차 활성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 고도
화(48.6억원), 미래형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 기반조성(26억원) 등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65.3억원),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지원(54.6억원), 초기창업패키지 지원
사업(39억원),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17.2억원) 등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161.6억원),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지원(6.7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161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구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혁신성장실에서 담당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1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3-12 ❙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4,127 2 11,026 158 53 46 2,78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3-13 ❙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혁신성장관
∙ 지역산업 정책의 종합기획 및 조정, 미래산업 관련 신사업 발굴 및 계획 수립
∙ 디지털혁신진흥원 운영 및 지도・감독,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구축 업무(SW진흥단지 지정 포함),
디지털혁신 프로젝트 추진 및 거버넌스 운영 디지털혁신 생태계 조성사업 기획 및 발굴
∙ 수성알파시티 의료시설용지 용도변경 업무 제2 수성알파시티 조성 기획 디지털 혁신 앵커시설 구
축 업무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 총괄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교통, 도시행정, 데이터허브에 관한
사항, AI 기반 스마트교통체계 구축(스마트시티 챌린지), 스마트시티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
항, 스마트시티 신규 공모사업 발굴 및 대응
∙ oT 테스트베드 활성화에 관한 사항 ONE 네트워크 사업 추진 IoT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확산사업
및 사후관리 스마트시티 도시개발・실증(교차)・공모사업 IoT산업 육성
∙ 반도체 산업 육성 미래산업 관련 신사업 추진,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조성사업 추진 ・ 거점기관 개
방형 혁신 사업 추진
미래모빌리티과
∙ 미래모빌리티 특화도시, 미래모빌리티육성계획,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산업 육성 계획 수립,
UAM 산업기반 구축 지원 사업 추진
∙ 구동전장부품산업 육성, 전력기반차 e-DS(e-Drive System) 핵심부품산업 육성사업, 전기동력모
듈 부품기업 평가지원기반 구축사업, 미래형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기반 구축사업, ZE기반 xEV
신뢰성 평가플랫폼 구축사업
∙ 자율주행자동차 산업 육성 계획 수립,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관리(리빙랩),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 플랫폼 구축, 자율주행 융합관제센터 지원,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주행시험장 고
도화 추진
∙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 자동차산업 미래기술혁신 오픈플랫폼 생태계 구축,자율주행 경
진대회 업무 추진, 지역 연계 미래모빌리티 AI 융합기술개발, 자율주행자동차 시험, 평가, 연구기
반 구축,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범사업
∙ 마이크로EV 산업 육성, 미래모빌리티 선도기술개발사업, 전동화 모듈 부품 평가지원 기반구축사업,
시장창출형 E-모빌리티 생산기반연계 지원사업, 미래자동차 전기구동부품,제조공정 고도화 기반구
축 사업
가계로봇과
∙ 소부장정책 수립 : 소부장뿌리 용역,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농기계 박람회(격년), 대구국제자동화기
기전 개최지원 및 기계대전 총괄, DMI 지원
∙ 로봇산업 육성 계획 및 정책 수립, 로봇산업 가치사슬 확장 및 상생시스템,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
자유특구, 글로벌 혁신특구, 로봇공약관리
∙ 기계・뿌리산업 육성, 뿌리기업의 차세대 전환 지원사업,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기술지원사업, 뿌리
기술 장인 노하우 디지털 전승사업, 산업용 섬유기계 핵심모듈부품 기술개발, 정밀기계가공산업 육
성사업, 대구국가산단 표면처리특화단지 지원, 기계산업 수출역량 강화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163
∙ 로봇산업육성 업무총괄(로봇R&D, 인프라 구축), 스마트 로봇혁신지구 조성, 지역도심 융합기술 연
구개발 사업, 서비스로봇 사용 편의성 사업화 지원사업, 로봇핵심부품 신뢰성 테스트베드 구축
∙ 5G 기반 첨단제조로봇 실증기반 구축, 스마트이송물류 AMR산업육성 플랫폼, 로봇지원기관 지원
(KIRIA), 로봇ODA, AI・5G기반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지원사업
∙ 소재부품산업 업무 총괄, 소재부품 신규사업 기획, 첨단메카닉 고분자 디지털융합 플랫폼, 소재부
품2.0 기술자립 지원센터, 첨단나노소재부품 사업화 실증기반 고도화, 첨단기능성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상용화 지원, 나노소재부품산업 가치사슬 혁신사업
∙ 영세소재부품기업 경쟁력 강화지원사업, 나노융합기반 고도화사업,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 품질
분임조 활성화 지원사업, 국제부품소재산업전, 제품안전관리, 지역사업 진흥사업
의료산업과
∙ 보건의료산업육성위원회, 메디시티대구협의회 관련 업무, 의료산업 중장기발전계획(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육성계획), 메디엑스포코리이 총괄(건강의료산업전 개최)
∙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 총괄, IoT기반 웰니스 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실증, 아-태 안티에이
징 컨퍼런스 개최, 의료관련 정부지정 연구센터(MRC, ERC)육성 및 지원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
연구센터 지원, 종양가소성 연구센터 지원, 세노테라피 기반 대사질환 제어 연구센터 지원
∙ ABB기반 신규사업 추진, 의료데이터 활용 지원시스템 구축 사업, 초광역 뇌질환 데이터 스테이션
구축, 임상중개지원센터 등, 지방소멸 대응기금사업, 신규사업 및 프로젝트 발굴
∙ 의료R&D사업 및 산・학・연 공모사업 지원, 고기능 인체결합 의료기기 산업육성 플랫폼 구축지원,
지역주력산업(R&D 및 비R&D) 육성, 비교임상 기반 지역의료산업 역량강화 ,첨단의료기기 공동제
조소 구축(규제특구 재정지원), 3D프린팅 의료기기 상용화 실증지원
∙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 추진, 초연결 치과산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사업, 지역 의료기기 토탈마케
팅 지원, 의료산업육성정책 역량강화 ODA사업, 대구국제치과종합학술대회(DIDEX) 개최 지원, 영
상진단 의료기기 탑재용 AI기반 의료영상분석 솔루션 개발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바이오 중심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
성방안 관련 사업 추진, 뇌산업 혁신클러스터 구축사업 용역 추진, 뇌산업 관련 신규 사업 추진,
인프라 확충(2단계 우뇌동, 실용화센터 건립 등), DGIST 후각융합연구센터 지원 등
∙ 첨단임상시험센터 건립 지원, 제약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구축, 메디밸리 창업지원센터 건립, 스마
트 웰니스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지원, 인체 유래 콜라겐 적용 의료기기 실증, 스마트 임상시험・
관리 플랫폼 실증
∙ 의료관광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MICE・웰니스 연계 의료관광, 한의약산업 선진화 지원사업, 한의
약 소재은행 사업, 한방 제조・서비스 지원 사업, 지역연고산업 육성사업(3H 모발케어)
∙ K-뷰티 수출 컨소시엄 활성화 지원 사업, 스타 뷰티 브랜드 육성 사업, 뷰티 피부임상 특화지원
사업, 광역권 뷰티산업 밸류체인 사업, 남구 토탈뷰티 사업(지방소멸대응기금), 지역주력산업 육성
사업(뷰티산업), 한방의료체험타운 운영(약령시장 청년몰 포함)
에너지산업과
∙ 신재생에너지 이용・보급・촉진 정책수립 업무, 지역에너지 계획 및 정책수립 업무, 지역에너지 계획
및 정책수립 업무, 산단 지붕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업무, 집단에너지 사업 및 그린뉴딜(에너지 분
야) 사업, 에너지산업지원센터 운영 업무
∙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조성, 이차전지 산업 지원 인프라 구축 업무, 배터리(이차전지) 산업육성, 사
용후 배터리 활용 융합산업 육성, 배터리 기업유치・기술개발・산업화 지원 업무
∙ 에너지 산업육성 및 정책수립, 탄소중립(에너지) 사업발굴・추진, 에너지 효율화 산업 육성, 산업단
지 에너지 효율화 사업 발굴・추진 전원개발, 송전선로 지중화 등 한전 업무
∙ 차세대 배터리 중심 에너지 기업지원 사업, 배터리 기술개발 및 기업 유치, 지역에코 혁신사업 추
진 업무, 지역 주력산업(에너지 분야) 업무
∙ 수소산업 기반시설 확충 및 육성계획 수립, 수소충전소 구축, 수소산업 지원조례 운영 및 수소 신
산업 발굴, 한국가스공사 연계 수소 관련 협업 사업 추진,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및 탄소자원화
산업육성 업무
1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7조(위원회의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유공자 선정에 관한 사항
AI블록체인과
∙ ABB 테스트베드 실증 추진, 인공지능(AI)융합 지역 특화산업(AI+X)추진, SW융합클러스터 2.0 사
업, ABB 초기시장 진출지원, AI블록체인 전략 및 시행계획 수립 블록체인 산업 육성
∙ 블록체인 규제샌드박스 신규사업 발굴 지역 디지털 자산 산업 육성 지원, 지역스포츠기업지원센터
구축, 전파플레이그라운드 구축 및 운영, AI기반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구축, 사업 지역 제조
업 설계지원 사업
∙ ICT융합사업 발굴 및 추진, ETRI 대경권연구센터 지원, 인공지능 응용기술 지원 및 지능형 무인
이동체 응용기술 개발 지원 사업 추진,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 사업 추진, 지역첨단 HCI산업 거
점기반 구축 사업 추진, ABB 해커톤 대회 지원
∙ 대한민국 ICT융합엑스포 개최 추진, 지역거점 5G융합서비스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 거주환경 단말
간 자율군집형 커뮤니티 컴퓨팅 기술개발(2단계),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지원 사업, K-ICT
3D프린팅 지원센터 운영 지원, SW재난연구센터 지원 사업, 열린혁신 디지털 오픈랩 구축
∙ AI, 블록체인 기반 행정정보화 계획 수립, ICT신기술 기반 시민편의 서비스 기획 및 추진, 블록체
인 시민체감서비스 확대구축 취약계층 비대면 아동급식지원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블록체인 기반
3無 서비스 확대(공약) 블록체인 공동활용 플랫폼, 대구ID 운영 에듀테크 소프트랩 구축 및 운영
사업, 초기기업 SW제품 상용화 지원 사업, 대구정보보호지원센터 지원 사업
∙ 지역 메타버스 산업 육성계획 수립, 메타버스 선도사업 기획 및 국비사업 발굴・추진, 뉴테크 융합
지원 창작플랫폼 구축사업,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센터 구축・운영,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센터 구축・
운영, 메타버스 대구월드 조성사업, 메타버스 기반 제조공정 혁신지원사업, 공공부문 메타버스 서
비스 활성화 지원(금호강 르네상스 TF참여 등)
빅데이터과
∙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시행계획 수립, 데이터 산업 관련 과제 발굴 데이터 관련 국비사업 발굴
및 추진, 양자정보 산업 육성, 국가 디지털데이터 허브 구축 지원
∙ 공공데이터 이용활성화 업무,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및 발굴, 개방 및 제공 공공데이터 평가(관리체
계, 개방, 활용), 공공데이터 기업매칭 사업 발굴 및 추진,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 공공데이터 포털시스템 운영(제공신청 처리 및 현행화),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수준진단・평가), 공
간정보 품질관리 수준평가 기관메타시스템 운영, 메타데이터 관리 디지털 시정현황판 운영 및 고
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165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2년(1회에 한하여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2023.2/11)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22년 추진실적, 제6차 대구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3-14 ❙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정장수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최운백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김지인 대구보건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김춘희 대구사이버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김현덕 경북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남윤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09.09. ~ 2025.09.08
위원 문기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3.09.09. ~ 2025.09.08
위원 박철영 대구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신진교 계명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이난희 (사)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2023.09.09. ~ 2025.09.08
위원 이혜진 경북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2023.09.09. ~ 2025.09.08
위원 김대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3.09.09. ~ 2025.09.08
※ 출처 : 대구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1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구시의 총예산은 약 19조 2,76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766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92%
- 과학기술 예산 중 대구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4.28%
표 3-3-15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92,767
재정자주도(%) 64.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15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76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4.28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167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대구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722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는 각각 1,262억 원, 1,100억 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이 투자됨
표 3-3-16 ❙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운영 지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운영
한국염색기술연구원 운영 위탁
- 1,950 - 1,95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구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지역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
205 950 500 1,15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
지능형 건설자동화연구센터 지원
40,296 3,707 3,451 47,45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
혁신도시공공기관 연계 육성사업(대구)
17,759 7,698 3,476 27,462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전기자율차 활성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
고도화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
126,214
109,985
.5
16,020 272,223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대구경북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 출연금
첨단임상시험센터 건립
30,765 7,387 24,174 62,32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플랫폼 구축
5G기반 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
플랫폼(기반조성)
28,665 32,474 2,204 63,377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대구)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22,060 12,482 5,221 39,163
합 계 265,964 176,634 55,046 515,11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대구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2,141개로 전국의 3.2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53% 증가
- 5년간 대학 2개 증가, 공공연구소 2개 감소, 기업 157개 증가
표 3-3-17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 4.38 15 3.61 16 3.89 18 4.26 18 4.31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6 6.98 6 6.82
∙ 사립 11 3.85 10 3.02 11 3.37 12 3.56 12 3.64
공공연구소 29 4,74 30 4.67 31 4.68 28 4.06 27 3.95
∙ 국공립 2 1.53 2 1.40 2 1.40 2 1.31 2 1.46
∙ 정부출연 11 1.20 12 7.10 10 6.13 9 5.29 10 6.06
∙ 병원 및 기타 16 5.10 16 4.85 19 5.32 17 4.64 15 3.94
기업 1,939 3.99 2,077 3.79 2,150 3.68 2,202 3.54 2,096 3.26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2 3.70 2 3.39 2 3.28
∙ 민간기업 1,937 3.99 2,075 3.79 2,148 3.68 2,200 3.54 2,094 3.26
합 계 1,984 4.02 2,122 3.80 2,197 3.69 2,248 3.55 2,141 3.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69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대구 소재 대학 수는 12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7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3-18 ❙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7 7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9 1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대구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1,46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167명(전체의 약 12.21%), 공학계열 학생이 2만 876명
(전체의 약 22.82%)
표 3-3-19 ❙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167 20,876 32,043 17,388 8,119 7,053 6,671 20,193 91,467
비중(%) 12.21 22.82 35.03 19.01 8.88 7.71 7.29 22.08 100.00
※ 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대구광역시에는 총 10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경북대가 7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대구한의대학교에 1개가 있음
표 3-3-20 ❙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7개센터)
2017 얼굴 신경-뼈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8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ERC
2020 혈관-장기 상호작용 제어 연구센터 MRC
2021 소프트웨어재난 연구센터 ERC
2021 종양 가소성 연구센터 MRC
2022 비선형 동역학 수리응용 센터 SRC
2022 메타버스 가상서원 구축을 위한 딥러닝 기반 전통기록물 해독 C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기상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 ERC
2018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 ERC
대구한의대학교
(1개 센터)
2018 간질환 한약 융복합활용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171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구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에 계명대가 3개, 대구한의대, 경북대, 영진전문대에서 각 1개씩
존재했지만, ’23년에는 계명대 2개만 운영 중에 있음
표 3-3-21 ❙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계명대
예측설계기반 전자화자동차부품 지역혁신센터
전통미생물 자원개발 및 산업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1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대구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3-22 ❙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9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6-22
계명문화대학교 계명문화 창업보육센터 2017-06-30
한국환경공단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창업보육센터 2019-09-04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대구경북중소기업청 경북대학교 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9-12-24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9-06-08
(대구)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대구드림파크 (포스트BI) 1998-05-28
대구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30
대구광역시 대구스케일업허브(DASH) 2021-06-30
수성대학교 수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0-2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17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구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7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3-23 ❙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대구기상과학관 국립
국립대구과학관 국립
대구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대구광역시어린이세상 공립
아이니테마파크 사립
네이처파크 천문과학관 사립
대구 아쿠아리움 전문 과학관 사립
※ 출처 : 2023년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구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대구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4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514명임
표 3-3-24 ❙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45 295 231 283 247
수혜자 수 3,999 2,278 3,809 4,950 5,514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1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대구 특허출원 건수는 4,68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509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7.0%, 11.6% 감소
표 3-3-25 ❙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4,735 4,779 4,619 4,801 4,782 5,037 4,683
특허등록 건수 2,365 2,612 2,519 2,781 2,881 2,837 2,50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대구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040편, 주저자 기준 2,559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54%, 4.26%를 차지
표 3-3-26 ❙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4,149 6.51 79,176 19.08 2,131 4.06 33,566 15.75
2019 4,211 6.26 67,869 16.12 2,087 3.80 25,963 12.44
2020 4,880 6.62 56,527 11.58 2,515 4.22 22,990 9.14
2021 5,209 6.52 40,935 7.86 2,630 4.13 14,522 5.52
2022 5,040 6.54 11,611 2.30 2,559 4.26 4,423 1.7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17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기반 글로벌 미래번영 도시 대구
■ 목표 :
- 미래번영의 토대 마련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제고
- 과학기술 기반의 지속가능한 미래 신산업 창출・육성
- 과학기술 중심 지역 혁신 및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전략 :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 지역 혁신 주체의 성장을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 주도 R&D 혁신 거버넌스 구축
- 지역 과학기술진흥위원회, 과학기술 전담조직 등 과학기술 정책 의사결정체의 위상 강화
- 지자체 주도의 과학기술 정책・사업조정 및 예산배분 등 청책-예산간 연계체계 강화 등
■ 지역 R&D 정책기획 역량 강화
- 증거 기반의 R&D 정책 기획 및 수립을 통한 지역 주도의 자생적 혁신생태계 조성
- 지역 내 산・학・연・관 협업・협력 기반의 지역 경제산업 분석 및 지역 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 수
립 및 정책사업 발굴・기획 등
■ DTIS 기반의 지역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환류체계 강화
- 지역 내 연구개발사업 간 연계・중복 조정 및 컨설팅을 통한 예산 투자 효율성 향상 및 사업성과의
극대화
- 전국 최초 지역 연구개발사업 조・분・평 체계 기반인 “대구과학기술정보서비스(DTIS)”을 통한 성
과관리체계 확립 및 대구형 조사・분석・평가 플랫폼 고도화 등
■ 지역 대학・혁신기관의 지역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1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대학 중심의 지역 전략산업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 기반 창업・사업화 지원 강화를 통
한 기술혁신 선도 및 혁신성과 창출
- 지역대학 및 지역 혁신기관의 연계협력 플랫폼 구축・운영을 통한 미래 신산업 발굴・육성 및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 고도화 등
■ 출연연 중심 지역대학-혁신기관 연계 융합・중개연구 거점 활성화
- 지역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대학-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킹, 지식 공유 플랫폼 및 공동연구 프
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육성
- 지역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협력 문제해결 플랫폼 구축과 주력산업 기반 융합연구를 통한 미래
기술 개발 및 임무지향형 연구거점 구축 등
■ 산・학・연 연구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선순환 체계 활성화
- 지역이 필요로 하는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지역산업과 연계한 개방형 연구 활성화로 지역 혁신기
관의 기술역량 강화 및 미래 지역 혁신활동 촉진
-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
■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플랫폼 강화
- 지역 공공연구 성과가 사업화・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학 창업 및 연구소기업 성장 체계적 지원
- 지역 기반 공공, 민간 TLO의 안정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역 비중 확대 및 사업체계 개편 등
■ 지역 맞춤형 산업기술 인재 양성
-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기술 전문인력 양성 및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신산업 및 미래 전략산업
분야의 인재 양성
- 지역 수요기반의 산업구조 전환 대응을 위한 미래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 역량과 산업 경쟁력을 동
반 강화시키는 우수 석・박사 연구 고급인력 양성 등
■ 대구형 창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기업 육성・지원
- 창업기업의 질적 성장구현을 위한 혁신기관 연계・협력 체계 구축
- 지역 주도의 창업 붐업 및 창업 전주기 지원을 통한 창업・벤처투자 생태계 강화 등
■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 지역기업의 중개연구, 사업화 비즈니스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 지역혁신기관의 협력 강화를 통한
지역 R&D 공공연구 성과의 지역확산
- 지역기업의 단계별 성장 촉진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출연(연) 등 이해관계자 참여로 지
역혁신기관 연계 연구개발 플랫폼 활용성 증대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177
■ 기술・산업 변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및 탈탄소화 전환 지원
- 기존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개선 및 입주 업종의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기반 인프라 개선 등 첨단업
종 및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지원
- 기존 클러스터 내 산・학・연 간 협력 연구개발 기능 강화로 제조・서비스업 기업의 디지털 기반 전
환, 제조혁신 지원 등 기술 변화 대응을 위한 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추진 등
■ 차세대 연구혁신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지역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규제개혁을 통한 지역 주도의 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연구중심의 혁신클러스터 구축 등
■ 지역 R&D 거점기관과 연계한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R&D 거점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 연계・협력 강화
- 디지털화를 통한 산업별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및 미래 신산업 기반의 클러스터 첨단화 기반 마련 등
■ 도심형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확산
-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반의 첨단 디지털 도시환경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력난 해소를 위한 도심형 벤처・창업 혁신거점 조성 등
■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정착지원체계 마련
- 지역 과학기술 인력의 현장중심형 인재 양성 및 지역 정착 유도
-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사업모델 혁신, 아이템 고
도화 등 지역의 유망 청년창업기업 활성화 추진 등
■ 지역 내 과학기술 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산업의 비즈니스 창출과 신성장 산업육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중심의 신기술 교류협력 및 마케
팅 활로 개척 등 전시회 개최 지원
- 시민 과학기술 체험 및 활동 기회 확대를 통한 지역 기반의 과학기술문화 저변확대 등
■ 지역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미래유망 ICT 신기술(5G, AI, VR・AR)과 이종분야(교통, 제조, 농업 등) 간 디지털 융합을 통한 혁
신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혁신적 창작 아이디어 발굴과 개발 지원을 위한 융복합형 랩을 통해 창의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혁신생태계 기반 구축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시민 접근 편의성・만족도 제고와 함께 첨
단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1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R&D 혁신주체(시민, 연구기관, 대학 등)들이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R&D로 기획・수행
경험을 통한 자생적 R&D 생태계 구축 및 역량 강화 추진 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 R&D 혁신 거버넌스 구축
- 지역과학기술진흥위원회 기능 강화를 통한 지역 주도 R&D 거버넌스 구축
-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조정회의를 통한 R&D 사업의 지역 효과성 및 예산투자 효율성 강화
■ 지역 R&D 정책기획 역량 강화
- 지역 과학기술 씽크탱크로 조사분석 기반의 정책 기획・수립 역량 강화
- 소통・공유・협력을 통한 과학기술기반 대구경제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산・학・연・관 협업・협력의
경제산업 정책 및 사업 발굴・기획 플랫폼 구축
■ DTIS 기반의 지역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환류체계 강화
-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를 통한 사업수행 책임성 강화, 사업간 중복 조정 및 우수사례 확산
으로 투자 효율성 향상
- 대구과학기술정보서비스(DTIS) 정보 현행화를 통한 체계적인 정책수립, 기업지원, 예산 조정・배
분의 시의성 높은 정보제공 및 활용성 강화
■ 지역 대학・혁신기관의 지역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 권역별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전략산업・기술과 연계한 융합형 핵심기술 산・학・연 협력
연구 촉진
- 지역 미래산업 분야 공동연구 등 기술 중심 중・장기 산학협력 및 도출된 기술 기반 창업・사업화 지
원 강화로 지역 기술혁신 선도
■ 출연연 중심 지역대학-혁신기관 연계 융합・중개연구 거점 활성화
- 지역 융합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 출연연-거점대학 연계 임무지향형 연구거점 구축
- 출연연, 대학의 우수 연구 인프라 개방・공유를 통한 디지털 전략산업육성 지원체계 활성화
■ 산・학・연 연구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선순환 체계 활성화
- 지역 산・학・연 협력으로 구성된 기술혁신 생태계 구축을 통해 기업 수요 기반의 기초・원천연구, 중
개연구, 사업화 지원 및 미래 유망 기술개발 등 지역혁신 역량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179
- 연구개발 성과가 지역혁신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 지원체계 강화
■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플랫폼 강화
-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지차체 또는 초광역 단위의 ‘개념검증
센터’ 구축・지원
- 지역 기반 공공, 민간 TLO의 상호 협력 기반으로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산업기술 인재 양성
- 지역 산업・기업육성 정책을 연계 등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사업의 추진으로 실무 중심의
인재 양성 교육과정 확대
- 신산업 및 지역 전략산업 분야 종합적 미래인재 양성 및 기업가형 대학 육성지원을 위해 지역대학,
연구기관 등 산・학・연・관 교육 협력체계 활성화
■ 대구형 창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기업 육성・지원
- 지역 주도의 창업 및 기술사업화 관련 산・학・연이 참여하는 창업 협력체계 구축
- 고성장 스타트업 등 유망 창업기업 지원 및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주기 지원시스템 구축을 통
한 창업문화 확산
■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 지역 기업이 First Mover로 변화하기 위한 독일 Industry 4.0의 연결성 기반 지역 혁신기관간 수
평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중개연구 중심 정책・원천융합연구 추진
- 지역 기업의 단계별 성장 촉진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출연(연) 등 지역혁신기관과 연계
한 연구개발 플랫폼 활용성 강화
■ 기술・산업 변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및 탈탄소화 전환 지원
- 기존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개선 및 입주 업종의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기반 인프라 개선 등 첨단업
종 및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지원
- 기존 제조・서비스업 기업의 디지털 기반 전환,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스마트 제조 및 보안 인프라
개발・실증 관련 연구개발 기능 강화
■ 차세대 연구혁신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역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혁신사업 발굴을 위한 규제개혁 및 생태계 조성을 주
도할 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역 특화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지속발전을 위한 연구중심의 혁신클러스터 지원체계 구축
1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R&D 거점기관과 연계한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특화산업별 혁신클러스터 맞춤형 지원을 위한 발전방향 수립 및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신시장 및
고용 창출 촉진
- 지역 R&D 거점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 내, 클러스터 간 연계・협력 강화 및 지원
효율성 제고
■ 도심형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확산
- 첨단 디지털 도시환경 조성 및 지역주도 디지털 혁신 거점 구축 등 SW・ICT융합산업 기반 조성 및
활성화
- 인공지능 인프라 기술 선도를 위한 AI산업 생태계 기반 조성 및 전 분야 확산 지원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정착지원체계 마련
- 지역 산업의 고용 관련 기관・단체 등 협력을 기반으로 중앙부처의 산업・경제정책 지원사업 등과 연
계 추진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일자리 사업추진
-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사업모델 혁신, 아이템 고
도화 등 지역의 유망 청년창업기업 활성화 추진
■ 지역 내 과학기술 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산업의 비즈니스 창출과 신성장 산업육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중심의 신기술 교류협력 및 마케
팅 활로 개척 등 전시회 개최 지원
- 지자체 등 협력 기관과 연계한 과학교실 운영으로 실생활에서 과학기술 체험 및 활동 기회 제공으
로 지역 기반의 과학기술문화 저변 확대
■ 지역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미래유망 ICT 신기술(5G, AI, VR・AR)과 이종분야(교통, 제조, 농업 등) 간 디지털 융합을 통한 혁
신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혁신적 창작 아이디어 발굴과 개발 지원을 위한 융복합형 랩을 통해 창의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
생태계 구축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혁신생태계 기반 구축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시민 접근 편의성・만족도 제고와 함께 첨
단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 지역 R&D 혁신주체(시민, 연구기관, 대학 등)들이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R&D 기획・수행을
통한 자생적 R&D 생태계 구축 및 역량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181
제4절 인천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인천의 인구는 약 296만 명으로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인천 인구의 비율은 5,73%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4-1 ❙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935,848 2,952,200 2,951,065 2,940,927 2,960,685
전국인구대비 비율(%) 5.69 5.70 5.70 5.68 5.73
경제활동참가율(%) 65.7 65.4 64.2 63.9 64.8
실업률(%) 4.3 4.4 4.6 4 3.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조사 시점: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1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인천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9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06%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38.1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24.67%로 그 뒤를 이음
- 건설업은 지난 5년 간 8.0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4-2 ❙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86,426,825 87,963,593 84,907,539 90,325,899 95,712,639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45,002 338,881 362,735 358,850 310,990
(지역내비중, %) (0.40) (0.39) (0.43) (0.40) (0.32)
제조업 21,204,060 20,556,208 20,956,180 22,834,288 23,615,976
(지역내비중, %) (24.53) (23.37) (24.68) (25.28) (24.6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855,800 3,984,357 3,797,453 4,130,562 4,050,534
(지역내비중, %) (4.46) (4.53) (4.47) (4.57) (4.23)
건설업 4,431,636 4,403,137 5,273,314 6,041,804 6,534,869
(지역내비중, %) (5.13) (5.01) (6.21) (6.69) (6.83)
기타서비스업 36,179,216 37,606,083 32,914,087 33,946,901 36,547,502
(지역내비중, %) (41.86) (42.75) (38.76) (37.58) (38.1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496,071 13,243,418 13,439,020 14,145,323 14,936,424
(지역내비중, %) (14.46) (15.06) (15.83) (15.66) (15.61)
순생산물세 7,855,623 7,842,827 7,556,792 8,285,820 8,328,108
(지역내비중, %) (9.09) (8.92) (8.90) (9.17) (8.7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183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인천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63조 7,442억 원이고, 4,55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23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생산액 약 8조 9,988억 원(전체의 14.12%), 사업체 수 887개(전체
의 19.49%), 종사자 수 2만 5,517명(전체의 14.9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4-3 ❙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5,428,387 8.52 221 4.86 7,953 4.67
음료 제조업 - - 1 0.0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635,036 2.56 149 3.27 4,087 2.4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45 0.99 1,097 0.6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82,756 4.52 22 0.48 1,658 0.9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152,055 4.94 366 8.04 10,758 6.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07,557 1.89 93 2.04 2,568 1.51
1차 금속 제조업 7,667,366 12.03 232 5.10 6,756 3.97
전기장비 제조업 3,233,401 5.07 384 8.44 11,260 6.6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998,806 14.12 887 19.49 25,517 14.9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887,442 13.94 195 4.29 8,396 4.9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6,694 0.15 19 0.42 411 0.24
가구 제조업 719,777 1.13 101 2.22 2,640 1.55
기타 제품 제조업 353,989 0.56 91 2.00 2,034 1.1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93,386 0.15 12 0.26 604 0.3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49,586 0.23 13 0.29 143 0.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127,727 4.91 767 16.86 17,196 10.1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0,609 0.44 61 1.34 1,538 0.9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1,456 1.38 152 3.34 4,542 2.6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5,755 0.35 66 1.45 1,721 1.0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975,637 10.94 382 8.40 22,383 13.1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50,572 5.10 6 0.13 42 0.0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483,763 0.76 72 1.58 1,692 0.99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35,565 6.17 213 4.68 7,386 4.34
합 계 63,744,204 100 4,550 100 170,239 100
1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4-4 ❙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비교적
높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낮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185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인천시는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혁신생태계 활
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분야 사업을 중점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4-5 ❙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인천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인천 연구개발(R&D) 활성화 사업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항공산업지원체계 구축사업
PAV 산업혁신기반 구축사업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지원사업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육성 지원사업
AI playground 조성사업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사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바이오 자원공유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사업
인천 반도체포럼 운영 지원사업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인천 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
인천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지원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인천시 생활과학교실 운영 지원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광역형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
드론 체험 직무교육 지원사업
※ 출처 : 인천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1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4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18개 산업단지의 가동업체는 13,576개이며 , 총 종사자 수는 152,407명
표 3-4-6 ❙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남동[재생사업지구] 9,574 9,574 7,920 7,609 84,410 100 완료
한국수출산업 1,786 1,786 3,133 3,123 23,996 100 완료
일반
인천기계 350 350 179 179 2,494 100 완료
인천 1,136 1,136 590 590 6,961 100 완료
뷰티풀파크
(구:인천검단)
2,251 2,251 1,063 1.034 10,946 98 완료
인천서부 939 938 289 288 5,526 100 완료
청라1지구 194 194 36 36 702 100 완료
송도지식정보 2,402 2,400 137 89 9,307 93 완료
강화하점 59 59 13 8 117 100 완료
강화 462 462 82 64 852 100 완료
서운 525 525 70 69 3,541 100 완료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 56 56 23 20 101 100 완료
I-FoodPark 283 273 78 54 1,589 100 조성중
영종항공
(인천경제자유구역)
495 495 0 0 0 0 조성중
계양 243 243 0 0 0 0 미개발
인천검단2일반산업단지 770 770 0 0 0 0 미개발
도시첨단
IHP
(인천경제자유구역)
1,171 1,165 515 413 1,865 65 완료
남동 233 234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3 187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인천시에는 총 1,86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02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12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02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96개)’, ‘전기장비 제조업(158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4-7 ❙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 1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61 58 75
음료 제조업 1 1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5 15 1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 7 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 2 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4 16 2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3 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4 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9 103 12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 11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5 66 7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1 10 13
1차 금속 제조업 36 29 3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6 131 14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74 171 19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2 83 92
전기장비 제조업 147 141 15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3 276 302
1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9 24 2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5 13 17
가구 제조업 21 22 24
기타 제품 제조업 63 52 5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4 6
건설업(41~42) 23 20 26
도매 및 소매업(45~47) 34 40 52
운수 및 창고업(49~52) 6 6 7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2 3
정보통신업(58~63) 157 163 202
금융 및 보험업(64~66) 1 2 2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05 106 12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1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6 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1 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07 1,593 1,861
REGIONAL S&T YEARBOOK 2023 18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인천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5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104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96%이며,
전국대비 비중은 3.70%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3,415명(전국의 4.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은 4,279명(전국의 1.93%), 공공연구소는 2,410명(전국의 3.52%) 차지
표 3-4-8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567 2.89 5,543 2.86 5,255 2.54 5,230 2.49 4,279 1.93
∙ 국공립 1,484 1.87 1,211 1.52 1,189 1.37 1,253 1.44 21 0.02
∙ 사립 4,083 3.61 4,332 3.79 4,066 3.38 3,977 3.23 4,258 3.21
공공연구소 1,899 3.25 2,109 3.38 2,267 3.53 2,352 3.53 2,410 3.52
∙ 국공립 983 8.03 999 7.75 1,096 8.55 1,088 8.10 1,170 8.81
∙ 정부출연 513 1.57 590 1.71 558 1.64 546 1.61 507 1.46
∙ 병원 및 기타 403 2.97 520 3.45 613 3.53 718 3.73 733 3.57
기업 19,854 4.51 21,204 4.59 21,443 4.50 22,372 4.40 23,415 4.48
∙ 정부투자기관 120 3.07 142 3.69 162 4.33 148 3.83 139 3.49
∙ 민간기업 19,734 4.52 21,062 4.60 21,281 4.51 22,224 4.40 23,276 4.48
합 계 27,320 3.95 28,856 4.01 28,965 3.88 29,954 3.81 30,104 3.7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인천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7명 감소한 77.0명으로 조사됨
표 3-4-9 ❙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68.8 73.5 74.3 78.7 77.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인천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17개 광역시・도 중 5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6,029억 원(전국의 3.16%),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46 %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614억(전국의 2.54%), 공공연구소는 약
3,323억 원(전국의 2.57%), 기업이 약 3조 29억 원(전국의 3.37%)
표 3-4-10 ❙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7,339 3.37 252,153 3.42 259,824 3.11 286,127 3.07 261,443 2.54
∙ 국공립 28,716 0.93 33,499 1.02 38,934 1.03 44,393 1.05 429 0.01
∙ 사립 208,623 5.27 218,654 5.34 220,890 4.82 241,734 4.73 261,014 4.52
공공연구소 272,406 2.77 274,881 2.70 287,472 2.59 307,266 2.56 332,318 2.57
∙ 국공립 68,665 8.44 77,884 9.32 79,866 9.38 88,795 9.18 79,523 7.80
∙ 정부출연 155,925 2.07 143,554 1.84 141,466 1.71 133,102 1.53 143,745 1.55
∙ 병원 및 기타 47,816 3.23 53,443 3.50 66,140 3.34 85,369 3.69 109,050 4.15
기업 2,251,557 3.27 2,318,878 3.24 2,389,333 3.25 2,633,600 3.26 3,009,166 3.37
∙ 정부투자기관 20,076 2.21 24,308 2.80 27,311 3.12 26,985 3.14 22,964 2.58
∙ 민간기업 2,231,481 3.29 2,294,570 3.25 2,362,022 3.25 2,606,615 3.26 2,986,202 3.37
합 계 2,761,302 3.22 2,845,912 3.20 2,936,629 3.16 3,226,992 3.16 3,602,927 3.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9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인천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410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7%
표 3-4-11 ❙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087 4,016 4,787 5,243 5,410
(2.1) (2.0) (2.1) (2.2) (2.1)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
- 연구개발(R&D) 활성화 지원(16억), 기업수요맞춤형 기술개발(13.5억),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3.8억) 등
■ 인천형 뉴딜 관련 과학기술 투자 확대
- 한국형 NIBRT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성 센터 구축사업(77.5억), 인공지능융합연구센
터지원(33억), AI Playground 인천 조성 사업(15억), SW융합클러스터 2.0(28.3억), 4차 산업혁
명 핵심기술기반센터 운영사업(6.3억) 등
■ 지역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확보 및 혁신기반 구축
- 항공산업 지원체계 구축 사업(33억), 미래자동차 부품기업 육성 지원(20억),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
원(23억) 등
1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표 3-4-12 ❙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7,833 2 14,075 218 83 50 3,40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193
(나) 역할
표 3-4-13 ❙ 인천광역시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산업정책과
∙ 공공 발주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운영 및 지도, 중소기업협동조합 설립 인가
및 지도 감독, 지역중소기업 육성계획 수립
∙ 지식재산 진흥계획 및 기본계획 수립,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사업, 소상공인 지식재산 역량강화
사업, 중소기업 저작권 활성화 사업, 지식재산 기반 디지털 혁신성장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특허기술
기반 농아청년 혁신일자리 지원사업, 투자조합(혁신산단, 지식재산) 운영 관리, 인천국제디자인페어 운
영, AIFFEL(아이펠) 인천 사업 관리, 인천IP경영인협의회 관련 업무(민간경상보조사업), 인천테크노파크
운영 관리 지원,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사업 관련 업무
∙ 뿌리산업 육성 업무, 소재부품장비 기반 산업 발굴 육성, 디지털 뿌리명장 교육센터 운영사업 추진, 뿌
리・소부장산업 육성 공약(성과관리) 업무, 2050 탄소중립(산업분야) 업무
∙ 수출지원 종합계획 수립, 미래차 산업 육성 및 지원 업무, 미래차 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시행, 커넥
티드카 산업 특화 육성, 미래차 부품산업 육성 지원 사업, 자율주행 기술개발 지원, 인천항 스마트 오
토밸리 조성 지원 업무
∙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연구개발(R&D) 사업 활성화 사업, 인
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데이터
산업과
∙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 추진(공약), 허브 플랫폼(메인넷, 시민증) 구축 추진, 블록체인 선도기업육성(데
모데이) 및 유치 추진, 블록체인 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블록체인 안전인증플랫폼 공모사업 추진, 블
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공모사업 추진
∙ 블록체인 마스터 플랜 수립 용역 추진, 블록체인 통합마일리지(인천패스) 구축 추진, 블록체인 자원봉사
플랫폼 구축 추진, 블록체인 에코플랫폼 공모사업 및 구축 추진
∙ SW진흥단지 조성, 디지털 실증 및 스마트 제조 전환, SW진흥단지 및 데이터 관련 조례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 행정안전부 데이터기반행정 실태 평가, 공
동활용 데이터 발굴・운영
∙ 데이터 관련 조례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인천데이터허브 구축 사업, 빅데이터 과제 발굴 및 분석
사업 추진, 고수요 활용데이터(공공/기업/민간) 발굴,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빅데이터통합플랫폼 운
영・관리, 빅데이터플랫폼 및 저장소 관리, DB마트,인천데이터포털DB 등 빅데이터 자료 관리, 빅데이터
공모사업 추진
반도체
바이오과
∙ 바이오산업 정책 동향 분석, 반도체산업 지원방안 수립, 로봇산업 육성 계획 수립, 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과제 발굴
∙ 화이트바이오산업 육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원센터 구축, 바이오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공약),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지원,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 지원
∙ 광역형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 인천 바이오헬스 밸리 추진 협의회,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바이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제품화 지원사업, 바이오 자원공유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사업, 백신특화
형 K-바이오 헬스 지역센터 지원, 바이오 인재양성 프로그램 지원(공약)
∙ 바이오의약품 산업 육성,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공약), 바이오융합 산업기
술단지 조성(공약),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정),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 업무 추진(정), 반도체, 바이오
특화단지, 반도체 후공정 소부장산업 경쟁력 강화사업, 반도체 패키징(후공정 산업)의 메카 조성(공약),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반도체 패키징산업 인프라 구축
1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반도체
바이오과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부),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및 조성 업무 추진(부), 특화단지 육성계획
서 작성 관련 업무, 기업 투자유치 관련 업무 등, 반도체 패키징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반도체
기업 및 대학연구소 지원, 반도체 펀드 및 설비투자 등 기업지원, 반도체기술 연구개발 발굴 및 지원,
반도체산업 국가공모사업 발굴 및 추진
∙ 로봇랜드 조성사업, 로봇랜드 공익시설 공사(토목, 기계, 전기) 관련사항 추진, 로봇랜드 기반시설용역
및 공사 추진, 물류로봇 시험인증지원센터 구축 지원, 물류로봇 핵심기술개발(R&D) 사업 추진, 로봇산
업 혁신 클러스터 구축 관련 업무
∙ 로봇랜드 조성사업: 총사업비 관리 및 조정, 중앙부처 협의, 로봇랜드 공익시설 조성공사(건축, 통신,
소방) 관련사항 추진, 로봇산업진흥시설(로봇타워 및 로봇R&D센터) 관리 운영 관련 업무, 로봇산업 육
성・지원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로봇산업 관련 정부공모 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
에너지산업과
∙ 역에너지 계획 수립 및 시행, 에너지이용합리화 계획 수립 및 촉진, 중소사업장 에너지효율시장 조성사
업, 수소생태계 구축전략 수립 및 추진, 수소특화산업 발굴 및 지원, 수소산업 클러스터 추진, 수소기업
육성 및 투자유치, 지역에너지 신산업 발굴 및 지원, 유관기관 에너지신사업 협업 추진, 수소관련 국가
공모사업 추진, 수소관련 R&D 사업 추진
∙ 수소충전인프라 구축계획 수립, 수소충전소(기체) 입지 발굴 및 구축 추진, 수소대중교통시대 선도사업
기획 추진, 수소 모빌리티(상용) 보급사업 추진, 액화수소 충전소 규제특례사업, 수소교통복합기지 구축사업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추진, 소형 태양광 보급사업 계획 및 추진
업무, 전기자동차 배터리 규제특례 실증사업, 전기전력 신사업 발굴 추진, 전기자동차 보급계획 수립
∙ 인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 추진,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 및 조성, 해상풍력 집적화 사업추
진, 해상풍력 관련 기관・지역・단체 협업 추진, 해상풍력-수산업 공존 실증사업 추진, 해상풍력 R&D
실증사업 발굴 추진, 해상풍력 배후항만 조성 추진(정)
∙ 해상풍력 O&M관련 기반시설 조성, 해상풍력 배후항만 조성 추진(부), 해상풍력 지역산업 연계 사업
추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15조 (협의회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 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 ( 2023.10.27.∼ 2025.10.26.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1년) : 1회(2023.12.)
- 제5차 인천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4~’28), ’23년 사업성과 및 ’24년 추진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95
▣ 위원회 명단
표 3-4-14 ❙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인천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덕수 인천광역시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남주 인천광역시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강구 인천광역시의회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한재길 (재)인천테크노파크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윤석진 인천연구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최태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현승균 인하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김규원 인천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주미 인천재능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한균희 연세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김희숙 한국폴리텍대학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심상미 ㈜파버나인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고춘자 (주)홀리랜드테크놀러지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백영순 엠텍/인천비전기업협회 위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함지연 도원바이오테크 2023. 10. 27. ~ 2025. 10. 26.
1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인천시의 총 예산은 약 24조 5,32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70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9%
- 과학기술 예산 중 인천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9.53%
표 3-4-15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45,329
재정자주도(%) 66.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8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70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9.53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197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인천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304억 원을 투자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국비 122억 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에 지방비 17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4-16 ❙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인천연구원 지원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180 10,700 - 10,88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선척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지원
2,798 743 1,870 5,411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스타트업파크 운영관리 대행사업(인천)
플라스틱 대체물질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센터 구축
4,137 17,236 1,765 23,13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희소금속산업 육성 지원
커넥티드카 무선통신기술
인증평가시스템 구축사업
10,181 14,945 557 25,683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연구개발(R&D)사업 활성화 지원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보건복지부)
960 3,843 300 5,103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특허 및 지식재산궝 활성화 사업
산업디자인 육성 및 지원
5,959 11,516 - 17,47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한국형 NIBRT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12,222 11,323 555 30,410
합 계 36,437 70,306 5,047 118,10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인천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3,914개로 전국의 5.9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5.43%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4개 증가, 기업 905개 증가
표 3-4-17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4.11 18 4.34 16 3.89 18 4.26 16 3.83
∙ 국공립 3 3.80 2 2.38 2 2.35 2 2.33 1 1.14
∙ 사립 12 4.20 16 4.83 14 4.29 16 4.75 15 4.55
공공연구소 19 3.10 24 3.74 24 3.62 26 3.77 23 3.37
∙ 국공립 6 4.58 7 4.90 7 4.90 7 4.58 5 3.65
∙ 정부출연 2 1.20 2 1.18 2 1.23 2 1.18 3 1.82
∙ 병원 및 기타 11 3.50 15 4.55 15 4.20 17 4.64 15 3.94
기업 2,970 6.12 3,237 5.90 3,518 6.01 3,709 5.96 3,875 6.02
∙ 정부투자기관 4 9.52 6 10.91 6 11.11 5 8.47 5 8.20
∙ 민간기업 2,966 6.12 3,231 5.90 3,512 6.01 3,704 5.96 3,870 6.02
합 계 3,004 6.09 3,279 5.87 3,558 1.76 3,753 5.92 3,914 5.9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99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인천 소재 대학 수는 8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3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4-18 ❙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3 3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 6 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인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6만 3,85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6,121명(전체의 약 9.59%), 공학계열 학생이 2만 3,370명(전체
의 약 36.60%)
표 3-4-19 ❙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6,121 23,370 29,491 5,630 3,938 5,385 4,823 14,589 63,856
비중(%) 9.59 36.60 46.18 8.82 6.17 8.43 7.55 22.8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인천광역시에는 총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4-20 ❙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인하대학교
(2개 센터)
2021 세포교신 제어 연구센터 MRC
2022 소상공인 경제생태계 연구센터 C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인천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인하대와 인천대에 각각 4개, 3개의 센터가 존재했지만, ’23년
기준 인하대 1개만 남아 있음
REGIONAL S&T YEARBOOK 2023 201
표 3-4-21 ❙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인하대 열플라즈마 환경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인천에는 대학・연구기관 등에 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4-22 ❙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미래서비스 미래혁신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송도 창업보육센터 2000-06-13
(재)인천테크노파크 인천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2001-08-31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한국폴리텍2대학 한국폴리텍2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02-0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벤처센터 2001-12-01
2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인천에는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5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4-23 ❙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인천광역시교육청과학정보원 공립
인천어린이과학관 공립
인천나비공원 공립
강화은암자연사박물관 사립
소리체험박물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인천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인천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436명임
표 3-4-24 ❙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53 270 313 591 89
수혜자 수 4,244 4,335 7,565 5,519 1,43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203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인천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7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79명 양성
표 3-4-25 ❙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인천대학교 5
전용공간
3개(456.3㎡)
96 175,230 65.5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인천의 특허출원 건수는 6,90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538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2.8%, 9.8% 감소
표 3-4-26 ❙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5,989 6,195 6,236 6,439 6,728 7,095 6,900
특허등록 건수 3,307 3,400 3,499 3,585 3,916 3,921 3,53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2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논문 현황
■ ’22년 인천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737편, 주저자 기준 2,045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15%, 3.40%를 차지
표 3-4-27 ❙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916 6.14 70,395 17.98 1,775 3.38 26,499 14.93
2019 4,328 6.44 63,403 14.65 2,005 3.65 26,783 13.36
2020 4,666 6.33 51,829 11.11 2,110 3.54 20,204 9.58
2021 4,978 6.23 32,096 6.45 2,159 3.39 12,082 5.60
2022 4,737 6.15 10,117 2.14 2,045 3.40 3,762 1.8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성장하는 도시 인천
■ 목표 :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의 성장 기반 마련
■ 전략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과학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활용
- 과학기술인력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재 양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205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혁신생태계 조성 및 지속가능한 미래성장동력 기반 마련
■ 중점 추진전략
1)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지역의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능 강화 및 활성화(정책기획, 예산배분, 성과관리 등)
・과학기술 총괄체계 구축(인천연구개발지원단, 인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
발 지원체계 구축)
-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인천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산업(항공/미래차/바이오/로봇/IT) 분야 연구개발 지원 강
화 및 내실화
・인천시 특화 기술로드맵 수립을 통한 지역 기술경쟁력 확보
2) 과학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활용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산업전환에 대응하는 연구인프라 재구축(연구장비 재정비, 실증인프라 조성 등)
・민간 주도형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및 네트워크 활성화
-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시민들이 생활속에서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지역 혁신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해 과학기술
문화 홍보 및 확산(과학관, 생활과학교실, 지역 과학인재 육성 프로그램 등)
・과학기술 기반 지역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테스트 베드 조성 및 실증 기회 제공
3) 과학기술인력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재 양성
-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인천형 과학기술 인재 양성 지원체계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인천형 직업전환교육, 연구개발 관련 장기재직자 성장 프로그램(지역대학 연계)
2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인천시 6대 전략산업 분야 지정 및 연구개발 투자 강화
-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제적 R&D 투자 강화
- 인천시 6대 전략산업 : 바이오, 반도체, 로봇, 디지털・데이터, 미래차, 항공
전략산업 육성방안
바이오 - 생태계 조성, 전주기적 지원, 전문인력 양성,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 등
반도체 - 첨단패키징 인프라 구축, R&D, 전문인력 양성 등
로봇 - 생태계 조성, 로봇문화 확산, 특화로봇 수요 창출 등
디지털・데이터
- 혁신 거점 조성, 실증환경 구축, 인재양성, AI 서비스(제품) 실증을 통한 사업화
지원, 지역특화산업 연계를 위한 AI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
미래차 - 커넥티드카 특화 육성,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선도, 부품기업 기술전환 촉진 등
항공 -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지역의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능 강화 및 활성화
- 연구개발 사업・정책 기획 및 예산 배분・조정, 성과관리 등 지역의 산업발전과 기술혁신에 필요한 전
반적인 업무 수행
※ 현재 인천과학기술진흥협의회는 주로 심의기구의 역할만 수행하고 있으므로, 지역의 과학기술 육
성에 필요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기능 확대
■ 지역주도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 지원 총괄체계 구축
- 「인천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과 「인천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총괄 체계 구축 기반 마련
- 인천R&D관리시스템 과제 및 성과관리 통합 프로세스 기능 강화 및 사용 확대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 산업전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별 특화수준 제고 추진(예 : 산업단지별 혁
신지원센터 도입 및 혁신기능 집적화)
- 기업간 협업이 가능한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및 지원
■ 과학기술 문화 확산 및 혁신기술 테스트 베드 조성
- 지역 내 혁신기술 제품 및 서비스 실증 공간을 조성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결과물 활용 기회 제공
REGIONAL S&T YEARBOOK 2023 207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활성화)
- 과학문화 체험공간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과학기술 관심 제고 및 지역 내 과학문화 대중화 실현
■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 추진
- 인천형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협의회 조직 및 지역수요 기반 인력양성 사업 기획)
- 지자체 주도 인천시 전략산업 선도 연구개발 전문인력 육성(장기재직자 성장 프로그램, 직업전환교
육 운영)
- 글로벌 캠퍼스를 활용한 Young Research Campus 조성(해외 우수인력이 지역 내 산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 추진)
2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5절 광주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광주의 인구는 약 146만 명으로 2021년 이후 다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광주 인구의 비율은 2.83%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5-1 ❙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488,439 1,489,142 1,479,550 1,468,912 1,463,411
전국인구대비 비율(%) 2.89 2.88 2.86 2.84 2.83
경제활동참가율(%) 61.7 61.5 61 60.3 60.4
실업률(%) 3.8 3.7 3.9 3.6 2.9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0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광주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88%의 증가율을 나
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39.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6.39%)과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1.62%)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지난 5년 간 12.9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5-2 ❙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38,216,077 39,624,032 39,530,642 41,257,137 41,939,59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39,362 133,300 96,223 106,569 126,656
(지역내비중, %) (0.36) (0.34) (0.24) (0.26) (0.30)
제조업 9,754,895 9,953,560 10,134,325 11,032,418 11,068,157
(지역내비중, %) (25.53) (25.12) (25.64) (26.74) (26.39)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66,452 559,019 601,919 668,946 857,062
(지역내비중, %) (1.22) (1.41) (1.52) (1.62) (2.04)
건설업 1,669,442 1,627,794 1,819,536 1,852,024 1,661,181
(지역내비중, %) (4.37) (4.11) (4.60) (4.49) (3.96)
기타서비스업 15,433,914 16,175,180 15,752,780 16,211,519 16,545,378
(지역내비중, %) (40.39) (40.82) (39.85) (39.29) (39.45)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074,738 8,447,028 8,443,229 8,796,787 9,068,071
(지역내비중, %) (21.13) (21.32) (21.36) (21.32) (21.62)
순생산물세 2,679,770 2,775,426 2,763,621 2,721,117 2,838,370
(지역내비중, %) (7.01) (7.00) (6.99) (6.60) (6.77)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광주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4조 8,801억원이고, 1,232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6만
1,76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14조 2,792억원(전체의 40.94%), 사업체 수에서
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27개(전체의 18.43%),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업’이 7,275명(전체의 11.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5-3 ❙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63,539 2.76 72 5.84 2,235 3.62
음료 제조업 510,104 1.46 4 0.3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8,043 0.14 14 1.14 228 0.3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980 0.04 13 1.06 135 0.2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827 0.06 5 0.41 43 0.0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797,356 8.02 148 12.01 5,189 8.4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98,167 0.57 24 1.95 444 0.72
1차 금속 제조업 938,703 2.69 63 5.11 1,513 2.45
전기장비 제조업 4,933,716 14.14 116 9.42 4,903 7.9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362,479 12.51 227 18.43 7,275 11.7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279,177 40.94 163 13.23 6,755 10.94
가구 제조업 55,054 0.16 13 1.06 214 0.35
기타 제품 제조업 22,165 0.06 9 0.73 162 0.2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2 0.16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8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47,257 4.15 182 14.77 4,379 7.0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0,030 0.80 20 1.62 1,138 1.8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03,827 0.58 46 3.73 1,780 2.8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6,531 0.05 11 0.89 253 0.4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765,065 7.93 61 4.95 1,784 2.8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1 0.08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77,286 0.51 17 1.38 251 0.4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1,637 0.29 19 1.54 179 0.29
합 계 34,880,086 100 1,232 100 61,767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21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5-4 ❙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음료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
통신장비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광주시는 ‘인공지능융합산업 분야’와 ‘첨단모빌리티 산업 분야’, ‘의료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
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5-5 ❙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인공지능융합산업 분야
지역SW서비스 사업화지원
광융합산업 히든챔피언육성 지원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인공지능대학원 지원
글로벌광융합비즈니스경쟁력강화지원
첨단모빌리티 산업 분야
친환경자동차부품 클러스터조성
레독스흐름 전지인증센터
에너지밸리기술원 사업지원
의료산업
한국뇌연구원 협력 치매예측기술개발
시니어 코스메디케어 실증센터 구축
치과생체흡수성 소재부품 중소파트너 지원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 출처 : 광주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13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9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4,070총 종사자 수는 67,733명
표 3-5-6 ❙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광주첨단과학 9,991 3,643 2,199 1,522 18,889 100 완료
빛그린 1,845 1,498 79 38 1,070 80 조성중
일반
평동 5,064 5,064 677 676 14,058 100 완료
소촌 190 189 55 55 539 100 완료
송암 415 414 64 64 1,503 100 완료
본촌 877 878 147 139 2,010 100 완료
진곡 1,909 1,909 392 332 4,060 100 완료
평동3차(1단계) 1,175 1,175 142 106 2,850 100 완료
광주에너지밸리 918 918 33 0 0 56 조성중
하남[재생사업지구:부분] 5,944 5,937 1,072 1,069 21,092 100 완료
광주연구개발특구첨단3지구
(광주경제자유구역)
3,617 3,617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남구 486 486 7 5 60 77 조성중
전남대캠퍼스혁신파크 35 35 0 0 0 0 미개발
농공 소촌 324 324 64 64 1,602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2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광주광역시에는 총 71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29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은 52개, ‘도매 및 소매업’이 2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87개), ‘전기 장비 제조업’(78개), ‘전자 부품, 컴퓨
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6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5-7 ❙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 1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0 32 32
음료 제조업 1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 3 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 3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 -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4 21 1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0 1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5 19 2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 7 7
1차 금속 제조업 12 6 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9 29 3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0 56 6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3 61 66
전기장비 제조업 83 72 78
REGIONAL S&T YEARBOOK 2023 215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8 82 8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6 20 2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 4 4
가구 제조업 3 3 5
기타 제품 제조업 11 12 1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2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1 1
건설업(41~42) 24 17 19
도매 및 소매업(45~47) 16 18 21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102 108 129
금융 및 보험업(64~66) - 1 1
부동산업(68) 1 2 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9 44 5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2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6 4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3 3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767 644 717
2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광주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2위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4,971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1.07%이
며, 전국의 1.84%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8,746명(전국의 3.93%)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5,139명(전국의 0.98%), 공공연구소는 1,086명(전국의 1.5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5-8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520 4.43 8,351 4.30 9,199 4.44 9,006 4.29 8,746 3.93
∙ 국공립 6,273 7.90 6,201 7.76 7,148 8.25 6,386 7.35 6,132 6.83
∙ 사립 2,247 1.99 2,150 1.88 2,051 1.70 2,620 2.12 2,614 1.97
공공연구소 959 1.64 916 1.47 1,032 1.61 1,085 1.63 1,086 1.59
∙ 국공립 196 1.60 145 1.12 158 1.23 204 1.52 209 1.57
∙ 정부출연 286 0.88 310 0.90 392 1.15 356 1.05 363 1.05
∙ 병원 및 기타 477 3.51 461 3.06 482 2.77 525 2.73 514 2.50
기업 4,718 1.07 4,881 1.06 4,934 1.04 5,026 0.99 5,139 0.98
∙ 정부투자기관 1 0.03 1 0.03 4 0.11 5 0.13 7 0.18
∙ 민간기업 4,717 1.08 4,880 1.06 4,930 1.04 5,021 0.99 5,132 0.99
합 계 14,197 2.05 14,148 1.97 15,165 2.03 15,117 1.92 14,971 1.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17
■ ’22년 광주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작년도에 비해 3.0명 감소한 60.9명으로 조사됨
표 3-5-9 ❙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51.6 63.6 67.4 63.9 60.9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광주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1,293억 원(전국의 1.00%)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62%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839억 원(전국의 4.69%), 공공연구소는
약 2,163억 원(전국의 1.67%), 기업이 약 4,291억 원(전국의 0.48%)
표 3-5-10 ❙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9,945 4.11 319,901 4.34 374,822 4.49 473,043 5.07 483,855 4.69
∙ 국공립 236,834 7.67 254,428 7.77 307,241 8.14 373,148 8.85 383,388 8.46
∙ 사립 53,111 1.34 65,473 1.60 67,581 1.48 99,895 1.95 100,467 1.74
공공연구소 217,659 2.21 146,873 1.44 195,437 1.76 223,892 1.87 216,340 1.67
∙ 국공립 11,953 1.47 9,907 1.19 1,147 0.13 3,653 0.38 14,842 1.46
∙ 정부출연 73,179 0.97 66,631 0.85 71,466 0.86 86,373 0.99 89,193 0.96
∙ 병원 및 기타 132,527 8.95 70,335 4.61 122,824 6.19 133,867 5.79 112,305 4.28
기업 393,429 0.57 360,107 0.50 383,687 0.52 411,960 0.51 429,095 0.48
∙ 정부투자기관 63 0.01 64 0.01 69 0.01 74 0.01 81 09.01
∙ 민간기업 393,366 0.58 360,043 0.51 383,618 0.53 411,886 0.52 429,014 0.48
합 계 901,033 1.05 826,881 0.93 953,946 1.02 1,108,895 1.09 1,129,290 1.0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광주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67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2%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88%
표 3-5-11 ❙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474 4,827 5,607 5,708 5,678
(2.3) (2.4) (2.5) (2.4) (2.2)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22 투자실적)
■ 4차 산업혁명 기반 지역형 뉴딜과 연계한 지역 주도 R&D 사업 확대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550.9억원), 지역주력산업육성(136.9억원), K-health 국민
의료 AI서비스 및 산업 생태계 구축(118억원), 공공기관연계 오픈랩조성사업(76.1억원), 카메라
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61억원), 치매코호트 멀티모달 데이터적용 실증기반구축(47.8억
원), 시니어 코스메디케어 실증센터 구축(40.5억원), MEMS기반고부가광반도체상용화인프라구
축(38.6억원), 병원중심 AI기반 디지털 생체의료산업 고도화(34.7억원), 광기반기술연계 광융합
산업 고도화(33.7억원), 안과광학의료기기글로벌화지원사업(31억원), 광주연구개발지원단 육성
지원사업(4.1억원)
■ 인공지능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인공지능 대표도시 구축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1,003억원), AI융합 지역 특화산업 지원(33.3억원), 인공지능대학원지원
(29억원),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지원사업(29억원), 인공지능 활
용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지원(29억원), 인공지능콘텐츠융합창작랩구축운영(20억)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스마트카 중심 도시 조성
-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조성(8.4억원),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중량 200Kg급 카고드론 기술개
발(126.1억원),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 구축(120억원), 빅데이터기반 자동차 전장부품 신
뢰성 기술고도(100.1억원), 친환경 자동차부품 시험인증평가 기업지원(5억원), AI가전산업 육성
상용화지원 플랫폼 구축(57.6억원), 레독스흐름전지인증센터(53.1억원), 수소충전소고장예지 및
REGIONAL S&T YEARBOOK 2023 219
안전관리상용화개발(31.8억원), 스마트금형 제조데이터활용 혁신기반구축(59.8억원), 스마트가전
산업 인프라 연계 고도화(36.8억), 수평적EV(전기차) 산업생태계 조성(33.1억원), 한국전기연구원
광주분원설립(33억원), 스마트가전용 AI SoC기술개발(16.6)
■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메카 도시 조성 가속화
- 신재생에너지융복합지원(230.7억원), 그린에너지 ESS발전 전력거래 실증(121.7억원), 에너지산
업융복합단지지원센터구축(40억원), 에너지전환마을 거점센터 조성사업(12억원), 에너지산업 지
식산업센터 건립(9.4억원)
■ 스마트시티 기반 구축으로 신산업 생태계 조성
- 지역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45.5억원), 미래형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사업지원(41.4억
원), SW중심대학(25.2억원), 지역 SW서비스 사업화지원(22.4억원), 5G 기반 디지털트윈 공공선
도사업(2.4억원), 스마트시티정책개발 및 지원(2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인공지능산업실에서 담당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표 3-5-12 ❙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9,517 2 7,678 148 34 37 1,61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2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5-13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산업
총괄관
∙ 미래먹거리산업 발굴, 기획업무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추진 •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진흥 지원 • 지방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등 관리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 지원 • 국립광주과학관 운영지원 및 협력 사업에 관한
사항 • 호남 엔젤투자허브 지원 및 엔젤투자펀드 관리 등
∙ 초전도기반기술 지원시설등 구축 추진 광주이노비즈니스센터운영지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지원, 광
주연합기술지주회사운영, 기술사업화지원 등
AI반도체과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사업 추진
∙ 인공지능 인재양성 AI 영재고 설립 추진
∙ 인공지능 융합사업 신규 기획 • K-헬스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조성
∙ 인공지능 기업지원 인공지능 종합지원센터 운영지원
∙ AI 투자펀드 조성 및 운영, 시민•지역기업 중심 AI바우처 지원, 도시문제해결형 솔루션 개발 지원 등
∙ 국가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AI통합지원서비스플랫폼 구축, 인공지능 데이터산업 육성
미래차
산업과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 정책 수립
∙ 미래자동차 대전환 대응전략 수립, 신규 국비사업 기획, 조례 및 위원회 운영
∙ GGM 및 (재)광주그린카진흥원 행정업무 지원, 모빌리티산업 혁신추진위원회 운영
∙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사업 추진, 무인자율주행 기술의 언
택트 서비스 실용화, 기술개발 및 기술실증사업 추진,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업무 추진
∙ 팀서무에 관한 사항 모빌리티 신기술 기획연구에 관한 사항 미래차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 미래차 R&D
특화 교육센터 운영 추진 드론 비행연습장 및 드론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빛고을 드론페스티벌 및 라
이트쇼 행사 지원
∙ 무인항공기(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사업 ・ 드론산업 기본계획 수립 ・ 빛고을 드론페스티벌
개최 ・ 드론 비행연습장 운영지원 ・ 드론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 드론공원 조성 및 실기연습장 지정
추진 ・ 감항인증시험평가센터 구축 추진
에너지
산업과
∙ 지역에너지클럿스터 인재양성, 지역전략산업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에너지밸리 협력사업,에너지파크
운영 및 지원, 광주에너지정보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차세대배터리산업 진흥협의회 운영 배터리 기업 사업재편 사업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사업지원 배터리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국비사업
∙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구축 • 지식산업센터 건립
로봇가전
의료산업과
∙ 로봇가전산업 육성 신규 국비사업 발굴 및 지원 • 로봇가전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 미세조류활용 실외 공기정화시스템 개발, 고령노약자 친화형 라이프케어로봇 실증기반 조성 , 가전기업
기술고도화 및 사업다각화 지원, 스마트 가전산업 및 디지털가전기업 육성
∙ 지역 IT・SW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시행 • ICT융합산업・신성장동력산업 발굴・육성, IT•SW산업 육성
전문 인력양성 • 지역 SW산업 육성 및 지원
∙ 광융합산업 국가직접지원 및 시비 사업 추진 • 광융합산업 예타사업추진(광반도체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 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의료산업 육성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221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조례(21.2.25 일부개정) 제4조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
제5조의2 전담기관 지정・운영
■ 주요 기능 및 역할
- (심의 조정)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조정
- 지역과학기술의 혁신과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위촉직위원 2년, 연임 1회, 보궐위원 전임위원의 잔여 임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1회 (2023.1.13.)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 추진실적, 광주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계획(안)
2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5-14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광진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부위원장 박정수 성균관대 2022.12.17.~2024.12.16.
위원 김용승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김영집 테크노파크 재임기간
위원 신용진 한국광기술원 재임기간
위원 공석 국립광주과학관 재임기간
위원 원광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 재임기간
위원 노선식 광주대 2022.12.17.~2024.12.16.
위원 박윤경 조선대 2022.12.17.~2024.12.16.
위원 양승학 호남대 2022.12.17.~2024.12.16.
위원 안동규 조선대 2023.11.27.~2025.12.26.
위원 유난이 광주과학기술원 2023.11.27.~2025.12.26.
위원 방희선 조선대 2023.11.27.~2025.12.26.
위원 유용민 전남대 2023.11.27.~2025.12.26.
위원 강미영 호남대 2023.11.27.~2025.12.26.
※ 출처 : 광주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23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광주시의 총 예산은 12조 896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354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1.95%
- 과학기술 예산 중 광주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1.40%
표 3-5-15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20,896
재정자주도(%) 62.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7,49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35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95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1.40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2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광주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889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각각 약 1,529억 원, 930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입
표 3-5-16 ❙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지역맞춤형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도로시설)
1,310 1,470 193 2,97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학R&D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대면적 공간방역)
805 3,012 100 3,91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지역・산업맞춤형 자치단체 지원사업
79,042 10,778 3,304 93,12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광주과학관법인출연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중량 200kg급
카고드론 기술개발
52,216 39,896 11,222 103,334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지역주력산업육성
100,846 58,432 13,740 173,018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카메라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
지능형디지털콘텐츠제작기술개발및플랫폼구축
27,654 20,431 2,929 50,993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광주 연구개발특구육성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국가직접지원)
23,404 8,416 1,673 33,49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광주실감콘텐츠큐브조성 사업
152,937 92,961 43,039 288,937
합 계 438,214 235,396 76,200 749,78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225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광주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1,085개로 전국의 1.66%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65% 증가
- 5년간 대학은 2개, 기업 178개 증가, 공공연구소 2개 감소
표 3-5-17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 4.38 17 4.10 16 3.89 16 3.78 18 4.31
∙ 국공립 4 5.06 4 4.76 4 4.71 5 5.81 5 5.68
∙ 사립 12 4.20 13 3.93 12 3.68 11 3.26 13 3.94
공공연구소 21 3.43 21 3.27 22 3.32 22 3.19 19 2.78
∙ 국공립 3 2.29 3 2.10 2 1.40 2 1.31 2 1.46
∙ 정부출연 9 5.39 9 5.33 9 5.52 10 5.88 9 5.45
∙ 병원 및 기타 9 2.87 9 2.73 11 3.08 10 2.73 8 2.10
기업 870 1.79 972 1.77 1,012 1.73 1,034 1.66 1,048 1.63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1 1.85 1 1.69 2 3.28
∙ 민간기업 869 1.79 971 1.77 1,011 1.73 1,033 1.66 1,046 1.63
합 계 907 1.84 1,010 1.81 1,050 1.76 1,072 1.69 1,085 1.6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광주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10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5-18 ❙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8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6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5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광주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3,239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054명(전체의 약 10.88%), 공학계열 학생이 1만 8,675명(전
체의 약 22.44%)
표 3-5-19 ❙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수 9,054 18,675 27,729 17,471 7,714 7,635 7,335 15,355 83,239
비중(%) 10.88 22.44 33.31 20.99 9.27 9.17 8.81 18.4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27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광주광역시에는 총 10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전남대가 7개, 조선대가 2개, 광주과학기술원이 1개 센터를 운영
표 3-5-20 ❙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광주과학기술원
(1개 센터)
2021 도시형 생활폐기물 가스화 물질 혁신적 전환 선도연구센터 ERC
전남대학교
(7개 센터)
2018 복합암면역치료 연구센터 MRC
2018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19 경조직 바이오인터페이스 연구 센터 MRC
2020 심혈관 환자맞춤형 차세대 정밀의료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중성미자 정밀 연구센터 SRC
2023 숙주표적 항바이러스 연구센터 SRC
2023 신장질환 제어 및 투석기기 고도화 선도연구센터 RLRC
조선대학교
(2개 센터)
2022 악성암 제어 연구센터 MRC
2023 구강연조직 질환극복 융복합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광주 내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조선대(3개), 호남대(1개), 전남대(1개)에 위치했으나, ’18년도
기준 전 사업이 종료되어 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광주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5-21 ❙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기업지원센터 2000-12-14
광주대학교 광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2
(광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광주드림파크 (포스트BI) 1996-12-29
남부대학교 남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1-01
동강대학교 동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8
송원대학교 송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1-30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7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02
호남대학교 호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2-1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29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광주에는 과기정통부 산하 국립과학관 1개소와 광주시교육청 산하 공립과학관 1개소, 로 총 2
개소가 운영 중
표 3-5-22 ❙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광주과학관 국립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23년 광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관련 사업 예산 지원 중단으로 폐지됨
표 3-5-23 ❙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69 90 73 81 -
수혜자 수 1,027 1,149 885 969 -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2 :샹활과학교실 관련 사업예산 지원 중단으로 2023년 폐지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2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광주의 특허출원 건수는 3,37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649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4.8%, 9.3% 감소
표 3-5-24 ❙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3,321 3,279 3,431 3,458 3,522 3,549 3,378
특허등록 건수 1,410 1,694 1,765 1,806 1,846 1,817 1,64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광주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832편, 주저자 기준 2,01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97%, 3.35%를 차지
표 3-5-25 ❙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409 5.35 66,314 19.45 1,741 3.32 26,885 15.44
2019 3,698 5.50 59,459 16.08 1,891 3.45 24,326 12.86
2020 3,933 5.34 44,897 11.42 2,058 3.45 19,427 9.44
2021 4,221 5.29 32,178 7.62 2,259 3.55 11,874 5.26
2022 3,832 4.97 8,814 2.30 2,013 3.35 3,863 1.9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23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산업기술 개방형 혁신을 통한 융복합 첨단기술 선도도시 광주
■ 목표 : 과학・산업 융복합 신기술 구현으로 미래혁신을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지역혁신생태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주도 과학・산업기술 혁신을 통한 新 성장동력 창출
- 지역주도 과학・산업 혁신을 위한 거버너스 재편
- 지방과학기술사업 기획 및 과학기술정책 역량강화
- 과학기술성 사업 총괄관리 및 투자평가 기능 강화
■ 지역혁신주체의 역량을 활용한 지역혁신성과 극대화
- 지・산・학, 연구기관의 거점형성 및 활성화
- 과학기술과 산업간의 격차 해소를 위한 산학연 연계 강화
- 과학・산업기술 역량을 활용한 창업기업 경쟁력제고
■ 민간주도, 산학연 기술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전환
-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제도개선 및 인프라 고도화로 지역혁신 역량 제고
- 첨단과학 및 전략산업 기술분야 교육・문화 저변확대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미래전략산업 육성
- 지역형 뉴딜 등을 연계한 지역주력산업 개편
- IoT・AI・빅데이터・5G 등 기술융합으로 지능형・스마트형 가전이 확대
■ 인공지능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인공지능 대표도시 구축
- 한국판 뉴딜 기반 디지털혁신 생태계 조성
2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능화, 스마트화 대응을 위한 광인지, 대용량 광통신 등 개발
- AI로 특화된 광주형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인공지능 데이터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스마트카 중심 도시 조성
-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62만대)로 최근 광주글로벌모터스 설립
- 친환경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 추진 등을 통한 미래차 핵심부품 생산 거점 확보
■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메카도시 조성 가속화
-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기반(국가혁신클러스터, 그린에너지 ESS 규제자유특구 등) 및 신기술 연구
인프라(에너지 분야 정부연구기관 집적)
- 친환경 공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및 대기업(LG)과의 협력 프로젝트 추진
- 에너지 융복합단지 활성화 기반 구축 및 신재생에너지 공공・민간 보급 및 에너지 복지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주도 과학・산업 혁신을 위한 거버너스 재편
- 지방시대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주도 과학기술혁신
- 국가전략기술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의 선택적 집중개발
- 신산업・신기술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선제적 기반 고도화
■ 지방과학기술사업 기획 및 과학기술정책 역량강화
- 과학기술 투자 확대 및 효율성 제고
- 과학・산업 기술 R&D 정책 추진체계 개선
■ 과학기술성 사업 총괄관리 및 투자평가 기능 강화
- 과학기술 성과 창출・확산 체계 확립
- 전략적 투자를 위한 예산 및 평가 제도개선
■ 지・산・학, 연구기관의 거점형성 및 활성화
- 과학기술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과학 ・연구진흥
- 지역혁신성장 견인을 위한 연구거점기관 육성
- 지・산・학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대학 동반성장
REGIONAL S&T YEARBOOK 2023 233
■ 과학기술과 산업 간의 격차 해소를 위한 산학연 연계 강화
- 국가전략기술 지역기술허브 기반 확충
- 과학・산업 연구성과 중심의 기술 사업화
- 산・학・연 간 협력체계 강화로 교육・연구・창업 삼위일체 실현
■ 과학・산업기술 역량을 활용한 창업기업 경쟁력제고
- 개방형 혁신으로 창업기업 지원체계 강화
- 첨단전략산업 기술 역량 제고를 위한 핵심인재 양성
■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정부주도 및 민간주도의 클러스터 지원 협력체계 구축
- 초광역 혁신플랫폼 연구개발 클러스터 고도화
■ 제도개선 및 인프라 고도화로 지역혁신 역량 제고
- 민간주도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인프라 고도화
- 체류형 우수인재 유인 및 순환 체계 마련
- 첨단과학 및 전략산업 기술분야 교육・문화 저변확대
2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6절 대전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대전의 인구는 약 147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대전 인구의 비율은 2.8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6-1 ❙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513,217 1,503,212 1,491,876 1,478,831 1,471,563
전국인구대비 비율(%) 2.93 2.90 2.88 2.86 2.85
경제활동참가율(%) 61.3 62.4 63.4 63 63.1
실업률(%) 4.2 4.2 4.4 3.3 2.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3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4.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55%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9.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22.2%)과 제조업
(15.71%)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0.8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6-2 ❙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39,135,729 40,684,092 41,208,249 42,500,095 44,395,434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7,067 37,045 37,831 40,072 45,976
(지역내비중, %) (0.09) (0.09) (0.09) (0.09) (0.10)
제조업 6,257,030 6,518,389 6,605,435 6,934,977 6,972,635
(지역내비중, %) (15.99) (16.02) (16.03) (16.32) (15.7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80,451 585,233 656,220 638,690 805,170
(지역내비중, %) (1.23) (1.44) (1.59) (1.50) (1.81)
건설업 1,435,544 1,591,750 1,739,903 1,889,164 1,752,419
(지역내비중, %) (3.67) (3.91) (4.22) (4.45) (3.95)
기타서비스업 19,534,439 19,987,123 20,322,801 20,711,496 21,962,107
(지역내비중, %) (49.91) (49.13) (49.32) (48.73) (49.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870,772 9,296,003 9,168,427 9,494,019 9,855,429
(지역내비중, %) (22.67) (22.85) (22.25) (22.34) (22.20)
순생산물세 2,540,150 2,716,620 2,741,574 2,853,870 3,090,906
(지역내비중, %) (6.49) (6.68) (6.65) (6.71) (6.96)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
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대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8조 1,681억 원이고, 93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4만
3,80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각각 2조 4,560억 원(전체의 13.52%),131
개(전체의 14.07%), 종사자 수에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이 5,160명(전체의
11.78%)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6-3 ❙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363,420 7.50 97 10.42 2,697 6.16
음료 제조업 435,337 2.40 6 0.64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135 0.14 6 0.64 73 0.1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2 2.36 350 0.8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1,596 2.60 24 2.58 1,599 3.6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480,970 8.15 40 4.30 1,022 2.3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90,763 1.60 22 2.36 448 1.02
1차 금속 제조업 256,306 1.41 14 1.50 321 0.73
전기장비 제조업 668,251 3.68 62 6.66 1,039 2.3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456,034 13.52 131 14.07 4,401 10.0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52,821 4.14 38 4.08 1,305 2.9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39,120 0.77 13 1.40 223 0.51
가구 제조업 53,192 0.29 12 1.29 240 0.55
기타 제품 제조업 106,405 0.59 24 2.58 881 2.0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9,122 0.82 5 0.54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0,847 0.11 5 0.54 37 0.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08,295 7.75 60 6.44 1,028 2.3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8,669 0.71 31 3.33 929 2.1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045,915 5.76 112 12.03 5,160 11.7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8,185 0.43 23 2.47 601 1.3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92,848 12.07 96 10.31 4,051 9.2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2 0.21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38,630 6.82 21 2.26 1,241 2.8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878,977 10.34 63 6.77 2,501 5.71
합 계 18,168,115 100 931 100 43,80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23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6-4 ❙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낮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
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전시는 ‘나노융합산업분야’와 ‘정보통신산업분야’, ‘대표산업분야’, ‘ICT융복합 산업분야’,
‘바이오의약산업 분야’에 초점을 두고 운영
표 3-6-5 ❙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나노융합산업분야
나노종합기술원 활용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
나노융합기반 고도화사업
IoT센서 신뢰성평가 및 제품화 지원사
정보통신산업분야
지역SW성장지원사업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대표산업분야 지역주력산업 지원
ICT융복합 산업분야 미래ICT융합 디바이스산업 육성
바이오의약산업 산업분야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
의료현장형 ICT융복합 체외진단시스템 고도화
모듈형 나노바이오칩 플랫폼 기술상용화
대전형 바이오 창업지원사업
※ 출처 : 대전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3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3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139개, 총 종사자 수는 44,156명
표 3-6-6 ❙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덕연구개발특구 49,683 49,683 1,614 1,600 38,880 100 조성중
일반
하소친환경 306 306 56 54 663 100 완료
대전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2,317 2,317 497 485 4,613 100 완료
평촌 859 859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한남대캠퍼스혁신파크 31 32 0 0 0 0 미개발
대전장대 73 73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2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대전광역시에는 총 1,57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357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250개, ‘건설업’이 3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70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60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49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6-7 ❙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4 3 2
광업(05~08) 2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6 25 27
음료 제조업 -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 13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3 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4 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4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4 96 10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3 35 3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3 10 1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7 11
1차 금속 제조업 3 1 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6 28 3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59 154 16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6 140 149
전기장비 제조업 89 79 8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78 156 17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 8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7 18 23
가구 제조업 8 6 5
기타 제품 제조업 33 28 3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 5 4
REGIONAL S&T YEARBOOK 2023 241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3 4
건설업(41~42) 28 27 31
도매 및 소매업(45~47) 25 22 29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1
정보통신업(58~63) 324 319 35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01 213 25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2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7 4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08 1,419 1,576
2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3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5만 6,024명(전국의 6.88%)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4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3,178명(전국의 4.43%)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
연구소는 1만 6,508명(전국의 24.10%), 대학은 1만 6,338명(전국의 7.35%)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6-8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890 9.30 17,159 8.84 17,068 8.24 15,901 7.57 16,338 7.35
∙ 국공립 14,900 18.76 14,510 18.16 14,385 16.61 13,024 14.99 13,570 15.11
∙ 사립 2,990 2.65 2,649 2.32 2,683 2.23 2,877 2.33 2,768 2.09
공공연구소 14,859 25.45 15,901 25.48 15,983 24.92 16,105 24.20 16,508 24.10
∙ 국공립 333 2.72 372 2.89 276 2.15 304 2.26 393 2.96
∙ 정부출연 14,237 43.71 15,118 43.88 15,402 45.38 15,488 45.70 15,800 45.56
∙ 병원 및 기타 289 2.13 411 2.73 305 1.76 313 1.63 315 1.53
기업 19,329 4.39 20,582 4.45 18,979 3.99 21,893 4.30 23,178 4.43
∙ 정부투자기관 2,008 51.42 2,049 53.30 2,056 54.93 2,159 55.87 2,111 52.95
∙ 민간기업 17,321 3.97 18,533 4.04 16,923 3.58 19,734 3.91 21,067 4.06
합 계 52,078 7.54 53,642 7.46 52,030 6.96 53,899 6.86 56,024 6.8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43
■ ’22년 대전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0명 증가한 261.1명으로 조사됨
표 3-6-9 ❙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34.0 248.5 239.2 257.0 261.1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대전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3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0조 3,791억원(전국의 9.21%)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37%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8,726억(전국의 8.47%), 공공연구소는 약
5조 5,386억원(전국의 42.87%), 기업이 약 3조 9,679억원(전국의 4.44%)
표 3-6-10 ❙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36,633 7.61 619,394 8.40 691,423 8.28 742,856 7.96 872,638 8.47
∙ 국공립 472,111 15.29 559,197 17.08 609,300 16.14 665,801 15.79 762,166 16.82
∙ 사립 64,522 1.63 60,197 1.47 82,123 1.79 77,055 1.51 110,472 1.91
공공연구소 4,242,119 43.09 4,204,174 41.34 4,988,331 44.86 5,086,426 42.40 5,538,583 42.87
∙ 국공립 17,456 2.14 17,865 2.14 20,292 2.38 20,881 2.16 20,267 1.99
∙ 정부출연 4,196,514 55.59 4,159,456 53.28 4,941,595 59.65 5,036,942 57.77 5,487,248 59.17
∙ 병원 및 기타 28,149 1.90 26,853 1.76 26,444 1.33 28,603 1.24 31,068 1.18
기업 3,213,447 4.67 2,882,330 4.03 3,193,938 4.34 3,613,514 4.47 3,967,894 4.44
∙ 정부투자기관 628,286 69.16 625,637 72.00 617,295 70.47 618,215 71.93 559,625 62.97
∙ 민간기업 2,585,161 3.81 2,256,693 3.19 2,576,643 3.54 2,995,299 3.75 3,408,269 3.85
합 계 7,992,199 9.32 7,705,898 8.65 8,873,691 9.53 9,442,797 9.25 10,379,115 9.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대전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조 4,69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69%
표 3-6-11 ❙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6,655 58,439 65,132 68,208 74,698
(28.9) (28.6) (28.7) (28.2) (28.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대전 국제 바이오박람회(3.0억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출연금(2.5억원), 대전사회지표 조사 및 분
석(1.9억원) 등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 대전세종연구원 운영(56.9억원), 대전테크노파크 운영(48억원),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운영
(28억원),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운영(24.5억원) 등
■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해외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74.3억원), 지역에너지절약사업(12.8억원) 등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40.6억원), 우수기업 청년채용 지원사업(12억원), 기초의과학연구센터
(MRC) 지원(11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50억원), SW서비스 개발사업(19.1억원), 신재
생에너지 확대기반 조성사업(18.1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245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뿌리산업 혁신성장 고도화 사업(29.5억원), IP스타기업 육성사업(29.1억
원), 글로벌 혁신성장 기업 육성 사업(27억원)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30.3억원), 지역암센터 지원(2.1억원)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지역주력산업 지원(190.1억원), 글로벌 혁신창업 성장허브 조성(100.2억원), 세포주 기반 의료용
항체 신속제조 지원사업(66.3억원), 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사업(65.1
억원) 등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695.4억원), 한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141.7
억원),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105억원), IoT센서 신뢰성평가 및 제품화 지원사
업(83.5억원),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사업(58.9억원), 첨단센서 소자 제조・신뢰성 지원 플랫폼
구축사업(52.8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전략산업추진실에서 담당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2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6-12 ❙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8,833 2 7,017 118 34 32 1,63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6-13 ❙ 대전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전략산업반도체과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관리
∙ 반도체 소부장 실증평가 업무 추진
∙ 반도체산업 육성 신규사업 발굴 및 기획, 반도체 실증지원 사업 추진
∙ 지역주력산업(나노반도체) 육성 사업 추진
∙ 퀀텀클러스터 조성업무 • 대덕퀀텀밸리 조성 실무TF 운영 • 국제첨단센서+ EXPO 기획추진단
운영 등
바이오헬스산업과
∙ 지역주력산업(바이오분야) 육성 추진 ∙ 유전자 및 융복합 바이오 산업 육성기반 조성
∙ 지역혁신성장계획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총괄 •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총괄
∙ 대덕특구 50주년 기념사업 및 대전과학문화 관련 업무 등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지역혁신성장계획수립 • 지역주력산업 추진
∙ 인공지능 산업 육성 및 지원 •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운영사업 • 디지털일자리 AI 학습용 데이
터 제작사업 • 인공지능 문화조성, 인공지능 인력양성사업
실증디지털과
∙ 시대덕특구 실증협력체계 구축 및 지원사업 발굴 •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
추진
∙ 공공수요 기반 문제해결형 실증지원사업 발굴 추진 • 정출연 신기술 소개 및 활용 DB 구축(플랫
폼 연계)
∙ 스마트도시・실증 프로젝트 발굴 및 홍보사업 추진 • 실증도시 저변 확대 및 성과 확산・홍보 업
무추진
∙ 실증 플랫폼 기획 및 구축 • 실증자원 구축계획 수립 • 테스트베드 자원조사 및 구축
∙ 데이터 융합활용 클러스터 활성화 추진 • 빅데이터 공모사업 발굴 및 추진
창업진흥과
∙ 카이스트 창업 혁신파크 조성 • 지역대학 협력 기업유치 및 창업공간 조성 • 혁신성장기업 기술
사업화종합지원
∙ 산업교육 및 산학연 협력 시행계획 수립
∙ 산학연 보조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 사업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지원 이공분야 대학 중점연
구소 지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지원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RLRC) 지원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구축(RISE)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 지역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 로컬크리에이터 인력양성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247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과 관련한 종합적인 시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과학대중화 실현
- 과학기술진흥 연구개발과 관련 지원사업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특화적 기술개발
- 벤처기업 육성・지원 및 중소기업체의 기술혁신 지원
- 기술이전 및 신용평가에 관련한 사항
-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법 제13조 제2항의 심의사항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시장이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은 시장으로 시장 임기 내, 위원은 3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2023.4.25., 대전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 수립
(안),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육성기금 존속기간 연장, 과학체험 확산 자치구 지원사업 기금 승인,
민선8기 시정 주요성과 및 역점 추진과제 보고)
2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6-14 ❙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대전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장우 대전광역시
위원 이석봉 대전광역시
위원 한선희 대전광역시
위원 김영빈 대전광역시
위원 김선광 대전광역시 의회
위원 김장성 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위원 김재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위원 주성진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위원 안동만 (사)과학기술인연구연합회
위원 이광형 카이스트
위원 이진숙 충남대학교
위원 이광섭 한남대학교
위원 정태희 대전상공회의소
위원 김병순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위원 황순화 대전세종충남여성벤처협회
위원 강도묵 대전세종충남경영자총협회
위원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
위원 이용관 블로포인트파트너스
위원 이광축 TJB
위원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위원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
위원 강병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위원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위원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24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전시의 총 예산은 약 12조 3,79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77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43%,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비율은 56.16%
표 3-6-15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23,739
재정자주도(%) 64.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15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77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4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6.16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2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대전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456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각각 약 781억 원, 약 656억 원 투입
표 3-6-16 ❙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대전 국제 바이오박람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450 98 54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대전테크노파크 운영
653 22,747 - 23,40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담금
ICT를 활용한 화훼생산기반 조성
- 306 - 306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해외우수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 사업
대전창업성장캠퍼스 조성 운영
6,524 4,942 80 11,54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SW서비스 개발사업
2,337 10,820 17 13,174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대전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
디지털엔지니어링기반뿌리산업혁신성장고도화
사업
9,945 25,392 559 35,874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해외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사업
6,182 5,603 2,723 14,50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주력산업 육성
유전자 기반 항체 신속제조 지원센터 구축
27,820 41,408 1,508 70,73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한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
78,182 65,588 1,843 145,614
합 계 131,643 177,256 6,828 315,70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25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대전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093개로 전국의 3.2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5.02% 증가
- 5년간 대학은 1개 증가, 공공연구소 6개, 기업 448개 증가
표 3-6-17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1 5.75 22 5.30 22 5.35 23 5.44 22 5.26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16 5.59 17 5.14 17 5.21 18 5.34 17 5.15
공공연구소 41 6.70 45 7.01 45 6.79 46 6.68 47 6.88
∙ 국공립 5 3,82 6 4.20 6 4.20 7 4.58 6 4.38
∙ 정부출연 25 14.97 25 14.79 25 15.34 26 15.29 26 15.76
∙ 병원 및 기타 11 3.50 14 4.24 14 3.92 13 3.55 15 3.94
기업 1,576 3.25 1,695 3.09 1,837 3.14 1,969 3.16 2,024 3.14
∙ 정부투자기관 12 28.57 13 23.64 13 24.07 15 25.42 15 24.59
∙ 민간기업 1,564 3.23 1,682 3.07 1,824 3.12 1,954 3.14 2,009 3.12
합 계 1,638 3.32 1,762 3.15 1,904 3.20 2,038 3.22 2,093 3.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대전 소재 대학 수는 16개
- 일반대학 11개, 전문대학 4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6-18 ❙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4 4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3 16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대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1만 4,59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5,135명(전체의 약 13.21%), 공학계열 학생이 3만 3,988
명(전체의 약 29.66%)
표 3-6-19 ❙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5,135 33,988 49,123 14,540 10,456 4,703 10,160 25,616 114,598
비중(%) 13.21 29.66 42.87 12.69 9.12 4.10 8.87 22.3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5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대전광역시에는 총 13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한국과학기술원에 10개 센터가 구축되어 있고, 충남대에 3개 센터가 구축・운영됨
표 3-6-20 ❙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남대학교
(3개 센터)
2017 감염 제어 컨버전스 연구센터 MRC
2020 마이크로바이옴 - 뇌신경질환 융합연구센터 RLRC
2022 라이프사이클 기반 시니어헬스 융합연구센터 CRC
한국과학기술원
(10개 센터)
2017 스마트 수중 터널 시스템 연구센터 ERC
2017 인체부착형 및 치료 헬스케어 공학 센터 ERC
2018 MARS 인공지능 통합 연구센터 ERC
2018 세포 정체성 연구 센터 SRC
2018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SRC
2018 인류세 연구센터 CRC
2019 확률 해석 및 응용 연구센터 SRC
2022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ERC
2022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상 연구센터 ERC
2023 응집상 양자 결맞음 연구센터 S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전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한밭대 소속 2개의 센터를 비롯하여, 목원대, 대전대, 한국생명공
학연구원, 한남대에 각각 1개씩 운영했으나, ’23년 기준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인 센터는 없으며,
목원대는 성과활용만 진행 중임
표 3-6-21 ❙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목원대 방재정보통신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대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0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6-22 ❙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대덕대학교 대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7-02-21
대전대학교 대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6
대전보건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11-11
목원대학교 목원대학교 창업진흥센터 1999-12-28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5-12-26
REGIONAL S&T YEARBOOK 2023 255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6개가 운영 중
표 3-6-23 ❙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대전과학체험관 공립
대전시민천문대 공립
대전나비곤충박물관 사립
대전 엑스포 아쿠아리움 사립
신세계 넥스페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 2000-06-01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전력벤처기업육성센터 1999-11-23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창업보육센터(HNU Science Park) 1998-12-23
한밭대학교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01
2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전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대전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9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836명임
표 3-6-24 ❙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133 124 170 149 97
수혜자 수 3,006 2,594 2,895 3,616 2,83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대전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8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45명 양성
표 3-6-25 ❙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대전관광공사 7
전용공간
2개(144㎡)
53 767,747 60.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257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대전 특허출원 건수는 1만 1,07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5,740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2.7%, 14.2% 감소
표 3-6-26 ❙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10,811 10,734 10,767 10,632 10,867 11,374 11,071
특허등록 건수 5,492 6,503 5,877 6,504 6,712 6,688 5,74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대전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0,431편, 주저자 기준 5,207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3.53%, 8.66%를 차지
표 3-6-27 ❙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9,922 15.56 206,533 20.82 5,043 9.61 86,174 17.09
2019 10,047 14.95 165,867 16.51 4,988 9.09 71,584 14.35
2020 10,947 14.86 134,524 12.29 5,673 9.51 60,094 10.59
2021 11,220 14.05 80,637 7.19 5,683 8.93 33,153 5.83
2022 10,431 13.53 24,669 2.36 5,207 8.66 10,225 1.9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대전-세종-충남-충북 간 바이오헬스 및 모빌리티산업 관련 초광역 협력
■ 지역 자체 과학기술정보서비스(DAON) 운영을 통한 자체 통계정보 기반 R&I사업성과관리 및
개인형 분석 시스템 구축・지원
■ 지역 혁신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지역 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이행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구축 추진
- 대전-세종-충남-충북 간 바이오헬스 및 모빌리티산업 관련 초광역 협력 추진
- 세계 과학선진 도시와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관련 포럼 추진
- 지역 R&D 투자 선순환체계 고도화를 위한 성과평가 및 환류체계(지표 등) 구축
- 지역 주도 R&D 투자규모 확대를 위한 목표설정 및 관련 지자체 과학기술진흥기금 조성운영
- 지역 자체 과학기술정보서비스(DAON) 운영
■ 지역 산학연의 성장 및 주체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주도 대형연구시설장비 활용 촉진을 위한 사업 추진
- 대덕과학포럼 및 과학기술인과 기업인협업 플랫폼사업 추진
- 기업성장주기별 3-UP 지원(35억)’및 ‘IP서비스기업 창업 및 기업유치 활성화(2.5억)’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지역 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이행
- 우주 및 국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총 27억 투자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이행계획을 통해 ‘출연연-대학 공공창업 생태계 강화’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3 259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구축 추진
- 대전-세종-충남-충북 간 바이오헬스 및 모빌리티산업 관련 초광역 협력 추진
- 세계 과학선진 도시와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관련 포럼 추진
- 지역 R&D 투자 선순환체계 고도화를 위한 성과평가 및 환류체계(지표 등) 구축
- 지역 주도 R&D 투자규모 확대를 위한 목표설정 및 관련 지자체 과학기술진흥기금 조성운영
- 지역 자체 과학기술정보서비스(DAON) 운영
■ 지역 산학연의 성장 및 주체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주도 대형연구시설장비 활용 촉진을 위한 사업 추진
- 대덕과학포럼 및 과학기술인과 기업인협업 플랫폼사업 추진
- 기업성장주기별 3-UP 지원(35억) 및 IP서비스기업 창업 및 기업유치 활성화(2.5억)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지역 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이행
- 우주 및 국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총 27억 투자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이행계획을 통해 ‘출연연-대학 공공창업 생태계 강화’ 추진
2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7절 울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울산의 인구는 약 111만 명으로 2018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울산 인구의 비율은 2.1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7-1 ❙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152,725 1,145,761 1,139,069 1,123,676 1,112,807
전국인구대비 비율(%) 2.23 2.21 2.20 2.17 2.15
경제활동참가율(%) 61.8 61.7 60.7 59.8 61.1
실업률(%) 4.6 4.2 4.2 3.6 3.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6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울산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69.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0.61%씩 감소한 경향
을 보임
- 산업구조 상 제조업이 52.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이 19.21%를 차지함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0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7-2 ❙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71,344,390 72,024,599 67,136,435 69,523,278 69,204,235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49,877 225,303 202,187 198,358 200,710
(지역내비중, %) (0.35) (0.31) (0.30) (0.29) (0.29)
제조업 35,741,882 36,796,264 33,675,356 35,091,260 35,998,557
(지역내비중, %) (50.10) (51.09) (50.16) (50.47) (52.0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627,138 1,976,375 2,330,972 2,314,509 2,185,584
(지역내비중, %) (2.28) (2.74) (3.47) (3.33) (3.16)
건설업 3,029,518 2,303,180 2,089,984 1,865,790 2,177,348
(지역내비중, %) (4.25) (3.20) (3.11) (2.68) (3.15)
기타서비스업 12,893,578 12,870,215 12,548,918 12,822,266 13,296,553
(지역내비중, %) (18.07) (17.87) (18.69) (18.44) (19.2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124,021 5,381,548 5,351,189 5,615,937 5,734,797
(지역내비중, %) (7.18) (7.47) (7.97) (8.08) (8.29)
순생산물세 12,594,921 12,584,968 11,214,409 11,888,127 9,877,731
(지역내비중, %) (17.65) (17.47) (16.70) (17.10) (14.27)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울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59조 8,970억 원이고, 1,79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5
만 2,556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약 43조 7,505억원(전체의
27.36%), 321개(전체의 17.8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
업’이 3만 2,970명(전체의 21.61%)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7-3 ❙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73,165 0.55 37 2.06 932 0.61
음료 제조업 101,122 0.06 4 0.2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9,237 0.07 19 1.06 277 0.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 0.06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3,306 0.05 4 0.22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08,997 1.44 84 4.68 3,318 2.1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537,011 0.34 46 2.56 1,140 0.75
1차 금속 제조업 16,560,414 10.36 91 5.07 5,271 3.46
전기장비 제조업 5,635,210 3.52 79 4.40 3,001 1.9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636,743 2.90 201 11.19 6,985 4.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3,750,526 27.36 321 17.87 20,006 13.1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055,651 6.29 304 16.93 32,970 21.61
가구 제조업 - - 2 0.11 - -
기타 제품 제조업 108,767 0.07 7 0.39 54 0.0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21,823 0.08 30 1.67 913 0.6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6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602,273 1.00 209 11.64 6,628 4.34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16,194 0.45 81 4.51 2,873 1.8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91,570 0.24 44 2.45 885 0.5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4,314 0.01 7 0.39 67 0.0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2,597 0.11 4 0.22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6,101,577 22.58 25 1.39 497 0.3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776,136 0.49 22 1.22 424 0.2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5,179,702 22.00 173 9.63 16,271 10.67
합 계 159,896,998 100 1,796 100 152,556 100
REGIONAL S&T YEARBOOK 2023 26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화
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 제품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7-4 ❙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비교적
높음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울산시는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
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
업 간 간극 해소’,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지역의 과
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7-5 ❙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해오름동맹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울산 R&D 경연대전
연구개발기반 설립지원사업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추진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ESS 화재 원천차단 솔루션 수중전지 시스템 기술개발
원천기술 상용화 플랫폼 구축사업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기술 지원
고에너지응용기술 기반활용 미래차부품 제조역량 강화지원
뿌리기업 기술첨단화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KOLAS 인증지원
지역 첨단화학소재 기술개발 지원사업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울산연구원 운영
울산산학융합원 출연금 지원
산학융합 혁신기반 활용사업
바이오데이터 팜 운영 지원사업
수소충전소 구축 유지보수 및 운영지원
울산국방벤처센터 운영
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운영지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
전문경력인사 기술지원
Bio Lab 실험실습실 구축사업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
톡톡팩토리 운영
민간협업 열린창업 활성화 사업
재도전 성공패키지 지원사업
벤처기업 육성지원 사업
화학산업 경쟁력 지원사업
R&D 맞춤형 기술정보 제공 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265
※ 출처 : 울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24개, 도시첨단 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총 41개의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799개, 총 종사자 수는 134,263명
표 3-7-6 ❙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울산・미포 48,444 45,595 1,024 658 96,964 100 조성중
온산 25,939 20,513 461 338 14,670 100 조성중
일반
매곡 565 565 56 55 1,526 97 완료
모듈화 863 863 31 31 2,376 100 완료
이화 694 694 1 1 X 100 조성중
중산 134 134 18 18 359 100 완료
길천 1,515 1,515 99 84 2,018 82 완료
신 3,261 2,423 110 109 3,423 100 완료
와지 126 125 25 25 569 100 완료
울산 High Tech Valley 1,939 1,939 17 16 292 78 조성중
봉계 258 255 10 9 436 100 완료
KCC울산 1,222 1,165 48 35 1,244 94 조성중
전읍 72 72 4 4 74 100 완료
반천 1,373 1,373 79 64 1,443 100 완료
작동 150 150 - - - 100 조성중
중산2차 365 365 43 39 905 100 완료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5G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 운영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츨연금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주력산업 3D프린팅 기술융합 실증지원사업
울산지역 우수학생 육성지원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과학기술문화 장려사업
클럽투클럽 멘토링 지원
청년CEO육성사업
국가인프라 지능정보화사업 시스템 운영
2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매곡2 77 77 13 11 235 100 완료
매곡3 158 158 20 19 724 100 완료
울산테크노 1,287 1,287 150 135 3,326 100 완료
GW 454 454 27 12 232 70 조성중
모바일테크밸리 315 315 - - - - 조성중
에너지융합 1,017 1,017 3 3 20 - 완료
청양 201 200 - - - - 미개발
머거본 56 56 - - - - 미개발
울산도하일빈산업단지 423 423 - - - - 미개발
울산KTX역세권일반산업단지 421 421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울산장현 317 317 - - - - 미개발
농공
달천 260 260 101 101 1,346 100 완료
두동 70 70 4 4 439 100 완료
두서 123 123 15 14 568 100 완료
상북 139 139 14 14 646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267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울산광역시에는 총 47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 중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9개로 가장 많았고, ‘정보통신
업’이 5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76개), ‘전기장비 제조업’(46개), ‘화학 물질 및 화
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4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7-7 ❙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 -
광업(05~08) 2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1 8 6
음료 제조업 1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6 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2 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2 32 4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2 15 1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7 10
1차 금속 제조업 8 2 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 23 2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 16 2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1 18 17
전기장비 제조업 42 40 46
2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3 72 7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1 26 2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8 12 16
가구 제조업 - - -
기타 제품 제조업 10 10 1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2 2
건설업(41~42) 11 10 15
도매 및 소매업(45~47) 5 4 4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3 54 5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9 55 5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3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488 421 473
REGIONAL S&T YEARBOOK 2023 26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울산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747명(전국의 1.3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감소율은
약 1.3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5,694명(전국의 1.09%)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3,948명(전국의 1.78%), 공공연구소는 1,105명(전국의 1.6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7-8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643 1.89 3,640 1.87 3,720 1.80 3,820 1.82 3,948 1.78
∙ 국공립 2,253 2.84 2,410 3.02 2,522 2.91 2,740 3.15 2,850 3.17
∙ 사립 1,390 1.23 1,230 1.08 1,198 0.99 1,080 0.88 1,098 0.83
공공연구소 807 1.38 982 1.57 1,084 1.69 1,077 1.62 1,105 1.61
∙ 국공립 202 1.65 213 1.65 221 1.72 237 1,76 230 1.73
∙ 정부출연 416 1.28 476 1.38 485 1.43 476 1.40 469 1.35
∙ 병원 및 기타 189 1.39 293 1.94 378 2.18 364 1.89 406 1.98
기업 6,836 1.55 5,823 1.26 5,479 1.15 5,453 1.07 5,694 1.09
∙ 정부투자기관 16 0.41 11 0.29 13 0.35 15 0.39 13 0.33
∙ 민간기업 6,820 1.56 5,812 1.27 5,466 1.16 5,438 1.08 5,681 1.09
합 계 11,286 1.63 10,445 1.45 10,283 1.38 10,350 1.32 10,747 1.3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울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6명 증가한 73.3명으로 조사됨
표 3-7-9 ❙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3.1 70.0 69.4 70.7 73.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울산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3,079억 원(전국의 1.16%) 17개 광역시・도 중 12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3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269억 원(전국의 2.20%), 공공연구소는
약 1,411억 원(전국의 1.09%), 기업이 약 9,398억 원(전국의 1.05%)
표 3-7-10 ❙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44,199 2.05 160,634 2.18 179,862 2.15 196,612 2.11 226,897 2.20
∙ 국공립 112,819 3.65 125,448 3.83 140,901 3.73 158,755 3.77 184,220 4.07
∙ 사립 31,380 0.79 35,186 0.86 38,961 0.85 37,857 0.74 42,677 0.74
공공연구소 100,529 1.02 108,847 1.07 108,656 0.98 131,821 1.10 141,136 1.09
∙ 국공립 10,964 1.35 11,482 1.37 11,199 1.32 15,230 1.57 13,608 1.33
∙ 정부출연 79,853 1.06 86,085 1.10 77,640 0.94 96,741 1.11 105,683 1.14
∙ 병원 및 기타 9,712 0.66 11,281 0.74 19,816 1.00 19,850 0.86 21,845 0.83
기업 865,574 1.26 840,482 1.18 778,678 1.06 861,528 1.07 939,845 1.05
∙ 정부투자기관 10,913 1.20 4,366 0.50 3,312 0.38 3,294 0.38 3,064 0.34
∙ 민간기업 854,661 1.26 836,116 1.18 775,366 1.07 858,234 1.07 936,781 1.06
합 계 1,110,302 1.30 1,109,963 1.25 1,067,196 1.15 1,189,961 1.17 1,307,878 1.1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7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울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810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68
표 3-7-11 ❙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031 3,112 3,234 3,651 3,810
(1.5) (1.5) (1.4) (1.5) (1.5)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방정부의 지역혁신 리더십 구축(3개 과제, 116억원)
- (지방정부의 R&D기획・평가역량 확충) 연구개발지원단운영(3.6억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운영
(11.8억원), 울산연구원 운영(101억원) 등
■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 극대화(55개 과제, 1,943억원)
- (지역 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235억원), 울산
과학기술원 연구운영비 지원(875억), 해오름동맹 원자 혁신센터 지원사업(24억원), 스마트 원전
해체 융합인력양성(7.3억원), 대학 ICT연구센터지원(9.2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및
후속지원(17억원), 원자력 융복합 기술개발(10억원), 폐플라스틱 새활용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
조기술 개발(21억원), 4단계 두뇌한국 21사업(17억원), 세포간 신호교신에 의한 암제어 기술 개발
(8.7억원), UNIST-헬름홀츠율리히 미래에너지 혁신연구센터(5.6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울산시-ETRI공동협력사업(34억원), 울산테크
노산단 P2G기반 한전 MG실증사업(8.1억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49억원), ICT이노베이션
스퀘어확산(21억원), 시-화연 정밀화학 기술협력사업(13억원), 자동차-화학 융합산업 기술개발
(19.8억원),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기반구축사업(3.7억원), ESS화재 원천차단 솔루션 수중
전지 시스템 기술개발(3억원) 등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201억원),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
터 구축(85억원), 고집적에너지 산업응용 R&BD구축(33억원), 도심외 지역 대상 자율주행차 개발
및 실증(24억원), 원전해체 가상작업장 및 힘-토크 반응 원격해체작업 훈련시스템 개발사업(14억
2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11.8억원),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기술 지원(8
억원),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지원(8억원), 중소중견기업 4차산업 기술적용 에너지효율향상 지원
(4.5억원) 등
■ 지역혁신 성장체계 고도화(38개 과제, 1,373억원)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3D프린팅응용 친환경자동차부품 R&BD구축(17.7억원), 스마트공
장 협업패키지 기술개발지원(10억원), 울산산학융합원 출연금지원(3억원) 등
- (지역 내 기술 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식재산 창출지원(12.4억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992.6억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10억원) 등
- (지역 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3D프린팅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체계 구축사업(86.9억원), 차세대 조
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 연구센터 구축(27억원),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24억
원),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176억원) 등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에서 담당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울산광역시
REGIONAL S&T YEARBOOK 2023 273
표 3-7-12 ❙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7,400 2 5,831 119 28 21 1,309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7-13 ❙ 울산광역시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과 건설주택국 스마트도시과와 경제산업실 주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조례)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울산시 과학기술진흥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 심의 및 자문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
∙ 화학소재분야 사업구조 고도화사업 지원
∙ 석유화학・정밀화학・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지원
∙ 오일・가스허브 연계사업 및 기반시설 육성・지원
∙ 융합세라믹산업 육성지원을 과제 발굴 및 클러스터 조성사업
∙ 3D프린팅산업 진흥 종합게획 수립,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사업 추진
∙ 탄소 그래핀 연구개발(R&D) 지원 사업, 에너지산업분야 초전도체 소재개발 지원 육성
∙ 게놈산업, 바이오메디컬산업 및 헬스케어산업의 육성・지원
건설주택국
스마트도시과
∙ 스마트도시계획 수립・운영,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
∙ 공공데이터 개방 및 시스템 운영
∙ 탄소중립 정책지원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우리 마을 스마트 모빌리티 1.0 구축
경제산업실
주력산업과
∙ 지역산업발전계획 수립 추진, 서비스산업 육성 총괄 및 지원체계 구축
∙ 지역전략산업 추진 총괄,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 총괄・조정
∙ 3차원(3D) 프린팅산업 육성 총괄 및 지원체계 구축
∙ 주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산업 육성 및 아이시비엠에스(ICBMS) 기반 사업 추진
∙ 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신 지역과학기술 진흥계획 수립
∙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연구개발(R&D)지원사업, 산업미세먼지 슈퍼클린 융합기술개발사업
2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정보화의 추진 및 지원
- 과학기술진흥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생활과학화 촉진 사업
- 과학기술인 포상대상자 선정
- 그 밖에 위원회의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안효대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재임기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3회 (2023.1.11~13., 8.24, 12.19)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도 추진실적 심의, 울산광역시 R&D사업 전주기 통합성과
관리체계 구축방안(안) 회의, 울산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추진실적 및 `24년 시행계획(안)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7-14 ❙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안효대 울산광역시 재직기간
위원 이채권 울산광역시 재직기간
위원 권순용 울산과학기술원 2022.05.11.~2024.05.10.
위원 김종원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2022.05.11.~2024.05.10.
위원 김주연 울산과학대학교 2022.05.11.~2024.05.10.
위원 김창락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2022.05.11.~2024.05.10.
위원 박규열 울산대학교 2022.05.11.~2024.05.10.
위원 석주헌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심정훈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2022.05.11.~2024.05.10.
위원 엄영희 울산상공회의소 2022.05.11.~2024.05.10.
위원 이경우 울산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이만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이준정 울산테크노파크 2022.05.11.~2024.05.10.
위원 서봉국 한국화학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홍성우 울산광역시의회 2022.05.11.~2024.05.10.
※ 출처 : 울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7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울산시의 총 예산은 8조 5,81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96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1.13%
- 과학기술 예산 중 울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8.15%
표 3-7-15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85,813
재정자주도(%) 66.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432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6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1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8.15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2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울산시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319억 원
을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약 1,188억 원, 지방비는 ‘지역 혁신클러스
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489억 원이 투입
표 3-7-16 ❙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울산발전연구원 운영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사업
3,322 7,987 6,337 17,64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운영비지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118,826 10,287 2,764 131,87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울산시-ETRI 공동협력사업
6,932 6,849 1,731 15,26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24,356 18,604 2,842 45,802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친환경 수소모빌리티용 태양광 수소 온사이트
생산시스템 개발 실증
자동차-화학융합산업 기술개발
5,587 480 210 6,277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수소충전소 유지보수 및 운영지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
1,347 3,680 464 5,49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
65,314 48,855 6,639 120,808
합 계 225,684 96,742 20,987 343,162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27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울산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778개로 전국의 1.1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85%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2개 증가, 기업 132개 증가
표 3-7-17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37 5 1.20 6 1.46 7 1.65 5 1.20
∙ 국공립 1 1.27 1 1.19 1 1.18 1 1.16 1 1.14
∙ 사립 4 1.40 4 1.21 5 1.53 6 1.78 4 1.21
공공연구소 14 2.29 15 2.34 16 2.41 18 2.61 16 2.34
∙ 국공립 4 3.05 4 2.80 3 2.10 4 2.61 3 2.19
∙ 정부출연 6 3.59 6 3.55 7 4.29 8 4.71 8 4.85
∙ 병원 및 기타 4 1.27 5 1.52 6 1.68 6 1.64 5 1.31
기업 625 1.29 643 1.17 678 1.16 720 1.16 757 1.18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1 1.85 2 3.39 2 3.28
∙ 민간기업 624 1.29 642 1.17 677 1.16 718 1.15 755 1.17
합 계 644 1.31 663 1.19 700 1.18 745 1.18 778 1.1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울산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7-18 ❙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울산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2만 5,55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361명(전체의 약 9.24%), 공학계열 학생이 1만 1,106명(전체
의 약 43.46%)
표 3-7-19 ❙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361 11,106 13,467 4,807 1,682 533 1,263 3,800 25,552
비중(%) 9.24 43.46 52.70 18.81 6.58 2.09 4.94 14.87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7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울산광역시에는 총 4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울산과학기술원에 2개, 울산대학교에 2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7-20 ❙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울산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대사스트레스 세포대응 연구센터 SRC
2020 미세플라스틱 대응 화공/바이오 융합 공정 연구센터 ERC
울산대학교
(2개 센터)
2018 줄기세포 면역제어 연구센터 MRC
2023 친환경 수소산업 전주기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울산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울산대에 2개가 운영했으나, ’23년 기준으로 모두 운영 종료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울산에는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 1개, 울산대학교에 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
치・운영 중에 있음
표 3-7-21 ❙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1-08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8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울산에는 공립 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7-22 ❙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태화강생태관 공립
울산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울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울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64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898명임
표 3-7-23 ❙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400 412 432 525 646
수혜자 수 8,279 5,447 7,783 10.521 12,89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2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울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2,22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156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0.9%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25.8%씩 감소
표 3-7-24 ❙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2,421 2,267 2,347 2,277 2,499 2,209 2,228
특허등록 건수 1,016 1,269 1,308 1,268 1,560 1,557 1,15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울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2,444편, 주저자 기준 1,23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17%, 2.06%를 차지
표 3-7-25 ❙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2,066 3.24 57,674 27.92 1,112 2.12 28,992 26.07
2019 2,266 3.37 57,082 25.19 1,174 2.14 25,733 21.92
2020 2,576 3.50 45,827 17.79 1,321 2.21 21,428 16.22
2021 2,627 3.29 28,397 10.81 1,317 2.07 13,243 10.06
2022 2,444 3.17 7,945 3.25 1,236 2.06 3,655 2.9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28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 현황
▣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지역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대학, 출연(연)의 거점화, 임계규모 확보로 지역혁신 선도
-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산업 경쟁력 제고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 문화 저변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간 불균형 심화 및 지역 소멸위기의 시대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기반 혁신을 통한 주력산
업 활성화 및 미래 유망 혁신 기술 발굴 추진
-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역과 수도권 간 경제, 산업 경쟁력 격차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지역의 강
점 및 수준을 고려한 고유의 성장경로를 설정하여 자생력 높은 지역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구축
하여 지역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산학연 협력을 통한 미래 핵심 분야 유망기술의 발굴・육성
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
2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그린모빌리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추진, 수소전기차 안전인증센터 구축, 지능형 미
래차 핵심부품 개발 지원 기반구축,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전력・전자 융합기술 전환지원 등 글로
벌 기업 및 세계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에 따른 그린모빌리티로의 전환 가속화 대응 정책 및 추진
전략 수립
- (스마트조선) 조선산업 위기 이후, 고부가・친환경 핵심 기술경쟁력 확보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통
한 조선산업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정보통신융합 전기추진
스마트 선박 개발 및 실증,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을 통한 핵심기술 상용화・고도화를 통하여 스마트조선 산업 재도약 추진
- (미래화학신소재) 대외의존형 화학소재 산업 구조 탈피 및 친환경 미래 동력 첨단화학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도모를 위한 수요맞춤형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화/실증, 울산 게놈서비스산
업 규제자유특구 추진,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
센터 구축 등 노후화된 산단 인프라의 첨단・스마트화를 통한 중견・중소기업의 첨단화학소재 개발
을 지속적 추진
- (저탄소에너지) 세계적인 2050 탄소중립 정책 및 민선 8기 공약사업 추진을 위한 이산화탄소 자원
화 규제자유특구 추진, 부유식 해상풍력 시험평가인증센터 조성,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전기차
사용배터리 재사용 사업 기반구축 등 탄소중립 선도 기술 확보를 통한 저탄소 에너지 경제 전환 촉
진 추진
- (미래신성장산업) IT기반 도시 인프라 및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자동차, 조선, 화학 산업의 스마
트 대전환을 통한 제조업 혁신에 중점을 두고 수소, 부유식 해상풍력, 원자력산업 육성을 통해 울산
그린에너지 산업 및 게놈바이오, 해저도시 등 지식서비스 중심의 신산업 육성 계획 수립 및 추진
■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협력체계 강화
- 기술개발 성과 활용 및 기술 사장화 방지를 위한 기술사업화 이어달리기 사업 활성화 필요 : 논문,
특허 등 기술개발 성과 자체보다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신산업 분야 진출 촉진을 위한 후속 지
원 강화
- 지역 수요, 지역별 여건을 반영한 연구소와 기업 간 협력형 R&D 전략적 지원 강화 : 출연(연) 지역
분원,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대상 연구 실적, 수행기능을 고려한 지역 소재 혁신을 통한 산연 협력
R&D의 전략적 지원 확대
- R&D 사업구조의 체계화 및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 기술영역별, 수행주체별, R&D단계별, 지
원대상 속성별 등 지원영역을 차별화 및 상호 연계를 위한 R&D사업의 구조화 추진
- 기술개발 지원 효율성 개선을 위한 지역 R&D 거버넌스 정비 : 정확한 지역 수요 반영과 전주기적
지원 역량 확충을 위한 지역 R&D 전담기관의 주도적 설계 및 기획 기능 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3 285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실현 및 전략성을 제고하기 위한 타 계획과의 연계성 강화 실행력 제
고와 세부 분야별 구체적 실행방안이 수립・시행함을 통해 계획간 유기적 연계 체계 마련
-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계획의 수립 체계 마련:이전 회차 계획 달성 수준 및 성과평가 결
과, 전문가 의견, 현장 의견, 대내외 환경 등을 종합하여 시행할 수 있는 계획 및 목표 설정
2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세종의 인구는 약 38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세종 인구의 비율은 0.74%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8-1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302,249 329,422 348,302 366,165 382,760
전국인구대비 비율(%) 0.59 0.64 0.67 0.71 0.74
경제활동참가율(%) 63.2 64.3 64.5 64 65
실업률(%) 2.3 2.7 2.8 2.1 2.0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8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세종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3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4.38%의 증가율을 나
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36.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3.72%, 제조업이
23.48%로 그 뒤를 따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의 산업 내 비중은 5년 간 7.18%로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이며, 기타서비스
업이 6.55% 증가하여 세종시 내 산업구조에서 서비스업이 중심적임을 시사함
표 3-8-2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구 분
지역내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0,423,610 11,091,040 11,647,981 12,509,390 12,916,42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07,928 177,102 159,066 172,506 162,324
(지역내비중, %) (1.99) (1.60) (1.37) (1.38) (1.26)
제조업 2,236,617 2,391,190 2,706,830 2,972,782 3,033,383
(지역내비중, %) (21.46) (21.56) (23.24) (23.76) (23.4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75,862 147,443 224,472 232,962 209,846
(지역내비중, %) (1.69) (1.33) (1.93) (1.86) (1.62)
건설업 1,456,476 1,323,239 1,092,471 1,010,786 1,021,665
(지역내비중, %) (13.97) (11.93) (9.38) (8.08) (7.91)
기타서비스업 2,231,386 2,470,393 2,618,978 2,814,573 3,064,025
(지역내비중, %) (21.41) (22.27) (22.48) (22.50) (23.7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3,302,009 3,749,491 4,069,858 4,533,623 4,671,345
(지역내비중, %) (31.68) (33.81) (34.94) (36.24) (36.17)
순생산물세 808,642 819,720 830,994 847,109 815,292
(지역내비중, %) (7.76) (7.39) (7.13) (6.77) (6.31)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세종시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8조 2,454억 원이고, 29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만
4,25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은 ‘화학 물질 및 화학제춤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1조 1,268억 원(전체의 13.67%), 사
업체 수는 ‘식료품 제조업’이 36개(전체의 12.12%), 종사자 수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1,537명(전체의 10.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8-3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4,031 12.30 36 12.12 1,317 9.24
음료 제조업 92,657 1.12 2 0.67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889 0.10 3 1.01 36 0.2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3 4.38 196 1.3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11,981 5.00 11 3.70 1,054 7.3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91,694 7.18 35 11.78 1,044 7.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70,866 9.35 27 9.09 1,162 8.15
1차 금속 제조업 198,264 2.40 12 4.04 194 1.36
전기장비 제조업 852,104 10.33 33 11.11 1,254 8.8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5,922 0.80 14 4.71 266 1.8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20,679 6.31 23 7.74 1,537 10.7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638 0.03 1 0.34 - -
기타 제품 제조업 24,863 0.30 4 1.35 -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0,093 0.12 4 1.35 53 0.3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34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7,156 1.91 14 4.71 242 1.7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6,995 0.21 4 1.35 53 0.3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64,339 6.84 10 3.37 239 1.6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64,487 12.91 7 2.36 446 3.1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05,164 7.34 13 4.38 678 4.7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26,767 13.67 30 10.10 777 5.45
합 계 8,245,421 100 297 100 14,25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28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
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으로 나타남
표 3-8-4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전기장비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
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
통신장비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세종시는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과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
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
굴 및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
하고 있음
표 3-8-5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대전・세종・충남 공동 DSC 공유대학 및 지역혁신플랫폼 운영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세종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대전・세종・충남 공동 DSC 공유대학 및 지역혁신플랫폼 운영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SW융합클러스터 2.0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정보보안 청년인재 양성
AI 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스마트시티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미래차 전문인력 양성
SW중심 글로벌 청년 창업빌리지 조성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9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세종시에는 일반산업단지 1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단지 4개가 있음
- 총 1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80개, 총 종사자 수는 12,248명
표 3-8-6 ❙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소정 272 272 1 1 X 100 완료
월산 1,380 1,380 1 1 X 100 완료
전의 481 481 8 8 1,393 100 완료
전의2 867 866 32 29 1,301 100 완료
조치원 940 940 12 11 699 100 완료
명학 838 838 36 35 3,943 100 완료
부강(구 부용) 565 565 12 12 2,011 100 완료
세종미래 560 560 11 11 255 100 완료
세종스마트그린 908 908 - - - - 미개발
세종벤처밸리 590 590 - - - - 미개발
세종첨단 664 664 27 22 803 100 조성중
전동 140 140 - - - - 미개발
세종복합 829 829 - - - - 미개발
도시첨단
행정중심복합도시
4-2생활권
822 822 29 27 325 61 조성중
농공
부용 203 201 1 1 X 100 완료
노장 162 162 16 15 582 100 완료
응암 116 116 5 4 424 100 완료
청송 82 82 3 3 236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2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세종시에는 총 21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에서는 ‘정보통신업’이 4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3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5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4개), ‘의료, 정밀, 과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3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
업 위치
표 3-8-7 ❙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1 1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4 3 7
음료 제조업 -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 - 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1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 11 1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 4 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 9 1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 1 1
1차 금속 제조업 1 - 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0 10 1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 14 1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 14 13
REGIONAL S&T YEARBOOK 2023 29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장비 제조업 11 8 1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2 18 2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 5 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2 2
가구 제조업 2 1 1
기타 제품 제조업 1 1 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 - -
건설업(41~42) 5 4 5
도매 및 소매업(45~47) 3 3 4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
정보통신업(58~63) 32 37 4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6 23 3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 -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1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80 174 213
2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세종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7,080명으로 전국대비비중은 약 0.87%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
인력 증가율은 약 4.7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공공연구소가 3,497명(전국의 5.11%)으로 가장 많았고, 기
업이 2,041명(전국의 0.39%), 대학이 1,542명(전국의 0.6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8-8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85 0.46 962 0.50 1,351 0.65 1,671 0.80 1,542 0.69
∙ 국공립 - - - - 108 0.12 155 0.18 197 0.22
∙ 사립 885 0.78 962 0.84 1,243 1.03 1,516 1.23 1,345 1.02
공공연구소 3,326 5.70 3,426 5.49 3,610 5.63 3,415 5.13 3,497 5.11
∙ 국공립 7 0.06 18 0.14 18 0.14 18 0.13 19 0.14
∙ 정부출연 3,318 10.19 3,390 9.84 3,519 10.37 3,327 9.82 3,389 9.77
∙ 병원 및 기타 1 0.01 18 0.12 73 0.42 70 0.36 89 0.43
기업 1,398 0.32 1,438 0.31 1,642 0.34 1,825 0.36 2,041 0.39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0.00
∙ 민간기업 1,398 0.32 1,438 0.31 1,642 0.35 1,825 0.36 2,041 0.39
합 계 5,609 0.81 5,826 0.81 6,603 0.88 6,911 0.88 7,080 0.87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인력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95
■ ’22년 세종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보다 4.6명 감소한 131.4명으로 조사됨
표 3-8-9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34.5 127.5 136.1 136.0 131.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세종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7,512억 원(전국의 0.67%)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76%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686억 원(전국의 0.67%), 공공연구소는 약
3,351억 원(전국의 2.59%), 기업이 약 3,476억 원(전국의 0.39%)
표 3-8-10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3,405 0.47 44,618 0.61 52,352 0.63 72,941 0.78 68,583 0.67
∙ 국공립 - - - - - - 2,576 0.06 4,023 0.09
∙ 사립 33,405 0.84 44,618 1.09 52,352 1.14 70,365 1.38 64,560 1.12
공공연구소 303,231 3.08 344,229 3.39 350,981 3.16 327,364 2.73 335,119 2.59
∙ 국공립 707 0.09 1,125 0.13 1,285 0.15 1,495 0.15 1,495 0.15
∙ 정부출연 302,524 4.01 342,227 4.38 346,640 4.18 323,844 3.71 330,833 3.57
∙ 병원 및 기타 - - 877 0.06 3,056 0.15 2,025 0.09 2,791 0.11
기업 180,486 0.26 205,233 0.29 208,211 0.28 253,086 0.31 347,585 0.39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
∙ 민간기업 180,486 0.27 205,233 0.29 208,211 0.29 253,086 0.32 347,585 0.39
합 계 517,122 0.60 594,080 0.67 611,544 0.66 653,391 0.64 751,287 0.67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비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세종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21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8%
표 3-8-11 ❙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696 4,837 5,159 5,877 6,218
(2.4) (2.4) (2.3) (2.4) (2.4)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주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집계 시작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5대 신산업 육성 거버넌스 확립 및 기업유치 활성화
-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사업(794백만원),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10,182백만원), 생활과학교실
운영(147백만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1,497백만원) 등
■ 충청권 초광역 산업 도출 및 핵심과제 기획
- 충청권 BT-IT 융합실증센터 기획, 충청권 인공지능 선도사업 기획 등
■ 융복합 혁신기술 개발 및 세종시 특성을 활용한 실증 확대
-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1,450백만원), 지역SW기업 성장지원(418백만원),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2,188백만원), 시설원예 ICT융복합 지원사업(16백만원) 등
■ 국가 핵심정책에 대응 가능한 세종시 과학기술 정책 수립
- 세종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360백만원), 대전세종연구원(세종연구실) 운영(2,245백만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29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세종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에서 추진 중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표 3-8-12 ❙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518 1 1,849 37 33 11 58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2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8-13 ❙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에 관한 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자문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지식재산 진흥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4.20. ~ 2025.4.19.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1차(2023.1.9.~13.)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적정성 여부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 국서무, 의회대응, 세종테크노파크 운영지원,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등
∙ 국과 예산,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등
∙ 지역특화산업 육성, 산학연클러스터 지원센터 운영, 세종테크노파크 관리 지원 등
∙ 경제산업정책 수립, 시민주권회의 경제산업분과 운영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299
▣ 위원회 명단 및 위원 소속기관
표 3-8-14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승원 세종특별자치시 2023. 4. 20. ~ 2025. 4. 19.
당연직 남궁호 세종특별자치시 2023. 4. 20. ~ 2025. 4. 19.
위원 박성희 고려대학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유동영 홍익대학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유세문 한국영상대학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이성빈 카이스트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윤권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길연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정미애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3. 4. 20. ~ 2025. 4. 19.
위원 남영식 대전세종연구원 세종연구실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임재현 루먼랩(주) 대표이사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오미경 세종사이언스(주)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김태상 비전세미콘 스토랑스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김선희 ㈜에이치이브이 2023. 4. 20. ~ 2025. 4. 19.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세종시의 총 예산은 약 2조 5,290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3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93%
- 과학기술 예산 중 세종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4.95%
표 3-8-15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5,290
재정자주도(%) 63.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2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3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4.95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30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세종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92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각각 162억 원, 124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8-16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세종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180 2,726 - 2,90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창업보육 지원사업 - 60 6 6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세종 창조경제혁시센터 운영지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
1,474 2,484 - 3,95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 고도화 사업
16,154 12,351 700.4 29,20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 - -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세종창업키운센터 관리운영 - 166 - 16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로스터 육성(세종)
미래차연구센터 운영
10,331 5,842 - 16,173
합 계 28,139 23,629 706 52,47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세종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335개로 전국의 0.5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89%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2개, 기업 142개 증가
표 3-8-17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37 4 0.96 5 1.22 6 1.42 5 1.20
∙ 국공립 - - - - 1 1.18 1 1.16 1 1.14
∙ 사립 5 1.75 4 1.21 4 1.23 5 1.48 4 1.21
공공연구소 17 2.78 18 2.80 19 2.87 18 2.61 19 2.78
∙ 국공립 1 0.76 1 0.70 1 0.70 1 0.65 1 0.73
∙ 정부출연 15 8.98 15 8.88 14 8.59 13 7.65 13 7.88
∙ 병원 및 기타 1 0.32 2 0.61 4 1.12 4 1.09 5 1.31
기업 169 0.35 210 0.38 249 0.43 286 0.46 311 0.48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0.00
∙ 민간기업 169 0.35 210 0.38 249 0.43 286 0.46 311 0.48
합 계 191 0.39 232 0.42 273 0.46 310 0.49 335 0.5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03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세종 소재 대학 수는 3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1개 존재
표 3-8-18 ❙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 - 2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1 1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 - 3 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세종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6,99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378명(전체의 약 8.11%), 공학계열 학생이 4,518명(전체의
약 26.59%)
표 3-8-19 ❙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378 4,518 5,896 340 5,099 22 1,329 4,304 16,990
비중(%) 8.11 26.59 34.70 2.00 30.01 0.13 7.82 25.33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총 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에 1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8-20 ❙ 세종특별자치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1개 센터)
2021 생체시계 기반 항노화 융합연구 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세종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8-21 ❙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세종창업키움센터 2019-04-25
한국영상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28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벤처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0-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30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세종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세종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2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131명임
표 3-8-22 ❙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78 99 93 83 126
수혜자 수 1,816 2,051 1,581 1,601 2,13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세종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44명 양성
표 3-8-23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세종테크노파크 8
전용공간
1개(255m3)
149 79,466 52.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세종시 특허출원 건수는 93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60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1.2%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18.4%씩 감소
표 3-8-24 ❙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548 736 811 813 874 922 933
특허등록 건수 249 307 394 405 482 564 46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세종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999편, 주저자 기준 371편으로 점유율 면에
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30%, 0.62%를 차지
표 3-8-25 ❙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605 0.95 9,033 14.93 279 0.53 3,434 12.31
2019 743 1.11 9,150 12.31 335 0.61 3,542 10.57
2020 785 1.07 7,656 9.75 325 0.54 2,841 8.74
2021 947 1.19 4,889 5.16 404 0.63 1,736 4.30
2022 999 1.30 1,778 1.78 371 0.62 529 1.4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30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육성을 통한 미래전략수도 세종
■ 목표 : 과학기술 중심의 지역 혁신성장 가속화
■ 전략 :
- 세종시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지원생태계 조성
- 지역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혁신의 가속화
- 세종시 과학기술혁신 기반 조성과 문화 확산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세종시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 및 스마트시티 기반구축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스마트시티 혁신 공간 조성 및 서비스 모델 검증
- 대전-세종-오창의 충청권 과학벨트를 연계한 가속기산업 초광역 협력
■ 혁신기관 협력 기반 지역특화 산업 육성을 위한 기업지원 및 생태계 활성화
-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지역 혁신기관(대학, 연구기관 등) 협력 기반 기업 창업 및 연구장비 지원
■ 세종시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를 위한 거점기관 설립 및 지원기관 역량강화
-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를 위한 거점기관 설립
- 지역 과학기술 전담기관 역량 강화 및 기능 고도화
■ 세종시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인프라 고도화
- 지역 혁신 인재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년 연구인력 지역 정착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지원환경 강화
3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세종시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문화 콘텐츠 개발 및 플랫폼 활성화
- 지역 과학문화 접근성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접목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 혁신기관 협력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미래 선도기술 확보
- 미래차 모빌리티 기업 제품 상용화 지원 및 혁신 생태계 조성
- 바이오헬스 지원 서비스 고도화 및 혁신 생태계 조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연구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지역 기업의 도약 지원
-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문제 해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시설・장비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지
원
- 지역 주력산업 분야 중소기업의 신제품 상용화 및 지자체가 선정한 지역 우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 지역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세종시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 및 스마트시티 기반구축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SW융합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SW서비스 사업화 지원, SW융합인력 양성, SW융합 인프라 구축
-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 중심의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성
■ 정보보호산업 생태계 조성 및 사이버보안 자생력 강화
- 앵커 역할을 수행하는 시설 유치를 통한 권역 거점 구축, 이를 중심으로 기업 육성, 인재양성 등 지
원 프로그램 운영 추진
- 앵커시설 구축 및 지역 내 정보보호 수요창출, 전문기업 육성, 인재 양성 등을 유기적으로 운영하며
지역 정보보호산업 성장 여건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309
제9절 경기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경기도의 인구는 약 1,370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경기도 인구의 비율은 약 26.49%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9-1 ❙ 경기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3,026,541 13,241,253 13,452,422 13,611,628 13,680,911
전국인구대비 비율(%) 25.25 25.58 26.00 26.31 26.49
경제활동참가율(%) 64.4 64.3 62.8 63.5 65.7
실업률(%) 3.8 3.8 4 3.7 2.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3.12.시점)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3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기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1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 36.91%로 경기도 산업의 큰 축을 이룸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4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9-2 ❙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51,914,662 462,288,338 470,022,670 498,358,681 516,358,20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578,252 3,659,487 3,396,568 3,539,745 3,468,300
(지역내비중, %) (0.79) (0.79) (0.72) (0.71) (0.67)
제조업 161,040,454 164,243,433 171,457,096 187,049,856 190,601,268
(지역내비중, %) (35.64) (35.53) (36.48) (37.53) (36.9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531,923 6,070,008 6,994,242 7,400,323 7,575,267
(지역내비중, %) (1.22) (1.31) (1.49) (1.48) (1.47)
건설업 27,485,211 27,016,066 25,566,136 25,800,603 27,621,003
(지역내비중, %) (6.08) (5.84) (5.44) (5.18) (5.35)
기타서비스업 167,755,049 171,722,236 173,896,870 181,898,059 190,598,850
(지역내비중, %) (37.12) (37.15) (37.00) (36.50) (36.9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3,033,834 55,936,820 56,884,543 60,431,631 63,672,692
(지역내비중, %) (11.74) (12.10) (12.10) (12.13) (12.33)
순생산물세 33,397,081 33,760,880 33,140,912 34,271,149 34,321,283
(지역내비중, %) (7.39) (7.30) (7.05) (6.88) (6.65)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31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기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408조 3,209억 원이고, 2만 4,628개의 사업체가 있으
며 91만 3,392명이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147조 8,570
억 원(전체의 36.21%), 17만 5,985명(전체의 19.2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722개(전체의 15.1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9-3 ❙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22,606,402 5.54 1,512 6.14 55,990 6.13
음료 제조업 3,347,509 0.82 51 0.21 2,193 0.2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452,100 0.36 266 1.08 5,392 0.5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42,933 0.06 516 2.10 12,339 1.3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907,234 2.43 257 1.04 20,033 2.1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1,568,420 5.28 2,759 11.20 73,984 8.1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631,512 2.11 738 3.00 21,652 2.37
1차 금속 제조업 13,511,013 3.31 851 3.46 23,906 2.62
전기장비 제조업 19,540,269 4.79 1,912 7.76 61,776 6.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8,581,311 9.45 3,722 15.11 120,489 13.1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2,972,159 10.52 869 3.53 70,454 7.7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34,120 0.18 59 0.24 1,197 0.13
가구 제조업 5,752,343 1.41 910 3.69 19,405 2.12
기타 제품 제조업 2,167,529 0.53 438 1.78 9,732 1.0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806,849 0.44 153 0.62 6,360 0.7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099,801 0.27 170 0.69 4,018 0.4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657,007 4.32 3,327 13.51 76,052 8.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107,140 1.25 1,036 4.21 24,302 2.6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779,774 2.88 1,093 4.44 40,434 4.4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373,038 0.34 260 1.06 5,684 0.6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7,857,024 36.21 1,721 6.99 175,985 19.2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72,129 0.12 19 0.08 310 0.0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857,367 2.17 913 3.71 25,352 2.7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1,295,950 5.22 1,076 4.37 39,076 4.28
합 계 408,320,933 100 24,628 100 913,392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3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없으나,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으며,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가구 제조업’임
표 3-9-4 ❙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 가구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31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기도는 ‘글로벌 신산업 육성’,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R&D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균형
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혁신클러스터 조성’,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과학문화 저변확대’, ’과
학기술 인력양성‘, ‘지역균형발전 기여’,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
영・관리하고 있음
표 3-9-5 ❙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글로벌 신산업 육성
AI 기반 미래 차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AI 기반 의료 바이오 분야 응용연구 지원
경기도 시스템 반도체 OSAT분야 기술개발지원 사업
경기도 성능시험장 활용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 개발
데이터 산업육성지원
디지털 혁신 의료기기개발지원
메디 바이오산업혁신 기반 구축
바이오산업혁신생태계 활성화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요소기술 시험대 구축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차세대반도체 패키징 장비 재료산업전 등 개최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XR 기기 부품 모듈 시험 제작 및 사업화 지원
경기도 AI 실증 지원
경기도형 지능형 공장 종합 지원
대학 창의적 자산실용화지원(BRIDGE3.0)
산업 가치사슬 디지털 전환 지원센터 조성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3D프린팅 기술지원
경기도 로봇산업 육성지원
드론 산업육성지원
드론 체험 활성화 지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산업화지원 기반 구축
메타버스 산업 육성
한국 반도체 아카데미 경기도 교육장 지원 사업
3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R & D 첫걸음 기업연구소 지원
경기도(예비) 초기 기술창업 지원
경기도 R&D 과제 관리 시스템(G-PMS) 운영
경기도 기술창업 재도전 지원
경기도 대학생 융합기술 창업 지원
경기도 대학혁신플랫폼 지원
경기도 민간투자 연계형 기술창업 지원 사업
경기도 바이오기업 R&DB 종합 지원
경기도 지역 협력 연구센터(GRRC) 지원
경기도형 혁신개방형 혁신 지원
경기 바이오 신생기업 랩 구축 및 운영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운영지원
경기신생기업 플랫폼 운영
경기창업허브 운영
글로벌 성장지원 프로그램 운영
기술개발사업
기술거래 촉진 네트워크 사업
기술닥터
기술이전 창업 지원
디지털 생명 건강 연구장비 고도화
메이커스페이스 전문 랩 구축 운영
메타버스 창업 등 기업종합지원 거점센터 운영
문화기술 산업 육성(전환)
뷰티기업 마케팅 지원
뷰티산업육성지원
연구장 비공동 활용 시스템 운영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사업지원
지식재산보호강화
지식재산창출및창업지원
지역기반형콘텐츠코리아랩운영
차세대수소에너지기술개발지원사업
창업보육센터운영지원
창업중심대학사업지원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경기도자율주행센터운영
경기안산강소연구개발특구지원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315
※ 출처 : 경기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판교경기문화창조허브운영(전환)
판교벤처스타트업클러스터활성화
판교제1TV관리
판교제2TV산업단지관리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혁신클러스터
조성
경기도형코워킹스페이스(서부권,북동부권,북서부권)조성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인프라확충
창업혁신공간(북동부권)조성
창업혁신공간(북서부권)조성
창업혁신공간(서부권)조성
창업혁신공간운영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AI,마이데이터기반고독사예방및대응서비스
경기도마이데이터통합플랫폼운영
경기생성형AI데이터플랫폼사전컨설팅
데이터기반의도정현안분석
데이터분석시스템운영
변화와기회의경기창업공모
열린혁신디지털오픈랩구축
지역경제빅데이터플랫폼운영
지역맞춤형경제활성화
과학문화 저변확대
2024년퓨쳐모빌리티“개벽”Festa
2024디지털퓨처쇼
글로벌스타트업행사개최
지역과학문화역량강화사업
과학기술 인력양성
글로벌바이오네트워크캠퍼스구축및인력양성
나노기술인력양성사업
바이오산업본부운영지원
바이오전문인력양성
반도체산업전문인력양성교육장비도입
반도체산업전문인력양성사업
반도체인재뱅크DB구축사업
인공지능연구인력지원
인공지능인재양성
지역균형발전 기여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경기연구개발지원단연구지원
과학기술정책연구지원
바이오산업종합계획수립연구용역
3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176개, 도시첨단단지 11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9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3,740개, 종사자 수는 587,944명
표 3-9-6 ❙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반월특수지역 150,799 38,010 21,129 20,671 254,515 100 조성중
파주출판 1,562 1,515 894 883 6,386 100 완료
파주탄현 80 77 46 44 266 100 완료
아산국가 20,193 17,796 252 239 24,006 100 조성중
동두천 267 266 - - - - 조성중
일반
김포항공 336 336 8 8 221 100 완료
상마 79 79 37 37 353 100 완료
양촌 1,686 1,685 885 885 9,118 100 완료
율생 49 49 13 13 98 100 완료
통진(팬택) 34 34 4 3 97 100 완료
학운 56 56 43 43 363 100 완료
학운2 634 634 128 128 2,275 100 완료
동두천 262 262 46 46 1,071 100 완료
동두천2 187 187 24 24 613 96 완료
상봉암 54 54 7 7 805 100 완료
오정 291 291 102 102 2,486 100 완료
성남[재생사업지구] 1,513 1,511 2,952 2,942 42,655 100 완료
반월도금 162 161 104 104 913 100 완료
가율 58 58 3 3 506 100 완료
공도 69 69 5 5 151 100 완료
금산 58 58 15 12 574 100 완료
덕산 59 59 11 11 191 100 완료
동항 57 57 14 13 303 100 완료
두교 56 56 8 7 349 100 완료
미양2 160 160 6 6 889 100 완료
방초 60 60 9 9 21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1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제1 668 668 48 43 3,689 100 완료
안성제2 716 716 54 49 2,687 100 완료
안성제3 397 397 48 43 1,337 100 완료
안성제4 811 811 22 21 743 96 완료
용월 59 59 11 10 152 100 완료
원곡 100 100 7 7 547 100 완료
장원1 60 59 17 15 178 100 완료
월정 59 59 4 4 183 100 완료
구암 46 46 2 1 X 100 완료
남면 207 207 27 23 561 100 완료
도하 67 67 1 1 X 100 완료
상수 59 59 10 10 306 100 완료
가장 513 513 38 38 3,345 100 완료
문발1 50 50 18 18 513 100 완료
문발2 206 206 18 18 2,534 100 완료
신촌 190 189 60 60 1,081 100 완료
일반
오산 232 232 76 66 875 100 완료
축현 298 298 87 66 827 100 완료
파주LCD 1,741 1,741 7 7 20,622 100 완료
법원2 330 330 18 4 372 100 완료
고덕국제화계획지구 3,906 3,906 1 1 X 100 완료
어연한산 690 690 34 30 5,514 100 완료
오성(외국인) 601 600 6 5 174 100 완료
장당 150 150 5 5 557 100 완료
진위 486 485 17 17 2,477 100 완료
추팔 610 610 32 32 2,399 100 완료
칠괴 641 641 16 15 809 100 완료
평택 535 534 64 62 3,530 100 완료
현곡 723 723 27 27 1,994 92 완료
신평 57 57 9 9 226 100 완료
양문 180 180 52 52 1,150 92 완료
동탄 1,974 1,951 412 303 12,363 100 완료
마도 929 929 273 172 4,080 100 완료
발안 1,825 1,815 539 398 9,410 100 완료
장안첨단(1)(외국인) 602 602 14 14 1,766 69 완료
3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장안첨단(2)(외국인) 614 614 8 6 722 62 완료
전곡해양 1,617 1,617 293 221 3,990 100 완료
팔탄(한미약품) 80 80 1 1 X 100 완료
향남제약 648 644 50 47 3,485 100 완료
화남 149 149 41 34 333 100 완료
화성 964 964 1 1 X 100 조성중
장남 99 87 1 1 X 100 완료
청산대전 188 188 23 22 363 100 완료
적성 600 600 87 75 1,173 100 완료
한강시네폴리스 1,121 1,121 - - - - 조성중
장호원 60 59 10 8 140 100 완료
설성 48 48 7 4 41 100 완료
모가 60 60 2 - - 100 완료
삼교 56 56 2 2 X 100 완료
지문 177 176 1 1 X 100 완료
학운4 492 492 167 167 2,400 100 완료
홍죽 582 582 83 79 1,476 100 완료
가장2 595 595 58 54 3,811 97 완료
신둔 39 39 2 2 X 100 완료
고렴 265 265 9 9 359 64 조성중
용정 947 947 123 81 2,754 100 완료
일반
LG Digital Park 125 125 1 1 X 100 완료
경기화성바이오밸리 1,740 1,740 304 223 4,743 100 완료
안녕일반산업단지(구 한강씨엠) 51 50 1 1 X - 조성중
학운3 958 960 315 315 3,515 100 완료
매화 376 376 266 253 1,520 100 조성중
원삼 109 109 2 2 X 100 조성중
진위2 956 956 33 13 783 100 완료
군포첨단 288 287 78 78 3,215 100 완료
장자(구 신평3리) 486 484 79 53 670 76 완료
대월 60 60 8 6 170 100 완료
광릉테크노밸리(구 팔야) 209 205 35 34 1,557 100 완료
백학통구 84 84 1 1 - 100 완료
제일바이오 60 59 2 2 X 100 조성중
금곡 130 130 31 30 81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1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진관 142 142 62 62 1,004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1블록)(구 수원1) 287 287 317 317 3,374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2블록)(구 수원2) 123 121 59 59 1,708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3블록)(구 수원3) 847 847 506 506 11,201 100 완료
개정지방 209 209 12 11 467 100 완료
검준 145 145 56 52 1,229 100 완료
용현 346 345 133 133 2,310 100 완료
당동(외국인) 641 641 6 6 879 100 완료
선유 1,313 1,313 183 75 1,631 100 완료
금파 80 78 37 29 288 100 완료
월롱 837 836 3 3 426 100 완료
탄현 123 123 49 38 4241 100 완료
법원1 305 305 - - - - 조성중
송탄 1,086 1,086 141 139 5,498 100 완료
포승(2) 627 626 7 7 302 88 완료
목동 60 60 14 11 248 100 완료
장안 59 58 1 1 X 100 완료
강천 58 58 7 6 126 100 완료
백학 439 439 58 43 845 100 완료
파주스튜디오시티일반산업단지
(구 월롱2)
119 119 - - - - 미개발
주곡 200 200 33 23 515 100 조성중
도암 60 60 7 7 110 100 완료
도드람 52 52 1 - - 100 조성중
남여주 71 56 7 2 X 100 완료
팔곡 143 141 - - - - 조성중
농서 54 54 1 1 - 100 조성중
일반
완장 124 124 2 2 X 100 조성중
마정 61 60 - - - 100 조성중
볼빅 70 70 - - - - 조성중
신갈 60 60 1 1 X 100 완료
마산 75 75 1 1 X 100 완료
세마 92 92 7 7 1,250 100 완료
금현 141 140 14 13 252 100 완료
화성정남 570 570 115 86 2,931 100 조성중
3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장원2 60 60 8 7 219 83 완료
평택브레인시티 4,825 4,825 - - - - 미개발
통삼 49 49 4 4 408 100 완료
강문 88 88 - - - - 조성중
서울우유 195 195 1 1 X 100 완료
원 121 121 - - - 100 조성중
진위3(kdb Utoplex) 828 826 - - - - 미개발
지곡 72 72 1 - - 85 조성중
동항2 150 150 20 19 515 100 완료
용인패키징디자인 59 50 7 2 - 100 완료
관리 38 38 4 2 X 100 완료
용인SG패션 50 50 - - - 100 조성중
한컴 59 59 1 1 X 100 조성중
화성송산테크노파크 529 528 129 86 1,402 100 완료
대포 250 250 59 45 898 - 조성중
의왕테크노파크 158 158 642 639 2,221 100 완료
은남 992 992 - - - - 미개발
동방 119 119 - - - - 조성중
가유 114 114 - - - - 조성중
학운6 565 559 163 163 1,800 - 조성중
에코그린 309 308 - - - - 조성중
연천BIX(은통) 600 600 25 - - 21 조성중
영진바이오 45 45 1 1 X 100 완료
학운4-1 137 138 41 39 516 - 조성중
동문 78 78 - - - - 조성중
진목 90 90 1 - - - 미개발
마산2 126 127 - - - - 조성중
북좌 42 42 - - - - 미개발
축현2 71 71 1 1 X 100 완료
용인테크노밸리(구 덕성) 839 839 134 91 2,913 100 완료
평택드림테크(구 신재생) 1,345 1,344 - - - - 미개발
일반
광명시흥 975 973 - - - - 미개발
파주센트럴밸리 491 491 16 - X - 조성중
서탄(구 유창) 280 280 - - - - 미개발
평택BIX(경기경제자유구역) 1,044 1,044 37 6 269 47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2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중소기업 709 709 - - - - 미개발
제일 56 56 - - - 100 조성중
안성하이랜드 293 293 - - - - 조성중
학운5 893 893 2 2 X - 조성중
동진 182 182 1 1 X - 조성중
학운7 187 187 - - - - 미개발
파평 596 596 - - - - 미개발
오산가장제3 163 154 25 - - 100 완료
남이천 55 54 3 - - 100 완료
용인반도체클러스터 4,156 4,006 - - - - 조성중
안성테크노밸리 765 765 - - - - 조성중
백암 50 50 - - - - 조성중
이천유산 50 50 - - - - 조성중
제2용인테크노밸리 273 273 - - - - 미개발
학운3-1 119 119 - - - - 미개발
H-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 736 735 - - - - 미개발
도시
첨단
동탄도시첨단 149 149 476 133 3,890 100 조성중
용인기흥힉스 77 77 571 571 1,086 - 조성중
회천 104 104 - - - - 미개발
용인기흥ICT밸리 42 42 340 340 3,173 100 조성중
용인일양히포 66 66 - - - - 미개발
평촌스마트스퀘어 255 255 28 26 3,752 100 완료
판교제2테크노밸리
(구 판교창조경제밸리)
366 350 207 207 2,794 99 조성중
광명시흥첨단R&D 493 493 - - - - 조성중
한양대에리카캠퍼스혁신파크 79 78 - - - - 미개발
고양일산 100 101 - - - - 미개발
경기양주테크노밸리 218 217 - - - - 미개발
농공 미양 117 117 4 4 188 100 완료
3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경기도에는 총 12,57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1,635개로 가장 많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956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014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440개), ‘전기장비 제조업’(1,015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9-7 ❙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3 32 40
광업(05~08) 9 8 1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30 338 399
음료 제조업 20 13 17
담배 제조업 - 1 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51 141 16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8 58 7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43 31 3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9 44 5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07 102 1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9 48 5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51 502 58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3 135 14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95 437 49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1 100 122
1차 금속 제조업 133 123 14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21 599 71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58 1,336 1,44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87 662 713
전기장비 제조업 984 912 1,015
REGIONAL S&T YEARBOOK 2023 32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895 1,738 2,0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65 140 16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 72 78
가구 제조업 132 112 132
기타 제품 제조업 451 375 40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 8 1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8 10 1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0 35 45
건설업(41~42) 216 224 267
도매 및 소매업(45~47) 253 263 362
운수 및 창고업(49~52) 20 17 2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4 5 9
정보통신업(58~63) 1,347 1,386 1,635
금융 및 보험업(64~66) 6 4 6
부동산업(68) 6 6 9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21 831 95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6 36 4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5 32 3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4 3 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8 15 2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4 1 5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1,652 10,936 12,571
3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기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위로 가장 많음
- ʼ22년 연구개발인력은 27만 1,733명(전국의 33.39%)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76%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3만 4,909명(전국의 44.92%)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2만 8,974명(전국의 13.03%), 공공연구소는 7,850명(전국의 11.46%)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9-8 ❙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194 12.57 24,412 12.57 25,883 12.50 25,387 12.08 28,974 13.03
∙ 국공립 1,675 2.11 1,612 2.02 1,781 2.06 1,671 1.92 2,173 2.42
∙ 사립 22,519 19.93 22,800 19.96 24,102 20.02 23,716 19.23 26,801 20.23
공공연구소 5,985 10.25 6,497 10.41 6,769 10.55 7,459 11.21 7,850 11.46
∙ 국공립 831 6.79 953 7.39 967 7.54 982 7.31 959 7.22
∙ 정부출연 2,664 8.18 2,822 8.19 1,855 5.47 1,841 5.43 1,943 5.60
∙ 병원 및 기타 2,490 18.34 2,722 18.06 3,947 22.72 4,636 24.11 4,948 24.08
기업 195,803 44.48 209,062 45.23 218,000 45.79 229,662 45.13 234,909 44.92
∙ 정부투자기관 461 11.81 459 11.94 429 11.46 351 9.08 482 12.09
∙ 민간기업 195,342 44.77 208,603 45.51 217,571 46.06 229,311 45.41 234,427 45.17
합 계 225,982 32.70 239,971 33.39 250,652 33.54 262,508 33.42 271,733 33.3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25
■ ’22년 경기도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5.4명 증가한 163.4명으로 조사됨
표 3-9-9 ❙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40.2 148.0 153.1 158.0 163.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경기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57조 7,028억 원(전국의 51.22%) 17개 광역시・도 중에
서 연구개발투자 규모가 가장 높음
-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6%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조 5,135억 원(전국의 14.69%), 공공연
구소는 약 1조 986억 원(전국의 8.50%)이며, 특히 기업이 약 55조 907억 원(전국의 61.61%)으로
전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표 3-9-10 ❙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83,165 13.94 1,064,774 14.44 1,201,774 14.39 1,406,156 15.07 1,513,458 14.69
∙ 국공립 79,820 2.58 77,735 2.37 87,482 2.32 129,831 3.08 118,483 2.61
∙ 사립 903,345 22.80 987,039 24.09 1,114,292 24.34 1,276,325 24.96 1,394,975 24.16
공공연구소 777,980 7.90 853,919 8.40 887,468 7.98 992,448 8.27 1,098,649 8.50
∙ 국공립 62,051 7.62 58,193 6.96 58,902 6.92 65,786 6.80 64,646 6.34
∙ 정부출연 427,036 5.66 474,144 6.07 385,310 4.65 416,044 4.77 409,651 4.42
∙ 병원 및 기타 288,893 19.51 321,582 21.07 443,256 22.36 510,618 22.09 624,352 23.78
기업 41,854,165 60.80 44,016,140 61.56 44,955,885 61.08 49,558,522 61.33 55,090,724 61.61
∙ 정부투자기관 105,073 11.57 91,985 10.59 98,012 11.19 71,607 8.33 114,802 12.92
∙ 민간기업 41,749,092 61.46 43,924,155 62.18 44,857,873 61.68 49,486,915 61.90 54,975,922 62.10
합 계 43,615,310 50.88 45,934,833 51.58 47,045,127 50.55 51,957,126 50.87 57,702,830 51.2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경기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조 3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94%
표 3-9-11 ❙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4,763 24,139 25,611 28,082 30,038
(12.7) (11.8) (11.3) (11.6) (11.6)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경기도 과학기술 및 R&D 기획
- 경기연구개발지원단사업(3.8억원), 과학기술정책 연구지원(2억원), 경기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
획(1.7억원) 등
■ 경기도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112억원), 글로벌기업 연계 부품국산화 지원사업(13.6억원),
시스템반도체 국산화 연구지원(10억원) 등
■ 기업수요 기반 기술지원 확대
- 기술닥터(60.7억원), 경기도 바이오기업 R&DB 종합지원(14.8억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10억원), 지식재산창출 및 창업지원(70.8억원), 경기도 민간투자연계형 기술창업지원(10억원),
바이오소재물질 연구장비 고도화(14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강화
- VR/AR 산업 융합지원(8.7억원), 4차 산업혁명 미래농업 기술개발(1.9억원), 드론산업육성지원(5
억원), 경기스타트업랩운영지원(7억원), 데이터산업 육성지원(2.9억원) 등
■ 미래산업기술 인력양성
- 데이터산업 인력양성사업(1.8억원), 지식재산전문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2억원), 경기도형 연구자중심
의 R&D지원(6억원), 나노기술인력 양성사업(5.6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32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성장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표 3-9-12 ❙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5,565 4 53,343 445 609 111 11,053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3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9-13 ❙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디지털혁신과
∙ 경기테크노파크 육성지원, 스마트공장구축,
∙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운영・육성 지원, 지식재산 기본계획 수립
∙ 로봇산업 육성,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 메타버스 산업육성 및 거점센터 운영
∙ 산학융합지구, 안산 강소특구 지원
벤처스타트업과
∙ 경기도 기술창업지원 정책협의회 운영
∙ 경기 스타트업 플랫폼 운영, 경기창업허브 운영
∙ 창업혁신공간 조성 및 운영, 창업보육센터 운영지원 등
∙ 민간투자연계형 기술창업 지원, 기술기반 창업 지원
반도체산업과
∙ 반도체산업 관련 업무계획 수립, 산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
∙ 반도체 테스트베드 관련 사업, 나노기술인력양성사업 등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 반도체 산업단지 인허가 업무
AI빅데이터산업과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AI 기술실증 및 디지털 오픈랩
∙ 경기도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 운영, AI 데이터 산업인력 양성
∙ 공공데이터 개방 시행계획 수립, 기관메타시스템 운영
∙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지표 관리 등
첨단모빌리티산업과
∙ 수소차, 수소충전소, 전기버스, 전기자동차, 친환경차 구매지원 사업 등
∙ 판교제2테크노벨리 조성 • 운영관리
∙ UAM 도입 및 드론산업 지원
∙ 수소산업 육성, 평택 수소교통복합기지 구축사업
바이오산업과
∙ 바이오산업 업무계획 수립
∙ K-바이오밸리 혁신거점 조성
∙ 바이오 산업지원, 뷰티산업 육성지원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329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혁신 및 인력육성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신기술 제안제도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9조에 따른 신기술 제안 심사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해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행정2부지사/ 위촉직 위원은 도지사가 위촉하며 임기 2년(1회 연임 가능, 보궐 위원의 임
기는 전임위원의 남은 기간으로 함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3건
- 경기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 실적 및 ’23년 계획(’23.2.28.)
- 2023년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 신규센터 선정(’23.6.15.)
- 2023년 경기도 대학혁신플랫폼 선정, 2023년 경기도민 신기술 제안사업 후보과제 선정
(’23.7.25.)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9-14 ❙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당연직 염태영 경기도 2022.07.15.~2024.07.14
당연직 이희준 경기도 2022.07.15.~2024.07.14
당연직 김현대 경기도 2022.07.15.~2024.07.14
당연직 강성천 경기도 2022.07.15.~2024.07.14
도의원 남경순 경제노동위원회 2022.07.15.~2024.07.14
도의원 - 경제노동위원회 2022.07.15.~2024.07.14
유관기관장 차석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2022.07.15.~2024.07.14
3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경기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기도의 총예산은 103조 1,30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970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09%
- 과학기술 예산 중 경기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80.90%
표 3-9-15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031,309
재정자주도(%) 70.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9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7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80.90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유관기관장 유동준 경기테크노파크 2022.07.15.~2024.07.14
유관기관장 양은익 경기대진테크노파크 2022.07.15.~2024.07.14
유관기관장 서광석 한국나노기술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정진행 분당서울대학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박철우 한국공학대학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김성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정연승 단국대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김민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변희정 수원대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이은정 경기대학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손미애 성균관대 학교 2022.07.15.~2024.07.14
REGIONAL S&T YEARBOOK 2023 33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경기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659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각각 101억 원,
541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9-16 ❙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지원사업
533 133 - 66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경기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경기과학정책연구사업
265 485 - 75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농산물소득조사분석
경기도친환경농산물소득조사및활용방안연
구용역
175 95 - 27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 - -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경기연구원지원
안산시수소시범도시조성사업
10,148 54,117 1,667 65,91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식재산 창출 및 창업지원
기술닥터 지원 사업(경기도)
3,573 29,726 448 33,747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
지역전략작목산학연협력
125 5,620 5,653 11,39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운영지원
원예작물 신품종 육성 및 품질고급화
연구
364 6,812 - 7,17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 - - -
합계 15,183 96,988 7,768 119,917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경기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만 2,690개로 전국의 34.6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4.92% 증가
- 5년간 대학 4개 감소, 공공연구소 7개 증가, 기업 4,844개 증가
표 3-9-17 ❙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9 21.64 75 18.07 75 18.25 76 17.97 75 17.94
∙ 국공립 6 7.59 5 5.95 5 5.88 6 6.98 6 6.82
∙ 사립 73 25.52 70 21.15 70 21.47 70 20.77 69 20.91
공공연구소 67 10.95 66 10.28 68 10.26 75 10.89 74 10.83
∙ 국공립 10 7.63 11 7.69 13 9.09 13 8.50 11 8.03
∙ 정부출연 11 6.59 10 5.92 8 4.91 8 4.71 8 4.85
∙ 병원 및 기타 46 14.65 45 13.64 47 13.17 54 14.75 55 14.44
기업 17,697 36.46 19,368 35.33 20,715 35.41 21,738 34.92 22,541 35.02
∙ 정부투자기관 7 16.67 7 12.73 6 11.11 6 10.17 7 11.48
∙ 민간기업 17,690 36.48 19,361 35.35 20,709 35.43 21,732 34.94 22,534 35.04
합 계 17,843 36.19 19,509 34.91 20,858 35.01 21,889 34.55 22,690 34.6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33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경기도 소재 대학 수는 61개
- 일반대학 30개, 전문대학 3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9-18 ❙ 경기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9 3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30 3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1 - 60 6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경기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36만 3,553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3만 3,784명(전체의 약 9.29%), 공학계열 학생이 10만 4,680
명(전체의 약 28.79%)
표 3-9-19 ❙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33,784 104,680 138,464 31,480 63,390 15,544 33,670 81,005 363,553
비중(%) 9.29 28.79 38.09 8.66 17.44 4.28 9.26 22.2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경기도에는 총 10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성균관대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가천대, 경희대, 아주대,한양대가 각각 1개씩 운영 중임
표 3-9-20 ❙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성균관대
(5개 센터)
2017 비임파성 장기 면역 연구센터 SRC
2019 에피지놈 다이나믹스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R2R 인쇄 유연컴퓨터개발 연구센터 ERC
2023 극한 양자기능물질 연구센터 SRC
2023 비대칭 촉매반응 디자인센터 SRC
가천대학교
(1개 센터)
2021 선천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MRC
경희대학교
(1개 센터)
2021 결정기능화공정기술센터 ERC
아주대
(1개 센터)
2019 뇌질환 융합연구센터 MRC
한양대
(1개 센터)
2023 약물대사마이크로바이오믹스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335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는 21년 기준 3개소로 감소하였으나 ‘22년 기준 경희대에 1개 추가되어
’23년 기준 4개로 운영 중임
표 3-9-21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가천대 나노입자 지역혁신센터
경희대
피부생명공학 지역혁신센터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성균관대 정보통신용 신기능성 소재 및 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경기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7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3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9-22 ❙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주)케이벤처스 KAIST-화성시 동탄 사이언스 허브 2023-06-27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24
가톨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12
강남대학교 강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9-09
경기도일자리재단 여성능력개발본부 경기도여성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벤처 창업보육센터 2007-01-24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경기청) 경기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4-07-16
경기대학교 경기 창업보육센터(경기대) 2001-01-01
경기테크노파크 경기테크노파크 안산 창업보육센터 2014-11-13
경민대학교 경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1-22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창업보육센터 1999-03-02
재단법인 군포산업진흥원 군포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7-06-27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4-15
대진대학교 대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3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BMC 창업보육센터 2011-05-19
동서울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우정바이오 웹클라우드 2022-12-01
명지대학교 명지대창업보육센터(용인) 1999-02-2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농생명과학창업지원센터 2001-09-24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성남산업진흥원 성남창업센터 정글ON 2021-07-06
수원대학교 수원대 창업보육센터 2001-04-27
수원시청 수원시 시니어 창업보육센터 2012-05-24
신구대학교 신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16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6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여주대학교 여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30
REGIONAL S&T YEARBOOK 2023 33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연성대학교 연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2
오산대학교 오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올콘텐츠 올콘텐츠 창업보육센터 2022-10-01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1-17
중앙대학교 중앙대휴먼테크노 창업보육센터 2000-12-01
(안산)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안산 포스트BI 1994-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스타트업창업보육센터 2017-11-01
투썬인베스트(주) 투썬창업보육센터 2012-05-07
한경대학교 한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06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창업보육센터 2000-10-06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부천창업보육센터 2017-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한국세라믹기술원(이천분원)
공예디자인 창업보육센터
2011-02-2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창업보육센터 2001-03-24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0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6
한양대학교 에리카 한양대학교 에리카 창업보육센터 1999-03-09
협성대학교 협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2-12
3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기도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10개소로 16개를 운영 중
표 3-9-23 ❙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과천과학관 국립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과학전시관 공립
안성맞춤천문과학관 공립
의정부과학도서관 어린이과학체험실 공립
포천아트밸리 천문과학관 공립
의왕조류생태과학관 공립
한생연 마이크로박물관 사립
재단법인 송암스페이스센터 사립
어메이징파크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일산 사립
아쿠아플라넷 광교 사립
우석현자연사디스커버리센터 사립
광명에디슨뮤지엄 사립
자연과별가평천문대 사립
민제생태환경과학관 사립
한얼테마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39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경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10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680명임
표 3-9-24 ❙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96 298 621 502 410
수혜자 수 11,951 10,216 13,977 16,416 12,680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기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2명 양성
표 3-9-25 ❙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기도경제과학
진흥원
5
전용공간
2개(121㎡)
17 27,728 75.8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는 5만 8,24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만 2,839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0.7% 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5.3%씩 감소
표 3-9-26 ❙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48,764 46,133 47,175 49,685 54,696 57,830 58,241
특허등록 건수 23,381 24,820 25,440 27,708 31,565 34,663 32,83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경기도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만 7,347편, 주저자 기준으로 8,072편으로
각각의 점유율은 전국 논문 수의 22.51%, 13.43%임
표 3-9-27 ❙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14,116 22.14 281,954 19.97 6,888 13.13 109,845 15.95
2019 14,709 21.88 228,643 15.54 7,104 12.95 95,725 13.47
2020 16,128 21.89 191,299 11.86 7,739 12.98 77,039 9.95
2021 17,720 22.19 124,472 7.02 8,422 13.23 48,491 5.76
2022 17,347 22.51 39,481 2.28 8,072 13.43 15,194 1.8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34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혁신으로 경기도 디지털 경제 활성화 및 도민의 삶의 질 향상
■ 목표 :
- 글로벌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로 첨단산업의 성장 거점 확충
-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및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
■ 추진전략 :
-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성장 동력확보 및 R&D 역량 강화
- 글로벌 신산업 육성
-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 과학문화 저변확대
3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과학기술 인력양성
- 지역균형발전 기여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미래성장 동력확보 및 R&D 역량 강화
➊ 글로벌 신산업 육성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바이오) 바이오소재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술 활용 기반 구축, 공공 연구장비 및 기업지원 기술 고
도화 등을 통해 기업지원의 효과성 제고
- (미래차) 실제 자율주행 도시를 구현하고 스마트모빌리티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및 경기도형 UAM
도입 기본계획 수립
- (반도체) 반도체 핵심 소재부품 경쟁력 제고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술개발, 인프라, 인력양성
등 기반구축
➋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데이터・AI기술 실증) 차량 데이터의 가공기술 고도화 및 지역기업의 데이터・AI 활용 제조혁신 촉진
- (디지털융합 실증) 메타버스 실증지원, 메타버스 스타기업 육성, 메타버스 공공서비스 적용 실증
- (스마트 제조혁신) 스마트 제조혁신 인프라 구축・활용 및 스마트 제조혁신 보급 확대
➌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 로봇,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산업 및 기업 육성
➍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혁신주체(산・학・연) 대상 R&D 지원
- 섬유 뷰티산업 등 지역특화산업 기술경쟁력
- 기술창업 촉진을 위한 교육, 공간, 기술 등을 지원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➊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광교) BT-IT 융복합 혁신거점을 위한 인프라 구축,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 추진
- (판교) 첨단 ICT기업 집적, 스마트모빌리티 실증허브 및 시스템 반도체 거점으로 자리매김
REGIONAL S&T YEARBOOK 2023 343
- (안산) 소재・부품・장비 중심 강소특구 활성화 및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화
➋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제3판교, 광명시흥, 양주, 고양/파주(바이오메디컬) 테크노밸리 조성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➊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및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서비스 도입
➋ 과학문화 저변확대
- 시・군협력 과학축제 개최 및 생애주기별 과학교육 추진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➊ 과학기술 인력양성
-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관련 교육과정 지원 및 채용 연계 프로그램 운영
➋ 지역균형발전 기여
- 경기북부의 혁신역량 확충을 위해 인프라 확충, 디지털 전환 촉진 및 지식재산권 획등 지원 등을 통
해 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➌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 과학기술정책 추진체계 강화 및 R&D투자 확대
- 과학기술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초자료 수집 근거 마련, 평가체계 도입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
3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강원특별자치도 인구는 약 152만 명으로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강원도 인구 비율은 2.95%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0-1 ❙ 강원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521,442 1,520,117 1,519,291 1,520,457 1,525,912
전국인구대비 비율(%) 2.95 2.94 2.94 2.94 2.95
경제활동참가율(%) 62.5 64.6 63.3 63.7 63.9
실업률(%) 2.9 3.6 3.9 3.6 3.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34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강원특별자치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8.2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57%의 증가율
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34.23%)에 이어 기타서비스업(32.61%)이 강원도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업은 5년 간 2.0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0-2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4,574,334 46,064,137 44,829,136 46,781,331 48,179,338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831,342 2,996,375 2,808,756 2,889,910 2,857,561
(지역내비중, %) (6.35) (6.50) (6.27) (6.18) (5.93)
제조업 4,522,342 4,513,955 4,435,026 4,548,117 4,653,930
(지역내비중, %) (10.15) (9.80) (9.89) (9.72) (9.66)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327,592 1,363,826 1,064,884 1,162,498 1,299,216
(지역내비중, %) (2.98) (2.96) (2.38) (2.48) (2.70)
건설업 3,428,645 3,492,241 3,628,057 3,652,281 3,231,990
(지역내비중, %) (7.69) (7.58) (8.09) (7.81) (6.71)
기타서비스업 14,543,932 15,195,782 13,992,712 14,699,062 15,713,126
(지역내비중, %) (32.63) (32.99) (31.21) (31.42) (32.6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4,872,893 15,249,639 15,479,089 16,352,687 16,491,069
(지역내비중, %) (33.37) (33.11) (34.53) (34.96) (34.23)
순생산물세 3,087,178 3,297,522 3,334,702 3,384,630 3,921,085
(지역내비중, %) (6.93) (7.16) (7.44) (7.24) (8.14)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3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강원도 제조업의 총 생산액은 약 13조 4,737억원, 1,05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만
9,74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모두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약 3조 4,058억 원(전체의 25.28%),
이 334개(전체의 31.78%), 9,979명(전체의 25.11%)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0-3 ❙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405,770 25.28 334 31.78 9,979 25.11
음료 제조업 1,284,329 9.53 25 2.38 1,500 3.7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3,212 0.25 11 1.05 211 0.5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29 40 0.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82,262 5.06 31 2.95 2,370 5.9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28,287 3.18 49 4.66 1,389 3.4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534,311 18.81 155 14.75 4,782 12.03
1차 금속 제조업 394,035 2.92 11 1.05 130 0.33
전기장비 제조업 564,493 4.19 50 4.76 1,116 2.8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77,144 4.28 61 5.80 1,836 4.6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85,111 9.54 38 3.62 2,249 5.6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863 0.03 2 0.19 - -
가구 제조업 11,271 0.08 11 1.05 161 0.41
기타 제품 제조업 53,948 0.40 16 1.52 256 0.6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66,775 0.50 20 1.90 441 1.1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9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02,028 2.98 67 6.37 1,091 2.7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6,669 0.42 14 1.33 258 0.6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48,738 6.30 50 4.76 2,481 6.2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9,698 0.59 10 0.95 185 0.4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9,830 0.82 14 1.33 252 0.6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8,829 0.29 4 0.38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2,726 0.69 17 1.62 344 0.87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15,117 3.82 56 5.33 2,106 5.30
합 계 13,473,702 100 1,051 100 39,744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34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
료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0-4 ❙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강원도는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과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환경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
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0-5 ❙ 강원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23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정책기획)
강원바이오헬스산업 중장기(’23~‘30)발전 전략기획(정책기획)
강원연구개발지원단의 역량 및 기능 강화(과학기술 R&D 기획・관리)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역량 강화(과학문화 정책기획 및 활성화 플랫폼
운영)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환경 기반의
미래산업 육성
강원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R&D 지원 및 인프라 구축)
강원 양자정보기술 생태계 조성(R&D 및 인프라 구축)
강원 소규모 의료기기 기업 엑셀러레이팅 지원(R&D 및 기업지원)
강원 바이오 유망기업 성장패키지 지원(기업지원)
바이오 스타기업 IPO 지원(기업지원)
강원 지식재산 첫걸음 지원(기업지원)
강원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플랫폼 운영 및 기업지원)
강원연구원 운영지원(정책기획)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강원본부 운영지원금 사업(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의 기업 R&D
지원)
뿌리산업경쟁력강화지원 사업(제조기업 R&D 지원)
※ 출처 : 강원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34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24개, 도시첨단단지 6개, 농공산업단지 47개가 있음
- 총 7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869개, 총 종사자 수는 33,305명
표 3-10-6 ❙ 강원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북평국가 4,278 1,861 71 47 1,010 99 완료
일반
강릉과학 1,487 1,487 158 145 1,585 94 완료
강릉중소 164 164 36 25 339 100 완료
원주자동차부품 93 93 6 5 110 100 완료
남면 65 65 1 1 X 100 완료
전력IT문화복합 354 354 13 12 290 100 완료
홍천북방 525 525 2 2 X 100 완료
우천 756 755 17 17 970 100 완료
삼척종합발전 2,583 2,583 1 - - 100 조성중
남춘천 1,453 1,453 20 3 59 100 조성중
북평제2 593 593 - - - 28 조성중
강릉옥계 482 482 1 - X 100 조성중
송정 323 323 1 1 X 100 완료
동화 409 409 26 24 1,030 100 완료
부론 609 609 - - - - 조성중
플라즈마 316 315 - - - - 조성중
동점(구 태백스포츠) 216 218 5 5 25 80 완료
문막[재생사업지구] 410 410 26 21 1,069 100 완료
문막반계 423 420 34 26 682 92 완료
우산 355 355 22 17 1,521 100 완료
포진 96 96 - - - - 조성중
후평[재생사업지구] 483 483 319 306 1,439 100 완료
호산(LNG) 982 980 1 1 X 100 완료
동춘천(구 봉명) 539 539 25 15 556 89 완료
옥계첨단소재융합 383 383 - - - - 조성중
도시
첨단
춘천도시첨단문화 187 187 37 34 430 100 완료
춘천도시첨단정보 25 25 1 1 X 100 완료
3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삼성SDS춘천센터 40 40 1 1 X 100 완료
네이버도시첨단
(구 춘천NHN)
100 100 1 1 X 100 완료
강원대캠퍼스혁신파크 67 66 - - - - 미개발
홍천 46 46 - - - - 미개발
농공
주문진 143 143 41 41 775 100 완료
근덕 130 130 28 28 217 100 완료
도계 71 68 10 10 45 100 완료
대포제2 106 106 31 31 422 100 완료
동화 332 332 44 40 1,146 100 완료
문막 501 501 37 35 1,819 100 완료
태장 298 297 121 112 1,230 100 완료
거두 297 297 26 26 1,414 100 완료
당림 53 53 1 1 X 100 완료
창촌 114 114 26 25 187 100 완료
퇴계 341 341 170 160 1,906 100 완료
수동 77 77 6 6 1,883 100 완료
장성 137 137 17 13 136 93 완료
철암 127 127 29 27 244 100 완료
고성해양심층수전용 100 100 24 18 240 100 완료
향목 34 33 13 11 87 100 완료
하리 143 142 28 28 185 100 완료
포월 117 115 39 39 358 100 완료
영월 114 114 17 12 123 100 완료
영월제3 259 257 23 20 196 100 완료
팔괴 143 143 27 25 231 100 완료
원통 144 144 36 35 206 100 완료
예미 107 107 7 7 120 89 완료
증산 118 118 41 41 302 100 완료
함백 100 100 5 5 83 100 완료
갈말 129 129 3 3 99 100 완료
김화 148 148 27 27 352 95 완료
방림 62 62 11 11 118 100 완료
평창 106 106 40 40 249 100 완료
상오안 127 127 25 19 361 100 완료
양덕원 42 42 2 2 X 100 완료
화전 269 269 21 19 281 100 완료
원천 112 112 28 23 21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5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공근 329 329 31 27 659 91 완료
묵계 176 175 13 13 833 100 완료
우천 173 173 17 17 778 100 완료
우천제2 329 329 29 24 677 100 완료
대포제3 162 162 49 49 538 98 완료
동송 176 176 18 14 292 83 완료
양양제2그린 103 102 16 13 150 100 완료
주문진제2 158 158 17 17 255 100 완료
대포제1 178 177 36 36 359 100 완료
귀둔 54 54 25 26 - 26 완료
북방 101 101 - - - - 조성중
퇴계제2 93 93 34 11 138 100 완료
고성제2특화농공단지 130 130 - - - - 미개발
양양친환경스마트육상
연어양식농공단지
106 106 - - - - 미개발
3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강원도에는 총 70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77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
비스업’이 73개, ‘건설업’이 4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88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66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52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0-7 ❙ 강원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5 7
광업(05~08) 3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2 72 88
음료 제조업 6 5 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 7 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8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7 48 5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6 23 2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 19 2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 18 21
1차 금속 제조업 8 8 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6 23 2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7 24 2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4 67 66
전기장비 제조업 48 36 37
REGIONAL S&T YEARBOOK 2023 35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1 35 4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 8 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 4 6
가구 제조업 7 3 3
기타 제품 제조업 29 21 2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2 1
건설업(41~42) 44 37 40
도매 및 소매업(45~47) 11 14 18
운수 및 창고업(49~52) -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1
정보통신업(58~63) 61 65 7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5 65 7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3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731 625 701
3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강원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2,348명(전국의 1.5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2.14%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7,041명(전국의 3.17%)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3,410명(전국의 0.65%), 공공연구소는 1,897명(전국의 2.7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0-8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631 3.45 7,041 3.63 7,404 3.58 8,099 3.85 7,041 3.17
∙ 국공립 4,272 5.38 4,437 5.55 4,581 5.29 4,970 5.72 3,926 4.37
∙ 사립 2,359 2.09 2,604 2.28 2,823 2.34 3,129 2.54 3,115 2.35
공공연구소 1,551 2.66 1,623 2.60 1,712 2.67 2,064 3.10 1,897 2.77
∙ 국공립 1,021 8.34 981 7.61 985 7.68 1,241 9.24 1,074 8.09
∙ 정부출연 161 0.49 207 0.60 222 0.65 207 0.61 240 0.69
∙ 병원 및 기타 369 2.72 435 2.89 505 2.91 616 3.20 583 2.84
기업 2,924 0.66 3,091 0.67 3,079 0.65 3,325 0.65 3,410 0.65
∙ 정부투자기관 63 1.61 67 1.74 60 1.60 84 2.17 75 1.88
∙ 민간기업 2,861 0.66 3,024 0.66 3,019 0.64 3,241 0.64 3,335 0.64
합 계 11,106 1.61 11,755 1.64 12,195 1.63 13,488 1.72 12,348 1.5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55
■ ’22년 강원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1명 감소한 46.1명으로 조사됨
표 3-10-9 ❙ 강원특별자치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1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4.2 46.6 47.8 52.2 46.1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강원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7,635억 원(전국의 0.68%) 17개 시・도 중 15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65%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ㄷ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858억 원(전국의 2.77%), 공공연구소
는 약 1,627억 원(전국의 1.26%), 기업이 약 3,151억 원(전국의 0.35%)
표 3-10-10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3,091 2.46 178,700 2.42 200,785 2.40 246,849 2.65 285,810 2.77
∙ 국공립 97,089 3.14 105,432 3.22 110,209 2.92 124,630 2.96 159,094 3.51
∙ 사립 76,002 1.92 73,268 1.79 90,576 1.98 122,219 2.39 126,716 2.19
공공연구소 105,654 1.07 95,624 0.94 106,830 0.96 147,343 1.23 162,658 1.26
∙ 국공립 41,215 5.06 40,243 4.82 38,381 4.51 49.709 5.14 49,090 4.81
∙ 정부출연 45,835 0.61 31,134 0.40 37,007 0.45 42,461 0.49 69,624 0.75
∙ 병원 및 기타 18,604 1.26 24,247 1.59 31,442 1.59 55,173 2.39 43,944 1.67
기업 203,012 0.29 242,892 0.34 247,475 0.34 291,710 0.36 315,052 0.35
∙ 정부투자기관 6,921 0.76 4,550 0.52 6,976 0.80 12,326 1.43 13,719 1.54
∙ 민간기업 196,091 0.29 238,342 0.34 240,499 0.33 279,384 0.35 301,333 0.34
합 계 481,757 0.56 517,215 0.58 555,090 0.60 685,902 0.67 763,520 0.6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강원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21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50
표 3-10-11 ❙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804 2,996 3,156 3,601 4,217
(1.4) (1.5) (1.4) (1.5) (1.6)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22 투자실적)
■ 4차산업 혁명 고도화 대응을 위한 강원지역 유망 신산업 육성
- 강원도 e-Mobility 클러스터 조성: 지방비 157억
- 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 지방비 17억원
-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사업: 지방비 13억원
- 정밀의료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 지방비 2억원
- VR・AR 제작 거점센터 운영 사업: 지방비 16억원
- 탄소중립 융복합 자원화 단지 조성(신규): 지방비 2억원
- 디지털 융합 자동차 부품 혁신 지원센터 구축(신규): 지방비 30억원
- 면역항체 치료소재 개발지원센터 구축(신규): 지방비 18억원
- 해양 헬스케어 융합 산업 생태계 구축(신규): 지방비 6억원
- 메타버스 허브 구축(신규): 지방비 19억원
■ 강원도 내 기 구축된 바이오, 신소재, IT 등 전략 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과학기술 역량 강화 실현
-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운영 지원: 지방비 20억원
- 바이오 유망기업 육성 종합컨설팅: 지방비 4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357
- 강원 소규모의료기기 기업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지방비 10억원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사업: 지방비 9억원
-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지방비 8억원
- 플라즈마산업 상용화 기술개발지원: 지방비 4억원
- SW융합클러스터2.0(특화산업강화): 지방비 22억원
- 강원ICT 융합 신기술 기업지원: 지방비 1억
- 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신규): 지방비 26억원
- 의료기기 국제인증지원센터 구축(신규): 지방비 10억원
- 의료기기 임상시험 역량 강화 지원(신규): 지방비 6억원
■ 지역 소멸과 인구 고령화와 같은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투자 지원 정책 추진
- 강원 R&D 혁신체계 구축: 강원과학기술연구회 구성・운영 2회
-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지방비 13억원
-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지방비 36억원
-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지원: 지방비 12억원
- 취업연계 IP 지역인재 양성: 지방비 2억원
- 이공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지원(신규): 지방비 0.2억원
3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0-1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강원특별자치도 홈페이지
표 3-10-12 ❙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31 2 17,096 320 430 33 4,266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59
(나) 역할
표 3-10-13 ❙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전략산업과 ∙ 전략산업 육성 기획・조정, 첨단산업육성 중장기계획
∙ 지역산업발전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지역산업 육성사업 총괄
∙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디자인산업 육성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추진, 스마트특성화사업 추진
∙ 이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및 산업육성 기술개발(R&D) 지원
∙ 미래차 핵심부품 밸류체인 조성 및 산업육성, 특수목적형 자동차 튜닝클러스터 조성 및 활성화
∙ 인공태양 핵심기술연구단지 조성 추진, 국가 고자기장 연구소 설립・유치 추진
∙ 강원 양자정보기술 육성 전략 수립, 양자팹 구축 및 양자클러스터 지정 기획
∙ 드론 산업 육성 계획 수립, 강원도형 UAM 시제기 개발 사업 추진
투자유치과 ∙ 투자유치(관광, 기업 등) 정책개발 및 기본계획 수립
∙ 수도권 및 타시도 이전기업, 국내복귀기업 유치
∙ 외자유치 전략 수립 및 투자기반 조성,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유치
∙ 산업입지 공급계획 및 산업단지 관리계획 수립
∙ 혁신・기업도시 개발 건설 및 공공기관 이전 추진
바이오헬스과 ∙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추진
∙ 보건의료데이터기반 AI・ICT 융합산업 육성
∙ 디지털헬스케어・정밀의료 관련 특구사업 추진
∙ 도내 바이오헬스 혁신기관 협력사업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중화항체 면역치료제 개발센터 구축사업 추진
∙ 면역항체 치료소재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 헬스케어 힐링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사업 추진
∙ 디지털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사업 추진
∙ 영상유도 방사선 치료시스템 상용화 생태계 조성 추진
∙ 차세대 생명・건강 산업생태계조성 추진
에너지정책과 ∙ 에너지 종합대책 수립, 신재생에너지 중장기계획 수립
∙ 지역에너지 정책 추진 및 이용 합리화 교육・홍보사업 추진
∙ 지역에너지 중장기계획 수립 및 총괄, 에너지이용합리화 실시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열에너지 교육 및 R&D 등 기반 구축사업 추진, 민간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개발 및
추진, 신재생에너지 통계관리 등 데이터 베이스 구축
∙ 바이오가스 자동차연료화사업 종합계획 수립, 기술도입 및 생산설비 건립 추진, 관련 탄소배출
권사업 등록 업무 추진
∙ 바이오에너지 보급 활성화 대책 추진,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수립, 온실가스 부문별 감축대책
수립 및 추진
∙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추진
빅데이터산업과 ∙ 디지털・데이터 산업기반 및 산업생태계 육성, 디지털 및 데이터 전문기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기반 구축
∙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사업 추진, 그린홈 보급사업 추진
∙ 스마트팜 특화산업단지 조성 총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 기본/시행계획 수립・추진
∙ 빅데이터 산업육성 기반 구축 및 산업생태계 육성,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 관련법령 분석 및
자체계획 수립
반도체산업추진단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 수립, 강원 반도체 산업 전담기구 설립 추진
∙ 반도체기업 유치 전략 수립 추진, 반도체 제조 기업 및 연관기업, 연구소 등 유치 추진
∙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등 기반 조성 추진
3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현황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강원도과학기술진흥조례」제4조(‘23. 6월 개정 / ‘23. 6. 11 시행)
■ 주요기능 및 역할(심의의결 사항 포함)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진흥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 정책 자문, 심의・자문의 역할
- 국외 및 정부 과학 기술 동향 파악, 지역내 대형 국책과제 수주를 위한 공동 기획・의견 수렴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1회 연임 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
- 제6차 강원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및 2023년 강원과학기술진흥시행계획 심의 의결
(’23.02.24.~27.)
- ‘23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계획 보고, 제8회 강원과학기술대상 및 제3회 강원미래과학자상
선정 의결, ’23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내 중점과학기술분야 선정 의결, ‘24년 지역혁신 선도연
구센터 중점과학기술분야 선정 의결(’23.10.13.)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0-14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종석 한림대학교 AI융합전공과 2022.09.04.~2024.09.03.
부위원장 이대희 강릉원주대학교 해양바이오식품학과 2023.08.13.~2025.08.12.
위원 강창수 강원특별자치도경제진흥원 지식재산센터 2023.08.13.~2025.08.12.
위원 김경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지역본부 2022.09.04.~2024.09.03.
위원 김수남 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천연물연구센터 2023.08.13.~2025.08.12.
위원 김치호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종합지원본부 2023.08.13.~2025.08.12.
위원 김현경 강원대학교 재료공학과 2022.09.04.~2024.09.03.
위촉 라문진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천연물화학연구실 2023.08.13.~2025.08.12.
위촉 박미리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2023.08.13.~2025.08.12.
위촉 박성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밀의학과 2022.09.04.~2024.09.03.
위촉 박정안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2023.08.13.~2025.08.12.
REGIONAL S&T YEARBOOK 2023 361
※ 출처 : 강원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강원도의 총예산은 24조 9,17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588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24%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강원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0.52%
표 3-10-15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 산 249,177
재정자주도(%) 71.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64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8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0.52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촉 성조환 강원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 2022.09.04.~2024.09.03.
위촉 손선영 상지대학교 반도체에너지공학과 2023.08.13.~2025.08.12.
위촉 유지욱 前)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원장 2023.08.13.~2025.08.12.
위촉 이혜영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임상병리학과 2022.09.04.~2024.09.03.
위촉 정태윤 강원ICT 융합연구원 2022.09.04.~2024.09.03.
