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p>∙∙∙ 1
지난 2023년은 과학기술 분야에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던 해였습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의 실용위성 발사 능력을 입증하였고, 선도적인 R&D로 도약하기 위한
R&D 예산 효율화와 제도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글로벌 R&D 추진 전략을 수립하여 세계를
선도하기 위한 발판도 마련하였습니다.
기술패권 경쟁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기술육성도 지속해서 추진하였습니다. 2022년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한 데 이어 기술 분야별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육성 체계를 확립해 나갔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우주 경제 시대를 선도할 핵심 기관인 우주항공청 설립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앞으로 우주항공청은 우주산업 육성, 우주 인재 양성, 우주항공
거버넌스 강화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입니다.
한편, 2023년은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을 맞이한 뜻깊은 해이기도 했습니다. 짧은 기간에
우리나라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는데 대덕특구를 비롯한 과학기술의 힘이 컸던 것처럼, 앞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데도 과학기술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지난 한 해 동안 과학기술계의 크고 작은 노력과 성과를 모아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으로
발간하였습니다. 과학기술 분야 사료로서 매년 발간되는 연감이 국민과 과학기술계 종사자
모두에게 국가 과학기술정책을 돌아보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 발간을 위해 노력해 주신 모든 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앞으로도 과학기술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4년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 종 호
ii
특집테마
제1장 R&D 혁신방안 마련 ················································································3
1. 추진배경 ·············································································································3
2. R&D 혁신방안의 주요 내용 ···············································································6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11
제2장 대덕특구 50주년의 성과와 나아갈 길 ····················································12
1. 추진배경 ···········································································································12
2. 대덕특구 50주년의 주요 성과와 발자취 ····························································13
3. 대덕특구의 미래 비전 ·······················································································19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25
제1절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25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30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30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36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48
제1절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전략적 배분 ···································································48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48
2.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 ····················································50
3. 2024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52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53
제2절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55
1.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55
2.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개선 ·······································································59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66
iii
제3장 질적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73
제1절 국가전략기술 발굴・육성 ··················································································73
제2절 연구환경 조성 및 성과활용기반 강화 ······························································83
1. 자율적 연구환경 조성 ·······················································································83
2. 연구데이터 및 정보시스템 고도화 ·····································································88
3. 연구시설 및 장비 관리 체계 고도화 ·································································91
4. 연구보안 관리 체계 확립 ··················································································97
5. 국가 핵심 IP 창출 및 표준특허 마련 ·····························································100
제3절 미래 핵심 인재육성 ······················································································110
제4절 기초연구 진흥역량 제고 및 지원기반 강화 ····················································115
제5절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122
제4장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126
제1절 민간주도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126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질적 성과 향상 ·································································126
2.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 및 성장지원 강화 ·················································132
3. 기업의 혁신 R&D역량강화 지원 ·····································································137
4.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138
5. 신기술・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신 ····························································146
제2절 대학 교육・연구 역량 강화 ············································································150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 거점 ··································································150
2. 대학 연구 기반 구축 ······················································································153
제3절 공공연구기관 역할 제고 ················································································158
제4절 지역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161
제5절 과학기술 외교・글로벌 협력 강화 ···································································167
1. 국가 간 협력(양자) ·························································································167
2. 국제기구 협력 ································································································172
3. 글로벌 진출 지원 ···························································································174
iv
국가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현황 및 성과
제1장 탄소중립 ······························································································179
제1절 에너지 ··········································································································179
제2절 핵융합/원자력 ·······························································································182
1. 핵융합 ············································································································182
2. 원자력 ············································································································185
제3절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189
제4절 환경 ·············································································································195
제5절 산림 ·············································································································201
제2장 디지털전환 ···························································································206
제1절 반도체/디스플레이 ························································································206
제2절 인공지능 ·······································································································214
제3절 양자 ·············································································································220
제4절 차세대통신/네트워크/빅데이터/IOT ·······························································230
1. 차세대통신/네트워크/IOT ···············································································230
2. 빅데이터 ·········································································································238
제5절 미디어콘텐츠 ································································································241
1.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241
2. 문화콘텐츠 분야(CT) ······················································································244
제6절 자동차 ··········································································································250
제7절 로봇 및 기계/장비 ························································································254
1. 로봇 ···············································································································254
2. 기계/장비 ·······································································································256
제8절 스마트건설/스마트시티 ··················································································260
제9절 교통/물류 ·····································································································271
제3장 의료/복지 ····························································································280
제1절 차세대 첨단 바이오 연구 ··············································································280
v
제2절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 지원 ·······································································286
제3절 감염병 대응 및 바이오헬스 제도개선 ····························································294
제4장 재난/위기 ····························································································302
제1절 재난안전 ·······································································································302
제2절 기상 ·············································································································308
제5장 공급망/자원 ·························································································312
제1절 소재 ·············································································································312
제2절 나노기술 ·······································································································314
제3절 농림・축산・식품 ·····························································································316
제4절 수산 ·············································································································321
제6장 국방/안보 ····························································································326
제1절 국방 ·············································································································326
1. 국방 기본계획 ································································································326
2. 국방 연구개발 ································································································329
제2절 정보보호 ·······································································································333
1. 사이버보안 ·····································································································333
2. 블록체인 ·········································································································336
제7장 우주/해양 ····························································································339
제1절 우주/항공 ·····································································································339
제2절 조선/해양 ·····································································································344
1. 조선 ···············································································································344
2. 해양 ···············································································································350
3. 극지개발 ·········································································································356
vi
첨부 자료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및 우수사례 ··························································365
제1절 주요 과학기술 통계(주요통계 및 연구시설 장비현황 포함) ····························365
제2절 연구개발 성과 사례 ······················································································404
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404
2.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추적조사 ·························································418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425
제3장 2023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446
제4장 2023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474
vii
표 목 차
<표 1-1> R&D 혁신방안 수립경과 ·····································································································3
<표 1-2> 연구개발특구(광역, 강소) 지정 현황 ··················································································13
<표 2-1> 자문회의 소위원회 및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31
<표 2-2> 심의회의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32
<표 2-3> 2023년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개최 실적 ································································34
<표 2-4> 2023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35
<표 2-5>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 실적 ······························································36
<표 2-6>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39
<표 2-7>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현황 ··············40
<표 2-8>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45
<표 2-9>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60
<표 2-10>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평가 및 상위점검 결과 ·················································62
<표 2-11>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67
<표 2-12> 2023년도 우수성과 100선 분야별 최우수성과 ································································69
<표 2-13> 2023년 전문기관 실태조사 대상 기관 현황 ····································································71
<표 2-14>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방향 ······················································································76
<표 2-15>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 특례(제12조) ···············································································79
<표 2-16> 2023년도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개최 현황 ································································81
<표 2-17> 2023년도 제도개선 기본지침 방향 ·················································································84
<표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안) ·······································································87
<표 2-19>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IRIS) 개념 및 유형 ·····························································89
<표 2-20> IRIS 2.0 주요 기능 ·······································································································89
<표 2-21> 2022년 대비 2023년 IRIS 적용 확대 실적 ···································································90
<표 2-22> 2023년 IRIS 주요 기능의 개선 ······················································································90
<표 2-2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정기관 ·············································································94
<표 2-24> 유휴장비 활용 중소기업 현황 ··························································································95
<표 2-25> 보안등급 정의 및 조치(안) ······························································································98
<표 2-26>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절차 ·······························································102
<표 2-27> 주요 지원 현황 ·············································································································103
viii
<표 2-28>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108
<표 2-29> 기초연구사업 예산 ········································································································116
<표 2-30> ‘과학문화 바우처’ 우수 이용수기 ··················································································123
<표 2-31> 스케일업 팁스 지원 개요 ······························································································128
<표 2-32> 주요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예산 ···················································································142
<표 2-33> 규제샌드박스 추진전략 및 10대 혁신과제 ·····································································148
<표 2-34> 2023년도 선도연구센터 및 기초연구실 지원 내역 ························································151
<표 2-35> 최근 5년 간(’17~’21) 집단연구사업 주요 연구성과 ······················································152
<표 2-36>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159
<표 2-37>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23년) ········································································160
<표 2-38>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사례 ······································································164
<표 2-39> 과학기술 및 ICT 분야 주요 다자기구 및 협의체 현황 ··················································172
<표 3-1> 2023년 한국 조달품목별 주요 실적 ················································································184
<표 3-2> 2023년 환경 분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 ···········································································195
<표 3-3> 최근 2년간 특허 성과 비교 ····························································································212
<표 3-4> 최근 2년간 등록특허 논문 점수 ······················································································213
<표 3-5> 양자기술산업법 주요 내용 ·······························································································226
<표 3-6> 2단계 6G R&D 주요 사업별 분야별 전략기술 ·······························································236
<표 3-7> 6G 전파 기반기술 분야의 전략기술 ················································································236
<표 3-8> 빅데이터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내용 및 규모 ·························································239
<표 3-9> 2023년도 방송・미디어 분야 주요성과 ············································································243
<표 3-10> 콘텐츠 분야 대표성과 사례 ···························································································245
<표 3-11> 저작권 분야 대표성과 사례 ···························································································246
<표 3-12> 스포츠 산업 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248
<표 3-13> 2023년 스마트시티 국제 및 국내 표준개발 현황 ··························································266
<표 3-14> 의약품 분야의 기술수출 성과(’21~’23) ·········································································290
<표 3-15> 연도별 정부 전체 R&D와 재난안전 R&D 예산 규모 비교 ············································303
<표 3-16> 2021~2022년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303
<표 3-17> 2021~2022년 재난유형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304
<표 3-18> 2021~2022년 재난관리단계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304
<표 3-19> 농림식품 R&D 투자 현황 ·····························································································316
<표 3-20>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연구 분야 투자현황 ····································································319
<표 3-21> 최근 5개년 해양수산 R&D 연도별 투자현황 ·································································321
ix
<표 3-22> 해양 R&D 연도별 투자동향 ··························································································351
<표 3-23> 해양 R&D(극지포함) 분야별 투자비중 ···········································································351
<표 3-24> 2023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352
<표 3-25>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354
<표 3-26> 2023년 극지 분야 세부사업 현황 ·················································································358
<표 3-27> 2023년 극지연구소 기관고유사업별 투자현황 ·······························································359
x
그림 목차
[그림 1-1] 최근 10년간 R&D예산과 R&D 성과 추이 ········································································4
[그림 1-2] R&D 혁신방안 비전 및 전략 ····························································································5
[그림 1-3] 글로벌 인력지도 예시 ·······································································································6
[그림 1-4] 연구시설 장비 심의・조달 평균 소요 기간(현행) ································································7
[그림 1-5] 범부처 임무중심 예산 배분・조정 개념도 ···········································································8
[그림 1-6] 전략기술 플래그십 R&D 프로젝트 추진 내용 ···································································9
[그림 1-7] NTC 도입 전/후 비교 (예시) ·························································································10
[그림 1-8] 신진 연구자 성장단계별 지원 ·························································································11
[그림 2-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29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30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30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32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49
[그림 2-6]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51
[그림 2-7] 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 중점 투자분야 ·········································································53
[그림 2-8] 민간R&D협의체 현황 ······································································································54
[그림 2-9] 예타규모 미만 통합・재기획 계속사업 예타 허용 개선방향 ···············································58
[그림 2-10] 연구개발 예타 현장방문・기업간담회 및 교육사진 ··························································59
[그림 2-11]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72
[그림 2-12] 12대 국가 전략기술 ·····································································································74
[그림 2-13] 국가전략기술 중점 분야별 ’24년 예산 배분・조정 결과 ·················································75
[그림 2-1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6개 사업 (2022-2023년 확정 기준) ········································78
[그림 2-15]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및 기술별 조정위 운영체계 ···················································80
[그림 2-1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83
[그림 2-17] 2023년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분야별 건수 ···························································85
[그림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86
[그림 2-19]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23년 추진실적 ······································92
[그림 2-20]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93
[그림 2-21] ZEUS 운영 활성화 지원 강화 ······················································································95
xi
[그림 2-22] KSFree2023 ···············································································································96
[그림 2-23]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현장 ···············································································99
[그림 2-24]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언론보도 ·········································································99
[그림 2-25]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124
[그림 2-26]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124
[그림 2-27] 중소기업 R&D 주요성과 현황 ····················································································126
[그림 2-28]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 절차 수립 ················································································132
[그림 2-29]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목표 및 중점과제 ·························································134
[그림 2-30] 부처 내 전문기관 간 기술 스케일업 협업체계 ····························································135
[그림 2-31] ‘과학기술 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사업’ 관계부 간 협업체계 ·····································136
[그림 2-32] 수행기관 성과보고회 및 워크숍 ··················································································138
[그림 2-33] CES 혁신상 수상 추이 ······························································································139
[그림 2-34]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141
[그림 2-35]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143
[그림 2-36]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144
[그림 2-37] 창업중심대학 ··············································································································144
[그림 2-38] 스타트업 코리아 추진전략 ··························································································144
[그림 2-39]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2023년 기준) ·································································146
[그림 2-40] 규제샌드박스 제도 개요 ······························································································147
[그림 2-41] ICT 규제샌드박스 경제적 성과 ···················································································148
[그림 2-42]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61
[그림 2-43]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162
[그림 2-44] 연구개발특구 규제특례 지정 절차 ···············································································163
[그림 2-45]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지원 과제 및 유형 ··································································165
[그림 3-1] 실증로 설계 TF 구성 ···································································································183
[그림 3-2] 2023년 원자력 기술 분야 주요성과 ·············································································187
[그림 3-3] 2023년 방사선 기술 분야 주요성과 ·············································································188
[그림 3-4] 「CCU 기술고도화 전략」상 CCU 기술분류 및 추진과제 ···············································190
[그림 3-5] 「CCU 기술고도화 전략」 비전 및 목표 ·········································································191
[그림 3-6]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개요 ···························································································193
[그림 3-7] 제21차 CTCN 이사회 개최 ··························································································194
[그림 3-8] 기후산업국제박람회 內 기후기술관 운영 ·······································································194
[그림 3-9] 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198
xii
[그림 3-10] 자원・토양 분야 주요 연구성과 ···················································································199
[그림 3-11] 생태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199
[그림 3-12] 기후・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200
[그림 3-13]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성과 ·······························································216
[그림 3-14]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사업 추진내용 ·······························································217
[그림 3-1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18
[그림 3-16] 2023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218
[그림 3-17] 제5차 솔베이 회의 ·····································································································220
[그림 3-18] 2차 양자혁명 시대의 도래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1
[그림 3-19] 양자과학기술의 파급력 예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2
[그림 3-20]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과 정책목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3
[그림 3-21] ‘K-Network 2030’ 비전 및 추진전략 ·······································································230
[그림 3-22] 2단계 6G 추진 기획 방향 및 주요 내용 ····································································231
[그림 3-23]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 비전, 목표 및 추진과제 ···························································231
[그림 3-24] 2단계 6G R&D 주요 사업분야 ··················································································233
[그림 3-25] 2단계 6G R&D 기술 시연 로드맵 및 분야별 전략기술 ··············································233
[그림 3-26]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234
[그림 3-27] 정지궤도 위성 통신 탑재체 활용 계획 ········································································235
[그림 3-28] 2단계 6G R&D 추진 체계 ························································································237
[그림 3-29]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예비타당성조사 中) ················237
[그림 3-30] 민・관 합동 협의체(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 구성 ·············································238
[그림 3-31] 세계 최고 규모 로봇학회(ICRA2023) 챌린지 2개 부문 우승 ······································255
[그림 3-32] 기존 수작업 공정(좌) 및 제조로봇 도입(우) ································································255
[그림 3-33] 사축식 주행모터 장착구조 ··························································································258
[그림 3-34]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생산 및 수출입 추이와 2024년 전망 ·········································259
[그림 3-35]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2023~2027)의 목표 및 주요과제 ·································261
[그림 3-36]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비전 및 전략 ·························································265
[그림 3-37]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주요내용 ································································266
[그림 3-38]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사업 최종 성과 ······················································268
[그림 3-39] AIoT 네트워크 특화 IoT 플랫폼 장치 및 서비스 연계 구성도 ····································269
[그림 3-40]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개요 ·······································································271
[그림 3-41]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주요 연구내용 ····································································272
[그림 3-42] 인프라 융합 플랫폼 아키텍처 ·····················································································273
xiii
[그림 3-43] 국제표준 제안 ············································································································274
[그림 3-44] 인프라 가이던스 시스템 아키텍처 ···············································································274
[그림 3-45]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아키텍처 ··················································································275
[그림 3-46]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 주요 연구내용 ·····················277
[그림 3-47] 2023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287
[그림 3-48]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291
[그림 3-49] 과학적 근거 마련을 통한 치료기술 개발 성과 ····························································291
[그림 3-50] 노인성 치매 관련 기술개발 성과 ················································································292
[그림 3-51] 장애인, 고령자 대상의 보조기기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292
[그림 3-52]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309
[그림 3-53] 관측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309
[그림 3-54]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310
[그림 3-55]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감시기술 연구개발 성과 ·························································311
[그림 3-56] 어업자원 평가・예측 및 원양어업 발전 기반 마련 주요 성과 ·····································322
[그림 3-57] 부화 150일령의 특화생산 및 일반생산 참조기 ···························································322
[그림 3-58] 스마트 양식 관련 기술 ·······························································································323
[그림 3-59] 기후변화 및 현장대응 연구성과 ················································································324
[그림 3-60]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327
[그림 3-61]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비전과 목표 ···············································328
[그림 3-62]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28
[그림 3-63] 기술성숙도에 따른 핵심기술의 단계별 구분 ································································329
[그림 3-64]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330
[그림 3-65] 미래도전국방기술 ’23년 추진방향 ···············································································331
[그림 3-66] 우주기술 관련 민군 겸용기술 개발과제 ·······································································332
[그림 3-67] 해양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355
[그림 3-68] 2023년 극지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360
∙3∙
제1장 R&D 혁신방안 마련
1. 추진배경
1964년 정부 예산 1,207억 원 중 1.66%인 20억 원에 불과하였던 R&D예산은 2008년
10조 원을 초과하였고, 정부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5% 내외로 확대되었다. 경제・사회
발전과 함께 심화된 과학기술의 복잡다기성에 따라 정부는 R&D투자의 전략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 왔다.
<표 1-1> R&D 혁신방안 수립경과
연도 2015년 2016년 2018년
안건명
(1차)
정부R&D 혁신방안
(2차)
정부R&D 혁신방안
(국가기술혁신체계 고도화를 위한)
국가R&D 혁신방안
회의명 국가재정전략회의 과학기술전략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첫 번째 「정부 R&D 혁신방안」은 2015년 5월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정부
R&D투자가 연평균 8.7% 증가(’06년∼’15년)하고,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이
연평균 7.7% 증가(’05년∼’13년)한 가운데, ‘전략 없는 R&D 투자 확대’에 따른 ‘혁신의
위기’를 문제점으로 진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Fast-Follower형 R&D, 정부-민간 간,
산・학・연 간, 부처 간, 출연연 간 영역 충돌과 협업 부족, 출연연・대학의 시장을 외면한 나홀로
연구, 공급자 중심의 복잡한 평가・관리체계, 정부의 컨트롤타워 기능 미흡 등을 현장에서 발생
하는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정부R&D가 First-Mover형 R&D로 근원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R&D 혁신방안은 2016년 5월, 대통령이 주재하는 과학기술전략회의를 통해 발표
되었다. 압축성장 시대에 유효했던 추격형 R&D전략은 기술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민간의 역량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한계에 이르렀음을 명문화하였다. 민간 R&D에서 개발연구 비중이 70%에
달하나 정부 R&D도 개발연구 비중(48.9%)이 높아 민간과 중복되고, 정부 과제 수주를 위한
∙4∙
무한경쟁으로 산・학・연 주체 간 차별화가 부족하며, R&D예산 배분 방식이 부처별 요구에 따른
Bottom-up 방식으로 국가 차원의 전략성이 미흡함을 문제로 지적하고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R&D 시스템의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로 방안을 구성하였다.
세 번째 R&D 혁신방안은 2018년 7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통해 발표되었다.
과학기술은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주력산업의 핵심원천기술을
제공하며 국가경쟁력 향상을 견인하고 있음을 명시함과 동시에, 높은 R&D투자 비중에 비해
질적성과가 미흡한 Korea R&D Paradox 극복과 4차 산업혁명, 삶의 질 요구 증대 등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어야 한다고 규정
하였다. 혁신방안의 비전으로 ‘R&D 시스템을 대혁신하여 혁신성장 선도’를 설정하고, R&D
혁신의 중심을 국민과 연구자에 두는 사람중심의 혁신을 추진함과 동시에 R&D의 도전성과
혁신성을 강화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혁신성장을 이끌어가기 위하여
국가기술혁신체계의 발전적 모델(NIS 2.0)을 제시하고 3대 전략과 13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1] 최근 10년간 R&D예산과 R&D 성과 추이
2015년부터 세 번에 걸쳐 발표된 R&D 혁신방안은 First-Mover형 R&D로의 변화(’15),
선도형 체계로 R&D 혁신(’16), 시스템 혁신을 통한 혁신성장 선도(’18)를 목표로 후속 안건이
마련되고 실행계획과 프로그램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세계 5위 수준까지 증가한 정부R&D
투자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논문 발표, 특허 출원・등록 등 양적 성과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성과의 질적 수준은 여전히 정체 중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원인을 도전과 혁신을 견인하지
못하는 연구제도, 정부R&D 본연의 역할에 맞지 않은 투자, 전략성 없는 소규모・단발성 국제
협력으로 분석하고, 2023년 11월 27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전원회의에서 심의・
의결한 「윤석열 정부 R&D 혁신 방안(이하 R&D 혁신방안)」을 통하여 정책방향과 추진과제를
발표하였다.
∙5∙
R&D 혁신의 기본 방향은 기존의 한계를 넘어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적 R&D를 육성하여
퍼스트무버로 도약하기 위한 제도, 투자, 국제협력 3대 분야의 혁신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특히
R&D에 맞지 않는 관리자 중심의 제도와 규제를 없애고 도전적・혁신적 연구가 우대받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혁신”, 현안 중심의 단기적 투자에서 벗어나 정부R&D 본연의
역할인 기초・원천기술, 차세대 기술 중심의 투자로 전환하는 “투자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세계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글로벌 허브로 도약하는 것을 R&D 혁신의 비전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제도혁신 분야에서 도전과 혁신을 견인하는 제도 도입과 R&D에 맞지 않는
규제 혁파 등 두 가지 전략을, 그리고 투자혁신 분야에서 차세대 기술분야 대형 R&D 투자
확대와 출연연・대학을 세계적 기초・원천 연구 허브로 육성 등 2개 전략을 포함하여 4대 전략
16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2] R&D 혁신방안 비전 및 전략
∙6∙
2. R&D 혁신방안의 주요 내용
가. 도전과 혁신을 견인하는 제도 도입
첫 번째 추진과제로 실패를 용인하는 혁신적・도전적 연구제도를 도입한다. 연구과제 선정,
수행방식, 평가 등 R&D 전주기에 걸쳐 혁신성과 도전성을 강화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과제
선정평가 시 도전성・혁신성 지표를 대폭 강화하고 연구비 이월사용, 연구목표 재조정, 조기종료
등 연구수행 과정에서도 제도를 개선하며, 경쟁형R&D・포상형R&D 등 다양한 연구방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개선한다. 또한 도전적 연구가 실패하더라도 후속과제 선정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성공과 실패를 구분 짓는 평가 등급을 폐지하고, 정성적 검토를
통하여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두 번째로 인력지도를 활용하여 잠재력이 높고 탁월한 연구자를 발굴하고 지원한다. 연구
계획서 기반으로 짧은 발표를 통해 연구과제를 선정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연구자의 학업
이력, 세부전공, 연구 성취도, 유망성 등을 고려해 잠재력과 탁월성이 높은 연구자를 선정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또한 정부 R&D 과제를 수행한 연구자의 경력경로와 취업현황 등을 분석하여
인재정책의 근거 기반을 강화하고, 전략기술 분야별로 주요국 최고 수준 연구자 정보와 연구
기관 정보를 논문과 특허 데이터 기반으로 수집・분석하여 글로벌 인력지도를 구축한다. 이를
활용하여 잠재력 있는 연구자의 해외 진출과 전략적 글로벌 공동연구를 과학적으로 지원하고
과제기획부터 투자까지 연계할 수 있는 예산체계를 구축한다.
[그림 1-3] 글로벌 인력지도 예시
세 번째로 최신・고성능 연구시설・장비에 대한 특례를 도입하여 도입 기간을 단축한다. 혁신적・
도전적 R&D에 필요한 최신의 고성능 연구시설・장비의 도입계약에 걸리는 기간을 현재의
120일 내외에서 절반 이하로 단축할 계획이다. 조달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연구
∙7∙
시설・장비 구매를 수의계약 대상에 추가하도록 국가계약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도입심의 기간의
단축 또한 검토한다.
[그림 1-4] 연구시설 장비 심의・조달 평균 소요 기간(현행)
네 번째 추진과제로 연구자에게 성과 중심의 인센티브를 확대한다. 연구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가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기술료 사용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연구자에게 돌아가는
기술료 보상 비율을 현행 50%에서 60% 이상으로 상향한다. 또한 연구자의 지적재산권(IP)
기여율을 명확화하고 유망 IP의 해외출원 확대 등을 통해 강한 IP 창출과 발명자 권리 확보를
도모한다. 우수 지적재산권(IP)을 보유한 연구자에게 특허 고도화, 사업화 R&D를 지원하여
IP 스타과학자를 육성한다.
다섯 번째 과제로 연구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관리조직의 역량 강화를 추진한다. 통합
연구지원시스템(IRIS)을 2024년 상반기 전면 적용함으로써 연구과제 선정의 신뢰성, 집행의
투명성, 평가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또한 연구관리전문기관이 R&D 기획・성과관리・연구지원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한다. R&D
기획 전담기관의 역량을 강화하고 프로젝트 매니저(PM, Project Manager) 확대, 연구과제
유형별 맞춤형 관리 등 다양한 개선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분야별 협・단체, 지역
테크노파크(TP, Techno Park),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사실상 연구관리전문기관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을 점검하고 예산집행 전달체계 효율화를 추진한다.
나. R&D에 맞지 않는 규제 혁파
첫 번째 추진과제는 혁신적・도전적 R&D 적기투자를 위한 R&D 예비타당성조사 개선이다.
국가적으로 시급한 도전적・혁신적 R&D사업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패스트트랙이나
면제를 적극 인정하고 기존의 통과/탈락 중심의 조사에서 전문가 검토와 대안 제시를 통해
혁신성 등 사업기획의 완성도를 높이는 예비타당성조사로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각 부처는
가용예산 범위 내에서 예타를 신청하고, 통과된 사업은 부처별 지출 한도 내로만 신청 및
∙8∙
편성함으로써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두 번째로 부처별 R&D 예산 지출한도의 탄력있는 운영을 도모한다. 지출한도(예산상한)
설정 시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사전협의를 통해 조율하고, 부처별로 할당되는 지출
한도를 초과 또는 미달하여 배분함으로써 비효율 발생 요인을 차단한다. 또한 국가전략기술,
혁신적・도전적 R&D사업 등 국가적 임무와 관련된 분야는 범부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략적 예산 배분・조정을 추진한다.
[그림 1-5] 범부처 임무중심 예산 배분・조정 개념도
세 번째 과제로 예산 집행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제도를 개선한다. 연중 언제든지
우수 연구과제를 착수하고, 국제협력의 편의성을 높이며 연구비 집행지연 등의 불편을 해소
하기 위해 연구과제비 사용기간과 ‘회계연도 일치’에 대해 글로벌 공동연구와 기초연구 사업
부터 시범적으로 적용을 제외할 예정이며, 다른 사업에 대해서도 단계적 폐지를 검토한다.
또한 종이없는 연구행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등록된 연구비 사용 증빙자료는 별도
문서로 보관하지 않고, 정산・감사 시에도 시스템에 등록된 자료를 활용하도록 대통령령으로
법제화할 계획이며, 연구 관리와 수행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운영이 가능함을
제도적으로 명시할 예정이다.
네 번째로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과제 평가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인다. 최고가 최고를 평가할
수 있도록 연구과제 신청자와 동일한 기관에 속하는 연구자의 평가 참여를 제한하는 상피제를
폐지하기로 하였다. 대신 평가위원 및 평가 결과를 피평가자에게 공개하여 투명성을 높이고,
평가위원의 이해상충행위 금지 의무를 부과하는 행동강령 등을 통해 전문성과 공정성 간의
균형을 맞춰 나갈 계획이다. 또한 우수 평가위원 발굴을 위한 ‘평가위원 평가제’를 도입하고,
기획위원이 선정-최종 평가까지 참여하여 평가의 전문성을 높이는 ‘책임평가위원제’도 확대
한다. 이와 함께 우수 은퇴 과학자, 해외 한인 과학자 등을 적국 발굴하고 정부연구과제
책임자는 연 1~2회 과제평가에 참여하도록 의무를 부여함으로써 평가자 풀을 양적으로, 질적
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9∙
다. 차세대 기술분야 대형R&D 투자 확대
첫 번째 과제로 연구과제의 파편화를 지양하고 연구과제 당 연구비를 적정규모 이상으로
확대하여 의미 있는 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독려한다. 다만 학생 및 박사후과정생의 연수 지원,
순수 이론 연구, 개념연구 등 소액으로 가능한 분야에 대해서는 과제 당 지원규모를 유지한다.
두 번째 추진과제로 R&D사업 일몰제 운영과 예산의 급속한 확대로 인하여 분산・파편화된
주요R&D 사업을 통합・재편한다. 주요R&D 사업은 2013년 395개에서 2019년 694개, 2023년
1,266개로 급속히 늘어났으며 이 중 사업의 내용과 성격을 고려하여 파편화된 사업들을 대형
계속사업으로 전환한다. 또한 부처의 고유임무에 부합하는 소규모・단기 R&D사업을 통합・
재기획한 계속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가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주기적으로 사업 규모 및 계속
지원여부에 대한 적절성을 점검함으로써 사후관리를 강화한다.
세 번째로 국가전략기술 등 차세대 첨단기술에 대하여 집중 투자한다. 세계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리나라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12대 국가전략기술 R&D’를 年 5조 원 수준으로 지속
확대한다. 세계 1등 유지를 위한 초격차 기술이나 아직 절대강자가 없어 초기 우위 선점이 필요한
신격차 기술은 2023년 차세대원자력, 2024년 차세대통신, 첨단모빌리티, 우주를 시작으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신속하게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성공 시 파급효과가
큰 초고난도 목표를 지닌, 美DARPA 방식 ‘고위험・고수익형 R&D’도 확대한다. 사업별 PM이
사업관리자로서 과제 기획-선정-진도관리-평가 등 사업 전주기 관리에 전권을 갖고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알키미스트 사업에 이어 ‘ARPA-H
프로젝트’, ‘한계도전 R&D 프로젝트’를 본격화하고 향후 고위험・고수익형 신규 R&D과제를
발굴한다.
[그림 1-6] 전략기술 플래그십 R&D 프로젝트 추진 내용
∙10∙
라. 출연연・대학을 세계적 기초・원천 연구 허브로 육성
출연연은 소모적인 과제 수주 경쟁에서 벗어나 대학・기업이 할 수 없는 대형 원천기술 개발에
몰입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출연연을 국가전략기술 등 국가 임무의 전진 기지인
‘국가기술연구센터(NTC, National Technology Center)’ 중심 체제로 전환하고, 핵심 연구
인력과 장비를 집중한다. 특정기술과 관련된 출연연 기본사업과 정부수탁사업을 全출연연
차원에서 통합 편성・관리하고 NTC 중심으로 운영한다. 이와 함께 기관 간 칸막이를 없앤
글로벌TOP 전략연구단을 도입・확대하여 국내외 산・학・연과 개방형 협력체계로 전환함으로써
글로벌 연구소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연구개발목적기관의 특수성을 반영한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또한 글로벌 수준 연구자, NTC 참여 연구자 등의 핵심 연구자들에
대해서는 과제수탁 부담 없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인건비 100%를 보장하는 등 PBS 제도의
합리적 개선도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림 1-7] NTC 도입 전/후 비교 (예시)
우리나라의 대학을 글로벌 선도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인프라 확충과 대학 연구소 지원을
강화한다. 혁신적・도전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초저온현미경과 같은 핵심 연구장비와 이에
필요한 운영인력을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대형 R&D사업에 대해 연구장비 활용성을 평가하여
우수사업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고가 장비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연구자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단의 연구장비 구매 등 행정지원을 강화하고 연구지원체계 역량을 평가한다.
또한 대학 내에 인력, 정보, 지식 등 R&D 자원이 집적되고 대학의 연구역량을 확충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연구소와 같은 연구기반 구축을 지원한다. 신진연구인력을 중심으로 기초과학・거대
공동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중점테마연구소 구축을 확대하고 반도체, 이차전지 등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연구거점을 육성하는 혁신연구센터를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젊고 유망한 연구자가 세계적 수준의 리더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단계별
지원을 강화한다. 석・박사 인력 등을 양성하기 위해 양자, 반도체, 첨단바이오, 인공지능, 이차전지
∙11∙
등 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박사후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기술
선도국으로 연수기회 등을 확대하여 연구현장으로의 진입과 안정적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젊은
연구자가 독립된 연구자로 빠르게 성장하도록 초기 연구실 구축과 규모 있는 연구과제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이와 함께 연구책임자가 연구비를 확보하지 못하더라도 학생연구원의 학업 단절과
연구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생 인건비만큼은 안정적으로 지원한다.
[그림 1-8] 신진 연구자 성장단계별 지원
3.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정부는 R&D 혁신방안을 통하여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우수인재를 확보하고자 한다.
4개 부문에서 6개 정량지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부문은 보통수준의 추격형
R&D를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R&D로 전환하는 것이다. 세계 최고국 대비 90% 이상의 기술
수준을 보이는 세계적 수준의 전략기술 분야를 3개에서 8개로 늘리고,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5년 주기)을 3.87%에서 4.80%로 확대한다.
두 번째로 국내에 갇힌 나홀로 R&D를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로 혁신한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수(Highly Cited Researcher, HCR)를 65명에서 100명까지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세 번째 부문은 관행적 연구에 치우친 연구기관을 혁신과 도전으로 성장하는
연구기관으로 탈바꿈시키고 Nature에서 발표하는 우수 연구기관(Leading Institutions)의
200위 이내 기관 수를 현재의 두 배 수준인 10개까지 확대한다.
네 번째 부문은 나눠주기식 연구를 규모있는 연구로 전환해 성과를 제고하는 것으로 연구비
10억 원당 SCI(E) 논문 수를 1.82편에서 3.0편으로 늘리고 연구비 100억 원당 해외특허 등록
수를 0.75건에서 1.5건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4년에는 혁신도전형 R&D에 대한 별도 분류체계 마련 및 투자 확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투자 강화 및 제도개선 등 각 추진과제를 성실히 이행하고 또한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과제발굴을 지속할 계획이다.
∙12∙
제2장 대덕특구 50주년의 성과와 나아갈 길
1. 추진배경
1973년 출범한 대덕연구단지(대덕연구개발특구의 전신)는 그 당시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정부의 주도 아래 ‘과학입국’을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다양한 연구분야의 출연(연)을 만들어내고, 정주 환경을 조성하여 우수 과학기술자를 유치하는
등 인프라를 구축하여 1992년 마침내 대덕연구단지로 준공될 수 있었다.
대덕의 과학기술인들은 밤낮으로 끊임없이 헌신한 끝에 반도체, 통신, 원자력 등 여러 분야에서
세계를 놀라게 할 연구성과를 만들어 내는 기적을 일궈냈다.
2005년에 공공연구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덕연구개발특구로 확대・개편된
이후,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이 협업하여 창업기업이 확대되고, 기업의 매출이 증가되고,
고용이 확대되는 등 또 다른 지역 혁신성과 창출의 모델로서 국가대표 혁신클러스터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클러스터 모델은 광주, 대구, 부산, 전북으로 확산되어 5개의 광역특구라는 한 축을
구성하였고, 이후 소규모 고밀도의 강소특구 모델이 만들어져 14개 지역이 지정, 지역의 특화
분야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각 지역 간 연계・협력을 통해 또 다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제, 2023년 어느덧 반세기인 50주년을 맞이한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출범 이래 이루어 온
수많은 연구성과를 통해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고, 국민의 삶 증진에 일익을
담당했다.
대덕특구가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사업화하는 단계를 넘어서 공공기술 기반의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하기까지 그 발자취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50년을 이끌어 나갈 방향을 함께 그려나가고자 한다.
∙13∙
<표 1-2> 연구개발특구(광역, 강소) 지정 현황
구분 지정 범 위 총면적 특화 분야
대덕 ’05.07 대전시 유성구 등 일원 49.7㎢ IT, 나노 융복합, 바이오 등
광주 ’11.01 광주시 및 장성군 일원 18.6㎢ 친환경자동차 부품소재 등
대구 ’11.01 대구시 및 경산시 일원 19.4㎢ 의료용 융복합기기 등
부산 ’12.11 부산시 강서구 등 일원 15.8㎢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등
전북 ’15.08 전주시, 정읍시, 완주군 일원 16.1㎢ 농생명 융합, 융복합 소재부품 등
강
소
특
구
안산 ’19.08 안산 상록구, 단원구 일원 1.73㎢ ICT융복합 부품소재
김해 ’19.08 김해 주촌면, 풍유동, 명법동 일원 1.13㎢ 의생명・의료기기
진주 ’19.08 진주 가좌동, 충무공동 등 일원 2.17㎢ 항공우주부품・소재
창원 ’19.08 창원 성산구 일원 0.65㎢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
포항 ’19.08 포항 남구, 홍해읍 일원 2.72㎢ 첨단 신소재
청주 ’19.08 청주 서원구, 청원구 일원 2.20㎢ 스마트IT부품・시스템
구미 ’20.08 구미 거의동, 신평동 등 일원 2.57㎢ 스마트 제조 시스템
홍릉 ’20.08 서울 성북구, 동대문구 일원 1.36㎢ 디지털 헬스케어
울주 ’20.08 울산 울주군 일원 3.01㎢ 미래형 전지
나주 ’20.08 나주 빛가람동, 동수동 등 일원 1.69㎢ 지능형 태양광・에너지저장
군산 ’20.08 군산 미룡동, 소룡동 등 일원 2.70㎢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
천안・아산 ’20.08 천안 서북구 등, 아산 배방읍 등 일원 1.32㎢ 차세대 자동차 부품
인천 ’22.06 인천 서구, 미추홀구, 연수구 등 일원 2.22㎢ ICT 융복합 환경오염 처리 및 관리
춘천 ’22.06 춘천 효자동, 후평동, 동내면 등 일원 1.86㎢ 바이오 의약 신소재
2. 대덕특구 50주년의 주요 성과와 발자취
가. 대덕연구단지 건설과 출연(연) 입주
한국형 국가주도 연구시설이 처음 건설된 것은 1966년 서울 홍릉의 한국과학기술연구소였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와 국방과학연구소가 입주했다. 이곳은 ‘서울연구단지’ 또는 ‘제1
연구단지’로 명명했으나 ‘홍릉연구단지’로도 불렸다.
하지만, 당시 정부 각 부처에 소속돼 있는 국립시험연구기관 총 35개 중 20개가 서울시내와
그 주변에 있었다. 이들 대부분은 부지가 협소해 발전의 여지가 없거나 도시의 소음 등으로
연구환경이 적합하지 않았다. 이런 실정에 비추어 각종 연구기관이 한곳에 집결할 수 있는 연구
단지의 조성이 시급히 요구됐다.
정부는 1973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한강 이남에 제2 연구단지 건설 추진을 확정하고, 신규
연구기관들을 제2 연구단지에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민간기업도 단지입주에 적극 참여하도록
∙14∙
유도한다는 방침이었다. 아울러 기존 지방대학 중 이공계로 이전이 가능한 대학이나 대학원을
연구단지 내에 입주시켜 이상적인 연구학원도시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과학기술처는 인구 5만 명을 수용할 수 있고 서울에서 2시간대에 위치한 곳에 단지를 조성
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정부의 인구 분산책에 저촉되지 않는 지역에 설립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각 도(道)에 후보 부지를 추천해 줄 것을 시달했다.
그해 5월 과학기술처는 건설부 등 관계당국과 협의, 제2 연구단지 후보입지로 대전 이남,
경기 일원 등 3개 지구를 선정, 조사를 마쳤다. 같은 달 18일, 청와대에서 대통령이 주재하는
‘제2 연구단지 건설계획 보고회의’가 열렸고, 제2 연구단지 건설계획(안)이 1973년 5월 28일자로
대통령 재가를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제2 연구단지 입지는 충청남도 대덕군(유성면, 탄동면,
구즉면) 일원으로 결정됐다. 그곳에 과학기술 기반 구축을 위해 국내외 자본 90억 원을 투입,
전략산업 연구기관을 이전시킨다는 새 계획도 세웠다. 이 내용은 5월 30일 국회 경제과학
위원회에서 이창석 과학기술처 차관에 의해 1단계로 1976년까지 완성한다는 마스터플랜이
공개됐다.
이 차관은 과학기술 기반구축을 위한 제2 연구단지로 인구 5만 명이 상주하는 연구학원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같은 달, 미국이 제2 연구단지의 조성을 위해 개발차관 2,000만 달러를 한국에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과거와 같은 물자차관 형식이 아니라 미국이 달러를 한국에 직접 송금해 한국정부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좋은 조건이었다.
연구단지의 명칭으로 ‘연구학원도시’, ‘과학기술단지’, ‘연구교육단지’ 등이 두루 쓰였지만, 당시는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소득(GNP)이 500달러에도 못 미치는 경제 수준이었다. 때문에 ‘연구학원
도시’라는 용어가 너무 현실을 무시한 과학기술자의 이상론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당할 우려가
있었다. 더욱이 정책 결정자에게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도 전에 거부감을 준다는 지적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공업단지’나 ‘주택단지’와 유사한 ‘연구교육단지’라는 용어가 사용됐다. 그런데 실제
연구단지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명칭이 변경됐다. 처음에는 홍릉연구단지와 구분하는 ‘제2
연구단지’나 ‘연구학원도시’ 등이 명칭으로 쓰였다가 1976년 이후부터 ‘대덕전문연구단지’,
‘대덕연구단지’ 등으로 불렸다.
1977년에 이르러 토지 매입 및 개발의 효율적 수행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가
대덕연구단지 지역을 「산업기지개발촉진법」에 의거, ‘대덕산업기지 개발구역’으로 고시했다.
그해 12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됐다. 이에 따라 대덕지구는 충남 대덕군 탄동면, 구즉면
및 유성읍의 일부지역을 포함, 모두 2,776만 8,595㎡에 이르렀다.
∙15∙
연구학원도시 건설계획 대덕연구학원도시 토지 이용계획도
서울 홍릉을 대신할 대규모 과학연구기관 집적단지로서 조성되기 시작한 대덕연구단지는
1978년 한국표준연구소(現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첫 입주를 시작으로 다양한 기관들이 대덕
단지에 모였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주거 등의 정주시설도 꾸준히 확충됐다.
마침내 1992년 11월, 대덕연구단지의 준공식을 가졌는데 “2001년까지 선진과학 7개국에
진입한다.”는 목표가 선포됐다. 준공식 이후 15개 출연(연), 8개 민간연구기관, 3개 대학 등
33개 기관이 입주하면서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이듬해 1993년 8월, 대전에서 세계박람회(EXPO)가 열렸다. 개최 당시 대덕연구단지에 총
50여 개 연구기관이 입주해 있었는데 이들은 연구 성과물을 바탕으로 세계인과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기회로 삼았다.
한국표준연구소 기공식 시삽(1976.9.23.) 대덕연구단지 공사 현장(1980.9.11.)
∙16∙
나. 연구개발특구로의 발돋움, 사업화를 통한 공공기술의 확산
2004년 6월 정부는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중에는 대덕연구개발
특구 조성을 계기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R&D) 핵심거점 구축과 연구성과의 산업화 전략이
포함돼 있었다. 여기에 집중하기 위한 4대 전략산업으로 ①정보통신산업 ②바이오산업 ③첨단
부품・소재산업 ④메카트로닉스산업 등이 선정돼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춰 과학기술부는 「대덕연구개발특구특별법」의 추진 방향을 정했다.
대덕연구개발특구를 혁신주도형 경제의 전환을 위한 핵심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하에 R&D
인프라가 구축돼 있는 곳을 집중 육성한다는 게 핵심이었다. 특히 이 법안은 전국으로 혁신
성과를 확산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본부(현 연구개발특구
진흥재단)를 설치, 연구개발 촉진, 실용화 강화, 외국인 투자 활성화 등을 추진하겠다는 방침
이었다.
같은 해 7월 과학기술부는 ‘연구개발특구위원회’를 신설했다. 연구개발특구에 관한 주요정책을
심의하는 기구였다. 위원회는 과학기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재정경제부 등 11개 부처장관
(당연직 위원)과 민간 전문가 7명,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 등 모두 20명으로 구성
됐다.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특구 지정 및 해제 등 특구에
관련된 정책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8월 들어 과학기술부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특별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
법안은 정부가 대덕연구단지와 인근지역을 특구로 지정해 5년마다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특구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특구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해 연말,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법」의 본회의 의결이 이뤄졌다. 특별법의
국회 통과는 대덕연구단지가 우리나라 최대 과학기술 집산지로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었다.
2005년 7월 특별법이 발효됨에 따라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대한 혁신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대덕연구단지에는 새바람이 일기 시작했다. 국제화된 R&D 기반이 구축되면서
특구 내 벤처기업들은 정부의 벤처 활성화 대책에 힘입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기회를 맞이
했다. 출연(연)의 경우에는 기술 출자나 연구소기업 설립 등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R&D 고도화와
함께 기술사업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 연구소 창업 등이 활발해질 전망이었다. 대덕밸리
벤처기업들도 벤처 활성화 대책 덕분에 자금조달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이 예상됐다. 특구 내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국유재산 임대료 감면 등 각종 세제 혜택의 수혜도 기대할 수 있었다.
∙17∙
다. 혁신클러스터 대표모델, 연구개발특구 모델의 확산
정부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들의 혁신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세계화를 유도하는 데 힘썼다.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 ‘2010년 IASP(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ce Park and
Areas of Innovation) 총회’가 개최되고 ‘한국 STP(Science & Technology Park)교육원’이
발족돼 개도국에 대해 한국의 과학기술 모델을 전수했다.
2011년 5월 말, 대덕연구개발특구를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구와 광주는 연구개발
특구로 추가 지정하였다. 국가 혁신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혁신클러스터 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었다. 2012년 11월에는 부산 강서구에 조성될 국제물류산업도시 일원에 지정됐다.
2015년 11월, 대덕특구 1단계 사업지구 전체 사업이 준공 전, 문지동 일대의 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도 2012년 9월 첫 삽을 떴다. 유성구 신동・둔곡지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지구로 결정된 이후 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됐다.
2015년 6월 말 전북특구 지정이 확정됐다. 또 자생・자족하는 지역 혁신플랫폼 구축을 위해
도입된 특구모델로서 현재까지 14개 지역을 강소특구로 추가 지정했다. 이를 통해 5개의
광역특구라는 큰 축과 14개의 강소특구라는 고밀도・소규모 클러스터가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대덕특구가 만들어진 지 반세기에 가까워지며, 인프라의 노후화가 연구-산업 선순환
혁신 생태계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새로운 산업환경에 맞춰 각종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들이
집약된 대덕특구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졌다. 이에 따라,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을
추진하였다.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마스터플랜 기본구상(안)’은 출연(연) 바로 옆에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을 재창조해 기업과 협업이 혁신창업으로 이어지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또 유휴
공간 및 시설 활용을 고도화하고 공동시설 확충을 통해 연구소와 기업이 함께 열린 혁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충한다는 계획이었다. 대전을 데이터 산업 중심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구상도 밝혔다.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연구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과학벨트 거점 둔곡지구를 중심으로
빅데이터・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등 데이터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계획이었다. 아울러 대덕
특구 내 미개발지의 효율적 개발 및 활용으로 연구・산업부지의 미래 수요에 대응한다는 구상
이었다.
이후, 2021년 5월 과기정통부 장관 주재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덕특구 재창조
(리노베이션) 종합계획안 등 6개 안건을 논의・확정했다.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은 2023년
∙18∙
출범 50주년을 맞이하는 대덕특구가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혁신
생태계・공간적 대전환을 추구하는 내용이었다. 이 안건의 확정으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을
중심으로 마련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계획이 정부의 지원 속에 본격 추진될 수 있게 됐다.
이어 세부 목표와 비전, 과제 등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해 재창조 종합계획을 최종 수립했다.
라. 대덕특구가 만들어 온 길
대덕특구 내 출연(연) 등은 80년대 DRAM 개발, 1990년대 CDMA 상용화, 2000년대 핵융합
연구로(KSTAR), 2010년대 나로호, 2020년대 누리호까지 대한민국 발전을 견인할 기술을 개발,
상용화함으로써 국민 삶과 밀접한 국가R&D 성과 창출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또한, 정부는 대덕에서 시작된 특구 모델을 광주, 대구, 부산, 전북으로 확산하고 소규모・
고밀도 혁신클러스터인 강소특구 모델을 신규 도입, 14개 강소특구를 지정・육성하는 등 「R&D
→사업화→재투자」의 혁신 생태계 조성에 성공하였다.
앞서 기술하였듯, 연구개발특구는 기존 R&D 중심의 연구단지에서 공공기술사업화를 접목한
혁신 클러스터로 진화하여 산・학・연・관 구성원이 협업하여 유망기술 발굴, 기술이전, 창업,
기업지원 등 다양한 혁신성과를 창출하였고, 연구개발특구 내에서 발생한 성과를 통해 2021년
말 기준, 기술이전 5,972건, 특허등록 189,078건(누적, 국내·국제특허 포함), 기업매출 60.9조
원, 고용 288,957명 등 지역 및 국가 경제발전 주요부문에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기업체는 2005년 이후 13.5배 증가, 매출액은 23.8배 증가, 고용은 12.3배가 증가
하였으며, 특허 성과는 국내특허등록 기준 6.5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특구의 양적 확대와 함께
유망 기술발굴 및 이전, 창업・기업성장 지원 등 다방면의 노력으로 질적 성장이 더해진 결과
라고 볼 수 있다.
기업체 매출액 고용현황 국내특허등록(누적)
∙19∙
3. 대덕특구의 미래 비전
2023년 11월 2일 오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미래비전
선포식’이 열렸다. 선포식에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과기정통부 1차관, 대전시장, 과기
자문회의 부의장, 과학기술 연구기관장・협단체장, 과학영재・우수연구원, 과학기술계 원로, 지역
주민・기업・학생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대덕특구의 출범 50주년을 축하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략)… ‘과학입국’의 기치 아래 쉼 없이 달려온 결과 이제 대전과 대덕은 대한민국 과학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쟁의 폐허에서 가내 수공업으로 출발해 철강, 조선, 화학 등 중화학공업에 이어 디지털, 반도체, 이차전지
등을 선도하는 첨단산업 국가로 우리는 발전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대한민국의 이러한 고도성장은,
압축성장은 과학기술인의 땀과 열정으로 이뤄낸 것입니다.
이제 과거 50년의 영광 위에 새로운 50년을 준비해야 합니다. 국가 경쟁력은 과학기술에 달려 있습니다. 새로운
도약을 위해 세계를 선도하는 First Mover로 탈바꿈해야 할 때입니다. 양적 위주의 성장에서 질적 위주의
성장으로,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중략)…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하여 우리 미래의 성장과 번영을 다져가야 합니다. …(후략)…”
이어서 대덕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구성원들이 직접 향후 50년 미래비전을 발표하였다. 이
비전은 혁신 현장의 연구자, 기업인, 교육계,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희망하는 대덕의 이상적인
미래상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과제를 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미래 비전은 크게 과학기술, 산업, 인재, 공간의 4대 분야별 발전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과학기술 분야에서 미래의 대덕특구가 세계 최고 연구기관들과 함께 세상을 바꿀 과감한
목표를 설계한다는 계획이었다. 대덕의 고유한 연구역량을 활용, 양자・AI 같은 첨단기술을
선도하며, 출연(연)은 기관 간의 벽을 허물고 역량을 집중하여 국가의 미래를 이끄는 기술을
∙20∙
연구하기로 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국내외 선도기관, 산업계와 더욱
활발히 협력한다는 방침이었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산업을 이끌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고 성장하는 거점으로 대전환하는 대덕의
미래상이 제시됐다. 이를 위해 산・학・연이 출연(연) 유휴부지 등을 활용하여 가까운 곳에서
금융・법률・경영 컨설팅 등 맞춤형 전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첨단기술 기반 창업타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다. 이와 더불어 대덕특구가 산업별 네거티브 규제 운영 등 자유로운 현장
실증을 위한 완전한 규제프리존으로 변모하는 미래가 그려졌다. 또한 해외 선진 클러스터와의
연계・협력을 통해 우리 기술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인재 관점에서는 글로벌 혁신을 주도할 미래세대의 희망찬 꿈을 실현한다는 미래상이 그려
졌다. 이에 따라 출연(연), 대학, 기업이 함께 공동 캠퍼스를 조성하는 등 첨단연구・실험 인프라를
공동 활용하며 실전에 강한 과학기술 핵심인재를 양성한다는 방침이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인재를 끌어들이고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과 함께 젊은 연구자 펠로십, 해외 우수 인력의 유치와
단계적 정착 지원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공간적으로는 연구자와 창업자 간 교류와 소통이 자유로운 초일류 융복합 클러스터로 재탄생
하는 미래상이 제시됐다. ‘지구에서 가장 혁신적인 1마일’로 알려진 보스턴 클러스터와 같은
K-켄달스퀘어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2012년 시설낙후의 문제로 세대 전원이 퇴거한
뒤 그대로 방치된 공동관리아파트 부지를 첨단 연구개발・사업화 및 과학자 정주공간으로 거듭
나게 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대덕특구의 50주년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새롭게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 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촉발된 전 세계적인 기술패권 경쟁은
자원 하나 없이 과학기술로 먹거리를 창출해 왔던 대한민국에도 생존의 문제로,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대덕특구가 황무지에서 대한민국 과학 인프라를 구축하고, 산업계, 학계,
연구계 간 연결을 통해 수많은 성과들을 창출해왔다면, 이제는 향후 50년에 대한 미래비전을
토대로 민간・지자체・중앙정부 협력을 통해 기술, 산업, 인재, 공간 부문의 집중 육성을 추진
하고, 양적 성과가 아닌 대한민국 미래를 이끌어 갈 세계적으로 경쟁력 높은 질적 성과 창출에
집중해 나갈 것이다.
과거 50년 동안 대한민국 과학기술사의 1막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지금, 우리에게는 성공적인
1막의 중심에 있었던 고경력 과학기술인들과 미래에 대한 꿈과 열정을 가진 청년 과학기술인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 신・구세대 간의 조화를 통해서 앞으로 50년, 새롭게 만들어 나갈 역사의 2막을
기대해 보아도 좋을 것이다.
∙21∙
대덕특구 50년 미래비전
우리가 상상하고, 도전하는 모든 혁신이 가능한
글로벌 과학기술 융복합 클러스터
민 간 ・지 자 체 ·중 앙 정 부 협 력 을 통 해 집 중 지 원
4대 미래상
향후 발전과제
1. [기술] 미래 혁신을 선도하는 기술의 발원지
혁신
대덕이 선도하는 도전적인 연구로 글로벌 이슈 선점
출연(연)의 개방적 운영을 통한 핵심기술 공급허브 강화
2. [산업] 유니콘-데카콘 기업이 탄생하는 신산업 창출 거점
도전
기술과 법률・금융 등 서비스가 결합된 딥사이언스 창업 타운 구축
유니콘-데카콘으로 성장을 위한 규제 완화 및 해외진출 지원
3. [인재] 글로벌 시대를 주도할 미래세대 육성의 요람
성장
미래 유망분야 핵심 인재 양성과 지역기업 협력 촉진
글로벌 인재 발굴 및 유입 확대
4. [공간] 대덕의 대전환을 뒷받침하는 개방형 융합・소통의 장
융합
K-켄달스퀘어로 직장・주거・문화가 함께하는 정주하고 싶은 환경 조성
제2대덕연구단지 조성 및 기업 수요 산업단지 확보로 미래먹거리 창출
∙25∙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절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1.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현황
가. 개요
과학기술기본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근거한 과학기술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향후 5년 간 과학기술 발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과학기술
기본계획에는 과학기술의 발전 목표, 정책 방향, 연구개발, 인재양성, 국제협력, 지역혁신, 민간
혁신 촉진 등 법정 사항을 포함하게 되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른 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게 된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른 과학기술기본계획 법정 필수사항
1. 과학기술의 발전목표 및 정책의 기본방향
2. 과학기술혁신 관련 산업정책, 인력정책 및 지역기술혁신정책
등의 추진방향
3. 과학기술투자의 확대
4.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추진 및 협동・융합연구개발 촉진
4의2. 미래유망기술의 확보
5. 기업, 교육기관, 연구기관 및 과학기술 관련 기관・단체 등의
과학기술혁신 역량의 강화
6. 연구개발성과의 확산, 기술이전 및 실용화의 촉진, 기술창업의
활성화
6의2.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성장동력의 발굴・육성
6의3. 과학기술을 활용한 삶의 질 향상, 경제적・사회적 현안
및 범지구적 문제의 해결
7. 기초연구의 진흥
8. 과학기술교육의 다양화 및 질적 고도화
9.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및 활용 증진
10. 과학기술지식과 정보자원의 확충・관리 및 유통체제의 구축
11. 지방과학기술의 진흥
12. 과학기술의 국제화 촉진
13. 남북 간 과학기술 교류협력의 촉진
14. 과학기술문화의 창달 촉진
15. 민간부문의 과학기술혁신 촉진
15의2. 과학기술혁신의 촉진을 위한 제도나 규정의 개선
15의3.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지식재산의 창출・보호・활용의
촉진과 그 기반의 조성
15의4. 성별 등 특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구현
16.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중요
사항
∙26∙
정부는 2022년 12월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비전을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담대한 미래 -
행복한 국민, 역동적 경제, 강한나라”로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3대 전략, 17대 추진과제,
50개 세부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기본계획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각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는
매년 기본계획에 제시된 추진과제에 대한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제4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중앙행정기관・지자체의 연도별 시행계획과 전년도 추진
실적을 종합하고 점검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진행하고 있다(「과학기술기본법」제7조
제5항).
나. 주요 성과
1) 2023년도 시행계획 수립
정부는 2023년도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대내외 환경변화 및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과학
기술기본계획의 이행점검체계 고도화 방향 등을 바탕으로 2023년도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2023년도 과학기술정책의 주요 방향을 설정하였다.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산업・사회
대전환의 기틀 마련을 위하여, 과학기술혁신 추진체계를 개선하고, 디지털 환경을 조성・확산
하며, 민간 R&D 생태계 활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가전략기술의 육성 등에 임무중심
R&D 추진체계를 본격 적용하고, 데이터 기반 연구행정지원시스템 등 R&D 혁신 시스템을
지속 강화하였다. 인재 양성의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 계약학과 제도개선 등을 지속 추진하고,
해외 우수 인력의 발굴-유치-정착 지원의 연계를 강화하였다. 국민 일상 밀접 분야의 AI 활용을
확대하고,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시티 등 전 산업 분야로의 디지털 전환 확산을 추진하였다.
또한 연구성과의 민간 확산 강화를 위해 기술지주회사의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미래선도 분야
딥테크 유망 기업에 대한 지원, 기업부설연구소의 역량별 맞춤형 지원 등을 확대 추진하였다.
둘째,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성과지표에 대한 점검 방법 및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과학기술
기본계획의 대표지표 5개, 전략별 성과지표 30개 총 35개 성과지표에 대하여 일관된 기준으로
연도별 목표를 설정하였다. 정책 효력 발생까지의 소요 기간을 고려하여, 기본계획 추진 전반기
(’23~’25) 동안 점진적으로 목표치를 증가시키다가 후반기(’25~’27) 동안 연도별 목표 상승률을
높이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성과지표별로 매년 목표 달성 여부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녹/황/적
삼색 신호등 체계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세 가지 색깔은 각각 당해연도 목표 달성,
당해연도 목표는 미달성이나 전년 대비 개선, 당해연도 목표 미달성이며 전년 대비 악화를 의미
한다. 매년 성과지표 및 추진실적을 점검하여 지표 미달성 혹은 부처의 이행이 부진한 과제를
중심으로 심층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27∙
셋째,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과의 통합 시행계획 안건을 마련하였다. 제1차 국가연구
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이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수립 주기에 맞추어 2022년 12월 수립됨에
따라, 과학기술기본계획 및 중장기 투자전략의 시행계획 수립 주기 역시 일치하게 되었다. 정부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계획인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연구개발에 대한 최상위 투자전략인 중장기
투자전략의 시행계획 통합 수립을 통하여 과학기술 정책과 예산 간의 연계성 강화를 도모하였다.
2) 전략 1. 질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첫 번째 전략인 ‘질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는 R&D 추진
체계 고도화, 연구환경 개선, 인재양성, 과학문화 확산 등을 포괄한다. 해당 전략에서는 임무
중심 R&D 추진체계 혁신, 전략기술 발굴 육성, 개방형 혁신 연구기반 구축, 기업 맞춤형 혁신
지원 체계 확립, 과학기술인재 양성 및 확보, 민간・지역 중심 과학기술 문화산업 활성화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특히 정부는 국가전략기술의 본격적인 육성을 위하여 12대 전략기술별 로드맵 수립 및 민관
합동 프로젝트 선정 등을 추진하고, 임무중심 R&D 추진에 걸맞도록 R&D 예산 배분・조정,
예비타당성조사 등을 적극 개선하였다. R&D 성과를 통한 혁신 가속화를 위하여 기술지주
회사의 보유기술 및 의무지분 제한 등의 규제를 완화하였다. 또한, 산업 수요를 반영한 과학
기술인재 양성을 위하여 계약정원제 등 계약학과 제도를 개선하고, 기업주도형 및 혁신형 교육
과정을 확대하였다.
3) 전략 2.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기본계획의 두 번째 전략인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은 민간
주도 혁신, 대학・공공연구기관 역할 강화, 창업 지원, 지역 혁신체계 구축, 과학기술 외교・협력
리더십 확보 등을 포괄한다. 해당 전략에서는 민간 혁신 역량 강화 및 규제 혁신, 대학 및 공공
연구기관의 역할 제고, 도전적・혁신적 창업 촉진, 자생적 지역 혁신 기반 구축, 전략적 국제
공동연구 및 의제 주도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정부는 민간 R&D 세제 지원 확대, 기업부설연구소 R&D 역량별 맞춤형 지원, 신산업 핵심
규제 개선 등 민간의 혁신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하였다. 국가전략기술과 관련된 대학의 강점
분야 R&D를 지원하기 위한 혁신연구센터(IRC)를 구축하고, 출연(연)의 융합연구를 지원하는
등 공공 부문의 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을 또한 추진하였다. 특히 투자 연계형 사업인
TIPS 사업 내 딥테크 창업 지원 트랙을 신설하고,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등 유망
창업・벤처기업의 성장 지원을 지속 추진하였다.
∙28∙
4) 전략 3. 과학기술 기반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세 번째 전략인 ‘과학기술 기반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미래대응’은 탄소
중립 선도, 디지털 전환 대응, 과학기술 기반 국민건강 증진, 미래 위험 대응, 공급망 재편 대응,
국방・안보 강화, 우주・해양・극지 개척 등을 포괄한다. 해당 전략에서는 탄소 중립 기반 기술
확보 및 정책 추진체계 구축, 디지털 전환 선도 기반 조성, 데이터 활용 바이오 연구개발 촉진,
데이터 기반 재난・안전 관리, 공급망 안정성 제고, 국방과학기술 혁신, 사이버 보안 기술 기반
강화, 우주 탐사・수송・활용 역량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정부는 주력산업의 그린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국제 탄소배출 규제에 대응하는 국내 제도적
기반 마련을 추진하였다. 가이드라인 마련 등 마이데이터의 전 분야 확산 기반을 조성하고,
디지털 의료기술 및 차세대 스마트팜 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실증 등의 추진을 통해 AI 등
신기술의 전 산업 분야 확산을 촉진하였다. 한국형 발사체(누리호) 3차 발사,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 개발 등 우주산업 생태계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4년에는 2023년 주요 과제 이행실적 및 성과지표 달성도 점검 결과 등을 바탕으로 과학
기술기본계획의 이행계획을 수정・보완하고, 통합 시행계획의 지속 운용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분야 정책 및 예산 간 연계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비전
및 목표가 과학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추진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할 예정이다.
∙29∙
[그림 2-1]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30∙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가. 개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헌법 제127조를 근거로 과학기술혁신 등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1989년 한시적 자문기구로 출발하였으나, 1991년 「국가과학기술자문
회의법」이 제정되면서 상설기구로 발족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제2조에 나타나 있듯이,
국가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인력의 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 전략 및 주요 정책방향에 관한
사항, 과학기술 분야의 제도 개선 및 정책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응하기
위해 출범하였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의 대통령 자문기구로서
과학기술정책의 중장기 방향 설정, 과학기술 주요 이슈 등에 대한 자문을 수행해 왔다. 현재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17년 12월 국회에서 의결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전부 개정
법률이 2018년 4월 17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 주요 정책의 심의 기능을 수행하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통합되면서 지금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는 총 30명의 위원으로 의장은 대통령, 부의장은 의장이 지명하는 민간위원으로
구성된다. 또한 간사위원은 대통령비서실 내 과학기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비서관(정무직
공무원)으로 경제수석비서관에서 2024년 1월부터는 과학기술수석실 신설로 과학기술수석
비서관으로 변경되었다.
1991 ~ 2007 2008 ~ 2012 2013 ~ 2017 2018 ~ 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舊과학기술부
소관
舊교육과학기술부 소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舊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사무처 독립)
15인 이내 자문위원
(비상설)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지원단)
30인 이내 자문・심의위원
(상설, 지원단)
[그림 2-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변천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의장 : 대통령 / 부의장 : 민간 1인 / 간사위원 1인)
전원회의
(자문회의 및 심의회의 위원 전원)
자문회의
(민간위원/20인 이내)
심의회의
(민간・정부위원/20인 이내)
[그림 2-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31∙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은 제1기와 제2기에 걸쳐 연임한
이우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맡아 과학기술 자문 및 심의 기능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2기 민간위원은 주요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의 기관장과 각 분야를 대표하는 핵심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위원의 대표성 및 전문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지원단장에 신규 일반직 고위공무원 가급(별도정원)을 반영함으로써 대통령 자문기능을 수행
하는 자문회의 운영, 과학기술분야 정부정책 방향 수립,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R&D 분야별
계획 등 자문・심의 업무의 효율성과 지원 기능을 강화하였다.
1) 자문회의 구성
자문회의는 의장,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20명 이하로 의장, 간사위원 외 전원 민간위원으로
현재 12명(부의장 포함)으로 구성된다. 또한 자문회의는 분야별로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 등 3개 소위원회로 구성되어 있다.
<표 2-1> 자문회의 소위원회 및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명칭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
소관
분야
∙ 과학기술 중장기 국가전략 및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관련 법・제도 개선에 관한
사항
∙ 기초연구 진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분야 청년과학자 등 미래인재
성장 지원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경제성장 정책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육성, 제조업 혁신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관한 사항
∙ 연구성과 활용 및 확산 촉진에 관한 사항
∙ 국민의 삶의 질 제고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인류의 지속가능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기반 사회복지 및 보건의료
증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활용 사회구조・문제 해결에
관한 사항
위원
구성
총 4명 (소위원장 : 이정아) 총 4명 (소위원장 : 현택환) 총 3명 (소위원장 : 유욱준)
∙ 이정아 (조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 오정미 (서울대학교 약학과 교수)
∙ 이영국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 정항근 (전북대학교 전자공학부 명예
교수)
∙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장)
∙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
∙ 주세돈 (포스코 기술연구원 원장)
∙ 진교영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원장)
∙ 유욱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 백원필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
2) 심의회의 구성
심의회의는 의장 및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18명으로 구성되었다. 정부위원은 기획재정부・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
담당 비서관(간사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민간위원은 현재 총 10명(부의장 제외)이다.
심의회의는 심의사항의 사전검토 및 실무적인 자문, 전결안건 심의를 위해 운영위원회를
두었으며, 심의사항 중 특별한 사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6개의 특별위원회와
∙32∙
특정분야 추진시책에 대한 지속적 논의를 위한 2개의 협의회를 두었다. 또한 심의회의 및 운영
위원회 상정 안건의 효율적인 검토를 위해 운영위원회 내 전문위원회(총 10개 분야)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제1회 전원회의 개최 이후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새 정부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탄소중립기술 육성 등을 중심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특별위원회를 재정비하였다.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 혁신성장동력특별위원회,
소재・부품・장비기술특별위원회 등 3개 특별위원회를 폐지하고 그 기능은 타 위원회로 이관
하였으며, 국가전략기술의 지정・관리, 기본계획 수립 등 전략기술 정책 전반을 총괄・조정하는
국가전략기술특별위원회 신설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전략기술 전반에 걸친 정책 의결 기구이자
전략기술 관련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심의회의
미
래
인
재
바
이
오
감
염
병
탄
소
중
립
기
술
양
자
기
술
국
가
전
략
기
술
운영위원회
지방
과학
기술
진흥
기
초
연
구
진
흥
정
책
조
정
성
과
평
가
대
형
연
구
시
설
공
공
우
주
에
너
지
환
경
ICT
융
합
기
계
소
재
생
명
의
료
기
초
기
반
국
방
특별위원회 (6) 전문위원회 (10) 협의회(2)
[그림 2-4] 심의회의 구성
<표 2-2> 심의회의 위원 구성(윤석열 정부 제2기, 2023.11.27. 위촉)
민간위원 정부위원
총 10명 총 6명
∙ 김준범 (울산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 김태완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김현정 (서강대학교 물리학전공 교수)
∙ 남기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교수)
∙ 오세현 ((주)SK텔레콤 WEB3컴퍼니 부사장)
∙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 이신두 ((전)서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분원장)
∙ 최재붕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홍순국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사장)
∙ 기획재정부 장관
∙ 교육부 장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 담당 비서관(간사위원)
∙33∙
나. 2023년도 주요성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23년 전원회의 2회, 자문회의 7회, 심의회의 5회를 개최하였다.
제3회 전원회의는 대통령 주재 간담회와 연계하여 개최하고 2개의 안건을 논의하였으며, 자문
회의는 총 3건의 안건을 의결하고 자문의제를 보고(서면)하였다. 또한 심의회의는 18건의
안건을 의결 및 접수하였으며, 그 밖의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자문방향 및 의제 관련
전문가・실무 회의를 27회 개최하는 등 자문의제 발굴 활동을 수행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제1회 전원회의의 후속조치로 제2회 전원회의를 서면으로 개최하여
새 정부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탄소중립기술 육성 등을 중심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특별위원회를 재정비하였다. 특히, 국가전략기술특별위원회
설치는 국가전략기술의 지정・관리, 기본계획 수립 등 전략기술 정책 전반을 총괄・조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오찬 간담회(2023년 11월 27일(월))는
제3회 전원회의 개최 전 대통령 주재로 ‘R&D다운 R&D, 세계 최고를 향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대통령실 누리홀에서 개최되었다. 간담회는 제1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들의 지난 한 해
동안의 활동을 치하함과 동시에 새롭게 구성되는 제2기 자문위원, 심의위원(민간위원) 소개
및 위촉장을 수여하고 R&D 혁신 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마련되었다. 간담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 전략에 따른 예산의 효율적 운영, 글로벌 공동연구의 필요성, 출연연구기관의
공공기관 해제 등의 의견이 제안되었으며, 의장(대통령)은 우리나라가 새롭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전략으로 전환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오찬 간담회 이후 부의장
주재로 개최된 제3회 전원회의는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을 심의・의결하였다. 전원회의에서는 과학기술이 국가 안보 및 미래 성장 등에서의
역할,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방안, 다양한 선진 국가들과 공동연구 및 네트워크
확대 전략 등에 대해 토론과 논의를 진행하였다.
자문회의는 7회에 걸쳐 회의를 개최하고 윤석열 정부의 제1기 자문회의 의제를 마련하였다.
제1기 자문회의는 ‘해외 과학기술 인재 유입 및 활용 확대 방안’, ‘도전・혁신형 국가R&D 체계
혁신 전략’, ‘미래전장의 게임체인저 국방과학기술 인재 양성 방안’ 등 3건에 대해 윤석열 정부의
주요 과학기술 정책 자문의제로 제안하였다. 또한, 위원 간 소통을 강화하고 다양한 자문의제를
발굴・의제화하기 위해 논의하고 사전검토하는 소위원회 회의를 총 19회 개최하였다. 의제별
전문가 회의 및 실무회의를 수시 개최(총 32회)하고 자문위원과 전문위원뿐만 아니라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자문 안을 마련하였다.
심의회의는 총 5회 회의를 개최하고 총 18건의 안건(심의 17건, 보고 1건)을 상정하여 의결・
접수하였다. 기초연구부터 개발・응용연구 분야까지 과기정통부, 국방부, 산업부, 해양수산부 등
∙34∙
다양한 부처의 중장기 계획이 심의회의에서 검토되었다. 특히, 수월성 중심의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3~’27)(안)’,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제3차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23~’27)(안)’, 국가안보, 첨단과학기술 기반 강군
건설과 국방역량 강화를 위한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안)’ 등 12개의 중장기
계획을 심의하였다. 또한 국가연구자산의 체계적 보호와 연구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과 선도적 연구개발 및 국가연구개발 성과를 촉진하고자 ‘국가연구
개발행정제도 개선(안)’ 등을 심의・의결함으로써 연구자의 연구몰입 환경에 기여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의제 발굴 및 현황 분석을 위한 실무회의 등을 32회 개최하며 폭넓은 연구현장과의
의사소통 통로를 확보하였으며, 자문기능의 효과적 수행 및 민간전문가 중심의 정책 논의 기반
조성을 위해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을 2022년 12월 이후 지속 운영하였다. 포럼의 총괄
운영을 위해 산・학・연・지역의 최고 전문가 8인의 총괄위원회를 구성하고, 시의성 있는 주제
선정 후 총 7회의 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민간이 공동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과학기술 관련 국가적 현안 및 범정부 이슈를 발굴하고 민관 간 공감대 형성에 기여할 수
있었다.
포험 주제 및 개최일
∙ (2차) 기술패권・인구절벽 시대, 과학기술인재 위기 돌파
(’23.1.18)
∙ (3차) 국방R&D 개방과 혁신으로 첨단 과학기술 강군 육성
(’23.2.16)
∙ (4차) R&D시스템 혁신을 통해 과학기술의 질적 성장 전환
(’23.3.2)
∙ (5차) 새로운 기정학 ‘판’에 대응하는 과학기술 패러다임 전환
(’23.7.13)
∙ (6차) 첨단과학기술 기반 복합재난 대응(’23.8.10)
∙ (7차) 민간주도 혁신성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도개혁
(’23.9.7)
∙ (8차) 축소사회에서의 생산성 위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3.10.12)
<표 2-3> 2023년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개최 실적
아울러 국민경제자문회의와 ‘과학기술 디지털경제 선도국가에 걸맞은 혁신친화형 규제정책
방향’을 주제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우리나라가 혁신을 선도하는 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혁신친화형 규제정책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학기술 기반 혁신생태계 구축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공동 심포지엄 개최로 경제계와 과학기술계에서 각각
논의해 오던 우리나라의 혁신정책 방향성에 대한 고민과 우리나라가 선도형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토론과 논의를 진행할 수 있었다.
∙35∙
의제발굴 회의 운영 주요 성과 및 대국민 소통 활동
∙ 자문회의 7회, 심의회의 5회, 전원회의 2회
∙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등 27회
∙ 자문방향 등 실무회의 32회
∙ 국민경제자문회의 등과 공동 심포지엄 개최
∙ 연구현장 방문・관계자 인터뷰 등 현안 및 정책관련 요구사항 청취
∙ 민관 과학기술혁신 자문포럼 7회 개최
∙ 전략기술(이차전지, 수소) 분야 라운드테이블 회의 4회 개최
<표 2-4> 2023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다. 향후 계획
제2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현장과 정부를 잇는 가교로서 다양한 과학기술 현장과 소통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제8회 자문회의 개최를 통해 각 소위원회는 향후 자문의제로
발전시켜야 할 의제 후보를 논의하고, 소위별로 현황 분석・진단, 전문가 및 대국민 의견수렴
등을 바탕으로 대통령께 자문보고를 위한 자문의제를 개발・작성할 계획이다. 소위의제의 작성
추진을 위해 필요시에는 해당 사안에 대한 현황을 심도있게 분석하는 정책연구용역을 병행할
것이며, 이렇게 작성된 자문의제는 대통령의 국정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식을 통해
결과물을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기술 분야는 물론 경제・인문・사회 다양한 영역의 동향조사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시의성 있는 자문주제 발굴과 이슈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보는
대통령실, 정부부처, 유관 연구기관 등과 공유를 통해 이슈페이퍼, 브리프 등으로 발간하여
대국민 정책 소통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그룹과 지속적인 교류활동으로 주요 현안 이슈에 대해 정책 세미나 및 컨퍼런스 등을
개최할 예정이며, 국민경제자문회의,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의 유관기관과의 협력도 계속해
나갈 것이다.
∙36∙
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가. 설치목적 및 변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근거하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원, 육성 및 체계적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1999년 총리실 산하에 기초기술연구회, 공공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등 3개
연구회를 설립・운영하였으며, 이후 과학기술부 이관(2004), 공공기술연구회 통폐합 및 교육
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이관(2008)을 거쳐 2014년 6월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 개편되었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운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이사회는 총 24회 개최되었으며(정기 3회, 임시 21회), 총
89건의 안건이 상정되어(보고안건 11건, 의결안건 78건), 83건이 접수・의결 되었고, 3건의
원장 재선임(안)을 심의하였다.
<표 2-5>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 실적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83회 2023.1.10. 의결1 한국화학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전문가 선임(안)
외부전문가 2인
선임
제184회 2023.1.12. 보고1 제183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84회 2023.1.12. 의결1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선임(안) 김남균 선임
제185회 2023.2.7. 보고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선임직 이사 추천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제185회 2023.2.7.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보고1 2022년 소관연구기관 감사 결과 보고 원안접수
제186회 2023.3.2. 의결1 2023년 소관연구기관 감사 계획(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의결2 소관연구기관 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의결3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청사 이전(안) 원안의결
제186회 2023.3.2. 의결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87회 2023.3.10. 보고1 제185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87회 2023.3.10. 보고2 제186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87회 2023.3.10.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선임직이사 임명후보자 선정 및 추천(안)
임명후보자 7인
추천
제188회 2023.3.24. 의결1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영국 선임
제188회 2023.3.24. 의결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37∙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188회 2023.3.24. 의결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2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4 소관연구기관 2022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6 소관연구기관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7 2023년 1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술사업화 전문조직 설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 증축・운영 계획(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10 한국화학연구원 전남(여수) 지역조직 설치・운영계획 변경(안) 원안의결
제188회 2023.3.24. 의결1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제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189회 2023.4.13. 의결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9회 2023.4.13. 의결2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89회 2023.4.13. 의결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0회 2023.4.27. 보고1 제189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90회 2023.4.2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 하지 않음
제191회 2023.5.1. 의결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1회 2023.5.1. 의결2 한국기계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1회 2023.5.1. 의결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92회 2023.5.10. 보고1 제191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92회 2023.5.10.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 선임(안) 양성광 선임
제193회 2023.5.18. 의결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4년도 예산 요구(안) 원안의결
제193회 2023.5.18. 의결2 소관연구기관 2024년도 예산 요구(안) 원안의결
제193회 2023.5.18. 의결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193회 2023.5.18. 의결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4회 2023.6.2. 의결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상목 선임
제195회 2023.6.16. 의결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창근 선임
제196회 2023.7.18. 의결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 하지 않음
제197회 2023.7.24. 의결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보고1 제197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198회 2023.8.9. 의결1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198회 2023.8.9. 의결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국가녹색기술연구소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의결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의결4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98회 2023.8.9. 의결5 2023년 2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제199회 2023.8.28. 의결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199회 2023.8.28. 의결2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중요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199회 2023.8.28. 의결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199회 2023.8.28. 의결4 소관연구기관 관계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200회 2023.9.7. 보고1 제199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제200회 2023.9.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201회 2023.9.26. 의결1 한국전기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38∙
회차 일시 구분 안건명 상정결과
제201회 2023.9.26. 의결2 소관연구기관 사실상의 지역조직 정비계획(안) 원안의결
제201회 2023.9.26. 의결3 소관연구기관 본원 외 조직 설치・운영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201회 2023.9.26. 의결4 2023년도 소관연구기관 기관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제201회 2023.9.26. 의결5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제202회 2023.10.1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
위원 선임(안)
각 외부위원 2인
선임
제203회 2023.11.21. 의결1 「소관연구기관 협동감사제도 운영규정」 폐지(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2 「감사위원 및 감사단장 임용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3 한국식품연구원 경북본부 설치・운영계획 변경(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4 한국전기연구원 지역조직(RSS센터) 폐지 계획(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5 소관연구기관 중요재산 처분(안) 원안의결
제203회 2023.11.21. 의결6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204회 2023.11.27. 보고1 제202회, 제203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 보고 원안접수
제204회 2023.11.27. 의결1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재선임(안) 재선임 하지 않음
제204회 2023.11.27. 의결2 2023년 3차 소관연구기관 기관운영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제204회 2023.11.27. 의결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 월정기지 매각(수용) 계획 변경(안) 원안의결
제204회 2023.11.27. 의결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선임하지 않음
제205회 2023.12.7. 보고1 출연(연) 연수직 석사후연구원 신설・운영방안 보고 원안접수
제205회 2023.12.7. 의결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호성 선임
제205회 2023.12.7. 의결2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안) 류석현 선임
제205회 2023.12.7. 의결3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4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위원 선임(안) 외부위원 2인 선임
제205회 2023.12.7. 의결5 한국화학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6 소관연구기관 부설기관 설치・운영 등에 관한 규정 제정(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21개 연구기관 정관 개정(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역조직(융합기술연구소) 부지 임차(안) 원안의결
제205회 2023.12.7. 의결9 소관연구기관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4 소관연구기관 2024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4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조직 운영 혁신방안(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역조직(수도권통합센터) 구축・운영(안) 원안의결
제206회 2023.12.22. 의결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역조직(서남본부 금형TRYOUT센터) 폐지
계획(안)
원안의결
∙39∙
2) 출연(연) 신임기관장 선임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25명 중 임기종료 등의 사유발생에
따라 총 7명의 신임 기관장을 선임하였다.
<표 2-6>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기 관 명 직 위 성 명 임 기 주 요 경 력
한국전기연구원 원장 김남균 ’23.01.13.∼’26.01.12.
∙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부회장 겸 SiC연구회 회장
∙ 한국세라믹학회 부회장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이영국 ’23.03.27.∼’26.03.26.
∙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소재부품단장
∙ 한국결정성장학회 회장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 양성광 ’23.05.11.∼’26.05.10.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 국립중앙과학관 관장
∙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비서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이상목 ’23.06.05.∼’26.06.04.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UST 대표교수
∙ 한국주조공학회 회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이창근 ’23.06.19.∼’26.06.1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회장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의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이호성 ’23.12.08.∼’26.12.07.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럽연구소 소장
∙ 한국연구재단 나노융합단 단장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류석현 ’23.12.08.∼’26.12.07.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협력처장
∙ 한국공학한림원 기획위원장
∙ 두산중공업 부사장, CTO&기술연구원장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3년도 경영협의회와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는 총 6회(경영협의회
3회, 기관장 간담회 3회)가 개최되었으며, 39건의 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40∙
<표 2-7>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현황
회차 일시 안건명 담당부서(기관)
2월 기관장 간담회 2023.2.21.
2022년도 출연(연) 연구성과 보도자료 배포 주요 결과 대외협력부
출연(연) 연구안전 직무 및 조직 개선에 관한 연구 결과 평가사업부
2023년 출연(연) 기관운영평가 주요 개선사항 평가사업부
「과기정통부 소관 연구개발목적기관 채용 기준」안내 인재개발부
출연(연) 교육훈련 추진실적 및 계획 안내 인재개발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출연(연) 연계 강화방안(안) 과기정통부
제25회 경영협의회 2023.4.20.∼21.
연세대 송도국제캠퍼스 IBM 양자컴퓨터 구축 관련 강연 연세대학교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추진 현황 공유 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 및 2023년 개선방향 과기정통부
제주도 하원테크노 캠퍼스 조성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대형연구시설 운영 현안 및 개선방향 한국원자력연구원
출연(연) 기업 간 파트너쉽 구축 경과 및 향후계획
한국과학기술정보
연구원
연구회 부서별 현안 공유 경영본부
대한민국 전략기술 그리고 인재양성 서울대학교
출연(연) 임무형 전략기술 추진 방향 미래전략부
6월 기관장 간담회 2023.6.28.
“Pax Technica 시대 국가 출연기관의 역할” 강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3년도 출연(연) 통합홍보 상반기 성과 및 하반기 계획 대외협력부
출연(연) 통합보안메일 서비스 운영계획(안) 보고 경영기획부
’24년도 정부예산요구 및 국회 주요 현황 재정지원부
기타 현안사항 공유 경영본부
국정원 사이버안보 및 우주안보 설명 국가정보원
제26회 경영협의회 2023.8.25.
출연(연) 과학기술고경력인의 경력경로 소프트랜딩 지원방안 인재개발부
한국과학기술지주혁신방안 한국과학기술지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영혁신 사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민 일상 지키기 그리고 미래 치안 경찰청
과학치안을 위한 경찰청-출연(연) 협력방향(안) 미래전략부
11월 기관장 간담회 2023.11.1.
해외기술 유출 동향 및 연구보안 방안 국가정보원
출연(연) 기술의 기후변화 대응 국제협력 활성화 방안 녹색기술연구소
출연(연) 학생연구원 지속 활용 방안 인재개발부
지속가능한 출연(연) 조직문화 혁신 추진 방안 연구행정혁신부
출연(연) 해외 전자저널 구독 및 오픈액세스 출판 연구행정혁신부
제27회 경영협의회 2023.12.14.
출연(연) 정책 역량 강화와 대덕특구 미래 50주년 충남대 이찬구교수
출연(연) 연구행정 디지털 전환 RPA구축 지원 사례 보고 연구행정혁신부
출연(연) 연수직 석사후연구원 신설 안내 인재개발부
출연(연) AI통합교육 ’23년 실적 및 ’24년 계획 인재개발부
2023년도 국정감사 수감 결과 보고 재정지원부
K-방산문명의 출현 그리고 융성을 위한 발걸음 ADD
AI 과학경호경비 플랫폼 구축사업 소개 대통령 경호처
과학경호를 위한 경호처-출연(연) 협력방향(안) 미래전략부
∙41∙
4) 출연(연) 예산・결산・사업계획 등 관리
2024년도 출연(연) 예산은 강도 높은 R&D효율화를 실시하여 전년대비 1,972억 원(△8.3%)
감액된 2조 1,711억 원이 국회 의결되었으며, 12대 국가전략기술에 8,946억 원이 반영되었다.
2023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을 통해 연구사업계획 상 전략목표 실행을 위한 주요사업
개편 내용을 반영하고, 1,779억 원의 연구개발적립금 사용 승인 및 변경을 통해 기관별 R&R과
부합하는 자체연구개발사업과 기관발전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에
따른 경상비 수권 감액 기준에 대해 재정당국과 협의하여 공동자회사 운영비용, 제세공과금,
시설사업 완공소요 등에 대한 특이소요(176억)를 반영함으로써 출연(연)의 안정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였다.
기존 융합연구사업의 한계를 보완하고, 기관 간 협력을 넘어 산・학・연 융합연구를 촉진하기
위하여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신규사업의 예산 1,000억 원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본 사업은 출연(연)이 핵심 기술분야별 국가R&D임무에 집중하여 기관별 인력・조직 전방위에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통합예산사업으로 도입되었다. 2024년 출연(연)에 제도적 변화와
더불어 연구현장의 혁신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5) 고경력 과학기술인 경력경로 개발, AI 교육 지원, 장애인 고용 활성화
출연(연)의 퇴직연구자 수는 해마다 증가 추이(’19년 196명→’20년 278명→’21년 283명
→’22년 334명)를 보이고 있다.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의 동시다발적인 퇴직으로 일부에서는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대거 이탈과 이에 따른 공공 R&D의 위축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있다.
연구회는 밀려드는 퇴직 과학기술인 수요에 대비하고자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퇴직 후 경력경로
지원방안으로 경력개발 3단계, 5유형의 경력유형별 지원체계와 단기・중기・장기 6개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회는 출연(연) 재직자의 AI-R&D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24년까지 1만 명의 AI교육
수료생을 목표로 AI통합교육을 운영해오고 있다. 비전공자도 이수할 수 있는 입문・기초단계
부터 AI를 R&D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전문・심화단계까지 총 3단계 6개 과정을 운영하였으며
2023년 한 해 동안 4,069명의 교육 수료생을 배출하였다.(’22년 2,612명 수료) 2024년에는
국가전략기술 등을 반영하여 양자기술, 시스템반도체 등과 연계한 AI혁신과정(3단계 7개 과정)을
신설하여 AI통합교육을 고도화시킬 예정이다.
