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연감 |
2024년 과학기술연감
|
2025-06-04
|
|
<p><span style="font-size: 10pt;">> 목적</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o 2024년 국내외 주요 과학기술 이슈, 과학기술 정책 추진 현황, 분야별 연구개발 활동 및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ㅇ 과학기술의 사료적 가치를 지닌 과학기술 연감 발간</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ㅇ 과학기술정책 활동과 연구 성과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이해 제고</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주요내용</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o ‘24년도 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주요내용 분석</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투자전략,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 혁신 주체별 역량 강화 등 주요 정책 추진 현황 등</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 해당연도 과학기술정책 관련 주요 이슈 및 변화된 정책 방향 분석</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o ‘24년도 국가연구개발 활동 현황 분석 및 관련 통계 제공</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 국가 주요 기술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성과의 주요 내용 제공</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 연구개발활동조사,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등 국가R&D 주요 통계 현황 제시</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결론</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o 2024 과학기술연감 발간 (책자, E-book, e-Pub 등)을 통하여 산-학- 연-관 등 과학기술계와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활동과 성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이해도 제고</span></p>
|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5-02-26
|
|
<p><span style="font-size: 10pt;">목적</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2024년 지방과학기술연감 발간</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지역과학기술 및 산업현황 관련 정보조사 및 종합</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다양한 통계에 산재된 지방과학기술정보를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종합한 지방과학기술연감 구축 및 발간</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주요내용</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국내 정부 부처별 지역 관련 정책(산업부, 중기부, 과기부 등)현황 및 지방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현황 조사</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지역 R&D 거점기관 소속 전문가 자문을 통한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추진현황 및 지역별 중점 추진사항 도출</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17개 시·도 대상으로 인구, 산업, 과학기술혁신역량에 대한 주요지표 통계조사 및 비교분석</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br></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결론</span></p>
<p><span style="font-size: 10pt;">○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맞춤형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연구개발기획역량 제고에 기여</span></p>
|
과학기술연감 |
2023년 과학기술연감
|
2024-06-24
|
|
<p> </p>
|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4-02-27
|
|
<p> </p>∙ 연구진
- 연구책임자
- 참여연구원
안소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권명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오서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류주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전문연구원)
기관 2023-0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연구기간 : 2023.1.1.~2023.12.31.)
∙ 발행인 : 정병선
∙ 발행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Tel) 043-750-2300
∙홈페이지 : http://www.kistep.re.kr
제1장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 3
1. 발간배경 ··············································································································· 3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 4
1.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 동향 ······································································ 4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 20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 37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 37
2. 지방 과학기술예산 ······························································································ 43
제2장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 47
1. 인구 ···················································································································· 47
2. 지역내총생산 ······································································································ 48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51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 55
1. 투입 ···················································································································· 55
2. 역량 ···················································································································· 65
3. 성과 ···················································································································· 76
제3장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제1절 서울특별시 ··············································································· 86
1. 지역・산업현황 ···································································································· 8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93
3. 성과 ················································································································· 115
4. 중점 추진사항 ··································································································· 116
제2절 부산광역시 ············································································· 120
1. 지역・산업현황 ·································································································· 12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29
3. 성과 ················································································································· 146
4. 중점 추진사항 ··································································································· 147
제3절 대구광역시 ············································································· 150
1. 지역・산업현황 ·································································································· 150
목 차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58
3. 성과 ················································································································· 174
4. 중점 추진사항 ··································································································· 175
제4절 인천광역시 ············································································· 181
1. 지역・산업현황 ·································································································· 18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89
3. 성과 ················································································································· 203
4. 중점 추진사항 ··································································································· 204
제5절 광주광역시 ············································································· 208
1. 지역・산업현황 ·································································································· 20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16
3. 성과 ················································································································· 230
4. 중점 추진사항 ··································································································· 231
제6절 대전광역시 ············································································· 234
1. 지역・산업현황 ·································································································· 23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42
3. 성과 ················································································································· 257
4. 중점 추진사항 ··································································································· 258
제7절 울산광역시 ············································································· 260
1. 지역・산업현황 ·································································································· 26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69
3. 성과 ················································································································· 282
4. 중점 추진사항 ··································································································· 283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 286
1. 지역・산업현황 ·································································································· 28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94
3. 성과 ················································································································· 306
4. 중점 추진사항 ··································································································· 307
제9절 경기도 ···················································································· 309
1. 지역・산업현황 ·································································································· 30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24
3. 성과 ················································································································· 340
4. 중점 추진사항 ··································································································· 341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 344
1. 지역・산업현황 ·································································································· 34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54
3. 성과 ················································································································· 369
4. 중점 추진사항 ··································································································· 370
제11절 충청북도 ·············································································· 372
1. 지역・산업현황 ·································································································· 37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84
3. 성과 ················································································································· 398
4. 중점 추진사항 ··································································································· 399
제12절 충청남도 ·············································································· 402
1. 지역・산업현황 ·································································································· 40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15
3. 성과 ················································································································· 429
4. 중점 추진사항 ··································································································· 430
제13절 전라북도 ·············································································· 433
1. 지역・산업현황 ·································································································· 43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43
3. 성과 ················································································································· 458
4. 중점 추진사항 ··································································································· 459
제14절 전라남도 ·············································································· 464
1. 지역・산업현황 ·································································································· 46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75
3. 성과 ················································································································· 490
4. 중점 추진사항 ··································································································· 491
제15절 경상북도 ·············································································· 493
1. 지역・산업현황 ·································································································· 49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05
3. 성과 ················································································································· 521
4. 중점 추진사항 ··································································································· 522
제16절 경상남도 ·············································································· 524
1. 지역・산업현황 ·································································································· 5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38
3. 성과 ················································································································· 555
4. 중점 추진사항 ··································································································· 556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 562
1. 지역・산업현황 ·································································································· 56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70
3. 성과 ················································································································· 584
4. 중점 추진사항 ··································································································· 585
참고문헌 ·························································································· 589
<표 1-2-1> 주요 5개 부처 균형발전사업 ·························································································· 5
<표 1-3-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 ·························································· 37
<표 1-3-2>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1년) ········································· 43
<표 1-3-3>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2년) ········································· 44
<표 2-1-1>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8년~2022년) ······················································ 48
<표 2-1-2>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9년~2023년) ··················································· 54
<표 3-1-1>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86
<표 3-1-2>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87
<표 3-1-3>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88
<표 3-1-4>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89
<표 3-1-5>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 90
<표 3-1-6>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90
<표 3-1-7>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91
<표 3-1-8>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93
<표 3-1-9>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94
<표 3-1-10>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94
<표 3-1-11>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95
<표 3-1-12>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2년) ··············································································· 99
<표 3-1-13> 서울특별시 디지털정책관, 경제정책실, 도시교동실, 기후환경본부에서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00
<표 3-1-14>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04
<표 3-1-15>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05
<표 3-1-16>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106
<표 3-1-17>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07
<표 3-1-18>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3년) ················································································· 108
<표 3-1-19>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08
<표 3-1-20>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109
<표 3-1-21>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112
<표 3-1-22>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13
<표 3-1-23>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9년~20223년) ························· 114
<표 3-1-24>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115
<표 3-1-25>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115
<표 3-2-1>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120
<표 3-2-2>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121
표 목 차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2-3>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22
<표 3-2-4>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23
<표 3-2-5>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24
<표 3-2-6>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125
<표 3-2-7>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127
<표 3-2-8>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1년) ······················································· 129
<표 3-2-9>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130
<표 3-2-10>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130
<표 3-2-11>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131
<표 3-2-12>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133
<표 3-2-13>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34
<표 3-2-14>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37
<표 3-2-15>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38
<표 3-2-16>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139
<표 3-2-17>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40
<표 3-2-18>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141
<표 3-2-19>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41
<표 3-2-20>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142
<표 3-2-21>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143
<표 3-2-22>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143
<표 3-2-23>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44
<표 3-2-24>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145
<표 3-2-25>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145
<표 3-2-26>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146
<표 3-2-27>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146
<표 3-3-1>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150
<표 3-3-2>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151
<표 3-3-3>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52
<표 3-3-4>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53
<표 3-3-5>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54
<표 3-3-6>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155
<표 3-3-7>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156
<표 3-3-8>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158
<표 3-3-9>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159
<표 3-3-10>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159
<표 3-3-11>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160
<표 3-3-12>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162
<표 3-3-13>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62
<표 3-3-14>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65
<표 3-3-15>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66
<표 3-3-16>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167
<표 3-3-17>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68
<표 3-3-18>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169
<표 3-3-19>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69
<표 3-3-20>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170
<표 3-3-21>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171
<표 3-3-22>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172
<표 3-3-23>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173
<표 3-3-24>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173
<표 3-3-25>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174
<표 3-3-26>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174
<표 3-4-1>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181
<표 3-4-2>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182
<표 3-4-3>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83
<표 3-4-4>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84
<표 3-4-5>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85
<표 3-4-6>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186
<표 3-4-7>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187
<표 3-4-8>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189
<표 3-4-9>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190
<표 3-4-10>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190
<표 3-4-11>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191
<표 3-4-12>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192
<표 3-4-13> 인천광역시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 193
<표 3-4-14>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195
<표 3-4-15>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196
<표 3-4-16>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 ····························································· 197
<표 3-4-17>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198
<표 3-4-18>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199
<표 3-4-19>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199
<표 3-4-20>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00
<표 3-4-21>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201
<표 3-4-22>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01
<표 3-4-23>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02
<표 3-4-24>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02
<표 3-4-25>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203
<표 3-4-26>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03
<표 3-4-27>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5-1>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08
<표 3-5-2>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2022년) ·················································· 209
<표 3-5-3>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10
<표 3-5-4>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11
<표 3-5-5>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12
<표 3-5-6>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13
<표 3-5-7>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214
<표 3-5-8>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216
<표 3-5-9>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17
<표 3-5-10>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17
<표 3-5-11>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18
<표 3-5-12>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19
<표 3-5-13>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20
<표 3-5-14>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22
<표 3-5-15>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223
<표 3-5-16>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224
<표 3-5-17>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225
<표 3-5-18>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226
<표 3-5-19>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226
<표 3-5-20>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27
<표 3-5-21>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28
<표 3-5-22>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29
<표 3-5-23>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29
<표 3-5-24>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30
<표 3-5-25>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30
<표 3-6-1>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34
<표 3-6-2>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235
<표 3-6-3>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36
<표 3-6-4>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37
<표 3-6-5>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38
<표 3-6-6>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39
<표 3-6-7>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240
<표 3-6-8>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8~20212년) ························································ 242
<표 3-6-9>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43
<표 3-6-10>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43
<표 3-6-11>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44
<표 3-6-12>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46
<표 3-6-13> 대전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46
<표 3-6-14>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48
<표 3-6-15>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249
<표 3-6-16>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250
<표 3-6-17>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251
<표 3-6-18>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252
<표 3-6-19>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252
<표 3-6-20>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53
<표 3-6-21>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254
<표 3-6-22>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54
<표 3-6-23>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55
<표 3-6-24>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56
<표 3-6-25>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256
<표 3-6-26>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57
<표 3-6-27>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57
<표 3-7-1>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60
<표 3-7-2>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261
<표 3-7-3>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62
<표 3-7-4>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63
<표 3-7-5>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64
<표 3-7-6>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65
<표 3-7-7>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267
<표 3-7-8>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269
<표 3-7-9>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270
<표 3-7-10>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70
<표 3-7-11>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71
<표 3-7-12>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73
<표 3-7-13> 울산광역시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과 건설주택국 스마트도시과와 경제산업실 주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73
<표 3-7-14>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74
<표 3-7-15>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275
<표 3-7-16>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276
<표 3-7-17>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277
<표 3-7-18>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 278
<표 3-7-19>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278
<표 3-7-20>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279
<표 3-7-21>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280
<표 3-7-22>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281
<표 3-7-23>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281
<표 3-7-24>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282
<표 3-7-25>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2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8-1>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 286
<표 3-8-2>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287
<표 3-8-3>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88
<표 3-8-4>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89
<표 3-8-5>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 290
<표 3-8-6>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291
<표 3-8-7>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292
<표 3-8-8>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294
<표 3-8-9>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295
<표 3-8-10>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295
<표 3-8-11>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296
<표 3-8-12>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2년) ······································································· 297
<표 3-8-13>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98
<표 3-8-14>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299
<표 3-8-15>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00
<표 3-8-16>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01
<표 3-8-17>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02
<표 3-8-18>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3년) ·········································································· 303
<표 3-8-19>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03
<표 3-8-20> 세종특별자치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04
<표 3-8-21>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04
<표 3-8-22>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05
<표 3-8-23>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305
<표 3-8-24>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06
<표 3-8-25>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06
<표 3-9-1> 경기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309
<표 3-9-2>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310
<표 3-9-3>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11
<표 3-9-4>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12
<표 3-9-5>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 313
<표 3-9-6>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316
<표 3-9-7>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322
<표 3-9-8>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324
<표 3-9-9>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325
<표 3-9-10>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325
<표 3-9-11>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326
<표 3-9-12>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2년) ···················································································· 327
<표 3-9-13>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28
<표 3-9-14>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329
<표 3-9-15>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30
<표 3-9-16>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31
<표 3-9-17>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32
<표 3-9-18> 경기도 대학 현황(2023년) ······················································································· 333
<표 3-9-19>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33
<표 3-9-20>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34
<표 3-9-21>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335
<표 3-9-22>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36
<표 3-9-23>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338
<표 3-9-24>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39
<표 3-9-25>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339
<표 3-9-26>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40
<표 3-9-27>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40
<표 3-10-1> 강원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344
<표 3-10-2> 강원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345
<표 3-10-3>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46
<표 3-10-4>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47
<표 3-10-5> 강원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348
<표 3-10-6> 강원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349
<표 3-10-7> 강원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352
<표 3-10-8>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354
<표 3-10-9> 강원특별자치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1년) ································ 355
<표 3-10-10>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355
<표 3-10-11>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356
<표 3-10-12>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 358
<표 3-10-13>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59
<표 3-10-14>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360
<표 3-10-15>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61
<표 3-10-16> 강원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62
<표 3-10-17>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63
<표 3-10-18> 강원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 364
<표 3-10-19> 강원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64
<표 3-10-20> 강원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65
<표 3-10-21> 강원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366
<표 3-10-22> 강원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66
<표 3-10-23>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367
<표 3-10-24> 강원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68
<표 3-10-25>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368
<표 3-10-26> 강원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69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0-27> 강원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69
<표 3-11-1> 충청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372
<표 3-11-2>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373
<표 3-11-3>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74
<표 3-11-4>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75
<표 3-11-5>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 376
<표 3-11-6>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377
<표 3-11-7>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382
<표 3-11-8>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384
<표 3-11-9>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78년~20212년) ·································· 385
<표 3-11-10>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385
<표 3-11-11>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386
<표 3-11-12>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 388
<표 3-11-13> 충청북도 과학인재국, 바이오식품의약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88
<표 3-11-14>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389
<표 3-11-15>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390
<표 3-11-16>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391
<표 3-11-17>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392
<표 3-11-18>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3년) ·················································································· 393
<표 3-11-19>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393
<표 3-11-20>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394
<표 3-11-21>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395
<표 3-11-22>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395
<표 3-11-23>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396
<표 3-11-24>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396
<표 3-11-25>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397
<표 3-11-26>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398
<표 3-11-27>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398
<표 3-12-1> 충청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02
<표 3-12-2>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03
<표 3-12-3>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04
<표 3-12-4>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05
<표 3-12-5>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 406
<표 3-12-6>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07
<표 3-12-7>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413
<표 3-12-8>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415
<표 3-12-9>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416
<표 3-12-10>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416
<표 3-12-11>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417
<표 3-12-12>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 419
<표 3-12-13> 충청남도 산업경제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19
<표 3-12-14>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421
<표 3-12-15>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422
<표 3-12-16>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423
<표 3-12-17>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424
<표 3-12-18>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3년) ·················································································· 425
<표 3-12-19>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425
<표 3-12-20>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426
<표 3-12-21>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427
<표 3-12-22>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427
<표 3-12-23>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428
<표 3-12-24>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428
<표 3-12-25>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429
<표 3-12-26>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429
<표 3-13-1> 전라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33
<표 3-13-2>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34
<표 3-13-3>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35
<표 3-13-4>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36
<표 3-13-5>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 437
<표 3-13-6>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38
<표 3-13-7>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441
<표 3-13-8>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443
<표 3-13-9>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444
<표 3-13-10>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444
<표 3-13-11>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445
<표 3-13-12>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 447
<표 3-13-13> 전라북도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47
<표 3-13-14>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450
<표 3-13-15>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451
<표 3-13-16>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452
<표 3-13-17>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453
<표 3-13-18>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3년) ·················································································· 454
<표 3-13-19>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454
<표 3-13-20>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455
<표 3-13-21>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456
<표 3-13-22>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456
<표 3-13-23>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457
<표 3-13-24>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457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25>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458
<표 3-13-26>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458
<표 3-14-1> 전라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64
<표 3-14-2>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65
<표 3-14-3>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66
<표 3-14-4>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67
<표 3-14-5>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 468
<표 3-14-6>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69
<표 3-14-7>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473
<표 3-14-8>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475
<표 3-14-9>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476
<표 3-14-10>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476
<표 3-14-11>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477
<표 3-14-12>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 480
<표 3-14-13> 전라남도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80
<표 3-14-14>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481
<표 3-14-15>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482
<표 3-14-16>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483
<표 3-14-17>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484
<표 3-14-18>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3년) ·················································································· 485
<표 3-14-19>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485
<표 3-14-20>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486
<표 3-14-21>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487
<표 3-14-22>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487
<표 3-14-23>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488
<표 3-14-24>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489
<표 3-14-25>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489
<표 3-14-26>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490
<표 3-14-27>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490
<표 3-15-1> 경상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493
<표 3-15-2>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494
<표 3-15-3>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95
<표 3-15-4>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96
<표 3-15-5>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 497
<표 3-15-6>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498
<표 3-15-7>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503
<표 3-15-8>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505
<표 3-15-9>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506
<표 3-15-10>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506
<표 3-15-11>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507
<표 3-15-12>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 509
<표 3-15-13>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과 경제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09
<표 3-15-14>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511
<표 3-15-15>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512
<표 3-15-16>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513
<표 3-15-17>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514
<표 3-15-18>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3년) ·················································································· 515
<표 3-15-19>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 515
<표 3-15-20>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516
<표 3-15-21>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517
<표 3-15-22>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517
<표 3-15-23>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519
<표 3-15-24>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520
<표 3-15-25>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520
<표 3-15-26>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521
<표 3-15-27>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521
<표 3-16-1> 경상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524
<표 3-16-2>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525
<표 3-16-3>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526
<표 3-16-4>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527
<표 3-16-5>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 528
<표 3-16-6>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529
<표 3-16-7>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536
<표 3-16-8>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538
<표 3-16-9>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539
<표 3-16-10>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539
<표 3-16-11>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540
<표 3-16-12>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 543
<표 3-16-13> 경상남도 산업통상국과 균형발전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43
<표 3-16-14>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ㅁ ·································· 546
<표 3-16-15>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547
<표 3-16-16>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548
<표 3-16-17>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 549
<표 3-16-18>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3년) ·················································································· 550
<표 3-16-19>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3년) ················································· 550
<표 3-16-20>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 551
<표 3-16-21>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552
<표 3-16-22>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553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6-23>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554
<표 3-16-24>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3년) ···························································· 554
<표 3-16-25>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555
<표 3-16-26>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555
<표 3-17-1>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 562
<표 3-17-2>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 563
<표 3-17-3>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564
<표 3-17-4>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565
<표 3-17-5>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566
<표 3-17-6>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 567
<표 3-17-7>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 568
<표 3-17-8>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 570
<표 3-17-9>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 571
<표 3-17-10>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 571
<표 3-17-11>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 572
<표 3-17-12>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 575
<표 3-17-13>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75
<표 3-17-14>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3년 11월 기준) ·························· 577
<표 3-17-15>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 578
<표 3-17-16>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 579
<표 3-17-17>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8년~20212년) ·········································· 580
<표 3-17-18>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 581
<표 3-17-19>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3년) ········································ 581
<표 3-17-20>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3년) ············································· 582
<표 3-17-21>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582
<표 3-17-22>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 583
<표 3-17-23>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9년~20223년) ··················· 583
<표 3-17-24>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 584
<표 3-17-25>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 584
[그림 1-2-1] 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 12
[그림 1-2-2]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 13
[그림 1-2-3] 지방시대위원회 중점 추진과제 ··················································································· 16
[그림 1-2-4]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중앙정부 부문별 계획 ······································· 19
[그림 1-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 20
[그림 1-2-6] 고용노동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 22
[그림 1-2-7] 교육부 2023년 추진과제 및 추진체계 ········································································· 24
[그림 1-2-8] 국토교통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 27
[그림 1-2-9]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정책방향 ·············································································· 30
[그림 1-2-10]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 32
[그림 1-2-11] 2023년 행정안전부의 약속 ······················································································ 34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2년) ··························································································· 47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2년) ······································································ 48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2년) ········································································ 49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2년) ································································ 50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3년) ················································································ 51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1년~2022년) ··························· 52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3년) ··································································· 53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 55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 56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2년) ·· 57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 58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 59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 60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1년~2022년) ··············································· 61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8년~2022년) ·········· 62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8년~2022년) ······························ 63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2년) ·························· 64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5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6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7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68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69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 70
그 림 목 차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3년) ················································ 71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2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3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4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 75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2년) ··························································· 76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1년~2022년) ························································· 77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1년~2022년) ························································· 78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2년) ···························· 79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0년~2021년) ···················································· 80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1~2022년) ············································· 81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2년) ···························································· 82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 96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33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61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92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19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45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72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297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327
[그림 3-10-1]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358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387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418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446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479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508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542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574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 동향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2. 지방 과학기술예산
개 요
1
REGIONAL S&T YEARBOOK 2023 3
1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최근 고령화・인구유출 등으로 인한 지방소멸 등 다양한 경제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에 효
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의 자율성과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혁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있어 근간이 되는 각 지역의 과학기술
과 산업 수준 파악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지역산업 육성
정책,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시・도의 산업, 인프라, 과학기술 현황 등을 담아 1997년부터 매년 발간되
고 있는 지방과학기술연감의 필요성 또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과학기술연감의 목적은 관련 연구자와 정책결정자 등에게 지방과학기술 및 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연구, 정책수립 등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에 과학기술
기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정부의 중장기계획 수립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를 높이고자 관련된 최신 정보를 보고서에 수록하고
있다. 또한, 지역정책 유관기관이 소관 지역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감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에서는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23년 주요 부처의 정책 동향과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 계획, 지자체 과학기
술 관련 행정체계 및 예산 등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주요 산업지표 및 과학기술지표, 성과지표를 중
심으로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한 총괄적 현황 및 특징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17개 시・도
별로 각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혁신역량과 관련한 현황, 논문, 특허 등의 성과 현황 등을 점검하고 지
역별 향후 중점 추진전략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 동향
본 장에서는 중앙부처의 2023년 주요 정책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
(NABIS : NAtional Balanced-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대표적인 지역사
업이라 정의할 수 있는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사업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더 나아가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23~2027」에 반영되어 있는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고, 관계부
처 합동 또는 각 중앙부처별 2023년도 발표된 지방 과학기술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가. 국가균형발전사업 : 균형발전특별회계
먼저, 국가균형발전사업은 국가균형발전법 특별법 제4조 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하
여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년 단위로 시행계획을 수
립하고 있다.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체계는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기반으로 세부과제에 해
당하는 시행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바탕으로 중앙부처 부문별 시행계획과 시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
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정부는 국가재정 관점에서 지역사업에 관한 효율적 예산운용을 위해 일반회
계와 달리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 5장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제30조~제48조」에 따라 “균형발전특
별회계사업”을 별도로 편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지역 간 불균형 해소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자
립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효율적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1).
국가균형발전시스템(NABIS)에 따르면 최근까지 전체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은 총 198개 세부사업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처별로는 산업통상자원부(32개), 국토교통부(25개), 중소벤처기업부(23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22개), 해양수산부(17개)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2022년을 기준으
로 종료된 사업(37개)을 제외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업 161개 기준의 부처별 비중에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국토교통부(24개), 산업통상자원부(2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19개), 해양수산부(16개),
중소벤처기업부(14개)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균형발전
특별회계 전체 사업 수 중 종료 사업의 수 비중이 타 부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는 지역혁신, 지역활력, 지역균형, 지역특화 등의 키워드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종료사업은 대체로
1) 국가균형발전시스템(NABIS : NAtional Balanced-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 URL : https://www.nabis.go.kr/
contentsDetailView.do?menucd=142&menuFlag=Y, 접속일 : 2023.08.31.
REGIONAL S&T YEARBOOK 2023 5
사업기간이 1~3년 정도의 사업 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지역산업 역량강화’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판단된다. 추가로 산업통상자원부
의 2022년 신규사업은 ‘ESG형 산단 공동혁신 지원사업(R&D)’, ‘동남권 그린수소 항만조성’, ‘지역협
력혁신성장(R&D)’, ‘환동해해양헬스케어융합산업벨트조성사업’, ‘웰에이징휴먼헬스케어밸리조성사
업’, ‘지역 산업잠재위기 대응 프로젝트’로 대부분 단년도~3년의 사업에 해당되는 특징이 있다. 중소
벤처기업부는 규제자유특구, 산학연협력, 지역특화, 지역기업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균형발전특별
회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종료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마찬가지로 사업기간이 1~3년인 사업의 비
중이 높은 편에 속해 ‘지역 중소기업 자생력 강화’라는 정책목표 아래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 외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체 22개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
수 대비 3개의 사업이 종료되었으며, 종료사업은 ‘ICT융합 Industry 4.0s(조선해양, R&D)’와 ‘연구
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지원(R&D)’이다. 2022
년 신규사업은 ‘K-Health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랩
실증단지 조성(R&D)’,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R&D)’에 해당된다. 다만, 균형발전특별회계사업
이 전체 지역 과학기술 사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 일반회계, 타 특별회계를 통해서도 실질적인
사업 수행이 이뤄지고 있는 점을 주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고용노동부
(2/0)
사회적기업육성(지역지원・제주계정) 2003 ~ 계속
지역산업 맞춤형일자리 창출지원 2006 ~ 계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3)
5G기반조선해양스마트통신플랫폼및융합서비스개발(R&D) 2020 ~ 2023
5G시험망기반테스트베드구축 2019 ~ 2023
ICT융합 Industry4.0S(조선해양, R&D) 2016 ~ 2020 종료
ICT융합 제조운영체제 개발 및 실증(R&D) 2020 ~ 2024
K-Health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 2022 ~ 2025
공공연구성과기반 BIG 선도모델지원 2020 ~ 2025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R&D) 2021 ~ 2027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랩 실증단지 조성(R&D) 2022 ~ 2025
산학연협력 활성화 지원(R&D) 2006 ~ 계속
수출용 신형 연구로 개발 및 실증(R&D) 2012 ~ 2027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2020 ~ 2021 종료
연구개발특구운영 및 인프라지원 2009 ~ 계속
연구개발특구육성(R&D) 2005 ~ 계속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2020 ~ 2024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R&D) 2020 ~ 2024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R&D) 2010 ~ 2026
표 1-2-1 ❙ 주요 5개 부처 균형발전사업
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지역SW산업진흥지원(지원・제주・세종계정) 2006 ~ 계속
지역균형발전 SW・ICT융합 기술개발(R&D) 2019 ~ 2023
지역연구개발혁신지원(R&D) 2007 ~ 계속
초전도 도체 시험설비 구축(R&D) 2022 ~ 2027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지원(R&D) 2015 ~ 2020 종료
혁신원자력연구개발 기반조성사업 2021 ~ 2025
교육부
(8/0)
마이스터대 지원(R&D) 2021 ~ 계속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3.0)
(세부사업명: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지원)
2017 ~ 계속
산학연협력 고도화 지원(R&D) 2006 ~ 계속
전문대학 미래기반 조성(R&D) 2021 ~ 2025
전문대학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 지원 2021 ~ 계속
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 2019 ~ 2025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D) 2020 ~ 계속
학교기업지원사업(R&D) 2004 ~ 계속
국토교통부
(25/1)
개발제한구역관리 2001 ~ 계속
광역BRT 구축 2006 ~ 계속
광역도로 사업(11개 세부사업) 1998 ~ 계속
광역철도건설지원(15개 세부사업) 1995 ~ 계속
국가지원지방도건설(61개 세부사업) 1996 ~ 계속
국토교통기술지역특성화(R&D) 2005 ~ 2019 종료
국토교통지역혁신기술개발(R&D) 2020 ~ 2023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15개 세부사업) 2006 ~ 계속
도시재생사업(지원・세종계정) 2014 ~ 계속
도시활력증진지역개발 2011 ~ 계속
발전거점형 지역계획 시범사업(핵심관광지육성연계) 2013 ~ 2030
버스공영차고지 지원 2020 ~ 계속
벽지노선지원 2020 ~ 계속
산업단지 진입도로 지원(78개 세부사업) 1994 ~ 계속
성장촉진지역개발 2010 ~ 계속
장기미집행공원지방채이자지원 2019 ~ 2027
제주구국도건설지원(4개 세부사업) 2007 ~ 계속
제주구국도유지관리 2007 ~ 계속
제주국제자유도시기반시설지원(선도프로젝트) 2005 ~ 계속
지방하천정비사업(지역,제주,세종) 1999 ~ 계속
지역거점조성지원 2007 ~ 계속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 2019 ~ 2023
투자선도지구 기반시설 지원 2020 ~ 계속
해안 및 내륙권발전사업 2013 ~ 2030
환승센터구축지원 2009 ~ 계속
농림축산식품부
(10/0)
농업기반정비 2010 ~ 계속
농촌자원 복합산업화지원 2010 ~ 계속
REGIONAL S&T YEARBOOK 2023 7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농촌형교통모델(지역자율계정) 2018 ~ 계속
반려동물 인프라구축사업 2019 ~ 계속
일반농산어촌개발(자율・제주・세종계정) 2010 ~ 계속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자율,제주) 2005 ~ 계속
지역행복생활권협력사업 2013 ~ 계속
취약지역생활여건개조사업 2015 ~ 계속
친환경농업기반구축 1995 ~ 계속
토양개량제사업(제주계정) 2014 ~ 계속
농촌진흥청
(3/0)
농식품가공체험기술보급(지역지원・제주계정) 2006 ~ 계속
지역농업연구기반 및 전략작목육성(지역지원・제주계정) 2015 ~ 계속
지역농촌지도사업활성화지원(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2009 ~ 계속
문화재청
(4/3)
광주 세계유산 남한산성박물관 건립 2017 ~ 2022 종료
문화유산관광자원개발 2005 ~ 2019 종료
보은 법주사 성보박물관 건립 2019 ~ 2022 종료
양산 통도사 문화공간 건립 2022 ~ 2024
문화체육관광부
(15/5)
3대 문화권 생태관광 기반조성 2010 ~ 2021 종료
관광자원개발 1981 ~ 계속
기업도시 진입도로 지원 2013 ~ 2022 종료
문화도시 조성 2020 ~ 계속
문화시설 확충(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1989 ~ 계속
서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 2017 ~ 2026
제주관광진흥지원 2017 ~ 2025
중부내륙권 관광개발 2013 ~ 2022 종료
지방문화산업기반조성 2019 ~ 2019 종료
지역문화 컨설팅 지원(지원・제주 계정) 2005 ~ 계속
지역콘텐츠산업 균형발전 지원 2015 ~ 계속
체육진흥시설지원(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1982 ~ 계속
충청유교문화권 광역관광개발 2019 ~ 2028
폐산업시설 등 유휴공간
문화재생사업(지역자율・세종계정)
2014 ~ 계속
한반도생태평화벨트 조성 2013 ~ 2022 종료
보건복지부
(2/0)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2004 ~ 계속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2009 ~ 2038
산림청
(6/0)
산림경영자원육성(지역자율) 1988 ~ 계속
산림휴양녹색공간조성(지역자율・제주계정) 1988 ~ 계속
새만금수목원 조성 2018 ~ 2026
숲길네트워크 구축 2012 ~ 계속
임도시설(지역자율・제주・세종계정) 1984 ~ 계속
임도시설(지역지원계정) 1968 ~ 계속
산업통상자원부
(32/12)
ESG형 산단 공동혁신 지원사업(R&D) 2022 ~ 2024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사업 2021 ~ 계속
광역협력권산업육성 2015 ~ 2020 종료
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광역협력권산업육성(R&D/지원・세종 계정) 2015 ~ 2020 종료
구역청투자유치지원 2003 ~ 계속
권역별신산업육성사업(R&D) 2017 ~ 2021 종료
기타 기반시설 지원 2004 ~ 계속
동남권 그린수소 항만조성 2022 ~ 2023
사회적경제 혁신성장 2020 ~ 2022 종료
사회적경제혁신성장(R&D) 2020 ~ 2022 종료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사업(R&D) 2005 ~ 계속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R&D) 2011 ~ 계속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 2020 ~ 계속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지역지원・제주계정) 2020 ~ 2025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R&D)(지역지원・제주계정) 2011 ~ 2020 종료
외국교육연구기관 등 유치지원 2008 ~ 계속
웰에이징휴먼헬스케어밸리조성사업 2022 ~ 2022 종료
인천경제자유구역 전시컨벤션센터건립(BTL) 2019 ~ 2038
주요 기반시설 지원 2005 ~ 계속
지역 산업잠재위기 대응 프로젝트 2022 ~ 2022 종료
지역균형발전지원 2003 ~ 계속
지역투자촉진(지역지원・세종계정) 2004 ~ 계속
지역특성화산업육성 2010 ~ 2019 종료
지역혁신체계운영지원 2014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광역협력권산업육성 2018 ~ 2019 종료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2018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지역지원・제주・세종계정) 2014 ~ 계속
지역협력혁신성장(R&D) 2022 ~ 2024
지역활력프로젝트 2020 ~ 2021 종료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R&D) 2010 ~ 계속
투자유치기반조성 1994 ~ 계속
환동해해양헬스케어융합산업벨트조성사업 2022 ~ 2022 종료
식품의약품안전처
(1/0)
식의약품 안전감시 및 대응(지역지원・제주계정) 2010 ~ 계속
여성가족부
(2/0)
가족센터 건립 2015 ~ 계속
청소년시설확충 1990 ~ 계속
중소벤처기업부
(23/9)
국가융복합단지 연계 지역기업 상용화R&D 지원(R&D) 2019 ~ 2020 종료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R&D)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정보화)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제도운영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R&D) 2019 ~ 계속
기술지주회사자회사R&BD지원사업 2020 ~ 2023
대전실패박물관 2020 ~ 2021 종료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 2021 ~ 2022 종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9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지원 2021 ~ 2022 종료
산학연 Collabo R&D 2019 ~ 2027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1993 ~ 2020 종료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사업 2020 ~ 2022 종료
세종산업기술단지(TP) 조성 2019 ~ 2023
전통시장 및 중소유통물류기반조성 2002 ~ 계속
제주중소기업업무지원 2006 ~ 계속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2019 ~ 2019 종료
지역기업 혁신성장 지원(R&D) 2019 ~ 2019 종료
지역중소기업 공동수요기술개발 2020 ~ 2023
지역특화산업육성(R&D) 1995 ~ 2020 종료
지역특화산업육성(지원・세종계정) 2013 ~ 계속
지역특화산업육성+(R&D)(지원・세종계정) 2020 ~ 2025
창업인프라지원(지원・제주・세종계정) 1998 ~ 계속
해양수산부
(17/1)
국가어항(제주) 2007 ~ 계속
산지유통시설 지원 2012 ~ 계속
서남권 친환경 수산종합지원단지 조성 2014 ~ 2020 종료
수산물가공산업육성(제주) 1987 ~ 계속
수산물가공산업육성(지역자율) 1987 ~ 계속
수산물안전검사체계구축(지역자율) 2009 ~ 계속
수산식품산업 거점단지 조성 2008 ~ 2023
어업기반정비(지역자율) 2013 ~ 계속
제주외항(2단계) 2016 ~ 2025
제주일반항건설 2017 ~ 계속
제주항 2014 ~ 계속
제주해양항만 운영지원 2006 ~ 계속
지방이양항만 지원 2021 ~ 계속
추자항 2019 ~ 계속
항만시설유지보수 2006 ~ 계속
해양 및 수자원 관리(지역자율・제주계정) 1997 ~ 계속
화순항 2012 ~ 계속
행정안전부
(12/0)
섬발전협력사업추진 2018 ~ 계속
소하천정비 1995 ~ 계속
위험도로구조개선(지원・제주 계정) 2004 ~ 2023
자원봉사활성화지원 2006 ~ 계속
재해위험지역정비 1998 ~ 계속
접경권 발전지원 2011 ~ 2030
지방자치단체자율통합지원금 2011 ~ 2025
지역공동체일자리 2011 ~ 계속
지역교통안전환경개선(지원・제주・세종계정) 2003 ~ 계속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2008 ~ 계속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지역자율・세종계정) 2019 ~ 계속
특수상황지역개발(지역자율・제주계정) 2010 ~ 계속
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NABIS), URL : https://www.nabis.go.kr/bg1List.do?menucd=147, 접속일 : 2023.08.31.
나.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관계부처 합동, 2023. 2. 16.)
중소벤처기업부는 경제부총리 주재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을 발표했다. 본 대책은 “지역과 지역이 함께하고, 기존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을
함께 육성하며, 기업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지역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을 기본 원칙으로 하여, “지
역 중소기업 중심의 혁신생태계 조성으로 어디에 살든 다함께 잘사는 대한민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설
정하였다. “함께 성장하는 지역 중소기업, 대한민국을 견인하는 지역경제”라는 방향을 수립하며, △주
축산업 지원체계 개편 △미래신산업 육성 프로그램 마련, △제도・기반 고도화의 3대 추진전략을 수립
하였다. 먼저, 지역주력산업을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으로 분리 개편한다. 지역주력산업은 기술 성
숙도, 산업기반, 공급망 등의 다각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으로 분리되어 개편한
다. 주축산업은 기존 48개 산업을 41개로 정비하며, 이 중에서 성장 효과가 미흡한 11개 산업은 제외
하고, 추가로 4개의 신산업이 도입되어 산업 구조가 혁신적으로 조정한다. 기존 31개 산업은 핵심 품
목과 연관 품목 중심으로 지원 범위를 축소・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지원체계를 확립한다. 또한, 지역
내 고용과 생산 비중이 큰 6개 산업은 유지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경제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
고자 한다. 이어, 미래 신산업은 지역 내 기업과 산업 기반이 아직 충분하지 않지만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기술인 12대 국가전략기술과 신성장 4.0 사업 등을 활용하여 19개의
부처(전체/종료사업 수)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환경부
(14/3)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2013 ~ 2022 종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건립 2013 ~ 2019 종료
노후상수도 정비(지원・제주계정) 2017 ~ 2024
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지원 1998 ~ 계속
농어촌마을하수도 정비 2015 ~ 계속
상수도시설 확충 및 관리(지역자율계정) 1994 ~ 계속
생태하천 복원(세종) 2018 ~ 계속
생태하천 복원(지역자율) 1987 ~ 계속
생태휴식공간 확대(지원) 2012 ~ 계속
자연환경보전 및 관리 1999 ~ 계속
지방산업단지 공업용수도건설지원 1998 ~ 계속
폐기물처리시설 확충(제주) 2006 ~ 2019 종료
하수관로정비(세종) 2015 ~ 계속
하수처리시설 확충 및 관리 2007 ~ 계속
총 합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전체사업 수 : 198개
2023년 현재 균특회계 추진사업 수 : 161개
2023년 현재 균특회계 종료사업 수 : 37개
REGIONAL S&T YEARBOOK 2023 11
산업을 새롭게 선정한다. 이 중에서 14개 산업은 특정 지역 내에 선도기업이나 혁신기관과 같은 요소
가 존재하여 비교적 우위를 가지고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5개 산업은 지역협력형으
로 지역 간 차별화된 역량을 기반으로 초광역권 협력을 통해 공급망을 형성하고 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선정한다.
다음은, 주축산업과 미래 신산업을 차별화된 지원전략을 통해 주력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특히 중
소기업에 대한 지원 방식을 성과 중심의 지원으로 변경함으로써 지원 효과를 극대화하고, 미래 신산업
이 주축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밀접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주축산업은 혁신성과 성장성
을 기준으로 기업군을 유형화하여 지원하고, 지역 대표기업의 육성을 강화하고 기업군(컨소시엄) 단위
의 지원 방식을 적용한다. 아울러, 평가 결과에 대한 인센티브 차등 규모를 확대하여 지역 간 경쟁을 통
한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등 성과 기반 정책으로 전환한다. 미래 신산업은 중장기 로드맵을 기반으
로 기술과제 기획과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통합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산업 기반을 강
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개편된 지역주력산업이 원활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필요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지원체
계를 정비한다. 주력산업 개편 주기를 정례화하고 (가칭) 지역주력산업선정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주력
산업의 체계적인 개편과 안정적 육성을 위해 지역주력산업 법제화를 추진한다. 더불어 테크노파크의 역
할과 기능을 강화하며, 지역종합통계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 중심의 육성 기반을 더욱 강화한다.
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관계부처 합동,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23.02.16.)
그림 1-2-1 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13
다.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2023.11.)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을 발표했다. 이는 「지방자치
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제6조에 따라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2023.10.23.과 국무
회의 심의(2023.10.30.)를 거쳐 대통령 승인에 따라 확정되었다. 특히,「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
(’23~’27)」은 ’04년 이후 각기 수립되어 오던 지방분권(자치분권) 종합계획과 국가균형발전(지역발
전) 5개년계획을 최초로 통합하였다.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비전과 “지방주도 균
형발전, 책임있는 지방분권”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자율성을 키우는 과감
한 지방분권, 인재를 기르는 담대한 교육개혁,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개성을 살리
는 주도적 특화발전, 삶의 질을 높이는 맞춤형 생활복지 등 지방시대 5대 전략을 수립하였다.
※ 출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2023.11.)
그림 1-2-2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지방시대위원회 중점 추진과제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교육발전특
구 도입 및 지역-대학 동반 성장,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활성화 기반 구축, △로컬리즘(‘지방다
움’)을 통한 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 △매력있는 농어촌 조성으로 생활인구 늘리기, △지방 킬러규제
의 속도감 있는 일괄 해소로 지역 민간투자 활성화, △분권형 국가 경영시스템 구축으로 지역맞춤형 자
치모델 마련이다. 이중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 “△도심융합특구 조성으
로 지방활성화 기반구축”,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 “△디지털 재창조
롤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가 지방 과학기술 정책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이에 지방과학기술과 유관한 중점 추진과제를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첫째, △기회발전특구 지정으
로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계단계부터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新특구를 지
정한다. 각 산업별 육성전략과, 정책 및 사업 지원계획, 기업 투자계획・집적성 및 근로자의 정주환경을
고려하여 지방정부 주도하의 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하며 조례 중심의 법 체계로 지역별 특구 면적 총
량 내 지방정부에 운영상의 자율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이어, 투자재원 마련 및 투자이행, 경영활동 등
기업 활동 全단계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기존 특례와 더불어 지방정부가 규제를 직접 설계하는 ‘기회
발전특구 특례’제도 및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비율 가산, 민간재원 특구펀드에 일정기간 투자시 이
자・배당소득 세제 혜택을 적용하는 등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지방투자거점으로 육성한다. 또
한, 지역 도심 내 핵심 권역에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스타트업 클러스터’ 조성 및 지방정부와 기회발
전 특구의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세부적으로 창업기반시설 집중 구축 및 창업 유관기관 이전을 통해 창
업 인프라를 집적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을 통한 차별화된 스타트업 지원(지방이전 초격차 스타트
업 R&D・바우처 등 우대, 민간 중심의 네트워킹 특화지원 등)을 추진한다.
둘째,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지방활성화 기반 구축을 위해 쇠퇴해 가는 지방 대도시 도심에 청년
들이 직(일터)-주(주거)-락(여가)거점을 복합 개발하는 등 도심융합특구 개념을 도입한다. 기업 지원공
간과 양질의 문화・주거・상업 시설을 도심에 종합적으로 제공하며, 도시・건축 규제를 완화하여 공간을
조성하고,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각 부처의 다양한 특구 중첩 지정(중기부-규제자유특구, 과기부-디지
털혁신거점, 산업부-기회발전특구 등) 및 기업지원 프로그램 연계・집중 지원을 실시한다. 주택공급 특
례, 학교 및 교육과정 특례 등의 정주여건을 위한 지원과 전담기관을 설립하여 운영・관리의 체계성을
확보한다. 그 외 지방 5대 광역시(광주・대구・대전・부산・울산)를 선정하고 지역별 특화사업을 육성하
기 위한 기본계획 및 실시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특별법 및 하위법령을 마련하는 등 5대 광역시 선도사
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15
셋째, △지방이 주도하는 첨단전략산업 중심 지방경제 성장을 위해서 3가지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첨단산업이 국가경쟁력 향상과 지역경제활력 회복의 구심점이 되도록 지역별로 특화된 첨단전략산업
거점을 육성한다. 여기서 첨단전략산업 거점이란 15개 국가 첨단산단을 신규로 조성하고, 7개의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한다. 6대 첨단산업(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미래차, 로봇
등) 투자프로젝트에 세제・인프라(인허가 신속처리, 킬러규제 혁파, 세제・예산 지원, 용적률 완화, 전
력・용수 공급) 등 범정부 차원에서 약 550조원 규모를 지원한다. 이어, 유연한 산단 관리를 통해 첨단・
신산업의 입주를 활성화하고 투자지원을 확대하며, 문의・편의시설 확충 등의 청년들이 선호하는 정주
여건으로의 획기적 개선 등 30년 만에 산단 제도의 혁신을 추진한다. 또한, 지역별 과학기술기반 발전
전략인 「지역 과학기술혁신계획」을 지방 주도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지역
혁신 메가프로젝트(이차전지-대구・경북, 첨단모빌리티-경남・울산, 인공지능-광주・전남, 해양바이오
-충남, 농생명-전북) 지원(시범 ’23~’25, 327억원) 및 연구산업 밀집 지역을 ‘연구산업 진흥단지’로
지정하여 기술사업화를 지원한다(’23~’26, 420억원).
마지막으로,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에서 창업하여 혁신기업으
로 성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업・인재가 집적된 ‘디지털 혁신지구’를 ’30년까지 5개 이상 조성을 추진
하며,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지역에 최적화된 중장기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정부는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인프라 구축, 규제 특례, 산학연 협력, 정부R&D, 청년선호 정주환경 제공 등 체계적이고 과감한
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27년까지 SW중심대학 100개로 확대하고, 지방 주도로 수립하는 ‘RISE 계
획’, ‘글로컬대학 혁신계획’과 연계하여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비학위 고급・전문 교육과정을 확산하여
지방기업 수요 중심의 지역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등 ‘현장형 고숙련 디지털 핵심 인재’ 양성을 추진한
다. 또한, 충청권 AI활용 재난관리, 대구・경북・강원 메타버스 실증, 부울경 정보보호클러스터 등 선도
지역 중심으로 디지털 신기술 역량을 확보한다. 또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이 활용하는 디지털 전환서
비스(SW) 개발・실증을 통한 전환 촉진, 지역 디지털 서비스 강소기업 100개 이상 육성한다. 그 외에도
지방주민 디지털 활용능력 제고 및 활용 접근성을 개선한다.
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2023.11.)
그림 1-2-3 지방시대위원회 중점 추진과제
REGIONAL S&T YEARBOOK 2023 17
다음은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중앙정부 부문별 계획이다. 각 5대 전략에 따른 범
부처 차원의 22개 핵심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5대 전략 중 “Ⅲ. 일자리 늘리는 창조적 혁신성장”
은 지방 과학기술정책과 관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세부과제Ⅲ-1은 “기회발전특구와 혁신성장거점 육성으로 성장동력 확충(산업부)”이다. 기업 지방
투자 촉진을 위한 특구신설 및 지방투자 제도개선 등 파격적・획기적 접근과 지원을 시도한다. 또한 지
역별 첨단산업 투자 촉진을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소부장 특화단지 등 혁신거점 육성, 국가산업단지
생태계 지원을 실시한다. 또한, 지역에 자율성을 대폭 부여하는 지역주도 특화산업 육성 거점을 위한
성장거점(지역혁신클러스터) 고도화를 추진한다.
세부과제 Ⅲ-2는 “지역의 효율적 성장을 지원하는 공간조성(국토부)”이다. 반도체・미래차・우주 등
지역별 첨단산업 투자촉진 및 전 국토에 균형된 첨단산업 구축을 위해 국가산업단지를 신규 추진한다.
또한, 획기적인 규제완화와 기업 지원을 통해 기업이 자유롭게 개발하고 투자하는 기업주도 성장거점
인 기업 혁신 파크를 조성한다. 대학 내 주거・문화・복지가 결합된 도시첨단산단을 조성하고, 지방 대
도시 도심에 산업・주거・문화를 복합개발하여 청년이 모이는 융복합 거점인 도심융합특구를 조성한다.
그 외 쇠퇴한 원도심에 일자리 창출 및 경제적 효과가 큰 거점사업 시설을 조성하는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을 추진하며, 노후산단은 대규모 고밀 복합개발을 통해 국가 제조 경쟁력 강화 및 청년 일자리・첨
단산업이 유입되는 혁신산단으로 변화를 추진한다.
세부과제 Ⅲ-3은 “지역특화형 산업육성 및 일자리 창출 촉진(산업부・고용부)”이다. 먼저, 전략산업
지원을 위해 지역 주도 산업을 고려한 인프라 구축 및 연계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첨단・신산업의 기존
산업단지 입주 확대, 청년들이 선호하는 정주여건으로의 획기적 개선 등 30년 만에 산단관리제도를 혁
신한다. 또한, 지역이 지역・산업에 맞는 일자리 사업을 설계・실시하여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등을 자율
적으로 추진토록 지원한다.
세부과제 Ⅲ-4는 “글로벌 선도형 지역과학기술(과기부)”이다. 지방 주도로 전략산업과 연계한 과학
기술 현안을 발굴・기획하고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지방 전반으로 연구성과를 확산한다. 또한 연구개
발특구 활성화 및 고도화, 연구산업단지 지정 등을 통해 혁신거점을 확산하고 ‘오픈랩’을 활용한 대학
과 기업의 기술발굴・이전 촉진, ‘학연 협력 플랫폼’을 통한 인력양성・공동기술・기술사업화를 지원하
여 지방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혁신역량을 집결한다. 이어 지방주도 과학기술기반 발전전략인 중・
장기 혁신 계획 수립과 지방 과학기술 씽크탱크(연구개발지원단) 기능 강화를 통한 지방혁신 추진을
지원하며,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지역경제와 접목하여 집중 육성하기 위한 새로운 거점인 지역기술혁신
허브를 조성한다. 이는 전략기술 관련 강점이 있는 지역기관을 허브로 지정하고, 국가전략기술 로드맵
에 부합하는 미션을 부여하며, 해당기술의 연구개발, 실증, 사업화, 인재유치 등 집중 지원을 실시한다.
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세부과제 Ⅲ-5는 “지역 디지털 혁신을 통한 균형발전 실현(과기부・산업부・행안부)”이다. 디지털 신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 내 최적 입지를 대상으로 디지털 생태계의 초기기반에 해당하는 디지
털 혁신지구 조성을 지원한다. 또한, 선도지역(권역별 AI융합프로젝트,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 부울경
정보보호클러스터 등)을 중심으로 AI・디지털트윈・메타버스・블록체인 등 4대 디지털 신기술을 확산하
고, 지역 주력산업 맞춤형 디지털서비스를 개발 및 실증을 추진한다. 생활SOC(주민센터, 경로당 등)
기반 디지털 활용교육 고도화 및 디지털 SOC 확충을 위한 스마트빌리지를 확산하며, 세부적으로 지자
체・공공기관으로의 공공서비스 모델 확산 및 도입을 촉진한다. 그 외에도 SW중심대학, 이노베이션아
카데미, 이노베이션스퀘어 등의 지역 확산 및 고도화를 통해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디지털 인재를 양성
한다.
마지막으로, 세부과제 Ⅲ-6은 “지역 맞춤형 창업 및 혁신생태계 조성(중기부)”이다. 먼저 지역 도심
내 핵심 권역에 창업활성화를 위한 「스타트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기회발전 특구와 연계를 통해 창
업활성화를 추진한다. 또, 개별 기관의 분절적 지원에서 벗어나 중앙-지자체-혁신기관이 연계되는 지
역 중소기업 혁신생태계를 구축하여 컨베이어 형태의 패키지 지원을 추진한다. 전면적인 네거티브 규
제 특례 및 실증부터 사업화까지 국제기준에 맞는 제도가 적용되는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며, AI・디
지털트윈 기반 자율형 공장, 디지털 협업공장 등 선도모델을 육성하고 지역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제
조혁신 지원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그 외 지역중소기업 위기대응을 위해 지역별 위기지원센터 추가설
치, 현장 밀착형 위기 징후 모니터링강화하고, 지역소멸 대응을 위해 인구유출 방지를 위한 지역 연고
자원을 활용한 사업화 지원 및 지방소멸대응기금과의 연계를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중견기업을 대상
으로 지역소재 대학-중견기업간 공동 R&D・석박사 인력양성 확대, 중견기업 최대 채용행사인 “중견
일자리박람회” 지역 개최 등 혁신인재 확보를 지원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19
※ 출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2023.11.)
그림 1-2-4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중앙정부 부문별 계획
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2)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서,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전략기술, 미래산업 육성, ▲디지털 전면 확산, ▲인재・지역적 기반
확보의 3대 추진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어 ①대한민국 우주경제 가동, ②국가전략기술 본격 육성, ③신
기술 기반 미래산업 선점, ④디지털 일상화, ⑤K-디지털 글로벌 확산, ⑥디지털 안심・포용사회 실현,
⑦혁신을 이끌 핵심인재 육성・확보, ⑧지역과 함께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이라는 8대 핵심과제를
선정하였다. 특히, 8대 핵심과제 중 「⑧지역과 함께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은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12.28.)
2) 각 부처의 2023년 업무보고(’22년 12월, ’23년 1월), 각 부처 보도자료 등 참고
그림 1-2-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21
“핵심과제 ⑧ 지역과 함께하는 과학기술・디지털 혁신”을 위해서 지역 연구 역량을 확충하고, 디지털
혁신거점을 조성 및 고도화한다. 우선, 지역주도, 정부지원의 추진체계 구축 및 지역 역량 제고를 뒷받
침하기 위한 「지역과학기술혁신법」제정을 추진한다. 선도연구개발지원단(신규 5개) 및 지역과학기술
혁신센터를 지정하여 지역의 과학기술 싱크탱크 기능을 강화한다. 지역 주도 중장기 현안 프로젝트
(’23년 신규, 77억원 / 4대 권역, 5개 과제)를 추진하여 지역의 선도 기술 확보 및 기술격차 극복을 달
성하고자 한다. 지역대학과 출연연을 연계하는 거점 협력 플랫폼(’23년 신규, 52.4억 원, 4대 권역)을
구축하고, 사업간 연계 및 지역혁신 역량을 결집하여 연구기관 주도의 지역혁신 거점을 구축한다. 이
는 지역 주도, 지역 기반의 자생적 혁신을 유도하기 위한 기반마련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각 지자체별 디지털 관련 정책을 종합・연계한 「지역 디지털 생태계 경쟁력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23년 1분기), 지역 디지털 과제 발굴을 위한 ‘지방시대위원회’ 협력을 강화한다. 각 권역별 산업과 디
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공지능(AI) 지역융합사업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광주 AI 인프라, 강원 AI 의
료・건강, 영남 AI 자율제조, 충청 AI・메타버스 융합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지자체 주도 지역 특화 디
지털 신산업 성장 여건 및 가능성이 높은 공간을 디지털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고 지원한다. 시범지역 2
곳을 선정(공모)하여 디지털 인프라 집적 등의 초기 조성비(지역 당 22억 원)를 지원하고, 지자체가 추
진 중인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에 관한 예비타당성조사 기획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한다. 스마트 빌리
지 확대 지원(’22년 100억 원 → ’23년 632억 원)을 통해 농어촌에 디지털을 접목해 생산성을 향상하
고 생활 편의를 개선한다. 또한,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를 ’23년 1개소를 구축하고 ’26년까지 4
개 권역으로 확대 추진한다.
나.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는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서, “상생과 연대의 노동시장 구축”이라는 비전을 제시
하며 “노동개혁의 성공적 완수”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맞춰 노동개혁 완수,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
선, 일자리 불확실성 선제적 대응이라는 3대 핵심과제를 설정하였다. 먼저 “핵심과제1. 노동개혁을 완
수하겠습니다.”는 ① 노사 법치주의 확립, ② 노동규범 현대화, ③ 중대재해의 획기적 감축의 세부 추진
과제를 설정하였으며, “핵심과제2.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개선하겠습니다.”는 ① 상생형 임금체계 개
편, ② 상생과 연대의 산업・노동생태계 조성, 법적 보호의 사각지대 해소의 세부 추진과제를 설정하였
다. “핵심과제3. 일자리 불확실성에 선제적 대응하겠습니다.”는 ①기업 구인난 해소, ②취약계층 일자
리 장벽 제거, ③노동시장 참여 촉진형 고용안전망으로 개편, ④고용상황 대응 : 단기컨틴전시 플랜 +
중장기체질개선이라는 세부추진과제를 설정하였다. 특히,「핵심과제3의 세부추진과제① 기업 구인난
해소」는 지역, 과학기술분야 일자리와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고용노동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09)
그림 1-2-6 고용노동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23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불확실성에 선제적 대응, 기업 구인난 해소를 위해, 업종・지역・기업 맞춤형 취
업을 지원한다. 먼저 업종 차원에서는 지역을 넘어 산업벨트를 현성하고 있는 업종에 대한 체계적인 대
응을 위해 「업종별 취업지원 허브」를 신설(반도체・조선 2개소)한다. 조선업(울산, 목포 등 6개소), 뿌
리산업(인천, 수원, 부산 등 11개소) 등 상시 인력난 업종에 대해 신속취업지원TF를 구성하고, 서비스
업 48개소에 각 고용센터에 전담자를 지정하여 밀착지원을 추진한다. 지역차원에서는 지방정부가 지
역 상황 및 필요에 따라 중앙정부 일자리사업에 추가(PLUS)하여 지원할 수 있는 상향식 사업을 도입
(’23년)하고, 지역단위로 산업・고용 현황을 제공하는 일자리 정보시스템을 구축(’23년 1분기)한다. 기
업차원에서는 채용 및 취업애로 해소를 위해 진단・컨설팅・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구직자 도
약보장 패키지」를 시행한다. 2022년 15개소를 시범 운영하였으며, 2023년 하반기까지 전국 48개 센
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산업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핵심 인력 신속 양성을 추진한다. ‘기업 주도형 혁신훈련’, 훈
련분야 및 양성규모를 2.8만 명에서 3.6만 명으로 확대하고, 대기업 참여를 확대하여 첨단산업 공동훈
련 지원을 강화한다. 훈련분야 확대는 기존 디지털 분야(인공지능, 클라우드, IoT, 메타버스, 5G・6G,
일반SW,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이버 보안)에서 첨단산업(지능형로봇・드론, 시스템반도체, 3D프린
팅, 차세대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에코업, 신재생에너지, 이차전지, 첨단소재)로 확대하고, 공동훈련
지원 강화를 위해 첨단산업 공동훈련센터 5개소 신설, 기존 20개소의 K-디지털 플랫폼을 35개소로
확대한다. 더 나아가, 신기술 분야별 기초실태조사 문항 및 주기를 통일성 있게 정비하고 현장 심층인
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등 질적 분석을 강화하는 등 신기술 분야 인력수급 전망을 고도
화하고, 「인재 양성 신속절차」를 신설하여 연도 중 시급한 훈련과정을 신설할 수 있는 유연한 제도를
도입한다. 기계・전자 등 국가기간・전략산업 직종 훈련 지원 또한 확대(4,648억 원)한다.
다. 교육부
교육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교육개혁, 대한민국 재도약의 시작”이라는 비전을 제시
하며 4대 개혁분야, 10대 핵심정책을 설정하였다. ➊ 학생맞춤 단 한명도 놓치지 않는 개별 맞춤형 교
육, ➋ 가정맞춤 출발선부터 공정하게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돌봄, ➌ 지역맞춤 규제없는 과감한 지원
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 ➍ 산업・사회맞춤 사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에 신속히 대응하는 교육 등 4대
개혁분야를 설정하였다. 관련하여 ①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② 학교교육력 제고, ③ 교사혁신 지원체
제 마련, ④유보통합 추진, ⑤늘봄학교 추진, ⑥과감한 규제혁신・권한이양 및 대학 구조 개혁, ⑦지역
혁신중심 대학지원 체계(RISE) 구축, ⑧학교시설 복잡화 지원, ⑨핵심 첨단분야 인재 육성 및 인재양성
전략회의 출범, ⑩ 러닝메이트법, 교육자유특구법, 고등교육법, 사립학교법 등 4대 교육개혁 입법 추
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진의 10대 핵심 정책을 설정하였다. 이 중, “➌규제없는 과감한 지원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과 “➍사
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에 신속히 대응하는 교육”의 개혁분야가 지역혁신과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출처 : 교육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05)
그림 1-2-7 교육부 2023년 추진과제 및 추진체계
REGIONAL S&T YEARBOOK 2023 25
교육부는 “규제없는 과감한 지원으로 지역을 살리는 교육”을 위해, 지자체・교육청과 함께 학교를 지
역혁신 성장의 허브로 육성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고, 2023년 목표는 5개 지자체 RISE 시범운영
및 정원・학사・재정 규제 제거로 설정하였으며 2026년까지는 지역의 대학 지원 권한 대폭 확대 및 중
앙정부의 대학규제 제로화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3대 핵심정책을 설정하였다.
먼저, ⑥과감한 규제혁신・권한이양 및 대학 구조개혁을 고등교육과 유・초・중등 교육분야를 구분하
여 추진한다. 고등교육 분야는 총 정원 내 학과 신설 및 정원 조정을 완전 자율화하고, 신규 캠퍼스 설
치 및 대학 통합 시 규제를 혁신하는 등 대학 규제 제로화를 추진한다. 또한 사립대학 재산처분을 유연
화하고, 일반재정지원사업 집행 시 각종 규제를 없애 재정운영의 자율성을 제고하여 규제혁신을 도모
한다. 경제자유구역 내 고등외국교육기관 설폐 승인 등 권한, 지방대 지원 계획수립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하는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정부의 획일적 평가 폐지, 대교협의 인증평가 및 사학진흥 재단
재정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재정을 지원하고 경영위기 대학을 지정하는 등 권한이양과 구조개혁을 실
시한다. 유・초・중등 교육분야는 학교설립에서 운영까지 교육관련 규제를 완화하여, 정형적 모델이 아
닌 지역별 맞춤형 공교육 선도 ‘교육자유특구3)’를 지정하고 운영한다. 2023년 교육자유특구 지정・운
영 방안 마련 및 법령 정비를 실시하고, 2024년 시범운영을 추진한다. 또한 지역 여건별 학교 설립이
용이하도록 중앙투자심사 대상을 축소(소규모학교, 학교 이전 신설 등의 경우 중앙투자심사 면제 등)
하는 등 규제 개선으로 교육청 자율권을 확대해 학급 과밀 해소를 지원한다.
이어서, ⑦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를 구
축한다. 지역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지자체의 대학 지원 권한을 확대하고 규제를 대폭적으로 완화
하며 선택과 집중에 의한 재정 투자를 추진한다. 2023년 의지와 역량이 있는 5개 내외 지역의 지자체
를 선정하여 시범 추진하고 2025년부터 전 지역으로 확대 추진한다. 시범지역은 고등교육혁신특화지
역으로 지정하고 규제특례 적용 및 지역주도 재정지원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한다. 지자체와 중앙
부처가 협력하여 지역발전전략과 연계한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역과 동반 성장하며 세계적 수준의 경
쟁력을 갖춘 글로컬(Glocal) 대학 육성을 지원하고, 지자체에 대학 지원을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는
등 지역의 대학지원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또한 실시한다.
⑧ 학교시설 복합화 지원을 추진한다. 지역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초・중・고, 대학 등 학교시설을 지
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학교시설 복합화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늘봄학교(교육부), 도시재생사업
(국토부), 공공기관 이전(균형위) 등 부내・외의 다양한 사업과 연계해 학교시설 활용방안을 모색할 계
획이다. 특히 ‘학교시설 복합화 활성화 방안’은 특별교부금 등을 활용하여 지자체・교육청에 재정지원
3) 교육자유특구 방향은 특구 내 대안학교의 설립 절차 개선, 행정적・재정적 지원 강화 및 교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지역 특성
에 맞는 선택적 규제 특례 등 교육청-지자체 중심의 창의적인 교육자유특구로 설정하였다.
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을 추가하고, 교육부・행안부 투자심사 간소화 및 「학교복합시설법」 개정사항 발굴 등 규제를 개선한
다. 동 방안은 교육부가 관계부처, 지자체, 교육청 협업의 컨트롤 타워로서 사업을 총괄하고 현장 중심
의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자 한다.
핵심정책 이외, 지역 중심 재정지원을 확대 추진한다. 이는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 도입으로
고등교육 재정을 안정적으로 확충하여 지역대학을 두텁게 지원하고 대학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하고자
하며 세부적으로 지역 인재양성과 국가 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국립대학 육성 지원규모를 확대하
며, 지방 사립대학이 지역의 발전계획과 연계하여 교육을 혁신하고 특성화 할 수 있도록 ‘지방대학 활
성화 사업’ 또한 신설한다. 대학 창업 교육이 혁신 인재의 실전 창업까지 연결되도록 창업교육 혁신 공
유대학 대상 권역을 2개(’22년)에서 5개(’23년)로 확대하고 규모 또한 5.6억 원(’22년)에서 52억 원
(’23년)으로 확대한다.
라.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멈추지 않는 혁신과 성장의 엔진, 국토교통부”라는
정책비전을 제시하며 “균형 발전 / 민생 안정 / 경제 재도약 / 국민안전”의 정책방향을 설정하였다. 국
토교통부는 ➊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성장 인프라 확충, ➋주택 시장 안정과 주거약자 복
지 구현, ➌국민 편의와 미래산업기반인 교통 혁신 실현, ➍민간 중심 국토교통산업 활력 제고, ➎안전
하고 살기 좋은 생활환경 조성 등 5대 정책과제를 추진에 역량을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 중, 정책과제
➊에 해당하는 “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성장 인프라 확충”에서 규제혁신, 지역주도 혁신
성장 공간 조성 등의 내용이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27
※ 출처 : 국토교통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03)
국토교통부는 “지역 주도-정부 뒷받침”을 통한 실질적 균형발전을 위해 과감한 규제혁신 등을 추진
하여 지역에 자유를 확대하며, 특히 지역 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혁신 성장 공간 조성 등을 추진한다. 실
질적 균형발전을 위한 규제완화 및 성장 인프라 확충을 위해, ①과감한 규제혁신과 협업 강화로 지방
자율성을 확대하고, ②지역 주도 혁신 성장 공간 조성을 추진한다.
그림 1-2-8 국토교통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먼저, ①과감한 규제 혁신과 협업 강화로 지방 자율성을 확대한다. 크게 개발제한구역(GB) 규제 개
선, 도시계획, 토지수용, 거버넌스로 구분하여 추진계획을 구체화하였다. 비수도권 지자체 GB 해제 권
한을 대폭 확대하여 지역의 GB 활용도를 제고한다(’23년 상반기). 반도체, 방산, 원전산업 등 국가적
으로 중요한 전략사업을 지역에 추진하는 경우 GB 해제 총량에서 제외하며 GB 내의 환경 우수 지역과
같은 보전 필요 지역은 보다 철저하게 관리하고 GB 해제 시 공영개발 요건 강화 등을 통해 질서 있는
개발을 유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조건을 고려하여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장을 비수도권 위원으
로 위촉하고 해제절차 전 지자체 사전 컨설팅 기능도 강화한다. 이는 현재 국토부 협의만으로 판단하지
만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사전 심사반 신설 및 운영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주거, 업무, 여가 등
다양한 기능이 융복합된 도심 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도시계획체계가 유연하게 개편한다(’23년 상반
기). 토지의 용도와 밀도에 대해 민간과 지자체의 자율성이 대폭 반영될 수 있도록 공간혁신구역을 도
입한다. 여기서 공간혁신구역이란 토지의 용도・밀도 등 도시규제 없이 자유롭게 개발가능한 도시혁신
구역, 용도지역 변경 없이 허용 건축물 용도를 다양화하는 복합용도구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추가로
토지수용과 거버넌스 창원에서 기초지자체가 추진하는 사업은 지방에서 판단 및 결정할 수 있도록 공
익성 협의 권한을 이용하고, 지역과 함께 광역권별 지원전략, 인프라 투자계획 등을 검토하기 위한 「지
역균형발전지원단」운영을 본격화 한다(’23.01).
이어, ②지역주도 혁신 성장공간을 조성한다. 이를 위한 세부추진과제 은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 지
원한다. 도심융합특구는 기업・인재가 선호하는 도심에서 특화산업이 육성되도록 기업 공간・디지털인
프라 금융・R&D 등 범부처 패키지를 제공한다. 범부처 패키지는 디지털 인프라(과기부), 펀드・금융(중
기부), R&D(산업부・과기부・중기부) 등 협업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23.12). 법인・소득세 등 세제혜
택과 규제실증 특례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산업특화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교육특례 부여도 검
토한다. 국가산단은 소형모듈원전, 원자력수소생산, 나노・반도체, 우주발사체 등 지역의 미래첨단전
략산업 육성을 위해 국가산단을 신규 조성한다. 미래첨단전략산업에 대한 국가지원도 병행하여 지역
산업 육성이 국가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기존보다 2배 이상(10개 이상) 국
가산단을 조성하고, 후보지 발표 전 관계기관 협의(GB・농지 등)를 완료하는 등 추진기간을 대폭(1/3)
단축한다. 특히 기업 수요 및 애로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기업과 지역・중앙정부가 함께하
는 전담 지원팀을 구성한다. 신규 조성 이외 기존 노후산단은 고밀・복합개발하여 첨단산업에 맞게 리
뉴얼 할 수 있도록 활성화 구역을 선정한다. 세부추진과제 는 기존 거점 고도화이다. 공공기관 2차 이
전을 위해 1차 이전 성과평가와 시사점을 토대로 이전시관 선정기준 및 입지원칙 등을 담은 ‘공공기관
2차이전 기본계획’을 2023년 상반기에 수립하고, 신속한 이전이 가능한 임차기관부터 연내 이전을
2023년 하반기에 착수한다. 그 외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와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지원해 행정수도
기능을 제고하고, 새만금에 세제혜택 등 기업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국제투자진흥지구를 도입・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29
정(’23.08)하고, 2023년 6월 첫 도시인 수변도시 매립공사를 준공한다. 관련하여 남북도로(’23.07),
지역 간 연결도로(’23년 하반기 발주)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세부추진과제 은 지역주도 맞춤형 신성장거점 조성이다. 일자리 거점으로서 지역대학 활성화를
위해 연구역량과 청년인재를 활용하는 캠퍼스 내 산단・창업공간을 조성(캠퍼스 혁신파크 선정, 2개소)
한다. 도심 내 기업입지 조성을 위해 기업혁신파크를 도입하고, 이를 위한 규제특례 등을 담은 기업도
시법을 개정하고(’23년 하반기) 선도사업지를 선정한다(2개소). 또한 연섹권 등에 지방특성(산단, 관
광 등)을 반영한 주거・산업・문화 복합 거점을 조성하는 투자선도지구를 2023년 4곳 이상 선정하는 방
향으로 확대한다. 지역정착거점으로서 은퇴자・귀농귀촌자 등의 지역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돌
봄・일자리 등이 복합된 지역활력타운을 2023년 상반기 7곳을 선정하여 조성한다. 여기서 지역활력타
운은 타운하우스형태(고령친화설계, 제로에너지)로 분양・임대주택으로 공급하며 생활 인프라(국토
부), 돌봄(복지부), 여가(행안부), 체육(문체부) 서비스 등을 지역주민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마을기업, 재능기부 등을 통해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그 외 생활인
구 기반 지원으로서 정주인구 외에 관광・산업 등 생활인구를 고려해 기반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생
활권 계획을 2023년 상반기에 도입한다. 세부추진과제 는 국토의 입체적 개발을 통한 국토 경쟁력
제고이다. 이를 위해 철도지하화, 지하고속도로, 환승센터, 기반마련 등을 추진한다. 먼저 상부 구도심
공간을 미래 도시공간으로 재구조화하고, 단절된 지역 복원을 위해 특별법 발의(’23년 상반기) 및 후속
절차를 추진한다. 또한 임기 내 경인(인천~서울) 착공(’27년 상반기), 경부(기흥~양재) 설계 완료(’27
년 상반기), 수도권1순환선(퇴계원~판교) 설계 착수 등을 목표로 사전 절차를 신속 진행한다. 또, 삼성
역 등 주요 교통거점에 계획된 지하 환승센터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복합개발 추진 등을 위한 포럼을
발족한다. 그 외에도 대학교・유원지・터미널 등 도시계획시설 지상・지하공간에 쇼핑몰・전시장 등이
복합화 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다(’23년 상반기, 국토계획법 개정).
마.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26년까지 비전으로 “「수출 5위 + 제조 3위 + 경
제영토 1위」달성”을 제시하며, ▲수출 플러스 달성, ▲투자주도성장을 통한 좋은 일자리 확충, ▲저소
비・고효율 에너지 구조로 전환, ▲글로벌 통상 중추국가 실현의 ’23년 목표를 제시하였다. 산업통상자
원부는 이러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➊범정부 역량 결집을 통한 수출 플러스 달성, ➋실물경제
활력 회복과 역동적 성장, ➌에너지 안보 확립과 시스템 혁신, ➍국익을 우선하는 선제적 통상 등 핵심
추진과제를 중점 추진한다.4)
4)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 ’23년 수출 6,800억불 이상 달성, 설비투자 100조원, 외투 300억불 이상 유치로 민
간주도성장 견인, 산업통상자원부 보도 참고자료(’22.12.27)
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12.27)
여기서 “➋실물경제 활력 회복과 역동적 성장”에서 “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추진
한다.”는 내용이 지역 과학기술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
리 창출을 위해 지역경제 기반 확충,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연계형 지역투자 확대, 산업단지의 디지털・
저탄소 전환 및 안전관리 강화로 구분하여 추진한다. 지역경제 기반 확충을 위해 지역 주도로 선정한
전략산업에 R&D, 실증인프라 우선 지원을 통해 지역 클러스터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중복・분산 투자
를 방지한다. 기회발전특구 신규 지정 및 적극 세제 및 규제 특례를 적용 추진하고, 지역 주도 투자 프
그림 1-2-9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정책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31
로젝트(14개 시・도, 538건, 50조 원)를 밀착 지원한다. 지역 주도 투자프로젝트는 충북 이차전지(4조
원), 구미 기판소재(1.4조 원), 울산 이차전지 핵심소재(1조 원) 등 지방투자보조금 지원한도(현재 100
억 원)를 확대하고 고용보조금(지식서비스업)을 신설한다.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연계형 지역투자 확대를 위해, 2023년 2개 지역에 시범사업으로서「한국형
퀵 스타트 프로그램」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지방투자 기업의 적기 인력확보를 지원한다. 지방 대학과
의 채용 연계형 공동 R&D, 계약 Lab 지원 사업을 통한 지역기업의 기술・인력 부족애로를 해소한다.
이는 ’23년 기준으로 공동 R&D 및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3개 컨소시엄별 연간 9억 원 규모로 지원한
다. 그 외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산업단지 디지털・저탄소 전환 및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 → 개선방안 → 투자 패키지 지원” 체계의 디지털 전환 대진단을 실시하고, 공정혁신을 위한 디
지털 시뮬레이션 센터 등을 구축한다. 또한 산업단지별 친환경 에너지 보급 등 저탄소 산단을 2022년
3개에서 2023년 10개로 확대하고, 유해・위험물질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IoT,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원격 감시시스템을 구축한다.
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가상・데이터가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 경제 시
대 전환의 환경에서, “디지털 경제 시대, 미래를 만드는 글로벌 창업대국”이라는 비전을 제시하였다.
크게 ▲글로벌, ▲디지털, ▲함께도약의 3대 성장전략 하에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의 전면적인 글로
벌 진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압축성장 과정에서 누적된 양극화를 해소하는 신동반성장과 복합위
기 장기화에 대한 안전판 마련 및 현장체감 규제해소도 병행한다. 핵심추진과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➊신산업・신시장 개척의 첨병, 창업벤처 집중 육성, ➋단단한 우리경제의 허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➌우리동네 생활혁신가,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➍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 등이 있다. 이 중, “➋단단한 우리 경제의 허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내 세부 추진과제에 해당하
는 “제조 디지털화 및 고부가 R&D확대”와 “➍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의 세
부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지역위기 관리”, “글로벌 혁신특구”, “규제자유특구” 등의 내용이 지역 과학
기술과 관련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2.12.27)
➋단단한 우리 경제의 허리,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디지털 분야 세부 추진과제 은 “지역・생산성
혁신”이다. 크게 지역 주력산업을 개편하고, 지역특화 제조혁신, 투자여건 개선, 위기관리 등 「지역 중
소기업 육성전략」을 ’23년 상반기에 마련하고자 한다. 이는 수도권 격차 확대, 인구 유출 등 지역소멸
위기를 지역기업 혁신성장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서비스
R&D 확대, 투자형 마케팅 전문회사 도입, 인재 확보 지원 강화 등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 지원대책」
또한 ’23년 상반기에 마련하고자 한다. 여기서 투자형 마케팅 전문회사는 마케팅회사가 마케팅 비용을
그림 1-2-10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업무 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3 33
매출 성과와 연동하거나 주식 지분으로 받는 제도를 의미한다.
다음은, 핵심추진과제➍ 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에서 위기극복 중 “지역위
기관리”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위기지원센터를 2022년 5개(강원・전남・대구・경
북・부산)에서 2023년 12개(세종・제주 제외 비수도권 전역)로 확대하여 위기 모니터링 범위를 확장하
고, 위기기업에 R&D・사업화, 사업전환을 연계한다. 이는 지역위기 관리 차원에서 모니터링 범위를
확대하되 위기 중소기업에 대하여 R&D・사업화를 지원하여 사업전환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서 R&D의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어서, 핵심추진과제➍ 현장 위기 극복・규제혁파를 위한 정책 원팀 가동에서 규제혁파 중 “글로벌
혁신특구”와 “규제자유특구”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글로벌 수준의 혁신환경을 조
성하고 국내・외 혁신기업을 집적하여 신산업을 선도하는 새로운(新) 지역혁신 클러스터를 도입한다.
세부적으로 해외에 없는 규제는 실증특례를 허용(사회합의 필요 시, 해외진출 조건부 특례 부여) 등 획
기적으로 규제를 완화하고, 대규모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를 제공한다. 또한 혁신인재 육성 및 해외 실
증 R&D, 스케일업 지원 등을 추진한다. 규제자유특구는 소관부처의 개정계획 제출 의무화 및 정당한
사유 없이 지연 시 개정권고와 같은 안전검증 완료 특례에 대한 신속한 규제법령을 정비하고, ‘법령상
금지사항’은 임시허가 전환이 불가하여 법령 개정 전까지 특례 연장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례 자동연장,
특례 재심의 요청 등의 절차를 신설한다.
그 외에도 「정부 공통과제 이행계획」에서 대학의 창업거점 역할 강화 및 민간역량 활용 확대를 추진
한다. 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으로 지정하여 대학발 창업 활성화 및 지역 창업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2022년 기준 6개 대학(한양, 강원, 호서, 부산, 대구, 전북)에서 2023년 9개
대학으로 확대한다.
사.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 “일 잘하는 정부, 함께 잘 사는 안전한 나라”라는 비
전을 제시하며, ➊일상이 안전한 나라, ➋활력이 넘치는 지방시대, ➌일 잘하는 정부, ➍함께하는 위기
극복, ➎성숙한 공동체 등 5대 약속과 함께, ▲민생치안 확립 및 준법질서 구현(경찰), ▲선진 소방안전
체계 구축(소방)의 약속을 제시하였다.
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행정안전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3.01.27)
이 중, “➊일상이 안전한 나라”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국가안전시스템 전면 개편”과 “➋활
력 넘치는 지방시대”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지역주도 경제활력 회복, ②기회균등을 위한 지
역균형발전 추진, ③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자치개혁 촉진”, “➍함께하는 위기극복”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새로운 성장동력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이 직・간접적으로 지역 과학기술과 관련성이 있
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2-11 2023년 행정안전부의 약속
REGIONAL S&T YEARBOOK 2023 35
약속➊ 「일상이 안전한 나라」의 핵심 추진과제인 “①국가안전시스템 전면 개편”에서는 「국가안전
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재난안전관리 체계 패러다임을 대전환(관점, 방식, 행동)하고, 5대
추진 전략과 65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여기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5대 추진전략 중 “디
지털 플랫폼 기반의 과학적 재난안전관리 구현이 관련된 내용이다. 재난관리책임기관(58개)별 분산
관리하는 데이터(1,953종)를 통합・공동 활용 할 수 있는 「재난안전정보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대국
민 재난안전정보 원스톱 제공 서비스 창구인 「국민안전24」를 신설한다. 더 나아가 수해・지진・산불・
감염병 등 각종 재난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서 예측・감지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과학적 의사결정
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관측망을 확충하고 예측모델을 고도화하고, ICT・지능형CCTV・AI 등
을 활용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약속➋ 「활력 넘치는 지방시대」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지역주도 경제활력 회복, ③핵심역
량을 강화하는 자치개혁 촉진, 약속➍ 「함께하는 위기극복」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①새로운 성
장동력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에서는 지역 기업 R&D 지원에 관련된 내용이다. 먼저, 지역주도 경제 활
력 회복을 위해 기업의 지방이전 환경 조성 및 지방소재 기업 지원을 강화한다. 기업 활동에 수반되는
지자체 재정소요를 뒷받침하고, 지방이전 기업에 대한 지자체의 지방세 감면액의 300%를 교부세 수
요에 반영하는 등 지방교부세를 활용하여 지역 기업 지원(R&D, 인프라, 인력, 수출 등)을 강화한다.
이어서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자치개혁 촉진을 위해서 일반자치-교육자치 관계 재정립을 추진한다.
시・도지사와 교육감 선거 ‘러닝메이트제’ 도입 대비 일반-교육자치의 통합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대책
등을 추진한다. 특히, 지자체가 교육행정과 지역발전을 연계할 수 있도록 교육 기능 수행체계 재설계
및 시・도-교육청 정책・재정 협력을 강화한다. 시・도-교육청 간 협력 사무(교육자유특구, 돌봄 등) 효
율화 및 지방대학・R&D 지원 권한 확대 등이 이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안전산업의 스케일업(scale-up)을 견인한다. 「재난안전산업진흥법」 시행
(‘23.1.5)됨에 따라 안전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한다. ’23년부터 ’26년까지 18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국제인증・성능시험・제품상용화 등을 지원하는 등 진흥시설을 조성하고, R&D확대, 전문인
력 양성, 해외진출 지원 등의 총력 지원을 추진한다. 안전산업은 기업 영세성, 투자 부족 등으로 산업
비중이 미약하고 ’21년 매출액이 52조 원이나, 이러한 지원을 통해 ’27년 80조 원 이상 매출액을 달성
하도록 목표를 상향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약속➋ 「활력 넘치는 지방시대」의 핵심 추진과제에 해당하는 “②기회균등을 위한 지역균
형발전 추진”에 관한 내용이다. 세부추진과제 로서 지방시대위원회 출범으로 지방분권-균형발전의
통합적 추진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하여
위원회 출범 근거를 마련하고 기획단 발족 및 “지방시대 종합계획(5년)” 수립 등의 위원회 지원을 수행
한다. 세부추진과제 로서 인구감소 위기 극복 및 생활인구 활성화를 목표로 전방위적 지원을 강화한
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상향식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교부세 지원을 1조 원에서 2조 원으로 확대하고
창업・사업장 이전・사업전환기업 대상 취・등록세 감면(50~100%)을 확대하는 등의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행・재정 지원을 강화한다. 지원의 효과성을 제고를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연 1조 원)과 타 사업
간 연계하여 추진한다. 또한, 인구 정책의 획일성 극복을 위해 생활인구를 본격 도입하며, 생활인구를
고려한 각종 제도 적용 및 지역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한다. 이는 일부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23년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24년부터 전 인구감소지역으로 확대 추진한다. 세부추진계획 로서 지역 주도
발전을 위한 정책환경 및 제도를 개선한다. 1・2단계 재정분권의 성과를 기반으로 새정부 국정기조에
부합하는 지방 자율・책임 중심의 지방재정 자주권 제고 방안을 수립하고, 특별자차시・도 특성에 맞는
특례 발굴, 특별지자체 설치 지원, 자치경찰 이원화 시범실시, 지역수요 기반 행정구역 개편 지원 등 지
역 맞춤형 자치모델을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고향사랑기부제 제도 개선 및 홍보를 강화하고 기부로 형
성된 관계가 방문으로 이어지는 지역활력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여 제도의 안착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약속 ▲민생치안 확립 및 준법질서 구현에서 “선도적 미래 치안 전개”에 관한 내용이다.
이는 신설된 미래치안정책국을 통해서 △미래치안전략 △첨단장비・시스템 등 연구개발(R&D) △AI・
사이버보안 등을 선도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중장기 치안전략인 “경찰 미래비전 2050” 역점 사
업을 추진하여 장비・시스템을 혁신하고 인력 중심에서 시스템 중심으로의 경찰운용 패러다임을 개선
한다. 세부적으로 정보화 관점에서 △AI 맞춤형 교육 플랫폼 △다크웹 불법행위 추적 기술 △과학수사
플랫폼 등이 있으며, R&D관점에서 △인공지능 통합관제탑시스템 구축 △사이버보안・위장수사 △차
세대 방검・방탄복 등이 있으며, 장비 등 관점에서 △저위험권총・한국형 전자충격기 △스마트순찰차
모바일 오피스 △치안드론 등을 다룰 예정이다. 더 나아가, △4족보행 순찰로봇 도입, △재난・범죄 현
장 자동 탐지 체계 개발, △차세대 CPTED 도입 등 첨단 안전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과학기술 기반 치안
활동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순찰로봇은 ’24~’25년 4족보행 순찰로봇을 도입・상용화하기 위해
R&D 제반 법령 개정 등을 추진하며, 위험행동 패턴 등 위험징후 탐지 시 경찰・모니터링 요원 등에게
즉시 알리는 인공지능 통합관제를 추진하며, 비명감지 비상벨 등 사업에 IoT를 도입하고 전국 표준화
를 위해 정책협의회를 구성하여 차세대 CPTED를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첨단교차로 등 ICT기술 도
입, 자율주행 사고분석 기술・자율차 운전능력 평가기술개발 등 완전자율주행(Lv4)에 선제적으로 대비
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3 37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17개 광역자치단체는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관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두고 있다. ’23년에는 광주, 경기, 충북, 경북, 제주 지역 과학기술관련 조직에
전년 대비 상당한 개편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2023년 각 광역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
조직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3-1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주요 행정조직 현황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서울
경제정책과
산학협력팀
∙ 서울 경제정책 총괄, 서울형 R&D 지원 총괄, 4차산업혁명 대응
∙ 금융산업 지원정책, 콘텐츠 산업 육성, 중소기업 지원
∙ 서울시 산학연 R&D 지원,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
∙ 혁신성장펀드(4차산업혁명, 스마트시티) 조성・운영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부처 시행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운영(4차 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 등)
∙ 로봇과학관 건립 및 전시 중장기 계획 수립
부산
디지털경제혁신실
미래산업국
미래기술혁신과
∙ 지역산업 및 과학기술, 에너지 분야 종합계획 수립
∙ 지역산업 및 과학기술 육성・진흥 지원
∙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 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규제자유특구 지정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스마트시티 서비스 확산, 글로벌 네트워킹
∙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및 문화 확산, 기술・지식재산 기반 기업 성장지원
∙ 비대면 경제정책 총괄, 비대면 비즈니스 역량 강화, 비대면 판로지원
대구
미래혁신성장실
혁신성장정책관
∙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혁신인재 양성
∙ 에너지산업의 육성・지원
∙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
∙ 첨단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육성 및 지원
∙ 기계로봇 산업 육성 및 지원 등
∙ 지역주도 혁신성장 정책 수립・시행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반도체산업 육성 및 유관기업 협력
∙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육성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등
인천
미래산업국
산업정책과
창업벤처과
∙ 인천시 미래 전략산업 업무 총괄(산학연 협력, 인력양성, 연구개발, 혁신인프라 구축 등)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연구개발 지원, 산업 육성 등)
∙ 지역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수립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운영(인천TP 위탁)
∙ 창업정책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반도체바이오과
∙ 창업육성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창업 인프라 조성 및 관련 프로그램 지원
∙ 벤처기업 육성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지원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
∙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
광주
미래산업총괄관
투자산단과
AI반도체과
미래차산업과
에너지산업과
로봇가전의료산업과
∙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산업정책 발전전략 수립
∙ 과학기술진흥지원 및 지방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지원
∙ 국내 투자기업 협약체결 및 지원
∙ 산업단지 계획 및 개발・관리
∙ 인공지능 융합사업 신규기획 및 AI 투자펀드 조성 및 운영
∙ 국가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반도체산업 육성(인재양성, 반도체 공동연구소 등) 추진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정책 수립 및 미래차 대전환 대응전략 수립
∙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 무인(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지원
∙ 에너지 정책수립 및 초광역 협력 에너지위원회 운영
∙ 차세대배터리산업 진흥협의회 운영 및 배터리관련 기술개발 등
∙ 로봇가전사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산업육성 신규국비사업 발굴
∙ 스마트가전산업 및 디지털가전기업 육성지원
∙ 의료산업 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및 의료산업 육성지원
대전
전략산업추진실
경제과학국
∙ 연구개발지원단 육성 지원사업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및 산업 생태계 조성(공약) 추진
∙ 반도체, 소부장 실증평가 및 신규사업 발굴 및 기획 등
∙ 청년, 지역 등 일자리 종합대책 수립 및 시행
∙ 과학대중화사업 및 과학문화 관련 사업 추진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지원
∙ 대전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등
울산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
∙ 미래전략본부 업무 총괄, 주요 시책사업 추진
∙ 신규 전략과제발굴 및 추진 등
∙ 과학기술 업무 총괄
∙ R&D사업 관리 전반, 과학기술 인재양성 등
세종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과학기술)
∙ 시 경제정책 수립 등 경제산업분야 업무 총괄
∙ 미래 성장 견인을 위한 체계적 지역 산업 육성
∙ 세종 테크노파크 설립 및 운영 지원을 통한 지역 산업 역량 강화
∙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 확보
∙ 신재생에너지 확충 및 에너지 복지 실현
∙ 미래산업(양자, 사이버보안, SW융합클러스터, 연구개발지원단) 업무 총괄
∙ 과학기술분야(과학기술진흥 지원, SW산업 진흥) 업무 총괄
경기
미래성장산업국
디지털혁신과
∙ 과학기술진흥 관련 정책수립 및 시행
∙ 신산업 등 미래성장산업 육성
∙ 미래산업기술 관련 업무 총괄
REGIONAL S&T YEARBOOK 2023 39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벤처스타트업과
반도체산업과
AI빅데이터산업과
첨단모빌리티산업과
바이오산업과
∙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도・감독
∙ 창업정책종합계획의 수립 및 추진
∙ 벤처기업지원 /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관리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운영 및 지도・감독
∙ 반도체 인력양성 / 기업지원 / 기술개발사업 등 운영
∙ 인공지능 및 데이터 기획 및 활용
∙ 데이터 플랫폼 구축・운영 /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
∙ 첨단모빌리티 산업 육성 지원 및 정책 수립
∙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운영 및 활성화
∙ 경기도형 UAM 도입 및 기반 인프라 구축 / 산업 생태계 조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 지역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 및 지원
강원
전략산업과
투자유치과
바이오헬스과
에너지정책과
빅데이터산업과
반도체산업추진단
∙ 전략산업육성 기획 및 첨단산업육성 중장기계획 수립
∙ 지역산업발전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양자, 드론, 미래차, 이모빌리티 산업 육성
∙ 과학기술진흥계획(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연구개발사업 운영
∙ 투자유치정책 수립, 기업유치 및 외자유치 업무
∙ 지역특화형 프로젝트 발굴 및 추진
∙ 산업입지 업무, 산업단지(국가, 일반, 도시첨단, 농공) 운영 및 고도화
∙ 바이오 산업분야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및 정책 방향 분석
∙ 디지털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산업 육성 지원(공모사업 기획)
∙ 정밀의료 산업 육성 및 규제자유특구 업무
∙ 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동향 관리(신규 사업 발굴)
∙ 신재생에너지정책 업무(중장기계획) 및 현안사항 관리
∙ 에너지신산업 발굴 및 육성
∙ 빅데이터 산업 육성 정책 및 디지털 산업 전환 기획(신규 사업 발굴)
∙ 데이터 산업 단지 기획 및 조성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및 관련 규제 개선 업무
∙ 반도체 교육 지원 및 반도체 제조 기업 발굴 및 관리
∙ 수소 저장 및 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 추진
∙ 수소 생산기지 구축 및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R&D 기관 유치)
∙ 첨단소재와 뿌리산업 육성 및 관련 네크워크 구축
∙ 디지털산업기반 육성 정책 기획(중장기 전략) 및 산업 생태계 조성
∙ 인공지능 기반(디지털 특화, 디지털 해양바이오) 산업 육성
∙ 디지털콘텐츠, 메타버스산업 정책 기획(공모사업 기획) 및 기반 조성
∙ 폐광지역 종합발전계획(중장기 계획) 수립 및 관리
∙ 무연탄 활용 연구개발 및 경석활용 세라믹 원료 산업 기반 조성
충북
과학인재국
과학기술정책과
산업육성과
RISE추진과
∙ 강소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청주SB플라자 활성화 및 과학기술포럼 운영 등
∙ 산업 디지털전환 정책 수립,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팩토리 등 제조혁신 추진
∙ 지역 SW산업, 블록체인기술산업 및 로봇산업 육성 등
∙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광역협력권사업 육성,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 국가
혁신융복합 단지 등
∙ 반도체산업 육성,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반도체 인력양성, 국가 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등
∙ 자동차부품 기업지원, 순환경제 혁신 인프라 구축, 자율주행 시범 운행지구 운
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방사광가속기추진과
영 및 데스트베드 구축 등
∙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 및 기반구축, 이차전지 인프라 구축 및 기업지원,
인력양성 등
∙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개발 지원, 뿌리산업 육성, 승강기산업 및 시험인증사업 추진 등
∙ 충북도립대학교 운영, RISE 기본계획 수립, 글로컬대학 육성, 대학 일자리
플러스센터 지원, 지방대학 육성 등
∙ 방사광 산업체 역량강화 및 미래인재 양성, 방사광가속기 연구회 운영, 가속기
활용 확산 홍보
∙ 방사광가속기 부지 기반조성, 가속기 활용지원센터 구축, 활용 연구개발 지원
충남
미래산업국
미래산업과
∙ 지방과학기술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과학기술진흥조례 운영 및 과학기술진흥 추진
∙ 충남 과학기술진흥 중장기계획(5개년) 수립
∙ 충남형 과학기술의 날 운영 및 비전 수립
∙ 양자산업 활성화 과제 발굴 및 기반 조성
∙ 우주산업 분야 신사업 발굴 및 육성
∙ 국방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방산혁신 클러스터 사업 추진
∙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추진
∙ UAM 등 모빌리티 신산업 발굴 및 육성
∙ 디지털 혁신산업 육성 및 활성화 지원
∙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ICT・SW 융합산업 육성 지원 사업 추진
∙ SW 융합 클러스터 2.0, SW 미래채움 사업, 충청권 SW품질역량 강화사업 지원
∙ 지식재산 창출 지원 사업 추진 및 활용기반 조성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추진
∙ 지역대학 R&D 과제 발굴 및 공모 지원
∙ 전문경력인사 초빙 활용 지원사업 관리
∙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 충남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 R&D 집적지구 부지조성.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사업 업무 추진
∙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연구소기업 유치
∙ 충남국제전시컨벤션센터 종합운영 계획수립 등
전북
미래산업국
미래산업과
∙ 지역 신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산업정책발굴・조정, 지역산업육성 및 위기지역대
응 현안 정책수립・조정 등 지역R&D 컨트롤 타워
∙ 산업구조개편 및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과학관 추진, 지역 R&D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총괄 등
∙ 산업구조 개편 및 성장동력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진흥사업 세부사업 총괄
∙ 규제자유특구 총괄,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특성화기반
구축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분야(R&D) 정책적 사무의 기획・조정・자문 지원,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전북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시행, 전라북도 연구기반 확충 지원,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구축 운영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 과학관 관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 중소
기업 기술융합 활성화, 연구산업진흥단지 사업
∙ R&D기술사업화, 소기업 역량강화, 재난안전 등 긴급분야 R&D 지원 등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육성 전반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종합계획 수립 등, 전북
REGIONAL S&T YEARBOOK 2023 41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업무 -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 및 세부 육성계획
수립 등, 이차전지 R&D 센터 구축 및 유치
∙ 이차전지 인력양성 지원 -전북 이차전지 인력양성 센터 지원 등 ・전북 이차전
지 기업 역량강화 지원 사업 ・이차전지 산업 육성 펀드 운영 지원 ・전북 반도
체 산업 육성 전반 -전북 반도체 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 -반도체 공모사업 발
굴 등
∙ 빅데이터 정책의 총괄・조정 및 지원, 빅데이터 기본계획 수립 및 활용 활성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대응 및 빅데이터 센터의 설치, 운영, 데이터기
반행정 정책 총괄・조정 및 지원 등
∙ 새만금 데이터산업 클러스터 조성 업무, 디지털뉴딜 총괄 추진 및 지원, ICT
분야 중・장기 정책 수립, 분야별 4차 산업혁명 계획 수립 및 총괄 등
∙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및 핵심기술 사업화 실증사업,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센터 업무 추진, XR 소재・부품・장비 개발지원센터 지원 및 스마트 융복합 멀
티플렉스 조성・운영, 메타버스 산업육성 지원 등
∙ 미래전지 산업육성 지원, 산학융합플라자 건립 지원, 융복합 SW강소기업 육성
및 소재・부품・장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대체부품산업 육성업무 추진,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정책 수립,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조성, 수상
형태양광 종합평가센터 구축,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탄소복합체 다이텍가공공학센터 기반구축, 대선공약 탄소소재부품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4대 실증기반)
전남
전략산업국
연구바이오산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 관련 현안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등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지자체의 R&D 총괄부서,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과학기술 종합(시행) 계획 수립, 연구개발사업의 총괄 관리
∙ 연구개발사업업무, 산학업무 전반, 지역 SW 육성사업 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바이오 인력 개발
∙ 백신, 신약개발 업무 추진, 천연물 업무 추진
경북
메타버스과학국
메타버스혁신과
과학기술과
4차산업기반과
빅데이터과
정보통신과
∙ 디지털전환 정책・서비스 사업 발굴 및 추진
∙ 메타버스 수도 경북 기본계획 수립
∙ 지역과학기술 진흥 종합정책 수립
∙ 지역기초연구활성화사업 지원 및 과학문화 확산사업 추진
∙ 산단 대개조 및 스마트 그린산단 추진
∙ 가속기(양성자, 방사광) 신산업 발굴 및 사업 지원
∙ 로봇・반도체산업 육성
∙ 미래산업 인재양성 및 산・학・연 협력 연구개발 사업 추진
∙ 4차 산업혁명 대응에 관한 사항
∙ SW산업 육성・지원에 관한 사항
∙ 규제자유특구 및 후속사업 추진
∙ 통계・데이터의 기획・조정과 계획수립
∙ 국가 및 지역통계조사의 시행
∙ 빅데이터 활용 과제 발굴 및 분석
∙ 지능정보화업무 종합기획・조정 및 시책 개발
∙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지역중소기업 보안역량강화
∙ 철강・자동차・기계・항공・방위산업 육성
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각 시・도청 홈페이지 참고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탄소・섬유소재산업 육성
∙ (재)경북테크노파크・(재)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운영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추진
∙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추진
∙ 백신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지원
∙ 신약, 한의약, 바이오 메디푸드 산업 육성
∙ 화장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육성
∙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운영 지원
경남
산업통상국
산업정책과
∙ 연구개발특구 지정(변경) 추진
∙ 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에너지 분야, 원자력산업, 수소산업, 신재생에너지 육성
∙ 선도연구센터 지원
∙ 중소기업 R&D 사업화 지원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및 시행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추진
∙ 경상남도과학기술대상 선정 및 시상
∙ 공립 과학관 및 사립과학관 등록
∙ 경상남도 과학대전 개최
∙ 생활용품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 (재)백엽장학재단 운영
∙ 과학 관련 비영리단체 등록 및 관리
∙ 경남과학기술기관 설립 추진 및 기본계획 수립
∙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추진
∙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지원 등
제주
혁신산업국
미래성장과
에너지산업과
미래모빌리티과
정보정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4차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지역과학기술진흥계획,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 분산에너지특구 지정을 위한 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수소경제 실행계획 수립 및 그린수소 생산 및 보급사업 운영
∙ 지역바이오산업, 화장품산업, 식품산업 등 지역산업 계획수립 및 시행
∙ 스마트시티, UAM, 우주, 전기차 관련산업 중장기 계획수립 및 육성
∙ 방송통신장비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차세대 방송기술 도입・육성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수립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 도내 과학기술 R&D사업 관리・지원 및 연구기관 유치
∙ 제주바이오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추진
∙ 제주화장품산업진흥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Carbon Free Island Jeju by 2030 계획 수립 및 시행 총괄
∙ 제주 스마트그리드 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
∙ 스마트시티계획 수립 및 사업・과제 발굴 추진
∙ UAM 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 드론서비스모델 발굴 및 구축
∙ 우주산업 육성 및 기업 유치
∙ 지역 정보화 계획 수립・조정 및 평가
REGIONAL S&T YEARBOOK 2023 43
2. 지방 과학기술예산
시도별 총 예산 중 과학기술관련 분야 투자 비중에 대한 2021년도 시・도별 지자체 평균은 순계 기준 0.75%
로 이는 2020년도 0.44%와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가장 높은 투자 비율을 보인 지역은 광주(1.88%)이며 제주
와 세종이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65.7%로 ’20년인 68.11%에 비하여 하락하였다. 재
정자주도 1위인 서울(77.6%)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중은 0.36%로 2020년의 0.1%에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표 1-3-2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1년)5)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서울 748,995 2,732 0.36 77.6
부산 261,606 1,529 0.58 58.4
대구 184,385 1,623 0.88 60.2
인천 243,898 645 0.26 62.7
광주 118,559 2,226 1.88 60.7
대전 116,035 1,228 1.06 60.1
울산 82,009 776 0.95 65.2
세종 24,370 260 1.07 65.8
경기 1,041,847 1,334 0.13 67.2
강원 230,032 730 0.32 67.5
충북 187,535 1,338 0.71 63.2
충남 257,011 1,567 0.61 64.4
전북 241,639 2,508 1.04 60.8
전남 309,700 1,924 0.62 63.1
경북 350,594 1,891 0.54 64.1
경남 345,110 2,218 0.64 62.9
제주 72,469 820 1.13 62.5
합계(전국) 4,815,793 25,349 0.75(전국평균) 65.7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
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지방재정 전문통계>결산>지역통합재정통계>세출결산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결산)>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5) 「2022년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별 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 ‘총 예산’ 수치 오류로 재작성
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별 총 예산 중 과학기술관련 분야 투자 비중에 대한 2022년도 시・도별 지자체 평균은 순계 기준
0.74%로 이는 2021년도 0.75%와 비교하여 소폭 하락하였다. 가장 높은 투자 비율을 보인 지역은 광
주(1.95%)이며 대전과 울산이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68.8%로 ’21년인 65.7%
에 비하여 상승하였다. 재정자주도 1위인 서울(78.6%)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중은 0.28%로 2021년
의 0.36%에 비교하여 하락하였다.