위촉 남진우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 -
3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강원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420억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188억 원, 229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10-16 ❙ 강원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스크립스코리아 항체연구원 운영지원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 3,216 - 3,21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강원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180 5,214 - 5,39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수소충전소 및 수소자동차 보급사업
이공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1,588 1,488 - 3,07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메타버스 허브구축
18,334 15,581 4,254 38,16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식재산 창출지원 사업
지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2,161 2,328 - 4,489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VR.AR제작거점센터 구축(강원)
지식재산 기반 창업촉진 사업
1,929 1,943 343 4,215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
SW융합클러스터 2.0(특화산업강화)
9,034 6,248 591 15,87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e-Mobility 생산, 수출단지 조성
퀀텀닷 나노소재 기반연계 플랫폼 사업
18,811 22,862 340 42,013
합계 52,037 58,880 5,528 116,44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36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강원도의 연구개발조직은 830개로 전국의 1.2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4.34% 증가
- 5년간 대학 3개 감소, 공공연구소 5개 증가, 기업 157개 증가
표 3-10-17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 5.21 15 3.61 14 3.41 16 3.78 16 3.83
∙ 국공립 6 7.59 6 7.14 6 7.06 6 6.98 6 6.82
∙ 사립 13 4.55 9 2.72 8 2.45 10 2.97 10 3.03
공공연구소 32 5.23 34 5.30 37 5.58 38 5.52 37 5.42
∙ 국공립 10 7.63 10 6.99 11 7.69 13 8.50 12 8.76
∙ 정부출연 7 4.19 6 3.55 6 3.68 7 4.12 7 4.24
∙ 병원 및 기타 15 4.78 18 5.45 20 5.60 18 4.92 18 4.72
기업 620 1.28 660 1.20 684 1.17 744 1.20 777 1.21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2 3.70 2 3.39 2 3.28
∙ 민간기업 618 1.27 658 1.20 682 1.17 742 1.19 775 1.21
합 계 671 1.36 709 1.27 735 1.23 798 1.26 830 1.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강원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0-18 ❙ 강원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강원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7,619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787명(전체의 약 13.90%), 공학계열 학생이 1만 5,278명
(전체의 약 19.68%)
표 3-10-19 ❙ 강원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0,787 15,278 26,065 16,865 6,216 5,396 6,096 16,981 77,619
비중(%) 13.90 19.68 33.58 21.73 8.01 6.95 7.85 21.8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36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강원도에는 강원대가 2개, 연세대가 2개, 한림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0-20 ❙ 강원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강원대학교
(2개 센터)
2020 바이오 신약 혁신소재 융합 선도연구센터 RLRC
2023
인문의료인 양성과 전인적 환자 돌봄을 위한 의료 • 인문 케어
센터
CRC
연세대학교
(2개 센터)
2017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자기방어 연구센터 MRC
2023
소아 • 노인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향한
자율보행로봇(‘Miracle’)개발 센터
CRC
한림대학교
(1개 센터)
2022 뇌혈관질환 전주기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 플랫폼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3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한림대와 강릉원주대의 사업이 종료되면서, ’23년 강원도의 지역혁신센터 수는 총 2곳 운영 중
표 3-10-21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강원대 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 지역혁신센터
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강원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0-22 ❙ 강원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1-05-23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01
강릉영동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1-29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창업보육센터 2000-11-02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강원 창업보육센터 2000-10-31
강원도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9-21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6-23
동해시청 동해시창업보육센터 2000-11-30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창업보육센터 2021-07-06
강원대학교삼척산학협력단 삼척 창업보육센터 2002-04-29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7-23
연세대학교(원주) 연세원주 창업보육센터 2000-01-20
REGIONAL S&T YEARBOOK 2023 36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강원도에는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5개를 운영 중
표 3-10-23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토정중앙천문대 공립
홍천생명건강과학관 공립
로하스파크 와카푸카 사립
한생연 자연속과학체험관 사립
천문인마을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영월군청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2020-03-31
(원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원주 포스트BI 1997-04-21
한라대학교 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7-03
한림대학교 한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4-01
3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강원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강원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54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242명임
표 3-10-24 ❙ 강원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64 389 443 555 554
수혜자 수 9,520 9,928 7,537 11,652 11,24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강원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3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6명 양성
표 3-10-25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강원연구원 5
전용공간
1개(32.39㎡)
19 42,629 53.9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6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강원도 특허출원 건수는 2,80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424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3.1%, 16.5% 감소
표 3-10-26 ❙ 강원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2,410 2,572 2,666 2,604 2,800 2,898 2,807
특허등록 건수 1,291 1,459 1,479 1,462 1,572 1,706 1,42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2년 강원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432편, 주저자 기준 1,949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75%, 3.24%를 차지
표 3-10-27 ❙ 강원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422 5.37 56,715 16.57 1,497 2.85 20,066 13.40
2019 3,752 5.58 53,517 14.26 1,628 2.97 17,740 10.90
2020 4,186 5.68 42,483 10.15 1,795 3.01 15,462 8.61
2021 4,477 5.61 28,013 6.26 1,971 3.10 10,652 5.40
2022 4,432 5.75 8,257 1.86 1,949 3.24 3,158 1.6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3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강원특별자치도를 선도하는 혁신적 과학기술 성과 창출
■ 목표 : 과학기술 고도화와 지역산업육성의 연계
■ 추진과제 및 전략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 전략 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환경 기반의 미래산업 육성
-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 에너지 청정수소 첨단벨트 구축
- 삼척 LNG 기지 중심의 액화수소 에너지 거점도시 조성
- 강원 동해 남부권 수소항만 특별구역 지정 추진
■ 지속가능한 미래모빌리티 첨단산업벨트 구축
- 소형 화물차 이모빌리티 핵심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 미래지능형 모빌리티 산업의 기술 및 인프라 확충 추진
■ 강원형 바이오 첨단산업벨트 구축
-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메가펀드 조성
- 바이오헬스 규제샌드박스 운영 추진
■ 디지털 기반 의료산업 첨단 산업벨트 구축
- 디지털, 빅데이터, 인공지능 첨단기술 융합 건강정보 고속도로 구축
- 개인 맞춤형 의료 제공 추진
■ 강원 퀀텀산업 첨단산업벨트 구축
- 양자암호통신의 상용화
- 퀀텀벨리 조성을 통한 양자산업 생태계 육성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3 371
■ 강원특별자치도 5대 첨단 벨트 구현을 위한 5대 핵심 프로젝트 추진
- 공공 반도체장비 테스트 베드 구축
- 데이터산업 수도 육성
- 메타버스 거점도시 조성
- 탄소중립 융복합 자원화 단지 조성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서비스 디지털 전환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 지역주도 과학기술 기획, 투자 및 평가 혁신을 위한 R&D 전담기관의 기능 강화
- 지역 과학 문화 활성화 지원 확대 사업 추진
■ 전략 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환경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 산학연 연계 전략산업의 고도화 실현을 위한 R&D 인프라 개선 및 구축 추진
- 지역 연구 거점 기관 중심의 미래 과학기술 기반 마련 사업 추진
■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 R&D 성과 기반의 기술 창업 및 사업화 촉진 지원 활성화 체계 구축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과학기술 전문 인력 양성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추진
3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1절 충청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충북의 인구는 약 163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충북 인구의 비율은 3.16%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1-1 ❙ 충청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618,090 1,629,249 1,630,839 1,632,358 1,633,687
전국인구대비 비율(%) 3.14 3.15 3.15 3.15 3.16
경제활동참가율(%) 64.9 64.9 65.3 65 66.5
실업률(%) 2.4 3.1 3.2 2.5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37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북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3.6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26%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7.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1.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5.72%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4.1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1-2 ❙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65,830,010 66,927,772 65,926,194 70,448,338 73,629,729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109,543 2,098,387 1,883,532 1,967,885 2,027,391
(지역내비중, %) (3.20) (3.14) (2.86) (2.79) (2.75)
제조업 29,827,447 30,618,962 30,143,548 33,767,144 34,851,123
(지역내비중, %) (45.31) (45.75) (45.72) (47.93) (47.3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49,567 459,070 749,203 759,148 870,460
(지역내비중, %) (0.68) (0.69) (1.14) (1.08) (1.18)
건설업 4,118,895 3,579,025 3,142,334 3,064,922 3,619,359
(지역내비중, %) (6.26) (5.35) (4.7)7 (4.35) (4.92)
기타서비스업 14,464,985 14,819,854 14,577,152 15,130,535 15,809,237
(지역내비중, %) (21.97) (22.14) (22.11) (21.48) (21.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9,937,666 10,379,439 10,642,566 11,272,635 11,576,505
(지역내비중, %) (15.10) (15.51) (16.14) (16.00) (15.72)
순생산물세 4,916,425 5,001,140 4,924,170 4,782,949 5,098,030
(지역내비중, %) (7.47) (7.47) (7.47) (6.79) (6.9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3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충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4조 5,796억 원이고, 3,24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
만 8,62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이 약 19조 1,303억 원(전체의 20.23%)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491개(전체의 15.14%), 2만 5,891명(전
체의 14.4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1-3 ❙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2,046,124 12.74 491 15.14 25,891 14.49
음료 제조업 1,674,296 1.77 27 0.83 1,559 0.8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55,234 0.27 31 0.96 459 0.2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546 0.01 21 0.65 491 0.2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136,254 5.43 88 2.71 7,108 3.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065,075 5.36 381 11.74 13,032 7.3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409,318 3.60 270 8.32 8,056 4.51
1차 금속 제조업 2,742,973 2.90 113 3.48 3,702 2.07
전기장비 제조업 19,130,289 20.23 221 6.81 24,552 13.7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375,187 3.57 238 7.34 10,446 5.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701,355 8.14 196 6.04 13,726 7.6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81,580 0.19 11 0.34 243 0.14
가구 제조업 563,290 0.60 44 1.36 1,025 0.57
기타 제품 제조업 349,743 0.37 30 0.92 1,248 0.7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59,723 0.17 28 0.86 850 0.4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17,977 0.12 8 0.25 65 0.0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302,719 3.49 361 11.13 11,337 6.3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65,289 0.91 76 2.34 2,208 1.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812,295 1.92 67 2.07 2,685 1.5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105 0.01 8 0.25 152 0.0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378,650 15.20 121 3.73 23,488 13.1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61,070 0.06 6 0.18 53 0.0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236,683 2.36 117 3.61 4,006 2.24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9,997,821 10.57 290 8.94 11,335 6.35
합 계 94,579,596 100 3,244 100 178,62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37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모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료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1-4 ❙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가구제조업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
비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북도는 ‘지능형 IT 부품’와 ‘바이오헬스 분야’, ‘수송기계 분야’, ‘에너지소재부품 분야’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1-5 ❙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능형 IT 부품
지역특화사업(지능형IT부품)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반도체융합부품)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스마트안전관리)
바이오헬스
바이오 제품 안정성 시험비용 지원사업
바이오세라믹 소재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바이오 국제 공동연구사업
수송기계
지역특화사업(수송기계소재부품)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미래차 전장부품)
자동차 부품산업 경쟁력 고도화 지원사업
에너지소재부품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사업
이차전지 기술시장 경쟁력강화 지원
충북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사업
※ 출처 : 충청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37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89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44개가 있음
- 총 13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452개, 총 종사자 수는 122,238명
표 3-11-6 ❙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보은 4,178 4,179 1 1 X 100 조성중
오송생명과학 4,833 2,595 73 63 5,217 100 완료
일반
제천 1,472 1,472 45 43 3,109 100 완료
제천제2 1,307 1,307 53 47 1,921 100 완료
청주[재생사업지구:부분] 4,098 4,098 714 686 25,758 100 완료
청주테크노폴리스 3,804 1,937 19 15 3,245 100 조성중
중원 375 375 23 23 585 100 완료
충주DH 77 77 2 2 X 100 완료
만정 50 50 2 2 X 100 완료
충주제1 1,286 1,286 41 36 2,064 100 완료
충주제3 129 129 7 6 106 100 완료
충주제4 176 176 3 3 261 100 완료
충주첨단 1,992 1,920 60 52 2,239 100 완료
괴산첨단 468 468 11 3 484 - 완료
주곡 149 149 - - - - 조성중
영동 999 999 29 19 598 98 완료
청산 353 352 10 10 64 88 완료
금왕 571 571 8 7 1,091 98 완료
대풍 439 435 10 10 964 100 완료
맹동 419 419 48 41 1,227 100 완료
원남 1,113 1,111 79 59 2,042 100 완료
육령 63 63 1 - - 100 완료
음성이테크 135 135 21 13 139 100 완료
음성하이텍 397 397 18 14 1,211 100 완료
중부 148 148 4 1 X 100 완료
증평 682 682 11 9 1,844 100 완료
증평2 702 703 34 29 1,037 100 완료
이월 300 283 4 4 405 100 완료
3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초평은암 611 611 12 6 1,065 100 완료
리노삼봉 246 245 9 7 144 100 조성중
문백정밀기계 400 400 4 4 141 100 완료
괴산자연드림파크산업단지
(구 괴산유기식품)
806 806 14 14 261 27 조성중
단양(구 단양신소재) 351 350 10 10 137 87 완료
상우(구 감곡) 581 582 - - - 100 조성중
문백금성 118 118 2 2 X 100 완료
문백태흥(구 태략협동화) 97 97 3 1 X 100 조성중
대신 47 47 1 1 X 100 완료
덕유 60 60 1 - - - 완료
생극 457 457 37 30 414 100 완료
죽현 145 145 2 2 X 100 완료
KGC예본(구 KT&G) 87 87 1 1 X 100 완료
일반
괴산대제(건축자재) 849 849 39 36 532 100 완료
오선 459 459 20 13 257 100 완료
오창과학 9,450 9,139 170 169 22,899 99 완료
오창제2 1,390 1,390 8 8 3,725 100 완료
현도 719 719 4 4 646 100 완료
옥산 1,393 1,393 57 53 2,411 100 완료
청주에어로폴리스2지구 409 409 - - - - 조성중
유촌 413 413 39 22 450 100 완료
강내 67 66 1 - - 100 완료
산수 1,304 1,296 73 70 4,046 100 완료
보은동부 688 688 1 1 X 100 완료
오송제2생명과학 3,284 1,680 111 53 1,072 100 완료
충주제5 296 296 7 6 627 3 완료
보은 1,276 1,276 53 42 678 91 완료
제천제3 1,091 1,086 9 9 401 97 완료
충주인프라시티 149 149 - - - - 조성중
옥천테크노밸리
(구:옥천제2의료기기)
357 357 3 3 127 100 완료
성본 2,002 2,002 50 7 1,174 76 조성중
에스폼 414 413 2 2 X 100 완료
케이푸드밸리(구 송두) 832 832 5 3 1,405 100 완료
충청북도수산식품 76 76 3 3 18 83 완료
성안 136 136 - - - 100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3 37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금왕테크노밸리 1,044 1,044 61 24 1,709 100 조성중
화석 71 71 - - - - 완료
국사 956 956 - - - - 미개발
오창테크노폴리스 1,494 1,493 - - - - 조성중
충주특화기술(구 녹색패션) 201 201 - - - 100 조성중
신척(구 진천) 1,536 1,536 96 88 2,334 100 완료
오창제3(구 성재) 576 576 34 32 713 100 완료
충주메가폴리스 1,811 1,802 41 40 2,225 91 완료
동충주(구:북부) 1,401 1,400 - - - - 조성중
맹동인곡 1,729 1,729 - - - - 조성중
성안제2 301 301 - - - 100 조성중
산척 132 132 - - - - 조성중
남청주현도 1,051 1,029 - - - - 조성중
용산 1,041 1,041 1 1 X 100 조성중
서오창테크노밸리 904 904 - - - - 미개발
오송화장품 795 795 - - - - 미개발
일반
청주하이테크밸리 1,003 973 - - - - 미개발
북이 1,012 1,012 - - - - 미개발
제천봉양 134 134 - - - 100 조성중
충주드림파크 1,698 1,683 - - - - 미개발
청주한국전통공예촌복합문화 303 303 - - - - 미개발
진천테크노폴리스 809 809 - - - - 조성중
충주비즈코어시티 274 274 - - - - 미개발
음성테크노폴리스 653 653 - - - - 미개발
오송버이오 283 283 - - - - 미개발
문백 299 298 - - - - 미개발
진천스마트복합산업단지 1,135 1,135 - - - - 미개발
진천메가폴리스산업단지 1,460 1,449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청주도시첨단문화 49 49 63 63 410 100 완료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
224 223 9 5 66 100 완료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2)산업단지
104 103 - - - - 미개발
농공
강저테크노빌(구 강저) 142 126 22 21 250 100 완료
고암테크노빌(구 고암) 168 168 21 20 231 100 완료
금성테크노빌(구 금성) 86 85 16 15 135 100 완료
3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송학테크노빌(구 송학) 90 89 8 8 121 100 완료
양화테크노빌(구 양화) 149 148 17 17 132 50 완료
중앙탑(구 가금) 225 225 8 8 331 100 완료
가주 132 132 12 11 90 100 완료
용탄 192 192 20 20 436 100 완료
주덕 159 155 15 15 374 100 완료
괴산 55 55 9 9 122 100 완료
사리 112 112 14 14 608 100 완료
대강 82 80 16 12 167 100 완료
매포자원순환 150 149 2 2 X 100 완료
보은 70 69 8 6 339 100 완료
삼승 150 145 14 11 264 100 완료
장안 281 281 36 27 335 100 완료
법화 123 123 5 5 237 100 완료
영동 74 74 8 7 103 100 완료
용산 262 262 3 2 X 100 완료
구일 132 132 9 9 138 100 완료
동이 161 161 15 15 363 100 완료
옥천 282 282 15 15 456 100 완료
이원 142 142 8 8 417 100 완료
청산 65 65 3 3 131 100 완료
금왕 139 132 14 12 442 100 완료
농공
삼성 163 158 9 6 579 100 완료
음성 68 62 27 16 145 100 완료
도안테크노밸리
(구 도안농공)
93 93 5 5 487 100 완료
증평테크노밸리
(구 증평농공)
89 89 2 2 X 100 완료
광혜원 86 86 5 5 465 100 완료
덕산 91 91 5 4 943 100 완료
문백전기전자 124 124 3 3 924 100 완료
이월 127 127 10 10 522 100 완료
이월전기전자 329 329 16 14 792 100 완료
진천 58 58 17 17 242 100 완료
초평 136 136 3 3 356 100 완료
적성 124 124 16 9 164 100 완료
내수 107 107 3 3 15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8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현도 72 72 1 1 X 100 완료
광혜원제2 339 335 5 3 222 100 완료
괴산발효식품 321 321 21 21 339 100 완료
옥천의료기기 145 145 7 7 147 100 완료
도안2 133 133 - - - - 미개발
옥천제2농공단지 78 78 - - - -
3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충북에는 총 1,00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92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통신업’이 63개, ‘도매 및 소매업’이 12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38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
외’(115개), ‘식료품 제조업’(95 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1-7 ❙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7 6
광업(05~08) 1 -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4 80 95
음료 제조업 5 3 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6 13 1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1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6 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8 13 1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2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29 112 11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8 14 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1 53 5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3 24 28
1차 금속 제조업 15 13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3 63 8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3 56 5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2 43 44
전기장비 제조업 56 50 5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42 124 138
REGIONAL S&T YEARBOOK 2023 38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6 17 2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 5 6
가구 제조업 3 3 5
기타 제품 제조업 26 20 2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2 9 10
건설업(41~42) 15 8 10
도매 및 소매업(45~47) 7 9 12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5 56 63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2 63 9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1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4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042 874 1,002
3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9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4,116명(전국의 2.9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
은 약 3.59%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2,243명(전국의 2.34%)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7,609명(전국의 3.42%), 공공연구소는 4,264명(전국의 6.22%)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1-8 ❙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470 3.36 5,285 2.72 5,629 2.72 7,027 3.34 7,609 3.42
∙ 국공립 3,957 4.98 3,573 4.47 3,861 4.46 4,900 5.64 5,450 6.07
∙ 사립 2,513 2.22 1,712 1.50 1,768 1.47 2,127 1.72 2,159 1.63
공공연구소 3,288 5.63 3,453 5.53 3,972 6.19 4,057 6.10 4,264 6.22
∙ 국공립 1,229 10.04 1,329 10.31 1,242 9.69 1,425 10.61 1,449 10.92
∙ 정부출연 1,481 4.55 1,505 4.37 2,060 6.07 2,112 6.23 2,155 6.21
∙ 병원 및 기타 578 4.26 619 4.11 670 3.86 520 2.70 660 3.21
기업 10,461 2.38 10,332 2.24 10,830 2.27 11,847 2.33 12,243 2.34
∙ 정부투자기관 61 1.56 62 1.61 64 1.71 68 1.76 60 1.50
∙ 민간기업 10,400 2.38 10,270 2.24 10,766 2.28 11,779 2.33 12,183 2.35
합 계 20,219 2.93 19,070 2.65 20,431 2.73 22,931 2.92 24,116 2.9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85
■ ’22년 충청북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4명 증가한 100.0명으로 조사됨
표 3-11-9 ❙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82.8 81.7 86.7 93.6 100.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충청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4,874억 원(전국의 2.21%) 17개 시・도 중 8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84%로 증가 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507억 원(전국의 2.43%), 공공연구소는
약 5,429억 원(전국의 4.20%), 기업이 약 1조 6,938억 원(전국의 1.89%)
표 3-11-10 ❙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0,065 2.27 194,255 2.64 199,119 2.38 201,105 2.16 250,700 2.43
∙ 국공립 112,767 3.65 141,141 4.31 152,818 4.05 148,440 3.52 177,167 3.91
∙ 사립 47,298 1.19 53,114 1.30 46,301 1.01 52,665 1.03 73,533 1.27
공공연구소 342,986 3.48 346,166 3.40 381,339 3.43 470,210 3.92 542,930 4.20
∙ 국공립 67,743 8.32 74,349 8.90 72,011 8.46 78,022 8.07 92,361 9.06
∙ 정부출연 228,790 3.03 218,983 2.81 269,460 3.25 326,280 3.74 368,109 3.97
∙ 병원 및 기타 46,453 3.14 52,834 3.46 39,868 2.01 65,908 2.85 82,460 3.14
기업 1,125,650 1.64 1,119,112 1.57 1,341,262 1.82 1,459,346 1.81 1,693,809 1.89
∙ 정부투자기관 6,872 0.76 3,511 0.40 7,039 0.80 9,608 1.12 6,893 0.78
∙ 민간기업 1,118,778 1.65 1,115,601 1.58 1,334,223 1.83 1,449,738 1.81 1,686,916 1.91
합 계 1,628,701 1.90 1,659,533 1.86 1,921,720 2.06 2,130,661 2.09 2,487,439 2.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충청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8,12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3%
표 3-11-11 ❙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863 6,101 7,239 7,656 8,121
(3.0) (3.0) (3.2) (3.2) (3.1)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역 주도 R&D 기반 강화(61개사업 / 986억원)
-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138억원), 태양광・ess융복합 부품・시스템 제조/검증 실증
센터 구축(46.4억원), 수소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구축(73.5억원), 가속기장치 선도기술개발
지원사업(11억원) 등
■ 지역산업 선도・혁신형 R&D 역량 확보(80개사업 / 1,345억원)
-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지원(10억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육성지원사업(3.4억원), 이공분야 대
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16.4억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25억원), 스마트공장 보급・확
산사업(278.7억원) 등
■ 과학기술 중심 지역산업 혁신 기반 고도화(34개사업 / 1,428억원)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116.8억원), 에너지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35.6억원), 충북 그린수
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150억원), 웰케어 산업특화 인공지능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46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38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인재국, 바이오식품의약국에서 담당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3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1-12 ❙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6,538 2 12,978 276 369 25 2,845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1-13 ❙ 충청북도 과학인재국, 바이오식품의약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설치근거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9조(위원회 설치), 제10조(위원회 기능), 제11조(위
원회 구성), 제12조(위원회 운영)
과학기술정책과
∙ 산업 디지털전환 정책 수립
∙ 신성장동력사업, 강소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산업동향 등
∙ 지역SW산업, 블록체인기술 산업 및 로봇산업 육성, 지역SW기업 성장지원, SW융합 클러스터 구
축, ICT산업 경쟁력강화
∙ 데이터산업, AI융합산업 육성, 빅데이터 허브플렛폼, 기관메타데이터시스템 관련 업무
산업육성과
∙ 반도체산업 육성계획,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 자동차부품 기업지원, 순환경제혁신 인프라 구축
∙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운영 및 테스트베드 구축, 이차전지소부장특화단지육성 및 기반 구축
∙ 뿌리산업업무 추진, 승강기산업, 시험인증산업 등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
방사광가속기
추진과
∙ 방사광가속기 구축 지원, 방사광가속기 부지 조성 등
∙ 미래인재 양성사업, 산업체 역량강화, 방사광가속기 연구회 운영
∙ 가속기 활용지원센터 구축 추진, 활용연구개발 지원, 가속기장치산업 육성사업 발굴
∙ 전략산업 특화 빔라인 구축 추진, 산학연 협의체 운영지원, 가속기 데이터센터 구축 추진 등
바이오정책과
∙ 바이오기술 국가첨단전략특화단지, 첨복단지관리, 정책동향, 주요현안
∙ 바이오융합 산업육성, 업무추진, 육성지원 등
∙ K-바이오스퀘어조성,WHO글로벌바이오캠퍼스운영,RIS 총괄
∙ K-바이오 스퀘어 조성 추진, K-바이오 스퀘어 조성 지원, KAIST 바이오혁신경영 전문대학원운영
첨단바이오과
∙ 천연물산업 육성지원, 2025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추진
∙ 바이오연구개발, 엑소좀, 원헬스, 빅데이터 구축사업 등
∙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 종합계획 수립 및 대행사 선정
∙ 화장품클러스터 지원, 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 관리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3 389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도민의 과학기술 이해 중진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사업에 관한 사항
- 신사업 발굴・육성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2.12.21. ~ 2024.12.20.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
- 제5차 충북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기반 ’22년도 추진실적 심의 등(’23.1.11..)
- 제6차 충북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기반 ’23년도 추진실적 심의 등(’22.12. 중)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1-14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충청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명규 충청북도(경제부지사) 2022.12.21.~2024.12.20.
부위원장 김진형 충청북도(과학인재국장) 2022.12.21.~2024.12.20.
부위원장 한충완 충청북도(바이오식품의약국장) 2022.12.21.~2024.12.20.
위 원 오세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2.12.21.~2024.12.20.
위 원 권경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2.12.21.~2024.12.20.
위 원 박보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22.12.21.~2024.12.20.
위 원 조진희 충북연구원 2022.12.21.~2024.12.20.
위 원 우영미 충북테크노파크 2022.12.21.~2024.12.20.
위 원 성현아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손영수 청주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신문선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신용국 세명대학교 바이오제약산업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이용준 극동대 해킹보안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최상범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12.21.~2024.12.20.
위 원 박용환 유원대학교 교양융합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이근영 과학문화전문기업 사이콘 2022.12.21.~2024.12.20.
위 원 오철우 케이이씨㈜ 2022.12.21.~2024.12.20.
3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북도의 총예산은 21조 4,456억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404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65%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7.35%
표 3-11-15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 산 214,456
재정자주도(%) 67.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75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40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5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7.35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39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충청북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가장 많은 약 819억원을 투자
- 국비는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에 323억 원, 지방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358
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11-16 ❙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감염병 위기대응 R&D 지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
융합바이오세라믹테크노베이터 구축
29,227 16,022 4,106 49,35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
수소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구축
7,950 15,199 245 23,39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충북도립대학교 운영비지원
30,701 25,958 441 57,100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조성
산림환경연구소 운영비
21,008 22,543 5,498 49,04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충청북도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31,578 35,780 13,436 81,91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오송임상시험센터 건립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32,255 1,994 220 34,46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특화산업(주력산업) 육성지원
산업환경개선지원센터 구축
19,366 10,562 2,550 32,47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충북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
수송기계 부품 전자파센터 구축
25,726 12,309 6,225 48,196
합계 197,811 140,367 32,721 375,94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995개로 전국의 3.0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42%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6개 증가, 기업 303개 증가
표 3-11-17 ❙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93 19 4.58 19 4.62 19 4.49 18 4.31
∙ 국공립 6 7.59 6 7.14 6 7.06 6 6.98 6 6.82
∙ 사립 12 4.20 13 3.93 13 3.99 13 3.86 12 3.64
공공연구소 28 4.58 29 4.52 31 4.68 34 4.93 34 4.98
∙ 국공립 8 6.11 8 5.59 9 6.29 10 6.54 10 7.30
∙ 정부출연 8 4.79 9 5.33 10 6.13 11 6.47 10 6.06
∙ 병원 및 기타 12 3.82 12 3.64 12 3.36 13 3.55 14 3.67
기업 1,640 3.38 1,692 3.09 1,775 3.03 1,820 2.92 1,943 3.02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1 1.85 1 1.69 1 1.64
∙ 민간기업 1,639 3.38 1,691 3.09 1,774 3.04 1,819 2.92 1,942 3.02
합 계 1,686 3.42 1,740 3.11 1,825 3.06 1,873 2.96 1,995 3.0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93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충청북도 소재 대학 수는 17개
- 일반대학 1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5개 존재
표 3-11-18 ❙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4 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1 12 17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충청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4,70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86명(전체의 약 12.1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121명(전
체의 약 23.75%)
표 3-11-19 ❙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0,286 20,121 30,407 12,047 8,732 10,807 4,511 18,200 84,704
비중 12.14 23.75 35.90 14.22 10.31 12.76 5.33 21.49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충청북도에는 충북대가 4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20 ❙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북대
(4개 센터)
2017 종양 이환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중증 폐질환 연구센터 MRC
2022 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융합 연구센터 RLRC
2023 기업수요 대응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21년 기준, 충청북도에는 4개의 지역혁신센터가 소재하며, 2023년 기준 4개의 지원 센터
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3 395
표 3-11-21 ❙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세명대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 지역혁신센터
서원대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및 식품 지역혁신센터
건국대 바이오 식・의약 지역혁신센터
한국교통대 친환경에너지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충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1-22 ❙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12-11-16
대원대학교 대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6
서원대학교 서원대 창업보육센터 2000-11-14
세명대학교 세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0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오송 창업보육센터(고려대) 2012-12-12
유원대학교 유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중원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2-29
청주대학교 청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충북청) 충북대학교G-테크벤처센터 2010-05-01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5-01
충북도립대학 충북도립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12-2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7-18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31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3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북도에는 공립과학관 6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7개를 운영 중
표 3-11-23 ❙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증평좌구산천문대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공립
충주자연생태체험관 공립
제천한방생명과학관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공립
충북농업과학관 공립
별새꽃돌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충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62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511명임
표 3-11-24 ❙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37 560 470 352 362
수혜자 수 7,363 9,942 10,572 11,787 6,51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97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충북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4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21명 양성
표 3-11-25 ❙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한국교통대학교 6
전용공간
1개(36㎡)
25 160,844 55.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충청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3,989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094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8.4%, 13.2% 감소
표 3-11-26 ❙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3,498 3,166 3,509 3,700 4,053 4,353 3,989
특허등록 건수 1,670 1,861 1,921 2,167 2,359 2,413 2,09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충청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080편, 주저자 기준 1,313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00%, 2.18%를 차지
표 3-11-27 ❙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2,604 4.08 55,310 21.24 1,056 2.01 12,713 12.04
2019 2,776 4.13 34,264 12.34 1,173 2.14 12,209 10.41
2020 2,990 4.06 36,010 12.04 1,277 2.14 11,982 9.38
2021 3,279 4.11 20,049 6.11 1,419 2.23 6,869 4.84
2022 3,080 4.00 5,698 1.85 1,313 2.18 1,984 1.5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39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더 나은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시대
■ 목표 : 도민의 삶을 바꾸는 자생적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추진과제 및 전략
- 역량 강화 : 국가과학기술 선도 창의연구 인프라 강화
- 연계 확대 : 산학연 융합을 통한 지역전략산업 성장경로 구축
- 성과 확산 :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확산되는 혁신지원 생태계 조성
- 인재 양성 : 충북형 맞춤 연구인재 양성체계 구축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역량 강화
- 지역 전략 산업 기술개발로드맵 구축・운영
- 지역전략산업 거점연구소 운영
- 지역전략산업 고도화 실증・인증 지원인프라 강화
- 방사광가속기 중심 신산업 지역혁신 클러스터 조성
-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맞춤지원
■ 연계 확대
- 지역혁신 확산 공동연구 중개인프라 구축
- 연구성과 상용화 전문기관 육성
- 지역혁신 클러스터 연계 상용화 지원체계 구축
- 지역 과학기술-산업 간 혁신네트워크 강화
- 도민 체감 디지털 실증기술 고도화
■ 성과 확산
- 지역연구 성과확산지원 전문기관 육성
- 산업기술단지 조성
4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청년기술창업 펀드 운영
- 과학기술 문화・체험 인프라 확대
- 충북전략기술 PM제도 운영
■ 인력 양성
- 카이스트 오송 바이오 메디컬 캠퍼스타운 조성
- AI영재학교 설립
- 충북형 연구산업인력 HRD허브 구축
- ICT 고급 연구인재 양성 대학육성 지원
- 미래신산업 육성 연계 인력양성사업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주도 과학
- 충청권 초광역 협력 협의체 구축 및 운영 등 초광역 거버넌스 구축
- 가속기 등 관련 해외 지방정부간 교류협력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
○ 지자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충북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등 지역 주도 중장기 혁신계획 수립
- 충북 연지단 역량 및 기능 강화 등을 통한 지자체 정책기획 역량 향상
○ 지역 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확산
- R&D 투자 목표제 도입, 창업펀드 조성 등 지자체 정책・사업 추진 책임성 확보
- 지역 과학기술 관련 통계 신뢰성 제고 및 R&D 관리시스템 구축 등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대학・연구기관의 대형화 및 연구 거점화
- 지역특화 선도연구센터, RISE사업 등 연계 대형 연구시설장비의 공동활용 촉진 및 전문인력 양성
○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 충북과학기술포럼, 전략산업육성위원회 등 운영 지원 통한 지역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401
○ 과학기술 역량・자원 활용 지역 기업 및 산업 경쟁력 제고
- 혁신창업 페스티벌 개최, 충청권 중소벤처기업 박람회 등 지원 통한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원 및
지역 기업의 성장 및 도약 지원
■ 지역 혁신을 위한 민간 주도 생태계 활성화
○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방사광 가속기 혁신클러스터 등 성장 전략 수립 등
- 청주 강소연구개발특구 및 규제자육특구 등 연계 통한 기술이전 사업화, 엑셀러레이팅 지원, 미래
기술 융합제품혁신 지원
○ 혁신 촉진을 위한 제도 및 인프라 고도화
- 노마드 포럼 운영, 창업기업 대상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등
4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2절 충청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충남의 인구는 약 218만 명으로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충남 인구의 비율은 4.22%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2-1 ❙ 충청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177,105 2,189,132 2,176,641 2,176,548 2,180,086
전국인구대비 비율(%) 4.22 4.23 4.21 4.21 4.22
경제활동참가율(%) 65.6 65.6 64.6 64.5 65.8
실업률(%) 3.1 2.9 3.5 2.3 2.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40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남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21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83%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9.56%로 전체 산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18.36%)와 정부/민간비영
리생산(11.75%)이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 간 2.8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2-2 ❙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10,873,163 112,310,782 112,762,058 118,487,227 121,401,399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126,965 4,126,965 4,126,965 4,126,965 4,126,965
(지역내비중,%) (3.72) (3.67) (3.66) (3.48) (3.40)
제조업 53,764,781 54,143,399 54,645,762 58,461,140 60,169,163
(지역내비중,%) (48.49) (48.21) (48.46) (49.34) (49.56)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091,934 5,280,521 4,920,541 4,877,301 4,500,940
(지역내비중,%) (4.59) (4.70) (4.36) (4.12) (3.71)
건설업 5,334,840 4,951,911 5,315,629 5,384,530 5,528,397
(지역내비중,%) (4.81) (4.41) (4.71) (4.54) (4.55)
기타서비스업 19,684,272 20,472,430 20,420,728 20,983,820 22,294,401
(지역내비중,%) (17.75) (18.23) (18.11) (17.71) (18.3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370,527 12,863,189 13,317,146 13,855,920 14,264,477
(지역내비중,%) (11.16) (11.45) (11.81) (11.69) (11.75)
순생산물세 10,426,129 10,254,233 9,893,232 10,282,593 10,055,671
(지역내비중,%) (9.40) (9.13) (8.77) (8.68) (8.2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4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충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81조 3,507억 원이고, 4,38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5
만 6,878개의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40조 7,829억 원(전체의
22.4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620개(전체의 14.14%), 3만 5,336명(전체의 13.7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표 3-12-3 ❙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66,185 5.61 553 12.61 21,091 8.21
음료 제조업 1,004,125 0.55 20 0.46 1,048 0.4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1,499 0.17 43 0.98 846 0.3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2 0.27 150 0.0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11,423 1.55 57 1.30 3,984 1.5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68,653 4.39 406 9.26 16,673 6.4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429,276 2.44 267 6.09 7,267 2.83
1차 금속 제조업 19,042,566 10.50 205 4.68 10,255 3.99
전기장비 제조업 9,877,343 5.45 227 5.18 11,897 4.6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3,163,630 7.26 608 13.87 26,055 10.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3,795,395 13.12 620 14.14 35,336 13.7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31,388 0.18 15 0.34 223 0.09
가구 제조업 153,445 0.08 26 0.59 578 0.23
기타 제품 제조업 44,218 0.02 18 0.41 342 0.1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2,455 0.23 49 1.12 2,673 1.0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05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315,657 2.93 465 10.61 16,329 6.3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48,611 0.47 78 1.78 1,919 0.7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526,509 1.39 121 2.76 6,444 2.5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8,114 0.03 18 0.41 290 0.1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0,782,887 22.49 138 3.15 12,797 4.9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5,761,908 8.69 14 0.32 416 0.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764,216 0.97 117 2.67 4,199 1.6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0,679,184 11.40 305 6.96 17,090 6.65
합 계 181,350,677 100 4,384 100 256,878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40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특화도가 매우 높으면서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분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 제품 제조업’이 있음
표 3-12-4 ❙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
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음료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4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남도는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
계 혁신‘,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존형 기술개발‘,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구축‘, ‘휴먼바이오 산업
혁신 핵심 거점조성‘, ‘디스플레이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충남 탄소중립 경제 선도혁신모
델 개발‘, ‘ICT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확대‘ 사업을 중점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2-5 ❙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과학기술 정책연구 및 R&D과제발굴・기획 일원화
충남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기반조성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충남 R&D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충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고도화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존형 기술개발
지역 특화분야 산・학・연 핵심기술 연구역량 강화
지역사회 주도형 민관 협력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지역 미래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수립
지역 대학연계 과학기술대학원 대학 설립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산・학・연 협업 R&D기반의 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신규사업 기획 확대
지역 미래산업 분야 우수 전문 연구기관 유치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도민과 함께하는 충남 과학기술의 날 제정・운영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구축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구축・운영
차량용 반도체 혁신생태계 조성
자율주행 모빌리티 종합기반 구축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부문 기술개발 및 실증플랫폼 조성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해양 바이오 기반 혁신 클러스터 조성
해양 바이오소재 혁신기술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디스플레이 스마트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충남 탄소중립 경제 선도혁신모델 개발
충남 탄소중립 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이행전략 수립
탄소중립 경제 R&D기획 및 실증・상용화 기반조성
ICT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확대
AI・메타버스 기반 안전관리체계 조성
충남형 디지털 국방산업 육성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 출처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40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67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93개가 있음
- 총 16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664개, 총 종사자 수는 138,362명
표 3-12-6 ❙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고정 6,308 6,308 1 1 X 100 조성중
대죽자원비축 912 912 1 1 X 100 완료
석문 12,012 9,471 191 82 1,476 73 완료
아산국가 6,156 4,988 145 135 4,691 100 완료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2,751 2,217 31 16 628 66 조성중
일반
탄천 996 996 34 28 780 100 완료
유구자카드 96 96 12 8 143 100 완료
논산 253 253 24 24 621 100 완료
논산2 509 509 11 11 495 100 완료
동산 729 728 22 15 462 70 완료
관창 2,442 2,442 15 15 2,439 100 조성중
영보 1,251 1,251 - - - 100 조성중
대산 1,103 1,103 4 4 1,495 100 완료
대죽 2,101 2,101 12 12 861 100 완료
서산테크노밸리 1,986 1,987 67 50 1,135 100 완료
인주 3,530 3,527 48 42 6,023 100 완료
아산테크노밸리 2,984 2,984 85 82 5,737 100 완료
운용 74 74 8 8 343 100 완료
천안3 2,134 2,100 52 50 15,478 100 완료
천안제2 823 827 114 93 3,730 100 완료
천안제4 1,006 1,006 120 120 3,497 100 완료
천안산업기술 183 183 187 187 1,329 100 완료
천흥 651 649 14 13 1,125 100 완료
4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풍세 1,645 1,644 82 80 3,413 100 완료
합덕 970 969 54 40 1,163 99 완료
홍성 1,135 1,135 5 5 532 95 완료
일반
예산 1,507 1,506 52 51 2,561 100 완료
예산신소재 1,040 979 13 13 342 100 완료
대산컴플렉스 648 648 3 3 296 100 완료
현대제철(구 송산) 5,837 5,815 1 1 X 100 조성중
합덕인더스파크 641 640 5 5 729 77 완료
당진1철강 2,038 2,012 4 4 1,317 100 조성중
현대대죽 673 671 2 - - 100 조성중
예당 1,040 1,040 41 41 929 98 미개발
계룡제1(구 입암) 323 323 27 22 547 100 완료
세종(구 가산) 664 660 - - - - 미개발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구 탕정2)
2,095 2,094 1 - - 100 조성중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
2,451 2,451 6 6 16,555 100 완료
천안제5 1,995 1,995 61 57 2,420 100 조성중
서산남부(구 서산도시형) 878 878 - - - - 미개발
아산제2테크노밸리 1,200 1,200 99 89 3,617 100 완료
대산3 539 539 12 12 89 100 완료
남공주 730 730 23 3 285 - 조성중
마정 150 149 52 52 705 100 완료
금산 921 921 1 1 X 100 완료
천안LG생활건강퓨처 389 389 - - - 100 완료
천안동부바이오 334 334 - - - - 조성중
아산탕정테크노 685 682 - - - 34 조성중
탕정 505 505 2 - - 61 조성중
송산2 4,707 4,706 45 38 1,167 75 조성중
아산스마트밸리 451 451 - - - 100 조성중
서산오토밸리(구 서산) 3,990 3,989 46 41 5,990 99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0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서산인더스밸리(구 서산2) 812 811 12 9 412 100 완료
씨지엔대산전력(구 엠피씨) 184 183 1 - - 100 완료
웅천(구 선진) 686 686 16 3 50 41 완료
아산디지털(구 음봉디지털) 356 356 7 7 1,677 100 완료
쌍신 227 227 - - - - 미개발
염치 381 379 - - - 66 조성중
인주(3공구) 1,817 1,780 - - - - 미개발
천안북부BIT 875 875 - - - - 미개발
일반
동현 301 301 - - - - 미개발
성거 306 306 - - - 100 조성중
예산제2 1,120 1,120 - - - - 조성중
천안테크노파크 918 918 - - - - 미개발
음봉 419 419 - - - - 조성중
풍세2 345 345 - - - - 미개발
천안제6 967 967 - - - - 미개발
현대대죽2 681 681 - - - - 미개발
예당2 719 719 - - - - 미개발
부여 467 467 - - - - 미개발
송선 317 318 - - - - 미개발
대산그린컴플렉스일반산업단지 2,261 2,222 - - - - 미개발
도시
첨단
태안도시첨단 39 39 1 1 X 100 완료
내포도시첨단 1,260 1,260 9 9 324 100 조성중
천안직산 334 334 - - - - 미개발
농공
검상 408 408 31 27 2,253 100 완료
계룡 50 50 1 1 X 100 완료
보물 134 134 7 7 183 100 완료
우성(전문) 142 142 5 5 70 100 완료
유구 228 228 3 3 483 100 완료
장기 91 91 39 39 483 100 완료
정안2 288 288 19 19 540 100 완료
월미 149 149 20 19 378 100 완료
4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의당복합 147 147 2 2 X 100 완료
가야곡 186 186 18 18 620 100 완료
동산 83 83 2 2 X 100 완료
양지 117 117 5 5 27 100 완료
양지제2 137 137 4 4 240 100 완료
연무 124 123 1 1 X 100 완료
연산 81 81 17 17 148 100 완료
은진 70 70 3 3 136 100 완료
대천 102 102 15 15 411 100 완료
웅천 229 229 33 33 381 100 완료
웅천석재 150 150 21 21 72 100 완료
주산 154 154 3 3 102 100 완료
주포 165 165 19 19 411 100 완료
주포제2 143 143 14 14 94 94 완료
청소 147 146 21 21 264 100 완료
고북 125 124 12 9 99 100 완료
명천자동차전문 143 143 6 6 442 100 완료
성연 777 775 3 3 3,714 100 완료
수석 231 223 22 22 531 100 완료
농공
도고 198 198 7 5 564 100 완료
둔포 74 73 3 3 350 100 완료
둔포제2 116 116 3 3 496 100 완료
득산 216 216 27 26 969 100 완료
배미 75 74 3 3 217 100 완료
신인 64 56 2 2 X 100 완료
신창 56 56 6 6 325 100 완료
영인 154 154 4 4 613 100 완료
탕정 93 93 3 3 189 100 완료
동면 69 69 6 6 210 100 완료
목천 100 100 2 1 X 100 완료
백석 350 350 120 120 2,487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1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직산 172 172 17 15 373 100 완료
금성 222 221 24 23 470 100 완료
복수 118 117 17 13 225 100 완료
인삼약초특화 115 115 10 7 177 72 완료
추부 245 244 30 29 486 100 완료
당진 85 84 14 14 116 100 완료
면천 139 138 11 10 146 100 완료
석문 215 213 4 4 478 100 완료
송악 171 170 21 20 286 100 완료
신평 138 137 12 11 289 100 완료
한진 143 143 2 2 X 89 완료
합덕 106 108 27 22 320 100 완료
서면(김가공특화) 79 77 7 7 159 62 완료
종천 251 251 33 31 535 100 완료
종천2 197 195 10 9 133 67 완료
고덕 159 158 3 3 218 100 완료
관작전문 144 144 10 9 402 100 완료
삽교전문 146 146 4 4 468 100 완료
신암 153 152 15 14 324 100 완료
예덕 205 192 1 1 X 100 완료
예산 189 189 25 25 512 100 완료
응봉 151 150 5 5 517 100 완료
증곡전문 145 144 2 2 X 100 완료
비봉 156 153 10 7 285 100 완료
운곡 149 140 11 9 131 100 완료
농공
정산 274 264 3 3 588 100 완료
학당 130 130 3 3 137 100 완료
화성 144 139 17 15 127 100 완료
태안 105 105 26 26 194 100 완료
갈산전문 122 122 16 15 351 100 완료
갈산2전문 136 136 - - - 30 조성중
4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결성전문 141 141 26 26 194 100 완료
광천 145 145 16 15 351 100 완료
광천김특화 57 57 9 9 283 100 완료
구항 167 167 14 12 413 100 완료
은하 110 110 2 2 X 100 완료
은하전문 95 95 8 5 153 100 완료
운곡2 146 142 10 10 235 100 완료
월미2 69 69 10 10 123 86 완료
계룡제2 192 191 16 16 707 83 완료
강경 130 130 5 4 349 100 완료
은산패션전문 55 55 - - - 100 완료
장항원수 480 480 31 25 533 100 완료
정안1 159 159 19 19 341 100 완료
노성특화 160 159 - - - - 완료
가야곡2 311 311 - - - - 미개발
은산산업단지
(구 은산농공단지)
123 123 19 17 159 100 완료
은산2산업단지
(구 은산2농공단지)
227 226 11 9 125 100 완료
임천산업단지
(구 임천농공단지)
171 171 6 6 70 100 완료
장암산업단지
(구 장암농공단지)
158 157 1 1 X 100 완료
홍산산업단지
(구 홍산농공단지)
132 127 12 12 135 100 완료
정산2 187 187 - - - - 미개발
청라 67 67 - - - - 완료
제이팜스 45 45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413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충남에는 총 1,320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3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78개, ‘건설업’이 2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69개), ‘식료품 제조업’(101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9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2-7 ❙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3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14 19
광업(05~08) 3 4 5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1 84 101
음료 제조업 3 3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 11 1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1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7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 8 1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6 80 8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 15 1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8 52 6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 22 26
1차 금속 제조업 19 16 1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7 86 9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3 68 7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49 54 61
전기장비 제조업 83 70 8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83 241 269
4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3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5 54 6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5 19 21
가구 제조업 5 6 5
기타 제품 제조업 28 24 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 2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9 8 11
건설업(41~42) 23 19 23
도매 및 소매업(45~47) 13 16 18
운수 및 창고업(49~52) - 2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71 69 83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1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6 56 7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4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 5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250 1,125 1,320
REGIONAL S&T YEARBOOK 2023 41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7,216명(전국의 3.34%)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2.46% 증가 추세를 나타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7,208명 (전국의 3.29%)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7,789명(전국의 3.50%), 공공연구소는 2,219명(전국의 3.24%)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2-8 ❙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638 3.45 6,713 3.46 7,193 3.47 7,376 3.51 7,789 3.50
∙ 국공립 1,644 2.07 1,520 1.90 1,844 2.13 1,646 1.90 1,837 2.05
∙ 사립 4,994 4.42 5,193 4.55 5,349 4.44 5,730 4.65 5,952 4.49
공공연구소 1,748 2.99 1,755 2.81 1,813 2.83 2,072 3.11 2,219 3.24
∙ 국공립 692 5.65 680 5.27 680 5.30 867 6.45 877 6.61
∙ 정부출연 575 1.77 619 1.80 641 1.89 641 1.89 643 1.85
∙ 병원 및 기타 481 3.54 456 3.03 492 2.83 564 2.93 699 3.40
기업 15,714 3.57 16,500 3.57 16,536 3.47 17,276 3.39 17,208 3.29
∙ 정부투자기관 34 0.87 35 0.91 17 0.45 51 1.32 51 1.28
∙ 민간기업 15,680 3.59 16,465 3.59 16,519 3.50 17,225 3.41 17,157 3.31
합 계 24,100 3.49 24,968 3.47 25,542 3.42 26,724 3.40 27,216 3.3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충청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6명 감소한 87.6명으로 조사됨
표 3-12-9 ❙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7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9.6 84.0 85.4 89.2 87.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충청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4조 1,164억 원 (전국의 3.65%) 17개 광역시・도 중 4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7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704억 원(전국의 2.62%), 공공연구소는
약 3,632억 원(전국의 2.81%), 기업이 약 3조 4,828억 원(전국의 3.89%)
표 3-12-10 ❙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0,998 2.71 207,612 2.82 231,838 2.78 255,090 2.73 270,380 2.62
∙ 국공립 51,948 1.68 44,004 1.34 54,662 1.45 64,902 1.54 77,522 1.71
∙ 사립 139,050 3.51 163,608 3.99 177,176 3.87 190,188 3.72 192,858 3.34
공공연구소 296,357 3.01 546,308 5.37 396,362 3.56 300,057 2.50 363,194 2.81
∙ 국공립 48,717 5.99 51,615 6.18 47,283 5.55 53.590 5.54 51,297 5.03
∙ 정부출연 176,917 2.34 419,522 5.37 246,047 2.97 119,471 1.37 136,003 1.47
∙ 병원 및 기타 70,723 4.78 75,171 4.92 103,032 5.20 126,996 5.49 175,894 6.70
기업 2,100,403 3.05 2,721,301 3.81 3,036,888 4.13 3,077,810 3.81 3,482,813 3.89
∙ 정부투자기관 3,201 0.35 3,383 0.39 1,816 0.21 4,406 0.51 4,522 0.51
∙ 민간기업 2,097,202 3.09 2,717,918 3.85 3,035,072 4.17 3,073,404 3.84 3,478,291 3.93
합 계 2,587,758 3.02 3,475,221 3.90 3,665,088 3.94 3,632,957 3.56 4,116,387 3.6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1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충청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333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1%
표 3-12-11 ❙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301 5,289 5,903 6,455 7,333
(2.7) (2.6) (2.6) (2.7) (2.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역주도 과학기술 R&D 거버넌스 체계 강화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운영(2,416백만 원),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5,924백만 원), 해외우수
연구기관 유치지원(1,550백만 원), 지역 SW기업 성장지원(311백만 원),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RLRC) 지원(4,015백만 원)
■ 혁신플랫폼 주도 지역산업 고도화
- 충남연구개발지원단 운영(360백만 원),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1,977백만 원), 융합기술
사업화 확산형 전문인력 양성(1,080백만 원), 신산업정책 프로젝트 운영(800백만 원), 대학 내 산
학협력단지 조성(3,110백만 원), SW중심대학 지원(5,773백만 원),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
(11,561백만 원) 등
■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 고도화 기반 조성
-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12,440백만 원),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 육성(5,700백만
원),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96,235백만 원), 충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22,591백
만 원) 등
4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경제실에서 담당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419
표 3-12-12 ❙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623 2 17,450 284 549 34 4,266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2-13 ❙ 충청남도 산업경제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미래산업과
∙ 과학기술진흥 중장기계획(5개년) 수립,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시행계획) 수립 등
∙ 집적지구 부지조성 업무 추진,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업무 추진 및 연구소기업 유치
∙ 국방산업 육성 및 지원과제 발굴, 방산혁신 클러스터 추진, 국방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육성실행계획 추립
∙ 제조기술융합 사업추진,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추진
∙ UAM/AAM 산업육성 계획수립, UAM/AAM 산업기반구축 지원사업 추진
∙ 인공지능 선도사업 업무추진, 인공지능 실증랩 구축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추진,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사업 추진
산업육성과
∙ 미래성장 동력산업 발굴・육성 추진, 주력산업 및 경제협력권산업 육성 지원, 소부장 산업 육성 지원
∙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지역산업육성사업 성과평가, 산업기술단지 거점기
능지원사업 추진
∙ 바이오분야 신산업 발굴・육성 추진, 충남 바이오산업 발전계획 수립(관리) 추진
∙ 스파 연계 재활헬스케어 산업 육성, 수면산업 실증기반 기술고도화 지원사업, 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
∙ 자동차부품산업 육성 추진, 자율주행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건립 추진, 차량용 융합반도체
혁신생태계 구축사업(예타사업) 추진, 자율주행 모빌리티 종합기반 구축 추진 ,미래차 전환 종합지
원 추진, 자동차 관련 신산업 발굴 및 육성 추진
∙ 자율주행 인지 및 운행안전(SOTIF) 성능검증 기반구축 추진, 수소연료전지차 부품실용화 및 산업기
반 육성사업 추진,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 추진
∙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육성 추진, 디스플레이 산업 육성 및 사업화 기반 구축, 디스플레이 혁신
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디스플레이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사업 추진,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
발굴 및 지원
∙ 전자산업 육성 및 사업화 기반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사업 추진, 산업디지
털 전환(IDX) 적합성 기반 구축사업 추진, 디스플레이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사업 추진, 플렉서블
스트레쳐블, 부착형 디스플레이 기술 기반구축 사업
∙ 탄소포집활용(ccu) 소재실증지원센터 구축업무 추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업무 추진
탄소중립경제과
∙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추진전략 수립, 지역에너지(시・군 포함) 계획 수립 및 관리, 에너지 절약 대책
및 계획 수립, 지역에너지 절약사업(공공기관) 추진
∙ 충남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 단계적 폐지, 석탄화력 폐지 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추진
∙ 탄소중립 산업 육성 사업 발굴/추진, 이차전지 산업 육성 사업 추진, LNG 냉열 활용 냉매 물류단
지 기반구축, 충남 에너지 소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 스마트그리드 기반 구축
∙ 충남형 RE100 추진전략 수립, 풍력(육상・해상)단지 조성사업 추진 지원, 신・재생에너지 집적화 단
지 업무 추진, 재생에너지 신규 사업 발굴
∙ 수소산업 기본계획 운영 및 세부 추진계획 수립
4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 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에 관한 사항
-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 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규모조정 등 투자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 사업 기획 및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대학, 기업체・연구소의 연구개발지원에 관한 사항
- 도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 진흥을 위하여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1회 연임 가능)
- 당연직 위원은 미래산업국장, 충남테크노파크원장이 함
- 위촉직 위원은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도지사가 위촉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3회
- ‘22년도 충남과학기술진흥 추진실적(’23.1.11.)
- 제6차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23년도 시행계획(’23.3.2. ~ ’23.3.8.)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23~’27)(’23.3.22. ~ ’23.3.28.)
REGIONAL S&T YEARBOOK 2023 42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2-14 ❙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전형식 충청남도 -
위원 유재룡 충청남도 -
위원 - 충남연구원 공석
위원 이철수 충청남도의회 2023.1.1.~2024.12.31.
위원 박현주 상명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신숙경 한국연구재단 2023.1.1.~2024.12.31.
위원 이안호 단국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이재준 한국교통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정영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한정수 호서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강형석 참좋은특허법률사무소 2023.1.1.~2024.12.31.
위원 김상경 에너지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김인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서점수 디펜스 에듀&컨설팅 2023.1.1.~2024.12.31.
위원 연순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이구용 충남도립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장재선 한국폴리텍대학 2023.1.1.~2024.12.31.
위원 장호상 한서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정지향 엔씨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23.1.1.~2024.12.31.
위원 한재도 한얼시스템 2023.1.1.~2024.12.31.
※ 출처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남도의 총예산은 약 28조 2,73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589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56%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9.14%
표 3-12-15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82,737
재정자주도(%) 67.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06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89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9.14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42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충청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849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약 1,142억 원, 486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
표 3-12-16 ❙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충남 지식산업센터 건립
이공계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13,850 12,224 1,085 27,159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사업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사업
664 3,894 43 4,601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충남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충남과학기술진흥원)
자동차부품 세계화 지원
- 3,160 - 3,16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충남도립대학교 운영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10,357 20,894 3,267 34,518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충남문화산업진흥원 운영
최고품질 원예작물 생산기술 보급
12,069 31,330 1,818 45,21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충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
지역특화산업(주력산업) 육성지원
41,995 27,639 16,845 86,455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
SW중심대학 지원
6,575 9,958 1,805 18,33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
ESS 전지시스템 기능 안전성 설계
기술지원
407 1,176 - 1,58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충남국제전신컨벤션센터 건립 사업
114,164 48,639 22,135 184,937
합계 200,081 158,914 46,998 405,96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281개로 전국의 3.4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56%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1개 감소, 기업 367개 증가
표 3-12-17 ❙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 7.67 28 6.75 27 6.57 29 6.86 28 6.70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23 8.04 23 6.95 22 6.75 24 7.12 23 6.97
공공연구소 22 3.59 21 3.27 22 3.32 24 3.48 21 3.07
∙ 국공립 12 9.16 12 8.39 12 8.39 13 8.50 11 8.03
∙ 정부출연 3 1.80 3 1.78 3 1.84 3 1.76 2 1.21
∙ 병원 및 기타 7 2.23 6 1.82 7 1.96 8 2.19 8 2.10
기업 1,865 3.84 2,010 3.67 2,070 3.54 2,161 3.47 2,232 3.47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1 1.85 2 3.39 2 3.28
∙ 민간기업 1,863 3.84 2,008 3.67 2,069 3.54 2,159 3.47 2,230 3.47
합 계 1,915 3.88 2,059 3.68 2,119 3.56 2,214 3.49 2,281 3.4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25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충청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3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2-18 ❙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1 13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5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충청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3만 8,57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830명(전체의 약 9.26%), 공학계열 학생이 3만 4,417명
(전체의 약 24.84%)
표 3-12-19 ❙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830 34,417 47,247 17,421 19,559 9,466 12,919 31,965 138,577
비중 9.26 24.84 34.09 12.57 14.11 6.83 9.32 23.07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충청남도에는 단국대학교 2개, 순천향대학교가 3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2-20 ❙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단국대학교
(2개 센터)
2021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MRC
2023 쉐프(SEHPc) : 지속가능한 수소 생산 변환 에너지 생태계 RLRC
순천향대
(3개 센터)
2019 대사질환 조직 항상성 연구센터 RLRC
2023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2023 감성 지능형 아동케어 융합연구센터 C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
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REGIONAL S&T YEARBOOK 2023 427
■ 2023년 기준 3개의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
표 3-12-21 ❙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한국기술교육대 기전 융합형 부품소재 Trouble Shooting 지역혁신센터
공주대 자동차 의장 및 편의부품 지역혁신센터
순천향대 고부가 생물소재 산업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충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표 3-12-22 ❙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양대학교 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7-23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7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8-01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생명공학 창업보육센터 2001-05-11
백석대학교 백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5-01
백석문화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2-03-01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14-02-01
선문대학교 선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4
순천향대학교 순천향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3-30
신성대학교 신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중부창업보육센터 2021-07-06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2-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0
한서대학교 한서대학교 항공해양 창업보육센터 2001-07-19
호서대학교 호서벤처 창업보육센터 1996-01-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4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남도에는 공립과학관 8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9개를 운영 중
표 3-12-23 ❙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갯벌생태과학관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공립
장영실과학관 공립
칠갑산천문대스타파크 공립
홍성조류탐사과학관 공립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천안홍대용과학관 공립
대안군 별똥별 하늘공원 공립
충청남도교육청과학교육원 공립
천리포수목원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3년 충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32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4,980명임
표 3-12-24 ❙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81 213 266 200 232
수혜자 수 6,842 4,300 4,418 5,023 4,980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42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충청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7,38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856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1.5%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22.7%씩 감소
표 3-12-25 ❙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6,578 6,046 6,482 6,917 7,217 7,274 7,384
특허등록 건수 3,008 3,492 3,808 3,966 4,396 4,987 3,85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충청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291편, 주저자 기준 1,515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27%, 2.52%를 차지
표 3-12-26 ❙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2,643 4.15 36,393 13.77 1,174 2.24 14,198 12.09
2019 2,811 4.18 35,507 12.63 1,250 2.28 12,767 10.21
2020 3,192 4.33 29,987 9.39 1,353 2.27 9,740 7.20
2021 3,414 4.28 19,360 5.67 1,515 2.38 6,880 4.54
2022 3,291 4.27 5,676 1.72 1,515 2.52 2,130 1.4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로 미래산업을 육성하는 과학기술경제 특별도 충남
■ 목표 : 과학기술・산업・생활경제 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한 충남 혁신성장 가속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 전략
■ 지속가능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위한 R&D 지원체계 조성
-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 지역이 주도하는 산・학・연・민・관 협력 과학기술 혁신체계 강화
-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전형 기술개발
-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 지역 균형발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조성
-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 조성
-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산업 혁신단지 조성
- 충남특화 탄소중립경제 선도혁신 모델 개발
- ICT 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사업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속가능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위한 R&D 지원체계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431
○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 과학기술 정책연구 및 R&D 과제발굴・기획 일원화
- 충남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기반조성
○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 충남 R&D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 충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고도화
■ 지역이 주도하는 산・학・연・민・관 협력 과학기술 혁신체계 강화
○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전형 기술개발
- 지역 특화분야 산・학・연 핵심기술 연구역량 강화
- 지역사회 주도형 민・관 협력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지역 미래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수립
- 지역 대학연계 과학기술대학원 대학 설립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산・학・연 협력 R&D 기반외 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및 지역 미래산업 분야 우수 전문 연구기관
유치
-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신규사업 기획 확대
○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 도민과 함께하는 충남 과학기술인의 날 제정・운영
■ 지역 균형발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조성
- 차량용 반도체 혁신생태계 조성,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구축・운영
-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부문 기술개발 및 실증 플랫폼 조성 등
○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 조성
- 해양 바이오 기반 혁신 클러스터 조성
- 해양 바이오소재 혁신기술 플랫폼 구축
○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산업 혁신단지 조성
- 디스플레이 스마트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 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4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충남특화 탄소중립경제 선도혁신 모델 개발
- 충남 탄소중립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이행전략 수립
- 탄소중립 경제 R&D기획 및 실증・상용화 기반조성
○ ICT 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사업 확대
- 인공지능기반 안전관리체계 및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 충남형 디지털 국방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433
제13절 전라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전북의 인구는 약 178만 명으로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전북 인구의 비율은 3.44%로 작년대비 감소
표 3-13-1 ❙ 전라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822,635 1,811,958 1,805,688 1,794,192 1,780,234
전국인구대비 비율(%) 3.53 3.50 3.49 3.47 3.44
경제활동참가율(%) 59.9 61 61.5 62.6 63.7
실업률(%) 2.7 2.7 2.5 2.2 2.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좌 시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4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북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1.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34%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29.76%), 정부/민간비영리생산(25.39%), 제조업(21.31%)이 각각 20%가 넘는 비
중을 차지하며 산업구조는 5년 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5.4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3-2 ❙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 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8,350,793 49,506,041 49,116,252 50,636,383 51,678,429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541,442 3,633,751 3,359,667 3,499,181 3,564,173
(지역내비중,%) (7.32) (7.34) (6.84) (6.91) (6.90)
제조업 11,032,002 10,727,471 10,279,431 11,008,367 11,014,663
(지역내비중,%) (22.82) (21.67) (20.93) (21.74) (21.3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196,921 1,266,431 1,469,288 1,480,941 1,559,003
(지역내비중,%) (2.48) (2.56) (2.99) (2.92) (3.02)
건설업 3,136,099 3,148,614 3,171,486 2,993,225 2,840,765
(지역내비중,%) (6.49) (6.36) (6.46) (5.91) (5.50)
기타서비스업 14,427,301 14,885,764 14,408,745 14,943,828 15,381,260
(지역내비중,%) (29.84) (30.07) (29.34) (29.51) (29.7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538,315 12,067,180 12,453,925 12,802,843 13,119,938
(지역내비중,%) (23.86) (24.38) (25.36) (25.28) (25.39)
순생산물세 3,458,905 3,754,265 3,985,799 3,954,467 4,278,526
(지역내비중,%) (7.15) (7.58) (8.12) (7.81) (8.2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435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전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38조 1,948억 원이고, 1,86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43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8조
5,576억 원(전체의 22.41%), 359개(전체의 19.26%), 1만 5,523명(전체의 18.38%)
표 3-13-3 ❙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557,589 22.41 359 19.26 15,523 18.38
음료 제조업 824,266 2.16 21 1.13 610 0.7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92,104 1.29 38 2.04 566 0.6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741 0.01 8 0.43 116 0.1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08,026 1.59 15 0.80 517 0.6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080,651 2.83 90 4.83 2,733 3.2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659,514 4.34 159 8.53 4,156 4.92
1차 금속 제조업 4,060,332 10.63 86 4.61 3,376 4.00
전기장비 제조업 1,256,048 3.29 73 3.92 2,351 2.7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652,415 6.94 149 7.99 4,699 5.5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120,269 16.02 246 13.20 10,397 12.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76,133 1.25 17 0.91 247 0.29
가구 제조업 46,626 0.12 14 0.75 260 0.31
기타 제품 제조업 191,396 0.50 25 1.34 450 0.5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8,961 0.05 10 0.54 173 0.2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1,532 0.03 2 0.11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172,371 3.07 179 9.60 4,983 5.9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12,017 1.08 65 3.49 2,328 2.7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28,662 0.34 24 1.29 539 0.6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5,417 0.28 66 3.54 1,324 1.5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2,600 1.87 28 1.50 1,873 2.2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6,014 0.07 5 0.27 65 0.0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35,241 3.23 54 2.90 2,260 2.6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342,891 16.61 131 7.03 6,420 7.60
합 계 38,194,816 100 1,864 100 84,434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4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3-4 ❙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비교적
높음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1차금속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낮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437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락북도는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과 ‘친환경 농생명・에너지산업‘ 사업을 중점으로 운
영・관리하고 있음
표 3-13-5 ❙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
(탄소소재,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등)
산업・수송용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
재활용탄소섬유 활용 융복합부품 상용화 지원
이차전지 신소재 융합 실용화 촉진 사업
탄소복합재 신뢰성 시험평가 기반구축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탄소산업 T2B 지원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생체적합성 신소재 의료기기산업 육성
조선기자재 사업다각화 생태계 구축사업
자동차기업 신시장 창출지원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차 부품 고도화 사업
탄소융복합 소재부품 성형지원
탄소복합재 공정장비 활용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
친환경 농생명・에너지산업
(농생명, 식품, 바이오, LED, 에너지변환 등)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진흥지원사업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 운영사업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
식품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
한국형 글로벌 장건강 프로젝트
국가식품클러스터기업기술지원사업
지역농업연구 기반조성사업
해상풍력산업 지원센터 구축사업
조선기자재기업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지원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구축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SW융합 플랫폼 구축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구축사업
사용 후 연료전지 기반구축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지원사업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교통실증 연구기반 구축
※ 출처 : 전라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4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6개, 일반산업단지 2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0개가 있음
- 총 9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504개, 총 종사자 수는 81,756명
표 3-13-6 ❙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군산 13,702 6,828 214 183 4,455 100 완료
군산2(구 군장지구) 51,715 14,612 648 566 7,756 100 완료
익산국가산업단지 1,336 1,336 306 230 3,237 100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 2,322 2,191 189 99 1,146 66 완료
새만금지구 18,495 18,495 43 19 925 100 조성중
전주탄소소재 656 656 - - - - 미개발
일반
군산 5,641 5,641 67 67 4,719 100 완료
김제순동 262 262 39 38 877 100 완료
익산제2 3,309 3,309 201 201 8,120 100 완료
전주제2 687 687 27 26 1,034 100 완료
전주친환경첨단복합(1단계) 291 291 67 67 1,129 100 완료
전주시자원순환특화 80 80 11 10 71 100 완료
정읍제1 185 185 7 7 254 100 완료
정읍제2 999 999 69 68 1,228 100 완료
정읍제3 1,025 1,025 54 52 1,821 100 완료
정읍첨단과학(RFT) 896 871 44 37 747 99 완료
고창 837 837 3 3 37 40 조성중
부안신・재생에너지 354 354 3 1 X 78 완료
완주 3,359 3,359 80 80 10,174 100 완료
전주과학 3,074 3,074 225 225 4,918 100 완료
완주테크노밸리 1,311 1,311 119 115 2,373 100 완료
익산제4(구 익산종합의료과학) 503 503 28 27 1,662 92 완료
익산제3 2,793 2,685 106 99 2,742 88 완료
완주테크노밸리(2단계) 2,115 2,115 11 11 177 - 조성중
전주친환경첨단복합(3-1단계) 284 284 3 3 21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3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지평선 2,986 2,986 114 88 2,680 92 완료
남원 776 717 1 1 X 12 조성중
전주제1[재생사업지구] 1,806 1,806 105 101 2,612 100 완료
백구 336 337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전주도시첨단 110 110 61 61 468 100 완료
농공
서수 287 287 52 52 1,105 100 완료
성산 142 142 26 26 353 100 완료
옥구 140 130 48 48 487 100 완료
대동전문 331 331 22 22 422 100 완료
만경 215 215 30 30 766 100 완료
봉황 233 233 43 43 575 100 완료
서흥 277 277 43 43 571 100 완료
월촌 145 145 25 23 274 100 완료
황산 73 73 11 11 453 100 완료
광치1(구 광치) 140 140 7 7 131 100 완료
광치2 113 112 15 14 132 100 완료
노암 147 147 7 7 71 100 완료
노암제2 179 180 5 5 294 100 완료
어현 117 116 1 1 X 100 완료
인월 51 50 1 1 X 100 완료
낭산 129 128 17 17 407 100 완료
삼기 132 131 34 34 515 100 완료
왕궁 330 330 17 17 802 100 완료
황등 147 147 55 55 268 100 완료
고부 151 151 16 16 504 100 완료
농소 186 185 4 4 268 100 완료
북면 211 211 41 40 663 100 완료
신용전문 143 143 6 5 408 100 완료
신태인 150 150 11 11 101 100 완료
태인 247 247 32 30 299 100 완료
고수 106 106 22 21 162 96 완료
복분자 196 195 14 12 341 90 완료
아산 140 140 26 25 122 100 완료
4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흥덕 315 315 17 15 319 100 완료
무주 147 147 2 2 X 100 완료
농공
무주제2 98 98 8 7 76 100 완료
안성 94 94 12 8 45 100 완료
부안 149 149 32 32 232 100 완료
부안제2 344 343 11 11 824 100 완료
줄포 89 89 16 16 204 100 완료
가남 83 83 2 2 X 100 완료
쌍암 154 154 7 6 48 88 완료
풍산 138 138 9 8 161 90 완료
이서특별 398 398 6 6 123 100 완료
신평 53 53 10 10 188 100 완료
오수 132 132 21 21 159 100 완료
임실 147 147 1 1 X 100 완료
장계 290 290 9 8 183 100 완료
천천 57 57 10 9 48 100 완료
진안제2 146 146 37 37 237 100 완료
진안홍삼한방 265 266 36 36 220 100 완료
임피 239 238 39 37 4000 87 완료
인계(구 제2장류) 149 149 10 10 188 100 완료
노암제3 325 325 19 19 190 84 완료
장수 143 140 16 13 87 77 완료
임실제2 339 339 - - - 100 완료
백구 322 322 32 30 315 100 조성중
풍산제2 169 169 6 5 78 88 완료
소성특화 230 230 19 14 55 23 완료
진안연장 53 53 10 9 85 100 완료
부안제3 327 326 10 6 71 20 완료
함열 329 328 - - - - 완료
철도산업 222 222 1 1 X 58 조성중
완주 298 298 14 14- 67 - 조성중
오수제2 171 171 - - - -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3 441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전북에는 총 90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7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0개, ‘건설업’이 19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104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96개), ‘자동차 및 트레일
러 제조업’(7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3-7 ❙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5 11
광업(05~08) 1 2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1 82 104
음료 제조업 3 2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 12 1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 8 9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3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 7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2 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1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4 44 5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4 14 1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8 19 3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 18 27
1차 금속 제조업 12 10 1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7 56 6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8 51 5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6 23 27
전기장비 제조업 58 58 6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4 88 96
4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4 60 7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4 13 17
가구 제조업 9 8 6
기타 제품 제조업 29 24 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2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5 7
건설업(41~42) 20 15 19
도매 및 소매업(45~47) 10 11 13
운수 및 창고업(49~52) 1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6 68 76
금융 및 보험업(64~66) - - 1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8 41 5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2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20 757 903
REGIONAL S&T YEARBOOK 2023 44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8,579명(전국의 2.28%)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
은 약 3.8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7,745명(전국의 3.48%)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6,590명(전국의 1.26%), 공공연구소는 4,244명(전국의 6.2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3-8 ❙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941 3.09 5,788 2.98 6,388 3.09 6,731 3.20 7,745 3.48
∙ 국공립 4,308 5.42 4,209 5.27 4,622 5.34 4,774 5.50 5,226 5.82
∙ 사립 1,633 1.45 1,579 1.38 1,766 1.47 1,957 1.59 2,519 1.90
공공연구소 4,052 6.94 3,975 6.37 4,210 6.56 4,339 6.52 4,244 6.20
∙ 국공립 2,782 22.73 2,573 19.96 2,737 21.34 2,811 20.92 2,534 19.09
∙ 정부출연 765 2.35 843 2.45 883 2.60 904 2.67 996 2.87
∙ 병원 및 기타 505 3.72 559 3.71 590 3.40 624 3.24 714 3.47
기업 5,387 1.22 5,820 1.26 5,840 1.23 6,435 1.26 6,590 1.26
∙ 정부투자기관 80 2.05 90 2.34 108 2.89 114 2.95 120 3.01
∙ 민간기업 5,307 1.22 5,730 1.25 5,732 1.21 6,321 1.25 6,470 1.25
합 계 15,380 2.23 15,583 2.17 16,438 2.20 17,505 2.23 18,579 2.2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전라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5명 증가한 63.0명으로 조사됨
표 3-13-9 ❙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53.0 50.8 55.6 59.5 63.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전라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4,756억 원(전국의 1.31%)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6.35%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893억 원(전국의 3.78%), 공공연구소는
약 4,852억 원(전국의 3.76%), 기업이 약 6,010억 원(전국의 0.67%)
표 3-13-10 ❙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1,993 3.43 271,432 3.68 317,355 3.80 346,554 3.71 389,330 3.78
∙ 국공립 171,706 5.56 192,617 5.88 244,308 6.47 255,434 6.06 289,754 6.39
∙ 사립 70,287 1.77 78,815 1.92 73,047 1.60 91,120 1.78 99,576 1.72
공공연구소 375,224 3.81 342,801 3.37 396,104 3.56 475,329 3.96 485,240 3.76
∙ 국공립 130,066 15.98 133,310 15.95 145,635 17.11 179,038 18.51 183,260 17.97
∙ 정부출연 181,074 2.40 141,056 1.81 167,378 2.02 188,263 2.16 173,960 1.88
∙ 병원 및 기타 64,084 4.33 68,435 4.48 83,091 4.19 108,028 4.67 128,020 4.88
기업 467,355 0.68 507,461 0.71 522,638 0.71 589,277 0.73 601,007 0.67
∙ 정부투자기관 17,568 1.93 13,189 1.52 16,248 1.85 15,966 1.86 43,003 4.84
∙ 민간기업 449,787 0.66 494,272 0.70 506,390 0.70 573,311 0.72 558,004 0.63
합 계 1,084,572 1.27 1,121,693 1.26 1,236,097 1.33 1,411,160 1.38 1,475,578 1.3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4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전라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9,75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16%
표 3-13-11 ❙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7,238 7,526 8,808 9,296 9,759
(3.7) (3.7) (3.9) (3.8) (3.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R&D 생태계 조성 및 혁신클러스터 육성
- 탄소 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118억원), 수소시범도시 조성사업(175억원), 수송용품 검사지원
센터(156억원), 전북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60억원),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226억원)
■ 신산업 육성 대응 지역산업 구조고도화 기반 조성
-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 교통실증 연구기반 구축 사업(87억원),상용차 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46억원),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164억원), 안전보호 융
복합섬유 기술지원센터(19억원)
■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기반구축 및 공동연구개발 활성화
- 공공기관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36억원), 전북 메이커스페이스(128억원), 혁신성장 R&D+사업
(62억원), 전북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설립(111억원),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45억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57억원)
■ 과학기술 역량강화 및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사업(7억원), AI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사업(2.5억원), 이공계 대학 산학관
커플링사업(22억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24억원)
4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REGIONAL S&T YEARBOOK 2023 447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표 3-13-12 ❙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427 2 16,161 273 486 49 3,456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3-13 ❙ 전라북도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산업과
∙ 전북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시행, 안전보호 융복합제품산업 육성사업 추진
∙ 활성탄소섬유 기술지원 기반구축사업, 전북 국가혁신 클러스터 고도화사업, 거점기관 개방 혁신사
업, 섬유공동브랜드 지원사업, 전북 섬유산업 육성 및 신규사업 발굴 추진 등
∙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 진흥사업(주력・협력) 세부사업 총괄, 지역혁신성장계획(균
형위) 및 전북혁신성장계획 수립,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추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전북연구개발특구 성과평가(연차, 종합) 업무, 전북연구개발특구 개
발 및 관리 업무(개발・실시계획)
∙ 전북새만금산학융합지구 지원, 전북형 산학융합 스마트 허브단지 활성화사업, 지역혁신 메가프로젝
트 사업,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지원사업, 지역현안
해결형 R&BD 지원사업(‘20, ’22),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육성 전반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종합계획 수립 등, 전북 새만금 이차전지 특
화단지 조성 업무 -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 및 세부 육성계획 수립 등, 이차전지 R&D 센터 구축
및 유치, 이차전지 실시간 고도분석센터 건립, 전북 이차전지 혁신 허브 조성방안 마련
∙ 데이터센터 집적지 조성사업 추진, 빅데이터 분석용역사업 과제발굴 및 분석 추진, 전북 디지털혁
4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신지구 조성사업 추진
∙ 데이터센터 집적지 조성 추진 - 새만금 SK 데이터센터 및 추가 데이터센터 업무 - 중앙부처 및
관련기관 동향파악 등, 4차 산업혁명 시행계획 수립 및 맞춤형 교육 추진, 빅데이터・AI분야 인력양
성사업 추진
∙ 전북 디지털혁신지구 조성사업 추진 - 예타 연구용역 추진 등, ICT산업 국가예산 발굴 및 사업화,
인공지능 기술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
∙ 홀로그램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및 핵심기술 사업화 실증사업,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센터 지원사업, XR 소재・부품・장비 개발지원센터 지원사업, 새만금 메타버스 체험관
운영 지원, 메타버스 산업육성 관련 업무 - 한옥마을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사업 등, 국가예산 확보
및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스마트팜 SW융합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디지털트윈 탄소배출량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
증사업, 소재・부품・장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소재・부품・장비 펀드 조성 및 관리, 소재・부
품・장비 기술개발 지원사업
주력산업과
∙ 대체부품산업 육성업무 추진,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새만금 자율운송 상용차 실증지원 인프라 조성(1~3단계), 중견중소 전기차 관련 협업기반 구축, 전
북형 30대 상용차 핵심부품 및 소재 기술개발, 민관 상생협력 단기부품 기술개발, 자율주행 상용차
보안 신뢰성 확보 기반 조성,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 육성
∙ 산업용 자율주행 스케이트 플랫폼 구축사업 - 수소상용차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 사업 - 수송기기
산업 재도약을 위한 융합기술 촉진 지원 사업 - 전기자동차 에너지 전주기 활용 기술개발 사업
∙ 특장차 산업 활성화 및 산업생태계 모델 구축사업, 특장차 안전 신뢰성 기반구축 사업,특장차 전문
단지 조성사업 등
∙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구축사업, 친환경 선박 대체연료 추진시스템 기자재 실증플랫폼 기반 구축
∙ 농기계산업 종합기획 육성, 전동화 건설농기계 기술전환 기반구축(스마트 특성화 사업),지능형 농・
건설기계 규제자유특구 운영 계획 수립, 수출농기계부품 품질 고도화지원 생태계 구축사업, 농업용
스마트 전기구동 플랫폼 개발 및 실증지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농업용 로봇)
∙ 건설기계산업 종합기획 육성,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운영 지원, 지역특화산업(미래지능형기계) 육성
지원,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
∙ 뿌리산업 생태계 혁신성장 지원사업, 제조기반기술 R&D 혁신 지원사업, 뿌리기업 그린환경시스템
지원사업, 뿌리농기계 기술고도화 지원사업, 뿌리산업 진흥 및 육성에 관한 조례, 종합계획 수립
∙ UAM산업 육성 기본(시행)계획 수립・시행, UAM 관련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첨단 항공소부장산
업 육성, 항공MRO산업 육성 지원
에너지수소산업과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정책 수립,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조성, 수상형태양광 종합평가센
터 구축,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무정전전원장치 사고대응 시스템 평가센터 구축, 친환경 소재부품 재활용 산업지원센터 구축, 신재
생에너지 박람회 및 국제포럼 추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운영관리 및 활성화 추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추진
∙ 재생에너지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 구축 -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교통 실증연구 기반 구
축, 신재생에너지 분야 신규시책 발굴 관리,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공동체사업 추진, 전라북도 에너
지전담기관 설립 추진
∙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추진 - 발전사업 인허가 사전조사 - 전파영향평가, 해상교
통안전진단 등
∙ 수소 공급계획 수립,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실증 추진
∙ 수소산업 육성 발전계획 세부사업 이행, 수소시범도시 구축 및 지원(전주, 완주), 수소용품검사지원
센터 건립지원(완주), 사용 후 연료전지 기반구축 사업(완주), 분산형(소규모) 수소생산(추출)기지 구
축(완주), 수소특화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완주)
∙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지원(부안),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전력계동 연계 지원, 해상풍력 지
역 상생방안 마련(부안지역)
REGIONAL S&T YEARBOOK 2023 449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과 연구개발 역량강화 사항 심의・조정
-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 자문
- 연구회・TF분과 : 과학진흥정책 및 연구개발사업 발굴・기획(10대 연구회 구성・운영)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제9기(’22.4~’24.3)
- (위원장) 도지사 1명
- (위원구성) 총 30명(당연직 9, 위촉직 21명)
탄소바이오산업과
∙ 탄소복합체 다이텍가공공학센터 기반구축, 대선공약 탄소소재부품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4대 실
증기반)
∙ 탄소융복합분야 신규사업 기획・발굴, 탄소융복합소재부품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압력용기 탄소섬유
고속성형용 와인딩 장비 개발
∙ 산업・수송용 탄소소재부품 산업, 지역주력산업(탄소복합소재) 육성사업, 탄소기업 지원 및 신규사업
기획・발굴
∙ 탄소소재산업 신규시책 발굴,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 탄소기반 슈퍼커패시터 융합기술 사업,
다공성 탄소소재 기반 환경소재 및 부품개발 기반구축사업
∙ 국가 R&D 공모 및 기반구축 사업 추진, 탄소 소부장 특화단지 지원(매뉴팩처링 인큐베이션 허브
구축사업, 수소저장용기 시험・인증 플랫폼 구축사업, 소부장특화단지 산학연 협력지원사업), 초고강
도 수소저장용기 및 고속와인딩 기술개발 지원, 국산탄소섬유적용 대용량 수소이송시스템 개발 지
원, 초고온 결정질 탄화규소(SiC)섬유 개발 지원, 상용차용 수소저장용기 생산성 향상기술 개발 지
원, 재활용탄소섬유활용 융복합부품 상용화 지원사업
∙ 탄소소재산업 기업지원 업무 추진, 탄소복합재 수소용기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탄소복합재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및 고도화, 탄소융복합 전시관 운영, 소재부품장비 혁신랩 기술개발, 탄소복합재 해
상용 대형풍력블레이드 개발, 탄소산업클러스터 조성
∙ 고성능・고품위 탄소섬유 상용화, 탄소융복합제품 수요확대(CNG), 탄소소재산업 육성지원, 지역혁신
역량 강화사업, 탄소융복합 분야 신규사업 발굴・기획(규제자유특구)
∙ 메카노바이오활성소재 혁신의료기기 실증기반 구축, 바이오헬스 기반 집적화 단지 조성 지원, 중재
적메카노바이오 기술융합연구센터 구축 등
∙ 국가및자체 사업발굴, 제약산업 미래인력 양성센터 구축,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지원, 연구중심병
원육성 지원, 바이오헬스 기업 고도화 지원, 탄소소재 의료기기 산업 지원
∙ 산업・수송용 탄소소재부품 산업, 국산 탄소소재 활용 전주기 상용화 지원, 탄소산업 활성화 T2B
지원, 탄소응용제품 민간보급 지원, 지역주력산업(탄소복합소재) 육성사업, 탄소기업 투자 유치 대응
업무, 탄소기업 지원 및 신규사업 기획・발굴, 전국 탄소산업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탄소융복합
분야 신규사업 기획・발굴 지원
∙ 나노융합기반고도화사업, 3d프린팅 융복합 기술지원사업, 나노소재 미래형 전자부품 상용화 등
4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23년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3-14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성명 원소속기관 임기
위원 김관영 전라북도 2022.04.~2024.3.
위원 천세창 전라북도 기업유치지원실 2022.04.~2024.3.
위원 오택림 전라북도 미래산업국 2022.04.~2024.3.
위원 신원식 전라북도 농생명축산식품국 2022.04.~2024.3.
위원 천선미 전라북도 문화체육관광국 2022.04.~2024.3.
위원 강해원 전라북도 환경녹지국 2022.04.~2024.3.
위원 이송희 전라북도 복지여성보건국 2022.04.~2024.3.
위원 이남호 전북연구원 2022.04.~2024.3.
위원 이규택 전북테크노파크 2022.04.~2024.3.
위원 서민강 에코융합섬유연구원 2022.04.~2024.3.
위원 김대혁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김은미 호원대학교 2022.04.~2024.3.
위원 김진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2022.04.~2024.3.
위원 김차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2022.04.~2024.3.
위원 김혜미 전주비전대 2022.04.~2024.3.
위원 김회경 원광대학교 2022.04.~2024.3.
위원 민지호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백형희 한국식품연구원 2022.04.~2024.3.
위원 박성신 군산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임문택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 2022.04.~2024.3.
위원 설경원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정인성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2.04.~2024.3.
위원 양문식 한국과학기술단체 전북연합회 2022.04.~2024.3.
위원 오상남 전주대학교 2022.04.~2024.3.
REGIONAL S&T YEARBOOK 2023 451
※ 출처 : 전라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북도의 총예산은 약 26조 3,19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14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81%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3.41%
표 3-13-15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63,193
재정자주도(%) 65.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94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14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8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3.41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정병엽 첨단방사선연구소 2022.04.~2024.3.
위원 이말례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이미경 우석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이홍기 우석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채한정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이상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2.04.~2024.3.
4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전라북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407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약 1,322억 원, 902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
표 3-13-16 ❙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경축순환농업연구
지역전략작목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 1,251 - 1,251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사업
전북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689 2,000 - 2,689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새만금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전북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
739 50 - 789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대학 일자리센터 운영
10,594 6,586 2,296 19,47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남원 화장품지식산업센터 건립
스마트 융복합 멀티플렉스 조성
27,369 27,650 2,947 57,96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지원 사업
신재생 연계 ESS 안전성 평가센터 구축
14,976 33,766 1,811 50,53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가변 플랫폼 기반 소형 전기버스/트럭
및 운영시스템 개발사업
혁신성장 R&D+ 사업
20,684 13,406 5,855 39,945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메이커스페이스 전문랩
조선해양 설치 운송 인프라 구축
30,971 39,632 10,102 80,70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국가식품클러스터 활성화지원
132,195 90,186 18,338 240,719
합계 238,217 214,527 41,349 494,06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45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444개로 전국의 2.2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6.04% 증가
- 5년간 대학 수는 3개 감소,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367개 증가
표 3-13-17 ❙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 5.48 18 4.34 18 4.38 19 4.49 17 4.07
∙ 국공립 6 7.59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14 4.90 13 3.93 13 3.99 14 4.15 12 3.64
공공연구소 38 6.21 40 6.23 43 6.49 43 6.24 41 6.00
∙ 국공립 10 7.63 11 7.69 11 7.69 12 7.84 9 6.57
∙ 정부출연 11 6.59 11 6.51 11 6.75 11 6.47 10 6.06
∙ 병원 및 기타 17 5.41 18 5.45 21 5.88 20 5.46 22 5.77
기업 1,019 2.10 1,136 2.07 1,190 2.03 1,343 2.16 1,386 2.15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3 5.56 3 5.08 3 4.92
∙ 민간기업 1,017 2.10 1,134 2.07 1,187 2.03 1,340 2.15 1,383 2.15
합 계 1,077 2.18 1,194 2.14 1,251 2.10 1,405 2.22 1,444 2.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전라북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존재
표 3-13-18 ❙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1 -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전라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1,56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159명(전체의 약 12.19%), 공학계열 학생이 1만 9,555
명(전체의 약 21.36%)
표 3-13-19 ❙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159 19,555 30,714 16,398 11,996 7,264 7,653 17,537 91,562
비중(%) 12.19 21.36 33.54 17.91 13.10 7.93 8.36 19.1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45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전라북도에는 원광대 2개, 전북대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3-20 ❙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전북대
(2개 센터)
2017 대사염증 연구센터 MRC
2019 나노탄소기반 에너지소재 응용기술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원광대
(2개 센터)
2017 한방심신증후군연구센터 MRC
2021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에 원광대가 추가되면서 4개 센터 운영 중인 것으로 ‘23년에 4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
로 조사됨
4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21 ❙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우석대 수소연료전지 부품 및 응용기술 지역혁신센터
군산대 고등기술융합연구원(구. 군산대TIC)
캠틱종합기술원 (구. 전북대TIC) 캠틱종합기술원
원광대 차세대 방사선 산업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전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3-22 ❙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군산대학교 군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2-01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바이오플렉스(Bio Plex) 창업보육센터 2014-10-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코인쇄전자 창업보육센터 2012-07-05
ECO융합섬유연구원 에코파이버 창업보육센터 2014-01-27
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IT・BT 창업보육센터 2001-05-28
(사)전북창업공유지원센터 익산 창업보육센터 2017-12-22
전북과학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1-20
전북대학교 전북대 창업보육센터 1999-09-10
전주대학교 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전주비전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12-17
(재)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융합부품소재창업보육센터 2013-11-12
한국농수산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0-29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0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희망전북 POST-BI 2010-07-0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45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북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8개소로 10개를 운영 중
표 3-13-23 ❙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농업과학관 국립
국립전북기상과학관 국립
전라북도과학교육원 공립
남원항공우주천문대 공립
무주 반디별천문과학관 공립
부안곤충탐사과학관(누애곤충과학관) 공립
정읍첨단과학관 공립
만경강수생생물체험과학관 공립
순창건강장수체험과학관 공립
순창 옹기종기놀이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3년 전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2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4,611명임
표 3-13-24 ❙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563 693 753 782 829
수혜자 수 14,355 12,739 13,260 13,771 14,61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4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전북의 특허출원 건수는 3,95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114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9.1%, 10.3% 감소
표 3-13-25 ❙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3,993 4,121 3,995 4,343 4,529 4,354 3,957
특허등록 건수 1,468 1,860 1,995 2,137 2,277 2,357 2,11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전라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820편, 주저자 기준 1,838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96%, 3.06%를 차지
표 3-13-26 ❙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354 5.26 57,834 17.24 1,603 3.06 25,433 15.87
2019 3,404 5.06 47,511 13.96 1,644 3.00 21,099 12.83
2020 3,766 5.11 40,296 10.70 1,848 3.10 18,156 9.82
2021 4,038 5.06 26,841 6.65 1,900 2.98 11,209 5.90
2022 3,820 4.96 8,596 2.25 1,838 3.06 3,957 2.1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45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융합과 혁신이 공존하는 스마트 전북 실현
■ 목표
- 4차 산업혁명 연계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 과학기술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 지원 확대
- 전북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R&D 역량 강화
▣ 중점과제 및 전략
■ 과학기술 역량 확충으로 성장동력 창출 및 지역산업 구조고도화를 통한 신산업육성 선도 기반
조성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
- 지역 맞춤형 과제 발굴 프로세스의 다양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
∙ (상향식) 지역의 현안 및 지역과학기술 역량제고를 위한 과제 발굴
: ① 자체 발굴 ② 도 담당과 수요 발굴 ③ 기술수요조사 발굴
∙ (하향식) 국정운영계획 및 중앙부처 정책에 따른 과제 발굴
: 다양한 공동체(기술 분야별 공동체, 기술 분야 간 공동체, 출연연+중소기업 간 공동
체)를 통한 신규 과제/사업 발굴 활성화
■ 혁신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연구인프라 확충
-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의 다각화, 다양성 확충 등 고부가가치화와 구조고도화를 위한 핵심기
술개발 및 연구인프라 확충
∙ 전북 디지털 융합지원센터,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 클러스터 강소 연구개발특구, 에너지산업 융
복합 단지 조성,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등
∙ 홀로그램, 탄소융복합 소재, 바이오, 그린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
∙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화 실증기반 구축, 발효 미생물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소재부품장비 혁신랩 기술개발 등
4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산・학・연 협력 지역혁신 플랫폼 기반의 공동연구 활성화
- 산학연 연구역량 결집을 통해 산업수요에 기반한 스마트・융복합 연구개발 활성화 촉진으로 부가가
치 제고 및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 기능성 소재 부품기업 경쟁력 강화, 바이오 융합소재 상용화 지원,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기반
구축, 규제자유특구(탄소융복합, 친환경 자동차) 육성 지원 등
-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융복합 연구개발 지원 확대
∙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SW융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바이오나노산업 기반 고도화 생태계 촉진,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전북 탄소기업 국내외 밸류체인 구축 지원 등
■ 과학기술 고급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연구인력 다양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에 적합한 인력양성사업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무역량 중점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 ICBMS(Iot, Cloud, Big data, Mobile, Security) 교육 확대
- 과학기술인력 교육 주기별 핵심 교육 개발
∙ 인력양성 협의체 중심 상시적 인력양성 사업 개발 체계 구축
∙ 인력 양성 이슈 발굴, 중장기 인력양성 계획 수립, 시대・상황 가변형 교육 제안
■ 기업 성장단계별 기술지원 체계 구축
- 기술 중심 전주기 창업・성장지원 플랫폼 구축
∙ (농생명 허브) 전북특구를 국가 식품바이오분야의 기술창업 허브로 육성
∙ (첨단기술기업) 첨단소재 분야 신규 창업, 첨단기술기업 육성
- 유망 벤처기업, 혁신기술기반기업 등 육성・유치, 기술 거래 활성화
- 전북지역 혁신주체 간 기술협력네트워크 강화
∙ 공공연구기관 기술협력협의체 운영
∙ 기술이전전담기관(TLO)별, 특화기술분야별 기술협력협의체 구성
∙ 전북 내 정부출연연-지자체출연-대학 간 기술정보 공유
- 기업 간 연구조합 지원으로 비즈니스 모델 형성
∙ 산・학・연 연구그룹을 통한 융복합 기술창출 지원
∙ 공동 R&D 개발, 민간 엑셀레이터 연계
∙ 지식창출-사업화-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생태계 구현
REGIONAL S&T YEARBOOK 2023 461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전략
■ 전북 R&D 투자 확대 및 투자효율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와 지역특화산업을 확대를 위한 국비 투자 확보
∙ 이슈 도출 ⇨ R&D과제 기획 ⇨ 과학기술위원회 심의 ⇨ 중앙정부 제안
※ 기업 유치 전용 R&D, 지역 현안 해결 R&D, 연고자원 연계 시・군 단위 R&D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산하 연구회를 활용한 과학기술 혁신 기획
∙ 선도형 기술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예산의 전략적 투자
∙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융복합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상용차 자율주행, 첨단모빌리티, 농생명바이오(첨단바이오), 스마트팜/공장, 이차전지, 탄소상
용화
- 전북 R&D 예산・배분・조정 체계 정비를 통한 투자효율성 점검
∙ R&D 예산의 투자-성과 관리 선순환 구조화(P-D-C-F 체계확립)
∙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분류별 성과편람 및 측정 가이드라인 수립
∙ 직접적 파급효과와 2차 파급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 개발
∙ ‘사업 수행 → 성과 조사 → 분석・평가 → 환류’ 체계 확립
∙ 기업지원 사업 체계 단순화로 예산편성 및 집행・관리의 효율성 확보
※ 지역 주도 R&D사업 선정(지특, 순도비) → 사업 유형 분류 및 성과진단 → 사업 통합・재편
(5개 내・외)
■ 전북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구축
- 전북형 거버넌스 중심의 R&D 체제 개편
∙ 전북 혁신기관들의 체계적 거버넌스구축 및 지역내 R&D의 효율성 확보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위상 제고 및 운영 활성화
∙ 신규 지자체 R&D사업에 대한 사전 심의・의결 권한 확보
∙ 유사・중복사업의 통폐합・검토 등 통합 조정 창구 역할 수행
- 전북 R&D 기획의 전주기 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상향식-하향식 R&D 과제 발굴・기획)
∙ 전주기적 R&D 기획-관리 연계 강화 및 과제 사업화율 제고(모니터링 강화)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전북 특화산업 고도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R&D 집중 지원
4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전북 중점투자 산업 선정 및 전략적 투자
※ (중점분야) 첨단모빌리티산업, 에너지신산업(이차전지 등), 농생명 소재・식품・바이오, 지능형
기계부품, 탄소융복합소재, 해양설비기자재 등
- 전북 R&D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기업의 성장혁신구조* 고도화 유도를 위한 단계적 R&D 지원
※ 기업 성장 유형 : 단순생산형→기술반응형→기술추격형→기술선도형
∙ 대학, 연구소 중심의 R&D 휴면기업 사업 참여 지원
∙ 우수기술 상용화 R&D 투자 확대
∙ 도비 R&D 졸업제도 및 R&D사업 수주역량 Jump up 유도
∙ R&D-표준화 연계 활성화
■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기업 성장단계별 기술지원 체계 구축
∙ 기술 중심 전주기 창업・성장지원 플랫폼 구축
∙ 지역연구성과의 창업 연계 : 지역내 공동연구 성과를 신규 기술창업으로 연계 확산(기술이전 기
관 대상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
-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시장의 선순환 구조화
∙ 중・장기적인 펀드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 기술사업화 Flow에 따른 주요 지원기반과 사업화 지원과제 마련(대학/연구소 중심 연구・개
발・응용 → 기술이전/기술가치 평가 → 사업화 기획 및 실행 → 기술사업화)
■ 과학기술 분야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 지역발전을 선도할 미래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운영
∙ 교육 주기별 연계형 교육 개발 : 지역 정착유도 과학기술 진로 교육
- 다각적 과학기술인재 지원 확대
∙ 고경력 과학기술 유공자를 활용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463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R&D 경쟁력 강화 및 거버넌스 운영활성화(전북과학기술위원회 중심)
- 추진체계 : 과학기술위원회 위상강화에 따른 지역과학기술 全분야 운영・활성화
- 전담조직 : R&D 총괄 관리체계 마련을 통한 과학기술 전담부서 운영체계 활성화
- 네트워크 : 지역 내 연구기관 연계 R&D 산학연 상호협력체계 구축 및 네트워킹 강화
■ R&D 재정투입 효율화 및 성과 극대화(투자효율성 확보)
- R&D 투자확대 및 과학기술 기반 수요 맞춤형 R&D 활성화
∙ 지역 과학・산업 진흥을 위한 단계별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과학기술 기반 수요자중심의 현장접목 R&D 및 신사업기획 확대
- 기획→환류의 전주기 정책관리 체계 완성도 제고
∙ 투입 후 성과중심의 사업기획→예산배분→평가조정→환류 체계 정비(도비투입 사업의 “표준 성
과지표 및 관리 지침” 최신화 등)
∙ 사업별 계획서에 성과지표 반영→성과평가→부서단위 사업조정에 반영확대
■ R&D연계형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역량 제고
-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및 강소기업 집중 육성
∙ 성장사다리 체계(창업→도약→선도→스타→글로벌강소기업)를 통한 강소기업 육성 및 기업의
R&D 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전문인력 양성공급
- 중소기업-공공(연)간 협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과 제고
■ 지역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 기반 혁신클러스터 연계 고도화
- 지역 내 입지한 연구개발특구, 강소특구, 국가융복합단지, 이차전지특화단지 등과 연계하여 주력
산업 및 新성장동력산업과의 연계R&D 확대 추진
- 지역 내 혁신주체 간 협력체계구축을 통해 미래 新기술변화에 선제적 대응력 확보
∙ 다양한 산업분야별 혁신클러스터 융복합R&D 및 기술교류 활성화를 통한 R&D혁신경쟁력 확보
4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4절 전라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전남의 인구는 약 176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전남 인구의 비율은 3.42%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4-1 ❙ 전라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796,331 1,793,043 1,793,108 1,782,951 1,768,620
전국인구대비 비율(%) 3.48 3.46 3.47 3.45 3.42
경제활동참가율(%) 64.2 65.1 65.4 66.2 67.8
실업률(%) 2.8 2.6 2.4 2.3 2.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46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남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5.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29.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3.1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9.33%)이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 간 2.5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4-2 ❙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72,888,289 74,618,019 74,972,494 76,965,787 75,475,342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224,826 5,221,282 5,257,456 5,273,738 5,256,951
(지역내비중,%) (7.17) (7.00) (7.01) (6.85) (6.97)
제조업 22,796,915 22,607,350 21,817,489 22,946,169 22,258,992
(지역내비중,%) (31.28) (30.30) (29.10) (29.81) (29.49)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899,883 2,882,841 2,904,229 2,976,258 2,568,456
(지역내비중,%) (3.98) (3.86) (3.87) (3.87) (3.40)
건설업 4,277,662 5,071,273 5,717,796 4,935,111 4,630,000
(지역내비중,%) (5.87) (6.80) (7.63) (6.41) (6.13)
기타서비스업 16,059,856 16,788,773 16,410,930 17,128,931 17,484,514
(지역내비중,%) (22.03) (22.50) (21.89) (22.26) (23.1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864,032 13,495,025 13,886,876 14,173,397 14,586,101
(지역내비중,%) (17.65) (18.09) (18.52) (18.42) (19.33)
순생산물세 8,700,732 8,252,498 8,729,528 9,086,292 8,289,330
(지역내비중,%) (11.94) (11.06) (11.64) (11.81) (10.9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2)
4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전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0조 6,519억 원이고, 1,92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62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37조 2,103억 원(전체의
41.0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449개(전체의 23.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1만 5,024명(전체의 17.75%)으
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4-3 ❙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993,896 4.41 449 23.34 11,857 14.01
음료 제조업 139,779 0.15 11 0.57 107 0.1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6,975 0.10 21 1.09 352 0.4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16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61,210 0.29 8 0.42 47 0.0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53,849 1.93 107 5.56 2,763 3.2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64,578 2.61 186 9.67 5,100 6.03
1차 금속 제조업 17,369,185 19.16 99 5.15 4,542 5.37
전기장비 제조업 1,166,019 1.29 90 4.68 2,532 2.9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69,751 0.96 111 5.77 3,261 3.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77,508 0.31 25 1.30 742 0.8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380,579 5.94 254 13.20 8,432 9.96
가구 제조업 44,222 0.05 11 0.57 110 0.13
기타 제품 제조업 100,030 0.11 12 0.62 201 0.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91,978 0.32 52 2.70 2,427 2.8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5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65,898 1.62 228 11.85 6,444 7.6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2,533 0.16 30 1.56 516 0.6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5,767 0.13 24 1.25 446 0.5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7,634 0.04 7 0.36 48 0.0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9,580 0.12 13 0.68 206 0.2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7,188,068 18.96 9 0.47 57 0.0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78,207 0.31 30 1.56 706 0.8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7,210,329 41.05 143 7.43 15,024 17.75
합 계 90,651,913 100 1,924 100 84,62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46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 정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1차 금속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특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표 3-14-4 ❙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1차금속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4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라남도는 ‘이차전지’, ‘첨단모빌리티’, ‘첨단바이오’, ‘에너지’, ‘탄소중립’, ‘농수산’ 분야를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4-5 ❙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이차전지
(중대형 이차전지, 폐배러티 리사이클링,
소재 등)
EV・ESS 사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친환경 리튬이차전지 재활용 기술개발 실증센터
전기차(EV 배터리) 전주기 탄소중립환경관리체계 구축
첨단모빌리티
(초소형 E모빌리티, 드론 등)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 구축
전남 개조전기차 규제자유특구
Evtol 자율비행 핵심기술 및 비행안정성, 운용성 시험평가기술 개발 사업
첨단바이오
(백신, 세포・유전자치료, 향장, 헬스케어 등)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기능확대
m-RNA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미생물실증지원센터 활용 백신산업화 기업지원
에너지
(발전, 배전 저장, 변환 관련 기자재 및
소프트웨어)
에너지신소재산업화 플랫폼 구축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기반구축
저압직류 핵심기기 인증지원 센터구축
탄소중립
(수소 생산・저장・운송, 소재부품 등)
수전해 시스템 신뢰성 제고 기술개발
탄소중립 전환기술 실증지원센터 구축
CCU실증지원센터 구축 사업
농수산
(농기계, 수산기자재, 식품, 스마트팜 등)
고품질 쌀 유통 활성화
첨단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조성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
※ 출처 : 전라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46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31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70개가 있음
- 총 10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274개, 총 종사자 수는 97,107명
표 3-14-6 ❙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삼일자원비축 4,157 4,088 2 2 X 100 완료
여수 51,229 32,550 305 277 24,907 100 조성중
대불국가산업단지 20,886 11,591 393 347 8,093 97 완료
빛그린 2,229 1,616 24 23 282 47 조성중
광양국가 96,405 28,168 190 146 14,218 98 조성중
일반
신금 397 397 42 35 385 89 완료
황금 1,116 1,115 1 1 X 44 조성중
광양익신 474 261 47 43 522 61 완료
나주 549 549 42 37 745 99 완료
문평 323 323 7 7 565 100 완료
세라믹 116 116 15 9 91 38 완료
삽진 218 216 45 45 265 100 완료
대양 1,546 1,062 190 132 2,159 98 완료
순천[재생사업지구] 583 582 40 38 1,010 100 완료
해룡 1,592 1,592 45 45 588 93 조성중
율촌제1 9,450 9,431 149 123 5,885 98 조성중
여수오천 222 222 39 37 478 100 완료
율촌제2 3,793 3,793 - - - - 미개발
삼호 2,971 2,971 1 1 X 100 완료
장성나노기술 901 901 191 172 1,835 100 완료
군내 686 686 1 - - 100 조성중
세풍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2,426 2,426 5 5 175 81 조성중
4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대마전기자동차
(구 대마)
1,652 1,652 48 38 585 82 완료
장흥바이오식품
(구 해당)
2,892 2,890 77 45 455 82 조성중
화원조선(구 화원) 2,058 2,053 - - - 100 조성중
일반
화순생물의약(구 화순) 755 755 19 19 595 99 완료
용당 351 351 - - - - 미개발
동함평 739 739 79 46 323 92 완료
에코하이테크담양(구 담양) 581 580 109 104 744 100 완료
묘도녹색 368 368 - - - - 조성중
나주신도 298 297 7 7 105 88 완료
운남 85 75 - - - - 조성중
강진 655 646 32 5 89 61 완료
나주혁신(구 나주미래) 1,789 1,787 157 144 1,238 97 완료
무안항공특화 351 350 - - - - 조성중
도시
첨단
순천 190 190 - - - - 조성중
농공
금천 103 103 1 1 X 100 완료
노안 125 125 32 32 331 100 완료
동수 209 209 60 60 506 100 완료
문평 69 69 6 6 141 100 완료
봉황 100 100 19 19 237 100 완료
오량 245 245 49 49 717 100 완료
산정 530 529 135 135 1,281 100 완료
주암 106 105 34 31 172 100 완료
화양 119 119 20 19 252 100 완료
마량 56 56 15 15 105 100 완료
풍양 55 50 9 7 36 100 완료
겸면 301 301 10 6 116 100 완료
석곡 126 126 13 7 112 100 완료
입면 522 522 1 1 X 100 완료
간전 102 102 14 14 72 100 완료
금성 233 233 28 25 59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7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무정 190 187 34 31 252 100 완료
삼향 220 220 47 44 249 100 완료
일로 164 164 31 20 188 100 완료
청계 314 314 47 45 541 100 완료
청계2 304 304 28 23 417 100 완료
미력 107 106 16 16 175 100 완료
벌교 145 145 15 15 191 100 완료
농공
조성 146 146 29 27 189 100 완료
지도 272 272 1 1 X 100 완료
군서 118 118 19 19 147 100 완료
칠곡 149 149 1 - - 100 완료
군서 128 128 14 14 139 100 완료
신북 145 145 14 14 92 100 완료
완도 323 323 79 74 447 100 완료
죽청 223 222 43 40 295 100 완료
동화 120 120 26 26 762 100 완료
동화전자종합 284 284 34 33 631 100 완료
삼계 88 88 18 13 140 100 완료
장평 103 102 20 15 115 100 완료
고군 101 101 23 19 119 100 완료
군내 260 260 4 - - 16 완료
학교 171 171 25 23 347 100 완료
함평 103 103 9 9 137 100 완료
옥천 103 103 22 20 147 100 완료
능주 109 109 43 43 152 100 완료
도곡 165 165 39 37 428 100 완료
동면 258 258 69 69 477 100 완료
이양 151 151 13 13 86 100 완료
남평 112 112 1 - - - 미개발
장흥 150 148 4 2 X 20 완료
해보 245 245 44 40 269 100 완료
장평제2 47 47 2 2 X 100 완료
4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영광식품산업특화 109 109 - - - - 조성중
완도해양생물특화 181 110 17 2 X 100 완료
땅끝해남식품특화 143 142 19 14 38 100 완료
청정식품(구 동강) 145 145 20 15 257 100 완료
자연드림파크(구 용방) 144 144 14 14 407 100 완료
영암특화 116 116 16 10 66 100 완료
송림그린테크 (구 송림) 144 144 29 29 252 100 완료
동면제2 147 141 23 21 239 100 완료
농공
에코-하이테크 329 327 41 39 599 100 완료
학교명암축산특화 318 318 1 1 X 9 조성중
화원조선 153 153 1 1 X 100 완료
화순식품 136 136 2 2 X 100 완료
화양한옥 34 34 - - - - 조성중
대서 150 150 - - - - 미개발
동강특화 299 296 - - - - 조성중
해룡선월지구 144 144 - - - 100 조성중
자연드림파크2단지 49 49 3 2 X 100 완료
운곡특화 183 183 - - - - 미개발
칠량 149 149 23 22 220 100 완료
몽탄특화 89 89 1 1 X 9 완료
묘량 214 214 - - - - 미개발
고흥무인항공영농기술
특화농공단지
137 137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473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전남에는 총 748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5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3개, ‘건설업’이 3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98개), ‘식료품 제조업’(75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업’(75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4-7 ❙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6 8
광업(05~08) 2 3 3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02 73 75
음료 제조업 3 4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3 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 12 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 1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4 46 5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6 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7 33 3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 23 26
1차 금속 제조업 11 9 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7 48 5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6 28 2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3 9 14
전기장비 제조업 92 86 98
4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2 68 7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 7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4 23 30
가구 제조업 1 1 2
기타 제품 제조업 15 13 1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1 11 11
건설업(41~42) 36 33 38
도매 및 소매업(45~47) 14 11 13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
정보통신업(58~63) 61 46 5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1 50 5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8 7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18 664 748
REGIONAL S&T YEARBOOK 2023 47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5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0,396명(전국의 1.28%)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80%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4,577명(전국의 0.88%)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3,855명(전국의 1.73%), 공공연구소는 1,964명(전국의 2.8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4-8 ❙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597 1.87 3,058 1.58 3,327 1.61 2,947 1.40 3,855 1.73
∙ 국공립 3,077 3.87 2,561 3.21 2,570 2.97 2,447 2.82 3,310 3.69
∙ 사립 520 0.46 497 0.44 757 0.63 500 0.41 545 0.41
공공연구소 1,527 2.62 1,645 2.64 1,704 2.66 1,821 2.74 1,964 2.87
∙ 국공립 661 5.40 602 4.67 764 5.96 797 5.93 901 6.79
∙ 정부출연 363 1.11 396 1.15 419 1.23 398 1.17 396 1.14
∙ 병원 및 기타 503 3.70 647 4.29 521 3.00 626 3.25 667 3.25
기업 3,503 0.80 4,036 0.87 4,102 0.86 4,367 0.86 4,577 0.88
∙ 정부투자기관 141 3.61 155 4.03 148 3.95 163 4.22 195 4.89
∙ 민간기업 3,362 0.77 3,881 0.85 3,954 0.84 4,204 0.83 4,382 0.84
합 계 8,627 1.25 8,739 1.22 9,133 1.22 9,135 1.16 10,396 1.2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전라남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4명 증가한 37.4명으로 조사됨
표 3-14-9 ❙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8.4 30.9 32.2 34.0 37.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전라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9,464억 원(전국의 0.84%)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 연구개발비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45%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847억 원(전국의 1.79%), 공공연구소는
약 2,538억 원(전국의 1.96%), 기업이 약 5,080억 원(전국의 0.57%)
표 3-14-10 ❙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32,267 1.88 123,345 1.67 133,176 1.59 157,811 1.69 184,671 1.79
∙ 국공립 118,357 3.83 113,864 3.48 117,947 3.12 138,124 3.28 161,563 3.57
∙ 사립 13,910 0.35 9,481 0.23 15,229 0.33 19,687 0.38 23,108 0.40
공공연구소 159,245 1.62 167,093 1.64 194,962 1.75 239,008 1.99 253,771 1.96
∙ 국공립 33,931 4.17 33,713 4.03 25,863 3.04 37,612 3.89 41,779 4.10
∙ 정부출연 59,149 0.78 66,404 0.85 78,636 0.95 89,869 1.03 91,861 0.99
∙ 병원 및 기타 66,165 4.47 66,976 4.39 90,463 4.56 111,527 4.83 120,131 4.58
기업 369,254 0.54 433,398 0.61 376,004 0.51 417,437 0.52 508,004 0.57
∙ 정부투자기관 30,814 3.39 26,313 3.03 29,878 3.41 27,202 3.16 34,974 3.94
∙ 민간기업 338,440 0.50 407,085 0.58 346,126 0.48 390,235 0.49 473,030 0.53
합 계 660,766 0.77 723,836 0.81 704,142 0.76 814,256 0.80 946,446 0.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7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전라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10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56%
표 3-14-11 ❙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724 3,199 3,671 3,654 4,108
(1.4) (1.6) (1.6) (1.5) (1.6)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R&D체계 개편을 통한 지역주도 과학기술진흥 리더쉽 구축
- 지역의 R&D투자결정권 강화를 위한 주요부처 R&D 조사・분석 및 미래 신산업 연구개발 기획 등
R&D전담기관 운영(R&D전담기관 운영 지원, 18억원)
- 연구개발 자원관리 및 확산기반 마련과 데이터기반 조사・분석 체계를 확립하여 지역 주도의 R&D
생태계 조성 지원(연구개발 지원단 지원사업 3.8억원)
- 전남과학기술정보시스템(JNTIS)를 통해 도내 과학기술 및 R&D와 연구장비 등 과학기술 통합정
보 시스템 기능 고도화를 통한 활용지원 활성화(전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운영사업 0.7억원)
- 전남지역의 기반과 역량을 활용한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위한 과학축전, 문화활동 및 도민과학단 지
원(전남 과학문화 활성화 지원사업 4.5억원)
■ 지역 혁신주체 역할 강화를 통한 연구개발 경쟁력 제고
- 노후 전력기자재 활용 재제조(성능개선)를 통한 자원순환 경제실현 및 도내 에너지기업 新시장 개
척(전력기자재 재제조 성능평가 기반조성, 42.7억원)
- 효율향상을 위한 전원체계 마련 및 전남의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을 위한 표준기술개발(지능형 저압
직류 기술개발, 61억원)
- 초소형전기차 실도로 주행시험을 통한 차량 성능 및 핵심부품 신뢰 검증을 통한 관련분야 비즈니스
모델 도출 및 산업육성(초소형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 실증사업, 55.9억원)
4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 유도 및 지역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역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지역
수요맞춤형연구개발사업, 40억원)
-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활용 스마트팜 확산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축산환경 조성
및 신시장 개척(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88.3억원)
- 지역농업 연구기반 조성과 산학연 광역화 및 지역특화작목 기술개발 지원(연구활동 지원 및 성과관
리, 25.2억원)
- 임상의의 연구환경 보장을 통해 바이오메디컬 산업분야 의사과학자 양성 및 연구성과 추진(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 15억원)
- 산업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각종 사고 예방 및 안전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여수석유화학산단 통합 인프라 구축사업, 42억원)
■ 지역 기술사업화 시스템 강화 및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내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산학 공동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기업연구역량 강화 및 기업경쟁력
강화(산학연계 농공단지 입주기업 연구개발, 13.7억원)
- 배터리 리사이클링 센터 구축을 통한 재사용・재제조 제도적 기반 및 산업화 기반확보(EV・ESS 사
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30억원)
- 바이오기업의 글로벌기업 육성 지원을 통해 면역치료분야의 국가거점으로 기반확립을 위한 플랫
폼 구축(면역세포치료 산업화 기술플랫폼 구축, 55억원/국가 면역치료플랫폼 구축, 133억원)
- 도내 천연물 활용 마이크로바이옴 맞춤형 식/의약품 개발(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스마트웰에이징 기
술개발사업, 23.2억원)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의 전남 유치를 위한 기획, 지역공감대 형성 지원(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기반 조성, 15억원)
- 친환경 자동차 등 수송기기 경량화 추세에 맞춰 국내 마그네슘 소재・부품 개발 및 실증(수송기기용
마그네슘 소재 실증기반 조성, 28.9억원)
- 농작물 재배 환경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에너지 융합시스템 개발(농작물대상 재생에너지 융복합시
스템 개발 및 실증, 33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479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4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4-12 ❙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6,466 2 20,746 455 647 48 4,507 - 61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4-13 ❙ 전라남도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기반산업과
∙ 지역경제정책 수립 추진, 전남테크노파크 운영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정 준비
∙ 조선해양산업 육성사업 발굴, 조선산업 기반구축, 조선산업 기반구축사업, 조선산업 인력양성지원
등
∙ 소재・부품산업육성, 석유화학산업 육성, 금속 및 기계가공산업 육성, 뿌리산업 육성 등
∙ 신소재 이차전지 산업육성, 신소재(세라믹, 고분자소재) 등
신성장산업과
∙ 친환경 연안선박 클러스터 구축
∙ 항공, 드론 산업 육성, 우주 항공 클러스터 조성,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운영,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
장 구축, 드론산업 육성 및 블루이코노미 사업 추진 등
∙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련산업 육성, 전기자동차 서비스산업 육성, e-모빌리티 엑스포 추진, 자율주
행 자동차산업 육성 등
∙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수립,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추진, 반도체 전문인력 수급 및 인재 양성, 반
도체 협력네트워크 추진
∙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데이터산업 육성대책 추진, 연계 협력사업 발굴
연구바이오
산업과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연구개발사업업무, 산학업무 전반, 지역 SW 육성사업 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바이오 인력 개발
∙ 백신, 신약개발 업무 추진, 천연물 업무 추진
에너지정책과
∙ 에너지산업국 종합기획, 지역에너지 절약사업, 분산에너지 관련 업무, 에너지신산업 연구개발기획사
업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원, 녹색에너지연구원관리, 지역특성화사업, 국가혁신융
복합단지 지원
해상풍력
산업과
∙ 전남형 상생일자리 상생협의회 운영 및 융복합산업화 플랫폼 구축 추진
∙ 해상풍력 단계별 사업 개발 및 추진, 지원항만 개발 및 배후단지 조성, 특화구역 지정, 해상풍력
이익공유 모델 개발
∙ 신안 8.2GW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확보 지원, 육상풍력 인허가 등
미래에너지
산업과
∙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메가 클러스터 구축 추진
∙ 그린수소 시범도시 및 수소특화단지 구축 조성사업 추진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사업 관계기관 협력사업 개발
∙ 레이저 인력양성 방안 마련, 관련 대학,연구기관 MOU 추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481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조례)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과학기술 발전 및 과학 기술인
육성 제도 개선, 과학기술 대상 심사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전라남도 정무부지사(당연직)
- 위원임기 : 위촉직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가능. 다만, 위원이 궐위된 경우 새로 선임된 위원의 임
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하며, 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해당 위원이 그 직위에 재임하는 기간으로 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2023.5.23.~2023.5.25.)
- 제6차 전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 소속기관
표 3-14-14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창환 전라남도정무부지사 당연직
위 원 황기연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 당연직
위 원 김종갑 전라남도 전략산업국장 당연직
위 원 한춘옥 전라남도 도의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최용국 한국과총 광주전남지역회장 2021.12.03.~2024.12.02.
위 원 나해영 목포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박기영 순천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이경환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송하철 목포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문봉진 광주과학기술원 2021.12.03.~2024.12.02.
위 원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이경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12.03.~2024.12.02.
위원 곽인실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원 양현정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원 이상연 전라남도 연구바이오과장 2018.12.03.~2021.12.02.
※ 출처 : 전라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남도의 총예산은 약 32조 5,84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예산은 약 1,73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3%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2.89%
표 3-14-15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 산 325,845
재정자주도(%) 67.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04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73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2.89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48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전라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966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227억 원과 642억 원이 투입
표 3-14-16 ❙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전남R&D 전담기관 운영 지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 운영지원
180 2,870 - 3,05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지원 150 80 15 24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전남스마트팜혁신밸리조성사업
수송기기용 마그네슘 소재 실증기반
조성사업
27,723 44,012 2,414 73,14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능형 저압직류 기술개발
초소형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 지원
실증사업
26,564 19,771 2,500 48,835
지역 산・학・연공동연구 활성화
폐플라스틱 자원화 소재개발 실증기반
조성사업
산학연계 농공단지 입주기업 연구개발
2,400 2,990 379 5,76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뿌리산업 선도기업 육성사업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개발 및 실증
31,006 39,685 6,482 77,16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 백신제품화 기술지원센터 구축
국가 면역치료플랫폼 구축
122,692 64,158 11,242 196,582
합계 210,715 173,566 23,032 404,79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123개로 전국의 1.7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90%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344개 증가
표 3-14-17 ❙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4.11 15 3.61 15 3.65 14 3.31 16 3.83
∙ 국공립 6 7.59 6 7.14 6 7.06 6 6.98 7 7.95
∙ 사립 9 3.15 9 2.72 9 2.76 8 2.37 9 2.73
공공연구소 30 4.90 34 5.30 37 5.58 40 5.81 40 5.86
∙ 국공립 9 6.87 11 7.69 11 7.69 6 6.98 13 9.49
∙ 정부출연 5 2.99 4 2.37 4 2.45 4 2.35 3 1.82
∙ 병원 및 기타 16 5.10 19 5.76 22 6.16 24 6.56 24 6.30
기업 723 1.49 858 1.57 933 1.59 1,019 1.64 1,067 1.66
∙ 정부투자기관 3 7.14 3 5.45 3 5.56 5 8.47 5 8.20
∙ 민간기업 720 1.48 855 1.56 930 1.59 1,014 1.63 1,062 1.65
합 계 768 1.56 907 1.62 985 1.65 1,073 1.69 1,123 1.7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485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전라남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10개, 전문대학 9개 존재
표 3-14-18 ❙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4 - 6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8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3 1 15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전라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4만 8,15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684명(전체의 약 9.73%), 공학계열 학생이 1만 3,284명(전
체의 약 27.59%)
표 3-14-19 ❙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684 13,284 17,968 10,408 3,612 2,795 2,577 10,796 48,156
비중(%) 9.73 27.59 37.31 21.61 7.50 5.80 5.35 22.42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전라북도에는 동신대 1개, 목포대 1개, 전남대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4-20 ❙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동신대
(1개 센터)
2022 비위(脾胃)조절기반 Gut-Brain 시스템 제어 한의과학 연구센터 MRC
목포대
(1개 센터)
2022 바이오 메디슨 첨단제형 연구센터 RLRC
전남대
(1개센터)
2023 골다공증 토탈 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전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3년 기준 목포대 1개, 전남대 1개, 순천대 1개 총 3개 센터가 각각 운영 중.
순천대 1곳의 운영이 종료됨
REGIONAL S&T YEARBOOK 2023 487
표 3-14-21 ❙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전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4-22 ❙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양보건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나노융합의료부품소재 창업보육센터 2010-04-01
동신대학교 동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10
목포대학교 목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05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2018-06-01
목포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0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바이오융합 창업보육센터(친환경) 2012-11-01
순천대학교 순천대창업보육센터 1999-12-15
전남대학교 여수사무소 전남대학교 여수창업보육센터 2005-12-08
전남도립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2-01
(재)전남환경산업진흥원 전남환경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천연자원연구센터 천연소재실용화 창업보육센터(천연자원) 2013-08-01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 창업보육센터 2017-02-0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주관기관 센터명
목포대 IT기반 서남권 중형조선산업 지역혁신센터
전남대(여수) 중화학설비 안전진단기술 지역혁신센터
순천대 차세대 전략산업용 희유자원 실용화 지역혁신센터
4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남에는 공립과학관 11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14개를 운영 중
표 3-14-23 ❙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전라남도과학교육원 공립
고흥우주천문과학관 공립
곡성섬진강천문대 공립
함평자연생태과학관 공립
순천만천문대 공립
장흥 정남진천문과학관 공립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관 공립
섬진강어류생태관 공립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공립
장흥 정남진문과학관 공립
한국토종민물고기과학관 공립
국제환경천문대과학관 사립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여수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489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3년 전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94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592명임
표 3-14-24 ❙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93 303 325 373 494
수혜자 수 5,677 2,430 3,936 4,506 5,59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전남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41명 양성
표 3-14-25 ❙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전남테크노파크 3
전용공간
9개(1,410㎡)
46 59,831 70.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4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전라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3,97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082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1.9%, 0.9% 감소
표 3-14-26 ❙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2,700 2,902 3,223 3,424 3,592 4,050 3,973
특허등록 건수 1,201 1,616 1,605 1,836 1,906 2,101 2,082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전라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558편, 주저자 기준 606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2.02%, 1.01%를 차지
표 3-14-27 ❙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1,105 1.73 17,489 15.83 460 0.88 5,510 11.98
2019 1,174 1.75 14,783 12.59 489 0.89 4,707 9.63
2020 1,355 1.84 12,331 9.10 561 0.94 3,916 6.98
2021 1,514 1.90 8,414 5.56 593 0.93 2,464 4.16
2022 1,558 2.02 3,612 2.32 606 1.01 1,115 1.8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49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혁신으로 도약하는 지역경제!
■ 목표 : 자생력 높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정책역량)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혁신기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인프라 고도화
■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성장) 지역 대학, 연구기관 역량 강화 및 거점화
- (연계)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 (성과)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한 기업 경쟁력 제고
■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민간 중심 생태계 활성화
- (공간)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산업) 지역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추진
- (문화)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자생력 높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실행전략 :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민간 중심 생태계 활성화
4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전남형 R&D 활성화를 위해 ‘현장-정책-기획-지원’의 체계적 통합과 기업육성을 지향하는 지
역주도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전남 핵심과학기술 6대 분야별 PD를 지정・운영하여 연구개발 연계 체계적인 기업육성 정책을
수행할수 있는 제도 마련(전남형 PD : (전남도) 산업별 팀장급 1명 + (道 출연연) 팀장급 1명으로
구성)
- 전남 핵심과학기술 6대 분야 중 기업군 분석 및 정책수립이 선행된 분야인 ‘에너지’와 ‘농업’ 분야
시범사업 착수
■ 정부출연연 등 국・공립 연구기관 유치 및 대형 연구인프라시설 유치를 위한 중・대형 R&D기
획 추진
- 도정과 정부정책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맞춤형 중・대형 R&D사업 기획 및 중앙 부처 건의
- 연구바이오산업과를 총괄로 R&D전담기관인 ‘전남테크노파크’를 통해 농업・수산 등 비교우위 자
원 기반의 R&D 사업 공모 집중 대응
■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화・脫탄소화를 통한 미래신산업 선점
- 탄소저감형 및 수소환원 제철기술, 폐열・가스・탄소 고효율 회수기술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지속가능한 주력산업 환경 조성
- eVTOL 자율비행 핵심기술 및 실증,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저탄소시대 대비 연구개발 및 관
련분야 인프라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493
제15절 경상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경북의 인구는 약 263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경북 인구의 비율은 5.09%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5-1 ❙ 경상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675,196 2,671,108 2,651,789 2,640,965 2,628,220
전국인구대비 비율(%) 5.19 5.16 5.12 5.10 5.09
경제활동참가율(%) 64.2 64.2 63.7 63 64.5
실업률(%) 4.1 3.9 4 3.2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4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북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0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75% 증가하였음
- 제조업이 40.78%로 가장 높고, 기타서비스업이 22.96%,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6.95%로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5년 간 3.1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5-2 ❙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03,149,107 104,417,627 101,370,158 105,224,262 107,057,669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331,923 5,659,475 5,358,121 5,774,044 5,550,851
(지역내비중,%) (5.17) (5.42) (5.29) (5.49) (5.18)
제조업 44,826,227 44,749,360 42,433,513 44,742,638 43,655,197
(지역내비중,%) (43.46) (42.86) (41.86) (42.52) (40.78)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326,614 3,655,638 3,737,286 3,616,930 3,886,485
(지역내비중,%) (3.23) (3.50) (3.69) (3.44) (3.63)
건설업 5,180,091 4,883,559 4,617,768 4,397,629 4,734,168
(지역내비중,%) (5.02) (4.68) (4.56) (4.18) (4.42)
기타서비스업 23,318,220 23,652,222 22,673,509 23,573,684 24,576,192
(지역내비중,%) (22.61) (22.65) (22.37) (22.40) (22.9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5,518,039 16,157,785 16,618,586 17,215,086 18,146,378
(지역내비중,%) (15.04) (15.47) (16.39) (16.36) (16.95)
순생산물세 5,670,015 5,807,681 6,056,821 6,079,398 6,636,792
(지역내비중,%) (5.50) (5.56) (5.97) (5.78) (6.2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495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26조 8,989억 원이고, 5,22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3
만 1,79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33조 3,471억 원(전체의
26.2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683개(전체의 13.07%)로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만 5,599명(전체의
15.3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5-3 ❙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4,722,170 3.72 396 7.58 11,816 5.10
음료 제조업 222,703 0.18 27 0.52 629 0.2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40,645 0.19 61 1.17 968 0.4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171 0.01 7 0.13 64 0.0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9,602 0.38 20 0.38 354 0.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450,140 5.08 472 9.03 16,546 7.1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531,099 2.78 324 6.20 10,249 4.42
1차 금속 제조업 28,565,066 22.51 357 6.83 16,956 7.32
전기장비 제조업 8,475,558 6.68 246 4.71 14,271 6.1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075,780 4.79 638 12.21 17,212 7.4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911,777 10.17 612 11.71 29,071 12.5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19,331 0.33 65 1.24 1,583 0.68
가구 제조업 282,898 0.22 37 0.71 645 0.28
기타 제품 제조업 412,871 0.33 26 0.50 541 0.2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32,691 0.34 70 1.34 4,366 1.8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436 0.01 4 0.08 0 0.0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522,727 5.93 683 13.07 19,701 8.5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143,292 2.48 400 7.65 10,030 4.3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09,649 1.19 109 2.09 3,410 1.4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0,609 0.05 21 0.40 420 0.1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3,347,101 26.28 244 4.67 35,599 15.3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47,944 0.20 20 0.38 365 0.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19,431 1.12 127 2.43 3,243 1.4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915,330 4.66 257 4.92 7,929 3.42
합 계 126,898,867 100 5,226 100 231,792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4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1차 금속 제조업’으로 나
타남
표 3-15-4 ❙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1차금속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비교적
높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담배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및
신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497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북도는 ‘전략산업・기술 특성화체계 마련 ’과 ‘지역 수요 기반의 예산 지원’,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인재 양성’,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
원’, ‘기업 수요 및 역량 진단 기반 지역 기업의 강소기업 도약 촉진’, ‘지역 주도로 클러스터 성
장 전략 수립・추진’,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 연계 패키지 지원’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5 ❙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전략산업・기술 특성화체계 마련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
지역 수요 기반의 예산 지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 센터구축
제조기반기술 초고성능컴퓨팅센터구축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재개발 지원사업
지역센서융합산업협의체 운영 및 산업육성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인재 양성 지역산업 연계형 대학 특성화학과 혁신지원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원 첨단제조플랫폼기반ICT혁신제품화지원사업
기업 수요 및 역량 진단 기반 지역 기업의
강소기업 도약 촉진
AI협동로봇 정책개발 및 기업지원 사업
농업용로봇 클러스터 기반 조성 및 기업육성 지원사업
고위험 제조현장 공정기술개발 지원사업
경상북도기업부설연구소 R&D 레벨업 사업
경북SW품질역량센터구축사업
지역 주도로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 산단혁신사업 전략과제 추진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 연계 패키지
지원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신축설계 및 인프라 구축
규제샌드박스 지원 사업
경북배터리종합관리센터 연구개발 육성지원
※ 출처 : 경상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4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7개, 일반산업단지 79개 및 농공산업단지 67개가 있음
- 총 15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178개, 총 종사자 수는 169,984명
표 3-15-6 ❙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월성전원 3,693 3,692 1 1 X 100 완료
구미국가(1단지)[재생사업지구] 10,089 10,098 2,694 2,173 80,182 100 완료
구미국가(2-4단지) 18,243 17,208 23 23 3,667 97 조성중
구미하이테크밸리 9,326 9,325 - - - 98 조성중
포항국가 28,755 17,624 106 103 11,963 100 조성중
포항블루밸리 6,080 5,484 28 7 48 36 조성중
일반
경산1 1,577 1,577 194 166 8,113 100 완료
경산2 489 486 105 97 1,746 100 완료
강동 992 991 77 60 628 99 조성중
건천제1 147 147 6 6 494 100 완료
일반
건천제2 990 990 21 21 1,125 100 완료
명계2 104 104 - - - 33 완료
문산 315 315 26 26 363 100 완료
석계 146 146 35 35 429 100 완료
석계2 122 122 14 14 250 100 완료
외동 142 142 22 22 795 100 완료
외동2 603 603 39 39 1,242 100 완료
천북 1,862 1,863 117 116 2,153 98 조성중
화산 150 149 14 14 611 100 완료
신기제2 440 440 23 15 312 100 완료
상주청리 1,295 1,221 7 4 143 98 완료
상주한방 766 766 2 2 X 97 완료
경북바이오 941 940 41 30 1,166 98 완료
신흥 112 112 - - - -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3 499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영일만2 720 720 10 9 1,245 100 완료
포항4 2,047 2,047 101 78 1,157 100 완료
개진 148 148 35 35 345 100 완료
성산 113 113 1 - - 100 조성중
성주 851 851 53 52 1,365 100 완료
월항 78 78 14 11 46 100 완료
두전 55 54 5 4 33 90 완료
영주 178 178 38 38 238 100 완료
고경 1,565 1,563 - - - - 조성중
왜관 2,540 2,540 381 369 7,850 100 완료
왜관3 747 744 46 45 1,249 100 완료
가흥 211 210 3 3 250 100 완료
광명 728 728 10 6 262 79 조성중
영일만3 195 195 6 2 X 55 완료
영일만4 2,600 2,600 7 1 X 100 조성중
모화 377 377 43 43 832 100 완료
경산4 2,402 2,402 - - - - 미개발
갈산 149 149 4 3 52 32 완료
영일만 964 964 16 13 1,079 100 완료
제내2 84 84 4 1 X 98 조성중
일반
서동 270 260 1 1 X 100 완료
구어2 829 829 44 32 843 99 완료
건천용명 116 116 6 6 140 100 조성중
연화 52 52 9 9 141 100 완료
천북2 104 104 1 1 X 13 조성중
녹동 140 140 16 13 184 100 조성중
석포 185 185 - - - - 미개발
성주2 959 959 27 27 763 100 완료
건천3 149 149 - - - - 미개발
나아 120 120 - - - 70 조성중
제내5 137 137 - - - 100 조성중
그린 871 871 - - - - 미개발
문산2 836 836 35 6 454 100 완료
5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검단 932 932 - - - 52 조성중
석계4 121 117 40 16 56 27 완료
양남 1,739 1,739 - - - - 미개발
열뫼 224 224 - - - 100 조성중
김천1 2,228 2,228 83 83 2,497 100 조성중
신기 126 126 3 1 X 100 완료
영천첨단부품소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1,461 1,459 61 54 2,430 100 완료
월성 668 668 - - - - 조성중
경북바이오2차 299 299 - - - - 조성중
건천4 629 629 - - - - 조성중
명계3 823 823 17 5 340 100 조성중
김천1(3단계) 1,156 1,155 23 23 1,012 100 완료
대곡2 242 242 - - - - 조성중
경산3(구 진량2) 1,497 1,456 69 60 3,689 100 완료
경산1-1(구 진량3) 78 78 - - - - 조성중
고령1(구 다산) 636 636 68 64 1,556 100 완료
고령2(구 다산2) 766 704 86 80 1,545 100 완료
SK머티리얼즈
(구 OCI머티리얼즈)
171 171 2 2 X 100 완료
동고령(구 박곡) 748 748 64 57 625 100 완료
일반
송곡 262 262 - - - - 미개발
상주 393 393 5 - - - 조성중
외동3 110 110 - - - - 조성중
혁신원자력연구 2,200 2,200 - - - - 조성중
대창 460 460 - - - - 미개발
경산화장품특화 149 149 - - - - 조성중
영천금호 282 282 - - - - 미개발
농공
건천 102 102 4 4 424 100 완료
내남 90 90 3 3 302 100 완료
서면 113 113 14 13 202 100 완료
안강 150 150 13 12 364 100 완료
외동 109 109 5 5 1,359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501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고아 206 206 47 44 783 100 완료
산동 69 68 16 15 164 100 완료
해평 62 62 16 16 219 100 완료
감문 113 105 13 13 194 100 완료
대광 557 557 33 33 683 100 완료
아포 190 190 28 28 544 100 완료
지례 57 57 4 4 86 100 완료
가은 82 82 12 10 92 100 완료
가은제2 78 78 8 7 143 100 완료
마성 264 264 18 17 517 100 완료
산양 172 172 15 14 313 100 완료
영순 84 84 4 4 177 100 완료
영순제2 141 141 12 10 250 100 완료
공성 113 100 12 7 100 100 완료
외답 235 210 22 19 269 100 완료
함창 119 119 12 11 203 100 완료
함창제2 126 122 12 7 125 100 완료
화동 94 78 7 4 61 100 완료
화서 105 92 5 3 34 100 완료
화서제2 140 139 5 3 44 89 완료
남선 67 66 13 11 48 100 완료
남후 288 288 41 35 273 100 완료
풍산 215 215 28 26 471 100 완료
문수 149 149 15 14 200 100 완료
농공
반구전문 428 428 19 19 839 100 조성중
봉현 110 110 25 25 383 100 완료
장수 224 224 38 38 364 100 완료
적서 308 308 1 1 X 100 완료
휴천 253 253 1 1 X 100 완료
고경 57 57 11 8 68 100 완료
도남 330 330 18 17 1,774 100 완료
본촌 152 152 13 12 771 100 완료
북안 157 157 15 13 216 100 완료
5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산 118 118 18 16 130 100 완료
청하 195 195 25 23 376 100 완료
개진 139 139 32 29 337 100 완료
쌍림 255 255 46 40 510 100 완료
봉화 149 149 16 12 149 100 완료
봉화제2 135 135 16 16 159 100 완료
선남 73 73 10 10 147 100 완료
성주 146 146 12 11 270 100 완료
월항 258 258 27 26 584 100 완료
영덕 150 150 15 13 139 100 완료
예천 129 129 8 8 249 100 완료
울진 126 126 12 11 93 100 완료
다인 206 206 18 11 119 100 완료
봉양 195 194 24 19 293 100 완료
의성 165 165 23 16 194 100 완료
단밀 144 144 17 14 213 100 완료
청도 139 139 14 13 363 100 완료
풍각 252 252 27 23 300 100 완료
기산 176 176 22 20 245 100 완료
산양제2 134 134 11 11 79 57 완료
평해 149 149 17 12 101 66 완료
유곡 248 244 16 15 98 57 완료
영덕로하스특화 149 149 20 12 165 100 완료
농공
영덕제2 326 326 7 2 X 22 완료
예천제2 257 257 20 19 196 76 완료
칠곡농기계특화 245 245 26 26 487 100 완료
남영양 30 30 4 3 35 79 완료
죽변해양바이오 149 149 6 5 40 24 완료
고아제2 263 263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503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경북에는 총 1,42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94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89개, ‘건설업’이 2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17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18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1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
처기업 위치
표 3-15-7 ❙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5 14 16
광업(05~08) 2 2 3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6 86 101
음료 제조업 9 6 8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8 45 5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 4 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7 12 1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 13 1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1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9 76 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0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1 67 7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9 30 33
1차 금속 제조업 47 23 3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3 96 11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22 108 11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0 42 48
전기장비 제조업 96 83 86
5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46 190 21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6 82 8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 6 8
가구 제조업 11 9 8
기타 제품 제조업 48 39 4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1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9 12 13
건설업(41~42) 29 19 25
도매 및 소매업(45~47) 10 9 14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1
정보통신업(58~63) 86 82 94
금융 및 보험업(64~66) 1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7 74 8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3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4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3 1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51 1,252 1,426
REGIONAL S&T YEARBOOK 2023 50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8,508명(전국의 3.50%)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2.04%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4,921명(전국의 2.85%)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10,993명(전국의 4.95%), 공공연구소는 2,594명(전국의 3.79%) 차지
표 3-15-8 ❙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579 4.46 9,532 4.91 9,463 4.57 9,965 4.74 10,993 4.95
∙ 국공립 703 0.88 1,009 1.26 1,068 1.23 1,086 1.25 1,642 1.83
∙ 사립 7,876 6.97 8,523 7.46 8,395 6.97 8,879 7.20 9,351 7.06
공공연구소 2,333 4.00 2,709 4.34 2,529 3.94 2,591 3.89 2,594 3.79
∙ 국공립 947 7.74 1,196 9.28 1,113 8.68 1,019 7.58 955 7.19
∙ 정부출연 242 0.74 238 0.69 246 0.72 286 0.84 256 0.74
∙ 병원 및 기타 1,144 8.43 1,275 8.46 1,170 6.74 1,286 6.69 1,383 6.73
기업 14,862 3.38 14,401 3.12 14,035 2.95 14,842 2.92 14,921 2.85
∙ 정부투자기관 617 15.80 482 12.54 373 9.97 391 10.12 405 10.16
∙ 민간기업 14,245 3.26 13,919 3.04 13,662 2.89 14,451 2.86 14,516 2.80
합 계 25,774 3.73 26,642 3.71 26,027 3.48 27,398 3.49 28,508 3.5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경상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9명 증가한 78.2명으로 조사됨
표 3-15-9 ❙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2.6 73.1 72.4 75.3 78.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경상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1,953억 원(전국의 2.84%)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7위에 해당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1.1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5,078억 원(전국의 4.93%), 공공연구소는
약 3,873억 원(전국의 3.00%), 기업이 약 2조 3,002억 원(전국의 2.57%)
표 3-15-10 ❙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11,501 4.42 337,130 4.57 379,579 4.54 441,565 4.73 507,816 4.93
∙ 국공립 20,244 0.66 28,253 0.86 32,168 0.85 38,560 0.91 55,810 1.23
∙ 사립 291,258 7.35 308,877 7.54 347,411 7.59 403,005 7.88 452,006 7.83
공공연구소 318,988 3.24 282,216 2.78 327,370 2.94 363,987 3.03 387,296 3.00
∙ 국공립 48,600 5.97 54,799 6.56 73,435 8.63 77,511 8.01 85,175 8.35
∙ 정부출연 88,829 1.18 42,293 0.54 47,774 0.58 61,593 0.71 55,674 0.60
∙ 병원 및 기타 181,559 12.26 185,124 12.13 206,160 10.40 224,883 9.73 246,447 9.39
기업 2,389,911 3.47 2,186,048 3.06 1,980,108 2.69 1,969,523 2.44 2,300,198 2.57
∙ 정부투자기관 38,967 4.29 36,853 4.24 32,114 3.67 36,946 4.30 41,271 4.64
∙ 민간기업 2,350,944 3.46 2,149,195 3.04 1,947,994 2.68 1,932,577 2.42 2,258,927 2.55
합 계 3,020,401 3.52 2,805,393 3.15 2,687,056 2.89 2,775,075 2.72 3,195,310 2.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0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경상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8,12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23%
표 3-15-11 ❙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299 6,272 6,882 7,271 8,127
(3.2) (3.1) (3.0) (3.0) (3.1)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568억원),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
(LINC3.0)(379억원), 로봇직업혁신센터 구축 사업(91억원),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지원
(50.8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기술+인프라 新성장동력 확보
-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125억원), 지역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지원사업(107억원),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신축설계 및 인프라 구축(85억원),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실증
사업(75억원),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69억원), 초광역권메타버스허브구축운영(60억
원) 등
■ 소재부품산업 기술혁신으로 경쟁력 강화
- 자동차 튜닝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300억원),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207억원), 드론 실기시험
장 구축사업(126억원), 생활소비재 융복합산업 기반구축 (93억원) 등
■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200억원), 바이오프린팅 활용 동물대체시험평가 플랫폼 구축(63억원),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센터 건립(62억원), 구조기반 백신기술 상용화 시스템 조성(60억원) 등
5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메타버스과학국과 경제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509
표 3-15-12 ❙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30,964 2 24,191 373 762 39 5,554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5-13 ❙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과 경제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메타버스혁신과
∙ 디지털 대전환 기본계획 수립, 워킹그룹 운영(디지털 분야)
∙ 메타버스 신규사업 기획 및 발굴지원 및 메타버스 관련 연구용역 추진
∙ 메타버스 신규사업 기획 및 발굴, 메타 Big-프로젝트 워킹그룹 운영
∙ 경북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과학기술과
∙ 지역과학문화 육성,과학기술 포럼, 과학관, 과학축전, WISET 운영 등
∙ 포항스마트그린산단 및 농공단지 대개조 사업 종합 추진 등
∙ 가속기 신산업 기획, 스마트공장 및 산단대개조(서부권)사업 추진 등
∙ 구미스마트그린산단 사업 추진, 산단대개조(동남권) 사업 추진, 농공단지 대개조 사업 추진 등
∙ 경북로봇산업 육성, 반도체특화단지, 나노융합기술원, 유연인쇄전자산업 육성
∙ 경북 산학연융합 촉진사업, 경북 경산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추진,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MRC,
ERC, RLRC), 지역혁신센터(RIC) 지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양자기술기반 산업 육성
4차산업기반과
∙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사업, 전략위원회 추진, W중심대학육성지원사업,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
사업,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IT여성취・창업지원사업
∙ 이차전지 특화단지 산업 육성, 신전자산업 발굴 및 육성 프로젝트, 에너지 하베스팅 산업생태계 육
성, 1인 미디어 콘텐츠 산업육성, 인공지능 사업 추진 등
∙ 신규 규제자유특구 기획 총괄 및 전략수립, 글로벌 혁신특구,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운영
관리, 규제샌드박스지원사업
∙ 5G시험망 테스트베드 구축, XR 디바이스 개발지원센터,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 구축, 홀로그램 기
술개발 사업,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 지원, MWC 경북관 조성 및 운영, 중앙부처 공모사업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인공지능산업 육성, 사물무선충전 실증 등
빅데이터과
∙ 한국도시통계 경상북도 통계연보 업무 보조 통계DB시스템 및 나라통계 시스템관리 등 통계 홈페이
지관리, 통계품질관리 업무용수첩 제작 및 지원
∙ 빅데이터 업무 총괄 빅데이터 종합계획 및 전략 수립, 데이터산업 육성업무 추진 빅데이터 통합플
랫폼 구축, 운영 경북형 데이터생태계 조성
∙ 인구-산업 통합플랫폼 구축, 운영 데이터산업 활성화 공모사업 추진 데이터분석 및 활용 지원, 빅
데이터 분석(자체, 용역) 및 활용 전반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플랫폼 구축
∙ 공공데이터 업무 총괄 데이터기반행정 및 공공데이터 정책 수립 데이터분석 및 활용 비주얼씽킹 플
랫폼 콘텐츠 기획, 데이터 기반행정 계획수립 데이터 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 데이터 기반행정
활용 역량교육 추진 공공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 기관 메타데이터 등록 및 관리
5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조례 제2조 및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심의・의결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식정보산업진흥종합계획, 지자체 R&D사업 신규과제 등
- 자문 :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제도・정책,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신규사업 검토 및
조정, 지방과학기술 아젠다 발굴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1. 1월 ~ 2023. 1월 (2년)
- 위원장 :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하대성
정보통신과
∙ 재난안전・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운영 및 고도화,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 시군 CCTV통합관
제센터 지원 등
∙ 사이버침해대응센터 운영, 정보보안관리실태평가(위기대응 역량 분야), 정보시스템(홈페이지) 취약점
보안점검, 정보보안관리체계(ISMS)인증 관리
∙ 실시간 방송중계시스템 및 유선방송시스템 운영관리 ・중앙부처 및 시군 영상회의 시스템 운영관리,
청내 근거리통신망 구축,운영 및 네트워크 공사
소재부품산업과
∙ 경북테크노파크 운영, 지역주력산업육성,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소부장특화단지 지정
∙ 미래자동차 산업 육성 및 신사업 발굴, 도심형 자율주행셔틀 부품 및 모듈 기반구축, 자동차 튜닝
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사업 등
∙ 자동차부품산업 구조고도화 시책 발굴, 미래차 부품 기술융합 지원사업,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사업지원 등
∙ 항공산업 발굴 육성지원, 국방 및 방산 업무 추진, 철강 재도약 기반구축 사업 등
∙ 베어링 및 경량소재 산업 육성 지원, 생활소비재 융복합산업 기반구축사업, 드론 관련 지원사업 등
∙ 경북 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운영, 탄소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탄소분야 신사업 기획 등, 친환
경 및 융복합 섬유소재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첨단복합 섬유산업 육성, 기능성 섬유 개발 등 고
부가가치 사업, 도내 섬유기업 통계자료 수집 및 D/B구축
∙ 탄소소재부품 리사이클링 기반구축, 반도체・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 등
바이오생명산업과
∙ 바이오산업육성 종합시행계획 수립, 바이오생명엑스포 지원, 바이오생명산업 혁신기술발굴사업
∙ 백신신약한의약 신규사업 기획,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 그린바이오메디컬 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세포배양 산업화 허브 구축 등
∙ 백신상용화기술지원기반시스템구축,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산업화 기업지원,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
성센터 건립, 바이오백신 교육연구시설 및 오픈랩 구축, 차세대 프리미엄백신 개발사업,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지원, 국제백신산업 육성포럼 개최 지원 등, 백신산업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 화장품산업 경쟁력 강화, K뷰티산업 국내외 마케팅 지원, 디지털뷰티 기업지원, 퍼스널케어 융합
얼라이언스 육성, 뷰티산업 밸류체인 컨버전스 지원
∙ 안광학렌즈 및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산업 육성/바이오메디컬 종합기술지원 사업/ICT 융
복합 어린이 재활기기 실증센터 구축 사업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511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1회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도 추진실적 및 제5차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심
의・의결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5-14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경상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2020.08.01.~2022.08.31.
위 원(당연직) 김장호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 2021.01.11.~2023.01.10.
위 원(당연직) 장상길 경상북도 과학산업국장 2021.01.11.~2023.01.10.
위원 하인성 경북테크노파크 원장 2021.01.11.~2023.01.10.
위원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1.01.11.~2023.01.10.
위원 문지훈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소재융합본부장 2021.01.11.~2023.01.10.
위원 이동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대구경북지원장 2021.01.11.~2023.01.10.
위원 김상우 포스텍 산학협력단장 2021.01.11.~2023.01.10.
위원 나혜중 영남대 공업기술연구소 연구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이대식 대구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황형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김상욱 동국대 신소재화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강미숙 영남대 화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문추연 경운대 부총장 2021.01.11.~2023.01.10.
위원 이승환 구미대 인재개발처장 2021.01.11.~2023.01.10.
위원 김춘희 (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장 2021.01.11.~2023.01.10.
위원 권영희 (사)IT여성기업인협회 영남지회장 2021.01.11.~2023.01.10.
위원 김부진 코리아향진원 대표 2021.01.11.~2023.01.10.
위원 서인숙 인당(주) 대표 2021.01.11.~2023.01.10.
위원 정세현 도의회 운영위, 교육위, 예결위, 신공항이전특위 위원 2021.01.11.~2023.01.10.
5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북도의 총예산은 약 40조 4,32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260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6%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6.90%
표 3-15-15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404,325
재정자주도(%) 69.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12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26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6.90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51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경상북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791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으
로 각각 약 844억원, 약 834억 원 투입
표 3-15-16 ❙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탄소소재 화학적 순환 자원화 기술개발
낙동강 녹조제어 통합 플랫폼 개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
경북배터리종합관리센터연구개발육성지원
- 5,575 613 6,18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삭도시설 원격검사 로봇 시스템 개발사업
경북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1,150 600 - 1,75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3.0)
지역 혁신인재 양성 프로젝트
71,156 14,575 17,841 103,572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드론실기시험장구축사업
지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84,421 83,393 11,336 179,12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업지원 사업
43,856 28,203 1,852 73,91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62,554 29,063 12,545 104,161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대경공동기술지주회사 창업기업 지원 690 275 350 1,31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자동차 튜닝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
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71,972 64,269 6,194 142,435
합계 335,799 225,953 50,731 612,461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224개로 전국의 3.4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57%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1개 증가, 기업 358개 증가
표 3-15-17 ❙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 6.58 23 5.54 24 5.84 22 5.20 23 5.50
∙ 국공립 4 5.06 4 4.76 4 4.71 3 3.49 5 5.68
∙ 사립 20 6.99 19 5.74 20 6.13 19 5.64 18 5.45
공공연구소 41 6.70 44 6.85 45 6.79 47 6.82 42 6.15
∙ 국공립 15 11.45 19 13.29 18 12.59 18 11.76 15 10.95
∙ 정부출연 7 4.19 7 4.14 7 4.29 9 5.29 8 4.85
∙ 병원 및 기타 19 6.05 18 5.45 20 5.60 20 5.46 19 4.99
기업 1,801 3.71 1,857 3.39 1,968 3.36 2,067 3.32 2,159 3.35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1 1.85 1 1.69 1 1.64
∙ 민간기업 1,799 3.71 1,855 3.39 1,967 3.37 2,066 3.32 2,158 3.36
합 계 1,866 3.78 1,924 3.44 2,037 3.42 2,136 3.37 2,224 3.4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15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경상북도 소재 대학 수는 33개
- 일반대학 18개, 전문대학 15개 존재
표 3-15-18 ❙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6 1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14 1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2 1 30 3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경상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4만 3,34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3,623명(전체의 약 9.50%), 공학계열 학생이 3만 7,598명
(전체의 약 26.23%)
표 3-15-19 ❙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3,623 37,598 51,221 24,639 13,239 10,110 10,321 33,810 143,340
비중(%) 9.50 26.23 35.73 17.19 9.24 7.05 7.20 23.59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5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경상북도에는 포항공대에 7개, 영남대에 3개, 경북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에 있음
표 3-15-20 ❙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1개 센터)
2021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시스템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영남대학교
(3개 센터)
2019 자율형 자동차 부품소재 정책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세노테라피 기반 대사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23 라이프로그용 멀티모달 언텍트센싱 선도연구센터 RLRC
포항공과대학교
(7개 센터)
2017 세포소기관네트워크연구원 SRC
2019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 ERC
2020 양자동역학 연구센터 SRC
2021 탄소제로 그린 암모니아 사이클링 연구센터 ERC
2022 해태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 ERC
2023 수리 기계학습 연구센터 SRC
2023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 I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517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나,’23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 대
구가톨릭대 1곳, 영남대 1곳으로 총 3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5-21 ❙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경일대 자동차 부품 시험 지역혁신센터
대구가톨릭대 해양바이오산업 지역혁신센터
영남대 대경 태양전지/모듈 소재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경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2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5-22 ❙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9-07-11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RIST창업보육센터(리스트) 1999-07-10
경북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8-01
5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9-15
경북전문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2-18
경운대학교 경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4-08
경일대학교 경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2-06
구미대학교 구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구미시 구미시 창업보육센터 2005-12-31
금오공과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창업원 창업보육센터 1999-05-01
대경대학교 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2-28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2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2
대구한의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한방바이오창업보육센터 2007-01-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국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경주) 2000-10-27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27
서라벌대학교 서라벌 창업보육센터 2023-02-27
안동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8-10-21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영진전문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위덕대학교 위덕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8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창업보육센터 1998-07-06
포항대학교 포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한동대학교 한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14
REGIONAL S&T YEARBOOK 2023 519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북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15개를 운영 중
표 3-15-23 ❙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해양과학관 국립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공립
구미과학관 공립
경상북도민물고기생태체험관 공립
영천시보현산천문과학관 공립
영양반딧불이천문대 공립
울진 곤충여행관 공립
영천시 최무선과학관 공립
김천녹색미래과학관 공립
콩세계과학관 공립
칠곡 꿀벌테마과학관 공립
신라역사과학관 사립
예천천문우주센터 사립
로보라이프뮤지엄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5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경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6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7,582명임
표 3-15-24 ❙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179 153 197 222 167
수혜자 수 16,534 12,892 7,215 8,948 7,58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북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4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44명 양성
표 3-15-25 ❙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북테크노파크 4
전용공간
8개(730.2㎡)
48 49,015 55.9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52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경상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6,37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297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5.3%, 24.9% 감소
표 3-15-26 ❙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7,048 6,764 6,634 6,615 6,698 6,733 6,374
특허등록 건수 4,594 4,633 4,176 4,477 4,557 4,390 3,29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경상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859편, 주저자 기준 2,584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60%, 4.30%를 차지
표 3-15-27 ❙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4,565 7.16 119,657 26.21 2,241 4.27 43,690 19.50
2019 4,644 6.91 80,769 17.39 2,215 4.04 36,893 16.66
2020 5,111 6.94 69,582 13.61 2,446 4.10 31,649 12.94
2021 5,691 7.13 47,519 8.35 2,646 4.16 19,372 7.32
2022 5,859 7.60 18,835 3.21 2,584 4.30 6,744 2.6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5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디지털 전환 선도 및 미래 첨단전략산업 육성
▣ 중점과제 및 전략
■ 디지털 경제의 핵심인 메타버스 기술과 도내 권역별 주력산업의 융합으로 대한민국을 넘어 글
로벌 메타버스 수도 경북 생태계 조성
■ 지방시대를 열어갈 경북 과학기술혁신 기반 조성과 정부의 초격차 과학기술정책에 발맞춰 미
래 첨단산업 육성 주도
■ 4차산업혁명 기반기술과 융합을 통한 지역 전략산업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미래 신성장 산업
발굴 및 육성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방시대 메타버스 수도 경북 실현
- 글로벌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
- 도민(+국민)과 함께하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
- 미래 먹거리를 위한 메타버스 프로젝트사업 발굴
■ 지역주도 핵심전략 발굴 첨단산업 선점
- 지역 R&D 역량강화 및 중장기 과학기술혁신 기반조성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혁신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 인프라 시설을 활용한 로봇・반도체 산업 육성
-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 4차산업혁명 기술고도화 성장동력확보
- 규제특구사업 고도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확보
-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강화로 新산업 생태계 구축
- 5G기반 실감콘텐츠산업 육성으로 미래선도사업 선점
REGIONAL S&T YEARBOOK 2023 523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을 통한 지방이 주도하는 지역 특화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 지역기술 혁신허브 지정을 통해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튼튼한 기업과 우수한 인재가 모여드는
국가 과학기술 전략거점화 추진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혁신 기반 구축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산업단지 인프라 개선 및 스마트 제조혁신기반 구축
- 규제자유특구사업 활성화를 통한 新기술 기반 대한민국 첨단전략산업 주도권 확보
5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6절 경상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경남의 인구는 약 329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경남 인구의 비율은 6.37% 작년 대비 감소
표 3-16-1 ❙ 경상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3,351,332 3,350,142 3,340,211 3,317,568 3,289,257
전국인구대비 비율(%) 6.50 6.47 6.46 6.41 6.37
경제활동참가율(%) 63.3 63.7 63.1 63.2 63.1
실업률(%) 3 3.8 4 4.1 3.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52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남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10.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0.56%씩 증가함
- 제조업(34.65%)이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6.76%)과 정부/민간비영
리생산(18.56%)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4.77%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6-2 ❙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07,224,316 109,370,902 103,425,415 105,384,664 110,265,302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939,711 4,112,210 3,778,638 3,743,318 3,829,774
(지역내비중, %) (3.67) (3.76) (3.65) (3.55) (3.47)
제조업 39,400,932 40,079,271 36,657,100 37,136,296 38,211,999
(지역내비중, %) (36.75) (36.65) (35.44) (35.24) (34.6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224,179 3,404,645 2,901,739 3,322,616 4,069,716
(지역내비중, %) (3.01) (3.11) (2.81) (3.15) (3.69)
건설업 5,863,635 5,075,589 4,574,795 4,211,122 4,279,179
(지역내비중, %) (5.47) (4.64) (4.42) (4.00) (3.88)
기타서비스업 29,545,316 29,544,798 29,357,679 29,422,569 29,503,693
(지역내비중, %) (27.55) (27.01) (28.39) (27.92) (26.76)
정부 / 민간비영리생산 17,733,907 18,627,174 18,911,836 19,500,638 20,461,334
(지역내비중, %) (16.54) (17.03) (18.29) (18.50) (18.56)
순생산물세 7,514,624 7,845,884 7,607,391 7,584,573 8,602,270
(지역내비중, %) (7.01) (7.17) (7.36) (7.20) (7.8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5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17조 5,794억 원이고, 6,85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0
만 44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약 20조 7,557억원(전체의 17.6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374개(전체의 20.0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5만 883명(전체의 16.9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6-3 ❙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277,688 5.34 439 6.40 16,348 5.44
음료 제조업 1,371,706 1.17 27 0.39 1,740 0.5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6,709 0.27 86 1.25 1,452 0.4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7 0.39 491 0.1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2,184 0.08 11 0.16 322 0.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120,685 6.06 570 8.31 21,802 7.2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02,913 1.53 269 3.92 6,651 2.21
1차 금속 제조업 8,954,911 7.62 396 5.78 14,708 4.90
전기장비 제조업 11,679,813 9.93 396 5.78 26,173 8.7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755,698 17.65 1,374 20.04 46,175 15.3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334,645 13.04 736 10.73 30,630 10.2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0,180,981 17.16 524 7.64 50,883 16.94
가구 제조업 235,610 0.20 41 0.60 709 0.24
기타 제품 제조업 318,356 0.27 39 0.57 1,079 0.3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84,476 0.07 21 0.31 380 0.1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20,781 0.10 25 0.36 578 0.1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095,770 11.99 1,193 17.40 35,360 11.77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918,202 0.78 149 2.17 3,936 1.3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98,425 0.85 101 1.47 2,747 0.9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85,296 0.07 13 0.19 150 0.0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28,058 1.81 114 1.66 4,301 1.4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87,440 0.24 22 0.32 434 0.1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628,373 1.38 113 1.65 3,444 1.1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957,832 1.67 169 2.46 4,544 1.51
합 계 117,579,394 100 6,857 100 300,44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52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가장 높은 특화도를 나타냄
표 3-16-4 ❙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비교적
높음
∙ 음료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5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남도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과 ‘중점 고도화 산업 육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
관리하고 있음
표 3-16-5 ❙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 출처: 경상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미래 첨단산업 육성
(원전, 수소, 우주항공, 첨단소재•부품,
바이오, ICT•SW•반도체 등)
방산•원전 국가산업단지(특화단지) 조성
수소특화단지 조성
우주산업클러스터 조성
소형모듈원자로(SMR) 첨단 제조공정 기술개발
원전기업 수요 맞춤형 패키지 지원사업
원자력 종합지원센터 구축 사업
수소 소재부품 인증센터 설치 사업
소수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
전기추진 경량항공기 시범기 개발 및 인증체계 구축 사업
AAM 시대를 대비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사업
첨단소재 실증단지 조성(3단계) 사업
나노소재•제품 안정성 평가 지원센터 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기기 기술 실용화 사업
첨단바이오 의약품 전문 위탁개발생산 지원센터 사업
중점 고도화 산업 육성
(방위, 스마트 조선, 미래차•로봇 등)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 계획
방산 강소기업 육성 지원
방산 수출 생산성 향상 지원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DX) 기술지원센터 사업
조선업 생산생산공정혁시 기술지원 사업
선박 소조립 생산지능화 혁신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사업
스마트 공장 보급 • 확산 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52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9개, 일반산업단지 117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81개가 있음
- 총 20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6,679개, 총 종사자 수는 267,103명
표 3-16-6 ❙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옥포 5,987 5,987 1 1 X 100 조성중
죽도 4,184 4,184 1 1 X 100 조성중
지세포자원비축 2,942 2,942 1 1 X 100 완료
안정 3,866 3,776 16 11 952 100 조성중
명지・녹산 1,672 1,672 - - - - 완료
창원 35,870 25,726 2,953 2,648 118,562 100 조성중
진해 3,269 1,663 3 3 1,162 100 조성중
밀양나노융합 1,656 1,522 3 3 525 - 조성중
경남항공 1,655 1,592 - - - - 조성중
일반
오비 196 195 4 3 369 100 완료
나전 68 68 - - - 100 조성중
덕암 156 152 34 34 205 100 완료
명동 264 263 37 37 315 100 완료
주호 117 116 20 20 265 100 완료
사포 746 745 44 44 1,151 100 완료
용전 634 634 21 21 429 100 완료
하남 1,020 1,020 33 5 149 100 완료
흥사 673 673 - - - 37 조성중
덕계 360 360 24 24 577 95 완료
유산 118 118 12 12 170 100 완료
산막 1,222 1,221 172 172 3,495 100 완료
어곡 1,244 1,244 141 141 3,905 100 완료
가산 296 296 - - - 35 조성중
정촌 1,711 1,711 139 96 2,658 100 완료
5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진주상평 2,135 2,135 1,015 434 5,483 100 완료
일반
법송동원(구:법송) 621 621 - - - - 조성중
덕포 1,017 1,017 - - - - 미개발
안정 1,305 1,305 - - - - 조성중
거창 741 741 51 44 776 100 완료
내산 523 523 1 1 X 100 조성중
대가룡 74 74 1 1 X 100 완료
대독 266 265 2 1 X 100 조성중
율대 182 182 4 3 69 100 완료
장좌 695 695 1 1 X 100 조성중
매촌 98 98 2 2 X 100 완료
매촌제2 75 75 3 3 70 100 완료
넥센 594 593 1 1 X 100 조성중
대합 949 949 44 44 968 100 완료
억만 82 82 2 1 X 100 완료
갈사만조선 5,613 5,613 - - - - 조성중
대송 1,371 1,371 - - - 16 조성중
군북월촌 188 188 7 6 220 100 완료
법수우거 124 124 11 8 223 100 완료
칠서 3,202 3,030 104 104 3,697 100 완료
함양 741 741 3 2 X 92 완료
휴천 83 83 - - - 100 완료
대사 294 294 31 21 173 95 완료
덕계월라 442 441 - - - - 조성중
법수강주 136 136 20 16 353 100 완료
천선 110 109 25 25 660 100 완료
수곡 79 79 8 8 102 100 조성중
진전평암 81 80 1 1 X 100 완료
진북 875 873 61 61 1,806 100 완료
남양지구 293 293 48 48 612 100 완료
마천 611 611 115 115 1,625 100 완료
죽곡 138 138 7 7 269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531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창원 478 477 54 54 1,124 100 완료
어곡제2 341 330 - - - 30 조성중
일반
나전2 122 122 - - - 60 조성중
지수 123 123 3 2 X 100 완료
오척 149 149 20 20 231 100 완료
김해GoldenRoot(구 김해) 1,524 1,270 153 153 4,830 100 완료
모사 633 633 1 1 X 100 조성중
하리 222 222 1 1 X - 조성중
창곡 64 64 6 6 174 100 완료
축동 270 270 - - - - 조성중
대동 103 103 - - - - 조성중
장지 292 292 1 1 X 100 완료
김해테크노밸리 1,644 1,644 384 384 3,887 100 완료
대의 298 298 - - - - 조성중
서김해 449 449 - - - 93 완료
정곡백곡 147 147 - - - - 미개발
가산 99 98 - - - 100 완료
이노비즈밸리 212 212 3 3 46 100 완료
덕암2 42 42 - - - 100 조성중
김해사이언스파크 850 850 - - - 100 조성중
칠북영동 258 258 6 3 30 100 완료
신천 250 247 - - - 100 조성중
사내 139 139 2 1 X 100 조성중
종포 376 376 12 9 768 100 완료
토정 309 309 - - - - 조성중
용당 269 268 37 37 706 100 완료
가연 37 37 - - - - 완료
오비2 109 109 - - - - 미개발
동전 499 480 43 24 232 52 완료
서창 276 276 42 42 698 100 완료
병동 296 296 - - - 100 조성중
안골 237 237 - - - - 미개발
5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덕곡 150 150 - - - - 조성중
석계2 995 995 115 115 1,560 90 완료
법송2 87 87 - - - 100 완료
일반
봉암동원 299 299 1 1 X 74 완료
대진 251 251 - - - - 미개발
화천 296 296 - - - - 미개발
금진 298 298 - - - - 미개발
본산 59 59 - - - - 미개발
용전3 252 252 11 - - - 미개발
죽곡2 251 251 - - - - 미개발
칠원용산 189 189 - - - - 조성중
상복 116 116 6 6 108 42 완료
진주(사봉) 810 810 78 68 921 100 완료
AM하이테크 163 163 35 35 291 100 완료
이지(Eco-Zone) 304 304 - - - 100 조성중
향촌2 69 68 - - - - 완료
산청한방항노화 159 159 - - - - 완료
사천제1 2,545 2,543 56 54 9,913 100 완료
사천제2 1,616 1,361 20 16 578 100 완료
영남 1,410 1,410 - - - - 미개발
김해대동첨단 2,807 2,804 - - - 77 조성중
가산 672 662 - - - - 조성중
부목2 134 134 - - - - 미개발
양산[재생사업지구] 1,529 1,529 108 108 10,448 100 완료
원지 216 215 - - - - 미개발
뿌리 962 962 38 38 558 69 완료
함안(구 군북) 1,780 1,780 97 97 3,280 100 완료
군북유현 75 75 - - - - 미개발
용당(항공MRO) 149 149 - - - - 조성중
대성하이스코 72 72 - - - - 미개발
이당 131 119 1 1 X 86 조성중
평성 696 696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533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덕산 250 250 - - - - 미개발
군북 818 818 - - - - 미개발
일반
부림 352 351 - - - - 조성중
하계 262 261 - - - - 미개발
사천서부 314 313 미개발
거창첨단 304 304 미개발
도시
첨단
창원덴소도시첨단
(구 경남지능형홈산업)
145 143 1 1 X 100 완료
농공
한내조선특화 282 278 1 1 X 100 완료
나전 144 144 32 32 508 100 완료
내삼 113 113 39 39 339 100 완료
병동 149 149 26 26 412 100 완료
본산 147 146 16 16 585 100 완료
봉림 93 93 2 2 X 100 완료
안하 127 124 47 47 412 100 완료
진영죽곡 405 405 78 78 2,716 100 완료
하계 137 136 34 34 500 100 완료
미전 166 166 50 20 315 100 완료
부북특별 161 108 3 3 250 100 조성중
상남특별 84 84 2 2 X 100 완료
제대 192 192 2 2 X 100 완료
초동특별 317 307 43 42 652 100 완료
하남 179 177 31 29 525 100 완료
춘화 212 209 20 18 264 100 완료
곤양 84 84 9 9 217 100 완료
두량전문 118 118 21 20 454 100 완료
사남 568 568 42 42 1,787 100 완료
송포 104 104 16 13 162 100 완료
축동구호 117 117 10 7 92 100 완료
향촌삽재 92 92 30 25 191 84 완료
웅상 86 86 11 11 385 100 완료
대곡 133 133 41 17 404 100 완료
5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사봉 148 148 46 18 438 100 완료
생물산업전문 147 147 30 21 354 100 완료
실크전문 132 132 39 31 224 100 완료
이반성 141 141 24 9 448 100 완료
진성 86 86 46 16 231 100 완료
농공
남산 154 154 19 18 70 100 완료
당산 103 103 10 9 38 100 완료
서울우유 93 93 1 1 X 100 완료
석강 152 152 9 9 518 100 완료
정장 52 52 8 7 69 100 완료
석강제2 42 42 5 5 179 100 완료
마동 288 287 8 4 139 100 완료
세송 150 150 6 3 110 100 완료
율대 105 105 12 8 346 100 완료
회화 92 92 9 8 123 100 완료
고현 54 54 11 11 80 100 완료
금서 156 156 11 11 271 100 완료
금서제2 197 197 6 6 417 100 완료
산청 112 112 9 9 136 100 완료
동동 291 275 22 15 129 100 완료
봉수 317 317 31 30 310 100 완료
부림 147 147 8 8 172 100 완료
정곡 62 57 5 5 21 100 완료
남지 44 44 7 6 70 100 완료
대지 64 64 10 7 98 100 완료
대합 86 86 12 10 235 100 완료
서리전문 198 198 19 19 670 100 완료
송진전문 274 274 5 4 141 100 완료
고전 76 76 6 6 59 100 완료
금성조선 146 146 - - - 100 조성중
적량 65 65 7 5 24 100 완료
진교 138 138 7 6 94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535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가야 77 77 7 7 5 100 완료
군북 99 99 17 17 330 100 완료
모로 92 91 4 4 106 100 완료
법수 226 226 21 18 665 100 완료
산인 129 129 22 16 480 100 완료
장암 145 145 1 1 X 77 완료
농공
칠원용산 100 97 22 22 259 100 완료
칠원운서 95 95 59 56 386 97 완료
파수 166 166 36 29 616 100 완료
황사 146 144 14 12 260 100 완료
수동 102 102 12 12 184 100 완료
안의전문 147 146 5 5 65 100 완료
원평 136 136 3 3 184 100 완료
이은 40 40 6 6 92 100 완료
야로 114 114 17 10 163 100 완료
율곡 234 234 20 17 253 100 완료
적중 94 94 6 2 X 100 완료
대미 88 65 2 2 X - 완료
진북 133 133 21 21 538 100 완료
제일 44 45 4 3 63 100 완료
승강기전문 308 308 15 15 184 100 완료
안의제2전문 275 272 17 11 160 100 완료
화현 88 88 2 1 X 48 완료
함양중방전문 99 99 6 2 X 100 완료
인산죽염항노화 210 206 1 - - - 조성중
5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경남에는 총 1,465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8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67개, ‘건설업’이 2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45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
외’(150개), ‘전기장비 제조업’(88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6-7 ❙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4 6
광업(05~08) 5 4 5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3 66 73
음료 제조업 5 6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2 14 1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5 3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3 10 1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 6 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3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9 51 5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5 13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0 69 7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21 23
1차 금속 제조업 55 35 3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35 137 15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 54 6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9 49 62
전기장비 제조업 106 83 8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92 311 345
REGIONAL S&T YEARBOOK 2023 53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5 64 7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84 73 86
가구 제조업 3 5 4
기타 제품 제조업 53 39 4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1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1 7 8
건설업(41~42) 21 24 28
도매 및 소매업(45~47) 17 12 15
운수 및 창고업(49~52) 2 1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1
정보통신업(58~63) 83 68 88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7 59 67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1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5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12 1,303 1,465
5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4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3,843명(전국의 4.1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1.9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9,682명(전국의 3.76%)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9,829명(전국의 4.42%), 공공연구소는 4,332명(전국의 6.32%)를 차지
표 3-16-8 ❙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405 3.85 8,678 4.47 10,379 5.01 10,066 4.79 9,829 4.42
∙ 국공립 5,954 7.49 7,023 8.79 9,140 10.55 8,631 9.94 8,318 9.26
∙ 사립 1,451 1.28 1,655 1.45 1,239 1.03 1,435 1.16 1,511 1.14
공공연구소 3,441 5.89 4,194 6.72 4,386 6.84 4,402 6.61 4,332 6.32
∙ 국공립 760 6.21 1,123 8.71 1,079 8.41 957 7.12 953 7.18
∙ 정부출연 2,442 7.50 2,567 7.45 2,400 7.07 2,387 7.04 2,355 6.79
∙ 병원 및 기타 239 1.76 504 3.34 907 5.22 1,058 5.50 1,024 4.98
기업 19,889 4.52 19,702 4.26 19,537 4.10 19,479 3.83 19,682 3.76
∙ 정부투자기관 49 1.25 35 0.91 32 0.85 20 0.52 22 0.55
∙ 민간기업 19,840 4.55 19,667 4.29 19,505 4.13 19,459 3.85 19,660 3.79
합 계 30,735 4.45 32,574 4.53 34,302 4.59 33,947 4.32 33,843 4.1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39
■ ’22년 경상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4명 증가한 69.4명으로 조사됨
표 3-16-9 ❙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65.4 68.1 70.0 69.0 69.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경상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2,556억 원(전국의 2.89%)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61%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752억 원(전국의 2.67%), 공공연구소는
약 8,153억 원(전국의 6.31%), 기업이 약 2조 1,649억 원(전국의 2.42%)
표 3-16-10 ❙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2,789 2.45 337,130 4.57 218,661 2.62 275,877 2.96 275,232 2.67
∙ 국공립 152,009 4.92 28,253 0.86 193,580 5.13 241,769 5.73 239,227 5.28
∙ 사립 20,780 0.52 308,877 7.54 25,081 0.55 34,108 0.67 36,005 0.62
공공연구소 605,808 6.15 282,216 2.78 710,301 6.39 951,590 7.93 815,338 6.31
∙ 국공립 49,046 6.03 54,799 6.56 46,492 5.46 45,815 4.74 69,831 6.85
∙ 정부출연 535,486 7.09 42,293 0.54 601,748 7.26 835,040 9.58 696,989 7.52
∙ 병원 및 기타 21,276 1.44 185,124 12.13 62,060 3.13 70,735 3.06 48,518 1.85
기업 2,083,869 3.03 2,186,048 3.06 2,160,855 2.94 2,180,569 2.70 2,164,949 2.42
∙ 정부투자기관 2,409 0.27 36,853 4.24 1,762 0.20 285 0.03 2,283 0.26
∙ 민간기업 2,081,460 3.06 2,149,195 3.04 2,159,093 2.97 2,180,284 2.73 2,162,666 2.44
합 계 2,862,466 3.34 2,805,393 3.15 3,089,817 3.32 3,408,036 3.34 3,255,519 2.8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경상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조 36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7.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81%
표 3-16-11 ❙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5,351 18,365 22,156 19,628 20,362
(7.8) (9.0) (9.7) (8.1) (7.8)
전국 195,745 204,597 227,224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산학연 협력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제고
< 기초・원천기술 육성 >
-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구소 지원산업(경상대 농생명과학연구원)(10.6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
구소 지원산업(창원대 신소재연구센터)(8.9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구소 지원산업(경상대 그
린에너지융합연구소)(8.8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구소 지원산업(경상대 식물생명공학연구
소)(8.6억원), 지역맞춤형 재단안전 문제해결 R&D 지원(7억원),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3.8억원) 등
<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재고 >
- 수소전기차 부품 내구성 전주기 지원 인프라 구축(145.7억원), 강소특구 사업화지원(87억원), 의
료기기 업종전환 지원 기반구축 사업(58.7억원),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지역스타기업육성)(45.5
억원), 지역주력산업(지능형기계) 육성지원(34.9억원),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기
술 지원(34.9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541
■ 주력산업과 신산업의 응용기술 및 현장 애로기술 기획・개발 혁신체계 구축
< 주력산업 및 신산업 기술 기획・개발 >
- 항공 MRO 산업단지 조성 지원(255억원), 수소액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196억원), 금속
소재 실증테스트베드 구축(190.7억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102.7억원), 스마트 승강기
실증 플랫폼 구축 사업(72.4억원),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사업(68.7억원) 등
■ 디지털융합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861.7억원),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134.8억원), 5G 활용 차세대 스마
트공장 규제자유특구(108.6억원), ICT융합 제조운영체제개발 및 실증(92.1억원),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지원사업(57.3억원), 스마트산단 디지털 플랫폼 구축(50억원), 혁신데이터센터구축
(40.9억원), 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2.0(38.8억원) 등
■ 과학기술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촉진 등 도내 과학 거버넌스 확립
< 과학기술 인력 양성 >
- 조선업 생산기술인력 양성사업(166.9억원), 스마트제조 혁신인재 양성, 현장맞춤형 항공 MRO 인
력 양성 지원(5억원), 소재부품장비특화단지 인력양성 사업(4.3억원), 스마트공장 IT 전문인력 양
성(3.9억원), 기업맞춤형 인재육성 및 로봇교육(2억원), 3D프린팅산업 전문인력 양성(1.5억원) 등
< 과학문화 대중화 >
- 로봇문화 확산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지원(27.5억원), SW미래채움 사업(21억원), 사천에
어쇼 개최 지원(17억원), 도지사배 PAV 및 드론 경연대회 개최(6억원), 지역과학기술문화 활성화
지원사업(4.5억원), 나노피아 전시회 개최 지원(3.5억원) 등
■ 경남형 뉴딜・메가시티 등 경남도 주요 정책추진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 경상남도 주요 정책추진 지원 >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플랫폼 구축(288.6억원), 동남권 뉴딜 혁신창업지원 펀드 조성(57.5억원),
에너지혁신성장펀드 조성(4억원), 신재생에너지 기술선도 유망기업 지원(2억원) 등
5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통상국과 균형발전국에서 담당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543
표 3-16-12 ❙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9,216 2 22,742 357 483 57 5,501 - 74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6-13 ❙ 경상남도 산업통상국과 균형발전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산업정책과
∙ 전략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규제자유특구 지정 추진,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 플랫폼 사업, 지
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지역산업거점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사업, 광역협력권 후속산업 육성, 산업
혁신 기반구축 사업
∙ 경남창원 스마트그린산단 구축, 경남창원 스마트그린산단 신규 사업 발굴, 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 구
축 사업 추진,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사업 추진, 스마트그린산단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업, 스
마트공장 인력양성사업, 경남 5G활용 차세대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 사업
∙ 경상남도 반도체산업 육성 및 인재양성 종합계획 수립, 경상남도 반도체산업 육성 협의체 구성・운
영, 경상남도 반도체산업 육성 관련 연구용역 추진
∙ 제조산업 메타버스 융합 기반구축 및 기술개발 추진 - 제조산업 메타버스 구축 공모 및 신사업 기
획・추진 - 글로벌 제조융합SW 개발 및 실증사업 국가사업화 추진 -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사업 - 항공산단 메타버스 융합 산업단지 고도화 사업 - 메타버스 융합 제조분야 신규사업 발굴・
추진
∙ 인공지능 미래전략기술 육성 - 영남권 제조업 AI융합기반 조성사업 추진 - 초거대제조AI 등 인공
지능 분야 예타사업 추진 -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사업 - 제조산업특화 초거대제조AI 서비스개
발 및 실증사업 - 인공지능 신산업 신규사업 발굴・추진(KAIST협력 등), 5G의 산업현장 실증 관련
공모사업 추진 - 5G 전파 응용서비스 활용기반 조성사업 - 산단 디지털 전환 선도형 5G 특화망
하이웨이 구축사업 추진, 지역 정보보호 산업 육성 관련 공모사업 추진 -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
러스터 사업
∙ ICT융합 제조운영체제 개발 및 실증 사업, 경남 VR・AR 제작거점센터 운영사업, 사물인터넷 미래
전략기술 육성 - 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화 실증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 - 사물인터넷・센서 신
산업 신규사업 발굴・추진, SOS랩 운영 및 SW서비스 개발사업
∙ 강소특구 사업화 지원사업 및 강소특구 지정(변경) 업무, 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지역과학문화
활성화 사업,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종합・시행계획 수립, 경남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연구개발
(R&D)협의회 업무
∙ 중소기업 R&D사업화 지원센터 운영,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극한환경 스마트기계부품 설계제
조혁신센터(RLRC) 사업 추진,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센터(RLRC) 사업 추진, 항공
핵심기술 선도연구센터(ERC) 사업 추진, 식물생체리듬 선도연구센터(SRC) 사업 추진,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추진, 공공연구성과 가치창출 기술키움지원사업 추진, 램프(LAMP)사업 추진,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운영 사업 추진, 과기부 기초연구사업 등 대학 공모사업 추진, 대사이상 간질
환연구센터(MRC)사업 추진,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 과학기술기관 설립 기본・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예비타당성조사 자료 작성 및 대응 ,UST(과학기
술연합대학원대학교) 확대 운영계획 수립
5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전략산업과
∙ 스마트기계・승강기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신규사업 발굴, 산업기계에너지 저감형 재제조 기술개발
사업
∙ 주력산업(첨단정밀기계) 육성 지원사업, 스마트 승강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 거창 승강기밸리 조
성사업 추진, 승강기산업 중장기 육성계획 수립
∙ 로봇랜드 지정 및 조성실행계획 수립, 빅데이터활용 마이스터 기반구축 사업, 경남로봇산업육성 종
합계획 수립
∙ 조선해양산업 신규사업 발굴 추진, 경상남도 조선해양산업 육성계획 수립, 경상남도 조선해양산업
연차별 시행 계획 수립
∙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 기술지원센터 구축, 선박 소부재 생산지능화 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구축
∙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연계사업 발굴 및 추진,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 기반구축 사업, LNG
벙커링 이송시스템 테스트베드 기반구축 사업, 중대형선박 하이브리드추진시스템 육상 실증 기반조
성사업, 선박 풍력추진보조장치 실증센터 구축 사업, 친환경선박 수리・개조 플랫폼 구축 사업
∙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 기술지원센터 구축, 선박 소부재 생산지능화 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구축, 지역조선업 생산인력 양성사업 추진, 경남형 조선업 재도약 생산인력 양성사업 추진, 해양모
빌리티 스마트페인팅 시스템 개발사업 추진,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 양성관련 사업 추진, 국제조선
해양산업전 추진
∙ 자동차산업 육성 및 미래차 전환 신규시책 발굴 지원, 미래 모빌리티 연구지원센터 건립사업 추진,
수소전기차 부품 내구성 전주기 지원 인프라구축사업 추진, 대형 전기수소상용차 전기구동시스템
통합성능평가 기반구축 추진, 버추얼 기반 미래차 부품 고도화사업 추진, 전기・수소차 전략기술 기
반 확충 신사업 발굴
∙ 재사용 배터리 적용 E-모빌리티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 추진,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R&D)
추진, 전기・수소차 충전 및 액화수소 활용 사업 발굴 추진, 미래자동차 부품실증 및 사업화 지원
사업 추진, 자동차 부품제조혁신 제품공정개선사업 추진
미래산업과
∙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육성 사업 추진, 광섬유 기반 고정밀 계측센서 개발 및 실용화 기반구축사
업, 희유금속 소재부품 클러스터 조성,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지원
∙ 지역 주력산업의 세라믹 융복합 상용화 촉진사업,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사업 추진, 양산
첨단하이브리드생산기술센터 기술고도화 사업,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사업 추진
∙ 금속소재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사업, AI 전문인력 양성산업 추
진, 나노융합사업 중장기 육성계획 수립 및 육성 지원, 나노기술 기반 대면적 기능성필름 사업화
지원 플랫폼 구축
∙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방위산업 육성 주요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방위산업 분야 제도 개
선 및 신규사업 발굴(R&D 등), 방위산업 중소기업 육성 사업 추진
∙ 경남 바이오메디컬 산업 혁신벨트 조성사업, 바이오 의료산업 분야 기업 발굴・육성 추진, 바이오
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천연물안전관리원 구축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기기 기술 실용화 기반구축 사업, 융복합 의생명 개
방형실험실 구축 사업, 바이오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비대면 의생명・의료기기 산업육성 플랫폼 구축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전주기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바이오 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항노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시행, 천연소재 전주기 표준화지원허브 구축사업 추진
∙ 지역주력사업, 천연소재 응용기술개발사업 추진, 스타기업 육성, 미래선도 기술 산업화 지원사업 추
진, 경남항노화플랫폼 구축・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3 545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03.03.~2025.03.04.(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 (2023년) : 3회
- 제2022년도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추진실적 심의 등(’23.1.17.~ ’23.1.19.)
- 제6차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 등(’23.5.22.)
- 2023년도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추진실적 심의 등(’23.12.19.)
에너지산업과
∙ 에너지 분야 종합계획.추진전략 수립, 경남형 에너지 전환정책 수립・추진,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 관리, 풍력 너셀 테스트베드 구축, 초고압직류송전(HVDC) 전력기기 시험인증 기반구축), 용융
염원자로(MSR) 등 해양플랜트 적용 기술 및 실증연구 지원
∙ 수소파트 주요업무계획 수립, 경남 수소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부울경 수소경제권 공동사업
추진 및 실무협의회 운영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선박 건조 -수소배관망 구축 사업, 수소액
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
∙ 수소충전소 구축・운영 및 인프라 확충 추진, 소・중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수소교통 복합기지
구축사업
∙ 풍력제조산업육성 및 재생에너지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사업,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우주항공산업과
∙ 항공우주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항공 ICT 산업 육성, 항공우주부품 제조공정 지능화를 위한
Edge-MCT 시스템 구축
∙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 미래항공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AAV 시제기 개발 및 AAM
항로 발굴 등 실증사업 추진, 우주항공청 설립 지원계획 수립, 시행
5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6-14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경상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병규 경상남도 -
위 원 류명현 경상남도 -
위 원 박춘덕 경상남도의회 2023.03.03.~2025.03.04.
위 원 홍현욱 창원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이선아 경상국립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지연 인제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지영주 경남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종욱 한국전기연구원 부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형욱 한국재료연구원 본부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경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센터장 2023.03.03.~2025.03.04.
위 원 임근희 한국과총 경남지역연합회 명예회장 2023.03.03.~2025.03.04.
위 원 박혜숙 경상남도교육청 학교정책국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승철 (재)경남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정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경남지회 부회장 2023.03.03.~2025.03.04
REGIONAL S&T YEARBOOK 2023 54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남도의 총예산은 약 36조 4,360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166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9%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9.89%
표 3-16-15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364,360
재정자주도(%) 65.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43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16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9.89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5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경상남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717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이 투자했으며, 각각 1,174억 원,
891억원을 투자
표 3-16-16 ❙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금속소재실증테스트베드구축
수소버스용충전소실증지원(R&D)
16,050 3,800 1,444 21,294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5G 활용 차세대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
무인선박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
7,187 6,196 1,810 15,193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차세대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분담금 - 670 - 67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지원사업
이공분야 대학 중점연구소 지원(경상대)
8,558 5,297 1,409 15,26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양파 품종육성 및 산업화 기술개발
혁신도시공공기관 연계
육성사업(오픈랩)
6,608 17,811 988 25,407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수소액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
117,436 89,090 65,181 271,705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통영 마리나비즈센터 건립
스마트영농지원체계구축
3,603 10,705 282 14,58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플랫폼 구축
에너지자급자족화인프라구축
53,150 33,005 15,135 101,29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용당 산업단지(항공MRO) 조성 지원
친환경선박수리・개조플랫폼구축
24,990 50,019 2,602 77,611
합계 237,582 216,593 88,851 543,023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54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955개로 전국의 4.5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97% 증가
- 5년간 대학 수 2개 감소,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394개 증가
표 3-16-17 ❙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 7.12 27 6.51 27 6.57 26 6.15 24 5.74
∙ 국공립 13 16.46 12 14.29 12 14.12 11 12.79 11 12.50
∙ 사립 13 4.55 15 4.53 15 4.60 15 4.45 13 3.94
공공연구소 34 5.56 36 5.61 40 6.03 42 6.10 44 6.44
∙ 국공립 11 8.40 13 9.09 13 9.09 13 8.50 12 8.76
∙ 정부출연 10 5.99 10 5.92 9 5.52 11 6.47 10 6.06
∙ 병원 및 기타 13 4.14 13 3.94 18 5.04 18 4.92 22 5.77
기업 2,493 5.14 2,629 4.80 2,761 4.72 2,807 4.51 2,887 4.49
∙ 정부투자기관 3 7.14 2 3.64 2 3.70 1 1.69 2 3.28
∙ 민간기업 2,490 5.13 2,627 4.80 2,759 4.72 2,806 4.51 2,885 4.49
합 계 2,553 5.18 2,692 4.82 2,828 4.75 2,875 4.54 2,955 4.5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경상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9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1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6-18 ❙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7 9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2 8 1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2 16 2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경상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8,56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748명(전체의 약 12.41%),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599명(전
체의 약 28.77%)
표 3-16-19 ❙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748 22,599 32,347 17,409 3,809 6,366 4,738 13,892 78,561
비중 12.41 28.77 41.17 22.16 4.85 8.10 6.03 17.6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55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경상남도에는 경상대 4개, 인제대 1개, 창원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표 3-16-20 ❙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상국립대학교
(4개 센터)
2017 산업수요기반 고효율 • 안전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ERC
2021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 RLRC
2022 식물생체리듬연구센터 SRC
2023 대사이상 간질환 연구센터 MRC
인제대
(1개 센터)
2018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MRC
창원대
(1개 센터)
2019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 부품 설계/제조 혁신 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
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023년 시점으로 운영하는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5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경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6-21 ❙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경남대학교 경남대학교 창업보육관 1999-09-30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거창대학디자인창업보육센터 2000-12-3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칠암 창업보육센터 2001-06-29
경상남도(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경상남도창업보육센터(GNBI) 2001-10-18
동원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1-17
(재)경남테크노파크 로봇 창업보육센터 2015-05-13
마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9-12-14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창업보육센터 2003-04-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스마트바이오 창업보육센터 2022-11-13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스 창업보육센터 2001-01-05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그린 창업보육센터 2000-02-10
인제대학교 인제대김해 창업보육센터 2001-03-2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03-01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14
창원문성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창업지원단 창업보육센터 1999-11-10
한국국제대학교 한국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기술창업센터 2001-07-10
REGIONAL S&T YEARBOOK 2023 55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남에는 공립과학관 16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17개를 운영 중
표 3-16-22 ❙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공립
거제조선해양문화관 공립
창원과학체험관 공립
통영수산과학관 공립
천적생태과학관 공립
지리산생태과학관 공립
옥포대첩기념공원 공립
의령곤충생태학습관 공립
김해천문대 공립
함양약초과학관 공립
고성공룡테마과학관 공립
경상남도 교육청 과학교육원 공립
사천첨단항공우주과학관 공립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공립
양산3D과학체험관 공립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5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3년 경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9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258명임
표 3-16-23 ❙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31 259 479 337 597
수혜자 수 8,013 7,886 9,081 9.874 11,25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남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3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4명 양성
표 3-16-24 ❙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남테크노파크 6
전용공간
8개(1,296.7㎡)
27 50,109 66.1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55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경상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6,746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683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3.1%, 8.1% 감소
표 3-16-25 ❙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6,625 6,609 6,521 6,657 6,810 6,964 6,746
특허등록 건수 3,538 3,738 3,751 3,956 4,059 4,099 3,68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경상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076편, 주저자 기준 1,909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29%, 3.18%를 차지
표 3-16-26 ❙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396 5.33 52,327 15.41 1,599 3.05 20,635 12.90
2019 3,590 5.34 54,726 15.24 1,688 3.08 19,975 11.83
2020 3,978 5.40 41,513 10.44 1,818 3.05 15,500 8.53
2021 4,381 5.49 28,666 6.54 2,030 3.19 10,922 5.38
2022 4,076 5.29 7,579 1.86 1,909 3.18 3,285 1.7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5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혁신으로 다시 도약하는 튼튼한 경남 경제
■ 목표 : 과학기술혁신 역량 제고를 통한 미래성장 동력 확보
▣ 추진전략
■ 과학기술혁신 추진체계 구축
- 거버넌스 재편
- 전주기적 관리 역량 강화
- 혁신기관 유치
■ 과학기술생태계 육성
- 과학기술 인재양성 및 활용
- 생태계 기반 조성 및 거점 육성
- 문화 확산 및 격차 해소
■ 산업 연계 과학기술 역량 강화
- 미래 첨단산업 육성
- 중점산업 고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557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적 거버넌스재편, 전주기적 관리역량 강화, 혁신기관 유치 등을 통한 “경남의 과학기
술역량 강화” 추진
○ 경남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정립
- “경상남도 과학기술위원회”로 재편 및 운영을 통한 위상 제고
- 경남의 과학기술 전담기관 지정을 통한 역량 강화 및 저변 확대
○ 경남지역의 중점산업을 연계한 과학기술협의체 구성・운영
- 경남 과학기술협의체 운영을 위한 추진체계 수립
- 과학기술 및 중점산업 정보공유, 협력을 위한 협의체 운영방안 도출
○ 과학기술 국내・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국내・외 기관 간 협력을 통한 소재・부품, 인공지능 분야 등 추가 확대
- 글로벌 기술혁신 생태계 및 인재유치・교류, 연구기반 구축 등 확대
○ 정부・초광역 협업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지역 간 네트워크 기반 협력프로젝트를 통한 초광역 협력 추진
- 지역의 혁신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 시너지 창출
- 부・울・경의 초광역권 발전계획에 따른 초광역 협력 선도
○ 지역주도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활성화
- 경남지역에 특화된 정책기획을 위한 역량 및 네트워크 강화 기반마련
- 경남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중장기적 혁신계획 수립과 추진전략 고도화를 통한 중앙정부와의 연
계강화 추진
○ 지역 R&D과제 성과관리체계 확립・운영
- 경남 산・학・연・관 및 민간 등 R&D과제 정보에 대한 접근성 용이 추진
- 경남의 R&D과제 및 모니터링・성과관리 체계구축
○ 연구개발 활동 조사・분석 기능 강화
- 경남 R&D과제 및 성과에 대한 조사・분석의 고도화 및 신뢰도 향상
- 정부의 지역 과학기술 정책센터 지정・지원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5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정책・문화・연구장비 전문인력 양성
- 경남지역의 중점산업과 연계된 장비에 대한 교육 및 인재양성 추진
- 경남 과학기술에 대한 문화확산과 관심 확대를 통한 저변 확대 추진
○ 국가연구기관(정부출연연 등) 유치
- 경남 방위산업의 견고한 생태계를 위해 방산부품연구원(가칭) 유치 추진
- 수소경제로의 성공적 안착 유도를 위한 수소 전문연구기관 유치
- 경남 승강기산업의 기업지원・육성기반을 연계한 연구기관(기업) 유치
- 경남지역 중점산업 및 특화분야에 대한 정부출연연구원 유치
- 국내・외 연구기관 유치를 위한 설명회 등 투자유치 활동 추진
○ 국내・외 글로벌 연구소 및 연구소기업 유치
- 글로벌 핵심기술확보 및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센터 설립・운영
- 유망기업 분석,발굴 및 국・내외 기업유치를 통한 경남산업・경제 활성화
○ 과학기술기관 설립
- 설립 방안에 대한 다각적 검토・실시를 통한 기관설립 추진
- 세계적 연구거점이 되도록 기존 과학기술원과 특화・차별화 추진
■ 경남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및 생태계 기반조성・활성화,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통한 “지속 가능
한 혁신성장동력 확보”
○ 지역산업 맞춤형 과학기술 인재양성
- 산업계 수요 및 대학특성에 맞는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 지역 대학간, 대학과 연구기관 간 교육협력 확대
- 대학지원의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하여 지역산업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으로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 추진
- ICT・SW・반도체 인력양성으로 기존 주력산업의 고도화 및 신성장 산업분야 과학기술 인재확보
- 지역 공공기관 등과 협력・연계를 통한 지역인재 양성체계 구축
- 글로벌 수준의 석・박사 전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연계강화
- 지역 여성연구인력 육성을 위한 여성과학기술 인재양성・활용 추진
○ 과학기술 인재풀(현업+은퇴) 구축・활용
- 고경력 과학기술인 중소기업 현장방문 기술멘토링을 통하여 기술개발, 제품화, 기술사업화, 마케
팅 등 기술 및 경영애로 해결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559
- 기업의 기술애로에 대해 중장기(중소기업 기술 멘토링) 또는 단기(상시 현장자문) 지원 및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지원
- 과학기술 인재풀 구축을 통한 산업 연계 협력 지원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중 평생교육 거점대학(LIFE) 육성
○ 과학기술 인재 정주공간 확충
- 산・학 협력의 고도화를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 추진
- 사이언스파크(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를 활용한 과학기술 인재 체류 지원
- 경남의 과학기술기관 설립과 연계한 정주공간 확충 방안도출・추진
○ 산업단지 중심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주도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
- 경남 국가혁신클러스터 타깃산업 지원
○ 규제특례 실증특구 조성・운영
- 경남지역 및 중앙정부의 클러스터 지원 협력체계 구축
- 강소연구개발특구 고도화 및 신규지정
○ 기술사업화・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 기술사업화・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운영
- 지역 핵심 전략기술 개발 및 성과 창출・확산 대응 체계구축
- 경남도 및 지역 기관과의 스타트업 육성・협력 사업확대 추진
- 창업 투자 생태계와 창업문화 확산
- 현장 맞춤형 창업 정책 추진
○ 원천기술연구 지원강화 및 산・학・연 협력 연구촉진
- 경남 산・학・연 중심의 지역기술혁신허브 구축을 통한 상생협력 추진
- 경남의 학연 협력플랫폼 구축 및 운영을 통한 기술고도화 추진
- 도내 지역인재 글로벌 사회 진출 추진을 위한 기관 설립 및 운영
○ 대학・출연연 활용 연구거점 육성
- 지역 혁신성장을 위한 지역산업에 특화된 선도연구센터 구축
- 경남 지역혁신기관간 학・연 협력플랫폼 구축을 통한 공동연구 수행
○ 주민 참여형 과학문화 확산 플랫폼 구축
- 경남도민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운영
5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관 전시체험 운영 및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추진
○ 과학관, 연구기관 기반 과학문화 프로그램 확대
- 과학문화 사업 추진체계 고도화를 위한 과학문화 얼라이언스 구축
- 경남 중점산업과 연계한 지역특화 과학문화사업 추진
- 공립과학관 콘텐츠 개선 지원을 통한 과학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간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
- 경남 과학문화 활성화 프로그램의 지역 간 확대 운영 추진
- 지역화합을 위한 기초・첨단 과학기술 기반 과학대전 개최・운영
- 지역별 연계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튜터(Tutor) 운영사업
■ 경남 중점산업에 대한 과학기술을 연계한 산업생태계 고도화 및 신성장육성, 전통제조산업의
체질 개선 등 산업고도화 기반 마련
○ 미래첨단 원전, 수소, 우주항공, 소재・부품, 바이오, ICT・SW・반도체산업 육성
- 정부 정책대응을 위한 경남 원전생태계 복원 및 활성화 추진
- 경남 원자력산업의 종합패키지 지원을 통한 원전산업의 메카육성
- 정부・기관・기업 간 일원화 된 소통 채널 구축 및 원전산업계 건의반영・애로 해소 등 신속 지원체계
확립
- 수소경제 조기정착 및 수소의 전주기(생산, 저장, 이송,활용) 체계 구축
- 수소 소재・부품 인증기관 및 시스템 체계, 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 친환경 에너지 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과 생산력 확대
- 수소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역 간 협력 추진
- 경남 진주・사천을 중심으로 위성 특화지구 조성을 통한 우주산업의 전초기지 도약
※ 우주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과기부, 22.10.) 연계
- AAM(Advanced Air Mobility)시대를 대비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 전기추진 경량항공기 시범기 개발 및 인증체계구축 추진
- 미래전략산업의 핵심소재인 신기능 탄성소재 개발
- 나노 소재・제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시험기반 마련
- 국내 초정밀 가공장비 국산화와 기술 자립화, 국내 공급망 안정화
- 국가전략 극한소재 기술주권 확보 및 기술선도 추진
- 바이오산업을 권역별 특성에 맞게 융합・연계・지원하는 산업벨트로 구축하여 산업경쟁력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561
- 제품의 기획부터 실용화까지 지원 가능한 원스톱 지원 플랫폼 구축
- 첨단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지원을 위한 인프라구축 및 기업지원
- 경남 첨단바이오 분야의 유망기업 발굴・육성 추진
- 정부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과 연계, 도내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지속 지원으로 제조현장 디지털 기
술접목 가속화
- 전통 제조장비에 로봇을 융합한 디지털 제조장비 시스템 보급으로 전방기업(스마트기계, 항공, 조
선해양, 자동차 등) 생산시스템 혁신모델 확산
- 디지털전환 시대의 핵심기술인 AI, 블록체인 등 SW분야 실무형 인재 집중육성을 통해 지역산업의
고도화 및 SW 인력부족 문제 해소
- 시스템반도체를 쓰는 전방산업(항공우주, 방산, 원전, 자동차, 조선 등) 관련 기업과 자동차 기계
산업의 전동화에 따른 전력반도체 수요급증 대응을 위한 수요기반형 시스템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추진
○ 중점산업 방위, 스마트 조선, 미래차・로봇 등 고도화 육성
-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2023~2027) 마련
- 창원국가산업단지와 기능연계・보완을 위한 원전・방산 국가산단 조성
- 방산분야 강소기업 육성 및 수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중소형 조선소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조혁신 기술지원 체계구축
-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육성 및 조선업종 인력양성을 통한 기업간 상생협력체계 구축 및 생산역
량 확보 추진
- 인프라 중심의 조선산업 스마트화 기술개발 추진
- 공정혁신,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등 한계대응을 위한 시스템 구축
- 자율제조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 기반조성, 산업생태계 조성
-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첨단장비・로봇 디지털 혁신
- 공작기계 핵심부품 High-End 기술개발 추진
- 미래차의 경쟁력 강화 및 데이터 기반 제조산업 생태계구축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업 기술개발을 통한 녹색성장 도모
- 해양환경 변화에 대비한 미래 양식기술연구 등 추진
- 경남의 다양한 산업에 대한 육성 및 고도화 추진을 통한 성장기반 마련 등
5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제주도의 인구는 약 67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제주도 인구의 비율은 1.31%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7-1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654,543 663,803 668,699 673,189 675,505
전국인구대비 비율(%) 1.27 1.28 1.29 1.30 1.31
경제활동참가율(%) 69.8 69.9 68.8 69.6 71.4
실업률(%) 2 2.1 2.5 3.1 2.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56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제주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약 0.04%의 증가율을 보임
- 기타서비스업이 약 46.81%로 비중이 가장 높고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4.84%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5.8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7-2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8,968,300 19,186,190 17,957,495 18,173,026 19,003,180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658,229 1,625,596 1,678,348 1,695,431 1,732,456
(지역내비중, %) (8.74) (8.47) (9.35) (9.33) (9.12)
제조업 749,941 716,737 683,443 708,531 687,100
(지역내비중, %) (3.95) (3.74) (3.81) (3.90) (3.6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49,266 321,341 353,260 376,385 463,600
(지역내비중, %) (1.84) (1.67) (1.97) (2.07) (2.44)
건설업 1,752,148 1,560,731 1,257,515 1,028,798 1,009,079
(지역내비중, %) (9.24) (8.13) (7.00) (5.66) (5.31)
기타서비스업 8,904,420 9,187,410 8,201,315 8,467,090 8,894,813
(지역내비중, %) (46.94) (47.89) (45.67) (46.59) (46.8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082,347 4,302,225 4,395,741 4,560,443 4,721,020
(지역내비중, %) (21.52) (22.42) (24.48) (25.09) (24.84)
순생산물세 1,504,838 1,503,707 1,425,548 1,403,687 1,594,432
(지역내비중, %) (7.93) (7.84) (7.94) (7.72) (8.3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5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제주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조 6,345억 원이고, 23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5,425
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6,242
억 원(전체의 38.19%), 94개(전체의 40.87%), 2,355명(전체의 43.41%)
표 3-17-3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24,232 38.19 94 40.87 2,355 43.41
음료 제조업 370,328 22.66 13 5.65 87 1.6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2 0.87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 0.87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 1 0.43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8,268 2.34 12 5.22 253 4.6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6,172 14.45 50 21.74 800 14.75
1차 금속 제조업 - - 1 0.43 - -
전기장비 제조업 36,786 2.25 9 3.91 176 3.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1,875 1.34 6 2.61 62 1.14
기타 제품 제조업 4,303 0.26 3 1.30 34 0.6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0.43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615 2.18 8 3.48 99 1.8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 1 0.43 -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 2 0.87 -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0.43 -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2,615 5.05 1 0.43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0,479 3.09 8 3.48 182 3.3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7,448 3.51 15 6.52 282 5.20
합 계 1,634,474 100 230 100 5,42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56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분야는 ‘식료
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7-4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5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제주도는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와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지역특화 전문인
력 양성’,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7-5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제주 농산물 가공식품 산업 육성
친환경 및 그린 농업 기반 확대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제주형 UAM 상용화 및 드론 허브도시 조성
미래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
생약자원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전 도민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 사업
선제적 공학인재 양성 사업
제주 ICT 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제주형 농업관측・공공데이터센터 설치
디지털 트윈 및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을 통한 과학적 행정 구현
제주연안 환경의 생물자원 수용능(受容能) 빅데이터 구축 사업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기능성 식품(액상조미료)산업 다각화 사업
그린수소 기술력 강화를 위한 시험분석 및 인증획득 지원
생산기술실용화 기술개발 및 지원사업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제주산학융합지구 활성화 지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인프라 실증사업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글로벌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실천 이행 기반 구축
바이오(항노화, 화장품 등) 박람회 및 학술포럼 지원 사업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R&D 컨트롤타워 구축과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제주과학기술정보서비스(JTIS) 시스템 구축
지역주도형 과학기술 R&D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56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3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78개, 총 종사자 수는 4,042명
표 3-17-6 ❙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제주첨단과학기술 1,099 1,071 203 203 3,131 100 완료
제주첨단과학기술2단지 848 847 - - - - 미개발
일반 용암해수 197 197 18 18 176 100 완료
농공
대정 115 115 22 20 194 100 완료
구좌 67 67 18 18 153 100 완료
금능 130 130 19 19 388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5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제주도에는 총 279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90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31개, ‘도매 및 소매업’이 22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42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17개),
‘전기장비 제조업’(16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7 ❙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9 7 8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0 29 42
음료 제조업 5 3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 1 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7 16 1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 1 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 1 1
1차 금속 제조업 -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 -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 5 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 4 4
전기장비 제조업 15 15 16
REGIONAL S&T YEARBOOK 2023 56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 5 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 1 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 1 2
가구 제조업 1 - -
기타 제품 제조업 10 7 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1 1
건설업(41~42) 6 5 5
도매 및 소매업(45~47) 14 15 22
운수 및 창고업(49~52) 1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 1 1
정보통신업(58~63) 61 74 90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1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0 24 3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4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2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21 226 279
5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제주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7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4,236명(전국의 0.5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5.3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2,260명(전국의 1.02%)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연
구소 988명(전국의 1.44%), 기업이 988명(전국의 0.1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7-8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11 0.94 1,735 0.89 2,104 1.02 2,180 1.04 2,260 1.02
∙ 국공립 1,751 2.20 1,692 2.12 2,046 2.36 2,144 2.47 2,218 2.47
∙ 사립 60 0.05 43 0.04 58 0.05 36 0.03 42 0.03
공공연구소 736 1.26 852 1.37 938 1.46 922 1.39 988 1.44
∙ 국공립 373 3.05 466 3.61 576 4.49 575 4.28 589 4.44
∙ 정부출연 80 0.25 84 0.24 90 0.27 94 0.28 102 0.29
∙ 병원 및 기타 283 2.08 302 2.00 272 1.57 253 1.32 297 1.45
기업 714 0.16 788 0.17 798 0.17 937 0.18 988 0.19
∙ 정부투자기관 22 0.56 21 0.55 18 0.48 18 0.47 17 0.43
∙ 민간기업 692 0.16 767 0.17 780 0.17 919 0.18 971 0.19
합 계 3,261 0.47 3,375 0.47 3,840 0.51 4,039 0.51 4,236 0.5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71
■ ’22년 제주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7명 증가한 36.2명으로 조사됨
표 3-17-9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 2020 2021 2022
27.9 30.3 33.5 34.5 36.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제주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2,278억 원으로 전국 대비 0.20%
- 지난 5년간 연구개발비의 증가율은 7.46%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608억 원(전국의 0.59%), 공공연구소는 약
1,059억 원(전국의 0.82%), 기업이 약 611억 원(전국의 0.07%)
표 3-17-10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8,688 0.83 64,437 0.87 105,129 1.26 84,206 0.90 60,789 0.59
∙ 국공립 57,330 1.86 63,527 1.94 104,373 2.76 83,538 1.98 60,430 1.33
∙ 사립 1,358 0.03 910 0.02 756 0.02 668 0.01 359 0.01
공공연구소 56,258 0.57 58,699 0.58 70,346 0.63 94,260 0.79 105,927 0.82
∙ 국공립 43,036 5.29 44,108 5.28 40,212 4.72 52,785 5.46 56,997 5.59
∙ 정부출연 10,775 0.14 11,160 0.14 15,333 0.19 26,002 0.30 26,449 0.29
∙ 병원 및 기타 2,447 0.17 3,431 0.22 14,801 0.75 15,473 0.67 22,481 0.86
기업 44,017 0.06 51,287 0.07 56,136 0.08 64,847 0.08 61,119 0.07
∙ 정부투자기관 3,453 0.38 2,599 0.30 3,462 0.40 1,594 0.19 1,510 0.17
∙ 민간기업 40,564 0.06 48,688 0.07 52,674 0.07 63,253 0.08 59,609 0.07
합 계 158,963 0.19 174,423 0.20 231,611 0.25 243,313 0.24 227,835 0.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제주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88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0.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94%
표 3-17-11 ❙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286 1,487 1,714 1,858 1,884
(0.7) (0.7) (0.8) (0.8) (0.7)
전국 195,745 204,597 22,724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목표 및 추진전략
■ 디지털트윈 스마트 아일랜드 구축
- 2021년 스마트시티챌린지 본사업(120.0억), 디지털제조 Try-out 센터 구축사업(42.5억원), 창조
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41.3억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 육성을 위한 OpenLAB구축과
기반기술 보급(31.1억원), 소프트웨어 미래채움 사업(21.0억원),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16.3억
원), 제주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13.9억원), SW융합클러스터2.0 사업(9.8억),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사업(9.2억원),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8.0억원), 지식재산 기반 창
업촉진(7.7억원), 재난 및 항공 체류객 지원 대응 Safe Space In Jeju 구축(6.7억원), 지역SW서비
스 사업화 지원사업(6.5억원),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5.0억원) 등
■ 탄소없는 섬, 제주 2030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수소충전소 구축사업(60.0억원), 8㎿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사업(58.5억원), 전기차 통합유
지보수 기반 구축사업(35.8억원), 전기차배터리 재사용 기반 연계 다각화 사업(35.5억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제조 제품 시험평가・인증지원 기반 구축(26.5억원), 제주 신재생에너지산업 융복
합 EV 충전스테이션 구축사업(20.0억원), 도 구축 개방형 충전기 통합운영관리(19.2억원), 신재생
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15.8억원), 친환경 에너지 보급(해수열히트펌프)(12.0억원), 전기버스 개
방형 충전기 구축사업(5.1억원), 대기측정망 및 대기오염경보제 운영(5.0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573
■ 청정자원의 고부가가치 지역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207.9억원),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125.8억원), 제주 국가혁신
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 운영(61.6억원), 제주연구원 출연금(42.3억원),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40.8억원),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특성화사업(35.5억
원),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화장품 플랫폼 구축사업(32.0억), 제주 지하수 연구센터 운영(30.5억
원), 청정 기능성 식품산업 기반구축 사업(28.8억원), 지역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 지원사업(26.4
억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운영비(26.4억원), 제주테크노파크 운영지원(21.3억원), 청정 바
이오소재 코스메틱 기반 고도화 사업(21.3억원), 축산물 고품질 생산관리 기술개발 지원(20.6억
원), 화장품 임상 솔루션센터 구축사업(15.2억원)
■ 디지털 혁신 지능형MICE산업 활성화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31.0억원),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 지원사업(5.7억원), 글로벌 문
화콘텐츠 제작지원(4.0억원), 제주 국제 친환경선박 박람회 운영(3.0억원), 국제 크루즈산업 네트
워크 활성화(2.9억원), 제주관광 빅데이터 이슈 분석(2.0억원), 제주 ICT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
(2.0억원), 청년인재양성 프로그램(2.0억원) 등
5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제주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575
표 3-17-12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481 5 4,800 141 103 46 1,229 157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7-13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성장과
∙ 제주 디지털 혁신 진흥계획 수립, 제주 디지털 지역혁신 기본계획 수립, 디지털 전환 로드맵 수립
및 성장기업 투자 유치,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사업, 메타버스 개발 지원 사업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시행계획 수립,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 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지식
재산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미래신산업 육성 지원 정책 발굴
∙ 거점별 수소 생산 및 보급 계획 수립 시행, 제주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계획 수립・추진
∙ 용암해수일반산업단지 종합계획 수립, 용암해수 스마트특성화 국가공모사업 추진, 화장품산업진흥기
본계획 수립 및 추진,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구축 사업, 제주항노화산업 활성화 사업 추진
∙ 빅데이터 기본・시행 계획 수립,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계획 수립, 제주특별자치도 위성영상 분석
시스템 구축, AI 학습용데이터 구축사업 추진,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사업 추진
∙ 제주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고도화 사업 추진, IoT 기반 정밀기상정보 서비스체계 구축, 빅데이
터 활용을 위한 신규 수집데이터 발굴・연계 기획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공공데이터 개방 및 품질관리사업 추진, 공공데
이터 창업 경진대회 계획 수립 및 추진
에너지산업과
∙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계획수립 시행, 지역에너지 계획수립 및 시행, 에너지백서 작성, 제주형
분산에너지활성화 방안계획 수립,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사업계획서수립
∙ 대규모 ESS 실증단지 구축, 섹터커플링(P2H) 활성화 방안 수립 및 운영, 해수이용 친환경 ESS
핵심기술 개발 사업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지역발전계획사업 추진
∙ 풍력발전종합관리계획 수립・추진,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실증사업 추진, 주민주도형 풍력자원 개발계
획 수립・추진
미래모빌리티과
∙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업무 계획수립 및 서비스 발굴, 스마트 그린도
시 추진 계획안 수립,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MaaS) 업무추진
∙ 지하공간정보(2D, 3D) 통합지도 관련 업무 추진, 제주형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 위성정보 활용 기술개발사업 (KAIA), 드론 복합인프라 유치 추진, 지하정보 정확도 개선계획 수립
및 관리, 디지털트윈 활성화 및 시범사업 추진
∙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 추진,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 추진
∙ 전기차 연관산업 육성 및 신산업 추진, 공공기관(시설) 전기차 충전시설 등 의무설치 점검 및 이행
추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EV충전스테이션 구축
∙ 전기자동차 보급 및 연관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민간충전서비스 산업 육성 보조사업
5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사항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2023.3.13.~2025.3.12.)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
- 2022년도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시행계획 추진실적 심의(2023.1.13.)