또한 과기출연(연)들이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장애인고용공단과
협력을 통해 장애인력 고용컨설팅, 맞춤훈련을 활용한 장애인력 채용 확대(’22년 28명→’23년
45명)와 함께 맞춤형 장애인력 적성 직무 개발(2개 기관)을 새롭게 추진하였다. 동시에 장기적
∙42∙
이공계 장애인력 양성을 위하여 이공계 대학・대학원생 38명을(’22년 24명) 출연(연)과 매칭
하여 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출연(연) 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6)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연구회는 2009년부터 국내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들을 대상으로 출연(연)에서 연구역량
향상 및 경력개발을 통해 신진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R&D 연수를 지원하는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5년(’19∼’23) 간 동사업으로 배출된 인원 372명
중 약 95%인 351명의 취업실적은 소관 출연(연) 47.6% > 산업계 23.1% > 학계 16.8% > 기타
12.5%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도 출연(연) 박사후연구원 557명을 대상으로 창의도전
연구, 연구네트워크, 교육훈련, 경력개발 지원 등 다양한 연수를 지원했다. 한편, ’23년도 말에는
출연(연) 연수직의 R&D 성장경로 지원의 공백으로 지적되었던 석사학위 취득자 연수를 위해
석사후연구원을 신설한 바 있다.
7) 출연(연) 정책 및 제도 개선
가) 국가임무 수행 기반 연구협력 활성화
지난 해 출연(연)의 연구기획 및 협동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기구로서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이하 ‘연전위’)의 출범을 계기로, 국가임무 수행을 위한 범출연(연) 연구협력을 기획하고 수행
체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연전위 출범 후 국가전략기술과 같은 출연(연)을 아우르는 공통임무 중심의 협력연구 방안을
도출하고자 출연(연)의 분야별 기술・정책 전문가가 참여하는 전문분과를 구성하였다. 연전위
전문분과는 출연(연) 연구자 중심의 교류・협력을 통하여 국가임무 기반으로 출연(연)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연구협력 체계를 기획하고 제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12대 국가전략기술을 기준으로 출연(연)의 공통임무를 설정하고 임무 달성을
위하여 분야별로 출연(연)의 역량결집 방안과 역할분담 체계를 정리한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출연(연) 공동목표・협력(안)’을 도출하였다. 단순히 협력안을 발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분야별
오픈포럼 개최를 통하여 관련 산・학・연・관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하였다.
향후에도 출연(연) 간 기관별 역량을 결집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구협력을 수행 지원
함으로써 출연(연)만이 할 수 있는 임무지향적 연구과제를 도출하고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해 나갈 예정이다.
∙43∙
나)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실현
정부 국정과제 80번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로 지역 주도 혁신성장 실현」 및 과기정통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중점 추진과제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
혁신 가속화」 설정에 따라 과기정통부와 연구회는 출연(연) 지역조직이 지역혁신의 구심점
역할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과기정통부와 연구회는 주기적으로 출연(연) 지역조직을 방문하여 연구자들과 소통을 강화
하고 지역조직의 주요 성과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또한,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R&D 혁신의 구심점 역할 강화를 위해 ‘출연(연) 지역조직협의체’ 중심의 지역 협력 연구사업
기획 연구를 지원(’22. 10.∼’23. 3.)하여 연구회 ‘창의형 융합연구사업’을 비롯한 지역 현안
해결 사업을 도출하였다. 이어, 상기 성과를 확대・확산하기 위해 지역조직협의체의 의견을
수렴한 운영방식 개편(’23. 11.)을 실시하였고, 기존 기획 연구 지원의 대상 수 및 연구기관을
확대하여 지속 추진(’23. 12.∼)하였다(총 연구비 220백만 원). 더불어 ’22년부터 구축한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연구허브 역할 수행 모델을 바탕으로 관련 신규사업을 정부에 제안(’23. 3.)해
출연(연) 지역조직 역할 강화를 지속 추진하였다.
또한, 연구회는 출연(연) 지역조직 관련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 등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조직 현장의 주요의견을 반영
하여 지역조직 설치・운영 절차 체계화를 위한 규정 개정을 실시(’23. 9.)하였고, 지역조직 관리
체계 효율화를 위한 「소관연구기관 사실상의 지역조직 정비계획(안)(’23. 9.)」을 수립하였다.
앞으로도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기여를 계속해서 독려하고 출연(연) 지역조직들이 지역
주도 지역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기반을 갖추도록 지원함으로써 출연(연) 지역조직의 효율화・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8) 출연(연) 기관평가
기관운영평가 계획에 따라 ’23.1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23.5월 한국
재료연구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및 ’23.9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를 대상으로 기관장 임기와 연계한 기관운영평가를 실시하였다.
특히 ’23년에는 기관운영평가 제도개선을 통해 평가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높이고자 노력
하였다. 기관별 평가위원 수를 기존 9명에서 12명으로 확대하고 평가위원 한 명이 담당하는
성과목표 수(평가 대상범위)를 줄임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평가의견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성과목표별 평가위원이 제시한 정성의견에 대해 평가단 전체가 함께
∙44∙
의견을 나누고 정성의견에 합당한 평가등급을 도출하는 절차를 새로 도입함으로써 평가결과가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공정하게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9) 출연(연) 연구행정업무 효율화
정부는 연구현장의 행정부담 경감 등을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고자 출연(연) 연구행정혁신을 추진해 왔다. 출연(연) 연구행정혁신을 위해 2017년부터 연구
행정혁신위원회(구. 총괄자문위원회), 분과운영위원회, 연구자협의체, 전문분과로 구성된 연구
행정혁신추진단을 운영해오고 있다. 2023년에는 수요자 중심의 연구행정혁신 추진체계 개편을
통한 현장 체감도 향상, 융합분과 신설 및 공통 애로사항 해결체계 고도화 중심으로 운영체계를
개편하여 4개 위원회 및 8개 전문분과(융합분과, 조직문화 별도), 총 91명 위원으로 구성하였다.
2023년 연구행정혁신추진단은 30여 회에 달하는 활동을 통해 과제를 발굴하고 세부 이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현안발굴을 위한 정기설문조사, 현장인터뷰, 상시의견수렴 채널 등을 통해 연구
현장의 실질적 의견을 수렴하여 현장에서의 효과와 체감도가 향상되도록 4개의 신규과제를
도출하였다. 기존 추진과제로는 출연(연) 법무자문, 법정교육, 출장제도 등 출연(연) 공통행정
기능을 연구회로 일원화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출연(연) 통합 연구행정 디지털전환 전략 수립을
통해 통합보안메일, 스마트연구 플랫폼(문서중앙화), 전자연구노트 등을 새롭게 추진 중이다.
연구행정 디지털 전환을 통해 출연(연) 연구행정업무를 선진화함으로써 연구몰입환경 조성 지원에
기여할 예정이다.
10)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기초원천 및 응용기술 개발 등을 통해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혁신성장을 선도
하는 것은 출연(연)의 사명 중 하나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제고와
출연(연)-중소・중견기업 간 상호 R&D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존 기술상담 중심의 ‘테크비즈파트너링’을 개편하여 출연(연)의 상용화 기술 체험부스 운영,
기후기술 공유 및 투자유치를 위한 컨퍼런스 개최 등을 추진하였으며, 이를 통해 출연(연) 간
원활한 기술교류 및 기술금융 연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출연(연)의 연구성과 확산에 기여
하였다.
또한 기후・자원・생태 R&BD 촉진을 위해 현대차 정몽구 재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출연(연)이 개발한 연구성과가 사회적으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협력체계를
마련하였다.
∙45∙
이러한 연구성과 확산 노력과 함께 과학기술인의 자긍심 고취 및 우수성과 창출을 독려
하고자 ’22년 창출된 본원 성과(장관상 대상) 및 지역조직 성과(이사장상 대상)를 대상으로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장관상 10점, 이사장상 5점)를 선정・시상하였다.
아울러 출연(연) TLO 및 연구인력의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해 전략형 TLO 교육(18명
수료) 및 사업화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창업 교육(21명 수료)을 기획・운영하는 등 출연(연)의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다.
11) 출연(연)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
모든 경계가 붕괴되고 융합하는 초융합화 시대에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복잡성도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실질적인 문제해결
성과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다. 최근 협력 중심의 연구생태계는 전통적인 지식 및 기술의 공공
이전(transfer) 방식에서 벗어나 지식의 공동생산(co-creation of knowledge)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다양한 부문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 연계시스템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전환, 거버넌스 개편 등이 함께 추진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하여 연구회는 소관 출연(연)을 중심으로 융합을 통한 더 큰
도전과 혁신에 퀀텀점프를 이룸으로써 대한민국이 당면하고 있는 국가・사회적 현안에 기여하고자
융합연구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표 2-8>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구분 융합연구단 창의형 선행융합연구 융합클러스터
개요
국가・사회 현안해결 및
신성장분야 핵심기술 개발
도전・창의적 연구 및
연구성과 고도화
연구 주제 및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선행 연구
출연(연) 및 산・학・연
연구자 간 교류의 장 지원
추진
현황
’14∼’23년 27개
’23년 12개 수행중
’14∼’23년 67개
’23년 30개 수행중
’17∼’23년 82개
’23년 32개 수행중
’14∼’23년 245개
’23년 76개 수행중
※ 수행중 과제 : ’23.1.1∼’23.12.31 기간 중 수행한 융합연구과제
연구회는 2023년도 기준 150여 개 융합연구 및 융합기획과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On-site,
책임평가위원, 무빙타겟, IP-R&D, 기관부담금 등 융합연구에 특화된 제도를 운영하여 출연(연)
융합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융합연구사업을 통해 약 2,900여 명(누적 32,000여
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산・학・연간 활발한 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형성뿐만
아니라 연구내용 공유, 성과확산 및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까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46∙
다. 향후 계획
1) 이사회・기관장 선임, 경영협의회 등 위원회 개최・운영
월 1회 이상의 이사회 개최를 원칙으로 격월 단위의 경영협의회 및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를
통해 소통과 공감 기반의 효율적인 출연(연) 운영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임기만료
예정인 이사회 임원 및 약 10여 명의 출연(연) 기관장 선임을 추진할 계획이다.
2) 고경력 지원・활용 활성화
연구회는 ‘고경력 과학기술인 경력경로 소프트랜딩 추진과제’의 순차적인 이행을 추진하는
한편 ‘은퇴 과학기술인 연계 플랫폼 설계방안’ 정책연구를 통해 고경력 과학기술인 지원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출연(연)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기술역량의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
우수연구원 정년연장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출연(연)의 R&D혁신 리더급 핵심인재
확보전략 및 국가전략기술 육성정책에 부합하는 인력운영을 위해 핵심인재 유치・활용을 위한
제도를 기획할 예정이다.
3) 안정적 연구환경 지원
연구회는 1998년부터 도입된 고용계약제(3년 단위 재계약)의 법적 정합성 여부 등 개선 필요
부분이 없는지 검토하여 고용불안감의 해소를 통해 연구환경 안정성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고용안정성의 보장과 함께 저성과자에 대한 관리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연구자의
개인역량 제고 및 성과관리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4)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연구회는 2024년에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의 지원규모를 143명, 예산을 90.6억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해외 네트워킹 지원 프로그램 기획・운영 등을 통한
연수지원 프로그램 고도화로 사업운영 효과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박사후연구원들의 R&D
경력개발과 연구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전문교육 및 연수성과 교류회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5)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활성화
출연(연) 공동기술마케팅 수행, TLO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등을 통해 출연(연)의
연구성과 확산 역량을 제고하고, 출연(연) 기술창업 교육 수료자 중 유망 기술 사업화 계획을
∙47∙
수립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창업 컨설팅 지원까지 연계함으로써 출연(연)의 공공기술 사업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출연(연) 사업화공동추진을 통해 바이오 분야의 대형성과 창출과 융합형 창업 기획을
주도하는 데에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6) 출연(연) 거버넌스 및 기능 조정
연구회는 연구기관 및 부설기관의 설치・운영・이관 등에 관하여 발생하는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특히 ’24. 1월 우주항공청 특별법 제정에 따라 연구회 소관연구기관인 한국
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의 소관부처가 우주항공청으로 변경 예정(’24. 5.)에 따라,
안정적인 이관을 위한 사전검토 및 관련 조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타 출연(연) 거버넌스
및 기능 조정 이슈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48∙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1.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가. 예산 배분・조정 체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과기
정통부에서 배분・조정한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예산요구서를 각 부처로부터
제출받아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배분・조정 내역을 마련하고, 과학기술자문회의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를 기획재정부에 알려야 한다. 기획재정부는 정부 재정규모 조정 등을 고려
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와 그 외 일반적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부 연구개발 예산안을 편성한다.
과기정통부의 심의를 거치는 주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5년 이상의 중장기 대형 국가
연구개발사업,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기초과학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시설・장비 구축
사업, 출연(연) 주요사업비 및 운영경비 등이 해당하며, 기획재정부가 심의하는 일반 국가연구
개발사업 예산은 인문사회 연구개발, 국공립 연구기관 운영경비, ODA 등을 포함한다.
나. 예산 배분・조정 절차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에 따라 관계 부처에서 차차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우선
순위에 대한 의견과 중기사업계획서를 과기정통부와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면, 과기정통부는
이를 검토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을 수립하고 관계
부처와 기획재정부에 알린다.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의 가이드라인이자 관계 부처에서 예산요구서 작성 시 기준이 된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산안 편성지침과 중앙관서별 지출한도에 따라 관계 부처가 예산요구서를
∙49∙
5월 31일까지 제출하면, 과기정통부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을 실시한다. 과기
정통부 배분・조정 시에는 기술 분야별 효율적・전문적인 예산 심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법 시행령 제9조에 따른 전문위원회의 사전검토를 거치며, 2023년에는 29개 부처・
청에서 제출한 2024년 예산안에 대해 7개 기술분야 133명의 전문위원들이 심층 검토하였다.
[그림 2-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50∙
2.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
가. 투자방향 개요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제5항에 따라 다음 연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 예산 배분・조정의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투자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투자방향 수립에 앞서 과기정통부는 부처별로 다음
연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를 제출받아,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부처 간
협의・조정 등을 거친다. 2024년 투자방향 수립 시에는 민간기업 CTO로 구성된 민간R&D
협의체, 과학기술 주요학회와 대학 연구자, 직할・출연연구기관 등 산・학・연의 다양한 연구개발
수행 주체로부터 폭넓게 의견을 수렴하였다. 아울러 관계부처 협의와 함께 대국민 온라인
공청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정책고객을 대상으로 소통을 강화하였다. 투자방향은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 후 관계부처에 통보된다.
나. 2024년도 투자방향 주요 내용
2024년 투자방향에서는 임무 중심의 전략적 투자와 적극적인 민・관 협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성장과 경제도약의 기반 확충을 위해 3대 분야 8대 중점투자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기술주권 확립과 미래성장기반 확충을 위해 ➊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12대 국가전략
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➋창의・도전적 기초연구 지속 지원과 과학기술 인재확보 방안 다각화,
➌미래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 주도를 위한 선제적 투자 등을 중점 추진한다.
다음으로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 대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➍전 산업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국가 생산성 혁신, ➎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미래기술 확보 및 신성장동력化,
➏기업 주도 국가 혁신성장을 위한 도전적 투자 등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을 통해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확충하고자, 지역의 산・학・연 연구거점
육성 등 지역의 자강적 혁신기반 조성과 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한 정부R&D 역할도 확대한다.
이와 더불어 예산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과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R&D 투자시스템
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먼저, 2050 탄소중립 달성과 12대 국가전략기술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임무중심 통합형
예산배분」을 추진한다. 탄소중립과 국가전략기술 분야는 범부처 전략로드맵과 연계하여 부처 간
칸막이를 넘어 통합적 관점에서 예산 배분・조정이 추진된다.
또한, 민간의 수요가 정부 연구개발투자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상시적 협력체계를 강화해
∙51∙
나가는 한편, 민・관 협력 사업을 예산에 우선 반영하는 등 민・관 협력투자도 강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림 2-6]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52∙
3. 2024년 R&D 예산편성 결과 및 중점 투자 분야
가. 주요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결과(’23.8월 기준)
과기정통부가 수행한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 국가R&D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을 통해 세계최고 수준의 혁신적R&D 집중투자와 대한민국을 이끌 미래세대 육성
강화 등 윤석열 정부의 국정철학에 부합하는 주요 연구개발사업(이하 ‘주요R&D’) 예산 21.5조
원이 반영되었다. 예산배분・조정 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 최고 수준을 지향하는 혁신R&D에 집중 투자한다. 보스턴 바이오협력 프로젝트
등 국내외 우수그룹 간 세계최고 연구, 글로벌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와 협력하는 글로벌
R&D지원을 확대하고, 젊고 유능한 연구자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외 선도연구 참여와 초기 실험실・인프라 조성 등을 파격 지원한다. 또한, 첨단바이오, 인공
지능, 사이버보안, 양자, 반도체, 이차전지, 우주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는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국가 임무수행을 위한 필수 R&D에 지속 투자한다. 국방 분야는 국가 안보에 직결되는 무기
체계 기술개발 고도화와 필수요소 기술의 적기 확보가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공R&D 분야는 재난・안전, 과학수사 등 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일선현장에서 꼭 필요한
기술에 중점 투자한다. 탄소중립 분야는 철강, 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의 저탄소전환과
직결된 기술확보, 수소기술 등 핵심 R&D를 중심으로 투자하고, 사업화 분야는 공공기술
사업화나 첨단기술 분야 초기창업 등을 중심으로 지원한다.
R&D 투자의 비효율을 개선한다. 기업 보조금 성격, 나눠주기식, 관행적 추진, 유사중복
사업 등은 이번에 강도 높게 구조조정하였으며, 재정집행점검을 통해 추가적인 구조조정도
계속한다. 또한, 단기 현안 대응을 위해 최근 몇 년간 예산이 급증한 분야는 임무 재설정 및
예산 재구조화를 통해 투자를 내실화하였다. 이를 통해 경쟁 없이 가져가는 R&D, 한 번 증가
하면 줄어들지 않는 경직적 예산 구조 등 예산 급증에 따라 나타난 비효율과 부작용들이 전반적
으로 조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 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최종 확정 결과(’23.12월 기준)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년 정부 연구개발예산(주요+일반) 편성 규모는 총 25.9조
원으로 국회 심의단계를 거쳐 26.5조 원 규모로 최종 확정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연구자들의 안정적 연구를 지원하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에 전년대비 1.7%
증가한 2.63조 원을 투자하고, 젊고 유능한 연구자 파격 지원에 전년 대비 54.6% 증가된
∙53∙
0.8조 원을 지원한다. 보스턴 바이오협력 프로젝트, Top-tier 연구기관 간 공동연구 등 국내외
선도그룹 간 세계 최고 연구 등 대형성과 창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R&D는 전년대비 258%
증가한 1.8조 원으로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다. 첨단바이오, AI, 반도체, 이차전지, 양자・우수
기술 등 국가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기술의 신속한 내재화, 초격차 유지 지원 등을 위한
국가전략기술에는 전년 대비 7.3% 증가한 5조 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그림 2-7] 2024년도 정부 연구개발 중점 투자분야
4. 정부 R&D 투자시스템 개선
과기정통부는 한정된 재원 여건 속에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심화, 수출부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에 대응해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정부
R&D 투자시스템을 개선하여 투자의 전략성과 효과성을 높여가고 있다.
먼저 민・관 협업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분야별 선도기업으로 구성된 민간R&D
협의체를 2023년에는 11개 분과 170여 개社 참여로 확대하였다. 민간R&D협의체 운영을
통해 발굴한 기술 수요는 관련 부처에 전달하여 신규사업으로 기획하고, 예산 심의 과정을 통해
반영하고 있다. 기술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가 R&D 투자의 전략성과 효과성 제고를 지원할
국가기술전략센터도 2022년 2개에서 2023년에는 탄소중립, 디지털전환, 국방, 양자 분야 등
4개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54∙
[그림 2-8] 민간R&D협의체 현황
연구개발 투자의 전략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기술・정책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수립
하여 예산 배분・조정에 연계하고 있다. 5년간(2023~2027) 연구개발 투자의 중장기 방향성을
담은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을 2023년 2월에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른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한다.
국가 차원의 문제해결이 필요한 분야의 전략적 투자를 위해 부처 간 칸막이 없는 범부처
통합형 R&D 예산 배분・조정을 시행한다. 2024년 예산 배분・조정 시에도 국가전략기술 등
통합적 목표 달성이 중요한 분야에 대해 연구의 혁신성, 정부지원 필요성, 재원배분의 전략성
등을 기준으로 부처 간 칸막이 없이 전체사업을 원점 검토하여 투자의 비효율성을 제거하였다.
∙55∙
제2절 국가연구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1.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연구개발 예타’)는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면서 국비 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실시한다. 연구개발 예타의 목적은 신규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통해 신규투자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조사한다. 기본적으로 예타를 신청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대상선정 단계로써 「과학기술
기본법」 제12조의3에 따라 기술성을 평가받으며, 평가결과 적합으로 판명된 사업에 대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예타 대상선정은 기술개발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구체성, 기존사업의 유사・중복성, 국고 지원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연구개발 예타 대상에 적합한
사업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대상선정 결과 적합으로 판정받은 사업은 7개월 내외의 본격적인
타당성조사를 실시한다. 타당성조사는 전문 조사기관이 수행하며, 조사 시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는 자문진이 구성되어,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수행한다. 조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사업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종합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 상정하게 되면 해당 사업의 예타는
마무리된다.
연구개발 예타는 SOC 등의 재정사업과 함께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하였으나, 「국가재정법」
제38조의3이 신설되면서 2018년 4월 17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업무가 위탁되었다.
업무위탁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 예타의 과학기술적 전문성을 높이고 연구개발
사업의 특성(비정형성, 결과의 불확실성, 효과의 잠재성 및 간접성 등)을 반영한 제도를 안착
시키는데 주력하였다. 2022년 9월 그동안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어 왔던 예타 기준
금액 상향, 경직적인 사업운영의 개선, 보다 빠른 사업추진의 필요성 등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졌고, 이를 반영하여 ‘유연성 확대’, ‘적시성 강화’ 등을 위한 7대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
하고 2023년 예타 추진 시 적용하였다. 또한, 도전・혁신적 사업 활성화, R&D 제도 혁신 등
내용을 담은 2023년 11월 R&D 혁신방안에 발맞춰 연구개발 예타 본연의 재정 효율성 기능을
제고하면서 효율적이고 혁신적 기술 발전을 촉진하도록 2023년 12월까지 재정당국 협의,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 공청회를 거쳐 2024년 1월 예타 제도개편안을 추가 마련하였다.
∙56∙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2022년 연구개발 예타 제도개선 사항 현장안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획재정부로부터 연구개발 예타 제도를 위탁받은 이후 여러 번의
제도개선을 통해 연구개발사업의 특성에 맞는 예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왔지만, 예타
접수 시부터 사업시행까지 장기간이 소요되거나, 예타 통과사업이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등 제도운영에 일부 아쉬움이 존재했다. 이에
2022년 9월 16일 7대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2023년 3월 관련 지침 개정을 거쳐 실
예타에 적용하여,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좀 더 유연하고, 적시에 대응할 수 있는 예타로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단계별 구성이 많은 중장기 사업(단계형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기획 시 구체화가
어려운 후속단계는 계획의 구체성 요건을 완화하였다. 이를 통해 후속단계 사업 구성이 예타
조사시점에 확정되기 어려운 도전적인 사업도 초기 계획이 합리적이라면 초기 단계 개시가
가능하도록 조사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기술이 지정된 사업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연구개발 예타 제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기술을 특정할 수 없는 사업(기술비지정형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조사지표를
마련하고 보완설명서를 2023년 3월 발간하였다.
또한 예타를 통과한 사업들도 기술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사업의 지속적인 질적 제고가
가능하도록 사업계획의 변경을 허용하였다. 사업 운영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계획변경이 논의될
수 있도록 예타 결과보고서에 정책제언으로 관련 내용을 제시하고, 임무중심형 사업들은 사업
시행 중이라도 사업계획 변경이 필요한 경우 특정평가를 통해 계획변경을 허용하는 절차를
2023년 6월 마련하였다. 2024년 후보사업을 선정하고 약 5개월간 특정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연구개발 예타 기준을 상향하고, 대형・중장기 사업은 사전평가를 강화하여 투자의 건전성을
제고한다. 적정규모의 사업은 예타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예타 기준 금액은 500억 원
에서 1,000억 원으로 상향을 추진한다. 현재 관련 조항을 담은 국가재정법 개정안이 국회 계류
중으로 국가재정법이 개정되면 연구개발 예타 관련 지침을 후속 개정할 예정이다. 그리고 투자의
건전성 확보를 위해 총사업비 1조 이상이면서, 사업기간이 6년 이상인 대형사업은 사전검토
기간을 2개월로 확대하고, 사전검토 결과 사업계획 등에 재검토의 필요성이 확인된 경우 예타
접수를 보류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2023년 동해가스전 활용 CCS실증, 지역특화산업육성3.0,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 3개 사업에 대해 전문가 사전검토를 추진하였다.
임무중심형 R&D 등 주요 정책 관련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예타 기간을 7개월에서 4.5개월로 단축하였다. 대상사업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57∙
총괄위원회 의결 등을 통해 시급한 조사의 필요성이 인정된 주요 정책 관련 사업으로, 총사업비
3,000억 원 이하이고, 사업기간이 5년 이하인 사업 중 내역사업이 3개 이하로 구성되고, 각
부처 R&D 총괄 부서에서 자체 타당성평가를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하였다. 2023년 국가전략
기술 사업인 이차전지, K-UAM 사업 2건에 대해 신속조사(Fast-Track)를 통해 4.5개월 이내
완료하였다.
2) 연구개발 예타 제도 추가 개편
정부 R&D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고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투자
하기 위해 정부는 2023년 8월 22일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 11월 27일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이에 발맞춰 예타 본연의 재정 효율화 기능을 강화함과
동시에, 혁신적 기술 발전을 촉진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예타 제도 개편방안을 수립하였다.
2023년 12월까지 재정당국, R&D 전문가, R&D 수행기관 및 관계부처 의견을 수렴하고 12월
12일 공청회를 개최하여 크게 3가지 안을 담은 「R&D 예타 제도 개편방안」을 2024년 1월
16일 최종 확정・발표하였다.
먼저, 재정 효율 제고라는 예타 제도 본연의 취지를 고려하여 예타 신청 부처가 자율과
책임하에 실천 가능성 있는 재원 조달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각 부처는 신규 가용재원 내에서
사업별 우선순위에 따라 예타를 신청하고, 예타가 통과한 경우 소관 부처별 지출한도 내 예산으로
편성하도록 하여 과도한 R&D 예산 증액을 방지한다.
아울러, 각 부처가 고유 임무로 수행하는 예타 규모 미만(500억 원 미만) 연구개발 사업들을
통합・재기획한 계속사업도 예타 대상으로 인정하여, 연구개발 사업 파편화로 발생한 사업관리
및 기획・평가 행정부담 등 비효율을 완화한다. 과거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타 전면 적용
(’08)과 대형・장기 계속사업 R&D 일몰제 도입(’15)으로 예타 규모 미만의 연구개발사업이 급증
하고, R&D 연속성 저하와 사업관리 및 기획・평가 등 행정부담이 늘어나는 부작용도 있었다.
앞으로는 각 부처 고유 임무에 부합하는 계속사업 편성을 허용하며, 개별 사업마다 수행해야
했던 예・결산, 후속 사업기획, 성과평가 행정 등을 하나의 사업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 과도한 예산 지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 통과 후 주기적으로 사업 규모 및 계속 지원 여부에
대해 적절성 점검을 실시한다. 적절성 점검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와 시기적으로 연계
하여 행정부담을 완화한다.
∙58∙
< 현행 > < 개선방향 >
비예타 규모 A사업
비예타 규모 B사업
비예타 규모 C사업
비예타 규모 D사업
※ 사업종료/재기획 지속
유사・중복, 행정소요↑
통합・
재기획
사업규모 조정분
사업규모 조정분
사업규모 조정분
부처 고유 임무형 계속
(A・B・C・D 기능 통합)
사업
↑(편성) ↑(5년 주기) ↑(5년 주기) ↑(5년)
예타 적절성 점검 적절성 점검 적절성 점검
(사업
부처)
[그림 2-9] 예타규모 미만 통합・재기획 계속사업 예타 허용 개선방향
또한, 도전・혁신형 R&D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예타 조사를 합리화한다. 도전・혁신형
사업이면서 사전에 구체적 산출물 특정이 어려운 사업(기술비지정사업)의 경우 통과/탈락보다
예타 조사 과정에서 기획의 보완,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여 기획 완성도를 높이는데 중점을
둔다. 그리고, 불확실성이 큰 R&D 특성을 감안하여 예타 조사진이 평가항목을 유연하게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조사원칙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기술변화에 시급하게 대응하기 위한 도전・
혁신적 R&D 사업에 대한 예타면제 근거도 명확화하여 예타면제를 적극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3) 교육 및 현장방문 등을 통해 효과적인 예타 제도 운영 도모
연구개발 예타 제도의 신속한 현장 안착,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부처의 효율적인 예타
준비 지원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부처 및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교육 및 현장방문을 수행하였다.
특히 연구자, 전문기관 등 연구개발 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역별・권역별로 연 상/하반기에
걸쳐 대면 교육을 총 5회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예타 진행 사업별로 수혜 및 지원 대상 시설, 지역 등 현장을 방문하여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관계 기업 간담회 등을 통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등
현장중심의 예타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리고, 예타를 통과한 사업도 현장방문을
추진하여 실제 운영에 필요한 세부 추진계획을 점검하고, 사업 추진 상의 어려움 등을 경청하는
등 사후 모니터링 활동도 강화하였다.
∙59∙
[그림 2-10] 연구개발 예타 현장방문・기업간담회 및 교육사진
다. 향후 계획
「R&D 예타 제도 개편방안」에 따라 2024년 3월 관련 규정 개정을 완료할 예정이며, 도전・
혁신형 사업의 발전적 예타 적용, 예타면제 적극 검토 등을 2024년 3월 1차 예타 사업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그리고 부처 고유임무형 계속사업의 통합・재기획 사업 접수는 2024년 7월부터
접수를 시작하여 2025년 예산안 마련과 연계하여 예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위탁
이후 두 번째 기재부의 위탁운영평가 결과가 2024년 5월에 확정 예정되어 있는 바, 평가 결과
및 제도개선 요구사항 등을 적극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예타 제도개편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2.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 개선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의 주무 부처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연구성과평가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와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과제평가에 대해서는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을 마련하여 관계부처가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 활동을 성과 중심으로 평가함으로써 연구
개발투자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21년부터
∙60∙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에 따라 평가에 대한 자율성과 평가결과
공개를 통한 책임성 강화, 국가 차원의 전략성 제고 및 일관된 평가체계 구축, R&D 성과가치
다양성 존중 및 경제・사회적 기여 제고, 정보의 활용・축적을 통한 데이터 기반 정성평가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표 2-9>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구분 내용 결과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평가
착수
단계
전략계획
(부처)
점검
(과기정통부)
예산 반영
및
제도개선
(과기정통부)
수행
단계
중간평가
(부처)
점검
(과기정통부)
특정평가 (혁신본부)
성과 관리
종료
직후
성과 관리・활용
계획 수립
(부처)
점검(과기정통부)
ㅇ
종료 후
5년
효과성 분석
(부처)
점검(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
과제
과제평가 표준지침 운영(과기정통부)
과제
운용・활용
(부처, 전문기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기관운영 및
연구사업 계획
(부처・연구회)
자체평가
(부처・연구
회)
상위평가
(과기정통부)
기관개선,
기관장연봉 반영
(부처, 연구회)
2022년에는 ‘제4차 성과평가 기본계획’에 따라 「연구성과평가법」을 16년 만에 전부 개정하여
제4차 기본계획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 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2023년에는
사업 자체평가에 상대평가를 도입하고, R&D 특성에 따른 맞춤형 평가제도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아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R&D 비효율을 개선과 혁신・
도전적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제도적 개선을 추진하였다.
∙61∙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사업평가의 실시
가) 중간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는 연구개발의 투자효율성 확보, 성과 창출 및 활용 제고를 위해
사업 중간 단계에서 실시하는 평가로 사업의 성과목표달성도와 성과우수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
이다. 2023년 중간평가는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 및 부처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으로 운영되었다. 부처는 2023년 중간평가 지침에 따라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사업 소관부처의 자체평가 과정, 근거 및 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총 2회에 걸쳐
점검(상위점검)하였다. 2023년도는 2022년도와 마찬가지로 상위점검 결과 ‘부적절’ 사업은
사업부처가 스스로 ‘재평가’를 통해 점수와 등급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체평가 관대화
최소화 및 변별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평가등급 체계(3단계, ‘우수’-‘보통’-‘미흡’)는 유지하되
부처 자율로 평가등급 배분 비율(‘우수’ 10~30% 이내, ‘미흡’ 10% 이상)을 설정하고 그 사유를
자체평가계획에 제시하여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2022 2023
등급
기준
[3단계]
등급 우수 보통 미흡
점수 85이상
85미만
~
70이상
70미만
※ 우수의 30%
이상
[3단계]
등급 우수 보통 미흡
점수 85이상
85미만
~
70이상
70미만
※ ‘우수’ 10~30% 이내, ‘미흡’ 10% 이상 부처 사업별 적정
등급비율 자율 설정
2023년 중간평가는 자체평가 계획에 근거한 부처의 평가 자율성 확대 및 책임성을 강화하고,
평가등급 비율의 자율 설정・배분을 통한 자체평가 변별력을 제고하여 차년도 예산 연계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환류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처 단위로 자체평가 계획의
준수 여부를 점검한 후 계획을 준수하지 않은 부처의 소관 사업을 상위점검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체평가 과정, 근거 및 결과의 적절성을 총 2회에 걸쳐 점검하였다. 그 결과, 각 회차별 적절성
점검 통과율은 1차 점검 16.5%, 2차 점검 90.1%로 1차 점검 대비 2차 점검 통과율이 큰 폭
으로 향상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평가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해당 년도에 종료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중간평가를
면제하였고 사업의 성과창출시기를 고려하여 3년을 주기로 평가하였다. 특히, 기초연구 사업
유형에 대해서는 사업 착수 4년차까지 평가를 미실시하도록 하여 기초연구사업에서의 성과창출
시기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62∙
2023년 R&D 중간평가는 19개 부처 총 174개 세부사업(’22년 예산 4조 8,355억 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 사업별 소관 부처가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에 대해, 부처 단위의 자체평가
계획의 준수 여부를 점검한 후 계획을 준수하지 않은 부처의 소관 사업을 대상으로 적절성 점검
(상위점검)을 실시하였다. 최근 3년간 연평균 투자액 30억 원 이하 소규모 사업 및 다부처 사업은
상위점검을 제외하되, 소규모 사업 중 ‘우수’ 등급 사업은 우수성과 관리・확산 및 유공 포상
사업 선정을 위해 상위점검 실시 대상에 포함하여 5개 부처 총 97개의 사업에 대해 1차 상위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16개 사업이 적절성을 인정받았다(16.5%). 부적절 사업으로
판정된 81개 사업은 해당 사업 소관 부처가 스스로 점수・등급을 조정하였고 재평가 결과에
대해 2차 상위점검을 실시하여 최종 점검 결과 총 97개 대상 사업 중 적절 사업은 89개로
우수 등급 25개(25.8%), 보통 등급 63개(64.9%), 미흡 등급 1개(1.0%)이며, 부적절 사업은
8개(8.3%)로 사업 소관 부처가 제출한 점수・등급을 불인정하였다.
특히, 각 사업별 소관 부처가 실시한 자체평가 결과 미흡 사업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실시한 상위점검에서 ‘부적절’ 판정을 받은 사업은 평가결과에 따라 예산 배분・조정 등에
연계함으로 2023년 R&D 중간평가에 대한 환류 및 활용의 효과성을 제고하였다. 또한, 평가
결과 ‘우수’ 사업의 연구자 및 연구지원(행정원)에게는 훈・포장 등을 포상하여 연구원의 사기
진작과 그간의 연구 활동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표 2-10>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자체평가 및 상위점검 결과
구분
대상
사업 수
(개)
최종 결과
적절(개, %)
부적절(개, %)
우수 보통 미흡
2023년
자체평가
97
29(29.9%) 67(69.1%) 1(1.0%) -
상위점검 25(25.8%) 63(64.9%) 1(1.0%) 8(8.3%)
나) 특정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평가 대상 사업을 직접 선정하여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를 정책・예산에 환류하는 평가이다. 2023년에는 인체 감염병(진단・백신・
치료제) 사업군과 핵심재정사업 성과관리를 위한 양자R&D(양자컴퓨팅) 특정평가를 수행하였고,
평가 목적에 맞는 전략적 평가를 위한 평가 트랙을 세분화하였다.
인체 감염병(진단・백신・치료제) 사업군 특정평가의 경우 정책 제언, 사업간 연계・조정에 대한
평가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양자R&D 특정평가의 경우 사업 성과의 조기 달성을 위해 필요한
지원사항 위주로 평가 의견을 제시하며 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개선적 평가를 시범적으로
수행했다.
∙63∙
한편, 평가 트랙 세분화의 경우 국가전략기술이나 혁신・도전형 R&D 등 국가연구개발 사업
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평가 체계 마련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
으로, 2024년 연중 이를 구체화한 가이드라인을 공개할 예정이다.
2023년 하반기는 현안 이슈 등을 고려하여 다부처 사업군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재 평가가 진행 중이고, 반도체 분야와 원자력 분야에서 핵심재정사업 성과관리를 위한 특정
평가를 수행할 예정으로 현재 착수 준비 중이다.
다) 전략계획서 점검
사업 전략계획서 점검은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에 따라
사업 부처가 수립한 ‘성과목표・지표’를 ‘전략계획서’로 대체하여 추진되었다. 「연구성과평가법」
제6조(사업 전략계획의 수립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사업 전략계획의 제출) 및 제4조(사업
전략계획의 점검)에 근거하여 각 사업부처가 사업 추진 시 사업개요, 전략목표, 성과목표・지표,
평가계획을 담은 전략계획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업
기획-전략목표-성과목표-성과지표 간의 연계성을 점검한다. ‘전략계획서’는 기존 성과지표의
목표치 달성 여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성과평가를 개편하여 성과목표 달성도 중심으로 사업
기획의도에 따라 사업을 수행했는지 정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신규 도입되었다.
각 부처는 전략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전략계획서를 작성・제출하고 과학기술정보
통신부가 사업개요, 성과목표・지표, 평가계획 등 적절성 여부를 점검한다.
금년 전략계획서는 2023년도 신규사업(194개), 2024년도 중간평가 대상사업(40개) 및 부처
수요사업(26개) 등 24개 부처 총 260개 사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점검을 실시하였다.
특히, 전략계획서 점검 효율화를 위해 점검항목의 간소화(12→7개)를 추진하여 사업별 ‘사업
개요(2)’, ‘성과목표(2)’, ‘성과지표(2)’, ‘평가계획(1)’ 등 4개 항목에 따라 점검을 실시하되, 1차
점검 시 총 6개 사업이 점검 기준을 충족하여 ‘완료(적절)’로 점검을 종료한 바 있고, 미완료 사업
전체를 대상으로 2차 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63개 사업을 ‘완료(적절)’로 점검을 추진하였다.
2차 점검 결과 미완료 사업 총 191개를 대상으로 3차 점검을 실시하여 2023년도 전략계획서
점검 대상 사업 모두 ‘완료(적절)’로 점검을 종료하였다. 향후 사업 소관부처는 최종 점검 완료된
전략계획서를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평가를 실시하게 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하는
적절성 점검 시 기초 자료로도 활용된다.
2) 기관평가의 실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는 출연연구기관의 발전과 역할・책임(R&R) 수행을
∙64∙
효율적으로 지원・유도할 수 있도록 기관 특성을 반영해 연구 부문 및 기관운영 부문을 각각
평가하는 체계이다. 출연연구기관이 중장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2019년 기관평가 제도
개선을 통해 종합평가에서 연구사업평가와 기관운영평가를 분리하고, 기관별 특성을 반영해
연구사업에 대한 평가 주기를 차별화(3년 → 3・5・6년)하였다. 2021년에 기관장 임기 동안의
연구 및 연구지원부문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던 임무중심형 종합평가 체계가 종료되며
2022년부터 이원화된 평가 체계가 본격적으로 적용되었다.
2023년도 기관평가는 피평가기관의 평가부담 완화 및 비효율 해소, 계획서 수립 및 평가의
전문성 강화를 목적으로 제도 개편이 추진되었다. 우선 부설기관 등 소규모 기관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정원 및 예산이 하위 25% 이내 연구기관(’23년 기준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항목 및 방법을 간소화하였다. 기관운영 부문에서는 현안대응영역의 3개 세부평가항목 중
기관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평가항목을 선별해 주요 성과만 평가하도록 하였고, 기관장
기여 우수성과는 1개 대표성과만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구사업 부문에서는 연구
결과의 영향력 평가를 면제하여 관계부처・연구회 및 연구기관의 호응을 얻었다.
또한 평가의 자율성과 책임성 제고를 위해 상위평가에서 출연연구기관 단위로 이루어지던
자체평가 결과의 적절성 평가(35점 배점/총 100점)를 폐지하고, 자체평가의 절차・체계의 적절성
및 기관발전방향 제시의 충실성 중심으로 점검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세계 유수의 해외 석학・
전문가 평가 참여 유도를 위해 상위평가 가점 항목(+5점)으로 ‘평가의 글로벌 다양성’을 신설
하여, ’23년도에 원안위 소관의 원자력안전통제기술원 자체평가에 최초로 해외 석학이 참여하여
상위평가에서 가점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출연연구기관의 기관의 고유 임무 및 역할과 책임(R&R)에 따른 기관운영계획서 수립
지원을 위해 기관운영계획 상위점검을 신설하였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분과별 상위점검단이
소관 기관의 특성을 고려해 자체점검의 적절성 및 기관발전방안 제시의 충실성을 중심으로 2주
동안 점검・컨설팅을 수행한다. 2023년도에는 3개 부처, 총 14개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상위
점검이 이루어졌다.
2023년도 기관평가는 총 기관운영부문 17개 기관, 연구사업 부문 1개 기관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2023년부터 2024년 5월까지 기관장 교체 예정인 17개 기관이 기관운영평가를
기관장 임기 만료 시기가 비슷한 기관별로 묶어 연 3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1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의 2개 기관, 연구회 소관의 1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의 1개 기관, 연구회 소관의 2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3차 평가는
과기정통부 소관의 2개 기관, 방사청 소관 1개 기관, 연구회 소관 8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그리고 연구사업 평가 주기가 도래한 원안위 소관의 1개 기관을 대상으로 9월∼’24년
1월까지 연구사업평가를 실시하였다.
∙65∙
2023년도 기관평가 결과, 매우우수 1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우수 8개(국가보안기술연구소,
극지연구소, 울산과학기술원, 한국재료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연구사업)), 보통 9개(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국가
수리과학연구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철도
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관이 평가 등급을 받아,
자체평가 및 상위평가를 거쳐 그 결과가 최종 확정되었다. 평가 결과는 국과가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보고하고,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한다.
3)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년마다 수립되는 성과평가 기본계획에 따라, 국가연구개발 사업평가
및 기관평가 등에 대한 세부 실시사항을 담아 매년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23년도에는
사업평가에 상대평가 도입, 기관평가에 평가위원 전문성 강화, 과제평가 표준지침 개정 계획
등을 담아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을 수립하였다.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사업
평가에 상대평가를 도입하고, 전략계획서 점검과정을 성과지표 중심으로 효율화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2024년도부터 소관 부처가 수행하는 사업 자체평가에 상대평가를 도입하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부처가 자율적으로 성과 부진사업을 자체 조정하고 우수사업을 확대토록 유도
할 예정이다. 또한 전략계획서 점검항목을 성과목표와 성과지표 등 실제 평가에 중점적으로
활용되는 점검항목 중심으로 효율화하였다. 특정평가의 경우는 실패 가능성이 큰 전략적・도전적
R&D에 대한 맞춤형 평가 트랙 등 도입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두 번째로, 기관평가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기관평가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키로
하였다. 상위평가 항목의 경우 기관평가 평가위원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자체평가위원 전문성
제고 활동의 충실성’을 포함하도록 개편한다. 실적 허위 기재 등 평가 부적절 행위 기관에
대해서는 평가 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기관 평가에 대한 평가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바탕으로 2024년에는 11개 기관에 대한 기관운영평가와 8개 기관에
대한 연구사업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세 번째로, 과제평가 제도 운영 및 평가기반 관리・운영을 지속한다. 그간 연구현장에서 제기된
제도 개선 필요 사항을 반영하여 과제평가 표준지침을 개정하고, 변경된 개정 사항에 대한 현장
이해도 제고를 위해 전문기관 대상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성과평가정보시스템
(PEIS)을 통해 전주기 평가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66∙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에 따라 개편된 평가제도를
바탕으로 사업평가와 기관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업평가의 경우 부처별 자체평가 단계에서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해 상대평가가 이루어질 예정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위 점검을
통해 자체평가의 적절성을 점검할 예정이다. 기관평가는 올해부터 상위평가 시 자체평가위원
전문성 제고 활동의 충실성을 함께 평가할 예정이며, 개정된 표준지침의 현장 이해도 제고 및
활용촉진을 위해 전문기관 대상으로 설명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 창출을 촉진하고, 성과평가 결과의 환류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평가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부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과학・기술・경제・사회적 성과의 효과적인
관리・활용을 위한 지원 체계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방향, 성과정보
활용체계에 관한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며, 연구성과의 체계적
관리와 효율적 활용을 지원하는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을 지정・운영하는 한편, 연구
성과 실용화 촉진이라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철학을 구현하기 위해 분산된 연구개발성과의
통합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범부처 통합성과활용플랫폼’ 구축 계획을 마련하였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여 연구개발 효과가 우수한 성과를 홍보함으로 국민의 연구성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있으며,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구
성과를 관리・활용하도록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의 수행을 관리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정부 연구개발사업 과제 기획・평가 및 성과관리 측면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에 대한 실태 조사・분석을 실시하여 관련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연구자의
연구의욕 고취와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해 기술료 제도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2023년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4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2021~2025)’(이하 ‘제4차 기본
계획’)을 이행하기 위하여 매년 범부처 성과관리・활용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023년에는
∙67∙
①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연구성과 관리체계 마련, ②연구개발성과 활용을 위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 ③수요자 중심 성과관리・활용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혁신의 세 가지로 주요
추진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제4차 기본계획의 3대 전략-10대 과제 달성을 위해 37개 세부
과제에 대해 15개 부・처・청의 추진계획을 종합하여 ‘2023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을
마련하였다.
2)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성과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 제고를 위하여 논문, 특허, 보고서
원문, 연구시설・장비 등 10개 연구성과에 대해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이하 ‘전담
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전담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하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하여 전담기관을 4개 분과로 그룹화하여 실적 및 계획을 점검하였으며, 모든 기관이
지정요건을 충족하고 실적・계획 보고 의무를 이행하여 지정을 유지하였다. 점검을 통해 도출한
개선요구사항 대응과 연구성과 관리・활용 제고 방안 논의를 위해 전담기관 실무협의회를 운영
하였으며 연구성과 수요・관리・공급자 간의 소통 강화와 효율적인 수집・관리・활용방안을 논의
하고자 전담기관-연구관리전문기관 협의회를 운영하였다. 협의회를 통해 발굴한 의견은 국가
연구개발 성과관리・활용 토대 마련을 위한 제도 개선에 반영할 예정이다.
<표 2-11>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연구개발성과 전담기관 관리대상(등록・기탁 기준)
논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내외 학술단체에서 발간하는 학술(대회)지에 수록된 학술논문(전자원문을 포함
한다)
보고서원문 연구개발 연차보고서, 단계보고서 및 최종보고서의 원문
특허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특허정보
연구시설・
장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하여 취득한 3천만 원 이상(부가가치세 및 부대비용을 포함
한다)의 연구시설・장비 또는 공동활용이 가능한 모든 연구시설・장비
기술요약정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연차보고・단계보고・최종보고가 완료된 연구개발성과의 요약 기술정보
신품종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자원 중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농업용 신품종 및 관련 정보
소프트웨어
한국저작권위원회
창작된 소프트웨어 및 등록에 필요한 관련 정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생
명
자
원
*
생명
정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KOBIC)
서열・발현정보 등 유전체정보, 서열・구조・상호작용 등 단백체정보, 유전자(DNA)
칩・단백질칩 등 발현체정보 및 그 밖의 생명정보
생물
자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미생물자원,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수정란 등 동물자원,
식물세포・종자 등 식물자원, DNA, RNA, 플라스미드 등 유전체자원 및 그 밖의
생물자원
∙68∙
* 생명자원의 관리・유통 전담기관은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자원법’)」 제11조에 따라
범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가 지정되어 있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 하되, 생명자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생명자원법
제8조에 의해 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지정한 기탁등록보존기관에 생명자원의 정보와 실물을 등록・기탁 가능
3) 범부처 통합성과활용 플랫폼 구축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74-2(질적 성장 중심의 R&D 전략성 제고)의
일환으로 축적된 연구성과의 활용을 지원하는 ‘국가연구개발 통합성과활용플랫폼’ 구축을 추진
하고 있다.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은 성과 전담기관과 IRIS의 부처・기관별 연구성과 관련 정보를 연계・통합
하여 하나의 사이트에서 성과정보를 검색・활용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서 기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의 구축에 대한 청사진으로서 2023년
6월 ‘국가연구개발 통합성과활용플랫폼 추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 중심의 통합 DB를 구축한다. 그간 부처・기관별로 분산되어 관리되던 연구 성과
정보를 핵심 활용정보 중심으로 연계하여 통합 DB를 구축한다. 둘째, 통합성과 검색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합 DB를 바탕으로 One-Stop 통합 검색 및 분석서비스를 제공하여, 하나의
사이트에서 필요한 성과정보를 한 번에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셋째, 성과 연계 활용・
확산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구개발 성과가치를 높이는 성과활용・확산 생태계 구축하기
위해, R&D 수요자-공급자 매칭 서비스, R&D 후속과제 및 연계정보 전달, 기업 대상 관련
분야 연구자 추천 서비스 등 제공을 추진한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연구자, 기업 등 현장의 의견을 추가적으로 수렴하여 서비스를 구체화
하는 한편, 통합성과활용플랫폼의 기초설계, DB 구축 등에 착수할 계획이다.
4) 우수성과 100선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연구개발성과 전담기관 관리대상(등록・기탁 기준)
화합물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
합성 또는 천연물에서 추출한 유기화합물 및 관련 정보
표준
한국표준협회
「국가표준기본법」제3조에 명시된 국제표준(ISO, IEC, ITU), 국가표준(측정, 참조,
성문)으로 채택(등록, 고시)된 공식 표준정보(소관 기술위원회를 포함한 공식 국제
표준화기구가 공인한 단체・사실표준화기구에서 채택한 표준정보를 포함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측정표준서비스그룹
∙69∙
선정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정부지원을 받아 수행한 약 7만5천여 연구개발과제(2021년 기준)
중 각 부・처・청으로부터 추천받은 854건의 후보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우수성과 선정위원회에서 연구개발 효과 및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선정위원회는 총괄위원회 및 6대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산・학・연 전문가 총 100명의
평가위원이 기술 수준 향상 효과, 경제 활성화 효과 등의 세부기준에 따라 우수성을 심층 평가
하였다. 최종 후보로 선정된 성과는 정밀검증과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최종 100선으로 선정
되었다.
<표 2-12> 2023년도 우수성과 100선 분야별 최우수성과
분야 성과명 연구자 소속기관
기계・
소재
한국형발사체(누리호) 개발 성공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불 타지 않는 전고체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기술 개발 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
생명・
해양
초소형유전자가위기술 개발 및 기술수출 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알츠하이머병 가속병인인자 혈액 ASM의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체신약 개발 배재성 경북대학교
에너지・
환경
탄소중립 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 핵심기술 국산화 조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무급유 다단 원심 압축 기술 자기베어링을 적용한 대용량 다단계 원심식 냉매
압축 기술
이남수 LG 전자
정보・
전자
2차원반도체와 양자점을 이용한 고해상도 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 안종현 연세대학교
주석 기반 3차원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p형 트랜지스터 세계 최초 보고 노용영 포항공과대학교
융합
초고감도 카이랄 분자 측정기술 개발 이승우 고려대학교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당뇨 진단 및 당뇨 합병증 치료 시스템 한세광 포항공과대학교
순수기초・
인프라
구리 산화의 작동원리 규명 및 녹슬지 않는 초평탄 구리박막성장기술 개발 정세영 부산대학교
폐암환자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성 예측 이세훈 삼성서울병원
연구성과에 대한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선정 과정에서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성과 온라인투표’ 절차를 운영하였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은 전자책
으로 제작하여 다수의 인터넷 서점에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였으며, 최우수성과에
대해서는 TV 방송프로그램 편성을 추진하고 별도의 홍보동영상을 제작하여 전국 약 8,000곳
에서 공공 전광판 홍보와 YouTube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를 진행하였다.
5)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관리활용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 및 효과성 분석 상위점검을
실시하고 제도 시행 2년 차를 맞아 연구개발 현장의 의견을 토대로 제도를 개선하였다.
성과 관리・활용 계획 수립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한 다음 해에 실시하며 국가연구개발
∙70∙
사업의 추진결과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확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제도이다.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활용 계획 수립은 2022년도에 종료된 17개
부처, 114개 세부사업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이 중 12개 부처, 23개 세부사업에 대해 과학기술
정보통신부가 상위점검을 실시했다. 효과성 분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종료한 후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5년 이내에 실시하며 사업 종료 시 수립한 계획에 따라 성과관리・활용 활동을 수행한
결과와 이에 따라 나타난 파급효과 등을 분석하는 제도이다.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효과성
분석은 2018년도에 종료된 6개 부처, 16개 세부사업에 대해 수행되었고, 이 중 3개 부처, 3개
세부사업에 대해 상위점검을 실시하였다.
두 제도가 수행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세부 지침에 따라
성과관리・활용 계획을 수립하거나 효과성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 후 이를 부처 자체적으로 점검
하여 그 결과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한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출된 결과 중
일부에 대해 적절성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상위점검을 수행한다. 이때 상위점검 대상 사업은
국가 예산 투입 규모, 사업 기간 등 다양한 정보와 부처 간 협의 및 전문가 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부처별 30% 내외로 선정되었다.
제도 시행과정에서 「연구성과평가법」의 취지에 따라 계획과 효과성 분석을 통한 성과 향상에
중점을 두고, 부처 자체점검 책임성 강화 및 점검절차 효율화를 위해 자체점검 위원회를 의무화
하고 상위점검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자체・상위점검을 통해 성과관리・활용 계획과 효과성
분석 보고서에 대한 컨설팅 관점의 의견을 제시하고, 자체점검결과를 부처 계획 및 보고서에
반영하여 제출하도록 하여 점검결과의 환류 기능을 강화하였다. 이렇게 수행된 점검 결과는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성과관리・활용의 촉진이라는 제도 취지를 강조하기 위해 ‘우수’, ‘보통’
두 가지로 결과를 분류했다. 본 제도에서는 점검 결과를 종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
하는 부・처・청이 연구성과 관리・활용의 함의를 확인하고 정책방향 및 사업추진에 환류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제도 시행과정에서 발견한 함의와 다양한 사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 제고를
위해 관련 제도개선 및 계획 수립 등에 반영할 예정이다.
6) 연구관리 전문기관 지정・운영에 대한 실태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부터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23조(전문기관 지정・운영에 관한
실태조사 등)에 근거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중앙행정기관 및 주요 연구관리 전문
기관을 대상으로 전문기관 지정・운영에 대한 실태조사・분석(이하 ‘전문기관 실태조사’)을
실시하고 있다. 중앙행정기관별 전문기관 지정・운영 현황, 전문기관별 사업관리 현황 및 효율성,
기획과 성과관리 효율성, 수혜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 등의 조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71∙
2022년부터는 기관평가 목적의 고객 만족도 조사와 별개로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제공하는
연구관리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와 혁신적・도전적 R&D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대대적인 혁신이 논의되고 있으며, 2023년 전문기관 실태조사에서는
전문기관의 전문성・공정성・투명성 등 실태조사를 위해 ①PD, PM 등 연구사업관리 전문가
현황, ②기획 사업별 수요조사 현황, ③중간 진도 컨설팅 현황 등의 항목들을 새롭게 조사
항목으로 추가하였다.
<표 2-13> 2023년 전문기관 실태조사 대상 기관 현황
구분 기관명 담당부처
관리사업 수
(개)
관리과제 수
(개)
관리 예산
(백만 원)
혁신법 시행령 제49조
제1항의 12개 기관 및
부설기관 1개
한국연구재단 과기부 188 35,056 6,627,766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과기부 99 1,343 1,371,22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산자부 125 3,605 2,811,520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기부 45 13,123 1,599,773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부 103 529 618,58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복지부 66 3,057 696,982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해수부 94 360 482,164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식품부 23 501 224,075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청 40 363 301,910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기상청 9 114 25,764
한국콘텐츠진흥원 문체부 12 123 122,334
한국원자력안전재단 원안위 6 147 57,963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청 13 187 54,606
과기자문회의 추가
확정 기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산자부 83 747 1,037,231
사업단위 연구관리
업무 위탁기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과기부 4 593 159,269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과기부 11 294 138,616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자부 62 1,501 1,356,859
7) 기술료 제도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 강화를
위해 기술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72∙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연구개발성과
창출
기술이전・사업화 기술료 징수
연구개발 재투자 및
연구원 보상
[그림 2-11] 기술개발의 선순환 구조
2023년에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21.1.) 이후 변화된 기술료 제도의 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연구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여 제도를 개선하였다. 우선 연구자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기술이전 활성화를 촉진하고자 연구자 보상 강화 등 기술료 사용기준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39조제3항의 신설을 추진하여
기존에는 연구개발성과의 직접실시에 의해 수익의 일부를 납부 시 매출액 관련 자료 제출・확인
등이 필요했으나, 개정안에서는 기업의 행정적 불편을 해소하고자 납부 상한을 납부하는 경우에
관련 자료 제출 의무를 면제하였다. 향후 제도개선안에 맞게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등 관련 법령의
개정을 추진하고, 기술료 제도 매뉴얼 등에 반영할 예정이며, 연구현장에 개선된 제도가 조속히
안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사항을 안내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촉진 및 연구개발 선순환 체계 강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현장과 소통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등 발전적으로 제도를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73∙
제3장 질적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제1절 국가전략기술 발굴・육성
1. 개요
가. 기술패권 경쟁 주요국 동향
치열해진 미・중 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Global Value Chain) 이슈로 인한 정치・경제・
산업 지형의 변화는 새로운 질서로의 재편이 본격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국익을 최우선으로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앞다투어 국가전략을 구체화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다. 국가 간 견제와 동맹을 기반으로 한 치열한 경쟁의 이면에는 첨단기술,
전략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내재되어 있으며, 주요국의 핵심정책이 기술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음이 그 방증으로 그 추진 속도가 이례적으로 공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초당적 협력하에 「반도체와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제정하여 반도체 등
10개 핵심기술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로 하였고, 중국 역시 인공지능, 양자, 유전자 바이오
등을 포함한 7대 과학기술과 8대 산업을 선정하고 집중 육성을 통해 핵심 원천기술 자립화를
이루겠다는 전략을 천명하였다. 일본은 기시다 내각 출범 이후 「경제안보법」을 제정하고 경제
안보상을 신설하는 등 분주히 움직이고 있으며, 20개 특정 주요 기술을 조사・분석하는 등 연구
지원을 시작하였다. EU는 수소, 반도체, 클라우드・엣지기술 등 6대 신산업 육성계획 발표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나.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의 본격화
우리도 예외일 수 없다. 먹거리 산업의 대부분이 기술에 의존하고 있으며, 세계 산업 질서
재편의 한 가운데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미래를 위해 사활을 걸어야 할 분야에 자원을
집중해서 국가 차원의 통합적 기술육성과 보호 전략을 마련하고 차질없이 실행으로 옮겨야 할
∙74∙
때인 것이다. 이에 정부는 민관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범정부 전략인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수립(’22.10.28, 전원회의)하였고, 작년에 「국가전략기술 선정(안)」을 심의・의결하여 12대 국가
전략기술을 최종 확정(’23.12.20, 전원회의)하였다.
[그림 2-12] 12대 국가 전략기술
정부는 2024년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을 통해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액을 ’23년(4.7조
원)보다 6.3% 증가한 5조 원으로 확대하였으며, 특히 이차전지(19.7%↑), 반도체(5.5%↑)
분야에서 주력 산업경쟁력 유지는 물론 전고체배터리, AI반도체 등 미래 판도를 바꿀 차세대
원천기술 개발 투자를 강화하였다. 기술주권 확립을 목표로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집중 투자가 본격화된 것이다.
∙75∙
[그림 2-13] 국가전략기술 중점 분야별 ’24년 예산 배분・조정 결과
2.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임무중심 로드맵’ 수립
가. 로드맵 수립
국가전략기술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범부처 전략기술 연구개발 정책의 명확한 우선순위 설정
및 전략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전략로드맵’ 수립을 국정과제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 전략
로드맵은 그간의 다다익선식 기술확보 전략과 달리, 기술패권 경쟁시대 기술주권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핵심기술을 식별하고자 하였다. 즉, 경제안보 관점 분석에 기초하여 중점기술 단위에서
2030년까지 꼭 달성해야 할 가시적 임무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임무 달성을 위한 길목기술을
식별하는 하향식(Top-Down)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전략로드맵은 ‘국가 최상위 기술전략’으로, 산・학・연 전문가 및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전략기술 특위 산하 기술별 조정위원회와 국가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과학기술혁신
본부가 함께 기존 부처별 전략을 국가임무 관점에서 정밀 분석하여 국가적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정량목표를 제시하였다. 임무 달성・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중점 투자
방향과 함께 인재양성・국제협력・제도개선 등 전략기술 생태계 조성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정부는
제시된 임무・목표의 달성을 위해 로드맵을 연구개발 정책・투자・평가 전 과정의 나침반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로드맵은 총 3차례에 걸쳐서 수립되었다. 우선, 지난 8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 기술패권 경쟁 3개 분야 로드맵을 1차 발표하였으며, 10월에는 대표적인 신흥・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첨단바이오 분야의 국가 연구개발 임무・전략 2차 수립이 완료되었다.
∙76∙
<표 2-14>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 방향
중점기술 단위
경쟁력 분석
국가임무 설정 기술개발 타깃 도출 임무달성 전략 구체화
30년 기준
구체적 목표
임무달성 및 기술・안보적
우선순위 고려
R&D 투자 마일스톤 +
국제협력 ・ 인재확보 ・ 제도개선
나. 분야별 로드맵 주요 내용
「이차전지」의 경우, 미국・유럽연합(EU)의 규제 강화에 대비한 친환경성 강화를 포함한 안정적
공급망 확보와 동시에, 중국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에 대응하는 성능・가격 경쟁력 고도화가
시급하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 기술강국 수성’을 목표로 △리튬이온전지 셀・소재, △차세대
이차전지, △이차전지 모듈・시스템, △재사용・재활용 등 4개 중점기술별 세부 목표를 제시했다.
「반도체」는 초미세 공정의 기술난이도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국제 공급망 속 반도체 강국의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선 초거대 인공지능 본격화에 대비하여 막대한 전력소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전력・고효율화가 핵심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메모리 1위 수성 + AI반도체
신격차 확보’를 목표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전력반도체, △고성능 센서 △소재・부품・장비 등 6개 중점기술 중심의 로드맵을 수립
하였다.
「디스플레이」는 LCD 등 저가형 제품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추격이 우리 주력 제품인
OLED까지 확산되고 있는 상황으로, 우리 경쟁력 유지를 위한 성능 초격차화가 시급하다. 특히
폴더블・AR/VR 등 융복합 제품의 대중화 단계 진입과, 스마트 헬멧・메타버스 훈련 등 높은
미래국방 활용성을 고려할 때 차세대 시장 주도권 선점은 우리 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
이다. 이에 ‘디스플레이 세계 경쟁력 1위 탈환’을 목표로 △무기발광, △유연・신축(프리폼),
△소재・부품・장비 등 3가지 중점기술에 주목하였다.
우리 기업의 소프트웨어 중심 전환(SDV) 선언, 미국 연방항공청의 도심항공교통 감항인증
취득 등 기술개발 경쟁 가속화와 함께, 인플레이션 감축법,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규제 중심의
경제안보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인 「첨단 모빌리티」는 ‘수용성・안정성・친환경성 구현’을
목표로 △자율주행시스템 △도심항공교통 △전기・수소차 등 3가지 중점기술 중심으로 분석이
수행되었다.
∙77∙
「인공지능」은 Chat-GPT, LLaMA 등 초거대 인공지능이 보편화되고 있으나, 모델 학습 과정에
소모되는 데이터・자원 규모가 크게 증가하면서 ‘규모의 경제’에 따른 빅테크 기업 편중도 강화
되고 있다. 이에 기존 양적 경쟁 판도를 뒤집을 차세대 기술 선점과 ‘인공지능 핵심기술 및
산업활용 기반 확보’를 목표로 △효율적 학습 및 인공지능(AI) 인프라 고도화, △첨단 모델링・
의사결정, △산업활용・혁신AI, △안전・신뢰AI 등 4개 중점기술별 임무를 구체화했다.
「첨단 바이오」 분야는 디지털・바이오의 융합으로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이 제조・산업 등 밸류
체인 고도화 및 난제해결형・개인맞춤형 연구로 확장됨에 따라, 우리 산업에도 새로운 추격의
기회가 도래할 전망이다. 이에 ‘디지털・바이오 융합 선제 대응, 바이오제조 강국 도약’을 목표로
△합성생물학, △유전자・세포치료 △감염병 백신・치료 △디지털 헬스데이터 분석・활용 등 4개
중점기술 중심의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로드맵 내 임무・목표는 정부 연구개발 투자・평가 등의 주요 기준으로 활용될 계획
이며, 특히 인공지능・첨단바이오는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만큼 2030년을 기준시점으로 설정
된 목표를 기술・산업 동향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검토・조정해나갈 계획이다.
∙78∙
3.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추진
국가임무 달성을 위한 범부처 민・관 합동 대형 연구개발 사업인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도
본 궤도에 올랐다. 동 프로젝트의 핵심 골자는 국가전략기술 분야 R&D 사업 중 정부의 집중
지원이 필요한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범부처 민관 합동 대형 전략
기술 연구개발 프로젝트’로서 임무목표 기반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지향하고자 한다.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에 따라 총 10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할 계획으로 추진된 동 프로젝트는,
R&D 부처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후보 제안서를 취합하여 혁신본부 및 전문가(전략기술 12대
분야별 기술조정위원회) 검토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에서 최종
프로젝트를 확정하는 절차로 진행되었다.
2022년 10월 △양자 기술,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2개 프로젝트 선정 이후, 2023년 4월
△달탐사2단계(달착륙선개발)사업, △차세대네트워크(6G)산업기술개발사업, △K-UAM안전운용
체계핵심기술개발, △친환경모빌리티고성능차세대이차전지개발사업 등 4개 사업을 포함하여
총 6개의 프로젝트를 선정 완료하였다. 이 중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인 양자 분야를 제외한
5개 사업은 2023~2024년부터 본 사업에 착수하는 등 강력한 추진 의지를 발휘하고 있다.
[그림 2-14]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6개 사업 (2022-2023년 확정 기준)
2023년 하반기에는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중 프로젝트 미선정 6개 분야(첨단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수소, 첨단로봇・제조, 사이버보안)에 대하여 7개 부처에서 총
22건의 프로젝트 제안서를 접수하여 후보 사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4개 사업을 추가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2024년 상반기에 10개 프로젝트 확정을 앞두고 있다. 선정된 프로젝트는
예비타당성 조사 및 예산 반영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프로젝트별 성과 달성을
위해 정부와 사업 부처가 함께 추진실적을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79∙
4. 국가전략기술 육성 특별법 시행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3년 3월 21일에 「국가
전략기술육성특별법」을 제정하였고, 9월 22일에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동 특별법은 과학기술이
국제질서의 중심에 놓이는 기정학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의 기술주권 확립이 시급하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법률의 주요 내용으로는 국가적으로 중요성이 큰 국가전략기술을 선정,
연구개발, 사업화, 인력양성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전주기 차원에서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5조 제3항과 제8조 제1항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의 최상위 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통해 범부처 차원의 주요 정책사항을 결정하며, 제10조에 따라
국가전략기술 관련 체계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이를 전담하는 ‘국가전략기술 정책센터’를
지정한다. 또한, 제11조 제1항에 따라 명확한 목표를 기반으로 임무중심형 국가전략기술 연구
개발사업을 지정하며, 신속한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특례를 부여한다는 내용이
제12조에 제시되어 있다.
<표 2-15>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 특례(제12조)
구분 주요 내용
신속한 연구과제 선정 공모 외의 방법으로 국가연구개발 과제와 기관 선정 가능
우수과제 추가지원 최종평가가 우수한 전략연구과제에 대한 추가 후속연구 지원
연구비 부담완화 연구개발 출연금 지원 기준 및 현금 부담 비율을 달리 적용
기술료 부담완화 전략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기술료 납부액 전부 혹은 일부 감면
이 외에도 국가전략기술의 우수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국가전략기술 관련 특화교육기관을
지정 및 육성하는 내용과 해외 우수인력 유치를 위한 시책 추진도 동 특별법의 제25조와
제26조에 언급되어 있다. 국가전략기술은 법 취지에 따라 국방 및 안보 관련 협력이 중요하고,
필요시 국제협력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요 정보에 대한 보호 조치를 강화할 필요도
있으므로, 제27조에 따라 국가전략기술 연구과제 중 일부는 보안과제로 분류하여 정보보호
조치를 강화한다. 또한, 제29조에 따라 국제 공동연구 등의 전략적인 국제협력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80∙
5. 전략기술특별위원회 구성・운영
전략기술 특위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 관련하여 산・학・연 최고 전문가들이 범부처 주요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의 민・관합동 특별위원회로
2023년 4월 출범하였다. 동 위원회는 범부처 국가전략기술 주요 정책을 심의・조정하고, 전략
기술 연구개발 관련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으로서,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에 따라 집중
육성할 국가전략기술 분야를 선정・관리하고, 범부처 차원의 국가전략기술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분야별 국가 차원의 임무 및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임무
달성을 위한 기술육성・투자 전략 “임무중심 전략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범부처 “국가전략
기술 과제(프로젝트)” 선정 등 주요 정책을 의결하며 △그 외 핵심 인재양성, 국제협력, 산학연
협력 등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확충에 관한 사항을 심의・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국가전략기술 육성정책 수립 시 관계 부처 뿐 아니라 기술분야별 산・학・연 전문가와의
긴밀한 소통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략기술 핵심 분야 관련 대표기업의 현장 전문가를
포함해 기술, 정책, 외교・안보 분야의 민간 전문가 14인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여 외교・안보 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경제부처와 함께 국방부, 외교부,
국가정보원 등 안보 주요기관을 포함하여 정부위원 9명(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포함) 등
총 23인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기술 분야별
전략기획・조정
의사결정기구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기술별 조정위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수소
우주항공
해양
. ... 이차전지 양자
첨단
바이오
기술 분야별 출연(연) 등 유관기관 협업체계 구축
[그림 2-15]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및 기술별 조정위 운영체계
전략기술 특위 산하에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전략기획 체계를 갖추기 위해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술별 조정위를 구성하였다. 기술별 조정위는 △전략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수립, 국가 과제(프로젝트) 후보 검토・평가 및 주요 사업 발굴 등을 민간 중심으로 주도하며,
△유관 분야 출연연구기관 및 향후 특별법에 따라 지정될 정책지원기관 등과 협업하여 전략
기술별 국가적 대응 방안을 도출하여 정부 정책으로 연계하여 추진 중이다.
∙81∙
<표 2-16> 2023년도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개최 현황
구분 (일자) 의결 안건
제1회 (’23.4.)
➊호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운영계획(안)
➋호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후보 선정(안) 심의・확정
제2회 (’23.6.) ➊호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기술별 조정위원회 위원 선임(안)
제3회 (’23.8.)
➊호 국가전략기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안)
- 이차전지, 반도체・디스플레이, 첨단 모빌리티
➋호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안)
제4회 (’23.10.) ➊호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상 국가전략기술 선정(안)
6. 전략기술 연구현장과의 소통 강화
정부는 전략기술 분야별로 연구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해당 분야의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추진하였다. 원자력 분야의 전문가 간담회는 원자력연구원 내에
소형모듈원자로(SMR) 종합효과 시험장치 등 차세대 원자력 관련 연구시설을 살펴보며 연구자와
소통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정부 출범 1주년을 계기로 마련된 첨단바이오 현장 간담회는
우리나라 생명공학 협력단지(바이오클러스터)인 홍릉강소특구를 방문하여 기술핵심 관계자들과
우리나라의 첨단바이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또한, 전략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임무와 기술개발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토론회(포럼)도 이차전지, 수소, 첨단바이오 분야의 순차로 개최되었다. 과학기술이 우리나라의
생존과 직결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전략기술 분야별로 최고의 전문가들이 함께 전략
기술 육성・확보 방향을 논의하는 장을 통해서 연구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한 것이다.
논의된 내용을 통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기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국가의 역량이 집중해야 할 분야를 신속히 식별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82∙
7. 기대효과
과학기술이 외교・안보 등 국제질서까지 뒤흔드는 현시점에, 국가전략기술 육성을 통한
글로벌 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은 우리에게 필수적인 과업이다. 기존의 추격자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초격차 전략기술확보’를 목표로 기술패권 경쟁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 공급망・통상, 국가안보, 신산업 등 통합적 관점에서
기술주권 확보를 최종 종착지로 하여 글로벌 리더십의 변화, 공급망 이슈 등에 흔들림 없는
과학기술 주도국으로서의 입지가 공고해질 것을 기대한다.
∙83∙
제2절 연구환경 조성 및 성과활용기반 강화
1. 자율적 연구환경 조성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에 따라 매년 이해관계인과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의 개선안을 마련한다. 혁신법 제28조에 따라
누구든지 연구제도의 개선을 제안할 수 있으며, 동법 제29조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년 3월 31일까지 관계부처에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안 마련에 관한 기본지침을 통보
하고(제1항), 개선의견이 있는 관계부처는 기본지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당해 4월
30일까지 의견을 제출해야 한다(제2항). 과기정통부는 부처 의견 등을 반영하여 다음 연도 국가
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안을 수립하고 8월 31일까지 관계부처에 통보하며(제3항), 관계부처는
통보받은 개선안의 내용을 다음 연도 소관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에 반영하는 체계이다.
[그림 2-16]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혁신법 제29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 체계에 따라 올해 3월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 기본지침(안)」(이하 ‘기본지침’)을 마련하여 연구개발 제도개선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관계부처와 연구현장의 제도개선 의견을 수렴하였다. 특히, 제도개선 전
과정에서 민간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로 제도개선위원회(15인)를 구성하여
2023년 1월 출범하였으며, 온라인 소통창구(www.iris.go.kr) 및 주제별・주체별・권역별 간담회를
통해 연구현장의 제도개선 의견 342건(온라인 156건 및 간담회 186건)을 접수했다. 접수한
의견 중 제도관련성, 명료성 및 시급성 등을 고려하여 선별된 66개 의견을 민간전문가인 제도
개선위원회가 현장시각에서의 중요성과 시의성을 검토하여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안)」(이하 ‘제도개선(안)’)을 마련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10월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제도개선(안)을 관계부처에 통보하였다.
∙84∙
그리고 2023년 12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가 구성됨에 따라 제6회 회의에서 제도
개선(안)을 보고하고, 제도개선(안)에 대한 후속 조치로 혁신법 시행령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기준(고시)의 일부를 개정하여 공포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제도개선 기본방향의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도개선 전 과정에서 민간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도록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제도개선위원회를 운영하고 주제별(도전혁신, 국제협력, 사회문제해결, 연구
보안 등), 주체별(대기업, 중소・중견기업 등), 권역별(서울,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문가 간담회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현장의 현안과 관련된 추가 개선 의제를 발굴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자율기반의 선도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연구
성과를 보호하는 R&D제도 기반 강화’라는 목표 아래 ①연구몰입 지원 강화 및 연구자 권익
보호 ②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기반 강화 ③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촉진 ④핵심 연구자산 유출방지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등 총 4개의 추진 방향을
수립하고 총 12개 구체적인 세부 과제를 도출하였다.
<표 2-17> 2023년도 제도개선 기본지침 방향
목표 자율기반의 선도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연구성과를 보호하는 R&D 제도기반 강화
추진방향
연구몰입 지원 강화 및 연구자 권익 보호
혁신법과 다른 부처규정 지속정비 및 혁신법 현장교육 확산
종이문서 보관관행 혁파 등 연구자 행정부담 경감
간접비 산출방식 개선 등을 통한 연구지원 모색
학생연구자, 박사 후 연구자 등 신진연구자 지원 안정화
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기반
강화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유연성 제고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제도 지원을 통한 국제협력 활성화
도전혁신형 연구개발 지원 및 사회문제해결형 연구 애로사항 해소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촉진
양자 등 초기 기초연구에 대한 대기업 참여유인 제고
정부납부기술료 제도, 정산금 유예근거 등 기업 및 연구분야 특성
반영 제도개선
창업 초기기업, 중소기업에 대한 안정적 연구환경 지원
핵심 연구자산 유출방지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기술패권시대에 대응하여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이해상충방지방안 등 선진사례 분석을 통한 제도 보완
‘연구몰입 지원 강화 및 연구자 권익 보호’를 위해 혁신법의 규정과 다른 관계부처의 R&D
규정에 대한 정비 지속, 현장교육 확산, 간접비 산출방식 개선, 신진연구자 지원 안정화, 종이
문서 보관관행 혁파 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85∙
‘선도적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유연성
제고, 국제협력 활성화, 도전혁신 및 사회문제해결 연구개발 지원과 애로사항 해소 등의 제도
개선 방향을 검토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제고를 위한 기업 참여 촉진’을 위해서는 기초연구에 대한 대기업
참여유인 제고, 기업과 연구분야 특성을 반영한 정부납부기술료 및 정산금 유예근거 마련, 창업
초기기업 및 중소기업에 대한 안정적 지원 등의 제도개선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핵심 연구자산 유출방지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를 위해서는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이해
상충방지방안 등 선진사례 분석 등을 통해 제도 보완을 위한 제도개선 방향을 마련하였다.
2) 온라인 현장 제도개선 의견수렴
2023년 4월에서 5월까지 관계부처 제도개선 의견을 접수함과 동시에 연구현장 제도개선
의견을 온라인 소통창구(IRIS)를 통해 수렴하여, 총 156건(연구자 86건, 연구지원인력 65건,
관계부처 5건)의 개선 의견을 접수하였다.
IRIS를 통한 온라인 현장 제도개선 의견수렴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자 및 연구지원인력 모두
‘연구개발비 지급 및 관리’에 대한 제도개선 의견이 각 60% 이상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그 외
연구자의 경우에는 통합과제관리 시스템 및 평가 관련 의견이 약 10% 내외로 많았으며, 연구
지원 인력의 경우에는 과제 협약 및 변경과 시스템 관련 제도개선 의견이 높았다.
구 분 전체 %
연
구
자
연구개발비 지급 및 관리 55 63.95
사전검토 및 선정평가 8 9.30
연구개발성과 보고 및 평가 1 1.16
과제 협약・변경・해약 1 1.16
기획・공고・신청 5 5.81
제재처분 기준 1 1.16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 1 1.16
제정취지, 적용범위, 다른 법률과의 관계 0 0
기술료 징수 및 사용 2 2.33
적용시점 및 경과조치 0 0
연구개발성과의 귀속 및 활용촉진 1 1.16
연구개발정보의 수집・생산・관리 0 0
연구지원기준 및 연구지원체계평가 0 0
통합과제관리 시스템 10 11.63
연구비통합관리 시스템 1 1.16
연구노트 작성・관리 0 0
연구윤리 확보 0 0
총 합계 86 100
[23년 제도개선 의견 연구자의 분야별 제안 건수]
구 분 전체 %
연
구
지
원
인
력
연구개발비 지급 및 관리 39 60.00
과제 협약・변경・해약 4 6.15
적용시점 및 경과조치 0 0
통합과제관리 시스템 8 12.31
연구개발과제 수의 제한 0 0
연구지원기준 및 연구지원체계평가 0 0
사전검토 및 선정평가 1 1.54
기술료 징수 및 사용 1 1.54
연구개발성과 보고 및 평가 0 0
연구개발성과의 귀속 및 활용촉진 0 0
연구비통합관리 시스템 4 6.15
제정취지, 적용범위, 다른 법률과의 관계 3 4.62
기획・공고・신청 1 1.54
연구개발정보의 수집・생산・관리 0 0
제재처분 절차 0 0
연구노트 작성관리 2 3.08
기타 2 3.08
총 합계 65 100
[23년 제도개선 의견 연구지원인력의 분야별 제안 건수]
[그림 2-17] 2023년 온라인 연구현장 의견수렴 분야별 건수
∙86∙
온라인으로 접수된 제도개선 의견은 과제 협약 및 변경, 연구개발비 사용 및 관리, 관련 시스템
사용에 집중하여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23년도 제도개선안 마련
온라인 소통창구를 통해 접수된 의견은 일차적으로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제도개선
위원회에 의해 연구현장에서의 중요성・시의성을 기준으로 검토・분류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거쳐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
(안)」을 마련하였다.
[그림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개선의견 수렴 등 개선 운영 체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혁신・도전의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이라는 목표 아래 ①
효율적 연구환경 조성 ②개방형 연구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③연구자산 보호 강화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④연구현장 부담 완화 및 연구성과 활용 제고 등 총 4개의 부문에서 총 14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효율적인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부처・전문기관별 자체규정에 대해 혁신법 정합성을
검토하는 일괄 점검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혁신법 현장교육 확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종이 없는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증명자료의 보관 의무를 면제하고
출력을 요구할 수 없도록 규정을 강화하였다. 학생 인건비의 경우 실지급 향상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학생인건비 확약시 10% 단위로 계상률 설정을 확약하도록 하고 최저 지급 금액인
균등 지급 금액을 보장함으로써 기관단위의 내실화를 가질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간접비가
연구지원에 사용되지 않고 잉여재원이 과다하다는 지적에 따라 실소요 간접비를 정교하게 산출
하기 위한 새로운 분류기준을 마련하는 등 간접비 관리체계를 개선하였다.
∙87∙
<표 2-18>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안)
기본방향 R&D 시스템을 혁신・도전의 선도형 R&D 시스템으로의 전환
세부
추진과제
효율적 연구환경 조성
혁신법 정착을 위한 부처별 규정 정비 지속 및 현장교육 확산
종이없는 연구환경을 위한 증명자료 보관 면제 명확화
학생인건비 제도 내실화 및 효율성 제고
간접비 관리체계 개선
개방형 연구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제도 마련
국제공동연구 수행 영리기관의 연구비 부담 기준 개선
국제공동연구 동시수행 과제 수 적용 기준 완화
연구자산 보호 강화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
국외 수혜정보 관리체계 구축
보안과제 분류 기준 구체화 및 인센티브 확대
연구보안 현장 가이드라인 및 해외사례집 마련
연구현장 부담 완화 및 연구성과 활용
제고
연구개발기관의 파견비 사용 인정범위 확대
지식재산권 포기 시 부처 승인 제도 폐지
환경변화에 대응한 특별평가 활용 지원
연구성과 부분공개 제도 신설
개방형 연구촉진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혁신법상 인정되지 않은 해외기관을
혁신법상 인정할 수 있는 근거 마련과 함께 글로벌 R&D 과제 수행 및 관리를 위한 매뉴얼
마련 계획을 수립하였다. 영리기관의 경우에는 국제공동연구비를 계상할 경우 해외기관에 지급
하는 연구개발비도 기관부담금 산정 기준에 포함되어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줄여주기 위해
기관부담금 산정 시 국제공동개발비를 제외한 연구개발비에 대해서만 매칭비율을 적용하도록
규정 개정을 추진하였다. 또한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연구비가 매칭되는 국제공동연구에
한해서는 연구개발과제 동시수행 수 제한에서 예외를 두도록 허용하였다.
연구자산 보호 강화를 위한 연구보안 체계화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시 연구자의
이해상충 방지 등을 위해 국외 수혜정보 신고제도 도입 및 운영을 신설하였다. 보안과제 분류
기준이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분류가 어렵다는 점에서 보안과제 분류 기준을 추가하였으며 보안
수당 대상 확대와 함께 연구지원체계평가 시 연구보안 관련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강화
하였다. 또한 연구기관이 연구보안 규정을 제정하거나 해외로부터 연구 제의 등 특이사항이
있을 때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제작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현장의 부담 완화 및 연구성과 활용 제고를 위해 부처의 승인을 전제로 국가연구개발
사업 과제에서 연구개발기관의 파견비 사용 인정범위를 확대하였다. 매년 수백 건의 포기 특허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개별 특허에 대한 포기 시 승인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승인 의무를 폐지하고
지식재산권 관리에 관한 기관 자체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유연한
과제 관리를 위해 도입된 특별평가가 그 취지와 달리 부정행위 등으로 인한 제재처분의 사전
절차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
∙88∙
개정을 통해 제도 취지에 맞는 다양한 활용을 유도하기 위한 개선을 추진하였다. 연구성과
공개와 관련하여 보안과제 등 비공개가 필요한 경우 최종보고서 및 성과정보 전체를 비공개
하는 경우가 많아 우수 연구성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비공개가 필요한 부분 외에는 성과
공개를 하도록 하는 연구성과 일부 비공개 제도를 신설하였다.
다. 향후 계획
혁신법 취지와 다르게 운영되는 일부 규정 때문에 혁신법으로 인한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연구현장의 의견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어 관계부처, 출연연, 전문기관의 R&D 관련 규정에
대한 정비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과기정통부는 부처, 전문기관, 출연연 자체 규정을 검토하여
혁신법과의 정합성을 갖추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각 소관 기관과 함께 협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비 및 점검할 예정이다.
혁신법에 따른 연구개발제도개선은 연구자 중심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매년 지속적으로 연구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기반으로 추진될 것이며, 이해관계자・전문가 검토 및 의견수렴 등
합리적인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체계 확립을 통해 발전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2. 연구데이터 및 정보시스템 고도화
가. 개요
새로운 지식・가치 창출의 원천으로서 연구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로 산출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하여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근거 법령인 「국가연구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 마련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의 제19조(연구개발정보의 처리)
및 제20조(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따라 연구자 중심 연구환경 구현과 연구행정 개선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각 부처・기관별로 별도 운영 중인 과제관리시스템
(59개)을 표준화된 연구관리 규정에 적용하여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이하 ‘IRIS’)으로
단일화해 2022년 1월 개통하여 본격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2023년에는 과학기술자문회의
「창의와 도전,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정부 R&D 제도혁신 방안(8월), 윤석열 정부 R&D 혁신방안
(11월)」의 후속 조치로 데이터 기반의 통합 관리체계(IRIS 2.0)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89∙
<표 2-19> 범부처 통합 연구지원시스템(IRIS) 개념 및 유형
◈ 정부 R&D과제의 수행 과정 및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①과제지원시스템, ②연구자정보시스템, ③연구비관리
시스템 연계로 구분(Integrated R&D Information System)
❶ (과제지원시스템) 전문기관 및 연구기관에서 정부 R&D 과제의 전주기 업무(기획-선정-협약-평가-성과관리 등)를 지원
(기존 20개) ⇨ ’22.1월 통합・개통
❷ (연구자정보시스템) 연구재단, NTIS, 전문기관 등에서 정부 R&D에 참여하는 연구자 및 연구이력, 평가위원, 연구개발기관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정보시스템(기존 22개) ⇨ ’20.12월 통합・개통
❸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관리전문기관 및 연구기관에서 정부 R&D 연구비의 지급, 집행, 정산 지원(기존 17개) ⇨ ’19.9월
개통 / 단일포탈 내 2개 시스템(Ezbaro, RCMS)
<표 2-20> IRIS 2.0 주요 기능
추진 과제 내 용
➊ 투명성 강화 연구비 일정규모, 일정횟수 이상인 기업 등의 과제 및 연구비 내역 공개
➋ 우수연구자 빅데이터・AI로 연구자 업적 정보 등 분석, 탁월한 연구자 선별
➌ 전문성 제고 국내・외 평가위원 Pool을 공동 활용, 평가 전문성 제고
➍ 비리 척결 유사・중복연구, 특정인 연구 독식 등 부적절 실태 방지
➎ 검증 강화 연구실적, 연구비 집행, 연구자 자격 등의 투명성 제고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국가연구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 마련 및 입법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현장의 상황과 요구에 부합하는 법률안 제정을 위해 연구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국가연구
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마련한 후 입법예고(9.27~11.6) 하였다.
2) IRIS 적용기관 확대 및 안전성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RIS 개통(2022년 1월) 당시 기준인 5개 전문기관에서 2023년 29개
전문기관으로 적용 범위를 대폭 확대 운영하였으며, ISMS-P(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 인증획득을 통해 법적 준거성을 마련하였다.