표 1-3-3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서울 837,405 2,323 0.28 78.6
부산 275,220 1,564 0.57 59.6
대구 192,767 1,766 0.92 64.8
인천 245,329 703 0.29 66.5
광주 120,896 2,354 1.95 62.4
대전 123,739 1,773 1.43 64.0
울산 85,813 966 1.13 66.7
세종 25,290 236 0.93 63.4
경기 1,031,309 970 0.09 70.7
강원 249,177 588 0.24 71.6
충북 214,456 1,404 0.65 67.5
충남 282,737 1,589 0.56 67.1
전북 263,193 2,145 0.81 65.5
전남 325,845 1,736 0.53 67.5
경북 404,325 2,260 0.56 69.1
경남 364,360 2,166 0.59 65.1
제주 86,315 935 1.08 66.1
합계(전국) 5,128,175 25,478 0.74(전국평균) 68.8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
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지방재정 전문통계>결산>지역통합재정통계>세출결산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결산)>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2. 지역내총생산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2. 역량
3. 성과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2
REGIONAL S&T YEARBOOK 2023 47
2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 경기(1,368만 명), 서울(941만 명), 부산(330만 명), 경남(329만 명) 순으로 인구가 많음
■ 2022년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약 2,605만 명이며,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의 비중
은 50.5%로 전년도(50.4%)와 비슷한 수준임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2년) (단위 : 명)
※ 주 : 추계인구 기준(조사시점 : 2023년 12월)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인구・가구> 장래인구 추계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0년 7월 1일자) 확정
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내총생산
▣ 2022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1,972조 원
■ 17개 시・도 중 경기(516조 원), 서울(439조 원), 충남(121조 원), 경남(110조 원) 순으로 지역
내총생산 규모가 큼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GRDP는 약 1,051조 원으로 총 GRDP의 53.3%를 차지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2년) (단위 : 백만원)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표 2-1-1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
연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수도권 비중(%) 51.92 52.00 52.79 53.09 53.27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3 49
▣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울산(77.51백만원), 충남(58.94백만원), 서울(51.61백만원), 전남
(51.42백만원) 순으로 높음
■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전체 평균은 41.33백만원으로 전체 평균을 넘는 시・도는 울산, 충남, 서
울, 전남, 충북, 경북 총 6개 지역으로 나타남
■ 특히 울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체 평균 대비 1.88배인 77.51백만원으로 타 시・도에 비
하여 월등히 높음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2년) (단위 : 백만원/명)
※ 주 : 1인당 지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실질) ÷ 지역별 추계 인구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지역별 추계 인구(2022년)
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별 산업 구조 현황을 살펴보면, 울산, 충남, 충북, 경북, 경기, 경남 순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편임(30% 이상)
■ 반면, 서울, 대전, 부산, 제주, 대구 등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
험업 등 기타 서비스업에 대한 비중이 높았음(40% 이상)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2년) (단위 : %)
GRDP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백만원) 438,537,013 89,883,761 56,996,357 95,712,639 41,939,597 44,395,434 69,204,235 12,916,427 516,358,207
GRDP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백만원) 48,179,338 73,629,729 121,401,399 51,678,429 75,475,342 107,057,669 110,265,302 19,003,180 1,972,396,056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51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 ~ 제8조에 의해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
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를 조사 대상으로 함
■ 한국산업단지공단 2023년도 3분기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가산업단지 48개, 일반산업단지
719개, 도시첨단산업단지 42개, 농공단지 480개로 총 1,289개의 산업단지 조성
■ 경남(206개), 경기(193개), 충남(168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많으며, 반면 서울(4개), 대전
(6개), 제주(6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남
■ 부산, 대구, 울산 등의 광역시, 경기, 충북, 경남 등은 일반산업단지의 비중이 높은 반면,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등은 농공단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3년) (단위 : 개)
※ 주1 : 각 시도별 단지 개수의 합은 1,293개나, 전체 산업단지 개수가 1,289인 것은 두개 지역에 걸쳐있는 산업단지 때문(중복되는 4개단지를 제외
주2 : 두개지역에 걸친 산업단지 : 한국수출산업단지(서울, 인천), 빛그린국가산업단지(광주, 전남), 아산국가산업단지(경기, 충남),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부산, 경남)
※ 출처 :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3.3/4분기)
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수는 경기 655개, 서울 377개로 집중되어 있으
며, 전국적으로 신규지정 된 INNOBIZ 기업은 2021년에 비하여 총 262개(12%) 감소
■ 인천, 울산, 세종, 전북과 전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신규지정 수 감소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REGIONAL S&T YEARBOOK 2023 53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경기, 서울이 각각 11,675개, 12,571개로 높게 나타남
■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벤처기업 수는 총 26,107개로 전국 벤처기업 수 대비
65.1%를 차지
■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평균 14.6% 벤처기업 수가 증가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2년~2023년) (단위 : 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19년 3만 7,008개에서 ’23년에 4만 81개로 증가하여 5년간 연평균
1.61% 증가
■ 최근 5년간(’19∼’23) 연평균 증가율은 세종 10.7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제주
5.75%, 서울 5.63% 순임
표 2-1-2 ❙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9년~2023년) (단위 : 개, %)
지역별 2019 2020 2021 2022 2023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서울 8,877 9,880 10,450 10,231 11,675 5.63
부산 2,201 2,227 2,024 1,662 1,814 -3.79
대구 1,633 1,677 1,431 1,233 1,337 -3.92
인천 1,642 1,761 1,707 1,596 1,861 2.54
광주 792 805 769 645 717 -1.97
대전 1,468 1,544 1,509 1,417 1,576 1.43
울산 481 544 485 418 473 -0.33
세종 128 158 177 173 213 10.72
경기 11,433 12,020 11,637 10,925 12,571 1.92
강원 713 760 733 628 701 -0.34
충북 1,011 1,138 1,035 869 1,002 -0.18
충남 1,297 1,350 1,247 1,126 1,320 0.35
전북 821 875 819 757 903 1.92
전남 813 889 813 662 748 -1.65
경북 1,671 1,708 1,551 1,252 1,426 -3.12
경남 1,816 1,937 1,710 1,302 1,465 -4.20
제주 211 238 222 227 279 5.75
합계 37,008 39,511 38,319 35,123 40,081 1.61
※ 주 : 각 년도 말 기준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REGIONAL S&T YEARBOOK 2023 55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가. 총 연구개발비6)
▣ 2022년도 총 연구개발비는 112조 6,460억원이며, 시・도별로는 경기(57조 7,028억 원), 서울
(17조 6,885억 원), 대전(10조 3,791억 원) 순으로 많음
■ 2022년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16.7%), 전남(16.2%), 부산
(15.6%), 경북(15.1%) 순으로 나타났으나, 제주와 경남은 각각 6.4%, 4.5% 감소 추세를 보임
■ 2022년 17개 시・도별 연구개발비의 평균은 6조 63억 원이며, 서울, 경기, 대전 지역만 평균보
다 연구개발비가 높음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 정부・공공재원, 민간재원, 외국재원에서 투입되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총액
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많은 지역은 대전(2.70억 원), 경기(2.58억 원), 충남
(2.16억 원) 순
■ 2021년 대비 2022년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25.5%), 충남(15.2%), 세종(13.9%), 인천
(13.4%) 지역이며, 제주(11.0%), 경남(4.3%), 전북(0.4%) 3개 지역은 감소세를 보임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억원/명)
※ 주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 총 연구개발비 ÷ 총 연구원 수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7
▣ 2022년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은
대전이 각각 23.38%, 16.83%로 가장 높음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경기(11.17%), 세종
(5.82%), 서울(4.03%), 인천(3.76%) 지역으로 대전 및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높은 경향을 보임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세종(4.81%),
전북(1.89%), 경남(1.85%), 광주(1.35%)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2년) (단위: %)
※ 주 : 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GRDP
※ 출처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3),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
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 중 서울이 3조 7,022억 원의 가장 많은 대학 연구개발비를 보유
■ 17개 시・도의 대학 연구개발비 평균은 6,062억 원이며,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3조
7,022억 원), 경기(1조 5,135억 원), 대전(8,726억 원)
■ 2021년 대학 연구개발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충북(24.7%), 대전(17.5%), 전남(17.0%),
강원(15.8%) 순으로 높음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9
▣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5조 5,386억 원, 42.9%), 서울(1조 3,352억 원,
10.3%), 경기(1조 986억 원, 8.5%) 순
■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세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
역의 총합은 4조 9,461억 원으로 전체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의 38.3%를 차지
■ 2021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 대비 2022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52.3%), 제주
(50.6%), 충북(42.4%), 전남(30.2%) 등 15개 지역으로 증가세를 보임, 나머지 2개 지역(세종,
충남)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주1 : 공공연구기관은 국공립연구기관, 출연연, 기타비영리기관으로 한정
주2 : 출연연 = 정부출연연구기관 + 지방자치단체출연연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55조 907억 원, 61.6%), 서울(12조 6,511억 원,
14.1%), 대전(3조 9,679억 원, 4.4%) 순으로 높음
■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두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의 총합은 21조 6,795억 원으로 전체 기업체 연구개발비 89조 4,213억 원의 24.2%를 차지
■ 2021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 대비 2021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37.3%), 전남
(21.7%), 부산(17.0%) 순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61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2022년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는 대전(7조 4,608억 원, 28.76%), 서울(5조
1,223억 원, 19.72%), 경기(3조 38억 원, 11.57%) 순으로 높게 나타남
■ 20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대비 2022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 충남, 부산 지
역으로 각각 전년 대비 17.1%, 13.6%, 13.5%씩 증가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수도권 33.4%, 대전 28.8%, 그 외 지역 37.9%
로 나타남
■ 2021년 대비 2022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0.5%p 감소하였으며,
대전 지역은 0.6%p 증가, 그 외 지역은 0.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그 외 지역(대전 제외)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2020년 이후 감소 추세나 수도권과
대전의 비중보다 높아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냄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8년~2022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63
▣ 최근 5년(2018년~2022년) 간 시・도별 평균 투자점유율은 대전, 서울, 경기 순으로 각각 평균
28.6%, 19.2%, 11.7%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 증가율은 전남, 강원, 제주가 각각 8.6%,
8.5%, 7.9% 순으로 높았음
■ 경상남도는 투자점유율이 8.5%로 전년과 동일하게 전체 시・도 중 네 번째로 높았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5.8%로 전년도 11.21% 보다 감소함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8년~2022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자체별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투자 현황
▣ 2022년의 각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7)의 평균은 3,604억 원, 그 중 국비와 기타 민간예
산을 제외한 지방비의 평균은 약 1,499억 원임
■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지방비)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광주(2,354억 원), 서울(2,323억
원), 경북(2,260억 원) 순
■ 재정자주도 및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모두 평균보다 낮은 지역은 울산, 제주, 인천,
세종임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2년)
※ 주 : 재정자주도는 세입결산, 순계 기준이며, 재정자주도 평균은 전국 대상 기준임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
7)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은 국비+지방비+기타민간 예산의 합계로, 본 보고서에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2022년 추진실적을 기준으로 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65
2. 역량
가. 연구인력
▣ 2022년도 총 연구원 수는 경기(22만 3,612명, 37.2%), 서울(15만 6,269명, 26.0%), 대전(3
만 8,417명, 6.4%) 순으로 많음
■ 2022년도의 총 연구원 수는 60만 1,530명이며, 17개 시・도의 평균 연구원 수는 3만 5,384명
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총 연구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8.3%), 충북(6.52%), 제주
(5.0%) 순이며, 강원(-12.7%), 광주(-5.3%), 대구(-2.8%), 충남(-1.7%), 인천(-1.6%), 경남
(-0.2%) 지역은 감소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대전(26.1명), 서울(16.6명), 경기(16.3명), 세종(13.1명) 순
으로 많음
■ 021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전남(10.0%), 충북(6.9%), 전북(5.8%) 순으로 높으며 강원
(-11.6%), 광주(-4.7%), 세종(-3.4%) 지역은 감소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주 : 인구는 추계인구 기준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3 67
▣ 2022년도 여성 연구원은 17개 시・도 중 서울(4만 8,421명, 35.0%), 경기(4만 1,701명,
30.2%)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 2022년 전국 여성 연구원 수는 13만 8,286명으로 2021년 대비 6.3%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여성 연구원 수는 전남(15.8%), 제주(15.1%), 전북(12.2%), 충북
(11.9%) 등 15개 지역이 증가하였으며, 강원과 광주가 전년 대비 각각 11.6%, 9.3% 감소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대학 연구원 수는 서울(4만 3,218명, 37.6%), 경기(1만 5,176명, 13.2%), 대전
(8,614명, 7.5%), 경북(6,452명, 5.6%) 순으로 많음
■ 2022년도 전국 대학 연구원 수는 11만 4,854명으로 2021년 대비 0.2%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대학 연구원 수 증가율은 전남(22.7%), 충북(11.8%), 전북(9.4%), 경북
(8.3%) 순으로 높으나, 인천(-31.8%), 강원(-25.4%), 세종(-13.5%) 등 9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69
▣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는 대전(1만 1,218명, 25.8%), 서울(6,221명, 14.3%), 경기
(5,352명, 12.3%) 순으로 많음
■ 2022년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의 총합은 4만 3,406명으로 2021년 대비 2.0%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증감률은 전남(7.0%) 경기(6.95%) 서울(6.1%) 순으로 높음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기업체 연구원은 경기(20만 3,084명, 45.8%), 서울(10만 6,830명, 24.1%)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음
■ 2022년도 기업체 연구원 수의 총합은 44만 3,270명으로 2021년 대비 1만 3,805명(3.2%) 증가
■ 2021년 대비 2022년 증감률은 세종(10.2%), 제주(6.7%), 충북(2.3%) 순으로 높음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71
▣ 2023년도 이공계 석사 및 박사과정 대학원생 수의 총합은 각각 5만 3,062명, 3만 3,447명
■ 2023년도 이공계 박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903명, 32.6%), 대전(5,869명,
17.5%), 경기(3,556명, 10.6%) 순이며, 전체 이공계 박사의 60.8%가 이 세 지역에 분포
■ 2022년도 이공계 석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9,316명, 36.4%), 경기(7,005명,
13.2%), 대전(4,520명, 8.5%) 순이며, 이 세 지역에 전체 이공계 석사의 58.1%가 분포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3년) (단위 : 명)
※ 주 : 이공계 대학원생 수는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대학원생 수를 의미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시스템(2023.4 기준)
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연구개발조직
▣ 2022년도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 수는 6만 5,471개로 2021년(6만 3,362개)에 비하여 3.3% 증가
■ 총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2만 2,690개, 34.7%), 서울(1만 6,604개,
25.4%) 순으로,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의 60.0%가 이 두 지역에 분포
■ 2021년 대비 2022년의 총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8.1%), 충북
(6.5%), 부산(5.2%), 제주(4.8%) 순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73
▣ 2022년 전국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418개로 전년도 423개에 비하여 5개(-1.2%) 감소
■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91개, 21.8%), 경기(75개, 17.9%), 충남(28
개, 6.7%), 경남(24개, 5.7%) 순
■ 2021년 대비 2022년의 대학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분은 서울(4개), 전남(2개), 광주(2개),
경북(1개) 등 4개 지역이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변동이 없는 대구, 강원, 제주를 제외한 10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전국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83개로 2021년(689개)에 비하여 0.9%
감소
■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43개, 20.9%), 경기(74개,
10.8%), 경북(47개, 6.8%), 대전(47개, 6.9%) 순
■ 2021년 대비 2022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조직 수는 광주(-13.6%)와 충남( -12.5%), 인천
(-11.5%), 울산(-11.1%), 경북(-10.6%) 등 총 11개 지역이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며, 증가율
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0.9%), 세종(5.6%), 경남(4.8%), 대전(2.2%) 순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75
▣ 2022년 전국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만 4,370개로 2021년(6만 2,250개)에 비하여
3.4% 증가
■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은 경기(2만 2,541개, 35.0%), 서울(1만 6,370개, 25.4%) 지역에 집
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전년 대비 2022년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8.7%),
충북(6.8%), 제주(5.6%), 부산(5.4%) 순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지식창출 성과
▣ 공저자 기준 2022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수는 총 11만 6,538건이며, 서울 지역이 3만
8,673건(33.2%)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서울 다음으로는 경기(1만 7,347건, 14.9%), 대전(1만 431건, 9.0%), 부산(5,859건, 5.0%)
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논문 1편당 피인용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25)이며, 경북(3.21), 서울(2.73), 제주(2.47)
지역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음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2년) (단위 : 건, 횟수)
※ 주 : 논문 발표 건수 및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공저자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77
▣ 2022년 국내 전체 특허 출원 수는 총 18만 3,748건이며, 이 중 경기(5만 8,241건, 31.7%), 서
울(5만 3,871건, 29.3%) 지역이 전체의 61.0%를 차지
■ 2021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충남(1.5%), 세종(1.2%), 울산(0.9%) 순으로 높으며, 전북
(-9.1%), 충북(-8.4%), 대구(-7.0%)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12개, 전체의 0.01%)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국내 전체 특허 등록 수는 총 9만 9,202건이며, 이 중 경기(3만 2,839건, 33.1%) 및 서
울(2만 8,781건, 29.0%) 지역이 전체의 62.1%를 차지
■ 202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없고 모든 지역이 감소하였으며, 울산(-25.8%), 경북(-24.9%),
충남(-22.7%), 세종(-18.4%) 지역은 전년 대비 크게 감소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570개, 전체의 0.6%)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79
▣ 연구원 1인당 특허 등록 수는 전남(0.32건), 강원(0.20건), 충남(0.20건) 순으로 높으며,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은 전남(2.20건), 강원(1.87건), 제주(1.78건) 순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2년) (단위 : 건)
※ 출처 : 2022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비, 연구원 수), 특허청(특허등록 건수)
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경제적 성과
▣ 2021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51.3백만 원), 충남(49.7백만 원), 서
울(41.2백만 원) 순
■ 2020년 대비 2021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증가한 지역은 충북(7.6%), 인천(6.4%), 대구
(5.7%), 광주(5.6%), 울산(4.4%) 순이며, 나머지 12개 지역 모두 증가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0년~2021년) (단위 : 백만원/명)
※ 주1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는 실질 부가가치 기준으로 하며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통계정보를 기준으로 함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및 요소소득(23.12.22 갱신)
REGIONAL S&T YEARBOOK 2023 81
▣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건수는 총 2만 8,596건이며, 그 중 경기(4,998건, 17.5%)
및 서울(4,507건, 15.8%) 지역이 전체 사업화 건수의 33.2%를 차지
■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의 평균은 1,682건으로, 경기, 서울 외에 부산(2,123건),
경남(2,029건), 대전(1,918건), 전북(1,855건)이 평균보다 높은 사업화 건수를 기록
■ 2021년 대비 2022년에는 세종(-29.9%) 감소 외의 모든 지역에서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제주
(105.5건), 전남(99.6%), 부산(83.5%) 순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1~2022년) (단위 : 건)
※ 주 : 지역분류가 기타(분산수행되어 지역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사업화 실적 제외
※ 출처 : 2022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의 총합은 7,098건, 기술료 징수액은 총 2,738억 원으로 기술
이전 1건당 약 0.39억 원의 기술료 징수
■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459건, 20.6%), 경기(1,148건, 16.2%),
대전(861건, 12.1%), 경남(427건, 6.0%)순으로 나타남
■ 시・도별 기술료 징수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782억 원, 28.6%), 경북(439억 원, 16.0%),
대전(375억 원, 13.7%), 경기(230억 원, 8.4%)순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2년) (단위 : 건, 억원)
※ 주 : 지역 분류가 기타(분산 수행되어 지역 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기술료 징수건수는 제외
※ 출처 : 2022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제1절 서울특별시
제2절 부산광역시
제3절 대구광역시
제4절 인천광역시
제5절 광주광역시
제6절 대전광역시
제7절 울산광역시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제9절 경기도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제11절 충청북도
제12절 충청남도
제13절 전라북도
제14절 전라남도
제15절 경상북도
제16절 경상남도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3
REGIONAL S&T YEARBOOK 2023 85
3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 17개 각 광역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선정, 해당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
■ 지역별 과학기술 진흥 척도로서 분석 지표들을 활용하고 향후 유관 정책 수립에 근거 자
료로 활용
▣ 분석 대상 지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역 산업 현황
인구현황
∙ 인구수
∙ 전국인구대비 비율
∙ 경제활동참가율
∙ 실업률
산업현황
∙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구조
∙ 특화제조업
∙ 지자체 중점전략분야
∙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투입지표
∙ 과학기술자원
∙ 조직체계
∙ 과학기술 투자
과학기술 하부구조
∙ 연구개발조직 현황
∙ 대학
∙ 주요 R&D 거점 현황
성과
특허
∙ 특허 출원
∙ 특허 등록
논문 현황
∙ 논문수 및 점유율
∙ 피인용수
∙ 1인당 피인용수
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절 서울특별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서울의 인구는 약 940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서울 인구의 비율은 18.63%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1 ❙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9,697,449 9,657,296 9,617,795 9,501,528 9,411,443
전국인구대비 비율(%) 18.80 18.66 18.55 18.59 18.63
경제활동참가율(%) 62.6 62.7 62.1 62.3 62.5
실업률(%) 4.8 4.4 4.6 4.8 3.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성 및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8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서울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3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6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서울의 경우 기타서비스업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여 산업구조의 중심을 이루고 있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2%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2 ❙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03,605,888 414,092,568 417,638,547 431,678,812 438,537,013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60,226 439,078 399,390 457,551 397,789
(지역내비중,%) (0.11) (0.11) (0.10) (0.11) 0.09%
제조업 15,095,113 15,212,795 14,172,140 14,916,563 14,350,020
(지역내비중,%) (3.74) (3.67) (3.39) (3.46) (3.27)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994,744 2,315,887 2,790,705 2,887,553 2,694,833
(지역내비중,%) 0.49 0.56 0.67 0.67 0.61
건설업 12,142,426 11,873,481 11,757,747 10,758,261 10,109,425
(지역내비중,%) (3.01) (2.87) (2.82) (2.49) (2.31)
기타서비스업 288,811,798 297,857,669 299,504,924 309,283,633 319,311,657
(지역내비중,%) (71.56) (71.93) (71.71) (71.65) (72.8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0,902,502 52,980,372 52,221,729 54,520,619 57,232,282
(지역내비중,%) (12.61) (12.79) (12.50) (12.63) (13.05)
순생산물세 34,324,997 33,741,615 37,799,356 40,172,381 36,042,528
(지역내비중,%) (8.50) (8.15) (9.05) (9.31) (8.2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서울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9조 1,820억 원이고, 3,95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0만 2,761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이 생산액(약 10조 7,937억 원, 36.99%), 사업체 수(1,085
개, 27.47%), 종사자 수(2만 8,549명, 27.78%)의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
표 3-1-3 ❙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648,600 5.65 169 4.28 4,591 4.47
음료 제조업 183,498 0.63 9 0.23 179 0.1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975 0.02 2 0.05 0 0.0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7,853 0.34 375 9.49 8,289 8.0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25,918 0.77 37 0.94 1,011 0.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59,222 1.92 76 1.92 1,451 1.4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8,826 1.09 15 0.38 576 0.56
1차 금속 제조업 38,326 0.13 19 0.48 195 0.19
전기장비 제조업 1,472,677 5.05 242 6.13 6,568 6.3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92,632 6.83 272 6.89 7,726 7.5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4,309 0.49 12 0.30 130 0.1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945 0.23 10 0.25 86 0.08
가구 제조업 202,564 0.69 24 0.61 569 0.55
기타 제품 제조업 1,120,497 3.84 247 6.25 5,656 5.5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590 0.14 17 0.43 177 0.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92,668 3.40 156 3.95 3,227 3.1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15,233 2.45 132 3.34 2,393 2.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60,687 3.98 183 4.63 3,649 3.5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58,277 5.00 312 7.90 8,705 8.4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793,657 36.99 1,085 27.47 28,549 27.7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284,489 11.26 336 8.51 10,922 10.6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5,696 0.09 3 0.08 0 0.0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70,990 1.27 100 2.53 2,088 2.0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260,941 7.75 117 2.96 3,494 3.40
합 계 29,182,070 100 3,950 100 102,761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조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
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8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기타 제품 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의
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4 ❙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기타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
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식료품제조업
∙ 가구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
외
낮음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서울시는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 ❙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
혁신성장펀드 조성 운영(4차 산업혁명 펀드)
서울형 R&D 지원(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서울혁신챌린지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사업(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사업)
※ 출처 : 서울특별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로 서울디지털(한국수출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인 마곡산업단지와 서울온
수산업단지, 강동산업단지 3개가 서울에 위치
- 총 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2,839개, 총 종사자 수는 181,075명
표 3-1-6 ❙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한국수출산업 1,925 1,925 13,732 12,512 140,684 100 완료
일반 서울온수 158 158 196 196 1,518 100 완료
일반 마곡 1,124 1,124 200 164 38,873 83 조성중
일반 강동 78 78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3 91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서울시에는 총 11,675개의 벤처기업이 위치해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를 제외하
고 가장 많은 수임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 분야가 5,556개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735개, ‘도매 및 소매업’ 87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25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341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276개)부분에 상대적
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 ❙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1 16 14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49 156 188
음료 제조업 14 15 14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9 67 7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00 158 18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0 61 7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9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5 20 2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9 31 3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61 234 27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6 90 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8 74 8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1 10 14
1차 금속 제조업 13 10 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5 45 5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33 479 52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51 329 341
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장비 제조업 244 217 23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4 200 22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 14 1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9 21 22
가구 제조업 25 30 38
기타 제품 제조업 222 189 20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3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4 5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7 5
건설업(41~42) 183 156 175
도매 및 소매업(45~47) 618 715 875
운수 및 창고업(49~52) 29 32 46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0 30 40
정보통신업(58~63) 4,959 4,932 5,556
금융 및 보험업(64~66) 35 45 58
부동산업(68) 13 18 2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460 1,459 1,73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19 102 13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1 - -
교육 서비스업(85) 147 135 15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6 6 6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75 75 9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4 22 29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1 - -
총합계 10,424 10,217 11,675
REGIONAL S&T YEARBOOK 2023 9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서울은 경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연구개발인력을 보유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1만 6,378명으로 ’18년부터 ’22년까지 총연구개발인력은 계속 증가 추세
를 보임
-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4.50%이며 ’22년 전국대비 비중은 전국의 26.59% 차지
- 연구주체별로 기업 연구개발인력은 12만 6,71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8만 426명, 공공연구소
9,235명으로, 주체별 총계에 대한 전국대비 비중은 각각 24.23%, 36.18%, 13.48%로 나타남
표 3-1-8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7,541 35.10 68,830 35.45 74,086 35.79 74,870 35.62 80,426 36.18
∙ 국공립 16,510 20.78 16,800 21.03 18,022 20.81 18,158 20.91 18,777 20.91
∙ 사립 51,031 45.16 52,030 45.55 56,064 46.56 56,712 45.99 61,649 46.54
공공연구소 7,978 13.66 8,347 13.37 7,638 11.91 8,462 12.71 9,235 13.48
∙ 국공립 325 2.66 345 2.68 365 2.85 376 2.86 403 3.04
∙ 정부출연 3,349 10.28 3,474 10.08 2,997 8.83 3,102 9.15 3,320 9.57
∙ 병원 및 기타 4,304 31.70 4,528 30.05 4,276 24.62 4,976 25.87 5,512 26.82
기업 98,116 22.29 103,134 22.31 108,893 22.87 122,093 23.99 126,717 24.23
∙ 정부투자기관 175 4.48 176 4.58 177 4.73 225 5.82 208 5.22
∙ 민간기업 97,941 22.45 102,958 22.46 108,716 23.01 121,868 24.13 126,509 24.38
합 계 173,635 25.13 180,311 25.09 190,617 25.51 205,425 26.15 216,378 26.5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서울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7명 증가한 166.0명임
표 3-1-9 ❙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31.3 137.7 145.1 159.3 166.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대학, 공공연구소, 기업을 합친 ’22년 서울의 총 연구개발비는 17조 6,885억 원으로 전국의
15.70%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59%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기업은 작년 대비 증가하여 ’22년 12조 6,511억 원을
기록하였고,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투자액은 지난해 대비 증가하여 각각 3조 7,022억 원과 1조
2,651억 원을 차지함
- 전국 대비 비중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기업만 전국 대비 비중이 하락하여서 14.15%를 차지함
표 3-1-10 ❙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77,232 37.97 2,600,120 35.27 2,994,226 35.84 3,252,990 34.86 3,702,217 35.92
∙ 국공립 836,351 27.08 802,306 24.50 956,024 25.33 1,068,815 25.35 1,121,793 24.76
∙ 사립 1,840,880 46.46 1,797,814 43.88 2,038,202 44.52 2,184,175 42.71 2,580,424 44.68
공공연구소 1,021,909 10.38 1,015,931 9.99 1,032,113 9.28 1,177,557 9.82 1,335,221 10.34
∙ 국공립 47,098 5.79 38,725 4.63 39,677 4.66 43,761 4.52 57,250 5.61
∙ 정부출연 644,888 8.54 591,688 7.58 555,703 6.71 632,129 7.25 736,953 7.95
∙병원 및 기타 329,923 22.28 385,518 25.26 436,734 22.03 501,667 21.71 541,018 20.61
기업 9,776,223 14.20 9,828,888 13.75 10,405,652 14.14 11,773,795 14.57 12,651,097 14.15
∙정부투자기관 29,990 3.30 22,731 2.62 23,121 2.64 24,456 2.85 31,579 3.55
∙ 민간기업 9,746,233 14.35 9,806,157 13.88 10,382,531 14.28 11,749,339 14.70 12,619,518 14.25
합 계 13,475,364 15.72 13,444,939 15.10 14,431,991 15.51 16,204,342 15.87 17,688,535 15.7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9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서울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조 1,223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19.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20%
표 3-1-11 ❙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
(전국대비비중)
36,175 38,571 41,715 48,767 51,223
(18.5) (18.9) (18.4) (20.1) (19.7)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국제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4대 신성장 혁신축 중심 R&D 집중지원
-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사업(111개 과제, 5,000백만원) 및 비대면분야 R&D 지원 지속
- 로봇, 미디어콘텐츠 등 신성장산업 R&D 지원(49개 과제, 100억)
- 서울형 R&D 우수과제와 혁신성장편드의 투자 연계로 기업 지원효과 극대화
- 캠퍼스타운-기술상용화지원 연계 창업기업 혁신 아이디어의 기술매칭 추진
■ 홍릉・마곡・창동 등 거점별 지원체계 확립 및 활성화를 통한 기술개발 지원 강화
- 홍릉・마곡 거점센터 운영 등 기업지원 강화(홍릉: 13,891백만원, 마곡: 418백만원)
- 뉴미디어 마케팅 기반 스타트업 거점 센터로 서울창업허브 창동 특화 운영
- 테스트베드사업 연계를 통한 거점별 수요과제에 대한 실증장소 연계・제공
■ 환경변화 및 현장수요를 고려한 융합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혁신 지원체계 강화
- 현장 실무전문성 및 융합연계 능력을 갖춘 AI 인재 양성(564백만원, 732명 교육)
- 창의융합인재 육성 교육 및 기후위기대응교육, 이동과학버스, 온라인 컨텐츠 개발 및 보급 등 서울
시립과학관 프로그램 운영(18개 사업(6개분야), 2,159백만원)
- 4차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한 서울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확립
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서울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디지털정책관, 경제정책실, 도시교통실, 기후환경본부에서 담당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REGIONAL S&T YEARBOOK 2023 97
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REGIONAL S&T YEARBOOK 2023 99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표 3-1-12 ❙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56,251 3 47,598 416 24 235 7,434 - 541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1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13 ❙ 서울특별시 디지털정책관, 경제정책실, 도시교동실, 기후환경본부에서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디지털정책관
∙ 스마트도시 기본계획 수립・시행, 수상도시 특전 기획 및 관리, 서울디지털재단 사업추진 및 지도감
독,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기본계획 수립, 스마트도시 글로벌 인덱스 관리
∙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시행계획 수립, 스마트도시 인증 및 공모 추진, 성과관리계획(BSC), 목표관
리, 지표관리 총괄
∙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사업 계획 수립 및 추진, 공공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 추
진, 공공 마이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 추진 지원, 디지털 역량강화 계획 수립
∙ 메타버스 서울’ 기본 및 시행계획 수립, 메타버스 서울’ 2단계 사업 추진 및 관리, 감리 추진, ‘메
타버스 서울’ 저작도구 관리 및 활용방안 수립 추진, 메타버스 서울’ 운영 활성화를 위한 교육계획
수립 및 추진
∙ 사물인터넷 도시조성 시행계획 수립, 생활 현장 스마트시티 특구 조성 사업 추진, 시민 체감 스마
트 서비스 확산 사업 추진, 스마트폴 표준모델 설계 및 확산 추진, IoT 데이터 인프라 고도화 추
진, 제로트러스트 IoT 보안체계 구축 추진
∙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구축 기본계획 수립, 비대면 디지털 행정서비스 사업 계획 수립, 서울시
민카드 운영 및 유지관리 사업 계획 수립, 엠보팅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사업 계획 수립
빅데이터담당관
∙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총괄 및 추진,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감리용역
추진, 통합저장소 운영관리계획 수립 총괄, 스마트 서울뷰 사업 발주 및 사업관리, 스마트 서울뷰
시정현황 콘텐츠 기획 및 개발, 서울시 메타데이터 시스템 운영 및 품질관리
∙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 서울센터 고도화, 112 치안데이터 연계 협의 및 이용 활성화 추진,
AI휴먼서비스 이용 활성화 추진
∙ 데이터기반행정 추진을 위한 빅데이터분석 총괄, 생활인구 등 통신데이터 융합개발 기획 및 정책
연구,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데이터 역량진단 및 개선계획 수립 등, 빅데이터 분
석과 활용 활성화 연간계획 수립
∙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기획・운영 총괄, 실시간 도시데이터 등 융합데이터 분석사업 추진, 시민참여
형 민관 융합데이터 신규개발・서비스, 데이터기반행정 추진을 위한 빅데이터분석 지원
∙ 열린데이터광장(데이터 활성화) 기획 및 총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중
장기 개방계획 수립관련 공공데이터 개방, 빅데이터캠퍼스 이용 확대 활성화사업 추진, 공공데이터
발굴 및 개방 관련 업무 추진(BSC 포함)
∙ 기본통계(연보) 및 통계서비스 총괄, 통계통합플랫폼 구축(개선) 및 운영 업무 총괄, 서울도시정책
지표 관리, 승인통계품질 진단 및 통계부문 정부합동평가지표 관리
정보공개담당관
∙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시・구 전자기록물 이관 추진,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기능점검 및 유지관
리, 모바일 업무관리시스템 고도화, 확산 및 유지관리, 차세대 업무관리시스템 자치구 확산 및 유
지관리, 자치구 오픈 및 운영계획 수립・시행
∙ 정보공개 시행계획 수립, 정보소통광장 인프라 환경 분석 및 구축, 문서공개시스템 기능개선 및 유
지관리 계획 수립, 자치구 및 투출기관 문서공개 연계시스템 구축 지원
∙ 기능분류체계(BRM) 운영 및 기록관리기준표 운영, 통합 기록관리시스템(시,자치구 25식)운영 및
사업관리, 전자기록물 인수 및 검수(업무관리시스템→기록관리시스템), 자치구 전자기록물 이관(전
자문서시스템→기록관리시스템)
∙ 기록관리시스템 접근권한 및 열람승인 관리
REGIONAL S&T YEARBOOK 2023 101
정보시스템담당관
∙ AI(인공지능) 기술동향 분석, AI(인공지능) 종합계획 수립 및 현황 조사, AI(인공지능) 신규 서비스
발굴 및 추진체계 정비, 인공지능 혁신TF 및 거버넌스 운영
∙ 대시민 챗봇(서울톡) 시스템 확대 구축 및 운영, 직원용 업무 챗봇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인공지능
기반 시정서비스(음성봇 등) 과제 발굴, AI 기반 하수관로 결함탐지 학습데이터 및 시스템 구축
∙ 전자정부 성과관리 및 예비검토 총괄, 정보화사업 예산타당성 심사 총괄,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및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관리
∙ 공통행정시스템, 시도 행정정보시스템 기본계획, 공공서비스예약시스템 기본계획, 공통행정시스템
통합 유지보수 기본계획 수립, 공통행정시스템 노후 서버 이관 통합계획 수립 및 이관 추진, 차세
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고도화 구축 확산
∙ 개인정보보호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보호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개인정보 관리수
준 진단평가 계획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 유출사고 조사.분석, 재발방지 대책 수립 및 시행, 가명
정보 활용 활성화 계획 수립 및 시행, 개인정보보호시스템 운영・유지관리 계획 수립・시행
공간정보담당관
∙ 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수립, 3D 기반 Virtual Seoul DB 구축 및 운영 총괄, 디지털 트윈(3D
공간정보 등) 구축 및 운영 총괄, 개방형 디지털 공간정보 공유・활용체계 구축 총괄
∙ 공간정보 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공간정보 대외(국내・외)협력 및 중앙부처 연계사업 추
진, S-Map 행정혁신 및 서비스 모델 확대 추진
∙ 서울시 공간정보 정책 기본계획 수립 및 주소정보 시행(집행)계획 수립 추진, 주소정보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공간정보 융복합 사업 추진
∙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변화 신속탐지(오픈랩 활용), 디지털 가상실험실 오픈랩(OpenLab) 구축
및 운영, 민관협력 공간정보 혁신 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 인공지능을 활용한 도시변화 신속탐지
(오픈랩 활용) 추진
∙ 드론공간정보 DB구축・운영관리, 산학연관 상생협력을 위한 드론공간정보 공유체계 구축, 항공사진
수치판독현황도 제작・관리, 드론 규제 샌드박스 및 실증사업 추진, 드론 전용 비행구역의 확대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산학연관 상생협력을 위한 드론공간정보 공유체계 구축, 드론 규제 샌드박스 및 실증사업 추진, 변
화탐지 인공지능 응용시스템 운영, 공공데이터 기업 매칭 사업 추진(안심귀가길)
∙ 공간정보운영 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지하시설물 공간정보 활용개선 추진 및 DB 품질개선 추진,
통합공간정보시스템(SDW) 개선 및 운영 총괄, 시스템 운영 및 개선계획 수립, 시스템 기능개선
및 공간정보 시스템 연계,
∙ 지하시설물 통합정보시스템 유지관리 사업 추진, 지하시설물(지하구조물) 통합DB 구축 및 현행화
추진, 서울시 공간정보 보안업무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 지도정보 플랫폼(스마트서울맵) 서비스 총괄 기획・운영, 지도정보 플랫폼 고도화 계획 수립, 스마
트서울맵 UI/UX 개선 등 서비스 활성화 추진
경제정책과
∙ 경제정책실 주요 업무계획 수립,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 수립, 중장기 경제정책 수립
지원, 경제정책실 시정운영계획 수립 및 공약관리
∙ 국내외 산업・경제 동향 모니터링, 통계 수집 및 관리, 서울 경제위기대응시스템 구축・운영
1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바이오AI산업과
∙ 서울 바이오 의료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해외 바이오 클러스터(도시) 협력 추진, 재생의료 분야
국내・외 협력 및 기업 육성사업 추진, 서울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 육성
∙ 홍릉 일대 특정개발진흥지구 추진, 바이오의료 R&D 기술사업화 사업 운영, 지역특화발전특구 추
진, 서울 AI산업 발전계획 수립, 서울 AI 클러스터 거버넌스 구성 계획
∙ AI 양재 허브 운영계획 수립 및 지도점검 추진, 서울 AI 허브 공간 구성 및 자산 취득 계획 수립
∙ 홍릉 일대 도시재생뉴딜사업 계획수립(변경) 추진, 회기로 스마트문화거리 조성 사업, 홍릉 R&D지
원센터 조성 사업,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바이오헬스센터 복합건립, 홍릉 스타트업랩 조성 사업
∙ 양자기술산업 생태계 조성, 정책자문기구 운영, 네트워크 확대, 산업육성전략 수립, 양자기술 발굴,
공동연구 및 R&D 지원, 홍릉강소연구특구 육성 사업, 강소특구 사업계획 수립
미래첨단교통팀
∙ 미래첨단교통과 주요업무 계획 수립 및 현안업무 추진 등, 서울 미래교통 비전 수립, 서울형 도심
항공교통(UAM) 도입 기반 마련, 서울형 UAM 버티포트 개발・운용(법제・도시계획・시공 분야), 서
울형 UAM 생태계 조성, 한강유역 UAM 항로 안전성 연구
∙ 서울시 도심항공교통(UAM) 로드맵, 서울형 도심항공교통 도입 기본계획 수립 연구, UAM 시범운
용구역 지정 및 UAM 인프라 조성 추진
∙ 교통약자 대상 통합교통서비스 체계 구축, 서울형 MaaS 도입 및 시행계획 수립, 미래교통 대비
신규사업 발굴 및 교통운영 핵심사업 기획
∙ AI기반 스마트 교통운영 시범지역 조성(스마트교차로), 교통분야 드론활용 사업, 드론활용 교통지
표분석 알고리즘 개발 및 관리시스템 구축, 미래교통 대비 신규사업 발굴 및 교통운영 핵심사업
기획(지원)
자율주행팀
∙ 자율주행자동차 활성화 등 혁신 추진, 자율협력주행시스템 구축 사업계획 수립, 강남 자율차 시범
운행지구 자율주행시설 구축 사업, 청와대, 청계천 자율주행시설 구축 사업
∙ 심야 자율주행버스 도입 추진, 운영계획 수립, 사업자 선정, 운영플랫폼 연계 등, 자율주행 무인
청소차 실증 사업 추진, 자율주행기반 미래형 ITS 구축 사업 추진
∙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운영 및 관리(총괄 및 센터), 자율주행자동차 운송관리플랫폼 운영
관리
∙ 자율주행 배달로봇 서비스 실증 사업 추진, 스마트 ITS 2.0 구축 사업 추진, Soft V2X 기반 어
린이 교통사고 예방 서비스 실증
녹색에너지과
∙ 분산에너지 활성화 관련 국내외 정책동향 및 서울시 발전방안, 집단에너지 사업의 국내외 정책동
향 및 서울시 발전방안,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보급・활성화 정책 개발
∙ 지역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분산에너지 활성화정책 수립 및 추진,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
화 계획 수립 및 추진
∙ 신재생에너지 보급계획 검토 및 수립, 신재생에너지 보급 계획 수립 총괄, 주유소 및 정유사 종합
에너지스테이션(TES) 전환 추진, 탄소중립 지원사업(광진소방서 고효율 태양광) 추진
∙ 정보시스템 관련 고도화 및 정보화 사업 추진, (민간)신기술, 고효율 태양광 보급정책 수립・시행
(BIPV, 루버형 등), 태양광 실증단지 운영 및 시범사업 추진업무
REGIONAL S&T YEARBOOK 2023 103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제 10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기본계획의 수립・변경 및 4차 산업혁명 정책방향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정책과제 및 과업 추진상황 점검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촉진 관련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시행에 따른 기관・부서 간 조정이 필요한 사항
- 그밖에 4차 산업혁명 촉진을 위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당연직 및 임명직 (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창업 2030 계획 및 로봇산업 육성계획 종합계획
1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표 3-1-14 ❙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당연직
위 원 김태균 경제정책실장 22.11 ~ 24.11(임명직)
위 원 이혜경 디지털정책관 22.11 ~ 24.11(임명직)
위 원 김현우 서울산업진흥원장 22.11 ~ 24.11(임명직)
위 원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김용수 (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22.11 ~ 24.11
위 원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정연만 (전)환경부 차관 22.11 ~ 24.11
위 원 김효정 세종사이버대학교 컴퓨터AI공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박화진 숙명여자대학교 공과대학 ICT융합공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연구소장 22.11 ~ 24.11
위 원 손영숙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유전생명공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조혜경 한성대학교 IT융합공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22.11 ~ 24.11
위 원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2.11 ~ 24.11
위 원 이숙자 서울특별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 22.11 ~ 24.11
위 원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실 수석논설위원 23.07 ~ 25.07
※ 출처 : 서울특별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0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서울시의 총예산은 83조 7,40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323억 원 규모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8%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서울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99.44%
표 3-1-15 ❙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 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837,405
재정자주도(%) 78.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33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32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99.44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1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서울시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912억 원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11억 원, 지방비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
권 강화’ 91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1-16 ❙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서울형 R&D 지원
혁신성장 펀드 조성 운영
- 91,202 - 91,202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서울 연구개발지원단 운영지원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구성・운영
180 290 - 47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1,120 39,045 - 40,16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서울기술연구원 운영
서울창업허브 창동 조성・운영
- 20,175 - 20,17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경쟁형 R&D 추진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 12,416 - 12,41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 - -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서울산업진흥원 출연 - 54,310 - 54,31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운영
마곡 AI양재허브인재양성조성
- 14,873 - 14,873
합 계 1,300 232,311 - 233,611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10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서울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6,604개로 전국의 25.3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5.78% 증가
- 5년간 대학 3개 증가, 공공연구소 15개 증가, 기업 4,051개 증가
표 3-1-17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8 24.11 86 20.72 84 20.44 87 20.57 91 21.77
∙ 국공립 12 15.19 11 13.10 11 12.94 11 12.79 11 12.50
∙ 사립 76 26.57 75 22.66 73 22.39 76 22.55 80 24.24
공공연구소 128 20.92 132 20.56 125 18.85 129 18.72 143 20.94
∙ 국공립 9 6.87 9 6.29 9 6.29 9 5.88 9 6.57
∙ 정부출연 22 13.17 25 14.79 23 14.11 23 13.53 22 13.33
∙ 병원 및 기타 97 30.89 98 29.70 93 26.05 97 26.50 112 29.40
기업 12,319 25.38 13,220 24.11 14,230 24.33 15,884 25.52 16,370 25.43
∙ 정부투자기관 7 16.67 9 16.36 8 14.81 9 15.25 7 11.48
∙ 민간기업 12,312 25.39 13,211 24.12 14,222 24.33 15,875 25.53 16,363 25.44
합 계 12,535 25.42 13,438 24.05 14,439 24.24 16,100 25.41 16,604 25.3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서울 소재 대학 수는 51개
- 일반대학 3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 방송통신대, 기술대학 및 기능대학이 각각 1개씩 존재
표 3-1-18 ❙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1 34 3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9 9
방송통신대 1 - - 1
기술대학 - - 1 1
기능대학 - - 1 1
합계 5 1 45 5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서울시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1만 7,80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6만 5,928명(전체의 9.18%), 공학계열 학생이 15만 2,263명
(전체의 21.21%)
표 3-1-19 ❙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65,928 152,263 218,191 38,301 85,596 47,695 112,665 215,354 717,802
비중(%) 9.18 21.21 30.40 5.34 11.92 6.64 15.70 30.00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10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12월 기준 서울특별시에는 총 64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서울대 22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고려대가 9개, 한양대 7개, 이화여대 및 중앙대, 연세대가 5
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20 ❙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1개 센터)
2019 빅데이터 기반 암진화 연구센터 MRC
건국대학교
(1개 센터)
2023 디지털인문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 CRC
경희대학교
(2개 센터)
2017 뉴로바이오타 연구센터 MRC
2020 한약물 재해석 암 연구 센터 MRC
고려대학교
(9개 센터)
2018 극한핵물질연구센터 SRC
2020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 ERC
2021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 ERC
2022 인지증강 메타통신 연구센터 ERC
2023 나노 생체유체 검사 연구단 ERC
2023 메카노치노믹스 연구 센터 SRC
2023 복원력을 가진 자율 운영 전력망 센터 ERC
2023 마이오카인 융합 연구센터 MRC
2023 보건사회환경시스템 융복합연구센터 CRC
국민대학교
(1개 센터)
2015 모듈형 스마트 패션 플랫폼 연구센터 CRC
동국대학교
(2개 센터)
2018 암 관해 표적제어 혁신의약품 연구센터 MRC
2018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CRC
1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서울대학교
(22개 센터)
2018 식물면역연구센터 SRC
2018 코팅기반 화학공정 연구센터 ERC
2018 생체지질 인터액토믹스 연구센터 MRC
2018 치아 • 치주 복합체 연구센터 MRC
2018 기억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세포 분해 생물학 연구단 SRC
2020 모듈과 공간의 양자구조 연구센터 SRC
2020 시스템스 노화기전 연구센터 SRC
2021 신개념 에피성장 양자신소재 연구센터 SRC
2021 전자전달 연구센터 SRC
2021 식물 가소성 연구센터 SRC
2021 비교의학 질환 연구센터 SRC
2021 다분야 통합 도심항공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 센터 ERC
2022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 ERC
2022 스토카스틱 줄기성 연구센터 SRC
2022 지구심부-지표 상호작용 연구센터 SRC
2022 인공지능 신뢰성 CRC
2023 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ERC
2023 초거대 AI 모델 및 플랫폼 최적화센터 ERC
2023 항암 면역세포 디스커버리 플랫폼 기술개발 연구센터 ERC
2023 인공지능 예술 연구 센터 CRC
2023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요소 기술 개발 IRC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1개 센터)
2023 메타버스 기반 방사선 안전 ICT 연구센터 CRC
숙명여자대학교
(2개 센터)
2022 근육피지옴 연구센터 MRC
2023 이질성기반 세포적응 연구센터 SRC
숭실대학교
(1개 센터)
2017 지능형 바이오메디컬 무선전력전송 연구센터 ERC
연세대학교
(5개 센터)
2017 반데르발스 물질 연구센터 SRC
2018 비가역적 기후변화 연구센터 SRC
2018 만성난치질환 시스템의학 연구센터 MRC
2020 에이로겔소재연구센터 ERC
2023 다상소재 혁신 생산공정 연구센터 ERC
이화여자대학교
(5개 센터)
2017 혼성계면 화학구조 연구센터 SRC
2018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MRC
2023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 SRC
2023 사회 이익 실현을 위한 환경블라인드스팟 전략 선도연구센터 MRC
REGIONAL S&T YEARBOOK 2023 111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서울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1개의 지원센터가 존재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지원센터가 없
는 것으로 조사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
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중앙대학교
(5개 센터)
2018 미생물 생존 시스템 연구센터 SRC
2020 베리곡물 기반 신물성 연구센터 SRC
2020 나노-광 융합 바이오의료 진단 연구센터 ERC
2022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SRC
2023 순환경제 기반 탄소중립 건축센터 ERC
한양대학교
(7개 센터)
2017 세포내외 노화 및 병적환경개선에 의한 조직재생 촉진 연구 MRC
2018 생존 신호정보 연구센터 CRC
2018
초연결사회 위험 관리를 위한 빅테이터 기반 사회 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사회 시뮬레이션 시스템
CRC
2021 차세대유기합성연구센터 SRC
2022 스마트 혈류역학 지표 기반 실시간 정밀의료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22 탄소중립형 물-에너지 통합시스템 선도연구센터 ERC
2023 H3(극한 스케일 극한 물성-이종 집적)한계 극복 반도체 기술 연구 센터 IRC
1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3년 서울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2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21 ❙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reative Business Center(중앙대) 2020-05-19
서울대학교기술지주㈜ S-INNOVATION(에스이노베이션) 2013-10-18
창업진흥원, 한국엔젤투자협회 TIPS타운(팁스타운) 2015-07-14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5-11
경희대학교 경희창업 보육센터(서울) 2000-12-15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크림슨창업지원단 2000-03-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운창업지원센터 2020-02-03
국민대학교 국민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7
(주)닷네임코리아,창업지원센터 글로벌벤처센터 2012-06-01
서울대학교 덴탈메디케어 창업보육센터 2012-05-01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6
마포구청 마포비즈니스센터 2008-07-14
주식회사 비채나 비채나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1
서강대학교 서강비즈니스센터 1999-11-30
서울시립대학교 서대문구-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00-04-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창업보육센터 2000-04-10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0-31
한성대학교 성북구한성대벤처창업지원센터_SHBI 2001-03-12
성신여자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성신유니콘센터 2019-03-02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 2001-01-1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대 창업보육센터 2012-03-05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 2000-01-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트앤디자인테크 창업보육센터(홍익대_서울) 2004-03-17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2000-01-31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 1999-03-0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5-14
REGIONAL S&T YEARBOOK 2023 113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서울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12개소가 운영 중
표 3-1-22 ❙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공립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공립
서울시립과학관 공립
육영재단어린이회관 사립
LG사이언스홀 사립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 사립
한생연휴먼탐구과학관 사립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 사립
한생연실험누리과학관 사립
한생연인간과로봇과학관 사립
한생연생명과학박물관 사립
충우곤충박물관 사립
과학동아천문대 사립
롯데월드아쿠아리움 사립
코엑스아쿠아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과 명단(2023. 11. 기준)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인덕대학교 인덕대학창업지원단 2000-03-31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서울지역센터) 2011-12-23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7-09-01
호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서울 창업보육센터 2012-05-15
(재)한국기술벤처재단 홍릉벤처밸리 창업보육센터 2001-12-15
1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서울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서울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7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7,655명임
표 3-1-23 ❙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02 264 367 328 373
수혜자 수 4,427 5,265 5,485 6,940 7,655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11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서울시 특허출원 건수는 5만 3,87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만 8,781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각각 0.3%, 8.9% 감소
표 3-1-24 ❙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47,288 45,482 47,123 52,270 53,124 54,042 53,871
특허등록 건수 25,087 27,527 25,224 26,483 29,293 31,576 28,78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서울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만 8,673편, 주저자 기준 2만 3,44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0.17%, 39.00%를 차지
표 3-1-25 ❙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2,443 50.88 708,927 21.85 20,876 39.79 352,493 16.89
2019 34,724 51.66 615,722 17.73 22,042 40.18 309,543 14.04
2020 37,488 50.87 530,135 14.14 23,387 39.21 247,431 10.58
2021 40,844 51.16 327,853 8.03 25,127 39.47 146,900 5.85
2022 38,673 50.17 105,642 2.73 23,443 39.00 46,336 1.9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1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 과학기술 정책 수립체계 정립
■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기획 및 사업 추진역량 제고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과학기술 기반 혁신 활성화를 위한 지역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지역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협력체계 강화
▣ 서울형 R&D지원
■ 권역별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전략산업・기술과 연계한 융합형 (가칭) 핵심기술연구
단 설치 및 산학연 협력연구 촉진
■ 지역에 특화된 자원 및 기술을 활용한 예비・초기 창업 지원
■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문제 해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시설・장비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
■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창업・기술사업화 및 지역 기업 지원을 장려할 수 있도록 제도 혁신
▣ 4차산업혁명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위원회 후보 추천 및 구성
■ 정기회(연 1회) 및 임시회(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시) 운영
■ 협의사항 발생 시 소그룹 임시회의 수시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3 117
▣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 분기별 1회 및 수시 위원회 개최를 통해 산학연 협력지원 사업 과제 선정평가 심의 및 주요 운
영사항 논의
- 산학연협력사업의 정책방향 논의 및 기술상용화 지원, 신성장산업 R&D 등 지원 과제 선정평가
심의(분기 1회)
▣ 서울산업진흥원 출연
■ 서울시 창업생태계 혁신을 통한 글로벌 창업기업 육성 및 투자 지원
■ 국제유통센터 운영, 우수제품 브랜드 및 국내외 판로지원 등 기업매출 증대 지원
■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 인재 양성 및 고용지원
■ 혁신 기술개발 지원 및 지식
■ 마곡 DMC・G밸리 등 주요 거점별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등 산업거점 활성화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 콘텐츠기업 발굴 및 육성 등 콘텐츠산업 육성
▣ 서울연구개발지원단 운영
■ 정책수립 지원 및 기획, 서울시 R&D 사업 및 성과 조사분석, R&D사업기획 지원 및 정보 구
축제공 등
■ 연지단 협의회, 지역과학기술 발전자문위원회 등 혁신기관 전문가 네트워킹 및 국제교류 협력
강화
▣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
■ (기존 앵커시설 운영) 서울바이오허브, 서울바이오 혁신커뮤니티센터, 서울바이오 산학 협력
센터(경희대 舊이과대학), BT-IT융합센터 등
※ 바이오・의료 R&D 및 기술사업화원, 스타트업 육성, 네트워크 지원 및 인재양성 등
■ (인프라 확충) 해외시장 진출 종합 지원공간 ‘글로벌협력동’ 조성(ʼ23. 7.)
■ 지역별 중장기 계획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주도하여 R&D사업을 기획하고, R&D사업 집행, 성
과관리 체계 확립・운영
■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R&D 투자 목표제 도입 등을 통해 지자체의 R&D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이를 위한 인센티브 부여 검토
1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마곡 R&D 클러스터 조성
■ 마곡산업단지 정책심의위원회 운영 : 융복합산업 중심의 R&D 첨단클러스터로 조성 중인 마
곡산업단지 관련 중요 정책사항 심의
■ 민간 R&D센터 4개소 중 3개소 공사중(1개소는 ‘23년 상반기 착공), 공공 R&D센터 착공(’23
년 상반기) : 대중소 상생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기술력은 있으나, 재정이 어려운 강소・벤
처・창업기업에 연구공간을 제공
■ 마곡 M-융합캠퍼스 조성 : 입주희망 연구기관, 서울산업진흥원 및 산단 내 입주기업과 협의를
거쳐 M-융합캠퍼스 조성 추진 예정
▣ AI 양재 허브 인재양성
■ (실무전문) 전공・실무자 대상 역량 증진을 통한 취업 연계 강화
■ (융합특화) 기존 산업 종사자 대상 AI 접목 교육을 통한 융합인재 양성
※ 신규 수탁기관 선정에 따라 예산 및 사업내용은 변경될 수 있음
▣ 서울시립과학관 운영
■ (프로그램 및 콘텐츠 기획) 맞춤형 온라인학습시스템(LMS) 구축, 온라인용 교육콘텐츠 개발
및 보급, 웹기반 과학실험 시뮬레이션 운영 등 온라인 과학교육 활성화 등
■ (프로그램 운영) 체험형 전시 프로그램 운영 및 신규전시물 개발・기획전 개최, 상상을 자극하
는 과학 콘텐츠 개발, 천문대 및 이동과학버스 운영, 수요자 중심 맞춤형 과학서비스 제공 등
■ (복지확산 및 인프라 강화) 과학복지 확산을 위한 이동형 전시 운영및 과학관 환경 재구조화,
확충 등
▣ 서울 Vision 2030 펀드 조성 운영
■ 6개분야 펀드 운용사(GP) 모집 및 펀드조성 지속 추진
※ (사업목표) 6개분야 신규 펀드 조성 6,000억원 이상
■ 선정된 운용사(GP)를 활용한 유망기업 발굴 및 투자활성화 추진
▣ 서울 Vision 2030 펀드 조성 운영
■ 6개분야 펀드 운용사(GP) 모집 및 펀드조성 지속 추진
※ (사업목표) 6개분야 신규 펀드 조성 6,000억원 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119
■ 선정된 운용사(GP)를 활용한 유망기업 발굴 및 투자활성화 추진
▣ 서울창업허브 창동 운영
■ (차세대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오픈이노베이션 고도화 및 외부 자금 유치를 위한 투자
최적화 집중 지원
■ (뉴미디어 마케팅 활용 국내・외 판로개척 집중 지원) 글로벌 SNS 등 뉴미디어 마케팅 지원 강
화로 스타트업 매출 증대 추진
■ (동북권 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 창업생태계 활성화) 동북권 유관기관 협력과 XR스튜디오 고도
화 등 뉴미디어 인프라 제공
▣ 서울기술연구원 운영
■ '23년 신규과제 90건(2,760백만원) 및 기타 추가 수시과제(260백만원) 등 총 30.2억원
규모 연구사업 추진
■ 서울시 현안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도시문제 대응 지원
- 4차 산업혁명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시정책 수립 지원
1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부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부산의 인구는 약 330만 명으로 작년 대비 소폭 증가
- 전국 인구대비 부산 인구의 비율은 6.39%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2-1 ❙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3,403,116 3,381,208 3,355,632 3,327,350 3,299,396
전국인구대비 비율(%) 6.60 6.53 6.48 6.43 6.39
경제활동참가율(%) 58.1 58.8 58.1 58.2 58.9
실업률(%) 4.1 3.7 4.2 3.4 3.0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12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부산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89.9조 원이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0.68%
- 부산시 산업 구조는 기타서비스업이 지역내 총생산의 48.3%로 거의 절반을 차지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2-2 ❙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 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86,889,875 89,105,372 85,962,709 87,629,325 89,883,761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53,226 397,021 423,607 493,140 413,975
(지역내비중, %) (0.52) (0.45) (0.49) (0.56) (0.46)
제조업 14,187,013 14,663,793 13,906,542 14,075,097 14,561,488
(지역내비중, %) (16.33) (16.46) (16.18) (16.06) (16.2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730,861 1,675,381 2,220,222 2,195,171 2,416,514
(지역내비중, %) (1.99) (1.88) (2.58) (2.51) (2.69)
건설업 4,868,200 4,838,008 4,364,889 4,242,229 3,794,256
(지역내비중, %) (5.60) (5.43) (5.08) (4.84) (4.22)
기타서비스업 42,973,636 44,093,390 41,630,253 42,371,628 43,417,237
(지역내비중, %) (49.46) (49.48) (48.43) (48.35) (48.3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6,492,769 17,102,926 17,142,523 18,040,138 18,775,834
(지역내비중, %) (18.98) (19.19) (19.94) (20.59) (20.89)
순생산물세 6,284,848 6,428,341 6,466,985 6,473,259 6,833,266
(지역내비중, %) (7.23) (7.21) (7.52) (7.39) (7.6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
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1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부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9조 3,532억 원이고 3,99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2만
9,88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측면에서 ‘1차 금속 제조업’이 6조 1,397억 원(전체 15.60%),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695개(17.38%), 종사자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만 9,160명(전체
14.7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2-3 ❙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070,587 7.80 290 7.25 9,272 7.14
음료 제조업 220,388 0.56 12 0.30 229 0.1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3,229 0.67 33 0.83 606 0.4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137 0.01 47 1.18 701 0.5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0,544 0.51 13 0.33 191 0.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34,403 5.93 297 7.43 8,469 6.5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00,911 1.53 75 1.88 1,488 1.15
1차 금속 제조업 6,139,717 15.60 302 7.55 10,059 7.74
전기장비 제조업 2,669,849 6.78 253 6.33 8,040 6.1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085,981 12.92 695 17.38 19,160 14.7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136,556 13.05 257 6.43 9,112 7.0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22,807 4.89 109 2.73 3,096 2.38
가구 제조업 131,384 0.33 35 0.88 559 0.43
기타 제품 제조업 143,096 0.36 54 1.35 1,181 0.9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48,924 1.39 110 2.75 1,924 1.4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51,815 1.91 147 3.68 3,835 2.9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58,315 9.04 611 15.28 14,796 11.3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36,791 2.89 201 5.03 5,951 4.5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47,657 3.93 101 2.53 3,364 2.5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59,216 1.42 183 4.58 4,948 3.8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233,785 3.14 49 1.23 1,308 1.0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1,317 0.82 6 0.15 60 0.0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39,506 0.61 53 1.33 1,019 0.7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532,239 3.89 66 1.65 2,619 2.02
합 계 39,353,154 100 3,999 100 129,887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12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산업임
표 3-2-4 ❙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
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
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음료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코크스 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가구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1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부산시는 ‘미래형 신산업 창출(스마트 해양, 지능정보서비스, 지능형 기계, 라이프케어, 미래
수송기기, 클린테크)’와 ‘전통 주력산업 고부가가치화(스마트공장,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뿌
리기업 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미래창의인재 양성(스마트제조 고급인력, SW중심대학, 창
의융합형 공학인재)’, ‘과학기술 혁신플랫폼(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플랫폼, 부산특구 성과
창출 및 확산, 부산형 국가혁신클러스터)’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2-5 ❙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스마트 해양) 지능형 무인자동화 스마트물류 시스템 구축
(지능정보서비스)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
(지능형 기계)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
(라이프케어)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지원
(미래수송기기)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클린테크) 신에너지 산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 구
전통 주력산업(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R&D투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
부산 뿌리기업 스마트 공동물류 플랫폼 구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
SW중심대학 지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플랫폼 구축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
부산형 국가혁신클러스터 구축
※ 출처 : 부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2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 30개, 도시첨단단지 4개 및 농공단지 1개가 있음
- 36개 단지의 가동 업체는 8,811개, 총 종사자는 126,138명
표 3-2-6 ❙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명지・녹산 8,841 8,814 1,503 1,289 28,266 100 완료
일반
부산과학 1,967 1,967 225 225 4,696 98 완료
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
물류도시(1단계)
5,708 5,708 519 504 8,667 90 완료
명례 1,566 1,566 82 76 2,103 100 완료
산양 54 54 0 0 0 50 조성중
신평・장림 2,815 2,815 692 621 14,188 100 완료
센텀시티 1,178 1,178 2,222 2,222 15,597 100 완료
풍상 61 61 3 3 101 100 완료
생곡 538 538 99 96 1,173 100 완료
명동지구 506 506 31 0 0 94 조성중
미음지구 3,849 3,848 393 382 8,079 84 완료
동남권방사선의과학 1,479 1,096 21 0 0 52 조성중
부산신소재 256 256 4 3 396 100 완료
반룡 547 547 84 84 1,105 100 완료
오리 608 538 71 50 1,269 74 완료
기장대우 344 344 1 0 0 100 조성중
에코장안 201 201 22 10 426 100 완료
정주 97 97 2 2 X 100 완료
사상공업지역[재생사업지구] 3,021 3,021 2,104 2,101 16,640 100 완료
성우(구:거화) 64 63 18 18 154 100 완료
기룡 83 83 1 1 X 100 완료
기룡2 46 46 2 1 X 100 완료
장안 1,301 1,301 88 88 3,579 100 완료
정관 1,209 1,209 216 216 3,803 100 완료
정관코리 84 84 4 3 131 100 완료
신호 3,121 3,121 83 83 3,397 100 완료
1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전지구 2,448 2,448 309 309 6,336 100 완료
강서보고 104 104 19 19 152 100 완료
지사글로벌 417 417 0 0 0 0 조성중
강서해성 104 104 0 0 0 0 미개발
지사2(구 진우) 99 99 18 18 176 100 완료
도시
첨단
부산에코델타시티 659 659 1 1 X 9 조성중
회동.석대 229 228 120 120 2,253 100 완료
모라 11 11 231 231 1,501 100 조성중
금곡 46 46 0 0 0 0 조성중
센텀지구2 1,912 1,912 0 0 0 0 미개발
농공 정관 258 258 35 35 1,61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127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부산시에는 총 1,814개의 벤처기업이 위치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 분야에 328개 업체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74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58개), ‘전기 장비 제조업’(124개), ‘금속 가공제
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이 분포
표 3-2-7 ❙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4 4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9 59 65
음료 제조업 4 2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7 29 2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7 17 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6 30 3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 7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1 9 1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 6 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9 68 7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 7 1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6 51 5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11 13
1차 금속 제조업 47 35 3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3 93 9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9 64 7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4 72 77
전기장비 제조업 142 119 1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5 251 2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7 30 3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4 60 68
가구 제조업 4 3 5
기타 제품 제조업 63 58 5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7 4 6
1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3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4 4
건설업(41~42) 44 37 40
도매 및 소매업(45~47) 52 43 58
운수 및 창고업(49~52) 4 3 4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1
정보통신업(58~63) 305 282 328
금융 및 보험업(64~66) 3 3 3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94 164 17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7 11 1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2 16 1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8 4 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019 1,662 1,814
REGIONAL S&T YEARBOOK 2023 12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부산의 연구개발인력은 전국 8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6,634로 전국 대비 비중 3.21%이며 ’18년부터 ’22년의 최근 5년간 연
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3.17%로 증가 추세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대학 11,577명(전국의 5.21%), 공공연구소 2,687명(전국의 3.92%), 기업 1만
2,370명(전국의 2.37%)으로 나타남
표 3-2-8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1년)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321 4.84 9,313 4.80 9,943 4.80 10,682 5.08 11,577 5.21
∙ 국공립 4,689 5.90 4,980 6.23 5,245 6.06 5,771 6.64 6,717 7.48
∙ 사립 4,632 4.10 4,333 3.79 4,698 3.90 4,911 3.98 4,860 3.67
공공연구소 2,386 4.09 2,385 3.82 2,688 4.19 2,690 4.04 2,687 3.92
∙ 국공립 480 3.92 409 3.17 391 3.05 376 2.80 405 3.05
∙ 정부출연 1,202 3.69 1,286 3.73 1,248 3.68 1,301 3.84 1,295 3.73
∙ 병원 및 기타 704 5.19 690 4.58 1,049 6.04 1,013 5.27 987 4.80
기업 11,084 2.52 11,417 2.47 11,938 2.51 11,851 2.33 12,370 2.37
∙ 정부투자기관 - - 10 0.26 21 0.56 8 0.21 21 0.53
∙ 민간기업 11,084 2.54 11,407 2.49 11,917 2.52 11,843 2.35 12,349 2.38
합 계 22,791 3.30 23,115 3.22 24,569 3.29 25,223 3.21 26,634 3.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부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5명 증가한 53.8명으로 조사됨
표 3-2-9 ❙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8.1 48.8 51.6 52.3 53.8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부산의 총 연구개발비는 2조 377억 원으로 전국의 1.81%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69%
- 연구주체별로 살펴보면 대학의 연구개발비는 5,020억 원(전국의 4.87%), 공공연구소는 5,346억
원(전국의 4.14%),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1조 11억 원(전국의 1.12%)으로 나타남
표 3-2-10 ❙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80,463 5.40 384,992 5.22 422,003 5.05 459,778 4.93 502,030 4.87
∙ 국공립 263,417 8.53 263,124 8.04 294,383 7.80 315,431 7.48 339,461 7.49
∙ 사립 117,046 2.95 121,868 2.97 127,620 2.79 144,347 2.82 162,569 2.82
공공연구소 431,635 4.38 403,748 3.97 459,805 4.14 447,122 3.73 534,595 4.14
∙ 국공립 104,957 12.90 99,354 11.89 139,378 16.37 122,004 12.61 128,631 12.61
∙ 정부출연 235,405 3.12 224,339 2.87 231,453 2.79 244,388 2.80 284,786 3.07
∙ 병원 및 기타 91,273 6.16 80,055 5.24 88,974 4.49 80,730 3.49 121,178 4.62
기업 732,825 1.06 792,966 1.11 815,026 1.11 855,837 1.06 1,001,051 1.12
∙ 정부투자기관 - 0.00 1,142 0.13 2,208 0.25 1,230 0.14 2,948 0.33
∙ 민간기업 732,825 1.08 791,824 1.12 812,818 1.12 854,607 1.07 998,103 1.13
합 계 1,544,922 1.80 1,581,706 1.78 1,696,834 1.82 1,762,737 1.73 2,037,676 1.8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3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부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1,355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4.4%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31%
표 3-2-11 ❙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8,765 9,120 9,626 10,002 11,355
(4.5) (4.5) (4.2) (4.1) (4.4)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 [스마트 해양] 다목적 해상실증 플랫폼 구축(169억원), 스마트양식 테스트베드 조성(104억원), 지
능형 무인자동화 스마트물류 시스템 구축(26억원) 등
- [지능정보서비스]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97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63
억원), 디지털트윈 기반의 스마트시티 LAB 조성(30억원) 등[지능정보서비스] SW중심대학 지원
(83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63억원),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51억원)
- [지능형 기계] 부산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구축(58억원), AI기반 중소형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협
업・실증 플랫폼 구축(53억원),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33억원) 등
- [라이프케어]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307억원),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167억원), 연구
중심병원육성 R&D 지원(15억원) 등[라이프케어]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223억원), 차세대 재활
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108억원),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92억원)
- [미래수송기기] 전기차 e-파워트레인 부품기술 허브센터 구축(101억원),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
자유특구(43억원), DaaS 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60억원) 등[미래수송기기] 전기차 e-파워트
레인 허브센터 구축(64억원), DaaS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57억원), 전기차 안전편의부품 고
도화 기술지원(32억원)
1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클린테크]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187억원), 신에너지 산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
폼 구축(70억원),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 기반 구축(67억원) 등
■ 전통 주력산업(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R&D투자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350억원)
-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185억원)
- 지역선도산업단지 연계협력 지원(20억원)
-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12억원)
■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 스마트제조 고급인력양성(71억원)
- SW중심대학 지원(55억원)
-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23억원)
-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지원(18억원)
-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15억원)
■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플랫폼 구축(107억원)
-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96억원)
- 부산형 국가혁신클러스터 구축(59억원)
- 대학혁신연구단지(I-URP) 조성(32억원)
- 대학내 산학연 협력단지 조성(10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133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부산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디지털경제혁신실에서 담당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표 3-2-12 ❙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1,184 2 17,074 248 40 72 3,74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1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2-13 ❙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과
∙ 양자정보통신, 차세대스마트미디어서비스구축, 공공데이터활용 안전안심솔루션개발, 5G융복합산업육
성, KCA.KISTI.NST 협력사업
∙ 정보기술(ICT) 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 4차 산업혁명 융합기술센터 설립 등 혁신 거점 구축, 해양
ICT융합비지니스벨트, 메타버스 산업 육성 및 생태계 조성(신규)
∙ 센텀 클라우드 클러스터 조성, EDC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
성, 클라우드 엑스포 코리아 개최, 클라우드 혁신센터 관리(아마존웹서비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클
라우드 기업 유치
∙ 가상증강현실(VR/AR)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실감콘텐츠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ICT 기술 보
급, 확산 및 기업육성, 지역SW산업 육성, 지역SW기업성장지원, 지역SW품질역량관리사업, SW서비
스사업화 사업, IT엑스포 등
∙ 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기획.운영, ICT이노베이션스퀘어 확산, 기업 맞춤형 부산정보산업인력육성사
업 운영 및 취업연계, 지역주도청 청년일자리 지원사업(부산디지털혁신아카데미 연계) 운영, ICT 인력
양성을 위한 부산기업 협・단체 TF 운영 등
빅데이터
통계과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시책발굴 및 시행계획 수립, 데이터기반행정 책임관 협의회 운영 및 관리, 데
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BSC 지표 등), 데이터안심구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 데이터 가
명정보 활용 및 결합 활성화에 관한 사항
∙ 공공데이터 개방시스템 대민서비스 확대 사업 추진, 공공데이터관련 공모 사업 발굴 및 사업 추진, 공
공데이터 오픈 API 서비스 운영, 빅데이터 센터 구축(금융 분야) 추진 등
∙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유지관리, 민간데이터 구매 및 활용, 데이터 분석컨설팅 제도운영 및 활성
화, 데이터마트 구축 및 유지관리
∙ 인구주택・농림어업총조사, 광업제조업조사, 환경산업조사, 지역소득(지역내총생산), 소상공인통계, 청년
통계, 통계기획조정, 통계발전계획수립 등
제조혁신과
∙ 전략산업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진흥계획,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원, 신발산업 육성계획 수립, 한국
신발관(K-슈즈센터) 운영 지원, Enjoy Shoes Busan 사업, 신발산업 생태계 강화 지원 사업, 신발
산업 디자인 활성화 사업
∙ 탄성소재 클러스터 구축, 섬유소재산업 육성 지원, 디자인산업 육성에 관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
립
∙ 부산스마트공장보급확산지원사업(국가), 친환경고효율공기조화부품기술고도화지원사업, 레이저가공기술
고도화지원사업, 부산국제기계대전 지원사업,스마트 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 청정공기산업 특화를 통
한 기업육성 및 신성장 창출기반 구축사업
미래기술
혁신과
∙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 및 육성, 부산연구개발특구 지정 및 운영, 선도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역혁
신 메가프로젝트 기획 및 유치,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초광역 연구개발특구 연계협력
사업 추진 등
∙ EDC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랩(LAP) 조성, 스마트시티 혁신기술 발굴사업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및 통합플랫폼 구축 운영 IOT 창업생태계 조성사업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
유지관리 사항 등
∙ 지식재산종합진흥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 지식재산 지원사업(부산지식재산센터), 부산시 지식재
산위원회 운영
∙ 수소차(버스 포함) 보급 및 지원사업, 수소전기차 부품기업 기술지원사업, 부산 자동차 부품산업 기술
연구 역량 강화, 미래자동차산업 부품생태계 지원사업, 스마트기반구축사업(미래차전동화 부품설계검증
지원 구축)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135
미래기술
혁신과
∙ 부산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LPG선박 실증사업, LNG벙커링 기자재 시험평가 설비 및 시험기술
개발사업, 가스(LNG)연료추진 조선기자재 지원 기반구축 사업, 심해해양공학수조 기반구축 사업, 해
양플랜트 고급기술 연구기반 구축사업, 해양플랜트 O&M 엔지니어링 기술기반 구축사업, 조선해양플
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사업, 국제해양플랜트전시회(Offshore Korea) 개최 및 지원, 조선해양기자
재 협동화단지 지원에 관한 사항,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클러스터 조성사업, 조선해양산업 지능정보
서비스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사업(신규), 친환경 조선해양기자재 재제조 기술개발사업(신규 발굴), 조
선업 생산기술인력 양성사업, 조선기자재 성능고도화 기반구축 사업,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기
반구축 사업, 조선해양기자재 수출 및 A/S거점기지 구축 및 운영 사업
미래에너지
산업과
∙ 탄소중립(에너지분야) 총괄 계획수립, 재생에너지 3020 정책추진 총괄(공약, 합동평가), 2050 클린에
너지 마스터플랜 이행 관리,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 평가, 에너지이용합리화 실시계획 수립
및 이행실적평가【클린에너지 계획 및 육성전문관,,「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에 관한 사항(시행계획
수립, 특화지역 등)
∙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부서소관) 총괄,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최 및 지원, (가칭)부산통합에너지센터
설립 추진, 에너지특화기업 지정 지원, 뉴딜사업 신규과제 발굴 및 총괄관리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
생에너지 국내외 교류사업 추진 등
∙ 초고압가스 핵심 기자재 산업 기반구축 사업, 저온 작동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스택 개발, 수소 항만
조성사업, 수소 선박 빅데이터 플랫폼 설계 사업, 수소 관련 특화단지 유치 추진, CCUS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부울경 수소배관망 구축, 수소시범도시 조성사업
∙ 도시철도 회생전력 기반 수소생산충전시스템 구축,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암
모니아 관련 R&D 발굴・추진, 암모니아 항만 실증, 암모니아 연료전지 시스템 및 신뢰성평가 기술개
발사업, 암모니아 연료전지 개발 등 신규사업 추진, 클린에너지 혁신기업 발굴・육성 지원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용역 추진, 반도체 산업 육성 추진, 전력반도체 소부장산업 특화단지
추진, 방사선 의과학 산업 육성, 중입자가속지 구축사업 추진, 파워반도체 산업 육성 추진, 전력반도
체 소부장산업 특화단지 운영 추진
∙ 동남권 차량용 반도체 밸류체인 구축 추진(대통령 지역공약), 메디컬 반도체 관련 사항 추진, 수출용
연구로 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방사선동위원소 활용 연구센터 건립 추진, ICT 기반 방사성의약품 헬
스케어센터 구축 추진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임대주택 지원사업 추진, 동남권 인공태양에너지 실증기
반 구축사업 추진,「전력반도체 소부장산업 특화단지」운영 지원, 인프라 확충, 기업유치, 인력양성,
R&D 유치 등
첨단의료
산업과
∙ AI기반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구축,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연구센터 추진, 보건의료산업육성
위원회 운영,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사업 추진, 항노화산업지원위원회 운영,글로벌 헬스위크 전시회
개최 총괄 등
∙ 의사과학자 역량강화 지원 사업, 지역거점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사업, 고령친화산업 육성계획
수립, 고령친화용품 사업화 지원사업 추진,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사업, 결핵 정밀맞춤치
료 선도연구센터 사업, 개방형 실험실 구축 사업, R&D 과제발굴 및 지원
∙ 치의학 산업화 기술개발 및 실용화 등 지원, 디지털상용화 기술지원사업 추진, 치과기공소 스마트 환
경개선 사업 추진, 치의학관련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추진 등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1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부산과학기술진흥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시의 과학기술진흥의 방향과 전략에 관한 사항,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
립・조정에 관한 사항,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혁신 및 연구개발의 지원에 관한 사항, 연구개발
사업의 기획・평가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연구개발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
비 조정 등 연구개발예산의 투자효율화에 관한 사항,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에 관한 사항,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균형적 지원 및 발전에 관한 사항, 「부산
광역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 조례」 제7조제1항 각 호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 임기 : 위원장(시장, 당연직), 부위원장(미래산업국장(당연직), 민간위원 중 1명
호선), 위원(2년, 한 차례만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 16회
- 본위원회(1회, ’23.12.22.) : 제1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18∼'22), 2022년도 추진실적 및
제2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 2023년도 시행계획, 2024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
발 투자방향 및 기준, 2024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2023년도 부산광역시
기획・유치 지원사업 추진 경과, 부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산하 분과위원회 2023년도 추진
경과
- 운영위원회(3회, ’23.1/2/4월 ) : 제1호 부산광역시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도
추진실적, 제1호 부산광역시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도 시행계획(안), 제1호
2022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실시계획(안), 제2호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도
추진실적 및 23년도 시행계획(안), 제1호 2021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보고
- 기획전략위원회(7회, ’23.2/3/5/6/7/8/9월) : 2022년도 제2차 및 제3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2년도 연구기획 네트워크 기반 기획 완료 사업 유치지원(안),
2022년도 기획 완료 사업 패스트트랙 유치지원(안), 2023년도 지역 R&D사업 발굴・기획・유치지
원 기본 방향(안), 2023년 제1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3년
제1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2023년 제1회 기획전략위원회 의결안건
제1호 의결결과 조치 사항, 2023년 제2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패스트트랙(유형① 지자체수요 대응형) 신청 사업 유치지원(안), 2023년도 지역 R&D사업 발굴・
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2023년 제2회 연구기획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3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3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연구기획 네트워크 기반 기획 완료 사업 유치지원(안), 2023년도 지역 R&D사업 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137
굴・기획・유치지원 추진 경과, 제4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패스트트
랙(유형① 지자체수요 대응형) 신청 사업 유치지원(안), 제5회 연구기획 네트워크 전문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제1차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안)
- 평가조정위원회(5회, ’23.4/5/7/7/9월) : 제1호 제1차 부산 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안), 제1호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2023년도 성과평가 실시계획(안), 제1호 제2기 기술전문위원회 구성,
제1호 2024년도 부산 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제2호 2024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예산 배
분・조정 시행계획(안), 제3호 제2기 기술전문위원회 구성 변경(안), 제1호 2023년도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상위평가위원회 추진결과(안), 제1호 2024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2-14 ❙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부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형준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이경덕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서용철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당연직
위원 김형균 부산테크노파크 ᾽23. 9.23. ~ ᾽25. 9.22.
위원 권기룡 부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황성주 연세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김도훈 부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정충교 (사)부산정보기술협회 ᾽23. 9.23. ~ ᾽25. 9.22.
위원 오현주 국립해양조사원해양과학조사연구실 ᾽23. 9.23. ~ ᾽25. 9.22.
위원 김효정 부산광역시의회 ᾽23. 9.23. ~ ᾽25. 9.22.
위원 조만기 FAU ᾽23. 9.23. ~ ᾽25. 9.22.
위원 김윤희 경상국립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장지현 UNIST ᾽23. 9.23. ~ ᾽25. 9.22.
위원 윤장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3. 9.23. ~ ᾽25. 9.22.
위원 장석영 금양 ᾽23. 9.23. ~ ᾽25. 9.22.
위원 김종도 한국해양대학교 ᾽23. 9.23. ~ ᾽25. 9.22.
위원 김현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3. 9.23. ~ ᾽25. 9.22.
위원 신현석 부산연구원 ᾽23. 9.23. ~ ᾽25. 9.22.
위원 진성호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3. 9.23. ~ ᾽25. 9.22.
위원 이희승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3. 9.23. ~ ᾽25. 9.22.