- 제6차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2023.12.)
정보정책과
∙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행, 스마트빌리지 구축 및 추진, 연간 정보화 성과관리계
획 수립, 정보격차해소사업 계획 수립 및 추진
∙ 웹사이트 종합 발전계획 수립 추진, 공모 민간지능정보서비스 확산 사업 추진, 제주 모바일 고지
안내시스템 구축
∙ 개인정보 내부관리계획 및 처리방침 수립, 개인정보 영향평가 계획 수립 및 추진
∙ 사이버보안관제센터 및 침해대응계획 수립추진, 사이버 위험관리정책 및 대응계획 수립, 정보보안업
무 계획 수립 및 추진, 지자체 망분리 정보화계획 수립, 재난・재해대비 및 복구계획 수립 및 추진,
와이파이 인프라 확대 및 고도화 계획 수립・시행, 국가정보통신서비스(행정망) 고도화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577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7-14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성중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2023.03.13.~2025.03.12.
위원 김창세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장 2023.03.13.~2025.03.12.
위원 천지연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임희정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이윤정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김명숙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고봉운 제주국제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한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호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강영준 제주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한승철 제주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희정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2023.03.13.~2025.03.12.
위원 이남호 제주산학융합원 2023.03.13.~2025.03.12.
위원 한충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3.03.13.~2025.03.12.
위원 최백준 ㈜틸론소프트 2023.03.13.~2025.03.12.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5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주도의 총예산은 약 8조 6,31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93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1.08%
- 과학기술 예산 중 제주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8.32%
표 3-17-15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86,315
재정자주도(%) 66.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93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3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0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8.32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579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제주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664
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과제에 각각 약 313억 원,
약 326억 원을 투자
표 3-17-16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친환경 에너지 보급
3,849 6,204 441 10,494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제주연구원 운영 지원
전기차배터리재사용기반연계다각화사업(국가직
접지원)
12,712 19,055 370 32,13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서식지외 보전기관 운영사업(지자체)
서식지외 보전기관 운영사업
110 178 - 288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SW중심대학 지원(국가직접지원)
(재)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운영지원
4,240 4,602 847 9,689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제주 지역산업육성기획 지원사업
스마트시티챌린지사업(국토교통부공모사업)
31,281 32,594 2,572 66,446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사업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특성화
사업(국가직접지원)
20,974 19,133 170 40,276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8MW 부유식해상풍력시스템개발과제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4,735 1,734 1,553 8,022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축산물고품질생산관리기술개발지원
지식재산 기반 창업촉진 사업
1,370 1,190 710 3,27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제주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 운영
제주디지털 제조 Try-out 센터 구축사업
13,689 8,783 380 22,852
합계 92,960 93,473 7,043 193,474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제주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86개로 전국의 0.44%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8.87% 증가
- 5년간 대학 수 2개 감소,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98개 증가
표 3-17-17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 1.64 4 0.96 4 0.97 4 0.95 4 0.96
∙ 국공립 2 2.53 2 2.38 2 2.35 2 2.33 2 2.27
∙ 사립 4 1.40 2 0.60 2 0.61 2 0.59 2 0.61
공공연구소 16 2.61 18 2.80 19 2.87 20 2.90 19 2.78
∙ 국공립 10 7.63 11 7.69 11 7.69 12 7.84 11 8.03
∙ 정부출연 3 1.80 3 1.78 4 2.45 4 2.35 5 3.03
∙ 병원 및 기타 3 0.96 4 1.21 4 1.12 4 1.09 3 0.79
기업 165 0.34 182 0.33 204 0.35 249 0.40 263 0.41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2 3.70 2 3.39 2 3.28
∙ 민간기업 164 0.34 181 0.33 202 0.35 247 0.40 261 0.41
합 계 187 0.38 204 0.37 227 0.38 273 0.43 286 0.4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81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제주도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17-18 ❙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제주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8,07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976명(전체의 약 16.46%), 공학계열 학생이 2,353명(전체의
약 13.02%)
표 3-17-19 ❙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976 2,353 5,329 3,208 1,314 1,672 1,464 5,089 18,076
비중(%) 16.46 13.02 29.48 17.75 7.27 9.25 8.10 28.1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5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제주의 경우 2023년 기준 1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7-20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제주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7-21 ❙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 창업보육센터 2002-07-19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10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3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58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제주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4개소로 7개를 운영 중
표 3-17-22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제주미래교육연구원 공립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공립
제주별빛누리공원 공립
제주해양과학관(아쿠아플라넷 제주) 사립
아이디어생활과학관 사립
로봇플래닛 사립
로봇스퀘어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제주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제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75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37,212명임
표 3-17-23 ❙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571 194 471 2,638 875
수혜자 수 6,936 5,853 9,560 24,115 37,21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5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제주도 특허출원 건수는 1,02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06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1.8%, 13.6% 감소
표 3-17-24 ❙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689 817 837 891 1,003 1,046 1,027
특허등록 건수 305 384 412 430 485 470 40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제주특별자치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154편, 주저자 기준 49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50%, 0.82%를 차지
표 3-17-25 ❙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696 1.09 10,375 14.91 337 0.64 5,503 16.33
2019 867 1.29 12,437 14.34 428 0.78 6,046 14.13
2020 1,046 1.42 10,918 10.44 498 0.84 5,082 10.20
2021 1,118 1.40 7,314 6.54 497 0.78 3,203 6.44
2022 1,154 1.50 2,850 2.47 493 0.82 1,034 2.1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58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 과학기술 혁신 기반의 지속가능한 제주 미래가치 선도
■ 목표 : 과학기술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으로 지역특화 미래 신산업 창출
▣ 추진전략
■ 지역특화 R&D 활성화 기반 조성
-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 산학연 과학기술 혁신 역량 및 협력 강화
-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선순환 체계 마련
-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R&D 컨트롤타워 구축과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도내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전담기관 (가칭)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추진
- 제주 강소연구개발 특구 지정 추진
- 제주 산학연관 연구 협력 혁신체계 구축
■ 디지털 신산업을 통한 스마트시티 기반 추진
- 지역문제 해결에 중심을 둔 지속 발전 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
- 민간협업 기반 디지털 전환 생태계 구축
5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약자원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 제주 천연자원 유래 메디컬 소재 산업 인프라 연계・운영으로 레드 바이오산업 기반 구축
- 천연자원 유래 맞춤형 식품(메디푸드, 대체식품, 고령친화식품 등) 소재 기술개발 및 실용화 기반
마련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구축을 통한 제주형 뷰티산업 육성
■ 미래 모빌리티・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
- 전국 최초 JAM(제주항공교통) 상용화 및 드론 허브도시 조성
- 자율주행차 기반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거점 조성
- 제주 특화형 우주항공산업 기본계획 수립
■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속 확대
- 제주 생산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한 제주형 RE100 산업기반 조성
- 대규모 태양광발전사업(3㎿초과) 공공관리 제도 개선
- 주민 참여, 상생 위한 풍력 개발 사업 개선
■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 자립기반 마련
- 제주형 전력시장 도입(전력거래 특례)
- 전국 최대규모 재생에너지저장시스템(ESS) 구축, 섹터커플링(그린수소 생산, 열에너지 전환, 모빌
리티 활용 등) 사업 확대
■ 그린수소 글로벌허브 기반 조성
-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연계 권역별 그린수소 생산단지 구축
- 주요 거점별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
- 미래 그린수소도시 구현을 위한 제주형 산업・인프라 구축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특화 R&D 활성화 기반 조성
○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제주 주력산업(지능형관광서비스산업, 청정바이오산업, 그린에너지솔루션산업) 분야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고용 창출형 기술개발, 사업화지원 등 지원
- 제주 농산물 생산-가공 연계 식품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으로 농업인과 식품기업이 상생하는 식품
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587
- 친환경 기반 조성 확대 및 소비 확산으로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그린농업과 탄소배출 저감 사업
을 지속적으로 확대
○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미래신산업인 UAM(도심항공교통)의 전국 최초 상용화를 통하여, 신교통 수단을 마련하고, 교통・
관광・응급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J-UAM 서비스 추진
- 미래 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을 통한 혁신성장 동력 마련
- 제주의 신성장동력으로 맞춤형식품, 천연물 식・의약품 소재개발 등 바이오산업 다각화 및 고부가
가치 산업 육성
- 그린수소 생산 분야 핵심원천기술 R&D 중심의 중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선도기술 확보
○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 공학교육혁신을 통한 혁신인프라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공학교육인증 획득을 통한 우수한 엔지니
어 양성
- 도내 ICT/SW 기업 취업(예정)자에 대한 ICT 심화 교육 제공으로 전문기술 인력 확보
- 무인 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대응하여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 기본 교육부터 재택근
무 등 경제・사회 활동을 위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 활용능력) 향상
○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 제주형 농업관측・공공데이터센터를 설립・운영하고 농업관측 및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개발 및 제공
- 공간정보 데이터 공유・활용을 통한 인프라 구축 및 각종 인・허가, 하천개발, 재난대응 등 과학적인
행정업무 추진체계 구축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연안역 해양생물자원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체계 구축
■ 산학연 과학기술 혁신역량 및 협력 강화
○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 용암해수 제품 다각화를 위한 생산지원시설, 입주기업 인프라 확충 및 용암해수 농축수 활용한 미
네랄 기반 기능성 식품(액상조미료) 다각화로 지역특화 고부가가치 산업화 구현
- 그린수소 생산 시험분석 및 인증획득 지원(시험평가 위한 센터건립, 시험장비 및 시험평가 및 실증
설비구축, 실증을 통한 기업의 제품개발 지원)
- 중소기업 현장 기술애로 해소 및 공정혁신 지원을 통한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제주특별자치도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의 핵심 분야의 인재양
성, 연구개발 등 혁신활동 활성화
5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기업 수요 맞춤형 현장 중심 교육 및 연구개발 사업 등 산학 일체형 사업 지원으로 산업현장 내 연구
개발, 인력양성, 고용 등 선순환 체계 구축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개발 및 활용을 통한 자원 선순환 체계 마련
■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선순환 체계 마련
○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제주지역 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기술을 발굴하여 기술거래를 촉진하고, 이전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여 제주지역 산업 전반의 기술경쟁력 강화
- 2050 글로벌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탄소중립 문화 정착을 위한 도민 주도 사업추진
- 화장품 박람회, 항노화 학술포럼 개최로 마케팅 지원 및 정보교류 활성화
○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 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을 통한 R&D 컨트롤타워 구축
- 제주지역의 R&D 과제정보와 연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과학기술관련 DB와 시스템 구축
- 제주의 과학기술 R&D 기획・추진 역량 제고와 대규모 국비 R&D 유치를 위한 지역주도형 R&D 사
업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3 589
참 고 문 헌
강원도 홈페이지 www.provin.gangwon.kr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
경상남도 홈페이지 www.gsnd.net
경상북도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관계부처 합동,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www.gwangju.go.kr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교육통계연보 2023
국가균형발전시스템 https://www.nabis.go.kr/contentsDetailView.do?menucd=142&menuFlag=Y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www.daegu.go.kr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www.daejeon.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https://www.smes.go.kr/venturein/home/viewHome
벤처인 홈페이지 http://www.venturein.or.kr/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www.busan.go.kr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3년 3/4분기)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www.seoul.go.kr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www.sejong.go.kr
연구개발지원단(공동사업), 전국 연지단 지역혁신기관 활동조사보고서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www.ulsan.go.kr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www.incheon.go.kr
전라북도 홈페이지 www.jeonbuk.go.kr
전라남도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www.jeju.go.kr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http://www.mss.go.kr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www.innobiz.or.kr
5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지방재정 365 http://lofin.mois.go.kr
지방시대위원회,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bi.go.kr
충청남도 홈페이지 www.chungnam.net
충청북도 홈페이지 www.cb21.ne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특허청 홈페이지 http://www.kipo.go.k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한국RIC협회 홈페이지 http://www.ric.re.kr
행정안전부, 행정안전통계연보
각 부처 2023년 업무보고 및 보도자료
「김영식 '지역과학기술혁신법' 발의…"지역 활력 되찾을 것」, 뉴스핌 (2023.06.09.),
URL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609000215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인쇄 : 2024년 2월
발행 : 2024년 2월
편집 및 발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지역혁신정책센터
Tel. 043-750-2502 http://www.kistep.re.kr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94, 세종파이낸스센터 2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전략과
Tel. 044-202-6735 http://www.msit.go.kr
|
과학기술연감 |
2022년 과학기술연감
|
2023-04-26
|
|
<p> </p>∙∙∙ 3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그리고 과학기술인 여러분!
2022년은 윤석열 정부의 시작과 함께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대비하여 과학기술 시스템을
재설계하고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 해였습니다. 또한,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누리호’ 2차 발사 성공, ‘다누리호’ 달 궤도 진입 성공 등으로 우리나라 우주탐사 역량을 확인한
뜻깊은 해 이기도 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새 정부 국정 과제를 반영한 ‘제5차 과학기술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향후 5년
간의 과학기술 청사진을 제시하였습니다. 국가R&D 전략성 강화, 임무중심형 R&D를 통한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민간 중심 혁신생태계 조성을 주요 방향으로 정하고, 기존의 기술개발
중심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과학기술로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또한, 지난 10월 대통령 주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국가 생존에 꼭 필요한
‘국가 전략기술 육성방안’을 발표하여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를 바탕
으로 전략기술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보호하여 미래 신산업 발전을 촉진해 나갈 것입니다.
국제 규범으로 자리 잡은 탄소중립 시대에 발맞추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담은 ‘탄소
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도 수립하였습니다. 민․관이 함께 힘을 모으는 임무 중심 R&D를
통해 탄소중립 핵심 기술을 선정․개발하는 체계를 마련한 것입니다. 이 전략의 후속 조치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을 확정하는 등 탄소중립 R&D 투자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한편, 지난 12월에는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 및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을 수립하여
바이오와 디지털 접목을 통한 혁신기술 확보 기반을 다졌습니다. 아울러,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사업’ 신설, ‘블라인드 채용 완화’, ‘과기원 공공기관 해제’ 등 제도개선을 추진하여 연구자가
자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과학기술 분야 주요 성과를 한데 모아 『2022년도 과학기술연감』을 발간하였
습니다. 과학기술 분야 사료로서 매년 발간되는 연감이 국민과 과학기술계 종사자 모두에게
국가 과학기술정책을 돌아보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연감 발간을
위해 힘써주신 집필진 및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 어린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는 시대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앞으로도 과학기술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 종 호
iv
제1부 특집테마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1. 한국형발사체의 역사 및 의의 ·············································································3
2. 누리호 발사 성공 사례 ·······················································································5
3. 향후 정책 및 기술개발 방향 ·············································································12
제2부 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17
제1절 국가과학기술 비전 추진현황 ············································································17
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수립 ········································································17
2.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성과 ········································································25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27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27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34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46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46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46
2.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이하 투자방향) ·····························48
3. 2023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50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53
제2절 국가연구 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54
1.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연구 자율성 강화 ·························································54
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60
3.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제도 개선 ·····································································66
4.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73
5.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활용 혁신 ··································································79
v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85
제1절 과학적 지식 탐구 및 창의ㆍ도전적 연구 진흥 ·················································85
제2절 연구몰입 환경 조성 ························································································92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성과 ············································································92
2. 연구자 주도 R&D 제도 혁신 ············································································98
제3절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104
제4절 과학기술문화 확산 ························································································110
제5절 과학기술 외교 강화 ······················································································116
1. 국가 간 협력(양자) ·························································································116
2. 국제기구 협력 ································································································121
3. 글로벌 진출지원 ·····························································································124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126
제1절 협력・융합연구 활성화 ···················································································126
1. 융합연구 ·········································································································126
2. 나노・소재기술 ································································································132
제2절 기술혁신형 창업・벤처 활성화 ······································································136
제3절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 창출 ···········································································144
제4절 디지털 표준을 통한 선도형 경제 전환 ························································152
제5절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 ···································································155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161
제1절 4차산업혁명 대응 기반 강화 ·······································································161
1.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 ·············································································161
2. ICT 분야 표준・특허 경쟁력 강화 ···································································164
제2절 국가전략기술 육성 ························································································168
제6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177
제1절 건강하고 활기찬 삶 구현 ··············································································177
제2절 안심・안전한 사회 구현 ·················································································185
1. 재난·안전 ·······································································································185
2. 국방역량 강화 ································································································188
vi
제3절 쾌적·편안한 생활환경 구현 ·········································································192
1. 기후변화 대응 ································································································192
제4절 포용적 사회 실현 ··························································································197
제3부 과학연구개발 활동 현황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209
제1절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및 의의 ····································································209
1. 개요 및 의의 ··································································································209
제2절 주요 활동조사 결과 ······················································································210
1. 연구개발비 ·····································································································210
2. 연구원 ············································································································210
3. 기업부문 연구 활동 ······················································································210
4. 신규 R&D투자기업(’17)에 대한 정부R&D지원 효과 ·······································210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211
제1절 개요 및 의의 ································································································211
제2절 주요 조사・분석 결과 ····················································································212
1. 국가 R&D 총 집행규모 ··················································································212
2. 주요 기술 분야 집행현황 ················································································212
3. 연구개발 단계별 및 연구수행 주체별 집행현황 ···············································212
4. 과제별 및 연구자별 현황 ················································································212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13
제1절 기초기반연구 ································································································213
1. 기초연구 ·········································································································213
2. 원자력 ············································································································262
제2절 정보통신기술(IT) ···························································································287
1.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287
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320
3. 방송통신융합 ··································································································331
4. 정보보호 ·········································································································345
vii
제3절 생명공학기술 ································································································358
1. 생명과학 ·········································································································358
2. 보건의료 ·········································································································372
3. 식품・의약품 등 안전 분야 ············································································387
4. 농림・축산・식품 ······························································································399
5. 산림 ···············································································································420
6. 수산 ···············································································································427
제4절 환경공학기술(ET) ··························································································442
1. 환경 ···············································································································442
2. 해양 극지 개발 ······························································································462
3. 기상 ···············································································································479
4.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486
5. 에너지 및 자원 ······························································································500
제5절 나노(NT)기술 ································································································520
제6절 우주항공기술 ································································································536
제7절 문화기술 ·······································································································544
제8절 산업기술 ·······································································································559
제9절 국방・재난안전 기술 ······················································································623
1. 국방 ···············································································································623
2. 재난안전 ·········································································································653
제10절 건설・교통 기술 ···························································································662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662
제4부 첨부자료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687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722
제3장 2022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744
제4장 2022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775
viii
표 목 차
<표 1-1> 국내 발사체 개발 현황 ·······································································································4
<표 2-1> 자문회의 소위원회 및 위원 구성 ·······················································································28
<표 2-2> 심의회의 위원 구성 ··········································································································29
<표 2-3> 2022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31
<표 2-4> 2021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실적 ································································34
<표 2-5> 2022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37
<표 2-6> 2022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현황 ··············37
<표 2-7>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44
<표 2-8> 2023년도 정부 연구개발예산 부처별 현황 ········································································53
<표 2-9>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확정 23개 기관 PBS 개선 방향 ······················································58
<표 2-10> 2022년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59
<표 2-11> 대과제 지정・심의 체계 개선 주요사항 ············································································59
<표 2-12>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위탁 전후, 종합평가 항목별 가중치 ···········································64
<표 2-13>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상위평가 결과 ····························································69
<표 2-14>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74
<표 2-15> 2022년도 우수성과 100선 분야별 최우수성과 ································································75
<표 2-16>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정기관 ·············································································82
<표 2-17> 유휴장비 활용 중소기업 현황 ··························································································83
<표 2-18> 2022년도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분야별 예산 ···································································88
<표 2-19> 2022년도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적용 분야별 주요 추진 내용 ··········································88
<표 2-20> 2021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개선(안) 추진 과제 ····························································92
<표 2-21> 2022년도 제도개선 기본방향 ························································································100
<표 2-22> 과학기술 및 ICT 분야 주요 다자기구 및 협의체 현황 ··················································122
<표 2-23> STEAM연구사업 10대 미래유망분야 ············································································127
<표 2-24> 2022년 전통문화-과학기술 융합 활성화를 위한 주요행사 ·············································128
<표 2-25> 2022년도 부처별 융합연구개발 신규사업 ······································································131
<표 2-26> 2021년도 주요 추진성과 ······························································································131
<표 2-27> 주요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예산 ···················································································139
<표 2-28>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별 혁신전략 추진절차 ·····························································145
ix
<표 2-29> 소부장 핵심품목 R&D에 대한 IP-R&D 지원현황 ·························································146
<표 2-30> 2022년도 부처별 재정 투자 계획 ·················································································153
<표 2-31>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사례 ······································································158
<표 2-32>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지원 유형 ·················································································160
<표 2-33> 2022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 ·························································································181
<표 2-34> 신약개발 분야 주요 기술수출 성과(2021년~2022년) ····················································182
<표 2-35> 2021년 대비 2022년 국방기술개발 예산 증가액 및 증가율 ·········································190
<표 3-1> 기초연구사업 예산 ··········································································································214
<표 3-2> 퍼라이트/에어로젤 보온재 비교 ·······················································································231
<표 3-3> 연구기관별 극한환경 정의 ·······························································································237
<표 3-4> 7대 측정표준 거대이슈(Metrology Grand Challenge) ··················································247
<표 3-5> 주요국 국가측정표준기관 중점 연구분야 ··········································································247
<표 3-6> 우리나라 KC 수행실적 ····································································································248
<표 3-7>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추진사업 내역 ·····································································248
<표 3-8> NMI(KRISS)의 국가측정표준 보급 활동 및 실적 ····························································249
<표 3-9> 국내・외 대형 중이온가속기 및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 ····················································252
<표 3-10> 중이온가속기 실험장치별 주요 활용연구 ········································································258
<표 3-11> 주요국들의 SMR 개발 추진 현황 ·················································································267
<표 3-12> 2022년도 ICT R&D 분야별 투자규모 ··········································································288
<표 3-13> 사람중심 인공지능 핵심기술개발사업 추진내용 ······························································292
<표 3-14> 빅데이터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내용 및 규모 ·······················································296
<표 3-15> 2022년 공개된 국외 주요 대형언어모델 ·······································································300
<표 3-16> 2022년 공개된 국외 주요 대형언어시각모델 ·································································302
<표 3-17> 국내 주요 대형언어/언어시각모델 ·················································································305
<표 3-18>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현황 ······················································································313
<표 3-19> 이동통신 분야 2022년 대표 성과 ·················································································322
<표 3-20> 네트워크분야 2022년 대표 성과 ···················································································323
<표 3-21> 전파・위성 분야 2022년 대표 성과 ···············································································324
<표 3-2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기술 ····························································································325
<표 3-23> 2022년도 방송 분야 주요성과 ······················································································333
<표 3-24> 바이오 혁신기술(원천기술, 플랫폼기술) 사례 ·································································371
<표 3-25> 2022년 감염병 R&D 분야 예산 현황 ··········································································373
<표 3-26> 2022년 재생의료 R&D 분야 예산 현황 ·······································································374
x
<표 3-27> 2022년 신약・의료기기・DNA R&D 분야 예산 현황 ······················································375
<표 3-28> 2022년 사회문제 해결형 R&D 분야 예산 현황 ····························································376
<표 3-29> 2022년 질환극복 R&D 분야 예산 현황 ·······································································377
<표 3-30> 2022년 연구생태계 R&D 분야 예산 현황 ····································································378
<표 3-31> 국산 신약개발 현황 ······································································································378
<표 3-32> 신약개발 분야 주요 기술수출 성과 ···············································································379
<표 3-33> 국산 의료기기 개발 및 출시 ·························································································380
<표 3-34> 최근 5년간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논문실적 현황 ··························································381
<표 3-35> 최근 5년간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381
<표 3-36>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연구분야 투자현황 ······································································402
<표 3-37> 기구 또는 위원회별 식품첨가물의 정의 ·········································································416
<표 3-38> 국내 배양육 벤처기업들의 연구개발 및 육성 현황 ························································418
<표 3-39> 수산 R&D 연도별 투자 동향 ························································································428
<표 3-40> 2022년도 수산 연구개발사업 투자내역 ·······································································429
<표 3-41> 수산 분야 기술 분류 및 설명 ·······················································································437
<표 3-42> 2022년 환경분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 ··········································································442
<표 3-43> 해양 R&D 연도별 투자 동향 ························································································464
<표 3-44> 해양 R&D 분야별 투자 비중 ························································································464
<표 3-45> 2022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465
<표 3-46>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467
<표 3-47> 2020년 해양수산과학기술 국가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전체) ······································469
<표 3-48> 5대 추진 전략 및 과제 ·································································································476
<표 3-49> 주요 성과 ·····················································································································478
<표 3-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주요 R&D 지원현황 ····································487
<표 3-51> 에너지원 분류 및 종류 ·································································································502
<표 3-52> 2022년 글로벌 풍력 터빈 제조사 순위 ········································································505
<표 3-53> 2021년도 부처・기관별 나노분야 투자 실적 ··································································520
<표 3-54> 2022년도 부처・기관별 나노분야 투자 계획 ··································································521
<표 3-55>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연구단 ·····················································522
<표 3-56> 2022년 연구단 기술이전 대표 성과 ··············································································523
<표 3-57> 2022년 연구단 사업화 매출액 대표 성과 ·····································································523
<표 3-58> 2022년도 나노・소재 미래기술 분야 대표 성과 ·····························································524
<표 3-59> 2022년도 나노・소재 기반구축 분야 대표 성과 ·····························································525
xi
<표 3-60> 2022년도 나노융합2020+사업 대표성과 ·······································································526
<표 3-61> 나노기술의 속성에 따른 주요분류 ·················································································527
<표 3-62> 대표성과 사례 ···············································································································545
<표 3-63> 저작권 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546
<표 3-64> 문화유산 스마트 보존・활용 기술개발 사업 연구개발과제 ···············································557
<표 3-65> 2022년 새 정부의 산업기술 혁신전략 ··········································································560
<표 3-66> 산업혁신기반구축 로드맵 분류체계 ················································································561
<표 3-67> 일반기계 산업 주요 분야별 품목 ···················································································563
<표 3-68>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상 기계기술의 분류 및 정의 ·························································563
<표 3-69> 석유화학 공정 시 ICT 적용 ··························································································576
<표 3-70> 해외 기술 대비 국내 기술 현황 ····················································································586
<표 3-71> 세계 친환경차 판매량 현황 ···························································································596
<표 3-72> 로봇 분류 및 사례 ········································································································604
<표 3-73> 중국의 메모리 기술격차 현황 ························································································617
<표 3-74> 미국DARPA의 BCI 관련 연구과제들 ············································································632
<표 3-75> 2022년 착수(1단계, 2단계) 특화연구 과제 목록 ···························································643
<표 3-76> 2022년 착수 예정 4차 산업혁명 민・군겸용 핵심기술분야 신규과제 ······························648
<표 3-77> 2022년 민・군 우주기술분야 신규 착수 과제 ································································649
<표 3-78> 2022년 착수 미래도전국방기술 과제 목록 ····································································650
<표 3-79> 분야별 재난안전 R&D 연구 성과 분석 ·········································································655
<표 3-80>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과 디지털 건설기술 현황 ······················································670
<표 3-81> 건설산업의 디지털 기술 중 영향력 있는 분야 순위 ·······················································670
<표 3-82> 2022년 신규 추진된 교통・물류분야 국가 R&D 현황 ····················································681
xii
그림 목차
[그림 2-1] 비전 및 추진과제 ···········································································································18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27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27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29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47
[그림 2-6]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49
[그림 2-7] 최근 10년간 연구개발 투자 증가율 ················································································51
[그림 2-8] 최근 10년간 정부 총지출 및 연구개발 투자 규모 ···························································52
[그림 2-9]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56
[그림 2-10] 일반예타와 신속조사의 조사기간 비교 ··········································································62
[그림 2-11] 총괄위원회, 분과위원회 및 종합평가위원회 구성 ···························································63
[그림 2-12]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교육 및 분과위원 교육 ·····························································64
[그림 2-13]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현장방문 ···················································································65
[그림 2-14]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66
[그림 2-15] 국가연구개발 성과 관리・활용 제도개선안 주요내용 ·······················································77
[그림 2-16]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77
[그림 2-17]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비전 및 추진전략 ·································80
[그림 2-18]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81
[그림 2-19] ZEUS 워크숍 실시 ·······································································································83
[그림 2-20] KSFree2022 ···············································································································84
[그림 2-2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찾아가는 현장설명회 ······································································93
[그림 2-22] IRIS 통합 고객대응체계 ·······························································································95
[그림 2-23]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 구성 ···························································································96
[그림 2-24] 제재처분 절차의 변화 ···································································································96
[그림 2-25] IRIS 고도화 추진 방향(안) ···························································································98
[그림 2-2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99
[그림 2-27]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응답자 분포도 ···································································101
[그림 2-28]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102
[그림 2-29]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 주요내용 ·······································106
xiii
[그림 2-30]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111
[그림 2-31]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113
[그림 2-32] 국립과학관(중앙, 광주, 부산) 내 어린이과학관 ··························································114
[그림 2-33] STEAM연구사업 ········································································································127
[그림 2-34] 2022년 STEAM연구사업 성과공유회 행사전경 ··························································130
[그림 2-35] 2022년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관련 주요행사 ················································130
[그림 2-36]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별 100대 미래소재 ·································································134
[그림 2-37] 기준금리, 환율 인상 추이 ···························································································136
[그림 2-38] 창업 생태계 규모 변화 ·······························································································136
[그림 2-39]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138
[그림 2-40]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140
[그림 2-41]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141
[그림 2-42] 창업중심대학 ··············································································································142
[그림 2-43] 2022년도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143
[그림 2-44]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150
[그림 2-45]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55
[그림 2-46]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156
[그림 2-47]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절차 ···································································158
[그림 2-48] 초광역 협력 사업 추진 프로세스 ················································································159
[그림 2-49] 이동통신 세대별 주요 기술 변화 ················································································162
[그림 2-50] 1단계 6G R&D 연차별 추진 계획 ·············································································162
[그림 2-51]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163
[그림 2-52] 전략기술 육성 관련 주요국 동향 ················································································168
[그림 2-53] 국가전략기술 선정 기준 ······························································································169
[그림 2-5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추진방향 및 예시 ···································································173
[그림 2-55] 임무지향 전략로드맵 핵심요소 ····················································································174
[그림 2-56]한국 기대수명 추이(2010~2020년) ··············································································177
[그림 2-57] 2022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179
[그림 2-58] 2022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성과 ···········································································181
[그림 2-59] 제4차 종합계획 비전 및 목표 ·····················································································187
[그림 2-60] 2022년 개발 완료된 핵심기술 연구개발 사례 ····························································190
[그림 2-61]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주요내용 ····················································193
[그림 2-62] 「수소기술 미래전략」 주요내용 ····················································································194
xiv
[그림 2-63] CTCN 협력연락사무소 개소식 및 기후기술 인력양성 특화센터 현판식 ·······················195
[그림 2-64]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사업 지역혁신 사례 ································································198
[그림 2-65] 폴리스랩 2.0 2022년 선정 본연구 과제 ····································································200
[그림 2-66]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주요성과 ···················································································201
[그림 2-67] 소방안전관리자용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프로토타입의 작업 모습 ···························202
[그림 2-68]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추진과제 ·····························································203
[그림 2-69]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추진 전후 개선 효과 ····································204
[그림 2-70] 실시간 광대역 감시망 구축 기술개발을 위한 총괄 추진체계 ·······································205
[그림 3-1]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추진체계 ··········································································211
[그림 3-2] 동형암호의 원리 ···········································································································222
[그림 3-3] 코로나19 확산 관련 예측 ·····························································································223
[그림 3-4] 화학산업 및 전후방 산업 ······························································································229
[그림 3-5] 주요분야별 석유사용량 ·································································································230
[그림 3-6] 제3회 지구과학연합 연례학술대회 ·················································································234
[그림 3-7] 희귀동위원소의 특징 ·····································································································251
[그림 3-8] 중이온가속기 RAON의 희귀동위원소 생성원리 ·····························································252
[그림 3-9]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SU)의 FRIB 초전도 가속모듈 ···············································253
[그림 3-10] 독일, GSI 헬름홀츠 중이온연구소 FAIR 건설 현장 ····················································254
[그림 3-11] 가속장치 구축현황 ······································································································256
[그림 3-12] 기반장치 구축 현황 ····································································································257
[그림 3-13] RI생성장치 구축현황 ··································································································257
[그림 3-14] 초저에너지 실험장치 현황 ··························································································258
[그림 3-15] 저에너지 실험장치 현황 ······························································································259
[그림 3-16] 고에너지 실험장치 구축현황 ·······················································································260
[그림 3-17] 중이온가속기 빔 인출 시험절차 ··················································································260
[그림 3-18] 중이온가속기 QWR 전 구간 빔 인출 결과 ································································261
[그림 3-19] 핵물리 분야 연구 추진(안) ·························································································262
[그림 3-20] 미소셀 소결체 소재 성능 개선 ···················································································264
[그림 3-21] 피복관 제조 기술 ·······································································································264
[그림 3-22] 방사선 분해성 원료물질 생산 및 실증 ········································································264
[그림 3-23] 원자력을 이용한 수전해의 원리 ··················································································268
[그림 3-24] MARVEL 프로토타입 ·································································································269
[그림 3-25] ARPA-E 원자력분야 연구개발 프로그램 ····································································270
xv
[그림 3-26] 혁신형 SMR 개념도 ···································································································273
[그림 3-27] 산업 이용 방사선 융합기술 개발 전략 ······································································274
[그림 3-28] ITER 사업의 한국 조달 현황 ··················································································277
[그림 3-29] 2021년 KSTAR 1억도 30초 달성 ·············································································283
[그림 3-30] 2021년 ITER 조달품목 제작 및 운송 현황 ································································285
[그림 3-31] 세계 ICT 산업 성장 현황 ···························································································287
[그림 3-32] 국내 ICT 산업의 GDP/무역수지 기여 현황] ·······························································288
[그림 3-33] 디지털 혁신기술 ·········································································································289
[그림 3-34]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인공지능) 사업 성과 ··································································291
[그림 3-3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93
[그림 3-36] 2022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293
[그림 3-37] 2020~2025년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 전망 ·······················································295
[그림 3-38] 코딩 AI 도구 코파일럿(Copilot) 서비스 ·····································································301
[그림 3-39] DALL-E2 텍스트(“An astronaut riding a horse”)로부터 생성한 이미지 예시 ·········301
[그림 3-40] Human level AI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304
[그림 3-41] DARPA의 제3세대 인공지능 기술 개발 ·····································································305
[그림 3-42] 인공지능 기술 조감도(Intelligence vs Capacity) ······················································307
[그림 3-43] 주요국 디지털 데이터 시장 규모(2016~2020) ···························································309
[그림 3-44] 국내 데이터 시장규모(2016~2020) ············································································312
[그림 3-45] 주요 추진 성과 ··········································································································312
[그림 3-46] 통합 데이터지도 주요 기능 ························································································316
[그림 3-47]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와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 화면 ································319
[그림 3-48] 3GPP Ongoin Release timelines ···········································································326
[그림 3-49] ITU-R IMT-2030 work plan ··················································································328
[그림 3-50] 구글, UC Berkeley의 딥러닝 기반 시점영상 합성 기술 ············································337
[그림 3-51] 비디오 부호화 기술 표준화 동향 ················································································339
[그림 3-52] 오디오 부호화 기술 표준화 동향 ················································································339
[그림 3-53] 5G와 ATSC 3.0 방송망 융합 전송 기술 ···································································340
[그림 3-54] ETRI 인공지능 기반 장면 자동 해석 기술 ··································································341
[그림 3-55] ETRI 의료현장 양방향 수어 동시통역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344
[그림 3-56] 경로-파괴형(path-breaking)으로의 R&D혁신 모델 전환 ···········································363
[그림 3-57] 바이오 대전환의 3가지 방향 ······················································································364
[그림 3-58] 개인 맞춤형 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모식도 ··································································367
xvi
[그림 3-59]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조직 재생의 주요 공통 인자(Dsp)의 작용에 관한 모식도 ···········368
[그림 3-60] 연구결과 요약 모식도 ·································································································370
[그림 3-61]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성과(렉키로나) ········································································380
[그림 3-62] 코로나19 방역용품 개발 성과 ····················································································381
[그림 3-63] 신약개발 단계별 AI·빅데이터 활용 방안 ·····································································384
[그림 3-64] 제1차 통합심사 혁신의료기기 지정 현황 ····································································385
[그림 3-65] 식약처 식품안전 중장기 발전방향 ···············································································394
[그림 3-66] 국가별 수위기반 간단관개 기술의 적용비율 ································································403
[그림 3-67] 전 세계 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404
[그림 3-68] 스마트 양식 기술 개발 관련 연구 추진 ······································································431
[그림 3-69] 수산식품 개발 관련 연구 추진 ···················································································431
[그림 3-70] 해양바이오 기술개발 및 상용화 관련 연구 추진 ·························································432
[그림 3-71] 수산자원 관리 관련 연구 추진 ···················································································433
[그림 3-72]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연구 추진 ···················································································434
[그림 3-73] 수산생명자원 관련 연구 추진 ·····················································································435
[그림 3-74] 수산질병 관련 연구 추진 ····························································································435
[그림 3-75] 수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선진화 관련 연구 추진 ···················································436
[그림 3-76] 기후・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445
[그림 3-77] 토양・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445
[그림 3-78] 생태・자원순환 분야 주요 연구성과 ·············································································446
[그림 3-79] 환경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447
[그림 3-80] 노출평가 사례연구 및 표준 프로토콜(안) ····································································448
[그림 3-81] 살생물제품 효과효능시험(모의표면시험) ·······································································449
[그림 3-82] 대기질 측정용 중형항공기 및 항공관측 결과 ······························································450
[그림 3-83] 국제인정협력기구(IAF) 다자간상호인정협정(MLA) 협정서 ············································451
[그림 3-84] 비정형 배출구 악취물질 측정방법 ···············································································452
[그림 3-85] 미세먼지 모델 예측 결과 ····························································································453
[그림 3-86] 환경위성센터 누리집 위성영상 관련 화면 ···································································453
[그림 3-87] LH-OAT 기법을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 및 DNN 자료기반 시계열 녹조 예측 ·······454
[그림 3-88] 수질항목별 손상수체 우선관리지역 분석결과 ·······························································455
[그림 3-89] 다양한 형태의 미세플라스틱 및 처리장 방류량과 미세플라스틱 부하량 관계 ···············456
[그림 3-90] 폐플라스틱 재활용 전과정 평가연구 연차별 진행 계획 ················································456
[그림 3-91] 폐플라스틱 물질흐름도(’19년 기준) ············································································457
xvii
[그림 3-92]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물질수지 흐름도 및 매립시설 현장조사 ································457
[그림 3-93] 이천시의 물환경 관리계획 종합 참고도 ·······································································458
[그림 3-94] 적정환기방법 및 적정환기 시 1일 평균 실내라돈농도 ·················································459
[그림 3-95] 신속한 수질판단을 위한 필터시험법 활용 가이드라인 ·················································460
[그림 3-96] 환경측정기기 신뢰성 평가(테스트베드) ········································································461
[그림 3-97] 폐광산 주변지역 현지조사 및 골프장 토양 시료채취 ···················································461
[그림 3-98] 해양분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467
[그림 3-99]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 연구내용 ···········································471
[그림 3-100] 한국형 연안재난재해 피해저감 기술개발(K-Ocean Watch) ·····································471
[그림 3-101]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480
[그림 3-102] 인공강우 항공실험 결과 및 언론보도 ········································································481
[그림 3-103]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482
[그림 3-104]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지역 기상정보 상세모델(10 m 해상도) 산출물 ························482
[그림 3-105]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목록 ·················································································504
[그림 3-106] 현장 데이터 취득 센서 장착 및 생산예측 평가시스템 구현 ·······································514
[그림 3-107] 나노기술의 정의 및 특징 ··························································································526
[그림 3-108] 나노 및 소재기술의 발전 ··························································································527
[그림 3-109] 양자점 활용 조명과 THz 카메라 ··············································································528
[그림 3-110] 칩 없는 무선 전자스킨과 계산하는 실리콘 이미지 센서 ············································529
[그림 3-111] 전고체전지 금속산화물 나노필름과 그래핀 기반 고분자 전지 ····································530
[그림 3-112] MXene 기반 마이크로로봇의 나노플라스틱 검출과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기반 바이오플라스틱···531
[그림 3-113] 지질나노입자 이미지과 웨어러블 마이크로 니블 전기화학적 aptamer 바이오센서 ····532
[그림 3-114] Robotic four-dimensional pixel assembly of van der Waals solids ··············535
[그림 3-115]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상상도와 설치위치(NASA) ··················································541
[그림 3-116] ㈜더블미, ㈜투썬디지털아이디어 및 삼성전자의 실감 가상인간 생성 기술 ·················550
[그림 3-117] 문화유산 기술개발 2022년 주요 성과 ······································································557
[그림 3-118] 스마트 팩토리 적용 사례 ························································································566
[그림 3-119] Universe Robot社(미국)의 협동로봇 및 보스톤다이내믹스(현대차그룹 인수)의 ‘Spot’ ·····567
[그림 3-120] ASML社 EUV, 장비 및 IBM의 세계최초 2나노 반도체 ··········································569
[그림 3-121] 산업용 로봇 및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 ······································································571
[그림 3-122] 국내 최초 액화수소 플랜트 모식도 및 수소 혼소 연소기 ··········································573
[그림 3-123] 5대 기계산업 2021~2022년 월별 생산・출하・재고 증가율 ·······································574
[그림 3-124] 5대 기계산업 2021~2022년 월별 수출입 증가율 ·····················································574
xviii
[그림 3-125] 과학기술(화학)과 ICT 간 융합사례 ···········································································577
[그림 3-126] 석유화학과 철강의 융합사례 ·····················································································578
[그림 3-127] CO2 배출 감축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여 방안 ··························································580
[그림 3-128] GE g3 가스 적용 145㎸ GIS 및 SIEMENS 진공차단방식 145㎸ GIS ··················582
[그림 3-129] 롤스로이스, 수소연료 항공기 엔진 세계 최초 시험 성공 ···········································583
[그림 3-130] 국내 EMS 구축 연혁 ·······························································································584
[그림 3-131] 기존 국산 EMS와 차기EMS 기능 운영도 ································································585
[그림 3-132] LS Electric 친환경 170㎸ GIS 및 현대일렉트릭 친환경 170㎸ GIS ······················586
[그림 3-133]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개요 ································································591
[그림 3-134]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및 시험선 ······································································592
[그림 3-135]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센티미터급 위치정보 보강서비스 기술 개념도 ·························593
[그림 3-136] 최근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혁신 사례 ·········································································598
[그림 3-137] Tesla Semi 외형 및 실내(운전석) 사진 ···································································599
[그림 3-138] 최근 공개된 수소전기차 및 개발 중인 수소 내연기관차 ············································601
[그림 3-139] 자동차 생산효율 제고 및 개발비용 절감 사례 ··························································604
[그림 3-140] 테슬라,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606
[그림 3-141] 구글 리서치, PaLM-SayCan ···················································································607
[그림 3-142] 구글 리서치, Inner Monologue ··············································································607
[그림 3-143] 스탠포드대, 개인화된 로봇 부츠 ···············································································608
[그림 3-144] ETH, 스위스 에첼산을 등반하는 4복 보행 로봇 ‘애니멀’ ·········································608
[그림 3-145] 글래스고대, 고통에 반응하는 민감 전자피부 ·····························································609
[그림 3-146] 이탈리아기술원(IIT), 유연 인공근육 ··········································································610
[그림 3-147] 코넬대, 스마트 마이크로 로봇 ··················································································611
[그림 3-148] KAIST, 4족 보행 로봇 마블 ····················································································613
[그림 3-149] KAIST, 로봇 피부의 수리 및 기능 복구 ···································································614
[그림 3-150]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별 공정 로드맵 ········································································618
[그림 3-151] 기술성숙도에 따른 핵심기술의 단계별 구분 ······························································623
[그림 3-152]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624
[그림 3-153] 관리심도에 따른 사업관리 업무 차등화 ····································································624
[그림 3-154] 미래도전국방기술 3대 추진전략 ················································································625
[그림 3-155] 기술주도형 소요창출 강화를 위한 3개의 과제기획 제도 ···········································625
[그림 3-156] 우주기술 관련 민군겸용기술개발과제 ········································································626
[그림 3-157] 다중로봇 협동 자율계획 기술개발 ·············································································627
xix
[그림 3-158] 「’23~’27 부품국산화 종합계획」 ···············································································628
[그림 3-159] 국방기술개발 분류 ····································································································629
[그림 3-160] 국방연구개발 체계도 ·································································································630
[그림 3-161] N3 프로그램의 두 분야인 비침습(TA1) 및 최소침습(TA2)의 개요도 ·························633
[그림 3-162] OFFSET 프로그램 ···································································································634
[그림 3-163] 미국 고출력 레이저 개발 현황 ·················································································639
[그림 3-164] 독일 고출력 레이저 개발 현황(SBC) ········································································639
[그림 3-165] 중국 고출력 레이저 개발 현황 ·················································································640
[그림 3-166] 캘리포니아 팜데일 생산시설에서 최초 공개된 B-21 폭격기 ·····································641
[그림 3-167] 하이브리드 파워팩 전주기 관리 특화연구센터 구성 ···················································643
[그림 3-168] 민군기술협력사업 목적 개념도 ··················································································646
[그림 3-169] 민군기술협력사업 추진체계 ·······················································································647
[그림 3-170] 2022년 착수 4차 산업혁명기술 등 신산업 분야 과제 사례 ······································648
[그림 3-171] 2022년 착수 민군 우주기술분야 과제 사례 ······························································649
[그림 3-172] 2021년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현황 ·························································654
[그림 3-173] 2022년 8월 서울시 일대 침수피해 현황 ··································································656
[그림 3-174] 1912~2020년 연대별 강수 변화 추세 ·····································································657
[그림 3-175] 실시간 제어 시스템의 구성 ······················································································658
[그림 3-176] Data-Network-AI(DNA) 연계도 ·············································································660
[그림 3-177] 연차별 정부 및 국토교통 R&D 투자 규모 ································································662
[그림 3-178] 국토교통 R&D분야별 투자비중 및 추이 ···································································663
[그림 3-179] 2022년 국토교통 R&D 기술분야 별 지원사업 현황 ···············································663
[그림 3-180] 2022년도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추진 기본방향 ·······································664
[그림 3-181] 4대 중점 추진전략 + 2대 특별 핵심전략 과제 ·························································664
[그림 3-182] 2022년 국토교통 R&D 중점 투자방향 별 추진사업 ·················································666
[그림 3-183] 주요 산업별 생산성 추세 ··························································································668
[그림 3-184] 우리나라 스마트 건설 사업 추진 현황 ······································································673
[그림 3-185] 자율주행 도입에 따른 도로인프라의 구분 ·································································677
[그림 3-186] 자율주행을 고려한 차선관리 기준 ·············································································678
[그림 3-187] 위치참조 및 정보제공을 위한 자율주행 교통안전표지(예) ··········································679
[그림 3-188] CARMA 프로젝트의 구성 ························································································679
[그림 3-189] MAVEN 프로젝트의 I2V서비스 예 ···········································································680
∙∙∙ 3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1. 한국형발사체의 역사 및 의의
1) 우리나라의 발사체 개발 과정
우리나라는 1993년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KSR-I)을 개발하고 이어서 2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인 중형과학로켓(KSR-II)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 최초의 액체추진 과학로켓(KSR-III)을
개발하여 2002년 11월 28일 발사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러한 일련의 과학로켓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는 발사체 설계 및 제작능력을 일부분 확보하였다.
우리나라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는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되었는데 협력 국가는 러시아였다.
액체 추진기관으로 구성된 1단은 러시아에서 도입하고 고체 추진기관(킥모터)으로 구성된 2단은
국내에서 개발하여 100톤급 소형 위성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나로호는 2002년
부터 개발을 시작해 2009년 8월 25일에 1차 발사를 실시하였으나, 페이로드 페어링의 분리
실패로 위성을 목표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다. 2010년 6월 10일 2차 발사 시도과정에서는
비행 중 1단 연소구간에서의 발사체 폭발로 또다시 실패를 겪었다. 1~2차 발사 실패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한 다음 2013년 1월 30일에 마지막 3차 발사를 수행하였고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투입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나로호 개발은 우주발사체 기술자립을 위한 중간 과정으로 발사체 선진국의 기술과 경험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자기술로 개발하는 한국형발사체 개발이 2010년에
착수하였다.
한국형발사체 개발은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 사업에서는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과
7톤급 액체엔진 연소시험을 통해 국내 액체 추진기관 개발의 필수 시설인 추진기관 시험설비
10종을 구축하고, 액체엔진 자력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단계 사업에서는
75톤급 액체엔진을 개발하고, 이 엔진의 성능을 실제 비행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 목표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한국형발사체의 비행시험을 통한 성능검증으로 2021년 10월 21일에 1차
발사를 실시하였으나 3단 엔진의 조기 연소종료 현상 발생으로 목표궤도 투입에 실패하였다.
4 ∙∙∙
1차 발사 실패에 따른 원인파악 및 개선 조치 이후 실시한 2차 발사에서 모든 비행 과정을 정상적
으로 수행하고 성능검증 위성 등을 목표궤도에 투입함으로써 우리나라는 저궤도 실용위성급
우주발사체 기술을 온전히 확보하였고, 1톤 이상의 위성을 우주 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세계 7번째
국가로 발돋움하였다.
<표 1-1> 국내 발사체 개발 현황
구분 KSR-I KSR-II KSR-III
나로호
(KSLV-I)
시험발사체
(TLV)
누리호
(KSLV-II)
목적
1단형 무유도 과학
관측 로켓 국산화 개발
및 한반도 오존층 탐사
초기자세제어 기능을
갖춘 2단형 고체추진
과학 관측 로켓의 국산화
개발
액체추진로켓 독자
개발 및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100kg급 인공위성을
지구저궤도에 진입
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독자 개발을
위한 기술과 경험 확보
누리호에 사용될 75
톤급 액체엔진 성능을
비행을 통해 확인하기
위한 시험용 발사체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에 투입
시킬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우주발사체
기술 확보
개발기간 1990.7 ~ 1993.10 1993.11 ~ 1998.6 1997.12 ~ 2003.2 2002.8 ~ 2013.4 2015.8~2018.11 2010.3 ~ 2023.6
개발비
(억원)
28.5 52 780 5,025 - 19,572
길이(m) 6.7 11.1 14.0 33.0 25.8 47.2
직경(m) 0.42 0.42 1.0 2.9 2.6 3.5
중량(kg) 1,268 2,048 6,000 140,000 52,100 200,000
발
사
일
1호 1993.6.4 1997.7.9
2002.11.28
2009.8.25
2018.11.28
2021.10.21
2호 1993.9.1 1998.6.11 2010.6.10 2022.6.21
3호 - - 2013.1.30
특징
- 1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
- 2단형 고체추진
과학로켓
- 비행 중 2단 분리
성공
- 국내 최초의 액체
추진 로켓 독자 개발
성공
- 소형 위성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
- 국내 최초의 위성
발사체 개발
- 한・러 공동 개발
- 러시아 기술협력을
통한 체계기술 확보
- 1단형 발사체
- 발사 환경에서
엔진, 발사체
구성품 성능
점검
- 국내 최초의 실용
위성급 위성발사체
개발
- 국내 독자 개발
- 75톤급 액체엔진
개발
2) 한국형발사체 개발의 의의
한국형발사체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라 우리나라 독자기술로 개발한 발사체로
2010년 개발에 착수하여 2022년 발사체 비행시험을 통한 위성의 우주궤도 투입을 성공적으로
완료함으로써 발사체 개발의 전 과정을 자립화하여 기술개발을 완료하였다. 세계적으로 확대
되고 있는 우주개발 수요에 대등하고, 세계 우주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우주발사체 기술을 독자적
으로 확보한 것이다. 또한, 발사체 기술 보유국으로서 우주개발을 위한 국제공동연구에 참여
할 수 있는 기반도 확보하였다.
∙∙∙ 5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한국형발사체 독자 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성능의 발사체 개발도 가능
해질 전망이다. 실제로, 국가 우주계획의 차질 없는 수행과 향후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계획
수립 및 이행을 위해 기존 한국형발사체 대비 성능이 대폭 고도화된 발사체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을 준비하였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사업 착수를 준비하고
있다. 대형, 소형 발사체 등으로의 개발 확장으로 저궤도 대형・소형위성 발사, 달 탐사 및 심우주
탐사까지 가능한 발사체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우주개발 영역의 확장이 가능해진 것이다.
우주발사체 기술은 첨단기술 및 전통기술이 복합적으로 융합된 대형 융복합 기술로서 타
산업 분야로의 파급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기계・전기・전자・화공・신소재 등 많은 분야의 과학
기술이 집약된 핵심기술로 한국형발사체 발사를 통해 확보된 기술은 항공・조선・자동차・IT 등
타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주발사체의 성능 및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험설비 10종과 발사대 등을 구축하고, 운영
기술도 확보함으로써 발사체 개발에 필수적인 시설을 보유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향후에도
지속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시설도 확보하였다.
국내 산업체와 함께 누리호 개발을 수행하는 산・연 개발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국내 우주발사체
산업생태계 조성에 기여하였으며, 세계 7대 우주개발 강국으로서 국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미래 세대가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계기도 제공하였다.
2018년 대국민 명칭공모를 통해 선정된 한국형발사체의 이름은 누리호이다. 누리는 ‘세상’
이라는 뜻의 순우리말로, 누리호는 ‘우주까지 확장된 새로운 세상을 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누리호의 의미가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2. 누리호 발사 성공 사례
1) 기술개발 주요 성과
한국형발사체(누리호) 개발은 우주발사체 개발을 위한 설계,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 모든
과정을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우주발사체 기술자립과 핵심기술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 대표
적인 확보 기술에는 중대형 액체로켓엔진 기술,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 300톤급 추력 발생을
위한 클러스터링 기술, 대형 추진제 탱크 제작 기술, 발사체 체계종합 기술, 독자기술로 구축한
발사대 등을 들 수 있다. 나로호 개발 시에는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발사체 체계종합 기술을
경험하고 상단 고체 킥모터 개발, 나로우주센터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수행하여 우주발사체
독자 개발을 위한 기술과 경험 확보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번 누리호 개발을 통해 기술 자립화를
이룰 수 있었다.
6 ∙∙∙
가) 중대형 액체엔진 독자 개발
누리호의 주 엔진인 75톤급 및 7톤급 액체엔진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엔진 연소시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함으로써 시험기술까지 확보하였다. 75톤급 엔진은 개발 초기에는 기능과
성능 위주로 설계하여 목표한 중량보다 약 25% 무겁게 설계됐으나, 이후 반복적인 엔진 연소
시험 등을 통해 엔진 기능과 작동 환경에 대한 데이터 축적, 무게 감량을 위한 설계 개선, 구조
해석, 경량 소재 등을 적용하여 성능뿐 아니라 중량까지도 요구조건을 만족하였다. 75톤급 액체
엔진은 누리호 발사 전까지 모두 33기의 엔진을 시험하였으며, 지상 및 고공 모사 환경에서
총 184회, 누적 연소시간 18,290초를 수행하였다. 7톤급 액체엔진의 경우, 12기의 엔진을 시험
하였으며, 총 103회, 누적 연소시험 20,070.7초를 수행하였다. 또한, 2018년 11월에는 75톤급
액체엔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를 활용하여 제작한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
하여 액체엔진 기술이 차질 없이 확보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75톤급 엔진 연소시험 7톤급 엔진 연소시험 시험발사체 발사
∙∙∙ 7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나)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
누리호에 탑재되는 75톤급 액체엔진과 7톤급 액체엔진은 연소기, 터보 펌프, 가스발생기,
밸브, 배관 등으로 구성되는데, 구성품 시험을 통해 성능을 확인한 후 액체엔진으로 조립하여
시험을 수행하는 절차로 개발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착수 시점에는 액체
엔진을 시험할 수 있는 국내 시험설비가 없어 엔진 구성품 시험, 엔진 시스템 시험, 추진기관
시스템 시험이 가능한 총 10종의 시험설비 구축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었다. 나로우주센터 등에
구축된 시험설비는 극저온 유체(액체질소–196℃, 액체산소–183℃), 초고압(공기, 질소, 헬륨
400기압) 정밀 제어 그리고 공급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추력(최대 150톤) 등 데이터 측정, 진공
모사 환경(55mbar, 고도 20km에 해당) 등을 구현하였다. 또한, 국내 IT 기술의 우수성을 활용
하여 최신 제어・계측 시스템 구현으로 해외설비 대비 시험 안전성을 높이고, 제어・계측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150톤 하중 및 진동을 견딜 수 있는 특수 토목 설계․시공을 통해 구축함으로써
우주개발 강국인 미국, 러시아, 유럽, 일본의 시험설비와 대등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 터보 펌프 소형상사시험설비 확장 구축 (’12)
다) 대형 추진제 탱크 제작
추진제 탱크는 발사체 전체 부피의 80%를 차지하기 때문에 탑재성능의 확보를 위해서는
경량화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 단일 벽으로 제작되었고, 그 두께는 일반 탱크의
약 2.5~3.0mm 정도에 불과하였다. 반면, 최대 높이는 10m, 최대 직경 3.5m의 거대한 형상
으로 제작되었고, 탱크 내부에는 대기압의 4~6배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비행 중 가해지는
관성력・공력에 의한 하중과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이 요구됨에 따라 격자구조로 설계하였다.
8 ∙∙∙
격자구조는 삼각형 형태의 격자보강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로, 구조체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높이는 설계지만 최적치를 찾기 위한 반복적 계산과 해석이 필요한 극히 까다로운 기술이다.
추진제 탱크 추진제 탱크 내부 파열시험
라) 엔진 클러스터링 기술
누리호의 1단에 적용된 클러스터링 기술은 액체엔진 4기의 정확한 정렬과 균일한 추진력을
내는 것이 관건으로, 높은 기술적 난이도를 해결하기 위해 정교한 설계와 높은 수준의 지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엔진 4기의 정확한 정렬과 고추력을 확보하기 위해 엔진 화염 가열 분석 및 단열
기술, 엔진 간 추력 불균일 대응 기술, 엔진 4기 조립, 정렬 및 짐벌링(방향 제어) 기술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하여 2018년에는 시험발사체 발사를, 2021년에는 1단 추진기관 종합 연소시험을 통해
일정 부분 확보하였고, 2021년에 수행된 누리호 1차 발사를 통해 검증을 완료하였다. 엔진 간
추력 불균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력 불균형 오차 수준에 대한 분석을 완료하고, 발사체 이륙 전
발사대에서 불균일 점검을 위한 지상 고정 장치의 단독 성능시험을 완료하였다. 엔진 정렬과
짐벌링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형상설계를 바탕으로 1단 인증모델을 제작하여 2021년에 수행된
종합연소시험을 통해 성능검증을 완료하였다.
마) 발사체 체계종합 기술
한국형발사체의 2단부에 해당하는 시험발사체 개발과정에서 체계개발모델(EM), 인증모델(QM),
비행모델(FM) 순의 개발절차를 마련하였고, 2018년에 수행한 시험발사체 비행시험 성공을 통해
개발절차를 확립하였다. 이러한 개발절차는 한국형발사체의 단별 개발절차에 적용되어 1단과
3단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3단의 경우, 2020년 3월에 종합연소시험을 통해 성능검증을 완료
하였고, 1단은 2021년 3월에 성능검증을 완료함으로써 단별 개발절차를 완료하였다.
∙∙∙ 9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체계개발모델
(Engineering Model)
인증모델
(Qualification Model)
비행모델
(Flight Model)
∙ 발사체 총조립 공정 개발
∙ 추진기관 수류시험 수행
∙ 비행모델과 동일하게 조립
∙ 추진기관 종합연소시험 수행
∙ 비행모델 조립
∙ 비행시험을 통한 성능확인
시험발사체 비행모델 누리호 비행모델
바) 발사대 구축
한국형발사체 발사대(제2발사대)는 설계부터 제작, 조립까지 발사대 건립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하였으며, 기존 나로호 발사대(제1발사대)와 달리, 엄빌리컬(Umbilical)
타워(높이 45m)를 설치하여 발사체에 등유, 산화제 등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발사체
상단(2단/3단/페어링)을 운용하기 위한 타워, 접근설비, 엄빌리컬(Umbilical) 연결 및 회수장치를
추가적으로 구축하였고, 발사체 이륙 시 지상설비와의 간섭 회피를 위해 지상고정장치(VHD;
Vehicle Holding Device) 및 상단 엄빌리컬(Umbilical) 접속 장치에 후퇴 기능을 채용하였다.
발사대 전경 엄빌리컬 타워 기능
2) 누리호 1차 발사 및 후속조치
2021년 10월 21일에 나로우주센터에서 1차 발사가 실시되었다. 발사 하루 전인 10월 20일에
발사체 이송이 완료되었고, 발사 준비가 차질 없이 진행되었다. 발사 당일에 지상시스템에 오류가
10 ∙∙∙
발생하여 점검시간이 추가로 소요되었고, 발사예정시각은 17시로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확정
되었다. 17시에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으나, 3단에
장착된 7톤급 액체엔진이 목표 연소시간인 521초 동안 연소되지 못하고, 475초에 조기 종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위성투입 능력 검증을 위해 탑재한 위성 모사체가 고도 700km의
목표에는 도달하였으나, 궤도 진입을 위한 7.5km/s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여 궤도에 안착하지
못하고 지구로 낙하하였다. 비행결과 확인 후 정확한 원인분석과 개선 조치를 위한 발사조사위원회가
구성되었다.
2021년 11월부터 12월까지 약 2개월 간 「누리호 발사조사위원회」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의 내부회의를 개최하여, 총 2,600여 개의 비행 데이터를 확보하여 정밀 분석 및 해석,
실험 등을 수행하여 비정상 비행의 원인을 추정하였다. 비행 중 진동과 부력으로 인해 실제
비행 시 헬륨탱크에 가해지는 액체산소의 부력이 상승할 때 고정 장치가 풀려 헬륨탱크가 하부
고정부에서 이탈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이탈된 헬륨탱크가 계속 움직이면서 탱크 배관을
변형시켜 헬륨이 누설되기 시작하였고, 산화제 탱크의 균열을 발생시켜 산화제가 누설된 것으로
최종 추정하였다. 이로 인해 누리호 1차 발사 시에 발생한 3단 엔진 조기 종료의 원인 3단 엔진
으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이 감소하면서 조기에 종료된 것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2차 발사를 대비한 개선 조치사항을 반영하였다. 3단 산화제 탱크 내부의 고압
헬륨탱크가 이탈하지 않도록 헬륨탱크 하부고정부를 보강하고, 산화제 탱크 맨홀 덮개의 두께를
강화하는 등의 기술적 조치를 실시하였다.
3단 산화제 탱크 내 고압 헬륨탱크 및 배관 배치도
∙∙∙ 11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3) 누리호 2차 발사
한국형발사체의 2차 발사는 2022년 6월 15일로 확정되었다. 1차 발사 발사조사위원회
결과로 제시된 3단 산화제 탱크에 대한 보완 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설계변경・제작・시험 등의
필요 일정과 2차 발사를 위한 1,2,3단 총조립 일정 그리고 탑재할 위성(성능검증 위성) 준비
일정을 검토한 결과 6월 15일에 발사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제40회 우주개발진흥
실무위원회를 통해 누리호 2차 발사예정일을 2022년 6월 15일로 확정하고, 6월 16일부터
23일까지를 발사 예비일로 지정하였다.
6월 15일에 발사를 진행하기 위해 하루 전인 6월 14일에 발사체 이송과 발사대에 장착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6월 14일의 기상분석 결과 강풍이 예상되었다. 강풍으로 인해
발사대 엄빌리컬(Umbilical) 타워 등에서 작업 시 안전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발사 일정을
6월 16일로 하루 연기하였다. 6월 16일 발사를 위해 6월 15일에 발사체를 발사대로 이송하여
점검 작업을 진행하던 중 1단 산화제 레벨측정 시스템의 오류가 확인되어 발사대 현장에서 내부
점검을 통한 원인파악을 시도하였으나, 안전 문제로 발사체로의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하게 되어 발사 운용을 중지하고 누리호를 조립동으로 회수하여 점검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발사대에 기립한 누리호 발사체 종합조립동으로 회수되는 누리호
6월 16일부터 연구진들은 레벨측정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속한 점검을 위해 작업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순차적인 점검을 실시하였다. 먼저 오류가 발생했던 1단 산화제 탱크 연결부의 점검
창을 개방하여 신호처리박스와 이와 관련된 전기신호부품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였으나, 오류
사항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레벨 센서에 대한 검사를 실시 한 결과, 코어부의 고장을 확인
하였다. 당초 레벨 센서 점검을 위해 1단과 2단의 분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으나, 분리하지 않고
점검 창으로의 진입을 통해 교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레벨 센서의 코어를 신품으로
12 ∙∙∙
교체‧장착하였으며, 장착 전‧후에 전기 신호 등에 대한 점검을 수행한 결과 정상 작동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점검과정에서 이상이 없다면 기술적으로 6월 21일부터 발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후 발사관리위원회를 통해 차주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후반부로 갈수록 기상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6월 20일에 누리호를 발사대로 이송하고 6월 21일에 2차 발사를 다시
진행하기로 확정하였다.
6월 20일에 발사대로 이송된 누리호는 모든 점검과정을 이상 없이 완료하였고, 발사 당일인
6월 21일에도 발사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발사 10분 전 자동운용절차에 돌입하였고
오후 4시에 이륙하였다. 점화→1단 분리(123초, 62km)→페어링 분리(227초, 201km)→2단
분리(269초, 272km)→3단 연소 종료(504초, 700km)→성능검증 위성 분리(875초, 700km)→
위성 모사체 분리(945초, 700km)까지 모든 발사과정이 완료되었고, 곧이어 성능검증 위성과
위성 모사체가 목표궤도인 700km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위성 교신까지
정상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누리호의 궤도투입 능력은 완전히 검증되었고, 우리나라는 마침내
우주발사체 기술자립에 성공하였다.
누리호 2차 발사 성능검증 위성 분리
3. 향후 정책 및 기술개발 방향
우주에 대한 인식변화로 인해 우주산업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우주산업 선점 및 우주자원
확보를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우주 경쟁에 동참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도 필요하다. 또한, New Space의 등장으로 우주자원, 관광, 발사, 군사, 위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업적 우주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달, 소행성 등의 산업적 가치 증대로 주요국들은
우주탐사 경쟁에 돌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 7월 ‘우주경제 비전’ 선포를 통해 우주개발을 산업적으로 지원하고 우주
∙∙∙ 13
누리호 발사 및 향후 우주기술 개발 방향
항공청 설립을 추진하는 등 세계 우주개발 동향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11월
윤석열 대통령이 발표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통해 2045년에 화성 탐사를 실현하겠다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누리호 발사 이후,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후속으로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이 착수
되었다. 본 사업은 한국형발사체 기술의 신뢰성 향상을 통해 우주수송 능력 확보 및 국내 체계
종합기업의 발굴・육성을 목표로 2027년까지 수행될 예정이다. 이 사업을 통해 총 4기의
누리호 발사를 통해 국내에서 제작한 위성을 발사함으로써 국내 발사체를 활용하여 우주계획을
수행하게 될 것이며, 기 획득한 한국형발사체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여 민간주도의 발사 서비스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재점화, 추력조절 등이 가능한 100톤급 다단 연소 사이클 엔진이 적용되는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통해 저궤도 대형위성과 달 착륙선 발사가 가능한 우주발사체 개발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사업을 착수할 예정이다.
∙∙∙ 17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절 국가과학기술 비전 추진현황
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수립
가. 개요
과학기술기본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근거한 과학기술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5년 간 과학기술발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을 제시한다. 과학기술기본계획에는
과학기술의 발전 목표, 정책의 기본방향, 민간부문의 과학기술 혁신 촉진 등 법정사항을 포함
하게 되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른 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른 과학기술기본계획 법정 필수사항
1. 과학기술의 발전목표 및 정책의 기본방향
2. 과학기술혁신 관련 산업정책, 인력정책 및 지역기술혁신정책
등의 추진방향
3. 과학기술투자의 확대
4.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추진 및 협동・융합연구개발 촉진
4의2. 미래유망기술의 확보
5. 기업, 교육기관, 연구기관 및 과학기술 관련 기관・단체 등의
과학기술혁신 역량의 강화
6. 연구개발성과의 확산, 기술이전 및 실용화의 촉진, 기술창업의
활성화
6의2.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성장동력의 발굴・육성
6의3. 과학기술을 활용한 삶의 질 향상, 경제적・사회적 현안
및 범지구적 문제의 해결
7. 기초연구의 진흥
8. 과학기술교육의 다양화 및 질적 고도화
9.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및 활용 증진
10. 과학기술지식과 정보자원의 확충・관리 및 유통체제의 구축
11. 지방과학기술의 진흥
12. 과학기술의 국제화 촉진
13. 남북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의 촉진
14. 과학기술문화의 창달 촉진
15. 민간부문의 과학기술혁신 촉진
15의2. 과학기술혁신의 촉진을 위한 제도나 규정의 개선
15의3.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지식재산의 창출・보호・활용의
촉진과 그 기반의 조성
15의4. 성별 등 특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구현
1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중요
사항
18 ∙∙∙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비전 및 추진과제
[그림 2-1] 비전 및 추진과제
∙∙∙ 19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가) 질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전략 1에서는 과학기술 체계 전환을 통하여 국가연구개발 활동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5년 기준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을 2015년∼
2019년 3.5%에서 2022년∼2026년 4.8%까지 1.3%p 향상시키는 것과 세계 최고국 대비
90% 이상 기술수준을 보유하는 세계적 수준의 전략기술 분야를 현재 3개에서 8개 이상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 1의 첫 번째 추진과제는 임무중심 문제해결을 위한 R&D 전략성 강화이다. 경제・
사회적으로 명확한 임무목표를 바탕으로 대체 불가능한 원천기술을 육성하고,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한다. 세부과제로는 임무중심 R&D 체계 혁신,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전략기술 발굴·육성, 고위험 도전·모험형 연구 활성화를 설정하였다. 세계 최고국 대비
기술 수준 90% 이상 중점기술 개수를 현재의 5개에서 2027년 25개 이상으로 늘리고, 탄소 중립・
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R&D예산 규모를 2022년 5.45조 원 규모에서 2027년 7조 원 이상으로
확대한다.
두 번째 추진과제는 자율과 창의를 높이는 연구 환경 개선이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사람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여 연구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연구성과를 확산한다. 세부과제로는
자율적 연구 환경을 위한 지원제도 구축, 연구자 중심의 건강한 연구 환경 조성, 개방형 혁신
연구기반 구축을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체감하는 자율・창의 연구 환경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수행
하여 2027년 만족도를 75% 이상으로 높이고,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적용기관 수를
현재 5개에서 32개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 번째 추진과제는 R&D 성과 창출・확산 및 활용・보호 기반 강화이다. 우수 연구성과의
창출과 확산 및 활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R&D투자, 평가, 지식재산권 확보 및 보호를 위한
기반을 구축한다. 세부과제로는 기업 눈높이에 맞는 R&D 성과 창출・확산 체계 확립, 전략적
투자를 위한 예산 및 평가 제도개선, 국가 핵심 IP 창출 및 선제적 제도 기반 조성을 설정
하였다.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수입을 2021년 2,643억 원 규모에서 2027년 3,5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표준특허 점유율을 2021년 22.8%에서 2027년 25%까지 확대한다.
네 번째 추진과제는 미래 핵심인재 양성・확보이다. 급변하는 기술・경제・사회 여건에서 다양
하고 대응력 높은 미래인재 양성 및 이를 위한 체계를 구축한다. 변화 대응력을 갖춘 과학기술
인재 양성, 과학기술 인재의 진출 경로 다양화, 미래 일자리 대응역량 강화를 세부과제로 설정
하였다. 주요국 내 한국인 박사학위자의 유턴 비중을 2020년 33.0%에서 2027년 50.0% 이상
으로 확대한다.
전략 1의 마지막 추진과제는 국민과 함께하는 과학문화 활성화이다. 과학기술문화 산업을
20 ∙∙∙
활성화하고 과학기술자와 국민 간 소통을 확대하여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과학기술 기반을
강화한다. 민간・지역 중심의 과학기술 문화산업 협력체계 구축과 과학기술 대내외 소통
활성화 등 2개 과제를 세부과제로 설정하였다. 과학문화 전문 인력 수를 현재 약 2,800명에서
2027년 7천 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생활과학교실 수혜자 수를 2021년 약 12.8만 명에서 2027년
20만 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나)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전략 2의 목표는 혁신 주체의 개별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통한 상호 협력 확대
이다. 전략 2를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전략목표로는 하이테크 산업 수출시장 점유율과 삼극
특허 수의 확대이다. 2020년 기준 하이테크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7.5%를 2027년까지 10.0%로
2.5%p 확대하고자 하며, 삼극특허 수를 2019년 3,057건에서 2027년 3,500건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 2의 첫 번째 추진과제는 민간 주도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이다. 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사업화, 금융, 규제를 포괄하는 종합지원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
과제로는 민간 R&D 활성화 및 시장 선도 기능 강화, 중소기업 기술혁신 질적 성과 향상, 신산업・
신기술의 육성을 위한 규제혁신을 설정하였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로 정의되는 기업 연구
개발 집약도를 2020년 3.7%에서 2027년 5.1%까지 1.4%p 확대하고 혁신 활동을 수행하는 혁신형
중소기업의 비중을 2021년 17.9%에서 2027년 35.0%까지 두 배 이상 확대시킬 계획이다.
두 번째 추진과제는 대학・공공연구기관의 혁신거점 역할 강화이다. 대학, 출연연연구소, 국립
연구소, 전문연구소의 역량 강화를 통하여 우수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
하고자 한다. 기초・핵심 역량 제고 및 기초연구 기반 강화, 대학 교육・연구 경쟁력 확보, 공공
연구기관 공공기여 역할 제고 및 자율성 강화를 세부과제로 설정하였다. 정부R&D 중 대학・
공공연구기관이 수행하는 협력연구 과제의 비중을 2020년 14.7%에서 2027년 20.0%까지
늘리고,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에서 발표하는 선도 연구기관(Leading Institutions)의
200위 이내 우리나라 기관 수를 현재 6개에서 2027년 10개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 번째 추진과제는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 및 성장 지원이다.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을 촉진하고, 유망 아이템 발굴부터 스케일업, 재도전까지의 선순환 창업 생태계 기반을
고도화하고자 한다.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 및 스케일업 지원 확대, 도전적・혁신적 창업 촉진을
위한 기반 고도화, 창업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한 금융지원 강화를 세부과제로 설정하였다. 공공
R&D 기반 신규 창업기업 수를 2021년 437개에서 2027년 600개 이상으로 늘리고 딥테크
∙∙∙ 21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유니콘 기업 수를 2027년까지 5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네 번째 추진과제는 균형발전과 혁신성장을 이끄는 지역 혁신체계 구축이다. 지역혁신의
자생성, 연결성,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연구체계를 고도화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하며, 지역 문제의
해결을 추진한다. 세부과제로는 자생적 지역혁신을 위한 연구체계 고도화, 지역혁신 주체 간
협력체계 구축, 과학기술 중심의 지역 문제해결을 위한 지원체계 구현을 설정하였다. 이를 통
하여 수도권 외 지역 기업부설연구소에 종사하는 연구원 수를 2021년 약 10만 명에서 2027년
15만 명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 2의 마지막 추진과제는 과학기술 외교・협력 리더십 확보이다. 지속가능한 발전 분야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리더십을 확보하고, 해외거점을 활성화하며,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세부과제로는 국제사회를 주도하는 과학기술 외교・협력 고도화, 해외거점을 통한 기업
지원 및 국가 위상 제고, 전략적 국제 공동연구 추진 및 중장기 협력 기반 구축을 설정하였다.
정량목표로는 우리나라 해외 협력 논문점유율, 연구개발비 외국 재원 비중을 설정하고 2027년
목표치를 각각 40%, 3.2%로 설정하였다.
다) 과학기술기반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
정부는 전략 3을 통하여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가가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고 미래 이슈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OECD에서 발표하는 삶의 질 지수 순위를
2020년 32위에서 2027년 20위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전략 2의 첫 번째 추진과제는 탄소 중립 선도 및 지속가능한 환경으로의 전환이다. 2050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혁신기술을 확보하고, 과학적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세부과제로는 탄소중립 기반의 에너지 전환기술 확보 및 정책 추진체계
구축, 산업 저탄소화 기반 조성 및 탄소 관리 인프라 구축, 환경 문제의 과학적 대응기반 마련을
설정하였다. 세계 최고국 대비 80% 수준인 현재의 기후기술 수준을 2027년까지 9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기후기술산업 매출액을 2020년 168.7조 원에서 2027년 205조 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두 번째 추진과제는 디지털 전환기 선도적 대응을 통한 경제 재도약이다. 디지털 전환의 조속한
확산을 위하여 핵심기술・인프라를 확보하고, 산업 전반의 디지털화와 신산업 육성을 추진한다.
디지털 전환 선도를 위한 기반 조성,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 및 신규 서비스 창출,
기업 맞춤형 디지털 전환 지원체계 구축을 세부과제로 설정하였다. 세계 최고국 대비 88.6%인
디지털 기술수준을 2027년까지 93%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2021년 23조 원 규모인 데이터
시장을 2027년에는 50조 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2 ∙∙∙
세 번째 추진과제는 100세 시대 과학기술 기반 국민건강 증진이다. 모든 국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를 실현하고, 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 할 계획이다. 세부과제로는 데이터 활용 바이오 연구개발 및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
촉진,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 강화, 첨단바이오 연구개발 강화 및 바이오헬스 제도
혁신으로 설정하였다. 양적 목표로는 생명・보건의료기술 수준을 세계 최고국 대비 77.9%에서
2027년 87.4% 이상으로 높이고, 바이오헬스 수출을 2021년 257억 달러에서 2027년 452
억 달러 규모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네 번째 추진과제는 미래위험 대응 및 안전사회 구현이다. 데이터 및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재난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미래위험 관리를 통하여 사회적 대응력과 회복력을 제고할 계획
이다. 세부과제로 데이터 기반 재난・안전관리 및 사회 회복력 제고, 미래 위험의 예방・관리
및 글로벌 대응력 확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국민 참여・민관협력 강화를 설정하였다. 세계
최고국 대비 재난안전 분야 기술 수준을 2020년 80% 수준에서 2027년 85%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다섯 번째 추진과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및 선점이다. 공급망 변동성에 대응하여 우리
산업의 전략적 자율성을 확보하고, 미래 산업 예측을 기반으로 공급망을 선점하며, 글로벌 공급망
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전략적 자율성 확보를 위한 현재 공급망 안정성 제고, 전환적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공급망 예측・선점 역량 확보,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를 세부
과제로 설정하였다. 포브스 글로벌 2000 랭킹 중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장비 기업 수를 2020년
11개에서 2027년 17개 이상으로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여섯 번째 추진과제는 과학기술 강군 육성 및 사이버 주권 수호이다. 첨단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역량을 확보하고 다양성・유연성이 높은 민군협력・국제협력 기반을 마련하며, 국가 사이버
주권 체계를 확립할 계획이다. 세부과제로는 미래전장 환경에 대비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
국방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민군 협업 및 국제협력 확대, 국가 사이버 주권 수호를 위한 사이버
보안 기술기반 강화를 설정하였다. 국방과학기술 수준과 보안 산업 매출액을 양적 지표로 설정
하였다. 2020년 세계 최고국 대비 75%인 국방과학기술 수준을 2027년 77%까지 높이고,
2021년 12.6조 원인 보안 산업 매출액을 2027년 20조 원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략 3의 마지막 추진과제는 우주・해양・극지 개척을 통한 과학영토 확대이다. 우주, 해양,
극지 등 미개척지에 대한 접근성 증대와 활용을 통하여 인류의 활동 영역 확대에 기여하고,
국익을 확보할 계획이다. 세부과제로는 우주 개척을 선도하는 탐사・수송・활용 역량 강화와,
연안-대양-극지 탐사로 미래자원 확보 및 해양안전체계 구축을 설정하였다. 세계 최고국
대비 68.4% 수준인 우주항공해양 기술 수준을 2027년 80% 이상으로 높이고, 2027년까지
6회 이상 한국형 발사체를 활용하여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 23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2)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위원회의 운영
민간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을 위하여 경제사회・인문계를 포괄하는 산・학・연 전문가
127명이 참여하는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총괄위원회,
4개 분과위원회, 20개 소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약 80회의 회의를 통하여 제5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초안을 마련하였다.
수립위원회 착수회의 수립위원회 착수회의
제3차 총괄위원회 제4차 4분과 회의
3) 국민의 참여 독려 및 대국민 홍보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수립 과정에서 국민의 참여를 촉진하고 수립 결과에 대하여
국민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였다.
2022년 3월에는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기대사항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수행
하였다.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만족도, 과학기술의 역할 및 향후 정책・
제도를 위한 의견 등에 대해 일반인 1,009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과학기술 수요자
중심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국민 인식과 기대사항을 분석하고, 주요
아이디어와 키워드를 발굴하였다.
24 ∙∙∙
기본계획 수립이 추진되는 1년 간 대국민 의견수렴 온라인 플랫폼인 ‘과학참견’을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하였다. ‘과학참견’은 국민들이 함께 과학기술기본계획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참여하고 의견을 나눈다는 뜻으로,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여 가능한 과학기술정책 관련 자유로운 의견수렴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으로써 역할을
하였다. 연중 300건 이상의 의견을 접수하였으며, 약 88%의 의견이 계획(안)에 반영되었다.
2022년 6월에는 ‘내 꿈을 이루는 과학기술 영상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내 꿈을 이루는 과학
기술을 주제로 과학기술에 기대하는 점과 정부가 추진하기를 바라는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영상으로 제작・제출하는 공모전을 개최함으로써 일반인, 특히 학생을 대상
으로 과학기술기본계획과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알리는 기회로 활용하였다.
2022년 7월과 8월에는 ‘국민참여단’을 운영하였다.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일반 국민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정책을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30명
선정에 366명이 지원하여 약 12: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연령, 성별, 지역, 직업 등을 고려
하여 30인을 선정하여 3개 분과를 구성하였으며, 두 차례의 대면회의와 서면자료 작성・제출을
통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제안된 의견 중 약 72%가 계획(안)에 반영
되었다.
영상공모전 홍보 포스터 국민참여단 1분과
2022년 12월 14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이
심의・의결된 이후에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홍보를 진행하였다. 인포그래픽, 카드뉴스를
제작・배포하였으며,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으로 동영상, 인스타툰, 블로거 포스트 등을 제작하여
보다 이해하기 쉽게 기본계획의 내용을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 25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다. 향후 계획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은 정부의 과학기술 국정방향을 반영한 마스터플랜으로, 40여개
부・처・청・위원회와 함께 이행하며, 정부 정책 및 예산에 반영될 예정이다. 각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기본계획 추진과제에 대한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본법에 근거하여 연도별 추진실적과 시행계획을 종합 점검할 계획이다.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3대 전략, 17개 추진과제의 이행을 점검하기 위하여 이행점검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점검지표의 달성 진척도를 점검하고 중점관리과제별 심층점검을 병행
할 계획이다.
또한, 각 부처에서 수립하는 과학기술 분야 중장기 계획과 과학기술기본계획 간 연계성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과학기술기본계획에 따라 국가 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을
수립하여 정책과 예산 간의 연계를 강화할 것이다.
2.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성과
정부는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이 시행되는 기간 동안 정부 연구개발 예산을 대폭 확대하
였다. 정부 R&D예산은 2018년 19.7조 원에서 2022년 29.8조 원으로 10조원 가까이 증가하
였으며, 정부총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4.6%에서 4.9%로 0.3%p 확대되었다. 특히, 연구자
주도의 자유공모형 기초연구 예산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신진연구자에 대한 지원 또한 대폭
증가하였다. 39세 이하 이공계 전임교원의 수혜율은 2016년 37.3%에서 2021년 80.7%로
확대되었으며,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기반을 강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중소기업 전용 정부
연구개발투자가 두 배 이상 확대되었으며, 벤처펀드에 대한 신규투자가 2017년 2.38조 원에서
2021년 7.68조 원으로 늘어나는 등 경제 전반에 새로운 동력을 창출에 기여할 수 있었다.
투자확대와 더불어 제도개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자율과 창의’를 원칙으로 연구자 중심제도를
구축하고 혁신의 실험장이 되는 규제샌드박스를 도입하였다.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2020년
6월 제정하여 부처별로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던 R&D 관리규정을 통합하여 연구행정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였다. 규정 일원화를 통하여 연구자가 작성해야 하는 136종의 서식을 54종으로
통일하였으며,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제도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신기술을
활용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규제를 면제 또는 유예하는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하여 ICT융합,
연구개발특구, 산업융합, 혁신금융, 지역혁신, 스마트도시 등 6대 분야별로 운영하며, 2022년
말까지 860건이 추진되는 성과를 보였다.
26 ∙∙∙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 신산업 부상 등 다양한 산업변화에 대응하고 국민체감형 정책을
강화하는데에도 관심을 기울여왔다. D.N.A(디지털, 네트워크, 인공지능)+Big3(미래차, 바이오
헬스, 시스템반도체) 등 신산업으로 전환을 지원하고, 소재・부품・장비 R&D를 강화하였다. 또한,
재난, 안전, 치안, 환경 등에서 과학기술의 기여를 확대하고, 현장적용형 사회문제해결 R&D에
대한 정책을 강화하였다. 특히, COVID-19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치료제・백신, 차세대 진단
플랫폼, 방역기술 등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장하고,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 역량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었다.
∙∙∙ 27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가. 개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헌법 제127조를 근거로 과학기술혁신 등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응하기 위해 1989년 한시적 자문기구로 출발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제2조에
나타나 있듯이, 국가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 전략 및
주요 정책 방향에 관한 사항, 국가과학기술 분야의 제도개선 및 정책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응하기 위해 출범하였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의 대통령 자문기구로서 과학기술정책의 중장기 방향 설정, 과학기술 주요 이슈 등에
대한 자문을 수행해왔다. 현재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17년 12월 국회에서 의결된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전부개정법률이 2018년 4월 17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통합되면서 현재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총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의장은 대통령, 부의장은 의장이 지명하는 민간위원, 간사위원은
대통령비서실 내 과학기술 담당관(정무직 공무원)이 맡는다.
1991 ~ 2007 2008 ~ 2012 2013 ~ 2017 2018 ~ 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舊과학기술부
소관
舊교육과학기술부 소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舊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사무처 독립)
15인 이내 자문위원
(비상설)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지원단)
30인 이내
자문・심의위원
(상설, 지원단)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의장 : 대통령 / 부의장 : 민간 1인 / 간사위원 1인)
전원회의
(자문회의 및 심의회의
위원 전원)
자문회의
(민간위원/20인 이내)
심의회의
(민간・정부위원/20인 이내)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28 ∙∙∙
2022년은 윤석열 정부가 새로 출범한 해로, 부의장을 비롯한 민간위원이 새로 위촉되는 등
구성이 일부 변화되었다. 문재인 정부 제4기까지는 염한웅(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의장을 중심
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윤석열 정부 제1기에서는 이우일(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부의장이 9월 1일자로 위촉되어 새정부의 과학기술 자문 및 심의 기능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기존에 간사위원을 담당한 과학기술보좌관을 대신하여, 윤석열 정부에서는 경제수석
비서관이 간사위원을 맡아 대통령 자문기구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게 되었다. 신규 위촉 민간
위원은 주요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의 기관장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핵심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위원의 대표성 및 전문성을 강화하였다.
1) 자문회의 구성
자문회의는 의장,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20명 이하로 구성되며, 의장, 간사위원 외 전원 민간
위원으로 현재 13명(부의장 포함)으로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
사회소위원회 등 3개 소위원회를 구성한다.
<표 2-1> 자문회의 소위원회 및 위원 구성
명칭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
소관
분야
∙ 과학기술 중장기 국가전략 및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관련 법・제도 개선에 관한
사항
∙ 기초연구 진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분야 청년과학자 등 미래인재
성장 지원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경제성장 정책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육성, 제조업 혁신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관한 사항
∙ 연구성과 활용 및 확산 촉진에 관한
사항
∙ 국민의 삶의 질 제고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인류의 지속가능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사회복지 및 보건의료
증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활용 사회구조・문제 해결에
관한 사항
위원
구성
총 4명 (소위원장 : 이광형) 총 4명 (소위원장 : 정항근) 총 4명 (소위원장 : 유욱준)
∙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 박종래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 이정아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장)
∙ 정항근 (전북대학교 전자공학부 명예
교수)
∙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
∙ 주세돈 (포스코 기술연구원 원장)
∙ 진교영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원장)
∙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김남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김무환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 오정미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
※ 윤석열 정부 제1기 (’22.10.28. 위촉)
2) 심의회의 구성
심의회의는 의장 및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18명으로 구성되었다. 정부위원은 기재부・교육부・
과기정통부・산업부・중기부 장관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간사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민간위원은 현재 총 10명(부의장 제외)이다.
∙∙∙ 29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심의회의는 심의사항의 사전검토 및 실무적인 자문, 전결안건 심의를 위해 운영위원회를
두었으며, 심의사항 중 특별한 사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8개의 특별위원회와
특정분야 추진시책에 대한 지속적 논의를 위한 2개의 협의회를 두었다. 심의회의 및 운영위원회
상정 안건의 효율적인 검토를 위해 운영위원회 내 전문위원회(총 11개 분야)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2022년에는 대형연구시설 구축사업 내실화를 위해 대형연구시설전문위원회를 신설하
였다.
심의회의
바
이
오
다
부
처
협
력
혁
신
성
장
동
력
미
래
인
재
소
재
부
품
장
비
기
술
양
자
기
술
감
염
병
탄
소
중
립
기
술
운영위원회
지
방
과
학
기
술
진
흥
기
초
연
구
진
흥
정
책
조
정
성
과
평
가
중
소
기
업
대
형
연
구
시
설
공
공
・
우
주
에
너
지
・
환
경
I
C
T
・
융
합
기
계
・
소
재
생
명
・
의
료
기
초
・
기
반
국
방
특별위원회(8) 전문위원회(11) 협의회(2)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표 2-2> 심의회의 위원 구성
민간위원 정부위원
총 10명 총 6명
∙ 남기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 박현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 서광석 (한국나노기술원 원장)
∙ 오세현 ((주)SK텔레콤 디지털에셋컴퍼티 부사장)
∙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 이신두 ((전)서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조만기 (동서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대학 명예교수)
∙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홍순국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장)
∙ 기획재정부 장관
∙ 교육부 장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간사위원)
※ 윤석열 정부 제1기 (’22.10.28. 위촉)
30 ∙∙∙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운영 성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22년 자문회의 3회, 심의회의 4회, 전원회의 1회를 개최하였다.
자문회의는 총 5건의 안건을 논의하였으며, 심의회의는 17건의 안건을 의결 및 접수하였다.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자문 방향 및 의제 관련 전문가・실무 회의를 47회 개최하는 등
자문 의제 발굴 활동을 수행하였다.
자문회의는 3번의 회의를 통해 문재인 정부 제4기를 마무리하고, 윤석열 정부의 새로운 자문
회의 운영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문재인 정부의 제30회 자문회의에서는 ‘2021년도 과학
기술 국정과제 등 이행점검 결과’ 안건을 검토하며,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 정책 전반의 종합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윤석열 정부 제1기 자문회의에서는 ‘국가전략기술 육성 방안(안)’,
‘윤석열 정부 과학기술 자문방향(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소위원회 구성(안)’ 등의 안건을
논의하여 새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및 정책자문의 방향성을 결정하였다. 또한, 자문회의에서
다룰 의제 발굴 및 현황 분석을 위해 소위원회, 현장 방문, 전문가 회의 및 세미나 등의 활동을
38회 개최하며, 폭넓은 의사소통 통로를 확보하였다.
2022년 심의회의는 총 4회의 회의를 통해 총 17건의 안건(심의12건, 보고5건)을 상정하여
의결・접수하였다. 2022년은 과학기술 분야의 주요 법정계획이 종료되는 해로, 다수의 후속
계획이 심의회의에서 검토되었다.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계획인 ‘제5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23~’27)(안)’을 의결하여 새정부 5년간의 과학기술 중장기 정책의 근간을 수립하였으며,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안)’을 비롯한 11개의 중장기 계획을 심의하였다.
디지털・탈탄소 전환, 감염병의 상시화 등 과학기술 정책 환경 변화를 반영하듯, ‘제1차 기후
변화 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27)(안)’, ‘디지털 패권국가 도약을 위한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안)’, ‘감염병 중장기 R&D 생태계 고도화 방안(안)’ 등이 논의되었다. 연구개발
예산 100조 시대의 효율적인 정부연구개발투자를 위해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분
조정(안)’을 심의・의결하였고, 이 후 기재부 예산 편성 과정에서 변경된 주요 R&D 예산 배분・
조정 내역에 대한 추가 검토・보고 등을 통해 연구개발 예산안 심의 기능을 내실화할 수 있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의제 발굴 및 정책기획 과정에 대국민 참여 활성화 목적으로
2021년 9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국민참여자문단이 시범 운영되었다. 국민참여자문단은 자문
의제에 대한 의견 제시, 제도 개선 이슈 제안 등 정책 자문 과정에 참여하였으며, 국민참여자문단의
제안의제는 과기정통부에 전달하여 1건은 즉시 반영 가능, 2건은 보완 후 반영, 3건은 중장기
검토 의견을 확인하는 등 정책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소기의 성과를 이루었다.
또한, 자문기능의 효과적 수행 및 민간전문가 중심의 정책 논의 기반 조성을 위해 ‘민관 과학
∙∙∙ 31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기술혁신 자문포럼’을 새로이 운영하였다. 포럼 주제 및 전문가 선정, 포럼 결과 검토 등 포럼의
총괄 운영을 위해서 산・학・연・지역의 최고 전문가 8인의 총괄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2022년
12월에 “지방소멸・지역 과학기술 인력 위기, 현장과 함께 고민한다”라는 주제로 제1회 포럼을
개최하였다.
의제발굴 회의 운영 주요 성과 및 대국민 소통 활동
∙ 자문회의 3회, 심의회의 4회, 전원회의 1회
∙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등 38회
∙ 자문방향 등 실무회의 9회
∙ 윤석열 정부 과학기술 자문방향(안) 수립
∙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민참여단 운영
∙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1회 개최
<표 2-3> 2022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2) 윤석열 정부 과학기술 자문방향(안) 수립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대통령 국정 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과 자문 활동을 재정립할 수 있도록 ‘윤석열 정부 과학기술 자문방향(안)’을 새로이
마련하였다.
과학기술 정책은 주요국 간의 기술패권 경쟁의 심화, 디지털・탈탄소 전환 등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적응할 필요가 높아졌고, 새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과학기술혁신을 주목하였다. 각국의 자문기관들은 과학기술혁신을 가속하기 위해
혁신 기반의 고도화, 과학기술의 전략화 및 경쟁력 강화, 인력양성 및 미래사회 대응을 주문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과학기술이 사회 전 분야에 미치는 영향의 확대 양상을 고려하여 사회,
경제, 안보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복합적 혁신 정책을 고민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자문회의는 과학기술 기반의 국가발전정책을 제안하고 산업 성장과 국가경쟁력 확보에 기여
하였으나, 중・단기 성과 중심의 자문 의제 선정, 자문형식의 제한, 소수 전문가 중심의 의견수렴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자문 의제의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해 방향성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윤석열 정부의 과학기술 자문은 대한민국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 혁신을 견인하고,
미래비전을 제시하여 함께 잘사는 국민의 나라를 만들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과학기술 자문을
제공하고 전문가 의견수렴과 소통을 강화하여 자문 의제 숙의를 도모함을 기본 방향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자율에 기초한 연구 환경 조성, 과학기술 핵심역량을 뒷받침할 혁신 전략 모색, 사회
변화의 충격을 기회로 전환할 과학기술기반 미래 대응을 중점 방향으로 세웠다.
자문 의제는 국정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과학기술 중심의 중장기 비전, 국가적 문제의
32 ∙∙∙
해결 모색 등 거시적・장기적 의제를 중점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며, 개별부처가 추진하는 의제
보다는 범정부 관점의 의제를 주로 다루고자 한다. 발굴된 의제는 소위원회에서 공동 작성하는
소위의제와 위원별로 단독 작성하는 단독의제로 구분하여 자문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소위의제는 자문의제를 소위원회별로 선정 후, 자문위원들의 공동논의를 통해 중장기 관점의
전략을 주로 다룰 예정이다. 단독의제는 분야별 전문성・대표성을 지닌 자문위원이 개별 의제에
대한 자문 의견을 보고하는 방식으로, 신속・적시 판단이 필요한 세부 현안에 대응이 가능하다.
이슈 분석 및 현장 소통 기능을 강화하여 과학기술 현장의 현황 및 흐름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하고, 현장 및 국민의 목소리가 자문 의제에 충분히 담길 수 있도록 자문회의 대외 활동을
확대할 예정이다. 소위별로 정기적으로 과학기술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한 주제를 선정, 대내외
동향을 조사하여 대통령비서실과 공유하고자 한다. 현장 소통을 위해서 분야별 민간전문가를
초빙하여 현안을 논의하고, 필요 시 (가칭)특별전문위원회 등의 전문가회의체를 운영하여 공개
정책 세미나 및 컨퍼런스 등의 대외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3)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개최
새정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전원회의가 대통령 주재로 10월 28일에 개최되었다. 제1회
전원회의는 ‘국가전략기술, 대한민국 성장의 엔진을 달다’라는 슬로건 아래 용산 대통령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원회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출범이라는 의미 아래, 신규 위촉된
부의장 및 자문위원, 심의위원(민간위원)을 소개하고, 위촉장을 수여하는 자리를 마련함과
동시에, 새정부에서 과학기술 분야의 핵심 정책으로 다루어질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안)’을
심의・의결하였다.
미・중 간 패권 다툼 등으로 비롯된 국가 간의 기술패권 경쟁은 코로나 및 우-러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 등으로 더욱 심화됨에 따라, 과학기술이 산업, 경제뿐 아니라 외교, 안보 등
국가 및 사회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어 전략기술의 확보와 경쟁력이 국가의 명운을 좌우
하는 시대로 도달하게 되었다. 그간 유망분야 중심의 기술정책에서 벗어나, 국가 핵심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과학기술-공급망・통상-외교・안보를 통합적으로 운용하는 기술전략에 국가역량을
결집하고자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육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전략기술은 경제・외교・안보적 가치가 높은 12개 기술 분야와 이에 해당하는 50개 세부
중점기술을 선정하였고, 12대 전략기술 분야는 기술특성 및 성숙도에 따라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혁신선도 유형은 민간주도로 초격차 기술을 개발하고 핵심소재부품의 의존도를
낮춰야 할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을 선정하였고, 미래 도전
유형으로는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 보안을 선정하여 민관협업을 통해 시장
∙∙∙ 33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스케일업 및 대체불가 원천기술을 확보를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공공주도로 핵심원천기술
고도화가 필요한 인공지능, 첨단로봇・제조, 차세대 통신, 양자 분야는 타 전략분야와의 융합・
활용에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도록 하였다.
국가전략기술의 초격차・대체불가 기술 확보를 위해 민관합동 대형 R&D 프로젝트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계획하였으며, 5~7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임무와 목표를 발굴
하여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국가전략기술을 집중 육성
하기 위한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①임무지향 전략로드맵 기반의 정책・투자지원 집중,
②인재・국제협력・산학연 거점 등 전략기술 육성기반 확충, ③기술패권 국가전략 총괄 추진체계
확립이다. 임무지향 투자를 위해 전략적 투자방향을 제시하는 범부처 전략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등 핵심사업에 R&D예산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전략
기술 육성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인력 현황 및 연구수준을 분석하여 이에 필요한 핵심인력을
확보하고, 전략적 국제공동연구, 인력교류 등 국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전략기술 연구거점 및
지역기술 허브 구축을 통한 산학연 역량 결집을 모색한다. 또한, 국가전략 총괄 추진체계를 확립
하기 위해 정부・민간이 참여하는 전략기술 특별위원회 및 기술별 실무조정위 등 육성체계를 구축
하고, 특별법 제정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도록 하였다.
전원회의를 주재한 의장(대통령)은 국가전략기술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엔진이 될 수 있도록
예산 투자, 특별법, 추진체계 마련에 적극 지원을 약속하고, 우수연구자 확보를 위해 연구기관을
시작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폐지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과학기술자문회의가 민관이 협력하여
과학기술 선도국가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역할을 주문하였다.
다. 향후 계획
제1회 및 제2회 자문회의 개최를 통해 각 소위원회는 향후 자문의제로 발전시켜야 할 의제
후보를 논의하였으며, 2023년에는 소위별로 현황 분석・진단, 전문가 및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바탕으로 논의를 심화하여 대통령께 자문 보고를 위한 자문 의제를 개발・작성할 계획이다.
자문 방향(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자문 의제는 소위원회 전원이 논의하여 작성하는 소위의제,
그리고 자문위원의 전문성・대표성을 기반으로 개인별 전문 분야 및 관심 분야에 대한 자문안을
작성하는 개별의제로 구분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소위의제 작성을 추진하기 위해 필요시에는 해당
사안에 대한 현황을 심화 분석하는 정책연구용역을 병행할 계획이다. 이렇게 작성된 자문 의제는
대통령의 국정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을 통해 결과물을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기술 현장의 현황을 분석하여 대통령비서실에 공유할 수 있도록, 소위별 이슈 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슈 분석은 소위원회에서 논의를 통해 주제를 선정하고, 소위별
34 ∙∙∙
자문위원 및 관련 분야 현장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주요 이슈를 환기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그리고, 전문가 개인 및 다양한 그룹과의 논의를 활발히 하여
자문회의의 대외 활동 및 자문 활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
포럼 운영을 포함하여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 세미나 및 컨퍼런스 등을 개최할 예정이며, 국민
경제자문회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의 기관과의 협력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가. 설치목적 및 변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근거하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원, 육성 및 체계적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1999년 총리실 산하에 기초기술연구회, 공공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등 3개
연구회를 설립・운영하였으며, 이후 2004년에 과학기술부로 이관되었다가 2008년에 공공기술
연구회가 통폐합되면서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로 재이관을 거쳐 2014년 6월 30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 개편되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운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년도 이사회는 총 15회가 개최되었다. 이 중 정기회의는 3회가
진행되었으며, 12회는 임시회의로 진행되었다. 상정된 안건은 총 55건으로, 이 중 보고안건이
11건, 의결안건이 44건이었으며, 접수ㆍ의결된 안건은 총 52건으로 원안접수가 12건, 원안
의결이 39건, 수정의결이 1건이었다. 미의결된 안건은 총 2건으로 원장 재선임(안)에 대해
‘재선임하지 않음’으로 결정되었다.
<표 2-4> 2021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실적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66회
임시
2022.1.25.
보고1
한국재료연구원 생활소비재 융복합 기술지원센터 시범사업 운영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감사위원장 및 감사위원 선임(안)
위원장 장병원,
위원 이덕희,
이재훈 선임
∙∙∙ 35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66회
임시
2022.1.25.
의결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연구사업・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3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회계기준 개정(안) 원안의결
의결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소부장실증화지원센터 추가 취득(안) 원안의결
의결5 2022년 소관연구기관 평가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의결6 제4기 기획평가위원회 구성 동의(안) 원안의결
의결7
2022년도 제1사분기 소관연구기관 기본사업 국제공동연구개발비
계상(안)
원안의결
제167회
임시
2022.3.3.
보고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 증축・운영 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2 키스트 미래재단 설립(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2 한국전기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3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산 기장 지역조직 설치・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관측소 처분 및 신축계획(안) 원안의결
제168회
정기
2022.3.31.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1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의결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의결3 소관연구기관 2021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의결4 소관연구기관 202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의결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2개 소관연구기관 용역근로자 정규직 전환 및
공동출연법인 출연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6 2022년 연간 감사계획(안) 원안의결
의결7
2022년도 제2사분기 소관연구기관 기본사업 국제공동연구개발비
계상(안)
원안의결
제169회
임시
2022.4.28.
의결1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2개 소관연구기관 용역근로자 정규직 전환 및
공동출연법인 출연 계획(안)
원안의결
제170회
정기
2022.5.19.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예산요구(안) 원안의결
의결2 소관연구기관 2023년도 예산요구(안) 원안의결
의결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관 개정(안) 수정의결
제171회
임시
2022.6.20.∼22.
의결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 영장류 ABL3 시설 증축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2
2022년도 하반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관연구기관 기본사업 국제
공동연구개발비 계상(안)
원안의결
제172회
임시
2022.7.15.
보고1 제171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의결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하지
않음
의결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하지
않음
제173회
임시
2022.8.10.
보고1 소관연구기관 지역조직 명칭 변경(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2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혁신적 발전방안(안) 원안의결
의결3 2022년 2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36 ∙∙∙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74회
임시
2022.8.22.∼23.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3개 소관연구기관 원장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75회
임시
2022.9.5.∼6. 의결1 한국전기연구원 원장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76회
임시
2022.9.20.
보고1 제174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보고2 제175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보고3 한국재료연구원 밀양 지역조직 시범사업 운영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4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신설・운영 방안(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1 녹색기술센터 혁신적 발전방안(안) 원안의결
의결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3개 소관연구기관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전문가 선임(안)
외부전문가
각 2인 선임
제177회
임시
2022.10.4.∼5.
의결1 한국전기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전문가 선임(안)
외부전문가
2인 선임
의결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관연구기관 연구윤리 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178회
임시
2022.10.28
보고1 제177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보고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산분원 설치・운영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1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2 소관연구기관 202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제179회
임시
2022.11.30.
의결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정보보안기술지원센터
폐지계획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2 2022년 3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의결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의결4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관연구기관 기본사업 운영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의결5 2022년도 소관연구기관 기관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의결6 2022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제180회
임시
2022.12.7.∼9. 의결1 한국화학연구원 원장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1회
임시
2022.12.13.
보고1 제180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의결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선임(안) 방승찬 선임
의결2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선임(안) 주한규 선임
의결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182회
정기
2022.12.23.
의결1 2023년 소관연구기관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의결2 2023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의결3 2023년 소관연구기관 평가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의결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정관 및 부설기관운영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 37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2) 출연(연) 신임기관장 선임
2022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25명 중 임기종료 등의 사유로 총 2명의
신임 기관장을 선임하였다.
<표 2-5> 2022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기 관 명 직위 성명 임 기 주 요 경 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방승찬
’22.12.14.∼
’25.12.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통신학회 부회장
∙ 한국전자파학회 부회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주한규
’22.12.14.∼
’25.12.13.
∙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 한국원자력학회 수석부회장
∙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위원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년도 경영협의회와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는 총 7회로 그 중 경영
협의회는 3회, 기관장 간담회는 4회가 개최되었으며, 29건의 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표 2-6> 2022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현황
회차 일시 안건명 담당부서(기관)
2월 기관장
간담회
2022.2.24.
∙ 2022년 기관평가 주요사항 평가사업부
∙ 출연(연) 연구윤리 공통 규정 제정 평가사업부
∙ 출연(연) 연구관리 애로사항 협의결과 평가사업부
∙ 2022년 융합연구사업 추진계획 융합연구부
∙ 출연(연)-기업간 파트너십 구축
KISTI
데이터분석본부
∙ KIER 소통과 협업의 조직문화 에너지연
제22회
경영협의회
2022.4.14.∼
15.
∙ 과학기술기본계획 관계기관 의견수렴 KISTEP
∙ 출연(연) 도전・변화・혁신 미래전략부
∙ 선도국가 대한민국(과학기술 혁신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과기정통부(장관)
∙ 출연(연) 포털시스템 성과소개 및 사이버위협 공동대응 경영기획부
∙ 출연(연)「고경력 연구자 지속 활용 지원방안」마련 추진계획 인재개발부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통합이지바로 관련 출연(연) 애로사항 과기
정통부 협의 결과
평가사업부
∙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4월 기관장
간담회
2022.4.1. ∙ 차기정부 과학기술정책 관련 출연(연) 현안 긴급 논의 미래전략부
38 ∙∙∙
4) 출연(연) 예산・결산・사업계획 심의 및 제도개선
2023년도 출연(연) 예산은 정부안 기준 전년대비 1,071억 원(4.7%) 증액된 2조 3,648억 원
으로 국회 요구되었으며, 12대 국가전략기술에 6,232억 원, 신규 협력사업 295억 원이 반영되었다.
2022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을 통해 연구사업계획 상 전략목표 실행을 위한 주요사업
개편 내용을 반영하고, 1,616억 원 연구개발적립금 사용 승인 및 변경을 통해 기관별 R&R과
부합하는 자체연구개발사업과 기관발전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제도개선사항으로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공통 회계기준 미비점을 개선하여
회계결산의 효율성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회계기준을 개정하고 해설서를 마련하였다.
5) 블라인드 채용제도 개선, 임금피크제 현안 대응, 장애인 고용 활성화
2017년 7월부터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채용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출연연 등 연구
기관에도 일괄적으로 적용되었다. 이에 응시자가 연구수행을 했던 학교명, 연구실(지도교수) 등
연구수행정보를 가리게 되어 성과 및 역량 검증 등 한계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줄곧 제기되어 왔다. 또한, 우리나라와 달리 해외 주요 연구기관들은 응시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최적의 인재를 채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세계시장에서 기준으로 통용되는 규범(global standard)에 역행한다는 비판도 꾸준히
이어져 왔다.
회차 일시 안건명 담당부서(기관)
6월 기관장
간담회
2022.6.23.
∙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출연(연) 역할 방향 미래전략부
∙ 기술패권 시대, 글로벌 동향과 전략기술 중심 대응방향 과기정통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 성과 및 발전방향(안) 융합기획부
∙ 2023년도 정부예산요구 및 국회 등 주요 현황 재정지원부
∙ 출연(연) 임금피크제 현안사항 및 조치방안 인재개발부
∙ 표준연 연구조직 운영 사례 공유 표준연
제23회
경영협의회
’22.8.30.
∙ BIG(Big Issue Group)사업 추진현황 보고(안) 미래전략부
∙ 2023년도 정부예산요구 및 2022년도 국정감사 관련 안내 재정지원부
∙ 「(가칭)출연(연) Technomics 추진전략 오디션」개최(안) 융합기획부
∙ 특별강연 : 글로벌 초일류 연구소의 길 손욱 대표
10월 기관장
간담회
2022.10.26.
∙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주요내용 및 공유지 이슈 진행현황 미래전략부
∙ 감사기능 선진화 추진현황 보고 감사기획부
∙ 소관 출연(연) 기술이전・사업화 성과 진단 및 제고 방안 성과확산부
제24회
경영협의회
2022.12.15.
∙ KIST-경찰청 과학수사 기획 연구 관련 발표 KIST, 경찰청 등
∙ 국가연구개발 사업 40년의 성과와 과제 정성철 前 STEPI 원장
∙∙∙ 39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이러한 의견을 받아들여 여러 경로로 블라인드 채용에 관한 출연(연)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고, 출연(연)을 비롯한 연구기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위취득 및 연구
수행 기관 정보를 채용기초자료로 수집 가능하도록 하는 블라인드 채용제도 개선 방안을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마련한 바 있으며, 조명희 의원의 개정 발의한 채용절차법 개정 시
이러한 방안을 제시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왔다.
2022년 10월 28일에 개최된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연구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제도 폐지방침이 결정됨에 따라, 75개 연구개발목적기관의 연구인력 채용 시 주무부처의 장이
직무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정보의 범위 등 세부사항을 별도로 정할 수 있도록 관련 지침과
가이드라인이 개정되었다. 따라서, 각 부처별로 소관 연구기관들에게 적용할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주요 출연연들과 TF를 구성하여 기준
(안) 마련 및 25개 출연(연)의 의견을 수렴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전달하는 등 적극적으로
역할을 수행하였다.
2022년 12월 22일자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연구개발목적기관 채용 기준’이 확정되어
출연(연) 등 연구개발목적기관들에게 배포되며,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앞으로는
능력을 중심으로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의 우수한 인재들을 채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임금피크제 운영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단계적 조치를
추진해 왔는데 2022년 6월에 임금피크제 현안 사항을 기초로 제도 유효성 검토 체크리스트를
마련해 출연기관들에게 안내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임금피크제 운영 관련 심층 실태점검을
실시하였다. 또한,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시간 단축 또는 직무조정, 적용제외, 제반 행정업무
기준 정비 등과 같은 임금피크제 운영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기관 검토사항을 마련하고 기관들
에게 적용을 지속적으로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2020년 기준 목표비율 대비 53%에 불과했던 소관 출연(연)의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률이
2021년에는 71%로 전년대비 18%p, 장애인 고용인원은 103명이 증가하였다. 2022년에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3.60%로 상향조정되어 이행률이 전년도 수준인 70%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함께 의무고용 이행률 80% 미만인 기관에 대한 고용
컨설팅을 실시하였고, 맞춤훈련을 통한 채용으로 총 28명을 고용하는 한편, 장기적인 이공계
장애인력 양성을 위하여 이공계 대학생 21명과 대학원생 3명을 13개 출연(연)과 매칭하여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 실시하는 등 출연(연)의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40 ∙∙∙
6)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009년부터 국내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들을 대상으로 출연(연)에서
R&D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연구 역량 향상 및 경력개발을 통해 신진연구자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5년(2017∼2021) 간 소관 출연(연)
박사후연구원 424명이 창의도전연구, 연구네트워크, 교육훈련, 경력개발 지원 등의 연수 지원을 통해
배출되었고, 배출 인원 293명 중 278명(95%)이 취업하였으며, 취업 인원 중 소관 출연(연)
51%, 학계 17%, 산업계 20%, 기타 12%를 차지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산업현장에서 활동
하고 있다.
7) 출연(연) 정책 및 제도 개선
가) 출연(연) 소통기반 연구협력 활성화
출연(연)의 연구기획 및 협동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기구로서 연구개발전략위원회(이하
‘연전위’)가 2022년 9월에 출범하였다. 연전위는 지난 해 개정・시행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구성된 법정위원회로서, R&D정책
및 기술개발 전략 등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고, 국가 임무 달성을 위한 출연(연) 간 협력 연구전략을
자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전위는 출범 후 출연(연) 연구자들 간의 교류・협력을 바탕으로 한 협력연구 방안을 도출하고자
출연(연)의 분야별 기술・정책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문분과를 구성하였다. 향후, 주제별 전문분과는
Bottom-up 관점에서 출연(연)의 혁신 정책을 제언하고, 전략기술 분야별 국가 로드맵 이행을
위한 출연(연)의 공동목표 설정과 협력 방안을 검토하게 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전위가 궁극적으로는 출연(연)의 공감과 협력을 이끌어 연구협력을 활성화시키고,
공동목표를 제시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역할 분담 및 협력체계를 제시하는 등 이를 위한
연구자 중심의 새로운 소통의 장으로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2년은 국가・사회적으로 임무중심의 R&D 체계, 국가전략기술, 세계 기술패권, 탄소 중립 등
주요 현안 및 이슈가 두드러진 상황에서 정부의 핵심 장기・미래정책 지원을 위하여 출연(연)
공통임무에 대한 출연(연) 간 연구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핵심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차세대 원자력(SMR), 양자기술 등 국가 중장기 성장 동력인 미래 핵심 전략기술의 선도적
확보를 위해 출연(연) 간 기관별 역량을 결집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구협력을 수행 지원
함으로써 출연(연)만이 할 수 있는 임무지향적 연구과제를 도출하고,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해 나갈 예정이다.
∙∙∙ 41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나)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실현
새정부 국정과제(80.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로 지역 주도 혁신성장 실현) 설정에 따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지역조직이 지역혁신의 구심점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주기적으로 출연(연) 지역조직을 방문하여
연구자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조직의 주요성과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또한,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R&D 혁신의 구심점 역할 강화를 위해 2022년 10월부터 출연(연) 지역조직협의체
중심의 지역 협력 연구사업의 기획 연구를 지원하였다. 총 연구비는 180백만원 규모이다. 이를
통해, 5개 출연(연) 지역조직협의체는 지역 산업 관련 현안을 발굴하고, 산・학・연 협력 연구
사업 기획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지역과학기술 허브 역할 수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정책연구를 추진하여 출연(연) 지역조직 중심의 산・학・연
협력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출연(연) 지역조직이 지역 산-학-연을 촘촘히 잇는 개
방형 융합연구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지역조직의 설치・운영 절차에 관한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제정 이후 4회 진행하였고, 2021년 9월부터 2022년 1월까지 규정 재정비를 위한
정책연구를 진행하여 지역조직 설치・운영 절차 제반의 체계화와 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다. 앞으로도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기여를 계속해서 독려하고 출연(연) 지역조직들이 지역 주도 지역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기반을 갖추도록 지원함으로써 출연(연) 지역조직의 효율화 및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다) 출연(연) 거버넌스 및 기능 조정
2019년도부터 논의되었던 녹색기술센터와 세계김치연구소의 경영혁신에 대한 후속조치가
2022년에 완료되었다.
녹색기술센터는 2021년 6월에 이사회에 상정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녹색기술센터 경영
체제 효율화 검토 후속 조치 계획(안)”에 따라 경영혁신을 위한 후속 조치를 추진하였고, 이에
따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국가 녹색・기후기술
정책 개발, 글로벌 녹색기술 혁신 및 인재육성을 포함한 역할 및 기능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기관 자체적으로 혁신 발전방안을 수립하여 기후기술에 대한 R&D 전략 등의 역할을 강화하여
수행하고 있다.
세계김치연구소는 2020년 9월에 발표된 기획평가위원회의 통합 권고안에 대해 광주광역시와
세계김치연구소 구성원 등은 반대하였고, 중국의 김치공정 확산 등 대외 환경의 변화로 통합에
42 ∙∙∙
대한 우려가 있었던 시기였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사회는 세계김치연구소에 제기되어 왔던 문제를
극복하고 자체적인 개혁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유예기간을 설정하는 내용으로 2021년 6월에
이사회는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경영체제 효율화 검토 후속조치 계획(안)을 의결
하였다. 이에 따라 세계김치연구소는 연구소 차원의 자체 혁신을 추진하고, 연구사업 및 기관운영
계획, 기관의 역할과 책임,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등의 점검 및 수립 과정에서 혁신적 발전방안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실질적인 이행을 담보하여 혁신적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TF를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이해관계자들의 기대 등을 반영하여 혁신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김치산업의 과학화,
선진화, 자원화 연구를 포함하고, 설립목적에 부여하는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였다.
혁신방안을 통해 녹색기술센터와 세계김치연구소는 국가 기후기술 정책 및 전략, 김치산업진흥
및 문화 확산의 리더로써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8) 출연(연) 기관평가
기관운영평가 계획에 따라 2022년 5월에는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대상으로 그리고, 2022년 9월에는 한국기계연구원을
대상으로 기관장 임기와 연계하여 기관운영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조직 구성원 대상 내부
고객 만족도를 반영하는 등 내부소통 활성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노력하였다.
평가 제도개선을 통해 2022년 기관운영평가 시 현안대응영역 배점을 상향하고 평가 항목을
①정책방향 대응, ②건전한 조직문화 조성 및 안전사고 예방, ③외부환경 변화 및 외부지적사항
대응으로 세분화하였으며, 화재 및 안전사고, 직장 내 따돌림, 성 비위 발생 및 예방조치 등을
평가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연구사업평가 대상 기간 중간시점이 도래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녹색기술센터 등 4개 기관 대상으로 연구사업계획 중간점검을 최초로
실시하였다.
9) 출연(연) 연구행정업무 효율화
정부는 연구현장의 행정부담 경감 등을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고자 출연(연) 연구행정혁신을 추진해 왔다. 출연(연) 연구행정혁신을 위해 2017년부터 연구
행정혁신위원회(구. 총괄자문위원회), 분과운영위원회, 연구자협의체, 전문분과로 구성된 연구
행정혁신추진단을 운영해오고 있다. 2022년에는 추진과제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연구자 체감도
향상, 조직문화 혁신 활동 및 현장 구성원의 의견수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영체계를 개편하여
4개 위원회 및 8개 전문분과(조직문화분과 별도)로 구성하였고, 총 107명의 위원을 위촉하였다.
∙∙∙ 43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2022년 연구행정혁신추진단은 20여 회에 달하는 활동을 통해 과제를 발굴하고 세부 이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현안발굴을 위한 정기 설문조사, 현장인터뷰 등을 통해 연구현장의 실질적 의견을
수렴하여 현장에서의 효과와 체감도가 향상되도록 8개의 신규과제를 도출하였다. 기존 추진
과제로는 출연(연) 법무 자문, 공동채용, 법정 교육, 출연(연) 포털 등 출연(연) 공통행정기능을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 일원화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출장제도, 출입절차 개선을 통해 행정을 간소화
하고 연구용 학술지를 공동 운영하고, 인공지능(AI) 법무 질의를 제공하여 연구행정 업무를 효율화
함으로써 연구몰입환경 조성 지원에 기여하고 있다.
10)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기초원천 및 응용기술 개발 등을 통해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혁신성장을 선도
하는 것은 출연(연)의 사명 중 하나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제고와
출연(연)-중소・중견기업 간 상호 R&D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출연(연)의 연구성과 확산 측면에서 ‘출연(연) 공동기술마케팅’, ‘테크비즈파트너링’ 등
출연(연)의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수요기업과 연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출연(연)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기술사업화 촉진에 기여하였다.
또한, 기술사업화 활성화 차원에서 기술금융과의 연계를 위해 산업은행과 협력하고 있으며,
출연(연) 유관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총 12개 기업에 민간 투자
유치를 위한 IR(Investor Relations) 기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출연(연) 등 다양한 연구개발 주체가 개발한 혁신기술을 바탕으로 사업화를 추진하는
테크 스타트업을 집중 지원하기 위해 산업은행,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
하였으며, 협약 기관 간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 미래성장동력 발굴, 지역 기반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성과의 확산을 위한 노력과 함께 출연(연)이 보유하고 있는 유망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직접 지원하기 위해 ‘출연(연)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과학기술인의 자긍심
고취 및 우수성과 창출을 독려하고자 ‘2021년도 출연(연) 우수연구성과(25선)’를 선정하여 시상
하였다.
마지막으로, 출연(연) 연구자 및 기술이전 전담조직(TLO) 인력의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인력교육원(KIRD)과 협력하여 전략형 기술이전 전담조직(TLO) 교육 및 예비창업자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였다. 각각 191명과 16명이 교육을 수료하였다. 또한, 출연(연) 기업가
정신 토크콘서트 개최 지원을 통해 출연(연) 연구자의 기업가정신 함양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
44 ∙∙∙
11) 출연(연)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
모든 경계가 붕괴되고 융합하는 초융합화 시대에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복잡성도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성과 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다. 최근 협력 중심의 연구생태계는 전통적인 지식 및 기술의
공공이전(transfer) 방식에서 벗어나 지식의 공동생산(co-creation of knowledge)으로 진화
하고 있다.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다양한 부문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 연계시스템을 강조
하며, 이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전환, 거버넌스 개편 등이 함께 추진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하여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소관 출연(연)을 중심으로 융합을 통한 더 큰 도전과 혁신에
퀀텀점프를 이룸으로써 대한민국이 당면하고 있는 국가・사회적 현안에 기여하고자 융합연구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구분 융합연구단 창의형 선행융합연구 융합클러스터
개요
국가・사회 현안해결 및
신성장분야 핵심기술 개발
도전・창의적 연구 및
연구성과 고도화
연구 주제 및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선행 연구
출연(연) 및 산・학・연
연구자간 교류의 장 지원
추진
현황
∙ ’14∼’22년 23개
∙ ’22년 11개 수행중
∙ ’14∼’22년 59개
∙ ’22년 30개 수행중
∙ ’17∼’22년 70개
∙ ’22년 40개 수행중
∙ ’14∼’22년 215개
∙ ’22년 75개 수행중
<표 2-7>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 수행중 과제 : ‘22.1.1∼’22.12.31 기간 중 수행한 융합연구과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022년도 기준 160여개 융합연구 및 융합기획과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On-site, 책임평가위원, 무빙타겟, 특허기반 연구개발(IP-R&D), 기관부담금 등 융합연구에
특화된 제도를 운영하여 출연(연) 융합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융합연구사업을 통해
약 3,500여명(누적 29,000여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산・학・연 간 활발한 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형성뿐만 아니라 연구내용 공유, 성과확산 및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까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다. 향후 계획
1) 이사회・기관장 선임, 경영협의회 등 위원회 개최・운영
이사회는 월 1회 주기로 개최될 예정이며,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는 격월 1회
마다 진행될 예정이다. 감사, 이사 등 임원을 선임하기 위해 위원회 개최(2회) 및 출연(연)의 기관
장을 선임하기 위한 위원회 개최는 9회 예정되어 있다. 대상기관으로는 KIST, 생기원, 표준연,
∙∙∙ 45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기계연, 에너지연, 화학연, 재료연, 핵융합연 등이다. 기관장 선임 이후 출연(연) 신임 기관장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을 1회 이상 개최할 예정이다.
2) 고경력 지원・활용 활성화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베이비부머 세대 퇴직러시로 인한 연구절벽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연구중심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제도의 운영 규모를 확대(현행 연구원
정원의 10% 이내)하고, (가칭)석학연구원 제도 신설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정년
이후에도 근무기회를 부여하는 동시에 국가 차원에서는 우수한 노하우를 보유한 고경력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고경력 연구자 지속활용을 위한 경력경로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중・장기적인 고경력 과기인
양성 체계를 출연(연)에 제시할 예정이다.
3)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023년에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의 지원 규모를 165명, 예산을
103.8억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연수기간을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고, 사업
관리시스템(PMS)의 활용 활성화를 통해 사업운영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2023년에도
박사후연구원들의 R&D 경력개발과 연구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전문교육 및 연수성과 교류회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4)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활성화
출연(연) 공동기술마케팅, 기술이전 전담조직(TLO)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및
창업 컨설팅 등의 지원을 통해 출연(연)의 공공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고자 적극 노력할 예정
이다. 특히, 기술 및 수요기업 발굴・매칭을 넘어 출연(연)의 기술을 이전・출자받은 기업 또는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사업화 및 성장을 위해 산업은행, 민간 벤처캐피털(VC) 등 기술금융 관련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출연(연)의 성과확산과 관련된 정책적 개선사항을
발굴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출연(연)의 연구성과가 기술개발에 그치지 않고, 국가・사회적
으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46 ∙∙∙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가. 예산 배분・조정 체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배분・조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년 1월 31일까지 관계 중앙행정
기관의 중기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검토하고, 매년 3월 15일까지 국가연구개발투자의 방향과
기준을 마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31일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예산요구서를 각
부처로부터 제출받아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배분・조정 내역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자문
회의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를 매년 6월 30일까지 기획재정부에 알려야 한다. 기획재정부는 정부
재정규모 조정 등을 고려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
조정 결과와 그 외 일반적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부 연구개발
예산안을 편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심의를 거치는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5년 이상의 중장기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기초과학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시설・장비
구축사업, 출연(연) 주요사업비 및 운영경비 등이 해당하며, 기획재정부가 심의하는 일반 국가연구
개발사업 예산은 인문사회 연구개발, 대학 재정 지원, 국공립 연구기관 운영경비, 정책연구비,
ODA 등을 포함한다. 2023년 예산 기준으로 총 R&D 예산 규모는 31.1조 원이며, 주요 R&D는
24.9조 원, 일반 R&D는 6.1조 원 수준이다.
나. 예산 배분・조정 절차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에 따라 관계 부처에서 차차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우선
순위에 대한 의견과 중기사업계획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면, 과학기술
∙∙∙ 47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정보통신부는 이를 검토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을
수립하여 관계 부처와 기획재정부에 알린다.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다음 연도 국가
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의 가이드라인이자 관계 부처에서 예산요구서 작성 시 기준이
된다. 2023년 예산 배분・조정 시에는 새정부 국정방향 및 국정과제 등 변화된 정책 환경을 반영
하기 위해 3~4월 기간 동안 관계 부처와 신규사업 기획컨설팅, 분야별 예산전략회의(총 4회)
등을 통해 부처의 신규사업 기획을 점검・보완하고, 중점 투자분야 및 협업 필요분야 등을 발굴
하였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산안 편성지침과 중앙관서별 지출한도에 따라 관계 부처가 예산요구서를
5월 31일까지 제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을 배분・조정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분・조정 시에는 기술분야별 효율적・전문적인 예산 심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시행령 제9조에 따른 전문위원회의 사전검토를 거치며, 2023년 예산에
대한 사전검토는 총 7개 기술분야 132명의 전문위원들이 5일간 총 1,200여개의 사업을 심층
검토하였다.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48 ∙∙∙
2.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이하 투자방향)
가. 투자방향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 제5항에 따라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예산 배분・조정의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투자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투자방향 수립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처별로 다음 연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를 제출받아,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부처 간 협의・조정 등을 거친다. 2023년 투자방향 수립 시에는 민간위원 중심으로 구성된
연구개발투자혁신기획단을 거쳐, 대・중・소기업 CTO, 출연연, 대학 등 다양한 연구개발 수행
주체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아울러, 관계부처 협의와 함께 대국민 온라인 공청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정책고객을 대상으로 소통을 강화하였다. 투자방향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 후 관계부처에 통보된다. 다만, 2023년 예산의 경우
새로운 정부가 5월 10일 출범함에 따라 국정방향 및 국정과제를 반영할 수 있도록 ‘2023년도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추진 계획’을 마련하여 부처에 안내하였다.
나. 2023년도 투자방향 주요 내용
2023년 투자방향은 글로벌 기술패권 및 대전환의 시대를 맞아 ①미래 성장잠재력 강화,
②국민의 삶의 질 제고, ③대전환의 시대 혁신 선도, ④포용적 혁신 강화라는 4대 분야와 그에
따른 9대 중점투자방향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 투자를 강화해야 할 분야로는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강화 및 미래 과학기술인재
확충, △국가 필수전략기술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토대 마련, △소재・부품・장비 생태계 강화
및 미래 공급망 대응,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및 바이오헬스 분야 중점 지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심형 R&D 확대, △D.N.A 고도화를 통한 전 영역으로의 디지털 전환 촉진, △기술
혁신과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한 2050 탄소중립 견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혁신 기반 확충을
위해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자강적 혁신기반 조성, △중소기업 혁신 지원 및 연구성과 기반
창업・사업화 촉진 등을 제시하였다.
투자시스템 고도화와 관련해서는 ①R&D지원 플랫폼 구축, ②연계・협력 강화, ③성과 창출
촉진이라는 3가지 기본 방향 속에서 △국가기술전략센터 강화, △거점 중심 연구기반 확충,
△민・관・군 협업 강화, △대형연구시설 관리 고도화, △임무 중심형 R&D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49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그림 2-6]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50 ∙∙∙
3. 2023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가. 주요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결과(’22.6월 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배분・조정을 수행한 2023년도 주요 연구개발 예산 규모는 24조
6,601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38억 원(1.7%)이 증가하였다. 전년 대비 56개가 증가한
1,254개의 세부사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가운데 신규사업은 196개(약 0.7조 원), 계속
사업은 1,058개(24.0조 원)이다. 2023년도에는 △전략적 투자 강화, △국민 체감성과 창출
촉진, △선택과 집중의 투자 효율화를 중심으로 배분・조정하였다.
먼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여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초격차 산업 분야에
중점 투자하고, 미래 도전적인 과학기술의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첨단바이오, 우주・항공, 양자,
인공지능에 대한 투자도 전년 대비 10% 이상 확대하였다. 창의・도전적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연구를 꾸준히 지원하는 한편, 국가전략기술, 탄소중립 등 유망분야의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투자도 강화하였다. 또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차세대 원전 경쟁력 확보 등 청정에너지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하고, 저탄소
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산업공정 혁신, 대규모 포집・저장(CCUS) 관련 기술개발을 중점 지원
하였다. 디지털 전환의 기반이 되는 반도체・AI・메타버스 등 10대 핵심기술과 디지털 융합을
바탕으로 제조・산업, 모빌리티 등 산업 분야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였다.
민간 주도의 R&D 투자 시스템 구축을 위해 먼저, 국가전략기술, 신성장동력 등을 중심으로
민간R&D협의체 분야를 2개에서 5개로 확대하고, 협의체를 거쳐 발굴된 민간의 기술수요는
기획・투자 등 정부R&D에 연계하여 9개 사업을 반영하였다. 아울러, 미래국방기술 기획체계를
강화하고, 국방R&D 분야에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여 민・군 간 협력을 활성화하였다.
특히, 2023년 R&D 예산 배분・조정 시에는 탄소 중립 분야에 범부처 통합형 예산 시스템을
시범 적용하였다. 온실가스 감축, 산업계의 시급한 기술수요 등을 고려해 투자 우선순위를 설정
하고, 기술혁신 로드맵과 연계성을 분석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부처
간 칸막이를 넘어 탄소중립 분야 R&D 예산을 배분・조정하였다.
∙∙∙ 51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나. 2023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편성 결과(’22.9월 기준)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3년 정부 연구개발 예산(주요+일반) 편성 규모는 총 30조
6,574억 원으로, 2022년 29조 7,770억 원 대비 8,804억 원(3.0%)이 증가하였다. 이 중 주요
연구개발 예산은 총 1,259개 사업, 24조 8,587억 원으로, 자문회의 심의 결과 대비 1,986억 원이
증액되었다. 2020년 정부안 편성 단계에서 일본 수출규제 등 현안 대응을 위해 2.66조 원의
대규모 증액이 있었으나, 이후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자문회의 심의 결과를 최대한 반영해 오고 있다. 그 결과, 올해 기재부 단계 연구개발 예산
변동률은 0.8%로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요 변동 내역을 보면 자문회의 심의 이후
통과된 신규 예타 사업, 예타 계획 상의 필수소요 반영, 자문회의 심의 의견을 고려한 추가 반영
등에 총 3,740억 원이 증액되었으며, 사업추진 규모 및 일정변경 등을 고려하여 총 1,754억
원이 감액되었다.
다. 2023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국회 최종 확정 결과(’22.12월 기준)
2023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정부안 30조 6,574억 원 대비 4,190억 원이 증액되어 총
31조 764억 원으로 확정되었다. 2022년 29조 7,770억 원 대비 4.4%인 1조 2,994억 원이 증액
되었으며, 정부 총지출 638.7조원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5년(2019~2023년) 간 총
10조 원 이상의 연구개발 예산이 확대되었으며, 올해도 지속적으로 예산을 확대하였는데, 이는
확장재정에서 건전재정으로 재정 기조가 전환되는 가운데 과학기술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2-7] 최근 10년간 연구개발 투자 증가율
52 ∙∙∙
[그림 2-8] 최근 10년간 정부 총지출 및 연구개발 투자 규모
세부적으로는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전년 대비 4,735억 원(11.2%)이 증액된 4조 6,827억
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우선, 반도체는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인력양성, 팹리스 기업 지원
등을 위해 전년 대비 30.4% 증가한 5,635억 원을 투자한다. 올해 나로호 발사로 큰 성과를
거둔 우주 분야도 전년 대비 25.2% 증가한 7,508억 원을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한국형 위성
항법시스템(KPS) 구축 등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우주개발 능력 확보 및 활용 분야에 투자한다.
이 외에도 초격차 산업의 전략기술 확보와 미래 도전적인 과학기술 역량 확보를 위해 이차전지는
24.5% 증가한 1,114억 원, 차세대원자력은 29.8% 증가한 991억 원, 첨단 모빌리티는 11.4%
증가한 5,436억 원, 첨단바이오는 9.2% 증가한 8,288억 원, 인공지능은 8.7% 증가한 7,051억
원을 각각 투자한다.
탄소중립 분야는 전년 대비 1,048억 원(4.7%)이 증액된 2조 3,499억 원을 투자한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해 탄소 다배출 업종의 산업공정 혁신 기술에 작년
보다 83.0% 증가한 1,189억 원을 집중 지원한다.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네크워크
분야는 10.6% 증가한 1,369억 원을 투자하며, 저탄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적응 및 흡수 분야
에도 9.0% 증가한 2,679억 원을 투자한다.
디지털 전환 분야는 전년 대비 3,920억 원(18.9%) 증액된 2조 4,645억 원을 투자한다. 디지털
전환의 기반이 되는 인공지능, 클라우드・SW, 메타버스 등 핵심기술의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에
12.3% 증가한 1조 3,476억 원을 투자하고, 산업과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에도 28.0% 증가한
1조 1,117억 원을 지원한다.
반도체, 우주, 양자기술 등 미래인재 육성과 글로벌 인재양성에도 전년 대비 327억 원
(6.0%) 증액된 5,743억 원을 투자하는 한편, 연구자주도 기초연구에 2조 5,885억 원, 지역 R&D
사업에 9,553억 원, 소・부・장 지원에 2조 2,452억 원, 재난안전 분야에 2조 2,486억 원을
투자하는 등 미래 대비 투자를 강화하였다.
∙∙∙ 53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표 2-8> 2023년도 정부 연구개발예산 부처별 현황
구분
2022예산
(A)
2023예산
(B)
증감
(B-A)
%
합계 297,770 310,764 12,994 4.4
과기정통부 94,083 97,747 3,664 3.9
산업부 55,415 56,711 1,296 2.3
방사청 48,310 50,823 2,513 5.2
교육부 24,331 28,804 4,473 18.4
중기부 18,338 18,247 △91 △0.5
기타 57,293 58,434 1,141 2.0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과학기술혁신본부는 한정된 재원 여건 속에서 기술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해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정부 R&D 투자시스템을 개선
하여 투자의 전략성 및 효과성을 높여가고 있다.
첫째, 민・관 협업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분야별 선도기업으로 구성된 민간R&D
협의체를 2021년 3월부터 2개 분야에 시범적으로 운영하였고, 2022년에는 탄소중립, 신재생
에너지, 첨단바이오, 미래모빌리티, 디지털전환 분야로 확대하였으며, 최근 국가전략기술
확대를 고려하여 5개 협의체 외에 필요한 분야를 발굴하여 확대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협의체 운영을 통해 발굴한 기술수요는 관련 부처에 전달하여 신규사업으로 기획하고, 예산 심의
과정을 통해 반영하고 있다.
둘째, 국가 차원의 문제해결이 필요한 전략기술, 탄소중립 분야의 전략적 투자를 위해 범부처
통합형 R&D 예산 배분・체계를 도입・운영하고 있다. 2023년 예산 배분・조정 시 탄소중립
분야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2023년에는 12대 국가전략기술에까지 확대 적용한다. 2022년 11월
부터 탄소중립 및 전략기술 분야의 계속사업에 대해 전략적 지출검토를 추진 중이며, 올해 상반기
에는 중기사업계획 심의, 신규사업에 대한 기획턴설팅, 사업설명회를 거쳐 관련 예산을 범부처
통합형으로 배분・조정을 추진한다.
셋째, 연구개발 투자의 전략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기술・정책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수립하여 예산 배분・조정에 연계한다. 2022년 12월에는 ‘바이오 제조・디지털 혁신 투자방향’을
마련하였으며, 올해 1월에는 혁신기술 기반의 유니콘 기업을 창출하기 위한 ‘범부처 스케일업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마련하였고, 5년 간(2023~2027) 연구개발 투자의 중장기 방향성을 담은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을 2월에 발표하였다.
54 ∙∙∙
제2절 국가연구 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1.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연구 자율성 강화
가. 개요
4차 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와 융합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국가 과학기술정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역할 정립과 사회적 변화를 감안한 미래
방향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정책 관점을 탈피하여 출연(연) 현장이 공감
하면서 스스로 변화도 함께 도모할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연구자와 연구기관에게 자율과 책임을, 국민에게는 혜택을 최대화하는 연구지원
체계로 혁신하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2022년에는 R&R(Role & Responsibility) 중장기 운영방안(안)을 기반으로 한국지질자원연
구원, 녹색기술센터, 세계김치연구소의 R&R이 변경되었다. 이를 통해 기관만의 혁신적이고
새로운 ‘역할’과 ‘책임’이 재정립되었고, 향후 기관별 차별화된 운영과 능동적인 연구를 영위해
나갈 전망이다.
또한, 국가 현안 발생 등 내・외부환경 변화 발생 시, 기관별 중장기 재정전략(수입구조 포트
폴리오)의 검토 및 보완을 통해 기관의 재정 여건을 반영하여, R&R 부합 연구에 기관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과기출연기관법 개정 및 시행이라는 제도적 기반 아래, 출연
(연) 연구기획 및 협동 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기구로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에 연구개발
전략위원회(이하 ‘연전위’)를 출범하였다. 연전위는 출연(연) 간 융합・협력 연구 중심의 미래
전략 및 연구기획을 자문하고, 중장기 발전 및 혁신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등을 제언하게 된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출연(연) R&R 운영
출연(연) 별로 정립된 미래 지향적 R&R은 기관별 사업 및 예산과 연계하여 이행 중이다.
출연(연) R&R은 중장기 계획으로서 정책적 지속성을 견지하는 한편, 국내외 기술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한 운영 역시 필요함에 따라, 기관별로 상이한 중장기 주요 계획
수립 시점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출연(연) R&R 중장기 운영방안(안)을 마련하였다.
R&R이 출연(연) 활동의 나침반으로서, 기관의 실질적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유연성 확보의
필요성은 수립 당시부터 강조되었다. 기관 내・외부 환경 변화에 맞추어 R&R을 비롯해 사업구조
∙∙∙ 55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등의 수정・보완이 가능한 롤링 플랜(Rolling Plan)으로서의 운영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19. 1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20. 2.), 한국한의학연구원(’20. 4.), 한국
에너지기술연구원(’21.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22. 5.) 및 세계김치연구소(’22. 6.), 녹색기술
센터(’22. 7.)는 대내외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R&R 변경을 위한 협의를 완료하였다.
2022년도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녹색기술센터, 세계김치연구소의 R&R이 수정 및 재정립
되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경우에는 희소금속 수요증가 및 기후변화에 따른 지질재해 증가
등 R&D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재정립하였다. 백두산, 통가 등 국내외 화산폭발 위험성 대두로
인한 화산 연구 역량 및 선제 대응력 향상과 광물자원 수요증가, 변화된 국제 외교 지형으로
인한 북방 외 지역으로의 해외자원 개발 다각화 요구, 기후위기 선제적 대응 등 대두되는 환경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R&R 변경을 추진・재정립하였다.
세계김치연구소와 녹색기술센터는 경영혁신 후속조치에 따라 R&R을 재정립하였다. 먼저,
세계김치연구소는 2021년 이사회 의결을 통해 6년의 유예기간을 둔 조건부 경영체제 현행유지가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김치연구소는 내부 문제를 극복하고, 설립 취지에 부응하기 위하여
자체적인 개혁으로 R&R 재정립을 추진하였다. 역할 설정 근거 강화・역할 간 연계 강화, 독자적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목표별 세부 실행방안을 강화 및 차별화 전략을 반영하여 R&R을 재정립
하였다.
녹색기술센터는 경영체제 효율화 검토 의사회 의결에 따라 현행유지 및 역할 재정립으로
확정되어 현행 체계를 유지하되 기관의 미션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해 R&R 수정하였다. 그 결과,
기관 설립 목적과 역할에 부합하며, 경제・사회 전 분야에 대한 역할을 포함할 수 있는 용어인
‘녹생성장’을 사명선언문에 사용 및 새로운 역할의 부여・강화에 따라 기존 2대 상위・5대 주요・
10대세부역할을 3대 상위・6대 주요・12대세부역할로 변경하여 상호 연계를 강화하였다.
56 ∙∙∙
연구사업계획 R&R 추 진 연 도
연구사업계획 작성
※ 25개 기관
R&R 정립
(’19. 5.)
* 연구사업계획 작성 시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 ↓ ↓ ↓ ↓
중간 컨설팅
필요시,
일부 R&R
변경 가능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기관운영계획 수립 후에도 일부 R&R 변경 가능
⇓ ↓ ↓ ↓ ↓
연구사업평가 실시
R&R
갱신을
위한 검토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 ↓ ↓ ↓ ↓
R&R
갱신(안)
확정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차기 연구사업계획
작성
* 연구사업계획 수립-추진-평가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그림 2-9]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2)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출범
개정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지난 해
시행됨(’21. 6.)에 따라 연구개발전략위원회(이하, 연전위) 신설 근거가 마련되어, 출연(연)
연구자들이 연구 및 기술을 비롯한 R&D정책 등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고 출연(연) 간 종합적
연구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다양한 과학기술계 관계자 및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연전위의 구성・역할 및 운영
체계를 설계하였고, 심층 검토 과정을 거친 끝에 제1기 연전위 위원 구성을 마치고 지난 9월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2022년 제1기 연전위 구성을 시작으로, 2023년 2개 분과위원회 운영에 착수하여 R&D정책,
연구 및 기술개발 전략 등에 대하여 함께 논의하는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연전위를
통하여 출연(연) 공감과 협력을 이끌며, 출연(연) 간 연구 협력 강화 및 공동목표 제시, 목표
달성을 위한 출연(연)간 역할 분담 및 협력체계 제시 등을 위한 연구자 중심의 위원회로 운영
할 계획이다.
∙∙∙ 57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3) PBS 개선
PBS(Project Base System)제도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연구개발예산, 성과 등을 프로젝트
(과제, 사업) 단위로 관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1996년 PBS 제도를 전면 도입하면서 출연
(연)에 지원하는 정부 예산 중 일정 부분만을 정부출연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각 기관이 경쟁적 과제 수주를 통해 예산을 확보하는 출연(연) 예산체계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PBS 제도는 연구개발예산과 연구 활동을 연계하여 투명성 및 관리 효율성을 제고하고
연구개발 주체 간 경쟁을 촉진하여 연구생산성 제고를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출연(연) 연구
현장에서는 PBS 제도 도입 이후 인건비 및 기관운영비 확보를 위해 다수의 소액과제 수주에
매달리면서 연구 몰입도 저해와 연구성과의 질 저하 등 PBS 제도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PBS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을
수립하였고, 이해관계자와 정부 부처 및 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출연(연) PBS 제도개선
TF’를 구성・운영하여 제도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일선 연구현장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
하였다.
이를 통해 출연(연)이 기관별 R&R에 부합하는 연구에 기관의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기관별
중장기 재정 전략(수입구조 포트폴리오)을 수립하고, 전문가 검토 및 관련 부처의 협의를 거쳐
이사회 보고를 통해 확정하고 있다. 2019년도 14개 기관과 2020년에는 9개 기관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가 수립되어 전체 25개 출연(연) 중 23개 기관이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을 완료
하였다. 또한, 임무 중심 R&D 체계, 국가전략기술, 세계 기술패권, 탄소중립 등 국가 현안 발생
등 내・외부 환경변화와 기관의 재정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 수립절차와 동일한 수준의 전문가
심의 절차를 거쳐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정・보완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2020년
5개 기관과 2021년 및 2022년 각 1개 기관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가 변경되었으며, 이후에도
환경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수정・보완되는 R&R에 따라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역시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보완해나갈 예정이다.
58 ∙∙∙
<표 2-9>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확정 23개 기관 PBS 개선 방향
구분 기관명
총예산 대비* 인건비 대비**
기관명
총예산 대비 인건비 대비
2017년⇢2023년 2017년⇢2023년 2017년⇢2023년 2017년⇢2023년
1차
KIST 56.0% ⇢ 70% 62.6% ⇢ 70% 천문연 87.8% ⇢ 90% 91.2% ⇢ 95%
한의학연 83.2% ⇢ 80% 87.1% ⇢ 85% 철도연 47.2% ⇢ 60% 60.6% ⇢ 75%
지자연 14.0% ⇢ 70% 75.6% ⇢ 75% 화학연 44.2% ⇢ 50% 59.9% ⇢ 75%
2차
GTC 85.8% ⇢ 85% 93.5% ⇢ 90% 핵융합연 51.3% ⇢ 40% 80.3% ⇢ 90%
생명연 43.2% ⇢ 50% 64.3% ⇢ 70% KISTI 70.2% ⇢ 70% 73.1% ⇢ 75%
건설연 28.3% ⇢ 40% 48.5% ⇢ 55% 표준연 59.1% ⇢ 65% 65.9% ⇢ 70%
기계연 38.1% ⇢ 50% 60.2% ⇢ 65% 전기연 38.6% ⇢ 40% 52.9% ⇢ 55%
3차
에기연 44.1% ⇢ 50% 61.9% ⇢ 70% 재료연 38.0% ⇢ 45% 61.0% ⇢ 65%
생기원 29.7% ⇢ 35% 52.0% ⇢ 55% 식품연 67.2% ⇢ 65% 78.1% ⇢ 75%
ETRI 13.9% ⇢ 20% 17.9% ⇢ 30% 기초연 67.3% ⇢ 75% 72.0% ⇢ 80%
안전연 40.5% ⇢ 55% 46.7% ⇢ 60%
4차 원자력연 28.0% ⇢ 40% 39.2% ⇢ 50%
5차 항우연 12.8% ⇢ 15% 61.4% ⇢ 65%
주 : * 기관 총예산 대비 출연금 예산 비중 / ** 기관 총인건비 대비 출연금 예산 비중
※ 한의학연, 화학연, 건설연, 핵융합연, 전기연의 경우 ’20년 5월에, 표준연의 경우 ’21년 2월에 수입구조 포트폴리오를
변경하였으며, 전기연은 ’22년 5월에 추가 변경 완료
4) 출연(연) 연구행정혁신 추진
정부는 대학 및 출연(연)의 전문성・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연구행정혁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써오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는 연구행정혁신
추진단 운영을 통해 상향식(출연(연) 주도, 연구회 지원) 추진과제를 도출해오고 있으며, 정보화,
표준화, 집중화 등 문제 해결방식 기준으로 추진과제를 분류・운영하고 있다. 2022년 현재 공통
행정기능집중 7개 과제를 포함한 총 42개 연구행정혁신 과제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하여
2022년 기준 약 400억 원 가량의 행정자원 절감 정량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22년에는 디지털전환 국정기조에 맞추어 디지털전환 전문분과를 신설하였으며, 로봇프로세스
자동화(RPA)・전자연구노트・인공지능(AI)챗봇 등 6개의 관련 신규과제를 도출하여 연구기관의
연구행정 디지털 전환 업무 환경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행정혁신
활동과 디지털 전환을 통해 연구자의 행정부담 경감 및 연구몰입환경 조성을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 59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표 2-10> 2022년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과제명 추진내용
법무자문 공동운영
일원화를 통한 자문서비스 제공으로 외부자문관리 효율성 및 자문 전문성 제고
※ ’22년 총 230회 이용(법률:181・노무:45・회계:4)
법정교육 공동운영
통합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관별 교육 기획 및 운영 업무 경감
※ 「출연(연) 법정교육의 날」지정 운영(7회)
채용 공동운영
기관별 채용에서 공동채용으로의 전환을 통한 채용업무 투입인력 및 비용 경감
※ (1차, ’21.4) 12개기관, 261명 (2차, ’22.7) 9개기관, 131명 (3차, ’21.9) 10개기관, 206명
감사기능 선진화
연구회 중심의 감사 인력풀(협동감사인) 구성 및 출연(연) 감사기능 연구회 집중
※ 출연(연) 자체감사 사무처리를 전담하는 감사단 조직 신설(’21.4.)
포털시스템 공동운영
출연(연) 포털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보체계 기반 출연(연)간 정보공유 및 소통 활성화
※ 메신저, 라운지, 화상회의, 출장증빙, 출연(연)TV, 출입신청 등 서비스를 제공
화상회의 서비스 공동운영
비대면 회의 방식의 확산을 통한 비용절감 및 모바일 메신저 연동으로 접근성 향상
※ 全출연(연) 이용 및 11,569명, 2,958건, 3,067시간 누적 이용(’22.9.)
연구용학술지공동운영
전자저널 全출연(연) 통합계약을 통해 정보자원의 상향평준화 및 오픈액세스 출판 권리 확보
※ 논문 접근성이 극대화된 Collection 구독* 및 오픈엑세스 무료 출판 지원
* Elsevier 2,200여종, Wiley 820여종 저널
5) 대과제 지정・심의 체계(ʹ21년 도입) 개선
기관의 자율성을 존중하여 세부과제에 대한 심의없이 총액으로 전액 반영하는 대과제를 지정
하여 심의하는 지원체계를 확장 적용하여 각 출연연구기관이 필요로 하는 연구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 개선하였다.
<표 2-11> 대과제 지정・심의 체계 개선 주요사항
목적 구분 기존 개선
자율성강화
지정 범위
국가적 현안대응
창의・도전적 과제
全 대과제
(운영・고정경비 성격 제외)
기존과제 변경 -
조건부 허용
(과기혁신본부 사전 협의)
규모 확대
지정 상한
주요사업비 30% 이내
(1개 대과제 내외)
주요사업비 40% 이내
(2개 대과제 내외)
과제 증액 전년 동 원칙 10%이내 증액 허용
60 ∙∙∙
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는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면서 국비 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실시한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의 목적은 신규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통해 신규투자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조사한다. 기본적으로 예타를 신청한 연구개발사업은 대상선정 단계로써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3에 따라 기술성을 평가받으며, 평가결과 적합으로 판명된 사업에 대하여 예타를 실시
하게 된다. 예타 대상선정은 기술개발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구체성, 기존사업의
유사・중복성, 국고 지원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연구개발 예타 대상에 적합한 사업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대상선정 결과 적합으로 판정받은 사업은 7개월 내외의 본격적인 타당성조사를 실시한다.
예타는 전문 조사기관에 의해 수행되며, 조사 시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진이 구성되어,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수행하게 된다.
조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사업의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종합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 상정하게 되면 해당 사업의 예타는 일단락된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는 사회간접자본(SOC) 등의 재정사업과 함께 기획재정부에서 실시
하였으나, 「국가재정법」 제38조의3이 신설되면서 2018년 4월 17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업무가 위탁되었다. 업무위탁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의 과학기술적
전문성을 높이고, 연구개발사업의 특성(비정형성, 결과의 불확실성, 효과의 잠재성 및 간접성
등)을 반영한 제도를 안착시키는데 주력하였다. 2022년에는 새로운 정부 출범과 함께 그 동안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어 왔던 예타 기준금액 상향, 경직적인 사업운영의 개선, 보다 빠른
사업추진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졌고, 이를 반영하여 ‘유연성 확대’, ‘적시성 강화’
등을 위한 7대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제도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획재정부로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제도를 위탁 받은 이후 여러
번의 제도개선을 통해 연구개발사업의 특성에 맞는 예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왔지만,
예타 접수 시부터 사업시행까지 장기간이 소요되거나, 예타 통과사업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등 제도운영에 일부 아쉬움이 존재했다. 이에
∙∙∙ 61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2022년 9월 16일 7대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좀 더 유연하고, 적시에
대응할 수 있는 예타로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단계별 구성이 많은 중장기 사업(단계형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기획 시 구체화가
어려운 후속단계는 계획의 구체성 요건을 완화하였다. 이를 통해 후속단계 사업 구성이 예타
조사시점에 확정되기 어려운 도전적인 사업도 초기 계획이 합리적이라면 초기 단계 개시가
가능하도록 조사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그리고, 기술이 지정된 사업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제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기술을 특정할 수 없는 사업(기술비지정형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조사지표를 마련한다. 현 수행지침 중 기술비지정형사업에 적용이 어려운 조사항목 등을 식별
하여 개편하고, 이를 반영한 별도의 지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예타를 통과한 사업들도 기술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업의 지속적인 질적 제고가
가능하도록 사업계획의 변경을 허용한다. 사업운영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계획변경이 논의될
수 있도록 예타 결과보고서에 정책제언으로 관련 내용을 제시하고, 임무중심형 사업들은 사업
시행 중이라도 사업계획 변경이 필요한 경우 특정평가를 통해 계획변경이 허용된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기준을 상향하고, 대형・중장기 사업은 사전평가를 강화하여 투자의
건전성을 제고한다. 적정규모의 사업은 예타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기준을 500억 원에서 1,000억 원으로 상향한다. 그리고, 투자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총사업비
1조 이상이면서, 사업 기간이 6년 이상인 대형사업은 사전검토 기간을 2개월로 확대하고, 사전
검토 결과 사업계획 등에 재검토의 필요성이 확인된 경우 예타 접수를 보류하는 제도를 신설
하였다.
그리고, 임무중심형 R&D 등 주요 정책 관련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예타 기간을 7개월에서 4.5개월로 단축한다. 대상 사업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의결 등을 통해 시급한 조사의 필요성이 인정된 주요 정책 관련 사업으로, 총사업비
3,000억 원 이하이고, 사업기간이 5년 이하인 사업 중 내역사업이 3개 이하로 구성되며, 각
부처 R&D 총괄 부서에서 자체 타당성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신속조사
(Fast-Track) 도입으로 1분기에 예타를 신청한 사업도 신청한 연도에 정부예산(차년도 예산)
반영이 가능할 전망이다.
62 ∙∙∙
[그림 2-10] 일반예타와 신속조사의 조사기간 비교
예타의 신뢰성 제고와 평가의 객관성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도 추가되었다. 먼저, 예타 과정
에서 조사진 및 자문위원에게 혼동을 줄 여지가 있는 평가항목을 발굴하여 정비할 예정이며,
비용편익 분석(B/C)을 고도화하기 위해 조사결과 대비 실제 결과의 환류를 정례화하여 편익
산정 개선의 근거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종합평가위원회의 참여 인원을 12명에서
14명으로 확대하고, 재정분과를 신설, 종합평가위원회에 필수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투자
필요성에 대한 심사를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예타 시 선택적으로 운영하는 기술소위를 임무중심형 R&D 사업에 한해 필수적
으로 운영토록 하여 심사의 객관성을 강화하고, 기술소위 구성 시 참여 인원을 학회・협회・기업
등 관련 업무 종사자로 확대하는 한편, 동료 평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의사결정 왜곡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해 전문가 군(群)에 대한 사전 검증절차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제도개선 방안은 2022년 12월 1일 관련 규정 개정이 완료되면서 대부분의 과제를 적용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으나, 기술비지정형사업을 위한 별도의 지침은 관련 조사기관의
추가연구를 통해 2023년 1분기 정도에 마련될 예정이며, 예타 기준 상향은 기재부 협조를 통해
신속하게 「국가재정법」 관련 조항을 개정해 나갈 계획이다.
금년 제도개선을 통해 재정분과가 신설되면서, 전체 분과위원회는 15개로 확대되고, 총괄
위원회의 민간위원 수도 15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제3기 분과위원회 및 총괄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존의 분과위원 구성절차와 동일하게 관계 부・처・청 및 관련 기관 추천을
통해 후보자를 접수하여, 서류검토, 추천위원회 및 내부검토, 신규 분과위원 교육 등을 거쳐 223명을
분과위원으로 선정하여 위촉하였다. 과거 1년간의 위원별 활동 내역을 기반으로 불성실 등
부적격 의원을 제외하였으나, 나머지 의원은 스스로 연임을 고사하지 않는 한 연임되었으며,
예타 수요가 증가하는 분과는 의원의 수를 증원하고, 제도개선에 따라 재정분과를 신설하는
등 효율적인 종합평가위원회가 운영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 63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민간위원, 외부전문가
임기는 1년, 연임가능
성과평가정책국장 (간사)
과학기술 1분과(4) 과학기술 2분과(3) 과학기술 3분과(4) 정책・경제 분과(4)
공공, 우주,
에너지, 환경
생명, 의료,
기초기반
기계, 소재
정보통신, 전자
정책, 경제, 기술경영,
재정
【 사업별 종합평가(AHP) 위원회 】
• 역할: 예타 대상사업별로 구성하여 조사 결과에 대해 종합평가(AHP) 수행
• 구성(14명): 분과위원 10명(재정분과 필수), 조사 참여 전문가 3명, 조사총괄 PM 1명
[그림 2-11] 총괄위원회, 분과위원회 및 종합평가위원회 구성
2)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수행 및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
국가연구개발예산의 증가와 더불어 계속사업의 일몰 등으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부처
에서는 대규모 신규 사업을 지속적으로 신청하고 있다. 다만, 최근 3년간 신청사업 수는
2020년 74개 사업, 2021년 60개 사업, 2022년 44개로, 연평균 신청사업 수는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위탁된 이후 총 137개 사업이 대상
으로 선정되었고, 철회 등을 통해 제외된 6개 사업을 제외하면 조사가 완료된 사업은 122개
이며, 현재 9개 사업이 조사 진행 중이다. 조사 완료된 122개 사업 중 시행사업은 61개
(50.0%)이며, 시행금액은 29조 6,982억 원으로 평균 사업기간 7.6년을 고려하면, 총사업비
기준으로 연간 3조 9,076억 원이 예타를 통해 투자되는 상황이다. 조사에 소요되는 기간을
살펴보면, 위탁 이전 평균 조사기간은 13.5개월인 반면, 위탁이후 평균 조사기간은 7개월로
줄어 상당히 신속하게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가 수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속하게 연구개발 예타를 진행하는 한편, 연구개발 예타 시행/미시행
결정을 위한 분석적 계층화법(AHP : Analytic Hierarchy Process)으로 종합평가를 실시 할 때
과학기술적 가중치를 최대 60%까지 확대하도록 2018년에 제도를 개선한 바 있다. 그 결과
위탁 이후 2022년 12월 말까지 조사를 마친 연구개발사업의 종합평가 결과를 보면, 과학기술적
타당성 가중치는 4.2%p 증가하고, 정책적 타당성은 7.4%p 중가했으며, 경제적 타당성 가중치는
11.7%p 감소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평가할 때 경제적 관점
보다는 과학기술적 및 정책적 중요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64 ∙∙∙
<표 2-12>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위탁 전후, 종합평가 항목별 가중치
위탁 전 (2016.下∼2018.4.16.) 위탁 후 (2018.4.17.∼2022.12.31.)
기술성 정책성 경제성 과학기술성 정책성 경제성
43.7% 24.5% 31.8% 47.9% (+4.2) 31.9% (+7.4) 20.1% (-11.7)
3) 교육 및 현장방문 등을 통해 효과적인 예타제도 운영을 도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제도의 신속한 현장 안착,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부처의 효율적인
예타 준비 지원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부처 및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교육 및 현장방문을 수행
하였다. 특히, 연구자, 전문기관 등 연구개발 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역 권역별로 상반기
및 하반기에 대면 교육을 총 7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규 분과위원들의 예비타당성조사
이해도 제고와 효율적인 활동을 위해 별도의 교육도 진행하였다.
[그림 2-12]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교육 및 분과위원 교육
추가적으로, 예타 진행 사업별로 수혜 및 지원 대상 시설, 지역 등 현장을 방문하여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등 현장 중심의 예타가 진행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예타를 통과한 사업도 현장방문을 추진하여 실제 운영에 필요한 세부
추진계획을 점검하고, 사업추진 상의 어려움 등을 경청하는 등 사후 모니터링 활동도 강화
하였다.
∙∙∙ 65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그림 2-13]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현장방문
아울러, 국가연구개발사업 주관 부처의 예타 기획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예타 사
전컨설팅도 2022년에는 6개 사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만족도 조사결과평균 90.3점을
달성하여 전년 89.3점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3년에는 2022년 12월 관련 규정 개정이 완료되면서 도입이 완료된 단계형 사업평가
합리화, 신속 조사, 기술비지정형사업의 별도 평가항목 적용 등 신규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꼼꼼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필요 시 추가적인 제도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위탁
이후 두 번째 기재부의 위탁운영평가가 예정되어 있는 바,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불필요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히 관리해 나갈 예정이고, 임무지향형 R&D 등 국가 정책적으로 시급하고,
중요한 연구개발사업은 개선된 예타 제도를 기반으로 적시에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
이다.
66 ∙∙∙
3.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제도 개선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의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
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이 편에서 “「연구성과평가법」”이라 한다)에 따라 국가연구
개발사업에 대한 평가,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가연구
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 운영을 통해 과제평가의 표준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 활동을 성과 중심으로 평가함으로써 연구개발투자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그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에 따라 평가에 대한 자율성과 평가결과
공개를 통한 책임성 강화, 국가 차원의 전략성 제고 및 일관된 평가체계 구축, R&D 성과가치
다양성 존중 및 경제・사회적 기여 제고, 정보의 활용・축적을 통한 데이터 기반 정성평가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구분 내용 결과활용
국가연구개발
사업
성과
평가
착수
단계
전략계획
(부처)
점검
(과기정통부)
예산 반영
및
제도개선
(과기정통부)
수행
단계
중간평가
(부처)
점검
(과기정통부)
특정평가 (혁신본부)
성과
관리
종료
직후
성과 관리・활용
계획 수립
(부처)
점검(과기정통부)
ㅇ
종료 후
5년
효과성 분석
(부처)
점검(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
과제
과제평가 표준지침 운영(과기정통부)
과제
운용・활용
(부처, 전문기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기관운영 및
연구사업 계획
(부처・연구회)
➡
자체평가
(부처・연구회)
➡
상위평가
(과기정통부)
기관개선,
기관장연봉 반영
(부처, 연구회)
[그림 2-14]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 67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2021년부터 ‘자율과 책임의 평가를 통해 연구현장의 성과창출 역량 제고’를 목표로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이하 이 편에서 “제4차 성과평가 기본계획”이라
한다)이 시행되어 평가의 자율성과 책임성 제고, 정책-투자-평가 연계로 환류 강화, 효과 중심
으로 성과평가 고도화, 성과평가의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2년에는 ‘제4차
성과평가 기본계획’에 따라 「연구성과평가법」을 16년 만에 전부 개정하여 제4차 기본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2022년에는 새로운 국가연구개발의 방향으로 대두되고 있는 ‘임무중심R&D’에 대한
평가제도(안)을 마련하여 연구성과평가법의 체계 안에서 임무중심R&D 특성에 맞는 성과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사업평가의 실시
가) 중간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는 연구개발의 투자효율성 확보, 성과 창출 및 활용 제고를 위해
사업 중간 단계에서 실시하는 평가로 사업의 성과목표달성도와 성과우수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
이다. 2022년 중간평가는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 및 부처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으로 운영되었다. 부처는 2022년 중간평가 지침에 따라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사업 소관부처의 자체평가 과정, 근거, 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2회에 걸쳐 점검
(상위평가)하였다. 2022년도는 2021년도와 마찬가지로 상위평가 결과 ‘부적절’ 사업은 사업
부처가 스스로 ‘재평가’를 통해 점수와 등급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체평가 관대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3단계 평가등급 체계를 유지하되 ‘우수’와 ‘미흡’ 등급을 연동
(‘미흡’은 우수의 30% 이상)하여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2021 2022
등급
기준
[3단계]
등급 우수 보통 미흡
점수 85이상
85미만
70이상
70미만
[3단계]
등급 우수 보통 미흡
점수 85이상
85미만
70이상
70미만
※ 우수의 30%
이상
2022년 중간평가는 상위평가와 자체평가 간 차이를 해소하는 데 집중하였다. 중간평가
설명회를 개최하여 평가제도 전반, 평가 방식, 평가 시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안내하였고, 상위
68 ∙∙∙
평가에서는 자체평가 결과에 대한 형식 요건보다는 내용적인 의미에 집중하여 성과 인정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1차 적절성 점검 통과율은 57.9%로 지난 해 2021년 15.6%
대비 상승하였고, 2차 적절성 점검 통과율은 92.9%로 지난 해 2021년 86.4%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상위평가에서 적절성 점검을 2회 시행하고 부처에서 스스로 재평가를 하는 과정
에서, 적절성 점검 통과율이 향상되었으며, ‘자체평가 중심의 사업평가’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평가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해당 년도에 종료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중간
평가를 면제하였고, 사업의 성과 창출 시기를 고려하여 3년을 주기로 평가하였다. 특히, 기초연구
사업유형에 대해서는 사업 착수 4년 차까지 평가를 미실시하도록 하여 기초연구사업에서의 성과
창출 시기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부처의 성과분석・관리 역량 유도 강화를 위해 사업의 개선필요사항 발굴 및 개선계획 수립의
적절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중간평가의 평가지표 중 종합적 성과분석 항목에 대해서
사업부서가 자체적으로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해 도출을 하였는지 그리고 담당부서와
전문관리 기관의 향후 개선계획이 반영되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자율적인 성과관리
체계가 착근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2022년 R&D 성과평가(중간평가)는 19개 부처 146개 세부사업(’21년 예산 6조 6,518억 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 사업별 소관 부처가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에 대해 적절성 점검(상위평가)을
실시하였다. 146개 세부사업에서 13개 사업은 최근 3년간 연평균 투자액 30억 원 이하 소규모
사업으로 자체평가만 실시하였다. 나머지 133개 사업에 대해 1차 상위평가로 적절성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77개 사업이 적절성을 인정받았다(57.9%). 부적절 사업으로 판정된
56개 사업은 해당 사업 소관부처가 스스로 점수・등급을 조정하였고, 재평가 결과에 대해 2차
상위평가를 실시하여 최종결과를 도출하고 확정・통보하였다. 최종 평가결과는 우수 등급 24개
(18.0%), 보통 등급 104개(78.2%), 미흡 등급 1개(0.8%) 이며, 최종 ‘부적절’ 사업은 4개(3.0%)로
사업 소관 부처가 제출한 점수・등급을 불인정하였다. 상위평가 대상 사업의 최종 평균 점수는
81.6점으로 전년도 81.7점과 대동소이하였다.
상위평가 결과는 평가등급에 따라 2023년 예산 요구에 연계되어 반영되었고, 자체평가 결과와
상관없이 상위평가에서 ‘부적절’ 판정을 받은 사업은 예산 요구대비 △10% 삭감을 통보하였고,
최종 요구대비 △10%로 감액되어 평가결과에 따른 예산 배분・조정 등에 연계함으로써 환류 및
활용의 효과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평가결과 ‘우수’ 사업의 연구자 및 연구지원 인력(행정원)에게는
훈・포장 등을 포상하여 연구원의 사기 진작과 그 간의 연구 활동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 69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구분 사업수 우수 보통 미흡 평균(점)
2022년
자체 133
(100%)
33 (24.8%) 100 (75.2%) - 82.5
상위 24 (18.0%) 104 (78.2%) 1 (0.8%) 81.6
<표 2-13>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상위평가 결과
나) 특정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평가대상사업을 직접 선정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를 정책・예산에 환류하는 평가로써 2020년부터는 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해 기존의 개별사업 또는 사업군(群) 중심의 평가보다는 정책・기술 분야별 평가로 방향을
전환한 바 있다.
정책・기술 분야별 특정평가 도입 취지는 그 간의 개별사업 중심의 평가로는 평가결과 활용이
개별사업에 국한되는 등 평가결과를 R&D정책, 투자방향, 제도개선 등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인 평가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2022년에는 빅데이터, 지역 R&D 등 2개 분야를 선정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개별사업에
대한 평가의견 보다는 정책제언, 제도개선, 사업간 연계・조정에 대한 평가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2023년은 현안 이슈 등을 고려하여 진단, 백신, 치료제 관련 인체 감염병 사업군(群)을 평가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재 평가가 진행 중이다.
다) 전략계획서 점검
사업 전략계획서 점검은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에 따라
사업 부처가 수립한 ‘성과목표・지표’를 ‘전략계획서’로 대체하여 추진되었다. 연구성과평가법
제6조(사업 전략계획의 수립 등) 및 시행령 제3조(사업 전략계획의 제출)에 근거하여 각 사업
부처가 사업 추진 시 사업개요, 전략목표, 성과목표・지표, 평가계획을 담은 전략계획서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업기획-전략목표-성과목표-성과지표 간의
연계성을 점검한다. ‘전략계획서’는 기존 성과지표의 목표치 달성 여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성과평가를 개편하여 성과목표 달성도 중심으로 사업 기획의도에 따라 사업을 수행했는지 정성적
으로 평가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신규 도입되었다. 각 부처는 전략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전략계획서를 작성・제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사업개요, 성과목표・지표, 평가
계획 등 적절성 여부를 점검한다.
2022년도 전략계획서는 2023년도 중간평가 대상사업 등(250개)과 2022년도 신규사업
70 ∙∙∙
(281개)으로 나누어 각 2회 이상 점검을 실시하였다. 사업별 사업개요, 성과목표, 성과지표, 평가
계획 등 4개 항목에 따라 실시한 점검 결과는 적절/부적절로 표시하여 점검의견과 함께 부처에
통보하고 수정본을 재점검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총 531개 사업에 대한 점검 결과는 성과
지표심의위원회를 각각 개최하여 심의・의결하였고, 모두 ‘적절’로 점검한 결과를 사업 소관부처에
통보하였다. 향후 사업 소관부처는 최종 점검 완료된 전략계획서를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평가를 실시하게 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하는 적절성 점검 시 기초 자료로도 활용된다.
2) 기관평가의 실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는 출연연구기관의 발전과 역할・책임(R&R) 수행을 효율적
으로 지원・유도할 수 있도록 기관 특성을 반영해 연구 부문 및 기관운영 부문을 평가하는 제도
이다. 출연연구기관이 중장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2019년 제도개선을 통해 종합평가에서
연구사업평가와 기관운영평가를 분리하고, 기관별 특성을 반영해 연구사업에 대한 평가 주기를
차별화(3년→3・5・6년)하였다. 2021년에 기관장 임기에 따라 연구 및 연구지원부문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던 임무중심형 종합평가 체계가 종료되며 2022년부터 이원화된 평가체계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022년도 기관평가에서는 몇 가지 제도개편 사항이 있었다. 우선, 정부 출연 공공기관으로서
갑질・성폭력・안전사고 등이 발생한 연구기관에 대한 평가 강화를 위해 기관운영평가의 현안
대응 평가 배점을 상향 조정(10점→15점)하고, 평가항목을 구체화(정책방향 대응, 건전한 조직
문화 조성, 외부환경변화 대응)하였다. 안전사고 관련 감점 기준도 중대재해발생 여부로 확대
하고,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평가(기획재정부 주관) 결과를 필수적으로 반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관장 책무 강화를 위해 기관장 임기 동안 창출된 연구성과에 대한 기관장 기여도와
성과의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는 ‘기관장 기여 우수성과’ 평가 항목(10점)을 신설하였다.
그리고, 출연연의 중장기 연구 활성화를 위해 2022년 9월부터 최초로 실시하는 연구사업
평가의 세부 운영방안을 담은 연구사업평가 지침을 수립・제정(6월)하였다. 또한, 직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충실한 계획 수립 및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목표 설정을 지원하는 전략
컨설팅을 도입, 2021년에 종합평가를 받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대상으로 전략컨설팅을 시범
운영하여 2023년 본격적 시행을 앞두고 제도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하였다.
2022년도 기관평가는 총 기관운영부문 10개 기관, 연구사업 부문 1개 기관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2022년부터 2023년 5월까지 기관장 교체 예정인 10개 기관은 기관운영계획서에
대한 기관운영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기관장 임기 종료 시기가 비슷한 기관별로 묶어 연 3회
실시하였다. 1차 평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소관의 1개 기관(나노종합기술원)과
∙∙∙ 71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해양수산부 소관 1개 기관(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2차 평가는 과기
정통부 소관 1개 기관(고등과학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연구회) 소관 4개 기관(한국화학
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대해 진행되었으며,
3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 3개 기관(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광주과학
기술원), 연구회 소관 1개 기관(한국기계연구원)에 대해 진행되었다. 연구사업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 1개 기관(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을 대상으로 진행, 인재성장을 설립 목적으로 하는 정부
지원형 기관으로서 기관운영평가와 동시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관평가는 부처(과기정통부, 해수부, 원안위 등) 및 연구회 중심의 자체평가와 과기정통부
(과기혁신본부)의 상위평가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과기정통부(과기혁신본부)에서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에 따라 평가 지침을 수립하면, 각 부처 및 연구회에서 이를 반영하여 자체
평가 계획 및 자체평가 편람을 마련하고, 자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체평가를 진행한다.
이후 상위평가위원회에서 자체평가의 절차 및 체계, 운영 및 결과의 적절성 등을 점검하는 상위
평가를 실시하여 자체평가 결과를 확정하며, 평가결과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보고하고,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한다.
2022년 기관평가 결과, 우선, 1차 및 2차 평가 대상기관인 7개 기관 중 3개 기관이 ‘우수’
(나노종합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4개 기관이 ‘보통’(고등과학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급을 받았다. 기관운영 3차
평가와 연구사업평가는 아직 상위평가가 진행 중으로 결과가 확정되지 않았다.
3) 「연구성과평가법」 전부개정 시행
2005년 「연구성과평가법」 제정에 따라 기존의 투입・관리 중심의 연구개발평가에서 성과목표
및 지표에 근거하여 성과를 점검・평가하는 ‘성과평가’로 전환하는 등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제도 및 정책을 지속적으로 체계화하였다. 그 동안 질적 성과 중심 평가, 성과관리・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몇 차례의 개정이 있었으나, 연구성과의 복잡・다양화, 경제・사회적 효과 강조,
지속적 성과관리의 중요성 대두 등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새로운 연구환경에 부합하는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성과평가법」
전부개정이 추진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개정법률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관계 전문가 및
정책 고객을 대상으로 정책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의견수렴을 추진하였다(정책토론회(’21.2.);
국회토론회(’21.3.)). 「연구성과평가법」 전부개정안은 2021년 3월, 의원 발의되었으며, 2021년
12월 6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어 12월 28일 공포되었다. 「연구성과평가법」 전부개정법률
72 ∙∙∙
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전략을 구체화하고, 부처 중심 성과평가로 자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한다. 신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사업개요, 전략목표, 연차・단계별 성과목표,
추진전략, 평가계획 등을 포함하는 ‘사업 전략계획서’를 수립하도록 하였다. 국가 정책을 반영
하여 사업을 보다 면밀하게 기획함으로써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연구개발 사업평가 시 소관 부처가 주도적으로 사업특성을 반영하여 평가계획을 수립
하고 평가하며, 그 결과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등록・공개함으로써 소관 부처의
사업 추진・관리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도록 하였다.
둘째, 연구자 중심의 과제평가 정책 및 제도의 연구현장 확산을 촉진한다. 부처가 과제를 평가
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공통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에 대한
근거를 구체화하였으며, 지침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표준지침 운영실태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신설하였다. 이를 통해, 질 중심 정성평가 강화, 과제특성을 고려한 평가,
평가부담 완화 등 연구자 중심 과제평가체계를 연구현장에 확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중・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연구성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개발 전 주기에서 성과창출을
제고하고, 연구성과를 지속 관리하며 활용을 극대화한다. 연구개발사업 종료 시 추진결과에
대해 종합분석을 실시하고, 성과에 대한 관리・활용 계획을 수립하게 하였다. 아울러, 사업 종료
후 5년 이내에 성과에 대한 과학적・기술적・경제적・사회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게 하였다. 또한, 개정법률안은 매년 국가연구개발의 추진 성과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성과연감을 발간하고, 연구개발사업 추진에 대한 부처의 책임성 확보를 위해 성과평가
관련 정보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 등록・공개하는 근거가 포함되었다.
2022년 6월에는 이러한 법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동법 시행령 역시 전부 개정되어 개정된
법과 함께 시행되었다.
다. 향후 계획
「연구성과평가법」 및 그 시행령이 2022년 6월 29일에 개정・시행됨에 따라 ‘제4차 성과평가
기본계획’이 그 수립 의도에 맞추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경제・사회
난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공공 R&D 재정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강화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 임무중심 연구개발 혁신체계와 12대 국가
전략기술 육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성과평가 영역에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성과
평가 체계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과학적 성과평가에 대한 요구도 더욱
∙∙∙ 73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계획이다.
4.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과학・기술・경제・사회적 성과 등을 효과적
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한 지원 체계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방향,
성과정보 활용체계 등에 관한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국가
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연구성과의 체계적 관리와 효율적 활용을 지원하는 ‘연구성과 관리・
유통 전담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연구성과의 활용
현황을 추적하여 국민의 과학기술 연구성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있다.
2022년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연구성과
평가법」”)이 개정・시행됨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구성과를
관리・활용하도록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을 도입하여 운영
하였다. 또한, 연구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성과 활용 및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성과
관리활용 체계를 정비하는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로 연구성과의
실용화를 촉진하는 ‘범부처 통합성과활용플랫폼’ 구축이 포함됨에 따라 성과활용 지원 체계를
정비・확충해나가고 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2022년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4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2021~2025)’(이하 ‘제4차 기본
계획’)을 이행하기 위하여 매년 범부처 성과관리・활용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22년에는
①R&D사업 특성별 성과 창출・관리・활용 체계 강화, ②국가 전략산업 지원을 위한 공공성과
활용・생태계 구축, ③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을 활용한 성과관리 기반 조성의 세 가지로
주요 추진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제4차 기본계획의 3대 전략-10대 과제 달성을 위해 37개 세부
과제에 대해 15개 부처ㆍ청의 추진계획을 종합하여 ‘2022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을
마련하였다.
74 ∙∙∙
2)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성과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 제고를 위하여 논문, 특허, 보고서
원문, 연구시설・장비 등 10개 연구성과에 대해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이하 “전담
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2년에는 전담기관 지정・등록의 법적 근거가 기존 「국가
연구개발혁신법」에서 「연구성과평가법」으로 변경되면서 개정된 법에 따른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지정 고시’를 시행하였다.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하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전담기관별 추진실적 점검을 추진하였으며, 신품종 및 생명자원 기탁
등록보존기관에 대한 정보를 현행화하였다.
<표 2-14>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연구개발성과 전담기관 관리대상(등록・기탁 기준)
논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내외 학술단체에서 발간하는 학술(대회)지에 수록된 학술논문(전자원문을 포함한다)
특허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특허정보
보고서원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연차보고서, 단계보고서 및 최종보고서의 원문
연구시설・
장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취득한 3천만원 이상(부가가치세 및 부대비용을 포함
한다)의 연구시설・장비 또는 공동활용이 가능한 모든 연구시설・장비
기술요약정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연차보고, 단계보고 및 최종보고가 완료된 연구개발성과의 기술을 요약한 정보
신품종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자원 중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농업용 신품종 및 관련 정보
소프트웨어
한국저작권위원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창작된 소프트웨어 및 등록에 필요한 관련 정보
생
명
자
원
*
생명
정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KOBIC)
서열・발현정보 등 유전체정보, 서열・구조・상호작용 등 단백체정보, 유전자(DNA)
칩・단백질칩 등 발현체정보 및 그 밖의 생명정보
생물
자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미생물자원,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수정란 등 동물자원,
식물세포・종자 등 식물자원, DNA, RNA, 플라스미드 등 유전체자원 및 그 밖의
생물자원
화합물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
합성 또는 천연물에서 추출한 유기화합물 및 관련 정보
표준
한국표준협회 「국가표준기본법」제3조에 명시된 국제표준(ISO, IEC, ITU), 국가표준(측정, 참조,
성문)으로 채택(등록, 고시)된 공식 표준정보(소관 기술위원회를 포함한 공식 국제
표준화기구가 공인한 단체・사실표준화기구에서 채택한 표준정보를 포함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생명자원의 관리・유통 전담기관은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자원법)」 제11조에 따라
범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가 지정되어 있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 하되, 생명자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생명
자원법 제8조에 의해 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정한 기탁등록보존기관에 생명자원의 정보와 실물을 등록・기탁 가능
∙∙∙ 75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3) 우수성과 100선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있다. 2022년에는 정부지원을 받아 수행한 약 7만5천여 연구개발과제(’21년 기준)
중 각 부・처・청으로부터 추천받은 852건의 후보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우수성과 선정위원회에서 연구개발 효과 및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 등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선정위원회는 총괄위원회 및 6대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산・학・연 전문가 총 100명의 평가
위원이 기술 수준 향상 효과, 경제 활성화 효과 등의 세부기준에 따라 우수성을 심층 평가
하였다. 최종 후보로 선정된 성과는 정밀검증과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최종 100선으로 선정
되었다.
<표 2-15> 2022년도 우수성과 100선 분야별 최우수성과
분야 성과명 연구자 소속기관
기계・
소재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및 전장부품용 금속/그래핀 복합전극 개발 이건웅 한국전기연구원
바람에 의해 퍼지는 씨앗의 구조를 모사한 3차원 마이크로 비행체 개발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생명・
해양
티오레독신 단백질의 냉해 센서 기전규명 및 본 센서를 활용한 내한성 작물품종
개발
이상열 경상국립대학교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 규명을 통한 인체 면역시스템 조절 박승범 서울대학교
에너지・
환경
볼 밀링 법을 통한 기계 화학적 암모니아 합성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
저온공정기반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재 및 기술 개발 신성식
한국화학연구원
(현 성균관대)
정보・
전자
세계 최고 수준 동급이상의 한국군 최초 군 독자 위성통신체계 개발 김기근 국방과학연구소
빅데이터 그래프 분석의 핵심 문제들에 대해 세계 최고 성능의 알고리즘 개발 박근수 서울대학교
융합
5G 기반 열차중심 철도신호 기술개발 정락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세포 표적 전달이 가능한 고효율 RNA 약물전달체 개발 이혁진 이화여자대학교
순수기초・
인프라
고성능 초정밀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 배상수 서울대학교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유체 표면 안정화 최원호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성과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선정 과정에서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성과 온라인투표’ 절차를 운영하였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은
전자책으로 제작하여 다수의 인터넷 서점에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였으며,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기술사업화 성과 13건을 홍보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우수성과에
대해서는 홍보 동영상을 제작하여 전광판 홍보와 YouTube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를 추진
하였다.
76 ∙∙∙
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활용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
2022년 「연구성과평가법」이 개정・시행됨에 따라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종료평가
및 추적평가를 대체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점검 및 효과성 분석・
점검이 시행되었다.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한 다음 해에 실시하며,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추진결과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확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제도이다.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은 2021년도에 종료된 16개
부처, 78개 세부사업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이 중 15개 부처, 37개 세부사업에 대해 과학기술
정보통신부가 상위점검을 실시했다. 효과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한 후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5년 이내에 실시하며, 사업 종료 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성과관리・활용 활동을 수행한
결과와 이에 따라 나타난 파급효과 등을 분석하는 제도이다.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효과성
분석은 2021년도에 종료된 9개 부처, 23개 세부사업에 대해 수행되었고, 이 중 6개 부처, 8개
세부사업에 대해 상위점검을 실시했다.
두 제도가 수행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부 지침에 따라
성과관리・활용 계획을 수립하거나 효과성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 후 이를 부처 자체적으로 점검
하여 그 결과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한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출된 결과 중
일부에 대해 적절성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상위점검을 수행한다. 이 때 상위점검 대상 사업은 국가
예산 투입 규모, 사업 기간 등 다양한 정보와 부처 간 협의 및 전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부처별
30% 내외로 선정되었다.
제도 시행과정에서 부처 자체점검의 행정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통상 평가절차에서 의무적
으로 활용했던 전문위원회는 합리적 계획수립을 위한 부처의 전문적 판단 하에 재량적으로 활용
하도록 하였으며1), 평가 및 점수산정이 아닌 체크리스트 점검으로 절차적 부담을 완화했다.
이렇게 수행된 점검 결과는 자율적이고, 책임있는 성과 관리・활용의 촉진이라는 제도 취지를
강조하기 위해 ‘우수’, ‘보통’ 두 가지로 결과를 분류했다. 한편 평가제도를 적용하는 경우, 일반적
으로 개별사업 단위로 평가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그러나, 본 제도에서는 점검 결과를 종합
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부・처・청이 연구성과 관리・활용의 함의를 확인하고, 정책
방향 및 사업 추진에 환류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제도 시행과정에서 발견한 함의와 다양한
사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해 관련 제도개선 및 계획 수립 등에 반영할 예정이다.
1)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에 한정
∙∙∙ 77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5) 전문가 세미나 운영 및 성과 관리활용 제도개선안 마련
정부연구개발투자에 따른 연구성과의 질적 수준 제고, 성과활용 촉진 등을 위한 정책 강화와
제도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연구성과 관리・활용・확산 관련 정책・제도적 쟁점을 발굴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연중 전문가 세미나를 운영하였다. 전문가 세미나에서는 특허
성과 평가・관리, 인력에 대한 성과분석,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등 연구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제도 전반의 애로사항과 개선 방향이 논의되었다.
전문가 세미나에서 논의된 사항 중 성과관리・활용 지원 체계 확충, 중장기적 특허 평가・관리,
기술료 제도개선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동 방안을 대상으로 관계기관,
연구현장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국가연구개발 성과관리・활용 제도개선안’을
마련하였다(’22 12월).
목표 연구성과의 활용・확산을 촉진하는 생태계 조성
기본
방향
◇ 성과정보의 종합적 연계로 효율성・효과성 강화
◇ 연구성과 관리에 대한 기관의 자율성 제고
◇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성과활용 의욕을 고취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
추진
과제
성과 관리・활용 지원 체계 정비・확충
범부처 통합 성과활용 지원체계 강화
수요 기반 성과활용 지원서비스 개발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체계 고도화
특허성과의
평가・관리체계 정비
중・장기적 성과 중심으로 특허 성과 활용
대학・공공연의 자율적 지식재산 관리 지원
기술이전・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료 제도
개선
대학・공공연의 합리적 기술료 사용기준 마련
기업의 기술료 납부제도 개선
[그림 2-15] 국가연구개발 성과 관리・활용 제도개선안 주요내용
6) 기술료 제도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 강화를
위해 기술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
연구개발성과
창출
→ 기술이전・사업화 → 기술료 징수 →
연구개발 재투자 및
연구원 보상
[그림 2-16]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78 ∙∙∙
2022년에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21.1.) 이후 변화된 기술료 제도를 시행하는 과정
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연구현장의 개선 수요가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료 납부와 사용기준 등 기술료 제도개선에 관한 정책연구
(’22.2~8.)를 통하여 제도개선 방향을 마련하였다. 또한, 연구현장 간담회(’22.9), 등을 통하여
추진과제에 관한 개선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한 개선 방안에 관한 전문가 자문회의
(’22.11.)를 통하여 최종방안을 도출하였다.
기술료 제도개선안에는 ‘대학・공공연의 합리적 기술료 사용기준 마련’과 ‘기업의 기술료 납부
제도 개선’이 제안되었다. ‘대학・공공연의 합리적 기술료 사용기준 마련’에는 성과활용 기여자에
대해 보상원칙을 준수하되, 기관의 상황 및 기여도에 따라 기준을 달리 적용하도록 연구기관이
기관 특성을 고려한 성과활용 기여자 보상 규정을 제정・운영토록 하였다. ‘기업의 기술료 납
부제도 개선’ 방안에서는 민간의 부담완화를 위해 기업이 연구개발성과를 직접 실시하여 정부
납부기술료 상한액을 납부하는 경우, 관련 자료의 제출 의무를 면제하고, 정부납부기술료 등
기술이전・사업화 실적이 우수한 기업의 경우 사업화 R&D과제 선정 시 우대하도록 하였다.
향후 제도개선안에 맞게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등 관련 법령의 개정을 추진하고, 기술료 제도
매뉴얼 등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한, 법령 개정 후 대학과 연구기관의 자체규정 등의 개정을
통해 연구현장에 개선된 제도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사항을 안내할 예정
이다.
7) 범부처 통합성과활용 플랫폼 구축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74. 국가혁신을 위한 과학기술 시스템 재설계)
에서 질적 성장 중심의 R&D 전략성 제고를 위하여 축적된 연구성과의 활용을 지원하는 ‘범부처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하였다.
통합성과활용 플랫폼은 부처・기관별로 분절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성과정보시스템을 연계
하여 수요자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필요한 성과정보를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빅데이터・AI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자, 기업 등이 원하는 다양한 후속 지원방안을 탐색하여
제공하는 추천서비스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범부처 연구지원시스템(IRIS) 고도화와
연계한 정보화전략 계획 수립에 착수하였으며, 국내・외 사례 분석, 관계 법령 검토, R&D 성과
정보 이용행태 및 검색 서비스 수요 발굴, 연계대상 데이터 분석, 후속 R&D 추천 알고리즘
연구 등 구축방안 마련을 위한 기획연구를 착수하였다. 향후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구축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 79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를 강화
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현장과 소통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
하여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등 발전적으로 제도를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5.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활용 혁신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28조와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에 따라
효율적인 국가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시설・장비의 확충・고도화 및 관리・활용에 관한 시책을
세우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특히, 2022년에는 2018년에 수립한 「제2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18~’22)」이 종료
되는 해로 1, 2차 계획의 성과분석을 토대로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을
수립하고, 국가연구시설장비 운영・활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국가연구시설장비 정책수립
정부는 그 간 연구개발의 필수 기반요소인 연구장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 2차 계획을
고도화한 계획을 수립하여 투자를 효율화하기 위해 장비도입심의를 체계화하였으며, 과제 종료
후에도 장비 유지보수가 가능한 연구시설・장비비의 통합관리제를 시행하였다. 또한, 연구장비
종합정보시스템(ZEUS2)) 구축을 통한 공동활용 등에 관한 연구장비 투자 및 관리체계를 확립
하였고, 지속적인 활용기반 마련을 추진하여왔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국에서는 기술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연구시설・장비를 전략적으로 확충하고 공동활용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어 연구시설・장비의 중요성에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제3차 고도화계획에서는 이러한 1, 2차 고도화계획의 성과와 대내외 환경 분석 및 다양한
현장의견을 바탕으로 현장 중심의 연구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연구시설・장비의 전략적 구축과
2) ZEUS(Zone for Equipment User Service, 연구시설장비 종합정보시스템)
80 ∙∙∙
연구자와 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전략과 추진과제들을
도출하였다.