∙90∙
<표 2-21> 2022년 대비 2023년 IRIS 적용 확대 실적
구분 ’22년 ’23년
적용기관 수 연구재단, 산기평 등 5개 기관 농진청 등 29개 기관(당초 목표 19개)
신규과제 적용률 15.4% 70.9%(10월 기준)
접수과제 수 4,998개 41,017개
등록 연구자 수 399,280명 707,806명
등록 평가위원 23,713명 33,372명
3) IRIS 이용자 의견수렴 및 주요 기능의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부처(전문기관) 협의체(통합추진단), 대응 전담조직, 전문기관
및 연구자 간담회・설명회 등을 2023년 실시(총 115회)하여 의견수렴 결과 총 348건 중 250건
반영하였고 그 외 98건은 반영 예정으로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구현을 위해 다각적인 방법으로
소통하고 있다.
<표 2-22> 2023년 IRIS 주요 기능의 개선
기능명 요구사항 개선내용
IRIS 운영 권한
전문기관 이양
연구현장 민원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연구관리 효율성을 위해
일부 IRIS 운영 권한을 각 전문
기관으로 위임
구분 위임사항
공고
협약서, 계획서 작성 과정의
기관대표자 서명관리
과제수행
협약서, 계획서 작성 과정의
기관대표자 서명관리
평가관리
평가계획 수립과정에 단순변경 등
유연성 확보를 위한 세부계획 변경권한
성과관리
전문기관 내부 MIS 연동 과정의
전산오류처리가 가능하도록 위임
※ 관련 규정 및 시스템 영향도 분석결과에 따라 순차적 확대 예정
평가위원 활용범위 확대를
위한 전문가 추출기능
분야별 전문가 위촉 필요 시 평가
위원 풀 활용 필요
기획위원회 등 사용용도에 따라 기술분류, 전문분야, 산학연
등 추천 조건을 통해 조회 및 활용 가능하도록 개선
IRIS 챗봇 서비스
단순/반복적 문의까지 콜센터
에서 대응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필요한 문의 대응에 어려워
연구자 불만 증대
혁신법 매뉴얼, FAQ, 콜센터 누적 문의 등을 종합하여 학습형
챗봇 서비스 제공
다. 향후 계획
1) 연구데이터 관리・활용 체계 확립
「국가연구데이터 관리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기반하여 연구데이터의 생산과 관리를
개별 연구자에게 일임하던 기존의 관리체계를 연구개발기관이 주도적으로 수집・관리 할 수
∙91∙
있도록 개편하고, 국가연구개발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검색・활용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 체계를 확립해 나갈 예정이다.
2) IRIS 2.0 전환 등 R&D혁신방안 후속조치 지원
2024년에는 정부R&D 과제관리(기획・집행・평가)를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고, AI・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과제 선정의 신뢰성, 연구비 집행의 투명성, 평가의 전문성 제고
(R&D 제도혁신)를 추진할 계획이다.
3. 연구시설 및 장비 관리 체계 고도화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본법」제28조와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제42조에 따라
효율적인 국가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시설・장비의 확충・고도화 및 관리・활용에 관한 시책을
세우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2023년은 2022년 수립한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2027)」의 단계적
이행을 위해 각 세부과제별 정책연구 수행, 이행방안을 마련하고, 국가연구시설장비 운영・활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국가연구시설장비 정책수립
정부는 연구시설・장비 투자 및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연구시설・장비의 활용 활성화를 위해
국가연구시설장비에 관한 고도화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 1, 2차 고도화계획의 성과,
대내외 환경 분석 및 다양한 현장의견을 종합하여 현장 중심의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3대
전략 및 10대 추진과제를 도출하여 2022년에는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
2027)」을 발표하였다.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10대 추진과제별로 연차별 세부추진
과제를 구분하고, 2023년에 선행연구가 필요한 12개 세부추진과제를 선별하여 정책방향, 제도
개선(안) 및 신규사업 추진기반 마련 등 기반연구를 실시하였다.
∙92∙
이를 통해 2024년부터 운영할 수 있는 ‘전문운영인력 인턴과정’, ‘재직자 대상 재교육’, ‘대형
연구인프라 사전기획강화지원’ 사업 3건, ‘대형연구시설 활용종료제도’, ‘연구시설・장비 관리・
활용・처분계획 수립’ 제도 2건을 신설하였다. ‘연구현장 구축수요 조사・수집’과 ‘심의단계별
정보공유’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였고, 2024년에 후속연구를 위한 기반조사 및 정책연구
5건을 실시하였다. 정책, 제도 및 사업의 신설에 따라 표준지침을 개정하는 등 이행근거를
마련하였다.
사업 제도 표준지침 정책 연구
과제명 주요 연구결과
❶ 수요조사
정책
연구자 및 연구기관 대상 구축수요 조사체계 및 결과활용방안(안) 도출
ZEUS 수요조사 기능개발(안) 기획
❷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
부처별 대형연구인프라 구축・운영 중장기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초안 마련
중장기계획에 반영된 연구인프라의 투자연계방안 제안
❸ 사전기획강화
사업 지침
대형연구인프라 구축사업의 사전기획강화를 위한 사업기획(안) 기획
기획지원 단계별 제출 양식(안) 및 사업홍보기획(안) 제안
❹ 심의항목연계
정책
총사업비(STEP)-도입심의(RED) 정보공유체계 마련
예타-총사업비-도입심의 단계적 심의항목 연계방안 제안(ZEUS개선 포함)
❺ 은퇴제 도입
제도 지침
대형연구시설 활용종료체계 마련 및 표준지침 근거 반영
처분위원회 구성・운영(안) 개발
❻ 기관관리계획
제도 지침
연구시설・장비 관리 및 활용・처분계획 수립방안 마련 및 표준지침 근거 반영
우수 공동활용 연구시설(실험실) 인증제도(안) 제안
❼ 재활용촉진
연구
재활용촉진을 위한 유관 법・규정 검토 및 제도적 개선사항 발굴
❽ 지역거점지정
연구
12대 전략기술분야별 연구시설 역량・수준 조사・분석
연구시설 거점 지정 및 네트워크 구축방안 제안
❾ 전문인력관리
연구 지침
전담운영인력의 직무구분, 역할 및 NCS 기반 직무기술서(공통) 개발
전담운영인력 역량강화계획 마련에 관한 표준지침 근거 반영
❿ 인력양성(인턴)
사업
신규 인력의 인턴과정 프로그램 개발 및 사업기획(안) 기획
● 인력양성(재교육)
사업
핵심연구지원센터 전문운영인력 재직자 대상 방문맞춤교육 추진
● ZEUS 개선
연구
ZEUS 전면 개편 정보화 전략(ISMP) 수립을 위한
차세대 ZEUS 주요 목표도출 및 재구축 이행계획 수립
[그림 2-19]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3~’27) ’23년 추진실적
∙93∙
2) 국가연구시설장비 통합 실태조사 실시
정부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제42조 제1항 및 제42조의2 제3항에 따라 연구시설・
장비 전주기 단계별 관리체계 현황 및 시설장비의 활용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정책・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부처합동으로 국가연구시설장비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는 대학 및 공공기관 등 총 467개 비영리연구기관을 대상으로 3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조사시스템을 통해 표준지침의 이행실태(연구시설・장비 관리체계 조사, 활용・처분실적 조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리체계 미흡(4개 기관), 활용실적 저조(9개 기관), 미활용 장비 다수
보유(6개 기관) 기관에 대해서는 현장 방문을 통해 실태를 점검하고 컨설팅도 실시하였다.
2023년 실태조사에서는 부처 간담회 및 실태조사 사전설명회를 개최하여 관계 부처 의견을
수렴하고 대상기관의 조사 이해도를 증진하였으며, 현장조사 대상 기관에는 표준지침 이행
개선 필요사항을 공식적으로 안내하여 관리체계 개선 및 장비 상태점검을 유도하였다.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화면 2023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보고서
[그림 2-20] 국가연구시설장비 실태조사 온라인 조사 시스템 및 보고서
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원 강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는 국가연구개발(R&D) 재원으로 도입하였거나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활용된 연구시설・장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연구과제 기간 동안 연구시설・장비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미리 적립해 두고 연구과제가 종료된 후 유지・보수, 임차・사용대차, 이전・
설치비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올해는 대학교 2개 기관을 신규로 선정하여,
2023년 12월 현재 총 73개 기관이 제도 시행기관으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94∙
<표 2-23>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지정기관
연번 기관명 연번 기관명 연번 기관명
1 가천대학교 26 상지대학교 51 제주대학교
2 강원대학교 27 서강대학교 52 중소조선연구원
3 건국대학교 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53 창원대학교
4 경남대학교 29 서울대학교 54 충남대학교
5 경북대학교 30 서울시립대학교 55 포항공과대학교
6 경상국립대학교 31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5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경성대학교 32 성균관대학교 5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8 경희대학교 33 세종대학교 5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9 계명대학교 34 수원대학교 59 한국과학기술원
10 고려대학교 35 숙명여자대학교 60 한국교통대학교
11 공주대학교 36 순천대학교 6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2 광주과학기술원 37 순천향대학교 6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3 국립군산대학교 38 아주대학교 63 한국식품연구원
14 국민대학교 39 안전성평가연구소 64 한국외국어대학교
15 단국대학교 40 연세대학교 65 한국재료연구원
16 대구경북과학기술원 41 영남대학교 6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17 대구기계부품연구원 42 울산과학기술원 6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 대구한의대학교 43 울산대학교 68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19 동아대학교 44 원광대학교 6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 동의대학교 45 이화여자대학교 70 한국해양대학교
21 명지대학교 46 인제대학교 71 한국화학연구원
22 목포대학교 47 인천대학교 72 한양대학교
23 부경대학교 48 인하대학교 73 호서대학교
24 부산대학교 49 전남대학교
25 삼육대학교 50 전북대학교
2023년에는 통합관리제의 안정적 제도 정착을 위해 제도 안내를 위한 현장 방문 및 통합
관리제 운영 교육을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제도 시행기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매뉴얼을 개정하였고, 담당자 변경으로 인한 제도 운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신규담당자 대상 심층 교육을 오프라인으로 실시(2회)하였고, 통합관리기관 담당자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95∙
4) 유휴・저활용 장비 활용도 촉진
유휴・저활용 장비 활용 촉진을 위해 연구기관에서 사용하지 않거나 활용성이 떨어진 장비를
필요로 하는 기관으로 이전, 지원하는 나눔(유휴・저활용) 장비 이전・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나눔장비 사업은 기관 내 불용 처분절차를 거친 유휴・저활용 장비를 ZEUS 나눔터에 게시하면,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나눔장비심의위원회 개최를 통해 양수기관에 이전비용(자문료, 수리비,
이전비 등)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는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에도 장비
이전을 지원하도록 하여 연구기반이 열악한 중소기업의 연구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2023년에는 총 12차례 나눔장비심의워원회 개최를 통해 565점의 나눔장비를 이전・지원하였고
이 중 51.9%인 293점을 중소기업에 이전하였다.
<표 2-24> 유휴장비 활용 중소기업 현황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이전장비수(점) 56 161 191 245 293
5) 연구시설・장비 종합정보시스템(ZEUS: Zone for Equipment Utilization Service, 이하
‘ZEUS’) 운영・지원
과기정통부에서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42조 제4항에 따라 국가연구시설・장비의
관리・운영 및 공동활용 촉진을 위해 2013년부터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을 운영하고 있다.
ZEUS는 연구시설・장비 도입, 등록, 공동활용 예약, 처분 등 전주기 단계별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2023년에는 ZEUS 장비예약 설명회를 개최(6월)하여 시설장비예약 실습 등을 통해
공동활용서비스 활성화 강화를 지원하였다. 또한, ZEUS 회원 대상으로 ZEUS 이용 만족도
조사(10월)를 실시하고, ZEUS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8월)를 개최함
으로써 이용자 수요에 맞는 서비스와 기능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하였다.
ZEUS 장비예약 설명회(6월) ZEUS 이용자만족도조사(10월)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8월)
[그림 2-21] ZEUS 운영 활성화 지원 강화
∙96∙
6) 「KSFree 연구장비 지식공유 포럼」 개최
「KSFree 2023, 연구장비 지식공유 포럼」은 연구장비 전문운영인력의 전문성과 인적 네트
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소통과 교류의 장이다. 5년째를 맞이한 올해는
국가연구인프라의 정부 지자체간 상생협력 관계 구축 및 지역산업 혁신성장 기반 마련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지역산업발전을 위한 지방 중소기업 혁신생태계 강화전략
및 중앙・지역간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협력지원 체계구축 방안에 대해 발표를 진행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할 수 있었다.
[그림 2-22] KSFree2023
다.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제3차 국가연구시설장비 고도화계획(2023~2027)」의 세부 과제를 계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대형연구시설・장비의 체계적 구축・관리와 연구장비 관리・활용 시스템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하고 연구인프라 역량강화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한편, 범부처 통합실태
조사,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핵심연구지원시설 운영지원, 나눔(유휴・저활용)장비 이전・
지원사업 등 핵심 정책・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여 국가연구시설장비 관리・활용 혁신을 통한
연구활동 지원 및 성과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97∙
4. 연구보안 관리 체계 확립
가. 개요
미・중 기술패권 경쟁 격화 등을 거치면서 국가안보의 범주는 ‘군사’에서 ‘경제’와 ‘과학
기술’로 확장되고 있다. 이미 미국, 일본, 영국, 호주 등 주요국들은 연구자의 이해상충 방지를
위한 관리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개방형 협력과 연구보안 간 균형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 중
이다. 또한, OECD와 G7 등 글로벌 다자협의체 역시 연구보안에 관한 국제공조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편 국제협력을 통한 성과 창출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연구보안이 필수적 요소로 연구문화 전반에 정착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즉 타 분야 간 협력 및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되는 현 상황에서 위험완화(de-
risking) 관점으로 연구보안 관리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른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안대책」(고시)을 과기정통부
주관으로 제정(’22.6월)하고,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23.3월)을 통해 외국
으로부터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보요청 시 부처 보고를 의무화하고 보안과제의 보안조치에
대한 부처의 예산지원 근거를 규정하는 등 지속적으로 유관 제도개선 노력을 경주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외 수혜정보 관리체계 미흡 및 저조한 보안과제 분류에 따른 법・제도
개선 필요성, 보안인식 제고 및 인력관리・인센티브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과기
정통부는 2023년 9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을
주도하여 입안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본회의에 상정하였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2023년 11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입안한 「세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R&D 추진
전략(안)」에서도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를 세부 추진방안에 명시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과기정통부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을 주도적
으로 수립하는 과정에서 ①연구보안 관련 법・제도 정비 ②보안과제 관리 내실화 ③연구보안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연구자 및 연구자산 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
과기정통부는 국외 수혜정보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국가R&D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책임자가
향후 해외로부터의 수혜 및 지원의 형태로 외국의 연구간섭 등을 받을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
∙98∙
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R&D 과제에 대한 체계적인 보안관리를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
보안대책」 중 보안등급 분류, 보고・승인 의무사항, 연구기관 보안대책 포함사항 등 주요사항을
상향입법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2) 국가 핵심연구인 보안과제 관리 내실화
과기정통부는 보안등급 세분화 및 분류기준 체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경제안보 관점
에서 중요한 기술이 될 수 있는 연구성과 및 정보를 선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안과제와
일반과제의 중간 보안등급으로 ‘민감과제’를 신설하고 완화된 보안조치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표 2-25> 보안등급 정의 및 조치(안)
구분 일반과제 민감과제 보안과제
정의(안)
보안・민감과제로
분류되지 않은 과제
유출 시 기술적・재산적 가치의
상당한 손실이 예상되어 국민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제
국가안보와 관련되거나,
국민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제
보안조치(예시) 국외수혜정보 보고
국외수혜정보 보고
외국 접촉 사후보고(1년 이내 수행자)
국외수혜정보 보고
외국 접촉 사전승인(3년 이내 수행) 외국인
참여・공동연구 사전보고・승인
또한 과제 주기별로 보안등급을 분류할 수 있는 절차를 명확화하고 분류가이드를 제시한다는
정책방향을 제안하였으며, 보안・민감과제 연구성과 보호 및 활용을 위해 비밀특허 대상 확대
검토 및 성과 부분공개 제도 신설을 제시하였다.
3) 지속 가능한 연구를 지원하는 연구보안 지원체계 구축
과기정통부는 연구보안 정책기능을 강화하고 관계부처 정책협의체 및 전담 집행체계를 구성
하는 한편 미국 등 주요 과학기술협력국과 연구보안 정책 협력을 강화하며, 연구보안 특성화
대학 지정 등을 통해 연구보안 전문가를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참여 관리,
유학・취업비자 심사 강화 등 검토, 보안과제 수행자 및 국가전략기술 전문가 등 핵심인력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이드라인 마련 및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연구보안에 관한
연구현장의 인식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연구기관 및 연구자 대상 연구보안 현장지침
마련, (가칭)연구보안 교육포털 구축・운영, 연구자 및 연구기관 대상 인센티브 확대 및 홍보
등이 포함된다.
∙99∙
4)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개최(’23.11.14.)
과기정통부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를 개최하여 연구보안 정책 공론화의 장을 마련하였다.
연구보안 제도의 국제동향, 국내 산업보안 정책동향 및 과기정통부가 주도하는 연구보안 정책
방향을 관련 전문가가 발제하고, 토론과 질의응답 등을 통해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와 연구
보안을 동시에 제고하기 위한 정책 착안점을 모색하고 이에 관한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청취
하고자 하였다. 토론회에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포함 산・학・연・관 전문가 및 현장
연구자 등 약 160인이 참석하였으며, 연합뉴스 등 토론회 관련 언론보도(8건)를 통한 이슈선점
및 확산에도 기여하였다. 무엇보다도 해당 토론회를 통해 연구보안 정책방향을 연구현장 및
대중에 최초로 공개함과 동시에 산・학・연・관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여 향후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의 현장 수용도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토론회 전경 패널토론
※ 연합뉴스, 뉴스1, 아시아투데이, 머니투데이, 이뉴스투데이, 열린뉴스통신, 보안뉴스, 대한경제 등 보도
[그림 2-23]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현장
연합뉴스 기사 뉴스1 기사
[그림 2-24]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토론회 언론보도
∙100∙
다.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신뢰받는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연구보안 체계 내실화 방안(안)」에서 제시한
관계 법령 개정 및 가이드 마련 등 후속조치를 이행 및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①국외
수혜현황 보고, 보안과제 분류기준, 성과 부분공개, 보안 인센티브 대상 확대, 지원체계평가
반영 강화 등 주요 사항을 반영하여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시행규칙 및 하위규정 등을
개정할 예정이다. 또한, ②보안대책(고시) 상향입법 및 제재, 기관 단위 의무 강화, 보안등급
세분화 및 분류절차, 전담 집행기능 근거, 보안과제 외국 참여관리 등 관련 법령체계 개선
연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부분개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시범운영 등의
수단을 강구하여 ③보안등급 분류절차를 명확화하고 연구기관 및 연구자 대상 현장가이드를
마련할 예정이다.
5. 국가 핵심 IP 창출 및 표준특허 마련
가. 개요
기술패권 경쟁 속 공급망 재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불안한 중동 정세 등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견인할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전략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주요국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핵심기술 분야를 지정하여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국제표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책을 마련하여 정부 차원에서 기술표준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국가전략기술을 지정하는 등 전략기술 확보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첨단기술・산업 패권전쟁의 승패는 핵심특허 선점・보호가 좌우
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국가정책 차원에서 지식재산과 연계한 기술 확보 및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정부 R&D가 양적 성장에 치중했다면 ’24년부터는 R&D 효율화를 통한 질적 성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초기단계에서 5억 3천만여 건에 이르는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①최적의 연구개발(R&D) 방향 설정, ②해외장벽 특허를 극복, ③특허기술 공백
영역에 대한 유망특허 선점 등을 지원하여 중복투자 방지 및 R&D 효율화 도모하는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중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공급망 위기, 코로나19 백신수급 위기 등 국가적 위기를
극복함에 있어, IP-R&D 전략 수립이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 정부 소부장 R&D 과제와 연계하여
∙101∙
IP-R&D 전략을 지원하였으며, 관련 부처와 협의하여 백신・치료제 등에 대한 IP-R&D 지원도
추진하였다. 또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정부 R&D 과제 수행 시
IP-R&D(지재권에 대한 전략적 조사・분석)를 의무실시하도록 제도화하였으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민간 R&D를 지원하기 위해 산학연 맞춤형 IP-R&D 과제 지원을 신규 추진하였다. 그
외에도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IP-R&D를 수행하여 중복연구를 방지하고, 우수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간 특허 조사・분석업체인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을 확대하였다. 또한 표준특허를
확보할 수 있도록 표준특허 확보 관점에서 유망기술을 발굴하여 정부・민간 R&D 기획을 지원
하였으며, 표준기술 획득을 목적으로 R&D・표준화를 추진 중인 산・학・연에 표준특허 확보
전략을 제공하였다.
특허청은 지식재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활동들도 지속하였다. 기술탈취로 피해를 입는
기업들이 신속하고 공정하게 구제받을 수 있도록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기술유출 범죄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 해결을 위해 양형기준 개정을 추진하였으며, 기술탈취・영업 비밀 침해 최소화를
위한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또한, 산업재산 분쟁 조정 제도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여 역대 최다 건수를 기록하였고, 수사・행정조사와 분쟁 조정 간
연계를 강화하는 원스톱 분쟁 해결 체계구축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스위스 국제
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지표 중 지식재산권 보호 순위가 전년 대비 9단계
상승(’22년 37위 → ’23년 28위) 하였다.
대학・공공연은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60%를 사용하며, 박사급 연구인력의 72.8%를 보유한
기술혁신의 원천으로, 대학・공공연이 혁신적인 특허기술을 충분히 공급하고 중소・중견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할 때, 혁신성장과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2023년에는 정부 지원 종료 후에도 대학・공공연이 지속적으로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수익-회수-재투자’의 선순환 체계구축 및 지속 가능한 자립
환경 조성을 위해 지원하였고, 대학・공공연의 IP 경영 진단 및 심층 컨설팅을 기반으로 기관별
IP 경영 역량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특허 빅데이터는 세계 각국의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기술혁신을 위해 각고의 노력과 비용을
들인 R&D 성과물임과 동시에 고급 기술정보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경쟁 국가나 기업에서 어떠한 R&D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우리의
경쟁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향후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R&D를 주력할지에 대한 객관적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102∙
이에 국가 R&D의 효율성 제고 및 우수특허 선점 등을 위해 2023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가신약개발재단 등 R&D 부처・전문기관에서 기획 중인 R&D 수요를 사전 조사하여 특허
분석이 필요한 총 12개 부처・전문기관의 124개 R&D 기획 수요를 발굴하는 등 최초로 수요
맞춤형 특허 분석을 지원하였다. 발굴한 수요는 AI, 양자기술, 항체 약물 접합체(ADC) 등 총
20개의 특허 분석 대상 산업으로 그룹화하였고 R&D 부처・전문기관의 R&D 기획 수요에 맞춰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별 국내외 기술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향후 미래 유망
기술을 도출하는 등 정부 R&D 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였다.
<표 2-26>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절차
① 환경분석 ② 정량분석 ③ 심층분석 ④ 정책제안
∙ 주요국 정책동향
∙ 경제・산업 DB
∙ 시장 분석 보고서
∙ 유효특허 추출
∙ 정량지표 산출
∙ Landscape 분석
∙ 키워드・SNA 분석
∙ 특허 군집화
∙ 정책・규제 관점 분석
∙ 유망기술 발굴
∙ 투자전략 도출
∙ 정책제언 도출
또한 분석 초기부터 R&D 부처・전담기관의 PD/PM이 포함된 자문위원회를 산업별로 구성・
운영하여 특허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정부 R&D 과제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
으며, 민간에서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 산・학 전문가도 자문위원회에 포함하는 등 분석 결과의
활용도를 제고하였다.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망기술은 관련 국내 부처・전문
기관의 R&D 기획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으며, 국내 민간 R&D 지원을 위해 국내
기업・대학・연구소는 특허 빅데이터센터 포털(biz.kista.re.kr/pbcenter)을 통해 분석 보고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더불어 IP-R&D 컨퍼런스를 개최(12.18)하여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과 미래 유망기술을 해당 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에게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
하였으며, 민간 유관기관 대상으로 항체 약물접합체(ADC) 분석 결과 공유회를 개최(12.14)하는
등 특허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민간 분야에도 널리 확산되어 효율적인 국가 R&D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2) 국가전략기술, 공급망, 탄소중립 등 국가중점분야 지식재산 기반 기술 자립 추진
’23년 기술 패권시대에 과학기술 주권을 확립하고 국민경제 발전과 국가안보에 이바지하기
위해 국가 정책적으로 국가전략기술 지원방안을 수립하였다. 특히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21. 1.), 국가첨단전략산업법(’22. 8.)에 이어 국가전략기술육성법(’23. 9.)에 지식 재산권에
대한 전략적 조사・분석 실시 의무에 관한 규정을 반영하여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주요 R&D 부처와 협업하여 반도체・이차전지 등 국가전략기술, 공급망, 탄소중립 등 국가중점
분야 R&D 효율화를 지원하였다.
∙103∙
먼저, 국가전략기술 IP-R&D 확대를 위해, 국가전략기술 정책방향, 국가전략기술 IP-R&D
의무화 이행점검 방안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IP-R&D 수행을 위한 정보가 포함된 「12개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IP-R&D 우선 지원 기술 자료집」을 제작하여 산・학・연에 제공하였다
(IP-R&D 컨퍼런스, ’23. 12.). 또한, 국가전략기술 특화 지정공모 IP-R&D 과제를 민간 주도의
국가전략기술 R&D를 지원하기 위해 신설하였다(50개).
공급망 R&D 효율화 및 대체기술 확보를 위해 기존의 주력산업 중심 소재・부품・장비 100대
품목에서 미래산업 중심 150대 품목으로 확대 지원하였다. 또한 旣지원과제의 성과 극대화를
위한 후속 진단* 및 국방 부품 국산화를 위한 국방 R&D 지원**을 확대하였으며, 고난도 융합
연구 활성화를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 지원***도 확대하였다. 이 외에 환경부, 산업부 등과 협업
하여 탄소중립 정부 R&D 연계 지원, 과기부의 디지털 전환 R&D와 연계한 서비스 IP-R&D
과제 신규 추진 등 지원 분야 다변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R&D 효율화 및 우수특허 창출을
지원하였다.
* ’22. 30개 → ’23. 42개 / ** ’22. 3개 → ’23. 6개 / *** ’22. 18개 → ’23. 23개
구 분 내 용 ’23년
민간R&D 국가전략기술 국가전략기술 분야 민간 R&D 과제 지원 50개
정부R&D
과기부
(소부장)
나노소재기술개발 등과 연계 지원 25개
산업부
(소부장)
소재부품기술개발,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 사업 등 116개
산업부 탄소혁신스타즈프로젝트 사업 5개
중기부
(소부장)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등 93개
환경부 환경 R&D 우수성과 선정기업 등 20개
방사청 국방부품 국산화 등과 연계 지원 6개
후속진단 旣지원 과제 대상 R&D 방향 재설정 및 권리화 지원 42개
범부처R&D 범부처 사업단(의료기기, 신약개발)과 연계 지원 23개
<표 2-27> 주요 지원 현황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의 주도권 확보 및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 확산을 위해 국가
전략기술 정부 R&D에 지식재산권의 전략적 특허 조사・분석을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국가
전략기술육성법에 관련 규정을 반영하였으며(’23.3월 제정), 국가전략기술 지정공모 IP-R&D
과제 지원을 신설(50개)하여 산・학・연의 국가전략기술 분야 지식재산 기반의 연구개발을
지원하였다.
민간 주도의 R&D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기술가치 평가, 의약품 허가, 신산업 진출’을
∙104∙
연계하는 고부가가치 창출형 IP-R&D를 확대(16개→18개) 하고, 지식재산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비용으로 특정 기능을 집중 제공하는 선택형 과제(24개→40개)
및 후속 진단형 과제(30개→42개)를 대폭 확대하여 개별기업의 R&D 효율화 및 IP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과정에서 특허 조사・분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 특허
조사・분석 업체인 산업재산권 진단기관 지정을 확대하였으며(’22년 248개 → ’22년 269개
기관), 진단기관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여 산・학・연에서 고품질의 산업재산권 진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진단기관 실태조사 및 간담회 결과를 반영하여 진단기관 역량강화 교육을 확대・
내실화하였다.
이런 그간의 노력은 특허 창출 및 경제적 성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17∼’21) IP-R&D
지원 성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IP-R&D 지원과제는 미지원 과제 평균 대비 우수특허 1.4배,
日・유럽 특허 2.5배 등 질적 특허성과가 우수했다. 또한, IP-R&D를 지원받은 기업은 예산
투입(1,120억 원) 대비 12.3배 높은 경제적 효과(13,790억 원)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공공연 과제의 경우 미지원 과제 평균 대비 특허이전율 1.2배, 계약당 기술료 3.7배 등
활용성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국제표준 연관 기술분야 표준특허 창출 지원
표준특허는 표준기술 구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특허로, ‘표준필수특허’라 칭하기도
한다. 표준특허는 표준의 ‘개방성’과 특허권으로서의 ‘독점 배타성’을 동시에 갖는 특허로서
일반 특허 대비 차별화된 가치를 지닌 ‘시장 지배적 특허’이다. 최근 ICT 융합이 활성화되며
사람・사물 등이 모두 연결되는 ‘초연결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상호 호환성 확보를 위한 표준
기술과 표준특허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일례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동차 제조
회사 중 하나인 현대・기아차는 통신 특허풀 Avanci에 커넥티드카 구현을 위한 통신 표준특허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가) 표준특허 관점의 유망기술 발굴을 통한 R&D 기획 지원
차세대 이동통신(6G)과 도심 항공교통(UAM) 분야의 특허와 표준 문서를 종합적으로 분석
하여 표준특허 선점이 시급한 유망기술 17개를 도출하였다. 세부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6G)은 ‘Extreme massive MIMO 기술’ 등 9개 기술, 도심 항공교통(UAM)은 ‘실시간 운항
정보 기반 UAM 교통관리 자동화 기술’ 등 8개 기술이 도출되었다. 해당 기술들을 과제화하여
과기정통부와 국토부에 총 17개의 신규 과제를 제안하였으며, 이 중 14개가 차년도 신규과제로
∙105∙
최종 채택되었다. 이와 더불어, 도출된 유망기술 정보는 과기정통부와 특허청이 공동 주최한
「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2023」를 통해 산・학・연에도 공유되었다.
나) 표준특허 확보 전략 지원
이동통신, 자율주행 등 핵심기술 분야의 R&D・표준화를 추진하는 산・학・연의 R&D 과제
52개를 대상으로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지원하였다. 지원기업 중 8개 기업은 이제 표준화에
발을 들인 ‘표준화 초보 기업’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과기정통부 등과 협력하여 표준 전문가의
표준화 컨설팅과 표준특허 확보전략 지원을 병행함으로써, 향후 국제표준화 무대의 주요
플레이어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국가기술표준원(ISO/IEC전문
위원회)과 국립전파연구원(ITU연구위원회) 대상으로 원자력 원격시스템 및 로봇(IEC TC45
등)과 테라헤르츠파 대인탐지기술(ITU-R SG5 등) 분야의 표준화 대응전략을 특허 관점을 담아
제공하였다. 또한 민간 주도로 결성되어 사실 표준화에 대응하는 ‘사실표준화포럼’ 중 ‘실감형
혼합현실기술포럼’ 대상으로 특허 관점의 표준화 대응전략을 지원하였다.
4) 지식재산권 보호기반 강화
가) 기술유출・탈취 분쟁해결 기반 마련
기업・국가 간 핵심기술 확보 경쟁이 심화되며 첨단산업의 기술유출 및 침해 범죄도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특허청은 기술탈취 분쟁 해결을 위해 피해 기업, 전문가 및 관계 부처와의 협의로
수사・행정조사와 분쟁조정 간의 연계를 강화한 원스톱 분쟁해결체계 구축 등 내용이 담긴 종합
대책을 발표(’23.6)하였다.
영업 비밀・기술 유출 범죄 근절을 위한 정부 노력이 사법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판결에서
형량 결정의 기준이 되는 양형기준 정비를 대검찰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추진하였고 대법원
(양형위원회)에서 정비대상 안건으로 최종 채택(’23.6)되었으며, 대통령실 주관으로 지난 11월에
출범한 범정부 기술유출 합동 대응단에 참여하고, 방첩기관으로 특허청이 신규 지정(6→7개)
되는 등 국가 전체 기술 범죄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체계 기반을 마련하였다.
나) 지식재산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법 개정 추진
기술탈취 행위가 고도화・다양화됨에 따라 법인의 조직적인 영업 비밀 유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징벌적 손해배상을 5배까지 높이고 법인 벌금형을 상향(자연인의 3배)・공소시효를 연장(5→
10년)하며, 영업 비밀 침해 물품 제조설비 등에 대한 몰수 규정 도입, 부정경쟁행위 행정조사
∙106∙
제도에 시정명령・과태료 부과제 도입, 해킹 등에 의한 영업비밀 훼손・삭제 행위 처벌 등 대책이
담긴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24.1)하였다. 개정법이 시행되면 기술탈취・
영업 비밀 침해 등을 최소화하여 우리 산업 경쟁력의 위협 요소를 제거하고, 건전한 기술 혁신
생태계 형성에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다) 산업재산 분쟁조정 활성화
산업재산권 분쟁조정 제도는 특허・상표・영업 비밀 등 지식 재산 분쟁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당사자 간 대화와 합의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로, 별도의 비용 없이 3개월 내에
조정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2023년은 분쟁조정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22년
76건 → ’23년 159건)해 역대 최다 건수를 기록하였고, 개인・중소기업 신청이 84%를 차지하는
등 사회・경제적 약자를 위한 신속・효과적인 분쟁해결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특허청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 유관부처와 업무협의를 통해 법원(서울중앙・수원지방법원)과
조정 연계제도를 실시하였고, 경찰 수사와 조정 연계를 시범 실시하는 등 지재권 분쟁이 조정
으로 제도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고, 늘어난 조정 수요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술 분야별로 조정위원을 추가 위촉하는 등 분쟁 조정 인프라를 개선하였다.
라) 특허청 특별사법경찰 수사 강화
심사・심판 경력자, 박사, 변호사・변리사 등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특허청 특별사법경찰은
지식재산과 법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검찰・국정원 등과 적극적인 협업을 진행하는 등,
국가 주요 기술 유출 범죄・위조상품 유통 방지 등에 대한 전문 수사기관의 역할을 수행 중이다.
2023년 12월에는 특허청 특사경의 수사 범위를 주요 부정경쟁행위와 실용신안권 침해 및 영업
비밀 침해행위 전반으로 확대하는 사법경찰 직무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에
향후 특허청 특사경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사업무를 진행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권리 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 해외 지식 재산권 보호 활동 강화
2023년에는 중소・중견기업의 특허분쟁 예방・대비 지원을 더욱 강화하였다. 특허분쟁 예방을
위해 3월에 특허분쟁 위험경보 시스템을 개통하여 기술 분야별 특허분쟁 위험등급, 등급별
행동요령 및 분쟁 고위험 특허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어서 12월에는 산업계 의견수렴을 통해
기업맞춤형 분쟁위험 분석, 해외 NPE・경쟁사 특허분쟁 동향 등 경보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
하였다. 소부장특화단지 60개 사에 특허분쟁 위험 조기진단을 지원하여 전문가가 직접 기업을
∙107∙
방문하여 특허분쟁 위험을 진단하고 기업의 자체적 분쟁 예방・대비 활동을 위한 교육을 실시
하였다. 또한, 특허분쟁 대응전략 컨설팅 지원도 확대하여 2022년 346건에서 2023년 425건
으로 지원이 증가했다.
해외에서 우리 기업의 K-브랜드 보호체계도 강화하였다. 위조상품의 경우, 해외 온라인 위조
상품 모니터링 전문 서비스를 본격 실시하여 미국, 유럽 등 약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16만여 건의
온라인 위조상품 판매 게시물을 차단하였다. 그리고 식품, 화장품 등 해외 위조상품 피해 빈발
업종 협・단체를 중심으로 ‘K-브랜드 위조상품 민관 공동대응 협의회’를 신규 구성하여 해외
위조상품 유통 차단을 강화하였다. 상표 무단선점의 경우, 작년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싱가포르를
올해부터 정규 모니터링 대상국가로 포함하여 중국・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싱가포르 총 5개
국가를 대상으로 해외 상표 무단선점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피해기업에 총 5천여 건의 무단 선점
의심상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패스트트랙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피해기업 총 92개社에
상표 무단선점 대응전략 컨설팅을 제공해 신속한 분쟁대응을 지원하였다.
해외 지식 재산센터(해외IP센터)를 통한 지재권 침해 단속, 현지 분쟁 대응 지원체계 개선 등
해외 현지 지재권 보호 지원도 확대・강화했다. 중국 광둥성 내 의류, 가방 등 K-패션 제품에
대한 위조상품 기획 침해 조사를 실시하여 위조상품 유통현황을 조사한 후 형사 단속을 통해
K-브랜드 위조상품 6,100여 점을 압수하여 정품가 기준 약 5.2억 원 상당의 피해를 예방하였다.
또한, 해외 지재권 관련 공무원 대상 한국 초청 세미나를 재개하여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주요
수출국에 우리 수출기업의 현지 지재권 애로사항을 직접 전달하고 단속 협조를 요청하는 등
현지 단속기관과의 협력을 촉진하였고, 우리 수출기업이 국내・외 위조상품에 직접 대응할 수
있도록 위조상품 대응기술 가이드북을 발간하였다.
6) 공공 IP・연구성과의 경제적 활용성 제고
2023년도에는 대학・공공연이 정부 지원 종료 후에도 스스로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수행
하여 지속적인 ‘기술사업화-수익-회수-재투자’가 일어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해당 사업은 대학・공공연의 지식재산 전담부서의 특허기술 사업화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업의 기술수요 발굴 및 대학・공공연의 공급 기술과 기업의 수요기술 간
기술 성숙도 격차를 줄이는 활동에 주로 투자하며, 기술이전이 성공할 경우 수익금의 일부를 회수
하여 다른 특허기술의 사업화 활동에 다시 투자하도록 한다. 정부는 3년간의 1차 지원이 종료된
기관 중 성과가 우수한 1개 기관(서울대)을 추가 선정하여 2차(3년) 지원을 시작하였고, 총 13개
기관에 기술이전・사업화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108∙
<표 2-28>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과 기존 지원 사업 비교
수익 재투자 (선순환 방식 지원) 기존 사업 (1회성 지원)
정부
재투자
지원
기술
이전
발명자,
대학・공공연
정부
사업화
검증
기술
이전
발명자,
대학・공공연
또한, 대학・공공연에 대한 IP 경영 진단 및 심층 컨설팅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관의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유연하게 제공하는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 사업은 우수특허 창출부터 기술
이전・사업화, 연구자 창업까지 IP 경영 진단을 기반으로 각 기관의 IP 경영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장기간(3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원 기관이 IP 경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
한다. 2023년에는 부산대, 연세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7개 대학・공공연을 추가 선정하여
지원을 시작하였고, 총 25개 기관에 IP 경영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다. 향후 계획
특허 등 지식재산 기반의 기술 자립 및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특허 확보와 지식재산 혁신 생태계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
할 것이다. 특허청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됨에 따라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품목에
대한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국내외 기술 수준 비교 및 국내생산 대체 가능성을 파악하고,
정부의 국가전략기술 관련 정책 수립 및 R&D 과제 기획에 활용하도록 관련 부처에 제공하여
기술 주권의 확립 및 경제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R&D 부처 협력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공급망 등 주요 정부 R&D 효율화를 위한
IP-R&D 전략지원을 강화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구비한 산업재산권 창출을 지원하고 소부장
R&D 전반에 적용했던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 전략 지원을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탄소중립 등 국가중점 기술 분야로 확대하여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IP-R&D 방법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재산 확산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그리고
글로벌 선도 제품 창출을 위해 제조-서비스 융합 IP-R&D를 확대하고, 기술가치 평가, 의약품
허가, 신산업 진출을 연계하는 고부가가치 IP-R&D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
영업비밀・기술 보호 제도의 완비를 위해 기술유출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한 피해액 산정기준
정립과, 특허 침해 소송에서 증거수집 제도의 개선 및 해외 기업이 국내 법인을 통한 영업비밀
유출 행위를 규율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분쟁조정위와 특허청
∙109∙
수사・행정조사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종합지원센터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며,
기술의 해외 유출 수사에 특허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하는 등 범정부 기술유출 방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대학・공공연 대상으로는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 사업 성과의 환류・확산을 통해 지식
재산 투자-회수-재투자 선순환 구조의 내재화 지원을 확대하고, 기관별 특허 활동 규모에 따른
우수특허 창출, 보유 특허 기술이전・사업화, 연구자 창업 등 지식재산 창출・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2024년 6월에는 선진 5개국(한・미・일・유럽・중) 특허청장 회의(IP5)가 서울에서 개최
될 예정으로, 한국의 우수한 지식재산 생태계를 홍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한 포용적 지식재산 시스템 구축을 주제로 IP5 차원의 협력 방안을 도출한다.
∙110∙
제3절 미래 핵심 인재육성
1. 개요
국가의 핵심 성장동력이자 안보 전략자산인 첨단산업의 각축전 속에서 세계 각 주요국은
파괴적 혁신을 이끌 인재와 기술 중심의 전방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새 정부
출범 이후 신성장동력 창출 및 잠재 성장력 제고를 위해 첨단 분야 주요 정책을 발표하고 집중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첨단산업의 성패는 초격차를 이끌 인재 확보에 좌우되는데, 시시각각
변하는 대내외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창의성을 바탕으로 산업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의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본격화됨에 따라,
첨단기술 분야의 인력 수요와 공급 간 미스매치를 대비하면서도 질적으로 탁월한 인재를 확보
하고 양성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대내외 환경과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정부는 창의・도전적 인재를 육성・확보하고 미래세대
유입 및 성장 활약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과학기술 인재 양성 정책을 추진하였다. 특히, 정부는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에 따라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 정책의
최상위 계획인 「과학기술인재 육성 지원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23년에는 ’21년 수립된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을 토대로 제4차
기본계획의 체계적 이행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신(新)
정부의 과학기술 인재정책의 주요 방향을 기술혁신 주도형 인재양성 정책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요 정책을 추진하였다.
또한 정부는 과학기술인이 우대받고 존중받는 사회문화를 조성하여 미래세대 인재의 과학
기술 분야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2차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계획(’22~’26)」 ’23년 시행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과학기술유공자 신규 지정, 과학기술유공자 증서수여, 헌정강연 등을 통한 유공자
예우 및 지원과 더불어 실태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유공자 지정분야 개선 등 제도 개선도 추진
하였다.
∙111∙
2. 2023년도 주요 추진현황
가.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에 따른 ’23년 시행계획 수립
정부는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의 ①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②청년
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③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구축, ④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 등 4대 전략과 14개 추진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자 「제4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의 ’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확정하였다. ’22년도 추진
실적 점검을 포함하여 범부처 합동으로 총 272개 사업(중앙부처 185개, 지자체 87개)에 대해
주요 추진 계획을 수립하였다.
우선,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초・중등 수・과학 및 디지털
기초역량 제고, 미래사회를 선도할 우수인재 발굴 및 유입촉진, 이공계 대학생의 변화대응역량
강화 등을 주요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둘째, ‘청년연구자가 핵심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 기반 구축, 청년과학기술인의 성장 지원 강화, 미래 유망분야 혁신인재
양성 등을 주요 과제로 포함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 기반 구축’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하여 과학기술인 평생
학습 지원체계 강화, 현장수요 기반 디지털・전문 역량 제고, 여성과학기술인의 성장・진출
활성화 체계 마련, 고경력・핵심 과학기술인 역량 활용 고도화 등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넷째, ‘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 전략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해외 인재의 국내 유입
활성화, 산학연 간 인재 유동성 확대, 과학과 사회 간 소통 강화, 이공계 법・제도 인프라 선진화
등을 ’23년 주요 추진과제로 포함하였다.
나.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 수립
정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최고급 인재 확보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R&D 기반
인재 정책을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에 담아 이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23.12.20)를 통해 확정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정된 인적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양성・활용하고자 한다. 기존 범부처 인재정책은
직무/직종에 대한 고려 없이 부처별 소관에 따른 기술 분야별로 분절적으로 인재를 양성해
왔던 한계가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상세 직무분석을 통해 각 기술군별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인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향후 인재정책에 담아 특화교육기관(전략기술법
∙112∙
제25조), 특화연구소(전략기술법 제16조)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둘째, R&D인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인재정책의 근거 기반을 강화한다. 과기
정통부의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 등록 연구자 약 51만명에 대해 고용부 고용보험DB 정보를
연계하여 국가 R&D과제 참여인력의 취업정보를 조사할 계획이다. 연구자 공급・수요 분석,
연구자 경력경로 등을 통해 보다 세심한 근거기반의 인력정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셋째, 최고급 인재로의 성장을 위한 국제 교류 지원을 강화한다. 정부의 해외 연수지원 사업을
분야별・대상별로 체계화한 ‘(가칭)K-starship’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지원 공백영역 발굴 및
총괄계획을 수립할 것이다. 이를 통해 주요 R&D 신규사업화 및 기존사업 확대 등 R&D인재의
글로벌 교류 지원을 보다 강화할 예정이다.
다. 창의・융합형 미래 인재양성 ’23년 성과
1) 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초・중등 수학・과학 교육체계 강화를 위하여 첨단기술 기반의 실질적 수학・과학 실험・탐구
활동을 위한 공간인 스마트 수・과학실을 운영하였으며, 과학영재 발굴 확대 및 성장 지원을
위하여 온라인 ‘先교육’ 과정, 찾아가는 STEM+I 생각교실을 운영하고, ASEAN+3 과학영재
학생캠프, 과학영재 교육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였다. 또한, AI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지역
사회 등과 연계한 다양한 AI 교육수업 모델을 개발・확산하고, SW・AI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온라인 코딩파티 및 SW교육 페스티벌 등을 개최하였다.
2) 청년연구자의 안정적 연구기반 구축 및 성장지원 강화
박사후연구원의 정부출연연구소 R&D연수 기회 제공, 박사후연구원이 중심이 되는 연구단
(KIURI), 박사후연구자 등 젊은 과학자의 도전적 연구를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등 청년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사업을 지속하였다. 우수 대학생 대상 대통령
과학장학금 및 국가우수장학금 지원과, 과학기술전문사관 및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통해 우수한
청년들이 학업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23년에는 청년연구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에도 주력하였다. 독창적인 연구분야를 개척하고 있는 젊은 과학자를 선정해
세계 최정상급 석학들과의 직접적 교류를 지원하였다.
연구자 보호 강화를 위해 연구실 외의 공간에서 연구활동 중 발생한 사고도 연구실사고 범위로
확대하는 내용 등을 포함하는 연구실안전법을 개정(’23.10.31. 공포)하였고, 고위험 유해인자
∙113∙
(고압가스, 실험동물 등)에 대한 연구실 특화 안전관리 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단속
적발 위주의 현장검사 방식에서 벗어나 기관의 규모, 연구특성, 관리 역량 등을 고려한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맞춤형 관리・감독을 추진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현장의
안전정보 접근성을 제고하고 자체 사고예방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일상점검, 사고사례,
교육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탑재한 연구실안전 모바일 앱 개발을 착수하였다.
3) 전략기술 등 미래 유망분야 핵심 고급인재 양성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인력 수요에 대응한 석・박사 고급 R&D 인재양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
하였다. 특히, 반도체, 양자, 우주, 기후기술, 감염병, 무인이동체 등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지속
추진하였으며, 연구개발서비스 분야 인력양성 지원을 신규 추진하였다.
국내 연구기관의 전략적인 해외 우수연구자 초청・활용을 지원하고 유연한 유입환경을 마련
하여 글로벌 연구역량을 강화하였다. 특히, 핵심기술 확보가 시급한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과제 유치 시 선정 우대하는 등 국가필수전략기술 인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산・학 공동프로젝트를 통해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인공지능
융합혁신대학원, 메타버스 기술과 인문사회의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메타버스융합대학원, 인공
지능반도체대학원 및 융합보안대학원 등 디지털 분야 대학원을 신설・확대하였다.
4)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및 민・관 협력형 인재양성
산업현장에 기반한 문제 해결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이공계 대학생 중심으로 구성된 실전문제
연구팀(X-Corps+) 컨소시엄 연구단(4개)을 운영하였으며, 이공계 학부 졸업생 및 석・박사
미취업자(1,334명)에게 기업 맞춤형 전문기술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직무역량 향상 및 취업
연계를 지원하였다. 또한, 캠퍼스 SW아카데미 등 기업주도형 교육과정과 SW마에스트로 및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 혁신형 교육과정을 통해 실무형 전문인재를 양성하였으며, 대학 디지털
교육 혁신과 전공자 확충을 위해 SW중심대학(’22년 44개→ ’23년 51개)과 정보보호특성화
대학(’22년 3개→ ’23년 5개)을 확대하였다.
5) 여성, 장애인, 고경력 과학기술인 등 다양한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 기반 조성
여성과학기술인 생애 전주기 맞춤형 플랫폼 서비스(W브릿지)를 통해 경력단계별 교육, 취업・
경력개발 컨설팅, 지원사업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여성과학기술인의 R&D
연구 현장 복귀를 위한 연구과제 지원 및 여대학원생의 자기 주도적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114∙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한 기술멘토링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경영 등
애로사항을 해결하였고, 특히 ’23년에는 ‘고경력 과학기술인 지원센터’ 지정・운영, 고경력 과학
기술인의 사업참여 확대를 위해 자격요건 완화 검토, 고경력 과학기술인 인력DB 확충 등을 통해
고경력 과학기술인 또한, 역량 있는 이공계 장애대학(원)생의 R&D 역량 제고를 위해 출연연
맞춤형 현장 연수・교육을 신규 추진하였다.
3. 향후 계획
정부는 혁신적인 과학기술인력이 양성・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전략・
중점 기술별 국가전략기술 인력 현황을 분석하고, 기술수준・특성별 맞춤형 인재 확보 방안을
마련・추진할 예정이다. 원자력, 이차전지, 반도체패키징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기술혁신을 주도
할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며, 국가전략기술 분야 해외 우수한 연구자를
유치하고 글로벌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수학영재 발굴・육성 지원 및 젊은 수학자에 대한 성장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25년부터
시행되는 초・중등학생의 정보과목(SW・AI) 필수 시수 2배 확대에 대비하여 교・강사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교육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부처 간 협력을 통해 AI선도학교 및 SW
미래채움센터 등 “학교 내 교육”과 “학교 밖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기업이 교육과정에 설계・참여하는 기업 주도형 과정과 심화 컨설팅 및 자기주도학습 기반의
혁신형 교육과정 등을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실무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인공
지능반도체・사이버보안・메타버스 등 디지털 분야 석・박사급 인재 육성을 통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자 한다.
’23년에 신규 추진한 이공계 장애대학(원)생 대상 R&D 교육・연수를 ’24년에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잠재력을 지닌 우수한 학생을 발굴하고 미래 핵심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여성과학기술인의 R&D 연구현장 복귀지원과 함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한 대체
인력지원을 확대하고, 여대학원생의 자율적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공학연구팀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경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활동 분야를 추가 발굴하고,
우수 연구인력 활용을 위한 ‘중장년 과기인 공동연구 프로젝트 기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115∙
제4절 기초연구 진흥역량 제고 및 지원기반 강화
1.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가. 개요
‘기초연구’에 대해 OECD(2015, Frascati Manual)에서는 ‘어떤 특정한 응용이나 사용을
계획하지 않고 현상들이나 관찰 가능한 사실들의 근본 원리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기 위해
행해진 실험적 또는 이론적 작업’1)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기초과학(자연현상에 대한 탐구 자체를 목적으로 하며, 공학・의학・
농학 등의 밑바탕이 되는 기초 원리와 이론에 관한 학문을 말한다) 또는 기초과학과 공학・의학・
농학 등과의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이론과 지식 등을 창출하는 연구활동’2)으로 정의하고 있다.
기초연구는 새로운 지식 창출과 창의적 인력 양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의 근본 원천인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새로운 산업 창출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기초연구는 특성상 가시적・직접적 성과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 안목의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에 정부는 2008년부터 5개년 정부 계획인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긴 호흡에서
관련 학문생태계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에 따라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대폭
증액(2017년 1.26조 원 → 2023년 2.58조 원)하여 연구자의 창의・자율성 바탕의 다양하고
우수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지속 확충해왔다. 이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창의・
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2022년 예산) 대비 약 2.4% 증가한 2조 501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 과기정통부(개인연구지원사업, 집단연구지원사업), 교육부(개인기초연구사업,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사업) 등
4개 사업
1) ‘Basic research is experimental or theoretical work undertaken primarily to acquire new knowledge of
the underlying foundation of phenomena and observable facts, without any particular application or use
in view.’ (OECD, Frascati manual, 2015)
2) http://www.law.go.kr,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시행 2022.8.4.)
∙116∙
<표 2-29> 기초연구사업 예산
(단위 : 백만 원)
구분 2022년(A) 2023년(B) 증감액(B-A) 증감율
연
구
자
주
도
기
초
연
구
개인
연구
우수연구
리더연구 73,055 77,892 4,837 6.6%
중견연구 972,404 996,319 23,915 2.5%
신진연구 310,902 310,111 △791 △0.3%
계 1,356,361 1,384,322 27,961 2.1%
생애기본연구
생애첫연구 36,454 35,533 △921 △2.5%
재도약연구 2,500 - △2,500 순감
기본연구 233,015 216,873 △16,142 △6.9%
계 271,969 252,406 △19,563 △7.2%
소계 1,628,330 1,636,728 8,398 0.5%
집단
연구
선도연구센터 199,774 234,841 35,067 17.6%
기초연구실 173,309 178,555 5,246 3.0%
소계 373,083 413,396 40,313 10.8%
소 계 2,001,413 2,050,124 48,711 2.4%
기초
연구
기반
구축
전문연구정보활용 2,400 1,950 △450 △18.8%
기초연구 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3,120 3,020 △100 △3.2%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 5,888 7,094 1,206 20.5%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연구지원 791 791 - -
소 계 12,199 12,855 656 5.4%
합 계 2,013,612 2,062,979 49,367 2.5%
※ 출처: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2023년도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의 주요 목표는 세계적 수준의 우수 연구자 육성 및 국가
기초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지원체계 구축과 창의적・도전적 연구 환경 조성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중점 추진방향으로
① 연구자의 자율성・창의성 보장과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
②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지원 조성,
③ 대학의 연구역량이 지속적으로 축적・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등을 설정하여 지원하였다.
∙117∙
중점 방향 세부 추진내용
연구자의 자율성・창의성 보장과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신규사업 신설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 확대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지원 조성
신진연구자 지원 기준 확대
연구비 집행 기준 완화
대학의 연구역량이 지속적으로
축적・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전략성 강화, 공동연구 활성화로 대학의 거점 역할 수행
지속적 제도혁신을 통한 연구환경 최적화
집단연구의 목적성 강화를 위한 평가항목 등 개선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전면 도입
기초연구기반구축 지원 국내외 대형 연구시설 및 대용량연구데이터 활용 확대
이를 통해 기초연구사업에서 창출된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SCI논문 실적은 2019년
19,862건에서 2021년 28,459건으로, JCR 상위 10% 학술지 SCI(E) 논문 건수는 2019년
3,852건에서 2021년에는 5,241건으로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SCI(E) 논문 평균
질적 수준(mrnIF* )의 경우, 2019년 70.7에서 2021년 73.9으로 증가하여 기초연구사업의 질적
성과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 분 2019 2020 2021 평 균
SCI 논문 실적(건) 19,862 23,619 28,459 23,980
JCR 상위 10% 저널논문(건) 3,852 4,132 5,241 4,408
평균 mrnIF* 70.7 71.2 73.9 71.9
* 표준화된 순위보정지수(mrnIF): SCI 논문 영향력지수(IF)의 분야 간 차이를 순위에 기반하여 보정하는 지표로 논문성과
질적 수준 제시(100이 가장 높고, 0이 가장 낮음.)
※ 출처: 2024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내 ‘기초연구사업 성과 주요 통계’ 기준
1)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 수립
정부는 국가 차원의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중장기 계획인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을 ‘기초연구
진흥 및 기술개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수립해오고 있다. 제5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은
’23년부터 ’27년까지에 대한 계획이며, 기존의 확대된 기초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수월성을
지향하여 세계 7대 기초연구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최초・최고를 지향하는 기초연구’, ‘차세대 글로벌 인재와 함께 도약하는
기초연구’, ‘혁신주체가 힘을 모으는 기초연구’, ‘선도형 기초연구로 나아가기 위한 시스템・제도
개선’ 등 4개의 추진과제를 설정하였다.
제4차 계획과 비교한 본 계획의 주요 특징으로는 제4차 계획에서는 연구자 주도의 기초연구
2배 확대를 통해 기초연구 저변을 공고화하는데 큰 목표를 두고 있었다면, 본 계획에서는 확대된
기반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수월성을 지향하는 것에
∙118∙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글로벌 R&D 활성화, 혁신・도전적 연구 기회 확대 및 유망한
젊은 연구자 지원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제4차 계획이 수월성과 다양성 간 균형 있는 지원, 분야・지역 중심의 연구거점 구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면, 본 계획에서는 예측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 구축, 지속적인
역량 축적을 통한 영속적인 연구거점 구축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
2) 연구자의 자율성・창의성 보장과 함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확대
가) 창의・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한 신규사업 신설
장기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수요를 반영하여 신진연구사업 내 ‘한우물파기 기초연구’를
신설하였다. 이를 통해 유망한 젊은 연구자가 장기간 한 분야에서 도전적인 연구를 꾸준히 하여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10년에 걸쳐 연 2억 원 내외의 연구비를 지원하였다.
특히, 기존 신진연구사업에 대해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로 지원 대상을 설정하였던 것과
대비 ‘박사학위 취득 후 15년 이내’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더욱 많은 신진연구자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 확대
첨단과학기술분야 등 국가 수요를 반영한 전략적 기초연구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신규사업
추진 시 국가전략기술분야에 지원하여 전략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국가전략기술] 경제・국가안보, 미래혁신 관점에서 주도권을 확보해야할 12개 기술(’22.10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① 반도체・디스플레이, ② 이차전지, ③ 첨단 모빌리티, ④ 차세대 원자력, ⑤ 첨단 바이오, ⑥ 우주항공・해양, ⑦ 수소,
⑧ 사이버보안, ⑨ 인공지능, ⑩ 차세대 통신, ⑪ 첨단로봇・제조, ⑫ 양자
이를 위해, 세종과학펠로우십 내 국외연수트랙을 신설하여 우수한 박사후연구자가 국가전략
기술분야 핵심인재로 성장하여 국가경쟁력 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에 대해 2년(1+1)간 연 7천만 원(인건비) 정액 지원
또한, 선도연구센터 내 혁신연구센터(IRC) 신규 추진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관련 대학의
특성화분야 연구역량 축적 및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고, 대학의 특성화분야를 영속성 있는
연구소 체계 중심으로 연구 역량을 결집하여 전략기술의 기초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
하였다.
※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 관련 대학별 특성화분야에 대해 10년(3+4+3)간 연 50억 원 이내 지원
∙119∙
3) 우수한 젊은 연구자가 도전적인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지원 환경 조성
가) 신진연구자 지원 대상 확대
연구자 생애주기를 반영한 연구관리 지원 제도 개선 및 신진연구자 지원 확대를 위해 기존
신진연구자 자격에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교원 또한
신청가능 하도록 하여, 신진연구자 신청 자격을 완화하였다.
나) 연구비 집행 기준 완화
세종과학펠로우십의 경우, 원활한 연구 수행을 위해 회의비의 계상과 집행을 허용하여 연구비
집행 제한 사항을 완화하였으며, 연구 수행의 자율성 보장을 위해 (비전임에서 전임으로)
신분변동 시 연구수당의 계상・집행을 허용하고, 1단계 수행 후 과제중단 희망 시에는 정당한
사유로 인정하여 조기종료가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생애첫연구에 대해서는 소규모과제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간접비 비율을 5%로 일괄 적용하여 연구자들이 보다 많은 연구비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4) 대학의 연구역량이 지속적으로 축적・발전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집단연구의 산학연계 강화를 위해 지역대학 중심으로 지자체, 지역기업 등 지역혁신 주체들의
참여를 통한 연계성을 강화하여 우수성과 창출의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혁신연구센터(RLRC)에 대해 동일 권역 내에 소재한 중소・중견기업 뿐만 아니라 권역 내
대기업도 참여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RLRC에 참여 중인 연구원을 참여 기업이 채용할 경우,
해당 인건비를 기업의 현금부담금으로 인정하도록 기준을 완화하였다. 또한, 지역기업, 지역 내
R&D 전문기관이 단계평가 및 현장컨설팅 등에 참여하여 센터의 지역 내 경제・사회적 역할을
극대화하도록 하였으며, 2단계 지자체 매칭금액 보장을 통해 안정적인 지원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5) 지속적 제도혁신을 통한 연구환경 최적화 추진
가) 집단연구의 목적성 강화를 위한 평가항목 등 개선
기초연구사업의 공동연구 강화를 위해 사업・유형별 목적에 부합하도록 평가 주안점 및 평가
지표를 구체화하여, 수월성・공동연구・인재양성 등 유형별 집단연구의 목적 달성을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평가 시에는 집단연구 네트워크의 목표 설정 및 구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을 반영하였으며, 단계평가 시에는 유형별 네트워크 구성 및 활동의 적절성, 최종평가
시에는 집단연구성과 활용 확산 계획 등을 추가하여 구체화하였다.
∙120∙
또한, 집단연구에 대해 참여연구원의 ‘공공・민간연구소 선임연구원(정규직) 이상 참여 불가’
라는 제한을 폐지하여 산학연 협력을 장려하고자 하였다.
나)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전면 도입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에 대해 접수・선정평가・협약 등 연구관리 전 단계에 걸쳐
IRIS를 전면 도입하여 연구자 중심의 표준화된 연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국가연구
개발혁신법」 시행 및 IRIS 도입에 따라 연차점검(리더, 집단) 및 중간점검(우수신진연구, 중견
등)을 폐지하여 연구자 행정부담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6) 기초연구기반구축 지원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은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해외 대형연구장비 활용 지원 및
연구정보 제공을 통한 기초연구 역량과 글로벌 창의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올해는
기초연구에 필요한 대형연구 장비 활용 국제협력 및 대용량 실험데이터 제공, 연구정보 제공
등 기초연구기반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안정적인 예산 확보(2023년 예산
기준 약 129억)를 통해 내실 있는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사 업 사업목적 및 특성 연간 연구비 지원기간
유럽핵입자
물리연구소
(CERN)협력
CERN 연구소의 검출기 실험 및 이론 물리 연구에 참여하고 대형 검출기
(CMS, ALICE) 내 주요 장치를 공동 개발하는 등 국제협력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 역량 확보
CMS 40억 내외
ALICE 17억 내외
이론물리 6.4억
참여부담금 7억
3년
(계속)
기초연구
실험데이터
글로벌허브구축
첨단 연구 장비, 거대 관측 장비 및 모의실험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실험
데이터의 공유 분석 환경 및 컴퓨팅 인프라 지원
30억 내외
3년
(계속)
해외대형연구시설
활용연구지원
국내에 없거나 성능이 우월한 해외 최첨단 대형연구시설에 대한 국내
연구진의 접근성 향상으로 국제교류 및 선진 실험기법 습득 기회를 제공
하여 연구역량 향상 및 우수성과 창출
사업단별
1~2억 내외
3년
전문연구정보활용
기초연구 분야의 연구정보를 수집・가공・재생산하여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이용자 간 교류・소통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기초연구 활성화 도모
정보센터 당
3억 내외
6년
(3+3)
※ 출처: 2024년도 기초연구기반구축사업 시행계획
∙121∙
3. 향후 계획
2024년부터 기초연구사업은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성과 창출을 위해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위한 지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유망한 연구자가 창의・도전적인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 기회를 확대하고, 초기에 연구현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연구
시설・장비 등 인프라 구축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기존의 리더 연구, 선도연구센터 등
우수한 연구과제를 글로벌 R&D 형태로 추진하는 등 글로벌 기초연구를 활성화하여 글로벌
수준의 연구자와의 교류를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소규모지만 우수한 연구를 지원하는 ‘창의 연구’를 신설하여 역량 있는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새롭게 지원할 계획이다.
그리고 집단연구에서는 대학의 우수한 연구거점이 지속적인 역량 축적을 통해 글로벌 연구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국가적 수요가 높은 국가
전략기술 분야의 경우, 작년에 신설된 ‘혁신연구센터(IRC)’를 추가 지정하고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지속적인 제도혁신을 통해 우수한 연구자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성과 창출을
통해 글로벌 기초연구 역량을 확보하고,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122∙
제5절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1. 개요
우리나라는 현재 지방지역 소멸,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재해의 복합화, 기술패권 경쟁의 심화
등 눈앞에 놓인 국가적인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주요책으로 과학기술이 기반이 되는
미래를 선도적으로 준비 중이다. 과학기술은 우리나라가 확보해야 하는 최우선 목표가 되
었으며,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중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인-국가-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중심 연구개발
(R&D)이 강화되면서, 사회와의 소통과 참여가 중요하게 되었으며, 지역 소멸에 대응하는 과학
기술 기반 지역 자생력 강화를 위해 과학기술문화의 중요성 또한 같이 증대되었다.
그렇기에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문화 활성화를 통해 국민의 삶을 바꾸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나아가 국가의 미래 성장을 주도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이끌 과학기술 소통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에 있으며, 과학기술문화의 창달을 위해 제1차 과학
기술문화 창달 5개년 계획(’03∼’07)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및 관련 산업의
육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지역 중심의 과학기술문화 생태계 활성화
「과학기술기본법」 제30조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지식 수준을 높이고 과학
기술이 사회전반에 널리 이용되며 국민의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문화를 창달
한다.”는 조문이 있다. 이는, 온 국민이 차별 없이 과학문화를 누릴 수 있게 정부에서 여러
시책을 수립하도록 법적으로 명시한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를 위해 지역 및 사회・
경제적 배려계층을 대상으로 격차 해소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였다.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는 전국 광역지자체별로 구축되어 지역 내 풀뿌리 과학문화를 활성화
하는 핵심기관으로, 지역 과학문화 사업을 총괄 기획・운영하며, 다양한 과학문화 활동 협・단체
발굴 및 지역이 보유한 과학문화 자원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각 지역 내 과학문화를 활성화
하고 있다. 2023년에는 지역 과학문화 주체들의 주도적인 정책 및 사업추진을 위한 지역거점
∙123∙
센터 대상 역량 교육과 자생적인 지역 과학문화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전문 컨설팅을 제공
했으며, 지역이 보유한 대표 자원을 활용하여 특색있는 브랜드 발굴을 통한 프로그램을 운영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부산에서는 동래읍성 ‘장영실 과학동산’에서 장영실의 발명품과 발명
기기를 활용한 천문 행사를 운영하는 등 지역민 참여를 활성화했다.
또한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를 위해 과학문화바우처, 생활과학교실 운영 및 두드림 프로젝트
(찾아가는 과학관 운영)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하였는데, 대표적으로 과학문화바우처는 연 30,000명의
소외지역・계층을 대상으로 과학전시・체험・공연 등 과학문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1인당
지원 금액을 상향(3→5만 원)하고, 주요 권역별 과학문화상품 발굴을 통해 전년 대비 219종
증가한 총 747종의 상품을 제공하여 수혜자 편의성을 제고하였으며, 과학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강원 정선, 충북 음성, 경남 합천) 주민 대상 ‘찾아가는 바우처’ 신규 운영으로 과학에 관심은
있으나 기회가 많지 않았던 국민들의 과학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었다.
<표 2-30> ‘과학문화 바우처’ 우수 이용수기
“바우처가 없었다면 평생 ‘과학은 어렵다’라고 생각했을 텐데 이번 기회로 잊고 있었던 어릴 적 꿈을 되찾으며, 과학과
다시 가까워지게 되었습니다. 대학교 진학을 준비할 때 과학 관련 전공을 새로 고려할 만큼 과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일상에서도 과학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더 깊게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바우처 이용 학생)
“과학문화바우처로 로켓 만들기 교구를 구매해 아이들의 답답하고 심심한 마음을 달래주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로켓을
만들어 주말마다 학교 운동장에서 시간을 보냈고, 높이 날리기, 멀리 날리기, 목표물 조준하기 등 로켓을 가지고 노는 방법도
다양하게 고안해 내며 신나게 뛰어놀았답니다. 덕분에 딸은 과학을 더 좋아하게 되었고, 우리 가족은 좋은 추억을 많이
만들 수 있었습니다.” (바우처 이용 가족)
나. 민간 자생력 강화를 통한 과학문화산업 육성 본격화
민간 협・단체의 자생적인 과학문화 활동 기반 마련 지원을 위해 과학카페를 개점하여 과학적
요소를 가미한 식음료를 개발・판매하고, 공간 내 과학기술 전문가 강연, 체험, 워크숍 등을
운영하였다. 올해 2년차를 맞이한 과학카페는 13,713명 방문 및 9,773만 원의 수익을 창출
하였고, 경력단절 여성 및 은퇴 과학자 등 70명에게 강사 활동 기회를 제공하여 민간 주도의
실질적인 경제효과 창출 및 판로 확대를 지원하였다.
또한, 과기계 이슈를 반영한 다누리호 브릭, 티셔츠 등 항공우주 테마 굿즈, 과학위인 굿즈
등을 제작 판매하여 15,120개 굿즈를 판매하고, 7,662만 원 수익을 창출하였으며, 소외
지역・계층 청소년 대상 과학문화 프로그램 운영하였다.
올해 신규로 대중 과학소통 활성화를 위해 ①AI-사회문제 관련 전문 포럼을 운영(전문가,
일반인 등 240명 참가), ②달탐사 기후위기 등 16개 과학기술 이슈를 발굴하여 이슈페이퍼
∙124∙
8종을 발간 및 배포, ③과기계 학회 연계 어려운 과학용어를 100건 발굴하고, 대체용어를
제시하여 기획기사를 출고, ④국가전략기술 콘텐츠 제작 활동을 지원하였다.
과학카페 ‘QUA(쿠아)’ 과학기자 대회 과학굿즈 제작・판매
[그림 2-25] 민간 과학문화 활동 과제 지원
아울러, 공공이 보유한 과학문화 역량(인력, 콘텐츠 등)과 민간의 우수한 인프라(공간, 자본
등)를 매칭하여 과학문화 시장 확대를 위해 우수과학문화상품 아이디어 사업화를 지원하고,
우수과학도서를 인증하고 홈플러스와 연계하여 상품 전시 및 판매를 진행하였다.
다. 과학기술인과 함께 과학과 사회 소통 가속화
매년 4월 21일은 법정기념일인 ‘과학의 날’로, 과학기술처의 발족을 기념하고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지정되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을 ‘과학의 달’로 지정하여
다양한 과학행사를 운영 중인데, 1997년 이래로 올해 27회째를 맞이한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중앙-지역(대전)-민간(과민협) 공동기획・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역대 최대 관람객 수를 달성
하는 등 도심형 과학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특히, 차세대 모빌리티 시승 체험 및 과학
문화 전문인력의 강연,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대중이 과학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큰 호응을 받으며 함께 즐기는 과학기술문화를 확립하였다.
[그림 2-26]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사진
∙125∙
또한, 미래 과학기술인재 양성 기반을 위한 청소년 과학활동지원사업도 운영하였다. 과학기술
인프라 연계・협력을 통해 최고・최신 과학기술 분야를 현장 탐방하는 ‘청소년 과학대장정’을
확대 운영하여 반도체, AI, 로보틱스 분야 국내 주요 연구기관 및 기업을 방문하고, 취리히연방
공대, CERN 등 해외유수기관을 탐방하여 과학진로 설계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청소년 과학
페어를 개최하여 청소년들에게 과학기술이 지닌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연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과학문화 혁신 포럼’(3회)과 ‘과학문화 심포지엄’(1회)을 개최하여 과학기술문화
이슈를 발굴하고, 과학문화 생태계 활성화 노력 및 향후 방향성 제시 등 과학문화 정책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다. 정책 논의 결과는 언론보도, 유튜브 채널(사이언스프렌즈) 등 다양한 홍보
채널을 통하여 과학문화 이슈를 확산하였다.
3. 향후 계획
‘지역・민간의 자생적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함께 즐기는 과학기술문화’,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반’을 추진해야 할 중점 방향으로 설정하고 과학기술문화 혁신 주체들의 성장과 참여로
풍성해지는 역동적 과학기술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먼저 ‘지역・민간의 자생적 과학기술문화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과학문화 주체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소외지역 및 계층 대상 맞춤형 과학기술문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함께하는 성장을
만들고자 한다. 민간 과학문화 주체 또한 다양하게 발굴하여 과학문화 활성화를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과학축제’ 등 오프라인 과학문화 축제 대표 브랜딩을 확립하고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 제고에 힘쓰며, 성인 과학기술 기초소양 고도화 및 참여 확대를 통해 ‘함께
즐기는 과학기술 문화’를 형성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플랫폼 확장을 통하여 국민의 과학문화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국내외
과학문화 네트워크 소통 및 협력 활성화를 통하여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한다.
∙126∙
제4장 혁신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
제1절 민간주도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1. 중소기업 기술혁신 질적 성과 향상
가. 개요
최근 중소기업을 둘러싼 경제 상황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유동성 축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고금리, 경기 둔화 등 여러 위기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였다. 외부 환경에
취약한 중소기업은 경영상의 어려움이 가중되었으나, 정부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R&D를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그림 2-27] 중소기업 R&D 주요성과 현황
그 결과, 고용, 매출, 수출, 특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5년간 중기부 R&D를 지원받은 중소기업 성과를 분석하면, 신규 고용은 총 156,021명이며,
∙127∙
이 중 R&D 전문인력은 77,01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를 통한 매출은 총 17조 원이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은 31.2억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기업 2,153
개사 중 824개사가 최초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였다. 또한, 26,334건의 특허가 출원・등록되었고
국가 R&D 등록 특허 중 중소기업 R&D로 인해 창출된 특허 비중은 증가 추세이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중소기업 R&D 제도개선
지난 2021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COSTII) 평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
역량’ 종합순위는 OECD 회원국 내 평가대상국인 36개국 중 5위인 반면 제도적 여건은 30위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지원 효과성은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 전문가 간 의견수렴을 거쳐 중소기업 기술
개발 지원사업 제도 현황을 점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R&D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질적 전환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1) 역량과 잠재력을 갖춘 중소기업의 R&D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2) 성과 창출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3) 기술개발
과정에서는 환경 변화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유연성을 확대하는 등 R&D 전 과정을
점검・개선하였다.
먼저 결격요건을 최소화하고, 신청절차를 간소화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과제 신청기업의 재무
요건 결격 기준을 완화하고, 연구개발계획서 서식을 연구개발 내용 중심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간소화하였다. 중소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하던 신청서류 역시 기존 13종에서 5종으로 대폭
축소하는 등 중소기업의 R&D사업 신청 부담을 대폭 완화하였다.
둘째, 지원과제 선정평가 기준을 개선하였다. 과제 내용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과제에 대한 분류 절차를 개선하고, 기존 개발 중심 평가에서 기업의 성장 관점까지
아우를 수 있도록 ‘선행연구’에 대한 평가 기준을 신설하였다.
셋째, 기술개발 계획 변경의 자율성을 확대하였다. 기존에는 사전승인을 받아야 기술개발
추진전략, 방법 등이 변경 가능했으나, 연구기관이 자체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연구비 사용기준을 완화하고, 인정 범위는 확대하였으며, 증빙에 대한 부담은 완화하였다.
이번 제도개선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98.1%가 보통 또는 만족으로 응답하였으며, 실제
기업의 신청서류 준비 부담이 35.1%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중소기업의 R&D 여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8∙
2) 민간주도 방식의 R&D 확대
글로벌 시장의 기술혁신 주기, 소비자의 신기술 수용 속도는 과거 대비 현저하게 빨라지고
있다. 특히 AI의 성능 향상 속도는 기존 무어의 법칙보다 7배가 빠르다는 발표(AI Index
2019, 스탠포드大)가 있을 정도로 중소벤처기업을 둘러싼 R&D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 지원만으로는 근본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으며, 민간투자시장과
연계하여 스케일업 단계의 유망기업을 엄선하고 집중 지원하는 스케일업 팁스를 도입하여
R&D를 민간주도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먼저, 운영사 방식을 도입하였다. 민간투자사와 연구개발전문회사가 운영사 컨소시엄을 구성
하여 기업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민간투자사의 기업 성장 가능성에 대한 안목, 투자
역량과, 연구개발전문회사의 기술 역량을 십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민간 운영사가 유망기업을 先투자(10억 원 이상)하여 정부에 추천하면, 정부는 평가를
거쳐 매칭투자(최대 20억 원)와 출연R&D(최대 3년 12억 원) 방식으로 R&D를 지원한다. 이 중
매칭투자는 정부 투자액의 50% 이상을 R&D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출연 R&D 대비 자금
집행의 자율성이 높다는 것이 장점이다.
<표 2-31> 스케일업 팁스 지원 개요
구 분 매칭투자 출연R&D
지원대상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서 정한 중소기업
지원조건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10억 원 이상 투자 후 신청
재원 모태펀드 연구개발출연금
지원방식 매칭투자 R&D출연
지원
내용
지원기간 제한없음 36개월
지원한도 1배수 이내 매칭, 최대 20억 원 최대 12억 원
기업부담금 - 총 연구개발비의 25% 이상
신청・접수 수시
선정평가 3, 5, 7, 9, 11월
그간 스케일업 팁스를 통해 ’21.12월부터 ’23.12월까지 총 200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그 중
제조・하드웨어 분야 기업의 지원 비율은 73.5%로 일반적인 벤처투자시장 투자비율(41.0%)의
1.8배 수준이었으며, 비수도권 기업 지원 비중은 41.0%로 일반적인 벤처투자시장 투자비율
(24.4%)의 1.7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창기임에도 불구하고 지원기업 중 43개사(21.5%)가 1,403억 원의 후속투자를 유치
하였으며, 코스닥(3개사) 및 코넥스(1개사) 상장, 2024 CES혁신상 수상(4개사) 등 다양한 성과가
조기에 나타나고 있다.
∙129∙
또한 2023년 3월 「高위험・高성과 R&D 추진계획」을 통해 역량, 의지를 보유한 중소벤처
기업이 혁신적 R&D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민간으로부터 파급력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민・관 합동 1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지원, 연구 자율성 보장, 실패 부담
경감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도전적 R&D를 뒷받침할 예정이다.
지난 5월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접수된 수요를 바탕으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운영하였으며,
3개의 프로젝트 RFP를 최종 도출하였다. 각 프로젝트 RFP에 대해 운영사가 先투자(20억 원)를
수행기업을 추천하였으며, 4단계의 평가를 통해 2개 기업을 최종 선정하였다. 2024년부터
본격적인 R&D 지원과 전담 PM을 통한 마일스톤 관리가 진행될 예정이다.
3) 중소기업 R&D 구조개편
그간 정부는 중소기업 R&D 지원 규모를 확대해 나가면서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했으나,
혁신역량에 따른 선택과 집중 필요, 개별기업 단편 지원을 넘어 장기적 관점의 혁신 전략성
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제3회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포럼을 통해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에
전략적 지원, 글로벌 R&D 협력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중소벤처기업부 R&D 구조 개편 방안’을
발표하였다.
먼저, 중소벤처기업 R&D 사업 구조 효율화를 위해 유사・소규모 사업을 기축사업을 중심으로
단순화하였다. 이를 통해 포괄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전략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하였으며, 성장・육성, 혁신 생태계, 혁신 인프라 등 R&D 지원방향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혁신역량에 따라 혁신선도기업과 일반중소기업으로 구분하는 투트랙 지원으로 장기
전략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국내 혁신선도기업은 전략기술 테마를 중심으로 민・관 합동 100억 원
규모의 과감한 R&D지원을 통해 글로벌 선도기업(World-Frontier)으로 육성해 나가며, 일반
중소기업은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업종별 공통수요 기반 지식
재산(IP)을 공유하는 등 R&D 성과확산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해외 선도연구기관과 R&D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 위해 보스턴, 뉴욕에서 2차례의
밋업(Meet Up) 행사를 진행하였으며,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1마일스퀘어’로 불리는 보스턴
켄달스퀘어(Kendall Square) 내 R&D 협력 거점(TIPS@Boston)을 개소하였다.
∙130∙
4) 중소기업・소상공인 디지털전환 기술개발 지원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스마트화가 생산 및 제조업의 혁신방안으로 자리잡고
있고, 우리나라 또한 중소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 ICT 등을 포함하는 정보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화・지능화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 중 하나로 제조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품질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22년 총 395개 과제를 선정하여 20,750백만 원을 지원하였고, ’23년에는 총
441개 과제를 선정하여 24,383백만 원을 지원하였다.
특히, 2023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노후화 설비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트로핏*
기술에 대한 제조 중소기업의 수요를 적극 반영하여 설비・부품 기능 개선, 네트워크 구축 등
기존 노후 생산장비의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과제를 우대 지원하였다.
* 리트로핏(Retrofit) : 노후화된 기계장비・장치의 성능개선 및 디지털화를 위해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네트워크
장비 등을 추가 설치하는 단기 공정개선 방법
또한, 스마트 제조 3대 핵심 기술분야(1.첨단제조, 2.유연생산, 3.현장적용)의 공급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스마트 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23년 440개 신규과제 등에 42,042억 원을
지원하였고, 실제 제조 현장의 수요 반영을 위해 온・오프라인 공청회를 실시하여 현장적용분야
세부품목서 30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계속 과제 관리를 위한 기업 간담회 개최 및 고객 문의
전용메일을 개설하는 등 소통채널을 확대함으로써, SCIE급 논문 12건, 지식재산권 79건, 신규
고용 창출 210명 등의 의미있는 성과도 창출하였다.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도 스마트화 지원을 위한 “스마트 서비스 ICT솔루션
개발” 사업을 운영중이다. ’21년 사업을 신설하여 22개 과제 선정・지원을 시작으로 ’23년엔
65개 계속과제에 대해 12,125백만 원을 지원하였다. 해당 사업으로 서비스 분야 중소기업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맞춤형 솔루션 개발 및 관련 공급기업들의 기술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개술개발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국가경제의 근간을 지탱하는 중요한 주체이나 코로나19 이후 매출감소 등 경영난에
직면하면서 디지털 전환이 필요했다. ’21년 스마트 플랫폼 실태조사(중기부) 결과, 플랫폼
이용업체 중 74%가 매출액의 절반 이상이 플랫폼을 통해 발생했으며, 디지털 장비・기술에 대한
수요는 65.3%이나 실제 실행은 18.4%에 불과했다.
이에, 정부는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위하여, 3개의 기술개발 사업을 운영하였다. 소상
공인이 직접 기술개발을 수행하는 “소상공인 생활혁신형 기술개발사업”, 전통시장・상점가의
∙131∙
스마트화를 추진하기 위한 “스마트 전통시장 상점가 기술개발 사업”,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소상공인 디지털화를 위한 “소상공인 스마트기술 육성 기술개발사업”이 정부의 신규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사업이다.
소상공인 맞춤형 기술개발 사업 운영을 통해, ’20년부터 ’23년까지 2,898개 소상공인 사업장에
개발한 기술・제품 보급을 완료하였으며, 과제에 참여한 소상공인 등은 사업화 성공률이 70%에
달하고 있다. 특히, 과제 매출액은 정부출연금 1억 원당 3.72억 원으로 높은 경제적 성과를 창출
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지원을 위해 소상공인-중소기업-전문가로 구성된
“스마트 얼라이언스” 협의체를 통해 유기적인 기술개발 수요-공급 연결을 통해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5)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
신(新)기후체제로의 전환에 따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산업은 ‘고탄소 산업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탄소 배출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
이다. 특히, 중소기업은 대기업 대비 전환 역량이 부족한 상황으로, 저탄소 공정으로 전환하려는
중소기업의 상당수는 전환 방법을 알지 못하여 아직 준비하지 못하거나, 해외기업 컨설팅 등에
의존하고 있다.
* 연평균 증가율(’14~’18): 전체(1.3%) < 산업부문 대기업(1.7%) < 산업부문 중소기업(2.9%)
중소기업의 저탄소 전환은 국가적 목표 달성뿐만 아니라 개별 중소기업이 탄소국경세,
글로벌 공급망 탄소관리 강화에 대응,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정부는 2022년부터 중소규모 산업현장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 탄소중립 선도
모델 개발’, ‘중소기업 Net-Zero 기술혁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2년 총 26개 과제를
선정하여 12,000백만 원을 지원하였고, ’23년에는 동 과제에 대하여 계속사업비로 총 18,627
백만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온실가스 검증기관과 연계하여, 수행기관과의 1:1 컨설팅 지원 및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절차 수립을 통해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신속한 탄소중립 전환을
위해 국내・외 기술개발사례 분석, 현장의견 청취 등 정책방향 모색을 위한 간담회를 실시하였다.
∙132∙
’22년 ’23년 ’24~’25년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감축기술 평가 방향 수립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준비
Net-Zero기술 및 감축유형 분석 타당성평가 보고서 작성 개발기술 적용 모니터링 보고서
온실가스 감축효과 분석・산정 감축기술 타당성 평가 감축기술 검증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Tool개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보고서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 확인서
주기적인 온실가스 감축 전주기 모니터링(컨설팅, 현장방문 등)
[그림 2-28] 온실가스 감축량 검증 절차 수립
향후, 계속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저탄소 전환 촉진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여 저탄소 분야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기술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 향후 계획
중소기업 R&D 지원 전략성을 지속 확립하여 ‘R&D다운 R&D’로서의 면모를 강화할 예정
이다. 고위험・고성과 R&D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는 추진 경과와 지원 성과를 점검
하여 보완・확대해 나가고, 유망 중소벤처기업이 글로벌 선도연구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계속해서 조성해나갈 예정이다.
2. 신기술・신산업 중심의 창업 및 성장지원 강화
가. 개요
세계 각국은 미래 신기술・신산업 분야를 선점하고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과학
기술 기반 혁신경쟁을 치열하게 전개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 또한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국가
도약과 성장을 국정운영 비전으로 제시하고, 혁신 주체의 역량 제고 및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세부 전략으로 수립하였다.
과학기술 성과의 경제적・산업적 활용을 통한 혁신을 위해 정부에서도 『딥테크 유니콘기업
창출을 위한 스케일업 R&D 투자전략(2023.1.12., 관계부처 합동)』을 발표하는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각종 사업화・창업 지원과 민간 투자 확대에 따라 최근 창업기업 수와
∙133∙
기술이전 건수 등은 양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지만, 서비스플랫폼・상품중개업 등의 단순 플랫폼
중심 창업기업 비중이 증가하고 소규모 기술이전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혁신경쟁을 선도할
고난도 과학기술기반 사업화・창업의 투자 확대를 통한 질적 성장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고난도 과학기술 기반 사업화・창업은 신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성장을 이끄는
혁신의 원천이다. 최근 조사 결과, 대학・출연(연)의 기초・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험실창업
기업의 평균 고용 규모는 9.5명으로 전체 창업기업 평균 2.85명에 비하여 3배 이상의 고용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국내 전체 일자리 순 증가분 중 약 90%가 창업기업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고무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2023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기반 기술사업화 및 실험실창업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과 정책을 추진하였다. 전문기관을 연계한 기초-원천-기술사업화의 전주기 기술
고도화 지원 및 기초・원천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시장 수요에 맞게 동시・병렬적인
기술성숙도 향상 지원 등 다양한 기술 스케일업 사업을 추진하였고, 교육부・중기부와 합동 사업
추진으로 대학 發 실험실창업 전주기 지원 및 대학・출연(연) 이공계 연구원의 연구성과 기반
창업과 시장친화적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창업탐색교육 또한 추진하였다.
특히, 2023년 6월에는 고난도의 과학적 지식과 R&D를 기반으로 하는 신흥 기술분야의 도전적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수립 및 추진
정부는 2023년 6월 21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딥사이언스 창업은 고난도의 과학적 지식과 R&D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기술, 핵융합, 합성생물학 등 신흥 기술분야의 도전적 창업을 의미한다. 정부는 딥사이언스에
기반한 기술혁신이 미래 신산업의 씨앗으로 성장하여 창업과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본 방안에는 딥사이언스 맞춤 창업지원과 딥사이언스 창업 성장 생태계 조성을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8대 중점과제를 제시하였다. 딥사이언스 맞춤 창업지원과 관련하여 연구자-경영자
협력형 창업 R&D지원, 경쟁형 방식의 강한 지식재산 발굴 확보, (가칭) 딥사이언스 마중물
펀드 조성, 핵심 연구시설・장비 및 전문인력 확보 지원을 중점 추진한다. 딥사이언스 창업 성장
생태계 조성과 관련해서는 민간 중심의 지식재산 활용 및 기획형 창업지원 강화, 해외 시장으로
∙134∙
이어지는 창업 성장 사다리 구축, 딥사이언스 분야 혁신제품 지정 및 시범구매 확대, 공정한
성과배분 및 보상방식 다양화 등을 추진과제로 제시하였다.