1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부산시의 총 예산은 약 27조 5,220억 원으로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564억원
- 지역 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7%
- 과학기술 예산 중 부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9.28%
표 3-2-15 ❙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75,220
재정자주도(%) 59.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342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6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9.28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139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부산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302억 원을 투자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국비는 1,216억 원, 지방비 700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2-16 ❙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CENTAP 조성운영사업 80 1,380 - 1,46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혁신 플랫폼 구축
(재)부산산업과학혁신원 운영지원
2,005 10,696 433 13,13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원전해체인력양성지원 - 31 11 42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3.0)
SW중심대학 지원 사업
65,916 5,349 6,898 78,163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
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
국립부산과학관 운영지원
58,621 34,017 12,323 104,96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부산스마트공장 보급확산지원
암모니아 친환경에너지 규제자유특구
121,612 70,033 35,647 230,22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사업
27,039 11,819 4,434 43,292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전기차 e-파워트레인 부품기술 허브센터구축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 추가사업 1차
21,358 14,620 6,654 42,632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부산)
파워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신뢰성평가인증센터 구축사업
10,853 8,422 1,057 20,332
합 계 307,484 156,367 67,457 534,23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부산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693개로 전국의 4.1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21% 증가
- 5년간 대학 2개 감소, 공공연구소 2개 증가, 기업 393개 증가
표 3-2-17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 6.58 24 5.78 23 5.60 23 5.44 22 5.26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19 6.64 19 5.74 18 5.52 18 5.34 17 5.15
공공연구소 35 8.73 35 5.45 39 5.88 39 5.66 37 5.42
∙ 국공립 6 8.33 5 3.50 4 2.80 5 3.27 5 3.65
∙ 정부출연 12 15.79 12 7.10 11 6.75 11 6.47 11 6.67
∙ 병원 및 기타 17 5.41 18 5.45 24 6.72 23 6.28 21 5.51
기업 2,241 4.62 2,376 4.33 2,524 4.31 2,498 4.01 2,634 4.09
∙ 정부투자기관 - - 1 1.82 2 3.70 2 3.39 3 4.92
∙ 민간기업 2,241 4.62 2,375 4.34 2,522 4.32 2,496 4.01 2,631 4.09
합 계 2,300 4.67 2,435 4.36 2,586 4.34 2,560 4.04 2,693 4.1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41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부산 소재 대학 수는 21개
- 일반대학 12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가 존재
표 3-2-18 ❙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9 1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8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7 2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부산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6만 6,865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4,510명(전체의 약 8.70%), 공학계열 학생이 4만 2,924명
(전체의 약 25.72%)
표 3-2-19 ❙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4,510 42,924 57,434 18,346 19,014 9,203 16,116 46,752 166,865
비중(%) 8.70 25.72 34.42 10.99 11.39 5.52 9.66 28.02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인 지
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부산광역시에는 총 7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부경대에 1개, 부산대에 6개 센터 설치・운영
표 3-2-20 ❙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부경대학교
(1개 센터)
2022 스마트짐 기반 액티브 시니어 헬스케어 중개연구 센터 RLRC
부산대학교
(6개 센터)
2018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ERC
2018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친환경스마트선박부품기술혁신센터 RLRC
2021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ERC
2022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2023 인간중심-탄소 중립 글로벌 공급망 연구센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143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부산의 지역혁신센터는 총 2개로, 동의대, 동아대가 각각 1개를 운영 중에 있음
표 3-2-21 ❙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동의대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동아대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부산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2-22 ❙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동명대학교 동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9
동서대학교 동서대Dream.E.Valley 1999-11-22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4
1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부산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4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총 8개의 과학관이 운영 중
표 3-2-23 ❙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수산과학관 국립
국립부산과학관 국립
낙동강하구에코센터 공립
부산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부산광역시어린이창의교육관 공립
부산과학체험관 공립
씨라이프부산아쿠아리움 사립
LG디스커버랩 부산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2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중소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1-1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부산이노비즈센터 2005-02-01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 지식 창업보육센터 1999-12-13
중소조선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0-09-0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3-04-30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0-04-27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벤처진흥센터 2001-06-01
REGIONAL S&T YEARBOOK 2023 145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부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부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95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9,213명임
표 3-2-24 ❙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525 641 644 660 958
수혜자 수 18,589 13,473 17,632 12,758 19,213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부산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7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235명 양성
표 3-2-25 ❙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사)부산과학기술
협의회
4
전용공간
4개(233.58㎡)
242 734,262 66.4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1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부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6,17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008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각각 5.1%, 15.7% 감소
표 3-2-26 ❙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5,989 6,422 6,172 6,058 6,676 6,504 6,174
특허등록 건수 2,527 3,061 3,412 3,300 3,410 3,570 3,00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2년 부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765편, 주저자 기준 2,90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48%, 4.83%를 차지
표 3-2-27 ❙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
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4,758 7.46 99,729 20.96 2,624 5.00 33,434 12.74
2019 5,315 7.91 78,633 14.79 2,686 4.90 30,239 11.26
2020 5,583 7.58 61,052 10.94 2,882 4.83 24,006 8.33
2021 6,040 7.57 39,175 6.49 3,057 4.80 14,813 4.85
2022 5,765 7.48 12,026 2.09 2,902 4.83 4,496 1.5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14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과학기술로 앞서가는 혁신 허브 도시 ‘부산’
■ (목표) 대전환 시대 인재가 모이고 기업이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2023년도 목표: 혁신허브도시로서 산업 환경의 선도적 대전환 추진 기반 조성
■ (추진전략)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
학기술 인프라 조성,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지역R&D
시스템 정립을 통한 혁신성과 극대화
- 2023년도 추진전략 : 산업 환경의 선도적 대전환을 위한 연구개발 및 기반시설 마련 추진, 산학연
협력에 기반한 지역 산업 성장 추동 방안의 구체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전략1) 산업대전환 시대 기술혁신을 통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
- (과학기술 혁신) 지역의 기초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신성장 동력을 발굴할 수 있는 집단 연구 활동
및 플랫폼 추진
- (디지털・에너지 전환) 규제자유특구, 데이터 활용 등 디지털 전환 및 탄소중립 대응에 필요한 기
술을 도입하고, 실증하여 기술을 산업으로 연계 추진
- (지역 산업 성장) 지역 산업이 활로를 개척하고, 산업 환경의 대전환에 지역 산업이 대응할 수 있
도록 디지털 융합 및 친환경 기술 도입 지원
- (개방형 혁신) 지식재산과 ICT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 추진 지원
■ (전략2) 지역혁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조성
- (디지털・에너지 전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 및 운영
- (지역 산업 혁신성장) 지역 산업이 산업 환경 대전환에 대응하고, 첨단화를 지향하며, 신산업을 도
입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 구축 및 운영 지원
- (초광역 연계・협력・상생) 수소, 자동차, 조선, 항공 분야 사업 연계
- (혁신생태계 조성) 연구 지원을 위한 인프라 운영 및 과학문화 확산 지원
1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전략3)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 (성장) 지역 수요 기반의 디지털 전환・탄소중립 관련 신산업 및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을 지원하여
지역 성장 기반 조성
- (정주) 취・창업 지원을 위한 연계 프로그램 운영
- (체류・교류) 지역 간 인재 교류 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 발굴
■ (전략4) 지역R&D시스템 정립을 통한 지역혁신 성과 극대화
- (기획) 탄소중립 분야 및 디지털 전환 분야 R&D 사업 발굴・기획, 중앙부처 연계 강화를 통한 기
획 사업 후속 지원, 발굴 고도화 등 추진
- (예산) 제1차 부산 연구개발 중장기 투자 전략 수립・배포를 통한 핵심 분야 제시 및 예산 배분・조
정 실행으로 전문성 강화
- (평가・관리) 성과 창출 제고를 위한 전문적 성과평가 실시 및 부산과학기술정보서비스 기반 정보
제공 확대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전략별 이행점검 고도화 : 중점추진과제의 세부과제 중 도전적인 과제에 대한 조치 마련 필요
- (초광역 협력 강화) 최근 초광역권 사업 추진이 주춤하고 있으나, 지역산업의 가치사슬을 고려하
여 초광역권 협력에 대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인재양성 등의 사업 발
굴・기획・유치 필요
- (민간 R&D 활성화 제도 마련) 민간의 R&D 참여 확대,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역에
서 추진할 수 있는 세제 혜택이나 공공구매 등 민간 R&D 활성화 제도 및 정책 마련 필요
- (인재 활용 방안의 다양화) 스타트업 인재 양성,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 및 고경력 은퇴 과학기
술인 활용, 비전공자 대상 과학기술 융합인재 육성, 지역문제해결 발굴 연계 등 도전적인 인재 활
용에 대한 지역 차원의 사업 발굴・추진 및 국비 유치 필요
- (정책연계) 유학생 활용, 정주여건 개선, 워케이션 프로그램 운영 등 청년 정책, 인구 정책 등과 연
계하여 과학기술 분야 정책 외연 확대 필요
■ R&D 예산 확대 방안 마련
ㅇ (국비 유치) 인재양성, 기반조성 유형의 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사업기획 및 유치 추진
필요
REGIONAL S&T YEARBOOK 2023 149
- 지산학협력을 기반으로 개방적 순환구조의 인재 생태계 조성 전략은 국비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전략적 국비 유치 필요
・ 인재양성 전략에 투입되는 사업비에서 국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82.5%
・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 잠재적 인재 확보 등은 국가적으로 당면한 문제에도 맞닿으므로 국비 유
치를 위한 전략적 사업기획 필요
- 기반조성 유형 사업에 대한 연계사업 및 국비 유치방안 마련 필요
・ 기반조성 유형은 부산시 과학기술 분야 예산에서 34.9%, 지방비 예산에서 3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자체수행 사업비는 기반조성 유형 사업비의 5.5%를 차지하고 있어 국비 의존도와
지방비 투입 비중이 높은 편
・ 기존에 수행하던 수출용신형연구로 구축, 파워반도체 생산플랫폼, 스마트양식 테스트베드 조성
등 대형 기반조성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이르면서 사업비가 10억 이상 감축된 상태
・ 기반조성 유형의 사업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므로 국
비를 활용하기 위한 사업기획 필요
ㅇ (연계사업 기획) 구축된 기반시설 활용 및 정책 외연 확장 측면에서 연계사업 기획 추진
- 마무리 단계에 있는 기반조성 시설을 활용하여 지역에서 추진할 수 있는 기술개발,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등의 사업기획・추진 필요
- 인재 관리, 정주여건 개선, 유학생 유치 등 지역에서 필요한 인재양성 문제를 해결하고, 정책 외연
확장을 위한 지역 고유의 사업기획 및 추진 필요
ㅇ (민간 투자 확대 방안 마련)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기술개발 유형 사업 기획 시 민간 자본을 확대
할 수 있는 정책개발 필요
-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유형은 부산시 자체수행 과학기술 분야 사업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
고 있으나 지역산업 생태계 조성 관점에서 기업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필요
- 기술개발 유형은 전체 사업비 투자 비중이 높은 편이나, 부산시 자체수행 과학기술 분야 사업에서
는 비중이 낮은 편이고 기타 재원의 활용도 적은 편이므로, 지역 차원에서 기업 참여를 통한 기술
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정책개발 및 사업기획・추진 필요
1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3절 대구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대구의 인구는 약 236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대구 인구의 비율은 4.57%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3-1 ❙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448,800 2,436,776 2,414,262 2,387,631 2,363,420
전국인구대비 비율(%) 4.75 4.71 4.67 4.61 4.57
경제활동참가율(%) 60.9 60.2 58.9 60.5 60.9
실업률(%) 4.4 3.7 3.9 3.7 2.9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15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구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1%의 증가율을 나타
냄
- 기타서비스업은 전체의 43.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2.98%로
뒤를 이음
- 건설업은 지난 5년 간 7.3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3-2 ❙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53,964,991 54,762,237 53,668,577 56,017,462 56,996,357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33,367 128,705 110,468 108,497 105,602
(지역내비중,%) (0.25) (0.24) (0.21) (0.19) (0.19)
제조업 11,421,725 10,825,618 9,914,159 10,865,507 11,265,713
(지역내비중,%) (21.17) (19.77) (18.47) (19.40) (19.77)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77,427 384,650 542,293 512,736 376,998
(지역내비중,%) (0.70) (0.70) (1.01) (0.92) (0.66)
건설업 2,358,042 2,507,401 2,972,764 3,295,073 3,358,490
(지역내비중,%) (4.37) (4.58) (5.54) (5.88) (5.89)
기타서비스업 24,279,722 24,814,180 23,978,170 24,313,590 24,564,988
(지역내비중,%) (44.99) (45.31) (44.68) (43.40) (43.1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617,260 12,182,702 12,192,536 12,839,147 13,099,677
(지역내비중,%) (21.53) (22.25) (22.72) (22.92) (22.98)
순생산물세 3,791,220 3,902,862 3,929,434 4,032,532 4,113,402
(지역내비중,%) (7.03) (7.13) (7.32) (7.20) (7.2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1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대구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6조 1,973억 원이고, 3,24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만 9,63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5조 3,542억 원(전체의 20.44%), 사업체 수에서
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707개(전체의 21.77%), 종사자 수에서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1만 5,598명(전체의 15.6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3-3 ❙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593,626 6.08 146 4.50 3,678 3.69
음료 제조업 241,433 0.92 8 0.25 231 0.2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9,844 0.34 20 0.62 358 0.3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7,486 0.07 50 1.54 897 0.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2,665 0.51 18 0.55 339 0.3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93,147 6.84 258 7.95 6,835 6.8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24,384 1.62 44 1.36 1,040 1.04
1차 금속 제조업 1,450,197 5.54 82 2.53 2,741 2.75
전기장비 제조업 1,892,587 7.22 126 3.88 5,232 5.2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440,764 16.95 506 15.58 13,159 13.2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354,176 20.44 273 8.41 13,873 13.9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9,670 0.15 7 0.22 124 0.12
가구 제조업 80,551 0.31 15 0.46 234 0.23
기타 제품 제조업 75,148 0.29 25 0.77 425 0.4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5,010 0.06 7 0.22 148 0.1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2,921 0.05 2 0.06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231,363 12.33 707 21.77 15,598 15.6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802,439 6.88 539 16.60 13,291 13.3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6,134 3.38 149 4.59 3,724 3.7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1,131 0.84 84 2.59 1,912 1.9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93,088 3.03 60 1.85 2,261 2.2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12,242 4.63 83 2.56 2,966 2.9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7,246 1.52 38 1.17 987 0.99
합 계 26,197,252 100 3,247 100 99,635 100
REGIONAL S&T YEARBOOK 2023 15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로 나타남
표 3-3-4 ❙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
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비교적
높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음료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1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구광역시는 ‘반도체’, ‘UAM‘, ‘로봇’, ‘헬스케어’, ‘ABB‘, ‘핵심인재 육성’ 사업을 집중적으
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3-5 ❙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반도체
센서산업 지역거점 구축지원
시간기반 회로를 이용한 가변형 다중 센서 인터페이스 개발 등
UAM
미래모빌리티 선도기술 개발지원
자동차 산업 미래 기술혁신 오픈 플랫폼 생태계 구축
로봇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정밀기계가공산업 육성사업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대구 스마트 웰니스)
지역 바이오헬스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지원사업
ABB
지역산업 맞춤형 인공지능 응용기술 지원
지역산업기반 지능형 무인이동체 응용기술 개발 지원
핵심인재 육성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
※ 출처 : 대구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5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16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단지 21곳의 가동 업체는 9,782개, 총 종사자는 118,777명
표 3-3-6 ❙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구국가 8,559 7,479 274 159 4,626 95 조성중
일반
성서1차[재생사업지구] 2,687 2,687 875 868 11,400 100 완료
성서2차[재생사업지구:부분] 4,750 4,544 1,110 1,102 17,639 100 완료
성서3차 3,329 2,831 695 688 10,649 100 완료
성서4차 433 433 62 62 3,594 100 완료
대구출판 243 243 110 109 971 100 완료
대구이시아폴리스 1,176 1,176 58 57 1,535 100 완료
검단 782 782 579 571 7,856 100 완료
대구염색[재생사업지구] 849 849 127 123 4,620 100 완료
달성1차 4,078 4,078 342 316 13,114 100 완료
달성2차 2,707 2,377 289 254 4,559 99 완료
대구테크노폴리스 7,258 7,258 79 79 6,354 73 조성중
성서5차첨단 1,470 1,406 118 117 4,064 100 완료
대구제3[재생사업지구] 1,685 1,684 2,501 2,501 8,377 100 완료
달성대성하이스코 58 58 2 0 0 70 완료
금호워터폴리스 1,185 1,185 0 0 0 57 조성중
서대구[재생사업지구] 2,662 2,660 2,689 2,664 17,410 100 완료
도시
첨단
대구신서혁신도시
(공공주택지구)도시첨단
149 149 0 0 0 26 완료
율하 167 167 0 0 0 0 조성중
농공
구지 193 193 21 21 561 100 완료
옥포 162 162 48 48 509 100 완료
1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군위 301 301 33 30 749 100 완료
호령 112 112 14 13 190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대구시에는 총 1,33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39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9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02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
업’(101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
기업 위치
표 3-3-7 ❙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1 1
광업(05~08) 3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5 32 36
음료 제조업 1 1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1 70 6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 13 1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5 6 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 2 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 8 1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5 11 1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3 34 3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 7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7 43 46
REGIONAL S&T YEARBOOK 2023 15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4 9 12
1차 금속 제조업 19 16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33 95 9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3 48 5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1 100 101
전기장비 제조업 75 71 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32 184 20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2 63 6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2 11 11
가구 제조업 8 6 6
기타 제품 제조업 41 34 3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 3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3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4 4
건설업(41~42) 22 16 22
도매 및 소매업(45~47) 27 26 29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223 216 239
금융 및 보험업(64~66) - - 1
부동산업(68) 2 1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9 81 97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7 7 9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6 4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429 1,231 1,337
1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구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0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850명으로 전국 대비 2.56%를 차지하였고, 최근 연구개발인력 5개년
동안 연평균 5.63% 증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9,900명(전국의 1.8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이 9,329명(전국의 4.20%)으로 대학이 뒤를 이었으며, 공공연구소는1,621명(전국의 2.37%)으로
가장 적게 나타남
표 3-3-8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815 4.06 8,096 4.17 8,633 4.17 9,205 4.38 9,329 4.20
∙ 국공립 5,990 7.54 6,155 7.70 6,489 7.49 7,100 8.17 7,443 8.29
∙ 사립 1,825 1.61 1,941 1.70 2,144 1.78 2,105 1.71 1,886 1.42
공공연구소 1,511 2.59 1,643 2.63 1,799 2.81 1,647 2.47 1,621 2.37
∙ 국공립 415 3.39 488 3.79 155 1.21 152 1.13 155 1.17
∙ 정부출연 478 1.47 525 1.52 523 1.54 425 1.25 449 1.29
∙ 병원 및 기타 618 4.55 630 4.18 1,121 6.45 1,070 5.56 1,017 4.95
기업 9,634 2.19 10,000 2.16 10,064 2.11 10,188 2.00 9,900 1.89
∙ 정부투자기관 57 1.46 49 1.27 61 1.63 44 1.14 61 1.53
∙ 민간기업 9,577 2.19 9,951 2.17 10,003 2.12 10,144 2.01 9,839 1.90
합 계 18,960 2.74 19,739 2.75 20,496 2.74 21,040 2.68 20,850 2.5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59
■ ’22년 대구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1명 감소한 61.2명으로 조사됨
표 3-3-9 ❙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54.8 57.6 60.1 62.2 61.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대구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5,874억 원으로 전국의 1.40%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55%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503억(전국의 4.37%), 공공연구소는 약
2,703억 원(전국의 2.09%), 기업이 약 8,579억 원(전국의 0.96%)을 기록
표 3-3-10 ❙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26,642 4.63 345,594 4.69 391,422 4.69 431,055 4.62 450,273 4.37
∙ 국공립 276,975 8.97 291,210 8.89 330,633 8.76 362,176 8.59 396,534 8.75
∙ 사립 49,667 1.25 54,384 1.33 60,789 1.33 68,879 1.35 53,739 0.93
공공연구소 215,880 2.19 209,394 2.06 224,681 2.02 261,320 2.18 270,272 2.09
∙ 국공립 27,653 3.40 35,041 4.19 10,292 1.21 31,576 3.26 9,858 0.97
∙ 정부출연 107,320 1.42 101,405 1.30 69,819 0.84 59,968 0.69 66,917 0.72
∙ 병원 및 기타 80,907 5.46 72,948 4.78 144,571 7.29 169,776 7.35 193,497 7.37
기업 783,257 1.14 781,038 1.09 748,003 1.02 795,267 0.98 857,891 0.96
∙ 정부투자기관 3,841 0.42 6,550 0.75 5,396 0.62 5,324 0.62 5,533 0.62
∙ 민간기업 779,416 1.15 774,488 1.10 742,607 1.02 789,943 0.99 852,358 0.96
합 계 1,325,779 1.55 1,336,026 1.50 1,364,107 1.47 1,487,642 1.46 1,578,436 1.4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대구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37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42%
표 3-3-11 ❙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233 6,301 6,842 7,168 7,376
(3.2) (3.1) (3.0) (3.0) (2.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
- 지역 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5억원), 대구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5.7억원), 대구산업경제
혁신성장거버넌스 구축・운영(6.6억원) 등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217억원),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연구개발 실증사업(123.8
억원) 등
■ 의료산업 육성 및 위드 코로나 대구의료관광 활성화
- 대경권 지역기반 스마트 의료ICT 융복합 중소기업 활성화(16.1억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
재단 운영(21.9억원), 3D프린팅 의료기기 상용화 실증지원(21억원) 등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미래형자동차 선도기술 개발지원사업(60억원), 전기자율차 활성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 고도
화(48.6억원), 미래형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 기반조성(26억원) 등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65.3억원),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지원(54.6억원), 초기창업패키지 지원
사업(39억원),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17.2억원) 등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161.6억원),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지원(6.7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161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구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혁신성장실에서 담당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1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3-12 ❙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4,127 2 11,026 158 53 46 2,78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3-13 ❙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혁신성장관
∙ 지역산업 정책의 종합기획 및 조정, 미래산업 관련 신사업 발굴 및 계획 수립
∙ 디지털혁신진흥원 운영 및 지도・감독,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구축 업무(SW진흥단지 지정 포함),
디지털혁신 프로젝트 추진 및 거버넌스 운영 디지털혁신 생태계 조성사업 기획 및 발굴
∙ 수성알파시티 의료시설용지 용도변경 업무 제2 수성알파시티 조성 기획 디지털 혁신 앵커시설 구
축 업무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 총괄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교통, 도시행정, 데이터허브에 관한
사항, AI 기반 스마트교통체계 구축(스마트시티 챌린지), 스마트시티 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
항, 스마트시티 신규 공모사업 발굴 및 대응
∙ oT 테스트베드 활성화에 관한 사항 ONE 네트워크 사업 추진 IoT기반 스마트시티 조성 확산사업
및 사후관리 스마트시티 도시개발・실증(교차)・공모사업 IoT산업 육성
∙ 반도체 산업 육성 미래산업 관련 신사업 추진,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조성사업 추진 ・ 거점기관 개
방형 혁신 사업 추진
미래모빌리티과
∙ 미래모빌리티 특화도시, 미래모빌리티육성계획,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산업 육성 계획 수립,
UAM 산업기반 구축 지원 사업 추진
∙ 구동전장부품산업 육성, 전력기반차 e-DS(e-Drive System) 핵심부품산업 육성사업, 전기동력모
듈 부품기업 평가지원기반 구축사업, 미래형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기반 구축사업, ZE기반 xEV
신뢰성 평가플랫폼 구축사업
∙ 자율주행자동차 산업 육성 계획 수립,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관리(리빙랩),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 플랫폼 구축, 자율주행 융합관제센터 지원,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주행시험장 고
도화 추진
∙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 자동차산업 미래기술혁신 오픈플랫폼 생태계 구축,자율주행 경
진대회 업무 추진, 지역 연계 미래모빌리티 AI 융합기술개발, 자율주행자동차 시험, 평가, 연구기
반 구축,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범사업
∙ 마이크로EV 산업 육성, 미래모빌리티 선도기술개발사업, 전동화 모듈 부품 평가지원 기반구축사업,
시장창출형 E-모빌리티 생산기반연계 지원사업, 미래자동차 전기구동부품,제조공정 고도화 기반구
축 사업
가계로봇과
∙ 소부장정책 수립 : 소부장뿌리 용역,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농기계 박람회(격년), 대구국제자동화기
기전 개최지원 및 기계대전 총괄, DMI 지원
∙ 로봇산업 육성 계획 및 정책 수립, 로봇산업 가치사슬 확장 및 상생시스템,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
자유특구, 글로벌 혁신특구, 로봇공약관리
∙ 기계・뿌리산업 육성, 뿌리기업의 차세대 전환 지원사업,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기술지원사업, 뿌리
기술 장인 노하우 디지털 전승사업, 산업용 섬유기계 핵심모듈부품 기술개발, 정밀기계가공산업 육
성사업, 대구국가산단 표면처리특화단지 지원, 기계산업 수출역량 강화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163
∙ 로봇산업육성 업무총괄(로봇R&D, 인프라 구축), 스마트 로봇혁신지구 조성, 지역도심 융합기술 연
구개발 사업, 서비스로봇 사용 편의성 사업화 지원사업, 로봇핵심부품 신뢰성 테스트베드 구축
∙ 5G 기반 첨단제조로봇 실증기반 구축, 스마트이송물류 AMR산업육성 플랫폼, 로봇지원기관 지원
(KIRIA), 로봇ODA, AI・5G기반 대규모 로봇 융합모델 실증사업,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지원사업
∙ 소재부품산업 업무 총괄, 소재부품 신규사업 기획, 첨단메카닉 고분자 디지털융합 플랫폼, 소재부
품2.0 기술자립 지원센터, 첨단나노소재부품 사업화 실증기반 고도화, 첨단기능성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상용화 지원, 나노소재부품산업 가치사슬 혁신사업
∙ 영세소재부품기업 경쟁력 강화지원사업, 나노융합기반 고도화사업,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 품질
분임조 활성화 지원사업, 국제부품소재산업전, 제품안전관리, 지역사업 진흥사업
의료산업과
∙ 보건의료산업육성위원회, 메디시티대구협의회 관련 업무, 의료산업 중장기발전계획(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육성계획), 메디엑스포코리이 총괄(건강의료산업전 개최)
∙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 총괄, IoT기반 웰니스 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실증, 아-태 안티에이
징 컨퍼런스 개최, 의료관련 정부지정 연구센터(MRC, ERC)육성 및 지원 - 스마트에이징 융복합
연구센터 지원, 종양가소성 연구센터 지원, 세노테라피 기반 대사질환 제어 연구센터 지원
∙ ABB기반 신규사업 추진, 의료데이터 활용 지원시스템 구축 사업, 초광역 뇌질환 데이터 스테이션
구축, 임상중개지원센터 등, 지방소멸 대응기금사업, 신규사업 및 프로젝트 발굴
∙ 의료R&D사업 및 산・학・연 공모사업 지원, 고기능 인체결합 의료기기 산업육성 플랫폼 구축지원,
지역주력산업(R&D 및 비R&D) 육성, 비교임상 기반 지역의료산업 역량강화 ,첨단의료기기 공동제
조소 구축(규제특구 재정지원), 3D프린팅 의료기기 상용화 실증지원
∙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 추진, 초연결 치과산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사업, 지역 의료기기 토탈마케
팅 지원, 의료산업육성정책 역량강화 ODA사업, 대구국제치과종합학술대회(DIDEX) 개최 지원, 영
상진단 의료기기 탑재용 AI기반 의료영상분석 솔루션 개발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바이오 중심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
성방안 관련 사업 추진, 뇌산업 혁신클러스터 구축사업 용역 추진, 뇌산업 관련 신규 사업 추진,
인프라 확충(2단계 우뇌동, 실용화센터 건립 등), DGIST 후각융합연구센터 지원 등
∙ 첨단임상시험센터 건립 지원, 제약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구축, 메디밸리 창업지원센터 건립, 스마
트 웰니스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지원, 인체 유래 콜라겐 적용 의료기기 실증, 스마트 임상시험・
관리 플랫폼 실증
∙ 의료관광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MICE・웰니스 연계 의료관광, 한의약산업 선진화 지원사업, 한의
약 소재은행 사업, 한방 제조・서비스 지원 사업, 지역연고산업 육성사업(3H 모발케어)
∙ K-뷰티 수출 컨소시엄 활성화 지원 사업, 스타 뷰티 브랜드 육성 사업, 뷰티 피부임상 특화지원
사업, 광역권 뷰티산업 밸류체인 사업, 남구 토탈뷰티 사업(지방소멸대응기금), 지역주력산업 육성
사업(뷰티산업), 한방의료체험타운 운영(약령시장 청년몰 포함)
에너지산업과
∙ 신재생에너지 이용・보급・촉진 정책수립 업무, 지역에너지 계획 및 정책수립 업무, 지역에너지 계획
및 정책수립 업무, 산단 지붕 태양광 프로젝트 추진 업무, 집단에너지 사업 및 그린뉴딜(에너지 분
야) 사업, 에너지산업지원센터 운영 업무
∙ 에너지산업 클러스터 조성, 이차전지 산업 지원 인프라 구축 업무, 배터리(이차전지) 산업육성, 사
용후 배터리 활용 융합산업 육성, 배터리 기업유치・기술개발・산업화 지원 업무
∙ 에너지 산업육성 및 정책수립, 탄소중립(에너지) 사업발굴・추진, 에너지 효율화 산업 육성, 산업단
지 에너지 효율화 사업 발굴・추진 전원개발, 송전선로 지중화 등 한전 업무
∙ 차세대 배터리 중심 에너지 기업지원 사업, 배터리 기술개발 및 기업 유치, 지역에코 혁신사업 추
진 업무, 지역 주력산업(에너지 분야) 업무
∙ 수소산업 기반시설 확충 및 육성계획 수립, 수소충전소 구축, 수소산업 지원조례 운영 및 수소 신
산업 발굴, 한국가스공사 연계 수소 관련 협업 사업 추진,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및 탄소자원화
산업육성 업무
1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7조(위원회의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유공자 선정에 관한 사항
AI블록체인과
∙ ABB 테스트베드 실증 추진, 인공지능(AI)융합 지역 특화산업(AI+X)추진, SW융합클러스터 2.0 사
업, ABB 초기시장 진출지원, AI블록체인 전략 및 시행계획 수립 블록체인 산업 육성
∙ 블록체인 규제샌드박스 신규사업 발굴 지역 디지털 자산 산업 육성 지원, 지역스포츠기업지원센터
구축, 전파플레이그라운드 구축 및 운영, AI기반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구축, 사업 지역 제조
업 설계지원 사업
∙ ICT융합사업 발굴 및 추진, ETRI 대경권연구센터 지원, 인공지능 응용기술 지원 및 지능형 무인
이동체 응용기술 개발 지원 사업 추진,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 사업 추진, 지역첨단 HCI산업 거
점기반 구축 사업 추진, ABB 해커톤 대회 지원
∙ 대한민국 ICT융합엑스포 개최 추진, 지역거점 5G융합서비스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 거주환경 단말
간 자율군집형 커뮤니티 컴퓨팅 기술개발(2단계),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지원 사업, K-ICT
3D프린팅 지원센터 운영 지원, SW재난연구센터 지원 사업, 열린혁신 디지털 오픈랩 구축
∙ AI, 블록체인 기반 행정정보화 계획 수립, ICT신기술 기반 시민편의 서비스 기획 및 추진, 블록체
인 시민체감서비스 확대구축 취약계층 비대면 아동급식지원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블록체인 기반
3無 서비스 확대(공약) 블록체인 공동활용 플랫폼, 대구ID 운영 에듀테크 소프트랩 구축 및 운영
사업, 초기기업 SW제품 상용화 지원 사업, 대구정보보호지원센터 지원 사업
∙ 지역 메타버스 산업 육성계획 수립, 메타버스 선도사업 기획 및 국비사업 발굴・추진, 뉴테크 융합
지원 창작플랫폼 구축사업,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센터 구축・운영,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센터 구축・
운영, 메타버스 대구월드 조성사업, 메타버스 기반 제조공정 혁신지원사업, 공공부문 메타버스 서
비스 활성화 지원(금호강 르네상스 TF참여 등)
빅데이터과
∙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시행계획 수립, 데이터 산업 관련 과제 발굴 데이터 관련 국비사업 발굴
및 추진, 양자정보 산업 육성, 국가 디지털데이터 허브 구축 지원
∙ 공공데이터 이용활성화 업무,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및 발굴, 개방 및 제공 공공데이터 평가(관리체
계, 개방, 활용), 공공데이터 기업매칭 사업 발굴 및 추진,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개최
∙ 공공데이터 포털시스템 운영(제공신청 처리 및 현행화), 공공데이터 품질 관리(수준진단・평가), 공
간정보 품질관리 수준평가 기관메타시스템 운영, 메타데이터 관리 디지털 시정현황판 운영 및 고
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165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2년(1회에 한하여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2023.2/11)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22년 추진실적, 제6차 대구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3-14 ❙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정장수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최운백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김지인 대구보건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김춘희 대구사이버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김현덕 경북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남윤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09.09. ~ 2025.09.08
위원 문기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3.09.09. ~ 2025.09.08
위원 박철영 대구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신진교 계명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이난희 (사)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2023.09.09. ~ 2025.09.08
위원 이혜진 경북대학교 2023.09.09. ~ 2025.09.08
위원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2023.09.09. ~ 2025.09.08
위원 김대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3.09.09. ~ 2025.09.08
※ 출처 : 대구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1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구시의 총예산은 약 19조 2,76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766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92%
- 과학기술 예산 중 대구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4.28%
표 3-3-15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92,767
재정자주도(%) 64.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15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76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4.28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167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대구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722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는 각각 1,262억 원, 1,100억 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이 투자됨
표 3-3-16 ❙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운영 지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운영
한국염색기술연구원 운영 위탁
- 1,950 - 1,95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구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지역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
205 950 500 1,15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
지능형 건설자동화연구센터 지원
40,296 3,707 3,451 47,45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
혁신도시공공기관 연계 육성사업(대구)
17,759 7,698 3,476 27,462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전기자율차 활성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
고도화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
126,214
109,985
.5
16,020 272,223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대구경북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 출연금
첨단임상시험센터 건립
30,765 7,387 24,174 62,32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미래차 디지털 융합산업 실증플랫폼 구축
5G기반 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
플랫폼(기반조성)
28,665 32,474 2,204 63,377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대구)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22,060 12,482 5,221 39,163
합 계 265,964 176,634 55,046 515,11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대구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2,141개로 전국의 3.2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53% 증가
- 5년간 대학 2개 증가, 공공연구소 2개 감소, 기업 157개 증가
표 3-3-17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 4.38 15 3.61 16 3.89 18 4.26 18 4.31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6 6.98 6 6.82
∙ 사립 11 3.85 10 3.02 11 3.37 12 3.56 12 3.64
공공연구소 29 4,74 30 4.67 31 4.68 28 4.06 27 3.95
∙ 국공립 2 1.53 2 1.40 2 1.40 2 1.31 2 1.46
∙ 정부출연 11 1.20 12 7.10 10 6.13 9 5.29 10 6.06
∙ 병원 및 기타 16 5.10 16 4.85 19 5.32 17 4.64 15 3.94
기업 1,939 3.99 2,077 3.79 2,150 3.68 2,202 3.54 2,096 3.26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2 3.70 2 3.39 2 3.28
∙ 민간기업 1,937 3.99 2,075 3.79 2,148 3.68 2,200 3.54 2,094 3.26
합 계 1,984 4.02 2,122 3.80 2,197 3.69 2,248 3.55 2,141 3.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69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대구 소재 대학 수는 12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7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3-18 ❙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7 7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9 1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대구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1,46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167명(전체의 약 12.21%), 공학계열 학생이 2만 876명
(전체의 약 22.82%)
표 3-3-19 ❙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167 20,876 32,043 17,388 8,119 7,053 6,671 20,193 91,467
비중(%) 12.21 22.82 35.03 19.01 8.88 7.71 7.29 22.08 100.00
※ 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대구광역시에는 총 10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경북대가 7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대구한의대학교에 1개가 있음
표 3-3-20 ❙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7개센터)
2017 얼굴 신경-뼈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8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ERC
2020 혈관-장기 상호작용 제어 연구센터 MRC
2021 소프트웨어재난 연구센터 ERC
2021 종양 가소성 연구센터 MRC
2022 비선형 동역학 수리응용 센터 SRC
2022 메타버스 가상서원 구축을 위한 딥러닝 기반 전통기록물 해독 C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기상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 ERC
2018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 ERC
대구한의대학교
(1개 센터)
2018 간질환 한약 융복합활용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171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구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에 계명대가 3개, 대구한의대, 경북대, 영진전문대에서 각 1개씩
존재했지만, ’23년에는 계명대 2개만 운영 중에 있음
표 3-3-21 ❙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계명대
예측설계기반 전자화자동차부품 지역혁신센터
전통미생물 자원개발 및 산업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1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대구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3-22 ❙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9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6-22
계명문화대학교 계명문화 창업보육센터 2017-06-30
한국환경공단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창업보육센터 2019-09-04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대구경북중소기업청 경북대학교 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9-12-24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9-06-08
(대구)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대구드림파크 (포스트BI) 1998-05-28
대구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30
대구광역시 대구스케일업허브(DASH) 2021-06-30
수성대학교 수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0-2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17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구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7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3-23 ❙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대구기상과학관 국립
국립대구과학관 국립
대구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대구광역시어린이세상 공립
아이니테마파크 사립
네이처파크 천문과학관 사립
대구 아쿠아리움 전문 과학관 사립
※ 출처 : 2023년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구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대구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4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514명임
표 3-3-24 ❙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45 295 231 283 247
수혜자 수 3,999 2,278 3,809 4,950 5,514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1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대구 특허출원 건수는 4,68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509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7.0%, 11.6% 감소
표 3-3-25 ❙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4,735 4,779 4,619 4,801 4,782 5,037 4,683
특허등록 건수 2,365 2,612 2,519 2,781 2,881 2,837 2,50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대구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040편, 주저자 기준 2,559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54%, 4.26%를 차지
표 3-3-26 ❙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4,149 6.51 79,176 19.08 2,131 4.06 33,566 15.75
2019 4,211 6.26 67,869 16.12 2,087 3.80 25,963 12.44
2020 4,880 6.62 56,527 11.58 2,515 4.22 22,990 9.14
2021 5,209 6.52 40,935 7.86 2,630 4.13 14,522 5.52
2022 5,040 6.54 11,611 2.30 2,559 4.26 4,423 1.7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17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기반 글로벌 미래번영 도시 대구
■ 목표 :
- 미래번영의 토대 마련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제고
- 과학기술 기반의 지속가능한 미래 신산업 창출・육성
- 과학기술 중심 지역 혁신 및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전략 :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 지역 혁신 주체의 성장을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협력 생태계 활성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 주도 R&D 혁신 거버넌스 구축
- 지역 과학기술진흥위원회, 과학기술 전담조직 등 과학기술 정책 의사결정체의 위상 강화
- 지자체 주도의 과학기술 정책・사업조정 및 예산배분 등 청책-예산간 연계체계 강화 등
■ 지역 R&D 정책기획 역량 강화
- 증거 기반의 R&D 정책 기획 및 수립을 통한 지역 주도의 자생적 혁신생태계 조성
- 지역 내 산・학・연・관 협업・협력 기반의 지역 경제산업 분석 및 지역 주도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 수
립 및 정책사업 발굴・기획 등
■ DTIS 기반의 지역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환류체계 강화
- 지역 내 연구개발사업 간 연계・중복 조정 및 컨설팅을 통한 예산 투자 효율성 향상 및 사업성과의
극대화
- 전국 최초 지역 연구개발사업 조・분・평 체계 기반인 “대구과학기술정보서비스(DTIS)”을 통한 성
과관리체계 확립 및 대구형 조사・분석・평가 플랫폼 고도화 등
■ 지역 대학・혁신기관의 지역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1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대학 중심의 지역 전략산업 분야 핵심 원천기술 확보 및 기술 기반 창업・사업화 지원 강화를 통
한 기술혁신 선도 및 혁신성과 창출
- 지역대학 및 지역 혁신기관의 연계협력 플랫폼 구축・운영을 통한 미래 신산업 발굴・육성 및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 고도화 등
■ 출연연 중심 지역대학-혁신기관 연계 융합・중개연구 거점 활성화
- 지역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대학-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킹, 지식 공유 플랫폼 및 공동연구 프
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육성
- 지역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협력 문제해결 플랫폼 구축과 주력산업 기반 융합연구를 통한 미래
기술 개발 및 임무지향형 연구거점 구축 등
■ 산・학・연 연구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선순환 체계 활성화
- 지역이 필요로 하는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지역산업과 연계한 개방형 연구 활성화로 지역 혁신기
관의 기술역량 강화 및 미래 지역 혁신활동 촉진
-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
■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플랫폼 강화
- 지역 공공연구 성과가 사업화・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학 창업 및 연구소기업 성장 체계적 지원
- 지역 기반 공공, 민간 TLO의 안정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역 비중 확대 및 사업체계 개편 등
■ 지역 맞춤형 산업기술 인재 양성
-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기술 전문인력 양성 및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신산업 및 미래 전략산업
분야의 인재 양성
- 지역 수요기반의 산업구조 전환 대응을 위한 미래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 역량과 산업 경쟁력을 동
반 강화시키는 우수 석・박사 연구 고급인력 양성 등
■ 대구형 창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기업 육성・지원
- 창업기업의 질적 성장구현을 위한 혁신기관 연계・협력 체계 구축
- 지역 주도의 창업 붐업 및 창업 전주기 지원을 통한 창업・벤처투자 생태계 강화 등
■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 지역기업의 중개연구, 사업화 비즈니스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 지역혁신기관의 협력 강화를 통한
지역 R&D 공공연구 성과의 지역확산
- 지역기업의 단계별 성장 촉진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출연(연) 등 이해관계자 참여로 지
역혁신기관 연계 연구개발 플랫폼 활용성 증대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177
■ 기술・산업 변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및 탈탄소화 전환 지원
- 기존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개선 및 입주 업종의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기반 인프라 개선 등 첨단업
종 및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지원
- 기존 클러스터 내 산・학・연 간 협력 연구개발 기능 강화로 제조・서비스업 기업의 디지털 기반 전
환, 제조혁신 지원 등 기술 변화 대응을 위한 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추진 등
■ 차세대 연구혁신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지역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규제개혁을 통한 지역 주도의 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연구중심의 혁신클러스터 구축 등
■ 지역 R&D 거점기관과 연계한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R&D 거점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 연계・협력 강화
- 디지털화를 통한 산업별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및 미래 신산업 기반의 클러스터 첨단화 기반 마련 등
■ 도심형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확산
-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기반의 첨단 디지털 도시환경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력난 해소를 위한 도심형 벤처・창업 혁신거점 조성 등
■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정착지원체계 마련
- 지역 과학기술 인력의 현장중심형 인재 양성 및 지역 정착 유도
-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사업모델 혁신, 아이템 고
도화 등 지역의 유망 청년창업기업 활성화 추진 등
■ 지역 내 과학기술 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산업의 비즈니스 창출과 신성장 산업육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중심의 신기술 교류협력 및 마케
팅 활로 개척 등 전시회 개최 지원
- 시민 과학기술 체험 및 활동 기회 확대를 통한 지역 기반의 과학기술문화 저변확대 등
■ 지역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미래유망 ICT 신기술(5G, AI, VR・AR)과 이종분야(교통, 제조, 농업 등) 간 디지털 융합을 통한 혁
신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혁신적 창작 아이디어 발굴과 개발 지원을 위한 융복합형 랩을 통해 창의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혁신생태계 기반 구축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시민 접근 편의성・만족도 제고와 함께 첨
단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1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R&D 혁신주체(시민, 연구기관, 대학 등)들이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R&D로 기획・수행
경험을 통한 자생적 R&D 생태계 구축 및 역량 강화 추진 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 R&D 혁신 거버넌스 구축
- 지역과학기술진흥위원회 기능 강화를 통한 지역 주도 R&D 거버넌스 구축
-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조정회의를 통한 R&D 사업의 지역 효과성 및 예산투자 효율성 강화
■ 지역 R&D 정책기획 역량 강화
- 지역 과학기술 씽크탱크로 조사분석 기반의 정책 기획・수립 역량 강화
- 소통・공유・협력을 통한 과학기술기반 대구경제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산・학・연・관 협업・협력의
경제산업 정책 및 사업 발굴・기획 플랫폼 구축
■ DTIS 기반의 지역 연구개발사업 성과관리 환류체계 강화
-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를 통한 사업수행 책임성 강화, 사업간 중복 조정 및 우수사례 확산
으로 투자 효율성 향상
- 대구과학기술정보서비스(DTIS) 정보 현행화를 통한 체계적인 정책수립, 기업지원, 예산 조정・배
분의 시의성 높은 정보제공 및 활용성 강화
■ 지역 대학・혁신기관의 지역혁신 협력 생태계 구축
- 권역별 지역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지역 전략산업・기술과 연계한 융합형 핵심기술 산・학・연 협력
연구 촉진
- 지역 미래산업 분야 공동연구 등 기술 중심 중・장기 산학협력 및 도출된 기술 기반 창업・사업화 지
원 강화로 지역 기술혁신 선도
■ 출연연 중심 지역대학-혁신기관 연계 융합・중개연구 거점 활성화
- 지역 융합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역 출연연-거점대학 연계 임무지향형 연구거점 구축
- 출연연, 대학의 우수 연구 인프라 개방・공유를 통한 디지털 전략산업육성 지원체계 활성화
■ 산・학・연 연구 및 연구성과의 사업화 선순환 체계 활성화
- 지역 산・학・연 협력으로 구성된 기술혁신 생태계 구축을 통해 기업 수요 기반의 기초・원천연구, 중
개연구, 사업화 지원 및 미래 유망 기술개발 등 지역혁신 역량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179
- 연구개발 성과가 지역혁신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프로그램 등 지원체계 강화
■ 공공 연구성과의 사업화・창업 플랫폼 강화
- 지역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사업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지차체 또는 초광역 단위의 ‘개념검증
센터’ 구축・지원
- 지역 기반 공공, 민간 TLO의 상호 협력 기반으로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산업기술 인재 양성
- 지역 산업・기업육성 정책을 연계 등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인력양성사업의 추진으로 실무 중심의
인재 양성 교육과정 확대
- 신산업 및 지역 전략산업 분야 종합적 미래인재 양성 및 기업가형 대학 육성지원을 위해 지역대학,
연구기관 등 산・학・연・관 교육 협력체계 활성화
■ 대구형 창업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창업기업 육성・지원
- 지역 주도의 창업 및 기술사업화 관련 산・학・연이 참여하는 창업 협력체계 구축
- 고성장 스타트업 등 유망 창업기업 지원 및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주기 지원시스템 구축을 통
한 창업문화 확산
■ 지역 중소・중견기업 성장 도약을 위한 연구개발 플랫폼 구축
- 지역 기업이 First Mover로 변화하기 위한 독일 Industry 4.0의 연결성 기반 지역 혁신기관간 수
평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중개연구 중심 정책・원천융합연구 추진
- 지역 기업의 단계별 성장 촉진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출연(연) 등 지역혁신기관과 연계
한 연구개발 플랫폼 활용성 강화
■ 기술・산업 변화 대응을 위한 디지털 및 탈탄소화 전환 지원
- 기존 노후 산업단지의 환경개선 및 입주 업종의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기반 인프라 개선 등 첨단업
종 및 스마트 산업단지 전환 지원
- 기존 제조・서비스업 기업의 디지털 기반 전환, 제조혁신 지원을 위한 스마트 제조 및 보안 인프라
개발・실증 관련 연구개발 기능 강화
■ 차세대 연구혁신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역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혁신사업 발굴을 위한 규제개혁 및 생태계 조성을 주
도할 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역 특화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지속발전을 위한 연구중심의 혁신클러스터 지원체계 구축
1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R&D 거점기관과 연계한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특화산업별 혁신클러스터 맞춤형 지원을 위한 발전방향 수립 및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신시장 및
고용 창출 촉진
- 지역 R&D 거점기관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 내, 클러스터 간 연계・협력 강화 및 지원
효율성 제고
■ 도심형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확산
- 첨단 디지털 도시환경 조성 및 지역주도 디지털 혁신 거점 구축 등 SW・ICT융합산업 기반 조성 및
활성화
- 인공지능 인프라 기술 선도를 위한 AI산업 생태계 기반 조성 및 전 분야 확산 지원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인재 양성 및 정착지원체계 마련
- 지역 산업의 고용 관련 기관・단체 등 협력을 기반으로 중앙부처의 산업・경제정책 지원사업 등과 연
계 추진하여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일자리 사업추진
-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사업모델 혁신, 아이템 고
도화 등 지역의 유망 청년창업기업 활성화 추진
■ 지역 내 과학기술 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산업의 비즈니스 창출과 신성장 산업육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중심의 신기술 교류협력 및 마케
팅 활로 개척 등 전시회 개최 지원
- 지자체 등 협력 기관과 연계한 과학교실 운영으로 실생활에서 과학기술 체험 및 활동 기회 제공으
로 지역 기반의 과학기술문화 저변 확대
■ 지역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미래유망 ICT 신기술(5G, AI, VR・AR)과 이종분야(교통, 제조, 농업 등) 간 디지털 융합을 통한 혁
신디바이스 서비스를 개발・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 혁신적 창작 아이디어 발굴과 개발 지원을 위한 융복합형 랩을 통해 창의적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
생태계 구축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혁신생태계 기반 구축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시민 접근 편의성・만족도 제고와 함께 첨
단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 지역 R&D 혁신주체(시민, 연구기관, 대학 등)들이 함께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R&D 기획・수행을
통한 자생적 R&D 생태계 구축 및 역량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181
제4절 인천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인천의 인구는 약 296만 명으로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인천 인구의 비율은 5,73%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4-1 ❙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935,848 2,952,200 2,951,065 2,940,927 2,960,685
전국인구대비 비율(%) 5.69 5.70 5.70 5.68 5.73
경제활동참가율(%) 65.7 65.4 64.2 63.9 64.8
실업률(%) 4.3 4.4 4.6 4 3.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조사 시점: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1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인천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9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06%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38.1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24.67%로 그 뒤를 이음
- 건설업은 지난 5년 간 8.0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4-2 ❙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86,426,825 87,963,593 84,907,539 90,325,899 95,712,639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45,002 338,881 362,735 358,850 310,990
(지역내비중, %) (0.40) (0.39) (0.43) (0.40) (0.32)
제조업 21,204,060 20,556,208 20,956,180 22,834,288 23,615,976
(지역내비중, %) (24.53) (23.37) (24.68) (25.28) (24.6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855,800 3,984,357 3,797,453 4,130,562 4,050,534
(지역내비중, %) (4.46) (4.53) (4.47) (4.57) (4.23)
건설업 4,431,636 4,403,137 5,273,314 6,041,804 6,534,869
(지역내비중, %) (5.13) (5.01) (6.21) (6.69) (6.83)
기타서비스업 36,179,216 37,606,083 32,914,087 33,946,901 36,547,502
(지역내비중, %) (41.86) (42.75) (38.76) (37.58) (38.1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496,071 13,243,418 13,439,020 14,145,323 14,936,424
(지역내비중, %) (14.46) (15.06) (15.83) (15.66) (15.61)
순생산물세 7,855,623 7,842,827 7,556,792 8,285,820 8,328,108
(지역내비중, %) (9.09) (8.92) (8.90) (9.17) (8.7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183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인천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63조 7,442억 원이고, 4,55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23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생산액 약 8조 9,988억 원(전체의 14.12%), 사업체 수 887개(전체
의 19.49%), 종사자 수 2만 5,517명(전체의 14.9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4-3 ❙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5,428,387 8.52 221 4.86 7,953 4.67
음료 제조업 - - 1 0.0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635,036 2.56 149 3.27 4,087 2.4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45 0.99 1,097 0.6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82,756 4.52 22 0.48 1,658 0.9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152,055 4.94 366 8.04 10,758 6.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07,557 1.89 93 2.04 2,568 1.51
1차 금속 제조업 7,667,366 12.03 232 5.10 6,756 3.97
전기장비 제조업 3,233,401 5.07 384 8.44 11,260 6.6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998,806 14.12 887 19.49 25,517 14.9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887,442 13.94 195 4.29 8,396 4.9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6,694 0.15 19 0.42 411 0.24
가구 제조업 719,777 1.13 101 2.22 2,640 1.55
기타 제품 제조업 353,989 0.56 91 2.00 2,034 1.1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93,386 0.15 12 0.26 604 0.3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49,586 0.23 13 0.29 143 0.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127,727 4.91 767 16.86 17,196 10.1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0,609 0.44 61 1.34 1,538 0.9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1,456 1.38 152 3.34 4,542 2.6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5,755 0.35 66 1.45 1,721 1.0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975,637 10.94 382 8.40 22,383 13.1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50,572 5.10 6 0.13 42 0.0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483,763 0.76 72 1.58 1,692 0.99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35,565 6.17 213 4.68 7,386 4.34
합 계 63,744,204 100 4,550 100 170,239 100
1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4-4 ❙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비교적
높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낮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185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인천시는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혁신생태계 활
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분야 사업을 중점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4-5 ❙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인천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인천 연구개발(R&D) 활성화 사업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항공산업지원체계 구축사업
PAV 산업혁신기반 구축사업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지원사업
미래자동차 부품산업 육성 지원사업
AI playground 조성사업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사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바이오 자원공유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사업
인천 반도체포럼 운영 지원사업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인천 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
인천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지원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인천시 생활과학교실 운영 지원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광역형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
드론 체험 직무교육 지원사업
※ 출처 : 인천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1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4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18개 산업단지의 가동업체는 13,576개이며 , 총 종사자 수는 152,407명
표 3-4-6 ❙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남동[재생사업지구] 9,574 9,574 7,920 7,609 84,410 100 완료
한국수출산업 1,786 1,786 3,133 3,123 23,996 100 완료
일반
인천기계 350 350 179 179 2,494 100 완료
인천 1,136 1,136 590 590 6,961 100 완료
뷰티풀파크
(구:인천검단)
2,251 2,251 1,063 1.034 10,946 98 완료
인천서부 939 938 289 288 5,526 100 완료
청라1지구 194 194 36 36 702 100 완료
송도지식정보 2,402 2,400 137 89 9,307 93 완료
강화하점 59 59 13 8 117 100 완료
강화 462 462 82 64 852 100 완료
서운 525 525 70 69 3,541 100 완료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 56 56 23 20 101 100 완료
I-FoodPark 283 273 78 54 1,589 100 조성중
영종항공
(인천경제자유구역)
495 495 0 0 0 0 조성중
계양 243 243 0 0 0 0 미개발
인천검단2일반산업단지 770 770 0 0 0 0 미개발
도시첨단
IHP
(인천경제자유구역)
1,171 1,165 515 413 1,865 65 완료
남동 233 234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3 187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인천시에는 총 1,86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02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12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02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96개)’, ‘전기장비 제조업(158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4-7 ❙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 1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61 58 75
음료 제조업 1 1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5 15 1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 7 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 2 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4 16 2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3 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4 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9 103 12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 11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5 66 7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1 10 13
1차 금속 제조업 36 29 3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6 131 14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74 171 19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2 83 92
전기장비 제조업 147 141 15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3 276 302
1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9 24 2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5 13 17
가구 제조업 21 22 24
기타 제품 제조업 63 52 5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4 6
건설업(41~42) 23 20 26
도매 및 소매업(45~47) 34 40 52
운수 및 창고업(49~52) 6 6 7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2 3
정보통신업(58~63) 157 163 202
금융 및 보험업(64~66) 1 2 2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05 106 12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1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6 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1 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07 1,593 1,861
REGIONAL S&T YEARBOOK 2023 18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인천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5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104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96%이며,
전국대비 비중은 3.70%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3,415명(전국의 4.48%)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은 4,279명(전국의 1.93%), 공공연구소는 2,410명(전국의 3.52%) 차지
표 3-4-8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567 2.89 5,543 2.86 5,255 2.54 5,230 2.49 4,279 1.93
∙ 국공립 1,484 1.87 1,211 1.52 1,189 1.37 1,253 1.44 21 0.02
∙ 사립 4,083 3.61 4,332 3.79 4,066 3.38 3,977 3.23 4,258 3.21
공공연구소 1,899 3.25 2,109 3.38 2,267 3.53 2,352 3.53 2,410 3.52
∙ 국공립 983 8.03 999 7.75 1,096 8.55 1,088 8.10 1,170 8.81
∙ 정부출연 513 1.57 590 1.71 558 1.64 546 1.61 507 1.46
∙ 병원 및 기타 403 2.97 520 3.45 613 3.53 718 3.73 733 3.57
기업 19,854 4.51 21,204 4.59 21,443 4.50 22,372 4.40 23,415 4.48
∙ 정부투자기관 120 3.07 142 3.69 162 4.33 148 3.83 139 3.49
∙ 민간기업 19,734 4.52 21,062 4.60 21,281 4.51 22,224 4.40 23,276 4.48
합 계 27,320 3.95 28,856 4.01 28,965 3.88 29,954 3.81 30,104 3.7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인천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7명 감소한 77.0명으로 조사됨
표 3-4-9 ❙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68.8 73.5 74.3 78.7 77.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인천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17개 광역시・도 중 5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6,029억 원(전국의 3.16%),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46 %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614억(전국의 2.54%), 공공연구소는 약
3,323억 원(전국의 2.57%), 기업이 약 3조 29억 원(전국의 3.37%)
표 3-4-10 ❙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7,339 3.37 252,153 3.42 259,824 3.11 286,127 3.07 261,443 2.54
∙ 국공립 28,716 0.93 33,499 1.02 38,934 1.03 44,393 1.05 429 0.01
∙ 사립 208,623 5.27 218,654 5.34 220,890 4.82 241,734 4.73 261,014 4.52
공공연구소 272,406 2.77 274,881 2.70 287,472 2.59 307,266 2.56 332,318 2.57
∙ 국공립 68,665 8.44 77,884 9.32 79,866 9.38 88,795 9.18 79,523 7.80
∙ 정부출연 155,925 2.07 143,554 1.84 141,466 1.71 133,102 1.53 143,745 1.55
∙ 병원 및 기타 47,816 3.23 53,443 3.50 66,140 3.34 85,369 3.69 109,050 4.15
기업 2,251,557 3.27 2,318,878 3.24 2,389,333 3.25 2,633,600 3.26 3,009,166 3.37
∙ 정부투자기관 20,076 2.21 24,308 2.80 27,311 3.12 26,985 3.14 22,964 2.58
∙ 민간기업 2,231,481 3.29 2,294,570 3.25 2,362,022 3.25 2,606,615 3.26 2,986,202 3.37
합 계 2,761,302 3.22 2,845,912 3.20 2,936,629 3.16 3,226,992 3.16 3,602,927 3.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9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인천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410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7%
표 3-4-11 ❙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087 4,016 4,787 5,243 5,410
(2.1) (2.0) (2.1) (2.2) (2.1)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
- 연구개발(R&D) 활성화 지원(16억), 기업수요맞춤형 기술개발(13.5억),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3.8억) 등
■ 인천형 뉴딜 관련 과학기술 투자 확대
- 한국형 NIBRT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성 센터 구축사업(77.5억), 인공지능융합연구센
터지원(33억), AI Playground 인천 조성 사업(15억), SW융합클러스터 2.0(28.3억), 4차 산업혁
명 핵심기술기반센터 운영사업(6.3억) 등
■ 지역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확보 및 혁신기반 구축
- 항공산업 지원체계 구축 사업(33억), 미래자동차 부품기업 육성 지원(20억),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
원(23억) 등
1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표 3-4-12 ❙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7,833 2 14,075 218 83 50 3,40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193
(나) 역할
표 3-4-13 ❙ 인천광역시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산업정책과
∙ 공공 발주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인천종합비즈니스센터 운영 및 지도, 중소기업협동조합 설립 인가
및 지도 감독, 지역중소기업 육성계획 수립
∙ 지식재산 진흥계획 및 기본계획 수립,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사업, 소상공인 지식재산 역량강화
사업, 중소기업 저작권 활성화 사업, 지식재산 기반 디지털 혁신성장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특허기술
기반 농아청년 혁신일자리 지원사업, 투자조합(혁신산단, 지식재산) 운영 관리, 인천국제디자인페어 운
영, AIFFEL(아이펠) 인천 사업 관리, 인천IP경영인협의회 관련 업무(민간경상보조사업), 인천테크노파크
운영 관리 지원,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사업 관련 업무
∙ 뿌리산업 육성 업무, 소재부품장비 기반 산업 발굴 육성, 디지털 뿌리명장 교육센터 운영사업 추진, 뿌
리・소부장산업 육성 공약(성과관리) 업무, 2050 탄소중립(산업분야) 업무
∙ 수출지원 종합계획 수립, 미래차 산업 육성 및 지원 업무, 미래차 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시행, 커넥
티드카 산업 특화 육성, 미래차 부품산업 육성 지원 사업, 자율주행 기술개발 지원, 인천항 스마트 오
토밸리 조성 지원 업무
∙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연구개발(R&D) 사업 활성화 사업, 인
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지역과학문화 역량강화사업
데이터
산업과
∙ 블록체인 허브도시 조성 추진(공약), 허브 플랫폼(메인넷, 시민증) 구축 추진, 블록체인 선도기업육성(데
모데이) 및 유치 추진, 블록체인 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블록체인 안전인증플랫폼 공모사업 추진, 블
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공모사업 추진
∙ 블록체인 마스터 플랜 수립 용역 추진, 블록체인 통합마일리지(인천패스) 구축 추진, 블록체인 자원봉사
플랫폼 구축 추진, 블록체인 에코플랫폼 공모사업 및 구축 추진
∙ SW진흥단지 조성, 디지털 실증 및 스마트 제조 전환, SW진흥단지 및 데이터 관련 조례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 행정안전부 데이터기반행정 실태 평가, 공
동활용 데이터 발굴・운영
∙ 데이터 관련 조례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인천데이터허브 구축 사업, 빅데이터 과제 발굴 및 분석
사업 추진, 고수요 활용데이터(공공/기업/민간) 발굴,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빅데이터통합플랫폼 운
영・관리, 빅데이터플랫폼 및 저장소 관리, DB마트,인천데이터포털DB 등 빅데이터 자료 관리, 빅데이터
공모사업 추진
반도체
바이오과
∙ 바이오산업 정책 동향 분석, 반도체산업 지원방안 수립, 로봇산업 육성 계획 수립, 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과제 발굴
∙ 화이트바이오산업 육성, 바이오 플라스틱 지원센터 구축, 바이오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공약),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지원,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 지원
∙ 광역형 국산의료기기 교육훈련 지원센터, 인천 바이오헬스 밸리 추진 협의회,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바이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제품화 지원사업, 바이오 자원공유 네트워크 활성화 지원사업, 백신특화
형 K-바이오 헬스 지역센터 지원, 바이오 인재양성 프로그램 지원(공약)
∙ 바이오의약품 산업 육성,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공약), 바이오융합 산업기
술단지 조성(공약),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정),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 업무 추진(정), 반도체, 바이오
특화단지, 반도체 후공정 소부장산업 경쟁력 강화사업, 반도체 패키징(후공정 산업)의 메카 조성(공약),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반도체 패키징산업 인프라 구축
1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반도체
바이오과
∙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부),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및 조성 업무 추진(부), 특화단지 육성계획
서 작성 관련 업무, 기업 투자유치 관련 업무 등, 반도체 패키징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반도체
기업 및 대학연구소 지원, 반도체 펀드 및 설비투자 등 기업지원, 반도체기술 연구개발 발굴 및 지원,
반도체산업 국가공모사업 발굴 및 추진
∙ 로봇랜드 조성사업, 로봇랜드 공익시설 공사(토목, 기계, 전기) 관련사항 추진, 로봇랜드 기반시설용역
및 공사 추진, 물류로봇 시험인증지원센터 구축 지원, 물류로봇 핵심기술개발(R&D) 사업 추진, 로봇산
업 혁신 클러스터 구축 관련 업무
∙ 로봇랜드 조성사업: 총사업비 관리 및 조정, 중앙부처 협의, 로봇랜드 공익시설 조성공사(건축, 통신,
소방) 관련사항 추진, 로봇산업진흥시설(로봇타워 및 로봇R&D센터) 관리 운영 관련 업무, 로봇산업 육
성・지원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로봇산업 관련 정부공모 사업계획 수립 및 추진
에너지산업과
∙ 역에너지 계획 수립 및 시행, 에너지이용합리화 계획 수립 및 촉진, 중소사업장 에너지효율시장 조성사
업, 수소생태계 구축전략 수립 및 추진, 수소특화산업 발굴 및 지원, 수소산업 클러스터 추진, 수소기업
육성 및 투자유치, 지역에너지 신산업 발굴 및 지원, 유관기관 에너지신사업 협업 추진, 수소관련 국가
공모사업 추진, 수소관련 R&D 사업 추진
∙ 수소충전인프라 구축계획 수립, 수소충전소(기체) 입지 발굴 및 구축 추진, 수소대중교통시대 선도사업
기획 추진, 수소 모빌리티(상용) 보급사업 추진, 액화수소 충전소 규제특례사업, 수소교통복합기지 구축사업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추진, 소형 태양광 보급사업 계획 및 추진
업무, 전기자동차 배터리 규제특례 실증사업, 전기전력 신사업 발굴 추진, 전기자동차 보급계획 수립
∙ 인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 추진,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 및 조성, 해상풍력 집적화 사업추
진, 해상풍력 관련 기관・지역・단체 협업 추진, 해상풍력-수산업 공존 실증사업 추진, 해상풍력 R&D
실증사업 발굴 추진, 해상풍력 배후항만 조성 추진(정)
∙ 해상풍력 O&M관련 기반시설 조성, 해상풍력 배후항만 조성 추진(부), 해상풍력 지역산업 연계 사업
추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15조 (협의회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 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 ( 2023.10.27.∼ 2025.10.26.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1년) : 1회(2023.12.)
- 제5차 인천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4~’28), ’23년 사업성과 및 ’24년 추진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195
▣ 위원회 명단
표 3-4-14 ❙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인천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덕수 인천광역시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남주 인천광역시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강구 인천광역시의회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한재길 (재)인천테크노파크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윤석진 인천연구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최태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현승균 인하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김규원 인천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이주미 인천재능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한균희 연세대학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김희숙 한국폴리텍대학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심상미 ㈜파버나인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고춘자 (주)홀리랜드테크놀러지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백영순 엠텍/인천비전기업협회 위원 2023. 10. 27. ~ 2025. 10. 26.
위원 함지연 도원바이오테크 2023. 10. 27. ~ 2025. 10. 26.
1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인천시의 총 예산은 약 24조 5,32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70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9%
- 과학기술 예산 중 인천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9.53%
표 3-4-15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45,329
재정자주도(%) 66.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8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70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9.53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197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인천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304억 원을 투자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국비 122억 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에 지방비 17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4-16 ❙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인천연구원 지원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180 10,700 - 10,88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선척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지원
2,798 743 1,870 5,411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스타트업파크 운영관리 대행사업(인천)
플라스틱 대체물질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센터 구축
4,137 17,236 1,765 23,13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희소금속산업 육성 지원
커넥티드카 무선통신기술
인증평가시스템 구축사업
10,181 14,945 557 25,683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연구개발(R&D)사업 활성화 지원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보건복지부)
960 3,843 300 5,103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특허 및 지식재산궝 활성화 사업
산업디자인 육성 및 지원
5,959 11,516 - 17,47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한국형 NIBRT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12,222 11,323 555 30,410
합 계 36,437 70,306 5,047 118,10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인천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3,914개로 전국의 5.9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5.43%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4개 증가, 기업 905개 증가
표 3-4-17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4.11 18 4.34 16 3.89 18 4.26 16 3.83
∙ 국공립 3 3.80 2 2.38 2 2.35 2 2.33 1 1.14
∙ 사립 12 4.20 16 4.83 14 4.29 16 4.75 15 4.55
공공연구소 19 3.10 24 3.74 24 3.62 26 3.77 23 3.37
∙ 국공립 6 4.58 7 4.90 7 4.90 7 4.58 5 3.65
∙ 정부출연 2 1.20 2 1.18 2 1.23 2 1.18 3 1.82
∙ 병원 및 기타 11 3.50 15 4.55 15 4.20 17 4.64 15 3.94
기업 2,970 6.12 3,237 5.90 3,518 6.01 3,709 5.96 3,875 6.02
∙ 정부투자기관 4 9.52 6 10.91 6 11.11 5 8.47 5 8.20
∙ 민간기업 2,966 6.12 3,231 5.90 3,512 6.01 3,704 5.96 3,870 6.02
합 계 3,004 6.09 3,279 5.87 3,558 1.76 3,753 5.92 3,914 5.9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199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인천 소재 대학 수는 8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3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4-18 ❙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3 3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 6 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인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6만 3,85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6,121명(전체의 약 9.59%), 공학계열 학생이 2만 3,370명(전체
의 약 36.60%)
표 3-4-19 ❙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6,121 23,370 29,491 5,630 3,938 5,385 4,823 14,589 63,856
비중(%) 9.59 36.60 46.18 8.82 6.17 8.43 7.55 22.8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인천광역시에는 총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4-20 ❙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인하대학교
(2개 센터)
2021 세포교신 제어 연구센터 MRC
2022 소상공인 경제생태계 연구센터 C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인천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인하대와 인천대에 각각 4개, 3개의 센터가 존재했지만, ’23년
기준 인하대 1개만 남아 있음
REGIONAL S&T YEARBOOK 2023 201
표 3-4-21 ❙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인하대 열플라즈마 환경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인천에는 대학・연구기관 등에 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4-22 ❙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미래서비스 미래혁신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송도 창업보육센터 2000-06-13
(재)인천테크노파크 인천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2001-08-31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한국폴리텍2대학 한국폴리텍2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02-0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벤처센터 2001-12-01
2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인천에는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5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4-23 ❙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인천광역시교육청과학정보원 공립
인천어린이과학관 공립
인천나비공원 공립
강화은암자연사박물관 사립
소리체험박물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인천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인천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436명임
표 3-4-24 ❙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53 270 313 591 89
수혜자 수 4,244 4,335 7,565 5,519 1,43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203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인천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7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79명 양성
표 3-4-25 ❙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인천대학교 5
전용공간
3개(456.3㎡)
96 175,230 65.5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인천의 특허출원 건수는 6,90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538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2.8%, 9.8% 감소
표 3-4-26 ❙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5,989 6,195 6,236 6,439 6,728 7,095 6,900
특허등록 건수 3,307 3,400 3,499 3,585 3,916 3,921 3,53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2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논문 현황
■ ’22년 인천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737편, 주저자 기준 2,045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15%, 3.40%를 차지
표 3-4-27 ❙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916 6.14 70,395 17.98 1,775 3.38 26,499 14.93
2019 4,328 6.44 63,403 14.65 2,005 3.65 26,783 13.36
2020 4,666 6.33 51,829 11.11 2,110 3.54 20,204 9.58
2021 4,978 6.23 32,096 6.45 2,159 3.39 12,082 5.60
2022 4,737 6.15 10,117 2.14 2,045 3.40 3,762 1.8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성장하는 도시 인천
■ 목표 : 혁신역량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의 성장 기반 마련
■ 전략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과학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활용
- 과학기술인력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재 양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205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혁신생태계 조성 및 지속가능한 미래성장동력 기반 마련
■ 중점 추진전략
1)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지역주도 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지역의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능 강화 및 활성화(정책기획, 예산배분, 성과관리 등)
・과학기술 총괄체계 구축(인천연구개발지원단, 인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
발 지원체계 구축)
- 지역 전략산업 연구개발 지원
・인천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산업(항공/미래차/바이오/로봇/IT) 분야 연구개발 지원 강
화 및 내실화
・인천시 특화 기술로드맵 수립을 통한 지역 기술경쟁력 확보
2) 과학기술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활용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산업전환에 대응하는 연구인프라 재구축(연구장비 재정비, 실증인프라 조성 등)
・민간 주도형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및 네트워크 활성화
-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과학기술 문화확산
・시민들이 생활속에서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지역 혁신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해 과학기술
문화 홍보 및 확산(과학관, 생활과학교실, 지역 과학인재 육성 프로그램 등)
・과학기술 기반 지역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테스트 베드 조성 및 실증 기회 제공
3) 과학기술인력 생애주기를 고려한 인재 양성
-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추진
・인천형 과학기술 인재 양성 지원체계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인천형 직업전환교육, 연구개발 관련 장기재직자 성장 프로그램(지역대학 연계)
2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인천시 6대 전략산업 분야 지정 및 연구개발 투자 강화
-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제적 R&D 투자 강화
- 인천시 6대 전략산업 : 바이오, 반도체, 로봇, 디지털・데이터, 미래차, 항공
전략산업 육성방안
바이오 - 생태계 조성, 전주기적 지원, 전문인력 양성, 개방형 협력체계 구축 등
반도체 - 첨단패키징 인프라 구축, R&D, 전문인력 양성 등
로봇 - 생태계 조성, 로봇문화 확산, 특화로봇 수요 창출 등
디지털・데이터
- 혁신 거점 조성, 실증환경 구축, 인재양성, AI 서비스(제품) 실증을 통한 사업화
지원, 지역특화산업 연계를 위한 AI 비즈니스 모델 발굴 등
미래차 - 커넥티드카 특화 육성,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선도, 부품기업 기술전환 촉진 등
항공 - 인천형 항공정비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지역의 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능 강화 및 활성화
- 연구개발 사업・정책 기획 및 예산 배분・조정, 성과관리 등 지역의 산업발전과 기술혁신에 필요한 전
반적인 업무 수행
※ 현재 인천과학기술진흥협의회는 주로 심의기구의 역할만 수행하고 있으므로, 지역의 과학기술 육
성에 필요한 업무를 추진할 수 있도록 기능 확대
■ 지역주도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 지원 총괄체계 구축
- 「인천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과 「인천시 연구개발 활성화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총괄 체계 구축 기반 마련
- 인천R&D관리시스템 과제 및 성과관리 통합 프로세스 기능 강화 및 사용 확대
■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통한 지역 클러스터 강화
- 산업전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및 클러스터별 특화수준 제고 추진(예 : 산업단지별 혁
신지원센터 도입 및 혁신기능 집적화)
- 기업간 협업이 가능한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및 지원
■ 과학기술 문화 확산 및 혁신기술 테스트 베드 조성
- 지역 내 혁신기술 제품 및 서비스 실증 공간을 조성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결과물 활용 기회 제공
REGIONAL S&T YEARBOOK 2023 207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활성화)
- 과학문화 체험공간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과학기술 관심 제고 및 지역 내 과학문화 대중화 실현
■ 지역특화형 인력양성 사업 추진
- 인천형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협의회 조직 및 지역수요 기반 인력양성 사업 기획)
- 지자체 주도 인천시 전략산업 선도 연구개발 전문인력 육성(장기재직자 성장 프로그램, 직업전환교
육 운영)
- 글로벌 캠퍼스를 활용한 Young Research Campus 조성(해외 우수인력이 지역 내 산업과 연계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 추진)
2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5절 광주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광주의 인구는 약 146만 명으로 2021년 이후 다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광주 인구의 비율은 2.83%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5-1 ❙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488,439 1,489,142 1,479,550 1,468,912 1,463,411
전국인구대비 비율(%) 2.89 2.88 2.86 2.84 2.83
경제활동참가율(%) 61.7 61.5 61 60.3 60.4
실업률(%) 3.8 3.7 3.9 3.6 2.9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0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광주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88%의 증가율을 나
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39.4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6.39%)과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1.62%)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지난 5년 간 12.9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5-2 ❙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38,216,077 39,624,032 39,530,642 41,257,137 41,939,59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39,362 133,300 96,223 106,569 126,656
(지역내비중, %) (0.36) (0.34) (0.24) (0.26) (0.30)
제조업 9,754,895 9,953,560 10,134,325 11,032,418 11,068,157
(지역내비중, %) (25.53) (25.12) (25.64) (26.74) (26.39)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66,452 559,019 601,919 668,946 857,062
(지역내비중, %) (1.22) (1.41) (1.52) (1.62) (2.04)
건설업 1,669,442 1,627,794 1,819,536 1,852,024 1,661,181
(지역내비중, %) (4.37) (4.11) (4.60) (4.49) (3.96)
기타서비스업 15,433,914 16,175,180 15,752,780 16,211,519 16,545,378
(지역내비중, %) (40.39) (40.82) (39.85) (39.29) (39.45)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074,738 8,447,028 8,443,229 8,796,787 9,068,071
(지역내비중, %) (21.13) (21.32) (21.36) (21.32) (21.62)
순생산물세 2,679,770 2,775,426 2,763,621 2,721,117 2,838,370
(지역내비중, %) (7.01) (7.00) (6.99) (6.60) (6.77)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광주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4조 8,801억원이고, 1,232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6만
1,76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14조 2,792억원(전체의 40.94%), 사업체 수에서
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27개(전체의 18.43%),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업’이 7,275명(전체의 11.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5-3 ❙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63,539 2.76 72 5.84 2,235 3.62
음료 제조업 510,104 1.46 4 0.3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8,043 0.14 14 1.14 228 0.3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980 0.04 13 1.06 135 0.2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827 0.06 5 0.41 43 0.0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797,356 8.02 148 12.01 5,189 8.4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98,167 0.57 24 1.95 444 0.72
1차 금속 제조업 938,703 2.69 63 5.11 1,513 2.45
전기장비 제조업 4,933,716 14.14 116 9.42 4,903 7.9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362,479 12.51 227 18.43 7,275 11.7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279,177 40.94 163 13.23 6,755 10.94
가구 제조업 55,054 0.16 13 1.06 214 0.35
기타 제품 제조업 22,165 0.06 9 0.73 162 0.2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2 0.16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8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47,257 4.15 182 14.77 4,379 7.0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0,030 0.80 20 1.62 1,138 1.8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03,827 0.58 46 3.73 1,780 2.8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6,531 0.05 11 0.89 253 0.4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765,065 7.93 61 4.95 1,784 2.8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1 0.08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77,286 0.51 17 1.38 251 0.4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1,637 0.29 19 1.54 179 0.29
합 계 34,880,086 100 1,232 100 61,767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21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5-4 ❙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음료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
통신장비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광주시는 ‘인공지능융합산업 분야’와 ‘첨단모빌리티 산업 분야’, ‘의료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
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5-5 ❙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인공지능융합산업 분야
지역SW서비스 사업화지원
광융합산업 히든챔피언육성 지원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인공지능대학원 지원
글로벌광융합비즈니스경쟁력강화지원
첨단모빌리티 산업 분야
친환경자동차부품 클러스터조성
레독스흐름 전지인증센터
에너지밸리기술원 사업지원
의료산업
한국뇌연구원 협력 치매예측기술개발
시니어 코스메디케어 실증센터 구축
치과생체흡수성 소재부품 중소파트너 지원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 출처 : 광주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13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9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4,070총 종사자 수는 67,733명
표 3-5-6 ❙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광주첨단과학 9,991 3,643 2,199 1,522 18,889 100 완료
빛그린 1,845 1,498 79 38 1,070 80 조성중
일반
평동 5,064 5,064 677 676 14,058 100 완료
소촌 190 189 55 55 539 100 완료
송암 415 414 64 64 1,503 100 완료
본촌 877 878 147 139 2,010 100 완료
진곡 1,909 1,909 392 332 4,060 100 완료
평동3차(1단계) 1,175 1,175 142 106 2,850 100 완료
광주에너지밸리 918 918 33 0 0 56 조성중
하남[재생사업지구:부분] 5,944 5,937 1,072 1,069 21,092 100 완료
광주연구개발특구첨단3지구
(광주경제자유구역)
3,617 3,617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남구 486 486 7 5 60 77 조성중
전남대캠퍼스혁신파크 35 35 0 0 0 0 미개발
농공 소촌 324 324 64 64 1,602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2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광주광역시에는 총 71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29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은 52개, ‘도매 및 소매업’이 2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87개), ‘전기 장비 제조업’(78개), ‘전자 부품, 컴퓨
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6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5-7 ❙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 1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0 32 32
음료 제조업 1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 3 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 3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3 -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4 21 1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0 1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5 19 2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 7 7
1차 금속 제조업 12 6 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9 29 3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0 56 6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3 61 66
전기장비 제조업 83 72 78
REGIONAL S&T YEARBOOK 2023 215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8 82 8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6 20 2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 4 4
가구 제조업 3 3 5
기타 제품 제조업 11 12 1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2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1 1
건설업(41~42) 24 17 19
도매 및 소매업(45~47) 16 18 21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102 108 129
금융 및 보험업(64~66) - 1 1
부동산업(68) 1 2 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9 44 5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2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6 4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3 3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767 644 717
2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광주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2위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4,971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1.07%이
며, 전국의 1.84%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8,746명(전국의 3.93%)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5,139명(전국의 0.98%), 공공연구소는 1,086명(전국의 1.5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5-8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520 4.43 8,351 4.30 9,199 4.44 9,006 4.29 8,746 3.93
∙ 국공립 6,273 7.90 6,201 7.76 7,148 8.25 6,386 7.35 6,132 6.83
∙ 사립 2,247 1.99 2,150 1.88 2,051 1.70 2,620 2.12 2,614 1.97
공공연구소 959 1.64 916 1.47 1,032 1.61 1,085 1.63 1,086 1.59
∙ 국공립 196 1.60 145 1.12 158 1.23 204 1.52 209 1.57
∙ 정부출연 286 0.88 310 0.90 392 1.15 356 1.05 363 1.05
∙ 병원 및 기타 477 3.51 461 3.06 482 2.77 525 2.73 514 2.50
기업 4,718 1.07 4,881 1.06 4,934 1.04 5,026 0.99 5,139 0.98
∙ 정부투자기관 1 0.03 1 0.03 4 0.11 5 0.13 7 0.18
∙ 민간기업 4,717 1.08 4,880 1.06 4,930 1.04 5,021 0.99 5,132 0.99
합 계 14,197 2.05 14,148 1.97 15,165 2.03 15,117 1.92 14,971 1.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17
■ ’22년 광주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작년도에 비해 3.0명 감소한 60.9명으로 조사됨
표 3-5-9 ❙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51.6 63.6 67.4 63.9 60.9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광주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1,293억 원(전국의 1.00%)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62%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839억 원(전국의 4.69%), 공공연구소는
약 2,163억 원(전국의 1.67%), 기업이 약 4,291억 원(전국의 0.48%)
표 3-5-10 ❙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9,945 4.11 319,901 4.34 374,822 4.49 473,043 5.07 483,855 4.69
∙ 국공립 236,834 7.67 254,428 7.77 307,241 8.14 373,148 8.85 383,388 8.46
∙ 사립 53,111 1.34 65,473 1.60 67,581 1.48 99,895 1.95 100,467 1.74
공공연구소 217,659 2.21 146,873 1.44 195,437 1.76 223,892 1.87 216,340 1.67
∙ 국공립 11,953 1.47 9,907 1.19 1,147 0.13 3,653 0.38 14,842 1.46
∙ 정부출연 73,179 0.97 66,631 0.85 71,466 0.86 86,373 0.99 89,193 0.96
∙ 병원 및 기타 132,527 8.95 70,335 4.61 122,824 6.19 133,867 5.79 112,305 4.28
기업 393,429 0.57 360,107 0.50 383,687 0.52 411,960 0.51 429,095 0.48
∙ 정부투자기관 63 0.01 64 0.01 69 0.01 74 0.01 81 09.01
∙ 민간기업 393,366 0.58 360,043 0.51 383,618 0.53 411,886 0.52 429,014 0.48
합 계 901,033 1.05 826,881 0.93 953,946 1.02 1,108,895 1.09 1,129,290 1.0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광주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67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2%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88%
표 3-5-11 ❙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474 4,827 5,607 5,708 5,678
(2.3) (2.4) (2.5) (2.4) (2.2)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22 투자실적)
■ 4차 산업혁명 기반 지역형 뉴딜과 연계한 지역 주도 R&D 사업 확대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550.9억원), 지역주력산업육성(136.9억원), K-health 국민
의료 AI서비스 및 산업 생태계 구축(118억원), 공공기관연계 오픈랩조성사업(76.1억원), 카메라
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61억원), 치매코호트 멀티모달 데이터적용 실증기반구축(47.8억
원), 시니어 코스메디케어 실증센터 구축(40.5억원), MEMS기반고부가광반도체상용화인프라구
축(38.6억원), 병원중심 AI기반 디지털 생체의료산업 고도화(34.7억원), 광기반기술연계 광융합
산업 고도화(33.7억원), 안과광학의료기기글로벌화지원사업(31억원), 광주연구개발지원단 육성
지원사업(4.1억원)
■ 인공지능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인공지능 대표도시 구축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1,003억원), AI융합 지역 특화산업 지원(33.3억원), 인공지능대학원지원
(29억원),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지원사업(29억원), 인공지능 활
용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지원(29억원), 인공지능콘텐츠융합창작랩구축운영(20억)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스마트카 중심 도시 조성
-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조성(8.4억원),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중량 200Kg급 카고드론 기술개
발(126.1억원), 마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 구축(120억원), 빅데이터기반 자동차 전장부품 신
뢰성 기술고도(100.1억원), 친환경 자동차부품 시험인증평가 기업지원(5억원), AI가전산업 육성
상용화지원 플랫폼 구축(57.6억원), 레독스흐름전지인증센터(53.1억원), 수소충전소고장예지 및
REGIONAL S&T YEARBOOK 2023 219
안전관리상용화개발(31.8억원), 스마트금형 제조데이터활용 혁신기반구축(59.8억원), 스마트가전
산업 인프라 연계 고도화(36.8억), 수평적EV(전기차) 산업생태계 조성(33.1억원), 한국전기연구원
광주분원설립(33억원), 스마트가전용 AI SoC기술개발(16.6)
■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메카 도시 조성 가속화
- 신재생에너지융복합지원(230.7억원), 그린에너지 ESS발전 전력거래 실증(121.7억원), 에너지산
업융복합단지지원센터구축(40억원), 에너지전환마을 거점센터 조성사업(12억원), 에너지산업 지
식산업센터 건립(9.4억원)
■ 스마트시티 기반 구축으로 신산업 생태계 조성
- 지역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45.5억원), 미래형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사업지원(41.4억
원), SW중심대학(25.2억원), 지역 SW서비스 사업화지원(22.4억원), 5G 기반 디지털트윈 공공선
도사업(2.4억원), 스마트시티정책개발 및 지원(2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인공지능산업실에서 담당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표 3-5-12 ❙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9,517 2 7,678 148 34 37 1,61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2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5-13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산업
총괄관
∙ 미래먹거리산업 발굴, 기획업무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추진 •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진흥 지원 • 지방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등 관리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 지원 • 국립광주과학관 운영지원 및 협력 사업에 관한
사항 • 호남 엔젤투자허브 지원 및 엔젤투자펀드 관리 등
∙ 초전도기반기술 지원시설등 구축 추진 광주이노비즈니스센터운영지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지원, 광
주연합기술지주회사운영, 기술사업화지원 등
AI반도체과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사업 추진
∙ 인공지능 인재양성 AI 영재고 설립 추진
∙ 인공지능 융합사업 신규 기획 • K-헬스 국민의료 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조성
∙ 인공지능 기업지원 인공지능 종합지원센터 운영지원
∙ AI 투자펀드 조성 및 운영, 시민•지역기업 중심 AI바우처 지원, 도시문제해결형 솔루션 개발 지원 등
∙ 국가 AI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AI통합지원서비스플랫폼 구축, 인공지능 데이터산업 육성
미래차
산업과
∙ 광주 자동차산업 육성 정책 수립
∙ 미래자동차 대전환 대응전략 수립, 신규 국비사업 기획, 조례 및 위원회 운영
∙ GGM 및 (재)광주그린카진흥원 행정업무 지원, 모빌리티산업 혁신추진위원회 운영
∙ 자율주행 기술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사업 추진, 무인자율주행 기술의 언
택트 서비스 실용화, 기술개발 및 기술실증사업 추진,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업무 추진
∙ 팀서무에 관한 사항 모빌리티 신기술 기획연구에 관한 사항 미래차 초광역 협력사업 추진 미래차 R&D
특화 교육센터 운영 추진 드론 비행연습장 및 드론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빛고을 드론페스티벌 및 라
이트쇼 행사 지원
∙ 무인항공기(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사업 ・ 드론산업 기본계획 수립 ・ 빛고을 드론페스티벌
개최 ・ 드론 비행연습장 운영지원 ・ 드론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 ・ 드론공원 조성 및 실기연습장 지정
추진 ・ 감항인증시험평가센터 구축 추진
에너지
산업과
∙ 지역에너지클럿스터 인재양성, 지역전략산업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에너지밸리 협력사업,에너지파크
운영 및 지원, 광주에너지정보 플랫폼 구축 및 운영
∙ 차세대배터리산업 진흥협의회 운영 배터리 기업 사업재편 사업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사업지원 배터리 관련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국비사업
∙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구축 • 지식산업센터 건립
로봇가전
의료산업과
∙ 로봇가전산업 육성 신규 국비사업 발굴 및 지원 • 로봇가전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 미세조류활용 실외 공기정화시스템 개발, 고령노약자 친화형 라이프케어로봇 실증기반 조성 , 가전기업
기술고도화 및 사업다각화 지원, 스마트 가전산업 및 디지털가전기업 육성
∙ 지역 IT・SW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시행 • ICT융합산업・신성장동력산업 발굴・육성, IT•SW산업 육성
전문 인력양성 • 지역 SW산업 육성 및 지원
∙ 광융합산업 국가직접지원 및 시비 사업 추진 • 광융합산업 예타사업추진(광반도체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
∙ 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의료산업 육성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221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조례(21.2.25 일부개정) 제4조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
제5조의2 전담기관 지정・운영
■ 주요 기능 및 역할
- (심의 조정)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조정
- 지역과학기술의 혁신과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위촉직위원 2년, 연임 1회, 보궐위원 전임위원의 잔여 임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1회 (2023.1.13.)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 추진실적, 광주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계획(안)
2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5-14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광진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부위원장 박정수 성균관대 2022.12.17.~2024.12.16.
위원 김용승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김영집 테크노파크 재임기간
위원 신용진 한국광기술원 재임기간
위원 공석 국립광주과학관 재임기간
위원 원광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지역본부 재임기간
위원 노선식 광주대 2022.12.17.~2024.12.16.
위원 박윤경 조선대 2022.12.17.~2024.12.16.
위원 양승학 호남대 2022.12.17.~2024.12.16.
위원 안동규 조선대 2023.11.27.~2025.12.26.
위원 유난이 광주과학기술원 2023.11.27.~2025.12.26.
위원 방희선 조선대 2023.11.27.~2025.12.26.
위원 유용민 전남대 2023.11.27.~2025.12.26.
위원 강미영 호남대 2023.11.27.~2025.12.26.
※ 출처 : 광주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23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광주시의 총 예산은 12조 896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354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1.95%
- 과학기술 예산 중 광주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1.40%
표 3-5-15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20,896
재정자주도(%) 62.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7,49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35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95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1.40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2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광주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889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각각 약 1,529억 원, 930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입
표 3-5-16 ❙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지역맞춤형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도로시설)
1,310 1,470 193 2,97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학R&D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대면적 공간방역)
805 3,012 100 3,91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지역・산업맞춤형 자치단체 지원사업
79,042 10,778 3,304 93,12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광주과학관법인출연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중량 200kg급
카고드론 기술개발
52,216 39,896 11,222 103,334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지역주력산업육성
100,846 58,432 13,740 173,018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카메라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
지능형디지털콘텐츠제작기술개발및플랫폼구축
27,654 20,431 2,929 50,993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광주 연구개발특구육성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국가직접지원)
23,404 8,416 1,673 33,49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광주실감콘텐츠큐브조성 사업
152,937 92,961 43,039 288,937
합 계 438,214 235,396 76,200 749,78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225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광주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1,085개로 전국의 1.66%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65% 증가
- 5년간 대학은 2개, 기업 178개 증가, 공공연구소 2개 감소
표 3-5-17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 4.38 17 4.10 16 3.89 16 3.78 18 4.31
∙ 국공립 4 5.06 4 4.76 4 4.71 5 5.81 5 5.68
∙ 사립 12 4.20 13 3.93 12 3.68 11 3.26 13 3.94
공공연구소 21 3.43 21 3.27 22 3.32 22 3.19 19 2.78
∙ 국공립 3 2.29 3 2.10 2 1.40 2 1.31 2 1.46
∙ 정부출연 9 5.39 9 5.33 9 5.52 10 5.88 9 5.45
∙ 병원 및 기타 9 2.87 9 2.73 11 3.08 10 2.73 8 2.10
기업 870 1.79 972 1.77 1,012 1.73 1,034 1.66 1,048 1.63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1 1.85 1 1.69 2 3.28
∙ 민간기업 869 1.79 971 1.77 1,011 1.73 1,033 1.66 1,046 1.63
합 계 907 1.84 1,010 1.81 1,050 1.76 1,072 1.69 1,085 1.6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광주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10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5-18 ❙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8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6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5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광주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3,239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054명(전체의 약 10.88%), 공학계열 학생이 1만 8,675명(전
체의 약 22.44%)
표 3-5-19 ❙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수 9,054 18,675 27,729 17,471 7,714 7,635 7,335 15,355 83,239
비중(%) 10.88 22.44 33.31 20.99 9.27 9.17 8.81 18.4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27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광주광역시에는 총 10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전남대가 7개, 조선대가 2개, 광주과학기술원이 1개 센터를 운영
표 3-5-20 ❙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광주과학기술원
(1개 센터)
2021 도시형 생활폐기물 가스화 물질 혁신적 전환 선도연구센터 ERC
전남대학교
(7개 센터)
2018 복합암면역치료 연구센터 MRC
2018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19 경조직 바이오인터페이스 연구 센터 MRC
2020 심혈관 환자맞춤형 차세대 정밀의료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중성미자 정밀 연구센터 SRC
2023 숙주표적 항바이러스 연구센터 SRC
2023 신장질환 제어 및 투석기기 고도화 선도연구센터 RLRC
조선대학교
(2개 센터)
2022 악성암 제어 연구센터 MRC
2023 구강연조직 질환극복 융복합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광주 내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조선대(3개), 호남대(1개), 전남대(1개)에 위치했으나, ’18년도
기준 전 사업이 종료되어 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광주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5-21 ❙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기업지원센터 2000-12-14
광주대학교 광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2
(광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광주드림파크 (포스트BI) 1996-12-29
남부대학교 남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1-01
동강대학교 동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8
송원대학교 송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1-30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7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02
호남대학교 호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2-1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29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광주에는 과기정통부 산하 국립과학관 1개소와 광주시교육청 산하 공립과학관 1개소, 로 총 2
개소가 운영 중
표 3-5-22 ❙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광주과학관 국립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23년 광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관련 사업 예산 지원 중단으로 폐지됨
표 3-5-23 ❙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69 90 73 81 -
수혜자 수 1,027 1,149 885 969 -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2 :샹활과학교실 관련 사업예산 지원 중단으로 2023년 폐지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2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광주의 특허출원 건수는 3,37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649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4.8%, 9.3% 감소
표 3-5-24 ❙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3,321 3,279 3,431 3,458 3,522 3,549 3,378
특허등록 건수 1,410 1,694 1,765 1,806 1,846 1,817 1,64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광주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832편, 주저자 기준 2,01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97%, 3.35%를 차지
표 3-5-25 ❙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409 5.35 66,314 19.45 1,741 3.32 26,885 15.44
2019 3,698 5.50 59,459 16.08 1,891 3.45 24,326 12.86
2020 3,933 5.34 44,897 11.42 2,058 3.45 19,427 9.44
2021 4,221 5.29 32,178 7.62 2,259 3.55 11,874 5.26
2022 3,832 4.97 8,814 2.30 2,013 3.35 3,863 1.9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23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산업기술 개방형 혁신을 통한 융복합 첨단기술 선도도시 광주
■ 목표 : 과학・산업 융복합 신기술 구현으로 미래혁신을 선도하는 지속가능한 지역혁신생태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주도 과학・산업기술 혁신을 통한 新 성장동력 창출
- 지역주도 과학・산업 혁신을 위한 거버너스 재편
- 지방과학기술사업 기획 및 과학기술정책 역량강화
- 과학기술성 사업 총괄관리 및 투자평가 기능 강화
■ 지역혁신주체의 역량을 활용한 지역혁신성과 극대화
- 지・산・학, 연구기관의 거점형성 및 활성화
- 과학기술과 산업간의 격차 해소를 위한 산학연 연계 강화
- 과학・산업기술 역량을 활용한 창업기업 경쟁력제고
■ 민간주도, 산학연 기술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전환
-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제도개선 및 인프라 고도화로 지역혁신 역량 제고
- 첨단과학 및 전략산업 기술분야 교육・문화 저변확대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미래전략산업 육성
- 지역형 뉴딜 등을 연계한 지역주력산업 개편
- IoT・AI・빅데이터・5G 등 기술융합으로 지능형・스마트형 가전이 확대
■ 인공지능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인공지능 대표도시 구축
- 한국판 뉴딜 기반 디지털혁신 생태계 조성
2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능화, 스마트화 대응을 위한 광인지, 대용량 광통신 등 개발
- AI로 특화된 광주형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인공지능 데이터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스마트카 중심 도시 조성
-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62만대)로 최근 광주글로벌모터스 설립
- 친환경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 추진 등을 통한 미래차 핵심부품 생산 거점 확보
■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메카도시 조성 가속화
-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기반(국가혁신클러스터, 그린에너지 ESS 규제자유특구 등) 및 신기술 연구
인프라(에너지 분야 정부연구기관 집적)
- 친환경 공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및 대기업(LG)과의 협력 프로젝트 추진
- 에너지 융복합단지 활성화 기반 구축 및 신재생에너지 공공・민간 보급 및 에너지 복지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주도 과학・산업 혁신을 위한 거버너스 재편
- 지방시대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주도 과학기술혁신
- 국가전략기술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의 선택적 집중개발
- 신산업・신기술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선제적 기반 고도화
■ 지방과학기술사업 기획 및 과학기술정책 역량강화
- 과학기술 투자 확대 및 효율성 제고
- 과학・산업 기술 R&D 정책 추진체계 개선
■ 과학기술성 사업 총괄관리 및 투자평가 기능 강화
- 과학기술 성과 창출・확산 체계 확립
- 전략적 투자를 위한 예산 및 평가 제도개선
■ 지・산・학, 연구기관의 거점형성 및 활성화
- 과학기술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과학 ・연구진흥
- 지역혁신성장 견인을 위한 연구거점기관 육성
- 지・산・학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대학 동반성장
REGIONAL S&T YEARBOOK 2023 233
■ 과학기술과 산업 간의 격차 해소를 위한 산학연 연계 강화
- 국가전략기술 지역기술허브 기반 확충
- 과학・산업 연구성과 중심의 기술 사업화
- 산・학・연 간 협력체계 강화로 교육・연구・창업 삼위일체 실현
■ 과학・산업기술 역량을 활용한 창업기업 경쟁력제고
- 개방형 혁신으로 창업기업 지원체계 강화
- 첨단전략산업 기술 역량 제고를 위한 핵심인재 양성
■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정부주도 및 민간주도의 클러스터 지원 협력체계 구축
- 초광역 혁신플랫폼 연구개발 클러스터 고도화
■ 제도개선 및 인프라 고도화로 지역혁신 역량 제고
- 민간주도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인프라 고도화
- 체류형 우수인재 유인 및 순환 체계 마련
- 첨단과학 및 전략산업 기술분야 교육・문화 저변확대
2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6절 대전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대전의 인구는 약 147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대전 인구의 비율은 2.8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6-1 ❙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513,217 1,503,212 1,491,876 1,478,831 1,471,563
전국인구대비 비율(%) 2.93 2.90 2.88 2.86 2.85
경제활동참가율(%) 61.3 62.4 63.4 63 63.1
실업률(%) 4.2 4.2 4.4 3.3 2.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3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4.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55%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9.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22.2%)과 제조업
(15.71%)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0.8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6-2 ❙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39,135,729 40,684,092 41,208,249 42,500,095 44,395,434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7,067 37,045 37,831 40,072 45,976
(지역내비중, %) (0.09) (0.09) (0.09) (0.09) (0.10)
제조업 6,257,030 6,518,389 6,605,435 6,934,977 6,972,635
(지역내비중, %) (15.99) (16.02) (16.03) (16.32) (15.7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80,451 585,233 656,220 638,690 805,170
(지역내비중, %) (1.23) (1.44) (1.59) (1.50) (1.81)
건설업 1,435,544 1,591,750 1,739,903 1,889,164 1,752,419
(지역내비중, %) (3.67) (3.91) (4.22) (4.45) (3.95)
기타서비스업 19,534,439 19,987,123 20,322,801 20,711,496 21,962,107
(지역내비중, %) (49.91) (49.13) (49.32) (48.73) (49.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870,772 9,296,003 9,168,427 9,494,019 9,855,429
(지역내비중, %) (22.67) (22.85) (22.25) (22.34) (22.20)
순생산물세 2,540,150 2,716,620 2,741,574 2,853,870 3,090,906
(지역내비중, %) (6.49) (6.68) (6.65) (6.71) (6.96)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
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대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8조 1,681억 원이고, 93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4만
3,80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각각 2조 4,560억 원(전체의 13.52%),131
개(전체의 14.07%), 종사자 수에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이 5,160명(전체의
11.78%)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6-3 ❙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363,420 7.50 97 10.42 2,697 6.16
음료 제조업 435,337 2.40 6 0.64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135 0.14 6 0.64 73 0.1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2 2.36 350 0.8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1,596 2.60 24 2.58 1,599 3.6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480,970 8.15 40 4.30 1,022 2.3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90,763 1.60 22 2.36 448 1.02
1차 금속 제조업 256,306 1.41 14 1.50 321 0.73
전기장비 제조업 668,251 3.68 62 6.66 1,039 2.3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456,034 13.52 131 14.07 4,401 10.0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52,821 4.14 38 4.08 1,305 2.9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39,120 0.77 13 1.40 223 0.51
가구 제조업 53,192 0.29 12 1.29 240 0.55
기타 제품 제조업 106,405 0.59 24 2.58 881 2.0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9,122 0.82 5 0.54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0,847 0.11 5 0.54 37 0.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08,295 7.75 60 6.44 1,028 2.3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8,669 0.71 31 3.33 929 2.1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045,915 5.76 112 12.03 5,160 11.7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8,185 0.43 23 2.47 601 1.3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92,848 12.07 96 10.31 4,051 9.2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2 0.21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38,630 6.82 21 2.26 1,241 2.8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878,977 10.34 63 6.77 2,501 5.71
합 계 18,168,115 100 931 100 43,80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23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6-4 ❙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낮음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
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전시는 ‘나노융합산업분야’와 ‘정보통신산업분야’, ‘대표산업분야’, ‘ICT융복합 산업분야’,
‘바이오의약산업 분야’에 초점을 두고 운영
표 3-6-5 ❙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나노융합산업분야
나노종합기술원 활용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
나노융합기반 고도화사업
IoT센서 신뢰성평가 및 제품화 지원사
정보통신산업분야
지역SW성장지원사업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대표산업분야 지역주력산업 지원
ICT융복합 산업분야 미래ICT융합 디바이스산업 육성
바이오의약산업 산업분야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
의료현장형 ICT융복합 체외진단시스템 고도화
모듈형 나노바이오칩 플랫폼 기술상용화
대전형 바이오 창업지원사업
※ 출처 : 대전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3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3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139개, 총 종사자 수는 44,156명
표 3-6-6 ❙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덕연구개발특구 49,683 49,683 1,614 1,600 38,880 100 조성중
일반
하소친환경 306 306 56 54 663 100 완료
대전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2,317 2,317 497 485 4,613 100 완료
평촌 859 859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한남대캠퍼스혁신파크 31 32 0 0 0 0 미개발
대전장대 73 73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2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대전광역시에는 총 1,57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357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250개, ‘건설업’이 3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70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60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49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6-7 ❙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4 3 2
광업(05~08) 2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6 25 27
음료 제조업 -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 13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3 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4 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4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4 96 10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3 35 3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3 10 1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7 11
1차 금속 제조업 3 1 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6 28 3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59 154 16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6 140 149
전기장비 제조업 89 79 8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78 156 17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 8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7 18 23
가구 제조업 8 6 5
기타 제품 제조업 33 28 3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 5 4
REGIONAL S&T YEARBOOK 2023 241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3 4
건설업(41~42) 28 27 31
도매 및 소매업(45~47) 25 22 29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1
정보통신업(58~63) 324 319 35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01 213 25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2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7 4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08 1,419 1,576
2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3위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5만 6,024명(전국의 6.88%)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4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3,178명(전국의 4.43%)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
연구소는 1만 6,508명(전국의 24.10%), 대학은 1만 6,338명(전국의 7.35%)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6-8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890 9.30 17,159 8.84 17,068 8.24 15,901 7.57 16,338 7.35
∙ 국공립 14,900 18.76 14,510 18.16 14,385 16.61 13,024 14.99 13,570 15.11
∙ 사립 2,990 2.65 2,649 2.32 2,683 2.23 2,877 2.33 2,768 2.09
공공연구소 14,859 25.45 15,901 25.48 15,983 24.92 16,105 24.20 16,508 24.10
∙ 국공립 333 2.72 372 2.89 276 2.15 304 2.26 393 2.96
∙ 정부출연 14,237 43.71 15,118 43.88 15,402 45.38 15,488 45.70 15,800 45.56
∙ 병원 및 기타 289 2.13 411 2.73 305 1.76 313 1.63 315 1.53
기업 19,329 4.39 20,582 4.45 18,979 3.99 21,893 4.30 23,178 4.43
∙ 정부투자기관 2,008 51.42 2,049 53.30 2,056 54.93 2,159 55.87 2,111 52.95
∙ 민간기업 17,321 3.97 18,533 4.04 16,923 3.58 19,734 3.91 21,067 4.06
합 계 52,078 7.54 53,642 7.46 52,030 6.96 53,899 6.86 56,024 6.8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43
■ ’22년 대전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0명 증가한 261.1명으로 조사됨
표 3-6-9 ❙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34.0 248.5 239.2 257.0 261.1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대전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3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0조 3,791억원(전국의 9.21%)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37%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8,726억(전국의 8.47%), 공공연구소는 약
5조 5,386억원(전국의 42.87%), 기업이 약 3조 9,679억원(전국의 4.44%)
표 3-6-10 ❙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36,633 7.61 619,394 8.40 691,423 8.28 742,856 7.96 872,638 8.47
∙ 국공립 472,111 15.29 559,197 17.08 609,300 16.14 665,801 15.79 762,166 16.82
∙ 사립 64,522 1.63 60,197 1.47 82,123 1.79 77,055 1.51 110,472 1.91
공공연구소 4,242,119 43.09 4,204,174 41.34 4,988,331 44.86 5,086,426 42.40 5,538,583 42.87
∙ 국공립 17,456 2.14 17,865 2.14 20,292 2.38 20,881 2.16 20,267 1.99
∙ 정부출연 4,196,514 55.59 4,159,456 53.28 4,941,595 59.65 5,036,942 57.77 5,487,248 59.17
∙ 병원 및 기타 28,149 1.90 26,853 1.76 26,444 1.33 28,603 1.24 31,068 1.18
기업 3,213,447 4.67 2,882,330 4.03 3,193,938 4.34 3,613,514 4.47 3,967,894 4.44
∙ 정부투자기관 628,286 69.16 625,637 72.00 617,295 70.47 618,215 71.93 559,625 62.97
∙ 민간기업 2,585,161 3.81 2,256,693 3.19 2,576,643 3.54 2,995,299 3.75 3,408,269 3.85
합 계 7,992,199 9.32 7,705,898 8.65 8,873,691 9.53 9,442,797 9.25 10,379,115 9.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대전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조 4,69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69%
표 3-6-11 ❙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6,655 58,439 65,132 68,208 74,698
(28.9) (28.6) (28.7) (28.2) (28.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대전 국제 바이오박람회(3.0억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출연금(2.5억원), 대전사회지표 조사 및 분
석(1.9억원) 등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 대전세종연구원 운영(56.9억원), 대전테크노파크 운영(48억원),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운영
(28억원),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운영(24.5억원) 등
■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해외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74.3억원), 지역에너지절약사업(12.8억원) 등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40.6억원), 우수기업 청년채용 지원사업(12억원), 기초의과학연구센터
(MRC) 지원(11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50억원), SW서비스 개발사업(19.1억원), 신재
생에너지 확대기반 조성사업(18.1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245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뿌리산업 혁신성장 고도화 사업(29.5억원), IP스타기업 육성사업(29.1억
원), 글로벌 혁신성장 기업 육성 사업(27억원)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30.3억원), 지역암센터 지원(2.1억원)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지역주력산업 지원(190.1억원), 글로벌 혁신창업 성장허브 조성(100.2억원), 세포주 기반 의료용
항체 신속제조 지원사업(66.3억원), 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사업(65.1
억원) 등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695.4억원), 한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141.7
억원), 민관협력 중소벤처 스마트혁신지구 조성(105억원), IoT센서 신뢰성평가 및 제품화 지원사
업(83.5억원),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사업(58.9억원), 첨단센서 소자 제조・신뢰성 지원 플랫폼
구축사업(52.8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전략산업추진실에서 담당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2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6-12 ❙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8,833 2 7,017 118 34 32 1,63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6-13 ❙ 대전광역시 인공지능산업실 등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전략산업반도체과
∙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관리
∙ 반도체 소부장 실증평가 업무 추진
∙ 반도체산업 육성 신규사업 발굴 및 기획, 반도체 실증지원 사업 추진
∙ 지역주력산업(나노반도체) 육성 사업 추진
∙ 퀀텀클러스터 조성업무 • 대덕퀀텀밸리 조성 실무TF 운영 • 국제첨단센서+ EXPO 기획추진단
운영 등
바이오헬스산업과
∙ 지역주력산업(바이오분야) 육성 추진 ∙ 유전자 및 융복합 바이오 산업 육성기반 조성
∙ 지역혁신성장계획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총괄 •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총괄
∙ 대덕특구 50주년 기념사업 및 대전과학문화 관련 업무 등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지역혁신성장계획수립 • 지역주력산업 추진
∙ 인공지능 산업 육성 및 지원 •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운영사업 • 디지털일자리 AI 학습용 데이
터 제작사업 • 인공지능 문화조성, 인공지능 인력양성사업
실증디지털과
∙ 시대덕특구 실증협력체계 구축 및 지원사업 발굴 •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
추진
∙ 공공수요 기반 문제해결형 실증지원사업 발굴 추진 • 정출연 신기술 소개 및 활용 DB 구축(플랫
폼 연계)
∙ 스마트도시・실증 프로젝트 발굴 및 홍보사업 추진 • 실증도시 저변 확대 및 성과 확산・홍보 업
무추진
∙ 실증 플랫폼 기획 및 구축 • 실증자원 구축계획 수립 • 테스트베드 자원조사 및 구축
∙ 데이터 융합활용 클러스터 활성화 추진 • 빅데이터 공모사업 발굴 및 추진
창업진흥과
∙ 카이스트 창업 혁신파크 조성 • 지역대학 협력 기업유치 및 창업공간 조성 • 혁신성장기업 기술
사업화종합지원
∙ 산업교육 및 산학연 협력 시행계획 수립
∙ 산학연 보조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 사업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지원 이공분야 대학 중점연
구소 지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지원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RLRC) 지원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구축(RISE)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 지역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 로컬크리에이터 인력양성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247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과 관련한 종합적인 시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과학대중화 실현
- 과학기술진흥 연구개발과 관련 지원사업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특화적 기술개발
- 벤처기업 육성・지원 및 중소기업체의 기술혁신 지원
- 기술이전 및 신용평가에 관련한 사항
-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법 제13조 제2항의 심의사항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시장이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은 시장으로 시장 임기 내, 위원은 3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2023.4.25., 대전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3~’27) 수립
(안),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육성기금 존속기간 연장, 과학체험 확산 자치구 지원사업 기금 승인,
민선8기 시정 주요성과 및 역점 추진과제 보고)
2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6-14 ❙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대전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장우 대전광역시
위원 이석봉 대전광역시
위원 한선희 대전광역시
위원 김영빈 대전광역시
위원 김선광 대전광역시 의회
위원 김장성 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위원 김재수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위원 주성진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위원 안동만 (사)과학기술인연구연합회
위원 이광형 카이스트
위원 이진숙 충남대학교
위원 이광섭 한남대학교
위원 정태희 대전상공회의소
위원 김병순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위원 황순화 대전세종충남여성벤처협회
위원 강도묵 대전세종충남경영자총협회
위원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
위원 이용관 블로포인트파트너스
위원 이광축 TJB
위원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위원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
위원 강병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위원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위원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24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전시의 총 예산은 약 12조 3,79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77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43%,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비율은 56.16%
표 3-6-15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23,739
재정자주도(%) 64.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15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77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4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6.16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2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대전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456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각각 약 781억 원, 약 656억 원 투입
표 3-6-16 ❙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대전 국제 바이오박람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450 98 54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대전테크노파크 운영
653 22,747 - 23,40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담금
ICT를 활용한 화훼생산기반 조성
- 306 - 306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해외우수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 사업
대전창업성장캠퍼스 조성 운영
6,524 4,942 80 11,54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대전형 융합 신산업 창출 특구기술 실증
SW서비스 개발사업
2,337 10,820 17 13,174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대전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
디지털엔지니어링기반뿌리산업혁신성장고도화
사업
9,945 25,392 559 35,874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해외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사업
6,182 5,603 2,723 14,50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주력산업 육성
유전자 기반 항체 신속제조 지원센터 구축
27,820 41,408 1,508 70,73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한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
78,182 65,588 1,843 145,614
합 계 131,643 177,256 6,828 315,70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25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대전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093개로 전국의 3.2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5.02% 증가
- 5년간 대학은 1개 증가, 공공연구소 6개, 기업 448개 증가
표 3-6-17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1 5.75 22 5.30 22 5.35 23 5.44 22 5.26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16 5.59 17 5.14 17 5.21 18 5.34 17 5.15
공공연구소 41 6.70 45 7.01 45 6.79 46 6.68 47 6.88
∙ 국공립 5 3,82 6 4.20 6 4.20 7 4.58 6 4.38
∙ 정부출연 25 14.97 25 14.79 25 15.34 26 15.29 26 15.76
∙ 병원 및 기타 11 3.50 14 4.24 14 3.92 13 3.55 15 3.94
기업 1,576 3.25 1,695 3.09 1,837 3.14 1,969 3.16 2,024 3.14
∙ 정부투자기관 12 28.57 13 23.64 13 24.07 15 25.42 15 24.59
∙ 민간기업 1,564 3.23 1,682 3.07 1,824 3.12 1,954 3.14 2,009 3.12
합 계 1,638 3.32 1,762 3.15 1,904 3.20 2,038 3.22 2,093 3.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대전 소재 대학 수는 16개
- 일반대학 11개, 전문대학 4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6-18 ❙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4 4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3 16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대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1만 4,59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5,135명(전체의 약 13.21%), 공학계열 학생이 3만 3,988
명(전체의 약 29.66%)
표 3-6-19 ❙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5,135 33,988 49,123 14,540 10,456 4,703 10,160 25,616 114,598
비중(%) 13.21 29.66 42.87 12.69 9.12 4.10 8.87 22.3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5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대전광역시에는 총 13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한국과학기술원에 10개 센터가 구축되어 있고, 충남대에 3개 센터가 구축・운영됨
표 3-6-20 ❙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남대학교
(3개 센터)
2017 감염 제어 컨버전스 연구센터 MRC
2020 마이크로바이옴 - 뇌신경질환 융합연구센터 RLRC
2022 라이프사이클 기반 시니어헬스 융합연구센터 CRC
한국과학기술원
(10개 센터)
2017 스마트 수중 터널 시스템 연구센터 ERC
2017 인체부착형 및 치료 헬스케어 공학 센터 ERC
2018 MARS 인공지능 통합 연구센터 ERC
2018 세포 정체성 연구 센터 SRC
2018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SRC
2018 인류세 연구센터 CRC
2019 확률 해석 및 응용 연구센터 SRC
2022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ERC
2022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상 연구센터 ERC
2023 응집상 양자 결맞음 연구센터 S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전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한밭대 소속 2개의 센터를 비롯하여, 목원대, 대전대, 한국생명공
학연구원, 한남대에 각각 1개씩 운영했으나, ’23년 기준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인 센터는 없으며,
목원대는 성과활용만 진행 중임
표 3-6-21 ❙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목원대 방재정보통신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대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0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6-22 ❙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대덕대학교 대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7-02-21
대전대학교 대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6
대전보건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11-11
목원대학교 목원대학교 창업진흥센터 1999-12-28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5-12-26
REGIONAL S&T YEARBOOK 2023 255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6개가 운영 중
표 3-6-23 ❙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대전과학체험관 공립
대전시민천문대 공립
대전나비곤충박물관 사립
대전 엑스포 아쿠아리움 사립
신세계 넥스페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 2000-06-01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전력벤처기업육성센터 1999-11-23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창업보육센터(HNU Science Park) 1998-12-23
한밭대학교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01
2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전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대전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9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836명임
표 3-6-24 ❙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133 124 170 149 97
수혜자 수 3,006 2,594 2,895 3,616 2,83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대전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8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45명 양성
표 3-6-25 ❙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대전관광공사 7
전용공간
2개(144㎡)
53 767,747 60.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257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대전 특허출원 건수는 1만 1,07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5,740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2.7%, 14.2% 감소
표 3-6-26 ❙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10,811 10,734 10,767 10,632 10,867 11,374 11,071
특허등록 건수 5,492 6,503 5,877 6,504 6,712 6,688 5,74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대전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0,431편, 주저자 기준 5,207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3.53%, 8.66%를 차지
표 3-6-27 ❙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9,922 15.56 206,533 20.82 5,043 9.61 86,174 17.09
2019 10,047 14.95 165,867 16.51 4,988 9.09 71,584 14.35
2020 10,947 14.86 134,524 12.29 5,673 9.51 60,094 10.59
2021 11,220 14.05 80,637 7.19 5,683 8.93 33,153 5.83
2022 10,431 13.53 24,669 2.36 5,207 8.66 10,225 1.9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대전-세종-충남-충북 간 바이오헬스 및 모빌리티산업 관련 초광역 협력
■ 지역 자체 과학기술정보서비스(DAON) 운영을 통한 자체 통계정보 기반 R&I사업성과관리 및
개인형 분석 시스템 구축・지원
■ 지역 혁신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지역 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이행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구축 추진
- 대전-세종-충남-충북 간 바이오헬스 및 모빌리티산업 관련 초광역 협력 추진
- 세계 과학선진 도시와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관련 포럼 추진
- 지역 R&D 투자 선순환체계 고도화를 위한 성과평가 및 환류체계(지표 등) 구축
- 지역 주도 R&D 투자규모 확대를 위한 목표설정 및 관련 지자체 과학기술진흥기금 조성운영
- 지역 자체 과학기술정보서비스(DAON) 운영
■ 지역 산학연의 성장 및 주체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주도 대형연구시설장비 활용 촉진을 위한 사업 추진
- 대덕과학포럼 및 과학기술인과 기업인협업 플랫폼사업 추진
- 기업성장주기별 3-UP 지원(35억)’및 ‘IP서비스기업 창업 및 기업유치 활성화(2.5억)’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지역 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이행
- 우주 및 국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총 27억 투자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이행계획을 통해 ‘출연연-대학 공공창업 생태계 강화’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3 259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구축 추진
- 대전-세종-충남-충북 간 바이오헬스 및 모빌리티산업 관련 초광역 협력 추진
- 세계 과학선진 도시와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관련 포럼 추진
- 지역 R&D 투자 선순환체계 고도화를 위한 성과평가 및 환류체계(지표 등) 구축
- 지역 주도 R&D 투자규모 확대를 위한 목표설정 및 관련 지자체 과학기술진흥기금 조성운영
- 지역 자체 과학기술정보서비스(DAON) 운영
■ 지역 산학연의 성장 및 주체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주도 대형연구시설장비 활용 촉진을 위한 사업 추진
- 대덕과학포럼 및 과학기술인과 기업인협업 플랫폼사업 추진
- 기업성장주기별 3-UP 지원(35억) 및 IP서비스기업 창업 및 기업유치 활성화(2.5억)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및 지역 주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이행
- 우주 및 국방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총 27억 투자
-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이행계획을 통해 ‘출연연-대학 공공창업 생태계 강화’ 추진
2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7절 울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울산의 인구는 약 111만 명으로 2018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울산 인구의 비율은 2.15%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7-1 ❙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152,725 1,145,761 1,139,069 1,123,676 1,112,807
전국인구대비 비율(%) 2.23 2.21 2.20 2.17 2.15
경제활동참가율(%) 61.8 61.7 60.7 59.8 61.1
실업률(%) 4.6 4.2 4.2 3.6 3.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6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울산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69.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0.61%씩 감소한 경향
을 보임
- 산업구조 상 제조업이 52.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이 19.21%를 차지함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0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7-2 ❙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71,344,390 72,024,599 67,136,435 69,523,278 69,204,235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49,877 225,303 202,187 198,358 200,710
(지역내비중, %) (0.35) (0.31) (0.30) (0.29) (0.29)
제조업 35,741,882 36,796,264 33,675,356 35,091,260 35,998,557
(지역내비중, %) (50.10) (51.09) (50.16) (50.47) (52.0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627,138 1,976,375 2,330,972 2,314,509 2,185,584
(지역내비중, %) (2.28) (2.74) (3.47) (3.33) (3.16)
건설업 3,029,518 2,303,180 2,089,984 1,865,790 2,177,348
(지역내비중, %) (4.25) (3.20) (3.11) (2.68) (3.15)
기타서비스업 12,893,578 12,870,215 12,548,918 12,822,266 13,296,553
(지역내비중, %) (18.07) (17.87) (18.69) (18.44) (19.2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124,021 5,381,548 5,351,189 5,615,937 5,734,797
(지역내비중, %) (7.18) (7.47) (7.97) (8.08) (8.29)
순생산물세 12,594,921 12,584,968 11,214,409 11,888,127 9,877,731
(지역내비중, %) (17.65) (17.47) (16.70) (17.10) (14.27)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울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59조 8,970억 원이고, 1,79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5
만 2,556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약 43조 7,505억원(전체의
27.36%), 321개(전체의 17.8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
업’이 3만 2,970명(전체의 21.61%)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7-3 ❙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73,165 0.55 37 2.06 932 0.61
음료 제조업 101,122 0.06 4 0.2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9,237 0.07 19 1.06 277 0.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 0.06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3,306 0.05 4 0.22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08,997 1.44 84 4.68 3,318 2.1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537,011 0.34 46 2.56 1,140 0.75
1차 금속 제조업 16,560,414 10.36 91 5.07 5,271 3.46
전기장비 제조업 5,635,210 3.52 79 4.40 3,001 1.9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636,743 2.90 201 11.19 6,985 4.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3,750,526 27.36 321 17.87 20,006 13.1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055,651 6.29 304 16.93 32,970 21.61
가구 제조업 - - 2 0.11 - -
기타 제품 제조업 108,767 0.07 7 0.39 54 0.0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21,823 0.08 30 1.67 913 0.6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6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602,273 1.00 209 11.64 6,628 4.34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16,194 0.45 81 4.51 2,873 1.8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91,570 0.24 44 2.45 885 0.5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4,314 0.01 7 0.39 67 0.0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2,597 0.11 4 0.22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6,101,577 22.58 25 1.39 497 0.3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776,136 0.49 22 1.22 424 0.2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5,179,702 22.00 173 9.63 16,271 10.67
합 계 159,896,998 100 1,796 100 152,556 100
REGIONAL S&T YEARBOOK 2023 26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화
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 제품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7-4 ❙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비교적
높음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울산시는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
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
업 간 간극 해소’,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지역의 과
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7-5 ❙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해오름동맹 원자력혁신센터 지원사업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울산 R&D 경연대전
연구개발기반 설립지원사업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추진
지역 대학, 연구기관의 대형화・연구거점화
ESS 화재 원천차단 솔루션 수중전지 시스템 기술개발
원천기술 상용화 플랫폼 구축사업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기술 지원
고에너지응용기술 기반활용 미래차부품 제조역량 강화지원
뿌리기업 기술첨단화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KOLAS 인증지원
지역 첨단화학소재 기술개발 지원사업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울산연구원 운영
울산산학융합원 출연금 지원
산학융합 혁신기반 활용사업
바이오데이터 팜 운영 지원사업
수소충전소 구축 유지보수 및 운영지원
울산국방벤처센터 운영
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운영지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
전문경력인사 기술지원
Bio Lab 실험실습실 구축사업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
톡톡팩토리 운영
민간협업 열린창업 활성화 사업
재도전 성공패키지 지원사업
벤처기업 육성지원 사업
화학산업 경쟁력 지원사업
R&D 맞춤형 기술정보 제공 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265
※ 출처 : 울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24개, 도시첨단 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총 41개의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799개, 총 종사자 수는 134,263명
표 3-7-6 ❙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울산・미포 48,444 45,595 1,024 658 96,964 100 조성중
온산 25,939 20,513 461 338 14,670 100 조성중
일반
매곡 565 565 56 55 1,526 97 완료
모듈화 863 863 31 31 2,376 100 완료
이화 694 694 1 1 X 100 조성중
중산 134 134 18 18 359 100 완료
길천 1,515 1,515 99 84 2,018 82 완료
신 3,261 2,423 110 109 3,423 100 완료
와지 126 125 25 25 569 100 완료
울산 High Tech Valley 1,939 1,939 17 16 292 78 조성중
봉계 258 255 10 9 436 100 완료
KCC울산 1,222 1,165 48 35 1,244 94 조성중
전읍 72 72 4 4 74 100 완료
반천 1,373 1,373 79 64 1,443 100 완료
작동 150 150 - - - 100 조성중
중산2차 365 365 43 39 905 100 완료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5G기반 디지털트윈 시스템 운영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츨연금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주력산업 3D프린팅 기술융합 실증지원사업
울산지역 우수학생 육성지원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과학기술문화 장려사업
클럽투클럽 멘토링 지원
청년CEO육성사업
국가인프라 지능정보화사업 시스템 운영
2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매곡2 77 77 13 11 235 100 완료
매곡3 158 158 20 19 724 100 완료
울산테크노 1,287 1,287 150 135 3,326 100 완료
GW 454 454 27 12 232 70 조성중
모바일테크밸리 315 315 - - - - 조성중
에너지융합 1,017 1,017 3 3 20 - 완료
청양 201 200 - - - - 미개발
머거본 56 56 - - - - 미개발
울산도하일빈산업단지 423 423 - - - - 미개발
울산KTX역세권일반산업단지 421 421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울산장현 317 317 - - - - 미개발
농공
달천 260 260 101 101 1,346 100 완료
두동 70 70 4 4 439 100 완료
두서 123 123 15 14 568 100 완료
상북 139 139 14 14 646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267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울산광역시에는 총 47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 중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9개로 가장 많았고, ‘정보통신
업’이 5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76개), ‘전기장비 제조업’(46개), ‘화학 물질 및 화
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4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7-7 ❙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 -
광업(05~08) 2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1 8 6
음료 제조업 1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6 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2 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2 32 4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2 15 1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7 10
1차 금속 제조업 8 2 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 23 2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 16 2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1 18 17
전기장비 제조업 42 40 46
2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3 72 7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1 26 2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8 12 16
가구 제조업 - - -
기타 제품 제조업 10 10 1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2 2
건설업(41~42) 11 10 15
도매 및 소매업(45~47) 5 4 4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3 54 5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9 55 5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3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488 421 473
REGIONAL S&T YEARBOOK 2023 26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울산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747명(전국의 1.3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감소율은
약 1.3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5,694명(전국의 1.09%)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3,948명(전국의 1.78%), 공공연구소는 1,105명(전국의 1.6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7-8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643 1.89 3,640 1.87 3,720 1.80 3,820 1.82 3,948 1.78
∙ 국공립 2,253 2.84 2,410 3.02 2,522 2.91 2,740 3.15 2,850 3.17
∙ 사립 1,390 1.23 1,230 1.08 1,198 0.99 1,080 0.88 1,098 0.83
공공연구소 807 1.38 982 1.57 1,084 1.69 1,077 1.62 1,105 1.61
∙ 국공립 202 1.65 213 1.65 221 1.72 237 1,76 230 1.73
∙ 정부출연 416 1.28 476 1.38 485 1.43 476 1.40 469 1.35
∙ 병원 및 기타 189 1.39 293 1.94 378 2.18 364 1.89 406 1.98
기업 6,836 1.55 5,823 1.26 5,479 1.15 5,453 1.07 5,694 1.09
∙ 정부투자기관 16 0.41 11 0.29 13 0.35 15 0.39 13 0.33
∙ 민간기업 6,820 1.56 5,812 1.27 5,466 1.16 5,438 1.08 5,681 1.09
합 계 11,286 1.63 10,445 1.45 10,283 1.38 10,350 1.32 10,747 1.3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울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6명 증가한 73.3명으로 조사됨
표 3-7-9 ❙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3.1 70.0 69.4 70.7 73.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울산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3,079억 원(전국의 1.16%) 17개 광역시・도 중 12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3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269억 원(전국의 2.20%), 공공연구소는
약 1,411억 원(전국의 1.09%), 기업이 약 9,398억 원(전국의 1.05%)
표 3-7-10 ❙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44,199 2.05 160,634 2.18 179,862 2.15 196,612 2.11 226,897 2.20
∙ 국공립 112,819 3.65 125,448 3.83 140,901 3.73 158,755 3.77 184,220 4.07
∙ 사립 31,380 0.79 35,186 0.86 38,961 0.85 37,857 0.74 42,677 0.74
공공연구소 100,529 1.02 108,847 1.07 108,656 0.98 131,821 1.10 141,136 1.09
∙ 국공립 10,964 1.35 11,482 1.37 11,199 1.32 15,230 1.57 13,608 1.33
∙ 정부출연 79,853 1.06 86,085 1.10 77,640 0.94 96,741 1.11 105,683 1.14
∙ 병원 및 기타 9,712 0.66 11,281 0.74 19,816 1.00 19,850 0.86 21,845 0.83
기업 865,574 1.26 840,482 1.18 778,678 1.06 861,528 1.07 939,845 1.05
∙ 정부투자기관 10,913 1.20 4,366 0.50 3,312 0.38 3,294 0.38 3,064 0.34
∙ 민간기업 854,661 1.26 836,116 1.18 775,366 1.07 858,234 1.07 936,781 1.06
합 계 1,110,302 1.30 1,109,963 1.25 1,067,196 1.15 1,189,961 1.17 1,307,878 1.1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7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울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810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68
표 3-7-11 ❙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031 3,112 3,234 3,651 3,810
(1.5) (1.5) (1.4) (1.5) (1.5)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방정부의 지역혁신 리더십 구축(3개 과제, 116억원)
- (지방정부의 R&D기획・평가역량 확충) 연구개발지원단운영(3.6억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운영
(11.8억원), 울산연구원 운영(101억원) 등
■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 극대화(55개 과제, 1,943억원)
- (지역 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235억원), 울산
과학기술원 연구운영비 지원(875억), 해오름동맹 원자 혁신센터 지원사업(24억원), 스마트 원전
해체 융합인력양성(7.3억원), 대학 ICT연구센터지원(9.2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및
후속지원(17억원), 원자력 융복합 기술개발(10억원), 폐플라스틱 새활용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
조기술 개발(21억원), 4단계 두뇌한국 21사업(17억원), 세포간 신호교신에 의한 암제어 기술 개발
(8.7억원), UNIST-헬름홀츠율리히 미래에너지 혁신연구센터(5.6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울산시-ETRI공동협력사업(34억원), 울산테크
노산단 P2G기반 한전 MG실증사업(8.1억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49억원), ICT이노베이션
스퀘어확산(21억원), 시-화연 정밀화학 기술협력사업(13억원), 자동차-화학 융합산업 기술개발
(19.8억원),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기반구축사업(3.7억원), ESS화재 원천차단 솔루션 수중
전지 시스템 기술개발(3억원) 등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201억원),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
터 구축(85억원), 고집적에너지 산업응용 R&BD구축(33억원), 도심외 지역 대상 자율주행차 개발
및 실증(24억원), 원전해체 가상작업장 및 힘-토크 반응 원격해체작업 훈련시스템 개발사업(14억
2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원), 수소전기 하이브리드 버스 개발 및 서비스 실증(11.8억원), 중소기업 맞춤형 생산기술 지원(8
억원), 기술강소기업 허브화 지원(8억원), 중소중견기업 4차산업 기술적용 에너지효율향상 지원
(4.5억원) 등
■ 지역혁신 성장체계 고도화(38개 과제, 1,373억원)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3D프린팅응용 친환경자동차부품 R&BD구축(17.7억원), 스마트공
장 협업패키지 기술개발지원(10억원), 울산산학융합원 출연금지원(3억원) 등
- (지역 내 기술 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식재산 창출지원(12.4억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992.6억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10억원) 등
- (지역 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3D프린팅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체계 구축사업(86.9억원), 차세대 조
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 연구센터 구축(27억원),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24억
원),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176억원) 등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에서 담당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울산광역시
REGIONAL S&T YEARBOOK 2023 273
표 3-7-12 ❙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7,400 2 5,831 119 28 21 1,309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7-13 ❙ 울산광역시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과 건설주택국 스마트도시과와 경제산업실 주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조례)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울산시 과학기술진흥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 심의 및 자문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미래전략본부
신산업추진단
∙ 화학소재분야 사업구조 고도화사업 지원
∙ 석유화학・정밀화학・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지원
∙ 오일・가스허브 연계사업 및 기반시설 육성・지원
∙ 융합세라믹산업 육성지원을 과제 발굴 및 클러스터 조성사업
∙ 3D프린팅산업 진흥 종합게획 수립,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사업 추진
∙ 탄소 그래핀 연구개발(R&D) 지원 사업, 에너지산업분야 초전도체 소재개발 지원 육성
∙ 게놈산업, 바이오메디컬산업 및 헬스케어산업의 육성・지원
건설주택국
스마트도시과
∙ 스마트도시계획 수립・운영, 울산미포 스마트그린산단 통합관제센터 구축
∙ 공공데이터 개방 및 시스템 운영
∙ 탄소중립 정책지원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 스마트 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우리 마을 스마트 모빌리티 1.0 구축
경제산업실
주력산업과
∙ 지역산업발전계획 수립 추진, 서비스산업 육성 총괄 및 지원체계 구축
∙ 지역전략산업 추진 총괄,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 총괄・조정
∙ 3차원(3D) 프린팅산업 육성 총괄 및 지원체계 구축
∙ 주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산업 육성 및 아이시비엠에스(ICBMS) 기반 사업 추진
∙ 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신 지역과학기술 진흥계획 수립
∙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연구개발(R&D)지원사업, 산업미세먼지 슈퍼클린 융합기술개발사업
2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정보화의 추진 및 지원
- 과학기술진흥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생활과학화 촉진 사업
- 과학기술인 포상대상자 선정
- 그 밖에 위원회의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안효대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재임기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3회 (2023.1.11~13., 8.24, 12.19)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도 추진실적 심의, 울산광역시 R&D사업 전주기 통합성과
관리체계 구축방안(안) 회의, 울산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추진실적 및 `24년 시행계획(안)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7-14 ❙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안효대 울산광역시 재직기간
위원 이채권 울산광역시 재직기간
위원 권순용 울산과학기술원 2022.05.11.~2024.05.10.
위원 김종원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2022.05.11.~2024.05.10.
위원 김주연 울산과학대학교 2022.05.11.~2024.05.10.
위원 김창락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2022.05.11.~2024.05.10.
위원 박규열 울산대학교 2022.05.11.~2024.05.10.
위원 석주헌 에너지경제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심정훈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2022.05.11.~2024.05.10.
위원 엄영희 울산상공회의소 2022.05.11.~2024.05.10.
위원 이경우 울산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이만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이준정 울산테크노파크 2022.05.11.~2024.05.10.
위원 서봉국 한국화학연구원 2022.05.11.~2024.05.10.
위원 홍성우 울산광역시의회 2022.05.11.~2024.05.10.