□ 중점 추진방향
▸
(1・2차)관리 중심 → (3차)자율과 책임 기반의 현장 중심
< 1차 계획(’13~’17) > < 2차 계획(’18~’22) > < 3차 계획(’23~’27) 방향 >
연구시설・장비 투자 및 관리 체계 마련
통합심의, ZEUS, 표준지침, 통합실태조사
연구시설・장비 활용 기반 마련
핵심연구지원시설 구축,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현장 중심 관리・활용 시스템 마련
통합수요조사체계, 기관별
관리활용계획・점검
부처별로 분산된
관리 체계를 하나로 통합
부처・기술별
활용체계를 하나로 연계・통합
연구시설・장비 특성에 맞는
기관 중심 관리・활용 체계 정립
□ 비전 및 추진전략
비 전
현장 중심 연구시설・장비 생태계 구축
- 연구자, 연구기관이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연구인프라 환경 조성 -
[전략1] 대형연구시설・장비 체계적 구축・관리
◆ 실수요 반영 대형연구시설・장비 구축 기반 마련
◆ 대형연구시설・장비 구축체계 정비
◆ 대형연구시설・장비 은퇴(활용 종료)제 도입
[전략2] 연구장비 관리・활용 시스템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
◆ 시스템 연계를 통한 연구장비 등록・심의 절차 효율화
◆ 자율・책임에 기반한 기관 중심 연구장비 관리체계로 전환
◆ 유휴・저활용 연구장비 재활용 촉진
◆ 공동활용 서비스 향상을 위한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전략3] 연구인프라 역량강화 기반 조성
◆ 연구시설・장비 전문운영인력 역량강화 체계 구축
◆ 국산 연구장비 산업화 전략 마련
◆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지원시스템 강화
[그림 2-17]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비전 및 추진전략
∙∙∙ 81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2) 국가연구시설장비 통합 실태조사 실시
정부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 제1항 및 제42조의2 제3항에 따라 연구시설・
장비 전주기 단계별 관리체계 현황 및 시설 장비의 활용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정책・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정부 합동으로 국가연구시설장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
하고 있다.
올해는 대학 및 공공기관 등 총 449개 비영리연구기관을 대상으로 3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조사시스템을 통해 표준지침의 이행실태(연구시설・장비 관리체계 조사, 활용・처분실적 조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개 기관의 경우 관리체계가 미흡하였고, 17개 기관은 가동률 및 공동
활용률이 저조하였다. 또한, 다양한 가동 유형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8개 기관에 대해서는 현장
방문을 통해 실태를 점검하고 컨설팅도 실시하였다.
2022년 실태조사에서는 기존 3천만 원 이상 50억 원 미만에서 50억 원 이상의 장비로 실태
조사 대상 범위를 확대하였고, 공동활용서비스 장비 대상도 1억 원 이상에서 3천만 원 이상
으로 조정하는 등 조사대상 범위를 확대하였다.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화면 2022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보고서
[그림 2-18]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원 강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는 국가연구개발(R&D) 재원으로 도입하였거나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활용된 연구시설・장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연구과제기간 동안 연구시설・장비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미리 적립해 두고, 연구과제가 종료된 후 유지・보수, 임차・사용대차, 이전・
설치비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올해는 대학교 3개, 전문생산기술연구소 2개,
지자체출연연구소 1개 등 총 6개 기관을 신규로 선정하여, 2022년 12월 현재 총 71개 기관이
제도 시행기관으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82 ∙∙∙
<표 2-16>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정기관
연번 기관명 연번 기관명 연번 기관명
1 가천대학교 25 상지대학교 49 제주대학교
2 강원대학교 26 서강대학교 50 중소조선연구원
3 건국대학교 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51 창원대학교
4 경남대학교 28 서울대학교 52 충남대학교
5 경북대학교 29 서울시립대학교 53 포항공과대학교
6 경상국립대학교 30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5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경성대학교 31 성균관대학교 55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8 경희대학교 32 세종대학교 5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 계명대학교 33 수원대학교 57 한국과학기술원
10 고려대학교 34 숙명여자대학교 58 한국교통대학교
11 공주대학교 35 순천대학교 59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2 광주과학기술원 36 순천향대학교 6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3 국민대학교 37 아주대학교 61 한국식품연구원
14 단국대학교 38 안전성평가연구소 62 한국외국어대학교
15 대구경북과학기술원 39 연세대학교 63 한국재료연구원
16 대구기계부품연구원 40 영남대학교 6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17 대구한의대학교 41 울산과학기술원 6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 동아대학교 42 울산대학교 66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19 동의대학교 43 원광대학교 6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 명지대학교 44 이화여자대학교 68 한국해양대학교
21 목포대학교 45 인천대학교 69 한국화학연구원
22 부경대학교 46 인하대학교 70 한양대학교
23 부산대학교 47 전남대학교 71 호서대학교
24 삼육대학교 48 전북대학교
2022년에는 통합관리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연구현장 밀착해서 지원하였다. 만족도 조사,
담당자 워크숍 등을 통해 제도 시행기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매뉴얼을 개정하고,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개설하기도 하였다. 또한, 담당자 변경
으로 인한 제도운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신규담당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심층 교육을
3회 실시하였고, 32개 기관을 대상으로 기관방문 컨설팅과 교육을 실시하였다.
∙∙∙ 83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4) 유휴・저활용 장비 활용도 촉진
유휴・저활용 장비 활용 촉진을 위해 연구기관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활용성이 떨어진 장비를
필요로 하는 기관으로 이전, 지원하는 유휴・저활용 장비 이전・지원사업(나눔장비 사업)을 추진
하였다. 나눔장비 사업은 기관 내 불용 처분절차를 거친 유휴・저활용 장비를 ZEUS 나눔터에 게시
하면,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나눔장비심의위원회 개최를 통해 양수기관에 이전비용(수리비,
이전비 등)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는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에도 장비이전을
지원하도록 하여 연구기반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2022년에는
총 13차례 나눔장비심의워원회 개최를 통해 483점의 나눔장비를 이전・지원하였고 이 중 50.7%인
245점을 중소기업에 이전하였다.
<표 2-17> 유휴장비 활용 중소기업 현황
연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전장비수(점) 56 161 191 245
5) 장비활용종합포털(ZEUS, Zone for Equipment Utilization Service) 서비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 제4항에 따라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운영 및 공동활용 촉진을 위해 2013년부터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을 운영하고 있다.
ZEUS는 연구시설・장비 도입, 등록, 공동활용 예약, 처분 등 전주기 단계별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2022년에는 워크숍을 7월과 11월, 총 2회 개최하여 연구장비 등록, 장비예약,
나눔터 등에 대한 실습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ZEUS 회원을 대상으로 ZEUS 이용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ZEUS 이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함으로써
이용자 수요에 맞는 서비스와 기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ZEUS 연구장비 활용 지원 워크숍(7월) ZEUS 연구장비 활용실습 워크숍(11월)
[그림 2-19] ZEUS 워크숍 실시
84 ∙∙∙
6) 「KSFree 연구장비 지식공유 포럼」 개최
「KSFree2022, 연구장비 지식공유 포럼」은 연구장비 전문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인적 네트
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소통과 교류의 장이다. 4년째를 맞이한 올해는
반도체 분야 전문인력 육성・활용을 주제로 개최하였다. 또한, 금년도 연구시설・장비 커뮤니티・
협의체 육성지원 사업에 참여한 8개 연구시설・장비 커뮤니티・협의체에서 장비의 원리 및 활용에
관한 사례 중심의 기술세미나를 개최하여 연구장비 운영과 활용, 분석기술 전반에 관한 경험과
노하우도 공유할 수 있었다.
[그림 2-20] KSFree2022
다. 향후 계획
2023년에는 올해 수립한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의 세부 이행계획을 수립
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세부 추진 과제별로 향후 5년간의 추진내용, 일정 등을
도출하여 단계적으로 실행해나가는 한편, 범부처 통합실태조사를 추진하고,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가 현장에서 자릴 잘 잡아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핵심연구지원시설
운영을 지원하고, 유휴・저활용장비 이전・지원사업 등 핵심 정책・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여 국가
연구시설장비 관리・활용 혁신을 통한 연구활동 지원 및 성과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 85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제1절 과학적 지식 탐구 및 창의ㆍ도전적 연구 진흥
가. 기초연구 진흥 종합계획 개요
정부는 대한민국 기초연구 진흥을 위하여 대내외 환경 변화를 고려한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지원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자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초
연구진흥 종합계획”을 5년 주기로 수립하고 있다. 기초연구의 특성으로 인해 가시적인 성과 측정이
어렵고 대표적인 공공재 성격을 가진 영역이므로 안정적・장기적 지원을 핵심 목표로 하여 2018년
6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8∼2022)」을 수립하였다.
종합계획에 따른 지원을 통해 IF 분야별 상위 10% 저널 게재 논문 수 24,000편 달성, 기초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학위자 4,000명 양성 및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를 후속연구 및 사업화로
230개 이상 연계한다는 추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4대 전략 및 18대 중점 추진과제를 설정하여 체계적
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8∼2022)의 4대 전략 및 18대 중점 추진과제】
<투자>
연구자 중심으로 기초연구 혁신
<지원>
전주기 기초연구 지원 체계 구축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확대
연구자 수요를 반영한 지원 개편
정부R&D 기초단계 연구 지원 강화
기초연구 종합 조정체계 개선
젊은 연구자의 조기 연구정착 지원
수월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 지원 확대
생애기본연구비 지원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 기반 조성
세계적 선도 기초연구기관 육성
<효과>
국민이 체감하는 기초연구 생태계 조성
<제도>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연구 몰입 환경 조성
연구정보 공유체계 강화
우수성과 발굴・확산 강화
연구 장비・시설의 활용성 강화
국제 협력 강화
기초연구 사회적 역할 강화
연구수행의 유연성 강화
연구과제 평가제도 혁신
연구 행정 개선
성숙한 기초연구 문화 조성
86 ∙∙∙
나. 2022년 주요 성과
1)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국정과제 안정적 추진
정부는 기초연구의 자율성을 높이고, 연구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혁신을 대비하기 위해 국정
과제로써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본 과제는 기초연구 내 전략기술 분야
연구와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의 과학기술 미래역량을 확충하고, 기초연구환경을 확립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초연구의 진흥과 연구생애 주기별 지원으로 젊은 연구자 육성을 통해 기초연구환경 확립
및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크게 3가지 체계가 기초연구 진흥과 관련되어 있다. 첫 번째
실천과제를 통해 국가 수요를 반영한 연구자 주도의 기초연구 지원을 확대하여 간섭하지 않는
창의・도전적 기초연구환경을 확립하고, 두 번째 실천과제를 통해 대학을 기초연구와 과학기술
인재양성의 핵심 거점으로 운영하며, 세 번째 실천과제를 통해 청년부터 중장년까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체계적 지원을 통해 전주기 인재양성을 달성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국정과제 추진 목표】
《 목 표 》
◎ (국정과제 76) 자율과 창의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및 인재양성
연구자 주도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하고, 전략기술 분야 연구 및
핵심거점으로 대학의 역할을 강화를 통한 과학기술인재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기초연구진흥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첫 번째로 창의・도전적 연구의 핵심 중추인
젊은 연구자들의 성장과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2017년 생애첫연구 지원을 시작
으로 2019년에 생애기본연구(기본연구, 재도약연구)를 신설하여 지원하였으며, 2017년 284
억 원에서 2022년 9.6배 증가한 2,720억 원으로 예산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젊은 연구자의 단절
없는 연구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두 번째로 균형적인 기초연구환경 확립을 위해
지역대학에 대한 할당제 운영 및 여성과학기술인에 대한 정책적 예산 배분(중견연구 신규 연구비
20%), 융합연구 과제(선도연구센터 내 CRC, 기초연구실 내 융합형) 지원 확대 등 연구 저변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강화
정부는 연구자의 역량과 생애 주기를 고려한 촘촘한 지원 체계를 기반으로, 연구의지가 있는
연구자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기초연구 예산을 2017년 1.26조 원에서
∙∙∙ 87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2022년 2배 수준인 2.5조 원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꾸준히 추진한 결과, 2022년에는
2.55조 원으로 2017년 대비 2배 수준으로 예산규모를 확대하여 지원하였다.
2022년도 기초연구 예산 2.55조 원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 약 2조 원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연구에 1조 6,283억 원을 지원하였고, 집단연구에 3,731억 원을
지원하였다. 개인연구 예산 1조 6,283억 원 중 우수 젊은 연구자를 지원하기 위한 신진연구
사업에 3,109억 원 지원하였으며, 연구의 허리층인 중견연구자를 지원하는 중견연구사업에
9,724억 원, 최고 수준의 연구자를 지원하는 리더연구에 731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연구 진입
기회를 제공하는 생애 첫 연구, 소규모 과제를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기본연구, 연구 단절을
방지하는 재도약연구 등 ‘생애기본연구’ 사업에 총 2,720억 원을 지원하여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집단연구 예산 3,731억 원 중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핵심연구분야 육성을 위한
선도연구센터(130개)에 1,998억 원(이학 36개, 479억 원 / 공학 38개, 682억 원 / 기초의과학
40개, 495억 원 / 융합 9개, 118억 원 / 지역혁신 16개, 225억 원)을, 특정 연구주제를 중심
으로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지원하는 기초연구실(392개)에 1,733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연구자의 역량과 생애주기를 고려한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생태계 구축을 통해
우수 학술성과가 창출되어 국가 과학적 발전 및 위상 강화에도 핵심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기초
연구사업 예산은 국가 전체 R&D 예산 대비 2.5%에 해당되지만, 국내 SCI 논문의 47.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국가 전체의 석・박사 신규 인원 중 25.9%가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배출,
기초연구를 통해 배출된 우수 인력이 각계로 퍼져나가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클래리베이트(Clarivate)에서 세계 상위 1% 연구자(HCR, Highly Cited Researchers)를 매년
발표하고 있으며, 2022년도 한국 기관 소속 연구자는 70명으로 발표되었으며, 이 중 기초연구
사업을 수행한 연구자는 60명으로 약 85.7%에 해당하고 있다.
3) 분야별 지원체계 전 분야 적용 및 고도화
정부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18~’22)」에서 ‘연구자 수요를 반영한 기초연구사업
지원 개편’을 추진과제로 제시하며, 기초연구의 지속적 확대에 따른 규모에 맞는 투자의 효율
성과 전략성을 갖추기 위해 기존 프로그램 중심 지원에서 분야별 맞춤형 지원체계(분야별 포트
폴리오 설정)로 단계적 전환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모든 분야가 동일한 기준으로
개인/집단연구사업을 신청했지만, 2020년에는 소액 장기 연구, 소규모 집단연구 수요가 상대적
으로 높은 수학분야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2021년도에는 수학・물리・화학・지구과학・기초생명/
분자생명, 의약학1 6개 분야에 확대 적용하였고, 2022년도에는 기반생명・의약학2・공학・ICT
융합까지 총 10개 분야에 전면 시행하였다.
88 ∙∙∙
수학 물리학 화학 지구과학 기초・분자생명 기반생명
621 1,122 1,030 532 1,906 1,077
의약학1
(기초・응용의학)
물리학
(간호・약・치・한)
공학 ICT・융합 합계
3,648 1,279 3,937 4,140 19,292
<표 2-18> 2022년도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분야별 예산
(단위 : 억 원)
체계 개편의 핵심 방향은 각 학문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과제 지원 및 우수성과 창출을 위
하여 중장기적으로 학문분야별 지원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분야별지원체계 이전에는 과제
접수 이후 연구자 수요를 고려하여 사업체계(신진/중견/리더연구 등)에 따라 지원하였으나,
2022년에는 최근 3년(2019~2021년)간 분야별 지원연구비 비중 및 연구 수요를 고려하여
분야별 예산을 사전 배분하고, 분야별 특성에 따라 연구기간, 연구비, 과제 수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초연구지원 프로그램 신설도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분야별 대표 학회 등 연구현장이 중심이 되어 연구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2020년부터 분야별 중장기 포트폴리오 및 과학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체계를
마련하기 시작하였다. 2021년에는 분야별 10인 내외의 조정위원회를 구성・운영하며 설문조사
및 분야별 공청회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각 분야별 특성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확정하였
으며, 2022년에는 분야별 1, 2단계 적용 분야에 대하여 분야별 자문위원회 의견을 통해 포트
폴리오를 보완하고, 수정된 포트폴리오를 토대로 사업간 예산 배분 및 연도별 선정 방향 등을
확정하고 운영하였다.
<표 2-19> 2022년도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적용 분야별 주요 추진 내용
분야 분야별 특성
수학
연구비 단가 및 연구기간 축소 (리더 8억, 7년 → 4억, 5년)
소규모과제(기본연구) 단가 및 신규과제 확대
물리학 장비비, 재료비 등 초기 비용이 큰 특성을 고려해 연구비 단계별 지급(리더연구 9억(3년)+6억(3년))
화학 기본연구 단가 상향 (0.5억 → 0.7억), 후속지원 폐지를 통한 신규 과제 확대
지구과학 다양한 분야(대기/해양/우주/천문 등)를 고려하여 리더/센터 등 대형과제 격년 선정
기초・분자생명 평균연구비가 타 분야 대비 높은 분자생명의 특성을 반영해 중견 2 신규과제 확대
기반생명 리더연구 단가 조정 (9억 → 5억), 중견연구 유형1 통합
의약학1 기초의학분야 인력 양성을 위해 기초의사대학원생 지원 프로그램 신설
의약학2 CRB별 사업운영 차별화 (한의학 : 리더, 중견 유형2 미지원, 간호학 : 집단연구 미지원)
공학 리더연구 통합운영, ERC CRB별 배정, 기본연구 단가 상향 (0.5억 → 0.7억)
ICT・융합 리더연구 통합운영(ICT분야/융합분야), ERC CRB별 배정
공통
분야별 과학로드맵활용, 기초연구실 (융합형) 전 분야 지원
연구계 중심 위원회 구성을 통해 주기적 포트폴리오/로드맵 수정
∙∙∙ 89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2022년에는 전 분야를 대상으로 시행된 학문분야별 지원체계에 대하여 연구자 대상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주요 항목으로는 분야별 지원체계 운영에 대한 적용 분야별 필요성 및 만족도,
수립된 포트폴리오의 적정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전 분야에서 분야별 지원체계에
대한 필요성이 86.2%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기존에 이원화되어 운영되던 분야별 조정위원회와
자문위원회 기능을 통합하고, 추가 정책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분야별 기획・자문위원회를
운영하여 효율적인 분야별 지원체계 시행을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또한, 지속적인 현장 소통을
통해 각 분야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할 계획이다.
4) 신진연구자 정착 및 지원
가) 세종과학펠로우십 지원 확대 및 제도 개선
2021년에는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의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을 위한 세종과학펠로우십 사업을 신진연구사업 내에 신설하였다. 특히, 지위가
불안정한 박사후연구원과 비전임교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세종과학펠로우십을 지원받는 연구자는
자유롭게 연구기관을 이동하며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외에도 자녀수당 지원,
교육부의 박사후 국내외연수사업과의 연계 등을 통해 연구현장의 핵심 인력인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이 안정적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2022년에는
287명의 연구자를 선정하여, 총 624과제, 714억 원을 지원하였다.
2021년도 운영을 통해 사업 대상인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의 불안정한 고용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연구현장의 애로사항 및 의견을 수렴하여 2022년에는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
선정 후 주관연구기관 확정 유예 기간을 종전 30일에서 6개월로 확대하여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2021년에 2개에 불과했던 주관기관 유예 선정과제 수가 2022년에 6배인 12과제로 증가
하였다.
나) 신진연구자 지원 강화
세종과학펠로우십 지원 확대와 더불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를 시작하는 젊은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2022년에도 젊은 과학자를 위한 우수신진연구사업, 세종
과학펠로우십, 생애첫연구사업의 지원을 확대하였다. 신진연구사업(우수신진, 세종과학펠로우십)과
생애첫연구사업의 경우 2019년 2,020억 원, 2020년 2,511억 원, 2021년 2,819억 원, 2022년
3,629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하고 있으며, 연구를 시작하는 젊은 과학자에게 연구시설・
장비 구축비 등 초기 실험실 구축 비용을 추가 지원하는 최초혁신실험실을 운영하여 신진연구자가
연구초기부터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신진연구자가
90 ∙∙∙
연구를 시작한 이후 역량을 발전시켜 중견 및 리더 연구자로 성장하고,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우수 신진연구자를 중견연구사업으로 상위 연계(30%)하여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신진연구자에 대한 연구 기회를 확대하고, 조기 정착 지원은 연구 커리어 초기부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39세 이하 전임교원의 기초연구
사업 수혜율은 2016년 37.3%에서 2022년 77.0%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신진연구사업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들도 창출되고 있다.
다) 세종과학펠로우십 국외연수 트랙 및 한우물파기 기초연구 기획
우수한 박사후연구자가 국가전략기술 분야 핵심 인재로 성장하여 국가경쟁력 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세종과학펠로우십 내 ‘국외연수트랙’을, 유망한 젊은 연구자가 우수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기지원 사업으로 ‘한우물파기 기초연구사업’을 기획하여 2023년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마. 대학의 연구역량 강화
기초연구는 ‘새로운 지식 창출’과 ‘창의적 인력양성’을 통한 국가경쟁력의 원천인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며, 새로운 산업 창출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이 특징이다.
실제로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의 약 90% 수준이 대학을 대상으로 지원되고 있으며, 기초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양성・배출된 인력이 연구소 및 기업 등 각계로 퍼져나가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점에 대학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기인하여 2023년에는 국가적으로 연구역량 축적이 시급한 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과제를 구성하여 대학의 특성화 연구역량 축적 및 인재양성을 위한 수월성 중심의
지속가능한 혁신연구센터사업(IRC)을 선도연구센터 사업 내 신설하여 3과제, 약 113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분야 등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를 지원
하여 연구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 그룹을 구축하고자 한다.
1) 지역의 기초연구 역량 강화
수도권 대학에 비해 연구 환경이 열악한 지역대학의 기초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개인기초
연구 및 기초연구실 신규과제 예산의 일정부분을 지역대학에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할당되는 신규과제 예산 비율을 확대하여 지역대학의 역량강화에 힘쓰고 있다. 2019년부터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Regional Leading Research Center, 이하 RLRC) 사업을 신설해
∙∙∙ 91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지역 내 우수한 연구자들 간의 공동연구를 지원하고, RLRC 중심으로 핵심 연구역량을 축적
중이다. 2019년 RLRC를 신설한 이후 2022년까지 총 16개의 지역대학을 지원하고 있으며,
수도권을 제외하고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지역대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RLRC 사업은 지방
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지자체에서 각 지역의 중점 육성분야(혁신선도분야)를 제시하면 관련된
주제로 해당 직역의 센터를 선정하여 지역 내 중소・중견 기업이 참여해 연구하는 등 지역의
핵심 성장의 기반이 되고 있다.
92 ∙∙∙
제2절 연구몰입 환경 조성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성과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은 부처별로 산재된 관리규정(286개, ’19.10월 기준)이
연구현장의 행정부담 심화 및 혼란을 초래하는 상황에서 관련 규정을 통합・체계화하여 자율적
이고 책임있는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하고자 제정되었다. 2021년 1월 1일 시행된 혁신법은
총 5개 장 41개조로 이루어졌으며 시행령과 시행규칙 및 10개의 하위 행정규칙(국가연구개발
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
개발과제 수 제한 기준 등 10개 행정규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혁신법은 모든 국가R&D 사업에
대해 다른 법률에 우선하여 적용되며, 각 부처는 이 법의 범위에서 법령 등이나 시책을 운영하여야
한다. 다만, 일부 사업의 경우, 그 특성을 고려하여 일부 조항을 적용하지 않거나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예외 적용을 인정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혁신법 제28조 및 제29조에 근거하여 연구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개선을 추진하는 정례적인 체계에 따라 2021년 8월 ‘2021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개선
(안)’을 마련하였다. 제도 개선사항은 주로 2022년부터 현장에 적용하였다.
<표 2-20> 2021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개선(안) 추진 과제
주요 추진 과제
① 과제 종료 이후 저작물 출판비용 지원 강화
② 학생인건비 사용의 유연성 확대
③ 연구노트 작성・관리의 자율성 제고
④ 연구실 운영비 사용의 자율성 강화
⑤ 연구비 선집행 제도의 현장안착 촉진
⑥ 특허 등 지식재산권의 포기절차 명확화
⑦ 경쟁형R&D 활성화를 위한 세부근거・기준 마련
⑧ 국제 R&D협력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
⑨ 국가핵심기술 보호를 위한 보안관리 체계화
⑩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비용 집행 근거 마련
⑪ 신진연구자의 인건비 지급 여건 개선
⑫ 연구 안전을 위한 지원체계 강화
⑬ 참여제한 처분기간 합리화
∙∙∙ 93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혁신법 연구현장 안착을 위한 설명회 등 소통 강화 추진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 및 하위령・규칙 제정에 따라 달라진 사항과 두 차례
(2021년, 2022년)의 제도개선으로 달라진 사항에 대한 연구현장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권역별
설명회를 실시하였다. 수도・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으로 나누어 12월 6일부터 15일
까지 총 4회차로 개최하였다. 2022년 제도개선사항 및 현장에서 자주 질의하는 3개의 주제
(학생인건비, 연구노트, 연구개발비 사용기준)에 대하여 담당자가 설명한 후 질의응답 시간에
사전 접수된 질문을 포함한 현장 질의에 대하여 답변하였다. 출연연, 대학, 기업 등 총 694개
기관에서 설명회 참석을 사전 신청하였으며, 4회 동안 약 1,500여명이 설명회에 참석하여 제도
변화사항을 학습하였다.
[그림 2-2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찾아가는 현장설명회
한편, 2022년 6월 주요 대학 부총장과 2022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방향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8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의결된 「2022년도 국가
연구개발행정제도개선(안)」등을 포함하는 ‘혁신법 제도로 첫발 뗀 국가연구개발 시스템 재설계’
(아주경제)를 기고하는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현장 안착 및 제도개선 노력을 알리고 연구
현장과의 소통을 추진했다.
2) 부처 간 규정 통합 활동 및 상시적 연구현장 소통 추진
2021년 1월 1일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범부처 공통규범으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관련 하위 규정이 시행됨에 따라 동 법에 관한 세부절차와 상세기준, 관련 서식, 학생인건비
통합관리제, 기술료, 제재 등 일부제도에 관한 별도 매뉴얼을 통합하여 2021년 6월 「국가연구
94 ∙∙∙
개발혁신법 매뉴얼」을 발간・배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21년 제도개선사항을 반영하여 「국가
연구개발혁신법 매뉴얼」을 2022년 3월 현행화하였다. 매뉴얼은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조문별
주요 내용과 운영에 필요한 세부기준 일부와 현장소통 시 자주 묻는 질의 등을 담고 있다. 혁신
법의 주요 내용과 해석은 기존 규정과 비교 설명함으로써 현장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법령 및 규정에 관한 해석자료를 배포함과 동시에 법 시행 이후 연구개발 수행의 애로사항에
귀 기울이고 향후 제도개선에 참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2021년에는 국가과학기술
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운영하던 R&D 제도문의 게시판은 2022년 출범한 범부처통합연구
지원시스템(IRIS)의 활성화와 발맞추어 IRIS로 통합・이관되었다. R&D 제도문의 게시판은 상시적
소통 창구로서 법에 대한 해석과 사업 추진의 의문점에 대한 질의를 연구비, 평가, 성과의 소유・
관리 등 해당 내용의 소관 부서가 답변하는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부처별 규정 및 제도운영과 관련해서는 소관 연구개발사업 추진과 관련한 규정 제・개정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하도록 하여 본 법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규정 운영이 되도록
하였다. 각 부처에서는 소관 연구개발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다수의 행정규칙을 운영 중이며,
범부처 공통규범으로서 적용되는 혁신법령에 맞춰 이러한 행정규칙을 개정하도록 안내하였다.
이후 혁신법과 동법 시행령 등에서 정하고 있는 사항의 중복 규정은 지양하고, 법의 취지와
의도에 배치되는 내용은 수정하도록 행정규칙 제・개정(안) 공포 전 검토의견을 제시하여 반영
되도록 하였다.
3)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현장 착근 노력
2022년 1월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의 정식 개통에 맞추어 시스템 구축단계가 운영
단계로 전환되었다. 시스템 운영단계에서 핵심 목표는 IRIS의 안정적인 연구현장 착근이었으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스템・기능 개선, 계속・종료과제 데이터 이관, 교육체계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시스템・기능 개선의 경우 IRIS 1차 적용기관의 신규과제를 IRIS에 우선 적용하면서 사안별
개선 요구사항들이 접수되었으며, IRIS 운영단에서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바탕으로 검토
및 제안기관과의 협의를 거친 후 IRIS에 적용하였다. 시스템・기능 개선을 위해 1차 적용기관을
대상으로 실무회의 50여 회, 방문교육 20여 회 등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운영상 도출된
개선사항을 파악하고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2차 적용기관의 경우, 2022년 5월 4일부터 6월
30일까지 통합테스트를 진행하여 총 326건의 요청사항을 도출하였으며, 기관별 실무협의회를
통해 실제 시스템 적용 전 시스템・기능 개선을 진행하였다.
또한, IRIS에서 모든 부처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모든 IRIS 적용기관들의
∙∙∙ 95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계속・종료과제 데이터를 이관하고 있다. 2021년 5월 11일 1차 적용기관 대상 데이터 이관
설명회를 시작으로 1차 적용기관의 과제 4만여 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이관 중이다. 1차 적용
기관의 데이터 이관 과정에서 도출된 이슈를 바탕으로 2022년 4월 13일 2차 적용기관 데이터
이관 설명회, 2022년 6월 15일 데이터 이관 관리방안 및 가이드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2022년
3월부터 11월까지 총 47회의 데이터 이관 실무자 협의를 진행하는 등 IRIS 적용기관과 수시로
소통하며 업무를 추진했다.
그리고, IRIS가 새로 적용되는 시스템인만큼 사용자들의 시스템 사용 교육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에 교육체계를 강화하고, 온라인・오프라인 교육, 교육영상, 매뉴얼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컨텐츠를 제작하는 등 사용자들의 신속한 시스템 적응을 지원하고 있다. IRIS 교육
체계 강화를 위해 1차 적용기관을 중심으로 교육운영협의회를 운영하였다. 정기회의 및 실무
협의를 통해 IRIS 사용자별(연구자, 평가위원 등) 교육체계를 수립하고 세부적인 운영방안을
논의하였다. 교육운영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 구성・운영, 교육
영상 제작, 매뉴얼 개선을 진행하였다.
전문기관 요청사항 대응체계 연구자 문의사항 대응체계
[그림 2-22] IRIS 통합 고객대응체계
4) 연구자 권익 보호를 위한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의 운영 강화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연구자들이 억울한 제재처분을 받지 않도록 하는 권익
보호장치임과 동시에, 공정하고 일관된 제재처분을 통해 부정행위 방지효과를 높이는데 그 의의를
두고 혁신법 33조에 따라 2021년 2월 22일 신설되었다.
위원회는 ‘제재처분재검토회의’를 통한 각 부처의 제재처분에 대한 재검토 이외에도 ‘연구자
96 ∙∙∙
권익보호회의’를 통해 연구자 권익보호 및 연구 부정방지 등에 관한 정책을 논의하고, 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
연구자권익보호회의 제재처분재검토회의
[그림 2-23]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 구성
위원회는 2022년에 연구자권익보호회의를 4회 개최하여 제재처분 제도개선 방안, 연구윤리
가이드라인 개정안 등 연구자 권익보호 및 연구부정 방지 관련 정책을 논의하고, 제재처분재
검토회의를 23회 개최하여 연구개발 수행부처로부터 제재처분을 받은 연구자의 이의 제기
118건에 대한 재검토 요청 및 심의를 통해 공정하고, 일관된 제재처분이 이루어지도록 힘쓰는
등 운영 2년차에 접어들면서 더욱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기
존
제재처분 심의 및
사전통지
이의신청
제재처분
재검토
제재처분
종류・수준 결정
(부처⇢제재대상) (제재대상⇢부처) (부처) (부처)
↓↓↓↓↓
변
경
제3자에 의한
재검토 절차 신설
제재처분 심의 및
사전통지
이의신청
제재처분
재검토
제재처분
종류・수준 결정
(부처⇢제재대상) (제재대상⇢부처) (권익보호위) (부처)
[그림 2-24] 제재처분 절차의 변화
∙∙∙ 97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특히, 제재처분재검토회의 운영에 있어서 전년대비 회의 개최 건수의 증가와 함께 재검토를
요청하는 부처와 요청 건수가 증가하는 등 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이 성공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제재처분 시 부처의 엄격화 경향을 완화시키고, 제재처분 결과의 범부처적인
일관성・형평성을 강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다. 향후 계획
연구현장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행 2주년이 된 혁신법의 현장 안착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사실에 이견은 없을 것이다. 이에 2023년에도 혁신법을
통해 개선된 사항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등 연구현장에 혁신법이 잘 정착될 수 있도록 할 예정
이다. 이를 위해 IRIS 제도 문의 게시판의 활성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답변을 제시하기 위해 부처 간 소통과 협조를 긴밀하게 유지하여 법 적용과 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기존 제도・규정들의 혁신법과의 정합성 제고를 위해 부처별・사업별 특성 반영을 위한
논의가 계속될 예정이다. 혁신법 취지 중 하나인 규정 간소화를 위해서는 각 부처별 규정이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최소화하되, 전문성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별도 규정을 두는
예외가 허용되는 등 유연한 혁신법 운용을 위한 노력이 계속될 예정이다.
더불어 혁신법 제28조에 따라 행정제도개선 시 체계적인 현장 의견수렴을 지속적으로 수행
할 계획이다. 현장의 목소리, 온라인 민원 등 다양한 경로로 연구현장과 호흡하고 이를 민간
전문가와 함께 정리・분석하여 제도개선에 반영할 예정이다. 정례화된 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일정대로 3월에 제도개선 기본지침을 제시하고, 연구현장의 다양한 제도
개선 수요를 발굴하여 8월에 제도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다. 이러한 체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도 고민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IRIS가 안정적으로 연구현장에 자리 잡은 후 IRIS가 보유하는 통합 연구개발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사이언스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해 중장기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R&D 기획, 연구자 맞춤 지원, 부가가치를 지닌 정보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으로, IRIS는 정부 연구개발과제 관리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2022년 고도화 추진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였으며,
이에 따라 2023년부터 2026년까지 고도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98 ∙∙∙
[그림 2-25] IRIS 고도화 추진 방향(안)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 또한 운영 활성화 및 보다 심도있는 검토를 통해 공정하고 합리적인
제재처분이 이루어지도록 뒷받침하고 연구자 권익보호, 연구부정방지 및 연구윤리 등에 관한
정책제안과 제도개선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더 나아가 2023년부터는 연구윤리전문가 위촉을
통해 연구윤리 분야 범부처 조정기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2. 연구자 주도 R&D 제도 혁신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에 따라 매년 이해관계자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한다. 혁신법 제28조에 따라 누구
든지 연구제도의 개선을 제안할 수 있으며, 동 법 제29조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년
3월 31일까지 관계부처에 개선안 마련에 관한 기본지침을 통보하고(제1항), 개선의견이 있는
관계부처는 기본지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당해 4월 30일까지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
(제2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처 의견 등을 반영하여 차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안을
∙∙∙ 99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수립하고, 8월 31일까지 관계부처에 통보하며(제3항), 관계부처는 통보받은 개선안의 내용을
차년도 소관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에 반영하는 체계이다.
[그림 2-2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에 따라 올해 3월 「2022년도
연구개발 제도개선 기본지침(안)」(이하 ‘기본지침’)을 마련하여 연구개발 제도개선 기본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관계부처와 연구현장의 제도개선 의견을 수렴하였다. 특히, 제도개선 전 과정에서
민간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로 제도개선위원회(15인)를 구성하여 2022년
1월 출범하였으며, 온라인 소통창구(iris.go.kr) 및 주제별・주체별・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연구
현장의 제도개선 의견 260개를 접수했다. 접수한 의견 중 제도관련성 및 명료성 등을 고려하여
선별된 59개 의견을 민간전문가인 제도개선위원회가 현장시각에서 중요성, 시의성을 검토하여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개선(안)」(이하 ‘제도개선(안)’)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2022년 8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도개선(안)을
관계부처에 통보하였다. 그리고, 2022년 12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가 구성됨에 따라
제1회 회의에서 제도개선(안)을 보고하고, 제도개선(안)에 대한 후속조치로 혁신법 시행령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기준(고시)을 일부 개정하여 공포하였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제도개선 기본방향의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도개선 전 과정에서 민간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로 제도개선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주제별(국제협력, 도전혁신, 사회문제해결 등), 주체별
(산학협력단, 출연연, 기업 등), 권역별(서울・충청・강원, 호남, 영남 등) 전문가 간담회를 추진
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현장의 현안과 관련된 추가 개선 의제를 발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
기술정보통신부는 ‘선도 연구의 기반이 되는 연구자 친화적 R&D 제도 정착’이라는 목표 아래
100 ∙∙∙
‘범부처 협력으로 「연구개발혁신법」의 취지 현장 정착’, ‘선도적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제도
기반 확립’, ‘선도적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자 지원 강화’, ‘제도개선 원칙 확립’ 등 총 4개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목표 선도 연구의 기반이 되는 연구자 친화적 R&D 제도 정착
추진방향
범부처 협력으로 「연구개발혁신법」의 취지 현장 정착
∙ 혁신법 취지에 맞는 부처별 규정정비
∙ 혁신법 운영 현황 현장 점검
∙ 연구주체・사업 특성에 따른 애로 사항 해소
선도적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제도 기반 확립
∙ 유인체계 등을 통한 도전・혁신성 제고
∙ 국제협력 활성화 등 연구환경 개방성 확립
∙ 사회문제 해결 등 국가연구개발의 활용성 강화
선도적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자 지원 강화
∙ 선도적 연구문화 및 연구규범 조성
∙ 청년연구자 지원 확대
∙ 간접비 산출방식 개선 등을 통한 연구지원 모색
제도개선 원칙 확립
∙ 자율성과 책임성 담보를 위한 원칙 확립
∙ 신속한 애로해소 등 제도개선의 실효성 제고
<표 2-21> 2022년도 제도개선 기본방향
‘범부처 협력으로 혁신법의 취지 현장 정착’을 위해 부처별 상이한 용어・절차・기준, 혁신법
대비 완화할 수 있는 추가 제한, 혁신법 취지에 맞지 않는 조항 등 정비와 혁신법 취지에 맞게
현장에서 혁신법이 운영되는지를 점검 등을 제안하였다.
‘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도전・혁신적 연구수행에의
참여를 촉진하는 유인체계 개선, 국제협력의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비 사용 등의 유연성 강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 R&D 사업의 경우 다양한 사회구성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검토하였다.
‘선도적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자 지원 강화’를 위해서는 신뢰를 바탕으로 자율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선도적 연구문화를 조성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해 윤리 등 연구규범 조성을
지원하였다. 또한, 청년 연구자 지원을 확대하고, 간접비 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외에도 규제는 네거티브 방식을 우선 검토하고, 잦은 제도변화로 인한 현장 혼란을 막기
위해 규정 개정 시기 일원화 등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 101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2) 온라인 현장 제도개선 의견수렴
2022년 4월에서 6월까지 관계부처 제도개선 의견을 접수함과 동시에 연구현장의 제도개선
의견을 온라인 소통창구(IRIS)를 통해 수렴하여 총 83건의 제도개선 의견을 접수하였다.
제안자들의 소속별로 살펴보면, ‘기업’이 37%, ‘공공연구기관’이 35%, ‘대학’이 27%로 분포
하였으며, 제안자 중 67%가 ‘연구자’였으며, ‘연구지원인력’은 33%로 나타났다.
[그림 2-27]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응답자 분포도
온라인으로 접수된 제도개선 의견은 협약 이후 연구수당 상향 조정, 중소기업에 대한 인건비
계상 허용, 기술료 조정 등 다양한 제도 분야에서의 제도개선 사항들이 접수되었다.
3) 2022년도 제도개선안 마련
온라인 소통창구를 통해 접수된 의견은 일차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제도개선
위원회에 의해 연구현장에서의 중요성・시의성을 기준으로 검토・분류하였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안)」이 마련되었다.
102 ∙∙∙
[그림 2-28]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2022년도 개선안에는 연구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안정적 연구몰입환경을 조성
하기 위해 3개 부문 13개 세부 추진과제를 담았다.
우선, 부처・전문기관별 자체규정에 대한 혁신법 정합성을 검토하기 위해 일괄 점검을 추진
하였으며, 연차・단계 협약 폐지로 인해 최초 협약 시 계상한 금액만 인정되는 연구수당을 단계
시작마다 증액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강화하였다. 연구환경 변화로 증액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단계 중에도 연구수당을 증액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하였다. 중앙행정기관이 직접
수행하는 사업은 과제 수 제한(3책 5공) 적용대상에서 제외하고, 출연연 기본사업의 경우 자체
규정에 따라 기관 공통비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비 사용의 자율성을 확대하였다.
또한, 우수 해외연구자를 유치하기 위한 지원비 지급근거를 신설하였다. 기존에는 해외연구자
유치를 위한 비용의 사용 근거가 불명확하여 우수 해외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유치장려금,
국내 체재비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세목을 명시하여 해외 우수연구자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문제해결형 R&D 등 수요자 참여에 대한 비용 사용 근거를
시행령에 명시하여 연구개발기획・평가 과정에 참여한 일반 국민에 대해 연구개발비를 지급할
수 있는 근거를 명확히 하였다. 일정 매출액 이하의 초기 중견기업은 중소기업과 동일하게 정부가
연구개발비의 75% 이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기반을 강화하였다. 연구 자율성은 제고하되, 기술패권 시대 도래에 따라 확산되는 해외 기술
유출에 대응하여 보안관리는 체계화하였다. 중앙행정기관 및 연구개발기관이 수립하는 보안
대책에 보안대책 총괄담당자 지정 및 보안교육 의무를 명시하도록 하여 연구보안 절차를 명확히
하였다.
∙∙∙ 103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마지막으로, 2008년부터 동결된 학생인건비 계상기준을 14년만에 상향하여 학생들의 연구
몰입을 지원하고, 제재부가금 산출기준을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특히, 월별 학생인건비 계상기준은
학사 30만원(월 100만원에서 월 130만원으로 증액), 석사 40만원(월 180만원에서 월 220만원
으로 증액), 박사 50만원(월 250만원에서 월 300만원으로 증액)하였으며, 새 학기 일정을 고려
하여 2023년 3월부터 시행된다. 불필요한 종이문서를 보관하는 관행을 타파할 수 있도록 통합
정보시스템에 등록된 문서에 대해서는 연구개발기관의 보관의무를 면제하도록 하고, 연구현장
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이해충돌을 고려한 윤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연구개발성과 소유
기관이 취하 및 재출원 등 필요한 시기에 다양한 지식재산 출원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특허
출원을 중앙행정기관의 포기승인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연구자 지원을 강화하였다. 다만, 연구
개발성과 활용 제고를 위해 등록한 지식재산을 포기하려는 연구기관은 중앙행정기관의 승인이
필요한 점은 기존과 동일하다.
다. 향후 계획
혁신법과 달리 연구현장을 규제하고 있는 부처, 전문기관, 출연연 자체규정에 대한 정비도
지속하고 있다. 연구현장에서는 혁신법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는 일부 규정으로 혁신법으로 인한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처, 전문기관, 출연연
자체 규정을 검토하여 혁신법과의 정합성을 갖추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각 소관 및 기관과 함께
2023년 6월까지 정비를 권고・점검할 예정이다.
혁신법에 따른 연구개발제도개선은 연구자 중심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매년 지속적으로
연구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추진될 것이며, 이해관계자・전문가 검토 및 의견수렴 등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체계 확립을 통해 발전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104 ∙∙∙
제3절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가. 개요
기술패권 경쟁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각 국의 전략기술 경쟁력을 만드는 핵심요소인 과학기술
인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세계 각 국은 미래 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기술
혁신과 기술진보를 이끄는 핵심 인재를 확보하려는 인재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우리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됨에 따라, 첨단기술 분야의
인력 수요와 공급 간 미스매치를 대비하면서도 질적으로 탁월한 인재를 확보하고 양성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대내외 환경과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정부는 창의・도전적 인재를 육성・확보하고 미래세대
유입 및 성장 활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과학기술 인재양성 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정부는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에 따라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
정책의 최상위 계획인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고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심의회의(’21.2.25.)를 통해 확정한 바 있다. 2022년에는 이를 토대로 제4차 기본
계획의 체계적 이행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22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새 정부의
과학기술 인재정책의 주요 방향을 기술혁신형 주도형 인재양성 정책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요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정부는 과학기술인이 우대받고 존중받는 사회문화를 조성하여 미래세대 인재의 과학
기술 분야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을 수립(’22.4.26.)하였다.
제2차 기본계획에 따라 명예의 전당 헌정 공간 조성, 과학기술유공자 신규 지정, 과학기술유공자
증서 수여 및 헌정 강연 등을 통한 유공자 예우 및 지원과 과학기술유공자 지정분야 개선 및 실태
조사를 통한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나. 2022년도 주요 성과
1)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21~’25)에 따른 2022년 시행계획 수립
정부는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의 ①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②청년
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③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구축, ④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 등 4대 전략의 틀과 14개 추진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자 「제4차 과학
∙∙∙ 105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의 2022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확정하였다. 2021년도
추진실적 점검을 포함하여 범부처 합동으로 총 280개 사업(중앙부처 202개, 지자체 78개)에
대해 주요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우선,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초・중등 수・과학 교육체계
강화, 과학영재 과정중심의 학생연구 지원 고도화, 초・중・고 SW・AI 수업의 활성화, AI선도학교
확대 등 디지털 기초교육 확대 등을 주요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둘째, ‘청년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이공계
신진박사(박사후연구원)의 자율적・독립적 연구와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 융합・난제 도전
연구 지원을 지속하고, 석・박사 고급 R&D 인재 육성을 대폭 확대하고자 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구축’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하여 경력단절 여성과학
기술인의 연구과제 지원 확대, 고경력 우수연구자의 역량 활용방안 마련, 평생학습 지원체계
강화, 현장수요 기반 디지털 실무・전문교육 등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넷째, ‘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해외 우수연구자 안정적
유치 지원, 우수연구자의 비자・체류관리 기준 개선, 이공계지원 특별법 개정 추진, ’22년 이공계
대학원 총조사 본격 추진 등을 2022년 주요 추진과제로 포함하였다.
2)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 수립
정부는 향후 5년간 과학기술유공자 정책의 비전과 목표, 추진과제를 담은 「제2차 과학기술
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을 마련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22.4.26.)를
통해 확정하였다. 제2차 기본계획에서는 ‘과학기술인이 국가 발전 공헌자로서 존중받는 사회
문화 조성’을 비전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 ①과학기술유공자 업적 및 제도 홍보 등 대국민
소통 강화를 통해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인식을 개선, ②예우와 활동 지원을 통한 과학기술인의
명예와 긍지 제고 등 향후 5년간 중점적으로 지향할 정책목표를 제시하였다.
106 ∙∙∙
[그림 2-29]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 주요내용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과학기술유공자의 성장을 고려하여 ①과학기술유공자가 존중받는 사회
문화 조성, ②과학기술유공자 업적보존 및 사회 공헌 활동 지원, ③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편의 제공, ④과학기술유공자 선정・관리 및 제도개선 등 4대 중점추진과제를 마련하였다.
3) 창의・융합형 미래 인재양성
가)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초・중등 수학・과학 교육체계 강화를 위하여 첨단기술 기반의 실질적 수학・과학 실험・탐구
활동을 위한 공간인 스마트 수・과학실을 새롭게 구축・운영하였으며,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성장 지원을 위하여 온라인 ‘先교육’과정, STEM+I 생각교실을 확대 운영하고, 과학영재양성
전략 포럼 및 과학영재 교육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였다. 또한, AI선도학교를 확대하고 SW교육
페스티벌 등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SW・AI교육 문화를 조성하였다.
나)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및 성장지원 강화
박사후연구원 출연연 R&D연수 기회 제공, 포닥 중심 연구단 지원(KIURI), 세종과학펠로우십
등 청년연구자의 안정적 연구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하였다. 우수 대학생 대상 대통령
∙∙∙ 107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과학장학금 및 국가우수장학금 지원과 과학기술전문사관 및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통해 우수한
청년들이 학업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고, 2022년에는 청년연구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에도 주력하였다. 우수연구자의 글로벌교류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해외 우수
연구기관에서의 파견연구를 지원하였다.
또한, 연구자가 안심하고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과학기술 안전강국’을 비전으로 하고 중점 3대 전략의 내용을 담고 있는 「연구실 안전 기본
계획(’23~’27)」을 수립하여(’22.12.) 향후 5년간의 연구실 안전정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3대 전략은 ①예방 차원의 안전취약기관 선제적 안전확보, ②대응・복구 차원의 신속한 사고
대응 확립, ③기반 차원의 현장 중심 안전관리 기반 강화이다. 또한, 연구실 안전 특화 전문인력
육성을 위해 국가 전문자격제도인 ‘연구실 안전관리사’를 최초 도입하였고, 2022년 처음 시행
된 시험을 통해 총 140명의 합격자가 배출되었다.
다) 전략기술 등 미래 유망분야 핵심 고급인재 양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인력 수요에 대응한 석・박사 고급 R&D 인재양성을 위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였다. 특히, 반도체, 양자, 우주 분야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으며,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감염병 연구, 무인이동체 그리고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 대한 석・박사 인력양성 지원을 신규
추진하였다.
국내 연구기관의 전략적인 해외 우수연구자의 초청・활용을 지원하고, 유연한 유입환경을
마련하여 글로벌 연구역량을 강화하였다. 특히, 핵심기술 확보가 시급한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과제를 유치할 경우, 선정 우대하는 등 국가전략기술 인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기업이 직접 교과과정에 참여하고 인공지능 산・학 공동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대학원을 5개 신규로 선정하여 2022년 하반기에 개원하였으며, 공학과 인문사회 분야가 연합
된 메타버스 융합대학원을 2개 신규 개원하였다. 그리고, 대학 ICT연구센터를 국가전략기술 중심
으로 재편・확대하였으며, 인공지능반도체, 차세대통신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인력양성을 강화
하였다.
라)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및 민・관 협력형 인재양성
산업현장에 기반한 문제해결 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실전연구팀(X-Corps+) 컨소시엄 연구단을
2022년에 3개 추가 선정하여 총 4개를 운영하였으며, 이공계 학부 졸업생 및 석・박사 미취업자
1,485명에게 기업 맞춤형 전문기술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직무역량 향상 및 취업연계를 지원
하였다. 또한, 대학과 기업이 협력해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캠퍼스 SW아카데미와 네트워크형
108 ∙∙∙
캠퍼스 SW아카데미를 신설해 실무형 청년인재를 양성하였으며, SW중심대학을 44개교로 확대
하여 운영하였다. 2022년에는 특히 민간이 가진 혁신역량을 디지털 인재육성을 위해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방형 민・관 협의체인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가 출범하였다.
마) 여성, 장애인, 고경력 과학기술인 등 다양한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 기반 조성
여성과학기술인 생애 전주기 맞춤형 플랫폼 서비스(W브릿지)를 통한 경력단계별 교육, 취업・
경력개발 컨설팅, 지원사업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여성과학기술인의 R&D 연구
현장 복귀를 위한 연구과제 지원 및 여대학원생의 자기 주도적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기술역량 노하우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기술멘토링과 상시 현장자문을 통해 중소
기업의 기술, 경영 등 애로사항을 지원하였다. 또한, 역량있는 이공계 장애대학(원)생의 R&D
역량 제고를 위해 출연연 맞춤형 현장 연수・교육을 신규 추진하였다.
다. 향후 계획
정부는 혁신적인 과학기술인력이 양성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전략・
중점 기술별 국가전략기술 인력 현황을 분석하고, 기술수준과 특성에 부합한 맞춤형 인재 확보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반도체, 우주, 양자, 감염병 연구, 무인이동체, 기후기술
분야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며,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해외 우수한 연구자를 유치하고 글로벌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수학영재의 발굴・육성 지원 및 젊은 수학자에 대한 성장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2022년
교육과정 개정 시 초・중등학생의 정보과목(SW・AI) 필수 시수가 2배 확대되었으므로 이에 따라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AI선도학교 및 SW미래채움센터를 확대하여 운영하는 등 S
W・AI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기업이 직접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교 등 교육기관이 운영하는 기업 주도형 교육을 강화
하여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며, 인공지능, 인공지능반도체, 사이버
보안,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 대도약을 위한 최고 수준의 석・박사 양성과정을 신설・확대하고자
한다.
2022년에 신규 추진한 이공계 장애대학(원)생 대상 R&D 교육・연수를 2023년에는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잠재력을 지닌 우수한 학생을 발굴하고, 미래 핵심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의 R&D 연구현장 복귀를 위한 지원을 지속하고,
∙∙∙ 109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여대학원생의 자율적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공학연구팀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인적자원 활용 극대화 방안을 마련한 후 신규 정책과제를 발굴・구체화할 예정
이다.
마지막으로 재능사다리, 한우물파기 등 새로운 정책과제를 기획・추진하여 우수한 연구자가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입하고 세계적 연구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110 ∙∙∙
제4절 과학기술문화 확산
가. 개요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는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재해의 복합화, 디지털 전환으로의
가속화, 기술패권 경쟁의 심화 등 눈앞에 놓인 국가적인 도전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책
으로 과학기술이 기반이 되는 미래를 선도적으로 준비 중에 있다. 과학기술은 각 국가가 반드시
확보해야하는 최우선 목표가 되었으며, 서로 앞다투어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과 별개로 과연 우리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과학
기술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아무리 기술이 발전하고
고도화되더라도 그것을 활용해야 할 사회 구성원인 국민들의 인식이 부족하거나 올바르게 활용
하지 못한다면 과학기술은 무용지물이 된다. 따라서, 국민들이 일상에서 과학기술을 쉽게 체감
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여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이끌어
내고, 나아가 사회적 담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간 매개체가 되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과학기술문화’의 역할이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문화의 창달을
위해 제1차 과학기술문화창달 5개년 계획(’03∼’07)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과학문화 확산 및
관련 산업의 육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다양한 콘텐츠 제작・확산을 통한 과학기술문화 향유 기회 확대
매 년 4월 21일은 법정기념일인 ‘과학의 날’로, 과학기술처의 발족을 기념하고,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을 ‘과학의 달’로 지정하여
다양한 과학행사를 운영 중인데, 2022년에는 UN이 지정한 ‘세계 기초과학의 해’ 및 국제적
과학이슈(코로나19, 기후위기, 우주탐사 등)와 연계한 과학기술의 역할과 중요성을 공유하기
위해 참여형 과학캠페인과 온라인 콘텐츠 체험 중심의 ‘봄날의 과학산책’을 운영하여 과학기술이
국민의 일상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다양한 과학소통 활동들을 전개하였는데, 1997년 이래로 올해
26회째를 맞이한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古, 최大의 과학축제로,
2022년도에는 주제전시, 대표 과학강연, 전략기술 성과 전시, 청소년 과학활동, 과학공연, 과학
도서 등 과학문화 콘텐츠 중심 현장체험형 축제를 서울의 최신 복합문화공간을 활용하여 성공적
∙∙∙ 111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으로 개최하였다. 특히, 행사의 전반적인 그림을 그리는 기획 과정에 민간에서 활동 중인 과학
기술문화 분야의 단체 및 개인 활동가들의 창의적 사고가 반영될 수 있도록 민간 기획 중심으로
행사를 운영하였으며, 운영시간을 야간까지 확대함으로써 성인 타겟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큰 호응을 받는 등 그 간 정부 주도의 무겁고 딱딱했던 행사와는 반대로 ‘페스티벌’ 형식의 과학
축제를 개최할 수 있었다.
[그림 2-30]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아울러, 미래 과학기술의 인재가 되어줄 청소년들을 위한 교류 활동도 확대하였다. ‘과학이
궁금한, 과학을 잘 아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탐방・체험형 과학종합캠프인 ‘청소년 과학대장정’을
최초로 운영하였는데, 우주・항공, 기후・에너지 두 분야로 나누어 나로우주센터, 과학기술계 출연연
등 평소 경험하기 어려운 산・학・연의 첨단 과학기술 현장 개방을 통해 전국 청소년들이 모여
과학을 탐구하고 교류・소통하며 즐길 수 있는 ‘2022 청소년 과학페어’ 운영을 통해 청소년들이
과학에 대한 꿈과 열정을 키워나갈 수 있는 마중물이 되었다.
2) 지역 및 사회・경제적 배려계층 대상 포용성 강화
「과학기술기본법」 제30조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지식 수준을 높이고 과학기술이
사회전반에 널리 이용되며 국민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문화를 창달한다”는
조문이 있다. 이는 온 국민이 차별없이 과학문화를 누릴 수 있게 정부에서 여러 시책을 수립
하도록 법적으로 명시한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위해 지역 및 사회・경제적 배려
계층을 대상으로 격차해소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는 전국 광역지자체별로 구축되어 지역 내 풀뿌리 과학문화를 확산
하는 핵심 기관으로, 지역 과학문화 사업을 총괄 기획・운영하며,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 협・단체
발굴 및 지역이 보유한 과학문화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각 지역 내 과학문화를 활성화
하고 있다. 2022년에는 산업, 관광, 문화 등 지역이 보유한 대표 자원을 활용하여 특색 있는
브랜드 발굴을 통한 특화사례를 창출하였는데, 대표적으로 대전은 지역에 위치한 과학기술계
112 ∙∙∙
유관기관과 연계한 전국 유일 융합테마형 과학관광 프로그램(우주-지구-바이러스 투어)을 통해
참여인원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 내었으며, 인천에서는 1년 365일 과학문화를 향유한다는
목표로 상시 부스 운영 및 소규모 과학축제를 개최하여 시민 과학문화를 활성화하는 등 지역
과학기술문화의 확산을 이루어냈다.
또한,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를 위해 과학문화 바우처, 생활과학교실 운영 및 두드림 프로
젝트(찾아가는 과학관 운영)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하였는데, 대표적으로 과학문화 바우처는 연
50,000명의 소외지역・계층을 대상으로 과학전시・체험・공연 등 과학문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그동안 단체에 한해서만 지원했던 바우처를 개인 단위 신청으로 확대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였으며, 주요 권역별 과학문화상품 발굴을 통해 전년대비 205종 증가한 총
529종의 상품을 제공하여 과학에 관심있으나 기회가 많지 않았던 국민들의 과학문화 격차를 줄일
수 있었다.
【‘과학문화 바우처’ 우수 활용수기】
“학교 과학시간에 한 번도 배워보지 못한 신기한 광물들을 만져보고 광물이 자랐던 환경을 검색해서 사진도
찾아보고 친구들과 광물의 모양이나 표면에 대해 이야기도 나누었던 것이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바우처
이용 학생)
“아이들이 자라면서 과학은 어려운 학문이 아니라 일상 속에 있고, 일상에서 누릴 수 있는 재미있는 과학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다. 요즘엔 ‘스며든다’는 말이 정말 마음에 드는데, 아이들의 일상 속에 지금처럼
과학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면 좋겠다. 그리고 그 스며듦의 시작은 과학문화 바우처인 것 같다.” (학부모)
3)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뒷받침하는 과학기술문화 창달
2022년 과학문화의 핵심 키워드는 민간과 연계한 과학기술문화 창달이었다. 민간의 선도적
이고 지속적인 활동 기반 지원을 위해 중장기・대형 ‘기획과제’를 신규 도입하였는데, 일반적인
카페에 ‘과학’을 덧입혀 과학적 식・음료 및 다양한 과학강연・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과학
카페’가 신규 개점하였고,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연계하여 XR, 메타버스 등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과학체험을 전시하고 과학위인・과학유산을 활용한 굿즈를 개발하여 온・오프라인으로
판매하는 등 다양한 新과학문화 활동을 창출하였다.
∙∙∙ 113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과학카페 ‘QUA(쿠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과학굿즈 제작・판매
홈플러스 문화센터 ‘사이언스 클래스’ 국내 대형리조트 연계, 과학융합콘텐츠 협력 전시
[그림 2-31]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아울러, 공공이 보유한 과학문화 역량(인력, 콘텐츠 등)과 민간의 우수한 인프라(공간, 자본
등)를 매칭하여 과학문화 활동 인력들의 자생적 활동 기반을 마련하고, 우수한 과학문화 콘텐츠를
확산하기 위해 민-관이 상호 협력하였는데, 먼저, 대중성・접근성이 우수한 문화체험 공간인
홈플러스 문화센터를 활용하여 일상 속 과학체험 기회를 확대 제공하기 위해 전국 115개 지
점에서 ‘사이언스 클래스’ 과정을 개설・운영하였으며, 주요 프로그램으로 과학원리를 실험과
놀이를 통해 알아보는 체험교육과 공연 등 유아, 저학년, 가족 단위를 대상으로 대중성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여름 휴가철을 맞이하여 국내 유명 대형리조트와 연계한 과학융합콘텐츠 협력전시도
운영하였다. 과학융합콘텐츠는 전시, 공연 등 예술 콘텐츠에 ‘과학’을 접목시킨 융합콘텐츠로,
과학을 평소 다루지 않는 휴양시설 내에 ‘휴가 속 과학이 스며드는 경험’을 제공하고 과학문화
콘텐츠 창작자들의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소노 비발디파크와 한화리조트 거제 벨버디어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7∼8월 여름 성수기 간 운영을 통해 총 53,600여 명의 관람객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4) 과학문화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 확충
국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미래 과학기술을 선도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최신의 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체험하며, 생활 문화로서 과학기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과학문화 공간
확충이 필요함에 따라, 신규 과학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114 ∙∙∙
국・공립 전문과학관은 각 지역의 산업 특색을 반영한 특화 과학관으로써 국립과학관 2개소
(원주・울산), 공립과학관 2개소(광양, 진주)를 선정하여 지역 과학문화 향유기회 확대를 위한
신규 과학관을 건립하고 있다. 2020년에 선정된 원주의 경우, 현재 건축설계 완료 및 전시설계
계약을 추진하여 착공 전 단계까지 진행되었으며, 2021년에 선정된 울산・광양・진주의 경우, 기본
계획 수립 및 건축 실시설계까지 진행되어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에 선정
되어 탄소중립 분야에 특화된 울산은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여 과학관 건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기존의 성인을 위한 전시 중심의 과학관과는 달리 영유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눈높이와 신체발달에 맞춰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놀이와 체험 중심의 어린이
과학관을 국립과학관 3개소(중앙, 광주, 부산)에 건립하여 개관하였으며, 전국 각 지역에 어린이
과학체험공간을 조성하는 사업도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매 년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기초지방
자치단체로부터 많은 관심을 보여왔다. 2021년도에 선정된 5개 사업 대상지는 건축공사 및
전시물 제작・설치 등 본격 건립에 착수 중에 있으며, 2022년에도는 신규 4개의 사업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계 공모 및 전시물 제작설계 착수 등 어려서부터 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체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그림 2-32] 국립과학관(중앙, 광주, 부산) 내 어린이과학관
다. 향후 계획
‘지역’, ‘민간’, ‘과학기술인’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과학기술문화 혁신 주체들의 성장과
참여로 풍성해지는 역동적 과학기술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먼저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
기술문화 생태계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지역거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이 보유한 과학문화 자원
및 관계기관들을 연결하여 특화 활동을 강화하고, 과학문화바우처 및 생활과학교실의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확대하며, 과학문화 소외지역을 줄이기 위해 시설 인프라를 꾸준히 확대하는 한편,
현재 운영 중인 과학관의 콘텐츠를 내실화하여 모든 국민들이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115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또한 ‘민간’의 자생력 강화를 통한 과학문화산업의 육성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그 간 전문성을
보유한 민간의 개인・단체 창작자의 주도적인 과학기술활동을 지원하고 있었으나, 현장 안착과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지원은 미흡했던 점을 보완하여 자생적인 활동과 자립기반 마련을 위해
중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과학문화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 관련 사회 이슈 및 문화적 영향력의 확대로 과학기술인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어감에 따라 ‘과학기술인’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발굴・운영하여
과학과 사회와의 소통 또한 강화하고자 한다.
116 ∙∙∙
제5절 과학기술 외교 강화
1. 국가 간 협력(양자)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대통령 순방과 연계한 정상외교, ②한국정부와 상대국간 체결한
과학기술협력협정(49개국+EU)기반의 정부 간 협의체(과학기술공동위원회 등)등의 협력채널을
통해 국가 간 협력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인력교류, 공동연구, 기업의 해외진출 등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던 우리의 ICT기술력에 대한 높은 관심과
국제적인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기술보유국 위주의 세계질서 개편과 블록화 심화 경향을 기반
으로 2022년에는 강대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가 우리와 과학기술・ICT 협력에 대한 관심을 전해
왔으며, 코로나19가 완화국면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관심이 실질적인 고위급 면담과 협력 논의로
이어졌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은 9월 뉴욕에서 디지털 혁신이 세계 시민의 자유, 인권과 같은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할 수 있도록 연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뉴욕선언’을 발표하고, 이와 맥락을
같이하는 ‘한-EU 디지털 파트너십’ 환영성명을 EU의 우르슬라 폰 데어 라이옌(Ursula von
der Leyen) 집행위원장과 공동으로 채택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질서를 국제사회에
제시하여 선도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통령 순방 지원(북미, 사우디 등 2회), 정부 간 협의체 신설・개최(11회), 장ㆍ
차관급 면담(35회), 국가・정부 간 합의문 체결・개정・발효(9회) 등 다양한 협력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강대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국가로 협력지평을 확대하는 한 해
였다.
나. 2022년 주요성과
1) 주요국 협력(미국, 중국, 유럽강국 등)
2022년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합의한 첨단기술에 대한 파트너쉽 협력 강화에 대한
후속조치로, 우주 분야와 양자 기술, 6G, 바이오 기술 등 신흥기술 분야에 대한 협력 강화를
추진하였고, 그간 단절되었던 원자력 분야 협력을 재개하였다. 그 일환으로 2022년 8월에 미
∙∙∙ 117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 미 NASA 청장, 미 국가우주위원회 사무총장 등 미 과학기술・ICT
주요인사와 만나 한-미 간 기술동맹 기반 확대를 위한 구체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2022년 4월에는 미 국토안보부와 과제협약서와 인력교류 공동의향서를 체결하여 새로운 미국
정부부처와의 협력 기반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을 이용한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019년 미국 측의 제안으로 시작된 ‘한-미 과학기술협력협정’ 개정은 미국과의 문안 합의,
국무회의 상정 절차를 마무리하였으며, 양측 대표의 서명절차만 남겨놓은 상황이다. 협정 개정
으로 양국은 공동연구로 창작된 지재권에 대한 양국의 권한을 확대하였고, 협정 유효기간을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대폭 확대하여 양국 간 과학기술 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안정화하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2022년 11월에는 과학기술혁신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한 캐나다와 ‘제3차 한-캐 과학
기술혁신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양국의 과학기술과 연구보안 관련 정책을 공유하고, 인공지능
등 혁신기술 분야에 대한 협력 확대를 합의하였다. 양국은 내년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양국
간 과학기술혁신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공동행동계획 마련을 준비중이다.
동북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지속하기 위해 제4차 한・중・일 과학기술장관회의(’19.12.26) 및
제14차 한・중 과학기술공동위원회(’19.12.27)를 개최하여 동북아의 지정학적 여건을 고려한
과학기술 외교 활성화를 위한 한・중・일 동북아 3국의 공통 현안(감염병・지진・기후변화 등)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중국과는 바이오・ICT・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산학연 공동연구(연 5억 원)와
기초 연구(연 6천만 원)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9년말 발생한 COVID-19 확산으로 인해
고위급 협의체(중국과의 제15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제7차 한・중 ICT협력 전략대화) 등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2022년 6월에 추진된 주한 중국대사의 장관 면담 및 11월에 진행된 양국
정부의 실무자간 협의를 통해 과학기술・ICT협력의 지속 및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2022년 9월에는 한・중 수교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민간과학기술혁신협력포럼을 개최하여
양국의 과학기술분야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한・중 민간 과학기술 협력 방향을 모색하
였다.
유럽 기술강국과도 새로운 협력관계로 진일보한 해였다. 27개 회원국에 단일한 신기술 규제를
적용하는 유럽연합(EU)과 ‘한-EU 디지털 파트너십’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EU 내수시장
집행위원의 서명을 통해 체결되었고 한-EU 정상은 공동성명을 통해 이를 환영하였다. 파트너십
에는 양자기술, 반도체, 6G, 인공지능 등 전략기술 연구개발과 기술표준 설정에 대한 협력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이동, 디지털 플랫폼, 인공지능 등의 규제에 대한 협력 역시 포함하여, 4억
명이 넘는 유럽시장에서 미래에도 우리 기술 및 기업 진출의 경쟁력을 지킬 기반이 될 것으로
118 ∙∙∙
기대되며, 디지털 기술로 인해 변화할 바람직한 미래상에 대해 국제적인 논의를 이끌어나갈
지위를 확고히 하였다.
유럽의 대표적인 기술 강국인 독일과는 2년에 걸쳐 논의되던 정부 간 디지털 협의체 신설을
마침내 확정함으로써 9월에는 ‘제1차 한-독 디지털 정책 대화’를 개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인공지능, 6G, 양자기술, 스마트 공장, 클라우드, 스타트업 등의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브렉시트로 인해 새로운 파트너를 모색하는 영국과도 디지털 파트너십 체결 논의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지털 외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협력을 보다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2) 동・서남아시아 등 협력
강대국 중심의 과학기술 협력 전략에서 벗어나, 협력대상국을 확대하고, 동・서남아시아 등
해당 국가의 위상에 부합하는 투자와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에서 양 부처 양자면담, 협의체 신설 등 협력을 강화하였다.
1986년 필리핀과 체결된 과학기술 협력 협정과 2018년 체결된 과학기술 협력 양해각서에
따라 2022년 4월에 제1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에서는 스마트팜, 해양・
기후변화에 대한 양국의 정책을 상호 공유하고, 공동연구 2개 과제를 3년간 추진하기로 합의
하였다. 인도와는 2018년에 체결된 정보통신 분야 양해각서에 따라 제1차 한-인도 ICT 정책
협의회를 2022년 12월에 개최하고, 5G, 디지털 전환 전략, 인공지능, ICT 분야 인력양성 및
기후변화 대응 등 5개 세션으로 나누어 양국의 정책을 공유하고, 협력 구체화 방안에 대해 논의
하였다. 2022년 11월에 진행된 싱가포르와는 디지털동반자협정(DPA) 서명을 계기로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실질적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2022년 11월에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관련된 공동연구, 거버넌스 상호 협력, 의료분야 인공
지능 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베트남과는 2015년에 개정한 ICT MoU와 2018년에 체결된
한-베 4차 산업혁명 공동대응 MOU를 하나로 합쳐 ICT MOU를 개정하였다. 이번 개정된
MOU를 바탕으로 베트남의 수요에 맞는 공동 IT협력프로젝트를 3년간 진행할 계획이다. IT
협력 프로젝트는 상대국 정보화 수요에 기반하여 진행하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올해까지
말레이시아와 스마트팜 사업, 카자흐스탄과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그리고,
한국과 베트남의 과학기술 협력의 상징인 한-베 과학기술연구원(VKIST)이 지난 4월 준공승인이
완료되었다. 이미 VKIST를 통해 지난 2020년부터 ICT, 천연물 등 분야에서 공동연구를 수행
하고 있다. 2012년 12월에 양국 차관이 만나 VKIST를 통한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대학・연구원과 기업 간의 교류와 양국 스타트업 확대를 위한 환경 조성 등 중요성에 대해 공감
∙∙∙ 119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브루나이 등 국가와 양자
면담을 갖고 기후변화 대응, 우주 개발 기술, 5G・6G 및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상호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3) 기타 국가 간 협력
중남미 지역의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도입과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 위한 정책 동향과 연계
하여 과학기술・ICT 협력의 외연을 확대해 나가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의 우수한 과학기술 정책과 성과의 공유를 통해 상대국과의 신규 협력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국가 간 교류를 계기로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 가기 위한 활동을
추진하였다. 콜롬비아 과학기술혁신부와 첫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바이오, 탄소중립
분야에서 상호 간의 정책정보를 교류하였고, 코스타리카 과학혁신기술통신부와의 차관급 면담을
통해 바이오 및 우주 분야에서의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코스타리카와는 작년에 개최
된 제1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의 후속 협력활동으로서 양국이 공동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공동
연구(신약개발, 나노바이오기술 분야)를 착수하여 연구현장에서의 실질적 협력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5G 최초 상용화, 선도적 디지털 전환 경험 등을 기반으로 우리 기술과
역량이 중남미 지역으로 뻗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을 추진하였다. 아르
헨티나와는 기존에 체결되어 있던 ICT 협력 양해각서(MOU)의 개정을 통해 5G, 인공지능 등
4차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기반을 마련하였고, 콜롬비아 과학기술혁신부와 첫 ICT 정책 포럼을
개최하였고, 멕시코 연방통신위원회와 첫 ICT 협력 회의를 개최하고, 멕시코 디지털 전환 포럼에
참석하는 등 상대국의 신규 협력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우리나라의 디지털 분야 정책을
공유하였다.
오세아니아 지역은 과학기술 역량이 우수한 호주, 뉴질랜드와의 공동연구, 인력교류 사업을
통해 연구현장의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올해는, 전년도에 이어 2번째로
연구자 간의 교류를 지원하는 ‘한-호주 테크브릿지’ 행사를 호주에서 개최하였으며, ‘큐브위성’을
주제로 연구자 간의 연구현황 공유 및 협력방안 논의를 통해 미래 협력관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호주 국가수석과학자실과의 면담을 통해 양자기술 분야에 대한 정책 현황을 공유하고 양국
간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2019년 4월에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 3개국 순방 시 카자흐스탄과 ICT협력을 도모하고,
양국 우호증진을 목적으로 체결한 협력의향서에 따라 IT협력프로젝트 사업(’20∼’22년) 추진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자 및 사용자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등 ICT협력
120 ∙∙∙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기로 하였다. 또한, 2021년 8월 한-카자흐스탄 장관 양자회의를 통해
4차산업혁명 분야에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5세대 이동통신 상용화 등 유망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는 한편, 우주산업 협력강화 및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등 공동의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2021년 9월 한-키르기스스탄 고위급 양자회의를 통해 한국의 5G 정책공유를
통해 양국의 ICT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12월에 연이어 한-우즈벡 장관 회의를 통해 ICT
MOU체결 등 과학기술・ICT협력 수요가 큰 중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국내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2022년 9월에는 한-몽골 고위급 양자회의를 개최하여 5G
등 ICT 발전을 위한 정책 공유 등 협력을 강화해 나아가기로 하였다.
북유럽 지역에서는 북유럽과학기술협력센터를 중심으로 유전학, 신경과학, 나노과학 등의
분야에서 리더급 연구자 워크숍(LEDARE)을 7회 개최함으로써 우리 리더급 연구자를 알리고
네트워킹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본격적으로 마련하기 시작하였다.
정부 간 정례 협의체에서도 상대국 맞춤형으로 이탈리아(항공우주 등), 이스라엘(양자기술,
인공지능 등), 오스트리아(의약학 등) 등 상호 시너지 분야에 대한 협력을 우선적으로 논의함
으로써 국제협력의 상호 이익 증진을 도모하였다.
2022년 1월 대통령 사우디 순방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사우디 진출을 지원하였으며, 2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MWC(Mobile World Congress)
참가 및 기조연설을 통해 디지털 선도국으로서 우리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세계이동통신사업자
연합회(GSMA)와 메타버스 협력 MOU를 체결하였다.
총 31회에 달하는 고위급 면담(장관 13회, 차관 12회, 실・국장 6회)에서는 EU, 독일 등 주요국과의
협력 논의를 심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에스토니아, 가나, 슬로베니아, 콜롬비아 등 교류가 적었던
국가와 초기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국제협력 지평을 확대하였다.
4) 국가 간 공동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협력국과의 정상회담, 정부간 협의체 등을 계기로 연구현장의 실질적인
국가 간 공동연구 협력을 위해 90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68건(’22.12.1. 기준)의 논문
성과(SCI 58건, 비SCI 11건) 등을 창출하여 국가적 연구역량이 높아지는데 지속적으로 기여
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미국, EU 등 기술강국 뿐만 아니라 풍부한 자연환경 등을 기반으로
하는 코스타리카, 필리핀 등과 신규로 공동연구를 착수하여 과학기술 협력의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
또한, 감염병 및 탄소중립 관련 우리의 과학기술 대응역량 제고를 위해 전략형 공동연구
(’21년 예산 85억 원) 사업으로 유럽지역 선진 과학기술 보유국과 mRNA 백신 등 감염병 관련
∙∙∙ 121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4개 과제와 이산화탄소 광전환 등 탄소중립 2개 과제를 신규로 지원(과제당 연 1~3억 원)하였
으며, 축산 선도국인 호주와도 인공지능 기반 공동연구를 신규 선발함으로써 전략적인 과학
기술・ICT 국제협력을 추진하였다.
더불어 올해부터 새로이 시작된 ‘국제협력네트워크전략강화사업(’22년 7.5억 원)’을 통해 첨단
로봇(영국), 수소(독일, 덴마크), 바이오(벨기에), 우주항공(프랑스) 분야의 5개 공동연구 과제를
선정함으로써 국가 간 합의가 아닌 우리 수요 위주의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R&D에서 국제협력의 전략성을 높였다.
다. 향후 계획
2023년은 주요 협력국인 미국과 수교 70주년, 캐나다와 수교 60주년, EU와 수교 60주년,
영국 및 독일과 수교 140주년을 맞게되는 해로, 미국과 구축한 경제안보동맹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고, 캐나다와의 구체적인 협력을 위한 행동 계획을 준비할 것이다. 그리고, 올해 체결된
한-EU 디지털 파트너십을 통한 실질적인 협력을 개시할 뿐만 아니라 영국, 독일과 과학기술・
ICT 협력을 더욱 심화하여 확장할 예정이다. 기존 협력국인 호주, 뉴질랜드, 프랑스, 덴마크,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의 국가와도 지속적인 과학기술・ICT 협력을 발굴하여 추진할 계획이며,
빠른 디지털 전환과 기술발전을 보이고 있는 동・서남아시아・아프리카・중동지역 국가와도 과학
기술・ICT 협력의 연결고리를 만들어감으로써 우리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할 예정이다.
2. 국제기구 협력
가. 개요
최근 국제사회에서는 감염병, 기후변화, 디지털전환 등 글로벌 도전과제에 대응하고, 해결방안
마련을 위하여 과학기술・ICT 기반 국제공조 대응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의 우수한 과학기술・ICT
혁신역량을 기반으로 우수사례를 소개・공유하고 국제기구에서의 의제 논의를 주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또한, 주요 국제기구에 한국인 고위직 및 의장단 진출을 통하여 6G, AI 등 주요
기술에 대한 의제 발굴 및 논의 주도력을 제고하고, 각종 협력사업 추진을 통하여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국제사회 기여도 및 국가 위상을 높여왔으며,
대표적 성과로는 선진국 협의체인 G7에 2020년 미국에 이어 2021년 영국에 연속적으로 초청
되었으며, 2018년에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표준화총국장 연임 및 이사국 8선 연임에 성공
122 ∙∙∙
하였다. 또한, 2020년 6월 신설된 글로벌 인공지능 협의체(GPAI)에 창립 회원국으로 가입하였고,
2022년 국제연합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와 공동주관으로 제1회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장관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22년에는 ITU 이사국 9선 연임에 성공하는 등
주요성과로 이야기할 수 있다.
<표 2-22> 과학기술 및 ICT 분야 주요 다자기구 및 협의체 현황
구 분 다자기구 및 협의체
국가별 협의체 G7, G20, OECD, ITU, HFSP, ISTC, GPAI
지역별 협의체 ASEAN, APEC, APT, UN ESCAP, AIBD
기타 협의체 WEF, IGF, UNDP, 세계은행, 미주개발은행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주요 선진국 협의체 참여 및 역할 확대
2022년에는 G20, OECD 등 주요 국제기구・선진국 협의체에 참석하여 의제를 주도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특히 2022년 9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G20 디지털경제 장관
회의와 2022년 10월에 개최된 G20 연구・혁신 장관회의 등 2개 장관회의에 참석하여 디지털
플랫폼정부 등 선도적 정책을 공유하고, 유엔 기후센터의 한국사무소 설치 등 국제사회 기여
사항을 소개하였으며, 고품질 연결성・공공서비스 관련 의제를 반영하는 등 과학기술・ICT 선
진국 위상을 제고하였다. OECD에서는 의장단 진출을 통한 의제 주도와 한-OECD 공동연구
및 한국 혁신정책리뷰 등 협력사업의 추진으로 OECD 내 한국의 기여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2022년 2월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OECD 사무총장을 면담하였고,
5월에는 과기협력대사가 불법・유해 온라인 컨텐츠 확산 방지 고위급 라운드테이블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12월에는 정보통신정책실장을 대표로 하여 디지털경제 장관회의에 참석하여 디지털
전환의 방향으로 ‘뉴욕구상’의 핵심가치인 자유, 연대, 인권을 강조하고,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디지털권리장전 수립 방향 등을 소개하였다.
2) 아태지역 내 국제협력 구심점 역할 수행
2022년은 아태지역 내 국제협력의 리더십을 강화한 한 해였다.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아세안 오픈데이터 사전 개발, 5G 협력, 우수과학기술혁신상 등 역내 협력사업을 통해 아세안
내 한국 기여도 제고 및 위상 강화 노력을 지속하여 왔다. 인니와 공동으로 제3회 한-아세안 우수
과학기술 혁신상 시상식을 과학기술혁신 워크숍과 연계하여 4월 26일에 화상으로 추진하였고,
∙∙∙ 123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12월 1일에는 제4회 한-아세안 우수과학기술 혁신상 시상식을 공동연구 활성화 논의와 연계
하여 대면으로 개최하였다. 11월 11일에는 2005년부터 개최해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ICT 장관회의를 국제연합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와 공동 개최하여 ICT
강국이자 UN 산하기구의 중요 협력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확인하고, 역내 주도권을 강화하였다.
3)국제기구 진출 지원을 통한 글로벌 영향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ICT 주요 국제기구에 한국인 의장단 진출을 지원하여 우리
나라의 국제적 영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OECD 차원의 인공지능 거버넌스 논의를
위해 출범한 인공지능거버넌스 작업반 부의장직에 한국인 전문가가 진출하였으며, 이외 OECD
산하 9개 작업반 의장단에 신규(연임포함)로 9명의 한국인이 진출하였다. 그리고 UN 산하
ICT 전문 국제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개발부문 연구반에 한국인 부의장이 2명이 신규
(연임포함) 진출하였고, 표준화부문 연구반에는 12명이 의장단에 신규(연임포함) 진출하는 등
ITU 내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2022년 9월에 개최된 ITU 전권회의를 통해 ITU
이사국 연임에 성공함으로써 ICT 글로벌 리더십 위상을 재확인하였다.
4)개도국 발전 지원 및 국내기업 해외진출 기반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제기구 및 개발은행 등과 협력을 토대로 우리 기업과 함께 동남아・
중남미 등 수요국에 기술지원을 제공해, 우리 ICT 기술의 우수성을 전파하고 기업-수요국 간
협력관계 구축을 지원하였다. 또한, 세계은행・중미경제통합은행 등 주요 개발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ICT・보안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2022년 7월 MOU를 체결한 중미경제
통합은행(CABEI)과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중미 국가와의 협력 확대를 추진하였으며,
글로벌 사이버보안 센터(GCCD)와 국제연합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산하
ICT전문 교육기관인 유엔 아시아태평양 정보통신교육원(APCICT) 등 운영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개도국 지원사업을 통해 형성된 수혜국과의 호의적 관계를 기반으로 후속사업을 연계하여 국내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과학기술・ICT 정책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국제기구・다자
협의체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의 국제사회 위상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한-아세안
디지털 장관회의(’23.2월, 필리핀), G20 연구 장관회의(7월, 인도), G20 디지털경제 장관회의
(8월, 인도) 등 국제회의에 참여하여 우리나라의 주요정책을 소개하고 의견을 반영하는 등
124 ∙∙∙
주요의제 논의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그리고,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고 OECD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 주요 국제기구 의장단에 한국인이 진출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3. 글로벌 진출지원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혁신센터(Korea Innovation Center, KIC) 및 IT지원센터
등 해외거점 10개를 운영하여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과학기술・ICT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디지털 경제 전환 가속화 및 디지털 분야의 국제협력 확대
흐름에 맞추어 WTO・FTA 등 통상 협상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글로벌 기술사업화 지원
글로벌혁신센터(KIC)를 통해 국내 강소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기술사업화, 현지기관 연계
멘토링 등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과 국제 박람회 참석 지원 등을 추진하여 국내외 3,444.68만
달러의 투자유치(국내 2,241.18만 달러, 해외 1,203.5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2)국내 ICT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수출 유망시장(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및 신흥시장(UAE, 오만,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국가를 대상으로 바이어를 발굴하여 매칭하고, 1:1 수출상담회, 현지 네트워킹
활동(기관방문 워크숍 등) 등을 포함하는 현지 ICT 비즈니스, 콘텐츠 파트너십을 개최하여
12건 1,370만 달러의 공급 계약체결을 지원하였다. 한편 미・중・일・아세안에 6개 해외IT지원
센터를 운영하여 104개의 입주기업을 지원하였으며, 2022년 12월 현재 133백만 달러의 수출
및 투자유치를 달성하였다. 또한, 우즈벡, 탄자니아, 일본 등 11개 유망 시장대상 현지 ICT
프로젝트 발굴 및 수주를 위한 전략수립, 네트워크 구축 등을 지원함으로써 총 15건, 3,400만
달러에 달하는 프로젝트 계약과 MOU를 체결하였다.
∙∙∙ 125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3) WTO・FTA 등 통상 협상 대응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통상 규범 논의를 주도하고, 인공지능, 데이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산업의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과학기술・ICT 분야의 다자・양자 통상 협상(WTO 전자상거래 17건, DEPA 3건, 한-에콰도르
6건, 한-GCC 5건, IPEF 1건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아울러, 국내 제도와 국제 규범 간
합치성을 검토하여 WTO 체제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 통상분쟁(양자 간 FTA 이행 이슈
등)에 대비하고 있다.
4) 국제개발협력(ODA)
한국은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된 유일한 국가이며, 특히 개도국에서 높은 수요를 가진
ICT 선도국으로서 과학기술・ICT ODA를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동시에
우리나라의 ICT 국제리더로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몽골 울란바토르시의 노후버스에
플라즈마 버너 기반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적용한 미세먼지저감기술을 지원하였고, 현지
주민의 IT기기 활용을 위한 정보접근센터를 신규 4개국(가나, 세르비아, 몽골, 이집트), 고도화
4개국(파라과이, 부탄, 말라위, 몰도바)을 개소하였으며, 개도국 방송산업 자립을 위한 인프라
지원사업인 개도국 방송환경 개선사업으로 4개국(부탄, 파라과이, 라오스, 파키스탄)을 지원
하였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라오스에 디지털제작시설(K-Lab)을 구축하여 디지털 제작장비 활용
교육을 진행하였고, 창업아이디어를 도출하여 구현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의 한국교육방송
공사(EBS)를 모델로 캄보디아에 모바일 기반 교육방송국 구축사업(’20~’22, 총사업비 9,882
백만원)을 완료하였다. 동 사업은 2022년 18개 부처(28개 사업)의 동료기관선정 선호사업 평가
(국무조정실 주관)에서 ODA우수사례로 선정된 사업이기도 하다. 또한, 과학기술・ICT 주무부처로서
범부처 협력 주도를 통해 과학기술・ICT ODA의 체계적 설계・운영을 도모하는 등 노력을 인정
받아 올해 처음 실시한 ODA 시행기관 역량진단평가(국무조정실 주관)에서 우수 등급(A)을
받았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개의 해외거점(KIC, IT지원센터)을 중심으로 우리 ICT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밀착하여 상시 지원하고, 해외 ICT 프로젝트 수주 지원사업을 통해 성과를 창출
함으로써 해외시장 진출을 원하는 과학기술・ICT 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지속가능
발전목표(UN-SDGs)에 기여하고자 지속적인 국제개발협력(ODA)을 확대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비즈니스 관련 신규 시장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WTO・FTA 등 통상 협상(IPEF 등)과
이행 이슈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예정이다.
126 ∙∙∙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제1절 협력・융합연구 활성화
1. 융합연구
가. 개요
2022년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팬데믹에 이어서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을 필두로 기술패권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우리나라 역시 임무 중심의 다양한 분야・주체 간 융합연구 등을 통한 초격차 과학기술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는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18~’27)을 2018년에 일찍이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이행하고자 매년 시행계획을 마련했으며, 글로벌 수준 융합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혁신적・도전적 연구개발과 체감성과 창출 기술개발 프로그램에 대폭 투자하였다.
한편, 2022년은 10대 미래유망분야를 선정하고 이들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중장기적인
STEAM연구사업의 투자방향을 설정한 의미 있는 한 해였다. 2021년 11월에 출범한 STEAM융합
협의체(전문가협의체)를 체계적으로 운영하여 10대 미래유망분야 중 미개척분야에 부합하는
기술을 발굴하여 지원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전통문화산업
성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22.1.)하고, 전통문화혁신성장융합연구개발사업을 공동 추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산업화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각각 4개의 신규과제를 선정・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 간 협력 활성화를 위해 STEAM
연구사업 ‘성과공유회’,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난제도전포럼’, 전통문화혁신성장융합
연구사업 ‘미니워크숍’ 등 다양한 교류행사를 개최하였다.
∙∙∙ 127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그림 2-33] STEAM연구사업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STEAM연구사업의 전략적 기획 추진
2022년에는 사업개편 후 체계적 사업추진을 위해 구성된 STEAM융합협의체, STEAM융합
지원단 등을 중심으로 미개척분야3)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10대 미래유망분야를 도출하고,
기술수요조사 기반으로 미개척분야에 부합하는 기술을 발굴・선별하여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
오니어사업과 과학기술인문사회융합연구사업에서 각각 13개와 3개의 신규과제를 선정・지원
하였다.
<표 2-23> STEAM연구사업 10대 미래유망분야
대분류 미래유망분야 관련 기술분야
Ⅰ.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데이터
융합
① 4-하이퍼(hyper) 기술
(초고속・초거대・초연결・초실감)
EE. ED. OB. SI
(정보/통신・전기/전자・
인지/감성과학・
미디어/커뮤티케이션)
② 디지털 전환 기반기술
③ 산업지능화 대비 기술
Ⅱ.
지구 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자원
확보
④ 미래에너지 자립 기술 EF. EH. EA. EB. ND
(에너지/자원・환경・기계・재료・
지구과학)⑤ 지속가능한 환경관리 기술
Ⅲ.
공공 안녕을 위한 차세대 스마트 사회
실현
⑥ 미래사회구성원 공존기술
(모빌리티・인간・로봇)
EI. EB. EC. EA. EE.
(건설/교통・재료・화공・기계・
정보/통신)⑦ 사회안전망 확보 기술
Ⅳ.
바이오 혁신을 위한 생명・첨단의료기술
발굴
⑧ 인구구조 변화 대응 기술
LC. EA. OA. OB. SD.
(보건의료・기계・뇌과학・인지/
감성과학・사회/인류)
⑨ 첨단 바이오 솔루션 기술
⑩ 차세대 맞춤형 의료기술
(뉴로테크・하이브리드)
3) 미래유망분야 중에서 R&D 활동이 활발하지 않거나〈미성숙〉, R&D 지원이 부족한〈공백〉 영역에 해당하면서, 국가의
전략적 육성 방향과도 부합하여 재정 지원이 필요한 분야
128 ∙∙∙
2) ‘전통문화혁신성장융합연구사업’ 신규 추진
전통문화혁신성장융합연구사업은 전통소재 원천기술 및 공정・기반기술 개발 등 전주기에
걸친 다부처 협력 지원으로 전통문화산업계의 R&D 생태계 구축을 통한 우리 고유의 원천기술
확보와 전통문화산업 육성 및 신시장을 창출을 위해 2022년부터 새롭게 시작한 신규 사업이며,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총 6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각 240억
원씩 총 480억 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다. 동 사업은 크게 우수한 품질의 기초 소재를 만들기
위해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전통문화원천기술개발사업(과기정통부),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한
자동화기술 개발과 생산공정 개선 등 산업화기술을 개발하는 전통문화산업화기술개발사업
(문체부), 그리고 전통문화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현장문제해결형연구개발사업(과기정통부・
문체부)으로 구성된다. 사업 첫해인 2022년은 양 부처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전통문화산업 혁신
성장 생태계 지원 과제 1개와 한지・한복 분야의 원천기술개발(과기정통부) 4개, 산업화기술개발
(문체부) 4개의 신규과제를 선정・지원하였다. 또한 전통문화와 과학기술 간 융합 활성화를 위해
3차례 미니워크숍과 포럼 등을 개최하였다.
<표 2-24> 2022년 전통문화-과학기술 융합 활성화를 위한 주요행사
구분 주요 행사내용
목재・천연염료・전통유기 미니워크숍
• 전통문화 목재분야의 산・학・연 연구자를 중심으로 전통문화산업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목재기술 논의(’22.9.14., KIST)
• 천연염료・염색 분야의 산・학・연 연구자를 중심으로 국외 수입 대체 및 국내 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기술 논의(’22.10.31., KIST)
• 전통유기 및 전통유기제조 분야의 산・학・연 연구자간 전통유기의 학술적 배경 및
항균성 등 현대적 활용방안 논의(’22.11.28., KIST)
전통한복포럼
• 전통한복 관련 산・학・연 연구자를 중심으로 전통한복과 신기술
융합을 통한 산업 혁신방안을 논의(’22.10.22., 경희대학교)
• 세계에서 바라보는 한국 전통문화 및 한복에 대한 시각과 위상을 확인하고, 전통한복의
현대화 성공사례 공유
• 한복산업의 지속가능한 산업화・고급화 및 세계화 방안을 논의
3) ‘(혁신도전형) 상시재난감시용 성층권 드론기술개발’ 신규 추진
최근 태양광 무인기를 이용하여 고도 18~20km 성층권에서 장기체공하며, 각종 관측 및 통신
중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태양광 무인기 관련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 129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하고자 성층권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기 연구개발 사업을 2022년부터 착수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태양에너지로 장기체공하기 위한 저항력 형상설계, 고효율 프로펠러 설계, 초경량
고강성 구조설계 기술뿐만 아니라, 성층권의 극한 환경에서 장기간 운용하기 위한 기체 및 핵심
부품의 설계・제작・시험 등 체계종합 기술, 장기 운용을 위한 자동비행 기술 및 위성 중계 통신
기술과 지상관제장비 등 원천기술을 확보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375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4) ‘육・해・공 무인이동체 혁신인재양성’ 신규 추진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무인이동체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팽창에 따라 이를 국가 미래
먹거리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무인
이동체 산업은 대부분 영세한 중소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임무 기반의 시스템 통합설계가
가능한 연구인력 및 기술수급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2022~2028년 간 300억 원을 투자
하여 임무 기반형 실증기술 개발교육을 통한 인력양성과 이를 통해 축적된 기술을 산업체에 보급
하기 위한 인력양성사업에 착수하였다. 우선, 무인이동체 플랫폼 전공 및 활용분야 전공 학생이
임무 기반의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설계・개발 교육 인프라를 구축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문고등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무인이동체 융합 대학원 학과
설치 등 교육과정을 구축한다. 또한, 산업현장인력의 보수교육을 통해 국내 무인이동체 산업의
체질 개선 및 연구개발 인력의 고도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수교육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5) 성과교류 및 확산
가) STEAM연구사업
2022년 11월 STEAM연구사업의 성과공유 및 연구자 간 협력 네트워킹과 사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성과공유회를 개최하였다. 특히, 금번 성과공유회는 단순히 연구성과를 발표했던
예년과는 다르게 총 25개의 연구과제 연구책임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간담회를 가져 그간의
연구 진행 과정에서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 등을 듣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STEAM연구사업이 더
번창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논의의 장이 되도록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세부행사는 플레너리세션
(Plenary Session), 학생연구원의 패널 토의, 연구책임자 간담회(연구책임자-부처 간담회),
분과 세션(새로운 연구주제 발굴, 연구수행 노하우 공유, 기술사업화), 연구자 네트워킹 등으로
구성되었다.
130 ∙∙∙
[그림 2-34] 2022년 STEAM연구사업 성과공유회 행사전경
나)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2022년 4월 과학난제 도전 온라인 공개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보다 진보된 연구 제안 및
참여자 간 새로운 융합을 제안하는 오픈 사이언스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7월
에는 미래를 준비하는 실패 극복과 난제 도전 공동 포럼을 개최하여 과학난제 도전 아이디어를
교류할 뿐만 아니라 실패를 용인하는 도전적 연구문화를 확산하고, 과학난제 아카데미 운영
으로 난제도전 연구문화에 대한 교육 플랫폼을 마련하여 성과를 홍보하고 글로벌 난제동향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였다.
온라인 공개 컨퍼런스 실패극복과 난제도전포럼 과학난제 아카데미 운영
[그림 2-35] 2022년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 관련 주요행사
∙∙∙ 131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6) 2022년도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과학기술기본법」 제17조 제4항 등을 근거로 수립된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18∼’27)’의 주요 이행사항을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변화된 환경을 반영하고자, 지난 4월
「2022년도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시행계획(안)」을 수립하였다. 2022년에는 19개 중앙행정
기관4)이 192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총 5조 6,287억 원을 투자하고, 특히 27개 사업에
대해 1,438억 원을 신규 투자했으며 부처별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조 1,621억 원
(38.4%)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표 2-25> 2022년도 부처별 융합연구개발 신규사업
구분 사업명
과기정통부 감염병 차세대 백신 기초원천 핵심기술개발사업 등 12개
농식품부 노지분야 스마트농업기술 단기 고도화 등 4개
중기부 건강기능식품 R&D, 리빙랩 활용 R&D 등 3개
복지부 K-medi 융합인재양성지원 등 3개
기타 3개 중앙행정기관*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 개발사업 등 5개
* 국토부(2), 농진청(2), 환경부(1)
2021년에도 SCI(E) 논문 12,567건, 국내특허 9,899건, 해외특허 2,137건, 기술료 1,748억
원 등 연구성과가 다수 창출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기술료 비중이 정부전체 R&D 대비
62.7%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나, 융합연구에 대한 연구성과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성과를
중심으로 많은 성과가 창출되었다.
<표 2-26> 2021년도 주요 추진성과
구분
과학적 성과 기술적 성과 경제적 성과
SCI(E) 논문
(건)
국내특허
(건)
해외특허
(건)
기술료
(억원)
사업화
(건)
융합R&D(2021년) 12,567 9,899 2,137 1,748 2,800
정부R&D(2020년) 44,563 52,563 7,783 2,790 32,910
비중(%) 28.2 18.8 27.5 62.7 8.5
주 :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는 2023년도 상반기 발간 예정으로 2020년도 자료 사용
4)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복건복지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방위사업청, 경찰청, 소방청, 농업진흥청, 특허청, 질병관리청, 기상청
132 ∙∙∙
다. 향후 계획
2023년에는 융합연구의 전략성 강화를 위해 STEAM융합협의체의 주요 기능을 미개척분야
분석・발굴 중심으로 운영하는 한편, STEAM융합지원단과 과학난제도전협력지원단, 브릿지융합
지원단, 중앙센터 등 STEAM연구사업 과제 지원기관이 협력하여 체계적 사업관리 및 융합
R&D 연구 성과의 연계・활용을 촉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STEAM연구사업의 성과교류회와
같이 연구과제 책임자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등이 함께 논의하는 행사를 정례화
하여 사업의 성과 확산에 도움을 주고 보다 밀착하여 사업을 꼼꼼히 운영하고,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2. 나노・소재기술
가. 개요
나노기술이란 10억분의 1m(10-9m)인 나노미터(nm) 크기에서 원자나 분자의 제어를 통해
새로운 구조, 재료 혹은 장치를 생산하여 완전히 새로운 특성 창출 혹은 신규 응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나노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파급력이 큰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로서 전자, 에너지, 의료, 우주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혁신을 촉진한다.
소재기술 또한 다양한 기술과 제품에 적용되는 재료 기술로, 산업의 기반기술로서 폭넓게
활용된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요국가 간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나노・소재 원천
기술 개발과 선점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2021년 6월 미국은 경제 안보를 지키고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노・소재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된 공급망 검토보고서를 발표하고,
혁신・경쟁법안을 가결하였으며, 2021년 3월 중국 또한,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나노・소재
기반 첨단기술에 매년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다.
2021년 우리 정부 또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탄소중립, 글로벌 반도체 전쟁 등 국제・국내의
주요이슈를 해결하고, 국가 장기적인 나노기술발전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제5기 국가나노기술
종합발전계획(안)(’21.4)’을 마련하였다. 제5기 종합계획 마련에는 100여명의 나노 분야 산・
학・연 전문가들이 기획위원회에 참여하여, 국가 나노기술 그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10년
나노기술발전의 이정표를 세우는 데에 기여하였다.
∙∙∙ 133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 추진
국가나노기술지도는 나노기술분야 최초의 기술지도로,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 근거하여
2008년 ‘제 1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 이후 5년 내외 주기로 지속적으로 수립되어 오고 있다.
2021년 4월 수립된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21∼’30, 5+5)’의 적극 이행을 위해 나노기술
연계 주요 분야별 국가전략, 글로벌 기술산업 동향 및 이슈, 미래기술 발전 방향 등을 고려한
나노기술개발 중장기로드맵 수립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수립 추진 중인 ‘제 4기 국가나노기술지도’는 국정과제 및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연계하여, 향후 10년 이내 난제를 돌파하고 혁신을 주도할 나노기술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나노기술의 기반성 및 IT/BT/ET와의 융합성 등을 고려하여 주요 나노기술 전체가 망라되도록
분류체계를 재정비하고, 미래 핵심기술의 이슈 및 난제를 파악하여 그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나노기술들을 도출하는 절차의 일원화로 전개의 논리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파급력 높은 나노기술 로드맵을 마련하고, 정부 나노기술 R&D 투자전략을 고도화
하는 등 지도의 활용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외 환경변화 및 정책과의 정합성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전략적 정책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제 4기 국가나노기술지도’는 2023년
상반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의결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2) 국가전략기술을 뒷받침하는 미래소재 발굴
2022년에는 12대 국가전략기술을 뒷받침하기 위한 미래소재를 발굴하였다. 정부는 2019년
부터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과 미래기술 확보를 위해 대규모 국가 R&D 예산을 투자해 왔
으며, 세계 주요국 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미래소재 확보가 곧 국가 전략기술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금년에는 국가전략기술별 초격차 소재기술을 확보하고,
선도하기 위한 기술난제 해결 중심의 100대 미래소재를 발굴하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전략기술분야별 소재 전문연구회(총 25개 연구회)를 구성하고 연구회 출범식
(’22. 7.)을 진행하였으며, 산학연 소재 전문가 약 350여명이 참여하여 100회 이상의 연구회
활동을 통해 국가전략기술별 글로벌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초격차 소재 목표 등 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미래소재를 발굴하였다. 아울러, 100대 미래소재를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
해야 할 기술난제를 분석하고, 체계적인 기술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기술로드맵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향후 100대 미래소재와 기술로드맵에
대한 최종안을 확정 발표하고, 발굴된 미래소재에 대해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원
할 예정이다.
134 ∙∙∙
[그림 2-36]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별 100대 미래소재
또한, 소・부・장 핵심품목의 기술자립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22년 12개 국가핵심소재
연구단과 17개 미래기술연구실을 신규 선정하였으며, 금년까지 총 69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과
21개 미래기술연구실을 지정하고 밀착 지원함으로써 실질적인 소재 연구개발 성과 창출(기술
이전 78건, 기술료 87.2억 원 등)과 함께 소재・부품・장비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3) 소재 데이터 및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연구혁신 고도화
국가 소재 연구데이터 센터(’20.9월 신설)에서는 2021년에 소재 연구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
할 수 있는 ‘국가 소재 데이터 스테이션(K-MDS)’를 운용 개시(’21.11.)하여 지속적인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22년에 K-MDS 등록시스템을
통해 국가 R&D 과제와 3대 응용분야 소재(에너지・환경, 스마트・IT, 구조・안전 소재) 연구
데이터의 등록(’22.5.)을 시작하였으며, 독자적인 소재 연구데이터 표준어휘 체계 개발 및
1,100여 건 이상의 어휘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소재에 대한 확장성과 지속적인
소재 디지털 자원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K-MDS 검색시스템을 운용 개시(’22.12.)하여
소재 분야 연구자를 위한 연구데이터 검색 및 활용 서비스 제공을 통한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소재 분야 연구자의 혁신적인 디지털 소재 연구문화 창출과 더불어 소재 연구
가속화 및 신소재 개발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2022년 4월부터 시작한 AI(인공지능) 스마트
연구실 개발과제에서는 자동화를 위한 로봇 친화형 나노입자 합성법을 개발하고, 이에 맞춰
∙∙∙ 135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자동화 공정을 개발하는 한편, 나노입자 설계 및 최적화를 위한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나노팹
스마트화를 위한 공공 나노팹의 공정데이터 빅데이터화와 인공지능(AI)을 통해 고도의 공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해나가고자 한다.
4) 소재・부품・장비 전문인력양성 및 기업파견 지원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한국판 뉴딜(안전망 강화)과
연계하여 소재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나노팹 인프라와 연계한 실습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22년 기준, 소재기술 개발 경쟁력 강화에 일조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약 3,000여명 배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2021년에는 소재・부품・장비 공공 연구인력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애로 해소를 돕는 공공연 연구인력 소재부품장비 기업파견
지원사업을 새로이 추진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전문인력이 기업 현장에서 애로
기술 해결을 밀착지원하여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단기, 중장기 기술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136 ∙∙∙
제2절 기술혁신형 창업・벤처 활성화
가. 개요
2022년 한해는 창업・벤처 생태계에 있어 다사다난한 한해였다. 코로나19의 유행이 여전히
지속되는가 하면, 온라인・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는 등 벤처・스타트업 기업들의 투자 환경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창업・벤처에 대한 열기는 여전히 뜨겁다. 청년 창업기업은
2020년 약 49.1만명, 2021년 약 51.1만 명으로 증가 추세이며,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37.7만 명 수준으로 어려운 경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근 2년간 평균과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신규 벤처투자 역시 2020년 4조 3천억 원, 2021년 7조 7천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
한데 이어, 2022년 1월부터 9월까지 약 5조 4천억 원 수준으로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에도 불구
하고 아직 견조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기업가치 1조 원 이상의 비상장기업을 말하는 유니콘
기업은 해당 국가의 창업・벤처 생태계의 스케일업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인데, 2021년 12월
기준 18개였으나, 2022년 6월 말 기준 23개로 5개나 증가하였다.
[그림 2-37] 기준금리, 환율 인상 추이 [그림 2-38] 창업 생태계 규모 변화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창업・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법령 개선
정부는 벤처・스타트업 생태계의 활력 제고를 위해 관련 제도들을 계속하여 개선하여 왔다.
∙∙∙ 137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우선, 2022년 8월에는 벤처투자조합 등에 대한 규제 완화와 관련된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하였다. 이번 개정으로 인해 창업기획자에게 요구되는 벤처
투자조합 최소 결성금액이 기존 2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하향 조정됨에 따라 조합 결성이 보다
용이해졌다. 아울러, 투자자가 선의의 이해관계인(임원, 최대주주)에게 연대책임을 요구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피투자기업의 이해관계인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없는 경우에는 연대
책임을 부과하지 못하도록 하되 이를 위반할 경우 제재하도록 하였다.
한편, 2022년 9월과 10월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창업기업 부담금
면제제도를 확대하였다. 우선, 9월에는 시행령 개정을 통해 그간 제조업 영위 창업기업에
대해서만 적용되어왔던 ‘부담금 면제제도’를 일부 지식서비스업종5)에 확대 적용하였고, 10월에는
법률 개정을 통해 기존 제조업 영위 업종에 적용되던 부담금면제 일몰기한을 2027년 8월까지
5년 연장하여 창업기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케일업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비상장 벤처기업에 대한 복수
의결권 제도 도입도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행 「상법」 제 369조의 1주 1의결권 원칙에
따라 주식 1주에 2개 이상의 의결권(복수의결권)을 부여할 수 없다. 그러나, 비상장 벤처기업을
위한 복수의결권 제도가 도입된다면 대규모 투자로 인한 지분 희석 시에도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혁신적 벤처기업이 지분 희석 우려 없이 대규모 투자를 받으면서도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이와 관련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 개정안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통과하여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에 있다.
2)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지원
정부는 역량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위하여 2019년부터 「창업준비→초기(창업 후 3년 이내)
→도약(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내)」의 단계별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우선, 창업준비
단계에서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에게 창업교육 및 멘토링,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을 제공하는 예비창업패키지가 있다.
창업 후 3년 이내의 초기 단계에서는 초기창업패키지를 통해 시장에 본격 진출이 가능하도록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함께 대학 등 창업지원 주관기관의 특화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창업 후 3년 이상의 도약단계에서는 창업도약패키지를 통해 창업한 지 3년이 지나면 매출 부진과
자금 부족 등으로 위기를 맞아 사업화에 실패하는 ‘죽음의 계곡’ (데스밸리)을 극복하고, 성장
(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최대 3억 원의 사업화 자금 등을 제공한다.
5) 표준산업분류상 13개 업종 영위 및 기업부설전담연구소를 보유한 기업
138 ∙∙∙
창업기업 성장단계 맞춤형 창업정책
창업준비
∙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방향 결정, 비즈니스
모델 개발
예비창업
패키지
∙ 창업 교육・멘토링, 시제품 제작 등 지원 (최대
1억원)
창업후
3년 이내
∙ 창업 제품・서비스를 사업화하여 시장에
본격 진출
초기창업
패키지
∙ 제품・서비스 제작・개발, 시장 검증, 마케팅
등 지원 (최대 1억원)
창업후
3~7년
∙ 비즈니스 모델, 제품 고도화, 신제품 출시
등 사업 확장
창업도약
패키지
∙ 사업모델 혁신, 판로, 해외진출 등 사업 고도화
지원 (최대 3억원)
[그림 2-39]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2021년 예비창업패키지를 통해 예비창업자 1,530명의 창업을 지원하여 매출 424억 원과
고용 2,811명을 달성하고, 초기창업패키지를 통해 지원한 960개 기업은 매출 7,867억 원, 고용
4,616명의 성과를 창출했다. 또한, 창업도약패키지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은 600개 기업은 매출
1조 7,065억 원, 고용 2,967명 등 데스밸리(Death Valley)에 있는 창업기업의 성장과 일자리를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한편, 민간의 투자를 유치한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는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
(TIPS)의 성과도 매우 뛰어난데, 2013년부터 2022년 6월까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기업
1,750개사 중 약 55%가 민간의 후속투자를 유치하였으며, 총 투자 유치규모는 8.3조원에
달했다. 2015~2021년 기간, 팁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은 평균 10.5명을 신규로 고용하는
등 일자리 창출 효과도 뛰어났다. 또한, 2022년 6월 기준, 9개사가 기업공개(IPO)에, 50개사가
피인수・합병(M&A)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성공 사례도 도출하였다.
정부는 팁스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개선해왔다. 2019년 3월에는 팁스 지원체계를 「프리팁스-
팁스-포스트팁스」 3단계로 고도화하였으며, 2021년 4월에는 비수도권 최초로 대전광역시에
「팁스타운」을 신규 조성하였다. 2022년도에는 팁스(TIPS) 지원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스타트
업에 투자한 후 정부에 추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팁스 운영사 17개사를 신규로 선정하였다.
특히, 바이오・헬스케어, 디지털콘텐츠, 청년 등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특화형 운영사 3개사를
선정하여 전문성을 높였으며, 그간의 실적보다 앞으로의 가능성을 보는 ‘예비형 운영사 제도’를
도입하여 비수도권・신생 투자사의 성장 기회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술과 환경이 급변하는 디지털 전환시대에 대응하여 정부는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우위를 점하고 국가의 미래성장동력 확보하기 위해 2022년 11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발표하였다. 프로젝트의 핵심내용은 향후 5년간 10대 분야의 유망 스타트
업을 1,000개사 이상 선정하여 민・관 공동으로 약 2조 원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이다. 민간 검증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기술력 있는 기업을 선정하고, 기업의 선발부터 기술완성
∙∙∙ 139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까지 정부의 R&D 지원과 함께 분야별 정부출연연구소 등 전문기관을 통해 체계적인 지원이
이어질 계획이다. 특히, 신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지원기업을 명확화한 점과 지원범위를 최대
업력 10년까지 확대한 것은 프로젝트의 주요 특징이다.
3) 지역혁신 창업 기반 구축
그간 주요 창업지원 인프라・시설 및 자금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어 비수도권 창업 생태계는
상대적으로 열악6)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지역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기반 창업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표 2-27> 주요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예산
(단위 : 억 원)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창조경제혁신센터 377 380 398 364 364
메이커 활성화 지원 349 357 376 345 437
창업보육센터 493 183 743 749 741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47 49 45 42 46
2018년에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세부 운영방안」을 발표하여 혁신센터를 지역창업 혁신 허브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개편하였고, 고용, 투자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였다. 개편 이후 집중적으로 육성한 창업기업은 연평균 2,858개사, 신규채용 평균 8,234명,
창업기업 투자유치는 35,047억 원으로 그 동안의 지원성과(’18~’21)를 가시화하였다. 또한,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모두 액셀러레이터 등록을 완료하고, 약 1.7조 원 규모의 펀드를 직・
간접 조성(’21년 기준)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7년 국민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창업으로 연결하는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을 마련한 이후, 2021년도에는 ‘청년 활성화 방안 및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효율화 방안’을 수립하였고, 메이커 스페이스를 시제품 제작 및 본격 초도양산이 가능한
전문・특화랩 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하였다. 2018년도 전국 65개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을 시작
으로 2022년에는 전문랩 30개, 특화랩 30개 등 전국에 227개 메이커 스페이스를 확충하였고,
제조창업 저변 확대 및 특화분야 제조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기 구축된 메이커 스페
이스를 활용하여 2023년에는 외주 컨설팅, 양산 연계 지원, 공용 양산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한
제조분야 창업의 성장단계별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6) 전체창업 중 비수도권 비중(43.5%(’20.12월) → 42.6%(’21.12월) → 243.7%(’22.6월))
140 ∙∙∙
한편, 美 랩센트럴을 벤치마킹하여 바이오・의약 분야 창업기업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보육, 시험분석, 특허・세무 등을 지원하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을
기획하여 2022년 8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총사업비 약
2,726억 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향후 한국 바이오 스타트업이 혁신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병원, 대학교, 연구소
임상실험 ⇅ 기술협력
K-바이오 랩허브
바이오
전문VC
회수 R&D센터
국내외 제약사⇆ ⇆창업
보육실
연구
장비・시설
특화
지원프로그램
전문서비스
멘토링투자 사업화
연구장비・시설 활용 ⇅ 거버넌스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그림 2-40]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4) 청년 창업 활성화 대책
청년창업은 청년들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래의 기회를 열어가는 우리 경제 혁신의
출발점이라는 의미가 있다. 최근 제2의 벤처 붐이 본격 도래한 가운데, 특히 청년층을 중심으로
창업 열기가 고조되고 있으나, 청년들은 여전히 창업 거점이 부족하고, 창업과 학업을 병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 등의 이유로 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창업기업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윤석열 정부 청년정책 추진계획」을 2022년 10월에 발표하였다.
향후 정부는 청년 맞춤형 창업사업을 신설하고, 청년창업펀드를 추가적으로 조성하는 등 청년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청년창업 사업인 「청년창업사관학교」는 2011년부터 현재까지 5,842명의 청년
창업가를 배출했으며, 5조 768억 원의 누적 매출성과와 1만7,823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졸업 기업들 중에서는 ‘토스’ ‘직방’ 과 같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는 등 청년 기술창업의 대표
양성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2년에는 민간 창업기획자가 우수 청년창업자를 직접 선발・
육성하고 투자유치까지 책임지는 ‘민간주도형 청년창업사관학교’를 대전지역에 시범 도입하였고,
국내 우수 창업기획자인 블루포인트파트너스가 운영사로 선정되어 직접투자 및 민간의 투자
유치를 담당하게 된다. 중소기업벤처기업부는 민간주도형 청년창업사관학교 모델을 2023년 이후
∙∙∙ 141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에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인공지능(AI) 기술 인력 수요급증에 따른 스타트업 AI 개발
인력 문제를 해소하고자 2021년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사업을 시범 운영하고, 이듬해
정규사업으로 추진하였다. 2022년에는 연령・선발규모를 확대하고, 비대면 과정을 신설하였다.
또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무 경험과 채용 기회를 마련하는 스타트업 연계과정과
진로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취・창업 연계과정을 도입하였다. 2023년에는 시범으로 운영한 창업
트랙을 정규과정으로 편성하고, 인공지능 교육을 직무별로 특성화 운영할 예정이다.
[그림 2-41]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활용하여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창업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6개의 「창업중심대학」을 신규 지정・운영하였다. 선정된 대학에는
창업사업화지원 주관기관 자격을 5년간 부여하고, 창업 성장단계 전체를 일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창업중심대학 창업기업 모집은 지역・청년창업기업을 우대하여 대학별로 권역내
창업기업 319개사(62.5%) 및 지역 내 청년창업기업 175개사(34.3%)를 지원하는 등 지역 창업
활성화를 위한 특화지원을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3개 대학을 추가 지정하고, 권역 내 창업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성장단계별 연계 지원을 강화하는 등 지역 창업의 허브로
지속 육성해나갈 예정이다.
142 ∙∙∙
[그림 2-42] 창업중심대학
5) 글로벌 창업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중 7개사가 스타트업에서 출발한 디지털・플랫폼 기업일
정도로, 글로벌 스타트업은 디지털 경제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2년
9월 정부는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고, 한국 창업・벤처 생태계의 개방성과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K-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전략’을 발표하였다. 대책의 내용은 1) 민간역량 및
부처협업을 활용한 맞춤형 지원, 2)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외 진출 거점을 확대, 3)
해외 우수 인재와 자본의 국내 벤처・스타트업 생태계 유입 등으로, 중기부를 중심으로 해당
과제들을 충실하게 이행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같은 달 미국 뉴욕에서 ‘한-미 스타트업 서밋’을 개최하였다. 국내・외 투자자(VC),
액셀러레이터(AC), 창업기업 등 창업생태계 구성원들이 상호 교류하고 협력하는 자리를 마련
하였고, 그 결과 2.2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펀드 조성 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글로벌 창업지원사업 중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사업은 업력 7년 이내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BM) 전환 교육, 법률・세무・회계 자문, 현지 액셀러레이터(AC)를 통한
보육, 사업화자금 지원까지 해외진출의 초기 진출을 지원해왔다. 2011년 사업 시작 이후 2021년
까지 총 709개 창업기업을 지원하여 2,371.3억 원 매출, 2.450명 고용 창출, 2,482.1억 원의
투자유치 등을 이끌어냈다.
스타트업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이어나가고, 나아가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 143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혁신적인 기술 개선, 글로벌 진출 확대 등 홀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와 난관이 존재한다. 이에
시장・산업별 최고의 전문성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기술교육, 솔루션, 컨설팅 등 협력하여
스타트업의 애로사항을 함께 해결하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022년에는 총 6개 기업과 협업하여 스타트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총 9개 기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2021년 총 200개사를 지원하여 국내・외 투자
유치 1,457억 원, 신규고용 1,447명, 매출 3,508억 원(전년대비 95.2% 증가) 등의 높은 성과를
달성하였다.
세부
프로그램명
[창구] [엔업] [마중] [다온다] [ASK] [지중해]
협업기업 구글플레이 엔비디아
마이크로
소프트
다쏘시스템 앤시스 지멘스
주요
모집분야
모바일 앱 및
게임
인공지능 관련
클라우드
활용
제약・바이오,
헬스케어,
신제조공정, 로봇
스마트모빌리티,
전자・전기,
헬스케어,
소재
전자・전기・
기계 분야
장비・부품,
의료용 기기
지원규모 80개사 30개사 30개사 20개사 20개사 20개사
[그림 2-43] 2022년도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다. 향후 계획
그간 한국의 창업・벤처 생태계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괄목하게 성장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대한민국이 혁신 창업국가와 글로벌 벤처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향후
지속적으로 제도정비, 지원확대, 인프라 강화 등을 통해 창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어 나갈 예정
이다.
144 ∙∙∙
제3절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 창출
가. 개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심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 팬데믹의 장기화 등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견인할 반도체, 이차
전지 등 전략산업・첨단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주요국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해 핵심기술 분야를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첨단전략
산업법(반도체 특별법)을 제정하고, 국가전략기술을 지정하는 등 전략기술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첨단기술・산업 패권전쟁의 승패는 핵심특허 선점・보호가 좌우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국가정책 차원에서 지식재산과 연계한 기술 확보 및 산업경쟁력 강화대책을 수립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코리아 R&D 패러독스라 불리는 우리나라 R&D 효율성 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수의 전문가 집단이 아닌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한 전략적 R&D 투자방향 수립이 필요하며,
5억 2천 만여 건에 이르는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수출규제가 촉발한 공급망 위기나 코로나19 백신수급 위기 등 국가적 위기를 극복함에 있어
해외특허 회피, R&D 방향 제시, 핵심특허 창출을 위한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IP-R&D)
전략 수립이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정부 소재・부품・장비 R&D 과제와 연계하여 IP-R&D 지원을
확대하였으며, 대일(對日) 특허무역수지를 개선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반도체 등 첨단전략
기술 분야 정부 R&D 과제 수행시 IP-R&D를 실시하도록 규정화하고, 국가전략기술 분야 산학연
맞춤형 IP-R&D 과제지원을 신규 추진하였다. 중소기업이 연구개발을 추진할 경우, 특허 조사
분석을 활용하여 중복연구를 방지하고, 우수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간 특허 조사・분석업
체인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을 확대하였다(’22.12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올해 우리나라는 63개국
중 전체 27위를 기록했다. 그 중 과학인프라는 3위로 20개 부문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
으며, 그 중 인구당 R&D 연구자 수(1위), 특허 수(2위) 등이 지속적으로 높은 순위를 유지하여
국가경쟁력을 견인했다. 하지만, 지적 재산권의 보호 정도는 국가경쟁력보다 낮은 37위(전년
대비 1단계 하락)를 기록하여 약점 보완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였다. 이에 특허청은 지식
재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활동들도 지속하였다. 지식재산 보호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해서
실용신안권・디자인권 침해죄를 친고죄에서 반의사불벌죄로 전환하였고, 기술디자인특별사법
경찰 수사를 강화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지재권 분쟁대응을 효과적으로
∙∙∙ 145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지원하기 위해 지식재산권 분쟁대응센터를 통한 특허분쟁 지원을 더욱 강화하였고, 해외 상표
무단선점 및 위조상품 유통에 대한 대응도 강화하였다.
대학・공공연은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66.6%를 사용하며, 박사급 연구인력의 74.5%를 보유한
기술혁신의 원천으로 대학・공공연이 혁신적인 특허기술을 충분히 공급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할 때, 혁신성장과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2022년에는 정부지원 종료 후에도 대학・공공연이 지속적으로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을 확대하여 대학・공공연의 ‘기술사업화-수익-회수-
재투자’의 선순환 구조 구축을 지원하였고, 대학・공공연에 대한 지식재산(IP)경영 진단 및 심층
컨설팅을 기반으로 기관의 지식재산(IP)경영 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였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특허 빅데이터는 세계 각국의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기술혁신을 위해 각고의 노력과 비용을
들인 R&D 성과물임과 동시에 고급 기술정보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경쟁국가나 기업에서 어떠한 R&D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우리의
경쟁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향후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R&D를 주력할지에 대한 객관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2022년에는 메타버스, 디지털보안, 우주항공, 디지털 헬스케어, 합성생물학, 스마트제조,
첨단로봇 7개 분야에 대한 특허 빅데이터 분석 및 유망기술 도출, 산업혁신전략 수립 등을 진행
하였다. 그 결과 메타버스 분야에서는 광역메타공간, 초실감미디어, 분산・개발형 플랫폼, 실
시간 UI/UX, 디바이스 5개 부문 16개의 유망기술을 도출하는 등 전체 7개 산업분야에서 총
134개의 유망기술을 도출하였다.
<표 2-28>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별 혁신전략 추진절차
절차 환경분석 정량진단 심층분석 정책제안
내용
∙ 산업 기술분류
∙ 시장・R&D・산업
동향・전망 조사
∙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분석・진단
∙ 위기신호 탐지
∙ 유망기술 세부분류
∙ 세부기술별 특허맵
구축 및 이슈발굴
∙ 정부 R&D・산업・
인력 등 종합정책
∙ 기업별 투자전략
부상기술 분석 유망기술 도출 R&D 전략과제 선정 유망산업 육성 전략
146 ∙∙∙
2022년에는 분석 초기∼종결단계까지 R&D 전담기관의 PD/PM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
(’22.6~12.)를 통해 특허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정부 R&D 과제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였다.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망기술은 해당
부처에서 정부 R&D 과제 기획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으며, 특허빅데이터센터 포털
(https://biz.kista.re.kr/pbcenter)을 통해서도 분석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더불어, 특허 빅데이터 컨퍼런스를 개최(12.16.)하여 유망기술 및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해당 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에게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으며, 민간 유관기관 대상으로
탄소중립 분야 특허 빅데이터 분석 시사점을 공유하는 세미나를 열고 특허 빅데이터 컨퍼런스를
공동 개최하는 등 특허 빅데이터 분석 성과가 민간 분야에도 널리 확산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2) 소재・부품・장비, 국가전략기술 등 주요기술분야 지식재산 기반 기술자립 추진
2019년 일본 수출규제 극복을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자립 및 산업
경쟁력 강화대책을 추진하였다.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20.4.)
및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21.1.)에 전략적 지식재산 조사・분석 지원에 관한 규정을 반영
하여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산업통상
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R&D 부처와 협업하여 소재・부품・장비 R&D
과제에 IP-R&D를 전면 적용하였으며, 2022년에는 신공급망 창출을 위한 미래선도품목과 국방
부품 R&D로 지원범위를 확대하였다.
<표 2-29> 소부장 핵심품목 R&D에 대한 IP-R&D 지원현황
R&D부처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R&D 사업 2020년 2021년 2022년
산업부 소재부품기술개발,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등 208개 272개 205개
중기부 기술혁신개발, 구매조건부기술개발 등 49개 118개 118개
과기정통부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개발 등 37개 40개 43개
환경부 상하수도혁신기술개발 5개 - -
합계 299개 430개 366개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과 관련된 764개의 R&D 과제(’19~’21)에 특허 기반 연구개발 전략을
적용하여, 핵심품목 특허 분석을 통한 대체기술을 발굴함으로써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립과
공급선 다변화를 지원하였다. 그 결과 핵심특허 1,175건이 출원(’22.5월 기준)되어, 소재・부품・
장비 국산화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수입 대체, R&D 비용절감,
특허분쟁 예방 등으로 8,490여억 원의 경제효과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일 특허 무역수지
∙∙∙ 147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적자는 2021년 상반기 3.1억 달러 적자에서 2022년 상반기 2.2억 달러 적자로, 전년대비
29% 감소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일 특허 의존도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의 주도권 확보 및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 확산을 위해 첨단
전략기술 정부 R&D에 전략적 특허 조사・분석을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첨단전략산업법」에
IP-R&D 의무화 조항을 반영하였으며(’22.2월 제정), 국가전략기술 IP-R&D 과제 지원을 신설
(34개 과제)하여 산학연에 특허 관점의 맞춤형 R&D 전략을 제공하였다.
코로나19 상황이 장기화되고, 백신 수급 리스크가 커짐에 따라 백신기술 자립 및 자주권
확보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백신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선결과제로서 특허 분쟁 위험 등의
지식재산 문제를 해결해야 하므로, 국내 백신 기업・단체는 특허분석 및 특허청 지원대책을 정부에
요청하였다. 이에 특허청은 지난해에 이어 백신 원부자재의 공정별 핵심 특허, 특허분쟁 현황,
국내 진입여부 등을 분석하여 특허청 홈페이지, 온라인 설명회, 기업 설명회 등을 통해 제공
하였다.
【백신 원부자재 특허분석 및 설명회】
∙ (원부자재 특허분석, ’22.2.24 발간) 국산화가 필요한 16개 품목에 대한 ▲주요기업 및 기술 발전 현황,
▲라이선스 및 특허분쟁 현황, ▲원천・핵심 특허 228건에 대한 심층분석 결과 포함
∙ (원부자재 설명회, ’22.3.3. 개최) 온라인*(줌+유튜브) / 산학연 100여명 참석
* (복지부・특허청) 줌 발표 및 답변 (기업・연구기관) 유튜브 시청・질의
또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자유공모형 IP-R&D 과제지원을 신설하는 등 백신・치료제・원부
자재 기업・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총 58개 IP-R&D 과제를 지원하여 해외특허 회피 및 지식재산
창출을 위한 맞춤형 지식재산 전략을 제공하였으며, 그 결과 백신 4개사, 치료제 3개사가 임상
시험에 진입하는 성과를 얻었다.
지식재산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비용으로 분쟁 예방, IP 창출 등
일부 모듈만 지원하는 중소기업 특화형 IP-R&D 34개 과제를 신설하였으며, R&D 방향 중간
점검 및 권리화 지원을 위한 소부장 후속진단 IP-R&D 30개 과제를 신설하여 기업의 다양한
특허전략 지원수요 충족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과정에서 특허 조사・분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을 늘렸고(’20년 132개 → ’22년 249개 기관), 진단기관 전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리 효율성을 높였으며, 특허조사분석에 관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활용함
으로써 진단기관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148 ∙∙∙
지난 5년간(’16∼’20) IP-R&D 지원성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IP-R&D 지원과제는 중소
기업이 수행한 정부 R&D 과제 평균 대비 양적(과제당 특허출원 4.3배) 및 질적 특허성과(우수
특허비율 1.7배, 삼극특허비율 2.1배)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IP-R&D를 지원받은 기업은
사업화 성공률이 미지원 기업보다 18.4%p 높고, 예산 투입(940억 원) 대비 10배 높은 경제적
효과(9,092억 원)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지식재산권 보호기반 강화
가) 2022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 시행계획 수립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우리기술 유출방지 대책으로 ‘2022년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
비밀보호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기술보호에 취약한 대기업 협력사 등에
대한 영업비밀 보호체계 집중지원, 신속하고 효율적인 영업비밀 유출 수사체계 구축, 핵심 연구
인력의 해외이직 방지를 위한 지원 강화 등을 담고 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본 계획은
제 230차 대외경제장관회의에 상정・의결되어 시행 중이다. 또한, 지식재산 보호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307개의 대학・공공연, 8,269개의 기업 및 1,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부정경쟁행위 및 영업비밀보호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나) 실용신안권・디자인권 침해죄를 친고죄에서 반의사불벌죄로 전환
특허권에 이어 실용신안권・디자인권자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개정 실용신안법과 개정
디자인보호법이 6월 10일에 공포와 동시에 시행되었다. 개정법들은 실용신안권・디자인권에
대한 침해죄를 친고죄에서 반의사불벌죄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침해죄가 반의사불벌죄로
전환됨에 따라 피해자는 고소기간의 제한(친고죄는 6개월) 없이 침해자를 고소할 수 있게 되었고,
수사기관도 피해자 고소 없이 직권으로 인지한 사건에 대해서도 수사할 수 있게 된다. 개정법들의
시행으로, 권리자에 대한 형사적 구제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 산업재산 분쟁조정 활성화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제도는 산업재산권 등의 분쟁에서 당사자를 직접 문제해결 절차에 참가
시켜, 상호 간의 합의를 유도해내는 제도로, 별도의 비용 없이 3개월 내에 조정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최근 개인・중소기업 신청 건이 약 89%(’19~’22.11월 신청 건 기준) 가량을 차지하는
등 경제적 약자를 위한 신속・효과적인 분쟁해결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특허청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 이용자 및 조정위원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운영 개편
∙∙∙ 149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유관부처와 업무협의를 진행하였다. 지식재산 형사사건을 조정으로 해결하는
검찰-조정 연계제도를 활성화하고, 민사사건에 대해서도 12월 특허청-서울중앙지법-한국지식
재산보호원 간 업무협약을 통해 ‘법원-조정 연계제도’를 도입하여, 지재권 분쟁이 조정으로 제도적
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라) 특허청 기술디자인특별사법경찰 수사 강화
심사・심판 경력자, 박사, 변호사・변리사 등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특허청 기술경찰은 기술과
법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검찰・국정원 등과 적극적인 협업을 진행하는 등 국가 주요기술
유출 범죄에 대한 전문 수사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2년 6월에는 디자인권 침해범죄에
대한 직권수사가 가능하도록 디자인보호법이 개정되었고, 11월에는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이 기술
침해 단속사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발명진흥법이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기술경찰은 디자인권
침해범죄에 대한 기획수사가 가능해졌고, 또한, 특허・영업비밀・디자인 수사 및 단속 업무를 수행
하는 과정에서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향후, 기술경찰이 보다 효율적
으로 수사업무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 해외 지식재산권 보호활동 강화
2022년에는 지식재산권 분쟁대응센터를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특허분쟁 예방・대비 지원을
더욱 강화하였다. 특허분쟁 예방을 위한 특허분쟁 위험 경보 및 조기진단 서비스를 신규로 제공
하였다. 특허분쟁 위험 경보 서비스는 기술분야별 특허분쟁 위험등급, 등급별 행동요령 및 분쟁
고위험 특허정보를 제공한다. 특허분쟁 위험 조기진단 서비스는 전문가가 직접 기업을 방문하여
특허분쟁 위험을 진단하고, 기업의 자체적 분쟁예방・대비 활동을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특허분쟁 대응전략 컨설팅 지원도 확대했다. 지원대상을 ‘수출 중소・중견기업’에서 ‘외국기업과
분쟁 중소・중견기업’까지 확대하고, 비용지원 한도도 최대 연 1억 원에서 2억 원까지 확대하면서
지원건 수는 2021년 277건에서 2022년 346건 지원으로 증가했다.
해외에서 우리 기업의 K-브랜드 보호체계도 강화하였다. 작년 중국・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에
올해부터는 시범으로 싱가포르까지 확대하여 5개 국가를 대상으로 해외 상표출원 실태조사를
통해 무단선점 의심상표를 발견하여 기업에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해외 온라인 위조상품
유통 차단을 위해 경력단절여성, 미취업 청년, 다문화가족 등 약 150여 명으로 구성된 ‘해외
온라인 위조상품 모니터링단’을 통한 기존 8개국(중국, 아세안 주요 6개국, 대만) 뿐만 아니라,
외부 위조상품 단속 전문서비스를 시범 실시하여 미국, 유럽 등 약 30개 국가 대상으로 8만
2천여건의 위조상품 판매게시물을 차단하였다.
150 ∙∙∙
해외지식재산센터(IP-DESK)를 통해 해외 지재권분쟁 초동대응, 지재권침해 단속 등 해외
현지 지재권보호 지원을 확대・강화했다. 중국 내 보톡스, 필러 등 K-브랜드 위조상품 기획조사를
통해 위조상품 유통현황을 조사한 후 행정단속을 통해 3,200여 점을 압수하였다. 또한, 김치
등 전통식품 명칭의 해외상표 무단선점 대응을 위해 전통식품 명칭 관련 해외 상표 무단선점
현황을 조사하고, 불고기 등 11개 명칭에 대해 무단선점 의심상표 60건을 발견해 외교부・
농식품부 등에 조사결과를 공유하고, 공동대응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더하여, 해외 위조품
유통확산 방지를 위해 세관 지재권 침해단속 활용을 지원하고, 해외 온라인 플랫폼별 지재권
보호정책 가이드를 제작해 배포하였다.
5) 공공 IP・연구성과의 경제적 활용성 제고
2022년도에는 대학・공공연이 정부지원 종료 후에도 스스로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수행
하여 지속적인 ‘기술사업화-수익-회수-재투자’가 일어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해당 사업은 대학・공공연의 지식재산 전담부서의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업의 기술수요 발굴 및 대학・공공연의 공급기술과 기업의 수요기술 간
기술성숙도 격차를 줄이는 활동에 주로 투자하며, 기술이전이 성공할 경우 수익금의 일부를
회수하여 다른 특허기술의 사업화 활동에 다시 투자하도록 한다. 정부는 2019년부터 3년간의
1차 지원이 종료된 기관 중 성과가 우수한 경북대, 고려대 2개 기관에 대한 2차(3년) 지원을
시작하였고, 강원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전북대 5개 기관을 추가로 선정하여 지원을
개시하였다.
수익 재투자 (선순환 방식 지원) 기존 사업 (1회성 지원)
정부 ⇨
재투자지
원
⇨
기술
이전
⇨
발명자,
대학・공공연 정부 ⇨
사업화
검증
⇨
기술
이전
⇨
발명자,
대학・공공연
[그림 2-44]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또한, 대학・공공연에 대한 지식재산(IP)경영 진단 및 심층컨설팅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관의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유연하게 제공하는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였다.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 사업은 우수특허 창출부터
기술이전・사업화, 연구자 창업까지 지식재산(IP)경영 진단을 기반으로 각 기관의 지식재산(IP)
경영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중장기간(3년+2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원 기관이 지식
재산(IP)경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2년에는 경희대, 아주대, 한국나노기술원 등
18개 대학・공공연을 선발하여 지원을 개시하였다.
∙∙∙ 151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다. 향후 계획
지식재산 기반의 기술자립 및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국가 전략산업
분야의 핵심・원천특허 확보와 지식재산 혁신 생태계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특허청은 글로벌 공급망 교란의 장기화가 전망됨에 따라 高수입의존 핵심품목에 대한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및 국내생산 대체 가능성을 파악하고, 정부의 공급망
관련 정책 수립 및 R&D 과제 기획에 활용하도록 관련 부처에 제공하여 공급망 리스크 경감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소재・부품・장비 R&D 전반에 적용했던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 전략 지원을
반도체, 국가전략기술, 탄소중립 등 중점 기술분야로 확대하여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지원
하고, IP-R&D 방법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재산 확산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제조-서비스 융합 IP-R&D를 확대하고, 신산업 진출 등 사업
재편을 위한 IP-R&D 지원을 새롭게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형 증거수집제도 도입도 추진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특허침해소송에서 특허권자의
승소율이 낮고, 승소하더라도 제대로 된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는 실정인데, 그 원인 중 하나는
침해자가 보유한 침해 입증 및 손해액 산정을 위한 증거를 특허권자가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특허청은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이 운영
하고 있는 증거수집제도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국내 소송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설계한 한국형
증거수집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2년에는 그간 제기되어온 우려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업계 및 산업부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완성도 높은 제도가 될 수
있도록 사법부 의견을 수렴하는 등, 새로운 정부수정안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2023년에는 완성된 정부수정안을 바탕으로, 국회 입법 절차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대학・공공연 대상으로는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을 확대하여 기술이전・사업화 수익이
다시 특허기술 사업화에 재투자되는 선순환 특허생태계 구축을 지원하고, 스스로 우수특허를
창출하고, 기술이전・사업화 및 창업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IP)경영 역량을 키우
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152 ∙∙∙
제4절 디지털 표준을 통한 선도형 경제 전환
가. 개요
우리나라 헌법 제127조에는 “국가는 국가표준제도를 확립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표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가차원에서 표준을 정립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취지에 맞추어 1999년 2월 국가표준기본법이 제정되었으며, 국가표준제도의 확립을 위한 기본
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과학기술의 혁신과 산업구조 고도화 및 정보화 사회의 촉진을 도모
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민복지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가표준기본법에는 국가표준기본계획, 국가표준시행계획 등 국가차원의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였으며, 관련 부처 간의 효율적인 업무협업 및 조정 등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국가표준기본법 제5조에 의거 국가표준심의회를 두어 운용하고 있다. 국가
표준심의회는 제정 당시 국무총리를 의장으로 12개 부처의 장관으로 운영되었으나, 업무의
효율성과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9년 7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을 의장으로
17개 부처의 차관 및 민간 위촉위원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2001년부터 국가표준기본법 제7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국가표준기본계획은 국가
표준제도의 확립 등을 위하여 범부처가 참여하여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이에
지난 2021년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을 수립하여 운영 중이다. 제5차 국가표준기본
계획은 ①디지털 전환을 이끌 미래혁신기술표준화, ②저탄소 기술의 조기 상용화, ③생활제품의
호환성 확보, ④KC・KS 인증의 글로벌 브랜드화 등 선도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표준의 혁신적
변화를 모색하였다. 이번에 확정된 기본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 중앙행정기관은 국가표준기본법
(제8조)에 의거 매년의 실적과 계획을 국가표준시행계획에 반영하여 국가표준심의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나. 2022년 주요성과
표준 관련 부처들은 기본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한다. 2022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17개 부처가 제5차 국가
표준기본계획의 4개 분야 12대 중점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세부과제를 확정했다.
분야별 세부과제를 살펴보면,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표준화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7개 부처가 참여하고,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표준화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 국민이
행복한 삶을 위한 표준화 과제에는 행정안전부 등 12개 부처,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 확립을
∙∙∙ 153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위해서는 환경부 등 9개 부처가 참여한다.
기업의 기술혁신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서, 각 부처에서는 소관 전문분야에
대한 표준화 업무와 더불어 인공지능, 수소기술, ICT, 스마트헬스 등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술 분야의 국가・국제표준화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가속화되는 기술・시장변화에 기업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국가표준의 적시 정비를 추진하고 표준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과제 추진을 위해 2022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28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803억
원, 중소벤처기업부 55억 원 등 총 2,512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의했다.
<표 2-30> 2022년도 부처별 재정 투자 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1.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표준화
2.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표준화
3. 국민이 행복한
삶을 위한 표준화
4.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 확립
합 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2,430 105,398 1,650 13,345 132,823
행정안전부 - - 2,113 - 2,113
문화체육관광부 - - 1,920 - 1,920
농림축산식품부 - - 800 100 900
산업통상자원부 12,141 34,003 26,108 8,087 80,339
복건복지부 3,802 - 2,106 484 6,392
환경부 670 100 500 1,318 2,588
고용노동부 - - 607 - 607
국토교통부 - - 2,907 - 2,907
해양수산부 - - 100 - 100
중소벤처기업부 1,525 2,810 - 1,200 5,535
식품의약품안전처 270 637 11 88 1,006
조달청 - 57 - - 57
방사청 - 5,088 - 3,678 8,766
산림청 233 140 250 - 623
특허청 - - - 3,417 3,417
질병관리청 - 1,173 - - 1,173
합 계 31,071 149,406 39,072 31,717 251,266
154 ∙∙∙
다. 향후 계획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과 탄소중립 등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을 관계부처가 함께하는 표준
정책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차질없이 세부과제를 이행하고, 표준이 국민의 안전한 삶과 우리나라
산업 발전의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미래
혁신기술 국제표준을 선점하여 디지털 기술 활용의 룰 메이커(Rule-Maker)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 기업의 성장과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
이다.
∙∙∙ 155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제5절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
가. 개요
과학기술 중심으로 지역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정부는 지역주도 R&D를 기획・수행
하고,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하였다. 특히,
연구개발특구는 2020년 기준으로 총 연구개발비 12.7조 원, 연구기관 150여 개, 기업체 8,450여 개,
박사급 연구원 6.5만 명 등이 집적된 혁신자원과 신기술에 대한 높은 수용성을 기반으로 신기술
창출 및 사업화를 위한 최적의 장소로 주목받았다. 특히, 기초지차체 단위에서도 소규모의,
고집적된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기술-창업-성장-재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소특구 모델을
도입하여 지정(2020년 6개, 2021년 6개)・육성하고 있다. 올해는 인천 서구(기술핵심기관: 인천
대학교, 특화분야: ICT 융복합 환경오염 처리 및 관리), 강원 춘천(기술핵심기관: 강원대학교,
특화분야: 바이오 의약 신소재)을 강소특구로 추가 지정하여(2022년 2개) 혁신 생태계의 범위를
더 확대하였다.
[그림 2-45]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56 ∙∙∙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연구개발특구 육성
가) 기업성장 지원
정부는 연구개발특구를 혁신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 ‘특구육성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및 기술 지주회사 등이 보유한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업에 대한 후속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세부 추진내용으로는 수요자 중심 공공기술 사업화 지원을 통해 ‘기술
수요자 발굴, 공공기술 매칭 및 BM 수립’, ‘R&D 및 후속 마케팅 지원’ 등 사업화 전단계를 지원
하고, 특구 내 주요혁신 자원인 대학의 역량을 활용하여 ‘아이디어 발굴 - 검증 - 멘토링 -
투자유치’ 등 창업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러한 추진전략으로 2022년에는
1,368억 원의 정부재원을 투입하여 기술이전 251건, 지원기업 매출액 2,067억 원, 신규 일자리
창출 2,051명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최근 4년간 일자리 창출 실적 최근 4년간 과제기여 매출액 실적
0
500
1000
1500
2000
2500
19년 20년 21년 22년
1300
1480
1660
1840
2020
2200
19년 20년 21년 22년
[그림 2-46]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연구소기업의 지속적인 성장(’22.11월 기준, 1,505개)에 따라 성장단계(초기-도약-고도화)별
지원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법령을 개정하였다. 2022년 6월에 개정한 「연구개발
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은 연구소기업 등록 요건, 운영 등에 관한 조사・자료열람
및 그에 따른 시정명령 근거를 포함하였다.
또한, 벤처투자가 수도권 위주로 이루어지는 투자 관행 속에서 지역의 기술금융 공백을 메우기
위해 2,300억 원 규모의 제5차 특구펀드 조성계획을 수립하였다. 그간 특구 지역이 확대되고
특구 기업 또한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과 이익 규모를 고려하여 결성 총액이 제4차 특구
펀드 조성계획(’19.1월 기준, 610억 원)에 비해 대폭 확대되었으며, 지역균형발전과 성장단계
별로 특화된 투자 연계를 목표로 하여 전략적인 기술금융 공급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 157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계획에 따라 올해 연구소기업, 특구육성사업 과제수행 기업 등 특구 기술사업화에 집중 투자
하는 제5-1차 펀드가 조성(’22.12월 기준, 600억 원)되었으며, 펀드 투자를 바탕으로 특구 내
기업들의 빠른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추진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란 기존 법령상 규제로 인해 신기술의 실증이 어려울 경우,
관련 규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연구개발특구 내 적용하지 않도록 하여 신기술의 실증을 허용
하는 제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3월 새롭게 시행한 실증특례 제도가 연구개발
특구 내 성공적으로 안착하도록 적극적인 제도 홍보, 수요발굴 및 법률 컨설팅 등을 추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특구 내 산・학・연 관계자 및 수요기관을 대상으로 제도 확산을 위한 간담회, 특구
혁신네트워크를 활용한 찾아가는 릴레이 설명회(48회) 개최 등을 통해 총 69건의 실증특례
후보과제를 발굴하였다.
또한, 발굴된 후보과제를 대상으로 기술 및 시장수요 분석, 법률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실증
특례 수요자 맞춤형 지원으로 제도 이용의 문턱을 낮추고자 하였다. 발굴된 과제를 바탕으로
규제 부처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기존의 타 규제샌드박스와 가급적 중복되지 않는 새로운
기술의 실증에 특례가 부여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 결과, 특구 실증특례 전문위원회와 연구개발특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6건의 실증
특례 지정과 4건의 적극해석 처리를 통해 총 10건의 국가 R&D 규제애로를 해결하였다. 특히,
뇌질환자 비대면 진료보조 시스템 실증,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원 기반 위급상황 분석 비상벨
관제시스템 실증 등 기술의 혁신성과 높은 사회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규제로 인하여 기술 실현에
애로를 겪고 있었던 과제들에 특례를 부여하여 신청기관이 실증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는 도입 2년 만에 뚜렷한 성과를 내는 중이며, 앞으로 이와
같은 성과가 질적・양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158 ∙∙∙
<표 2-31>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사례
지정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려대 안암병원, ㈜이센 조선대학교, ㈜비에스소프트
실증내용
규제사항
의료법상 비대면 진료 및 처방전 발급 금지(제33조, 제
34조)
약사법상 의약품 온라인 배송・판매 금지(제50조)
통신비밀보호법상 타인 간 대화 녹음 금지(제3조, 14조)
개인정보보호법상 정보주체의 동의 하에서만 개인정보
수집 가능(제15조)
실증특례
기대효과
원격진료시스템은 치매 질환자, 정신질환자 등을 대상
으로 예외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뇌손상 환자 대상
으로는 국내 첫 시행
공중화장실에 비상벨 등 안전 관리 시설 설치 의무화가
예정(‘23.7.)된 상황에서 오작동이 잦은 기존 비상벨을
대체하여 범죄예방 강화
[그림 2-47]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절차
2) 지역혁신역량 제고
가) 지역 R&D 지원
지역의 자생적 R&D 발굴・기획・추진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등 지역 R&D를 지원하였다.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는 지역혁신주체 주도로 지역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자체 기획하고,
중앙정부가 기초・원천기술 개발 및 사업화 R&D를 최대 5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에
광주・전북・제주 3개 과제를 추가 지정하였으며, 기존 6개(부산, 대구, 경북, 강원, 경기, 전남)
과제를 포함하여 총 9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또한, 지역의 자생적 R&D 혁신체계 구축을 전담할 ‘연구개발지원단’의 예산지원 규모를 확대
하고 지역 내 역할을 재정립하였다. 독립기능을 갖는 전담기관이 혁신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선도연지단’으로 지정하고, 중장기 혁신전략 수립・이행과 지역 내 연계 사업 발굴 등 선도기능을
∙∙∙ 159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부여하고자 한다. 이외에도 지역과학기술 정책연구센터를 신규 지정하여 역량분석, 정책기획
등 연구개발지원단에 대한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제2차 기본계획(2022~2030년)」 수립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란 기초연구와 비즈니스를 융합하여 종합적・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기초연구분야의 거점기능을 수행하는 거점지구(대전 신동・둔곡・도룡)와 응용연구・개발연구
및 사업화 등을 수행하는 기능지구(천안, 청주, 세종)를 연계한 지역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제1차 기본계획(2012~2021년)이 종료됨에 따라 2022년 3월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제2차
기본계획(2022~2030년)」을 수립하였으며, 기초연구환경의 완성과 과학-비즈니스 성과 창출,
국가적 위상제고를 통한 ‘과학벨트의 슈퍼클러스터화’ 완성을 실현하기 위한 3대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3년에도 연구개발특구를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혁신클러스터로 육성하고자
한다. 특구 50주년을 기념하여 향후 특구 발전・지역혁신 성장 비전을 제시하고, 초광역 권역별
또는 분야별 연구개발특구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신산업을 창출하거나 국가 아젠다
해결에 기여할 계획이다.
권역별 협력의 축 설정 초광역 육성로드맵 수립 초광역 협력수요 발굴
기술사업화 및 성과확산
추진
∙ 지역주력 및 특구 특화
분야 분석
∙ 협력아이템 설정 및
우선순위 도출
∙ 협력의 축 육성을 위한
가치사슬 도출 및 중장기
로드맵 수립
∙ 권역내(아이템) 또는
권역별(아젠다) 초광역
연계협력 수요 발굴
∙ 수요별 R&BD 및 전후방
지원으로 기술사업화
성과 및 지역협력 도출
[그림 2-48] 초광역 협력 사업 추진 프로세스
또한, 2023년에는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를 신규 추진하여 지역과학기술 자생력을 강화
하고 지역경제성장을 촉진하고자 한다.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는 지역별 특성, 연구역량, 기술
수요 등에 따라, 전략산업 분야 신기술의 Seed를 창출하는 ‘지역전략원천연구’를 중점 지원
하는 사업이다. 특히 지역의 산학연이 혁신역량을 결집하여 미래의 핵심 분야를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장기적 관점의 원천기술 개발 및 지역 확산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160 ∙∙∙
<표 2-32>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지원 유형
구분 초광역협력형 지역혁신도약형
프로젝트
목표
글로벌 거점화를 위한 선도기술 개발 지역의 기술장벽 해소 및 기술자립
수행기관 권역 내외 산학연 (대・중견기업 참여 가능) 지역 내 산학연 (중견・중소기업 참여)
사업
참여
권역내외 협력가능 단독지역 주관
∙∙∙ 161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제1절 4차산업혁명 대응 기반 강화
1.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
가. 개요
통신 인프라는 10년 주기의 세대적 진화를 통해 사회 및 산업 발전의 필수 인프라가 되었
으며, 자체 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파급력이 크고 경제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국가 보안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술패권 경쟁의 핵심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19. 4.)를 시작으로, 2030년 이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주도권 확보를 위해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20. 8.)’ 및 ‘6G
R&D 실행계획(’21. 4.)’을 발표하였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2021년 6G 통신 인프라 핵심기술 선점을 위한 1단계 6G R&D 6대
중점분야별(초성능, 초대역, 초공간, 초정밀, 초지능, 초신뢰) 전략과제를 추진하였고, 긴박하게
변화하고 있는 6G 후보기술에 대한 대응 및 표준 선점을 위해 2단계 6G 추진 방향을 기획
중이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2022년은 2021년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된 6G R&D 핵심기술개발사업의 본격적인 추진
으로 6G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요소기술 설계/구현과 도전적 원천기술 연구를 위한 학계와의
연구・산업기반 조성 병행을 시도하였다.
162 ∙∙∙
[그림 2-49] 이동통신 세대별 주요 기술 변화
주요 추진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6G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수립된
연차별 추진계획에 따라 6G 통신단말・시스템 및 전자파 안전성 등에 대한 요소기술 설계/구현을
추진하였다. 또한, 산업계에서 연구하기 힘든 도전적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021년에 이어 국내
대학원 내(’22년 KAIST, 서울대, 아주대, 숭실대 4개 대학에 25억 원 연구비 지원) 6G 연구
센터를 지정하여 석・박사 과정부터 6G 개발에 참여토록 하고 기초연구 강화 및 인력양성을 지원
하였고, ‘Mobile Korea 2022’ 글로벌 행사 개최를 통해 5G 이동통신 융합서비스 시장과 6G
이동통신 비전 및 기술표준을 선도하는 등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에서 국제 지도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행사에서 EU 6G-IA(6G SMart Networks and Services Intra Association)와의
업무협약(MOU) 체결을 진행하며 국제 공동연구 및 기술 교류 본격화를 위한 공조체계 틀의 마련을
준비하였다.
[그림 2-50] 1단계 6G R&D 연차별 추진 계획
∙∙∙ 163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둘째, 6G 표준 일정 가속화, 클라우드・SW 기반 네트워크 패러다임 전환 등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패권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본격화되고, 글로벌 기업 등에서 거론되는 6G 후보기술이
변동・추가됨에 따라 1단계 6G R&D 전략에서 다루지 못했던 분야에 대해 2단계 6G R&D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셋째, 6G와 같은 미래 기술뿐만 아니라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개방형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통신장비의 공급망 다각화, 통신망 구축 비용 감소 등의 해결을 위해 오픈랜 R&D를 기획
하였다. 오픈랜이란 각종 단말기를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RAN 내 처리 장치 간 연결
하는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현재 RAN은 장비 제조사가 종합 솔루션 형태로 장비(HW)와 솔루션(SW)을 묶어 제공 중인데,
오픈랜이 상용화될 경우 인터페이스 개방 표준화를 통해 특정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기존보다 다양한 제조사의 시장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RAN 환경 Open RAN 환경
무선장치
안테나
독점 프론트홀(Fronthaul)
광섬유 케이블(CPRI)
기존 기지국
신호처리
RF 장비
네트워크 액세스
액티브 안테나로
무선장치(RU) 통합
분산 장치(DU)
중앙 집중식 또는 셀 사이트
신호 처리
네트워크 액세스
오픈 프론트홀(Fronthaul)
광섬유 케이블 (eCPRI 분할 7.2x)
오픈 미드홀(Midhaul)
중앙 집중식 장치(CU)
백홀(Backhaul
[그림 2-51]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이처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2년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을 위해 기존 추진
전략을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급변하는 이동통신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R&D
164 ∙∙∙
기획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점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글로벌 표준 선점과,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립된 6G R&D 전략의 수행을 위해 기존 1단계 6G 사업의 지속
추진・개선 및 2단계 6G R&D의 예비타당성 통과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오픈랜 R&D는 2023년 61.5억 원의 규모를 시작으로 총 5년 동안 321억 원 규모로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오픈랜 사업의 추진 탄력을 받기 위해 국내 통신장비 기업이 오픈랜
기술 및 표준화에 쉽게 접근하도록 지원하고, 국내외 기업 간의 협업을 유도하기 위해 민간주도
정부지원 구조의 오픈랜 얼라이언스를 출범・운영할 예정이다.
2. ICT 분야 표준・특허 경쟁력 강화
가. 개요
ICT 표준은 가정에서 각각 따로 사용하던 가전제품, 난방기기 등의 통합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과 같이 제품의 품질, 제품 간 호환성, 기술 및 서비스 간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여
5G, 웨어러블 무선전력전송 충전기 등 조기 시장 창출 및 시장 확대 역할로써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경쟁시장에서 제품・서비스의 다변화를 촉진시키는 기술혁신의 촉매제임과 동시에, 표준
제정 후 공개된 표준의 사용은 배제하기가 어려운 비배제성 특성을 갖는 공공재로써 주요국
정부와 기업은 표준 제정을 시장확대 및 선점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하고 있음에 따라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분야이다.
최근 디지털 경제로 국제통상 환경이 재편됨에 따라 글로벌 패권 경쟁의 핵심 전략 수단으로
ICT 표준이 부상하고 있으며, 파급효과가 기업 및 산업을 넘어 국가 경쟁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높아져 ICT 표준에 대한 주요국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미국은 반도체 및 과학법을 통해
표준 개발 투자와 리더십 강화를 위한 국제표준화 활동을 지원하고, 기술외교와 무역협정에서도
‘디지털기술표준’을 의제화하여 우호국 간 표준화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유럽은 EU표준화
전략을 발표하여 기술주권 보호를 위해 기존 상향식/산업 중심의 방식에서 벗어난 정부 주도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은 국제표준을 이용한 기술 권위주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지속
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 165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CT 표준화사업을 통해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글로벌 기술패권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ICT 융합기반 신산업・신시장 개척을 위한 선제적 ‘표준개발’ 및
국내외 표준화활동을 지원하여 글로벌 표준화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표준화기반구축및확산’
사업을 2가지 내역사업으로 나누어 지원 중이다. ‘표준개발’ 내역사업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등 ICT 및 융합 분야의 글로벌 표준 선점을 목표로 선제적 표준개발이 가능한 국가전략기술을
지원 중이며, ‘표준화기반구축및확산’사업의 경우, 글로벌 ICT 표준화 주도권 확보, 표준화 생태계
조성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표준 연계 지원 등 국내・외 다양한 ICT 표준화활동을 위한 기반
체제 및 확산・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2022년 ‘표준개발’은 ICT 기술 수요 및 전략적 투자분야를 고려하여 과제 유형별 표준개발의
다각화를 통해 신속한 시장변화 및 개방형 환경에 대응하였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공지능
(AI), 5G・6G 등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신산업 혁신을 견인하고, ICT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차세대 유망 ICT 표준개발’과 他부처 주관 융합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ICT 표준을 공동으로 발굴
하여 기획하고, 융합도메인 전문가와 ICT 표준 전문가의 협력을 통해 해당 융합 도메인에
실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범부처 협력 표준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시장 파급력이 높은
표준화분야를 선정하여 표준과 정합된 오픈소스를 동시 개발하여 기술 및 표준이 즉시 활용
가능토록하는 ‘오픈소스 연계 표준개발’ 트랙을, 미래 핵심기술 분야의 표준화 의제 선점 및
오피니언 리더 양성/유지를 위한 중장기 ‘표준 전문연구실’ 트랙을 시의적절하게 지원하고 있다.
특히, 2022년 표준개발의 주요 성과로는 첫째, 5G/B5G, 메타버스, 자율주행, 디지털트윈 등
차세대 유망 ICT 분야 국제표준 경쟁력 선점 및 ICT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표준개발 과제 21개를 지원 중이다.
둘째, 농촌진흥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제주도 소방안전본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타 부처의
융합표준개발 수요를 받아 해당 부처에서 필요한 ICT 융합표준 개발 지원을 위해 4개 과제를
지원 중이며, ICT 융합표준 협의체를 운영 중이다.
셋째, 사물인터넷 플랫폼 연동, 인공지능 기반 영상 트래픽 절감 관련 표준개발 및 즉시 상용화
가능하도록 표준과 정합된 오픈소스 동시 개발하는 과제 3개를 지원 중이다.
넷째, 인공지능/6G/차세대보안 표준전문연구실 운영을 통한 국제표준화 의제 선점 및 오피니언
리더 양성/유지 등 한국 표준 주도권 확보를 위해 3개 과제를 지원 중이다.
국가연구개발성과에 ‘ICT 표준’이 포함됨에 따라 ICT 표준 분야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
기관을 지정하여 디지털 대전환과 기술패권 시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
166 ∙∙∙
동인으로써 표준 연구성과의 체계적인 관리와 유통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고, 해외
표준화기구 및 주요국 간 협력・공조체계 구축을 통하여 글로벌 표준경쟁력 확보에 주력하였다.
첫째, 표준화전문가 183명이 참여하여 글로벌 패권경쟁 주도권 확보를 위한 12개 핵심 대상
기술 분야, 166개 표준화 대응 전략 항목이 제시된 ICT 표준화 전략 Ver.2023을 수립하였
으며, ICT 표준 R&D 추진방안 제시를 위한 ‘로드맵’과 로드맵 기반 민간의 국내・외 표준화
활동 전략 제시를 위한 ‘전략맵’의 이원화 체계를 마련하였다. 메타버스 분야 표준 프레임워크,
웹 3.0, AI 반도체, 등 미래 이슈에 대비를 위한 표준화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G7
이후 ‘디지털기술표준 협력체계 회의(G7 PoC)’, ‘인도-태평양 경제협의체(IPEF)’, ‘한-EU 디지털
파트너십 체결’, ‘한-영국 디지털파트너십 워크숍’, ‘한-독 디지털 정책 대화’, ‘한-호주 디지털
통상 대화’ 등 ICT 표준을 주요 논의 안건으로 하는 다양한 국제협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우리나라 ICT 표준의 위상을 제고시켰다.
둘째, 82개의 표준화위원회 활동으로 5G+/6G, AI, 양자통신, 메타버스 및 사이버보안 분야 등
全 산업 디지털 전환 기반의 ICT 단체표준 260건을 제・개정하였으며, 민간 중심의 글로벌
사실 표준화 대응을 위한 미러포럼 및 ‘6G포럼’, ‘오픈랜포럼’, 의료인공지능포럼’, ‘UAM포럼’,
‘ESG융합포럼’, ‘디지털트윈포럼’ 등 ICT 기반 신기술 분야 포함 38개의 ICT 표준화포럼을
선정・지원하였다.
셋째, ICT 국제표준화 직무・지식체계 기반 교육과정・교재 25종을 개발하여 1,682명의 교육
수료자를 배출하였으며, 대학특강, 표준기술 세미나, IPR 세미나 등을 개최하여 표준화 역량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ICT 국제표준화 전문가 328명을 확보하였으며,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275개 의석이 진출하였다.
넷째, 표준으로 성공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29개사를 대상으로 약 98회의 맞춤형 표준
자문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3,438명(온라인: 3,113명, 오프라인: 325명)이 참석한 글로벌
ICT표준 컨퍼런스(GISC2022)를 개최하였다. 127건의 ICT 표준용어, 표준 자문 우수사례
소개, 표준해설서, 표준활용 가이드를 보급・확산하였다. 또한, ICT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
1,835건에 대한 시범 검증 및 표준 연구성과 관리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ICT 표준 연구성과 홍보를 16회 추진하는 등 표준 인식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3년에는 6대 디지털혁신기술 및 ICT 융합표준개발을 중점으로 지원하여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 적극 대응하고자 하며, 민간 중심 표준개발 지원의 확대를 통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표준개발 지원을 확대하고자 한다.
∙∙∙ 167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이에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선제적 표준 경쟁력 확보하는 전략방안
마련을 위해 ICT 표준화 로드맵을 확대(’22년 3건 → ’23년 6건) 개발하고, 민간 수요를 반영한
ICT 표준화 전략의 표준화 대상 항목을 기반으로 표준개발 과제 기획을 추진하여 ICT 국가
연구개발 표준 연구성과 창출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연구개발 신규과제 기획 시 기술
수요 항목으로 ICT 표준화 전략의 표준화 대상 항목을 제출하여 R&D-표준 연계를 강화해 나
가고자 한다.
주요국의 표준을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기술패권 확보의 핵심 도구로 인식하는 추세가 지속
될 것으로, 국가전략기술 및 국제표준화 선점에 국가 역량을 집중하여 우호국 간 ICT 표준과
관련한 국제협력・공조 체계를 더욱 굳건히 하여 국제협력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석함으로써
글로벌 표준화 리더십을 확보할 예정이며, 민간 수요 중심의 글로벌 사실 표준화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국제 포럼 신설 및 운영 추진을 시작할 예정이다. 더불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국제
ICT 표준전문가 양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대학원 수준의 표준 전문가 인큐베이팅 랩을
운영하여 의장단 진출을 확대하는 등 장기적으로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에서의 영향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표준화사업’과 특허청의 ‘표준특허창출지원사업’을 연계
할 계획이다. ‘표준특허’란, 국제표준화기구를 타겟으로 표준을 개발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국제 특허 등록을 완료한 기술을 의미하는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특허청이 제공하는 ‘표준
특허 전략’을 바탕으로 완성도 높은 표준개발을 지원하고, 특허청은 표준문서와 기존 특허를
분석하여 특허출원 및 보정전략 등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여 우리나라 주도 국제표준 관련
표준특허 창출을 위한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168 ∙∙∙
제2절 국가전략기술 육성
가. 개요
1) 글로벌 기술패권경쟁 동향
최근 미국의 반도체 수출규제 등 기술패권 경쟁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과학기술은 단순
기술을 넘어 국가의 경제와 산업, 더 나아가 국가 간 동맹과 외교를 좌우하는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주요국은 기술패권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국익에
필수적인 10~20개 내외의 전략기술을 선정하여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법률제정・조직 신설
등 추진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지난 8월 「반도체와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제정하여 AI・양자
등 10대 핵심기술을 선정, 5년 간 약 2,500억 달러 투자 방침을 발표하고, 인플레이션 감축법
(IRA), 바이오제조 행정명령 등 전략기술 확보 정책을 주요 기술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경제안전보장법」을 제정해 우주・양자・바이오 등 특정 중요기술에 대해 육성기금을 지원하고,
전담연구기관 신설 등을 추진하는 등 기술패권 경쟁에 적극 뛰어들고 있으며, 중국 역시 지난해
‘5개년 규획’에 이어 올해 제 20차 당대회에서도 ‘과학기술 자립자강’을 국가목표로 재강조하는
등 자국 중심 기술보호와 국익증진 목적의 기술패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림 2-52] 전략기술 육성 관련 주요국 동향
2) 국가전략기술 육성 필요성
국가 경제를 넘어 외교・안보 측면까지 고려한 전략기술의 선택과 집중으로 기술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과학기술 추진전략이 시급한 상황이다. 아울러, 국가 R&D도 명확한
국가적 임무를 바탕으로 민관협업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Fast-Follower형 추격을 넘어, 초격차
기술을 창출해내는, 임무중심형(Mission-Oriented) R&D로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 169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이에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으로 미래성장과 기술주권 확보”를 비전으로, 우리 경제안보와
미래성장의 핵심동력이 될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하였다. 특히, 민관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범정부
전략인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수립하여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제1차 국가과학기술자문
회의 전원회의에서 의결하였다.
3) 국가전략기술 선정 기준 및 과정
국가전략기술 3대 선정 기준으로는, 기술패권 경쟁구도 속 대내・외 환경을 종합, ①공급망・
통상, ②신산업, ③외교・안보 등 기술주권 확보 관점에서의 전략적 중요성을 평가하였다.
① 공급망・통상 : 산업경쟁력・공급망 등 경제안보 上 국익을 좌우하는 기술
② 신산업 : 급격한 시장성장, 경제・사회 패러다임을 바꿀 미래혁신 기술
③ 외교・안보 : 국가안보 활용성이 높고, 국가 간 수출통제로 자립필요 기술
공급망
통상
▸(대외경쟁력) 경제비중이 커 경쟁력 유지 중요, 글로벌 통상체제 지렛대 가치 높음
▸(대체불가능성) 밸류체인 대외의존도가 높아 공급망・국제협력 교란 시 국가적 위협
신산업
▸(신산업잠재력) 성장 잠재력이 높고, 기술 ・ 표준선점이 시장주도권 및 국가경쟁력 좌우
▸(혁신영향력) 기존 산업 파급력 및 타 분야 응용가능성이 높아 미래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
외교
안보
▸(국방활용도) 국방분야 활용성이 높고 미래전장 적용 시 획기적 전투력 강화 가능
▸(기술도입난이도) 국제조약・통제체제 및 동맹블록화로 거래・도입 난이도 높음
[그림 2-53] 국가전략기술 선정 기준
국가전략기술은 그간의 관 주도 기술 선정 방식에서 벗어나 기술・외교・안보 전문가가 전략
기술 선정 및 세부 중점기술 구체화 과정을 주도하는 방식으로 선정되었다. 기술・안보환경 등
대내외 정책여건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검토했던 10개 필수전략기술
(’21.12.)을 토대로 추가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전문가 정량평가 및 민관합동 검토・분석을
거쳤다. 특히, 이번 선정 과정에서는 국가 R&D 정책・사업 전문성을 가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술전문위원회를 중심으로 AHP 정량평가 및 집중분석을 진행하고, 기술뿐 아니라 외교・안보
전문가가 포함된 전문가기획자문단을 구성하여 전략기술 후보군 구성, 정책 수립 등 심층적인
검토를 실시하였다.
170 ∙∙∙
나. 2022년도 주요성과
글로벌 기술・안보 및 국내 정책환경 변화를 고려한 심층 검토 결과,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이 최종 12대 국가전략
기술로 선정되었다.
특히 ‘국가전략기술’ 선정 과정에서는 단순한 기술 분야 지정을 넘어, 분야별로 기술패권
경쟁 관점의 전략성이 높아, 집중 육성이 필요한 합성생물학, 인공지능 반도체, 양자컴퓨터
등의 50개 세부 중점기술을 구체화하였다. 이 과정에는 관계부처 검토와 함께 각 전략기술
분야별 전문가 실무분과위원회가 구성되어 민관합동의 면밀한 검토・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들 기술은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중점기술로 반영함으로써 향후 임무지향적 목표를
설정하여 R&D투자,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 범정부 역량을 집중함과 동시에, 기술수준평가,
R&D사업 및 논문・특허 분석 등 국가적 분석대상 기술단위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전략
기술 분야와 세부 중점기술은 향후 기술발전 동향, 기술안보 환경변화, 정책적 수요 등을 반영
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보완・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1 반도체・디스플레이
단기(~5년) 중장기(5~10년)
메모리 超고성능화, AI・전력반도체 전력효율 향상
마이크로 LED 등 차세대 DP 원천기술개발
전력반도체 ・ 센서 조기상용화로 시장경쟁력 강화
반도체 패키징, DP 소부장 등 핵심 공급망 자립화
▸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 전력반도체
▸ 반도체 첨단패키징 ▸ 차세대 고성능 센서 ▸ 프리폼 디스플레이
▸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2 이차전지
단기(~5년) 중장기(5~10년)
리튬이온전지 4대 핵심소재(양극재・음극재・전해질・분리막)
고용량・안전성 강화 기술개발로 시장주도권 유지
전고체・리튬황 등 차세대 전지 조기 상용화
폐전지 재사용, 원료 재활용 기술 등 新시장 대응
▸ 리튬이온전지 및 핵심소재 ▸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셀
▸ 이차전지 모듈・시스템 ▸ 이차전지 재사용・재활용
∙∙∙ 171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3 첨단 모빌리티
단기(~5년) 중장기(5~10년)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 등 세계최고 기술개발
UAM 상용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실증
지상・공중 등 도심교통체계 전반 자율화를 위한
자율주행 고도화 및 통신・인증인프라 기술개발
▸ 자율주행시스템 ▸ 전기・수소차 ▸ 도심항공교통(UAM)
4 차세대 원자력
단기(~5년) 중장기(5~10년)
공공・민간 협업으로 안전성・경제성・유연성 등
세계최고 SMR 제조・핵심기술 확보
SMR 표준설계인가 취득, 세계시장 진출
수소・공정열 생산 등 4세대 원자로 기술개발
▸ 소형모듈형원자로(SMR) ▸ 선진원자력시스템・폐기물관리
5 첨단바이오
단기(~5년) 중장기(5~10년)
수개월內 개발 가능한 mRNA 백신플랫폼 확보
한국인 특유 유전체 ・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선도국 수준 유전자 ・ 세포치료 파이프라인 확보
합성생물학 기반 바이오제조 ・ 생산 고도화
▸ 합성생물학 ▸ 감염병 백신・치료
▸ 유전자・세포 치료 ▸ 디지털헬스 데이터 분석・활용
6 우주항공・해양
단기(~5년) 중장기(5~10년)
다단연소사이클 발사체엔진 핵심기술개발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제공 항법위성 첫 발사
차세대발사체 개발로 독자 우주탐사 능력 확보
레이더・광학관측, 달탐사 자립화 핵심요소기술 개발
▸ 대형 다단연소사이클 엔진 ▸ 우주관측・센싱 ▸ 달착륙・표면탐사
▸ 첨단 항공가스터빈엔진・부품 ▸ 해양자원탐사
7 수소
단기(~5년) 중장기(5~10년)
수전해 수소생산 원천기술 확보(1~2MW급)
기체수소 저장・운송 및 수소발전 핵심 기술 개발
준상용급(10MW) 수전해시스템 실증 및 핵심소재
・ 부품 국산화, 상용급 액화플랜트(5톤/일) 구축
▸ 수전해 수소생산 ▸ 수소 저장・운송 ▸ 수소연료전지 및 발전
172 ∙∙∙
8 사이버보안
단기(~5년) 중장기(5~10년)
AI기반 보안관제 ・ 자동대응 등 원천기술 개발
ICT 장비 ・ SW 취약점(펌웨어 등) 신속 분석 ・
대응기술
미래 디지털 인프라(모빌리티, 클라우드, 6G 등)
사이버보안 체계 자립화
▸ 데이터・AI 보안 ▸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공급망 보안)
▸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 신산업・가상융합 보안
9 인공지능
단기(~5년) 중장기(5~10년)
학습능력・ 활용성 개선 등 차세대 선도기술 도전
산업난제해결 AI 킬러솔루션 개발(바이오・제조 등)
고도화된 인지・판단・추론 및 의사결정 능력을
구현한 세계 최고수준 AI 기술강국 도약
▸ 효율적 학습 및 AI인프라(SW/HW) 고도화 ▸ 첨단 AI모델링・의사결정(인지・판단・추론)
▸ 안전・신뢰 AI ▸ 산업활용・혁신 AI
10 차세대 통신
단기(~5년) 중장기(5~10년)
세계최초 6G 기술시연(1Tbps급) 등 핵심기술개발
오픈랜 핵심장비・부품 기술개발로 초기 시장창출
세계최초 6G 조기상용화 및 표준특허 선점
저궤도 군집위성 활용 위성통신 기술실증
▸ 5G 고도화(5G-Adv) ▸ 6G ▸ 오픈랜(Open-RAN)
▸ 고효율 5G・6G 통신부품 ▸ 5G・6G 위성통신
11 첨단로봇・제조
단기(~5년) 중장기(5~10년)
센서・구동모듈 등 핵심부품・SW 자립도 향상
高성장분야(물류・제조 등) 생태계 확충 및 규제개선
인간수준 로봇핸드 등 고난도 자율조작・이동
난제도전
인간 상호작용・ 협업 등 AI-로봇 융합기술 고도화
▸ 로봇 정밀제어・구동 부품・SW ▸ 로봇 자율이동 ▸ 고난도 자율조작
▸ 인간・로봇 상호작용 ▸ 가상제조
12 양자
단기(~5년) 중장기(5~10년)
5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구축 등 기술격차 추격
첨단산업연계(반도체 등) 초정밀 양자센서 개발
상용 확장이 용이한 한국형 양자컴퓨팅시스템 개발
양자정보 전송 위한 양자중계기・ 양자인터넷 기술
개발
▸ 양자컴퓨팅 ▸ 양자통신 ▸ 양자센싱
∙∙∙ 173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다. 향후 계획
1)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추진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초격차・대체불가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공동 투자하는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이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국가적 해결이 필요한 명확한
임무를 설정해, 산업계가 목표설정 단계부터 전 과정에 걸쳐 참여하는 민관합동 프로젝트로
설계하고, 우리 기술수준・역량, 시장성숙도 등에 따라 민관의 역할을 연계시켜 나간다. 아울러,
프로젝트 기획・관리・평가 전반에 걸쳐 민간 최고전문가에게 높은 재량권을 부여하되, 면밀한
성과점검을 통해 5~7년 내 가시적 성과창출에 집중하는 최적의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
이다.
동 프로젝트는 시급성과 파급력을 기준으로 10개 내외를 선정하여 추진할 예정으로, 국가
전략기술에 이미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신규 프로젝트 외에도 기존 R&D사업을
연계・확대하여 임무지향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도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2023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앞두고 있는 차세대 원자력과 양자 분야를 우선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그림 2-5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추진방향 및 예시
우선, 차세대 원자력과 양자를 시작으로, 2023년 말까지 추가적으로 8개 내외의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총 10개 프로젝트에 대한 신속한 기획・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민간 의견수렴을 거쳐 주관부처가 기획안을 제안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통해 검토・확정
하는 절차로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174 ∙∙∙
2) 전략로드맵 기반 정책・투자지원 집중
향후 5년간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대해 25조 원 이상의 R&D가 투자될 예정이다. 단순
양적확대가 아닌 전략적 R&D 투자 강화를 위해, 세부 중점기술 단위로 국가 차원에서 지향
해야 할 임무와 기술개발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는 범부처 전략로드맵을 관계부처와 함께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부처별 추진전략을 세부 중점기술 중심으로 종합・분석해 달성목표를 명확히 함으로써,
R&D투자 및 국제협력 등 이행수단을 구체화하고, 부처별 추진전략도 국가전략기술 추진체계를
통해 연계・조정토록 함으로써,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산업생태계 구축, 규제혁신 등도 함께 지원
할 예정이다.
[그림 2-55] 임무지향 전략로드맵 핵심요소
특히, 현재 부처・사업별 예산배분・조정 방식으로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연계・협업 및
전략적 투자에 한계가 있는 바 임무 중심으로 관련 R&D 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조정하는
범부처 ‘플랫폼형’ 예산배분 방식을 도입해 범부처 차원의 전략적 연계・조정을 강화한다. 또한,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적시・유연하게 대응하도록 R&D 예비타당성조사 기간・절차・방식 등의 제도
개선 사항을 국가전략기술 R&D 사업에 적용 활용할 계획이다. Fast-Track 제도를 적극 활용해
신속한 사업추진을 지원하고, 급격한 기술환경 변화 발생 시 사업목표・계획 보완을 통해 시의성・
도전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절차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 175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3) 인력, 국제협력, 산학연 거점 등 전략기술 육성기반 확충
과학기술 경쟁력의 핵심인 우수 인재확보를 위해 각 기술분야별 특성과 인력현황을 세부적
으로 분석하여 데이터에 기반한 분야별 맞춤형 인재양성 및 활용 정책을 마련한다. 체계적인
인력양성 정책 수립을 위해 전략기술 분야별 국내・외 연구인력 및 핵심연구기관 분포, 연구수준
등 인력현황을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기술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확보방안을
연계한다.
기술 분야별 주요 협력국을 선정하고 국제공동연구, 인력교류, 해외협력거점 구축 등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특히, 여러 국가가 참여하는 대형 전략기술 R&D 프로젝트 참여를 확대
하고, 미국・EU 등 기술 강국과 외교・안보와 연계한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AI・6G 등
국제표준 선점이 중요한 분야는 국제표준기구 의장단 수임, 표준특위 활동 등을 통해 선도국과의
정책공조를 강화한다. 또한, 핵심 연구자산의 비동맹국 유출방지를 위해 연구보안 체계를 강화
할 계획으로, 전략기술 국제협력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연구보안 사항 등은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자 가이드라인을 마련・제시할 계획이다.
전략기술 확보의 거점이 되어야 할 출연(연)은 기관별 역할과 책임을 고도화하고, 임무지향적
연구과제 도출과 기관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한다. 특히, 양자와 같이 장기・안정적 지원이 절실
하나, 연구기반이 부족한 분야에 대해서는 전담연구기관 지정을 검토해, 신속한 기술추격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지역소재 특구 및 출연(연) 대학 등이 결합한 지역기술혁신허브를 구축
하여, 원천연구뿐만 아니라 기술이전・실험실 창업 등 전략기술 사업화 지원도 강화해 나갈 예정
이다.
4) 민관협력 중심의 전략기술 거버넌스 구축
대통령이 의장인 과학기술자문회의 내에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전략기술
정책 전반을 총괄・조정해 나간다. 특위 산하에는 기술별 전략로드맵을 마련할 조정위와 프로
젝트 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 민관합동으로 전략을 구체화한다. 또한 글로벌 산업지형,
국제협력・표준, 핵심인력 분포 등 종합적 정보분석을 토대로 범부처 정책기획을 지원할 전담
기관과, 분야별 ‘국가기술전략센터’를 확충해 기술분석・전략수립을 위한 씽크탱크로 활용해
나갈 것이다.
특히, 전략기술 지정・관리체계 구축 및 민관역량 결집 등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조성을 위해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 제정을 추진하여, 전략기술 조기확보에 필요한 R&D 우선투자,
도전적R&D 촉진, 우수인력 양성 등 전방위 지원책을 강화할 예정이다.
176 ∙∙∙
5) 기대효과
글로벌 기술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선도국 수준의 전략기술 분야를 다수 확보하고, 시장 점유율 확대, 핵심기술 확보 등
글로벌 초격차를 선도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미래 경제안보, 신산업, 외교・안보를 선도하는 ‘기술주권 국가’로 도약할 것
으로 기대된다. 경제안보 관점에서는 초격차 기술로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초일류
경쟁력을 확보하고, 대체불가 공급망 핵심기술을 선점하여 기술강국으로 도약한다. 신산업 관점
에서는 글로벌 기업을 육성하여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인공지능・우주・양자 등
우리의 일상을 바꿀 미래 혁신기술을 선도해 나갈 것이다. 외교・안보 관점에서는 첨단과학기술
강군을 육성하여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기술외교와 안보동맹의 글로벌 중심국가로 자리
매김할 것이다.
∙∙∙ 177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제6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제1절 건강하고 활기찬 삶 구현
가. 개요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되며 일상 복귀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가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하고 있어 재확산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미래 감염병에 대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
또한 강화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는 OECD 30개국 중 24개국의 기대수명이 감소하고, 평균
기대수명이, 2019년 81.0세에서 2020년 80.5세로 하락하는 등 글로벌 건강 수준을 악화시켰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019년 83.3세에서 2020년 83.5세로 기대
수명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2021년 기준 고혈압과 당뇨 등 만성질환 진단 경험률이 2019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우울감, 스트레스 등 국민 정신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도 악화되었다.
자료 : 보건복지부, OECD 보건통계 2022로 보는 우리나라 보건의료 현황 보도자료(’22.7.26.)
[그림 2-56] 한국 기대수명 추이 (2010~2020년)
178 ∙∙∙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건강한 삶을 담당하는 주무부처로서 국민의 생명과 건강 보호, 바이오
헬스 산업 육성 등을 목표로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동시에 팬데믹 상황을
경험하며, 백신·치료제 핵심기술 보유 여부가 국가 회복력과 글로벌 시장 선점 여부를 좌우하며,
보건의료기술이 국민의 생명과 건강 뿐 아니라 국가 안보와 직결됨을 인식하였다. 이에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2∼’26)’을 마련하는 등 감염병 대응 역량과 의료안
전망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2022 세계 바이오 서밋’을 개최하여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공조체계를 견고히 하였으며, CEPI(감염병 혁신 연합) 협력을 강화하는
등 미래 감염병 위기 대비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코로나19 위기는 대한민국의 바이오헬스 산업에는 중요한 기회가 되기도 하였다. 체외진단
의료기기를 필두로 우리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의료산업 수출이 2022년 상반기 133억
달러로 2021년 123억 달러에 비해 약 10억 달러 증가하였다. 또한, 감염병 진단 기법이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는 등 우리나라 보건의료산업의 위상이 높아지며 미래 먹거리로 확고히 자리
매김했다. 디지털 대전환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AI,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보건의료 분야의 혁신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디지털 의료기기의 의료 현장
진입 기간을 단축하고 환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혁신의료기기 지정제도를 개편하여 통합
심사 평가 제도를 마련하는 등 디지털 헬스케어가 육성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마련했다.
차세대 유망분야로 주목받는 첨단재생의료 육성을 위해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이후, 소아백혈병환자 대상 CAR-T 치료를 고위험 임상
연구 1호로 승인하는 등 실제 연구 결과의 임상 적용도 시작하였다. 또한 ‘첨단재생의료 임상
연구계획 심의 안내 및 작성 지침’을 개정하는 등 첨단재생의료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급변하는 환경과 높아진 위상에 따라 관련 융·복합 전문인력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2022년 2월 WHO로부터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된 이후 국내외 인력을 대상으로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및 품질관리 교육을 실시하는 등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보건의료분야 기술개발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지난 2021년에는 코로나19 등 감염병, 치매 등 질환 극복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익적
R&D에 중점 투자하고, 신약, 재생의료 등 미래 신산업 분야에 대규모 R&D 예산을 확보하여
범부처 협력 사업을 추진하였다. 2022년은 감염병, 고부담·난치 질환 극복에 대한 투자를 강화
하여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D.N.A 기술 기반의 차세대
∙∙∙ 179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의료기술과 산·학·연·병 간 바이오헬스 혁신 생태계 구축을 지원했다. 또한, 신약, 의료기기,
첨단기술 개발과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였다.
중
점
추
진
방
향
공익적 가치 중심의 R&D 투자 강화
- 신·변종 감염병에 대비한 예방·진단·치료기술 등 투자 강화
- 정신질환·만성질환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 극복 투자 확대
-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미래의료 기술개발
개방·연결·융합을 통한 R&D 혁신
-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D.N.A 기술 연계·활용 투자
- 산·학·연·병 연계를 통한 병원 중심 연구 혁신 생태계 조성
-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에 대응하는 융복합 핵심인재 양성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미래 신산업 육성
- 신약, 의료기기 등 첨단 융·복합 유망기술 중점 지원
-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백신, 의료기기 등 국산화 지원
- 우수 신기술 제품화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규제 개선
* 자료 :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18~2022) 2022년도 시행계획
[그림 2-57] 2022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가) 공익적 가치 중심의 R&D 투자 강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시화와 신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예방·진단·치료·
방역기술 개발 지원을 강화했다. 글로벌 수준의 감염병 치료제·백신 개발과 기반 구축을 위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현장의 긴급 수요를 반영한 구조·시스템·장비·인력 최적화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신변종 감염병 유입 시 조기 감지와 현장 대응, 확산 방지 등의 대응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해 국가방역체계 고도화에 대한 투자도 강화하며, 사람·동물·환경과 연계된 감염병 방역
체계 구축을 지원했다. 또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신규사업으로,
코로나19로 악화된 국민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도
지원하였으며, 혈액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관리방안 연구도 시작하였다. 더불어, 고령화에
따라 증가한 치매 원인 규명, 발병 기전 연구, 예측·진단 기술 개발 등 치매 극복을 위한 범부처
협력 사업도 추진했으며, 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 돌봄 문제 해결을 위한 중개연구와 자기
주도형 생활을 지원하는 보조기기, 재활기기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하였다. 예방·관리 중심의
미래의료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 줄기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180 ∙∙∙
위한 임상연구 등 첨단 바이오재생의료에도 투자를 확대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연계·활용
촉진 및 임상근거 확보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도 지원을 지속하였다.
나) 개방·연결·융합을 통한 R&D 혁신
공익적 목적의 보건의료정보 활용이 촉진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보안기술 활용 연구와
보건의료에 특화된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 체계 구축을 지원하였으며, 한국인 특화 중환자
데이터셋 플랫폼 개발과 AI 기반의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에도 적극 투자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신진 의사과학자 등 바이오메디컬 분야 융합형 핵심 인재양성에도 신규
투자를 확대했으며, 글로벌 감각을 갖춘 고급 인재 육성 및 국제 연구 네트워크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병이 협력하는 개방적 연구 생태계를 구축해 다양한
연구 주체 간의 협력 연구와 기술 사업화를 지원했으며, 연구성과 관리 및 제도개선을 위한
R&D 관리 시스템을 통합하여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간 연계성을 강화하였다. 더불어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전문위원회를 개편하여 개편을 통해 실질적인 현장 수요 기반의
사업을 확대하고 통합적 연구를 기획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다)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미래 신산업 육성
혁신 신약,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 등 미래 신산업 육성 지원을 연구개발 투자도 확대하였다.
유효·선도물질 도출부터 임상 개발, 사업화, 생태계 구축까지 신약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한
범부처 협력을 강화하였으며, 디지털 치료기기와 전자약 등 첨단 융복합 기술 기반의 의료기기
개발을 신규 추진했다. 더불어 국산 의료기기 수요를 활성화하고, 글로벌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품의 임상적 유효성 창출 및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하고 국제
기준에 맞춘 의료기기 전주기 가이드라인 개발을 지원했다. 또한, 민간의 우수한 기술이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인프라 및 기술 중개·교류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하였다. 특히,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초기 민간 창업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바이오헬스 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생태계
조성에 지속 지원했다.
2) 보건의료 R&D 주요 성과
보건산업(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수출은 2022년 상반기에 코로나 백신·치료제와 진단제품
수요가 증가하여 역대 반기 최고 실적인 133.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하반기에는 엔데믹이
본격화되며 코로나19 이후 보건산업 수출을 견인했던 방역물품 수출이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 181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 자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2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33.5억 달러 보도자료(’22.8.11.)
[그림 2-58] 2022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성과
2022년 전체적으로 보건산업 수출은 꾸준한 R&D 투자에 힘입어 의약품이 견인하였으며,
전년 대비 0.3% 증가한 255억 달러로 예상된다. 의약품은 8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9%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의료기기는 85억 달러(△7.3%), 화장품은 83억 달러(△10.1%) 순으로 예상
된다.
<표 2-33> 2022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품 목
2020년 2021년 2022년(예상)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보건산업 21,496 38.8 25,449 18.4 25,525 0.3
의약품 6,893 36.1 7,042 2.2 8,722 23.9
의료기기 7,032 81.3 9,223 31.2 8,546 -7.3
화장품 7,572 15.6 9,184 21.3 8,257 -10.1
* 자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보건산업 수출 269억 달러로 지속 성장 전망 보도자료(’22.12.7.) 발췌
신약부문에서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대규모 기술수출 계약이 이어지고 있으며,
2018년부터 2022년 11월까지 5년 간 의약품 기술수출 계약은 최대 약 19조 규모에 이를 것
으로 보인다. 특히, 에이비엘바이오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이중항체 후보물질인 ‘ABL301’을
사노피에 약 1조 2,700억 원 규모로 기술 수출 하였으며, 현재 임상 1상이 진행 중에 있다.
182 ∙∙∙
<표 2-34> 신약개발 분야 주요 기술수출 성과(2021년~2022년)
연번 주관연구기관 제품(물질)명 종류 기술이전 금액
기술이전 기업
(기술이전일)
비고
(지원사업)
1 알테오젠 히알루로니다제 피하주사 원천기술 약 1,266억원
Intas
Pharmaceuticals
(’21.1.7)
범부처신약개발사업
2 제넥신 GX-17
코로나19치료 및
면역항암제
약 1조 2,000억원
KG BIO
(’21.2.18)
범부처신약개발사업
3 이뮨온시아 IMC-002 항암신약 후보물질 약 5,412억원
3D Medicines
(’21.3.30)
범부처신약개발사업
4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3,800억원
Shanghai Haini
(’21.3.17)
범부처신약개발사업
5 CMG제약 CHC2014
Pan-TRK 저해
표적항암제
약 1,934억원
AUM
바이오사이언스
(’21.5.10)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
6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5,160억원
Neurogastrx
(’21.6.8)
범부처신약개발사업
7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340억원
BIOPAS
(’21.6.23)
범부처신약개발사업
8
바이오팜
솔루션즈
JBPOS0101 소아연축뇌전증 치료제 약 468억원
경신제약
(’21.08.30)
범부처신약개발사업
9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4,841억원
아그라스
(’21.10.14)
범부처신약개발사업
10 보로노이 VRN08
MPS1 타깃 고형암
치료제
비공개
바이오테크 피라미드
바이오사이언스
(’21.11.3)
범부처신약개발사업
11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약 2,180억원
이그니스테라퓨틱스
(’21.11.11)
범부처신약개발사업
12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약 433억원
Endo ventures
limited
(’21.12.23)
범부처신약개발사업
13
에이비엘
바이오
ABL301 파킨슨병 치료제 약 1조 2,700억원
사노피
(’22.01.12.)
범부처신약개발사업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3번째로 국산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모두 보유한 국가로 이름을
올리며, 그동안 쌓아온 의약품 개발 역량이 결실을 맺고 있다. 2021년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셀트리온의 렉키로나가 유럽 EC 품목허가를 받은 이후,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 중심 범정부 협업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멀티주’를
개발했다.
∙∙∙ 183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의료기기 부문에서는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과 뇌신경
세포 대사 감소에 대한 표준 섭취 계수율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AI 뇌영상 분석 소프트웨어가
한국·미국·일본 3개국에서 의료기기 품목 승인을 받았다. 이를 통해 기존 10시간 이상 소요
되었던 뇌 세부 영역별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 침착에 대해 15분 이내로 수치화가 가능해졌다.
또한, 노인·장애인 생활에 필수적이나 수요가 적고 생산비용이 높아 산업화가 어려웠던 보조
기기 개발 단계부터 수요자가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 운영으로 개인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도
진행하였다.
우수한 논문 성과와 특허 비율도 유지되고 있다. 2021년 국내외 1,646건, 최근 5년간 총
9,636건의 SCI급 논문이 게재되었다. 보건의료 분야의 논문의 인용지수(IF)는 5.19점이며,
표준화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mrnIF)는 69.52점으로 국가 전체 평균인 65.84점(’2020년)
대비 1.06배 높은 수준으로, 우수한 성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21년도 423건, 최근
5년간 2,408건의 국내 특허가 등록되었으며, 부처별 국내 우수 특허의 질적 수준 평가
(SMART)7) 결과에서도 복지부의 수 특허 비율은 정부 R&D 전체 평균 우수특허 비율(3.7%)을
넘어선 4.9%로, 높은 우수 특허 보유 비중을 보여주고 있다.
다. 향후 계획
2023년에는 코로나19를 계기로 보건안보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구현하기 위한 보건안보 확립 및 글로벌 바이오헬스 중심의 국가 도약을 목표로 △신·변종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차세대 유망 기술 확보, △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등 4대 전략 중심의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먼저 변이 바이러스
출현과 기존 감염병 재유행에 대비하여 미래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빅데이터·인공
7) ’20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184 ∙∙∙
지능 기반의 보건의료 분야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또한, 첨단재생의료와 신약, 의료기기 분야
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갈 예정이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심형 R&D를 강화하고,
치매, 만성질환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 극복과 건강형평성 증진을 위한 취약계층 돌봄을 강화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및 병원 중심의 산·학·연·병 연구협력을 강화하고,
보건의료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 185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제2절 안심・안전한 사회 구현
1. 재난·안전
가. 개요
2022년에도 강남 도시침수 사고, 이태원 압사 사고 등 국민을 가슴 아프게 한 재난・사고가
많이 발생한 한해였다. 국가 존재 목적의 제일 우선순위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 재산을 보호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다양한 노력이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행정안전부에서는 재난안전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71조의2에 따라
5년 단위의 국가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과학기술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22년은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18∼’22)’(이하 ‘제3차 종합계획’)이 종료됨에
따라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23∼’27)’(이하 ‘제4차 종합계획’)」이 수립된 해였다.
본 장에서는 제3차 종합계획과의 차이점, 제4차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
종합계획을 통해 행정안전부에서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을 설명
하고자 한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의 성과와 반성
2018년 2월 행정안전부 등 재난안전 관계부처가 함께 제3차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SMART8) 기술개발을 통한 국민맞춤형 안전복지 구현’이라는 최종 비전 아래 3대 추진전략
(안전서비스, 안전기술, 안전산업)과 10대 세부 추진과제를 수립하였다. 제3차 종합계획을 추진
하면서 수요자 중심 체감형 R&D 사업 기반 구축,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개념 도입, 재난안전 혁신제품, 사업화 R&D, 경제적 성과 지표화 등 산업육성 토대 마련했다는
부분에서 주요한 성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연구성과에 대한 실증과 활용・확산 부족,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한 실질적인 성과 창출 부족 등 재난현장에서의 실용적 성과활용 부분
에는 한계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했다.
8) Suitability(국민맞춤형), Market(산업육성), Advance(첨단기술), Reality(실증·참여), Together(협업)
186 ∙∙∙
2) 제4차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제3차 종합계획과의 연계 및 문제점 보완
행정안전부는 제4차 종합계획 수립 시 제3차 종합계획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제3차 종합
계획 시행 시 발생한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다 강화된 제4차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제4차 종합계획 수립 시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국민과 현장이 공감할 수 있는 실용적 재난
안전 R&D 성과 창출을 위한 맞춤형 사업 확대·강화하고, 아직 경험하지 못한 불확실한 미래
재난을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선제적 대비 체계 구축을 강화하였다. 또한, R&D 성과가
국민과 현장에 신속히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과 산업을 연계하여 시너지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였다.
3)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수립
제4차 종합계획은 국민의 행복한 일상 확보를 통한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을 최종
비전으로 3대 추진전략과 10대 추진과제 및 3대 혁신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제4차 종합계획의
핵심은 성과활용성이 낮은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재난안전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현장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실용적 기술개발에 그 방점을 두고 있다. 3대 추진
전략별 핵심 사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추진전략은 ‘현장 임무 중심의 촘촘한 대응체계 구축’이다.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구분되는 재난안전 단계에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 임무 중심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과 인명구조 역량 강화에 필요한 문제해결형 과제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상황관리・의사결정, 현장활용 기술, 재난 후 일상으로 회복 지원 기술개발을 주요 추진과제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추진전략은 ‘일상이 안전한 국민 행복 맞춤형 R&D’이다. 이를 위하여 국민이 일상
생활에서 언제나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 안전한 일터, 포용 사회 등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문제해결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국민 체감 생활안전
문제개선, 산업재해 예방, 안전 사각지대 해소 기술개발을 주요 추진과제로 수립하였다.
마지막 추진전략인 ‘첨단과학을 활용한 미래사회 위기 극복’에서는 불확실하고 아직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미래재난을 대비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주요 목표로 수립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래재난 예측력 강화, 기후 위기 대응, 방역의 과학화, 재난안전관리 선진화 등 미래재난 대비를
위한 4대 핵심과제를 구성하였다. 주요 추진과제로는 수준 높은 미래재난 예측, 기후 위기 문제
해결, 과학적 방역대책, 디지털 재난안전관리 기술개발로 수립되었다.
3대 추진전략과 더불어 함께 수립된 3대 혁신과제는 제4차 종합계획의 성공적 이행력 및
∙∙∙ 187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난안전 R&D 협업체계 강화’, ‘재난안전 현장의 즉시 보급과 신속한
기술개발 체계’, ‘문제해결 역량축적 디지털 플랫폼 구축’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과거 정부 위주의 협업 체계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임무 중심형 범정부・
수요자 협업 체계를 강화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원하는 성과물 개발 미흡으로 연구 성과의
현장활용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속한 성과 전달체계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지식・정보를 축척・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주요 과제로 수립하였다.
자료 :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관계부처 합동
[그림 2-59] 제4차 종합계획 비전 및 목표
188 ∙∙∙
다. 향후 계획
2022년도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크고 작은 재난이 발생한 한 해였다. 정부가 모든
재난을 완벽히 예측하고 대응하기라는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최대한 줄이고자 많은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제4차 종합계획도 그 노력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2023년은 수립된 제4차
종합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원년이다. 제4차 종합계획이 모든 부분에서 완벽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 관계 부처의 적극적・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보다 완성도가
높은 계획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각계 각층의 전문가・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용하여 제4차 종합계획 실효성을 극대화하여 재난으로부터 국민이 안전을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 :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관계부처 합동
2. 국방역량 강화
가. 개요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국가의 군사적 능력과 직결되며 유사시 국가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보장
하는 기틀이 된다. 역사적으로 최첨단 기술이 선도적으로 활용된 분야는 국방이라는 점에서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그 나라의 전체적인 기술력과 산업역량을 상징하는 지표이기도 하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 속에서 첨단기술의 발전 속도가 가속됨에 따라, 핵심 과학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주요 선진국들은 국방과학기술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마다 다양한 국방과학기술 발전 전략을 구현하고 있다. 약 50년 전부터 자주국방을 위한
∙∙∙ 189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국방R&D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래없이 단기간 내 국방과학
기술의 성장과 방위산업 육성에 성공하였다. 그 결과, 최근에는 동유럽, 중동을 비롯하여 방산
선진국 시장까지 우리가 개발한 무기체계를 수출하면서 국민적 자부심을 높여주고 있다.
지금까지의 K-방산 성공신화를 지속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2027년까지 ‘국방과학기술 5대
강국진입’, ‘방산수출 4대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국방 R&D 투자를 확대하고,
민・관・ 군의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기술
혁신 추세에 맞춰 첨단기술에 대한 국방 R&D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미국 등 선진국과 국방
기술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미-중간 경제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이 국가 간 분쟁이
점증하려는 추세에서 국방과학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지키고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정부는 국방 R&D에 국가적인 역량을 집중할 것이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국방 R&D 확대 및 미래도전기술 개발에 과감한 투자
정부는 국방 R&D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2022년에 국방연구개발 예산을 2021년 4조 3,314
억 원 대비 약 12% 증가된 4조 8,310억 원으로 증액했다. 국방연구개발 예산은 크게 완성된
무기/장비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개발비’와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국방기술개발비’,
그리고 국방연구개발 수행기관의 ‘기관운영비’로 구분되는데, 2022년은 우리나라 정부역사 상
최초로 국방기술개발비(2.14조원)가 체계개발비(1.89조원)를 초과하였다. 이는 국방 R&D가
수요기반추격형(Demand-Pull) R&D에서 기술선도형(Tech-Push) R&D로 변화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국방R&D는 軍이 필요로 하는 무기체계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개발을 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투자한다. 이러한 목적지향적인 연구
개발 정책이 R&D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지만 세계를 선도하는 첨단기술 개발에
과감하게 투자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따라서, 정부는 무기체계 수요에 상관없이 혁신・첨단
기술에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는 ‘미래도전국방기술 개발사업’을 신설하여 2022년부터 2,664
억 원 편성하였고 민간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軍이 필요로 하는 장비를 빨리 확보할 수 있도록
‘신속연구개발사업’을 신설하여 460억 원을 편성하였다. 또한, ‘핵심기술개발’, ‘민군기술협력’,
‘부품국산화 개발지원’ 등 기존의 국방 R&D 사업도 대폭 개선하여 독자적인 기술역량을 확보
하기 위해 부품・소재 등 원천기술 R&D 투자를 대폭 증액하였다.