또한, 딥사이언스 분야에서 도전성・혁신성이 인정되는 기업을 딥사이언스 기업으로 지정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한다. 이들 기업은 정책금융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병역지정업체 추천 시
가점부여, 연구기관 또는 클러스터 내 유휴・저활용 장비 우선 이전・지원 등 다양한 지원책을
모색한다.
아울러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를 통한 미래 먹거리 산업 창출을 위해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딥사이언스 분야 창업을 준비하는 연구자에게 최대 5년
(3+2년)간 기술고도화 R&D와 창업기업 성장지원을 통해 고난도 과학기술이 경제적 가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목표 과학기술 성과를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R&D 창업을 통해 신산업의 씨앗을 육성
추진방향 주요 추진과제
딥사이언스 맞춤 창업
지원
연구자-경영자 협력형 창업 R&D 지원
경쟁형 방식의 강한 지식재산 발굴・확보
(가칭) 딥사이언스 마중물 펀드 조성
핵심 연구시설・장비 및 전문인력 확보 지원
딥사이언스 창업 성장
생태계 조성
민간 중심의 지식재산 활용 및 기획형 창업 지원강화
해외시장으로 이어지는 창업 성장 사다리 구축
딥사이언스 분야 혁신제품 지정 및 시범구매 확대
공정한 성과 배분 및 보상방식 다양화
[그림 2-29]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목표 및 중점과제
2) 기초・원천 연구성과 기술 스케일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2023년에 정부는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창출된 연구성과를 연구자 주도로 빠르게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고도화 할 수 있도록 부처 내 전문기관 간 협력을 통한 전주기
기술 스케일업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기초-원천-기술사업화 전주기 연계 지원을 위해 전문
기관 공동으로 우수 기초연구성과・기업수요를 발굴하였으며, 매칭된 연구성과-수요에 대해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연구자 주도・출연(연) 중심 기술고도화를,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은 고도화된
기술의 기술 실용화를 지원하는 등 전문기관 간 협업으로 단절 없는 부 내 이어달리기를 추진
하여 2023년에는 14개 과제를 선정・지원하였다.
∙135∙
[그림 2-30] 부처 내 전문기관 간 기술 스케일업 협업체계
또한, 우수 기초・원천 연구성과를 발굴하여 다양한 시장 수요에 맞게 동시・병렬적으로 기술
고도화 및 실용화 지원하는 ‘공공연구성과 가치창출 기술키움 사업’ 또한 추진하였다. 과기
정통부는 테크노믹스 시대 기술 확보 전략으로서 기초・원천기술 활용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원천기술의 특성을 고려한 기술 스케일업 지원 사업을 2022년에 착수하였고, 지난
2년간 74.6억 원을 투자하여 현재 4개 기술키움 연구단을 구성하여 지원하고 있다. 본 사업은
기초・원천 연구자(기술 보유자), 수요기업, TLO 협력 방식의 사전기획 및 단계별 경쟁형 지원
방식을 도입한 기술 실용화를 위한 기술키움 패키지 지원 사업으로, 사업 착수 이후 4개 기술
키움 연구단을 통해 기술이전 계약 15건, 계약 금액 113억 원(건당 계약 금액 7.53억 원) 및
창업을 통한 연구소기업 설립 등 우수한 양적・질적 성과를 창출하였다.
3) 대학・출연(연) 연구성과 기반 실험실 창업 전주기 지원
2023년 정부는 관계부처 간 협력을 통해 대학 실험실창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 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사업’을 추진하였다. 본 사업은 연구성과와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선정하여 창업 유망기술 발굴부터 후속 R&BD, 창업까지 지원하는 다부처 협력형 사업이다.
교육부는 창업 인프라 조성, 과기정통부는 기술개발 등을 포함한 창업 준비를 지원한다. 창업에
성공한 초기 실험실 창업기업은 중기부의 ‘실험실 특화 창업중심대학 사업’과 연계하여 사업화
자금과 멘토링 등을 지원받는다.
∙136∙
부처 교육부
+
과기정통부 중기부
시행기관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창업진흥원
사업명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과학기술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
실험실 특화
창업중심대학
역할 실험실창업 인프라 조성 실험실창업 준비 지원 실험실 창업기업 성장지원
지원내용
창업 교과목・동아리,
학생 수당 등 지급
BM고도화, 후속 R&D,
실전 창업교육
사업화 자금, 멘토링 등
창업 유도 창업기업 성장
[그림 2-31] ‘과학기술 기반 혁신창업대학 육성사업’ 관계부 간 협업체계
2023년은 2단계 사업이 시작되는 첫해로 실험실창업 성공률 제고를 위해 사업을 개편하여
시행하였다. 첫 번째로 혁신창업 실험실 선정 단계에서 대학별 사전기획을 통해 기술의 우수
성과 창업 성공 가능성 등을 검증한 후 본 과제 지원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기존 대학 단일 지원방식에서 대학 간 컨소시엄 참여를 허용하여 창업에 필요한 우수 유망기술
범위를 확대하였다. 이는 실험실창업 시 각 대학의 강한 분야 특허 혹은 기술을 융합한 포트
폴리오를 구성하여 대형 창업 성과 창출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세 번째는 실험실창업의 주체를
확대하였다. 기존의 대학 교원뿐만 아니라 실험실 소속 대학원생 및 박사후연구원 창업으로
확대하였다.
2023년에는 13개 주관대학을 포함하여 23개 대학을 선정・지원하였다. 주관대학의 자체평가
및 전문기관 검토를 통해 142개의 혁신창업실험실을 선정하였고, 2023년 12월 말까지 101개
혁신창업실험실이 창업에 성공하여 창업률 71%를 달성하였다.
또한, 이공계 대학원생과 박사후연구원, 과기분야 출연(연) 연구자를 대상으로 ‘I-Corps
방법론’을 활용한 시장연계 창업탐색교육・창업보육 등을 지원하는 ‘공공기술 시장연계 창업
탐색 지원사업’ 추진하였다. 과기정통부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우수 창업모델인 ‘I-Corps
방법론’을 벤치마킹하여 2015년에 2개 대학과 국내・외 창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본 프로그램을
국내에 시범적으로 도입하였고, 지난 9년간 650억 원을 투자하여 현재 전국 7개 대학 실험실
창업혁신단과 국내・외 창업교육기관을 통해 권역별 창업탐색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2023년에는 170억 원을 투입하여 대학원 연구자로 구성된 125개의 창업탐색팀과 과기분야
출연(연) 연구자로 구성된 15개 창업탐색팀의 창업탐색교육 및 창업보육을 지원하였다.
2015년 사업 착수 이후 705개 창업탐색팀이 본 창업탐색교육을 수료하였고, 305개의 창업
기업 설립을 지원, 이들 기업에서 2,224명의 신규 고용창출과 4,173억 원의 후속 투자를 유치
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137∙
다. 향후 계획
국가 R&D의 지속 확대가 과학적 성과 확대를 이끌고 있고, 창업・벤처 생태계 또한 양적,
질적 측면에서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신기술・신산업 분야 창업 기술
사업화 활성화를 위해 사업추진, 제도 정비, 생태계 조성 등을 지속 수행하여 R&D를 통해 창출된
연구성과가 미래성장동력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창업기업이 미래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성장
하여 국가 경쟁력의 디딤돌이 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3. 기업의 혁신 R&D역량강화 지원
가. 개요
기업부설연구소는 민간기업의 R&D 활동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제도 시행(1981년) 이후부터
그 규모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현재 약 4만 4천여 개가 설립・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연구개발비의 80%를 집행하는 등 국가R&D의 주축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기업부설연구소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자,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역량을 수치화하여 진단하는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진단 모델’을 개발(2021년 12월), 이를 활용하여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강화 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2022년∼).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강화 지원사업’은 기업부설연구소를 R&D역량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위 그룹으로의 도약에 필요한 방안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기업부설연구소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용 육성사업이다. 역량진단 모델에 따라 구분된 [잠재형], [성장형],
[도약형] 연구소는 본 사업을 통해 각각 기술애로 해결, 보유기술의 고도화, 선도기술・제품의
개발을 지원받는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2023년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강화 지원사업’은 민간R&D협의체에서 도출된 5개 혁신
성장 산업분야(△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첨단바이오, △미래 모빌리티, △디지털전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R&D과제(25개)를 선정・지원하였다. 상대적으로 R&D역량이
미흡한 [잠재형] 연구소에 대해서는 대학・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 매칭을 실시하여 연구소가
직면한 기술애로의 해결을 지원하였으며, [성장형], [도약형] 연구소에 대해서는 연구소가 기술
은행에서 이전받은 공공기술을 활용하여 자사 주력제품(기술)의 고도화 및 혁신적 신제품・
신기술 개발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138∙
더불어, 기업부설연구소의 R&D역량증진 및 효율적 연구수행을 도모하고자 성과보고회,
워크숍을 개최하고 현장컨설팅(전수대상)을 실시하는 등 수행기관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리하였으며, 각 과제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사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의견을
수렴 및 적극 사업에 반영함으로써 효율적 연구활동 지원에 노력하였다.
수행기관 성과보고회(7.20~7.21) 수행기관 워크숍(8.31~9.1)
[그림 2-32] 수행기관 성과보고회 및 워크숍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 수립한 기본계획의 추진과제를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기업부설
연구소의 지속적 기술경쟁력 향상 및 질적 성장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 기업R&D 역량기반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또한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 성장을 위한 후속 신사업을 기획・발굴하여,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체제에서 우리 기업이 글로벌 혁신 생태계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4.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가. 개요
2023년 한 해는 창업・벤처 생태계에 있어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높은 기준금리로 인해 벤처・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가 경색되면서, 온라인・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 창업생태계는 여전히 뜨겁다.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에서 발표하는 전 세계 창업 생태계 순위에서 서울은 ’22년 세계 10위를 기록한데
∙139∙
이어,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23년 10위권(12위)을 유지하였다. 1월에는 역대 최고치인
111개 벤처・창업 기업이 CES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벤처・스타트업이 전 세계 최고
수준임을 나타내었다. 한편, 중기부 소속 벤처 투자회사 기준으로 집계된 신규 벤처 투자
(1~3분기 기준) 역시 저금리 기조였던 ’21년(10.9조 원), ’22년(10.2조 원)보다는 낮은 수준
이지만 코로나19 수준인 ’19년(5.4조 원), ’20년(5.4조 원)보다 높은 7.7조 원을 나타내 벤처
투자가 회복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림 2-33] CES 혁신상 수상 추이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법령 개선
정부는 벤처 투자 생태계의 고도화와 민간 자본 유입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2023년 4월 「벤처 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벤처
투자조합에 더하여, 벤처 투자조합에 대한 간접・분산 출자를 통해 안정성・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민간 재간접 벤처 투자조합’ 결성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어 6월 추가적인 법률 개정을
통해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스타트업의 투자유치를 위한 ‘조건부지분전환계약’, 저금리
융자와 신주인수권을 결합해 스타트업의 자금을 지원하는 ‘투자조건부 융자’, 벤처 투자조합의
대규모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한 ‘특수목적회사’ 설립 등 투・융자 복합 벤처금융기법의 도입
근거를 마련하였다.
∙140∙
증권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벤처기업이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는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1주당
최대 10개의 의결권을 가진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2023년 5월에 개정, 2023년 11월 17일자로 시행되었다. 벤처기업의 창업주에게
복수의결권 주식을 발행하여 기업 성장에 필요한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외부자금의
용이한 조달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미국 등 벤처 선도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복수의결권
주식을 활발히 활용하고 있으며, 나스닥에 상장된 구글(Google)과 쿠팡(Coupang)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에도 복수의결권 주식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벤처기업의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023년 9월에는 「중소기업 창업 지원법」에 지원금 환수 규정이 신설되었다. 그동안 지원금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 보조금 관리법 또는 공공재정 환수법에 따라 환수하였고 그 외 사업
포기, 사업 수행 불량 등에 대해서는 참여기업과 창업지원사업 수행기관 간의 협약과 사업지침에
따라 환수처분을 하여 왔다. 이번 개정을 통해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침익적 처분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고, 환수 주체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로
확대함으로써 중앙 및 지방 정부 전체의 창업지원사업에 대해 통일된 환수 규정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2)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한 창업지원 정책
정부는 역량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위하여 2019년부터 「창업 준비→초기(창업 후 3년 이내)
→도약(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내)」의 단계별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우선, 창업준비
단계에서는 우수한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에게 창업교육 및 멘토링,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을 제공하는 예비창업패키지가 있다.
창업 후 3년 이내의 초기 단계에서는 초기창업패키지를 통해 시장에 본격 진출이 가능하도록
최대 1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함께 대학 등 창업지원 주관기관의 특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창업 후 3년 이상의 도약단계에서는 창업도약패키지를 통해 창업한 지 3년이 지나면 매출
부진과 자금 부족 등으로 위기를 맞아 사업화에 실패하는 ‘죽음의 계곡’(데스밸리)을 극복하고
성장(스케일업)할 수 있도록 최대 3억 원의 사업화 자금 등을 제공한다.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를 통해 예비창업자 1,260명의 창업을 지원하여 매출 357억 원과
고용 3,140명을 달성하고, 초기창업패키지를 통해 지원한 960개 기업은 매출 6,224억 원, 고용
3,074명의 성과를 창출했다. 또한 창업도약패키지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은 480개 기업은 매출
1조 590억 원, 고용 7,101명 등 데스밸리(Death Valley)에 있는 창업기업의 성장과 일자리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141∙
창업기업 성장단계 맞춤형 창업정책
창업준비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방향 결정, 비즈니스
모델 개발
예비창업
패키지
BM 고도화, 시제품 제작 등 지원(최대 1억 원)
창업후
3년 이내
창업 제품・서비스를 사업화하여 시장에
본격 진출
초기창업
패키지
실증(PoC)지원, 시장 진입・검증, 마케팅 등
지원 (최대 1억 원)
창업후
3~7년
비즈니스 모델, 제품 고도화, 신제품 출시
등 사업 확장
창업도약
패키지
민간협업, 해외진출 등 사업 고도화, M&A
등 지원 (최대 3억 원)
[그림 2-34] 창업기업 성장단계별 주요 지원프로그램
한편, 민간의 투자를 유치한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는 기술 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
(TIPS)의 성과도 매우 뛰어난데, 2013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기업
2,734개사 중 약 53%가 민간의 후속투자를 유치하였으며, 총 투자 유치규모는 13조 원에
달했다. 2013~2022년 기간, 팁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은 평균 10.5명을 신규로 고용하는 등
일자리 창출 효과도 뛰어났다. 또한 2023년 12월 기준, 19개사가 기업공개(IPO)에, 73개사가
피인수・합병(M&A)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성공 사례도 도출되었다.
정부는 팁스 프로그램을 계속해서 개선하여 왔다. 2019년 3월에는 팁스 지원체계를 「프리
팁스-팁스-포스트팁스」 3단계로 고도화하였으며, 2021년 5월에는 비수도권 최초로 대전
광역시에 「팁스타운」을 신규 조성하였다. 2023년에는 지역 내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을 유도
하는 등 비수도권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포항 체인지업 그라운드를 민・관 협력형
팁스 타운으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한편, 기술과 환경이 급변하는 디지털 전환시대에 대응하여 정부는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우위를 점하고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하기 위해 2022년 11월 발표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핵심 내용은 향후 5년간 10대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을 1,000개사 이상 선정하여 민・관 공동으로 약 2조 원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으로,
초격차 10대 분야를 영위하는 창업 후 10년 이내 기업을 중점 지원한다. ’23년에는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분야 총 295개사를 초격차 스타트업으로 선정하였으며, 기업의
선발부터 기술완성까지 3년간 기술사업화 자금 및 정부의 R&D 지원과 함께 분야별 정부출연
연구소 등 전문기관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24년에는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 약
380개사의 초격차 스타트업을 신규 선정할 계획이다.
∙142∙
3) 지역혁신 창업 기반 구축
그간 주요 창업지원 인프라・시설 및 자금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어 비수도권 창업 생태계는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지역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기반 창업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 전체창업 중 비수도권 비중(’20년 43.5% → ’21년 42.6% → ’22년 44.4%)
<표 2-32> 주요 지역혁신 창업 활성화 예산
(단위 : 억 원)
구 분 ’20년 ’21년 ’22년 ’23년
창조경제 혁신센터 398 364 364 364
메이커 활성화 지원 376 345 437 283
창업보육센터 124 119 120 96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45 42 46 37
2018년에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세부 운영방안」을 발표, 혁신센터를 지역창업 혁신 허브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고용, 투자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하였다. 개편 이후 집중적으로 육성한 창업기업은 연평균 3,100여 개사이며, 약 1.5조 원
규모(’18~’23.6월)로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다. 아울러 육성 기업 중 51개사가 인수합병 또는
기업공개(IPO)에 성공하였다. ’23년말 현재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모두 액셀러레이터
등록을 완료하였고, 8개사가 팁스 운영사이며 약 1.9조 원 규모의 펀드를 직・간접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7년 국민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창업으로 연결하는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확산방안」을 마련하여, 2018년도 전국 65개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을 시작으로 2022년에는
전문랩 30개 등 전국에 227개 메이커 스페이스를 구축하였다. 최근 5년간(’18~’22년) 211만
명의 이용자, 시제품 58만여 건을 지원하는 등 메이커 문화확산 및 제조창업 저변 확대에 기여
하였고 2023년부터는 신규 구축은 종료, 기존랩 중 문화확산 중심의 일반랩(5년간 지원)은
자율운영으로 전환하되 제조창업에 친화적인 전문랩은 협업형으로 선별지원(’23년 5개)하는 등
지역의 캐주얼 제조창업 활성화 지원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또한 창업초기 사업화에 가장
큰 걸림돌인 제조창업자의 초도양산을 지원하기 위해 공유형 제조창업 양산 인프라를 시범
구축(’26년 완공)하여 안정적인 제조 창업을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美 랩센트럴을 벤치마킹하여 바이오・의약 분야 창업기업이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보육, 시험분석, 특허・세무 등을 지원하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의
성공적 구축・운영을 위해 2023년 국내 주요 바이오 관계기관 및 美 랩센트럴과 협력체계
∙143∙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2024년부터는 랩허브 사업추진단을 통하여 바이오
스타트업의 혁신기술 확보 및 글로벌시장 진출을 원활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 및 협력
방안을 구체화시킬 예정이다.
병원, 대학교, 연구소
임상실험 ⇅ 기술협력
K-바이오 랩허브
바이오
전문VC
회수 R&D센터
국내외
제약사
⇆ ⇆창업
보육실
연구
장비・시설
특화
지원프로그램
전문서비스
멘토링투자 사업화
연구장비・시설 활용 ⇅ 거버넌스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그림 2-35] K-바이오 랩허브 구축 및 협력 모델(안)
4) 청년창업 활성화 대책
청년창업은 청년들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래의 기회를 열어가는 우리 경제 혁신의
출발점이라는 의미가 있다. 국내 벤처・스타트업이 세계시장에서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대거
선정되는 등 국내 기업의 국제위상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국내 전체 창업기업 중 청년
창업기업 비중은 상승 추세이다. 그러나 청년들은 여전히 창업 자금과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곤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청년창업 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매년 청년
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청년 맞춤형 창업 사업, 창업 중심대학 등을 비롯하여 유망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청년창업 사업인 「청년창업사관학교」(이하 ‘청창사’)는 2011년부터 현재까지
7,638명의 청년창업가를 배출했으며, ‘토스’ ‘직방’과 같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는 등 청년
기술 창업의 대표 양성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2년 민간 창업기획자가 우수 청년창업자를
직접 선발・육성하고 투자유치까지 책임지는 ‘민간주도형 청년창업사관학교’ 모델을 대전에
시범 도입하고, 2023년에는 부산, 제주, 경기 북부(구리) 청창사를 민간주도형으로 전환하였다.
2024년부터 청년창업자의 스케일업 지원과 글로벌 진출 및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거점지역의
청년창업사관학교에 글로벌 기업과 협업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민간주도형 청창사 1개소를
늘려 총 5개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타트업의 인공지능(AI) 기술 인력 수요급증에 따른 개발인력난 문제를 해소하고자
2021년 시범 운영한 「이어드림 스쿨」은 2023년까지 359명의 AI 실무인재를 양성하였으며,
∙144∙
캐글・데이콘 등 국내외 AI 경진대회에서 다수 교육생이 수상하는 등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2022년부터 교육을 대면・비대면 과정으로 운영하고, 2023년에는 인공지능 교육을 직무별로
데이터사이언티스트(DS), 데이터엔지니어링(DE) 특화 과정을 운영하고, 청년창업사관학교 등과
연계한 창업 트랙을 정규과정으로 편성하였다. 2024년부터는 SW 개발인력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는 스타트업에 해외 SW분야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베트남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SW 실무교육
후 국내・현지진출 스타트업으로 취업매칭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림 2-36] 스타트업 청년인재 이어드림 프로젝트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활용하여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창업의 허브로
육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6개의 「창업중심대학」을 신규 지정・운영하였다. 2023년에는 3개
대학을 추가 지정하였으며, 신산업분야 특화형 주관기관을 지정하여 시스템반도체, AI・빅데이터
등 6대 신산업분야 창업기업을 지원하였다. 또한 ’23년 ’23년 창업 중심대학 지원기업 743개사
중 대학발 창업기업 240개사, 비수도권 창업기업 421개사를 지원하는 등 창업중심대학을 통해
대학발 창업 활성화와 지역 창업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창업중심대학은 ‘청년의 날’
맞이 권역별 청년창업 행사, 창업기업 투자유치 IR 피칭 등 청년창업 행사를 개최하여 청년의
창업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그림 2-37] 창업중심대학 [그림 2-38] 스타트업 코리아 추진전략
∙145∙
5) 스타트업 글로벌화
정부는 8월 30일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스타트업 코리아 전략 회의」를 통해, 향후
중장기 창업정책 방향을 담은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대책에는 지역 창업 활성화, 민간 주도
벤처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과제가 포함되었지만, 가장 큰 핵심 메시지는 한국 창업 생태계의
글로벌화에 관한 내용이었다. 그간 국내 창업기업의 국내 창업화 중심에서 벗어나서, 한국인이
국외에서 창업한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국내에서 창업한 외국인까지 지원 범위에
포함시키는 내용 등이다. 정부는 대한민국을 「글로벌 창업대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글로벌 창업지원사업 중 글로벌 액셀러레이팅 사업은 업력 7년 이내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BM) 전환 교육, 법률・세무・회계 자문, 현지 액셀러레이터(AC)를 통한
보육, 사업화자금 지원까지 해외 진출의 초기 진출을 지원해왔다. 2011년 사업 시작 이후
’23년까지 총 983개 창업기업을 지원하여 4,351억 원 매출, 3,776명 고용 창출, 4,078억 원의
투자유치 등을 이끌어냈다.
또한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 인프라인 「K-스타트업 센터」(프로그램형)의 경우 창업기업에게
글로벌 프로그램을 통한 1:1 네크워킹, 현지진출 관련 컨설팅, 현지 사무공간, 해외 진출자금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19년부터 ’23년까지 총 291개사를 지원하여 최근 5년간 해외법인
설립 37개사, 해외매출 110개사, 파트너십 112개사, 해외투자 9개사 등 사업 누적 성과를
달성하였다. 최근에는 KSC 하노이 거점을 개소(’23.9)하여 민관협력을 통해 동남아에 진출한
한국 스타트업의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스타트업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이어나가고, 나아가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 개선, 글로벌 진출 확대 등 홀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와 난관이 존재한다. 이에
시장・산업별 최고의 전문성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과 기술교육, 솔루션, 컨설팅 등 협력하여
스타트업의 애로사항을 함께 해결하는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023년에는 총 9개 기업과 협업하여 스타트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총 11개 기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2022년 총 200개사를 지원하여 국내・외 투자
유치 976억 원, 신규 고용 449명, 매출 1,100억 원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146∙
협력
기업
구글
플레이
엔비디아
마이크로
소프트
다쏘
시스템
앤시스 지멘스 AWS 오라클 IBM
프로
그램명
미정
주요
지원
분야
모바일 앱
및 게임
인공
지능
클라우드
기반 B2B
솔루션
제약
바이오 및
헬스케어
스마트
모빌리티,
전자전기,
기계
전자・전기・
기계,
장비・부품,
의료용
기기
클라우드
기반
바이오/
헬스케어
및 ESG
클라우드
기반
AI/ML
양자
컴퓨팅
관련
솔루션/
서비스
지원
규모
100개사
내외
30개사
내외
3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30개사
내외
20개사
내외
5개사 내외
[그림 2-39]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 내용 (2023년 기준)
한편, 정부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위해,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을 한국 창업생태계로
유입시키고 창업과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24년 상반기에는 종합지원 인프라인 「글로벌
창업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인 (가칭)K-스카우터도 신설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그간 한국의 창업・벤처 생태계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괄목하게 성장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지속하면서 대한민국이 혁신 창업국가와 글로벌 벤처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향후 지속적으로 제도 정비, 지원 확대, 인프라 강화 등을 통해 창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5. 신기술・신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혁신
가. ICT 규제샌드박스를 통한 혁신서비스의 시장출시 지원
1) 개요
정부는 기업들이 신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신서비스를 제공하려 하지만 현행 규제에 막혀
시장출시가 불가능한 경우, 한시적으로 현행 규제를 유예해 주는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2019년
부터 운영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아이들이 모래놀이터(sandbox)에서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것처럼 혁신적인 기술이나 신서비스가 규제로 인해 사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혁신의
실험장’ 역할을 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규제 유무를 명확히 확인해주는 ①신속처리, 안전성에
∙147∙
문제가 없는 경우로서 허가 등의 근거가 되는 법령이 기준・요건이 없을 때 우선 시장출시가
가능하도록 임시로 허가하는 ②임시허가, 허가 등의 근거가 되는 법령에 의해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 일정 조건 하에서 시장에서 실증테스트를 허용하는 ③실증특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무
조정실의 총괄 운영하에 6개 부처에서 8개 분야(과기정통부(ICT, 연구개발특구), 산업부(산업
융합), 국토부(스마트도시, 모빌리티), 금융위(혁신금융), 중기부(규제자유특구), 환경부(순환경제))가
운영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그간 ICT 분야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운영하며 임시허가・실증특례를
통해 총 200건의 혁신 서비스가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하였고, 2023년도에는 제도
운영 5년차를 맞아 변화된 정책 환경과 현장의 애로사항 등을 고려하여 ‘ICT 규제샌드박스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발표하였다.
[그림 2-40] 규제샌드박스 제도 개요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혁신 서비스의 시장 출시 지속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도에 스쿨버스 플랫폼 서비스, 인공지능을 활용한 반려동물
건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도심형 스마트 보관 서비스 등 39건의 ICT 규제샌드박스 임시
허가・실증특례를 지정하여 총 200건(누적)을 달성하였다. 이렇게 현행 규제가 유예된 200건의
서비스 중 127건이 시장에 출시(나머지는 출시 준비 중)되어, 매출 1,493억 원, 투자유치
2,232억 원, 고용증가 7,542명의 경제적 성과가 나타났다. 또한 시장에 출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련 규제 71건(약 56%)이 개선되어 합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148∙
[그림 2-41] ICT 규제샌드박스 경제적 성과
나) ICT 규제샌드박스 발전방안 수립 및 이행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도 운영 5년차를 맞아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변화된 정책 환경과
현장의 애로사항 등을 고려하여 규제샌드박스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 ‘ICT 규제샌드박스 발전
방안’을 수립하였다. 최근 새로운 규제특례를 위한 상담・신청이 감소하는 추세(2019년 1,247건
→ 2022년 694건)이고, 규제개선 속도・불확실성 등에 대한 실증기업의 애로가 대두되는 등
추가적인 제도개선에 대한 현장의 수요를 반영하여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디지털 혁신의
실험장’ 실현을 목표로 규제샌드박스 전주기(발굴・검토→실증→제도화→확산)에 걸친 10대
혁신과제를 도출하였다.
<표 2-33> 규제샌드박스 추진전략 및 10대 혁신과제
추진단계 추진전략 10대 혁신과제
발굴・검토 실증과제 발굴 방식・경로 확대
① 전략기획형 실증과제 발굴・기획
② 민간주도 실증모델 발굴을 위한 홍보강화
③ 과제특성별 검토절차 효율화
실증 실증여건 개선・지원 강화
④ 실증특례 부가조건 최소화・합리화
⑤ 맞춤형 실증사업 지원 강화
제도화 데이터 기반 규제혁신 책임추진
⑥ 실증데이터 기반 규제혁신 체계 확립
⑦ 갈등과제 제도화 지원
⑧ 규제혁신 적극행정 여건 조성
확산 국내 시장안착 및 글로벌 진출 지원
⑨ 제도화된 혁신서비스의 공공수요 창출
⑩ 글로벌 진출 지원사업 연계
다) 갈등해결형 규제샌드박스 및 전략기획형 규제샌드박스 도입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새로운 혁신서비스를 시장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이해관계의 갈등은
불가피하여, 이러한 갈등 요소를 정책실험을 통한 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기 위해 ‘갈등해결형
규제샌드박스’를 도입(국조실)하였다. 1호 과제로서 ‘AI를 활용한 수의사의 반려동물 건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가 선정되어 향후 2년간 안전성 검증을 위한 실증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149∙
이해관계자와 관계부처, 민간 전문가가 같이 실증부터 제도개선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기존
과제와 차이가 있다.
또한, 최근 기업의 규제특례 신청건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기업이 과제를 신청하던 방식
에서 벗어나, 정부정책과 연계하여 실증데이터 확보가 필요한 분야를 선제적으로 발굴・기획
하는 ‘전략기획형 규제샌드박스’도 도입하였다. 1호 과제로서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하여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을 개설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실증특례를 지정하였다.
3) 향후 계획
2024년도에는 규제샌드박스 발전방안의 혁신과제에 대한 본격 이행의 일환으로 실증과제들이
실증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규제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제도화된 혁신 서비스들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다방면
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150∙
제2절 대학 교육・연구 역량 강화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 거점
가. 개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17~’22)의 시행 이후 기초연구사업은 예산 2배 이상 확대3)
및 학술성과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였으나, 국가별 학술
역량 순위에서는 기존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4) 정체 현상을 보였다. 특히, 제4차 종합계획
에서는 개인 연구자 성장 중심의 지원체계로 인해 연구기관 등이 우수 연구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투자・정책적 기반이 미흡하여 글로벌 수준의 연구자・연구기관은 기초연구 선도국가에
비해 부족한 한계를 나타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6위 수준의 우수 연구기관을 보유
하고 있으나, 절대량으로는 세계 1위와 10배 이상 격차가 나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연구사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연구거점 육성과
함께 우수한 연구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수준의 인재 양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3)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예산: (’17) 1.26조 원 → (’20) 2.00조 원 → (’23) 2.58조 원
4) 네이처 인덱스 기준 국가별 연구경쟁력 중 한국은 ’21년부터 현재(’24.2월 기준)까지 8위를 유지하고 있음.
∙151∙
구분 사업명 사업 목적 및 지원 내용
과기정통부
집단연구
선도연구센터
창의성과 탁월성을 보유한 우수 연구집단 발굴・육성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핵심연구분야 육성 및 국가기초연구역량 향상
※ 연 14~50억 원 이내에 대해 7~10년간 지원
기초연구실
특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지원하여 국가 기초연구
역량 강화
※ 연 5억 원 이내에 대해 1~3년간 지원
개인연구
(시설 장비)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
신진연구자의 핵심 인프라 등 연구실 조기 구축을 통해 연구 초기부터 도전적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
※ 연 1~5억 원 이내에 대해 1년간 지원
집단연구 기초연구기반구축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연구정보 제공 및 해외 대형연구장비 활용
지원을 통한 기초연구 역량과 글로벌 창의 역량 강화
※ 세부사업별 지원 내용 상이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거점 구축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집단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 및 기초연구실)을 통해 우수 연구
집단을 발굴・육성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역량을 축적하여 지속 가능한 글로벌 연구거점
으로서의 역할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왔다.
<표 2-34> 2023년도 선도연구센터 및 기초연구실 지원 내역
(단위: 개, 백만 원)
사 업
신규과제(후속 포함) 계속과제 합 계
과제 수 연구비 과제 수 연구비 과제 수 연구비
집단
연구
선도
연구
센터
이학 분야(SRC) 8 9,620 28 41,528 36 51,148
공학 분야(ERC) 8 13,000 31 60,400 39 73,400
기초의과학 분야(MRC) 5 5,250 37 47,701 42 52,951
융합 분야(CRC) 8 1,800 9 12,740 17 14,540
지역혁신 분야(RLRC) 6 6,750 16 24,000 22 30,750
혁신 분야(IRC) 3 12,052 - - 3 12,052
소 계(A) 38 48,472 121 186,369 159 234,841
기초연구실(B) 133 53,396 255 125,159 388 178,555
합 계(A+B) 171 101,868 376 311,528 547 413,396
이를 통해, 매년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도연구센터의 경우 매년
성과교류회 개최를 통해 연구자 간 네트워크 형성 및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유・확산하는 학술
정보 교류의 場을 마련하였다.
∙152∙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SCI(E) 논문 건수(건) 3,467 3,741 4,117 4,529 5,152
JCR 상위 10% 저널
게재 논문 건수(건)
671 892 929 898 1,140
표준화된 순위보정 지수(mrnIF) 71.57 73.20 73.24 73.47 73.93
세계 3대 저널(NSP)
게재 논문 건수(건)
11 17 24 31 35
등록 특허(건) 358 331 325 394 403
석박사학위 인력배출(명) 1,337 1,250 1,196 1,375 1,367
<표 2-35> 최근 5년 간(’17~’21) 집단연구사업 주요 연구성과
※ 출처: 2023년도 기초연구사업 통계연보
또한, 지역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확대5)를 통해 지역의 혁신성장 기반 마련을 도모하였다.
이 외에도 지역 기초연구 활성화를 위해 기초연구실 사업에 대해 지역대학 할당 비율을 설정
하여 신규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일부 개인기초연구(중견(유형1), 우수신진, 생애첫연구, 기본
연구)에 대해서도 최초신규과제 예산 기준으로 5% 범위 내에서의 지역 과제 추가 선정 제도를
지속 운영하여 우수한 지역대학 연구자가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전략 분야의 우수 연구그룹 체계적 확보
2023년에는 기초연구의 공동연구 활성화 및 전략성 강화를 중점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혁신연구센터(IRC) 사업을 신설하였다. 2023년에는 총 3개 과제에 약 112억 원을 지원하였다.
혁신연구센터 사업은 과제 당 연 50억 원 이내의 연구비를 10년(3+4+3)간 장기 지원하여
국가전략기술 관련 대학의 특성화 분야 연구역량 축적 및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고, 전략기술의
기초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다. 향후 계획
향후에도 기초연구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대학 내 연구거점 구축 지원과 전략 분야의 우수
연구그룹의 체계적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개선 및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2024년에는
세계 최초・최고에 도전하는 혁신적인 R&D로의 전환을 목표로 기초연구사업 지원체계를
개편한 바, 선도연구센터에 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와 자유롭고 다양한 방식의 협력을
5) 지역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규모: (’22년) 약 225억 원, 16개 과제 지원(4개 과제 선정) → (’23년) 약 308억 원,
22개 과제 지원(6개 과제 선정)
∙153∙
통해 혁신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글로벌 R&D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혁신연구센터
(IRC)의 경우, 신규 선정 과제수를 전년 대비 2배로 확대6)하여, 우수한 전략기술분야 연구
그룹을 육성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혁신선도구센터(RLRC)에 대해서도 지역 대학의 기초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지속하고, 지역 혁신성장 선도분야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지역
산학연 협력 및 인력양성에 초점을 두고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더불어 교육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학 내 인프라 고도화 관련 사업 등과 더불어 우수한
연구그룹의 집단 연구, 신진 연구자의 연구실 구축 지원 등을 바탕으로 우수 연구거점을 양성
하고, 혁신・도전적 연구수행을 위한 기반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2. 대학 연구 기반 구축
가. 개요
세계화에 따른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고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인재와 정보・지식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되면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혁신적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거점으로서 대학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편 학령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동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체제를 전반적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대학 내적인 요구도 강해지면서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의
하나로 ‘연구능력 확보’가 주목받고 있다.
대학은 다양한 분야의 우수전문인력이 밀집되어 있어, 투입 대비 창출이 예상되는 성과의
기대치가 매우 높은 조직이다. 또한 일반 기업, 산업체와 달리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중장기
투자가 가능한 주체이기도 하다. 정부는 대학 내의 개인, 집단 또는 기관 등 다양한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지원을 통해 대학의 연구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나아가 이러한
지원은 일회성 연구 수행을 돕는데 그치지 않고 대학 내 연구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대학
연구기반을 구축하는 방향으로도 이루어졌다.
6) 혁신연구센터(IRC) 지원 규모: (’23년) 약 112억 원, 총 3개 과제 신규 선정 → (’24년) 300억 원, 총 6개 과제 신규
선정 예정
∙154∙
나. 대학 내 연구전담기구로서 연구소 조직 지원
1) 개요
과학기술이 융・복합화되고 다학제간 연구가 강조되면서 장비, 시설, 연구팀이 거대화되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대학은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축적할 수 있도록 인력과
인프라를 집적한 전문연구전담조직으로서 대학부설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정부는 대학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부터 「학술진흥법」제5조(학술 지원사업의 추진
등)에 근거하여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을 추진해 왔다. 본 사업은 이공분야 대학
부설 연구소의 특성화와 전문화를 이끌어내어 대학 연구의 거점으로 변화시키면서, 우수한
신진연구인력을 육성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안정적인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위해 지원기간은 최대 9년으로 하였고, 연구팀 구성 시 박사후연구원
및 학생연구원을 일정 이상 포함하도록 하였다.
국가정책방향에 조응하고 현장의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유형을 다양화
하였다. 이공계 전 분야를 대상으로 자유 공모를 통해 지원과제를 선정하는 유형, 과학기술정책
및 비대면 테크놀로지 등 특정 지원분야를 대상으로 지정 공모하는 유형, 연구소 단위의 블록
펀딩을 통해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연구 수행을 지원하는 자율운영 유형을 지원한다.
2) 2023년 성과
가)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사업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지원연구소 수 는 2015년 46개
에서 2023년 160개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지원예산 역시 2015년 254억 원 수준에서
2023년에는 1,232억 원까지 증가하였다.
나) 램프(LAMP) 사업 신설
(1) 추진 배경
대학 대내외의 요구에 부응하여 대학부설연구소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2022년 자연
과학, 공학, 의약학 및 농수 해양학 분야 대학연구소는 2,873개에 이르게 된다. 다만 여전히
학과 또는 전공마다 개별 연구실을 칸막이식으로 구축하고 운영함에 따라 대학의 인력 및 자원이
서로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과제 유치 목적으로 연구소를 급조하여 사업 종료 이후
비활성화되거나 후속 관리 미흡 등 비효율성을 보이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155∙
정부는 연구소 운영이 분절적으로 운영되고 대학 차원의 연구소 관리 지원체계가 구축되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 하에, 대학 연구자가 안정적인 환경 내에서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의 연구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목적에 따라 2023년부터 램프(LAMP) 사업을
추진하였다.
(2) 주요 내용
램프사업은 대학이 소속 연구자의 연구역량 발휘를 전폭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젊고 유능한
연구자가 찾아오고 나아가 대학이 새로운 지식 창출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램프 사업에 참여한 대학은 ‘연구소 관리・지원 체계 강화’, ‘중점테마연구소의 혁신적 운영’
이라는 2가지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소 관리・지원 체계 강화’는 대학 내 자연과학 분야
연구소를 대상으로 하며, 기존 연구소의 통폐합 및 개편, 연구소 현황 조사 및 공개, 연구소
평가 및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연구소 평가 결과 인력, 장비, 과제, 예산 등 기본적인
사항이 부족한 연구소는 폐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대학에 대해서는 일정한 연구비를 인센티브로
지원할 수 있다.
‘중점테마연구소’는 기초과학 10개 분야7) 중 1개를 선택하여 학제 간 칸막이를 넘어선
‘테마’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연구소이다. 지정된 연구소는 미래의 인류 난제의 해결을 위해
필요하고, 최신 기술이나 트렌드 분야가 아닌 개척되지 않은 분야로서 새로운 지식 창출이
가능하고, 해당 분야 발전을 위한 잠재성과 성장가능성이 충분해야 한다. 다양한 학과・전공
소속 연구자가 함께 모여 연구할 수 있도록 공동연구 형식으로 운영되며, 거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세부과제가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공동연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연구를 관리한다.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핵심인력은 신진전임교원, 박사후연구원 등
신진연구인력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교육부는 2023년 총 8개 대학을 신규 지원대학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6개 대학은 비수도권
대학으로 선정하여 상대적으로 여건이 취약한 지방의 연구역량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선정대학은
총 5년간 매년 약 30억 원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대학의 연구소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중점
테마연구소를 통해 평소 실행하기 어려웠던 자연과학 분야의 거대 공동융합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7) 전국자연과학대학장협의회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지정한 분야로, ① 수리・통계과학 ② 원자과학 ③ 천체・입자・우주과학
④ 분자수준과학 ⑤ 나노단위과학 ⑥ 물질・에너지과학 ⑦ DNA・RNA 분자생물학 ⑧ 진화・종의 다양성 ⑨ 지구・해양・
대기과학 ⑩ 뇌・신경과학・기초의학으로 구성됨
∙156∙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대학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을 통해 지원하는 연구소의 지원과 관리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아울러 그간 사업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한계를 극복하고 장점을 발전적
으로 계승할 수 있도록 신규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램프 사업은 글로벌 협력을 강조하는 국가 R&D 정책 방향에 맞추어 기존의 사업 내용에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을 추가하여 G-LAMP 사업으로 전환한다. 해외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를
촉진하고 대학이 연구소 단위의 연구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교당 지원금을
연 50억 원으로 증액하는 한편, 6교를 추가로 선정하여 총 14교를 지원할 계획이다.
다. 대학의 R&D 성과 창출을 위한 연구시설・장비 효율성 제고 노력
1) 개요
연구시설・장비는 과학기술 발전을 지탱하는 핵심기반으로, 보다 발전된 연구시설・장비를
통해 새로운 과학적 원리를 규명한 사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미국, EU 등 해외
주요국은 대학 등 연구 주체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첨단 인프라 구축을 국가 기술 경쟁력
확보의 필수 요소로 인식하여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R&D지원사업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연구시설・장비의 지원이 이루어져
대학 내에 상당한 규모의 시설・장비가 구축되었다. 다만 연구 과제 종료 후 장비를 구동할
예산이 없어 유휴화되는 사례, 시설・장비를 구축한 연구과제를 수주한 연구자 또는 연구팀이
해당 장비를 사실상 개인 소유처럼 단독 활용하는 사례 등 비효율적인 운용 사례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시설・장비 운영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공동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부는
2019년부터 ‘기초과학연구역량 강화’ 사업을 추진한다. 학과(단과대) 또는 연구분야 단위로
대학 내 단독활용 중인 연구장비 또는 유휴 연구장비를 집적하여 공동활용 할 수 있도록 전환
하고, 장비전담인력을 배치하고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대학의 R&D 성과를 제고하기 위함이다.
‘기초과학연구역량 강화’ 사업은 연구장비를 집적하기 위한 공간 및 조직으로서 핵심연구지원
센터의 구축・운영을 지원하는 1유형,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집적된 구형 장비를 교체하거나 최신
연구장비 도입을 지원하는 2유형,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집적된 장비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3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157∙
2) 2023년 성과
당 사업을 통해 핵심연구지원센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23년 말일 기준으로 총
68개소가 조성되어 다양한 분야의 연구성과를 지원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장비전담
운영인력은 293명이 채용되어 연구장비 전문인력의 직위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다.
핵심연구지원센터에 집적한 연구장비의 수는 2020년 총 930점에서 2022년 총 2,291점까지
증가하였으며, 공동활용 건수와 공동활용 수익은 2020년 49,599건 2,305백만 원에서 2022년
95,964건 8,059백만 원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2023년부터는 신규 지원대상을 공동실험실습관, 부설연구소로 한정하고 소규모 연구
집단은 지원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대학이 기존 조직을 적극 활용하도록 하고 장비의 집적
및 공동활용이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기존 지정한 핵심연구지원센터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한편, 대학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존 연구 지원금을
통해서는 도입하기 어려웠던 고가의 첨단 R&D 장비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 고도화’ 유형을 신설하였다. 총 10개 내외의 과제를 지원하며, 과제당 1년차에는 평균
50억 원 수준의 연구장비 구축비용을 지원하며 5년 동안 평균 5억 원의 장비 운영비를 지원
할 예정이다.
∙158∙
제3절 공공연구기관 역할 제고
1. 개요
4차 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와 융합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국가 과학기술정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역할 정립과 사회적 변화를 감안한 미래
방향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정책 관점을 탈피하여 출연(연) 현장이 공감
하면서 스스로 변화도 함께 도모할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
보통신부는 연구자와 연구기관에게 자율과 책임을, 국민에게는 혜택을 최대화하는 연구지원
체계로 혁신하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또한, 국가 현안 발생 등 내・외부 환경변화 발생 시, 기관별 중장기 재정전략(수입구조 포트
폴리오)의 리뷰 및 보완을 통해 기관의 재정 여건을 반영하여, R&R 부합 연구에 기관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출연(연) 간 융합・협력 연구 중심의 미래전략 및 연구기획
자문을 위해 지난해 출범한 연구개발전략위원회도 올해 본격적인 활동을 통하여 소기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12대 국가전략기술별로 범출연(연) 공통임무를 설정하여 임무 중심으로 출연(연)
간 연구협력을 기획하고 촉진하는 과정을 주도하였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출연(연) R&R 운영
출연(연) 별로 정립된 미래 지향적 R&R은 기관별 사업 및 예산과 연계하여 이행 중이다.
출연(연) R&R은 중장기 계획으로서 정책적 지속성을 견지하는 한편, 국내외 기술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유연한 운영 역시 필요함에 따라, 기관별로 상이한 중장기 주요 계획
수립 시점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출연(연) R&R 중장기 운영방안(안)을 마련하였다.
R&R이 출연(연) 활동의 나침반으로서, 기관의 실질적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유연성 확보의
필요성은 수립 당시부터 강조되었다. 기관 내・외부 환경변화에 맞추어 R&R을 비롯해 사업구조
등의 수정・보완이 가능한 롤링플랜으로서의 운영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
연구원(’19. 1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20. 2.), 한국한의학연구원(’20. 4.), 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21. 8.), 한국지질자원연구원(’22. 5.), 세계김치연구소(’22. 6.), 녹색기술센터(’22. 7.),
한국원자력연구원(’23. 12.)은 대내외 환경변화에 발맞추어 R&R변경을 위한 협의를 완료하였다.
∙159∙
2023년도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R&R이 수정되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2대 국가전략
기술로 ‘차세대 원자력’분야가 선정되면서 국내 정책현황을 반영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국가・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R&R을 수정하였다. 국민 안심의 원자력 기술개발로 국가
에너지 확보에 기여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시대적 사명을 R&R에 명확히 표현하여
임무 중심의 R&D 실행 기반을 마련하였다.
<표 2-36> 연구사업계획과의 연동 계획(안)
연구사업계획 R&R 추 진 연 도
연구사업계획 작성
※ 25개 기관
R&R 정립
(’19. 5.)
* 연구사업계획 작성 시기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 ↓ ↓ ↓ ↓
중간 컨설팅
필요시,
일부 R&R
변경 가능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 기관운영계획 수립 후에도 일부 R&R 변경 가능
⇓ ↓ ↓ ↓ ↓
연구사업평가 실시
R&R 갱신을
위한 검토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 ↓ ↓ ↓ ↓
R&R 갱신(안)
확정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차기 연구사업계획
작성
* 연구사업계획 수립-추진-평가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나. 연구개발전략위원회 운영
지난해 출연(연)의 연구기획 및 협동연구 추진을 위한 자문기구로서 연구개발전략위원회(이하
‘연전위’)가 출범함에 따라, 범출연(연) 연구전략・정책을 연구자의 시각에서 제언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올해는 2개의 전문분과 출범으로 연전위 운영체계가 안정화되어 본격적인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총괄위원회와 분과위원회를 포함하여 총 13회 개최로 연중 상시 운영하면서, 다양한
출연(연) 연구자와 관련 외부전문가 참여로 범출연(연) 차원의 연구정책과 전략을 도출하는
열린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다.
∙160∙
또한, 연전위 운영 경험과 성과를 연구회 내부 역량으로 축적하기 위하여 연구회 내부에
전략기획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운영인력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는 연구회가
국가 임무수행 기반의 출연(연) 간 연구협력을 기획・조정하는 촉진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역량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다. 출연(연) 연구행정혁신 추진
정부는 대학 및 출연(연)의 전문성・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연구행정혁신을 중심으로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써오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는 연구행정혁신
추진단 운영을 통해 상향식(출연(연) 주도, 연구회 지원) 추진과제를 도출해오고 있으며 정보화,
표준화, 집중화 등 문제 해결방식 기준으로 추진과제를 분류・운영하고 있다. 2023년 현재 공통
행정기능집중 7개 과제를 포함한 총 44개 연구행정혁신 과제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하여
2023년 기준 약 400억 원 가량의 행정자원 절감 정량 성과가 창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23년에는 국정과제인 디지털 전환과 연계하여 출연(연)간 데이터 전환・공유를 목적으로
RPA 자동화 시스템 구축・지원 및 전자연구노트 활용 전략 수립을 통해 디지털전환 추진을
본격화하였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행정혁신 활동과 출연(연)이 체감가능한 실효성 있는
디지털 전환 업무 환경 구축 지원을 통해 연구자의 행정부담 경감 및 연구몰입환경 조성을
지원해나갈 예정이다.
<표 2-37>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23년)
과제명 추진내용
법무자문 공동운영
일원화를 통한 자문서비스 제공으로 외부자문관리 효율성 및 자문 전문성 제고
※ ’23년 총 523회 이용(법률:363・노무:126・회계:34)
법정교육 공동운영
통합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관별 교육 기획 및 운영 업무 경감
※ 「출연(연) 법정교육의 날」지정 운영(9회)
채용 공동운영
기관별 채용에서 공동채용으로의 전환을 통한 채용업무 투입인력 및 비용 경감
※ (1차, ’23.3) 14개기관, 233명 (2차, ’23.6) 7개기관, 49명 (3차, ’23.9) 12개기관, 226명
출장시스템 공동운영
국내 출장여비 실비정산 폐지 및 출장시스템 정보화
※ (’23년 기준) 증빙APP 사용자수 11,116명, 327,532건 누적 사용
포털시스템 공동운영
출연(연) 포털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보체계 기반 출연(연)간 정보공유 및 소통 활성화
※ 메신저, 라운지, 화상회의, 출장증빙, 출연(연)TV, 출입신청 등 서비스를 제공
화상회의 서비스
공동운영
비대면 회의 방식의 확산을 통한 비용절감 및 모바일 메신저 연동으로 접근성 향상
※ 全출연(연) 이용 및 39,805명, 9,054건, 9,559시간 누적 이용(’23.12.)
연구용학술지공동운영
전자저널 全출연(연) 통합계약을 통해 정보자원의 상향평준화 및 오픈액세스 출판 권리 확보
※ 논문 접근성이 극대화된 Collection 구독* 및 오픈엑세스 무료 출판 지원
* Elsevier 2,200여종, Wiley 820여종 저널
* 오픈액세스 출판 증가(Elsevier 144건(36%), Wiley 103건(181%))
∙161∙
제4절 지역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1. 개요
과학기술 중심으로 지역의 혁신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정부는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창업-성장이 선순환하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하였다. 연구개발특구는 2022년 기준으로
총 연구개발비 13.6조 원, 연구기관 150여 개, 기업체 10,348개사, 박사급 연구원 6.5만 명
등이 집적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혁신 클러스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가 보유한 우수한 혁신자원과 인프라는 신기술의 창출, 그리고 이를 활용한
사업화를 통해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특히,
신기술을 활용한 실증이나 사업 시 임시로 규제를 풀어주는 규제샌드박스 제도, 3,038억 규모의
연구개발특구 펀드, 연구소기업·첨단기술기업에 대한 조세감면 제도, 기업을 위한 인프라 공간
마련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특구 내의 기술기업들을 초기 창업부터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연구개발특구에 대한 지원 외에도 지역의 자생적인 과학기술 기반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지역 주도의 연구개발 정책기획을 지원하는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역
경제 발전에 필요한 핵심 과학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지역 연구개발 프로젝트(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지역혁신메가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이 보유한 기술적, 산업적 역량에
부합하는 연구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중이다.
[그림 2-42]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162∙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지역 혁신 클러스터 조성
1) 연구개발특구 육성 사업
정부는 연구개발특구를 혁신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 ‘특구육성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및 기술 지주회사 등이 보유한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기업의 후속 성장도 지원하고 있다.
세부 추진내용으로는 수요자 중심 공공기술 사업화 지원을 통해 ‘기술수요자 발굴, 공공기술
매칭 및 BM 수립, R&D 및 후속 마케팅 지원’ 등 사업화 전단계를 지원하고, 특구 내 주요혁신
자원인 대학의 역량을 활용하여 ‘아이디어 발굴-검증-멘토링-투자유치’ 등 창업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러한 체계적 지원을 위해서 2023년에는 1,283억 원의 정부재원을
투입하였고, 기술이전 276건, 지원기업 매출액 2,237억, 신규 일자리 창출 2,175명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최근 4년간 일자리 창출 실적 최근 4년간 과제기여 매출액 실적
[그림 2-43] 최근 4년간 특구육성사업을 통한 일자리 및 과제기여 매출액
2) 연구개발특구 펀드 운용
정부는 2022년에 조성한 606억 원 규모의 제5-1차 연구개발특구펀드에 이어 2023년에도
400억 원 규모로 제5-2차 연구개발특구펀드인 「초기 중부권 특구펀드」를 조성하였다. 이번
제5-2호 연구개발특구펀드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 4개 펀드를 2,300억 원 규모로 조성
하겠다는 「제5차 연구개발특구펀드」의 두 번째 펀드로서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高)
상황 속에서도 당초 계획했던 400억 원 규모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결성된
400억 원은 지역별 균형 있는 투자를 위해 대덕 광역특구, 충북 청주 강소특구 등 중부권 특구
기업에 집중 투자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특구 권역 내 업력 7년 이하 초기기업과 국가전략
∙163∙
기술 등 주요 신성장 분야의 공공기술사업화 기업까지 주목적 투자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지역
기술 기업들의 자금난을 적극 해소할 계획이다. 벤처투자가 수도권 위주로 이루어지는 투자
관행 속에서 연구개발특구펀드가 지역의 기술 금융 공백을 메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3)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 운영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란 현행 법령상 규제로 인해 신기술 실증이나 신기술을
활용한 사업이 어려운 경우, 관련 규제의 전체 또는 일부를 연구개발특구 내 적용하지 않도록
특례를 부여해주는 제도이다. 2021년 3월 실증특례 제도 도입에 이어 2023년 3월 연구개발
특구법을 개정하며 임시허가와 신속확인 제도를 도입하였다. 또한 특구 내 모든 기관·기업이
단독으로 신청이 가능하도록 신청주체를 넓히고, 법령정비 청구권을 도입하는 등 기업친화적
으로 제도를 개선하였다.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가 확대됨에 따라 본격적 운영을 위해 수요발굴 채널을
다각화하였으며, 사업화 과정에서 예상되는 규제를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자문하기 위한 규제
예측지원단을 도입·운영하여 핵심분야별 규제 12건을 발굴하는 등 총 71건의 규제특례 후보
과제를 발굴하였다. 또한 발굴된 후보과제를 대상으로 신청부터 특례 지정까지 기술 및 시장
수요분석, 법률 자문, 규제부처와의 적극적인 협의 등을 통해 특구기업의 규제애로 해결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였다.
그 결과, 규제특례 신청 건수는 29건(실증특례 23건, 신속확인 6건)으로 전년(14건) 대비
2배로 증가했으며, 수요발굴-신청 연계성과 비율 또한 39.4%로 전년(20.3%) 대비 약 2배 증가
하였다. 신청 건에 대해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9건(실증특례 6건, 적극해석
3건)의 규제 특례를 부여하여, 특구 기업의 규제 애로를 해결하였다. 앞으로 이와 같은 성과가
질적·양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2-44] 연구개발특구 규제특례 지정 절차
∙164∙
<표 2-38>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특례 지정 사례
지정기관 한국광기술원, ㈜코리아모빌리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퓨처드라이브, ㈜씨엘모빌리티
실증내용
규제사항
실증제품에 적용 가능한 안전확인 기준 부재(자전거법
제20조의2, 전기생활용품안전법 제15조)
교통수단 이용 광고물에 전기 사용한 조명 설치 불가(옥외
광고물법 시행령 제19조)
자기인증능력 미충족한 자동차제작자는 피견인 자동차
연결 금지, 임시운행 획득 불가(자동차관리법 제27조)
실증특례
기대효과
세계 최초 바퀴구조물에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전기자전
거의 자전거도로 운행 실증
자율주행 무인운반차량 기술을 적용한 비대면 배송 및
이동 가능
나. 지역 연구개발 지원
지역의 자생적 R&D 발굴·기획·추진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의 자생적 R&D 혁신체계 구축을 전담할 ‘연구개발지원단’의 예산지원 규모를 확대
하고 지역 내 역할을 재정립하였다. 독립기능을 갖는 전담기관이 혁신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선도연지단’으로 지정하고, 중장기 혁신전략 수립・이행과 지역 내 연계 사업 발굴 등 역할을
부여하였다. 이외에도 지역과학기술 정책연구센터를 신규 지정하여 지역의 역량분석, 정책기획
등 연지단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지역혁신메가프로젝트’ 등 지역 R&D를 통해
지역 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지역 경제 성장을 촉진하였다.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는 지역 주도로 지역발전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자체 기획하고, 중앙
정부가 기술 개발 및 사업화 R&D를 5년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3년에는 총 9개 계속과제
(부산, 대구, 경북, 강원, 경기, 전남, 광주, 전북, 제주)를 지원하였다. 2023년 신규로 추진한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는 지역의 중대형 과학기술현안을 해결할 지역전략산업 연계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산업·경제로의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사업으로 지역의 산학연의 혁신
역량을 결집하여 지자체 기획-중앙정부 컨설팅을 통해 5개 과제(충남, 경북・대구, 전북, 경남・
울산, 광주・전남)를 선정·지원하였다.
∙165∙
[그림 2-45]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지원 과제 및 유형
3. 향후 계획
가. 강소특구 특화발전 모델 마련
강소특구 제도는 연구개발특구의 혁신 모델을 기초지자체 단위에서도 적용하기 위해 도입
되었으며, 2019년 6개, 2020년 6개, 2022년 2개 총 14개의 특구가 지정돼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뛰어난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한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 고집적의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해왔다.
2024년은 2019년에 지정된 1기 강소특구가 육성 5년 차에 진입하는 해이다. 혁신 클러스터가
기술-창업-성장-재투자라는 선순환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의 지원이 필요하다.
∙166∙
조성 이후 최초 5년은 기업의 집적, 기반 구축에 집중하기 위해 노력했다면, 이후 강소특구는
특화 발전이 가능한 전략적인 지원 모델을 통해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강소특구 내 특화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체화하고, 혁신자원의 연결, 특화분야
기술기업에 대한 전략적인 집중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지원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기초지자체에서도 기존 광역지자체 단위의 연구개발특구에 못지않은, 과학
기술 기반의 혁신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 지역기술혁신허브 구축
2024년에는 ‘지역기술혁신허브’를 신규 추진하여 지역과학기술 자생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성장을 촉진하고자 한다. ‘지역기술혁신허브’는 국가전략기술의 연구생태계 조성과 함께 지역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 출연연 등 기술육성주체들이 상호협력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연구 거점이다. 2023년에 제정된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 및 「국가전략기술육성특별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기술혁신허브’를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기술혁신허브’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가이드라인과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으로 ‘지역기술혁신허브’가 지역의 혁신역량을 결집하는 거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67∙
제5절 과학기술 외교・글로벌 협력 강화
1. 국가 간 협력(양자)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대통령 순방과 연계한 정상외교, ②한국정부와 상대국 간 체결한
과학기술협력협정(49개국+EU)기반의 정부 간 협의체(과학기술공동위원회 등)등 협력채널을
통해 국가 간 협력 방안을 강구하고, 이를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행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인력교류, 공동연구, 기업의 해외진출 등의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통령 순방 지원(북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UAE 등 10회), 정부 간 협의체
신설・개최(13회), 장차관급 면담(39회), 국가・정부 간 합의문 체결・개정・발효(10회) 등 다양한
협력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강대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국가로 협력
지평을 확대하는 한 해였다.
나. 2023년 성과
1) 주요국 협력(미국, 중국, 유럽강국 등)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이하여, ’23.4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디지털, AI, 바이오 기술 등 첨단
기술 분야 협력뿐만 아니라 우주 및 양자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 발표 및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한 전방위적 협력을 위한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였다. 또한,
첨단기술 협력을 총괄하는 ‘차세대 핵심・신흥기술 대화’신설 등을 합의하여, 동년 12월 양국
안보실장 주재로 ‘1차 한-미 핵심신흥기술(CET) 대화’를 개최하여 반도체, 양자, 바이오 분야
에서의 협력을 논의하며 한미동맹을 더욱 공고화하였다. 다자회의 계기가 아닌 3국 정상 간
만남을 목적으로 한 첫 한미일 정상회담(’23.8)에서도 첨단과학기술 협력 문안을 반영한 공동
성명문을 발표하여 3국 기술 파트너십을 구축하였다.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논의 및 기술동맹 강화를 위하여, 정부 간 정례협의체인 ‘제11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23.5월)’를 개최하여 반도체, 핵융합, 신흥기술 분야(AI, 바이오)
에서의 공동연구 등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제7차 한-미 ICT 정책 포럼(’23.9월)’을
통해 정상회담 합의한 사항들의 발전・이행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양국 간 오픈랜, 양자기술분야
협력 및 다자기구에서의 AI 협력 등을 포함한 첫 공동성명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캐나다와는 ’23년 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23.5월 한캐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인공
∙168∙
지능에 대한 글로벌 파트너십(GPAI) 등에서 유사입장국과 협력해 나가고, 인공지능과 양자
기술의 활용과 적용에 대한 다자 거버넌스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ICT, 인공지능, 생명과학 분야 뿐 아니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청정기술 방안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합의에 기반하여, 양국 간 과학기술혁신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제4차 한-캐 과학기술혁신공동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며(’24.上), 한국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와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와 MOU 체결을 검토 중이다.
또한, 일본과는 ’23년 5월・11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합의한 정부 협의체 복원의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한-일 과학기술분야 협력을 재개하였다. ’23년 12월 문부과학성과 장관급
면담을 통해 우주 과학기술 및 퀀텀 공동연구 확대 등 신흥기술 분야에 대한 협력 강화를 추진
하였다. 더불어, 총무성과의 장관급 회담인 ‘제1차 한・일 ICT정책포럼’을 개최하여, ICT분야
양국의 정책분야에 대해 논의하고 지속적으로 협력사항을 구체화하기로 하였다.
한편, 중국과는 정부 간 협력활동으로 바이오・ICT・신재생에너지・기후변화 등의 분야에서
기초 연구(연 6천만 원)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한-중 신진과학자 교류프로그램의
지속 운영을 통해 한중 신진과학자의 정례적인 교류를 도와 상대국 우위 기술을 상호학습하여
양국의 과학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다. ’23년에는 한국 측은 6명을 파견하였고 중국 측
과학자는 10명을 초대하였다. 또한 고위급 협의체(중국과의 제15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 제5차
한・중 ICT협력 전략대화)의 개최를 위한 양국 정부의 실무자 간 협의(’23.10월)를 통해 과학
기술・ICT협력의 지속 및 중요성을 재확인하였다.
유럽 기술강국과도 정상외교 등을 계기로 바이오, 양자,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ICT 분야의
전략적 협력을 본격화하는 해였다.
27개 회원국에 단일한 신기술 규제를 적용하는 유럽연합(EU)과 한-EU 정상회담(5.22, 서울)을
계기로 Horizon Europe 준회원국 가입 탐색단계를 종료하고 본 협상 단계에 진입함으로써
한-EU 간 과학기술 협력네트워크 공고화를 위한 기반 마련을 본격화하고, 장관급 협의체인
제1차 한-EU 디지털 파트너십 협의회를 개최(6.30, 서울)하여 반도체, HPC/양자, 5G/6G,
인공지능, 온라인/디지털플랫폼, 사이버보안 등 한-EU 간 디지털 분야 협력의 실질적 이행을
추진하였다.
수교 140주년을 맞은 영국과는 11월 국빈 방문 계기에 글로벌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및 협력 강화를 담은 ‘다우닝街 합의’ 채택에 우주, 합성생물학, 양자 등 과학기술・ICT 11대
협력 분야를 반영하여 양국 간 협력 심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반도체, 5G/6G 등 11대
디지털 분야에서의 협력강화를 위한 ‘디지털 파트너십’ 및 정부 간 과학기술협의체를 통합하여
종합적・체계적 관점에서 과학기술협력 추진을 위한 ‘과학혁신기술 이행약정’ 체결 등을 통해
∙169∙
협력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였다.
프랑스와는 과기공동위를 개최하여 양자, 바이오, 오픈사이언스, 인력교류 등 협력 확대 및
공동연구 신설을 위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한-독일 과학산업기술공동위를 통해 신규 공동
연구사업, 기관 간 기술사업화, 에너지, 바이오 분야에서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2) 동・서남아시아 등 협력
강대국 중심의 과학기술 협력 전략에서 벗어나 협력대상국을 확대하고 아시아 국가와의
본격적인 협력을 위한 해외 거점 구축 등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에서 양 부처 양자면담, 협의체 개최 등 협력을 강화하였다.
한국과 베트남의 과학기술 협력의 상징인 한-베 과학기술연구원(VKIST)이 1단계 사업
(’14년~’22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VKIST 2단계 사업(’26년~) 시작 전 기관의 안정적
운영 및 연구역량 확보 지원을 위해 VKIST 1단계 사업 사후 지원(’23.12 ~’25.8)을 추진 중
이다. 또한 한-베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 간 과학기술・디지털 협력 강화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을 방문, 한-베 과학기술연구원(VKIST), 베트남 국가과학기술정보원 및 하노이IT
지원센터를 각각 방문하여 그간 협력성과를 점검하고 연구자 및 기업인들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아울러, 제9차 한-베트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23.10, 서울)하여 한-베 R&D 혁신센터
설립을 통한 연구개발・인력교류 및 베트남 현지에 과학기술 창업센터 설립 계획 등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22년 개정된 ICT 협력 MOU를 바탕으로 베트남 수요에 맞는 IT
협력프로젝트를 3년간(’23년~’25년) 수행 중이다. IT협력 프로젝트는 상대국 정보화 수요에
기반하여 진행하는 사업으로 ’20년부터 ’22년까지 말레이시아와 스마트팜 사업, 카자흐스탄과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인도와는 수교 50주년을 맞이하여, 과기정통부 장관과
주한 인도대사 아밋 쿠마(Amit Kumar)가 만나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공통 관심사항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고 협력관계를 한층 더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싱가포르와는 영국
에서 개최된 제1차 AI 안전성 정상회의(’23.11월)를 통해 양국 장관(싱가포르 통신정보부,
조세핀 테오)은 장단기 AI위험에 공동대응 등 현안을 공유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국가와 양자 면담을 갖고 우주협력, 사이버보안, 5G・6G 및 인공지능 등 과학
기술・정보통신 분야에 대해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3) 기타 국가 간 협력
중남미 지역의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도입과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 위한 정책 동향과 연계
하여 과학기술・ICT 협력의 외연을 확대해 나가는 활동을 지속 추진하였다.
∙170∙
먼저, 다수 고위급 면담을 통해 우리나라의 우수한 과학기술 정책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의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 가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과기정통부 장관은 아르헨티나
과학기술혁신부 장관, 주한 파나마 대사 등 15개국이 참여한 주한중남미대사단과의 면담을
통해 생명공학, 보건, 재생에너지 등 과학기술 분야와 더불어 디지털 전환 등 상대국과의 신규
협력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또한, 브라질 개발산업통상서비스부 차관급
면담을 통해 디지털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하며, 우리 디지털 기업의 중남미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오세아니아 지역은 과학기술 역량이 우수한 호주, 뉴질랜드와의 공동연구, 인력교류 사업을
통해 연구현장의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올해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전략기술에 대한 기회와 위기요인’을 주제로 호주의 전략기술연구소(ASPI)가 주관한 ‘시드니
대화(The Sidney Dialogue) 포럼에 과기정통부가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참석하였다. 이를
계기로, 호주의 산업과학자원부(DISR), 연방과학산업연구소(CSIRO) 등과 고위급 면담을 통해
한국의 12대 전략기술을 소개하고, 양국의 최신 과학기술정책 동향을 공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향후 호주 및 뉴질랜드와 ‘한-호주 제6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 ‘한-뉴질랜드
제6차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19년 4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시 카자흐스탄과 ICT협력을 도모
하고 양국 우호증진을 목적으로 체결한 협력의향서에 따라 IT협력프로젝트 사업(’20∼’22년)을
추진하였으며, 카자흐스탄 디지털발전부 장관의 연장 요청에 따라 협력기간을 연장하여 ’23~
’25년까지 국가 AI 발전전략 및 빅데이터 활용방안 컨설팅 등 ICT협력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더불어, 국내 출연연 모델 해외 확산, 공동연구・인력교류, 기술 활용 등을 통한
화학산업 협력 기반 구축을 위해 우즈벡 화학연구소 설립(~’27년)을 지원 중이다. 11월에는
우즈베키스탄 디지털기술부와 양자면담을 추진하여 과학기술・ICT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으며
’22.8월 몽골 디지털개발통신부의 제안에 따라 양국 간 5G, AI, 주파수 관리 등 ICT 분야 협력
MOU 체결 추진을 위한 초안 마련 등 협력을 강화해 나아가기로 하였다.
북유럽 지역에서는 북유럽과학기술협력센터를 중심으로 유전학, 신경과학, 나노과학 등의
분야에서 리더급 연구자 워크숍(LEDARE)을 5회 개최함으로써 우리 리더급 연구자를 알리고
네트워킹을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본격적으로 마련하였다. 또한, 한-스위스 수교 60주년, 한-
핀란드 수교 50주년 계기, 양국 간 과기공동위 및 고위급 면담을 통해 첨단기술분야의 협력 확대
방안 모색하고, 이스라엘과 AI, 양자 등 전략기술 분야에서 공동연구 등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하였다.
한편, UAE 국빈방문 계기, 우주 MoU를 개정하고 과학기술 혁신 분야에서 미래비전 두바이
∙171∙
포럼을 개최하였으며, 현지 진출 ICT 기업인 간담회 등을 통해 우리나라 ICT 기업의 중동 진출을
지원하였다. 아울러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 장관 방한에 따른 장관 간 면담을 통해 디지털 협력,
KACST와의 기관 간 협력 등을 논의하고 10월 사우디 국빈방문 계기에 왕립과학원에서 한-
사우디 미래기술포럼을 개최하는 등 중동국가와도 보다 긴밀한 협력관계를 형성하였다.
68회에 달하는 고위급 면담(장관 24회, 차관 16회, 실・국장 28회)에서는 미국, 일본, EU,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국 뿐만 아니라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아일랜드, 튀르키예 등 교류가
적었던 국가와 초기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국제협력 지평을 확대하였다.
4) 국가 간 공동연구
정상회담, 정부 간 협의체 등을 계기로 발굴된 연구 협력 의제를 실질적인 공동연구 활동으로
이어가기 위해 ‘국가간협력기반조성사업’을 통해 96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215건(’24.2.13.
기준)의 논문 성과(SCI 190건, 비SCI 25건)를 창출하였다. 또한, 국내-해외 우수 연구기관 간
연구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연구 지원을 통해 선진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전염병 등 글로벌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 간 공동연구 지원을 통한 국제적 리더십 제고에도 기여하였다.
더불어 ‘국제협력네트워크전략강화사업’을 통해 양자(스위스), 극지(덴마크), 사이버보안
(그리스), 수소(체코), 첨단바이오(노르웨이) 분야의 5개 공동연구 과제를 우리 연구현장의
수요와 전략적 필요성을 종합 고려한 과제를 지정하여 지원함으로써 R&D에서 국제협력의
전략성을 높였다.
다. 향후 계획
2024년은 주요 협력국인 미국과 구축한 경제안보동맹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주요
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며,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 등 유사입장국과 과기공동위
개최 등을 통해 과학기술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전망이다. 작년 체결한 한-영 디지털파트너십,
과학혁신기술 이행약정 후속 협의체 가동을 통한 실질적인 협력을 개시할 뿐만 아니라, EU,
독일 등과도 과기공동위, 디지털정책대화 등을 통해 과학기술・ICT 협력을 더욱 심화・확장할
예정이다. 아울러 Horizon Europe 준회원국 가입 협상도 원활히 추진할 계획이다.
∙172∙
2. 국제기구 협력
가. 개요
최근 국제사회가 기정학(techno-politics) 경쟁 시대로 돌입하면서 과학기술・ICT 기반
국제공조 대응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의 우수한 과학기술・ICT 혁신역량을 기반으로 우수사례를 소개・
공유하고 국제기구에서의 의제 논의를 주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또한, 주요 국제기구에
한국인 고위직 및 의장단 진출을 통하여 6G, AI 등 주요기술에 대한 의제 발굴 및 논의
주도력을 제고하고, 각종 협력사업 추진을 통하여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국제사회 기여도 및 국가 위상을 높여왔으며, 대표적 성과로는 선진국 협의체인
G7에 ’20년 미국에 이어 ’21년 영국에 연속 초청, 2018년 ITU 표준화총국장 연임 및 이사국
8선 연임 성공, ’20.6월 신설된 GPAI에 창립 회원국 가입, ’22년 UN ESCAP과 공동주관으로
제1회 아시아 태평양 디지털 장관회의 개최, ’22년 ITU 이사국 9선 연임 성공, ’23년 한-태평양
도서국 디지털 장관회의 최초 개최 등을 들 수 있다.
<표 2-39> 과학기술 및 ICT 분야 주요 다자기구 및 협의체 현황
구 분 다자기구 및 협의체
국가별 협의체 G7, G20, OECD, ITU, HFSP, ISTC, GPAI
지역별 협의체 ASEAN, APEC, APT, UN ESCAP, AIBD
기타 협의체 WEF, IGF, UNDP, 세계은행, 미주개발은행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주요 선진국 협의체 참여 및 역할 확대(G20, OECD 등)
2023년에는 G20, OECD 등 주요 국제기구・선진국 협의체에 참석하여 의제 주도를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특히 ’23년 7월 인도에서 개최된 G20 연구장관회의와 ’23년 8월에 개최된
G20 디지털경제장관회의 등 2개 장관회의에 참석하여 ‘2050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임무
지향 연구개발’,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을 위한 K-Network 2030 전략’ 등 선도적 정책을 공유
하고, 디지털 규범 마련을 위한 국제기구 설립을 제시하는 등 과학기술・ICT 선진국 위상을
제고하였다. OECD에서는 의장단 진출을 통한 의제 주도, 한-OECD 과학기술혁신포럼 공동
개최,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생명기술작업반 워크숍 개최 등의 협력사업 추진으로 OECD 내
한국의 기여도 강화 노력을 지속하였다. ’23.6월 OECD 글로벌 기술 포럼에서는 정보통신
정책관이 ‘인류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책임감 있는 기술 개발 및 활용’을 주제로 토론 기조
∙173∙
발표를 하였으며, 11월 한-OECD 공동주최 디지털 권리 워크숍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권리장전을 공유하고 OECD 차원의 디지털 규범 질서
논의를 주도하였다. 그리고 같은 11월에 열린 제1차 AI 안전성 정상회의 프로그램 중 장관
회의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참석하여 AI 국제 회의체 신설을 위해 의제를 제안
하고, 한국의 AI 윤리・신뢰성 정책 등을 소개하였다.
2) 아태지역 내 국제협력 구심점 역할 수행(ASEAN, UN ESCAP 등)
2023년은 아태지역 내 국제협력의 리더십을 강화한 한 해였다.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ASEAN 우수과학기술혁신상 시상식 개최, APEC 과학영재멘토링센터 운영, UN ESCAP
데이터 공유・거래 모델 구축 및 시범 적용 사업 추진 등 역내 협력사업을 통해 아세안 내 한국
기여도 제고 및 위상 강화 노력을 지속해 왔다. 5월 31일에는 한-태평양도서국(7개국) 디지털
장관회의를 최초로 개최하여 장관선언문을 도출함으로써, 태평양 지역 디지털 공동 번영을
위한 연대를 형성하고 ICT 분야 협력 계기를 마련하였다. 9월 7일에는 ASEAN-인도태평양
포럼 및 한-인니-ASEAN이 공동개최하는 AI 워크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기조
연설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전략을 소개하였다. 11월 23일에는 인니에서 역내 화이트해커
발굴을 위한 제1차 ASEAN 사이버쉴드 해킹방어대회를 개최하여, 과학인력 교류 및 공동연구
기반 조성에 기여하였다.
3) 국제기구 진출 지원을 통한 글로벌 영향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ICT 주요 국제기구에 한국인 의장단 진출을 지원하여 우리
나라의 국제적 영향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OECD 차원의 디지털 기술 발전 동향과 경제・
사회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출범한 디지털경제 정책위원회 부의장직에 다자협력담당관이
진출하였다. 그리고 UN 산하 ICT 전문 국제기구인 ITU의 이사회 작업반에 한국인 부의장이 진출
하였고, 표준화부문 연구그룹에는 한국인 의장이 진출하는 등 ITU 내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4) 개도국 발전 지원 및 국내기업 해외진출 기반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제기구 및 개발은행 등과 협력을 토대로 우리 기업과 함께 동남아・
중남미 등 수요국에 기술지원을 제공해, 우리 ICT 기술의 우수성을 전파하고 기업-수요국 간
협력관계 구축을 지원하였다. 또한 세계은행과 같은 주요 개발은행과의 협력을 통해 개도국의
ICT・보안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23년 11월 제9회 글로벌 ICT 리더십 포럼을 개최하여
우리나라의 정책・경험을 공유하고 개도국의 정보통신 정책 수립 및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같은
∙174∙
11월 과학정보통신부 2차관이 세계은행 부총재와 만나 디지털 공적개발원조(ODA) 과제에
세계은행의 협력을 요청하였다. 이 외에도 UN ESCAP 산하 ICT전문 교육기관인 APC-ICT 등
운영을 지원하여 정보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APT에 공동 연구팀을 매칭하여 ICT 응용기술
전수・활용을 촉진하는 등, 개도국 지원사업을 통해 형성된 수혜국과의 호의적 관계를 기반으로
후속사업을 연계하여 국내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과학기술・ICT 정책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국제기구・다자
협의체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의 국제사회 위상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24.4월, 파리), G20 연구 장관회의(9월, 브라질), G20 디지털경제 장관회의
(9월, 브라질) 등 국제회의에 참여하여 우리나라의 주요정책을 소개하고 의견을 반영하는 등
주요의제 논의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그리고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돕고 OECD와 ITU 등 주요 국제기구 의장단에 한국인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
할 것이다.
3. 글로벌 진출 지원
가.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혁신센터(Korea Innovation Center, KIC) 및 IT지원센터
등 해외거점 10개를 운영하여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 과학기술・ICT 기업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디지털 경제 전환 가속화 및 디지털 분야의 국제협력 확대
흐름에 맞추어 WTO・FTA 등 통상 협상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성과
1) 글로벌 기술사업화 지원
글로벌혁신센터(KIC)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유망한 국내 기술의 글로벌 기술
사업화, 현지기관 연계 멘토링 등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과 국제 박람회 참석 지원 등을 추진
하여 국내외 3,960만 불 투자유치를 지원하였다. 미・중・EU에 기술 강국이자 주요 국가들을
대상으로 4개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175∙
2) 국내 ICT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수출 유망시장(동남아, 중남미, 일본, CIS, 몽골) 국가를 대상으로 바이어 발굴・매칭, 1:1 수출
상담회, 현지 네트워킹 활동(기관방문 워크숍 등) 등을 포함하는 현지 ICT 비즈니스, 콘텐츠
파트너십을 개최하여 69개 기업 지원 및 303.4만 불의 계약체결을 지원하였다. 아울러, 미・
중・일・아세안에 6개 해외IT지원센터를 운영하여 97개의 입주기업을 지원하고, ’23년 11월
기준 139백만 불의 수출 및 투자유치를 달성하였다.
3) WTO・FTA 등 통상 협상 대응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디지털 통상 규범 논의를 주도하고, 인공지능, 데이터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산업의 경쟁력과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과학기술・ICT 분야의 다자・양자 통상 협상(WTO 전자상거래 9건, IPEF 7건, 한-GCC 3건,
한-UAE 2건, 한-에콰도르 2건, DEPA 2건 등)에 적극 대응하였다. 아울러, 국내 제도와 국제
규범 간 합치성을 검토하여 WTO체제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 통상분쟁(양자 간 FTA
이행 이슈 등)에 대비하고 있다.
4) 국제개발협력(ODA)
한국은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된 유일한 국가이며, 특히 개도국에서 높은 수요를 가진
ICT 선도국으로서 과학기술・ICT ODA를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동시에
우리나라의 ICT 국제리더로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몽골 울란바토르시의 노후버스에 플라즈마
버너 기반 디젤 미립자 필터(DPF)를 적용 미세먼지저감기술을 지원하였고, 현지 주민의 IT기기
활용을 위한 정보접근센터를 신규 3개국(캄보디아, 코스타리카, 코트디부아르), 고도화 3개국
(라오스, 요르단, 키르기스스탄)을 개소하였으며, 개도국 방송산업 자립을 위한 인프라 지원
사업인 개도국 방송환경 개선사업으로 4개국(방글라데시, 파라과이, 라오스, 탄자니아)을 지원
하였다.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라오스, 우즈베키스탄, 볼리비아에 디지털제작시설(K-Lab)을
구축하여 디지털 제작장비 활용교육, 산업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또한, 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퇴역 계획에 맞춰 슈퍼컴퓨터 노드 일부를 인도네시아에 무상양허하고 재난・
재해 예측 솔루션을 구축하여 수원국의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였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개의 해외거점(KIC, IT지원센터)을 중심으로 우리 ICT기업의 해외
진출을 밀착・상시 지원하고 해외 ICT 프로젝트 수주 지원사업을 통해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176∙
해외시장 진출을 원하는 과학기술・ICT 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UN-SDGs(지속가능
발전목표)에 기여하고자 지속적인 국제개발협력(ODA)을 확대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비즈니스 관련 신규 시장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WTO・FTA 등 통상 협상(IPEF 등)과 이행 이슈
관리에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177∙
∙179∙
제1장 탄소중립
제1절 에너지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에너지 정세가
지속되고, 2023년 12월 개최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에서 탄소중립
이행의 중요성이 재확인되는 상황 속에서 세계 각국은 에너지 안보 확대와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우리나라는 새정부 출범 이후 국정
과제(□21 에너지 안보 확립과 에너지 新산업・新시장 창출)를 중심으로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과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 나아가 에너지 新산업 창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실행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기후대응 계획과 관련한 정책틀을 확립하기 위해 2022년 「새정부
에너지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에너지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에너지혁신벤처 육성 및 新산업
창출 등 전략과제를 명시하였다. 이에 맞춰 2023년에는 「에너지新산업 수출동력화 전략」
(’23.7월)을 발표하고 수출 유망품목 기술개발・사업화, 글로벌 신시장 진출 활성화, 수출동력화
혁신기반 조성이라는 3대 전략과 9대 추진 과제를 설정하는 등 에너지新산업 수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탄소중립 관련 핵심기술개발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에너지 분야
R&D에 2023년 정부예산 1조 2,065억 원을 투자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원자력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자력 핵심기술개발,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가동원전 안전성
∙180∙
향상 핵심기술개발, 사용후 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원전 안전
운영을 위한 핵심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기술개발 등 13개 사업에 2023년 1,189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수입의존도가 높은 원전 안전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노내 핵 계측기를 개발하고, 노심 보호를 위한 혁신 기술을 확보하였다. 또한 중대사고
해석코드 국산화 및 고도화를 통해 원전 중대사고 해석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원전기술
선진국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였다.
2)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핵심기술개발, 잉여전력 부문간 연계(섹터커플링) 기술개발,
노후 수력발전시스템 성능개선 및 상태진단 기술개발, 건물형 태양광 실증센터 기반구축 등
12개 사업에 2023년 1,969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2023년에는 태양광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태양광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를 준공하여 소재・부품・장비・제품별 연구장비
공유 기반을 확보하고 셀・모듈 시범양산 라인을 활용한 양산성 검증 지원이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8MW급 해상풍력 시스템 설치가 가능한 해상풍력 전용 설치선(船)을 국산화하였으며,
개발된 설치 선박은 제주 한림 해상풍력단지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3) 수소에너지
그린수소 생산, P2G 등 수소・연료전지 분야 핵심기술개발, 수소충전 인프라 안전관리 기술
개발, 액체수소 충전소용 저장 용기 및 수소공급시스템 기술개발 등 13개 사업에 2023년
1,72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그간의 지원성과로 핵심부품을 국산화하고 패키지형 수소
충전소를 개발하였다. 특히, 개질기, 압축기, 디스펜서 등 핵심부품 개발로 패키지형 수소충전소
10기 공급계약을 수주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였다.
4) 에너지 수요관리
에너지 수요부문을 고효율・저소비 구조로 전환하고, 차세대 에너지 신산업 육성 및 온실가스
감축 등 국정과제 전략 이행에 기여하기 위해 에너지효율향상, 에너지신산업 등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2,48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다. 이러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2023년에는 차세대 전력반도체를 이용한 초고효율(기존 대비 2~3% 향상) 전력변환
장치(8종) 개발 등 핵심 기기의 효율 향상과 산업 분야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 가능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181∙
5) 전력・스마트그리드
합리적 에너지믹스를 뒷받침하는 미래형 전력망 구축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청정화력, 차세대 AC/DC 하이브리드 배전 네트워크 등에 2023년 1,578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계통 수용성을 고려한 안정화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실시간 양방향 전력 제어가 가능한 전압형 HVDC 변환설비 국산화에 성공하여 HVDC
변환설비 설계・제작・성능평가 전주기 기술을 확보하였다.
다.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 에너지신산업 창출 및 에너지 안보 강화, 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 및 국정과제 등을 추진하기 위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투자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원자력 분야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차세대원전 및 계속운전 원전 기자재의
제조 혁신, 원전해체 산업기반 조성 등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방폐 분야에서는 단계적 중・저준위 방폐물 복합처분시설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운영기술 개발 및 고준위 방폐물의 장기 안전성 예측 분야에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분야는 재생에너지 정책 이행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태양광 분야는 국내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양산기술 개발, 국내 태양광 산업 저탄소 순환경제 구축 등을 지원하고, 풍력 분야는 고정식・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부품 단가저감, 단지개발・운영 관련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수소에너지 분야는 대용량 수전해 시스템 생산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와 안전기술 개발, 안정적
수소충전소 운영 및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한 핵심부품 국산화, 연료전지 적용처 확대 및 핵심
부품 개발 등 수소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 수요관리 분야는 수요부문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효율적 사용을 위해 에너지 기기와
공정의 초고효율화, 무탄소・전기화 전환 등의 효율 혁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수요부문
디지털화를 통한 에너지관리시스템 고도화, 수요 유연화를 위한 수요자원 확대 등을 통해
고효율・에너지 저소비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력・스마트그리드 분야는 전력 계통부문의 AC/DC hybrid 배전망의 운용성능 검증, 분산
자원 활성화, ESS 화재안전성 강화 등 기반조성과 연계하여 신산업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182∙
제2절 핵융합/원자력
1. 핵융합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핵융합에너지는 청정하고 안전한 대용량 전력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닌 미래 에너지이다.
특히 최근 기후위기 및 에너지안보 위협이 심각해짐에 따라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서
핵융합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 또한 더욱
심화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는 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뛰어드는
스타트업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공공 부문에서는 ITER 참여국을 중심으로 핵융합에너지
개발 로드맵 가속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는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통한 지속 가능한 국가 신에너지 확보”를 목표로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을 확정하는 한편, 산・학・연이 참여하는 설계 TF 구성하여 실증로
설계에 본격 착수하였다. 우리나라 유일의 초전도핵융합실험장치인 KSTAR의 경우, 텅스텐
디버터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고 플라즈마 운전 실험에 돌입하였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실증로 기본개념 마련 및 예비개념 설계 착수
2023년 2월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개념’을 확정하고 핵융합 실증로 개발의 기준점을
마련하였다. ‘실증로 기본개념’에서는 실증로 역할을 차세대 기저전력원으로서 핵융합에너지를
활용한 전력생산의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경제적 타당성 입증, 사회적 수용성 확보로 명시하였
으며, 실증로 최상위 목표를 최대 전기출력 500MWe 이상, 삼중수소 유효자급률 1이상, 핵융합
고유 안전성 검증, 경제성 평가 가능 데이터 확보로 제시하였다.
2023년 6월에는 실증로 기본개념을 토대로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실증로 설계 TF’를
구성하고 실증로 설계의 첫 단계인 예비개념설계에 본격 착수하였다. 실증로 예비개념설계는
2026년 완료를 목표로 하며, 성공적인 설계 추진을 위해 설계 TF는 총괄위원회 및 자문위원회,
설계통합전담, 12개 분야별 워킹그룹 등 총 4개 조직으로 구성하였다. 2023년 12월 기준 분야별
워킹그룹 참여인원은 총 107명으로, 29개 산업체, 13개 대학, 3개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183∙
한편, 실증로 설계단계는 ‘제4차 기본계획’과 ‘실증로 기본개념’에 따라 예비개념설계(~2026년)
→ 개념설계(~2030년) → 공학설계(~2035년)로 추진될 예정이다.