※ 출처 : 울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7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울산시의 총 예산은 8조 5,81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96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1.13%
- 과학기술 예산 중 울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8.15%
표 3-7-15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85,813
재정자주도(%) 66.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432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6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1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8.15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2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울산시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319억 원
을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약 1,188억 원, 지방비는 ‘지역 혁신클러스
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489억 원이 투입
표 3-7-16 ❙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울산발전연구원 운영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사업
3,322 7,987 6,337 17,64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운영비지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118,826 10,287 2,764 131,87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울산시-ETRI 공동협력사업
6,932 6,849 1,731 15,26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24,356 18,604 2,842 45,802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친환경 수소모빌리티용 태양광 수소 온사이트
생산시스템 개발 실증
자동차-화학융합산업 기술개발
5,587 480 210 6,277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수소충전소 유지보수 및 운영지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
1,347 3,680 464 5,49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
65,314 48,855 6,639 120,808
합 계 225,684 96,742 20,987 343,162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27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울산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778개로 전국의 1.1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85%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2개 증가, 기업 132개 증가
표 3-7-17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37 5 1.20 6 1.46 7 1.65 5 1.20
∙ 국공립 1 1.27 1 1.19 1 1.18 1 1.16 1 1.14
∙ 사립 4 1.40 4 1.21 5 1.53 6 1.78 4 1.21
공공연구소 14 2.29 15 2.34 16 2.41 18 2.61 16 2.34
∙ 국공립 4 3.05 4 2.80 3 2.10 4 2.61 3 2.19
∙ 정부출연 6 3.59 6 3.55 7 4.29 8 4.71 8 4.85
∙ 병원 및 기타 4 1.27 5 1.52 6 1.68 6 1.64 5 1.31
기업 625 1.29 643 1.17 678 1.16 720 1.16 757 1.18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1 1.85 2 3.39 2 3.28
∙ 민간기업 624 1.29 642 1.17 677 1.16 718 1.15 755 1.17
합 계 644 1.31 663 1.19 700 1.18 745 1.18 778 1.1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울산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7-18 ❙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울산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2만 5,55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361명(전체의 약 9.24%), 공학계열 학생이 1만 1,106명(전체
의 약 43.46%)
표 3-7-19 ❙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361 11,106 13,467 4,807 1,682 533 1,263 3,800 25,552
비중(%) 9.24 43.46 52.70 18.81 6.58 2.09 4.94 14.87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7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울산광역시에는 총 4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울산과학기술원에 2개, 울산대학교에 2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7-20 ❙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울산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대사스트레스 세포대응 연구센터 SRC
2020 미세플라스틱 대응 화공/바이오 융합 공정 연구센터 ERC
울산대학교
(2개 센터)
2018 줄기세포 면역제어 연구센터 MRC
2023 친환경 수소산업 전주기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울산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울산대에 2개가 운영했으나, ’23년 기준으로 모두 운영 종료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울산에는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 1개, 울산대학교에 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
치・운영 중에 있음
표 3-7-21 ❙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1-08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28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울산에는 공립 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7-22 ❙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태화강생태관 공립
울산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울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울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64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898명임
표 3-7-23 ❙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400 412 432 525 646
수혜자 수 8,279 5,447 7,783 10.521 12,89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2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울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2,22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156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0.9%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25.8%씩 감소
표 3-7-24 ❙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2,421 2,267 2,347 2,277 2,499 2,209 2,228
특허등록 건수 1,016 1,269 1,308 1,268 1,560 1,557 1,15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울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2,444편, 주저자 기준 1,23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17%, 2.06%를 차지
표 3-7-25 ❙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2,066 3.24 57,674 27.92 1,112 2.12 28,992 26.07
2019 2,266 3.37 57,082 25.19 1,174 2.14 25,733 21.92
2020 2,576 3.50 45,827 17.79 1,321 2.21 21,428 16.22
2021 2,627 3.29 28,397 10.81 1,317 2.07 13,243 10.06
2022 2,444 3.17 7,945 3.25 1,236 2.06 3,655 2.9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28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 현황
▣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지역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 대학, 출연(연)의 거점화, 임계규모 확보로 지역혁신 선도
-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자원을 활용한 지역, 산업 경쟁력 제고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 문화 저변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간 불균형 심화 및 지역 소멸위기의 시대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기반 혁신을 통한 주력산
업 활성화 및 미래 유망 혁신 기술 발굴 추진
-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역과 수도권 간 경제, 산업 경쟁력 격차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지역의 강
점 및 수준을 고려한 고유의 성장경로를 설정하여 자생력 높은 지역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구축
하여 지역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산학연 협력을 통한 미래 핵심 분야 유망기술의 발굴・육성
을 통한 기술 경쟁력 확보
2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그린모빌리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추진, 수소전기차 안전인증센터 구축, 지능형 미
래차 핵심부품 개발 지원 기반구축,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전력・전자 융합기술 전환지원 등 글로
벌 기업 및 세계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에 따른 그린모빌리티로의 전환 가속화 대응 정책 및 추진
전략 수립
- (스마트조선) 조선산업 위기 이후, 고부가・친환경 핵심 기술경쟁력 확보 및 수출 경쟁력 강화를 통
한 조선산업 초격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정보통신융합 전기추진
스마트 선박 개발 및 실증,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을 통한 핵심기술 상용화・고도화를 통하여 스마트조선 산업 재도약 추진
- (미래화학신소재) 대외의존형 화학소재 산업 구조 탈피 및 친환경 미래 동력 첨단화학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도모를 위한 수요맞춤형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화/실증, 울산 게놈서비스산
업 규제자유특구 추진,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
센터 구축 등 노후화된 산단 인프라의 첨단・스마트화를 통한 중견・중소기업의 첨단화학소재 개발
을 지속적 추진
- (저탄소에너지) 세계적인 2050 탄소중립 정책 및 민선 8기 공약사업 추진을 위한 이산화탄소 자원
화 규제자유특구 추진, 부유식 해상풍력 시험평가인증센터 조성,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전기차
사용배터리 재사용 사업 기반구축 등 탄소중립 선도 기술 확보를 통한 저탄소 에너지 경제 전환 촉
진 추진
- (미래신성장산업) IT기반 도시 인프라 및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 자동차, 조선, 화학 산업의 스마
트 대전환을 통한 제조업 혁신에 중점을 두고 수소, 부유식 해상풍력, 원자력산업 육성을 통해 울산
그린에너지 산업 및 게놈바이오, 해저도시 등 지식서비스 중심의 신산업 육성 계획 수립 및 추진
■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및 협력체계 강화
- 기술개발 성과 활용 및 기술 사장화 방지를 위한 기술사업화 이어달리기 사업 활성화 필요 : 논문,
특허 등 기술개발 성과 자체보다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한 신산업 분야 진출 촉진을 위한 후속 지
원 강화
- 지역 수요, 지역별 여건을 반영한 연구소와 기업 간 협력형 R&D 전략적 지원 강화 : 출연(연) 지역
분원,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대상 연구 실적, 수행기능을 고려한 지역 소재 혁신을 통한 산연 협력
R&D의 전략적 지원 확대
- R&D 사업구조의 체계화 및 R&D 투자의 효율성 제고 : 기술영역별, 수행주체별, R&D단계별, 지
원대상 속성별 등 지원영역을 차별화 및 상호 연계를 위한 R&D사업의 구조화 추진
- 기술개발 지원 효율성 개선을 위한 지역 R&D 거버넌스 정비 : 정확한 지역 수요 반영과 전주기적
지원 역량 확충을 위한 지역 R&D 전담기관의 주도적 설계 및 기획 기능 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3 285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실현 및 전략성을 제고하기 위한 타 계획과의 연계성 강화 실행력 제
고와 세부 분야별 구체적 실행방안이 수립・시행함을 통해 계획간 유기적 연계 체계 마련
-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계획의 수립 체계 마련:이전 회차 계획 달성 수준 및 성과평가 결
과, 전문가 의견, 현장 의견, 대내외 환경 등을 종합하여 시행할 수 있는 계획 및 목표 설정
2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세종의 인구는 약 38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세종 인구의 비율은 0.74%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8-1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302,249 329,422 348,302 366,165 382,760
전국인구대비 비율(%) 0.59 0.64 0.67 0.71 0.74
경제활동참가율(%) 63.2 64.3 64.5 64 65
실업률(%) 2.3 2.7 2.8 2.1 2.0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28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세종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3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4.38%의 증가율을 나
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36.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3.72%, 제조업이
23.48%로 그 뒤를 따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의 산업 내 비중은 5년 간 7.18%로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이며, 기타서비스
업이 6.55% 증가하여 세종시 내 산업구조에서 서비스업이 중심적임을 시사함
표 3-8-2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구 분
지역내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0,423,610 11,091,040 11,647,981 12,509,390 12,916,42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07,928 177,102 159,066 172,506 162,324
(지역내비중, %) (1.99) (1.60) (1.37) (1.38) (1.26)
제조업 2,236,617 2,391,190 2,706,830 2,972,782 3,033,383
(지역내비중, %) (21.46) (21.56) (23.24) (23.76) (23.4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75,862 147,443 224,472 232,962 209,846
(지역내비중, %) (1.69) (1.33) (1.93) (1.86) (1.62)
건설업 1,456,476 1,323,239 1,092,471 1,010,786 1,021,665
(지역내비중, %) (13.97) (11.93) (9.38) (8.08) (7.91)
기타서비스업 2,231,386 2,470,393 2,618,978 2,814,573 3,064,025
(지역내비중, %) (21.41) (22.27) (22.48) (22.50) (23.7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3,302,009 3,749,491 4,069,858 4,533,623 4,671,345
(지역내비중, %) (31.68) (33.81) (34.94) (36.24) (36.17)
순생산물세 808,642 819,720 830,994 847,109 815,292
(지역내비중, %) (7.76) (7.39) (7.13) (6.77) (6.31)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2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세종시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8조 2,454억 원이고, 29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만
4,25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은 ‘화학 물질 및 화학제춤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1조 1,268억 원(전체의 13.67%), 사
업체 수는 ‘식료품 제조업’이 36개(전체의 12.12%), 종사자 수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1,537명(전체의 10.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8-3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4,031 12.30 36 12.12 1,317 9.24
음료 제조업 92,657 1.12 2 0.67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889 0.10 3 1.01 36 0.2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3 4.38 196 1.3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11,981 5.00 11 3.70 1,054 7.3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91,694 7.18 35 11.78 1,044 7.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70,866 9.35 27 9.09 1,162 8.15
1차 금속 제조업 198,264 2.40 12 4.04 194 1.36
전기장비 제조업 852,104 10.33 33 11.11 1,254 8.8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5,922 0.80 14 4.71 266 1.8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20,679 6.31 23 7.74 1,537 10.7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638 0.03 1 0.34 - -
기타 제품 제조업 24,863 0.30 4 1.35 -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0,093 0.12 4 1.35 53 0.3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34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7,156 1.91 14 4.71 242 1.7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6,995 0.21 4 1.35 53 0.3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64,339 6.84 10 3.37 239 1.6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64,487 12.91 7 2.36 446 3.1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05,164 7.34 13 4.38 678 4.7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26,767 13.67 30 10.10 777 5.45
합 계 8,245,421 100 297 100 14,25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28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
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으로 나타남
표 3-8-4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전기장비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
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
통신장비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세종시는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과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
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
굴 및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
하고 있음
표 3-8-5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재편
대전・세종・충남 공동 DSC 공유대학 및 지역혁신플랫폼 운영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세종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대전・세종・충남 공동 DSC 공유대학 및 지역혁신플랫폼 운영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SW융합클러스터 2.0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육성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
고도화
정보보안 청년인재 양성
AI 융합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스마트시티 인력양성 교육프로그램
미래차 전문인력 양성
SW중심 글로벌 청년 창업빌리지 조성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29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세종시에는 일반산업단지 1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단지 4개가 있음
- 총 1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80개, 총 종사자 수는 12,248명
표 3-8-6 ❙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소정 272 272 1 1 X 100 완료
월산 1,380 1,380 1 1 X 100 완료
전의 481 481 8 8 1,393 100 완료
전의2 867 866 32 29 1,301 100 완료
조치원 940 940 12 11 699 100 완료
명학 838 838 36 35 3,943 100 완료
부강(구 부용) 565 565 12 12 2,011 100 완료
세종미래 560 560 11 11 255 100 완료
세종스마트그린 908 908 - - - - 미개발
세종벤처밸리 590 590 - - - - 미개발
세종첨단 664 664 27 22 803 100 조성중
전동 140 140 - - - - 미개발
세종복합 829 829 - - - - 미개발
도시첨단
행정중심복합도시
4-2생활권
822 822 29 27 325 61 조성중
농공
부용 203 201 1 1 X 100 완료
노장 162 162 16 15 582 100 완료
응암 116 116 5 4 424 100 완료
청송 82 82 3 3 236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2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세종시에는 총 21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에서는 ‘정보통신업’이 4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3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5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4개), ‘의료, 정밀, 과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3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
업 위치
표 3-8-7 ❙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1 1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4 3 7
음료 제조업 -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 - 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1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 11 1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 4 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 9 1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 1 1
1차 금속 제조업 1 - 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0 10 1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 14 1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 14 13
REGIONAL S&T YEARBOOK 2023 29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전기장비 제조업 11 8 1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2 18 2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 5 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2 2
가구 제조업 2 1 1
기타 제품 제조업 1 1 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 - -
건설업(41~42) 5 4 5
도매 및 소매업(45~47) 3 3 4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
정보통신업(58~63) 32 37 4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6 23 3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 -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1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80 174 213
2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세종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7,080명으로 전국대비비중은 약 0.87%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
인력 증가율은 약 4.7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공공연구소가 3,497명(전국의 5.11%)으로 가장 많았고, 기
업이 2,041명(전국의 0.39%), 대학이 1,542명(전국의 0.6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8-8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85 0.46 962 0.50 1,351 0.65 1,671 0.80 1,542 0.69
∙ 국공립 - - - - 108 0.12 155 0.18 197 0.22
∙ 사립 885 0.78 962 0.84 1,243 1.03 1,516 1.23 1,345 1.02
공공연구소 3,326 5.70 3,426 5.49 3,610 5.63 3,415 5.13 3,497 5.11
∙ 국공립 7 0.06 18 0.14 18 0.14 18 0.13 19 0.14
∙ 정부출연 3,318 10.19 3,390 9.84 3,519 10.37 3,327 9.82 3,389 9.77
∙ 병원 및 기타 1 0.01 18 0.12 73 0.42 70 0.36 89 0.43
기업 1,398 0.32 1,438 0.31 1,642 0.34 1,825 0.36 2,041 0.39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0.00
∙ 민간기업 1,398 0.32 1,438 0.31 1,642 0.35 1,825 0.36 2,041 0.39
합 계 5,609 0.81 5,826 0.81 6,603 0.88 6,911 0.88 7,080 0.87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인력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295
■ ’22년 세종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보다 4.6명 감소한 131.4명으로 조사됨
표 3-8-9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34.5 127.5 136.1 136.0 131.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세종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7,512억 원(전국의 0.67%)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76%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686억 원(전국의 0.67%), 공공연구소는 약
3,351억 원(전국의 2.59%), 기업이 약 3,476억 원(전국의 0.39%)
표 3-8-10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3,405 0.47 44,618 0.61 52,352 0.63 72,941 0.78 68,583 0.67
∙ 국공립 - - - - - - 2,576 0.06 4,023 0.09
∙ 사립 33,405 0.84 44,618 1.09 52,352 1.14 70,365 1.38 64,560 1.12
공공연구소 303,231 3.08 344,229 3.39 350,981 3.16 327,364 2.73 335,119 2.59
∙ 국공립 707 0.09 1,125 0.13 1,285 0.15 1,495 0.15 1,495 0.15
∙ 정부출연 302,524 4.01 342,227 4.38 346,640 4.18 323,844 3.71 330,833 3.57
∙ 병원 및 기타 - - 877 0.06 3,056 0.15 2,025 0.09 2,791 0.11
기업 180,486 0.26 205,233 0.29 208,211 0.28 253,086 0.31 347,585 0.39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
∙ 민간기업 180,486 0.27 205,233 0.29 208,211 0.29 253,086 0.32 347,585 0.39
합 계 517,122 0.60 594,080 0.67 611,544 0.66 653,391 0.64 751,287 0.67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비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세종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21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8%
표 3-8-11 ❙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696 4,837 5,159 5,877 6,218
(2.4) (2.4) (2.3) (2.4) (2.4)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주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집계 시작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5대 신산업 육성 거버넌스 확립 및 기업유치 활성화
-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사업(794백만원),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10,182백만원), 생활과학교실
운영(147백만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1,497백만원) 등
■ 충청권 초광역 산업 도출 및 핵심과제 기획
- 충청권 BT-IT 융합실증센터 기획, 충청권 인공지능 선도사업 기획 등
■ 융복합 혁신기술 개발 및 세종시 특성을 활용한 실증 확대
-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1,450백만원), 지역SW기업 성장지원(418백만원),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2,188백만원), 시설원예 ICT융복합 지원사업(16백만원) 등
■ 국가 핵심정책에 대응 가능한 세종시 과학기술 정책 수립
- 세종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360백만원), 대전세종연구원(세종연구실) 운영(2,245백만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29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세종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에서 추진 중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표 3-8-12 ❙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518 1 1,849 37 33 11 58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2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8-13 ❙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에 관한 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자문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지식재산 진흥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4.20. ~ 2025.4.19.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1차(2023.1.9.~13.)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적정성 여부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 국서무, 의회대응, 세종테크노파크 운영지원, 충청권 지방은행 설립 등
∙ 국과 예산,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등
∙ 지역특화산업 육성, 산학연클러스터 지원센터 운영, 세종테크노파크 관리 지원 등
∙ 경제산업정책 수립, 시민주권회의 경제산업분과 운영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299
▣ 위원회 명단 및 위원 소속기관
표 3-8-14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승원 세종특별자치시 2023. 4. 20. ~ 2025. 4. 19.
당연직 남궁호 세종특별자치시 2023. 4. 20. ~ 2025. 4. 19.
위원 박성희 고려대학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유동영 홍익대학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유세문 한국영상대학교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이성빈 카이스트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윤권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길연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정미애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2023. 4. 20. ~ 2025. 4. 19.
위원 남영식 대전세종연구원 세종연구실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임재현 루먼랩(주) 대표이사 2023. 4. 20. ~ 2025. 4. 19.
위원 오미경 세종사이언스(주)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김태상 비전세미콘 스토랑스 2023. 4. 20. ~ 2025. 4. 19.
위원 김선희 ㈜에이치이브이 2023. 4. 20. ~ 2025. 4. 19.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세종시의 총 예산은 약 2조 5,290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3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93%
- 과학기술 예산 중 세종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4.95%
표 3-8-15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5,290
재정자주도(%) 63.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2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3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4.95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30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세종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92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각각 162억 원, 124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8-16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세종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180 2,726 - 2,90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창업보육 지원사업 - 60 6 6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세종 창조경제혁시센터 운영지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
1,474 2,484 - 3,95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 고도화 사업
16,154 12,351 700.4 29,20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 - -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세종창업키운센터 관리운영 - 166 - 16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로스터 육성(세종)
미래차연구센터 운영
10,331 5,842 - 16,173
합 계 28,139 23,629 706 52,47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세종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335개로 전국의 0.5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89%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2개, 기업 142개 증가
표 3-8-17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37 4 0.96 5 1.22 6 1.42 5 1.20
∙ 국공립 - - - - 1 1.18 1 1.16 1 1.14
∙ 사립 5 1.75 4 1.21 4 1.23 5 1.48 4 1.21
공공연구소 17 2.78 18 2.80 19 2.87 18 2.61 19 2.78
∙ 국공립 1 0.76 1 0.70 1 0.70 1 0.65 1 0.73
∙ 정부출연 15 8.98 15 8.88 14 8.59 13 7.65 13 7.88
∙ 병원 및 기타 1 0.32 2 0.61 4 1.12 4 1.09 5 1.31
기업 169 0.35 210 0.38 249 0.43 286 0.46 311 0.48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0.00
∙ 민간기업 169 0.35 210 0.38 249 0.43 286 0.46 311 0.48
합 계 191 0.39 232 0.42 273 0.46 310 0.49 335 0.5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03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세종 소재 대학 수는 3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1개 존재
표 3-8-18 ❙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 - 2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1 1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 - 3 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세종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6,99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378명(전체의 약 8.11%), 공학계열 학생이 4,518명(전체의
약 26.59%)
표 3-8-19 ❙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378 4,518 5,896 340 5,099 22 1,329 4,304 16,990
비중(%) 8.11 26.59 34.70 2.00 30.01 0.13 7.82 25.33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총 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에 1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8-20 ❙ 세종특별자치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1개 센터)
2021 생체시계 기반 항노화 융합연구 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세종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8-21 ❙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세종창업키움센터 2019-04-25
한국영상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28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벤처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0-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30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세종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세종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2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131명임
표 3-8-22 ❙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78 99 93 83 126
수혜자 수 1,816 2,051 1,581 1,601 2,13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세종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44명 양성
표 3-8-23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세종테크노파크 8
전용공간
1개(255m3)
149 79,466 52.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세종시 특허출원 건수는 93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60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1.2%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18.4%씩 감소
표 3-8-24 ❙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548 736 811 813 874 922 933
특허등록 건수 249 307 394 405 482 564 46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세종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999편, 주저자 기준 371편으로 점유율 면에
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30%, 0.62%를 차지
표 3-8-25 ❙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605 0.95 9,033 14.93 279 0.53 3,434 12.31
2019 743 1.11 9,150 12.31 335 0.61 3,542 10.57
2020 785 1.07 7,656 9.75 325 0.54 2,841 8.74
2021 947 1.19 4,889 5.16 404 0.63 1,736 4.30
2022 999 1.30 1,778 1.78 371 0.62 529 1.4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30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육성을 통한 미래전략수도 세종
■ 목표 : 과학기술 중심의 지역 혁신성장 가속화
■ 전략 :
- 세종시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지원생태계 조성
- 지역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혁신의 가속화
- 세종시 과학기술혁신 기반 조성과 문화 확산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세종시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 및 스마트시티 기반구축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지역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스마트시티 혁신 공간 조성 및 서비스 모델 검증
- 대전-세종-오창의 충청권 과학벨트를 연계한 가속기산업 초광역 협력
■ 혁신기관 협력 기반 지역특화 산업 육성을 위한 기업지원 및 생태계 활성화
-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지역 혁신기관(대학, 연구기관 등) 협력 기반 기업 창업 및 연구장비 지원
■ 세종시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를 위한 거점기관 설립 및 지원기관 역량강화
- 과학기술 전문성 강화를 위한 거점기관 설립
- 지역 과학기술 전담기관 역량 강화 및 기능 고도화
■ 세종시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인프라 고도화
- 지역 혁신 인재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년 연구인력 지역 정착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지원환경 강화
3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세종시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문화 콘텐츠 개발 및 플랫폼 활성화
- 지역 과학문화 접근성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
-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접목 시민참여 플랫폼 활성화
■ 혁신기관 협력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미래 선도기술 확보
- 미래차 모빌리티 기업 제품 상용화 지원 및 혁신 생태계 조성
- 바이오헬스 지원 서비스 고도화 및 혁신 생태계 조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연구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지역 기업의 도약 지원
-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현장문제 해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시설・장비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지
원
- 지역 주력산업 분야 중소기업의 신제품 상용화 및 지자체가 선정한 지역 우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
■ 지역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클러스터 지원・협력체계 구축
- 세종시 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 및 스마트시티 기반구축을 통한 전략산업 활성화
- SW융합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SW서비스 사업화 지원, SW융합인력 양성, SW융합 인프라 구축
- 중입자가속기 암치료센터 중심의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성
■ 정보보호산업 생태계 조성 및 사이버보안 자생력 강화
- 앵커 역할을 수행하는 시설 유치를 통한 권역 거점 구축, 이를 중심으로 기업 육성, 인재양성 등 지
원 프로그램 운영 추진
- 앵커시설 구축 및 지역 내 정보보호 수요창출, 전문기업 육성, 인재 양성 등을 유기적으로 운영하며
지역 정보보호산업 성장 여건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309
제9절 경기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경기도의 인구는 약 1,370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경기도 인구의 비율은 약 26.49%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9-1 ❙ 경기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3,026,541 13,241,253 13,452,422 13,611,628 13,680,911
전국인구대비 비율(%) 25.25 25.58 26.00 26.31 26.49
경제활동참가율(%) 64.4 64.3 62.8 63.5 65.7
실업률(%) 3.8 3.8 4 3.7 2.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3.12.시점)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3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기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1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과 제조업 모두 36.91%로 경기도 산업의 큰 축을 이룸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6.4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9-2 ❙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51,914,662 462,288,338 470,022,670 498,358,681 516,358,20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578,252 3,659,487 3,396,568 3,539,745 3,468,300
(지역내비중, %) (0.79) (0.79) (0.72) (0.71) (0.67)
제조업 161,040,454 164,243,433 171,457,096 187,049,856 190,601,268
(지역내비중, %) (35.64) (35.53) (36.48) (37.53) (36.9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531,923 6,070,008 6,994,242 7,400,323 7,575,267
(지역내비중, %) (1.22) (1.31) (1.49) (1.48) (1.47)
건설업 27,485,211 27,016,066 25,566,136 25,800,603 27,621,003
(지역내비중, %) (6.08) (5.84) (5.44) (5.18) (5.35)
기타서비스업 167,755,049 171,722,236 173,896,870 181,898,059 190,598,850
(지역내비중, %) (37.12) (37.15) (37.00) (36.50) (36.9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3,033,834 55,936,820 56,884,543 60,431,631 63,672,692
(지역내비중, %) (11.74) (12.10) (12.10) (12.13) (12.33)
순생산물세 33,397,081 33,760,880 33,140,912 34,271,149 34,321,283
(지역내비중, %) (7.39) (7.30) (7.05) (6.88) (6.65)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31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기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408조 3,209억 원이고, 2만 4,628개의 사업체가 있으
며 91만 3,392명이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147조 8,570
억 원(전체의 36.21%), 17만 5,985명(전체의 19.2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722개(전체의 15.1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9-3 ❙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22,606,402 5.54 1,512 6.14 55,990 6.13
음료 제조업 3,347,509 0.82 51 0.21 2,193 0.2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452,100 0.36 266 1.08 5,392 0.5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42,933 0.06 516 2.10 12,339 1.3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907,234 2.43 257 1.04 20,033 2.1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1,568,420 5.28 2,759 11.20 73,984 8.1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631,512 2.11 738 3.00 21,652 2.37
1차 금속 제조업 13,511,013 3.31 851 3.46 23,906 2.62
전기장비 제조업 19,540,269 4.79 1,912 7.76 61,776 6.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8,581,311 9.45 3,722 15.11 120,489 13.1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2,972,159 10.52 869 3.53 70,454 7.7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34,120 0.18 59 0.24 1,197 0.13
가구 제조업 5,752,343 1.41 910 3.69 19,405 2.12
기타 제품 제조업 2,167,529 0.53 438 1.78 9,732 1.0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806,849 0.44 153 0.62 6,360 0.7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099,801 0.27 170 0.69 4,018 0.4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657,007 4.32 3,327 13.51 76,052 8.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107,140 1.25 1,036 4.21 24,302 2.6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779,774 2.88 1,093 4.44 40,434 4.4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373,038 0.34 260 1.06 5,684 0.6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7,857,024 36.21 1,721 6.99 175,985 19.2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72,129 0.12 19 0.08 310 0.0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857,367 2.17 913 3.71 25,352 2.7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1,295,950 5.22 1,076 4.37 39,076 4.28
합 계 408,320,933 100 24,628 100 913,392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3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없으나,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으며,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가구 제조업’임
표 3-9-4 ❙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 가구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31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기도는 ‘글로벌 신산업 육성’,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R&D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균형
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혁신클러스터 조성’,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과학문화 저변확대’, ’과
학기술 인력양성‘, ‘지역균형발전 기여’,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
영・관리하고 있음
표 3-9-5 ❙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글로벌 신산업 육성
AI 기반 미래 차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AI 기반 의료 바이오 분야 응용연구 지원
경기도 시스템 반도체 OSAT분야 기술개발지원 사업
경기도 성능시험장 활용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 개발
데이터 산업육성지원
디지털 혁신 의료기기개발지원
메디 바이오산업혁신 기반 구축
바이오산업혁신생태계 활성화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요소기술 시험대 구축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 사업
차세대반도체 패키징 장비 재료산업전 등 개최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XR 기기 부품 모듈 시험 제작 및 사업화 지원
경기도 AI 실증 지원
경기도형 지능형 공장 종합 지원
대학 창의적 자산실용화지원(BRIDGE3.0)
산업 가치사슬 디지털 전환 지원센터 조성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3D프린팅 기술지원
경기도 로봇산업 육성지원
드론 산업육성지원
드론 체험 활성화 지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산업화지원 기반 구축
메타버스 산업 육성
한국 반도체 아카데미 경기도 교육장 지원 사업
3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R & D 첫걸음 기업연구소 지원
경기도(예비) 초기 기술창업 지원
경기도 R&D 과제 관리 시스템(G-PMS) 운영
경기도 기술창업 재도전 지원
경기도 대학생 융합기술 창업 지원
경기도 대학혁신플랫폼 지원
경기도 민간투자 연계형 기술창업 지원 사업
경기도 바이오기업 R&DB 종합 지원
경기도 지역 협력 연구센터(GRRC) 지원
경기도형 혁신개방형 혁신 지원
경기 바이오 신생기업 랩 구축 및 운영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운영지원
경기신생기업 플랫폼 운영
경기창업허브 운영
글로벌 성장지원 프로그램 운영
기술개발사업
기술거래 촉진 네트워크 사업
기술닥터
기술이전 창업 지원
디지털 생명 건강 연구장비 고도화
메이커스페이스 전문 랩 구축 운영
메타버스 창업 등 기업종합지원 거점센터 운영
문화기술 산업 육성(전환)
뷰티기업 마케팅 지원
뷰티산업육성지원
연구장 비공동 활용 시스템 운영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사업지원
지식재산보호강화
지식재산창출및창업지원
지역기반형콘텐츠코리아랩운영
차세대수소에너지기술개발지원사업
창업보육센터운영지원
창업중심대학사업지원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경기도자율주행센터운영
경기안산강소연구개발특구지원
스마트모빌리티실증허브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315
※ 출처 : 경기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판교경기문화창조허브운영(전환)
판교벤처스타트업클러스터활성화
판교제1TV관리
판교제2TV산업단지관리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혁신클러스터
조성
경기도형코워킹스페이스(서부권,북동부권,북서부권)조성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인프라확충
창업혁신공간(북동부권)조성
창업혁신공간(북서부권)조성
창업혁신공간(서부권)조성
창업혁신공간운영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AI,마이데이터기반고독사예방및대응서비스
경기도마이데이터통합플랫폼운영
경기생성형AI데이터플랫폼사전컨설팅
데이터기반의도정현안분석
데이터분석시스템운영
변화와기회의경기창업공모
열린혁신디지털오픈랩구축
지역경제빅데이터플랫폼운영
지역맞춤형경제활성화
과학문화 저변확대
2024년퓨쳐모빌리티“개벽”Festa
2024디지털퓨처쇼
글로벌스타트업행사개최
지역과학문화역량강화사업
과학기술 인력양성
글로벌바이오네트워크캠퍼스구축및인력양성
나노기술인력양성사업
바이오산업본부운영지원
바이오전문인력양성
반도체산업전문인력양성교육장비도입
반도체산업전문인력양성사업
반도체인재뱅크DB구축사업
인공지능연구인력지원
인공지능인재양성
지역균형발전 기여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경기연구개발지원단연구지원
과학기술정책연구지원
바이오산업종합계획수립연구용역
3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176개, 도시첨단단지 11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9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3,740개, 종사자 수는 587,944명
표 3-9-6 ❙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반월특수지역 150,799 38,010 21,129 20,671 254,515 100 조성중
파주출판 1,562 1,515 894 883 6,386 100 완료
파주탄현 80 77 46 44 266 100 완료
아산국가 20,193 17,796 252 239 24,006 100 조성중
동두천 267 266 - - - - 조성중
일반
김포항공 336 336 8 8 221 100 완료
상마 79 79 37 37 353 100 완료
양촌 1,686 1,685 885 885 9,118 100 완료
율생 49 49 13 13 98 100 완료
통진(팬택) 34 34 4 3 97 100 완료
학운 56 56 43 43 363 100 완료
학운2 634 634 128 128 2,275 100 완료
동두천 262 262 46 46 1,071 100 완료
동두천2 187 187 24 24 613 96 완료
상봉암 54 54 7 7 805 100 완료
오정 291 291 102 102 2,486 100 완료
성남[재생사업지구] 1,513 1,511 2,952 2,942 42,655 100 완료
반월도금 162 161 104 104 913 100 완료
가율 58 58 3 3 506 100 완료
공도 69 69 5 5 151 100 완료
금산 58 58 15 12 574 100 완료
덕산 59 59 11 11 191 100 완료
동항 57 57 14 13 303 100 완료
두교 56 56 8 7 349 100 완료
미양2 160 160 6 6 889 100 완료
방초 60 60 9 9 21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1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제1 668 668 48 43 3,689 100 완료
안성제2 716 716 54 49 2,687 100 완료
안성제3 397 397 48 43 1,337 100 완료
안성제4 811 811 22 21 743 96 완료
용월 59 59 11 10 152 100 완료
원곡 100 100 7 7 547 100 완료
장원1 60 59 17 15 178 100 완료
월정 59 59 4 4 183 100 완료
구암 46 46 2 1 X 100 완료
남면 207 207 27 23 561 100 완료
도하 67 67 1 1 X 100 완료
상수 59 59 10 10 306 100 완료
가장 513 513 38 38 3,345 100 완료
문발1 50 50 18 18 513 100 완료
문발2 206 206 18 18 2,534 100 완료
신촌 190 189 60 60 1,081 100 완료
일반
오산 232 232 76 66 875 100 완료
축현 298 298 87 66 827 100 완료
파주LCD 1,741 1,741 7 7 20,622 100 완료
법원2 330 330 18 4 372 100 완료
고덕국제화계획지구 3,906 3,906 1 1 X 100 완료
어연한산 690 690 34 30 5,514 100 완료
오성(외국인) 601 600 6 5 174 100 완료
장당 150 150 5 5 557 100 완료
진위 486 485 17 17 2,477 100 완료
추팔 610 610 32 32 2,399 100 완료
칠괴 641 641 16 15 809 100 완료
평택 535 534 64 62 3,530 100 완료
현곡 723 723 27 27 1,994 92 완료
신평 57 57 9 9 226 100 완료
양문 180 180 52 52 1,150 92 완료
동탄 1,974 1,951 412 303 12,363 100 완료
마도 929 929 273 172 4,080 100 완료
발안 1,825 1,815 539 398 9,410 100 완료
장안첨단(1)(외국인) 602 602 14 14 1,766 69 완료
3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장안첨단(2)(외국인) 614 614 8 6 722 62 완료
전곡해양 1,617 1,617 293 221 3,990 100 완료
팔탄(한미약품) 80 80 1 1 X 100 완료
향남제약 648 644 50 47 3,485 100 완료
화남 149 149 41 34 333 100 완료
화성 964 964 1 1 X 100 조성중
장남 99 87 1 1 X 100 완료
청산대전 188 188 23 22 363 100 완료
적성 600 600 87 75 1,173 100 완료
한강시네폴리스 1,121 1,121 - - - - 조성중
장호원 60 59 10 8 140 100 완료
설성 48 48 7 4 41 100 완료
모가 60 60 2 - - 100 완료
삼교 56 56 2 2 X 100 완료
지문 177 176 1 1 X 100 완료
학운4 492 492 167 167 2,400 100 완료
홍죽 582 582 83 79 1,476 100 완료
가장2 595 595 58 54 3,811 97 완료
신둔 39 39 2 2 X 100 완료
고렴 265 265 9 9 359 64 조성중
용정 947 947 123 81 2,754 100 완료
일반
LG Digital Park 125 125 1 1 X 100 완료
경기화성바이오밸리 1,740 1,740 304 223 4,743 100 완료
안녕일반산업단지(구 한강씨엠) 51 50 1 1 X - 조성중
학운3 958 960 315 315 3,515 100 완료
매화 376 376 266 253 1,520 100 조성중
원삼 109 109 2 2 X 100 조성중
진위2 956 956 33 13 783 100 완료
군포첨단 288 287 78 78 3,215 100 완료
장자(구 신평3리) 486 484 79 53 670 76 완료
대월 60 60 8 6 170 100 완료
광릉테크노밸리(구 팔야) 209 205 35 34 1,557 100 완료
백학통구 84 84 1 1 - 100 완료
제일바이오 60 59 2 2 X 100 조성중
금곡 130 130 31 30 81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1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진관 142 142 62 62 1,004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1블록)(구 수원1) 287 287 317 317 3,374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2블록)(구 수원2) 123 121 59 59 1,708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3블록)(구 수원3) 847 847 506 506 11,201 100 완료
개정지방 209 209 12 11 467 100 완료
검준 145 145 56 52 1,229 100 완료
용현 346 345 133 133 2,310 100 완료
당동(외국인) 641 641 6 6 879 100 완료
선유 1,313 1,313 183 75 1,631 100 완료
금파 80 78 37 29 288 100 완료
월롱 837 836 3 3 426 100 완료
탄현 123 123 49 38 4241 100 완료
법원1 305 305 - - - - 조성중
송탄 1,086 1,086 141 139 5,498 100 완료
포승(2) 627 626 7 7 302 88 완료
목동 60 60 14 11 248 100 완료
장안 59 58 1 1 X 100 완료
강천 58 58 7 6 126 100 완료
백학 439 439 58 43 845 100 완료
파주스튜디오시티일반산업단지
(구 월롱2)
119 119 - - - - 미개발
주곡 200 200 33 23 515 100 조성중
도암 60 60 7 7 110 100 완료
도드람 52 52 1 - - 100 조성중
남여주 71 56 7 2 X 100 완료
팔곡 143 141 - - - - 조성중
농서 54 54 1 1 - 100 조성중
일반
완장 124 124 2 2 X 100 조성중
마정 61 60 - - - 100 조성중
볼빅 70 70 - - - - 조성중
신갈 60 60 1 1 X 100 완료
마산 75 75 1 1 X 100 완료
세마 92 92 7 7 1,250 100 완료
금현 141 140 14 13 252 100 완료
화성정남 570 570 115 86 2,931 100 조성중
3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장원2 60 60 8 7 219 83 완료
평택브레인시티 4,825 4,825 - - - - 미개발
통삼 49 49 4 4 408 100 완료
강문 88 88 - - - - 조성중
서울우유 195 195 1 1 X 100 완료
원 121 121 - - - 100 조성중
진위3(kdb Utoplex) 828 826 - - - - 미개발
지곡 72 72 1 - - 85 조성중
동항2 150 150 20 19 515 100 완료
용인패키징디자인 59 50 7 2 - 100 완료
관리 38 38 4 2 X 100 완료
용인SG패션 50 50 - - - 100 조성중
한컴 59 59 1 1 X 100 조성중
화성송산테크노파크 529 528 129 86 1,402 100 완료
대포 250 250 59 45 898 - 조성중
의왕테크노파크 158 158 642 639 2,221 100 완료
은남 992 992 - - - - 미개발
동방 119 119 - - - - 조성중
가유 114 114 - - - - 조성중
학운6 565 559 163 163 1,800 - 조성중
에코그린 309 308 - - - - 조성중
연천BIX(은통) 600 600 25 - - 21 조성중
영진바이오 45 45 1 1 X 100 완료
학운4-1 137 138 41 39 516 - 조성중
동문 78 78 - - - - 조성중
진목 90 90 1 - - - 미개발
마산2 126 127 - - - - 조성중
북좌 42 42 - - - - 미개발
축현2 71 71 1 1 X 100 완료
용인테크노밸리(구 덕성) 839 839 134 91 2,913 100 완료
평택드림테크(구 신재생) 1,345 1,344 - - - - 미개발
일반
광명시흥 975 973 - - - - 미개발
파주센트럴밸리 491 491 16 - X - 조성중
서탄(구 유창) 280 280 - - - - 미개발
평택BIX(경기경제자유구역) 1,044 1,044 37 6 269 47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2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중소기업 709 709 - - - - 미개발
제일 56 56 - - - 100 조성중
안성하이랜드 293 293 - - - - 조성중
학운5 893 893 2 2 X - 조성중
동진 182 182 1 1 X - 조성중
학운7 187 187 - - - - 미개발
파평 596 596 - - - - 미개발
오산가장제3 163 154 25 - - 100 완료
남이천 55 54 3 - - 100 완료
용인반도체클러스터 4,156 4,006 - - - - 조성중
안성테크노밸리 765 765 - - - - 조성중
백암 50 50 - - - - 조성중
이천유산 50 50 - - - - 조성중
제2용인테크노밸리 273 273 - - - - 미개발
학운3-1 119 119 - - - - 미개발
H-테크노밸리일반산업단지 736 735 - - - - 미개발
도시
첨단
동탄도시첨단 149 149 476 133 3,890 100 조성중
용인기흥힉스 77 77 571 571 1,086 - 조성중
회천 104 104 - - - - 미개발
용인기흥ICT밸리 42 42 340 340 3,173 100 조성중
용인일양히포 66 66 - - - - 미개발
평촌스마트스퀘어 255 255 28 26 3,752 100 완료
판교제2테크노밸리
(구 판교창조경제밸리)
366 350 207 207 2,794 99 조성중
광명시흥첨단R&D 493 493 - - - - 조성중
한양대에리카캠퍼스혁신파크 79 78 - - - - 미개발
고양일산 100 101 - - - - 미개발
경기양주테크노밸리 218 217 - - - - 미개발
농공 미양 117 117 4 4 188 100 완료
3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경기도에는 총 12,57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1,635개로 가장 많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956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014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440개), ‘전기장비 제조업’(1,015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9-7 ❙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3 32 40
광업(05~08) 9 8 1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30 338 399
음료 제조업 20 13 17
담배 제조업 - 1 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51 141 16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8 58 7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43 31 3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9 44 5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07 102 1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9 48 5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51 502 58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3 135 14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95 437 49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1 100 122
1차 금속 제조업 133 123 14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21 599 71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58 1,336 1,44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87 662 713
전기장비 제조업 984 912 1,015
REGIONAL S&T YEARBOOK 2023 32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895 1,738 2,0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65 140 16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 72 78
가구 제조업 132 112 132
기타 제품 제조업 451 375 40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 8 1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8 10 1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0 35 45
건설업(41~42) 216 224 267
도매 및 소매업(45~47) 253 263 362
운수 및 창고업(49~52) 20 17 2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4 5 9
정보통신업(58~63) 1,347 1,386 1,635
금융 및 보험업(64~66) 6 4 6
부동산업(68) 6 6 9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21 831 95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6 36 4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5 32 3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4 3 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8 15 2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4 1 5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1,652 10,936 12,571
3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기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위로 가장 많음
- ʼ22년 연구개발인력은 27만 1,733명(전국의 33.39%)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76%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3만 4,909명(전국의 44.92%)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2만 8,974명(전국의 13.03%), 공공연구소는 7,850명(전국의 11.46%)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9-8 ❙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194 12.57 24,412 12.57 25,883 12.50 25,387 12.08 28,974 13.03
∙ 국공립 1,675 2.11 1,612 2.02 1,781 2.06 1,671 1.92 2,173 2.42
∙ 사립 22,519 19.93 22,800 19.96 24,102 20.02 23,716 19.23 26,801 20.23
공공연구소 5,985 10.25 6,497 10.41 6,769 10.55 7,459 11.21 7,850 11.46
∙ 국공립 831 6.79 953 7.39 967 7.54 982 7.31 959 7.22
∙ 정부출연 2,664 8.18 2,822 8.19 1,855 5.47 1,841 5.43 1,943 5.60
∙ 병원 및 기타 2,490 18.34 2,722 18.06 3,947 22.72 4,636 24.11 4,948 24.08
기업 195,803 44.48 209,062 45.23 218,000 45.79 229,662 45.13 234,909 44.92
∙ 정부투자기관 461 11.81 459 11.94 429 11.46 351 9.08 482 12.09
∙ 민간기업 195,342 44.77 208,603 45.51 217,571 46.06 229,311 45.41 234,427 45.17
합 계 225,982 32.70 239,971 33.39 250,652 33.54 262,508 33.42 271,733 33.3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25
■ ’22년 경기도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5.4명 증가한 163.4명으로 조사됨
표 3-9-9 ❙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140.2 148.0 153.1 158.0 163.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경기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57조 7,028억 원(전국의 51.22%) 17개 광역시・도 중에
서 연구개발투자 규모가 가장 높음
-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76%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조 5,135억 원(전국의 14.69%), 공공연
구소는 약 1조 986억 원(전국의 8.50%)이며, 특히 기업이 약 55조 907억 원(전국의 61.61%)으로
전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표 3-9-10 ❙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83,165 13.94 1,064,774 14.44 1,201,774 14.39 1,406,156 15.07 1,513,458 14.69
∙ 국공립 79,820 2.58 77,735 2.37 87,482 2.32 129,831 3.08 118,483 2.61
∙ 사립 903,345 22.80 987,039 24.09 1,114,292 24.34 1,276,325 24.96 1,394,975 24.16
공공연구소 777,980 7.90 853,919 8.40 887,468 7.98 992,448 8.27 1,098,649 8.50
∙ 국공립 62,051 7.62 58,193 6.96 58,902 6.92 65,786 6.80 64,646 6.34
∙ 정부출연 427,036 5.66 474,144 6.07 385,310 4.65 416,044 4.77 409,651 4.42
∙ 병원 및 기타 288,893 19.51 321,582 21.07 443,256 22.36 510,618 22.09 624,352 23.78
기업 41,854,165 60.80 44,016,140 61.56 44,955,885 61.08 49,558,522 61.33 55,090,724 61.61
∙ 정부투자기관 105,073 11.57 91,985 10.59 98,012 11.19 71,607 8.33 114,802 12.92
∙ 민간기업 41,749,092 61.46 43,924,155 62.18 44,857,873 61.68 49,486,915 61.90 54,975,922 62.10
합 계 43,615,310 50.88 45,934,833 51.58 47,045,127 50.55 51,957,126 50.87 57,702,830 51.2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경기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조 3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94%
표 3-9-11 ❙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4,763 24,139 25,611 28,082 30,038
(12.7) (11.8) (11.3) (11.6) (11.6)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경기도 과학기술 및 R&D 기획
- 경기연구개발지원단사업(3.8억원), 과학기술정책 연구지원(2억원), 경기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
획(1.7억원) 등
■ 경기도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112억원), 글로벌기업 연계 부품국산화 지원사업(13.6억원),
시스템반도체 국산화 연구지원(10억원) 등
■ 기업수요 기반 기술지원 확대
- 기술닥터(60.7억원), 경기도 바이오기업 R&DB 종합지원(14.8억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10억원), 지식재산창출 및 창업지원(70.8억원), 경기도 민간투자연계형 기술창업지원(10억원),
바이오소재물질 연구장비 고도화(14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강화
- VR/AR 산업 융합지원(8.7억원), 4차 산업혁명 미래농업 기술개발(1.9억원), 드론산업육성지원(5
억원), 경기스타트업랩운영지원(7억원), 데이터산업 육성지원(2.9억원) 등
■ 미래산업기술 인력양성
- 데이터산업 인력양성사업(1.8억원), 지식재산전문 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2억원), 경기도형 연구자중심
의 R&D지원(6억원), 나노기술인력 양성사업(5.6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32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성장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표 3-9-12 ❙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5,565 4 53,343 445 609 111 11,053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3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9-13 ❙ 경기도 미래성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디지털혁신과
∙ 경기테크노파크 육성지원, 스마트공장구축,
∙ 경기대진테크노파크 운영・육성 지원, 지식재산 기본계획 수립
∙ 로봇산업 육성,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 메타버스 산업육성 및 거점센터 운영
∙ 산학융합지구, 안산 강소특구 지원
벤처스타트업과
∙ 경기도 기술창업지원 정책협의회 운영
∙ 경기 스타트업 플랫폼 운영, 경기창업허브 운영
∙ 창업혁신공간 조성 및 운영, 창업보육센터 운영지원 등
∙ 민간투자연계형 기술창업 지원, 기술기반 창업 지원
반도체산업과
∙ 반도체산업 관련 업무계획 수립, 산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
∙ 반도체 테스트베드 관련 사업, 나노기술인력양성사업 등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 반도체 산업단지 인허가 업무
AI빅데이터산업과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AI 기술실증 및 디지털 오픈랩
∙ 경기도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 운영, AI 데이터 산업인력 양성
∙ 공공데이터 개방 시행계획 수립, 기관메타시스템 운영
∙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지표 관리 등
첨단모빌리티산업과
∙ 수소차, 수소충전소, 전기버스, 전기자동차, 친환경차 구매지원 사업 등
∙ 판교제2테크노벨리 조성 • 운영관리
∙ UAM 도입 및 드론산업 지원
∙ 수소산업 육성, 평택 수소교통복합기지 구축사업
바이오산업과
∙ 바이오산업 업무계획 수립
∙ K-바이오밸리 혁신거점 조성
∙ 바이오 산업지원, 뷰티산업 육성지원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329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혁신 및 인력육성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신기술 제안제도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9조에 따른 신기술 제안 심사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해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행정2부지사/ 위촉직 위원은 도지사가 위촉하며 임기 2년(1회 연임 가능, 보궐 위원의 임
기는 전임위원의 남은 기간으로 함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3건
- 경기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2년 실적 및 ’23년 계획(’23.2.28.)
- 2023년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 신규센터 선정(’23.6.15.)
- 2023년 경기도 대학혁신플랫폼 선정, 2023년 경기도민 신기술 제안사업 후보과제 선정
(’23.7.25.)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9-14 ❙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당연직 염태영 경기도 2022.07.15.~2024.07.14
당연직 이희준 경기도 2022.07.15.~2024.07.14
당연직 김현대 경기도 2022.07.15.~2024.07.14
당연직 강성천 경기도 2022.07.15.~2024.07.14
도의원 남경순 경제노동위원회 2022.07.15.~2024.07.14
도의원 - 경제노동위원회 2022.07.15.~2024.07.14
유관기관장 차석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2022.07.15.~2024.07.14
3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경기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기도의 총예산은 103조 1,30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970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09%
- 과학기술 예산 중 경기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80.90%
표 3-9-15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1,031,309
재정자주도(%) 70.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9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7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0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80.90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유관기관장 유동준 경기테크노파크 2022.07.15.~2024.07.14
유관기관장 양은익 경기대진테크노파크 2022.07.15.~2024.07.14
유관기관장 서광석 한국나노기술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정진행 분당서울대학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박철우 한국공학대학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김성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정연승 단국대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김민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변희정 수원대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이은정 경기대학교 2022.07.15.~2024.07.14
민간전문위원 손미애 성균관대 학교 2022.07.15.~2024.07.14
REGIONAL S&T YEARBOOK 2023 33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경기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659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각각 101억 원,
541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9-16 ❙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지원사업
533 133 - 66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경기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경기과학정책연구사업
265 485 - 75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농산물소득조사분석
경기도친환경농산물소득조사및활용방안연
구용역
175 95 - 27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 - -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경기연구원지원
안산시수소시범도시조성사업
10,148 54,117 1,667 65,91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식재산 창출 및 창업지원
기술닥터 지원 사업(경기도)
3,573 29,726 448 33,747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
지역전략작목산학연협력
125 5,620 5,653 11,39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운영지원
원예작물 신품종 육성 및 품질고급화
연구
364 6,812 - 7,17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 - - -
합계 15,183 96,988 7,768 119,917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경기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만 2,690개로 전국의 34.6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4.92% 증가
- 5년간 대학 4개 감소, 공공연구소 7개 증가, 기업 4,844개 증가
표 3-9-17 ❙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9 21.64 75 18.07 75 18.25 76 17.97 75 17.94
∙ 국공립 6 7.59 5 5.95 5 5.88 6 6.98 6 6.82
∙ 사립 73 25.52 70 21.15 70 21.47 70 20.77 69 20.91
공공연구소 67 10.95 66 10.28 68 10.26 75 10.89 74 10.83
∙ 국공립 10 7.63 11 7.69 13 9.09 13 8.50 11 8.03
∙ 정부출연 11 6.59 10 5.92 8 4.91 8 4.71 8 4.85
∙ 병원 및 기타 46 14.65 45 13.64 47 13.17 54 14.75 55 14.44
기업 17,697 36.46 19,368 35.33 20,715 35.41 21,738 34.92 22,541 35.02
∙ 정부투자기관 7 16.67 7 12.73 6 11.11 6 10.17 7 11.48
∙ 민간기업 17,690 36.48 19,361 35.35 20,709 35.43 21,732 34.94 22,534 35.04
합 계 17,843 36.19 19,509 34.91 20,858 35.01 21,889 34.55 22,690 34.6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33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경기도 소재 대학 수는 61개
- 일반대학 30개, 전문대학 3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9-18 ❙ 경기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9 3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30 3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1 - 60 6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경기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36만 3,553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3만 3,784명(전체의 약 9.29%), 공학계열 학생이 10만 4,680
명(전체의 약 28.79%)
표 3-9-19 ❙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33,784 104,680 138,464 31,480 63,390 15,544 33,670 81,005 363,553
비중(%) 9.29 28.79 38.09 8.66 17.44 4.28 9.26 22.2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에 경기도에는 총 10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성균관대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가천대, 경희대, 아주대,한양대가 각각 1개씩 운영 중임
표 3-9-20 ❙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성균관대
(5개 센터)
2017 비임파성 장기 면역 연구센터 SRC
2019 에피지놈 다이나믹스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R2R 인쇄 유연컴퓨터개발 연구센터 ERC
2023 극한 양자기능물질 연구센터 SRC
2023 비대칭 촉매반응 디자인센터 SRC
가천대학교
(1개 센터)
2021 선천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MRC
경희대학교
(1개 센터)
2021 결정기능화공정기술센터 ERC
아주대
(1개 센터)
2019 뇌질환 융합연구센터 MRC
한양대
(1개 센터)
2023 약물대사마이크로바이오믹스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335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는 21년 기준 3개소로 감소하였으나 ‘22년 기준 경희대에 1개 추가되어
’23년 기준 4개로 운영 중임
표 3-9-21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가천대 나노입자 지역혁신센터
경희대
피부생명공학 지역혁신센터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성균관대 정보통신용 신기능성 소재 및 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경기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7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3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9-22 ❙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주)케이벤처스 KAIST-화성시 동탄 사이언스 허브 2023-06-27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24
가톨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12
강남대학교 강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9-09
경기도일자리재단 여성능력개발본부 경기도여성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벤처 창업보육센터 2007-01-24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경기청) 경기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4-07-16
경기대학교 경기 창업보육센터(경기대) 2001-01-01
경기테크노파크 경기테크노파크 안산 창업보육센터 2014-11-13
경민대학교 경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1-22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창업보육센터 1999-03-02
재단법인 군포산업진흥원 군포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7-06-27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4-15
대진대학교 대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3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BMC 창업보육센터 2011-05-19
동서울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우정바이오 웹클라우드 2022-12-01
명지대학교 명지대창업보육센터(용인) 1999-02-2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농생명과학창업지원센터 2001-09-24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성남산업진흥원 성남창업센터 정글ON 2021-07-06
수원대학교 수원대 창업보육센터 2001-04-27
수원시청 수원시 시니어 창업보육센터 2012-05-24
신구대학교 신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16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6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여주대학교 여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30
REGIONAL S&T YEARBOOK 2023 33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연성대학교 연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2
오산대학교 오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올콘텐츠 올콘텐츠 창업보육센터 2022-10-01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1-17
중앙대학교 중앙대휴먼테크노 창업보육센터 2000-12-01
(안산)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안산 포스트BI 1994-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스타트업창업보육센터 2017-11-01
투썬인베스트(주) 투썬창업보육센터 2012-05-07
한경대학교 한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06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창업보육센터 2000-10-06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부천창업보육센터 2017-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한국세라믹기술원(이천분원)
공예디자인 창업보육센터
2011-02-2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창업보육센터 2001-03-24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0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6
한양대학교 에리카 한양대학교 에리카 창업보육센터 1999-03-09
협성대학교 협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2-12
3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기도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10개소로 16개를 운영 중
표 3-9-23 ❙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과천과학관 국립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과학전시관 공립
안성맞춤천문과학관 공립
의정부과학도서관 어린이과학체험실 공립
포천아트밸리 천문과학관 공립
의왕조류생태과학관 공립
한생연 마이크로박물관 사립
재단법인 송암스페이스센터 사립
어메이징파크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일산 사립
아쿠아플라넷 광교 사립
우석현자연사디스커버리센터 사립
광명에디슨뮤지엄 사립
자연과별가평천문대 사립
민제생태환경과학관 사립
한얼테마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39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경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10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680명임
표 3-9-24 ❙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96 298 621 502 410
수혜자 수 11,951 10,216 13,977 16,416 12,680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기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2명 양성
표 3-9-25 ❙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기도경제과학
진흥원
5
전용공간
2개(121㎡)
17 27,728 75.8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는 5만 8,24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만 2,839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0.7% 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5.3%씩 감소
표 3-9-26 ❙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48,764 46,133 47,175 49,685 54,696 57,830 58,241
특허등록 건수 23,381 24,820 25,440 27,708 31,565 34,663 32,83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경기도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만 7,347편, 주저자 기준으로 8,072편으로
각각의 점유율은 전국 논문 수의 22.51%, 13.43%임
표 3-9-27 ❙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14,116 22.14 281,954 19.97 6,888 13.13 109,845 15.95
2019 14,709 21.88 228,643 15.54 7,104 12.95 95,725 13.47
2020 16,128 21.89 191,299 11.86 7,739 12.98 77,039 9.95
2021 17,720 22.19 124,472 7.02 8,422 13.23 48,491 5.76
2022 17,347 22.51 39,481 2.28 8,072 13.43 15,194 1.8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34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혁신으로 경기도 디지털 경제 활성화 및 도민의 삶의 질 향상
■ 목표 :
- 글로벌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 혁신클러스터 활성화로 첨단산업의 성장 거점 확충
-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및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
■ 추진전략 :
-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성장 동력확보 및 R&D 역량 강화
- 글로벌 신산업 육성
-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 과학문화 저변확대
3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과학기술 인력양성
- 지역균형발전 기여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미래성장 동력확보 및 R&D 역량 강화
➊ 글로벌 신산업 육성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바이오) 바이오소재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술 활용 기반 구축, 공공 연구장비 및 기업지원 기술 고
도화 등을 통해 기업지원의 효과성 제고
- (미래차) 실제 자율주행 도시를 구현하고 스마트모빌리티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 및 경기도형 UAM
도입 기본계획 수립
- (반도체) 반도체 핵심 소재부품 경쟁력 제고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기술개발, 인프라, 인력양성
등 기반구축
➋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데이터・AI기술 실증) 차량 데이터의 가공기술 고도화 및 지역기업의 데이터・AI 활용 제조혁신 촉진
- (디지털융합 실증) 메타버스 실증지원, 메타버스 스타기업 육성, 메타버스 공공서비스 적용 실증
- (스마트 제조혁신) 스마트 제조혁신 인프라 구축・활용 및 스마트 제조혁신 보급 확대
➌ 첨단기술분야 유망기업 육성
- 로봇, 메타버스, 디스플레이 등의 첨단산업 및 기업 육성
➍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지원
-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 혁신주체(산・학・연) 대상 R&D 지원
- 섬유 뷰티산업 등 지역특화산업 기술경쟁력
- 기술창업 촉진을 위한 교육, 공간, 기술 등을 지원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➊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광교) BT-IT 융복합 혁신거점을 위한 인프라 구축,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 추진
- (판교) 첨단 ICT기업 집적, 스마트모빌리티 실증허브 및 시스템 반도체 거점으로 자리매김
REGIONAL S&T YEARBOOK 2023 343
- (안산) 소재・부품・장비 중심 강소특구 활성화 및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화
➋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제3판교, 광명시흥, 양주, 고양/파주(바이오메디컬) 테크노밸리 조성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➊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 해결 및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서비스 도입
➋ 과학문화 저변확대
- 시・군협력 과학축제 개최 및 생애주기별 과학교육 추진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➊ 과학기술 인력양성
-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관련 교육과정 지원 및 채용 연계 프로그램 운영
➋ 지역균형발전 기여
- 경기북부의 혁신역량 확충을 위해 인프라 확충, 디지털 전환 촉진 및 지식재산권 획등 지원 등을 통
해 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➌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 과학기술정책 추진체계 강화 및 R&D투자 확대
- 과학기술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기초자료 수집 근거 마련, 평가체계 도입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
3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0절 강원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강원특별자치도 인구는 약 152만 명으로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강원도 인구 비율은 2.95%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0-1 ❙ 강원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521,442 1,520,117 1,519,291 1,520,457 1,525,912
전국인구대비 비율(%) 2.95 2.94 2.94 2.94 2.95
경제활동참가율(%) 62.5 64.6 63.3 63.7 63.9
실업률(%) 2.9 3.6 3.9 3.6 3.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34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강원특별자치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8.2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57%의 증가율
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34.23%)에 이어 기타서비스업(32.61%)이 강원도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업은 5년 간 2.0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0-2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4,574,334 46,064,137 44,829,136 46,781,331 48,179,338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831,342 2,996,375 2,808,756 2,889,910 2,857,561
(지역내비중, %) (6.35) (6.50) (6.27) (6.18) (5.93)
제조업 4,522,342 4,513,955 4,435,026 4,548,117 4,653,930
(지역내비중, %) (10.15) (9.80) (9.89) (9.72) (9.66)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327,592 1,363,826 1,064,884 1,162,498 1,299,216
(지역내비중, %) (2.98) (2.96) (2.38) (2.48) (2.70)
건설업 3,428,645 3,492,241 3,628,057 3,652,281 3,231,990
(지역내비중, %) (7.69) (7.58) (8.09) (7.81) (6.71)
기타서비스업 14,543,932 15,195,782 13,992,712 14,699,062 15,713,126
(지역내비중, %) (32.63) (32.99) (31.21) (31.42) (32.6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4,872,893 15,249,639 15,479,089 16,352,687 16,491,069
(지역내비중, %) (33.37) (33.11) (34.53) (34.96) (34.23)
순생산물세 3,087,178 3,297,522 3,334,702 3,384,630 3,921,085
(지역내비중, %) (6.93) (7.16) (7.44) (7.24) (8.14)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3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강원도 제조업의 총 생산액은 약 13조 4,737억원, 1,05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만
9,74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모두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약 3조 4,058억 원(전체의 25.28%),
이 334개(전체의 31.78%), 9,979명(전체의 25.11%)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0-3 ❙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405,770 25.28 334 31.78 9,979 25.11
음료 제조업 1,284,329 9.53 25 2.38 1,500 3.7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3,212 0.25 11 1.05 211 0.5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29 40 0.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82,262 5.06 31 2.95 2,370 5.9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28,287 3.18 49 4.66 1,389 3.4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534,311 18.81 155 14.75 4,782 12.03
1차 금속 제조업 394,035 2.92 11 1.05 130 0.33
전기장비 제조업 564,493 4.19 50 4.76 1,116 2.8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77,144 4.28 61 5.80 1,836 4.6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85,111 9.54 38 3.62 2,249 5.6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863 0.03 2 0.19 - -
가구 제조업 11,271 0.08 11 1.05 161 0.41
기타 제품 제조업 53,948 0.40 16 1.52 256 0.6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66,775 0.50 20 1.90 441 1.1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9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02,028 2.98 67 6.37 1,091 2.7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6,669 0.42 14 1.33 258 0.6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48,738 6.30 50 4.76 2,481 6.2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9,698 0.59 10 0.95 185 0.4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9,830 0.82 14 1.33 252 0.6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8,829 0.29 4 0.38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2,726 0.69 17 1.62 344 0.87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15,117 3.82 56 5.33 2,106 5.30
합 계 13,473,702 100 1,051 100 39,744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34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
료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0-4 ❙ 강원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강원도는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과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환경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
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0-5 ❙ 강원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23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정책기획)
강원바이오헬스산업 중장기(’23~‘30)발전 전략기획(정책기획)
강원연구개발지원단의 역량 및 기능 강화(과학기술 R&D 기획・관리)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역량 강화(과학문화 정책기획 및 활성화 플랫폼
운영)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환경 기반의
미래산업 육성
강원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R&D 지원 및 인프라 구축)
강원 양자정보기술 생태계 조성(R&D 및 인프라 구축)
강원 소규모 의료기기 기업 엑셀러레이팅 지원(R&D 및 기업지원)
강원 바이오 유망기업 성장패키지 지원(기업지원)
바이오 스타기업 IPO 지원(기업지원)
강원 지식재산 첫걸음 지원(기업지원)
강원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플랫폼 운영 및 기업지원)
강원연구원 운영지원(정책기획)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강원본부 운영지원금 사업(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의 기업 R&D
지원)
뿌리산업경쟁력강화지원 사업(제조기업 R&D 지원)
※ 출처 : 강원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34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24개, 도시첨단단지 6개, 농공산업단지 47개가 있음
- 총 7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869개, 총 종사자 수는 33,305명
표 3-10-6 ❙ 강원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북평국가 4,278 1,861 71 47 1,010 99 완료
일반
강릉과학 1,487 1,487 158 145 1,585 94 완료
강릉중소 164 164 36 25 339 100 완료
원주자동차부품 93 93 6 5 110 100 완료
남면 65 65 1 1 X 100 완료
전력IT문화복합 354 354 13 12 290 100 완료
홍천북방 525 525 2 2 X 100 완료
우천 756 755 17 17 970 100 완료
삼척종합발전 2,583 2,583 1 - - 100 조성중
남춘천 1,453 1,453 20 3 59 100 조성중
북평제2 593 593 - - - 28 조성중
강릉옥계 482 482 1 - X 100 조성중
송정 323 323 1 1 X 100 완료
동화 409 409 26 24 1,030 100 완료
부론 609 609 - - - - 조성중
플라즈마 316 315 - - - - 조성중
동점(구 태백스포츠) 216 218 5 5 25 80 완료
문막[재생사업지구] 410 410 26 21 1,069 100 완료
문막반계 423 420 34 26 682 92 완료
우산 355 355 22 17 1,521 100 완료
포진 96 96 - - - - 조성중
후평[재생사업지구] 483 483 319 306 1,439 100 완료
호산(LNG) 982 980 1 1 X 100 완료
동춘천(구 봉명) 539 539 25 15 556 89 완료
옥계첨단소재융합 383 383 - - - - 조성중
도시
첨단
춘천도시첨단문화 187 187 37 34 430 100 완료
춘천도시첨단정보 25 25 1 1 X 100 완료
3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삼성SDS춘천센터 40 40 1 1 X 100 완료
네이버도시첨단
(구 춘천NHN)
100 100 1 1 X 100 완료
강원대캠퍼스혁신파크 67 66 - - - - 미개발
홍천 46 46 - - - - 미개발
농공
주문진 143 143 41 41 775 100 완료
근덕 130 130 28 28 217 100 완료
도계 71 68 10 10 45 100 완료
대포제2 106 106 31 31 422 100 완료
동화 332 332 44 40 1,146 100 완료
문막 501 501 37 35 1,819 100 완료
태장 298 297 121 112 1,230 100 완료
거두 297 297 26 26 1,414 100 완료
당림 53 53 1 1 X 100 완료
창촌 114 114 26 25 187 100 완료
퇴계 341 341 170 160 1,906 100 완료
수동 77 77 6 6 1,883 100 완료
장성 137 137 17 13 136 93 완료
철암 127 127 29 27 244 100 완료
고성해양심층수전용 100 100 24 18 240 100 완료
향목 34 33 13 11 87 100 완료
하리 143 142 28 28 185 100 완료
포월 117 115 39 39 358 100 완료
영월 114 114 17 12 123 100 완료
영월제3 259 257 23 20 196 100 완료
팔괴 143 143 27 25 231 100 완료
원통 144 144 36 35 206 100 완료
예미 107 107 7 7 120 89 완료
증산 118 118 41 41 302 100 완료
함백 100 100 5 5 83 100 완료
갈말 129 129 3 3 99 100 완료
김화 148 148 27 27 352 95 완료
방림 62 62 11 11 118 100 완료
평창 106 106 40 40 249 100 완료
상오안 127 127 25 19 361 100 완료
양덕원 42 42 2 2 X 100 완료
화전 269 269 21 19 281 100 완료
원천 112 112 28 23 21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5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공근 329 329 31 27 659 91 완료
묵계 176 175 13 13 833 100 완료
우천 173 173 17 17 778 100 완료
우천제2 329 329 29 24 677 100 완료
대포제3 162 162 49 49 538 98 완료
동송 176 176 18 14 292 83 완료
양양제2그린 103 102 16 13 150 100 완료
주문진제2 158 158 17 17 255 100 완료
대포제1 178 177 36 36 359 100 완료
귀둔 54 54 25 26 - 26 완료
북방 101 101 - - - - 조성중
퇴계제2 93 93 34 11 138 100 완료
고성제2특화농공단지 130 130 - - - - 미개발
양양친환경스마트육상
연어양식농공단지
106 106 - - - - 미개발
3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강원도에는 총 701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77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
비스업’이 73개, ‘건설업’이 4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88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66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52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0-7 ❙ 강원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5 7
광업(05~08) 3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2 72 88
음료 제조업 6 5 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 7 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8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7 48 5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6 23 2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 19 2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 18 21
1차 금속 제조업 8 8 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6 23 2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7 24 2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4 67 66
전기장비 제조업 48 36 37
REGIONAL S&T YEARBOOK 2023 35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1 35 4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 8 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 4 6
가구 제조업 7 3 3
기타 제품 제조업 29 21 2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2 1
건설업(41~42) 44 37 40
도매 및 소매업(45~47) 11 14 18
운수 및 창고업(49~52) -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1
정보통신업(58~63) 61 65 7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5 65 7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3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731 625 701
3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강원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2,348명(전국의 1.5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2.14%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7,041명(전국의 3.17%)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3,410명(전국의 0.65%), 공공연구소는 1,897명(전국의 2.7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0-8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631 3.45 7,041 3.63 7,404 3.58 8,099 3.85 7,041 3.17
∙ 국공립 4,272 5.38 4,437 5.55 4,581 5.29 4,970 5.72 3,926 4.37
∙ 사립 2,359 2.09 2,604 2.28 2,823 2.34 3,129 2.54 3,115 2.35
공공연구소 1,551 2.66 1,623 2.60 1,712 2.67 2,064 3.10 1,897 2.77
∙ 국공립 1,021 8.34 981 7.61 985 7.68 1,241 9.24 1,074 8.09
∙ 정부출연 161 0.49 207 0.60 222 0.65 207 0.61 240 0.69
∙ 병원 및 기타 369 2.72 435 2.89 505 2.91 616 3.20 583 2.84
기업 2,924 0.66 3,091 0.67 3,079 0.65 3,325 0.65 3,410 0.65
∙ 정부투자기관 63 1.61 67 1.74 60 1.60 84 2.17 75 1.88
∙ 민간기업 2,861 0.66 3,024 0.66 3,019 0.64 3,241 0.64 3,335 0.64
합 계 11,106 1.61 11,755 1.64 12,195 1.63 13,488 1.72 12,348 1.5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55
■ ’22년 강원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1명 감소한 46.1명으로 조사됨
표 3-10-9 ❙ 강원특별자치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1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44.2 46.6 47.8 52.2 46.1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강원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7,635억 원(전국의 0.68%) 17개 시・도 중 15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65%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ㄷ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858억 원(전국의 2.77%), 공공연구소
는 약 1,627억 원(전국의 1.26%), 기업이 약 3,151억 원(전국의 0.35%)
표 3-10-10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3,091 2.46 178,700 2.42 200,785 2.40 246,849 2.65 285,810 2.77
∙ 국공립 97,089 3.14 105,432 3.22 110,209 2.92 124,630 2.96 159,094 3.51
∙ 사립 76,002 1.92 73,268 1.79 90,576 1.98 122,219 2.39 126,716 2.19
공공연구소 105,654 1.07 95,624 0.94 106,830 0.96 147,343 1.23 162,658 1.26
∙ 국공립 41,215 5.06 40,243 4.82 38,381 4.51 49.709 5.14 49,090 4.81
∙ 정부출연 45,835 0.61 31,134 0.40 37,007 0.45 42,461 0.49 69,624 0.75
∙ 병원 및 기타 18,604 1.26 24,247 1.59 31,442 1.59 55,173 2.39 43,944 1.67
기업 203,012 0.29 242,892 0.34 247,475 0.34 291,710 0.36 315,052 0.35
∙ 정부투자기관 6,921 0.76 4,550 0.52 6,976 0.80 12,326 1.43 13,719 1.54
∙ 민간기업 196,091 0.29 238,342 0.34 240,499 0.33 279,384 0.35 301,333 0.34
합 계 481,757 0.56 517,215 0.58 555,090 0.60 685,902 0.67 763,520 0.6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강원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21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50
표 3-10-11 ❙ 강원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804 2,996 3,156 3,601 4,217
(1.4) (1.5) (1.4) (1.5) (1.6)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22 투자실적)
■ 4차산업 혁명 고도화 대응을 위한 강원지역 유망 신산업 육성
- 강원도 e-Mobility 클러스터 조성: 지방비 157억
- 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 지방비 17억원
-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사업: 지방비 13억원
- 정밀의료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업: 지방비 2억원
- VR・AR 제작 거점센터 운영 사업: 지방비 16억원
- 탄소중립 융복합 자원화 단지 조성(신규): 지방비 2억원
- 디지털 융합 자동차 부품 혁신 지원센터 구축(신규): 지방비 30억원
- 면역항체 치료소재 개발지원센터 구축(신규): 지방비 18억원
- 해양 헬스케어 융합 산업 생태계 구축(신규): 지방비 6억원
- 메타버스 허브 구축(신규): 지방비 19억원
■ 강원도 내 기 구축된 바이오, 신소재, IT 등 전략 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과학기술 역량 강화 실현
-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운영 지원: 지방비 20억원
- 바이오 유망기업 육성 종합컨설팅: 지방비 4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357
- 강원 소규모의료기기 기업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지방비 10억원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사업: 지방비 9억원
-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지방비 8억원
- 플라즈마산업 상용화 기술개발지원: 지방비 4억원
- SW융합클러스터2.0(특화산업강화): 지방비 22억원
- 강원ICT 융합 신기술 기업지원: 지방비 1억
- 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신규): 지방비 26억원
- 의료기기 국제인증지원센터 구축(신규): 지방비 10억원
- 의료기기 임상시험 역량 강화 지원(신규): 지방비 6억원
■ 지역 소멸과 인구 고령화와 같은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투자 지원 정책 추진
- 강원 R&D 혁신체계 구축: 강원과학기술연구회 구성・운영 2회
-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지방비 13억원
-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지방비 36억원
-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지원: 지방비 12억원
- 취업연계 IP 지역인재 양성: 지방비 2억원
- 이공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지원(신규): 지방비 0.2억원
3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0-1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강원특별자치도 홈페이지
표 3-10-12 ❙ 강원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31 2 17,096 320 430 33 4,266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59
(나) 역할
표 3-10-13 ❙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전략산업과 ∙ 전략산업 육성 기획・조정, 첨단산업육성 중장기계획
∙ 지역산업발전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지역산업 육성사업 총괄
∙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디자인산업 육성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 추진, 스마트특성화사업 추진
∙ 이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및 산업육성 기술개발(R&D) 지원
∙ 미래차 핵심부품 밸류체인 조성 및 산업육성, 특수목적형 자동차 튜닝클러스터 조성 및 활성화
∙ 인공태양 핵심기술연구단지 조성 추진, 국가 고자기장 연구소 설립・유치 추진
∙ 강원 양자정보기술 육성 전략 수립, 양자팹 구축 및 양자클러스터 지정 기획
∙ 드론 산업 육성 계획 수립, 강원도형 UAM 시제기 개발 사업 추진
투자유치과 ∙ 투자유치(관광, 기업 등) 정책개발 및 기본계획 수립
∙ 수도권 및 타시도 이전기업, 국내복귀기업 유치
∙ 외자유치 전략 수립 및 투자기반 조성,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유치
∙ 산업입지 공급계획 및 산업단지 관리계획 수립
∙ 혁신・기업도시 개발 건설 및 공공기관 이전 추진
바이오헬스과 ∙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추진
∙ 보건의료데이터기반 AI・ICT 융합산업 육성
∙ 디지털헬스케어・정밀의료 관련 특구사업 추진
∙ 도내 바이오헬스 혁신기관 협력사업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중화항체 면역치료제 개발센터 구축사업 추진
∙ 면역항체 치료소재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 헬스케어 힐링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사업 추진
∙ 디지털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사업 추진
∙ 영상유도 방사선 치료시스템 상용화 생태계 조성 추진
∙ 차세대 생명・건강 산업생태계조성 추진
에너지정책과 ∙ 에너지 종합대책 수립, 신재생에너지 중장기계획 수립
∙ 지역에너지 정책 추진 및 이용 합리화 교육・홍보사업 추진
∙ 지역에너지 중장기계획 수립 및 총괄, 에너지이용합리화 실시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열에너지 교육 및 R&D 등 기반 구축사업 추진, 민간부문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개발 및
추진, 신재생에너지 통계관리 등 데이터 베이스 구축
∙ 바이오가스 자동차연료화사업 종합계획 수립, 기술도입 및 생산설비 건립 추진, 관련 탄소배출
권사업 등록 업무 추진
∙ 바이오에너지 보급 활성화 대책 추진,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수립, 온실가스 부문별 감축대책
수립 및 추진
∙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추진
빅데이터산업과 ∙ 디지털・데이터 산업기반 및 산업생태계 육성, 디지털 및 데이터 전문기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기반 구축
∙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사업 추진, 그린홈 보급사업 추진
∙ 스마트팜 특화산업단지 조성 총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활성화 기본/시행계획 수립・추진
∙ 빅데이터 산업육성 기반 구축 및 산업생태계 육성, 데이터기반 행정 활성화 관련법령 분석 및
자체계획 수립
반도체산업추진단 ∙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 수립, 강원 반도체 산업 전담기구 설립 추진
∙ 반도체기업 유치 전략 수립 추진, 반도체 제조 기업 및 연관기업, 연구소 등 유치 추진
∙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등 기반 조성 추진
3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현황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강원도과학기술진흥조례」제4조(‘23. 6월 개정 / ‘23. 6. 11 시행)
■ 주요기능 및 역할(심의의결 사항 포함)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진흥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 정책 자문, 심의・자문의 역할
- 국외 및 정부 과학 기술 동향 파악, 지역내 대형 국책과제 수주를 위한 공동 기획・의견 수렴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1회 연임 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
- 제6차 강원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및 2023년 강원과학기술진흥시행계획 심의 의결
(’23.02.24.~27.)
- ‘23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계획 보고, 제8회 강원과학기술대상 및 제3회 강원미래과학자상
선정 의결, ’23년 강원과학기술혁신계획내 중점과학기술분야 선정 의결, ‘24년 지역혁신 선도연
구센터 중점과학기술분야 선정 의결(’23.10.13.)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0-14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종석 한림대학교 AI융합전공과 2022.09.04.~2024.09.03.
부위원장 이대희 강릉원주대학교 해양바이오식품학과 2023.08.13.~2025.08.12.
위원 강창수 강원특별자치도경제진흥원 지식재산센터 2023.08.13.~2025.08.12.
위원 김경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지역본부 2022.09.04.~2024.09.03.
위원 김수남 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천연물연구센터 2023.08.13.~2025.08.12.
위원 김치호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종합지원본부 2023.08.13.~2025.08.12.
위원 김현경 강원대학교 재료공학과 2022.09.04.~2024.09.03.
위촉 라문진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천연물화학연구실 2023.08.13.~2025.08.12.
위촉 박미리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2023.08.13.~2025.08.12.
위촉 박성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밀의학과 2022.09.04.~2024.09.03.
위촉 박정안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2023.08.13.~2025.08.12.
REGIONAL S&T YEARBOOK 2023 361
※ 출처 : 강원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강원도의 총예산은 24조 9,17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588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24%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강원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0.52%
표 3-10-15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 산 249,177
재정자주도(%) 71.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164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8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0.52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촉 성조환 강원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 2022.09.04.~2024.09.03.
위촉 손선영 상지대학교 반도체에너지공학과 2023.08.13.~2025.08.12.
위촉 유지욱 前)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원장 2023.08.13.~2025.08.12.
위촉 이혜영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임상병리학과 2022.09.04.~2024.09.03.
위촉 정태윤 강원ICT 융합연구원 2022.09.04.~2024.09.03.
위촉 남진우 강원특별자치도 산업국 -
3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강원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420억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188억 원, 229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10-16 ❙ 강원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스크립스코리아 항체연구원 운영지원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 3,216 - 3,21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강원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180 5,214 - 5,39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수소충전소 및 수소자동차 보급사업
이공계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1,588 1,488 - 3,07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메타버스 허브구축
18,334 15,581 4,254 38,16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식재산 창출지원 사업
지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2,161 2,328 - 4,489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VR.AR제작거점센터 구축(강원)
지식재산 기반 창업촉진 사업
1,929 1,943 343 4,215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
SW융합클러스터 2.0(특화산업강화)
9,034 6,248 591 15,87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e-Mobility 생산, 수출단지 조성
퀀텀닷 나노소재 기반연계 플랫폼 사업
18,811 22,862 340 42,013
합계 52,037 58,880 5,528 116,44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36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강원도의 연구개발조직은 830개로 전국의 1.2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4.34% 증가
- 5년간 대학 3개 감소, 공공연구소 5개 증가, 기업 157개 증가
표 3-10-17 ❙ 강원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 5.21 15 3.61 14 3.41 16 3.78 16 3.83
∙ 국공립 6 7.59 6 7.14 6 7.06 6 6.98 6 6.82
∙ 사립 13 4.55 9 2.72 8 2.45 10 2.97 10 3.03
공공연구소 32 5.23 34 5.30 37 5.58 38 5.52 37 5.42
∙ 국공립 10 7.63 10 6.99 11 7.69 13 8.50 12 8.76
∙ 정부출연 7 4.19 6 3.55 6 3.68 7 4.12 7 4.24
∙ 병원 및 기타 15 4.78 18 5.45 20 5.60 18 4.92 18 4.72
기업 620 1.28 660 1.20 684 1.17 744 1.20 777 1.21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2 3.70 2 3.39 2 3.28
∙ 민간기업 618 1.27 658 1.20 682 1.17 742 1.19 775 1.21
합 계 671 1.36 709 1.27 735 1.23 798 1.26 830 1.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강원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0-18 ❙ 강원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강원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7,619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787명(전체의 약 13.90%), 공학계열 학생이 1만 5,278명
(전체의 약 19.68%)
표 3-10-19 ❙ 강원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0,787 15,278 26,065 16,865 6,216 5,396 6,096 16,981 77,619
비중(%) 13.90 19.68 33.58 21.73 8.01 6.95 7.85 21.8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36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강원도에는 강원대가 2개, 연세대가 2개, 한림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0-20 ❙ 강원특별자치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강원대학교
(2개 센터)
2020 바이오 신약 혁신소재 융합 선도연구센터 RLRC
2023
인문의료인 양성과 전인적 환자 돌봄을 위한 의료 • 인문 케어
센터
CRC
연세대학교
(2개 센터)
2017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자기방어 연구센터 MRC
2023
소아 • 노인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을 향한
자율보행로봇(‘Miracle’)개발 센터
CRC
한림대학교
(1개 센터)
2022 뇌혈관질환 전주기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 플랫폼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3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한림대와 강릉원주대의 사업이 종료되면서, ’23년 강원도의 지역혁신센터 수는 총 2곳 운영 중
표 3-10-21 ❙ 강원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강원대 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 지역혁신센터
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강원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0-22 ❙ 강원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1-05-23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01
강릉영동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1-29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창업보육센터 2000-11-02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강원 창업보육센터 2000-10-31
강원도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9-21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6-23
동해시청 동해시창업보육센터 2000-11-30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창업보육센터 2021-07-06
강원대학교삼척산학협력단 삼척 창업보육센터 2002-04-29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7-23
연세대학교(원주) 연세원주 창업보육센터 2000-01-20
REGIONAL S&T YEARBOOK 2023 36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강원도에는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5개를 운영 중
표 3-10-23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토정중앙천문대 공립
홍천생명건강과학관 공립
로하스파크 와카푸카 사립
한생연 자연속과학체험관 사립
천문인마을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영월군청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2020-03-31
(원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원주 포스트BI 1997-04-21
한라대학교 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7-03
한림대학교 한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4-01
3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강원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강원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54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242명임
표 3-10-24 ❙ 강원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64 389 443 555 554
수혜자 수 9,520 9,928 7,537 11,652 11,24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강원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3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6명 양성
표 3-10-25 ❙ 강원특별자치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강원연구원 5
전용공간
1개(32.39㎡)
19 42,629 53.9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6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강원도 특허출원 건수는 2,80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424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3.1%, 16.5% 감소
표 3-10-26 ❙ 강원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2,410 2,572 2,666 2,604 2,800 2,898 2,807
특허등록 건수 1,291 1,459 1,479 1,462 1,572 1,706 1,42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2년 강원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432편, 주저자 기준 1,949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75%, 3.24%를 차지
표 3-10-27 ❙ 강원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422 5.37 56,715 16.57 1,497 2.85 20,066 13.40
2019 3,752 5.58 53,517 14.26 1,628 2.97 17,740 10.90
2020 4,186 5.68 42,483 10.15 1,795 3.01 15,462 8.61
2021 4,477 5.61 28,013 6.26 1,971 3.10 10,652 5.40
2022 4,432 5.75 8,257 1.86 1,949 3.24 3,158 1.6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3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강원특별자치도를 선도하는 혁신적 과학기술 성과 창출
■ 목표 : 과학기술 고도화와 지역산업육성의 연계
■ 추진과제 및 전략
- 지역 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 전략 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환경 기반의 미래산업 육성
-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 에너지 청정수소 첨단벨트 구축
- 삼척 LNG 기지 중심의 액화수소 에너지 거점도시 조성
- 강원 동해 남부권 수소항만 특별구역 지정 추진
■ 지속가능한 미래모빌리티 첨단산업벨트 구축
- 소형 화물차 이모빌리티 핵심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 미래지능형 모빌리티 산업의 기술 및 인프라 확충 추진
■ 강원형 바이오 첨단산업벨트 구축
-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메가펀드 조성
- 바이오헬스 규제샌드박스 운영 추진
■ 디지털 기반 의료산업 첨단 산업벨트 구축
- 디지털, 빅데이터, 인공지능 첨단기술 융합 건강정보 고속도로 구축
- 개인 맞춤형 의료 제공 추진
■ 강원 퀀텀산업 첨단산업벨트 구축
- 양자암호통신의 상용화
- 퀀텀벨리 조성을 통한 양자산업 생태계 육성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3 371
■ 강원특별자치도 5대 첨단 벨트 구현을 위한 5대 핵심 프로젝트 추진
- 공공 반도체장비 테스트 베드 구축
- 데이터산업 수도 육성
- 메타버스 거점도시 조성
- 탄소중립 융복합 자원화 단지 조성
- 강원특별자치도 공공서비스 디지털 전환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 지역주도 과학기술 기획, 투자 및 평가 혁신을 위한 R&D 전담기관의 기능 강화
- 지역 과학 문화 활성화 지원 확대 사업 추진
■ 전략 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환경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 산학연 연계 전략산업의 고도화 실현을 위한 R&D 인프라 개선 및 구축 추진
- 지역 연구 거점 기관 중심의 미래 과학기술 기반 마련 사업 추진
■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 R&D 성과 기반의 기술 창업 및 사업화 촉진 지원 활성화 체계 구축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과학기술 전문 인력 양성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추진
3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1절 충청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충북의 인구는 약 163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충북 인구의 비율은 3.16%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1-1 ❙ 충청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618,090 1,629,249 1,630,839 1,632,358 1,633,687
전국인구대비 비율(%) 3.14 3.15 3.15 3.15 3.16
경제활동참가율(%) 64.9 64.9 65.3 65 66.5
실업률(%) 2.4 3.1 3.2 2.5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37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북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3.6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26%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7.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1.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5.72%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4.1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1-2 ❙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65,830,010 66,927,772 65,926,194 70,448,338 73,629,729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109,543 2,098,387 1,883,532 1,967,885 2,027,391
(지역내비중, %) (3.20) (3.14) (2.86) (2.79) (2.75)
제조업 29,827,447 30,618,962 30,143,548 33,767,144 34,851,123
(지역내비중, %) (45.31) (45.75) (45.72) (47.93) (47.3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49,567 459,070 749,203 759,148 870,460
(지역내비중, %) (0.68) (0.69) (1.14) (1.08) (1.18)
건설업 4,118,895 3,579,025 3,142,334 3,064,922 3,619,359
(지역내비중, %) (6.26) (5.35) (4.7)7 (4.35) (4.92)
기타서비스업 14,464,985 14,819,854 14,577,152 15,130,535 15,809,237
(지역내비중, %) (21.97) (22.14) (22.11) (21.48) (21.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9,937,666 10,379,439 10,642,566 11,272,635 11,576,505
(지역내비중, %) (15.10) (15.51) (16.14) (16.00) (15.72)
순생산물세 4,916,425 5,001,140 4,924,170 4,782,949 5,098,030
(지역내비중, %) (7.47) (7.47) (7.47) (6.79) (6.9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3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충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4조 5,796억 원이고, 3,24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
만 8,62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이 약 19조 1,303억 원(전체의 20.23%)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491개(전체의 15.14%), 2만 5,891명(전
체의 14.4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1-3 ❙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2,046,124 12.74 491 15.14 25,891 14.49
음료 제조업 1,674,296 1.77 27 0.83 1,559 0.8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55,234 0.27 31 0.96 459 0.2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546 0.01 21 0.65 491 0.2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136,254 5.43 88 2.71 7,108 3.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065,075 5.36 381 11.74 13,032 7.3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409,318 3.60 270 8.32 8,056 4.51
1차 금속 제조업 2,742,973 2.90 113 3.48 3,702 2.07
전기장비 제조업 19,130,289 20.23 221 6.81 24,552 13.7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375,187 3.57 238 7.34 10,446 5.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701,355 8.14 196 6.04 13,726 7.6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81,580 0.19 11 0.34 243 0.14
가구 제조업 563,290 0.60 44 1.36 1,025 0.57
기타 제품 제조업 349,743 0.37 30 0.92 1,248 0.7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59,723 0.17 28 0.86 850 0.4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17,977 0.12 8 0.25 65 0.0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302,719 3.49 361 11.13 11,337 6.3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65,289 0.91 76 2.34 2,208 1.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812,295 1.92 67 2.07 2,685 1.5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105 0.01 8 0.25 152 0.0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378,650 15.20 121 3.73 23,488 13.1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61,070 0.06 6 0.18 53 0.0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236,683 2.36 117 3.61 4,006 2.24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9,997,821 10.57 290 8.94 11,335 6.35
합 계 94,579,596 100 3,244 100 178,62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37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모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료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1-4 ❙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가구제조업
낮음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
비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1차금속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북도는 ‘지능형 IT 부품’와 ‘바이오헬스 분야’, ‘수송기계 분야’, ‘에너지소재부품 분야’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1-5 ❙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능형 IT 부품
지역특화사업(지능형IT부품)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반도체융합부품)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스마트안전관리)
바이오헬스
바이오 제품 안정성 시험비용 지원사업
바이오세라믹 소재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바이오 국제 공동연구사업
수송기계
지역특화사업(수송기계소재부품)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미래차 전장부품)
자동차 부품산업 경쟁력 고도화 지원사업
에너지소재부품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사업
이차전지 기술시장 경쟁력강화 지원
충북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사업
※ 출처 : 충청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37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89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44개가 있음
- 총 13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452개, 총 종사자 수는 122,238명
표 3-11-6 ❙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보은 4,178 4,179 1 1 X 100 조성중
오송생명과학 4,833 2,595 73 63 5,217 100 완료
일반
제천 1,472 1,472 45 43 3,109 100 완료
제천제2 1,307 1,307 53 47 1,921 100 완료
청주[재생사업지구:부분] 4,098 4,098 714 686 25,758 100 완료
청주테크노폴리스 3,804 1,937 19 15 3,245 100 조성중
중원 375 375 23 23 585 100 완료
충주DH 77 77 2 2 X 100 완료
만정 50 50 2 2 X 100 완료
충주제1 1,286 1,286 41 36 2,064 100 완료
충주제3 129 129 7 6 106 100 완료
충주제4 176 176 3 3 261 100 완료
충주첨단 1,992 1,920 60 52 2,239 100 완료
괴산첨단 468 468 11 3 484 - 완료
주곡 149 149 - - - - 조성중
영동 999 999 29 19 598 98 완료
청산 353 352 10 10 64 88 완료
금왕 571 571 8 7 1,091 98 완료
대풍 439 435 10 10 964 100 완료
맹동 419 419 48 41 1,227 100 완료
원남 1,113 1,111 79 59 2,042 100 완료
육령 63 63 1 - - 100 완료
음성이테크 135 135 21 13 139 100 완료
음성하이텍 397 397 18 14 1,211 100 완료
중부 148 148 4 1 X 100 완료
증평 682 682 11 9 1,844 100 완료
증평2 702 703 34 29 1,037 100 완료
이월 300 283 4 4 405 100 완료
3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초평은암 611 611 12 6 1,065 100 완료
리노삼봉 246 245 9 7 144 100 조성중
문백정밀기계 400 400 4 4 141 100 완료
괴산자연드림파크산업단지
(구 괴산유기식품)
806 806 14 14 261 27 조성중
단양(구 단양신소재) 351 350 10 10 137 87 완료
상우(구 감곡) 581 582 - - - 100 조성중
문백금성 118 118 2 2 X 100 완료
문백태흥(구 태략협동화) 97 97 3 1 X 100 조성중
대신 47 47 1 1 X 100 완료
덕유 60 60 1 - - - 완료
생극 457 457 37 30 414 100 완료
죽현 145 145 2 2 X 100 완료
KGC예본(구 KT&G) 87 87 1 1 X 100 완료
일반
괴산대제(건축자재) 849 849 39 36 532 100 완료
오선 459 459 20 13 257 100 완료
오창과학 9,450 9,139 170 169 22,899 99 완료
오창제2 1,390 1,390 8 8 3,725 100 완료
현도 719 719 4 4 646 100 완료
옥산 1,393 1,393 57 53 2,411 100 완료
청주에어로폴리스2지구 409 409 - - - - 조성중
유촌 413 413 39 22 450 100 완료
강내 67 66 1 - - 100 완료
산수 1,304 1,296 73 70 4,046 100 완료
보은동부 688 688 1 1 X 100 완료
오송제2생명과학 3,284 1,680 111 53 1,072 100 완료
충주제5 296 296 7 6 627 3 완료
보은 1,276 1,276 53 42 678 91 완료
제천제3 1,091 1,086 9 9 401 97 완료
충주인프라시티 149 149 - - - - 조성중
옥천테크노밸리
(구:옥천제2의료기기)
357 357 3 3 127 100 완료
성본 2,002 2,002 50 7 1,174 76 조성중
에스폼 414 413 2 2 X 100 완료
케이푸드밸리(구 송두) 832 832 5 3 1,405 100 완료
충청북도수산식품 76 76 3 3 18 83 완료
성안 136 136 - - - 100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3 37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금왕테크노밸리 1,044 1,044 61 24 1,709 100 조성중
화석 71 71 - - - - 완료
국사 956 956 - - - - 미개발
오창테크노폴리스 1,494 1,493 - - - - 조성중
충주특화기술(구 녹색패션) 201 201 - - - 100 조성중
신척(구 진천) 1,536 1,536 96 88 2,334 100 완료
오창제3(구 성재) 576 576 34 32 713 100 완료
충주메가폴리스 1,811 1,802 41 40 2,225 91 완료
동충주(구:북부) 1,401 1,400 - - - - 조성중
맹동인곡 1,729 1,729 - - - - 조성중
성안제2 301 301 - - - 100 조성중
산척 132 132 - - - - 조성중
남청주현도 1,051 1,029 - - - - 조성중
용산 1,041 1,041 1 1 X 100 조성중
서오창테크노밸리 904 904 - - - - 미개발
오송화장품 795 795 - - - - 미개발
일반
청주하이테크밸리 1,003 973 - - - - 미개발
북이 1,012 1,012 - - - - 미개발
제천봉양 134 134 - - - 100 조성중
충주드림파크 1,698 1,683 - - - - 미개발
청주한국전통공예촌복합문화 303 303 - - - - 미개발
진천테크노폴리스 809 809 - - - - 조성중
충주비즈코어시티 274 274 - - - - 미개발
음성테크노폴리스 653 653 - - - - 미개발
오송버이오 283 283 - - - - 미개발
문백 299 298 - - - - 미개발
진천스마트복합산업단지 1,135 1,135 - - - - 미개발
진천메가폴리스산업단지 1,460 1,449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청주도시첨단문화 49 49 63 63 410 100 완료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
224 223 9 5 66 100 완료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2)산업단지
104 103 - - - - 미개발
농공
강저테크노빌(구 강저) 142 126 22 21 250 100 완료
고암테크노빌(구 고암) 168 168 21 20 231 100 완료
금성테크노빌(구 금성) 86 85 16 15 135 100 완료
3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송학테크노빌(구 송학) 90 89 8 8 121 100 완료
양화테크노빌(구 양화) 149 148 17 17 132 50 완료
중앙탑(구 가금) 225 225 8 8 331 100 완료
가주 132 132 12 11 90 100 완료
용탄 192 192 20 20 436 100 완료
주덕 159 155 15 15 374 100 완료
괴산 55 55 9 9 122 100 완료
사리 112 112 14 14 608 100 완료
대강 82 80 16 12 167 100 완료
매포자원순환 150 149 2 2 X 100 완료
보은 70 69 8 6 339 100 완료
삼승 150 145 14 11 264 100 완료
장안 281 281 36 27 335 100 완료
법화 123 123 5 5 237 100 완료
영동 74 74 8 7 103 100 완료
용산 262 262 3 2 X 100 완료
구일 132 132 9 9 138 100 완료
동이 161 161 15 15 363 100 완료
옥천 282 282 15 15 456 100 완료
이원 142 142 8 8 417 100 완료
청산 65 65 3 3 131 100 완료
금왕 139 132 14 12 442 100 완료
농공
삼성 163 158 9 6 579 100 완료
음성 68 62 27 16 145 100 완료
도안테크노밸리
(구 도안농공)
93 93 5 5 487 100 완료
증평테크노밸리
(구 증평농공)
89 89 2 2 X 100 완료
광혜원 86 86 5 5 465 100 완료
덕산 91 91 5 4 943 100 완료
문백전기전자 124 124 3 3 924 100 완료
이월 127 127 10 10 522 100 완료
이월전기전자 329 329 16 14 792 100 완료
진천 58 58 17 17 242 100 완료
초평 136 136 3 3 356 100 완료
적성 124 124 16 9 164 100 완료
내수 107 107 3 3 15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381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현도 72 72 1 1 X 100 완료
광혜원제2 339 335 5 3 222 100 완료
괴산발효식품 321 321 21 21 339 100 완료
옥천의료기기 145 145 7 7 147 100 완료
도안2 133 133 - - - - 미개발
옥천제2농공단지 78 78 - - - -
3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충북에는 총 1,00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92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통신업’이 63개, ‘도매 및 소매업’이 12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38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
외’(115개), ‘식료품 제조업’(95 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1-7 ❙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7 6
광업(05~08) 1 -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4 80 95
음료 제조업 5 3 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6 13 1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1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6 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8 13 1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2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29 112 11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8 14 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1 53 5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3 24 28
1차 금속 제조업 15 13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3 63 8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3 56 5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2 43 44
전기장비 제조업 56 50 5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42 124 138
REGIONAL S&T YEARBOOK 2023 38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6 17 2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 5 6
가구 제조업 3 3 5
기타 제품 제조업 26 20 2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2 9 10
건설업(41~42) 15 8 10
도매 및 소매업(45~47) 7 9 12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5 56 63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2 63 9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1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4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042 874 1,002
3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9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4,116명(전국의 2.9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
은 약 3.59%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2,243명(전국의 2.34%)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7,609명(전국의 3.42%), 공공연구소는 4,264명(전국의 6.22%)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1-8 ❙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470 3.36 5,285 2.72 5,629 2.72 7,027 3.34 7,609 3.42
∙ 국공립 3,957 4.98 3,573 4.47 3,861 4.46 4,900 5.64 5,450 6.07
∙ 사립 2,513 2.22 1,712 1.50 1,768 1.47 2,127 1.72 2,159 1.63
공공연구소 3,288 5.63 3,453 5.53 3,972 6.19 4,057 6.10 4,264 6.22
∙ 국공립 1,229 10.04 1,329 10.31 1,242 9.69 1,425 10.61 1,449 10.92
∙ 정부출연 1,481 4.55 1,505 4.37 2,060 6.07 2,112 6.23 2,155 6.21
∙ 병원 및 기타 578 4.26 619 4.11 670 3.86 520 2.70 660 3.21
기업 10,461 2.38 10,332 2.24 10,830 2.27 11,847 2.33 12,243 2.34
∙ 정부투자기관 61 1.56 62 1.61 64 1.71 68 1.76 60 1.50
∙ 민간기업 10,400 2.38 10,270 2.24 10,766 2.28 11,779 2.33 12,183 2.35
합 계 20,219 2.93 19,070 2.65 20,431 2.73 22,931 2.92 24,116 2.9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85
■ ’22년 충청북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4명 증가한 100.0명으로 조사됨
표 3-11-9 ❙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82.8 81.7 86.7 93.6 100.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충청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4,874억 원(전국의 2.21%) 17개 시・도 중 8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84%로 증가 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507억 원(전국의 2.43%), 공공연구소는
약 5,429억 원(전국의 4.20%), 기업이 약 1조 6,938억 원(전국의 1.89%)
표 3-11-10 ❙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0,065 2.27 194,255 2.64 199,119 2.38 201,105 2.16 250,700 2.43
∙ 국공립 112,767 3.65 141,141 4.31 152,818 4.05 148,440 3.52 177,167 3.91
∙ 사립 47,298 1.19 53,114 1.30 46,301 1.01 52,665 1.03 73,533 1.27
공공연구소 342,986 3.48 346,166 3.40 381,339 3.43 470,210 3.92 542,930 4.20
∙ 국공립 67,743 8.32 74,349 8.90 72,011 8.46 78,022 8.07 92,361 9.06
∙ 정부출연 228,790 3.03 218,983 2.81 269,460 3.25 326,280 3.74 368,109 3.97
∙ 병원 및 기타 46,453 3.14 52,834 3.46 39,868 2.01 65,908 2.85 82,460 3.14
기업 1,125,650 1.64 1,119,112 1.57 1,341,262 1.82 1,459,346 1.81 1,693,809 1.89
∙ 정부투자기관 6,872 0.76 3,511 0.40 7,039 0.80 9,608 1.12 6,893 0.78
∙ 민간기업 1,118,778 1.65 1,115,601 1.58 1,334,223 1.83 1,449,738 1.81 1,686,916 1.91
합 계 1,628,701 1.90 1,659,533 1.86 1,921,720 2.06 2,130,661 2.09 2,487,439 2.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충청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8,12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3%
표 3-11-11 ❙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863 6,101 7,239 7,656 8,121
(3.0) (3.0) (3.2) (3.2) (3.1)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역 주도 R&D 기반 강화(61개사업 / 986억원)
-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138억원), 태양광・ess융복합 부품・시스템 제조/검증 실증
센터 구축(46.4억원), 수소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구축(73.5억원), 가속기장치 선도기술개발
지원사업(11억원) 등
■ 지역산업 선도・혁신형 R&D 역량 확보(80개사업 / 1,345억원)
-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지원(10억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육성지원사업(3.4억원), 이공분야 대
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16.4억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25억원), 스마트공장 보급・확
산사업(278.7억원) 등
■ 과학기술 중심 지역산업 혁신 기반 고도화(34개사업 / 1,428억원)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116.8억원), 에너지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35.6억원), 충북 그린수
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150억원), 웰케어 산업특화 인공지능 기술지원 플랫폼 구축(46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38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인재국, 바이오식품의약국에서 담당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3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1-12 ❙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6,538 2 12,978 276 369 25 2,845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1-13 ❙ 충청북도 과학인재국, 바이오식품의약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설치근거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9조(위원회 설치), 제10조(위원회 기능), 제11조(위
원회 구성), 제12조(위원회 운영)
과학기술정책과
∙ 산업 디지털전환 정책 수립
∙ 신성장동력사업, 강소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산업동향 등
∙ 지역SW산업, 블록체인기술 산업 및 로봇산업 육성, 지역SW기업 성장지원, SW융합 클러스터 구
축, ICT산업 경쟁력강화
∙ 데이터산업, AI융합산업 육성, 빅데이터 허브플렛폼, 기관메타데이터시스템 관련 업무
산업육성과
∙ 반도체산업 육성계획,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 자동차부품 기업지원, 순환경제혁신 인프라 구축
∙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운영 및 테스트베드 구축, 이차전지소부장특화단지육성 및 기반 구축
∙ 뿌리산업업무 추진, 승강기산업, 시험인증산업 등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
방사광가속기
추진과
∙ 방사광가속기 구축 지원, 방사광가속기 부지 조성 등
∙ 미래인재 양성사업, 산업체 역량강화, 방사광가속기 연구회 운영
∙ 가속기 활용지원센터 구축 추진, 활용연구개발 지원, 가속기장치산업 육성사업 발굴
∙ 전략산업 특화 빔라인 구축 추진, 산학연 협의체 운영지원, 가속기 데이터센터 구축 추진 등
바이오정책과
∙ 바이오기술 국가첨단전략특화단지, 첨복단지관리, 정책동향, 주요현안
∙ 바이오융합 산업육성, 업무추진, 육성지원 등
∙ K-바이오스퀘어조성,WHO글로벌바이오캠퍼스운영,RIS 총괄
∙ K-바이오 스퀘어 조성 추진, K-바이오 스퀘어 조성 지원, KAIST 바이오혁신경영 전문대학원운영
첨단바이오과
∙ 천연물산업 육성지원, 2025제천국제한방천연물산업엑스포 추진
∙ 바이오연구개발, 엑소좀, 원헬스, 빅데이터 구축사업 등
∙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 종합계획 수립 및 대행사 선정
∙ 화장품클러스터 지원, 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 관리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3 389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도민의 과학기술 이해 중진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사업에 관한 사항
- 신사업 발굴・육성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2.12.21. ~ 2024.12.20.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
- 제5차 충북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기반 ’22년도 추진실적 심의 등(’23.1.11..)
- 제6차 충북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기반 ’23년도 추진실적 심의 등(’22.12. 중)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1-14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충청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명규 충청북도(경제부지사) 2022.12.21.~2024.12.20.
부위원장 김진형 충청북도(과학인재국장) 2022.12.21.~2024.12.20.
부위원장 한충완 충청북도(바이오식품의약국장) 2022.12.21.~2024.12.20.
위 원 오세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2.12.21.~2024.12.20.
위 원 권경훈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2.12.21.~2024.12.20.
위 원 박보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22.12.21.~2024.12.20.
위 원 조진희 충북연구원 2022.12.21.~2024.12.20.
위 원 우영미 충북테크노파크 2022.12.21.~2024.12.20.
위 원 성현아 충북대학교 생화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손영수 청주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신문선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신용국 세명대학교 바이오제약산업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이용준 극동대 해킹보안학과 2022.12.21.~2024.12.20.
위 원 최상범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12.21.~2024.12.20.
위 원 박용환 유원대학교 교양융합학부 2022.12.21.~2024.12.20.
위 원 이근영 과학문화전문기업 사이콘 2022.12.21.~2024.12.20.
위 원 오철우 케이이씨㈜ 2022.12.21.~2024.12.20.