190 ∙∙∙
<표 2-35> 2021년 대비 2022년 국방기술개발 예산 증가액 및 증가율
(단위: 백만원, %)
세부사업명 2021년 예산 2022년 예산 예산 증가액 예산 증가율
기초연구 32,872 40,009 7,137 21.71
미래도전국방기술 0 266,420 266,420 신규
민군기술협력 90,832 158,950 68,118 74.99
부품국산화 개발지원 88,635 169,110 80,475 90.79
신속연구개발 0 45,957 45,957 신규
핵심기술개발 631,833 766,812 134,979 21.36
계 844,172 1,447,258 603,086 71.44
2022년 정부는 장거리 레이더, 중앙방공통제소(MCRC) 성능개량, 무인수색차량, 상륙공격
헬기,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 등 우리군의 국방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해 줄 주요 무기체계 개발에
착수하였고 전량수입에 의존하던 공대지 유도탄, 일명 ‘천검’ 등 다양한 무기체계 개발을 성공적
으로 완료하였다. 또한, 자율터널 탐사로봇, 원자스핀 자이로스코프 등 47개의 핵심기술 과제와
K21 장갑차용 회로카드 조립체 등 9개의 부품국산과 개발과제 등을 성공적으로 추진/종료하여
국방과학기술수준을 한 단계 진일보하였다.
자율터널 탐사로봇 위성용 고효율 소형 추력기
무인잠수정용 대잠 탐지소나 원자스핀 자이로스코프
[그림 2-60] 2022년 개발 완료된 핵심기술 연구개발 사례
∙∙∙ 191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2) 민간부문과 해외까지 국방 R&D 협력파트너 확대
정부는 국방 R&D에 민간의 우수한 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 R&D에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2년 방위사업청은 우주, 양자 등 미래
전략기술분야의 기초연구를 위해 서울대, 전남대, KAIST 등 4개 기관에 특화연구센터를 개소
하였고 국방 R&D에 참여하는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소를 2021년 4건에서 2022년 17건
으로 4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반도체, 배터리 등 국가안보와 산업파급력이 측면에서 중요한
기술을 국가안보전략기술로 선정하여 8개 시범과제에 350억 원(총 사업비 1,930억 원)을 지원
하였다.
이와 함께, 최첨단 국방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공동연구개발 등 국제협력 활성화도 추진
하고 있다. 센서/전자전(미래통신), 무인자율, 사이버 등에 관한 13개 기술개발과제를 한・미
국제공동연구개발로 추진하고 있으며, 한미 양국이 공동 작전소요에 기반하여 R&D과제를 기획
하기 위한 새로운 협력체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미국-호주 간 기술협력 협의체를 개최
하여 우주분야의 공동기술개발 가능성을 논의하고, 이집트와 노르웨이를 국방과학기술R&D
협력 파트너에 추가하여 국방과학기술 협력대상국을 11개에서 13개로 확대하는 등 방산 수출과
연계하여 국방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다. 향후 계획
정부는 국방비 대비 국방 연구개발 예산을 2022년 8.85%에서 2027년 10%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2023년에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국방전략
기술 10대분야를 선정하고, 시행계획을 통해 최첨단 국방기술(High)과 반드시 확보해야할 핵심
기술(Medium), 국방안보를 위해 긴요한 기술(Low) 간에 균형있는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High-Medium-Low R&D전략과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또한, 민간의 아이디어를 활용
하여 軍이 미래전장에서 해결해야 하는 ‘난제’를 기술적인 수단으로 해결하는 ‘룬샷 프로젝트’를
시범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며, 국방 R&D 투자를 통해 도출한 기술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
활용・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국방과학기술수준이 비약적으로 높아진 만큼 국방 R&D도 더욱 유연하고, 능동적
으로 대처해야 미래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정부는 국방 R&D 투자를 높이는 노력과 함께
자율적이면서도 책임감있는 R&D를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것
이다.
192 ∙∙∙
제3절 쾌적·편안한 생활환경 구현
1. 기후변화 대응
가. 개요
세계적으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 약 39억 명이 기후재해 영향을 받았고, 경제적
피해는 약 3,415조 원에 달한다. 기후변화에 따라 자연과 인간에 대한 全방위적인 문제 발생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新기후체제 아래에서 선진국과 개도국은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의무를
모두 가지며, 전 세계 139개국이 탄소중립을 선언(‘22년 11월 기준)하였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상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40%로 상향하고, 부문별 추진전략을 수립하는 등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2년에는 기후기술법에 근거하여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기술
개발 촉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추진방향, 국제협력과 인력양성 등을 반영한 ‘제1차 기후
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수소 전(全)주기 기술의 혁신과 국산화를
통해 세계 수소 시장을 선도하고자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기술의 해외
진출 확대와 개도국과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국제협력사업을 지속 발굴하였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수립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은 기후변화대응 기술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서
향후 10년간의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정책 기본방향과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적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에너지, 환경, 적응 등 관련 분야별 법정계획과 주요
기술로드맵과의 정합성과 연계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범부처 협업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 주요 목표와 세부전략, 추진과제를 도출하였고, 기술사업화, 규제·제도,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과 같은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도 제시하였다.
∙∙∙ 193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그림 2-61]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주요내용
첫 번째 전략인 온실가스 감축에서는 우리나라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의 부문별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감축 필수기술을 중심으로 핵심 목표와 기술개발 방향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기후변화 적응에서는 기후재난 피해 저감과 회복력 강화를 위해 기후위기 적응 전(全)
과정과 대상별로 과학기술 기반의 적응기술 체계 및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
대응 혁신생태계 조성에서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기후기술 개발과 기후산업 활성화를 추진
하고, 지속가능한 기술·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인력양성, 국제협력, 거버넌스 구축 등을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2) ‘수소기술 미래전략’ 수립
세계 1등 수소 산업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민·관이 함께 시너지를 발휘하여 국산화가
시급한 기술 분야를 우선 개발할 수 있도록 ‘수소기술 미래전략’을 수립하였다(’22.11.9. 수소
경제위원회 의결). 수소분야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여 글로벌 수소시장을 선도하겠다는 목표로,
금번 전략은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수소 공급을 위한 저장・운송 기술 고도화, △수소
194 ∙∙∙
활용 기술 초격차 확보 등 3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9개 과제를 추진한다. 특히, 현재 60%에
불과한 수전해 기술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100%로 높이고, 도전적인 차세대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민간 기업이 지는 기술개발 불확실성의 부담을 정부가 나눌 계획이다.
3대 추진전략 및 9대 추진과제(안)
[그림 2-62] 「수소기술 미래전략」 주요내용
가) 청정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수소 생산기술 중 기술성숙도가 높은 알칼라인 수전해, PEM(고분자전해질) 수전해 기술
위주로 국산화를 우선 추진하고, 수전해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를 추진한다. 주요 수전해
생산기술의 효율성 한계를 극복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수전해 원천기술을 선제적
으로 확보한다. 아울러, 도전적이고 실패 위험이 높지만 성공 시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미래형 수소 생산기술 지원 시 경쟁형 R&D를 도입하여 민간과 기술 성공여부의
불확실성을 분담한다.
나) 수소 저장·운송 기술 고도화
대륙 간 수소 교역이 시작되면 해상 수소운반선 시장이 열릴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수소의
장거리 운송을 위한 암모니아 변환 및 크래킹, 수소액화 및 액체수소 저장 기술 등을 개발한다.
전국 수요처에 수소를 보급하기 위하여, ①육상 운송을 위해 기체수소 튜브트레일러 고도화
및 액체수소 튜브트레일러 상용화를 추진하고, ②배관망 이송을 위한 취성평가기술 및 소재연구
등을 지원하고, ③충전소 인프라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저장·운송기술의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하여 화학적・물리적 수소 저장 방식별 특성에 적합한 표준 연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 195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다) 수소 활용 기술 1위 공고화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에서 확실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민간 기업과 함께 연비,
내구연한, 주행거리 개선 연구를 지원한다. 향후, 수소 모빌리티 대형화 시대에 대비하여 수소
철도, 선박용 연료전지 리패키징 및 내구성 강화 기술을 개발하고, 항공 모빌리티 다양화 시대에
대비하여 항공용 경량형 연료전지를 개발한다. 아울러, 국산 기술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대량 양산하기 위한 기반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발전기술 노하우를 접목한 수소·암모니아 활용
발전기술을 마련하여 청정 수소 발전을 확대해갈 계획이다.
3) 기후기술 글로벌 협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기술의 개발 및 이전에 관한
협력을 담당하는 기술메커니즘의 국가지정창구로써, 우리나라의 우수기술이 개도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기술개발·협력·이전을 활발히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기술메커니즘 하의 글로벌 기술협력 이행기관인 CTCN(Climate Technology Cetre
& Network) 협력연락사무소가 개소(’22.7.)하였다. 협력연락사무소는 아・태지역을 포함하여
세계 각국의 기술협력 수요를 발굴하고, 개발된 기술의 이전 및 국내외 공동 실증 사업을 운영
하는 등 기후기술 글로벌 협력 중추로서 운영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우수한 기후변화대응 기술이 개도국으로 진출하여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총 10개 국가에 대한 기술협력 수요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이 중 라오스,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세 국가를 대상으로 한 기후기술 협력 사업을 정부 예산으로
지원하였으며, 나머지 7개 국가 역시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 주관 사업을 통해 국내
산학연이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기술뿐만 아니라 국내외 정책・경제・사회 등 다학제 역량을 바탕
으로 기후기술의 연구개발과 개발된 기술의 이전을 전략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
하고자 시범적으로 2개 특화센터를 출범하였다.
[그림 2-63] CTCN 협력연락사무소 개소식 및 기후기술 인력양성 특화센터 현판식
196 ∙∙∙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 수립한 기본계획의 추진과제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혁신기술과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회복하는 적응 기술을 확보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행점검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또한, 혁신적인 기술이 기후변화 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수소 등 기술혁신을 주도할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현장의 목소리도 지속적으로 수렴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2023년 3월에는 CTCN
이사회가 한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기후
기술 국제협력 선도국으로서 위상을 강화하고, 국가 간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및 이전을 확대해
갈 예정이다.
∙∙∙ 197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제4절 포용적 사회 실현
가. 개요
기후변화,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위험의 일상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
하고 이를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하기를 바라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도 바이오기술, 나노기술, ICT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다(’22년 4,785억 원).
2022년에도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주민・지자체 참여
기반의 현장 실증을 통해 성과를 고도화하고, 치안・관세・소방 등 현장부처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를 추진하였고, 지진해일, 기상재해, 화재 등 재난안전의 예방 및 대응에 필요한 기반 기술의
개발과 과학기술 기반의 긴급대응체계 구축에 노력하였다.
나. 2022년도 주요성과
1) 지자체·지역 주민 참여(리빙랩)를 바탕으로 한 사회문제해결 R&D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높은 국민체감도 달성이 필요한 사회문제해결 R&D 분야에 리빙랩
(Living Lab)을 접목하여 확대 지원하고 있으며,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 사업과 도시재생 연계
리빙랩 사업이 리빙랩을 적용한 대표적인 연구개발 사업이다.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 사업은 행정안전부와의 협업사업으로, 지역주민과 지자체·연구자가
지역 현안 발굴부터 문제해결 방향 기획, 기술개발 및 현장 실증, 성과 확산까지 함께 참여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에서는 지자체와 지역 주민이 지역 현안에 대한 이해도와 문제해결력이 가장
높은 연구자를 직접 선정하며, 모든 주체가 ‘문제기획리빙랩’이라는 사전 기획단계에서 7회 이상의
정기 회의를 통해 서로 소통하여 협력하며, 함께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한다. 행정안전부는
지자체와의 소통 채널을 활용하여 지역 현안 수요를 발굴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
전문성을 활용해 연구자를 매칭하고 연구개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2년에는
2021년에 착수한 10개 과제의 최종평가를 실시했으며, 이 중 8개 과제가 ‘우수’ 등급을 달성
하였다. 이 중 특히 3개 과제(서울 관악·충남·강원 원주)의 경우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혁신성과 효용성을 인정받아 행정안전부에서 발굴하는 ‘2022년 디지털 지역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2022년 하반기에는 새로운 지역문제 15개를 선정하였다. 2023년 3월까지 15개의
문제기획리빙랩을 운영할 계획으로, 향후 지자체·지역주민과의 리빙랩을 바탕으로 기술개발
내용을 고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198 ∙∙∙
자율주행 기반 여성 1인가구 주거지역
안심순찰 서비스
(서울시 관악구)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한 원격·자율
무인 쓰레기 수거 로봇
(충청남도)
지능형 소규모 수도시설 통합관리
시스템
(강원도 원주시)
[그림 2-64]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사업 지역혁신 사례
도시재생 연계 리빙랩 사업 역시 리빙랩 기반의 사회문제해결R&D로, 광역지자체를 중심
으로 연구자와 수요자가 연구개발 전주기에 참여하여 도시재생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는 사업
이다. 주로 환경·주거교통과 관련된 지역의 현안에 대한 과학기술적 해결을 위해 사전기획을
추진하며, 지역의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해 연구개발에 대한 실증·모니터링·보급까지 지원한다.
2022년에는 ‘재래시장 악취 모니터링 및 저감’, ‘배달 음식점 다회 용기 활용’ 문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지원하였다.
2) 긴급한 재난안전 문제의 신속한 R&D 지원으로 문제 해결 및 재발 방지
2019년의 붉은 수돗물(깔따구 유충)·아프리카 돼지열병(ASF), 2020년의 코로나19, 2021년
철거 건축물 붕괴사고, 2022년의 폭우 피해 등 매년 새로운 유형의 긴급한 재난문제가 국민의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행정안전부와 2019년부터 협업 추진
중인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은, 긴급한 재난안전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과학기술 기반의
신속한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부처·청, 지자체에 할 것 없이 재난안전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
안전부에 직접 현안 수요 제출이 가능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행정안전부는 2주 이내에
전문가 사전검토를 거쳐 현안 지원을 위한 분과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지원 여부를 결정
한다. 현안 선정에는 주요 이슈별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을 적극 활용
중이며, 긴급현안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매월 지속적인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 개최를 통해 향후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재난안전 문제를 사전에 발굴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하고 있다.
2022년에는 지하시설 침수 방지를 위한 차수문 개발, GIS 기반 지진옥외 대피장소 지정·
∙∙∙ 199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운영 관리시스템, 기후변화 대비 급경사지 설계·시공 기준 및 자가경보 센서 개발 등의 과제를
지원하였으며, 재난안전 관련 중앙부처와 17개 시·도로 구성된 ‘중앙-지방 재난안전연구개발
협의체’에의 안건 상정·검토를 통해 각 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매 과제마다
연구개발 성과를 직접 사용할 수요기관을 과제 기획과 실증 단계에 포함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성과 보급이 가능하도록 지원하였다.
3) 다양화・지능화되는 신종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치안현장 맞춤형 R&D 지원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4차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미래 기술들은 우리의 일상을 하루가
다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성범죄, 데이터 탈취, 디도스 공격 등 첨단 기술을
악용한 다양화, 지능화된 신종 범죄도 늘어나고 있다.
국민의 생활환경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치안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경찰의 치안활동
전반에 첨단 기술을 접목하는 과학치안을 강화하고, 데이터 분석결과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기술 트렌드와 치안현장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여 대국민 치안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부터 경찰청과 공동으로 치안현장맞춤형 연구개발
사업(폴리스랩2.0)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에는 ‘범죄예방 활동을 지원할 무인 순찰 로봇’, ‘첨단소재를 활용한 경찰부대 보호복’ 등
국민과 경찰의 안전을 강화하고, 치안현장의 업무를 효율화하기 위해 10개 연구과제를 선정하였
으며, 올해에는 각 과제에 적합한 경찰관서를 연계하여 현장경찰의 의견을 기술 개발에 반영
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에 녹화된 영상 중
아동학대 의심 장면을 빠르게 검색하거나, 사이버 공격・침해사고 간 공통점을 추출하여 공격
주체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치안 문제를 해결하는 9개 연구
과제를 신규로 선정하였다.
200 ∙∙∙
아동학대 영상 분석 시스템 유치장 CCTV 분석 시스템 맞춤형 112신고 시스템
아동안면 인식 등으로 학대 의심 상황
검출・요약
인공지능, 열화상카메라 등 기반으로
유치인 이상행동 실시간 감지
신고자 상황(긴급출동 또는 비밀신고
필요)을 고려한 112 신고접수 시스템
개발
차세대 경찰 외근조끼 인공지능 기반 교통현장 영상분석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플랫폼
첨단소재 기반 외근조끼 착용성 개선 및
피습 취약부위 보호
인공지능, 퓨전센싱 기반 교통현장 영상
확보 지원
침해사고 지표 설계 기반으로 공격자
특정 기술 개발
차세대 지능형 수사자료 분석 경찰 안전장비 신규 개발 플랫폼 민관 참여기반 정밀측위 플랫폼
금융・통신 수사데이터 표준화, 통합 및
수사관 맞춤형 분석 플랫폼 개발
경찰 안전장비 분류체계 마련 및
안전장비 개발 아이디어 수집
국민·경찰이 직접 치안현장용 아이디어
발굴 및 실증 추진
[그림 2-65] 폴리스랩 2.0 2022년 선정 본연구 과제
한편, 본 사업의 시범사업인 폴리스랩1.0에서 개발된 기술들을 치안현장에 활발히 보급하는
등 R&D사업의 성과 활용・확산 활동 역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현장 경찰관들을 각종 흉기 위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첨단 소재를 활용하여
개발된 ‘접이식 방검방패’ 총 99대(송파경찰서 36대, 전북경찰청 57대, 특공대 6대 등)를
현장에 배포하였고, 사회적 성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행정안전부로부터 2022년 재난안전
연구개발 우수성과(우수상)로 선정되었다.
또한, 112 신고자가 현장정보를 경찰에게 공유하기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보이는
112’는 전국 시도경찰청 112 상황실에 도입・적용되는 등 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도출 중이다.
∙∙∙ 201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그리고, ‘실종아동 등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을 2018년부터 다부처 사업
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데, 2022년엔 연구 5년차(2단계 3차년도)로서 실증 현장 한계 극복을
위한 신원 확인 핵심원천기술을 고도화하였으며, 얼굴 정면화 기술, 비제약 얼굴 인식, 귀 인식,
실종자 후보군 객체(보행자) 검출, 추적, 재식별, 초해상도화 등의 핵심원천기술 고도화 및 해당
기술 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가공을 진행하였다. 또한, 당해연도에는 실증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부처 간 시스템 통합 시나리오 구축을 수행하여 지자체 CCTV관제센터-지역경찰 웨어러블
디바이스-복합인지 통합 웹플랫폼 간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통합 및 실증을 위한 기반을 구축
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분야 최우수 논문/학회에 학술적 성과를 만들어 냈으며, 기술이전
및 다수의 특허 출원/등록 등 활발한 기술적 실적을 도출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CES(국제전자제품 박람회)에 참가하여 『얼굴나이변환
기술(2020년)』과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얼굴인식이 가능한 『얼굴인식기술(2022년)』을 선보이며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위상 제고에도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발한 기술을 장기 실종아동
찾기, 이산가족 사진재회 사업 등에 지원하며 다양한 공익적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본 사업의
결과물인 『얼굴나이변환기술』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성수대교 붕괴사고, 세월호 등 국가 대형
재난사고로 희생된 고인의 현재 모습을 기억하는 ‘나를 잊지말아요’ 프로젝트(한겨레 신문사,
’22.11.30.)를 진행하였다. 또한, 장기 실종 아동에 대한 다큐멘터리 <증발> 제작에 기술을
지원하여 실종아동에 대한 관심 제고에 기여하였으며, 실제 현장사례인 ‘실종아동 찾기 지원
사업’을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복합인지 통합시스템 구축 CES2022, 2020 전시참가(LasVegas, 미국)
- KIST 내 복합인지기술 실증 시범서비스 테스트를 위한
CCTV 통합관제 리빙랩 환경 구축
- 복합인지기반 마스크 얼굴 신원확인 기술(’22)
- 복합인지기반 나이변환 기술(’20)
‘나를 잊지말아요’ 프로젝트참여(한겨레신문 2022.11.30.) 다양한 매체를 통한 기술지원
-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성수대교 붕괴 사고, 세월호 등 국가
대형재난사고로 희생한 고인의 현재모습을 예측 프로젝트
- SBS 그것이 알고싶다(’22.07.16.) 실종아동 모영광군 나
이변환 기술지원 등
[그림 2-66]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 주요성과
202 ∙∙∙
4) 화재피난 대피력 향상 기술개발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부터 소방방재청과 협력하여 소방안전관리자가 효과적인 피난
계획을 수립하고 실제 화재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피난 유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022년에는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다중이용업소와 어린이집 용도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예측 성능을 검증하였다. 또한,
축소모형 실물 화재 실험과 피난 및 화재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병행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프로토
타입에 업데이트하여 예측 성능을 향상시켰다.
연구개발의 최종 연차인 2023년에는 총 5개의 용도의(문화 및 집회시설, 초고층 주상복합,
지하상가, 공동주택 및 요양병원) 건축물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의 예측 성능을 검증하여
완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BIM을 기반으로 한 소방안전관리자용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S/W)을 개발할 계획이다.
[그림 2-67] 소방안전관리자용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프로토타입의 작업 모습
5)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관세현장의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사업인 ‘관세
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사업을 2021년부터 관세청과 공동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날로
지능화되는 무역범죄에 대응하고 관세국경에서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세행정의
고도화를 위한 최첨단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며, 2021년도에는 관세행정 고도화를 위해 시급히
개발이 필요한 전략과제 2개와 아이디어공모전을 통하여 도출된 3개의 일반과제 등 총 5개의
과제를 선정하였고, 2022년도에도 2개의 과제를 추가로 선정하여 기술개발을 수행 중이다.
이 사업은 관세행정 상의 문제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세관・국민・전문가를
대상으로 연 1회 아이디어를 공모하여 그 결과를 과제기획에 반영하며, 현장지향성을 높이기
위하여 세관공무원과 연구자, 전문가 등이 협업하여 관세행정 현안을 해결하는 리빙랩인 ‘커스
텀즈 랩(Customs Lab)’을 운영하여 현장 적용성 제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연구단-
∙∙∙ 203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수요기관 간의 긴밀한 협의와 인천공항, 인천항세관, 국제우편세관, 부산 및 평택항세관 등 수
차례에 걸친 세관 현장 방문을 통하여 파악한 현장의 요구사항을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반영
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개발된 성과는 현장 실증 과정을 통한 효과 검증 단계 이후에 시범운영 과정을
거쳐 전국 통관현장에 확대·적용할 계획이다.
소형화물용 X-Ray
검색장비
X-Ray 판독 트레이닝
시스템
3차원 복합 방사선
탐지 장비
AI기반 우범여행자
식별·추적 시스템
은닉물탐지 THz 검색장비 컨테이너 검사용 탐사로봇
얼굴영상 기반
검사대상 여행자 선별기술
[그림 2-68]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추진과제
6)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 추진
병원에서 치료는 요하는 상태는 아니지만, 사회복귀(일상생활)는 아직 위험한 상태이며,
지속적인 재활운동이 필요한 장애인 및 노인에 대해서 의료기관과 지역사회가 협력(연계)하여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장애나 상해 상태로부터 일상복귀까지의
전주기 차원으로 재활운동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재활치료는 보건복지부, 재활운동은 문화체육
관광부, 재활실증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산림청 그리고 재활운동플랫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부처 간 역할분담을 통해 상호 협력하여 추진하고 있다.
2022년에는 의료(치료)와 지역사회(운동)가 연계된 재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재활수준을 분석
예측하는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의료기관(양산부산대학교병원,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의료)길의료재단)과 ICT연구기관(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협력하여 연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전주기 재활 치료·운동을 위한 질환별(근골격, 뇌졸중) 임상을 실시하였다. 전주기 재활
치료운동 임상을 위한 IRB(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고 리빙랩을 구축하였고, 근골격
204 ∙∙∙
및 뇌졸중 질환을 중심으로 재활치료(병원)와 재활운동(지역시설)이 연계된 전주기 임상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임상연구 수행 시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재활 공통
서비스 기능을 검증 및 개선하였다.
그리고,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다부처 연계 기반을 조성하였다. 지능형 개인맞춤 재활
운동 서비스(문체부)를 연계하고, 전주기 재활 데이터(병원데이터, 기능평가데이터, 운동일지)
연동되도록 지원하였다. 지역사회 장애인 재활운동 리빙랩(복지부)의 재활 데이터 연동 및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였다.
전/후 재활치료(재활병원) 전달체계 재활체육(지역사회)
개선 전
∙ 치료: 병원 내 한정
∙ 데이터: 병원기록(EMR/PHR)
∙ 전달체계(병원 ↔ 체육)
: 부재 상태
체육 : 임상(의료)에 근거하지 않은 단
순한 재활운동
개선 후
∙ 재활치료: 치료·운동이 연계된 재활
전주기 치료
∙ 데이터: 병원+운동(일상)
∙ 전달체계(병원 ↔ 체육)
: 재활 빅데이터 플랫폼
∙ 재활운동: 임상(의료)에 근거한 개인
맞춤 재활운동
∙ 데이터: 병원+운동(일상)
[그림 2-69] 재활운동 빅데이터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추진 전후 개선 효과
7) 실시간 해저재해 감시 기술개발 추진
최근 울산 외해역지진(’16.7.), 경주지진(’16.9.), 포항지진(’17.11.) 등 기록적인 지진 발생
으로 국민적 불안감이 증대되었고, 한반도 주변 해역 해저지진의 발생 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재해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저재해(해저지진, 지진해일, 사면붕괴
등) 발생 예측 및 실시간 조기경보 시스템을 시범 구축하는 사업을 2022년에 신규로 추진하게
되었다. 즉, 한반도 해저 지질재해의 실시간 분석 및 거동 관측을 통해 국민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반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해역 지구물리 탐사, 해저 역학특성 및 안정성 평가, 3차원 재해 모델링을 통해
해저재해 관측 지질 환경 분석 및 최적 후보지를 선정한다. 또한, 실시간 지질 데이터 전송
수중통신기술 및 표준형 수중망을 개발하며, 통신망 구축 모델링, 데이터용 센서 패키지 개발,
프로토타입 구축・운용으로 실증 후보지에서 해저 감시망을 시범적으로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 205
제3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AI기반 해저 재해 정보 저장・분석, 실시간 지진규모・진앙지 파악 기술 등 해저재해 예측・대응
기술을 개발한다.
총 5년간 240억 원 규모의 이 사업을 통해 해저지질재해 조기 경보를 위한 해저 네트워크
설치 기술, 해저 통신 기술, 정밀 해저지진 관측 기술 등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해저에서 발생하는 지진, 사면붕괴, 화산폭발, 지진해일 등의 해저재해 위험요소를 실시간
관측하고 이를 신속히 전달, 조기 경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
으로 기대된다.
[그림 2-70] 실시간 광대역 감시망 구축 기술개발을 위한 총괄 추진체계
다. 향후 계획
감염병, 대형화재, 안전사고 등 재난의 사회·경제적 파급력이 증가하고, 고령화로 인한 문제
등 사회문제가 복잡·다양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2023년에도 치안・관세・복지 분야 등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찰청・관세청・복지부 등과 공동 연구개발하는 사업을
확대하고, 해저지진 취약 해역에의 감시망 구축, 고층건물 및 원격지 대형화재의 효율적 진압
등 재난안전의 예방 및 대응에 필요한 기반 기술을 개발해 나갈 것이다.
∙∙∙ 209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제1절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및 의의
1. 개요 및 의의
국가연구개발 정책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활동
(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 등) 현황을 조사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OECD에 제공된다. 국가의
신뢰도 제고 및 국가 간 비교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매우 가치가 높은 조사활동이다.
가. 조사 근거 및 연혁
1963년에 ‘연구기관실태조사’라는 명칭을 시작으로 2008년부터 ‘연구개발활동조사’라는
명칭으로 현재까지 조사되고 있다.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의2에 따라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통계법에 의해 국가 지정 통계(제105001호, 1982.07.16. 승인)이기도 하다.
나. 조사 개요
OECD FRASCATI Manual(연구개발활동조사 시행지침)에 따라 국내(정부+민간) 전분야의
연구개발활동을 총망라한 조사로써, 매년 우편 및 온라인을 통한 전수 설문조사를 기본으로
정부R&D조사・분석과 기업DB 등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방식9)으로 이루어진다.
9) 매년 조사된 결과는 기업신용평가전문기관의 기업정보시스템(기업DB)을 활용해 재무제표, 인력 등을 비교분석하여 오류가
있을 시 피조사기관에 수정 요청
210 ∙∙∙
제2절 주요 활동조사 결과10)
1. 연구개발비
2021년 총 연구개발비는 102조 1,352억 원으로 처음으로 연구개발 투자 100조 원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96%로 이스라엘(5.44%, ’20년 )에
이은 세계 2위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재원별로는 정부 및 공공 영역에서 24조 950억 원
(23.6%), 민간 및 외국에서 78조 403억 원(76.4%)을 지출하였다. 2021년 기초연구 지출액은
15조 1,002억 원으로, 전년대비 1조 6,521억 원이 증가하였으며, 응용연구에 21조 4,704억 원,
개발연구에 65조 5,647억 원을 지출하였다.
2. 연구원
2021년 우리나라의 총 연구원 수는 586,666명으로, 전년대비 28,621명이 증가하였고, 상근
상당 연구원 수(FTE)11)는 세계 4위권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3. 기업부문 연구 활동
대기업 연구개발비의 60.8%(49조 1,394억 원)를 지출하여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운데,
벤처기업 14.4%(11.7조 원), 중견기업 14.2%(11.5조 원), 중소기업 10.5%(8.5조 원)의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 69조 5,560억 원, 서비스업에 9조 9,188억 원을
지출해 제조업 중심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출액 및 연구개발비가
높은 기업으로의 연구개발비가 편중되어 있으나, 그 비중은 감소추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신규 R&D투자기업(’17)에 대한 정부R&D지원 효과
정부로부터 연구개발 지원을 받은 기업은 지원을 받지 못한 기업에 비해 자체 부담 연구개발비
증가율이 높은(2.2%p) 것으로 확인되어 정부의 연구개발지원이 기업 자체의 연구개발 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구인력 증가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각 수치의 마지막 자리는 사사오입으로 산출. 경우에 따라서는 하위항목 합계가 상위항목 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11) 상근상당 연구원(FTE, 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정도에 따른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연구원 수
∙∙∙ 211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제1절 개요 및 의의
1999년도부터 실시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와 동법 시행령
제20조에 의거하여, 범부처 차원에서 매년 정부가 투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집행 실적과
성과 현황을 조사하는 사업이다. 정부예산(일반+특별회계)과 기금 중 연구개발예산으로 편성된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협약된 과제의 연구비,
연구수행주체, 연구개발 단계, 및 기술 분야 등을 조사하며, 조사 결과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과 정책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된다.
[그림 3-1]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추진체계
212 ∙∙∙
제2절 주요 조사・분석 결과
1. 국가 R&D 총 집행규모
2021년 국가 R&D 사업에 대한 총 집행 규모는 26.6조 원으로 예산(27.4조 원) 대비
96.9%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경제여건이 악화된 가운데, 전체
집행액의 43.8%인 11.6조 원을 경제발전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경제위기 극복에 기여하였다.
2. 주요 기술 분야 집행현황
2021년도 국가 R&D 사업은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상의 중점과학기술에 전체 집행액의
63%인 15.8조 원을 집행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생명·보건 의료 분야에 2.9조 원, ICT·SW
분야에 2.8조 원, 에너지·자원 분야에 2.1조 원, 기계·제조 분야에 1.5조 원 등이 사용되었다.
특히, 금번 조사에서는 기후기술 분야에 대한 조사·분석을 처음으로 도입하였으며, 분석결과
전체 집행액의 12.9%인 3.4조 원이 기후기술 분야에서 집행된 것이 확인되었다.
3. 연구개발 단계별 및 연구수행 주체별 집행현황
연구개발 단계별로 집행현황을 살펴보면, 기초연구에 5.3조 원(27.5%), 응용연구에 4.6조 원
(23.6%), 개발연구에 9.5조 원(48.9%)을 집행하였다. 기초연구는 2019년 1.7조 원에서
2021년에는 2.3조 원으로 확대 지원하는 등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을 중심으로 지원이
강화되었다.
연구수행 주체별로는 출연연에서 9.6조 원(36.1%), 기업에서 7조 원(26.4%), 대학에서 6.3조 원
(23.8%)을 집행하였으며, 기업의 경우, 중소·중견기업이 6.6조 원을 집행하여 기업집행액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4. 과제별 및 연구자별 현황
2021년 국가 R&D 사업의 과제 당 평균 연구비는 3.6억 원 수준으로, 전년대비 4백만 원이
증가였으며, 2억 원 이상의 과제 수 및 비중이 증가하였다. 연구책임자 당 평균 연구비는 4.3억 원
으로 나타났고, 이 중 신진 연구책임자의 경우 평균 연구비는 1.5억 원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2021년 국가 R&D 사업에 참여한 총 연구책임자 수는 49,025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평균연령은 47.7세로 조사되었다.
∙∙∙ 21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제1절 기초기반연구
1. 기초연구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개요
OECD(Frascati Manual, 2015)에서는 ‘기초연구’에 대해 ‘어떤 특정한 응용이나 사용을
계획하지 않고 현상들이나 관찰 가능한 사실들의 근본 원리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해
행해진 실험적 또는 이론적 작업’12)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기초과학13) 또는, 기초과학과 공학・의학・농학 등과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이론과 지식 등을 창출하는 연구활동’14)으로 정의하고 있다.
기초연구는 새로운 지식 창출과 창의적 인력 양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의 근본 원천인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새로운 산업 창출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기초연구의 특성 상 가시적 성과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 안목의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부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에 따라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15) 예산에 대해
지속적으로 증액해왔으며, 2022년에는 2.55조 원을 확보하며 2017년 1.26조 원 대비 예산
2배 확대 목표를 달성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창의적・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2021년 1조 7,907억 대비 약 11.8% 증가한 2조 14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12) ‘Basic Research is experimental or theoretical work undertaken primarily to acquire new knowledge of
the underlying foundation of phenomena and observable facts, without any particular application or use
in view.’ (OECD, Frascati Manual, 2015)
13) 자연현상에 대한 탐구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공학・의학・농학 등의 밑바탕이 되는 기초 원리와 이론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
14) http://www.law.go.kr,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시행 2022.8.4.)
15) 과기정통부(개인연구지원사업, 집단연구지원사업), 교육부(개인기초연구사업,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사업) 등 4개 사업
214 ∙∙∙
구분 2021년(A) 2022년(B) 증감액(B-A) 증감율
연
구
자
주
도
기
초
연
구
개인
연구
우수연구
리더연구 69,250 73,055 3,805 5.5%
중견연구 893,902 972,404 78,502 8.8%
신진연구 248,497 310,902 62,405 25.1%
계 1,211,649 1,356,361 144,712 11.9%
생애기본연구
생애첫연구 33,388 36,454 3,066 9.2%
재도약연구 5,000 2,500 △2,500 △50.0%
기본연구 226,931 233,015 6,084 2.7%
계 265,319 271,969 6,650 2.5%
소계 1,476,968 1,628,330 151,362 10.2%
집단
연구
선도연구센터 179,530 199,774 20,244 11.3%
기초연구실 134,200 173,309 39,109 29.1%
소계 313,730 373,083 59,353 18.9%
소 계 1,790,698 2,001,413 210,715 11.8%
기초
연구
기반
구축
전문연구정보활용 2,600 2,400 △200 △7.7
기초연구 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3,188 3,120 △68 △2.1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 5,664 5,888 224 4.0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연구지원 791 791 - -
소 계 12,243 12,199 △44 △0.4
합 계 1,802,941 2,013,612 210,671 11.7%
<표 3-1> 기초연구사업 예산
(단위 : 백만원)
자료 :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1). 2022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1). 2022년도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2) 2022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우수 연구자 육성 및 국가 기초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체계 구축과 창의적・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을 목표로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 생태계 구축’, ‘연구자의 연구 생애를 고려한 전주기적 지원 강화’,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연구 몰입환경 조성’ 등을 중점 방향으로 설정하여 추진해왔다.
이를 통해 기초연구사업에서 창출된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SCI논문 실적은 2018년
18,714건에서 2020년 23,883건으로, JCR 상위 10% 학술지 SCI(E) 논문 건수는 2018년
3,925건에서 2020년에는 3,944건으로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SCI(E) 논문 평균 질적
수준(mrnIF)의 경우, 2018년 70.3에서 2020년 71.2로 증가하여 기초연구사업의 질적 성과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1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구 분 2018 2019 2020 평 균
SCI 논문 실적(건) 18,714 19,989 23,883 20,862
JCR 상위 10% 저널논문(건) 3,925 3,817 3,944 3,895
평균 mrnIF* 70.3 70.7 71.2 70.7
* 표준화된 순위보정지수(mrnIF): SCI 논문 영향력지수(IF)의 분야 간 차이를 순위에 기반하여 보정하는 지표로 논문성과
질적 수준 제시(100이 가장 높고, 0이 가장 낮음.)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각년도)
가)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 생태계 구축
(1) 일정 규모의 신규과제 선정 지원을 통한 연구 현장의 예측 가능성 제고
연구자 수요 및 차년도 재정 부담 등을 고려하여, 2020년부터 사업별 신규과제 선정 규모를
매년 지속적으로 선정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하고, 향후, 연구자들의 과제 규모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였다. 특히, 2022년에는 기초연구사업의 안정적인 지원을 위해 분야별・사업별
연구비 단가 특성을 반영한 예산 포트폴리오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여 데이터 기반
예산 포트폴리오 수립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 기초연구사업 분야별 지원체계 전면 전환
학문분야별 특성과 수요를 반영하여 맞춤형 연구비 및 연구기간을 지원하는 분야별 지원체계에
대해 2020년 수학분야에 시범 적용하였던 것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전 분야로 확대하여
전면 적용하였고, 분야별 자문위원회 구성 및 대표 학회와의 유기적 소통 체계 등을 통해 각
분야별 특성을 반영하여 마련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지원하였다. 특히, 7개 분야별 기초연구
고도화 기획과제 운영 등을 통해 분야별 연구역량 강화 방안과 단계별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
하고 향후 분야별 특성화 사업 지원을 위한 기획 등을 진행하였다.
나) 연구자의 연구 생애를 고려한 전주기적 지원 강화
(1) 젊은 과학자 지원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신진연구자에 대한 연구지원 확대를 위해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의 불안정한 고용 특성을
고려하여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 선정 후 주관연구기관 확정 유예 기간을 종전 30일에서 6개월로
확대하여 시행하였다. 또한, 출산・육아로 인한 우수연구자의 경력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재도약
연구 자격 요건 중 ‘최근 1년 이내 우수연구 종료’의 기간 내에 출산・육아 시 신청 자격 기간을
연장하여 허용하였으며, 생애첫연구에 대해서도 지원 대상을 기존의 ‘4년제 대학 전임교원’에서
‘대학 전임교원’으로 확대 시행하여 신진연구자의 연구 기회를 보장하고자 하였다.
216 ∙∙∙
(2) 수월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지원 확대
분야별 지원체계의 전면 시행에 따라 지난 2021년 신설된 기초연구실 융합형에 대해 융합
과제 연구 주제를 전 학문분야로 확대하여 지원함과 동시에 지원 규모16)를 50% 이상 상향하여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연구를 활성화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기초연구실의
공동연구원 구성 요건인 ‘동일 대학’ 소속 교원 기준을 ‘동일 주관연구기관’으로 완화하여
소재지가 다른 이원화 캠퍼스 또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다)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연구 몰입환경 조성
(1) 기초연구사업 최소참여율 적용 폐지 및 개인연구 1인 1과제 수행기준 개선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으로 종전 ‘참여율’ 정의가 삭제됨에 따라 기존의 ‘최소참여율’ 적용
기준을 폐지하고, 사업별로 연구책임자 등이 동시에 참여 가능한 과제 수를 제한하여 연구자의
연구수행 전념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단, 개인연구의 경우, 1인 1과제 수행기준을 기존
에는 연구책임자 또는 공동연구원에서도 적용하였으나, 연구책임자에만 적용하는 것으로 개선
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존 개인연구 수행과제 연구기간 연장 시, 신규
과제 개시일로부터 10개월을 초과하여도 연장할 수 있도록 예외 기준을 허용하여 연구자가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보장하고자 하였다.
(2) 연구 수행포기의 정당한 사유 인정 기준 일원화 및 유연화
연구자의 책무성 강화를 위해 적용해온 ‘수행포기 신청의 정당한 사유에 관한 기준’에 대해
기존의 고용 형태(정규직・비정규직)에 따라 구분된 ‘이직으로 인한 연구 수행포기 정당한 사유’
기준을 일원화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제재처분 가이드라인(2021.3.)’에
따라 기존의 정당한 사유 기준에 포함되지 못한 다양한 불가피한 사례를 특별평가를 통해 판단
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자가 유연하게 과제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특수관계자 과제 참여 및 미성년 저자 포함 관리 강화
연구자의 책임 있는 과제 수행과 연구 현장의 연구 윤리 의식 확보를 위해 연구과제에 참여
하는 특수관계자(배우자, 직계존・비속)의 검토 대상 범위를 연구책임자에서 참여연구자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특수관계자의 과제 참여 및 연구성과물에 미성년 저자 포함 시 연차별로
주관연구기관 장의 검토・승인 후 전문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도록 관리를 강화하여 연구자의
책임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16) 기초연구실(융합형) 지원 규모: (’21년) 약 71억 원, 16개 과제 지원 → (’22년) 약 136억 원, 35개 과제 지원
∙∙∙ 21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4) 연구과제 평가제도 개선 및 성숙한 기초연구문화 조성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에 따라 재도약연구의 선정평가 주안점에 대해 기존의 평가 주안점인
연구지원의 필요성과 더불어 연구계획의 창의성 및 수행계획의 충실성, 연구자의 연구역량을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혁신법에 부합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개선
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단계/최종평가에 대해서는 기존 성실수행여부를 평가하고, 성실과제에 한해 성과 수준을
판단하는 방식에서 수행과정과 연구개발성과를 동시에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평가 항목을
개선하였다. 또한, 혁신법에서는 수행과정이 부적절하고, 연구개발성과가 매우 미흡한 과제에
‘극히 불량’ 등급을 부여하도록 정하고 있어 기존 4단계 평가등급(S,A,B,C)을 5단계 평가등급
(S,A,B,C,D)으로 변경하고, D등급 과제에 대해 ‘극히 불량’ 등급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단계/
최종평가 평가위원의 선정 시에도 선정평가에 참여한 사람을 우선 선정할 수 있도록 기존 (책임)
전문위원에 의한 평가위원 추천 방식을 학문단장이 지정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라) 기초연구기반구축 지원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은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연구정보 제공 및 해외 대형연구
장비 활용 지원을 통한 기초연구 역량과 글로벌 창의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올해는
기초연구에 필요한 연구정보 및 대용량 실험데이터 제공, 대형연구 장비 활용 국제협력 등 기초
연구기반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안정적인 예산 확보(2022년 예산 기준
약 122억)를 통해 내실 있는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사 업 사업목적 및 특성 연간 연구비 지원기간
전문연구정보활용
기초연구분야의 연구정보를 수집・가공・재생산하여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이용자 간 교류・소통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기초연구 활성화 도모
정보센터 당
3억 내외
6년
(3+3)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허브구축
첨단 연구 장비, 거대 관측 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데
이터의 공유 분석 환경 및 컴퓨팅 인프라 지원
32억 내외
3년
(계속)
유럽핵입자
물리연구소
(CERN) 협력
CERN 연구소의 검출기 실험 및 이론 물리 연구에 참여하고 대형 검출기
(CMS, ALICE) 내 주요 장치를 공동 개발하는 등 국제협력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 역량 확보
CMS 33억 내외
ALICE 14억 내외
이론물리 4.6억
참여부담금 6.8억
3년
(계속)
해외대형연구시설
활용연구지원
국내에 없거나 성능이 우월한 해외 최첨단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국내연구
진의 접근성 향상으로 국제교류 및 선진 실험기법 습득 기회를 제공하여
연구역량 향상 및 우수성과 창출
사업단별
1~2억 내외
3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1). 2022년도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218 ∙∙∙
3) 향후 계획
2023년부터 기초연구사업은 연구자의 자율성 및 창의성 보장과 함께 첨단과학기술분야 등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유망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최대 10년 간 지원하는
‘한우물파기 기초연구’와 함께 우수한 박사후연구자가 국가전략기술 분야 핵심 인재로 성장하여
국가경쟁력 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국외연수 트랙’을 신설할
계획이다.
또한, 집단연구에서는 국가전략기술 관련 대학의 특성화 분야 연구역량 축적 및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는 ‘혁신연구센터(IRC)’를 신설하여 국가전략기술의 기초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지속적인 제도 혁신을 통해 연구 환경 최적화를 추진하여 역량 있는 연구자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조성
하고, 우수 연구성과 창출을 통한 국가 과학기술 역량 향상에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수학
1) 개요
2022년은 수학계에 있어서 역사에 남을 한 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업적은 한국계 수학자인 허준이 교수의 필즈메달 수상이다. 한국에서 초, 중, 고, 대학교
석사과정까지 마친 허준이 교수는 한국의 국제수학연맹(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IMU) 등급 상향과 함께 대한민국 수학의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허준이 교수를 필두로 한국의 수학자들은 다양한 곳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현 대한
수학회 회장인 금종해 교수는 금년 국제수학연맹 총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추대되었고, 인하대
학교 강현배 교수는 세계수학자대회 초청강연자로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미국 스탠포드대
학교(Stanford University) 박진영 교수는 조합론 분야의 중요한 난제를 해결하는 연구성과를
얻기도 하였다.
2017년부터 자리 잡기 시작한 산업수학은 수학적 이론과 분석법을 이용하여 산업문제를
해결하거나, 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수학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펀드가 조성되었고, 수학계와 산업계가 만나는 다양한 모임들이 활성화되었다. 2017년
∙∙∙ 21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이후 수학자들이 산업체 혹은 병원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산업문제를 해결하였고, 이것이
기술이전 등과 같은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pandamic)이 아직 진행 중인 가운데 수학자들은 수리모델링을 통하여 코로나
확산 양상을 분석, 예측해 왔다. 코로나가 엔데믹(endemic)으로 가는 과정에서도 연구자들은 다양한
분석을 통해 추후 방역정책과 코로나 확산 이후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세계 수학자 대회 개최
국제수학연맹(IMU) 주관으로 매 4년마다 개최하는 세계수학자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ICM)가 7월 6~14일 온라인으로 개최되었다. 금번 ICM은 원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월 22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으로
인하여 전면 온라인 학술대회로 변경되었다. 이와 함께 국제수학연맹 총회(IMU General
Assembly(GA))와 시상식은 각각 7월 3~4일, 5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진행되었다.
국제수학연맹 총회에서는 차기 집행부와 다음번 ICM 개최지를 선정하였다. 단독후보로 추대
된 차기 IMU 회장으로는 일본의 히라쿠 나카지마(Hiraku Nakajima), 사무총장은 크리스토프
솔거(Christoph Sorger), 부회장은 영국의 울리케 틸만(Ulrike Tilmann)과 미국 타티아나
토레(Tatiana Tore)가 선출되었다. 그리고,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집행위원으로는 금종해 대한
수학회 회장 등이 선출되었다. 투표를 통해 선출된 한국 국적의 집행위원이 선출된 것은 처음
있는 일로 우리나라 수학계의 위상이 국제적으로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월 5일 개최된 시상식에서는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필즈상 수상이 있었다. 수상자는
알파벳 순서로 호명되었고, 위고 뒤미닐코팽(Hugo Duminil-Copin), 허준이(June Huh), 제임스
메이너드(James Maynard), 마리나 비아조프스카(Maryna Viazovska)가 수상하였다. 특히
허준이 교수는 한국에서 초등학교부터 대학원 석사과정까지 마친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한국
수학계에서는 매우 뜻깊은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정보과학의 수학적 측면에서 탁월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아비쿠스상(Abacus medal)은 마크 브레버먼(Mark Braverman),
나이와 상관없이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수여되는 천상(Chern Medal)은 배리 메이저
(Barry Mazur), 기술이나 비즈니스 등 수학 이외의 분야에서 수학 연구를 통해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가우스상(Carl Friedrich Gauss Prize)은 엘리엇 리브(Elliptt H. Lieb),
수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탁월한 기여를 한 사람에게 수여
하는 릴라바티상(Leelavati Prize)은 니콜라이 안드레예프(Nikolai Andreev)에게 수여되었다.
220 ∙∙∙
나) 국내동향
(1) 수학 등급 승급 / 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
국제수학연맹(IMU)은 2022년 2월 한국 수학의 등급을 기존 그룹인 그룹 4(Group Ⅳ)에서
최고등급인 그룹 5(Group Ⅴ)로 승격을 결정하였다. 2022년 7월 기준 IMU에는 82개의
회원국과 5개의 준 회원국이 가입되어 있고, 각각의 회원국들은 그룹 1부터 그룹 5까지 분류
되어 해당 그룹에 따라 다르게 주어진 수대로 투표권을 행사한다. 한국은 1981년에 그룹 1로
IMU에 가입한 이래로, 2007년 그룹 2에서 그룹 4로 두 단계 등급 상향이 한 번에 이루어져
세계 수학계의 주목을 받은 이후, 올해 최고 등급으로 승격하였다.
이와 함께 금종해 대한수학회 회장이 2023-2026년 IMU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한국의 국제수학연맹 등급 상향과 함께 수학계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주요한 사례
중 하나이다.
(2)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2022년 7월 5일 허준이 교수가 필즈상(Fields Medal)을 수상하였다. 필즈상은 흔히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데, 40세 미만의 수학자들 중 현재까지 이룩한 업적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미래의 학문적 공헌도까지 고려하여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최대 4명까지 수상
한다. 현재까지 아시아에서는 일본 3명, 중국 1명 등 총 8명만이 필즈상을 수상했다.
허준이 교수는 박사과정 중 리드 추측(Read’s conjecture, 1968)을 해결하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하였다. 리드 추측은 1968년 영국의 수학자 로날드 리드가 제시한 문제로, 임의의 그래프의
채색다항식(chromatic polynomial)의 계수로 구성된 수열이 단봉(unimodal)이고, 로그 오목
(log-concave)하다는 것이다.
허준이 교수는 위의 결과를 확장하여 로타 추측(Rota-Heron-Welsh conjecture, 1971)을
증명한다. 로타 추측은 리드 추측을 확장한 문제로 임의의 벡터 공간에 있는 매트로이드
(matroid)의 특성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의 계수가 로그 오목하다는 것을 보였다.
매트로이드는 특정한 유한집합의 플랫들의 모임인데, 그래프에서와 마찬가지로 랭크와 특성
다항식을 정의할 수 있다. 수학계에서는 이미 리드 추측과 로타 추측의 증명만으로도 모두가
허준이 교수를 유력한 필즈상 후보로 생각하고 있었다.
허준이 교수가 조합론의 오래된 미해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한 방법은 놀랍게도
대부분이 대수기하학에서 등장하는 방법론이었다. 허준이 교수의 유연한 사고는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성과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의 각 분야가 세분화
되고, 고도화된 이후로는 매우 어렵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세계 수학자가 주목하는 부분이기도
∙∙∙ 22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하다. 허준이 교수는 이후에도 이러한 방법론을 고도화하여 강한 메이슨 추측, 다우링-윌슨
추측 등을 많은 수학계의 난제를 증명하였다.
(3) 강현배 교수 세계수학자 대회 초청강연
강현배 교수가 역 문제, 스팩트럼 이론(spectral theory), 편미분방정식(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등의 분야의 업적을 인정받아 2022 세계수학자대회 초청강연자로 선정되었다.
세계수학자대회의 초청강연을 하는 것은 해당 분야에서 대부분의 전문가가 알 만한 업적을
이룩한 수학자가 선정되기 때문에 수학자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영광스러운 자리이다. 단적인
예로 지금까지 ICM에서 초청강연을 한 수학자는 서울에서 개최된 ICM에서의 초청강연자 5명을
포함하여 10명이다.
강현배 교수는 ‘Quantitative analysis of field contraction in composites of high
contrast’란 제목으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 내용은 혼합물의 성질(전기전도성 등)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특히, 디스크 형태의 두 개의 낱알(inclusions)이 포함된 혼합물의 낱알이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의 스트레스, 즉, 해의 일계미분에 대한 추정(estimate)을 구해내는 문제에
대한 간략한 역사와 본인과 본인의 연구그룹이 획득한 결과를 설명하였다.
(4) 박진영 교수 이산수학계 난제 해결
현재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교수로 있는 박진영 교수는 올해 이산수학계 난제 중 하나인
칸-칼라이 추측(Khan-Kalai conjecture, 2006)을 증명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칸-칼라이
추측이란 랜덤 그래프 상에서 정의된 임계값(threshold)의 상한(upper-bound)에 관한 추측
이다.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랜덤 그래프의 임계값은 일종의 ‘평균 임계값’에다 그래프의
크기의 로그 값을 곱한 것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박진영 교수는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구조를 절대 만들지 못하는 무작위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덮개가 있고, 이러한 덮개는 최종적으로 두 가지 경우의 수만을 생성하는데, 임의의 에지를
선택할 확률이 충분히 큰 경우에는 랜덤그래프가 특정한 형태의 서브그래프를 포함하는 경우
밖에 없다는 결론을 얻는 방식으로 칸-칼라이 추측을 증명하였다.
박진영 교수는 특이한 이력으로도 화재가 되었다. 박진영 교수는 2004년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7년간 수학교사로 근무하였다. 이후 미국에 가서 럿거스 대학교
(Rutgers university)에서 2020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진영 교수는 허준이 교수와
함께 수학을 함에 있어 ‘느려도 상관없다’라는 좋은 본보기를 제공하였다.
222 ∙∙∙
(5) 산업수학
산업수학이란 기업이나 산업, 혹은 일상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수학적으로 바라보고 해결
하려고 하는 행위를 일컫는 말이다. 특히 산업 등에서 나오는 문제를 수학적으로 정의하고 접근
할 경우 의외로 쉬운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이 다양한 곳에서 증명되어 왔다. 국내에서도 2014년
세계수학자대회 이후 수학계와 산업계가 더 많이 교류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미래
창조과학부 주도 하에 다양한 연구가 태동하기 시작하였다.
산업수학이라는 키워드가 등장한 이래 다양한 곳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
대학교 산업수학센터 천정희 교수는 동형암호 관련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2016년 스타트업인
크립토랩을 창업하고, 동형암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톤브릿지벤처스
등으로부터 210억 투자유치에 성공하였고, 미국 IBM 등과 협업하여 동형암호 기반 반도체
개발에도 참여하는 등의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자료 : 크립토랩 홈페이지(https://www.cryptolab.co.kr/products/homomorphic-encryption/)
[그림 3-2] 동형암호의 원리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의료, 산업계와 협업을 통하여 많은 산업수학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올해는 기계학습을 활용한 농산물 가격 예측프로그램의 예측모듈, 나노 멤브레인 필터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등 2건은 88백만원의 기술이전 수익을 창출하였다.
∙∙∙ 22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6) 감염병 확산 수리모델링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첫 사례가 보도된 이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이에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을 선언
하였다. 이에 수학계에서는 2020년 감염병 확산에 대한 수리모델링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수리모델링 TF(위원장: 정은옥 건국대 교수)를 구성하고, 감염병 확산 양상에 관한 모델링 관련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하였다.
감염병 확산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모델은 1927년 영국의 Kermack와 McKendrick이
제안한 질병구획(compatment) 중심의 모델을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흔히 SIR 모델이라 불리는
이 모델은 전체 인구를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 (Susceptible), 감염된 사람(Infected), 회복된
사람(Recovered)의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S→I→R의 순서로 병이 진행되는 구조를 가진다.
위 모델에서 감염재생산지수(reproduction number)란 감염자 한 명이 평균적으로 감염
시킬 수 있는 2차 감염자의 수를 뜻한다. 정은옥 교수를 비롯한 수학자들은 각자의 모델을 이용
하여 감염재생산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부터 거리두기, 백신접종 등의 정책의 효과를 검증
하고, 향후 감염환자의 양상을 예측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작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수리모델링TF가 2주에 한 번 작성하는 ‘코로나19 수리모델링TF 리포트’는 질병
관리청 및 방역당국의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자료 : 국가수리과학연구소(2022). 코로나19 수리모델링TF 레포트(’22. 1. 26.)
[그림 3-3] 코로나19 확산 관련 예측
224 ∙∙∙
3) 향후 전망
한해 수학계의 좋은 기운이 내년까지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미 세계적 수준에 도달한 수학자들과
젊은 수학자들이 함께 시너지를 내며 내년에도 올해 만 큼이나 많은 세계가 놀랄만한 결과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코로나 팬데믹이 끝나가는 과정에서 코로나가 끝나는 시기,
코로나 이후의 방역정책 등을 수립하는 데 있어 수학자들의 큰 기여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물리
1) 개요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정보과학의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를 한 존 클라우저(John
F. Clauser), 알랭 에스펙(Alan Aspect), 안톤 자일링거(Anton Zeilinger)에게 돌아갔다. 클
라우저는 광자의 편광특성을 이용하여 벨 부등식을 실험으로 증명하였고, 3년 뒤에 에스펙은
실험의 정확도를 높힘으로써 클라우저의 결과에 신뢰도를 더하였다. 자일링거는 충분히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고성능 광검출기를 활용, 양자상태의 비국소성 검증을 완성하였다. 양자정보
과학의 분야에서 물리학분야의 노벨상이 돌아갔다는 사실은 관련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에 기여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양자컴퓨팅 사업에 뛰어들었고 구글, IBM, 마이크로
소프트 등의 대기업이 양자컴퓨터의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적어도 이 분야가 언젠가는
응용될 것으로 기대하기에 충분하다.
2022년은 물리학분야의 대표 업적을 꼽자면, 단연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보내오는
고해상도의 사진으로 인하여 우주 연구의 기반하에 물리분야의 새로운 연구 지평이 열렸다는 데
있다. 많이 떨어지기는 하나 한국에서도 다누리 달궤도 탐사선을 안착시키고, 우주연구의 첫 발을
떼었다는 점에서 우주연구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하겠다.
국내에서는 12대 전략기술의 하나로 양자기술이 선정되어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 계기를 맞이
하였으며, 초전도 기반의 5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 위한 사업이 시작되어 이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기대된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중력에서 아르노프-봄(Aharonov-Bohm) 효과 검출
1949년에 에렌베르크(W. Ehrenberg)와 세이데이(Siday)에 의하여 예측되고, 십년 뒤에 그
결과의 정확한 분석을 시도한 아르노프(Y. Aharonov)와 봄(D. Bohm)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 22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아르노프-봄(Aharonov-Bohm) 효과가 중력과 같은 매우 미약한 포텐셜 하에서도 작용함을
보였다. 스탠퍼드대학교의 케시비치(Mark Kasevich) 교수팀의 발견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가장
덜 정확한 값으로 알려진 중력가속도의 측정 정확도를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원자양자센서가 중력을
기본성질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 외부 충격을 이용하여 혜성의 운동 방향을 제어
지구상에 출동이 예상되는 혜성의 운동 방향을 제어하는 일은 우주과학의 실질적인 적용분야의
하나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어왔다. 2021년 11월에 인류 최초로 혜성에 충격을 주어서 그
혜성의 운동 방향을 바꾸기 위해 발사된 소행성 방향 전환 평가(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DART) 비행체는 1,100만 킬로미터를 날아서 6km/s의 속도로 충돌, 결과적으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는데 성공하였다. NASA와 존스홉킨스대학교의 웅용 물리 연구소에서 수행에 성공한
이 기술은 혜성과 충돌하여 지구의 인류가 멸망할지도 모른다는 가설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3) Si을 대체할 최적의 반도체 물질 개발
현재 실리콘의 문제는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소형화 시 더욱 과열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고, 전공 전도도가 매우 낮아서 고속 소자에 적용이 힘들다. 미국과 중국의 두 그룹에서
Science지에 동시에 발표된 결과는 입방형 보론 아세나이드(Cubic Boron Arsenide)의 홀
이동도와 열전도도가 실리콘에 비하여 매우 우수함을 보였다. 물론, 이론적인 예측으로 오래전
부터 기대가 되었던 물질이나 시료가 만들어지지 않은 이유로 검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실험은
매우 작은 고순도의 영역에서 제한적으로 보여 지는 상을 이용하기는 했으나, 이론을 검증함과
동시에 본 물질이 실리콘은 대체할 수도 있을 가능성으로 인하여 향후 관련 소재의 성장에 대한
후속연구가 많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4) 극저온 분자연구 시대의 도래
원자를 극저온 영역에까지 냉각하는 기술은 이미 30년 전에 개발이 되었고,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분자의 냉각도 2000년대 중반에 가능했지만, 세 개 이상의 분자를 냉각하는 기술은
쉽게 달성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중국 과학기술대학교(USTC)와 하버드 대학팀은
세 원자로 이루어진 Na-K 분자를 220nK으로, 수산화나트륨 분자를 110μK으로 냉각하는데
성공하였다. 향후, 이러한 다원자 플랫폼은 극저온에서의 화학반응, 양자 시뮬레이션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26 ∙∙∙
(5) 우주를 여는 새로운 창
금년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의 성과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다.
2021년 발사체에 실려 우주를 항해하게 된 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비록 발사 전에
여러 가지 어려움과 함께 기술적인 문제점들로 인하여 기대보다는 걱정이 앞서기도 하였고,
발사 후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긴 했지만, 우려했던 문제점들을 해결한 이후에는 매우
경이적인 우주의 이미지를 전송하고 있다. 이 망원경은 2030년대까지 작동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이전에 허블망원경이 천문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미친 결과를 뛰어넘는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표준모형의 예측에서 벗어난 W-보존 질량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에 따르면,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입자인 W 보존의 질량은
80.36GeV로 예상 및 측정이 되어왔다. 지난 10년간 미국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의 연구
팀은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한 실험들을 진행하여왔고, 그 결과는 예상과는 달리 오차
범위를 벗어난 80.43GeV로 보고하였다. 표준모형과의 불일치가 지금까지 알려진 이론과는
달리 새로운 힘이나 입자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측정을 통하여 기존의
모델이 맞는지의 여부는 향후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나) 국내동향
(1) 다누리 호 발사 및 궤도 안착
2022년 8월, 한국의 달 궤도선 다누리 호가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되었다. 기존의 업무와
달리 이 다누리 호만의 임무는 달 표면 전체의 편광지도 제작,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등을 포함
하고 있다. 2022년 12월, 다누리 호는 달의 107km 상공의 궤도에 안착하였고, 12.3시간의
공전주기를 갖고 임무를 수행 중이다.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실용화 기술개발
지난 십년 간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는 에너지 문제에 힘입어 매우 활발하다. 최근 들어 용액
공정 등을 이용하여 매우 저렴하게 제작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관련 물질의 태양전지 효율성 측면에서 세계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의 김동석 박사 연구팀에서는 두께가 얇고 균일하며 10분 이내에 저온제조가 가능한
전자 수송층 제작법을 개발하였다. 산화티타늄과 산화주석 박막을 이중으로 코팅하는 기법으로
대면적에서도 20% 이상의 세계 최고의 기술을 확보하였다. 본 기술은 고효율 대면적 페로브
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와 함께 사이언스지에 게재되었다.
∙∙∙ 22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3) 새로운 핵융합 플라즈마 운전방식의 개발
지구상에서 태양과 같은 방식의 핵융합 반응을 통하여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초고온
상태에서 고밀도로 플라즈마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가두는 기술이 핵심이다. 현재까지 이러한
플라즈마 운전방법은 H-모드라고 불리우는 기법을 활용하는데, 이때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라즈마의 경계면 불안정 현상으로 핵융합로의 내벽에 손상이 자주 발생하여왔다. 서울대 나용수
교수와 핵융합연구소 한현선 박사는 KSTAR의 운전데이터 분석과 모의실험 검증에 기반하여
플라즈마의 온도를 높일 때 고속의 이온들이 플라즈마 내부의 난류를 안정화시키고, 온도13를
급격히 올리는 현상을 발견하고 F-모드로 명명하였다. 이 기술은 기존의 H-모드 보다 플라즈마의
성능을 개선하고, 경계면 불안전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미래 핵융합 상용로의 운전기술을 확보
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네이처지에 게재되었다.
(4) 상용화 가능한 크기의 육방정계 질화붕소 합성기술 확보
울산과학기술원 신현석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육방정계 질화붕소 단결정을 여러 층으로 합성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물질은 이차원 절연체 소재로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 소자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거의 유일한 2차원 절연체 소재이다. 합성에 필요한 재료의 농도를 조절
하는 새로운 합성 방법을 도입해 여러 다층 박막형태로 단결정을 합성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고집적 반도체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네이처지에 게재되었다.
(5) 광학적 소용돌이 역학적 제어 구현
한국과학기술원 서민교 교수팀은 자기장에 의해 자발적으로 생성되고, 동역학적 움직임을
갖는 광학적 소용돌이(optical vortex)를 구현하고, 이를 네이처 지에 게재하였다. 광학적
소용돌이는 전기장의 위상분포의 공간적인 꼬임으로 기초 물리양 중 하나인 궤도 각운동량을
전자기파에 싣는 역할을 한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광집게, 초고해상도 현미경, 고차원 광통신,
양자얽임 등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6) 고체내 빛으로 양자제어가 가능한 플랫폼 개발
1900년대 중반부터 아주 크기가 작은 고체 물질에서는 기존방식과 달리 빛을 쬐여 양자
물성을 변화시키는 플로켓 상태가 예측되어왔다. 이 플로켓 상태가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구현된
예는 2013년에 발표되었다. 이 기술은 빛을 이용하여 물질의 위상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자 소재 분야에서 매우 활용도가 높은 기술로 관련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때 빛에 의해 전해지는 에너지가 매우 크므로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플로켓 상태는
수백 펨토초 이내의 매우 짧은 순간에만 지속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포항공과대학교 이길호,
228 ∙∙∙
조길영 교수팀은 그래핀-조셉슨 접합 소자에 기존의 적외선 대신에 마이크로파를 쬐어 플로켓
상태를 25시간 이상 구현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 기술을 활용 프로켓 상태를 상세하게 연구
할 수 있게 되어 향후 관련 연구의 길을 개척하였다는 평가와 함께 네이처 지에 게재되었다.
3) 향후 전망
가장 주목해야할 분야는 고도화된 별 관측 분야이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은 2023년
에도 적외선 파장을 이용하여 기존에 못 보던 우주의 경이로운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
유럽우주국이 개발 중인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은 2023년 9월 발사예정이다. 이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은 암흑 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목표를 갖고 있다. 6년간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며 우주의 모습을 전송해 줄 것이고, 이 결과를 이용한 우주의 3차원 지도가
만들어질 것이다. 칠레의 베라 루빈 천문대(Vera C. Rubin Observatory)는 2023년 7월부터
32억 화소의 디지털카메라를 탑재한 대형 광시야 관측망원경으로부터 남반부 하늘 전체를 스캔
하면 우주 관측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 중국 또한 세계에서 가장 큰 구경 110m를
갖는 신장의 치타이현에 있는 치타이 전파 망원경(QTT)이 올해 가동될 예정이다. 이것을 이용
하여 별의 75%를 관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달 탐사와 관련된 연구도 매우 활성화될 예정이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작년에 스페이스
론치시스템(SLS)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이는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달의 참사를 위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첫 시도였다. 한국도 다누리 탐사선을 달 궤도에 안착시키며, 달 연구의
첫걸음을 떼기 시작하였다. 인도 우주연구기구(ISRO)는 올해 6~7월 중에 찬드라얀 3호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미국의 스페이스 X는 디어문 프로젝트를 통하여 최초의 민간인 달 여행을 계획
하고 있다. 6일간의 달 여행에 포함된 8명의 명단에는 아이돌 그룹 빅뱅의 탑도 포함되어 있어
있다. 또한, 태양계의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의 달을 탐사하는 미션도 시작되었다. JUICE로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4월 지구를 떠나 8년 뒤 2031년에 목성에 도착할 예정이다. 허블망원경을 통해
목성의 얼음위성 유로파에 지하에 존재하는 바다에 관한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
1) 개요
2018년에 개정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의 대분류 중 하나인 화학은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에너지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물리화학, 유기화학, 무기
화학, 분석화학, 고분자화학, 생화학, 광화학, 전기화학, 나노화학, 융합화학 및 기타화학을
∙∙∙ 22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포함한다. 산업적인 관점에서는 화학과 후술될 화학공학을 합쳐서 화학산업으로 많이 언급되며,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 등 다양한 수요산업의 핵심소재를 공급하는 기간산업으로서 석유화학,
정밀화학, 고무 및 플라스틱으로 분류된다. 개념적으로는 화학은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서 순수
학문에 가까우며,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물질을 다루는 유기화학, 그 외 물질을 다루는 무기
화학 그리고 분석화학 등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반면, 화학공학은 이미 규명된 화학적
현상, 원리를 가지고 제품개발, 공정 등에 활용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보고서
에서는 화학산업 관점에서 작성하기로 하고, 편의상 화학분야는 석유화학, 정밀화학, 고무 및
플라스틱을 중심으로 화학공학은 가치사슬 상 연관이 있는 산업 중심으로 작성하기로 한다.
자료 : 고용노동부(2016), 「화학산업고용실천전략보고서」
[그림 3-4] 화학산업 및 전후방 산업
2) 연구개발 동향
가) 석유화학 분야 혁신공정 개발
석유화학산업은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이며, 석유화학 온실가스 배출량 대부분이 석유화학
반응 및 분리에 필요한 화석원료 기반 고에너지 소비에 기인한다. 타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석유를 대체하는 자원을 개발 중이나 석유화학은 아래 그림과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혹은 온실가스 규제가 강화됨과 상관없이 석유 사용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촉매와 단열재 등 석유화학 공정상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자 하는 기술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30 ∙∙∙
자료 : IEA(2021), 「World energy outlook 2022」
[그림 3-5] 주요분야별 석유사용량17)
(1) 촉매개발
첫 번째로는 반응열 상호보완 촉매를 통한 나프타 분해 공정기술을 들 수 있다. 해당 연구
에서는 나프타 열분해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국화학연구원과 SK이노베이션이 공동
연구하여 유동층 나프타 촉매 분해기술(K-COTTM)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는 에너지 절감형
나프타/메탄올 혼합원료 접촉분해 기술이다. 해당기술은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 공정 중의
하나인 기존 스팀 열분해기술의 가장 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흡열반응인 나프타 촉매 반응과
발열 반응인 메탄올 촉매 반응을 통합하여 기존 나프타 단일 원료 대비 높은 올레핀 수율을
얻는 동시에 낮은 에너지 사용량 달성한 기술이다. 마지막으로는 탄소 중립형 정유/석유화학
화학원료 전환기술이다. 정유/석유화학 다환방향족 부산물 활용 기술은 기업 중심의 촉매/공정
개발의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 부산물에 대한 고도화 전환 촉매개발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오염원 배출이 많은 중질유분의 생산을 줄이고, 통합적 전환 기술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전
하고 있다.
17) STEPS(Stated Policies Scenario) : 현행 정책 시나리오로 가장 약한 시나리오
APS(Announced Pledges Scenario) : 목표선언 시나리오
NZE(2050 Net Zero Emissions by 2050 Scenario) : 2050 넷제로 시나리오로 가장 강략한 정책이 투입
∙∙∙ 23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에어로젤 개발
에어로젤은 기존 광물 베이스의 경량 물질인 퍼라이트를 대체하여 나노 다공성 구조 초경량
물질인 에어로젤을 활용한 보온재를 통해 열손실이 적고,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단열재
이다. 현재는 해외기업과 협업을 통해 국내 석유화학공장에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국의 L사는
2021년 1분기 B사와 보온재 최적화 MOU를 체결하였으며, 2021년 10월 충남 대산 SM
(Styrene Monomer) 공장에 시범 시공하였다. 2022년 6월부터 효과검증 및 최적화(안)을
정립 중이며, 공정간 열손실 저감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표 3-2> 퍼라이트/에어로젤 보온재 비교
구분 퍼라이트 보온재 에어로젤 보온재
재질
광물 베이스의 경량보온재 나노 다공성 구조 초경량 보온재
두께 50mm 15mm
열손실 5% 수준 퍼라이트 대비 40% 이상 감소
기타
다량의 분진 발생 및 파손의 가능성이 높으며,
정기교체로 인한 폐기물 발생
분진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작업환경 개선 및
반영구적 재사용 가능
나) 탄소리파이너리
온실가스 및 부생가스, 유기성 탄소 폐기물 등 탄소폐자원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전환하여
화학제품 및 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인 탄소리파이너리 기술은 크게 포집과 활용기술로 나뉜다.
산업계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석유화학 제품대비 생산단가가 높아 기업 참여유인이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개발중인 기술 중 하나로는 배출가스 조성 제어용 촉매기술 및 반응기 개발을
들 수 있다. 해당 기술은 고내구성 전처리 촉매 선정 및 전산모사 기술 및 촉매 내구성 향상
및 조성 제어 반응기 운전기술을 통한 친환경 공정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한, 한국화학
연구원 화학공정 실증센터가 여수지역에 건립되기로 확정되어 이와 연계하여 탄소리파이너리
개발기술에 대한 상용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232 ∙∙∙
3) 향후 전망
가) 석유화학 분야 혁신공정 개발
(1) 촉매개발
강한 흡열반응인 나프타 분해 반응과 강한 발열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추가 화학반응을 혼합
하여 전체 에너지를 낮추고 올레핀의 생산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다. 단기적
으로는 반응열의 중화를 통해 강한 흡열반응인 나프타 분해 반응온도를 혁신적으로 낮추고,
양쪽 반응을 최적화하여 올레핀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다. 장기적으로는
다양한 조건에 따른 반응 운전 데이터 및 반응기 전산 모델을 기반으로 상용화를 위한 파일럿
규모의 실증 플랜트 설계 및 반응 성능 검증을 통해 최적화, 경제성 평가 연구가 수행될 전망
이다.
(2) 에어로젤 개발
에어로젤도 석유화학에 기반한 제품이기 때문에 향후에는 친환경 관점에서 많은 도전을 받을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2018년 세계 최초로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에어로겔을 만든
싱가포르 국립대 기계공학과 하이 즈엉 교수팀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에어로젤 보온재 생산하고, 기존 퍼라이트 보온재의 열손실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에어로젤 보온재로 교체하며, 폐기 시 발생하는 보온재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순환
경제 관점의 에어로젤 개발이 주목 받을 전망이다.
나) 탄소리파이너리
향후에는 산업계 수요가 높은 혁신성 있는 무포집 공정기술개발 및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타
산업과의 융합기술개발이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달성을 위한 39대 중점기술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전환 메탄올 및 프로필렌 제조 실증기술개발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해당
기술은 산업공정유래 이산화탄소로부터 메탄올 합성공정 설계 및 실증과 메탄올로부터 프로필렌
제조 실증 및 통합공정 기술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납사 열분해 공정으로 생산되는 기초원료
(에틸렌, 프로필렌)를 이산화탄소 기반으로 대체 생산하는 탄소저감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이산화
탄소 수소화를 통한 메탄올 생산 시 합성가스(석유, 석탄 원료) 기반 메탄올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이 1/3 저감된다는 점에서 미래 유망기술로 예측된다.
∙∙∙ 23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지구과학
1) 개요
일반적으로 지구과학(Geoscience 또는 Earth Sciences)은 지구의 핵으로부터 고도 약 50㎞
정도까지의 대기층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을 탐구하고 규명하는 학문으로서 육상, 해양, 대기
까지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대응과 저감, 탄소광물화와 온실가스 지중저장
등 지권-수권-기권 순환 관점의 융・복합 분야 주제가 지구과학의 활발한 연구개발 영역에 속
하고 있다. 누리호(KSLV-II) 지구 저궤도위성 및 다누리(KPLO) 달궤도선 발사와 아르테미스
1호 발사는 달・행성에서의 자원탐사개발・현지활용이라는 지구과학 연구분야의 역할도 확장
하였는데, 달탐사선에 탑재되는 감마선 분광기연구 등에서 국내의 지질과학분야 연구자들의
참여 기회를 가져왔다.
최근 우리나라 지구과학계는 글로벌 중심 역할을 위한 대규모 국제학술행사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오는 2024년 8월 말에 부산 BEXCO에서 전 세계 지구과학자 약 1만여 명이 참가하는 제37차
세계지질과학총회(The 37th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IGC 2024)가 개최될
예정이다. 한국에서 개최되는 IGC 2024의 슬로건은 「위대한 여행자들: 하나인 지구로의 항해
(The Great Travelers: Voyages to the Unifying Earth)」이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및 대한
지질학회가 공동주관하고 부산광역시 후원으로 조직위원회가 2020년 10월에 출범하였다18).
2022년에도 디지털 혁신 및 비대면 연구환경 여건 속에서 지구과학분야는 야외현장 조사와
실내 실험이 병행되어야 하는 연구 활동의 어려움을 겪었다. 지구과학을 위해 괄목할만한 정책적
시책으로는 한국연구재단이 2020년도에 외부전문가를 중심으로 지구과학분야 기초연구 중장기
발전전략 기획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2030년 지구과학분야 비전으로 ‘세계 지구
과학 분야 연구선도 및 인류사회 기여’를 도출하였으며 지구/지질과학, 대기과학, 해양과학
등의 2030년까지의 핵심과제와 목표 등을 제시하였다19).
2) 연구개발 현황
가) 해외동향
지구과학 분야 기초・원천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이 미국 내 지구과학분야 전체 기초연구 지원예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NSF의 전체 연구개발예산 106.61억 달러(2023 회계연도 요구액) 중에서 지구
18) 2024년 제37차 세계지질과학총회 홈페이지, http://www.igc2024korea.org/
19) 박상욱(2022), 지구과학 분야 기초연구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및 분야별 지원체계 기획연구.
234 ∙∙∙
과학분야(극지연구 프로그램 포함) 전체에 대한 연구비 투자규모는 약 17.86억 달러로서,
NSF 전체예산의 16.75%를 차지한다20). 세부분야별 예산은 지질과학 2.06억 달러, 해양과학
4.32억 달러, 대기과학 3.01억 달러, 연구・혁신・융복합・교육(RISE) 3.00억 달러, 극지연구프로
그램 5.47억 달러이다. NSF가 2021년도에 지구과학분야 지원한 경쟁과제(Competitive
Awards)는 1,675개 과제로 선정율은 약 45.22%수준이었고, 연구장려금과제(Research
Grants) 지원은 1,424과제로 선정율 43.02%이며 평균 지원기간은 약 3.0년 정도였다.
나) 국내동향
지구과학분야에서는 예측이 어려운 지질재해 등의 해결을 위해, ICT 융합에 의한 지오데이터
구축과 활용의 중요성이 더 한층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2016년도 경주 지진과 2017년도
포항 지진 등 한반도 동남권의 지진 발생과 활성단층 활동, 연중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황사
등으로 지구과학이 우리 삶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진 것이다. 이러한 자연 및 인위재해를 경감
하고 예측・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전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으나, 지구과학분야가 적극적으로
발생원 규명과 파급되는 영향 등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반도체와 연료전지 관련 희유금속과 핵심광물 부족에 따른 공급망 위기가
초래되어 지하자원 조사 탐사 관련 기초연구 역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구과학 세부분야 간 융복합 연구를 위한 공동의
노력이 돋보이고 있다. 2018년도부터 개최를 시작한
한국지구과학연합회(KGU, Korea Geoscience
Union) 연합학술대회는 대한지질학회, 한국기상
학회, 한국우주과학회, 한국지구과학학회, 한국천문
학회, 한국해양학회 등 6개 관련 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융복합분야 세션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
하고 있다. 제 3회 KGU 연례학술대회는 지난 8월
중순에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컨벤션센터
에서 개최되었고, ‘위기의 지구, 지구과학으로
답하다’라는 주제로 지구시스템 분야 전체를 망라
하였다. 초청강연으로는 ‘지진과 활성단층’, ‘기후
시스템에서의 이력현상과 비가역성에 관하여’,
‘행성과학: 다학제 연구분야’, ‘공룡 지질유산으로서의
20) Nationa Sceince Foundation(NSF), FY 2023 NSF Budget Request to Congress
[그림 3-6] 제3회 지구과학연합 연례학술대회
∙∙∙ 23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지질다양성과 교육’ 등이 추진되었다.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 기초연구 활동 지원은 대부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
연구 및 교육부 기초학술연구 개발예산을 활용하는 한국연구재단(NRF), 해양수산부 해양수산
과학기술진흥원(KIMST)의 해양과학기술분야 연구지원 프로그램과 기상청 등의 지구과학 관련
분야 연구개발 예산, 지구과학 전문연구기관에 직접 지원되는 정부출연금 등이 주가 된다. 연구
수행은 주로 대학 지구과학 또는 지구환경과학 관련학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과학
기술원, 국립기상과학원, 극지연구소 등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통계에
근거하면, 연구개발예산 4조 2,382억 원에서 이공연구개발분야 연구비 전체규모(2020년도)는
3조 9,297억 원, 약 26,636개 과제를 지원하였고, 이 중 지구과학 분야의 지원(2019년 기준)은
682억 원에 지나지 않은 규모로서 전체 대비 1.9% 정도이며, 과제 수는 642개에 불과하였다21).
국내에서 최근 수행 중이거나 수행된 주요 지구과학 기초연구 주제들 중에서 지질과학 분야
에서는 ‘달탐사 및 현지자원활용연구’, ‘한반도 운석 충돌구 탐사연구’, ‘국내 기반암 잠재적
유해원소 통합관리 및 유해성 평가연구’, ‘한반도 암석권의 3차원 응력 및 밀도 분포 결정연구’,
‘한반도 동남권 지진・단층 활동 평가를 위한 심부 복합지구물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연구’,
‘한반도 동남부 지진 발생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심부 지각구조 융합연구’, ‘단층운동에 따른
지진파 전파 및 지진동 예측 수치모의 기술연구’, ‘한반도 암석권과 연약권 경계부의 지진학적
특성연구’, ‘한반도 전기고생대 퇴적분지의 초기 퇴적작용 규명’, ‘동북아시아에서의 공룡탐사와
연구’, ‘철 및 티타늄 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철광상의 성인연구’, ‘동아시아 전기고생대 탄산염
퇴적상진화’, ‘서부경기지괴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습곡단층대의 지체구조 환경과 초대륙 진화와의
관계규명 연구’ 등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고 있다.
대기과학 분야의 최근 기초연구 활동은 ‘급격한 기후변화연구’, ‘동아시아 기후-탄소순환 상호
작용 이해연구’, ‘겨울철 집중관측 자료를 이용한 동계특화 모델링 연구’, ‘시베리아 기후・환경
변화연구’, ‘수도권 초미세먼지 발생기작 및 배출 특성규명’, ‘기후변화 감시자료 수집・통합분석을
통한 장기변화 경향 및 상호 연관성 연구’, ‘강수에 미치는 도시효과 탐지 및 모델링’, ‘극소용돌이
변동성과 이와 연관된 연직접합 연구’, ‘북극 기후/환경 변화가 중위도 극한기상 및 대기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기후 경계조건과 대기 산화이질소 농도연구’,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 및 예보
향상연구’, ‘황사・연무 감시와 예보기술향상연구’,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과 분석기술연구’
등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고 있다.
해양과학 분야의 최근 기초연구활동은 ‘해양-육상-대기 탄소순환 시스템 연구’, ‘한국 주변 해양
생태계 변동이해와 대응기반연구’, ‘북서태평양 순환과 기후변동성이 한반도 주변해역 변화와
21)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지원통계, https://stats.nrf.re.kr/
236 ∙∙∙
물질순환에 미치는 영향’, ‘생지화학순환 및 해양환경변동연구’, ‘서태평양 공해/심해저 신 생명
자원 및 퇴적물 희유금속 자원탐사연구’, ‘해양탄성학을 활용한 중앙해령에서의 열수유동 연구’,
‘해저지하수 유출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 ‘영양염류성 오염물질 거동이 경쟁 적조종들의
차별적 우점 및 남해안 적조종 천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동해 심층해수 및 물질순환
기작규명’, ‘퇴적물 재부유 양상과 해저경계층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연구’, ‘시화호 해수면
마이크로층 활성 박테리아 개체수와 종조성의 시간적 변동성 연구 등’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고
있다.
최근의 극지연구는 대학 관련 학과와 극지연구소를 중심으로 ‘남극권 맨틀활동과 지체구조진화
연구’, ‘과거 온난기의 서남극 빙상 후퇴와 해양순환변화연구’, ‘국제심부빙항시추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기-빙상 상화작용의 자연적・인위적 특성규명’, ‘서남극해 온난화에 따른 탄소흡수력
변동 및 생태계 반응연구’, ‘온난화로 인한 극지 서식환경 변화와 생물의 적응진화연구’, ‘남극
David 빙하 빙저호 지구물리 탐사기술 및 열수시추 기술연구’, ‘북극권-육상-대기 환경변화
예측 및 대응연구’, ‘질란디아-남극 맨틀의 특성 및 기원 규명 연구’, ‘남극 및 해양 생태계의 메타-
후성유전학 연구를 통한 미생물-숙주간 공생 및 진화전략 파악 연구’, ‘남극 지각자기이상 및
지열류량 모델링 연구’ 등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고 있다.
3) 향후 전망
과학기술에 의한 국가・사회문제 해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과학난제의
도전적 융합연구에 의한 접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이 외부전문가를 통해서
수행한 기획연구에서 전망한 지구과학 미래 핵심연구주제로는 지질과학분야는 ‘지진, 화산 및
지질재해 과정이해와 대응능력 향상’, ‘지구내부구조 및 판구조론적 지질현상 원인규명’, ‘광물자원
성인과 지열에너지 활용법연구’ 등이며, 대기과학분야는 ‘도시기후 및 재난 리스크 평가와 예측’,
‘대기-생물간 상호작용 메커니즘 규명’ 등이고, 해양과학분야는 ‘기후변화 수반 대양 및 한반도
연근해 순환과 생태계 역학기작 규명’,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관리 관측 및 예측방법론 개발과
활용’, ‘인간활동에 의한 해양오염 물질수지와 해양교란 및 유해생물연구’ 등이고, 융합분야는
‘지구시스템 융합 자연재해와 사회재난 대응연구’, ‘극지와 초점지역연구’, ‘미래지구변화 불확도와
대응연구’, ‘생지화학적 순환과 환경오염 연구’ 등이었다. 미래에는 수요중심 지질정보연구로서
‘달 모사토와 행성지질 응용연구’ 등도 활성화 될것으로 여겨진다.
향후에는 지구과학 분야도 지오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ICT 융합 등을 통한 초연결・초지능화와
관련된 도전적인 연구수행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전 지구 통합관점 하의 암석권의
역할 관련 거시적인 기초연구, 자연재해인 지진・화산 등 암석권의 심부구조 및 지질・지구
∙∙∙ 23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물리학적 특성 등의 연구가 필요하고, 지진해일과 같은 자연재해와 녹조 등 수중생태계 파괴에
대한 권역 간 상호작용 연구 등이 필요하며, 극한기후(폭설, 폭염, 집중호우, 가뭄 등)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및 기후예측 모델링 및 예측시스템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료
1) 개요
극한소재는 우주항공 소재, 액체수소 저장 소재 등 극한환경에서 사용하는 고부가가치 소재를
뜻하며, 극한환경은 우주・항공, 수소, 가스터빈 등 산업에서 요구되는 초고온, 극저온, 특정극한
(초고압, 부식 등) 등의 환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주요 연구기관별 극한환경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극한환경을 극도의 압력, 온도, 전리방사선, 화학적/
물리적 부식, 과속성 입자에 노출된 환경으로 정의하였다. 미국 샌디아 국립연구소(Sandia
National Laboratories)의 첨단소재공학연구센터는 극한환경을 고온, 스트레스, 부식, 방사능
등으로 정의하였고, 보잉(Boeing)은 극한환경에서 우려되는 주요 현상으로 환경에 의한 크랙
(crack), 부식, 산화, 크리프 피로, 열팽창 등을 꼽았으며, 핵심 변수로는 온도, 스트레스, 시간,
환경을 선정하였다. 문헌자료 조사 및 검색어 트렌드 분석 결과 극한소재 관련 주요 키워드는
온도(temperature), 압력(pressure)과 같은 극한환경 조건이나 상(phase), 에너지(energy)와
같은 특성변화 관련 단어들이 상위 빈도로 노출됨을 알 수 있다.
<표 3-3> 연구기관별 극한환경 정의
연구기관명 극한환경 정의
미국 에너지부(DOE) ∙ 고압, 충격파, 부식환경, 화학환경, 진공, 초고온 등
미국 홉킨스극한소재연구소(HEMI)
∙ 초고압/초고온/극저온/강한 방사선
∙ 매우 빠른 변형속도/고출력 레이저와 물질의 상호작용
∙ 높은 에너지 밀도/과속 충격(>5km/s)
미국 항공우주국(NASA)
∙ 우주환경에서 극도의 압력, 온도, 전리방사선, 화학적 또는 물리적 부식, 과속성
입자에 노출된 환경
중국 종합극한환경실험시설(SECUF) ∙ 초고압, 극저온, 강한 자기장, 초고속 등
한국 표준과학연구원(KRISS) ∙ 초고온, 초고압, 극저온, 초고속, 무중력, 초고진공, 고중력, 고자장 등
미국의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PNNL,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에
따르면 소재가 극한환경에 노출되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극한환경에서
물질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힘을 이해함으로써 산업 공정의 안전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MIT는 극한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재료과학 분야의
238 ∙∙∙
주요 과제이며, 온도 및 응력의 극한 조건에서 재료 반응에 대한 기본적 이해부터 화학적, 물리적
이해와 제어까지 필요한 분야라고 언급한 바 있다.
초고온 금속소재는 융점의 1/2이상의 절대 온도에서 높은 강도, 크리프 및 피로 저항성 등을
유지할 수 있어 발전 및 항공용 가스터빈 엔진과 국방, 교통 분야 등 여러 열 기관을 구성하는
차세대 소재로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기존 금속소재의 내열성 향상을 위해 Ni기 단결정 초내
열합금, 석출 강화형 Co기 초내열합금, 금속-실키사이드 합금, 내화 고엔트로피 합금 등이
개발되고 있다. 발전 및 우주항공 산업이 고도화되고, 세계 각국에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친환경 산업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기존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초고온 금속소재의 개발 필요성과 적용 범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초내열 합금의 가격
경쟁력 문제로 인해 최근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고가 합금 원소인 레늄(Re) 함량을 줄이면서
고온 특성이 우수한 초고열합금 개발을 추진 중이다. 레늄(Re)은 자연상에 자유롭게 존재하지
않고, 독립광물로도 존재하지 않아(몰리브데넘石 속에 미량 함유) 값이 비싸고 산출량이 적은
것이 단점이다. 따라서, Re-free 합금은 Re 3% 합금 대비 60% 수준의 가격 저감이 가능하므로,
국산 가스터빈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Re-free 합금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극저온 소재는 미래 국가전략기반 산업으로 여겨지는 항공우주, 초전도, 수소에너지 및 핵융합
발전 등에 핵심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극저온용 특수합금은 –150℃부터 0K(절대온도)인 –273℃
사이의 온도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합금으로, 사용온도나 환경 등에 따라 소재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만큼 많은 종류의 상용 특수합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ASS), 알루미늄합금, 동합금 등이 액체수소 저장과 관련된 극저온용 소재로 고려
되고 있다. 최근에는 우수한 극저온 기계적 물성과 내수소취화 특성을 동시에 보이는 고엔트로
피합금(HEA)도 극저온용 소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수소 분야에서는 수소액화용 극저온 밸브에
사용되는 극저온 특수상황 가능 금속 및 초저온 환경의 액체수소 저장탱크용 소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액체수소급 극저온 환경용 특수합금의 경우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에이치맷(H-MAT, Hydrogen Materials Compatibility Consortium)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
되고 있으며, 수소와 소재 간의 적합성에 대한 종합적인 선행 연구를 수행 중이다. 해양구조물
분야에서는 저온 환경에서의 안정성 검증이 증대되고 있어, 고강도 및 경량화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ASS), 알루미늄 합금, 니켈합금강 등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탄소중립, 신재생 에너지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운송수단의 기술발전에는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경량화를 통해 전기차의 경우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고, 내연기관 운송수단들도
연비 향상과 각종 배기가스 감소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량화를 위해 소재의
사용을 줄이거나 두께를 줄이게 되면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가 생기고, 경량화와 안전의 상충
∙∙∙ 23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관계를 보완하기 위해 내충격 소재 연구가 필수적이다. 운송수단 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나
화학플랜트 시설 등의 경우에도 외부의 공격(예: 미사일)이나 충돌(예: 비행기)등으로 인해
구조물이 붕괴되거나 파괴되지 않도록 내충격 소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극한하중 환경에서
소재를 평가하는 기술은 환경 모사가 어렵고, 위험하고, 측정이 어려운 것이 걸림돌이다. 미국,
일본, 독일 등의 기술 선진국들은 극한하중 환경에서의 소재 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오래전
부터 인지하고 국가 주도로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며, 관련한 평가 기술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초고온 환경) 초고온 금속 소재기술
기술 선진국들은 정부의 지원으로 기초 기술부터 응용기술까지 다양한 연구를 통해 기술을
축적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초내열합금을 개발하고 가스터빈 엔진에 적용하였다. 기존에는
온도수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어왔으나 가격경쟁력 문제로 인하여 최근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고가 합금원소인 Re 함량을 줄이면서 고온 특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초내열합금은 군사용 엔진 부품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되기 시작하여 일반 산업용
으로 파생된 사례가 많고, 현재에도 방산 부분의 수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초내열합금 및 고온 부품 관련 기술의 연구와 생산 분야를 실질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나라이다.
이는 항공기 엔진 제작사의 빅3(제너럴일렉트릭(GE), 프랫 & 휘트니(P&W), 롤스로이스
(Rolls-Royce))와 산업용 가스터빈 제작사의 빅3(GE,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Electric),
ABB)에 GE가 공통적으로 포함된다는 사실로서 짐작할 수 있다. GE의 초내열합금 연구개발은
뉴욕주 스케넥터디(Schenectady)에 소재하는 GE R&D센터에서 기계적 특성 및 미세조직
최적화 등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는데, Rene N4 등 Rene-series의 합금이 여기에서 개발
되었다. 합금의 온도 수용성 상승 뿐만 아니라 본드 코팅 계면에서의 2차 반응층에 대한 연구
등 여러 가지 고온 특성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 항공기 엔진 제작사 중 다른
하나인 프랫 & 휘트니(P&W)는 역사적으로 단결정 부품 제작을 위한 일방향 응고 공정 개발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세텔(A.D. Cetel), 둘(D.N. Duhl) 등의 연구자들에 의해 PWA
1480 및 PWA 1484 등 상용 단결정 합금들을 개발하였다. 또, 미국의 캐넌-머스키건(Cannon-
Muskegon)은 소재 전문회사로서 현재 Ni기 초내열합금만 고려했을 때 가장 뛰어난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며 영향력도 크다. 단결정 합금 개발 분야에서는 해리스(K. Harris), 에릭슨(G.L.
240 ∙∙∙
Erickson) 연구원의 주도하에 1세대 단결정 합금인 CMSX-2, CMSX-3, CMSX-6와 2세대
단결정 합금인 CMSX-4, 3세대 단결정 합금인 CMSX-10 등을 개발하였다. 최근에는 레늄
(Re) 함량을 1.5wt%로 낮춘 CMSX-8과 Re-free CMSX-7을 개발하여 이 분야의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한 EPM-102 등과 퀘스텍 이노베이
션즈 엘엘씨(QuesTek Innovations LLC)에서 개발한 QTSX 등이 있다.
유럽은 미국 다음으로 이 분야에서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영국과 프랑스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엔진과 함께 각각 고유 초내열합금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영국의
롤스로이스(Rolls-Royce)는 민항기, 군용기 엔진, 발전용 가스터빈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1세대
합급인 SRR99, RR200을 비롯하여 2세대 합금인 RR2072, RR2086 등 RR-series 합금을
개발하였다. 이 중 일본 물질재료연구소(NIMS)와 공동으로 개발한 4세대 및 5세대 단결정
합금을 민항기용 대향 엔진의 터빈 블레이드로 적용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또한, 영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대학에 Rolls-Royce UTC(University Technology Centre)를 세워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등과 소재 분야를 협력
중이고, 브리스틀(Bristol)에 소재한 CRDF(Cas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oundry)와
주조 분야, 셰필드(Sheffield)에 소재한 로스 & 캐서럴(Ross & Catherall)사와 모합금 개발,
제조 분야를 수행하는 등 여러 기업과도 협력하고 있다.
일본은 물질재료연구소(NIMS)를 중심으로 국가 과제를 수행하며, TMS-82, TMS-75 등
2, 3세대 단결정합금을 개발하였고, TMS-138, TMS-162 등 온도 수용성을 높인 단결정 초
내열합금과 현재까지 개발된 단결정 초내열합금 중 가낭 높은 온도 수용성(1,150℃)을 갖는
TMS-238 합금을 개발하였다. 이는 1970년대 후반 하라다(H. Harada) 연구그룹에 의해 개발된
페이컴(PHACOMP, phase computation)을 개선하여 실험데이터를 회귀분석한 초내열합금의
계산 설계 방법이 바탕이 되어 이루어졌다. 이 중 롤스로이스(Rolls-Royce)와 협력하여 개발된
합금 일부는 엔지에 적용하고 있다.
중국은 독자적으로 고유 모델의 제트엔진을 개발하였고, 모든 부품을 자체적으로 제조하고
있다. 중소 국경 분쟁 이후 국가연구소를 중심으로 J-10, J-15, J-17, J-20, J-25 등 군용기
엔진과 핵심소재 개발을 진행하였는데, 현재는 초내열합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대형
설비들을 구축하여 제트엔진 뿐만 아니라 대형 가스터빈 부품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의
초내열합금 연구는 정부 지원 하에 IMR(Institute of Metal Research), BIAM(Beijing
International Aeronautical Materials), CISRI(China Iron & Steel Research Institute
group) 등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1956년 이래 단결정 합금을 포함하여 196종 이상의 초내
열합금을 개발해왔다.
∙∙∙ 24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극저온 환경) 극저온 특수합금 소재기술
극저온에 대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뚜렷한 정의는 아직까지 없다. 다만, 액화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 LNG) 산업이 확대되고, LNG 선박 등 관련 산업이 확대됨에 따라
천연가스의 액화 온도를 극저온의 기존 온도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액화천연가스 성분의
90% 이상은 메탄(CH4)이 차지하고 있으며, 메탄이 액화되는 온도가 –162℃인 점에 착안하여
일반적인 극저온의 기존 온도가 –150℃로 통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극저온용 특수합금은
–150℃부터 절대영도인 –273℃ 사이의 온도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합금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극저온 환경은 액화되는 대상 물질에 따라 보다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액화 대상
물질별로 액화천연가스(LNG, -162℃), 액화산소(LO2, -183℃), 액체질소(LN2, -196℃), 액체
수소(LH2, -253℃), 액체헬륨(LH2, -269℃)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극저온에 도달
하기 위한 냉각 방식에 따른 분류, 사용 냉매에 의한 분류 또는 응용 분야에 따른 분류 등 극
저온 온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분류가 있다. 이 중에서도 액화 대상 물질에 따른 사용 온도
뿐만 아니라 사용 환경이 달라지기 때문에 극저온용 특수합급 소재의 관점에서 보면 액화 대상
물질별로 극저온 환경을 분류하는 것이 가장 의미가 있다.
액체수소급 극저온 환경용 특수합금의 경우, 미국 에너지국(DOE) 산하 에이치맷(H-Mat,
Hydrogen Compatibility Consortium)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Mat은 수소와
소재 간의 적합성(compatibility)에 대한 종합적인 선행 연구를 위해 구성되었는데, 샌디아
국립연구소(SNL, Sandia National Laboratory)와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PNNL,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가 주도하고,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서배너강 국립연구소(SRNL, Savannah River National
Laboratory), 아르곤 국립연구소(ANL, Argonne National Laboratory) 등이 참여하고 있다.
H-Mat 컨소시엄에서는 수소 관련 인프라 및 수소 저장 등에 사용되는 소재의 성능(performance)
향상에 연구개발의 중점을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소재의 신뢰성(reliability) 향상, 저비용
소재의 개발, 수소 관련 소재부품의 표준화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은 물질재료연구소(NIMS)에서 액체수소재료연구센터(CLean, Cryogenic center for
Liquid hydrogen and materials science)를 구축하여 관련 분야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CLean 센터에서는 수소 사회의 구현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중에서도 액체수소를 더
싸고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재 및 액화 관련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에서도 중국과학원(CAS) 관할로 세계 최고수준의 극한소재 실험기반을 구축하여 극저온을
비롯한 다양한 극한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적극적인 정부 지원 하에서 우주 극저온
추진체 연구실, 북경과학기술대학교 등이 액체수소 저장을 비롯한 극저온용 특수합금에 대한
242 ∙∙∙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3) (특정극한 환경) 초고속/내충격 소재 평가기술
최근 전기차를 포함한 다양한 운송수단들의 기술 발전에는 차체의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전기차는 차체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고 내연기관 운송수단들은 연비
향상과 각종 배기가스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냥 무게를 줄일 수만은
없다. 차체를 가볍게 하려고 소재의 사용을 줄이거나 소재의 두께를 줄이게 되면 안전에 치명
적인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처럼 경량화와 안전은 서로 상충하는 관계이기 때문에 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안전하면서도 가벼운 차체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
왔다.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경량 금속의 적용과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을 사용해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도를 높이는 기술개발은 오래전부터 시행해 왔다. 최근에는 경량 금속과
더불어 초고장력 강판을 사용하여 두께를 얇게 해도 다른 금속 소재만큼의 강도를 낼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들을 고속 운송수단의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소재의 극한환경,
즉 충돌이 발생했을 때 충돌 에너지를 얼마나 잘 흡수하고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느냐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복잡한 구조물에 경량 안전소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경량화와 안전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것이 최근 자동차 제조사들이 풀어야 할 숙제
중 하나이다.
미국의 샌디아국립연구소(SNL, Sandia National Laboratories)에서는 185피트(ft) 드롭
타워(drop tower)를 이용하여 사용 후 핵연료 운반용 컨테이너의 드롭 테스트(drop test)를
수행하고, 실제 컨테이너가 극한 하중을 겪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파손 부위를 관찰하여
안전성 평가를 수행 중이다. 그리고 레일(rail)을 이용한 발사 시험장비를 통해 발사체 실물의
충격시험(impact test)을 수행하고 개발한 무기체계의 성능시험을 하고 있다. 참고로 1988년도에
실제 F4 전투기를 원자력 발전소 콘크리트 구조물에 충돌시켜 원자력 발전소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한 시험이 매우 유명하다.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911 테러 당시 비행기 충돌로 무너진 건물의 사고분석과 향후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펄스히티드 콜스키 바(pulse-heated Kolsky bar) 시험기를 활용하여 비행기
충돌 시 발생한 폭발로 인해 건물 부재가 받은 충격 하중과 순간적으로 상승한 온도 환경을
모사하여 소재 시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시험 평가를 통해 극한환경에서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평가 절차를 수립하고 사고분석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독일의 프라운호퍼(Fraunhofer) 연구소에서는 고강도강의 성형성과 차체 적용 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유압식 고속시험기(high speed te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다양한 변형률
속도에서의 소재 파단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석에 적용하여 자동차 충돌 시 소재
및 부재의 파단을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24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일본의 코벨코(Kobelco, 고베 제강) 연구소는 자체적으로 유압식 고속인장시험기를 개발
하여 소재의 고속인장 거동의 시험 및 해석을 수행하고, 다양한 재료의 변형률 속도에 따른
인장 강도, 안정성 평가 및 고속 변형 시의 시뮬레이션 물성 데이터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최고 낙하 높이 16.5m의 드롭 타워(drop tower) 장비를 갖추고 차체 부재의 충돌 흡수능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초고온 환경) 초고온 금속 소재기술
Ni기 단결정 초내열합금은 민항기, 군용기 등 추진기관, 발전용 가스터빈의 핵심소재로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분야의 소재, 부품, 장비 등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
특히, 국내 Ni기 단결정 합금의 개발 및 적용도 매우 부진한 상황이나,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소재・부품 자립화 사업으로 다결정, 일방향 응고, 단결정 초내열합금에 대한 기술개발
및 실용화가 현재 진행 중이다. Ni기 단결정 초내열합금 개발은 한국재료연구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한국재료연구원은 1980년대 중반 다결정 주조를 시작으로 2000년대 초 일
방향 응고 및 단결정 주조 등 공정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0년대 중반부터
단련용 합금, 주조용 다결정, 일방향 응고, 단결정 합금을 개발하였다. 이는 문헌에 발표된 회
귀식과 새로운 통계학적 모델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계산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과 한-영 공동
연구사업으로 추진된 롤스로이스(Rolls-Royce)와의 협력을 통해 모합금 제조 및 단결정 성장
공정 개발, 합금 개발 재료 데이터베이스 및 인공신경망 알고리즘(neural network alloy
design program) 구축 이후 활발히 진행되었다.
(2) (극저온 환경) 극저온 특수합금 소재기술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산대학교 등에서 액체수소 저장
플랜트 및 액체수소 선박 관련 기술개발 등의 연구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이들 사업은
대부분 액체수소를 저장 또는 활용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관점의 사업으로서 시스템을 구성
하는 기초적인 소재부품에 대한 연구가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액체수소 환경에 적합한 소재
부품에 중점을 둔 대형 연구개발 사업은 전무한 상황이다. 즉, 앞서 미국, 일본, 중국 등의 사례
에서 언급한 사업과 유사한 소재부품 관점의 사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21년도 정부에서는 65개 소재부품장비 미래선도품목 중 주력산업 고도화 분야 기계금속
부문에 ‘액체수소 저장 금속소재(내수소취화)’를 포함시켜 관련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지원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액체수소 관련 기술의 경우, 우주기술 개발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국내의 실정을 감안하여 기초적인 기반구축에서부터 최종 부품 제조 공정 기술 및 실용화까지
244 ∙∙∙
전주기적인 지원이 시급하지만, 현재로서는 소재부품 분야에서의 지원은 요원한 상황이며 우선
순위에서도 다소 밀려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한국재료연구원에서는 소재부품 관점에서
액체수소 관련 기술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3) (특정극한 환경) 초고속/내충격 소재 평가기술
국내에서는 포스코(POSCO) 및 현대제철 등 자동차용 강판을 생산하는 업체에서 국내외
자동차 생산업체에 강판을 납품하기 위해 고속인장물성 평가를 위한 자체 인프라를 갖추어
물성 평가 및 데이터 제공을 하고 있다. 특히, POSCO의 경우, 최근 기가스틸(Giga Steel,
초고강도 경량강판)을 개발하고 각종 매체를 통해 홍보 중이며, 매년 오토모티브 스틸 데이터북
(Automotive Steel Data Book)을 발간, 배포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는 국가
참조표준센터로 지정된 고속물성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자동차 구조용 소재에 대한 고속물성
데이터를 생성, 보급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차체 부재 경량화와 성능의 고강도화를
달성하기 위해 경량 금속 소재 및 탄소복합섬유 소재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부품 제작을 시도
하고 있으며, 개발된 부재의 시험 평가를 위한 충돌시험을 수행 중이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
종합연구소에서는 인적・자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 충돌, 극저온 등 극한하중
및 극한환경을 모사하여 재료 및 부재의 거동 및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극한성능실험센터
(EPTC)를 2018년에 개소하여 운영 중이다. 원자력발전소 격납 건물에 대한 항공기 충돌 모사
실험을 위한 가스건(gas gun) 설비, 극한온도실험시설 등의 시험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3) 향후 전망
(1) (초고온 환경) 초고온 금속 소재기술
발전, 항공용 가스터빈 등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는 발전효율 향상, 항공우주 분야
활용을 위해 점차 고온, 고압 환경용으로 소재 포트폴리오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세계 시장에서 초고온 금속 소재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OEM사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국내 기술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해외에서 상용되고
있는 Ni기 단결정 합금에 대해서도 국내에서는 합금 특성 데이터베이스 부족, 신뢰성, 양산성
평가가 진행 중에 있어 현재까지는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초고온 금속 소재의 실용화에는
가스터빈 등 장비의 설계 데이터에 기반한 여러 조건에서의 인장, 크리프, 피로, 내산화 특성
등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된다. 이는 수년 이상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특정 기관 단독
으로 진행하기에는 요구되는 데이터가 너무 방대하여,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하에 산・학・연의
연구역량을 집중하여야 한다.
∙∙∙ 24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극저온 환경) 극저온 특수합금 소재기술
현재는 액체수소가 주로 대용량 저장 및 이용을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향후에는 대형 트럭,
열차, 선박, 드론을 비롯한 도심항공교통(UAM), 군사용 드론, 농업용 드론, 수소에너지저장
시스템(HESS) 등 수소경제 사회의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실제로 이미 국내외 기업에서
액체수소 드론의 실용화를 위한 시스템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극저온 및 수소 환경에 적합한 극저온 및 수소 환경에 적합한 소재 개발이
필수적이다. 일차적으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ASS)을 비롯한 기존 소재에 대해 극저온
및 수소 환경에서의 물성 거동을 이해하고 충분한 데이터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한 물성
평가 기반구축이 함께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 소재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금속-수소 반응에 대한
이해 수준을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환경에 최적화된 신소재들을 개발함으로써
소재를 선택할 수 있을 정도의 대중화 및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 (특정극한 환경) 초고속/내충격 소재 평가기술
현재 당면하고 있는 신기후체제와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 속에서 이동수단의 에너지원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장과 그 안에서의 새로운 주도권 싸움
에서 업체들은 경량화와 안전성 달성을 위한 소재의 중요성에 대해서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동수단 뿐만 아니라 국가기간산업, 국방, 항공우주 산업 등 국가 주도적인 첨단기술 산업에서도
극한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러한 새로운 소재의
개발과 적용에는 반드시 평가가 수반된다. 그러므로, 미래에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소재
평가기술이 아닌 고난이도이나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평가기술의 선도 및 수행 가능
여부가 미래기술 발전에 있어서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극한하중 환경에서 소재를 평가하는
기술은 우선 환경 모사가 매우 어려우며, 위험성이 높아 측정이 어렵다. 미래에는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는 기술의 발전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과거 변형률 측정의 어려움은
고속 카메라의 기술 발전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이 되었으나, 하중 측정의 어려움은 여전한
난제이다. 하중 신호에서 효과적으로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기술, 획득한 하중 신호를 후
처리하는 기술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평가 장비의 대형화 또는 정반대로 소형화의 요구도
있다. 마지막으로 폭발을 모사하는 장비와 낙하 시험장비 등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큰 장비에
대한 안전시설도 중요한 요구사항 중 하나이다.
246 ∙∙∙
측정표준・측정과학
1) 개요
측정표준이란 산업 및 과학기술 분야에서 물상상태(物像狀態)의 양의 측정단위 또는 특정량의
값을 정의하고, 현시(顯示)하며, 보존 및 재현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물적척도, 측정기기,
표준물질, 측정방법 또는 측정체계를 말한다22). 측정표준에 기반한 국가의 측정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표준화(standardization), 인정(accreditation), 인증(certification), 시험(testing),
측정(metrology) 등 국가품질인프라(NQI, National Quality Infrastructure) 구성요소 간
조화가 중요하다. 측정신뢰성은 국가측정표준기관(NMI, National Metrology Institute)23)
에서 확립된 소급성을 포함하는 국가측정표준이 표준화 및 적합성 평가기관 등을 통해 수요자
에게 전달되면서 확보된다. 국제도량형총회(CGPM)는 1875년 5월 20일 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17개국이 미터협약을 체결한 데서 유래하여 매년 5월 20일을 세계 측정의 날(World
Metrology Day)로 정하였다. 이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국가
측정표준기관들은 매년 세계 측정의 날을 기념하며 과학과 산업의 기반이 되는 단위와 측정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2022년 세계 측정의 날에는 ‘측정표준, 디지털 세상의 기준(Measurements
in the Digital Era)’을 주제로 하여 디지털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과정에서의 측정표준 역할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2022년 11월 개최된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측정표준의 변화하는 수요’에 대한
보고서가 채택 결의되었다.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기후변화 및 환경, 보건 및 생명과학, 식품
안전, 에너지, 첨단제조, 디지털 혁신, 새로운 측정표준이라는 7대 측정표준 거대이슈가 도출
되었고, 이에 대해 각국의 국가측정표준기관들이 변화하는 측정표준 수요를 해결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공유되었다.
22) 「국가표준기본법」제3조(정의) 제3호 측정표준의 정의
23) 국가표준을 개발 및 유지, 국제적으로 인정된 소급성 제공, 국가 표준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여 교정서비스 등을 통해
국가 내 사용자에게 측정과학 전문지식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대한민국의 경우, 「국가표준기본법」제13조(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 제1항에 의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으로 지정되어 있음
∙∙∙ 24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표 3-4> 7대 측정표준 거대이슈(Metrology Grand Challenge)
구분 측정분야 주요과제
기후변화 및 환경 ∙ 올바른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후 모니터링 체계 향상, 오염물질 배출 규제 등
보건 및 생명과학
∙ 실시간 체내・외 진단 지원 측정기술 개발
∙ 규제 대상 의료기기 교정소급성 확립 등
식품 안전 ∙ 표준물질 제공, 분석방법 검증, 빅데이터 및 복잡한 데이터세트 분석, 실험실 간 국제비교 진행
에너지
∙ 재생가능 에너지원의 성능 특성화 및 개선을 위한 측정방법 개발
∙ 지속가능한 탄소 기반 에너지원 및 저탄소 에너지원 활용에 필요한 측정기술 개발 등
첨단제조
∙ 디지털 측정 알고리즘 검증 및 센서의 동적 교정
∙ 센서 네트워크의 전체적 처리방법 및 복잡한 시스템의 불확도 평가 등
디지털 혁신
∙ FAIR(Findable, Accessible, Interoperable, Reusable)원칙에 기반한 Machine actionable SI
프레임워크 개발
∙ 연구데이터의 재현성 및 데이터 품질/모델의 평가/정량화 표준 개발 등
새로운 측정표준 ∙ 센서 네트워크, 분산 측정, 내재 측정표준, 측정과학의 발달, AI 및 빅데이터
세계 각국의 국가측정표준기관들은 사회, 과학 및 경제에 도움이 되는 측정과학의 진보와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측정표준의 유지・개발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미국,
독일, 영국 등 3개 주요국의 국가측정표준기관(NMI, National Metrology Institue)은 전통적인
표준연구에 국한하지 않고, 측정기술 개발을 통해 전략산업기술 개발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기술 개발까지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표 3-5> 주요국 국가측정표준기관 중점 연구분야
국가(기관명) 내용
미국 (NIST)
∙ 양자과학, 인공지능, 합성생물학, 사물인터넷의 4개의 영역에 대해 전략적 초점을 두고, 장기투자영역
으로서 중점적인 연구 추진
독일 (PTB)
∙ 새로운 자연상수에 대한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인 측정방법의
개발과 이에 따른 측정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전략으로 추진
영국 (NPL)
∙ 영국 산업전략에 명시된 바와 같이 첨단제조, 디지털(5G, 양자기술 등 포함), 에너지 및 환경, 생명과학
및 건강 등 국가적 도전에 관한 연구전략 제시
나) 국내동향
(1) 측정표준 연구개발
국제단위계(SI)의 7개 기본 측정단위 중 4개(kg, K, A, mol) 단위가 물리상수에 기반하여
2019년 재정의되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가측정표준기관으로서 향후 재정의가 예상되는
시간 단위(s)에 대응하여 이터븀 광시계 개발에 힘쓰고 있다.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무역기술 장벽 제거에 필요한 국가측정표준의 상호인정협정
248 ∙∙∙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 MRA)을 1999년 세계 각국과 체결하고, 교정 및 시험
성적서의 상호인정에 필요한 국가측정표준의 국제적 동등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개발을 주도
하고 있다. 국제비교(KC, Key Comparison) 주관・참여 실적은 국제적 동등성 확보와 관련
하여 국가의 측정표준 연구역량을 나타내는 대표적 수치로써 우리나라는 2022년까지 509건
(누적) 참여하며 세계 5∼6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표 3-6> 우리나라 KC 수행실적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국가 중 순위
국제비교 주관 건수(누적) 89 91 9224) 92 세계 5위 수준
국제비교 참여건수(누적) 450 479 504 509 세계 6위 수준
국내에서도 전통적인 표준연구에서 나아가 국가표준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표준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12대 중점추진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통해 총 2,514억 원이 투자되었다.
디지털 기술 및 탄소중립 관련 표준화 활동 강화에 중점을 두고 117개 세부과제를 추진했다.
<표 3-7> 2022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추진사업 내역
기본계획의 4대 분야 기본계획의 12대 중점추진과제 세부사업수/예산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표준화
① 디지털기술 표준화
② 국가유망기술 표준화
③ 저탄소기술 표준화
24개 / 317억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표준화
① 맞춤형 시험・인증 서비스 확대
② 국내외 기술규제 애로 해소
③ 新측정표준 개발・보급
36개 / 1,489억
국민이 행복한 삶을 위한 표준화
① 생활밀착 서비스 표준화
② 사회안전 서비스 표준화
③ 공공・민간데이터 표준화
29개 / 391억
혁신 주도형 표준화 체계 확립
① R&D-표준-특허 연계체계 확보
② 개방형 국가표준체계 확립
③ 기업 중심 표준화 기반구축
28개 / 317억
24) KCDB(국제비교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BIPM의 공식 DB)의 주관기관 정보 입력 오류가 수정되어 주관 건수 93건
→ 92건으로 수정
∙∙∙ 24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
국가・사회적 현안이슈에 대해 신뢰성 높은 측정과학기술 개발을 통해 측정기반의 해결책을
적시 제공하고자 방사선 측정표준 확립 및 신수요 대응 측정기술개발, 기후 관측・감시기술
고도화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측정 플랫폼 구축과 더불어 교통인프라, 원전해체, 수소스테이션
등 국가 인프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안전측정기술 개발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양자기술은 여러 기술 분야 간 융합을 통해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파급력을 지니며, 양자
수준의 측정 및 제어 원천기술은 양자센싱 뿐 아니라 양자통신 및 양자컴퓨팅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싱・계측 관련 혁신적인 기반기술개발과 함께 성능 평가를
위한 새로운 기준 확립을 위해 초전도 큐비트 제작・제어・측정기술, 원자 양자플랫폼 생성기술,
초고감도 양자자기 센서기술, 얽힘 광자쌍 생성・측정・응용기술 등을 포함한 연구개발이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국가측정표준 보급 및 확산
국가품질인프라(NQI)를 통한 측정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2022년도에도 다양한 측정표준
보급 활동이 수행되었다. 측정소급성 확보를 위한 교정 및 인증표준물질(CRM) 개발・보급, 측정
전문인력 양성 교육, 측정클럽 활동을 통한 애로기술 지원, 참조표준을 통한 높은 신뢰성 수준이
확보된 데이터 제공 등이 진행되었다. 2022년 현재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CRM은 496종에
이르며, 이를 통해 화학, 식품, 농산물, 의료 등 국민의 삶의 질에 관련된 측정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교정・시험・CRM의 경우, 국가측정표준기관으로서 한국표준
과학연구원만이 개발・보급할 수 있는 1차 표준(Primary Standards) 서비스를 지향하고 국내 교정
기관이 담당할 수 있는 2차 표준(Secondary Standards) 서비스는 적극 이관하였다. 이를 통해
대내적으로는 양적 성과보다 질적 성과 제고시키고, 대외적으로는 교정기관에 많은 서비스를
이관함으로써 교정 산업생태계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표 3-8> NMI(KRISS)의 국가측정표준 보급 활동 및 실적
연도 교정(건) 시험(건) CRM(건) 교육(명) 측정클럽(클럽수)
2019년 4,977 2,221 1,933 599 온습도, 압력 분야 등 26개
2020년 5,997 2,958 2,626 311 온습도, 압력 분야 등 26개
2021년 4,807 2,898 3,158 604 온습도, 압력 분야 등 24개25)
2022년 3,913 2,027 2,303 580 온습도, 압력 분야 등 24개
25) 2021년 비대면으로 활동을 재개하였으며, 측정클럽의 성격이 비슷한 클럽은 협의를 거쳐 통합시키거나 다른 고유
홈페이지가 있는 경우는 제외시키는 등의 조정과정을 거쳐 클럽수를 현실화 함
250 ∙∙∙
3) 향후 전망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있어 급속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측정표준과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에 있어 체계적인 연구 협력이 필요하다. 국제도량형총회
(CGPM)에서 채택 결의된 ‘측정표준의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단위계(SI)에
기반하여 기본단위 및 유도단위 중심으로 조직된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자문위원회(CC,
Consultative committee)별 기존 활동에서 나아가 앞으로는 글로벌 문제해결을 위해 각 자문
위원회(CC) 간의 경계를 넘어서 다학제적인 접근에 따른 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에서 제시된 추진방향에 따라 해당 목표 이행을
위해 신 측정표준 개발 및 보급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제
단위계(SI) 재정의 구현을 통한 신국가측정표준확립’, ‘국가・국민생활 문제해결 인증표준물질
및 측정표준기술 개발’, ‘미래 혁신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측정기술연구’, ‘국가측정표준 보급
체계 선진화’를 중심으로 국가측정표준 및 측정과학기술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측정표준 및 측정과학기술 연구가 국가측정표준체계 확립과 국가・국민생활 문제해결에
기여함으로써 ‘현재’ 뿐만 아니라, 첨단산업을 위한 측정장비, 양자기술 실용화를 위한 측정
기술 개발과 같이 ‘미래’ 혁신산업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기반연구라는 중요성이 앞으로 더욱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이온가속기
1) 개요
중이온가속기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기 위한 가속기이다. 희귀동
위원소란 원자핵의 양성자 수에 비해 중성자 수가 많거나 혹은 적어 동위원소의 수명이 매우
짧은 불안정한 상태의 원소를 말한다. 지금까지 발견된 동위원소는 약 3천여 종으로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동위원소(약 1만여 종)의 일부에 불과하며, 아직 발견되지 않은 희귀동위원소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 25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7] 희귀동위원소의 특징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동지구에는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의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RAON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중이온을 빠르게 가속한 후 표적 물질에 충돌시켜 아직 발견
되지 않았거나, 자연 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희귀동위원소는 초저에너지 실험장치 및 저에너지 실험장치를 통해 그 특성과 성질을 연구할
수 있으며, 고에너지 실험장치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의 원자핵 특성 연구 또는 여러 응용연구가
가능하다.
RAON의 가장 큰 특징은 두 가지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인 ISOL(Isotope Separation
On-Line) 방식과 IF(In-flight Fragmentation) 방식을 결합한 것이다. ISOL 방식은 두꺼운
표적에 양성자를 충돌시켜 대전류 저에너지 동위원소 빔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벼운 이온(양성자
등)을 가속한 후 무거운 표적원소(우라늄 등)에 충돌시켜 표적 쪼개짐을 통해 많은 양의 희귀
동위원소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IF 방식은 얇은 표적에 중이온을 충돌시켜 소전류 고
에너지 동위원소 빔을 생성하는 것으로, 무거운 이온(우라늄 등)을 가속한 후 가벼운 표적원소
(탄소 등)에 충돌시켜 빔 쪼개짐을 통해 다양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252 ∙∙∙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8] 중이온가속기 RAON의 희귀동위원소 생성원리
RAON은 ISOL 방식과 IF 방식의 독립적인 운영뿐만 아니라 융합 운영이 가능함에 따라
단일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고, 융합 운영을 통한 장점을 극대화하여
지금까지 발견하지 못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26)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해외 중이온가속기는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된다. ISOL(Isotope
Separation On-Line) 방식의 중이온가속기는 캐나다 국립가속기연구소(TRIUMF)의 ISACⅡ,
프랑스 국립대형가속기연구소(GANIL)의 SPIRAL2,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ISOLDE가
있으며, IF(In-flight Fragmentation) 방식의 중이온가속기는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SU)의
FRIB,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RIBF, 독일 GSI 헬름홀츠 중이온연구소의 FAIR가 대표
적이다.
<표 3-9> 국내・외 대형 중이온가속기 및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
구 분
한국
(IBS/
RAON)
캐나다
(TRIUMF/
ISACⅡ)
프랑스
(GANIL/
SPIRALⅡ)
유럽
(CERN/
HIE-ISOLDE)
미국
(MSU/
FRIB)
일본
(RIKEN/
RIBF)
독일
(GSI/
FAIR)
희귀동위원소
생성방식
①ISOL, ②IF
③ISOL+IF
ISOL IF
운영 여부
저에너지구간
시운전 중
운영 중 구축 중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26) 이론적으로 존재가 예측되는 10,000여 종 가운데 80% 이상 생성 가능
∙∙∙ 25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이 중 2022년 5월 2일, 본격적인 운영을 개시한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SU)의 FRIB
(Facility for Rare Isotope Beams)은 IF 방식을 통해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연구시설
중 가장 빔 출력(400kW)이 높은 시설이다. 미국에서는 핵물리학자들을 중심으로 1990년대
초부터 희귀동위원소 발생 장치의 필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미국 핵과학자문위원회
(NSAC)는 1996년 발행된 보고서「Nuclear Science: A Long Range Plan」를 통해 중이온
가속기 구축을 권고했고, 이후 중이온가속기 구축에 필요한 예산 등의 실무적인 논의가 진행
되었다. 2008년 미국 에너지부(DOE)는 미시건주립대학교(MSU)를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의
추진기관으로 선정하였고, 이후 본격적으로 FRIB이 착수되었다. FRIB에서는 2022년 6월
FDSi(FRIB Decay Station initiator)를 활용한 칼슘-48(Calcium-48)의 베타 붕괴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관련 논문이 11월에 게재되었다. 앞으로도 FRIB에서는 희귀동
위원소 빔 발생, 핵천체 물리학, 천체물리 및 우주진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다.
자료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FRIB_first_beam.jpg
[그림 3-9]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MSU)의 FRIB 초전도 가속모듈
또 다른 IF 방식의 중이온가속기인 FAIR(Facility for Antiproton and Ion Research)은
독일 GSI 헬름홀츠 중이온연구소가 구축하고 있다. FAIR는 전 세계 유일의 반양성자(반물질)와
중이온 충돌을 통한 희귀동위원소 발생 시설로써, 천체물리 및 핵 구조 연구를 위한 핵반응
연구, 핵 구조 및 희귀동위원소 생성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FAIR 프로젝트의 구축은 2007년부터
추진되었으나, 사업 지연 및 사업비 증가가 수차례 반복되었다. 2022년 4월 FAIR 위원회는
254 ∙∙∙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사업점검위원회를 통해 사업 전반을 점검하였다. 사업점검위원회는 연구
시설 측면에서의 경쟁력, 건설공사 진행 현황, 추가 소요예산 및 향후 계획을 중심으로 점검을
실시하였다. 점검 결과, FAIR를 대체할 수 있는 시설은 아직 없고 사업이 상당 기간 지연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FAIR를 통해 핵물리학의 많은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프로젝트의
단계별 추진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독일 정부는 FAIR 사업추진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다.
자료 : M. Konradt, GSI/FAIR. https://www.gsi.de/en/media-news/media_center#c57043
[그림 3-10] 독일, GSI 헬름홀츠 중이온연구소 FAIR 건설 현장
프랑스 국립대형가속기연구소(GANIL)의 SPIRAL2(Système de Production d'Ions Radioactifs
en Ligne2)는 ISOL 방식의 중이온가속기로서, 기존 SPIRAL1 가속기와의 연계 및 업그레이드를
통해 방사선 및 안정 이온 빔을 활용한 최첨단 연구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SPIRAL2 프로젝트는
초전도선형가속기와 실험장치인 NFS(Neutron for Science)를 구축하는 Phase 1, DESIR
(실험장치)를 추가 구축하는 Phase1+, 새로운 이온원(A/q=7)을 시운전하는 Phase1++, 기존의
SPIRAL1과 SPIRAL2를 결합하는 새로운 시설을 구축하는 2단계 사업으로 구성된다.
SPIRAL2 구축은 2005년 프로젝트 개시 이후 2011년 본격적으로 구축에 착수하였으며, 2019년
Phase 1 단계를 공식적으로 완료하였다. 이후, 장치 시운전 및 커미셔닝(commissioning)27)을
27) 완성된 장치가 원래 목적에 맞게 가동되는지 성능을 테스트하며 시운전을 실시하며 출력을 상승시켜가는 과정
∙∙∙ 25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거쳐 2021년 12월 공식적인 운영을 개시하였고, 2022년 9월 초전도 선형가속기를 통해
7MeV/u의 Oxygen beam을 가속하는데 성공하였다.
나) 국내동향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추진 중인 중이온가속기구축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구축을 통해 글로벌 기초연구 거점 안착 및 국내 기초
과학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중이온가속기 구축사업은 장치구축사업과 시설건설사업
으로 구분된다. 장치구축사업은 고에너지(200MeV/u), 대전류(400kW급) 중이온 빔을 제공
하는 가속장치, 기반장치, RI생성장치, 실험장치의 개발 및 설치를 목적으로 하며, 시설건설
사업은 중이온가속기의 안정적인 가동과 쾌적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지원시설을 건설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전경 중이온가속기 주요 장치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1) 가속장치
가속장치는 입사기, SCL3(저에너지 선형가속장치), SCL2(고에너지 선형가속장치)로 구성
된다. 입사기는 중이온을 생성하여 SCL3에 전달하는 것이며, 무거운 이온을 생성하는 28GHz
ECR 이온원과 가벼운 이온을 생성하는 14.5GHz ECR 이온원 그리고, 이온원으로부터 생성된
이온빔을 SCL3로 전송하는 LEBT, RFQ, MEBT로 구성된다. SCL3는 입사기로부터 전송된
중이온빔을 18.5MeV/u(우라늄 기준)까지 가속시키는 장치이며, 전단부 가속장치(QWR)와
후단부 가속장치(HWR)로 구성된다. SCL2는 SCL3에서 가속된 중이온빔을 200MeV/u(우라늄
기준)까지 가속하는 장치이다.
2021년 10월 빔시운전 목표성능을 달성한 14.5GHz ECR 이온원은 2022년 한 해 동안
다양한 a/q 및 이온에 대한 이온원 컨디셔닝 실험을 통해 Argon, Oxygen 빔에 대한 데이터를
256 ∙∙∙
축적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성능개선 및 빔 운전 조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빔 운전의 안정성을
높였다.
빔뷰어를 통해 촬영한 Ar(9+) 빔 형상 SCL3 초전도가속모듈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11] 가속장치 구축현황
SCL3는 가속 모듈 진공 배기 등의 빔 인출 관련 사전준비를 2022년 8월까지 완료한 후
9월부터 가속 모듈 냉각 및 고주파(RF) 인가 개시 등 본격적인 빔 인출 절차에 돌입하였다.
그리고, 2022년 10월 최초 빔 인출에 성공하였으며, 12월에는 QWR 전 구간 빔 인출에 성공
하였다. SCL2의 경우, 기술확보를 위한 선행 R&D 추진계획(안)을 수립하는 한편, 가속관 및
가속 모듈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2) 기반장치
기반장치는 중앙제어시스템과 극저온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중앙제어시스템은 중이온가속기
로컬장치들의 제어시스템을 단일화하고, 주요 구성장치에 대한 정보제공 및 빔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22년 한 해 동안 가속기-중앙제어 연동 빔 시운전을
추진하였으며, 동시에, SCL3 로컬제어 개발 및 SCL2 갤러리 제어 네트워크 구축을 완료하였다.
극저온시스템은 극저온플랜트를 통해 생산된 액체헬륨을 SCL3와 SCL2에 공급하여 초전도
가속관의 극저온환경을 유지시켜주는 시스템이다. SCL3 극저온플랜트 현장인수검사 및 인허가가
완료됨에 따라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하여 2022년 9월에는 QWR 모듈 냉각을, 10월에는
HWR 모듈냉각을 완료하였다.
∙∙∙ 25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중앙제어시스템 장치 운영 극저온플랜트 냉각 성공 기념사진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12] 기반장치 구축 현황
(3) RI생성장치
RI생성장치는 가속된 중이온 빔을 표적에 충돌시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장치이며,
ISOL 시스템과 IF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ISOL 시스템은 사이클로트론에서 가속된 양성자 빔을
표적에 충돌시켜 실시간으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고 분리하는 장치이며, IF 시스템은 SCL2에서
가속된 1차 빔을 표적에 입사하여 희귀동위원소를 생성, 분리, 전송하는 장치이다.
사이클로트론은 ISOL 시스템에 양성자 빔을 공급하여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해외제작 후 2021년부터 국내 현장 설치에 착수하여 2022년 11월 구축을 완료하였다. ISOL
시스템은 2022년 한 해 동안 표적 제조, RI 빔 분리/수송장치 성능시험, 표적 위치로의 양성자
빔 특성시험 등을 진행하였으며, 2023년부터는 RI빔 시운전에 착수할 예정이다. IF 시스템은
1단계 사업 목표인 장치설치를 2022년 12월 완료하였으며, 2023년부터는 시운전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이클로트론 ISOL 벙커 내 모듈 IF 고방사선구역 원격진공함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13] RI생성장치 구축현황
258 ∙∙∙
(4) 실험장치
실험장치는 RI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희귀동위원소를 추출하여 활용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가속에너지에 따라 초저에너지 실험장치, 저에너지 실험장치, 고에너지 실험
장치로 구분된다.
<표 3-10> 중이온가속기 실험장치별 주요 활용연구
초저에너지
실험장치
MMS 희귀동위원소의 질량 측정
CLS 희귀동위원소 핵전하 구조 분석
저에너지
실험장치
KoBRA 핵구조, 천체 핵반응 연구
NDPS 고속중성자 핵자료 생산
고에너지
실험장치
LAMPS 핵물질의 대칭에너지를 연구
μSR 물질 내 국소영역의 전자기장 특성 연구
BIS 중이온 빔 조사를 통해 물성 물리 및 의・생명 분야의 응용 연구
초저에너지 활용 연구의 목적은 희귀동위원소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원자핵의 질량,
전하분포, 모양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희귀동위원소의 원자핵 구조를 이해를 위한 기초 물리량을
얻는 것이다. 초저에너지 실험장치는 희귀동위원소의 질량을 측정하는 질량측정장치(MMS),
레이저분광학 기술을 이용해 핵전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동축레이저분광장치(CLS)가 있다.
2021년 장치설치 및 시운전을 완료한 질량측정장치(MMS)는 2022년에는 질량 분해능
100,000 이상을 달성하여 사이클로트론⇒ISOL시스템⇒MMS 연계 빔 시운전 및 활용연구
추진기반을 마련하였다.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추진된 동축레이저분광장치(CLS)는 구성장치
설치를 완료하였다.
질량측정장치(MMS) 질량분해능 Rm=110,000 ISOL-CLS 연결 빔라인
[그림 3-14] 초저에너지 실험장치 현황
∙∙∙ 25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저에너지 활용연구는 기초 물리량 정보가 확인된 안정 원소 또는 희귀동위원소의 특성과
고속중성자 및 물질 간 핵반응 연구를 통해 원자핵의 구조와 원소 생성원리, 핵 데이터를 파악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저에너지 실험장치에는 핵 구조, 천체 핵반응을 연구하는 되튐스
펙트로미터(KoBRA)와 고속중성자 핵 자료를 생산하는 핵데이터생산장치(NDPS)가 있다.
2021년도에 본 제품 구축을 완료한 되튐스펙트로미터(KoBRA)는 2022년도에는 최적화 및
안정화를 통해 장치성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일정이 일부 지연된 SCL3-KoBRA 빔 라인 리번처는
철저한 제작 관리를 통해 2023년도 내에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핵데이터생산장치(NDPS)는
구성장치 구축 및 개별성능 확인을 완료하였다.
되튐스펙트로미터(KoBRA) 핵데이터생산장치(NDPS)
[그림 3-15] 저에너지 실험장치 현황
고에너지 활용연구의 목적은 초저에너지 및 저에너지 영역에서 확인된 희귀동위원소를 이용
하여 극한 환경에서의 원자핵 물질 상태를 탐구하고, 이와 더불어 물성 물리 및 의・생명 분야
에서의 연구환경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고에너지 실험장치는 중이온 충돌 실험을 통해 핵
물질의 대칭 에너지를 연구하는 대수용다목적핵분광장치(LAMPS), 물질 내 국소영역의 전자기장
특성을 연구하는 뮤온 스핀 공명장치(μSR), 중이온 빔 조사를 통해 물성 물리 및 의・생명 분야
에서 응용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빔조사장치(BIS)가 있다.
뮤온 스핀 공명장치(μSR)는 스핀로테이터를 제외한 장치 개별성능 확인을 완료하였으며,
대수용다목적핵분광장치(LAMPS)와 빔조사장치(BIS)는 장치 통합 시운전을 완료하였다.
260 ∙∙∙
대수용다목적핵분광장치(LAMPS) 뮤온스핀공명장치(μSR) 빔조사장치(BIS) 빔라인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16] 고에너지 실험장치 구축현황
(5) 저에너지 가속구간 빔 인출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17] 중이온가속기 빔 인출 시험절차
중이온가속기연구소는 2022년 10월 7일 중이온가속기 저에너지 가속구간 최초 빔 인출에
성공하였다. 저에너지 가속장치를 극저온 상태(-268℃, 4.5K)로 냉각하여 초전도 상태로 만들고
고주파(81.25 MHz) 전력을 공급한 후, 아르곤(Ar) 빔을 저에너지 가속장치 전단부 QWR 5기
까지 빔을 가속하여 그 성능(가속에너지 701 keV/u, 빔전류 30.1μA)을 검증한 것이다. 12월
16일에는 QWR 전 구간(22기)의 빔 인출에 성공하였다.
빔 인출 성공은 우리 기술로 제작한 중이온가속기가 목표한 성능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 26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첫 관문을 통과한 것이며, 동시에, 극저온시스템, 중앙제어장치 등 기반장치와의 연동 운전에
성공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가속에너지 2.47MeV/u 달성 빔전류 34euA 달성 빔 에미턴스
자료 : 기초과학연구원
[그림 3-18] 중이온가속기 QWR 전 구간 빔 인출 결과
3) 향후 전망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과학자들은 LHC(강입자충돌기)를 통해 ‘신의 입자’로 알려진
힉스입자의 존재를 입증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한다고 알려져
있는 힉스입자는 모든 물질을 구성하는 17개의 기본입자 중 존재가 확인되지 못한 마지막 기본
입자이다. 약 50년 간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힉스입자를 LHC(강입자충돌기)를 통해 그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이처럼, 가속기는 우주의 비밀규명과 같은 기초과학 연구는 물론 신약개발, 반도체 등 신소재
개발 등에 다양하게 활용됨에 따라, 세계 각 국은 세계 최고 성능의 가속기를 구축하기 위해
더욱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중이온가속기는 자연계에서 발견하기 힘든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한 첨단 기초 물리학 연구부터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연구가 모두 가능함에
따라, 과학기술 선진국들은 중이온가속기의 구축과 활용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
된다.
중이온가속기연구소는 안정적인 가속기 운영을 통해 핵물리 등 기초 물리 연구부터 물성과학,
의・생명 등 응용연구 분야까지 실험장치의 활용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우선, 저에너지 가속
장치와 ISOL·실험장치를 연계한 빔 시운전을 통해 장치 성능 점검 및 최적화를 실시하고,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이용자에게 빔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에너지 가속장치 개발을
위한 선행R&D를 계속 추진할 예정이다.
262 ∙∙∙
준비 및 성장기 성숙기 도약기
∙ 다중핵전이 통한 원소 핵합성
∙ HCNO cycle 및 rp-process 관련
핵합성 단면적 측정
∙ 탄성 산란 및 비 탄성 산란 실험
∙ 관련 검출기 개발
∙ r-process 상의 반응 측정
∙ 희귀핵 및 핵물질 이론 연구
∙ 핵구조 연구를 통한 별의 원소
조성비 연구
∙ 희귀 핵 생성 및 연구
∙ 새로운 빔 활용 희귀 핵 반응 단면적
측정 연구
∙ 원소 기원 규명을 위한 주요 핵반응
경로 완성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2차 기본계획(2022~2030)(안)
[그림 3-19] 핵물리 분야 연구 추진(안)
또한, 중이온가속기의 효율적인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23년도부터 세계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이와 함께 중이온가속기 활용・성과 제고를 위해 국제학회
개최 및 국제공동연구그룹 형성을 추진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여러 기관과 협력하여
다양한 가속기 활용 사례를 발굴하는 한편, 가속기 활용 연구자 육성 및 활용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2. 원자력
2-1. 원자력・방사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개요
원자력・방사선 분야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고, 미래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원자력 안전・해체 기술, 사용후핵연료 저장・
처분 안전기술 확보, 원자력 외 타 기술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개척 등에 중점을
두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방사선 기술 고도화, 응용
방사선 기술 및 차세대 기술개발, 의료・소재 등 신산업 분야 개척 및 연관 산업 발전을 지원
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에서는 기초연구 투자, 인력양성 지원을 통한 원자력・방사선 분야 연구
기반 확충도 지원 중이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원자력・방사선 분야 등에 총 36개 사업, 2,466억 원을 지원
하였다.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 26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사업,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 ICT기반원자력안전혁신기술개발사업 등 총 15개 사업에
1,254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방사선기술 분야에서는 방사선기술개발사업, 방사선고부가신소재
개발사업, 첨단방사선융합치료기술개발사업 등 총 9개 사업에 638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원자력 기초・기반 분야에서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원자력기초연구지원사업 등 총 12개 사업에
574억 원을 지원하였다.
가) 원자력 기술 분야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원자력 안전기술, 원전해체 기술확보, 타 기술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개척을 지원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첨단
예측평가, 사고 예방 및 사고 대응 분야를 중심으로 극한환경에서의 안전, 최적 사고대응 등을
위한 원자력 안전기술 고도화 달성을 목표로 하는 가동원전 안전성향상 핵심기술개발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였다. 또한, 국내외 원전해체시장에서 해외기업과 경쟁이 가능한 우위 기술을
확보하고, 기존 상용 원전해체 기술 대비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인간 및 환경
중심의 첨단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원전해체 안전성 강화 융복합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운영
하였다. 아울러, 중수로 안전관리 기술개발 및 사용후핵연료 처리기술인 파이로-SFR 연계시스템
개발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였다.
원자력 기술 개발 및 안전성 확보의 일환으로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안전성 향상 등 원전의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 지원하였다. 또한, 해양, 극지, 우주, 에너지 및 환경 등 미래 전략분야와 원자력 기술 간의
융・복합을 통한 미래 원자력 기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지속 지원하였으며,
한국형 소형 원자로(SMART)의 경제성 및 안전성 강화, 그리고 수출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혁신기술을 지속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러한 원자력 기술 분야 지원으로 원전 정상 운전 조건에서의 성능 향상 및 사고 저항성
강화를 위한 사고저항성 핵연료 소결체・피복관 소재 제조기술 및 상용 공정 연계기술 등을
개발하여 방사성 물질의 환경 누출 배제에 기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2023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안전성・경제성・유연성을 갖춘 혁신형 소형
모듈원자로(i-SMR) 및 용융염 원자로(MSR) 기술개발, 표준설계 및 검증을 통해 국가 원자력
에너지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전 해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신규로
추진할 예정이다.
264 ∙∙∙
금속 미소셀 소결체 소재 세라믹 미소셀 소결체 소재 피복관 부식 방지막 제조 기술 피복관 코팅 시스템(AIP)
[그림 3-20] 미소셀 소결체 소재 성능 개선 [그림 3-21] 피복관 제조 기술
나) 방사선 기술 분야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방사선기술 고도화, 응용 방사선 기술 및 차세대 기술개발 추진,
신산업분야 개척 및 연관산업 발전을 지원하였다. 방사선 응용기술을 이용한 환경문제(폐플라
스틱) 및 의료난제(희귀난치질환) 등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신규사업을
운영하였다. 아울러 가속기를 통한 방사선동위원소 생산기술과 관련 인프라 고도화 및 동위
원소 공급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지원 사업과 의료용 중입자가속기 구축 사업을 지속적
으로 추진하였다.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의료 산업 발전을 선도하고, 방사선
기술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신소재 개발과 방사선 제어 및 차폐기술 고도화를 통한 의학기술
접목과 생활 방사선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연구개발 사업을 지원하였다.
방사선 기술 분야 지원으로 분해성 플라스틱 원료 소재 생산 테스트 및 방사선 육종 기술
확립하여 100% 수입 의존으로 수급이 불안정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용 식물자원 소재를
국산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2023년에는 수출용 신형연구로 생산 고수요 의료용 및 산업용
동위원소의 상용화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로 국내 안정공급 및 수출산업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출용 신형연구로 생산 동위원소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운영할 예정이다. 그리고,
기 확보된 방사선 인프라를 활용하여 국제표준규격에 부합하는 방사선/능 성능평가 기술기준,
방사선 의료기기에 대한 정밀측정 및 표준화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기 위한 방사선기기 품질
관리 및 검정 체계 고도화사업도 신규로 운영할 예정이다.
대규모 방사선 전이 집단 구축 방사선 처리 원료물질 생산 방사선 처리 원료물질 실증 방사선 처리 원료물질 실증
[그림 3-22] 방사선 분해성 원료물질 생산 및 실증
∙∙∙ 26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다) 기초・기반 분야
기초・기반 분야에서는 원자력과 방사선 분야 연구기반 확충을 위한 기초연구 및 인력양성
지원 강화를 지원하였다. 동위원소 생산기술 및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동위원소 공급 역량 확충과
관련 산업기반 조성 필요성 제기에 따라 시작된 방사성동위원소 산업 육성 및 고도화 기술 지원
사업을 지속 운영하였다. 아울러 방사선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지원 및 방사선 기술을 활용하여
우주・나노・생명 등 여러 분야의 기술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목적지향형 기초연구를 지속 추진
하고 있다.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미래 원자력 기술수요에 대비하여 융복합 연구 전문인력양성을 지속
지원하고 연구 및 교육용 시설과 장비 구축, 공동활용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자의 생애주기별 맞춤형・혁신형 기초연구 지원 지속 추진을 통해 미래 기술 선점을
위한 교두보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원자력 안전・해체 기술,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기술 확보, 원자력
외 타 기술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개척 등에 중점을 두고 원자력 분야 국가연구
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며, 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개발사업, 혁신형 소형
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 등 16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방사선 기술 고도화, 응용 방사선 기술 및 차세대 기술 개발, 의료・소재 등 신산업 분야 개척
및 연관 산업 발전을 위한 9개 사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초연구 투자, 인력양성
지원을 통한 원자력・방사선 연구기반 확충을 위하여 11개의 사업을 운영하여 인력양성 및 국제
공동연구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266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공급망 불안, 지정학적 위기 심화 등으로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기 자동차와 같이 최종 에너지 소비 부문에서의 전력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력 생산 부문의 탈탄소화에 대한 요구는 더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수소・담수 생산 및 해양・우주
분야 등으로의 확장성을 염두에 둔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원자력 발전을 친환경 경제활동으로 분류한 EU 택소노미(Taxonomy)를 발표
하면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는 동시에 원자력 안전과 사용후핵연료 관리 문제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유럽연합은 2045년 이전에 건설 허가 확보, 2025년
까지 사고저항성 핵연료 적용 등의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사용후핵연료 관리 차원에서
2050년까지 고준위방폐장 운영을 위한 세부계획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유럽연합이 제시한 세부
조건들은 원자력을 활용하거나 수출을 추진하는 국가들에 영향을 미쳐 각 국별로 기술개발 수준과
정책적 환경을 고려하여 연구개발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방사선 분야에서는 방사선 고유특성을 이용한 물성변환, 정밀분석 기술이 신산업 창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오염원 추적 및 저감을 위한 화학적 처리와 유전자조작 기법의
대안 기술로도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아울러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암, 치매, 관절염 등 대표적인
난치성・만성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진단・치료기술로서 방사선 기술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원자력시스템
2030년대 상용화를 목표로 전 세계적으로 70여 종의 소형모듈원자로(SMR)가 개발 중이며,
석탄화력발전을 대체하는 시장을 비롯하여 오지 전력공급 및 산업 공정열 공급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소형모듈원자로(SMR)가 개발 중이다. 주요국들은 아래 표와 같이 정부와 민간이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계획에 맞추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북미 지역에서는 기술
개발 및 투자유치는 민간기업, 재정적・제도적 지원은 연방정부, 실증사업 유치는 지방・주정부
에서 담당하는 등 이해당사자들 간 긴밀한 공조 체제가 갖추어지고 있다. 소형모듈원자로
∙∙∙ 26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SMR)는 공장 제작 및 설비・부품 제작 기간 단축, 운영경비 절감, 소규모 다수 모듈이 여러
지역에 분포됨에 따라 발전설비에 대한 보안성 문제 해결 등 기존 대형 원전과는 차별화된 혁신
적인 기술과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3D 프린팅, 전자빔 용접, 분말 열간등압
성형 등의 첨단 제조기술을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적용하여 부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개선하고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복잡한 설계를 구현하고자 재원을 투입 중
이다.
<표 3-11> 주요국들의 SMR 개발 추진 현황
국가 추진 현황
미국
∙ 에너지부는 TerraPower社의 Natrium(소듐냉각고속로형)과 X-Energy社의 Xe-100(고온가스로형)을 7년 내
실증하기 위해 전체 사업비의 50%를 지원
∙ 이 밖에 8개* 민간기업에 기술 및 재정적 여건을 감안하여 재정 지원 중
* 경수로 1기, 소듐냉각고속로 1기, 고온가스로 3기, 용융염로 2기, 열전도관 1기
캐나다
∙ 전 세계 다양한 SMR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규제기관과의 정보교류를 통한 인허가 이슈 발굴 및 가이드를 제공하는
공급자설계검토(VDR, Vendor Design Review) 진행 중
영국
∙ Rolls-Royce社는 다른 경수로 기반 SMR(300MWe 이하)에 비해 출력이 높은 UK-SMR(470 MWe) 개발
중(개념설계 단계)
∙ 수소 공정열 생산에 효과적인 고온가스로형 선진원자로를 ’30년까지 실증 목표
프랑스
∙ 프랑스 전력공사(EDF)를 중심으로 출력 300∼400MWe의 경수로 기반의 NuWard 원자로 개발 중(개념설계
단계)
러시아
∙ Afrikantov OKBM社는 경수로 기반 ‘KLT-40S’를 탑재한 부유식 해양원전을 상용화(’20.5.)한데 이어 용량을
증대한 해양용 SMR ‘RITM-200’ 개발 중
중국
∙ 고온가스로 기반 SMR(소형모듈원자로)인 HTR-PM이 전출력(250 MWe 2기) 운전(’22.12.) 달성에 성공하였으며,
600MWe 증기터빈 1기에 6기의 모듈을 구성하는 HTR-PM600 설계 최적화를 진행 중
세계 주요 국가들은 전력 생산뿐만 아니라 원자력을 활용한 수소생산 기술개발을 위해 다양한
목표를 제시하고 사업을 진행 중이다. 미국은 전기출력 1GW 원전 1기가 매년 최대 15만 톤의
수소를 생산할 것으로 추정하고, 에너지부는 뉴욕 소재 Nine Mile Point 원자력발전소 운영자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onstellation Energy 社)에 저온 양성자 교환 멤브레인(PEM) 전기분해
시스템 구축을 위한 보조금을 지급하여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오하이오주 소재 데이비스 베세(Davis-Besse) 원전에서는 저온 전기분해 시스템 연구를 통해
2023년 수소 생산을, 미네소타주 소재 프레리 아일랜드(Prairie Island) 원자력발전소에서는
고온 전기분해 실증연구를 통해 2024년 수소 생산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Utility Dive,
2022.11.).
일본원자력기구(JAEA, Japan Atomic Energy Agency)는 미쓰비시중공업과 함께 이바라키현
소재 고온가스시험로(HTTR: High Temperature Test Reactor)를 활용하여 수소 생산 실증을
268 ∙∙∙
진행하고 있다. JAEA는 2022년 말까지 인허가 및 장비 개조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향후,
대규모 수소생산이 가능하도록 고온격리 밸브와 같은 일부 장비 크기를 증대시켜 이를 고온
가스로와 결합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고온가스로의 고온열을 활용한 수소 생산
기술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수소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World
Nuclear News, 2022).
이러한 각 국가들의 노력에 발맞추어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는 원자력을 활용한 수소 생산 실증과 상용화를 위한 로드맵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World Nuclear News, 2022).
저온수전해-원자력
(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저온수전해 공정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
고온수전해-원자력
(원전에서 생산한 증기의 일부(수%)를 우회시키고 나머지
증기로 생산한 전기를, 우회시킨 증기 과열기(700 ℃이상)와
고온수전해 공정에 공급하여 수소를 생산)
자료 : 청정 수소생산 기술과 원자력의 활용 가능성, 원자력정책 Brief Report, 한국원자력연구원, 2022
[그림 3-23] 원자력을 이용한 수전해의 원리
미국 에너지부는 원자력을 상업용 선박 추진체로 활용하는 데 장애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을 위해 미국 해운국(ABS, American Bureau of Shipping)과 계약을
체결하였다. ABS는 아이다호국립연구소에 있는 국립원자로혁신센터(NRIC, National Reacteor
Innovation Center)의 지원을 받아 해양 부문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선진 원자로 기술 모델을
개발하고, 원자력 에너지의 상업적 활용을 위한 산업 자문 서비스 방안을 개발할 것이다(The
Maritime Executive, 2022). 현재 영국의 코어파워(CorePower社)는 미국의 테라파워
(TerraPower社)에서 개발 중인 염소염 기반 용융염원자로(MSR, Molten Salt Reactor)를
∙∙∙ 26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해양 적용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미국은 2021년 4월에 산업, 국방, 우주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이동형원자로(MNR, Movable
Nuclear Reactor) 구축 사업을 착수하였고, 2022년 1월에 아이다호국립연구소는 초소형원자로
연구 검증 및 평가(MARVEL, Microreactor Applications Research Validation and
Evaluation)를 위한 전열기 기반 프로토타입 제작을 제작하였다. MARVEL 프로토타입은 1차
냉각계통 장치 시험용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4개의 스털링 엔진을 포함한 여러 부품으로 구성
되어 있다. 향후, 실제 시험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원자로 성능을 검증할 예정이다
(미 에너지부, 2022).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달 환경에서 최소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된 40kW급 핵분열원자력 시스템 개발을 위해 록히드마틴社, 웨스팅
하우스社, IX社를 선정하였으며, 해당 업체들은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하에서 1단계 사업으로
12개월 이내로 초기 개념설계를 완료할 예정이다(World Nuclear News, 2022).
자료 : DOE(2022.), Idaho National Laboratory Builds Full-Sacle Prototype for Microreactor Project.
[그림 3-24] MARVEL 프로토타입
(2) 선진원자로 혁신 요소기술
미국 에너지부 ARPA-E(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Energy)에서는 선진원자로에
적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설계・운영 기술 개발, 사용후핵연료 문제 해결 등을 목표로 총 4개의
연구개발 사업을 운영 중이다.
270 ∙∙∙
2018년부터 운영 중인 MEITNER(Modeling-Enhanced Innovations Trailblazing Nuclear
Energy Reinvigoration)는 원전 건설 공기 및 운영인력 절감 등을 목표로 선진원자로 설계 및
제작 관련 혁신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MEITNER는 기존 원전 설계 방법에서 탈피한
안전하고 경제적이며,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선진원자로 설계 기술,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혁신
제조 공정기술, 자율 운전 기술 등 혁신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에너지부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원전 건설비용(Overnight Construction Cost)을 2$/W 이하(현재 5~7$/W), 원전 운영인력을
GW당 50 FTE(Full Time staff Equivalents)이하(현재 450 FTE) 수준, 건설공기(현재 60 개월
이상) 단축, 비상계획구역(현재 10 & 50mile) 최소화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ARPA-E는 선진원자로 개발 및 원전 유지보수 시스템의 혁신적인 전환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과 같은 혁신기술 개발을 목표로 GEMINA(Generating Electricity Managed by
Intelligent Nuclear Assets) 프로그램을 2019년부터 운영 중이다. GEMINA는 인공지능,
선진제어시스템, 예측 유지 보수 및 모델 기반 결함 감지를 위한 선진 센서와 계측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미국 원전의 유지보수 비용은 원전 총 발전 비용의 약 80%에 이르고 있어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원자로 유지보수 기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ARPA-E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여 원전의 고정 유지보수 비용을 2$/MWh(현재 13$/MWh) 수준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료 : www.Powermag.com, DOE ARPA-E
[그림 3-25] ARPA-E 원자력분야 연구개발 프로그램
ARPA-E는 2021년 선진원자로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과 사용후핵연료 관리 및 처리
개선을 위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 ONWARDS(Optimizing Nuclear Waste
and Advanced Reactor Disposal Systems) 프로그램을 착수시켰다. ONWARDS는 선진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양이나 처분장 면적을 10배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 개발과
실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고성능 폐기물 형태 개발을 통해 후행 핵연료주기 비용을 1$/
∙∙∙ 27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MWe-hr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정부문에서는 폐기물 양의
상당량을 최소화하고, 고유 핵확산 저항성 개선, 자원 활용성 증대, 핵연료의 재활용성 개선
등을 위한 기술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조치 분야에서는 정확하고, 적시에 핵물질 계량이
가능한 센서 개발과 데이터 융합기술을 접목한 혁신을 요구하고 있으며, 모든 처분환경을
고려한 혁신적인 고성능 폐기물 형태 개발을 추구하고 있다.
ARPA-E는 사용후핵연료의 재활용 관련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CURIE(Converting
Used nuclear fuel Radioisotopes Into Energy) 프로그램을 2022년에 착수했다. CURIE
프로그램은 선진원자로에 안정적으로 핵연료를 공급하고, 사용후핵연료 처분 부담과 환경적
영향을 줄여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종합적인 국가 전략을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ONWARD 프로그램에 이어 CURIE는 ARPA-E에서 추진하는 사용후핵연료 연구개발
관련 두 번째 프로그램이다. CURIE 프로그램은 선진원자로의 연료로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후
핵연료에서 재사용 가능한 악티늄족 원소를 그룹 회수하는 기술과 현장 공정 모니터링 통합,
폐기물 양 최소화 등을 위한 혁신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선진원자로의 연료비가
0.1¢/kW 범위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재처리 기술, 통합
모니터링 및 계량, 시설 설계 및 시스템 분석 등 총 3분야의 혁신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먼저 재처리 기술에서는 화학적 분리를 위한 사용후핵연료 집합체 해체/분리 관련 기술,
기체 공정 스트림 처리, 폐기물 부피 감소 및 고유 핵확산저항성 강화, 선진원자로 핵연료 공급
등의 세부 주제를 포함하여 대표적으로 습식 재처리, 파이로프로세싱, 불화 휘발성 분리 기술
관련 혁신 기술을 지원한다. 통합 모니터링 및 계량 분야에서는 핵물질의 정확하고, 적시 계량이
가능한 데이터 융합 기술의 혁신과 개선 관련 연구개발 사업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시설 설계
및 시스템 분석 분야에서는 재처리 시설의 안전조치성 개선과 건설 및 운영 비용 절감, 부지
선정 및 인허가를 용이하게 하는 설계・건설・운영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예, 모듈화, 설계
기반 안전조치 등) 관련 기술, 경제, 및 시스템 분석 혁신 기술을 지원한다.
(3) 방사선 응용
방사선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화학 제조 공정을 대체하는 친환경 기술, 유전자
조적 기술의 대안 기술, 노후시설 진단 기술, 난치성・만성 질환을 진단・치료하는 기술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 응용뿐만 아니라 대형 인프라를 중심으로 방사선 고유특성(비파괴성,
투과성, 전리성 등)을 기반으로 하는 물성변환, 정밀분석 기술등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발
중이다.
미국은 방사선 시장 점유율 강화를 위해 기업 중심의 융・복합 연구와 더불어 에너지부에서는
대형 방사선 시설 운영지원, 신규 방사선발생장치 개발, 국민 의료복지 및 건강과 관련된 방사성
272 ∙∙∙
동위원소(RI, Radioisotope) 생산 및 활용, 저선량 방사선 인체 영향 연구 등의 국가 주도형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2년 11월에 개최된 북미 최대 규모의 방사선 및 영상 의료기기 전시회인 RSNA(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에서는 전통적 분야인 X-ray, 초음파, MRI 등의 의료기기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병을 진단해주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들이
주목을 끌었다. 그리고 3D 프린팅을 통해 3차원으로 물체를 만들어 의료 영상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수술계획을 세울 수 있어 방사선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otra 해외시장뉴스, 2022)
유럽에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기업주도의 방사선 연구개발이 증가추세이며, 대학과 전문
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거점 구축과 시설 기반 유망분야 방사선 연구개발 지원, 그리고
Euratom 프로그램을 통해 원자력과 방사선 분야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방사선
연구개발 연구 기능을 통합・연계하여 화학・생명 분야와 융합연구, 융・복합 영상 기기 개발
등 종합적인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정부는 2022년 10월 공급망・통상, 신산업, 외교・안보 등 기술주권 관점에서의 전략적
중요성을 토대로 12대 국가전략기술과 50개 세부 중점기술을 발표하였다. 발표된 국가전략
기술에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이동수단 등과 함께 ‘차세대 원자력’이 포함되었
으며, 세부 중점기술로 ‘소형모듈형원자로’와 ‘선진원자력시스템・폐기물관리’가 포함되었다.
차세대 원자력 분야 단기(∼5년) 목표는 공공・민간 협업으로 안전성・경제성・유연성 등 세계최고
SMR 제조・핵심기술 확보를, 중장기(5∼10년) 목표로는 SMR 표준설계인가 취득 및 세계시장
진출, 그리고 수소・공정열 생산 등을 위한 4세대 원자로 기술개발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과 더불어 초일류국가 도약을 위해 미래기술 확보, 디지털 전환, 전략 산업
초격차 확대 등 도전과제 해결 추진을 위하여 ‘新성장 4.0 전략’ 추진계획을 2022년 12월에
발표하였다. 동 계획의 15대 프로젝트 중 ‘에너지 신기술’ 분야에서는 혁신형 SMR과 용융염
원자로(MSR, Molten Salt Reactor) 등 차세대 원자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민간 주도의 도전적인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민관 매칭펀드 조성・지원 등으로
초기 연구개발 리스크를 완화할 계획이다.
∙∙∙ 27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자료 : 한국수력원자력(주)
[그림 3-26] 혁신형 SMR 개념도
혁신형 SMR은 경수로기반의 소형모듈원자로로서 2028년까지 표준설계인가 획득 및 기술
검증 완료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혁신형 SMR은 원자로 계통의 주요기기인 증기
발생기, 펌프, 가압기, 원자로 노심을 하나의 압력용기 내에 최적화 및 밀집화하여 안전성과
경제성 향상을 도모한다. 아울러, 사고 발생 시 전력 공급 및 운전원 조작 없이 자연력을 이용
하여 원자로와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를 무한기간 동안 냉각하여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
적용된다. 또한, 주요 기기의 내구성 증가, 방사성폐기물 발생량 감소, 계통 간소화 등의 효과를
위해 원자로 냉각수에 붕산을 사용하지 않는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유럽연합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전력원으로 원전의 역할을 인정하면서
2022년 7월 ‘유럽연합 녹색분류체계(EU Taxonomy)’에 원전을 포함시켰다. 아울러, 2050
탄소중립 달성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계기로 에너지 안보 위기가 커지면서 국내외에서 원전의
역할이 재조명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국제 정세를 반영하여 원자력 발전을 한국형 녹색분류
체계에 포함하는 초안을 2022년 9월 발표하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12월에 확정하였다.
발표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지침서’에서는 SMR, 차세대 원전, 사고저항성핵연료, 방사성
폐기물 관리 등 원전의 안전성 향상과 국가 원자력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장기적 연구・
274 ∙∙∙
개발이 필요한 핵심 기술들을 녹색부문에 포함되어있다.
정부는 방사선 혁신성과 창출 기반 구축을 통한 방사선 산업 선도 실현을 목표로 ‘제3차 방사선
진흥계획(’22∼’26)’을 2022년 2월에 발표하였다. 발표된 계획의 연구개발 분야 중 ‘방사선 의・
생명기술’에서는 중개연구・임상시험 연구기반을 강화하고, 첨단 방사선 의료기기 원천기술,
희귀・난치암 치료기법 개발 계획을 담고 있다. ’융합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산업용 이온주입기,
제조공정용 저선량 가속기, 반도체・이차전지 등 핵심소재・부품 원천기술 개발, 우주방사선 분석・
영향평가 지원 체계 구축 등의 연구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회현안 대응기술’에서는 환경
오염, 방사선안전, 감염병, 식량안보 등 방사선 기술을 접목하여 신속하게 현장에 투입 가능한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제3차 방사선진흥계획
[그림 3-27] 산업 이용 방사선 융합기술 개발 전략
3) 향후 전망
2050년 탄소중립이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대두되면서 기후합의, 각국의 탄소감축 공약 등
으로 全지구적 탈탄소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국과 유럽연합에서 원자력이 녹색분류체계에
포함되고 미국에서는 선진원자로가 청정에너지로 분류됨에 따라 원자력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외 환경변화에 따른 글로벌 에너지 공급불안으로 인해 세계 각국은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독자적인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자국의 안정적인 연료 공급망을
바탕으로 차세대 원자로 개발 및 실증・배치에 적극 나서면서 미래 원전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미국과 프랑스 등은 차세대 원자로 개발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핵연료 공급을 위해
사용후핵연료 재활용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 규제
적용 분야가 다양화되고 격오지・극지・해양・심해・우주 등으로 원자력 기술을 활용하려는 노력이
∙∙∙ 27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양 분야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을
활용한 친환경 선박 및 해양 플랜트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조선・해양 분야와
원자력 분야와의 협력이 더욱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소가 탄소중립 달성 및 청정에너지 경제 전환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원인 원자력을 수소생산 기술에 접목하는 연구개발과 실증들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방사선 반응에 대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역량을 강화하고, 환경오염과 전염병 등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해 방사선 기술을 적용
하려는 노력이 더욱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전력 반도체 성능향상과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개발에도 양성자와 중성자가 활발히 활용될 것이며, 이를 위해 대형 인프라 성능 개선과
확장을 위한 노력이 지속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2. 핵융합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개요
핵융합에너지는 청정하고, 안전한 대용량 전력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닌 미래 에너지이다.
최근 글로벌 에너지 안보 위기 및 자원 패권 경쟁 심화로 전 세계적으로 핵융합에너지와 같은
새로운 에너지 자원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통한 지속 가능한 국가 신에너지 확보’를 목표로,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을 수립하고, 2050년대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
하기 위한 장기 일정 목표를 마련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2년에는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 KSTAR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핵융합 플라즈마 운전방식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미래 핵융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박사후연구원의 국제핵융합실험
(ITER) 근무를 지원하는 ‘Korea-ITER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KSTAR 연구 및 핵융합 연구기반 강화
KSTAR의 주요 연구목표는 2026년까지 초고온 고밀도 플라즈마 운전기술을 개발하여 1억도
플라즈마 300초 장시간 운전 목표를 달성하고, 2035년까지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운전 시나
276 ∙∙∙
리오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KSTAR에서는 장시간 초고온 핵융합 플라즈마
운전 달성을 위한 연구・실험이 수행되고 있으며, 2022년에는 특히 그간의 KSTAR 초고온 핵융합
플라즈마 운전성과 분석을 통해, ‘FIRE(Fast Ion Regulated Enhancement)’ 모드(mode)라는
새로운 핵융합 플라즈마 운전 모드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FIRE 모드는 미래 핵융합
상용로의 플라즈마 운전기술 확보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있는
연구성과이다.
한편, KSTAR 고성능 운전기술 향상을 위한 업그레이드 작업에도 본격 돌입했으며, 2023년에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KSTAR 주장치 핵심부품인 하단(lower) 디버터의
내벽재는 탄소에서 텅스텐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텅스텐은 탄소 대비 플라즈마 침식에 매우
강한 소재로, 해외 주요 실험장치에서도 텅스텐을 내벽재로 채택하고 있다.
아울러, 핵융합에너지 핵심기술, 타 분야와의 융합기술 개발을 통한 핵융합 연구기반 확대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융합 선도기술개발사업을 지속 확대하였다. 또한, 전력생산
실증 핵심기술 강화를 위해 16T급 고자기장에서의 초전도 도체 성능시험설비 개발・구축을
위한 신규 사업을 착수했다.
나) ITER 참여 및 기술・인력・산업 기반 강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업은 핵융합에너지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해 주요 7개국
(미국, 러시아, EU, 일본, 중국, 한국, 인도)이 공동으로 대형 초전도 핵융합 실험로를 건설・
운영하는 사업이다. ITER는 현 사업계획(2016 Baseline) 기준으로 2025년 장치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2년 10월 말 기준으로, 건설 공정률 77.7%를 달성하였다.
한국은 2003년부터 ITER에 참여해오고 있으며, 9개 주요 품목(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진공용기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조립장비류, 열차폐체, 삼중수소 저장・공급 시스템, 전원공급
장치 및 진단장치)을 개발・제작 및 조달하고, 할당 품목 이외의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2022년에도 한국은 진공용기 지지구조물 2개(7, 8번) 운송 등 핵심
품목의 제작・조달을 순차적으로 추진하였으며, 국내 산업체는 ITER 국제기구 및 타 참여국으로
부터 약 60억 원(총 11건) 규모의 용역과제를 수주(누적 총 172건 총 6,928억 원)하였다.
또한, 국내 핵융합 역량 강화를 위해 ITER 기구(ITER Organization) 근무자 확대를 지속적
으로 추진한 결과, 2022년 12월 기준 ITER 기구 한국인 전문가는 건설총괄 부문장 등을 포함해
총 65명(6.1%)이 근무 중이다. 특히, 2022년에는 한국 핵융합 신진인력 양성을 지원하기 위해
‘Korea-ITER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하여 ITER에 총 3명의 박사후연구원을
추가로 파견하였다.
∙∙∙ 27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림 3-28] ITER 사업의 한국 조달 현황
다) 국제 핵융합 연구협력 확대
핵융합에너지 개발은 모든 국가가 최초로 도전하는 기술로, 주요 기술 선도국과 적극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핵심기술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ITER의 핵융합 환경에서 삼중수소 증식, 열 추출 등 핵심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
블랑켓모듈(TBM)을 EU와 공동개발할 계획이며, 2022년에는 이를 위한 한-EU 간 TBM 공동
개발 파트너십 협정서(안)을 마련하였다. 이 협정을 통해 2012년부터 한국이 참여 중인
‘TBM 프로그램’은 EU 양자 공동개발로 전환되며, 이는 국내 핵융합에너지 실증 핵심기술 확보
극대화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2022년 10월 제18차 한-일 핵융합 협력 공동조정위원회, 2022년 12월 제10차 한-중
핵융합 협력 공동조정위원회 회의 개최 등을 통해 각국과 중점 협력 분야 및 실증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기술협력을 발굴・강화하였다.
3) 향후 계획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을 토대로, 2050년대 핵융합에너지
전력생산 실증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핵융합
기술 진보와 발맞추어, 향후 공공・민간의 기술 혁신 촉진, 미래 시장 경쟁력 확보에 유리한
278 ∙∙∙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2023년까지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를 위한 장기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고, 2024년까지
핵융합 규제 체계 기본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개발 경쟁에서
우리나라의 핵융합 핵심기술 선도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융합 주요국 및 민간 스타트업의
기술개발 전략 및 현황을 면밀히 추적하고, 이에 신속히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핵융합에너지는 인류가 당면한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미래 에너지원이다.
핵융합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각각 바닷물과 리튬을 통해 사실상 무한하게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와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
하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이자, 사고 발생 시에도 심각한 유해물질 유출이나 폭발과 같은 위험이
없는 안전한 에너지이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에 대한 전 세계적인 공감대가 확대되고, 탄소중립 정책 수립
및 신에너지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핵융합에너지 확보를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과 경쟁이
가열되고 있으며, 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뛰어든 민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50년대 핵융합 전력 생산 실증을 목표로, 초전도 토카막 장치인 KSTAR를
활용한 장시간 플라즈마 운전기술 개발과 함께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을 위한 핵심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과 함께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에 참여하여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기반기술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EU
EU는 2050년대 실증로(DEMO, DEMOnstration power plant) 전력생산을 목표로 한 실증로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실증로 로드맵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Inter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건설 일정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진행되는데, 2020년 말에는 실증로
예비개념설계(Pre-conceptual Design)을 완료하고, 개념설계(Conceptual Design)에 착수
하였다. ITER 운전 및 실증로 설계 지원을 위해, EU 핵융합 프로그램의 핵심 연구장치이자
∙∙∙ 27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중수소-삼중수소 실험이 가능한 JET에서는 2021년에 1997년 이후 약
15년 만에 두 번째 중수소-삼중수소 실험을 진행하였다.
EU는 핵융합 재료 테스트 및 검증을 위한 국제핵융합재료조사시설인 IFMIF-DONES
(International Fusion Materials Irradiation Facility–Demo Oriented NEutron
Source) 건설 프로젝트 또한 추진 중이다. IFMIF-DONES의 구체적인 목표는 EU 실증로
로드맵에 맞춰 2035년~2037년경 재료 조사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으로, 현재, IFMIF-DONES
공학설계 검증 및 운전 전문성 개발을 위한 IFMIF/EVEDA(Engineering Validation and
Engineering Design Activities)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EU-일본 간
BA(Broader Approach) 활동의 하나로, BA Ⅱ단계가 종료되는 2025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IFMIF/EVEDA와 별도로, IFMIF-DONES 건설에 관한 국제적 협력 활성화 및 건설 기반
구축을 위한 사전준비단계(DONES-PreP)가 2021년 말 완료하였다.
EU 실증로 설계 및 연구개발 지원을 관할하는 EUROfusion에서는 2021년 3월에 슈퍼컴퓨팅
자원을 기반으로 한 E-TASC(EUROfusion Theory and Advanced Simulation Coordination)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하였다. E-TASC는 핵융합 실험장치에 대한 컴퓨터 모델의 성능 및
예측력 제고를 목표로, 총 19개 과제에 총 5,980만 유로(한화 약 805억 원)가 투자된다. 지원
과제는 슈퍼컴퓨팅 자원을 지원하는 ACH(Advanced Computing Hubs) 과제(5개), TSVV
(Theory, Simulation, Validation and Verification) 과제(14개)로 구성된다.
(2) 영국
영국은 2040년경 세계 최초로 핵융합 상용화 가능성 제시를 목표로 STEP(Spherical
Tokamak for Energy Production) 건설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로드맵은 핵융합
에너지가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현재 산・
학・연 약 300여 명이 참여하여 2024년 3월 STEP 개념설계 완료를 목표로 개념설계를 진행
중이다. 본격적인 건설은 2032년경 착수되며, STEP 건설부지는 2020년 공모를 거쳐 2021년에
5개 지역으로 건설 후보지가 압축되었고, 최종 후보지는 2022년 말 확정된다.
영국은 성공적인 STEP 건설을 위해 핵융합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핵융합에너지 연구개발의 핵심 기관인 CCFE(Culham Centre for Fusion
Energy)가 위치한 컬햄 캠퍼스에 대한 투자를 크게 확대하여, 현재 컬햄 캠퍼스에 FTF(Fusion
Technology Facility)와 H3AT(Hydrogen-3 Advanced Technology) 신축, RACE(Remote
Applications in Challenge Environments)와 MRF(Material Research Facility) 증축・확장
등이 진행 중이다. FTF의 경우, 2020년 일부 연구시설이 요크셔에 건설되어 2022년에
CHIMERA(Combined Heating and Magnetic Research Apparatus) 장치가 구축될 예정
280 ∙∙∙
이다. CHIMERA는 핵융합 장치와 같이 진공 상태에서 자기장 및 고열속을 동시 구현하여
블랑켓 및 디버터, 진단모듈 등의 실증로 핵심장치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H3AT는
2023년 완공 예정으로, 1/20의 규모로 ITER 연료주기를 실증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삼중
수소 처리 및 분배, 저장, 리사이클링, 처리 등에 관한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컬햄 핵융합 에너지 센터에서 운영 중인 MAST-U(Mega Amp Spherical Tokamak-
Upgrade)는 2021년 5월에 신개념 디버터 장치인 Super-X를 활용하여 기존 설계 대비 열속을
10배 감소시키는 데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MAST-U는 STEP과 동일한 구형(spherical) 토카막
장치로 STEP 설계를 지원할 핵심 장치이다.
제도적 차원에서는 STEP 건설・운영을 위한 인허가 및 안전에 관한 규제 프레임워크 체계
구축 활동이 활발히 진행됐다. 2021년 5월에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RHC(Regulatory Horizons
Council)에서 STEP 규제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9월에는 원자력청(UKAEA)에서 STEP의
안전성 및 폐기물에 관한 기술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를 토대로, BEIS(Business Energy and
Industrial Strategy)는 STEP 인허가 및 안전 규제에 관한 기본 프레임워크에 관한 제안서를
공개하고 대국민 의견 수렴을 진행하였다. 이 제안서에서 BEIS는 핵융합 규제 방안으로서,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핵융합에 적절한 위험 관리 및 혁신 친화적인 규제
접근법 추진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본 원칙 하에, 제안서에서는 STEP은 현재 핵융합 실험
시설과 규모 면에서 차이가 있을 뿐 위험성은 기존 핵융합 실험시설 수준이라는 기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행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과 EA(Environment Agency)을 중심으로 한
핵융합 실험시설 규제 프레임워크 유지(안)을 제시하였다.
핵융합 스타트업에서는 2021년 6월에 컬햄 캠퍼스 내에 캐나다 기업인 Genral Fusion의
핵융합 실증로를 건설하는 것이 공식 승인되었다. 2025년 완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실증로
건설은 2022년 착수 예정이다. 이에 컬햄 캠퍼스를 관할하는 UKAEA는 Genral Fusion 사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실증로 건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3) 일본
일본은 2050년대 실증로 전력생산 실증을 목표로 단계별 로드맵을 추진 중으로, 2021년에
예비개념설계를 완료하고, 현재 1차 C&R(Check & Review)를 진행 중이다. 1차 C&R의
목표는 연구개발 성과 및 해외 동향 등을 종합 분석하여 실증로 로드맵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5년간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1차 C&R은 2022년 초까지 진행되며, 이후에는 개념
설계가 추진될 예정이다.
EU와의 BA(Broader Approach) 활동은 일본 실증로 로드맵의 기반이 되는 중요 활동으로,
현재 2단계가 진행 중이다. BA 활동은 크게 JT-60SA, IFMIF/EVEDA, IFERC로 구성되며,
∙∙∙ 28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이 중 초전도 토카막 장치 JT-60SA는 2020년에 건설을 완료하고, 2022년 상반기 최초 플라즈마
(First Plasma)를 목표로 정비 작업을 진행 중이다. IFMIF/EVEDA는 1단계 성과를 토대로
공학설계 관련 추가 활동을 진행 중으로, 현재 IFMIF 선형가속기 프로토타입 LIPAc(Linear
IFMIF Prototype Accelerator)의 빔을 시운전 하고 있다. IFERC(International Fusion Energy
Research Centre)에서는 슈퍼컴퓨터 JFRS(Japan Fusion Reactor Simulator)를 활용한
핵융합 시뮬레이션 연구 등을 수행 중이다.
핵융합 재료 연구 등을 위해 추진 중인 중성자조사시설 A-FNS(Conceptual design of
advanced fusion neutron source)는 2035년경 최초 방사화 데이터 획득을 목표로, 2021년
공학설계에 착수했다. 공학설계는 2025년 완료 예정이다.
핵융합 스타트업에서는 2021년 말에 국립핵융합과학연구소(NIFS : National Institute of
Fusion Science)와 미국 TAE Technologies사 간에 공동연구 협약이 체결되었다. 연구 목적은
국립핵융합과학연구소에서 운영 중인 거대 스텔러레이터 장치 LHD(Large Helical Device)를
통해 양성자-보론(p-B11) 핵융합 반응 결과가 실험장치 내부 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LHD에 양성자-보론 핵융합 반응으로 생성된 알파 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될 예정이다. 양성자-보론은 TAE Technologies 사가 핵융합 반응에 활용하고자
하는 핵융합 원료이다.
(4) 미국
핵융합 연구개발 투자 예산은 EU와 더불어 세계 최대 규모이다. 그러나, 현재 미국에는 EU,
일본 등과 같은 실증로 로드맵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미국에서 최근에 핵융합에너지
실증을 위한 FPP(Fusion Pilot Plant) 건설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2020년 DOE
(Department of Energy) 산하의 FESAC(Fusion Energy Science Advisory Committee)는
소형 핵융합 파일럿 플랜트 건설에 관한 핵융합 중장기 계획(안)을 제시하였고, 2021년 초
NASEM(National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 Medicine)은 FESAC 제안을
토대로 구체적인 FPP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이 로드맵에는 핵융합 에너지의 탄소 중립 기여를
위해 적어도 2035년~2040년에 FPP 1단계를 운영한다는 계획이 담겨 있다. 이들 연구는 모두
핵융합 에너지국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실제로 경제성을 확보한 핵융합 개념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 투자는 확대되는 추세
이다. 특히 에너지부 산하의 ARPA-E(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핵융합 연구
개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ARPA-E의 대표 핵융합 프로젝트인 BETHE(Breakthroughs
Enabling Thermonuclear-fusion Energy)와 GAMOW(Galvanizing Advances in Market-
aligned fusion for an Overabundance of Watts)의 경우, 총 31개 연구팀에 총 약 6,900만
달러(한화 약 81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282 ∙∙∙
2021년 핵융합 민간 스타트업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의 PSFC(Plasma Science and Fusion Center)와 PSFC의 스핀
오프 기업인 CFS(Commonwealth Fusion Systems)에서는 고온초전도체(HTS :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를 통해 자기장 20테슬라(Tesla)를 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CFS사는 총 18억 달러(한화 약 2조 1천 억 원) 투자 확보에 성공하였다. 이 금액은 그간
CFS 투자 총액의 7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고온초전도체는 2021년 건설 착수한 SPARC 토카막
장치에 적용되는 기술로, CFS는 2025년 경 SPARC를 통해 핵융합에너지 전력생산 기술을
실증할 계획이다.
LLNL(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에서 운영 중인 NIF(National
Ignition Facility)에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NIF는 ITER 등의 토카막 장치를 이용한
자기 가둠 핵융합과 달리 레이저를 이용한 관성 가둠 핵융합에너지 방식으로, 2021년 8월에
1.9MJ의 고출력 에너지를 가해 1.3MJ(에너지 효율 약 68%)의 핵융합 에너지를 얻는 데에 성공
하였다.
이 밖에 플라즈마-재료 상호작용(Plasma-Material Interactions) 연구에 필요한 선형플
라즈마장치 MPEX(Material Plasma Exposure eXperiment) 장치 구축을 위해 자석, 자이로
트론, 전력공급 장치 등에 대한 제작에 본격 착수하였으며, 미국의 강점인 인공지능(AI)과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활용하여 핵융합 연구를 가속화 하기 위해 실시간 플라즈마 제어,
플라즈마 펄스 설계 최적화・검증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등 총 6개의 핵융합 파일럿 프로젝트에
착수하였다.
(5) 중국
중국은 2030년대 중국형핵융합공학실험로 CFETR(Chinese Fusion Engineering Test
Reactor) 운영을 목표로 핵융합에너지 개발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CFETR 초전도 토카막
장치로, ITER와 DEMO 간 간극 해소와 핵융합 상용로 기반의 조속한 확보를 목표로 2021년 말
예비 물리 및 공학 설계(Primary physical and engineering desing)를 완료하였다.
CFETR 건설 지원을 위한 통합 연구시설인 CRAFT(Comprehensive Research Facility for
Fusion Technology)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현재 건설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CFETR 건설에
참여하는 연구자 및 엔지니어는 약 300여명, 총 건설예산은 약 60억 위안(한화 약 1조 1천억 원)
이며, 완공 후 CFETR에서는 초전도체 자석 및 디버터 장치 등 CFETR의 핵심 기술 및 프로토
타입 시스템에 관한 연구개발이 수행될 예정이다.
중국의 초전도 토카막 장치 EAST(Experimental Advanced Superconducting Tokamak)는
2020년에 디버터(lower divertor)를 텅스텐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이를 토대로 2021년 5월에
∙∙∙ 28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전자온도 1억 2천만도 101초, 전자온도 1억 6천만도 20초 운전에 성공하였다. EAST는
CFETR 설계 및 운영의 기반이 되는 중국의 핵심 핵융합 장치로, CAS(Chinese Academy
of Sciences) 산하의 ASIPP(Institute of Plasma Physics)에서 운영하는 장치이다.
나) 국내동향
(1) KSTAR
KSTAR는 2007년 8월 운영을 시작한 초전도 토카막 장치로, 핵융합 반응 최적화 운전조건
발굴 및 차세대 고성능 운전모드 개발,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 현상 제어를 통한 장시간 유지
운전 기술 확보 등을 연구 목표로 삼고 있다.
KSTAR를 비롯해 핵융합 실험장치는 매년 일정 기간 실험 캠페인(campaign)을 진행하는데,
KSTAR는 2021년 11월 실험 캠페인에서 세계 최초로 핵융합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도 초고온
시나리오 30초 운전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8년 KSTAR는 처음으로 이온온도 1억도
달성에 성공하고, 2년 후인 2020년에 1억도 20초 운전으로 세계 핵융합 장치 최장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이러한 단기간 내의 연이은 세계적 성과를 통해 우리나라는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 기술 우수성을 입증하고, 현재는 2026년까지 KSTAR 1억도 300초 운전 달성을 목표로
연구 수행 중이다.
KSTAR는 H-모드 91초 연속 운전에도 성공하였다. H-모드(High-confinement Mode)
운전은 특정 조건 하에서 토카막 핵융합 장치 내 플라즈마 밀폐성능이 약 2배로 증가하는 현상
으로, 2021년 KSTAR는 2020년 85초 대비 H-모드 운전시간을 약 7초 연장하였다.
[그림 3-29] 2021년 KSTAR 1억도 30초 달성
284 ∙∙∙
이외에도 2021년 KSTAR는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 머신러닝을 통해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 현상(Edge-Localized Mode) 제어를 37초 간 유지하였고, 베타(β)값 2.4 이상의
고성능에서 경계면 불안정성을 성공적으로 제어하였다.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 현상이란 핵
융합로 안의 초고온 플라즈마 경계면이 바깥쪽의 압력과 전류밀도분포에 따라 불안정하게 연소
하는 현상으로서, 핵융합 상용화 연구의 대표적 난제 중 하나이다. 베타값은 플라즈마의 온도와
밀도를 곱한 종합적인 핵융합 성능 지표로서, KSTAR는 향후 10년 내에 베타값을 3.5 이상
으로 높일 계획이다.
현재 KSTAR는 중장기 목표 달성을 위해 장치 고도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에는
가열장치에서 중성입자빔가열장치인 NBI(Neutral Beam Injection)-2의 출력을 5MW 이상
으로 50초 간 안정화하였고, 빔출력 가변 범위를 05MW 이내로 제어하였다. 공명가열장치
ECH(Electron Cyclotron Heating) 자이로트론은 MW급으로 3기를 운영하였고, 고출력 비
유도 전류구동 HWCD(Helicon Wave Current Drive)은 안테나 고출력 시험을 완료하여
2022년 KSTAR 전류구동 시운전 기반을 확보하였다. 플라즈마 대면부품 PFC(Plasma
Facing Components) 소재를 기존의 탄소복합재에서 텅스텐으로 교체하는 작업 또한 지속적
으로 추진 중이다. 플라즈마 대면부품은 초고온의 플라즈마에 직접 닿아 플라즈마 입자의 강한
충돌과 높은 열속을 견뎌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장치로, 1차벽과 디버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핵융합(연)의 슈퍼컴퓨터 카이로스(KAIROS)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 기술, 게임엔진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KSTAR 장치를 가상화 한 V-KSTAR(Virtual KSTAR) 개발에서도
상당한 진척을 이뤄냈다. V-KSTAR는 말 그대로 가상세계에 KSTAR를 구현한 것으로, 향후
핵융합 실증로 설계 및 운영에 활용될 가상 실증로(V-DEMO) 개발의 첫 출발점에 해당된다.
이러한 V-KSTAR의 목표는 KSTAR의 실험 결과 검증 및 실험 사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핵융합 실험 및 기술 개발의 시행착오를 줄여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는 것으로, V-KSTAR
이후에는 V-ITER(Virtual-ITER), V-BBS(Virtual-Breeding Blanket), 그리고 최종적으로
V-DEMO가 단계적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2) ITER
ITER(이터)는 우리나라 등 총 7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로, 현재 프랑스 카라다쉬에 건설 중이다. ITER 건설은 2021년 10월
기준으로 최초 플라즈마(Firtst Plasma) 목표 달성까지 약 75.3%까지 건설을 완료하였다.
ITER 참여국은 각국에 할당된 조달품목을 개발・제작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20년
ITER 주장치 조립의 시작점인 진공용기 섹터(6번)의 성공적인 조달을 통해 본격적인 주장치
조립에 기여하였고, 2021년에는 ITER 진공용기 및 열차폐체의 제작・운송을 완료하였다.
∙∙∙ 28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ITER 조달 품목과 더불어, 핵융합로공학 기술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1년에는 테스트 블랑켓 모듈(TBM : Test Blanket Module)의 예비개념
설계 및 안전해석 코드 검증, 고유 구조 소재 및 물성 DB 개발, 보조계통 주요기기 검증 등을
진행하였다. EU와는 테스트 블랑켓 모듈 공동조달을 위한 기술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테스트 블랑켓 모듈 프로젝트팀(TBM Project Team)을 통해 공통 핵심 업무를 진행하고, 테스트
블랑켓 모듈에 관한 정보 공유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블랑켓 모듈은 ITER에 설치하는 증식
블랑켓 시험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증식 블랑켓은 실증로의 핵융합 연료인 삼중수소의
증식 및 열에너지 추출을 담당하는 핵심 장치이다.
국내 산업체의 ITER 건설사업 용역 수주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2021년 기준 ITER
기구 및 타 회원국으로부터 15건(약 340억 원)을 수주하였으며, 2021년 성과를 포함해 그간
ITER 기구 및 타 회원국으로부터 수주한 금액은 총 6,747억 원에 이른다.
진공용기 두 번째 섹터(#7) 운송 진공용기 열차폐체 #6 전원장치 CS 컨버터 운송
[그림 3-30] 2021년 ITER 조달품목 제작 및 운송 현황
3) 향후 전망
핵융합에너지 개발 연구은 195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70년간 핵융합에너지
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으나, 시대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핵융합
에너지에 대한 관심은 부침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글로벌 기후변화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및 신에너지원 개발이 전 세계적 화두가
되면서 핵융합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2021년 한 해는 과학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및 투자가
크게 증가한 시기였다.
향후에도 핵융합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35년 ITER 중수소
-삼중수소(Deutrium-Tritium) 실험을 목표로 한 ITER 건설 추진과 함께 실증로 관련 핵심
286 ∙∙∙
기술 개발 또한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핵융합 주요국의 실증로 개념설계를 통해 각국의
실증로 모습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며,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 기술 개발과 더불어 핵융합 상용화의
핵심 난제인 증식 블랑켓 및 재료 기술 개발이 활발히 추진될 것이다. 실증로 기술 조기 확보를
위한 초고성능 슈퍼컴퓨터 및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을 접목한 시뮬레이션 기술 또한 보다 광범위
하게 활용될 것이다.
실증로 건설의 사회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한 핵융합 인허가 및 안전 규제 체계 수립을 위한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국가의 경우, 2020년대 중반에는 실증로 건설을
위한 제도적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시장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민간 스타트업 분야에서는 핵융합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한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 핵융합 분야가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 28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제2절 정보통신기술(IT)
1.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2022년의 대내・외 환경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신・변종 감염병의 위험이 일상화되고, 기후
변화로 인한 재해의 증가, 국가 간 무역 분쟁으로 인한 공급망 탈동조화 및 리쇼어링 확산 등에
따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R&D와 기술자립화 및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R&D가
필요한 상황이다.
기술적 측면에서 볼 때 초연결성・초지능화의 특성을 가진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융・복합하고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인구감소・지역소멸・
초고령사회 등 3대 인구 리스크가 본격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의 속도・
범위가 혁신적으로 증가하고, 고령자, 생산성 향상, 비대면 업무 확장 등을 위한 새로운 산업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정보통신기술 산업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인해 수요가 확대되며, 성장세가
계속 유지될 전망이다.
[그림 3-31] 세계 ICT 산업 성장 현황
국내 정보통신기술 산업은 GDP의 10.5%(’22년 2Q기준) 규모로, 총 수출의 약 38%(’22년
2Q기준)를 차지하며 무역수지 개선을 주도하고 있다.
288 ∙∙∙
GDP 차지 비중 GDP 성장기여(%)* 전 산업 무역수지 기여
자료 : 한국은행(’22. 2Q 기준)
※ ’20년 ICT산업 성장률은 6.1%로 GDP 성장에 0.6%p 기여했으나 GDP 성장률이 △0.7%로 마이너스 성장함에 따라
ICT산업 경제성장 기여율은 △82.3% 기록했으며, 마이너스 기여율은 직관적 해석이 곤란하여 그래프에서 표기 제외
(참고 : ICT산업 경제성장 기여율 = (ICT산업 경제성장 기여도 / GDP성장률) × 100)
[그림 3-32] 국내 ICT 산업의 GDP/무역수지 기여 현황]
2) 2022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년도 정보통신분야 R&D 총 투자 규모는 13,736억 원(신규
4,087억 원)이며, 전년 12,100억 원(신규 3,923억 원) 대비 13.5% 확대되었다.
<표 3-12> 2022년도 ICT R&D 분야별 투자규모
(단위 : 억원, %)
구분 2021년(A)
2022년(B)
증감(B-A) 증감율
계속 신규 합계
기술개발 8,982.91 7,269.03 3,327.61 10,420.64 1,437.73 16
표준화/국제공동 335.37 357.44 54.58 412.02 76.65 22.86
사업화 928.48 361.5 407.82 769.32 △159.16 △17.14
기반조성 763.94 703.96 257.97 961.93 197.99 25.92
인력양성 1,089.37 942.1 230 1,172.10 82.73 7.59
합 계 12,100.07 9,649.03 4,086.98 13,736.01 1,635.94 13.52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미래유망분야 핵심 전략기술 개발 및 선점 등 기술패권경쟁 대응
강화, ②ICT 미래・도전적 분야의 기술 확보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 ③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④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선도할 최고급・융합형 인재양성, ⑤ICT 기반강화를
위한 대규모 R&D 인프라 구축, ⑥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할 디지털 혁신기업 육성 등 6대 주요
과제를 추진하였다.
3) 향후 계획
향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22.6.),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22.9.) 등 새 정부 디지털 전략을 반영하여 경제・사회적 영향력과 정부 투자의 시급성이 높은
∙∙∙ 28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디지털 혁신기술 초격차 확보와, 디지털 혁신기술의 경제・사회 융합 및 확산을 지원하는데,
R&D 자원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AI반도체 5G・6G
사이버 보안 메타버스 양자
[그림 3-33] 디지털 혁신기술
인공지능
1) 개요
지능정보사회로의 전환이라는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 기술과 함께 발전해가고 있다.
2016년 알파고의 등장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대중적 관심과 연구기관들의 기술개발
집중 투자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기술(AI, 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의 육체적 노동을 대신한 산업혁명 이후 정신적 노동을 대체할 수 있는
지식혁명으로 4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은 인간의 인지능력,
학습능력, 추론능력, 이해능력 등과 같이 인간의 고차원적인 정보처리 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인공지능기술은
각종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대와 초연결 지능화를 위하여 공통으로 소요되는 대용량, 다양성,
실시간, 지능화 기능을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SW 기술을 말한다.
알파고 이후 최근 5년간 인공지능 기술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으며, 컴퓨팅 파워의 성장과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축적 등으로 제조, 의료, 교통, 환경, 교육 등 산업 전반에서
본격적으로 활용, 확산되고 있다. 특히, 구글, 애플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290 ∙∙∙
기반으로 헬스케어, 금융,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며, 기술 주도권을
차지하고 있다.
현 수준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기까지는 아직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즉, 현재 특정 분야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인공지능이나 해당 분야를 벗어나서는
전혀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등 자율적인 상황 판단과 능동적인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의
지적 능력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기억
메커니즘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어떤 분야에서라도 인간을 초월하는
범용적인 인공지능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전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OpenAI에서는 GPT-3라는 초거대 AI를 통해 그동안 인간이 축적한 모든 지식을
총망라하여 인간을 닮은 인공지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인공지능 관련한 전반적인 기술 수준은 87.8%로 최고
국가인 미국대비 1.4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 관련 논문 수는 미국, 중국 등 선진국과
차이가 크며, 특허에 있어서도 출원 수는 전세계 4위이나 세계 1위 미국(61,179건) 대비 1/8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다. 또한, 투자규모와 고급인력에 있어서도 각각 중국과 미국 대비 3.9%
수준으로 아직까지는 격차가 큰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이러한 격차를 극복하고 글로벌
인공지능 기술 경쟁을 선도하기 위해 2019년 10월 ‘대통령 인공지능 기본구상’, 2019년 12월
‘인공지능 국가전략’, 2020년 7월 ‘디지털 뉴딜’ 등을 통해 인공지능 분야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 ‘AI 초인류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통해 세계 3대 인공지능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분야에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인공지능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딥러닝 한계를 극복하는
포스트딥러닝 기술 및 딥러닝 고도화 기술을 개발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과 5G 상용화에 따라, 5G의 ‘실시간’, ‘초연결’ 특성을 활용하여 다수 로봇을 원격제어
하고, 평생학습을 통해 지능을 고도화하는 ‘클라우드 로봇복합 인공지능기술개발사업’을 2020년
부터 지속 추진하였다.
2017년부터 지속 추진 중인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인공지능)’는 인공지능 핵심요소 기술
개발과 차세대 인공지능 원천기술개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산・학・연 연구개발을 지원
하였다. 2022년에는 언어지능 ‘엑소브레인’과 시각지능 ‘딥뷰’ 기술을 활용하여 은행, 보험,
∙∙∙ 29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제조, 법률, 공항, 온라인 광고 뿐 아니라 교육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다양한 분야에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추진하였으며, 성우가 직접 녹음할 필요 없이 적은 양의 음성 데이터로 특정인의
목소리를 구현하는 AI 음성합성 기술 개발 및 IBM, MS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인공지능의 공
정성을 진단하고 편향성을 교정하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정량적 성과로는 30건의 사업화를 통해 50.8억 원의 매출액을 달성하였으며, 13건의 기술
이전을 통해 13.1억 원의 기술료를 창출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 Top-Tier 학회를 통해
35건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은행, 법률, 광고 등에 언어/시각 지능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시간 음성변환 기술을 통한
음성합성 기술 발표
세계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공정성
시스템 개발
[그림 3-34]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인공지능) 사업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에서 다양한 산업 분야의 신규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인공지능 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공지능융합선도프로젝트(인공지능전문기업육성지원)’를 2019년부터 3년간 사업을
추진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총 21개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맞춤형 수학교육을 위한
학습자 수준 분석 플랫폼, 중소기업을 위한 AI기반 비즈니스 서비스 매칭 시스템 등을 개발하였
으며, 2022년에는 장애인 전용 보행용 지도 자동 생성 플랫폼, 사용자의 요구사항 및 시장동향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산업분야별 동향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부산대, 충남대, 인하대, 한양대 등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에 특화된 의료, 제조, 뮬류 등의 산업과
융합을 통해 지역의 지속발전을 위한 원동력을 지원하는 거점 연구센터를 구축하는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를 지원하였다.
또한, 2022년에는 기존 딥러닝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AI 기술의 학습역량 및 신뢰성, 활용성
문제 해소를 위한 ‘사람중심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개발’을 신규추진하여 향후 범용적 인공지능
기술개발을 위한 원천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292 ∙∙∙
<표 3-13> 사람중심 인공지능 핵심기술개발사업 추진내용
사업 분야 사업내용
AI학습능력개선
인공지능 학습능력의 획기적 개선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학습・성장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개발
효율학습 AI
기술의 난이도가 높아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문제 해결시 우리나라 혁신 역량과 글로벌
인공지능 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기술
범위확장 AI
학습된 지식이나 인간이 공통으로 보유하고 있는 상식을 추론하거나 학습되지 않은 환경이나 도메인에
적응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
지속성장 AI 실세계에 적용되면서 새로운 지식을 학습하여 지식을 확장하는 기술
AI활용성개선 현재 AI 기술의 활용 상 한계를 극복하여 인간과 원활하게 소통・공감하기 위한 AI 협업 기술 개발
AI 신뢰성 확보
의사결정의 이유나 사건의 인과관계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뢰성을 강화함으로써 AI의 복합지능
활용 능력 제고
소통하는 AI
인간과 공존 가능한 자율객체로서 인간이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간을 잘 이해하며(공감)
이해시키기(소통) 위한 범용 AI 기술
이와 더불어, 글로벌 기업들의 다국어 처리기술의 대형화(모델, 컴퓨팅, 데이터 등) 전략에
맞서 한국어 처리 기술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대형 AI 언어모델 기술 개발로서 대용량 한
국어 데이터로부터 범용적 의미표현을 사전학습하고, 이를 응용 분야에 적용・활용하기 위한
‘한국어 대형 언어모델 기술 개발’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나) 인공지능 연구생태계 활성화 및 저변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생태계 활성화, 저변확대, 그리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난제 및 사회문제해결을 위해 2017년부터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
하였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우수한 연구팀을 경진대회(챌린지)를 통해 선발하고, 선발팀은
후속연구를 추진하는 새로운 R&D 지원방식이다. 2019년에는 시각지능, 청각지능, 로보틱스
제어지능 등 개별 인지지능을 복합 인지지능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단계로 구성된
통합 문제 시나리오를 풀어내는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로 확대 개편되어 2019년 복합재난
상황 대응을 주제로 한 3차 대회, 2020년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주제로 한 4차 대회가 개최되었고,
2021년에는 1~2단계에 걸친 개별 트랙 문제를 통합한 문제 시나리오를 해결하는 3차 대회
3단계와 제한된 연산 환경 조건을 추가하여 더 어려운 문제 해결에 도전하는 4차 대회 3단계가
각각 진행되어 총 61팀이 참가하여 총 7팀의 우수 연구팀을 선발하여 후속연구를 지원하였다.