[그림 3-1] 실증로 설계 TF 구성
나) KSTAR 연구 및 핵융합 연구기반 강화
KSTAR의 주요 연구목표는 2026년까지 초고온 고밀도 플라즈마 운전기술을 개발하여 1억도
플라즈마 300초 장시간 운전 목표를 달성하고, 2035년까지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운전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2023년 3월~10월까지 KSTAR의
디버터 재료를 기존의 탄소(graphite)에서 텅스텐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2023년 12월 실험에 본격 돌입하였다. 디버터는 플라즈마 대면장치 중 하나로, 플라즈마 열속이
진공용기에 직접 닿지 않도록 진공용기를 보호하고 핵융합 과정에서 발생한 불순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어 고성능 플라즈마의 장시간 유지를 돕는다. 특히 텅스텐 디버터는 탄소 디버터 대비
녹는점과 저항성, 방사화 등에서 우수하며 열속 한계치 또한 10MW/㎡로 2배 이상 높다.
플라즈마 성능 및 안정성 예측을 위해 KSTAR 실험데이터를 활용하여 국산 시뮬레이션 코드
(gKPSP)를 개발, 검증하였고, 실증로 설계의 기반이 되는 가상 KSTAR(Virtual KSTAR)의
기능을 고도화하였다. 디지털 트윈 기술이 적용된 가상 KSTAR의 경우, 2023년에는 가열
장치로부터 주입된 고속이온의 KSTAR 내벽손실 영향을 분석하는 기능을 탑재하였고, KSTAR
실험 검증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했다.
다) ITER 참여 및 기술・인력・산업 기반 강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업은 핵융합에너지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해 주요
7개국(미국, 러시아, EU, 일본, 중국, 한국, 인도)이 공동으로 대형 초전도 핵융합 실험로를
건설・운영하는 사업이다.
∙184∙
한국은 2003년부터 ITER에 참여해오고 있으며, 9개 주요 품목(초전도 도체, 진공용기 본체,
진공용기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조립장비류, 열차폐체, 삼중수소 저장・공급 시스템, 전원공급
장치 및 진단장치)을 개발・제작 및 조달하고, 할당 품목 이외의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전원공급장치 최종본제품(TF 변압기) 제작을 완료하고
운송에 착수하였으며, 진단장치 분광기 EPP 11번 장치의 최종설계를 완료하였다.
ITER 조달을 통해 축적한 기술 역량을 토대로 국내 산업체의 해외 수주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3년 국내 산업체 수주 경우, 전년 대비 약 242% 증가한 약 356억 원을
달성하였다. 2007년 이후 누적 수주 총액은 총 7,329억 원에 달한다. 또한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지원을 위해 ITER 조달 참여 기업을 포함해 핵융합 실증 참여를 희망기업이 중심이
되는 핵융합기술 얼라이언스를 발족하였다.
국내 핵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ITER 기구(ITER Organization) 근무자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2023년에는 신규근무자가 8명 증가하여 현재 ITER 기구 한국인 근무자는 총
68명(6.1%)이다. 핵융합 신진인력 양성 지원을 위한 ‘Korea-ITER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을
통해서는 총 3명의 박사후연구원을 ITER에 추가 파견하였다.
진공용기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전원공급장치 삼중수소 SDS 진단장치
• 하부 주포트 총 18개
중 누적 18개 제작 완료
(’23.12)
• 진공용기 지지구조물
9개 중 누적 8개 조달
완료(’23.11)
• 본제품 총 220개 중
누적 100개 제작 완료
(’23.12)
• 본제품 제작용 소재
160세트 제작・공급
(’23.11)
• TF 변압기 제작 완료
및 운송 착수(’23.11)
• 전원장치 예비부품 목록
개정본 승인(’23.9)
• TF 컨버터 ITER 운송
완료(’23.5)
• ITER SDS DU 실험실
(군산) 환경 개선 공사
완료(’23.8)
• 삼중수소 SDS 예비
설계 배관/기기도 개정
(안) 검토(’23.4)
• 진단장치 분광기 EPP
11번 장치 최종설계
완료(’23.10)
• 진공자외선 디버터 분
광기(VUV-Divertor)
일차거울 제작 수행
<표 3-1> 2023년 한국 조달품목별 주요 실적
라) 국제 핵융합 연구협력 확대
핵융합에너지 개발은 모든 국가가 최초로 도전하는 기술로, 주요 기술 선도국과 적극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핵심기술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특히 2023년에는 ITER의 핵융합 환경에서 삼중수소 증식, 열추출 등 핵심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블랑켓모듈(TBM) 개발을 위해, 한-EU 파트너쉽 약정을 체결하고 공동개발에 본격 착수
∙185∙
하였다. 핵융합 주요국과의 양자협력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갔다. 2023년 5월 한-미 과학
기술공동위원회, 2023년 6월 한-영 과학기술공동위원회, 2023년 9월 제19차 한-일 핵융합
협력 공동조정위원회를 비롯해 총 13개 해외 주요 기관과 MoU를 체결하고, 각국과 중점 협력
분야 및 실증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기술협력을 발굴・강화하였다.
마) 향후 계획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년)’ 및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로 기본
개념’을 토대로 핵융합에너지 전력생산 실증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 및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핵융합에너지개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핵융합 핵심기술을 선도하고 기술경쟁력에서 우위를 점유할 수 있도록 공공-민간 협력을 강화
하는 한편, 해외 핵융합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4년에는 핵융합 전력생산 실증을 위한 장기 연구개발 로드맵을 완성하고 핵융합
규제체계 기본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유관 산업체의 핵융합 실증 관심을 유도하고
해외 프로젝트 참여 지원 등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육성해 나갈 것이다.
2. 원자력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원자력・방사선 분야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고, 미래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원자력 핵심기술 개발, 원자력 안전・
해체 기술,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기술 확보, 원자력과 타 기술 분야 간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개척 등에 중점을 두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기확보된 방사선 기술의 고도화, 의료・소재 등 신산업 분야 개척, 우주・나노 등의 차세대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원자력・방사선 분야의 연구 기반 확충을 위해 기초연구 투자,
인력양성 및 국제공동연구 등을 지원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2023년 과기정통부는 원자력・방사선 분야 37개 사업에 2,675억 원을 지원하였다(’22년
∙186∙
대비 204억 원 증가(8.2% 증가)). 원자력 기술 분야에서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
개발사업, 용융염원자로(MSR) 원천기술개발사업,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사업, 원자력융복합기술개발사업 등 총 16개 사업에 1,355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방사선 기술 분야에서는 첨단방사선융합치료기술개발사업, 데이터과학기반 차세대 비파괴검사
기술개발사업, 방사선안전소재및의학기술개발사업 등 총 8개 사업에 713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원자력 기초・기반 분야에서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원자력기초연구지원사업 등 총
13개 사업에 607억 원을 지원하였다.
가) 원자력 기술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형모듈원자로(SMR)에 대한 수요 증대에 따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관계부처 및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차세대 원자로 개발을 추진하였다. 민-관 공동의 신속한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민간의 차세대 원자로 개발 및 사업화 역량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동 사업은 혁신형 SMR의 표준설계 및 인허가 획득과 핵심기술의
개발・검증을 통한 30년대 세계 소형원전 시장 선점을 목표하고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와
공동으로 용융염원자로(MSR) 원천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착수하였다. 동 사업은 선박 추진,
부유식 원전, 해양 플랜트 등의 무탄소 해양 시스템에 적합한 용융염원자로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형 소형원자로인 SMART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강화하고,
수출 경쟁력 향상을 위한 혁신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였다.
한편 사용후핵연료 저장・처분 안전성 기술 개발, 가동 원전의 안전성 향상 등 원전의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 지원하였다. 또한 해양, 극지, 우주, 에너지 및 환경 등 미래 전략
분야와 원자력 기술 간의 융・복합을 통한 미래 원자력 기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지속 지원하였다.
이러한 정부 R&D사업 지원을 통해 SMART, 대형원전 등에 적용이 가능한 열효율이 높은
인쇄기판형 증기발생기 개발과 원자로 적용 설계기술을 확보하였다. 또한 원자로 내 극한 환경
에서 균열을 탐지하여 가동 원전의 안전성 검증에 활용이 가능한 레이저 관찰 기술과 원자력
중대사고/재해확산 현상 해석에 활용이 가능한 고성능컴퓨팅 기반의 방사선 입자 전산 해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187∙
인쇄기판형 증기발생기
성능 검증 시험 모형
고온고압 수환경 부식
실시간 레이저 관찰 기술
재난확산 해석
[그림 3-2] 2023년 원자력 기술 분야 주요성과
2024년에는 ①소형모듈원자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저감 핵연료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SMR의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을 저감하는 핵연료 노심기술, 소재・부품 원천기술 확보와 국내 개발
SMR의 친환경성 증진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②민관합작 차세대 원자로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민・관 공동개발을 바탕으로 고온 가스로 원천기술의 실증 및 상용화 기술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나) 방사선 기술 분야
향후 구축될 신형 연구로에서 생산 예정인 의료・산업용 동위원소의 상용화 및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 수출용 신형연구로 생산 동위원소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추진
하였다. 아울러 높은 신뢰성의 비파괴 검사 기술 개발과 기술적 한계극복을 위해서 데이터과학
기반 차세대 비파괴검사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라돈 등의 생활 방사선에 대한
제어시스템 및 안전 소재를 개발하고, 방사선 인체영향 평가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는 방사선
안전소재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부 지원을 통해 자동차, 반도체 등의 국가 핵심 산업의 제조 공정 내 결함 등을
실시간 검증할 수 있는 AI 기반 첨단 비파괴 검사 기술 5건을 개발하였다. 또한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세포종의 지방 대사 과정 분석 및 데이터 기반 약물 재창출 등을 통한 방사선
저항성 교모세포종의 치료전략을 발굴하였다.
2024년에는 신형연구로에 적용하기 위한 장비 운용 및 상용화 기술 검증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희귀 난치질환 치료, 폐플라스틱 저감, 데이터과학 기반 비파괴 검사 등 공공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핵심 방사선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188∙
테라헤르츠기반 첨단 반도체
검사시스템 개발
수소인프라 강건성 평가 및
누설 평가 장치 개발
DGAT1-유도 지방독성 조절을 통한
DGKB의 교모세포종 방사선저항성
조절 기전 연구
[그림 3-3] 2023년 방사선 기술 분야 주요성과
다) 기초・기반 분야
원자력・방사선 분야 연구자의 생애주기별 맞춤형・혁신형 기초연구 지원을 통한 안정적 연구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미래 원자력 기술 수요에 대비하여 융복합 연구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연구 및 교육용 시설과 장비 구축, 공동 활용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방사성동위원소 산업 육성 및 고도화 기술 사업을 통해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활용・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조성과 핵심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방사선 기술의 사업화
지원 및 방사선 기술을 활용하여 우주・나노・생명 등 여러 분야의 기술 난제 해결에 도전하는
목적지향형 기초연구도 지원 중이다.
이 외에도 원자력 선진국과 국제 공동연구 확대, 양・다자 간 원자력 국제협력 활동 지원을
통한 선진 원자력 기술 확보, 국내 원자력의 국제 영향력 강화 및 해외 진출기반 마련을 추진
하고 있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업 주도의 원자력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차세대 원자로 기술
개발에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 실증・상용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다른 분야와의 융・
복합을 통한 새로운 원자력 연구 분야를 발굴하여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세계 시장에서 확대
되고 있는 내방사선 반도체, 방사성 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기술실증・사업화를 통한 신산업 창출에
노력할 계획이다.
∙189∙
제3절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1. 개요
최근 전 세계는 가뭄, 폭우, 고온 등 기후변화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가 기후변화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면서,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
가스 감축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5년 유엔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 총회
에서는 지구 평균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1.5°C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파리협정을 체결하였고,
각 국가는 파리협정을 이행하기 위하여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탄소
중립을 앞다퉈 선언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과 함께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40% 감축목표
(NDC)를 발표하였으며,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촉진법”과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23~’32)」 등에 근거하여 과학기술 기반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또한, 「CCU 기술 고도화 전략」 수립,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지정・운영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CCU 기술고도화 전략」 마련(2023.12월)
CCU(Carbon Capture & Utilization)는 발전소, 철강, 시멘트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
탄소를 대기 중에 방출하지 않고 포집하여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산화탄소는 지구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의 76%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온실가스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CCU
기술을 조기 상용화하기 위해 「CCU 기술고도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해당 전략에서는 CCU
기술을 크게 ①주력기술, ②산업전략기술, ③미래혁신기술, ④차세대 新산업 등 4가지로 분류
하여 기술별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90∙
[그림 3-4] 「CCU 기술고도화 전략」상 CCU 기술분류 및 추진과제
①주력기술에 대해서는 4대 권역별 CCU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②산업전략기술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민・관 공동투자를 지원하고, ③미래혁신기술에 대해서는 국책연구 및 출연
(연) 간 연구역량을 결집하고, ④차세대 新산업에 대해서는 제도적 기반을 조성한다.
∙191∙
[그림 3-5] 「CCU 기술고도화 전략」 비전 및 목표
∙192∙
나.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운영방안」 수립(2023.12월)
청정수소는 수소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적게 배출하는 수소를 말한다.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고,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청정수소 생산을 확대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청정수소 생산 방법은 전기로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수전해로, 사용되는
전해질과 반응 조건에 따라 알칼라인 수전해, PEM 수전해, 고체산화물 수전해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여건과 더불어 수전해 기술과 장비를 외국에 의존하기 때문에 청정수소
생산단가가 비교적 높은 편이다. 2030년 MW급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국가 수소 중점
연구실 운영방안」을 수립하였다(’23.12.18.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은 수소 분야의 국가 연구개발 브랜드로서 국가의 R&D 역량을 결집하고,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자 개별 연구실을 잇는 가상의 연구팀이다.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은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되, 개발된 기술의 스케일-업을
통한 기업으로의 이전, 장기간 성능평가를 통한 트랙레코드 확보를 지원한다. 또한 해외 유수
기관과의 공동연구와 수소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 측정 연구도 병행하여 향후 국내외
청정수소 인증제와 같은 제도적인 부분과 기술을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알칼라인, PEM,
고체산화물,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분야에 대해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우선, 기술 성숙도가 높은 수전해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하고자 알칼라인과 PEM 수전해 분야의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하였다. 알칼라인 수전해 연구실은 2030년 10MW급 수전해 기술
확보를 목표로, 대용량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고밀도・가압형 혁신기술 개발을 수행할 예정
이다. PEM 수전해 연구실은 2030년 수MW급 수전해 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설비단가
(CAPEX) 저감,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193∙
[그림 3-6]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 개요
이와 더불어, 아직 상용화 전 단계이지만 2040년 글로벌 시장 선점이 가능한 고체산화물
수전해와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분야에 대해서도 국가 수소 중점연구실을 지정할 예정이다.
고체산화물 수전해 연구실에서는 수소 생산에 투입되는 열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중온형
시스템을 개발하고,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연구실에서는 수소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단일스택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다.
∙194∙
다. 기후기술 글로벌 협력 강화
과기정통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기술의 개발 및 이전에 관한 협력을
담당하는 국가 기술협력 창구(NDE, National Designated Entity)로, 우리나라의 우수기술이
개도국으로 진출하기 위한 기술개발・협력・이전을 활발히 지원하고 있다.
유엔 산하의 국가 간 기후기술협력 이행기구인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이 설립된 이래 최초로 유럽이 아닌 지역에서 처음으로 CTCN의 이사회가 개최되었다
(2023.3.24.~29, 인천 송도). 지난해 개소한 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를 국제사회에
정식으로 소개하는 한편, 기후변화가 극심한 아・태지역에서 국가 간 기술협력을 확대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의결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그림 3-7] 제21차 CTCN 이사회 개최
과기정통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에의 기여를 확대하고, 국내 우수한 기후변화
대응 기술이 해외에 진출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그 시작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CTCN 기술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방글라데시, 남아공, 우간다 세 국가를 대상으로
한 기술협력 사업을 지원하였다. 또한 5월 부산에서 개최된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기후
기술관을 운영하여 과기정통부 산하 출연(연)이 보유한 우수 기후기술을 국제사회에 홍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10여 개 개발도상국 정부관계자를 초청하여 한국과의 기술협력
수요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그림 3-8] 기후산업국제박람회 內 기후기술관 운영
∙195∙
제4절 환경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환경부는 범부처 종합계획인 제5차 환경기술 환경산업 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2023년∼
2027년)을 통하여 향후 5년의 환경 분야 R&D 정책 추진방향과 전략과제를 제시하였고,
2021년에는 국제적인 탄소중립사회 이행 추세, IoT・AI 기반의 4차 산업혁명 등 새로운 미래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기술개발 추진전략(2021년∼2030년)을 수립하여 ‘탄소중립 이행
기반 마련’, ‘녹색인프라 강화’, ‘환경 안전사회 구축’의 3대 추진전략에 따라 지속가능한 녹색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기술 혁신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2023년에는 과학적인 탄소중립 이행, 순환경제 완성, 건강한 생활환경 구현 등 환경 분야
주요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 관측기반 온실가스 저감기술실증 기술개발사업, 생태계기반 탄소
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사업, 물・대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
사업, 범부처감염병 방역체계고도화 등의 신규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표 3-2> 2023년 환경 분야 주요 연구개발 사업
(단위: 백만 원)
사업명 주요내용 2023년 예산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
자연재난(지진, 태풍 등)으로 인한 환경시설의 파괴, 기능정지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
5,854
생태모방기반
환경오염관리기술 개발
생태모방 기초・원천 연구 성과를 활용한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10,000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기술개발
지중오염 발생 사전예방 및 인체건강에 대한 악영향 신속차단을 위한 위해도
기반 매체 통합 오염관리 고도화 기술개발
14,522
표토보전관리 기술개발 표토침식 고위험지역 표토 침식 방지・복원 및 지역별 최적 관리 기술 확보 3,200
화학사고 예측・예방 고도화
기술개발
유해화학물질 사고 발생 최소화, 사후 피해영향평가 기술 개발 4,974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
생활화학제품 사용으로 발생 가능한 위해를 관리하기 위한 유해성 및 노출평가,
위해저감기술 확보
20,736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
개발 사업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예측・평가하고, 그 결과를 3D 시각화
하여 개발 사업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 시 친환경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
개발
4,440
∙196∙
사업명 주요내용 2023년 예산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
개발
공공복합통신위성의 정보수집 탑재체 주관 및 홍수재해대응을 위한 수문관측
통신망 고도화 및 활용 시스템 개발
7,082
감염우려 의료폐기물 처리
기술개발
의료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의료폐기물 멸균・분쇄 및 비대면 처리기술
개발・고도화, 추가 감염 방지 등 감염병 확산 대응 환경기술 개발
7,604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
관리대상 인자-질환 범위 확대를 위한 환경성질환 상관성 규명 기술 개발, 피해
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객관적으로 추적・평가하기 위한 환경성 질환 예측・
평가 기술 개발
13,860
환경보건 디지털조사 기반
구축 기술개발
환경보건 분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영향 감시・
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취약지역・계층 건강보호 및 환경보건 정책의 질적 서비스
제고
7,806
실내공기 생물학적 위해인자
관리 기술개발
감염성 및 건강 위해성이 높은 실내공기 중 생물학적 유해인자를 분석・측정하고,
인체 건강영향평가 및 감시체계 구축
6,469
플랜트연구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사업에 요구되는 핵심공정 개발, 기본설계 및 실증 기술
개발
3,211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
상・하수도 시설 에너지 소비 절감,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 제고, 신종오염물질
관리 강화에 필요한 기술개발
26,366
고순도 공업용수 생산
국산화 기술개발사업
공업용수 생산시설 국산화 기술개발 및 테스트 베드 현장 적용을 통한 국내
수처리 관련 업계실적 확보 기회 제공
9,718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 생활 및 산업활동 변화로 인해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위협 요인의 체계적 관리 기술개발을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17,778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및 인체 건강영향 평가 기술 개발
4,520
생물다양성위협
외래생물관리 기술개발사업
유입 외래생물의 예찰 및 위해성 평가 기술,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기술 개발 11,100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수열에너지 융복합 기술 및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1,924
유망 녹색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우수・유망 녹색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실증 및 시험인증 등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 경쟁력 제고 및 환경산업 활성화
6,600
야생생물 유래 친환경
신소재 및 공정기술개발사업
국내 야생생물자원을 활용한 소재 및 공정 개발을 통하여 친환경 화이트 바이오
기반기술 확보
5,110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보존・관리 표준화, 수요 맞춤형 특성분석을 통해 담수
야생생물 소재 활용 기반 마련
6,730
생물자원발굴 및 분류 국내 자생 생물종 발굴 및 유전자 다양성 연구 15,822
야생동물 첨단연구 국가 야생동물 자원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장기적 모니터링 및 현황 연구 3,200
탄소자원화범부처프로젝트
제철・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온실가스 등 탄소자원을 화학원료・연료
등 자원화
50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분석기술 개발
유해화학물질사고(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내/외부)피해 최소화를 위해 사고물질
측정 및 방제기술, 화학사고 후 인근지역의 생태계・인체 영향평가 기술 개발
750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
개발사업
도시 인구 집중, 가뭄 주기 감소와 같은 물공급 환경변화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
기준과 가뭄 규모별 물 배분의 과학적 근거 마련
5,944
기후위기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홍수 피해 증가로 기존 홍수 방어 대응체계 한계점 극복
및 탄력적인 이상홍수 방어대책 마련
8,510
∙197∙
사업명 주요내용 2023년 예산
습지생태계 가치평가 및
탄소흡수 가치증진기술개발
생태기반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생물다양성, 탄소 흡수를 고려한 습지생태계
조성・복원 기술개발 등
4,070
신기후체제 대응
환경기술개발사업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이행평가 기술 개발, 글로벌 기후변화 및 대기오염 통합
평가・관리 기술 개발, 미래 기후변화 영향 평가체계 고도화 및 기후탄력성 제고
기술 개발
13,786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기술개발
폐유기자원의 C2 단량체 전환을 통한 탄소저감 및 폐기물 고부가가치화 공정
기술 개발
3,500
폐플라스틱 활용 원료
연료화 기술개발사업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선별 고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재활용을 위한 물질・
화학적 재활용 기술 고도화
7,650
미래 발생 폐자원의 재활용
촉진 기술개발사업
폐이차전지, 재생에너지 관련 폐기물, 폐전자제품 재활용 기술개발 8,050
에너지 자원회수형 고농도
하・폐수처리공정
기술개발사업
에너지 회수형 하・폐수처리 통합 시스템 개발, 고농도 하・폐수 유용자원(질소・인)
회수시설 구축 등
7,175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실증 기술개발사업
동・식물 잔재물 등 유기성 폐자원 활용 에너지 전환 시스템 최적화, 통합 바이오
가스 플랜트 설치
6,300
수자원/수재해 중형위성개발 기후변화로 인한 불확실한 홍수・가뭄 등 감시를 위한 위성 개발 25,473
야생동물질병연구사업
야생동물 질병 적기 대응과 생태계 건강성 유지를 위한 야생동물 질병(ASF,
AI 등) 모니터링, 시료 분석, 감시망 구축・운영, 진단・연구
6,181
사업장 미세먼지 지능형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미세먼지와 전구물질의 최적 저감・관리 기술개발, 4차 혁명 기술을 대기오염방지
설비 공정에 적용
11,200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기술 실증 기술개발사업
축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저감 기술 개발, 대체
냉매 활용 친환경 냉매 냉장 장치 개발
4,500
관측기반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
관측기반(위성 등) 지역단위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미래 배출량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시공간적으로 통합표출하는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
6,004
생태계기반 탄소흡수원
조성관리 기술개발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 평가 고도화 기술 및 NbS기반 탄소흡수 증진 기술개발 2,055
물・대기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기자재 국산화
기술개발
물산업 및 대기산업 7개 품목에 대해 자체 생산기술 개발, 기존 기기・공정 등에
적용하여 실증화, 외산 대체를 위한 상용화・사업화 지원
5,000
범부처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코로나19가 남겨놓은 현장의 애로사항과 수요를 기반으로 미래 방역체계 구현에
필요한 빠른 감시, 지능적 예측・차단, 신속 진단, 효능이 입증된 방역물품 개발검증
기반 고도화 기술개발 지원
700
∙198∙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물관리 분야
그간 해외기업이 독점했던 초순수 생산 시장에서 국내 설계기술로 완성한 초순수 실증플랜트
구축(1,200톤/일)을 통해 국내 최초 반도체 초순수 생산시설 사업을 수주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또한 고효율・초집적 담수화 공정을 탑재한 해상 이동형 해수 담수화 선박 설계 및 개발과
하루 300톤의 담수를 생산하고 물부족 도서지역에 물 공급을 통해 급수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 플랜트 내부 설비 선박 탑재형 해수 담수화 장치
[그림 3-9] 물관리 분야 주요 연구성과
나. 자원・토양 분야
플라스틱 사용량을 13~18% 줄이면서 강도 및 가스(탄산) 차단성을 기존 페트병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페트병 생산 기술(삼양패키징)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켜 기존 대비 약 20%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지질별 표토훼손 고위험지역 예측 및 최적관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는 강우에 따른
표토훼손지 모니터링기법과 환경방사성동위원소기반 훼손지 평가 기술, 강우에 의한 토양층
붕괴와 퇴적 물질 이동 해석 프로그램, 지질 특성에 따른 최적 기준 설정을 마련하여 실시간
토양층 붕괴 예측정보 생산을 제공할 계획이다.
∙199∙
제품 생산 설비 지표-지중흐름 모니터링 기술
[그림 3-10] 자원・토양 분야 주요 연구성과
다. 생태보건 분야
현장에서 실시간 검출할 수 있는 활용 가능한 휴대용 장비로 공기 중 유해인자를 실시간
측정하여 코로나 등 다양한 감염병 진단에 활용을 통해 감염병 확산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무색・무취로 감별 및 체내 검출이 어려운 약물 검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향정신성
약물(GHB, Gamma-Hydroxybutyric acid)의 현장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스마트폰 기반 바이러스 변이체 감지 시스템 대사체 네트워크 모델링 도식
[그림 3-11] 생태보건 분야 주요 연구성과
라. 기후・대기 분야
우리나라 최초로 기후변화-대기오염 원인물질을 과학 기반에 근거하여 배출과 감축, 이동을
분석・관리할 수 있는 동북아 규모(국내 포함) 통합관리 모형(GUIDE-Global/-Local) 개발을
통하여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감축, 이동,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후변화
정책 수립에 반영할 계획이다.
∙200∙
또한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유속, 유량, 수분을 일정하게 변환할 수 있는
다단희석 샘플링 기술을 적용하여 배출가스 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동시에 연속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후-대기 정책모형(GUIDE-Global/-Local) 현장 실증(충남 소재 소각장)
[그림 3-12] 기후・대기 분야 주요 연구성과
3. 향후 계획
환경부는 환경 분야에 필요한 탄소중립, 기후위기 물관리, 순환경제, 환경보건・화학안전 4대
중점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투자를 지속 추진하여 환경 안심사회 구축 및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시켜 나갈 것이다.
아울러 민간 참여를 바탕으로 환경정책 방향 및 현장 수요를 고려한 환경정책 연계와 임무지향
중심의 전략적 기술개발 추진 강화를 하고, 녹색산업 육성 및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실증사업화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201∙
제5절 산림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산림청은 「제2차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18∼’27)」에 따라 ‘산림과학기술路 경제산림, 복지
산림, 생태산림 구현’을 위한 8개 핵심과제・33개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추진하고 있다. 8대
핵심과제는 ①산림 분야 R&D 성과 활용 제고, ②산림자원 순환 체계 구축으로 임업 진흥, ③
목재산업 선진화 연구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 구축, ④산림생명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경제
견인, ⑤사람 중심의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 및 일자리 연구, ⑥산림서비스 R&D 확대로 삶의
질 개선, ⑦산림재해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산림생태계 구현, ⑧국제산림협력 전략 및 기술
개발로 국제사회 기여이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제2차 중장기 기술개발계획(’18∼’27)’를 통해 국가 혁신동력
창출을 위한 산림과학기술 기초・원천 연구 강화를 목표로 ‘산림생태계 서비스를 통한 국민 삶
의 질 향상’, ‘산림자원 가치 증진을 통한 임업경쟁력 강화’, ‘한반도 보전과 국민 안전을 위한
산림부분 이행체계 구축’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립수목원은 ‘제2차 중장기 기술개발계획
(’18∼’27)’을 통해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보전→서비스’의
연구성과 창출 및 활용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보전・복원 및 생물자원 주권
확립에 기여하며 국・공・사립 수목원 연구를 선도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수목원 기능 강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23년 6월에는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23~’27)」을 수립하여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내 산림부문 기여를 위한 6대 전략 및 20개 핵심과제를 설정하였다.
탄소흡수원 증진을 위한 연구개발은 「전략 6. 산림 탄소정책 지원체계 구축」 - 기후위기
연구개발(R&D) 확대에 포함되어 있다. 세부 연구과제로는 산림의 탄소흡수・저장・감축 필수
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 R&D 발굴,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재난 등 기후변화 적응연구
강화 등이 있다.
’23년 산림청 소관 23개 R&D 세부사업의 총 예산은 1,655억 원 규모로, ’22년(1,645억 원)
대비 0.6% 증가하였고 주요 R&D 예산(소속연구기관 인건비 등 제외)은 1,3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하였다. 이 중 출연연구개발사업은 계속과제에 395억 원, 신규과제에 147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23년 신규과제 투자 규모는 ’22년 202억 원 대비 41.1% 증가하였다. 그리고
과제기획, 평가 등 사업관리예산으로 한국임업진흥원에 18.6억 원을 지원하였다. 국립산림과
∙202∙
학원은 계속과제에 537억 원, 신규과제에 121억 원을 지원하였고, 국립수목원은 계속과제에
167억 원, 신규과제에 17억 원을 지원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과학적 성과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 등 기초・원천 연구결과와 응용・개발 단계의
성과이어달리기를 위해 ‘기후변화 대응 용재수 육성을 위한 우량자원 선발 및 활용기반 구축’,
‘주요 조림수종의 진전세대 육성을 위한 유전검정 및 유전간벌 기술 개발’, ‘산림약용자원
소재은행 구축 및 천연물 물질지도 작성’, ‘산양삼 재배유형별 약리효능 기반 품질 규격화’,
‘모발건강 유용 산림자원 소재화 원천기술 확보’, ‘잠재 산림생물자원 발굴 및 활용가치 탐색을
위한 생물다양성 조사’, ‘광릉숲 등 산림 핵심 보호구역에 대한 보전・관리기술 확보’, ‘희귀・
특산식물 등 산림생태계 취약종 보전을 위한 복원시스템 고도화’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복원, 조림 등 정책 수립을 위해 ‘산림 천이에 따른 탄소흡수량
예측 및 산림 취약성 평가 기술 개발’, ‘산림복원 대상 지역 고해상도 기후변화자료 상세화
기술 확보’, ‘산림 생장모형 고도화를 위한 기존 DB 검토와 AI분석 기반의 생장모형 개발’,
‘수종별 적정수확시기 산출 및 탄소흡수량 예측’, ‘국내외 수확 및 영급 관련 모형・사례 분석’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2) 기술적 성과
산림과학기술 기초・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산림 산업의 국내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 산림
자원 이용의 고도화를 통한 산업 활성화 도모를 위해 ‘산림탄소흡수량 장기전망 및 2021년
기준 산림경영률 산정’, ‘2021년 기준 산림자원 평가 및 산림탄소 MRV 구축 방안 도출’,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를 이용한 다공성 나노구조 제어 및 활용기술 특허 출원’, ‘복령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 출원’, ‘산림복원용
자생식물 유전다양성 및 원산지 판별’, ‘DMZ 산림생태 복원을 위한 소재식물 우량종자 생산’,
‘산림식물자원의 대량증식・재배기술 개발 및 증식법 보급’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이라는 거대 국가과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산림 지역별 보정치 적용을 위한
원격탐사 기반 임분 바이오매스 예측 모델 개발’, ‘산림 분야 ESG 기준과 지표를 적용한 자가
진단 프로그램 구축’, ‘산림 탄소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림경영 분야 ESG 투자 프로토콜 개발’,
‘소규모 목재생산 체계에 적합한 소형 임업기계 장비 기능 개선품 설계 및 시작품 제작’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203∙
3) 경제적 성과
신품종 개발 및 산림자원 DB 구축을 통한 임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산림자원의 보존・
관리・활용을 통한 지역 및 국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탁월한 천마종자 발아활성을 갖는 신규
한애주름버섯 NFOS101 균주 및 이의 이용 기술이전 실시’, ‘분자표지자를 이용한 리기다소
나무와 테다소나무의 식별 방법 기술이전 실시’, ‘목재칩을 이용한 구조용 판상재 제조방법
기술이전 실시’, ‘기능성 경량 목섬유 단열재 제조 및 난연처리 기술이전’, ‘숯과 열전도체를
포함하는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기술이전’, ‘사카린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 방제 방법 기술이전 실시’, ‘자생식물(꼬리풀류) 신품종에 대해
품종보호 출원’, ‘우수개체 식물의 교잡・선발육종 및 염색체 배가 프로토콜 개발’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을 위한 국산 목질계 소재 개발・활용을 통한 임가소득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개인 위생용 흡수성 제품 개발을 위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이용한 고흡수성 소재 제조방법의
기술이전 및 매출액(약 7억 원) 창출’, ‘방염, 난연, 준불연 성능이 확보된 옥외용 마감재 개발로
매출액(18.9억 원) 창출 기여’, ‘친환경 스마트 건축자재 및 가구 제작을 위한 초정밀 레이저
패터닝 연구장비 개발로 매출액(1.5억 원) 창출’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4) 사회적 성과
미세먼지, 산불, 일자리 등 사회 현안문제 대응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미세먼지 및 폭염 대응 도시숲 유형별 최적 조성 모델(안) 제시’,
‘대형산불 피해저감을 위한 정밀 연료 분석 및 진화 신기술 개발’, ‘국가숲길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2030 REDD+ 감축 포트폴리오 개발 및 국가별 실질
ITMOs 잠재량 분석’, ‘DMZ 산림자원량(84㎥/ha) 추정 및 ICT 기반 NFI 기술 협력 방안 도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중심 수목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생활권 기반 정원 확충모델
개발 및 미래 도시의 대안으로 정원도시 도입 가이드라인 개발’, ‘지역수준(regional level)의
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탄소중립 사회 실현 시기 단축 및 저탄소 녹색 성장 선도를 위해 ‘목질화 리모델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목조건축 플랫폼 및 탄소중립 기여도 산출 프로세스 개발’, ‘산림 생장
산림경영 모듈 개발을 통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대응한 산림경영활동 계획 수립’, ‘목조
건축 활성화를 위한 국산 목재 활용 학교건축 모델 개발’ 등의 성과를 도출하였다.
∙204∙
나. 향후 계획
산림청은 ’24년도 연구개발 투자의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탄소중립
대응과 목구조물 산업 공급망 기반 구축, 둘째, 산림경영 기술 고도화, 셋째, 산림산업 인력양성,
넷째, 고유사업 투자 확대를 통한 산림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이다.
이를 위해 먼저 탄소중립 대응과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해 중고층 목구조물 설계, 구조・부재・
내화 기술과 에너지 모니터링 설비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산림경영 기술 고도화를
위해 국내 산지에서 목재수확이 가능한 기계장비를 개발하고,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임무
중심의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산림 분야 탄소중립 연구개발 강화를 위해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기후변화 대응 육종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탄소저장 확대를 위한 건축소재 등
목재활용 확대 연구, 국산목재 공급을 위한 생산유통 기반 강화 연구 등을 지원할 계획이며,
국산 산림바이오매스 공급 및 이용 활성화로 화석연료 대체 및 신재생에너지 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실용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산림경영의 품질 제고를 위한 측정・보고・검증
(MRV) 체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재해 대응을 위해 산불 진화자원 배치, 산림 작물 병해의 신속정밀 진단정보를 확보하고,
산림자원 기능성 원료 표준화와 신소재 발굴을 통해 산림생물소재 활용 기술을 고도화하며,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여 임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 중심의 산림 특화산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창의・도전적 기초・기반연구 활성화 지원을 위해 차세대 중형위성 발사체 제작의 차질 없는
지원 및 산림 분야 위성 활용 수요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처리・활용 기반을 확립할 예정이며,
산림 및 임산업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의 저변을 확대하고 R&D 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전문 인력양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림 분야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고유사업의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과학연구, 기후영향 적응 연구, 농림위성 산림특화정보 기반연구,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등 산림 분야의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국립수목원은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보호지역 확대・관리
기반 연구(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조치, OECM)를 집중적으로 추진하며, 산림 내 주요
보존 대상종인 희귀・특산식물의 보전전략 마련 및 정원산업 내실화를 위한 식물소재 국산화 등
공급기반 구축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방향에 맞추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산림청의 투자구조 조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산림기반 사회문제해결 실증기술 개발’,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 사업’은
∙205∙
구조 조정을 실시해서 신규사업의 재원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신규사업은 탄소중립과 목재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산재 활용 중고층 목구조물 기술개발, 산림환경 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최적 산림 생산 기술개발, 산림 분야 인재확보를 위한 임무중심형 인재양성 등이다.
∙206∙
제2장 디지털전환
제1절 반도체/디스플레이
1. 시스템반도체 분야
시스템반도체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미래 첨단산업의 핵심 부품으로서
2021년~2028년간 연평균성장률 6.3%로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시스템반도체 산업생태계는
설계전문기업(팹리스), 위탁제조기업(파운드리), 후공정기업 등으로 분업화되어 있다. 최고 수준의
설계기술력을 보유한 미국 팹리스기업이 전체 팹리스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비해 우리나라 팹리스기업의 시장점유율은 1%대에 불과하다. 국내 팹리스 대부분이 중소기업
으로서 규모, 기반이 열악하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스타팹리스 기업을 선정하여 집중 지원
기술혁신 역량과 글로벌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팹리스 기업 20개를 ‘스타팹리스’로 선정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토록 집중 지원한다.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주도형 연구개발 15개
과제를 지원하는 동시에 MPW(Multi Project Wafer)시제품 제작, 금융지원, 국내외 마케팅
등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을 우대 지원한다.
2) 수요-공급기업 협력 시제품 개발 지원 강화
시스템반도체 수요-공급 정보매칭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COMPASS)을 통해 수요기업의
니즈와 공급기업의 기술정보를 교류하고, 기업간 공동기술개발 및 시제품 제작을 지원함으로써
실시간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팹리스기업의 시장진출 가능성을 제고한다.
∙207∙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글로벌스타팹리스 기업 20개 선정
글로벌 상위권 팹리스 육성을 위해 사업공고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팹리스 20개사를
“스타팹리스”로 선정했다. 창업 7년 이상의 글로벌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팹리스(글로벌
스타)에는 어보브반도체, 픽셀플러스 등 10개 기업이 선정되었으며, 창업 7년 미만의 기술혁신
역량을 보유한 팹리스(라이징 스타)로 퀄리타스반도체, 사피엔반도체 등 10개 기업이 선정되어,
산업통상자원부 명의의 인증서를 수여하는 출범식 행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기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디스플레이, 통신, 자동차 등 유망분야에 대한 기업주도형 자유공모
과제 15개를 선정 지원하고, 시제품 제작, 시스템반도체설계지원센터 입주, 해외 마케팅 지원
대상 기업 선정평가시 가점을 부여하여 기업 성장을 집중 지원한다.
2) 수요-공급기업 협력 시제품 개발 지원 강화
시스템반도체 분야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단기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자
온라인플랫폼(COMPASS)을 통해 수요-공급 기업 간의 제품개발 매칭이 이루어질 경우 수시
선정평가를 통해 총개발비의 50%를 정부출연금으로 지원한다. 단, 28nm 이하 첨단공정은
최대 10억 원, 28nm 초과 공정은 최대 5억 원으로 사업비 규모를 차등하여 지원한다.
2023년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총 23건의 개발 의뢰가 접수되었으며, 데이터센터,
로봇용 AI 반도체 등 첨단공정 활용 기술개발 6건, 전력관리칩, 통신칩 등 일반공정 활용 기술
5건 등 11개 과제가 선정・지원했다.
2. 공정/장비 분야
반도체는 대표적인 장치 산업으로 반도체 장비가 산업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며, 반도체 시장의
확대, 공정 난이도 증가 등으로 장비 시장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이다. 단, 우리나라는
증착, 세정 등 특정 분야에 일부 경쟁력을 보유 중이나, 세계 시장에서는 고전 중이다. 또한
향후 공정의 미세화 등으로 웨이퍼 당 재료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반도체 소재 시장 또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기업은 실리콘 웨이퍼를 중심으로 증착 소재, 식각 가스 등 신소재 확보
집중하고 있다.
∙208∙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민관 협력의 반도체 선행 기술 연구개발 추진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소자・공정 사업’을 통해 민관 협력의
반도체 R&D 생태계 환경 조성에 기반을 다졌다. 또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민관공동
투자 반도체고급인력양성 사업’을 개시하여 민간 주도의 반도체 선행기술 개발을 통한 반도체
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저변 확대의 초석을 다졌다.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민관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 투자 체결
2023년에는 ‘민관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이 개시되었다. 이는 반도체 산업의
기술 경쟁력 유지와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반도체 연구인력 확보가 필수적임을 반도체 기업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생긴 결과이다. 2023년 2월에는 산업부와 반도체 기업의 투자체결식을
개최하여 투자 의지를 확인하였다. 투자체결식에는 삼성전자와 에스케이하이닉스의 연구소장이
참석하였다.
이 사업은 2023년부터 2032년까지 2,365명의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반도체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총사업비 2,228억원 규모를 반도체 기업과 정부가 1:1로 투자하여 운영
되며, 대학 및 연구소 등에서 R&D를 수행한다. 대학 및 연구소에서는 메모리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반도체공정장비, 반도체 소재 등 반도체 전 분야에서 기업이 제안한 수요기반의 반도체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2023년에는 총 47개의 반도체 선행기술 연구가 200억 원 규모로 시작되었으며, 440여 명의
반도체 석・박사 학생들이 참여하여 반도체 연구개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2)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소자・공정 사업 운영
2022년부터 시작한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설계・소자・공정 사업’은 총 3개 반도체 기업이
산업부와 함께 공동투자에 나서 총 36개의 연구개발과제를 운영하고 있다. 민간 주도의
R&D 수행을 위하여 투자기관에서는 연구개발비 투자뿐만 아니라, 사내 엔지니어 총 131명을
연구과제별 멘토링을 지원하고 있다. 총 2023년에는 에서는 투자기관으로부터 아직 과제가
종료되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기술이전 1건 사례가 있다. 연구기술 성과로는 1억당
0.04개의 논문, 0.03개의 특허출원이 도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9∙
3. 전력반도체 분야
전력을 처리하거나 조정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개선하는 전력반도체는 에너지기기 디지털화의
핵심기술로 전기차, 산업용, IoT/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글로벌 전력반도체 시장(OMDIA)은 2023년 601억 불에서 2030년 1,086억 불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전력반도체 시장은 약 20억 불 규모로 기술력 부족과 해외기업의 특허
선점 등으로 국내 수요의 90% 이상을 수입제품이 점유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반도체 기술력 제고, 생태계 고도화 및 차세대 전력반도체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2017~2023)”,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2021~2024)” 및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2022~2025)”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2024~2028)”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2024년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1)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2017년부터 추진한 전력반도체 첫 번째 예타사업으로 선정된 사업으로 전력반도체 볼모지
였던 국내 생태계 구축을 위해 Si 기반 소자, IC 패키지 및 공정기반구축을 위해 추진되었으며
2023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2)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
2017년 산업자원통상부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를 통해 국내 산화갈륨 연구가 본격적인
정부지원을 받아 활성화되었다. 특히 국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세라믹
기술원은 소자 개발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에피기술과 소자기술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사업은 2021년부터 한국반도체연구
조합을 주축으로 공동연구팀을 구성하고 초고전압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는 원료분말 소재 개발을,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전력반도체 소자 개발을 함께 진행하는 다부처 협업 형태(함께 달리기
사업)로 진행되고 있다.
∙210∙
3)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화합물반도체의 대표적인 소재인 GaN, SiC 기반의 소자, IC 개발을 통해 전기차, 태양광,
가전에 적용하는 수요연계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화합물 공정지원을 위해 8인치
SiC 전력반도체 양산 공정기반을 구축하는 사업도 병행하여 추진하고 있다.
4)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화합물 전력반도체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산학연 전문가 50여
명이 총괄위원회, 기술위원회 활동과 사전공청회 등을 거쳐 예비타당성 보고서를 제출하여
총사업비 1,384.6억 원으로 통과되었으며 총 18개의 세부과제를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전력반도체 연구개발사업의 성과항목으로는 핵심원천기술 확보, SCI 논문, 특허, 사업매출
및 고용으로 타 연구개발 사업 대비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1) 신산업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2023년 종료된 “전력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총 44건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그중 67.4%
(27건)은 SCI 논문에 해당되며 10억 원당 SCI 논문 성과는 0.5건으로 나타났다. 특허의
경우, 85건의 특허실적을 창출하여 그중 34.1%(29건)이 등록특허에 해당되며 10억 원당
특허성과는 1.6건이며, 매출액은 총 439억원이고 고용은 73명으로 10억원당 1.5명의 성과가
있었다.
2)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
3차년도 사업을 진행했던 “고효율, 고신뢰성 특성의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소자 기술개발” 사업의
세부주관인 파워큐브세미㈜에서는 기술개발 및 연구를 통해 국내외 전문학술지에서 9건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국내외 학술대회에서는 29건을 발표하였다. 한국세라믹기술원에서는 국내 최초로
엣지필름공급(EFG, Edge- defined Film-fed Growth) 방법을 활용한 산화갈륨 단결정 성장
결과를 SCI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밖에 기술적 성과로 특허 출원 14건과 기술이전 6건으로
총 계약액은 13.5억을 달성했다. 국내 특허 출원은 10건이며, 이 중 국내에서 등록된 특허가
1건 있다. 또한, 국외에서의 특허 출원은 4건으로 진행되었다. 기술이전은 총 6건으로, 2023년
에는 이를 통해 정액기술료로 2.2억원을 계약 완료했다.
∙211∙
3)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2차년도 사업을 진행했던 “화합물 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은 출원특허
54건(등록특허 1건)으로 특히 2023년 10억 원당 특허출원은 4.89개이며, SCI 21건, 비SCI
18건, 학술대회 47건으로, SCI논문의 평균 IF 4.69, 평균 mrnIF 60.31로 나타나 2023년
기준 목표치(mrnIF 59.82)를 초과 달성했다. 또한 수행기간 중 10건의 사업화 성과가 발생
하였으며 10억 원당 4.16억 원의 사업화 매출액 달성했다. 신규고용은 72명으로 지난 2년간
10억 당 4.43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나타났다.
4. 센서 분야
모든 기기와 사물을 서로 연결하는 초연결 시대의 도래로 센서가 핵심 부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센서는 단순 감지, 측정을 통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자동차,
가전, 로봇 등 어플리케이션에 주변환경 인지 및 상황 추론 기능이 추가되며 제품 성능에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세계 센서 시장 규모는 2023년 1,797억 불에서 2029년 3,005억 불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기술력 부족과 수요처 확보의 어려움으로 국내 센서시장 규모는 41.8억 불로 세계시장
점유율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센서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시장선도형 차세대센서 기술개발사업
(2021~2023)”을 추진하였고, 모바일, 자동차, 바이오, 공공 등 4대 분야 핵심 센서기술 확보
및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 제조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현재 “시장선도를 위한 한국주도형
K-센서 기술개발사업(2022~2028)”을 추진 중이다.
1) 시장선도형 차세대센서 기술개발사업
2021년에 시작된 “시장선도형차세대센서기술개발”사업은 기존 국산화 전략에서 벗어나 수요
산업 맞춤형 차세대 센서기술을 개발하여 급성장하는 센서 시장 선점 및 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
되었다. 자동차, 바이오, 공공분야에 적용되는 라이다, 레이더, 바이오센서 10개 아이템이 개발
되었고 2023년 사업이 종료되었다.
∙212∙
2) 시장선도를 위한 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2022년에 시작된 “시장선도를 위한 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사업은 주력산업 분야
데이터 수집 및 처리에 필요한 7대 핵심센서(모션, 광, 온/습도, 가스, 압력, 바이오, 레이더)
기술개발과 센서산업 생태계 구축을 지원하여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을 통한 센서 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시작되었다. 시장경쟁, 미래선도, 플랫폼 과제를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제조혁신플랫폼을 통해 시제품 제작 및 신뢰성 평가, 센서 제조에 필요한 공정기술을 개발
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연구개발 주요 성과
K-센서 기술개발 사업은 타 사업(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대비 논문 및 특허 등 과학적
성과지표에서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였다.
1) 특허등록현황 및 사업화 매출성과
등록특허 SMART 등급점수를 보면, 10억 원 당 4.63건을 등록하며,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사업 3.89건과 비교하여 비교적 높은 성과를 도출한 것을 볼 수 있고, SCI논문의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지수 역시 10억 원당 2.88건으로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 사업 1.94건과 비교
하면 매우 높은 성과를 도출한 것으로 보인다. 동 사업은 ’22년에 시작되어, 아직 과제 종료가
도래되지 않아 매출실적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기업 지원을 통해 수혜받은 기업을 통해 약
3.8억 원의 매출이 달성되었다.
<표 3-3> 최근 2년간 특허 성과 비교
(단위 : 건)
구분 2022 2023
최근2년
(2022-2023)
출원 건수 / 10억 원
시장선도를위한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국내출원 52 128 180
4.63해외출원 2 17 19
소계 54 145 199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사업
국내출원 362 495 857
3.89해외출원 48 63 111
소계 410 558 968
∙213∙
<표 3-4> 최근 2년간 등록특허 논문 점수
(단위 : 평균, 건수)
구분 2022 2023
최근2년
(2022-2023)
SCI 건수 / 10억 원
시장선도를위한한국주도형
k-센서기술개발
I.F.(평균) 12.13 8.87 9.57
2.88mrnIF(평균) 84.74 77.03 78.7
SCI(건수) 27 97 124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사업
I.F.(평균) 6.18 6.85 6.53
1.94mrnIF(평균) 68.16 75.19 71.82
SCI(건수) 231 251 482
2) 수상실적
2022년~2023년 기준 기업에서만 mrnIF 94.37이라는 우수한 질적수준의 논문 실적을
거두었고 또한 사업에 참여중인 “솔”은 반도체 센서를 활용한 자동세포 계수기를 세계최초로
개발하고, CES 한국센서관에 참가하여 CES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214∙
제2절 인공지능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1950년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은 ‘계산기 기계와 지능’이라는 논문에서 기계의 생각 가능
여부를 테스트하는 방법, 지능적 기계의 개발 가능성, 학습하는 기계 등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세간에서는 이것을 인공지능 역사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이후 1950년대 후반에는 코넬대
프랭크 로젠블럿이 뇌의 동작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퍼셉트론’이라는 간단한 인공 신경망
개념을 발표하면서 인공지능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후 긴 시간 동안 인공
지능 연구는 부침을 거치긴 했으나 큰 진전 없는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2006년 캐나다 토론토 대학 제프리 힌튼 교수가 발표한 심층신경망 개념은 초기에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으나, 이후 컴퓨터 성능의 발전, 딥러닝 알고리즘의 개선, 인터넷을 통한 빅데이터
생성 등의 도움으로 실용화되어 특히 이미지 인식/분류 문제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면서
인공지능 연구는 다시 부활하기 시작했다. 2017년 구글이 발표한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2022년 챗GPT 같은 거대언어모델 기반 서비스가 출시되는 등 인공지능은 획기적인
기술적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 전문가들은 거대언어모델의 성공에 심취해 범용
인공지능(AGI) 시대가 머지않아 도래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피력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인공지능 연구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다. 전체 여정 중 여전히 초입 수준에 불과
하다. 현재 인공지능은 체스・바둑 게임, 단백질 구조 예측 등 협소한 특정 분야에서만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뿐, 범용적인 용도로는 효용성이 낮으며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수준
까지는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전히 정보오류, 설명 부족, 높은 유지보수 비용, 학습
데이터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즉, 인공지능 연구는 종착역에 임박한
것이 아니라 레이스 초반에 있는 것으로, 어떤 국가와 기업이 주도권을 선점하느냐에 따라 미래
국가 경쟁력 판도가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중국은 기술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인공지능 분야에 투자와 육성을 아끼지 않고 있다.
IITP 기술수준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기술 수준은 기술선도국
미국 대비 89.1%로 1.3년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 관련 논문 수, 출원 특허 수, 투자액,
고급 인력 등 모든 비교 수치에서 미국, 중국 등 인공지능 선도 국가와 격차가 매우 큰 실정
이다. 기술과 시장을 선점한 1위 국가・기업에 종속되어 기술 주도권을 상실하여 필요한 기술을
전적으로 해외에 의존하게 되면 우리의 자주성이 훼손될 수 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215∙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 주권 확보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
연구는 우리나라의 당면 핵심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정부는 2023년 1월 ’인공지능 일상화 및 산업 고도화 계획‘을 수립하여 세계 인공지능
글로벌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2023년 4월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을 통해 챗GPT 등 초거대 AI로 촉발된 새로운 기술과 시장의 흐름에 대응할 전략을 마련
했으며, 2023년 9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 실행계획’을 통해 대한민국의 모든 사람이 AI
혜택을 공유하고 세계에서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제고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분야 R&D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딥러닝 기술이 가지는 한계점를 극복하기 위해, AI 학습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인간과 소통능력 및 신뢰성을 강화하는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과 한국어 처리 기술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대용량 한국어 데이터로부터 범용적
의미・표현을 사전학습하고 이를 응용 분야에 적용・활용하기 위한 ‘한국어 대형 언어모델 기술
개발’을 2022년부터 지속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시각적 학습 기반 능동적 준지도(Semi-Supervised) 적응 기술을 활용하여
소리로부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소리-영상 전환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모든 종류의 픽셀
레이블링 문제에 대해 적은 데이터로도 학습과 추론을 할 수 있는 범용적인 퓨샷(few-shot)
학습기법 개발과 분포가 변화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도 편향되지 않은 판단을 내리도록 돕는 공
정한 인공지능 학습기법 등을 개발하였다.
정량적 성과로는 32개 과제지원을 통해 SCI 논문 154건, 학술대회 논문 693건, 특허 출원
256건, 등록 17건, 표준화 채택 11건을 달성하였으며, 10건의 기술이전을 통해 5.5억 원의
기술료 창출 등 다수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216∙
세계 최초로 인식이 가능한 정도의
소리-영상 전환 기술 개발
(SBS 등 다수 언론 보도, ’23.5월)
픽셀 레이블링 문제를 소량의 데이터로
해결할 수 있는 범용적 방법론 개발
(한국경제 등 다수 언론 보도, ’23.5월)
데이터의 편향패턴이 변화해도
공정하게 학습하는 프레임워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등 다수 언론 보도, ’23.10월)
[그림 3-13] 사람중심인공지능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성과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제품・서비스 연구개발 지원으로 다양한 분야의 인공
지능 전문기업을 육성하여 AI+X R&D활성화 및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인공지능산업
융합기술개발사업’을 2023년에 추진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5개의 연구개발과제를 지원하였으며, 멀티모달 AI기반 대화형 통합 검색 기술,
질병 관리를 위한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의 자가 진단시스템,
AI기반의 의약품 제조품질 리스크 분석 및 예측 고도화 기술, 64TOPS급 국산 반도체를 활용한
인공지능 동영상 배경제거 SaaS 서비스, 영유아 Motion Diffusion 행동 생성 모델 및 3D
AI 행동 분석 시뮬레이션 기반 어린이집 영유아 안전 강화 플랫폼 등을 개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과학, 공공 및 산업의 각 분야에서 겪고 있는 난제(難題)를 인공지능 기술로 해결
하기 위한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도 신규사업으로 추진하였으며, 고난이도 과학난제
및 공공・사회문제를 AI 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AI기반 과학・공공 난제
해결 기술개발’과 산업 분야에 AI 적용 연구를 통해 경쟁국 대비 월등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AI기반 산업 난제 해결 기술개발’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다.
∙217∙
[그림 3-14] 인공지능첨단원천유망기술개발사업 추진내용
사업 시작인 2023년에는 물리화학 원리를 반영한 구조기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맞춤형 교육을 위한 과정중심평가 인공지능기술, 차세대 이차전지 성능개선, 신품종 육종 인공
지능기술 등 4개 과제가 진행되고 있다.
2) 인공지능 연구생태계 활성화 및 저변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생태계 활성화, 저변확대, 인공지능 활용
사회문제해결 가능성 모색 등을 위해 2017년부터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우수한 연구팀을 경진대회(챌린지)를 통해 선발하고, 선발팀은 후속연구를
추진하는 새로운 R&D 지원방식이다. 2019년에는 시각지능, 청각지능, 로보틱스 제어지능 등
개별 인지지능을 복합 인지지능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단계로 구성된 통합 문제
시나리오를 풀어내는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로 확대 개편되어 2019년 복합재난상황 대응을
주제로 한 3차 대회, 2020년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주제로 한 4차 대회가 시작되었고, 2021년에는
3・4차 대회에서 출제된 과제의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여 각각 진행하였으며, 참가한
61개의 팀 중 총 7팀의 우수 연구팀을 선발하여 후속연구를 지원하였다. 2022년에는 상기
3, 4, 5차 대회의 마지막 단계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최종 순위를 공개・시상하고 각 팀의 우승
전략과 성과들을 발표・전시하는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218∙
[그림 3-15]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022년부터는 ‘정책적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을 도전주제로 ’22년 1단계를 시작
으로 ’24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난이도를 높여 가며 도전해 나가는 신규 대회를 시작하였다.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 정책 지원 AI’로 명명된 ’22년 1단계 대회에는 54개팀(339명)이
참가하였으며, 그 중 상위 6개 팀을 후속연구 지원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2023년 2단계 대회
에서는 작년 1단계 대회에서 우수팀으로 선발된 6개팀과 올해 초 새롭게 ‘오픈 트랙’ 대회를
통해 도전하게 된 3개팀을 포함한 총 9개팀(79명)이 참가하여, “국가균형발전 정책” 등 특정
정책과 관련한 심층적인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문제에 도전하였다. 올해 도전한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보고서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①표・도표를 이해・생성하고, ②답에 대한
근거를 정확히 제시하며, ③계위(서론-본론-결론 등)를 구분하여 보고서 작성한다는 점에서
챗GPT 등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대회 결과에 따라 과기정통부 장관상 등 시상이 이루어졌다.
[그림 3-16] 2023년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 시상식
3)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투자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분야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신뢰성, 윤리성 등의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 생성AI 기술개발’ 사업을 ’24년부터 신규 추진한다. 동 사업을 통해 급변하는 초거대
생성형 AI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초거대 생성형 AI가 해결하기 어려운 결과물의
윤리성, 진실성, 최신성 등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을 선점하고, 아울러 국내 생성형 AI 생태계를
∙219∙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공공 및 산업 분야 난제를 인공지능 기술개발로
극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첨단 유망 원천기술개발 사업’과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인공지능
활용 제품・서비스 R&D 지원으로 다양한 산업 도메인의 인공지능 전문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인공지능 산업융합 기술개발’ 사업을 ’24년에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인공지능 기술은 全산업의 혁신과 직결되는 디지털 전환(DX)의 핵심기술로서, 세계 주요국들은
자국의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특히, 챗 GPT 출시(’22.11.)로 가시화된
생성형 AI는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하는, ‘AI 일상화 시대’의 문을 여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천문학적인 자본을 투자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의한 AI 기술 독점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차세대 AI 핵심 원천기술개발을 통해 AI 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산업 전반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선택과 집중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우리 정부도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자 한다. 현 딥러닝의 기술적 한계와 생성형 AI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R&D를 지속 지원하고, 이와 연계한 실증 R&D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인 인공일반지능(AGI :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방안 모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산・학・연 협력 지원, 해외 유수 기관과의 공동
연구 등을 통해 우리 AI 연구 수준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글로벌 역량을 갖춘
연구자 육성에도 적극 경주할 예정이다.
∙220∙
제3절 양자
1. 개요
1927년 10월 24일부터 29일까지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솔베이 연구소에서 당시 양자
물리학의 주류를 이루는 코펜하겐 해석에 대해 세계적인 물리학자들이 모여 회의를 열었다.
제5차 솔베이 회의라 부르는 이 회의에는 보어, 아인슈타인을 필두로 하여 플랑크, 퀴리,
로렌츠, 하이젠베르크, 드브로이, 보른 등 당대 물리학의 거물들이 참석하였고, 코펜하겐
해석에 대해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코펜하겐 해석이란 입자의 상태는 파동함수에 의해 결정
되며, 물리량은 관측의 영향을 받고, 서로 관계를 갖는 물리량은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다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코펜하겐 해석과 제5차 솔베이 회의를 통해
양자 역학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인류는 이러한 양자역학을 바탕으로 지난 세기 반도체,
ICT 등 눈부신 발전을 이끌었다. (제1차 양자혁명)
Fifth conference participants, 1927. Institut International de Physique Solvay in Leopold Park
출처 : Solvay Conference Wikipedia
[그림 3-17] 제5차 솔베이 회의
∙221∙
이러한 발전에 이어 20세기 후반 초미세영역에서 나타나는 간섭, 얽힘, 중첩, 압착 등의 양자
현상이나 특성을 통신, 센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에 활용하는 양자과학기술이 대두되었다.
이는 미세암을 검출하는 양자 MRI, 스텔스기를 탐지하는 양자레이더처럼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제2차 양자혁명의 시대를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제2차 양자혁명은 기존 센서로는
볼 수 없었던 정보를 계측(양자센서)하고, 일부 영역에서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난 성능으로 초고속
연산을 가능하게 하며(양자컴퓨터), 그리고 양자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여 양자정보기반의
ICT 생태계를 새롭게 창출(양자통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주요국은 이러한 3대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소부장과 인력양성, 표준화와 산업화, 국제협력 등 종합적인 육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림 3-18] 2차 양자혁명 시대의 도래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자통신은 현대의 네트워크가 ICT산업을 창출하여 경제와
안보에 큰 파급력을 준 것처럼 양자기기 간 연결을 통해 양자정보를 유통시켜 양자경제를 여는
주요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러한 양자통신 기술 중에서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중첩, 복제
불가능, 비가역성’ 등의 양자적 성질을 활용하여 도청 시도 시 암호 키를 파괴하여 물리적으로
도청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국방 및 보안이 중요한 산업에서 활용가능성이 커서
양자 분야 중 가장 먼저 활용되고 있는 사례 중 하나이다. EU는 27개 모든 회원국에 양자인터넷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EuroQCI)을 추진하고 관련 테스트베드(OpenQKD
Testbed)를 구축하고 있으며 중국도 4천km에 달하는 양자암호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보안 관련하여 그 중요성을 깨닫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ITP),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양자암호통신을 지원하고 있으며, 기술 개발부터
주요 기업과 연계하여 연구하여 연구 결과물이 사장되지 않고 기술개발부터 상용화까지 빠른
∙222∙
성과를 창출하여 세계 3번째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상용화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국가정보원, ETRI, TTA, KRISS가 협력하여 공공기관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할 때
필요한 양자암호통신 장비 검증제도를 세계 최초로 마련하였다.
* 양자암호통신은 양자(광자)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암호키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마치 비눗방울로 양자키를
보내는 것에 비유할 수 있는데, 비눗방울을 건들면 터지는 것과 같이 도청 시도가 있을 경우 양자키가 파괴되고,
네트워크 운용자는 도청 시도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양자센서는 고전센서로 측정하기 힘든 물리량 등을 계측하여 기존 기술로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였던 정보를 계측・수집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美 백악관 보고서나 맥킨지 보고서 등에서는
양자산업을 이끌 대표적인 기술로 보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활용사례를 갖고 있다.
미래에 기대되는 양자센서의 산업적 예시로 ‘미세암 검출 양자 MRI’의 경우 기존에 검출하지
못했던 매우 작은 미세암 검출이 가능해져 중증의 암치료 시장이 경증의 암예방 시장으로
변하는 등 제약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국방 분야 예시로 1대당 수천억
에서 조 단위의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 있는 ‘양자레이더’는 비대칭 전략무기에 큰 파급력을
줄 것으로 예상되어 국방전술과 국방산업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 양자중력센서를 만들었고, 단일 광자 검출기와 같은 일부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양자 컴퓨터의 경우 슈퍼컴퓨터의 역할을 모두 대체할 수는 없으나,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불가능했던 일부 영역에 대해 매우 빠른 초고속 연산으로 소재, 신약 등 첨단산업과 국방 전술
등 국방 분야를 포함한 광범위한 영역에 큰 파급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예시로 양자컴퓨터가
수십억 개 이상의 염기쌍으로 구성된 DNA를 분석하고 방대한 양의 염기서열 변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혁신적인 질병치료 기술과 신약개발의 물꼬를 트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는 외국에서
극초기 수준의 양자컴퓨터가 연구개발 시장을 대상으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 분야 예시 국방 분야 예시
[그림 3-19] 양자과학기술의 파급력 예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223∙
2. 2023년 연구개발 추진현황
우리나라는 ‘2035년 대한민국,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국가’를 비전으로 하여 ‘우리 기술로
양자컴퓨터 개발활용’, ‘인터넷 강국에서 양자인터넷 강국으로 도약’, ‘최고 수준 양자센서로
세계시장 선점’의 3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림 3-20]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과 정책목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비전 ’23.6)
가. 양자통신
국내 양자통신 분야는 양자통신 기술을 상용화기술로 연계한 양자암호통신과 양자기기
간 연결을 위한 양자네트워크(양자인터넷)기술, 이와 관련된 양자난수생성기, 단일광자 생성기 및
수신기 등으로 구성되며, 국내 양자 분야 중에 두 번째로 기술수준이 높으며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하여 86%의 기술 수준을 갖고 있다.
∙224∙
양자암호통신의 경우 기존 통신망,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양자암호통신을 보급하기 위하여
경제성 확보를 위한 통신칩 집적화, 전송효율 향상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더불어 전송속도
향상, 전송거리 확대 및 수신기의 고도화 등 양자암호통신의 기술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양자인터넷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양자기기 간 연결을 위한 양자 정보의 전송과
양자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얽힘 전송기술과 양자메모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원거리 얽힘 분배・교환 기술 및 전송손실 보상 등 양자 중계기(리피터)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하고 있으며, 무선 분야의 경우 노이즈(태양광) 감쇄가 있는 환경에서 장시간 운용
가능한 무선 양자전송 플랫폼 개발을 하고 있다. 특히, 양자암호통신 기술개발에 있어서 초기
부터 관련 기업과의 연계로 산・학・연 역량을 결집하여 빠른 기술추격을 달성한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양자인터넷 관련 기술개발에도 국가지정양자인터넷연구소(ETRI, KIST)와 미래양자
융합포럼을 통해 산・학・연의 연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양자 중계기의
핵심 부품인 양자메모리의 경우 양자정보의 저장시간, 파장변환 등 다양한 특성에 따라 원자,
원자 앙상블, 고체 플랫폼 기반으로 한 양자메모리를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나. 양자센서
국내 양자센서 분야는 관성, 시간・주파수, 광(이미징), 자기장, 전기장 5대 양자센서플랫폼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중장기적인 원천기술 확보와 단기적인 상용화 선도를
위한 기술개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양자 기반의 계측 이론과 관련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양자 분야 중 가장 기술 수준이 높으며 양자중력
센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세계 수준 대비 3위~4위 정도의
기술수준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하여 87%의 기술수준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국방・의료・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세계 최고수준의 양자센서
기술 확보를 목표로, 無GPS 항법 기술 및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 국방・공공 관련
분야뿐 아니라 배터리・반도체・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산업계 실수요를 바탕으로 시장 활용에
중점을 둔 양자센서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양자센서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국내 첨단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양자 자기
센서, 양자 미세 이미징 시스템 등의 원천기술 개발과, 산업현장 응용확대를 위한 무진동 극저온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연구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초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는 양자
센서의 국내 기술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양자센서상용화기술개발 사업을 신규 추진하여 5대 양자센서 주요 플랫폼(관성,
∙225∙
시간, 전기장, 자기장, 이미징) 핵심원천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양자센서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고성능 레이저 등 양자시스템 구현에 필수적인 양자 지원기술 국산화 등을 지원
하고 있다.
다. 양자컴퓨터
2030년대 초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개발을 목표로 자체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양자컴퓨팅 기술의 경우, 현재 시장지배적 기술이 정해지지 않은 가운데
다양한 후보 방식(플랫폼) 간 경쟁이 진행 중이다. 정부는 각 플랫폼의 혁신 가능성을 열어두고
기술로드맵을 마련하였으며 기술성숙도와 국내 기술수준에 따라 유형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먼저 초전도 현상을 활용하여 양자 연산을 수행하는 초전도 기반 범용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양자컴퓨팅 연구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양자
컴퓨팅 분야의 핵심적이고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시스템 요소기술을 확보하고 알고리즘,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큐피트 양자컴퓨터 구축을 위한 20큐비트
칩 설계 및 제작 기술, 3차원 초전도 연결기술 등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오는 2024년
국내 기술로 개발한 20큐비트급 초전도 방식 양자컴퓨터 첫 시연을 앞두고 있다.
양자컴퓨팅 분야 양자기술 연구개발 선도 사업은 초전도와 중성원자를 제외한 양자컴퓨팅 4대
유망플랫폼 기술(이온포획, 광자, 반도체 양자점, 고체점결함)을 시스템 수준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다학제 참여 역량결집형 집단 연구와 이를 구현하고 운영, 응용하기 위한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도전적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분자의 열역학 특성을 계산하는 양자시뮬
레이터와 분자 동역학을 모사하는 양자시뮬레이터의 개발이 진행 중이며 양자시뮬레이터에
수소에너지 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신소재 후보 물질 발굴 및 액상 유기 수소 운반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함께 추진 중이다. 이 연구는 소재혁신 양자시뮬레이터 개발 사업으로 2021년
혁신도전 프로젝트 연구테마로 선정되었다.
한편, 양자컴퓨팅을 활용하여 사회 전 분야의 혁신을 창출하고 난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실제적인 양자 이득 연구도 추진 중이다. 시작단계에 있는 양자컴퓨팅 활용 분야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양자 최적화 계산, 양자AI 등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이 사업은 2023년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5개의 신규과제를 선정하여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하였다.
∙226∙
3. 2023년 주요성과
가. 양자경제 선도국가를 향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
1)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양자기술산업법)」 제정(’23.10.)
2023년 10월 6일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만장일치로
통과하고, 10월 31일 제정되었다.
이는 정부와 여・야가 기존 디지털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기존 기술로 불가능한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과학기술이 국방과 첨단산업의 판도를 변화시킬 것이라는 점에 공감하고,
기술개발과 산업발전, 관련 인프라 구축과 생태계 조성을 종합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 박성중 의원 대표발의안과 변재일 의원 대표발의안을 기반으로 ‘부처-여야 공동 TF’에서 병합안 도출
<표 3-5> 양자기술산업법 주요 내용
❶ 양자과학기술(통신・센서・컴퓨터 등)의 연구기반 조성과 양자 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종합진흥 체계를 구축한다.
양자과학기술 및 지원기술,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시책을 수립・시행하여 과학기술혁신과 국가안보,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제1조~제3조)
❷ 범부처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양자전략위원회를 설치하고 양자종합계획을 수립한다.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민간위원 포함 20인 이내의 양자전략위원회를 설치(제7조)하고, 양자기술・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제5조)한다.
또한, 양자과학기술의 파급력이 국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양자기술 발전에 따른 보안위협 대응방안을
마련한다.(제10조)
❸ 양자과학기술의 역량집중과 기존 첨단산업과의 융합을 위해 기술개발과 산업의 허브를 구축해 나간다.
정부는 산・학・연 연구 협력의 거점기능을 담당할 양자과학기술 연구센터를 지정 (제18조)하고, 양자 연구・산업육성의
중심역할을 수행할 양자클러스터를 지정 (제24조~제28조)한다.
❹ 양자 분야를 이끌어 나갈 인력 양성 및 우수 인력의 유치・활용을 지원하고, 전문교육기관을 선정・지원한다.
양자과학기술과 산업을 이끌어 나갈 인력의 양성부터 정착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고 양자과학기술에 특화된 인력양성을
담당할 대학 및 대학원 등 전문교육기관을 선정・지원할 수 있다.(제21조~제23조)
❺ 양자 기술개발 성과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종합지원과 특례를 통해 산업화를 촉진한다.
양자 기술개발과 양자산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상용화 촉진, 창업 및 기업육성 체계를 구축하고(제14조,
제16조), 기업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현금 부담비율 등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례 및 기술이전 시 기업에 전용실시권을
설정할 수 있는 특례를 규정한다.(제12조, 제13조)
❻ 기술패권 확보를 위한 경쟁 속에서 전략적인 국제협력 추진을 위한 근거 조항을 마련한다.
국제 공동연구, 국내 인력의 해외연수 및 인력 교류, 국제 표준화 등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제29조), 해외
우수 연구개발센터의 국내 유치를 지원한다.(제30조)
∙227∙
2) 「대한민국 양자 대도약 원년」 선포(’23.1.19) 및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 발표
(’23.6.27)
대통령 주재로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에서 글로벌 양자 석학들과 양자과학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2023년을 “대한민국 양자 대도약의 원년” 선포한 데 이어 2035년 글로벌
양자경제 중심국가를 목표로 비전과 육성 방향을 제시한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을 발표
하였다. 이 안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중장기 비전과 발전전략을 담은 국가전략으로 3대 정책
목표와 전략 과제를 제시하였다. 양자과학기술 3대기술 분야(컴퓨터, 통신, 센싱)의 정책목표로
‘우리 기술로 양자컴퓨터 개발・활용’, ‘인터넷 강국에서 양자인터넷 강국 도약’, ‘최고 수준 양자
센서로 세계시장 선점’ 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전략과제로 2035년까지 양자과학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양자 핵심인재 2,500백 명 확보, 기술 수준 85%, 세계 시장 점유율 10%
도달을 제시하고 민-관 공동으로 3조 원 규모의 투자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기술-산업
융합을 위해 양자 활용 공급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3) 양자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 도입 및 지원
우리부와 NIA 양자산업생태계 지원센터는 양자통신, 센서 등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 분야를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기업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래 양자융합포럼을 통해 110개
기관, 472명이 참여하여 양자산업활성화를 위한 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4월 우리부와
국정원, NIA, ETRI, KRISS, TTA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 양자암호통신 장비를 도입할 수 있도록
국정원과 협업하여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제품군 대상 보안검증체계”를 마련하였으며,
11월에 보안검증을 통과한 첫 국가검증사례를 창출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검증을 통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금융・의료 등 보안이 중요한 분야의 양자암호통신 도입을 촉진하고, 초기 시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암호통신 장비기업 시장 창출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금융위와
협업하여 양자 스타트업 및 전환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지원책도 마련하였다.
나. 양자과학기술 기술역량 확보를 위한 전략적 투자 확대
정부는 2022년 수립된 양자기술 전략로드맵을 기반으로 양자과학기술 산업의 기술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3년 기준, 양자과학기술 분야 투자
규모는 9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5% 증가하였다. 이는 50큐비트급 자체 양자컴퓨팅 시스템
개발, 양자정보 전송용 초기 양자중계기 핵심기술, 배터리 설계혁신용 양자센서 등 주요 사업
예산으로 반영되어 핵심 기술 개발을 가속하였다. 동시에 현 수준의 양자과학기술의 공공 분야,
산업 분야의 다각적 활용방안을 탐색하고 지원하여 양자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228∙
다. 양자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반 구축 및 국제협력 강화
1) 양자 연구-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력양성
양자과학기술 분야 중요 핵심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운영 중인 고려대학교 양자대학원을
이어 2023년 4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주도의 두 번째 양자대학원을 개소하였다. 정부는
양자대학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대상으로 양자과학기술 이론-실습-프로젝트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대학・연구소의 양자교육, 연구센터 지정, 해외연수 및 단기교육, 훈련 등을 실시하여
양자 핵심인력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양자 기술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
한편, 양자정보의 처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형공용연구장비를 활용한 연구개발 지원이
필수적이나, 소재의 충돌로 현행 나노팹 등에서는 지원이 어려운 실정으로 기술개발을 지원
하는데 한계가 있는 상황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양자 소자 제작공정 기반을 구축
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 양자 전문가와 펩 운영기관이 참여하여 개방형 양자팹을 기획하였
으며, ’24년 2개 기관을 선정하여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초전도 플랫폼의 경우 양자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제공형 초전도 양자팹을 성균관대에 구축하여 ’23년부터
시범운영을 하고 있다.
3) 첨단신흥기술인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글로벌 기술동맹 구축
정부는 국내 양자과학기술 역량을 선도국 수준으로 조기에 향상시키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먼저, 미국, 독일 등 13개국이
참여한 다자협의체에 참여국 지위를 확보(3월)하였으며 한-미 양자과학기술 협력 공동성명(4월),
한-룩셈부르크 양자기술협력 MoU 체결(7월), 한-영 양자과학기술 협력 확대 합의(11월)가
이루어지는 등 양자과학기술 글로벌 동향 파악, 인력교류,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제적
지위와 기반을 다졌다. 글로벌 공동연구 및 교류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는 워싱턴에 위치한
미주권역 협력센터에 이어 유럽 권역 협력센터를 브뤼셀에 개소(7월)하였고 연 10억씩 5년간
지원되는 기술 분야별 공동연구센터를 10개로 확대하였다.
라.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이해도 제고
1) 「퀀텀코리아 2023」 개최(’23.6.)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양자 분야의 국제적 교류 및 소통의 장을 마련
∙229∙
하기 위한 행사로 「퀀텀코리아 2023」를 개최하였다.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4일간
진행된 이 행사에는 정부, 주요국 대사, 국내・외 양자과학기술 전문가, 산업계 인사 등 3천여
명이 참석하였으며 이 중에는 ’22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클라우저 박사를 비롯한 세계적
양자석학 및 양자기업, 관련 대학・연구소 연구자가 대거 참여하였다. 최신 양자 연구 및 산업
성과를 전시하고 기술 발표를 통한 민간 투자를 유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등 양자 산업계 확장을 도모하는 동시에 일반 국민 대상의 경진대회, 공모전, 대중강연도 함께
진행된 의미있는 행사였다.
4. 소결
정부는 국회 만장일치로 제정된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양자기술
산업법)」이 시행되는 24년 11월 범부처 양자전략위원회를 신설하고 기반조성, 기술개발부터
산업화까지 양자 분야를 종합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230∙
제4절 차세대통신/네트워크/빅데이터/IOT
1. 차세대통신/네트워크/IOT
가. 개요
통신 인프라는 10년 주기의 세대적 진화를 통해 사회 및 산업 발전의 필수 인프라가 되었으며,
자체 시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파급력이 크고 경제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국가 보안 측면
에서도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술패권 경쟁의 핵심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19. 4월)를 시작으로, 2030년 이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주도권 확보를 위해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20.
8월)’ ‘6G R&D 실행계획(’21. 4월)’ 및 ‘K-network 2030 전략(’23. 2월)’을 발표하였으며,
미래 통신서비스의 공간적 확장(지상에서 → 해상・공중까지)에 대비해서 ‘위성통신활성화 전략
(’23. 9월)’을 발표하였다.
[그림 3-21] ‘K-Network 2030’ 비전 및 추진전략
이 계획을 바탕으로 ’21년 1단계 6G 원천기술 R&D와 병행하여 2단계 상용화・표준화 기술
R&D에는 6G 네트워크 전체 5대 요소(무선통신, 모바일 코어,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 표준화)에
대해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모든 요소에서 저전력과 안전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231∙
[그림 3-22] 2단계 6G 추진 기획 방향 및 주요 내용
또한, 위성통신에서도 ‘제2의 CDMA 신화’를 창출하여 선진국 대열로 진입하고 디지털 대한
민국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완성하기 위해,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을 통해 마련된 정책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예정이다.
[그림 3-23]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 비전, 목표 및 추진과제
∙232∙
나. 2023년도 주요성과
2023년은 ’21년부터 시작한 6G 원천기술 R&D의 지속적인 추진과 더불어 클라우드・SW
기반 네트워크 패러다임 전환 등 개방형 통신기술 발전에 따른 통신장비의 국산화 기술 확보
및 국내 오픈랜 기술의 적합성 시험검증체계(K-OTIC) 마련 등을 위한 개방형 네트워크(오픈랜)
핵심기술개발 역시 추진되었다. 또한 6G 국제 표준화 일정과 6G 후보 기술 변화(Upper-mid
대역, Cloud-Native, AI-Native 등)에 따른 2단계 6G R&D를 기획, 예비타당성조사가 ’23년
8월 통과되어 ’24년부터 2단계 6G R&D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동력을 마련하였다. 또한
’23년 11월에는 우리나라 의장단이 주도하여 만든 ITU 6G 비전이 발표되었고, 12월 세계전파
통신회의(WRC,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에서 한국이 제안한 6G 주파수
후보 대역 4개 중 3개가 후보 대역으로 최종 채택되면서 2단계 6G R&D 전략을 통해 우리
나라가 글로벌 표준을 선도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주요 추진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6G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수립된
연차별 추진 계획에 따라 6G 통신단말・시스템 및 전자파 안전성 등에 대한 요소기술 고도화를
추진하였다. 또한 산업계에서 연구하기 힘든 도전적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22년에 이어 국내
대학원 내 6G 연구센터(’23년 KAIST,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숭실대, 아주대 6개 대학
7개 연구센터에 52억 원 지원) 지속 지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부터 6G 개발에 참여토록 하여
기초연구 강화 및 인력양성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Mobile Korea 2023’ 글로벌 행사 개최를
통해 5G/5G-advanced 이동통신 시장과 6G 이동통신 비전 및 기술표준을 선도하는 등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에서 국제 지도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패권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본격화 되고, Upper-mid
대역이 6G 주파수 후보대역으로 대두되고, HW 중심에서 SW와 클라우드 중심으로 네트워크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추세에 따라 1단계 6G R&D 전략에서 다루지 못했던 분야에 대해 2단계
6G R&D를 기획하였다. 2단계 6G R&D사업인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 기술개발 사업’
에서는 6G 기술・표준 선점을 통해 6G 조기 상용화를 추진, 글로벌 6G 시장선도를 목적으로
기술・산업 연계형 사업을 5개 분야(①6G 무선통신, ②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③6G 유선
네트워크, ④6G 시스템, ⑤6G 표준화)로 구성하였다.
∙233∙
[그림 3-24] 2단계 6G R&D 주요 사업분야
6G 무선통신에서는 Upper-mid band 대역에 대한 E-MIMO 기술 등의 개발과 함께 커버리지
확대 기술 연구를 다루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지능화가 강조됨에 따라 AI-Native,
Cloud-Native 기반의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 관련 과제 기획을 완료하였다.
특히 2단계 6G R&D에서는 기존과 다르게 6G 유무선 핵심 표준화를 위한 표준특허 전담
과제를 구성하여 표준특허 36건 이상을 목표로 6G 무선전송, 네트워크, 산업융합 등 각 분야별
표준 선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2단계 R&D는 ’26년 Pre-6G 기술 시연과 ’28년 6G 통합 기술
시연 등 단계적인 6G 기술 구현/검증 절차를 마련하였으며, 단순 R&D가 아닌 개발성과물이
실제 산업에 활용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그림 3-25] 2단계 6G R&D 기술 시연 로드맵 및 분야별 전략기술
∙234∙
셋째, 6G와 같은 미래 기술뿐만 아니라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개방형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통신장비의 공급망 다각화, 통신망 구축 비용 감소 등의 해결을 위해 오픈랜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였다. 이 정책에서는 오픈랜 시장 확산에 필요한 주요 핵심 부품・SW의 국산화 계획 및
오픈랜 검증・필드테스드 운영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고, 이를 통해 기존 폐쇄형 RAN 시장을
대체할 오픈랜 장비의 신뢰성 확보와 국내 통신장비 산업 육성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픈랜 정책에서는 ①전주기 시험환경 인프라 구축, ②기술/표준 경쟁력 확보, ③민관 협력 기반
생태계 조성 등 국내 장비의 글로벌 공인 인증 및 오픈랜 산업의 시장진입 단계부터 고도화까지의
핵심기술・제품 R&D 지원, 그리고 국내 역량을 총 결집하는 민・관 합동 협의체(ORIA) 추진
등을 담고 있다.
기존의 RAN 환경 Open RAN 환경
무선장치
안테나
독점 프론트홀(Fronthaul)
광섬유 케이블(CPRI)
기존 기지국
신호처리
RF 장비
네트워크 액세스
액티브 안테나로
무선장치(RU) 통합
분산 장치(DU)
중앙 집중식 또는 셀 사이트
신호 처리
네트워크 액세스
오픈 프론트홀(Fronthaul)
광섬유 케이블 (eCPRI 분할 7.2x)
오픈 미드홀(Midhaul)
중앙 집중식 장치(CU)
백홀(Backhaul
[그림 3-26] 기존의 RAN과 오픈랜의 차이점
이와 더불어 오픈랜 경쟁력 확보 및 국내외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내 역량을 총 결집하는
민・관 합동 협의체인 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ORIA, Open RAN Industry Alliance)를
창립(’23. 4월)하여 민・관 협력을 통해 지속성장 가능한 오픈랜 생태계의 디딤돌을 구축하였다.
넷째, 미래의 통신서비스는 지상에서 해상, 공중까지 공간적으로 확장되면서 위성통신의
중요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공공 목적(통신・항법보정・
∙235∙
수자원정보수집)용 정지궤도 공공복합 통신위성을 개발(~’27년)하고, 해상구조 및 영해보호
역량 강화 등 재난・재해 대비와 미래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 대비 등을 위한 공공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위성은 수재해 감시정보 확보, 해상・산악 및 지상망소실
통신음영지역에 대한 긴급 재난・재해통신을 지원하여 원활한 구조・안보 활동과 국민편의를
지원하고, 통신위성과 지상이동통신 간 연계가 국제표준으로 포함됨에 따라, 선도적인 연계
기술을 확보하고 기술 서비스에 대한 테스트베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림 3-27] 정지궤도 위성 통신 탑재체 활용 계획
이처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3년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을 위해 기존 추진
전략의 충실한 이행 및 급변하는 이동통신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규전략 수립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점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글로벌 6G 표준 선점과, 산・학・연 협력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수립된 6G R&D 전략의 수행을 위해 기존 1단계 6G 사업을 지속적
으로 추진・개선하는 동시에, 2단계 6G R&D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2단계
∙236∙
6G R&D 사업은 ’24년 210억 원 규모를 시작으로 총 5년간 정부출연금 3,732억 원 규모로
<표 3-6>과 같이 5대 분야 13대 전략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표 3-6> 2단계 6G R&D 주요 사업별 분야별 전략기술
분야 전략기술
1. 6G 무선통신
① 6G Upper-mid Band E-MIMO 시스템 기술
② 6G Upper-mid Band E-MIMO 기지국 핵심 부품기술
③ 6G Upper-mid Band 통신단말 핵심 부품기술
④ 6G 커버리지 확대 기술
2. 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⑤ 6G 모바일 코어망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기술
⑥ AI-Native 6G 모바일 코어망 자동화/최적화 기술
3. 6G 유선 네트워크
⑦ 6G 프론트홀 광링크 및 광전송 시스템 기술
⑧ 6G 유무선 통합 광액세스 시스템 및 부품 기술
⑨ 6G 네트워킹 전달망 장비 및 부품 기술
4. 6G 시스템
⑩ 6G 종단간 서비스 응용성능 보장 프레임워크 기술
⑪ AI-Native 응용서비스 지원 6G 시스템 기술
⑫ 6G 개방형 서비스 검증 플랫폼 기술
5. 6G 표준화 ⑬ 6G 유무선 핵심 표준화 기술
이와 더불어 ITU-R 6G 프레임워크 권고안(’23. 6월)에서 새롭게 제시된 센싱・통신 결합
신규 서비스를 위한 전파 기반 기술 및 세계전파통신회의(WRC, ’23. 12월)에서 채택한 6G
후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이종 서비스 혼간섭 분석・공동사용 기술, 인체 영향성 분석 등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표 3-7> 6G 전파 기반기술 분야의 전략기술
분야 전략기술
6G 전파 기반기술
∙ 통신인프라(기지국, 단말 등) 센싱기능 병행 전파 기반 기술
∙ 6G 후보 주파수 대역 혼간섭 분석 및 공동사용 기술
∙ 6G 전파서비스 진화에 따른 전자파 인체 영향 분석
또한 [그림 3-28]과 같은 추진체계 하에서 6G 민관 합동 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사업단을 구성하여 수시로 산・학・연의 의견을 듣고, 사업 추진 방향의 수정, 추진
현황과 성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237∙
[그림 3-28] 2단계 6G R&D 추진 체계
차세대 네트워크 완성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지궤도 위성(고도 36,000km) 대비
짧은 지연시간으로 고속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세대 통신 인프라의 ‘혈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저궤도 위성(고도 300~1,500km) 통신기술 자립화 및 시범망 구축을 추진하고, 시범망을
활용하여 기술 성능과 효용성, 서비스 여건 등을 검증할 예정이다.