3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북도의 총예산은 21조 4,456억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404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65%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7.35%
표 3-11-15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 산 214,456
재정자주도(%) 67.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75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40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5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7.35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39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충청북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가장 많은 약 819억원을 투자
- 국비는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에 323억 원, 지방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358
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11-16 ❙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감염병 위기대응 R&D 지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
융합바이오세라믹테크노베이터 구축
29,227 16,022 4,106 49,35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
수소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구축
7,950 15,199 245 23,39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충북도립대학교 운영비지원
30,701 25,958 441 57,100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조성
산림환경연구소 운영비
21,008 22,543 5,498 49,04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충청북도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31,578 35,780 13,436 81,91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오송임상시험센터 건립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32,255 1,994 220 34,46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특화산업(주력산업) 육성지원
산업환경개선지원센터 구축
19,366 10,562 2,550 32,47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충북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
수송기계 부품 전자파센터 구축
25,726 12,309 6,225 48,196
합계 197,811 140,367 32,721 375,94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995개로 전국의 3.0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42%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6개 증가, 기업 303개 증가
표 3-11-17 ❙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93 19 4.58 19 4.62 19 4.49 18 4.31
∙ 국공립 6 7.59 6 7.14 6 7.06 6 6.98 6 6.82
∙ 사립 12 4.20 13 3.93 13 3.99 13 3.86 12 3.64
공공연구소 28 4.58 29 4.52 31 4.68 34 4.93 34 4.98
∙ 국공립 8 6.11 8 5.59 9 6.29 10 6.54 10 7.30
∙ 정부출연 8 4.79 9 5.33 10 6.13 11 6.47 10 6.06
∙ 병원 및 기타 12 3.82 12 3.64 12 3.36 13 3.55 14 3.67
기업 1,640 3.38 1,692 3.09 1,775 3.03 1,820 2.92 1,943 3.02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1 1.85 1 1.69 1 1.64
∙ 민간기업 1,639 3.38 1,691 3.09 1,774 3.04 1,819 2.92 1,942 3.02
합 계 1,686 3.42 1,740 3.11 1,825 3.06 1,873 2.96 1,995 3.0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393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충청북도 소재 대학 수는 17개
- 일반대학 1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5개 존재
표 3-11-18 ❙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4 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1 12 17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충청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4,70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86명(전체의 약 12.1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121명(전
체의 약 23.75%)
표 3-11-19 ❙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0,286 20,121 30,407 12,047 8,732 10,807 4,511 18,200 84,704
비중 12.14 23.75 35.90 14.22 10.31 12.76 5.33 21.49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충청북도에는 충북대가 4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20 ❙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북대
(4개 센터)
2017 종양 이환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중증 폐질환 연구센터 MRC
2022 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융합 연구센터 RLRC
2023 기업수요 대응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21년 기준, 충청북도에는 4개의 지역혁신센터가 소재하며, 2023년 기준 4개의 지원 센터
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3 395
표 3-11-21 ❙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세명대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 지역혁신센터
서원대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및 식품 지역혁신센터
건국대 바이오 식・의약 지역혁신센터
한국교통대 친환경에너지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충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1-22 ❙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12-11-16
대원대학교 대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6
서원대학교 서원대 창업보육센터 2000-11-14
세명대학교 세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0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오송 창업보육센터(고려대) 2012-12-12
유원대학교 유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중원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2-29
청주대학교 청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충북청) 충북대학교G-테크벤처센터 2010-05-01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5-01
충북도립대학 충북도립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12-2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7-18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31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3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북도에는 공립과학관 6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7개를 운영 중
표 3-11-23 ❙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증평좌구산천문대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공립
충주자연생태체험관 공립
제천한방생명과학관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공립
충북농업과학관 공립
별새꽃돌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충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62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511명임
표 3-11-24 ❙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337 560 470 352 362
수혜자 수 7,363 9,942 10,572 11,787 6,51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397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충북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4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21명 양성
표 3-11-25 ❙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한국교통대학교 6
전용공간
1개(36㎡)
25 160,844 55.7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3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충청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3,989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094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8.4%, 13.2% 감소
표 3-11-26 ❙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3,498 3,166 3,509 3,700 4,053 4,353 3,989
특허등록 건수 1,670 1,861 1,921 2,167 2,359 2,413 2,09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충청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080편, 주저자 기준 1,313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00%, 2.18%를 차지
표 3-11-27 ❙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2,604 4.08 55,310 21.24 1,056 2.01 12,713 12.04
2019 2,776 4.13 34,264 12.34 1,173 2.14 12,209 10.41
2020 2,990 4.06 36,010 12.04 1,277 2.14 11,982 9.38
2021 3,279 4.11 20,049 6.11 1,419 2.23 6,869 4.84
2022 3,080 4.00 5,698 1.85 1,313 2.18 1,984 1.5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39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더 나은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시대
■ 목표 : 도민의 삶을 바꾸는 자생적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추진과제 및 전략
- 역량 강화 : 국가과학기술 선도 창의연구 인프라 강화
- 연계 확대 : 산학연 융합을 통한 지역전략산업 성장경로 구축
- 성과 확산 :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확산되는 혁신지원 생태계 조성
- 인재 양성 : 충북형 맞춤 연구인재 양성체계 구축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역량 강화
- 지역 전략 산업 기술개발로드맵 구축・운영
- 지역전략산업 거점연구소 운영
- 지역전략산업 고도화 실증・인증 지원인프라 강화
- 방사광가속기 중심 신산업 지역혁신 클러스터 조성
- 연구산업진흥단지 지정・맞춤지원
■ 연계 확대
- 지역혁신 확산 공동연구 중개인프라 구축
- 연구성과 상용화 전문기관 육성
- 지역혁신 클러스터 연계 상용화 지원체계 구축
- 지역 과학기술-산업 간 혁신네트워크 강화
- 도민 체감 디지털 실증기술 고도화
■ 성과 확산
- 지역연구 성과확산지원 전문기관 육성
- 산업기술단지 조성
4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청년기술창업 펀드 운영
- 과학기술 문화・체험 인프라 확대
- 충북전략기술 PM제도 운영
■ 인력 양성
- 카이스트 오송 바이오 메디컬 캠퍼스타운 조성
- AI영재학교 설립
- 충북형 연구산업인력 HRD허브 구축
- ICT 고급 연구인재 양성 대학육성 지원
- 미래신산업 육성 연계 인력양성사업 추진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주도 과학
- 충청권 초광역 협력 협의체 구축 및 운영 등 초광역 거버넌스 구축
- 가속기 등 관련 해외 지방정부간 교류협력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
○ 지자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충북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등 지역 주도 중장기 혁신계획 수립
- 충북 연지단 역량 및 기능 강화 등을 통한 지자체 정책기획 역량 향상
○ 지역 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확산
- R&D 투자 목표제 도입, 창업펀드 조성 등 지자체 정책・사업 추진 책임성 확보
- 지역 과학기술 관련 통계 신뢰성 제고 및 R&D 관리시스템 구축 등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대학・연구기관의 대형화 및 연구 거점화
- 지역특화 선도연구센터, RISE사업 등 연계 대형 연구시설장비의 공동활용 촉진 및 전문인력 양성
○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 충북과학기술포럼, 전략산업육성위원회 등 운영 지원 통한 지역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401
○ 과학기술 역량・자원 활용 지역 기업 및 산업 경쟁력 제고
- 혁신창업 페스티벌 개최, 충청권 중소벤처기업 박람회 등 지원 통한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원 및
지역 기업의 성장 및 도약 지원
■ 지역 혁신을 위한 민간 주도 생태계 활성화
○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방사광 가속기 혁신클러스터 등 성장 전략 수립 등
- 청주 강소연구개발특구 및 규제자육특구 등 연계 통한 기술이전 사업화, 엑셀러레이팅 지원, 미래
기술 융합제품혁신 지원
○ 혁신 촉진을 위한 제도 및 인프라 고도화
- 노마드 포럼 운영, 창업기업 대상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등
4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2절 충청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충남의 인구는 약 218만 명으로 2021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충남 인구의 비율은 4.22%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2-1 ❙ 충청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177,105 2,189,132 2,176,641 2,176,548 2,180,086
전국인구대비 비율(%) 4.22 4.23 4.21 4.21 4.22
경제활동참가율(%) 65.6 65.6 64.6 64.5 65.8
실업률(%) 3.1 2.9 3.5 2.3 2.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40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남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21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83%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9.56%로 전체 산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18.36%)와 정부/민간비영
리생산(11.75%)이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 간 2.8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2-2 ❙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10,873,163 112,310,782 112,762,058 118,487,227 121,401,399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126,965 4,126,965 4,126,965 4,126,965 4,126,965
(지역내비중,%) (3.72) (3.67) (3.66) (3.48) (3.40)
제조업 53,764,781 54,143,399 54,645,762 58,461,140 60,169,163
(지역내비중,%) (48.49) (48.21) (48.46) (49.34) (49.56)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091,934 5,280,521 4,920,541 4,877,301 4,500,940
(지역내비중,%) (4.59) (4.70) (4.36) (4.12) (3.71)
건설업 5,334,840 4,951,911 5,315,629 5,384,530 5,528,397
(지역내비중,%) (4.81) (4.41) (4.71) (4.54) (4.55)
기타서비스업 19,684,272 20,472,430 20,420,728 20,983,820 22,294,401
(지역내비중,%) (17.75) (18.23) (18.11) (17.71) (18.3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370,527 12,863,189 13,317,146 13,855,920 14,264,477
(지역내비중,%) (11.16) (11.45) (11.81) (11.69) (11.75)
순생산물세 10,426,129 10,254,233 9,893,232 10,282,593 10,055,671
(지역내비중,%) (9.40) (9.13) (8.77) (8.68) (8.2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4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충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81조 3,507억 원이고, 4,38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5
만 6,878개의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40조 7,829억 원(전체의
22.4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620개(전체의 14.14%), 3만 5,336명(전체의 13.7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표 3-12-3 ❙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66,185 5.61 553 12.61 21,091 8.21
음료 제조업 1,004,125 0.55 20 0.46 1,048 0.4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1,499 0.17 43 0.98 846 0.3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2 0.27 150 0.0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11,423 1.55 57 1.30 3,984 1.5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68,653 4.39 406 9.26 16,673 6.4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429,276 2.44 267 6.09 7,267 2.83
1차 금속 제조업 19,042,566 10.50 205 4.68 10,255 3.99
전기장비 제조업 9,877,343 5.45 227 5.18 11,897 4.6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3,163,630 7.26 608 13.87 26,055 10.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3,795,395 13.12 620 14.14 35,336 13.7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31,388 0.18 15 0.34 223 0.09
가구 제조업 153,445 0.08 26 0.59 578 0.23
기타 제품 제조업 44,218 0.02 18 0.41 342 0.1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2,455 0.23 49 1.12 2,673 1.0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05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315,657 2.93 465 10.61 16,329 6.3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48,611 0.47 78 1.78 1,919 0.7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526,509 1.39 121 2.76 6,444 2.5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8,114 0.03 18 0.41 290 0.1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0,782,887 22.49 138 3.15 12,797 4.9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5,761,908 8.69 14 0.32 416 0.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764,216 0.97 117 2.67 4,199 1.6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0,679,184 11.40 305 6.96 17,090 6.65
합 계 181,350,677 100 4,384 100 256,878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40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특화도가 매우 높으면서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분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 제품 제조업’이 있음
표 3-12-4 ❙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
비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음료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4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남도는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
계 혁신‘,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존형 기술개발‘,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구축‘, ‘휴먼바이오 산업
혁신 핵심 거점조성‘, ‘디스플레이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충남 탄소중립 경제 선도혁신모
델 개발‘, ‘ICT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확대‘ 사업을 중점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2-5 ❙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과학기술 정책연구 및 R&D과제발굴・기획 일원화
충남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기반조성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충남 R&D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충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고도화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존형 기술개발
지역 특화분야 산・학・연 핵심기술 연구역량 강화
지역사회 주도형 민관 협력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지역 미래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수립
지역 대학연계 과학기술대학원 대학 설립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산・학・연 협업 R&D기반의 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신규사업 기획 확대
지역 미래산업 분야 우수 전문 연구기관 유치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도민과 함께하는 충남 과학기술의 날 제정・운영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구축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구축・운영
차량용 반도체 혁신생태계 조성
자율주행 모빌리티 종합기반 구축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부문 기술개발 및 실증플랫폼 조성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해양 바이오 기반 혁신 클러스터 조성
해양 바이오소재 혁신기술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산업혁신 핵심 거점조성
디스플레이 스마트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충남 탄소중립 경제 선도혁신모델 개발
충남 탄소중립 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이행전략 수립
탄소중립 경제 R&D기획 및 실증・상용화 기반조성
ICT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확대
AI・메타버스 기반 안전관리체계 조성
충남형 디지털 국방산업 육성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 출처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40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67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93개가 있음
- 총 16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664개, 총 종사자 수는 138,362명
표 3-12-6 ❙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고정 6,308 6,308 1 1 X 100 조성중
대죽자원비축 912 912 1 1 X 100 완료
석문 12,012 9,471 191 82 1,476 73 완료
아산국가 6,156 4,988 145 135 4,691 100 완료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2,751 2,217 31 16 628 66 조성중
일반
탄천 996 996 34 28 780 100 완료
유구자카드 96 96 12 8 143 100 완료
논산 253 253 24 24 621 100 완료
논산2 509 509 11 11 495 100 완료
동산 729 728 22 15 462 70 완료
관창 2,442 2,442 15 15 2,439 100 조성중
영보 1,251 1,251 - - - 100 조성중
대산 1,103 1,103 4 4 1,495 100 완료
대죽 2,101 2,101 12 12 861 100 완료
서산테크노밸리 1,986 1,987 67 50 1,135 100 완료
인주 3,530 3,527 48 42 6,023 100 완료
아산테크노밸리 2,984 2,984 85 82 5,737 100 완료
운용 74 74 8 8 343 100 완료
천안3 2,134 2,100 52 50 15,478 100 완료
천안제2 823 827 114 93 3,730 100 완료
천안제4 1,006 1,006 120 120 3,497 100 완료
천안산업기술 183 183 187 187 1,329 100 완료
천흥 651 649 14 13 1,125 100 완료
4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풍세 1,645 1,644 82 80 3,413 100 완료
합덕 970 969 54 40 1,163 99 완료
홍성 1,135 1,135 5 5 532 95 완료
일반
예산 1,507 1,506 52 51 2,561 100 완료
예산신소재 1,040 979 13 13 342 100 완료
대산컴플렉스 648 648 3 3 296 100 완료
현대제철(구 송산) 5,837 5,815 1 1 X 100 조성중
합덕인더스파크 641 640 5 5 729 77 완료
당진1철강 2,038 2,012 4 4 1,317 100 조성중
현대대죽 673 671 2 - - 100 조성중
예당 1,040 1,040 41 41 929 98 미개발
계룡제1(구 입암) 323 323 27 22 547 100 완료
세종(구 가산) 664 660 - - - - 미개발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구 탕정2)
2,095 2,094 1 - - 100 조성중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
2,451 2,451 6 6 16,555 100 완료
천안제5 1,995 1,995 61 57 2,420 100 조성중
서산남부(구 서산도시형) 878 878 - - - - 미개발
아산제2테크노밸리 1,200 1,200 99 89 3,617 100 완료
대산3 539 539 12 12 89 100 완료
남공주 730 730 23 3 285 - 조성중
마정 150 149 52 52 705 100 완료
금산 921 921 1 1 X 100 완료
천안LG생활건강퓨처 389 389 - - - 100 완료
천안동부바이오 334 334 - - - - 조성중
아산탕정테크노 685 682 - - - 34 조성중
탕정 505 505 2 - - 61 조성중
송산2 4,707 4,706 45 38 1,167 75 조성중
아산스마트밸리 451 451 - - - 100 조성중
서산오토밸리(구 서산) 3,990 3,989 46 41 5,990 99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0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서산인더스밸리(구 서산2) 812 811 12 9 412 100 완료
씨지엔대산전력(구 엠피씨) 184 183 1 - - 100 완료
웅천(구 선진) 686 686 16 3 50 41 완료
아산디지털(구 음봉디지털) 356 356 7 7 1,677 100 완료
쌍신 227 227 - - - - 미개발
염치 381 379 - - - 66 조성중
인주(3공구) 1,817 1,780 - - - - 미개발
천안북부BIT 875 875 - - - - 미개발
일반
동현 301 301 - - - - 미개발
성거 306 306 - - - 100 조성중
예산제2 1,120 1,120 - - - - 조성중
천안테크노파크 918 918 - - - - 미개발
음봉 419 419 - - - - 조성중
풍세2 345 345 - - - - 미개발
천안제6 967 967 - - - - 미개발
현대대죽2 681 681 - - - - 미개발
예당2 719 719 - - - - 미개발
부여 467 467 - - - - 미개발
송선 317 318 - - - - 미개발
대산그린컴플렉스일반산업단지 2,261 2,222 - - - - 미개발
도시
첨단
태안도시첨단 39 39 1 1 X 100 완료
내포도시첨단 1,260 1,260 9 9 324 100 조성중
천안직산 334 334 - - - - 미개발
농공
검상 408 408 31 27 2,253 100 완료
계룡 50 50 1 1 X 100 완료
보물 134 134 7 7 183 100 완료
우성(전문) 142 142 5 5 70 100 완료
유구 228 228 3 3 483 100 완료
장기 91 91 39 39 483 100 완료
정안2 288 288 19 19 540 100 완료
월미 149 149 20 19 378 100 완료
4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의당복합 147 147 2 2 X 100 완료
가야곡 186 186 18 18 620 100 완료
동산 83 83 2 2 X 100 완료
양지 117 117 5 5 27 100 완료
양지제2 137 137 4 4 240 100 완료
연무 124 123 1 1 X 100 완료
연산 81 81 17 17 148 100 완료
은진 70 70 3 3 136 100 완료
대천 102 102 15 15 411 100 완료
웅천 229 229 33 33 381 100 완료
웅천석재 150 150 21 21 72 100 완료
주산 154 154 3 3 102 100 완료
주포 165 165 19 19 411 100 완료
주포제2 143 143 14 14 94 94 완료
청소 147 146 21 21 264 100 완료
고북 125 124 12 9 99 100 완료
명천자동차전문 143 143 6 6 442 100 완료
성연 777 775 3 3 3,714 100 완료
수석 231 223 22 22 531 100 완료
농공
도고 198 198 7 5 564 100 완료
둔포 74 73 3 3 350 100 완료
둔포제2 116 116 3 3 496 100 완료
득산 216 216 27 26 969 100 완료
배미 75 74 3 3 217 100 완료
신인 64 56 2 2 X 100 완료
신창 56 56 6 6 325 100 완료
영인 154 154 4 4 613 100 완료
탕정 93 93 3 3 189 100 완료
동면 69 69 6 6 210 100 완료
목천 100 100 2 1 X 100 완료
백석 350 350 120 120 2,487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1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직산 172 172 17 15 373 100 완료
금성 222 221 24 23 470 100 완료
복수 118 117 17 13 225 100 완료
인삼약초특화 115 115 10 7 177 72 완료
추부 245 244 30 29 486 100 완료
당진 85 84 14 14 116 100 완료
면천 139 138 11 10 146 100 완료
석문 215 213 4 4 478 100 완료
송악 171 170 21 20 286 100 완료
신평 138 137 12 11 289 100 완료
한진 143 143 2 2 X 89 완료
합덕 106 108 27 22 320 100 완료
서면(김가공특화) 79 77 7 7 159 62 완료
종천 251 251 33 31 535 100 완료
종천2 197 195 10 9 133 67 완료
고덕 159 158 3 3 218 100 완료
관작전문 144 144 10 9 402 100 완료
삽교전문 146 146 4 4 468 100 완료
신암 153 152 15 14 324 100 완료
예덕 205 192 1 1 X 100 완료
예산 189 189 25 25 512 100 완료
응봉 151 150 5 5 517 100 완료
증곡전문 145 144 2 2 X 100 완료
비봉 156 153 10 7 285 100 완료
운곡 149 140 11 9 131 100 완료
농공
정산 274 264 3 3 588 100 완료
학당 130 130 3 3 137 100 완료
화성 144 139 17 15 127 100 완료
태안 105 105 26 26 194 100 완료
갈산전문 122 122 16 15 351 100 완료
갈산2전문 136 136 - - - 30 조성중
4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결성전문 141 141 26 26 194 100 완료
광천 145 145 16 15 351 100 완료
광천김특화 57 57 9 9 283 100 완료
구항 167 167 14 12 413 100 완료
은하 110 110 2 2 X 100 완료
은하전문 95 95 8 5 153 100 완료
운곡2 146 142 10 10 235 100 완료
월미2 69 69 10 10 123 86 완료
계룡제2 192 191 16 16 707 83 완료
강경 130 130 5 4 349 100 완료
은산패션전문 55 55 - - - 100 완료
장항원수 480 480 31 25 533 100 완료
정안1 159 159 19 19 341 100 완료
노성특화 160 159 - - - - 완료
가야곡2 311 311 - - - - 미개발
은산산업단지
(구 은산농공단지)
123 123 19 17 159 100 완료
은산2산업단지
(구 은산2농공단지)
227 226 11 9 125 100 완료
임천산업단지
(구 임천농공단지)
171 171 6 6 70 100 완료
장암산업단지
(구 장암농공단지)
158 157 1 1 X 100 완료
홍산산업단지
(구 홍산농공단지)
132 127 12 12 135 100 완료
정산2 187 187 - - - - 미개발
청라 67 67 - - - - 완료
제이팜스 45 45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413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충남에는 총 1,320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3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78개, ‘건설업’이 2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69개), ‘식료품 제조업’(101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9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2-7 ❙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3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14 19
광업(05~08) 3 4 5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1 84 101
음료 제조업 3 3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 11 1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1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7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 8 1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6 80 8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 15 1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8 52 6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 22 26
1차 금속 제조업 19 16 17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7 86 9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3 68 7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49 54 61
전기장비 제조업 83 70 8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83 241 269
4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3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5 54 6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5 19 21
가구 제조업 5 6 5
기타 제품 제조업 28 24 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 2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9 8 11
건설업(41~42) 23 19 23
도매 및 소매업(45~47) 13 16 18
운수 및 창고업(49~52) - 2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71 69 83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1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6 56 7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4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 5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1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250 1,125 1,320
REGIONAL S&T YEARBOOK 2023 41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7,216명(전국의 3.34%)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2.46% 증가 추세를 나타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7,208명 (전국의 3.29%)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7,789명(전국의 3.50%), 공공연구소는 2,219명(전국의 3.24%)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2-8 ❙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638 3.45 6,713 3.46 7,193 3.47 7,376 3.51 7,789 3.50
∙ 국공립 1,644 2.07 1,520 1.90 1,844 2.13 1,646 1.90 1,837 2.05
∙ 사립 4,994 4.42 5,193 4.55 5,349 4.44 5,730 4.65 5,952 4.49
공공연구소 1,748 2.99 1,755 2.81 1,813 2.83 2,072 3.11 2,219 3.24
∙ 국공립 692 5.65 680 5.27 680 5.30 867 6.45 877 6.61
∙ 정부출연 575 1.77 619 1.80 641 1.89 641 1.89 643 1.85
∙ 병원 및 기타 481 3.54 456 3.03 492 2.83 564 2.93 699 3.40
기업 15,714 3.57 16,500 3.57 16,536 3.47 17,276 3.39 17,208 3.29
∙ 정부투자기관 34 0.87 35 0.91 17 0.45 51 1.32 51 1.28
∙ 민간기업 15,680 3.59 16,465 3.59 16,519 3.50 17,225 3.41 17,157 3.31
합 계 24,100 3.49 24,968 3.47 25,542 3.42 26,724 3.40 27,216 3.3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충청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6명 감소한 87.6명으로 조사됨
표 3-12-9 ❙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7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9.6 84.0 85.4 89.2 87.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충청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4조 1,164억 원 (전국의 3.65%) 17개 광역시・도 중 4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7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704억 원(전국의 2.62%), 공공연구소는
약 3,632억 원(전국의 2.81%), 기업이 약 3조 4,828억 원(전국의 3.89%)
표 3-12-10 ❙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0,998 2.71 207,612 2.82 231,838 2.78 255,090 2.73 270,380 2.62
∙ 국공립 51,948 1.68 44,004 1.34 54,662 1.45 64,902 1.54 77,522 1.71
∙ 사립 139,050 3.51 163,608 3.99 177,176 3.87 190,188 3.72 192,858 3.34
공공연구소 296,357 3.01 546,308 5.37 396,362 3.56 300,057 2.50 363,194 2.81
∙ 국공립 48,717 5.99 51,615 6.18 47,283 5.55 53.590 5.54 51,297 5.03
∙ 정부출연 176,917 2.34 419,522 5.37 246,047 2.97 119,471 1.37 136,003 1.47
∙ 병원 및 기타 70,723 4.78 75,171 4.92 103,032 5.20 126,996 5.49 175,894 6.70
기업 2,100,403 3.05 2,721,301 3.81 3,036,888 4.13 3,077,810 3.81 3,482,813 3.89
∙ 정부투자기관 3,201 0.35 3,383 0.39 1,816 0.21 4,406 0.51 4,522 0.51
∙ 민간기업 2,097,202 3.09 2,717,918 3.85 3,035,072 4.17 3,073,404 3.84 3,478,291 3.93
합 계 2,587,758 3.02 3,475,221 3.90 3,665,088 3.94 3,632,957 3.56 4,116,387 3.6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1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충청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333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1%
표 3-12-11 ❙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301 5,289 5,903 6,455 7,333
(2.7) (2.6) (2.6) (2.7) (2.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지역주도 과학기술 R&D 거버넌스 체계 강화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운영(2,416백만 원),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5,924백만 원), 해외우수
연구기관 유치지원(1,550백만 원), 지역 SW기업 성장지원(311백만 원),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RLRC) 지원(4,015백만 원)
■ 혁신플랫폼 주도 지역산업 고도화
- 충남연구개발지원단 운영(360백만 원),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1,977백만 원), 융합기술
사업화 확산형 전문인력 양성(1,080백만 원), 신산업정책 프로젝트 운영(800백만 원), 대학 내 산
학협력단지 조성(3,110백만 원), SW중심대학 지원(5,773백만 원),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
(11,561백만 원) 등
■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 고도화 기반 조성
-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12,440백만 원), 충남 천안아산 강소특구 육성(5,700백만
원),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96,235백만 원), 충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22,591백
만 원) 등
4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경제실에서 담당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419
표 3-12-12 ❙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623 2 17,450 284 549 34 4,266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2-13 ❙ 충청남도 산업경제실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미래산업과
∙ 과학기술진흥 중장기계획(5개년) 수립,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시행계획) 수립 등
∙ 집적지구 부지조성 업무 추진,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업무 추진 및 연구소기업 유치
∙ 국방산업 육성 및 지원과제 발굴, 방산혁신 클러스터 추진, 국방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육성실행계획 추립
∙ 제조기술융합 사업추진,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추진
∙ UAM/AAM 산업육성 계획수립, UAM/AAM 산업기반구축 지원사업 추진
∙ 인공지능 선도사업 업무추진, 인공지능 실증랩 구축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추진,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 사업 추진
산업육성과
∙ 미래성장 동력산업 발굴・육성 추진, 주력산업 및 경제협력권산업 육성 지원, 소부장 산업 육성 지원
∙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지역산업육성사업 성과평가, 산업기술단지 거점기
능지원사업 추진
∙ 바이오분야 신산업 발굴・육성 추진, 충남 바이오산업 발전계획 수립(관리) 추진
∙ 스파 연계 재활헬스케어 산업 육성, 수면산업 실증기반 기술고도화 지원사업, 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
∙ 자동차부품산업 육성 추진, 자율주행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건립 추진, 차량용 융합반도체
혁신생태계 구축사업(예타사업) 추진, 자율주행 모빌리티 종합기반 구축 추진 ,미래차 전환 종합지
원 추진, 자동차 관련 신산업 발굴 및 육성 추진
∙ 자율주행 인지 및 운행안전(SOTIF) 성능검증 기반구축 추진, 수소연료전지차 부품실용화 및 산업기
반 육성사업 추진,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개발 및 서비스 실증사업 추진
∙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육성 추진, 디스플레이 산업 육성 및 사업화 기반 구축, 디스플레이 혁신
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디스플레이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사업 추진,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
발굴 및 지원
∙ 전자산업 육성 및 사업화 기반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사업 추진, 산업디지
털 전환(IDX) 적합성 기반 구축사업 추진, 디스플레이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사업 추진, 플렉서블
스트레쳐블, 부착형 디스플레이 기술 기반구축 사업
∙ 탄소포집활용(ccu) 소재실증지원센터 구축업무 추진,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업무 추진
탄소중립경제과
∙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추진전략 수립, 지역에너지(시・군 포함) 계획 수립 및 관리, 에너지 절약 대책
및 계획 수립, 지역에너지 절약사업(공공기관) 추진
∙ 충남 노후 석탄화력 발전소 단계적 폐지, 석탄화력 폐지 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추진
∙ 탄소중립 산업 육성 사업 발굴/추진, 이차전지 산업 육성 사업 추진, LNG 냉열 활용 냉매 물류단
지 기반구축, 충남 에너지 소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 스마트그리드 기반 구축
∙ 충남형 RE100 추진전략 수립, 풍력(육상・해상)단지 조성사업 추진 지원, 신・재생에너지 집적화 단
지 업무 추진, 재생에너지 신규 사업 발굴
∙ 수소산업 기본계획 운영 및 세부 추진계획 수립
4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
■ 주요 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에 관한 사항
-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 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규모조정 등 투자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 사업 기획 및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대학, 기업체・연구소의 연구개발지원에 관한 사항
- 도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 진흥을 위하여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1회 연임 가능)
- 당연직 위원은 미래산업국장, 충남테크노파크원장이 함
- 위촉직 위원은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도지사가 위촉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3회
- ‘22년도 충남과학기술진흥 추진실적(’23.1.11.)
- 제6차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23년도 시행계획(’23.3.2. ~ ’23.3.8.)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23~’27)(’23.3.22. ~ ’23.3.28.)
REGIONAL S&T YEARBOOK 2023 42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2-14 ❙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전형식 충청남도 -
위원 유재룡 충청남도 -
위원 - 충남연구원 공석
위원 이철수 충청남도의회 2023.1.1.~2024.12.31.
위원 박현주 상명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신숙경 한국연구재단 2023.1.1.~2024.12.31.
위원 이안호 단국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이재준 한국교통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정영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한정수 호서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강형석 참좋은특허법률사무소 2023.1.1.~2024.12.31.
위원 김상경 에너지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김인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서점수 디펜스 에듀&컨설팅 2023.1.1.~2024.12.31.
위원 연순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1.1.~2024.12.31.
위원 이구용 충남도립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장재선 한국폴리텍대학 2023.1.1.~2024.12.31.
위원 장호상 한서대학교 2023.1.1.~2024.12.31.
위원 정지향 엔씨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23.1.1.~2024.12.31.
위원 한재도 한얼시스템 2023.1.1.~2024.12.31.
※ 출처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남도의 총예산은 약 28조 2,73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589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56%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9.14%
표 3-12-15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82,737
재정자주도(%) 67.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06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89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9.14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42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충청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849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약 1,142억 원, 486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
표 3-12-16 ❙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충남 지식산업센터 건립
이공계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13,850 12,224 1,085 27,159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사업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사업
664 3,894 43 4,601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충남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충남과학기술진흥원)
자동차부품 세계화 지원
- 3,160 - 3,16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충남도립대학교 운영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10,357 20,894 3,267 34,518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충남문화산업진흥원 운영
최고품질 원예작물 생산기술 보급
12,069 31,330 1,818 45,21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충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
지역특화산업(주력산업) 육성지원
41,995 27,639 16,845 86,455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
SW중심대학 지원
6,575 9,958 1,805 18,33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
ESS 전지시스템 기능 안전성 설계
기술지원
407 1,176 - 1,58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충남국제전신컨벤션센터 건립 사업
114,164 48,639 22,135 184,937
합계 200,081 158,914 46,998 405,96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281개로 전국의 3.4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56%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1개 감소, 기업 367개 증가
표 3-12-17 ❙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 7.67 28 6.75 27 6.57 29 6.86 28 6.70
∙ 국공립 5 6.33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23 8.04 23 6.95 22 6.75 24 7.12 23 6.97
공공연구소 22 3.59 21 3.27 22 3.32 24 3.48 21 3.07
∙ 국공립 12 9.16 12 8.39 12 8.39 13 8.50 11 8.03
∙ 정부출연 3 1.80 3 1.78 3 1.84 3 1.76 2 1.21
∙ 병원 및 기타 7 2.23 6 1.82 7 1.96 8 2.19 8 2.10
기업 1,865 3.84 2,010 3.67 2,070 3.54 2,161 3.47 2,232 3.47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1 1.85 2 3.39 2 3.28
∙ 민간기업 1,863 3.84 2,008 3.67 2,069 3.54 2,159 3.47 2,230 3.47
합 계 1,915 3.88 2,059 3.68 2,119 3.56 2,214 3.49 2,281 3.4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25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충청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3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2-18 ❙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1 13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5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충청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3만 8,57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830명(전체의 약 9.26%), 공학계열 학생이 3만 4,417명
(전체의 약 24.84%)
표 3-12-19 ❙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830 34,417 47,247 17,421 19,559 9,466 12,919 31,965 138,577
비중 9.26 24.84 34.09 12.57 14.11 6.83 9.32 23.07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충청남도에는 단국대학교 2개, 순천향대학교가 3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2-20 ❙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단국대학교
(2개 센터)
2021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MRC
2023 쉐프(SEHPc) : 지속가능한 수소 생산 변환 에너지 생태계 RLRC
순천향대
(3개 센터)
2019 대사질환 조직 항상성 연구센터 RLRC
2023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2023 감성 지능형 아동케어 융합연구센터 C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
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REGIONAL S&T YEARBOOK 2023 427
■ 2023년 기준 3개의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
표 3-12-21 ❙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한국기술교육대 기전 융합형 부품소재 Trouble Shooting 지역혁신센터
공주대 자동차 의장 및 편의부품 지역혁신센터
순천향대 고부가 생물소재 산업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충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표 3-12-22 ❙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양대학교 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7-23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7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8-01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생명공학 창업보육센터 2001-05-11
백석대학교 백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5-01
백석문화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2-03-01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14-02-01
선문대학교 선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4
순천향대학교 순천향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3-30
신성대학교 신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중부창업보육센터 2021-07-06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2-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0
한서대학교 한서대학교 항공해양 창업보육센터 2001-07-19
호서대학교 호서벤처 창업보육센터 1996-01-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4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남도에는 공립과학관 8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9개를 운영 중
표 3-12-23 ❙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갯벌생태과학관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공립
장영실과학관 공립
칠갑산천문대스타파크 공립
홍성조류탐사과학관 공립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천안홍대용과학관 공립
대안군 별똥별 하늘공원 공립
충청남도교육청과학교육원 공립
천리포수목원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3년 충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32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4,980명임
표 3-12-24 ❙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81 213 266 200 232
수혜자 수 6,842 4,300 4,418 5,023 4,980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42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충청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7,38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856건
- 특허출원은 ’21년 대비 1.5%증가, 특허등록은 ‘21년 대비 22.7%씩 감소
표 3-12-25 ❙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6,578 6,046 6,482 6,917 7,217 7,274 7,384
특허등록 건수 3,008 3,492 3,808 3,966 4,396 4,987 3,85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충청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291편, 주저자 기준 1,515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27%, 2.52%를 차지
표 3-12-26 ❙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2,643 4.15 36,393 13.77 1,174 2.24 14,198 12.09
2019 2,811 4.18 35,507 12.63 1,250 2.28 12,767 10.21
2020 3,192 4.33 29,987 9.39 1,353 2.27 9,740 7.20
2021 3,414 4.28 19,360 5.67 1,515 2.38 6,880 4.54
2022 3,291 4.27 5,676 1.72 1,515 2.52 2,130 1.4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로 미래산업을 육성하는 과학기술경제 특별도 충남
■ 목표 : 과학기술・산업・생활경제 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한 충남 혁신성장 가속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 전략
■ 지속가능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위한 R&D 지원체계 조성
-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 지역이 주도하는 산・학・연・민・관 협력 과학기술 혁신체계 강화
-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전형 기술개발
-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 지역 균형발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조성
-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 조성
-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산업 혁신단지 조성
- 충남특화 탄소중립경제 선도혁신 모델 개발
- ICT 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사업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속가능한 지역 과학기술 혁신성장을 위한 R&D 지원체계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431
○ 충남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R&D기반 강화
- 과학기술 정책연구 및 R&D 과제발굴・기획 일원화
- 충남 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체계 구축 및 기반조성
○ 충남 과학기술 투자전략 및 지원체계 혁신
- 충남 R&D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
- 충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고도화
■ 지역이 주도하는 산・학・연・민・관 협력 과학기술 혁신체계 강화
○ 충남 지역사회 혁신・공전형 기술개발
- 지역 특화분야 산・학・연 핵심기술 연구역량 강화
- 지역사회 주도형 민・관 협력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충남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
- 지역 미래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 수립
- 지역 대학연계 과학기술대학원 대학 설립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산・학・연 협력 R&D 기반외 기업 혁신역량 강화지원 및 지역 미래산업 분야 우수 전문 연구기관
유치
-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신규사업 기획 확대
○ 지역 과학기술 문화확산
- 도민과 함께하는 충남 과학기술인의 날 제정・운영
■ 지역 균형발전 및 산업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 미래 모빌리티 혁신 허브 조성
- 차량용 반도체 혁신생태계 조성, 차량용 반도체 종합지원센터 구축・운영
- 도심항공 모빌리티(UAM) 부문 기술개발 및 실증 플랫폼 조성 등
○ 휴먼바이오 산업혁신 핵심 거점 조성
- 해양 바이오 기반 혁신 클러스터 조성
- 해양 바이오소재 혁신기술 플랫폼 구축
○ 디스플레이 과학기술 산업 혁신단지 조성
- 디스플레이 스마트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디스플레이 품질 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 디스플레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4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충남특화 탄소중립경제 선도혁신 모델 개발
- 충남 탄소중립경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이행전략 수립
- 탄소중립 경제 R&D기획 및 실증・상용화 기반조성
○ ICT 미래산업 인프라 조성 및 사업 확대
- 인공지능기반 안전관리체계 및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 충남형 디지털 국방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433
제13절 전라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전북의 인구는 약 178만 명으로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전북 인구의 비율은 3.44%로 작년대비 감소
표 3-13-1 ❙ 전라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822,635 1,811,958 1,805,688 1,794,192 1,780,234
전국인구대비 비율(%) 3.53 3.50 3.49 3.47 3.44
경제활동참가율(%) 59.9 61 61.5 62.6 63.7
실업률(%) 2.7 2.7 2.5 2.2 2.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좌 시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4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북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1.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34%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29.76%), 정부/민간비영리생산(25.39%), 제조업(21.31%)이 각각 20%가 넘는 비
중을 차지하며 산업구조는 5년 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5.4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3-2 ❙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 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48,350,793 49,506,041 49,116,252 50,636,383 51,678,429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541,442 3,633,751 3,359,667 3,499,181 3,564,173
(지역내비중,%) (7.32) (7.34) (6.84) (6.91) (6.90)
제조업 11,032,002 10,727,471 10,279,431 11,008,367 11,014,663
(지역내비중,%) (22.82) (21.67) (20.93) (21.74) (21.3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196,921 1,266,431 1,469,288 1,480,941 1,559,003
(지역내비중,%) (2.48) (2.56) (2.99) (2.92) (3.02)
건설업 3,136,099 3,148,614 3,171,486 2,993,225 2,840,765
(지역내비중,%) (6.49) (6.36) (6.46) (5.91) (5.50)
기타서비스업 14,427,301 14,885,764 14,408,745 14,943,828 15,381,260
(지역내비중,%) (29.84) (30.07) (29.34) (29.51) (29.7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538,315 12,067,180 12,453,925 12,802,843 13,119,938
(지역내비중,%) (23.86) (24.38) (25.36) (25.28) (25.39)
순생산물세 3,458,905 3,754,265 3,985,799 3,954,467 4,278,526
(지역내비중,%) (7.15) (7.58) (8.12) (7.81) (8.2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
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435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전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38조 1,948억 원이고, 1,86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43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8조
5,576억 원(전체의 22.41%), 359개(전체의 19.26%), 1만 5,523명(전체의 18.38%)
표 3-13-3 ❙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557,589 22.41 359 19.26 15,523 18.38
음료 제조업 824,266 2.16 21 1.13 610 0.7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92,104 1.29 38 2.04 566 0.6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741 0.01 8 0.43 116 0.1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08,026 1.59 15 0.80 517 0.6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080,651 2.83 90 4.83 2,733 3.2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659,514 4.34 159 8.53 4,156 4.92
1차 금속 제조업 4,060,332 10.63 86 4.61 3,376 4.00
전기장비 제조업 1,256,048 3.29 73 3.92 2,351 2.7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652,415 6.94 149 7.99 4,699 5.5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120,269 16.02 246 13.20 10,397 12.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76,133 1.25 17 0.91 247 0.29
가구 제조업 46,626 0.12 14 0.75 260 0.31
기타 제품 제조업 191,396 0.50 25 1.34 450 0.5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8,961 0.05 10 0.54 173 0.2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1,532 0.03 2 0.11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172,371 3.07 179 9.60 4,983 5.9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12,017 1.08 65 3.49 2,328 2.7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28,662 0.34 24 1.29 539 0.6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5,417 0.28 66 3.54 1,324 1.5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2,600 1.87 28 1.50 1,873 2.2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6,014 0.07 5 0.27 65 0.0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35,241 3.23 54 2.90 2,260 2.6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342,891 16.61 131 7.03 6,420 7.60
합 계 38,194,816 100 1,864 100 84,434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4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3-4 ❙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비교적
높음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1차금속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낮음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437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락북도는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과 ‘친환경 농생명・에너지산업‘ 사업을 중점으로 운
영・관리하고 있음
표 3-13-5 ❙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
(탄소소재,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등)
산업・수송용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
재활용탄소섬유 활용 융복합부품 상용화 지원
이차전지 신소재 융합 실용화 촉진 사업
탄소복합재 신뢰성 시험평가 기반구축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탄소산업 T2B 지원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생체적합성 신소재 의료기기산업 육성
조선기자재 사업다각화 생태계 구축사업
자동차기업 신시장 창출지원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차 부품 고도화 사업
탄소융복합 소재부품 성형지원
탄소복합재 공정장비 활용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
친환경 농생명・에너지산업
(농생명, 식품, 바이오, LED, 에너지변환 등)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진흥지원사업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 운영사업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
식품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
한국형 글로벌 장건강 프로젝트
국가식품클러스터기업기술지원사업
지역농업연구 기반조성사업
해상풍력산업 지원센터 구축사업
조선기자재기업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지원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구축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SW융합 플랫폼 구축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구축사업
사용 후 연료전지 기반구축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지원사업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교통실증 연구기반 구축
※ 출처 : 전라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4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6개, 일반산업단지 2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0개가 있음
- 총 9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504개, 총 종사자 수는 81,756명
표 3-13-6 ❙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군산 13,702 6,828 214 183 4,455 100 완료
군산2(구 군장지구) 51,715 14,612 648 566 7,756 100 완료
익산국가산업단지 1,336 1,336 306 230 3,237 100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 2,322 2,191 189 99 1,146 66 완료
새만금지구 18,495 18,495 43 19 925 100 조성중
전주탄소소재 656 656 - - - - 미개발
일반
군산 5,641 5,641 67 67 4,719 100 완료
김제순동 262 262 39 38 877 100 완료
익산제2 3,309 3,309 201 201 8,120 100 완료
전주제2 687 687 27 26 1,034 100 완료
전주친환경첨단복합(1단계) 291 291 67 67 1,129 100 완료
전주시자원순환특화 80 80 11 10 71 100 완료
정읍제1 185 185 7 7 254 100 완료
정읍제2 999 999 69 68 1,228 100 완료
정읍제3 1,025 1,025 54 52 1,821 100 완료
정읍첨단과학(RFT) 896 871 44 37 747 99 완료
고창 837 837 3 3 37 40 조성중
부안신・재생에너지 354 354 3 1 X 78 완료
완주 3,359 3,359 80 80 10,174 100 완료
전주과학 3,074 3,074 225 225 4,918 100 완료
완주테크노밸리 1,311 1,311 119 115 2,373 100 완료
익산제4(구 익산종합의료과학) 503 503 28 27 1,662 92 완료
익산제3 2,793 2,685 106 99 2,742 88 완료
완주테크노밸리(2단계) 2,115 2,115 11 11 177 - 조성중
전주친환경첨단복합(3-1단계) 284 284 3 3 21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3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지평선 2,986 2,986 114 88 2,680 92 완료
남원 776 717 1 1 X 12 조성중
전주제1[재생사업지구] 1,806 1,806 105 101 2,612 100 완료
백구 336 337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전주도시첨단 110 110 61 61 468 100 완료
농공
서수 287 287 52 52 1,105 100 완료
성산 142 142 26 26 353 100 완료
옥구 140 130 48 48 487 100 완료
대동전문 331 331 22 22 422 100 완료
만경 215 215 30 30 766 100 완료
봉황 233 233 43 43 575 100 완료
서흥 277 277 43 43 571 100 완료
월촌 145 145 25 23 274 100 완료
황산 73 73 11 11 453 100 완료
광치1(구 광치) 140 140 7 7 131 100 완료
광치2 113 112 15 14 132 100 완료
노암 147 147 7 7 71 100 완료
노암제2 179 180 5 5 294 100 완료
어현 117 116 1 1 X 100 완료
인월 51 50 1 1 X 100 완료
낭산 129 128 17 17 407 100 완료
삼기 132 131 34 34 515 100 완료
왕궁 330 330 17 17 802 100 완료
황등 147 147 55 55 268 100 완료
고부 151 151 16 16 504 100 완료
농소 186 185 4 4 268 100 완료
북면 211 211 41 40 663 100 완료
신용전문 143 143 6 5 408 100 완료
신태인 150 150 11 11 101 100 완료
태인 247 247 32 30 299 100 완료
고수 106 106 22 21 162 96 완료
복분자 196 195 14 12 341 90 완료
아산 140 140 26 25 122 100 완료
4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흥덕 315 315 17 15 319 100 완료
무주 147 147 2 2 X 100 완료
농공
무주제2 98 98 8 7 76 100 완료
안성 94 94 12 8 45 100 완료
부안 149 149 32 32 232 100 완료
부안제2 344 343 11 11 824 100 완료
줄포 89 89 16 16 204 100 완료
가남 83 83 2 2 X 100 완료
쌍암 154 154 7 6 48 88 완료
풍산 138 138 9 8 161 90 완료
이서특별 398 398 6 6 123 100 완료
신평 53 53 10 10 188 100 완료
오수 132 132 21 21 159 100 완료
임실 147 147 1 1 X 100 완료
장계 290 290 9 8 183 100 완료
천천 57 57 10 9 48 100 완료
진안제2 146 146 37 37 237 100 완료
진안홍삼한방 265 266 36 36 220 100 완료
임피 239 238 39 37 4000 87 완료
인계(구 제2장류) 149 149 10 10 188 100 완료
노암제3 325 325 19 19 190 84 완료
장수 143 140 16 13 87 77 완료
임실제2 339 339 - - - 100 완료
백구 322 322 32 30 315 100 조성중
풍산제2 169 169 6 5 78 88 완료
소성특화 230 230 19 14 55 23 완료
진안연장 53 53 10 9 85 100 완료
부안제3 327 326 10 6 71 20 완료
함열 329 328 - - - - 완료
철도산업 222 222 1 1 X 58 조성중
완주 298 298 14 14- 67 - 조성중
오수제2 171 171 - - - -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3 441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전북에는 총 90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7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0개, ‘건설업’이 19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104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96개), ‘자동차 및 트레일
러 제조업’(7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3-7 ❙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5 11
광업(05~08) 1 2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1 82 104
음료 제조업 3 2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 12 1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 8 9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3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 7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2 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1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4 44 5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4 14 1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8 19 3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 18 27
1차 금속 제조업 12 10 1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7 56 6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8 51 5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6 23 27
전기장비 제조업 58 58 6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4 88 96
4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4 60 7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4 13 17
가구 제조업 9 8 6
기타 제품 제조업 29 24 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2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5 7
건설업(41~42) 20 15 19
도매 및 소매업(45~47) 10 11 13
운수 및 창고업(49~52) 1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6 68 76
금융 및 보험업(64~66) - - 1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8 41 5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2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20 757 903
REGIONAL S&T YEARBOOK 2023 44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8,579명(전국의 2.28%)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
은 약 3.8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7,745명(전국의 3.48%)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6,590명(전국의 1.26%), 공공연구소는 4,244명(전국의 6.2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3-8 ❙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941 3.09 5,788 2.98 6,388 3.09 6,731 3.20 7,745 3.48
∙ 국공립 4,308 5.42 4,209 5.27 4,622 5.34 4,774 5.50 5,226 5.82
∙ 사립 1,633 1.45 1,579 1.38 1,766 1.47 1,957 1.59 2,519 1.90
공공연구소 4,052 6.94 3,975 6.37 4,210 6.56 4,339 6.52 4,244 6.20
∙ 국공립 2,782 22.73 2,573 19.96 2,737 21.34 2,811 20.92 2,534 19.09
∙ 정부출연 765 2.35 843 2.45 883 2.60 904 2.67 996 2.87
∙ 병원 및 기타 505 3.72 559 3.71 590 3.40 624 3.24 714 3.47
기업 5,387 1.22 5,820 1.26 5,840 1.23 6,435 1.26 6,590 1.26
∙ 정부투자기관 80 2.05 90 2.34 108 2.89 114 2.95 120 3.01
∙ 민간기업 5,307 1.22 5,730 1.25 5,732 1.21 6,321 1.25 6,470 1.25
합 계 15,380 2.23 15,583 2.17 16,438 2.20 17,505 2.23 18,579 2.2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전라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5명 증가한 63.0명으로 조사됨
표 3-13-9 ❙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53.0 50.8 55.6 59.5 63.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전라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4,756억 원(전국의 1.31%)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6.35%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893억 원(전국의 3.78%), 공공연구소는
약 4,852억 원(전국의 3.76%), 기업이 약 6,010억 원(전국의 0.67%)
표 3-13-10 ❙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1,993 3.43 271,432 3.68 317,355 3.80 346,554 3.71 389,330 3.78
∙ 국공립 171,706 5.56 192,617 5.88 244,308 6.47 255,434 6.06 289,754 6.39
∙ 사립 70,287 1.77 78,815 1.92 73,047 1.60 91,120 1.78 99,576 1.72
공공연구소 375,224 3.81 342,801 3.37 396,104 3.56 475,329 3.96 485,240 3.76
∙ 국공립 130,066 15.98 133,310 15.95 145,635 17.11 179,038 18.51 183,260 17.97
∙ 정부출연 181,074 2.40 141,056 1.81 167,378 2.02 188,263 2.16 173,960 1.88
∙ 병원 및 기타 64,084 4.33 68,435 4.48 83,091 4.19 108,028 4.67 128,020 4.88
기업 467,355 0.68 507,461 0.71 522,638 0.71 589,277 0.73 601,007 0.67
∙ 정부투자기관 17,568 1.93 13,189 1.52 16,248 1.85 15,966 1.86 43,003 4.84
∙ 민간기업 449,787 0.66 494,272 0.70 506,390 0.70 573,311 0.72 558,004 0.63
합 계 1,084,572 1.27 1,121,693 1.26 1,236,097 1.33 1,411,160 1.38 1,475,578 1.3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4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전라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9,75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16%
표 3-13-11 ❙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7,238 7,526 8,808 9,296 9,759
(3.7) (3.7) (3.9) (3.8) (3.8)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R&D 생태계 조성 및 혁신클러스터 육성
- 탄소 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118억원), 수소시범도시 조성사업(175억원), 수송용품 검사지원
센터(156억원), 전북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60억원),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226억원)
■ 신산업 육성 대응 지역산업 구조고도화 기반 조성
-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 교통실증 연구기반 구축 사업(87억원),상용차 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46억원),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164억원), 안전보호 융
복합섬유 기술지원센터(19억원)
■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기반구축 및 공동연구개발 활성화
- 공공기관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36억원), 전북 메이커스페이스(128억원), 혁신성장 R&D+사업
(62억원), 전북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설립(111억원),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45억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57억원)
■ 과학기술 역량강화 및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사업(7억원), AI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사업(2.5억원), 이공계 대학 산학관
커플링사업(22억원), 소프트웨어 중심대학(24억원)
4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REGIONAL S&T YEARBOOK 2023 447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표 3-13-12 ❙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427 2 16,161 273 486 49 3,456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3-13 ❙ 전라북도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산업과
∙ 전북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시행, 안전보호 융복합제품산업 육성사업 추진
∙ 활성탄소섬유 기술지원 기반구축사업, 전북 국가혁신 클러스터 고도화사업, 거점기관 개방 혁신사
업, 섬유공동브랜드 지원사업, 전북 섬유산업 육성 및 신규사업 발굴 추진 등
∙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 진흥사업(주력・협력) 세부사업 총괄, 지역혁신성장계획(균
형위) 및 전북혁신성장계획 수립,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추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전북연구개발특구 성과평가(연차, 종합) 업무, 전북연구개발특구 개
발 및 관리 업무(개발・실시계획)
∙ 전북새만금산학융합지구 지원, 전북형 산학융합 스마트 허브단지 활성화사업, 지역혁신 메가프로젝
트 사업,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지원사업, 지역현안
해결형 R&BD 지원사업(‘20, ’22),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육성 전반 - 전북 이차전지 산업 종합계획 수립 등, 전북 새만금 이차전지 특
화단지 조성 업무 - 특화단지 추진단 구성 및 세부 육성계획 수립 등, 이차전지 R&D 센터 구축
및 유치, 이차전지 실시간 고도분석센터 건립, 전북 이차전지 혁신 허브 조성방안 마련
∙ 데이터센터 집적지 조성사업 추진, 빅데이터 분석용역사업 과제발굴 및 분석 추진, 전북 디지털혁
4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신지구 조성사업 추진
∙ 데이터센터 집적지 조성 추진 - 새만금 SK 데이터센터 및 추가 데이터센터 업무 - 중앙부처 및
관련기관 동향파악 등, 4차 산업혁명 시행계획 수립 및 맞춤형 교육 추진, 빅데이터・AI분야 인력양
성사업 추진
∙ 전북 디지털혁신지구 조성사업 추진 - 예타 연구용역 추진 등, ICT산업 국가예산 발굴 및 사업화,
인공지능 기술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
∙ 홀로그램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및 핵심기술 사업화 실증사업,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센터 지원사업, XR 소재・부품・장비 개발지원센터 지원사업, 새만금 메타버스 체험관
운영 지원, 메타버스 산업육성 관련 업무 - 한옥마을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사업 등, 국가예산 확보
및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스마트팜 SW융합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디지털트윈 탄소배출량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
증사업, 소재・부품・장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소재・부품・장비 펀드 조성 및 관리, 소재・부
품・장비 기술개발 지원사업
주력산업과
∙ 대체부품산업 육성업무 추진,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 생태계 구축 등
∙ 새만금 자율운송 상용차 실증지원 인프라 조성(1~3단계), 중견중소 전기차 관련 협업기반 구축, 전
북형 30대 상용차 핵심부품 및 소재 기술개발, 민관 상생협력 단기부품 기술개발, 자율주행 상용차
보안 신뢰성 확보 기반 조성,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 육성
∙ 산업용 자율주행 스케이트 플랫폼 구축사업 - 수소상용차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 사업 - 수송기기
산업 재도약을 위한 융합기술 촉진 지원 사업 - 전기자동차 에너지 전주기 활용 기술개발 사업
∙ 특장차 산업 활성화 및 산업생태계 모델 구축사업, 특장차 안전 신뢰성 기반구축 사업,특장차 전문
단지 조성사업 등
∙ 특수목적선 선진화단지 구축사업, 친환경 선박 대체연료 추진시스템 기자재 실증플랫폼 기반 구축
∙ 농기계산업 종합기획 육성, 전동화 건설농기계 기술전환 기반구축(스마트 특성화 사업),지능형 농・
건설기계 규제자유특구 운영 계획 수립, 수출농기계부품 품질 고도화지원 생태계 구축사업, 농업용
스마트 전기구동 플랫폼 개발 및 실증지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농업용 로봇)
∙ 건설기계산업 종합기획 육성,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운영 지원, 지역특화산업(미래지능형기계) 육성
지원,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
∙ 뿌리산업 생태계 혁신성장 지원사업, 제조기반기술 R&D 혁신 지원사업, 뿌리기업 그린환경시스템
지원사업, 뿌리농기계 기술고도화 지원사업, 뿌리산업 진흥 및 육성에 관한 조례, 종합계획 수립
∙ UAM산업 육성 기본(시행)계획 수립・시행, UAM 관련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첨단 항공소부장산
업 육성, 항공MRO산업 육성 지원
에너지수소산업과
∙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정책 수립, 새만금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조성, 수상형태양광 종합평가센
터 구축,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무정전전원장치 사고대응 시스템 평가센터 구축, 친환경 소재부품 재활용 산업지원센터 구축, 신재
생에너지 박람회 및 국제포럼 추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운영관리 및 활성화 추진,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추진
∙ 재생에너지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 구축 -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교통 실증연구 기반 구
축, 신재생에너지 분야 신규시책 발굴 관리, 호남 초광역권 에너지공동체사업 추진, 전라북도 에너
지전담기관 설립 추진
∙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단지개발 지원사업 추진 - 발전사업 인허가 사전조사 - 전파영향평가, 해상교
통안전진단 등
∙ 수소 공급계획 수립,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실증 추진
∙ 수소산업 육성 발전계획 세부사업 이행, 수소시범도시 구축 및 지원(전주, 완주), 수소용품검사지원
센터 건립지원(완주), 사용 후 연료전지 기반구축 사업(완주), 분산형(소규모) 수소생산(추출)기지 구
축(완주), 수소특화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완주)
∙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지원(부안),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전력계동 연계 지원, 해상풍력 지
역 상생방안 마련(부안지역)
REGIONAL S&T YEARBOOK 2023 449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과 연구개발 역량강화 사항 심의・조정
-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 자문
- 연구회・TF분과 : 과학진흥정책 및 연구개발사업 발굴・기획(10대 연구회 구성・운영)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제9기(’22.4~’24.3)
- (위원장) 도지사 1명
- (위원구성) 총 30명(당연직 9, 위촉직 21명)
탄소바이오산업과
∙ 탄소복합체 다이텍가공공학센터 기반구축, 대선공약 탄소소재부품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4대 실
증기반)
∙ 탄소융복합분야 신규사업 기획・발굴, 탄소융복합소재부품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압력용기 탄소섬유
고속성형용 와인딩 장비 개발
∙ 산업・수송용 탄소소재부품 산업, 지역주력산업(탄소복합소재) 육성사업, 탄소기업 지원 및 신규사업
기획・발굴
∙ 탄소소재산업 신규시책 발굴,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 탄소기반 슈퍼커패시터 융합기술 사업,
다공성 탄소소재 기반 환경소재 및 부품개발 기반구축사업
∙ 국가 R&D 공모 및 기반구축 사업 추진, 탄소 소부장 특화단지 지원(매뉴팩처링 인큐베이션 허브
구축사업, 수소저장용기 시험・인증 플랫폼 구축사업, 소부장특화단지 산학연 협력지원사업), 초고강
도 수소저장용기 및 고속와인딩 기술개발 지원, 국산탄소섬유적용 대용량 수소이송시스템 개발 지
원, 초고온 결정질 탄화규소(SiC)섬유 개발 지원, 상용차용 수소저장용기 생산성 향상기술 개발 지
원, 재활용탄소섬유활용 융복합부품 상용화 지원사업
∙ 탄소소재산업 기업지원 업무 추진, 탄소복합재 수소용기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탄소복합재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및 고도화, 탄소융복합 전시관 운영, 소재부품장비 혁신랩 기술개발, 탄소복합재 해
상용 대형풍력블레이드 개발, 탄소산업클러스터 조성
∙ 고성능・고품위 탄소섬유 상용화, 탄소융복합제품 수요확대(CNG), 탄소소재산업 육성지원, 지역혁신
역량 강화사업, 탄소융복합 분야 신규사업 발굴・기획(규제자유특구)
∙ 메카노바이오활성소재 혁신의료기기 실증기반 구축, 바이오헬스 기반 집적화 단지 조성 지원, 중재
적메카노바이오 기술융합연구센터 구축 등
∙ 국가및자체 사업발굴, 제약산업 미래인력 양성센터 구축,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지원, 연구중심병
원육성 지원, 바이오헬스 기업 고도화 지원, 탄소소재 의료기기 산업 지원
∙ 산업・수송용 탄소소재부품 산업, 국산 탄소소재 활용 전주기 상용화 지원, 탄소산업 활성화 T2B
지원, 탄소응용제품 민간보급 지원, 지역주력산업(탄소복합소재) 육성사업, 탄소기업 투자 유치 대응
업무, 탄소기업 지원 및 신규사업 기획・발굴, 전국 탄소산업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 탄소융복합
분야 신규사업 기획・발굴 지원
∙ 나노융합기반고도화사업, 3d프린팅 융복합 기술지원사업, 나노소재 미래형 전자부품 상용화 등
4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 ’23년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3-14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성명 원소속기관 임기
위원 김관영 전라북도 2022.04.~2024.3.
위원 천세창 전라북도 기업유치지원실 2022.04.~2024.3.
위원 오택림 전라북도 미래산업국 2022.04.~2024.3.
위원 신원식 전라북도 농생명축산식품국 2022.04.~2024.3.
위원 천선미 전라북도 문화체육관광국 2022.04.~2024.3.
위원 강해원 전라북도 환경녹지국 2022.04.~2024.3.
위원 이송희 전라북도 복지여성보건국 2022.04.~2024.3.
위원 이남호 전북연구원 2022.04.~2024.3.
위원 이규택 전북테크노파크 2022.04.~2024.3.
위원 서민강 에코융합섬유연구원 2022.04.~2024.3.
위원 김대혁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김은미 호원대학교 2022.04.~2024.3.
위원 김진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2022.04.~2024.3.
위원 김차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2022.04.~2024.3.
위원 김혜미 전주비전대 2022.04.~2024.3.
위원 김회경 원광대학교 2022.04.~2024.3.
위원 민지호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백형희 한국식품연구원 2022.04.~2024.3.
위원 박성신 군산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임문택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 2022.04.~2024.3.
위원 설경원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정인성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2.04.~2024.3.
위원 양문식 한국과학기술단체 전북연합회 2022.04.~2024.3.
위원 오상남 전주대학교 2022.04.~2024.3.
REGIONAL S&T YEARBOOK 2023 451
※ 출처 : 전라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북도의 총예산은 약 26조 3,19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14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81%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3.41%
표 3-13-15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263,193
재정자주도(%) 65.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94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14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8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3.41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정병엽 첨단방사선연구소 2022.04.~2024.3.
위원 이말례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이미경 우석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이홍기 우석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채한정 전북대학교 2022.04.~2024.3.
위원 이상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2.04.~2024.3.
4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전라북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407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약 1,322억 원, 902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
표 3-13-16 ❙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경축순환농업연구
지역전략작목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 1,251 - 1,251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사업
전북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689 2,000 - 2,689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새만금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전북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
739 50 - 789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대학 일자리센터 운영
10,594 6,586 2,296 19,47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남원 화장품지식산업센터 건립
스마트 융복합 멀티플렉스 조성
27,369 27,650 2,947 57,96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지원 사업
신재생 연계 ESS 안전성 평가센터 구축
14,976 33,766 1,811 50,53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가변 플랫폼 기반 소형 전기버스/트럭
및 운영시스템 개발사업
혁신성장 R&D+ 사업
20,684 13,406 5,855 39,945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메이커스페이스 전문랩
조선해양 설치 운송 인프라 구축
30,971 39,632 10,102 80,70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국가식품클러스터 활성화지원
132,195 90,186 18,338 240,719
합계 238,217 214,527 41,349 494,06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45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444개로 전국의 2.2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6.04% 증가
- 5년간 대학 수는 3개 감소,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367개 증가
표 3-13-17 ❙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 5.48 18 4.34 18 4.38 19 4.49 17 4.07
∙ 국공립 6 7.59 5 5.95 5 5.88 5 5.81 5 5.68
∙ 사립 14 4.90 13 3.93 13 3.99 14 4.15 12 3.64
공공연구소 38 6.21 40 6.23 43 6.49 43 6.24 41 6.00
∙ 국공립 10 7.63 11 7.69 11 7.69 12 7.84 9 6.57
∙ 정부출연 11 6.59 11 6.51 11 6.75 11 6.47 10 6.06
∙ 병원 및 기타 17 5.41 18 5.45 21 5.88 20 5.46 22 5.77
기업 1,019 2.10 1,136 2.07 1,190 2.03 1,343 2.16 1,386 2.15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3 5.56 3 5.08 3 4.92
∙ 민간기업 1,017 2.10 1,134 2.07 1,187 2.03 1,340 2.15 1,383 2.15
합 계 1,077 2.18 1,194 2.14 1,251 2.10 1,405 2.22 1,444 2.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전라북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존재
표 3-13-18 ❙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1 -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전라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1,56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159명(전체의 약 12.19%), 공학계열 학생이 1만 9,555
명(전체의 약 21.36%)
표 3-13-19 ❙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159 19,555 30,714 16,398 11,996 7,264 7,653 17,537 91,562
비중(%) 12.19 21.36 33.54 17.91 13.10 7.93 8.36 19.1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45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전라북도에는 원광대 2개, 전북대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3-20 ❙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전북대
(2개 센터)
2017 대사염증 연구센터 MRC
2019 나노탄소기반 에너지소재 응용기술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원광대
(2개 센터)
2017 한방심신증후군연구센터 MRC
2021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에 원광대가 추가되면서 4개 센터 운영 중인 것으로 ‘23년에 4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
로 조사됨
4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21 ❙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우석대 수소연료전지 부품 및 응용기술 지역혁신센터
군산대 고등기술융합연구원(구. 군산대TIC)
캠틱종합기술원 (구. 전북대TIC) 캠틱종합기술원
원광대 차세대 방사선 산업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전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3-22 ❙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군산대학교 군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2-01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바이오플렉스(Bio Plex) 창업보육센터 2014-10-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코인쇄전자 창업보육센터 2012-07-05
ECO융합섬유연구원 에코파이버 창업보육센터 2014-01-27
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IT・BT 창업보육센터 2001-05-28
(사)전북창업공유지원센터 익산 창업보육센터 2017-12-22
전북과학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1-20
전북대학교 전북대 창업보육센터 1999-09-10
전주대학교 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전주비전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12-17
(재)한국탄소산업진흥원 탄소융합부품소재창업보육센터 2013-11-12
한국농수산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0-29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0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희망전북 POST-BI 2010-07-0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45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북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8개소로 10개를 운영 중
표 3-13-23 ❙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농업과학관 국립
국립전북기상과학관 국립
전라북도과학교육원 공립
남원항공우주천문대 공립
무주 반디별천문과학관 공립
부안곤충탐사과학관(누애곤충과학관) 공립
정읍첨단과학관 공립
만경강수생생물체험과학관 공립
순창건강장수체험과학관 공립
순창 옹기종기놀이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3년 전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2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4,611명임
표 3-13-24 ❙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563 693 753 782 829
수혜자 수 14,355 12,739 13,260 13,771 14,61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4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전북의 특허출원 건수는 3,95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114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9.1%, 10.3% 감소
표 3-13-25 ❙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3,993 4,121 3,995 4,343 4,529 4,354 3,957
특허등록 건수 1,468 1,860 1,995 2,137 2,277 2,357 2,11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전라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820편, 주저자 기준 1,838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96%, 3.06%를 차지
표 3-13-26 ❙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354 5.26 57,834 17.24 1,603 3.06 25,433 15.87
2019 3,404 5.06 47,511 13.96 1,644 3.00 21,099 12.83
2020 3,766 5.11 40,296 10.70 1,848 3.10 18,156 9.82
2021 4,038 5.06 26,841 6.65 1,900 2.98 11,209 5.90
2022 3,820 4.96 8,596 2.25 1,838 3.06 3,957 2.1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45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융합과 혁신이 공존하는 스마트 전북 실현
■ 목표
- 4차 산업혁명 연계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 과학기술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 지원 확대
- 전북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R&D 역량 강화
▣ 중점과제 및 전략
■ 과학기술 역량 확충으로 성장동력 창출 및 지역산업 구조고도화를 통한 신산업육성 선도 기반
조성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
- 지역 맞춤형 과제 발굴 프로세스의 다양화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
∙ (상향식) 지역의 현안 및 지역과학기술 역량제고를 위한 과제 발굴
: ① 자체 발굴 ② 도 담당과 수요 발굴 ③ 기술수요조사 발굴
∙ (하향식) 국정운영계획 및 중앙부처 정책에 따른 과제 발굴
: 다양한 공동체(기술 분야별 공동체, 기술 분야 간 공동체, 출연연+중소기업 간 공동
체)를 통한 신규 과제/사업 발굴 활성화
■ 혁신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연구인프라 확충
-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의 다각화, 다양성 확충 등 고부가가치화와 구조고도화를 위한 핵심기
술개발 및 연구인프라 확충
∙ 전북 디지털 융합지원센터,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 클러스터 강소 연구개발특구, 에너지산업 융
복합 단지 조성,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등
∙ 홀로그램, 탄소융복합 소재, 바이오, 그린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
∙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화 실증기반 구축, 발효 미생물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소재부품장비 혁신랩 기술개발 등
4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산・학・연 협력 지역혁신 플랫폼 기반의 공동연구 활성화
- 산학연 연구역량 결집을 통해 산업수요에 기반한 스마트・융복합 연구개발 활성화 촉진으로 부가가
치 제고 및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 기능성 소재 부품기업 경쟁력 강화, 바이오 융합소재 상용화 지원,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기반
구축, 규제자유특구(탄소융복합, 친환경 자동차) 육성 지원 등
-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융복합 연구개발 지원 확대
∙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SW융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바이오나노산업 기반 고도화 생태계 촉진,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전북 탄소기업 국내외 밸류체인 구축 지원 등
■ 과학기술 고급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연구인력 다양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에 적합한 인력양성사업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무역량 중점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 ICBMS(Iot, Cloud, Big data, Mobile, Security) 교육 확대
- 과학기술인력 교육 주기별 핵심 교육 개발
∙ 인력양성 협의체 중심 상시적 인력양성 사업 개발 체계 구축
∙ 인력 양성 이슈 발굴, 중장기 인력양성 계획 수립, 시대・상황 가변형 교육 제안
■ 기업 성장단계별 기술지원 체계 구축
- 기술 중심 전주기 창업・성장지원 플랫폼 구축
∙ (농생명 허브) 전북특구를 국가 식품바이오분야의 기술창업 허브로 육성
∙ (첨단기술기업) 첨단소재 분야 신규 창업, 첨단기술기업 육성
- 유망 벤처기업, 혁신기술기반기업 등 육성・유치, 기술 거래 활성화
- 전북지역 혁신주체 간 기술협력네트워크 강화
∙ 공공연구기관 기술협력협의체 운영
∙ 기술이전전담기관(TLO)별, 특화기술분야별 기술협력협의체 구성
∙ 전북 내 정부출연연-지자체출연-대학 간 기술정보 공유
- 기업 간 연구조합 지원으로 비즈니스 모델 형성
∙ 산・학・연 연구그룹을 통한 융복합 기술창출 지원
∙ 공동 R&D 개발, 민간 엑셀레이터 연계
∙ 지식창출-사업화-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생태계 구현
REGIONAL S&T YEARBOOK 2023 461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전략
■ 전북 R&D 투자 확대 및 투자효율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와 지역특화산업을 확대를 위한 국비 투자 확보
∙ 이슈 도출 ⇨ R&D과제 기획 ⇨ 과학기술위원회 심의 ⇨ 중앙정부 제안
※ 기업 유치 전용 R&D, 지역 현안 해결 R&D, 연고자원 연계 시・군 단위 R&D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산하 연구회를 활용한 과학기술 혁신 기획
∙ 선도형 기술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예산의 전략적 투자
∙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융복합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상용차 자율주행, 첨단모빌리티, 농생명바이오(첨단바이오), 스마트팜/공장, 이차전지, 탄소상
용화
- 전북 R&D 예산・배분・조정 체계 정비를 통한 투자효율성 점검
∙ R&D 예산의 투자-성과 관리 선순환 구조화(P-D-C-F 체계확립)
∙ 연구개발사업에 대한 분류별 성과편람 및 측정 가이드라인 수립
∙ 직접적 파급효과와 2차 파급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 개발
∙ ‘사업 수행 → 성과 조사 → 분석・평가 → 환류’ 체계 확립
∙ 기업지원 사업 체계 단순화로 예산편성 및 집행・관리의 효율성 확보
※ 지역 주도 R&D사업 선정(지특, 순도비) → 사업 유형 분류 및 성과진단 → 사업 통합・재편
(5개 내・외)
■ 전북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구축
- 전북형 거버넌스 중심의 R&D 체제 개편
∙ 전북 혁신기관들의 체계적 거버넌스구축 및 지역내 R&D의 효율성 확보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위상 제고 및 운영 활성화
∙ 신규 지자체 R&D사업에 대한 사전 심의・의결 권한 확보
∙ 유사・중복사업의 통폐합・검토 등 통합 조정 창구 역할 수행
- 전북 R&D 기획의 전주기 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상향식-하향식 R&D 과제 발굴・기획)
∙ 전주기적 R&D 기획-관리 연계 강화 및 과제 사업화율 제고(모니터링 강화)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전북 특화산업 고도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R&D 집중 지원
4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전북 중점투자 산업 선정 및 전략적 투자
※ (중점분야) 첨단모빌리티산업, 에너지신산업(이차전지 등), 농생명 소재・식품・바이오, 지능형
기계부품, 탄소융복합소재, 해양설비기자재 등
- 전북 R&D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기업의 성장혁신구조* 고도화 유도를 위한 단계적 R&D 지원
※ 기업 성장 유형 : 단순생산형→기술반응형→기술추격형→기술선도형
∙ 대학, 연구소 중심의 R&D 휴면기업 사업 참여 지원
∙ 우수기술 상용화 R&D 투자 확대
∙ 도비 R&D 졸업제도 및 R&D사업 수주역량 Jump up 유도
∙ R&D-표준화 연계 활성화
■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기업 성장단계별 기술지원 체계 구축
∙ 기술 중심 전주기 창업・성장지원 플랫폼 구축
∙ 지역연구성과의 창업 연계 : 지역내 공동연구 성과를 신규 기술창업으로 연계 확산(기술이전 기
관 대상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
-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시장의 선순환 구조화
∙ 중・장기적인 펀드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 기술사업화 Flow에 따른 주요 지원기반과 사업화 지원과제 마련(대학/연구소 중심 연구・개
발・응용 → 기술이전/기술가치 평가 → 사업화 기획 및 실행 → 기술사업화)
■ 과학기술 분야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 지역발전을 선도할 미래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운영
∙ 교육 주기별 연계형 교육 개발 : 지역 정착유도 과학기술 진로 교육
- 다각적 과학기술인재 지원 확대
∙ 고경력 과학기술 유공자를 활용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463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R&D 경쟁력 강화 및 거버넌스 운영활성화(전북과학기술위원회 중심)
- 추진체계 : 과학기술위원회 위상강화에 따른 지역과학기술 全분야 운영・활성화
- 전담조직 : R&D 총괄 관리체계 마련을 통한 과학기술 전담부서 운영체계 활성화
- 네트워크 : 지역 내 연구기관 연계 R&D 산학연 상호협력체계 구축 및 네트워킹 강화
■ R&D 재정투입 효율화 및 성과 극대화(투자효율성 확보)
- R&D 투자확대 및 과학기술 기반 수요 맞춤형 R&D 활성화
∙ 지역 과학・산업 진흥을 위한 단계별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과학기술 기반 수요자중심의 현장접목 R&D 및 신사업기획 확대
- 기획→환류의 전주기 정책관리 체계 완성도 제고
∙ 투입 후 성과중심의 사업기획→예산배분→평가조정→환류 체계 정비(도비투입 사업의 “표준 성
과지표 및 관리 지침” 최신화 등)
∙ 사업별 계획서에 성과지표 반영→성과평가→부서단위 사업조정에 반영확대
■ R&D연계형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역량 제고
-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및 강소기업 집중 육성
∙ 성장사다리 체계(창업→도약→선도→스타→글로벌강소기업)를 통한 강소기업 육성 및 기업의
R&D 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전문인력 양성공급
- 중소기업-공공(연)간 협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과 제고
■ 지역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 기반 혁신클러스터 연계 고도화
- 지역 내 입지한 연구개발특구, 강소특구, 국가융복합단지, 이차전지특화단지 등과 연계하여 주력
산업 및 新성장동력산업과의 연계R&D 확대 추진
- 지역 내 혁신주체 간 협력체계구축을 통해 미래 新기술변화에 선제적 대응력 확보
∙ 다양한 산업분야별 혁신클러스터 융복합R&D 및 기술교류 활성화를 통한 R&D혁신경쟁력 확보
4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4절 전라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전남의 인구는 약 176만 명으로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전남 인구의 비율은 3.42%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4-1 ❙ 전라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1,796,331 1,793,043 1,793,108 1,782,951 1,768,620
전국인구대비 비율(%) 3.48 3.46 3.47 3.45 3.42
경제활동참가율(%) 64.2 65.1 65.4 66.2 67.8
실업률(%) 2.8 2.6 2.4 2.3 2.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46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남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5.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29.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3.1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9.33%)이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5년 간 2.5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4-2 ❙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72,888,289 74,618,019 74,972,494 76,965,787 75,475,342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224,826 5,221,282 5,257,456 5,273,738 5,256,951
(지역내비중,%) (7.17) (7.00) (7.01) (6.85) (6.97)
제조업 22,796,915 22,607,350 21,817,489 22,946,169 22,258,992
(지역내비중,%) (31.28) (30.30) (29.10) (29.81) (29.49)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899,883 2,882,841 2,904,229 2,976,258 2,568,456
(지역내비중,%) (3.98) (3.86) (3.87) (3.87) (3.40)
건설업 4,277,662 5,071,273 5,717,796 4,935,111 4,630,000
(지역내비중,%) (5.87) (6.80) (7.63) (6.41) (6.13)
기타서비스업 16,059,856 16,788,773 16,410,930 17,128,931 17,484,514
(지역내비중,%) (22.03) (22.50) (21.89) (22.26) (23.1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864,032 13,495,025 13,886,876 14,173,397 14,586,101
(지역내비중,%) (17.65) (18.09) (18.52) (18.42) (19.33)
순생산물세 8,700,732 8,252,498 8,729,528 9,086,292 8,289,330
(지역내비중,%) (11.94) (11.06) (11.64) (11.81) (10.98)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2)
4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전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0조 6,519억 원이고, 1,92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62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37조 2,103억 원(전체의
41.0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449개(전체의 23.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1만 5,024명(전체의 17.75%)으
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4-3 ❙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993,896 4.41 449 23.34 11,857 14.01
음료 제조업 139,779 0.15 11 0.57 107 0.1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6,975 0.10 21 1.09 352 0.4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16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61,210 0.29 8 0.42 47 0.0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53,849 1.93 107 5.56 2,763 3.2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64,578 2.61 186 9.67 5,100 6.03
1차 금속 제조업 17,369,185 19.16 99 5.15 4,542 5.37
전기장비 제조업 1,166,019 1.29 90 4.68 2,532 2.9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69,751 0.96 111 5.77 3,261 3.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77,508 0.31 25 1.30 742 0.8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380,579 5.94 254 13.20 8,432 9.96
가구 제조업 44,222 0.05 11 0.57 110 0.13
기타 제품 제조업 100,030 0.11 12 0.62 201 0.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91,978 0.32 52 2.70 2,427 2.8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5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65,898 1.62 228 11.85 6,444 7.6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2,533 0.16 30 1.56 516 0.6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5,767 0.13 24 1.25 446 0.5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7,634 0.04 7 0.36 48 0.0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9,580 0.12 13 0.68 206 0.2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7,188,068 18.96 9 0.47 57 0.0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78,207 0.31 30 1.56 706 0.8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7,210,329 41.05 143 7.43 15,024 17.75
합 계 90,651,913 100 1,924 100 84,62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46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코크스, 연탄 및 석유 정제품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1차 금속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특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표 3-14-4 ❙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1차금속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4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라남도는 ‘이차전지’, ‘첨단모빌리티’, ‘첨단바이오’, ‘에너지’, ‘탄소중립’, ‘농수산’ 분야를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4-5 ❙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이차전지
(중대형 이차전지, 폐배러티 리사이클링,
소재 등)
EV・ESS 사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친환경 리튬이차전지 재활용 기술개발 실증센터
전기차(EV 배터리) 전주기 탄소중립환경관리체계 구축
첨단모빌리티
(초소형 E모빌리티, 드론 등)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 구축
전남 개조전기차 규제자유특구
Evtol 자율비행 핵심기술 및 비행안정성, 운용성 시험평가기술 개발 사업
첨단바이오
(백신, 세포・유전자치료, 향장, 헬스케어 등)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기능확대
m-RNA백신 실증지원 기반구축
미생물실증지원센터 활용 백신산업화 기업지원
에너지
(발전, 배전 저장, 변환 관련 기자재 및
소프트웨어)
에너지신소재산업화 플랫폼 구축
전력기자재 디지털 전환 기반구축
저압직류 핵심기기 인증지원 센터구축
탄소중립
(수소 생산・저장・운송, 소재부품 등)
수전해 시스템 신뢰성 제고 기술개발
탄소중립 전환기술 실증지원센터 구축
CCU실증지원센터 구축 사업
농수산
(농기계, 수산기자재, 식품, 스마트팜 등)
고품질 쌀 유통 활성화
첨단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조성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
※ 출처 : 전라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46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31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70개가 있음
- 총 10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274개, 총 종사자 수는 97,107명
표 3-14-6 ❙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삼일자원비축 4,157 4,088 2 2 X 100 완료
여수 51,229 32,550 305 277 24,907 100 조성중
대불국가산업단지 20,886 11,591 393 347 8,093 97 완료
빛그린 2,229 1,616 24 23 282 47 조성중
광양국가 96,405 28,168 190 146 14,218 98 조성중
일반
신금 397 397 42 35 385 89 완료
황금 1,116 1,115 1 1 X 44 조성중
광양익신 474 261 47 43 522 61 완료
나주 549 549 42 37 745 99 완료
문평 323 323 7 7 565 100 완료
세라믹 116 116 15 9 91 38 완료
삽진 218 216 45 45 265 100 완료
대양 1,546 1,062 190 132 2,159 98 완료
순천[재생사업지구] 583 582 40 38 1,010 100 완료
해룡 1,592 1,592 45 45 588 93 조성중
율촌제1 9,450 9,431 149 123 5,885 98 조성중
여수오천 222 222 39 37 478 100 완료
율촌제2 3,793 3,793 - - - - 미개발
삼호 2,971 2,971 1 1 X 100 완료
장성나노기술 901 901 191 172 1,835 100 완료
군내 686 686 1 - - 100 조성중
세풍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2,426 2,426 5 5 175 81 조성중
4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대마전기자동차
(구 대마)
1,652 1,652 48 38 585 82 완료
장흥바이오식품
(구 해당)
2,892 2,890 77 45 455 82 조성중
화원조선(구 화원) 2,058 2,053 - - - 100 조성중
일반
화순생물의약(구 화순) 755 755 19 19 595 99 완료
용당 351 351 - - - - 미개발
동함평 739 739 79 46 323 92 완료
에코하이테크담양(구 담양) 581 580 109 104 744 100 완료
묘도녹색 368 368 - - - - 조성중
나주신도 298 297 7 7 105 88 완료
운남 85 75 - - - - 조성중
강진 655 646 32 5 89 61 완료
나주혁신(구 나주미래) 1,789 1,787 157 144 1,238 97 완료
무안항공특화 351 350 - - - - 조성중
도시
첨단
순천 190 190 - - - - 조성중
농공
금천 103 103 1 1 X 100 완료
노안 125 125 32 32 331 100 완료
동수 209 209 60 60 506 100 완료
문평 69 69 6 6 141 100 완료
봉황 100 100 19 19 237 100 완료
오량 245 245 49 49 717 100 완료
산정 530 529 135 135 1,281 100 완료
주암 106 105 34 31 172 100 완료
화양 119 119 20 19 252 100 완료
마량 56 56 15 15 105 100 완료
풍양 55 50 9 7 36 100 완료
겸면 301 301 10 6 116 100 완료
석곡 126 126 13 7 112 100 완료
입면 522 522 1 1 X 100 완료
간전 102 102 14 14 72 100 완료
금성 233 233 28 25 59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47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무정 190 187 34 31 252 100 완료
삼향 220 220 47 44 249 100 완료
일로 164 164 31 20 188 100 완료
청계 314 314 47 45 541 100 완료
청계2 304 304 28 23 417 100 완료
미력 107 106 16 16 175 100 완료
벌교 145 145 15 15 191 100 완료
농공
조성 146 146 29 27 189 100 완료
지도 272 272 1 1 X 100 완료
군서 118 118 19 19 147 100 완료
칠곡 149 149 1 - - 100 완료
군서 128 128 14 14 139 100 완료
신북 145 145 14 14 92 100 완료
완도 323 323 79 74 447 100 완료
죽청 223 222 43 40 295 100 완료
동화 120 120 26 26 762 100 완료
동화전자종합 284 284 34 33 631 100 완료
삼계 88 88 18 13 140 100 완료
장평 103 102 20 15 115 100 완료
고군 101 101 23 19 119 100 완료
군내 260 260 4 - - 16 완료
학교 171 171 25 23 347 100 완료
함평 103 103 9 9 137 100 완료
옥천 103 103 22 20 147 100 완료
능주 109 109 43 43 152 100 완료
도곡 165 165 39 37 428 100 완료
동면 258 258 69 69 477 100 완료
이양 151 151 13 13 86 100 완료
남평 112 112 1 - - - 미개발
장흥 150 148 4 2 X 20 완료
해보 245 245 44 40 269 100 완료
장평제2 47 47 2 2 X 100 완료
4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영광식품산업특화 109 109 - - - - 조성중
완도해양생물특화 181 110 17 2 X 100 완료
땅끝해남식품특화 143 142 19 14 38 100 완료
청정식품(구 동강) 145 145 20 15 257 100 완료
자연드림파크(구 용방) 144 144 14 14 407 100 완료
영암특화 116 116 16 10 66 100 완료
송림그린테크 (구 송림) 144 144 29 29 252 100 완료
동면제2 147 141 23 21 239 100 완료
농공
에코-하이테크 329 327 41 39 599 100 완료
학교명암축산특화 318 318 1 1 X 9 조성중
화원조선 153 153 1 1 X 100 완료
화순식품 136 136 2 2 X 100 완료
화양한옥 34 34 - - - - 조성중
대서 150 150 - - - - 미개발
동강특화 299 296 - - - - 조성중
해룡선월지구 144 144 - - - 100 조성중
자연드림파크2단지 49 49 3 2 X 100 완료
운곡특화 183 183 - - - - 미개발
칠량 149 149 23 22 220 100 완료
몽탄특화 89 89 1 1 X 9 완료
묘량 214 214 - - - - 미개발
고흥무인항공영농기술
특화농공단지
137 137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473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전남에는 총 748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5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3개, ‘건설업’이 3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98개), ‘식료품 제조업’(75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업’(75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4-7 ❙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6 8
광업(05~08) 2 3 3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02 73 75
음료 제조업 3 4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3 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 12 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 1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4 46 5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6 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7 33 3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 23 26
1차 금속 제조업 11 9 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7 48 5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6 28 2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3 9 14
전기장비 제조업 92 86 98
4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2 68 7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 7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4 23 30
가구 제조업 1 1 2
기타 제품 제조업 15 13 1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1 11 11
건설업(41~42) 36 33 38
도매 및 소매업(45~47) 14 11 13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
정보통신업(58~63) 61 46 5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1 50 5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8 7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18 664 748
REGIONAL S&T YEARBOOK 2023 47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5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10,396명(전국의 1.28%)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80%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4,577명(전국의 0.88%)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3,855명(전국의 1.73%), 공공연구소는 1,964명(전국의 2.8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4-8 ❙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597 1.87 3,058 1.58 3,327 1.61 2,947 1.40 3,855 1.73
∙ 국공립 3,077 3.87 2,561 3.21 2,570 2.97 2,447 2.82 3,310 3.69
∙ 사립 520 0.46 497 0.44 757 0.63 500 0.41 545 0.41
공공연구소 1,527 2.62 1,645 2.64 1,704 2.66 1,821 2.74 1,964 2.87
∙ 국공립 661 5.40 602 4.67 764 5.96 797 5.93 901 6.79
∙ 정부출연 363 1.11 396 1.15 419 1.23 398 1.17 396 1.14
∙ 병원 및 기타 503 3.70 647 4.29 521 3.00 626 3.25 667 3.25
기업 3,503 0.80 4,036 0.87 4,102 0.86 4,367 0.86 4,577 0.88
∙ 정부투자기관 141 3.61 155 4.03 148 3.95 163 4.22 195 4.89
∙ 민간기업 3,362 0.77 3,881 0.85 3,954 0.84 4,204 0.83 4,382 0.84
합 계 8,627 1.25 8,739 1.22 9,133 1.22 9,135 1.16 10,396 1.2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전라남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4명 증가한 37.4명으로 조사됨
표 3-14-9 ❙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8.4 30.9 32.2 34.0 37.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전라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9,464억 원(전국의 0.84%)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 연구개발비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45%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847억 원(전국의 1.79%), 공공연구소는
약 2,538억 원(전국의 1.96%), 기업이 약 5,080억 원(전국의 0.57%)
표 3-14-10 ❙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32,267 1.88 123,345 1.67 133,176 1.59 157,811 1.69 184,671 1.79
∙ 국공립 118,357 3.83 113,864 3.48 117,947 3.12 138,124 3.28 161,563 3.57
∙ 사립 13,910 0.35 9,481 0.23 15,229 0.33 19,687 0.38 23,108 0.40
공공연구소 159,245 1.62 167,093 1.64 194,962 1.75 239,008 1.99 253,771 1.96
∙ 국공립 33,931 4.17 33,713 4.03 25,863 3.04 37,612 3.89 41,779 4.10
∙ 정부출연 59,149 0.78 66,404 0.85 78,636 0.95 89,869 1.03 91,861 0.99
∙ 병원 및 기타 66,165 4.47 66,976 4.39 90,463 4.56 111,527 4.83 120,131 4.58
기업 369,254 0.54 433,398 0.61 376,004 0.51 417,437 0.52 508,004 0.57
∙ 정부투자기관 30,814 3.39 26,313 3.03 29,878 3.41 27,202 3.16 34,974 3.94
∙ 민간기업 338,440 0.50 407,085 0.58 346,126 0.48 390,235 0.49 473,030 0.53
합 계 660,766 0.77 723,836 0.81 704,142 0.76 814,256 0.80 946,446 0.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47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전라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10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56%
표 3-14-11 ❙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724 3,199 3,671 3,654 4,108
(1.4) (1.6) (1.6) (1.5) (1.6)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R&D체계 개편을 통한 지역주도 과학기술진흥 리더쉽 구축
- 지역의 R&D투자결정권 강화를 위한 주요부처 R&D 조사・분석 및 미래 신산업 연구개발 기획 등
R&D전담기관 운영(R&D전담기관 운영 지원, 18억원)
- 연구개발 자원관리 및 확산기반 마련과 데이터기반 조사・분석 체계를 확립하여 지역 주도의 R&D
생태계 조성 지원(연구개발 지원단 지원사업 3.8억원)
- 전남과학기술정보시스템(JNTIS)를 통해 도내 과학기술 및 R&D와 연구장비 등 과학기술 통합정
보 시스템 기능 고도화를 통한 활용지원 활성화(전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운영사업 0.7억원)
- 전남지역의 기반과 역량을 활용한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위한 과학축전, 문화활동 및 도민과학단 지
원(전남 과학문화 활성화 지원사업 4.5억원)
■ 지역 혁신주체 역할 강화를 통한 연구개발 경쟁력 제고
- 노후 전력기자재 활용 재제조(성능개선)를 통한 자원순환 경제실현 및 도내 에너지기업 新시장 개
척(전력기자재 재제조 성능평가 기반조성, 42.7억원)
- 효율향상을 위한 전원체계 마련 및 전남의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을 위한 표준기술개발(지능형 저압
직류 기술개발, 61억원)
- 초소형전기차 실도로 주행시험을 통한 차량 성능 및 핵심부품 신뢰 검증을 통한 관련분야 비즈니스
모델 도출 및 산업육성(초소형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 실증사업, 55.9억원)
4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 유도 및 지역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역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지역
수요맞춤형연구개발사업, 40억원)
-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활용 스마트팜 확산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축산환경 조성
및 신시장 개척(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88.3억원)
- 지역농업 연구기반 조성과 산학연 광역화 및 지역특화작목 기술개발 지원(연구활동 지원 및 성과관
리, 25.2억원)
- 임상의의 연구환경 보장을 통해 바이오메디컬 산업분야 의사과학자 양성 및 연구성과 추진(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 15억원)
- 산업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각종 사고 예방 및 안전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여수석유화학산단 통합 인프라 구축사업, 42억원)
■ 지역 기술사업화 시스템 강화 및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내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산학 공동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기업연구역량 강화 및 기업경쟁력
강화(산학연계 농공단지 입주기업 연구개발, 13.7억원)
- 배터리 리사이클링 센터 구축을 통한 재사용・재제조 제도적 기반 및 산업화 기반확보(EV・ESS 사
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30억원)
- 바이오기업의 글로벌기업 육성 지원을 통해 면역치료분야의 국가거점으로 기반확립을 위한 플랫
폼 구축(면역세포치료 산업화 기술플랫폼 구축, 55억원/국가 면역치료플랫폼 구축, 133억원)
- 도내 천연물 활용 마이크로바이옴 맞춤형 식/의약품 개발(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스마트웰에이징 기
술개발사업, 23.2억원)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의 전남 유치를 위한 기획, 지역공감대 형성 지원(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기반 조성, 15억원)
- 친환경 자동차 등 수송기기 경량화 추세에 맞춰 국내 마그네슘 소재・부품 개발 및 실증(수송기기용
마그네슘 소재 실증기반 조성, 28.9억원)
- 농작물 재배 환경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에너지 융합시스템 개발(농작물대상 재생에너지 융복합시
스템 개발 및 실증, 33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479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4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4-12 ❙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6,466 2 20,746 455 647 48 4,507 - 61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4-13 ❙ 전라남도 전략산업국과 에너지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기반산업과
∙ 지역경제정책 수립 추진, 전남테크노파크 운영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정 준비
∙ 조선해양산업 육성사업 발굴, 조선산업 기반구축, 조선산업 기반구축사업, 조선산업 인력양성지원
등
∙ 소재・부품산업육성, 석유화학산업 육성, 금속 및 기계가공산업 육성, 뿌리산업 육성 등
∙ 신소재 이차전지 산업육성, 신소재(세라믹, 고분자소재) 등
신성장산업과
∙ 친환경 연안선박 클러스터 구축
∙ 항공, 드론 산업 육성, 우주 항공 클러스터 조성,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운영,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
장 구축, 드론산업 육성 및 블루이코노미 사업 추진 등
∙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련산업 육성, 전기자동차 서비스산업 육성, e-모빌리티 엑스포 추진, 자율주
행 자동차산업 육성 등
∙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수립,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추진, 반도체 전문인력 수급 및 인재 양성, 반
도체 협력네트워크 추진
∙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데이터산업 육성대책 추진, 연계 협력사업 발굴
연구바이오
산업과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연구개발사업업무, 산학업무 전반, 지역 SW 육성사업 등
∙ 바이오산업 종합계획 수립, 바이오 인력 개발
∙ 백신, 신약개발 업무 추진, 천연물 업무 추진
에너지정책과
∙ 에너지산업국 종합기획, 지역에너지 절약사업, 분산에너지 관련 업무, 에너지신산업 연구개발기획사
업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원, 규제자유특구 지원, 녹색에너지연구원관리, 지역특성화사업, 국가혁신융
복합단지 지원
해상풍력
산업과
∙ 전남형 상생일자리 상생협의회 운영 및 융복합산업화 플랫폼 구축 추진
∙ 해상풍력 단계별 사업 개발 및 추진, 지원항만 개발 및 배후단지 조성, 특화구역 지정, 해상풍력
이익공유 모델 개발
∙ 신안 8.2GW 해상풍력 주민수용성 확보 지원, 육상풍력 인허가 등
미래에너지
산업과
∙ 재생에너지 연계 그린수소 메가 클러스터 구축 추진
∙ 그린수소 시범도시 및 수소특화단지 구축 조성사업 추진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사업 관계기관 협력사업 개발
∙ 레이저 인력양성 방안 마련, 관련 대학,연구기관 MOU 추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481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조례)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과학기술 발전 및 과학 기술인
육성 제도 개선, 과학기술 대상 심사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전라남도 정무부지사(당연직)
- 위원임기 : 위촉직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가능. 다만, 위원이 궐위된 경우 새로 선임된 위원의 임
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하며, 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해당 위원이 그 직위에 재임하는 기간으로 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1회 (2023.5.23.~2023.5.25.)
- 제6차 전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 소속기관
표 3-14-14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창환 전라남도정무부지사 당연직
위 원 황기연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 당연직
위 원 김종갑 전라남도 전략산업국장 당연직
위 원 한춘옥 전라남도 도의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최용국 한국과총 광주전남지역회장 2021.12.03.~2024.12.02.
위 원 나해영 목포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박기영 순천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이경환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송하철 목포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 원 문봉진 광주과학기술원 2021.12.03.~2024.12.02.
위 원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 2021.12.03.~2024.12.02.
위 원 이경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12.03.~2024.12.02.
위원 곽인실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원 양현정 전남대학교 2021.12.03.~2024.12.02.
위원 이상연 전라남도 연구바이오과장 2018.12.03.~2021.12.02.
※ 출처 : 전라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4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남도의 총예산은 약 32조 5,84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예산은 약 1,73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3%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2.89%
표 3-14-15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 산 325,845
재정자주도(%) 67.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04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73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2.89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48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전라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966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227억 원과 642억 원이 투입
표 3-14-16 ❙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전남R&D 전담기관 운영 지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 운영지원
180 2,870 - 3,05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지원 150 80 15 24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전남스마트팜혁신밸리조성사업
수송기기용 마그네슘 소재 실증기반
조성사업
27,723 44,012 2,414 73,14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능형 저압직류 기술개발
초소형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 지원
실증사업
26,564 19,771 2,500 48,835
지역 산・학・연공동연구 활성화
폐플라스틱 자원화 소재개발 실증기반
조성사업
산학연계 농공단지 입주기업 연구개발
2,400 2,990 379 5,76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뿌리산업 선도기업 육성사업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개발 및 실증
31,006 39,685 6,482 77,16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 백신제품화 기술지원센터 구축
국가 면역치료플랫폼 구축
122,692 64,158 11,242 196,582
합계 210,715 173,566 23,032 404,79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123개로 전국의 1.7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90%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344개 증가
표 3-14-17 ❙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4.11 15 3.61 15 3.65 14 3.31 16 3.83
∙ 국공립 6 7.59 6 7.14 6 7.06 6 6.98 7 7.95
∙ 사립 9 3.15 9 2.72 9 2.76 8 2.37 9 2.73
공공연구소 30 4.90 34 5.30 37 5.58 40 5.81 40 5.86
∙ 국공립 9 6.87 11 7.69 11 7.69 6 6.98 13 9.49
∙ 정부출연 5 2.99 4 2.37 4 2.45 4 2.35 3 1.82
∙ 병원 및 기타 16 5.10 19 5.76 22 6.16 24 6.56 24 6.30
기업 723 1.49 858 1.57 933 1.59 1,019 1.64 1,067 1.66
∙ 정부투자기관 3 7.14 3 5.45 3 5.56 5 8.47 5 8.20
∙ 민간기업 720 1.48 855 1.56 930 1.59 1,014 1.63 1,062 1.65
합 계 768 1.56 907 1.62 985 1.65 1,073 1.69 1,123 1.7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485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전라남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10개, 전문대학 9개 존재
표 3-14-18 ❙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4 - 6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8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3 1 15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전라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4만 8,15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684명(전체의 약 9.73%), 공학계열 학생이 1만 3,284명(전
체의 약 27.59%)
표 3-14-19 ❙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684 13,284 17,968 10,408 3,612 2,795 2,577 10,796 48,156
비중(%) 9.73 27.59 37.31 21.61 7.50 5.80 5.35 22.42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전라북도에는 동신대 1개, 목포대 1개, 전남대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4-20 ❙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동신대
(1개 센터)
2022 비위(脾胃)조절기반 Gut-Brain 시스템 제어 한의과학 연구센터 MRC
목포대
(1개 센터)
2022 바이오 메디슨 첨단제형 연구센터 RLRC
전남대
(1개센터)
2023 골다공증 토탈 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전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3년 기준 목포대 1개, 전남대 1개, 순천대 1개 총 3개 센터가 각각 운영 중.
순천대 1곳의 운영이 종료됨
REGIONAL S&T YEARBOOK 2023 487
표 3-14-21 ❙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전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4-22 ❙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양보건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나노융합의료부품소재 창업보육센터 2010-04-01
동신대학교 동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10
목포대학교 목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05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2018-06-01
목포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0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바이오융합 창업보육센터(친환경) 2012-11-01
순천대학교 순천대창업보육센터 1999-12-15
전남대학교 여수사무소 전남대학교 여수창업보육센터 2005-12-08
전남도립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2-01
(재)전남환경산업진흥원 전남환경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천연자원연구센터 천연소재실용화 창업보육센터(천연자원) 2013-08-01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 창업보육센터 2017-02-0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주관기관 센터명
목포대 IT기반 서남권 중형조선산업 지역혁신센터
전남대(여수) 중화학설비 안전진단기술 지역혁신센터
순천대 차세대 전략산업용 희유자원 실용화 지역혁신센터
4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남에는 공립과학관 11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14개를 운영 중
표 3-14-23 ❙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전라남도과학교육원 공립
고흥우주천문과학관 공립
곡성섬진강천문대 공립
함평자연생태과학관 공립
순천만천문대 공립
장흥 정남진천문과학관 공립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관 공립
섬진강어류생태관 공립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공립
장흥 정남진문과학관 공립
한국토종민물고기과학관 공립
국제환경천문대과학관 사립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여수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489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3년 전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494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592명임
표 3-14-24 ❙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93 303 325 373 494
수혜자 수 5,677 2,430 3,936 4,506 5,59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전남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41명 양성
표 3-14-25 ❙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전남테크노파크 3
전용공간
9개(1,410㎡)
46 59,831 70.0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4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전라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3,97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082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1.9%, 0.9% 감소
표 3-14-26 ❙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2,700 2,902 3,223 3,424 3,592 4,050 3,973
특허등록 건수 1,201 1,616 1,605 1,836 1,906 2,101 2,082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전라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558편, 주저자 기준 606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2.02%, 1.01%를 차지
표 3-14-27 ❙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1,105 1.73 17,489 15.83 460 0.88 5,510 11.98
2019 1,174 1.75 14,783 12.59 489 0.89 4,707 9.63
2020 1,355 1.84 12,331 9.10 561 0.94 3,916 6.98
2021 1,514 1.90 8,414 5.56 593 0.93 2,464 4.16
2022 1,558 2.02 3,612 2.32 606 1.01 1,115 1.8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49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혁신으로 도약하는 지역경제!