∙∙∙ 29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림 3-3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022년에는 상기 3, 4, 5차 대회의 마지막 단계 대회를 개최하며, 주제별로 한 층 더 높아진
난이도의 문제를 제시하고, 우수팀들이 기술을 경합하는 장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최종 순위를
공개・시상하고, 각 팀의 우승 전략과 성과들을 발표・전시하는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그림 3-36] 2022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또한, 2022년에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신규 대회를 개최하였다.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 정책 지원 AI’로 명명된 신규 대회에는 54개 팀으로 총 339명의
도전자가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상위 6개 팀이 선발돼 기술 고도화를 위한 2023~2024년도
후속연구를 지원 받을 예정이다.
다)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투자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산업 분야 난제 해결을 통해 세계시장 선도의
핵심이 되는 산업 분야에 대한 혁신을 선도하고, 경쟁국 대비 초격차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첨단유망원천기술개발사업’을 2023년부터 신규추진한다. 동 사업을 통해 과학/공공
분야 및 UN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 같은 공익적 목적에 해당되는 분야
294 ∙∙∙
에서 발생하는 문제 또는 각 산업 분야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거나 해결이 되었더라도 성능이
떨어지는 기술들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인공지능 전문가의 협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제품・서비스 연구개발 과제 지원으로 다양한 분야 인공지능 전문기업을 육성하여, AI+X
R&D 활성화 및 초기시장 창출하기 위해 2022년 종료되는 ‘인공지능융합선도프로젝트
(’19~’22)’의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산업융합기술개발’을 2023년부터 추진함으로써
인공지능분야의 유망한 중소・중견기업을 발굴하고,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3) 향후 계획
인공지능 기술은 단순한 기술적 분야로서가 아닌 4차 산업혁명을 이끌 핵심 동력이자 미래
글로벌 패권을 좌우할 핵심기술로서 이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세계 3대 인공지능 기술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개발뿐 아니라, 국민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계된 다양한 생활문제와 사회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AI 제품 및 서비스를
발굴하여 디지털 혜택을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글로벌
환경에서 인공지능 경쟁력 확보를 통해 시장을 이끌 기업들의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연구소, 학계와의 협력체계 구축과 함께 전산업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확산을 본격화하여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 국내 AI 기업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빅데이터
1) 개요
빅데이터는 큰 용량, 빠른 속도, 많은 다양성을 갖는 정보 자산으로 일반적으로 다루기 어려울
정도로 거대하고 복잡한 데이터의 집합이지만, 활용 기술이 발전하면서 어려운 과제의 새로운
해결법과 업무의 효율화를 이루어내고 있다. 금융 기업의 고객데이터 분석에서 의료정보 활용한
의학기술개발, 제조 프로세스 개선 등으로 산업에서 적용 분야가 점점 확대되었고, 차츰 소매업이나
요식업에서의 고객 관심 분석이나 교육에서 학습 이력, 농가의 생산계획에서 출하까지 등 우리
주변에서 활용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 연구는 데이터 폭증 속에서도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찾아 이용하며, 응용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빅데이터 수집・저장・처리 기술과 데이터 분석 정확도를 높이고, 많은
사람들에게 데이터 준비와 분석을 용이하게 하고, 데이터 시각화로 해석의 자동화를 제공하여
∙∙∙ 29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새로운 통찰력과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빅데이터 분석・활용 기술을 포함한다. 최근 인공
지능 분석 기술과 결합하여 데이터 분석 기법에 다양한 지능을 부여하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지금은 데이터 활용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와 제품으로 다른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데이터 경제 시대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하는 시장은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 6.9%를 기록하며, 2025년까지 2조 8,353억 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다양한
산업에서 이전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자료 : 한국IDC(2022)
[그림 3-37] 2020~2025년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장 전망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산업과 서비스는 데이터의 품질이 그 결과적인 수준을 결정하는 기반이
된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하여 세계 주요 국가들은 디지털 패권 경쟁이 첨단 기술 중심으로
변화됨에 따라 선두에 서기 위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기반이 되는 자산으로서
데이터 자원을 보호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빅데이터의 수집・저장부터 처리・분석・예측 및 활용・시각화까지 동
분야 전반에 걸친 핵심기술 고도화를 위해 투자를 하고 있으며,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사업의 ‘빅데이터 핵심기술’ 분야에 총 200억 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으로 14개의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데이터 내 이종의 정보 간 연관성을 활용한 데이터 융합 기술, 소량의 데이터로 데이터 분석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 데이터 품질 평가 기반 데이터 고도화 기술 등으로 양질의 빅데이터를
296 ∙∙∙
생성하여 분석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력을 확보했다. 또한, 데이터 활용 기술로 안과기기에
산재해 있는 이질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진단/예후 모델 개발하여 스마트 진료 플랫폼을 개발
하였다.
특히, 2022년도 신규과제는 다종 빅데이터를 쉽게 통합・관리하고, 비전문가도 쉽게 분석・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집중하여, 산업 전반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각종 데이터 전 주기
(수집・가공・분석・유통・활용) 관점의 데이터 관리 체계 및 처리 자동화 기술을 확보하고, 기관/
기업의 업무 담당자가 손쉽게 내부 데이터로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여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운영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표 3-14> 빅데이터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내용 및 규모
(단위 : 백만원)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구분 과제명 주관기관
2022년도
예산
SW컴퓨팅산업
원천기술개발
(빅데이터
핵심기술)
계속
과제
(11)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안과 진단기술 및 스마트 진료 플랫폼 개발 단국대학교 150
이종 정보 활용 및 데이터 융합을 통한 데이터 증식 기술 개발 ㈜ 와이즈넛 1,600
데이터맵 기반 지능형 빅데이터 탐색・활용 핵심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600
데이터 특징과 문제를 정의하는 빅데이터 분석모델 추천 자동화 기술 개발 (주)시큐레이어 2,000
데이터 품질 평가기반 데이터 고도화 및 데이터셋 보정 기술 개발 부산대학교 1,600
적은 양의 학습 데이터만으로 양질의 데이터 분석결과를 보장해야 하는
문제 해결
한국과학기술원 1,200
빅데이터 인과 분석을 위한 복잡계 기반 추론 인공지능(REX) 개발 및
실증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1,500
능동적 즉시 대응 및 빠른 학습이 가능한 적응형 경량 엣지 연동분석
기술개발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2,000
데이터 규모 확장과 정확성 향상을 위한 다크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와이즈넛 2,000
이종 융합 데이터 탐지 및 추적 기술 개발 ㈜피씨엔 1,200
파편화된 데이터들 간 시계열 기반 통합 및 분석 플랫폼 기술 개발
한국전자기술
연구원
2,000
신규
과제
(3)
고품질 데이터셋의 적시・적소 활용을 지원하는 데이터옵스 프레임워크
(DataOps Framework) 기술 개발
㈜지란지교
시큐리티
1,050
머신러닝 개발 전주기를 연결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MLOps 플랫폼
기술 개발
㈜와이즈넛 1,050
산업 데이터 상태 진단 및 개선 극대화를 위한 증강분석 기반 자동 데이터
시멘틱 정보 구성/표현 기술 개발
㈜피씨엔 1,050
합계 20,000
3) 향후 계획
데이터는 일상생활, 산업형태, 사회구조 등 사회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디지털 경제의
원동력으로 누구나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대중화를 촉진하는 기술
개발과 고품질의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민간・공공
∙∙∙ 29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으로부터 활용가치가 높은 데이터공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생산된 데이터를 구축,
개방, 유통하여 다종/대량의 빅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투자를 통해 데이터 경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1) 개요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의 중개 기관이나 사전 신뢰가 없는 환경에서 거래 당사자 간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디지털 신산업을 촉진하는 기술이다. 분산장부 공유기술(1세대)을
시작으로 스마트 계약28)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시도하는 2세대에 이어, 확장성,
보안성, 상호운용성 등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3세대로 발전 중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29)를 축소하고,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기술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이러한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형성을 촉진하고, 기술력을 길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산업 진흥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18.6.)’과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20.6.)’을
수립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경제・사회에 조기 적용・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메타버스와 함께 웹 3의 비전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의 하나로 각광받는 상황
에서 이에 발맞춰 ‘블록체인 산업 진흥 전략(’22.11.)’을 발표하여 디지털 시대의 신뢰를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지원하고 있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블록체인 분야는 그간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수준이 향상 중(’18년 80.8%, ’19년
83.4%, ’20년 85.6%)이나,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기술 역량
강화 필요하다. 하지만, 국외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원천기술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므로, 블록
체인 시장의 흐름을 신속히 반영하고, 국내 기업이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활용도 높은 기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전적 분야의 블록체인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기획된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이 2020년 6월 R&D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동 사업은
現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신뢰 사회 구축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①완전 탈중앙화 고성능 합의기술, ②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기술, ③분산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신원관리기술, ④데이터 주권 보장
28) 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도록 하는 시스템
29) 2020년 우리나라는 최고국(美) 대비 85.6% 수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2)
298 ∙∙∙
데이터 관리 기술 개발 등 4대 분야 총 9개 과제를 선정하여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2021년 7월 R&D 예비타당성조사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여 사업수행기관의 과제 내용을 소개
하고 연구 교류 및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고,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2022년에는 1단계(’21~’22년) 원천기술 확보가 종료되는
시점이다. 이를 통해 탈중앙화 및 합의 비용 최적화,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동적 분석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암호화 기술, 대용량 트랜잭션 분산 저장기술 등 설계가 완성된다. 대표
성과로는 동 사업의 영지식증명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한 서비스가 CES 2023에서 블록체인
온라인 투표시스템 ‘zkVoting’이 최고혁신상,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장이 되는 거래 서비스
‘Azeroth’가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모든 사회・경제 활동에 블록체인 기반 AI, IoT 등 기술과 융합하여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진행 중이다.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은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주력 산업을 고도화하려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내는 아직 블록체인과 AI, IoT
등 융합기술과 타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화 융합기술 확보가 미흡한 상황이다. 블록체인
분야는 2022년 블록체인산업고도화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30억 원(신규과제 4개)을
투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 고도화를 위한 AI・IoT 등 혁신기술 융합과
블록체인을 타 사업에 적용하여 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대응하고 있다. 대표적인 과제로써
상호운용성 분야는 이종 블록체인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 기술을 개발한다. IoT
분야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블록체인 노드가 되어 저사양 디바이스에서 구동 가능한 경량 사물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한다. AI 분야는 온체인 상에서 인공지능 작업을 요청 및 검증하고 온-오
프체인 연동기술을 통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연산자원, 프레임워크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한다. 5G 분야는 MEC(Mobile Edge Computing) 에지 클라
우드 상에서 수행하는 초저지연 블록체인 플랫폼과 저지연 5G 단말 노드 간의 고속 연합학습
및 추론을 수행하는 기술개발도 진행한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부터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사업을 2단계
(’23~’25)가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동 사업은 고성능 합의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기술,
분산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신원관리기술, 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개발 등
4가지 전략 분야에서 응용 및 실증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응용 및 실증 서비스 개발이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초기 단계이나 변화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메타버스, NFT 등 웹3 시대 대비하기 위한 디지털 신뢰 확보를 블록체인
∙∙∙ 29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준비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블록체인 산업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인공지능
1) 개요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이론(영,
옥스퍼드 레퍼런스), 인간의 학습 능력, 추론 능력, 지각 능력, 그 외에 인공적으로 구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이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위키피디아) 등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지만, 종합해
보면 인지, 학습, 추론, 예측, 판단, 행동, 감성, 창의성 등 인간의 지적 능력(지능)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좁은 인공지능(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에서 일반(또는 범용)
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으로 발전 중이며, 최근 딥러닝 기술의 성숙과
초거대 사전학습 AI 기술로 일부 단일 태스크에서는 인공지능이 사람의 지능을 뛰어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산업과 사회 변화의 중심에 있는 혁신적 기술로서 인공지능 기술은 학습
지능, 단일지능, 복합지능으로 분류30)되기도 하지만, 신뢰가능한(Trustworthy) AI, 인간 수준
(Human-level) AI 등 새로운 기술 출현과 함께 확대될 필요가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오픈AI가 1,750억 파라미터의 사전학습 언어모델 GPT-3를 공개하면서 언어와 관련된
다양한 태스크에서 학습 데이터가 거의 필요 없이 제로샷/퓨샷 러닝(Zero-shot/Few-shot
learning)으로 좋은 성능을 내면서 범용인공지능의 가능성을 보여준 이후, 수 천억 이상의
파라미터를 가지는 대형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다. 2021년 MS/NVIDIA의 Megatron-Turing NLG(5,300억 파라미터), 중국 BAAI의
Wu Dao2.0(1.75조 파라미터)에 이어, 2022년 오픈소스 언어모델인 BLOOM(1,760억 파라미터),
구글의 PaLM(5,400억 파라미터) 등이 공개되었다. 구글, 메타, MS 등 글로벌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수 천억 파라미터에 거치지 않고, 수 조원의 파라미터로의 초거대 AI 모델 개발로 확대
되고 있으며, 사람의 뉴런과 시냅스의 연결 개수에 근접할 정도의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30) IITP ICT연구개발 기술분류체계 참고
300 ∙∙∙
<표 3-15> 2022년 공개된 국외 주요 대형언어모델
모델
(기업)
공개 날짜
모델 크기
(파라미터수)
주요 내용
Chinchilla
(DeepMind)
2022.3 700억
∙ 기존 딥마인드 언어모델인 Gopher와 같은 예산을 사용하여, 학습 데이터 토큰은
약 4.5배(1.4조 토큰)로 학습함
∙ 고품질 언어모델 구축을 위해서는 초거대 언어모델과 같이 매개변수 크기를 늘리는
것뿐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학습 데이터의 토큰 수도 중요함을 보임
∙ MMLU(Massive Multitask Language Understanding)에 대해 GPT-3,
Gopher보다 우월한 성능을 보임
PaLM
(Google)
2022.4 5,400억
∙ 생각의 연결고리 프롬프팅(chain-of-thought prompting) 기술을 이용해 모델이
문제를 다단계(multi-step) 문제로 분해할 수 있게 유도함
∙ 연산(arithmetic), 상식, 심볼릭 추론 태스크 등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이며, 초등
학교 수준 수학문제로 구성된 GSM8K 벤치마크에서 58% 문제를 품(기존
GPT-3 55%)
OPT-175B
(Meta)
2022.5 1,750억
∙ 대형언어모델의 편향과 오용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비상업적 라이선스로
사전 훈련된 모델이며, 기본 코드 및 개발 로그북까지 공개함
LaMDA2
(Google)
2022.5 1,370억
∙ 2021년 첫선을 보인 대화형 인공지능(AI) 모델 '람다(LaMDA)'를 업그레이드 함
∙ 모델이 ‘외부 지식(external knowledge sources)’을 이용할 수 있음
BLOOM
(오픈소스
언어모델)
2022.7 1,760억
∙ 오픈소스를 지향하며 오픈AI GPT-3, 구글의 많은 언어모델과 다르게 코드를
무료로 제공함
∙ 22년 공개가 마지막이 아니라 매개변수 크기를 줄이면서도 고성능을 유지하는
성장하는 모델을 추구함
∙ 60개국 1,000명 이상의 연구원, 250개 이상 연구기관이 협업해 만들어낸 오픈소스
AI 언어 모델
ChatGPT
(OpenAI)
2022.12 1,750억
∙ GPT-3을 추가 학습하여 만들어진 모델로, 출력 결과 품질 향상을 위해 지도학습
방법과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강화학습(RLHF;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을 사용하였으며 학습 데이터에 프로그래밍 코드도 포함됨
∙ 지도학습된 모델과 보상 모델에 기반한 강화학습을 수행하여 1.3B 대형 모델로
지도학습 된 175B 초대형 언어모델의 성능을 상회할 수 있음을 보임
그리고, 언어모델은 카피 문구/웹 페이지 생성, 글쓰기(이메일, 고객 응대 등) 보조, 번역,
질의응답, 챗봇 등 텍스트 생성 능력이 활용되고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까지 학습해서 코딩
보조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코드도 결국은 언어로 기술되어 있기 때문에
GPT-3와 동일한 생성 언어모델(Generative language model) 구조를 사용하여 대용량의
기존 코드들을 학습 데이터로 학습해서 프로그램 생성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딥마인드는 코딩
하는 AI 알파코드(AlphaCode)를 개발했으며(’22.2.), 인간 개발자 상위 54%에 해당하는 평균
이상의 능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고, 깃허브는 오픈AI에서 코덱스(Codex)와 깃허브의 코드
데이터베이스 기반으로 학습한 코딩 AI 도구 코파일럿(Copilot)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22.5.).
∙∙∙ 30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자료 :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 홈페이지
[그림 3-38] 코딩 AI 도구 코파일럿(Copilot) 서비스
최대한의 컴퓨팅 자원을 투입하여 파라미터 크기를 키우는 비효율적인 규모의 경쟁에서
벗어나 적은 파라미터로도 최대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언어모델 개발도 병행되고 있다. 대형
언어모델 개발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식이 결여된 생성 오류
(Hallucination)가 발생하고, 닫힌 지식 활용의 한계가 없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사전학습 및
예측 시 외부 지식을 참고하는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지식이 고정되는 기존 언어모델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적은 매개변수 크기로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외부 메모리 기반의 언어모델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입력을 조건화하여 출력을 조절하는 프롬프트
(Prompt)와 Adapters를 사용해 효율적으로 파라미터를 파인 튜닝(Fine-tuning)하는 방법 등
학습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자료 : 오픈AI DALL-E2 홈페이지
[그림 3-39] DALL-E2 텍스트(“An astronaut riding a horse”)로부터 생성한 이미지 예시
302 ∙∙∙
텍스트만을 학습하는 언어모델 뿐만 아니라 이미지-텍스트쌍 데이터를 함께 학습한 언어-
시각 사전학습 모델이 부상하고 있다. 오픈AI에서는 언어시각 사전학습모델로 ImageGPT,
CLIP(Contrastive Language-Image Pre-Training), DALL-E 등을 공개한 바 있다. 언어-
시각 모델을 통해, 그림을 보고 설명하는 이미지 캡셔닝, 또는 텍스트로 기술하면, 그 텍스트
내용에 맞게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오픈AI는 텍스트를 이미지로 생성해주는 AI인 DALL-E의
새로운 버전 DALL-E2(12B)를 공개했다(’22.4.). DALL-E2의 경우, 고해상도로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편집도 가능해졌고, 향후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메타에서 음성・이미지・문자를 동시에 인식하는 자기지도학습 알고리즘 Data2Vec을 개발
했으며(’22.1.), 음성, 문자, 이미지 각 분야에 대해 각자 다른 방식으로 진행됐던 기존 알고리즘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구글은 텍스트를 이미지로 생성하는 AI 시스템 Imagen을 선보
였다(’22.5.). 벤치마크 평가 결과, 오픈AI의 DALL-E 등 경쟁 모델들보다 더 선호되는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다른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악용 및 편견, 차별적 의식의 반영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아직 공개는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 3-16> 2022년 공개된 국외 주요 대형언어시각모델
모델
(기업)
공개 날짜
모델 크기
(파라미터수)
주요 내용
DALL-E2
(OpenAI)
2022.4 35억
∙ 오픈AI의 DALL-E의 후속 연구로 해상도 향상 및 이미지 변환(인페인팅) 기능이
포함됨
∙ 특히 GLIDE와 같이 트랜스포머 구조 대신 디퓨전(Diffusion) 모델을 활용하고
있음. 성능 측면에서도 4배 높아진 해상도(1024x1024), 이미지 인페인팅 기능을
제공함
Imagen
(Google)
2022.5 46억
∙ 미리 학습된 T5 언어모델의 encoder를 사용해 텍스트 임베딩을 구한 후, 이를
디퓨전 모델로 이미지를 생성함
∙ 여기서 생성한 이미지는 64x64이며, 이를 고해상도로 높이기 위해 Super
-resolution Diffusion이라는 기술을 사용해 256x256, 1024x1024로 생성함
Flamingo
(DeepMind)
2022.5 700억 ∙ Chinchilla에 이미지 인코더(image encoder)를 결합한 Flamingo를 공개함
Parti
(Google)
2022.6 200억
∙ DALL-E와 동일하게 텍스트에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회귀 모델(autoregressive
model)을 사용함
Stable
Diffusion
(Stability AI)
2022.8 8.9억
∙ 스테이블 디퓨전을 오픈소스로 공개함
∙ CLIP 텍스트 인코더, UNet 이미지 생성기(디퓨전 모델 포함), 오토인코더 기반
이미지 디코더로 구성되어 있음
PalI
(Google)
2022.9 170억
∙ 100개 이상의 다국어로 학습함
∙ 시각을 활용한 질의응답, 이미지 캡셔닝, 객체 감지, 이미지 분류, 광학 문자인식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합함
∙∙∙ 30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최근에는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동영상, 3D 이미지 창작까지 가능한 모델 개발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메타에서는 기존의 텍스트에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 Make-A-Scene
이외에 새롭게 텍스트에서 비디오를 생성하는 모델 Make-A-Video를 선보였으며(’22.9.),
CLIP 텍스트 인코더와 시간적/공간적 초해상화 구조를 결합하여 고해상도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다. 구글은 프롬프트(글로 묘사한 제작 지시어)에서 초당 24프레임(24fps)으로 1280×768개의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텍스트 투 비디오 AI인 ‘Imagen Video’를, 그리고,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새로운 AI 모델인 ‘드림퓨전(DreamFusion)’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22.10.). 언어
시각모델에서 주목할 만한 기술은 기존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을 기반으로 한 모델 자체가
이미지 생성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디퓨전 모델(DDPM,
Denoising Diffusion Probablistic Models)이며, DALL-E2, Imagen, Stable Diffusion과
같은 SOTA 텍스트-이미지 모델에 사용되고 있고 GAN의 성능을 추월했다고 평가된다.
EU, 미국을 중심으로 신뢰성있는 AI 확보를 위한 윤리지침, 법안 등이 마련되고 있으며, 공정한
(Fair) AI, 견고한(Robust) AI, 설명가능한(eXplanable) AI 등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EU유럽위원회에서는 2019년 4월에 인공지능 윤리지침(Guidelines for AI ethics)을 발표한 바
있으며, 미국에서는 AI bias 문제와 관련한 우려를 반영한 법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대형언어
모델은 상용화 시, 출력 결과의 신뢰성(편향성 여부, 개인정보 보안 등)이 큰 걸림돌이 될 것
으로 예상된다. 사전학습모델(언어모델, 언어시각모델)은 사람이 보기에 그럴듯한 결과를 출력
하지만, 학습 데이터 확률 최대화 모델이라는 본질적 한계로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실제로,
GPT-3 모델이 공개된 이후, 반이슬람 편견 및 자살방조 대화 등 신뢰성 이슈가 제기된 바
있고, 언어모델 출력 결과의 신뢰성 향상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2022년 9월 메타에서는
텍스트를 다양하게 변경하고 설명할 수 있는 협업 언어 모델 ‘피어(PEER)’를 출시하였으며,
일반 대형언어모델에 비해 검증 가능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구글에서 2022년 10월 발표한 텍스트에서 동영상을 창작하는 ‘Imagen Video’는 필터링한
문제있는 데이터에 대해 따로 학습을 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성에 대해 노골적이고 폭력적인
콘텐츠와 사회적 고정관념 및 문화적 편견을 포함할 수 있다. 구글은 “가짜, 증오, 명시적, 또는
유해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우려하며 “이러한 우려가 완화될 때까지
Imagen Video 모델이나 소스 코드를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능(Intelligence), 자율성(Autonomous), 적응성(Adaptability)을 갖춘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인공지능인 범용인공지능(AGI)에 대한 기초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메타의 얀 르쿤
(Yann LeCun)은 ‘A Path towards Autonomuous Machine Intelligence’ 논문을 통해 인간
수준 AI(Human-Level AI)를 위해 기계가 동물이나 인간처럼 학습하기 위해 자기지도학습,
System-II 추론, 계층적 표현 학습, 이를 위한 자율성을 갖춘 AI(Autonomous AI)를 구현하기 위한
304 ∙∙∙
Joint Embedding Predictive Architecture(JEPA)를 제안하였다(’22.4.). 그리고, 딥마인드는
다중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AI 시스템, 가토(Gato)를 공개하면서 하나의 신경망 모델로
다양한 양식의 데이터를 처리해 다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22.5.). 가토(Gato)가
604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이 중 450개에서는 인간 전문가보다 우수하다고 밝혔지만, 이것이
범용인공지능을 향한 진전이란 주장은 많은 비판과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자료 : Le Cun(2022), A Path towards Autonomuous Machine Intelligence.
[그림 3-40] Human level AI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응용 분야로는 의료/헬스케어, 모빌리티, 금융, 법률, 제조, 교육, 스마트홈, 서비스로봇 등 전통
산업과 융복합화는 물론 메타버스, 디지털휴먼 등 가상환경으로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딥
마인드에서는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AI ‘알파폴드2(AlphaFold2)’를 개발한 바 있으며(’20.11.),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형태인 2억 개의 3D 단백질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공개(’22.7.)하여
신약 개발 등 생명공학 연구에 획기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AI 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은 물론
질병 진단, 맞춤형 건강관리, 질병 예측 및 치료, 의료 행정 지원 등 헬스케어 산업 전반에 AI
가 적용되고 있고, 글로벌 상용차 그룹들은 앞다퉈 자율주행 AI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제휴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AI 기술을 통한 공공인프라의 탄소 배출 절감, 농업용 로봇을 통한
생산 관리 효율 증대, 화학 물질 사용 절감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의 정부 주도 연구개발은 DARPA에서 AI Exploration(AIE)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처럼
지각(Perceiving), 학습(Learning), 추상화(Abstracting), 추론(Reasoning)이 가능한 제3세대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레이블 없는 학습,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학습역량 인지 기계학습, 강건함과 사기성을 식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실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평생학습, 기계 상식 등을 주제로 R&D를 수행하고 있다.
∙∙∙ 30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자료 : A DARPA Perspective on Artificial Intelligence
[그림 3-41] DARPA의 제3세대 인공지능 기술 개발
나) 국내동향
해외 선진 기업의 초거대 언어모델, 언어시각모델 연구에 발맞춰 국내 기업에서도 2021년
부터 네이버, 카카오, LG 등에서 한국어에 기반한 언어모델과 이미지를 포함한 언어시각모델로
개발하였으며, 2022년에는 이들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에 확대 적용해 나가고
있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를 활용해 대표적으로 노코드(no-code) AI 도구 ‘클로바 스튜디오’,
AI 음성기록 앱 ‘클로바 노트’, AI 콜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에 적용하고 있고, 검색 품질 개선,
AI 스피커 기능 강화, 악플 관리 등 자사 및 협력사의 내부 서비스 개선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초거대 AI 모델 지원 시범사업에 참여해 국내 산연학(스타트업) 등에
공급할 예정이다. LG는 멀티모달 AI를 기반으로 한 가상 인간 ‘틸다’가 스스로 디자인한 의류를
공개하고(’22.2.), 금융・패션・유통・교육 등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연합을 결성해 초거대
AI 활용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 KT는 감성케어, 기가지니(AI 스피커, IPTV), AI 콜센터
등에 초거대 AI를 적용 중이며, 육아 상담을 비롯해 교육 등 보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 상담
시스템으로 확장해가고 있다. 카카오브레인은 고려대 안암병원, 가톨릭중앙의료원 등과 의료
분야 초거대 AI 모델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으며(’22.8.)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을
진행하고 있다.
<표 3-17> 국내 주요 대형언어/언어시각모델
모델
(기업)
공개 날짜
모델 크기
(파라미터수)
주요 내용
HyperCLOVA
(네이버)
2021.5. 2,040억
∙ 학습데이터에서 GPT-3보다 한국어 데이터를 6,500배 이상 학습한 현재 전세계
에서 가장 큰 한국어 대형언어모델(한국어 비중 97%)
∙ 검색어 교정 기능, 노코드 AI, AI 스피커 기능 강화 등에 활용
MinDALL-E
(카카오)
2021.11. 13억
∙ 오픈AI DALL-E의 경량화 버전으로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대형언어
시각 모델
∙ 1,400만장 텍스트-이미지 데이터 사전 학습함
KoGPT
(카카오)
2021.11. 300억
∙ 한국어에 특화된 언어모델을 깃허브에 공개하였으며, 2022년 10월에 오픈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공개됨
306 ∙∙∙
언어, 음성, 시각 등의 기술 분야에서 사전학습모델을 활용하여 기술 고도화가 이루어졌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 및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금융 분야에서 이상
거래 탐지, 챗봇, 로보어드바이저, 의료/헬스케어 분야에서 심리상담 및 환자 상태 예측, 진료,
진단, 제조 분야에서 기계설비 이상탐지 AI 솔루션 AI, 로봇 서비스 분야에서 청소, 배달, 방역,
휴먼케어, 안내용 컨시어지 등 기존 전통산업과 융합하여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도심의
사고 예방, 치안, 민원 챗봇 서비스, 공교육 AI 튜터, 법률 질의응답 서비스 등 공공, 안전 분야
에도 확대 적용되고 있다.
기술 동향으로는 음성, 언어, 시각, 센싱 데이터 등의 모달리티(Modality)의 기술적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다. 주요 기술로는 멀티모달(언어/음성/시각 등) 표현(Representation) 학습, 멀티
모달 감정인식, 복합대화 기술 등이 있고, AI 로봇, 대화형 디지털 휴먼, AI 튜터 등에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AI 챗봇에서의 신뢰성 문제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이후, 정부는 물론 민간
차원의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전략(’21.5)’을 제시한 바 있으며, 민간에서는 지능정보산업협회(AIIA)가 AI가
공정한지, 믿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인증제도인 ‘AI 신뢰성 인증(Trustworthy AI)’을 만들었다
(’22.3.). 그리고, KAIST, 서울대, 고려대, ETRI, KETI 등 학교와 연구소를 중심으로 뇌모사
인공지능, 뉴럴-심볼릭, 설명가능한 AI, 자율성장 AI, 시각적 상식 기술 등 인간수준 AI를 위한
원천기술 개발이 시작 단계에 있다.
3) 향후 전망
첫째,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대용량 컴퓨팅을 앞세워 파라미터 규모의 모델 크기 경쟁을
하고 있는 대형언어모델, 언어시각모델 등 초거대 AI 모델은 수천억 단위를 넘어 수조~수십조
단위로 컴퓨팅/데이터 기반의 용량(Capacity) 증가 방향으로 지속될 전망31)이며, 정적인 모델이
아닌 변화하는 데이터에 적응이 가능한 외부 메모리 연동 사전학습, 인코더-디코더 기반 이해
생성 사전학습, 출력 결과의 신뢰성 향상 및 제어, 효율성 향상을 위한 경량화, 최적화 그리고
31) GPT-4에 100조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고 예측
모델
(기업)
공개 날짜
모델 크기
(파라미터수)
주요 내용
EXAONE
(LG)
2021.12. 3,000억
∙ 언어, 음성, 이미지를 학습한 인간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여러 정보를 습득하고
다룰 수 있는 멀티모달리티 능력을 갖춤
∙ 말뭉치 6,000억개, 이미지-텍스트 2억 5,000만 학습
∙ 논문과 특허 같은 전문 문헌의 텍스트뿐 아니라 수식, 표, 이미지까지 학습하면서
업데이트 됨
∙∙∙ 30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언어, 시각, 음성을 포함한 멀티모달 사전학습 모델 등의 연구가 당분간은 계속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텍스트 생성, 프로그래밍 코드 생성,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은 물론 3D 이미지 생성,
비디오 생성까지 가능한 크로스모달(Cross-modal) 창작 AI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언어, 음성, 시각 등 단일지능 기술은 기존 기술과 함께 더욱 고도화되면서 산업 및
공공 분야는 물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될 것이고, 기존 AI
스피커, 콜센터 AI 등의 사업화 영역에서 금융, 의료/헬스케어, 법률, 교육, 모빌리티,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융합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국내 산업 현장에서 인공지능 응용과 서비스를
구축하면서 한국어 또는 한국 지역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통적인 기술 문제점과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한국어 인공지능 기반 기술 고도화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사람처럼 보고,
듣고, 읽을 수 있는 개별 단일 감각 기관의 언어, 음성, 시각 단일지능 기술은 산업체에서 실
질적으로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고도화가 필요한 기술이면서, 나아가서는
복합지능, 인간 수준 AI, 범용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AlphaFold2와 같은 계산, 추론 지능의 발달로 의료 분야는 물론 수학, 화학, 물리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과학적 난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기반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 ETRI 지능정보연구본부
[그림 3-42] 인공지능 기술 조감도(Intelligence vs Capacity)
308 ∙∙∙
셋째, 초거대 AI 모델이 다양한 태스크에서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놀라운 성능을
내면서 활용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 모델이 언어 또는 영상을 이해할까?, 세상을
인간의 지식과 상식으로 이해할까?”와 같은 의문이 제기되면서 단순한 어휘 수준의 통계적
상관 관계의 수준을 넘어 사람처럼 지각, 인지, 행동하고, 새로운 사실, 사건에 대해 세상의
지식/상식으로 추론할 수 있는 인간 수준 AI(Human level AI) 연구가 함께 진행될 것이다.
이때 뉴럴-심볼릭, 고위 수준의 지식 표현, 멀티모달 AI, 상식 추론, 신뢰성 있는 AI, 뇌인지
모사 AI 등의 차세대 AI 기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디지털 휴먼, AI 로봇의 브레인에
탑재되어 생활 속에서 검증 및 실증될 수 있을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감정, 정체성, 사고 방식 등
내면적 개성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성장 진화하는 범용인공지능(AGI)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지능은 듣기, 말하기, 보기, 계산하기와 같은 인식지능 영역에서는 일부 인간 수준에
도달했거나 능가한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멀티모달, 지식, 상식, 논리적 추론, 도메인
적응, 자율성 등이 필요한 인지 지능 영역은 전 세계적으로도 초기 개발 단계에 있다. 사람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진정한 AI 기술을 구현해 나가기 위해서는 단일 태스크에 대한 성능 지표가
아니라 자율주행의 기술 수준 레벨처럼 AI 인지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지능
평가 체계, 인간의 사고, 행동, 추론 과정을 모사할 수 있는 인지 아키텍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언어학, 인지과학, 심리학, 뇌신경과학, 뇌공학 등 인공지능과 자연지능의 융합과 관련된 다학제적
기초연구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빅데이터
1) 개요
국내・외 국가들은 디지털 대전환 흐름을 국가 도약 및 기업 혁신의 중요한 기회로 삼고,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축적・이용하기 위한 전면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데이터
패권 경쟁 우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경제 견인을 위해 국가 데이터
전략을 수립하고 데이터 생성・접근 인프라 확산, 신산업 육성, 인력 양성 등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향후 10년간 데이터 비전을 통해 연방정부 자원에서 데이터 활용 원칙과 과제를 마련
하는 ‘연방 데이터 전략’(’19.12.)을 수립하고 2022년에 11.4억 달러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EU는
‘데이터 전략’(’20.2.)을 통해 향후 5년 간 EU가 데이터 경제 선도를 위한 주요 정책 및 투자
전략을 마련하여 2025년까지 40~60억 유로를 투자할 예정이다. 중국은 디지털 중국 실현을
위한 기업・공공 데이터 활용확대, 데이터 산업육성을 위한 ‘14차 5개년 계획’(’21.11.)을 마련하여
디지털 중국 실현을 위한 기업・공공 데이터 활용확대, 데이터 산업 육성으로 2021년~2025년
∙∙∙ 30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까지 3조 위안을 투입한다고 발표하였다.
우리나라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개방하는 공공・민간의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들의 시장
안착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민・관 협력 기반 데이터 플랫폼 발전전략’(’21.6.)을
발표하여 ‘데이터 혁신 기반 디지털 경제 선도국가’라는 비전 아래 데이터 플랫폼의 효율적
확충 및 활용, 민・관 협업 기반의 전주기 지원 플랫폼 구현이라는 추진방향에 따라 4대 추진
전략과 12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21년 6월, 마이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계획’ 발표하여 국가 차원의 효율적이고 질서있는 마이데이터 사업을
추진토록 하고 있다.
민・관이 함께하는 데이터 기반 혁신 생태계 조성은 국가적 과제이며, 결국 양질의 데이터를 더
많이 축적・개방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갖추는 것이 국가의 미래를 결
정할 것이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주요국의 디지털 데이터 시장규모32)는 미국이 2,388억 달러(’20), EU+영국 907억 달러
(’20), 일본 418억 달러(’20) 규모로 각각 연평균(’18~’20) 13.5%, 5.8%, 11.4%로 성장 추세
(EC, 2020)에 있다.
자료 : 2021 데이터산업백서(2021.11.), European Commission(2020.7.)
[그림 3-43] 주요국 디지털 데이터 시장 규모(2016~2020)
32)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데이터를 가공함으로써 제품 및 서비스로 재생산되는 시장을 ‘디지털 데이터 시장’으로
정의하며, 데이터 기업의 매출액을 기반으로 산출
310 ∙∙∙
전략적으로 자국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데이터 접근 및 이용 패러다임 확산에 주력하고
있으며, 미국은 자유로운 데이터 이동 등 글로벌 빅테크에 친화적 환경 조성과 미국 주도 협정을
통해 국경 간 자유로운 데이터 이동을 촉구하는 미・일 디지털무역자유협정(’20.1.), 미・멕・캐
디지털무역자유협정(’20.7.),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22.5. 출범)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은 데이터 생산 우위(전세계 생산량 30%)를 살리는 데이터 쇄국주의를 전개하기 위한 데이터
보안법(’21.6.)을 통해 경내 수집・생산된 중요데이터는 경내에만 저장 의무화를 하고 있다.
EU는 회원국 결속력을 활용하여 역내 데이터 단일시장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MWC・CES 등의 핵심 동향을 살펴보면, 데이터와 인공지능 융복합서비스의 향연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혁신기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고, 주요 빅테크 기업은 데이터
확보・활용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히, 1,000대 유니콘 기업 중 데이터 기반 기업이
75.4%(’22. CB Insights)를 차지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022년 글로벌 주요
행사에서 시연된 핵심 서비스들을 보면 아래와 같다.
2022 다보스 포럼(엔씽) 2022 CES (IRSAP SPA) 2022 MWC(Vodafone)
∙ 스마트팜솔루션,
작물레시피 개발
∙ 라디 에이터,
원하는 실내
온도 최소비용
제공
∙ 농작물・일기예보
등 정보분석,
최적 수확시기
도출
기업과 산업의 성장뿐 아니라 공공 혁신과 사회문제 해결에 있어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활용이 핵심 사항으로 부상하고 있는데, 영국은 데이터 인프라 혁신 프로젝트
(’20), 미국은 데이터 인큐베이터 프로젝트(’19)를 추진하고 있다. 다음은 데이터 기반 공공
혁신과 사회문제 해결 주요 사례를 보여준다.
미국, ‘AI 아동학대 예측’ 싱가포르, ‘ITS’(스마트 교통시스템) 에스토니아, ‘AI 판사’
∙ 아동 학대예측
시스템, 아동 사망
대폭 축소 기여
∙ 교통시스템, 주요
대도시 대비 체증
덜함(평균 주행속도
싱가포르 27km/h >
런던 16km/h)
∙ 7천€ 미만 사건
담당, 유럽 대비
32% 빠른 절차,
1인당 사법행정
예산은 EU 중 가장
낮음
국민과 기업의 자기 데이터 주권 확보 및 활용 능력 촉진이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 의제로 대두되는 ‘데이터 리터러시’ 등 활용 역량이 디지털 경제사회의 화두로 대두되고
∙∙∙ 31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있다. 세계은행은 인프라, 법제도 등 국가의 데이터 활용 체계는 ‘데이터 역량’ 위에서 가능하다고
했고, 가트너는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제2의 외국어는 ‘데이터 리터러시’라고 했다.
관련하여 미국은 공공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기 위한 정부 빅데이터 R&D 전략을
2016년에 추진하였고, 영국은 데이터 리터러시 대국민 교육 및 중소기업의 데이터 활용 지원을
무료 교육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EU는 2022년에 EU 데이터 법안을 마련하여 자기생산 데이터
접근권 및 이동권을 신설하였다.
글로벌 기업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기하급수적으로 발전시키고, 경영, 영업, 제조 등
산업현장 곳곳의 파괴적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구글 딥마인드 초거대 AI ‘고퍼’, 아마존 자동화
추천서비스 ‘아마봇’, 넷플릭스 콘텐츠 큐레이션은 그러한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다.
해외 데이터거래소는 각국의 정책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 및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국 추진 방향
미국
[민간주도의
데이터 거래]
∙ 일찍부터 사후거부권(Opt-out) 제도 기반하에 데이터브로커 중심의 자유로운 데이터 수집・결합으로
데이터 유통 시장 활성화
- 미국내 2,500여개 이상의 민간기업이 운영하는 데이터거래소가 활성화
중국
[정부주도의
데이터 거래]
∙ 귀양에 정부 주도 하의 빅데이터 거래소를 설립하여 데이터 산업의 빠른 성장을 이뤄냈으며 거래・기술・
안전・응용표준 등 세부 표준안을 수립하고 거래가격을 표준화
- 거래소내에서 유통되는 데이터의 80%가 정부데이터로 이루어지며, 가격지수를 통해 상품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가격을 책정
영국
[개인중심의
데이터 거래]
∙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거래 플랫폼이 활성화되어 개인은 개인데이터저장소(PDS)를 통한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직접 행사하며 금전적 보상 지급 받음
- 국내 마이데이터 사업도 PDS를 통한 개인정보 수집이 가능하나, 데이터 유통은 허용되지 않아 영국의
거래소와 차이가 있음
일본
[정보은행(신탁)의
데이터 거래]
∙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법 개정을 통해 개인 의료데이터를 거래하는 정보은행
출범
- PDS 전문기관 인증제를 도입하여 개인정보를 정보은행에 위탁하고 거래시 금전적 보상을 허용
자료 : 고은아(2020). 해외 데이터거래소 정책 방향과 시사점. 하나 CEO 경영이슈 5호. 하나은행 하나경영연구소.
나) 국내동향
우리나라 역시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법제도 정비, 대규모 재정투자 등을 통해 시장규모
성장 등 소기의 성과를 달성해 나가고 있다.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
정보법) 개정을 시작으로 「공공・민간의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데이터기반행정법1」(’20.5.),
「데이터 산업법2」(’21.10.), 「산업디지털전환법」(’22.1.)을 제정했으며, 812개 기관 데이터기반
행정 책임관을 지정(’21.3.)하였으며, 정부통합데이터분석센터를 설치(’21.12.)하였다. 그리고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를 신설하였으며, 데이터 가치평가・품질인증 등을 도입
하였다.
312 ∙∙∙
정책 및 거버넌스 정립 측면에서는 2013년부터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를 통한 공공데이터
개방・이용활성화, 데이터 관련 종합・전문분야별 80여 개 정책 수립・추진 및 정책심의기구로
4차위 데이터 특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 규모는 20조 24억 원(’20)으로 최근 3년간(’18~’20) 연평균 13.3%의
빠른 성장을 나타내며, 2021년은 23조 972억 원을 예상(KDATA, 2021)하고 있다.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DATA(2021.12.)
[그림 3-44] 국내 데이터 시장규모(2016~2020)
국내 데이터 기업은 데이터 솔루션, 구축 컨설팅, 서비스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8,700여 개(’21)로 조사되었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5.2% 수준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인공지능학습용 데이터 구축(’20~’21 7,020억 원), 데이터 바우처 지원 등 주요 데이터 사업에
1.36조 원을 지원(’20~’21)하였다. 다음은 국내 데이터 지원을 통해 달성된 성과를 보여준다.
[그림 3-45] 주요 추진 성과
∙∙∙ 31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차세대 산업혁명은 IoT, 센서,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수집된 거대한 데이터 집합이자 이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나 아키텍처를 의미하는 빅데이터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은 공공・민간이 협업하여 데이터의 생산・수집, 분석・유통을 지원
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빅데이터
플랫폼 21개소(’22.12.)와 센터 230개소를 육성하여 활용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기업과 국민이
쉽게 활용하는 시장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2019년부터 공공과 민간의 협력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을 시작으로, 디지털 대전환과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자원인 데이터 자원
확대 추진, 데이터 전주기(수집・가공・연계・개방・활용) 활성화를 통한 ‘데이터 플랫폼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현황(21개 플랫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3-18>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현황
분 야 플랫폼 센터 현황 플랫폼 주요내용
1 금융 비씨카드
11개 (노타, 닐슨컴퍼니코리아, 바이브컴퍼니,
이노핀, 여기어때, 해빗팩토리, KT, 한국감정평가
사협회, 기웅정보통신, 한국금융솔루션, 부산
광역시)
∙ 금융(카드소비, 보험, 증권), 비금융(통신, 소셜,
유통, 미디어, 상권)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활・
금융에 대한 데이터 공급, 가공・컨설팅까지 빅
데이터 원스톱 서비스 제공
2 환경
한국
수자원
공사
12개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국립생태원, 한국
환경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GDS컨설팅
그룹, 그린에코스, 한국과학기술원, 노바코스,
에코앤파트너스, 국립중앙과학관,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물, 기상・기후, 미세먼지, 지질・재해, 생태・자원,
화학・물질, 환경 SNS 및 환경법규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대기질 분석기반 공원 추천 및 언론
환경이슈 분석 서비스 등 제공
3 문화
한국문화
정보원
15개 (국립중앙도서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
문화예술위원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부산
정보산업진흥원, 야놀자, 레드테이블, 레드타이,
데이터마케팅코리아, 티엔엠에스, 원투씨엠,,
제주관광공사, 컨슈머인사이트, 히어로웍스, 한국
문화원연합회)
∙ 문화, 숙박, 레저, 음식, 상권, 도서, 트렌드 등의
데이터 융・복합을 통한 문화여가 종합정보 서비스
및 정책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SOC 대시보드
서비스 등 제공
4 교통
한국교통
연구원
12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포항테크노파크,
아이나비시스템즈, KT, 코리아크레딧뷰로, 성남
시청, 진주시청, 대전광역시청, 서울특별시청,
한국부동산원, 오픈메이트온, 한국철도기술
연구원)
∙ 전국(이력)교통량, 대중교통, 열차, 고속도로,
내비게이션, 유동인구, 부동산 등의 데이터를 융합
하여 교통 서비스 고도화 및 발굴을 위한 데이터
지원
5
헬스
케어
국립
암센터
10개 (삼성서울병원, 연세암병원, 건양대병원,
전북대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의료원, 서울대
학교, 분당서울대병원, 화순전남대병원, 아주대
학교병원, 길의료재단)
∙ 10대 암종별 임상데이터를 융합하여 암 진단・
치료 의사 결정 및 항암 치료제 연구개발 등 활용
6
유통
소비
매일방송
13개 (나이스디앤알, 바이브컴퍼니, 데이블, 로플랫,
빌트온, 식신, 온누리에이치엔씨, 지인플러스,
코리아크레딧뷰로,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나이스
디앤비, 경동도시가스, 어반유니온)
∙ 유통상품, 카드결제, 택배송장, 통신, 부동산, 상권,
물류, 맛집, 중고차시세, SNS 등의 데이터를 융합
하여 라이프 스타일별 선호 외식업종 서비스 및
지역별 온라인 상품 구매정보 서비스 등 제공
314 ∙∙∙
분 야 플랫폼 센터 현황 플랫폼 주요내용
7 통신 케이티
14개 (비씨카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천테크
노파크, 소상공인연합회, 경기대, 어메이징푸드
솔루션, 두잉랩, 코난테크놀로지, 오픈메이트,
넥스트이지, 네스,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제로
투원파트너스, 모토브)
∙ 유통인구, 상권, 카드소비, 관광, 교통카드정보,
SNS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상권분석 서비스
및 생활인구 분석 서비스 등 제공
8
중소
기업
더존
비즈온
12개 (빅밸류, 한국생산성본부, 한국무역정보
통신, 와이즈넛, NICE평가정보, 산업기술진흥
협회, 인크루트, 녹색기술센터, 선도소프트, 한국
물가정보, 한국법령정보원, 한국경영인증원)
∙ 중소기업 회계정보, 부동산, 보험계약, 기업 고용・
복리후생, SNS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기업
경영정보 분석 서비스 및 일자리 수요예측 서비스
등 제공
9
지역
경제
경기도청
10개 (경기일자리재단, 더아이엠씨, 경기신용
보증재단, 한국기업데이터, 국토연구원, 한양대
학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나아이, 펌프킨,
한국신용데이터)
∙ 지역화폐 결제정보, 기업정보, 일자리, 신용평가,
카드사정보, 경기도 인구・주거・환경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지역 소비패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일자리 매칭 서비스 등 제공
10 산림
한국임업
진흥원
12개 (비글, 아로정보기술, 인포보스, 한국산림
복지진흥원, 시선아이티, 우림엔알, 삼아항업,
에이콘컴퍼니, 마켓링크, 한국한의학연구원,
에너지엑스, 에코아이)
∙ 임업, 등산로・숲길・자전거, 대중교통, 산악기상,
산림재해, 항공영상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트레킹 서비스 및 임산물 정보 등 서비스 제공
11 농식품
한국
농수산
식품유통
공사
10개 (이지팜, 유로지스넷, 장보고식자재마트,
나이스지니데이타, 케이플러스, 이지에이치엘디,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원데이터기술, 플랜인피닛)
∙ 농식품 생산, 유통, 소비 분야별 공공민간 데이터
통합활용체계를 마련하고 농식품 데이터 유통
거래를 위한 통합 데이터 허브 구축
12
디지털
산업
혁신
한국
산업기술
시험원
10개 (이앤씨지엘에스, 가이온, 대덕넷, 한국
M&A거래소, 알리콘, 에프앤가이드, 에스티에
이치아이에스, 헤브론스타, 벡스인텔리전스,
광개토연구소)
∙ 주력산업 혁신지원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해
산업 위기 대응 및 정책 수립 활용, 민간 개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13
라이프
로그
연세대
원주산학
협력단
12개 (고려대학교의료원, 강원대학교병원, 한림
대학교 춘천성심병원, 아이센스, 베이글랩스,
휴레이포지티브, 굿닥, 대한청각학회, 케이웨더,
헬스맥스, 헬스브릿지, 엘지유플러스)
∙ 생애 전주기 라이프로그 수집, 분석, 활용이 가능한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구축 및 산업 생태계 육성
14
소방
안전
소방청
9개 (세종소방본부, 울산소방본부, 한국소방산업
기술원, 한국화재보험협회, 올라이트라이프, 업
데이터, 한방유비스, 예측진단기술, 강원도청)
∙ 소방재난안전 및 소방산업 데이터 수집・분석을
통한 양질의 소방재난안전정보 제공 및 유통・거래
기반 마련
15
스마트
치안
경찰대학
10개 (더치트, 한국토지주택공사, 앰진시큐러스,
서울신용보증재단, 지란지교데이터, 에스투더
블유랩, 이투온, 아이티로, 수원시청, 연합뉴스)
∙ 위험예측・분석이 가능한 민간・공공의 치안
데이터를 융합하여 대국민 안전 보호 기반 마련
16
해양
수산
한국해양
수산
개발원
11개 (해양교통안전공단, 광주과학기술원, 한국
해양대 산학협력단, 울산과학기술원, 목포대 산학
협력단, 랩오투원, 환경과학기술, 에이치더블유,
해운항만물류정보협회, 빌리언21, 올시데이터)
∙ 해양, 해운, 수산, 항만 전 분야 데이터 수집 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융합, 가공, 유통 가능한 해양
수산 빅데이터 마켓플레이스 구축
17 감염병
한국과학
기술연구원
10개 (옴니시스템, 매지스, 비네아, 셀키, 국립
중앙의료원, 한국은행, 이화여대 산학협력단,
용인시산업진흥원, 레몬헬스케어, 비엘티)
∙ 코로나19 데이터의 기록 보존과 활용 분석 기반
마련, 신종 감염병 출현에 효율적,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생태계 구축
∙∙∙ 31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빅데이터 플랫폼은 데이터 관리에 필수적인 인프라(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생산・수집・가공・분석하는 체계를 가지며, 공급자와 수요자가 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도록 데이터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방・유통・활용을 지원하고, 데이터 공급자와
수요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매개로 다양한 참여자 간 협력과 경제적 가치 창출을
쉽고 빠르게 수행하는 디지털 혁신의 핵심 요소 역할을 수행한다.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을 통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총 6,842종(누적)의 데이터를 개방하였다.
3) 향후 전망
정부는 양질의 풍부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공공・민간이
협업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을 추진하였고, 이용자가 플랫폼 및 센터에서
구축한 데이터를 쉽게 검색・연계・활용하도록 플랫폼 연계를 통한 통합 데이터지도를 구축
(’20.3.)하여 플랫폼과 센터의 연계를 통해 마련된 플랫폼 연계 표준33)을 적용(NIA, ’20)하고
있다.
33) 데이터 소재, 소유자, 유・무료 구분 등 필요 항목 정의
분 야 플랫폼 센터 현황 플랫폼 주요내용
18
공간
융합
한국국토
정보공사
10개 (지앤티솔루션, 공간정보기술, 에이모, 펜타
시스템테크놀러지, 한컴어썸텍, 차세대융합기술
연구원, 뉴레이어, 호정솔루션, 아파트엔, 제타
럭스시스템)
∙ 민간・공공 협업 공간정보 거래플랫폼 구축으로
공간정보 데이터 생태계 성장 촉진, 융합 시너지
창출, 공간정보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창출 기회
확대
19 부동산
한국
부동산원
10개 (한국교통연구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스페이스워크, 오아시스비즈니스, 드론오렌지,
어반베이스, 직방, 디스코, 리파인, 피타그래프)
∙ 부동산 신산업(프롭테크) 육성과 공공-민간산업
데이터 연계 기반 조성에 이바지
20
스마
트팜
네이버
클라우드
10개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동식물의공학
연구원, 홍익솔루스, 경남테크노파크, 유비엔,
엑스텐정보, 웰니스파머, 뉴컨, 휴미템, 렛츠팜)
∙ K-Farm의 빅데이터 글로벌 표준 제시를 위한
디지털 농업혁신 서비스플랫폼 구축
21 연안
한국해양
과학기술원
10개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과학원, 인하
대산학협력단, 해양정보기술, 비엔티, 오셔닉,
지오스토리, 일렉오션, 지오시스템리서치, 엔에스
원소프트)
∙ 연안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통한 사회현안 해결
신산업 육성, 공공-민간 데이터 결합을 통한 데이터
생태계 조성, 연안재난 및 안전에 대한 국가적
대응체계 기반 마련
316 ∙∙∙
데이터 검색 데이터 현황
융합 그래프 연관도 점수 그래프
[그림 3-46] 통합 데이터지도 주요 기능
통합 데이터지도는 빅데이터 플랫폼 외에도 공공기관, 민간기업과 연계를 지속적으로 확대
하여 2022년 11월 현재 인공지능 중심지 공공데이터포털(행정안전부), 금융데이터거래소(금융
보안원), 공간빅데이터 분석 플랫폼(국토교통부), 쿠콘닷넷(쿠콘) 등 26개 데이터 플랫폼・포털에
개방된 10만 건 이상의 데이터 소재 정보 검색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29만 명의
이용자가 통합 데이터지도를 활용하고 있다.
데이터 유통・거래 시장에 대한 공공과 민간의 활발한 참여와 활성화는 데이터 생태계 발전과
데이터 산업을 성장하게 할 것이다.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데이터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이며 데이터를 한 곳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된 통합 데이터지도의 기능 고도화 및 연계 확대 또한 함께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31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블록체인
1) 개요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유한 정보 및 가치를 제3의 신뢰기관 없이 분산형 네트워크를
통해 기록・검증・보관・실행하는 자율 신뢰 인프라 및 서비스 기술이다. 탈중앙성, 투명성, 불변성,
가용성 등의 기술적 특성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로
데이터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던 기존 구조를 탈중앙식・분산식으로 전환하여 업무 효율화
및 사회혁신을 실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블록체인 기술 동향은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 특히, 2009년도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2015년도
이더리움, 현재는 블록체인 3.0 의주도권을 잡기 위한 각축전이 일어나고 있다. 2022년도에
‘이더리움 머지’라고 해서 작업 증명 합의 방식에서 지분 증명으로 진화되는 중요하고, 급변의
시기이다. 특히, 플랫폼의 시대에서 프로토콜의 시대로 변화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블록
체인 기술과 Web 3.0이 같이 대두되고 있다. Web 3.0이 마케팅 용어라는 주장도 많이 회자가
되고 있다. 버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Web에서 큰 변화가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사실 우리
주위에서는 Web 1.0, Web 2.0, Web 3.0 등 다양한 웹을 사용하는 역량이나 성숙도가 다 다르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Web1.0, Web2.0을 경험했듯이 큰 변화가 있다는 사실이다. Web
3.0이 소유의 인터넷으로 표현이 되듯이, 사용자가 읽고 쓰는 것 에만 한정하지 않고 Own
즉, 소유권을 가지는 Web이 된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페이스북에서 많은 활동을 한다고 가정을
했을 때, 예를 들면 좋은 글과 사진들을 공유하고 좋아야 클릭을 아무리 많이 받아도 사용자
에게는 아무런 가치, 인센티브가 없다. 페이스북. 메타의 주가만 올라가고 실제로 사용자/
생산자에게는 가치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Web 3.0이 지향하는 포로
토콜 경제, 크리에이터 경제라는 개념의 핵심이다. 기여한 만큼 투명하게 보상을 받는 서비스/
시스템인 것이다. 여기에 블록체인이 핵심 기술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탈중앙화라는 핵심
가치를 구현하는 본질인 것이다. 기관의 데이터에서 마이데이터로, 중앙화에서 탈중앙화/
분산화로, 플랫폼의 시대에서 프로토콜의 시대로 등과 같이 기술적인, 철학적인 흐름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 혁신의 시대에 많은 사회에 영향을 주는 스타트
업과 산업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멀티 체인, 크로스 체인 기술 확산
크로스 체인(브릿지)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정보, 암호
318 ∙∙∙
화폐, 대체불가 토큰(NFT) 등을 교환하는 것이다. 크로스 체인을 지원하기 위해 브릿지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웜홀(솔라나 브릿지), Celer c Bridge 등이 있다. 멀티 체인은
최소 둘 이상의 체인 상에서 구동되고 있는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이며,
서로 다른 체인의 토큰을 하나의 디앱(Dapp)에서 스왑(Swap)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이더리움(ETH)과 클레이튼(Klay)은 다른 체인이지만, 멀티체인 디앱(Dapp)을 이용하여 바로
스왑(Swap)이 가능하다. 이는 체인 간 직접적 통신이다. 크로스 체인에서 부족했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완벽한 ZK-SNARK 기반의 브릿지(크로스 체인 기술)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51% 공격에는 취약하다. 문제는 엮이는 체인이 두 개 이상이 되면서 더 심각해진다.
만일 100개의 체인이 있고, 체인들 사이에 여러 상호의존성이 큰 디앱(Dapp)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해본다면, 단 하나의 체인에 51% 공격이 가해지는 것으로, 전체 생태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더리움-네이티브 자산은 이더리움(ETH)에, 솔라나-네이티브
자산은 솔라나(SOL)에 들고 있는 것이 항상 안전하다. 이더리움-네이티브 자산을 솔라나
(SOL)에 들고 있거나, 솔라나-네이티브 자산을 이더리움(ETH)에 들고 있는 것은 위험하다.
이러한 문제는 롤업(rollup)이 단순히 ‘다른 데이터 레이어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더리움-네이티브 자산을 이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 보안성을 제공하고 싶다면,
이더리움 데이터 레이어를 이용해야 한다. 이러한 멀티 체인 기술 혁신들과 Layer2 기술,
이더리움 머지 등이 2022년도의 기술 동향으로 볼 수 있다.
(2) 다오(DAO) 동향
다오(DAO)는 전통적 기업 구조를 대신하는 탈중앙화 자율조직으로 가상자산 성장과 함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중앙관리자 없이 개인들이 공통 목적을 가지고 모여 투표를 통해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유동적인 온라인 공동체로 계층구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다오(DAO)는 자체
적인 토큰을 발행하여 구성원들에게 의결권을 배부하고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하므로 수평적인 조직구조, 익명성, 투명성의 특징이 있다. 자금조달, 투자 등의 모든
활동을 중개기관 없이 가능하게 하고, 그 전체적인 과정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진행하며 공동으로 투자하고, 수익을 분배받는 형태의 조직이다. 국경 없이 대규모의 자금을
모집하며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에 모든 활동이 투명하게 공개한다. 구성원은 활동에 대한 인센
티브와 다오(DAO)의 자체 토큰의 가치 상승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중개자 없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DeFi 프로젝트는 다오(DAO)에 의해 운영되는 대표적인 분야이며, 이 밖에 투자, 수집,
소셜 프로젝트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31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국내동향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분산 ID(DID, Decentralized Identity)의 본격적인 인증 시장에서
활용되는 원년이라고 할수 있다. 특히, 모바일 운전면허증에 DID 기술이 사용되었다.
[그림 3-47]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와 모바일 운전면허증 서비스 화면
지갑 속에 넣어 다녀야 했던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을 스마트폰에 저장해 사용하게 되면서
본격적인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시작됐다. 이들 모바일 신분증은 관련 법에 따라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하는 운전면허증이다. 시범
발급 기간을 거쳐 7월 28일부터 전국 27개 운전면허시험장과 258개 경찰서로 발급이 확대
됐다. ‘모바일 신분증(운전면허증)’ 앱을 내려받아 설치한 후 집적회로(IC) 운전면허증으로 발급
받거나 운전면허시험장을 방문해 QR로 발급받는 방법 중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본인 명의의 1개 단말기에만 발급받을 수 있으며, 단말기 분실신고를 하면 모바일 운전면허증이
잠김처리 돼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확인은 육안 또는 ‘모바일 신분증 검증앱’으로 할 수 있다.
융합 연구 개발 동향으로 마이데이타 융합 서비스등이 활발히 이루어 있다. 그리고, P2E 즉, 게임
산업에서 사용되는 블록체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제도적인 부분과 FTX, 위믹스 사태로
인해서 숨고르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320 ∙∙∙
3) 향후 전망
크로스 체인, 멀티 체인에 이어서 허브 체인과 Layer2로 대두되는 샤드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연구개발 성과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Web 3.0 핵심 기술로
지속적으로 활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Web 3.0 핵심 인프라로서의 실용 계획들이 예상이
된다. DAO, DeFi, NFT, 마이데이터 등이 초 융복합이 되는 시대가 열리게 될 것이다. 이에
Wallet War로 표현되는 Universal Wallet 기술과 복합 서비스, 예를 들면, 기존 금융과 디지털
자산 금융이 통합되어 융합되는 슈퍼 서비스의 시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메타버스
월드에서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융합과 연결 고리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NFT, DAO, DID
기술들이 각 도메인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 및 핵심 서비스로의 접목이 되어서 체감형 블록
체인 기술들을 체험하길 전망하고 기대한다.
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ICT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비대면・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며, 경제성장과 위기극복의
견인차로써의 역할34)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과학기술이 경제・사회 변화를 선도하고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새로운 국면에서 디지털 혁신을 실현할 ICT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한정된 R&D 자원과 국내 산업 구조 및 시장 규모 등을 고려할 때,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에
선택과 집중하는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경제・사회 전반에 걸친 파급력 있는 혁신기술 확보 및 신속한 시장
선점을 위해 ‘디지털 기술혁신 및 확산전략(’22.6.)’과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22.9.)’에 기반한
ICT R&D 관리체계 혁신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해 국내 기업 지원, 주요 부품 국산화 및
대학 연구센터 설립을 통한 핵심 인력 양성 등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네트워크, 전파・위성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며 대응하고 있다.
특히, 전파위성 분야에서는 기반 산업육성을 위한 소재부품 국산화, 무선 전력전송 및 Sub-Thz
레이다 칩 등 미래전파 핵심원천기술의 확보와 전파융합 분야 혁신 성장을 위해 전파의료
분야의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신규 R&D로 100Gbps 초고속
34) 세계 최초 5G 상용화(’19.4.), 메모리 반도체 시장점유율 세계 1위(’19, 57.39%)
∙∙∙ 32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웨이브가이드 부품, Sub-THz 펄스 기반 레이다 칩 및 고해상도 회로망 분석기 개발, 테라헤르츠
전파 에너지를 활용한 질병 치료・진단 핵심기술개발 과제에 집중 투자하였다. 이와 더불어 빅데이터
기반 생활 전자파 예측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전자파 예측기술 구축 연구를 더욱 확대・지원
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이동통신
이동통신 분야는 5G+ 전략이행과 6G 선행기술개발 수립을 바탕으로 5G 상용화의 성공적
확산을 위한 단말・장비 부품 고도화, 개방형 장비 기술 및 3GPP Rel-18부터 시작되는 5G
표준 고도화(5G-Advanced) 대응을 위한 핵심 후보 기술 개발을 위해, 기존 방송통신산업기술
개발사업(차세대무선통신 내역사업)과 6G핵심기술개발 사업 등 2개 사업을 바탕으로 R&D
기획을 통해 이동통신분야에 2022년 74.5억 원(10개 과제)을 신규 지원하였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5G 액세스 장비 고도화를 위한 핵심 부품기술 및 공급망 다변화에
따른 O-RAN 지원 RU 솔루션 개발(4개 과제), 5G-Advanced 기반 eMBB 고도화 기술 등
(2개 과제)과, 4개 대학(KAIST, 서울대학교, 아주대학교, 숭실대학교)에 6G 연구센터를 개소
하여 3차원 공간 위성통신기술, Tbps급 광통신 인프라 기술 등 6G 무선통신 원천 요소기술
개발을 위한 과제를 지원하였다.
2022년 주요 연구개발 성과로는 5G 이동통신 기지국의 다양한 기능 분할을 유연하게 지원
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빈틈없이 보장할 수 있는 오픈랜 기반 개방형 5G 기지국
무선 장치 기술개발, 밀리미터파(mmWave), Sub-6GHz 5G NR 스몰셀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별도의 중앙집중적 처리장치(CPU)가 없는 완전 분산적인 구조의 Cell-Free MIMO의
SDR(Software Defined Radio) 구현기술개발을 지원하였으며, 밀리미터파 대역을 기반으로
상공에서 운용되는 유무인 공중 이동체에 최대 속도 1.25Gbps를 제공하고, 10km의 장거리
에서 최소 250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통신재난 및 긴급구조/치안용 대용량 이동형 이동
통신 인프라 기술, 5G 스마트폰용 밀리미터파 메타표면 기반 이중대역 빔포밍 안테나 온 패키지
기술 등의 개발에 착수하였다.
322 ∙∙∙
<표 3-19> 이동통신 분야 2022년 대표 성과
세부분야 주요내용 대표 성과
이동통신
∙ 세계 최고 수준의 Sub-6GHz 5G 단독모드 스몰셀 소프트웨어 개발
- 업링크 성능 230Mbps 제공
- 동시접속 가입자수 64명 지원
- 중소기업 기술이전 및 상용화(브라질 시장 진출)
∙ 통신재난 및 긴급구조/치안용 대용량 이동형 이동통신 인프라 기술개발
- 밀리미터파 대역을 기반으로 공중 이동체에 최대 속도 1.25Gbps 제공
- 10km의 장거리에서 최소 250Mbps의 전송속도 제공
5G 스몰셀 소프트웨어 기술
공중 이동체용 장거리 고속 통신
모듈
나) 네트워크
경제・사회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글로벌 탄소중립 아젠다, 비대면 서비스 보편화, 클라우드・
OTT 서비스 및 다양한 실감 미디어 이용 증가,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 확대, 5G 보급・
확산, ICT 및 IoT 기반의 다양한 버티컬 산업 응용 증가 등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네트워크 이용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기술 분야는 5G-Advanced
및 6G 기술 진화와 연계하여 초당 테라비트(Tbps) 수준의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종단간 저지연・고신뢰 서비스 품질 보장, 네트워크의 SW화 및 클라우드화, AI 기반의 네트워크
운영관리 지능화・자동화(AI for Network), AI 응용 특화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컴퓨팅 융합
(Network for AI), 네트워크 장비・부품의 전력소비 최소화 등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2년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차세대
유선통신 내역사업)을 통해 223.69억 원(’21년 199.17억 원)과 6G핵심기술개발사업(네트워크
내역사업)을 통해 98.48억 원(’21년 29.78억 원)을 각각 지원하였다.
2022년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로는, 세계 최초로 무중단・시간확정형 네트워킹(DetNet)를 지원
하는 16Tbps급 패킷광전달망(POTN) 시스템을 상용화 수준으로 개발하고, 이를 대전-부산-
서울을 잇는 950km 구간의 KOREN(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과 연동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공장에 대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를 실증하였고, 네트워크 종단간(end-to-end)
2usec 이하의 시간 동기 오차를 보장하는 5G-TSN 코어망 시스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3GPP 표준특허를 확보하였으며, 양자암호키 분배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국제표준(Y.3800,
최상위개념표준)을 우리나라 주도로 제안하여 전 세계 합의로 제정하였다. 광통신 부품 기술
분야에서는 5G+ 이동통신 기지국용 프론트홀 광링크를 위한 파장당 50Gbps의 초고속 전송이
∙∙∙ 32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가능한 광소자 부품을 산・연 공동개발을 통해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데이터센터용 광트랜시버의
대용량화・저전력화・소형화・저가화 구현에 장점을 갖는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의 단일채널 100Gbps
광송수신 칩 및 400Gbps 광모듈 핵심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2022년에는 신규 R&D 과제로, 6G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지능형 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원천기술 개발 과제와 3개의(광통신, 네트워크, 모바일 코어망 기술 분야) 6G대학
연구센터 과제를 시작하였으며,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차세대유선통신)에서는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차세대 액세스망용 100Gbps NG-PON2+ 광트랜시버 개발 및 대용량 전달
망(메트로-코어망)용 400Gbps 코히어런트 광트랜시버 개발에 착수하고, 미래 데이터센터의
트래픽 폭증에 대비한 1.6Tbps 광송수신 엔진, AI를 위한 인-네트워크 컴퓨팅 등 원천기술
연구도 시작하였다.
<표 3-20> 네트워크분야 2022년 대표 성과
세부분야 주요내용 대표 성과
네트워크
∙ 세계 최초로 무중단・시간확정형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16Tbps급 패킷광
전달망(POTN) 시스템 상용화 개발 및 대전-부산-서울 950km 구간에서
원격 공장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실증
∙ 5G+ 이동통신 기지국용 프론트홀 광링크를 위한 파장당 50Gbps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한 광소자 부품 및 광트랜시버 국산화 개발
∙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단일채널 100Gbps 광송수신 칩과 광트랜시버,
400Gbps 광 인터커넥션 모듈 개발 등 데이터센터용 광트랜시버 대용량화・
소형화・저가화 핵심기술 확보
16Tbps급 POTN 시스템
5G+ 기지국 프론트홀용 광소자
및 광트랜시버
실리콘 포토닉스 광송수신
칩・모듈
다) 전파・위성
전파・위성 분야는 전파자원의 전 산업 범용화에 따라 기존 통신・방송・공공 네트워크 위주로
활용되던 전파자원의 사회・경제・산업 전반으로 활용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며 정보전송 기능뿐만
아니라 센싱・레이다, 에너지 전송, 전파의료 등 기능의 활용 수요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화
하고 있다. 이에 전파기반 3대 융합분야 혁신성장전략(’20.11.) 수립을 바탕으로 기존 방송통신
324 ∙∙∙
산업기술 개발사업(전파・위성 내역사업)과 전파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 전파의료 응용핵심
기술 개발사업, 2022년 신규 사업인 Sub-THz대역 전파응용기술 개발사업, 빅데이터기반 생활
전자파 예측기술 개발사업 등 5개의 사업을 바탕으로 R&D 기획을 통해 전파분야에 2022년
105.38억 원을 신규 지원하였다.
2022년 주요 연구개발 성과로는 액정형 배열 안테나 개발, 레이다 모니터링 SW 개발 등의
우수 연구 성과를 창출하였다. 또한, 2022년 신규 과제로 초정밀・저가격 Sub-THz 펄스 기반
레이다 칩 기술 개발, Sub-THz 고해상도 회로망 분석기 개발, 전자파 고정밀 실시간 인체노출
예측 기술 개발, 신개념 위성통신 탑재를 위한 전파 핵심기술 개발과 전파 분야 핵심 소재・부품의
국산화 및 공간 무선충전 원천기술 확보, 전파+의료 융합을 위한 테라헤르츠파를 활용 암 치료・
진단을 위한 전파의료 응용핵심기술 개발에 착수하였다.
<표 3-21> 전파・위성 분야 2022년 대표 성과
세부분야 주요내용 대표 성과
전파・위성
∙ 저궤도 통신위성 단말에 요구되는 안테나 빔 형성 성능을 얻기 위하여 기존 기술과
다른 저가격의 액정형 배열 안테나
∙ 실시간 AI 기반 레이더 알고리즘이 탑재된 차량용 지능형 4D 이미징 레이더
액정형 배열 안테나
레이다 모니터링 SW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향후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강국 실현을 목표로 5G 유・무선
고도화, 6G 원천기술개발, 5G-Advanced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 장비・부품 핵심기술을 확보
하고, 6G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및 전파의료, 로봇 무선 충전 등 전파융합 서비스 원천
기술과 저궤도・정지궤도 통신위성 핵심 부품 자립화와 6G 위성 발사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 필수 전략기술이자 미래 ICT 산업의 기반 기술인 5G・6G기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전파・위성 분야의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네트워크 인프라 고도화와
산업 활성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 32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2020년 초부터 전세계를 강타한 COVID-19의 위력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산업이 전면적
타격을 입지 않고 비교적 이른 시간 내에 회복할 수 있었던 데에는 광범위한 비대면 상황에서도
정보교환과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한 유무선통신 인프라가 큰 기여를 하였다. 유무선 통신 및
전파 기술은 스마트폰의 주요 기술인 이동통신과,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 그리고 기가 인터넷과
광전송망 등으로 대표되는 유선통신, 또한, 무선통신의 기반 기술인 전파와 최근에 대두하고
있는 위성통신 기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이동통신 분야는 세계시장 규모가 크고,
단말기 등에서 한국이 주도하고 있으므로 5G에 이어 2030년 전후로 예상되는 6G에서도
주도권 유지를 목표로 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 분야이다. 또한, 전파위성 분야는 현재는 지상계
통신산업에 비해서는 시장규모는 작지만 앞으로 높은 성장이 예상되고. 한국 기업의 진입여지도
크기 때문에 집중해야 할 분야이다.
2022년에는 이동통신 전세계가입자가 82억 명을 초과하면서 숫자상으로는 세계인구를 이미
초과하는 단계에 진입했으며, 5G가 전 세계적으로 주력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4G 가입자
수는 정점을 찍고 감소되기 시작했고, 동시에 6G에 대한 기초연구가 한국, 유럽,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위성통신에서도 저궤도 군집위성 기반 지상접속
체계가 북미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되어 비도심지역, 원격지, 분쟁지역 등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의 하나로 대두하게 되었다.
<표 3-2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기술
중분류 소분류
차세대통신 통신 서비스, 무선통신 시스템, 유선통신 시스템, 통신 부품/단말
전파・위성 전파 기반, 전파 응용, 전파자원/환경, 위성/무인기
자료 : ICT R&D 기술분류체계, IITP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5G 이동통신
5G 기술의 표준화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표준화 단체에서
진행되며, 주파수 및 세대별 로드맵 등 상위영역은 ITU-R에서 규정된다.
3GPP는 Release 15부터 시작된 5G NR 규격 작업을 시작으로 Release 16까지 특정 사용자
326 ∙∙∙
시나리오에 필요한 전송/접속 관점에서의 기본적 프레임워크나 요소기술 위주의 표준화가 추진
되었다. Release 17이후부터는 더 다양한 사용자 시나리오와 이에 요구되는 기술 성능 요구
사항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들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여 Release 17은 2022년 3월로
규격이 완성되었고, 5G Advance 표준의 첫 단계인 Release 18을 본격화하여 요소기술들의
고도화를 위한 표준화를 2022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이후 2023년에는 Release 19 등으로
진화가 연속될 예정이다.
자료 : http://www.3gpp.org/Release18
[그림 3-48] 3GPP Ongoin Release timelines
한편, 네트워크 기능요소의 소프트웨어화, 클라우드화 추세에 따라서 무선 접속망도 계층별,
모듈별로 규격화하고 소프트웨어화하려는 개방형 무선접속망 표준화 작업이 관심을 받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제품의 내부규격은 각 제조업체별 구현사항으로 간주되어 공식표준화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었으나, 제품 간, 제조업체 간 연동성을 높이자는 시장추세에 따라 O-RAN Alliance를
중심으로 규격작업이 진행 중이며 다수의 클라우드 업체, 이동통신사업자와 제조업체가 참여
하고 있으며, 후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O-RAN 규격기반 제품들을 단계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O-RAN 구조가 보편화되면 대부분의 기지국 기능이 클라우드 서버에서 소프트웨어로 운용되고
RF 등 일부 기능만 하드웨어로 기지국에서 구현되어 무선네트워크의 변혁이 일어날 가능성도
크다.
∙∙∙ 32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6G 통신
과거 1세대부터 5세대까지의 이동통신 역사를 보면, 대략 10년 단위로 세대교체가 발생했는데,
갈수록 그 기간이 짧아지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EU 차원에서는 6G 공동연구 콘소시움인
Hexa-X가 2020년 말에 발족되어 2022년 중반까지 범유럽 6G 비전과 개념 정의, 연구개발
방향 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해 왔고, 그 후속으로 Hexa-X2 콘소시움이 구성되어
세부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Hexa-X와 병행하여 다수의 5G Evolution
과제도 진행 중이다. 진화 기술과 혁신기술을 종합하여 6G에 대한 세부 전략을 도출하고
있으며, 민관협력 추진체계로는 과거의 유럽연합의 5G PPP를 확대 개편하여 6G SNS JU(6G
Social Network and Service Joint Undertaking)를 구성하였다. 유럽지역의 동향에서
특이한 점은 과거에는 EU 차원의 공동작업 위주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개별 국가 차원에서의
6G 대응 활동이 강화되고 있다. 독일의 6G Research Inivation Center, 영국 Surrey 대학의
5G/6G Innovation center로의 확대 등이 그 예이다. 아시아권에서는 2019년 중국에서 과기부
및 공신부 중심으로 6G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국가적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하였고, 민관
포럼인 IMT-2030 Promotion Group을 구성하여 국립연구소인 CAICT가 세부 연구활동을
조율하고 있고, 다양한 백서를 출간하고 있다. 일본은 총무성 주도로 B5GPC(Beyond 5G
Promotion Consortium)을 2020년 12월에 창립하여 범부처 전략 수립, 연구개발지원 및
국제화 주도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국립연구소인 NICT 가 연구개발 전반을 조율하고 있고,
다양한 백서출간과 국제협력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은 과거와 달리 정부의 적극적인 관여로,
2020년 정보통신표준화 기구인 ATIS (Alliance of Telecom Industry Solution) 산하에
Next G Alliance를 구성하여 북미주도 6G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다양한 백서를 출간하였다.
이 외에도 대만은 2022년 8월 디지털부 신설을 계기로 ICT 관련 업무를 전담하면서 위성
기술을 포함한 6G 기술 확보등을 추진하고 있고, UAE도 국책연구소인 TII를 중심으로 ICT
분야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전반적인 6G의 표준 로드맵은 ITU-R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2030년 전후의 상용화를 전제로
목표를 수립하였고, 현재 비전 수립 작업 중에 있다. ITU-R 일정에 맞춰서 세부 6G 기술
규격은 3GPP에서 2028년 전후에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328 ∙∙∙
자료 : ITU-R WP5D
[그림 3-49] ITU-R IMT-2030 work plan
(3) 전파 및 위성 통신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및 서비스의 확산으로 세계 인구비율로는 지상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은 꽤 넓으나, 면적비로 계산하면 여전히 많은 지역이 서비스영역 바깥에 있는 것이 현실
이다. 수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전 지구 면적의 촘촘한 통신 커버리지 확보는 위성통신만이
유일한 해결책이어서 경제적인 구축이 비현실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발사체의 1단 로켓 회수
재사용 및 수십 개의 소형 위성을 궤도에 동시 송출하는 기술의 개발 등으로 로켓 발사 및 위성
운용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이제는 가능하게 되었다. 미국, 영국 등에서 지상 고도
수백 Km 상공에 수천에서 수만 개의 소형 위성을 배치하여 전 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초고속
저지연 무선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StarLink, OneWeb 등의 회사를 중심으로 추진
되어 왔는데, 2020년 말부터는 Starlink에서 수십 Mbps급 서비스를 북미지역부터 시작하였고,
점차적으로 세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2022년 초부터 전개된 러시아의 침공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가 나름대로 선방하고 있고, 국내 상황이 외부세계에 소상히 전달될 수 있었던
것은 스타링크 저궤도 위성통신망의 도움이 필수적이었다고 보여진다. 한편, 영국 Oneweb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캐나다, 중국, 일본, 대만,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
서도 속속 저궤도 위성기반 통신사업에 관심을 키우고 있다.
(4) 유선통신 및 네트워크
유선통신망에서는 IP 기반의 망구조는 큰 변화 없이 광통신에서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어서
광통신 트랜시버의 고속화, 소형화, 파장의 세분화 등에서 연구와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몇 년
∙∙∙ 32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전까지 한국은 가입자별 초고속 인터넷 속도순위에서 1위를 놓친 적이 없었는데, 최근에는
순위가 내려가고 있다. 그 원인은 한국은 초기 망구축에 광동축 혼합망을 사용한 반면, 후발
신규 망구축 국가들은 광단일 전송망을 채택하면서 속도경쟁에서 앞서고 있다. 한국도 점차적
으로 광단일망으로 전환하고 있는 중이다.
나) 국내동향
(1) 5G
2019년 4월 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중대역 3.5GHz 주파수에서 개시한 이후 40개월만인
2022년 8월에 2600만 가입자를 확보하여 34%의 5G 보급률을 돌파하였다. 전체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 중 5G 비중은 72%에 이르며, 월 평균 가입자당 데이터 사용량은 5G가 28.6 GB로
4G LTE 8.4 GB의 3배에 달한다. 2021년 하반기부터 3.5GHz 망구조를 5G 단독으로 운용하는
Stand Alone 구조로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나, 이통 3사의 28GHz 망구축은 저조
하여 2022년 12월 정부는 KT, LGU+의 28 GHz 주파수 면허를 회수하였고, SKT 면허는 6개월
단축했는데 SKT도 면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023년 초까지 14,000대 이상의 28 GHz
기지국을 구축해야 해서 현재로서는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한, 5G의 산업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특화망 제도를 도입하여 기존 이동통신 3사에
할당한 주파수와 별도로 4.7GHz, 28GHz에서 각각 100MHz, 600MHz 대역폭을 특화망
사업자용으로 분배하여 기업, 지자체, 대학, 병원 등에서도 독자적으로 5G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한정된 지역에 한정된 용도로 허가하되 주파수 사용료를 기존 이동통신
사업에 비해 대폭 할인하여 구축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고, 중소・중견 장비기업에도
사업에 진출할 기회가 주어질 가능성을 고려하여 2022년 말 현재 15개 이상의 특화망 사업권이
부여되었다.
(2) 6G
삼성전자는 본사 연구소에 6G 연구 전담조직을 두고 미국연구소와 공동으로 sub Terra
Hertz 전송기술을 개발하여 근거리 통신에 적용한 시험 결과를 발표했고, 6G 백서출간, 6G
Conference 개최, 3GPP, ITU-R 등의 국제표준기구 의장단 확대 등으로 대외활동을 넓히고
있다. LG전자는 KAIST와 협력하면서 독일 프라운호프 연구소 등과도 협력하여 옥외에서의
sub Terra Hertz 전송기술을 실험한 결과를 발표하는 등 핵심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는데,
비록 스마트폰 사업에서는 철수했지만, 전장부품, 가전, IoT 등에서도 이동통신 기술은 중요
하므로 핵심기술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ETRI는 다수의 6G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요소기술
330 ∙∙∙
확보를 진행 중이고, 해외연구소 등과의 협력작업도 추진 중이며, 복수의 대학에서는 6G 연구
센터를 지정받아서 원천기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정부 차원에서는 6G 핵심기술 개발 사업을
2021년부터 착수하여 향후 5년간 2,000억 원을 투입하여 2030년 전후의 6G 사업화에 대비한
1단계 핵심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며, 2단계 사업을 2024년부터 5년간 진행하기 위한 예비
타당성조사를 진행 중이다. 민관 공동협의체인 6G R&D 전략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연구개발,
표준화, 국제협력에 대한 전략의 점검 및 조율 작업을 진행예정이며, 국제화 주도를 위하여
6G Global Conference를 2020년에 이어 3년째 개최하여 정보교류 및 전략수립에 활용하고
있다.
(3) 위성통신 및 유선네트워크
6G의 다른 한 축인 저궤도 위성기반의 통신기술 연구개발 사업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2024년부터 8년간 진행하기 위하여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진행하고 있다. 위성 기술은 발
사체, 탑재제어체, 통신방송중계기, 센서 등의 복합적인 기술인데, 한국은 선진국에 비해서는
후발주자이므로 여러 가지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유선네트워크에서는
중소용량 라우터 및 초소속 광전송 부품 등에서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활동 중인데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3) 향후 전망
코로나19를 극복하는데 정보통신 기술이 많이 활용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통신기술은
5G Advanced 등 지속적인 진화작업과 함께 제조, 교통, 에너지, 의료 등 다른 전통적 산업에
적용되어 산업의 혁신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5G 망이 Stand Alone 구조로
업그레이드 되면, Network Slicing 구현이 용이하여 하나의 물리적 망에서 다수의 응용서비스에
대응한 복수의 논리적 망이 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산업에의 활용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존 이동통신사업자용 주파수와 별도로 전용의 주파수가 분배되면서 5G 특화망사업이
활성화되면, B2B 모델의 5G 산업적용이 가속화될 수 있고, 커버리지가가 제한적인 28 GHz
망의 활용사례를 발굴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방형 무선망 구조인 O-RAN
개념은 미국 중심의 클라우드 업체 주도로 산업의 판도를 흔들 수 있는 위력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한국 입장에서는 산업계 영향을 장단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저궤도 위성기반의 통신 시스템은 아직은 미국, 영국 등 선도국가가 주도하고 있어서 위성
발사체, 위성 탑재체, 지상 단말기 등에서 후발주자인 한국으로서는 추적하는 단계이지만, 주요
요소기술은 일정 부분 확보하고 있고, 국방 차원에서도 반드시 확보해야할 기술이므로 민관군
협력으로 총력을 기울이면 곧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33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6G는 한국이 2021년부터 본격 기술연구에 착수하여 ITU-R의 주파수 및 비전 표준화 작업,
3GPP의 기술 표준화 작업을 거쳐 2028년~2029년 전후 상용화 개시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데,
미국, 중국을 비롯한 선두국의 경쟁과 유럽, 일본 등의 머리싸움이 과거보다 치열할 것으로
보여 어느 때 보다 국가 간 합종연횡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5G에서는 적어도 로드맵,
기술연구, 표준화 단계에서는 국제협력의 분위기가 고조되었는데, 6G에서는 초기부터 국가 간
경쟁 또는 진영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5G가 이동통신기술을 통해 전통산업의 혁신을 이루는
도구가 되고 있다면 6G는 사회의 혁신을 이끄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주도권을 놓치면 한순간에 사회발전이 경쟁국에 비해 뒤쳐질 수 있으므로 정교하게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방송통신융합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차세대방송망(ATSC 3.0) 도입에 따른 전국 UHD 방송 서비스 확대, 인터넷동영상서비스
(이하 ‘OTT’) 및 메타버스 등 방송・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소비
행태도 증가하고 있다. 방송・미디어 시장은 소비자의 수요에 맞춰 대용량 미디어 전송기술과
고품질 콘텐츠 제작 등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정부는
방송・통신 미디어 환경의 급변화에 발맞추어 지상파 방송 산업 활성화 촉진을 위한 ATSC
3.0 기반 지상파 차세대 방송서비스 실증 시연회(’21.4.)를 개최하였으며,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맞이하여 미디어와 콘텐츠 산업의 선순환 발전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산업혁신 및 글로벌 전략’(’22.11.)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는 국내 방송・미디어 분야
산업이 성장하여 글로벌 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방송・미디어 분야 기술개발에 약 232억 원을 지원하였다.
방송 분야는 차세대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 동기화 및 융합을 위한 이종망 연동기반
기술을 지원하였으며, 고화질 방송미디어 전송을 위한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 개발을
올해 신규로 추진하였다. 미디어 분야는 AI 기술을 콘텐츠 제작 및 유통과정에 적용하여 이용자
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최적의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지능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지원
하였다. 또한, 국내 OTT의 글로벌 진출 및 기술 경쟁 격화에 발맞추어 미디어 콘텐츠의 해외
진출국 현지화 기술과 같은 OTT 고도화 기술과 메타버스 내 미디어 서비스 확산을 위해서
메타버스미디어 핵심기술 개발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332 ∙∙∙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방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2년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서비스 기술개발에
42억,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개발에 15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주요 지원 분야는
‘5G와 방송망 연동 기반기술’, ‘5G와 방송망 융합서비스’와 ‘차세대미디어 전송 기술’이다.
5G와 방송망 연동 기반기술 분야에서는 5G와 방송망 융합 송신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실험시
제품을 개발하였다(’22.11.). 더불어,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방송 장비 전시회(NAB) 2022년에
참가하여 8K-UHD 방송 및 융합 미디어 방송 기술을 선보임(’22.4.)으로써 글로벌 8K-
UHD 시장을 선도하였다. 5G와 방송망 융합 서비스 분야에서는 UHD 데이터캐스팅 수신 단말
시제품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상용 수준의 ATSC 3.0 기반 이종망 연동형 8K SHVC 디코더를
개발 및 판매(’22.9.)함으로써 방송기술 분야 국내 위상을 제고하였다.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
분야에서는 지상파 8K급 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송수신을 위해 2개의 채널을 결합하여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2023년도에는 차세대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 간 융합을 위한 이종망 연동 기반기술
및 서비스기술 개발에 41억 원의 예산을, 8K급 차세대방송 전송기술개발 분야에 20억 원의
예산을,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방송) 사업에 25억 원을 확보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나) 디지털미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디어지능화 기술개발에 69억 원, 인터넷동영상서비스 핵심기술
개발에 48억 원 및 메타버스미디어 핵심기술개발에 25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특히, 올해는
PC모바일 화면비 변환을 위한 실시간 이미지 초고해상화 기술을 유럽컴퓨터비전학술대회
(ECCV)의 ‘실시간 이미지 초고해상화 국제대회’에 선보여 우승(’22.11.)을 차지하였다. 더불어,
실시간 뷰포트 추출 기술을 활용한 화면비 변환 지원 플레이어 기술 등을 개발하여 미디어
지능화 서비스 경쟁력을 갖추는데 한 발짝 더 도약하게 됐다. 또한, OTT 분야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딥러닝 기반의 단일화자 음성 구간 탐지 및 다화자 음성분리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적인 AI 기반 음향 이벤트 및 장면인식 기술 경진대회(DCASE
Challenge)에 참여해 세계 3위, 국내 1위의 성적을 거뒀다. 더불어, 다수가 실시간으로 협업
할 수 있는 IP기반 미디어 스위처 기술 및 미디어 제작 플랫폼 설계하였다. 메타버스미디어
분야에서는 3차원 공간에서 객체 미디어를 생성 및 재현하기 위해 단일/다중 시점 영상 기반의
모션캡처 기술 등을 개발하여 메타버스 시장 활성화를 위해 본격적으로 나아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미디어 산업의 선순환 발전과 시장 확대 등 디지털미디어 강국
∙∙∙ 33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실현을 위해 2023년도에 약 207억 원의 예산을 미디어 분야에 투자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표 3-23> 2022년도 방송 분야 주요성과
분야 주요 내용 대표성과
방송
5G와 방송망 융합 송신 테스트배드 구축 및 실험
시제품 개발 (’22. 11.)
5G MBMS와 지상파 방송 (ATSC 3.0) 융합신호
수신 단말 실험시제품 개발 및 실험실테스트
(’22. 11.)
UHD 데이터캐스팅 수신 단말 시제품 개발
(’22. 11.)
상용 수준의 ATSC 3.0 기반 이종망 연동형 8K
SHVC 디코더를 개발 및 판매 (‘22. 9.)
5G MBMS와 ATSC 3.0(방송망) 융합 송신 테스트배드
UHD 데이터캐스팅 수신 단말 시제품
디지털
미디어
모바일 단말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초고해상화
기술 개발
- 실시간으로 출력 해상도를 기존 대비 3배 개선
실시간 뷰포트 추출 및 화면비 변환 기술 개발
- 모바일 단말 내 미디어 주요 객체 등을 판단해
뷰포트를 추출하고 활용하여 화면비 변환 시
시청자의 몰입감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IP 기반 미디어 스위처 기술 개발
- IP 기반에서 다채널 비디오 및 오디오 동기화,
믹싱, 스위칭 기술
단일/다중 시점 모션 캡쳐 기술 개발
- 자동 리깅 수행 후, 획득한 움직임을 객체에
전이하여 가상 콘텐츠 생성 및 현실공간에 대한
재현 수행 기술
모바일 단말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초고해상화 기술
IP 미디어 스위처 시제품
객체 미디어 단일 영상 기반 아바타 복원
334 ∙∙∙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방송・미디어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기 위해 5G와 방송망
연동서비스,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 기술변화선도형 방송・미디어 장비기술, 메타버스
미디어핵심기술개발, 인터넷동영상서비스 글로벌 경쟁력강화기술개발 등 주요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2023년 약 323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방송 분야에서는 방송・미디어 기술 및 서비스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신규미디어 서비스를
선도할 수 있는 방송장비 및 핵심기술 개발 등을 위해 ‘기술 변화 선도형・방송미디어 장비기술’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며, 예산 30억 원을 확보하여 ‘ATSC 3.0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을 지원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외 의존도가 높은 방송미디어 핵심 부품 및 장비에 대한 국내 기술력을
지원하고, 자율이동체 확산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디지털미디어 분야에서는 첨단 ICT 융합 및 메타버스 등 미디어의 모습이 진화하고 확장함에
따라 메타버스 미디어 분야에 투자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3차원 공간에서의
디지털미디어 규격화 기술 확보 및 실시간으로 재현하고, 중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메타
버스미디어 서비스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국내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글로벌 주도권을 선점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코로나19 팬데믹의 시작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던 OTT(Over-The-Top) 서비스는
사업자 간의 치열한 가입자 유치 경쟁과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를 위한 과감한 투자를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플랫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업자 간 인수합병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스트리밍 서비스 사업자들은 국내 가입자 수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상황
에서 동남아 등 해외로의 사업 확장과 사업자 간 합병도 모색하고 있다.
그 와중에 ‘오징어게임’을 대표작으로 해서 많은 한국 콘텐츠들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한국
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인식도 많이 개선되었다. 그에 따라 국내 콘텐츠 제작 수주 증가 및 수출
증대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영상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제작 방식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LED Wall을 도입한 버추얼 프로덕션이 영상 콘텐츠 제작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효과적인 영상 콘텐츠 제작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33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또한, 엔터테인먼트, 메타버스 등의 서비스에서 3차원 공간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실감미디어 및 홀로그램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 공간영상의 효율적인
압축 및 전송 기술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의 지능화를 위한 연구도
지속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실감미디어 기술
기존 미디어가 2차원 평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제한된 시점에서 현실을 투영하는 것에
머무르지만, 실감미디어는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의 3차원 공간감과 실재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미디어에 몰입(immersion)되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영화 ‘아바타’로 대표되는 양안시차(stereoscopic) 방식의 3차원 영상으로 시작된 실감
미디어는 사용자에게 완벽한 3차원 입체감과 공간감을 제공하기 위한 시청영역 확대, 깊이감
표현, 시청 자유도 제공 등에서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다. 더욱이, HMD, AR 글라스, 다시점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 출현으로 인해 보편적 미디어 서비스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기존 2차원 평면 영상보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급속히 증가하는 문제는 방송・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해소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사회의 일상화와 메타
버스의 등장으로 미디어를 표현하고, 소비하는 방식이 평면에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 속도는 더 빨라지고 있다.
5G 상용화에 따른 전송용량의 증가로 가상・증강현실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2020년 10월에 출시된 오큘러스(메타) 퀘스트2의 경우, 1년 만에 천만 개 이상이 팔리는 등 VR
기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타 퀘스트 프로를 출시하였다. 또한, 안경형 AR
기기인 스마트 글라스가 차세대 개인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으며, 기존 마이크로소프트 홀로
렌즈뿐만 아니라 애플, 구글, 삼성전자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서둘러 신제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은 2021년 11월 사명을 메타로 변경하며 SNS 서비스와 VR 기기에서의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지향하는 플랫폼 및 디바이스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메타버스 서비스는 CG로 제작되는 게임이나 SNS 서비스에
머물고 있으며, 실사로 이루어지는 실감 영상의 품질은 보편적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만족
할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표현할 수 있는 시점 영상 수의 한계로 인한 수렴
초점 불일치 문제와 전송용량 및 전송지연 한계에 따른 시점이동에 대한 시점영상(MTP,
Motion to Photon) 지연 등에 따른 시각 피로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336 ∙∙∙
1) 메타 퀘스트2 VR 헤드셋 2) 메타 퀘스트 프로 3)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2
자료 : 1) https://www.meta.com/kr/quest/products/quest-2/
2) https://www.meta.com/kr/quest/quest-pro/
3) https://www.microsoft.com/en-us/hololens
수렴초점 불일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는 라이트필드(light
field) 실감영상 기술은 눈으로 입사되는 모든 방향의 시점영상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구글과 IDEA(immersive digital experiences alliance)에서는 영상 촬영부터 디스
플레이까지 라이트필드 영상 전체 과정에 대한 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1) 구글 라이트필드 카메라 2) IDEA 소속 Visby사의 라이트필드 카메라
자료 : 1) https://research.google/pubs/pub47489/
2) https://www.immersivealliance.org/
최근 실감미디어의 핵심분야인 3차원 공간정보 생성 및 시점 영상 합성에도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딥러닝 기술을 도입 중이다. 구글, UC Berkeley, UC San Diego 등
에서는 깊이(depth), 메쉬(mesh), 볼륨(volume) 렌더링과 같은 기존의 공간표현 방식을 혁신적
으로 개선하기 위한 NeRF(Neural Radiation Fields)와 같은 딥러닝 기술 연구를 진행 중이다.
NeRF는 동일 카메라 영상 입력 조건에서 실제 장면에 더 가까운 품질의 새로운 시점 영상
합성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33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자료 : https://theaisummer.com/nerf/
[그림 3-50] 구글, UC Berkeley의 딥러닝 기반 시점영상 합성 기술
홀로그래피 기술은 살아있는 세포나 반도체 등 미세 구조의 3차원 형상 측정 분야, 지폐나
고가 정품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보안 및 인증 분야, 문화재나 미술품의 보존 및 전시 분야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적용 분야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다양한
응용 분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홀로그래피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분야는 실감 영상 서비스
분야이다.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존의 음성 위주 통신 서비스는 이제 영상 통신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더욱 현실감과 몰입감이 높은 실감형 입체 영상 기술의 활용을 요구
하고 있다. 라이트필드 및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의 발전은 최근의 메타버스 등 가상현실
서비스를 한 차원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핵심 동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338 ∙∙∙
1) VividQ의 홀로그래픽 Near Eye 디스플레이 영상 예시 2) Microsoft의 홀로렌즈2 기반 원격협업 및 의료 예시
3) WayRay의 Navion HUD 솔루션 4) Envisics의 HUD 솔루션
5) 구글의 ‘프로젝트 Starline’ 시연 6) RealView Imaging의 의료용 체적 3D 홀로그램 예
자료 : 1) https://www.vividq.com
2) https://www.microsoft.com/en-us/hololens
3) https://www.autoevolution.com/news/wayray-navion-the-augmented-reality-head-up-display-129028.html
4) https://vimeo.com/359244837
5) https://blog.google/technology/research/project-starline/
6) https://realviewimaging.com/
멀티미디어 국제표준화 단체인 MPEG은 기존 미디어와 차별화된 몰입감을 제공하는 실감
미디어를 이머시브 미디어로 정의하고, 이머시브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MPEG-I 표준개발을
2017년부터 시작하였다. MPEG-I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유도(DoF, degrees of freedom)를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형태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회전운동만을 제공하는 3DoF에 대한
표준화를 2020년에 완료하였다. 머리 움직임에 따른 시점변화를 제공하는 3DoF+는 MIV(MPEG
Immersive Video)로 2021년 표준화 완료되었으며, 완전한 자유도인 6DoF 이머시브 미디어
표준화를 2025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 33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미디어 부호화 및 전송 기술
미디어 부호화 기술은 고품질의 비디오/오디오 신호에서 인간이 인지할 수 없는 데이터를
제거하여 품질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기술로 모든 미디어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원천기술이다.
비디오 부호화 기술은 1980년대 후반부터 ISO/IEC MPEG과 ITU-T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MPEG에서는 CD와 같은
저장 매체를 위한 1세대 비디오 부호화 기술인 MPEG-1부터 8K 고화질 영상과 HDR(High
Dynamic Range), 360VR(Virtual Reality)을 모두 지원하는 5세대 비디오 부호화 기술인
VVC(Versatile Video Coding)까지 다양한 비디오 부호화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였고, 현재는 Post-VVC 표준화를 위한 기술탐색을 진행하고 있다.
HD
H.261
1990
SD UHD(4K) UHD(8K), 360VR
H.263
1995
MPEG-1
1993
MPEG-4 Visual
1998
H.264/14496-10
AVC
2003
H.262/13818-2
MPEG-2 Video
1994
IS
O
/I
E
C
IT
U
-T
JCT-VCJVT JVET
1
2 3 4 5
Light Field/Hologram
H.xxx/2xxx
Post-VVC
2028
6
2x Compression
H.266/23090-3
VVC
2020
H.265/23008-2
HEVC
2013
[그림 3-51] 비디오 부호화 기술 표준화 동향
오디오 부호화 기술은 1980년대 후반부터 MPEG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
하고 있다. MPEG에서는 1세대 오디오 부호화 기술인 MPEG-1 오디오 부호화 표준을 시작
으로 5세대 오디오 부호화 기술인 MPEG-H 3D Audio까지 다양한 오디오 부호화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차세대 오디오 부호화 기술은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MPEG-I Immersive Audio에 대한 표준화가 완료되는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가 진행
될 예정이다.
ISO/IEC 11172-3
MPEG-1 Audio
1992
Stereo Stereo/5.1ch Stereo/5.1ch Stereo/5.1ch Stereo/22.2ch
1 2 3 4 5
ISO/IEC 14496-3
AAC
1997
14496-3 Amd1/2
HE-AAC v1/2
2001/2005
ISO/IEC 23003-2
USAC
2011
ISO/IEC 23008-3
3D Audio
2015
ISO/IEC 2xxxx
Post-USAC
2029
6
Low Delay/
High Quality
[그림 3-52] 오디오 부호화 기술 표준화 동향
340 ∙∙∙
2018년 1월에 제정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표준은 방송
시스템의 IP 기반 구조를 정의하고 있는 최초의 지상파 방송 표준으로, 방송 시스템을 IP 기반
으로 운용할 수 있어 인터넷 기반 통신망과의 융합이 용이하며,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서비스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대표적 방송 시장인 미국은 2022년 기준 67개 이상의 지역(TOP 40
Market, 전 시청자의 80 %이상 커버)에 ATSC 3.0이 도입되어 서비스되고 있으며, 향후 10년간
약 3조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그 외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인도 등에서도
차세대 방송에 ATSC 3.0 방식으로의 전환 또는 기술 도입을 고려 중이다.
(a) 물리계층 융합을 통한 동일 대역내 ATSC 3.0 및 5G 신호 동시 전송
(b) IP 계층 융합을 통한 8K UHD 전송
[그림 3-53] 5G와 ATSC 3.0 방송망 융합 전송 기술
∙∙∙ 34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이동통신 표준을 제정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셀룰러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방송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가능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기술을 규격화하였다. MBMS 기술은 동일한 미디어 서비스를
다수의 이용자에게 자원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전송 방식으로서 3G부터 5G에 이르기까지 여러
요구 사항을 반영하며 진화를 거듭해왔다. Rel-14에서는 FeMBMS(Further evolved MBMS)
기술이 표준화되었는데, 여기서는 별도의 유심(USIM) 없이 MBMS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전용
모드가 정의되어 종래 지상파 방송과 유사한 형태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Rel-16에서는
FeMBMS 기술이 반경 100 km, 이동속도 250 km/sec를 지원할 수 있는 5G broadcast 기술로
개선되었다. 최근에는 방송 주파수 대역과 방송송신소를 이용하여 LTE FeMBMS 신호로 다수의
HD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필드테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5G NR 기반의 MBMS에 대한 표준화
논의도 진행되고 있어 향후, 방송기술과 이동통신 기술이 결합될 경우 새로운 상승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3) 미디어지능화 기술
미디어 산업에 대한 ICT 발전의 영향으로 미디어 콘텐츠의 기획-제작-유통 전반에 인공지능
(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어, 확대되고 있으며, 미디어 디바이스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고해상도로 변환하는 등 콘텐츠의 품질을 높이는 기술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콘텐츠 검색 및 개인화 서비스를 위해 미디어 정보(자막 등)와 일부 영상인식 기술을 기반
으로 기계 학습 모델을 구축하고, 메타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및 인공
지능을 활용해 기획・제작・편집 자동화 기술뿐만 아니라 동영상 의미해석 및 자동 요약(Video
Summarization)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림 3-54] ETRI 인공지능 기반 장면 자동 해석 기술
342 ∙∙∙
또한, 글로벌 OTT 주도기업을 중심으로 AR과 VR을 OTT 서비스에 적용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시청 수단이 Connected TV(TV 중심)에서 스마트기기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나) 국내동향
(1) 실감미디어 기술
5G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AR 및 VR 서비스(SK텔레콤의 점프 AR/VR, KT의 슈퍼
VR 등)가 통신사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대형 엔터테인먼트사(SM, 빅히트 등)는
VR/AR/유사 홀로그램이 융합된 확장현실(XR) 기술을 접목하여 비대면 시대에 온라인 콘서트를
서비스하여 200억 원 이상의 수입을 거두는 등 실감미디어 기술의 산업 적용도 확대되는 추세
이다. 또한, 실사 동영상 객체를 촬영하기 위한 시설을 NIPA(K-실감스튜디오), SK텔레콤(점프
스튜디오) 등에서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터랙티브 실감미디어 서비스들이 메타버스와 같은
3차원 가상공간에 적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1) 슈퍼주니어 XR 콘서트 2) NIPA의 K-실감스튜디오
자료 : 1)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60348971
2) https://kovac.modoo.at/?link=e54ckq2p
딥러닝 기술을 삼차원 공간정보 획득과 가상인간 생성 등에 활용하는 방안이 학계와 산업계
에서 활발하게 연구 중이며, ‘DPSNet’이나 ‘Extreme View Synthesis’를 포함하여 국내 대학
에서 연구된 다수의 딥러닝 기반 공간정보 추출 및 가상시점 합성 모델이 최상위 학회에 보고
되고 있다. 디오비스튜디오는 가상의 인물 얼굴을 생성하여 실제 인물의 얼굴을 대체하는 방식
으로 가상가수 ‘루이(RUI)’를 선보였으며, 딥브레인AI는 실제 인물의 외형과 발화 습관 등을
학습한 AI 아나운서를 선보여 CES2022 스트리밍 부분의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 34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1) 디오비스튜디오의 가상가수 루이 2) 딥브레인AI의 AI아나운서
자료 : 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03115181561230
2)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05_0002111499&cID=10406&pID=13100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은 산학연 그룹에서 학술적 성과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간섭성 BLU(Back Light Unit)와 빔 편향기로 구성한 steering BLU를
사용하여 시야각을 기존 대비 30배 확장하는 성과를 이뤘다. ETRI는 자연광을 사용하여
동영상 홀로그램을 촬영하는 홀로그램 카메라 기술과 기존의 2D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하드웨어 기반 홀로그램 생성 기술을 시연하였다.
삼성전자
슬림 패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ETRI
하드웨어 기반 실시간 홀로그램 생성기술
An, J., Won, et al.(2020).
Slim-panel holographic video
display. Nat Commun 11, 5568.
(a) 기술 시연 구성도 (b) 실시간 홀로그램 생성 예
(2) 미디어 부호화 및 전송 기술
2017년 5월 시작된 ATSC 3.0 표준 기반 지상파 UHDTV 방송에서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와 MPEG-H 3D Audio 기술을 비디오/오디오 부호화 표준으로 사용하여
비디오는 1/200, 오디오는 1/11로 압축한 후 전송하고 있다.
미디어 전송 및 서비스 분야에서는 ATSC 3.0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달력이 향상된 UHD
방송서비스와 이동통신망과 지상파를 융합하는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정부는
ATSC 3.0, 5G 등 차세대 방송・통신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의 발굴과 효용성을
344 ∙∙∙
검증하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세대 방송기술 융합서비스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ATSC 3.0 기반 모바일 다채널 방송, LTE와 융합한 방송서비스, 지상파
VOD 서비스 등에 대한 실증 시연이 진행되고 있다. 2022년 10월에는 지상파 방송망에서 6MHz
대역폭으로 최대 112Mbp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MIMO 기술에 대한 현장 실험 및 기술
검증이 수행되었다. MIMO 기술은 송・수신기에 두 개의 안테나를 적용하여 기존 채널의 전송
용량을 주파수 자원 추가 없이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본 현장 실험에서는 하나의 6MHz 대역폭
내에서 8K-UHD 실시간 서비스 및 4개의 4K-UHD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다.
(3) 미디어지능화 기술
미디어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 활용은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저화질 영상의 초고
해상화, 지능적 미디어 제작・편집 외에도 미디어에 내포된 다양한 정보를 지능적으로 해석하여
메타데이터로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융합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의 불법적 사용, 왜곡, 범죄 이용 등을 차단하기 위한 미디어의 역기능 해소
뿐 아니라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아바타 수어를 통한 의료현장 소통 및 재난
경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림 3-55] ETRI 의료현장 양방향 수어 동시통역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3) 향후 전망
미디어 서비스의 중심이 2차원 평면에서 3차원 공간으로 진화함에 따라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초실감 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개발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버추얼 프로
덕션 기술이 영상 콘텐츠 제작에 3D 게임엔진을 활용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의 공간영상을 손쉽게 제작하고, 전달하고, 표현하는 기술이 더 필요해질 것이다.
∙∙∙ 34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사용자에게 사실감, 현장감, 입체감, 몰입감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초고해상도로 표현
하는 4K/8K UHD, UWV(Ultra Wide Vision) 기술과 3차원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LF(Light
Field),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홀로그래피 기술 등이 더 필요할 것이다. 또한, 비디오/
오디오뿐 아니라 촉감과 냄새를 전달하는 기술개발도 진행될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들이 3차원의
공간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디바이스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4. 정보보호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의 확산, 공급망 보안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 데이터 활용・유통
증가에 따라 프라이버시 이슈 발생, 조직화・서비스화되고 있는 랜섬웨어 공격의 증가, 메타버스
등 새로운 플랫폼의 보안 문제 등 사이버보안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또한, 첨단기술의
패권 경쟁 심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사이버보안 리스크도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보안 패러다임의 변화와 글로벌 사이버보안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
기술을 다른 나라에 의존하지 않는 기술 주권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2022년 10월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사이버보안 기술을 포함한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발표
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경제 시대의 정보보호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2022년 2월에 제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
본부회의에서 발표를 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전략과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데이터・AI 보안,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공급망 보안),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신산업・가상융합 보안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보호 적용 분야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전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면서 ICT 분야뿐만 아니라 공장, 교통, 해양 등 여러 전통 산업 분야에서도
정보보호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다. 전통 산업들이 디지털화되고, 망이 개방화되면서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고 있고, 글로벌 사이버보안 규제도 강화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부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22년에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암호화 사이버위협 대응기술 연구개발’ 신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획・예산을 확보하였고, 2023년부터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346 ∙∙∙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암호화 사이버위협 대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ICT 융합 공공 서비스・인프라에
대한 암호화 사이버위협 분석・탐지・대응 핵심 원천기술 개발・실증과 공유・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통합 플랫폼 개발 사업을 기획하였다. 산업 전 분야 인터넷 트래픽 중 약 80%가 암호화
되어 사이버 공격 탐지를 위한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분석하는 방법은 복호화의 기술적 한계, 복호화로 인한 성능 저하, 개인정보 침해 이슈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ISCO 등 해외 글로벌 보안기업에서는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사이버 공격을 분석할 수 있는 ETA(Encrypted Traffic Analysis)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R&D 사업을 통해 암호화된 사이버 위협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보안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특히, 도로교통 지능형교통
체계(ITS, C-ITS)와 LTE 기반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 등 공공 인프라도 갈수록 개
방화되고 디바이스-디바이스 간 또는 디바이스-인프라 간의 통신이 증가함에 따라 사이버 공격
표면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대국민
공공 서비스・인프라 보호를 위한 기술개발을 2023년부터 5년간 420억 원을 투입하여 추진
할 예정이다.
나) 스마트홈 보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아파트 단지 서버, 월패드, 전자도어락, 유무선공유기 등 스마트홈
환경의 보안 취약점 발굴을 위한 ‘사이버보안 챌린지 2022’ 대회를 개최하고, 상위 3개 팀에게
2023년 후속연구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경선 방식으로 연구자를 선발하고,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이버보안 챌린지 R&D 사업은 2020년부터 시작하여 올해 3회째 개최하고 있다. 2022년에는
월패드 등 스마트 홈의 보안 취약점을 발굴하고 대응기술을 연구하기 위해 공개 챌린지 대회
형태로 진행되었다. 보안기업, 대학, 화이트 해커 등 23개 팀이 참여하여 총 69건의 신규 취
약점을 발견하였고, 이 중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44건은 ‘KISA 취약점 신고 포상제’와 연동하여
해당 제품 제조사에 통보하여 보안패치가 이루어지도록 조치하였다. 챌린지 대회 예선과 본선을
통해 선발된 3개 우수팀에게 2023년에 연구비를 지원하여 스마트 홈 환경에서 취약점을 자동
으로 탐지하고 공격을 모니터링하는 기술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다) 메타버스 보안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현실의 나를 대신하는 가상의 자아인 아바타가
∙∙∙ 34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게임을 즐기고, 물건을 구매하기도 한다. 2022년 1월 관계부처 합동
으로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을 발표하고, 메타버스 성장기반 조성을 위해 현실-가상 통합
신원관리, 통합 데이터 유통 안전・신뢰 기술 등 메타버스 가상 생태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계획을 수립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이 전략의 일환으로 2023년부터
안전한 메타버스 환경을 위해 사용자 인증 및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착수
할 예정이다. 메타버스 계정정보 도용 및 아바타 모방을 통한 사용자 사칭, 아바타 행동분석을
통한 사용자 성향 노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아바타에 대한 신원확인 및 메타버스
에서 수집되는 광범위한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라) 데이터 보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계청의 수요를 기반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데이터를 안전
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 사업을 시작하였다. 2022년부터 3년간 총 160억의 예산으로
동형암호 기술, 차등정보보호 기술, 재현데이터 생성기술 등 프라이버시 강화기술(PET, 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개발에 착수한다. 통계청은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이
데이터를 통해 통계정보를 생산・활용・서비스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데이터 활용시
발생될 수 있는 개인정보 유・노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업
하여 데이터보호 신기술 개발을 시작하였다. 이 기술들은 개발완료 후 통계청에서 활용가능
하도록 다양한 통계 알고리즘의 적용, 컴퓨팅 환경 고려, 연산 속도 및 신뢰성 보장 등 통계청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마) 공격 근원지 분석 및 랜섬웨어 대응
경찰청 발표에 따르면 전체 범죄 건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사이버 범죄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전체 범죄 건수 1,662,341 1,580,751 1,611,906 1,587,866 1,431,339
사이버범죄 건수 131,734 149,604 180,499 234,098 217,807
사이버범죄 비율 7.9% 9.5% 11.2% 14.7% 15.2%
자료 : 경찰청
조직화・고도화되어 가고 있는 사이버 범죄와 다크웹, 가상화폐 등 익명성 높은 범죄 수단의
등장은 사이버범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경찰청, 대검찰청 등
수사기관들과 협력하여 사이버 공격의 근원지를 추적하기 위한 4가지 핵심기술들을 2022년
348 ∙∙∙
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첫째, 사이버범죄 및 불법정보 유통의 온상이 되고 있는 다크웹
상에서 은닉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근원지와 불법 이용자를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둘째, 사이버공격 그룹별로 공격특성 분석과 행위 학습 기반의 공격그룹 식별・분석 기술을 개발
한다. 셋째, 랜섬웨어에 대한 다차원 분석을 통해 증거를 수집하고, 취약점을 찾아 공격 인프라
및 공격자를 식별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범죄 수사력 및 디지털포렌식 분석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AI 기반 디지털 증거 분석기술을 개발한다.
3) 향후 계획
비대면 환경으로 인한 기존 경계망 보안 기술이 한계를 보이고 있고, 솔라윈즈 사태, Log4j
취약점 등 전 세계의 공급망 보안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해 ICT
분야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산업 분야도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전
등 글로벌 정세도 사이버 공간의 긴장감을 증가시키고 있다. 기업과 개인의 보안이 침해당하는
것을 넘어서 사이버보안은 국가 안보에도 위협이 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공급망 보안 기술개발과 포럼 운영 등을 통해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공급망을 확보를 위해 기술적・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화와 망 개방화로 사이버 위협이 늘어나는 교통, 해양 등 타 산업 분야의 정보보호를 위해
관련 부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2023년에는 예방, 탐지 위주의 기존 정보보호
기술개발에서 나아가 사전에 공격을 억지하고 공격으로부터 신속히 복원할 수 있는 능동대응
기술을 유관 부처들과 공동으로 국가전략 프로젝트로 추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정보보호 기술은 암호, 인증, 인식, 분석・감시 등의 보안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생산하거나,
관련 보안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기업・국가의 안전과 신뢰를 보장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정보보호 기술은 정보보호 제품 특성과 활용 분야에 따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보보안 기술, 안전・안심 생활을 지원하는 물리보안 기술, IT융합 전통
산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융합보안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정보보안은 해킹, 데이터
유출로부터 PC・네트워크를 보호하며, 공통기반 보안, 네트워크 및 응용서비스 보안, 시스템・
디바이스 보안을 포함한다. 물리보안은 안전・안심 생활을 위한 재난・범죄 방지 기술로 휴먼・
∙∙∙ 34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바이오 인식 기술, 지능형 CCTV・무인전자 감시기술이 대표적이다. 융합보안은 정보통신기술과
타 산업 기술 융합 환경의 보안기술로, 스마트 홈・빌딩 등 생활분야, 자동차・선박・해양・비행체・
항공 등 이동체 분야, 헬스케어, 로봇 보안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이 가능하다.
정보 보안
암호, 인증/인가,
데이터 보안,
인공지능 보안 등
공통기반보안
유・무선 네트워크 보안, 클라우드・
엣지 보안, 위협분석 및 보안 관제,
응용서비스 보안 등
네트워크・응용서비스 보안
보안취약점 분석,
악성코드 대응, 디지털 포렌식,
IoT・모바일・웨어러블 디바이스 보안
및 시스템・디바이스보안
물리 보안 융합 보안
지능형 영상인식, 객체 식별,
추적, 예측 영상
인프라/콘텐츠 보호 등
휴먼 바이오인식, 바이오
메트릭 보안, 보안 검색 및
무인전자경비 등
스마트 홈・빌딩 보안, 자동차 보안, 선박・해양 보안,
비행체・항공 보안, 헬스케어 보안, 인공지능 및
로봇 보안 등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정보보안 기술
암호기술 측면에서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공격에도 안전한 차세대 암호인 양자내성암호
(PQC, Post-Quantum Cryptography) 개발이 NIST의 암호 알고리즘 공모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NIST에서는 2022년 7월에 3라운드 논의를 마치면서 공개키 암호화 목적으로
1개 알고리즘(Crystals-Kyber), 전자서명 목적으로 3개 알고리즘(Crystals-Dilithium, Falcon,
SPHINCS+)을 표준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는 기반문제의
다양화를 추구하기 위해 추가로 4라운드를 진행하면서 Classic McEliece, BIKE, HQC,
SIKE 등 4개 알고리즘을 후보로 지정하고 분석을 계속하고 있다. NIST의 PQC 공모사업은
알고리즘의 안전성, 성능 및 구현 특성 등을 주요 평가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채널 안전성 및 구현 효율성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또한, EU 개인정보
보호규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포함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350 ∙∙∙
정책이 강화되면서, 프라이버시 보호와 함께 개인데이터 주권 보장이 가능한 데이터 활용 플랫폼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MIT 미디어랩과 intel은 개인데이터 활용 인프라를 위한 Enigm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2020년 2월 MainNet을 구축하는 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인증 기술 측면에서는 분산 서비스 환경에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 증명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EU는 2021년 디지털 신원 프레임워크를 공개
하고 유럽 전역에서 디지털 운전면허증, 디지털 졸업증 등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을 준비
중이다. 2021년 미국 MS는 분산원장 기반 신원 증명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애플은 2022년
미국 애리조나 주에서 디지털 운전면허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또한, 구글/애플/MS는 패스
워드 없는 인증 서비스 제공을 위해 FIDO 패스키(PassKey) 기술을 발표하였다. 메타버스 연구에
투자를 집중하는 미국 메타와 주요 대학에서는 AR/VR에서 사용되는 인증 기술을 연구 중이다.
네트워크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5G 보안기술과 관련하여 3GPP의 Release 17 표준화가
2022년 3월에 종료되고, 현재 5G와 6G의 중간 단계인 5G-Advanced 기술 규격에 대해
2023년 12월을 목표로 3GPP Release 18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Release 17의 주요 5G
보안 규격의 특징은 C-IoT, C-V2X, uRLLC 등에 대한 보안 이슈 분석지속과 함께 5G 보안
보증 규격(Security Assurance Specification)의 추가 작업을 꼽을 수 있다. 현재의 5G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해외 주요 이동통신사 및 제조사는 6G 기술 성능목표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은 6G 플래그쉽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초신뢰 인프라
구축을 위해 양자 안전성, 全 계층 통신 무결성, 보안 가용성 보장 기술 등을 연구개발 중이다.
5G 상용화 이후, 5G 진화기술(Beyond 5G) 표준은 3GPP에서 지속 개발 중이며, 6G 표준화는
ITU-R WP5D 6G 비전 권고 개발을 시작으로 본격화되었으며, 글로벌 6G 상용화 지원을 위해
2030년 6월까지 국제표준을 완료하는 일정을 수립하였다.
지능형 사이버 침해대응 기술 측면에서는 경량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여러
백신 엔진을 사용하여 의심스러운 파일을 탐지하는 기술과 인공지능 기반의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EDR, Endpoint Detection Response)이 웹루트(WEBROOT), 사일런스(CYLANCE),
판다 시크리트(panda security) 등에서 개발되고 있다.
IoT 사물봇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모든 사물이 초연결되는 사물 주체, 객체들이 스스로 협력
하고 연합하여 자율적 대응이 가능한 IoT 인프라 자율 보안 통제 기술과 IoT 환경의 조직 내
에서 구성원들 혹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조직 내 다양한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자원접근 통제
솔루션이 CISCO(IoT Threat Defense) 등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엣지 컴퓨팅
구조 기반 게이트웨이 수준에서 DDoS 공격에 사용되는 사물봇 행위 사전 탐지 및 IoT 보안
관리 기술 등이 AWS, IBM 등에서 개발되고 있다.
∙∙∙ 35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시스템・디바이스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스파이칩 사건과 5G 공급망 보안 이슈 등으로 하드
웨어/소프트웨어 공급망보안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와 같이
현대전이 하이브리드 전쟁으로 진행되는 만큼 보안 취약점을 활용한 사이버전에 관련된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2) 물리보안 기술
바이오인식 기술 측면에서 미국 등 전통적인 기술 강대국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간의
시각지능 수준에 근접하는 딥러닝 기술을 개발해서 얼굴 인식/분류/검색에 적용하고 있으며,
FBI는 다양한 바이오인식 센서(지문, 얼굴, 홍채, 음성, 걸음걸이 등)를 연동해서 위험인물을
실시간 검색・추적하기 위한 NGI(Next Generation Identification) 시스템을 파일럿으로 운용
하는 등 과거 단순 출입통제시스템에서 벗어나 야외, 공공장소, 비제약적 환경으로 확대・적용
되고 있다. 영국의 Halipax 은행, 캐나다 왕립은행 등 주요선진국 금융권에서는 시범사업으로
캐나다 토론토 바이오님(Bionym)에서 개발한 심박수 측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생체
신호를 이용한 고객 통장의 개인식별 서비스를 시행 중이며, 중국은 자국 내 사용자 DB와 국가적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글로벌 수준의 얼굴인식 기술을 보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측면에서 국외에서는 CCTV, 차량 번호판 검지기, 방사능 측정기,
911 전화, GPS 등을 실시간 복합・연계해서 도시 전체의 위험상황을 감지/대응하고, 예측하기
위한 Intelligent City Surveillance(미국 NYPD의 DAS, 미국 프레드폴(PredPol), 시카고의
헌츠랩(HunchLab), 중국의 텐왕, 인도의 Cortica AI 등)가 운용 중이고, 스웨덴의 Axis
Communications는 EU의 일반 개인정보보호법(GDPR)과 미국의 연방정부 정보보호관리법
(FISMA,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과 같은 보안 규정 발효의 일환
으로 실시간으로 사람을 마스킹하는 카메라 에지 기반 분석 소프트웨어 AXIS Live Privacy
Shield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전반적으로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알고리즘 방식
에서 기계학습 기반 신경망 기술(딥러닝)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Bosch, 한화테크윈 등을 중심
으로 OSSA(Open Security & Safety Alliance) 표준을 개발하여 CCTV에 개방형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탑재하여 다양한 AI 기술과 영상보안 기술을 자유롭게 탑재, 운영,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3) 융합보안 기술
지능형 차량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국외의 경우, 미국, EU 등 자동차 산업 선진국에서는 다수의
차량 네트워크 보안 프로젝트를 중장기 연구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선행된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통합/보완, 필드 시험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커넥티드카는 전장(전자장비) 비중이
352 ∙∙∙
커지고, 자율협력주행,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원격제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OTA) 등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면서 해킹 위협 및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사이버보안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35), 이를 만족하기 위한 보안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료/헬스케어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복용형, 체내 이식형, 피부 부착형, 착용형, 독립형 의료
기기를 아우르는 의료사물인터넷(IoMT) 보안기술 이슈가 부각 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의 해킹 대응, 에너지 하베스팅, 인체 생리 신호(맥파/심전도 등) 기반 개인식별
및 크립토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점점 정교화・고도화되어가는 의료기관 대상의 랜섬웨어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도 Armis, Medigate, Paloalto networks(zingbox), CyberMDX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질병 분석/예측 인공지능(Medical Decision Support System)에
적용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보존형 기계학습 기술 등의 원천기술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드론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미국과 유럽은 무인이동체가 다른 무인이동체 또는 지상제어
시스템이 수신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UAS Remote Identification을 제안
하였고, 이 기술은 ISO/TC 20/SC 16 표준그룹에서 국제표준화를 진행하여 2022년 11월에
ISO 23629-8 표준의 FDIS 버전이 등록되어 2023년 1/4분기에 국제표준으로 제정이 완료
될 예정이다. 또한, ISO/IEC JTC 1/SC 17 표준그룹에서는 DIM(Drone Identity Module)
이라는 명칭을 DSM(Drone Security Module)으로 변경하면서 드론 식별을 포함해서 보안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모듈을 표준화하여 드론 식별과 데이터 암호에 적용하려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정보보안 기술
암호기술 측면에서는 양자내성암호인 PQC암호에 대한 국내 저변확대 및 글로벌 협력, 산업
활성화 전략을 위해 산・학・연 기관들을 중심으로 한국정보보호학회 내 ‘양자보안연구회’가 설립
되었고,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국가정보원은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양자내성암호연구단’을
출범하고, 국내표준 제정을 위한 KpqC 공모전을 진행하여 2022년 하반기에 16종의 1라운드
알고리즘을 후보로 목록화하여 분석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에서는 ‘K-사이버방역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국내 보안기업과 양자내성암호 시범적용 사업을
시작하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는 2022년 말에 양자컴퓨팅 환경에서의 암호
35) 일례로, UNECE의 사이버보안 국제 기준 채택(UNR 155, WP29), 2022년부터 ECU를 장착하는 신차는 국제기준
인증을 받아야 한다.
∙∙∙ 35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분석 전용 플랫폼인 큐 크립톤 연구과제의 2단계 진입을 위한 연구계획을 확정하는 등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안전한 암호 체계를 검증하고,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양자내성암호의 실증사례를 확보하기 위한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 및
운영 사업36)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향후 5G 등 유무선 통신서비스에도 확대 적용될 예정
이다. 또한, 2020년 1월 데이터 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정안이 통과
되면서, 기존에 활용이 어려웠던 개인정보에 대한 산업적 활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비암호화 기반 가명정보는 활용과정의 재식별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개인정보 유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동형암호 기반 통계 분석 시스템 및 활용 강화형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인증 기술 측면에서는 디지털 운전면허증, 학생증, 주민증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
신분증 기술이 보급되고 있으며, 향후 관련 서비스 간의 상호연동을 위한 다중 도메인 신뢰
보장 기술 및 신원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향후
디지털 시대에서 실물 ID를 대체할 디지털 ID 기반이 구축되고 있다. 또한, 민간 전자인증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인증 서비스가 확대하고 서비스 간의 경쟁으로
편의성과 보안성 강화를 위한 인증 기술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보안취약성 분석 기술 측면에서는 IT 장치의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펌웨어 수준의 역공학 기반 공급망보안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보안 CPU 아키텍처 기반의 탐지・복원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보안 취약점을 활용한
사이버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자전 기술에 접목할 수 있는 사이버전자전 핵심 융합기술 연구도
추진 중에 있다.
네트워크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5G 세계 최초 상용화(’19.4) 이후 4G의 보안 위협뿐만 아니라,
5G의 구조적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잠재적 위협 등이 대두되고 있다. 5G 코어망에서는
5G 서비스 환경 NSA(Non-Standalone), SA(Standalone) 등 5G 서비스 환경 변화에 따라
5G 코어망 트래픽 수집 및 비정상 공격 탐지 분석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액세스망 및
엣지망에서는 5G+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5G 엣지 보안 기술로서, 5G 엣지 네트
워크 보안 기술, MEC(Mobile Edge Computing) 보안 기술 및 지능형 보안위협 분석 및 관제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5G에 이어 6G에서도 세계 최초 상용화를 실현하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으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이 발표되었
으며, 6G 인프라 전반에 상시적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초신뢰 기반 보안 내재화 기반기술
연구로서, 6G 무선 접속망 보안 위협 모델링, 6G 네트워크 자율보안 프레임워크, Flying 기지국
3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년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운영’
354 ∙∙∙
보안 기술, 6G 환경에서의 양자암호 전환 방법론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능형 사이버 침해대응 기술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수의 백신을 활용하여 악성
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에서 DNA 정보를
추출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신/변종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소와 백신업체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공격대상(Target)이 스스로 변이(Moving)하여 공격복잡도를
높이는 사이버 자가변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oT 사물봇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IoT 인프라에 침투한 사물봇 등 보안 위협의 확산으로 인한
IoT 서비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IoT 인프라에 침투한 보안 위협에 따라 다양한 기기 속성,
네트워크, 서비스 단위로 구성된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IoT 인프라 보안 위협의 빠른 확산을 방지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소와 IoT 보안 업체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사전에 기기검증을 통하여
검증된 기기만이 IoT 인프라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규모 DDoS를 사전에 예방하는 신뢰
연결 관리기반 동적 경계망(DPS, Dynamic Perimeter Solution)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 물리보안 기술
바이오인식 기술 측면에서는 휴먼 바이오인식 기술이 IoT, 웨어러블, 핀테크 등 다양한 산업
에서 길목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 출입통제시스템의 범위를 벗어나 다양한 시스템 접근
제어용으로 사용자 인증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바이오인식정보시험센터
(K-NBTC, Korea National Biometric Test Center)에서는 모바일 지문인식제품 성능시험
기술과 위조지문 공격탐지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시험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인식
전문기업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지문・안면인식 등 사용자 고유 생체정보의 성능시험기술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수업, 무인
점포, 스마트 워크 등 다양한 서비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측면에서는 CCTV, 차량용 블랙박스, 스마트폰, 스마트 글래스, 드론
등 불특정 군중으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선제적으로 위험을 감지/대응하는
영상 크라우드 소싱 분석 기술과 사회안전에 AI 기술을 결합한 미래형 첨단치안 플랫폼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등은 지능형
CCTV에 의한 개인 프라이버시, 영상 오・남용 방지를 위한 마스킹, 암・복호 기술, 지능형 영상
분석을 위한 메타데이터, 다중 VMS/CCTV 간 실시간 협업/제어 프로토콜 표준화 기술을 연구
중이다. 또한, 최근에는 강력범죄 해결, 코로나 확진자 이동 동선 분석과 관련해서 다중 CCTV를
동시 연계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 35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3) 융합보안 기술
지능형 차량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협력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서비스 등 신규서비스 출현
으로 차량 이더넷 보안, V2X(Vehicle to Everything) 보안, 차량 PKI 등에 대한 기술개발이
완료되어 다양한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차량과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도로・교통 인프라 등 기반시설과 연동되는 교통 IoT 환경에서 서비스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안기술도 꾸준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의료/헬스케어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전자건강기록(EMR/EHR) 등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익명화/비식별화 기술은 개발이 완료되어 실제 필드에 적용되고 있으며, 랜섬웨어 등 사이버
공격 피해가 여전히 증가하면서 지능형 랜섬웨어 공격으로부터 의료기기 및 병원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ETRI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드론 보안기술 측면에서는 운행 중 또는 운행 예정인 드론이 허가받은 드론인지 검증하기
위해 ICT 기반의 드론식별모듈(또는 드론보안모듈)을 사용하여 드론을 식별하고 인증하는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드론 제어신호와 영상정보 암호화, 불법 드론 재밍 기술과 합법 드론
항재밍 기술, 다른 드론이나 지형물에 대한 자동 충돌회피 기능과 같은 드론 응용 보안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2022년 최근에는 국방 분야에서 드론 보안을 위해 민간의 선도적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다 본격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3) 향후 전망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업무 증가와 데이터 3법 통과로 인한 디지털 경제 활성화 촉진을
위해 데이터・AI 보안 新기술 개발이 중요해 지고 있으며, 5G/6G 네트워크 환경과 양자컴퓨팅
시대 도래에 따른 새로운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보안기술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와 같은 비대면 업무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원격
근무에 사용되는 SSL VPN 취약점 등을 악용하는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강력한 인증
수단을 기반으로 하는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전략에 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국의 다수 연방기관에 피해를 입힌 솔라윈즈 해킹사고나 미국 송유관 업체의 유류 공급
중단 사고 등과 같이 랜섬웨어를 이용하여 국기 주요기반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사이버공간과 현실공간이 융합된 메타버스 환경 도래에 따라 혼합현실
(Mixed Reality) 공간과 가상자산 등에 대한 신규 보안위협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
영역에서의 취약점 분석을 기반으로 파생되는 공급망보안 및 안티 탬퍼링 기술 등이 국방 영역
으로 확대되며 사이버전 및 사이버전자전 관련 분야의 핵심기술 연구 및 시장의 형성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356 ∙∙∙
정보보안 측면에서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암호화를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가 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양자컴퓨터에서도 저항성을
가지는 암호인 PQC암호를 통신로 보호 및 디바이스 보안에 적용하는 PQC 전환 기술이 5G
인프라를 비롯한 ICT 인프라 全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신체정보,
생체신호, 행위패턴 등을 기반으로 한 인증이 중심이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강화된 인증 기술
연구가 지속되고, 실생활에서는 실물 ID를 대체하여 디지털 신분증을 통한 신원확인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메타버스, Web3 등 새로운 서비스 환경에 적합한 인증 기술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사이버 공격에도 AI 기술이 활용되는
사례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보안 기술로는 대응이 불가하여 방어기술에서도 AI 기술을
활용하는 시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론을 시뮬레이션
하여 방어전략을 수립해주는 BAS(Breach and Attack Simulation) 기술에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공격 가능성 및 보안 취약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사전예방 기술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한다. CPU 구조적 보안체계에서는 지능형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으로 펌웨어 수준의
보안성 분석과 지능형 보안관리 기술의 결합을 통하여 지능형 사이버면역 기술 및 체계로 발전
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상용화 이후 기존 보안관제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낮은 수준의 보안 이벤트는 사람의 도움없이 처리하고,
보안 사고 발생 시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에 따라 직원이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보안
운영 자동화 및 대응(SOAR; 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기술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설계단계부터 보안을 고려하는 6G 보안 내재화 기술개발을 시작하였으며, 5G 대비 다양한
신규기술 및 서비스 제공이 예상되는 6G 시스템의 보안 내재화를 위해서는 표준화 기술 논의가
본격 시작되는 2025년 이전에 6G 보안 문제 정의와 보안 요구사항 설계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리보안 측면에서는 지능형 CCTV와 바이오인식 기술의 트렌드로 구분할 수 있다. 바이오
인식 기술의 트렌드는 한 마디로 'any time, any one'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언제, 어디서나,
시스템/사용자가 원하는 다중 생체정보를 선택/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온전히 바이오
인식 시스템의 몫으로 수행되며, 사용자는 전혀 불편함이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지능형
CCTV는 단일 영상에서 선별 관제, 단순 위험감지 수준을 벗어나 대규모 CCTV 상에서 위험
상황을 연계・분석하거나, 엣지 디바이스 자체가 지능을 보유하고 스스로 감지, 대응하는 엣지
AI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사후 대처가 아닌 미리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예측 치안
(Predictive Policing)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OSSA CCTV를 통해서 누구나 원하는 보안 기능을 자유롭게 탑재, 운영하며 외부 IoT 센서와
∙∙∙ 35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실시간 협업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될 예정이다.
융합보안 측면에서는 현재 차량의 내・외부 통신보안 기술개발에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능형 위협 예측・분석 기술, 도로・교통 인프라 등 기반시설 연계 보안기술, 차량용
이더넷 기반 차세대 차량 네트워크 보안기술 및 사고・오동작 원인분석 등의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의료/헬스케어 분야는 현재 이슈가 되는 미국 FDA의 의료기기 보안 기준,
유럽의 MDR 등 점점 강화되는 사이버보안 규제를 만족하기 위한 의료기기 보안 내재화 기술과
막대한 피해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의료기관 랜섬웨어 대응 기술, 정밀의료 등 의료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등에 관한 연구・개발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장기적으로는 현재의 의료기기・네트워크・시스템 해킹에서 휴먼 브레인・
마인드 해킹까지 대응하는 미래 신기술에 대한 연구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드론 분야는
드론 식별, 인증, 통신 암호화와 같은 기본적인 ICT 기반의 정보보호 기술로부터 드론 제어
시스템 및 임무시스템에서의 이상행위 탐지, 비행경로 이탈 탐지 및 대응, 그리고, 원자력발
전소와 공항과 같은 특정지역 접근 원천 방지기능 등으로 보안 기술이 확대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358 ∙∙∙
제3절 생명공학기술
1. 생명과학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과학기술이 곧 번영을 의미하는 팍스 테크니카(Pax-Technica) 시대로 접어들면서 바이오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급망・통상・안보 관점에서 바이오가 강조되며, 기술패권 경쟁
및 기술블록화의 핵심 아젠더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미국은 ‘바이오 이니셔티브 행정명령’(’22.9.)을 통해 바이오 분야를 반도체・배터리
수준의 글로벌 기술패권 분야로 본격 관리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앞서 중국도 ‘바이오 경제계획’
(’22.5.)을 발표하며 2035년까지 바이오 경제 역량을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할 것을 표명하였다.
바이오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한 주요 국가들의 각축전이 펼쳐지는 동시에 첨단 디지털 기술과
융합으로 바이오 연구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유전체 서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단백질 구조를 인공지능 기술로 가상모델링 하는 디지털과 바이오 융합의 시대에 본격 진입한
것이다. 첨단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기존 바이오 연구개발이 가졌던 불확실성과 오랜 연구
기간, 고비용의 한계를 극복되면서 바이오가 전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오 대전환’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새로운 도전과 기회가 공존하는 정책 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하여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디지털 바이오 육성’을 새정부의 국정과제로 설정하였고, ‘전자약’ ‘인공지능활용
신약’ 등 관련 신규 사업을 2022년 4월 착수시켰다. 또한, 디지털바이오 핵심기술이자 국가
전략기술인 합성생물학의 국내 역량 결집 및 민간중심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지난 7월20일에는
‘한국합성생물학발전협의회’를 출범시켰으며, 11월 29일 「국가합성생물학 이니셔티브」를 발표
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등 바이오 제조혁신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확고히
하였다.
나아가 12월 7일 판교 한국바이오파크 입주기업 현장에서 발표된 「디지털 바이오 혁신
전략」은 국정과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종합적인 생명공학 육성 전략이다. 본
전략은 2030 바이오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①5대 인프라-12대 핵심기술 확보, ②세계 최고국
대비 기술수준 85% 달성, ③디지털바이오 연구개발 집중 투자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4대 추진전략과 13대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 35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신약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제약 산업의 신성장동력 제공 및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해 신약
타겟발굴, 기반기술 확보 등 혁신신약 기초원천 기술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22년 329억 원),
신약개발 전주기 지원을 위해 범부처(과기정통부・복지부・산업부) 사업으로 국가신약개발사업
(’22년 461억 원)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2년부터는 신약개발과정 효율화를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기술개발사업(인공지능활용혁신신약발굴사업, ’22년 17억 원)과 타겟 발굴・검증,
차세대 신약 기반기술 등 국가신약개발사업의 공백분야에 대한 지원을 위한 사업(혁신신약
기초기반기술개발사업, ’22년 30억 원)을 신규로 추진하여 신약개발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해 국내 연구개발 역량을 총결집하고 있다.
나) 재생의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난치성 질환치료제 개발에 응용 가능한 세포재생, 장기조직재생 기술
등과 같은 줄기세포 요소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 줄기세포/조직
재생 내역사업을 통해 2022년 142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재생의료 핵심 기초・원천 기술 발굴・
확보에서 임상까지의 전주기 지원을 통한 치료제・치료기술을 개발을 위해 2021년부터 수행
하고 있는 범부처(과기정통부・복지부)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을 통해 ①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확장성을 고려한 신기술 개발, ②원천기술개발 영역에서 발굴한 신기술 검증 목적의
응용기술 및 치료제 확보기술 개발, ③질환 타겟 치료제의 임상 2상 완료 등 3개 분야에 대하여
2022년 107개(계속 51개, 신규 50개) 과제, 381억 원(과기정통부・복지부 각 190.5억 원)을
지원하였다.
다) 의료기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장지향형 혁신적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의료기기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20년부터 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
식약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을 통해 ①글로벌 제품 개발, ②미래의료 선도, ③의료
복지 구현, ④사업화 역량 강화 등 4개 분야에 343개(신규과제 55개, 계속과제 288개) 과제
1,777억 원(과기정통부 568억 원)을 지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한 2022년 주요 성과로는 세계최초 모바일 컨트롤 앱 기반 ‘센서 연동형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 등 3건의 의료기기가 폼목 허가를 받았으며, ‘유방암영상검출진단보조 소프트웨어’가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었다.
360 ∙∙∙
라) 융복합 헬스케어
의료기술과 BT・IT, 유전정보 등을 접목한 융복합 헬스케어는 고령화시대에 맞춰 수요가
급증하는 분야로, 특히, 소비자에게는 건강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평생건강관리, 맞춤진단・치료
기술 및 서비스 등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기업에는 신성장동력의 기회로
부각되고 있다.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오믹스기반정밀의료기술개발 사업(약 60억
원)을 통해 유전체, 단백체, 전사체 등 생체오믹스 정보의 통합적 분석에 기반한 암・당뇨 등의
예측・진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 ②바이오융복합 내역사업 및
③차세대의료기술개발 내역사업을 통해 실시간 진단・치료를 가능케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개발 및 바이오와 IT 기술의 융합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미래혁신형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였다(’22년 약 97억 원). 또한, ④질병중심중개연구사업을 통해 진단, 예방, 치료법
등 기초연구 성과의 중개연구를 통해 임상・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마) 뇌연구
인간 뇌의 작동원리는 현재 과학기술이 밝혀내지 못한 분야로,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두뇌
활동방식을 규명하고,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해 뇌 관련 과학을 융합하는 기술(미국),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의 뇌를 시뮬레이션하고, ICT 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기술(EU),
비인간 영장류(마모셋 원숭이) 뇌구조 및 기능지도 작성과 뇌신경질환 연구(일본) 등이 진행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18.5.) 및 ‘뇌연구개발 투자전략’(’21.8.)
수립을 통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뇌질환 연구 및 혁신기술확보・융복합 생태계를 구축하고,
뇌연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뇌과학원천기술개발, 미래뇌융합기술개발, 치매극복연구
개발사업, 뇌질환극복연구사업 등 뇌연구 관련 사업에서 2022년 약 552억 원을 지원하였다.
치매 진단/치료에 동시 활용 가능한 체내 단백질을 발견하였고(Brain 게재, ’21.3.), 신체염증이
우울증을 일으키는 과정을 규명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Molecular Psychiatry 게재, ’21.1.)를
창출하였다. 또한, 생각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생체 내 초고속 뇌신경활동 영상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Science 게재(Research Article), ’22.4.), 치매 조기 진단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Clin Nucl Med 논문 발표, ’22.10.)의 우수한 연구 성과도 창출하였다. 아울러,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와 MOU를 체결(’22.8,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하고, 공동연구에
착수하는 등 뇌연구분야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 36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바) 감염병
코로나19 등으로 인체 위협 감염병에 대한 대응은 국가 사회・경제적,안보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예측불가능한 감염병에 대비할 수 있는 과학기술 역량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미래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중점 추진과제 및 감염병 중장기
R&D 역량강화를 위한 ‘감염병 중장기 R&D 생태계 고도화 방안’(’22.2.)을 마련하고, 국내
감염병 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핵심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미래감염병기술개발
사업, ’22년 331억 원).
또한, 코로나19의 장기화 및 신・변종 바이러스의 유입에 대비하고, 국내 감염병 연구의 중장기
역량 강화를 위해 2021년 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설립한데 이어, 2022년 치료제・백신의 임상
진입 전 필수절차인 전임상시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국가 전임상시험 지원센터를 구축
(’22년 6월, 122억 원)하였고, 특허회피가 가능한 독자적 mRNA 기반 백신 및 치료제 핵심
요소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감염병 차세대백신 기초원천 핵심기술개발사업, ’22년 100억 원)을
4월부터 신규로 추진하고 있다.
사) 그린・화이트바이오
바이오공학의 기술 발전에 따라 바이오는 전통적인 의약품 이외 산업 전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영역 확장으로 새로운 신사업 창출의 동력으로 기대받고 있다. 그린・화이트 바이오는 인구
고령화 문제, 식량 문제,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 등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성장동력 분야로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 대응과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그린・화이트 바이오의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기존의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기초
원천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유용 장내 미생물 기반 Biodelivery
시스템 기술’,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평가 플랫폼 및 질환 제어 기술’, ‘장-피부 축 관련
바이오신소재 개발 및 기전 연구’ 및 ‘장-뇌축 기반 뇌질환 제어 기술’ 등 신약 및 신소재 개발을
지원하였다. 또한, 화이트바이오 분야에서는 ‘바이오매스 원료 이용을 위한 e-Biorefinery
원천기술’과 미래 먹거리 문제를 대비하기 위한 그린바이오 분야에서는 ‘미래 대체육(배양육
포함) 맞춤형 식품신소재 원천기술’ 등의 연구를 지원하였다.
아) 생명연구자원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감염병 재난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생명공학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1개 관계부처는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
362 ∙∙∙
계획(’20~’25), (부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20.5.)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2021년부터 부처별로 개별 운영되어 왔던 생명연구자원 관련 사업들을 ‘다부처 국가생명연구
자원 선진화사업’으로 통합하여 2022년 1,521억 원을 지원하며, 수요 중심으로 바이오 연구소재와
연구데이터의 활용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연구소재자원의 경우, 그동안 부처별로 관리되어 온 소재자원은행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
하고 품질을 제고하여 활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배양세포, 미생물, 모델동물, 인체유래물, 종자,
해양생물 등 범부처 14대 소재 분야별 클러스터로 재편하여 현장 눈높이에 맞게 육성하기 위해
22년에 1,521억 원을 지원하였고, 소재의 특성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구축할 계획
이다.
데이터 기반 개방형 연구의 핵심 자원이 될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등록 양식의
신규 발굴 및 개정 등 표준화를 통해 수집・공유 체계를 고도화하고, 연구데이터 전주기 과정
에서의 연구개발 주체별 이행절차 안내를 위한 ‘생명연구자원(바이오연구데이터) 확보・관리
및 활용 표준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였으며, 분야별 고품질 데이터의 확보 및 활용 지원 확대를
위해 단백체, 대사체, 이미징, 화합물 등 분야별 품질선도센터(’22~’26)를 선정하여 운영을
개시하였다. 정부 연구개발사업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수집・관리・공유를 위한 플랫폼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Korea-Bio Data Station) 본격 운영 등을 위해 2022년 316억 원을
지원하였고, 데이터 공유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자) 창업・사업화
바이오 기술개발부터 기술사업화, 창업, 성장, 회수까지 바이오 생태계 전주기에 관한 정보와
지식 제공 및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네트워크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 확보-
창업-성장-재투자의 선순환적 바이오 생태계 확보가 필수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창업유도, 기업성장 촉진,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에 총 257억
원을 지원하였다. 우수 R&D 성과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창업 보육 및
창업 환경 제공을 위해 바이오 아이코어 사업, 바이오 Core Facility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산・학・연 기초연구성과가 시장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오송/대구・경북 첨단의료산업
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등을 통해 기술고도화를 지원하고, 임상
현장의 수요 및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의료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위해 혁신형 의사
과학자 공동연구사업 등 임상현장 연계 중개연구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매년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투자포럼 개최를 지원하여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 간 자유로운 교류
환경을 조성하여 기술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기술이전 및 투자 촉진을 지원하고 있다.
∙∙∙ 36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3) 향후 계획
넥스트 반도체로 각광받는 바이오 분야 최첨단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
부는 2023년에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3년에는,
‘뇌과학 선도융합기술개발’(’23년 68억 원), ‘마이크로바이옴기반 차세대 치료 원천기술개발’
(’23년 55.5억 원)과 ‘유전자 편집・제어・복원・기반기술개발’(’23년 50.5억 원), 「줄기세포 ATLAS
기반 난치성질환 치료기술개발」(’23년 45억 원), ‘세포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및 혈소판) 제조 및
실증 플랫폼 기술개발’(’23년 19억 원), ‘데이터기반 디지털바이오 선도사업’(’23년 37억 원)
등의 사업이 신규로 착수된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인공지능, 바이오, 양자컴퓨팅과 같은 혁명적인 기술의 등장으로 연구개발의 혁신 모델이
과거 선형(linear) 방식에서 경로-파괴형(path-breaking)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로-파괴형
모델에서는 과학과 기술이 상호 협력하여 혁신을 창조하기 때문에 과학과 기술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Technoscientific37)”이라는 용어가 부상하고 있다.
:
scientific R&D is the pacesetter of
engineering R&D
scientific discoveries and engineering inventions go hand-in-
hand, in a dance in which sometimes one leads, sometimes the
other, and sometimes both occur almost simultaneously
AI/biological and quantum computing….
[그림 3-56] 경로-파괴형(path-breaking)으로의 R&D혁신 모델 전환
37)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ngineering, Medicine, NAE Perspectives, Technoscientific Research: A
Missing Term in R&D Discourse, 2022.1.18
364 ∙∙∙
Technoscientific 트렌드 형성에 핵심인 바이오 기술은 디지털화, 플랫폼화, 전략화를 통해
향후 ‘바이오 대전환’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한 단계 더 진전될 것으로 예상한다. 바이오
연구의 디지털화로 인해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R&D 및 산업적
기회가 창출되고 있으며(디지털바이오), 바이오 연구 전반(Red, Green, White Bio)에 걸쳐
활용되는 플랫폼바이오는 과학적 발견을 촉진하여 바이오 연구 생산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신산업으로 직결되고 있다(플랫폼바이오). 기술 패권주의 및 블록화에 따라 바이오 기술
혁신뿐 아니라 산업, 안보, 통상 및 공급망 관점에서도 바이오 기술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
하고 있다(전략바이오).
자료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그림 3-57] 바이오 대전환의 3가지 방향
이에 ‘바이오 대전환’이라는 패러다임 전망 속에서 디지털바이오, 플랫폼바이오, 전략바이오
라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는데, 디지털바이오와 플랫폼바이오는 연구개발 동향 관점에서, 전략
바이오는 향후 전망이라는 큰 방향성 관점에서 설명한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바이오 분야에서 데이터는 빠르게 통화(currency)되고 있으며, 디지털기술(AI, 모바일, IoT,
블록체인 등)과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바이오 연구의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AI는 과학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특히, 생물학과 의학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데,
AI는 과학기술계에서 가장 어려운 숙제 중 하나로 여겨졌던 단백질 접힘(Protein folding)
∙∙∙ 36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및 구조 예측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단백질 구조에 기반한 다양한 단백질 기
능 분석은 질병에 대한 치료법, 항생제 내성, 미세플라스틱 오염 및 기후변화 등 인류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38).
디지털바이오는 바이오산업 전반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데,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소프트웨어(SW)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39)가 등장하고 있다.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reSET-O’는 마약(오피오이드) 의존 장애
환자 치료를 위한 모바일 앱으로, 환자 의료기관 이용률을 60% 낮춰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46일 이내에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의
설계, 합성, 검증까지 가능한 인공지능 시스템 ‘GENTRL’ 개발하였는데, 기존의 프로세스에 비해
시간은 15배 정도 빠르며 비용 절감 효과도 크다고 보고 있다40).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 디지털 농업과 같은 시스템 구축에 노력
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농업에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토양, 기후 및 유전자원을 모니터링, 평가 및 관리하는 디지털 및 지리공간 기술을
농업에 활용하고 있다41). 지난해 Boston Consulting Group에서는 제조업을 혁신할 자연지향
설계(Nature Co-Design) 시대 도래를 전망하였다. 1, 2, 3차 산업혁명이 일방적인 자연・
자원을 사용하는 개발(Nature-using development)이었다면, 자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 자체를 정밀한 제조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방식(Nature co-design)으로 전환한다는 개념
이다. 자연지향설계는 Design-Build-Test-Learn(DBTL) 전략을 포함한 딥테크(DNA 해독/
합성/편집, 정밀발효, 인공지능, 자동화 및 나노 기술 등의 융합)를 기반으로 가능해졌다고
하겠다42).
최근 유전체분석기술, 유전자편집기술, 세포 리프로그래밍기술처럼 과학적 발견을 촉진함과
동시에 레드, 그린, 화이트바이오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바이오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를 통해 플랫폼바이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바이러스 병원체의 유전체
서열을 그 어느 때 보다 빠르게 분석하였고, 고해상도 이미징기술로 바이러스와 인체세포의
결합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가노이드 및 동물모델을 통해 치료제 및 백신 후보를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었다.
38)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1), BioINwatch 21-55, AI 기반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 및 DB 공개, 2021.8.5.;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2), BioINwatch 22-51, 단백질 구조 예측 AI 활용과 가능성, 2022.7.21
39)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19), BioINwatch 19-74,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2019.10.29
40)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19), BioINwatch 19-67, 인공지능(AI)를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 발굴에서 검증까지 46
일로 단축, 2019.10.1
41)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0), BioINwatch 20-64,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으로의 발전, 2020.9.8
42)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1), BioINwatch 21-68, 제조업을 혁신할 자연지향설계(Nature Co-Design) 시대 도래,
2021.9.30
366 ∙∙∙
시퀀싱에 의한 유전체분석기술은 바이오 R&D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는데, 시퀀싱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데이터의 축적에 힘입어 유전체분석기술은 우리 삶에 깊게 관여할 것
으로 예상된다. 특히,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신생아 게놈 시퀀싱 파일럿 프로젝트가 추진
중으로, 질병을 사전에 빨리 발견하여 사전에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다. 2019년 영국
보건부 장관은 20,000명 신생아의 예비 테스트를 시작으로 영국에서 태어난 모든 신생아의
DNA 검사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10만 게놈 프로젝트를 완료한 영국의 보건의료 시스템은
이미 임상 치료에서 전체 게놈을 사용하고 있어 신생아 시퀀싱에 호의적인 입장이다43).
3세대 유전자가위인 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은 수십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예상됨에
따라 원천 특허를 둘러싼 특허 분쟁이 지속되고 있다. CRISPR 유전자편집기술 자체 뿐 만
아니라 이 기술을 활용한 기초연구, 치료제 개발, 농작물 개량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과학적
진보와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미국과 EU에서 서로 다른 특허 결정을
내리고 있고, CRISPR 관련 신기술이 계속 개발되어 관련 특허가 증가함에 따라 크리스퍼 기술을
둘러싼 특허 이슈는 향후 수년간 더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44).
최근 소형화된 장기유사체(오가노이드), 합성배아(인공배아) 제작과 관련된 기술은 인간 태아
발달 등 미지의 생명현상 규명에 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고, 코로나19 등 감염병 연구와 각종
신약들의 독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마우스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실제
마우스 배아와 매우 유사한 합성배아(synthetic embryos)를 만든 후, 심장이 뛰고, 두개골에
주름이 생길 때까지 인공자궁 배양기(Ex Utero Culture Device)에서 성장시킨 연구결과가
발표45)되었는데, 이를 통해 향후 인간의 노화 극복, 건강 수명 연장을 위해 이식용 조직, 장기
제작이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합성배아에 대한 윤리적 논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기술패권 경쟁 시대, 글로벌 시장선도와 국익・안보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전략기술 관련하여
‘바이오 대전환’에 대응한 디지털바이오 육성을 국정과제로 제시하였다46). 이에 따라, 2022년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안)47)’을 발표하며 바이오가 디지털과
융합되면서 기존의 한계를 벗어나 바이오 자체의 발전뿐 아니라 전 산업 분야에 전방위적으로
파급되어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러한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해 4대 전략, 13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43)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1), BioINwatch 21-73, 신생아 게놈 시퀀싱, 기대와 우려 공존, 2021.10.19
44)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0), BioINwatch 22-29, 끝이 보이지 않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편집 특허 분쟁, 2022.4.21
45)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2), BioINwatch 22-59, 줄기세포, 인공자궁 기술로 만든 합성배아, 2022.8.25
46)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 2022.5
4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디지털바이오 혁신저략(안), 2022.12.6.
∙∙∙ 36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렇다면, 올 한해 디지털바이오에 대한 국내의 굵직한 성과는 무엇이 있을까? 의료용 디지털
트윈/쌍둥이(Digital twin)은 신약개발 및 치료를 위한 질병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데, 단일
세포 및 게놈 전체 관점에서 디지털 트윈의 동적 변화를 모델링하여 바이오마커와 신약 후보
물질 발견을 위한 확장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Genome Medicine, ’22.5., 연세
의대/스웨덴 Linköping 대학). 연구팀은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을 대상으로 단일 세포 데이터를
세포 유형 간, 상호작용 각 시점에서 다세포 네트워크 모델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알레르기에서 승인된 약물 표적인 Th2 사이토카인의 발현 및 기능이 세포 유형 및 시점에 따라
다양하다는 결과를 확보하여 신약개발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정량적 접근법도 개발
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개인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디자인에
대한 성과(Cell reports, ’22.12., 성균관대/싱가포르 A∗STAR)도 있었다. 디지털 가상세포를
활용하여 다양한 식이조건에서 여러 균주들의 생장, 군락화 능력, 건강 기능성 물질(포스트바이오
틱스) 생산과 장내미생물과의 상호작용 등을 컴퓨터에서 미리 평가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균주를 선정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연구팀은 배양 실험, 동물 실험, 균주 공동배양
(co-culture) 실험을 통해 예측 결과와 실험 결과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바이오 화장품 및 마이크로바이옴기반 생균치료제(Live
Biotherapeutic Products) 신약 개발에도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 BRIC(2022), 디지털 가상세포로 개인맞춤형 프로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개발, 2022.12.7.
[그림 3-58] 개인 맞춤형 바이오틱스 설계 기술 모식도
368 ∙∙∙
바이오 연구 전반(Red, Green, White Bio)에 걸쳐 활용되는 플랫폼바이오는 과학적 발견을
촉진하여 바이오 연구 생산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데, 세포 리프로그래밍(세포 운명
제어) 기술은 유전체시퀀싱, 유전자편집, 유전체합성과 함께 생명현상을 분석하고, 제어하는
데에 필수적인 플랫폼 기술이다.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 관련하여 올해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도마뱀의 조직 재생에 공통으로 관여하는 인자를 발견하였다(Science
Advances, ’22.10., 생명연/포스텍). 하등 동물의 뛰어난 재생능력이 포유류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이 재생의학의 가장 큰 의문이었으나, 진화적으로 포유류에게도 공통기전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재생의학적 기술개발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보도자료, 2022.11.29
[그림 3-59]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조직 재생의 주요 공통 인자(Dsp)의 작용에 관한 모식도
유전자편집기술 관련하여 올해 국내에서 발표한 주요한 성과 중 하나로 질병 세포에서만
핵 내 유전자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전자 가위 시스템(CRISPR/Cas9)이 그 중 하나(Nucleic
Acids Research, 2022.6, KAIST/KIST)이다. 연구팀은 세포 내 마이크로RNA가 특정 서열을
인식해 절단한다는 특성을 활용해 질병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마이크로RNA에 의해 특이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링커를 연결한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설계했다. 이러한 플랫폼은 유전자 가위를
질병 세포에서만 기능 할 수 있게 해 정상세포와 질병 세포가 혼합돼있는 실제 환자에게도 효과
∙∙∙ 36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적인 유전자 교정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바이오 연구에 없어선 안 될 새로운 마우스모델 300종을 제작(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
사업단, ’22.9.)하였는데, 이러한 성과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의 뒷받침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기존 3세대 유전자가위(편집) 기술에 비해 정확성과 효율성이 높아 신약
개발 등 바이오 연구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4세대 유전자가위(Cpf1)를 이용한 마우스
유전자 편집기술을 확보해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신규 마우스 모델 300종을 제작하였다.
3) 향후 전망
지난 9월 12일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 개시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미국은 바이오 기술과 같은 필수 산업에 대해 외국의 재료와
생산에 너무 많이 의존해 공급망이 불안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추진된 내용으로 파악된다. 미국은
바이오제조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이러한 바이오제조 발전으로 석유화학제품을 대신해 플라
스틱, 연료, 재료 및 의약품과 같은 것들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정명령 추진을
위해 20억 달러 이상의 투자에 관한 관계부처의 주요 추진방향을 발표하였고, 각 부처에서는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할 것으로 일정을 밝힌 바 있다48).
팬데믹 기간 발생한 공급망 문제는 의약품 공급에도 영향을 미쳐 암 치료가 중단되기도
하였는데, 최근 합성생물학에 의해 재설계된 효모에서 항암제인 빈블라스틴(vinblastine)을
제조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천연물질의 구조적 복잡성은 기존의 화학합성 보다 미생물
합성으로 구현하기가 더 쉬운데, 합성생물학에 의해 재설계된 생합성 경로는 식물에서의 자연
적인 경로보다 더 높은 효능 또는 더 적은 부작용과 같은 개선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보완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49). 이러한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에서 언급한 미국의
바이오기술・제조 행정명령의 중심에는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합성생물학이라는 연구와 기술이
위치하고 있다.
국내 또한 ‘디지털바이오 혁신전략(안)’과 더불어 지난 11월 말에 합성생물학 육성으로 바이오
제조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 합성생물학 이니셔티브50)’를 발표하였다. 합성생물학은 바이오
연구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던 속도와 스케일, 불확실성의 한계 극복을 가능하게 하고, 제약・
48)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2), BioINwatch 22-65, 미국의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관계부처의
주요 추진방향, 2022.9.15
49)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22), BioINwatch 22-62, 의약물질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합성생물학 기반의 미생물
공급망, 2022.9.6
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 합성생물학 이니셔티브, 2022.11.29
370 ∙∙∙
에너지・화학・농업 등 바이오 관련 다양한 산업에 막대한 파급력으로 인해 미래 바이오산업의
승패를 판가름할 기술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번 전략에는 ①합성생물학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6대 전략분야 집중 육성, ②합성생물학 혁신을 가속화하는 핵심 인프라인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활용, ③합성생물학 발전을 위한 법・제도, 협력, 인력양성 등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미생물 발효, 공정에 관한 국내 우수 역량을 기반으로 바이오 혁신기술(유전체 분석, 편집,
합성 등)을 접목하여 합성생물학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는데,
최근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하여 메탄을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학 소재로 바꿔주는 유용 미생물
개량에 관한 성과를 발표(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2.10., 생명연)하여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메탄을 소재로 전환하는 유용 미생물 생산 기술을 확보함에 따라 향후 기후변화
대응과 소재 개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료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보도자료, 2022.11.25
[그림 3-60] 연구결과 요약 모식도51)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생명과학 및 바이오 기술은 인류 보편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중요성을 넘어 산업, 안보, 통상 및 공급망 관점에서 국가 생존 차원의 전략성이 나날이 증가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 듯, 미국이 바이오기술・제조 행정명령을 통해 자국의 이익 장벽을
높여가는 상황에서 만약 우리 고유의 바이오 혁신기술이 없다면, 주요국의 정책과 전략에
좌지우지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는 바이오 혁신기술(원천기술, 플랫폼기술) 확보가
51) 다양한 바이오파트(외래단백질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부품)와 고효율 CRISPR기반 유전체 편집기술을 적용하여 메탄
영양세균의 대사경로를 최적화하고 메탄전환 유용소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
∙∙∙ 37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관건이며,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바이오 혁신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
(What)을 어떻게(How) 해야 할까?
환경변화와 국내 역량을 고려한 혁신기술 발굴 및 개발이 중요하다(What). 바이오 혁신기술
이란 누구보다 먼저(원천) 개발하거나 다양하게 확장・응용(플랫폼)할 수 있는 기술로, 혁신기술은
많은 경우에 원천성과 플랫폼 성격 모두 해당된다. 바이오 혁신기술 개발을 위해 대범한 아이
디어에 기반한 담대한 목표와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하고(How), 이에 대한 R&D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위험-고수익(High-risk/High-return) 연구개발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조직과 이에 대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표 3-24> 바이오 혁신기술(원천기술, 플랫폼기술) 사례
원천기술
(예) 합성생물학을 통한 화학 플라스틱 대체용 신규 물질 개발
* 유전자회로 재설계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물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플라스틱 대체물질 개발
플랫폼기술
(예) 안전하고, 확장성이 우수한 ‘차세대 유전자편집기술’ 개발
* 후속세대 영향이나 생태계 교란 가능성을 제어할 수 있는 후성유전체 편집기술 등
원천&
플랫폼기술
(예) 진단기술 강점을 살려 ‘혈액 기반의 암 조기 진단기술’ 개발
* 바이오마커만 바꿔가며 사망률이 높지만 조기 진단법이 없는 췌장암, 간암, 난소암 등에 대한 진단기술
개발 가능
자료 : 작성자
지난 2021년 7월, 우리나라는 유엔무역개발회의 역사상 처음으로 선진국으로 지위가 변경
된 국가로, Fast-follower 전략을 넘어서 First-mover가 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그 어느 나라보다 신속하게 진단기기를 개발하며,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이오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전략과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민간의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 우리나라가
기술패권 경쟁시대의 새로운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되리라 기대한다.
372 ∙∙∙
2. 보건의료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보건의료 기술52)(HT, Health Technology)은 건강문제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약품,
백신, 장치, 제도, 절차 등 다양한 유형의 지식과 기술을 응용하는 것(The Sixtieth World
Health Assembly, WHO)을 통칭한다. 기술의 범위는 단순한 질병치료가 아닌 신체・정신・
사회적 측면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진단・치료・사후관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류의
헬스케어(Healthcare) 실현을 위해 필요한 모든 기술을 포함한다.
2022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 사업은 2019년 5월에 발표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목표인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025년까지 4조 원 이상으로 확대 추진–기초연구・
응용연구를 균형 있게 확대’ 기조를 유지하며, ‘국민 건강 중심의 투자 강화로 더욱 건강한 대한
민국, 개방형 혁신을 통한 산・학・연・병 협력 강화’를 전략목표로 설정하였다. 전략목표에 따른
4대 전략은 ①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②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 육성, ③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④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으로, 6대 중점 추진방향으로 나누어 총
6,991억 원의 주요 R&D 예산을 지원하였다.
가) 감염병 신속 대응을 위한 연구기반 조성
2022년도 감염병 신속대응을 위한 연구기반 조성 R&D는 전년대비 135억 원 감소한
1,945억 원을 지원하였다. 감염병 재난 및 원내감염 상황 시 환자・의료진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시스템・장비・인력 최적화 기술개발에 신규로 108억 원을 지원하였다. 백신의 안정적
공급과 글로벌 백신개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속대응・범용 기반기술, 고부가가치 백신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자 백신 기반기술 개발사업 65억 원, 신속 범용백신 기술개발 사업 56억 원,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 개발 사업에 48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
대응 가능한 mRNA 백신의 임상진입 및 임상시험 단계별 집중 지원을 위해 신변종 감염병대응
mRNA백신 임상지원사업에 105억 원을 지원하였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임상・비임상단계 연구를 끝까지 지원하고자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
52) ① 세계보건기구(WHO) : 질병을 예방・진단・치료, 환자의 재활・관리・지원에 사용되는 모든 의료기술로 의료기기, 의약품,
내・외과적 의료행위 뿐 아니라 관련된 모든 지식을 포함
②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 의과학・치의학・한의학・의료공학 및 의료정보학 등에 관련되는 기술, 의약품・의료기기・식품・
화장품・한약 등의 개발 및 성능 향상에 관련되는 기술, 그 밖에 인체의 건강과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되는 보건・의료 관련 기술
∙∙∙ 37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사업 475억 원,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사업 418억 원,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에 80억 원을 지원하였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감염병의 예방부터 치료, 확산 방지를
위한 백신・진단기술・치료제 개발에 430억 원을 지원하였다.
<표 3-25> 2022년 감염병 R&D 분야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내역사업) 2021년
2022년
계 계속 신규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감염병
위기 신속
대응
감염병 의료안전강화 기술개발사업 신규 - 10,800 - 10,800
백신 기반기술 개발사업 신규 - 6,525 - 6,525
신속 범용백신 기술개발 사업 신규 - 5,639 - 5,639
미래성장 고부가가치 백신 개발사업 신규 - 4,756 - 4,756
신변종 감염병대응 mRNA백신 임상지원사업 신규 - 10,500 - 10,500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사업 62,700 47,500 - 47500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사업 68,700 41,800 - 41,800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비임상지원사업 7,400 8,000 - 8,000
감염병 예방・치료기술 개발사업 46,768 42,968 21,893 21,075
감염병 방역기술 개발사업 13,933 13,066 13,066 -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사업 6,973 2,900 2,900 -
감염병 의료기술근거생성 연구 1,500 - - -
합계 207,974 194,454 37,859 156,595
나) 재생의료 R&D 전주기 지원 확대
2022년도 재생의료 R&D 전주기 지원은 전년대비 150억 원 증가한 603억 원을 지원하였다.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에 따라 재생의료 혁신기술 발굴
및 연구개발을 위해 재생의료 임상연구 기반조성사업에 신규로 68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희귀・난치 질환 극복 및 바이오 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에 전년대비 127억 원 증가한 191억 원을
지원하였다. 재생의료 분야 기초원천 연구성과의 임상 적용을 위한 중개연구, 실용화 임상시험,
산업화 기반기술 등을 추진하고자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내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융복합
보건의료기술에 344억 원을 지원하였다.
374 ∙∙∙
<표 3-26> 2022년 재생의료 R&D 분야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내역사업) 2021년
2022년
계 계속 신규
바이오
헬스
첨단
유망
기술
육성
재생
의료 전주기
지원
재생의료 임상연구 기반조성사업 신규 - 6,825 - 6,825
첨단의료기술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실용화, 융복합보건의료기술 등)
38,933 34,376 31,437 2,939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 6,411 19,051 10,939 8,112
합계 45,344 60,252 42,376 17,876
다) 신약・의료기기・DNA 차세대 유망기술 지속 투자
2022년도 신약・의료기기・DNA(Data・AI・Network) 등 차세대 유망기술 R&D는 전년대비
149억 원이 감소한 1,870억 원을 지원하였다. 차세대 유망기술을 지속적으로 투자하기 위하여
신규 6개 사업 233억 원을 확보하였으나, 일부 사업이 종료되어 전년대비 예산이 소폭 감소
하였다. 기술(산업) 및 시장 등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선도형 의료 기반기술을 확보하여 국가
의료연구개발 지원기반을 고도화하기 위해 차세대 의료연구기반 육성사업에 신규로 50억 원을
지원하였다. 혁신형 기업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국제협력연구와 해외 임상시험 지원을
강화하고, 국내 상용화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사업에 신규로
48억 원을 지원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첨단 융・복합 국산 치료 의료기기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자 전자약 기술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에 신규로 28억 원을 지원하였다. 시장
진출이 유망한 의료기기의 기술개발, 제품화, 임상, 인허가 및 보험 등재까지 전주기 맞춤형
으로 지속 지원하기 위해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산업부・식약처)에
572억 원을 지원하였다. 신약의 경우, 기초-임상연구 연계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실용화 성과창출을 위한 임상 개발, 맞춤형 컨설팅 지원을 위해 국가신약개발사업(복지부・
과기부・산업부)에 전년대비 269억 원 증가된 420억 원을 지원하였다. 바이오헬스 기술기반
초기 창업기업에 정부-민간이 공동으로 투자하여 성공 잠재력이 있는 기술의 빠른 상용화를
촉진하고자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사업에 82억 원을 지원하였다. 전통적 임상
시험(RCT)을 보완・대체하는 실사용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지원 및 임상현장 중심 의료 인공
지능을 실증하기 위하여 실사용데이터(RWD) 기반의 임상연구 사업에 신규로 50억 원을 지원
하였다. 의료데이터 활용성 강화를 위한 고품질 의료데이터 확보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연구를 위해 보건의료 빅데이터 큐레이팅 기술개발사업에 신규로 27억 원을 지원하였다.
∙∙∙ 37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병리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및 AI 개발용 병리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암 전문 지능형 병리
AI개발・임상 검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병리기반의 암 전문 AI분석 솔루션개발 사업에는 93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자폐성 장애를 대상으로 지속・정밀한 건강평가, 진단, 치료가 가능한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자폐 혼합형 디지털 치료제 개발(복지부・과기부)사업에 신규로
31억 원을 지원하였다. 데이터・인공지능(AI) 연계・활용 촉진으로 진단・치료방향 결정 등 임상
의사 결정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중환자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기반 CDSS개발 사업에는
전년대비 20억 원이 증가한 91억 원을 지원하였다.
<표 3-27> 2022년 신약・의료기기・DNA R&D 분야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내역사업) 2021년
2022년
계 계속 신규
바이오
헬스
첨단
유망
기술
육성
차세대
유망
기술 지속
투자
자폐 혼합형 디지털치료제개발 신규 - 3,077 - 3,077
차세대의료연구기반육성사업 신규 - 5,000 - 5,000
혁신형 의료기기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 신규 - 4,800 - 4,800
전자약기술개발사업 신규 - 2,775 - 2,775
실사용데이터(RWD) 기반의 임상연구 지원 사업 신규 - 5,000 - 5,000
보건의료 빅데이터 큐레이션 기술개발 사업 신규 - 2,695 - 2,695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 60,200 57,224 47,862 9,362
국가신약개발사업 15,051 42,013 22,724 19,289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 10,320 10,280 - -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기술개발사업 10,143 9,800 - -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사업 5,635 8,175 5,460 2,715
의료기기기술 개발사업 15,087 3,829 - -
첨단의료기술개발(신약개발지원,제약산업특화) 15,375 2,475 - -
디지털 병리 기반의 암 전문 AI 분석 솔루션 개발사업 7,170 9,250 - -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CDSS 개발사업 7,064 9,100 - -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사업 9,914 6,000 - -
첨단의료기술개발(인공지능 정보의학) 3,000 3,000 - -
인공지능 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 2,200 2,140 - -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8,518 347 - -
첨단의료복합단지 미래의료산업 원스톱 지원 5,887 - - -
CDM 기반 정밀의료 데이터 통합 플랫폼 기술개발 5,366 - - -
바이오 빅데이터구축 시범사업 7,250 - - -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3,000 - - -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복지부) 10,702 - - -
합계 201,882 186,980 132,267 54,713
376 ∙∙∙
라) 의료 사각지대 등 사회문제 해결 R&D 확대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놓여있는 의료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R&D 예산을 확대하여 전년대비 141억 원이 증가한 2022년 701억 원의 예산을 사회문제
해결형 R&D에 지원하였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혈액부족 사태를 대비하고, 환자 중심의
안전한 환자혈액관리 정착을 위해 포스트코로나 시대 적정수혈을 위한 의료기술개발 사업에
신규로 20억 원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포스트코로나 대비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및 일차 의료
기반 만성질환 관리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에 전년
대비 36억 원 증가한 84억 원을 지원하였다. 희귀질환, 환자 안전관리, 사회적 약자의 건강
격차 해소 등 공익적 의료기술 개발 투자의 확대 필요성에 따라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의
예산은 전년대비 77억 원 증가한 119억 원이 지원되었다. 또한, 노인・장애인의 운송수단,
일상생활, 사회참여 등을 위한 보조기기 연구개발 및 보급・확산을 위해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에 101억 원,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에 65억 원을 지원하였다.
<표 3-28> 2022년 사회문제 해결형 R&D 분야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내역사업) 2021년
2022년
계 계속 신규
국민
중심
R&D
투자
강화
사회
문제
해결
포스트코로나시대 적정수혈을 위한 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 - 2,000 - 2,000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 22,404 18,262 - -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 4,173 11,925 8,200 3,725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사업 4,815 8,358 5,484 2,874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 7,600 10,078 7,978 2,100
노인천만시대 대비 고령친화서비스 연구개발 3,995 5,147 - -
국립재활원 재활연구개발용역사업 5,401 6,462 3,950 2,512
지능형 재활운동체육 중개연구사업 4,002 4,905 4,511 394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사업 2,858 2,980 - -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개발사업 630 - - -
사회서비스 150 - - -
합계 56,028 70,117 56,512 13,605
마) 만성질환・정신건강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극복 중점 투자
2022년도 만성질환・정신건강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극복 R&D는 전년대비 85억 원 증가한
876억 원을 지원하였다. 우울・불안・분노 등 국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에 신규로 62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정신건강 관련 공공서비스
∙∙∙ 37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개발, 연구성과 현장실증, 연구자원 구축 등 국가 주도의 공공 정신건강 서비스 기반을 마련
하고자 국립정신건강센터 연구개발사업에 신규로 16억 원을 지원하였다. 고부담 질환인 치매의
경우 ‘국가 치매책임제’와 연계하여 예방・조기진단・치료까지 전주기 R&D 지원을 통한 치매
극복을 강화하고자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복지부・과기부)에 전년대비 33억 원 증가한 112억
원을 지원하였다. 한국형 암의 원인과 기전을 규명하여 암 예방・진단・치료법 개발 및 적용으로
국민 보건복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암 연구소 및 국가 암관리 사업본부 운영사업에
70억 원이 증가한 430억 원을 지원하였다. 의・한 협진 치료기술 개발, 한약제제 적응증 발굴
및 근거 중심의 한의약의료서비스를 위해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에는 142억 원을 지원하였다.
<표 3-29> 2022년 질환극복 R&D 분야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내역사업) 2021년
2022년
계속 신규
국민
중심
R&D
투자
강화
고비용・
난치성
질환
극복
정신건강 연구개발사업 신규 - 6,200 - 6,200
국립정신건강센터 연구개발사업 신규 - 1,625 - 1,625
암 연구소 및 국가 암관리 사업본부 운영사업 36,015 43,015 32,040 10,975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 10,177 14,213 11,333 2,880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7,877 11,243 8,828 2,415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사업 6,630 6,830 6,480 350
치의학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3,157 4,200 3,200 1,000
질환극복기술개발 685 300 - -
국가 항암신약개발사업 3,306 - - -
정신건강 문제해결 연구 6,244 - - -
한의약선도기술개발 5,035 - - -
합계 79,126 87,626 62,181 25,445
바) 산・학・연・병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
2022년도 산・학・연・병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 R&D는 전년대비(’21년 913억 원) 84억 원이
증가한 997억 원을 지원하였다. 임상지식을 갖춘 신진 의사과학자 및 정밀의료・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선도분야 융합 인재양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K-Medi 융합인재 양성지원사업에
신규로 59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글로벌 선진기관 연구현장에서 연구개발 경험 경로 제공
및 기초의학자-임상의 간 융합연구 촉진을 위한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에는 183억 원을
지원하였다. 산・학・연・병이 협력할 수 있는 병원중심 연구플랫폼 구축, 병원의 연구・산업생태계
거점화를 위해 연구중심병원육성R&D사업에 전년대비 89억 원 증가한 529억 원을 지원하였다.
378 ∙∙∙
그리고, 기초연구성과의 빠른 상용화를 위한 질환별 비임상단계 유효성평가와 혁신의료기기
제품 임상연구 지원을 위해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사업에 135억 원을 지원하였다. 의료현장
미충족 의료수요를 반영한 기초연구 성과의 임상적용 가능성 제고를 위한 질병중심 중개연구
사업에는 전년대비 34억 원 증가한 71억 원을 지원하였다.
<표 3-30> 2022년 연구생태계 R&D 분야 예산 현황
(단위: 백만 원)
4대
중점
추진
전략
중점
추진
방향
세부사업(내역사업) 2021년
2022년
계속 신규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산・학・
연・병
연구
협력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신규 - 5,875 - 5,875
연구중심병원 육성 43,996 52,875 45,375 7,500
의료기술상용화 지원센터 16,995 13,500 - -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일반회계) 13,505 13,163 12,863 300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기금) 4,070 5,050 2,800 2,250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 3,663 7,050 4,800 2,250
임상연구 인프라조성사업 4,550 1,250 - -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기반구축사업 3,707 890 - -
선도형 특성화연구사업 780 - - -
합계 91,266 99,653 81,478 18,175
2) 2022년도 주요 성과
신약개발 분야는 지속적 R&D투자를 통해 2021년에 3건의 국산 신약을 개발하여 보건산업
육성에 기여했다. 또한, 12건의 기술수출로 2020년에 비해 2배 증가하였으며, ‘펙수프라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와 같이 천억 원 이상 규모의 계약이 8건 포함되어 약 3조 7천억
규모의 기술수출로 글로벌 기술역량 강화를 입증했다.
<표 3-31> 국산 신약개발 현황
연번 제품명 개발사 적응증 허가일자
1 렉라자정 ㈜유한양행 항암제(폐암) ’21.01.18.
2 렉키로나주 ㈜셀트리온 코로나19 치료제 ’21.02.05.
3 펙수프라잔 대웅제약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21.12.30.
∙∙∙ 37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표 3-32> 신약개발 분야 주요 기술수출 성과
연번 제품(물질)명 종류 주관연구기관 기술이전 금액
기술이전 기업
(기술이전일)
1 히알루로니다제 피하주사 원천기술 알테오젠 약 1,266억원
Intas Pharmaceuticals
(’21.1.7.)
2 GX-17
코로나19치료 및
면역항암제
제넥신 약 12,000억원
KG BIO
(’21.2.18.)
3 IMC-002 항암신약 후보물질 이뮨온시아 약 5,412억원
3D Medicines
(’21.3.30.)
4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대웅제약 약 3,800억원
Shanghai Haini
(’21.3.17.)
5 CHC2014
Pan-TRK 저해
표적항암제
CMG제약 약 1,934억원
AUM Biosciences
(’21.5.10.)
6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대웅제약 약 5,160억원
Neurogastrx
(’21.6.8.)
7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대웅제약 약 340억원
BIOPAS
(’21.6.23.)
8 JBPOS0101
소아연축・뇌전증
치료제
바이오팜즈솔루션즈 약 468억원
경신제약(중국)
(’21.8.30.)
9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대웅제약 약 4,841억원
아그라스
(’21.10.14.)
10 VRN08
MPS1 타깃 고형암
치료제
보로노이 비공개
Pyramid Biosciences
(’21.11.3.)
11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SK바이오팜 약 2,180억원
Ignis Therapeutics
(’21.11.11.)
12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SK바이오팜 약 433억원
Endo ventures limited
(’21.12.23.)
또한, 범부처 차원의 개발・임상・인허가・제품화 등의 전주기 지원 및 감염병 방역기술개발
등을 통해 14건의 의료기기를 개발했고, 관상동맥질환의 조기 발견이 가능한 마이크로 의료
로봇 기반 가이드와이어와 같은 고도의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4등급) 4건도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안전성・유효성을 확보한 의료기기를 개발했다.
380 ∙∙∙
<표 3-33> 국산 의료기기 개발 및 출시
연번 제품명 회사명 등급
1 방역의료진용 고글-마스크일체형 헤드보호구 엠텍에스티에스㈜ FDA 허가
2 가이드와이어(PTCA) ㈜코스와이어 4등급
3 외과용품(PF-72) ㈜티젤바이오 4등급
4 조직수복용생체재료(Regenin) 나인바이오팜㈜ 4등급
5 조직수복용재료(올리디아) ㈜피알피사이언스 4등급
6 개인용조합자극기(Dr.Oracle_T1) ㈜씨엠랩 3등급
7 고주파자극기(HIPER-330) ㈜제이에스온 3등급
8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휴런 3등급
9 안과영상검출 진단보조소프트웨어(Wisky-DR) ㈜에이아이인사이트 3등급
10 유착방지피복재 ㈜엘앤씨바이오 3등급
11 전립선암영상검출 진단보조소프트웨어(JPC-01K) ㈜제이엘케이 3등급
12 생체신호분석소프트웨어(VN-C-01) ㈜뷰노 2등급
13 의료영상검출 진단보조소프트웨어(DC-XR-03) ㈜딥노이드 2등급
14 카트원 홀터심전계(SL-MRA1K06) ㈜스카이랩스 2등급
주: 의료기기는 1~4 등급 구성, 등급이 높을수록 고위험도로 개발・허가가 어려움
자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www.htdream.kr)
코로나19 대응 성과로 치료제・백신 개발을 지원하였으며, 셀트리온에서 개발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가 국내 최초 식약처 정식허가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품목허가
승인을 받아 전국 치료현장에 공급되어 코로나19 상황을 대응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림 3-61]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성과(렉키로나)
또한, 방역의료진 안전 확보를 위한 개인용 보호구(고글-마스크 일체형 헤드 보호구, 페이스
쉴드)를 개발하여 의료현장의 필수품목인 방역 장비 국산화에 성공했고, FDA 허가를 통해 국내
뿐 아니라 해외의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대응 향상에 기여하고, 기술적 우수성을 입증했다.
∙∙∙ 38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고글-마스크 일체형 헤드보호구 페이스쉴드
[그림 3-62] 코로나19 방역용품 개발 성과
과학・기술적 성과로는 2021년도 SCI 논문 2,086건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된 순위보정영
향력지수(mrnIF)53)가 지난 3년간(’18~’20) 평균(66.69점)보다 높은 67.06점으로 질적 수준이
증가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국내 특허 등록의 경우 SMART54) 등급 평균 점수가 4.3점으로
지난 3년간(’18~’20) 평균(4.17점)에 비해 증가하여 특허의 질적 수준은 향상했다.
<표 3-34> 최근 5년간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논문실적 현황
(단위 : 건)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합계
SCI(A) 2,908 2,738 2,141 2,086 9,873
비SCI(B) 304 209 179 193 885
mrnIF 65.24 66.83 68.01 67.06
논문 수 합계(A+B) 3,212 2,947 2,320 2,279 10,758
자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www.htdream.kr)
<표 3-35> 최근 5년간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특허출원 및 등록 현황
(단위 : 건)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합계
국내(A)
등록 637 511 286 269 1,703
출원 703 521 543 576 2,343
국외(B)
등록 167 122 106 85 480
출원 372 227 248 323 1,170
SMART 등급 평균 4.2 4.1 4.2 4.3
합계(A+B) 1,879 1,381 1,183 1,253 5,696
자료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 종합정보시스템(www.htdream.kr)
53) 기존 순위보정영향력지수의 최하위 값이 분야내 저널 수에 의존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순위보정지수의 최소 값을 0,
최대 값을 100으로 표준화한 지표로 지수값이 큰 저널일수록 해당 분야 내에서 위상이 높음을 의미
54) 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점수가 생성되고, 등급 분류 기준(기계, 물리/재료, 전기/전자/IT, 바이오, 화학)에 따라 부여
되며, 최고 AAA 등급부터 최하 C 등급까지 총 9등급으로 구분
382 ∙∙∙
3) 향후 계획
2023년도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분야의 범정부 R&D 종합계획인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23∼’27)’과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정책 연계성을 강화하고, 성공적 이행을
위해 ‘글로벌 바이오헬스 중심국가로 도약, 건강 문제해결 및 보건안보 확립을 통한 건강하고
안전한 삶 구현’을 전략목표로 삼아 R&D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지속적 감염병 대응 전주기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재생의료 R&D 전주기 지원 강화,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에
투자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국민 건강을 중심 가치로 두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
중심형 R&D 강화와 중증・만성질환 관리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극복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학・연・병 연구협력 강화와 글로벌 협력 확대를 통해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나. 동향 및 전망
1) 개요
약 3년간 전 세계를 뒤덮었던 코로나19 팬데믹의 엔데믹으로의 전환 논의가 이루어지며,
국민들의 일상 복귀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고 있으나, 꾸준히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재확산되고 있다. 이에 세계적으로 CEPI(감염병 혁신 연합), ACT-A(코로나 치료제 개발 프로
젝트)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공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WHO와 공동으로
‘2022 세계 바이오 서밋’을 개최하는 등 글로벌 위상을 정립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 산하 감염병특별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미래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 지원을 확대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백신·치료제에 대한 자국민 우선주의가 심화하여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나라는 기술 보유국에 의존하게 되었고,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맞이하기도 했다. 이에 전 세계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 나아가 국가 안보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보건의료 기술주권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가 당면한 난제를 해결
하기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 정책이 보건안보 측면과 연계·부각 되면서 DARPA의 혁신 모델을
자국 내 이식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기술패권 경쟁의 흐름 속에서 기술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발표하고, 첨단바이오 등 12개 국가전략
기술을 설정함으로써 국가적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앞으로도 보건
의료 기술 발전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본 보건의료 연구개발 동향 파트에서는 감염병 치료제·백신 관련 기술과 보건의료분야 디지털
전환, 그리고 국가전략기술 첨단바이오 분야의 세부 전략인 유전자·세포 치료 기술에 대해 소개
하고자 한다.
∙∙∙ 38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연구개발 동향
가) 감염병 치료제·백신
2022년 5월에 아프리카 중부와 서부의 풍토병인 엠폭스(Mpox, M천연두)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어 WHO는 7월에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우리나라는
11월에 발생한 4번째 확진 환자를 마지막으로 추가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코로나19에 이어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하는 주기가 짧아지고 있으며, 미래 감염병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치료제·
백신 개발 경험을 축적하고, 기술을 확보하는 것의 중요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미국은 2022년
10월에 발표한 국가안보전략에서 바이러스 발생 100일 내 백신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코로나19 대응의 ‘게임 체인저’로 활약한 mRNA백신은 기존 백신에 비해 획기적인
개발 속도를 보여주었고, 다음 팬데믹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확보해야 할 플랫폼기술이
되었다. 더불어, 향후 예상되는 감염병의 다양한 변이와 동시 발생하는 병원체에 대응하기 위한
범용 백신 개발기술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2022년에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집중적인 연구지원의 성과가 있었다.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셀트리온의 ‘렉키로나’(’21), 백신인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원멀티주’
(’22)가 각각 허가를 받으며,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3번째로 국산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을 모두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
전 세계적으로 백신 관련 감염병은 8백여 종이 있으나, 개발된 백신은 30여 종에 불과하여
충분한 개발 여지가 존재한다. 특히, 고난이도 기술로 인해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폐렴, HPV
백신 등 고부가가치 프리미엄 백신과 암, 당뇨 등 난치병을 치료하기 위한 백신 개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384 ∙∙∙
나)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발전에 기반한 보건의료분야 디지털 전환으로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고, 보건의료분야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신약개발 분야에서는 후보물질 탐색뿐 아니라
임상, 사후 추적에 이르는 전 과정에 AI, 빅데이터 분석기술이 적용되며, 전통적으로 약 15년이
걸리는 신약개발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AI,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면 후보물질 도출 단계에서는 한 번에 100만 건 이상의 논문 및 1010개의 화합물 탐색이
가능해 연구자 수십 명이 1~5년간 해야 할 일을 하루 만에 진행할 수 있으며, 임상시험 단계
에서는 병원 진료 기록을 토대로 연구하고 있는 질병과 관련성이 높은 임상 대상 환자군을 찾고
유전체 변이와 약물의 상호작용을 예측해 개발 단계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55) 경제
적인 측면에서도 투자 대비 성공확률이 낮은 전통적 신약개발 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신약개발 전 과정에 AI를 활용하고 있는 미국의 인실리코 메디슨
(Insilico Medicine)은 AI로 설계한 특발성 폐섬유증(IPF) 신약의 임상 1상을 2022년 11월에
완료하였다고 밝히는 등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의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림 3-63] 신약개발 단계별 AI·빅데이터 활용 방안56)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에 의한 건강관리 수요가 증가하며 디지털 치료기기도 각광을
받고 있다. 미국 FDA는 코로나19 상황 동안 정신건강 관련 디지털 치료기기의 조건부 승인을
허용하는 일부 요구사항을 완화57)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AI·빅데이터 기술, 디지털·웨어러블
55)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0),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내·외 현황과 과제
56) 과기정통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0),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내·외 현황과 과제
57) 한국바이오협회(2022),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동향
∙∙∙ 38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기술을 활용한 혁신 의료기기의 신속한 현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0년 혁신 의료기기 일반심사 지정제도를 시행한 데 이어, 2022년
10월, 기존에는 별도의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받지 못했던 인공지능, 디지털 혁신 의료기기를
신속하게 의료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혁신 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를 마련하였다.
이 제도를 통해 혁신 의료기기 신청에서부터 의료현장 진입까지 390일이 걸리던 기간을 80일로
대폭 축소하게 되었으며, 기업은 임상 근거를 축적하고 환자에게는 질병의 진단 및 치료 방법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 결과, 12월에는 ㈜에임메드, 웰트㈜의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불면증 개선
디지털 치료기기 2개, ㈜제이엘케이의 뇌경색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1개 등 총 3개 제품이
통합심사·평가에 따른 혁신 의료기기로 지정되어 비급여로 의료현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매년 혁신 의료기기 지정 건수는 2020년 8개 → 2021년 9개 → 2022년 10개로 증가하여
혁신 의료기기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에임메드, 앱 형태의 만성불면증
개선 디지털 치료기기’
웰트㈜, 앱 형태의 만성불면증 개선
디지털 치료기기
㈜제이엘케이, 의료진의 뇌경색 진단결정을
보조하기 위한 진단보조소프트웨어
[그림 3-64] 제1차 통합심사 혁신의료기기 지정 현황58)
다) 첨단재생의료
첨단재생의료는 사람의 신체 구조 및 기능을 재생, 회복·형성하거나 질병 치료·예방을 위해
인체 세포 등을 이용하는 치료로, 그 범위는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조직공학 치료 등으로 분류
한다.59) 첨단바이오의약품은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조직공학 제제, 융복합 제제 등 인체
세포 등을 함유한 허가된 의약품을 말한다. 이 중 세포 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를 환자에게
직접 주입하는 치료제로, 줄기세포 치료제, 체세포 치료제, 면역세포 치료제 등이 포함된다.
유전자 치료제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환자의 질병과 관련한
유전물질의 발현에 영향을 준다. 기존의 치료 방식이 증상의 호전 또는 유지라는 한계를 있으나,
현재 첨단재생의료는 적절한 치료법이 없는 희귀·난치 질환의 근원적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는 세포·유전자 치료제를 국가전략기술 첨단바이오 분야 중점기술로 선정하고, 집중적
58) 보건복지부(2022), (보도자료)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통합심사·평가 혁신 의료기기 최초 지정’
59)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호 제1호
386 ∙∙∙
으로 육성할 계획이며,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 R&D 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022년 3월에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체결된 36건의
공동연구·라이센싱 거래 중 세포·유전자 치료제가 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60)했다는 점
에서 세포·유전자 치료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알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CAR-T 세포 치료제가
있는데, CAR-T는 암세포의 표면 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지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
세포로 이를 활용해 2017년 승인된 미국 노바티스의 '킴리아'가 대표적이다. 2022년 미국과
유럽에서 6개의 세포․유전자 치료제가 처음으로 허가를 받았으며, 전 세계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기업은 1,457개사로 전년 대비 11% 증가하였다61).
우리나라는 지난 2020년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이하, 첨단재생바이오법)을 시행하여 첨단재생의료 특성에 맞는 안전관리체계와 별도의 임상
적용 경로를 마련하였는데, 기존 치료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희귀·난치질환자들의 치료 등이
가능하나 위험도가 높은 만큼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세밀한 심사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고
위험 임상연구의 경우, 임상연구 계획 등에 대하여 「첨단재생바이오법」 상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은 후에 연구를 실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21년 12월, 소아백혈병 환자 대상 CAR-T 치료가 고위험
임상연구로 처음 승인되었다. 이후 2022년 12월 기준으로 보면,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의
임상연구 적합 승인 건수는 위험도별로 고위험 8건, 중위험 6건, 저위험 1건이다.
3) 향후 전망
계속되는 미래 감염병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범부처대응 체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예정
이다. 방역 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사업의 후속으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으로 범부처
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R&D 사업을 2023년부터 새로 추진한다. 첨단재생의료 분야에서는
새롭게 혈액 수급 안정화를 위한 인공혈액 연구개발 및 이종장기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 예정이며,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함께 지원하는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도 지속 지원
한다. 보건의료 분야 디지털 전환 분야 지원 규모는 대폭 확대된다. 보건복지부 소관으로는
2022년 375억 원에서 2023년 726억 원으로 2배 이상 예산을 확대해 가상환자·가상병원 기반의
의료기술 개발, 한국형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비대면 진료 기술 개발사업 등을 신규 지원 예정
이다. 특히 디지털 전환의 핵심인 의료 마이데이터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거점의료기관, 동네
병‧의원, 보건소, 산업클러스터 등 의료 과정에 참여하는 지역 내 다양한 주체를 중심으로 한
60)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2), 미국과 유럽의 세포·유전자치료제 혁신연구 지원 정책 동향
61) 한국바이오협회(2023)
∙∙∙ 38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실증 기반도 구축하는 등 데이터·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한 보건의료분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예정이다.
보건의료산업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기술 혁신과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른 연구개발,
규제·인허가, 생산 등 보건의료 전문인력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보건의료산업의
높아진 위상과 함께 지난해 백신 생산 거점에 대한 인력 공급을 위해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단독 지정되었다. 이에
따라 중·저소득국 대상 백신·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정 교육을 실시하고, 설비 등을 설립하게
된다. 또한, 기초-임상 간 연계를 원활하게 하고, 첨단 의료기술을 의료현장에 접목하기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보건의료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9월, 건강, 기후변화, 에너지, 식량안보, 농업, 공급망, 국가 및 경제 안보 확보를 목적으로 생명
공학 및 바이오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에 대한 행정
명령에 서명62)하였다. 이 행정명령은 바이든 행정부가 생명공학 분야에서 미국의 강점을 강화
하는 동시에 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시사하고 있는데,
“미국에서 개발되고 발명된 생명공학은 미국에서 제조되어야 한다”라는 문구를 통해 미국의
제조국으로서의 지위를 명백하게 천명63)하고 있다. 향후 세계 보건안보 기술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바이오 헬스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64) 만들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3. 식품・의약품 등 안전 분야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개발사업은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법」 제5조에 근거한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하고 있다. 식품・의약품 등65)의 안전
기술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안전관리 기술과 인허가 및 과학적 규제를 위한 평가기술을 말
하며, 국민 생활과 밀접하며 공공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62) KISTEP(2022), 美,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주요 내용 및 시사점
63)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3),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의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행정명령’의 시사점 및 대응방안
64)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회의, 2023.2.28
65) 식품, 농축수산물, 주류, 건강기능식품, 의약품・한약・의약외품, 화장품, 위생용품, 의료기기 등
388 ∙∙∙
최근 신・변종 감염병의 유행, 이상기후, 환경오염에 따른 건강 위협요인의 증가, 디지털・바이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식품・의약품 등의 생산・유통・사용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안전관리 컨트롤
타워로서 규제수요에 대한 식약처의 신속한 대응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
하여 식약처는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연구, 혁신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인허가 평가기술
연구, 규제과학 연구 인프라 강화 등 미래 분야 안전관리 기반 마련에 집중하였다.