[그림 3-29]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예비타당성조사 中)
∙238∙
오픈랜 전략의 실행 계획 측면에서는 2023년 61.5억 원의 규모를 시작으로 총 5년 동안
330.5억 원 규모의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오픈랜 민・관협의체를 통해 국내 통신
장비 기업이 오픈랜 기술 및 표준화에 쉽게 접근하도록 지원하고 국내외 기업 간의 협업을 유도
하여 오픈랜 기술을 국내에 원활하게 도입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그림 3-30] 민・관 합동 협의체(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 구성
2. 빅데이터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빅데이터 기술 연구는 데이터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서비스 적용 환경에 맞춰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재학습
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효율성 높은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성능 향상을 위해 실제 데이터와 융합된 고부가가치의 데이터를 인공적으로 생성
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AI 학습용과 같이 유용한 서비스의 기반으로 사용되어 그 중요도가 더
커짐에 따라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완전성을 관리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를 통한 의사결정 기술이 점점 발전하여 이를 지원하기 위해 차세대의 생산적인
데이터를 발굴하고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패권 경쟁에서 선두에 서기
위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데이터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다.
∙239∙
2) 2023년도 주요 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빅데이터의 수집・저장부터, 처리・분석・예측 및 활용・시각화까지 동
분야 전반에 걸친 핵심기술 고도화를 위해 투자를 하고 있으며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사업의 ‘빅데이터 핵심기술’ 분야에 총 200억 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으로 12개의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국내외 다양하게 산재된 데이터로 데이터맵을 자동구성하고 사용자 분석목적에 맞는 정확한
데이터셋 탐색과 활용을 지원하는 기술, 비전문가도 손쉽게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분석모델 추천 자동과 기술 개발, 스마트홈이나 공장, 금융 등에서 생성된 시간 정보나
시간 의미를 포함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는 기술, 이종 융합 데이터 탐지, 추적 판단 및
차단(지원) 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특히, 2023년도 신규과제는 다양하고 복잡하게 분산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논리적으로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패브릭 기술 개발과 실세계
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에 대해 합성데이터를 고품질로 생성하고 이의 품질에 대해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의료영상 분야와 환경 분야에 적용하는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표 3-8> 빅데이터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내용 및 규모
(단위 : 백만 원)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구분 과제명 주관기관 ’23년도 예산
SW컴퓨팅산업
원천기술개발
(빅데이터
핵심기술)
계속
과제
(10)
데이터맵 기반 지능형 빅데이터 탐색・활용 핵심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00
데이터 특징과 문제를 정의하는 빅데이터 분석모델 추천 자동화
기술 개발
(주)시큐레이어 2,000
파편화된 데이터의 적극 활용을 위한 시계열 기반 통합 플랫폼
기술 개발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000
이종 융합 데이터 탐지 및 추적 기술 개발 (주)피씨엔 1,200
데이터 규모 확장과 정확성 향상을 위한 다크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주)와이즈넛 2,000
능동적 즉시 대응 및 빠른 학습이 가능한 적응형 경량 엣지
연동분석 기술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0
빅데이터 인과 분석을 위한 복잡계 기반 추론 인공지능(REX)
개발 및 실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2,000
고품질 데이터셋의 적시・적소 활용을 지원하는 데이터옵스
프레임워크(DataOps Framework)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00
산업 데이터 상태 진단 및 개선 극대화를 위한 증강분석 기반
자동 데이터 시멘틱 정보 구성/표현 기술 개발
(주)피씨엔 1,400
머신러닝 개발 전주기를 연결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
MLOps 플랫폼 기술 개발
(주)와이즈넛 1,400
∙240∙
3) 향후 계획
데이터는 사회 전반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기반으로 데이터를 통해 문제해결,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술 개발이 가능한 데이터를 발굴하고, 예외 상황 등 부족한 데이터를 고품질로
생성하여 인공지능 고도화에 기여하며, 데이터 드리프트와 같은 문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로 신뢰도 하락을 방지하여 데이터의 동적 변화에 대응하는 기술 개발로 민간・공공에게
활용가치가 높은 데이터공급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다. 활용성이 높은
다종/대량의 빅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투자를
통해 데이터 경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세부사업명
(내역사업명)
구분 과제명 주관기관 ’23년도 예산
신규
과제
(2)
분산된 데이터에 대한 논리적 데이터 통합과 복합분석을 지원하는
데이터 패브릭 기술개발
㈜모비젠 1,125
목적 맞춤형 합성데이터 생성 및 평가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1,125
합계 19,250
∙241∙
제5절 미디어콘텐츠
1.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최근 미디어방송 환경은 새로운 디지털 혁신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고, 어느 분야보다 더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1인 미디어의 성장, 스마트폰 활용 증가, 인터넷동영상서비스
(OTT)를 통한 콘텐츠 소비가 대중화되면서 미디어 시장 구조가 급변하고 있으며, 이에 방송
미디어시장은 IP기술 위주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고,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과
AI, VP(버츄얼프로덕션), XR(확장현실) 등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하면서 콘텐츠를 제작하고
전달하는 방식도 크게 바뀌어 가고 있다.
이렇듯 방송산업의 환경은 이전과 다른 차별화되는 방송기술 및 서비스를 더욱 요구하고
있으며,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우리의 강점인 ATSC 3.0 차세대 방송 분야를 집중 개발・육성하는 한편, 방송
산업의 활성화 및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강화하기 위한 민관협력 기반의 방송장비산업 발전
협의회(’24.3월)를 발족하였다.
또한, 국내 미디어・콘텐츠 산업의 AI 접목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자 「AI와 디지털
기반의 미래 미디어 계획」(’23.9월)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는 미디어+AI 융합을 통한
미디어 산업의 저비용・고효율화를 목표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방송・미디어 분야 기술개발에 약 330억을 지원하였다. 방송
분야는 차세대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간의 융합을 위한 이종망 연동기반 기술을 개발
하였으며, 고화질 방송미디어 전송을 위한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 개발을 계속 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방송미디어 서비스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기술개발을 위해 ATSC3.0
기반의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도 신규과제로 추진하였으며, 미디어 분야는 AI 기술을 방송・
OTT콘텐츠 제작 및 유통과정에 적용하여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미디어
지능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국내 OTT의 글로벌 진출 및 서비스 혁신을 위해
음성 현지화, OTT이용 분석 등 OTT경쟁력강화 기술을 지원하였다.
∙242∙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방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3년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서비스 기술개발에
41억,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기술개발에 20억, ATSC3.0 이동방송 수신칩개발에 3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먼저,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 서비스 기술개발은 ’20년부터 4년간의 기술개발을
통해 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 간 동기화 및 융합을 위한 이종망 연동기술과 방송망을
이용한 시분할 방식의 동시 송신(방송+통신) 핵심기술을 확보하여 향후 차량 등 이동 중인
상황에서 지능형 교통 및 여행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고품질의 미디어 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한 8K급 차세대 미디어 전송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채널 결합 및 다중 안테나 송수신 시스템 성능 검증용 채널 에뮬레이터 개발까지 완료하였다.
아울러, 이동환경에서 직접 고화질 방송수신이 가능한 ‘ATSC 3.0 이동방송 수신칩’ 개발에
착수, 다중신호 수신기술 개발 및 수신 플랫폼(FPGA) 설계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이동방송 미디어 핵심 부품 및 장비에 대한 국산화를 지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품질
미디어의 보편적 시청권 제공 및 주파수 이용 효율 개선, 방송 통신 산업에서의 기술 우위 확보를
하였다.
나) 디지털미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디어지능화기술개발 69억, 인터넷동영상서비스글로벌경쟁력핵심기술
개발 64억, 미디어팔레트시장가치창출형기술개발 52억, 메타버스미디어핵심기술개발 58억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특히, 올해는 지능적 미디어 시맨틱 추출 기술, 미디어 시맨틱 기반 감정
정보 분석 기술 등 기술이전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기술 활용성과 기대효과를 입증했다. OTT
분야의 경우, 미디어 콘텐츠 음성 언어 현지화 기술이 DCASE 2023 Challenge 음향 사건 탐지
분야에서 전체 1위를 달성하였고 VoxSRC 2023 Challenge 화자 분할 분야 전체 4위(국내
1위)를 달성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아바타로 동화 속 주인공이 되어 경험을 제공하는 ‘스토리
셀프’ 소프트웨어는 신SW상품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메타버스 분야
에서는 다중 객체 미디어 생성 기술이 글로벌 IT 기업과의 격차를 크게줄였다는 평가를 받으며
기술적 차별성을 인정받아 CVPR 하이라이트 논문에 선정되는 등 대내외적 주목을 받게 되었다.
∙243∙
<표 3-9> 2023년도 방송・미디어 분야 주요성과
주요 내용 대표성과
방송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미디어서비스 기술개발>
∙ 망 융합 송신 실험 방송을 위한 5G망, 방송망 테스트베드 구축
(경기 북감악 KBS 송신사이트)
∙ 5G 및 ATSC 3.0 IP 계층 연동 수신 검증을 위한 플랫폼 구현
∙ 5G와 방송망(ATSC 3.0) 연동 기술 관련 국제 특허출원 등록
2건, 국제 표준 기고서 채택 9건, 표준안 채택 2건 5G 및 ATSC 3.0 IP 계층 연동 송수신 시제품
<8K급 차세대미디어 전송 기술개발>
∙ 채널 결합 방송 송수신기 HW 시작품 개발 및 시뮬레이터를 통한
성능 분석
∙ 8K급 차세대 미디어 전송기술 관련 국제 특허출원 등록 5건,
국내 출원 등록 3건, 시제품 개발 2건
송수신기 회로기판 시스템 구조기능 설계
<기술변화 선도형 방송미디어 장비 기술개발>
∙ 다중신호 수신기술 요구사항 정의 및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 수신 플랫폼(FPGA) 및 RF 튜너 설계
∙ ATSC 3.0 이동방송 수신기술 관련 국내 특허출원 2건, 국제
기고서 제출 1건, 시제품 개발 1건
ATSC 3.0 이동방송 수신기 구조
디지털
미디어
∙ 시계열 특성 기반 미디어 시맨틱 자원 생성 기술 관련 특허 출원
(’23.8)
- 콘텐츠에 내재된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맥락을 분석하고 콘텐츠
스토리를 통해 미디어 시맨틱 자원을 생성하는 연구를 통해
영상에서 인물 중심 맥락 추출 방법 및 장치 특허 출원
장면 설명 문장 데이터 구축
∙ 미디어 콘텐츠 언어 현지화를 위한 음성 생성 기술 및 인식 기술
고도화를 통한 사업화(’23.11)
- AI 기술을 기반으로 약 30분 분량의 화자 음성을 이용하여
해외 진출국의 언어・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음성 합성 연구
진행 및 음성인식기술 고도화를 통한 STT 솔루션 사업화 약
6억 원 달성
미디어콘텐츠 음성 언어 영어 현지화 데모영상
∙ Cross-메타버스 아바타 생태계를 위한 아바타 솔루션 MoiiMe
개발 및 Moii 서비스 출시(’23.6)
- 얼굴 사진 기반 아바타 생성, 모션캡쳐 시스템, 아바타 의상
교체, 아바타 파츠 교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및 아바타 솔루션 개발・출시
커스터마이징 아바타 생성 및 대화 서비스 모이(Moii)
∙ 다중 객체 미디어 생성 기술을 통해 CVPR 학회 하이라이트 논문
선정(’23.6)
- 고해상도 단일영상에서 복원을 수행하는 기술이 없어 해당
기술의 차별성을 인정받아 2023년에 개최된 CVPR학회에서
highlight 논문 선정
대중 객체 미디어 생성 관련 언론보도
∙244∙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4년 방송・미디어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기 위해 8K급 차
세대미디어 전송기술, 기술변화선도형 방송・미디어 장비 기술 등과 관련한 핵심기술을 지속
지원하는 한편, 방송미디어 송수신 기술 개발 등 향후 모빌리티 환경에 대비한 국내 핵심기술
확보에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미디어+AI 융합을 통한 미디어 산업의 저비용・고효율을 목표로 AI・디지털 기반
미디어・콘텐츠 기획・제작・유통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핵심기술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콘텐츠와 연계된 영상 자동 생성을 위한 관련 기술, 몰입 디바이스의 확산을 위한
공간 미디어 3D 확장, 영상 제작 현장에서 요구사항을 즉각 반영할 수 있는 사전시각화 기술뿐만
아니라 민간의 혁신 아이디어 도출을 위해 챌린지 형식의 경진대회 등 다각도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체 미디어・콘텐츠 워크플로우의 혁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문화콘텐츠 분야(CT)
문화체육관광 R&D 사업은 ‘제4차 문화기술 R&D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하여, 신기술
기반의 선도적 R&D 추진 및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 창작・향유환경 조성,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 등의 R&D 기반 강화를 중점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3년 문화체육관광 R&D 사업은 콘텐츠(780억 원, 64%), 저작권(188억 원, 15%), 스포츠
(189억 원, 15%), 관광(67억 원, 6%)의 비중으로 투자하였으며, 2022년 기준 문화체육관광
분야 R&D의 특허, 사업화 등 기술・경제적 성과는 국가 R&D 평균 대비 2~3배 높은 실적을
달성하였다.
* 2023년 성과는 2024년 상반기 성과조사・분석 완료 예정
1) 콘텐츠 분야
2023년도 문화콘텐츠 연구개발 사업은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콘텐츠 산업 기술경쟁력
및 K-콘텐츠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메타버스・인공지능(AI)・신기술융합콘텐츠 등 신기술을
접목해 활용도를 높이고 향후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분야의 선도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
하고 있다.
콘텐츠 산업의 진흥을 위해 문화산업 선도형・확산형 기술개발과 더불어 신기술융합콘텐츠
∙245∙
(XR 등)를 활용한 기술개발, 시장 수요를 반영한 혁신성장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였고, 글로벌
가상공연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실연-가상 공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를
신규로 진행하였다. 또한 다학제 간 교육과정과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CT R&D 전문인력 양성도
지속 추진하였다.
<표 3-10> 콘텐츠 분야 대표성과 사례
분야 주요성과
선도형
R&D
시각장애인의 스마트관람을 위한 멀티모달 전시안내 단말 및 저작기술
(’20~’22년, 38억 원 지원)
다중 배열 촉각패드를 활용한 디지털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개발을 통한
시각장애인들의 문화향유권 향상
CES 2023 최고 혁신상 수상, 라이프스굿 어워드 대상 수상
국내・외 공공기관, 박물관 등 보급확대, Google, 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협업 추진
디지털 3D 애셋의 지능형 축적 및 공유 플랫폼 개발
(’23~’25, 43억 원 지원)
지능형 3D 애셋 및 XR 콘텐츠 메타플랫폼 구축 및 실증을 통한 신시장
견인
CES 2024 최고 혁신상 수상, 롯데 칼리버스, 메가플랜, 브릴라 등 업무
협약(MOU) 체결을 통해 협업 추진중(’23년~)
확산형
R&D
실감형 문화유산 체험을 위한 애셋 기반 지능형 큐레이션 및 서비스 운영기술
개발(’20~’22, 60억 원 지원)
H-PBR 기술 개발 및 디지털 애셋 활용을 통해 문화유산 디지털 복원
5G기반 실감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운영 콘텐츠 제작 사업화 매출
8.2억,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디지털 콘텐츠 제작
사업화 매출 3.7억 등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 베를린 ‘IF Design 2023’ 본상 수상
시청각 장애인의 문화예술 창작 및 협업 지원 기술 개발
(’21~’24, 23억 원 지원)
감각 전달 장치를 활용해 장애와 관계없이 누구나 동작을 공유하고 안무를
창작할 수 있는 문화 경험 제공
23년 문화체육관광 분야 디지털 혁신공모전 아이디어 부문 최우수상
수상, 2023년 <SBS 스페셜> ‘빵터지는 노벨상’ 개발 기술 방영 등
기업
혁신형
디지털 가상인간의 메타버스 환경에 적용가능한 성장형 메타휴먼 방송
콘텐츠 제작 기술의 개발(’22, 2억 원 지원)
디지털 가상인간의 메타버스 및 차세대 방송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성장
가능형 메타휴먼 제작 기술
가상아이돌 페이스 모델 제작 및 메타휴먼 3D 애셋 공급 등 관련 사업화
매출 발생(약 260백만 원)
∙246∙
2) 저작권 분야
2023년도 저작권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가상공간과 실공간이 이질감 없이 혼합되어 언제
어디서든 행동하고 반응하는 미래 콘텐츠 유통・소비 환경에서 유통되는 콘텐츠를 보호하고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산・유통 환경에서 저작권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하였다.
2023년도 신규과제는 총 8건(지정공모 5건/38.74억 원, 자유공모 3건/20억)으로 웹툰, 시/
소설 문학창작물 등 저작권 산업의 신생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개방형
소프트웨어 생산・유통 환경에서 저작권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SW 기술적 보호조치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하였다. 또한 SW저작권기술+법 융합인재 양성 지원 사업을 신규 내역사업으로 추진
하여 3개 대학(OTT, 블록체인, 메타버스 기반 저작권기술법 융합인재 양성)을 지원하였다.
<표 3-11> 저작권 분야 대표성과 사례
분야 주요성과
메타버스
콘텐츠
IP
NeRF 기반 초실감 공연자 캐릭터 생성 기술 개발 및 실증(’23~’25,
25억 원 지원)
사용자와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공연자 캐릭터 생성 및 서비스 기술
개발 및 NeRF 기반 초실감 공연자 팬서비스/NFT/공연 연계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CES 2024 최고 혁신상 수상, 사우디 정부(MOI) 및 네옴시티 기업
관계자와 생성형 AI 휴먼 챗봇 사업화 협력 추진중(’23.10.~)
성과명 성과 활용 요약
(전자책)
전자책 DRM
(문서 암호화)
국내외 표준 제정
및 활용
(2018~2020) <DRM도입현황>
전자책 표준 DRM을 통해 전자책마다 다른 DRM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전자책
유통과정과 소비과정에서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하는 문제를 해결함
알라딘, 예스24 등 11개 공급사 활용, 22개 국내 공공도서관 적용을 통해
산하도서관 420여개 적용 효과를 통해 높은 활용 예상
전자책 산업의 고질적 문제였던 DRM(저작권관리기술) 호환기술을 세계 최초로
국내외 표준화로 해결하여 경제적, 사회적 파급
(웹툰, 웹소설 등)
저작권 침해사이트
추적 대응
(프로파일링) 기술
(2019~2021) <침해게시물 수집 웹툰
사례>
콘텐츠 공유 사이트의 저작권 침해 이상징후를 사전에 분석, 예측하여, 기존의
저작권 침해 사이트의 늦은 사후 대처(침해 사례 후 사이트 접속 차단등)로
인한 피해사례 확산 문제를 최소화함
토렌트, 유튜브, SNS등 저작권 불법 공유 채널에 침해기술을 바탕으로 침해
사례 자동 수집
-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와 치안뉴스 분석시스템 ASP 임대사업 용역계약을
통한 사업화 진행
- 저작권 침해 추적 기술을 바탕으로 ‘Huntter CC’ 개발
∙247∙
3) 스포츠 분야
2023년도 스포츠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디지털 전환 기술을 위한 경기력 향상, 개인 맞춤형
재활서비스, 지속 가능한 신체적・심리적 스포츠 케어 서비스, 스포츠 엘리트 양성 기술개발에
집중하였다.
「스포츠 산업 혁신기반 조성」 사업을 위해 8개 과제 119억 원을 지원(계속과제 5개 89억 원,
신규과제 3개 30억 원)하여 비대면 스포츠 신시장 개척을 통한 신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보건복지부 주관 다부처 사업인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총 3개 과제 50억 원을 지원하여 장애인의 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인지・신체 증강 기술개발에 집중하였다.
그 외에도 「종목별 경기력 향상 지원」 사업을 신설하여 4개 과제(신규과제 4개, 20억 원)를
통해 국가대표를 비롯한 스포츠 선수, 일반 국민 등 개인의 운동 역량을 개발하고 경기력
향상을 추진하였다.
성과명 성과 활용 요약
(신기술융합콘텐츠,
홀로그램)
3D콘텐츠
암호화한 보호
기술
(2021~2023) <MBC ‘너를 만났다’>
세계 최초로 개발한 홀로그램 프린터에 저작권 보호 기술 연구개발을 통해,
프린팅 과정에서 고가의 홀로그램 원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유출 문제를
해결함
MBC 방송콘텐츠(‘너를 만났다’, 고인이 된 대상을 가상현실(VR/AR)로 구현하여
참여자들이 체험)에 동 사업에서 개발한 저작권 보호기술을 적용하여 방영
기존 타부처 기술개발 사업으로 제작된 디지털 홀로그램 프린팅기술을 동 사업의
저작권 보호 기능을 통해 자료 공유 서비스 한계를 해결하여 상용화
(음원)
대용량 음원 이용
모델 및 시각화
기술
(2021~2023)
<정보선별 자동게시
솔루션>
음원의 메타데이터, 저작권 데이터 등 대용량 데이터를 지능형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기존 음원 데이터의 불법적인 거래 및 비정상 거래 행위 등을
사전에 탐지하는 등 음원 유통 시장의 투명성을 개선함
음원 저작권 보호를 위해 대용량의 정형/비정형 음원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능형 검증 시스템 개발(음원유통 추적기술 신뢰도 향상)
불법적 거래 및 비정상 거래 탐지 인공지능 모델로 일본에 개발 수주
입법 데이터 및 뉴스, 정책 정보를 선별하여 자동으로 게시
교육콘텐츠 저작권
침해 의심요소
사전점검기술
(2021-2024)
<저작권점검 서비스>
교육용 콘텐츠의 저작권 사전 점검 및 저작권에 자유로운 인공지능 재료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술개발을 통해, 기존 온/오프라인 교육자료의 저작권 침해 문제를
개선하고, 교육자의 저작권 이용활성화 확대에 기여함
교육용 콘텐츠에 포함된 폰트, 이미지, 음원에 대한 저작권 침해의심요소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웹기반 서비스 시스템 개발
한글/영문 폰트, 이미지, 음원에 대한 130만 건 이상의 점검 DB 구축
사용자 제작 문서(MS-Office, 한글, PDF)와 이미지, 영상 등 파일형태에
관계 없이 통합 검사 기능 제공
교사 교육용 콘텐츠 공유 플랫폼 내 사전점검 실증서비스
∙248∙
<표 3-12> 스포츠 산업 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구분 내용
스포츠
산업
혁신
기반
조성
<선수들의 훈련/경기 데이터 관리 및 AI기반의 경기력 향상 솔루션 기술 개발>
주관 : (주)스포츠투아이
내용 : 비대면 상황에서도 배구(네트 종목) 및 농구(골 종목) 국가대표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개인/팀별 선수 관련 자료의 자동 수집 및 관리 플랫폼
개발
SCI 논문지 1편, 특허출원 2건, S/W 등록 3건
<메타버스 기반 스포츠 플레이 트위닝 및 실감화 기술개발>
주관 : (재)세종테크노파크
내용 : 현실 공간의 골프 데이터를 디지털전환을 통해 골프 전용 메타버스
공간으로 확장하고 원격지 친구, 트레이너를 실물처럼 구현한 공간에서 만나
상호작용하며 함께 운동과 훈련할 수 있는 골프 플레이 트위닝 실감 플랫폼
개발
SCI 논문지 1편, 특허출원 3건
<한국형 Total Force Fitness 스포츠케어 서비스 기술개발>
주관 : (주)현대엠아이비인터내셔널
내용 : 공공 분야 심리상담체계의 고도화 및 한계극복을 위한 신체・심리
융합 케어 서비스 및 데이터 플랫폼 구축 기술개발
비SCI 논문지 1편, 데이터 플랫폼 1식, 020 서비스 플랫폼 1식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
<지능형 개인맞춤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 개발>
주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내용 : 운동재활의 비용감소와 장애인 및 노인 등 취약계층의 운동재활 효율성
강화를 위한 재활빅데이터플랫폼 연계 AI 기반 개인맞춤형 운동재활 서비스
기술개발
특허출원 2건, 기술공개 및 기술이전 1건, 기술료 수입액 45,000천 원
종목별
경기력
향상
지원
<지능형 동작코칭 분석기반 스마트컬링 전략지도 기술개발>
주관 : 경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용 : 컬링 종목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시간 스마트 컬링 동작코칭 전략지도
솔루션 개발 및 구축
비SCI 논문지 2편, 특허출원 1건
4) 관광 분야
2023년도 관광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디지털 시대 전환에 따른 관광산업 변화에 발맞춰
전통 관광기업에 디지털 전환 기회와 기술자립성을 제공하고, 주요 관광서비스에 대한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관광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249∙
「관광서비스 혁신성장 연구개발」 사업에 총 10개 과제에 66.5억 원을 지원(계속과제 4개
41억 원, 신규과제 6개 25.5억 원) 하여 전통 관광기업의 강소형 관광기업으로의 도약 기반
마련 및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의 관광서비스 연계 확대를 통해 새로운 관광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였다.
다. 향후 계획
정부는 앞으로도 변화와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화기술 R&D 중장기 계획을
포함한 관련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적극적으로 투자를 지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문화기술
(K-CT) 글로벌 도약으로 문화매력국가 실현에 앞장설 예정이다.
∙250∙
제6절 자동차
2023년 자동차산업은 사상 최초로 K-자동차 709억 달러의 수출 대기록을 달성한 한 해로
요약된다.
709억 달러 실적은 기존의 최고 수출액을 30% 이상 상회하는 실적이다. 이는 자동차 업계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화, 전동화 추세에 맞춰 고가의 친환경차 수출(242억 달러, ’22년
대비 +51%)을 확대한 전략이 주효하였다. 또한 ’23년 자동차 수출단가 또한 최초로 2.3만
달러(기존 최고: ’22년 2.1만 달러)를 돌파하며 질적인 혁신도 함께 이루었다.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소비자 중심의 자생적 시장경쟁력을 갖는
xEV 핵심 요소기술인 에너지 저장 및 충전, 구동 및 전력변환, 공조 및 열관리, 수소연료전지
등 자동차 4대 핵심 분야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초소형 전기차 산업 실증 지원, 수소전기트램,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과 상용화
전주기 지원체계 등 개별 기업이 구축하기 힘든 공동 활용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해 중소・중견
기업의 산업기술 혁신역량을 제고하고 있다.
자율주행기술은 기존의 서라운드 센서 등 자동차 독립적으로 개발되던 영역을 벗어나,
소프트웨어, 통신, 보안, ICT 인프라, IOT 센서,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기술영역과의 융・복합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기술선도국의 완성차 업체들은 부품 기업과 IT 계열의 기업 등과
협력하여 완전 자율주행차 출시를 목표로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년 전국 주요 도로 완전자율주행(레벨4) 세계최초 상용화를 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부품기술, 인프라,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안전한 자율주행 차량 선도
기술 확보를 위해 주변상황 인식범위 확대, 인식오차 감소, 개인행동계획 맞춤 제어 등 핵심
인지센서 기술을 집중 지원하고, 차량 플랫폼 기술과 부품・시스템의 성능평가 기술개발도 병행
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전체 88개 추진 과제의 부처 간 연계 기술을 검토하고, 연계 방안
및 협업 시너지 효과를 지속 점검할 예정이며, 참여 부처의 기술개발과 관련된 산・학・연・관
표준화 Umbrella 체제를 구축하고 국제표준 및 인증 체계 개발 또한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251∙
계획이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고도화 및 전장화에 따른 데이터 SW 플랫폼 구축 및 사이버 공격
대응 기술개발 기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가. 2023년도 정책 방향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Fast but Smooth Transition)과
모빌리티 신산업으로의 자동차 산업 경계 확장을 통해 자동차 산업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담은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를 위한 4대 전략으로는 ➊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 도약, ➋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➌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➍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을 제시하였다.
글로벌 3강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목표로 ’30년 글로벌 전기차 생산 330만 대 및 세계
시장 점유율 12%, 향후 5년간(’22~’26) 자동차 업계 투자 95조 원+α, ’30년까지 미래차 전문
인력 3만 명 양성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1) 전동화 탑티어(Top-tier) 도약
21년 기준 5% 수준인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30년 12%까지 끌어올려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로의 도약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전동화 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소프트웨어・
반도체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여 ‘소프트웨어가 중심인 차’(SDV, Software Defined Vehicle)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2)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Smooth Transition)
기존 내연기관차 중심 생태계의 미래차 전환 과정에서 전환 비용(Legacy cost)을 최소화하고,
내연기관의 캐시카우(Cash-cow) 역할도 함께 고려될 수 있도록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을
모색 및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사업 다각화와 미래차 전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0년
신차 판매의 약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연기관차의 고도화도 병행하여, 건강하고
경쟁이 있는 시장구조를 위해 중형 3사 및 협력사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지원하고, 신규 기업
(New player) 진입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 중에 있다.
∙252∙
3)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자동차 분야 자국 중심주의에 적극 대응하고, 공급망 혁신을 통해
안정성 제고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에 민・관 합동으로 총력 대응하여
이번 전기차 세액공제 개편으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또한, 주요국의 자국 중심주의에 대응하여 주요 시장별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고 공급망 안정성
확보를 위해 민・관 공급망 공조를 강화하고, 핵심품목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4)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하고, 모빌리티 혁명에
대응하여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신산업 창출을 추진 중에 있다.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자율주행 핵심부품 경쟁력을 ’27년 100% 수준으로
제고하고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공공서비스(교통약자 이동지원, 순찰 등), 언택트 서비스
(무인상점, 헬스케어), 인포테인먼트(AI관광안내) 등 자율주행・커넥티드 기반 서비스 콘텐츠
개발과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동차 산업 국제 3강 달성을 위해 친환경자동차 기술개발, 자율주행
경쟁력 확보, 연구개발 기반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311개 과제 4,994억 원 지원하였다. 이는
작년 대비 15% 확대 지원되었으며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
(2,293억 원), 자율주행 등 디지털 분야(1,383억 원), 기반구축・사업화 지원(1,003억 원), 인력
양성(315억 원) 등이 지원되었다.
1) 친환경차 기술 확보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친환경 내연차 등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자동차 요소 부품 및
국내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촉진을 위한 사업(2009년~)을 지원해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주행거리 600km까지 연장하기 위한 배터리팩 기술, 전비 개선을 위한 모터 효율
개선 및 소형화/경량화 기술, 난방 시 감소되는 주행거리 개선 및 열관리 최적화 기술, 상용
수소차 내구성 향상, 고압 수소저장용기 등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열폭주 방지 배터리팩 기술개발, 해외수출형 전기기관차 기술개발・실증, 재생합성연료
(e-Fuel) 활용 원천기술개발 등 2023년 신규과제를 기획 및 발굴하였다.
∙253∙
2) 자율주행, SW 경쟁력 확보
’27년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를 목표로 센서, 카메라 등 자율주행 핵심부품 기술력 확보와
디지털전환(DX)을 위한 데이터 구축・모빌리티 신산업 창출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기계 중심의 자동차에서 반도체, 인공지능 등 IT 기술의 도입으로 자동차의 최첨단화를 위한
스마트카 사업(2009년~)을 수행해 왔으며, 레벨4 자율주행 기술 확보와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
선점 기술개발,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 개념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하고 있다.
스마트카 사업을 통해 자동차 제어기, 센서 등의 부품 개발을 통해 차량이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하여 기계장치를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 기술 확보로 운전자의 편리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유럽의 신차 안전성 평가제도인 Euro NCAP에 대응하기 위한 도로이탈 방지
시스템, 자동긴급 제동 장치 등 관련 부품 및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였다.
레벨4 기술확보를 위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2021~2027년)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 판단, 제어의 핵심기술과 차량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자율주행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 표준 및 특허 개발을 지원하였다.
기존 하드웨어 중심의 자동차 산업에서 구독형 서비스와 업데이트 및 변경이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기반의 자동차로 개념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아키텍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모델 개발을 지원하였다.
∙254∙
제7절 로봇 및 기계/장비
1. 로봇
디지털전환 추세에 따라 로봇은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혁신을 촉진하는 기반 산업화가
되고 있다. 첨단로봇은 AI, 5G 등 신기술이 융합되고, 산업활동 전반에 인간과 로봇의 협업이
확장되어 생산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자본재로 부상하고 있으며, 서비스 부문도 이동성과
지능화 수준이 고도화되면서 물류, 생활안전, 국방, 식품제조 등에 혁신을 가져오는 신비즈니스
시장이 본격 개화 중이다.
로봇은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와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인력수급 불균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기도 하며, 고위험 업종에 투입되어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어 점점
높아지는 산업안전 기대치에 부응하는 한편, 위험직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
이렇듯 첨단로봇은 반도체, AI, 이차전지, 첨단 부품 등이 융복합되어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신성장동력이자 국가적 전략산업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로봇을 미래 전략산업이자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부문으로 인식하고, 다각적 지원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81개 과제(신규 13개, 계속 68개),
901억 원(신규 125억 원, 계속 776억 원) 지원을 통하여 성장・유망 분야 핵심 로봇 제품 및
로봇 제품의 기반이 되는 원천 및 공통기술 개발을 추진하였다.
‘제조로봇’ 분야에서는 제조공정 전주기에 걸쳐 유연생산 및 고난이도 작업에 대응하기 위해
AI・DT 기술에 기반한 자율작업 성능 및 작업 유연성 확대 기술개발에 투자하였다. 세부추진
사업으로는 유연생산 관련 재구성 가능한 로보틱 워크셀 기술, 고난이도 작업 관련 다종 커넥터
조립체 고속/고정밀 조립기술, 자율작업 관련 다중대차 견인형 자율주행 로봇 기술과 도장 공정
자동화 플랫폼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서비스로봇’ 분야에서는 사회문제 해결, 국민적 요구 등에 대응하여 의료, 돌봄, 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로봇 기술개발에 투자하였다. 세부 추진사업으로는 의료 관련 통증
중재시술 보조 로봇 플랫폼 기술, 돌봄 관련 사람의 일상행동을 이해하는 모바일 생활지원
로봇 기술, 안전 관련 소방용 4족 보행 로봇 기술, 농업 관련 실외 과수환경 농작업 로봇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255∙
‘핵심부품・SW’ 분야에서는 AI가 탑재된 자율주행조작 부품, 지능 모듈 솔루션 등 AI융합
로봇부품 및 SW 플랫폼 기술개발에 투자하였다. 세부 추진사업으로는 센서 관련 열악한 실내외
주행환경 대응 LiDAR 기술, 구동기 관련 신규 치형이 적용된 제조로봇용 감속기 기술, SW
관련 다중 이동로봇을 위한 협력적 자율주행 기술과 원격 로봇의 작업 고도화를 위한 AI 및
공유제어 원천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자율주행의 핵심기술인 환경 인지 기술(지도 제작 기술) 및 로봇 제어 기술 개발 및 고도화
과제를 통해 KAIST에서 동적, 비정형 환경에서 강인한 자율주행 사족 보행로봇 기술을 개발
하였고 세계 최고 로봇학회(ICRA 2023) 내 챌린지 2개 부문에서 우승하였다.
[그림 3-31] 세계 최고 규모 로봇학회(ICRA2023) 챌린지 2개 부문 우승
제조업(기계, 금속, 플라스틱, 자동차, 전기・전자, 섬유, 식음료, 항공, 선박, 바이오・화학
분야) 대상 업종별・공정별 제조로봇 도입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계과제를 통해 로봇 활용기술의
시장 확산을 가속화하였으며, 공정모델 개발(147개(’20 ~ ’23)) 및 생산성 향상(60.4%), 불량률
감소(58.7%), 로봇SI 매출(4,357억 원)을 달성하였다.
[그림 3-32] 기존 수작업 공정(좌) 및 제조로봇 도입(우)
∙256∙
2. 기계/장비
기계산업은 표준산업분류(KSIC)에 따라 자동차・조선 등 수송기계 및 가전・전동기 등 전기
기계 등을 제외한 기타 기계 및 장비(C29)를 의미하며 광의의 범위에 수송기계(자동차 등),
전기기계(가전 등)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산업 분야로는 제조장비, 산업용 기계, 열원
공급・냉난방 등 에너지설비 등이 일반기계산업의 대부분을 차지(95% 이상)하고 있다.
* (제조장비) 공작기계, 섬유기계, 제조로봇, 반도체 장비, 바이오 장비 등
(산업용 기계) 건설기계, 농기계 등, (에너지설비) 냉동공조, 펌프・압축기 등
기계산업은 제조업・건설업 및 에너지산업 등 주요 산업에 자본재를 제공하는 핵심 기반
산업이며,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 축적에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축적
이후에는 수십 년간 국가 산업의 성장 및 위상을 결정하며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 국내 일반기계산업 주요 기업은 시총 상위 10대 기업과 비교 시, 시총 대비 고용 수준이 4배이며, 고용유발계수는
6.2로 제조업 평균(4.7) 대비 매우 높음(’19년)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첨단기계 분야에 48개 과제
(신규 12개, 계속 36개), 531.4억 원(신규 97.4억 원, 계속 434억 원) 지원을 통하여 건설・
농작업기계의 자율주행 및 자율작업을 위한 핵심기술개발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히트펌프
및 무탄소보일러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건설기계 분야에서는 기존 주력품목 고도화 및 신규 유망기종 개발로 건설기계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하였다. 다양한 작업에 투입되는 범용
장비인 굴착기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지능화, 친환경 기술 고도화 및 에너지 효율화에 필요한
∙257∙
요소기술 확보를 위한 과제를 지원하였으며, 시장경쟁력, 기술 파급력 등이 유망하나 국내 생산
역량이 떨어지는 크레인(대형자주식), 건설로봇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추진하였다.
농기계 분야에서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하여 수출 주력 기종인 트랙터의 친환경화를 위한
전기동력 트택터 플랫폼 공용화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밭농업용 Level 3 자율작업 및 원격관제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스마트농업을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에너지기계 분야에서는 제조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무탄소 산업용 보일러 기술개발 및
기존 산업공정에서 높은 온도구간의 보일러를 대체할 수 있는 히트펌프 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또한, 사고빈도가 높은 발전설비의 핵심부품에 대한 예지보전 기술개발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
승강기 분야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승강로 설치공사 자동화 장비 개발 및 로봇 탑승을
고려한 디지털 기반 차세대 승강기 개방형 운영시스템 개발 지원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과의 연계기술을 지원하였다.
제조장비 분야는 향후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 등 신산업에서 필요한 핵심 제조장비 시장
선점을 목표로 과제지원을 하였고, 제조공정의 인력난 해소,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존 공정의
로봇화 장비 개발을 지원하였다. 세부 추진내용으로는 자율주행차량용 센싱 카메라 광축 정렬
장비, 딥러닝 기반 프레스 금형 폴리싱 자동화 시스템 등을 지원하였다.
또한, 제조장비의 경쟁력과 제조업의 생산성을 동시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장비의 지능화
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였다. 세부 추진내용으로 디지털 트윈・디지털 스레드 기반 공작기계
지능화 및 공정 최적화 기술, 3D프린팅 제조데이터를 축적・활용하기 위한 3D프린팅 디지털
전환 기술개발 등을 지원하였다.
이와 함께 개발된 제조장비의 신뢰성 확보를 통해 기존 해외 장비의 대체, 첨단 공정 도입
등을 통해 수요-공급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실증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세부적으로
마이크로 드릴 제조용 다축 레이저 가공장비 실증, 자동차용 고속 레이저 스코링 시스템 실증
등을 지원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소형 휠 굴착기용 핵심부품인 가변형 사축식 주행모터의 개발과제를
통해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선진사(독일/렉스룩스, 일본/가와사키)대비 동등 이상의
성능 구현에 성공하였다. 또한, 국내외 MOU체결을 통한 수요기업 확보 및 자체투자를 통해
전용생산라인을 구축하여 향후 본격적인 사업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258∙
[그림 3-33] 사축식 주행모터 장착구조
국제 표준 기반 PLC 제어기의 장비-로봇 통합 제조 모델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였다. 국제
산업 표준 네트워크(RAPIENet)를 지원하는 국산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장비・로봇 간 연동 통합 모델을 개발하여, 전기차 모터 헤어핀 스테이터 제조, 섬유 염색 자동화
설비 등에 적용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외산 PLC에 의존하던 제조현장에 국산 장비-로봇
등 패키지 공급 역량을 확보하여 타 공정으로 확산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APIEnet 구조도 PLC 적용 스테이터 제조공정
2023년 기계산업 생산은 전년(113.5조 원) 대비 0.6% 증가한 114.2조 원, 수출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한 614억 달러를 기록(1.6%)하였으며, 2022년 대비 정체상태이며 전반적인 주요
수요산업의 생산경기 위축이 반영되었다. 미・중 무역갈등, 지정학적 리스크의 확대(러-우 전쟁,
이-팔 전쟁 등), 주요국의 긴축적 통화정책 등으로 인하여 세계 경제 침체가 지속될 우려가
있으나, 미국, 유럽, 중동 등 주요 수출시장의 산업기계 수요 증가 등으로 기계산업 생산액은
0.6% 증가하였다.
∙259∙
[그림 3-34] 우리나라 기계산업의 생산 및 수출입 추이와 2024년 전망
∙260∙
제8절 스마트건설/스마트시티
1. 스마트건설
가.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은 건설산업의 디지털화 및 자동화를 위한 “기술혁신 및 산업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2020년∼2025년까지 정부 143,479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한 사업이다. 주요
내용으로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전통적 토목・건축기술에
BIM, 드론, Big Data 기술 등이 융합되어 건설 全과정의 디지털화로 생산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
하는 기술),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등 요소기술의 개발 및
연계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제7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2023~2027)의 이행을 위해 건설장비 자동화,
도로구조물 스마트 시공,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 관리, 스마트 건설정보 표준 등 핵심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그 주요내용으로 ①토공・포장장비 관제, 초정밀 Digital Map 생성
및 건설장비(롤러, 도저, 그레이더)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고, ②설계-제작-시공 일원화, 원격・
자동화 시공 및 도로구조물 시공품질 관리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③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
건설현장 근로자 및 임시구조물 안전 확보 기술을 개발, ④디지털 데이터 통합・관리,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종합 테스트베드 실증 등이 해당한다.
∙261∙
[그림 3-35]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2023~2027)의 목표 및 주요과제
∙262∙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초정밀 Digital Map 및 건설정보 통합 플랫폼 고도화 Digital Map을 시범 구축하고,
자동화 장비(도저, 그레이더, 롤러) 모듈 현장적용을 통한 고도화 및 현장 운영시스템(S/W)을
개발하는 등 지능형 관제 플랫폼과 외부시스템 간 통합 작업과 김포-파주 현장 실증(’23.11)을
추진하였다.
나)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디지털 모델기반 프리팹 부재 생산시의 자동 품질관리 기술 개발과 프리팹 구조물 시공품질
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실증 등 협업형 로보틱 크레인 장비를 이용한 원격시공 시스템을 개발
하고 현장 실증(’23.9)을 실시하였다.
다)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센서 기반 안전보호장치 및 통합 운영시스템 개발, 가설기자재 품질평가 디바이스 및 통합
시스템 구축, 임시구조물 실시간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안전통합 관제 운영시스템
시작품의 개발 및 실증(’23.7)을 추진하였다.
라)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테스트베드
스마트 건설기술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종합 테스트베드를 운용하여 스마트
건설기술을 통합 검증하는 등 종합・개별 테스트베드 고속도로 13개소를 확보하고 현장 실증
하며, 종합운영센터를 구축 및 운영(’23.12)하였다.
건설장비 이동형 관제센터 프리팹 가상교량 테스트베드
∙263∙
스마트 안전 통합관제센터 연계 테스트베드 종합운영센터 관제
3) 향후 계획
가) 지능형 건설장비 관제기술 개발 및 건설현장 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 개발
지능형 토공/포장 장비 관제 시스템 개발과 스마트 네트워크 기반 토공/포장 장비 IoT 운영
및 무인화 기술 개발 등 ‘지능형 건설장비 관제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자율계측 기반 초정밀
Digital Map 구축 기술 개발과 디지털 트윈 기반 건설 현장정보 분석 및 맵핑 기술 개발 등
‘건설현장 정보 수집 및 분석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나) 디지털 기반 도로건설장비 자동화기술 개발 및 디지털 기반 도로구조물 설계-제작-시공
지원기술 개발
자동화 건설장비의 경로 추종 및 자율작업 기술과 시공장비 및 품질문서 관리 자동화, 자동화
장비 연동 품질관리 및 실용화 기반 구축 등 ‘디지털 기반 도로 건설장비 자동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프리팹 도로구조물의 설계와 제작을 지원하는 디지털 엔지니어링 모델 개발 및 실증
등 ‘디지털 기반 도로구조물 설계-제작-시공에 대한 지원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다) 도로구조물 원격・자동화 시공 기술 개발 및 지능형 도로구조물 시공품질 관리기술 개발
Telerobotics 기반의 교량 고소/고위험 시공 원격・자동화 기술 개발과 머신러닝 기반의 터널
기계화 시공(TBM) 자동화 기술 개발 등 ‘도로구조물 원격・자동화 시공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복합 센싱정보 기반의 도로구조물 운반/시공 중 구조 건전성 및 시공품질 모니터링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264∙
라)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 개발 및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확보 기술 개발
건설안전과 관련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반의 건설 안전 분석 기술 개발, 건설현장 긴급 재해
대응 기술 개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 시스템을 개발하고, 건설현장 근로자
위협요인 인지 기술 개발, 현장 맞춤형 근로자 위험 예방 및 평가 기술 개발 등 건설현장 근로자
안전확보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마) 임시구조물 스마트 안전확보 기술 개발 및 도로 분야 디지털 데이터 통합 표준
가설기자재 품질관리 기술 개발과 임시구조물 설치・해체 및 운영 시 스마트 안전 확보 기술
개발 등 ‘임시구조물 스마트 안전확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도로 분야 데이터 통합 표준
개발 및 스마트 지식관리 통합 체계와 프리팹 공정지원 스마트 딜리버리 시스템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바) 스마트 건설 통합 디지털 플랫폼 및 스마트 건설기술 종합 테스트베드 구축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스마트 건설기술
종합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을 통한 스마트 건설기술 실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2. 스마트시티
가.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조성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사업은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국가(First
Mover)’로 발돋움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세계기술선도를 위한 국제표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전략 및 체계를 구축하고, 스마트시티 연계 도메인별 기술표준 개발 및
국제표준화 역량개발과 국제협력 추진을 목적으로 하여 2020년∼2023년까지 정부 11,782
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①첫째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체계 및 프레임워크와 통합플랫폼 등 공공
서비스 표준화 및 표준인덱스,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개발과 도시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 및 가이드라인 정립을 통한 스마트시티 표준화 전략 및 체계 구축, ②둘째
스마트교통-에너지, 스마트에너지-빌딩,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스마트 ICT 분야 표준지침
∙265∙
개발을 통한 스마트시티 도메인별 기술표준 및 서비스 시험표준 개발, ③셋째 국제표준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품질 평가체계 구축 및 인증, 국제표준화를 위한 협력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역량개발 및 국제협력 추진이 있다.
2023년에는 국제 및 국내 표준개발 절차 최종단계로서 연구목표인 국제공식/사실표준 12건,
KS표준 3건, 국내단체표준 25건의 국제・국내표준 개발을 지원하였다.
[그림 3-36]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비전 및 전략
∙266∙
[그림 3-37]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주요내용
2) 2023년도 주요 성과
2023년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사업을 통해 스마트교통-에너지, 스마트시티 에너지-
빌딩, 공간정보, IoT 국제 표준 플랫폼과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상호연동 국제표준 등을
개발하였다.
<표 3-13> 2023년 스마트시티 국제 및 국내 표준개발 현황
순번 표준명 연도 표준화기구 표준 유형
1
loT 국제 표준 플랫폼과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상호연동 표준(안) (NG-SI-LD/oneM2M
interworking proxy proposal)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2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기술표준(안) (Case Study of NGSI-LD Adoptions)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3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페더레이션 기술 표준(안) (Study of NGSI-LD Architecture
Deployment Scenarios)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4 스마트시티 도시데이터 상호운용성 평가체계 기술보고서 (TR) 2023 ETSI ISG CIM 국제사실표준
5
Developing the GDF Metadata Catalogue in UML model for Model Driven
Approach (MDA)
2023 ISO TC 211 국제공식표준
6 Guidelines for bidirectional GlS/BIM information exchange 2023 ISO TC 211 국제공식표준
∙267∙
순번 표준명 연도 표준화기구 표준 유형
7
How to build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domain data models of a smart
city in terms of model registration
2023 ISO TC 211 국제공식표준
8
Requirements for Real-time Event Monitor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s in Smart City
2023 ISO TC 국제공식표준
9
Services for providing power suppIy & demand information of EV charging
stations in the Smart cities
2023 ISO/TC 국제공식표준
10 Smart transportation-energy test methods for data exchange 2023 ISO TC 204 국제공식표준
11
스마트 빌딩-에너지 데이터 처리, 관리 및 분석 서비스 프레임워크(Framework of
city-level energy data sharing and analytics among buildings)
2023 ITU-T 국제공식표준
12 스마트 빌딩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평가 기준 2023 ITU-T 국제공식표준
13 스마트시티 에너지 관리 플랫폼(City Level EMP)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요구사항 2023 ITU-T 국제공식표준
14 BIM(IFC) 데이터의 디지털 트윈 데이터(CityGML)의 변환을 위한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15 MaaS 플랫폼과 에너지 데이터 정보연계 표준 2023 ITS-K 국내단체표준
16 공간 및 건축(BIM) 분야의 표준 상호운용성을 위한 용어 정의 2023 TTA 국내단체표준
17 공간 및 교통 분야의 표준 상호운용성을 위한 용어 정의 2023 TTA 국내단체표준
18 공간정보 연계 COVID-19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19 공간정보기반의 건축(BIM) 및 교통 분야 상호운용성을 위한 온톨로지 구현 가이드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0 데이터 허브 기반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거래 거버넌스 모델 기술 보고서(TR) 2022 TTA 국내단체표준
21 데이터 허브 기반 데이터 유통거래 가이드라인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2 디지털 트윈 데이터(CityGML)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23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모델 표준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4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제1부 요구사항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5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제2부 참조 구조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6 스마트 건물 & 에너지 - 제3부 데이터모델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7 스마트시티 ICT 통합 프레임워크 구조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8 스마트시티 ICT 통합 프레임워크 플랫폼 간 연동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29 스마트시티 ICT 통합 프레임워크 활용 기술 보고서(TR) 2023 TTA 국내단체표준
30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와 공간정보 플랫폼 간 실시간 연계 구조 및 인터페이스 규격 2023 TTA 국내단체표준
31 스마트시티 서비스 객체식별을 위한 데이터맵 프레임워크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32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리체계・메타정보 스키마・객체식별 표준 2022 TTA 국내단체표준
33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 기능 및 상호연동 시험규격 2.0 2021 SCA 국내단체표준
34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2020 SCA 국내단체표준
35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연계를 위한
데이터 교환규격
2020 SCA 국내단체표준
36
스마트시티 정보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위한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연계를 위한
데이터 교환규격_R1
2021 SCA 국내단체표준
37 스마트시티 포트폴리오 - 프로그램 - 프로젝트 프로세스 매뉴얼 2023 SCA 국내단체표준
38 실외 IoT 센서 위치 데이터 규격 2022 TTA 국내단체표준
39 에너지 긴급상황 및 정전시 충/방전 정보연계 표준 2023 KSGA 국내단체표준
∙268∙
3) 향후 계획
2023년 12월 연구개발사업은 종료되었지만, 총 47건의 국제・국내 표준을 개발하였고, 연구
과정에서 축적된 스마트시티 표준화 역량 및 스마트시티 기술표준화를 위한 거버넌스 체계와
프레임워크 구축,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를 위한 협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속적인 국제・
국내 표준을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그림 3-38]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기반 조성 사업 최종 성과
나.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핵심기술 개발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핵심기술 개발사업은 AI 기반 지능형 스마트시티 구현과 활성화를
위해 도시 인프라 정밀 모니터링 및 디지털 트윈 등 혁신기술의 기반이 되는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AI+IoT) 핵심기술 개발・실증을 통한 기술 고도화가 목적으로, 2022년∼2025년까지
순번 표준명 연도 표준화기구 표준 유형
40 영상 연계 및 활용 서비스 - 제1부 참조 구조 2021 SCA 국내단체표준
41 영상 연계 및 활용 서비스 - 제2부 기능 요구사항 2021 SCA 국내단체표준
42 영상 연계 및 활용 서비스 - 제3부 재생을 위한 기술규격 2022 SCA 국내단체표준
43 전기차 긴급 충전 인프라 플랫폼 에너지 데이터 정보연계 표준 2023 ITS-K 국내단체표준
44 플랫폼 PM 서비스 운영사간 API 정보연계 표준 2023 ITS-K 국내단체표준
45 공간정보 기반 도시 에너지 데이터 표준 모델 및 식별체계(안) 2023 KS KS표준
46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 제1부 소프트웨어 일반요구사항 및 기능(안) 2022 KS KS표준
47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운영 및 관리 Part2. 통합플랫폼과 지리정보시스템 연계 방안 2023 KS KS표준
∙269∙
정부 24,490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①첫째, 스마트시티 초대규모 AIoT 핵심기술 개발・실증을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지자체 확산 체계를 마련하고, ②둘째,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네트워크, Edge AIoT 플랫폼, 표준 네트워크 시험・인증 규격, AIoT 통합플랫폼 모델 및
민감정보 보안기술 등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핵심기술을 개발하며, ③셋째,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통합 실증을 통한 AIoT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검증・보완 및 기술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개발과 스마트시티
도시 인프라 지능화 기술 통합 실증 추진을 위해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공통 활용기술 기초를 개발하고, 도시 인프라 지능화 Use Case 서비스 발굴・설계 등을
지원하였다.
[그림 3-39] AIoT 네트워크 특화 IoT 플랫폼 장치 및 서비스 연계 구성도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개발
AIoT 핵심기술의 빠른 상용화 및 실증과제에 대한 지원・검증・확산을 위해 엣지컴퓨팅 공통
활용기술, AIoT 네트워크 기술 및 망설계 기술, 표준화 및 시험규격을 개발하고,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AI 분석하는 엣지컴퓨팅 임베디드
장치를 개발하였다.
∙270∙
나)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설계 및 구축 지원을 위해 16채널 RF 모듈 동시 수신, 무선 데이터
성능 시험 지원(PER(패킷 에러율-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전송된 총 데이터 수와 오류발생 데이터
수의 비율), RSSI(전파신호 강도에 따른 비례식 거리 측정 방식), GPS, Time 동기), 국내전파
모델 적용한 스마트시티 AIoT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성능분석 지원 등 실측데이터 수집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 Edge AI 탑재 스마트폴
세계 최초 도시 상황을 근접 판단하고 제어하는 Edge AI 서버를 탑재, 저지연 시민 밀착형
Edge AI 스마트폴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폴은 WiFi 및 Massive IoT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AIoT 네트워크 단말 연동, 엣지AI 기반 영상처리, DID 홍보, 현장 경고, 비상벨 등 기능을
탑재하였다.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엣지컴퓨팅 임베디드 장치
멀티채널 데이터 수집장치 Edge AI 스마트폴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스마트시티 Edge AIoT 플랫폼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개발, 스마트시티 도시
인프라 지능화 기술 통합 실증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초고밀도 데이터 처리, 초저지연・고신뢰 데이터 처리, 초저전력 단말기술을 적용한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 인프라 AIoT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Edge AIoT 플랫폼, 표준 네트워크
시험・인증 규격, AIoT 통합플랫폼 모델 및 민감정보 보안기술 개발을 추진하며, 도시홍수 대응
및 배수시설 관리, 도심지 공사현장・시설물 등의 안전・재난・환경 감시, 스마트 시민 안심 공원
등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통합실증을 통한 AIoT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의 검증 및 보완 등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271∙
제9절 교통/물류
1. 교통
가.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은 자동차-ICT-도로교통 융합신기술 서비스의 개발 및 법・제도
개선, 표준화 등 융합생태계 기반 마련을 통해 자율주행 융합신산업을 발굴・육성하고, 자율주행
신뢰도 확보 및 공공서비스 개발을 통한 국민수용성 향상으로 교통사고 저감 등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2021년∼2027년까지 정부 294,974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그림 3-40]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개요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플랫폼 기술 개발과
리빙랩 실증환경 구축 등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을 개발하고, 교통약자 이동지원, 실시간 수요
응답 자율주행 대중교통 등 미래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하며,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을 위한
Lv.4 안전성 평가기술 및 표준화 등 관련 법・제도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자율차전용지도 표준 기반 지도생성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 개발, 도로객체 변화
정보 자동인식 기술 플랫폼 개발, 자율주행 실증환경을 위한 리빙랩 구축 등의 연구를 중점
추진하였다.
∙272∙
특히 ①인프라 센서 기반의 도로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Lv.4/4+(고등 자율주행 단계) 자율
주행 테스트베드 환경 구축, AI기반 자율주행모빌리티 운영 플랫폼 개발, 메타버스 기반 자율
주행 가상시험환경 구축, 자율주행 실증환경을 위한 리빙랩 구축 등 도로교통융합 인프라 신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②교통약자 이동지원, 수요대응 대중교통 모빌리티, 도로교통 인프라 모니터링
및 긴급복구 지원, 공유차 서비스,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긴급차량 통행지원 서비스 등 공공
수요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③자율주행 생태계 조기 완비를 위해 주행/충돌/시스템/환경대응/사고분석 안전성 평가
기술, 자율차/도로인프라 상태정보 융합 동적 안전성 평가기술, V2X(Vehicle to Everything:
자동차가 자율주행하기 위해 도로에 있는 다양한 요소와 소통하는 기술) 통신성능 안전성 및
전자파 적합성 평가기술, 자율주행 상호호환성 지원 데이터 및 시험인증체계 표준화 등 자율
주행을 위한 제작・운행 안전기준, 법제도 등 개발도 추진하였다.
[그림 3-41]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주요 연구내용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플랫폼 논리・물리 아키텍처 개발
국제표준 기반 자율주행차 전용지도 개발 및 연계구축,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정보화
플랫폼의 상호운용성, 호환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개발, 그리고 인프라 정보화 플랫폼 서비스
구현을 위한 아키텍처 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273∙
[그림 3-42] 인프라 융합 플랫폼 아키텍처
나) 자율주행 분야 국제표준제안 및 국내 법제도 개정(안) 도출
ISO-TC 204(PWI 2건, ’23.10), ASAM(’23.09) 등 자율주행 국제표준제안을 통한 글로벌
표준 확보 및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2건, ’23.08∼),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안)(2건, ’23.11), V2X 통신장치 관련 기술
규정(안)(KNCAP-TP-SS-9, ’24.01 시행) 등 국내 자율주행 법제 개정(안) 및 기준(안)을
도출하였다.
∙274∙
[그림 3-43] 국제표준 제안
다)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 정의 및 메시지, 아키텍처 개발
Lv.4/4+ 자율주행 및 자율협력주행 구현을 위한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 정의 및 메시지
개발, 인프라 가이던스 메시지 및 데이터 제공을 위한 아키텍처 개발,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
및 시나리오 검증용 시작품을 개발하였다.
[그림 3-44] 인프라 가이던스 시스템 아키텍처
∙275∙
라) Lv.4/4+ 자율주행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개발
Lv.4/4+ 자율주행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요구사항 정의 및 아키텍처
개발, 디지털 트윈 기반 교통관리 및 운영용 Virtual pair를 위한 객체 모델링 방안 개발, 디지털
트윈 기반 관제, 운영, 정보연계를 위한 개방형 플랫폼 및 디지털 Thread를 개발하였다.
[그림 3-45]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아키텍처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자율주행서비스 구현과 인프라 및 공공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한 자율주행모빌리티
센터 운영 플랫폼 및 주요 도로 디지털/물리 인프라 개발, 자율주행 표준체계 개발, Lv.4/4+
자율주행 6대 공공서비스 기술 개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3단계 실증(가상시험환경-
테스트베드-리빙랩)을 위한 환경 설계, Lv.4 자율주행 생태계 조성을 위한 안전성 평가기술
및 법제 개발, 표준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가)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분야
자율차 정밀지도 플랫폼 SW 설계 및 개발, 도로상황 인지 인프라 센서 네트워크 개발 및
MEC(Mobile Edge Computing: 5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서버를 구축
하여 데이터 전송 거리를 단축하고 초고속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통합시스템
∙276∙
시제품 제작, Lv.4/4+ 가상시험환경 설계, 자율주행 테스트베드(K-City) 고도화, 리빙랩 선정
도시 대상 상세 설계 및 구축 등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나) 자율주행 서비스 분야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및 지원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알고리즘
개발, 인프라 모니터링 지원 SW 및 HW 구축, 자율주행 도시환경관리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기반 긴급차량 및 통행지원 서비스 개발 등 자율주행 서비스 분야 기술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 자율주행 생태계 분야
고속도로/도심도로 기반 주행 안전기준 및 시행세칙 개발, 실차 기반 VILS/HILS(Vehicle
In the Loop System/Hardware In the Loop System: 가상환경 시뮬레이션 검증시스템)
환경 구축, V2E(Vehicle to Environment) 인지판단 시제품 제작, 차량 사이버보안 평가
시나리오 도출 및 데이터 보호 법제 개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데이터 표준 개발 등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2. 물류
가.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은 공공 인프라를 이용하여 도시
공동 생활물류 기술 및 라스트마일 스마트 배송기술을 개발하고, 물류 디지털 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및 인터페이스 구축을 통한 표준화・실증 추진을 목적으로 2021년∼2027년까지 정부
105,444백만 원의 예산을 투자하는 사업이다.
도시 공공인프라를 이용한 공동 생활물류 기술 및 라스트마일 스마트 배송 기반기술을 개발
하고, 표준화를 통한 물류정보 디지털 플랫폼 구축 및 실증 기술 개발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공공인프라 기반 도시 공동물류, 친환경 말단배송수단 및 순환물류 시스템, 육상
화물 운송 디지털정보 표준, 물류정보 통합연계 플랫폼 구축 등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기술의
핵심・구성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하고 있다.
∙277∙
특히 ①도심 공동물류 택배터미널 구축・운영 기술 및 지하공간 활용 도시물류 기술 개발 등
공공인프라 기반 도시 공동물류 기술 개발과 ②온도민감성 화물의 안전과 생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신선물류 포장 기술, 환경부하 저감 친환경 고효율 말단배송 기술 개발 등 생활물류 안전・
환경부하 저감 배송 및 포장기술도 추진하고 있으며, ③고밀도 스마트 택배 말단 보관 인프라
기술, 배송기사 노동부하 저감 저상형 적재함 및 하역 기술, 말단배송 로봇 및 운영기술 개발 등
배송기사 협업용 스마트 말단 배송 및 보관기술도 추진하였다.
또한 ④물류정보 통합연계 플랫폼 및 실증・검증 인터페이스 기술, 육상화물 운송 디지털정보
표준 기반 거래・공유・관리 기술 개발 등 물류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과 ⑤콜드체인
상태정보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체계 구축 기술 등 화물 상태정보 관제기술도 지원하고 있다.
[그림 3-46] 고부가가치 융복합 물류 배송・인프라 혁신기술개발 사업 주요 연구내용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지하공간을 활용한 도시물류 기술
도시철도 운영자가 물류부대사업을 위해 도시철도 차량기지 등에 설치하는 물류시설이 ‘도시
철도시설’에 포함되도록 도시철도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하여 도시철도 물류서비스 도입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였다.
∙278∙
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친환경 고효율 말단배송 기술
교통정체,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전기기반 친환경 말단배송 장비 시작품(적재 50kg 및 주행
거리 50km 화물용 전기자전거)의 제작 및 기술 검증을 위해 경북 스마트그린물류 규제자유
특구에서 화물용 전기자전거 성능 및 안전성 등 기술 검증 실증을 추진(’23.5∼10)하였다.
다) 생활폐기물 감축을 위한 신선물류 포장기술 및 시스템
100회 재사용 가능한 순환물류용기(상온, 정온 등)와 전자종이 기반 디지털 송장 시작품을
제작하는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라) 배송기사 노동부하 저감 적재함 및 하역장비
배송기사 노동부하 저감을 위한 차량 탑재형 중형 상하역 장비인 케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시작품(5톤 이상 화물차 탑재 가능, 적재 능력 1톤 이상, 등판 각도 22° 이상, 무게 중심의
이동 조정 가능)을 제작(’23.4)하였다.
화물용 전기자전거 순환물류용기(좌), 디지털 송장(우) 케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3) 향후 계획
가) 공공인프라 기반 도시 공동물류 기술
도심 내 공동 인프라(지자체 및 철도차량기지 유휴지 등)를 활용한 공동물류 택배터미널 장비
및 운영기술 개발・실증을 위한 복수물류 대응형 멀티슈트 분류시스템 물품 분류부 개발, 공동
물류거점 시스템 구성 통합 조정 및 운영 대상별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 도시철도 시설 및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택배 등 도심 화물 운송을 위한 기술 개발・실증을 위한 화물전용 차량 시험
인증, 지하공간 물류 핵심기술 통합 테스트베드 구축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279∙
나) 생활물류 안전・환경부하 저감 배송 및 포장기술
온도민감성 화물의 안정성 확보 및 생활폐기물 절감을 위한 신선물류용 순환물류포장(RTP)
용기 성능 검증 및 표준화, 스마트 수거함 시작품의 개발 및 기존 말단배송 시스템으로 인한
교통정체,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친환경 말단배송 시스템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계획(지역,
시나리오 등) 수립과 말단배송 시작품 현장 시험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다) 배송기사 협업용 스마트 말단 배송 및 보관기술
비대면 말단 배송이 가능한 가변형 택배 고밀도 보관함 스마트셀 성능 보완 및 로봇 연계형
스마트셀 시작품 제작, 자체 실증 추진 및 생활물류의 자동 하역을 위한 메커니즘과 하역가능
공간 판별 기술 개발 고도화, 작업지시 및 배송 내역 확인을 위한 연계 기술 개발, 배송기사
작업환경 개선 및 말단배송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저상형 적재함 트럭 성능수준 비교시험, 차량
탑재형 상하역 장비 및 차량 탑재부(중형/소형) 시제품 개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라) 물류정보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 및 화물 상태정보 관제기술 및 물류자원 관리기술
국가물류 디지털 정보표준 및 식별체계 개발, 국가물류지도 개발을 추진하고 택배 배송거래
표준 전자문서 공유 시스템, 콜드체인 상태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플랫폼 및 물류 창고 디지털
트윈 실증 테스트, 물적자원 관리, 물류활동 환경 모니터링 및 최적 관리 등도 연구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280∙
제3장 의료/복지
제1절 차세대 첨단 바이오 연구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주요성과
1) 개 요
바이오 분야 기술의 발전과 방대한 데이터의 축적으로, 기존 바이오 연구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며 바이오 대전환기가 도래하였다. 이제 바이오는 전 산업 분야에 파급되어 감염병, 기후
변화, 식량 문제 등 글로벌 난제를 해결하고,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기술로서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미국, 영국 등 세계 주요국을 중심으로 바이오를 국가 차원의 핵심 기술로 지정하며, 기술력
확보를 위한 경쟁 구도가 가속화되고, 첨단 전략 기술에 대한 국가적 우위를 독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도 확대되고 있다. 기술력이 곧 국력이라는 새로운 관점이 부상하며, 전통 안보의
개념을 넘어 기술-산업이 안보의 최대 화두가 되었다.
이러한 바이오 대전환에 맞춰 ‘2030 바이오경제 선도국 도약’을 위해 생명공학 분야 최상위
법정 계획인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3-’32)」을 수립하고, 전체 정부 R&D 투자액의
약 18% 이상을 차지하는 바이오 기술에 대한 향후 10년의 정책 방향을 수립하였다. 더불어,
급속한 코로나19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다양한 뇌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요구에 맞춰 「제4차
뇌연구 촉진 기본계획(’23-’32)」을 수립하고, 혁신과 융합을 통한 뇌연구 선도국가 진입을
계획하였다.
또한, 미래성장과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 첨단 바이오를 12대 국가전략기술에 포함하였고,
중점기술에 대한 임무중심의 전략로드맵을 수립하였다. 특히, 합성생물학의 경우, ’22년 12월
발표한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의 후속조치로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을
발표하며, 2030년 석유기반 제조 산업의 30%를 바이오 전환하기 위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6대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실제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9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또한,
∙281∙
합성생물학의 핵심 인프라인 바이오파운드리 구축을 위해 ‘바이오파운드리 인프라 구축 사업’
예타를 통과시키며, 2029년까지 1,26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국가 바이오제조 가속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신약개발
신약개발 전주기 지원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21년부터 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
복지부) 사업으로 국가신약개발사업(’23년 370.85억 원)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은 ①신약
기반 확충 연구, ②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③신약 임상개발 이상 3개의 R&D 내역사업과
④신약 R&D 사업화 지원을 위한 1개의 내역사업으로 구성돼 2023년 총 333개의 과제(계속
과제 215개, 신규과제 118개)를 지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한 2023년 주요 성과로는 IND 승인
15건(임상1상 13건, 임상2상 2건), 기술이전 9건(1,000억 원 이상 대형 글로벌 기술이전 3건,
국내 기술이전 6건)을 통한 정액기술료 3조 3,830억 원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특히, 레고
켐바이오사이언스사의 ADC 플랫폼 기술은 미국 얀센사에 2.2조 원 규모의 대형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아울러 2023년 신규 선정과제 118개 중, 혁신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한 64개의 새로운 타깃 및 모달리티(Novel target/New modality) 과제를 선정
(전체 선정과제의 약 57%)하여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우수한 과제를 선정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신약개발사업의 공백 분야로 타겟 발굴・검증, 기반기술 등 신약
기초연구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혁신신약 기초기반기술개발사업(’23년 70.5억 원, 32개 과제
(계속 16개, 신규 16개))을 추진하여 염증성 장 질환 핵심 타겟 후보 유전자 발굴 등 특정 질병
대상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또한,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 분야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신약 타겟 및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활용 혁신신약 발굴
사업(’23년 68억 원, 6개 과제(계속 3개, 신규 3개))도 지원하여 신약 개발의 낮은 성공률,
고비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시적 성과 도출을 위해 국내 연구개발 역량을 총결집하고 있다.
나) 재생의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핵심・기초 원천기술부터 임상 시험까지의 전주기
지원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공동으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23년에는
①첨단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신기술 개발, ②신기술 검증 목적의 응용기술 및 치료제
확보기술 개발, ③질환 타겟 치료제의 임상 1・2상 완료 지원 등 3개 분야 152개(계속 107개,
신규 45개) 과제에 583억 원(과기정통부・복지부 각 291.5억 원)을 지원하였다. 동 사업으로
∙282∙
’23년 SCI 논문 243편, 특허 등록 13건, 기술이전 13건(총 36.7억 원), IND 승인 1건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난치질환 극복 및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23년부터 차별화되고 창의적인 원천기술 및 선도 기술 개발을 지속하고자 ‘줄기세포
ATLAS 기반 난치성 치료기술개발’(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역사업)을 지원 중이다. ①줄기
세포 ATLAS 구축, ②재건줄기세포 생성기전 연구 및 제어기술 개발, ③줄기세포 ATLAS 활용
생태계 구축 3개 분야에 대하여 8개 신규과제, 45억 원을 지원하였다. 특히, 국내 줄기세포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줄기세포 정책플랫폼’을 운영함으로써 정책
아젠다 발굴 및 재생 분야 기초 원천 연구성과의 지속적인 축적 등 바이오 과학・의료기술 혁신의
근간이 될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다) 의료기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장지향형 혁신적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의료기기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20년부터 범부처(과기정통부・산업부・복지부・
식약처) 전주기 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을 통해 ①글로벌 제품 개발, ②미래의료 선도, ③의료
복지 구현, ④사업화 역량 강화 등 4개 분야에 248개(신규과제 69개, 계속과제 122개, 종료
과제 57개) 과제 2,033억 원(과기정통부 656억 원)을 지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한 2023년 주요 성과로는 ‘CE MDR 획득 (Portable ventilator, Class IIb)’ 등
43건의 의료기기가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암진단검사소프트웨어(ExoPred_Lung)’ 등 8건이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었다.
라) 융복합헬스케어
의료기술과 BT・IT, 유전정보 등을 접목한 융복합헬스케어는 고령화시대에 맞춰 수요가 급증
하는 분야로 특히, 소비자에게는 건강 및 유전정보를 이용한 평생건강관리, 맞춤진단・치료기술
및 서비스 등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기업에는 신성장동력의 기회로 부각되고
있다.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①오믹스기반정밀의료기술개발 사업(약 60억 원)을
통해 유전체, 단백체, 전사체 등 생체오믹스 정보의 통합적 분석에 기반한 암・당뇨 등의 예측・
진단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 ②바이오융복합 내역사업 및 ③차세대
의료기술개발 내역사업을 통해 실시간 진단・치료를 가능케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개발과
바이오와 IT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미래혁신형 핵심원천기술개발을 지원하였다(’23년 약 58억 원).
또한 ④한의디지털융합기술개발사업(약 26억 원)을 통해 한의기술에 디지털 등 첨단과학
∙283∙
기술・지식을 융합하여 고령화 등 국가적 난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⑤질병중심중개
연구사업을 통해 진단, 예방, 치료법 등 기초연구 성과의 중개연구로 임상・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미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마) 뇌연구
인간 뇌의 작동원리는 현재 과학기술이 밝혀내지 못한 분야로, 전 세계적으로 인간의 두뇌
활동방식을 규명하고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해 뇌 관련 과학을 융합하는 기술
(미국),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의 뇌를 시뮬레이션 하고 ICT 융합 프랫폼을 구축하는 기술
(EU), 비인간 영장류(마모셋 원숭이) 뇌구조 및 기능지도 작성과 뇌신경질환 연구(일본) 등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4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23.6월) 및 「뇌연구개발 투자전략」
(’21.8월) 수립을 통해, 정부 R&D 전략적 투자 확대기반 및 뇌융합기술 육성 지원체계를 구축
하고 뇌연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뇌과학선도융합기술개발, 뇌과학원천기술개발,
미래뇌융합기술개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뇌질환극복연구사업 등 뇌연구 관련 사업에서 ’23년
약 714억 원을 지원하였다. 생각의 흐름을 볼 수 있는 생체 내 초고속 뇌신경활동 영상기술을
개발(Science 게재, ’22.10.),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Nature Medicine 게재,
’22.8.), 치매 뇌에서 요소회로 작동 병리기전 최초 규명(Cell Metabolism 게재, ’22.6.) 등
우수한 연구 성과도 창출하였다. 또한, 치매 판단을 위한 아밀로이드 PET 정량화 기술을
병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의료기기를 개발, 한・미・일 등 4개국 허가를 받는 우수한 실용화
성과도 창출하였다. 아울러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와 MOU를 체결(’22.8, 치매극복연구
개발사업단)하고 한국뇌연구원-미국 REACT Neuro-칠곡경북대병원 간 공동연구 파트너십
구축(’23.9.) 등 뇌연구 분야 국제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바) 감염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근본적인 과학기술 역량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운영을 통해 감염병 분야 기초연구를 지속 강화하고,
감염병 전문 연구인력 양성사업을 통한 감염병 기초・원천 연구인력 및 전임상시험 서비스 지원
인력을 양성하여 감염병 연구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출연(연) 등이 보유한 연구
인프라・역량을 활용하는 ‘국가 전임상시험 지원센터’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민간의 감염병
치료제・백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생물안전3등급연구시설(BL3, ABL3)을 민간과 공동
활용하기 위한 ‘바이러스 연구자원센터’를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등에 구축하여 2024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으로 감염병 분야의
기초・원천 연구 생태계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84∙
사) 그린・화이트바이오
바이오공학의 기술 발전에 따라 바이오는 전통적인 의약품 이외 산업 전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영역 확장으로 새로운 신사업 창출의 동력으로 기대받고 있다. 그린・화이트 바이오는 인구
고령화 문제, 식량 문제,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 등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성장
동력 분야로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 대응과 국가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그린・화이트 바이오의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기존의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기초
원천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대사성질환 제어 신소재 발굴 및 생산
플랫폼 구축” 신규과제를 지원하였다.
아) 생명연구자원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감염병 재난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생명공학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11개 관계부처는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
계획(’20~’25)(부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20.5월)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부처별로 운영되어 왔던 생명연구자원 관련 사업들을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으로
재편하고, 관계부처가 협력하여 바이오 연구・산업 활동에 필요한 바이오소재와 연구데이터의
활용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바이오소재의 경우, 소재 종류, 보존・관리 방식 등이 유사한 14개 소재 분야별 클러스터(배양
세포, 미생물, 모델동물, 인체유래물, 종자, 해양생물 등)로 재편하고, 바이오 연구 및 산업 현장이
필요로 하는 소재의 확보 및 고품질화 등을 위해 바이오 연구소재 활용기반 사업으로 246.4억 원
(’24년 기준)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바이오소재의 품질관리를 순차적으로 고도화하고
있으며, 소재 클러스터별로 특화된 전문포털을 구축하고, 질병・유전자 관련 바이오소재를
한곳에서 검색・분양 신청할 수 있는 원스톱 플랫폼(BioOne)을 시범오픈(’23.12월) 하였다.
데이터 기반 개방형 연구의 핵심 자원이 될 바이오 연구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등록 양식
표준화를 통해 수집・공유 체계를 고도화하고, 연구데이터 전주기 과정에서의 연구개발 주체별
이행절차 안내를 위한 ‘생명연구자원(바이오연구데이터) 확보・관리 및 활용 표준 가이드라인
(안)’을 마련(’22.6)하여 과기정통부 사업에 시범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24년 기준 136.4억
원을 지원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수집・관리・공유를 위한 플랫폼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Korea-Bio Data Station)을 운영하고, 분야별 고품질 데이터의
확보 및 활용 지원 확대를 위해 단백체, 대사체, 이미징, 화합물 등 분야별 품질선도센터
(’22~’26)를 운영하는 등 바이오 연구데이터 공유 생태계 조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85∙
자) 창업・사업화
바이오 기술개발부터 기술사업화, 창업, 성장, 회수까지 바이오 생태계 전주기에 걸쳐 정보와
지식 제공 및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은 첨단바이오 분야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일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창업유도, 기업성장 촉진,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에 총 388억
원을 지원하였다. 우수 R&D 성과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창업 보육 및
창업 환경 제공을 위해 바이오 아이코어 사업, 바이오 Core Facility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임상현장의 수요 및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의료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위해
혁신형 미래의료연구센터 육성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더불어 매년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투자포럼 개최를 지원하여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 간 자유로운 교류 환경 조성을 통해 기술
거래 시장을 활성화하고 기술이전 및 투자 촉진을 지원하고 있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 바이오 한계 극복을 위한 공통기반
기술의 개발 및 고도화, 미래 산업을 선도할 첨단바이오 전략기술의 선제적 확보 등을 위한
R&D 투자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2024년에는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24년 73.12억 원),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24년 12.25억 원), 「인공 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24년 26.66억 원),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24년 107.77억 원) 등의
사업을 신규 추진할 예정이다.
∙286∙
제2절 국민 건강・삶의 질 향상 지원
1. 개요
코로나19와 같은 보건위기 상황을 겪으며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에서는 보건안보를 비롯한
건강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위험-고이득 임무중심형 R&D 추진 체계를 구축하는 등 혁신적인
보건의료기술 육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보건의료 국가적 난제 해결을
위해 ‘실패 가능성이 크고, 연구비용이 높아 기업 단독으로 도전하기 어려우며, 다학제간
융합과 협력이 필요한 도전적 과제’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이 밖에도 심뇌혈관・
응급과 같이 생명과 직결되고, 분만・소아 등 시장실패로 적정 공급이 어려운 필수의료 분야
확충에 대한 요구 증가 및 디지털 대전환에 의한 의료시스템 패러다임 변화로 새로운 바이오
헬스 산업 영역 창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새로운 보건의료기술의 메가트렌드에 발맞춘 혁신적
R&D 추진전략 수립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보건복지부가 보건의료 기술육성을 위해 매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의 제2차 계획이 2022년을 기준으로 종료됨에 따라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
계획(2023∼2027)」이 새로 수립되었다. 이번 3차 기본계획에는 해양수산부가 새로 참여하며
기존 10개 부처・청에서 총 11개 부처・청이 함께 하여 더욱 많은 보건의료 분야 R&D 사업을
포괄하게 되었으며,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제4차 뇌연구
촉진기본계획」 등 복지부 내 관련 계획 및 타 부처 계획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부처 간 협력
및 계획의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이번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은 의료・건강・생활습관 데이터를 모두 연결하는 혁신
기술을 활용하여 보편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국민이 건강한 헬스케어 4.0 시대 구현’을
비전으로, 보건의료기술 수준을 2022년 79.4%에서 2027년 82%까지 향상시키고, 보건안보
위기 시 100일 내 백신・치료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며, 바이오헬스 수출을 2022년 242억
달러에서 2027년 447억 달러로 확대시키는 등의 세부 목표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
하고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력했다.
팬데믹, 필수의료 위기 등 국가난제 극복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새롭게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5대 임무(보건안보 확립, 미정복질환 극복, 바이오
헬스 혁신, 복지・돌봄 개선, 필수의료 확충)를 도출하여 임무를 달성하기 위한 PM 중심의 신속
결정, 실패를 용인하는 등 기존 보건의료 R&D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파급력 있는 도전적
연구를 지원하여 보건의료 난제 해결 및 국민 건강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신약・의료기기 개발,
∙287∙
맞춤의료 등에 활용되는 국가전략자산인 임상정보, 유전체 데이터, 공공데이터를 구성 및 개방
하는 범부처 사업인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기존 R&D 방식이 가진 빅데이터 구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바이오뱅크의 연구데이터를 활용
하여 극대화된 R&D 성과를 이끌어내 국민 건강에 기여하는 등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 2023년도 연구개발 추진현황 및 주요 성과
가. 보건의료 분야 기술개발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지난 2023년에는 국민의 생명・건강과 직결되는 심뇌・응급질환 등 필수의료 분야 중요성을
강조하고, 암・치매와 같이 국민 부담이 높은 질병 극복 연구 지원으로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경감하고자 했으며, 노인・장애인 돌봄 사업을 지원하여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고자 했다. 또한
감염병 전주기 대응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변이 바이러스 출현 및 재유행 반복 등 여전히 산재
하는 신・변종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 노력도 지속했다. 또한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기술 보유 기업의 사업화 촉진, 규제 합리화 및 전문인력 양성 등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투자도 확대하였다.
중 점 추 진 방 향
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임무중심형 R&D 강화
- 중증・만성질환 관리 등 고비용・난치성 질환극복 중점 투자
신・변종 감염병 전주기 대응 역량 강화
- 지속적 감염병 대응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바이오헬스 차세대 유망기술 확보
- 재생의료 R&D 전주기 지원 강화
-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 지속 투자
- 데이터・인공지능 기반 바이오헬스 디지털 전환 촉진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 산・학・연・병 연구협력 강화 및 글로벌 협력 확대
* 출처: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23~2027) 2023년도 시행계획
[그림 3-47] 2023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288∙
1) 국민 건강 중심 R&D 투자 강화
중증・만성질환 관리와 난임 극복, 암・치매 대응 기술 고도화 등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
하는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투자를 강화했다. 뇌신경계질환의 진단, 치료, 예방 등 미충족 의료
수요 해결을 위한 환자 체감형 의료기술과 한의약 디지털 헬스케어 및 근거중심 한의약 의료
서비스 중개・임상연구를 신규 지원했다. 한국형 암 예방・진단・치료법 개발과 ‘국가 치매책임제’와
연계한 치매 전주기 연구개발, 만성 구강질환 극복을 위한 치의학 의료기술, 치의학 데이터
생성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했다. 이 밖에도 수요자중심의 돌봄로봇 개발과 실증 지원, 환자의
선호와 가치에 맞는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사결정 실증 연구 등을 신규 지원했으며,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인구집단별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 환자 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 고령자
및 이동약자를 위한 보조기기 개발 및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스마트 운동 치료기기
개발을 지속 지원하는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도 강화했다.
2) 신・변종 감염병 전주기 대응 역량 강화
신・변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치료제 개발 지원도 지속했다. 미지의 감염병(Disease X)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RNA 바이러스 생활사에 작용하는 항바이러스제 개발, 미래 방역체계
구현을 위한 방역물품 고도화 연구개발을 신규 추진했다. 또한 감염병 치료, 확산 방지를 위한
백신・진단기술・치료제 개발과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 대응 가능한 mRNA 백신의 임상시험
단계별 집중 연구개발을 지속 지원했다.
3) 바이오헬스 차세대 유망기술 확보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과 함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
하기 위한 신산업 육성을 추진했다.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한 인공혈액 생산기술 제조 시스템
구축, 이종세포이식의 임상연구 진입 및 이종고형장기의 전임상 가능성 검증 연구를 신규 추진
했다. 국내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범국가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혁신적인 약물 전달
치료기술 개발 연구를 지원하였으며, 화장품 분야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 소재 개발연구를 추진
했다. 전자약 등 첨단 융복합 기술 기반의 의료기기 개발을 지속 지원하고, 혁신형 의료기기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제품의 임상적 유효성 창출 및 해외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투자를 강화했다. 또한 가상환경 기반의 의료서비스 모델 발굴, 한국형 인간마이크로바이옴
의료기술 개발 및 의료 마이데이터 활용기술 개발을 신규 지원하였으며, 비대면 진료기술
고도화와 의료기관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실증 및 수술질 향상을 위한 수술 합병증 데이터
구축 등 데이터・AI를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추진했다.
∙289∙
4)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R&D 성과의 사업화 촉진 및 산・학・연・병 연구 플랫폼 및 글로벌 연구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투자를 강화했다. 영국・미국・스위스 등 주요 보건의료 분야 선도 국가의 연구자와 국내 연구자
간의 공동연구를 신규 추진했다. 이 밖에도 백신・치료제의 비임상시험 소요기간・비용 단축을
위한 실증・개발 연구를 신규 지원했으며, 신진 의사과학자 및 정밀의료・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분야 인재양성 지원사업에도 지속 투자하여 융합 인재 양성을 촉진했다.
나. 보건의료 R&D 주요 성과
1) (과학・기술적 성과) 논문・특허의 높은 질적 수준 유지
2022년 SCI(E)급 국내외 논문은 1,944건, 정부출연금 10억 원당 논문실적은 4.48건으로
국가 전체 1.82건(’21년) 보다 높으며, 논문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표준화된 순위보정 영향력
지수(mrnIF)는 68.13점으로 국가 전체 평균 65.25점(’21년) 대비 우수한 수준이다. 2022년
국내 등록특허 실적은 473건, 정부출연금 10억 원당 국내 등록특허 실적은 1.26건으로 국가
전체 0.89건(’21년) 보다 높으며, 국내 등록특허의 SMART 평균 점수는 4.11점으로 국가 전체
평균 3.95점(’21년) 대비 우수한 수준이다.
2) (경제적 성과)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한 의약품,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
2019년부터 2023년 11월까지 5년간 의약품 기술수출 계약은 최대 약 18.7조 규모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웅제약은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인 ‘베르시포로신’을 중국, 홍콩,
마카오 등 중화권에 약 4,130억 원 규모로 기술수출 하였으며(’23.1.), 2019년에는 미국 FDA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되어, 현재(’23.2.~) 글로벌 임상 2상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고관절 인공
관절 수술 시 골반(비구)에 삽입하는 컵 형태의 장치인 인공비구컵을 세계 최초로 ‘고에너지
적층(DED)’ 방식의 생체금속 3D 프린팅 코팅 기술로 개발하여 인공관절 치료재료의 국산화를
실현하였다.
* 품목허가(韓 ’21.2월, 매출액 5.8억 원 / 美 ’22.5월, 매출액 2.9억 원)
∙290∙
<표 3-14> 의약품 분야의 기술수출 성과(’21~’23)
연번
주관
연구기관
제품(물질)명 종류 기술이전 금액
기술이전 기업
(기술이전일)
비고
(지원사업)
1 알테오젠 히알루로니다제 피하주사 원천기술 약 1,266억 원
Intas
Pharmaceuticals
(’21.1.7)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2 제넥신 GX-17
코로나19치료 및
면역항암제
약 1조 2,000억 원
KG BIO
(’21.2.18)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3 이뮨온시아 IMC-002 항암신약 후보물질 약 5,412억 원
3D Medicines
(’21.3.30)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4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3,800억 원
Shanghai Haini
(’21.3.17)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5 CMG제약 CHC2014
Pan-TRK 저해
표적항암제
약 1,934억 원
AUM 바이오사이언스
(’21.5.10)
국가항암
신약개발사업
6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5,160억 원
Neurogastrx
(’21.6.8)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7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340억 원
BIOPAS
(’21.6.23)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8
바이오팜
솔루션즈
JBPOS0101 소아연축뇌전증 치료제 약 468억 원
경신제약
(’21.08.30)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9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4,841억 원
아그라스
(’21.10.14)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0 보로노이 VRN08
MPS1 타깃 고형암
치료제
비공개
바이오테크 피라미드
바이오사이언스
(’21.11.3)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1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약 2,180억 원
이그니스테라퓨틱스
(’21.11.11)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2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치료제 약 433억 원
Endo ventures
limited
(’21.12.23)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3
에이비엘
바이오
ABL301 파킨슨병 치료제 약 1조 2,700억 원
사노피
(’22.01.12.)