■ 목표 : 자생력 높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정책역량)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 (혁신기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인프라 고도화
■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성장) 지역 대학, 연구기관 역량 강화 및 거점화
- (연계) 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 해소
- (성과) 지역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한 기업 경쟁력 제고
■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민간 중심 생태계 활성화
- (공간) 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 (산업) 지역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추진
- (문화) 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지털 교육・문화 저변 확대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자생력 높은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구축
■ 실행전략 :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지역혁신을 주도하는 민간 중심 생태계 활성화
49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전남형 R&D 활성화를 위해 ‘현장-정책-기획-지원’의 체계적 통합과 기업육성을 지향하는 지
역주도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전남 핵심과학기술 6대 분야별 PD를 지정・운영하여 연구개발 연계 체계적인 기업육성 정책을
수행할수 있는 제도 마련(전남형 PD : (전남도) 산업별 팀장급 1명 + (道 출연연) 팀장급 1명으로
구성)
- 전남 핵심과학기술 6대 분야 중 기업군 분석 및 정책수립이 선행된 분야인 ‘에너지’와 ‘농업’ 분야
시범사업 착수
■ 정부출연연 등 국・공립 연구기관 유치 및 대형 연구인프라시설 유치를 위한 중・대형 R&D기
획 추진
- 도정과 정부정책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맞춤형 중・대형 R&D사업 기획 및 중앙 부처 건의
- 연구바이오산업과를 총괄로 R&D전담기관인 ‘전남테크노파크’를 통해 농업・수산 등 비교우위 자
원 기반의 R&D 사업 공모 집중 대응
■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화・脫탄소화를 통한 미래신산업 선점
- 탄소저감형 및 수소환원 제철기술, 폐열・가스・탄소 고효율 회수기술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지속가능한 주력산업 환경 조성
- eVTOL 자율비행 핵심기술 및 실증,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저탄소시대 대비 연구개발 및 관
련분야 인프라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493
제15절 경상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경북의 인구는 약 263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경북 인구의 비율은 5.09%로 작년 대비 감소
표 3-15-1 ❙ 경상북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2,675,196 2,671,108 2,651,789 2,640,965 2,628,220
전국인구대비 비율(%) 5.19 5.16 5.12 5.10 5.09
경제활동참가율(%) 64.2 64.2 63.7 63 64.5
실업률(%) 4.1 3.9 4 3.2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49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북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0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75% 증가하였음
- 제조업이 40.78%로 가장 높고, 기타서비스업이 22.96%,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6.95%로 그
뒤를 이음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5년 간 3.18%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5-2 ❙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03,149,107 104,417,627 101,370,158 105,224,262 107,057,669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331,923 5,659,475 5,358,121 5,774,044 5,550,851
(지역내비중,%) (5.17) (5.42) (5.29) (5.49) (5.18)
제조업 44,826,227 44,749,360 42,433,513 44,742,638 43,655,197
(지역내비중,%) (43.46) (42.86) (41.86) (42.52) (40.78)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326,614 3,655,638 3,737,286 3,616,930 3,886,485
(지역내비중,%) (3.23) (3.50) (3.69) (3.44) (3.63)
건설업 5,180,091 4,883,559 4,617,768 4,397,629 4,734,168
(지역내비중,%) (5.02) (4.68) (4.56) (4.18) (4.42)
기타서비스업 23,318,220 23,652,222 22,673,509 23,573,684 24,576,192
(지역내비중,%) (22.61) (22.65) (22.37) (22.40) (22.9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5,518,039 16,157,785 16,618,586 17,215,086 18,146,378
(지역내비중,%) (15.04) (15.47) (16.39) (16.36) (16.95)
순생산물세 5,670,015 5,807,681 6,056,821 6,079,398 6,636,792
(지역내비중,%) (5.50) (5.56) (5.97) (5.78) (6.2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REGIONAL S&T YEARBOOK 2023 495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26조 8,989억 원이고, 5,22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3
만 1,79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33조 3,471억 원(전체의
26.2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683개(전체의 13.07%)로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만 5,599명(전체의
15.3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5-3 ❙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4,722,170 3.72 396 7.58 11,816 5.10
음료 제조업 222,703 0.18 27 0.52 629 0.2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40,645 0.19 61 1.17 968 0.4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171 0.01 7 0.13 64 0.0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9,602 0.38 20 0.38 354 0.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450,140 5.08 472 9.03 16,546 7.1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531,099 2.78 324 6.20 10,249 4.42
1차 금속 제조업 28,565,066 22.51 357 6.83 16,956 7.32
전기장비 제조업 8,475,558 6.68 246 4.71 14,271 6.1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075,780 4.79 638 12.21 17,212 7.4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911,777 10.17 612 11.71 29,071 12.5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19,331 0.33 65 1.24 1,583 0.68
가구 제조업 282,898 0.22 37 0.71 645 0.28
기타 제품 제조업 412,871 0.33 26 0.50 541 0.2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32,691 0.34 70 1.34 4,366 1.8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436 0.01 4 0.08 0 0.0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522,727 5.93 683 13.07 19,701 8.5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143,292 2.48 400 7.65 10,030 4.3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09,649 1.19 109 2.09 3,410 1.4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0,609 0.05 21 0.40 420 0.1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3,347,101 26.28 244 4.67 35,599 15.3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47,944 0.20 20 0.38 365 0.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19,431 1.12 127 2.43 3,243 1.4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915,330 4.66 257 4.92 7,929 3.42
합 계 126,898,867 100 5,226 100 231,792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49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1차 금속 제조업’으로 나
타남
표 3-15-4 ❙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1차금속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비교적
높음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담배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및
신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3 497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북도는 ‘전략산업・기술 특성화체계 마련 ’과 ‘지역 수요 기반의 예산 지원’,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인재 양성’,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
원’, ‘기업 수요 및 역량 진단 기반 지역 기업의 강소기업 도약 촉진’, ‘지역 주도로 클러스터 성
장 전략 수립・추진’,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 연계 패키지 지원’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5 ❙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전략산업・기술 특성화체계 마련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
지역 수요 기반의 예산 지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 센터구축
제조기반기술 초고성능컴퓨팅센터구축
지역 산학연 전문가 교류 플랫폼 구축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재개발 지원사업
지역센서융합산업협의체 운영 및 산업육성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인재 양성 지역산업 연계형 대학 특성화학과 혁신지원
지역 특화 벤처・창업 지원 첨단제조플랫폼기반ICT혁신제품화지원사업
기업 수요 및 역량 진단 기반 지역 기업의
강소기업 도약 촉진
AI협동로봇 정책개발 및 기업지원 사업
농업용로봇 클러스터 기반 조성 및 기업육성 지원사업
고위험 제조현장 공정기술개발 지원사업
경상북도기업부설연구소 R&D 레벨업 사업
경북SW품질역량센터구축사업
지역 주도로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 산단혁신사업 전략과제 추진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등 연계 패키지
지원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신축설계 및 인프라 구축
규제샌드박스 지원 사업
경북배터리종합관리센터 연구개발 육성지원
※ 출처 : 경상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49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7개, 일반산업단지 79개 및 농공산업단지 67개가 있음
- 총 15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178개, 총 종사자 수는 169,984명
표 3-15-6 ❙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월성전원 3,693 3,692 1 1 X 100 완료
구미국가(1단지)[재생사업지구] 10,089 10,098 2,694 2,173 80,182 100 완료
구미국가(2-4단지) 18,243 17,208 23 23 3,667 97 조성중
구미하이테크밸리 9,326 9,325 - - - 98 조성중
포항국가 28,755 17,624 106 103 11,963 100 조성중
포항블루밸리 6,080 5,484 28 7 48 36 조성중
일반
경산1 1,577 1,577 194 166 8,113 100 완료
경산2 489 486 105 97 1,746 100 완료
강동 992 991 77 60 628 99 조성중
건천제1 147 147 6 6 494 100 완료
일반
건천제2 990 990 21 21 1,125 100 완료
명계2 104 104 - - - 33 완료
문산 315 315 26 26 363 100 완료
석계 146 146 35 35 429 100 완료
석계2 122 122 14 14 250 100 완료
외동 142 142 22 22 795 100 완료
외동2 603 603 39 39 1,242 100 완료
천북 1,862 1,863 117 116 2,153 98 조성중
화산 150 149 14 14 611 100 완료
신기제2 440 440 23 15 312 100 완료
상주청리 1,295 1,221 7 4 143 98 완료
상주한방 766 766 2 2 X 97 완료
경북바이오 941 940 41 30 1,166 98 완료
신흥 112 112 - - - -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3 499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영일만2 720 720 10 9 1,245 100 완료
포항4 2,047 2,047 101 78 1,157 100 완료
개진 148 148 35 35 345 100 완료
성산 113 113 1 - - 100 조성중
성주 851 851 53 52 1,365 100 완료
월항 78 78 14 11 46 100 완료
두전 55 54 5 4 33 90 완료
영주 178 178 38 38 238 100 완료
고경 1,565 1,563 - - - - 조성중
왜관 2,540 2,540 381 369 7,850 100 완료
왜관3 747 744 46 45 1,249 100 완료
가흥 211 210 3 3 250 100 완료
광명 728 728 10 6 262 79 조성중
영일만3 195 195 6 2 X 55 완료
영일만4 2,600 2,600 7 1 X 100 조성중
모화 377 377 43 43 832 100 완료
경산4 2,402 2,402 - - - - 미개발
갈산 149 149 4 3 52 32 완료
영일만 964 964 16 13 1,079 100 완료
제내2 84 84 4 1 X 98 조성중
일반
서동 270 260 1 1 X 100 완료
구어2 829 829 44 32 843 99 완료
건천용명 116 116 6 6 140 100 조성중
연화 52 52 9 9 141 100 완료
천북2 104 104 1 1 X 13 조성중
녹동 140 140 16 13 184 100 조성중
석포 185 185 - - - - 미개발
성주2 959 959 27 27 763 100 완료
건천3 149 149 - - - - 미개발
나아 120 120 - - - 70 조성중
제내5 137 137 - - - 100 조성중
그린 871 871 - - - - 미개발
문산2 836 836 35 6 454 100 완료
50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검단 932 932 - - - 52 조성중
석계4 121 117 40 16 56 27 완료
양남 1,739 1,739 - - - - 미개발
열뫼 224 224 - - - 100 조성중
김천1 2,228 2,228 83 83 2,497 100 조성중
신기 126 126 3 1 X 100 완료
영천첨단부품소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1,461 1,459 61 54 2,430 100 완료
월성 668 668 - - - - 조성중
경북바이오2차 299 299 - - - - 조성중
건천4 629 629 - - - - 조성중
명계3 823 823 17 5 340 100 조성중
김천1(3단계) 1,156 1,155 23 23 1,012 100 완료
대곡2 242 242 - - - - 조성중
경산3(구 진량2) 1,497 1,456 69 60 3,689 100 완료
경산1-1(구 진량3) 78 78 - - - - 조성중
고령1(구 다산) 636 636 68 64 1,556 100 완료
고령2(구 다산2) 766 704 86 80 1,545 100 완료
SK머티리얼즈
(구 OCI머티리얼즈)
171 171 2 2 X 100 완료
동고령(구 박곡) 748 748 64 57 625 100 완료
일반
송곡 262 262 - - - - 미개발
상주 393 393 5 - - - 조성중
외동3 110 110 - - - - 조성중
혁신원자력연구 2,200 2,200 - - - - 조성중
대창 460 460 - - - - 미개발
경산화장품특화 149 149 - - - - 조성중
영천금호 282 282 - - - - 미개발
농공
건천 102 102 4 4 424 100 완료
내남 90 90 3 3 302 100 완료
서면 113 113 14 13 202 100 완료
안강 150 150 13 12 364 100 완료
외동 109 109 5 5 1,359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501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고아 206 206 47 44 783 100 완료
산동 69 68 16 15 164 100 완료
해평 62 62 16 16 219 100 완료
감문 113 105 13 13 194 100 완료
대광 557 557 33 33 683 100 완료
아포 190 190 28 28 544 100 완료
지례 57 57 4 4 86 100 완료
가은 82 82 12 10 92 100 완료
가은제2 78 78 8 7 143 100 완료
마성 264 264 18 17 517 100 완료
산양 172 172 15 14 313 100 완료
영순 84 84 4 4 177 100 완료
영순제2 141 141 12 10 250 100 완료
공성 113 100 12 7 100 100 완료
외답 235 210 22 19 269 100 완료
함창 119 119 12 11 203 100 완료
함창제2 126 122 12 7 125 100 완료
화동 94 78 7 4 61 100 완료
화서 105 92 5 3 34 100 완료
화서제2 140 139 5 3 44 89 완료
남선 67 66 13 11 48 100 완료
남후 288 288 41 35 273 100 완료
풍산 215 215 28 26 471 100 완료
문수 149 149 15 14 200 100 완료
농공
반구전문 428 428 19 19 839 100 조성중
봉현 110 110 25 25 383 100 완료
장수 224 224 38 38 364 100 완료
적서 308 308 1 1 X 100 완료
휴천 253 253 1 1 X 100 완료
고경 57 57 11 8 68 100 완료
도남 330 330 18 17 1,774 100 완료
본촌 152 152 13 12 771 100 완료
북안 157 157 15 13 216 100 완료
50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산 118 118 18 16 130 100 완료
청하 195 195 25 23 376 100 완료
개진 139 139 32 29 337 100 완료
쌍림 255 255 46 40 510 100 완료
봉화 149 149 16 12 149 100 완료
봉화제2 135 135 16 16 159 100 완료
선남 73 73 10 10 147 100 완료
성주 146 146 12 11 270 100 완료
월항 258 258 27 26 584 100 완료
영덕 150 150 15 13 139 100 완료
예천 129 129 8 8 249 100 완료
울진 126 126 12 11 93 100 완료
다인 206 206 18 11 119 100 완료
봉양 195 194 24 19 293 100 완료
의성 165 165 23 16 194 100 완료
단밀 144 144 17 14 213 100 완료
청도 139 139 14 13 363 100 완료
풍각 252 252 27 23 300 100 완료
기산 176 176 22 20 245 100 완료
산양제2 134 134 11 11 79 57 완료
평해 149 149 17 12 101 66 완료
유곡 248 244 16 15 98 57 완료
영덕로하스특화 149 149 20 12 165 100 완료
농공
영덕제2 326 326 7 2 X 22 완료
예천제2 257 257 20 19 196 76 완료
칠곡농기계특화 245 245 26 26 487 100 완료
남영양 30 30 4 3 35 79 완료
죽변해양바이오 149 149 6 5 40 24 완료
고아제2 263 263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503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경북에는 총 1,42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94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89개, ‘건설업’이 2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17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18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1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
처기업 위치
표 3-15-7 ❙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5 14 16
광업(05~08) 2 2 3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6 86 101
음료 제조업 9 6 8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8 45 5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 4 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7 12 1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 13 1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1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9 76 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0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1 67 7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9 30 33
1차 금속 제조업 47 23 3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3 96 11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22 108 11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0 42 48
전기장비 제조업 96 83 86
50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46 190 21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6 82 8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 6 8
가구 제조업 11 9 8
기타 제품 제조업 48 39 4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1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9 12 13
건설업(41~42) 29 19 25
도매 및 소매업(45~47) 10 9 14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1
정보통신업(58~63) 86 82 94
금융 및 보험업(64~66) 1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7 74 8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3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4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3 1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51 1,252 1,426
REGIONAL S&T YEARBOOK 2023 50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8,508명(전국의 3.50%)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2.04%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4,921명(전국의 2.85%)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10,993명(전국의 4.95%), 공공연구소는 2,594명(전국의 3.79%) 차지
표 3-15-8 ❙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579 4.46 9,532 4.91 9,463 4.57 9,965 4.74 10,993 4.95
∙ 국공립 703 0.88 1,009 1.26 1,068 1.23 1,086 1.25 1,642 1.83
∙ 사립 7,876 6.97 8,523 7.46 8,395 6.97 8,879 7.20 9,351 7.06
공공연구소 2,333 4.00 2,709 4.34 2,529 3.94 2,591 3.89 2,594 3.79
∙ 국공립 947 7.74 1,196 9.28 1,113 8.68 1,019 7.58 955 7.19
∙ 정부출연 242 0.74 238 0.69 246 0.72 286 0.84 256 0.74
∙ 병원 및 기타 1,144 8.43 1,275 8.46 1,170 6.74 1,286 6.69 1,383 6.73
기업 14,862 3.38 14,401 3.12 14,035 2.95 14,842 2.92 14,921 2.85
∙ 정부투자기관 617 15.80 482 12.54 373 9.97 391 10.12 405 10.16
∙ 민간기업 14,245 3.26 13,919 3.04 13,662 2.89 14,451 2.86 14,516 2.80
합 계 25,774 3.73 26,642 3.71 26,027 3.48 27,398 3.49 28,508 3.5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0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22년 경상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9명 증가한 78.2명으로 조사됨
표 3-15-9 ❙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72.6 73.1 72.4 75.3 78.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경상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1,953억 원(전국의 2.84%)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7위에 해당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1.1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5,078억 원(전국의 4.93%), 공공연구소는
약 3,873억 원(전국의 3.00%), 기업이 약 2조 3,002억 원(전국의 2.57%)
표 3-15-10 ❙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11,501 4.42 337,130 4.57 379,579 4.54 441,565 4.73 507,816 4.93
∙ 국공립 20,244 0.66 28,253 0.86 32,168 0.85 38,560 0.91 55,810 1.23
∙ 사립 291,258 7.35 308,877 7.54 347,411 7.59 403,005 7.88 452,006 7.83
공공연구소 318,988 3.24 282,216 2.78 327,370 2.94 363,987 3.03 387,296 3.00
∙ 국공립 48,600 5.97 54,799 6.56 73,435 8.63 77,511 8.01 85,175 8.35
∙ 정부출연 88,829 1.18 42,293 0.54 47,774 0.58 61,593 0.71 55,674 0.60
∙ 병원 및 기타 181,559 12.26 185,124 12.13 206,160 10.40 224,883 9.73 246,447 9.39
기업 2,389,911 3.47 2,186,048 3.06 1,980,108 2.69 1,969,523 2.44 2,300,198 2.57
∙ 정부투자기관 38,967 4.29 36,853 4.24 32,114 3.67 36,946 4.30 41,271 4.64
∙ 민간기업 2,350,944 3.46 2,149,195 3.04 1,947,994 2.68 1,932,577 2.42 2,258,927 2.55
합 계 3,020,401 3.52 2,805,393 3.15 2,687,056 2.89 2,775,075 2.72 3,195,310 2.8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0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경상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8,12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23%
표 3-15-11 ❙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299 6,272 6,882 7,271 8,127
(3.2) (3.1) (3.0) (3.0) (3.1)
전국 195,745 204,597 227,242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568억원),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
(LINC3.0)(379억원), 로봇직업혁신센터 구축 사업(91억원),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지원
(50.8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기술+인프라 新성장동력 확보
-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125억원), 지역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지원사업(107억원),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신축설계 및 인프라 구축(85억원),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실증
사업(75억원),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69억원), 초광역권메타버스허브구축운영(60억
원) 등
■ 소재부품산업 기술혁신으로 경쟁력 강화
- 자동차 튜닝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300억원),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207억원), 드론 실기시험
장 구축사업(126억원), 생활소비재 융복합산업 기반구축 (93억원) 등
■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200억원), 바이오프린팅 활용 동물대체시험평가 플랫폼 구축(63억원),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센터 건립(62억원), 구조기반 백신기술 상용화 시스템 조성(60억원) 등
50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메타버스과학국과 경제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509
표 3-15-12 ❙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30,964 2 24,191 373 762 39 5,554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5-13 ❙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과 경제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메타버스혁신과
∙ 디지털 대전환 기본계획 수립, 워킹그룹 운영(디지털 분야)
∙ 메타버스 신규사업 기획 및 발굴지원 및 메타버스 관련 연구용역 추진
∙ 메타버스 신규사업 기획 및 발굴, 메타 Big-프로젝트 워킹그룹 운영
∙ 경북 메타버스 대표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과학기술과
∙ 지역과학문화 육성,과학기술 포럼, 과학관, 과학축전, WISET 운영 등
∙ 포항스마트그린산단 및 농공단지 대개조 사업 종합 추진 등
∙ 가속기 신산업 기획, 스마트공장 및 산단대개조(서부권)사업 추진 등
∙ 구미스마트그린산단 사업 추진, 산단대개조(동남권) 사업 추진, 농공단지 대개조 사업 추진 등
∙ 경북로봇산업 육성, 반도체특화단지, 나노융합기술원, 유연인쇄전자산업 육성
∙ 경북 산학연융합 촉진사업, 경북 경산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추진, 선도연구센터 지원 사업(MRC,
ERC, RLRC), 지역혁신센터(RIC) 지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 양자기술기반 산업 육성
4차산업기반과
∙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사업, 전략위원회 추진, W중심대학육성지원사업,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
사업,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IT여성취・창업지원사업
∙ 이차전지 특화단지 산업 육성, 신전자산업 발굴 및 육성 프로젝트, 에너지 하베스팅 산업생태계 육
성, 1인 미디어 콘텐츠 산업육성, 인공지능 사업 추진 등
∙ 신규 규제자유특구 기획 총괄 및 전략수립, 글로벌 혁신특구,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운영
관리, 규제샌드박스지원사업
∙ 5G시험망 테스트베드 구축, XR 디바이스 개발지원센터, 동북권 메타버스 허브 구축, 홀로그램 기
술개발 사업,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 지원, MWC 경북관 조성 및 운영, 중앙부처 공모사업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인공지능산업 육성, 사물무선충전 실증 등
빅데이터과
∙ 한국도시통계 경상북도 통계연보 업무 보조 통계DB시스템 및 나라통계 시스템관리 등 통계 홈페이
지관리, 통계품질관리 업무용수첩 제작 및 지원
∙ 빅데이터 업무 총괄 빅데이터 종합계획 및 전략 수립, 데이터산업 육성업무 추진 빅데이터 통합플
랫폼 구축, 운영 경북형 데이터생태계 조성
∙ 인구-산업 통합플랫폼 구축, 운영 데이터산업 활성화 공모사업 추진 데이터분석 및 활용 지원, 빅
데이터 분석(자체, 용역) 및 활용 전반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플랫폼 구축
∙ 공공데이터 업무 총괄 데이터기반행정 및 공공데이터 정책 수립 데이터분석 및 활용 비주얼씽킹 플
랫폼 콘텐츠 기획, 데이터 기반행정 계획수립 데이터 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 데이터 기반행정
활용 역량교육 추진 공공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 기관 메타데이터 등록 및 관리
51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조례 제2조 및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심의・의결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식정보산업진흥종합계획, 지자체 R&D사업 신규과제 등
- 자문 :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제도・정책,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신규사업 검토 및
조정, 지방과학기술 아젠다 발굴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1. 1월 ~ 2023. 1월 (2년)
- 위원장 :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하대성
정보통신과
∙ 재난안전・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운영 및 고도화,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 시군 CCTV통합관
제센터 지원 등
∙ 사이버침해대응센터 운영, 정보보안관리실태평가(위기대응 역량 분야), 정보시스템(홈페이지) 취약점
보안점검, 정보보안관리체계(ISMS)인증 관리
∙ 실시간 방송중계시스템 및 유선방송시스템 운영관리 ・중앙부처 및 시군 영상회의 시스템 운영관리,
청내 근거리통신망 구축,운영 및 네트워크 공사
소재부품산업과
∙ 경북테크노파크 운영, 지역주력산업육성,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소부장특화단지 지정
∙ 미래자동차 산업 육성 및 신사업 발굴, 도심형 자율주행셔틀 부품 및 모듈 기반구축, 자동차 튜닝
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사업 등
∙ 자동차부품산업 구조고도화 시책 발굴, 미래차 부품 기술융합 지원사업,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사업지원 등
∙ 항공산업 발굴 육성지원, 국방 및 방산 업무 추진, 철강 재도약 기반구축 사업 등
∙ 베어링 및 경량소재 산업 육성 지원, 생활소비재 융복합산업 기반구축사업, 드론 관련 지원사업 등
∙ 경북 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운영, 탄소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탄소분야 신사업 기획 등, 친환
경 및 융복합 섬유소재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첨단복합 섬유산업 육성, 기능성 섬유 개발 등 고
부가가치 사업, 도내 섬유기업 통계자료 수집 및 D/B구축
∙ 탄소소재부품 리사이클링 기반구축, 반도체・이차전지부품용 인조흑연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 등
바이오생명산업과
∙ 바이오산업육성 종합시행계획 수립, 바이오생명엑스포 지원, 바이오생명산업 혁신기술발굴사업
∙ 백신신약한의약 신규사업 기획,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 그린바이오메디컬 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세포배양 산업화 허브 구축 등
∙ 백신상용화기술지원기반시스템구축,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산업화 기업지원,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
성센터 건립, 바이오백신 교육연구시설 및 오픈랩 구축, 차세대 프리미엄백신 개발사업,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지원, 국제백신산업 육성포럼 개최 지원 등, 백신산업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 화장품산업 경쟁력 강화, K뷰티산업 국내외 마케팅 지원, 디지털뷰티 기업지원, 퍼스널케어 융합
얼라이언스 육성, 뷰티산업 밸류체인 컨버전스 지원
∙ 안광학렌즈 및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산업 육성/바이오메디컬 종합기술지원 사업/ICT 융
복합 어린이 재활기기 실증센터 구축 사업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511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1회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도 추진실적 및 제5차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심
의・의결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5-14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경상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2020.08.01.~2022.08.31.
위 원(당연직) 김장호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 2021.01.11.~2023.01.10.
위 원(당연직) 장상길 경상북도 과학산업국장 2021.01.11.~2023.01.10.
위원 하인성 경북테크노파크 원장 2021.01.11.~2023.01.10.
위원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1.01.11.~2023.01.10.
위원 문지훈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소재융합본부장 2021.01.11.~2023.01.10.
위원 이동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대구경북지원장 2021.01.11.~2023.01.10.
위원 김상우 포스텍 산학협력단장 2021.01.11.~2023.01.10.
위원 나혜중 영남대 공업기술연구소 연구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이대식 대구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황형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김상욱 동국대 신소재화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강미숙 영남대 화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원 문추연 경운대 부총장 2021.01.11.~2023.01.10.
위원 이승환 구미대 인재개발처장 2021.01.11.~2023.01.10.
위원 김춘희 (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장 2021.01.11.~2023.01.10.
위원 권영희 (사)IT여성기업인협회 영남지회장 2021.01.11.~2023.01.10.
위원 김부진 코리아향진원 대표 2021.01.11.~2023.01.10.
위원 서인숙 인당(주) 대표 2021.01.11.~2023.01.10.
위원 정세현 도의회 운영위, 교육위, 예결위, 신공항이전특위 위원 2021.01.11.~2023.01.10.
51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북도의 총예산은 약 40조 4,32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260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6%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6.90%
표 3-15-15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404,325
재정자주도(%) 69.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12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26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6.90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51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경상북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791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으
로 각각 약 844억원, 약 834억 원 투입
표 3-15-16 ❙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탄소소재 화학적 순환 자원화 기술개발
낙동강 녹조제어 통합 플랫폼 개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
경북배터리종합관리센터연구개발육성지원
- 5,575 613 6,18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삭도시설 원격검사 로봇 시스템 개발사업
경북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1,150 600 - 1,75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3.0)
지역 혁신인재 양성 프로젝트
71,156 14,575 17,841 103,572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드론실기시험장구축사업
지역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84,421 83,393 11,336 179,12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업지원 사업
43,856 28,203 1,852 73,91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62,554 29,063 12,545 104,161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대경공동기술지주회사 창업기업 지원 690 275 350 1,31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자동차 튜닝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
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71,972 64,269 6,194 142,435
합계 335,799 225,953 50,731 612,461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1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224개로 전국의 3.4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3.57%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1개 증가, 기업 358개 증가
표 3-15-17 ❙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4 6.58 23 5.54 24 5.84 22 5.20 23 5.50
∙ 국공립 4 5.06 4 4.76 4 4.71 3 3.49 5 5.68
∙ 사립 20 6.99 19 5.74 20 6.13 19 5.64 18 5.45
공공연구소 41 6.70 44 6.85 45 6.79 47 6.82 42 6.15
∙ 국공립 15 11.45 19 13.29 18 12.59 18 11.76 15 10.95
∙ 정부출연 7 4.19 7 4.14 7 4.29 9 5.29 8 4.85
∙ 병원 및 기타 19 6.05 18 5.45 20 5.60 20 5.46 19 4.99
기업 1,801 3.71 1,857 3.39 1,968 3.36 2,067 3.32 2,159 3.35
∙ 정부투자기관 2 4.76 2 3.64 1 1.85 1 1.69 1 1.64
∙ 민간기업 1,799 3.71 1,855 3.39 1,967 3.37 2,066 3.32 2,158 3.36
합 계 1,866 3.78 1,924 3.44 2,037 3.42 2,136 3.37 2,224 3.4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15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경상북도 소재 대학 수는 33개
- 일반대학 18개, 전문대학 15개 존재
표 3-15-18 ❙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6 1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14 1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2 1 30 3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경상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4만 3,34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3,623명(전체의 약 9.50%), 공학계열 학생이 3만 7,598명
(전체의 약 26.23%)
표 3-15-19 ❙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3,623 37,598 51,221 24,639 13,239 10,110 10,321 33,810 143,340
비중(%) 9.50 26.23 35.73 17.19 9.24 7.05 7.20 23.59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51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경상북도에는 포항공대에 7개, 영남대에 3개, 경북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에 있음
표 3-15-20 ❙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1개 센터)
2021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시스템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영남대학교
(3개 센터)
2019 자율형 자동차 부품소재 정책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세노테라피 기반 대사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23 라이프로그용 멀티모달 언텍트센싱 선도연구센터 RLRC
포항공과대학교
(7개 센터)
2017 세포소기관네트워크연구원 SRC
2019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 ERC
2020 양자동역학 연구센터 SRC
2021 탄소제로 그린 암모니아 사이클링 연구센터 ERC
2022 해태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 ERC
2023 수리 기계학습 연구센터 SRC
2023 바이오미래기술혁신연구센터 I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3 517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나,’23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 대
구가톨릭대 1곳, 영남대 1곳으로 총 3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5-21 ❙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3년)
주관기관 센터명
경일대 자동차 부품 시험 지역혁신센터
대구가톨릭대 해양바이오산업 지역혁신센터
영남대 대경 태양전지/모듈 소재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경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2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5-22 ❙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9-07-11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RIST창업보육센터(리스트) 1999-07-10
경북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8-01
51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9-15
경북전문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2-18
경운대학교 경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4-08
경일대학교 경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2-06
구미대학교 구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구미시 구미시 창업보육센터 2005-12-31
금오공과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창업원 창업보육센터 1999-05-01
대경대학교 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2-28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2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2
대구한의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한방바이오창업보육센터 2007-01-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국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경주) 2000-10-27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27
서라벌대학교 서라벌 창업보육센터 2023-02-27
안동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8-10-21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영진전문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위덕대학교 위덕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8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창업보육센터 1998-07-06
포항대학교 포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한동대학교 한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14
REGIONAL S&T YEARBOOK 2023 519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북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15개를 운영 중
표 3-15-23 ❙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해양과학관 국립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공립
구미과학관 공립
경상북도민물고기생태체험관 공립
영천시보현산천문과학관 공립
영양반딧불이천문대 공립
울진 곤충여행관 공립
영천시 최무선과학관 공립
김천녹색미래과학관 공립
콩세계과학관 공립
칠곡 꿀벌테마과학관 공립
신라역사과학관 사립
예천천문우주센터 사립
로보라이프뮤지엄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52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3년 경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6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7,582명임
표 3-15-24 ❙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179 153 197 222 167
수혜자 수 16,534 12,892 7,215 8,948 7,58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1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북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4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44명 양성
표 3-15-25 ❙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북테크노파크 4
전용공간
8개(730.2㎡)
48 49,015 55.9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52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경상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6,37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297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5.3%, 24.9% 감소
표 3-15-26 ❙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7,048 6,764 6,634 6,615 6,698 6,733 6,374
특허등록 건수 4,594 4,633 4,176 4,477 4,557 4,390 3,29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경상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859편, 주저자 기준 2,584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60%, 4.30%를 차지
표 3-15-27 ❙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4,565 7.16 119,657 26.21 2,241 4.27 43,690 19.50
2019 4,644 6.91 80,769 17.39 2,215 4.04 36,893 16.66
2020 5,111 6.94 69,582 13.61 2,446 4.10 31,649 12.94
2021 5,691 7.13 47,519 8.35 2,646 4.16 19,372 7.32
2022 5,859 7.60 18,835 3.21 2,584 4.30 6,744 2.6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52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디지털 전환 선도 및 미래 첨단전략산업 육성
▣ 중점과제 및 전략
■ 디지털 경제의 핵심인 메타버스 기술과 도내 권역별 주력산업의 융합으로 대한민국을 넘어 글
로벌 메타버스 수도 경북 생태계 조성
■ 지방시대를 열어갈 경북 과학기술혁신 기반 조성과 정부의 초격차 과학기술정책에 발맞춰 미
래 첨단산업 육성 주도
■ 4차산업혁명 기반기술과 융합을 통한 지역 전략산업 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미래 신성장 산업
발굴 및 육성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방시대 메타버스 수도 경북 실현
- 글로벌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
- 도민(+국민)과 함께하는 메타버스 수도 경북
- 미래 먹거리를 위한 메타버스 프로젝트사업 발굴
■ 지역주도 핵심전략 발굴 첨단산업 선점
- 지역 R&D 역량강화 및 중장기 과학기술혁신 기반조성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혁신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 인프라 시설을 활용한 로봇・반도체 산업 육성
-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 4차산업혁명 기술고도화 성장동력확보
- 규제특구사업 고도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확보
-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강화로 新산업 생태계 구축
- 5G기반 실감콘텐츠산업 육성으로 미래선도사업 선점
REGIONAL S&T YEARBOOK 2023 523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 지역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을 통한 지방이 주도하는 지역 특화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 지역기술 혁신허브 지정을 통해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튼튼한 기업과 우수한 인재가 모여드는
국가 과학기술 전략거점화 추진
■ 지역 혁신주체들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혁신 가속화
-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혁신 기반 구축
■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
- 산업단지 인프라 개선 및 스마트 제조혁신기반 구축
- 규제자유특구사업 활성화를 통한 新기술 기반 대한민국 첨단전략산업 주도권 확보
52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6절 경상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경남의 인구는 약 329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 인구대비 경남 인구의 비율은 6.37% 작년 대비 감소
표 3-16-1 ❙ 경상남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3,351,332 3,350,142 3,340,211 3,317,568 3,289,257
전국인구대비 비율(%) 6.50 6.47 6.46 6.41 6.37
경제활동참가율(%) 63.3 63.7 63.1 63.2 63.1
실업률(%) 3 3.8 4 4.1 3.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52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남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10.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0.56%씩 증가함
- 제조업(34.65%)이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6.76%)과 정부/민간비영
리생산(18.56%)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4.77%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6-2 ❙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07,224,316 109,370,902 103,425,415 105,384,664 110,265,302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939,711 4,112,210 3,778,638 3,743,318 3,829,774
(지역내비중, %) (3.67) (3.76) (3.65) (3.55) (3.47)
제조업 39,400,932 40,079,271 36,657,100 37,136,296 38,211,999
(지역내비중, %) (36.75) (36.65) (35.44) (35.24) (34.6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224,179 3,404,645 2,901,739 3,322,616 4,069,716
(지역내비중, %) (3.01) (3.11) (2.81) (3.15) (3.69)
건설업 5,863,635 5,075,589 4,574,795 4,211,122 4,279,179
(지역내비중, %) (5.47) (4.64) (4.42) (4.00) (3.88)
기타서비스업 29,545,316 29,544,798 29,357,679 29,422,569 29,503,693
(지역내비중, %) (27.55) (27.01) (28.39) (27.92) (26.76)
정부 / 민간비영리생산 17,733,907 18,627,174 18,911,836 19,500,638 20,461,334
(지역내비중, %) (16.54) (17.03) (18.29) (18.50) (18.56)
순생산물세 7,514,624 7,845,884 7,607,391 7,584,573 8,602,270
(지역내비중, %) (7.01) (7.17) (7.36) (7.20) (7.8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52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17조 5,794억 원이고, 6,85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0
만 44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약 20조 7,557억원(전체의 17.6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374개(전체의 20.0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5만 883명(전체의 16.9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6-3 ❙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277,688 5.34 439 6.40 16,348 5.44
음료 제조업 1,371,706 1.17 27 0.39 1,740 0.5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6,709 0.27 86 1.25 1,452 0.4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7 0.39 491 0.1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2,184 0.08 11 0.16 322 0.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120,685 6.06 570 8.31 21,802 7.2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02,913 1.53 269 3.92 6,651 2.21
1차 금속 제조업 8,954,911 7.62 396 5.78 14,708 4.90
전기장비 제조업 11,679,813 9.93 396 5.78 26,173 8.7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755,698 17.65 1,374 20.04 46,175 15.3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334,645 13.04 736 10.73 30,630 10.2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0,180,981 17.16 524 7.64 50,883 16.94
가구 제조업 235,610 0.20 41 0.60 709 0.24
기타 제품 제조업 318,356 0.27 39 0.57 1,079 0.3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84,476 0.07 21 0.31 380 0.1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20,781 0.10 25 0.36 578 0.1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095,770 11.99 1,193 17.40 35,360 11.77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918,202 0.78 149 2.17 3,936 1.3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98,425 0.85 101 1.47 2,747 0.9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85,296 0.07 13 0.19 150 0.0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28,058 1.81 114 1.66 4,301 1.4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87,440 0.24 22 0.32 434 0.1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628,373 1.38 113 1.65 3,444 1.1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957,832 1.67 169 2.46 4,544 1.51
합 계 117,579,394 100 6,857 100 300,44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52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가장 높은 특화도를 나타냄
표 3-16-4 ❙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기타운송장비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비교적
높음
∙ 음료제조업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1차금속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낮음
∙ 식료품제조업
∙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 가구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52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남도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과 ‘중점 고도화 산업 육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
관리하고 있음
표 3-16-5 ❙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 출처: 경상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미래 첨단산업 육성
(원전, 수소, 우주항공, 첨단소재•부품,
바이오, ICT•SW•반도체 등)
방산•원전 국가산업단지(특화단지) 조성
수소특화단지 조성
우주산업클러스터 조성
소형모듈원자로(SMR) 첨단 제조공정 기술개발
원전기업 수요 맞춤형 패키지 지원사업
원자력 종합지원센터 구축 사업
수소 소재부품 인증센터 설치 사업
소수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
전기추진 경량항공기 시범기 개발 및 인증체계 구축 사업
AAM 시대를 대비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사업
첨단소재 실증단지 조성(3단계) 사업
나노소재•제품 안정성 평가 지원센터 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기기 기술 실용화 사업
첨단바이오 의약품 전문 위탁개발생산 지원센터 사업
중점 고도화 산업 육성
(방위, 스마트 조선, 미래차•로봇 등)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 계획
방산 강소기업 육성 지원
방산 수출 생산성 향상 지원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DX) 기술지원센터 사업
조선업 생산생산공정혁시 기술지원 사업
선박 소조립 생산지능화 혁신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사업
스마트 공장 보급 • 확산 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52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9개, 일반산업단지 117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81개가 있음
- 총 20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6,679개, 총 종사자 수는 267,103명
표 3-16-6 ❙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옥포 5,987 5,987 1 1 X 100 조성중
죽도 4,184 4,184 1 1 X 100 조성중
지세포자원비축 2,942 2,942 1 1 X 100 완료
안정 3,866 3,776 16 11 952 100 조성중
명지・녹산 1,672 1,672 - - - - 완료
창원 35,870 25,726 2,953 2,648 118,562 100 조성중
진해 3,269 1,663 3 3 1,162 100 조성중
밀양나노융합 1,656 1,522 3 3 525 - 조성중
경남항공 1,655 1,592 - - - - 조성중
일반
오비 196 195 4 3 369 100 완료
나전 68 68 - - - 100 조성중
덕암 156 152 34 34 205 100 완료
명동 264 263 37 37 315 100 완료
주호 117 116 20 20 265 100 완료
사포 746 745 44 44 1,151 100 완료
용전 634 634 21 21 429 100 완료
하남 1,020 1,020 33 5 149 100 완료
흥사 673 673 - - - 37 조성중
덕계 360 360 24 24 577 95 완료
유산 118 118 12 12 170 100 완료
산막 1,222 1,221 172 172 3,495 100 완료
어곡 1,244 1,244 141 141 3,905 100 완료
가산 296 296 - - - 35 조성중
정촌 1,711 1,711 139 96 2,658 100 완료
53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진주상평 2,135 2,135 1,015 434 5,483 100 완료
일반
법송동원(구:법송) 621 621 - - - - 조성중
덕포 1,017 1,017 - - - - 미개발
안정 1,305 1,305 - - - - 조성중
거창 741 741 51 44 776 100 완료
내산 523 523 1 1 X 100 조성중
대가룡 74 74 1 1 X 100 완료
대독 266 265 2 1 X 100 조성중
율대 182 182 4 3 69 100 완료
장좌 695 695 1 1 X 100 조성중
매촌 98 98 2 2 X 100 완료
매촌제2 75 75 3 3 70 100 완료
넥센 594 593 1 1 X 100 조성중
대합 949 949 44 44 968 100 완료
억만 82 82 2 1 X 100 완료
갈사만조선 5,613 5,613 - - - - 조성중
대송 1,371 1,371 - - - 16 조성중
군북월촌 188 188 7 6 220 100 완료
법수우거 124 124 11 8 223 100 완료
칠서 3,202 3,030 104 104 3,697 100 완료
함양 741 741 3 2 X 92 완료
휴천 83 83 - - - 100 완료
대사 294 294 31 21 173 95 완료
덕계월라 442 441 - - - - 조성중
법수강주 136 136 20 16 353 100 완료
천선 110 109 25 25 660 100 완료
수곡 79 79 8 8 102 100 조성중
진전평암 81 80 1 1 X 100 완료
진북 875 873 61 61 1,806 100 완료
남양지구 293 293 48 48 612 100 완료
마천 611 611 115 115 1,625 100 완료
죽곡 138 138 7 7 269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531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창원 478 477 54 54 1,124 100 완료
어곡제2 341 330 - - - 30 조성중
일반
나전2 122 122 - - - 60 조성중
지수 123 123 3 2 X 100 완료
오척 149 149 20 20 231 100 완료
김해GoldenRoot(구 김해) 1,524 1,270 153 153 4,830 100 완료
모사 633 633 1 1 X 100 조성중
하리 222 222 1 1 X - 조성중
창곡 64 64 6 6 174 100 완료
축동 270 270 - - - - 조성중
대동 103 103 - - - - 조성중
장지 292 292 1 1 X 100 완료
김해테크노밸리 1,644 1,644 384 384 3,887 100 완료
대의 298 298 - - - - 조성중
서김해 449 449 - - - 93 완료
정곡백곡 147 147 - - - - 미개발
가산 99 98 - - - 100 완료
이노비즈밸리 212 212 3 3 46 100 완료
덕암2 42 42 - - - 100 조성중
김해사이언스파크 850 850 - - - 100 조성중
칠북영동 258 258 6 3 30 100 완료
신천 250 247 - - - 100 조성중
사내 139 139 2 1 X 100 조성중
종포 376 376 12 9 768 100 완료
토정 309 309 - - - - 조성중
용당 269 268 37 37 706 100 완료
가연 37 37 - - - - 완료
오비2 109 109 - - - - 미개발
동전 499 480 43 24 232 52 완료
서창 276 276 42 42 698 100 완료
병동 296 296 - - - 100 조성중
안골 237 237 - - - - 미개발
53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덕곡 150 150 - - - - 조성중
석계2 995 995 115 115 1,560 90 완료
법송2 87 87 - - - 100 완료
일반
봉암동원 299 299 1 1 X 74 완료
대진 251 251 - - - - 미개발
화천 296 296 - - - - 미개발
금진 298 298 - - - - 미개발
본산 59 59 - - - - 미개발
용전3 252 252 11 - - - 미개발
죽곡2 251 251 - - - - 미개발
칠원용산 189 189 - - - - 조성중
상복 116 116 6 6 108 42 완료
진주(사봉) 810 810 78 68 921 100 완료
AM하이테크 163 163 35 35 291 100 완료
이지(Eco-Zone) 304 304 - - - 100 조성중
향촌2 69 68 - - - - 완료
산청한방항노화 159 159 - - - - 완료
사천제1 2,545 2,543 56 54 9,913 100 완료
사천제2 1,616 1,361 20 16 578 100 완료
영남 1,410 1,410 - - - - 미개발
김해대동첨단 2,807 2,804 - - - 77 조성중
가산 672 662 - - - - 조성중
부목2 134 134 - - - - 미개발
양산[재생사업지구] 1,529 1,529 108 108 10,448 100 완료
원지 216 215 - - - - 미개발
뿌리 962 962 38 38 558 69 완료
함안(구 군북) 1,780 1,780 97 97 3,280 100 완료
군북유현 75 75 - - - - 미개발
용당(항공MRO) 149 149 - - - - 조성중
대성하이스코 72 72 - - - - 미개발
이당 131 119 1 1 X 86 조성중
평성 696 696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3 533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덕산 250 250 - - - - 미개발
군북 818 818 - - - - 미개발
일반
부림 352 351 - - - - 조성중
하계 262 261 - - - - 미개발
사천서부 314 313 미개발
거창첨단 304 304 미개발
도시
첨단
창원덴소도시첨단
(구 경남지능형홈산업)
145 143 1 1 X 100 완료
농공
한내조선특화 282 278 1 1 X 100 완료
나전 144 144 32 32 508 100 완료
내삼 113 113 39 39 339 100 완료
병동 149 149 26 26 412 100 완료
본산 147 146 16 16 585 100 완료
봉림 93 93 2 2 X 100 완료
안하 127 124 47 47 412 100 완료
진영죽곡 405 405 78 78 2,716 100 완료
하계 137 136 34 34 500 100 완료
미전 166 166 50 20 315 100 완료
부북특별 161 108 3 3 250 100 조성중
상남특별 84 84 2 2 X 100 완료
제대 192 192 2 2 X 100 완료
초동특별 317 307 43 42 652 100 완료
하남 179 177 31 29 525 100 완료
춘화 212 209 20 18 264 100 완료
곤양 84 84 9 9 217 100 완료
두량전문 118 118 21 20 454 100 완료
사남 568 568 42 42 1,787 100 완료
송포 104 104 16 13 162 100 완료
축동구호 117 117 10 7 92 100 완료
향촌삽재 92 92 30 25 191 84 완료
웅상 86 86 11 11 385 100 완료
대곡 133 133 41 17 404 100 완료
53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사봉 148 148 46 18 438 100 완료
생물산업전문 147 147 30 21 354 100 완료
실크전문 132 132 39 31 224 100 완료
이반성 141 141 24 9 448 100 완료
진성 86 86 46 16 231 100 완료
농공
남산 154 154 19 18 70 100 완료
당산 103 103 10 9 38 100 완료
서울우유 93 93 1 1 X 100 완료
석강 152 152 9 9 518 100 완료
정장 52 52 8 7 69 100 완료
석강제2 42 42 5 5 179 100 완료
마동 288 287 8 4 139 100 완료
세송 150 150 6 3 110 100 완료
율대 105 105 12 8 346 100 완료
회화 92 92 9 8 123 100 완료
고현 54 54 11 11 80 100 완료
금서 156 156 11 11 271 100 완료
금서제2 197 197 6 6 417 100 완료
산청 112 112 9 9 136 100 완료
동동 291 275 22 15 129 100 완료
봉수 317 317 31 30 310 100 완료
부림 147 147 8 8 172 100 완료
정곡 62 57 5 5 21 100 완료
남지 44 44 7 6 70 100 완료
대지 64 64 10 7 98 100 완료
대합 86 86 12 10 235 100 완료
서리전문 198 198 19 19 670 100 완료
송진전문 274 274 5 4 141 100 완료
고전 76 76 6 6 59 100 완료
금성조선 146 146 - - - 100 조성중
적량 65 65 7 5 24 100 완료
진교 138 138 7 6 94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3 535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가야 77 77 7 7 5 100 완료
군북 99 99 17 17 330 100 완료
모로 92 91 4 4 106 100 완료
법수 226 226 21 18 665 100 완료
산인 129 129 22 16 480 100 완료
장암 145 145 1 1 X 77 완료
농공
칠원용산 100 97 22 22 259 100 완료
칠원운서 95 95 59 56 386 97 완료
파수 166 166 36 29 616 100 완료
황사 146 144 14 12 260 100 완료
수동 102 102 12 12 184 100 완료
안의전문 147 146 5 5 65 100 완료
원평 136 136 3 3 184 100 완료
이은 40 40 6 6 92 100 완료
야로 114 114 17 10 163 100 완료
율곡 234 234 20 17 253 100 완료
적중 94 94 6 2 X 100 완료
대미 88 65 2 2 X - 완료
진북 133 133 21 21 538 100 완료
제일 44 45 4 3 63 100 완료
승강기전문 308 308 15 15 184 100 완료
안의제2전문 275 272 17 11 160 100 완료
화현 88 88 2 1 X 48 완료
함양중방전문 99 99 6 2 X 100 완료
인산죽염항노화 210 206 1 - - - 조성중
53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경남에는 총 1,465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8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67개, ‘건설업’이 2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45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
외’(150개), ‘전기장비 제조업’(88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6-7 ❙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4 6
광업(05~08) 5 4 5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3 66 73
음료 제조업 5 6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2 14 1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5 3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3 10 1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 6 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3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9 51 5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5 13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0 69 7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21 23
1차 금속 제조업 55 35 3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35 137 15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 54 6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9 49 62
전기장비 제조업 106 83 8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92 311 345
REGIONAL S&T YEARBOOK 2023 53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5 64 7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84 73 86
가구 제조업 3 5 4
기타 제품 제조업 53 39 4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1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1 7 8
건설업(41~42) 21 24 28
도매 및 소매업(45~47) 17 12 15
운수 및 창고업(49~52) 2 1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1
정보통신업(58~63) 83 68 88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7 59 67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1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5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12 1,303 1,465
53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4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3,843명(전국의 4.1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1.9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9,682명(전국의 3.76%)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9,829명(전국의 4.42%), 공공연구소는 4,332명(전국의 6.32%)를 차지
표 3-16-8 ❙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405 3.85 8,678 4.47 10,379 5.01 10,066 4.79 9,829 4.42
∙ 국공립 5,954 7.49 7,023 8.79 9,140 10.55 8,631 9.94 8,318 9.26
∙ 사립 1,451 1.28 1,655 1.45 1,239 1.03 1,435 1.16 1,511 1.14
공공연구소 3,441 5.89 4,194 6.72 4,386 6.84 4,402 6.61 4,332 6.32
∙ 국공립 760 6.21 1,123 8.71 1,079 8.41 957 7.12 953 7.18
∙ 정부출연 2,442 7.50 2,567 7.45 2,400 7.07 2,387 7.04 2,355 6.79
∙ 병원 및 기타 239 1.76 504 3.34 907 5.22 1,058 5.50 1,024 4.98
기업 19,889 4.52 19,702 4.26 19,537 4.10 19,479 3.83 19,682 3.76
∙ 정부투자기관 49 1.25 35 0.91 32 0.85 20 0.52 22 0.55
∙ 민간기업 19,840 4.55 19,667 4.29 19,505 4.13 19,459 3.85 19,660 3.79
합 계 30,735 4.45 32,574 4.53 34,302 4.59 33,947 4.32 33,843 4.1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39
■ ’22년 경상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4명 증가한 69.4명으로 조사됨
표 3-16-9 ❙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65.4 68.1 70.0 69.0 69.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경상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2,556억 원(전국의 2.89%)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61%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752억 원(전국의 2.67%), 공공연구소는
약 8,153억 원(전국의 6.31%), 기업이 약 2조 1,649억 원(전국의 2.42%)
표 3-16-10 ❙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2,789 2.45 337,130 4.57 218,661 2.62 275,877 2.96 275,232 2.67
∙ 국공립 152,009 4.92 28,253 0.86 193,580 5.13 241,769 5.73 239,227 5.28
∙ 사립 20,780 0.52 308,877 7.54 25,081 0.55 34,108 0.67 36,005 0.62
공공연구소 605,808 6.15 282,216 2.78 710,301 6.39 951,590 7.93 815,338 6.31
∙ 국공립 49,046 6.03 54,799 6.56 46,492 5.46 45,815 4.74 69,831 6.85
∙ 정부출연 535,486 7.09 42,293 0.54 601,748 7.26 835,040 9.58 696,989 7.52
∙ 병원 및 기타 21,276 1.44 185,124 12.13 62,060 3.13 70,735 3.06 48,518 1.85
기업 2,083,869 3.03 2,186,048 3.06 2,160,855 2.94 2,180,569 2.70 2,164,949 2.42
∙ 정부투자기관 2,409 0.27 36,853 4.24 1,762 0.20 285 0.03 2,283 0.26
∙ 민간기업 2,081,460 3.06 2,149,195 3.04 2,159,093 2.97 2,180,284 2.73 2,162,666 2.44
합 계 2,862,466 3.34 2,805,393 3.15 3,089,817 3.32 3,408,036 3.34 3,255,519 2.8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4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경상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조 36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7.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81%
표 3-16-11 ❙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5,351 18,365 22,156 19,628 20,362
(7.8) (9.0) (9.7) (8.1) (7.8)
전국 195,745 204,597 227,224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산학연 협력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제고
< 기초・원천기술 육성 >
-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구소 지원산업(경상대 농생명과학연구원)(10.6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
구소 지원산업(창원대 신소재연구센터)(8.9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구소 지원산업(경상대 그
린에너지융합연구소)(8.8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 연구소 지원산업(경상대 식물생명공학연구
소)(8.6억원), 지역맞춤형 재단안전 문제해결 R&D 지원(7억원),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3.8억원) 등
<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재고 >
- 수소전기차 부품 내구성 전주기 지원 인프라 구축(145.7억원), 강소특구 사업화지원(87억원), 의
료기기 업종전환 지원 기반구축 사업(58.7억원),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지역스타기업육성)(45.5
억원), 지역주력산업(지능형기계) 육성지원(34.9억원),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기
술 지원(34.9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541
■ 주력산업과 신산업의 응용기술 및 현장 애로기술 기획・개발 혁신체계 구축
< 주력산업 및 신산업 기술 기획・개발 >
- 항공 MRO 산업단지 조성 지원(255억원), 수소액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196억원), 금속
소재 실증테스트베드 구축(190.7억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102.7억원), 스마트 승강기
실증 플랫폼 구축 사업(72.4억원),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사업(68.7억원) 등
■ 디지털융합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861.7억원),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134.8억원), 5G 활용 차세대 스마
트공장 규제자유특구(108.6억원), ICT융합 제조운영체제개발 및 실증(92.1억원),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지원사업(57.3억원), 스마트산단 디지털 플랫폼 구축(50억원), 혁신데이터센터구축
(40.9억원), 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2.0(38.8억원) 등
■ 과학기술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촉진 등 도내 과학 거버넌스 확립
< 과학기술 인력 양성 >
- 조선업 생산기술인력 양성사업(166.9억원), 스마트제조 혁신인재 양성, 현장맞춤형 항공 MRO 인
력 양성 지원(5억원), 소재부품장비특화단지 인력양성 사업(4.3억원), 스마트공장 IT 전문인력 양
성(3.9억원), 기업맞춤형 인재육성 및 로봇교육(2억원), 3D프린팅산업 전문인력 양성(1.5억원) 등
< 과학문화 대중화 >
- 로봇문화 확산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지원(27.5억원), SW미래채움 사업(21억원), 사천에
어쇼 개최 지원(17억원), 도지사배 PAV 및 드론 경연대회 개최(6억원), 지역과학기술문화 활성화
지원사업(4.5억원), 나노피아 전시회 개최 지원(3.5억원) 등
■ 경남형 뉴딜・메가시티 등 경남도 주요 정책추진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 경상남도 주요 정책추진 지원 >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플랫폼 구축(288.6억원), 동남권 뉴딜 혁신창업지원 펀드 조성(57.5억원),
에너지혁신성장펀드 조성(4억원), 신재생에너지 기술선도 유망기업 지원(2억원) 등
54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통상국과 균형발전국에서 담당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543
표 3-16-12 ❙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9,216 2 22,742 357 483 57 5,501 - 74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6-13 ❙ 경상남도 산업통상국과 균형발전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산업정책과
∙ 전략산업육성 종합계획 수립, 규제자유특구 지정 추진,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 플랫폼 사업, 지
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지역산업거점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사업, 광역협력권 후속산업 육성, 산업
혁신 기반구축 사업
∙ 경남창원 스마트그린산단 구축, 경남창원 스마트그린산단 신규 사업 발굴, 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 구
축 사업 추진,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사업 추진, 스마트그린산단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업, 스
마트공장 인력양성사업, 경남 5G활용 차세대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 사업
∙ 경상남도 반도체산업 육성 및 인재양성 종합계획 수립, 경상남도 반도체산업 육성 협의체 구성・운
영, 경상남도 반도체산업 육성 관련 연구용역 추진
∙ 제조산업 메타버스 융합 기반구축 및 기술개발 추진 - 제조산업 메타버스 구축 공모 및 신사업 기
획・추진 - 글로벌 제조융합SW 개발 및 실증사업 국가사업화 추진 -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사업 - 항공산단 메타버스 융합 산업단지 고도화 사업 - 메타버스 융합 제조분야 신규사업 발굴・
추진
∙ 인공지능 미래전략기술 육성 - 영남권 제조업 AI융합기반 조성사업 추진 - 초거대제조AI 등 인공
지능 분야 예타사업 추진 -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사업 - 제조산업특화 초거대제조AI 서비스개
발 및 실증사업 - 인공지능 신산업 신규사업 발굴・추진(KAIST협력 등), 5G의 산업현장 실증 관련
공모사업 추진 - 5G 전파 응용서비스 활용기반 조성사업 - 산단 디지털 전환 선도형 5G 특화망
하이웨이 구축사업 추진, 지역 정보보호 산업 육성 관련 공모사업 추진 - 지역 거점 정보보호 클
러스터 사업
∙ ICT융합 제조운영체제 개발 및 실증 사업, 경남 VR・AR 제작거점센터 운영사업, 사물인터넷 미래
전략기술 육성 - 스마트 센싱 유닛 제품화 실증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 - 사물인터넷・센서 신
산업 신규사업 발굴・추진, SOS랩 운영 및 SW서비스 개발사업
∙ 강소특구 사업화 지원사업 및 강소특구 지정(변경) 업무, 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지역과학문화
활성화 사업,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종합・시행계획 수립, 경남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연구개발
(R&D)협의회 업무
∙ 중소기업 R&D사업화 지원센터 운영,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극한환경 스마트기계부품 설계제
조혁신센터(RLRC) 사업 추진,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센터(RLRC) 사업 추진, 항공
핵심기술 선도연구센터(ERC) 사업 추진, 식물생체리듬 선도연구센터(SRC) 사업 추진,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 추진, 공공연구성과 가치창출 기술키움지원사업 추진, 램프(LAMP)사업 추진,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운영 사업 추진, 과기부 기초연구사업 등 대학 공모사업 추진, 대사이상 간질
환연구센터(MRC)사업 추진,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
∙ 과학기술기관 설립 기본・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예비타당성조사 자료 작성 및 대응 ,UST(과학기
술연합대학원대학교) 확대 운영계획 수립
54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전략산업과
∙ 스마트기계・승강기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및 신규사업 발굴, 산업기계에너지 저감형 재제조 기술개발
사업
∙ 주력산업(첨단정밀기계) 육성 지원사업, 스마트 승강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 거창 승강기밸리 조
성사업 추진, 승강기산업 중장기 육성계획 수립
∙ 로봇랜드 지정 및 조성실행계획 수립, 빅데이터활용 마이스터 기반구축 사업, 경남로봇산업육성 종
합계획 수립
∙ 조선해양산업 신규사업 발굴 추진, 경상남도 조선해양산업 육성계획 수립, 경상남도 조선해양산업
연차별 시행 계획 수립
∙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 기술지원센터 구축, 선박 소부재 생산지능화 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구축
∙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연계사업 발굴 및 추진,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 기반구축 사업, LNG
벙커링 이송시스템 테스트베드 기반구축 사업, 중대형선박 하이브리드추진시스템 육상 실증 기반조
성사업, 선박 풍력추진보조장치 실증센터 구축 사업, 친환경선박 수리・개조 플랫폼 구축 사업
∙ 중소형 조선소 생산기술혁신 기술지원센터 구축, 선박 소부재 생산지능화 기술개발 및 실증시스템
구축, 지역조선업 생산인력 양성사업 추진, 경남형 조선업 재도약 생산인력 양성사업 추진, 해양모
빌리티 스마트페인팅 시스템 개발사업 추진,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 양성관련 사업 추진, 국제조선
해양산업전 추진
∙ 자동차산업 육성 및 미래차 전환 신규시책 발굴 지원, 미래 모빌리티 연구지원센터 건립사업 추진,
수소전기차 부품 내구성 전주기 지원 인프라구축사업 추진, 대형 전기수소상용차 전기구동시스템
통합성능평가 기반구축 추진, 버추얼 기반 미래차 부품 고도화사업 추진, 전기・수소차 전략기술 기
반 확충 신사업 발굴
∙ 재사용 배터리 적용 E-모빌리티산업 생태계 활성화 사업 추진,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R&D)
추진, 전기・수소차 충전 및 액화수소 활용 사업 발굴 추진, 미래자동차 부품실증 및 사업화 지원
사업 추진, 자동차 부품제조혁신 제품공정개선사업 추진
미래산업과
∙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육성 사업 추진, 광섬유 기반 고정밀 계측센서 개발 및 실용화 기반구축사
업, 희유금속 소재부품 클러스터 조성,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지원
∙ 지역 주력산업의 세라믹 융복합 상용화 촉진사업,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정 및 지원사업 추진, 양산
첨단하이브리드생산기술센터 기술고도화 사업,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사업 추진
∙ 금속소재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사업, AI 전문인력 양성산업 추
진, 나노융합사업 중장기 육성계획 수립 및 육성 지원, 나노기술 기반 대면적 기능성필름 사업화
지원 플랫폼 구축
∙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방위산업 육성 주요 추진계획 수립 및 시행, 방위산업 분야 제도 개
선 및 신규사업 발굴(R&D 등), 방위산업 중소기업 육성 사업 추진
∙ 경남 바이오메디컬 산업 혁신벨트 조성사업, 바이오 의료산업 분야 기업 발굴・육성 추진, 바이오
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천연물안전관리원 구축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기기 기술 실용화 기반구축 사업, 융복합 의생명 개
방형실험실 구축 사업, 바이오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비대면 의생명・의료기기 산업육성 플랫폼 구축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전주기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바이오 의료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항노화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시행, 천연소재 전주기 표준화지원허브 구축사업 추진
∙ 지역주력사업, 천연소재 응용기술개발사업 추진, 스타기업 육성, 미래선도 기술 산업화 지원사업 추
진, 경남항노화플랫폼 구축・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3 545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3.03.03.~2025.03.04.(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 (2023년) : 3회
- 제2022년도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추진실적 심의 등(’23.1.17.~ ’23.1.19.)
- 제6차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 등(’23.5.22.)
- 2023년도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추진실적 심의 등(’23.12.19.)
에너지산업과
∙ 에너지 분야 종합계획.추진전략 수립, 경남형 에너지 전환정책 수립・추진,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 관리, 풍력 너셀 테스트베드 구축, 초고압직류송전(HVDC) 전력기기 시험인증 기반구축), 용융
염원자로(MSR) 등 해양플랜트 적용 기술 및 실증연구 지원
∙ 수소파트 주요업무계획 수립, 경남 수소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부울경 수소경제권 공동사업
추진 및 실무협의회 운영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선박 건조 -수소배관망 구축 사업, 수소액
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
∙ 수소충전소 구축・운영 및 인프라 확충 추진, 소・중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수소교통 복합기지
구축사업
∙ 풍력제조산업육성 및 재생에너지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사업, 부유식
해상풍력 시스템 기술개발 및 실증
우주항공산업과
∙ 항공우주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항공 ICT 산업 육성, 항공우주부품 제조공정 지능화를 위한
Edge-MCT 시스템 구축
∙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 미래항공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AAV 시제기 개발 및 AAM
항로 발굴 등 실증사업 추진, 우주항공청 설립 지원계획 수립, 시행
54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6-14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3년 11월 기준)
※ 출처 : 경상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병규 경상남도 -
위 원 류명현 경상남도 -
위 원 박춘덕 경상남도의회 2023.03.03.~2025.03.04.
위 원 홍현욱 창원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이선아 경상국립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지연 인제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지영주 경남대학교 교수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종욱 한국전기연구원 부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형욱 한국재료연구원 본부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경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센터장 2023.03.03.~2025.03.04.
위 원 임근희 한국과총 경남지역연합회 명예회장 2023.03.03.~2025.03.04.
위 원 박혜숙 경상남도교육청 학교정책국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승철 (재)경남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2023.03.03.~2025.03.04.
위 원 김정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경남지회 부회장 2023.03.03.~2025.03.04
REGIONAL S&T YEARBOOK 2023 54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남도의 총예산은 약 36조 4,360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166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9%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9.89%
표 3-16-15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364,360
재정자주도(%) 65.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43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16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9.89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54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경상남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717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이 투자했으며, 각각 1,174억 원,
891억원을 투자
표 3-16-16 ❙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금속소재실증테스트베드구축
수소버스용충전소실증지원(R&D)
16,050 3,800 1,444 21,294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5G 활용 차세대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
무인선박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
7,187 6,196 1,810 15,193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차세대지방세정보시스템 구축분담금 - 670 - 67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지원사업
이공분야 대학 중점연구소 지원(경상대)
8,558 5,297 1,409 15,26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양파 품종육성 및 산업화 기술개발
혁신도시공공기관 연계
육성사업(오픈랩)
6,608 17,811 988 25,407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수소액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
117,436 89,090 65,181 271,705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통영 마리나비즈센터 건립
스마트영농지원체계구축
3,603 10,705 282 14,58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플랫폼 구축
에너지자급자족화인프라구축
53,150 33,005 15,135 101,29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용당 산업단지(항공MRO) 조성 지원
친환경선박수리・개조플랫폼구축
24,990 50,019 2,602 77,611
합계 237,582 216,593 88,851 543,023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3 54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955개로 전국의 4.5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2.97% 증가
- 5년간 대학 수 2개 감소,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394개 증가
표 3-16-17 ❙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 7.12 27 6.51 27 6.57 26 6.15 24 5.74
∙ 국공립 13 16.46 12 14.29 12 14.12 11 12.79 11 12.50
∙ 사립 13 4.55 15 4.53 15 4.60 15 4.45 13 3.94
공공연구소 34 5.56 36 5.61 40 6.03 42 6.10 44 6.44
∙ 국공립 11 8.40 13 9.09 13 9.09 13 8.50 12 8.76
∙ 정부출연 10 5.99 10 5.92 9 5.52 11 6.47 10 6.06
∙ 병원 및 기타 13 4.14 13 3.94 18 5.04 18 4.92 22 5.77
기업 2,493 5.14 2,629 4.80 2,761 4.72 2,807 4.51 2,887 4.49
∙ 정부투자기관 3 7.14 2 3.64 2 3.70 1 1.69 2 3.28
∙ 민간기업 2,490 5.13 2,627 4.80 2,759 4.72 2,806 4.51 2,885 4.49
합 계 2,553 5.18 2,692 4.82 2,828 4.75 2,875 4.54 2,955 4.5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5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경상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9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1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6-18 ❙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7 9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2 8 1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2 16 2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 경상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8,56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748명(전체의 약 12.41%),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599명(전
체의 약 28.77%)
표 3-16-19 ❙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748 22,599 32,347 17,409 3,809 6,366 4,738 13,892 78,561
비중 12.41 28.77 41.17 22.16 4.85 8.10 6.03 17.68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3 55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3년 경상남도에는 경상대 4개, 인제대 1개, 창원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표 3-16-20 ❙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3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상국립대학교
(4개 센터)
2017 산업수요기반 고효율 • 안전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ERC
2021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 RLRC
2022 식물생체리듬연구센터 SRC
2023 대사이상 간질환 연구센터 MRC
인제대
(1개 센터)
2018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MRC
창원대
(1개 센터)
2019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 부품 설계/제조 혁신 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3년 12월 말 기준)
※ 2023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
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023년 시점으로 운영하는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55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경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6-21 ❙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경남대학교 경남대학교 창업보육관 1999-09-30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거창대학디자인창업보육센터 2000-12-3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칠암 창업보육센터 2001-06-29
경상남도(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경상남도창업보육센터(GNBI) 2001-10-18
동원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1-17
(재)경남테크노파크 로봇 창업보육센터 2015-05-13
마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9-12-14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창업보육센터 2003-04-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스마트바이오 창업보육센터 2022-11-13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스 창업보육센터 2001-01-05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그린 창업보육센터 2000-02-10
인제대학교 인제대김해 창업보육센터 2001-03-2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03-01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14
창원문성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창업지원단 창업보육센터 1999-11-10
한국국제대학교 한국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기술창업센터 2001-07-10
REGIONAL S&T YEARBOOK 2023 55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남에는 공립과학관 16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17개를 운영 중
표 3-16-22 ❙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공립
거제조선해양문화관 공립
창원과학체험관 공립
통영수산과학관 공립
천적생태과학관 공립
지리산생태과학관 공립
옥포대첩기념공원 공립
의령곤충생태학습관 공립
김해천문대 공립
함양약초과학관 공립
고성공룡테마과학관 공립
경상남도 교육청 과학교육원 공립
사천첨단항공우주과학관 공립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공립
양산3D과학체험관 공립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55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3년 경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97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258명임
표 3-16-23 ❙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231 259 479 337 597
수혜자 수 8,013 7,886 9,081 9.874 11,25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남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3개, 지역 과학문화 전문인력 14명 양성
표 3-16-24 ❙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3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남테크노파크 6
전용공간
8개(1,296.7㎡)
27 50,109 66.1
※ 주 : ’23년부터 활동주체 발굴건수 산출방법 변경(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우리동네 과학클럽 수 → 공공, 민간, 단체 활동주체 수 + 지역과학문화 전문인력 수)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3 55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경상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6,746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683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3.1%, 8.1% 감소
표 3-16-25 ❙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6,625 6,609 6,521 6,657 6,810 6,964 6,746
특허등록 건수 3,538 3,738 3,751 3,956 4,059 4,099 3,68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경상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076편, 주저자 기준 1,909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29%, 3.18%를 차지
표 3-16-26 ❙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3,396 5.33 52,327 15.41 1,599 3.05 20,635 12.90
2019 3,590 5.34 54,726 15.24 1,688 3.08 19,975 11.83
2020 3,978 5.40 41,513 10.44 1,818 3.05 15,500 8.53
2021 4,381 5.49 28,666 6.54 2,030 3.19 10,922 5.38
2022 4,076 5.29 7,579 1.86 1,909 3.18 3,285 1.7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55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혁신으로 다시 도약하는 튼튼한 경남 경제
■ 목표 : 과학기술혁신 역량 제고를 통한 미래성장 동력 확보
▣ 추진전략
■ 과학기술혁신 추진체계 구축
- 거버넌스 재편
- 전주기적 관리 역량 강화
- 혁신기관 유치
■ 과학기술생태계 육성
- 과학기술 인재양성 및 활용
- 생태계 기반 조성 및 거점 육성
- 문화 확산 및 격차 해소
■ 산업 연계 과학기술 역량 강화
- 미래 첨단산업 육성
- 중점산업 고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557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적 거버넌스재편, 전주기적 관리역량 강화, 혁신기관 유치 등을 통한 “경남의 과학기
술역량 강화” 추진
○ 경남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정립
- “경상남도 과학기술위원회”로 재편 및 운영을 통한 위상 제고
- 경남의 과학기술 전담기관 지정을 통한 역량 강화 및 저변 확대
○ 경남지역의 중점산업을 연계한 과학기술협의체 구성・운영
- 경남 과학기술협의체 운영을 위한 추진체계 수립
- 과학기술 및 중점산업 정보공유, 협력을 위한 협의체 운영방안 도출
○ 과학기술 국내・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국내・외 기관 간 협력을 통한 소재・부품, 인공지능 분야 등 추가 확대
- 글로벌 기술혁신 생태계 및 인재유치・교류, 연구기반 구축 등 확대
○ 정부・초광역 협업체계 구축 및 활성화
- 지역 간 네트워크 기반 협력프로젝트를 통한 초광역 협력 추진
- 지역의 혁신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 시너지 창출
- 부・울・경의 초광역권 발전계획에 따른 초광역 협력 선도
○ 지역주도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활성화
- 경남지역에 특화된 정책기획을 위한 역량 및 네트워크 강화 기반마련
- 경남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중장기적 혁신계획 수립과 추진전략 고도화를 통한 중앙정부와의 연
계강화 추진
○ 지역 R&D과제 성과관리체계 확립・운영
- 경남 산・학・연・관 및 민간 등 R&D과제 정보에 대한 접근성 용이 추진
- 경남의 R&D과제 및 모니터링・성과관리 체계구축
○ 연구개발 활동 조사・분석 기능 강화
- 경남 R&D과제 및 성과에 대한 조사・분석의 고도화 및 신뢰도 향상
- 정부의 지역 과학기술 정책센터 지정・지원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
55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정책・문화・연구장비 전문인력 양성
- 경남지역의 중점산업과 연계된 장비에 대한 교육 및 인재양성 추진
- 경남 과학기술에 대한 문화확산과 관심 확대를 통한 저변 확대 추진
○ 국가연구기관(정부출연연 등) 유치
- 경남 방위산업의 견고한 생태계를 위해 방산부품연구원(가칭) 유치 추진
- 수소경제로의 성공적 안착 유도를 위한 수소 전문연구기관 유치
- 경남 승강기산업의 기업지원・육성기반을 연계한 연구기관(기업) 유치
- 경남지역 중점산업 및 특화분야에 대한 정부출연연구원 유치
- 국내・외 연구기관 유치를 위한 설명회 등 투자유치 활동 추진
○ 국내・외 글로벌 연구소 및 연구소기업 유치
- 글로벌 핵심기술확보 및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센터 설립・운영
- 유망기업 분석,발굴 및 국・내외 기업유치를 통한 경남산업・경제 활성화
○ 과학기술기관 설립
- 설립 방안에 대한 다각적 검토・실시를 통한 기관설립 추진
- 세계적 연구거점이 되도록 기존 과학기술원과 특화・차별화 추진
■ 경남의 과학기술 인재양성 및 생태계 기반조성・활성화,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통한 “지속 가능
한 혁신성장동력 확보”
○ 지역산업 맞춤형 과학기술 인재양성
- 산업계 수요 및 대학특성에 맞는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 지역 대학간, 대학과 연구기관 간 교육협력 확대
- 대학지원의 행・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하여 지역산업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으로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 추진
- ICT・SW・반도체 인력양성으로 기존 주력산업의 고도화 및 신성장 산업분야 과학기술 인재확보
- 지역 공공기관 등과 협력・연계를 통한 지역인재 양성체계 구축
- 글로벌 수준의 석・박사 전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연계강화
- 지역 여성연구인력 육성을 위한 여성과학기술 인재양성・활용 추진
○ 과학기술 인재풀(현업+은퇴) 구축・활용
- 고경력 과학기술인 중소기업 현장방문 기술멘토링을 통하여 기술개발, 제품화, 기술사업화, 마케
팅 등 기술 및 경영애로 해결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3 559
- 기업의 기술애로에 대해 중장기(중소기업 기술 멘토링) 또는 단기(상시 현장자문) 지원 및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지원
- 과학기술 인재풀 구축을 통한 산업 연계 협력 지원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중 평생교육 거점대학(LIFE) 육성
○ 과학기술 인재 정주공간 확충
- 산・학 협력의 고도화를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 추진
- 사이언스파크(경남창원과학기술진흥원)를 활용한 과학기술 인재 체류 지원
- 경남의 과학기술기관 설립과 연계한 정주공간 확충 방안도출・추진
○ 산업단지 중심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주도 클러스터 성장 전략 수립・추진
- 경남 국가혁신클러스터 타깃산업 지원
○ 규제특례 실증특구 조성・운영
- 경남지역 및 중앙정부의 클러스터 지원 협력체계 구축
- 강소연구개발특구 고도화 및 신규지정
○ 기술사업화・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 기술사업화・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운영
- 지역 핵심 전략기술 개발 및 성과 창출・확산 대응 체계구축
- 경남도 및 지역 기관과의 스타트업 육성・협력 사업확대 추진
- 창업 투자 생태계와 창업문화 확산
- 현장 맞춤형 창업 정책 추진
○ 원천기술연구 지원강화 및 산・학・연 협력 연구촉진
- 경남 산・학・연 중심의 지역기술혁신허브 구축을 통한 상생협력 추진
- 경남의 학연 협력플랫폼 구축 및 운영을 통한 기술고도화 추진
- 도내 지역인재 글로벌 사회 진출 추진을 위한 기관 설립 및 운영
○ 대학・출연연 활용 연구거점 육성
- 지역 혁신성장을 위한 지역산업에 특화된 선도연구센터 구축
- 경남 지역혁신기관간 학・연 협력플랫폼 구축을 통한 공동연구 수행
○ 주민 참여형 과학문화 확산 플랫폼 구축
- 경남도민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운영
56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관 전시체험 운영 및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추진
○ 과학관, 연구기관 기반 과학문화 프로그램 확대
- 과학문화 사업 추진체계 고도화를 위한 과학문화 얼라이언스 구축
- 경남 중점산업과 연계한 지역특화 과학문화사업 추진
- 공립과학관 콘텐츠 개선 지원을 통한 과학문화 프로그램 확대
○ 지역 간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
- 경남 과학문화 활성화 프로그램의 지역 간 확대 운영 추진
- 지역화합을 위한 기초・첨단 과학기술 기반 과학대전 개최・운영
- 지역별 연계 과학기술・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튜터(Tutor) 운영사업
■ 경남 중점산업에 대한 과학기술을 연계한 산업생태계 고도화 및 신성장육성, 전통제조산업의
체질 개선 등 산업고도화 기반 마련
○ 미래첨단 원전, 수소, 우주항공, 소재・부품, 바이오, ICT・SW・반도체산업 육성
- 정부 정책대응을 위한 경남 원전생태계 복원 및 활성화 추진
- 경남 원자력산업의 종합패키지 지원을 통한 원전산업의 메카육성
- 정부・기관・기업 간 일원화 된 소통 채널 구축 및 원전산업계 건의반영・애로 해소 등 신속 지원체계
확립
- 수소경제 조기정착 및 수소의 전주기(생산, 저장, 이송,활용) 체계 구축
- 수소 소재・부품 인증기관 및 시스템 체계, 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 친환경 에너지 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과 생산력 확대
- 수소산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역 간 협력 추진
- 경남 진주・사천을 중심으로 위성 특화지구 조성을 통한 우주산업의 전초기지 도약
※ 우주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과기부, 22.10.) 연계
- AAM(Advanced Air Mobility)시대를 대비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 전기추진 경량항공기 시범기 개발 및 인증체계구축 추진
- 미래전략산업의 핵심소재인 신기능 탄성소재 개발
- 나노 소재・제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시험기반 마련
- 국내 초정밀 가공장비 국산화와 기술 자립화, 국내 공급망 안정화
- 국가전략 극한소재 기술주권 확보 및 기술선도 추진
- 바이오산업을 권역별 특성에 맞게 융합・연계・지원하는 산업벨트로 구축하여 산업경쟁력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3 561
- 제품의 기획부터 실용화까지 지원 가능한 원스톱 지원 플랫폼 구축
- 첨단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지원을 위한 인프라구축 및 기업지원
- 경남 첨단바이오 분야의 유망기업 발굴・육성 추진
- 정부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과 연계, 도내 스마트공장 도입기업 지속 지원으로 제조현장 디지털 기
술접목 가속화
- 전통 제조장비에 로봇을 융합한 디지털 제조장비 시스템 보급으로 전방기업(스마트기계, 항공, 조
선해양, 자동차 등) 생산시스템 혁신모델 확산
- 디지털전환 시대의 핵심기술인 AI, 블록체인 등 SW분야 실무형 인재 집중육성을 통해 지역산업의
고도화 및 SW 인력부족 문제 해소
- 시스템반도체를 쓰는 전방산업(항공우주, 방산, 원전, 자동차, 조선 등) 관련 기업과 자동차 기계
산업의 전동화에 따른 전력반도체 수요급증 대응을 위한 수요기반형 시스템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추진
○ 중점산업 방위, 스마트 조선, 미래차・로봇 등 고도화 육성
- 경남 방위산업 육성 종합계획(2023~2027) 마련
- 창원국가산업단지와 기능연계・보완을 위한 원전・방산 국가산단 조성
- 방산분야 강소기업 육성 및 수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
- 중소형 조선소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조혁신 기술지원 체계구축
-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육성 및 조선업종 인력양성을 통한 기업간 상생협력체계 구축 및 생산역
량 확보 추진
- 인프라 중심의 조선산업 스마트화 기술개발 추진
- 공정혁신,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등 한계대응을 위한 시스템 구축
- 자율제조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 기반조성, 산업생태계 조성
-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첨단장비・로봇 디지털 혁신
- 공작기계 핵심부품 High-End 기술개발 추진
- 미래차의 경쟁력 강화 및 데이터 기반 제조산업 생태계구축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업 기술개발을 통한 녹색성장 도모
- 해양환경 변화에 대비한 미래 양식기술연구 등 추진
- 경남의 다양한 산업에 대한 육성 및 고도화 추진을 통한 성장기반 마련 등
56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2년 제주도의 인구는 약 67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인구대비 제주도 인구의 비율은 1.31%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17-1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구(명) 654,543 663,803 668,699 673,189 675,505
전국인구대비 비율(%) 1.27 1.28 1.29 1.30 1.31
경제활동참가율(%) 69.8 69.9 68.8 69.6 71.4
실업률(%) 2 2.1 2.5 3.1 2.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3.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3.12.)
3)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2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3 56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제주도의 ’22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약 0.04%의 증가율을 보임
- 기타서비스업이 약 46.81%로 비중이 가장 높고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4.84%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5.83%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7-2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지역내총생산 18,968,300 19,186,190 17,957,495 18,173,026 19,003,180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658,229 1,625,596 1,678,348 1,695,431 1,732,456
(지역내비중, %) (8.74) (8.47) (9.35) (9.33) (9.12)
제조업 749,941 716,737 683,443 708,531 687,100
(지역내비중, %) (3.95) (3.74) (3.81) (3.90) (3.6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49,266 321,341 353,260 376,385 463,600
(지역내비중, %) (1.84) (1.67) (1.97) (2.07) (2.44)
건설업 1,752,148 1,560,731 1,257,515 1,028,798 1,009,079
(지역내비중, %) (9.24) (8.13) (7.00) (5.66) (5.31)
기타서비스업 8,904,420 9,187,410 8,201,315 8,467,090 8,894,813
(지역내비중, %) (46.94) (47.89) (45.67) (46.59) (46.8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082,347 4,302,225 4,395,741 4,560,443 4,721,020
(지역내비중, %) (21.52) (22.42) (24.48) (25.09) (24.84)
순생산물세 1,504,838 1,503,707 1,425,548 1,403,687 1,594,432
(지역내비중, %) (7.93) (7.84) (7.94) (7.72) (8.3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2)
56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제주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조 6,345억 원이고, 23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5,425
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6,242
억 원(전체의 38.19%), 94개(전체의 40.87%), 2,355명(전체의 43.41%)
표 3-17-3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24,232 38.19 94 40.87 2,355 43.41
음료 제조업 370,328 22.66 13 5.65 87 1.6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2 0.87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 0.87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 1 0.43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8,268 2.34 12 5.22 253 4.6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6,172 14.45 50 21.74 800 14.75
1차 금속 제조업 - - 1 0.43 - -
전기장비 제조업 36,786 2.25 9 3.91 176 3.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1,875 1.34 6 2.61 62 1.14
기타 제품 제조업 4,303 0.26 3 1.30 34 0.6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0.43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615 2.18 8 3.48 99 1.8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 1 0.43 -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 2 0.87 -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0.43 -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2,615 5.05 1 0.43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0,479 3.09 8 3.48 182 3.3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7,448 3.51 15 6.52 282 5.20
합 계 1,634,474 100 230 100 5,42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3 56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분야는 ‘식료
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7-4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제조업
∙ 음료제조업
∙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낮음
∙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 전기장비제조업
∙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 기타제품제조업
∙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56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제주도는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와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지역특화 전문인
력 양성’,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7-5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및 2023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제주 농산물 가공식품 산업 육성
친환경 및 그린 농업 기반 확대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제주형 UAM 상용화 및 드론 허브도시 조성
미래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
생약자원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전 도민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 사업
선제적 공학인재 양성 사업
제주 ICT 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제주형 농업관측・공공데이터센터 설치
디지털 트윈 및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을 통한 과학적 행정 구현
제주연안 환경의 생물자원 수용능(受容能) 빅데이터 구축 사업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기능성 식품(액상조미료)산업 다각화 사업
그린수소 기술력 강화를 위한 시험분석 및 인증획득 지원
생산기술실용화 기술개발 및 지원사업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제주산학융합지구 활성화 지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인프라 실증사업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글로벌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한 실천 이행 기반 구축
바이오(항노화, 화장품 등) 박람회 및 학술포럼 지원 사업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R&D 컨트롤타워 구축과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제주과학기술정보서비스(JTIS) 시스템 구축
지역주도형 과학기술 R&D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3 56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3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78개, 총 종사자 수는 4,042명
표 3-17-6 ❙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3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제주첨단과학기술 1,099 1,071 203 203 3,131 100 완료
제주첨단과학기술2단지 848 847 - - - - 미개발
일반 용암해수 197 197 18 18 176 100 완료
농공
대정 115 115 22 20 194 100 완료
구좌 67 67 18 18 153 100 완료
금능 130 130 19 19 388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3, 3/4 분기)
56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3년 제주도에는 총 279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90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31개, ‘도매 및 소매업’이 22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42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17개),
‘전기장비 제조업’(16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7 ❙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3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9 7 8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0 29 42
음료 제조업 5 3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 1 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7 16 1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 1 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 1 1
1차 금속 제조업 -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 -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 5 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 4 4
전기장비 제조업 15 15 16
REGIONAL S&T YEARBOOK 2023 56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벤처기업확인기관 요청자료(2023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1 2022 202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 5 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 1 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 1 2
가구 제조업 1 - -
기타 제품 제조업 10 7 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3 1 1
건설업(41~42) 6 5 5
도매 및 소매업(45~47) 14 15 22
운수 및 창고업(49~52) 1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 1 1
정보통신업(58~63) 61 74 90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1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0 24 3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4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2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21 226 279
57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제주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7위 수준
- ’22년 연구개발인력은 4,236명(전국의 0.5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5.3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2,260명(전국의 1.02%)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연
구소 988명(전국의 1.44%), 기업이 988명(전국의 0.1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7-8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11 0.94 1,735 0.89 2,104 1.02 2,180 1.04 2,260 1.02
∙ 국공립 1,751 2.20 1,692 2.12 2,046 2.36 2,144 2.47 2,218 2.47
∙ 사립 60 0.05 43 0.04 58 0.05 36 0.03 42 0.03
공공연구소 736 1.26 852 1.37 938 1.46 922 1.39 988 1.44
∙ 국공립 373 3.05 466 3.61 576 4.49 575 4.28 589 4.44
∙ 정부출연 80 0.25 84 0.24 90 0.27 94 0.28 102 0.29
∙ 병원 및 기타 283 2.08 302 2.00 272 1.57 253 1.32 297 1.45
기업 714 0.16 788 0.17 798 0.17 937 0.18 988 0.19
∙ 정부투자기관 22 0.56 21 0.55 18 0.48 18 0.47 17 0.43
∙ 민간기업 692 0.16 767 0.17 780 0.17 919 0.18 971 0.19
합 계 3,261 0.47 3,375 0.47 3,840 0.51 4,039 0.51 4,236 0.5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71
■ ’22년 제주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7명 증가한 36.2명으로 조사됨
표 3-17-9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명)
2018년 2019 2020 2021 2022
27.9 30.3 33.5 34.5 36.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2년 제주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2,278억 원으로 전국 대비 0.20%
- 지난 5년간 연구개발비의 증가율은 7.46%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608억 원(전국의 0.59%), 공공연구소는 약
1,059억 원(전국의 0.82%), 기업이 약 611억 원(전국의 0.07%)
표 3-17-10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2022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8,688 0.83 64,437 0.87 105,129 1.26 84,206 0.90 60,789 0.59
∙ 국공립 57,330 1.86 63,527 1.94 104,373 2.76 83,538 1.98 60,430 1.33
∙ 사립 1,358 0.03 910 0.02 756 0.02 668 0.01 359 0.01
공공연구소 56,258 0.57 58,699 0.58 70,346 0.63 94,260 0.79 105,927 0.82
∙ 국공립 43,036 5.29 44,108 5.28 40,212 4.72 52,785 5.46 56,997 5.59
∙ 정부출연 10,775 0.14 11,160 0.14 15,333 0.19 26,002 0.30 26,449 0.29
∙ 병원 및 기타 2,447 0.17 3,431 0.22 14,801 0.75 15,473 0.67 22,481 0.86
기업 44,017 0.06 51,287 0.07 56,136 0.08 64,847 0.08 61,119 0.07
∙ 정부투자기관 3,453 0.38 2,599 0.30 3,462 0.40 1,594 0.19 1,510 0.17
∙ 민간기업 40,564 0.06 48,688 0.07 52,674 0.07 63,253 0.08 59,609 0.07
합 계 158,963 0.19 174,423 0.20 231,611 0.25 243,313 0.24 227,835 0.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7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2년 중앙정부의 제주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88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0.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94%
표 3-17-11 ❙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286 1,487 1,714 1,858 1,884
(0.7) (0.7) (0.8) (0.8) (0.7)
전국 195,745 204,597 22,724 242,125 259,71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2 투자실적)
▣ 목표 및 추진전략
■ 디지털트윈 스마트 아일랜드 구축
- 2021년 스마트시티챌린지 본사업(120.0억), 디지털제조 Try-out 센터 구축사업(42.5억원), 창조
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41.3억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 육성을 위한 OpenLAB구축과
기반기술 보급(31.1억원), 소프트웨어 미래채움 사업(21.0억원),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16.3억
원), 제주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13.9억원), SW융합클러스터2.0 사업(9.8억),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사업(9.2억원),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8.0억원), 지식재산 기반 창
업촉진(7.7억원), 재난 및 항공 체류객 지원 대응 Safe Space In Jeju 구축(6.7억원), 지역SW서비
스 사업화 지원사업(6.5억원),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5.0억원) 등
■ 탄소없는 섬, 제주 2030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수소충전소 구축사업(60.0억원), 8㎿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사업(58.5억원), 전기차 통합유
지보수 기반 구축사업(35.8억원), 전기차배터리 재사용 기반 연계 다각화 사업(35.5억원),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제조 제품 시험평가・인증지원 기반 구축(26.5억원), 제주 신재생에너지산업 융복
합 EV 충전스테이션 구축사업(20.0억원), 도 구축 개방형 충전기 통합운영관리(19.2억원), 신재생
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15.8억원), 친환경 에너지 보급(해수열히트펌프)(12.0억원), 전기버스 개
방형 충전기 구축사업(5.1억원), 대기측정망 및 대기오염경보제 운영(5.0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3 573
■ 청정자원의 고부가가치 지역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207.9억원),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125.8억원), 제주 국가혁신
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 운영(61.6억원), 제주연구원 출연금(42.3억원),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40.8억원),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특성화사업(35.5억
원),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화장품 플랫폼 구축사업(32.0억), 제주 지하수 연구센터 운영(30.5억
원), 청정 기능성 식품산업 기반구축 사업(28.8억원), 지역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 지원사업(26.4
억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운영비(26.4억원), 제주테크노파크 운영지원(21.3억원), 청정 바
이오소재 코스메틱 기반 고도화 사업(21.3억원), 축산물 고품질 생산관리 기술개발 지원(20.6억
원), 화장품 임상 솔루션센터 구축사업(15.2억원)
■ 디지털 혁신 지능형MICE산업 활성화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31.0억원),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 지원사업(5.7억원), 글로벌 문
화콘텐츠 제작지원(4.0억원), 제주 국제 친환경선박 박람회 운영(3.0억원), 국제 크루즈산업 네트
워크 활성화(2.9억원), 제주관광 빅데이터 이슈 분석(2.0억원), 제주 ICT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
(2.0억원), 청년인재양성 프로그램(2.0억원) 등
57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제주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3 575
표 3-17-12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2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481 5 4,800 141 103 46 1,229 157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2.12.31. 기준)
(나) 역할
표 3-17-13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성장과
∙ 제주 디지털 혁신 진흥계획 수립, 제주 디지털 지역혁신 기본계획 수립, 디지털 전환 로드맵 수립
및 성장기업 투자 유치,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사업, 메타버스 개발 지원 사업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시행계획 수립,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 사업,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지식
재산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미래신산업 육성 지원 정책 발굴
∙ 거점별 수소 생산 및 보급 계획 수립 시행, 제주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계획 수립・추진
∙ 용암해수일반산업단지 종합계획 수립, 용암해수 스마트특성화 국가공모사업 추진, 화장품산업진흥기
본계획 수립 및 추진,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구축 사업, 제주항노화산업 활성화 사업 추진
∙ 빅데이터 기본・시행 계획 수립,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계획 수립, 제주특별자치도 위성영상 분석
시스템 구축, AI 학습용데이터 구축사업 추진, AI융합 지역특화산업 지원사업 추진
∙ 제주 빅데이터 플랫폼 운영 및 고도화 사업 추진, IoT 기반 정밀기상정보 서비스체계 구축, 빅데이
터 활용을 위한 신규 수집데이터 발굴・연계 기획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공공데이터 개방 및 품질관리사업 추진, 공공데
이터 창업 경진대회 계획 수립 및 추진
에너지산업과
∙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계획수립 시행, 지역에너지 계획수립 및 시행, 에너지백서 작성, 제주형
분산에너지활성화 방안계획 수립,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사업계획서수립
∙ 대규모 ESS 실증단지 구축, 섹터커플링(P2H) 활성화 방안 수립 및 운영, 해수이용 친환경 ESS
핵심기술 개발 사업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지역발전계획사업 추진
∙ 풍력발전종합관리계획 수립・추진,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실증사업 추진, 주민주도형 풍력자원 개발계
획 수립・추진
미래모빌리티과
∙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사업 추진, 스마트시티 업무 계획수립 및 서비스 발굴, 스마트 그린도
시 추진 계획안 수립,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MaaS) 업무추진
∙ 지하공간정보(2D, 3D) 통합지도 관련 업무 추진, 제주형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 위성정보 활용 기술개발사업 (KAIA), 드론 복합인프라 유치 추진, 지하정보 정확도 개선계획 수립
및 관리, 디지털트윈 활성화 및 시범사업 추진
∙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 추진,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 추진
∙ 전기차 연관산업 육성 및 신산업 추진, 공공기관(시설) 전기차 충전시설 등 의무설치 점검 및 이행
추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EV충전스테이션 구축
∙ 전기자동차 보급 및 연관산업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민간충전서비스 산업 육성 보조사업
57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사항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2023.3.13.~2025.3.12.)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3년) : 2회
- 2022년도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시행계획 추진실적 심의(2023.1.13.)
- 제6차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2023.12.)
정보정책과
∙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행, 스마트빌리지 구축 및 추진, 연간 정보화 성과관리계
획 수립, 정보격차해소사업 계획 수립 및 추진
∙ 웹사이트 종합 발전계획 수립 추진, 공모 민간지능정보서비스 확산 사업 추진, 제주 모바일 고지
안내시스템 구축
∙ 개인정보 내부관리계획 및 처리방침 수립, 개인정보 영향평가 계획 수립 및 추진
∙ 사이버보안관제센터 및 침해대응계획 수립추진, 사이버 위험관리정책 및 대응계획 수립, 정보보안업
무 계획 수립 및 추진, 지자체 망분리 정보화계획 수립, 재난・재해대비 및 복구계획 수립 및 추진,
와이파이 인프라 확대 및 고도화 계획 수립・시행, 국가정보통신서비스(행정망) 고도화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3 577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7-14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3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성중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2023.03.13.~2025.03.12.
위원 김창세 제주특별자치도 혁신산업국장 2023.03.13.~2025.03.12.
위원 천지연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임희정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이윤정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김명숙 제주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고봉운 제주국제대학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한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호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강영준 제주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한승철 제주연구원 2023.03.13.~2025.03.12.
위원 김희정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2023.03.13.~2025.03.12.
위원 이남호 제주산학융합원 2023.03.13.~2025.03.12.
위원 한충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3.03.13.~2025.03.12.