2022년 주요 R&D사업은 전년 대비 100억 원 증액된 1,290억 원 규모로, 식품, 의약품, 의료
기기 등 분야별 안전관리 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5개 고유사업과 민간 제조현장 등에 활용 가능한
7개 출연사업 등 총 12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신규사업으로는 오가노이드 등 첨단바이오 기술을
안전성 평가에 적용하는 첨단 독성 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과 코로나19 등 감염병 백신・치료제
제품화 지원과 체계적인 유통・사후관리를 위한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사업 등 2개 사업을
115억 규모로 추진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식품 및 농・축・수산물 안전분야
식품 및 농・축・수산물 생산부터 유통・소비까지 전(全) 단계의 안전관리를 위해 식품 등 안전
관리 사업(1998년~)과 농축산 안전관리 사업(농식품부에서 이관, 2013년~)을 수행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ICT 기술을 식품안전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식품 안전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식품, 농축수산 안전관리 사업을 통해 농・축・수산물 생산과정에서 사용 후 잔류하는 농약
이나 동물용의약품, 토양・해양・대기 등 환경에서 식품으로 축적되는 오염물질, 가공식품 등의
제조・가공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유해물질에 대한 분석 시험법과 허용 가능한 기준・규격을
마련하고 있다. 농약 및 동물용의약품의 오・남용 방지와 잔류물질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
(Positive List System) 도입에 대비하여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동시 다성분 검사항목을 473종
에서 511종으로, 축・수산물 중 동물용의약품 또한 157종으로 확대하였다. 특히, 수산물 중
부적합 다빈도 동물용의약품 12종에 대하여 현장 검사를 위한 신속 검사키트를 개발, 농산물 중
노발루론 등 농약, 축산물 중 아바멕틴계 등 동물용의약품,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 중 남조류
유해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에 대한 시험법 개발 및 위해평가를 통해 기준・규격 설정, 재평가를
지원하였다.
또한, 중금속, 다이옥신 등 총 66종의 유해물질을 대상으로 인체 중심의 통합위해성평가를
완료하였고, 과불화화합물 등 유해물질의 위해평가를 위해 국내 인체노출안전기준을 설정하여
관계부처에 제공하였다. 식품 관련 위해정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커피 및 기타 식물성유지류
중 대마성분, 마른김 중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즈A 등에 대한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 38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식중독 원인・추적 조사 강화를 위한 식중독 및 잠재적 위해미생물 검출 시험법 개발, 식중독균
수집 및 자원화(17,600주), 국가 식품영양성분 함량분석 DB 구축(2,952건), 식품원료 진위판별
정보 DB 구축(1,944건) 등 자원 및 분석자료 확보를 통해 분석 인프라를 확대하였다. 그밖에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새로운 위해요소 등장으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바이오플라스틱・재활용・기능형 식품 용기 등에서 식품으로 이행되는 물질의
시험법을 개발하는 등 식품용 기구・용기・포장의 과학적 규제기반을 마련하였다.
건강기능식품 및 새로운 식품원료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심사를 거쳐 인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품화 기술지원을 위한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안전성
및 기능성 평가 가이드를 개발하고, 기능성 원료에 대한 맞춤형 기술지원을 수행(88개 원료,
46개 업소)하였다.
스마트 식품 안전관리 사업을 통해서는 식품 생산・제조 공정 중 유해 미생물의 증식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미생물 증식 인공지능 예측 기술 확보 및 블록체인 기반 식품
이력추적 체계 개선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입식품 위해도 예측모형에 사용 가능한
신규 변수를 발굴하고, 위해도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였으며, 수입식품 등 고유식별체계 구축과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의 포장지 형상 인식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식품 제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IoT 기반 HACCP 스마트센서 5종 시제품 제작,
광학검출용 고속 대량 검출 시스템(BRET-sensor) 설계, 광학검출용 고속 대량 검출 시스템
(BRET-sensor) 식용유지 적용 적합 최적 조건 설정 및 검증하였다. 인공지능(AI) 기반 위・변조
식품 판별기술 개발, 첨단기술을 융합한 이물 선별 및 제어 기술 개발, 스마트 포장 관련 안전성
연구를 진행 중이다.
나) 의약품 등 안전분야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및 한약(생약), 화장품・의약외품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의약품 등
안전관리 사업(2000년~)을 통해 의약품 등 전주기 안전관리의 과학적 근거를 개발해왔으며,
2021년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사업, 2022년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연구 사업을
통해 국민 건강에 꼭 필요한 의약품의 안전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의약품 분야 안전관리를 지원하기 위해서 대한민국약전이 국제기준과 조화를 이루도록 기준・
규격 및 시험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2년에는 약전 국제조화를 목표로 미국・유럽・일본이
참여 중인 약전토론그룹(PDG, Pharmacopoeia Discussion Group) 가입을 위해 대한민국
약전 첨가제 및 일반시험법・일반정보 등을 13건 제정하였고, 코로나19 백신 품질확보를 위한
주사제용고무마개시험법 개정 및 제약업계 품질관리 수요를 반영한 약전 제・개정(96건)을 추진
390 ∙∙∙
하였다. 또한, 품질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나 구매가 어려운 표준품이나 국가필수의약품인
경우, 제약업계 등에 분양할 수 있도록 22건의 표준품을 신규 확립하였다.
2018년 고혈압 치료제 발사르탄에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 불순물이 검출된 것을
시작으로 해마다 의약품 중 비의도적 유전독성 불순물이 이슈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물질에
대한 미량분석법 개발과 저감화 방안 연구도 주요하게 추진하고 있다. 2022년에는 의약품 중
에틸렌클로로히드린(2-CE) 분석법 개발과 모니터링 연구, 사르탄류 의약품 중 아지도계열 불순물
동시분석법 개발 및 국・영문 시험법 자료집을 발간하여 업계의 불순물 안전관리를 지원하였다.
미국 FDA와 유럽 EMA 등 국외 규제기관에서 2025년까지 연 10~20건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승인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는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수요가 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2022년에 대한민국약전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 일반정보 3건을 제・개정하고 유전자가위 기반
유전자치료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품질평가 시험법 등 23건의 시험법을 개발하였
으며, 관련 연구개발자 대상 전문 정보집을 제공하는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허가심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약(생약) 분야에서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곰팡이독소, 중금속 등 다양한 유해물질별
동시분석법과 도인, 행인, 욱리인 등 오・혼용 우려 한약재 유전자 감별법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약전과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개정안 210건을 마련하였다. 감초 등 수입한약재를
국산화하고 제주 국가생약자원관리센터 건립을 통해 아열대 생약자원 연구・관리・보존 등
나고야의정서 대응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화장품 등 생활밀접제품의 안전관리를 위해 화장품
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 개정, 의약외품・위생용품 중 유해물질 인체노출량 평가, 화장품 염모제
성분 및 손소독제 중 유해물질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생물학적제제・감염병 분야에서는 신・변종, 미해결 감염병 대응을 위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RSV), 코로나19, 수족구, 장티푸스 백신의 면역원성 시험법을 개발하고, 신기술 기반 백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자, 업계 대상 정보집 6건을 발간하였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등 바이오의
약품 분야에서는 신기술 기반 단백질함량 시험법을 개발하였고, 방사선 조사 혈액제제 등의
국내 도입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고 mRNA백신 등 임상시험용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4종의
GMP 가이드라인(안)을 마련하였다.
의약품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사업에서는
의료빅데이터(RWD/RWE) 연구의 가능성 및 제한점을 도출하고,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한
임상시험 재현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약(생약)제제 동시 함량분석법 및 한약제제 추출물
분획을 이용한 분석법 개발, 온라인 허위・과대광고 판별 분석모형 개발을 통해 식품・의약품
안전관리 고도화를 하였다.
∙∙∙ 39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022년 신규사업인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연구 사업에서는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후
회복 및 재확산 방지를 위한 백신・치료제 제품화 지원를 위해 mRNA 백신 등의 유효성 및
품질평가 기술 개발, mRNA 백신 등의 독성평가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mRNA 백신 후보물질의 면역원성 평가기법, mRNA 백신 후보물질 제조, 평가용
RNA 면역증강제 후보물질 개발, HAV 항원 표준품 시험법 마련 등이 있다.
다) 의료기기 안전분야
의료기기 분야는 안전관리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사업
(2002년~)과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하는 의료기기의 제품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다부처 규제과학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사업은 의료기기의 개발부터 제품화, 시판 후 안전관리 등을 위한 과학적
규제에 근거한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여 인허가를 지원하고,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한국은 국제의료기기 규제당국자 포럼(IMDRF) 가입국 중 하나로 의료기기
규제조화 이행 및 규제과학 선진국 진입을 위해 국제표준 기반 평가기술 연구를 수행 중이다.
2022년에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맞춤형 안전관리 기반구축 정책 로드맵 등 10건의 의료기기
안전관리를 지원하였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병리진단 소프트웨어 체외진단의료기기의 표준데이터
구축 및 성능평가 방안 등 38건의 의료기기 평가기술을 마련하였다. 감염병 대응 체외진단의료
기기 개발 및 품질관리 지원을 위해서는 코로나 19 바이러스 관련 표준품 등 11종의 표준품을
신규 제조・등록하고, 43개 품목 243건을 분양하였다. 또한, 국제조화를 통한 국내 의료기기
기술 활성화를 위해 맥파분석기 등 한의학 기술 및 의료용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관련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하였다. 해당 사업의 결과들은 10건의 국제 SCI급 학술지와 게재 및
학술대회 발표 등으로 이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으로 수행하는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에는 2020년부터 참여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표준 개발, 신뢰성 평가기술 개발 등 각 부처 R&D로 개발된 의료기기의 인허가 지원을 위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제품화 촉진을 위한 맞춤형 규제과학 연구지원을 위해 범부처
의료기기 제품화지원 거버넌스를 구축・운영하여, 범부처 의료기기 제품화지원 거버넌스 통합포럼
(2회), 범부처 맞춤형 인허가지원 기술자문회의(14회), 범부처 의료기기 규제대응지원과제 실무
협의체 회의(15회), 식약처/사업단 거버넌스 운영위원회(13회), 식약처/사업단/심평원/보의연/
정보원 전담데스크 활성화 협의체(6회) 등을 추진하였다.
2022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와 함께 5G 기반 이동형 유연
392 ∙∙∙
의료 플랫폼 기술개발 다부처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원격 서비스 의료기기에 대한 설계・시험과
규제대응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라) 독성・안전성 분야
식품・의약품 등 안전관리의 기반이 되는 비임상・임상 시험법 개발 및 독성정보 및 실험자원
관리, 마약・담배 등의 안전관리를 지원하는 독성・안전성 분야에서는 1998년부터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연구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오가노이드 등 첨단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2022년에는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사업을 통해서는 ICH, OECD 등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시험
방법의 최근 개정사항을 국내에 도입하여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식약처고시)을 개정하고,
첨단기술 활용 독성평가 시험법 가이드라인 등을 제공하였다. 환자 중심의 의약품 안전사용
환경조성을 위하여 취약・민감계층을 대상으로 한 의약품 안전사용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
이슈인 마약류 안전평가 강화를 위하여 의존성 기반 유해성 평가, 영장류를 이용한 마약류 의존성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국가출하승인 의약품 검증 등에 활용되는 실험동물 관리 기준 선진화를
위한 제도를 개선하고, 동물실험의 과학적・윤리적 관리를 위하여 실험동물 품질관리 및 실험
동물운영위원회를 운영하였다. 신약후보물질의 허가 시 필수 제출 자료이며, 의약품의 약물
부작용에 의한 퇴출 사유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심혈관계 안전성 확보를 위해 FDA,
EMA, PDMA 등 해외 규제기관 중심으로 추진되는 종합적 심부정맥 평가프로젝트를 참고하여
국내에서도 비임상 단계에 적용할 수 있는 줄기세포 기반 오가노이드 모델을 활용한 평가법을
연구 중이다.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기반한 첨단 독성평가기술 확보를
위해 오가노이드 독성 평가법 및 심혈관계 약리 평가법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오가노이드 분야
에서는 10종 이상의 간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작, 인체 장 모델 분화 기법 최적화 및 모델 기능성
검증 및 오가노이드 모델 제작 표준작업지침서(SOP)를 마련 중이다. 심혈관계 약리평가법 분야
에서는 CiPA66) 기반 in vitro 다중이온채널 평가 시험법을 마련하고, in silico 기반 인간 심근
세포 모델을 개발하여 CiPA(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 Assay)에서 제시한
28종 약물의 반응성 검증 연구를 통해 독성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66) 미국, 유럽, 일본에서 참여하고 있는 종합적 심부정맥 평가 프로젝트(CiPA, Comprehensive in vitro proarrythmia
assay)
∙∙∙ 39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마) 규제과학 인프라 구축 분야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관리 기반이 되는 규제과학 인프라로서 바이오헬스 산업의 규제를
이해하고,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 등 규제과학 연구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21년
신규사업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성, 유효성 분야 5개
대학을 선정하여 규제과학과(전공)를 신설한 것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식의약 규제정책,
의료기기, 의약품 품질 분야 3개 대학을 추가 선정하여 총 8개 대학에 규제과학과(전공)를 설립
하였다. 2022년까지 규제과학 석・박사 학위과정에 총 273명이 선발되어 교육 수혜를 받고
있다. 또한, 규제과학 연구지원센터로 한국규제과학센터가 선정되어 정부의 규제과학 연구정책
수립지원, 산업체 인턴십 지원 및 전문교원 양성, 규제과학 포럼 등을 개최・지원하였고, 한국
건강기능식품협회 등 3곳의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규제과학 발전과 확산을 위한
산・학・관 협력 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3) 향후 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3년 국제기준을 선도하는 식의약 행정혁신을 위해 국민의 일상을
든든하게 할 안전혁신, 식의약 산업을 단단하게 할 규제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분야별 안전관리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국제 규제기준을 선도하여 안전혁신을 지원
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혁신제품의 안전하고 신속한 시장 공급을 위한 맞춤형 다부처 협업연계
사업을 집중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첨단바이오 기술을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성・유효성
평가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컴퓨터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평가체계
구축 신규사업 추진으로 규제 분야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2차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21~’25)에 따라 2025년까지 식품・의약품 등에 대한 국민 안심
수준을 74%, 기술수준을 기술최고국 90%까지 높인다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여기에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기술의 식품・의료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혁신기술의 안전
하고 신속한 제품화를 전 세계 규제기관들은 선제적으로 규제기술을 개발하며, 국내에서도
국제기준과의 조화를 이루며, 안전한 식품・의료제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규제과학 연구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394 ∙∙∙
2) 연구개발 동향
가) 식품 및 농・축・수산물 안전분야
미국 식품의약품청(FDA)는 2020년 안전한 식품공급과 공중보건 증진을 위하여 ‘마트 식품
안전 새 시대(New Era of Smarter Food Safety)’ 청사진을 통해 신기술 기반 이력추적 강화,
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 신규 비즈니스 모델과 유통 현대화, 식품안전문화
개선 4가지 핵심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유럽식품안전청(EFSA)는 지속가능한 식품생산 시스템 구축 및 식품안전 확보를 목표로,
시스템의 혁신이 식품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위해평가 과정에서 빅데이터의 실시간 분석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하고,
위해평가와 연관된 과학적 증거 문헌을 자동화・추출・분류・분석을 통해 데이터 증거 확보하는 등
새로운 지식, 정보 및 접근법을 활용한 위해평가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식품 안전관리의 디지털 전환, 푸드테크의 발전, 새로운 식품 위해
요소 등장, 식품안전관리 생태계 변화 등 5대 식품안전 키워드와 13대 식품안전 트렌드를 도출
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식품안전 R&D 중장기 발전방향을 수립(’22)하여 추진 중이다.
[그림 3-65] 식약처 식품안전 중장기 발전방향
식품산업계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생산・유통단계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추진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유통이력관리시스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기획・설계・
∙∙∙ 39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생산・유통・판매 전 과정을 IoT, 빅데이터 등으로 통합하여 디지털화 및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 시스템을 구현, 공장이 스스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화된 공장을
개발하여 불량품 감소, 비용 시간 절감 등의 효과로 식품 안전관리 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IoT 접목, 플랫폼 구축을 통한 중요 식품안전관리 모니터링 실시간 자동화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식품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관리하고 있다.
빅데이터 융・복합을 통한 식품안전 관리시스템으로는 가축 매몰지, 폐광산, 중금속 오염지역
등 환경정보와 그 위치정보인 공간정보를 결합해 인근의 식품제조업체(식품통합정보)를 선별
점검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국 식품업체 목록에 주소 공간정보
(위・경도)를 결합하여 내 현재 주변 음식점 및 안전정보를 식품안전정보 앱을 통해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나) 의약품 등 안전분야
데이터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품질과 효율을 높인 연속생산이 국제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의약품 제조현장의 지능화 제조공정(연속생산, 스마트팩토리 등) 도입 트렌드에
따라 미국 및 유럽 규제기관에서는 전담팀을 구성하여 적극 대응하고 있으며, ICH에서는 연속
제조공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 진행 중이다. 또한, 난치성 질환에 대한 부작용 저감화 및
약효 증대, 환자 복용편의성 개선 등을 위해 신기술・신제형을 활용한 의약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FDA 및 EMA에서는 가이드라인 발간 등을 통해 규제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EMA에서는 합성 핵산의약품의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
하기 위한 작업을 ’22년부터 추진 중이다.
또한, 주요 선진국 규제기관들은 자국 제품의 세계시장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미충족 의료
수요의 해결, 혁신기술 의료제품 평가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평가와 관련한 중장기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FDA CBER(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의 인체세포, 조직 및 세포조직
공학제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규제과학 연구에 대한 중장기 전략 계획(’21~’25)을
발표하였고, 일본은 혁신 의약품 안전성 확보와 조기 실용화 연계를 위한 제도 기반 마련을
위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국가 간 신종감염병의 확산 공포가 현실화됨에 따라 각 국가로 유입
될 수 있는 미지의 신종감염병에 대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WHO는
감염병 발생 시 효과적인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R&D Blueprint를 제시하였으며, 원숭이
두창 등 새롭게 위험성이 대두된 감염병에 대해서도 백신 개발을 독려하고 있다. 아울러, 주요
국가들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각종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396 ∙∙∙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22.9.)’를 통해 미국 내 바이오혁신을 촉진
하고,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세부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전염병 및 생물학 위협 대응과
대비 강화, 세계보건안보전략을 위한 ‘국가 바이오방어전략 행정명령(’22.10.)’을 발표하였다.
백신과 더불어 항체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또한 확대
되고 있다. 미 FDA가 1986년 최초로 항체의약품을 허가한 이후, 2021년에 100번째 항체의
약품을 승인하였으며, 통상적인 항체의약품에서 항체약물복합체, 이중항체 등 다양한 형태의
항체의약품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중 특히 항체약물복합체 관련 제품화 및 개발 연구가 두드러
지고 있다. 국내 업체들도 항체 및 접합기술 개발 R&D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위탁개발 및
생산업체들도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를 높이고 있어 향후 관련 연구 및 시장 선점을 위한 노력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다) 의료기기 안전분야
의료기기 세계시장은 2020년 4,297억 달러에서 2024년 5,137억 달러로 연평균 4.6%로
성장 추세가 예상된다.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웰빙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확산, 주요
국가들의 보건의료 정책 및 경제성장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증가로 인한 지속 성장이 예상
된다. 미국, 일본, 독일 중국 등 상위 10개국의 시장규모가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진단영상기기가 전체시장의 23.2%, 의료용품이 16.5%, 환자보조기기가
12.5% 수준이므로 전통적인 의료기기의 중요성도 꾸준히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등 혁신의료기기 및 체외진단기기 분야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삶의 질 향상, 비대면 서비스 수요증가에 대응하여 코로나
이후 유망할 것으로 전망되는 신산업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실내생활이 길어지면서, 헬스케어 분야에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이 결합하여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의료시장이 형성 중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시장은 2025년까지 약
87억 달러(10조원, 연평균 20.5% 성장) 규모의 성장을 예측하고 있다. 또한, 치료 이전에 정확한
진단을 통한 사전 예방 및 대응으로 질병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체외진단 의료기기 시장은
2020년 845억 달러 규모로 최근 3년간 연평균 11.4% 성장하였고, 2025년까지 960억 달러 규모로
성장 예상된다.
2020년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생산실적이 10조 1,358억 원으로 전년대비 39.24% 증가
하였고, 수출실적은 7조 8,315억 원으로 전년 대비 78.78% 증가하였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등 혁신의료기기 및 체외진단기기 분야 시장의 급성장한 영향으로 보여
∙∙∙ 39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지며, 의료기기 무역수지도 최초로 흑자로 전환되었다. 반면, 수입실적은 5조 2,274억 원으로
6.49% 상승하였다. 2020년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7조 5,316억 원으로 2019년
7조 8,039억 원으로 전년대비 △3.49% 성장률을 보였다. 국내산업 대비 의료기기산업 비중을
살펴보면, 2020년도 의료기기 총생산은 10조 1,358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0.53%의
비중을 차지하며, 국내 총 제조업생산(GDP)은 480조 931억 원으로 그 중 의료기기산업은 제조업
생산 대비 2.11%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부는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및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제정(’20.4.30.)
및 시행(’20.5.1.)으로 혁신의료기기 및 체외진단의료기기에 대한 지원 및 안전관리 근거를
마련하여 국민의 안전확보 및 관련 산업육성을 지원하고 있다. 의료기기산업 종합발전계획에
따라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기술(인공지능・나노기술・로봇기술 등)과 의료기기의
융합을 통한 신개념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의료기기 신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범부처(복지부・
산업부・과기부・식약처)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대상 의료
기기 R&D 초기 단계부터 참여하여 의료기기 표준, 맞춤형 의료기기 평가기술 개발, 신뢰성평가
등 제품화에 중요한 맞춤형 인허가 평가기반을 지원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라) 독성・안전성 분야
글로벌 오가노이드 시장은 2019년 기준 7,775억 원 규모이며, 연평균 22.1%로 증가하여
2027년 약 3조 8천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조직・장기별로 위, 장, 간, 췌장,
폐, 뇌, 신장 분야로 분류되는데, 현재 장-오가노이드가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2027년
부터는 간-오가노이드가 가장 큰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직 오가노이드에 대하여
현행 기술과 윤리적 한계가 숙제로 남아있으나, 포유류 배아, 암 모델링, 칩 기술 등 혁신적인
기술이 개발되면, 신약개발, 정밀의료 발전 뿐 아니라 현행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비난을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1.6.).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안전성 약리시험을 위한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시험모델, 오가노이드 등을 활용한 인체모사모델링을 통한 병인 기전 및 약물개발 등을 주로
추진 중이다. 또한, 환자 부작용 및 불필요한 치료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안으로 정밀의료 기반의
개인 맞춤형치료가 부각되고 있으며, 유전형에 기반한 용량변경 또는 약물 변경 등 근거 기반의
맞춤치료를 권고안으로 제시하는 미국 CPIC(The Clinical Pharmacogenetics Implemntation
Consortium), 근거 수준 및 임상적 타당성에 대한 등급을 정해 맞춤치료 권고의 필요성을
결정하는 네덜란드 DPWG(Dutch Pharmacogenetics Working Group) 사례가 있다.
마약류의 경우, UN에서 마약류 정보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마약 중독자 재활치료를 위해
398 ∙∙∙
미국에서 약물법원을 운영하면서 치료담당자가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 판사가 치료 프로그램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약류 사용이 급증하면서(마약류사범 ’16년 14,214명 →
’21년 16,153명), 이에 대한 정책 다변화 요구도 증대되고 있어, 마약류 오남용에 대한 홍보,
중독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마) 규제과학 인프라 구축 분야
식의약 분야 대표 규제기관인 미국 FDA은 국내외 정부 및 학계, 협회 등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민관 협력 및 자원 공동연구를 규제과학 추진의 핵심 원칙으로 하고 있다. 민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규제과학 분야 혁신 역량을 갖춘 미국 내 4개의 연구・교육기관(존스홉킨스,
UCSF-스탠포드, 메릴랜드, 예일대학-메이요클리닉)을 규제과학 우수혁신센터(CERSI, Centers
of Excellence in Regulatory Science and Innovation)로 지정하여 지원 중이다.
국내 규제과학 육성정책은 아직 시작 단계로,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21.6.)을 통해
규제과학 법적 기반 마련, 인재육성, 민・관이 함께 성장하는 규제과학 생태계 조성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허가 중심 규제업무(Regulatory affairs) 전문가 양성 교육
과정을 운영해왔으며, 2021년부터는 규제과학 석박사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개발을 위한 법령을 바이오헬스 제품화
지원, 규제과학 연구개발, 전문인력양성을 포괄하는 규제과학혁신법으로 전면 개정을 추진 중
이다.
3) 향후 전망
푸드테크 식품, 첨단바이오의약품, 디지털 치료기기 등의 개발로 안전관리 영역이 더욱 확대
되고 있으며, 규제방식의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등 사회적 요구에 따라 안전관리에도 첨단기술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확보를 위한 민・관 협력 생태계 구축과
규제과학 기술 개발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39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4. 농림・축산・식품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과학기술의 발달로 산업별 경계가 무너지며, 농산업 또한 융복합 산업으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향후 지속적인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업 R&D 투자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타 분야,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 연구 확대, 민간 주도 농식품
R&D 지원 등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해 왔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2022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방형 혁신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을 육성하고자, 농업
혁신성장 연구개발 강화, 개방형 연구 협력 네트워크 고도화, 민간 농식품 R&D 활성화 및 사업화
강화, R&D 추진체계 개편 및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하고, 5대 중점연구 분야(ICT 융복합 스마트
농림업, 그린 바이오산업, 수요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탄소저감・이상기후・재난・질병
대응 농림업생산, 농림업인, 농산촌주민, 국민 삶의 질)에 투자 비중을 확대하였다.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 목표 재점검 및 핵심 추진전략 조정을
위해 중간 평가와 계획 보완을 추진하였다.
가) 빅데이터・AI・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업 고도화
ICT, 인공지능, 로봇 등 신기술 융복합지원을 통한 농산업 전반의 첨단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기존 스마트팜 R&D를 통해 개발한 2세대 스마트팜 표준모델의 품목별 적용,
농작업 자동화, 농업 로봇의 시각 지능화를 위한 다차원 객체 인식, 드론을 이용한 노지작물
생산량 추정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친환경 농기계,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노동력 절감 및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부품・기술의
국산화 지원 등 역량 강화 연구를 추진하였다. 밭작물용 승용관리기, 트랙터 부착용 복합작업기,
영농형 태양광 관련 표준설계 개발, 작물별 모듈 개발 및 실증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농산물 위생관리 매뉴얼 개발(단순처리) 및 GAP 기준개선 방안, 농업위성정보 기반기술 및
소프트웨어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400 ∙∙∙
나) 육종기술, 미생물, 신소재 등 농생명 바이오산업 육성
농생명 유래 자원(동물・식물・곤충・미생물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산업소재 개발 등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였다. 곤충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 국내 농생명 자원을 활용한 식물방제제,
인체 질환의 유전형 및 표현형을 나타내는 흑색종 중대동물(돼지 및 개) 질환모델 개발, 식용
곤충 기반 프리바이오틱스 소재 탐색 및 장 건강 효능 검정, 가용 용도별 품종개발 및 육종효율
증진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농산업 분야의 유용 미생물을 발굴 및 유전체 해독 등 정보 분석을 통한 산업화 및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미생물 유전체 및 오믹스 분석 정보 자원 관리, 미생물 균주 및 메타유전체 자원
실물 자원 관리, 헬스케어 소재 생산을 위한 유전자교정 벼 변이집단 구축, 유전자좌 특이적인
무작위 유전자교정 기술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글로벌 종자시장 확대와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는 디지털 육종기술 개발지원을 통한
종자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였다. 디지털 육종 전환을 위한 유전체・표현체 관련 데이터
모델링, 정밀 검색엔진, 상관분석 시스템 개발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육성품종
활용 지역특화 약용작물 기능성 소재 이용 확대 연구, 바이오소재 유망 특용작물 대사체・유전체
융복합연구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다) 소비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식품 개발・유통
소비 다변화, 고령화 등에 대비하기 위해 고품질의 농・축산물 생산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였다. 식의약품 대마 생산기술 및 고령・여성농 노동력 저감 장치 개발, 양파・마늘
농기계 고도화, 한우 도체 발골 자동화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고부가가치 축산물
생산을 위한 국내 젖소(홀스타인 품종)의 내서성 및 장수성 관련 우수 형질 보유 축군 구축,
가공부산물의 정밀사료가치 평가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농축산물 생산 현장 안전, 환경자원 관리 기술 및 신품종 개발 등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국산 로봇 착유 시스템(젖소) 활용기술, 디지털 기반 돼지 임신 여부
자동 판정 및 이상행동 탐지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식품 품질・안전 관리 개선을 위한 가공 기술개발 등 안심 먹거리 공급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로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였다. 식물・미생물 등 유래 대체식품, 질환 관리식・저열량 감미료 등 메디
푸드 개발과 친환경 식품 포장 HMR 생산설비,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건조 가공품 상품화, 국산
쌀귀리의 건강식품 소재화 등 실용화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 40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라) 기후변화・재난・질병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업생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 기상 변화 대응체계 구축 및 피해 경감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농산업 기반을 강화하였다. 농업수리 구조물 홍수조절능력 분석, ICT 기반 농촌 맞춤형 침수
피해 관리 플랫폼, 연약지반 저수지 제체 분석 및 설계 모델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유기 농경지 기후변화 대응 생태기능 강화, 토양 탄소 정장형 유기질비료 제조 및 활용 등을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농업 재난 대응능력 강화 및 예방을 위한 재난관리 플랫폼 개발 등 재난으로부터 안정적인
농업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ICT 기반 농촌맞춤형 침수피해 관리 플랫폼, 연약지반 저수지
제체의 장기거동 분석 및 설계 모델, 외기 감응형 실내농장 최적 환경제어 기술, 농업기계 보관
창고 설계기준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식량・원예・특용 작물 등에 발생하는 농산물 바이러스병 예방을 위한 선제 대응을 강화하였다.
AI/시스템생물학 기반 유해선충제어 바이오소재 발굴 및 호스트 분석, 병・해충 방제제 개발 및
천적 활용 해충방제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장미 세균성시들음병 종합관리기술
및 자원 선발, 원예작물 바이러스 현장 진단용 항체 생산기술 고도화 및 진단키트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동물감염병, 인수공통전염병 대응을 위해 신・변종 코로나19 감염병 예방・대응을 위한
동물용 mRNA 백신 개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백신 개발을 위한 국제 공동 연구, 야생철새
전파 조류인플루엔자, 파라믹소바이러스 조기검출시스템 개발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마) 농업인, 농촌주민, 국민 삶의 질에 기여
시장개방 확대,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미래 농산업 시장 변화 대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개발 지원을 확대 등 농업・농촌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축산악취 저감 및 농작업
안전관리 실증모델 구축, 농촌 폭염・가뭄피해 저감, 농경지 양분균형관리를 위한 유기성 폐자원
활용체계 구축, 음식물류 폐기물을 활용한 가축분 퇴비의 품질 균일화 등 기술개발을 추진
하였다.
산림자원의 순환 체계구축을 통한 안전하고 건강한 친환경 산림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자생
식물의 종자를 활용한 산림생태계 회복력 증진 및 산림 복원, 스마트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산줄기 주소체계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생산 현장의 안전관리 기술개발을 통한 농식품 품질 제고 및 농축산물 안정성 확보 등 맞춤형
먹거리를 위해 축산물 생산단계 중 위해요소 오염 저감기술, 농업환경 중 잔류항생제 안전관리
방안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402 ∙∙∙
<표 3-36>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연구분야 투자현황
(단위 : 억 원, %)
구 분
2021년 2022년
차이
예산 비중 예산 비중
ICT 융복합 스마트농업 917 7.5 1,199 9.2 1.7
농생명 바이오산업 1,612 13.1 1,491 11.4 △1.7
수요 트랜드에 맞는 고품질 농식품 1,650 13.4 1,738 13.3 △0.1
기후변화, 재난, 질병 대응 농업생산 1,438 11.7 1,602 12.2 0.5
농림업인, 농촌주민, 국민 삶의 질 1,271 10.4 1,422 10.9 0.5
5대 중점연구분야 합계 6,888 56.1 7,452 57.0 0.9
기 타 5,385 43.9 5,628 43.0 △0.9
총 계 12,273 100.0 13,080 100.0 -
3) 향후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첨단화 기술개발 및 수요기반 문제해결형 R&D 사업을 추진하고, 그린
바이오 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농식품산업 혁신성장과 농정현안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 및 타분야 첨단기술의 적용으로 농산업을 스마트 산업으로 전환하고, 종자 및 품종
생산기술 확보와 신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혁신 식품 개발지원을 확대하여 식량안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기후변화, 동식물 감염병 등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업 생산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에 대한 점검 및 보완 결과에
따라 농림식품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여 농림식품 R&D 투자 효율성 제고 및 국정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식량
1) 개요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와 이상기상의 심화로 세계 식량수급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는 추세
이다, 특히,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20)에 의하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100년 한반도의
기온은 7℃, 강수량은 14%, 강수일은 3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기상청에서 발표한
2081∼2100년 지역별 기후 전망(’22)에는 2080년 한반도는 여름만 6개월, 4일 중 하루는
폭염이 발생할 것으로 발표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메탄 배출량이 적은 농업기술의
∙∙∙ 40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개발과 다양한 기상환경에서 식량작물의 안정생산을 위한 품종과 재배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
나라는 지난 2000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
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는 식량 생산의 측면에서도 농촌인구의 고령화,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농업
기술의 개발과 현장활용에 대한 평가가 지속되고 있다. 초분광영상, LiDAR 등 영상 기술을
기반으로한 생육 자동 측정, 인공지능을 활용한 잡초와 작물의 인식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현장에 적용되는 추세이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
농업선진국에서는 이미 벼재배에서 발생하는 메탄의 발생 양상, 재배적 저감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1990년대부터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메탄 저감을 위한 벼의 유용 유전자 탐색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논의 물높이 조절을 통해 메탄 발생량 50%, 물절약 효과가
30%인 수위기간 간단관개(alternate wetting & drying) 기술이 동남아 사이에서 많이 보급
되어 있다. 특히, 일본에서 적용비율이 가장 높은데 중간낙수를 포함해 연속적인 간단관개를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료 : Md RAhedul Islam(2021).
[그림 3-66] 국가별 수위기반 간단관개 기술의 적용비율
404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농업분야의 다양한 법안 및 추진전략이 발표되고 있다. 유럽연합
에서는 「유럽기후법」을 제정(’21.6.)하여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법적으로 의무화하였다. 주요
내용은 2030년까지 1990년대 대비 55% 감축하고 2050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농업 부분에서는 Farm to Fork를 테마로 지속 가능한 농식품산업 구축(농약 50%, 비료
2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은 농경지 관리를 통한 탄소 격리, 저탄소 농업기술 영농
지원, 메탄 활용 농장 재생에너지 촉진 등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 역시
2050년까지 농약, 비료 사용량 감소와 25%까지 유기농업 면적 확대 등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농경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벼에서 질소 흡수와 이용과 관련된 유전자연구가 진행
되었다. 그 결과, 벼가 질산태 질소를 흡수하는 관련 OsNPF2.4 외 10개의 유전자와 흡수된
질산태 질소의 이동에 관련된 OsNPF2.2 외 3개의 유전자가 밝혀졌으며, 아모늄태 질소의
동화와 관련된 OsGs1.1 유전자가 밝혀졌다(Nazish 2022). 또한, NIL 포장 실험에서 각각
DEP1 유전자와 dep1-1 유전자가 포함된 벼에 대한 비교에서 dep1-1 유전자를 가진 NIL이
DEP1 유전자를 가진 벼에 비해 약 25% 정도 질소 이용효율과 수량성 면에서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Huang, 2022).
자료 : FAOATAT_faostat.fao.org, 유엔 식량농업기구 통계 데이터베이스
[그림 3-67] 전 세계 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2) 디지털 기술의 활용
농업 노동력 부족, 코로나19 등 농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농업생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글로벌 농기계 및 농업로봇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는 대규모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농업용로봇 시장은 2015년 30억 달러에서 2024년 740억 달러, 첨단 농기계를 포함한
농기계 시장 역시 2014년 1,407달러에서 2024년 2,5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Tractica, 2018).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첨단 농기계와 장비를 이용한 자동화 스마트농업은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되어 왔다. 미국은 오랜 연구개발 추진으로 정밀농업, 처방농업 등
∙∙∙ 40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전 세계적으로 노지 분야에서의 최첨단 농업 관련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일본 역시 농업기술
관련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에 참여한 결과 많은 제품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상품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3S(RS, GIS,
GPS) 3S 기술, 정보 시스템(GIS), 위성 항법 장치(GPS)기술 등을 결합한 병해충 예측, 사육
및 재배, 유통시스템 등에 투자・개발을 확대하는 추세이다.
유럽에서는 자동화・로봇화 기술 개발과 농업 ICT 융합기술을 고도화하여 실용화하고 있다.
특히, 제초작업과 관련된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잡초를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인식과 자율주행을 위한 GPS 기능을 적용한 로봇화 기술을 개발하여 실용화하고 있다.
독일 보쉬그룹의 농업용 로봇 ‘보니롭(BoniRob)’은 잡초 인식용 카메라, 잡초 제거 도구,
GPS 등을 탑재해 땅 밑 3cm 이내에 있는 잡초를 인식하여 제거 가능하다. 현재 보니롭을 기본
플랫폼으로 여러 농작업용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프랑스 나이오 테크놀로지의 디노(DINO)는
자율주행형 잡초 인식 및 제거를 수행하며, 최대 3m 이내, 12에이커의 농장에서 고유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며, 덴마크는 밭작업용 제초로봇을 개발, RTK/GPS와 비전 센서, 4-wheel steering
가능 구조로 다양한 크기의 이랑 사이로 이동하며 작업이 가능하다. 중국은 빅데이터, 클라우딩
등의 기술을 사용해 구매자의 주문에 따라 계획적으로 농산물을 생산하는 ‘오더 농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1.1백만 톤 CO2eq.으로, 이 중 벼농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7%이다. 경종적인 방법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2010년대 초 IRRI 등 동남
아시아에서 개발된 수위기반 간단관개(AWD) 기술을 국내에 접목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수행
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자동물꼬를 사용해 논물관리를 효율화하여 메탄저감을
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재배적인 기술 외에도 메탄 발생이 적은 벼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어 비료 시용량이 적어도 수량에 큰 영향이 없는 품종 등을 개발
하고 있다. 이미 화학비료 시용량을 줄여도 수량성을 높일 수 있는 유전자들이 보고된 바 있어
(∼2020년) 해당 유전자를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형 벼 품종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2) 디지털 기술의 활용
디지털 기반 노지 스마트 농업기술의 개발과 보급은 노력절감형 물관리와 영상진단 기술 중심
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논에서의 물관리 자동화는 벼 재배 시 발생하는 메탄가스 저감과도
연관되어 있어 기술 개발과 농가 현장 적용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저탄소 자동물꼬는 벼의 생육
406 ∙∙∙
시기에 맞추어 논의 물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스케줄링 기능을 탑재하여 메탄가스 발생이
저감될 수 있도록 물 걸러 대기, 얕게 대기(3cm) 등 사람이 직접 수행해야 했던 작업을 자동화
하여 현장 실용화 가능 단계까지 개발되었다. 밭작물의 물관리는 2010년대 후반부터 개발된
무굴착 땅속배수 기술과 지중점적 관개 기술에 스케줄링 등 자동화 기술을 접목하여 현장에
보급되고 있다. 물관리 기술에 지하수위 자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웹상에서 지하수위를
조절하고 기상조건(폭우, 가뭄 등)에 따라 배수와 관수가 가능하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 농업 현장에 시범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영상기술을 이용한 작물의 생육과 스트레스(양분, 병 등)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요소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일정 간격으로 기계이앙을 하는 논에서 드론 영상을 이용해
벼 주변의 잡초 발생이나 도복 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2022 특허출원, 농진청).
농경지에서 작물의 병 발생유무, 양수분 부족에 의한 반응 등을 영상으로 진단하기 위해
LiDAR, 초분광영상 기술을 이용한 비파괴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작물에서 초분광영상을 이용해
양・수분 과부족, 병 발생시 나타나는 특정 파장을 이용해 환경스트레스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지수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작물의 다양한 생육데이터를 수집해 측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밭작물의 생육과 수량을 미리 알 수 있는 생육 측정 센서와 측정 알고리즘을 개발(정확도
90%)하여 노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3) 향후 전망
유전자가위 등의 정밀육종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육종 기술은 기후변화, 푸드테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식량작물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글로벌 종자기업과 기술경쟁력 격차가 큰 편인 디지털육종 기반 구축으로 유용유전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육종기간의 단축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 육종 뿐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기반
으로 한 스마트 농업기술은 다양한 방면에서 지속 발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농경지, 기상, 작물의
생육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싱 기술과 대량의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알고리즘,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인공지능의 접목으로 보다 정밀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예
1) 개요
4차 산업혁명이 촉발한 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교육, 사회활동, 생산과 소비 산업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친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데이터 기반 ‘신소비, 신소득 경제’ 시대를 앞당기는 요인
∙∙∙ 40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으로 작용하고 있다. 생산, 유통, 소비 등 전 과정이 데이터에 의존하여 기존의 시스템을 급격히
대체하고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데이터 기반 부가가치 창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더믹은 데이터 기반 ‘바이오경제’를 촉발하였으며, 의료・제약 및 농업・식품 분야에서
많은 혁신이 일어나는 바이오경제의 주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농업분야에서는 강대국 간
갈등 심화 및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식량을 무기화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서 중요한 안보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농촌의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가 심해지는 경향을
보여 지방 소멸 위기 대두와 도농 소득 격차가 더 커지고 있으며, 설상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잦은 이상기상이 빈번해짐에 따라 탄소규제 움직임으로 탄소중립이 확보된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원예특용작물의 연구 목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한 재배 안전성을 확보
하며, 좀 더 편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스마트농업을 활성화하여 농업 생산성을 높이며, 안전
하고 신선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여 원예특작 산업체의 활성화를 적극적
으로 지원함으로서 국민께 안전하고 깨끗하며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수급 안전성을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상기상, 온난화 대응과 농촌의 일손 부족에
대응한 재배 안정성이 높고, 기계화, 생력화에 적합한 원예특용작물 품종개발과 이를 농촌에
빨리 보급하여 확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새로운 원예특용작물 신품종 개발을 달성
하기 위하여 생명공학적 기법과 데이터・AI를 활용한 디지털 육종 기술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확립한 원예특용작물, 특히 채소류와 과수류 등에 적합한 디지털 육종 모델 구축을 통해
개발 기간 단축을 높여야 한다. 디지털 육종 기술은 종묘 또는 어린 식물이 다 자라 열매를
수확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소량의 잎에서 DNA를 채취하여 생산성, 품질, 병해충 저항성
등을 생명공학적 기법으로 예측하여 정확하게 판독함으로써 향후, 어떠한 형질(phenotype)을
가질 것인지 알 수 있어 육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결구는 배추, 양배추와 상추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농업적 형질인데, 특히 결구 중심
부위의 형태에 따라 경제적 가치가 좌우된다. 결구 현상에 대한 유전적 기초 데이터는 결여되어
있었다. 배추의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sinosteroid) 의존적 방식으로 잎의 구부러짐을 조정하는
유전자(BrOPS)를 새롭게 발굴하였으며, BrBIN2라고 명명된 유전자 산물과의 상호작용으로
잎의 극성 유전자인 BrAS1의 발현을 역으로 조절하는 BrBES 유전자를 조절되는 것으로 발표
(PNAS, ’22. 8.)하였다. 이는 더운 여름에 배추가 결구가 안되는 농업적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준다. 십자화과 생산에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는 종자 감염성 검은무늬병을
408 ∙∙∙
일으키는 병원균을 분리하기 위한 선택 배지를 개발하였으며(NARO, ’22. 11.), 일본 연구진
들은 공동으로 감나무의 품종 개량에서 근친 교배가 수량성과 관련된 다양한 형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수량성 저하를 피해 다수성의 달콤한
감 품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NARO, ’22. 11.).
일본 과학자들은 양파에서 염색체 전체 DNA 형의 차이를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
하였다. 이런 기술로 모종 단계에서 유용한 형질을 가진 양파를 선택할 수 있는 DNA 표적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한 신품종의 조기 육성이 기대된다(DNA Research, ’22. 9.).
EU 과학자들은 원예작물 등을 이용한 지속가능성 및 최소 생산비용에 최적화된 단백질 생산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특히, 토마토의 루비스코 단백질 추출 방법과 개구리밥(Duckweed)을
이용하여 다량의 바이오매스를 증가시켜서 단백질 뿐만 아니라 미네랄 비타민 등 유익한 물질을
함하하고 있어 이와 더불어 새로운 단백질 공급원을 개발하는 기술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
하여 다양한 동물사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Protein transition, ’22. 9.).
나) 국내동향
수요자의 다양한 소비 동향을 반영하고 미래 예측 수요를 반영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품종을
육성 및 보급하고 있다. 다수확 사과 ‘감로’ 등 16작목 30품종을 새롭게 육성하였으며, 특히,
감로 사과 품종은 9월 중하순에 성숙하며, 평균 과실의 무게가 323g, 당도는 15.8 브릭스 및
산도는 0.39% 정도로 우수한 품종이다. 품종 출원과 등록은 유럽에 단감인 ‘봉황’ 품종, 미국
에는 감귤 ‘탐나는 봉’ 품종이 출원되었으며, 우리 사과 품종인 ‘아리수’가 신품종으로 일본에
등록되었다. 원예작물 국산 품종 보급률은 28.7%까지 증가하였으며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육성된 품종 중 원예작물의 경우 2022년 우수품종상 장관상을 수상한 사과 ‘루비에스’은
탁구 공만한 크기이며, 1인 소비에 맞춘 재배 안정성이 높은 품종으로 재배면적을 확대하고
있다. 인삼특용작물의 경우, 기능성 단삼(SM4) 등 7작목 8품종을 육성하였다. 단삼 ‘SM4’는
유효성분(탄쉬논ⅡA) 함량이 높아 항염・항비만 효능 우수하며, 지황 ‘토강’・‘다강’・‘한방애’
품종, 단삼 ‘다산’ 품종, 황해쑥 ‘평안애’ 품종, 감초 단일 기원종이 기술업체에 이전이 되었다.
인삼특작 국산 품종 보급률은 34.8%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새로운 원예작물 육종기술로서
채소 병저항성, 순도검정 등 4종 분자마커가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 종자기업체가 요구한
호박 왜성 마디 형질과 병 저항성 마커세트 등 33건이 기술이전이 되었다. 특히, 디지털 육종
지원으로는 기업체 서비스 업체 연계하여 5개 작목에 관한 채소 육종데이터를 새롭게 제공하였다.
수확후관리 기술개발과 보급으로 유통 및 수출을 지원하였다. 원예작물 품목별 최적 환경조건
설정 및 실증 수출이 CA컨테이너 신기술로 지원이 이루어졌다. 딸기, 참외, 파프리카, 새송이
등 10개 품목에 대하여 새롭게 기술 적용을 시도하고 있으며, 수출에 대하여 홍콩, 베트남 등
∙∙∙ 40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동남아 혼합 선적 20회와 미국 수출 1회로 CA컨테이너를 이용한 선적을 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스마트 농업기술의 목적으로 원예작물 품목별 내・외부 품질평가 기준 확립하기
위하여 스마트 APC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한라봉, 딸기, 사과 등 품목별
품질표시 기준 제안을 하였으며, APC 공정별 현황분석 및 수준 진단을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스마트농업 구현을 위하여 CT 융복합・노력절감형 스마트농업 요소기술을 개발하였다. 미래형
과수원 스마트 정밀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노지 밭 등에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
하였다. 배추, 양파, 마늘에 대하여 자동관수와 생육진단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사과와 감귤에
대하여 무인 예찰과 해충 방제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원예작물 시설재배를 위하여 IoT 기반
디지털 온실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구축하였으며, 스마트폰 복합환경제어 앱 시설채소, 디지털
생육환경 관리 버섯에 대하여 사용자편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스마트기술로서 올인원예찰트
랩과 무인자동 약제 살포장치를 개발하였다. 지속 가능한 농업환경을 위한 탄소저감 및 영향평가에
관하여 기후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후변화 영향평가로서 미래 재배지 변동예측지도 제작과
보급을 하였다. 농업용 전자기 후도 768개를 제작하였으며, 재배지 변동예측지도 11개 작물에
대하여 배포하였다. 탄소저감기술 개발을 위하여 사과원 탄소 흡수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원예특용작물에 관한 부가가치 향상 및 산업 확대를 추진하기 위하여 약용작물 기능성 소재 원료의
국산화 및 산업화 확대하였다. 흑삼 등 원료 표준화와 인체 적용시험 추진 6건을 추진하였으며,
흑삼 호흡기 건강 기능성 추가 및 기술이전이 되었다. 원예・특용 부산물 자원화 및 업싸이클링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감귤박 이용 고형연료 및 바이오차 개발과 버섯 수확 후 배지 활용 업
사이클링 소재 개발하였다
3) 향후 전망
물부족, 홍수, 폭염, 냉해, 한해 등 재해 빈발이 예측되고 있으며, 한반도 100년 간 평균온도
1.8℃가 상승되었다. 이에 따라 고온성 병해충 증가, 기존 원예특용작물 생산품의 품질 저하
및 생산 불안정에 따른 농산물 수급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원예특작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현장애로기술 해결과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 측면에서의 우수기술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표준화 등 현장 중심의 보급 기반에
대한 미래 요구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원예작물의 자급기반 확충, 생산자의 자율적 수급
조절과 스마트기술(IoT) 적용으로 정확한 작물 안정생산 기술 투입과 예측 기술로 원예특용작물
적정 생산을 유도하는 정밀 먹거리 공급 기반 확충이 전망된다. 스마트농업의 활성화, 스마트농업
산물의 온라인 유통혁신과 원예특용작물의 글로벌 시장으로 수출 확대 등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농업의 디지털화로 성장동력을 구축하고 활용성을 높이는 원천적
힘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410 ∙∙∙
한편, 더 나은 삶을 지향하는 가치관의 확산과 맛집 투어, MZ세대와 요리를 못하는 사람을
위한 농산물 요리 방송 등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 출현과 개인별 방 소개 등 SNS를 통한 확산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농산물의 소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는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발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전략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민이 공감
하며 국민의 생활에 도움이 되는 성과 도출에 원예특작 연구개발을 역량을 집중하는 기술개발의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즉, 일반적인 소비자로서의 국민, 생산자로서의 농업인, 원예
특작 기술개발 및 연구 활동을 하는 집단, 원예특작 산업 활동을 하는 집단 등 여러 집단을
관통하며 공감할 수 있는 주요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사회
문제형, 해결을 위한 원예특작 연구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코로나19 등
감염병 이후의 사회적 네트워크, 면역력 향상에 관한 관심 고조, 친환경 식품 구매 의욕 등이
높아지는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에 대한 융복합 기술의 다양한 적용이 전망된다.
축산부문
1) 개요
축산은 국민의 동물성 단백질 공급을 책임지는 식량 산업으로 안정적 식량자원 공급을 위한
안보적 측면과 전체농업 생산액의 약 40%를 차지하는 농업 핵심 산업으로써의 경제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국가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기호도와 함께 소비량이 단기간에 급증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축산업의 시장규모도 비약적
으로 확대되어 농업경제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가축자원은 축산업을 포함한 동물산업의 핵심요소로써 생산성 향상을 위한 가축의 유전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현대 생명과학의 발전에 따라 최근의 가축 개량 및
생산성 향상 기술은 유전정보의 활용과 같은 첨단과학기술의 도입으로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최근 기후변화, 인구감소, 소비행태, 재난・소모성 질병의 빈발 등을 포함
하는 다양한 동물산업 주변 여건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 및 향후의 동물 생산시스템에
적합한 동물자원 개량과 기술의 발전에 대한 예측이 필요하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가축개량에 이용되는 유전체 분석 장비, 평가 알고리즘, 프로그램 등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
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NGS 등 유전체 해독 기술이 가축개량에 적용
∙∙∙ 41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되고 있으며, 해독 장비 대부분은 다국적 기업이 개발하여 보유 중에 있다. 유전체 선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반의 기계학습,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형질 예측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각 SNP 마커의 형질 기여도를 측정할 수 없어, 유전적 기능 연구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센서, 카메라, 로봇장비, 소프트웨어
등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정밀축산(Precision Livestock farming)을 위한 다양한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GPS, 영양・사양, 온・습도 등)의 수집을 위한 RFID 장치, 영상 정보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유전정보를 결합시켜 가축의 능력을 예측하는 연구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젖소연구는 국가 간 유전자원(정액, 수정란 등) 교역이 활발해 거래되는 종축의 유전능력을
객관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국제유전평가기구 Interbull은 35개국이 참여하여 각 나라 씨수소
유전능력을 각국의 환경에 따른 성적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유전체 정보를 활용
하여 평가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유전체 선발기술을 적용하여 국제유전체평가(GMACE, IG-
HOL)를 추진하고, 축산 선진국은 번식형질 이외 효율성 형질에 대한 유전능력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평가결과를 농가 단위에 제공하는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돼지연구는 산자수 개량을 통한 다산성 모돈 육성 이후 다산성 모돈의 단점 보완과 강건성
개선을 위해 ‘출생 후 새끼돼지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한 개량지표 발굴과 유전특성 구명’ 및
‘최대 분만산차, 전 생애 산자수 등 장수(longevity) 관련 형질 발굴’ 등의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선발 정확도의 개선을 위한 데이터 증강 및 비선형 인공지능(AI) 모델 적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순종 능력자료 중심으로 유전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에서 관련된 교잡
종의 능력자료를 통합하여 평가하고, 유전체 선발모델 개선을 위한 비선형 AI 모델 개발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가금에서 육계는 현재까지 ‘사료효율, 강건성, 생존율 및 가슴살 비중이 높은 닭’으로 개량되어
왔다. 최근 RFID 기술의 활용을 통해 사료효율을 개선시켰고, 강건성 등 질병이 없는 개체를
선발 이외에 복수병(ascites), 급성폐사(flip-over), 발육부진(runting) 문제의 해결을 통해
생존율을 개선하고 있다. 닭의 가슴형태의 외관적 평가뿐만 아니라 ICT 기술을 이용해 실제
가슴육의 중량 및 모양을 측정하고 개량하는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 산란계는 현재까지 ‘오랜
기간 품질 좋은 계란을 생산하는 닭’으로 개량되어 왔다. 오랜 기간 높은 산란성적을 유지하는
능력인 산란지속성을 개량하기 위해 우수한 육성능력, 생존성, 강건성을 기준으로 닭을 선발
하였고, 산란지속성 및 난각질 개선을 위해 초기 난중을 높이고 후기에는 난중이 더 커지지
않도록 개량하고 있다.
412 ∙∙∙
나) 국내동향
한우 유전체 선발기술은 2018년 씨수소 유전평가를 시작으로 산업에 적용하여 암소 유전
능력 분석 및 개량에 활용하고 있다. 한우 씨수소 유전능력 평가방법은 지속적으로 변화하여
왔다. 1995년부터 2017년까지는 BLUP(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을 통한 혈통, 능력
검정자료 이용하여 유전능력을 추정하였고, 2018년 이후부터는 GBLUP(Genomic BLUP)을
이용하여 혈통, 능력검정, 유전체 자료를 분석・이용하고 있다. 2020년부터 한우 당대 및 후대
검정우를 참조집단으로 이용하여 암소 유전체 유전능력 분석 연구를 추진 중이다. 검정우의 체중,
육질과 같은 능력자료와 각 자료를 측정한 개체의 유전체정보를 모두 확보(참조집단, reference
population)하고, 참조집단 정보를 이용해 조기 능력예측을 위한 ‘방정식’을 구하였다. 해당
방정식에 능력을 구하고자 하는 개체의 유전체 정보를 대입하여 개체의 능력을 구할 수 있고,
검정 자료 없이 혈통 및 유전체 정보만으로 유전능력(육종가, Direct Genomic Value) 계산이
가능하여 조기에 선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추정 정확도는 참조집단(Reference Population)의
크기, 집단의 유전적 조성 등에 따라 좌우된다.
젖소는 산유능력을 수집・관리하는 유우군능력검정사업, 젖소 유방, 지제 등 체형을 수집・
관리하는 선형심사로 개량하고 있다. 유우군능력검정사업으로 젖소 유생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량, 유지방율, 유단백율, 체세포수 등을 수집하여 관리한다. 또한, 선형심사로 유생산에
영향을 주는 유방과 경제수명과 연관되는 지제, 전반적인 체형 등도 수집하여 관리한다. 수집
된 검정자료를 활용하여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 체계 구축 및 평가결과 활용 씨수소 선발을
실시하여 젖소개량을 증대하고 있다. 검정자료를 개체모형(Animal Model)을 이용한 최적선형
불편예측법(BLUP)으로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 수행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생산성 중심
개량에서 효율성 고려를 위한 번식형질 유전능력평가 체계 개발을 추진 중이다. 미경산우 수태율,
분만 후 착유암소의 재생능력, 경산우 수태율, 경산우 수정에서 수태까지의 간격, 경산우 분만
간격 및 공태일수 등에 대한 평가형질을 개발하고 있다.
돼지는 돼지개량네트워크 구축사업과 골든씨드프로젝트를 통한 국가단위 개량체계 개선 및
개량효율 증대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유전적 연결도(connectedness)와 선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농장 간 혈연교류와 공동 유전능력평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고유품종 재래돼지를
활용한 신품종 흑돼지 활용연구도 추진 중이다. 기존 재래돼지의 뛰어난 육질을 유지하고 생산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신품종인 ‘우리흑돈’과 ‘난축맛돈’을 개발하고 MCIR 등 목표형질 관련
마커 선발과 유전체 선발 병행으로 육질 및 생산성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AI와 스마트팜
기술 접목으로 이미지, 센서 기반 표현형 빅데이터 생산을 시도하고 있으며 주로 개체식별,
비접촉 체중예측 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개량, 번식, 사양을 위한 새로운 지표 및 정보 확보
에도 노력하고 있다. 유전체 선발은 혈통정보 기반 BLUP에 유전체 정보기반 GBLUP을 통합한
∙∙∙ 41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Single-Step 접근법(ssGBLUP)이 농장 단위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유전체
정보 내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마다 목표형질에 대한 기여도가 상이
하므로 유전능력 평가에 SNP 마커별 기여도를 차등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가금은 토종닭 순계 능력개량을 위한 유전능력평가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가금연구소)는 2017년부터 유전능력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토종닭 순계에
적용하여 체중과 산란수 능력을 개량하고 있다. 연간 개량량을 체중은 6.2~38.0g, 산란수는
1.0∼4.0개이다. 국내 토종닭 육종회사 중 하나인 ㈜한협축산에서는 골든씨드프로젝트(GSP)를
통해 토종닭 순계의 유전능력평가를 수행 중에 있다.
3) 향후 전망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개량에 이용할 표현형 정보의 다양화,
자동화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앞으로는, 국가 단위 한우 개량을 위한 한우 체중 및 체척 측정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씨수소 선발에 적용하여 선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된다. 개량에 참여하는 농가 등 농가 단위에서도 체중・체척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보급함으로써 한우개량에 이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의 확보 체계가 확장될 것으로 기대
한다. 현재까지 가축에서 유전체 예측(Genomic prediction)은 유전체 정보(SNP)를 활용한
유전체 선발(Genomic selection) 연구로 인식되고 있으나, SNP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전체
정보를 사용하여 형질예측을 최적화하고,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가 추진될 것이다. 형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유전인자를 규명하여 형질 예측 모델이 다양화되고 고도화될 것이다.
젖소는 SNP 하나하나의 유전능력을 국가 간 서로 공유하여 평가하는 유전체 선발기술 고도화
(SNPMACE)함으로써 Sequencing 정보 활용 개량형질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활용하여 개량
형질별 유전평가의 신뢰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지종 등 홀스타인 외 품종 사육기반
확대에 따른 품종 간 유전능력 평가체계도 구축될 것이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 날씨로 번식과
유생산량에 대한 유전적 능력발휘가 어려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열 저항성(Heat
Tolerance)에 관한 평가형질, 건강한 상태에서 오랜 기간 유생산할 수 있는 경제수명 및 비유
지속성에 대한 형질 등이 개발되어 고도화가 추진될 것이다.
돼지는 지속가능 축산을 위해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한 개량, 동물복지와 건강 개선 위주의
개량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축산분뇨 관련 법적 규제 강화로 사육두수를 줄이고 고기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형질 개량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사육과정 중 돼지의 스트
레스를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한 형질개발도 진행될 것이다. 이미지와 센서 활용
414 ∙∙∙
으로 섭취빈도, 투쟁빈도 등 돼지 행동특성과 체온, 활동량 등 생체정보의 실시간 자료를 분석
하고 핵심 표현형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클라우드(cloud) 기반 유전체・표현형
정보의 체계통합(System Integration)과 AI모델 기반 예측 기술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가금에서 토종닭의 생산성 및 육질 개선연구를 통해 국내 토종닭 시장 확대기반 마련이 진행
된다. 외국에서 육계와 대비되는 닭을 Slow-growing chicken 혹은 Colored chicken이라고
부르는데, 천천히 자라며, 육질이 단단하고 닭고기에 향이 배어 있어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시장을 가지고 있다. 토종닭의 시장 확대를 위해 토종닭의 성장속도를 빠르게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토종닭의 육질 개량도 진행될 것이다. 국내 계란시장은 대부분 산란계로 기존
일반 제품과 달리 유정란, 방사란, 동물복지란 등과 같이 차별화된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
이다. 최근 토종닭 계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나, 토종닭 달걀을 생산하는 종자가 없어 농가
에서는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새로운 토종닭 계란 시장을 위해 산란용 종자 개발 또한,
이뤄질 전망이다.
식품
1) 개요
2022년 다보스포럼에서는 국가 간 마찰과 분열 심화, 팬데믹 등 글로벌 도전과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전환점의 시대에 맞는 세계질서와 지역 협력 복원, 기후・식량・자원 보호,
건강하고 공정한 사회 구축 등을 주요 아젠다로 선정하였다. 이렇듯 불확실성의 확대와 기술
발전의 양면성, 기후위기 심화, 디지털・플랫폼 경제시대는 식품 분야에 가장 직접적인 변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다변화하는 외부환경에 과학기술 기반의 대응책 마련은 더욱 더 중요
해지고 있다.
국내 식품산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노동비용, 포장비용 등이 증가하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유가 상승으로 물류비용 인상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두드러졌다. 기업들은 기업의 임무, 지속가능성, 탄소중립 실천 등 ESG경영의 일환으로 신산업
접근을 활성화하고, 전자상거래(e-Commerce) 발달로 급증한 포장 폐기물에 대한 우려를 해소
하기 위해 식품 소재・제품 개발뿐만 아니라 친환경 포장재・패키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또한, 식품 제조・서비스분야에 로봇을 본격 도입하여 단순 반복, 위험한 작업은 로봇이 해결
하고, 사람은 창조적인 생각과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분담에 대한 전략 수립과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식품분야에 로봇기술 적용을 통해 최저임금 인상・고령화・저출산 등을 대비하고, 인공지능・
IoT・엣지컴퓨팅 등 다양한 IT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급격한 기술 변화가
∙∙∙ 41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식품분야의 연구개발은 빠르게 성장하는 미래기술과 융복합하고, 식품의
전통산업을 전환시킬 수 있는 신기술 확보 중심으로 미래 대비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전 세계적으로 식품분야 기술 발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신기술과 시장 선점을 위해 융복합
연구와 혁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국제전자제품박람회
(이하 ‘CES 2022’)에서는 비대면 수요에 대응한 AR・VR과 AI・메타버스・로봇, 지속가능성을
위한 그린테크・ESG, 완전자율주행과 더불어 새롭게 추가된 주제로 ‘푸드테크’를 주목하였다.
CES 2022 푸드테크 컨퍼런스에서는 2030 미래의 음식과 요리의 변화, 미래의 육류, 음식물
쓰레기 저감 기술, 푸드 로봇의 미래 등이 발표되었다. 행사를 주최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
(CTA)는 식품산업의 모든 단계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IoT 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현대적
이고 지속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융복합 기술에 관심을 갖고 박람회의 외연을 확장한
것이다. 이에 발맞춰, 마이코테크놀로지(MycoTechonology, 미국)는 버섯과 곰팡이균을 활용한
발효기술 기반으로 유제품과 소고기 대용 인공고기를 전시하였으며, 미국에 본사를 둔 베어
코보틱스(Bear Robotics)는 휴스턴 미국프로농구 경기장에서 공개했던 식음료를 서빙하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을 선보였다.
아울러,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연구분야는 대체식품이다. 그
중에서도 대체육과 배양육은 기존 육류를 대체하고, 동물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킨다는 기대감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동물세포를 배양하는 다른 산업
에서 여러 종류의 배양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배양육 생산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았다. 최근
굿미트(Good Meat, 미국)가 배양육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배양기(각 25만 리터,
10개)를 건설한다고 발표(’22.5.)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배양육 판매를 허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2024년 말 배양기 가동을 목표로 진행 중이며, 해당 배양기는 싱가포르 정부로부터
인증을 받았고, 굿미트 배양육 유통 허가를 받은 상태이다.
대체육 연구개발 외에도 축산・육가공분야의 탄소저감을 위해 미국은 USDA AMS(Agricultural
Marketing Service)가 민간기업 기술에 대해 인증하고, 라벨지 부착을 통한 마케팅이 가능하도록
국가 공인 검증 서비스를 2018년에 도입하였다. 인증방법은 저탄소 평가항목 및 기준을 반영한
평가표를 구축하고, 업계 평균에 비해 10% 이상 감축한 농가・육가공업체에 인증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2022년 1월에 최초로 USDA AMS 인증을 받은 저탄소 소고기가 출시되었다.
또한, 건강한 먹거리, 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확대 등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자
416 ∙∙∙
요구와 냉동식품, 즉석 포장식품, 밀키트 등 산업 성장과 연계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첨가물 관련 연구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을 평가
하기 위해 다양한 시험과 절차를 거쳐 안전성이 확인된 식품첨가물에 한하여 사용기준과
규격을 정하고 활용하고 있다. 자연에서 얻은 천연재료만으로는 식품의 맛을 내는데 한계가
있고, 장기간 보관이 힘들어 전 세계적으로 여러 종류의 식품첨가물이 개발되고 있다. 프랑스의
Naturx의 경우, 마요네즈 및 드레싱과 같은 식품 응용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에틸렌디아민테트
라아세트산(EDTA)에 대한 친환경 대체제제를 개발하여 상용화하였다. 이는 로즈마리와 시금치
추출물을 이용하여 EDTA와 동일한 기능을 발현한 것으로, 식품의 색상 유지 및 선도 보존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었다.
<표 3-37> 기구 또는 위원회별 식품첨가물의 정의
구 분 정 의
UN식량농업기구(FAO)
세계보건기구(WHO)
식품의 외관, 향미, 조리 또는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식품에 소량 첨가되는 비영양
물질
유럽연합(EU)
식품첨가물은 감미, 착색 또는 보존 등과 같은 일정한 기술적 기능을 획득하기 위해 식품에
의도적으로 첨가된 물질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식품의 일반적인 구성성분이 아니고, 그 자체를 식품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영양가와 상관없이
식품의 저장, 수송, 포장, 충진, 조제, 가공에 기술적인 목적으로 식품에 의도적으로 첨가하는
물질
자료 : 천연 식품첨가물 연구개발 현황 및 시사점67)(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22. 9.)을 참고하여 재구성
최근 가공식품의 소비 트랜드는 식재료를 직접 조리를 하지 않고, 반조리 혹은 완전 조리된
식품을 구매하여 가정에서 소비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식사대용식(HMR,
Home meal replacement) 부류 중에서 즉석섭취식품(RTE, Ready-to-eat foods)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품질과 소비자 기호도 만족을 위해 필수적인 향미 소재
분석과 새로운 소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서남대학교(중국) 연구그룹은 가열처리된 육류의
휘발성 향미성분들을 정량・동정하고 온도 조건에 따른 향미성분 프로파일링을 제시하였다.
매운맛 관련 향미 소재 연구는 주로 고추기름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건조된 칠리페퍼를
넣어 제조한 올리브 오일의 향미 특성과 캡사이시노이드 분석 연구, 마운틴페퍼를 콩기름에
넣어 볶은 향미 소재의 향기활성성분 규명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산시사범대학교(중국) 연구
그룹은 마라에 사용되는 화자오에 대한 감각적 특성과 향미 특성 규명 연구를 수행하여 30개의
향기활성성분을 동정하고, 주요 향기활성성분을 제시하였다.
67)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2022). 이슈리포트 제4호-천연 식품첨가물 연구개발 현황 및 시사점
∙∙∙ 41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국내동향
국제적 연구동향과 맞물려 국내에서도 푸드테크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농림축산
식품부는 ‘푸드테크 산업 발전 방안’을 발표(’22. 12.)하면서 10대 기술 후보로 세포배양식품
생산, 스마트 제조・유통, 식품 업사이클링, 친환경 포장, 로봇 등을 내세우고, R&D에 투자되는
비용의 세액 공제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기술적으로 새로운 시도는 아니지만, 식품분야
중심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IoT 기술 기반 융복합 연구를 확대하고 연구인프라를 구축
하는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 농림식품분야 R&D 예산(1조 2,273억 원, ’21년 예산 기준)은
국가 R&D 예산(27.4조 원)의 4.39% 수준이며, 최근 3년(’19∼’21) 동안의 국가 R&D 예산 증가율
(16.0%) 보다 낮은 수준(11%)이다(농림축산식품부, 2022. 3.). 하지만, 2022년 농림식품분야
R&D 예산 중 5대 중점연구분야(스마트농업, 농생명 바이오산업, 고품질 농식품산업, 기후변화・
재난・질병 대응, 삶의 질 향상) 투자 비중은 2021년(56.1%, 6,888억 원) 보다 564억 원 증액
되어 57%(7,452억 원)로 증가하였다.
2020년 디지털뉴딜정책 발표 이후 식품분야도 지속적으로 디지털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이며, 윤석열 정부의 디지털 경제 선언에 발맞춰 디지털 플랫폼 구축과 데이터 동맹이
최신 트랜드로 자리잡았다. 둘 이상의 조직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동맹의 식품분야 사례로, 디지털 헬스케어와 케어푸드 사업
활성화를 위한 아워홈-KB헬스케어 협업 체결(’22. 1.), 유전자분석, 건강검진데이터, 웨어러블 기기
등 수집한 데이터에 맞춰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을 추천하는 원스톱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제노
플랜-인바이오젠-차움의원 협업 체결(’22. 4.), 운동 컨텐츠 추천, 피부와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종근당건강-아모레퍼시픽-SK C&C 협업 체결(’22. 4.) 등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렇게 식품분야의 데이터동맹 적용 범위가 넓어지는 이유는 공공・민간의 데이터 확보가 증가
된 것으로 보여진다. 아직 선진국에 비해 데이터 확보 범위와 연계・활용체계는 미흡하지만, 단계적
으로 발전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활성소재 데이터의 경우, 한국식품연구원의 KFRI-건강기능
식품플랫폼, 식품활성소재 데이터베이스, 천연물 효능 예측 시스템(Bio-FiNE)이 대표적이며, 세부적
으로는 기능성 소재・원료표준화 라이브러리, 공정최적화 정보, 천연물 식의약소재 효능예측 데이터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분산된 식품안전정보를 통합하여 생활 밀착형
정보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확대해 가고 있다. 따라서, 정부 부처가 추진하는 디지털 혁신 실현을
위해 식품 분야도 데이터 수집・활용 촉진을 위한 산업계와 출연(연)의 역할 구분 및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대체단백질 산업의 육성을 위해 각 분야별 원천기술과 제품화 기술 확보를
위해 많은 나라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대체육과 배양육 관련 연구개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세포 배양액 기업인 씨위드는 남세균(cyanobacteria) 추출물을 소 태아
418 ∙∙∙
혈청 대체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남세균은 광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아직까지는 소 태아혈청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울러, 국내 식물성 대체육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 대표 식물성 대체육
기업인 언리미트(Unlimeat)는 킥스타터(Kickstarter)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을 통해 받은 펀딩
으로 식물성 육포를 미국에 출시(’22. 5.)하였다. 그리고 스타트업 인테이크(Intake)는 실제
삼겹살/목살을 조리・취식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전달하는 식물성 재료를 개발하는 공동 연구를
서울대, 이화여대와 추진 중이다.
<표 3-38> 국내 배양육 벤처기업들의 연구개발 및 육성 현황
기업명 연구 개발 및 육성 현황
셀미트
◦ 무혈청 배양액 개발 성공(전세계 3번째)
◦ 독도새우 배양 성공(2021년)
◦ 150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2022년)
MK 바이오텍
◦ 근육내 근육줄기세포만을 분리하여 미분화 유지 원천기술 확보
◦ 무혈청 배양액 및 동결배지 개발성공, 특허 획득(2022년)
다나그린
◦ 3차원 세포배양 지지체 Prontinet1 개발
◦ 80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2022년)
씨위드
◦ 해조류 기반 배양육 생산 원천기술 개발 및 상용화 진행
◦ 시범운영 식당 추진 예정(2023년)
자료 : 배양육 분야 동향 보고서68)(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22. 6.) 참고하여 재구성
해외에서는 향미소재 시장이 크게 발달되어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필요성에 비해 연구개발이
더딘 편으로 대다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주요 향료회사의 소고기향, 스모크향
등과 같이 요리 특성을 나타내는 향미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 고유의 요리
향 특성을 발현하기에 부적합하여 국내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아워홈은
K-푸드 천연 향미소재 연구를 2022년에 착수하여 육식 및 매운맛 관련 천연 향미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서도비엔아이는 선인장에 기생하는 연지벌레에서 추출한 코치닐 색소
기반 제품을 개발하고, 천연색소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 캡슐화 기술을 개발 중
이며, 천연색소, 보존료 등에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삼양사는 국제식품기술박람회(IFT
2022)에 자체 생산기술을 통해 생산하고 있는 당류 저감화 소재 ‘알룰로스’, 수용성 식이섬유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등을 선보였다. 앞으로도 HMR 시장과 K-푸드 성장에 따라 한식 요리
특성을 강화할 수 있는 향미 소재 개발 및 공정 원천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국내 연구개발이 활성화된 또 다른 분야는 수산식품이다. 2022년 수산식품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4조 원을 돌파하였으며, ‘제1차 수산식품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올해도
68)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2022). 식품R&D 이슈3-배양육 분야 동향 보고서
∙∙∙ 41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신제품・기술개발을 위한 지원이 추진되었다. 주요 수산식품(김・굴・어묵) 공정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검사시스템, 자율 인지형 스마트 공장제어 시스템 개발 등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중소
수산식품업체를 대상으로 수산식품 가공・포장기술, 품질향상 기술 등 간편식품 개발을 위한
신규 사업이 추진되었다.
3) 향후 전망
타 연구분야와 마찬가지로, 식품분야의 산업 경쟁력 강화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학제적
융합연구 트렌드는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전통적인 식품 연구개발의 범위를 벗어나 인공
지능, 빅데이터, 로봇, IoT, 첨단바이오 연구와 결합은 이제 필수 불가결이 되었다. 과거에도
IT와 로봇 기술을 활용한 연구개발은 선행되어 왔으나, 해당 기술들의 급진적인 발달로 식품
분야 연구의 질적 수준과 개발 속도도 급격히 빨라진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식품산업 전주기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방법 자체도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축적된 연구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개발 기간 단축, 디지털트윈 기반의 시뮬레이션 확대로
단순 반복 실험의 최소화, 로봇을 활용한 사람의 노동력 대체 및 정확도 향상 등 초자동화를
통한 연구방법의 효율적 개선도 확대될 것이다.
세계적으로 대체단백질 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및 제품화 기술 확보 노력은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의 가격경쟁력과 대량생산 기술이 정착 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그리고, 대체
단백질의 발달은 전통적인 육류 생산으로 발생되는 환경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대체육이 실제 탄소배출을 저감하는지 정량적인 계산 방법과 전후방산업 전체 탄소배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구축 및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지속가능성과 동물 복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로 대체단백질에 대한 수요는 식물성 대체육이 2040년에 육류소비의 25%를 차지할
거라는 예상(삼정KPMG, ’22. 3.)이 있는 것처럼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전통 육류와 대체육의
공존과 균형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가축 사양방식에도 탄소발생 저감과 동물복지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기존 축산물 관련 연구개발이 위축되거나 잠식되지는 않을 것
이며, 그에 따른 전통 축산물과 대체육 시장 또한 균형있게 형성될 것이다.
식품첨가물 연구개발은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과 냉동식품, 즉석
포장식품, 밀키트 등의 수요 증가에 따른 산업 성장과 연계되어 활발히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無) 화학첨가물, 저칼로리형 대체 감미료, 기능성 지질 및 식물성 단백질 등 천연 첨가제나
조미 소재에 대한 수요 증가와 식품 제조 시 맛이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하며, 식품 안전을 보장하는 방법이 필요함에 따라 천연 효소, 산미료, 유화제, 저장
안정제, 보존제 및 지방 대체소재 분야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예상된다. 또한, 첨가물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캡슐화 등 최종 식제품 개발을 위한 차세대 제형 기술 개발도 꾸준히
420 ∙∙∙
추진될 것이다.
아울러,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소비자의 기호 충족과 K-푸드의 열풍을 이어 해외시장에 정착
하기 위해 식품의 색, 맛, 향 등을 포함한 향미 소재 관련 연구가 더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맞춤형 향미 소재 개발뿐만 아니라 K-푸드의 맛・조미 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발현할 수 있는
생산공정 기술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술과 소재 개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기존 원료에 대한 물리화학적 프로파일링을 기반으로 가공적성 및 조합 예측 기술과 감각
평가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도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국내 식품산업의 육성 및 세계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학제적 융복합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국가 간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공공연구기관과 민간기업 간 연계・협력 강화가
우리나라 식품분야의 단기간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원동력이 될 것이다. 기존의 분절된 연구
개발 수행으로는 식품산업의 국가 경쟁력 확보 및 유지가 힘들어진 상황이다. 이러한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출연(연) 중심의 공공 연구인프라 구축과 대형연구분야에 집중 투자가
필요하며, 공공수요 기반의 차세대・원천기술 연구개발에도 지속적인 투자 확대가 중요한 시점
이다.
5. 산림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산림청은 ‘제2차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18∼’27)’에 따라 ‘산림과학기술路 경제산림, 복지
산림, 생태산림 구현’을 위한 8개 핵심과제・33개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추진하고 있다. 8대
핵심과제는 ①산림분야 R&D 성과 활용 제고, ②산림자원 순환 체계 구축으로 임업 진흥, ③
목재산업 선진화 연구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 구축, ④산림생명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경제
견인, ⑤사람 중심의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및 일자리 연구, ⑥산림서비스 R&D 확대로 삶의
질 개선, ⑦산림재해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생태계 구현, ⑧국제산림협력 전략 및 기술
개발로 국제사회 기여이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제2차 중장기 기술개발계획(’18∼’27)’를 통해 국가 혁신동력
창출을 위한 산림과학기술 기초・원천 연구 강화를 목표로 ‘산림생태계 서비스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산림자원 가치 증진을 통한 임업경쟁력 강화’, ‘한반도 보전과 국민 안전을 위한
산림부분 이행체계 구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제2차 중장기기술개발계획
∙∙∙ 42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18∼’27)’을 통해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보전→서비스’의
연구성과 창출 및 활용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국가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물자원 주권 확립에
기여하며 국・공・사립 수목원 연구를 선도하고 고유 정체성 강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2년 산림청 소관 24개 R&D 세부사업의 총 예산은 1,645억 원 규모로, 2021년(1,492억
원) 대비 10.2% 증가하였고, 주요 R&D 예산(소속연구기관 인건비 등 제외)은 1,3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하였다. 이 중 출연 연구개발사업은 계속과제에 446억 원, 신규과제에 111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2022년 신규과제 투자 규모는 2021년 248억 원 대비 44.7% 감소하였다.
그리고, 과제기획, 평가 등 사업관리예산으로 한국임업진흥원에 18.7억 원을 지원하였다. 국립
산림과학원은 계속과제에 565억 원, 신규과제에 86억 원을 지원하였고, 국립수목원은 계속
과제에 101억 원, 신규과제에 5억 원을 지원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과학적 성과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 등 기초・원천 연구결과와 성과이어달리기를
통해 응용・개발 단계의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산림보호구역 확대 기반 구축을 통한 국가
보호지역 관리 선도’, ‘한반도 자생 수목 자료 집대성 및 특산식물 기원연구 강화’, ‘주요 조림
수종의 유전형질 개량 및 가속육종 기술 개발’, ‘산림약용자원 수집 및 소재은행 구축’, ‘산림
생명자원 유래 중증 피부염 치료제 시제품 제작’, ‘산양삼의 산업적 활용가치 증진을 위한 호흡기
질환 유효성분 소재화’, ‘상록성 참나무류 유용 대사체를 활용한 피부재생 천연소재 개발’ 성과를
도출하였다.
나) 기술적 성과
산림과학기술 기초・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산림 산업의 국내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산림
자원 이용의 고도화를 통한 산업 활성화 도모를 위해 ‘산림탄소흡수량 장기전망 및 2020년
기준 산림경영률 산정’, ‘2020년 기준 산림자원 평가 및 산림탄소 MRV 구축 방안 도출’, ‘리그닌
공중합체를 이용한 장수명 나노탄소섬유 전극소재 개발’, ‘실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내
벽면 녹화 시스템 특허 등록’, ‘공간 DBMS 기반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병해충 모니터링 시스템
특허 등록’, ‘이동식 급속열분해 시스템 및 바이오오일 제조 방법 특허 출원’ 성과를 도출하였다.
422 ∙∙∙
다) 경제적 성과
신품종 개발 및 산림자원 DB 구축을 통한 임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산림자원의 보존・관리・
활용을 통한 지역 및 국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항산화수실류의 대량생산 체계 확립 및 고부가
항노화제품 산업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피노실린스탈벤’ 생산 시스템 개발’,
‘도시발생 지엽 폐기물의 녹화용 기능성 소재화 기술 개발을 통해 경제적 소득 향상’, ‘산림생명
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기술의 확산을 통해 소득 향상’, ‘임산물의 부가가치 발굴을 위한
식약동원 데이터 플랫폼 기술이전 실시’, ‘목재펠릿 탄화목 및 저화분 연탄 제조방법의 개발
및 기술이전 실시’, ‘떫은감 등 임산물 과실 분할기 및 공정기술의 기술이전 실시’ 성과를 도출
하였다.
라) 사회적 성과
미세먼지, 산불, 일자리 등 사회 현안문제 대응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도시 환경개선 기능 제고를 위한 도시숲 조성・관리 기술 개발’,
‘대형산불 피해저감을 위한 예방・대응 기술 및 위험예보체계 구축’, ‘땅밀림, 지진, 도시생활권
토사재해 대응 맞춤형 피해저감 기술 개발’, ‘산악기상정보 과거자료 생산체계 구축’, ‘소나무
재선충병 전파경로 추정, 조기진단 및 방제기술 개발’, ‘산림분야 글로벌 이슈의 국내 이행방안’,
‘산림분야 국제협력 및 ODA 확대 방안 마련 등 성과를 도출하였다.
3) 향후 계획
산림청은 2023년도 연구개발 투자의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산림뉴딜
정책 실현을 위한 산림경영 인프라구축 기술 개발, 둘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산림분야 탄소
중립 연구개발 지속 강화, 셋째, 산림기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소재산업 연구기반 구축,
넷째, 고유사업 투자 확대를 통한 산림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 및 산림순환경영 인프라 구축
연구사업을 새롭게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솎아베기와 골라베기 중심의 목재 수확으로
산림경영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기술 개발, 木・山・林의 생태계서비스 강화, 목재 이용과 환경
보호 양립 방안 연구, 임도・작업로 등 부족한 산림도로의 환경친화적 확충 방안 마련, 조림・
숲가꾸기・목재수확 등 산림작업 단위별 기계화 기술개발이다.
산림분야 탄소중립 연구개발 강화를 위해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기후수종 육종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탄소저장 확대를 위한 건축 소재 등 목재 활용
확대 연구, 국산 목재 공급을 위한 생산유통 기반 강화 연구 등을 지원할 계획이고, 국산 산림
∙∙∙ 42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바이오매스 공급 및 이용 활성화로 화석연료 대체 및 신재생에너지 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실용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산림경영의 품질 제고를 위한 측정・보고・검증(MRV)
체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연구성과 기반의 창업 및 기술 사업화 지원 강화를 위해 고부가가치 임산물의 바이오소재
산업화 지원 및 D.N.A 기술 활용 생산 첨단화 및 유통・물류 지능화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노동
집약적 전통임업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스마트 산림 구현을 통한 임업 경쟁력 확보 및 지역 주도
산림 특화산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창의・도전적 기초・기반연구 활성화 지원을 위해 차세대 중형위성 발사체 제작의 차질 없는
지원 및 산림분야 위성 활용 수요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처리・활용 기반을 확립할 예정이며,
산림 및 임산업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의 저변을 확대하고, R&D 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림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고유사업의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과학연구, 기후영향 적응 연구, 미세먼지 대응 도시숲 연구, 자연재해 영향예보 생산기술,
농림위성 산림특화정보 기반연구 등 산림분야의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은 자생종・희귀식물 등 개체군 특성정보 구축・제공 및 신소재
발굴・보급, 산림생명자원의 지역특화 산업화를 위한 공급기반 구축 분야에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방향에 맞추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산림청의 투자구조 조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기후영향 적응 연구’,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산림생명자원
소재발굴 연구’, ‘목재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 개발’, ‘신기후체제 대응 연구‘ 등 구조
조정을 실시해서 신규사업의 재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신규사업은 정부 2050 탄소중립 추진
전략 산림부문 이행 수단 개발, 산림뉴딜 실현을 위한 산림경영 패러다임 전환 및 인프라 구축,
임업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산림기반 소재산업화 연계 기술 개발 등이다.
나. 동향 및 전망
1) 개요
산림생명자원(Forest Bioresources)이란 산림생태계를 구성하는 모든 인자나 산림생태계와
관련이 있는 기타 모든 것 중에서 인간의 생명과 삶의 질을 유지 또는 개선하는데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물・식물・미생물 등 모든 것을 의미한다. 국가생물종목록 통계에 따르면,
한반도에 동물계(57.8%), 식물계(14.7%), 유색조식물계(5.75), 균계(19.05) 등이 산림에 서식
하고 있다.
424 ∙∙∙
현재 우리나라 산림은 국토의 약 63%를 차지하는 넓은 면적과 국내 기록 종의 약 92%에
해당하는 다양한 산림생명자원이 서식하고 있으며, 귀산촌 인원의 증가로 미래지향적 발전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나고야의정서 발효,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초고령화 사회, 기후위기, 코로나
19 팬데믹 등 국제적 환경변화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바이오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기능성 제품 개발 및 높은 산업화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산림생명자원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산업 소재 개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미국은 지난 2012년 ‘국가 바이오경제 청사진(National Bioeconomy Blueprint’을 발표
하여 바이오경제체제로의 전환과 더불어 첨단 생명공학기술을 바이오경제의 핵심동력으로
보았다. 이것은 주로 뇌과학(2013년, 4억 달러), 정밀의료(2015년, 2.2억 달러) 및 암 치료
(2016년, 10억 달러) 등 인간 건강과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미국의 생명산업과 관련된
조직으로는 생명과학 연구기관 및 기업체 연합인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BIO)이 있다. 이들은 전 세계 30개국 이상의 회원국과 더불어 헬스케어, 농업 및 환경과 관련된
생명공학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매년 BIO International Convention을 개최하여 정보
교류 및 기술 판매 등을 활발히 하고 있다. 미국의 바이오산업 시장은 2020년 2,319억 달러
규모로 북미 지역 전체의 97.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연평균 8.1% 성장하여
4.301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산림생명산업 분야는 농림부 산하 산림청
(Forest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주로 산림 바이오
매스를 활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 및 Forest Biorefinery, 건축자재 및 목구조물 개발, 나노
기술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등 천연 임목자원을 활용하는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캐나다는 주요 임업국 중 하나로 자국 산업 중 목재산업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이 전 세계적인 주류가 되면서 캐나다에서도 산림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2017년 캐나다 산림부에서는 ‘A Forest Bioeconomy Framework for
Cananda’라는 보고서를 발간하여 산림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신소재 개발과 이를 위한 혁신적
기술 개발에 있어 글로벌 리더로 발돋움한다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시작된
‘Bio-pathways Project’ 사업의 개편을 통해 전통적인 목재산업 외에도 기존 자원에 대한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융합으로 전기, 연료, 플라스틱, 용매제, 윤활제 및 식품첨가물까지도
산림에서 얻어낼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산림생명산업의
∙∙∙ 42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확장이 투자자의 이윤 보장, 산림 의존적인 지역사회의 존속, 산림자원의 지속가능성과 국가의
안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등 경제・사회적 측면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다. 특히, 산림
부산물이나 단벌기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바이오에너지산업 분야가 유망하기는 하나, 그 자체만
으로는 가치가 낮으므로 동일 입지 내에 저・중・고부가가치 산물의 혼합(Full diversity)을 통해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유럽에는 다수의 의료・농업 및 기타 분야의 바이오기업이 설립되어 있으며, 특히, 노바티스나
아스트라제네카 등 글로벌 제약회사의 본사가 위치하고 있다. 유럽의 바이오경제 규모는
2020년 1,299억 달러에서 2027년 2,327억 달러로 7.6%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헬스케어 분야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연합의 바이오경제 정책은 2018년에
발표한 ‘지속가능한 유럽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경제 전략(A New Bioeconomy Strategy
for a Sustainable Europe)’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략명에서 보는 것처럼 유럽연합에서는
바이오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으며, 특히, 지속가능한 식량・농업시스템
구축과 임업・바이오 제품 생산을 위한 전략적 배치 아젠다(Strategic Deployment Agenda)
발굴,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고 1차 산업에서 생물다양성의 영향을 강화
하는 것을 주요 활동으로 삼고 있다. 즉, 이러한 목표를 실천하는 전략으로 산림의 기능과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조는 유럽 26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European Forest Institute에서 ‘산림 기반의 생명경제’를 기존의 목재산업과 산림 바이오
매스 에너지산업에서 저탄소정책과 순환경제로의 전환에 산림 분야가 강조된 새로운 경제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림생명산업과 관련된 연구 분야로는 ‘Horizon 2020’ 및 그 후속인 ‘Horizon Europe’이
있으며, 이것은 토양과 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통한 임업 및 식품 관련 임산업(식품 관련)
에서의 생산성 증대를 주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고기능성 먹거리 생산을 위해 EIP-
AGRI(The european innovation partnership for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등 민관이 함께 노력하고 있으며, 지역 기반의 생태적・친환경적 생산성 증진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국내 바이오산업의 82.9%를 차지하고 있는 바이오의약(38%), 바이오화학・에너지(14.4%),
바이오식품(30.5%) 분야에서 산림생명자원은 ‘미래자원’으로써 잠재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5조 원을 넘어서면서 2017년과 비교했을 때 20%
426 ∙∙∙
이상 확대된 규모이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화 가속, 코로나19 확산 등 건강에 대한
관심과 투자비용이 늘어나면서 그동안 5~6% 수준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식・
약용식물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은 면역력 증진에 효과적인 홍삼이 대표적이며, 당귀 혼합추출물,
상황버섯 추출물 등이 있다. 특히,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도라지・복분자・헛개나무 추출물
등이 있다.
또한, 산림생명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을 위하여 ①빅데이터 등을 통한 유용 산림
생명자원 탐색, ②스마트 환경 제어 시스템 등을 통한 대량 재배・증식 기술개발, ③유용 산림
생명 자원・소재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④바이오의약, 기능성 화장품 및 향료 등에 활용 가능한
신소재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산・학・연이 유기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기반 조성부터 가공・유통구조 개선, 연구개발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발전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하여 산업화해 나갈 계획이다.
3) 향후 전망
생명공학,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구축 등과 같은 첨단기술과 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식・약용
자원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정보사회의 발달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종자산업 발전과 미래 생명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저작권과
신품종, 유전자원 등에 관한 새로운 지식재산권이 늘어날 전망이다.
산림청은 산림 분야의 지식재산권 창출을 촉진하고, 산림과학기술의 실용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식재산권 출원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17년부터 산양삼, 산겨릅나무 등
50여 종의 산림생명자원을 활용하여 식품, 의약품, 화장품 기능성 소재 발굴과 고부가가치
제품화로 연계하는 연구를 추진해 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터넷(IoT), 드론,
AI 기술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산림경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는
국토의 63%가 산지인 산악국가로써 산림산업의 발전에 국립산림과학원이 핵심 두뇌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국민의 안전과 행복 증진, 국가 신성장동력 창출 등 사회문제 해결형 융・복합
산림과학혁신을 선도하며 치산녹화 성공에 이어 제2의 국가브랜드를 창출하는 주역으로 산림
생명자원연구 분야가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대응한 산림 식・약용소재의 발굴 및 개발, 대량재배기술 확보 및 보급,
천연물 소재 공급단지 조성 등의 활발한 연구와 적극적 정책지원 및 시행이 수반된다면 산림
생명자원을 활용한 산업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또한,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산림 식・약용
식물 활용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 42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6. 수산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우리 수산업은 연근해 수산자원 감소, 어촌 고령화 등 당면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수산혁신을 통한 체질 개선이 시급하여, 해양수산부에서는
‘수산혁신 비전 2030’(’19. 2.)을 발표하며 현 정부 내 4개년 실행계획을 마련하였다. 연근해
어업은 TAC 기반 자원관리형 어업구조 정착, 양식어업은 친환경・고부가가치 스마트양식 체계
구축을 목표로 어업구조를 개편하고, 불법어업을 근절하며, 규모화・스마트화와 친환경・예방
양식 위주의 수산정책의 기조를 마련하였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역량과 품격을 갖춘 해양선도국가 실현’이라는 목표로 2022년 주요
업무계획(’21. 12.)을 수립하였다. 특히, 수산분야는 수산업의 지속적인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비대면 중심 소비트렌드에 부합하는 수산식품산업 육성하고, 어업규제 합리화로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어선어업을 실현하며, 스마트・친환경 기반의 양식산업 고도화에 중점을 두었다.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 제 6조에 의거하여 마련된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18~’22)’
에서도 수산분야의 연구 개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2022년도 시행계획’(’21. 12.)
에서는 신산업 육성・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스마트 양식 핵심기술 개발 및 표준화를 수행하며,
수산양식 산업화 지원을 위하여 고부가가치 품종 양식기술 개발 및 질병 관리 기술 개발,
신기술의 경제적 가치평가 추진 등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및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고수온, 저염수 등 극한 해양현상에 대한 원인분석 및 예측 능력 함양 등을 중점 계획으로
수립한 바 있다.
해양수산부 내의 수산분야 연구개발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은 ‘2022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 1.)에서 기초기반 연구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수산업 실현을 위하여
수산자원 조사・관리 기술을 선진화하고, 지속가능한 원양어업을 위한 과학적 기반 마련, 생분해
어구 성능 향상 및 수산물 무역규제 대비 해양포유류 연구를 추진하며, 수산생명자원 확보・
활용기술 개발, 해양환경 및 관리통합시스템 구축을 주요 추진계획으로 수립하였다. 블루뉴딜을
통한 미래선도 수산기술 개발을 위하여 스마트 양식기술의 개발, 탄소 중립형 친환경 미래
수산업 기술개발・산업화 추진을 통한 스마트 양식기술개발, 고부가 양식기술개발, 수산식품
사업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서 수산재해 대응
활용기술 개발,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파악・적응 역량 강화, 기후변화 대응 양식품종 개발,
자연재해 대응 연구를 추진하고자 하였으며, 안전한 수산물 생산・관리체계 고도화, 수산현안
428 ∙∙∙
해결 연구 등을 위한 연구 등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산과학연구사업에서 지속
가능한 수산업 실현, 미래 선도 수산기술 개발,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수산현안 대응
기술 개발, 국제화 및 산업화 역량 강화 등의 2022년 사업 추진 연구개발 예산을 확보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수산 R&D는 먹거리 안전, 어업사고 예방, 디지털・그린 대전환 등 수산업의 외연확장을 위한
투자가 확대되어 전년대비 5.4% 증가한 2,733억 원이 반영되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수산
R&D 예산의 연평균 증가율은 8.5%로 정부연구개발 예산 연평균 증가율(10.9%)에 비해 다소
저조한 수준이며, 2022년 기준, 국가 전체 연구개발 예산의 1%에 못 미치는 등(0.9%) 향후
예산이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표 3-39> 수산 R&D 연도별 투자 동향
(단위 : 억 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수산 R&D 1,970 1,993 2,033 2,593 2,733
공모형 R&D사업 738 727 706 1,209 1,277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 1,232 1,266 1,327 1,384 1,381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연구사업 - - - - 75
정부 R&D 196,681 205,328 242,195 274,005 297,770
수산 R&D 예산 비중 1.0 1.0 1.0 0.8 0.9
해양수산부는 2016년 제정된 「해양수산과학기술육성법」에 따라 수립된 ‘제1차 해양수산과학
기술 육성 종합계획(2018~2022)’에서 제시된 정책과제의 이행 및 수산 R&D의 효율적인 투자와
전략적 추진을 위해 2022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산업육성, 사회
문제 해결, 민간역량 강화 등 4개 분야의 공모형 23개 사업과 국립수산과학원의 연구사업 등
수산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 42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표 3-40> 2022년도 수산 연구개발사업 투자내역
(단위: 억 원)
사 업 명 2021년 예산 2022년 예산
총계 2,593 2,733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107 193
AI 기반 스마트 어업관리 시스템 개발 31 41
수산물 신선유통 스마트 기술개발 76 83
(신규) 유수식 디지털양식 혁신기술개발 - 50
(신규) 수산종자산업 디지털혁신 기술개발 - 19
2.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663 695
Golden Seed 프로젝트 45 -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 35 -
수산실용화기술개발 97 107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 42 14
해양바이오 전략소재 개발 및 상용화 지원 98 85
극지유전자원활용기술개발 49 55
해양바이오수소 생산 상용화 기술개발 36 22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 9 12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다부처) 98 96
빅데이터 기반 해양 바이러스 제어 및 마린바이오틱스 개발 94 80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어선 개발 연구 60 102
(신규) 해양바이오 산업소재 국산화 기술개발 - 43
(신규) 해양치유자원 효능 검증 및 활용 기술개발 - 24
(신규) 해양수산부산물 바이오 소재화 기술개발 - 50
(신규) 해양수산바이오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5
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기반 확보 379 271
수산식품산업기술개발 90 -
차세대안전복지형어선개발 57 -
어업현장의 현안해결 지원 126 101
차세대 수산물 품질관리 및 검역시스템 구축 106 88
(신규) 블루카본 증대를 위한 세라믹계 융합소재 활용 해양인공 구조물 개발 - 58
(신규) 해상풍력, 수산업, 환경공존 기술개발 - 24
4. 민간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 60 118
수산전문인력양성 60 72
(신규)수산식품산업 맞춤형 기술개발 - 46
5. 연구기관지원 1,384 1,456
수산시험연구 399 459
수산연구시설 및 선박관리 302 311
국립수산과학원 정보화사업 등 기타 사업 561 563
수산생물 방역 체계 구축 90 1
생태계 기반 수산자원변동 예측기술 개발 32 32
(신규)수산생물질병 국제표준 및 원헬스 관리 체계 구축 - 15
(신규)수산생물질병 및 안전한 의약품 사용 기술개발 - 75
430 ∙∙∙
공모형 R&D의 분야별 투자를 살펴보면,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분야의 경우, 해양바이오 등 신산업분야 4개 신규사업을 포함한 13개 사업(695억 원) 추진으로
다른 분야에 비해 투자가 크게 확대되었으며,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에서도 수산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복합하기 위한 2개 신규사업(69억 원)을 추진
하였다. ‘국민체감형 사회문제 해결’분야에서는 종료 사업으로 인해 투자가 소폭 감소하였으나
수산업-해상풍력 상생, 블루카본 해양구조물 개발 등 2개 신규사업(82억 원)을 추진하였으며,
수산분야 전문인력 양성 등 ‘민간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 분야에서도 2개 사업(118억 원)을
추진하였다. 수산분야 연구개발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을 포함한
연구기관지원사업도 1,456억 원으로 확대 추진하였다.
나) 주요성과
(1) 첨단양식
해양수산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 및 탄소중립 실현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는 스마트양식 기술개발은 해상, 육상 담수, 육상해수 스마트양식 Test Bed를 구축하여 AI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스마트양식 에너지 분석 연구, 넙치의 생산성 향상 및 폐사 저감을
위한 유전체 정보기반 넙치 스마트 육종 실용화 기술개발, 고령화 대응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AI 수산생산시스템 자동화・무인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소 중립형 친환경 미래 수산업 기술
개발을 위해 바이오플락(BFT) 기술을 활용한 아쿠아포닉스 양식시스템 개발, 매생이 인공종자
생산기반 구축, 미역 종자 생산기술개량, 고품질 잇바디돌김 생산 안정화 기반 마련 등 해조류
우량 양식품종개발 및 산업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해역별 특성을 고려한 고부가
가치 품종 양식기술 개발과 국내 환경에 맞는 고부가가치 어종의 핵심사육기술 개발을 추진
하였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넙치, 전복, 참돔의 우량 육종 종자 개발・산업화 연구, 김 우량
품종 개발・산업화 연구 등을 추진하였다.
신규로 유수식 양식장 복합모니터링 모듈 개발 및 어가맞춤형 디지털양식장 관리・경영메뉴얼
보급 등 양식산업 디지털화 기반 구축을 위한 유수식 디지털양식 혁신기술개발 연구가 착수
되었으며, 양식어가-소비자 맞춤형 복합형질 우량품종 생산 및 우수 수산종자 현장보급을 위한
수산종자산업 디지털혁신 기술개발 연구가 착수되었다.
∙∙∙ 43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고품질 잇바디돌김 경제형질 발굴 및 생물정보분석 매생이 인공종자 생산
[그림 3-68] 스마트 양식 기술 개발 관련 연구 추진
(2) 수산식품 개발 및 수산물 품질・안전관리 기술 확보
해양수산부에서는 수산업의 지속적인 혁신성장 지원을 위해 비대면 중심 소비트렌드에 부합
하는 수산식품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산물 활용 고령친화식 가공기술 개발,
수산식품 물성조절 가공기술 및 신선도 유지기술 등의 개발을 통해 수산물 소비확대를 추진
하고 있다. 또한, 수산물 이용확대를 위한 수산물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 DB 구축과 수산물의
산업적 이용확대와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수산물 영양학적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수산물 유래 기능성원료 후보소재 6종 발굴 및 고시형
원료 3건 등재를 목표로 연구 개발이 추진되었으며, 수산식품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역하기
위해 가공, 포장 및 품질제고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착수되었다.
또한, 국내 수산업을 보호하고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수산물 검역・원산지 판별 기술을 고도화
하고, 스마트 품질관리 기반 구축 기술 개발을 지속 추진하였다. 인공지능(AI) 기반 수산물 스마트
품질검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수산식품 품질・위생 개선을 위한 자동화 단위공정 설계를 추진
하였으며, 수산물 유통품질 표준지표 결정요인 도출, 위판장 3.0 시설・장비 설계, 수산물 유통
포장용기 개선 및 안전수송 활어차 시스템 테스트베드 구축 등 수산물 품질과 신선도를 관리
하기 위한 유통관리 표준모델 연구를 추진하였다.
수산물 물성조절 기술개발 수산식품통합정보시스템 통합식품영양정보 DB 구축
[그림 3-69] 수산식품 개발 관련 연구 추진
432 ∙∙∙
(3) 해양바이오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
해양수산부는 2022년 ‘해양바이오산업 신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기초소재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확보된 소재의 대량생산, 표준화 기술개발과 융복합 R&D를 통해 고부가가치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규 항생물질의 타겟 단백질 복합체 구조 확인,
라말린 유도체 작용 기전 규명 등 극한 환경에 적응한 생물 유전자를 활용하여 항생제, 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한 극지 기반 바이오산업 기술 개발을 지속해서 추진하였으며, 해양수산 연구
개발사업으로 생산되는 바이오데이터를 통합・수집・관리・활용하고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연계를 위한 해양수산바이오 데이터센터 구축을 착수하였다.
수입의존도가 높은 해양바이오 소재의 국산화를 위한 6개 대상(베타-글루칸, 알긴산, 피코시
아닌, 포르피린, 팩틴, 잔토필) 소재 생산 및 대량생산 공정표준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에
착수하였으며, 탄소저감 바이오산업소재 표준화를 위해 메탄자화균을 이용한 바이오 산업소재
생산기술 개발과 석유화학 소재 대체 친환경 해양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개발을 위해 해조류
바이오매스 기반 단량체 생산 미생물 균주 개발 및 단량체 생산 기술을 위한 연구에 착수하였다.
또한, 지속 가능 자원순환을 위한 미활용 해양수산부산물 바이오 소재화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및 바이오 산업원료(어류, 해조류・미세조류, 패류 부산물 활용 의약원료・제재, 건강기능
식품, 화장품 소재화 등) 확보를 위한 해양수산부산물 소재화 기술개발 연구에 착수하였다.
해양생물 유래 미세조류 소재 개발 홍합 유래 접착 단백질 대량생산 광어부산물 활용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그림 3-70] 해양바이오 기술개발 및 상용화 관련 연구 추진
(4) 수산자원 관리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어장확보 경쟁 심화와 수산자원 및 어업생산량의 지속적 감소를 극복
하기 위하여 과학적인 수산자원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자원평가・예측능력 향상을 위하여 총허용어획량(TAC, Total Allowable Catch) 대상
∙∙∙ 43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어종 확대에 따른 자원평가 대상 어종을 확대하였으며, 배타적 경제수역 자원조사 강화 및 조사
결과 정도 향상, 생태계 품질 개선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주요 수산자원 변동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켜 전년대비 3.5% 향상된 정확도(80.0%)를 목표로 예측 기술 고도화에 노력
하였고, 융합탐지기술로 고등어와 멸치 어군의 자원량을 구명하였다. 또한, 원양어업대상 어
종별 어획쿼터 확보를 위한 지역수산관리기구(RFMOs) 과학적 대응, 신규 수지를 활용한 생
분해 어구 성능향상 연구, 미 해양포유류법(MMPA) 수출규제 대응 혼획 저감 어구개발, 해양
포유류 조사 확대를 통한 자원평가 정도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산소부족물덩어리 빅데이터 생산과 변동예측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어장생산성 확보를 위한
어장 수용력 산정, 전국 어장 건강도 등급화 구축, 연안 육상양식장 배출수의 체계적 관리 등
해양수산환경 관리 기술 연구도 지속 추진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멸치서식지 융합탐지기술 적용 자원량 분석 상괭이 탈출 장치
[그림 3-71] 수산자원 관리 관련 연구 추진
(5) 기후변화 대응
수산분야에는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다양한 수산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빈도와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기후변화 기인 수산재해는 단순히 수온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해
생물의 대량 출현, 양식어류의 집단 폐사, 서식지 환경 악화 등 다양한 형태로 수산업의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고수온, 저수온, 유해 적조, 해파리 등 수산재해에 대한 첨단
관측・예찰 기법 개발 및 기후변화 대응 연구 강화로 수산재해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아열대성 시구아테라어독 플랑크톤과 강독성 해파리의 분포조사를 통한 빅데이터화 추진,
대형 노무라입깃해파리 대상 이동 예측시스템 구축 및 패독 플랑크톤 신속탐색 기법 개발 등
다양한 해양유해생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양식 피해발생 우려
해역에 실시간 수온 관측 시스템을 기존 140개소에서 160개소로 확대함으로써 고수온, 저수온
등 이상수온에 따른 피해 저감에 기여하였으며, 이상수온 정밀 예측 시스템 개발 및 AI 기법을
434 ∙∙∙
활용한 예측 정확도 향상 연구를 추진하였다. 수산분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평가 및 예측기술
개발을 위해 RCP8.5 시나리오 적용 해양환경변동 분석 및 해양산성화 모니터링 및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최근 수년간의 기후변화 관련 연구와 조사결과 등을 집대성한
수산분야 기후변화 평가백서인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AI 활용 수온예측 결과 해양산성화 모니터링 실시 수산분야 기후변화 보고서
[그림 3-72] 기후변화 대응 관련 연구 추진
(6) 수산생명자원 활용
2017년 나고야의정서 비준과 2018년 유전자원법 전면 시행 등에 따른 생명자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수산생명자원은 자원의 주권화 및 국가 경쟁력확보를
위하여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수산생명자원의 확보・관리, 수산자원의
유전적 다양성 유지를 통한 양식 생산성 증대기반 마련, 생명정보의 체계적 DB 구축과 맞춤형
유전자원의 정보제공을 위하여 수산유전자원의 활용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7개 기탁등록보존기관 운영을 통한 수산생명자원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수산
유전자원 및 수산생명자원 확보・활용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첨단 바이오신기술을 접목한
우수한 형질의 신품종 개발 및 수산생명자원의 활용을 통한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 및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43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신규 주름개선 물질 수산생명자원 활용 산업화 사례 괭생이모자반 활용사료개발
[그림 3-73] 수산생명자원 관련 연구 추진
(7) 수산질병
수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어 수산물의 생산・관리체계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패류생산 지정해역의 위생관리 및 수산물 유해물질 관리 강화를 통하여
내수용 패류의 위생 안전성을 강화하였으며, 고효능 백신 및 친환경 구충제 개발, 수산생물
질병 실시간 유전자 진단법 개선 및 진단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넙치 연쇄구균 예방을
위한 고효율 백신 개발, 친환경 기생충 치료제 개발, 항생제 감수성 표준 시약키트 및 검사
매뉴얼 개정 등을 추진하였다. OIE 표준실험실을 운영함으로써 새로운 국제진단 표준을 확립
하였고 수산질병 진단역량을 강화하였다. 특히, 금년에는 8개 새우 질병진단 표준물질을 개발
하여 EU 표준실험실과 공동연구로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거짓양성 반응방지로 건강한 새우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수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전염병 관리를
통한 안전한 수산물 공급을 위하여 관련 연구기술의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새우 질병 진단 표준물질 개발 새우 질병 거짓 양성, 음성반응 방지
[그림 3-74] 수산질병 관련 연구 추진
(8) 수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선진화 기술개발
고령화, 안전사고 등 어업현장의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개발 초기단계부터 보급단계까지
다양한 수요자가 의견을 반영하여 시제품을 제안-점검-개선-체험-적용할 수 있는 리빙랩
436 ∙∙∙
(Livig Lab)을 지속해서 운영하였으며, 코끼리조개・전복・가자미 등 고부가가치 최첨단 양식
기술 개발 및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다단계 복합양식 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또한,
연근해어업 작업공정의 안전화・자동화를 위해 기선권현망, 연안안강망, 잠수기 어업 등 작업
효율화 기술들을 개발하고, 다시마, 홍합양식 등 양식어업의 현장애로 사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를 신규 추진하였다.
총허용어획량(TAC) 정착 및 어업질서 확립을 위해 영상 등을 통한 어획량 불법어업을 분석
하는 AI 옵서버 시제품 및 실용화, 빅데이터 기반 통합 스마트 어업관리 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어업관리 시스템 구축 연구를 지속 추진하였으며, 어업 선진화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전기
복합 추진 어선의 핵심 기자재, 표준선체 설계 및 관련 기술, 연안 선박용 친환경 연료추진
시스템 개발 등 친환경 어선의 원천기술 개발・실증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하였다.
친환경 LPG 선내기 추진 시스템 해양심층수 활용 복합양식 기술 어업현장 현안해결 지원
[그림 3-75] 수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선진화 관련 연구 추진
3) 향후 계획
해양수산부에서는 연근해 어업생산량의 감소, 어가인구의 감소와 노령화, 어패류 수산물의
소비 감소, 수산물의 자급률 저하,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재해 증가, 코로나19에 따른 수산물
소비 감소와 수산업 위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첨단양식, 수산식품, 수산자원 관리, 기후변화
대응, 수산생명자원 활용, 수산질병 대응 등 수산업 전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미래에 대비하기 위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통하여 친환경 양식기술 산업화를 위한 스마트
양식 기술의 고도화, 고부가 양식품종 및 소비자 중심의 맞춤형 수산식품 연구개발 추진을 추진
하고, 첨단양식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정책과 연계되는 패키지형 현장 맞춤형 모델 개발 및
산업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이용을 위하여 수산자원 조사, 평가,
관리기법의 선진화로 수산자원 변동 예측 정확도 향상 및 해황 예보체계 고도화 등 기초기반
연구의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어업현장의 현안 대응을 위하여 협업연구를 통한 수산재해
∙∙∙ 43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및 장기 미해결 현안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수산재해 최소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안전한 수산물 생산 지원은 어업현장의 피해 최소화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안전한 먹거리
제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2023년에는 해양수산 R&D의 5년간 투자방향과 중점기술 개발 및 실용화 전략, 인력양성
등을 포괄하는 법정계획인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계획(’23~’27)’이 시행되어, 해양수산
과학기술 대전환을 통한 블루이코노미 구축을 비전으로 4대 전략, 12대 추진과제가 추진될
예정이다. 수산분야에서도 데이터 기반 수산업 기술 혁신, 고령화된 어촌을 신성장 동력으로
도약 등이 추진과제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맞춰 스마트양식 기술 개발, 자원관리, 친환경
수산물 유통체계 및 고령화 대응 기술 등 수산분야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을 위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될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수산 분야의 기술 분류는 수산양식(증양식 분야와 수산생물 질병관리 분야), 수산자원/어장
환경, 어업생산/이용가공 및 기타 기후변화 대응 및 수산생물자원 분야로 구분된다.
<표 3-41> 수산 분야 기술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수산양식
수산생물의 유전자원, 유전공학, 육종, 생리, 사육/생산, 사료개발, 양식시설/자재, 질병진단, 예방
및 치료, 질병 방역 및 관리 관련 기술
수산자원/어장환경
수산자원의 생물, 변동, 생태, 조사평가/관리, 예측과 어장환경의 분석/평가, 복원/처리, 보전/관리,
위해 요소평가 관련 기술
어업생산/이용가공
어구, 어업기기/기자재/어선 개발, 어군행동/어장탐사, 수산구조물, 수산물의 가공/공정, 저장/포장,
기능성/영양 활용, 수산식품유통, 위생/품질관리, 위해성 관련 기술
기타 기후변화 대응 및
수산생물 자원
기후변화 반응 평가, 취약성 평가, 예측, 적응・저감, 해양산성화 대응 기술 및 수산생물 종다양성
확보, 계통・계체군 관리, 수산생물자원 생산 관련 기술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양식 산업
세계식량농업기구(FAO) ‘2022년 세계 수산 및 양식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중국의 어획량 감소 등으로 수산물 생산량이 감소되었지만, 전 세계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2020년 20.2kg에서 2030년 21.4kg로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이러한
438 ∙∙∙
수산물 소비 증대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양식업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은 책임 있는 해양환경 관리, 친환경 인증 활성화 등 친환경 양식 확대와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양식산업 육성 정책 등을 펼치고 있다.
노르웨이는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육종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료 공급
및 수질・어류 상태 등을 관리하는 연어 양식 자동화 시스템 등 첨단기술 접목한 융복합 양식
기술들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민간에서도 육상・외해
스마트 양식장을 구축하고, 각 나라별 수출시장에 맞는 연어 가공제품을 개발해 출시하는 등
첨단양식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농림수산연구혁신전략 2022’에
따라 게놈 정보에 기초한 육종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최첨단 육종 기술에 대한 연구를 추진
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양식 사료 가격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곤충, 단세포
유기체 등을 활용한 양식 사료용 대체 단백질 공급원 개발연구를 추진하였다. 중국은 ‘제14차
5개년 국가어업발전계획(’21.12)’을 바탕으로 해양환경 모니터링, 복합사료, 양식 순환수 처리
시설 등 친환경 양식으로서의 전환을 위한 장비개발 및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외해 플랜트
심해 양식 기술을 활용하여 양식 공간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흰다리새우, 연어, 가리비 등
우량 수산종자 확보를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2) 수산자원관리
세계 각국은 데이터 중심으로 총허용어획량(TAC)을 설정하여 수산자원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불법어업(IUU) 단속을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블록체인 기술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미국립해양대기국(NOAA)에서 ‘어업 전략 계획(2022-
2025)’을 수립하고 크게 3가지 목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목표는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경쟁력을 위한 적응형 어업관리이다. 기후환경의 변화, 해양오염, 어업 공동체에 대한 인위적
영향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생태계 기반 어업관리(EBFM) 시스템을 계속적으로 고도화
하여 어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차세대 데이터 수집 계획 수립을 통해 인공지능
(AI), 머신러닝 및 데이터 시각화 기술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 기술의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불법어업(IUU)에 대응하기 위해 해산물 수입 모니터링 프로그램(SIMP)을 강화하고,
불법어업(IUU)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을 탐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해서 추진할 예정
이다. 둘째 목표는 해양 보호종 보호・회복 촉진으로, 기후변화 분석, 첨단 기술을 활용한 해양
보호종 및 서식지 관리, 해상풍력・해상물류운송 등 해양사용에 따른 수산생물의 장단기적 영향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는, 임무지향적이고 다양한 인력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일본은 2020년 전면 개정된 어업법 시행을 통하여 어업 데이터 보고 의무를 강화하고
전자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자원평가를 기초로 자원관리 목표 수준의 최대지속어획량을 설정하는
∙∙∙ 43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등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총허용어획량(TAC) 및 어획할당(IQ)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EU의
경우, 수산생물의 해상폐기 금지를 위한 양륙의무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등록 어선의
어업 위반 여부 평가를 위한 포인트 제도 실시, 전자보고 시스템 운영, 어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자동식별 장치 장착 의무화 등을 통하여 불법 어업에 대한 강화를 추진 중이다.
(3) 수산식품
수산식품 산업에서는 국제적인 식량위기 확대와 어획량 감소에 따른 수산물 공급부족 우려로
식량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푸드테크(Food-Tech) 분야와 유통 위생・안전 제고를 위한
콜드체인 구축 등 식품안전 분야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은 스타트업
기업 지원 등을 통해 세포배양 기술을 활용하여 생선의 맛과 식감을 모방한 수산물 배양육,
해조류를 활용한 대체육 관련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서는 3D 프린팅을 활용한
장어 및 그루퍼 제품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배양육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농림수산연구혁신전략 2022’에 따라 건강에 관한 체계적 식재료 정보 축적・제공, 개인 맞춤형
식품 가치전달시스템 구축 등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먹거리 실현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고객으로부터 받은 건강정보를 활용하여 3D 프린팅을 통해 맞춤형 메뉴를 제공
하는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외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국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식품
안전 관리에 대한 규정을 지속해서 개정하며, 식품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2022년 ‘GB
2072-2022 식품 내 오염물질 제한량’ 국가표준을 발표하여 수산물・수산식품을 포함한 식품의
오염물질 제한량 기준치를 강화하였다. 중국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수산식품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콜드 체인 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유통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4) 기후변화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변화는 세계 수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2년 2월 승인된 IPCC WG-Ⅱ(적응) 제6차 보고서에서는 1950년대 이후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양 생물군은 10년당 30~55km씩 북쪽으로 이동했고, 해양 생물종의 계절
변화도 10년 간 3~7.5일 빨라졌으며,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 21세기 후반 식물성
플랑크톤 약 6%, 동물성 플랑크톤 약 9%가 감소하여 수산자원의 17%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기후변화는 어장 위치의 변화를 야기하여 접경지역 발생 등 어업 종사자
간 갈등을 증가시키며, 수산 자원이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생기는 식량 분배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범국가적으로 기후에 맞는 수산자원의 관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수산자원의 감소는 식량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한 범국가적
대응 방안 마련이 지속해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440 ∙∙∙
나) 국내동향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변화는 수산분야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당 변화는 수산자원뿐만 아니라 수산자원을 소득원으로 하는 지역사회 및 개별 어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산분야에서도 탄소중립 실현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한 추세이다. 정부는 기술혁신을 통한 2030 온실가스감축(NDC) 및 2050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범부처가 참여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 혁신 전략(’22)’을 수립하였다.
해양수산부에서도 2021년 12월 수립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통해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해양수산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해당 로드맵의 이행계획의 성격을 가지는 ‘제4차 기후변화
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 온실가스 흡수 및 저감, 기후
위기 선제적 대응, 기후위기대응 이행력 확보 등 2030년까지의 구체적 이행방안과 목표를 제시
하였다. 수산・어촌분야의 2050년 목표 배출량은 11만 5,000톤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기・
하이브리드 친환경 어선, 양식업・수산가공업 에너지 고효율 장비, 수산업・어촌 인프라 재생에너지
활용 기반 구축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지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어업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해 어가인구 생산성이 감소하고, 어촌 지역의 공동화
현상이 지속적으로 심화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산분야의 스마트 전환이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19년 수립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의 초기 성과를
더욱 확산시키고, 급변하는 글로벌 트랜드에 대응하기 위해 해양수산 선도국가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을 2022년 2월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으로
확대 개편하였다. 첫째, 인프라 도입을 넘어 산업 현장과 국민 일상을 바꾸는 실질적인 스마트화,
둘째, 국민 관심사가 높은 근로자와 해양수산 시설물 안전 관리 강화, 셋째, 범정부 디지털 전화에
맞춘 투자 확대와 내부 스마트화 역량 확보라는 3대 개선방향을 기반으로 신규과제를 발굴하였다.
수산분야에서는 수산업 불법어획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CCTV 기반 AI 옵저버 개발 및 보급,
급이・수온조절 등이 자동화된 스마트양식 개발, 수산물 하역부터 포장까지 과정을 자동화한
스마트 위판장 개발 등 기존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에서 추진하던 디지털 대전환 관련
과제들이 지속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누구나 잘 사는 스마트 어촌 구현’의 핵심과제가 추가 반영
되어 어촌뉴딜300 및 어촌활력증진사업과 연계한 어촌・어항에 스마트화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적용될 예정이다. 해당 계획은 10개의 주요지표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수산분야에서는 2030년
기준 근해어선 AI 옵서버 탑재 100%, 스마트 양식장 도입비율 50%, 노후 위판장 101개소
현대화를 목표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산업의 외연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수산업・어촌 발전을
위한 과학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해양수산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수산과학연구사업이 해당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고 있다.
∙∙∙ 44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3) 향후 전망
전 세계는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및 코로나19 재유행 등으로 인해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사회구조 변화, 디지털 세상, 지구 환경 및 세계질서 변화 등 글로벌 메가트
랜드의 등장으로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러시아산 수산물 수입 제재 조치 등 글로벌 수산물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수산물・
양식 사료 가격이 상승하는 등 수산업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수산분야에서는
어촌인구・수산업 종사자 감소 및 고령화, 수산업의 스마트 전환, 기후변화 대응 등 장기적인
문제와 인플레이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TP), 원전오염수 방류 등 단기적 악재를 대응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3년 상반기부터 방류
예정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로 인해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를 보장하기 위한 수산물 품질 및
안전관리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중요하게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2022년 12월 ‘해양수산 신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하며, 해양수산 5대
신산업시장을 2027년까지 30조 원으로 확대하고, 유망기업 2,000개를 육성하기 위한 4대 전략
10대 추진과제를 발표하였다. 수산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수산식품 시장을 12조 원까지 성장
시키고, 스마트 블루푸드(Blue Food) 분야를 집중 육성시켜 스마트양식 보급률 10%, 데이터
기반 총어획량 관리체계 67% 달성 등 글로벌 상위 10% 내 선도기술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양식・수산식품 가공 분야의 디지털 전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노후 위판장의
저온・친환경 전환, 원산지 판별기술 등 수산물 유통 위생・안전성 제고를 위한 콜드 체인 구축,
수요자 특성과 질병 대응을 위한 맞춤형 수산가공식품 상용화 등 수산업의 고차 산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 및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442 ∙∙∙
제4절 환경공학기술(ET)
1. 환경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환경부는 범부처 종합계획인 ‘제4차 환경기술 환경산업 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2018년∼
2022년)’을 통하여 향후 5년의 환경분야 R&D 정책 추진방향과 전략과제를 제시하였고,
2021년에는 국제적인 탄소중립사회 이행 추세, IoT・AI 기반의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미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년∼2030년)을 수립하여 ‘탄소중립 이행
기반 마련’, ‘녹색인프라 강화’, ‘환경 안전사회 구축’의 3대 추진전략에 따라 지속가능한 녹색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기술 혁신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2022년에는 과학적인 탄소중립 이행, 순환경제 완성, 건강한 생활환경 구현 등 환경 분야
주요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 연료화
기술개발사업, 기후위기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등의 신규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표 3-42> 2022년 환경분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
(단위: 백만원)
사업명 주요내용 2022년 예산
수요대응형 물공급서비스 연구 지역 특성에 맞는 IT 기반의 물정보 Data 분석・예측 기술을 개발 4,910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
자연재난(지진, 태풍 등)으로 인한 환경시설의 파괴, 기능정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
5,089
생태모방기반 환경오염관리기술 개발 생태모방 기초・원천 연구 성과를 활용한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10,000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기술개발
지중오염 발생 사전예방 및 인체건강에 대한 악영향 신속차단을 위한
위해도 기반 매체 통합 오염관리 고도화 기술개발
14,890
표토보전관리 기술개발
표토침식 고위험지역 표토 침식 방지・복원 및 지역 별 최적 관리 기술
확보
4,300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
유해화학물질 사고 발생 최소화, 사후 피해영향평가 기술 개발 2,226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
생활화학제품 사용으로 발생 가능한 위해를 관리하기 위한 유해성 및
노출평가, 위해저감기술 확보
24,193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
개발 사업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예측・평가하고, 그 결과를
3D 시각화하여 개발 사업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 시 친환경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기술 개발
4,770
∙∙∙ 44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사업명 주요내용 2022년 예산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 개발
공공복합통신위성의 정보수집 탑재체 주관 및 홍수재해대응을 위한 수문
관측 통신망 고도화 및 활용 시스템 개발
6,447
감염우려 의료폐기물 처리 기술개발
의료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의료폐기물 멸균・분쇄 및 비대면
처리기술 개발・고도화, 추가 감염 방지 등 감염병 확산 대응 환경기술
개발
7,604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
관리대상 인자-질환 범위 확대를 위한 환경성질환 상관성 규명 기술
개발, 피해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객관적으로 추적・평가하기 위한
환경성 질환 예측・평가 기술 개발
14,255
환경보건 디지털조사 기반 구축
기술개발
환경보건 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영향 감시・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취약지역・계층 건강보호 및 환경보건
정책의 질적 서비스 제고
7,282
실내공기 생물학적 위해인자 관리
기술개발
감염성 및 건강 위해성이 높은 실내공기 중 생물학적 유해인자를 분석・
측정하고, 인체 건강영향평가 및 감시체계 구축
7,258
플랜트연구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사업에 요구되는 핵심공정 개발, 기본설계 및
실증 기술개발
3,380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
상・하수도 시설 에너지 소비 절감,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 제고, 신종오염
물질 관리 강화에 필요한 기술개발
32,900
고순도 공업용수 생산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공업용수 생산시설 국산화 기술개발 및 테스트 베드 현장 적용을 통한
국내 수처리 관련 업계실적 확보 기회 제공
8,241
지능형 도시수자원관리 기술개발사업 도시 내 수자원 가용량 분석, 예측 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연계 기술개발 7,050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인간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도시생태 공간 복원 및 확보 기술 개발 6,624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 생활 및 산업활동 변화로 인해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위협 요인의 체계적 관리 기술개발을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14,496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개발사업
재활용 저해 제품의 순환이용성 개선과 적정 재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폐기물 순환이용률 향상 및 최종처분 폐기물 발생량 저감
2,742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및 인체 건강영향 평가 기술 개발
8,163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사업
미세먼지 사각지대 배출 미세먼지 직접 저감기술 및 측정・분석 기술
확보를 통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관리 및 국가 미세먼지 관리 정책
기술 지원
8,088
생물다양성위협 외래생물관리
기술개발사업
유입 외래생물의 예찰 및 위해성 평가 기술,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기술
개발
11,100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수열에너지 융복합 기술 및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1,925
유망 녹색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우수・유망 녹색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실증 및 시험인증 등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 경쟁력 제고 및 환경산업 활성화
11,562
야생생물 유래 친환경 신소재 및
공정기술개발사업
국내 야생생물자원을 활용한 소재 및 공정 개발을 통하여 친환경 화이트
바이오 기반기술 확보
6,498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보존・관리 표준화, 수요 맞춤형 특성분석을 통해
담수 야생생물 소재 활용 기반 마련
4,492
444 ∙∙∙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기후・대기 분야
생물의 구조색을 모방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측정용 색변화 센서를 개발하였다. 이는
나비 날개의 구조색을 모사하여 4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BTX, IPA, 아세톤, 폼알데하이드)을
사업명 주요내용 2022년 예산
생물자원발굴 및 분류 국내 자생 생물종 발굴 및 유전자 다양성 연구 15,788
야생동물 첨단연구 국가 야생동물 자원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장기적 모니터링 및 현황 연구 3,190
탄소자원화범부처프로젝트
제철・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온실가스 등 탄소자원을 화학
원료・연료 등 자원화
100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분석기술 개발
유해화학물질사고(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내/외부)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고물질 측정 및 방제기술, 화학사고 후 인근지역의 생태계・인체 영향
평가 기술 개발
961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사업
신변종 감염병에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국가방역체계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국민 체감형 현장중심의 범부처 R&D 협력
사업 수행
600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 개발사업
도시 인구 집중, 가뭄 주기 감소와 같은 물공급 환경변화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 기준과 가뭄 규모별 물 배분의 과학적 근거 마련
2,800
기후위기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홍수 피해 증가로 기존 홍수 방어 대응체계 한계점
극복 및 탄력적인 이상홍수 방어대책 마련
3,000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및 탄소흡수
가치증진기술개발
생태기반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생물다양성, 탄소 흡수를 고려한 습지
생태계 조성・복원 기술개발 등
3,700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이행평가 기술 개발, 글로벌 기후변화 및 대기오염
통합 평가・관리 기술 개발, 미래 기후변화 영향 평가체계 고도화 및
기후탄력성 제고 기술 개발
10,435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기술개발
폐유기자원의 C2 단량체 전환을 통한 탄소저감 및 폐기물 고부가가치화
공정기술 개발
3,000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 연료화
기술개발사업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선별 고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한
물질・화학적 재활용 기술 고도화
5,200
미래 발생 폐자원의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사업
폐이차전지, 재생에너지 관련 폐기물, 폐전자제품 재활용 기술개발 4,100
에너지 자원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공정 기술개발사업
에너지 회수형 하・폐수처리 통합 시스템 개발, 고농도 하・폐수 유용자원
(질소・인) 회수시설 구축 등
2,800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사업
동・식물 잔재물 등 유기성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시스템 최적화,
통합 바이오가스 플랜트 설치
3,600
수자원/수재해 중형위성개발 기후변화로 인한 불확실한 홍수・가뭄 등 감시를 위한 위성 개발 7,500
야생동물질병연구사업
야생동물 질병 적기 대응과 생태계 건강성 유지를 위한 야생동물 질병
(ASF, AI 등) 모니터링, 시료 분석, 감시망 구축・운영, 진단・연구
6,166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미세먼지와 전구물질의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4차 혁명 기술을 대기
오염방지설비 공정에 적용
5,100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기술
실증 기술개발사업
축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 기술
개발, 대체냉매 활용 친환경 냉매 냉장 장치 개발
4,000
∙∙∙ 44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동시에, 무전원으로 민감하게 반복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또한, 정지궤도 환경위성을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관측영상과 활용산출물을 실시간으로 공개
하였다. 시간과 고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관측하고 위성 결측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도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으로 추정하여 대기오염 측정망 실측자료와 오차범위 10% 내외의
(초)미세먼지, 에어로졸 농도 자료를 실시간으로 공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나비날개 구조 모방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센서 위성영상(13종) 및 산출물(3종)
[그림 3-76] 기후・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나) 토양・물관리 분야
실리카 코팅된 나노영가철을 이용한 지하수 유해물질 처리기술을 개발하였다. 나노영가철에
실리카를 나노사이즈로 코팅하여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반응성 감소 현상과 지중
환경 전달력 저하 현상을 극복하여 지중 환경의 유해물질 제거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스마트시티 물관리를 위한 지능형 도시수자원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정보
통신기술(ICT)을 적용하여 수자원 데이터를 통합관리하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반의
수자원 관리 표준모델을 제시하여 에너지 사용량 절감, 탄소 저감, 홍수・가뭄 등에 대응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이다.
실리카 코팅 나노영가철 지능형 도시수자원 통합관리시스템
[그림 3-77] 토양・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446 ∙∙∙
다) 생태・자원순환 분야
저급 폐플라스틱 재생을 위한 저에너지형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재생 폴리에틸렌 펠렛 품질을
제고하였다. 기존 세척・히팅공정을 대체하여 초고속 회전 터보팬을 활용한 이물질・함수율・전기
소비량을 감소하는 공정을 개발하였고, 품질이 제고된 재생 폴리에틸렌 펠렛을 활용하여 폐
비닐 재생원사 중 국내 최초로 50데니아 원사를 생산하였다.
또한,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 검토지원 모델과 매체별 표준화 데이터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는 환경영향평가 전체 평가항목 중 총 686개의 정형데이터와 783개의 비정형 데이터에 대해
매체별로 표준화된 데이터 체계를 구축하여 의사결정 과정에 활용 가능한 모델을 만든 것으로
이 성과를 통해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별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급 폐플라스틱으로 제작한 원사 환경영향평가 데이터 분석 및 기술적용 흐름도
[그림 3-78] 생태・자원순환 분야 주요 연구성과
라) 환경보건 분야
한강 수계에 존재하는 항생제 내성균의 유래 매커니즘을 규명하였고, 검출된 내성 유전자가
어느 세균으로부터 유래되었는지 추적하여 4개의 세균 분류군을 찾아내는 등 기반 성과를 도출
하였으며, 국내 주요 지역(4대강, 도시하수처리장)의 항생제 내성 지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국내 지하수 미세플라스틱 오염 실태 파악을 위한 기반 연구를 진행하여 지하수 미세
플라스틱 시료채취 기구와 채취 방법을 수립하였고, 지하수 내 미세플라스틱의 발현과 분포,
거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미세플라스틱 시험방법 수립에 기여
하였다.
∙∙∙ 44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Web-GIS 기반 국가 항생제 내성 지도 지하수 관정 미세플라스틱 시료채취 장비 모식도
[그림 3-79] 환경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3) 향후 계획
환경부는 환경 분야에 필요한 첨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구현, 탄소
중립 등 주요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사업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2023년 초에는 범부처 차원의 종합계획인 제5차 환경기술 환경산업 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2023년∼2027년)을 수립하여 최근 정책환경 동향을 반영한 향후 5년 간 정책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환경R&D 투자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기술-산업-인력 분야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오늘날 환경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피해 범위가 커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나노물질,
기후변화, 유해물질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환경 현안 연구 및 해결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이슈대응을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보건, 기후・대기, 물,
자원, 생활환경 분야 등 모든 환경 분야에서 환경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위해성에 기반한 환경보건・국민건강 증진 연구
(1) 국가 환경보건 모니터링 체계 구축・운영
국민의 인체 내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제5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2021~2023년)’ 1차년도 과제에서는 표본설계를 통해 5기 조사목표를 440개 조사구 5,850명
으로 하여 중금속 등 환경유해물질 64종의 노출수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
448 ∙∙∙
취약계층 환경보건 협력센터 운영을 통해 어린이 교육자료집을 발간하는 등 국제기구와 협력하고
있다. 아울러,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발표한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 등 5개 분야 28개 환경보건
지표를 산출하여 ‘환경보건지표 Factsheet 2022’를 발간하였고, 산출된 지표에 근거하여 국가
또는 지자체 단위에서 환경보건 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이용 자료를
토대로 환경보건모니터링질환(호흡기계 등 8개 질환)의 시공간 경향 및 핫 스팟(hot-spot)
지역을 분석하였다.
(2) 화학물질 위해성평가 확대 및 현장 노출평가방법 구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이른바 ‘화평법’의 개정으로 등록대상 화학물질의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신속하고 효율적인 위해성평가 수행을 위해 용도가 단순하고 노출
가능성이 적은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초기 위해성평가를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클로로포름
등 우선 평가대상물질 5종과 더불어 염화벤조일 등 초기 평가물질 16종에 대해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총 21종에 대한 위해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다양한 노출
상황에 따른 노출평가 시험방법을 체계화하기 위해 노출대상 및 노출경로, 시나리오에 따른
현장 노출평가방법을 분류하고, 세부 노출평가 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노출경로에 따른 실험 방법별 표준 프로토콜(안)을 마련
하였다.
[그림 3-80] 노출평가 사례연구 및 표준 프로토콜(안)
∙∙∙ 44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3) 살생물제・생활화학제품 관리 기반 기술 구축 및 안전관리 강화 연구
살균제류 제품별 살균효능 검증을 위해 액체형, 고체형 등 14종의 유형별로 제품을 선정하여
현탁액시험과 모의표면시험(다공성, 비다공성)을 통한 효과・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제품에서 곰팡이에 대한 사용농도에서의 효능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세균과 효모에
대해서는 사용농도에서의 효능이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살생물제 승인제도에 필요한 효과・효능
평가를 위하여 현탁액시험법과 모의표면시험법으로 구분된 구체적 시험방법을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유통되고 있는 살균제류・구제제류 제품 1,000여 종을 조사하여 대표 용도(실내살균용,
일상용품용, 모기제거용 등) 및 제형(스프레이, 액상형, 분말형 등)을 구분하였으며, 제품유형
별로 일반소비자와 직업소비자를 구분하여 노출계수를 선정하고, 인체노출 위해성평가를 수행
하였다. 또한, 제품 평가 방법 및 승인 절차를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살생물제품을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었다.
[그림 3-81] 살생물제품 효과효능시험(모의표면시험)
(4) 가습기살균제 노출과 주요질환 간 역학적 상관관계 규명 연구강화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조사・판정 등 피해구제와 피해자 소송 시 건강피해 입증을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가습기살균제 노출과 질환 간 역학적 상관관계69)’를 확인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단기・급성・호흡기계 질환 외에도 가습기살균제의 영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피해
사례의 역학 및 독성 연구, 임상의학 및 환경보건학적 검토 등 다학제적 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69) 위험인자(가습기살균제)에 노출된 집단에서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질환 발생 위험이 크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
450 ∙∙∙
특히, 가습기살균제 맞춤형 독성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고려대학교 안산병원과 안전성평가
연구소를 ‘독성평가분야 가습기살균제보건센터’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장기・만성질환을 포함
하여 다양한 건강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지속적으로 도출하여 역학적 상관관계
확인에 활용하고 다양한 연구 결과들의 종합 ・검토를 통해 질환별 보고서 발간을 추진할 계획
이다.
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과학적 지원
(1) 국내・외 영향 대기오염물질 감시를 위한 입체관측 연구
국외 유입 및 국내에서 발생된 대기오염물질을 감시하고, 고농도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상관측과 함께 상층 대기 및 해상을 포함한 입체관측(항공・선박・지상)을 수행하였다. 관측
시기는 계절 관리제 기간을 포함한 봄철과 겨울철에 수행되며, 2018년에 12월에 개조 완료
된 중형항공기에 초미세먼지(PM-2.5), 블랙카본(BC),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약 11종의
고해상도 측정기를 탑재하고 서해상 및 수도권, 대형배출원 등의 지역을 대상으로 매해 약
30회, 100시간의 항공관측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상청과 협업하고 있는 인천-목포 서해 종
단면의 초미세먼지 및 주요성분 측정을 위한 선박관측(YES-AQ), 전국 42개 초미세먼지
(PM-2.5) 성분측정망을 통한 지상관측 등 항공, 선박, 지상관측을 연계한 입체적인 국외 유입
대기오염물질 감시를 지속하고 있다. 연구 결과들은 종합분석을 통하여 유입・유출량 산정 및
대형배출원 배출량 검증, 고농도 발생원인 규명에 활용될 수 있다.
항공관측 경로(’21년 12월∼’22년 3월) 관측용 중형항공기(Beechcraft 1900D)
충남 대형배출원 배출량 검증 수도권 상공 순환관측 결과
[그림 3-82] 대기질 측정용 중형항공기 및 항공관측 결과
∙∙∙ 45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온실가스 검증 국제기구 가입 성과와 한・중・일 국제공동연구
국립환경과학원은 2011년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및 2015년 배출권거래제가 실시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검증하는 검증기관을 지정・운영하고 있다. 특히, 아・태지역인정협력기구
(APAC, Asia Pacific Accreditation Cooperation)로부터 온실가스 검증업무 수행 및 검증기관
관리가 국제표준(ISO)에 따르고 있음을 인정받아 국가인정기구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21.11.).
또한, 후속 조치로 2022년 1월 상위기구인 국제인정기구(IAF, International Accreditation
Forum)와 다자간상호인정협정(MLA)을 체결함으로써 ISO 14065(온실가스 검증이관 요구
사항)를 준수하는 15개 공인 검증기관을 ISO 14064-1(온실가스 배출량) 분야로 인정・공고
하였다(’22.8.∼’22.10.).
또한, 한・중・일 주요 도시별 대기오염물질 중 2차 생성 물질인 초미세먼지(PM-2.5), 오존
(O3)의 발생 기작과 상호 영향에 대한 국제공동연구(CRP)를 민간 과학자가 중심이 되어
2020년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2021년 5월 두 개의 작업반 회의와 같은 해 11월 연차 회의를
통해 상호연구결과를 공유하고, 공동보고서를 발간하였다. 3국의 대기분야 국제협력 확대를
위한 선도적인 역할 수행과 동북아 미래의 기후변화 및 대기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그림 3-83] 국제인정협력기구(IAF) 다자간상호인정협정(MLA) 협정서
(3) 비정형 악취배출구 측정방법 개발 연구
현행 악취방지법에서는 ‘지면으로부터 5m 이상의 강제배기구’를 배출구로 정의하여 배출허용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배출구는 부지경계선에서 측정한 결과로 기준초과 여부를
452 ∙∙∙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악취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축사나 생활악취 배출원은 대부분 배
출구의 높이나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비정형 배출구다. 따라서, 비정형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악취물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악취 배출현황과 원인자 파악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
였다. 비정형 배출구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악취측정방법을 제시하였고, ‘비정형 악취배출구
측정방법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구분
동력(강제 배기형) 무동력(자연배기형)
곡선형 직선형 분산형 굴뚝형 창문형 윈치형 지붕형
사진
설치돈사
이유, 자돈, 육성,
비육
이유, 자돈, 육성,
비육
이유, 자돈, 육성,
비육
이유, 자돈, 육성,
비육
이유, 자돈, 육성,
비육
임신, 분만, 육성,
비육
임신, 분만, 육성,
비육
측정방법
곡선형 배기
팬에 채취관을
팬 앞까지
깊숙히 넣어
채취
직선형 배기팬에
구경이 맞는 가설
배관을 부착하고
채취관을 넣어
채취
차광막 사이로
채취관을 넣어
채취
굴뚝형 배기팬에
채취관을 넣어
채취
개방된 창문을
닫고 가설배관
또는 채취관을
넣어 채취
윈치 개방시 윈치를
닫고 10분 정체 후
틈사이로 채취관을
넣어 채취
현대화된 시설
외에 돈사는
붕괴위험으로
측정불가
이 외의 포집배관이 있는 환기(배기)구는 그대로 채취
[그림 3-84] 비정형 배출구 악취물질 측정방법
(4) 국가 대기질 예보 서비스 확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하여 대기질 농도(PM-10, PM-2.5, O3)에 대한 국가 대기질 예보제를
2014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또한, 고농도 초미세먼지에 대한 위기관리 대응을 위하여 지자체별
비상저감조치 사전정보 제공 및 화력발전상한제약 통보 등의 정책예보도 수행하고 있다. 기존
국내 19개 권역의 단기예보(3일)를 확대하여 2020년 11월부터 주간예보(7일)를 시행하였다.
대기질 예보 서비스 확대에 대한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2021년부터 3개월 단위의
초미세먼지 계절 전망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시범운영하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여
2024년부터는 대국민 서비스를 시행할 계획이다.
∙∙∙ 45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림 3-85] 미세먼지 모델 예측 결과
(5) 정지궤도 환경위성 영상자료 대국민 공개
정지궤도 환경위성(천리안위성 2B호)은 지난 2020년 2월 19일에 발사되어 우주궤도상 점검을
마치고 같은 해 11월부터 환경위성센터에서 직접 운영 중이다. 환경위성센터는 정지궤도 환경
위성 관측으로 총 21종의 기본 자료를 생산하며, 검증 과정을 거쳐 14종70)의 영상자료 중 8종은
2021년 3월 22일부터, 5종은 2021년 10월 29일부터 환경위성센터 누리집(nesc.nier.go.kr)에
공개하고 있다. 또한, 환경위성 모바일 누리집을 구축하여 보다 쉽게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으로
환경위성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2022년에는 환경위성 자료 7종을 추가 공개하여 총 21종의
대기질 자료를 공개하였다.
누리집 메인화면 위성영상자료 전시 선택 메뉴 위성영상 선택 화면
[그림 3-86] 환경위성센터 누리집 위성영상 관련 화면
70) 영상자료 에어로졸광학두께, 단일산란반사도, 자외선 에어로졸지수, 가시광 에어로졸지수, 전층오존, 구름중심기압, 유효
운량, 구름복사비율, 전층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자외선지수, 식물반응가중선량률, DNA손상가중선량률, 비타민D합성
가중선량률
454 ∙∙∙
다) 통합물관리 성과 제고를 위한 첨단・선도 연구강화
(1) 조류 관측데이터 및 매개변수 자동보정 기법 적용한 융복합 기술 기반 물환경 변화 예측 연구(I)
국립환경과학원은 여름철 하천 수질에 문제가 되고 있는 ‘남조류 세포수’를 예측하여 관계
기관과 국민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녹조 대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녹조 예측 기술을
고도화하여 녹조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 보정 단계에서 담당자
판단과 직관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작기반의 EFDC-
NIER 모델의 매개변수 보정 절차를 최적화하고 체계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
하였다. 또한, 기작기반에 한정된 녹조 예측 기법에 자료기반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료기반
녹조예측 기법을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EFDC-NIER 모델의 매개변수 보정 기법이
최적화되고 체계화되었으며, 자료기반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법들은 수질(녹조) 예측 고도화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H-OAT 기법을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 DNN 자료기반 시계열 녹조 예측
[그림 3-87] LH-OAT 기법을 이용한 매개변수 최적화 및 DNN 자료기반 시계열 녹조 예측
(2) 오염총량관리제 대상 물질 확대 및 맞춤형 관리방안 연구
손상수체는 ‘설정된 수질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수체’로 정의될 수 있다. 간단한 정의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수질기준과 어떻게 비교하느냐에 따라 세부 평가 방법은 다양해진다. 본 연구
에서는 미국의 일최대오염부하량(TMDL, Total Maximum Daily Loads) 기준과 가장 유사한
국내 수질 기준으로 ‘중권역별 물환경 목표 기준’을 선정하였고, 수질 항목별로 10년 동안 목표
기준 초과 빈도가 50%를 초과하면 손상된 수체로 정의하였다. 유기물의 경우, 난분해성 유기물에
∙∙∙ 45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따른 오염도를 반영하는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유기탄소(TOC) 항목의 손상 비율이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보다 대체로 높았다. 또한, 총인(T-P)은 권역별 손상도가 호소에서 78.6%
이상으로 나타나 하천(47.6~66.7%)보다 높았고 총질소(T-N)는 모든 지점이 손상수체에 해당
하여 전국적인 과잉상태에 있음을 나타냈다. 아울러, 부유물질(SS)은 주로 호소, 분원성 대장균
군은 하천에서 손상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3-88] 수질항목별 손상수체 우선관리지역 분석결과
(3) 담수 중 미세플라스틱 분포특성 연구(III)
대부분의 물환경 중 미세플라스틱 연구는 하폐수처리장과 같은 점오염원이나, 강, 하천 등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우리나라 82개 업종 중 미세
플라스틱 발생 가능성이 높은 12개 업종과 낮은 3개 업종 등 총 15개 업종을 대상으로 미세
플라스틱 실태조사를 진행하였다. 업종별 미세플라스틱 농도 현황뿐만 아니라 업종별 제거효율도
산정하였다. 또한, 업종별 미세플라스틱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방류수 중 미세
플라스틱 농도에 방류량을 고려하여 인근 하천이나 강으로 유입되는 일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일일 부하량이 배출농도와 방류량 중 어느 요인에 더 영향을 받는지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456 ∙∙∙
다양한 형태의 미세플라스틱 처리장 방류량과 미세플라스틱 부하량 관계
[그림 3-89] 다양한 형태의 미세플라스틱 및 처리장 방류량과 미세플라스틱 부하량 관계
라) 순환경제・녹색산업전환 지원
(1) 폐차/폐전기・전자제품 중심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전과정 평가연구
순환경제의 실현과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하여 우리나라 폐차/폐전기・전자제품에서
발생한 폐플라스틱의 발생에서 재활용까지 전과정 평가를 수행하여 현재 관리방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그림 3-90] 폐플라스틱 재활용 전과정 평가연구 연차별 진행 계획
2019년 기준 우리나라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약 11,678천 톤으로 전년 대비 16% 증가하였
으며, 재활용(69%), 소각(25%), 매립(4%)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발생원별로는 사업장
폐플라스틱(63%), 생활계 폐플라스틱(22%), EPR 품목 분리배출(9%) 순서로 나타났으며, 폐전기・
전자제품(대형가전 5종) 및 폐차 유래 폐플라스틱의 발생량은 23천 톤(0.2%) 및 158천 톤
(1.4%)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플라스틱 관련 통계자료와 폐플라스틱 발생・처리업체 현장조사 결과를 이용한 물질흐름분석을
통해 원료에서 폐기까지 플라스틱의 전 과정 평가를 수행하고,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차 유래
폐플라스틱의 순환자원 활용도 향상에 저해되는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또한, 폐플라스틱의
안전한 재활용을 위해 국내외 폐전기전자제품 및 폐차 관련 유해물질 관련 규정 만족 여부 조사를
수행하였다.
∙∙∙ 45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폐플라스틱 재활용 전과정 평가에 따른 개선방안을 통해 순환경제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폐기물 감량 및 순환자원 활용 극대화’ 목표달성에 한 발 더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폐플라스틱(폐차) 물질흐름도 폐플라스틱(폐전기전자제품) 물질흐름도
[그림 3-91] 폐플라스틱 물질흐름도(’19년 기준)
(2) 폐기물처리시설의 세부 검사방법 마련 연구
본 연구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및 정기검사를 더욱 과학적이고, 투명하게 운영하기 위한
세부검사방법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폐기물처리시설은 소각, 매립 등 6개 분야이며, 검사
방법(안) 마련을 위해 18개의 폐기물처리시설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마련된 검사방법(안)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각 분야 전문가/검사기관 담당자 자문회의(3회) 및 현장 적용성 평가(12개
시설)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처리시설 검사 시 정략적 기준(온도, 체류
시간 산정범위 등)에 따라 처리시설을 검사하고, 객관적 데이터 확보방안(열화상카메라, 영상
정보처리기기, TMS 데이터 활용 등)이 포함될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육안 확인・단순서류
확인 등 간접적인 방법에서 현장 측정 등 직접적인 검사행위가 되도록 하는 등 총 31개 검사
방법을 개선하여 세부검사방법(안)을 마련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물질수지 흐름도 매립시설 현장조사
[그림 3-92]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물질수지 흐름도 및 매립시설 현장조사
458 ∙∙∙
(3) 국토의 환경가치 향상 및 지속가능한 친환경 개발 지원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하여 환경영향평가센터를 개소(’21.12.10.)하여 환경
영향평가등의 검토 총괄,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관리, 기후환경영향평가 대응 연구 등을
추진하게 되었다. 환경영향평가 시 수질(지표수)에 대한 현장측정, 영향예측 방법 등을 보완한
평가서 작성 및 검토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환경영향평가서등 작성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
고시) 개정을 건의하여 환경영향평가 기법 표준화 및 검증 기능을 강화하였다.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물환경 분야 환경지도 작성 가이드(안)을 마련하였고, 최근 5년
(2016~2020년) 조합 전국 시・군별 여름철 지표온도지도를 제작하여 국토환경성평가지도에
수록할 것을 건의하였다. 이 밖에도 2019~2021년의 모바일 빅데이터(전국 30개 도시공원
및 산림 대상) 분석 및 전국 1,000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코로나19 발생 전후의 도시 녹지
공간 이용행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림 3-93] 이천시의 물환경 관리계획 종합 참고도
∙∙∙ 45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마)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환경 조성
(1) (신축)공동주택 실내라돈 관리기반 구축 및 저감방안 연구(I)
최근 신축아파트 고농도 실내라돈 노출의 영향으로 공동주택 실내라돈 저감 및 발생원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생활환경연구과에서는 2020년부터 라돈 노출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고자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환기설비 운영 방안 등 적정 환기 방법을 마련하였다.
창문을 이용한 자연환기는 맞통풍(거실창과 주방창 동시 개방)으로 30분 이상 환기하고, 기계
환기설비는 ‘중’모드 이상으로 2시간 이상 가동 시에 약 8시간 동안 관리기준(148 Bq/m3)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실내 건축자재에 대해 밀폐챔버법을 이용한
라돈방출률 시험방법 및 Mass-balanced 모델을 기초로 한 실내라돈 기여율 평가방법 마련과
방출률 및 실내라돈 농도의 상관성 연구 등 공동주택 내 라돈 발생원으로 알려진 건축자재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적정환기방법 적정환기 시 1일 평균 실내라돈농도
[그림 3-94] 적정환기방법 및 적정환기 시 1일 평균 실내라돈농도
(2) 수돗물 이물질 관리를 통한 수질 안전성 강화 연구
수돗물 공급과정에서 생성되거나 관로에서 이탈된 이물질에 의해 붉은색 또는 검은색의 수돗물이
가정으로 공급되어 대규모 민원이 종종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수도꼭지용 필터를 사용하는 가정이
증가하는 등 수돗물 이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물질 사고가 발생하면 정부와 수도
사업자는 수질을 안정화시키고, 민원을 해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국민들은 수돗물의
안전성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된다. 이에 국립환경과학원은 색깔을 띠는 입자에 의한 수질
이상 발생 시 수도사업자들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평상시에도 심미적인 측면의
수질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신속한 수질판단을 위한 필터
시험법 활용 가이드라인’을 발간하였다. 이 책에서는 필터시험법 표준화(안), 수질이상 발생 시
정상화 판단기준 설정 사례, 활용방안 등을 담고 있다.
460 ∙∙∙
[그림 3-95] 신속한 수질판단을 위한 필터시험법 활용 가이드라인
(3) 국가환경데이터 고품질화를 위한 시험・검사 품질 관리 강화
환경분야 시험・검사기관의 환경데이터 적합성 확보를 위하여 대기 등 9개 분야 숙련도 시험
(1,152실, 116항목)을 실시한 결과, 1,141개 시험실(99.0%)이 적합 판정을 받았고, 현장평가
(368실)를 실시한 결과, 361개 시험실(98.0%)이 적합 판정을 받았다. 국산 환경측정기기(수질
분야 : TOC, TN, TP)의 성능우려 해소와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측정기기 신뢰성 평가
시스템(테스트베드)’을 시범 운영하였으며, 환경분야 국가표준(KS) 및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운영을 위해서 과학원 내 11개 부서 및 외부 전문가와 협업하여 KS 국가표준 193종을
고시하고 ISO 국제표준 361종에 대한 국내 의견을 수렴・제출하였다. 또한, 국제표준화기구
(ISO)에 제안한 표준방법 2종 모두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외에도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등 총 8개 분야 162종을 신설・개정하는 등 환경측정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46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림 3-96] 환경측정기기 신뢰성 평가(테스트베드)
(4) 위해성기반 토양오염관리 및 우심지역 영향평가체계 고도화 연구
다이옥신 토양오염물질 지정 관련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18.11.) 후속조치를 위해
국내 배경농도 및 위해성을 고려한 다이옥신 토양오염기준 최종(안)을 마련하였고, 제2차 토양
환경보전기본계획(’20∼’29)에 따른 미규제 토양오염물질 감시항목 지정 및 운영방안 마련을
위해 실태조사 시범사업을 수행하였다. 폐광산 주변지역의 사후 환경오염영향조사 지침 개정(안)을
마련하고, 골프장 토양・수질 중 농약 잔류량 검사방법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토양분야
국가표준전문위원회를 운영하여 국가표준(KS) 제정・개정・폐지・확인(66종) 및 국제표준안(ISO)
검토(63건)를 수행하였다.
폐광산 주변지역 현지조사 골프장 토양 시료채취
[그림 3-97] 폐광산 주변지역 현지조사 및 골프장 토양 시료채취
462 ∙∙∙
3) 향후 전망
오늘날의 환경문제는 다양한 자연적・인위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기에 더욱 복잡하며, 쾌적
하고 안전한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바람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과 기술을 기반으로 기후변화 관측, 분석, 대응방안 연구 및 무공해차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지원 등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미래지향적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첨단
감시체계 구축, 디지털트윈 및 딥러닝 기법 적용 등 4차 산업 기술과 융합연구를 강화하는 한편,
폐플라스틱 재활용 및 폐자원 에너지 연구를 통해 한국형 순환경제 이행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울러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영향 및 화학물질・생활화학제품의 안전관리 연구를 강화
하며, 석면・라돈 등에 대한 환경기준을 마련함으로써 환경 안전망 구축 연구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전반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양질의 우수한 자료를 기반으로 우리가 직면하는
환경문제에 과학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현재와 미래 환경연구가 한 걸음 더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 해양 극지 개발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새정부는 극지 등 미래 해양영토 탐사, 지속 가능한 해양공간 관리, 해양교통물류 세계 시장
선도 등을 국정과제로 정하고, 해양 신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자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추진 중에 있다. 해외 주요국들도 해양산업을 경제성장의 원천으로 인식해 관련 산업의
성장을 추구하고, 코로나 이후 성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14대 분야 국가
과학기술에 해양을 포함하면서, 해양탐사, 도면제작, 배타적경제수역 관리 등에 집중적인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은 해양경제 가치를 2030년까지 2배로 높이기 위해 5개 핵심 분야에 대한
‘Blue Economy 전략’을 수립(’21)하여 추진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해양실크로드 일대일로
(一帶一路)’ 정책을 기반으로 국가 7대 핵심 과학기술에 우주・심해・극지탐사 영역을 포괄함으로써
우주와 해저, 지하 공간을 미래영토로 확보하기 위한 탐사전략을 마련하고, 2018년 부터 남중국해
심해무인기지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EU의 선진 해양강국인 영국은 21세기 글로벌 해양
∙∙∙ 46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리더로써 위상을 지키기 위해 신기술 개발,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aritime
2050’을 발표(’19)하고, 프랑스는 세계 2위 해양강국 유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해양발전계획’을
수립하여 발표하였다(’20). 마지막으로, 일본은 해양안보 확보, 해양환경 유지복원, 해양기술
개발 등을 포함하는 ‘제3차 해양기본계획’을 발표(’18)하였으며, 특히, ‘극한지 탐사’등을 중점
과제에 포함시켜 중장기 연구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에 근거하여 지난 5년간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17~2022)을 수립하여 국가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을 위한 정책목표와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그리고, 매년 중점기술 개발전략, 투자 방향 등을 구체화하는 시행계획을 수립
하여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변화된 국내・외 과학기술 환경을 반영하여 왔다. 2022년은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기본계획의 마지막 해로, 제1차 기본계획의 제시했던 비전, 성과목표 등을
최종 달성하기 위하여 차질 없는 이행에 초점을 두었다. ‘신산업 육성 및 좋은 일자리를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집중 육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기반 확보’,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체계 혁신’, ‘해양수산과학기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등 해양 연구
개발 분야의 투자를 전년대비 12.5% 증가한 5,954억 원을 편성하였다. 또한, ‘해양수산 신산업
육성전략’ 수립71), 12대 국가전략기술에 ‘해양’ 분야 선정72),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
계획(2023~2027) 수립을 통하여 해양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새로운 도약의 한 해로 평가받고
있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2022년도 해양수산부의 해양 분야 정부 R&D 투자액은 5,954억 원으로 2021년도 투자액
5,292억 원 대비 662억 원이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9%이며, 정부 전체
R&D 투자액 대비 2.0% 수준에 해당한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선진국의 전체 R&D 예산대비
해양수산 R&D 예산 비중이 4.5~11.8%인 수준73)(‘19년 기준)인 점을 감안하면, 지속적인
해양수산 R&D 투자 규모의 확대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71) ①친환경・첨단 선박 ②스마트 블루푸드 ③해양레저관광 ④해양바이오 ⑤해양에너지・자원 등 5대 신산업 분야 선정을
통해 선도기술 확보, 신산업시장 확대 및 유망기업 육성을 위한 추진전략 수립(’22.12)
72) ①반도체・디스플레이, ②이차전지, ③첨단 이동수단, ④차세대 원자력, ⑤첨단 바이오, ⑥우주항공・해양, ⑦수소, ⑧사이버
보안, ⑨인공지능, ⑩차세대 통신, ⑪첨단로봇・제조, ⑫양자 등 최종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22.10)
73) 주요국 해양수산 R&D 투자동향 분석연구(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2)
464 ∙∙∙
<표 3-43> 해양 R&D 연도별 투자 동향
(단위 : 억 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해양 R&D 4,174 4,370 4,873 5,292 5,954
정부 R&D 196,681 205,328 242,195 274,005 297,770
해양 R&D 예산 비중 2.1 2.1 2.0 1.9 2,0
해양연구개발사업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관리하는 공모형 사업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의 기관 지원을 위한 연구기관 지원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기준으로 공모형 사업은 해양 R&D의 59.7%인 3,553억 원이 투자되었으며,
연구기관 지원사업은 40.3%인 2,401억 원이 투자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의 경우,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4차 산업혁명 융복합
기술 개발을 위한 829억 원(13.9%)을 투자하였으며, 해운분야 온실가스 저감, 해양산업 기자재
국산화 등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분야에 1,028억 원(17.3%), 해양
환경오염 대응・관리, 해양 공간활용, 기후변화 대응 등 ‘국민체감형 사회문제 해결’ 분야에
1,502억 원(25.2%), 해양수산 창업기업의 연구개발 및 성과 고도화 지원을 위한 ‘민간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에 194억 원(3.3%)을 투자하였다.
<표 3-44> 해양 R&D 분야별 투자 비중
(단위 : 억 원, %)
구 분
2021년 2022년
투자액 비중 투자액 비중
공모형
R&D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654 12.4 829 13.9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952 18.0 1,028 17.3
국민체감형 사회문제 해결 1,287 24.3 1,502 25.2
민간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 230 4.3 194 3.3
연구기관 지원 2,169 41.0 2,401 40.3
합 계 5,292 100.0 5,954 100.0
2022년 공모형 해양 R&D는 총 73개 세부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에 6개 신규사업,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분야에 7개 신규사업, ‘국민체감형 사회문제 해결’ 분야에 14개 신규사업, ‘민간의 과학
기술 역량강화 지원’ 분야에 1개 신규사업 등 총 28개 신규 세부사업이 추진되었다. 사업 일몰
종료로 인한 신규사업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44개) 사업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 46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표 3-45> 2022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단위 : 억 원)
사 업 명 2021년 예산 2022년 예산
총계 5,292 5,954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547 829
스마트 자동화 항만 상용화 기술개발 37 4
항만컨테이너자동통합검색플랫폼기술개발 72 58
해양PNT고도화기술개발 88 58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139 127
ICT 기반 항만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 40 53
수출입 자율주행차량 자동하역지원시스템 기술 개발 24 40
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개발 15 19
스마트 항로표지 및 연계기술 개발 55 73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42 56
해상디지털 통합활용연계 기술개발 35 61
(신규) 해운-항만-운송기업 간 물류연계 최적화시스템 개발 - 12
(신규) 타이어형 항만크레인 적용 자동화안전모듈 개발 - 38
(신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 164
(신규)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운송시스템 개발 및 실증 - 22
(신규) 항만 내 환적화물 자동운송시스템(무인트램) 개발 - 25
(신규)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 19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817 1,028
해양청정에너지기술개발 151 81
LNG 벙커링 핵심기술 개발 및 체계 구축 39 31
조류발전 청정재생에너지 시스템 개발 60 21
해양장비연구성과활용촉진 85 72
수소선박안전기준개발 79 51
전기추진 차도선 및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개발 127 22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개발 및 실증 73 91
선체부착생물 처리기술 개발 30 50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어선 개발 연구 60 83
해양수산산업 핵심 기자재 국산화 및 표준화 기술개발 65 86
해양플랜트 친환경 해체 실용화 기술개발(다부처) 48 186
(신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 68
(신규) 중소선박 보급용 온실가스 저감장치 개발 - 34
(신규) 해양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생산기술개발 - 31
(신규) 내항선박 연료전화 및 효율향상 기술개발 - 44
(신규)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 24
(신규) 해저공간 창출 및 활용 기술개발 - 33
(신규) 해양레저장비 및 안전기술 개발 - 20
466 ∙∙∙
사 업 명 2021년 예산 2022년 예산
3. 국민체감형 사회문제 해결 기술개발 1,287 1,520
해양과학조사 및 예보기술개발 137 116
해양수산환경기술개발 171 46
안전한 항만 구축 및 관리기술 개발 113 71
무인항공기 기반 해양안전 및 수산생태계 관리 기술 37 33
선박배출 미세먼지 통합저감 기술개발 85 48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91 83
해양산업시설 배출 위험유해물질(HNS) 영향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30 40
대규모 CCS 통합실증 기반 구축(다부처) 31 40
스마트 해양조사 및 정보 활용 기술개발 75 78
EEZ관심해역및해양과학탐사기술개발 85 94
관할해역 첨단 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융합연구 50 53
심해저 광물자원 기술개발 35 79
과학기술 기반 해양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 69 65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 이동체 시스템 기술개발(다부처) 25 27
극지 및 대양과학연구 186 102
극지 해양환경 및 해저조사 연구 67 86
(신규)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 조성 기술개발 - 58
(신규)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 - 32
(신규)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대응 및 관리 기술 개발 - 73
(신규) 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 개발 - 38
(신규)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친환경 선박 개발 및 실증 - 18
(신규) 천리안 2B호 산출물 정확도 향상 연구 - 34
(신규) 머신러닝 기반 해저면 특성 분류 및 피복정보 생성 기술 개발 - 23
(신규) 해상풍력, 수산업, 환경 공존 기술개발 - 24
(신규) 인도양 한-미 공동 관측 및 연구 - 29
(신규)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반응・변화연구 - 26
(신규) 북서태평양 온난화 및 태풍 발생 연구 - 26
(신규) 해양 기후변화 진단 및 장기전망 연구 - 24
(신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 34
(신규) 해양수산 과학기술 국제협력 고도화 기술개발 - 20
4. 민간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 179 174
해양산업 수요기반 기술개발 141 55
해양수산 기술창업 Scale-up 38 70
(신규) 해양수산 신산업 기술사업화 지원 - 49
5. 연구기관지원 2,169 2,401
∙∙∙ 46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주요 연구성과
2022년도 해양R&D의 SCI 논문 연구성과 및 기술이전 건수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코로나19 피해지원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료 납부유예 제도 시행 등으로 기술료 및 사업화 실적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3-46>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단위 : 건, 백만원)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SIC 논문 630 628 670 737 767
기술이전 계약 87 148 114 97 130
기술료 2,430 3,482 1,986 1,955 1,625
주) 해양수산 R&D 중 공모형 R&D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종료사업 포함), 2022년 성과는 예측치
2022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는 해양분야에서 ‘방파제 연계형 파력발전 실증플랜트
구축 및 시범운용・기술이전’ 성과가 선정되었다. 국내기술로 원격 도서의 어항방파제에 파력
발전을 연계하여 전력 공급시스템을 구축한 점을 높게 평가 받았으며, 향후 관련 업체에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사업화 기반도 마련될 전망이다.
[그림 3-98] 해양분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분야별 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주요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전략인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에서는 한반도 인근에 초정밀 PNT(위치・
항법・시각) 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한국형 독자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사업이 다부처로
착수되었으며, 해양정밀 PNT 및 지상파 통합 항법시스템(R-Mode)의 단위시스템 시제품이
제작되었다.
두 번째 전략인 ‘한국형 뉴딜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전략산업 육성’ 분야에서는 파력발전에서
468 ∙∙∙
발생되는 전력으로 해수를 담수화・수전해하여 청정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해양재생에너지 연계
해양그린수소 생산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수중로봇의 사업화를 위해 수요처 기반의 트랙레코드를
확보하였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노후 해양플랜트 3기를 해체・실증하여 국외 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세 번째 전략인 ‘국민체감형 사회문제 해결’ 분야에서는 북극해 고위도 연구수행이 가능한
친환경 쇄빙연구소 건조가 착수되었으며, 남극연구활동 진흥을 위한 제4차 남극연구활동진흥
기본계획(’22~’26)이 수립되었다. 해양환경관리를 위해 해양에 분포한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원을
규명하고, 생태계 위해성에 대한 환경권고기준을 마련하였다. 해양 예・경보 시스템 정확도 제고를
위한 해양위성정보 정확도 향상 기술을 개발하고, 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을 개발하여
과학적인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민간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 분야에서는 기업역량 제고 및 시장창출 산업
생태계 활성화 마련을 위한 해양신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지원사업이 신규
착수되었다. 해양수산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연구개발정보 및 연구인프라 공동
활용을 위한 규정을 제정(’22.9)하여 공동활용 절차와 지원방법 등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3) 향후 계획
2022년은 향후 5년간의 해양수산과학기술의 정책방향을 담은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3~’27)이 수립되었다. 2021년부터 사전 통계조사를 진행하여 왔으며, 1차 기본
계획에 대한 성과점검, 대외 환경반영, 새정부의 정책기조와 과학기술 정책을 반영하여 최종
4대 추진전략 및 12대 추진과제, 10대 국가 해양수산 전략기술 플래그십이 도출되었다. 향후
기본계획에 따른 R&D 투자와 중점 기술개발이 이루어진다면 해양수산 분야의 친환경・디지털
전환 및 사회문제해결 역량은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해양
1) 개요
바다는 인류에게 식량과 자원・에너지를 제공하며, 급격한 기온 변화를 막아주는 인류 생존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이고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진 국내에서도
바다는 식량과 자원의 보고로 인식되어 과학기술에 의한 활용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하지만,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양환경 변화, 해양쓰레기로 인한 해양환경 파괴는 인류가 해결해야
∙∙∙ 46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할 당면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양 재난・재해 증가,
어촌인구 감소 및 고령화 심화 등 현안 해결에 대한 과학기술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수요에 대응하여 해양수산 R&D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해양수산과학기술
수준은 아직까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80.1%로 3년 9개월의 기술격차가 존재74)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투자 정책에 힘입어 중국의 기술수준은 우리나라를 근소한 차이로 추격 중에
있어 이에 대응한 해양수산과학기술 분야의 맞춤형 전략과 투자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
이다.
<표 3-47> 2020년 해양수산과학기술 국가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전체)
구 분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기술수준 80.1% 79.7% 85.8% 98.6% 100.0%
기술수준 그룹 추격 추격 선도 선도 최고
기술격차 3년 9개월 3년 10개월 2년 6개월 5개월 -
순위 4위 5위 3위 2위 1위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국가과학기술 동향분석 및 전망예측75)에 따르면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 사회구조의 변화,
디지털 전환가속화, 사회와 자원의 고갈, 미・중 강대국 패권경쟁과 세계질서의 변화, 코로나,
감염병 등 새로운 위험의 일상화 등이 세계 5대 메가트랜드로 제시하고 있다. 해양과학기술
분야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주요국들은 이에 대응해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민관이 협력한 빅데이터, 슈퍼컴퓨터 기반의 해양예측시스템 개발과
파력 등 친환경 해양재생 에너지 상용화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중국은 해양・항만물류
분야의 스마트화와 함께 일대일로 전략과 연계한 우주, 심해, 극지의 자원을 탐사하기 위하여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아울러, EU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과 함께 스마트 항만물류 기술개발에 주력 중에 있으며, 일본은 첨단물류처리 분야에 기술
개발을 집중하고 있는 추세이다.
74) 해양수산과학기술 기술수준평가(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2,6,)
75)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2.6,)
470 ∙∙∙
나) 국내동향
해양수산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여
해양수산 분야 혁신성장에 기여하고자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을 발표(’19)하였다. 이후
빠르게 변화하는 현장 환경에 대응하고 범정부 디지털 전환에 발맞추어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을 확대 개편하였다. 해양과학기술분야 추진 전략은 ‘해상물류 :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과 ‘해양 : 국민의 삶 속에 스며드는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제시하였다.
(1) 해상물류 :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
스마트항만 구축, 완전 자율운항선박(IMO Level 4수준) 활용 등 국내 항만은 디지털 및
스마트화 전환이 진행 중에 있다. 특히, 터미널 운영사의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1)으로
인사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기술 개발에 투자를 늘리고 있어 항만의 무인화 및 스마트화 기술
개발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항만 내 한국형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이송시스템의
자율협력주행 Level 4 및 통합 시스템의 세계최초 상용화가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항만 내
인접한 컨테이너 터미널 간의 화물 자동 이송 시스템 기술개발이 2022년 착수되었다. 이는 화물의
타 부두 이동을 기존의 도로운송에서 친환경 무인 순환레일인 입체형 기반시설로 변경시켜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여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타이어형 항만 내 타이어형 항만크레인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 및 영상인식 기반
안전모듈을 개발하여 항만 내 주변 위험을 감지하고 회피가 가능한 안전사고 예방 기술이 개발・
추진되고 있다.
해운물류 분야는 디지털 데이터의 끊김 없는 연결과 공유를 통한 빅데이터 확보, 처리 및
분석이 가장 중요하다. 해상-항만-육상의 물류를 인공지능 기술로 연계하여 수출입 물류 최적화
서비스를 개발사업이 신규로 착수되었다. 또한, 디지털 신기술 장비 및 소프트웨어의 검인증
서비스가 가능한 시뮬레이션 기술 및 항만-선박 통합 통신 기반 기술 개발을 통해 육상과 해상
사이의 디지털 간극을 좁히고 데이터 교환 및 안정성 검증이 가능할 것이다.
∙∙∙ 47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림 3-99]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 연구내용
(2) 국민의 삶 속에 스며드는 해양수산 스마트화
해양재난・재해에 의한 피해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환경 변화로 인하여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등 핵심 디지털 신기술을 기반
으로 해양 예측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물리적 역학법칙에 기반을 둔 수치모델링과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적용된 인공지능 모델을 접목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해양 예측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대형화되고 유형이 복잡해져가는
해양재해・재난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2022년은 신규 사업으로 ‘한국형 연안
재난재해 피해저감 기술개발(K-Ocean Watch)’을 예비타당성 사업 규모로 기획하고 추진 중에
있다.
[그림 3-100] 한국형 연안재난재해 피해저감 기술개발(K-Ocean Watch)
3) 향후 전망
미래에도 해양을 근원으로 하는 기술적 우위 선점과 해양자원을 활용한 산업수요는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해양과학기술의 시장 선도를 통한 기술 주도가 반드시 필요한
시점에서 해운・항만・해사 등 세계 단일 시장으로 국제 표준화 분야에서 기술 선점이 매우 중요해
472 ∙∙∙
졌다. 국제해사기국(IMO) 규제 강화에 따른 친환경선박, 자율운항선박 등 디지털・스마트화
체계로 시장이 개편되고 있어 핵심기술 확보가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IoT와 빅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하여 국민들이 빠르고 편리한 실생활 서비스를 이용
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의 IT가 수중로봇과 드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만나 해양과학기술의 발전을 가속화시키면서 기존 해양산업의 현안인 노동력 부족, 생산성
저하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아갈 것이다.
아울러, 해양예측 신기술 개발은 단기뿐만 아니라 중장기 해양 재난・재해 예측 정보를 생산
하고 시간적・공간적 대응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관련 시장이 시작 단계인
점을 고려해 볼 때 슈퍼컴퓨터 등 관련 인프라 구축, R&D 투자 확대 등에 있어 선택과 집중의
맞춤형 투자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이다.
극지
1) 개요
최근 북극은 지구온난화 평군 속도보다 4배 빠르게 온난화가 진행(’22년 기준)되고 있고,
북극 해빙도 역대 관측 기록 중 10번째로 적은 면적(467만㎢)을 기록(NASA, 2022년)했다.
남극도 남극 동부의 기온이 평년보다 최소 32도 높은 온도를 기록(프랑스 그르노블 대학,
2022년)하고, 우리나라 세종과학기지도 역대 최고기온(13.9도)을 기록(’22년)하였으며, 남극
해빙도 사상 최저치(190만 ㎢)를 기록(그린피스, 2022년)했다.
이렇듯, 극지는 현재 지구의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빠르게 받고있는 지역이다. 동시에 극지의
환경변화는 극지역 환경과 생태계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인 환경변화를 동시에
초래하고 있어, 극지는 ‘기후변화의 종착지이자 출발지’로 정의할 수 있다. 북극 해빙의 감소는
북극해가 흡수하는 열을 증가시켜, 북극권 대기 상층부에 극지의 찬 공기를 가두어 두는 ‘극소용
돌이’에 변화를 초래하여 한반도 등 중위도 지역의 한파, 폭설 등 재해기상을 초래한다. 또한,
남극 빙하의 용융은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며, 특히, 남극에서 가장 빠르게 녹고 있으며
우리나라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스웨이트 빙하’가 녹는 경우 해수면이
65cm 상승하고, 남극의 해류 변화는 적도에 위치한 열대수렴대를 북쪽으로 밀어 올려 동아시아
지역에도 0.2도의 온도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예측될 만큼 남극의 환경 변화도 전 지구적 기후
변화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 47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정책동향
2022년 극지 동향 주요 핵심 키워드에는 ‘기후변화’에 추가로 ‘안보’ 이슈가 주목을 받았다.
극지 과학연구는 특성상 탐사를 위한 협력과 국제공동연구 등의 협업이 필수적인 분야이다.
그동안 국제 정세의 위기 속에서도 남・북극 글로벌 거버넌스체계에서 협력은 지속되어 온 경향이
있으나, 최근에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로 인해 북극에서의 협력이 중단되고, 남극에서의
협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우선, ‘북극이사회’의 경우, 러시아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의장직을 수행 중이나, 올해
3월 러시아를 제외한 7개 회원국이 북극이사회 회의 참석을 보이콧하였으며, 6월에는 러시아를
제외한 채 제한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면서 현재 북극이사회 활동에 있어 러시아와의 협력은
중단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국제북극과학위원회(International Arctic Science
Committee, 이하 IASC)’에서도 올해 3월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에 대해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러시아를 제외한 북극이사회 관련 성명에 지지를 표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과학 협력에
있어서도 러시아와의 협력은 중단된 상황이다. 북극과학 협력 강화를 위해 북극이사회 의장국과
개최국이 2년마다 개최하던 ‘북극과학장관회의’도 당초 2023년 러시아와 프랑스가 공동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북극이사회 활동이 러시아를 제외한 채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개최를 희망하여 국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나, 그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남극에서도 올해 5~6월 개최된 제44차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 이하 ATCM)에서 국제정치적 긴장 관계가 남극 거버넌스 회의체 운영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례가 있었다. 우크라이나는 정보 문서 85호(Information Paper 8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 상황에 따른 우크라이나의 국가 남극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서의 난제와 교훈’
문서를 제출하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 공동의 대응을 촉구하였다. 이에 대한
러시아의 반박 발언이 진행되는 동안 우리나라를 포함한 총 29개국 협의 당사국 중 24개의
협의당사국이 회의장에서 퇴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개회식에서 독일 외교부, 환경부의 기조연설
내용에 러시아의 행동을 규탄하는 내용 등이 있어, 최종보고서 채택 시 우크라이나의 문건과
독일 측 발언 내용을 포함할지를 두고 러시아와 중국 등이 반발하여 관련 내용이 합의에 이르지
못했음을 명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캐나다가 협의당사국 지위를 신청하였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로 제 44차 ATCM에서 캐나다가 협의당사국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2022년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로 발생한 국제적 긴장관계가 남극과 북극의 거버넌스
체계와 과학연구 협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해였다. 특히, 이러한 정세는 주요 국가들이 북극
474 ∙∙∙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안보’가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는 환경을 만들었다. 특히, 미국
백악관은 2022년 10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10년 동안 추진할 ‘북극지역 국가 전략(National
Strategy for the Arctic Region)’을 수립하였는데, 가장 앞서 제시한 전략이 안보 분야였으며,
그 다음으로 기후변화 및 환경보호, 북극권 인프라 투자, 북극이사회 지원을 제시하였다. 핀란드,
스웨덴도 2022년 5월 중립국 지위를 포기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에 가입하였으며,
NATO의 대규모 군사 훈련을 노르웨이에서 실시하는 등 북극에서의 안보에 대한 강조가 증가
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북극의 미래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도 진전이 있었다. 북극해 수산
자원 보호를 위해 2021년 6월에 발효된 ‘중앙 북극해 공해상 비규제 어업 방지 협정(CAOFA)’의
당사국총회(COP 1)가 2022년 11월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그동안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개최가 연기되었으나, 올해 한국에서 개최하면서 과학조정그룹(SCG)이 설치되고, 업무
위임내역(ToR)을 마련하였으며, 당사국 총회와 과학조정 그룹의 의장단을 선출하였다. 우리나
라도 당사국으로서 COP에 참석하였으며, 우리나라 외교부 극지협력대표가 당사국 총회에 부
의장으로 승인되었고 필요조치 이행을 위해 2023년 6월 다시 한 번 한국에서 당사국 총회를
개최하기로 협의하였다.
2022년은 국제정치적 긴장관계로 인해 남극과 북극의 거버넌스와 과학연구 협력에도 영향을
초래하였으며, 북극해 해안선의 53%를 차지하는 러시아와의 연구협력은 대부분 중단된 상태
이다. 그럼에도 러시아를 제외한 북극권 국가들은 협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CAOFA 이행과
같이 지속가능한 극지 활동을 위한 국제협력은 일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2) 연구동향
남극과 북극을 대표하는 주요 과학위원회인 ‘남극연구과학위원회(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 이하 SCAR)’와 ‘국제북극과학위원회(International Arctic Science
Committee, IASC)’에서도 2022년 극지에서의 기후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SCAR는
2022년 ‘남극 기후변화와 환경(Antarctic Climate Change and the Environment) 보고서’를
발간하여 남극조약 가입국들과 연구자들에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정책분야와 연구분야에서
각각 9가지의 권고사항을 제시하였다. IASC에서도 ‘2022 북극 과학 현황 보고서(State of
Arctic Science Report)’를 발간하여 기후변화가 현재 각 국가들의 북극지역 주요 연구 관심을
이끄는 주요한 추동력임을 밝혔다. 또한, IASC는 현재 북극 연구의 우선순위를 담은 제3차
ICARP(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rctic Research Planning)에 이어 2025년을 발표를
목표로 앞으로 10년 동안의 미래 북극과학 계획을 담을 제4차 ICARP 수립에 착수하였다. 또한,
SCAR와 IASC는 극지연구가 당면한 도전 과제 해결을 위해 국제공동연구의 시급성이 높다고
∙∙∙ 47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판단하여 세계기상기구(WMO), 국제과학위원회(ISC)등과 협력하여, ‘제5차 국제 극지의 해
(International Polar Year, 이하 IPY)’를 2032년부터 2033년까지 운영하고자 2022년 12월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이제는 극지와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극지 환경변화로 인한 재해기상
현상을 체험하게 되면서 남・북극 과학연구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와 정책적 대응,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북극과 남극에 대한 연구를 국제공동연구 형태로 강화하는 움직임 또한, 계속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북극권 대표 국제공동연구 중 하나였던 MOSAiC(Multidisciplinary drifting Observatory
for the Study of Arctic Climate) 프로젝트는 2020년 10월 종료되었으나, 연구를 통해 수집된
해빙, 대기 관련 데이터 분석이 지속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첫 번째 회의가 독일 포츠담(’22년
4월)에서 개최되었다. 아울러, MOSAiC 연구의 확장된 활동으로 육상에서의 국제공동관측과
연구를 수행했던 T-MOSAiC(Terrestrial Multidisciplinary distributed Observatories
준비하기 위한 IASC 워킹그룹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북극권 국제과학협력의 참여를 확대하고자, 2022년 6월 ’스발바르 종합 관
측망(Svalbard Intergrated Arctic Observing System, 이하 SIOS)‘에 가입하여 북극다산
과학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르 제도 내에서의 중장기 관측과 데이터 교류, 과학연구에 있어
SIOS 회원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중이다.
남극에서는 서남극에서 가장 빠르게 녹고 있는 ‘스웨이트 빙하’ 용융에 따른 해수면 상승
예측을 위해 미국과 영국이 주도하는 ‘스웨이트 빙하 국제공동연구(International Thwaites
Glacier Collaboration, 이하 ITGC)’에 우리나라도 지속 참여해 왔으며, 2023년부터는 ITGC의
후속과제에 한-미-영이 동등하게 참여하고, 연구범위를 전남극으로 확대하는 국제공동연구
(ITGC+)를 기획 중이다.
최근 극지과학에서 최대 이슈는 기후변화가 극지에 미치는 영향을 관측, 진단하여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극지의 변화가 일으키는 전 지구적 기후변화 영향 규명과 예측역량을 강화하는 것
이다. 국제 정세의 불안정으로 인해 극지 과학연구의 국제협력에서도 일부 영향은 있었지만,
국제 공동의 이슈 해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나) 국내동향
2022년은 극지연구 분야에 있어서 3가지 중요한 의미가 있는 해였다. 첫 번째, 2022년은
지난 2002년 설치된 우리나라 ‘북극다산과학기지’가 20주년을 맞는 해였다. 둘째로, 2021년
‘극지활동 진흥법’ 제정에 이어, 우리나라 최초로 남극과 북극을 포괄하는 법정 기본계획인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수립(’22. 11.)되었다. 마지막으로는,
476 ∙∙∙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을 통과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
되었다.
2022년은 성취 가운데 무엇보다 의미가 큰 것은 우리나라의 향후 극지연구 활동에 있어 중요한
목표가 설정되고 제시된 것이다. 해양수산부의 2022년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우리나라 세 번째
남극기지이자 세계에서 6번째 남극 내륙에 건설하는 기지 건설을 향후 목표로 설정하였다.
내륙기지 건설과 더불어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북극해 국제 공동탐사 기획 등 향후 10년 간
주요하게 다루어질 과제를 목표로 설정하여 이를 우리나라의 첫 번째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
(2023~2027)’에 담았다.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하 극지기본계획)’은 ‘극지활동 진흥법’
제6조에 따라 연구개발, 북극에서의 경제활동 진흥, 국제협력, 인재 양성 등 극지 활동 진흥을
위한 포괄적 내용을 담아 수립하는 법정 기본계획이다. 본 계획은 ‘국민을 위한 극지선도국가
: 미지를 향한 도전, 미래를 향한 도약’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미지의 영역 탐사 확대, 기후・환경
문제 해결 주도와 극지 산업 기반 마련, 국내・외 협력생태계 조성, 국민 참여 강화를 ‘5대 추진
전략’으로 설정하여 총 15개의 분야별 세부 추진 과제를 담았다. 특히,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3개 분야 9대 과제’를 ‘극지 프런티어 과제’로 설정하여 핵심 과제의 목표 달성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강조하였다.
<표 3-48> 5대 추진 전략 및 과제
5대 추진 전략 극지 프런티어 과제
1. 남・북극 미지의 영역 탐사 확대 미지의 영역
진출 프로젝트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활용한 북극점 공동연구 탐사
◦빙저호, 심부빙하 시추를 통한 지구의 과거 규명
◦세계 6번째 남극 내륙기지 구축
2. 기후・환경 문제 해결 주도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
◦북극 전역 해빙 변화의 실시간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 개발
◦남극 전력 빙상 용융에 따른 전 지구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제시
◦대기-해양-해빙 통합모델 기반 북극발 한반도 재해기상 예측
3.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극지 산업 기반 마련
4. 다원적 국내외 협력생태계 조성
극지 신기술
선도 프로젝트
◦친환경 쇄빙컨테이너선 건조 기술 확보
◦북극권 친환경 수소에너지 기반 탄소제로 연구인프라 조성
◦극지 생물자원 활용 신규 의약 물질 확보
5. 참여하고 소통하는 극지활동 강화
기존에는 ‘남극활동 및 환경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남극에서의 연구 활동을 중심으로
‘남극 연구활동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나, 극지기본계획은 연구뿐만 아니라 경제・산업,
국제협력, 인재양성, 국민 인식 제고 등 폭넓은 과제를 담아 수립되었으며, 극지활동을 통해
국민들에게 기여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 계획에 따라 앞으로
2030년 내륙기지 건설과 북극해 국제공동탐사 기획, 극지 홍보계획 로드맵 수립 등 극지 활동
역량 강화를 위한 주요 목표들이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될 예정이다.
∙∙∙ 47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특히,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은 우리나라 북극 진출 확대를 목표로 총사업비 2,774억
원을 투입하여 1.5m 쇄빙능력을 보유한 15,450톤 급으로 2026년까지 건조할 예정이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건조되면, 우리나의 북극해 연구활동 범위는 약3.3배 늘어나고, 북극에서 연구가
가능한 항해 일수는 약 4.5배 증가될 예정이다.
극지연구에 대한 국가적 관심 증대에 따라 극지 연구 성과도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북극을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북극 해빙의 두께를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학술지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22.10.)’에 게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에는 인공위성을 통해 해빙의 범위만 파악할 수 있었으나, 해빙의 두께
정보를 확보하여 앞으로 해빙의 녹는 속도와 부피까지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아울러, 남극을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남극의 빙하가 녹을 때 자정작용으로 속도를 늦추기도
하지만, 동시에 연쇄작용을 거치며 녹는 속도를 더 빠르게 하는 현상도 동시에 규명하였다.
연구진은 빙하의 차가운 융빙수가 빙붕 하부로 유입되는 열을 줄여 빙하의 녹는 속도를 지연
시키는 자기방어 능력을 규명하였다(Natre Communication, ’22.1.). 또한, 반대로 빙붕 가장
자리에서 녹은 물이 표층으로 올라가며 열을 전달하여 다시 빙붕의 가장자리를 녹이는 연쇄
작용이 일어난다는 점도 함께 규명하였다(The Cryosphere, ’22.9.). 이 두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는 복합적인 기작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남극 빙하의 용융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남극의 해빙은 예측과 달리 지역에 따라 5~6% 증가
하였는데, 이는 인간활동과 직접적 관련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변동성‘에 따라 남극해
수온을 떨어뜨리고, 해빙 생성을 도와 발생한 현상임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그동안 남극 해빙
변화 예측시 이러한 자연변동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였으나, 앞으로 자연변동성 영향 등을
함께 고려하여 기후예측의 신뢰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 성과를 창출하기도 하였다.
(Nature Climate Change, ’22.4.)
또한, 극지 환경에서 적응한 생물 특성과 저온 환경 연구를 통해 극지연구는 우리나라 경제・
산업과 국민 건강 등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화 성과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연구진은 극지 생물이 영하의 온도에서도 얼지 않도록 하는 ‘얼음결합 단백질’ 특성을
규명해 어떤 남극 생물이 추위에 강한지 파악할 수 있는 연구성과를 창출하였다(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2.2.). 단백질의 강성이 높을수록 얼음 결정이 잘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앞으로 얼음결합 단백질을 디자인하고, 응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어, 극지 생물 활용을 위해 극지 유래 결빙방지 단백질
2종의 대량생산 방법을 기술이전(’22.6.)하여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는 등 극지 바이오
연구를 통해 국민들이 삶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극지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478 ∙∙∙
<표 3-49> 주요 성과
주요 성과 시기 지역
◦ 새로운 ‘북극 해빙(海氷) 두께 추정 방법’ 개발 ’22.10. 북극
◦ 얼음이 녹아 흘러나온 물이 빙붕 끝단을 녹이는 현상 최초로 재현 ’22.9. 남극
◦ 극지 생물 활용 기술 통한 기술이전 성과 창출 ’22.6. 공통
◦ 남극 해빙 증가 원인 최초 규명…“수십 년 주기 자연변동성의 영향” ’22.4. 남극
◦ 얼음결합 단백질의 고활성 특성 규명…“의료, 식품 등 응용기술개발에 기여” ’22.2. 공통
◦ 남극 스웨이트 빙하, 온난화 대비 지구 ‘자기방어 능력’ 규명 ’22.1. 남극
3) 향후 전망
극지연구는 현재 세 가지 큰 도전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첫째로, 극지 연구는 그 범위와
도전성으로 인해 한 국가가 수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어, 국제 협력과 공동연구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남극과 북극에서 주요 활동국가 중
하나였던 러시아와의 협력에 어려움이 있으며, 현재의 국제 정세가 앞으로 패권적 질서가 강화
되는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2022년 ‘북극과학최고회의(ASSW)’와 ‘남극조약
협의당사국회의(ATCM)’에서 확인되었듯이 국제 정세가 이제는 극지 활동을 위한 거버넌스
협의체와 각 국가들의 과학연구 협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극과 북극 모두 러시아와의
연구 협력이 필요한 과제들이 있어 앞으로 국제사회와 우리와 같은 주요 극지활동 국가들이
이 과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며, 우리나라 또한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극지활동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극지분야 국제협력 전문가 양성이 필요한 시점
이다.
둘째로는 극지의 급격한 환경변화가 이제는 극지에서의 연구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
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 등을 통해서 공표했듯이 앞으로
남극 내륙 연구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가 개척한 남극 내륙진출로(K-루트)
활용을 위해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올해는 장보고과학기지에 들어
가기 위해 활용하는 이태리 기지의 해빙활주로가 얼지 않아 기존에 활용하던 항공기 착륙이 불
가능해지고, 기지 앞 바다의 해빙이 깨져나가면서 기지로 들어가야 하는 보급 물자 및 장비들을
하역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의 현장 활동 투입과 지원을 위한 장비,
물자 등이 당초 계획대로 투입되지 못하고 최소한의 인력과 물자만 보급되는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했다. 따라서, 현재의 급격한 극지환경 변화는 이제는 직접적인 극지 활동에도 영향
으로 초래할 만큼 그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는 아직 예측하기 어려움이
있고, 향후, 내륙연구 확대와 현재의 남극과학기지 주변 연구 활동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예측력 강화와 대비책 마련 또한 2023년에는 더욱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 47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이러한 변화로 인해 빙하나 기후 연구뿐만 아니라 앞으로 남극과 북극의 환경과 생태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 나갈지와 그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는 연구 또한, 앞으로
더욱더 강조되고 주목받게 될 전망이다.
셋째로는, 극지연구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기 위한 국민적 공감대의 형성이다. 2022년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수행한 국민과 미래세대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97% 이상이 국가 미래에 극지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앞으로 미래
세대의 극지에 대한 관심도는 5060세대 71.7%에 비해 30% 정도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극지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일반국민과 미래세대 모두 60%가 넘는 응답자들이 인지하고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극지활동 진흥을 위해 설정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내륙
기지 건설 등의 대표적 과제 이행을 위해서는 국가적 재원이 소요되는 만큼 극지활동의 필요
성과 성과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를 통해 국민적 공감대 확보를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2022년 수립한 우리나라의 극지 정책이 그 목표를 달성한다면, 우리나라는 앞으로 미국과
유럽 선도국에 비해 부족하지 않은 극지활동 기반시설(남극과학기지 3개소, 북극과학기지 1개소,
쇄빙연구선 2척)을 갖춘 국가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는 남극과 북극의 환경변화
관측과 진단을 통해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 극지의 변화가 초래하는 전 지구적 변화를 예측
역량 확보에 대한 국가적 기대에 부합해야할 것이다. 또한, 극지 특성을 활용한 응용 기술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산업과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는 극지연구를 창출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
3. 기상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2022년 8월 8일 서울시 동작구에 시간당 141.5㎜의 비가 내려 기상관측 사상 1시간 강수량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초강력 태풍 힌남노가 북상하여 큰 피해를 주는 등 올해도 이례적인
수준의 위험기상이 빈번히 나타난 해였다. 그간 기상청은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호
하기 위하여 노력해왔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기상은 점점 더 예측이 어렵고 위협적으로
다가오고 있는 현실이다.
480 ∙∙∙
기상청은 올해 ‘기후위기시대, 가치를 더하는 기상기후서비스’를 정책목표로 삼고 예보, 관측,
기후,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분야에 대해 931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여 호우특보
선행시간 대폭 향상(78분→153분), 피해 가능성이 있는 규모 4.0 이상의 지진에 대한 지진속보
발표시간을 크게 단축(20~40초 → 5~10초)시키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기후변화 위기의 시대에서 살고있는 현재, 갈수록 기상・기후 현상을 예측하고 규명하기는
어려워지고 있지만,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기상・기후 분야
고유의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예보기술
기상청은 위험기상으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위험기상 예측역량을 강화하고,
수치 예측기술 고도화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호우특보 선행시간을 2021년 78분에서
2022년 153분으로 대폭 향상시켰으며,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태풍 연구를 통해 태풍진로
거리오차를 감소시켜 태풍 ‘힌남노’ 등의 대응에 기여하였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날씨예보를
위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 개발 연구에서는 한반도 상세 지형 특성이 반영된 지역모델
(3km) 개발을 통해 1시간 간격의 상세한 날씨예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태풍 힌남노 관련 언론보도
(매일경제, 9.7.)
호우특보 선행시간(최근 5년)
한국형 수치모델 고해상도 지역모델
개발
자료 : (좌) 매일경제, (중) 기상청 2022년 주요정책과제 보고서, (우) 기상청 자체연구개발과제 2022년 연차보고서
[그림 3-101]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나) 관측기술
기상청은 2025년 완료를 목표로 미래의 스마트한 사회환경 구현에 필요한 기상관측장비
핵심기술 및 관측자료 활용기법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관측장비 16종76)이 갖추어야
76) 온도계, 강수량계, 습도계, 기압계, 일사계, 일조계, 적설계, 풍향계, 풍속계, 증발량계, 자료처리기, 시정계, 운고계,
파고계, 파항계, 라디오존데
∙∙∙ 48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할 성능에 대한 시험절차와 표준기술을 개발하고, 해외 의존도가 높은 기상레이더 신호처리기,
해상용 초소형・초경량 라디오미터의 국산화를 위한 설계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2025년까지
전국 26개 고속도로에 설치 예정인 도로기상 관측망의 설계 기준을 마련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날씨 조절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강우 연구를 지속적
으로 강화하고 있다. 9월과 10월에는 공군과의 협력으로 항공실험을 통한 두 차례의 인공강우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데, 특히, 9월 실험에서는 무강수로 예보되었던 영서지방 미시령
에서 1㎜의 강수가 관측되는 성과를 얻었다.
항공실험경로(90분, 고도: 1.16∼2.0 km) 인공강우 수치모델 결과 인공강우 관련 언론보도(KBS, 3.18.)
* 적색/노란색: 공군항공기 경로
* 녹색: 기상항공기 경로
자료 : (좌, 중) 기상청 자체연구개발과제 2022년 연차보고서, (우) KBS
[그림 3-102] 인공강우 항공실험 결과 및 언론보도
원격관측기술 분야에서는 기상레이더와 기상위성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기상레이더 분야에서는 우박에 의한 피해를 사전에 대응하기 위해 기상레이더 기반 우박탐지
기술을 개발하여 ‘우박가능’, ‘우박위험’ 정보를 예보관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
하였다. 그리고, 기상위성 분야에서는 우리 위성인 천리안위성 1호와 2A호가 10년간(2011~
2021년) 축적한 관측자료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해 ‘천리안위성 일사량 기후자원지도’를 산출
하여 한반도 기후변화 감시 및 신재생에너지 수요 확대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게 되었다.
다)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
기상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기후위기에 대비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과학정보 및 기후예측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 유난히 심했던 가뭄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일 단위
기상 가뭄 10일 예측정보’를 개발하였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기반해 온실가스 감축 없이는
21세기 말 한반도 유역의 극한 강수량이 최대 70%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분석
하였다. 또한, SSP(Shard Socioeconomic Pathways) 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존 남한
482 ∙∙∙
영역 1km 단위에서 행정구역 단위까지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기후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마련하였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 단위 기상 가뭄 10일 예측정보 행정구역별 미래전망정보 서비스 예시
자료 : 기상청 2022년 주요정책과제 보고서
[그림 3-103]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라) 융합기상 기술
기상청은 미래 사회의 수요자 맞춤형 기상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도시 운영에 필요한 기상
서비스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올해는 시범지역인 서울시 송파구와 시흥시 정왕동
지역의 10m 격자의 상세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폭염-한랭 통합 한국인 보건영향
분석 표준모형’ 원형을 개발하여 특허를 등록하고, 관련 기술을 이전하여 연구 성과의 활용성을
높였다. 또한, 항공기상 분야에서는 고해상도 수치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직급변풍 예측 시스템을
전국 18개의 모든 공항으로 확대 구축함으로써 안전한 항공 운항을 위한 의사결정에 기여
하였다.
열정보 일사량 인지온도 바람길
자료 : 기상청 2022년 주요정책과제 보고서
[그림 3-104]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지역 기상정보 상세모델(10 m 해상도) 산출물
마) 지진 및 화산 감시기술
기상청은 지진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 및 안전 확보를 위해 지진통보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을
∙∙∙ 48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개발하였다. 그 결과, 피해 가능성이 있는 규모 4.0 이상의 지진에 대한 지진속보 발표 시간을
기존 20~40초에서 5~10초 수준으로 앞당겼고, 예상진도 Ⅵ 이상 지진 발생 시 국가주요시설에
대한 현장지진경보를 기존 5~10초에서 3~5초 수준으로 단축하였다. 또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영상 기반 백두산 원격감시를 통한 지표변위 산출 기간을 기존 6개월
에서 3개월로 단축하여 한반도 화산활동 감시를 강화하였다.
3) 향후 계획
기상청은 올해 12월에 수립한 ‘제 4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23~’27)’에서, ‘다시 도약하는
기상・기후서비스 더욱 안전한 국민의 나라’라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추후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예・특보 서비스,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신뢰도 높은 과학정보 제공, 세계 수준을
선도하는 초격차 미래 기상기술 확보를 목표로 다각적인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2023년도부터는 위험기상(호우, 대설, 강풍, 파랑, 해일, 태풍 등) 예측 기술 개발에
특화된 ‘위험기상 선제대응 기술 개발’ 사업을 착수할 예정으로, 이 사업을 통해 더욱 복잡・
강력해지는 한반도 국지 위험기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기상재해 저감 능력을 높이고자 한다.