범부처신약
개발사업
14
레고켐
바이오
ADC linker
플랫폼 기술
플랫폼 기술 약 1조 6,000억 원
암젠
(’22.12.)
국가신약
개발사업
15 알테오젠 ALT-B4
인간히알루로니다제
원천기술
약 1,839억 원
산도스
(’22.12.)
국가신약
개발사업
16 인투셀
ADC linker
플랫폼 기술
플랫폼 기술 약 6.5억 원
ADC테라퓨틱스
(’22.12.)
국가신약
개발사업
17 대웅제약
베르시
포로신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약 4,130억 원
중화권
(’23.01.)
국가신약
개발사업
∙291∙
세계 최초 DED 방식의 골유합 향상 금속 3D 프린팅 코팅이 적용된 인공비구컵
[그림 3-48] 의료기기 분야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3) (의학적 성과) 질병의 발병 원인과 치료방법 등의 과학적 근거 마련
종양 미세환경 내 조절 T 세포 표면에 발현한 PD-1 단백질이 조절 T 세포의 안정성 및 지질
대사를 유도해 항암 면역반응 억제를 규명함으로써 암 환자의 PD-1 항암 요법의 효능과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어 면역항암치료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만성 B형
간염의 수치에 따른 항바이러스제의 조기 치료 필요성 규명을 통해 간암 발생 및 사망률 감소와
의료비 부담 감소가 기대된다.
종양 미세환경 내 조절 T 세포 특이적 PD-1 역할 규명 만성 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
[그림 3-49] 과학적 근거 마련을 통한 치료기술 개발 성과
∙292∙
4) (사회적 성과)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노인성 치매와 관련한 뇌질환, 인간의 발생과정 및 노화 등의 연구를 통해 성체 해마 신경
발생 장애와 알츠하이머 치매 간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유전자에 누적되는
최적 모자이크 돌연변이 검출법을 제시 규명하였다.
모자이크 돌연변이의 발생 및 탐지 과정 향상된 모자이크 돌연변이 검출 방법 제시
[그림 3-50] 노인성 치매 관련 기술개발 성과
장애인, 고령자 대상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안내방송 무선 청취환경인
약자형 히어링 루프 개발, 하지절단 장애인용 ‘보급형 대퇴 의지’ 기술개발 및 교통약자용 전동
휠체어, 스쿠터의 국산화 제품개발 및 사업화에 성공하였다.
액자형 히어링 루프 보급형 대퇴 의지 리튬전지 적용 전동스쿠터
[그림 3-51] 장애인, 고령자 대상의 보조기기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과
∙293∙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미래 감염병 위험 대비 보건안보를 강화하고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정신건강과 관련한 보건의료 기술에 투자하는 등 임무중심형 R&D를 추진한다. 또한 글로벌
협력・공동연구 활성화 및 국가전략기술 집중 육성을 목표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보건의료기술, ▲미래 위험을 대비하는 보건안보 강화, ▲바이오헬스 강국 도약을 위한 신산업
육성, ▲혁신을 촉진하는 R&D 생태계 등 제3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의 4대 전략 중심의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먼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와 주요 질환에 대한 진단・치료
혁신기술 연구 및 정신건강 증진, 건강약자 지원 등 국민 체감 중심 연구에 집중 투자하며,
고난도이나 파급효과가 큰 임무중심형 R&D 추진 및 미래 팬데믹 대응을 위한 백신・치료・진단
등의 영역에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또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첨단 재생의료 원천기술
확보 등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과 관련한 연구에도 적극 투자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보스턴
-코리아 프로젝트 등 글로벌 선도기관과의 협력・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의사과학자 등 전문
인력 전주기 양성・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294∙
제3절 감염병 대응 및 바이오헬스 제도개선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연구개발사업은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법」 제5조에 근거한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하고 있다. 식품・의약품 등8)의 안전기술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안전관리 기술과 인허가 및 과학적 규제를 위한 평가기술을 말하며 국민
생활과 밀접하며 공공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신・변종 감염병의 유행, 이상기후, 환경오염에 따른 건강 위협요인의 증가, 디지털・
바이오기술의 발전에 따라 식품・의약품 등의 생산・유통・사용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안전관리
컨트롤타워로서 규제수요에 대한 식약처의 신속한 대응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식약처는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연구, 혁신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인허가 평가
기술 연구, 규제과학 연구 인프라 강화 등 미래 분야 안전관리 기반 마련에 집중하였다.
2023년 주요 R&D사업은 전년 대비 65억 원 증액된 1,350억 원 규모로 식품, 의약품, 의료
기기 등 분야별 안전관리 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5개 고유사업과 민간 제조현장 등에 활용
가능한 8개 출연사업 등 총 13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신규사업으로는 범부처 R&D에서 개발
되는 의료기기의 제품화 성공률 제고 및 맞춤형 인허가 지원 등을 위한 범부처 의료기기 규제
과학 지원 사업과 컴퓨터모델링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신개념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신속 제품화
지원을 위한 컴퓨터모델링 기반 의료기기 평가체계 구축 사업 등 2개 사업을 100억 규모로
추진하였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식품 및 농・축・수산물 안전 분야
식품 및 농・축・수산물 생산부터 유통・소비까지 전(全) 단계의 안전관리를 위해 식품 등 안전
관리 사업(1998~)과 농축산 안전관리 사업(농식품부에서 이관, 2013~)을 수행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ICT 기술을 식품안전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식품 안전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축・수산물 생산과정에서 사용 후 잔류하는 농약이나 동물용의약품 또는 토양・해양・대기
등을 통해 식품으로 축적되는 오염물질, 가공식품 등의 제조・가공 공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8) 식품, 농축수산물, 주류, 건강기능식품, 의약품・한약・의약외품, 화장품, 위생용품, 의료기기 등
∙295∙
유해물질에 대한 분석 시험법을 마련하고 허용 가능한 기준・규격 설정을 위한 위해성평가 등을
하고 있다. 농약 및 동물용의약품의 오・남용 방지와 잔류물질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시행9)에 따라 위해성평가(743건), 축산물 중 농약 동시다성분시험법 총 5건
(215종/181종(1건), 34종(4건)), 34건의 개별시험법을 개발・개선하였다. 또한 국내 건삼의 수출
활성화 지원(메타락실 시험법 국제기준 선정), 수산물 중 삼중수소 신속 시험법(방사능오염수
방출대비) 등을 마련하였으며, 동물성 원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인정 범위를 설정(시험검사 비용
절감)하였다.
또한 인체적용제품의 위해성평가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1차 위해성평가 기본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프탈레이트류(7종), 알루미늄의 사람중심 통합위해성평가를 완료하였고, 폴리염화비페닐
등의 국내 인체노출안전기준을 설정하여 관계부처에 제공하였다. 식품 관련 위해정보에 대응하기
위해서 커피 및 기타 식물성유지류 중 대마성분, 고춧가루 중 미허용 착색료인 수단색소, 일회용
종이빨대 중 과불화화합물 등에 대한 시험법을 개발하였고, 식품첨가물공전 시험법 중 잔탄검
등 분석법을 개선하였다. 또한, 동물성 원료의 천연유래 보존료 인정 범위를 설정하여 검사
비용 등을 절감시켰다. 식중독 원인・추적 조사 강화를 위하여 식중독균을 수집 및 자원화
(19,650주)하였으며, 첨단기술을 활용한 식중독 원인체 분석기술 및 동시 신속 검출법을 개발
하였다. 국가 식품영양성분 함량분석 DB 구축(3,152건), 식품원료 진위판별 정보 DB 구축
(1,944건) 등 자원 및 분석자료 확보를 통해 분석 인프라를 확대하였다. 그밖에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에 따른 새로운 위해요소 등장으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수행
하였고, 식품용 기구・용기・포장의 재생지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 마련 및 기능형 기구・용기・
포장에서 이행되는 물질의 시험법을 개발함으로써 식품용 기구・용기・포장의 과학적 규제기반을
마련하였다.
건강기능식품 및 새로운 식품원료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심사를 거쳐 인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품화 기술지원을 위한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의 안전성
및 기능성 평가 가이드를 개발하고, 기능성 원료에 대한 현장 맞춤형 컨설팅(원료 75개), 기능성
원료 인정심사 및 제출자료 등 실무교육 등 기술지원을 수행하였다.
스마트 식품 안전관리 사업을 통해서는 식품유형별 데이터 수집・분석・활용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관련 인터페이스 구축 및 무선 전자기파를 이용한 실시간 비파괴 이물 선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식품통합정보와 유통정보 융・복합 활용방안 마련과 연계 플랫폼 기능을 구현
하였으며 해외업체별 위해도 예측모형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부정・불량 취약 식품을 자동
탐지하는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VACCP 모델을 도출하였다. 빅데이터 기반 건강기능
9) 농약 : 2016년에 도입되어 2019년부터 농산물 전체에 시행
동물용의약품 : 2024년에 축수산물(소, 돼지, 닭, 우유, 달걀, 어류)에 대해 일부 시행
∙296∙
식품 등 적정 섭취 기반 구축과 관련하여 중복/병용 섭취 안전성 예측 모델 및 통합 DB를
개발하였고 개인 맞춤 영양 서비스 사업(비즈니스) 모델(안)을 마련하였다.
2) 의약품 등 안전 분야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및 한약(생약), 화장품・의약외품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의약품 등
안전관리 사업(2000~)을 통해 의약품 등 전주기 안전관리의 과학적 근거를 개발해 왔으며,
2021년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사업, 2022년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연구 사업을
통해 국민 건강에 꼭 필요한 의약품의 안전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의약품 분야 기준・규격의 국제 위상 제고 추진을 위해 대한민국약전의 재정비 및 국제조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3년에는 국제약전인증협의체(PDG, Pharmacopoeia Discussion
Group) 가입을 위해 규제 조화 대상, 첨가제 48건 및 일반시험법・일반정보 33건에 대한 제・
개정을 통한 국제조화를 완료하였으며, 국내 미허가 품목 381건의 삭제(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업계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시험법 개선 등 민원 수요를 반영한 약전 개정(안) 68건을 마련
하였으며, 국가필수의약품의 안정적 제조・공급을 위해 대한민국약전 각조 답손 정 등 제・개정
(안) 25품목을 마련하였다. 또한 품질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나 구매가 어려운 표준품이나
국가필수의약품인 경우, 제약업계 등에 분양할 수 있도록 20건의 표준품을 신규 확립하였다.
의약품의 비의도적 불순물이 국민 안전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약처는 고혈압 치료제 중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 검출 시작부터 새로운 ‘주성분 유사
구조 니트로사민류 불순물(NDSRIs)’ 이슈까지 대응을 지속하고 있다. 2023년에 산학관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규제기관 및 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한 불순물 저감화 방안 마련 및 저감화
분석법 개발 연구를 주요하게 추진하고 있다. 업계 수요조사 등을 통한 저감화 대상 우선순위
선정과 대상 의약품에 대한 합성・제제화・보관 단계의 불순물 발생원인 평가 사례집을 마련하였고,
주요 니트로화물인 첨가제 중 아질산염에 대한 분석법 등 저감화 분석법(8건)을 개발하였다.
또한, 식약처 개발 국・영문 시험법(24종) 자료집을 발간하여 업계의 불순물 안전관리를 지원
하였다.
미국 FDA와 유럽 EMA 등 국외 규제기관에서 2025년까지 연 10~20건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승인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는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수요가 커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2023년에
대한민국약전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 일반정보 3건을 개정하고 이종이식제제 품질평가법, 첨단
유전체 분석기술을 활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질평가 시험법 등 11건의 시험법을 개발하였으며,
관련 연구개발자 대상 전문 정보집을 제공하는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허가심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297∙
한약(생약) 분야에서는 고가 한약재 사향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시험법 개발, 위령선, 백출 등
오・혼용 우려 한약재의 유전자 감별법 및 한약(생약)제제 동시분석법을 개발하고 「대한민국
약전」・「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개정(안) 54건을 마련하여 통한 규제과학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생약자원 표본의 세계식물표본관총람(IH) 등재(6,133점) 및 신규 수집 생약자원
정보 DB등록(187건)을 통해 국내 생약자원 주권확보 및 나고야의정서 대응 기반을 마련하였다.
화장품・의약외품・위생용품 분야에서는 화장품 중 염모제 위해성평가 및 화장품 위해평가
가이드라인 개정 등 위해평가 기반을 강화하였고, 화장품・의약외품・위생용품의 비의도적 유해
물질 시험법을 개발하고 기준・규격 시험법을 현대화하는 등 안전관리 기반을 강화하였다.
신・변종, 미해결 감염병 대응에 필수적인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대상 감염병과 개발
되고 있는 신기술 등을 고려해 제품의 품질 및 유효성 평가기술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메티실린 내성세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결핵백신의
면역원성 평가법을 개발하는 한편, 인수공통 및 만성감염병 치료용 백신 개발 지원을 위한 연구
개발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최근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아데노바이러스 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의 백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어 이러한 신기술 기반 백신에 요구되는 품질, 유효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등 바이오의약품의 무균시험법을 대체할 수 있는
신속 무균시험법의 개발,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저분자항체(어피바디, Affibody)의 품질평가
법을 개발하였고, 바이오의약품의 유통체계를 고려한 적정 온도관리 방안 등 바이오의약품의
안전관리를 보다 촘촘히 관리하기 위한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의약품의 개발 과정이나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실험동물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대체시험법의 개발 및 활용이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기존 동물유래 시약을 대체한 유전자재조합 시약을 이용한
엔도톡신 시험법을 개발해 대한민국약전에 수재하였다. 또한 생물학적제제의 품질관리에 적용
가능한 동물대체시험법의 도입 및 확산을 위해 연구개발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연구개발자 및 산업계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최신 연구
개발 동향 등이 수록된 정보집을 마련하였다.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관리 체계 확립과 융복합 의료제품 기업 경쟁력 강화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민간 식의약 안전기술 촉진지원연구 사업에서는 의약품・의료기기가 융복합된 제품에 대해
민간(산・학・연) 수요 중심의 안전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집중적으로 투자하였다. 산・학・연
전문가 협의체 운영을 통해 민간-공공 상생의 실질적 연구성과를 도출하였으며, 임상시험, 시험
인증, 인허가 인프라 지원을 위한 다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제고를 위한 시험분석・
인허가 관련 기업 및 기관과 MOU를 체결(3건)하여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사에 대한 협력 지원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현장형 전문 지식 함양’, ‘전주기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 등의 교육
프로그램 심화과정 개발 및 교육을 통하여 전문가 양성 교육 체계를 마련하였고, 번역집, 동향
∙298∙
보고서 배포 등 전문정보 제공을 통해 민간 수요를 신속하게 반영하는 민간 주도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의약품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차세대 의료제품 평가기반 구축 사업에서는 약물
감시 분야에서의 의료빅데이터(RWD/RWE) 활용 가이드라인 및 시판 후 안전관리 실태 분석
및 RWD 활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국가필수의약품 완제의약품 2개 및 원료의약품 3개
등 국내생산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인공혈액 관련 용어・규제를 검토하는 등 국내 세포기반 인공
혈액 규제체계 기반을 마련하였다.
감염병 백신・치료제 제품화 지원과 체계적인 유통・사후관리를 위한 감염병 대응 혁신기술
지원 사업에서는 감염병 백신 분야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의 규제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mRNA 백신 기술 기반 백신 특성 분석 시험법(안) 등 평가기술(10건)을 개발하였으며, WHO
mRNA 백신 가이드라인 대응 국내용 상세 독성평가법 연구를 통해 백신 안전성 확보 및 국내
연구개발 지원 방안을 마련하였다. 백신 시판 후 안전관리 기술 선진화의 일환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인과성 분석 및 코로나19 백신 등의 안전성에 대한 실마리 연구를 수행하여 관련
분야 SICE급 논문(11건) 게재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보건용 마스크 수요 및 안전에
대응하기 위해 보건용 마스크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장비 개발 및 표준 시험법(안) 마련 등
국내 마스크 평가기술 첨단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의료기기 안전 분야
의료기기 분야는 안전관리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사업
(2002~)과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하는 의료기기의 제품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다부처 규제과학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사업은 의료기기의 개발부터 제품화, 시판 후 안전관리 등을 위한 과학적
규제에 근거한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여 인허가를 지원하고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우리나라는 국제의료기기 규제당국자 포럼(IMDRF) 가입국 중 하나로 의료
기기 규제 조화 이행 및 규제과학 선진국 진입을 위해 국제표준 기반 평가기술 연구를 수행
중이다. 2023년에는 의료기기 기준규격의 최신 국제조화를 위한 ‘기준규격별 산업표준 적용
방안’ 등 5건의 의료기기 안전관리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AI 기반의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의 선제적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인공지능 기반 병리진단 체외진단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안)’ 등 25건의 의료기기 평가기술을 마련하였다. 감염병 대응
체외진단 의료기기 업체의 신제품 개발 및 품질관리 지원을 위해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20종의 표준품 등을 신규 제조・등록하고, 281건을 분양하였다.
∙299∙
기존 타 세부사업에서 수행 중인 의료기기 분야 범부처 사업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를 위해
2023년부터 범부처 의료기기 규제과학 지원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범부처 개발 의료기기의 평가
기술 개발 및 맞춤형 인허가를 지원하고 있다. 신뢰성 평가 시험 기준서(5건), 평가기술 보고서
(11건) 등 의료기기 제품화 지원을 위한 규제과학적 근거(안)를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시험검사,
기술문서 또는 임상시험계획서 작성 지원 등 인허가 및 임상시험 관련 기술지원(371건)을 실시
하였다. 특히, 5개 의료기기 분야의 제품개발 단계별로 확인・준비가 필요한 인허가 자료를 안내
하는 의료기기 규제과학 마일스톤(개정판) 및 제품개발 단계별 작성 요령, 근거 법령과 판단
기준 등을 수록한 마일스톤 해설서를 배포하였다.
또한 범부처(과기정통부・복지부・질병청・농식품부・환경부・식약처・산업부・행안부) 차원의 ‘R&D
→ 인허가・제품화 → 지자체 연계’ 전주기 지원으로, 미래 방역체계 구현에 필요한 빠른 감시,
지능적 예측・차단, 신속 진단, 효능이 입증된 방역물품 개발・검증 기반 고도화를 위한 범부처
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R&D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개발된 방역 기술, 물품・기기의 안전성
검토, 생산 인허가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3년 신규사업인 컴퓨터모델링 기반 의료기기 평가체계 구축 사업은 2023년부터 5개년
동안 추진하여 의료기기 안전성・유효성 등 평가 환경의 디지털 기반 마련을 위해 의료기기
디지털 개발도구(이하, ‘M3DT’, Medical Device Digital Development Tool) 개발과 M3DT의
활용 및 보급을 위한 공유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M3DT는 의료기기의 안전성・유효성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디지털화된 가상의 평가도구로 인허가 및 제품 설계・평가 등에 폭 넓게
활용이 가능하며, 본 사업을 통해 디지털 트윈의 핵심기술인 컴퓨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CM&S)을 이용하여 정형・치과・심혈관・재활・디지털치료기기・의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및
전자약 등 의료기기 전문 분야별로 다양한 M3DT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M3DT의 개발을 위해
산업계・학계・의료계 분야별 17개 기관이 함께하는 연구 컨소시엄을 구축하였으며,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확산 및 연구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심포지엄 개최(2회)로 기술개발과 교류를 병행
하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였다.
4) 독성・안전성 분야
식품・의약품 등 안전관리의 기반이 되는 비임상・임상 시험법 개발, 독성정보 및 실험자원 관리,
마약・담배 등의 안전관리를 지원하는 독성・안전성 분야에서는 1998년부터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오가노이드 등 첨단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2022년부터 4년간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사업을 통해서 간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평가법 세부검토보고서
∙300∙
작성을 위한 표준작업제안서 및 인체피부모델(KeraSkinTM)을 이용한 광독성 시험법 표준작업
제안서를 OECD에 제출하여 동물대체시험법의 국제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실험동물의
고품질 관리를 위한 품질관리 기반구축 연구를 통하여 실험동물(설치류)의 미생물 품질관리
안내서 및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사회적 이슈인 마약류 안전평가 관리 강화를 위하여 4-플루
오로에틸페니데이트(4-Fluoroethylphenidate) 등 임시마약류 20종에 대한 「마약류관리법
시행령」 개정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취약계층 임상시험 대상자 안전관리의 과학적 지원을 위하여
환자 중심・신기술 활용 임상시험 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적응적 임상시험 사례집과 항암제
마스터 프로토콜 임상시험 사례 정보집 등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식품 중 호흡기질환 개선・
치료 목적 불법 혼입 가능 성분 동시분석법 개발 등 불법 식의약품 차단을 위한 신규 분석법을
개발하였으며, 담배제품 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신종담배 분석법을 마련하였다.
첨단 독성평가기술 기반구축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신기술에 기반한 첨단 독성평가기술 확보를
위해 오가노이드 독성 평가법 및 심혈관계 약리 평가법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오가노이드
분야에서는 간 오가노이드 기반 독성평가 시험법 및 표준작업지침서(SOP)를 최적화하였고,
장 독성평가를 위한 최적의 인체 장 모델을 확보하고, 약물 2종에 대한 독성평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심혈관계 약리평가법 분야에서는 in vitro 심장다중이온채널 평가법, 심장 부정맥
예측 in silico 평가시스템 및 인간 iPSC 유래 심근세포 영향 평가시스템에 대한 객관성 검증을
추진하였다.
5) 규제과학 인프라 구축 분야
의약품 의료기기 등 규제의 대상이 되는 제품들의 안전성, 유효성, 품질 및 성능 등을 평가
하기 위해 새로운 도구, 기준 및 방법 등을 개발하는 ‘규제과학’의 수요 증가에 따라 선제적・
혁신적인 규제과학 전문가 양성을 위해 바이오헬스 분야 대학교를 지정하여 인재를 양성하는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을 2021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식의약 규제정책, 식품, 의약품, 의료
기기 등 전문 분야별로 8개 대학이 선정되어 2023년까지 472명을 선발하여 실무 중심의 전문
역량을 교육하고 있으며, 논문 156건, 특허출원 및 등록 15건, 기술이전 9건, 현장 교육 23회
및 국제협력 15건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규제과학연구지원센터는 규제과학 인재양성 사업의
우수한 성과 달성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규제과학
연구정책 수립과 산업체 인턴십을 지원하고, 국내・외 15개 기관・단체와 MOU 체결 및 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논문 경진대회를 개최하는 등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 인프라 구축으로
규제과학의 발전과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301∙
다. 향후 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4년 국제기준을 선도하는 식의약 행정혁신을 위해 국민의 일상을
든든하게 할 안전혁신, 식의약 산업을 단단하게 할 규제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분야별 안전관리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국제 규제기준을 선도하여 안전혁신을 지원
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한 혁신제품의 신속한 시장 공급을 위한 맞춤형 다부처 협업
사업을 집중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 및 제품화 지원에 관한 규제과학혁신법」시행(’24.2월)에 따라 신기술을
적용한 혁신제품에 대한 규제정합성을 검토해 신속하게 제품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혁신
제품개발 지원을 위한 규제과학연구를 확대 운영할 예정으로, 2024년부터 5년간 추진되는
신규 출연연구 사업으로 총 190억 원 규모의 평가기술 개발연구와 총 152억 원 규모의 글로벌
협력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글로벌 수준의 규제과학인재양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규제과학통합플랫폼 구축을 통해 규제과학인력들이 현장 곳곳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동물대체시험법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첨단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등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동물대체기술 연구를 지원하고자 한다. 안전기준・규격,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 개발 등 공공성이 강한 연구 등을 통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302∙
제4장 재난/위기
제1절 재난안전
1. 개요
태풍, 집중호우와 도시침수, 폭염과 한파, 지진, 화재 등 국민의 평안을 위협하는 재난으로
부터 국민 누구나가 안전하고 안심하며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가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이 국민 안전에 보다 많은 기여와 역할을 할 것에 대한 국민적 요구와
기대가 점증하고 있다.
재난 및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투자
전략 수립을 통해 재난안전 분야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연구개발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정부는
21개 재난안전 연구개발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2027, 이하 ‘제4차 종합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71조의2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4차 종합계획은 국민의 행복과 안전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연구개발, 재난 현장과 국민이 원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제4차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의 2022년 투자실적 및 주요 성과를 바탕
으로 재난안전 연구현황 및 성과를 정리하였다.
2. 연구개발 추진현황 및 주요 성과
가. 재난안전 연구개발 예산투자 현황
제4차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에 따라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앙행정
기관의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투자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303∙
2022년 재난안전 R&D 투자규모는 2조 1,391억 원이며, 이는 전년 대비 2,733억 원
(14.6%) 증가한 규모이다. 최근 5년(’18~’22) 연평균 증가율은 25%(정부 전체 R&D는
10.9%)로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산투자가 다른 분야 대비 컸던 것을 알 수 있다.
<표 3-15> 연도별 정부 전체 R&D와 재난안전 R&D 예산 규모 비교
(단위 : 조원, %)
구 분 ’18 ’19 ’20 ’21 ’22
정부 R&D 예산(조원) 19.7 20.5 24.2 27.4 29.8
재난안전 R&D 예산(조원) 0.87 1.05 1.41 1.86 2.14
재난안전 R&D 예산 비중(%) 4.4 5.1 5.8 6.8 7.2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재난안전 R&D 부처별 투자실적을 보면, 과기정통부 5,241억 원(전년대비 73.3% 증), 복지부
1,926억 원(전년대비 30.3% 감), 산업부 1,926억 원(전년대비 2.3% 감), 국토부 1,416억 원
(증감 없음), 환경부 1,292억 원(전년대비 3.4% 증) 순으로 투자하였다. 부처별 투자규모 증감의
주요 요인은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등 첨단 전략기술 집중 투자,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자급화
노력, 대형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수요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표 3-16> 2021~2022년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합계 교육 과기 법무 행안 농식품 산업 복지 환경 국토 해수
’22년 21,391 10 5,241 26 1,034 1,215 1,926 2,155 1,292 1,416 1,740
’21년 18,658 8 3,025 23 923 749 1,971 3,092 1,250 1,416 1,188
증감(%) 14.6 25.0 73.3 13.0 12.0 62.2 △2.3 △30.3 3.4 - 46.5
구 분 중기 관세 경찰 소방 농진 산림 질병 기상 해경 식약 원안
’22년 106 44 437 231 760 161 714 634 381 1,157 711
’21년 75 30 494 201 856 117 523 580 261 1,052 824
증감(%) 41.3 46.7 △11.5 14.9 △11.2 37.6 36.5 9.3 46.0 10.0 △13.7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재난유형별 투자실적을 보면 사회재난 1조 5,047억 원(70.3%), 안전사고 3,418억 원
(16.0%), 자연재난 1,574억 원(7.4%), 재난안전일반 40억 원(0.2%)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유형별 집중 투자 분야를 보면, 사회재난은 감염병 및 가축전염병, 붕괴사고 등
재난 이슈 분야, 자연재난은 집중호우(도시침수), 초강력 태풍 등 기후변화 대응 분야, 안전
사고는 식품안전, 범죄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04∙
<표 3-17> 2021~2022년 재난유형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합계 자연재난 사회재난 안전사고 재난일반 기타
’22년(억원) 21,391 1,574 15,047 3,418 40 1,312
’21년(억원) 18,658 1,730 13,628 2,881 132 287
증감(%) 14.6 △9.0 10.4 18.6 △69.7 357.1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재난관리단계별 투자실적은 예방 8,359억 원(39.1%), 대비 4,544억 원(21.2%), 대응 5,582억
원(26.1%), 복구 362억 원(1.7%), 기타 2,544억 원(11.9%)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
대비 분야의 투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18년 6,118억 원 → ’22년 1조 2,903억 원)하고
있으나, 비중은 감소(’18년 70.4% → ’22년 60.3%)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8> 2021~2022년 재난관리단계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합계
사전 대비 사후 수습
기타
예방 대비 대응 복구
’22년(억원) 21,391 8,359 4,544 5,582 362 2,544
’21년(억원) 18,658 5,963 4,173 5,816 471 2,235
증감(%) 14.6 40.2 8.9 △4.0 △23.1 13.8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나. 부처별 주요 연구현황
2022년 부처별 주요 연구현황을 (1)현장 적용・실증, (2)국산화・사업화, (3)신기술・첨단화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현장 적용・실증형 주요 연구현황 및 성과를 보면, 재난 현장(화재 등)과 이상기후 예측
(태풍 등) 등 현장 적용과 확산에 필요한 현장 밀착형 R&D를 추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행안부, 국토부, 산업부는 다부처 공동사업으로 지하 공동구의 다양한 재난상황을 가상공간에
통합하여 재난 상황 발생 시 조기 예측 및 사전 대응하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AI로봇이 지하
공동구를 40km/h 속도로 상시주행하면서 화재, 폭발, 누수, 가스를 감지하여 지하공동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조기대응 할 수 있다. 본 연구성과는 오창 공동구, 방위사업청, 고양시
등에 설치 운영하고 있다. 행안부는 세계 최고 수준인 0.01mm 지반 변위(기존 5mm급) 감지가
가능한 감지 센서 및 IoT기반 지반붕괴 예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성과는 도로공사 등
70여 개소에 설치・운영하고 있다.
∙305∙
국산화 및 사업화 주요 연구현황 및 성과를 보면 국제적 수준의 질병 치료제・백신 자급화,
타 분야 응용 등 사회적 수요가 높은 문제해결형 R&D를 추진하고 있었다. 농식품부는 면역
증강 효과가 있는 구제역 항바이러스제(과당화 인터페론 발현 BacMam)를 세계 최초로 개발
하여 해당 항바이러스 물질을 기존 구제역 백신과 혼합・접종한 결과 접종 하루 뒤부터 방어
기제가 발생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신기술 및 첨단화 주요 연구현황 및 성과를 보면 AI, 빅데이터, 나노기술 등 첨단기술을
융복합해 재난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디지털 선도형 R&D를 추진하고 있었다. 원안위・
과기정통부・산업부는 실험 증거수집, 방사성 물질 불법 거래 추적 등이 가능한 핵사찰 시료
탐지용 프로브(Probe) 기반 무인 방사성 물질 탐지・채취 로봇을 개발하였다. 이 로봇은 고속
현장스캔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양팔로 총 200kg 중량의 물건 운반이 가능하며 무한궤도로 험지
이동이 가능하다.
다. 재난안전 연구개발 주요 성과
2022년 재난안전 연구개발사업의 주요 성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과학・기술적 성과를
보면 SICE 논문은 총 2,418편으로 전년 대비 116편(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등록)는 총 674건으로 전년 대비 22건(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성과를 보면 먼저 법제도 제・개정 및 정책반영 603건, 전문인력양성은 850명으로
전년 대비 각 288건(91%), 299명(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사업화 성과는 518건
으로 전년 대비 197건(61%) 증가,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은 1,4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7억(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19년 평균 매출액은 408억 원, ’20
∼’22년 평균 매출액은 1,275억 원으로 ’20년 이후 매출액이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기술료는 3,431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1,245백만 원(26.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료
실적의 감소는 코로나19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 적용한 기술료 감면 조치의 영향
이라 볼 수 있다.
∙306∙
< (참고) 제3차 종합계획(’18~’22) 양적 성과 >
◈ (투자규모) 3차 종합계획 5년간(’18~’22) 연평균 투자 규모는 1.46조 원
- 2차(’13~’17) 종합계획 기간 연평균 투자 규모(0.55조 원) 대비 2.7배 증가
◈ (과학・기술적 성과) 3차 종합계획 5년간(’18~’22) 연평균 논문 3,228편 게재, 국내외 특허 출원・등록 1,881건으로
- 2차(’13~’17) 종합계획 기간 연평균 논문(1,841편), 출원・등록(899건) 대비 각 1.8배, 2.1배 증가
연도
과학적 성과(건) 기술적 성과(건)
SICE 논문 국내 논문
특허출원 특허등록
국내 국외 국내 국외
2018 1,255 1,189 737 110 409 42
2019 1,220 1,223 923 132 535 37
2020 1,856 1,361 1,098 141 476 31
2021 2,534 1,482 1,469 140 664 32
2022 2,418 1,601 1,561 196 616 58
연평균 1,857 1,371 1,158 144 540 40
◈ (사회・경제적 성과) 3차 종합계획 5년간(’18~’22) 연평균 기술료는 3,670백만 원으로,
- 2차(’13~’17) 종합계획 기간 연평균 기술료(2,414백만 원) 대비 1.5배 증가
연도
사회적 성과(건, 명) 경제적 성과(백만 원, 건)
법제도 제개정
(건)
정책반영
(건)
전문인력양성
(명)
기술료
(백만 원)
사업화
(건)
매출액
(백만 원)
2018 445 294 598 1,698 97 23,343
2019 526 114 542 2,775 135 58,306
2020 623 147 511 5,768 169 104,677
2021 214 101 551 4,676 321 137,063
2022 410 193 850 3,431 518 140,810
연평균 444 170 610 3,670 248 92,840
출처: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307∙
3. 향후 계획
2023년은 제4차 종합계획의 시행 원년이다. 그간 재난안전 연구개발에 있어 미흡하다고
지적되어 왔던 부분들을 보완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책 기조를 갖고 있다. 기술 향상 관점
일변에서 탈피하여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 연구성과 창출과 함께 연구성과의 현장
적용 및 현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재난을 대비할 수
있는 미래 신종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연구개발도 추진하려고 한다.
이에 제4차 종합계획은 다음의 세 가지 전략으로 재난안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첫째,
현장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 임무형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 활동에 신속히 적용하려고 한다. 둘째, 국민 누구도 안전에 소외되지 않도록,
안전의 사각지대와 재난의 불평등(취약계층 등) 문제를 국민의 눈높이에서 해결하기 위한 ‘국민
안전 지향 기술’을 개발하려고 한다. 마지막으로 AI 등 첨단기술을 통해 그동안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미래재난 예측 수준을 높여 기후위기 대비, 과학・정밀 방역, 재난안전관리 선진화를
실현하기 위한 ‘첨단과학을 활용한 미래사회 위기 극복’ 전략을 수립・추진하고자 한다.
∙308∙
제2절 기상
1. 개요
기후변화로 그간 경험하지 못한 극한 기상 현상이 빈발하면서 위험기상에 따른 국민 안전에
대한 위협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전 지구 공동의 기후변화 제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 기후
변화의 과학적 근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기상청은 2023년 ‘위험기상과 기후위기로
부터 안전한 국민, 든든한 국가’를 정책 목표로 삼고 예보, 관측, 기후,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분야에 대해 약 915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였다. 올해는 그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향상된 예보 정확도에 기반하여 매우 강한 호우 발생 시 읍・면・동 단위로 위험 지역 주민들에게
직접 긴급재난문자(CBS)를 발송하는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수도권 대상, 총 6건)하였고,
기상 관측 이래 처음으로 한반도 내륙을 종단한 제6호 태풍 ‘카눈’의 불규칙한 진로를 한・미・일
각국 예상 대비 가장 일관되고 정확하게 예측하여 인명피해 ‘제로’의 국가적 재해 대응에 기여
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예보기술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더욱 복잡・다양해지는 기상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위험기상
예측 역량을 강화하고, 수치 예측기술 향상을 추진하였다. 올해 여름 두 번의 방향 전환을 거치며
한반도를 종단한 제6호 태풍 ‘카눈’의 경로를 정확히 예측함에 있어 성능이 개선된 한국형수치
예보모델이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신속・정확하게 강수를 예측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초단기 강수
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강한 강수역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성능을 보임으로써
대표적인 기상재해 유발 현상인 집중호우를 예측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309∙
태풍 ‘카눈’ 관련 언론보도
(중앙일보, 8.2.)
태풍 ‘카눈’ 관련 언론보도
(동아일보, 8.10.)
2023.7.15. 06:00KST
레이더 실황 및 AI 3시간 예측 결과
레이더 실황 AI 예측
출처: (좌) 중앙일보, (중) 동아일보, (우) 관측자료 기반 AI 초단기 강수 예측모형 시험평가 결과보고
[그림 3-52] 예보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나. 관측기술
기상청은 정확한 기상 예보에 필수 요소인 기상 관측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상
관측 핵심기술 및 관측자료 활용 기법 개발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2023년에는 기상 관측장비
3종(라디오존데, 시정계, 운고계)에 대한 형식승인 시험 절차 표준 기술 개발을 완료하였고,
여러 관측기기 중 특히 해외 의존도가 높은 기상레이더 신호처리기 시작품과 해상에서도
복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초소형・초경량 복사계를 개발하여 자체 기술력 확보에 힘을 쏟았다.
또한 기상 조절의 대표적인 기술인 인공강우 분야에서는 구름물리 챔버(2022년 구축)를 활용해
개발한 기상 조절용 新 구름씨(염화나트륨을 이용한 가공분말)를 항공 실험에 적용한 결과 최대
추정 강우량 기준 증우값 4.1mm라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다. 이는 기존 실험 결과의
최댓값인 3.7mm 대비 약 10% 정도 향상된 결과이다.
해상용 복사계 장비 구성 긴급재난문자 첫 발송 지원(2023.7.11. 15:48)
정체영역 자동탐지
15:15
구로.동작 통합조회
15:30
긴급재난문자
15:48
출처: (좌) 2023년 ‘해상용 초소형・초경량 라디오미터 개발’ 과제 연차보고회 발표자료, (우) 기상청 자체연구개발과제
2023년 연차보고서
[그림 3-53] 관측기술 분야 연구개발 성과
∙310∙
원격 관측기술 분야에서는 기상레이더와 기상위성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기상레이더 분야에서는 읍・면・동 단위의 촘촘한 집중호우 감시 체계를 구축하여 기상청의 호우
관련 긴급재난문자(CBS) 발송 의사 결정을 지원하였고, 위성 분야에서는 천리안 위성 2A호
자료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위성 기반 자외선 지수’를 개발하여 대국민에 제공하는
등 국민 안전 확보와 보건 향상에 기여하였다.
다.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
기상청은 탄소중립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온실가스(CO2, CH4, SF6)
자료동화를 적용한 기원추적 모델 개발을 완료하였다. 그리고 온난화 수준에 따른 극한 고온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1.5/2.0/3.0℃ 온난화 수준에 따라 극한 고온의 재현 빈도가 각각
2.8/1.6/1.2년 빨라지고, 재현 온도는 각각 39.6/40.6/41.6℃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었다.
본 결과는 기후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위험 수준을 평가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
고해상도 온실가스 기원추적 모델 개발 현재 대비 극한 기온의 재현 빈도 변화
실선: 현재(검정), 1.5도 온난화(파랑), 2.0도 온난화(녹색),
3.0도 온난화(적색)/ 점선: 20년 재현 수준
출처: (좌) 기후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정보 응용 기술개발 2023년 사업추진 결과보고서, (우) 기상청 자체연구개발과제
2023년 연차보고서
[그림 3-54] 기후감시 및 기후변화예측 기술분야 연구개발 성과
라. 융합기상 기술
기상청은 도시 데이터와 환경 특성을 반영하여 도시에서 활용 가능한 안전・에너지・헬스케어
분야의 스마트시티 기상기후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현실과 동일한 3차원 디지털
공간에 상세 기상・기후 융합서비스를 구현하여 사용자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스마트시티
기상기후 디지털트윈은 2023년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서 에너지&환경 분야 어워즈를
∙311∙
수상하여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기상청은 2025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상용화
연구의 일환으로 실증지역(전남 고흥)에서의 삼차원 바람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상세바람예측
모델을 개발하였고, ‘4D 통합 항공기상 데이터 플랫폼’ 기술의 기본 설계 및 ‘차세대 항공기상
서비스 운영개념도’를 도출 완료하는 등 미래 항공교통 체계 전환 연구를 위한 국가 사업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마. 지진・화산 감시기술
기상청은 지진 재해에 대한 국민 체감도 향상 및 안전한 사회 실현을 위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23년에는 저층 구조물 특성에 따른 진동 추정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사용자
위치 기반의 영향정보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진해일 검출 시스템의 성능을 8% 향상시켜
지진해일에 대한 초동 대응의 실효성을 강화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차세대 항공교통 지원 항공기상서비스 운영 개념도 수요자 중심의 진도 영향정보 생산
출처: (좌) 차세대 항공교통 지원 항공기상 기술개발 2023년 과제별 연차보고서, (우) 기상청 2023년 연구개발보고서
[그림 3-55] 융합기상 및 지진・화산 감시기술 연구개발 성과
3. 향후 계획
기상청은 ‘일상으로 다가온 기후위기,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를 2024년도
정책 목표로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안전 중심의 기상 예・특보 체계 개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신뢰도 높은 기후변화 과학 정보 생산 등을 목표로 다각적인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후 위기의 일상화로 기상・기후가 국민 개개인의 삶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이 커지고
있는 시대에 앞으로도 기상청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
하고 고유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312∙
제5장 공급망/자원
제1절 소재
1. 개요
소재는 부품과 제품을 구성하고 성능을 좌우하는 기초 물질로, 다학제적 융합 접근이 필요한
대표적인 분야이다. 최근 과학기술 경쟁력이 국가의 외교・안보에도 영향을 미치는 기술 패권
시대가 도래하면서, 각 국가는 핵심기술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2021년 6월 미국은 경제 안보를 지키고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노・소재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된 공급망 검토보고서를 발표하고 혁신・경쟁법안을 가결하였으며, 2021년 3월
중국 또한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나노・소재 기반 첨단기술에 매년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정부도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하여 육성키로 하였으며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 발표. ’22.10.28, 과학기술자문회의),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도 국가
전략기술에 발맞추어 미래소재를 확보하는 데 전념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국가전략기술을 뒷받침하는 미래소재 확보전략 수립
과기정통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를 고려하여 미래에 필요한 100대 미래소재를 발굴
하고, 글로벌 기술우위 선점을 위해 향후 10년 뒤까지 확보해야 할 기술로드맵을 수립하였다.
100대 미래소재 발굴 과정에는 국가전략기술 분야별로 구성된 전문연구회에 총 350여 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전략기술 분야별 세계수준의 목표와 이를 위한 초격차 소재
∙313∙
목표를 도출하고, 상향식(Bottom-up) 기술수요조사와 하향식(Top-down) 전략 분석을 통해
기술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소재를 발굴하였다.
’22년 11월 100대 미래소재 확보 전략(안)에 대한 공청회를 실시하고, 미래소재별로 시장성과
기술성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발굴된 미래소재는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성공적인 미래소재 확보・지원을 위해 임무 중심으로 연구개발사업을 운영하고, 디지털
기반 소재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나. 극한소재 실증연구시설 구축 착수
극한소재는 초고온, 극저온, 초고압, 산화・부식 등과 같은 극한환경을 견디는 소재로서, 우주
항공 위성발사체, 액체수소 저장, 초고온 가스터빈 등 미래산업에 활용되는 국가전략 소재이다.
미래산업 환경이 극한화됨에 따라 극한소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는 극한소재
기초연구성과를 실제 제품화・사업화까지 연계할 수 있는 실증연구 기반이 부재하여 극한소재의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극한소재의 시험평가와 시범생산 등 기업,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실증연구 기반을
조성하고자 동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동 사업으로 초고온, 극저온, 특정극한 관련 극한소재
실증연구 3개 시설 및 44종의 장비를 구축하여, 확보가 시급한 28개 극한소재 실증연구과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동 사업을 통해 우주항공, 수소, 에너지 등 미래산업의 핵심 소재인 극한소재를 확보하고,
나아가 극한소재 기술 자립을 이끄는 혁신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314∙
제2절 나노기술
1. 개요
나노기술이란 10억분의 1m(10-9m)인 나노미터(nm) 크기에서 원자나 분자의 제어를 통해
새로운 구조, 재료 혹은 장치를 생산하여 완전히 새로운 특성 창출 혹은 신규 응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나노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는 파급력이 큰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로서 전자, 에너지, 의료, 우주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혁신을 촉진한다.
2021년 우리 정부 또한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탄소중립, 글로벌 반도체 전쟁 등 국제・국내의
주요이슈를 해결하고, 국가 장기적인 나노기술발전의 기틀을 세우기 위한 『제5기 국가나노기술
종합발전계획(안)(’21.4)』을 마련하였다. 제5기 종합계획 마련에는 100여 명의 나노 분야 산・
학・연 전문가들이 기획위원회에 참여하여, 국가 나노기술 그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10년
나노기술발전의 이정표를 세우는 데에 기여하였다.
2. 2023년도 주요성과
가.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
나노기술개발 중장기로드맵이자 나노기술 투자전략을 고도화하고자 하는 「제4기 국가나노
기술지도」는 2023년 4월부터 나노기술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5개의 기술 분과*의
수립위원회를 통해 마련하였다.
* 나노정보전자, 나노에너지, 나노환경, 나노바이오, 나노기반(나노소재, 나노공정・분석・장비, 나노안전성)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는 9개의 도전적 질문(Big Question)을 정의하고, 문제해결
중심 나노기술 역할 제시 및 나노인프라 혁신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선정된 9대 도전적
질문(Big Question)별 기술난제(한계)와 제약요인을 분석하여 한계 극복을 위한 나노기술 기반
도전과제를 제시하고, 도전적 질문(Big Question)해결을 위한 나노기술로드맵과 미래상을
그렸다.
나노인프라 부분에서는 나노팹 시설・장비를 고도화하고 인프라 간 연계・협력 확대를 통한
분야별 연구・산업화 지원역량 강화, 나노인프라 첨단 장비를 활용한 나노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나노기술촉진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자 한다.
∙315∙
나. 나노・소재 전문인력양성 및 기업파견 지원
나노・소재 분야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나노팹 인프라와 연계한 실습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023년 기준,
소재기술 개발 경쟁력 강화에 일조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약 3,200여 명 배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2021년에는 소재・부품・장비 공공 연구인력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애로 해소를 돕는 공공연 연구인력 소재부품장비 기업파견 지원사업을 새로이 추진하여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동 사업을 통해 공공연구기관 전문인력이 기업 현장에서 애로기술 해결을 밀착
지원하여 소부장기업의 단기, 중장기 기술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316∙
제3절 농림・축산・식품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과학기술의 발달로 산업별 경계가 무너지며, 농산업 또한 융복합 산업으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향후 지속적인 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업 R&D 투자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타 분야,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 연구 확대, 민간 주도 농식품
R&D 투자 등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해 왔다.
<표 3-19> 농림식품 R&D 투자 현황
(단위: 억원)
구 분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농식품부・양청
R&D 예산(A)
9,930 10,770 12,273 13,080 13,456
국가연구개발비(B) 205,328 242,195 274,005 297,770 310,574
A/B(%) 4.8 4.4 4.5 4.4 4.3
나. 2023년도 주요성과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2023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방형 혁신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을 육성’하고자,
농업 혁신성장 연구개발 강화, 개방형 연구 협력 네트워크 고도화, 민간 농식품 R&D 활성화
및 사업화 강화, R&D 추진체계 개편 및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하고, 5대 중점연구 분야(ICT
융복합 스마트농림업, 그린 바이오산업, 수요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탄소저감・이상
기후・재난・질병 대응 농림업생산, 농림업인, 농산촌주민, 국민 삶의 질)에 투자 비중을 확대
하였다.
또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그간
중점투자 분야별 실적 현황을 파악하고, 최종 성과목표 달성률*을 점검하여 차질 없이 종합
계획을 이행하였다.
* 목표 대비 달성도 :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 수준(99.6%), 농림식품 민간 R&D 비중(102.9%), 사업화
성공률(99.1%)
∙317∙
1) 빅데이터・AI・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림업 고도화
ICT, 인공지능, 로봇 등 신기술 융복합 지원을 통한 농산업 전반의 첨단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기존 스마트팜 R&D를 통해 개발한 스마트팜 표준모델의 품목별 적용, 농작업
자동화, 농업 로봇의 시각 지능화를 위한 다차원 객체 인식, 드론을 이용한 노지작물 생산량
추정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스마트팜 R&D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개방형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고도화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현장에서 발생하는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효율성 제고를
위한 협업 환경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빅데이터 스마트팜 R&D 플랫폼으로 시설원예 및 축산
분야의 약 20여 품목에 대한 데이터(30TB 수준) 수집도 완료하였다.
친환경 농기계,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노동력 절감 및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부품・기술의
국산화 지원 등 역량 강화 연구를 추진하였다. 밭작물용 승용관리기, 트랙터 부착용 복합작업기,
영농형 태양광 관련 표준설계 개발, 작물별 모듈 개발 및 실증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농산물 위생관리 매뉴얼 개발(단순처리) 및 GAP 기준개선 방안, 농업위성정보 기반기술
및 소프트웨어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2) 육종 기술, 미생물, 신소재 등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농생명 유래 자원(동물・식물・곤충・미생물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산업소재 개발 등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였다. 식용곤충 유래 기능성 소재 개발, 국내 농생명 자원을 활용한 식물방제제,
인체질환의 유전형 및 표현형을 나타내는 흑색종 중대동물(돼지, 개) 질환 모델 개발, 효모를
활용한 식용 미생물 유래 단백질 소재 생산 기술개발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농산업 분야의 유용 미생물의 발굴 및 유전체 해독 등 정보 분석을 통한 산업화 및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미생물 유전체 및 오믹스 분석 정보 자원 관리, 미생물 균주 및 메타 유전체 자원
실물자원 관리, 한우 유전체 빅데이터 통합 유전능력 평가시스템 및 농가 활용플랫폼 개발,
특이적인 무작위 유전자교정 기술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글로벌 종자 시장 확대와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는 디지털 육종 개발 지원을 위한 제3차
종자산업 육성 5개년 계획(2023~2027)을 수립하여 종자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
하였다. 또한, 디지털 육종 전환을 위한 고밀도 분자표지 활용 기술, 유전체・표현체 빅데이터
기반의 상관분석 시스템 개발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육성 품종 활용 지역 특화
약용작물 기능성 소재 이용 확대 연구, 바이오소재 유망 특용작물 대사체・유전체 융복합 연구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318∙
3) 소비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생산
소비 다변화, 고령화 등에 대비하기 위해 고품질의 농・축산물 생산기술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였다. 맞춤형 식이 설계 플랫폼 개발 및 고령・여성농 노동력 저감 장치 개발,
양파・마늘 농기계 고도화, 한우 도체 발골 자동화 등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고부가
가치 축산물 생산을 위한 국내 젖소(홀스타인 품종)의 내서성 및 장수성 관련 우수 형질 보유
축군 구축, 돼지 육성율 향상 및 안전축산물 생산을 위한 스마트 광헬스케어 생육시스템 구축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농축산물 생산 현장 안전, 환경자원 관리 기술 및 신품종 개발 등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국산 로봇 착유 시스템(젖소) 활용 기술, 디지털 기반 돼지 임신 여부
자동 판정 및 이상행동 탐지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식품의 제조・관리의 고도화와 온라인 플랫폼에 의한 유통의
편의성, 로봇서빙・조리 등 식품생태계 전 영역에 첨단기술을 접목한 푸드테크 지원 기반 마련을
위한 제4차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하였다.
아울러, 식품 품질・안전 관리 개선을 위한 가공 기술개발 등 안심 먹거리 공급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로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였다. 식물・미생물 등 유래 대체식품, 질환 관리식, 개인
맞춤형 식품 등 메디푸드 개발과 친환경 식품 포장 HMR 생산설비, 지역특산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상품화 등 실용화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4) 이상기후, 재난, 질병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림업생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업 기상 변화 대응체계 구축 및 피해경감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농산업 기반을 강화하였다. 기후변화 대응 농업 수리 구조물 홍수 조절 능력 분석 연구, 빅데이터
기반 농업용 저수지 이수안전도 산정・관리 기술개발, ICT 기반 농업용 저수지 스마트 물관리
기술 고도화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유기 농경지 기후변화 대응 생태기능 강화,
밭농업의 물과 비료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원격 통합관리 및 데이터 축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농업 재난 대응능력 강화 및 예방을 위한 재난관리 플랫폼 개발 등 재난으로부터 안정적인
농업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시공간적 실시간 유역 유출 및 홍수 예측 시스템
개발, 물 부족 대비 농업용수 스마트 재이용 시스템 기술개발, 기후변화에 따른 논・밭 범용
활용 기반 조성 및 용수 공급 기술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식량・원예・특용 작물 등에 발생하는 농산물 바이러스병 예방을 위한 선제 대응을 강화하였다.
고추 탄저병균의 약제저항성 메커니즘 구명 및 방제제 기술, 과수화상병 억제를 위한 유용
∙319∙
미생물 이용기술, 주요 식물 바이러스 전파 과정의 바이러스-매개충-중간기주 등 상호관계
규명과 확산억제 기술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동물감염병, 인수공통전염병 대응을 위해 국제연구네트워크 기반 신변종 가축 감염병에
대한 유전자 DB 구축 및 신속현장 유전자진단키트 실용화 연구, 오리 유래 신변종 바이러스
질병의 국제 공동 감시시스템과 선제적 방제 기술 구축 연구, 소 인플루엔자 D바이러스를
포함한 소 호흡기 질병 유전자 특성 연구 등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용 질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식품 부산물을 활용한 반려동물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 기능성 사료 개발, 고양이
난치성 갑상샘기능항진증 진단・치료용 의약품 개발 등 동물복지 연구도 추진하였다.
5) 농림업인, 농산촌 주민, 국민 삶의 질에 기여
시장개방 확대,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미래 농산업 시장 변화 대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
개발 지원을 확대 등 농업・농촌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 축산악취 저감 및 농작업
안전관리 실증모델 구축, 농촌 폭염・가뭄피해 저감, 농경지 양분 균형 관리를 위한 유기성
폐자원 활용 체계 구축, 가축분뇨・농업부산물과 음식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및 발전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였다.
산림자원의 순환 체계 구축을 통한 안전하고 건강한 친환경 산림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자생식물의 종자를 활용한 산림생태계 회복력 증진 및 산림복원, 스마트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산줄기 주소 체계 등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생산 현장의 안전관리 기술개발을 통한 농식품 품질 제고 및 농축산물 안정성 확보 등 맞춤형
먹거리를 위해 축산물 생산단계 중 위해요소 오염 저감 기술, 식품 산업 현장형 식중독균 신속
진단 기술, 농업 환경 중 잔류항생제 안전관리 방안 등 연구를 추진하였다.
<표 3-20>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연구 분야 투자현황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2023년 차이
(%)예산 비중 예산 비중
AI・ICT 융복합 스마트농림업 1,574 12.0 1,569 11.7 △0.4
그린 바이오산업 1,488 11.4 1,287 9.6 △1.8
수요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림식품 생산 2,036 15.6 1,912 14.2 △1.4
이상기후・재난・질병 대응 농림업생산 1,840 14.1 1,873 13.9 △0.1
농림업인, 농촌주민, 국민 삶의 질 850 6.5 654 4.9 △1.6
5대 중점연구 분야 합계 7,788 59.5 7,295 54.2 △5.3
기 타 5,292 40.5 6,161 45.8 5.3
총 계 13,080 100.0 13,456 100.0 -
∙320∙
다. 향후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첨단화 기술개발 및 수요 기반 문제해결형 R&D 사업을 추진하고, 그린
바이오 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농식품 산업 혁신성장과 농정현안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 및 타 분야 첨단기술의 적용으로 농산업을 스마트 산업으로 전환하고, 종자 및
품종 생산 기술 확보와 신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혁신 식품 개발 지원을 확대하여 식량
안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기후변화, 동식물 감염병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업 생산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향후 5개년의 농식품 R&D 정책 방향과 중점계획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부・청 협업을
통한 제4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5∼2029)을 수립하여 국가 농정정책에 부응
하는 농식품 R&D 투자를 지속할 것이다.
∙321∙
제4절 수산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우리 수산업은 연근해 수산자원 감소, 어장환경 악화에 따른 생산성 약화, 이상기후로 인한
고수온 피해 등으로 ‘지속 가능한 수산업 구현’이 순조롭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이에, 해양
수산부는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제2차 해양수산과학
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 및 이에 따른 「2023년도 시행계획(2023.2.)」을 마련하여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였다. 또한 해양수산 분야의 R&D 투자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9,152억 원이 반영되어 R&D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표 3-21> 최근 5개년 해양수산 R&D 연도별 투자현황
(단위 : 원)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정부 R&D 20.5 조 24.2 조 27.4 조 29.8 조 31.1 조
해양수산 R&D 6,362 억 6,906 억 7,825 억 8,529 억 9,152 억
해양수산 R&D 비중 3.10% 2.85% 2.86% 2.86% 2.95%
해양수산부 내의 수산 분야 연구개발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023. 1.)을 수립・추진하여 ①지속 가능한 성장, ②첨단・융합 기술개발
및 ③기후변화 연구・현장기술 중심의 우수 연구성과를 다수 도출하였다. 2023년 사업추진
연구개발 예산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1,409억 원을 확보하였다.
* (’19) 1,266 → (’20) 1,327 → (’21) 1,384 → (’22) 1,379 → (’23) 1,409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수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연구
가) 연근해 어업자원 평가 및 어황변동 정밀분석・예측 기술개발
자원평가 측면에서는 대상종을 확대(’22년 60종→’23년 65종)하여 전체 생산량의 93.7%에
대한 자원평가가 가능해졌으며, 자원예측 측면에서는 2가지 대표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첫
번째는 연근해 어황변동 정밀분석 및 수산자원변화 예측 고도화를 추진하여 멸치자원의 생물・
해양・환경 융합형 어장형성 시나리오 구축 및 예측정보를 제공한 성과로, 출어경비 절감을
∙322∙
통한 어업인 소득 창출이 기대된다. 두 번째는 서해 꽃게의 어획량 급변 원인 구명 성과로 장단기
해황과 수산자원 인공위성 자료를 분석하여 황해저층냉수의 연안유입이 원인임을 밝힌 성과
이다. 또한 국제기구의 과학기여 측면에서는 세계 최초로 이빨고기(메로)의 장거리 이동 근거*를
밝혀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제고 및 원양어업발전 기반도 마련하였다.
* 1,200km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밝히고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26개 회원국) 회의(2023.10.)에서
발표하여 ‘다국가 위성전자표지 연구 싱크탱크 협의체’ 결성 주도
멸치 어황예측 시나리오 황해저층냉수 분포와 꽃게 어황 이빨고기 장거리 이동 경로
[그림 3-56] 어업자원 평가・예측 및 원양어업 발전 기반 마련 주요 성과
나) 고부가가치 양식품종 개발을 통한 수산물의 안정적 생산
고상품성 암컷(알배기) 참조기 특화생산 기술개발을 위해, 대형개체 생산을 위한 연중(다회)
종자생산기술 및 고비율 암컷 유도기술(수온 및 천연물 복합처리)을 확보하고, 생산성 저하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넙치 양식장을 활용한 시험양식을 실시하여, 성장이 빠르고 암컷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 100g 이상 참조기 비율 75%(자연산 약 5%) / 암컷 비율 약 90%(자연산 약 50%)
특화생산 참조기(약 15cm, 40g) 일반생산 참조기(약 12cm, 15g)
[그림 3-57] 부화 150일령의 특화생산 및 일반생산 참조기
∙323∙
2) 첨단・융합 기술개발
가) 스마트 수산양식 기술개발
디지털 정보기반 넙치 스마트육종 실용화 기술개발을 위해 ‘넙치 고효율 60K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염기 다형성) chip을 개발하여 효용성을 80.81%에서 92.95%
까지 개선하고 참조집단 유전자형 디지털 정보 총 10,864개체 정보를 생산・등록하였다. 이를 통해
넙치 유전체 정보활용 후대생산 및 참조집단(고수온 내성, 저어분 적응)을 구축하였다.
나) 수산생명자원 활용 기술개발
고부가가치 기능성 수산바이오 산업소재 개발 및 산업화의 대표성과는 ‘양식 넙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수산용 프로바이오틱스 개발’이다. 넙치 장내 미생물균주 확보(3,000여
점) 및 유용균주 선별을 통해 선별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첨가사료 3종을 개발하고(체중 증가
및 폐사율 감소), 산업체 기술이전을 통해 제품을 출시하였다.
다) 산업계 현장수요(정어리 대량발생 및 집단폐사 대응) 맞춤형 가공기술 개발
지난 22년간 어획 수준이 낮았던 정어리의 연안 유입량이 급증*하면서, 집단폐사로 인한 악취
및 사후처리에 대한 대응기술 개발이 시급함에 따라, 급증한 정어리 어획물을 활용한 고품질
정어리 통조림(2종) 및 펫푸드 가공기술(3종)을 개발하고, 정어리 폐사체를 활용한 어류 곤충
사료(동애등에)의 먹이원으로 제공하기 위한 단미사료 가공기술(4종)을 개발하였다.
* (’00) 288 → (’10) 3,315 → (’22) 12,030 → (’23) 33,287톤
넙치 고효율 60K SNP chip 프로바이오틱스 첨가사료 시제품 정어리 활용 동물사료
[그림 3-58] 스마트 양식 관련 기술
∙324∙
3) 기후변화 연구・현장대응 기술개발
가) 국내 최초, 동해로 유입되는 해류 세기 정보의 생산 및 제공
대한해협을 통해 동해로 유입되는 해류(대마난류, 동한난류)의 세기는 이전까지 일본자료에
의존하여 수개월의 시간차 발생 후 확보되는 정보였으나, 본 연구개발을 통해 30년(1991~
2020) 평균대비 최근 5년간의 변동성을 도식화하여 기관 누리집을 통해 제공가능하게 되었다.
이 연구성과는 우리나라 동해의 수산자원 변동 파악 및 고수온 등 수산피해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나) 세계 최초, 천연물 기반 수산용 구충제 개발 및 산업화
양식 넙치에 큰 피해를 입히는 스쿠티카병(기생충성 질병의 일종)은 높은 폐사율과 치료제
(포르말린 등)의 안전성 문제로 안전하고 효능 높은 천연물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질병
이다. 이에 천연 후보물질 29종을 대상으로 항기생충 효능과 세포독성(안전성)을 분석하여
‘추목피(가래나무 껍질)’를 선정하여 수산용 구충제로 개발하였다(약욕 및 경구투여에 의한
상대생존율은 60~80%). 약욕투여 3일 후부터 체표궤양이 호전되어 7일 후에는 상처 흔적만
남을 정도로 효과가 뛰어나고, 기존 구충제와 달리 경구 투여가 가능해 지면서 중증감염
(기생충이 뇌조직에 침투)이 넙치에도 효과를 보이는 점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기술은
제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조기 산업화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현재 의약품 품목허가를
추진 중에 있다.
해류 모식도와 세기 천연물 수산용 구충제 투여 및 효능검증 모식도
[그림 3-59] 기후변화 및 현장대응 연구성과
∙325∙
다. 향후 계획
해양수산부는 ①기술혁신, ②난제해결 및 ③산업・연구진흥을 중심 R&D 사업을 추진할 계획
이다. ①기술혁신을 위해 4차 산업혁명 대응을 넘어 기술 패권경쟁, 탄소중립 등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디지털 대전환, 초격차 기술 확보에 집중하며, ②난제해결을 위해 국민 생활안전
대응과 함께 고령화, 경기침체 등 사회・경제 문제, 기후위기 문제, 공급망 안전 등에 국가
생존력 확보에 힘쓰며, 마지막으로 ③산업・연구진흥을 위해 산・학・연 기관들과 지역의 기술
개발 역량을 결집하고 협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에 대한 점검 및 보완결과에
따라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여 해양수산 R&D 투자 효율성 제고 및 국정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326∙
제6장 국방/안보
제1절 국방
1. 국방 기본계획
가. 개요
첨단과학기술의 도입이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국방부는 제2창군
수준의 국방혁신 4.0을 통해 AI 과학기술강군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국방
분야에서 과학기술 관련 유일한 중・장기 계획문서인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국방과학기술 발전에 관한 중・장기 목표와 정책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국방과학기술과 국가
과학기술의 상호 유기적 발전을 위한 국방부 차원의 정책 방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10대
분야의 국방전략기술을 선정하여 중점 연구개발 분야 및 집중투자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수립
국방부는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에 따라 국방과학기술
중・장기 정책을 수립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매 5년마다 향후 15년을 대상기간으로 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작성하여, 「방위사업법」 제9조에 따른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의
심의 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따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거쳐 공표한다.
국방부는 「’19 ~ ’33 국방과학기술진흥 정책서」 수립 ( ’19. 7월 ) 이후 4년간의 기술발전 추세,
주요정책 및 안보환경 등 국내・외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23 ~ ’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작성하였다.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은 국방의 목표를 과학기술의 관점에서 뒷받침하는 기본서로,
∙327∙
국방부가 수립하는 「국방전략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립하는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상위
지침으로 둔다. 이를 통해 「국방전략서」가 제시한 국방정책 기조 및 분야별 정책 구현을 위한
중・장기 목표와 정책 기본방향뿐만 아니라, 국방과학기술과 국가과학기술의 유기적 발전을
위한 국방부 차원의 정책 방침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은 국방과학
기술에 관한 최상위 문서로 하위문서에 정책적 지침을 제공하며, 방위사업청이 매년 작성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 시행계획」과 「국방기술기획서」의 직접적인 상위문서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림 3-60]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국방부는 「’23 ~ ’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통해 ‘미래전장을 주도할 과학기술 강군
건설’이라는 비전 및 ‘북핵 미사일 위협 및 주변국 대응을 위한 AI 첨단과학기술 기반구축’,
‘첨단기술 분야 국가적 차원의 국방연구개발 역량 확보’의 2가지 목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실현하기 위해 ①현존 위협 및 미래전장 대비 첨단기술 분야 집중 투자, ②혁신・개방・융합의
국방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③국방과학기술 거버넌스 재정립, ④국방과학기술
인력양성 및 인프라 강화, ⑤국방과학기술 민군협력 강화 및 국제협력 확대의 5가지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
국방부는 5가지 추진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미래전장 환경 대비 첨단기술 집중 투자, 국방
연구개발 예산 규모 확대, 개방형 국방연구개발 수행체계 정립, AI・빅데이터 중심의 개발사업을
위한 제도 개선, 국방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체계 재정립, 군 참여 범위 확대 및 군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AI를 포함한 한・미 국방과학기술협력 강화 등 총 17개의 세부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328∙
[그림 3-61]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5대 추진전략 비전과 목표
2) 국방전략기술 선정
국방부는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통해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를 선정하였다. 국방
전략기술은 국가안보 유지, 미래전장 선도, 국가과학기술융합의 관점에서 국방목표달성을 위해
전략적 투자 및 육성이 필요한 기술을 의미한다. 국방부는 전략적 중요성, 기술혁신성, 개발
시급성, 확보 가능성의 4가지 선정 기준에 기반하여 국방 및 민간 관련 기관의 검토・조정을
거쳐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0개 세부기술을 선정하였다.
이는 미래 국방을 대비하는 동시에, 국가 과학기술과의 유기적 연계를 고려해 도출된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 (’22. 10월 ) 한 인공지능, 양자 등 12대 국가전략기술과의 연계를
고려한 것이다. 국방부는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를 기준으로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에
국방연구개발 재원배분 방향 및 발전 방향을 명시하였으며, 향후 국방연구개발은 국방부가
선정한 10대 분야 및 30개 세부기술에 근거하여 추진될 예정이다.
미래전장 선도 국가 과학기술 융합 현존 위협 대응
[그림 3-62] 국방전략기술 10대 분야
∙329∙
2. 국방 연구개발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최첨단 과학기술의 가속적인 발전 속도에 따라 전쟁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무기체계가 고도화・
정밀화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방위사업의 위상이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서 미래
선도자(First Mover)로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차기무기체계(Game Changer) 확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첨단무기를 우리나라가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기 위하여 선진국 수준의
첨단 핵심기술 확보와 기술경쟁력 강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위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핵심기술개발 사업과 미래도전국방기술 사업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무기체계 수요의 예측과 대응에 노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우수한 산・학・
연의 기술을 빠르게 획득・적용하기 위해 민간과 국방의 과학기술역량을 융합하는 민군기술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무기체계의 원활한 공급 및 보수를 위해 부품국산화 지원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핵심기술개발
핵심기술개발 사업은 미래 무기체계의 국내개발 또는 생산에 필요한 첨단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선진국에서 기술이전을 꺼려하는 이미 개발된 기술이나 국가안보차원에서 반드시
확보가 요구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핵심기술개발은 기술의 성숙도에 따라 기초연구,
응용연구, 시험개발 단계로 구분한다.
[그림 3-63] 기술성숙도에 따른 핵심기술의 단계별 구분
∙330∙
독자적 무기체계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기술력 확충을 위하여 2023년 핵심기술 연구개발비에
전년 대비 35.2% 증가한 1조 911억 원을 투자하는 등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예산 확대 추이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국방기술 연구개발의 핵심 토대 마련을 위한 국방 기초연구 분야의 집단연구센터인
특화연구센터(국방수직이착륙기, 국방 양자 컴퓨팅&센싱) 2개소를 신설하였다.
국방수직이착륙기 특화연구센터 개소 국방 양자 컴퓨팅&센싱 특화연구센터 개소
[그림 3-64] 특화연구센터 개소식
추가로, 무기체계에 적용을 목표로 하는 핵심기술 연구개발 과제 69개를 성공적으로 완료
하고 일부 과제의 성과에 대해 대국민 대상으로 홍보하였다.
2023년에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국방연구개발 수행체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산・학・연과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국방기술혁신협의체(정부, 육군・해군・공군, 산・
학・연으로 구성)의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국방기술기획에 참여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방과학
연구소만 참여 가능하던 국제공동기술R&D의 수행주체를 산・학・연으로 확대하여 민간 역량의
국방 참여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국방과학기술 정책에 따라 수립된 10대 국방전략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10대 국방
전략기술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핵심기술개발사업의 동 분야 투자 비중을 2022년
2,038억 원(핵심기술개발사업 예산의 26%)에서 2023년 4,044억 원(40%)로 14% 늘렸으며,
「’23∼’37 국방기술기획서」를 발간하여 71개의 무기체계를 선정하여 기술분석을 하고, 기술
확보계획을 수립하여 핵심기술 본연의 목적인 핵심기술 성과물의 무기체계 적용률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나)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
미래도전국방기술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가져올 미래 전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기술을
신속하게 반영해 신개념 무기체계 소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무기체계 소요가 결정되지 않았거나,
∙331∙
예정되지 않은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위해 도입되었다.
미래도전국방기술은 2023년 전년 대비 약 30% 증가한 3,56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국방
기술 5대강국 달성”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 전략성 보강, 2) 도전성
강화라는 큰 틀 안에서 과제기획 단계별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비전 국방기술 5대강국 달성
목표 전략성・도전성 강화를 통한 게임체인저 기술 선제 확보
추진
단계별
제도개선사항
추진방향 수립 전략성 보강 全국방정책과의 연계 강화
과제기획 및 선정 전략성 보강 하향식 기획제도 보강
과제관리 도전성 강화 연구행정 간소화
평가・제재 도전성 강화
평가・제재・면책제도 개선
우수과제 인센티브 부여
후속활용 전략성 보강
성과분석 및 활용 고도화
소요 연계방안 구체화・내실화
[그림 3-65] 미래도전국방기술 ’23년 추진방향
먼저, 미래도전국방기술의 전략성 보강을 위해 ➀기존 미래도전국방기술사업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던 8대 게임체인저 분류체계를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상의 10대 국방전략기술로
재구성하였고, ➁하향식 과제기획을 전략적 로드맵에 기반한 방향으로 보강하였다. 또한, ➂
성과분석서를 내실화하고 과제와 소요 간 연계 강화를 위한 기술전환연구를 추진하였다.
도전성 강화를 위해서는 ①연구행정에 관하여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준용하여 절차 등을
간소화하였고, ②연구자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성실수행 인정 시 제재 완화를 확대하였다.
마지막으로 ③우수과제 수행자가 후속과제 제기 시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도전적 연구개발이
연속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토대 아래서 2023년에는 우주, 유・무인복합, 대량살상무기(WMD) 대응 등 국정과제와
국방혁신4.0 등 국방정책에 부합하는 신규과제 10건을 착수하였다. 또한, 2022년 최초 종료
과제가 나온 이래로 2023년에는 인공지능, 유・무인복합, 우주 분야 등에서 7건의 과제가
성공적으로 종료되어 후속연구 및 체계개발사업으로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 민군기술협력
1999년부터 민군겸용기술개발사업으로 시작한 민군기술협력사업은 2023년 예산이 2,284억
원으로 2,000억 원을 초과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발전하였다. 2023년에는 민군겸용기술개발
∙332∙
사업(Spin-up)에 1,585억 원, 민군기술이전사업(Spin-on & Spin-off)에 456억 원을 투자
하는 등 211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특히, 2022년부터 역점을 두고 추진해 온 ‘뉴스페이스 시대 도래에 따른 우주기술’ 확보를
위해 2023년에는 우주 관련 민군겸용기술개발과제 2개를 추가로 착수하였다.
저궤도 우주물체 광역 감시레이다 수신 데이터 처리
기술개발
2,900Wh급 저궤도 인공위성용 리튬이온 셀
및 팩 개발
[그림 3-66] 우주기술 관련 민군 겸용기술 개발과제
또한, 국방기술의 민간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간에 파급력이 높은 유망기술을 적극 발굴・
지원하는 ‘민군기술이전사업(Spin-off)’을 지속 추진하였다. 2023년에는 ‘유해가스 발생 밀폐
공간 현장작업자 보호 관련 시스템의 개발’ 등 11개 신규과제에 69억 원을 투자하였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을 통해 민과 군이 협력하여 첨단기술을 개발하고, 우수한 민간기술을
국방분야에 적용하며, 국방기술의 민간 활용을 지원하는 등 향후 시너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3) 향후 계획
2024년에는 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 예산 축소에 따라, 첨단 항공엔진, 국방반도체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미흡한 기술 보완을 위해 국방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방
기술 연구개발 효율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특히, 핵심기술개발사업은 중・장기 국방과학기술 확보계획에 따라 핵심기술 사업단계별 연계
기획을 확대하고, 핵심기술의 성과분석 결과를 기획에 적극적으로 환류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하여 기술기획을 내실화할 예정이다.
∙333∙
제2절 정보보호
1. 사이버보안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생활・산업 전 분야에서 디지털전환이 급속히 확산되고, AI・클라우드・양자 등 디지털 신기술의
등장에 따라 신규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여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23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Global Risks Report 2023」에서도 ‘사이버범죄 및
불안 확산’을 글로벌 10대 리스크로 선정하였다. 또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국가 간
분쟁에서 사이버戰이 본격화되고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면서 사이버보안이 국가안보의 핵심
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미국, EU 등 주요국들을 중심으로 ‘사이버보안’을 주요 국가안보전략 요소로 선정하고
있으며, 주변 동맹국들 간 주요 협력 분야에 ‘사이버보안’이 포함되고 있다. 미국은 「국가사이버
보안 전략(’23.3)」을 통해 공격자 행위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하고 모든 사이버 보안 역량을
총동원하여 공격의 예측과 대응력을 강화하는 공세적・능동적 방어 기술 개념을 제시하고, 글로벌
협력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도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그간의 한미 동맹을 사이버 공간까지
확장하기로 선언하고, 「한・미 전략적 사이버안보 협력 프레임워크(’23.4)」를 공동발표하였다.
우리 정부는 사이버보안을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국가전략기술육성방안, ’22.10)
하고 R&D 투자를 확대하는 등 사이버보안 기술역량을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기술적・정책적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국가전략기술 사이버보안의 4대 중점 기술에 집중하고,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 안보 등 공공서비스보안 연구를 중점 추진하기 위해 정보보호 분야 메인 사업인 「정보
보호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의 내역사업 개편을 추진하였다.
기존 내역 개편 내역 핵심기술
ICT인프라・서비스 보호강화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호 기술개발
데이터・AI보안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유망신기술 및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
취약점 대응 및 신산업 융합 보호
기술 개발
신산업・가상융합 보안
디지털취약점 분석・대응
융합산업 및 공공기술 역량 강화 공공 서비스 보호 강화
사이버치안, 안보 등
공공 서비스 보안
∙334∙
또한, 사이버보안 선도국・신흥국과 공동기술 개발 협력, 인력파견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보안
기술・인력・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이버보안국제협력기반기술개발」 내역사업을 신규로
추가하고 83.2억 원의 ’24년 신규 예산을 확보하였다.
사이버보안의 패러다임 변화, 사이버범죄/사이버안보의 위협 증가 등으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정보보호 분야 R&D 예산도 ’23년 931.65억 원
대비 22.5%가 증가한 1,141.05억 원을 ’24년 예산으로 책정하였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호 기술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는 프라이버시 강화기술(PET), 양자내성암호 등 차세대
암호 및 검증기술, AI 기반 지능형 대응기술, AI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제로
트러스트 보안 기술,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기술, 5G/6G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챗GPT의 등장으로 ’23년도 사이버보안 기술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AI를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악성코드를 생성하고, 정교한 피싱/스미싱 문자를 발송할 수 있는 등
AI 기술은 사이버 공격자들에게 강력한 공격 수단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 양자컴퓨팅 환경에서 안전하게 암호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와 국정원은
양자내성암호 전환 종합 대책이 포함된 마스터플랜을 발표함으로써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지원
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AI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Security for AI)과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 예방・대응 기술(AI for Security)에 중점을 두었다.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암호체계의 취약성 탐지・식별 및 양자내성암호로의 변환과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표성과로는 세계최고 수준의 고속화된 동형기계학습 알고리즘 및 라이브러리(HEaaN.lib)를
개발하고 해외 글로벌 업체(IBM사)와 계약 체결한 사례를 들 수 있다. 연구주관기관인 서울대
에서는 효율적인 동형 근사연산 알고리즘, 동형 암호문 변환 원천기술, 동형 재부팅 정확도
확대 알고리즘 등 동형암호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IT 업체인 IBM의 인공지능 소프트
웨어에 탑재(’22.3월)하였다. 또한, 2023년 3월 서울대에서 국제 동형암호 표준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동형암호를 ISO 표준으로 추진 중이다.
∙335∙
나) 취약점 대응 및 신산업 융합 보호 기술
디지털 취약점 및 신산업 보안 분야에서는 신산업・가상융합,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 등
디지털 전환 및 산업 융합 확산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위협대응 및 보호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은 가상융합 및 모빌리티보안, 지능형 영상보안 등 신산업・가상융합 보안,
무결성 검증, SW공급망 보안, 랜섬웨어 등 디지털 취약점 분석대응 기술 등이 있다.
솔라윈즈社 IT모니터링 툴에 백도어가 설치되어, 전 세계 주요업체 및 美 국방부, 재무부
등 정부기관까지 피해를 입고, 美 최대 송유관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로 서비스가
일시 중지되는 사태로 인해 SW 공급망 보안과 디지털 취약점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전 세계
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 스마트선박, 스마트팩토리 등 융합 산업 시장에서
글로벌 사이버보안 규제・인증이 강화되고 있어 융합보안 분야의 기술확보가 시급하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사이버보안 챌린지 사업을 통해 스마트시티 보안을 주제로 공격・방어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둔 2개 팀을 선정하였으며, 이 팀들에게 ’24년 연구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융합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및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 연구를 시작하였다. SW/HW 공급망 보안, 전기자동차
충전기 보안/선박보안/위성보안 등 융합보안은 ’24년에 연구를 시작할 수 있도록 예산을 확보
하고 관련 주제로 과제를 기획하였다.
대표성과로는 국내 최초/최고 수준의 범죄 징후 감지/예측이 가능한 지능형 CCTV 기술을
들 수 있다. 세계 최초로 과거 범죄통계정보와 실시간 지능형 CCTV 영상을 연계하여 범죄예측
기술을 개발(예측률: 80%)하여 세종시, 서초구 등 지자체 CCTV통합관제센터, 경찰 등에 연구
결과물의 적용 및 서비스화에 성공하였다. 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사람의 눈으로 식별 불가능한
범죄현장 CCTV의 차량번호판을 AI로 복원하여 사람에 의해 2~3일(복원율 70%) 소요되는
복원을 1~2분(복원율 82%)으로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다) 공공 서비스 보호 기술
공공 서비스 보호 기술은 민・군, 민・경 수요기반 R&D 추진 및 협업을 통해 사이버 안보・
치안・경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서비스 보호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가사이버보안 R&D 조정협의회」를 구성・운영하여 국방부, 대검찰청, 경찰청, 국정원 등
유관 부처 간 협의로 사이버 보안 R&D 수요 발굴 및 협업을 하고 있다. 각종 사이버범죄로 인해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환경의 변화로 사이버 치안, 사이버
안보 등 공공 서비스 보안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주요 기획방향으로는 “공격억지-선제면역-회복탄력”의 3단계 사이버보안 기술을 확보하여
능동보안 역량을 강화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 ’23년부터 국방부와
∙336∙
차세대 사이버전에 대한 개념을 연구하고, 주요 취약점 연구를 착수하였다. 수사기관과는 디지털
증거의 증명력을 높일 수 있는 인과관계 추론 및 표현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성과로는 사이버범죄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가상자산의 부정거래를 탐지・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들 수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해킹, 랜섬웨어 공격 등 불법적인 가상자산 탈취 사례가
급증하고 있지만, 불법 가상자산 추적 및 수사는 외산 솔루션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기술로 가상자산 추적기술을 확보하고, 가상자산 거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이전
및 사업화하였으며 수출액은 6.78억 원을 달성하였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인 사이버보안 기술의 중장기 전략로드
맵을 ’24년에 발표하고, 전략 기술별 국가임무 설정, 핵심요소기술 발굴, R&D 투자 방향 등
을 도출할 예정이다. 초거대 AI, 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은 물론, SW공급망, 국가 인프라 등
신종 보안위협이 급증하고 있고, 우리 보안산업은 성장 중이지만 아직 주요국에 비해 영세하다. 사
이버 위협에 대한 사전탐지, 회복탄력성 등 전주기 역량 강화를 위해 사이버 회복탄력성을 갖춘 전
주기 능동대응력 확보를 달성하기 위해 중장기 기술개발을 지속할 예정이다.
4대 중점기술인 데이터・AI보안, 디지털 공급망 분석・대응, 네트워크・클라우드 보안, 신산업・
가상융합보안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의 예방・탐지 위주의 수동적인
보안에서 능동보안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공격 기만기술, 사이버 공격 추적・수사 기술, 디지털
포렌식 기술 등 능동보안 연구를 확대할 예정이다.
2. 블록체인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개요
블록체인 기술은 중앙의 중개 기관이나 사전 신뢰가 없는 환경에서 거래 당사자 간 직접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디지털 신산업을 촉진하는 기술이다. 분산장부 공유기술(1세대)을
시작으로 스마트 계약(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조건이 충족
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시도하는
2세대에 이어, 확장성, 보안성, 상호운용성 등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3세대로 발전 중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2021년 우리나라는 최고국(美) 대비 87.0% 수준, 정보통신
∙337∙
기획평가원, 2023)를 축소하고,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기술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이러한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형성을 촉진하고 기술력을 길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산업 진흥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2018.6.)」과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
(2020.6.)」을 수립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경제・사회에 조기 적용・확산에 노력하였다. 최근 블록
체인 기술이 메타버스와 함께 웹 3의 비전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의 하나로 각광받는
상황에서 이에 발맞춰 「블록체인 산업 진흥 전략(2022.11.)」을 발표하여 디지털 시대의 신뢰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지원하고 있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블록체인
블록체인 분야는 그간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수준이 향상 중(’19년 83.4%, ’20년
85.6%, ’21년 87.0%)이나, 빠르게 변하는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기술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외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원천기술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므로,
블록체인 시장의 흐름을 신속히 반영하고 국내 기업이 잘 이용하기 위해서는 활용도 높은 기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전적 분야의 블록체인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기획된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이 2020년 6월 R&D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동 사업은
現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기술 개발을 통해 신뢰 사회 구축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①완전 탈중앙화 고성능 합의기술, ②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기술, ③분산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신원관리기술, ④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 개발 등 4대 분야 총 9개 과제를 선정하여 기술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2021년
7월 예타 R&D 착수보고회를 개최하여 사업수행기관의 과제 내용을 소개하고 연구 교류 및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고,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개발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2022년에는 1단계(’21~’22년)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탈중앙화 및 합의 비용
최적화,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 동적 분석기술, 블록체인 트랜잭션 암호화 기술, 대용량 트랜잭션
분산 저장기술 등 설계가 완성되었다. 대표성과로는 동 사업의 영지식증명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한 서비스가 CES 2023에서 블록체인 온라인 투표시스템(zkVoting)은 최고혁신상,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장이 되는 거래 서비스(Azeroth)는 혁신상을 수상하였다. 2023년에는 2단계
(’23~’25년)가 시작되는 시점으로 성능 고도화 및 상용 수준 제품 개발을 추진하였다. 2년
연속으로 CES 2024에서 지케이보팅 투표소로 최고혁신상을 수상하여 본격적인 서비스 대중화
및 해외 블록체인 투표서비스 시장에 진출 계획을 모색 중이며, HP2B 기반 블록체인 응용서비스
(HealthBit)를 통해 개인의 건강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제주자치도 연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어류 이상 탐지 모니터링 실증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였다.
∙338∙
한편, 모든 사회・경제 활동에 블록체인 기반 AI, IoT 등 기술과 융합하여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진행 중이다. 주요국(미국, EU, 중국 등)은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확보
하고 주력 산업을 고도화하려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국내는 아직 블록체인과 AI,
IoT 등 융합기술과 타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화 융합기술 확보가 미흡한 상황이다. 블록
체인 분야는 2022년 블록체인 산업고도화 기술개발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30억 원(신규과제
4개)을 투자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술 고도화를 위한 AI・IoT 등 혁신기술
융합과 블록체인을 타 사업에 적용하여 패러다임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대응하고 있다. 대표
적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상호운용성 분야는 이종 블록체인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교환 기술을 개발한다. IoT 분야는 사물인터넷 기기가 블록체인 노드가 되어 저사양 디바이스
에서 구동 가능한 경량 사물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AI 분야는 온체인 상에서 인공지능
작업을 요청 및 검증하고 온-오프체인 연동기술을 통해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연산자원, 프레임
워크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한다. 5G 분야는 MEC(Mobile
Edge Computing) 에지 클라우드 상에서 수행하는 초저지연 블록체인 플랫폼과 저지연 5G
단말 노드 간의 고속 연합학습 및 추론을 수행하는 기술개발도 진행한다. 2023년은 40억 원
(계속과제 4개)을 지원하여 기술 및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여 유의미한 성과를 확보하였다. BIoT
플랫폼 고도화 및 IoT 연동 기술 개발을 통해 부산항, 스마트시티 실증을 모색 중이며, 국내
5G 이동통신 사업자들과의 협의체 구성으로 DFL 인프라 서비스 PoC 시연 및 실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다. 이 외 블록체인 기반의 AI Network 거대 모델을 지원하여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표준화 아이템 ITU-T 채택으로 상호운용성을 위한 분산원장
기술(DLT) 게이트웨이 보안요구사항의 표준 개발에 참여 중이다.
3)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사업을 2단계(’23~’25년)를
지속 추진한다. 고성능 합의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기술, 분산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
신원관리기술, 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개발 등 4가지 전략분야에서 응용 및 실증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응용 및 실증 서비스 개발을 지속 추진하여
성과를 창출할 예정이다. 이 외 웹3 기반의 공정성, 익명성, 투명성을 보장하는 여론조사 기술
개발로 자기주권신원, 영지식증명 등의 기술개발을 통해 여론조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예정
이다. 또한, 변화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DAO, 보상체계, 콘텐츠 거래 등 웹3 생태계
변화를 촉진하는 웹3 신뢰 인프라 핵심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준비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블록체인 산업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339∙
제7장 우주/해양
제1절 우주/항공
1.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가. 개요
2023년도 우주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인공위성 개발 및 활용
서비스 고도화, 우주탐사 및 우주감시,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우주산업 육성 등 6개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4,339억 원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나. 2023년도 주요 성과
1) 한국형 발사체
국내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은 2023년 5월 25일 “누리호”
3차 발사를 수행하였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료하였다. 누리호 3차 발사는 실용급 위성을
궤도에 투입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첫 발사로,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부탑재
위성인 큐브위성 7기를 목표궤도(고도 550km,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하기 위해 발사되었다.
지난 누리호 2차 발사 시 누리호의 성능검증을 위해 1개의 실험위성만을 발사한 것에 비해,
주탑재 위성을 목표궤도에 높은 정밀도로 투입하여 임무에 착수하도록 하는 진일보한 성과를
거두었다. 우리나라는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에 이어 3차 발사 성공으로 누리호의 신뢰성 향상과
함께 실용급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발사할 수 있는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여
자주적인 국가 우주개발 역량을 갖추었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에서는 민간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 체계종합기업으로서 발사
준비와 발사 운용에 일부 참여하였고, 국내 300여 개 산업체가 누리호 제작에 기여하여 향후
민간주도 발사와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의미도 있다. 누리호 3차 발사
∙340∙
성공을 시작으로 앞으로 누리호 반복 발사를 3차례(4차 발사 25년, 5차 발사 26년, 6차 발사
27년) 실시하여 성능과 신뢰성을 높이고, 누리호 발사로 확보한 핵심 기술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리호보다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발사체를 2032년까지 개발 완료하여 지구에서 38만km 떨어져
있는 달까지 착륙선을 보낼 계획이다. 우주발사체 개발이 우주산업과 우리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누리호 반복 발사와 차세대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민간기업(체계종합기업)을
참여시켜 민간 주도의 우주경제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차세대발사체에 참여할 민간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2023년 12월 21일부터 60일간의 입찰공고를 진행 중에 있으며 2024년 2월 말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2) 인공위성개발
가) 다목적실용위성
’94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개발사업은 ’23년도에 6호, 7호, 7A호 위성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 중에 있다. 고성능 영상레이더 위성인 6호 위성의 경우 위성체의 총조립/시험
등을 완료하고 발사계약을 2023년 체결하고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초고해상도 광학/적외선
위성인 7호 위성의 경우 탑재체 비행모델 개발이 진행되어 우주환경모사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한반도 관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7호 위성의 성능을 개량하여 개발 중인 7A호는
위성의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 부품 제작을 수행 중에 있다.