위원 최백준 ㈜틸론소프트 2023.03.13.~2025.03.12.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2년 실적점검 및 2023년 시행계획
57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주도의 총예산은 약 8조 6,31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93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1.08%
- 과학기술 예산 중 제주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8.32%
표 3-17-15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2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2년
총 예산 86,315
재정자주도(%) 66.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93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3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0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8.32
※ 주1 : 총 예산 : 2022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2027) 2023년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3 579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2년 제주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664
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과제에 각각 약 313억 원,
약 326억 원을 투자
표 3-17-16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2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친환경 에너지 보급
3,849 6,204 441 10,494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제주연구원 운영 지원
전기차배터리재사용기반연계다각화사업(국가직
접지원)
12,712 19,055 370 32,13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서식지외 보전기관 운영사업(지자체)
서식지외 보전기관 운영사업
110 178 - 288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SW중심대학 지원(국가직접지원)
(재)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운영지원
4,240 4,602 847 9,689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제주 지역산업육성기획 지원사업
스마트시티챌린지사업(국토교통부공모사업)
31,281 32,594 2,572 66,446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사업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특성화
사업(국가직접지원)
20,974 19,133 170 40,276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8MW 부유식해상풍력시스템개발과제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4,735 1,734 1,553 8,022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축산물고품질생산관리기술개발지원
지식재산 기반 창업촉진 사업
1,370 1,190 710 3,27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제주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 운영
제주디지털 제조 Try-out 센터 구축사업
13,689 8,783 380 22,852
합계 92,960 93,473 7,043 193,474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점검 및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3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8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2년 제주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86개로 전국의 0.44%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8.87% 증가
- 5년간 대학 수 2개 감소,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98개 증가
표 3-17-17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 1.64 4 0.96 4 0.97 4 0.95 4 0.96
∙ 국공립 2 2.53 2 2.38 2 2.35 2 2.33 2 2.27
∙ 사립 4 1.40 2 0.60 2 0.61 2 0.59 2 0.61
공공연구소 16 2.61 18 2.80 19 2.87 20 2.90 19 2.78
∙ 국공립 10 7.63 11 7.69 11 7.69 12 7.84 11 8.03
∙ 정부출연 3 1.80 3 1.78 4 2.45 4 2.35 5 3.03
∙ 병원 및 기타 3 0.96 4 1.21 4 1.12 4 1.09 3 0.79
기업 165 0.34 182 0.33 204 0.35 249 0.40 263 0.41
∙ 정부투자기관 1 2.38 1 1.82 2 3.70 2 3.39 2 3.28
∙ 민간기업 164 0.34 181 0.33 202 0.35 247 0.40 261 0.41
합 계 187 0.38 204 0.37 227 0.38 273 0.43 286 0.4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3 581
(2) 대학
(가) 대학 수
■ ’23년도 제주도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17-18 ❙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3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3년에 제주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8,07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976명(전체의 약 16.46%), 공학계열 학생이 2,353명(전체의
약 13.02%)
표 3-17-19 ❙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3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976 2,353 5,329 3,208 1,314 1,672 1,464 5,089 18,076
비중(%) 16.46 13.02 29.48 17.75 7.27 9.25 8.10 28.15 10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582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제주의 경우 2023년 기준 1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7-20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3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3년 제주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7-21 ❙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3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 창업보육센터 2002-07-19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10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3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3 58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제주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4개소로 7개를 운영 중
표 3-17-22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3년)
과학관명 구분
제주미래교육연구원 공립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공립
제주별빛누리공원 공립
제주해양과학관(아쿠아플라넷 제주) 사립
아이디어생활과학관 사립
로봇플래닛 사립
로봇스퀘어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3.11.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제주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3년 제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75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37,212명임
표 3-17-23 ❙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9년~2023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강좌 수 571 194 471 2,638 875
수혜자 수 6,936 5,853 9,560 24,115 37,21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3년 12월 기준)
584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제주도 특허출원 건수는 1,02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06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1년 대비 1.8%, 13.6% 감소
표 3-17-24 ❙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6년~2022년) (단위 : 건)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특허출원 건수 689 817 837 891 1,003 1,046 1,027
특허등록 건수 305 384 412 430 485 470 40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2년 제주특별자치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154편, 주저자 기준 49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50%, 0.82%를 차지
표 3-17-25 ❙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8년~2022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8 696 1.09 10,375 14.91 337 0.64 5,503 16.33
2019 867 1.29 12,437 14.34 428 0.78 6,046 14.13
2020 1,046 1.42 10,918 10.44 498 0.84 5,082 10.20
2021 1,118 1.40 7,314 6.54 497 0.78 3,203 6.44
2022 1,154 1.50 2,850 2.47 493 0.82 1,034 2.1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 추출시점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3 58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 과학기술 혁신 기반의 지속가능한 제주 미래가치 선도
■ 목표 : 과학기술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으로 지역특화 미래 신산업 창출
▣ 추진전략
■ 지역특화 R&D 활성화 기반 조성
-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 산학연 과학기술 혁신 역량 및 협력 강화
-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선순환 체계 마련
-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R&D 컨트롤타워 구축과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도내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전담기관 (가칭)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 추진
- 제주 강소연구개발 특구 지정 추진
- 제주 산학연관 연구 협력 혁신체계 구축
■ 디지털 신산업을 통한 스마트시티 기반 추진
- 지역문제 해결에 중심을 둔 지속 발전 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
- 민간협업 기반 디지털 전환 생태계 구축
586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약자원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 제주 천연자원 유래 메디컬 소재 산업 인프라 연계・운영으로 레드 바이오산업 기반 구축
- 천연자원 유래 맞춤형 식품(메디푸드, 대체식품, 고령친화식품 등) 소재 기술개발 및 실용화 기반
마련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구축을 통한 제주형 뷰티산업 육성
■ 미래 모빌리티・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
- 전국 최초 JAM(제주항공교통) 상용화 및 드론 허브도시 조성
- 자율주행차 기반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거점 조성
- 제주 특화형 우주항공산업 기본계획 수립
■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속 확대
- 제주 생산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를 위한 제주형 RE100 산업기반 조성
- 대규모 태양광발전사업(3㎿초과) 공공관리 제도 개선
- 주민 참여, 상생 위한 풍력 개발 사업 개선
■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 자립기반 마련
- 제주형 전력시장 도입(전력거래 특례)
- 전국 최대규모 재생에너지저장시스템(ESS) 구축, 섹터커플링(그린수소 생산, 열에너지 전환, 모빌
리티 활용 등) 사업 확대
■ 그린수소 글로벌허브 기반 조성
-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연계 권역별 그린수소 생산단지 구축
- 주요 거점별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
- 미래 그린수소도시 구현을 위한 제주형 산업・인프라 구축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지역특화 R&D 활성화 기반 조성
○ 전통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제주 주력산업(지능형관광서비스산업, 청정바이오산업, 그린에너지솔루션산업) 분야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고용 창출형 기술개발, 사업화지원 등 지원
- 제주 농산물 생산-가공 연계 식품산업 활성화 기반 조성으로 농업인과 식품기업이 상생하는 식품
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3 587
- 친환경 기반 조성 확대 및 소비 확산으로 친환경농업을 육성하고, 그린농업과 탄소배출 저감 사업
을 지속적으로 확대
○ 신산업 기술 R&D 투자 확대
- 미래신산업인 UAM(도심항공교통)의 전국 최초 상용화를 통하여, 신교통 수단을 마련하고, 교통・
관광・응급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J-UAM 서비스 추진
- 미래 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을 통한 혁신성장 동력 마련
- 제주의 신성장동력으로 맞춤형식품, 천연물 식・의약품 소재개발 등 바이오산업 다각화 및 고부가
가치 산업 육성
- 그린수소 생산 분야 핵심원천기술 R&D 중심의 중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선도기술 확보
○ 지역특화 전문인력 양성
- 공학교육혁신을 통한 혁신인프라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공학교육인증 획득을 통한 우수한 엔지니
어 양성
- 도내 ICT/SW 기업 취업(예정)자에 대한 ICT 심화 교육 제공으로 전문기술 인력 확보
- 무인 비대면 중심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대응하여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 기본 교육부터 재택근
무 등 경제・사회 활동을 위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 활용능력) 향상
○ 과학기술 혁신 인프라 구축
- 제주형 농업관측・공공데이터센터를 설립・운영하고 농업관측 및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개발 및 제공
- 공간정보 데이터 공유・활용을 통한 인프라 구축 및 각종 인・허가, 하천개발, 재난대응 등 과학적인
행정업무 추진체계 구축
-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연안역 해양생물자원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체계 구축
■ 산학연 과학기술 혁신역량 및 협력 강화
○ R&D 전주기별 산학연 지원 확대
- 용암해수 제품 다각화를 위한 생산지원시설, 입주기업 인프라 확충 및 용암해수 농축수 활용한 미
네랄 기반 기능성 식품(액상조미료) 다각화로 지역특화 고부가가치 산업화 구현
- 그린수소 생산 시험분석 및 인증획득 지원(시험평가 위한 센터건립, 시험장비 및 시험평가 및 실증
설비구축, 실증을 통한 기업의 제품개발 지원)
- 중소기업 현장 기술애로 해소 및 공정혁신 지원을 통한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
- 제주특별자치도와 대학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의 핵심 분야의 인재양
성, 연구개발 등 혁신활동 활성화
588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 기업 수요 맞춤형 현장 중심 교육 및 연구개발 사업 등 산학 일체형 사업 지원으로 산업현장 내 연구
개발, 인력양성, 고용 등 선순환 체계 구축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개발 및 활용을 통한 자원 선순환 체계 마련
■ 가시적 성과 창출 및 선순환 체계 마련
○ 지역 내 기술사업화 확대 및 과학기술문화 확산
- 제주지역 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기술을 발굴하여 기술거래를 촉진하고, 이전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여 제주지역 산업 전반의 기술경쟁력 강화
- 2050 글로벌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탄소중립 문화 정착을 위한 도민 주도 사업추진
- 화장품 박람회, 항노화 학술포럼 개최로 마케팅 지원 및 정보교류 활성화
○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구축
- 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혁신원 설립을 통한 R&D 컨트롤타워 구축
- 제주지역의 R&D 과제정보와 연구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과학기술관련 DB와 시스템 구축
- 제주의 과학기술 R&D 기획・추진 역량 제고와 대규모 국비 R&D 유치를 위한 지역주도형 R&D 사
업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3 589
참 고 문 헌
강원도 홈페이지 www.provin.gangwon.kr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
경상남도 홈페이지 www.gsnd.net
경상북도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관계부처 합동, 지역주력산업 개편 및 육성방향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www.gwangju.go.kr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교육통계연보 2023
국가균형발전시스템 https://www.nabis.go.kr/contentsDetailView.do?menucd=142&menuFlag=Y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www.daegu.go.kr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www.daejeon.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2년 추진실적
벤처기업확인기관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https://www.smes.go.kr/venturein/home/viewHome
벤처인 홈페이지 http://www.venturein.or.kr/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www.busan.go.kr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3년 3/4분기)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www.seoul.go.kr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www.sejong.go.kr
연구개발지원단(공동사업), 전국 연지단 지역혁신기관 활동조사보고서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www.ulsan.go.kr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www.incheon.go.kr
전라북도 홈페이지 www.jeonbuk.go.kr
전라남도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www.jeju.go.kr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http://www.mss.go.kr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www.innobiz.or.kr
590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지방재정 365 http://lofin.mois.go.kr
지방시대위원회,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비전과 전략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bi.go.kr
충청남도 홈페이지 www.chungnam.net
충청북도 홈페이지 www.cb21.ne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특허청 홈페이지 http://www.kipo.go.k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8~2022)
한국RIC협회 홈페이지 http://www.ric.re.kr
행정안전부, 행정안전통계연보
각 부처 2023년 업무보고 및 보도자료
「김영식 '지역과학기술혁신법' 발의…"지역 활력 되찾을 것」, 뉴스핌 (2023.06.09.),
URL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609000215
2023 지방과학기술연감
인쇄 : 2024년 2월
발행 : 2024년 2월
편집 및 발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지역혁신정책센터
Tel. 043-750-2502 http://www.kistep.re.kr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94, 세종파이낸스센터 2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전략과
Tel. 044-202-6735 http://www.msit.go.kr
|
과학기술연감 |
2022년 과학기술연감
|
2023-04-26
|
|
<p> </p>
|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3-02-21
|
|
<p> </p>∙ 연구진
- 연구책임자
- 참여연구원
이충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
김성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류주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문연구원)
서민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위촉연구원)
기관 2022-037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연구기간 : 2022.1.1.~2022.12.31)
∙ 발행인 : 정병선
∙ 발행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Tel) 043-750-2300
∙홈페이지 : http://www.kistep.re.kr
제1장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 3
1. 발간배경 ··············································································································· 3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 4
1. 윤석열 정부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 방향 ······························································ 4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 21
3. 중앙부처의 2022년 주요 정책 동향 ···································································· 41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 45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 45
2. 지방 과학기술예산 ······························································································ 51
제2장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 55
1. 인구 ···················································································································· 55
2. 지역내총생산 ······································································································ 56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59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 63
1. 투입 ···················································································································· 63
2. 역량 ···················································································································· 73
3. 성과 ···················································································································· 84
제3장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제1절 서울특별시 ··············································································· 94
1. 지역・산업현황 ···································································································· 9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01
3. 성과 ················································································································· 117
4. 중점 추진사항 ··································································································· 118
제2절 부산광역시 ············································································· 119
1. 지역・산업현황 ·································································································· 11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27
3. 성과 ················································································································· 142
4. 중점 추진사항 ··································································································· 143
목 차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3절 대구광역시 ············································································· 146
1. 지역・산업현황 ·································································································· 14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54
3. 성과 ················································································································· 168
4. 중점 추진사항 ··································································································· 169
제4절 인천광역시 ············································································· 172
1. 지역・산업현황 ·································································································· 17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180
3. 성과 ················································································································· 192
4. 중점 추진사항 ··································································································· 193
제5절 광주광역시 ············································································· 195
1. 지역・산업현황 ·································································································· 19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03
3. 성과 ················································································································· 216
4. 중점 추진사항 ··································································································· 217
제6절 대전광역시 ············································································· 220
1. 지역・산업현황 ·································································································· 22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28
3. 성과 ················································································································· 242
4. 중점 추진사항 ··································································································· 243
제7절 울산광역시 ············································································· 246
1. 지역・산업현황 ·································································································· 24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54
3. 성과 ················································································································· 267
4. 중점 추진사항 ··································································································· 268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 271
1. 지역・산업현황 ·································································································· 27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279
3. 성과 ················································································································· 291
4. 중점 추진사항 ··································································································· 292
제9절 경기도 ···················································································· 295
1. 지역・산업현황 ·································································································· 29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08
3. 성과 ················································································································· 323
4. 중점 추진사항 ··································································································· 324
제10절 강원도 ················································································· 326
1. 지역・산업현황 ·································································································· 32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36
3. 성과 ················································································································· 350
4. 중점 추진사항 ··································································································· 351
제11절 충청북도 ·············································································· 354
1. 지역・산업현황 ·································································································· 35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65
3. 성과 ················································································································· 379
4. 중점 추진사항 ··································································································· 380
제12절 충청남도 ·············································································· 382
1. 지역・산업현황 ·································································································· 38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395
3. 성과 ················································································································· 408
4. 중점 추진사항 ··································································································· 409
제13절 전라북도 ·············································································· 412
1. 지역・산업현황 ·································································································· 41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22
3. 성과 ················································································································· 435
4. 중점 추진사항 ··································································································· 436
제14절 전라남도 ·············································································· 441
1. 지역・산업현황 ·································································································· 44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52
3. 성과 ················································································································· 467
4. 중점 추진사항 ··································································································· 46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5절 경상북도 ·············································································· 470
1. 지역・산업현황 ·································································································· 47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483
3. 성과 ················································································································· 498
4. 중점 추진사항 ··································································································· 499
제16절 경상남도 ·············································································· 501
1. 지역・산업현황 ·································································································· 50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18
3. 성과 ················································································································· 533
4. 중점 추진사항 ··································································································· 534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 537
1. 지역・산업현황 ·································································································· 53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 545
3. 성과 ················································································································· 558
4. 중점 추진사항 ··································································································· 559
참 고 문 헌 ······················································································· 565
<표 1-2-1>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중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현황 ··········································· 10
<표 1-2-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개선(안) ·············································································· 23
<표 1-2-3> 교육부 새정부 업무추진 계획 ······················································································· 36
<표 1-2-4> 주요 5개 부처 균형발전사업 ························································································ 41
<표 1-3-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행정조직 현황 ·································································· 45
<표 1-3-2>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1년) ········································· 51
<표 2-1-1>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7년~2021년) ······················································ 56
<표 2-1-2>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8년~2022년) ···················································· 62
<표 3-1-1>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94
<표 3-1-2>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95
<표 3-1-3>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96
<표 3-1-4>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97
<표 3-1-5>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 98
<표 3-1-6>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98
<표 3-1-7>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99
<표 3-1-8>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101
<표 3-1-9>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102
<표 3-1-10>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102
<표 3-1-11>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103
<표 3-1-12>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1년) ············································································· 104
<표 3-1-13>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와 산학연협력팀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05
<표 3-1-14>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2년 11월 기준) ···································· 106
<표 3-1-15>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107
<표 3-1-16>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108
<표 3-1-17>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109
<표 3-1-18>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2년) ················································································· 110
<표 3-1-19>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110
<표 3-1-20>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111
<표 3-1-21>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113
<표 3-1-22>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115
<표 3-1-23>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116
<표 3-1-24>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117
<표 3-1-25>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117
표 목 차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2-1>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119
<표 3-2-2>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120
<표 3-2-3>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21
<표 3-2-4>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22
<표 3-2-5>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23
<표 3-2-6>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124
<표 3-2-7>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125
<표 3-2-8>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127
<표 3-2-9>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128
<표 3-2-10>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128
<표 3-2-11>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129
<표 3-2-12>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 131
<표 3-2-13>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 혁신경제과와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32
<표 3-2-14>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2년 10월 기준) ···································· 133
<표 3-2-15>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134
<표 3-2-16>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135
<표 3-2-17>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136
<표 3-2-18>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 137
<표 3-2-19>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137
<표 3-2-20>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138
<표 3-2-21>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139
<표 3-2-22>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139
<표 3-2-23>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140
<표 3-2-24>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141
<표 3-2-25>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141
<표 3-2-26>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 142
<표 3-2-27>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142
<표 3-3-1>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146
<표 3-3-2>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147
<표 3-3-3>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48
<표 3-3-4>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49
<표 3-3-5>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50
<표 3-3-6>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151
<표 3-3-7>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152
<표 3-3-8>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154
<표 3-3-9>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155
<표 3-3-10>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155
<표 3-3-11>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156
<표 3-3-12>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 158
<표 3-3-13> 대구광역시 혁신성장실과 혁신성장정책관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58
<표 3-3-14>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159
<표 3-3-15>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160
<표 3-3-16>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161
<표 3-3-17>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162
<표 3-3-18>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 163
<표 3-3-19>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163
<표 3-3-20>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164
<표 3-3-21>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165
<표 3-3-22>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166
<표 3-3-23>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167
<표 3-3-24>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167
<표 3-3-25>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168
<표 3-3-26>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168
<표 3-4-1>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172
<표 3-4-2>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173
<표 3-4-3>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74
<표 3-4-4>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75
<표 3-4-5>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76
<표 3-4-6>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177
<표 3-4-7>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178
<표 3-4-8>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180
<표 3-4-9>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181
<표 3-4-10>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181
<표 3-4-11>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182
<표 3-4-12>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 183
<표 3-4-13> 인천광역시 일자리경제본부 전략산업과와 산업진흥과, 투자창업과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 183
<표 3-4-14>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184
<표 3-4-15>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185
<표 3-4-16>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186
<표 3-4-17>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187
<표 3-4-18>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 188
<표 3-4-19>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188
<표 3-4-20>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189
<표 3-4-21>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190
<표 3-4-22>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190
<표 3-4-23>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191
<표 3-4-24>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191
<표 3-4-25>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19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4-26>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192
<표 3-5-1>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195
<표 3-5-2>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2021년) ·················································· 196
<표 3-5-3>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197
<표 3-5-4>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198
<표 3-5-5>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199
<표 3-5-6>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200
<표 3-5-7>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201
<표 3-5-8>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203
<표 3-5-9>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04
<표 3-5-10>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204
<표 3-5-11>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205
<표 3-5-12>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 206
<표 3-5-13>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국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07
<표 3-5-14>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208
<표 3-5-15>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209
<표 3-5-16>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210
<표 3-5-17>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211
<표 3-5-18>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 212
<표 3-5-19>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212
<표 3-5-20>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213
<표 3-5-21>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214
<표 3-5-22>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215
<표 3-5-23>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215
<표 3-5-24>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216
<표 3-5-25>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216
<표 3-6-1>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220
<표 3-6-2>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221
<표 3-6-3>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22
<표 3-6-4>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23
<표 3-6-5>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24
<표 3-6-6>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225
<표 3-6-7>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226
<표 3-6-8>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2021년) ···························································· 228
<표 3-6-9>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29
<표 3-6-10>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229
<표 3-6-11>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230
<표 3-6-12>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 232
<표 3-6-13> 대전광역시 전략산업추진실 산업정책과와 경제과학국 과학협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32
<표 3-6-14>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233
<표 3-6-15>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234
<표 3-6-16>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235
<표 3-6-17>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236
<표 3-6-18>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 237
<표 3-6-19>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237
<표 3-6-20>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238
<표 3-6-21>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239
<표 3-6-22>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239
<표 3-6-23>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240
<표 3-6-24>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241
<표 3-6-25>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241
<표 3-6-26>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242
<표 3-6-27>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242
<표 3-7-1>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246
<표 3-7-2>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247
<표 3-7-3>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48
<표 3-7-4>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49
<표 3-7-5>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 250
<표 3-7-6>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251
<표 3-7-7>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252
<표 3-7-8>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254
<표 3-7-9>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55
<표 3-7-10>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255
<표 3-7-11>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256
<표 3-7-12>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 257
<표 3-7-13> 울산광역시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58
<표 3-7-14>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259
<표 3-7-15>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260
<표 3-7-16>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261
<표 3-7-17>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262
<표 3-7-18>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 263
<표 3-7-19>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263
<표 3-7-20>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264
<표 3-7-21>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265
<표 3-7-22>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266
<표 3-7-23>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266
<표 3-7-24>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 267
<표 3-7-25>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267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8-1>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 271
<표 3-8-2>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272
<표 3-8-3>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73
<표 3-8-4>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74
<표 3-8-5>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 275
<표 3-8-6>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276
<표 3-8-7>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277
<표 3-8-8>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279
<표 3-8-9>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280
<표 3-8-10>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280
<표 3-8-11>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281
<표 3-8-12>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1년) ······································································· 282
<표 3-8-13>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283
<표 3-8-14>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2월 기준) ····························· 284
<표 3-8-15>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285
<표 3-8-16>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286
<표 3-8-17>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287
<표 3-8-18>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2년) ·········································································· 288
<표 3-8-19>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288
<표 3-8-20>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289
<표 3-8-21>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289
<표 3-8-22>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290
<표 3-8-23>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291
<표 3-8-24>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9년~2021년) ··············································· 291
<표 3-9-1> 경기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295
<표 3-9-2>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296
<표 3-9-3>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297
<표 3-9-4>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298
<표 3-9-5>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 299
<표 3-9-6>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300
<표 3-9-7>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306
<표 3-9-8>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308
<표 3-9-9>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309
<표 3-9-10>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309
<표 3-9-11>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310
<표 3-9-12>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1년) ··················································································· 311
<표 3-9-13> 경기도 과학기술과와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11
<표 3-9-14>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312
<표 3-9-15>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313
<표 3-9-16>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314
<표 3-9-17>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315
<표 3-9-18> 경기도 대학 현황(2022년) ······················································································ 316
<표 3-9-19>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316
<표 3-9-20>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317
<표 3-9-21>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318
<표 3-9-22>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318
<표 3-9-23>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321
<표 3-9-24>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322
<표 3-9-25>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322
<표 3-9-26>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 323
<표 3-9-27>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323
<표 3-10-1> 강원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326
<표 3-10-2> 강원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327
<표 3-10-3> 강원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28
<표 3-10-4> 강원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29
<표 3-10-5> 강원도 중점전략분야 ······························································································· 330
<표 3-10-6> 강원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331
<표 3-10-7> 강원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334
<표 3-10-8> 강원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336
<표 3-10-9> 강원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337
<표 3-10-10> 강원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337
<표 3-10-11> 강원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338
<표 3-10-12> 강원도 공무원 현황(2021년) ·················································································· 339
<표 3-10-13> 강원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40
<표 3-10-14> 강원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341
<표 3-10-15> 강원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342
<표 3-10-16> 강원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343
<표 3-10-17> 강원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344
<표 3-10-18> 강원도 대학 현황(2022년) ····················································································· 345
<표 3-10-19> 강원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345
<표 3-10-20> 강원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346
<표 3-10-21> 강원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347
<표 3-10-22> 강원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347
<표 3-10-23> 강원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348
<표 3-10-24> 강원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349
<표 3-10-25> 강원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349
<표 3-10-26> 강원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350
<표 3-10-27> 강원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3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1-1> 충청북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354
<표 3-11-2>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355
<표 3-11-3>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56
<표 3-11-4>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57
<표 3-11-5>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 358
<표 3-11-6>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359
<표 3-11-7>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363
<표 3-11-8>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365
<표 3-11-9>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7년~2021년) ······································ 366
<표 3-11-10>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366
<표 3-11-11>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367
<표 3-11-12>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1년) ·············································································· 368
<표 3-11-13> 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69
<표 3-11-14>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370
<표 3-11-15>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371
<표 3-11-16>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372
<표 3-11-17>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373
<표 3-11-18>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2년) ·················································································· 374
<표 3-11-19>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374
<표 3-11-20>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375
<표 3-11-21>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1년) ···························································· 376
<표 3-11-22>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376
<표 3-11-23>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377
<표 3-11-24>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377
<표 3-11-25>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378
<표 3-11-26>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379
<표 3-11-27>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379
<표 3-11-28>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405
<표 3-12-1> 충청남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382
<표 3-12-2>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383
<표 3-12-3>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384
<표 3-12-4>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385
<표 3-12-5>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 386
<표 3-12-6>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387
<표 3-12-7>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393
<표 3-12-8>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395
<표 3-12-9>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396
<표 3-12-10>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396
<표 3-12-11>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397
<표 3-12-12>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1년) ·············································································· 398
<표 3-12-13> 충청남도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399
<표 3-12-14>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400
<표 3-12-15>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401
<표 3-12-16>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402
<표 3-12-17>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403
<표 3-12-18>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2년) ·················································································· 404
<표 3-12-19>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404
<표 3-12-20>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406
<표 3-12-21>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406
<표 3-12-22>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407
<표 3-12-23>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407
<표 3-12-24>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 408
<표 3-12-25>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 408
<표 3-13-1> 전라북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412
<표 3-13-2>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413
<표 3-13-3>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14
<표 3-13-4>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15
<표 3-13-5>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 416
<표 3-13-6>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417
<표 3-13-7>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420
<표 3-13-8>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422
<표 3-13-9>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423
<표 3-13-10>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423
<표 3-13-11>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424
<표 3-13-12>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1년) ·············································································· 425
<표 3-13-13> 전라북도 미래산업국 미래사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26
<표 3-13-14>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427
<표 3-13-15>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428
<표 3-13-16>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429
<표 3-13-17>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430
<표 3-13-18>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2년) ·················································································· 431
<표 3-13-19>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431
<표 3-13-20>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432
<표 3-13-21>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433
<표 3-13-22>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433
<표 3-13-23>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434
<표 3-13-24>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434
<표 3-13-25>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435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26>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435
<표 3-14-1> 전라남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441
<표 3-14-2>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442
<표 3-14-3>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43
<표 3-14-4>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44
<표 3-14-5>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 445
<표 3-14-6>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446
<표 3-14-7>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450
<표 3-14-8>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452
<표 3-14-9>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453
<표 3-14-10>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453
<표 3-14-11>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454
<표 3-14-12>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1년) ············································································· 457
<표 3-14-13> 전라남도 전략산업국 연구바이오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57
<표 3-14-14>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458
<표 3-14-15>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459
<표 3-14-16>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460
<표 3-14-17>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461
<표 3-14-18>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2년) ·················································································· 462
<표 3-14-19>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462
<표 3-14-20>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463
<표 3-14-21>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463
<표 3-14-22>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464
<표 3-14-23>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465
<표 3-14-24>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466
<표 3-14-25>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466
<표 3-14-26>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467
<표 3-14-27>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467
<표 3-15-1> 경상북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470
<표 3-15-2>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471
<표 3-15-3>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472
<표 3-15-4>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473
<표 3-15-5>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 474
<표 3-15-6>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475
<표 3-15-7>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481
<표 3-15-8>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483
<표 3-15-9>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484
<표 3-15-10>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484
<표 3-15-11>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485
<표 3-15-12>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1년) ············································································· 486
<표 3-15-13> 경상북도 과학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87
<표 3-15-14>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488
<표 3-15-15>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489
<표 3-15-16>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490
<표 3-15-17>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491
<표 3-15-18>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2년) ·················································································· 492
<표 3-15-19>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492
<표 3-15-20>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493
<표 3-15-21>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 494
<표 3-15-22>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494
<표 3-15-23>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496
<표 3-15-24>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497
<표 3-15-25>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497
<표 3-15-26>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498
<표 3-15-27>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498
<표 3-16-1> 경상남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501
<표 3-16-2>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502
<표 3-16-3>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503
<표 3-16-4>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504
<표 3-16-5>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 505
<표 3-16-6>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509
<표 3-16-7>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516
<표 3-16-8>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518
<표 3-16-9>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519
<표 3-16-10>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519
<표 3-16-11>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520
<표 3-16-12>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1년) ············································································· 522
<표 3-16-13> 경상남도 산업통상국 산업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23
<표 3-16-14>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 524
<표 3-16-15>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525
<표 3-16-16>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526
<표 3-16-17>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527
<표 3-16-18>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2년) ·················································································· 528
<표 3-16-19>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528
<표 3-16-20>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 529
<표 3-16-21>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530
<표 3-16-22>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531
<표 3-16-23>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5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6-24>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 532
<표 3-16-25>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533
<표 3-16-26>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533
<표 3-17-1>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 537
<표 3-17-2>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 538
<표 3-17-3>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539
<표 3-17-4>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 540
<표 3-17-5>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 541
<표 3-17-6>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 542
<표 3-17-7>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 543
<표 3-17-8>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 545
<표 3-17-9>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 546
<표 3-17-10>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 546
<표 3-17-11>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 547
<표 3-17-12>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1년) ···································································· 549
<표 3-17-13>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550
<표 3-17-14>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1년 10월 기준) ·························· 551
<표 3-17-15>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 552
<표 3-17-16>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 553
<표 3-17-17>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 554
<표 3-17-18>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2년) ········································································ 555
<표 3-17-19>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 555
<표 3-17-20>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2년) ············································· 556
<표 3-17-21>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556
<표 3-17-22>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 557
<표 3-17-23>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 557
<표 3-17-24>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 558
<표 3-17-25>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 558
[그림 1-2-1]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추진방향 ·········································································· 5
[그림 1-2-2] 윤석열 정부 15대 국정과제 및 실천과제 ······································································· 6
[그림 1-2-3]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 20
[그림 1-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추진 방향 ············································································· 21
[그림 1-2-5] 산업통상자원부 지역산업지원사업의 변천과정 ····························································· 24
[그림 1-2-6] 산업통상자원부 업무추진 방향 ··················································································· 25
[그림 1-2-7] 산업통상자원부 새정부 업무추진 방향 ········································································· 27
[그림 1-2-8] 중소벤처기업부 업무추진 방향 ·················································································· 28
[그림 1-2-9] 중소벤처기업부 새정부 업무추진 방향 ········································································ 31
[그림 1-2-10] 교육부 업무추진 방향 ····························································································· 32
[그림 1-2-11] 대학-대학 공유·연계 우수사례 ················································································· 33
[그림 1-2-12] ❺ 핵심과제 추진체계도 ·························································································· 35
[그림 1-2-13] 행정안전부 업무추진 방향 ······················································································ 37
[그림 1-2-14] 행정안전부 새정부 업무추진 방향 ············································································ 39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1년) ··························································································· 55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1년) ······································································ 56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1년) ········································································ 57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1년) ································································ 58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2년) ··············································································· 59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0년~2021년) ··························· 60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2년) ·································································· 61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0년~2021년) ································································ 63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0년~2021년) ············································ 64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1년) 65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0년~2021년) ································································ 66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0년~2021년) ············································ 67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0년~2021년) ······················································ 68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0년~2021년) ··············································· 69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7년~2021년) ·········· 70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7년~2021년) ······························ 71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1년) ·························· 72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73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74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75
그 림 목 차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76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77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 78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2년) ················································ 79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 80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 81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 82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 83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1년) ··························································· 84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0년~2021년) ························································· 85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0년~2021년) ························································· 86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1년) ···························· 87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0년~2021년) ···················································· 88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0~2021년) ············································· 89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1년) ···························································· 90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 104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31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57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183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06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32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257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282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311
[그림 3-10-1] 강원도 과학기술 조직도 ························································································· 339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368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398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425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457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486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522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549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윤석열 정부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 방향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
3. 중앙부처의 2022년 주요 정책 동향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2. 지방 과학기술예산
개 요
1
REGIONAL S&T YEARBOOK 2022 3
1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최근 제4차 산업혁명, 저출산・고령화 등 다양한 경제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에 효율적으
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의 자율성과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추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혁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있어 근간이 되는 각 지역의 과학기술과 산업
수준 파악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지역산업 육성 정책,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시·도의 산업, 인프라, 과학기술 현황 등을 담아 1997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는
지방과학기술연감의 필요성 또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과학기술연감의 목적은 관련 연구자와 정책결정자 등에게 지방과학기술 및 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연구, 정책수립 등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에 과학기술
기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정부의 중장기계획 수립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를 높이고자 관련된 최신 정보를 보고서에 수록하고
있다. 또한, 지역정책 유관기관이 소관 지역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감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에서는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22년 주요 부처의 정책 동향과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 계획, 지자체 과학기
술 관련 행정체계 및 예산 등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주요 산업지표 및 과학기술지표, 성과지표를 중
심으로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한 총괄적 현황 및 특징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17개 시・도
별로 각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혁신역량과 관련한 현황, 논문, 특허 등의 성과 현황 등을 점검하고 지
역별 향후 중점 추진전략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윤석열 정부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 방향1)
윤석열 정부는 균형발전정책 추진을 통한 지역 간 발전격차 수렴(convergence)과 국민통합
(cohesion)을 도모하기 위해 국정운영 철학이 정책에 스며들 수 있도록 균형발전정책을 수립했다고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에서 밝혔다. 그리고 윤석열 정부의 균형발전 주요과제로 ① 중앙집
권체제에 의한 정치·경제·사회·문화 권력의 수도권 일극집중 현상 해소, ② 지방발전을 통한 국가 경
제의 재도약, ③ 공간적 정의(spatial justice) 구현을 통한 국민통합 등을 제시하였다.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에서는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사는 국민의 나라”를 국정
비전으로 선포하고, 국정운영 원칙을 국익, 실용, 공정, 상식 등 4가지로 설정하였다. 국정비전 달성을
위해 4대 기본부문(❶정치·행정, ❷경제, ❸사회, ❹외교·안보)+ ➎미래 + ➏지방시대 등 국정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미래지향성(과학기술, 창의교육, 청년 등) 및 대한민국 재도약의 선결
조건인 지역 불균형 해소 의지를 강조했다. 또한 ‘국민 입장’에서 국정목표를 확실히 이행하겠다는 의
지를 담아, 이전 정부의 ‘국정전략’(추진전략)을 ‘국민께 드리는 약속’으로 변경하였다. 국정목표 “➋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에서는 경제의 중심을 ‘기업’과 ‘국민’으로 전환하여 민간의 창
의, 역동성과 활력 속에서 성장과 복지가 공정하게 선순환 하는 경제시스템을 지향하고자 한다. 국정
목표 “➍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세계사적 대전환의 시대에서,
가능성에 도전하고 미래를 개척하는 글로벌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정목표 “➏ 대
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에서 사는 곳의 차이가 기회와 생활의 격차로 이어지는 불평등을
멈추고, ‘수도권 쏠림-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는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
3개 국정목표에서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지역균형발전 특별위원회에서 대선
공약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 지역균형발전 비전 발표(4.27), 권역별 지역균형발전 대국민보고회 등을
통해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지방시대 국정과제를 구체화했다고 밝혔다.
1) 제20대 대톨령직인수위원회의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22.4월), 균형발전 지역공약(’22.4월),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22.5) 등 참조
REGIONAL S&T YEARBOOK 2022 5
그림 1-2-1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추진방향
※ 출처 :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자료(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2.5월.)
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가.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
윤석열 정부는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에서 3대 약속, 15대 국정과제, 76개 실천과제를
발표하였다. “약속 1: 진정한 지역주도 균형발전 시대를 열겠습니다.”, “약속 2: 혁신성장 기반 강화를
통해 지역의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습니다.”, “약속 3: 지역 스스로 고유한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지원
하겠습니다.” 등 3가지 약속을 제시하였다.
그림 1-2-2 윤석열 정부 15대 국정과제 및 실천과제
※ 출처 : 지역균형발전 비전 대국민 발표 자료(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2.4월.)
REGIONAL S&T YEARBOOK 2022 7
15대 국정과제 및 76개 실천과제 중 7대 국정과제 및 22개 실천과제가 지역혁신 및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을 제시하였다. ⑤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 기반 강화, ⑧ 공공기관 지방 이전, ⑩ 대형 국책사
업을 통한 국토의 새로운 성장거점 형성, ⑪ 기업기반 지역혁신생태계 조성 및 역동성 제고, ⑫ 신성장
산업의 권역별 육성 지원, ⑬ 지역사회의 자생적 창조역량 강화, ⑮ 지역 공약의 충실한 이행 등 7대 국
정과제이다
“⑤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 기반 강화” 국정과제에서는 4개 실천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이중 초광
역지역정부(메가시티) 설치․운영과 분권혁신특구 조성 등 2개 실천과제가 지방과학기술 관련 지역
혁신 정책이다.“
” 초광역지역정부(메가시티) 설치․운영“ 실천과제는 경제권역별로 5개(수도권, 충청권, 대경권,
동남권, 호남권(또는 전남·광주 및 전북권)) 초광역지역정부(메가시티)를 확대 설치하고 운영한다. 이
를 통해 지방법률제정권, 초광역지역계획권, 산업경제·교통·환경·안전 기능 등을 초광역지역정부에
부여하고,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초광역지방정부 이관을 추진하게 된다. ” 분권혁신특구 조성“ 실천
과제는 분권혁신특구(가칭)를 설치·운영하여 지역경제발전 선도 기반 마련한다. 특구 내 4차 산업혁
명 대응을 위한 AI 등 첨단산업, R&D, 스타트업, IP(지적 재산권)·기술사업화 기능을 유치하게 된다.
분권혁신특구 모델 예시로 판교테크노밸리 88만㎡ 부지에 1,967개 첨단기업을 유치하여 기업매출액
은 약 110조 원, 부산광역시의 GRDP와 비슷한 수준으로 할 계획이다. 또한 규제·세제·교육·치안·자
치제도 등 특구 내 특례를 인정하고, 지방분권 테스트베드로 육성할 것이다.
“⑧ 공공기관 지방 이전” 국정과제에서는 혁신도시 활성화를 통한 지역혁신거점 기능 강화,
주변지역 상생발전을 통한 지역발전 선도 등이 해당된다.
“ 혁신도시 활성화를 통한 지역혁신거점 기능 강화 실천과제”는 이전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지역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혁신거점 기능을 강화한다. 지역대학과 이전 공공기관 자원을 활용하여
학습·연구·창업·정주가 일체화되는 「혁신 캠퍼스 타운」 구축 사업과 연계하여, 혁신도시 첨단산업단
지를 지정하여, 주거·산업·공공 지원시설 등이 입주 가능한 혁신 공간을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교통,
의료, 쇼핑, 보육·교육 등 만족도가 낮은 분야를 중심으로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문화·보육·
주민커뮤니티 기능이 결합된 복합혁신센터 및 가족동반 이주 촉진을 위한 어린이·가족 특화시설, 복합
쇼핑시설 등 건립하게 된다. “ 주변지역 상생발전을 통한 지역발전 선”도 실천과제는 주변지역 상생
발전을 위해서 지방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을 확대하고 지역 생산물품 우선 구매, 혁신조달 등
을 통한 지역기업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혁신도시별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고, 지역발전재단 설립 및
기금조성을 통해 지역 발전사업의 재원도 확보하게 된다.
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⑩ 대형 국책사업을 통한 국토의 새로운 성장거점 형성” 국정과제에서는 “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편” 실천과제가 해당된다. 이 실천과제에서는 SOC사업 예타 대상 기준 총사
업비 금액을 총사업비 500⟶1,000억원/국비 300⟶500억원으로 상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초광역
협력 파급효과 예타 반영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평가를 개선하게 되고 지역균형발전 등 국가 정책적 시
급 사업에 대한 신속하게 예타 절차를 적용하게 된다.
“⑪ 기업기반 지역혁신생태계 조성 및 역동성 제고” 국정과제에서는 제시된 7개 실천과제 모두 지방
과학기술 관련 정책이다. 이 국정과제에서는 지역주도 기업혁신거점을 조성하고 지역기업의 글로벌
혁신성장을 지원하게 된다.
“ 지방대학 기반 「혁신 캠퍼스 타운」 조성” 실천과제는 지방대학을 스타트업·혁신벤처의 성장 거
점화시키고 양질의 혁신일자리를 창출 집적지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현재 각 부처별 분산·분절화 된
관련 사업을 통합하고, 지자체 및 지방대학이 주도하여, 글로벌 스케일로 확대하여 정주여건을 충실히
갖춘 임계규모 이상의 창업·혁신 거점으로 조성하고자 한다. “ 혁신융합캠퍼스(산학융합지구) 활성
화” 실천과제는 지방대학의 교육-연구-산학협력 기능이 기업도시, 혁신도시, 경자구역 등 혁신클러스
터에 이전·이식되는 임계규모 이상 수준의 혁신융합 캠퍼스(산학융합지구)로 지정하고 활성화한다.
“ 지역기업 글로벌 혁신성장생태계 조성” 실천과제는 지역 주력산업(기업) 전주기 성장경로 지원과
지역기업-인재 공동 R&D 및 채용 연계 지원, 지역귀환 「연어형 지역인재」에 소득격차 보전을 지원하
게 된다. “ 지역혁신 벤처펀드 조성 및 지역투자 플랫폼 구축” 실천과제는 정책형 뉴딜펀드 내 지역
뉴딜 출자재원 이관으로‘지역혁신 벤처母펀드’ 를 조성하여 지역혁신 중소·벤처기업에 집중 투자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지역중소기업법」 개정을 통해 지역중소기업 전용 계정 신설, 우선 출자 근거를 마
련하게 된다. “ 지역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 강화” 실천과제는 현재 중진기금 내 「지역
중소기업 전용 계정」을 신설하고, 소상공인 지원 전용 채권 발행 등 소상공인 정책금융 재원 확보와
민·관 매칭 투·융자 프로그램을 신설하게 된다. “ 개별 지역기업 밀착-원스톱 서비스 추진체계 개
편” 실천과제에서는 지역 테크노파크(TP)·창조경제혁신센터 등의 창업·지역산업(기업) 지원 전문화
를 통한 ‘원스톱-밀착형 기업 서비스’ 추진체계를 개편하게 된다. “ 지역금융 지원체계 강화” 실천과
제는 지방은행 부재로 금융양극화 심화지역(충청권 등)에 지방은행 설립을 지원하고 선진국형 지역 벤
처투자 금융기구(지역벤처금융, 지역개발, 임팩트 투자 기능 등) 설립을 추진하게 된다.
“⑫ 신성장 산업의 권역별 육성 지원” 국정과제에서도 4개의 실천과제를 제시하였고, 모두 지방과학
기술 관련 정책이다. 이 국정과제에서는 지역주도 신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신산업 일자리 창출을 주
도하게 된다.
“ 지역주도 신산업 육성 및 글로벌 경쟁력 제고” 실천과제에서는 지역주도 전략산업 선정·육성 지
REGIONAL S&T YEARBOOK 2022 9
원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기 수립된 부울경 초광역권 산업발전 전략 이행 및 대경, 전라, 충청권 등의
초광역 신산업생태계 전략 수립을 지원하게 된다. 강소도시 등에 첨단투자 및 청년 일자리 확충을 위한
상생형 지역일자리 사업을 확대하고 지역별 취약산업에 대한 산업위기 예방조치를 강화하게 된다. “
글로벌 신산업·혁신특구 지정 및 육성” 실천과제에서는 지역경제와 일자리 문제의 전향적 해결 및 지
방발전의 대도약을 선도할 ‘글로벌 신산업·혁신특구’를 지정하고 육성하게 된다. 글로벌 신산업·혁신
특구에서는 범정부적·범국가적 차원으로 접근하여, 임계규모 이상의 신산업 상용실증기반(라이브테
스트베드) 구축, 규제-재정·세제-금융-시장(혁신조달)-비즈니스 인프라-비자사무-정주 기반환경 등
세계적 수준의 기업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글로벌 혁신선도기업 및 혁신벤처기업의 지역투
자 유치 및 신산업 기반 글로벌 혁신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방발전의 대도약을 선도하고자 한
다. “ 지역 산업단지 고도화” 실천과제에서는 기존 산업단지를 친환경 탄소중립 디지털 산업단지(스
마트 그린산단)로 전환하고, 지역이 육성코자 하는 산업을 기반으로 신규 국가산단 조성 및 노후산단
리뉴얼을 추진하게 된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 스마트 분산형 전원을 활용하여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높인 탄소중립산단을 시범 조성하게 된다. “ 지역일자리 역량 강화 및 지역맞춤형 일자리 사업 재구
조화” 실천과제에서는 지역주도의 지역고용 상황을 진단하여, 일자리 정책·사업 설계 지원을 위한 ‘지
역맞춤형 일자리사업 유연화 제도’ 도입 및 균특회계 편입을 추진하게 된다.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지원’사업 확대 개편, 산업·고용위기 단계별 지원체계 도입 등 지역별 특화된 고용창출 기반 구축
을 지원한다.
“⑬ 지역사회의 자생적 창조역량 강화” 국정과제에서는 새로운 지역밀착형 성장모델 발굴을 위한 지
역사회의 자생적 창조역량 강화를 위해서 6개의 실천과제를 제시하였고 이 중 2개가 지방과학기술 관
련 정책이다.
“ 지역대학을 활용한 로컬크리에이터 인력 양성” 실천과제는 지역대학 내 로컬전공을 신설하고
앵커스토어 중심 지역상권 활성화 및 로컬콘텐츠 프로그램 운영, 로컬크리에이터 창업 훈련기관 육성
등을 추진하는 정책이다. 그리하여 생활산업·경영관련 분야 전공자의 로컬크리에이터 과정 이수를 추
진한다. “ 로컬브랜딩, 골목상권 육성 및 산업화 촉진” 실천과제는 부처별 지역기반 창업지원사업을
성장단계/특성별로 연계하여 역사·문화 등 지역 정체성에 기반한 동네 단위 로컬브랜드를 구축하게
된다. 강릉 테라로사 사례 등과 같이 기업으로 성장한 로컬크리에이터가 집적화된 로컬브랜드와 제조
업이 연계된 골목 산업화로 추진하게 된다.
“⑮ 지역 공약의 충실한 이행” 국정과제에서는 4개의 실천과제를 제시하였고 맥락적으로 지방과학
기술 정책과 연계되어 있다. 이 국정과제에서는 ‘어디에 살든 균등한 기회를 누리는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지역 공약 이행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1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국정과제와 연계한 지역균형발전 정책 수립으로 시너지 제고” 실천과제에서는 각 시·도별 7대
공약, 15개 정책과제와 연계한 지역균형발전 정책수립을 통한 실행력 및 시너지 효과를 증대하고자 한
다. 17개 시·도 총 119개 공약, 255개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 지역공약 이행률을 포함한 지역균
형발전 지표 개편 및 지속적 관리”실천과제에서는 지역공약 이행률 지표 관리로 지역균형발전 실천을
위한 확고한 의지를 부각하고자 한다. 지역균형발전 지표에 지역공약 이행 수준을 반영하여 지속적으
로 관리하게 된다. “ 지역공약을 총괄·조정·점검하는 추진체계 마련으로 실천 동력 확보” 실천과제
에서는 임기 내 지역공약의 충실한 이행을 위한 추진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향후 정부조직 및 대통령
직속 위원회 개편에 반영하도록 한다. “ 공약사업 중심으로 지역주민 의견 수렴해 지역정책 체감도
제고” 실천과제에서는 지역공약사업에 대해 지자체와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하
게 된다. 지역공약에 대한 지자체 의견수렴 및 관계부처 검토 후 지자체가 보완·수정하게 된다. 이 과
정에서 공약 이행과 지역발전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게 된다.
나.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22.5월)에서는 6대 국정목표, 국민께 드리는 20개 약속, 110대 국정
과제를 발표하였다. 이 중 2대 국정목표, 5개 약속, 8대 국정과제가 직접적인 지역혁신 및 지방과학기
술 관련된 정책으로 볼 수 있다. “➏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국정목표 중 하나로 설
정하였으나, 이 국정목표에 해당되는 국민께 드리는 약속 및 국정과제는 제시되지 않았다. 제시된 지
방과학기술관련 정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표 1-2-1 ❙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중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현황
※ 출처 :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 자료(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2.5월.)
국정목표 국민께 드리는 약속 국정과제 비고
국정목표 2.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약속05] ] 핵심전략산업 육성으로
경제 재도약을 견인하겠습니다.
23. 제조업 등 주력산업 고도화로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
산업부
[약속06] 중소·벤처기업이 제의
중심에 서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31. 중소기업 정책을 민간주도 혁신성장의
관점에서 재설계
중기부
32. 예비 창업부터 글로벌 유니콘까지 완결형
벤처생태계 구현
중기부
[약속08] 하늘ᆞ땅ᆞ바다를 잇는 성장
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
38. 국토공간의 효율적 성장전략 지원 국토부
국정목표 4.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
[약속14]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도약의 발판을 놓겠습니다.
78.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 구축 및 디지털
혁신 가속화
과기정통부
80.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로 지역 주도
혁신성장 실현
과기정통부
[약속15] 창의적 교육으로 미래
인재를 키워내겠습니다.
83. 더 큰 대학자율로 역동적 혁신 허브 구축 교육부
85.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 교육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11
(1) 제조업 등 주력산업 고도화로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 (산업부)
디지털·그린 전환 등 산업경쟁력 원천 변화에 대응하여 제조업 등 주력산업을 혁신하고, 일자리 창
출기반을 강화하고자 한다. 주요 추진내용으로 디지털 혁신, 그린전환, 모빌리티 혁명 등 3가지를 제시
하였다.
첫째, 디지털 혁신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접목으로 주력산업의 생산성·부가가치 혁신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7년까지 가상 협업공장을 50개 구축하고, 제조현장의 로봇 개발·보급 등을 통해 생산 공정
의 최적화를 추진한다. 또한 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업종별 디지털연대의 확산으로 새로운 비즈니
스 모델 창출 등 산업의 부가가치를 향상하고자 한다.
둘째, 저탄소 시대를 선도하는 제조업의 그린 전환을 가속화한다. 주력산업의 탄소중립 한계기술 돌
파를 위해서 전용 R&D사업을 신설하고, R&D·시설투자 세액공제 대상 확대 등 지원을 강화하게 된
다. 또한 중소·중견기업 대상 클린팩토리를 ’25년까지 1,800개 구축하고, 탄소 다배출 산업 집적 지역
의 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정의로운 저탄소 전환 지원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셋째, 모빌리티 혁명 측면에서 친환경·지능형 모빌리티 전환 촉진을 위한 기업생태계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서 친환경차 구매목표를 상향조정하고,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의무를 강화한다. 또한 하이브
리드의 활용, 저탄소·무탄소선박 개발 등을 통해서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게 된다. 지능형 모빌리티
및 UAM 제조산업 육성, 모빌리티 제조·서비스 융합을 위한 기술·부품·SW 개발 등 기업 주도의 모빌
리티 혁신기반을 강화하게 된다.
이러한 국정과제 추진을 통해, 산업 현장에 제조·안전 로봇 1만대를 보급하고, 수소환원제철 실증로
구축 등 디지털·친환경 전환 선도로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가 기대된다. 또한 자동차 분야 8%, 조선
70% 등 친환경 모빌리티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
1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중소기업 정책을 민간주도 혁신성장의 관점에서 재설계 (중기부)
중소기업의 생존을 위한 ‘지원’ 위주의 정책에서 근본적 경쟁력 제고와 기업의 혁신성장에 집중하는
성과창출형 정책으로 전환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각종 제도적 걸림돌을
찾아 제거하고, 기업성장의 핵심요소인 생산성·기술경쟁력 향상을 견인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혁신
성장형으로 정책개편, 성장 저해 걸림돌 제거, 스마트 제조혁신,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제고, 금융·수
출·판로 패키지 지원, 지역 중소기업 생태계 조성 등 6개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첫째, 혁신 성장형으로 정책을 개편하기 위해서, 전 부처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기업의 혁신성·성장
성 측면에서 전면 재평가하여 성장형 프로그램에 재배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정책 플랫폼 구축, 「중소기업 생산성 특별법」 제정 등 특단의 지원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둘째, 업종 및 사후관리 요건 등 기업승계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 중견기업 진입 유예기간 확대, 벤
처기업 복수의결권 도입 등 기업성장 저해 걸림돌 등을 제거하게 된다.
셋째,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해서, ‘제조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플랫폼(DTaaS)’을 구축하고 미래형
선도 스마트공장 등 스마트 공장을 추가로 보급하게 된다.
넷째, 중소기업 전용 R&D 대폭 확대, 「중기 연구장비 리스뱅크」 구축·운영,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SW·데이터 등 디지털 인력 10만 명 양성 등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게 된다.
다섯째, 중소기업 정책자금 확대, 수출 물류비 지원 강화, 중소기업 전용 물류센터 구축, 공공분야의
혁신제품 구매 자율성 강화 등 금융·수출·판로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게 된다.
여섯째, 초광역권 선도기업 육성, 지역혁신기관(TP, 창경센터 등) 연계 강화, 지역별 위기지원센터
설치·운영, 지역인재 정착지원 등 지역 중소기업 생태계를 조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신규 공급되는 ‘21년 23% 수준에서 스마트공장의 40% 이상을 스마트 공장 수준 3단계
(기초/고도화1/고도화2) 중 고도화 1단계 이상 고도화 공장으로 보급하게 된다. 그리고 중소 제조업의
매출액 대비 R&D 비중을 ’20년 1.5%에서 1.9%까지 확대한다. 또한 수출 1천만 달러 달성 중소기업
을 ‘21년 2,262개사에서 2,400개사로 106%확대하고 비수도권, 비수도권의 벤처기업, 이노비즈 등
혁신형 중소기업 비율을 ’21년 41%에서 45%까지 4%p확대 하게 된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13
(3) 예비 창업부터 글로벌 유니콘까지 완결형 벤처생태계 구현 (중기부)
벤처기업을 창업부터 실제 사업화 성숙 단계까지 완결형 패키지 정책을 구축하고, 모태펀드 규모 확
충을 통해 민간 모험자본의 마중물 역할을 강화할 것이다. 전방위 스타트업 성장 가속 프로그램 도입,
사업전환 및 재도전 환경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7개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첫째, 대학을 창업 요람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거점대학 신산업벨트를 연계하여 사업화까지 패키지
로 지원하는 ‘창업중심대학’으로 확대하여 대학창업 요람화를 추진하게 된다.
둘째, 신산업 분야 창업지원을 위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및 ‘민간주도 예비창업 프로
그램’을 신설하고, ‘TIPS 프로그램’을 확대하게 된다.
셋째,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모태펀드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청년·여성 창업 등을 적극적으로 지
원한다. 그리고 M&A 투자제한 완화 등 벤처투자 생태계를 고도화하게 된다.
넷째, 해외 현지 창업 인프라 확충 및 스케일업 정책자금․기술보증 프로그램 신설 등 ‘글로벌 유니콘
프로젝트’를 가동하여 스케일업을 지원한다.
다섯째, 타법 금지사항 외에 모든 규제를 허용하는 자율참여형 방식의 ‘규제자유특구 2.0’ 도입 추
진, 특구 내 인프라・R&D 지원 확대 등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하게 된다.
여섯째, 글로벌 혁신특구를 조성하게 된다. 권역별로 혁신기업의 지역 유치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한 글로벌 혁신특구를 지정하고, 투자·규제 특례 등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일곱째, 재도전 환경 조성을 위해서 중소기업이 환경변화에 선제 대응하도록 사업전환 체계를 선진
화하고, 중소기업의 신속하고 원활한 재도전 기반을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추진을 통해 창업기반 확충, 민간투자 활성화, 재도전 기반 조성 등을 통해 ‘21년 24만
개/년에서 5년 내 신규 기술창업 30만개 시대를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27년까지 모태펀드 규모를 대
폭 확대하여 세계 3대 벤처 강국을 달성한다. 그리고 규제자유특구 고도화를 통한 5천명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게 된다. 또한 5년간 사업전환 1,200개사, 재창업자 6천명 등 재도약 성공
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1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국토공간의 효율적 성장전략 지원 (국토부)
그 간 균형발전 노력에도 불구, 수도권에 경제·인구 집중은 심화되는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여, 새로
운 균형발전 정책을 통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을 실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메가시티 조성, 강
소도시·낙후지역 육성, 도시계획 개편, 국토 디지털화 등 4가지 정책을 추진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이 스스로 투자하고, 개발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등을 위해서 메가시티를 조성하게 된다. 기업혁신파크, 도심융합특구 등 기존 성장거점을 조성하여 규
제특례, 각 부처 R&D 사업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지상 철도시설 지하화 등을 통해 구
도심을 미래형 도시공간으로 재구조화하게 된다.
둘째, 신규 국가산단 조성, 역사·문화 등 지역의 고유자산을 활용한 지역 특화 재생 등을 통해 차별
화된 강소도시 및 낙후지역을 육성하게 된다. 인구 유입과 정착을 위해 주거·일자리·생활 인프라가 결
합된 생활 거점으로 조성된다. 이를 통해 혁신도시를 인재와 기업이 모이는 지역거점으로 강화하고자
한다.
셋째, 규제 없이 자유로운 개발을 허용하는 ‘도시혁신계획구역’을 도입하고, 주거·업무 등 도시기능
을 융복합 할 수 있는 ‘복합용도구역’ 도입 등 도시계획을 개편하게 된다.
넷째, 국토 디지털화를 위해서 고정밀 전자지도, 3차원 입체지도 구축 등을 통해 디지털트윈을 조기
완성하여 교통, 환경, 방재 등 도시문제 해결에 활용하게 된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부산, 세종)를 완
성하고, 강소형 스마트시티 추가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추진으로 메가시티·강소도시 육성과 연계를 통해 수도권에 대응하는 초광역권을 형성
하고 디지털트윈 조기 완성, 도시계획 체계 개편을 통해 미래 혁신 기반 등을 마련하게 된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15
(5) 세계 최고의 네트워크 구축 및 디지털 혁신 가속화 (과기정통부)
5G‧6G 네트워크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네트워크 안정성 및 사이버보안 대응력 확보로 튼튼하고 안
전한 디지털 기반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산업 분야별 디지털 융합‧혁신 가속화로 국가 디
지털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6개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첫째, 5G‧6G 선도를 위해서 농어촌 지역까지 5G 전국망을 완성(’24)하고, 특화망 전국 확산 등 차
별화된 5G 망 구축과 융합서비스 확산으로 진정한 5G 시대를 개막하고자 한다. 그리고 6G‧위성통신
등 차세대 기술 혁신과 기업육성‧인력양성 등 산업 기반도 강화하게 된다.
둘째, 초연결 시대 네트워크‧SW 등 디지털 안정성을 확보(’22∼)하고, 주요 안전관리의 디지털‧지능
화를 통해 디지털 국민 생활안전을 강화하게 된다.
셋째, 사이버보안 역량강화를 위해서 보안클러스터 모델의 지역거점 확산으로 기업 성장을 지원하
고, ‘16년까지 10만 사이버보안 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넷째, ’23년부터 블록체인·생체인증 등 新 인증기술의 도입을 촉진하고, 이용자 편리성 강화와 신시
장 창출 지원을 위한 제도를 개선하여 디지털인증 활성화를 추진한다.
다섯째, ‘22년부터 경제 전 분야의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한 종합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초광
역 디지털 혁신거점을 조성하여 산업‧지역 디지털 혁신을 추진한다.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조성 등 지
역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 100대 지역체감 디지털 혁신프로젝트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한 디지털
신산업을 ’23년부터 육성하게 된다.
여섯째, 전 국민 디지털 역량을 제고하는 디지털 문제해결센터를 ‘23년부터 운영하고, ’25년까지 농
어촌 초고속인터넷망 구축, ‘22년부터 공공Wi-Fi 구축 등 디지털 접근권을 제고하게 된다. 또한 ’22년
부터 디지털 이용부담 경감을 위한 청년·어르신 맞춤형 지원 등을 추진하게 된다.
이러한 국정과제 추진을 통해 ‘26년까지 6G 표준 선점을 위한 핵심기술 48건 개발로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을 확보하고, 보안산업의 전략적 육성(매출액 ’21년 12.6조원→ ’27년 20조원)으로 산업 경쟁
력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육성, 취약계층 디지털 역량 등을 제고하게 된다.
1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6) 지방 과학기술주권 확보로 지역 주도 혁신성장 실현 (과기정통부)
과학기술 기반 지역자생력 강화로 “R&D → 창업/기업성장 → 신산업・일자리 창출 → 경제성장 → R&D
재투자”로 이어지는 지역혁신 선순환 체계 완성을 목표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서 원천혁신역량 확충, 개방형
융합연구 촉진, 성장·도약 지원체계 구축, 과학기술 문화의 장 확산 등 4가지를 추진정책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원천혁신역량 확충을 위해서, 지역대학의 기초연구 활성화 및 연구경쟁력 확보, 지역 출연(연)
의 지역혁신 임무지향성 강화 등으로 지역혁신 기여도를 제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역이 주도하
는 핵심원천기술 R&D 기반 중장기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다.
둘째, 지역 산・학・연 간 협력 활성화 및 역량을 결집하여 개방형 융합연구를 촉진하게 된다. 지역 대
학, 연구소 등 혁신주체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공간상 집적 지원을 추진하게 된다. 광역특구, 강소특
구 등 연구개발특구를 확산 및 고도화하고, 연구산업진흥단지 신규 지정 등으로 거점 단위의 과학기술
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촉진하게 된다.
셋째, 지역의 과학기술 싱크탱크 기능 강화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고유의 과학기술 발전전략 및
육성방안 수립·이행 등 성장·도약 지원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지자체 주도형, 지역 특성별 과학기술 혁
신을 뒷받침하는 법적 근거도 마련하게 된다.
넷째, 지역별 과학문화 프로그램 및 인프라 확대, 과학문화 펀드 조성 등으로 지역의 과학문화 역량
을 확충하고 접근성을 제고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문화의 장을 확산하고자 한다.
이러한 정책추진으로 우수 과학기술 인재・자원의 지역 정착을 통해서 자생적으로 혁신 및 성장을 실
현을 유도하게 된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17
(7) 더 큰 대학자율로 역동적 혁신 허브 구축 (교육부)
이 국정과제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대학의 자율적인 혁신과 유연한 제도 운영 지원하고, 대학의
기술‧자원을 활용해 창업교육 강화 및 대학 내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규제
개혁, 학사제도 유연화, 대학 중심의 창업 생태계 구축, 부실·한계대학 개선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규제 개혁을 위해서 대학의 자율적 발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대학평가를 개편하고, 교
사, 교지, 교원, 수익용 기본재산 등 4대 요건규제를 혁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대학규제를 지속 발굴
및 개선할 수 있는 위원회 도입을 추진하게 된다.
둘째, 첨단분야 일반대학 온라인 학사과정, 학‧석‧박사 통합과정 및 학ㆍ석사 패스트트랙, ‘마이크로
(나노) 디그리’ 등 학사제도 유연화를 통해 학생수요 맞춤 교육과정을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학생중심
의 학사 유연화를 위해 미래 융ㆍ복합 혁신 인재양성대학을 선정ㆍ지원하고, 성인학습자를 위한 ‘선행
학습인정제’의 대학 내 확산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셋째, ‘창업교육 거점대학’ 및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을 활용하여 대학을 지역 창업 허브로
육성하여 대학 중심의 창업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기술발굴→고도화→사업화 원스톱 지원, 창업
공간‧장비 지원, 창업 자금지원 확대,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대학 기반 실전‧기술창업
을 활성화한다.
넷째, 재정진단으로 ‘경영위기대학’을 지정하고 자발적 구조 개선을 촉진할 수 있도록 (가칭)「사립
대학의 구조개선지원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여 부실‧한계대학을 개선하게 된다. 임시이사 선임 대학이
조속한 정상화가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추진을 통해 사회‧기술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혁신을 선도하는 대학체제로 전환, 새
로운 가치 창출과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대학 중심의 스타트업 활성화 등을 유도하게 된다.
1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8)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 (교육부)
지역과 대학 간 연계·협력으로 지역인재 육성 및 지역발전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 누구나 자신의
역량을 지속 개발할 수 있는 평생·직업교육 강화 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서 지자체 권한 강화, 지역
인재 투자협약제도, 수요맞춤형 교육, 지역 거점대학(원) 육성, 대학 중심 산학협력·평생교육, 전문대
평생직업교육 기능 강화 등 6개 정책을 추진한다.
첫째, 지역대학에 대한 지자체의 자율성 및 책무성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지역 대학에 대한 행·재정
권한을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위임하고, 지자체, 지역대학, 지역 산업계 등이 참여하는 (가칭)지역고
등교육위원회를 설치하게 된다.
둘째, ’23년부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약 하에 지역산업, 대학, 교육청 등과 연계하여 인재를 육
성하는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를 도입한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플랫폼과 지역 맞춤형
규제특례제도인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을 비수도권 전역으로 확산하게 된다.
셋째, 지역산업 수요에 맞는 ‘진로탐색-교육·훈련-취업지원’ 원스톱 모델(WE-Meet) 운영, 지역 고졸
인재를 키우는 ‘직업교육 혁신지구’를 ’26년 17개 까지 확대하는 등 수요맞춤형 교육을 추진하게 된다.
넷째, 지역 소재 연구중심대학 육성 추진 및 지역 우수연구자 양성, 국립대병원의 지역 공공의료 중
심역할 강화 등 지역 거점대학(원)을 육성하게 된다.
다섯째,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확대, 일터-대학 순환형 대학평생교육으로 지역 밀착형 평생‧직업교
육 제공 등 대학 중심으로 산학협력·평생교육을 추진하게 된다.
여섯째, 전문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전환 교육기관을 지정·운영하고, 마이스터대 지원 확대 등
으로 전문대 평생직업교육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학업과 현장실습을 효과적으로 병행하는 ‘전문대학
코업(Co-op)’을 확대·개편하고, 직업계고-전문대학 통합 교육과정 운영으로 신기술 분야 빠른 성장
트랙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추진으로 대학-지자체-산업 간 협력으로 지역위기 극복 및 지역 맞춤형 인재를 확보하
고 산업 전환기에, 구직자‧재직자의 구직 애로 완화 및 신기술 역량 강화 등도 기대할 수 있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19
다.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은 2022년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
의(’22.12.14)에서 심의·의결되었다. 해당 계획은 과학기술기본법 제8조에 의거, 향후 5년간 지방과
학기술진흥을 위한 방향성을 담은 범부처 계획이다. 새정부 국정과제와 지방소멸·디지털 전환 등 변화
에 대응하여, “과학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지역 주도 균형발전 시대 개막”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한 목표로 “지역의 강점 및 수준을 고려한 고유의 성장경로를 설정하여 자생력 높은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①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 ②지역 혁신주
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 혁신 가속화, ③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의 3
대 전략과 하위 9대 중점추진과제를 가진다.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 구축을 위해 ❶지자체 주도, 중앙정부 지원의 과학기술 거
버넌스 강화, ❷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정책기획 기능 및 역량 강화, ❸지역주도 정책·사업 추진을
위한 투자·평가 등 지원체계 혁신을 추진한다.
지역 혁신주체의 성장·연계를 통한 지역 혁신 가속화를 위해 우선 ❶지역 대학, 출연연의 거점화를
추진하여 임계규모를 확보하고, 거점을 중심으로 ❷지역의 교육, 연구와 산업 간 간극을 해소한다. 마
지막으로 ❸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을 활용한 지역기업, 산업 경쟁력 제고를 꾀한다.
지역 혁신을 뒷받침하는 민간 주도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❶우수 지역 혁신클러스터 발굴 및 육성
을 추진한다. 더불어 ❷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❸지역의 과학기술 및 디
지털 교육·문화 저변을 확대한다.
2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12.28.)
그림 1-2-3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23~2027)
REGIONAL S&T YEARBOOK 2022 21
2. 주요부처별 지방과학기술, 지역 R&D 사업관련 주요 정책 동향2)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업무계획에서, “미래기술 혁신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포용적 성장실
현!”를 비전으로 밝히며, 미래기술 강국, 미래영역 선점(우주, 메타버스 등), 과학기술·디지털의 혜택
확산 등 3가지 2022년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①기술패권 시대, 범부처 국가
필수전략기술 육성체계 구축, ② 경제・사회 변화를 선도하는 미래기술 혁신, ③ 디지털 뉴딜 가속화로
디지털 선도국가 도약, ④ 디지털 대전환 시대, 청년 역량증진 강화 등을 4대 추진전략 및 12개 핵심과
제로 설정하였다. 4대 추진전략 및 12대 핵심과제 중 추진전략 ‘② 경제・사회 변화를 선도하는 미래기
술 혁신’ 핵심과제 “❸ 기초연구·지역혁신 역량 강화 및 과학기술 성과 확산” 측면에 지역과학기술 역
량 제고와 관련된 전략이 포함된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12.28.)
2) 각 부처의 2022년 업무보고(1월) 및 각 부처 보도자료 참고
그림 1-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추진 방향
2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핵심과제 “❸ 기초연구·지역혁신 역량 강화 및 과학기술 성과 확산”을 위해서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를 지속 확대(22년 2.55조원) 하며, 융복합 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의 연구개발특구 내 케이(K)-
선도 연구소기업(우수 창업기업)의 지속 발굴과 함께 미래 특구 발전모형도 제시한다. 해당 핵심과제
추진을 위해서 연구자가 주도하는 기초연구 및 융합연구 확대, 지역이 주도하는 미래기술 생태
계 지원, 우수 연구성과 창출·확산·사업화 기반 강화, 과학문화 확산 및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등
4개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4개 세부과제 중 지역이 주도하는 미래기술 생태계 지원 세부 과제가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으
로 볼 수 있다. 이 세부과제에서는 미래 특구 발전모델을 도출하여, 특구 내 규제특례 대상 기업을 확
대하고, K-선도 연구소기업(우수 창업기업) 발굴·지원 등 특구 혁신을 다뤘다. 이를 위해서 제도적으
로 특구법을 개정(‘22.11월 발의)하여, 기존 공공기술 실증 특구 기업을 모든 특구 기업으로 규제특례
대상기업을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KAIST(의과학자), GIST(MIT와 AI협력), DGIST(센서연구소),
UNIST(탄소중립융합원) 등 4대 과학기술원 중심으로 지역혁신 메가 프로젝트를 기획할 예정이다. 지
역혁신 메가 프로젝트에서는 지역 산업 육성 및 초광역권 연구 인프라 연계·활용 등을 다룰 예정이다.
이외에도 과학문화 확산 및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세부 과제에서는 지역 인프라 조성을 통해 과학
문화 확산을 위해서, ’22년 하반기에 국립 강원전문과학관 건립사업을 착공하고 어린이 과학체험공
간, 국립울산 전문과학관 등을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새정부 출범이 후 ‘22년 7월 과기부는 “민관협력 기반으로 국가혁신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선도형
기술혁신과 디지털 혁신 확산으로 국가사회 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5대 핵심과제를 발표하
였다. 5대 핵심과제는 ❶초격차 기술력 확보 위한 국가 연구개발(R&D) 체계 혁신, ❷미래 혁신기술 선
점, ❸기술혁신 주도형 인재 양성, ❹국가 디지털 혁신 전면화, ❺모두가 행복한 기술 확산 등이다.
새정부는 그간 정부주도로 과학기술 입국 및 ICT 강국 달성을 추진했지만, 기술패권 경쟁 심화로
민간의 창의성 없이는 기술혁신에 근본적 한계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정부 주도에서 민간·
기업·시장 중심으로 전환하여, 파급력이 큰 기술혁신을 이끌고 그 효과를 경제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서 민관협력 기반으로 국가혁신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선도형 기술혁신 및 디지
털 혁신 확산으로 국가사회 발전을 기여하고자 한다.
핵심과제 “❶초격차 기술력 확보 위한 국가 연구개발(R&D) 체계 혁신”에서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
부는 지원하는 방식으로 기획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민관협의체(장관+기업 CEO)를 운영하며, 최
고 민간 전문가(PM)가 직접 ‘초격차 전략기술 프로젝트’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이 민간 창의성 발
휘의 거점이 되도록, 규제특례+금융펀드 등을 통해 지역특화 메가 프로젝트 및 연구개발특구 지원을
REGIONAL S&T YEARBOOK 2022 23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급격한 기술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법 및 훈령(‘22.12월)을 개정
하여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개선하고자 한다.
표 1-2-2 ❙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개선(안)
조사 대상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
총사업비 1,000억원 이상 (대형화)
조사 기간 총사업비 차등없이 9~11개월 총사업비 3,000억원 이하인 경우 6개월
사업 내용 예타 통과 후 수정 불가
급격한 환경변화(코로나, 수출규제 등) 시 예타
통과 후에도 계획 변경 가능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7.15.)
핵심과제 “❹국가 디지털 혁신 전면화”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AI·SW, 데이터 활용 등) 역
량을 확보하고 디지털 확산 가속화 통해 국가 디지털 혁신을 전면화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바우처 방식으로 ‘22년 2,332억원을 지원한다. 그리고 부산 패션․뷰티, 대구
헬스케어․로봇, 대전 국방․모빌리티, 세종 미디어 등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지역 디지털 혁신 프로젝
트를 ‘23년 추진한다. 또한 실손보험간편청구, 부동산거래디지털화 등 관계부처와 함께 「디지털플랫
폼정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핵심과제 “❺모두가 행복한 기술 확산”에서는 보건‧안전‧환경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디지
털·과학기술로 문제해결을 지원하고 체감효과를 증대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3대 안전분야(도시‧일터‧
시설물) 디지털 적용, 과학기술 활용 지역문제 해결(행안부 협업) 등 사회문제 해결 R&D를 확대하고
자 한다.
2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균형발전 및 지역의 자립적 성장기반 구축,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를 위해 지역별 특성화 산업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99년 4개 지역사업을 시작하여 ’22년까지 국비
13.66조원을 투자하고 있다.
※ 출처 : 지도로 보는 지역산업(’22.7.11.)
산업부는 ’함께 극복·도약하는 산업강국‘을 2022년 비전으로 설정하고, ① 발 빠른 친환경・디지털
혁신으로 미래경쟁력 강화, ② 체계적 공급망 관리와 첨단산업 육성으로 경제안보 실현, ③ 산업・통상・
에너지의 유기적 연계로 혁신역량 극대화 등을 기본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탄소중립 혁
신전환 본격화, 글로벌 제조강국 위상 강화, 공급망 안정화 및 경제안보 실현, 국부창출형 통
상 추진 등 5개 핵심 추진과제 및 14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2-5 산업통상자원부 지역산업지원사업의 변천과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25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1.12.28.)
그림 1-2-6 산업통상자원부 업무추진 방향
2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이들 핵심 추진과제 중 “ 탄소중립 혁신전환 본격화” 은 세부 추진과제로 1. 에너지 탄소중립 전
환, 2. 산업구조 저탄소 혁신, 3. 정의로운 전환 실현을 제시하였으며, 이중 “3. 정의로운 전환실현” 세
부 내용으로 지역산업과 관련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서 지역주도 균형발전과 탄소중립 연계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4가지 지
역균형 세부 정책을 다음과 같이 추진하게 된다.
첫째, 초광역권 선도 전략산업 선정(‘21.3월)에 따라서 전략산업 선정 가이드라인, 범부처 전략산업
지원 메뉴판, 산업분야 특별협약 등 범부처 공동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강원‧충청‧제주권은 수소‧재생
에너지 허브 산업이고, 호남권은 신재생 기반 에너지공동체 산업, 대경‧세종‧전북권은 전기차 허브 산
업, 동남권은 수소 기반 친환경 선박 제조허브 산업 등으로 초광역 선도 전략산업을 선정하였다.
둘째, 경제자유구역별 그린산업 육성을 통해 지역투자를 활성화한다. 광양만 경제자유구역은 그린
에너지 산업, 광주 경자구는 스마트에너지 산업, 울산 경자구는 수소‧저탄소 에너지 산업, 동해 경자구
는 수소에너지 등으로 그린산업을 육성한다.
셋째, 산업단지 친환경화 촉진을 위한 탄소저감 그린산단 로드맵을 수립한다. 산업단지공단 내 ‘그
린산단팀’ 신설(’22.1월)하여 산업단지 탄소중립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넷째, 정의로운 전환 특별지구, 산업위기지역 등 지역침체 지원제도를 강화한다. ‘정의로운 전환 지
원센터’를 설치하여, 지정지역에 산업·고용·지역경제 등에 범부처 지원한다. 또한 단일 산업위기지역
에서 산업위기 예방조치, 선제대응 지역을 신설하게 된다.
핵심 추진과제 중 “ 글로벌 제조강국 위상 강화”는 세부 추진과제로 1. 주력산업 고부가 혁신, 2.
미래 먹거리산업 창출, 3. 산업혁신 지원기반 확충을 제시하였으며, 이중 “3. 산업혁신 지원기반 확충”
세부 내용으로 지역산업과 관련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3. 산업혁신 지원기반 확충” 세부과제는 순조로운 산업전환과 미래시장 주도를 위한 산업혁신 기
반조성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이 중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등을 지역경제 혁신거점으로 활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산업단지 중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를 고도화하고 농공단지를 활성화한다. 스마트그린 산업단
지는 ‘21년 1,236억원에서 ’22년 1,636억원으로 예산을 확대하고 중장기 운영 및 고도화 기반을 마
련한다. 그리고 4개 시그니처 농공단지를 선정하여, 복합문화 센터 구축·휴폐업 공장 리모델링 등 복
수사업을 일괄 지원하게 된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27
둘째, 9개 경제자유구역 핵심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지역혁신을 본격 추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인천
(바이오‧헬스), 부산(스마트수송기기), 대구경북 (ICT‧로봇), 광주(AI융복합) 등 경자구 핵심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추진하게 된다.
셋째, 지역산업 여건을 감안하며 상생형 일자리를 위해서 단계적으로 협약을 확산하게 된다. 기존
구미(이차전지 양극재), 신안(해상풍력), 대구(AI로봇 모빌리티) 등 상생협약 체결지역에서 전주(탄소
산업), 익산(식품산업) 등 신규 협약체결 후보지역으로 확산하게 된다.
이외 포스트 코로나 대비 전시 + 新무역 지원인프라를 확충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전시장을 단계적
신·증축을 통해 ’21년 17개(32.1만 m2)에서 ’26년까지 24개(59.7만 m2)로 전국 전시장을 2배로 확
충하게 된다. 또한 수도권(대형화)-지역(전문화) 등 권역별 차별화된 전시를 추진하게 된다. 이때 부산
(기계), 광주(뿌리) 등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하여 전시를 추진하게 된다.
새정부는 ❶성장지향 산업전략, ❷국익·실용 중심 통상전략, ❸에너지 공급·수요 혁신전략 등 3대
전략 및 11대 핵심과제 집중 추진을 발표했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7.12.)
그림 1-2-7 산업통상자원부 새정부 업무추진 방향
2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위기를 넘어 혁신으로, 강한 중소·벤처·소상공인 육성’을 비전으로 삼고, 이를
위한 전략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구조 변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혁신기업 육성”
을 설정하였다. 4대 핵심 정책방향으로 (소상공인) 소상공인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 (벤처·스
타트업) 미래를 선도할 혁신 벤처·스타트업 육성,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환경변화 대응 및 성장기
반 구축, (기반조성) 공정한 거래질서 구축 및 상생협력 촉진 등을 설정하고 12개 세부과제를 제시
하였다. “ (벤처·스타트업) 미래를 선도할 혁신 벤처·스타트업 육성” 정책방향 내 세부과제인 “➊
기술·청년·지역 중심의 혁신 창업 활성화 도모”, “➌ 규제자유특구 등을 통한 지역 혁신기업 육성” 등
이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에 해당된다.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12.22)
그림 1-2-8 중소벤처기업부 업무추진 방향
REGIONAL S&T YEARBOOK 2022 29
“ (벤처·스타트업) 미래를 선도할 혁신 벤처·스타트업 육성” 정책 방향은 혁신 창업을 중심으로 창
업열기를 지속·확산하고, 모험자본과 우수 인재 유입을 촉진하여 지속 가능한 벤처 생태계를 조성하고
자 한다. 또한 규제자유특구를 통한 혁신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하는 등 한국판 뉴딜의 지역 확산을 중
점 추진하게 된다.
세부 과제별로 살펴보면, “➊ 기술·청년·지역 중심의 혁신 창업 활성화 도모” 세부과제에서는 기술
창업, 청년창업, 지역창업 등 3가지 창업 활성화를 추진하게 된다.
기술창업 분야에서는 미래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지원범위를 7년에서 10년으로 확대하고, 창업사
업화 예산의 40% 이상을 신산업 분야에 배정하게 된다. 보다 많은 민간 참여를 위해 민관협력 창업지원
사업(TIPS)의 운영사 범위를 기존 창업기획자에서 벤처 캐피탈, 해외 창업기획자, 신기술사업금융전문
회사 등으로 확대하고, 분야별 특성에 맞춘 운영사간 컨소시엄도 ’22년 하반기부터 허용하게 된다.
청년창업 분야에서는 창업지원 인프라가 우수한 대학을 ‘창업중심대학’으로 전국 6개 대학을 지정
하고, 예비‧초기‧도약 창업패키지 주관기관 자격 5년간 부여, 대학 당 75억원 지원 등 지역의 청년창업
거점으로 육성하게 된다. 그리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대학생들이 학업을 포기하지 않고도 창업에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개선하게 된다.
지역창업 분야에서는 투자형 창업지원 방식 도입을 검토하여, 지역별 초기자금 투자 기능 확보, 지
자체·파트너 대기업 등의 지역 스타트업 투자 참여를 견인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우수 창업기업 발굴·지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도록 한다.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사업화하는 로컬
크리에이터 간 협업 모델을 고도화하고 선도기업과의 연계 지원도 강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기업 등과 로컬 크리에이터 간 판로·마케팅·투자 등 협업 통해 사업고도화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지역
창업보육 기능 강화를 위해 창업보육센터(‘98~)의 입주대상을 기존 창업 3년 이내에서 창업 7년 이내
및 창투사, 창업기획자도 입주 가능 하도록 확대하는 등 제도 개선을 병행하게 된다.
“➌ 규제자유특구 등을 통한 지역 혁신기업 육성” 세부 과제에서는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5개 내
외)를 추진하면서, 종료되는 실증사업 안착화(법령정비, 임시허가 전환)를 통해 성과를 확산하고, 테크
노파크(TP)를 지역기업 종합지원기관으로 강화하고, 지역 주력산업을 견인할 선도기업을 발굴(100
개)하여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 규제자유특구 성과창출, 지역기업 육성, 지역 뉴딜 벤처펀
드 확대 등 3가지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첫째, 중소기업의 수요에 기반하여 덩어리 규제를 완화하는 특구 지정(5개 내외, ‘22.상) 및 안착화
지속 추진하여 규제자유특구 성과를 창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실증기간이 종료되는 특구 사업의 규제
3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법령 정비, 임시허가 전환 등 안착화를 추진하여 실증사업 성과를 창출하게 된다. 그리고 유사 분야 ‘특
구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여 기술교류·공동사업화·규제법령 정비 공동대응 등을 추진하게
된다. 예를 들면 미래교통 분야에서 세종은 자율주행, 경남은 무인선박, 광주는 무인저속특장차 등을
통해 특구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게 된다.
둘째, 지역주력산업을 견인할 선도기업을 ‘22년 100개 발굴·육성하고, 지역 위기 대응시스템, 지역
밸류체인 조성 등 지역 혁신정책 주도적 운영 등 지역기업 종합지원기관으로서 테크노파크 기능을 강
화하여 지역기업을 육성하게 된다. 중앙정부에서는 협업과제기획, R&D(최대 6년간 20억원), 정책자
금 우대 및 보증료 감면 등을 지원하고, 14개 시·도에서는 산단·지식산업센터 입주, 지역투자보조금
우대, 시험장비 지원 등을 주력산업을 견인할 선도기업에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그린뉴딜 유망기업
(’22. 15개) 및 소부장 강소기업(’22. 20개)을 추가 선정하여, R&D·사업화 등에 집중 지원하게 되며
비수도권에 56% 비율로 지원한다.
셋째, 지역 소재 민간·공공기관과 모태펀드가 협력하여 지역뉴딜 기업에 투자하는 지역뉴딜 벤처펀
드를 ‘24년 5천억 원까지 지속적으로 확대하게 된다. ’22년 600억원 모태펀드 출자를 통해, ’21년 조
성 권역(부산, 충청, 경남·울산)의 투자를 본격화하고, 추가 조성 권역 발굴을 추진하게 된다.
새정부는 중소‧벤처‧소상공인이 당면한 위기를 타개하고 새롭게 혁신‧성장하기 위한 창업벤처·소상
공인·중소기업 맞춤형 핵심·중점과제를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 창업벤처 분야에서는
한‧미 벤처 협력,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민간모펀드 조성을 유도한다. 소상공인에게는 손실보전 완
료, 전국민 소비진작 캠페인, 혁신 소상공인 육성을 지원한다. 중소기업 분야에서는 납품단가 연동제
제도화, 미래형 및 영세기업 스마트공장 확산을 유도한다. 규제혁신 분야에서는 규제특구 자율참여,
글로벌 혁신특구 조성, 진입규제 집중 발굴을 추진한다. 공통과제로 제시된 규제혁신 정책이 지방과학
기술 관련 정책으로 기업의 창의를 가로막는 규제의 모래주머니를 혁파하고, 벤처 정신에 기반한 조직
혁신으로 실질적인 성과 창출 가속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공통과제로 “ 규제의 걸림돌 없는 혁신의 놀이터를 만들겠습니다.”를 제시하고, 규제자유특구 제
도를 글로벌 신산업 혁신기지로 업그레이드하고, 중소·벤처기업, 소상공인 현장에서 체감하는 신산업
진입장벽, 과도한 행정비용·절차 등 규제를 집중 발굴하여 개선해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서 3가지
세부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규제자유특구를 글로벌 신산업 혁신 기지로 업그레이드한다. 창업·벤처기업이 자유롭게 참여
하도록 하고, 성과중심형 특구 운영 등 제도를 개편하여 ‘23년 상반기까지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한
다. 그리고 글로벌 성장 가능성이 높은 규제자유특구와 인근 혁신거점을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하
REGIONAL S&T YEARBOOK 2022 31
여 집중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둘째, 현장에서 체감하는 허들규제, 숨은 규제 등을 집중 발굴·개선하게 된다. 혁신 벤처·스타트업
의 新산업·가치 창출을 가로막는 ‘허들규제’를 발굴하고, 범부처 협업을 통해 개선한다. 또한 인증·허
가·심사 시 불필요한 절차·고비용 등 부담이 되는 ‘숨은 규제’를 발굴하여, 원점에서 재검토하여 활력
을 제고하게 된다.
셋째, 지역조직 및 옴부즈만을 활용한 현장 소통형으로 애로를 해소하고자 한다. 기업의 현장 접점
에 있는 13개 지방청이 ‘규제·애로 해결사’가 되어 지역기업 애로를 적극적으로 해소하게 된다. 우선
13개 지방청 현장소통 및 규제를 발굴하고 규제혁신 TF 등을 통해 해결하게 되면 기업에 피드백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옴부즈만을 통해 상시적으로 현장 규제를 발굴하고, 기업에 작은 불편이라
도 끝까지 해결하도록 한다.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7.12)
그림 1-2-9 중소벤처기업부 새정부 업무추진 방향
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라. 교육부
교육부는 2022년 “코로나 위기를 넘어 학교 일상회복,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미래교육 대전환”을 비
전으로 설정하고, 올해의 3대 핵심추진과제로 ①철저한 학교 방역을 전제로 한 더 나은 학교 일상의 실
현, ②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전환, ③국민이 믿을 수 있는 교육과 사회정책 추진을 제시하였
다. 이 중 “②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전환 ” 핵심 추진과제에서 지역혁신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림 1-2-10 교육부 업무추진 방향
※ 출처 : 교육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1.4)
REGIONAL S&T YEARBOOK 2022 33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②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 전환’ 핵심과제 내 세부 과제로 “ 공
유·협력을 통한 혁신인재 집중 양성”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혁신⋅발전을 견인하는 대학 육성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5가지 세부정책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대학-대학’ 공유·연계를 통한 신기술 분야 인재를 양성한다. 복수의 대학이 교육자원 등을 공
유‧개방하고 공동의 역량을 집중하여 ‘22년 46개교가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된
다. 이를 통해 전공에 관계없이 희망 학생들이 해당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유연‧집중학기제 등 학사제
도 유연화와 수강신청 제한 완화 등 선택권을 확대하게 된다. 그리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분야
에 대해 대학 내 뿐만 아니라 대학 간에도 공동학과를 설치하고 교원‧기술‧시설 공유를 허용하게 된다.
또한 규제혁신 측면에서 첨단분야 대학원의 증원을 유연화하고, 학‧석사 및 석‧박사 간 정원 조정기준
을 완화하여 공유‧연계 활성화를 지원하게 된다.
그림 1-2-11 대학-대학 공유·연계 우수사례
※ 출처 : 교육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1.4.)
둘째, ‘지역-대학’ 협력으로 지역 혁신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지자체, 대학, 지역기관 등이 협력하여
인재를 양성하게 되고, 취‧창업 및 정주까지 지원하는 지역혁신 플랫폼을 ‘21년 4개에서 ’22년 6개로
확대한다. 그리고 지역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최대 6년(4+2)간 지역별 맞춤형 고등교육 규제특례를 적
용하는 고등교육 혁신특화지역을 운영하게 된다. 예를 들면, 광주·전남, 울산·경남, 충북 지역은 이동
수업 운영기준 특례를 적용하고, 광주·전남 지역은 공동교육과정 운영 시 학점인정기준 완화하게 된
다. 또한 전문대학-기초지자체 간 연계로 ‘(가칭)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를 운영하여 ’22년 30교가 지
역수요 기반으로 특화된 지역 직업교육 제공한다. 그리고 국립대 역할 강화를 위해서, 국립대를 지역
혁신 거점으로써 권역 내 공유성장형 연합체제를 구축하고, 국립대병원 중심의 지역 공공의료 서비스
3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를 강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국립대학 육성사업(’18~’22) 후속으로 2단계 국립대학 육성사업
(’23~’27) 지원 방향을 ‘22년 상반기 중으로 수립한다.
셋째, ‘산업-대학’ 동반성장을 위한 산업 맞춤형 인재를 육성한다.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
사업(LINC 3.0)을 통해 대학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산학연협력모델 구축을 지원한다. 규모는 ’22~’27
년 동안 일반대 75교, 전문대 59교 등 총 134교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우수대학은 대학원‧글로벌 수
준으로 고도화하고, 후발대학도 역량을 높일 수 있게 별도 유형을 신설하게 된다. 또한 대학과 기업이
학생을 공동선발 하여 채용을 약정한 후, 기업 맞춤형 실무교육과 연구개발 등 심화교육을 제공하는 계
약학과를 ‘22년 15교로 확대한다. 그리고 전문기술 인재양성을 위해서 마이스터대 석사과정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고숙련 기술인재 양성체제를 구축하고, 국가 차원의 전략분야로 확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스마트공장(중기부), 반도체(산업부) 등 범부처 수요를 반영한 마이스터대 신규 지정을 추진한다.
넷째, 핵심 연구인력의 안정적 육성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한다. 학문 간 균형 발전, 고등교육과의 연
계 강화를 위한 「학술진흥법」 전부개정을 추진하고 연구자 친화적 정책을 위한 의견수렴체제를 구축
하게 된다. 의견수렴체제는 (가칭)미래학술정책을 위한 사회적 대화 추진을 시작으로 학술정책을 자
문‧심의하는 위원회 구성 등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대학연구소 중심의 연구거점 조성(’21. 1,612억원
→ ’22. 1,842억원), 국제 학술저널 구독 확대(’21. 48종 → ’22. 57종) 등 학술활동 기반을 구축하게
된다. 연구인력를 위해서 4단계 BK21 사업으로 ‘20~’27간 1.9만 명의 대학원생 연구장학금을 지속
적으로 지급하게 된다. 또한 신진, 중견, 우수 등 연구자 생애주기별 연구활동 성장을 지원한다.
다섯째, 대학혁신을 위해서 혁신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 체질을 개선하고 범부처 역량을 결집하게 된
다. 대학의 자율 혁신 및 체질 개선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재정지원계획 수립하고, 이와 연계한
적정규모로 지원하게 된다. 일반대학지원 선정대학(233교) 및 미선정 대학 중 일부 역량 있는 대학(13
교)을 지원하고, 권역별 유지충원률을 점검하여 입학정원모집 유보제 기준를 마련하게 된다. 이를 통
해 한계사학에 대해서는 위험단계별 구조개선, 회생지원, 해산‧청산 등을 지원하고, 종합적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법령 제·개정을 추진한다. 범부처 협업을 위해 부처별 정책을 ‘(가칭)인재양성 기본전략’
으로 종합‧관리하고, 인재수요가 큰 분야(바이오 등)는 맞춤형 계획을 우선 마련한다. 부처 공동 협업
사업 기획(’22. 420억원), 대학 재정투입에 대한 성과분석(수혜인원, 운영실적, 취업률 등) 및 대학재
정지원사업 신설‧변경 시 교육부와의 사전협의제를 도입한다.
새정부에서는 ❶ 국민 눈높이에 맞는 교육부로 전면 혁신, ❷ 국가 책임제로 교육의 출발선부터 격
차 해소, ❸ 수요자 중심 미래형 교육체제 실현, ❹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첨단분야 인재양성 총력,
❺ 대학의 여건과 역량에 맞춘 다양하고 자유로운 성장 지원 등 총 5개 핵심과제를 발표하였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35
“❺ 대학의 여건과 역량에 맞춘 다양하고 자유로운 성장 지원” 핵심과제에서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
책을 포함하고 있으며, ① 고급인재 양성과 획기적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대학 : 자율 혁신 선도, ② 지
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 : 지역 맞춤형 성장, ③ 국가책임을 바탕으로 지역과 상생하는
국립대학 : 국가·지역 지원, ④ 경영상 위기에 처한 한계대학 : 구조개선을 통한 체계적 관리 등 5개 세
부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림 1-2-12 ❺ 핵심과제 추진체계도
※ 출처 : 교육부 2022년도 새정부 업무계획 자료(’22.7.29)
첫째, 고급인재 양성과 획기적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대학 : 자율 혁신 선도
대학규제 혁파와 안정적 재정지원으로 자유로운 혁신을 도모한다. 대학 자율을 위해 대학평가, 대학
설립·운영 규정 등 핵심규제를 전면 개선하고, ‘(가칭)고등·평생교육 지원 특별회계’ 신설로 재정기반
을 강화한다. 그리고 석·박사급 고급인재 양성과 첨단분야 연구의 거점화를 주도한다. 선도·특화분야
고급인재 양성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분야 연구 등 우수 교육·연구모델 구축을 지원하고, 공
유·확산을 유도한다. 예를 들면 ‘서울대반도체공동연구소’를 연구장비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산학연
공동연구의 거점으로 확대한다.
둘째, 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 : 지역 맞춤형 성장
지자체-대학 협력에 기반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한다. 지역 주도의 안정적·종합적 인재양성을 위
해 지역 인재투자협약을 신규로 추진하고,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확대한다. 이를 위
해 ‘22년 하반기에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여 「지방대육성법」 개정을 통한 지역인재투자협약 제도 근
거를 마련한다. 또한 지방대학 발전 및 정책 소통을 위해 대교협·전문대교협과 함께 ‘지방대학발전특
별협의회’ 구성·운영한다. 지역대학의 변화를 위한 지역협력기반 재정운용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
역발전전략에 따른 지역대학·지자체·교육청 공동사업 운영한다. 이 공동사업은 지방교육재정교부금
3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및 지자체 전입금 등 교육청 재원과 지자체 재원을 공동으로 활용한다.
셋째, 국가책임을 바탕으로 지역과 상생하는 국립대학 : 국가·지역 지원
국가 전략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기초‧보호학문을 진흥한다. 국가균형발전의 거점으로서 국가 전략
분야와 인문학 등 기초‧보호학문 중심으로 국립대학을 특성화한다. 국가와 지역을 잇는 국립대의 지역
구심점 역할을 강화한다. 지역인재양성의 중심으로서 타 대학과 교육과정·시설·기자재 등을 공유하
고, 국가·지자체 간 협력에 주도적 역할을 하도록 책무를 부여한다. 그 근거로「국립대학법」 제정(‘23)
을 통해 국립대의 국가·지역에 대한 사회적 책무를 규정하게 된다.
넷째, 한계 대학 : 구조개선을 통한 체계적 관리
경영위기 대학을 위한 정상화, 통폐합 등 다각적으로 지원한다. 구조개선 목적의 적립금 사용·재산
처분 등 규제특례를 인정하고, 매뉴얼, 컨설팅 등 제공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인 학교 간 통폐합을 지원
한다. 회생불가 대학에 대한 기능전환 등 퇴로를 마련해준다. 회생불가 대학은 지역공공기관(공익·사
회복지법인)으로 전환 허용을 추진하게 된다.
표 1-2-3 ❙ 교육부 새정부 업무추진 계획
취임후 100일 내 ’22.말 ’23~
대학규제 상시발굴체계 운영
(8월)
고등교육 마스터플랜 마련(12월)
사립대학 구조개선법 발의(12월)
특별회계 관련 법령 제・개정(12월)
대학설립운영규정 전면개정(‘23.上)
지역혁신사업 비수도권 전역 확대
(’23~)
고등·평생교육 지원 특별회계 신설
※ 출처 : 교육부 2022년도 새정부 업무계획 자료(’22.7.29)
REGIONAL S&T YEARBOOK 2022 37
마.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2022년 “국민이 안전한 나라, 골고루 발전하는 지역”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3대 목표
로 일상회복, 균형발전, 선도국가 도약 등을 제시하였다. 3대 핵심 추진과제로 ❶ 국민이 체감하는 안
전사회 구현, ❷ 지역활력 제고와 자치분권 2.0 완성, ❸ 데이터와 시스템에 기반한 정부혁신 등을 발
표하였다. 이 중 “❷ 지역활력 제고와 자치분권 2.0 완성” 핵심 추진과제에서 지방과학기술, 지역혁신
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림 1-2-13 행정안전부 업무추진 방향
※ 출처 : 행정안전부 2022년도 업무계획 자료(’22.12.30)
3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❷ 지역활력 제고와 자치분권 2.0 완성” 핵심 추진과제는 자치·재정분권을 통해 확충된 지방자치
단체의 권한과 재원을 바탕으로, 균형발전 추진과 인구감소 대응을 위해 역량을 총동원하는 정책이다.
이를 위해서 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총력 지원, ② 지역 민생경제 회복 지원, ③ 자치분권 2.0 본격 시
행, ④ 2050 탄소중립 지역사회 확산, ⑤ 연대와 협력의 포용사회 구현 등 5대 세부과제를 발표했다.
세부과제 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총력 지원
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범정부 추진기반을 구축한다. 종합시책으로 인구감소 지역(89개, ’21.10. 고
시) 위기 대응을 위해 지역 주도의 인구활력계획(가칭) 수립을 컨설팅·빅데이터 분석 등 지원하고 맞춤
형 정책을 시행한다. 지방소멸 대응기금(年 1조원, 10년간)을 인구감소지역에 집중 투입하여 지역별
인구활력 증진사업 시행을 뒷받침한다. 또한, 지역활력 제고에 적합한 국고보조금 사업(52개 2.5조)
추진 시 인구감소지역에 공모 가점부여하고, 사업량 우선할당 등 대폭 지원한다. 초광역협력을 통한
지역 역량 강화를 위해서, 분권협약제도 도입을 통해 특별지자체 대상 국가사무 위임 및 행‧재정적 지
원 등 이행력을 강화하여 제도기반을 추진한다. 재정지원을 위해 특별지자체 설치 준비재원‧시범사업
비용을 특교세로 지원하고, 지방재정 타당성조사·투자심사 대상 금액을 상향 및 수시 심사를 확대한
다. 초광역 모델창출을 위해서 유형별 맞춤형 컨설팅, 연구비용 지원 등 성공사례 창출을 유도한다. 또
한, 지역사회 활성화 시책 추진으로 지역균형뉴딜 국비투자를 ’21년 7.9조에서 ’22년 13.1조로 확대
한다. 그리고 지역별 우수‧중점사업 행·재정 지원, 자치단체 협업사업 발굴 등 성과창출을 가속화한다.
세부과제 ③ 자치분권 2.0 본격 시행
지역주민 중심의 문제해결을 확대한다. 주민이 참여하여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민관이 협업하여 해
결하는 지역문제 해결 플랫폼을 기존 10개 시·도에서 13개 시‧도 로 확대하고 소통협력 공간도 6개에
서 8개소로 지속 확대한다. 지역문제 해결 플랫폼은 일상생활 속 문제해결 및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전
략의제 등을 추진하게 된다. 주민 주도 지역문제해결의 지속성 확보 및 제도적 정착을 위해 「지역사회
혁신 활성화 지원법」 제정하여 제도정착을 유도한다.
세부과제 ④ 2050 탄소중립 지역사회 확산
선도사업으로 정부청사 그린 리모델링(에너지저장장치·단열보강 등) 및 도시 숲(옥상정원‧공기정화
식물 등) 조성, 공공시설(마을·복지회관 등) 옥상녹화 등을 추진한다. 친환경 그린뉴딜 사업(450억 잠
정), 재활용 분리배출 시범사업(20억) 등 지역 탄소중립 시책사업을 발굴·지원한다. 확산을 위해 자치
단체 합동 평가에 반영하고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지표 배점(1→2점)을 확대하고 탄소중립 관련 정부
포상을 확대한다. 주민동참 유도를 위해서 주민자치회·국민운동단체·새마을운동 등을 활용한 친환경
REGIONAL S&T YEARBOOK 2022 39
실천운동 전개, 탄소중립 실현 주민 아이디어 공모 및 정책화를 추진한다.
새정부 앞서가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효율적이고 일 잘하는 정부체계 구축,
공정한 기회를 누리는 진정한 지방시대 구현, 국민안전 체계(패러다임) 전환으로 재난‧안전관리
혁신, 경찰 운영의 정상화로 민주성‧효율성 제고 등 5대 핵심과제와 지방규제 혁신과 공공기관
혁신 등 1대 공통과제를 발표하였다. 이중 “ 공정한 기회를 누리는 진정한 지방시대 구현” 핵심과제
에 지방과학기술 관련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그림 1-2-14 행정안전부 새정부 업무추진 방향
※ 출처 : 행정안전부 2022년도 새정부 업무계획 자료(’22.7.26)
4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공정한 기회를 누리는 진정한 지방시대 구현” 핵심과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가 심화
되는 상황에서 인구감소, 지역청년 유출 등 지방소멸 위기가 가속화됨에 따라, 행안부는 지방분권에
기반한 지역균형발전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추진정책으로 지역소멸 대응, 지방분권 확대, 지
방재정력 강화, 추진동력 확보 등 4가지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서, 행안부는 올해부터 지자체에서 수립한 투자계획을 평가하여 지방소
멸 대응기금(年 1조원)을 차등 지원하고,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특례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일
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의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지역기업 육성·지원방안을 관계부처와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둘째, 지방분권 확대를 위해, 중앙정부의 규제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하여 지자체가 주도하여 지역별
특수성에 맞는 지역발전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특별자치시‧도(세종·강원·제주)에 대한 특례와 지원책
을 확대하여 지방분권을 통한 특화발전의 테스트 베드로 만들 계획이다. 지원책으로 자치경찰 이원화
모델 시범 실시, 특별행정기관 지자체 이관 등을 포함한다.
셋째, 지방재정력 강화를 위해서, 행안부는 지자체가 지방재정 수요 증가에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
록 교부세 법정률을 검토하고 신 세원을 발굴하여 지방재정 자율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동시에 지자체
별로 다양한 현금성 복지사업 관리를 강화하고, 지방재정분석 체계 개선 등을 통해 지방재정의 자율과
책임이 조화되도록 하여 지방재정 역량을 제고할 방침이다.
넷째, 추진동력 확보를 위해서, 지방시대 관련 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정부는 기존 대통령 소속 자치
분권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를 통합하여 가칭 「지방시대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한, 대
통령이 주재하고 시‧도지사가 참석하는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기 위한 여러 안건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결정할 예정이다.
REGIONAL S&T YEARBOOK 2022 41
3. 중앙부처의 2022년 주요 정책 동향
지역사업은 넓은 의미에서 『국가균형발전법 특별법 제4조』에 따라 추진되는 국가균형발전사업을
의미하며, 국가균형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22년 재원(균형발전특별회계 예산)을 기준으로 10조
2,613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균특회계(지역자율계정, 지역지원계정, 제주특별자치도계정, 세종특별
자치시계정) 이외에 일반회계, 타 특별회계 및 기금 등이 해당 되며, 신규사업, 비예산사업 및 지자체
자체재원으로 추진하는 사업도 포함될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NABIS)에 주요 5개 부처 지
역사업은 110개 세부사업으로 구성(고용노동부, 과기정통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
부, 행정안전부(가나다순))되어 있다. 이는 국가균형발전사업 해당되는 모든 사업을 말하며, 일몰된
20개 세부사업을 제외하면 ’22년 현재 90개 세부사업이 시행 중이다.
부처 회계구분 세부사업 사업기간 비고
고용
노동부(2)
균특회계
사회적기업육성(지원, 제주계정) 2003 ~ 계속
지역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 2006 ~ 계속
과학기술정
보
통신부
(20)
균특회계
(19)
5G기반조선해양스마트통신플랫폼및융합서비스개발 2020 ~ 2023
5G시험망기반테스트베드구축 2019 ~ 2023
ICT융합 Industry4.0S(조선해양, R&D) 2016 ~ 2020
ICT융합 제조운영체제 개발 및 실증 2020 ~ 2024
공공연구성과기반 BIG 선도모델지원 2020 ~ 2025
다목적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2021 ~ 2027
산학연협력활성화지원사업 2006 ~ 계속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R&D) 2012 ~ 2023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투자지원 2020 ~ 2021 일몰
연구개발특구운영 및 인프라지원 2009 ~ 계속
연구개발특구육성(R&D) 2005 ~ 계속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2020 ~ 2024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R&D) 2020 ~ 2024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R&D) 2010 ~ 2024
지역SW산업진흥지원(지원·제주·세종계정) 2006 ~ 계속
지역균형발전 SW·ICT융합 기술개발 2019 ~ 계속
지역연구개발혁신지원 2007 ~ 계속
한국전기연구원 광주전력변환연구시험센터지원(R&D) 2015 ~ 2020 일몰
표 1-2-4 ❙ 주요 5개 부처 균형발전사업
4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혁신원자력연구개발 기반조성사업 2021 ~ 2025
일반회계(1)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조성(R&D) 2009 ~ 계속
교육부
(12)
균특회계
(5)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지원 2017 ~ 계속
산학연협력 고도화 지원 2006 ~ 계속
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 2019 ~ 계속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2020 ~ 계속
학교기업지원사업(R&D) 2004 ~ 계속
일반회계
(6)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 2020 ~ 2027
국립대학 육성사업 2018 ~ 2022
대학창업펀드(세부사업명:대학창업활성화) 2017 ~ 계속
대학혁신지원(R&D) 2019 ~ 2021 일몰
중소기업 취업연계 장학금(세부사업명: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2013 ~ 계속
지역인재장학금(세부사업명:맞춤형 국가장학금 지원) 2014 ~ 계속
특별교부(1)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 2017 ~ 2019 일몰
산업통상자
원부
(34)
균특회계
(26)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사업 2021 ~ 계속
광역협력권산업육성 2015 ~ 2020 일몰
광역협력권산업육성(R&D/지원·세종 계정) 2015 ~ 2020 일몰
구역청투자유치지원 2003 ~ 계속
권역별신산업육성사업(R&D) 2017 ~ 2021 일몰
기타 기반시설 지원 2004 ~ 계속
사회적경제혁신성장 2020 ~ 2022
사회적경제혁신성장(R&D) 2020 ~ 2022
산업집적지경쟁력강화(R&D) 2005 ~ 계속
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R&D) 2011 ~ 계속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 2020 ~ 계속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R&D) 2020 ~ 2025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사업(R&D) 2011 ~ 2020 일몰
외국교육·연구기관 유치지원 2008 ~ 계속
인천경제자유구역 전시컨벤션센터건립(BTL) 2019 ~ 2038
주요 기반시설 지원 2005 ~ 계속
지역균형발전지원 2003 ~ 계속
지역투자촉진(지원·세종계정) 2004 ~ 계속
지역특성화산업육성 2010 ~ 2019 일몰
지역혁신체계운영지원 2014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광역협력권산업육성 2018 ~ 2019 일몰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 2018 ~ 계속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R&D)(지원·세종계정) 2014 ~ 계속
지역활력프로젝트 2020 ~ 2021 일몰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R&D) 2010 ~ 계속
REGIONAL S&T YEARBOOK 2022 43
투자유치기반조성 1994 ~ 계속
소특회계(1) 소재부품산업거점기관지원(R&D) 2011 ~ 2022
예산없음(1) 투자유치 지원제도 개편 2017 ~ 2017 일몰
일반회계
(3)
산업단지환경조성 2011 ~ 계속
자동차산업기술개발(R&D)) 2020 ~ 2024
지역대표중견기업육성(R&D) 2019 ~ 2024
전력기금
(3)
신재생에너지금융지원 2006 ~ 계속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R&D) 2006 ~ 2025
태양광재활용센터 구축 기반조성 2016 ~ 2021 일몰
중소벤처기
업부
(26)
균특회계
(23)
국가융복합단지 연계 지역기업 상용화R&D 지원(R&D) 2019 ~ 2020 일몰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R&D)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실증기반조성(정보화)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제도운영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 2019 ~ 계속
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육성(R&D) 2019 ~ 계속
기술지주회사자회사R&BD지원사업 2020 ~ 2023
대전실패박물관 2020 ~ 2021 일몰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R&D 2021 ~ 2022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기업 지원 2021 ~ 2022
산학연 Collabo R&D 2019 ~ 2027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1993 ~ 2020 일몰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사업 2020 ~ 2022
세종산업기술단지(TP) 조성 2019 ~ 2023
전통시장 및 중소유통물류기반조성 2002 ~ 계속
제주중소기업업무지원 2006 ~ 계속
지역기업 개방형혁신 바우처(R&D) 2019 ~ 2019 일몰
지역기업 혁신성장 지원(R&D) 2019 ~ 2019 일몰
지역중소기업 공동수요기술개발 2020 ~ 2023
지역특화산업육성(R&D) 1995 ~ 2020 일몰
지역특화산업육성(지원·세종계정) 2013 ~ 계속
지역특화산업육성+(R&D)(지원·세종계정) 2020 ~ 2025
창업인프라지원(지원·제주·세종계정) 1998 ~ 계속
일반회계
(3)
메이커스페이스 구축(세부사업명:창업생태계기반구축) 2018 ~ 계속
스타트업 파크 2019 ~ 2019 일몰
창조경제혁신센터(세부사업명:창업생태계기반구축) 2014 ~ 계속
행정
안전부
(16)
균특회계
(12)
섬발전협력사업추진 2018 ~ 계속
소하천정비 1995 ~ 계속
위험도로구조개선(지원·제주 계정) 2004 ~ 2023
자원봉사활성화지원 2006 ~ 계속
4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국가균형발전종합시스템(www.nabis.go.kr),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균형발전위원회는 이들 지역사업 중 지역혁신사업을 지역혁신기관, 대학, 연구소 등을 통해 산업육
성, 기술개발 및 사업화, 인력양성 등을 지원하는 각종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역사업은 통상 재원
(균특회계)을 기준으로 사업범위를 정의하지만, 부처 예산(일반회계) 중에서도 실질적인 지역사업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부는 공식적인 지역사업 추진체계를 구성, 각각 ‘중소·벤처기업지원’ 및 ‘지
역산업역량강화’를 핵심적인 사업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관련 규정에 따라 지역사업 관
련 최상위계획을 수립하고 심의·조정 기구를 구성, 지역사업에 대한 기획, 사업수행, 성과평가를 시행
하고 있다. 이들 2개 부처를 제외한 타 부처의 경우, 실질적인 지역사업의 예산규모는 상당하지만 지역
사업을 위한 종합적인 추진보다는 세부 사업별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 활성화, 지역일자리 창
출 등을 공통적인 사업목적으로 볼 수 있으나, 부처별 소관업무에 따라 세부적인 사업목적과 지원대상
은 상이하다고 볼 수 있다.