나. 동향 및 전망
1) 개요
2022년 2월 27일,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y Organization)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제6차 평가
보고서(AR6) 제2실무그룹보고서(WorkingGroup Ⅱ)를 승인하였다. 기후변화 영향, 적응,
취약성에 대한 이번 보고서는 기후 리스크를 이해하는데 있어 기후와 인간시스템, 생태계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했으며, 제5차 평가보고서(2015년) 이후 기후변화로 인한 물 안보, 빈곤, 건강
등에 대한 전지구적 영향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하였다.(WMO, ’22.2.28.). 전 세계적으로도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태풍, 집중호우, 폭설, 한파, 폭염 등과 같은 위험기상 현상이
강해지고 자주 발생하고 있다.
2022년 기상 분야에서는 2021년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상에 관한 연구뿐
아니라 기후 관련 연구로 기후변화를 관측하기 위한 연구, 그리고, 기후변화로 더욱 강화된 위험
기상과 재해에 관한 원인 규명과 대책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또한, 탄소를 포함한
기후변화 관련 물질 배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 더 정확한 날씨 예측을 위한 관측과 수치
예보 기술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었다. 첨단장비를 이용한 지상 및 고층 기상관측과
컴퓨팅 능력의 향상에 따른 고해상도 예측에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등을 활용하여 기후
484 ∙∙∙
변화로 인해 예측하기 힘들어지는 기상 예측정확도를 높이려는 노력이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
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2022년 개최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에서는 기후 취약국들의 손실과
피해보상(금융지원)에 대한 논의가 ‘기후 정의’의 원칙을 반영하여 원칙적 합의에 성공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검증 이슈는 강화될 것이며, 누적 온실가스 배출 17위로
수준인 한국의 향후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노력과 이에 부응하는 책임에 대한 논의는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배출에 의한 지구온난화, 이에 따른 기후변화에 의한 위험기상 현상은
전 세계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원인 규명과 대처방안 등의
노력을 위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 및 기상재해의 빈도 증가에 따라 관측 및 예보 정확도 높이기 위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신기술의 개발에 따라 관측 방법에 대한 새로운 도입 및 이에 따른 데이터 관리 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상관측 분야는 센서의 소형화, 정밀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상서비스 분야는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 수요자 맞춤형 정보 제공 및
데이터 가공을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UCAR(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에서 추진하는 3D-PAWS(3D-Printed
Automatic Weather Station) 프로젝트는 3D 프린트한 자체 계측기에 강우량, 온・습도 및 기압
센서를 적용하여 관측에 성공한 이후, 추가적으로 강설량과 하천・해일의 높이 측정이 가능한
센서 적용을 위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3D 프린트를 이용한 이번 시도는 기존의 기상관측
장비 보다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기상 관측의 접근성을 높여 지역별 데이터 격차가 해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과 세일드론(Saildrone)은 2022년 허리케인
시즌 동안 허리케인 데이터 수집 및 예측 모델 개선을 위해 7대의 해양 드론은 서부대서양,
카리브해와 멕시코만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세일드론(Saildrone)의 드론에는 돛처럼 보이는
특별한 ‘허리케인 날개(Hurricane wing)’가 장착되어 있어 허리케인의 강풍을 견뎌내고, 사람을
대신하여 위험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날씨, 환경 및 산업 측정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바이살라(VAISALA)는 ‘X-weather’의 출시를 발표했다. X-weather는 최신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하는 지능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하는 선도적인 예측 및
관측 서비스 제품군이다. X-weather 서비스는 도로 상태 및 대기질에서 열파 감지 및 낙뢰에
이르기까지 전례 없는 양의 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 48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미 항공우주국(NASA)과 구글(Google)은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해 대기질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예측을 개선할 수 있도록 기존 파트너십을 확대했다. 확장된 협업은 NASA 데이터와 Google
Earth 엔진 데이터 스트림을 연결하여 거의 실시간으로 고해상도 대기질 지도를 생성하는 고급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NASA 연구에 따르면, 홍수 및 폭염과
같은 극심한 기상 현상이 시간과 공간에서 점점 더 가까워져 농작물 실패, 산불 및 기타 사회
위험을 높일 것임을 보여주었다. 2,10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최소 3일 동안 지속되는 극심한
폭염이 지금보다 2~4배 더 자주 발생하고, 3일 동안 극단적인 강우량은 빈도가 10%에서
50%로 증가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많은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나) 국내동향
기상청에서는 고층 기상관측을 위해 레디오존데, 라디오미터, 윈드프로파일러, 기상레이더,
인공위성 등의 장비를 활용하고 있다. 이 중 라디오미터는 해외의 고가 장비로써, 국산화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 위험기상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해상부이와 선박 및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비고정형 라디오미터를 개발 중에 있으며, 초소형, 초경량 라디오미터 관측 및
분석시스템을 개발・검증하고 있다. 또한, 기상레이더의 핵심기술인 신호처리 기술도 라디오미터와
마찬가지로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어 국내 기술개발을 위해 추진되고 있다.
최근 계속되는 폭설, 폭우 등 이상기후로 도로재난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악천후로
인한 교통사고의 치사율은 ‘맑음’ 상태일 때 보다 평균 약 2.3배 높아 도로 방재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산업계에서는 자율주행차 개발에 필요한 도로기상 및 노면상태
식별력 제고를 위한 각종 센서 정확도 향상기술, 가상현실을 이용한 기상상태별 자율주행 시뮬
레이션 기술도 개발 중에 있다. 도로관리 측면에서는 도로기상정보 제공에 대한 기술개발과
자율주행차 관련 융합기술의 지속적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기상예보 분야의 연구개발 사업은 기상청의 주요 임무로서, 수치예보분야인 기상재해 사전
대비 중심의 시・공간 통합형 수치예보기술 개발 출연 R&D 사업은 한국형수치모델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졌다. 영향예보 분야는 2022년도 종료예정인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출연 R&D 이후에는 개발된 기술을 중심으로 고도화
과정의 자체연구 및 용역이 계획되었다. 인공지능 분야는 인공지능 기반 강수예측정확도 개선,
인공지능 기반의 예보관 의사결정 지원 기술 개발, 기상-AI 데이터의 다분야 활용 확산을 목표로
기상청 자체 R&D로 현업화를 목적으로 사업이 진행되었고, 위험기상 분야는 2023년 신규
출연 R&D 사업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486 ∙∙∙
기후와 관련된 연구는 기상이변 발생 현황, 발생 원인 분석 및 규명,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유발물질의 배출 강도, 기후변화 대응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 다양한 주제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구 기후의 변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미래 기후의 예측을 위해서 대기, 해양,
해빙 등이 결합되어 있는 전지구 기후 모델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세계 많은 기관에서는 각자
개발, 운용 중인 전지구 모델들을 같은 조건에서 적분하여 미래 기후 예측을 생산하며, 기후
변화 대응에 노력하고 있다(CMIP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또한, 세계기상기구 통합전지구온실가스과학정보시스템(IG3IS, Integrated Global Greenhouse
Gas Information System) 이행사업의 일환으로 관측자료에 기반한 지역 규모 고해상도 하향식
온실가스 배출량 감시 시스템 개발 과제가 진행 중에 있다. 전남대학교 함유근 교수팀은 2000년대
이후 중태평양 엘니뇨의 발생이 남인도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쌍극자 형태의 변동을 보이는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세계적인 학술전문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5일자에 발표
했다. 또한, 이를 활용하면, 엘니뇨 발생을 최대 14개월 앞서 예측할 수 있어 기상이변에 따른
각종 재난・재해 대비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3) 향후 전망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이 다양한 형태와 규모로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어 점점 예측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다양한 방면에서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2022년의 기상 관련 연구에서도 이러한 점을 볼 수 있었다. 탄소중립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시대적 요구 등으로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Korea-Urban
Air Mobility) 등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은 지속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특히,
기상이변에 따른 위험기상, 이에 따른 재해, 원인 규명, 그리고 대응하기 위한 관측, 수치예보
등의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4.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기후변화란 사람의 활동으로 인하여 온실가스 농도가 변함으로써 상당 기간 관철되어 온
자연적인 기후변동에 추가적으로 일어나는 기후체계의 변화를 말한다. 기록적인 폭우와 한파,
극심한 가뭄과 초대형 산불 등 급격한 기후변화는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최대의 위협으로 간주
∙∙∙ 48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되고 있다. 이제 기후변화는 우리의 일상은 물론이고, 미래 세대의 생존권마저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사회적 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친환경・저탄소 경제로의 전환과 기술혁신 기반의
탄소중립을 뒷받침하고자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분야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등), 이차전지, CCUS(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활용), 기후변화적응, 미세먼지 분야 등에 2022년 총 1,333.8억 원을 지원하였다.
<표 3-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주요 R&D 지원현황
(단위: 억 원)
구분 주요 사업 ’22년 예산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바이오에너지,
수소・연료전지)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449.95
이차전지 ∙ 단계도약형탄소중립기술개발 97.45
산업 저탄소화
/자원순환
∙ 석유대체친환경화학기술개발
∙ C1가스리파이너리
295
에너지 효율향상 ∙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 84
CCUS
∙ Carbon to X 기술개발
∙ 탄소자원화 플랫폼화합물 제조기술 개발
∙ 대규모 CCS 통합실증 및 상용화 기반구축
294.9
미세먼지
∙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 동북아-지역 연계 초미세먼지 대응기술개발
112.5
총 계 1,333.8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신재생에너지 분야
태양전지 분야 주요 성과로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세계 최고 고효율・대면적 제조기술(21.6% @25cm2)이 개발되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공정 온도저감 및 시간축소, 대면적 안정화 유지 기술 등이 주요
난제로 인식되는데, 동 기술은 저온 공정으로 짧은 시간 내에 얇고 균일한 전자 이송층을 제조
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받는다.(’22년, Science 게재)
또한, 양면입사 CIGS 셀구조의 계면 캐리어 이송 성능을 향상한 고효율화 기술 및 무손실
레이저 에칭기술을 기반으로 광발전효율과 투과율 조절이 자유로운 고안정・반투명 CIGS 태양
전지 모듈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는 모듈 발전효율 11.1%(투과면적 30%)를 달성한 세계 최고
488 ∙∙∙
수준의 반투명 태양전지 기술로서 향후 건물/자동차 창호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22년,
Progress in photovoltaics, 표지논문 게재)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대표적인 성과로는 목재를 열분해하여 바이오 항공유를 생산하는 촉매를
개발하였다. 기존에는 촉매 수명이 짧아 장기 운전이 어려운데 반해, 개발된 촉매는 촉매 수명을
연장하고 원료의 손실을 줄여 장시간 운전으로 탄소 활용율 59% 달성하여 세계 최고 수준
기술을 확보하였다.(’22년,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게재)
또한, 바이오매스로부터 고분자 원료인 알파올레핀을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촉매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석유계 원료 대비 이산화탄소를 50% 이상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카르복실산 수소화 반응과 탈수 반응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촉매의 특성을 조절한 신규 촉매시스템 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수준의 알파올레핀 생산 수율을
달성하여 상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22년, Green Chemistry 게재).
고효율・대면적 페로브스
카이트 태양전지 제조기술
반투명 CIGS 태양전지
모듈기술
나무 유래 바이오항공유
생산 촉매 반응 기술
바이오 알파올레핀 생산
고효율 촉매 공정기술
수소 분야에서는 선도형 알칼라인 수전해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통해 해외 상용 경쟁기술
대비 수소생산밀도 2배 이상 향상된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알칼라인 수전해용 전극 및 분리막
기술을 관련 기업에 이전하였다. 또한,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 탈수소화 반응을 위한
다공성 실리카 기반 나노촉매를 개발하였으며(’22년, Applied Catalysis B-Environmental
게재), 수소 추출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양을 기존 상용 촉매 대비 20분의 1수준으로 줄임과
동시에 약 2.2배의 탈수소화 성능을 확보하였다.
∙∙∙ 48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 선도형 알칼라인 수전해 셀 및 핵심 소재/부품 기술 개발(KIER 조현석)
- 선도형 알칼라인 수전해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통한 해외 상용 경쟁기술
대비 수소생산밀도 2배 이상 향상, 그린수소 생산 시스템 가격 30% 저감
효과, 전극 및 분리막 등 핵심 소재/부품 기술 국산화 100% 효과
-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알칼라인 수전해용 전극 및 분리막 기술이전 계약 중
1건(정액기술료 7억+경상수수료)
※ 국내특허 출원3검 및 등록3건, 해외특허 출원1건(유럽, 22204192.3)
■ LOHC 수소 추출 공정을 위한 불균일계 촉매 개발(KIST 손현태, 포스텍 윤창원)
- LOHC 탈수소화 반응을 위한 다공성 실리카 기반 나노촉매 개발
- 촉매에 사용되는 백금 입자의 크기 1~2 nm로 균일하게 제어, 이를 통해 기존
촉매와 비교해서 성능 2.2배 증가, 부산물 생성 5% 감소
※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307, 121169. 2022(IF: 19.503)
※ 가스신문, 동아사이언스, 헤랄드 외 7개 언론홍보
나) 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 분야
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 분야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전기화학 합성
기술개발연구 성과가 탄소중립 시대에 부합한 새로운 사업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22.11.) 또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바이오 플라스틱과 탄산
칼슘을 생산하는 기술 실증에 성공하는 등 이산화탄소의 화학적・생물학적・광물탄산화 전환을
위한 원천기술을 전략적으로 확보하였다.
CO2를 전기화학적으로
전환하여 고부가 화합물을
생산하는 기술 개발
CO2를 활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실증 실증
CO2와 탈황석고를 활용한
광물탄산화 기술 실증
(탄산칼슘 생산)
고효율 F-T 합성용
성형촉매 및 마이크로
반응기 기술개발
다) 미세먼지 분야
미세먼지 분야는 예보・예측, 배출・저감, 국민 보호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광주과학기술원 연구팀은 초미세먼지 예측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형 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미세먼지 예보 담당관이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더욱 개선된 초미세먼지 조기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90 ∙∙∙
배출 저감 분야에서는 주요 배출원별 다양한 저감기술 개발과 실증을 추진 중이다. 한국과학
기술연구원 연구팀은 저온(220℃→200℃)에서도 기존과 동일한 수준의 질소산화물 제거
(90%)가 가능한 SCR 촉매를 개발하였고, 실제 석유화학공장 자체 산정 결과, 질소산화물 제거
온도를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연간 스팀 사용량 4,000톤을 저감함으로써, 비용 절감에 기여
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중소사업장 대상 실증에서는, 주요 미세먼지 저감 장치인
백필터(Bag filter)의 길이를 축소(5.52m→3.6m)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재비산/진동/터짐 등을
개선함으로써 장치 수명을 연장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했다. 한편 한국기계연구원 연구팀도,
자체 개발한 플라즈마 버너 기반 DPF를 몽골의 노후된 버스에 적용하는 기술협약을 체결하여
동북아 미세먼지 문제해결에 대한민국의 위상을 제고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또한, 생활 속에서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학교 맞춤형 신재생
에너지 기반 청정공조환기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교실을 그대로 구현한 테스트
베드와, 실제 학교(부산시 2개교, 대구시 1개교)에서 검증을 마쳤다. 그 결과, 저소음・고성능
설계 최적화를 통해 미세먼지 제거시간이 기존 대비 55분 단축되었고, 공기 중 병원체의 확산
기류를 줄일 수 있어 향후 학교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취약 계층 대상의 병원, 다중이용시설
등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대기질 예보 현업
지원 시스템
석유화학공정 탈질
촉매 개발 및 실증
사업장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주름백
개선
플라즈마 버너 개발
군・건설차량 실증
학교 환기 설계 변경
미세먼지 제거시간
실증
3) 향후 계획
친환경・저탄소는 새로운 경제질서가 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환경 분야의
도전적인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함으로써 기술혁신 기반의 탄소중립 실현과 친환경・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할 것이다. 특히,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을 통해 제시된 주요 추진전략과
기후・환경 연구개발 사업간 연계를 통해 전략적인 R&D를 추진할 계획이다.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 향상을 위해 에너지 전환・활용(재생에너지, 수소 등)과 탄소포집・활용의 기술역량 확보에
집중하고,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미세먼지 등) 기술 개발 성과의 상용화를 위해 대국민 실증을
추진할 것이다.
∙∙∙ 49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최근 급격한 지구온난화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 및 산업 활동이 위축되고, 삶의
질이 크게 악화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기상 및
기후 예측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등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이미 ‘기후 위기’로 일컬어지고 있다.
이러한 심각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됨에 따라, 세계 각국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 Determined Contribution)를 자발적으로 제출하고,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당사국들은 파리협정 제4조 제19항에 근거하여 지구 평균온도의 상승을 2℃ 이하로 억제하고,
나아가 1.5℃이하로 억제하기 위한 장기저탄소발전전략(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 이하 LEDS)을 유엔기후변화사무국에 제출하였다.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과 관련 법제화를 연속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 사회로의 전환 노력이 본격화되었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하여 주요 선진국들은
에너지 및 산업, 수송, 건물 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한 혁신 기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단순히 기술개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혁신 기술을 통한 신시장 창출과 경제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신기후체제 복귀 등을 계기로 글로벌 탈탄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중심으로 관련 계획과 정책・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 28일에 탄소중립을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같은 해 12월 10일에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또한, 이듬해인 2021년 4월 1일에 ‘탄소중립 기술
혁신 추진전략’과 ‘탄소중립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연이어 발표하면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계획을 구체화하였다.
국가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 대응과 선진국 중심으로 재편될 기후기술 중심의 경제 질서
에서 성장하기 위하여 혁신적인 기후 기술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단순히 선언적인 발표 수준에서 기술개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정책 및 환경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후변화대응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점검 및 설정
할 필요성이 있다.
492 ∙∙∙
2) 연구개발 동향77)
세계 각국은 2019년 말 LEDS 제출 이후,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기술
분야의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개발 동향에서는 ‘태양전지’, ‘수소’, ‘연료전지’,
‘플라스틱 재활용’ 등 4가지 기술 분야와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Carbon Capture, Utilisation and Storage, CCUS)’을 포함하여, 총 5가지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 해외동향
(1) 태양전지
태양전지의 전 세계 누적 설치 용량은 2020년 기준으로 732.6GW 규모이며, 2026년까지
안정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78). 태양전지 제조설비에 대한 전 세계 누적 투자금액은
2021년 기준 약 1,000억 달러로 지난 10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투자금액의 약 70%는
많은 자본을 요구하는 폴리실리콘과 잉곳 및 웨이퍼 제조에 집중되어 있다79).
태양전지의 주요 기술별 연구개발 특성은 다음과 같다. 기술 성숙도가 높은 실리콘 태양전지는
주로 대기업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퉁웨이솔라, 진코
솔라, JA솔라 등의 태양전지 업체들은 우수한 태양전지 및 모듈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실리콘
태양전지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에넬그린파워 등 많은 기업이 새로운 셀 구조를
개발하고 생산 효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집중적인 R&D 투자를 하고 있다80). 페로브스카이트
(Perovskite) 태양전지 분야의 기업들은 현재까지 단순히 특허를 보유한 기업으로써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며, 상용화보다는 R&D 부문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81). 수상 태양
전지 시장은 씨엘앤테레(프랑스), 스윔솔(오스트리아), 솔라이즈플롯(포르투갈), 이시제네레(스페인),
오션선(노르웨이), 솔라덕(네덜란드), 솔라이즈시너지(이스라엘) 등 스타트업 기업들이 주도해
왔으며, 참여기업들은 기술혁신 및 신규시장 개척 등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82).
77) 본 2022년 연구개발 동향은 녹색기술센터(GTC)의 수탁사업 ‘서울시 녹색산업 육성 지원’의 일환으로 발간된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연료전지」(2022.07),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태양전지」(2022.09),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제로에너지건축물」(2022.12),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수전해 기술」(2022.12),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플라
스틱 재활용」(2022.12) 내용의 일부를 발췌하여 활용하였음
78) IEA(2021), Renewables 2021. Paris: IEA. (URL: https://iea.org/reports/renewables-2021)
79) IEA(2022), Special Report on Solar PV Global Supply Chains, Paris: IEA.
(URL: https://www.iea.org/reports/solar-pv-global-supply-chains)
80) Lux Research(2022a), Advanced Silicon Photovoltaics Tech Page, 2022.06
81) Lux Research(2022b), Perovskite Solar Cells Tech Page, 2022.06
82) Lux Research(2022c), Floating Photovoltaics Tech Page, 2022.04
∙∙∙ 49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태양전지의 주요 기술별 주요 기업은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미국 매사추세츠 교통부는 2022년 미국 최초의 고속도로 광소음장벽(PVNB, Photovoltaic
Noise Barrier)을 렉싱턴 국도에 설치하기 위해 코-솔라, 솔렉트 에너지, 파워옵션스와 협력을
발표하였다. 이탈리아 에넬그린파워는 실리콘 이종접합(Heterojunction Tandem, HJT) 태양광
모듈을 출시하여 제조 시설을 확장하고,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샤프와 합작사인 3SUN를
설립하여 2024년까지 기존 생산능력 대비 15배인 3GW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캐나다의 캐내
디언솔라는 자사의 캐스트-단결정(Cast-mono) 실리콘 태양전지의 최대 변환 효율 22.8%
달성하였고, 미국의 테슬라는 파나소닉과 협력하여, 업계 최고 수준의 이종접합 태양전지를
생산할 계획이다83).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경우, 미국 스위프트솔라가 페로브스카이트
필름의 제조 비용을 와트(W)당 0.2달러 수준까지 낮추고, 효율을 30%까지 높일 계획을 발표
했다. 영국 옥스퍼드 PV 및 스위스 메이어 버거는 효율 47% 목표로 하는 페로브스카이트-
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해 2022년 3월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84). 수상 태양전지의
경우, 스윔솔(오스트리아)은 자사의 수상태양광 솔루션을 기반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오션선(노르웨이)은 박막 멤브레인 등의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85).
(2) 연료전지86)
향후, 세계 연료전지 시장의 규모는 2021년 33억 6,000만 달러에서 2028년 289억 5,000만
달러로 확대되어 연평균 36%의 성장률을 보이며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연료
전지 분야의 투자는 주로 공공 시장으로부터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부문에 지속적으로 정부 R&D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 연료전지 분야의 연구와 산업은 기술별 핵심 기업이 시장을 견인함과 동시에 최근 신규
스타트업이 연료전지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술개발 및 인수합병 등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미국의 퓨얼셀에너지는 토요타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롱비치 인근
에서 토요타의 연료전지 자동차를 대상으로 트라이젠(Tri-gen) 시스템87)을 활용하여, 수소를
공급하고 있다. 미국의 커민스는 포괄적인 수소 전략을 기반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5% 감축하기 위해 연료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NPROXX와 합작 벤처를 설립하고,
엔브리지 가스와의 협력을 통해 온타리오 천연가스 네트워크 총공급량의 2% 정도를 그린
수소로 공급하고 있다. 연료전지 분야의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는 1998년부터 2021년까지
83) Lux Research(2022a), 전게서.
84) Lux Research(2022b), 전게서.
85) Lux Research(2022c), 전게서.
86) 본 내용은 Lux Research(2022d), Stationary Fuel Cells Tech Page, 2022.03와 Lux Research (2022e), Fuel
Cells for Mobility Tech Page, 2022.03 의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함
87) 연료전지를 활용해 전기, 수소,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함
494 ∙∙∙
단기적으로 증가, 감소, 회복 기간을 보이지만, 전반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을
기준으로 중국이 전 세계 연료전지 특허의 약 47%를 점유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미국(14%),
일본(8%)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료전지 특허의 기업별 현황을 살펴보면 토요타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다음으로 혼다, 제너럴모터스, 닛산, 파나소닉, 현대자동차, 삼성SDI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수소
주요 선진국은 탄소중립의 실현과 에너지 안보의 제고를 위해 그린수소의 생산과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그린수소에 대한 국가적 목표에 따라, 그린수소 생산
설비인 수전해 설비 분야의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수전해 설비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도 기준으로 74억 달러로 추정되고,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
으로 예상된다88).
알카라인 수전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넬 하이드로젠, 아사히 카세이, 티센크루프, 맥피,
선파이어 등이 있다. 노르웨이의 넬 하이드로젠은 스택 2.2MW, 통합시스템 17MW 규모의
수전해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수소생산 시 소비하는 전력량 수준이 3.8kWh/Nm3로 전력
소비가 낮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89). 독일의 티센크루프는 스택 5MW, 통합시스템 20MW
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미국의 에어프로덕츠에 암모니아 합성용 그린
수소를 공급하는 일명 P2G(Power to Gas)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90).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부문은 지멘스 에너지, 커민스, 플러그 파워, ITM 파워, 인앱터 등의
주요 기업들이 있으며, 독일의 지멘스 에너지는 재생에너지 전력을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고분자 전해질 수전해 장치인 실라이저(Silyzer)를 개발하였고91), 영국의 ITM 파워는 영국의
쉘 및 독일의 린데와 함께 합작사인 ITM Linde Electrolysis GmbH를 설립하여, 100MW급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를 대규모로 확장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92).
고체산화물 수전해 부문의 주요 기업으로는 세레스 파워, 선파이어, 블룸 에너지, 할도톱소
등이 있다. 독일의 선파이어는 낮은 단가로 청청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선도기업
이며, 덴마크의 할도톱스는 동일한 재생에너지 전력 투입 시, 최대 30% 정도의 추가적인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93).
88) Precedence Research(2021), Electrolyzer Market,
https://www.precedenceresearch.com/electrolyzer-market(검색일: 2022.12.01.)
89) 서종수 외(2022),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개발 동향, NICE, 제40권, 제3호, pp. 254-270.
90) 상게서.
91) Frost & Sullivan(2021), Disruptive Electrolyzer Technologies Enabling Green Hydrogen Production, 2021.10
92) 서종수 외(2022), 전게서.
93) Frost & Sullivan(2022), Growth Opportunities for Breakthrough Innovations in High- temperature
∙∙∙ 49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4) 플라스틱 재활용
플라스틱 재활용 분야의 세계 시장의 규모는 2022년 기준으로 약 454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
되며, 2026년에는 약 596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94). 스웨덴의 오르왁은 폐플라스틱
압축기 및 베일링 장비를 제조 및 유통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 페트병 등 자재 유형 및
장비에 따라 5:1∼20:1의 압축비를 제공하고 있다95). 프랑스의 베올리아는 밸류체인 확대 차원
에서 2019년에 한국의 독산과 DSPL을 인수하고, 자사 업체에서 생산된 폴리프로필렌을 재활용
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한편 화합물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96). 아울러, 영국의 플라스틱에너지는
폐플라스틱을 나프탄 및 디젤 등으로 전환할 수 있는 독자적인 열혐기성전환(TAC, Thermal
Anaerobic Conversion)를 독점으로 보유하고 있으며97), 독일의 리첸소는 촉매액화공정
(CTC, Catalytic Tribochemical Conversio)을 활용하여,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탄화수소
혼합물로 변환시키는 산업용 공정을 개발하였으며, 재생 액체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회수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98).
(5) CCUS
최근 탄소중립 선언 이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CCUS를
지목하고, 관련 기술개발 및 육성을 위한 제반 사항을 정비하고 있다.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은 탄소중립을 위한 장기 전략에 CCS 기술과 함께 CCU 기술을 탈탄소 주요 수단
으로 제시하였으며, 45Q Tax Credit, Innovation Fund, Horizon 2020 등 R&D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 개발을 직접 지원하고 있다. 지속가능개발시나리오(Sustainable Development
Scenario, SDS)에 따르면, 2070년 글로벌 탄소중립과정에 CCUS 기술기여도는 총 감축량의
15% 수준(연간 100억 톤)이며,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CCUS 기술개발 없이는
넷제로(Net Zero)에 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 CCUS 기술개발 및 정책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은 2020년 이후 다양한 CCUS
관련 정책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올해는 양회(两会)에서 ‘2022 경제운영 계획’을 제시하면서
중점업무로 CCUS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적시하였다. 중국에서 현재 진행 및 계획
중인 CCUS 시범사업은 약 40여 건이며, 현재 중국은 연간 약 400만 톤의 이산화탄소 포집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CCUS 기술의 성숙도는
Electrolysis Technology, 2022.08
94) PwC(2022),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대응전략, 2022.04.
95) 워터저널(2019), [Global Issue] 유럽 친환경・수처리 기술 서울서 한자리에 모인다, 2019.09.03.
96) 베올리아 홈페이지, www.veolia.co.kr/ko/beolliaui-seobiseu/dogsandspl(검색일: 2022.12.01.)
97) 플라스틱에너지 홈페이지, plasticenergy.com/,(검색일: 2022.12.01.)
98) 워터저널(2019), 전게서.
496 ∙∙∙
이미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CCUS 기술 분야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CCUS 시장 규모는 2050년에 약 5,7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은 2020년에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일본 내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었으며, 2026년까지 다양한 CCUS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올해, 일본은 CCS 장기 로드맵 검토회를 개최하여 CCS에 대한 구체적인
입법정책을 마련하였다. 특히, 기 구축된 아시아 CCUS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일본의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동남아시아 지역의 이산화탄소 저장소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은 CCUS 기술 분야의 대표적인 선도국이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동 중인 21개의
대규모 CCUS 시설 중 약 50% 정도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전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관련 정책 및 입법사항이 탄탄하게 마련되어 있어 매우 높은 수준의 제도적 기반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5Q Tax Credit 제도를 통해 CCUS 분야의 세금혜택 및 지원금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방식으로 기술 개발 및 산업 촉진을 도모하고 있다.
유럽은 CCUS 기술 주도권 및 기후변화 이니셔티브 확보를 위해 관련 기술 및 산업에 투자를
확대하는 등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으며. 유럽 내 현재 총 65개의 CCUS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태양전지
국내 태양광 누적 설치 용량은 최근 4년(2018~2021년) 간 약 15.6GW이며, 국내 태양광
균등화발전비용(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LCOE)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30년 기준
약 80-90원/kWh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초고효율 태양전지 부문에서 국내 태양광
분야의 최대 기업인 한화큐셀은 최근 M10 Wafer 기반의 590Wp급 모듈을 런칭하였으며,
기존 제품 대비 효율이 향상된 ‘탑콘 셀’을 내년부터 양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화큐셀은 ‘탑콘
셀’보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 접목된 ‘탠덤(Tandem)’셀 분야의 연구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2021년 3월에 독일의 헬름홀츠 연구소(HZB, Helmholtz- Zentrum
Berlin)와 협력하여, 최대 발전효율 28.7%의 탠덤 셀을 개발한 바 있다. 페로브스카트 태양
전지의 경우, 울산과학기술원이 세계 최고 인증효율인 25.5%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우리
나라는 건물용 태양광 모듈 실증 연구 및 해상환경용 태양광 모듈 및 시스템 개발 연구 등 사용처
다변형 태양광과 순환경제형 태양광 분야의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49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연료전지
국내 연료전지 누적 보급 용량은 2020년 기준 약 61만 kW이며, 2008년 대비 약 70배 증가
하여, 42.3%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이고 있다99). 국내 연료전지 분야의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는
2021년 기준 전 세계 특허의 약 6.6%를 점유하고 있다100)101). 이동형 연료전지 부문에서 현
대자동차그룹은 2028년까지 모든 상용차에 대하여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모델을 제공하는 공
격적인 계획을 발표하였다102). 아울러, 최근 현대차동차그룹은 연료전지 시스템 기반 수소
사업 브랜드인 HTWO를 통해 독일 파운그룹의 자회사인 엔지니어스와 상용차 양산을 위한
수소연료전지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고, 엔지니어스에 향후 3년간 약 1,100기 규모의 수소연료
전지 시스템을 공급할 계획이다103). 국내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인 에스퓨얼셀은 올해 국내
최초로 5kW급 건물용 연료전지로 유럽 CE 인증을 획득하였다104).
(3) 수소
청청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술인 수전해 부문의 국내 시장은 낮은 재생에너지
잠재량과 기술수준으로 인해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중소기업과
정부출연연구소 중심으로 실증 단계의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고, 국내 수전해 설비 업체의 기술
수준은 주요 선진국에 대비 초기 단계이다. 수소에너젠은 2020년도에 ㈜지필로스와 협력하여,
250kW급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와 풍력을 연계하여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P2G(Power to
Gas) 사업을 실증하였고1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정부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소
에너지혁신기술개발사업을 수행하며 재생에너지 연계형 알카라인 수전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106).
아울러 고분자 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을 개발하는 엠켐텍은 2022년부터 1MW급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단일 스택을 개발하여, 시험평가를 진행하고 있다107).
(4) 플라스틱 재활용
포스코건설은 2022년 8월 사내벤처 이옴텍과 함께 폐플라스틱과 제철 슬래그를 활용하여,
99) 산업통상자원부・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2021b), 2020년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2021.11
100) Lux Research(2022d), Stationary Fuel Cells Tech Page, 2022.03
101) Lux Research(2022e), Fuel Cells for Mobility Tech Page, 2022.03
102) 상게서.
103) 나은수(2022), 현재차그룹, 독일에 ‘수소 연료전지’ 심는다, 비즈니스 워치, 2022.12.12.,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2/12/12/0009
104) 박기훈(2022), 에스퓨얼셀, ‘국내 최초’ 5kW급 건물용 연료전지 유럽 CE 인증, 프라임경제, 2022.10.07.,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81639
105) 서종수 외(2022), 전게서.
106) 유성종, 정남기, 정동영(2022),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이슈페이퍼 2022-01,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107) 조현석 외(2022),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재생에너지 연계 수전해 기술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98 ∙∙∙
내구성이 우수하고 목재보다 짧고 가벼운 새로운 판재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개발하였고108),
한화솔루션은 2021년 4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인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반
나프타 생산 기술’ 사업의 주관 기업으로 선정되어 국책과제를 추진하고 있다109). 현대오일
뱅크는 2021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정유 공정에 투입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한 이후, 열분해유
기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110).
(5) CCUS111)
국내 CCUS 연구개발은 주로 정부 R&D 사업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실증 노하우를
축적하고는 있으나, 대규모의 프로젝트는 아직 국내에서 진행된 바가 없다. CO2 포집의 경우,
전 발전 및 산업 부문 분야에 적용 가능한 연소 중 포집기술은 3MWth 규모의 스팀생산을 위한
실증사업을 세계 최초로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파일럿 규모의 CO2 포집
기술을 개발하였고, 합성가스(H2+CO)/ CO2 분리를 위한 습식 KIERSOL-P 흡수제를 개발
하였다. CO2 저장의 경우, 국내 출연연구소 중심으로 지중 저장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나, CO2 활용을 위한 국내 CO2 전환 기술은 아직 학계 중심의 기초・원천
연구단계이며, 일부 기술에 국한되어 파일럿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주요국에
비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CCUS 기술의 기여도는 높지만, 주요 선진국 대비 낮은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지형에 따른 한계로 지중 저장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범부처 차원의 CCUS 통합 법안을 마련하고 있으나, 주요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제도 기반이
미흡한 실정이다.
3) 향후 전망112)
최근 태양광 기업은 기관 간 파트너십과 기술 협업을 통해, 태양전지의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향후 수상 태양광, BIPV, 광소음장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상용화하기
위한 컨소시움 구성이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국가적인 기후위기 대응과 주요
108) 포스코(2022), 포스코건설, 폐플라스틱・제철슬래그로 콘크리트 거푸집 개발 성공, 포스코 뉴스룸 보도자료, 2022.08.02.,
bit.ly/3bqWc9R
109) 한화(2021), 한화솔루션, 2024년까지 친환경 리사이클링 원천기술 확보한다, 한화 미디어룸 보도자료, 2021.04.27.,
url.kr/e4j5oq
110) 장윤정(2022), 현대오일뱅크, 친환경 플라스틱 생산 추진…외부 파트너와 MOU도 잇따라, 동아일보, 2022.06.30.,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20630/114218854/1
11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2), III 2050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 내부 자료
112) 본 2022년 향후 전망은 녹색기술센터(GTC)의 수탁사업 ‘서울시 녹색산업 육성 지원’의 일환으로 발간된 「2022 녹색
산업 인사이트 – 연료전지」(2022.07),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태양전지」(2022.09),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제로에너지건축물」(2022.12),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수전해 기술」(2022.12), 「2022 녹색산업 인사이트 –
플라스틱 재활용」(2022.12) 내용의 일부를 발췌하여 활용하였음
∙∙∙ 49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경영 기조 등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확대의 일환으로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이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 발전 및 상용화를 위한 정책이 더욱 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중립 사회와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연료전지 보급 정책이 강화되고, 기술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그리고, 최근 연료전지 대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전 세계적으로 연료
전지 대용량화에 대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연료전지 분야의 소재・부품 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공공 시장으로부터의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의 경우, 대규모의 청정수소의 생산과 공급을 위해 대용량 시스템 기술 확보에 대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세계 각국은 차세대 수소 생산기술에 대한 원천 연구를 강화하고
있으며, 향후 중소규모의 다양한 실증사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아울러, 해외 수소 저장・운송을
위해 암모니아,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 Liquid Organic Hydrogen Carrier) 등 대용량
운송 기술 및 액체수소 운송선 개발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로에너지건물의 핵심기술 중 냉・난방 공조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조명, 태양광 발전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 기술 분야의 세계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이 높은 건물 분야의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에 대한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몬트리올 의정서 키갈리 개정서 합의에 따라 기존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기자재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최근 재활용 기술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향후,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분야의 기업 간
파트너십이 강화되고, 기술 개발 및 상용화 협력이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플라스틱
제품 제조 시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 비중을 확대하는 제도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우리
나라도 향후 기술제휴를 확대하여, 재활용 기술 분야의 신시장 창출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탄소중립 목표선언에 대한 후속 조치로 세계 각국은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요 선진국들은 CCUS를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기술로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세계 각국은 발 빠른 CCUS 제도 개선 및 기술 개발을
통해,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고, 시장을 조기에 선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우리나라도 정부 주도의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으며, CCUS 산업 생태계 관점에서 더 체계적인 정책 방안 및
세부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500 ∙∙∙
5. 에너지 및 자원
5-1. 에너지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최근 글로벌 탄소중립 이행 의지가 가속화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고 있으며, 에너지는 국가안보와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요소로 부상하였다.
한편, EU는 그린 택소노미(’22.2.)에 원자력을 포함하였고, 영국은 원전 8기 추가 건설을 발표
하였으며, 벨기에는 원전 제로화 계획의 기한을 연장하는 등 유럽을 중심으로 원전 제로화
정책을 수정 발표하여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통한 합리적인 에너지믹스를 고려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新정부 출범 이후, 국정과제(□3 탈원전 정책 폐기, 원자력 산업 생태계 강화, □21 에너지
안보 확립과 에너지 新산업・新시장 창출)를 이행하기 위해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과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 나아가 에너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기후대응 계획과 관련한 정책 틀을 확립하기 위해 「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22.7.)을 발표하였고, R&D 지원을 바탕으로 한 에너지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에너지혁신벤처 육성 및 新산업 창출 등 전략과제를 명시하였다. 또한, 「새정부 산업기술 혁신
전략」(’22.6.)을 통해 목표지향형 R&D, 도전적 혁신 R&D, R&D 혁신역량 축적, 예비타당성
조사제도 개선 및 규제혁파 등 기술 혁신 전략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에너지 R&D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성과 창출을 모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관련 핵심기술개발과 에너지
안보강화를 위한 에너지 분야 R&D에 2022년 정부예산 1조 1,967억 원을 투자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원자력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자력 핵심기술개발, 가동원전 안전성 향상 핵심기술개발, 사용후 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등 11개 사업에 2022년 1,041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RCP, MMIS, 핵심코드 등 원전 3대 미자립기술의 국산화를 완료하였
으며, EU-APR 표준설계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획득으로 유럽시장 진출의 기반을 확보
하고 보완설계 및 종합성능 검증을 완료하여 세계에서 5번째로 EUR 인증을 획득하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 50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핵심기술개발, 태양광발전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구축, 잉여
전력 부문 간 연계(섹터커플링) 기술개발 등에 2022년 약 2,208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으며,
그린수소 생산, P2G 등 수소・연료전지분야에 2022년 1,472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그간의
지원성과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8MW 해상풍력 시스템의 실증을 완료하였
으며, 수상, 수로 태양광 및 해외수출 연계 풍력 부품 등 신시장 창출 진입이 가능한 개발을
완료하였다. 수소분야는 1MW급 알칼라인 수전해시스템 실증을 완료하였으며, 개발 기술과
연계한 수소차 판매로 수소전기차 보급실적 세계 1위를 달성하였으며, 발전용 연료전지 총
6.6MW를 중국에 설치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다) 에너지수요관리
에너지 수요부문을 고효율・저소비 구조로 전환하고, 차세대 에너지 신산업 육성 및 온실가스
감축 등 국정과제 전략 이행에 기여하기 위한 에너지효율향상, 에너지신산업 등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약 2,048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일부 산업공통 다소비기기의 세계 최고수준 효율 달성 및 전력계통 유연성 확보를 위한
V2G(Vehicle to Grid) 기술 국제 선도(국제표준(ISO 15118) 제정 기여, IEA ISGAN 우수상
수상) 등 핵심기기의 효율향상과 산업분야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 가능한 성과를 이루어냈다.
라) 전력・스마트그리드
합리적 에너지믹스를 뒷받침하는 미래형 전력망 구축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청정화력, 차세대 AC/DC 하이브리드 배전 네트워크 등에 2022년 약 1,126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수용성을 고려한 안정화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민간이 편익을 체감할 수 있는 전력수요 기반 신서비스 실증을 통해 향후 수요 효율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3)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 에너지신산업 창출 및 에너지안보 강화, 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 및 국정과제 등을 추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원자력 분야는 원전해체 산업기반을 조성하고, 현장기술 확보 및 해외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
502 ∙∙∙
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동시에 핵심기자재 국산화, 미래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방폐 분야에서는 단계적 중・저준위방폐물 복합처분시설의 안전
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운영기술 개발 분야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분야는 글로벌 태양광 시장에서의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기술인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기술 개발, 풍력 분야의 초대형 해상풍력 시스템 및 LCOE 저감형 부유식
해상풍력 부유체 확보,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와 안전 기술 개발
등 에너지원별 차세대 기술확보 및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수요관리분야는 수요부문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효율적 사용을 위한 에너지 기기와
공정의 고효율화, 성능개선 기술개발을 통해 에너지 저소비 구조로의 전환과 저탄소,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손실 에너지 저감기술의 확산을 지원할 계획이며, 자원개발・순환경제 분야는 지속
되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핵심광물의 안정적 수급을 위한 국내 타이타늄
광물자원의 공급망 전주기 기술 고도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전력・스마트그리드 분야는 전력 계통부문의 AC/DC hybrid 배전망의 운용체계개발, 분산
자원 활성화 등 기반조성과 연계하여 신산업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나. 동향 및 전망
1) 개요
에너지기술은 자연의 에너지원을 사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추출, 변환, 운송,
저장, 이용과 관련된 다학제적 공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간, 자연, 환경에 주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적으로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너지기술은 사용하고자 하는
에너지원에 따라 1차 에너지와 2차 에너지로 구분한다. 1차 에너지원은 자연으로부터 얻는
에너지원이고, 2차 에너지원은 1차 에너지를 변형 가공하여 사용하기 쉬운 형태의 에너지로
가공한 것이다.
정의 종류
1차
에너지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너지로서 최초의 에너지를
의미
화석에너지(석탄, 석유, 천연가스),
자연에너지(태양열, 지열, 조력, 파력, 풍력, 수력 등)
2차
에너지
1차 에너지를 변형 또는 가공하여 우리 생활이나 산업
분야에서 다루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에너지로 만든 것
전기, 도시가스, 석유 제품 등
<표 3-51> 에너지원 분류 및 종류
∙∙∙ 50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022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에너지 안보가 주요 이슈로 부각된 한해였다.
유럽 지역의 천연가스 공급의 45%를 공급하고 있는 러시아의 가스 공급 축소 및 중단은 유럽의
경제와 에너지 안보에 큰 위협을 주었으며, EU는 2022년 3월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REPowerEU 계획을 발표하였다. REPowerEU의
핵심은 현재 40%에 달하는 대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를 2022년 말까지 3분의 2 수준으로
감축하고 늦어도 2030년까지 ‘0’ 수준을 달성하는데 맞춰져 있다. 또한, 2030년까지 석유, 석탄
등 기타 화석연료에서도 러시아산 화석연료 비중을 큰 폭으로 감축시키는 내용이 담겨 있다.
REPowerEU 계획에서는 청정에너지 생산을 주요 방향으로 제시하였으며, 2030년까지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22년 8월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과시켰으며, 해당 법안에서는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10년에 걸쳐 3,690억 달러의 재정을 투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이와 더불어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우호적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에너지 분야의 중요성 및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세계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그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태양광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 비중은 지속적
으로 높아지고 있다. 선도국은 최근 시장의 약 95%를 차지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
한계를 극복하고 실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소재의 우수한 광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한국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연구 분야이며, UNIST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소자 태양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고 효율
25.7%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에너지부의 태양에너지기술연구소에서 하이브리드
유・무기 태양전지의 효율과 수명을 높이기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가속화
하고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안전성과 내구성, 대규모
전력변환 효율, 제조 가능성, 기술검증 및 금융 가능성을 4가지 주요한 연구방향으로 고려하고
있다.113)
504 ∙∙∙
또한,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 및 단일접합 태양전지의 이론적 효율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중접합 구조의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분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복잡한 태양
전지 제조공정 비용의 절감 및 기술난이도 극복을 위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다중
접합 탠덤 태양전지 중에서는 패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가 최적의 초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스위스 SCEM(Swiss Center for Electronics and
Microtechnology)과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연구팀은 2022년 7월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서 광전변환효율 31.25%의 기록으로 세계 최고 효율 기록을 갱신하였
으며114), 2022년 12월 독일 HZB(Helmholtz-Zentrum Berlin) 연구팀이 광전변환효율
32.5%를 달성함으로써 세계 최고 효율 기록을 다시 갱신하였다115),
태양전지의 실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건물과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유연・경량 소재, 투명・
다색 소재의 기술을 개발하거나, 섬유와 작물 등의 형태로 태양전지를 구현하는 등 다양한 기능과
특성을 나타내는 다기능 태양전지 기술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16)
자료 : NREL, Best Research-Cell Efficiency Chart
[그림 3-105]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목록
113) https://www.energy.gov/eere/solar/perovskite-solar-cells
114) https://www.pv-magazine.com/2022/07/07/csem-epfl-achieve-31-25-efficiency-for-tandem-
perovskite-silicon-solar-cell/
115) https://www.pv-magazine.com/2022/12/20/hzb-achieves-world-record-32-5-efficiency-for-
perovskite-tandem-solar-cell/
116) GTC(2022), GTC FOCUS 태양전지 혁신기술개발 전략과 방향
∙∙∙ 50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지난 2년간 고성능 N형 이종접합(HJT) 및 IBC 셀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을 출시하는
제조업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N형 IBC 셀을 기반으로 하는 SunPower의 Maxeon 6 패널이
22.8%의 효율로 여전히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N형 HJT 셀을 기반으로 하는 Canadian
Solar의 CS6R-H-AG 패널, HUASUN의 HS-210-B132 DS700 패널이 22.5%의 효율로 뒤쫒고
있다.117)
(2) 풍력
풍력발전 분야는 전력생산량 최대화 및 발전단가 저감을 위해 풍력발전기를 대형화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2022년 글로벌 풍력발전기 생산량을 살펴보면 덴마크의
Vestas사가 9.6GW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2위 독일 Siemens Gamesa 8.79GW, 3위 중국
Goldwind 8.25GW, 4위 미국 GE 7.37GW 순으로 나타났다.118)
순위 기업 본사 총 용량(GW)
1 Vestas Aarhus, Denmark 9.60
2 Siemens Gamesa Biscay, Spain 8.79
3 Goldwind Beijing, China 8.25
4 GE Boston, U.S. 7.37
5 Envision Shanghai, China 5.78
6 MingYang Zhongshan, China 4.50
7 Windey Zhejiang, China 2.06
8 Nordex Hamburg, Germany 1.96
9 Shanghai Electric Shanghai, China 1.71
10 CSIC Chongqin, China 1.46
<표 3-52> 2022년 글로벌 풍력 터빈 제조사 순위
주요 기업의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덴마크의 Vestas는 15MW급 풍력발전기(V236-
15.0MW)에 대한 개발을 완료하였으며119), 2022년 12월부터 Østerild National Test
Centre에서 시제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V236-15.0MW 풍력발전기는 연간
80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독일 Siemens Gamesa는 2022년 11MW급 풍력발전기
(SG 11.0-200 DD)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2024년 양산을 목표로 14MW급 직접 구동형 풍력
발전기(SG 14-222 DD, SG 14-236 DD)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120) 미국 GE는 12~14MW급
117) https://solaredition.com/top-10-solar-panels/
118) https://blog.bizvibe.com/blog/energy-and-fuels/top-10-wind-turbine-manufacturers-world
119) https://www.vestas.com/en/products
120) https://www.siemensgamesa.com/products-and-services
506 ∙∙∙
해상 풍력발전기인 Haliade-X 실증 및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121), 중국 Goldwind는
12MW급 해상 풍력발전기(GWH 242-12MW) 실증을 완료하고 2023년 출시할 예정이다.122)
풍력발전의 대형화 및 해상 풍력발전 확대로 인해 운영 최적화 및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
저감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실시간 운전 모니터링, 고장진단, 출력 예측 등과 관련
된 디지털화 관련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독일 Siemens Gamesa는 마이크로스프트의
Azure IoT 및 Azure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Optical Blade 시스템을 통해 블레이드의 운영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Aalborg 공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프랑스 및 영국에
있는 공장으로 적용을 확대할 예정이다.123) 미국 GE는 Digital Wind farm이라는 데이터 기반
기상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독일 Fraunhofer 연구소는 SOBeKo 프로젝트를 통해 O&M에 전력가격을 연동시켜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3) 수소
수소는 탄소 감축이 어려운 산업 부문의 화석연료를 대체함으로써 산업 부문의 탈탄소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송부문에서 연료로 이용이 가능하고 태양광, 풍력 등이 가지고 있는 간헐성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는 등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주요국에서는 안정적으로 청정 수소를 생산하고, 운송하여, 활용하는 전
주기적 관점에서의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대부분 국가에서는 수전해 방법을 활용하여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알칼라인 수전해의 경우 일본 Asahi Kasei에서 10MW급 단일스택을 개발하였으며, 2022년
10월부터 10MW급 알칼라인 수전해 파일럿 플랜트를 구축하고 실증을 시작하였다.
PEM 수전해의 경우 미국 Plug Power에서 단일스택 1MW급을 상용화하고 2MW급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하루 40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100MW급 시스템에 대한 최적화 및 상용화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영국 ITM Power는 영국 Shell, 독일 Linde와 협력하여 ITM
Linde Electrolysis GmbH를 설립하였으며, 100 MW급 PEM 수전해 시스템의 스케일-업
기술을 확보 중에 있다. 2021년부터 REFHYNE P2G 프로젝트를 통해 10MW급 PEM 수전해
시스템에 대한 실증을 진행 중에 있으며, 100MW급 규모까지 스케일-업을 진행할 예정이다.124)
121) https://www.ge.com/renewableenergy/wind-energy/offshore-wind/haliade-x-offshore-turbine
122) https://www.offshorewind.biz/2021/11/02/goldwind-launches-12-mw-offshore-wind-turbine-
targets-chinese-market-for-now/
123) https://customers.microsoft.com/en-ca/story/1359571840141736533-siemens-gamesa-renewable
-energy-azure-iot
124) https://www.refhyne.eu/shell-starts-up-europes-largest-pem-green-hydrogen-electrolyser/
∙∙∙ 50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미국 Cummins는 프랑스 Air Liquid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2.5MW 단일 스택을 개발
하여 적용한 5.0 MW 통합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5.0 MW 4기를 연결하여 20MW 규모로
캐나다 퀘백지역 내 수력발전과 연계하는 P2G실증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125)
수소의 저장・운송 기술 분야에서는 수소 액화 기술의 고효율화 및 상용화, 암모니아・
LOHC 등 액상수소화물 기반 수소 저장・추출 관련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수소 액화기술의
경우 독일의 Linde, 프랑스의 Air Liquide, 미국의 Air Products 3사가 독점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독일의 Linde는 9.4톤/일 규모, 프랑스 Air Liquide는 10톤/일 규모의의 수소액화
플랜트를 운영 중이다. 미국 Air Products는 30~35톤/일 규모의 수소액화플랜트를 운영 중이며,
2022년 미국 뉴욕(35톤/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수소액화플랜트 구축 계획을 발표하였다.
일본의 가와사키중공업에서도 5톤/일 규모의 수소액화플랜트를 운영 중이며, 2022년 액화수소
운송선을 제작하여 호주에서 일본으로 액화수소를 운송하는 실증을 세계 최초로 완료하였다.
독일 Hydrogenious Technologies는 6.2wt%, 57kg・H2/m3의 수소저장용량을 지닌 디벤질
톨루엔 기반 LOHC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PEM 수전해로 생산한 그린수소를 LOHC로 저장
하여 트럭, 버스와 같은 대형 수소상용차에 제공할 수 있는 수소충전소 운영을 2022년 7월
시작하였다.126) 기체수소 저장・운송과 관련하여 EU에서는 범유럽 수소배관망 구축사업인
European Hydrogen Backbone을 추진 중이며, 28개국 31개 기업이 참여하여 2030년까지
28,000km, 2040년까지 53,000km의 수소배관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4)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에서는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에서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수단으로 CCUS 기술을 제시하였다. 2050년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 산업부문에서는 여전히
온실가스 배출이 예상되고 있으며, 해당 부문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배출되는 온실
가스를 포집하여 저장・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여러 물질이 혼합된 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포집・분리
하는 기술이며, 습식포집 기술이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 Petro
Nova 석탄화력 발전소에서는 4,800톤/일 규모의 240MW급 습식포집 실증이 진행되었으며,
캐나다 Boundary Dam 화력발전소에서는 3,200톤/일 규모의 160MW급 습식포집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분리막 포집 분야에서는 미국 MTR은 Air Sweep 공정 발전소에서 1MW 규모
파일럿 플랜트 실증을 완료하였으며, 2022년 10MW급 멤브레인 기반 이산화탄소 포집 파일럿
플랜트 실증에 착수하였다.
125) 서종수 외(2022),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개발 동향
126) 월간수소경제(2022.07.04.), ‘액체’로 수소 운송・저장하는 독일의 수소충전소
508 ∙∙∙
이산화탄소 저장 기술은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지중에 주입・저장하는 기술이며, 북미, 유럽,
호주를 중심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을 연계한 대형 CCS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북미 지역의 경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원유 생산과정에 활용하는 석유회수증진으로 주로 활용
하고 있으며, 북미와 호주의 경우 해상 천연가스 생산 플랜트와 연계하여 해저 대염수층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지질학적 저장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영국 재생에너지 기업
Drax는 North Yorkshire 발전소에 세계 최대 규모인 800MW급 탄소포집(BECCS) 시설을
건설하기 위한 계획을 2022년 7월 제출하였으며, 빠르면 2024년 프로젝트가 착수될 예정이다.
노르웨이 Bellona는 2022년 3월 Klemetsrud Waste-to-Energy CCS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설비 구축에 착수하였으며, 해당 프로젝트는 폐기물 에너지화 프로젝트에 적용된 최초의
상용규모 CCS 프로젝트이다.127)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은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화학적・생물학적으로 전환하거나 광물탄산화를
통해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제품 및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화학적 전환 분야 중 연료 생산은
독일 Sunfire의 Power-to-Lquids 프로젝트, 일본 Mitsui Chemical의 메탄생산, 아이슬란드
CRI의 메탄올 생산 프로젝트 등이 진행되고 있다. 생물학적 전환 분야에서는 미세조류 기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광물탄산화 분야에서는 미국 Solidia의 이산화탄소 주입 시멘트・
콘크리트, 미국 CarbonCure의 이산화탄소 직접 주입 콘크리트 등의 상용화 사례가 존재한다.
나) 국내동향
(1) 태양광
국내 태양광 발전소 신규 설치용량은 2020년 4,115MW, 2021년 4,073MW 수준에서 2022년
2,993MW 규모로 급감한 것으로 추정된다.128)
한화솔루션은 태양전지 셀, 모듈 관련 공급사슬을 보유하고 있으나, 글로벌 모듈 생산용량이
5위권 수준에서 11위권까지 하락하는 등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중국 선도기업과의 격차가 벌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통과에 따라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미국 조지아공장의 생산량을 1.7GW에서 3.1GW로 확대할 예정이다. 발전용으로
156 harf mono PERC 셀을 적용한 570~585W 양면 태양광 모듈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가정용 및 영농형 태양광 제품도 공급하고 있다.129) 태양전지 효율 향상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현재 태양광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PERC 셀 보다 1% 포인트 이상 효율이 향상된 탑콘
(Topcon) 셀을 2023년 4월 이후 양산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는 페로브스카이트 기반의 탠덤
127) Global CCS Institute(2022), Global status of CCS 2022
128) https://recloud.energy.or.kr/present/sub3_1_1.do?year=2022
129) https://qcells.com/kr/get-started/complete-energy-solution/solar-panel
∙∙∙ 50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셀을 2026년 6월부터 양산하고자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신성이엔지는 대면적 태양전지인
M10을 적용한 최대 555W 고출력 양면 태양광 모듈을 생산하고 있으며, 김제사업장에서 연간
800MW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신성이엔지는 PERC 양면단결정 M10 144 Harf cell을
적용한 540~555W 양면 태양광 모듈 외 M10 132 Harf cell 500W 단면 태양광 모듈,
65~225kW 인버터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130), BIPV 등 응용 분야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UNIST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소자 태양전지 분야에서 세계 최고 효율 25.7%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용화의 걸림돌이었던 독성 용매를 대체하는 친환경 용매를 이용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31)
(2) 풍력
우리나라는 좁은 육지와 부족한 풍량을 극복하기 위해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풍력발전기 대형화에 따라 블레이드, 증속기, 발전기 등 주요 부품에 대한 지속적인
대형화 개발이 필요하지만, 국내 공급망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풍력터빈의 경우, 두산중공업
에서 2022년 1월 8MW급 직접구동형 해상 풍력발전기를 개발하고 전남 영광군 백수읍에 위치한
국가풍력실증센터에서 시운전을 시작하였으며, 유럽에 비해 평균 풍속이 낮은 우리나라의 상황에
최적화된 풍력발전기이다. 유니슨은 10MW급 직접구동형 해상 풍력발전기를 개발 중에 있다.
풍력발전기 타워 및 타워 플랜지 등 단조제품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CS윈드
및 동국 S&C 등은 해외 주요 풍력발전기 제작사들에게 해당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국외 기업과 합작을 통해 해상풍력 시장에 진출하는 움직임도 증가하고 있다.
세계 1위 풍력 타워 제조업체 CS윈드는 2022년 3월 세계 풍력터빈 1위 업체인 덴마크 베스
타스와 합작법인을 설립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두산에너빌리티는 독일 지멘스가메사와 해상
풍력 시스템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양해각서를 맺었다. GS글로벌 플랜트・에너지 기자재 자회사
지에스엔텍은 네덜란드의 하부구조물 분야 세계 1위 시프와 손잡고, 하부구조물 제작 핵심기술
독점 사용권을 획득했다. 현대중공업그룹 계열 현대일렉트릭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와 풍력
터빈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협약을 맺었다.132)
(3) 수소
우리나라는 수전해 수소생산과 관련하여 수전해 시스템의 핵심 소재(전극, 분리막, 분리판
130) https://www.shinsungeng.com/kor/business/brochureList?type=sola
131) Yun, H. S., Kwon, H. W., Paik, M. J., Hong, S., Kim, J., Noh, E., ... & Il Seok, S.(2022). Ethanol-based
green-solution processing of α-formamidinium lead triiodide perovskite layers. Nature Energy, 7(9),
828-834.
132) 한겨례(2022.09.15.), “풍력발전, 늦었지만 우리도 할 수 있다”…인수・합작 잰걸음
510 ∙∙∙
등)의 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22년 수전해 수소생산과
관련하여 10MW 재생에너지 연계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기술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제주 구좌읍
동복・북촌 풍력단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알칼라인 수전해,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고체산화물 수전해,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시스템을 모두 구축하여 실증할 예정이며,
2025년 말에서 2026년 초 12.5MW급 수전해 설비가 구축되면 연간 1,200톤 규모의 그린
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133) 알칼라인 수전해와 관련하여 수소에너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에서 핵심부품 개발, 대면적 기술확보 및 1MW급 스택 개발 및 실증이 진행하고 있으며,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분야에서는 엘켐텍, KIST 등에서 1MW급 스택 원천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수소액화플랜트의 경우, 0.5톤/일 규모의 수소액화플랜트 공정 및 기자재 국산화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SK E&S는 미국 Plug Power와 합작회사를 구성하여 SK인천석유
화학용지에 연 3만톤 규모의 액화수소를 생산하여 수도권에 공급할 수 있는 액화수소플랜트를
2022년 12월부터 건설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향후 국내에 필요한 수소 수요의 80%를 해외에서 수입할 예정이며, 현재 해외의
그린・블루 수소를 도입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암모니아가 고려되고 있다. 롯데정밀화학, 한국
에너지기술연구원 등이 참여하고 있는 컨소시엄에서는 100 Nm3/h급 암모니아 분해 수소생산
시스템 및 파일럿 실증, 1,000 Nm3/h급 암모니아 기반 수소생산 플랜트 상세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와 관련해서는 KIST의 LOHC 원천기술개발 연구단을 중심
으로 신규 소재 및 촉매 개발, 소규모 추출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4)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CO2 배출량이 높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특성 상, 우리나라에서는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서 CCUS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탄소 포집 분야에서는 연소 후
포집과 관련하여 석탄화력 발전 부문에서 200톤/일 규모의 습식포집 장기실증을 완료하고,
3,000톤/일 규모 습식 포집공정에 대한 FEED 설계안을 개발하고 있으며, LNG 발전 부문에서는
10톤/일 규모의 습식공정 실증, 20톤/일 규모의 분리막 공정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 산업공정
부문의 경우 철강(80톤/일), 시멘트(50톤/일), 석유화학(20톤/일), 블루수소생산(100톤/일)
등의 분야에서 실증이 진행되고 있으며, 스케일업 및 핵심 소재・부품 개발 관련 연구가 지속적
으로 수행되고 있다.
탄소 저장 분야에서는 국내 저장소 확보를 위해 국내 대륙붕 심부지층 해양탐사 및 시추를
통한 저장소 탐사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해양 이산화탄소 주입기술, 이산화
탄소 저장효율 향상기술, 저장소 모니터링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2022년 8월 한국과
133) 월간수소경제(2022.04.30.), 신규 수소 R&D 과제로 보는 수소 기술개발 동향
∙∙∙ 51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말레이시아 기업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셰퍼드(Shepherd) CCS 프로젝트에 대한 업무협약이
체결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아시아 최초의 CCS 허브 프로젝트로 SK에너지, SK어스온, 삼성
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GS에너지,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Petronas) 등 7개
기업이 참여하며,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국내 허브(Hub)에 집결
시킨 후, 말레이시아로 이송하여 저장하는 프로젝트이다.
탄소 활용 분야 중 화학적 전환 부문에서는 합성가스, 메탄올, 일산화탄소, 초산, 항공유 등
다양한 연료 및 기초화학 제품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생물학적 전환 부문에서는
바이오 촉매 및 바이오화학소재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광물탄산화 부문의
경우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무기탄산염 및 탄산화 기반 건설자재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 향후 전망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노력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탄소중립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2020년대 중반에는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셀이 개발될
예정이며, 2030년 이후 전력변환효율을 35% 이상으로 높인 탠덤 태양전지가 개발될 예정이다.
해외에서는 머지않아 15MW급 초대형 해상 풍력발전기의 상용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며, 국내
에서는 10MW급 해상 풍력발전기 개발이 완료될 전망이다. 또한, 해상풍력 분야에서는 부유식
풍력발전에 대한 실증 및 상용화가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저렴한 재생전력과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을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프로젝트가 확대될 것이며, 청정수소를 경제적이고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될 것이다. 2020년대 중반에는 청정수소를 장거리 수송・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청정 암모니아가 활용될 전망이며, 액화수소 관련 연구개발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액화수소가
암모니아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정의 특성 상 이산화탄소 배출이 불가피한 석유화학, 시멘트 등의 분야에서는 CCUS 도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비용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지속적
으로 추진될 것이다. 철강 분야에서는 장기적으로 수소환원제철 공정에 대한 기술개발이 추진
될 것이다.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의 경우 이산화탄소 전환에 필요한 대량의 수소에 대한 경제성과
무탄소 에너지 확보,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이다.
512 ∙∙∙
5-2. 자원탐사 및 개발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온실가스 감축 실현을 위해 세계 각국이 노력하는 상황에서 화석연료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대전환과 탄소중립 이행에 필요한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 공급망 안정화 기여를 위기이자
기회로 보고 있다. 석유가스 분야의 경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그린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
천연가스가 포함되면서 에너지 전환의 핵심 에너지원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개발부지를 탄소
저장부지(CCS)로 활용하는 정책과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아젠다인 전
기화에 발맞추어 광물자원 분야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등에 많이 필요한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을 친환경적인 기술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에
주력하고 있다.
개발 가능한 자원이 특정국가에 편중되어 있으며 점차 심부화되고, 기후변화로 자원 생산이
어려워지고 있다. 유가스의 생산성 제고, 비용 절감 및 친환경 개발 등을 위해 탐사기술력 고도화,
생산 효율성 증대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핵심광물을 비롯한 유용광물의 생산성을 향상
하고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해 탐사와 선광・제련, 공정부산물에서 희소광물을 추출하는
재자원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유용광물에 대한 고도화된 채광 및 탐사기술
주석은 재생에너지 산업의 발달로 인해 세계적으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가 예상되는 광물로
국내 기업과 연구진이 신북방지역(몽골 등)의 주석광에 대한 부존특성을 분석하고 현장 맞춤형
탐사를 통해 안정적 채광기술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흑연은 이차전지 음극재의 핵심원료로 국내 가평군 흑연광 테스트베드에서 전기・전자탐사를
이용한 복합해석을 통하여 지하에 부존하는 흑연광체로 판단되는 전도체 구간(605,607m3)을
구획하고 채광을 위한 타당성을 분석하고 있다.
국내 바나듐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국내 VTM광산의 매장량 탐사, 채광의 최적화를
위해 개발 단계의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정보통신기술의 요소기술을 접목해, 물리탐사 시뮬
레이션 모듈 개발하여 최적의 탐사시추 설계안을 이용하여 매장량 및 생산 가치 평가가 가능
하도록 기술력을 증대했다.
∙∙∙ 51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원광 및 광물찌꺼기에서의 광물 추출 기술
몰리브덴은 주로 동광(Cu) 부산물로 생산되고 있어 구리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초정밀
첨단 산업에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국내 몰리브덴광을 대상으로 고순도 MoO3 제조 공정
개발을 위해 선광・제련 기술력 확보를 위한 기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파분쇄로 나온 산물을
부유선별 공정을 통해 포수제 농도 200g/t에서 최적화된 이황화 몰리브덴 86% 산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적인 기술력 확보를 위해 선광 공정상에서 발생
하는 광물찌거기의 유해성을 파악하고, 잔류 유용광물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예정이다.
니켈의 경우, 저품위 니켈 산화광을 대상으로 고효율 건식제련 및 고농도 니켈 중간물 연속
생산 정련공정에 대한 기술력 확보를 위해, 저품위 니켈산화광 이용 페로니켈 제조기술과 고농도
니켈 중간물 제조기술 등에 대한 기본 설계(Concept Design)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리튬은 탄소중립에 필수적인 핵심광물로, 공급망 불안이 가속되고 있다.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고, 국내 부존 리튬광의 최적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원료광 기준 0.5t/h 처리규모의
실증용 Pilot plant 설계방안을 구축하고 고품위 레피돌라이트광 선별과 고효율 부유선광 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초데이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유용광물 생산을 위해 버려지던 광물찌꺼기의 잔류광물 특성에 대한 연구・분석을 통해 재
자원화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텅스텐 광미 및 사광상 활용 고효율 물리선별 기술
개발은 저품위 광물찌꺼기(광미) 및 폐석을 활용하여 WO3 품위 59.6%, 회수율 74.7%를 확보
할 수 있는 물리선별 기술력을 확보했으며, 현장 운영(10t/h)을 통해 텅스텐 정광 시제품 생산을
계획 중이다.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VRFB, Vanadium Redox Flow Battery)의 필수 광물인 바나듐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유일 바나듐 함유광으로부터 경제성 있는 바나듐 정광 회수를 위해 티탄철을
최적 파분쇄를 적용하여 적정 입도 조절 후 티탄철 산물로부터 고효율 선광 및 제련 시설의
구축 설계 및 시운전을 진행하여 우수한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다) 생산율이 낮은 중소규모 가스전의 생산증대 기술
생산효율이 떨어져서 점차 채산성이 낮아지는 중소규모 가스전을 대상으로 인공채유 기술력을
통해 생산량을 확보하고, 이를 소형 가스발전에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을 실증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마무리했다. 인공채유를 통한 소형발전 패키지 실증 장비 제작 및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인공채유 실증계약을 캐나다 광구주와 체결을 통해 상용화를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동남아 16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아시아지질자원위원회(CCOP)와 업무 협업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향후 2년간 동남아 대상 실제 사업화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추진할 계획이다.
514 ∙∙∙
라) 사용후 유가스전 폐공 기술
폐공은 노후 유・가스정이 생산량에 의한 수익보다 생산비용이 높아져 경제적인 가치가 없어
졌다 판단될 때 영구 폐쇄하는 작업으로, 광구에 대한 다각적 분석이 필수적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향후 생산량 예측, 완결 정보 기반 운영 관리, 기계학습 기반 폐공 대상 제안, 현장센서
원격 모니터링 모듈이 탑재된 통합시스템 설계기술 연구를 완료했다. 해당 모듈들이 하나의
DB에 연동되어 광구 가치 증진 및 폐공비용 최소화를 통한 광구 운영효율 향상이 가능한 폐공
운영-처리-관리 통합시스템을 통해 현장 적용기술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특히, 불완전한
폐공으로 인해 발생이 예상되는 해양 및 지하수까지 오염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메탄가스(CH4), 황화수소(H2S), 이산화탄소(CO2)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화
학적 반응으로 생성되는 오존(O3) 종합 측정이 가능한 모니터링 장치 설계도 완료되어 현장
적용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마) 중소가스전 현장 빅데이터를 평가시스템 실용화
세계 각지에 난립하는 중소가스전을 대상으로, 단일 감퇴경향을 보이는 생산정의 감퇴곡선에
기초한 60개월 생산량 프로파일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향후 예측 불확실성을 신뢰구간으로 평가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을 완료했다. 중소규모 가스전 현장 빅데이터를 기초로 앙상블 머신
러닝을 수행하여 생산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감퇴경향에 따라 생산정을
분류하는 자동화된 전처리 알고리즘과 현장 물리검층 자료도 AI・ML알고리즘에 융합하여
정확도가 우수하다. 북미 유가스전 전문가들의 경쟁력 요구 조건을 취합하여 프로토타입 개발
전략을 구축하고, 사용자 친화형 온라인서비스를 위한 시각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차후, 다중
선택자료의 시각화와 사용자 지향 공간적 자료 통계 시각화 기법을 구현시킴으로써 상용화를
통해 사업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현장 데이터 취득 센서 장착 생산예측 평가시스템 구현
[그림 3-106] 현장 데이터 취득 센서 장착 및 생산예측 평가시스템 구현
∙∙∙ 51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3)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2050까지 Net Zero 실현과 에너지원 전환에 적극 대응하며, 핵심광물
수급안정화를 위해 자원안보정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기존 핵심 연료인 석탄의
퇴출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중 무역 전쟁 등으로 야기되는 우리나라 에너지 안보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고 내실화를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침체된 자원산업의 활성화
전략이 동시에 마련될 예정이다.
국내 민간기업 중심으로 자원개발을 추진하는 ‘민관협력 해외자원개발 로드맵’ 수립을 통해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요소기술과 자원분야 필요기술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특히, 국내 유가스
관련 민간기업이 관심을 갖는 보유광구 운영평가 기술과 신규 광구 탐사기술력 증대, 유가스전
데이터 활용 최적화 기술, 탄소저감 활용기술(CCS 및 H2저장 등)을 사업화 모델과 연계하여
개발해야 한다. 광물분야의 경우, 탄소중립 시대에 필요한 핵심광물 수급 불안정성 확대로 국내
기업의 사업화에 어려움이 없도록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흑연 및 희토류 등 핵심광물 중심
으로 필요기술을 발굴하여 지원하려고 한다. 과거에는 버려지던 다양한 공정부산물(폐자원 및
광물찌꺼기)에서 필요한 유용광물을 추출하는 기술력 지원을 통해 국가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탄소 중립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는 있으나, 에너지 위기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석유 및
가스 자원의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해양 석유 탐사 시장은 2029년까지 매년 5~6%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지정학적 긴장 고조 및 러시아산 석유, 가스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제재에 따른 수급 불확실성 확대로 석유와 가스의 가격 변동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따라서,
저탄소 생산 환경 구축과 블루수소 연계 등의 친환경 에너지 사업으로의 진출로 탄소중립 정책
기여와 함께 지속적인 고유가 상황에 대비하여 에너지 안보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탄소중립의 중요성은 석유, 가스 자원뿐만 아니라 광물자원 분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탄소중립으로 대표되는 전기차, 배터리 등 신산업 성장에 따라 핵심광물의 수요 급증과 이에
따른 재자원화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 신산업과 관련된 핵심광물의 대외 의존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차원의 자원개발 신규투자는 최근 5년 동안 감소해왔다. 따라서
핵심광물 공급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자원탐사 요소 기술의 개발이 중요한 시점이며 불확실성이
높은 광물자원 탐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복합 지질정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이를 AI,
ICT, Cloud 등의 디지털 첨단 기술과 접목하여 효율성 높은 탐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516 ∙∙∙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블루수소 연계 탄소저감형 석유가스전 활용 기술
세계적인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글로벌 자원개발기업의 수소 관련 투자가 증가하고, 저탄소
산업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의 엑슨모빌(ExxonMobil)은 텍사스 주에서 하루 최대
10억 입방피트(ft³)의 블루수소를 생산함과 동시에 연간 최대 1,0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운송
하고 저장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ExxonMobil, 2022). 노르웨이의 에퀴노르
(Equinor)는 ‘H21 North of England’와 ‘H2H Saltend’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저탄소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을 추진하고 있으며, UAE의 국영 석유회사인 ADNOC은 블루 암모니아 생산
시장 선점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많은 글로벌 자원개발기업들이 블루수소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블루수소 생산을 연계한 석유가스전 활용 기술에는 탄소 저장
(CS, Carbon Storage)과 석유・가스 회수증진(EOR, Enhanced Oil(gas) Recovery, EOR/
EGR)을 결합한 CS-EOR/EGR이 대표적이다. 해당 기술은 저류층 내 이산화탄소 저장량과 석유・
가스 생산량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것이 관건이며, 최근에는 심층신경망(DNN) 기법이나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CS-EOR/EGR 다목적 최적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블루수소 생산 비용이나 프로젝트 지역별 사업성 분석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2) 친환경 셰일저류층 생산증진(EGR+) 기술
셰일저류층은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가스 생산을 증진 시키는 EGR+와 가스로부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블루수소 시스템과 연계하여 그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여러 이유로 증가되는
가스에 대한 수요로 인해 셰일저류층의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는 수천 개의 시추공으로부터 빅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셰일저류층 현장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발한 적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세계적 석유서비스 기업인 슐룸베르거(Schlumberger)
사는 DELFI라는 석유가스 탐사, 개발, 및 생산 온라인 플랫폼에서 현장 자료를 자동으로
디지털화하여 인공지능 기법으로 미래 거동을 예측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석유
슈퍼메이저 기업들(Shell, ExxonMobil, BP)과 IT기업들(Microsoft, IBM, AWS)이 셰일저류
층의 생산효율 극대화를 위해 협업하고 있다.
(3)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
이산화탄소 저장 분야에 있어 노후유전은 유망한 저장소 후보지로, 실제 전 세계 약 30개의
석유・가스전이 전 세계 포집량의 대부분을 직접 저장하는 대형 저장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북해 가스전에 2024년부터 연간 250만 톤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려는 프로
∙∙∙ 51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에 따르면, 노르웨이의
슬라이프너(Sleipner) CCS 프로젝트와 호주의 고르곤(Gorgon) LNG 프로젝트 등 전 세계
약 55% 정도의 탄소 포집 용량을 차지하는 13개의 주요 프로젝트의 운영 실적이 아직 이렇다
할 성과는 내지 못하는 것으로 연구 및 조사된 바도 있어 향후, CCS 기술력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임을 알 수 있다.
세계적 석유・가스 관련 유수 기관에서는 해양에서의 자원탐사뿐만 아니라 개발생산과 CO2
주입에 따른 저류층의 거동 모니터링을 위해서 해저면 탐사의 성능을 고도화하는 신기술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OBC/OBN 수진기를 이용하여 해저면 3차원 탐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자율주행형 해저면 수진기를 개발하여 자동으로 모선으로부터 진수되어 미리 계획된 해저면
위치에 착지하여 자료를 취득하고, 다시 모선으로 복귀하여 자료를 백업하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또한, 효율적인 탐사를 위해 광섬유 케이블을 해저면에 장시간 설치하여 탄성파 자료를
취득하고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기법을 개발・운용 중에 있다.
(4) 스마트 광물탐사 기술
스마트 탐사는 자료획득 하드웨어와 자료해석 소프트웨어의 혁신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탐사
기술이다. 특히, 드론을 활용한 전자탐사와 자력탐사 기술은 기존 유인항공기를 활용한 탐사
보다 정밀한 탐사자료를 안전하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어 광물탐사에서
매우 유용하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해석 소프트웨어의 혁신은 기존 브라운 필드에서 획득한
탐사자료를 학습하여 그린 필드 탐사에 적용함으로써 광체 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및 준지도 학습법을 적용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불필요한 탐사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 국내동향
(1) 블루수소 연계 탄소저감형 석유가스전 활용 기술
국내에서는 블루수소 생산 및 탄소 포집 저장(CCS)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최적화 모델 개발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천연가스 배관망을 활용한 블루수소 블렌딩 수송
연구와 머신러닝 기반의 수소 및 이산화탄소 누출 모니터링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국지질자원
연구원에서는 해외 블루수소 생산사업 진출전략 수립을 위한 기획 연구도 수행한 바 있다.
(2) 친환경 셰일저류층 생산증진(EGR+) 기술
국내에서도 글로벌 수준의 셰일저류층 생산 예측 및 증진을 위한 생산데이터 분석, 감퇴곡선
분석, 비전통 가스 분석, 지질 물리검층 자료 해석, 지능형 빅데이터 자료 처리 및 표준화 기술,
518 ∙∙∙
인공지능 기반 분석 등의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의 석유공사, 가스공사, 지질자원연구원,
대학, IT 서비스회사들의 협업을 통해 해외기술에 견줄만한 수준의 인공지능 적용 기술(Recurrent
Neural Network, RNN; Long short term memory, LSTM)을 보유한 상황이다.
(3)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
국내의 경우, 이산화탄소 포집과 관련한 기술은 실증 단계를 넘어서 어느 정도 선진국 수준에
이르렀으나, 탄소 포집 및 저장의 경우 아직 실용화 단계에 있지 않으며, 현재는 기술개발
단계로서 관련 산업 육성과 국내외 공기업 및 민간 기업들의 참여를 유인하고 독려해야 하는
실정이다. 저장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2025년 실증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석유
공사와 현대중공업이 공동으로 동해가스전에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예정이다.
(4) 스마트 광물탐사 기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드론과 무인비행선을 이용한 자력탐사를 지난 수년간 다양한 연구과제
에서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고, 전자탐사에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있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또한,
3D 지질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바나듐 광화대에 대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복합지질정보
(지질, 지구물리, 지화학)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AI 기반 광체모델링 및 자원량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들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5) 광상성인 모델 기반 광물탐사 기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경북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대에 부존하는 리튬페그마타이트를 대상
으로 2020년부터 리튬페그마타이트를 생성시킨 생산성 화강암을 구획하기 위하여 부존위치가
보고된 리튬페그마타이트를 중심으로 암석학적 성인연구결과에 근거한 최대 산출반경을
10km로 상정하고 지표지질조사, 지구화학탐사 및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부존위치가
알려진 리튬페그마타이트를 대상으로 페그마타이트 노두의 사진측량 및 지구화학적 벡터링
연구를 통해 리튬광체의 연장성을 제안하였으며, 부존광체 중 주요 리튬광물인 레피돌라이트가
아닌 스포듀민(리튬휘석)의 광물 지화학 조성 연구를 수행하여 지구화학적 벡터링을 미시화
시켰다.
3) 향후 전망
블루수소 생산을 연계한 탄소저감형 석유・가스전 활용 기술은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 중 하나이다.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자원탐사 및 개발 분야에서도 블루수소 생산을
고려한 저류층 운영 기술의 개발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비전통 석유・가스자원을 포함하여
∙∙∙ 51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다양한 저류층을 대상으로 블루수소 생산 연계 기술 및 이산화탄소 저장 안정성 분석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누적되는 석유가스 현장
자료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지질학적, 석유공학적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와 함께 셰일저류층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전통적인
석유공학의 도메인 지식을 기반으로 가지되, 심층학습 및 기계학습이 자료 분석 및 예측을 보완
하는 온고지신의 형태로 연구개발이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의 최종 목표는 2050년까지 넷 제로(Net Zero) 달성에 맞춰져
있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 화석연료 생산 또한, CCS를 활용한 종합적인 탈탄소화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포집 및 저장과 관련한 기술은 우리나라가 빠른 시일 내에 실증화를
이루어내야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국내외 유망지 탐사를 통한 대용량의 최적지 발굴과 함께
이산화탄소 주입 이후 무한한 시간 동안 시뮬레이션하는 동적 모델링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정확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첨단 기술 확보가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광물자원 탐사기술 분야에서는 지질, 지화학 및 시추탐사를 포함하는 복합 지질 정보를
물리탐사 결과와 융합해석하고 3차원으로 시각화를 시도하는 등 탐사 효율성 극대화와 ICT,
Cloud 기술과의 접목으로 탐사 효율과 함께 탐사 정확도를 높이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무인화 및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마이닝 기술을 시범 도입하려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탄소중립 필요성 대두 및 전기차, 배터리 등의 신산업 성장에 따른 핵심광물의 수요는 급증
하고, 국제정세 불안 등의 영향으로 주요 핵심광물의 가격 불안정성이 높아지고 있어 핵심광물
공급 불안정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재자원화 기술개발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일환으로 미활용 핵심광물 탐사에 필요한 3차원 지질모델링
플랫폼 기반 탐사 해석 및 AI 기반 융합해석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에 연구되지 못하던 광상을
대상으로 융합해석 기술을 활용하여 잠재광상 및 잠재자원량을 예측할 수 있는 돌파 기술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광물자원 탐사의 요소기술로써 스마트 탐사 분야는 핵심광물
탐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탐사 기술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으므로 국내외 광물탐사에서 적극적
으로 적용할 계획에 있다. 더불어, 광상학적 접근 방법으로 예측 가능한 광물자원탐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국내 리튬광화대 탐사를 통해 축적한 지구화학적
벡터링 기술은, 해외 핵심광물 광화대 탐사에 적용하여 탐사대상지에서 광체를 생성시킨 생산성
화강암 규명, 생산성화강암과 광체의 지질연대측정을 통한 광화작용 시기 파악, 생산성화강암과
기존 광체 구간 내 부존이 예측되는 미발견 광체 탐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520 ∙∙∙
제5절 나노(NT)기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2022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주요 내용
‘2022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은 나노기술의 범용기술 특성을 반영하여 수립된 제5기
종합계획의 정책이행 수단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12개
부처 및 18개 정부출연기관이 계획수립에 참여하였다. 동 계획에서는 2021년도 사업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2021년 4월 수립된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에 따라 ‘글로벌 미래선도
나노기술 경쟁력 확보’, ‘나노융합산업 글로벌 리더로의 도약’이라는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4대
전략과 14개 중점과제 체계와 연계하여 2022년도 투자 계획을 수립하였다.
<표 3-53> 2021년도 부처・기관별 나노분야 투자 실적
(단위 : 백만원)
구 분 R&D 산업화 팹 인프라 기반확충 합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05,557 3,000 2,100 126,803 637,460
▪ 산업통상자원부 73,613 85,829 3,500 13,832 176,774
▪ 교육부 6,413 - - 57,219 63,632
▪농림축산식품부 4,920 - - 200 5,120
▪ 해양수산부 5,228 - - - 5,228
▪ 보건복지부 5,255 - - - 5,255
▪ 중소벤처기업부 11,648 - - - 11,648
▪ 환경부 2,914 - - - 2,914
▪ 식품의약품안전처 865 - - - 865
▪ 경찰청 2,215 - - - 2,215
▪ 방위사업청 499 - - - 499
▪ 산림청 833 - - - 833
▪ 출연 및 직할연구기관 109,075 1,534 42,817 2,994 156,420
합 계 729,035 90,363 48,417 201,048 1,068,863
자료 : 2022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2022년 나노기술 분야에 대한 정부투자는 총 1조 689억 원으로 정부R&D 총 투자액 27조
4,005억 원 중 4%의 비중을 차지한다. 부문별로는 연구개발(R&D)이 7,290억 원(68%)으로 가장
높고, 기반확충 2,010억 원(19%), 산업화 904억 원(8%), 팹 인프라 484억 원(5%) 순이다.
나노분야 주요투자 부처는 부처별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375억 원(62%), 산업통상자원부
∙∙∙ 52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1,768억 원(17%), 교육부 636억 원(6%) 순이다.
우리나라 나노분야 미국특허청 등록 특허는 2021년 953건으로 세계 4위, SCI급 논문건 수는
2021년 9,303편으로 세계 4위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2020년 기준 나노기술의 기술이전
655건(전년 대비 31.5% 증가), 기술료 징수액 171.3억 원(15.1% 증가), 사업화 성과 2,014건
(14.2% 증가) 등의 사업화 성과를 창출하였다. 2021년 기준 6대 나노인프라는 총 74,425건
(산 33,935건, 학 21,594건, 연 18,896건)의 팹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나노분야 연구인력은
13,394명(3.1% 증가), 재학생 수는 44,646명(11.6% 증가), 2020년 기준 나노분야 산업체
종사자 수는 156,513명(2.8% 증가)로 조사되었다.
<표 3-54> 2022년도 부처・기관별 나노분야 투자 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R&D 산업화 팹 인프라 기반확충 합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58,842 5,400 600 119,962 684,804
▪ 산업통상자원부 83,819 87,063 3,500 13,920 188,302
▪ 교육부 6,413 - - 57,290 63,703
▪농림축산식품부 2,472 - - - 2,472
▪ 해양수산부 4,500 - - - 4,500
▪ 보건복지부 2,165 - - - 2,165
▪ 중소벤처기업부 8,340 - - - 8,340
▪ 환경부 1,690 - - - 1,690
▪ 식품의약품안전처 565 - - - 565
▪ 경찰청 2,206 - - - 2,206
▪ 방위사업청 1,101 - - - 1,101
▪ 산림청 833 - - - 833
▪ 출연 및 직할연구기관 106,428 1,500 33,401 4,397 145,726
합 계 779,374 93,963 37,501 195,569 1,106,407
자료 : 2022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2022년도 정부의 나노기술 분야 투자 계획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1조 1,064억 원으로,
부처별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848억 원(62%), 산업통상자원부 1,883억 원(17%) 순이며,
부문별로는 R&D 7,794억 원(70%), 기반확충 1,956억 원(18%), 산업화 940억 원(8%) 팹
인프라 375억 원(3%) 순이다.
522 ∙∙∙
2)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1) 개요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은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정책을 뒷받침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대표 사업으로, 주력산업 고도화와 미래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견인할 글로벌 수준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연구기반 확충 및 우수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사업이다. ①핵심기술,
②미래기술, ③사업화 3가지 사업유형에 따라 원천 기술개발을 맞춤형 지원하고, 나노소재
R&D 효율성 및 전략성 제고를 위한 ④연구환경 기반구축을 주요 목표로 한다. 2022년 예산은
총 3,158억으로(나노종합기술원 지원사업 포함) ①핵심기술에 1,071억 원, ②미래기술에
1,076억 원, ③사업화에 54억 원, ④기반구축에 957억 원을 투자하였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핵심기술
정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핵심 원천소재 확보를 위한 국가핵심소재
연구단을 선정하여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019년 5개 연구단을 시작으로 2022년 현재
69개 연구단으로 확대 운영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장기적 기술자립에 필수적인 소재
기술을 개발하여 가시적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금년에는 ’초고집적 반도체 배선
도금소재 연구단‘, ’자성 분말소재 연구단‘, ’마이크로 LED용 다기능 소재 연구단‘ 3개 연구단의
연구수행 결과가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또한, 기술자립화와
관련하여 기술이전 35건을 진행하였으며 기술료 약 50억 원 달성과 함께 6.72억 원의 사업화
매출로 이어지는 성과를 이루어냈다.
<표 3-55>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연구단
연구단 주요 내용
초고집적 반도체
배선 도금소재
연구단
반도체 미세 범프용 구리 및 주석-은 도금소재 개발 및 제품 출시
∙ 세계 최고성능 수준의 고평탄 구리범프 형성이 가능한 구리도금 소재
(도금액) 기술 개발
∙ 전량 수입의존의 구리도금액을 개발하여 국내기업에 기술이전, 현재 국
내 반도체 제조사 라인 평가 진행 중
※ D社 기술료 10억 원
자성 분말소재
연구단
Nd 저감형 고특성 영구자석 소재기술 개발
∙ 영구자석 소재 기술로 고가의 수입 희토류 Nd(네오디뮴)의 30%를 Ce
(세륨)으로 대체하는 기술 개발, 기업에 기술이전
∙ 국내 유일의 영구자석 제조공장을 설립하여 공장 가동 예정
※ ㈜ 성림점단산업 영구자석 제조공장 설립, 준공 예정(’23년)
∙∙∙ 52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표 3-56> 2022년 연구단 기술이전 대표 성과
기술이전 대표 성과
플라즈마
측정 센서 개조도
고순도 불화칼슘
원료블록
프린팅법으로 제조된
PCB샘플
알루미늄
합금설계 플랫폼
차세대 전고제 전지용
고제 전해질 및 전극
㈜쎄미콤
(기술이전 5억원)
S사
(기술이전 5억원)
㈜VAD인스트루먼트
(기술이전 1.1억원)
㈜버추얼랩
(기술이전 2억원)
에너진(주)
(기술이전 2억원)
<표 3-57> 2022년 연구단 사업화 매출액 대표 성과
사업화 매출액 대표 성과
LLZO
고체전해질 소재
복합고체
전해질 시트
전고체리튬
이차전지 셀
디스플레이용 원자층
증착장비
구리
도금소재
㈜)티디엘
(매출 0.5억원)
㈜)티디엘
(매출 0.2억원)
㈜)티디엘
(매출 1억원)
㈜엔씨디
(매출 3.1억원)
동우화인캠
(매출 0.29억원)
(나) 미래기술
정부는 미래 첨단소재와 나노기술을 중심으로 미래 유망 공급망을 선도적으로 창출하고,
선점할 수 있도록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미래기술연구실을 통해 미래 유망
분야의 기술난제를 해결하고, 신산업 선점 및 주도권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를 할 예정이다.
연구단 주요 내용
마이크로 LED용
다기능 소재
연구단
세계 최초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동시 전사 접합 기술
∙ 기존 마이크로 LED의 복잡한 공정상의 문제(시간, 비용 등)를 해결하는
전사-접합 동시 공정기술 구현
∙ 기존공법 대비 생산성 10배, 장비 투자/비용 1/10으로 감소 및 생산성
향상
524 ∙∙∙
또한, 新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존 소재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물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신소재 개발을 지원하는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도 2015년부터 지속 추진 중이다. 미래기술
분야의 대표적인 성과로는 ‘고효율 광시야각 홀로그램용 복소 광변조 소재 및 소자 개발’, ‘고색
재현성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기반의 고성능 발광 소재 및 소자 개발’ 등이 있다.
<표 3-58> 2022년도 나노・소재 미래기술 분야 대표 성과
2022년도 미래기술 분야 대표 성과
<전하밀도파 구조 분석을 통한 카고메 초전도 신물질의 임계온도 상승 방안 도출(’22.11.)>
∙ 카고메 층간의 거리나 전자의 양을 재료공학적으로 조절하여 전하밀도파 현상 제어
성공
∙ 카고메 양자신물질 AV3Sb5 의 복잡한 상도표와 양자현상들의 원인을 이해하는
기반 마련
∙ 네이처 머티리얼즈(IF=47.656) 논문 게재
→ 카고메 초전도체의 임계온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을 제시하여 카고메 신물질 기반의
위상양자컴퓨터 및 차세대 에너지 기술 실현 가능성 확보 <전하밀도파 현상의 제어에 따른
카고메 초전도체의 임계온도 증가 양상>
<고색재현성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기반의 고성능 발광 소재 및 소자개발(’22.6.)>
∙ 차세대 고성능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육방정계 질화붕소를 최초로 단결정
다층 구조로 제작하는데 성공
∙ 친환경 기술(이차전지, 수소연료)등에 응용가능한 반도체 물질 개발
∙ 네이처(IF=69.504) 논문 게재
→ 관련된 기술 및 축적 노하우를 기업에 기술이전하여 반도체 외에 차세대 이차전지와
양자정보 기술 등에 활용가능성 확보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합성되는
과정 모식도>
<고효율 광시야각 홀로그램용 복소 광변조 소재 및 소자 개발(’22.5.)>
∙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진구조를 설계하여 빛-물질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
∙ 가시광 영역에서 복소굴절률을 갖는 층을 설계하여 입사 빛의 위상(phase)을 변조하는
특성을 구현
∙ Advanced Materials(IF=32.086) 논문 게재
→ 특정 파장에서 강한 공진을 갖는 구조를 개발함으로써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의
기반 기술에 적용가능성 기대
<Adv. Mater. 표지>
(다) 기반구축
소재 R&D의 우수성과 창출을 촉진하고 투자 효율성 및 전략성 제고를 위한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 및 활용, 소재・부품・장비 전문인력 양성 및 기업파견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22년에는 소재 연구데이터 플랫폼인 ‘국가 소재 데이터
스테이션(K-MDS)’의 등록시스템을 통해 국가 R&D 과제와 3대 응용분야 소재(에너지・환경,
스마트・IT, 구조・안전 소재) 연구데이터의 수집・등록(’22.5.)을 시작하였으며, 인공지능(AI)・
계산집적공학・조합실험 등 신연구방법론을 활용한 공정설계 기술개발과 연구자 보유 측정・분석
∙∙∙ 52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노하우 수집체계를 구축(’21.4.)하는 등 소재 연구의 방법론적 혁신을 가속화하고자 하였다.
나노 인프라 관련해서는 2019년도 일본 수출규제 이후 긴급하게 추진했던 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가 2021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동 사업은 반도체 분야 소재・
부품・장비 기술자립을 위해 반도체 수요기업 공정라인의 실장환경 수준인 12인치 장비를 구축・
서비스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장비로는 Arf Immersion Scanner 노광기 등이 있다. 당초 구축
초기부터 수요기업의 불충분, 테스트베드 실효성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도 있었으나,
2022년 11월 현재 62개 이상의 수요기업을 확보하고 대기업 납품사례가 발생하는 등 반도체
소부장 기술자립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테스트베드 수요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이다.
<표 3-59> 2022년도 나노・소재 기반구축 분야 대표 성과
2022년도 기반구축 분야 대표 성과
<현탁액 필름의 고형화 공정 간 수직 방향 입자 분포 예측 프로그램 개발>
∙ 필름의 고형화 속도와 입자의 확산비율인 Péclet number(Pe)로부터 입자의
수직적인 분포를 공정 시간에 따라서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 국가 SW 연구성과물 저작권 등록
∙ 고형화 공정 중 입자의 분포 해석 및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고형화 공정
개발의 경제적 비용절감 가능화
<국가 SW 연구성과물 저작권 등록증>
3) 나노융합2020+(플러스)사업
(1) 개요
지난 2020년도까지 나노기술의 정부R&D 성과를 기반으로 한 공공기술과 사업화 아이디어를
보유한 수요기업을 연계하여 조기에 신산업・신시장을 창출하고 지속적인 나노융합기술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공동으로 나노융합2020사업을 추진해
왔다.
나노융합2020+사업은 나노융합2020사업의 종료에 따라 선행사업의 성과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나노융합 기술사업화 부문 지원 공백을 최소화하며, 시급한 대응이 필요한 소재・부품・
장비 분야 지원을 위해 향후 3년간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2022년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각 54억 원을 투자하여 계속과제를 지원하였다.
526 ∙∙∙
(2) 주요성과
<표 3-60> 2022년도 나노융합2020+사업 대표성과
2022년도 나노융합 2020+ 사업 대표성과
<실내 유해인자 제거용 고성능 활성탄 필터 사업화>
∙ 포름알데히드 및 세균 제거율이 향상된 실내 유해인자 제거용 활성탄 필터
개발
→ 활성탄에 이종원자 도입기술을 필터에 적용하여 유해인자 제거 범위 확대(필터
소재의 적용 범위 확장)
나노기술 모식도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나노기술은 나노기술개발촉진법에 따르면 물질을 나노미터(10-9m)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
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
소자(素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과학기술 또는 소재・소자・시스템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미세하게 가공하는 과학기술을 말한다.
자료 :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그림 3-107] 나노기술의 정의 및 특징
∙∙∙ 52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노기술은 IT, BT, NT와의 융합성을 가지고 있는 응용기술인 동시에, 나노단위에서의 소재,
부품, 장비 기술인 기반속성을 가지고 있는 기반기술이다. 아래 <표>와 같이 7대 분야로 구분
할 수 있다.
<표 3-61> 나노기술의 속성에 따른 주요분류
구분 7대 분야 기술 특징
응용
기술
나노정보전자 나노 단위 회로 선폭 감소를 통해 고 집적도 및 낮은 소비 전력 실현
나노에너지 나노 입자 적용으로 에너지 저장량 및 효율 증대
나노환경 나노촉매 및 분리막 등 활용, 대기, 수질 청정화
나노바이오 나노 크기의 구조체로 신속 정확한 진단 및 인체 적합성 조직 개발
기반
기술
나노소재 원자 수준에서의 구조 제어로 새로운 물성과 기능 발현
나노공정・측정장비 나노 소재의 대량제조, 특정기능 부여 및 나노스케일 분석
나노안전 안전한 나노소재・제품의 활용을 위한 체계 구축 및 과학적 근거 마련
자료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나노기술이 다양한 기술분야와 상호작용하며, AI・바이오・에너지 등 주요제조업 전반에 적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자,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
이다. 이는 다양한 기술・산업과 융합하여 파급력을 배가시키는 기술로서 진화하고 있다.
자료 : 나노・미래소재사업 발표자료
[그림 3-108] 나노 및 소재기술의 발전
528 ∙∙∙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나노정보전자
나노소재의 대표 중 하나인 양자점(QD)을 활용한 정보전자 분야의 발전은 여전히 유효하다.
영국 캠브리지대학 연구팀은 양자점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으로 일광을 더욱 정확
하게 재현하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QD-LED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빨간색, 녹색 및
파란색을 넘어 여러 가지 기본 색상을 사용하여 백색광을 보다 정확하게 모방하였다. 특히,
직경이 3~30nm인 특정 크기의 양자점을 선택함으로써 LED의 예측을 테스트하는 데 필요한
방출 파장을 달성하여 표준 LED보다 더 효율적이고 채도가 좋으며 단일 조명에서 일광 조건을
동적으로 재현하였다.
미국 MIT, 미네소타대와 삼성전자 연구팀은 공동으로 저비용 양자점 성능 향상 테라헤르츠
카메라 개발하였다. 매우 낮은 에너지를 갖는 테라헤르츠(THz)파에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
양자점 카메라를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은 테라헤르츠파 자극에 의해 양자점이 방출한 가시
광선으로 물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와 테라헤르츠파의 편광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카메라는 좁은 슬릿으로 분리된 금 입자들이 나노 규모로 나란히
배열된 기판 위에 발광 양자점 층이 있고, 그 위에는 가시광선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도출하는
CMOS 칩과 나노 크기의 고리 모양 슬릿을 가진 편광계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카메라는
저렴한 CMOS 칩을 이용함으로써 테라헤르츠 카메라의 상용화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양자점 활용 조명 THz 카메라
자료 : Nature, 2022 자료 : Nature Nano, 2022
[그림 3-109] 양자점 활용 조명과 THz 카메라
∙∙∙ 52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노기술 기반 센서는 정보의 입출력소자로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연구분야다. 미국
MIT 연구팀은 칩, 배터리 없이 무선으로 통신하는 새로운 종류의 웨어러블 센서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로 개발한 센서는 전자 피부의 한 형태로 피부에 맞는 유연한 반도체 필름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센서의 핵심은 질화갈륨의 초박형 필름으로, 기계적 변형에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전기 충격에 반응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질화갈륨(GaN)의 양방향 압전 특성을 활용
하는 동시에 감지와 무선 통신에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으며, 생성한 순수 단결정 질화갈륨
샘플은 금 전도층과 쌍을 이루어 들어오거나 나가는 전기신호를 증폭한다. 해당 장치는 사람의
심장 박동과 땀에 함유된 염분에 반응하여 진동할 만큼 충분히 민감하여 재료 진동의 근처 수신기
에서 읽을 수 있을 만큼의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미국 하버드 연구팀은 CMOS로 알려진 상업용 실리콘 이미징 센서 칩에 통합될 수 있는
최초의 인센서 프로세서를 개발하였다. 프로세서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시각 정보를 캡쳐해야
하는 거의 모든 상용 장치에 활용 가능하다. 연구팀은 실리콘 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개발했으며,
해당 어레이는 빛 또는 픽셀의 감도를 전압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미지가 포착되는
즉시, 관련 시각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내용을 제거할 수 있어 자율 추행
차량에 활용 시, 노이즈 제거를 위한 블러링 처리도 가능하다. 해당 연구는 주류 반도체 전자
산업을 활용하여 센서 내 컴퓨팅을 다양한 실제 응용 분야에 신속하게 도입하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칩 없는 무선 전자스킨 계산하는 실리콘 이미지 센서
자료 : Science, 2022 자료 : Nature Electro, 2022
[그림 3-110] 칩 없는 무선 전자스킨과 계산하는 실리콘 이미지 센서
530 ∙∙∙
(2) 나노에너지・환경
나노에너지 분야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는 단연 배터리다. 전고체전지에 대해
미국, 일본, 한국의 기술개발 경쟁이 높은 가운데 중국 또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고체전지(SSB)가 높은 안정성과 에너지밀도에 힘입어 리튬이온전지(LIB)의 대체품으로 주목
받고 있지만, 고체전해질(SSE)과 전극 계면의 불안정성은 전고체전지 상용화의 최대 걸림돌
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례로 중국과학원 화학연구소 연구팀은 습식용액 합성을 통해
나노스케일 정밀도의 전고체전지 음극 및 고체전해질 계면을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했다. 최근 효과적인 방법은 전극과 전해질 표면에 나노필름 중간층을 삽입
하는 것이지만, 해당 기술은 아직까지 한 번에 원자층을 한 겹밖에 쌓아 올리지 못하는 증착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에너지 소모가 크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공법은 기능성 화합물인 폴리아크릴산으로 표면 반응을 제어하여
금속 전구체 물질의 분포와 분해를 조절함으로써 갈라짐이 없고 균일성과 유연성이 높은 다양한
나노구조 금속산화물 필름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이렇게 만들어낸 나노구조 금속산화물 필름
으로 나노스케일 정밀도의 전고체전지 전극・고체전해질 계면 설계가 가능하다. 해당 연구 성과에
기반하여 제조한 양극 소재를 적용한 전지의 가역 용량은 201.5mAhg-1에 달하였으며, 기존의
기상 증착기술을 대체하여 전고체전지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경제적이고 실용
적인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 MIT 자회사인 PolyJoule이 전도성 폴리머 및 비금속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배터리를 개발했다. 전도성 폴리머, 탄소-그래핀 하이브리드 복합체 및 불연성 액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2극 전기화학 전지를 기반으로 하며, 완전 방전(DOD=100%)된 상태에서도 12,000회
반복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배터리는 동일 용량의 리튬 이온 시스템보다 최대 5배 이상 더 크고,
온도제어가 필요하지 않으며, 10초 이내에 1MW 전력을 빠르게 방전하고 5분 이내에 재충전
할 수 있다.
전고체전지 금속산화물 나노필름 그래핀 기반 고분자 전지
자료 : JACS, 2022 자료 : PolyJoule, 2022
[그림 3-111] 전고체전지 금속산화물 나노필름과 그래핀 기반 고분자 전지
∙∙∙ 53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노환경분야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사용이 급증한 플라스틱 이슈 해결이 필요하다. 우선,
플라스틱의 나노화되어 다시 섭취하게 되는 이슈가 있다. 체코의 연구팀은 촉매 활성 마이크로
로봇을 제조하여 물에서 나노 플라스틱을 포획 및 제거 연구를 하였다.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 플라스틱은 오염물질로서 생체 추적 증폭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여과를 통해 나노 플라스틱을 제거하려는 시도는 효과가 없었던 상황이었다. 연구
팀은 물에서 나노플라스틱을 선택적으로 포획, 회수하고 전기화학적 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동력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 탄화티타늄, Ti3C2Tx 또는 맥신 2D 시트로 조립했으며, 제어
된 열 어닐링 공정으로 제조하여 표면적이 넓은 TiO2 미세입자를 만들었다. 나노기술 기반
마이크로로봇을 테스트한 결과, pH3인 산성 환경에서 95% 이상의 나노플라스틱 포획률을
확인하였다.
호주 RMIT대 연구팀이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꽃잎에서 착안하여 흙 속에서 자연스럽게 분해
되는 자가-청결 바이오 플라스틱을 개발했다. 연꽃잎은 지구상에서 가장 발수성이 좋은 표면을
갖고 있으며, 밀랍층으로 덮인 작은 기둥으로 구성된 잎의 표면 구조로 인해 더러워지는 것이
불가능한 특성을 보유했다. 이에 연구팀은 전분과 셀룰로오스 나노입자로 플라스틱을 합성하였
으며, 표면에 연잎의 구조를 모방한 패턴을 새긴 후, 실리콘 기반 중합체인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보호막을 코팅하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공정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전분과 셀룰로오스를
활용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열을 가하거나 복잡한 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것이
장점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 플라스틱은 액체와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긁히거나 열, 산 등에 노출된 후에도 자가-세정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MXene 기반 마이크로로봇의 나노플라스틱 검출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자료 : Nature Comm, 2022 자료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2
[그림 3-112] MXene 기반 마이크로로봇의 나노플라스틱 검출과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기반 바이오플라스틱
532 ∙∙∙
(3) 나노바이오
인류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바이오기술의 높은 가치를 한번 더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간
축적된 백신기술은 코로나로 인한 인명피해 속에 신속히 대처하여 mRNA 백신을 만들어냈다.
mRNA 백신으로 바이오의약 기술이 주목받는 가운데 나노바이오기술 또한,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 바로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이다. 약물을 잘 만들었다 해도 생체내
환경에 잘 전달하는 능력 또한, 중요하다. 게다가 안전성까지 필수다. 이를 위해 적합한 물질이
LNP이다. 나노전달체의 위력을 체감해서 많은 연구진들이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일례로 미국
존스홉킨스 연구팀은 유전자치료제 물질 설계에 도움이 되는 지질나노입자(LNP) 성분과 그
비율을 스크리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간 세포로의 pDNA 전달을 위한 최상의
LNP 설계를 확인했으며, 개발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LNP를 단계별로 스크리닝하여 생체내의
여러 장애를 해결하여, 이 플랫폼은 1,000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라이브러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LNP를 식별하다.
또한, 나노바이오 기술분야는 IT와도 결합하여 웨어러블 바이오센서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약물치료의 적확성을 높이기 위해 정확한 약물 투여량을 제시하는 웨어러블 센서 등이 개발
되고 있다. 미국 UCLA 연구팀은 바이오센싱 마이크로 니들 기술을 활용하여 피하 1mm 이내의
체액 분석을 통해 체내 투약 농도를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웨어러블 패치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항생제로 치료받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약물 투여 후 약 15분 이내에 장치
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소 침습 측정과 혈액에서 순환하는 약물 농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모델을 검증했다. 바이오센싱 마이크로 니들 기술은 저렴하고 각 개인의 약물 용량을 최적화
하여 치료를 개선할 수 있으며, 약물 분자뿐 아니라 건강과 관련된 신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
하는 분자를 측정하여 의료 정보 제공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확한 약물 투여량
관리 개선 및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의사의 약물 선택권을 확대할 수 있으며, 맞춤형 의학의
다양한 측면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지질나노입자 이미지 웨어러블 마이크로 니블 전기화학적 aptamer 바이오센서
자료 : Nature Comm, 2022 자료 : Science Advances
[그림 3-113] 지질나노입자 이미지과 웨어러블 마이크로 니블 전기화학적 aptamer 바이오센서
∙∙∙ 53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나) 국내동향
새정부 출범에 따른 과학기술정책 재설정,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 등으로 나노기술
또한, 정부정책의 기조에 점진적으로 연계하는 추세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가속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국가전략기술 12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바이오, 수소, 양자 등으로 수요분야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나노기술은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 속성상 다양한 수요분야에 횡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나노기술(NT)이 정보전자기술(IT), 바이오기술(BT)과 연계되는 점을 고려한 국가전략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 동향을 제시해볼 수 있다. 수만 건의 나노기술 연구들이 매년 발표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매년 나노융합성과전에서 발표되고 있는 10대 나노기술을 통해서 동향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나노기술이 도구로서 많은 기여를 해오고 있는 분야다. 반도체가
고집적화가 요구되기에, 초박막화가 수 나노미터를 요하고 있다. 최근 원자층 두께 반도체에서
불순물(impurity)과 수송자(carrier)의 상호충돌을 없애는 독창적인 도핑법 개발을 통해 나노
트랜지스터에서 이동도 저하가 없는 초고속 전자소자 제조 기술 등이 개발되었다.
디스플레이분야는 상대적으로 반도체보다는 공정 집적도가 낮지만, OLED 시대를 함께할
마이크로 LED가 주목받고 있다. 이름은 LED 소자는 마이크로 단위지만 디스플레이 성능 구현을
위해 나노소재가 필수적이다. 최근 나노 신소재를 적용한 세계 최초 마이크로 LED 동시 전사
접합 기술 등이 개발되었다. 이는 나노 신소재를 적용하여 마이크로 LED의 전사 공정과 접합
공정을 한 번에 수행하며, 5단계 이상 소요되던 불량 화소 수리 공정을 2단계로 단축할 수 있어서
마이크로 LED 시대를 여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전략기술 중 하나인 수소를 통해 수소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소를 이용한 발전원인
연료전지 또한, 중요한 분야다. 최근에 탄소나노튜브가 이차전지 도전재로 활용되면서 이차전지의
충전용량 등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연료전지에서 기존 흑연중심의 탄소복합체 및 금속
기반 분리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 분산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를
통해 전기전도도 및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켰으며, 원소재 생산, 분산, 전극 가공, 스택 조립까지
통합기술로 품질 가격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그린 수소 생산용
광전극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생체모방형 나노그물망 형태의 하이드로젤 보호막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보호막 도입을 통해 태양광을 이용한 수소생산용 광전극의 부식과 촉매의 탈착을
동시에 억제함으로써 소자의 우수한 효율을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이다.
534 ∙∙∙
전략기술에 명기되어 있지는 않지만, 우리는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어야 한다.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나노기술은 우선 나노촉매를 꼽을 수 있다. 나노촉매는 앞서 언급한
연료전지 촉매가 대표적이겠지만, CCU(Carbon Capture and Utillization)를 위한 나노촉매
연구가 활발하다. 탄소중립의 지표이기도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플라스틱 등 소비재 원료로
전환하고자 하는 연구 등이다. 최근 전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는 나노
촉매 및 관련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분야로서는 우리나라가 선두권에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나노기술
개발 성과가 지속되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내 나노미터 수준 두께를 가진 표면 결함
치료 신소재 층 도입을 통해 태양전지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전략기술 분야 중 하나이자, 나노기술과 융합을 통해 발전하고 있는 나노바이오분야에서는,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등으로 검출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빠르고 정확하게 실시간
으로 표적유전자 검출이 가능한 나노반도체 융합 Digital Real-Time PCR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바이오 친화적으로 표면처리된 2만여개의 나노웰 구조물 및 CMOS 포토센서 반도체
융합을 통해 초저농도에서도 민감하게 실시간으로 정량화된 체외진단이 가능하다.
3) 향후 전망
나노기술은 2001년에 첨단기술의 대표격으로 등장한 이래 점진적으로 현실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미래기술로서의 잠재성이 큰 기술이다. 10-9m 단위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물리・화학적
현상에 기초한 나노기술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다양한 수요분야에 활용되면서
파급되고 있다. 부품에 적용되는 소재 단위이기 때문에 일반인의 체감도는 낮은 측면이 있었
으나 일상용품에서의 나노기술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겨울철에 유리 위의 김서림은
늘 고민거리다. 최근 스위스 연구팀은 유리위에 박막증착을 통해 나노코팅층(금, 산화티타늄
등)을 적용하여 열선 등 없이도 김서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코팅재는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투명성, 유연성, 적외선 흡수 효율성이 뛰어나고 주간에는
에너지가 불필요하므로 안경, 자동차 전면유리, 창문, 거울, 광학센서 등에 응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한때 나노단위 로봇이 혈관속을 다니며 치료하는 로봇을 보여주며 나노기술의 미래를
제시한 적이 있었다. 하이프 커브(Hype curve) 구간을 지나서 이러한 로봇도 점차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는지 모른다. 미국 시카고대 연구팀은 2D재료 등 나노물질을 조립하는 로봇을 개발
했다. 현재 연구 환경에서는 2D 재료, 신소재 등 소재의 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해당 소재를
직접 제작해야 하므로 연구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그래핀 등 2D 재료 분야에선 원자 두께에
불과한 시트를 쌓는 단계가 가장 중요하며, 얇은 층일수록 특이한 작용을 보인다. 먼저, 넓은
∙∙∙ 53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면적의 패턴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극도로 연약한 시트를 조작할 수 있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바로 녹아내리는 고분자 기반 ‘로봇 손’을 고안하였다. 이를 통해 시트가
정확하게 배치되면 손이 녹아 시트가 제자리에 떨어지는 작용을 수행했다. 해당 로봇은 작은
충격에도 손상되는 시트를 들어 올릴 수 있을 만큼 정밀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다시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처럼 나노기술은 나노소재, 나노장비 등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기여하는 한편, 나노기술 본연의 정체성 구현을 하는 방향으로 재정립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
이며, 이를 통해 사람과 자연이 더불어 잘사는 미래사회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 Nature Nanotechnology(2022)
[그림 3-114] Robotic four-dimensional pixel assembly of van der Waals solids
536 ∙∙∙
제6절 우주항공기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2022년도 우주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인공위성 개발 및 활용
서비스 고도화, 우주탐사 및 우주감시,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우주산업 육성 등 6개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7,311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한국형 발사체
국내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은 2022년 6월 21일
‘누리호’ 2차 발사를 수행하였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료하였다. 2021년 10월 21일 수행한
1차 발사 결과에 따른 보완 및 개선을 완료하고, 발사 수행과정에서 발생한 기상(강풍)에 따른
연기, 산화제 레벨측정시스템 오류에 따른 점검 등으로 인해 당초 예정일인 6월 15일보다 6일 이
후인 6월 21일에 발사를 실시하였다. 발사대로부터 이륙한 누리호는 모든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최종 목표인 성능검증 위성과 1.3톤급 위성모사체를 목표궤도인 700km에서 정상적
으로 분리함으로써 임무를 완료하였고 분리된 성능검증 위성도 정상적으로 교신에 성공하였다.
2010년부터 착수된 발사체 기술자립 계획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는 순간이었다. 2022년 5월
부터는 누리호를 활용하여 국가 위성의 지속적인 발사를 통해 신뢰도를 축적하고, 국내 발사체
관련 기업 육성을 위한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에 착수하였다. 누리호 2차 발사에 이어 앞
으로 예정된 6차 발사까지 수행할 예정이며 발사체 제작을 총괄할 체계종합기업의 선정도 완료
하였다. 또한, 위성 발사, 우주탐사 등 국가 우주개발 수요대응 및 자주적 우주탐사 역량 확보를
위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나) 인공위성개발
(1) 다목적실용위성
1994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다목적 실용위성 개발사업은 2022년도에 6호, 7호, 7A호 위성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고성능 영상레이더 위성인 6호 위성의 경우, 위성체의 총조립/시험
등을 완료하고 발사를 준비하고 있으며, 초고해상도 광학/적외선 위성인 7호 위성의 경우, 탑재체
비행모델 개발이 거의 진행되어 위성체 총 조립을 준비하고 있다. 한반도 관측 효율성을 높이기
∙∙∙ 53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위해 7호 위성의 성능을 개량하여 개발 중인 7A호는 위성의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 부품
제작을 추진하고 있다.
(2) 차세대중형위성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은 주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다양한 활용부처(국토부,
농진청, 산림청, 환경부)가 함께 추진 중인 사업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쌓아온 위성개발
기술과 경험의 민간 이전을 통해, 국내 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 주도로 다양한 공공 수요에
대응하는 저궤도 위성을 개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된 위성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 산업체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의 1호 위성 개발에 참여하면서 이전받은 기술을 활용
하여 총 4기(2・3・4・5호)의 중형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참여하는 2호 위성은
위성체의 총 조립/시험 등을 완료하고 발사를 준비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단독
으로 개발하는 위성으로 한국형발사체 기술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 수행이 예정된 3호 위성은
예비설계를 완료하고, 상세설계 중이다. 또한, 농촌진흥청, 산림청의 농업・산림 상황 관측용
광역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할 예정인 4호 위성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 부품 제작을
수행 중이며, 환경부의 수자원 관측용 5호 위성 개발에 착수하는 등 각 위성별 개발 단계에
맞춰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3)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미래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 대비 등 공공 위성통신서비스 제공, 해상구조 및 영해보호 역량
강화 등 재난・재해 대비를 위한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위성 3호) 개발사업이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다양한 활용부처(국토부, 환경부, 해경청)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에서 2021년 착수되어, 2022년 4월 시스템설계 검토회의를 완료하고 현재 예비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4) 초소형위성
2020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2024년 시제기 발사를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2022년 11월 시제기 인증모델(QM, Qualification Model) 조립을
완료하였으며, 2022년 12월 환경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위성체 분야 상세설계검토회의
(CDR)에 이어 2022년 9월 지상분야(지상국・검보정・활용시스템 등) 상세설계검토회의(GCDR)를
개최하여 운영개념을 포함한 지상분야 최종 규격을 확정하였다. 또한, 위성정보를 활용하는
기관들의 실제 현장 수요를 반영한 활용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위성 활용 워크샵을 개최
(’22.5.24.)하여 군집위성 운영개념, 관측 영상 특성 및 위성영상 활용에 대하여 관계기관
전문가들과 공유하였으며, 안보・재난재해 대응 등 국가 활용 수요와 산업화 방안 도출을 위한
538 ∙∙∙
관계기관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였다.
다) 우주 탐사
우주탐사 분야에서는 2022년 8월 5일 8시 8분에 달 궤도선 다누리를 발사하였다. 국내 개발
5종 탑재체와 미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ShadowCam을 탑재한 다누리는 발사 92분 후
교신에 성공하면서 달 전이궤도에 정상 진입, 본체 및 탑재체의 정상 작동을 순차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후 다누리는 전이궤적을 따라 달 궤도까지 항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지구/
달 사진 촬영, 지구 자기장 경계면 관측(자기장측정기), 블랙홀 탄생으로 발생한 감마선 폭발
관측(감마선측정기), 문자/사진/동영상 전송 성공(우주인터넷) 등 다양한 과학・기술적 성과물을
보내 왔다.
다누리는 달 전이궤적 상에서 4회의 궤적수정기동과 달 궤도 도착 후 3회의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22년 12월 27일에 달 임무궤도에 차질 없이 안착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체 및 탑재체 개발기술, 전이궤적 설계기술, 심우주 항해・통신기술 등 우
주탐사 기반기술 검증을 완료했다. 2023년부터는 달 임무궤도 상에서 1개월간의 시운전 기간을
거쳐 2023년 말까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한-미 민간달착륙선 탑재체 공동연구사업(CLPS)에서는 개발 중인 4기의 과학 탑재체 중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의 2024년 달착륙선 탑재에 관해 천문연-NASA 간 이행약정(IA)을
체결하였으며, 나머지 3기의 개별 발사 및 임무수행 일정을 논의하였다. 더불어, LUSEM과
달 표면 자기장 측정기(LSMAG)의 인증모델 및 달 표토 3차원 영상 카메라(GrainCams)의 공학
모델 제작을 마쳤고, 달 표면 우주방사선 측정기(LVRAD)의 인증모델을 제작하고 있다.
라)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은 2022년 연구개발에 본격 착수하여 초기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 6월, 한국연구재단 등 전문기관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연구개발기관
간 KPS 연구개발과제 협약이 체결되었으며, 7월에는 KPS개발 사업본부 출범식을 개최하였다.
또한, 12월에는 KPS 체계 요구사항 검토회의를 개최하여 KPS 전체 체계 및 하위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등 기본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위성항법분야 양・다자간 협력을 통해 KPS 개발에 필요한 추진기반도 확보하였다. 지난
5월 발표된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5.21.)에 KPS 개발 지원 내용이 반영되었으며, 10월에는
제16차 UN ICG(국제위성항법위원회) 연례회의에 정식 회원국으로서 참석하여 제19차 UN
ICG 연례회의(’25년 예정)를 우리나라에 유치하였다.
∙∙∙ 53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마) 우주산업/우주핵심・원천기술개발
우주산업생태계 조성 및 국가전략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및 스페이스
챌린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21~30년, 총 2,115억 원)은 첨단 우주기
술 국산화를 통해 국가 우주개발 역량 향상과 우주산업 생태계 선순환 기반마련을 목적으로 현
재 위성(9개)・발사체(3개) 중점기술 12개 과제를 지원 중이다. 2022년에는 소형발사체 관련 에
비오닉스 통합기술과 단간 연결 엄빌리칼 과제를 신규로 추진하였고, 2023년에는 항법위성용
코드/메시지 생성기 개발과 위성 탑재체 컴퓨터를 위한 ASIC 기반 멀티코어 컨트롤러 개발 등
2개 과제를 신규로 추진할 예정이다. 그리고, 스페이스챌린지사업을 통해 다학제가 참여하는
창의적 우주 분야 미래선도 기술확보를 위해 경쟁형 R&D 형태의 4개 연구주제를 도출하여
주제별 2개 과제, 총 8개 과제를 선정・지원하였다. 또한, 누리호(KSLV-Ⅱ) 이후 국가 우주수송
역량의 획기적 증가를 위해 고성능 액체로켓 엔진의 설계, 제작기술 및 핵심 구성품 개발 등의
선행연구(’22년, 120억 원)를 추진하여 차세대 우주발사체 개발 성공을 위한 기술확보를 지원
하였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개요
우주 분야는 크게 활용 목적에 따라 인공위성 등의 우주 자산을 활용하여 영상촬영, 방송중개,
통신서비스 및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는 분야와 우주탐사선 등을 활용하여 우주과학연구를 수행
하는 우주탐사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산업구조로 살펴보면, 인공위성 개발/제작, 인공위성
이나 우주탐사선 등을 우주로 올려보내기 위한 우주발사체 개발/제작 그리고, 인공위성을 운용
하는 지상국과 위성정보를 가공하고 활용하는 위성정보 활용 분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세계 우주개발 환경은 민간이 우주기술 혁신의 주체로 부상하고 있으며, 우주탐사가 본격화
되고 새로운 서비스들의 등장과 함께 우주개발의 가치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어 우주경제 시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으로는, 최근 국방 분야에서도 우주
분야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하여 위성항법, 위성
영상 및 위성인터넷에 대한 상업적 잠재성뿐만 아니라 군사적 유용성도 확인되어 우주 분야에
대한 투자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540 ∙∙∙
(1) 발사체 기술
우주 선진국에서는 축적된 기술과 민간의 자본을 바탕으로 공공이 주도하던 우주개발에도
SpaceX, Orbital Science 등이 적극 참여하여 재사용 발사체 등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
혁신으로 우주산업의 성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리고, 소형위성에 대한 발사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소형위성 발사시장을 목표로 Roket Lab의 Electron 발사체 등의 소형발사체 역시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경제성과 함께 발사 시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Virgin Orbit과 같이
항공기를 이용한 공중발사 서비스도 제시되고 있다.
(2) 인공위성 기술
인공위성 분야에서는 기존과 같이 보다 고성능의 위성을 개발하는 흐름과 함께 반대로 소형
저궤도 위성을 대량 운용하는 방식으로 성능과 경제성을 모두 충족시키는 전략이 등장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같은 구조로 다수의 위성을 생산함에 따라 위성 개발/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수의 위성으로 구성된 위성군을 운용함에 따라 단축된 재방문 주기는 위성의 활용 방식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200기 이상의 소형위성을 보유
하고 있는 Planet labs는 미국 정부와 구글 등을 주요 고객으로 영상이미지뿐만 아니라 관련
영상분석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며, Capella Space와 ICEYE는 초소형 영상레이더위성을
군집운영하여 영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재해재난대응 및 국방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
되고 있다. 그리고,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위성인터넷 서비스는 Starlink와 Oneweb이 대표적
이며, 2020년부터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Starlink는 2022년에는 화산폭발(통가)과 전쟁(우크
라이나) 등으로 통신망이 단절된 지역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증명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 Starlink의 위성은 2022년 12월 기준으로 3,600대를 넘어서는 등 영상촬영을
위한 소형 군집위성 및 저궤도 통신위성 등으로 우주궤도 상의 위성 수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
우주쓰레기 문제나 우주궤도 상의 충돌위험 증가와 같은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킬 것으로 우려
되고 있다.
(3) 우주탐사 및 우주과학
지난해 발사된 현존하는 가장 큰 광학 우주망원경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의 관측
영상이 2022년 7월에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이후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JWST의 중량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절반에 불과하지만, 주거울의 직경은 6.5m로서 허블
망원경의 2.4m보다 배 이상 크며, 허블 망원경보다 1/100 수준의 밝기의 천체도 관측할 수
있어 향후 우주과학 연구가 더욱 활발히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 54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리고, 주요 우주개발 선진국들이 달 및 화성 탐사에 대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달 방문 실현, 유인 달 탐사 실현, 달 탐사 임무의 연장과 화성 탐사 준비를
포함하여 아르테미스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달 탐사선, 심우주 통신, 탐사로봇
등 다방면에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리고, 아르테미스 계획을 진전시키기 위한 아르
테미스 약정을 2020년 발효시켰으며, 우리나라도 2021년에 약정에 서명하여 아르테미스 계획의
10번째 참여국이 되었다.
한편, 아르테미스 약정에 포함된 민간기업의 우주 자원 소유권은 우주자원의 개발과 상업적
이용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어 지금까지의 우주산업의 형태와 달리 우주 공간에서 자원을
채취하고, 생산하고, 활용하는 등의 진정한 산업활동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3-115]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상상도와 설치위치(NASA)
(4) 우주쓰레기와 지속가능한 성장
세계적인 우주 활동의 증가 결과 2022년 현재 전 세계의 인공위성 수는 약 6,000대에 이르고
있으며, ESA에서 파악하고 있는 인공 우주물체들은 약 30,000개에 이르고 있다. 미국, 중국,
영국, 러시아, 캐나다 등의 주요 5개국에서 계획하고 있는 저궤도 군집위성을 모두 합하면, 6만
7,000기에 이르는 수준으로서 인공위성을 포함한 인공우주물체의 급증으로 인한 인공위성, 우주
구조물과의 충돌 우려도 점차 커지고 있다.
현재 인공위성으로 인한 우주쓰레기의 급증을 막기 위하여 임무수명을 마친 위성을 처리에
대한 국제규범이 논의 중이며, 인공위성의 급증과 함께 군사적인 목적에서 이뤄지는 위성 요격
시험 등으로 발생하는 파편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직접적인 위성파괴 시험을 금지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리고, 급증한 우주물체들로 인한 위험을 막기 위하여 우주 공간 감시를
542 ∙∙∙
위한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발생한 우주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한
포획 위성 개발 등이 진행 중이다.
나) 국내동향
2022년은 우주개발 성과뿐만 아니라 제도와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우주개발 및
산업계에 전환점이 되는 시기가 되었다. 발사체 분야에서는 독자기술로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가 이뤄졌으며, 달궤도선 다누리의 성공적인 발사와 달궤도 진입으로
우주탐사 분야에도 새로운 지평을 마련되는 한편, 세계적인 국방 우주 분야의 대두와 함께 국내
에서도 국가우주위원회에 안보우주개발실무위원회가 설치되는 등 국방 분야에 대한 투자도
확대되는 중이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동향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은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의 기초 체계
확립에서 선도적 우주탐사, 우주산업 창출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서 선진국의 영역으로 인식
되고 있던 우주탐사, 우주자원 채굴 등에 대한 투자와 함께 지난 7월 대통령의 우주경제 비전
선포와 같이 본격적인 우주경제 시대를 위한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11월에 공개된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서는 우주탐사와 우주과학으로 영역을 넓힌 민간 중심의 중장기 우주
개발 임무에 집중하는 ‘우주개발 2.0’ 정책으로 전환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주 영토
확장, 우주항 확보, 우주산업, 우주 안보, 우주과학의 5대 영역에 대하여 우주경제 실현 기반
구축과 선도형 첨단우주기술 확보라는 두 가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우주영토 확장에 대하여 2032년에 달 착륙에 이어 2029년 화성 착륙(35년 궤도 탐사)을
담고 있는 담덕 계획이 발표되었다. 우주항 확보는 50년대까지 유인수송 체계를 마련하고, 국가
우주산업도 30년대까지 자생적 생태계를 구축하고, 50년대까지 10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고 있다. 우주과학 분야에서도 기초과학 연구 투자 확대와 국제협력 강화 등으로 연구대상을
40년까지 심우주 분야로 확대하고자 하고 있다.
발사체 분야는 우주영토 확장, 우주항 확보 등과 관련하여 누리호 후속으로 저궤도에 10톤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차세대발사체(KSLV-III) 개발이 2023~2032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개발과정에서는 향후 재사용 발사체로의 개량에 필요한 기술개발도 진행될 예정이다. 그리고,
이노스페이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등의 민간기업이 소형발사체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소형발사체 개발역량 지원을 위해 발사체 엔진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공위성 분야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6호와 7호의 발사가 준비 중이며, 천리안 3호(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는 2027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그리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KPS)과 관련하여 현재 KPS 1호기가 2027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이며, 우주탐사와 우주
∙∙∙ 54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달 착륙과 표본 채취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달과 같은 우주
공간에서의 자원 채취와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3) 향후 전망
정부의 투자를 바탕으로 우주개발을 중심으로 형성된 우주산업은 상업적 성과와 발전 가능성이
증명되면서 민간의 투자와 참여가 확대되었고, 일부분은 민간의 주도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산업화와 민간의 참여가 확대될수록 시장경쟁이 심화되어 보다 경제적이고 신뢰도 높은 발사체,
위성을 확보하고자 할 것이며, 이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들이 등장할 것이다. 이미 재사용
발사체 기술과 소형위성에 특화된 소형발사체 등의 개발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량생산으로 비용을 낮춘 소형위성을 대량으로 운용하여 얻은 위성영상활용서비스와 저궤도
군집위성을 활용한 위성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교적 짧은 우주개발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도 지금까지의 우주개발과 달리 우주산업과 우주
경제로 전환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발사체뿐만 아니라 위성 분야에서도 민간으로의
기술이전과 우주개발 인프라의 제공이 확대되고 있으며, 우주산업 성장을 위한 기반으로서
우주산업 클러스터로 경남(위성), 전남(발사체), 대전(연구개발) 지역을 각각 선정하는 한편,
국내의 우주기술, 우주 부품 및 소자의 검증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기술검증 위성을 개발, 발사
하여 핵심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차세대중형위성과 초소형 군집위성을 통하여 저궤도 지구관측 역량을 고도화하여 위성영상
활용서비스가 더욱 다양하고 충실하게 제공될 것이며,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구축과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로 본격적인 6G 시대 교통,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한편으로 증가되는 국내 위성 운용 수요에 따라 우주 감시와 위성관제 능력은 더욱 중요해
질 것이며, 우주쓰레기 감소와 재해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과 공조는 더욱 강화
될 것이다.
544 ∙∙∙
제7절 문화기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문화산업은 국민의 삶에 직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다.
2020년 기준 콘텐츠 산업은 매출액 128.0조 원(전년대비 1.2% 증가), 수출액 119.2억 불(전년
대비 16.3% 증가), 종사자 수 64.2만 명(전년대비 5.9% 감소)으로 문화산업이 우리나라의 신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K-콘텐츠 <오징어 게임>의 성공 및 가상 인간의 탄생은 문화기술의 힘을 보여준 대
표적인 사례다. <오징어 게임>은 최단 시간에 전 세계 1.4억 가구가 시청하였고, 83개국 시
청순위 1위(Flix Patrol)를 기록한 바 있다. 잘 짜인 이야기와 배우의 연기력은 컴퓨터그래픽
(CG), 특수효과(VFX), 영상압축/전송 기술 등의 문화기술과 만나 더욱 빛을 발할 수 있었다.
가상 인간 <로지>는 다수 기업의 광고모델을 맡아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으며, 이러한 성공 이후
산업계에서는 가상 인간과 AI 기술을 연계하여 영화, 드라마, 공연, 쇼호스트 등 새로운 시장
에서 활용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 CT)은 잠재력 있는 콘텐츠를 양질의 문화콘텐츠로
재탄생시키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등 우리 사회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코로나19의 지속에도 변함없이 문화를 향유하는 이들과 사회・경제적 가치의 창출을 위해, 문화
기술 연구개발에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콘텐츠 분야
2022년도 문화콘텐츠 연구개발 사업은 메타버스・인공지능(AI)・신기술융합콘텐츠 등 신기술을
활용한 문화기술 연구 분야에 매진하였다.
콘텐츠 산업의 진흥을 위해 문화산업 선도형・확산형 기술개발과 더불어 신기술융합콘텐츠
(XR 등)를 활용한 기술개발, 시장 수요를 반영한 혁신성장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였고, 글로벌
가상공연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실연-가상 공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를
신규134)로 진행하였다. 또한, 다학제 간 교육과정과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CT R&D 전문인력
양성도 지속 추진하였다.
134) 2022년 신규과제 총 32개(지정공모 등 10개/102억 원, 자유공모 22개/87억 원)로 189억 원 지원
∙∙∙ 54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표 3-62> 대표성과 사례
영화
3D 입체/3D 캐릭터 영화 3D/CG 기술개발
영화 <미스터고>의 고릴라 CG를 국산기술로 구현
<적인걸2>, <지취위호산>, <몽키킹2> 등 다수의 중국 영화 CG 담당(’13년~)
중국 완다그룹으로부터 1,000만불 투자유치 및 코스닥 상장(’15년)
영화 ‘미스터 고’: 국내 매출 92억원, 해외 매출 240억원/관객 132만명
영화 ‘신과함께 1, 2’: 국내 매출 1,157억원, 해외 매출 220백만 USD/국내 관객 2,668만명
방송
감성형 오디오북 제작을 위한 지능형 음성합성 및 음성변환 기술개발
오디오북 등 다양한 화자 및 성향과 감정을 표현하는 음성합성 기술과 저작도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세계 최초 개발
문맥이해 자연어처리에 기반한 음성기반 대화 엔진 사업화 19건, 매출 7.8억원
AI코리아대상 2020(과기부 장관상)
국내 특허출원 18건, 등록 5건, 국외 특허출원 1건
공연
세계 최고 안전등급의 무대장치 통합 분산제어 시스템 개발
<강릉올림픽아트센터> 등 8개 공연장에 기술적용(200억원 수입 대체효과)
개발기술 관련 매출 총 178.31억원(기술사업화 30건)
세계최고 안전등급인 안전무결성(SIL3) 인증서 획득, 특허 등록 2건, 출원 5건
2019년 과기부 IR52 장영실상, ’17년 산업부 장관 표창(신기술 실용화) 수상, 필리핀
정부 기관 150만 달러 투자 유치
음악
AI 가창합성 시스템 개발
세계 최초 인공지능 가창합성 기술을 활용 및 방송 제작기술 적용
(’22.9월 기준, 조회 수 김현식 147만, 거북이 1,041만 돌파)
하이브(舊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로부터 40억 규모의 투자 유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가창 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특허출원
애니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시간・실사급 디지털 휴먼 기술개발
GPU렌더링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실존인물과 유사한 표현
이 가능한 디지털 휴먼 개발
애니메이션 및 전시영상물 제작 투자유치 50억원(XRN미디어 등)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19년)
전시
숲/공원과 융화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미디어 아트 플랫폼 개발
숲/공원 등 구조물에 미세먼지 저감 장치, 조명, 홀로그램 등 종합 미디어아트 플랫폼을
구축 기술을 개발하여 기존 단기성 이벤트를 상시 체험형 콘텐츠로 구축
국내 최대 야간 디지털 테마파크 ‘디파랑’ 조성 26.2억원(’19~’21년)
비SCI 5건, 학술대회 13건, 국내 특허 출원 10건, 등록 8건
가상
・
증강
등
세계 최고수준 고해상도 홀로그램 카메라 및 홀로그램 기반 AR 플랫폼 기술개발
홀로그램 카메라 및 홀로그램 기반 AR 플랫폼 기술개발
세계 최고 수준의 고해상도,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쉬운 고시인성, 광(廣) 시야각의
4K급 투시형 증강현실 영상구현을 위한 AR HMD 개발
기술이전 2건(210백만원), 개발기술 사업화 매출 107.1억원, 논문(SCI) 10편, 특허
등록 5건, 출원 24건, 세계최초 비대면 실기술융합콘텐츠 아쿠아리움 사업화
제3회 지식재산의 날 문체부장관상 수상(’20.9월),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21년)
IoT 기반 유원시설 모니터링 및 체험확장 서비스 개발
네트워크 기반 무동력 차량 통합제어 및 위치기반 혼합현실 사이니지 서비스 개발
오프라인 놀이기구의 온라인 적용을 위한 시뮬레이터(어트랙션) 구현
중력 레이싱 차량 관련 국내 특허출원 4건/기술(자기실시) 매출액 108.66억원
모노리스 인천 파크 설립 중(2025년 예정)
546 ∙∙∙
나) 저작권 분야
2022년도 저작권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 환경에서 유통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산・유통 환경에서 저작권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 주력하였다.
2022년도 신규과제는 총 6건(지정공모 6개)으로 66억 원을 지원하였다. 메타버스 기술환경을
반영한 실감형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유통・보호기술을 개발하는 ‘차세대 실감콘텐츠 저작권
핵심기술개발’ 사업(4개 과제, 50억 원)과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저작권 분쟁사건을 방지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저작권 연구개발’사업(1개 과제,
10억 원)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였다.
<표 3-63> 저작권 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구분 내용
음악,
동영상
<음악, 동영상 저작권 보호를 위한 AI 식별기술 개발>
∙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저작권 기술로, 음악, 동영상 등에서 사용된 자료를
원본 영상과 식별하는 기술체계 최초 구현
∙ 국내 특허 출원(15건), 해외 특허 출원(3건)/등록(1건)
∙ 기술이전 9건(231백만원), 기술이전 연계 사업화 4건
∙ (기타 성과) 최신 영화의 초기 불법유통을 차단하여 다양한 윈도우 전략을
통한 수익 극대화, 인공지능을 이용한 세분화된 콘텐츠 분석 기술 및 IPR 확보
실감형
콘텐츠
<디지털 홀로그래픽 프린터용 콘텐츠 저작권 보호 기술 개발>
∙ 타 부처 기술개발 사업으로 제작된 디지털 홀로그램 프린팅 기술을 동 사업의
저작권 보호 기능을 통해 자료 공유 서비스 한계를 해결
∙ 국내 특허 등록 1건, 출원 7건, 표준 기고 1건
∙ 기술이전 1건, 사업화 9건(매출 600백원)
이미지
<인공지능 기반 고품질 대용량 사진 고속 식별기술 개발>
∙ 무단 이용된 사진 저작물, 디자인의 모니터링과 합법 이용활성화 사업 추진을
통해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
∙ 국내 특허 등록 2건, 출원 4건
∙ 기술이전 2건, 사업화 4건(매출 675.5백만원)
∙ (기타 성과) 대량의 이미지 등록 및 분류화, 검색 및 중복제거 등을 저작물
관리 효율화, 이메일에 포함된 설계도면, 디자인 등 이미지 외부 유출 차단을
통한 기업 비밀 보호
∙∙∙ 54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다) 스포츠 분야
2022년도 스포츠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비대면 상황에서 스포츠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디지털
스포츠 서비스 기술개발에 집중하였다.
‘스포츠산업혁신기반 조성’사업을 위해 총 10개 과제에 136억 원을 지원(계속과제 8개 121억
원, 신규과제 2개 15억 원) 하였으며, 비대면 상황에서 스포츠 참여 및 관람이 가능한 기술과
실내스포츠 시설의 첨단화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보건복지부 주관 다부처 사업인 지역사회기반 장애인재활운동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총 3개에 과제 40억 원을 지원하여 장애인의 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 외에도 스포츠서비스업 분야 기술사업화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스포츠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을 통해 3개 과제에 30억 원을 지원하였다.
라) 관광 분야
2022년도 관광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디지털화에 발맞춰 전통 관광기업에 디지털 전환 기회와
기술자립성을 제공하고, 주요 관광서비스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여 관광산업 경쟁력을 강화
하고자 하였다. 관광서비스 혁신성장 연구개발 사업을 위해 총 9개 과제에 44.3억 원을 지원
하였다. 그 외에도 2020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였던 국토교통부를 주관부처로 하는 다부처
공동사업인 공간정보 제공 기술개발 사업의 3차연도 연구개발을 수행하였다.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3D 공간정보 데이터와 연계한 관광용 디지털 트윈을 위한 관광 데이터 정합 및 확장
기술 등을 개발하여 타 부처에서 축적한 정보를 관광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 영역을 확장하
였다.
3) 향후 계획
2022년 문화산업은 코로나19 지속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 문화산업 내 장르 간 격차가
심화되는 측면도 있었지만,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 새로운 서비스 발굴 등으로
이어지는 기회로도 이어졌다.
정부는 앞으로도 변화와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화기술 R&D 중장기 계획을
포함한 관련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적극적으로 투자를 지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문화기술
(K-CT) 글로벌 도약으로 문화매력국가 실현에 앞장설 예정이다.
548 ∙∙∙
나. 동향 및 전망
문화기술
1) 개요
문화기술(CT)은 문화(Culture)와 기술(Technology)을 합친 개념으로, 문화콘텐츠 기획・상품화・
미디어 탑재・전달 등 기획부터 유통까지 모든 단계에서 부가가치를 더해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광의적으로 이공학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 분야의 지식과 노하우를
포함한 복합적인 기술로 총칭하기도 한다.
즉, 인간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인문/사회/과학 분야와 융합된 특성을 보유
하고 있으며, 창의적 요소가 중요한 기술로, 문화와 기술이 결합된 문화콘텐츠로 파급효과가
창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제작/표현에 비중을 둔 기술뿐만이 아니라, 창작 및
문화향유를 촉진하기 위한 기획/소비/확산 등 문화콘텐츠 전 단계를 포괄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메타버스 및 인공지능(A.I) 등 타 분야/산업과 융합이 진행됨에 따라 문화기술이 제작하는 복
합체는 콘텐츠, 문화예술, 저작권, 관광, 스포츠 등 전반적인 문화체육관광 분야를 아루르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미국은 콘텐츠와 문화예술 분야의 디지털 융합연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국립
과학재단(NSF)은 2021년 인공지능(AI)의 혁신을 위한 국립 인공지능(AI) 연구소 11개를 설립을
발표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콘텐츠 제작/딥러닝 기반 디지털휴먼/창작과 공연기법 등 콘텐츠와
문화예술 분야의 연구개발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민간분야에서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민간 주도의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관광과 스포츠 분야에서는 디지털
∙∙∙ 54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전환을 통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국 상무부에서는 ‘국가여행 및 관광전략’을 2022년에
발표하고, 디지털여행증명 등 신기술 적용을 전략으로 제시를 하고 있다. 저작권 분야에서는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제도와 기술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저작권청의 역할을 확대
하면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의 모니터링 및 분석 기술 등을 적용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콘텐츠와 문화예술 분야에 신기술개발 및 융합 확대를 위하여 연구혁신 분야
재정지원 프로그램 ‘Horizon Europe(2021~2027)’을 마련하고, 3대 핵심영역에 7년 간 약
955억 유로(약 133조원)를 투자를 하고 있다. 특히, 문화 분야의 연구개발로는 ‘클러스터3.
문화/창의성/포용사회’를 위해 약 22.8억 유로를 투자해 높은 수준의 디지털 환경을 구축, 유럽
문화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시켜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유럽연합의 디지털 정책의
비전과 목표를 담은 ‘2030 Digital Compass’ 전략을 발표하여 유럽 전 영역의 디지털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콘텐츠와 문화예술의 디지털확대와 온라인 콘텐츠 소비의 확대로
연계되도록 하고 있다.
중국은 문화 분야의 디지털화를 국가전략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중앙 데이터베이스로
통합적인 디지털 문화자원 연결망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혼합현실(XR) 등의 융합기술을 중점
으로 하는 관련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21년 3월에 발표한 ‘제14차
5개년 계획’에 따른 문화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발전 목표를 제시하고, 문화산업 구조의 최적화
및 디지털화/네트워크화/스마트화에 따른 혁신 발전과 밸류체인 정비 등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문화콘텐츠 몰입고도화 등 고품질 콘텐츠 개발을 위한 혼합현실(XR) 활용 확대를 지원
하는 등 국가 주도의 중장기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관광 분야에 있어서도 스마트 문화관광
육성을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기 위해 5G 등 첨단기술을 관광지 교통관제, 안면인식 출입,
스마트 가이드 및 숙박/교통 예약 등 관광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관광의 발전을 가속화
하고 있다. 스포츠 분야는 ‘스포츠산업에 대한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를 제정하고,
디지털 혁신 발전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나) 분야별 문화기술 동향
(1) 문화콘텐츠 분야
혼합현실(XR), 증강현실(AR) 프로젝션을 활용한 신기술 융합콘텐츠(공연/체험공간/게임 등)
증가하고 있다. 관객참여(몰입)형 공연인 ‘이머시스 씨어터’, 메터버스 에버랜드, 디즈니의 가상
세계 시뮬레이터 등 ‘메터버스 테마파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게임 분야에서도 오큘러스 퀘스트
2(Oculus Quest2)의 성공을 바탕으로 실감형 이머시브미디어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문화적 체험 약자를 위한 문화콘텐츠 향유를 위한 증강현실 및 인공지능(AI) 기술 연구가 활발히
550 ∙∙∙
진행되고 있다. 저시력자를 위한 시력 보조 가상현실(VR) 보조기기의 개발 및 증강현실(AR)
기반의 통역사로 청각 장애인의 의사소통 지원하고 있으며, 국립광주박물관은 청각장애인을 대상
으로 한 수어 번역 시범서비스를 시행한 바 있다.
IrisVision의 VR glass AR 기반 청각장애인 교실체험 개선 스마트 수어 번역 시범서비스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과 연계를 위한 다양한 융합기술의 연구개발도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특히, 메타버스IP는 게임에서 출발하여 엔터테인먼트/예술/패션/캐릭터 등 다양한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여 특화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 내에서의 다양한 캐릭터IP의 확보기술을 위한
키네틱(Kinect) 기반의 아바타(Avata) 복원, 마커기반 페이셜 애니베이션 생성, 파라메트릭 기반
디지털 휴먼의 표정 실감 랜더링 등 실감 가상인간 생성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림 3-116] ㈜더블미, ㈜투썬디지털아이디어 및 삼성전자의 실감 가상인간 생성 기술
단일영상 기반 3D 모델 생성 기술, 메타 플랫폼스(구 Facebook) 3D 디지털 패션 재현 플랫폼을 개발중인 브리즘(VRISM)
∙∙∙ 55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콘텐츠의 창작과 제작 분야에서도 지능형 콘텐츠의 창작과 제작이 가능한 혁신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규모 콘텐츠를 학습하여 소설이나 그림을 창작하거나, 인간과의 공감
능력을 높인 음성 대화를 실현한 디지털휴먼을 통한 자연스러운 서비스를 위한 활발한 연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를 통해 사람의 의도와 대화 맥락을 이해하는
인공지능(AI) 챗봇을 개발하고, 구글은 사실적 묘사와 깊은 수준의 언어 이해를 통한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하는 Imagen을 공개하였다. 이외에도 사용자와의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타버스 상에 콘텐츠를 손쉽게 창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네이버 챗봇 빌더 구글 Imagen 메타 빌더봇
(2) 문화예술 분야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신기술 융합콘텐츠 서비스 및 체험 플랫폼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 전주시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를 활용한 지역관광 명소를 홍보하고 있으며,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은 레오나드로 다빈치의
사후 5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대표작 ‘모나리자’를 디지털 휴먼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또한,
온라인와 오프라인을 연동한 개인화/최적화된 경험 제공을 위한 다양한 체험서비스도 확대가
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EBS와 포스코는 전국 초등학생 대상 메타버스 방문 교육프로그램인
‘스쿨버스(School-Verse)’를 시행한 바 있으며, 해외에서는 애플사가 라이다(LiDAR)스캐너를
추가한 ARkit를 출시하고, 공간 상황인지 기술을 널리 적용되도록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전주 메타버스 한옥마을 체험 모나리자, 백제인 디지털 휴먼 이동형 메타버스 체험관 ‘스쿨버스’
552 ∙∙∙
최근에는 관람객의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인터랙티브 전시 콘텐츠의 확산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체코의 인형극 박물관에서는 텔레프레즌스 로봇을 PC나 모바일로 원격에서 조정하여
관람할 수 있는 전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며, 프랑스 파리의 국립자연사박물관은 마이크로
소프트의 홀로렌즈를 통해서 멸종된 동물의 모습을 증강현실(AR)로 재현하여 제공하는 프로
젝트를 진행하였다. 이탈리아 볼로냐 시립 박물관에서는 인공지능(AI) 기반의 관람객 표정 인식을
통해 작품과의 인터랙션을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인터랙티브 전시 콘텐츠 적용 사례들
(3) 관광 분야
개인화된 관광서비스를 위하여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연령/성별/지역 및 개인의 선호
등을 조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성을 위한 기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경우
‘Data Lab’을 통해서 이동통신, 신용카드, 내비게이션, 관광통계 등 다양한 관광 빅데이터의 융합
분석 등의 연구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예측과 세분화
된 정보의 제공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관광공사 ‘Data Lab’ 데이터랩+경찰 데이터=관광 치안 지역 관광 기반 빅데이터 분석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과 4D 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관광/전시/박물관 플랫폼 관련한
기술개발은 지속되고 있다. 디지털 신기술로 새로운 감각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몰입형 미디어
아트 등이 활발히 운영하고 있다.
∙∙∙ 55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5G 기반 다자 실감형 관광 체험
가이드 기술
AR 몰입형 멀티미디어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 실감 영상관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한 관광정보 기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
(Chatbot)은 관광객의 문의 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하거나 여행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AI)기반 개인화/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호텔/박물관 등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안내
서비스 로봇 등을 활용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관광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이 보편화되거나 지능화는 초기 단계로 평가된다.
방문객 통계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AI 스마트 무인계측기
AI와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
여행 쳇봇
여행지 자율주행 모빌리티 기술
(4) 저작권 분야
문화콘텐츠시장이 글로벌화되고 신기술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창작과 제작, 그리고 유통과
소비가 가능하면서 저작권에 권리 검증과 콘텐츠 식별, 표준화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웹툰에 대한 저작권 보호와 유통의 모니터링을 통한 투명한 수익분배에 대한 대책 마련의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표준화 활동 역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증강현실(AR) 및 실감기술 등을 활용한 실감콘텐츠 저작권 기술의 경우, 창작과 제작단계, 유통
및 전송단계, 소비단계로 구분되어 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어도비는 다양한 장소
에서 영상/음성/햅틱 등 멀티모달 요소를 포함한 실감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용할 때, 저작권 관리
기법(DRM)에 대한 특허를 등록하였으며, 구글/마이크로소프트/애플 등의 자사의 플랫폼 기반
위에 콘텐츠 스트리밍 표준을 바탕으로 한 DRM을 개발하였다.
554 ∙∙∙
오픈소스를 포함한 대규모 소프트웨어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와 침해 분석에 대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에 대한 사용률이 높은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라이선스 변경/보안 패치/업데이트 등)이 빈번히 발생
하는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저작권 사전 점검 절차가 필수적으로 요구가 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저작권 침해에 대응하기 위한 소스코드/바이너리/설계문서 등에 대한 유사도
비교 기술개발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실감 콘텐츠 저작권 웹툰 저작권 문학예술 콘텐츠 저작권 소스코드 SW 저작권
다) 향후 전망
미래의 문화기술(CT)는 초실감 경험,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없는 창작과 서비스가 가능한
기획과 창작/제작, 유통 기술이 핵심으로 미래 콘텐츠 산업을 주도할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도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콘텐츠 분야는 메타버스/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통해 가상공간・초실감 문화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존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콘텐츠의 고품질화와 사회적 경험을 증폭하는 방향으로
진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문화예술 분야 역시 메타버스/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통해 문화예술 체험의 진입장벽이
완화되고, 몰입도가 높은 경험의 기회가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프로젝션 매핑 기술 등의
발달로 몰입도가 높은 표현이 가능하고, 실제와 가상세계가 연계되어 실제와 가상의 세계가
사라지고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 분야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되었으며, 비대면 디지털 관광여행이 확대되어
향후, 증강현실(AR) 안경과 스마트폰을 통한 데이터기반 인공지능(AI) 실시간 인터랙티브 관광
정보를 통한 초개인화 맞춤형 관광서비스 및 메타버스, 실감기술을 통한 체감형 관광서비스가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포츠 분야는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한 스포츠 패러다임의 변화와 초저지연 기술을 통한
스포츠의 관객 참여 기회가 확대되고 현장감이 극대화 되는 기술개발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
된다.
∙∙∙ 55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문화재 관리
1) 개요
인공지능(AI), 3차원 입체 데이터, 비접촉 분석 활용, 다양한 문화유산 지식자원을 바탕으로
융・복합 연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화유산 분석 등 환경 변화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문화유산 보존관리에도 기술 혁신의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문화유산기술의 개발, 산업육성,
인력양성 및 R&D 생태계 조성 등 문화유산 분야의 과학기술 개발과 육성을 위한 문화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 연구개발 기본계획 하에 보존관리 및 활용 기술개발에 중점을 둔 문화유산
스마트 보존・활용 기술개발 사업은 문화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 분야에 혁신과 신산업 창출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유럽연합위원회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디지털 문화유산 생태계 혁신, 문화유산 접근성
강화를 위한 3D 모델링 고도화, 공공 문화공간 활성화에 대한 프로젝트 ‘호라이즌 2020(Horizon
2020)’을 통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추진하였다. 그 후속으로,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와 혁신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한 총 955억 유로 규모의 Horizon Europe(’21~’27) 사업을 추진 중이다.
R&D 투자 1유로당 11유로 GDP 성장, 신규 일자리 30만개 창출, 기후변화 투자확대를 위한 연구
역량 제고, 경제・사회문제 해결 및 혁신생태계 조성 등의 3대 목표를 기본으로 한다.
영국 예술 및 인문학 연구 위원회(AHRC, Art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는
국립컬렉션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에 약 2,339억 원을 투자하였다. 이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해 대중의 참여와 상호 작용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창조한다. 문화유산과 과학
기술(인공지능, 블록체인, 메타버스)을 결합한 R Holistic 프로젝트 역시 문화유산 또는 자연
유산에 대한 이해와 보존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지털기술의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유산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위협과 위협을 중심으로 한 범유럽 연구지원 사업도 진행
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유럽 그린딜(Green Deal)에 문화유산 관련 정책을 포함할 수 있도록
문화유산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중국의 경우, 문물 보호와 과학기술 혁신계획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문화유산의 기후변화 대응기반을 구축하였다. 최근 자연유산이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며, 자연유산의 보존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202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 기후행동 정책문서’ 채택 안건을 상정하여 기후 변화
완화를 하나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방사선 기술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비파괴검사와 보존・복원 기술은 프랑스의 ARC-Nucléart(Atelier
556 ∙∙∙
de Recherche et de Conservation Nucléart)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원자력기술을
이용한 유럽 문화재 보존 표준절차’의 수립을 주도하는 크로아티아의 RBI(Ruder Boškovic
Institut's)도 적극적인 활동을 진행 중이다.
미국은 국가과학재단(NSF)과 국립인문재단(NEH)의 지원을 중심으로 문화유산 부문의 연구
개발사업 진행되고 있다. 문화유산에 대한 다면적 문제 인식 속에 문화유산의 보존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가상공학의 적용과 재료연구 및 문화유산 과학기술이 접목된 인문학적 융복합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중국은 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2021~2025년 내 추진할 과학기술 R&D 혁신전략을 제시
하고, 중점전략의 하나로 ‘문화 과학기술과 현대 서비스업’에 2.1억 위안을 투자하고 있다. 문화재
분야의 과학기술적 뒷받침 가속화, 디지털화 강화, 국가과학기술 중장기 계획 요강에 문화재
과학기술을 중점 분야로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다년간의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새롭게 직면한 과학기술 혁신 환경변화를
반영한 ‘제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2021~2025)’을 수립하였다. ‘인문사회 진흥’ 및 ‘혁신
창출’을 담아 연구개발투자 등의 확보와 정부・민간 연계 추진 분야별 전략, 종합과학기술・혁신
회의(CSTI)의 기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둔다.
나) 국내동향
문화재청에서는 기존의 순수 학술 연구 중심 연구개발에서 탈피하여, 신성장동력으로서 문화
유산 산업진흥과 일상 생활에서의 문화유산 향유 등의 사회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R&D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제1차 문화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 연구개발 기본
계획(’21~’25)’을 2022년도에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 분야 산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 문화유산 스마트 보존・활용 기술 개발사업을 2021년도부터 추진하고 있다. 동 사업은
스마트 과학기술 개발과 구현을 통한 문화유산의 원형 보존 및 지능형 관리・활용과 문화유산
산업 활성화 기반 마련 및 혁신성장의 산업 생태계 구현 등을 위해 산・학・연을 대상으로 지원
하고 있다. 보존・복원 핵심기술 개발, 문화유산 안전관리, 문화유산 지식자원 활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등을 중점 분야로 한다. 2021년 11개 과제 대상 79억 원 지원을 시작으로 2022년
에는 3개 과제가 추가되어 106억 원을 지원하였다.
내역사업별로는 정확하고 정밀한 문화재의 진단・분석 기술 개발, 문화재 수리 품질 향상을
위한 재료와 기술개발, 그리고 예방관리와 조기 인지 기능 강화 등 문화유산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 문화유산 지능형 관리 및 활용을 위한 고품질 디지털 데이터 생성 및 가공 기술
개발 과제 11건이다. 여기에 더해 2022년부터는 현장 적용성 제고를 통해 산업기반 구축을
∙∙∙ 55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강화하기 위해 매장문화재 탐사조사 기술 개발 과제 3건을 신규과제로 추가하여 지원하고 있는
바, 문화유산 조사연구의 정확성・안전성・효율성을 확보하고 공공데이터의 품질 강화에 기여
할 예정이다.
<표 3-64> 문화유산 스마트 보존・활용 기술개발 사업 연구개발과제
구분 연구개발과제
수리 및 안전관리 혁신
사업(11)
문화재 수리용 목재 특대재 건조 및 함수율 측정 기술 개발
흰개미 활성 탐지 Biomarker 탐색 및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유기색료의 in-situ 분석・진단・열화예측 기술 개발
방사선 기술 활용 문화재 진단・분석 한계 극복기술 개발
대면적 문화재 입체적 진단 기술 개발
나홀로 문화재 도난 방지를 위한 지능형 도난 경보 및 실시간 도난 추적기술 개발
부동산문화재 안전 진단을 위한 지능형 영상정보 분석기반 손상탐지 및경보 기술 개발
동산문화재 재해・재난 대응 응급 보존처리를 위한 방사선 활용 훈증 대체기술 개발
문화재조사용 스마트 탐사장비 개발
자율운항기술을 이용한 수중문화재 조사용 무인자율이동체(ASV) 개발 및 현장실증
문화재 디지털 실측 도면 제작을 위한 지능형 솔루션 개발
디지털 트윈 인프라
구축 사업(3)
역사문화환경 보존을 위한 H-BIM 지능형 목조 건축 모델링 기술 개발
초고해상도 기가픽셀 3D 데이터 생성 기술 개발
AI 기반 전통 건축 손도면 CAD 도면화 기술 개발
건축문화유산 지능형 모델링 및 데이터 관리 기술 개발 건축문화유산 AI CAD 가공변환 기술 개발
영상기반 건축문화유산 손상 자동탐지경보 기술 개발 금속유물 분석용 중성자 분석 기술 개발
[그림 3-117] 344문화유산 기술개발 2022년 주요 성과
558 ∙∙∙
3) 향후 전망
2023년에는 문화유산 스마트 보존・활용 기술개발 사업의 2단계 사업 착수와 디지털트윈
연구개발과제의 종료를 앞두고 있다. 총 14개의 계속 연구개발과제를 대상으로 전년대비 24억
원이 증액된 13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소속기관인 국립문화재연구원이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바, 연구개발과제의 목표 달성을 위해 연구관리의 내실을 다지고 현장 적용에
중점을 둔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문화유산 보존관리 소재・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 문화유산 보존・활용 연구개발 전문
인력 양성,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 등 문화유산 현장에서 시급하게
필요한 영역을 중심으로 IT기술을 지속적으로 접목하여 문화유산 보존・관리 수준을 제고하고
문화유산의 가치가 확산될 수 있도록 신규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 할 예정이다.
∙∙∙ 55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제8절 산업기술
전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기후 위기 대응, 핵심 소재의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
등의 글로벌 경제의 위험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장과 산업의 성장 경로를 확보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 산업기술이 직면한 위기 상황을 효과적으로 타개하고 선도자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우리 산업만의 고유한 첨단기술 역량 확보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의 혁신성장과 경제활력 제고,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X), 그린트랜
스포메이션(GX) 전환 지원, 공급망 강화를 목적으로, 2022년 R&D 예산을 5.54조 원(전년
대비 약 6,000억 원, 12% 증가) 투자하였다. 분야별 투자 방향을 살펴보면, 신산업 Big3 분야
(7,870억 원), 디지털 뉴딜(2,640억 원), 탄소중립(1.2조 원), 에너지 전환(7,800억 원), 소재・
부품・장비(1.7조 원) 등이었다. 또한, 산・학・연 비중을 살펴보면, 산업통상자원부 R&D 사업의
56.7%로 기업에 지원하여 민간 주도 혁신성장의 윤활유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전문연
등 기타 21.1%, 출연(연) 14.7%, 대학 7.4%).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산업통상자원부는 새 정부 출범에 따라 민간(기업) 주도・성과 중심의 R&D를 통해 파급력
있는 성과를 창출하고자 ‘새 정부의 산업기술 혁신전략’을 발표하였고(’22.6.16.), 또한, 대내
외 산업환경 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산업혁신기반구축 로드맵’을 제시(’22.3.21.)하여
산업기술혁신 역량을 제고하고 산업기술 경쟁력을 강화하였다. 한편, R&D 프로세스 개편
(’22.7.8.), 산업 데이터 계약 가이드라인 제정(착수)(’22.3.16.) 등 효과적이고 기업 친화적인 각종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2022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R&D 사업을 통해 다양한 성과를 도출하였는데, 공공연구
기관(대학 및 출연(연) 등)의 민간 기술이전율이 처음으로 40%를 돌파하면서 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성장 실현에 한 발 더 다가섰다. 또한, 규제샌드박스 제도가 시행(’19) 3년 만에 산업융합
분야에서 253건을 승인하여 기업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승인 기업의 90%가 규제 해소에 만족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기술・신산업 영위 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가) 민간 주도・성과 중심 산업기술 R&D 방향성 제시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역동적 경제를 구현하고자 ‘새 정부의
560 ∙∙∙
산업기술 혁신전략’을 통해 6대 주요 내용을 제시하였다.
<표 3-65> 2022년 새 정부의 산업기술 혁신전략
< 새 정부의 산업기술 혁신전략 >
1. 메가 임팩트(Mega Impact) 프로젝트 추진
◈ 경제・사회적 난제(K-반도체, 수소경제, 미래 모빌리티 등) 해결을 목표로 기술개발・제도개선・기반구축・사업화를
포괄하는 복합 사업
◈ R&D의 궁극적 목표인 사업화를 위하여 기획 단계부터 특허・표준・규제 등을 先 분석하여 과제 기획에 반영
하고, 기술창업 등 사업화에 투자하는 산업기술 혁신 펀드를 향후 3년간 1조 원 규모로 조성
2. 파괴적 혁신(Disruptive & Drastic Innovation) R&D 추진
◈ 추격형 R&D(Fast Follower)에서 선도형 R&D(First Mover)로 전환을 목표로 기존의 틀을 벗어난 파괴적
신제품・서비스 개발
◈ 최고 전문가 그룹이 신기술・신제품 개발 과제를 기획하고(Pre-R&D), 세부 기술개발은 기업 및 민간 투자
(VC) 등의 업종 R&D(본 R&D)를 통해 추진
3. 산업기술 가치사슬 플랫폼 TVC(Tech Value Chain) 구축
◈ 산업기술 R&D를 통한 인적・물적 자산의 체계적 축적과 활용 및 R&D 성과물에 대한 분석・환류 시스템
고도화
4. R&D 예비타당성 제도 개편
◈ R&D 규제 제거를 위하여 R&D 예비타당성조사 규모를 현행 500억 원에서 1,000억 원으로 확대 개편
◈ 산업기술혁신 지원체계를 관리・통제 중심에서 전략・기획 중심으로 개편
5. 국제 공동 R&D 과제 확대
◈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국내 기업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국내 R&D의 해외기업・연구소 참여 확대(2%→15%)
◈ 해외 주요 대학 및 연구소와 공동연구 프로그램 운영 및 해외 유수 기관 밀집 지역에 해외기술거점(GT) 확충
6. 범부처 산업혁신 얼라이언스 구축
◈ R&D 제도개선 및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등 범부처 연합을 통한 산업기술 R&D 시스템 고도화
자료 : 민간주도・성과 중심으로 산업기술 R&D 대수술(산업통상자원부, ’22.6.)
목표지향형 R&D, 도전적 R&D, R&D 혁신 역량 축적 등을 통하여 1선에서 기업은 신산업
창출과 주력산업 첨단화를 주도하고, 2선에서 공공연구기관과 R&D 전문기관이 최적의 지원
체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3선에서 정부가 제도적・정책적으로 뒷받침하여 성과창출형
혁신체계 구축을 추진해 왔다.
나) 산업혁신기반구축 로드맵(’23~’25) 및 8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중소・중견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하는 산업기반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2023~2025 산업
혁신기반구축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이는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19~’23)’과 ‘2022~2024
∙∙∙ 56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산업기술 R&D 전략’ 등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기술 R&D 전략과의 체계적 연계성을 높이고,
중복 없는 효율적 투자를 도모하고자 전략적 6대 분야를 선정하고, 2029년까지 17개 산업의
52개 신규 투자 계획을 제시하였다.
<표 3-66> 산업혁신기반구축 로드맵 분류체계
산업기술R&D 투자전략 6대 분과(대분류) 17개 산업 분야(중분류)
❶ 편리하고 안전한 미래 수송 수송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조선해양, 차세대 항공
❷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바이오 바이오 진단・치료,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융복합바이오
❸ 미래형 제조혁신 서비스 기계 로봇 서비스로봇, 스마트기계, 첨단장비
❹ 함께하는 핵심 산업융합
반도체・디스플레이 /
전자・전기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전자, 이차전지, 지식서비스
❺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생산 디지털 친환경 공정혁신・소재 디지털 친환경 공정혁신, 소재
자료 : 산업혁신기반구축 로드맵(’23~’25)(산업통상자원부, ’22.4.)
또한, ‘제8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22.12.)에서는 도전적 기술혁신과 신속한 사업화를
이끌 새로운 국가 기술혁신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제시하였다. 기업 혁신의
선순환 체계 구축과 자율・유인・협업 기반의 생태계 조성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산업기술
R&D 전 과정에 사업화 성과 지향 강화, First Mover 육성을 위한 기술거래 촉진, 공공연구
기관의 사업화 투자 역량 확충 등의 구체적 계획을 발표하였다. 앞으로 동 계획의 이행을 통해
기술이전율・사업화 완료율의 제고와 사업화 매출액 증대를 도모해 나갈 예정이다.
다) 미래사회가 추구하는 가치 창출을 위한 도전적 R&D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신규 테마(삶의 질 향상, 무경계, 탄소중립)를 선정하여 현재의 기술
수준을 뛰어넘어 기존 시장에 얽매이지 않고,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y) 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탄소중립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탈탄소 산업구조로의
대전환을 촉진하고자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을 신규 기획하였으며, 중소・중견 탄소
중립 스타 기업(20개社)을 발굴・지원하였다.
라) 제도개선 체계 구축
산업기술 R&D의 시장 성과 창출력을 제고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유도하고자 꾸준히
제도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2022년에는 ①R&D 프로세스 전 과정에 걸친 사업화 강화, ②우수
연구자 인센티브(특전) 강화와 연구수행의 자율성 확대, ③평가 전문성 제고 등을 도모하고자
산업기술 R&D 프로세스를 개편하였다. 또한,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을 시행하여 산업 디지털
562 ∙∙∙
전환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고, 산업 데이터 계약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산업 데이터 활용 및 보호 원칙을 안내하였다. 산업 데이터를 생성한 주체에게 사용・수익권을
부여하고 보호함으로써 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건강한 산업 데이터 생태계 조성에
이바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 2022년도 주요 성과
가)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역대 최다 성과
대학,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이 개발한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한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실적(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22.10.)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2021년
기술이전은 전년 대비 22.2%(12,592건→15,383건) 증가하였고, 30% 중반에서 정체되었던
기술이전율도 40%를 돌파하여, 향후 산업기술 R&D의 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나) 규제샌드박스 시행 3년
산업통상자원부는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19.1월)하여 국회 수소충전소(1호)를 시작으로
시행 3년 만에 산업융합 분야에서만 253건을 승인하여 기업들에 ‘혁신 실험장’을 제공하였으며,
투자유치(2,500억 원), 매출액 증가(789억 원), 고용증가(403명) 등의 경제적 효과(산업융합
분야)를 창출하였다. 규제샌드박스 승인 기업들의 만족도(’21년, 88.2%)도 높아 산업계의 높은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기계
1) 개요
기계공학은 4대 역학(고체・동・유체・열)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및 관련 장치 설비의 설계・제작・
성능・운전 등에 관한 기초적 또는 응용적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학문의
복잡화・융합화 추세에 따라 나노기술, 의료기술과 연계한 기계공학 분야도 등장하고 있다. 기계
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에 따라 자동차・조선 등 수송기계 및 가전・전동기 등 전자기계
등을 제외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C29)을 의미한다.
산업 분야로는 제조장비, 산업용 기계, 열원공급・냉난방 등 에너지 설비 등이 일반기계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56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분야 품목(MTI)기준135) 품목(SITC)기준 품목(KSIC) 기준
제조
장비
광학기기(715), 섬유 및 화학기계
(721), 목재광물 및 유리가공기계
(722), 금속공작기계(723), 식품가
공포장기계(724), 압연기 용접기 및
주조설비(726), 제지인쇄기계(727),
반도체 제조용 장비(732), 의료용기기
(733),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736), 기계요소(751), 공구(752),
금형(753), 기타기계류(790)
섬유기계(724), 펄프 및 종이 가공용
기계(725), 인쇄제본기계(726), 식품
가공기계(727), 기타 특수목적용 기계
(728), 가공공작기계(731, 733, 735,
737), 기타일반기계(745), 베어링
(746), 탭, 코크, 밸브(747), 동력전달
장치(748), 금형(7491), 기타일반기계
부품(7492, 7499)
베어링, 기어 및 동력 전달장치 제조업
(2914), 산업용 트럭, 승강기 및 물품
취급장비 제조업(2916), 기타 일반
목적용 기계(2919), 가공 공작기계
(2922), 금속 주조 및 기타 야금용
기계(2923), 음・식료품 및 담배 가공
기계 제조업(2925), 섬유, 의복 및
가죽 가공기계 제조업(2926),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 제조업
(2927), 산업용 로봇 제조업(2928),
기타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2929)
산업용
기계
운반하역기계(712), 건설광산기계
(725), 농기계(728), 기타산업기계
(729)
농업용기계(721, 722), 건설기계
(723), 운반하역기계(744),
농업 및 임업용 기계 제조업(2921),
건설 및 광업용 기계장비 제조업
(2924)
에너지
설비
원동기 및 펌프(711),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713)
내연기관 및 터빈(712, 713, 714,
7181, 7189), 냉동공조기계(741),
액체펌프(742), 기체펌프 및 압축기
(743),
내연기관 및 터빈(2911), 유압 기기
(2912), 펌프 및 압축기; 탭, 밸브 등
장치 포함(2913), 산업용 오븐, 노
(2915), 냉각, 공기 조화, 여과, 증류
및 가스 발생기(2917)
기타
사무기기(714), 설계제도기(734),
토지측량기(735)
사무용 기계(751) 사무용 기계 및 장비 제조업(2918)
<표 3-67> 일반기계 산업 주요 분야별 품목
135) MTI: 무역통계 품목분류 체계, SITC: 표준국제무역분류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각 품목별 분류코드를 의미함
대분류 소분류 정의136)
기계
(EA)
측정표준/시험평가기술(EA01)
수요자에 대한 측정표준기술의 보급에 관련되는 교정・시험평가 기술 및 표준
물질의 제조・분석・평가기술을 총칭
생산기반기술(EA02)
시스템 운영과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의 분석과 설계를 통해 시스템 전체의
효율적 통제와 개별 프로세스의 개선을 강구하는 기술
요소부품(EA03)
기계부품으로 상호 간 접촉하여 일정한 운동을 하는 부분을 요소라 하고,
기계나 구조물 등을 구성하고 있는 일정 형태의 하나하나에 대한 기계부품
(요소)을 포함
정밀생산기계(EA04) 정밀한 장치산업에 소요되는 고정밀 부품을 생산하는 기계를 총칭
로봇/자동화기계(EA05)
프로그램된 가변 동작을 통해 물체, 부품, 도구 또는 특수장치 등을 이동,
조작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거나 보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재프로그램이 가능한 다기능의 기계장치
나노/마이크로기계시스템(EA06)
기계/전기/전자/광학 원리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초소형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기능의 센서 및 구동 시스템과 초소형으로 제작된 부품을 갖는 기계
시스템의 설계, 생산 및 응용 기술을 포함
<표 3-68>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상 기계기술의 분류 및 정의
564 ∙∙∙
기계산업은 제조장비, 산업용 기계, 에너지 설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계산업의 95%
이상이 3대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제조장비는 공작기계, 섬유기계, 제조로봇, 반도체 장비,
바이오 장비 등으로 분류되며, 산업용 기계는 건설 기계, 농기계 등이 포함된다. 에너지 설비는
냉동공조, 펌프・압축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기계기술 관점에서는 여러 가지 소분류로 구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정밀생산기계, 로봇/
자동화기계,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기계산업은 제조업・건설업 및 에너지 산업 등 주요 산업의 자본재를 제공하는 핵심 기반산업
으로 기술 축적에 장기간・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산업이다. 따라서, 혁신 결과의 전유성 및 기술
진보의 누적성이 높고, 암묵적 지식 기반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타 분야 대비 경제적 가치 실현
속도는 빠르지 않은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13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2021.9. 괄호 안의 숫자는 ‘과학기술분류코드’를 의미
대분류 소분류 정의136)
기계
(EA)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EA07) 에너지 변환 및 환경 조성에 사용되는 기계 및 시스템
산업/일반기계(EA08)
각종 산업의 생산 활동에 사용되는 기계를 말하며 이러한 기계들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계 요소 부품을 포함
자동차/철도차량(EA09)
동력기관을 이용하여 지상에서 자력으로 움직이는 수송기계인 자동차, 오토바이,
철도차량 등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기계기술을 포함
조선/해양시스템(EA10)
선박 등 해양운송 시스템과 해양구조물 및 장비 등 해양개발시스템의 설계・
해석・개발・생산・운송・설치・운용과 관련된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 분야로서
해양의 열악한 환경조건을 극복하고 선박/해양시스템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고도의 정밀성, 신뢰성 및 경제성이 요구되는 기술
항공시스템(EA11)
특정 목적을 위해 대기 중을 반복 운항할 수 있는 운행체와 관련된 제반시스템을
총칭하며 동력유무에 따라 동력 비행기 또는 활공기, 양력 발생 형태에 따라
고정익과 회전익, 비행선, 기구 등으로 구분
우주발사체(EA12)
인공위성, 우주선, 행성비행체 등을 임무궤도에 올려주는 로켓 시스템의
총칭으로 추진 시스템, 비행제어시스템, 구조시스템 등의 관련기술
인공위성(EA13)
천체의 중력에 의해 우주공간 상에서 궤도비행을 하며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비행체의 총칭으로 임무에 따라 통신, 방송, 기상, 첩보 등의 특정 목적
무인위성과 우주선, 행성탐사선 등으로 분류. 관련기술로 위성체 각 서브
시스템 기술, 탑재시스템 기술, 지상국시스템 기술
재난안전장비(EA14)
태풍, 홍수, 호우 등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및 화재・붕괴・폭발
등의 인적재난 등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과 국가에
피해 최소화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재난의 예방・대비・대응 및 복구
등 재난관리를 위하여 활용되는 설비, 장비 또는 물품을 말함
국방플랫폼(EA15)
무기체계의 기능적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며 신뢰성, 안정성 및 고기동성을
갖는 구조물을 설계/제작하는 기술로 지상체, 선체, 항공기체, 유도기체 및
발사체 기술과 이러한 플랫폼/구조에서 발생/반사하는 각종 신호(적외선,
음향, 전자기장 등) 감소 및 능동제어로 피탐 확률을 감소시키는 기술
기타 기계(EA99) 그 외 기타 기계
∙∙∙ 56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정밀생산기계
정밀생산기계기술은 정밀한 부품/장비 산업에 소요되는 고정밀 부품을 생산하는 기계기술을
통칭한다. 절삭가공, 연삭/연마 가공, 광에너지 응용가공, 프레스, 사출, CAD/CAM 등 다양한
세부 기술분야로 발전해나가고 있으며, 전기차, 이차전지, 반도체 등 국가 핵심전략기술과의
융합도 두드러지고 있다.
개별 장비 및 공정 중심의 생산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다기능화・플랫폼화를
통한 기술의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137) 특히, 디지털 전환 및 자동화 솔루션의 고도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AI・IoT,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IT 기술과의 융합이 필수조건으로 등장하고
있다. 제조장비의 지능화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공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로봇과의
융합을 통한 자동화, 다기능 장비, 하이브리드 가공 장비 등이 신제품으로 개발됨에 따라 개별
공정이 아닌 유연한 생산라인 구축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디지털 전환,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고 있는 기술혁신에 따라 주요 기계기술 선진국에서는
정밀가공장비 육성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Manufacturing
USA’ 전략을 기반으로 상업화 이전 단계의 R&D 활동을 국가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138) 특히,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온라인 기업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다품종 소량
생산 시스템이 보다 강화되었다. 이를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조서비스 지능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관련 기술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독일은 ‘Industry 4.0’ 제조업 성장 전략을 기반으로 정밀기계 핵심부품, 장비 등의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가상물리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 기반의 물리-가상환경 통합
등을 통해 인간, 기계, IoT 기기 등을 상호 간의 연결하는 SW 형태로 4차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보쉬(Bosch)의 경우, IoT 기술을 통한 커넥티드 인더스트리를 형성하였고, 전 세계
Bosch 270여 개 공장과 700여 개의 물류창고가 연결되어 고도의 유연・지속 가능 제조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 최근 사회적・생태학적 가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Industry 5.0’ 전략의 논의도
시작되었다.
일본은 독일과 마찬가지로 정밀생산기계 분야의 전통적인 기술 강국으로 화낙(FANUC),
DMG-Mori, 오쿠마(Okuma) 등의 세계적인 정밀기계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인력의 기술
역량도 매우 뛰어난 편이다. 우수한 부품 및 가공장비 분야의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절삭・연삭・적층・
137) 산업부・한국기계연구원(2022), 기계산업 발전방안, 2022.10.
138) 중소벤처기업부(2022),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주요현황과 시사점, 2022.3.
566 ∙∙∙
열처리 등 다기능 장비 등의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맞춰 디지털
전환,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 중에 있다.
보쉬(Bosch), 넥시드(Nexeed) 시스템 스마트 센서 시스템139)
[그림 3-118] 스마트 팩토리 적용 사례
(2) 로봇/자동화기계
로봇/자동화기계기술은 프로그램화된 가변동작을 통해 물체/부품/도구 등을 이동・조작하는
작업을 수행・보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재프로그램이 가능한 다기능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산업
에서 다양한 공정의 수동 작업을 줄일 수 있도록 로봇 혹은 자동화된 기계, 컴퓨터 및 IT 소프트
웨어를 통합한 기술이며, 최근 디지털 전환, IoT 기술과의 융합으로 발전되고 있다.
유압식 기반의 제조 공정에서 높은 정확도나 노동력을 보조하는 수단으로부터 시작된 로봇/
자동화기계 분야는 점차 분야가 확대되었다. 기계식 구동 기술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장착으로
인해 정형화된 반복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제조 시스템의 자동화/효율화 측면에서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꾸게 되었다. 최근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용 로봇뿐만 아니라
협동로봇, 서비스 로봇까지 기계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로봇/기계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IT
기술을 활용한 유인-무인 또는, 무인 간 협업, 학습을 통한 자율화 기술 분야 등으로 연구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미국은 협동 로봇, 서비스 로봇 등의 로봇/자동화기계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제조/서비스 분야에서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대표적인 협동로봇 회사인 Universe
Robot사는 다양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협동 로봇을 출시하고 있으며, 2015년 미국 IT업체인
테라다인(Teradyne)에 인수되면서 I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공격적으로 판매하고 있다.140)
특히, 미국은 최근 제조업 부흥을 위해 자국 내 생산을 행정 명령 등을 통해 추진하고 있으며,
139) Bosch Korea, 세미콘 코리아 2019: 보쉬, 미래 공장의 모습을 선보여, 2019.1.
140) 송재복(2022), 협동로봇의 기술동향, 융합연구리뷰, 2022.6.
∙∙∙ 56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관련하여 첨단・지능형 제조・협동 로봇 등의 기술개발을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NIST)를 중심으로 GE, Cisco, AT&T 등의 선도업체가 협력하여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IoT 산업 플랫폼을 구축하고 로봇 자동화 테스트베드를 최근 공개하였다.
Universe Robot社(미국)의 협동로봇141) 보스톤다이내믹스(현대차그룹 인수)의 ‘Spot’142)
[그림 3-119] Universe Robot社(미국)의 협동로봇 및 보스톤다이내믹스(현대차그룹 인수)의 ‘Spot’
일본은 기계, 로봇, 계측・자동화 기기에 우수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독일 등과 차별화
된 전략으로 장비에 개별 적용/내장이 가능한 ‘엣지(Edge)’ 기술을 적용하여 장비의 지능화를 추진
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화낙(Fanuc), 야스카와전기(Yaskawa), 가와사키중공업(Kawasaki),
나치(Nachi) 등의 세계 최고 수준의 산업용 로봇 제조 업체를 보유하고 있다. 이 기업들의 협동
로봇은 기존의 산업용 로봇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면서도 협동 로봇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로봇 분야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유럽은 제조 분야의 강점을 토대로 세계 제조용 로봇 시장의 점유율을 안정적으로 차기하고
있다. 특히, 독일은 세계 5대 로봇 시장 중 하나로 자동차 산업의 투자 확대를 통해 로봇 역량이
더욱더 강화되고 있다. ABB 스위스의 협동 로봇을 통해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며, 이탈리아
COMAU, 독일 Schunk 등의 기업들도 특정 분야별로 보유한 강점을 통해 유럽 제조용 로봇의
경쟁력에 기여하고 있다. 로봇-장비 간 연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주요 공정
장비와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확장한 ‘로봇-장비 제조 시스템’을 통한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지능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독일은 Siemens 등 선도기업과 Fraunhofer(IPA/DFKI/
IFAM) 등이 협력하여 디지털 트윈, 제조 AI/클라우딩 개념의 제조시스템 플랫폼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141) Universe Robot社 홈페이지 자료 인용
142) 보스턴다이나믹스 ‘스팟’ 일반판매 개시, 조선일보, 2020.6.
568 ∙∙∙
(3) 나노/마이크로기계시스템
나노/마이크로기계시스템기술은 기계/전기/전자/광학 원리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초소형으로 제작되는 다기능 센서 및 구동시스템과 초소형으로 제작된 부품을 갖는 기계
시스템의 설계, 생산 및 응용기술을 통칭한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 반도체 등 핵심
부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폭증, 공급망 불안 이슈에 따라 반도체 관련 나노 기계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미국은 2001년부터 시작된 NNI(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가 현재 5차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며, 2013년 이후부터 매년 약 15억 달러(약 1조8천 억 원)이상이 나노기술 발전에
사용되고 있다.143) 특히, 나노기술의 집약체인 반도체 시장에서 2021년 기준 세계 Top 10 기업
중 5대 기업(Applied Materials, LAM, KLA-Tencor, Advantest, Teradyne)이 미국 기업
으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3nm급 초미세 첨단 노드 공정성능 및 수율 확보를
위한 노광, 식각, 증착 등에 대한 개발이 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첨단 공정
선점을 위해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과 연계하여 활발히 개발 중에 있다.
유럽도 기술 선진국 중심으로 나노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최근 수요가 급증
하고 있는 반도체 제조장비 시장에서 ASML(네덜란드)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반도체
기술이 고집적, 고밀도 공정으로 진화함에 따라 나노 단위의 반도체 회로를 그릴 수 있는 리소
그래피 장비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144)
일본은 ‘제 6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나노기술・재료의 영역을 주요 첨단 기술분야로 확대
하여 나노 기술에 대한 위상을 강화하였다. 반도체 전공정 및 후공정 선진 업체인 Toray, 도쿄
일렉트론 등은 거의 모든 핵심 분야의 장비 라인업을 구축하여 새로운 반도체 공정 관련 소재/
장비 등을 Total Solution 형태로 제공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대만은 TSMC라는 반도체 파운드리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반도체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
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공정을 마친 칩을 패키징하는 후공정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TSMC는 반도체 공정횟수 단축을 통한 원가절감, 경쟁력 강화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또,
TSMC는 칩 사이의 간격을 기존 대비 5분의 1수준으로 줄여 전기 전도를 올리면서 속도를
올리는 효율적인 공정을 개발하였다.145)
143)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21.4.
144) Byline Network, 삼성과 TSMC를 애태우는 ‘슈퍼 을’, ASML의 기술은?, 2021.9.
145) 반도체 패키징, 파운드리와 함께 주목, 뉴데일리 경제, 2022.12.
∙∙∙ 569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ASML社 EUV146), 장비147) IBM의 세계최초 2나노 반도체148)
[그림 3-120] ASML社 EUV, 장비 및 IBM의 세계최초 2나노 반도체
(4)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기술은 에너지 변환 및 청정환경 조성에 사용되는 기계 및 기술로
탄소중립, 글로벌 기후 위기와 맞물려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청정기술,
극저온 냉동기계, 산업용 보일러, 지능형 빌딩시스템 등의 분야에서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에너지/환경기계기술은 제조업, IT, 자동차 등 모든 산업군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파급효과가 높은 기술이다.
미국은 기후변화・에너지・환경 기술의 중요성이 바이든 정부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친환경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2020년부터 약 10년간 2조 달러가 투자되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와 기후변화
R&D에 4천억 달러 이상이 투자되어 왔다.149) 태양광에너지, 풍력, 전기차 등의 친환경 아이템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고 있으며, 무탄소 에너지원인 수소, 암모니아에 대한 R&D 투자도 지속적
으로 추진되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 등의 국가 환경목표 이행 및 경제 활성화 전략으로 수소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ARPA(미국)에서는 암모니아 기반 수소생산/보관, 수전해
수소 생산 등과 같은 탄소저감 수소 기술을 연구하며 실증화를 진행하고 있다.150)
일본은 2050년까지 철저한 에너지 절약과 재생에너지 도입뿐만 아니라 원자력 활용도 포함한
모든 선택지를 고려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종합적으로 제로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주요 5대 분야(에너지 전환, 교통, 산업, 업무/가정, 농림
수산업)를 정하여 탈탄소 달성을 위한 혁신 기술을 확립하였다.
146) EUV: Extreme Ultraviolet, 반도체 웨이퍼 위에 극도로 미세한 회로를 새겨넣는 공정
147) ASML 2025년부터 High-NA EUV 장비 공급, 테크월드뉴스, 2021.10.
148) IBM 세계최초 2나노 반도체 개발, 전자신문, 2021.5.
149) 김철후(2020). 탄소중립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 한국기계연구원 기계기술정책 101호, 2020.12.
150) 길형배(2021). 수소산업의 글로벌 기술동향과 정책 전망, 한국기계연구원 기계기술정책 103호, 2021.5.
570 ∙∙∙
유럽은 탄소중립 정책에 비례하여 화석연료 보일러・공업로에 대한 친환경 설비 전환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영국, 독일 등은 기존 LNG보일러를 수소 보일러 개조・공급하여 탈탄소 열원
기기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러시아발 천연가스
공급의 차질이 발생하면서 유럽 내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자구책으로 수소, 암모니아 활용 에너지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독일에 설립된 글로벌 다국적
화학 기업 린데(Linde)는 액체수소 저장 선진 기업으로 대규모 수소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정밀생산기계
우리나라의 경우, CNC, 베어링, 연삭기 등의 정밀기계분야는 일본, 독일 등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지만, 프레스, 머시닝센터 등의 일부 정밀기계분야에서 자체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정밀생산기계 분야에서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고, 정밀기계 기술 역량을 확보
하여 기술 자립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다.
국내 공작기계 기업들도 기계장비의 고성능화와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해 기계장비 제조사
고유의 특성을 가진 제어기, HMI 등을 개발하고 있으나, 해외 선진업체와는 기술 격차가 있다.
DN솔루션즈는 독자적 CNC인 ‘Vision 640i’를 자사 공작기계에 일부 장착하고 있고, 유연
자동화 가공셀・제어・운영 S/W를 기반으로 한 통합 솔루션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현대위아는 Siemens CNC를 기반으로 에너지 절감, 가공 최적화 등을 포함한 자체 HMI
(Human Machine Interface)를 개발하여 자사 장비에 탑재하였다.
최근 한국기계연구원 주관의 산・학・연 참여 대형 국책과제를 통해 CNC의 국산화 개발을 진
행 중으로,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국내의 CNC 관련 기술 역량을 모으고, 주요 기업의 공동출
자를 통해 CNC 전문기업을 설립하였다. 국산 CNC 시스템의 개발에서 실증까지 할 수 있는
협력모델을 만들어 주요 핵심부품의 국산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2) 로봇/자동화기계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기술 선진국이 로봇/자동화기계기술을 선점하고 있지만, 기술격차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151) 스마트 제조로봇기술152)은 EU 대비 80%, 서비스 로봇의 기술
수준은 미국 대비 82%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DN솔루션즈, 현대위아, 회천기공을 중심으로
151) 로봇산업 동향 및 성장전략, 이미혜, 한국수출입은행 이슈보고서, 2022.9.
152) 스마트 로봇기술: AI를 기반으로 작업환경 인지와 자가 학습으로 작업의 효율 증대 및 인간협업이 가능한 로봇 기술
∙∙∙ 571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공정 모니터링 및 AI분석 기반 공정장비 제어/운영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현대자동차
그룹은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하면서 로보틱스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협동로봇,
서비스 로봇 전 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현대로보틱스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조선소,
서비스 로봇 등에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2022년 AI 자율 방역 서비스로봇을 개발하였고, 사람이 많은 실내 다중
밀집시설에서도 안전하게 방역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내 공간에 설치된 CCTV로
확보한 사람의 위치, 머무는 시간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바이러스 살균 동선을 산출
하였다. 또한, 옷감처럼 가볍고 돌돌 말 수 있으면서도 몸에 착용하면 힘의 절반만 쓰고도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의복형 근력보조 웨어러블 로봇 기술도 개발하였다. 웨어러블 로봇 기술은
2022년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되어 인체 증강형 로봇 기술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현대로보틱스의 산업용 로봇153) 한국기계연구원의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154)
[그림 3-121] 산업용 로봇 및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
(3) 나노/마이크로기계시스템
우리나라는 나노개발촉진법에 근거한 나노종합기술발전계획에 따라 나노/마이크로기계
시스템기술의 체계적인 육성과 연구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2001년 제1기 발전계획이 수립되었
으며, 현재는 제5기 발전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나노기술은 전 산업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핵심 기반기술로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차세대 반도체 개발 등과 같은 굵직한 국가
핵심기술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2021년 4월 확정된 제5기 발전계획의 주요 추진전략은
창의・도전형 글로벌 선도 나노연구 강화, 혁신성장 주도 나노융합산업 경쟁력 강화, 나노팹인프라
기능 고도화 등으로 파급력이 큰 나노기술의 범용기술로의 장점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153) 국내 로봇시장 오는 2023년까지 15조원 규모로 키운다, 인공지능신문, 2019.3.
154)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성과] 기계연 연구개발 ‘웨어러블 로봇’과 ‘인공지능 소방관’, 올해 10대 기계기술 선정, 2022.10.
572 ∙∙∙
추진되고 있다.
코로나19 감염확산 등의 글로벌 위기로 인하여 반도체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우리
나라는 반도체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세계 1, 2위를 다투고 있지만, 제조에 기반이 되는 나노제조
공정, 장비 기술은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반도체 초격차
유지,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자급률 증대,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중장기 지원 정책이
수립되었고 추진 중에 있다.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 및 장비・소재 분야의 최고 기술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은 90%, 기술
격차는 1.5년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2018년 대비 2020년 상대적 기술수준은 4% 감소, 기술
격차는 1.0년에서 0.5년 격차가 증가한 상태이다. 세메스, APTC, KC-Tech 등에서 반도체
주요 공정장비 관련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선진국 대비 격차는 큰 상황이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반도체 미세화 속도가 둔화되면서 패키징 기술로 성능을 개선하거나
비용 절감을 시도하고 있다. 네페스는 웨이퍼 형태의 반도체를 한 번에 포장한 뒤 낱개로 잘라
내는 기술과 반도체 입출력 단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팬아웃’ 기술도 보유하고 있어
반도체 고급 패키징 기술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155)
(4)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
탄소중립 달성이 글로벌 이슈가 되었고,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시대의 국제 질서
변화를 이끌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1년 12월에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를 2018년 배출량 대비 40%로 상향하고, 관련 내용의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자력, 에너지 효율 향상,
에너지 전환, 저탄소 배출 기계 시스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기계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제조업이 기반 산업이기 때문에 산업용, 수송용 에너지의
탄소중립화가 필요하다. 관련하여 무탄소 에너지인 수소, 암모니아 등의 전주기 밸류체인(생산-
저장-운송-활용) 기술 확보 노력도 국가적인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에서는 극저온 냉동 기계기술을 기반으로 액체수소 플랜트의 상용화 노력을
하고 있다. 수소는 에너지밀도가 낮고 부피가 커서 저장/운송 측면에서 비효율적인데 액체수소
기술은 많은 양의 수소를 밀도있게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독일의 Linde, 프랑스의
AirLiquide 등의 해외 기업이 액체수소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데, 한국기계연구원에서는 국내
최초의 액체수소 생산・저장・공급을 위한 액체수소 플랜트 독자 기술을 개발하여 실증하고
있다.156)
155) 차세대 반도체 핵심 경쟁력, ‘패키징 기술’에 달렸다, 경향신문, 2022.12.
∙∙∙ 573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SK, 효성 등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있다. Linde,
AirLiquide 등의 해외 우수 극저온 기술 보유 기업과의 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국산화 기술의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기계연구원이 두산에너빌리티가 세계 5번째로 개발한 국내 유일 LNG 발전용 국산 가스
터빈을 활용하여 개발한 연소기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분사 방법을 개선하고
공기와 연료의 혼합도를 제어하여 고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연소진동을 저감
하였다. 또, 수소연료를 30% 혼합하여 연소하면서도 기존 LNG 가스터빈의 연소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국내 최초 액화수소 플랜트 모식도157) 수소 혼소 연소기158)
[그림 3-122] 국내 최초 액화수소 플랜트 모식도 및 수소 혼소 연소기
(5) 일반 기계산업
기계산업의 생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심리가 회복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수출량도 증가하고 있다. 생산은 최대 전월 대비 16.2%까지 증가하였고, 수출은
2022년 10월 기준으로 수송기계(16.5%)와 금속제품(24.3%)이 증가하였고, 무역수지로는 68.9억
불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작년 코로나19로 인한 적자에서 올해는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156) 길형배(2021), 수소산업의 글로벌 기술동향 및 정책 전망, 한국기계연구원 기계기술정책지 103호, 2021.5.
157) 국내 최초 창원 액화수소 플랜트, 연합뉴스, 2021.9.
158) 한국기계연구원(2022), [연구성과] 탄소중립 달성 위한 친환경 연소기 실증 나선다, 2022.10.
574 ∙∙∙
(단위 : %, YoY)
[그림 3-123] 5대 기계산업159) 2021~2022년 월별 생산・출하・재고 증가율
(단위 : %, YoY)
[그림 3-124] 5대 기계산업160) 2021~2022년 월별 수출입 증가율
3) 향후 전망
2022년 기계산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경제 침체, 공급망 불안정 등의 글로벌 위기에서
159) 기계산업통계월보(2022),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료를 인용. 2022.12.
160) 전게서
∙∙∙ 575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벗어나 전방산업의 호조 속에 생산, 수출, 수입 모두 전년 대비 2~3% 수준의 증가가 전망된다.
경기 회복과 산업 활력을 위한 주요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와 IT분야 등의 수요산업의 지속적인
호황에 힘입어 기계산업 또한, 대내외 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161)
정밀생산기계기술은 개별 장비 및 공정 중심의 생산성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
다기능화・플랫폼화를 통한 기술의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AI・IoT,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IT 기술과의 융합이 필수조건으로 등장하고 있어 제조 장비의 지능화 및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제공 등의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로봇/자동화기계기술은 산업에서 다양한 공정의 수동작업을 줄일 수 있는 로봇, 컴퓨터 및
IT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기술의 융합 등이 미래 유망 기계기술로 전망되며, 특히, 디지털 전환,
IoT 기술과의 융합이 활발할 것으로 보인다. 협동로봇뿐만 아니라 서비스로봇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 로봇 기술의 활용도가 더욱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나노/마이크로시스템기계기술은 나노 소재의 대량 제조, 나노스케일 단위의 초소형・초미세
공정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코로나 19 확산 이후 반도체 등의
핵심 부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폭증, 공급망 불안정 위기로 인하여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나노 기계기술의 기술개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기술은 탄소중립, 글로벌 기후 위기와 맞물려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하여 무탄소열원기기, 공기청정기술, 지능형 빌딩시스템 등의 분야가 유망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제조업 중심의 에너지 다소비 국가에서는 무탄소
에너지원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실증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수소, 암모니아 등 차세대
에너지원에 대한 기술력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화학공학
1) 개요
2018년에 개정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에서 화학공학은 대분류 중 하나로서, 화학공정,
나노화학공정기술, 고분자 공정기술, 생물화학 공정기술, 정밀화학, 화학제품, 섬유제조, 염색
가공, 섬유제품, 화학공정 안전기술, 무기 화생방/화학탄약, 기타화공의 중분류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적인 관점에서는 화학공학과 화학을 합쳐서 화학산업으로 많이 표기하며, 앞서 언급한
대로 화학공학은 가치사슬상 연관이 있는 산업 중심으로 기술한다.
161) 김희태(2022), 기계산업 2021년 성과와 2022년 전망, 한국기계연구원 기계기술정책지 106호, 2022.2.
576 ∙∙∙
2) 연구개발 동향
가) ICT와 화학기술의 연계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됨에 따라 경제・사회 전반이 디지털 경제로 빠르게 전환되는 가운데
산업현장 곳곳으로 산업 디지털 전환을 확산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실행계획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및 탄소중립 시대, 화학 분야에서 ICT 적용을 통한
화학산업 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화학업체들은 사물인터넷(IoT)과 데이터 연동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다양한 제품 개발, 질 관리, 환경오염 저감 등에 관한 혁신이 추진 중
이다. 하단의 표를 살펴보면, 실시간 모니터링, 장비 유지보수, 공정예측, 공정 최적화 등 석유
화학 대부분의 공정이 ICT기술이 적용가능한 상황이다.
<표 3-69> 석유화학 공정 시 ICT 적용
공정
주요기술
실시간 모니터링
(Real time
monitoring)
장비관리 및
유지(Equipment
management/
maintainance)
공정예측
(Processing
prediction)
운영최적화
(Operating
optimization)
실시간 운영데이터
(Real time operation data)
● ● ● ●
IoT ● ● ● ●
클라우드시스템
(Cloud system)
● ● ● ●
데이터분석
(Data analysis)
● ●
과거운영
데이터베이스
(Historical operation database)
● ● ●
과거유지보수
데이터베이스
(Historical maintenance
database)
●
공정시뮬레이션
(Process simulation)
●
공정시뮬레이터와 디지털트윈간
데이터맵핑
(Data mapping between process
simulator and digital twin)
●
자료 : 문일(2018),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 플랜트」
이에 따라, 미래 신산업으로의 진출을 위해 화학산업에 ICT・SW 기술을 융합하는 패러다임
전환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여 추진하고 있다. 아래의
∙∙∙ 577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그림은 과학기술(화학)과 ICT 간의 융합사례를 나타내며, 세부적으로는 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