나) 차세대중형위성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은 주관부처인 과기정통부와 다양한 활용부처(국토부, 농진청, 산림청,
환경부)가 함께 추진 중인 사업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쌓아온 위성개발 기술과 경험의
민간 이전을 통해, 국내 산업체(한국항공우주산업) 주도로 다양한 공공 수요에 대응하는 저궤도
위성을 개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된 위성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 산업체는
항우연 주관의 1호 위성 개발에 참여하면서 이전 받은 기술을 활용하여 총 4기(2・3・4・5호)의
중형위성을 개발 중이다. 국토부가 참여하는 2호 위성은 위성체의 총조립/시험 등을 완료하고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가 단독으로 개발하는 위성으로 한국형발사체 기술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 수행이
예정된 3호 위성은 2021년 개발 착수회의를 시작으로 2022년에 시스템설계, 예비설계를 완료
하고 상세설계 중이다. 또한 농진청, 산림청의 농업・산림상황 관측용 광역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할 예정인 4호 위성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 부품 제작을 수행 중이며, 환경부의
수자원 관측용 5호 위성 개발에 착수하는 등 각 위성별 개발 단계에 맞춰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 중이다.
∙341∙
다)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
미래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한 공공 위성통신서비스 제공, 해상구조 및 영해보호
역량강화 등 재난・재해 대비를 위한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천리안위성 3호) 개발사업이
과기정통부 주관으로 다양한 활용부처(국토부, 환경부, 해경청)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21년 착수되어, ’22년 4월 시스템설계 검토회의를 거쳐 ’23년 7월 예비설계를 완료하고 현재
상세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라) 초소형위성
2020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2023년 말 현재 시제기 비행
모델 개발 완료 단계이다. 2023년 2월 인증모델 시험결과 검토회의와 시제기 제작준비 검토회의
개최, 2023년 7월 시제기 조립준비 검토회의 개최, 2023년 9월 인증모델 발사환경시험 최종
검증을 마쳤고, 2023년 12월 시제기 비행모델 기능점검 및 조립을 완료하였으며, 2024년 2월
까지 인수수준 환경시험을 마친 후 2024년 상반기에 발사할 예정이다. 지상 분야(지상국・검보정・
활용시스템 등)도 2023년 12월까지 지상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시제기 운영을 목표로
통합시험을 수행 중이다. 또한, 위성정보를 활용하는 기관들의 실제 현장 수요를 반영한 활용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위성활용워크샵을 개최(’23.7)하여, 군집위성 운영개념, 관측 영상 특성
및 위성영상 활용에 대하여 관계기관 전문가들과 공유하였으며, 안보・재난재해 대응 등 국가
활용 수요와 산업화 방안 도출을 위한 관계기관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였다.
3) 우주 탐사
우주탐사 분야에서는 2022년 12월 27일, 다누리가 달 궤도에 진입한 이후 2023년 1월 2일
부터 2월 3일까지 약 1개월에 걸친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해당 기간에 다누리는
달 임무궤도(달 상공 약 100km) 상에서 달 표면을 고해상도카메라로 촬영하였으며, 이는 우리
나라가 처음으로 달에서 촬영한 달 표면사진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달에서 본
지구의 위상변화를 관측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시운전 종료 후 본격적인 정상임무 수행에 착수한 다누리는 달 착륙 주요 후보지 촬영 및
달 표면 영상 확보(고해상도카메라), 라이너 감마 지역 등의 달 전체 편광지도 제작을 위한 달
표면 편광영상 촬영(광시야편광카메라), 토륨 및 우라늄 등의 원소지도(감마선분광기), 전자기
파동을 이용한 달 뒷면 내부구조 관측(자기장측정기), 달 궤도에서의 메시지/파일/동영상 전송
통신시험(우주인터넷탑재체) 등 다양한 과학・기술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당초 2023년까지 예정되었던 다누리 임무는 지구-달 전이과정에서 성공적인 발사・관제・
∙342∙
항행을 통해 절약한 연료를 활용해 2년이 연장되었으며, 2025년 12월 말까지 보다 풍성한
과학적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달 착륙선을 독자 개발하고, 달 표면 연착륙 실증 및 과학기술임무 수행을 통해 우주
탐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이 2023년 10월 국가연구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2024년부터 10년간 5,303억 원 규모로 추진될 예정이다.
본 사업은 2031년 달 표면 연착륙 검증선 발사 및 2032년 달 착륙선 발사를 통한 달 표면
에서의 과학임무 수행을 목표로 추진된다.
민간달착륙선 탑재체 국제공동연구사업에서는 NASA의 민간달착륙선 사업(CLPS; 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 중인 4기의 과학 탑재체 중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와 ‘달 표면 자기장 측정기(LSMAG)’의 비행모델 제작을 완료했다. ‘LUSEM
비행모델’은 미국 NASA 측으로 이송한 뒤 달 착륙 임무 담당기업과 현장시험을 마쳤으며,
향후 착륙선에 통합 조립될 예정이다. 더불어, ‘달 표토 3차원 영상 카메라(GrainCams)’와 ‘달
표면 우주방사선 측정기(LVRAD)’의 인증모델을 제작하고 상세설계검토회의(CDR; Critical
Design Review)를 마쳤다.
4)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2022년 착수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은 한반도 인근에 초정밀 위치・항법・
시각 정보 제공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다. 현재 시스템 설계 단계로, ’23년
6월 기본설계 검토회의(SDR)를 개최하여 체계 및 하위시스템(위성・지상・사용자 시스템) 기본
설계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KPS 구축 기반 확보를 위해 양・다자 간 국제협력 관계도 꾸준히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는
KPS-GPS 기술 작업반을 출범하여 ’23년 3월・9월에 제1・2차 회의를 실시하였다. ’23년 10월
에는 제17차 UN ICG(국제위성항법위원회) 연례회의에 참석하여 KPS 진행현황에 대해 발표
하는 등 위성항법시스템 간 공존성・상호운용성 강화 논의에 기여하고 있다.
5) 우주산업/우주핵심・원천기술개발
’23년에는 ’22년 발표된 제4차 우주개발 진흥계획의 5대 임무 목표 달성을 위한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과 「국가 중점우주기술 로드맵 3.0」 기획이 진행되었으며, ’24년 상반기 발표
예정이다. 「제3차 우주산업화 전략」은 우주산업의 국가 주력 산업화를 위한 R&D, 인프라
구축, 기업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국가 중점우주기술 로드맵 3.0」 발표 이후 우주 분야
∙343∙
연구개발 관리 관련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DB 구축 및 로드맵 고도화 사업이 추진된다. 또한
12대 국가핵심전략기술의 우주 부문 적용을 위한 R&D 사업도 계획 중이다.
우주 분야 주요 R&D 사업으로는 우주산업생태계 조성 및 국가전략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및 스페이스챌린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21~’30년, 총 2,115억 원)은 첨단 우주기술 국산화를 통해 국가 우주개발 역량 향상과 우주
산업 생태계 선순환 기반마련을 목적으로 현재 위성(11개)・발사체(3개) 중점기술 14개 과제를
지원 중이다. ’23년에는 항법위성용 코드/메시지 생성기 개발과 위성 탑재체 컴퓨터를 위한
ASIC 기반 멀티코어 컨트롤러 개발 등 2개 과제를 신규로 추진하였으며, ’26년에는 마이크로파
라이오미터 준광학 안테나시스템 및 저잡음수신기 및 SAR 탑재체용 디지털 빔포밍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스페이스챌린지사업」을 통해 다학제가 참여하는 창의적 우주 분야
미래선도 기술 확보를 위해 경쟁형 R&D 형태의 1개 연구주제를 도출하여 주제별 2개 과제,
총 2개 과제를 선정・지원하였고 누리호(KSLV-Ⅱ) 이후 국가 우주수송 역량의 획기적 증가를
위해 고성능 액체로켓 엔진의 설계, 제작기술 및 핵심 구성품 개발 등의 선행연구(2년, 120억
원)를 추진하여 차세대 우주발사체 개발 성공을 위한 기술확보를 지원하였다. 또한 나로우주
센터 등과 연계한 우주과학 교육・체험 시설 구축 기획 및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과제(1년, 5억)를
지원하였다.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2023년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
위원회에서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체제 구축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확정하였다.
동 사업은 2024년부터 2031년까지 발사체(전남), 위성(경남), 연구・인재개발(대전) 특화지구별
주요 인프라(민간 발사장・우주환경시험시설)와 거점센터 구축을 추진한다. 동 사업으로 국내
우주산업 인프라를 확보하고, 우주경제의 초석을 마련한다.
아울러, 2023년 신규사업인 ‘뉴스페이스투자지원사업’을 통해 우주기업의 기술 역량을
높이고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는 전용펀드 출자사업을 추진하였다. 우주산업 및 연관 산업에
해당하는 중소・벤처기업에 초기 사업화 자금을 집중 투자함으로써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동 사업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에
걸쳐 매년 정부자금과 민간자금을 매칭한 신규펀드를 결성하며, 올해의 경우에는 3월에 사업
공고를 하여 6월에 운용사를 선정하였으며 9월에 최종 펀드를 결성(총 100억 원, 정부자금
50억 원)하였다. 이후, 12월에 우주기업을 발굴하여 투자하는 등 활발하게 우주기업에 투자
하고 있다.
∙344∙
제2절 조선/해양
1. 조선
가. 개요
선박을 만드는 조선(造船)기술은 다종 다양한 기자재를 포함해 선박의 설계, 생산, 운영, 유지・
보수에 적용되는 지식 기반형 종합엔지니어링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 본격적으로
세계 조선시장에 진출하여 유럽, 일본 등 조선 선진 국가에 비해 짧은 기간에 세계 1위 조선
강국으로 도약하였다. 또한, 조선산업은 기술 인력과 기능 인력 등 전문인력을 포함한 고용창출
효과가 크고 방산・철강・해운 등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는 물론 기술 파급효과가 크며 수출
기여도가 높은 대표적인 주력산업이다.
2000년 이후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해 오고 있는 국내 조선・해양산업에 중국의 추격 심화,
일본・유럽의 미래 기술 선점 노력 등은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기반 확보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기술・기능 인력의 부족, 구조조정에 따른 조선해양산업 체력 저하, 고숙련 인력의
퇴직 등의 이슈도 현재 신규 전문 기술인력의 현장 진입을 저해하면서 향후 선박 생산능력 및
경쟁력 제고에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조선해양 산업의 지속적인 국가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 추진
과제는 2020년 12월 2030 친환경선박 추진전략, 2021년 9월 K-조선 재도약 전략, 2022년 10월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 전략, 2023년 11월 K-조선 차세대 선도전략을 통해 발표된 바 있다.
최근에는 회복세를 보이는 조선산업을 적극 지원할 수 있도록, 정부는 시황개선 및 친환경・
디지털 전환의 기회요인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인력부족 등 위협요인에는 선제적으로 대응
하면서 한국 조선산업의 시장・기술 초격차 경쟁력을 실현해나가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나. 연구개발 동향
1) 해외동향
2023년 7월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선박에서 기인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존 초기전략인 50%에서 100%로 도전적으로 상향
했다. 또한 선박 연료의 전주기 평가에 대한 지침(LCA)도 채택하였다. 온실가스 감축 이행을
위한 중기 조치는 2024년 가을 종합영향평가 최종보고서 제출 이후 2025년 가을에 채택될
예정이며 채택 시 16개월 이후 발효 예정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또한 2023년 1월부터는
∙345∙
새로 건조되는 선박뿐만 아니라 기존에 운항하던 선박까지도 에너지효율지수(EEXI)와 선박운항
탄소집약도지수(CII)의 규제를 도입하여 해양 온실가스 감축 유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노르웨이, 독일과 영국 등 북유럽 국가의 선급과 엔진 기술회사 및 연구기관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LNG 연료추진 선박에서,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 다양한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과 수소연료전지(SOFC, PEMFC 등) 및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복합적으로 사용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신뢰성・안전성 실증 평가기술로
연구를 확대하는 추세이다.
특히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암모니아 내연기관의 경우 유럽의 엔진 기술회사는 ’23년 선박용
2행정 엔진의 연소 시험을 성공한 바 있으며, ’24년 초 엔진개발을 마무리하고 당해 말까지
암모니아 이중연료 엔진을 납품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메탄올 추진엔진의 경우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고, 국제내연기관협회 회원들이 ’45년 선박용 연료 선호도에서 가장 지지받고 있지만
연소 결과물로 탄소를 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메탄올로 전환하는 합성연료(e-Fuel) 기술과 결합하여 무탄소 연료로 인정받기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선박 운항의 경제성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율운항선박 등 스마트 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지능, 빅데이터, 선박설계, 원격조종, 자율운항 등의 기술을 단계적
으로 확보하여 자율운항선박 기술의 기술적, 법・제도적,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자율운항
선박을 둘러싼 행정적 지원, 선박의 안전성과 자동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다. 관련
프로젝트로는 EU의 ‘MUNIN, EfficienSea’, 노르웨이의 ‘AUTOSEA, Milli-Ampere, ReVolt’,
핀란드의 ‘AAWA, ONE SEA’, 중국의 ‘Green-Dolphin’, 일본의 ‘MMS, SSAP’ 등이 경쟁적
으로 추진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기 위해서는 위치정보에 대한 신뢰성
강화와 사이버 보안 강화 등 추가로 해결해야 한다. 위치정보 파악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기술은 GPS와 GNSS로 단순 재밍 수준에서 지능화된 기만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는
전파교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m 이하의 정확도를 갖춘 강건한 백업 항법시스템의 탑재를
권고하고 있다. 또한 선육 간의 통신 기반의 항법 시스템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자율운항
선박의 해킹으로 인한 선박 나포, 테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 해사안전
위원회(MSC)에서 2024년 12월 선박 사이버 보안에 대한 강제코드 개발을 착수(MASS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할 예정이며, 2025년 상반기 중 코드 개발 완료 및
2026년 채택을 수행할 예정이며, 채택된 코드는 ’28년 발효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조선산업은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디지털・자동화 공정 도입으로 제조산업
∙346∙
혁신을 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설계 자동화와 생산 자동화, 생산관리 시스템 기술개발을 진행
하고 있다.
조선산업에서 설계는 영업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생산설계로 분류되며, 상세설계는 선체
설계와 의장설계로 구분이 된다. 전통적인 선박의 경우 상세설계 단계까지 생성되는 도면의
종류는 370종 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친환경선박, 자율운항선박 등 미래 선박의
경우 탑재 장비 등이 복잡하게 되어, 도면의 종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SIEMENS(독일), AVEVA(영국), HEXAGON(스웨덴), Aspentech(미국), Bentley
(미국) 등 글로벌 선진기업들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설계 소프트웨어에 디지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선박 설계 단계에서 자동화, 협업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한 선박 설계에
적용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생산자동화는 국외 기업의 경우에도 용접공정을 제외한 배재, 취부, 검사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나 부재의 용접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Inrotech(덴마크)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부재를 스캐닝하고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플로어 자동 용접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Pema(핀란드)는 4대의 겐트리 로봇을
통해 용접 작업자가 작업을 지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Kranendonk(네덜란드)는 프로파일
절단 및 패널용접, 파이프 공정에 이르는 프로세스 체인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생산자동화 시스템 적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난퉁중위안촨치선박그룹
(NACKS)은 중국 최초의 지능형 조선소로 선박 건조 공정 로봇 공정으로 전환하고 있다.
2) 국내동향
가) 친환경선박 기술
정부(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는 2020년 해양환경 규제 및 친환경 선박 新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20.1.)
하였다. 친환경선박 개발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 7월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
발통합사업단’이 출범하였고, 2022년부터 2031년까지 10년간 국비 1,783억 원을 포함하여
총 2,540억 원 규모가 투입될 예정이다.
‘친환경선박 전주기 핵심 기술개발’ 사업은 기술개발 분야와 실증 분야으로 구성되며,
△암모니아 혼소엔진, 암모니아 엔진, 연료전지 등 저탄소・무탄소 연료 및 하이브리드 추진
선박을 포함한 친환경선박 핵심기자재 및 설계 기술개발, △전기추진 선박의 시험・평가 실증
기술 개발, △친환경 연안선박 개발・실증 및 보급기반 확보, △친환경선박 국제 대응 및 국내외
표준화, 제도 개선 등을 중점 추진한다. 본 사업을 통하여 IMO의 선박 배출 온실가스 규제에
∙347∙
대비하고, 미래선박 시장 선점을 위한 새로운 조선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음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50년까지 달성해야 하는 IMO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비
하기 위한 중간 단계인 중간점검 지표에 대비하기 위해 저탄소 선박 기술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선박 배출 온실가스를 선박에서 바로 포집하기 위한 선박용 탄소포집처리장치 기술, 선박
엔진에서 불완전 연소 후 배출되는 메탄 후처리 기술, 중대형 현존선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위한
LNG, 메탄올, 암모니아 등 추진 연료시스템 개조 기술개발 등 무탄소 선박의 도입을 위한 중간
단계 규제를 대비하기 위해 ‘조선해양산업핵심기술개발’을 통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친환경선박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소재 및 기자재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을 진행
하고 있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액체 수소 운송선박의 화물창 소재
및 기자재 적용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전기추진 선박의 전동기 개발을 위한 핵심소재인
영구자석 및 드라이브 유닛 개발, 풍력 추진 선박의 시스템 및 경량 복합재・실증 기술개발 및
시험・실증 인프라구축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친환경선박 기자재의 해외 수입이 아닌
국내 공급망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기자재 공급 및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 스마트 및 자율운항 선박 기술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 디지털전환(DX) 기술을
융합하여 선박을 조종하는 선원 없이 선박이 자체적으로 최적의 항로를 결정하고 항해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 집약된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정부(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는 산・학・연
51개 기관이 참여하는 ‘자율운항선박개발사업단’을 발족하고,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약 1,600억 원을 투입해 △지능형 항해시스템 기술개발, △기관자동화시스템 기술개발, △자율
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및 실증, △운용기술 및 표준화 기술개발 등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을 통해 개발된 지능형 항해시스템, 기관자동화시스템은 2023년 진수한 자율운항선박
시험선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검증을 진행 중이며, 2024년 인도 예정인 1,800TEU급의
한・중・일 정기항로 컨테이너선에 탑재되어 실운항을 통한 시스템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친환경선박과 더불어 자율운항선박도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정부는 노력 중이다. 우리
나라는 표준 선점을 위해 국제해사기구 컨퍼런스를 진행하는 등 국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제해사기구의 비강제 자율운항선박코드(MASS) 개발에서도 수십 건의
문서를 제안하는 등 코드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은 기존 조선해운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탈피하여 ICT융합기술과의 연계를
∙348∙
통한 기술 수준 향상, 표준화 선도,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이 필요한 산업으로, 시장 선점을
통해 우리나라 조선해운산업 재도약을 이끌어갈 미래선박의 한 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다) 조선산업 디지털전환
최근 국내 조선산업은 조선산업 불황기에 산업을 이탈하여 타 산업으로 유출된 인력의 복귀가
더뎌, 숙련 작업자의 부족으로 인한 생산 공기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통 제조업으로
인식되어 새로운 생산・기술인력의 유입 또한 기피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조선소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자동화,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등 다양한 응용 기술 연구를 통해 조선소의
스마트화를 진행 중이다.
대표적인 예로 세계 최대 조선사인 HD현대중공업은 2030년까지 스마트조선소로 전환하기
위한 FOS(Future of Shipyard)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19년 대비 생산성
30% 향상, 공기 30% 개선, 낭비 제로(Zero)등을 달성하여 초격차 우위 확보를 계획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선박 생산 공정 중 마킹, 절단, 용접, 도장 및 전처리, 의장 작업 등에 20여 종의
100여 대 자동화 생산 장비를 개발하여 적용을 시도하고 있으며, 삼성중공업은 선박 소조립,
대조립 공정 분야에 6축 다관절 로봇을 적용하여 용접 자동화율을 68% 수준으로 향상하고,
수작업 대비 50% 이상 생산성 증대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내 대형조선소에 비해 중견・중소 조선소는 인력, 자본력 등의 한계로 후발국과의
기술격차 감소에 따른 수주경쟁력의 악화가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소형
조선소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통해 선박건조 공정 스마트화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선박의 설계자동화 기술개발을 위해 ‘선박해양 의장설계 디지털전환 기술개발’ 사업을 2023년
시작하여 인력이 많이 필요한 선박해양 배관 및 철의장 기본/상세설계의 디지털전환 기술을
개발 중이다. 동 사업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국비 총 23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선박 소부재의 자동 생산을 위해서는 ‘선박 소부재생산 지능화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2023년
시작하여 2026년까지 4년간 국비 총 25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동 사업은 선박의 소형
블록 생산을 자동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배재・취부・용접・검사에 이르는
소부재 생산 전과정을 디지털 기반의 생산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동 사업들의 개발이
성공 시, 국내 조선산업의 인력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비용 절감으로 국내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49∙
다. 향후 전망
조선산업은 수출・제조업 고용의 약 3%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이자, 국내 해운산업
발주량의 90%를 공급하며(2022년 기준), 철강산업 후판 생산량의 50%를 소화하는 전・후방
산업과 상호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국가 전략산업이다. 현재 국내 조선산업은 과거 불황을
딛고 전 세계 고부가 선박의 60%, 친환경 선박의 41%를 수주(2023년 기준)하며 세계 조선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안전과 환경 관련 국제규제가 단계적으로 강화되고,
온실가스저감 효과가 높은 대체연료 사용이 확대되는 등 연료체계의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우리의 주력 선종인 고부가・저탄소 선박에서 경쟁국과의 기술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미래 초격차 기술 확보, 생산・기술인력 확보, 중소 조선사・기자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조선업계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압도적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선산업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생산시스템 혁신을 달성해야 하고, 친환경연료 및 디지털기술 기반의 친환경 및
스마트 선박 등 미래선박 시장의 주요 선종 및 기술에 대한 기술경쟁력 확보의 전략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부가가치 측면에서 조선해양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형
선박과 기자재 분야의 기술력강화 및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매진해야 한다. 또한,
친환경 선박과 불가분의 관계인 자율운항선박 등 스마트 선박과 운영서비스 분야도 기술역량
고도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조선해양산업이 더 이상 노동집약적 기계제조업이 아닌 ICT 기반의 제품서비스 융합산업으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는 점을 고려하여, 산・학・연・관 등 산업생태계 주체별 분업체계를 구축하여
원천, 응용 및 실용화 기술의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대응전략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민간의 노력과 함께 정부에서는 2028년까지 총 7,100억 원의 예산을 집중투입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에 의해 민간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 및 제조
시스템 고도화를 달성할 예정이다.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을 위해서는 ‘탄소 저감 미래선박 기술
포트폴리오 확보’ 및 ‘자율운항선박 세계 선도기술 확보’, ‘핵심 기술인재 양성 및 해외 기술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며, ‘제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조선소 디지털전환(DX)・스마트화를
통한 현장 생산성 제고’를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를 추진하기 위한 근거 마련을 위해 차세대
조선산업법 등 법・제도 정비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저탄소에서
무탄소로, 자동화를 넘어 자율화로 전환되는 기술의 패러다임을 선제적으로 선박에 적용하기 위한
민관 노력이 결실을 맺어 글로벌 조선해양산업의 초격차 경쟁력이 지속 유지되길 기대한다.
∙350∙
2. 해양
가. 연구 개발사업 추진 현황 및 주요 성과
1) 개요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해상교통물류체계 구축, 해양영토 수호 및 지속가능한 해양 관리,
풍요로운 어촌・활기찬 해양을 국정과제로 정하고 해양 신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자
추진 중에 있다. 또한 국가과학기술 정책방향 7대 분야에 해양, 친환경선박, 디지털 양식 등
핵심기술이 반영되었다. 해외 주요국들도 해양산업을 경제성장의 원천으로 인식해 관련 산업의
성장을 추구하고 코로나 이후 성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은 14대 분야 국가과학
기술에 해양을 포함시키고, 해양탐사, 도면제작, 배타적경제수역 관리 등에 집중 투자 중에 있다.
미국은 대서양 지역의 해상풍력 발전을 촉진하고, 공급망 강화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30년까지 30GW 해상풍력 배치를 위한 안정적인 공급방안 제공을 목표로 한 대서양지역
해상풍력 송전시스템 개발 실행계획을 발표(’23)했다. 중국은 “칭다오시 해양인재 집성 행동
계획(’23)”을 기반으로 해양과학기술 및 해양연구 인력 집성지인 칭다오의 위상을 강화하여
해양인재 메카로 조성하고자 하며 해양인재 60만 명, 과학기술최고인재와 혁신단 100명, 청년
과학기술 인재 500명 집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일본은 종합적인 해양안보와 지속
가능한 해양구축(탄소저감)을 중점 추진사항으로 “제3차 해양기본계획”을 수립(’23)하였으며,
EU는 민관 협력형 R&D로 국제표준선도와 스마트항만을 통해 항만물류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타 노르웨이에서는 Green Voyage 2050 프로젝트 추진, 싱가포르는 완전
자동화 항만 구축(∼’40) 등 항만물류 분야 디지털・그린 대전환을 위해 지속 투자 중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에 근거,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2017~2022) 이후 향후 5년간의 해양수산 R&D 분야 중점기술 개발전략, 실용화 및 상용화,
연구 투자방향, 인력양성 등을 포괄하는 법정계획인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기본계획
(’23~’27)을 수립하였다. 2023년은 제2차 기본계획 “오션디지털・탄소중립 대전환”,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민간성장 동력강화”, “해양강국 R&D생태계 조성” 등 4대전략에
따른 해양 연구개발 분야의 투자를 본격화하는 한해였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2023년도 해양수산부의 해양(극지포함) 분야 정부 R&D 투자액은 6,381억 원으로 2022년도
투자액 5,954억 원 대비 427억 원이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8%이며, 정부
∙351∙
전체 R&D 투자액 대비 2.1% 수준에 해당한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선진국의 전체 R&D 예산
대비 해양수산 R&D 예산 비중이 5.1~11.4%인 수준10)(’20년 기준)임을 고려하면, 지속적인
해양수산 R&D 투자 규모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표 3-22> 해양 R&D 연도별 투자동향
(단위 : 억원,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해양 R&D 4,370 4,873 5,292 5,954 6,381
정부 R&D 205,328 242,195 274,005 297,770 306,574
해양 R&D 예산 비중 2.1 2.0 1.9 2.0 2.1
해양연구개발사업(극지포함)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관리하는 공모형 사업과 한국해양
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의 기관 지원을 위한 연구기관 지원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기준으로 공모형 사업은 해양 R&D의 61.8%인 4,075억 원이 투자
되었으며, 연구기관 지원사업은 36.1%인 2,306억 원이 투자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분야의 경우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KPS) 개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등 탄소저감・디지털
전환을 위한 1,987억 원(31.1%)을 투자하였으며, 해양바이오, 헬스케어 등 고령화와 산업인력
감소에 대응하는 한편, 국민들의 해양안전 향상, 미래 해양자원 확보 추진을 위해 1,745억 원
(27.3%), 창업부터 유니콘까지 완결형 벤처생태계를 구현하고, 공공연 및 지역・국제기구를
포함하는 연구 협력체계 구축 등 “민간 성장 동력 강화” 분야에 310억 원(4.9%), 해양수산
R&D의 질적 성장 체제로 전환, 데이터・인프라 공유체계 확립 등 R&D 생태계 조성, 성장단계별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에 2,306억 원(0.5%)을 투자하였다.
<표 3-23> 해양 R&D(극지포함) 분야별 투자비중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2023년
투자액 비중 투자액 비중
공모형
R&D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1,644 28.9 1,987 31.1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1,358 23.9 1,745 27.3
민간 성장 동력 강화 260 4.6 310 4.9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29 0.5 33 0.5
연구기관 지원 등 2,391 42.1 2,306 36.1
합 계 56.8 63.8
10) 주요국 해양수산 R&D 투자동향 분석연구(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2023)
∙352∙
2023년 공모형 해양 R&D는 총 80개 세부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분야에 11개 신규사업,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분야에 7개 신규사업 등 총 18개
신규 세부사업이 추진되었다.
<표 3-24> 2023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총계 5,434 5,931
1.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1,644 1,946
무인항공기 기반 해양안전 및 수산생태계 관리 기술 33 -
LNG 벙커링 핵심기술 개발 및 체계 구축 31 -
조류발전 청정재생에너지 시스템 개발 21 -
해양청정에너지기술개발 41 40
스마트 자동화 항만 상용화 기술개발 4 5
선박배출 미세먼지 통합저감 기술개발 48 19
대규모 CCS 통합실증 기반 구축(다부처) 41 21
수소선박안전기준개발 51 51
전기추진 차도선 및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개발 22 19
해양PNT고도화기술개발 58 33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127 101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개발 및 실증 91 79
선체부착생물 처리기술 개발 50 50
스마트 항로표지 및 연계기술 개발 73 75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 56 63
해상디지털 통합활용연계 기술개발 61 51
해양플랜트 친환경 해체 실용화 기술개발(다부처) 186 9
해양 기후변화 진단 및 장기전망 연구 24 32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68 113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 조성 기술개발 58 112
중소선박 보급형 온실가스 등 저감장치 개발 34 47
해양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생산기술개발 31 65
내항선박 연료전환 및 효율향상 기술개발 44 42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다부처) 24 24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135 368
자율협력주행기반 화물운송시스템 개발 및 실증 22 91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19 36
수출입 물류 항만-내륙연계 기술개발 52 81
항만 하역장비 자동화 시스템 기술개발 63 64
컨테이너 스마트화 및 자동통합검색 기술개발 78 69
∙353∙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신규)LNG 벙커링 동시작업 기술개발 - 9
(신규)갯벌공간 정보변화 모니터링 기술개발 - 18
(신규)순환적응형 연안침식관리 기술개발 - 20
(신규)스마트 선박 용수로정보 표준개발 - 20
(신규)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파력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 20
(신규)해양 디지털 항로 실증기술개발 - 12
(신규)국제표준 기반 지상파-위성 통합VDES체계 기술개발 - 13
(신규)암호화 사이버위협 대응기술 연구개발 및 실증 - 20
(신규)선박배출 온실가스(GHG) 통합관리 기술개발 - 20
(신규)해양CCS 중규모 실증을 위한 해양환경평가・감시체계 및 기반기술개발 - 30
(신규)용융염원자로(MSR) 혁신기술개발 - 4
2.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1,211 1,218
해양과학조사 및 예보기술개발 116 -
안전한 항만 구축 및 관리기술 개발 71 -
해양수산환경 기술개발 46 21
극지 및 대양과학 연구 102 60
해양 장비연구 성과활용 촉진 72 45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83 64
ICT 기반 항만인프라 스마트 재해대응 기술개발 53 36
해양위험유해물질(HNS) 배출 등 관리기술개발 40 76
스마트 해양조사 및 정보 활용 기술개발 78 83
EEZ관심해역 및 해양과학 탐사기술개발 94 73
관할해역 첨단 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융합연구 53 41
심해저 광물자원 기술개발 38 39
과학기술 기반 해양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 65 58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반응・변화연구 26 35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 32 64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대응 및 관리 기술개발 73 87
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 개발 38 44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친환경 선박 개발 및 실증 18 21
해저공간 창출 및 활용 기술개발 33 41
해양레저장비 및 안전기술 개발 20 40
천리안 2B호 산출물 정확도 향상 연구 34 63
머신러닝 기반 해저면 특성 분류 기술개발 23 45
(신규)기후변화 예측력 향상을 위한 대양 연구 - 55
(신규)고품질 준실시간 해양 그리드 데이터서비스 체계개발 - 17
(신규)쿠로시오 해류로 인한 한반도 해양위기 대응기술개발 - 21
(신규)해양 무인시스템 실증시험・평가 기술개발 - 20
∙354∙
* 극지개발 분야 공모형 R&D 사업 제외
나) 주요 연구성과
2023년도 해양R&D의 SCI 논문 연구성과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혁신법 시행, 기술료
감면 연계 청년채용 시행 등으로 기술이전, 기술료 및 사업화 실적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3-25>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단위 : 건, 백만 원)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SIC 논문 628 670 737 753 786
기술이전 계약 148 114 97 130 120
기술료 3,482 1,986 1,955 1,625 1,954
※ 해양수산 R&D 중 공모형 R&D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종료사업 포함), 2023년 성과는 예측치
2023년 해양 분야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 2건의 성과가 선정되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의 주성분인 이타콘산의 효율적인 생산공정 구축으로 석유화학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개발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술용
봉합사가 필요없는 새로운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을 통해 신경봉합과 조직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의료산업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기술은 현재 제품개발을 통해 현실화를 앞두고 있다.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신규)해저 활성단층 특성 규명 연구 - 10
(신규)해양 방사능 오염사고 대비 신속탐지・예측기술 개발 - 28
(신규)4대강 물길복원에 따른 연안 하구역 환경, 생태계 모니터링 및 활용 기술 개발 - 14
3. 민간 성장 동력 강화 260 310
해양산업 수요기반 기술개발 55 -
해양수산산업 핵심 기자재 국산화 및 표준화 기술개발 86 105
해양수산 기술창업 Scale-up 70 99
해양수산 신산업 기술사업화 지원 49 106
4.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29 33
정책연구개발 9 9
해양수산 과학기술 국제협력 고도화 기술개발 20 24
5. 연구기관 지원 2,391 2,48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운영지원 855 830
극지연구소 운영지원 894 942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운영지원 400 457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운영지원・기획평가관리비 241 255
∙355∙
바이오플라스틱 원료인 이타콘산 전구체 생산 홍합접착단백질을 활용한 의료 접착제
[그림 3-67] 해양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분야별 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주요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션디지털・친환경
대전환” 분야에서는 액화수소 기반 레저어선의 설계 AIP 인증(KR선급)을 획득하였으며, 액화
수소 운송선 화물창 설계기술 개발 및 수소 확산 및 폭발 특성 분석에 대한 IMO 의제문서
개발을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에 기여했다. 그리고 세계 최대 규모인 30MW급 전기
추진선박 시험평가 설비의 시험평가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구축 공사에 착수했으며 세계 최초・
최대 규모 해양바이오수소 실증플랜트 연속운전으로 수소 대량생산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편,
항만-선박 운영 최적화를 위한 입출항 시나리오, 디지털포트 시뮬레이션, 항만-선박 운영 최적화
등 서비스 시나리오 설계・개발과 표준 성능평가 및 인증체계 가이드라인 개발 등의 성과를
창출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친환경선박 전환율 15% 달성, 항만 자동화 운영시스템 운영
으로 2만5천TEU급 선박처리시간을 24시간 내 완료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두 번째 전략인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분야의 성과는 인도양 중앙해령 수심
2,000m 해저산 시험 시추, 서태평양 고코발트 망간각 실해역 탐사 투입으로 해저산에서 총
66회 망간각 시추를 진행하고 63개 코어시료 획득을 완료하였다. 해양방사능 오염사고대응을
위해 해양방사능 유출 사고 시 해양방사능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는 신속 분석 방법 개발 및
선상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선상 신속 분석 시스템 현장 적용을 통해 국내 방사능 유입
경로해역 모니터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육・해상기인 해양쓰레기
발생요인 및 발생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육상과 해상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해 쓰레기 수거선을
제작하고 해변의 미세플라스틱 수거를 위한 자가이동형 및 휴대형 수거장비 시제품 제작을
완료하였다.
“민간성장 동력강화” 분야에서는 기업역량 제고 및 시장창출 산업생태계 활성화 마련을
위한 해양신산업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지원함으로써 실용화 성과 창출에 기여
∙356∙
하였다. 탄소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선박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을 대상으로 실증한
결과 탄소배출량 5%이상 절감에 기여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개발된 기술을 기업에
이전한 사례도 있다. 해녀 어업지원 스마트 안전시스템 시제품의 개발 및 핵심기술의 확보,
기술이전을 통한 제품 성능인증 및 현장 적용성을 확보했다. 뿐만 아니라 해수온도차 발전의
출력성능 평가를 위한 국제표준을 세계 최초로 제안함으로써 해양수산산업 기자재 표준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양강국 R&D 생태계 조성” 분야에서는 ‘해양수산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센터
(KIMST)’를 지정・운영하여 신규 과학기지, 선박, 장비운영, 기술지원 등 공동활용 지원사업
수행을 통해 연구인프라 공동활용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글로벌 해양수산 협력과 전략적
제휴를 위해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국제이슈 과제지원, 국제해사기구(IMO) 규제강화에
따른 친환경전환관련 의제 발굴 등 국제기구 중심의 국제협력을 추진하였으며, 한・ACS해양
과학공동연구센터의 운영을 통해 해양환경 보존, 친환경 해양개발 등 해양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고 국제사회에서의 공동관심 분야에 대한 공조강화를 위해 노력했다. 이를 통해 해양
과학의 영역을 태평양과 인도양, 북극해와 남극해에서 대서양까지 확대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3) 향후 계획
2023년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3~’27)에 따라 친환경・디지털 전환 및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기술개발이 중점 추진되었다. 향후에는 국가 투자의 효율적 배분과 역량
결집을 위해 연안 광역시・도별로 특성화 기술과 신산업 과제를 발굴・지원하고 해양수산 과학
기술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 10대 플래그십,
12대 국가전략기술, 17대 탄소저감기술, 정책현안・지역협업, 글로벌 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공백
기술 수요를 발굴하여 해양수산 R&D 투자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3. 극지개발
가. 연구 개발사업 추진 현황 및 주요성과
1) 개요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International Arctic Science Committee)와 남극연구과학
위원회(SCAR,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는 남・북극 연구의 과학적
우선순위와 조언을 제공하는 국제기구이다. 국제북극과학위원회는 제3차 북극연구계획에 관한
∙357∙
회의(ICARP Ⅲ,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rctic Research Planning)를 통해 북극
연구의 로드맵과 우선순위를 발표하였으며, 2018-2023년 동안 국제 북극연구전략의 기본
방향을 제시해왔다. 이후 위원회의 액션그룹 활동을 통해 전략을 수정 및 업데이트하였고,
2023-2026의 3대 북국연구전략인 ‘북극연구 협력 촉진’, ‘과학활동 참여 촉진’, ‘지식교류의
보장’을 제시하였다. SCAR는 2022년 9월 제37차 총회에서 2023-2028 남극전략계획을 발표
하였다. 주요 내용으로 ‘과학적 리더십 강화’, ‘정책 입안자에게 과학적 조언 제공’, ‘데이터 접근과
샘플 공유 장려 및 촉진’ 등 향후 5년 동안 달성하고자 하는 7대 전략과 이를 위한 5개 이행
계획을 수립하였다.
국제 남・북극 연구 로드맵에 발맞추어 대한민국의 남・북극 활동 체계와 투자 계획을 마련
하는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2023~2027)과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
(2023~2027)이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수립되었다. 이들 기본계획은 극지 대기, 해양, 빙권,
환경변화 연구를 통해 극지 변화가 초래하는 전 지구적 영향 진단 및 예측, 신성장 동력 창출,
미답지 개척 등에 관한 주요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 등 글로벌 현안 대응에 필요한
자료 확보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와 한국형 내륙 연구 거점 구축・
운영에 관한 투자를 강조하고 있다. 정부 투자와 국민적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대한
민국의 남・북극 진출 및 과학활동의 범위가 확대될 것이며,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
계획(2023~2027) 12대 추진과제 가운데 하나인 ‘해양・극지 개척으로 해양과학영토 확대’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2023년도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극지 분야 연구개발사업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관리하는 공모형 R&D 사업과 극지
연구소 기관 지원을 위한 운영지원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도 총 연구개발사업 투자액은
155,800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42.1%가 증가하였다. 공모형 R&D 사업은 ‘오션 디지털・
친환경 대전환’과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세부사업에 반영되어 있으며, 2023년
투자규모는 61,638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206% 증가되었다.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세부사업에는 ‘급격한 남극 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지구 해수면 상승 예측기술 개발’을
위해 4,060백만 원 규모의 신규 사업이 착수되었다. 신규 사업은 최근 10년간 남극 빙상
융해가 세 배 이상 가속화되는 심각성을 반영하여, 남극 빙상 융해에 따른 재해 영향 최소화를
위한 해수면 상승 예측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세부
사업의 2023년 투자규모는 57,578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186%가 증가하였다. 2023년도
사업비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착수 2년차에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358∙
사업’의 기본설계, 선행 기반기술 개발, 선박건조 착수 등을 위한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되었
다는 점이다. 극지연구소 운영지원 사업이 담긴 ‘민간 성장 동력 강화’ 세부사업의 2023년도
예산은 94,162백만 원으로 2022년 대비 5.3%가 증가하였다.
<표 3-26> 2023년 극지 분야 세부사업 현황
(단위: 백만 원)
사 업 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총계 109,611 155,800
1. 오션 디지털・친환경 대전환 - 4,060
(신규)급격한 남극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 지구 해수면상승 예측기술개발 - 4,060
2. 파도를 넘는 위기대응 미래 R&D 20,167 57,578
극지 해양환경 및 해저조사 연구 8,604 8,304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 이동체 시스템 기술개발(다부처) 2,713 2,207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3,350 42,190
극지 유전자원 활용기술 개발 5,500 4,877
3. 민간 성장 동력 강화 89,444 94,162
극지연구소 운영지원 89,444 94,162
제2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에서 극지연구소의 핵심임무는 ‘기후
변화에 의한 극지 환경 변화 감시와 원인규명’, ‘극지역 온난화가 초래하는 국가・사회문제 해결’,
‘극지연구 신성장 동력 및 실용화 성과 창출’, 그리고 ‘미답지 진출 및 신연구영역 개척’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 핵심임무는 2020년 수립된 극지연구소 R&R의 4가지 상위역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극지연구소 고유기능에 부합하는 중장기 전략사업인 기관고유사업의 세부과제에
구체적인 연구 내용이 담겨져 있다.
극지연구소 기관목적사업은 4개의 세부과제와 연구정책지원사업으로 구성되며, 4개의
세부과제는 16개의 연구과제로 나뉜다. 기관목적사업의 직접비 기준 2023년도 총 연구비는
20,145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2.9%가 감소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세부과제1) 기후변화에 의한 극지환경변화 감시와 원인규명’의 과제수는
7개로 2023년도 예산은 8,759백만 원이다. ‘(세부과제2) 극지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연구와
사회문제 해결’의 과제수는 3개로 2023년도 예산은 2,400백만 원이다. 대부분의 과제 연구비가
2022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북극한반도 통합 재해기상 예측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과제의 2023년도 연구비는 2022년 대비 59.1%가 증가한 1,004백만 원이다. 이는
최근 북극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재해기상 발생의 상관관계가 발표됨에 따라 북극-한반도 통합
재해기상 예측 시스템 구축에 투자를 확대한 결과이다. ‘(세부과제3) 극지연구 신성장 동력과
실용화 성과 창출’의 과제수는 5개로 2023년도 예산은 4,225백만 원이다. 또한 ‘(세부과제4) 극지
미답지 개척 및 탐사기술 개발’의 과제수는 3개로 2023년도 예산은 3,979백만 원이다.
∙359∙
<표 3-27> 2023년 극지연구소 기관고유사업별 투자현황
(단위 : 백만 원)
세부과제명 ’22년 예산 ’23년 예산
총계 20,740 20,145
합계 19,958 19,363
(세부과제1) 기후변화에 의한 극지환경변화 감시와 원인 규명 9,086 8,759
남극권 맨틀활동과 지체구조 진화 연구 1,880 1,779
과거 온난기의 서남극 빙상 후퇴 및 해양 순환 변화 연구 996 974
국제심부빙하시추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기-빙상 상호작용의 자연적・인위적 특성 규명 1,135 1,007
오로라 발생과 극지 고층대기 변동성과의 상관관계 규명 579 565
서남극해 온난화에 따른 탄소흡수력 변동 및 생태계 반응 연구 1,882 1,936
온난화로 인한 극지 서식환경 변화와 생물 적응진화 연구 1,501 1,400
환경변화에 다른 남극 육상생물의 생리생태 반응 규명 1,113 1,098
(세부과제2) 극지환경변화에 따른 영향 연구와 사회문제 해결 2,108 2,400
남극 기후 환경 변화 이해와 전지구 영향 평가 801 766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북극-한반도 통합 재해기상 예측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631 1,004
북극 빙권변화 정량 분석을 위한 원격탐사 연구 676 630
(세부과제3) 극지연구 신성장 동력과 실용화 성과 창출 4,469 4,225
극지 바이오신소재 상용화 구축 사업 864 810
얼음의 미세구조 특성연구를 통한 저온 정화기술 및 환경/에너지 신소재 개발 1,135 1,169
포스트 극지유전체 프로젝트 : 극지 유용유전자 발굴을 위한 기능유전체 연구 769 749
국내 학・연 극지연구진흥 프로그램(PAP) 1,201 1,057
국내 산・연 극지공동연구 프로그램(PIP) 500 440
(세부과제4) 극지 미답지 개척 및 탐사기술 개발 4,295 3,979
남극내륙 연구거점 구축과 기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빙원탐사 2,742 2,498
남극 David 빙하 빙저호 지구물리 탐사기술 및 열수시추 기술개발 936 824
고환경 및 동물 진화 연구를 통한 북그린란드 미답지 진출 617 657
합계 782 782
연구정책지원사업 782 782
나) 주요 연구성과
극지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는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등의 현안 해결을 위한 데이터
축적과 과학적・정책적 분석 결과 도출’, ‘국제 극지과학 거버넌스 내 과학외교를 통한 영향력
확보 및 국가 위상 강화’, ‘극지 자원 활용 기술 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 등이 있다.
공모형 R&D 사업을 통해 나온 대표적인 성과로는 아라온호 탐사를 통해 ‘북극해 해양생태계
에서 주변 지역 강물의 유입에 따른 북극해 어장지도가 바뀌고 있음’을 밝히거나, ‘남극 빙붕
하부로 열이 전달되는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남극 빙붕의 붕괴 원인을 설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360∙
‘극지방의 빙하가 녹을 경우 2050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약 3.6cm가 오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 대한민국 인천은 지구 평균보다 10% 높은 약 4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극지연구소 기관고유사업을 통해 나온 성과 가운데 2023년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서
2건의 연구결과가 선정되었다. 첫 번째 성과는 ‘지구온난화 영향에도 불구하고 남극 바다 얼음이
증가하는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에너지・환경 분야의 우수 성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남극 해빙 증가의 원인을 자연 발생과 인간 활동에 의한 변화로 구분함으로써 남극 미래
예측의 정확도와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성과는 ‘남극 빙하를 녹이는
바닷물의 계절변동성을 최초로 규명’하여 생명・해양 분야의 우수 성과로 선정되었다. 이는 남극해
해수 순환 변동성과 빙붕 융해과정의 이해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향후 남극 빙하 사라지는 속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지구온난화에 반하는 남극 바다 얼음의 증가 원인 규명
(Nature Climate Change, ’22.4월)
남극 빙하 녹이는 바닷물 계절변동성 최초 규명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2.3월)
[그림 3-68] 2023년 극지 분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이 외에도, ‘남극에서 꽃을 피우는 식물이 곰팡이에 감염되어 병든 사례를 세계 최초로 확인’
하여 최근 남극의 이상고온을 통해 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활성화를 추정하거나, ‘빙하가 녹아
연안으로 유입되는 담수로 인해 남극해의 탄소보관기능에 문제 발생’ 혹은 ‘남극 대기 중 극초
미세먼지가 기후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름형성과정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국제사회에 알리기도 하였다. 국내 산・연 극지공동연구 프로그램(PIP)을 통해 “다중
센서 검보정 및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공동연구기관에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극지
기술을 활용한 산업화 기반도 마련하였다. 2022년 온난화로 인해 장보고기지 앞 테라노바만
해빙이 깨지고, 해빙 활주로를 활용한 인프라 사용이 불가하여 중단되었던 남극내륙 진출루트
∙361∙
개척이 2023년 재개되었다. 그 결과로 ‘장보고기지-3대 연구거점-내륙기지 후보지’를 잇는
총 길이 2,200km의 코리안루트 개척이 완료되어, 향후 세계에서 6번째 내륙기지 건설의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3) 향후 계획
최근 극지활동에 관한 정부정책 추진의 핵심 내용은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현안에 대응
하기 위해 극지의 미지 영역을 개척하고 과학영토를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제1차 극지
활동 진흥 기본계획(2023~2027)의 ‘미지의 영역 개척을 통한 미래 연구 도전’, △제5차 과학
기술기본계획(2023~2027)의 ‘우주・해양・극지 개척을 통한 과학영토 확대’, △제2차 해양수산
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의 ‘극지・대양 등 미지영역 개척’은 이러한 정책동향을
반영한다. 뿐만 아니라, 극지연구는 어느 한 국가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특수성이 있는
연구 분야로 공동의 글로벌 현안 해결을 위해 대부분의 연구가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정책 의지와 연구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가 이루어진다면,
△2050 북극활동 전략(2021)에서 제시된 ‘2050 북극 거버넌스 선도국가 도약’과 △제4차
남극 연구활동 진흥 기본계획(2022~2026)의 ‘남극 연구 10대 선도국 그룹 진입’의 비전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363∙
∙365∙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및 우수사례
제1절 주요 과학기술 통계(주요통계 및 연구시설 장비현황 포함)
1. 주요 과학기술 통계 지표
가.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원 수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연구개발
투자
총 연구개발비(억 원)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930,717 1,021,352 1,126,460
GDP대비(%) 3.98 3.99 4.29 4.52 4.63 4.80 4.91 5.21
정부・공공 : 민간・외국 25:75 24:76 23:77 21:79 21:79 23:77 24:76 23:77
정부연구개발예산(억 원) 189,361 191,492 195,018 197,483 208,531 242,558 275,072 295,138
연구원 수
연구원 수(명) 453,262 460,769 482,796 514,170 538,136 558,045 586,666 601,530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
(FTE기준, 명)
13.2 13.3 13.9 14.7 15.4 16.0 16.7 17.0
연구원 1인당 연구비(천원) 145,522 150,630 163,194 166,732 165,473 166,782 174,094 187,266
주 : 추경예산 및 수정된 기금운용계획 기준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나.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원 수 국제 비교
구 분
한국
(2022)
미국
(2021)
일본
(2021)
독일
(2021)
프랑스
(2021)
영국
(2021)
중국
(2021)
연구개발
투자
총연구개발비(억 US달러) 872.3 8,060.1 1,649.7 1,338.7 656.4 910.1 4,335.0
GDP대비(%) 5.21 3.46 3.30 3.13 2.22 2.91 2.43
연구원
수
연구원수
(FTE 기준, 천 명)
489
1,493
(’20)
705 462 334
296
(’17)
2,406
인구천명당 연구원 수
(FTE 기준, 명)
9.4
4.5
(’20)
5.6 5.5 4.9
4.5
(’17)
1.7
자료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6∙
다. 과학기술논문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인구 만명당 과학기술논문(SCI) 수(편)
(2022)
14.7 13.5 7.3 15.6 11.9 22.3 5.1
연구원(FTE) 백명당 과학기술논문(SCI) 수(편)
15.57
(’22)
35.25
(’20)
14.67
(’21)
32.85
(’21)
28.68
(’21)
50.58
(’17)
26.85
(’21)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 횟수
(2018~2022)
9.26 10.83 8.35 11.01 11.15 11.69 9.89
자료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3-9)
KISTEP,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라. 과학기술성과 국제비교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특허(2020) 삼극특허(건) 3,379 13,294 17,053 4,454 1,875 1,732 6,039
하이테크무역(2021)
수출액
(A, 억 달러)
1,717
(’20)
3,867 1,209 2,971 1,186 960 9,943
수입액
(B, 억 달러)
1,118
(’20)
6,771 1,687 2,631 1,189 1,124 8,040
무역수지비
(A/B)
1.54
(’20)
0.57 0.72 1.13 1.00 0.85 1.24
무역수지액
(억 달러)
599.5
(’20)
△2904.9 △478.5 340.1 △3.4 △164.6 1902.8
IMD평가(2023)
국가경쟁력순위 28 9 35 22 33 29 21
과학경쟁력 2 1 8 3 15 9 10
기술경쟁력 23 12 33 36 15 29 9
자료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3-9)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7∙
2. 연구개발 투자
가. 총연구개발비
1) 재원별 연구개발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8∙
2) 주요국 재원별 연구개발비 비중
주 : 중국의 비중 합계는 100.0%가 되지 않음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추이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69∙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 주요국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0∙
5) 우리나라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추이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1∙
6) 주요국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주 : 미국, 프랑스, 일본은 기타 부문이 제외되어 있어 합계가 100.0%가 되지 않음, 영국은 최근 자료갱신으로 데이터
미제공
자료 : OECD,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istics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7) 우리나라 지역별 연구개발비 추이
(단위 : 억 원)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서울 107,027 96,356 100,306 104,839 131,697 134,754 134,449 144,320 162,043 176,885
부산 9,655 11,048 12,862 12,417 14,033 15,449 15,817 16,968 17,627 20,377
대구 8,212 9,705 11,040 11,958 12,380 13,258 13,360 13,641 14,876 15,784
인천 21,328 22,829 24,996 23,895 25,482 27,613 28,459 29,366 32,270 36,029
광주 5,937 6,798 7,332 8,353 7,933 9,010 8,269 9,539 11,089 11,293
대전 59,401 63,330 66,551 72,741 76,985 79,922 77,059 88,737 94,428 103,791
울산 7,405 8,153 9,723 8,015 7,299 11,103 11,100 10,672 11,900 13,079
세종 1,881 3,925 4,887 4,685 4,837 5,171 5,941 6,115 6,534 7,513
경기 273,095 310,330 318,390 330,506 384,625 436,153 459,348 470,451 519,571 577,028
강원 3,565 3,705 4,142 3,921 4,503 4,818 5,172 5,551 6,859 7,635
충북 10,598 12,539 13,797 21,054 22,129 16,287 16,595 19,217 21,307 24,874
충남 26,282 23,238 22,837 29,801 25,614 25,878 34,752 36,651 36,330 41,164
전북 8,751 8,705 8,043 9,003 10,322 10,846 11,217 12,361 14,112 14,756
전남 6,456 7,485 5,739 5,198 5,491 6,608 7,238 7,041 8,143 9,464
경북 21,355 26,966 26,680 24,177 28,468 30,204 28,054 26,871 27,751 31,953
경남 20,749 20,620 20,948 21,937 24,537 28,625 31,895 30,898 34,080 32,555
제주 1,313 1,609 1,320 1,555 1,560 1,590 1,744 2,316 2,433 2,278
합계 593,009 637,341 659,593 694,055 787,892 857,287 890,471 930,717 1,021,352 1,126,46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2∙
8)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단위 : 억 원)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IT(정보기술) 202,612 219,391 213,099 234,879 287,317 307,329 330,158 348,158 391,210 437,861
BT(생명공학기술) 45,043 48,097 59,946 56,137 62,111 66,401 76,262 89,162 103,754 116,987
NT(나노기술) 78,193 83,587 86,609 85,499 76,201 87,377 88,185 94,129 101,368 112,952
ST(우주항공기술) 7,312 7,088 13,049 12,230 11,603 14,789 15,436 16,671 15,260 17,046
ET(환경기술) 60,359 65,577 62,271 62,777 70,009 79,636 77,641 88,952 101,260 112,180
CT(문화기술) 4,346 4,917 7,027 9,365 7,841 8,075 8,098 8,277 10,602 11,113
기타 195,145 208,683 217,592 233,169 272,810 293,680 294,691 285,368 297,899 318,321
합 계 593,009 637,341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930,717 1,021,352 1,126,46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3∙
나. 기업부문 연구개발 현황
1)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연구개발비 추이
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4∙
2)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추이
주 : 중소기업은 비벤처 중소기업을 의미(통상적인 의미에서 중소기업은 ‘중소, 벤처기업’)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주 : 중소기업은 비벤처 중소기업을 의미(통상적인 의미에서 중소기업은 ‘중소, 벤처기업’)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5∙
3) 우리나라 기업용도별 연구개발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6∙
4) 연구개발투자 세계 Top 50 기업(2022년)
순위 기업명 국가 순위 기업명 국가
1 ALPHABET 미국 26 NVIDIA 미국
2 META 미국 27 ELI LILLY 미국
3 MICROSOFT 미국 28 STELLANTIS 네덜란드
4 APPLE 미국 29 SANOFI 프랑스
5
HUAWEI INVESTMENT &
HOLDING
중국 30
CHINA STATE CONSTRUCTION
ENGINEERING
중국
6 VOLKSWAGEN 독일 31 BAYER 독일
7 SAMSUNG ELECTRONICS 한국 32 CISCO SYSTEMS 미국
8 INTEL 미국 33 HONDA MOTOR 일본
9 ROCHE 스위스 34 SAP 독일
10 JOHNSON & JOHNSON 미국 35 ABBVIE 미국
11 MERCK US 미국 36 NTT 일본
12 PFIZER 미국 37 IBM 미국
13 GENERAL MOTORS 미국 38 SIEMENS 독일
14 ASTRAZENECA 영국 39 GSK 영국
15 BRISTOL-MYERS SQUIBB 미국 40 SONY 일본
16 TOYOTA MOTOR 일본 41 BOEHRINGER SOHN 독일
17 NOVARTIS 스위스 42 TAIWAN SEMICONDUCTOR 대만
18 MERCEDES-BENZ 독일 43 SALESFORCE 미국
19 TENCENT 중국 44 ADVANCED MICRO DEVICES 미국
20 ORACLE 미국 45 GILEAD SCIENCES 미국
21 QUALCOMM 미국 46 BROADCOM 미국
22 ALIBABA GROUP HOLDING 중국 47 NOKIA 핀란드
23 ROBERT BOSCH 독일 48 TAKEDA PHARMACEUTICAL 일본
24 FORD MOTOR 미국 49 ERICSSON 스웨덴
25 BMW 독일 50 AMGEN 미국
자료 : European Commission, The 2023 EU Industrial R&D Investment Scoreboard,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7∙
다. 정부 연구개발비
1) 정부 연구개발 예산 추이
주 : 추경예산 및 수정된 기금운용계획 기준
자료 : KISTEP,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주요국 정부 연구개발 예산 비교
(단위 : 백 만 US달러,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정부R&D예산 15,660 16,852 16,743 16,497 17,243 17,950 17,894 20,551 24,046 22,853
GDP 대비 1.14 1.14 1.14 1.10 1.06 1.04 1.08 1.25 1.33 1.37
미국
정부R&D예산 109,608 112,502 115,220 126,093 127,306 144,459 149,971 169,901 161,885 169,938
GDP 대비 0.65 0.64 0.63 0.67 0.65 0.70 0.70 0.81 0.69 0.67
일본
정부R&D예산 36,987 34,464 28,730 32,786 39,729 43,215 52,590 86,167 74,529 71,454
GDP 대비 0.71 0.70 0.65 0.66 0.81 0.86 1.03 1.71 1.49 1.69
독일
정부R&D예산 33,696 33,901 29,439 31,380 34,072 37,507 38,057 42,457 47,844 45,371
GDP 대비 0.90 0.87 0.88 0.90 0.92 0.94 0.98 1.09 1.12 1.11
프랑스
정부R&D예산 19,896 19,686 15,726 15,550 16,660 18,376 18,115 19,427 20,887 18,849
GDP 대비 0.71 0.69 0.64 0.63 0.64 0.66 0.66 0.74 0.71 0.68
영국
정부R&D예산 15,611 16,747 15,515 13,953 14,098 15,767 15,540 17,955 19,293
GDP 대비 0.56 0.55 0.53 0.52 0.53 0.55 0.54 0.66 0.62
주 : 한국의 정부R&D 예산은 KISTEP 자료에 수록된 원화에 OECD(https://data.oecd.org/)에 수록된 대미환율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외 국가는 MSTI (2023-9)에 수록된 예산과 대미환율을 활용하여 산출
자료 : KISTEP,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각 연도)
그 외 국가 OECD, Main Science&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78∙
3) 우리나라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2020년-2023년)
구 분 2020년1) 2021년1) 2022년(A) 2023년(B)
증감
(B-A)
연평균
증가율
%
정부연구개발예산(A+B+C)
242,195
(242,558)
274,005
(275,072)
297,770
(295,138)
310,778 13,008 4.4
예산(A+B)
224,431
(224,494)
253,921
(254,988)
272,407
(270,066)
286,349 13,942 5.1
- 일반회계(A)
178,556
(178,935)
198,864
(199,931)
214,752
(213,721)
205,286 △9,466 △4.4
- 특별회계(B)
45,874
(45,559)
55,056
(55,056)
57,655
(56,345)
81,063 23,408 40.6
기금(C)
17,764
(18,064)
20,085
(20,085)
25,363
(25,072)
24,429 △933 △3.7
주 : 1) 괄호 안은 추경예산 및 수정된 기금운용계획 기준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4) 우리나라 부처별 정부연구개발사업 투자액 추이
(단위 : 억 원, %)
구 분 2022(A) 2023(B) 증감(B-A) 증감률(B/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92,799 96,558 3,759 4.1
산업통상자원부 53,248 54,324 1,075 2.0
방위사업청 48,310 50,823 2,513 5.2
교육부 24,331 28,804 4,473 18.4
중소벤처기업부 17,888 17,701 △188 △1.0
농촌진흥청 8,533 9,022 489 5.7
해양수산부 8,237 8,824 587 7.1
보건복지부 8,361 7,555 △805 △9.6
기획재정부 5,507 5,830 323 5.9
국토교통부 5,788 5,571 △217 △3.8
국무조정실 및 국무총리비서실 5,457 5,567 110 2.0
환경부 3,776 3,914 138 3.7
농림축산식품부 2,902 2,779 △124 △4.3
질병관리청 1,461 2,008 548 37.5
산림청 1,575 1,574 △1 △0.1
식품의약품안전처 1,340 1,405 64 4.8
문화체육관광부 1,323 1,354 31 2.3
행정안전부 1,200 1,262 62 5.2
기상청 1,236 1,224 △12 △1.0
원자력안전위원회 1,149 979 △170 △14.8
기타1) 3,348 3,701 353 10.6
합 계 297,770 310,778 100.0 13,008
자료 : 주1) 20개 부처: 국방부, 문화재청, 경찰청, 특허청, 해경청, 소방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관세청, 법무부, 조달청(’23년
신규), 대통령경호처(’23년 신규), 새만금개발청, 고용노동부, 인사혁신처, 외교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통일부,
공정거래위원회, 여성가족부, 법제처(’23년 예산 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379∙
5) 우리나라 지역 구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 비중 추이
자료 :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지역으로 구분된 것만을 대상으로 함(해외, 기타 제외)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각 연도
6) 2022년도 6T별 투자현황 및 과학기술표준분류별 투자현황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380∙
3. 연구개발 인력
가. 총 연구원
1) 연구원 수 추이
주 : FTE(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연구원 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연구개발인력 수 추이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1∙
3) 주요국 연구원 수
(단위 : 명, FTE 기준)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321,842 345,463 356,447 361,292 383,100 408,370 430,690 446,739 470,728 488,774
미국 1,188,093 1,230,471 1,252,907 1,248,221 1,300,600 1,410,842 1,435,937 1,493,075
일본 660,489 682,935 662,071 665,566 676,292 678,134 681,821 689,889 704,502
독일 354,463 351,923 387,982 399,605 419,617 433,685 450,697 450,796 461,645
프랑스 265,466 271,772 279,470 285,488 296,324 305,439 313,374 321,398 333,800
영국 267,699 276,584 285,855 291,103 295,842
중국 1,484,040 1,524,280 1,619,028 1,692,176 1,740,442 1,866,109 2,109,460 2,281,134 2,405,509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 주요국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
(단위 : 명, FTE 기준)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12.4 13.0 13.2 13.3 13.9 14.7 15.4 16.0 16.7 17.0
미국 7.6 7.8 7.9 7.8 8.0 8.6 8.7 9.2
일본 10.0 10.4 10.0 10.0 10.1 9.9 9.9 10.0 10.2
독일 8.5 8.4 9.2 9.3 9.7 10.0 10.3 10.5 10.7
프랑스 9.0 9.2 9.5 9.7 10.0 10.3 10.6 10.9 11.1
영국 8.3 8.5 8.7 8.8 8.9
중국 1.9 1.9 2.0 2.1 2.2 2.4 2.7 2.9 3.1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2∙
나.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다. 우리나라 학위별 연구원 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3∙
라. 우리나라 전공별 연구원
(단위 : 명,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이학
연구원 수 51,494 54,772 57,976 56,710 67,736 72,884 86,248 81,152 88,727 93,889
비중 13.4 12.5 12.5 12.8 12.3 14.0 14.2 16.0 14.5 15.6
공학
연구원 수 279,388 298,436 308,230 312,987 322,952 344,916 350,000 371,068 386,778 394,529
비중 68.2 68.1 68.2 68.0 67.9 66.9 67.1 65.0 66.5 65.6
의약보건학
연구원 수 23,292 23,522 24,066 26,347 27,911 29,774 31,848 33,262 35,396 36,765
비중 5.0 5.7 5.4 5.3 5.7 5.8 5.8 5.9 6.0 6.1
농업과학
연구원 수 10,102 10,662 11,045 11,378 10,423 10,991 11,051 10,853 11,361 11,388
비중 2.5 2.5 2.4 2.4 2.5 2.2 2.1 2.1 1.9 1.9
인문학
연구원 수 20,834 22,870 23,996 24,734 26,576 27,931 28,854 30,213 32,267 32,542
비중 5.1 5.1 5.2 5.3 5.4 5.5 5.4 5.4 5.4 5.4
사회과학
연구원 수 25,223 27,185 27,949 28,613 27,198 27,674 30,135 31,497 32,137 32,417
비중 6.0 6.1 6.2 6.2 6.2 5.6 5.4 5.6 5.6 5.4
총계
연구원 수 410,333 437,447 453,262 460,769 482,796 514,170 538,136 558,045 586,666 601,530
비중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 과학기술 성과
가. 논문
1) 우리나라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 및 세계 점유율
(단위 : 편, %, 순위)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논문 수 52,818 55,849 58,986 60,688 61,672 64,482 70,723 76,883 84,111 76,100
세계 점유율 3.35 3.43 3.50 3.46 3.37 3.40 3.34 3.39 3.46 3.34
세계 순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주 : 세계 점유율(%)은 세계 총 논문 수에 대한 점유율이며, 논문 1편을 여러 국가의 연구자가 공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국가별 논문 발표 수 합계는 세계 총 논문 수 보다 많음
자료 : KISTEP,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4∙
2) 주요국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 및 세계 점유율
(단위 : 편, %, 순위)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한국
논문 발표수 52,818 55,849 58,986 60,688 61,672 64,482 70,723 76,883 84,111 76,100
세계 점유율 3.35 3.43 3.50 3.46 3.37 3.40 3.34 3.39 3.46 3.34
세계 순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미국
논문 발표수 423,457 435,012 440,416 457,604 472,711 478,446 512,813 526,361 530,857 451,249
세계 점유율 26.88 26.72 26.16 26.06 25.81 25.21 24.23 23.21 21.87 19.83
세계 순위 1 1 1 1 1 1 1 2 2 2
일본
논문 발표수 82,060 81,020 80,513 83,822 86,086 87,602 92,582 98,819 103,365 91,308
세계 점유율 5.21 4.98 4.78 4.77 4.70 4.62 4.37 4.36 4.26 4.01
세계 순위 5 5 5 5 5 5 5 7 7 7
독일
논문 발표수 109,394 112,102 114,736 120,859 124,602 126,848 136,494 142,294 151,654 131,087
세계 점유율 6.94 6.89 6.82 6.88 6.80 6.68 6.45 6.27 6.25 5.76
세계 순위 4 4 4 4 4 4 4 4 4 4
프랑스
논문 발표수 75,884 76,677 79,077 82,779 84,110 84,115 88,228 92,917 95,718 81,627
세계 점유율 4.82 4.71 4.70 4.71 4.59 4.43 4.17 4.10 3.94 3.59
세계 순위 6 6 6 6 6 6 10 10 10 10
영국
논문 발표수 126,592 126,700 134,390 142,280 149,639 152,321 167,177 173,661 178,675 150,975
세계 점유율 8.04 7.78 7.98 8.10 8.17 8.03 7.90 7.66 7.36 6.64
세계 순위 3 3 3 3 3 3 3 3 3 3
중국
논문 발표수 217,257 252,197 282,804 313,175 350,255 402,910 495,055 555,418 645,958 714,702
세계 점유율 13.79 15.49 16.80 17.83 19.13 21.23 23.39 24.49 26.61 31.41
세계 순위 2 2 2 2 2 2 2 1 1 1
주 : 세계 점유율(%)은 세계 총 논문 수에 대한 점유율이며, 논문 1편을 여러 국가의 연구자가 공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국가별 논문 발표 수 합계는 세계 총 논문 수 보다 많음
자료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 주요국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수 추이(InCites 기준)
(단위 : 회)
구분 2013-2017 2014-2018 2015-2019 2016-2020 2017-2021 2018-2022
한국 6.12 6.50 7.02 7.62 8.58 9.26
미국 8.15 8.29 8.63 9.20 10.22 10.83
일본 6.31 6.44 6.76 7.27 7.96 8.35
독일 8.54 8.73 9.08 9.60 10.48 11.01
프랑스 8.32 8.52 8.95 9.53 10.54 11.15
영국 8.26 8.54 8.99 9.68 10.84 11.69
중국 6.24 6.72 7.34 8.13 9.25 9.89
주 : 5년 주기별 논문 1편 당 피인용수는 논문 발표연도부터 5년간 누적 피인용수의 평균으로 Incites 기준
자료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5∙
4) 우리나라 주요 3대 저널 논문 발표 현황 추이
주 : 논문 유형은 Full Paper(Article + Review)만을 대상으로 제한
자료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6∙
나. 특허
1) 우리나라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 추이
자료 : 특허청, 지식재산통계연보(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주요국 PCT 출원 건수 추이
주 : 1. PCT(Patent Cooperation Treaty, 특허협력조약) : 외국에서 발명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각 국가의 법규, 절차
및 언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 나라의 제도와 절차에 따라 특허 출원 절차를 밟아야 했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국제적인 발명 보호의 간소화를 위한 목적으로 체결한 국제조약
자료 : WIPO, WIPO Statistics Database(2023.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7∙
다. 기술무역
1) 우리나라 기술무역 추이
(단위 : 백만 US달러)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기술수출 5,311 6,846 9,765 10,408 10,687 11,798 12,430 13,756 12,780 14,921
기술도입 11,052 12,038 15,540 16,409 14,842 16,476 16,292 17,876 17,098 18,692
기술무역규모 16,363 18,884 25,305 26,817 25,529 28,275 28,722 31,632 29,878 33,613
기술무역수지 △5,741 △5,193 △5,775 △6,001 △4,155 △4,678 △3,862 △4,121 △4,318 △3,772
기술무역수지비 0.48 0.57 0.63 0.63 0.72 0.72 0.76 0.77 0.75 0.80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무역통계조사 보고서(각 연도)
2) 주요국 하이테크 산업 무역수지 추이
주 : 하이테크산업은 OECD가 R&D-intensive industries로 정의한 3개 산업(Pharmaceutical/Computer, electronic
and optical/Aerospace industry)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88∙
라. 6대 등록・기탁성과
1) 국가연구개발사업 화합물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2) 국가연구개발사업 생물자원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389∙
3) 국가연구개발사업 생명정보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4) 국가연구개발사업 소프트웨어(저작권)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390∙
5) 국가연구개발사업 소프트웨어(기술상세정보) 추이(’13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6) 국가연구개발사업 신품종 추이(’12년~’21년)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정부 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2023-12)
∙391∙
마. 연구 시설・장비 구축
1) 국가연구개발사업 대비 시설・장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조사・분석 보고서
2) 최근 5년간 구축된 시설・장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 산출기준 : 최근 5년간(’18년~’22년) 국가연구개발예산으로 구축한 3천만원 이상의 국가연구시설장비를 대상으로 하였음
(국방R&D 사업의 시설・장비 제외, 불용 포함, ZEUS 등록연도 2022년 12월 31일까지 등록 기준)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국가연구시설・장비 조사・분석 보고서
∙392∙
바. 국제경쟁력 평가
1) IMD 평가 결과
가) 주요 국가의 국가경쟁력 순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한국 26 25 29 29 27 28 23 23 27 28
미국 1 1 3 4 1 3 10 10 10 9
일본 21 27 26 26 25 30 34 31 34 35
독일 6 10 12 13 15 17 17 15 15 22
프랑스 27 32 32 31 28 31 32 29 28 33
영국 16 19 18 19 20 23 19 18 23 29
중국 23 22 25 18 13 14 20 16 17 21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나) 주요 국가의 과학경쟁력 순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한국 6 6 8 8 7 3 3 2 3 2
미국 1 1 1 1 1 1 1 1 1 1
일본 2 2 2 2 5 6 8 8 8 8
독일 3 4 6 6 6 5 4 4 2 3
프랑스 11 13 12 13 12 12 14 14 15 15
영국 10 10 9 9 9 11 11 9 14 9
중국 7 7 5 3 2 2 10 10 9 10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다) 주요 국가의 기술경쟁력 순위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한국 8 13 15 17 14 22 13 17 19 23
미국 3 3 3 6 3 6 6 5 11 12
일본 17 23 10 19 13 20 31 32 42 33
독일 15 15 16 12 16 23 25 25 33 36
프랑스 13 17 17 13 11 9 11 11 15 15
영국 18 19 11 16 12 12 15 14 18 29
중국 20 14 18 4 1 2 10 9 12 9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3∙
라) 우리나라 과학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총 연구개발투자 5 5 5 5 5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연구개발투자비 비중 1 2 2 2 2
국민 1인당 연구개발투자 9 8 9 9 8
기업 연구개발비 지출 5 5 5 5 5
GDP 대비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 2 2 2 2 2
총 연구개발인력 6 6 6 5 6
인구 천 명당 연구개발인력 5 3 3 3 4
기업 총 연구개발인력 6 5 5 5 5
인구 천 명당 기업 연구개발인력 3 3 3 3 3
인구 천 명당 R&D 연구자 2 2 1 1 1
과학기술분야 졸업자 수 비율 11 16 10 11 9
과학분야 논문 수 9 10 9 8 8
노벨상 수상 29 29 29 28 29
인구 백만 명당 노벨상 수상 29 29 29 28 29
출원인 국적별 특허 출원 수 4 4 4 4 4
인구 10만 명당 출원인 국적별 특허 출원 수 3 3 2 2 2
출원인 국적별 특허 등록 수 4 4 4 4 4
인구 10만 명당 출원인 국적별 권리유효 특허건수 4 4 4 4 3
중간-첨단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4 4 4 5 4
과학연구 관련 법률의 혁신 지원정도 34 31 30 31 32
지적재산권의 보호정도 37 38 36 37 28
산학 간의 지식 전달정도 35 30 25 30 26
종합 순위 3 3 2 3 3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마)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국내총생산(GDP) 대비 통신분야 투자 비중 46 42 44 15 23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10 10 9 11 12
1인당 월평균 이동전화 요금 57 55 57 54 56
기업의 요구에 대한 통신기술의 충족도 12 10 12 12 11
보안 인터넷 서버 수(신규) 43 43
인구 천 명당 인터넷 사용자 수 16 16 7 8 9
인구 천 명당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21 27 26 25 24
평균 인터넷 대역폭 속도 27 2 12 12 15
∙394∙
자료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COSTII(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결과
가)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디지털 기술의 사용 용이성 26 18 33 46 48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정도 31 25 37 42 47
공공・민간부문 벤처의 기술개발 지원 정도 41 29 38 46 40
법적 환경의 기술개발과 응용 지원 정도 50 44 45 48 52
기술개발자금의 충분성 42 38 34 30 36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액 8 4 6 5 6
제조업 수출액 중 첨단기술제품 비중 19 6 7 6 6
서비스업 수출액 중 ICT 비중 28 41 41 35 37
사이버보안이 기업에서 적절히 다루어지는 정도 23 21 23 28 24
전세계 사용 컴퓨터 수 대비 점유율(삭제) 22 13 17 19 23
인구 천 명당 컴퓨터 수(삭제) 17 17 17 26
종합 순위 14 22 13 17 19
∙395∙
나) 국가별 자원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다) 국가별 활동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6∙
라) 국가별 네트워크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마) 국가별 환경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7∙
바) 국가별 성과 부문 지수
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8∙
사. 기타 과학기술 통계
1) 에너지
가) 우리나라 전력수급 현황
주 : 1. 최대전력수요 : 일년 중 전력사용이 최대로 되는 순간의 전력수요를 의미하며 단위는 kW를 사용. 과거에는 주로
여름철 냉방기기의 가동이 많은 7월 중순∼8월 중순 15시를 전후한 낮 시간대에 발생하였으나, 2009년도부터는
겨울철에 발생
2. 발전설비 용량 : 전력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소 용량의 확보 정도를 의미하며, 단위로 kW를 사용
3. 공급능력 : 일정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최대발전가능 출력(공급능력=총설비용량-감발전력,
여기서 감발전력은 고장, 정비 등으로 발전이 불가능한 설비규모)
자료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나) 우리나라 석유수급 동향
자료 : e-나라지표(한국석유공사, 한국무역협회 자료)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99∙
다) 우리나라 1차 에너지 소비 추이
주 : 1. 본 자료의 1차 에너지는 오랜 세월동안 자연의 역학적인 절차의 반복으로 형성된 천연상태의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 수력, 원자력, 태양열, 지열 등을 말함
2. 기타에는 수력과 신재생이 포함되어 있음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월보(2023.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라) 우리나라 신재생 에너지 보급 추이
주 : 공급비중은 1차 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임
자료 : 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0∙
마) 주요국 에너지 공급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 추이
자료 : OECD, Renewable energy (indicator)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우주개발예산
가) 주요국 경제사회목적별 정부연구개발예산 중 우주 분야 연구개발비 추이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1∙
나) 주요국 기업 연구개발비 대비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3) 바이오
가) 우리나라 바이오 산업 동향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2∙
나)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부문 인력 추이
주 : 1. 연구인력은 바이오산업 부문 연구개발 인력을 말함
2. 생산인력은 연구소 이외의 바이오산업 부문에 근무하는 생산직, 시설・품질 관리직 등을 포함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각 연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3∙
아. 경제사회지표
1) 국가별 인구(2022년)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2) 국가별 인구 1인당 국내총생산(GDP)(2022년)
자료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3-9)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년 과학기술 통계백서
∙404∙
제2절 연구개발 성과 사례
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가. 2023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개요
1) 선정 과정
가) 선정 목적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과학기술 역할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있음
* 근거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제17조 4항
국가 R&D과제에서 2022년에 창출된 우수성과 중 부・처・청 추천을 받은 후보 가운데 6대
기술분야별 우수성과 100선을 2023년에 선정하였음
- 6대 기술분야 :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전자, 융합, 순수기초・인프라
- 선정대상 성과 : 논문, 특허 및 지식재산권, 기술이전/사업화, 표준 등
∙405∙
나) 선정 절차
후보 추천・접수: 부・처・청이 추천한 854건 성과를 접수하고 요건을 확인하였음
기술분야별 심층평가: 선정평가위원회를 구성(100명)하여, 각 분야 후보에 대한 과학기술적
및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의 우수성을 평가하여 100선 후보를 선별하였음
성과검증: 성과(논문, 특허. 기술이전・사업화, 특수성과 등)에 대한 정밀검증을 실시하였음
공개검증・확정: 대국민 사회문제해결성과 온라인 투표 및 성과 공개검증 후 확정하였음
2) 연구개발 단계별・주체별 선정 현황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기초연구가 46건으로 가장 많이 선정되었으며, 개발연구 31건, 응용
연구는 23건이 선정되었음
연구수행 주체별로는 정부출연연구소가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학(34건), 기업(8건),
병원(3건) 순으로 선정되었음
연구개발 단계별 선정 현황 연구수행 주체별 선정 현황
3) 6대 기술분야별 선정 현황
2023년 우수성과 100선 선정 현황을 기술분야별로 보면 생명・해양분야(24건)가 가장
많이 선정되었으며, 정보・전자(21건), 기계・소재(19건) 및 에너지・환경(17건), 융합(11건),
순수기초・인프라(8건) 순으로 선정되었음
※ 선정 연도별 기술분야 구분 기준
- ’06년~’09년 : ‘연구개발’, ‘연구기반조성’ 분야로 구분
- ’10년~’14년 :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전자, 순수기초・인프라
- ’15년~’23년 : 기계・소재, 생명・해양, 에너지・환경, 정보・전자, 융합, 순수기초・인프라
∙406∙
기술분야별 선정현황
연도별 기술분야 선정분포
∙407∙
나. 2023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목록(6대 기술분야별)
□ 기계・소재 : 19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한국형발사체(누리호) 개발 성공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불 타지 않는 전고체 이차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기술 개발
하윤철 한국전기연구원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개발 및 발사 성공 김대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그래핀-액정탄성체 복합소재 개발로 인간근육 보다 17배 강한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세계 최초 구현
김상욱 한국과학기술원
5 국토교통부
세계 최고 방향성 추진시스템과 이수 순환 통합 시스템 국내・외
실증 및 사업화 성공
김영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 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 공정가스 공급용 극청정 강관 및 밸브 국산화 박만호 ㈜아스플로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초고해상도 대면적 양자점 패턴화 기술 개발 배완기 성균관대학교
8 산업통상자원부 능동형 자동차 칵핏 모듈 감성디자인 및 제품 개발
서은아
(현 캠시스)
㈜쎄보모빌리티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프리폼 디스플레이 및 헬스케어소자 구현을 위한
로봇암 기반 전방위 3D프린팅 기술 개발
설승권 한국전기연구원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DNA 나노소재를 이용한 세포 동결보존 기술 (3,500배 낮은
농도로 더 높은 세포 복원율 달성)
안동준 고려대학교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MS MgO, 전기차 화재 방지용 열관리 소재기술 개발 및
실용화
안철우 한국재료연구원
12 국토교통부 세계 최초 자율주행기반 대용량 굴절버스 운행제어 기술 개발 윤혁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생명체를 자연모사한 지속 가능형 저마찰/방오 표면기술
개발
이상준 포항공과대학교
14 산업통상자원부 선진 디자인 프로세스 도입 및 협동 로봇 디자인 개발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효율 고안정성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이태우 서울대학교
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체모방형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안정적 그린수소 생산 소재
개발
이형석 연세대학교
17 방위사업청
국내기술로 완성한 감시정찰체계, 중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
(MUAV) 체계 개발
정상준 국방과학연구소
18 산업통상자원부 세계 최고속 디스플레이 AOI용 자동초점 시스템 제품화 지원수 (주)앤비젼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 에너지소재에 사용 가능한 고성능 금속수소화물 제조
기술 개발
천동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408∙
□ 생명해양 : 24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초소형유전자가위기술 개발 및 기술수출 김용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
보건복지부
(최우수)
알츠하이머병 가속병인인자 혈액 ASM의 규명을 통한
새로운 항체신약 개발
배재성 경북대학교
3 보건복지부 생체 유래 초대 세포의 3차원 세포배양 시스템 개발 곽종영 아주대학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NA의 조립에 따라 달라지는 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 규명 김기광 충남대학교
5 질병관리청 한국인 유전체정보 기반 당뇨병 고위험군 조기 진단 방법 개발 김봉조 국립보건연구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암연관 섬유아세포 억제 기반의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필요한
핵심 in vivo 플랫폼 개발
김석형 삼성서울병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도마뱀 재생의 핵심인 아체의 유사세포를 포유류에서
최초로 확인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8 해양수산부 남극 빙하 녹이는 바닷물 계절변동성 최초 규명 김태완 극지연구소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염기변환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종양 변이의 대량 기능평가
플랫폼 개발
김형범 연세대학교
10 보건복지부 알츠하이머치매의 새로운 조기진단 MR 영상마커개발 문원진 건국대학교병원
11 보건복지부
유방암에서 내유림프절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전향적
3상 임상연구
서창옥 차의과학대학교
12 산업통상자원부
줄기세포 분화 기술을 이용한 장 오가노이드 기술 및 상용화
원천 기술 개발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전자 편집 기술 활용 영장류 질병 모델 개발 유경록 서울대학교
14 농촌진흥청
합성생물학 유전자 디자인 기술 및 플랫폼 개발을 활용한 고부가
가치 기술이전
이동엽 성균관대학교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합성생물학 기반 On-demand, All-in-one 기능을 탑재한
신개념 인공세포 첨단화 기술 개발
이주영 한국화학연구원
16 해양수산부 해양 바이오매스에서 만드는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정규열 포항공과대학교
17 농촌진흥청
제2 농업혁명의 골든시드, 3세대 잡종벼 개발을 위한 꽃가루
매개 웅성불임벼 생산기술
정기홍 경희대학교
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대인 유전체 분석을 통해 역사의 미스테리였던 중세 헝가리
초원 아바르 칸국의 기원 규명
정충원 서울대학교
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매트리젤을 대체할 수 있는 장기 특이적 오가노이드 배양/이식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조승우 연세대학교
2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피 한 방울로 암 진단 가능한 바이오센서 개발 조윤경 기초과학연구원
21 농촌진흥청
세계 최초 밀 “Speed breeding” 기술개발로 품종개발 기간
46% 단축!
차진경 국립식량과학원
22 해양수산부
세계최초 절단된 신경의 무봉합 연결과 효과적인 재생을 위한
광(光)가교 하이드로젤 의료접착제 개발
차형준 포항공과대학교
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손상된 DNA 조각의 체내 분해요인 세계 최초 발견 최준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4 농촌진흥청 식물 에너지 분배 촉진을 통한 토마토 생산성 향상 기술 제안 황일두 포항공과대학교
∙409∙
□ 에너지・환경 : 17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탄소중립 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 핵심기술
국산화
조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
산업통상자원부
(최우수)
무급유 다단 원심 압축 기술 자기베어링을 적용한 대용량 다단계
원심식 냉매 압축 기술
이남수 LG전자
3 환경부
국내 최초 반도체 초순수 생산시설 사업 수주를 통한 해외
기술의존도 탈피 및 국가 산업 경쟁력 확보
길대수 한성크린텍(주)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양자점-SnO2 이중층을 이용한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개발
김동석 울산과학기술원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억도 이상 초고온 핵융합 반응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운전 방식 개발
나용수 서울대학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버려진 플라스틱으로부터 수소를 포함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플랜트 개발
라호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면적 용액공정 고효율 유기기반 광에너지변환 기술 개발 손해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 산업통상자원부
고성능 저에너지소비형 연소 후 습식 CO2 포집기술(KoSol)
상용화
심재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기화학적 CO2 전환을 통해 에틸렌을 생산하는 e-Chemical
제조 기술 개발 및 기술이전
오형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성능-고내구성 나노 촉매 개발로
차세대 그린수소생산 기술 확보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수소전기차 내구성 개선을 위한 PTFE 나노섬유 적용
멤브레인 개발
윤기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폭발하지 않는 물 기반 아연전지 개발 이상영 연세대학교
13 산업통상자원부
산업 에너지효율화 보급・확산 견인을 위한 공장에너지관리
시스템 표준 플랫폼 기술
이일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 해양수산부 지구온난화에 반하는 남극 바다 얼음의 증가 원인 규명 정의석 극지연구소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암모니아로부터 고효율 수소 생산 촉매 기술 채호정 한국화학연구원
16 산업통상자원부
고성능・고내구성 인산형 연료전지용 대형 분리판 국산화 기술
개발
천재민 (주)제이앤엘테크
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폐폴리스타이렌 연속식 해중합 촉매 공정 기술이전 및 사업화 황동원 한국화학연구원
∙410∙
□ 정보・전자 : 21건
연번 부처 성과명 연구자명 기관명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2차원반도체와 양자점을 이용한 고해상도 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개발
안종현 연세대학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우수)
주석 기반 3차원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p형 트랜지스터
세계 최초 보고
노용영 포항공과대학교
3 산업통상자원부
미래 인공지능 시장을 위한 지능형 반도체 고신뢰성・저비용・
테스트 안정성 기술 확보
강성호 연세대학교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언어를 이해하고 대화를 통해 학생에게 가르치는 ‘외국어 AI
선생님’ 원천기술 개발 및 사업화
권오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위험 패턴/징후감지를 통한 범죄 예측기술 김건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 및 사물인터넷 보안 시스템을 위한 자기조립 나노기술
(Nature Electronics)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
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이동통신 기반 통신 및 센싱 원천기술 개발 및 프로토타이핑 김선우 한양대학교
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준강자성체 기반 스핀트로닉스 기술 개발 김세권 한국과학기술원
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계 최고 수준의 적층형 반도체 나노소자의 실시간 3D 측정
기술 개발
김영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 방위사업청
국내 최초 완전디지털 다기능레이다를 탑재한 동급 최강 전투
능력의 호위함 전투체계 개발
김은로 국방과학연구소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특화망, 인빌딩, 도심핫스팟에 활용되는 5G 스몰셀 소프트
웨어 기술 국산화
나지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이버-물리 융합공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