재해위험지역정비 1998 ~ 계속
접경권 발전지원 2011 ~ 2030
지방자치단체자율통합지원금 2011 ~ 2025
지역공동체일자리 2011 ~ 계속
지역교통안전환경개선(지원·제주·세종계정) 2003 ~ 계속
지역균형발전추진지원 2008 ~ 계속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자율·제주 계정) 2019 ~ 계속
특수상황지역개발(자율·제주계정) 2010 ~ 계속
일반회계
(3)
주민참여 지역문제해결 확산 2018 ~ 계속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구축지원 2021 ~ 계속
지역공동체 기반조성 및 역량강화 2017 ~ 계속
특별
교부금(1)
인구감소지역 통합지원사업 2017 ~ 계속
총합계 110개 세부사업 20개 사업 일몰
REGIONAL S&T YEARBOOK 2022 45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17개 광역자치단체는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관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두고 있다. 2021년과 마찬가지로 `22년에도 큰 틀에서의 과학기술관련 조직
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022년 각 광역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행정조직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3-1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행정조직 현황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서울
경제정책과
산학협력팀
∙ 서울 경제정책 총괄, 서울형 R&D 지원 총괄, 4차산업혁명 대응
∙ 금융산업 지원정책, 콘텐츠 산업 육성, 중소기업 지원
∙ 서울시 산학연 R&D 지원,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
∙ 혁신성장펀드(4차산업혁명, 스마트시티) 조성·운영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부처 시행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운영(4차 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 등)
∙ 로봇과학관 건립 및 전시 중장기 계획 수립
부산
디지털경제혁신실
미래산업국
미래기술혁신과
∙ 경제정책 수립, 일자리기획, 사회적기업육성, 투자유치 프로젝트 기획, 전통시장
관리
∙ 산업정책수립, 산업단지대개조, 중소기업육성, 지역산업진흥계획, 지역혁신성장
계획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개발특구 지정 및
운영, 연구개발 조정회의 운영, R&D 예산배분조정,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과학문화업무 총괄 등
대구
혁신성장실
혁신성장정책관
∙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혁신인재 양성
∙ 에너지산업의 육성·지원
∙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
∙ 첨단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육성 및 지원
∙ 기계로봇 산업 육성 및 지원 등
∙ 지역주도 혁신성장 정책 수립․시행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반도체산업 육성 및 유관기업 협력
∙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육성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등
인천
전략산업과
산업진흥과
투자창업과
∙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수립
∙ 인천과학기술진흥 협의회 운영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운영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활성화 사업,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
∙ 지역과학 거점센터 운영지원 등
4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인천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 과학관 운영, 인천테크노파크, 생활과학교실 운
영 지원 등
∙ 인천 미래산업 육성 및 기획
- 빅데이터, SW, AI, 바이오, 자동차, 로봇산업 육성
∙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 산학연 기술개발 지원사업
∙ 기술이전 및 기술거래 촉진 관련 업무
∙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사업 관련 업무
∙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지원
∙ 창업지원사업 시행계획
∙ 창업지원사업 발굴 및 시행 등
광주
인공지능정책과
산업혁신성장과
차세대산업과
기반산업과
에너지산업과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수립
∙ 인공지능기반융복합사업 및 ICT산업 진흥계획수립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 지원
∙ 인공지능 산업육성 법령 및 조례 제정
∙ 인공지능 집적단지 실증장비 구축 및 R&D 사업 추진
∙ 한국엔젤투자협회 지원 및 엔젤투자펀드 관리
∙ 산업정책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사항
∙ 대표산업 육성 및 지원(관리)에 관한 사항
∙ 의료관광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 대선 공약 발굴 및 관리 미래먹거리사업 발굴 기획에 관한 사항 스마트특성화
사업 등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추진 국비과제 관리 지역사업평가단 연계사업
추진
∙ 광주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 사업 추진
∙ 무인항공기(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사업
∙ e모빌리티 업무 전반에 관한 사항
∙ 뿌리산업 종합계획 수립 뿌리산업(금형, 용접, 정밀가공 등 14대산업) 육성사업
에 추진 뿌리산업전시회 업무 추진
∙ 한국전기연구원 협력 및 분산에너지 특화단지
∙ 에너지 효율화 관련 신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광주 그린에너지 ESS발전 전력거래 실증(규제자유특구)
∙ EV-신재생연계 DC전력거래 플랫폼 시스템 개발
대전
전략산업추진실
산업정책과
경제과학국
과학협력과
∙ 대전시 과학산업육성에 대한 전반적 정책 수립 및 계획 마련
∙ 대전시장 약속사업 추진 및 관리
∙ 지식재산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관리
∙ 디자인뿌리산업 육성계획 수립·지원
∙ 나노반도체산업 육성계획 수립지원
∙ 인공지능 육성계획 수립·지원 등
∙ 출연연 등 협력사업 관리·운영
∙ 대전과학기술위원회 구성·운영
∙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사업 추진 및 관련 업무
∙ 대덕특구 50주년 기념사업 및 대전과학문화 관련 업무 등
울산
현식산업국
미래신사업과
∙ 미래 신산업, 에너지산업, 자동차 조선산업, 화학소재산업 정책 기획
∙ 신산업 발굴 협의 조정 및 현안 추진 등
∙ 과학기술 업무 총괄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REGIONAL S&T YEARBOOK 2022 47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세종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과학기술 담당)
∙ 과학기술기반 新산업 분야 발굴 및 성장기반 조성
∙ ICT/SW기술 기반 지역 산업 역량 강화
∙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 확보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및 4차산업혁명위원회 운영
∙ 민간과학문화 활동 지원 등 지역 과학문화 확산
경기
과학기술과
미래산업과
∙ 과학기술관련 업무 총괄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미래산업기술 관련 업무 총괄
∙ 미래산업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강원
전략산업과
투자유치과
바이오헬스과
에너지과
디지털산업과
반도체산업추진단
∙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추진
∙ 전략과제 총괄 기획 및 디자인 산업 육성 지원
∙ 이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및 미래차 신산업 육성
∙ 강원도 양자정보기술 육성 및 클러스터 조성
∙ 첨단소재산업 및 저탄소 신산업 발굴 육성
∙ 투자·기업유치 정책개발 및 기본계획 수립
∙ 수도권 및 타시도 이전기업, 국내복귀기업 유치
∙ 외자유치 전략 수립 및 투자기반 조성,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유치
∙ 산업입지 공급계획 및 산업단지 관리계획 수립
∙ 혁신·기업도시 개발 건설 및 공공기관 이전 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추진
∙ 지역과학기술, 과학문화 육성 및 산·학·연 연구개발 협력체계 강화
∙ 지역특화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조성
∙ 융복합 헬스케어산업 육성 및 바이오․의료기기산업 고도화
∙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역량 제고
∙ 정밀의료 산업기반 구축 및 기업 육성
∙ 액화수소 생태계 및 수소경제 구축, 탄소중립 실현
∙ 지역에너지 정책 추진 및 이용 합리화 교육․홍보사업 추진
∙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계획 수립 및 개발․보급
∙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친환경 자동차 보급 방안 수립
∙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 및 산업 육성
∙ K-CLOULD PARK 기업 유치 및 데이터산업 융합밸리 조성
∙ 빅데이터 산업 육성 기반 구축 및 산업생태계 조성
∙ 지역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한 ICT 및 미디어산업 거점 조성
∙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계획 수립 및 관련 제도 개선
∙ 반도체 연관 기업 유치 및 전문인력 양성
∙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등 기반 조성 추진
충북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
산업육성과
에너지과
∙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종합 지원, 과학기술진흥 추진 및 충북형 R&D 지원, 4
차산업혁명 대응 기술고도화를 위한 지원체계 집중 및 일원화
* (지역전략산업) 지능형IT, 바이오헬스, 수송기계, 에너지소재부품
∙ 산학연관 협력사업, 사이언스 아카데미 빌리지 단지 조성, 인공지능 융복합 산
업 육성, 스마트 제조혁신 추진 등
∙ 데이터산업 활성화, 충북 빅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업성장지원, SB플라자, 충북연구개발지원단, 연구개발
장비 공동 활용,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강소특구 활성화 등
∙ 충북 R&D 사업 총괄 관리(과제·성과·혁신기관 조사분석 등)
4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5년단위 충북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및 매년 종합계획 기반 시행계획 수립
∙ 과학기술 R&D과제 발굴 및 사업 운영, 과학기술 정책수립 등
충남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
∙ 지방과학기술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과학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발굴·기획
∙ 과학기술 관련 국내외 기술현황의 조사 분석
∙ 신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사업 추진(국책연구소 협력)
∙ 지방과학기술 네트워크 구축 및 대중화
∙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및 지방과학축전 지원
∙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
∙ 과학관 등록·사립과학관 설립계획 승인
∙ 제조지원 국가 R&D 특구 조성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육성 시책 추진
∙ 지역과학기술진흥원 건립
∙ 연구개발지원특구 내 국책연구기관 및 민간기업연구소 유치
∙ 4차 산업혁명 대응 기본계획 수립 추진
∙ 제조업 혁신 및 고도화 추진에 관한 사항
∙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민간협의체 구성·운영
∙ 3차산업기반 디지털, 물리학, 생물학 융복합산업 육성
∙ 소프트웨어 융합산업 육성 추진
∙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
∙ ICT·IOT 연관산업 발굴 및 육성에 관한 사항
∙ 제조업과 관련한 서비스업(지식서비스산업)의 육성 및 진흥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 제조업의 서비스화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
∙ 제조업과 서비스업 융합 R&D과제 발굴 육성
∙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타 산업과의 융복합 과제 발굴·육성
∙ 서비스산업에 대한 국내외 산업동향 조사 분석
전북
미래산업국
미래산업과
∙ 지역 신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산업정책발굴·조정, 지역산업육성 및 위기지역대
응 현안 정책수립·조정 등 지역R&D 컨트롤 타워
∙ 산업구조개편 및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과학관 추진, 지역 R&D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기관‧대학‧기업 연계 지역 혁신 플랫폼 총괄 등
∙ 산업구조 개편 및 성장동력산업 육성계획 수립,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진흥사업 세부사업 총괄
∙ 규제자유특구 총괄,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스마트특성화기반 구
축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분야(R&D) 정책적 사무의 기획조정자문 지원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 과학관 관리,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 중소
기업 기술융합 활성화, 연구산업진흥단지 사업
∙ R&D기술사업화, 소기업 역량강화, 재난안전 등 긴급분야 R&D 지원 등
∙ 빅데이터 정책의 총괄ㆍ조정 및 지원, 빅데이터 기본계획 수립 및 활용 활성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대응 및 빅데이터 센터의 설치, 운영, 데이터기
반행정 정책 총괄·조정 및 지원 등
∙ 새만금 데이터산업 클러스터 조성 업무, 디지털뉴딜 총괄 추진 및 지원, ICT분
야 중ㆍ장기 정책 수립, 분야별 4차 산업혁명 계획 수립 및 총괄 등
∙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및 핵심기술 사업화 실증사업,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센터 업무 추진, XR 소재‧부품‧장비 개발지원센터 지원 및 스마트 융복합 멀티
REGIONAL S&T YEARBOOK 2022 49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플렉스 조성‧운영, 메타버스 산업육성 지원 등
∙ 미래전지 산업육성 지원, 산학융합플라자 건립 지원, 융복합 SW강소기업 육성
및 소재‧부품‧장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전남
전략산업국
연구바이오산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 관련 현안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등
∙ 지자체의 R&D 총괄부서,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과학기술 종합(시행) 계획 수립, 연구개발사업의 총괄 관리
∙ 과학문화(도시) 사업 총괄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과학기술 발전 및 과학 기술인 육성
제도 개선, 과학기술 대상 심사
∙ 지역연구개발(R&D) 전담기관 지정
∙ 과학기술 정책수립, 조사·분석, R&D기획, 정보유통 등 R&D전담기관 업무를 총괄
∙ R&D사업의 평가·관리
경북
과학산업국
과학기술정책과
∙ 과학기술진흥 종합정책 수립
∙ R&D 전담조직 운영 및 과학연구단지 조성
∙ 국가대형연구시설 구축 및 산업지원
∙ 로봇ㆍ나노산업 육성
∙ 연구개발특구 지정․육성
∙ 산ㆍ학ㆍ연 협력사업 추진
∙ 4차 산업혁명 대응에 관한 사항
∙ SW산업 육성ㆍ지원에 관한 사항
∙ ICT 융복합 신산업 육성
∙ 규제자유특구 및 규제샌드박스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지능정보기술 육성
∙ 미디어 및 이동통신산업 육성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주력산업 육성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 및 이전공공기관 연계 산업육성
∙ 철강․자동차․기계․항공․방위산업 육성
∙ 탄소․섬유소재산업 육성
∙ (재)경북테크노파크․(재)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운영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추진
∙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추진
∙ 백신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지원
∙ 신약, 한의약, 바이오 메디푸드 산업 육성
∙ 화장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육성
∙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운영 지원
경남
산업통상국
산업정책과
과학기술연구담당
∙ 제조업 혁신 등 산업·경제 혁신에 관한 사항 총괄
∙ 기계산업, 로봇산업, 나노융합산업, 자동차산업, 조산해양산업 육성
∙ 에너지 분야, 원자력산업, 수소산업, 신재생에너지 육성
∙ 국제통상, 수출진흥, 국제교류에 관한 사항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 관련 현안 추진
∙ 제조업 혁신 등 산업·경제 혁신에 관한 사항 총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시행, 연구개발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헬스산업, 스마트산업, ICT/SW융합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각 시・도청 홈페이지 참고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 연구개발특구 지정(변경) 추진
∙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사항
∙ 공공연구개발 사업화 지원 및 성과확산
∙ 연구개발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기관 유치‧육성에 관한 사항
∙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 기업연구소 유치‧육성에 관한 사항
∙ 연구소기업, 첨단기술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R&D 사업화 지원
∙ 연구개발(R&D)협의회 구성 및 운영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시행
∙ 과학기술인 및 지방과학관 육성 지원
∙ 과학관 등록 및 사립과학관 설립계획 승인
∙ 경상남도 과학대전 개최
∙ 경남과학연구단지 조성 및 운영
제주
미래전략국
저탄소정책과
미래전략과
디지털융합과
정보정책과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지역그린뉴딜정책 및 디지털뉴딜정책 기획, 조정, 관리
∙ 4차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지역바이오산업, 화장품산업, 식품산업 등 지역산업 계획수립 및 시행
∙ 기술거래 및 기술사업화 추진
∙ 지역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카본프리아일랜드 조성을 위한 정책 및 실행계획 수립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에너지 수급 계획 및 대책 수립
∙ 전기차 및 연관산업(배터리, 충전기 등)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
∙ 4차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제주 한방·바이오산업 육성 종합 기획 및 조정
∙ 지역산업발전 종합계획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제주혁신클러스터 구축 및 ICT 제조산업 생태계 조성 지원
∙ 도내 ICT 기술혁신 지원 및 산업 육성, 기업 지원
∙ 지방과학기술문화 확산 시행
∙ 기술거래, 기술사업화 추진
∙ 4차산업혁명 테스트베드 과제 발굴 및 조성
∙ 공공데이터 포털 및 인프라 구축·운영
∙ 스마트시티 사업 전략계획 수립 및 육성
∙ 빅데이터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지원
∙ 방송통신장비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차세대 방송기술 도입·육성
∙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정보통신 고도화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 국가정보통신망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 정보화 기반 조성 및 정보 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학산
REGIONAL S&T YEARBOOK 2022 51
2. 지방 과학기술예산
시도별 총 예산 중 과학기술관련 분야 투자 비중에 대한 2021년도 시・도별 지자체 평균은 순계 기준
0.66%로 이는 2020년도 0.44%와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가장 높은 투자 비율을 보인 지역은 광주
(1.60%)이며 세종과 제주가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71.67%로 ’18년부터 지속
하락하다가 ’20년인 68.11%에 비하여 상승하였다. 재정자주도 1위인 서울(82.40%)의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중은 0.34%로 2020년의 0.1%에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표 1-3-2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서울 808,855 2,732 0.34 82.40
부산 295,917 1,529 0.52 65.18
대구 211,163 1,623 0.77 66.24
인천 302,503 645 0.21 68.24
광주 139,423 2,226 1.60 62.57
대전 133,157 1,228 0.92 68.82
울산 96,084 776 0.81 68.35
세종 29,674 260 0.88 71.23
경기 1,160,665 1,334 0.11 73.42
강원 258,089 730 0.28 71.90
충북 215,328 1,338 0.62 70.00
충남 284,338 1,567 0.55 69.98
전북 265,727 2,508 0.94 67.14
전남 331,969 1,924 0.58 69.72
경북 393,644 1,891 0.48 71.08
경남 385,900 2,218 0.57 67.50
제주 79,874 820 1.03 69.60
합계(전국) 5,392,308 25,349 0.66(전국평균) 71.67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
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지방재정 전문통계>결산>지역통합재정통계>세출결산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결산)>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2. 지역내총생산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2. 역량
3. 성과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2
REGIONAL S&T YEARBOOK 2022 55
2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 경기(1,361만 명), 서울(950만 명), 부산(333만 명), 경남(332만 명) 순으로 인구가 많음
■ 2021년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약 2,644만 명이며,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의 비중
은 50.4%로 전년도(50.1%)에 비해 소폭 상승함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21년) (단위 : 명)
※ 주 : 추계인구 기준(조사시점 : 2022년 12월)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인구・가구> 장래인구 추계
※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0년 7월 1일자) 확정
5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내총생산
▣ 2021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1,919조 원
■ 17개 시・도 중 경기(497조 원), 서울(432조 원), 충남(118조 원), 경남(105조 원) 순으로 지역
내총생산 규모가 큼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GRDP는 약 1,019조 원으로 총 GRDP의 53.10%를 차지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2021년) (단위 : 백만원)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적으로 미약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표 2-1-1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
연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수도권 비중(%) 51.14 51.92 52.00 52.79 53.10
※ 주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중 실질 GRDP 활용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2 57
▣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울산(62.07백만원), 충남(55.68백만원), 서울(45.47백만원), 충북
(43.91백만원) 순으로 높음
■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전체 평균은 37.17백만원으로 전체 평균을 넘는 시・도는 서울, 울산, 충
북, 충남, 전남, 경북의 총 6개 지역으로 나타남
■ 특히 울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체 평균 대비 1.67배인 62.07백만원으로 타 시・도에 비
하여 월등히 높음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21년) (단위 : 백만원/명)
※ 주 : 1인당 지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실질) ÷ 지역별 추계 인구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지역별 추계 인구(2021년)
5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별 산업 구조 현황을 살펴보면, 울산, 충남, 충북, 경북, 경기, 경남, 전남 순으로 제조
업의 비중이 높은 편임(30% 이상)
■ 반면, 서울, 부산, 대전, 제주, 대구 등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
험업 등 기타 서비스업에 대한 비중이 높았음(40% 이상)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21년) (단위 : %)
GRDP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백만원) 432,406,018 87,906,722 56,026,338 89,984,023 41,118,247 42,368,245 69,621,279 12,489,323 496,672,331
GRDP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백만원) 496,672,331 46,476,220 70,139,551 118,002,148 50,398,818 77,027,126 104,960,491 105,347,557 18,175,224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59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 ~ 제8조에 의거하여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를 조사 대상으로 함
■ 한국산업단지공단 2022년도 3/4분기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가산업단지 47개, 일반산업단지
703개, 도시첨단산업단지 38개, 농공단지 476개로 총 1,264개의 산업단지 조성
■ 경남(206개), 경기(192개), 충남(166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많으며, 반면 서울(4개), 대
전(6개), 제주(6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적게 나타남
■ 부산, 대구, 울산 등의 광역시, 경기, 충북, 경남 등은 일반산업단지의 비중이 높은 반면,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등은 농공단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2년) (단위 : 개)
※ 주1 : 각 시도별 단지 개수의 합은 1,264개이나, 전체 산업단지 개수가 1,268개 인 것은 두개 지역에 걸쳐있는 산업단지 때문(중복되는 4개단지를 제외
주2 : 두개지역에 걸친 산업단지 : 한국수출산업단지(서울, 인천), 빛그린국가산업단지(광주, 전남), 아산국가산업단지(경기, 충남),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부산, 경남)
※ 출처 :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2.3/4분기),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6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수는 경기 712개, 서울 403개로 집중되어 있으
며, 전국적으로 신규지정 된 INNOBIZ 기업은 2020년에 비하여 총 741개(52%) 증가
■ 세종과 전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신규지정 수 증가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개)
※ 출처 :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REGIONAL S&T YEARBOOK 2022 61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경기, 서울이 각각 10,925개, 10,231개로 높게 나타남
■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벤처기업 수는 총 22,752개로 전국 벤처기업 수 대비
64.8%를 차지
■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평균 –0.12% 벤처기업 수가 감소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1년~2022년) (단위 : 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6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18년 3만 6,820개에서 ’22년에 3만 5,123개로 감소하여 5년간 연평균
1.17% 감소
■ 최근 5년간(’18∼’22) 연평균 증가율은 세종이 12.50%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제주
5.68%, 서울 4.11% 순
표 2-1-2 ❙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8년~2022년) (단위 : 개, %)
지역별 2018 2019 2020 2021 2022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서울 8,708 8,877 9,880 10,450 10,231 4.11
부산 2,301 2,201 2,227 2,024 1,662 -7.81
대구 1,622 1,633 1,677 1,431 1,233 -6.63
인천 1,680 1,642 1,761 1,707 1,596 -1.27
광주 842 792 805 769 645 -6.45
대전 1,426 1,468 1,544 1,509 1,417 -0.16
울산 469 481 544 485 418 -2.84
세종 108 128 158 177 173 12.50
경기 11,307 11,433 12,020 11,637 10,925 -0.86
강원 695 713 760 733 628 -2.50
충북 1,033 1,011 1,138 1,035 869 -4.23
충남 1,354 1,297 1,350 1,247 1,126 -4.51
전북 769 821 875 819 757 -0.39
전남 780 813 889 813 662 -4.02
경북 1,729 1,671 1,708 1,551 1,252 -7.75
경남 1,815 1,816 1,937 1,710 1,302 -7.97
제주 182 211 238 222 227 5.68
합계 36,820 37,008 39,511 38,319 35,123 -1.17
※ 주 : 각 년도 말 기준
※ 출처 : 벤처인 홈페이지(http://www.venturein.or.kr),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REGIONAL S&T YEARBOOK 2022 63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가. 총 연구개발비3)
▣ 2021년도 총 연구개발비는 102조 1,352억원이며, 시・도별로는 경기(51조 9,571억 원), 서울
(16조 2,043억 원), 대전(9조 4,428억 원) 순으로 많음
■ 2021년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23.6%), 광주(16.2%), 전남
(15.6%), 전북(14.2%) 순이며, 모든 지역이 증가하였음
■ 2021년 17개 시・도별 연구개발비의 평균은 6조 80억 원이며, 서울, 경기, 대전 지역만 평균보
다 연구개발비가 높음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 정부・공공재원, 민간재원, 외국재원에서 투입되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총액
6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많은 지역은 대전(2.48억 원), 경기(2.42억 원), 충남
(1.87억 원) 순
■ 2020년 대비 2021년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광주(23.4%), 강원(13.1%), 경남(12.7%), 울산
(10.8%) 지역이며, 충남(5.1%), 경북(0.4%), 대전(0.1%) 3개 지역은 감소세를 보임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억원/명)
※ 주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 총 연구개발비 ÷ 총 연구원 수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65
▣ 2021년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은
대전이 각각 22.29%, 16.10%로 가장 높음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경기(10.46%), 세종
(5.23%), 서울(3.75%), 인천(3.59%) 지역으로 대전 및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하여 상대적으
로 높은 경향을 보임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세종(4.71%),
경남(1.86%), 전북(1.84%), 광주(1.39%)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21년) (단위 : %)
※ 주 : 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GRDP
※ 출처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2)
6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 중 서울이 3조 2,530억 원의 가장 많은 대학 연구개발비를 보유
■ 17개 시・도의 대학 연구개발비 평균은 5,489억 원이며,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3조
2,530억 원), 경기(1조 4,062억 원), 대전(7,429억 원)
■ 2020년 대학 연구개발비 대비 2021년 증가율은 세종(39.3%), 광주(26.2%), 경남(26.2%), 강
원(22.9%) 순으로 높음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20년~2021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67
▣ 2021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5조 864억 원, 42.4%), 서울(1조 1,776억 원,
9.8%), 경기(9,924억 원, 8.3%) 순
■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세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
역의 총합은 4조 7,406억 원으로 전체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의 39.5%를 차지
■ 2020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 대비 2021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37.9%), 제주
(34.0%), 경남(34.0%), 충북(23.3%) 등 15개 지역으로 증가세를 보임, 나머지 3개 지역(부산,
세종, 충남)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20년~2021년) (단위 : 억원)
※ 주1 : 공공연구기관은 국공립연구기관, 출연연, 기타비영리기관으로 한정
주2 : 출연연 = 정부출연연구기관 + 지방자치단체출연연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6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49조 5,585억 원, 10.24%), 서울(11조
7,738억 원, 13.15%), 대전(3조 6,135억 원, 13.14%) 순으로 높음
■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두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의 총합은 19조 4,753억 원으로 전체 기업체 연구개발비 80조 8,076억 원의 24.1%를 차지
■ 2020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 대비 2021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21.6%), 강원
(17.9%), 제주(15.5%) 순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20년~2021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69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2021년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는 대전(6조 8,208억 원, 28.17%), 서울(4조
8,767억 원, 20.14%), 경기(2조 8,082억 원, 11.6%) 순으로 높게 나타남
■ 2020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대비 2021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강원, 세종 지
역으로 각각 전년 대비 16.9%, 14.1%, 13.9%씩 증가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억원)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수도권 33.9%, 대전 28.2%, 그 외 지역 37.9%
로 나타남
■ 2020년 대비 2021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2.2%p 증가하였으며,
대전 지역은 0.5%p 감소, 그 외 지역은 1.7%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지역(대전 제외)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2021년 소폭 감소하였으나 2017년을 기점
으로 수도권과 대전의 비중보다 높고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 점은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임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7년~2021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71
▣ 최근 5년(2017년~2021년) 간 시・도별 평균 투자점유율은 대전, 서울, 경기 순으로 각각 평균
28.6%, 19.1%, 12.1%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증가율은 경남, 제주, 충북이 각각 11.2%,
10.6%, 8.9% 순으로 높았음
■ 경기도는 투자점유율이 12.42%로 전체 시・도 중 세 번째로 높았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1.63%
증가하여 전년도(1.91% 증가)보다 감소함
그림 2-2-9 최근 5년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2017년~2021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자체별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투자 현황
▣ 2021년의 각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4)의 평균은 31조 7,195억 원, 그 중 국비와 기타 민
간예산을 제외한 지방비의 평균은 약 1,491억 원임
■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지방비)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2,732억 원), 전북(2,508억
원), 광주(2,226억 원) 순
■ 재정자주도 및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모두 평균보다 낮은 지역은 인천, 대전, 울산,
세종, 충북, 제주임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21년)
※ 주 : 재정자주도는 세입결산, 순계 기준이며, 재정자주도 평균은 전국 대상 기준임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
4)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은 국비+지방비+기타민간 예산의 합계로, 본 보고서에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의
2021년 추진실적을 기준으로 함
REGIONAL S&T YEARBOOK 2022 73
2. 역량
가. 연구인력
▣ 2021년도 총 연구원 수는 경기(21만 5,116명, 36.67%), 서울(15만 1,361명, 25.80%), 대전
(3만 8,009명, 6.48%) 순으로 많음
■ 2021년도의 총 연구원 수는 58만 6,666명이며, 17개 시・도의 평균 연구원 수는 3만 4,510명
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
■ 2020년 대비 2021년 총 연구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9.22%), 서울(8.49%), 충북
(8.04%) 순이며, 광주(-5.77%), 경남(-2.17%) 지역은 감소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대전(25.7명), 서울(15.9명), 경기(15.8명), 세종(13.6명) 순
으로 많음
■ 2020년 대비 2021년 증가율은 서울(9.8%), 강원(9.1%), 충북(7.9%) 순으로 높으며, 광주
(5.1%), 경남(1.5%), 세종(0.1%) 지역은 감소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주 : 인구는 추계인구 기준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2 75
▣ 2021년도 여성 연구원은 17개 시・도 중 서울(4만 5,613명, 35.1%), 경기(3만 8,337명,
29.5%)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 2021년 전국 여성 연구원 수는 13만 55명으로 2020년 대비 8.8% 증가
■ 2020년 대비 2021년 여성 연구원 수는 충북 (20.2%), 인천(13.7%), 전북(12.7%), 울산
(12.4%) 16개 지역이 증가하였으며, 17개 시・도 중 광주만이 전년 대비 약 7.8% 감소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대학 연구원 수는 서울(4만 2,091명, 36.7%), 경기(1만 4,079명, 12.3%), 대전
(8,801명, 7.7%), 부산(5,980명, 5.2%) 순으로 많음
■ 2021년도 전국 대학 연구원 수는 11만 4,635명으로 2020년 대비 1.1% 감소
■ 2020년 대비 2021년 대학 연구원 수 증가율은 세종(31.2%), 충북(13.8%), 강원(8.1%), 대구
(6.0%) 순으로 높으나, 광주(-12.8%), 경남(-12.6%), 전남(-11.4%) 등 10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77
▣ 2021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는 대전(1만 1,115명, 26.1%), 서울(5,864명, 13.8%), 경기
(5,004명, 11.8%) 순으로 많음
■ 2021년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의 총합은 4만 2,566명으로 2020년 대비 33.6% 감소
■ 2020년 대비 2021년 증감률은 서울(-23.2%) 경기(-26.1%) 강원(-27.0%) 순으로 높음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7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기업체 연구원은 경기(19만 6,033명, 45.6%), 서울(10만 3,406명, 24.1%)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음
■ 2021년도 기업체 연구원 수의 총합은 42만 9,465명으로 2020년 대비 4만 6,664명(-9.8%)
감소
■ 2020년 대비 2021년 증감률은 대전 (-4.7%), 서울(-5.0%), 제주(-5.3%) 순으로 높음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명)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79
▣ 2022년도 이공계 석사 및 박사과정 대학원생 수의 총합은 각각 5만 619명, 3만 2,699명
■ 2022년도 이공계 박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2,112명, 37.04%), 대전(5,851명,
17.89%), 경북(2,134명, 6.53%) 순이며, 전체 이공계 박사의 61.46%가 이 세 지역에 분포
■ 2022년도 이공계 석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2만 606명, 40.71%), 경기(4,486명,
8.86%), 대전(4,235명, 8.37%) 순이며, 이 세 지역에 전체 이공계 석사의 57.94%가 분포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2년) (단위 : 명)
※ 주 : 이공계 대학원생 수는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대학원생 수를 의미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시스템(2022.12 기준)
8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연구개발조직
▣ 2021년도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 수는 6만 3,362개로 2020년(5만 9,572개)에 비하여 6.4% 증가
■ 총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2만 1,889개, 34.5%), 서울(1만 6,100개,
25.4%) 순으로,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의 60.0%가 이 두 지역에 분포
■ 2020년 대비 2021년의 총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20.3%), 세종
(13.6%), 전북(12.3%), 서울(11.5%) 순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81
▣ 2021년 전국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423개로 전년도 411개에 비하여 12개(2.9%) 증가
■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87개, 3.6%), 경기(76개, 1.3%), 충남(29개,
7.4%), 경남(26개, -3.7%) 순
■ 2020년 대비 2021년의 대학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분은 서울(3개), 대구(2개), 인천(2개),
강원(2개), 충남(2개), 대전(1개), 울산(1개), 세종(1개), 경기(1개), 전북(1개) 10개 지역이 증
가했으며, 전년 대비 변동이 없는 부산, 광주, 충북, 제주를 제외한 3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8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전국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89개로 2020년(663개)에 비하여 3.9%
증가
■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29개, 18.7%), 경기(75개,
10.9%), 경북(47개, 6.8%), 대전(46개, 6.7%) 순
■ 2020년 대비 2021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조직 수는 대구(3개, -9.7%)와 세종(1개, -5.3%)
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전년 대비 증가 또는 유지하였으며,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
(2개, 12.5%), 경기(7개, 10.3%), 충북(3개, 9.7%), 충남(2개 9.1%) 순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83
▣ 2021년 전국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만 2,250개로 2020년(5만 8,498개)에 비하여
6.4% 증가
■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은 경기(2만 1,738개, 34.9%), 서울(1만 5,884개, 25.5%) 지역에 집
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전년 대비 2021년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
(22.1%), 세종(14.9%), 전북(12.9%), 서울(11.6%) 순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개)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8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지식창출 성과
▣ 공저자 기준 2021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수는 총 12만 1,314건이며, 서울 지역이 4만 742
건(33.6%)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서울 다음으로는 경기(1만 7,673건, 14.6%), 대전(1만 1,183건, 9.2%), 부산(6,024건, 5.0%)
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논문 1편당 피인용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80)이며, 경북(2.86), 서울(2.74), 대전(2.57)
지역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음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21년) (단위 : 건, 횟수)
※ 주 : 논문 발표 건수 및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공저자 기준
※ 출처 : KAIST(2021~2022),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2022.12월)
REGIONAL S&T YEARBOOK 2022 85
▣ 2021년 국내 전체 특허 출원 수는 총 18만 6,245건이며, 이 중 경기(5만 7,830건, 31.1%), 서
울(5만 4,042건, 29.0%) 지역이 전체의 60.1%를 차지
■ 2020 대비 2021년 증가율은 전남(12.8%), 충북(7.4%), 경기(5.7%) 순으로 높으며, 울산
(-11.6%), 전북(-3.9%), 부산(-2.6%)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11개, 전체의 0.01%)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8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국내 전체 특허 등록 수는 총 11만 351건이며, 이 중 경기(3만 4,663건, 31.4%) 및 서
울(3만 1,576건, 28.6%) 지역이 전체의 60.0%를 차지
■ 2020년 대비 2021년 증가율은 세종(17.0%), 충남(13.4%), 전남(10.2%) 등 대부분 지역이 증
가 하였으며, 제주(-3.1%), 광주(-1.6%), 대구(-1.5%)등 일부 지역은 감소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20년~2021년) (단위 : 건)
※ 주 : 교포 등 기타(635개, 전체의 0.6%)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REGIONAL S&T YEARBOOK 2022 87
▣ 연구원 1인당 특허 등록 수는 전남(0.35건), 충남(0.26건), 경북(0.22건) 순으로 높으며,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은 전남(2.58건), 강원(2.49건), 부산(2.03건) 순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21년) (단위 : 건)
※ 출처 : 2021년 연구개발활동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비, 연구원 수), 특허청(특허등록 건수)
8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경제적 성과
▣ 2021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51.5백만 원), 충남(49.5백만 원), 서
울(41.3백만 원) 순
■ 2020년 대비 2021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증가한 지역은 충북(7.09%), 인천(6.10%),
대구(5.83%), 광주(5.28%), 울산(4.87%) 순이며, 나머지 12개 지역 모두 증가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20년~2021년) (단위 : 백만원/명)
※ 주1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는 실질 부가가치 기준으로 하며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통계정보를 기준으로 함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및 요소소득(22.12.26 갱신)
REGIONAL S&T YEARBOOK 2022 89
▣ 20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건수는 총 2만 1,519건이며, 그 중 경기(4,727건, 22.0%)
및 서울(2,927건, 13.6%) 지역이 전체 사업화 건수의 35.6%를 차지
■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의 평균은 1,266건으로, 경기, 서울 외에 대전(1,918
건), 전북(1,671건)이 평균보다 높은 사업화 건수를 기록
■ 2020년 대비 2021년에는 세종(66.1%, 109건) 증가 외의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으며, 증감률
은 광주(-12.3%, -136건), 전북(-17.1%, -344건), 인천(-18.5%, -458건) 순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20~2021년) (단위 : 건)
※ 주 : 지역분류가 기타(분산수행되어 지역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사업화 실적 제외
※ 출처 : 2021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9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의 총합은 8,308건, 기술료 징수액은 총 2,523억 원으로 기술
이전 1건당 약 0.30억 원의 기술료 징수
■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883건, 22.7%), 경기(1,681건, 20.2%),
대전(1,273건, 15.3%), 전북(429건, 5.2%)순으로 나타남
■ 시・도별 기술료 징수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589억 원, 23.3%), 대전(489억 원, 19.4%),
경기(390억 원, 15.4%), 충북(307억 원, 12.2%)순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21년) (단위 : 건, 억원)
1,883
398
323
260
342
1,273
82
23
1,681
157
229 265
429
167
339
398
59
589
82 81
57
125
489
36
3
390
35
307
49 56
29
99 90
7 -
100
200
300
400
500
600
-
500
1,000
1,500
2,000
2,500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021년 기술료 징수 건수 2021년 기술료 징수액
(단위: 건) (단위: 억원)
※ 주 : 지역 분류가 기타(분산 수행되어 지역 분류가 불가능)와 해외로 입력된 과제 등 지역이 분류되지 않은 과제에서 발생한 기술료 징수건수는 제외
※ 출처 : 2021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제1절 서울특별시
제2절 부산광역시
제3절 대구광역시
제4절 인천광역시
제5절 광주광역시
제6절 대전광역시
제7절 울산광역시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제9절 경기도
제10절 강원도
제11절 충청북도
제12절 충청남도
제13절 전라북도
제14절 전라남도
제15절 경상북도
제16절 경상남도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3
REGIONAL S&T YEARBOOK 2022 93
3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 17개 각 광역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선정, 해당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
■ 지역별 과학기술 진흥 척도로서 분석 지표들을 활용하고 향후 유관 정책 수립에 근거 자료로
활용
▣ 분석 대상 지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역 산업 현황
인구현황
∙ 인구수
∙ 전국대비 비율
∙ 경제활동참가율
∙ 실업률
산업현황
∙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구조
∙ 특화제조업
∙ 지자체 중점전략분야
∙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투입지표
∙ 과학기술자원
∙ 조직체계
∙ 과학기술 투자
과학기술 하부구조
∙ 연구개발조직 현황
∙ 대학
∙ 주요 R&D 거점 현황
성과
특허
∙ 특허 출원
∙ 특허 등록
논문 현황
∙ 논문수 및 점유율
∙ 피인용수
∙ 1인당 피인용수
9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절 서울특별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서울의 인구는 약 950만 명으로 작년 대비 감소
- 전국인구대비 서울 인구의 비중은 2010년부터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임
표 3-1-1 ❙ 서울특별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9,766,399 9,697,449 9,657,296 9,617,795 9,501,528
전국대비비율(%) 19.01 18.80 18.66 18.55 18.36
경제활동참가율(%) 63.1 62.6 62.7 62.1 62.3
실업률(%) 4.5 4.8 4.4 4.6 4.8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성 및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9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서울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3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64%의 증가율을 나타냄
- 서울의 경우 기타서비스업이 전체의 2/3 이상을 차지하여 산업구조의 중심을 이루고 있음
표 3-1-2 ❙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389,584,629 403,605,888 414,092,568 417,638,547 432,406,018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98,611 460,226 439,078 399,390 442,544
(지역내비중,%) (0.10) (0.11) (0.11) (0.10) (0.10)
제조업 15,370,138 15,095,113 15,212,795 14,172,140 14,688,588
(지역내비중,%) (3.95) (3.74) (3.67) (3.39) (3.40)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912,500 1,994,744 2,315,887 2,790,705 3,076,417
(지역내비중,%) (0.49) (0.49) (0.56) (0.67) (0.71)
건설업 11,807,884 12,142,426 11,873,481 11,757,747 10,672,652
(지역내비중,%) (3.03) (3.01) (2.87) (2.82) (2.47)
기타서비스업 277,987,889 288,811,798 297,857,669 299,504,924 310,878,764
(지역내비중,%) (71.35) (71.56) (71.93) (71.71) (71.9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9,430,697 50,902,502 52,980,372 52,221,729 54,245,975
(지역내비중,%) (12.69) (12.61) (12.79) (12.50) (12.55)
순생산물세 32,762,686 34,324,997 33,741,615 37,799,356 39,925,664
(지역내비중,%) (8.41) (8.50) (8.15) (9.05) (9.23)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9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서울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9조 1,820억 원이고, 3,95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0만 2,761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이 생산액(약 10조 7,937억 원, 36.99%), 사업체 수(1,085
개, 27.47%), 종사자 수(2만 8,549명, 27.78%)의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
표 3-1-3 ❙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648,600 5.65 169 4.28 4,591 4.47
음료 제조업 183,498 0.63 9 0.23 179 0.1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975 0.02 2 0.05 0 0.0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7,853 0.34 375 9.49 8,289 8.0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25,918 0.77 37 0.94 1,011 0.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59,222 1.92 76 1.92 1,451 1.4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8,826 1.09 15 0.38 576 0.56
1차 금속 제조업 38,326 0.13 19 0.48 195 0.19
전기장비 제조업 1,472,677 5.05 242 6.13 6,568 6.3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92,632 6.83 272 6.89 7,726 7.5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4,309 0.49 12 0.30 130 0.1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65,945 0.23 10 0.25 86 0.08
가구 제조업 202,564 0.69 24 0.61 569 0.55
기타 제품 제조업 1,120,497 3.84 247 6.25 5,656 5.5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590 0.14 17 0.43 177 0.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92,668 3.40 156 3.95 3,227 3.1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15,233 2.45 132 3.34 2,393 2.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60,687 3.98 183 4.63 3,649 3.5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58,277 5.00 312 7.90 8,705 8.4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793,657 36.99 1,085 27.47 28,549 27.7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284,489 11.26 336 8.51 10,922 10.6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5,696 0.09 3 0.08 0 0.0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70,990 1.27 100 2.53 2,088 2.0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260,941 7.75 117 2.96 3,494 3.40
합 계 29,182,070 100 3,950 100 102,761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조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9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기타 제품 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의
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4 ❙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식료품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
약품 제외
낮음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
조업
∙ 음료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
구 제외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9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서울시는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 ❙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
혁신성장펀드 조성 운영(4차 산업혁명 펀드)
서울형 R&D 지원(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서울혁신챌린지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사업(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사업)
※ 출처 : 서울특별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로 서울디지털(한국수출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인 마곡산업단지와 서울온
수산업단지, 강동산업단지 3개가 서울에 위치
- 총 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2,161개, 총 종사자 수는 185,596명
표 3-1-6 ❙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한국수출산업 1,925 1,925 13,044 11,820 145,463 100 완료
일반 서울온수 158 158 214 214 1,620 100 완료
일반 마곡 1,124 1,124 200 127 38,873 83 조성중
일반 강동 78 78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2 99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서울시에는 총 10,231개의 벤처기업이 위치해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를 제외하
고 가장 많은 수임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 분야가 4,932개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464개, ‘도매 및 소매업’ 71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478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331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238개)부분에 상대적
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 ❙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11 16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40 149 156
음료 제조업 13 14 1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7 69 6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94 200 15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55 70 6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10 9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7 25 2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7 40 3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43 266 23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8 95 8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0 78 7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11 10
1차 금속 제조업 10 13 1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4 57 4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31 537 47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89 354 331
10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전기장비 제조업 279 245 21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29 207 20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 11 1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1 30 22
가구 제조업 20 25 30
기타 제품 제조업 175 222 18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2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4 4 4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8 7
건설업(41~42) 161 183 156
도매 및 소매업(45~47) 523 618 715
운수 및 창고업(49~52) 29 29 3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5 20 30
정보통신업(58~63) 4,696 4,958 4,932
금융 및 보험업(64~66) 32 35 45
부동산업(68) 12 13 1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344 1,465 1,46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36 119 10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1 1 -
교육 서비스업(85) 113 148 13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6 6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65 76 7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2 24 2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1 -
총합계 9,880 10,450 10,231
REGIONAL S&T YEARBOOK 2022 10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서울은 경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연구개발인력을 보유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20만 5,425명으로 ’17년부터 ’21년까지 총연구개발인력은 계속 증가 추세
를 보임
-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6.17%이며 ’21년 전국대비 비중은 전국의 26.15% 차지
- 연구주체별로 기업 연구개발인력은 12만 2,093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7만 4,870명, 공공연구
소 8,462명으로, 주체별 총계에 대한 전국대비 비중은 각각 23.99%, 35.62%, 12.71%로 나타남
표 3-1-8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4,749 34.88 67,541 35.10 68,830 35.45 74,086 35.79 74,870 35.62
∙ 국공립 14,460 18.92 16,510 20.78 16,800 21.03 18,022 20.81 18,158 20.91
∙ 사립 50,289 46.04 51,031 45.16 52,030 45.55 56,064 46.56 56,712 45.99
공공연구소 8,288 14.85 7,978 13.66 8,347 13.37 7,638 11.91 8,462 12.71
∙ 국공립 329 3.07 325 2.66 345 2.68 365 2.85 376 2.86
∙ 정부출연 3,794 11.85 3,349 10.28 3,474 10.08 2,997 8.83 3,102 9.15
∙ 병원 및 기타 4,165 31.79 4,304 31.70 4,528 30.05 4,276 24.62 4,976 25.87
기업 88,617 21.68 98,116 22.29 103,134 22.31 108,893 22.87 122,093 23.99
∙ 정부투자기관 122 3.11 175 4.48 176 4.58 177 4.73 225 5.82
∙ 민간기업 88,495 21.86 97,941 22.45 102,958 22.46 108,716 23.01 121,868 24.13
합 계 161,654 24.86 173,635 25.13 180,311 25.09 190,617 25.51 205,425 26.1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0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서울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4.2명 증가한 159.3명임
표 3-1-9 ❙ 서울특별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21.4 131.3 137.7 145.1 159.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대학, 공공연구소, 기업을 합친 ’21년 서울의 총 연구개발비는 16조 2,043억 원으로 전국의
15.87%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32%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기업은 작년대비 증가하여 ’21년 11조 7,738억 원을
기록하였고,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투자액은 지난해 대비 증가하여 각각 3조 2,530억 원과 1조
1,776억 원을 차지함
- 전국 대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학만 전국 대비 비중이 하락 하여서 34.86%를 차지함
표 3-1-10 ❙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501,918 37.44 2,677,232 37.97 2,600,120 35.27 2,994,226 35.84 3,252,990 34.86
∙ 국공립 807,570 27.30 836,351 27.08 802,306 24.50 956,024 25.33 1,068,815 25.35
∙ 사립 1,694,348 45.49 1,840,880 46.46 1,797,814 43.88 2,038,202 44.52 2,184,175 42.71
공공연구소 1,071,572 11.23 1,021,909 10.38 1,015,931 9.99 1,032,113 9.28 1,177,557 9.82
∙ 국공립 54,516 6.83 47,098 5.79 38,725 4.63 39,677 4.66 43,761 4.52
∙ 정부출연 697,205 9.40 644,888 8.54 591,688 7.58 555,703 6.71 632,129 7.25
∙병원 및 기타 319,852 24.08 329,923 22.28 385,518 25.26 436,734 22.03 501,667 21.71
기업 9,596,183 15.34 9,776,223 14.20 9,828,888 13.75 10,405,652 14.14 11,773,795 14.57
∙정부투자기관 24,494 2.75 29,990 3.30 22,731 2.62 23,121 2.64 24,456 2.85
∙ 민간기업 9,571,689 15.52 9,746,233 14.35 9,806,157 13.88 10,382,531 14.28 11,749,339 14.70
합 계 13,169,674 16.72 13,475,364 15.72 13,444,939 15.10 14,431,991 15.51 16,204,342 15.8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103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서울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조 8,767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20.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13%
표 3-1-11 ❙ 서울특별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
(전국대비비중)
37,019 36,175 38,571 41,715 48,767
(19.0) (18.5) (18.9) (18.4) 20.1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서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소‧벤처‧창업기업 중심 기술개발 지원 다각화
- 서울형 R&D :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지원(120개과제 5,960백만원), 성장단계스케일업 기술사업
화 R&D(2개 과제 500백만원), 캠퍼스타운 기술매칭사업(8개과제 800만원)
- 경쟁형 R&D : 공개평가형(50개과제 2,467백만원), 크라우드펀딩형(84개과제 3,492백만원)
- 혁신성장펀드 : 6개 분야 총 3,050억원(결성 목표액 대비 273% 달성)
■ 비대면 산업 지원, 도시문제 해결 등 서울시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한 지원 강화
- 비대면 R&D 지원(방역의료, 포스트코로나 AI, 블록체인, 핀테크) : 21개 과제 4,100백만원
-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 32개 과제 9,797백만원
- 서울기술연구원 : 신규 정기과제 및 서울시 수요 반영 현안검토·수시과제 68건
■ 창업·중소기업 성장기반 마련을 위한 거점별 R&D 지원 및 인프라 조성
- 홍릉 BT-IT 융합센터 개관(’21.9) 및 클러스터 입주기업 선정(31개사), 교류협력지원(121개사)
- 마곡산업단지 입주 계약 완료(183개사), 마곡 M+센터 준공 및 개관(’21.12.)
- 서울창업허브 창동 운영계획(’21.2) 및 활성화 방안 수립(’21.10.)
10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서울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정책실의 경제정책과와 산학연협력팀에서 담당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표 3-1-12 ❙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54,572 1 46,189 402 24 240 7,196 - 520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105
(나) 역할
표 3-1-13 ❙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와 산학연협력팀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경제정책과
∙ 서울 경제정책 총괄, 서울형 R&D 지원 총괄, 4차산업혁명 대응
∙ 금융산업 지원정책, 콘텐츠 산업 육성, 중소기업 지원
산학연협력팀
∙ 서울시 산학연 R&D 지원,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
∙ 혁신성장펀드(4차산업혁명, 스마트시티) 조성・운영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부처 시행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운영(4차 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 등)
∙ 로봇과학관 건립 및 전시 중장기 계획 수립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서울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 제 11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4차 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의 수립·변경 및 4차 산업혁명 정책방향
- 4차 산업혁명 정책과제 및 과업 추진상황 점검에 관한 사항
- 4차 산업혁명 촉진 관련 재원조달에 관한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2022.11 ~ 2024.11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1회
- 서울특별시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촉식 및 자문회의 개최
10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표 3-1-14 ❙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2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당연직
위 원 김태균 경제정책실장 22.11 ~ 24.11(임명직)
위 원 이혜경 디지털정책관 22.11 ~ 24.11(임명직)
위 원 김현우 서울산업진흥원장 22.11 ~ 24.11(임명직)
위 원 김성현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김용수 (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22.11 ~ 24.11
위 원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정연만 (전)환경부 차관 22.11 ~ 24.11
위 원 김효정 세종사이버대학교 컴퓨터AI공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박화진 숙명여자대학교 공과대학 ICT융합공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 연구소장 22.11 ~ 24.11
위 원 손영숙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유전생명공학과 교수 22.11 ~ 24.11
위 원 조혜경 한성대학교 IT융합공학부 교수 22.11 ~ 24.11
위 원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22.11 ~ 24.11
위 원 이종영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2.11 ~ 24.11
위 원 이숙자 서울특별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위원장 22.11 ~ 24.11
※ 출처 : 서울특별시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10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서울시의 총예산은 80조 8,85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756억 원 규모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34%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서울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99.13%
표 3-1-15 ❙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 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808,855
재정자주도(%) 82.4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75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732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3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99.13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서울시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934억 원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23억 원, 지방비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
권 강화’ 934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1-16 ❙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혁신성장 펀드 조성 운영
서울형 R&D 지원
- 93,370 - 93,37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서울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구성·운영
180 190 - 37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2,250 36,076 - 38,32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서울창업허브 창동 조성・운영
서울기술연구원 운영
- 21,620 - 21,62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경쟁형 R&D 추진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 12,916 - 12,91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 - -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서울산업진흥원 출연 - 54,544 - 54,544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운영
마곡 R&D클러스터 조성
- 54,458 - 54,458
합 계 2,430 273,174 - 275,604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10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서울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6,100개로 전국의 25.4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79% 증가
- 5년간 대학 2개 증가, 공공연구소 5개 증가, 기업 5,783개 증가
표 3-1-17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5 20.73 88 24.11 86 20.72 84 20.44 87 20.57
∙ 국공립 12 13.48 12 15.19 11 13.10 11 12.94 11 12.79
∙ 사립 73 22.74 76 26.57 75 22.66 73 22.39 76 22.55
공공연구소 124 21.79 128 20.92 132 20.56 125 18.85 129 18.72
∙ 국공립 9 7.09 9 6.87 9 6.29 9 6.29 9 5.88
∙ 정부출연 21 13.13 22 13.17 25 14.79 23 14.11 23 13.53
∙ 병원 및 기타 94 33.45 97 30.89 98 29.70 93 26.05 97 26.50
기업 10,101 23.75 12,319 25.38 13,220 24.11 14,230 24.33 15,884 25.52
∙ 정부투자기관 6 12.24 7 16.67 9 16.36 8 14.81 9 15.25
∙ 민간기업 10,095 23.76 12,312 25.39 13,211 24.12 14,222 24.33 15,875 25.53
합 계 10,310 23.70 12,535 25.42 13,438 24.05 14,439 24.24 16,100 25.4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1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서울 소재 대학 수는 51개
- 일반대학 3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 방송통신대, 기술대학 및 기능대학이 각각 1개씩 존재
표 3-1-18 ❙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1 34 3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9 9
방송통신대 1 - - 1
기술대학 - - 1 1
기능대학 - - 1 1
합계 5 1 45 5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서울시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5만 40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7만 1,171명(전체의 9.48%), 공학계열 학생이 15만 7,700명
(전체의 21.02%)
표 3-1-19 ❙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71,171 157,700 228,871 40,333 87,896 50,202 122,928 220,176 750,406
비중(%) 9.48 21.02 30.50 5.37 11.71 6.69 16.38 29.34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11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1년 12월 기준 서울특별시에는 총 45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서울대 11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연세대가 8개, 고려대 5개, 이화여대 및 중앙대가 4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20 ❙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가톨릭대학교
(1개 센터)
2019 빅데이터 기반 암진화 연구센터 MRC
건국대학교
(1개 센터)
2015 인간화 돼지 연구센터 SRC
경희대학교
(2개 센터)
2017 뉴로바이오타 연구센터 MRC
2020 한약물 재해석 암 연구 센터 MRC
고려대학교
(5개 센터)
2015 터널링 나노튜브 연구센터 SRC
2016 나노-생체유체 검사 연구단 ERC
2016 초저에너지 자동차 초저배출 사업단 ERC
2018 극한핵물질연구센터 SRC
2020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 ERC
국민대학교
(2개 센터)
2015 모듈형 스마트 패션 플랫폼 연구센터 CRC
2016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이용한 일주기 ICT 연구센터 ERC
동국대학교
(2개 센터)
2018 암 관해 표적제어 혁신의약품 연구센터 MRC
2018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CRC
서울대학교
(11개 센터)
2016 [지정]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ERC
2017 [지정]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 ERC
2018 식물면역연구센터 SRC
11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2018 코팅기반 화학공정 연구센터 ERC
2018 생체지질 인터액토믹스 연구센터 MRC
2018 치아-치주 복합체 연구센터 MRC
2018 기억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후속] 전략 구조소재 신공정 설계 연구센터 ERC
2020 세포 분해 생물학 연구단 SRC
2020 모듈과 공간의 양자구조 연구센터 SRC
2020 시스템스 노화기전 연구센터 SRC
숙명여자대학교
(1개 센터)
2016 이질성기반 세포적응 연구센터 SRC
숭실대학교
(1개 센터)
2017 지능형 바이오메디컬 무선전력전송 연구센터 ERC
연세대학교
(8개 센터)
2015 응용해석 및 계산 센터 SRC
2015 초정밀 광 기계기술 연구센터 ERC
2016 당 수식화 네트워크 연구센터 SRC
2016 미각연구센터 MRC
2017 반데르발스 물질 연구센터 SRC
2018 비가역적 기후변화 연구 센터 SRC
2018 만성난치질환 시스템의학 연구센터 MRC
2020 에어로겔소재연구센터 ERC
이화여자대학교
(4개 센터)
2017 혼성계면 화학구조 연구센터 SRC
2018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19 세포항상성 연구센터(후속) SRC
2020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MRC
중앙대학교
(4개 센터)
2015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SRC
2018 미생물 생존 시스템 연구센터 SRC
2020 베리곡률 기반 신물성 연구센터 SRC
2020 나노-광 융합 바이오의료 진단 연구센터 ERC
한양대학교
(3개 센터)
2017 세포내외 노화 및 병적환경개선에 의한 조직재생 촉진 연구 MRC
2018 생존 신호정보 연구센터 CRC
2018
초연결사회 위험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사회 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사회 시뮬레이션 시스템
CRC
REGIONAL S&T YEARBOOK 2022 113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서울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1개의 지원센터가 존재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지원센터가 없
는 것으로 조사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
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서울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2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21 ❙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reative Business Center(중앙대) 2020-05-19
서울대학교기술지주㈜ S-INNOVATION(에스이노베이션) 2013-10-18
창업진흥원, 한국엔젤투자협회 TIPS타운(팁스타운) 2015-07-14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5-11
경희대학교 경희창업 보육센터(서울) 2000-12-15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크림슨창업지원단 2000-03-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운창업지원센터 2020-02-03
국민대학교 국민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7
(주)닷네임코리아,창업지원센터 글로벌벤처센터 2012-06-01
서울대학교 덴탈메디케어 창업보육센터 2012-05-01
11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6
마포구청 마포비즈니스센터 2008-07-14
주식회사 비채나 비채나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1
서강대학교 서강비즈니스센터 1999-11-30
서울시립대학교 서대문구-서울시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00-04-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창업보육센터 2000-04-10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0-31
한성대학교 성북구한성대벤처창업지원센터_SHBI 2001-03-12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 2001-01-1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대 창업보육센터 2012-03-05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 2000-01-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트앤디자인테크 창업보육센터(홍익대_서울) 2004-03-17
(재)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2000-01-31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 1999-03-0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5-14
인덕대학교 인덕대학창업지원단 2000-03-31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서울지역센터) 2011-12-23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출판지식 창업보육센터 2014-10-04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7-09-01
호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서울 창업보육센터 2012-05-15
(재)한국기술벤처재단 홍릉벤처밸리 창업보육센터 2001-12-15
REGIONAL S&T YEARBOOK 2022 11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서울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13개소가 운영 중
표 3-1-22 ❙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공립
노원천문우주과학관 공립
서울시립과학관 공립
육영재단어린이회관 사립
LG사이언스홀 사립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 사립
한생연휴먼탐구과학관 사립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 사립
한생연실험누리과학관 사립
한생연인간과로봇과학관 사립
한생연생명과학박물관 사립
충우곤충박물관 사립
과학동아천문대 사립
롯데월드아쿠아리움 사립
아쿠아플라넷 63 사립
코엑스아쿠아리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과 명단(2022.10. 기준)
11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서울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2년 서울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2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6,940명임
표 3-1-23 ❙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338 302 264 367 328
수혜자 수 5,431 4,427 5,265 5,485 6,940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117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서울시 특허출원 건수는 5만 4,042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만 1,576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20년 대비 각각 1.7%, 7.8% 증가
표 3-1-24 ❙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48,030 47,288 45,482 47,123 52,270 53,124 54,042
특허등록 건수 22,305 25,087 27,527 25,224 26,483 29,293 31,57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서울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만 742편, 주저자 기준 2만 5,074편으로 점
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1.19%, 39.51%를 차지
표 3-1-25 ❙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1,589 51.85 634,788 20.10 20,836 41.18 317,259 15.23
2018 32,483 50.91 540,339 16.63 20,912 39.83 269,345 12.88
2019 34,755 51.68 435,098 12.52 22,070 40.21 217,042 9.83
2020 37,523 50.89 313,247 8.35 23,417 39.24 141,865 6.06
2021 40,742 51.19 111,821 2.74 25,074 39.51 50,291 2.0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11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추진목표
■ R&D 지원 범위 확대 및 연계사업 추진을 통한 중・장기 산업경쟁력 강화
■ 홍릉・마곡・창동 등 거점별 지원체계 확립 및 활성화를 통한 기술개발 지원 강화
■ 서울 소재 중소・벤처・창업기업의 위기극복 지원을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
▣ 중점 정책 및 사업방향
■ 사업간 연계 및 지원범위 확대를 통한 중소기업의 위기극복 및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의 경제환경 위기극복을 위한 기술상용화 및 비대면분야 R&D 지원 지속
- 클러스터 확대에 따른 로봇, 미디어콘텐츠 등 신성장산업 R&D 지원
- 서울형 R&D 우수과제와 혁신성장펀드의 투자 연계로 기업 지원효과 극대화
- 캠퍼스타운-기술상용화지원 연계 창업기업 혁신 아이디어의 기술매칭 추진
■ 홍릉・마곡・창동 등 거점별 활성화를 추진
- 홍릉・마곡 거점센터 운영 본격화에 따른 기업지원 강화
- 뉴미디어 마케팅 기반 스타트업 거점 센터로 서울창업허브 창동 특화 운영
- 테스트베드사업 연계를 통한 거점별 수요과제에 대한 실증장소 연계・제공
■ 환경변화 및 현장수요를 고려한 융합인재 양성
- AI 저변확대를 위한 현장 실무전문성 및 융합연계 능력을 갖춘 AI 인재 양성
- 창의융합인재 육성 교육 및 기후위기대응교육 등 서울시립과학관 프로그램 운영
- 이동과학버스 본격화, 온라인 컨텐츠 개발 및 보급 등 교육 접근성 강화
■ 4차산업혁명 대응 서울시 과학기술혁신 지원체계 강화
- 4차산업혁명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한 서울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확립
- STIS 고도화를 통한 서울시 R&D 성과관리 및 정보제공 기능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2 119
제2절 부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부산의 인구는 약 333만 명으로 작년 대비 소폭 감소
- 전국대비 비율 모두 2010년부터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임
표 3-2-1 ❙ 부산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3,424,409 3,403,116 3,381,208 3,355,632 3,327,350
전국대비 비율(%) 6.67 6.60 6.53 6.48 6.43
경제활동참가율(%) 59.0 58.1 58.8 58.1 58.2
실업률(%) 4.6 4.1 3.7 4.2 3.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12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부산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87.9조 원이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0.71%
- 부산시 산업 구조는 기타서비스업이 지역내 총생산의 48.83%로 거의 절반을 차지
표 3-2-2 ❙ 부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 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85,441,974 86,889,875 89,105,372 85,962,709 87,906,722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32,262 453,226 397,021 423,607 483,446
(지역내비중, %) (0.62) (0.52) (0.45) (0.49) (0.55)
제조업 14,318,723 14,187,013 14,663,793 13,906,542 14,042,995
(지역내비중, %) (16.76) (16.33) (16.46) (16.18) (15.9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622,172 1,730,861 1,675,381 2,220,222 2,182,654
(지역내비중, %) (1.90) (1.99) (1.88) (2.58) (2.48)
건설업 4,819,775 4,868,200 4,838,008 4,364,889 4,203,186
(지역내비중, %) (5.64) (5.60) (5.43) (5.08) (4.78)
기타서비스업 41,791,054 42,973,636 44,093,390 41,630,253 42,927,458
(지역내비중, %) (48.91) (49.46) (49.48) (48.43) (48.83)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6,015,631 16,492,769 17,102,926 17,142,523 17,931,397
(지역내비중, %) (18.74) (18.98) (19.19) (19.94) (20.40)
순생산물세 6,388,458 6,284,848 6,428,341 6,466,985 6,442,771
(지역내비중, %) (7.48) (7.23) (7.21) (7.52) (7.33)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12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부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9조 3,532억 원이고 3,99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2만
9,88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측면에서 ‘1차 금속 제조업’이 6조 1,397억 원(전체 15.60%),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695개(17.38%), 종사자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만 9,160명(전체
14.7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2-3 ❙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070,587 7.80 290 7.25 9,272 7.14
음료 제조업 220,388 0.56 12 0.30 229 0.1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3,229 0.67 33 0.83 606 0.4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137 0.01 47 1.18 701 0.5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0,544 0.51 13 0.33 191 0.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34,403 5.93 297 7.43 8,469 6.5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00,911 1.53 75 1.88 1,488 1.15
1차 금속 제조업 6,139,717 15.60 302 7.55 10,059 7.74
전기장비 제조업 2,669,849 6.78 253 6.33 8,040 6.1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085,981 12.92 695 17.38 19,160 14.7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136,556 13.05 257 6.43 9,112 7.0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922,807 4.89 109 2.73 3,096 2.38
가구 제조업 131,384 0.33 35 0.88 559 0.43
기타 제품 제조업 143,096 0.36 54 1.35 1,181 0.9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548,924 1.39 110 2.75 1,924 1.4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51,815 1.91 147 3.68 3,835 2.9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58,315 9.04 611 15.28 14,796 11.3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36,791 2.89 201 5.03 5,951 4.5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47,657 3.93 101 2.53 3,364 2.5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59,216 1.42 183 4.58 4,948 3.8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233,785 3.14 49 1.23 1,308 1.0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1,317 0.82 6 0.15 60 0.0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39,506 0.61 53 1.33 1,019 0.7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532,239 3.89 66 1.65 2,619 2.02
합 계 39,353,154 100 3,999 100 129,887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12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산업임
표 3-2-4 ❙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
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
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식료품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음료제조업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가구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12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부산시는 ‘지능형기계(정밀기계, 스마트팩토리, 하이테크소재, 로봇)’와 ‘클린테크(에너지시
스템, 에너지저장 및 서비스, 환경대응)’, ‘스마트해양(친환경스마트선박, 항만물류, 해양바이
오, 수산가공)’, ‘지능정보서비스(서비스플랫폼 콘텐츠, 스마트금융)’, ‘라이프케어(스마트헬
스케어, 리빙케어,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2-5 ❙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스마트 해양
(친환경스마트선박, 항만물류, 해양바이오,
수산가공)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다목적 해상실증 플랫폼 구축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스마트양식 기반 조성
지능형 기계
(정밀기계, 스마트팩토리, 하이테크소재, 로봇)
친환경 고효율 공기조화기부품기술 고도화지원
부산표면처리 고도화지원
청정공기산업특화를 통한 기업육성 및 신시장 창출 기반구축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지원
미래수송기기
(자율주행차, 전기자동차, 항공, 드론)
극한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기술기반구축
전기차 e-파워트레인 허브센터 구축
DaaS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
수소전기차 부품산업 육성기술지원
지능정보서비스
(서비스플랫폼, 콘텐츠, 스마트금융)
전기차 안전편의부품 고도화 기술지원
부산문화콘텐츠 스타프로젝트 운영
부산콘텐츠아카데미 운영
부산문화콘텐츠콤플렉스 운영지원
지식서비스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라이프케어
(스마트헬스케어, 리빙케어, 라이프스타일)
지역SW산업진흥 지원사업
고령친화용품 산업화지원 기반구축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 사업
중입자가속기구축 지원
말초신경병증연구센터 지원사업
의료 빅데이터‧AI기반 시기능 이상 조기발견 기술개발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구축
※ 출처 : 부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0년 실적점검 및 2021년 시행계획
12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 30개, 도시첨단단지 4개 및 농공단지 1개가 있음
- 36개 단지의 가동 업체는 8,971개, 총 종사자는 128,044명
표 3-2-6 ❙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명지·녹산 8,841 8,814 1,504 1,427 28,337 100 완료
일반
부산과학 1,967 1,967 226 224 4,857 98 완료
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
물류도시(1단계)
5,711 5,612 574 543 9,887 85 완료
명례 1,566 1,566 82 69 1,560 100 완료
산양 54 54 0 0 0 50 조성중
신평ㆍ장림 2,815 2,815 698 614 14,416 100 완료
센텀시티 1,178 1,178 2,215 2,215 15,597 100 완료
풍상 61 61 3 3 101 100 완료
생곡 557 557 103 100 1,116 100 완료
명동지구 506 506 12 0 0 0 조성중
미음지구 3,849 3,848 435 422 8,671 84 완료
동남권방사선의과학 1,479 1,096 21 0 0 52 조성중
부산신소재 256 256 4 4 396 100 완료
반룡 547 547 75 75 1,276 100 완료
오리 608 538 65 35 1,143 74 완료
기장대우 344 344 1 0 0 100 조성중
에코장안 201 201 23 8 520 100 완료
정주 97 97 2 2 X 100 완료
사상공업지역[재생사업지구] 3,021 3,021 2,104 2,104 16,640 100 완료
성우(구:거화) 64 63 17 17 175 100 완료
기룡 83 83 1 1 X 100 완료
기룡2 46 46 2 1 X 100 완료
장안 1,301 1,301 90 90 3,588 100 완료
정관 1,209 1,209 214 214 3,816 100 완료
정관코리 84 84 4 3 125 100 완료
신호 3,121 3,121 78 78 3,38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125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부산시에는 총 1,662개의 벤처기업이 위치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 분야에 282개 업체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64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52개), ‘전기 장비 제조업’(119개), ‘금속 가공제
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2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이 분포
표 3-2-7 ❙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전지구 2,448 2,448 311 311 6,390 100 완료
강서보고 104 104 21 21 194 100 완료
지사글로벌 417 417 0 0 0 0 조성중
강서해성 104 104 0 0 0 0 미개발
지사2(구 진우) 99 99 18 18 176 100 완료
도시
첨단
부산에코델타시티 659 659 1 1 X 9 조성중
회동.석대 229 228 119 119 2,373 100 완료
모라 11 11 220 220 1,475 100 조성중
금곡 46 46 0 0 0 0 조성중
농공 정관 258 258 33 32 1,834 100 완료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3 4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2 89 59
음료 제조업 5 4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6 37 2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6 18 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40 36 3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7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 11 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 13 6
12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2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90 80 6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9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3 66 5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5 10 11
1차 금속 제조업 43 47 3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66 141 9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8 79 6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8 74 72
전기장비 제조업 156 142 11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67 316 25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2 37 3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0 75 60
가구 제조업 6 4 3
기타 제품 제조업 44 63 5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7 4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4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6 4
건설업(41~42) 50 44 37
도매 및 소매업(45~47) 42 52 43
운수 및 창고업(49~52) 5 4 3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318 307 282
금융 및 보험업(64~66) 1 3 3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23 195 16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3 17 1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8 12 16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7 8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227 2,024 1,662
REGIONAL S&T YEARBOOK 2022 12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부산의 연구개발인력은 전국 8위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5,223명으로 전국 대비 비중 3.21%이며 ’17년부터 ’21년의 최근 5년
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5.30%로 증가 추세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대학 10,682명(전국의 5.08%), 공공연구소 2,690명(전국의 4.04%), 기업 1만
1,851명(전국의 2.33%)으로 나타남
표 3-2-8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053 4.88 9,321 4.84 9,313 4.80 9,943 4.80 10,682 5.08
∙ 국공립 4,600 6.02 4,689 5.90 4,980 6.23 5,245 6.06 5,771 6.64
∙ 사립 4,453 4.08 4,632 4.10 4,333 3.79 4,698 3.90 4,911 3.98
공공연구소 1,769 3.17 2,386 4.09 2,385 3.82 2,688 4.19 2,690 4.04
∙ 국공립 459 4.29 480 3.92 409 3.17 391 3.05 376 2.80
∙ 정부출연 602 1.88 1,202 3.69 1,286 3.73 1,248 3.68 1,301 3.84
∙ 병원 및 기타 708 5.40 704 5.19 690 4.58 1,049 6.04 1,013 5.27
기업 9,693 2.37 11,084 2.52 11,417 2.47 11,938 2.51 11,851 2.33
∙ 정부투자기관 - - - - 10 0.26 21 0.56 8 0.21
∙ 민간기업 9,693 2.39 11,084 2.54 11,407 2.49 11,917 2.52 11,843 2.35
합 계 20,515 3.15 22,791 3.30 23,115 3.22 24,569 3.29 25,223 3.2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2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부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7명 증가한 52.3명으로 조사됨
표 3-2-9 ❙ 부산광역시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42.0 48.1 48.8 51.6 52.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부산의 총 연구개발비는 1조 7,627억 원으로 전국의 1.73%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87 %
- 연구주체별로 살펴보면 대학의 연구개발비는 4,598억 원(전국의 4.93%), 공공연구소는 4,471 억
원(전국의 3.73%),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8,558억 원(전국의 1.06%)으로 나타남
표 3-2-10 ❙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22,944 6.33 380,463 5.40 384,992 5.22 422,003 5.05 459,778 4.93
∙ 국공립 279,063 9.43 263,417 8.53 263,124 8.04 294,383 7.80 315,431 7.48
∙ 사립 143,881 3.86 117,046 2.95 121,868 2.97 127,620 2.79 144,347 2.82
공공연구소 317,280 3.32 431,635 4.38 403,748 3.97 459,805 4.14 447,122 3.73
∙ 국공립 112,669 14.12 104,957 12.90 99,354 11.89 139,378 16.37 122,004 12.61
∙ 정부출연 134,766 1.82 235,405 3.12 224,339 2.87 231,453 2.79 244,388 2.80
∙ 병원 및 기타 69,845 5.26 91,273 6.16 80,055 5.24 88,974 4.49 80,730 3.49
기업 663,049 1.06 732,825 1.06 792,966 1.11 815,026 1.11 855,837 1.06
∙ 정부투자기관 - 0.00 - 0.00 1,142 0.13 2,208 0.25 1,230 0.14
∙ 민간기업 663,049 1.08 732,825 1.08 791,824 1.12 812,818 1.12 854,607 1.07
합 계 1,403,273 1.78 1,544,922 1.80 1,581,706 1.78 1,696,834 1.82 1,762,737 1.7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129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부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4.1%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42%
표 3-2-11 ❙ 부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7,798 8,765 9,120 9,626 10,002
(4.0) (4.5) (4.5) (4.2) (4.1)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 [스마트 해양] 다목적 해상실증 플랫폼 구축(144억원),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108억
원), 스마트양식 기반 조성(100억원)
- [지능정보서비스] SW중심대학 지원(83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63억원),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51억원)
- [지능형 기계]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지원(106억원), 청정공기산업특화 기반구
축(58억원), 극한환경용 부식제어융합기술기반구축(49억원)
- [라이프케어]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223억원),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108억원), 수
출용 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92억원)
- [미래수송기기] 전기차 e-파워트레인 허브센터 구축(64억원), DaaS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57
억원), 전기차 안전편의부품 고도화 기술지원(32억원)
- [클린테크] 파워반도체 생산플랫폼 구축(120억원), 신에너지 산업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 구축
(104억원),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 기반 구축(40억원)
13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전통 주력산업(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R&D투자
-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지원(212억원)
-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혁신 플랫폼 구축(31억원)
- 친환경 파워트레인 생산시스템 및 핵심부품개발 지원(15억원)
- 신발피혁연구사업 지원(9억원)
■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422억원)
-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 양성(11억원)
- 육·해상 풍력터빈 O&M기술 고급인력 양성(10억원)
- 융합기술 사업화 확산형 전문인력 양성(8.5억원)
■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68억원)
- 대학 내 산학연 협력단지 조성(27억원)
- 시장수요 맞춤형 개방형연구실(20억원)
- STEM 빌리지 조성(12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2 131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부산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디지털경제혁신실과 미래기술혁신과에서 담당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표 3-2-12 ❙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682 2 16,696 244 40 69 3,631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1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2-13 ❙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혁신실 혁신경제과와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디지털
경제혁신실
∙ 경제정책 수립, 일자리기획, 사회적기업육성, 투자유치 프로젝트 기획, 전통시장 관리
미래산업국 ∙ 산업정책수립, 산업단지대개조, 중소기업육성, 지역산업진흥계획, 지역혁신성장계획,
혁신경제과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개발특구 지정 및 운영, 연구개발 조정회
의 운영, R&D 예산배분조정,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과학문화업무 총괄 등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부산과학기술진흥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 관련 계획, R&D사업 기획/평가, R&D예산 투자 효율화 등
과학기술정책 자문 및 심의・의결
■ 위원장 및 위원 임기 : 위원장(시장, 당연직), 부위원장(디지털경제혁신실장, 당연직), 위원(2
년,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 15회
- 본위원회(1회, ’22.12.22.) : 제2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외
- 운영위원회(5회, ’22.1/3/4/6/12월 ) : 제2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안) 외, 부산시 제5차 지
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1년도 추진실적 및 ’22년도 시행계획(안), 부산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분과위원회 위원 구성 변경(안), 제1차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1년도 추진실적 및 ’22년도
시행계획(안), ’21년도 부산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실식획(안)
- 기획전략위원회(6회, ’22.3/5/7/8/10월) : ’21년도 기획 완료사업 39건의 사업 유치지원 여부,
’22년 대외협력기획 지원사업 전문가위원회 평가 결과(2건) 및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선정평가
결과(13건)의 기획지원 여부, ’22년 대외협력기획지원사업 최종평가위원회 평가결과(안), ’22년
네트워크 기반 신규R&D 기획완료 과제 유치지원(안), ’22년 통합전문평가위원회 평가결과(안),
’22년 전문가평가위원회 평가결과(안)
REGIONAL S&T YEARBOOK 2022 133
- 평가조정위원회(3회, ’22.5/7/9월) : ’22년 부산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 기본방향(안), ’23년 부산
시 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안), ’23년도 부산시 R&DdP산 배분·조정(안)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2-14 ❙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2년 10월 기준)
※ 출처 : 부산광역시 내부자료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형준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이준승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서용철 부산산업과학혁신원 2021.09.23.~2023.9.22.
위원 도용회 부산광역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2021.09.23.~2023.9.22.
위원 강기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1.09.23.~2023.9.22.
위원 권기룡 부경대학교(IT융합응용공학부) 2021.09.23.~2023.9.22.
위원 김도훈 부경대학교(해양수산경영학과) 2021.09.23.~2023.9.22.
위원 김종복 ㈜동남의화학연구원 2021.09.23.~2023.9.22.
위원 김형균 (재)부산테크노파크 2021.09.23.~2023.9.22.
위원 박인덕 한국기계연구원 2021.09.23.~2023.9.22.
위원 박진국 부산일보 2021.09.23.~2023.9.22.
위원 오현주 국립수산과학원(기후변화연구과) 2021.09.23.~2023.9.22.
위원 이석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1.09.23.~2023.9.22.
위원 이언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21.09.23.~2023.9.22.
위원 이정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1.09.23.~2023.9.22.
위원 이진규 부산대학교 2021.09.23.~2023.9.22.
위원 하경자 부산대학교(대기환경과학과) 2021.09.23.~2023.9.22.
위원 황성주 연세대학교(약학대학) 2021.09.23.~2023.9.22.
13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부산시의 총 예산은 약 29조 5,917억 원으로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529억원
- 지역 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2%
- 과학기술 예산 중 부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0.46%
표 3-2-15 ❙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295,917
재정자주도(%) 65.1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02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29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0.46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135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부산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002억 원을 투자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국비는 1,090억 원, 지방비 63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2-16 ❙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CENTAP 운영 80 1,290 - 1,37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재)부산산업과학혁신원 운영지원
조선해양 경량고성능 소재혁신 플랫폼 구축
2,180 7,907 428 10,51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원전해체인력양성지원 - 43 10 53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SW중심대학 지원 사업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62,138 3,852 5,958 71,94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
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
국립부산과학관운영지원
52,511 41,283 14,695 108,48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부산스마트공장 보급확산지원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109,049 63,202 27,960 200,21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사업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24,170 5,484 3,520 33,174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전기차 e-파워트레인 부품기술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조성
23,007 13,505 8,236 44,74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 육성사업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부산)
12,290 16,335 2,818 31,443
합 계 285,424 152,901 63,624 501,95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부산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560개로 전국의 4.04%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9.05% 증가
- 5년간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740개 증가
표 3-2-17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 5.61 24 6.58 24 5.78 23 5.60 23 5.44
∙ 국공립 5 5.62 5 6.33 5 5.95 5 5.88 5 5.81
∙ 사립 18 5.61 19 6.64 19 5.74 18 5.52 18 5.34
공공연구소 29 5.10 35 8.73 35 5.45 39 5.88 39 5.66
∙ 국공립 6 4.72 6 8.33 5 3.50 4 2.80 5 3.27
∙ 정부출연 11 6.88 12 15.79 12 7.10 11 6.75 11 6.47
∙ 병원 및 기타 12 4.27 17 5.41 18 5.45 24 6.72 23 6.28
기업 1,758 4.13 2,241 4.62 2,376 4.33 2,524 4.31 2,498 4.01
∙ 정부투자기관 - - - - 1 1.82 2 3.70 2 3.39
∙ 민간기업 1,758 4.14 2,241 4.62 2,375 4.34 2,522 4.32 2,496 4.01
합 계 1,810 4.16 2,300 4.67 2,435 4.36 2,586 4.34 2,560 4.0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137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부산 소재 대학 수는 21개
- 일반대학 12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가 존재
표 3-2-18 ❙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9 1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8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7 2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 부산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7만 2,639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5,502명(전체의 약 8.98%), 공학계열 학생이 4만 5,729명
(전체의 약 26.49%)
표 3-2-19 ❙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5,502 45,729 61,231 18,770 18,813 9,802 16,689 47,334 172,639
비중(%) 8.98 26.49 35.47 10.87 10.90 5.68 9.67 27.42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3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인 지
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에 부산광역시에는 총 8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동아대에 1개, 부경대에 1개, 부산대에 6개 센터 설치・운영
표 3-2-20 ❙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동아대학교
(1개 센터)
2016 말초신경병증 연구센터 MRC
부경대학교
(1개 센터)
2022 스마트짐 기반 액티브 시니어 헬스케어 중개연구 센터 RLRC
부산대학교
(6개 센터)
2019 설계기반 미래성형 기술개발 센터 ERC
2018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ERC
2018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친환경스마트선박부품기술혁신센터 RLRC
2021 컬러변조 초감각 인지기술 선도연구센터 ERC
2022 암세포 다양성 분자제어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2 139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부산의 지역혁신센터는 총 2개로, 동의대, 동아대가 각각 1개를 운영 중에 있음
표 3-2-21 ❙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동의대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동아대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부산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2-22 ❙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동명대학교 동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9
동서대학교 동서대Dream.E.Valley 1999-11-22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4
14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부산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총 9개의 과학관이 운영 중
표 3-2-23 ❙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부산과학관 국립
국립수산과학관 국립
낙동강하구에코센터 공립
부산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부산과학체험관 공립
부산광역시어린이창의교육관 공립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공립
씨라이프부산아쿠아리움 사립
LG사이언스홀 부산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 생활과학교실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2
동주대학교 동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중소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1-1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부산이노비즈센터 2005-02-01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 지식 창업보육센터 1999-12-13
중소조선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0-09-0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3-04-30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0-04-27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벤처진흥센터 2001-06-01
REGIONAL S&T YEARBOOK 2022 141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부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2년 부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660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2,758명임
표 3-2-24 ❙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530 525 641 644 660
수혜자 수 17,533 18,589 13,473 17,632 12,758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주2 : 2021년 데이터를 12월 기준으로 수정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부산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부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7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11개 지원
표 3-2-25 ❙ 부산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사)부산과학기술
협의회
4
전용공간
3개(233.58㎡)
18 504,651 63.2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14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부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6,50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570건
- 특허출원은 ’20년 대비 2.6% 감소, 특허등록은 ’20년 대비 4.7% 증가
표 3-2-26 ❙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5,786 5,989 6,422 6,172 6,058 6,676 6,504
특허등록 건수 2,281 2,527 3,061 3,412 3,300 3,410 3,57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1년 부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6,024편, 주저자 기준 3,048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57%, 4.80%를 차지
표 3-2-27 ❙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4,429 7.27 89,873 20.29 2,352 4.65 29,067 12.36
2018 4,760 7.46 71,518 15.02 2,625 5.00 25,565 9.74
2019 5,317 7.91 56,479 10.62 2,687 4.90 21,114 7.86
2020 5,585 7.57 36,308 6.50 2,884 4.83 13,893 4.82
2021 6,024 7.57 13,851 2.30 3,048 4.80 4,906 1.6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14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과학기술로 융성하는 품격도시 부산 창조
■ (목표) 미래기술 선도를 통한 지역주도 혁신성장 강화
- 인공지능 및 ICT 신기술 융합을 통한 디지털 대전환 선도
-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적 투자 강화
■ (추진전략) 지역경제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술혁신 및 연구개발 적극지원으로 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혁신도시 조성
- 지역 미래수요기반 신산업·신시장 개척, 주력산업 기술의 고부가가치화·디지털화·친환경화 및 인
재 양성으로 지역 경쟁력 강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성장동력 확보
① (주력산업) 디지털 친환경 고부가가치화
- 디지털 융‧복합 연구개발 기반 조성
- (제조) 분야별 디지털‧친환경화를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추진
- (서비스) 금융, 관광산업에 디지털 접목으로 서비스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강화
② (신산업) 지역 성장을 견인하는 산업 발굴
- (탄소중립) 연료전지, 암모니아 기반 수소 등 친환경 그린수소 관련 기술개발 및 인프라구축
- (바이오헬스) 바이오 헬스산업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 (파워반도체) 파워반도체 연구 및 상용화 기반 조성
③ (성장체계) 지산학 협력체계 기반 산업 육성
- 지산학협력체계 확립 및 기반 고도화
- 대학 내 기업연구소 유치
- 산학협력 기반 혁신 신산업 육성 기반 조성
④ (창의인재) 미래형 지역인재 양성
14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산학협력체계 기반 기업직무 연수
- 미래형 지역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 산업별 수요맞춤형 기술인력 및 핵심인력 양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신산업 창출) 산업 패러다임 변화 대응, 협력기반 지역혁신 역량강화, 안락하고 스마트한 도시
구축을 통한 산업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지역혁신성장 견인
- (ICT) AI 거점화 추진, AI 분야별 협의회 운영, 모바일 AI 테스트베드 지원, AI 데이터 컨설팅 지
원, AI-SW 품질 테스트 지원 등 AI 기반 산업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인프라 지원
- (서비스) 서비스융복합 기업지원사업 및 서비스융복합연구센터 데이터 허브 고도화 추진
- (해양)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테스트베드 운영 실감형 융합콘텐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신기술 융·
복합을 통한 스마트양식 테스트베드 건립 등 추진
■ (R&D투자) 미래기술 선도를 통한 지역주도 혁신성장 강화를 위한 R&D투자 지속 확대
- 첨단기술의 사업화 촉진 및 지역기업 상생 성장, 차세대 인재 육성 및 산학협력기반 기업 연계, 특
화된 거점 중심으로 지역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투자 추진
- 지역 주력산업 경쟁력 회복, 친환경 에너지 전환 대응, D.N.A.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기
술개발 및 투자 강화
- 지역주도의 R&D투자 확대로 지역이 필요로 하는 R&D사업 집중 및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R&D사업 역량 강화 등을 통한 지역산업 활성화
■ (인재양성) 부산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미래산업 창출을 선도하기 위한 인재 양성
- SW전문인력 양성,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 및 가치확산을 통한 SW중심사회 구현
- SW분야 실무형 전문가 육성을 위한 ICT콤플렉스 운영 및 AI 복합교육을 추진
- 원자력 및 원전해체 분야 석박사급 인재 양성교육, 산학공동 현장실무연계 교육과정 운영 및 산업
체 애로해결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2 145
■ (인프라) R&D 기반시설 확대 및 기능적 연계
- 남동권 미세먼지 통합대응 개발을 위한 연구소 기반 구축 및 상세 기상 모델링 수행
- 해양과학기술 산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력센터 구성 및 운영
- 파워반도체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반 마련 및 국내 생산 파워반도체 제품의 해외 경쟁력 제고
를 위한 신뢰성평가인증센터 장비 6종 도입
▣ 중점전략분야별 관리사업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스마트 해양
(친환경스마트선박, 항만물류, 해양바이오,
수산가공)
∙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 다목적 해상실증 플랫폼 구축
∙ 부산 해양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 스마트양식 기반 조성
지능형 기계
(정밀기계, 스마트팩토리, 하이테크소재,
로봇)
∙ 친환경 고효율 공기조화기부품기술 고도화지원
∙ 부산표면처리 고도화지원
∙ 청정공기산업특화를 통한 기업육성 및 신시장 창출 기반구축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지원
∙ 극한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기술기반구축
미래수송기기
(자율주행차, 전기자동차, 항공, 드론)
∙ 전기차 e-파워트레인 허브센터 구축
∙ DaaS기반 글로벌 오션시티 구축
∙ 수소전기차 부품산업 육성기술지원
∙ 전기차 안전편의부품 고도화 기술지원
지능정보서비스
(서비스플랫폼, 콘텐츠, 스마트금융)
∙ 부산문화콘텐츠 스타프로젝트 운영
∙ 부산콘텐츠아카데미 운영
∙ 부산문화콘텐츠콤플렉스 운영지원
∙ 지식서비스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 지역SW산업진흥 지원사업
라이프케어
(스마트헬스케어, 리빙케어, 라이프스타일)
∙ 고령친화용품 산업화지원 기반구축
∙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 사업
∙ 중입자가속기구축 지원
∙ 말초신경병증연구센터 지원사업
∙ 의료 빅데이터‧AI기반 시기능 이상 조기발견 기술개발
클린테크
(에너지시스템, 에너지저장 및 서비스,
환경대응)
∙ 파워반도체 연구플랫폼구축
∙ 파워반도체 생산플랫폼구축
∙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기반 구축
∙ 태양광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 육해상 풍력터빈 O&M기술 고급인력양성
14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3절 대구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대구의 인구는 약 239만 명으로 전국의 4.61%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대구 인구의 비중은 2017년 이후로 소폭 하락 중
표 3-3-1 ❙ 대구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2,457,769 2,448,800 2,436,776 2,414,262 2,387,631
전국대비 비율(%) 4.79 4.75 4.71 4.67 4.61
경제활동참가율(%) 61.2 60.9 60.2 58.9 60.5
실업률(%) 4 4.4 3.7 3.9 3.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14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구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53%의 증가율을 나
타냄
- 기타서비스업은 전체의 43.6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19.48%로 뒤를 이음
표 3-3-2 ❙ 대구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52,721,214 53,964,991 54,762,237 53,668,577 56,026,338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56,574 133,367 128,705 110,468 107,014
(지역내비중,%) (0.30) (0.25) (0.24) (0.21) (0.19)
제조업 10,984,937 11,421,725 10,825,618 9,914,159 10,914,323
(지역내비중,%) (20.84) (21.17) (19.77) (18.47) (19.48)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94,464 377,427 384,650 542,293 515,610
(지역내비중,%) (0.75) (0.70) (0.70) (1.01) (0.92)
건설업 2,552,943 2,358,042 2,507,401 2,972,764 3,262,879
(지역내비중,%) (4.84) (4.37) (4.58) (5.54) (5.82)
기타서비스업 23,580,531 24,279,722 24,814,180 23,978,170 24,448,477
(지역내비중,%) (44.73) (44.99) (45.31) (44.68) (43.64)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250,556 11,617,260 12,182,702 12,192,536 12,761,318
(지역내비중,%) (21.34) (21.53) (22.25) (22.72) (22.78)
순생산물세 3,802,070 3,791,220 3,902,862 3,929,434 3,974,064
(지역내비중,%) (7.21) (7.03) (7.13) (7.32) (7.0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14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대구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6조 1,972억 원이고, 3,24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만 9,63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5조 3,542억 원(전체의 20.44%), 사업체 수에서
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707개(전체의 21.77%), 종사자 수에서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1만 5,598명(전체의 15.6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3-3 ❙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593,626 6.08 146 4.50 3,678 3.69
음료 제조업 241,433 0.92 8 0.25 231 0.2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9,844 0.34 20 0.62 358 0.3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7,486 0.07 50 1.54 897 0.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2,665 0.51 18 0.55 339 0.3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93,147 6.84 258 7.95 6,835 6.8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24,384 1.62 44 1.36 1,040 1.04
1차 금속 제조업 1,450,197 5.54 82 2.53 2,741 2.75
전기장비 제조업 1,892,587 7.22 126 3.88 5,232 5.2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440,764 16.95 506 15.58 13,159 13.21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354,176 20.44 273 8.41 13,873 13.9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9,670 0.15 7 0.22 124 0.12
가구 제조업 80,551 0.31 15 0.46 234 0.23
기타 제품 제조업 75,148 0.29 25 0.77 425 0.4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5,010 0.06 7 0.22 148 0.1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2,921 0.05 2 0.06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231,363 12.33 707 21.77 15,598 15.6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802,439 6.88 539 16.60 13,291 13.3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6,134 3.38 149 4.59 3,724 3.7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1,131 0.84 84 2.59 1,912 1.9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93,088 3.03 60 1.85 2,261 2.2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12,242 4.63 83 2.56 2,966 2.9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7,246 1.52 38 1.17 987 0.99
합 계 26,197,252 100 3,247 100 99,635 100
REGIONAL S&T YEARBOOK 2022 14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으로 나타남
표 3-3-4 ❙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섬유제품제조업;의복
제외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비교적
높음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식료품제조업
낮음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1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구광역시는 ‘메카트로닉스산업육성’과 ‘의료산업’ 사업을 집중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3-5 ❙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메카트로닉스 자율주행차 실도로기반 실증평가 기술개발
의료산업
신활력 한방산업육성사업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지원
한의약 소재 은행 구축사업
한약제제 제형 현대화사업
의료기기 표준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활성화 지원사업
※ 출처 : 대구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15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16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2개가 있음
- 단지 21곳의 가동 업체는 9,628개, 총 종사자는 117,958명
표 3-3-6 ❙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구국가 8,559 7,479 223 140 4,167 82 조성중
일반
성서1차[재생사업지구] 2,687 2,687 862 856 11,063 100 완료
성서2차[재생사업지구:부분] 4,750 4,544 1,102 1,094 18,008 100 완료
성서3차 3,329 2,831 706 696 10,498 100 완료
성서4차 433 433 61 61 3,807 100 완료
대구출판 243 243 117 116 1,072 100 완료
대구이시아폴리스 1,176 1,176 58 57 1,476 100 완료
검단 782 782 579 571 7,860 100 완료
대구염색[재생사업지구] 849 849 127 125 4,631 100 완료
달성1차 4,078 4,078 344 318 13,058 100 완료
달성2차 2,707 2,377 289 261 4,341 99 완료
대구테크노폴리스 7,258 7,258 91 82 3,923 73 조성중
성서5차첨단 1,470 1,406 120 119 4,184 100 완료
대구제3[재생사업지구] 1,685 1,684 2,498 2,498 12,343 100 완료
달성대성하이스코 58 58 0 0 0 0 조성중
금호워터폴리스 1,185 1,185 0 0 0 32 조성중
서대구[재생사업지구] 2,662 2,660 2,596 2,570 16,454 100 완료
도시
첨단
대구신서혁신도시
(공공주택지구)도시첨단
149 149 0 0 0 26 완료
율하 167 167 0 0 0 0 미개발
농공
구지 193 193 20 20 566 100 완료
옥포 162 162 44 44 507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15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대구시에는 총 1,23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1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8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85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
업’(100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5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
기업 위치
표 3-3-7 ❙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 1
광업(05~08) 1 3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8 35 32
음료 제조업 2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08 82 7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1 22 1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 5 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2 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 12 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6 15 1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1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3 33 3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 5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3 57 4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 14 9
1차 금속 제조업 26 19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3 133 9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8 63 4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7 111 100
전기장비 제조업 97 75 71
REGIONAL S&T YEARBOOK 2022 15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90 233 1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01 72 6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 12 11
가구 제조업 9 8 6
기타 제품 제조업 31 41 3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3 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3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3 4
건설업(41~42) 24 22 16
도매 및 소매업(45~47) 30 27 26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237 223 21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2 2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7 79 8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8 7 7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 6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677 1,431 1,233
15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구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0위 수준
- ’21 연구개발인력은 2만 1,040명으로 전국 대비 2.68%를 차지하였고, 최근 연구개발인력 5개년
동안 연평균 5.63% 증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188명(전국의 2.00%)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
음이 9,205명(전국의 4.38%)으로 대학이 뒤를 이었으며, 공공연구소는1,647명(전국의 2.47%)으
로 가장 적게 나타남
표 3-3-8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959 3.75 7,815 4.06 8,096 4.17 8,633 4.17 9,205 4.38
∙ 국공립 5,572 7.29 5,990 7.54 6,155 7.70 6,489 7.49 7,100 8.17
∙ 사립 1,387 1.27 1,825 1.61 1,941 1.70 2,144 1.78 2,105 1.71
공공연구소 1,640 2.94 1,511 2.59 1,643 2.63 1,799 2.81 1,647 2.47
∙ 국공립 257 2.40 415 3.39 488 3.79 155 1.21 152 1.13
∙ 정부출연 403 1.26 478 1.47 525 1.52 523 1.54 425 1.25
∙ 병원 및 기타 980 7.48 618 4.55 630 4.18 1,121 6.45 1,070 5.56
기업 8,299 2.03 9,634 2.19 10,000 2.16 10,064 2.11 10,188 2.00
∙ 정부투자기관 44 1.12 57 1.46 49 1.27 61 1.63 44 1.14
∙ 민간기업 8,255 2.04 9,577 2.19 9,951 2.17 10,003 2.12 10,144 2.01
합 계 16,898 2.60 18,960 2.74 19,739 2.75 20,496 2.74 21,040 2.6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155
■ ’21년 대구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1명 증가한 62.2명으로 조사됨
표 3-3-9 ❙ 대구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47.9 54.8 57.6 60.1 62.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대구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4,876억 원으로 전국의 1.46%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7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311억(전국의 4.62%), 공공연구소는 약
2,613억 원(전국의 2.18%), 기업이 약 7,953억 원(전국의 0.98%)을 기록
표 3-3-10 ❙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06,097 4.58 326,642 4.63 345,594 4.69 391,422 4.69 431,055 4.62
∙ 국공립 264,317 8.94 276,975 8.97 291,210 8.89 330,633 8.76 362,176 8.59
∙ 사립 41,780 1.12 49,667 1.25 54,384 1.33 60,789 1.33 68,879 1.35
공공연구소 272,819 2.86 215,880 2.19 209,394 2.06 224,681 2.02 261,320 2.18
∙ 국공립 20,819 2.61 27,653 3.40 35,041 4.19 10,292 1.21 31,576 3.26
∙ 정부출연 121,628 1.64 107,320 1.42 101,405 1.30 69,819 0.84 59,968 0.69
∙ 병원 및 기타 130,372 9.81 80,907 5.46 72,948 4.78 144,571 7.29 169,776 7.35
기업 659,037 1.05 783,257 1.14 781,038 1.09 748,003 1.02 795,267 0.98
∙ 정부투자기관 4,321 0.49 3,841 0.42 6,550 0.75 5,396 0.62 5,324 0.62
∙ 민간기업 654,716 1.06 779,416 1.15 774,488 1.10 742,607 1.02 789,943 0.99
합 계 1,237,953 1.57 1,325,779 1.55 1,336,026 1.50 1,364,107 1.47 1,487,642 1.4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5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대구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16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0%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10%
표 3-3-11 ❙ 대구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104 6,233 6,301 6,842 7,168
(3.2) (3.2) (3.1) (3.0) (3.0)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
- 지역 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5억원), 대구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5억원), 대구산업경제 혁신성
장 거버넌스 구축·운영(7.8억원) 등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243억원), 사물인터넷기반 스마트시티 조성확산사업(8억원) 등
■ 의료산업 육성 및 위드 코로나 대구의료관광 활성화
- 3D프린팅 의료기기 상용화 실증지원(21억원), 레이저 응용 의료기기/첨단소재가공 산업기반구축
사업(14억원) 등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미래형자동차 선도기술 개발지원사업(36억원), 미래형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 기반조성(76.37
억원), 자율주행차 실도로 기반 실증평가 기술 개발(10억원) 등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89억원), 혁신창업생태계 구축지원(49억원), 초기창업패키지 지원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2 157
(43억원),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13억원) 등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186억원),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5억원) 등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구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 혁신성장정책과, 일자리투자국 창업진흥과에서 담당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15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3-12 ❙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4,047 2 11,006 168 50 36 2,78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나) 역할
표 3-3-13 ❙ 대구광역시 혁신성장실과 혁신성장정책관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7조(위원회의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유공자 선정에 관한 사항
혁신성장실
∙ 미래성장산업 육성 및 혁신인재 양성
∙ 에너지산업의 육성·지원
∙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 및 지원
∙ 첨단의료 및 헬스케어 사업 육성 및 지원
∙ 기계로봇 산업 육성 및 지원 등
혁신성장정책관
∙ 지역주도 혁신성장 정책 수립․시행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반도체산업 육성 및 유관기업 협력
∙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육성
∙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지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2 159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2년(1회에 한하여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1회(2022. 01. 12)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21년 추진실적 및 ’22년도 시행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3-14 ❙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정해용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이승대 대구광역시 재직시
위원 김규학 대구광역시의회 2021.09.01.~2023.08.31.
위원 김춘희 (사)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2021.09.01.~2023.08.31.
위원 김현덕 경북대학교 2021.09.01.~2023.08.31.
위원 남윤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경본부 2021.09.01.~2023.08.31.
위원 문기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경권연구센터 2021.09.01.~2023.08.31.
위원 안경은 대구광역시의회 2021.09.01.~2023.08.31.
위원 이난희 대구한의대학교 2021.09.01.~2023.08.31.
위원 이현숙 (재)대구테크노파크 2021.09.01.~2023.08.31.
위원 이혜진 경북대학교 2021.09.01.~2023.08.31.
위원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2021.09.01.~2023.08.31.
위원 조정일 (재)대구테크노파크 2021.09.01.~2023.08.31.
※ 출처 : 대구광역시 내부자료
16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구시의 총예산은 약 21조 1,16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623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77%
- 과학기술 예산 중 대구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2.56%
표 3-3-15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211,163
재정자주도(%) 66.2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98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62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7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2.56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16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대구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490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는 각각 1,352억 원, 991억 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이 투자됨
표 3-3-16 ❙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운영 지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운영
한국염색기술연구원 운영 위탁
- 2,263 - 2,26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구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지역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
195 750 - 94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하협력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
지능형 건설자동화연구센터 지원
35,217 3,629 3,196 42,042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
대구 혁신도시 공공기관 연계 육성
18,977 4,756 3,158 26,89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135,238 99,134 14,571 248,943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대구경북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 출연금
첨단임상시험센터 건립
42,186 15,270 34,428 91,884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5G기반 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
플랫폼(기반조성)
자동차산업 미래 기술혁신 오픈 플랫폼 생태계
구축
18,201 22,757 2,262 43,22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대구)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23,383 13,692 5,273 42,348
합 계 273,396 162,251 62,888 498,53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6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대구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2,248개로 전국의 3.5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8.02% 증가
- 5년간 대학 3개 증가, 공공연구소 1개 증가, 기업 593개 증가
표 3-3-17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 3.66 16 4.38 15 3.61 16 3.89 18 4.26
∙ 국공립 5 5.62 5 6.33 5 5.95 5 5.88 6 6.98
∙ 사립 10 3.12 11 3.85 10 3.02 11 3.37 12 3.56
공공연구소 27 4.75 29 4,74 30 4.67 31 4.68 28 4.06
∙ 국공립 1 0.79 2 1.53 2 1.40 2 1.40 2 1.31
∙ 정부출연 10 6.25 11 1.20 12 7.10 10 6.13 9 5.29
∙ 병원 및 기타 16 5.69 16 5.10 16 4.85 19 5.32 17 4.64
기업 1,609 3.78 1,939 3.99 2,077 3.79 2,150 3.68 2,202 3.54
∙ 정부투자기관 3 6.12 2 4.76 2 3.64 2 3.70 2 3.39
∙ 민간기업 1,606 3.78 1,937 3.99 2,075 3.79 2,148 3.68 2,200 3.54
합 계 1,651 3.79 1,984 4.02 2,122 3.80 2,197 3.69 2,248 3.5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163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대구 소재 대학 수는 12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7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3-18 ❙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7 7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9 1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 대구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2,203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748명(전체의 약 12.7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189
명(전체의 약 24.07%)
표 3-3-19 ❙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748 22,189 33,937 15,635 8,098 7,099 6,642 20,792 92,203
비중(%) 12.74 24.07 36.81 16.96 8.78 7.70 7.20 22.55 100
※ 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6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1년에 대구광역시에는 총 7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경북대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2개, 대구한의대학교에 1개가 있음
표 3-3-20 ❙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6개 센터)
2017 얼굴 신경-뼈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8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ERC
2020 혈관-장기 상호작용 제어 연구센터 MRC
2021 소프트웨어재난 연구센터 ERC
2021 종양 가소성 연구센터 MRC
2022 비선형 동역학 수리응용 센터 SRC
2022 메타버스 가상서원 구축을 위한 딥러닝 기반 전통기록물 해독 CRC
대구한의대학교
(1개 센터)
2018 간질환 한약 융복합활용 연구센터 M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자성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 ERC
2018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빅데이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2 165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구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에 계명대가 3개, 대구한의대, 경북대, 영진전문대에서 각 1개씩
존재했지만, ’22년에는 계명대 2개만 운영 중에 있음
표 3-3-21 ❙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계명대
예측설계기반 전자화자동차부품 지역혁신센터
전통미생물 자원개발 및 산업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16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대구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2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3-22 ❙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9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6-22
계명문화대학교 계명문화 창업보육센터 2017-06-30
한국환경공단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창업보육센터 2019-09-04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대구경북중소기업청 경북대학교 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9-12-24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9-06-08
(사)대구의료관광진흥원 대구광역시 의료관광 창업지원센터 2017-04-04
(대구)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대구드림파크 (포스트BI) 1998-05-28
대구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30
대구광역시 대구스케일업허브(DASH) 2021-06-30
수성대학교 수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0-2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2 16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구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7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3-23 ❙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대구과학관 국립
국립대구기상과학관 국립
대구창의융합교육원 공립
대구광역시어린이회관 공립
아이니테마파크 사립
네이처파크 전문과학관 사립
대구 아쿠아리움 전문 과학관 사립
※ 출처 : 2022년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구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2년 대구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8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4,950명임
표 3-3-24 ❙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250 345 295 231 283
수혜자 수 4,871 3,999 2,278 3,809 4,950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16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대구 특허출원 건수는 5,03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837건
- 특허출원 건수는 ’20년 대비 5.3%증가, 특허등록 건수는 ’20년 대비 1.5%감소
표 3-3-25 ❙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4,864 4,735 4,779 4,619 4,801 4,782 5,037
특허등록 건수 2,043 2,365 2,612 2,519 2,781 2,881 2,83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01년 대구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180편, 주저자 기준 2,61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51%, 4.12%를 차지
표 3-3-26 ❙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872 6.36 70,628 18.24 1,953 3.86 27,404 14.03
2018 4,151 6.51 61,656 14.85 2,132 4.06 25,521 11.97
2019 4,212 6.26 48,148 11.43 2,088 3.80 18,161 8.70
2020 4,882 6.62 33,699 6.90 2,517 4.22 13,486 5.36
2021 5,180 6.51 11,866 2.29 2,612 4.12 5,025 1.9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16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기반 미래 융복합 신성장산업 선도도시
■ 목표 :
- 지속적 과학기술 기반 및 역량 강화를 통한 과학기술 중심 도시
- 과학기술 기반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융복합 신산업 창출
- 산업・기술 융복합을 통한 혁신생태계 활성화
■ 전략 :
- 주력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기반 강화
- 미래 신성장 분야 인프라 확충을 통한 거점 강화
- 지역 주도형 R&D 확충을 위한 기획역량 강화 및 투자 확대
- 미래 신성장 산업 창출을 통한 지역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유망기업 체계적 발굴・육성을 위한 산학연 연계・협력 강화
- 과학 및 산업기술 연계 정책 수립을 위한 新거버넌스 구축
- 지역 R&D 추진 체계 개선을 통한 투자 효율성 강화
- 미래 신성장 분야 우수인력 역외 유출 방지 및 양성체계 구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
- 지역 주도 R&D 기획·조사분석·성과관리를 통한 지역 R&D 전담조직 운영으로 고도화 및 과학기
술 혁신역량 강화
- 지역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실질적 작동 및 상위체계 심의·조정 기능 강화를 위해 과학기술진흥위
원회 위상 강화 및 운영 내실화
■ 의료산업 육성 및 위드 코로나 대구의료관광 활성화
- 웰니스산업 전주기의 스마트화 및 지역 우위 경쟁력 확보를 통한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 안정
적 운영과 전문화된 제품개발-서비스 제공을 통한 첨복단지 중심의 융합의료산업 생태계 조성
17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코로나19로 인한 의료관광객 감소에 따라 비대면 마케팅 강화 등 다양한 지원책 및 의료관광 생태
계 회복을 위한 해외네트워크 강화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미래자동차로의 지역산업 구조혁신 및 산업생태계 육성을 위한 산·학·연·관 협업의 미래자동차 전
환 전주기 지원 플랫폼 구축
- 전기차 핵심부품산업 생태계 고도화 및 자율주행 모빌리티 융합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한 전기차 기
반 자율주행 모빌리티 선도도시 육성
■ 혁신성장을 통한 주력산업 재도약 및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
- 주력산업 기술력 강화 및 스마트화,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 가속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 주력
산업 구조 고도화를 통한 제조혁신 선도
-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별 성과창출로 인해 시민체감을 위한 핵심 서비스 제공 및 데이터 통합 허브+
기업 수요기반의 테스트베드 활성화를 통해 스마트시티 핵심 운영체계 안착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 시민 체감형 서비스 발굴·확대를 통한 시민 공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및 위드코로나 서비스산업 육
성, SW융합 인재양성 등을 통한 SW융합산업 기반조성을 통한 SW융합 생태계 확대
- 비대면 사회․경제활동, 온라인 수요 급증에 따라 기존 산업 기업들의 ICT융합 디지털 플랫폼 기업
으로 전환 지원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IT·SW창업 외 로컬크리에이터·제조창업 등 창업지원 분야 확대 및 청년·여성 창업비율 제고 및
창업분위기 확산
- 대구스케일허브를 활용한 우수기업 유치, 특화성장 프로그램 지원 및 민간주도 스케일업 육성을 통
한 대구형 창업패키지 선순환 강화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위드코로나에 따라 비대면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비대면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첨단 과학기술
문화의 생활화 추진
- 과학과 공연·강연·전시를 융합한 선도적 과학소통 지속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2 171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활성화,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조정회의 실행력 강화로 지역 R&D 종합조정
체계 구축
- 대구 산업경제 혁신성장 거버넌스 운영, 지역기업의 니즈를 반영한 산업별 육성방안 수립 등 중장
기적・체계적 정책 추진
■ 의료산업 육성 및 위드 코로나 대구의료관광 활성화
- 첨복단지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인프라 추가 확보 및 성과중심 의료 R&D를 육성하여 경쟁력있
는 의료중심도시 육성
- K방역 선도 의료관광도시 전략적 홍보, ICT 기술 활용 비대면 의료관광 마케팅 강화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기 구축 된 자율주행 인프라 통합관리 및 대시민 자율주행 유상운송 서비스 제공을 통한 완성형 자
율주행 실증도시 생태계 구축
- 지역 자동차부품기업의 기술개발 사업 참여 확대 및 금융지원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미래차 전환 신속 지원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 수성알파시티 통합 데이터 허브의 개방・공유를 통해 스마트시티 관련 기업의 테스트베드 활용
- 시민체감 실증사업 추진 및 시민참여 리빙랩 활성화
- SW융합산업 인프라 확대, AI, 5G기반 융복합 신기술 집중 투자 및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 양성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기 구축된 창업보육센터 및 창업보육시스템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창업기업 육성과 성장 지원
- 생활밀착형 창업 공간 운영과 창업 체험 활동 등 창업문화 확산 및 기술력・잠재력있는 기업에 대한
스케일업 지원 확대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첨단 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 과학과 공연・강연・전시를 융합한 선도적 과학소통 지속 추진
17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4절 인천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인천의 인구는 약 294만 명으로 전국의 5.67%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인천 인구의 비중은 2020년 대비 소폭 감소
표 3-4-1 ❙ 인천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2,923,859 2,935,848 2,952,200 2,951,065 2,940,927
전국대비 비율(%) 5.69 5.69 5.70 5.70 5.68
경제활동참가율(%) 64.7 65.7 65.4 64.2 63.9
실업률(%) 4.6 4.3 4.4 4.6 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
사 시점: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17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인천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90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26%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37.6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25.28%로 그 뒤를 이음
표 3-4-2 ❙ 인천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85,791,563 86,426,825 87,963,593 84,907,539 89,984,023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86,260 345,002 338,881 362,735 363,155
(지역내비중, %) (0.45) (0.40) (0.39) (0.43) (0.40)
제조업 21,509,944 21,204,060 20,556,208 20,956,180 22,746,597
(지역내비중, %) (25.07) (24.53) (23.37) (24.68) (25.2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355,448 3,855,800 3,984,357 3,797,453 4,201,025
(지역내비중, %) (5.08) (4.46) (4.53) (4.47) (4.67)
건설업 4,798,296 4,431,636 4,403,137 5,273,314 5,982,125
(지역내비중, %) (5.59) (5.13) (5.01) (6.21) (6.65)
기타서비스업 34,561,889 36,179,216 37,606,083 32,914,087 33,837,614
(지역내비중, %) (40.29) (41.86) (42.75) (38.76) (37.6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952,236 12,496,071 13,243,418 13,439,020 14,078,634
(지역내비중, %) (13.93) (14.46) (15.06) (15.83) (15.65)
순생산물세 8,226,001 7,855,623 7,842,827 7,556,792 8,190,395
(지역내비중, %) (9.59) (9.09) (8.92) (8.90) (9.10)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17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인천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63조 7,442억 원이고, 4,55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23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생산액 약 8조 9,988억 원(전체의 14.12%), 사업체 수 887개(전체
의 19.49%), 종사자 수 2만 5,517명(전체의 14.9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4-3 ❙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5,428,387 8.52 221 4.86 7,953 4.67
음료 제조업 - - 1 0.0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635,036 2.56 149 3.27 4,087 2.4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45 0.99 1,097 0.6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82,756 4.52 22 0.48 1,658 0.9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152,055 4.94 366 8.04 10,758 6.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07,557 1.89 93 2.04 2,568 1.51
1차 금속 제조업 7,667,366 12.03 232 5.10 6,756 3.97
전기장비 제조업 3,233,401 5.07 384 8.44 11,260 6.6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998,806 14.12 887 19.49 25,517 14.9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887,442 13.94 195 4.29 8,396 4.93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6,694 0.15 19 0.42 411 0.24
가구 제조업 719,777 1.13 101 2.22 2,640 1.55
기타 제품 제조업 353,989 0.56 91 2.00 2,034 1.1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93,386 0.15 12 0.26 604 0.3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49,586 0.23 13 0.29 143 0.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127,727 4.91 767 16.86 17,196 10.1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0,609 0.44 61 1.34 1,538 0.9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81,456 1.38 152 3.34 4,542 2.6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25,755 0.35 66 1.45 1,721 1.0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975,637 10.94 382 8.40 22,383 13.1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50,572 5.10 6 0.13 42 0.0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483,763 0.76 72 1.58 1,692 0.99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35,565 6.17 213 4.68 7,386 4.34
합 계 63,744,204 100 4,550 100 170,239 100
REGIONAL S&T YEARBOOK 2022 17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으로 나타남
표 3-4-4 ❙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
제외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
외
∙식료품제조업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낮음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음료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17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인천시는 ‘메카트로닉스(자동차산업, 로봇산업)’분야와 ‘바이오’, ‘항공’, ‘ICT/SW’ 분야 사
업을 중점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4-5 ❙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메카트로닉스
(자동차, 로봇)
첨단자동차 전자부품기업 육성지원사업
로봇산업 혁신성장 지원
바이오
바이오헬스케어 제품개발 지원
바이오공정 인력약성센터 운영비 등 지원
항공산업
인천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인천항공센터 운영 및 선도기업 육성지원
ICT/SW
AI Playground 인천 조성
SW융합클러스터 2.0
※ 출처 : 인천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17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2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16개 산업단지의 가동업체는 12,952개이며 , 총 종사자 수는 151,248명
표 3-4-6 ❙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남동[재생사업지구] 9,574 9,574 7,815 7,410 84,749 100 완료
한국수출산업 1,786 1,786 2,966 2,949 22,902 100 완료
일반
인천기계 350 350 179 179 2,520 100 완료
인천 1,136 1,136 585 585 6,949 100 완료
뷰티풀파크
(구:인천검단)
2,251 2,250 1,022 992 11,045 97 완료
인천서부 939 938 290 287 5,492 100 완료
청라1지구 194 194 35 35 697 100 완료
송도지식정보 2,402 2,400 137 88 9,302 93 완료
강화하점 59 59 12 7 115 100 완료
강화 462 462 80 56 889 100 완료
서운 525 525 70 68 3,199 100 완료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 56 56 23 13 91 100 완료
I-FoodPark 283 273 76 50 1,459 100 조성중
영종항공
(인천경제자유구역)
495 495 0 0 0 0 조성중
도시첨단
IHP
(인천경제자유구역)
1,171 1,165 264 233 1,839 65 완료
남동 233 233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17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인천시에는 총 1,59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64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106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75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72개)’, ‘전기장비 제조업(14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4-7 ❙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 1 -
광업(05~08) 1 1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50 61 58
음료 제조업 1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 15 1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 6 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8 6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0 14 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3 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5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1 110 10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8 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9 84 6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0 11 10
1차 금속 제조업 35 36 2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7 157 13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9 174 17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1 81 83
전기장비 제조업 170 146 14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57 311 275
REGIONAL S&T YEARBOOK 2022 17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9 30 2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8 15 13
가구 제조업 16 21 22
기타 제품 제조업 45 63 5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6 4
건설업(41~42) 26 23 20
도매 및 소매업(45~47) 28 34 40
운수 및 창고업(49~52) 3 6 6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1 2
정보통신업(58~63) 146 159 164
금융 및 보험업(64~66) 1 1 2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93 106 10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1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 2 6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2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 2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61 1,707 1,596
18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인천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5위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9,954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2.56%이
며, 전국대비 비중은 3.81%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2,224명(전국의 3.81%)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은 5,230명(전국의 2.49%), 공공연구소는 2,352명(전국의 3.53%) 차지
표 3-4-8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018 3.24 5,567 2.89 5,543 2.86 5,255 2.54 5,230 2.49
∙ 국공립 1,561 2.04 1,484 1.87 1,211 1.52 1,189 1.37 1,253 1.44
∙ 사립 4,457 4.08 4,083 3.61 4,332 3.79 4,066 3.38 3,977 3.23
공공연구소 1,722 3.09 1,899 3.25 2,109 3.38 2,267 3.53 2,352 3.53
∙ 국공립 945 8.83 983 8.03 999 7.75 1,096 8.55 1,088 8.10
∙ 정부출연 520 1.62 513 1.57 590 1.71 558 1.64 546 1.61
∙ 병원 및 기타 257 1.96 403 2.97 520 3.45 613 3.53 718 3.73
기업 19,331 4.73 19,854 4.51 21,204 4.59 21,443 4.50 22,372 4.40
∙ 정부투자기관 89 2.27 120 3.07 142 3.69 162 4.33 148 3.83
∙ 민간기업 19,242 4.75 19,734 4.52 21,062 4.60 21,281 4.51 22,224 4.40
합 계 27,071 4.16 27,320 3.95 28,856 4.01 28,965 3.88 29,954 3.8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181
■ ’21년 인천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4명 증가한 78.7명으로 조사됨
표 3-4-9 ❙ 인천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67.2 68.8 73.5 74.3 78.7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인천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2,270억 원(전국의 3.16%),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01 %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861억(전국의 3.07%), 공공연구소는 약
3,073억 원(전국의 2.56%), 기업이 약 2조 6,336억 원(전국의 3.26%)
표 3-4-10 ❙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7,069 3.10 237,339 3.37 252,153 3.42 259,824 3.11 286,127 3.07
∙ 국공립 25,883 0.88 28,716 0.93 33,499 1.02 38,934 1.03 44,393 1.05
∙ 사립 181,186 4.86 208,623 5.27 218,654 5.34 220,890 4.82 241,734 4.73
공공연구소 235,553 2.47 272,406 2.77 274,881 2.70 287,472 2.59 307,266 2.56
∙ 국공립 62,923 7.89 68,665 8.44 77,884 9.32 79,866 9.38 88,795 9.18
∙ 정부출연 143,454 1.93 155,925 2.07 143,554 1.84 141,466 1.71 133,102 1.53
∙ 병원 및 기타 29,176 2.20 47,816 3.23 53,443 3.50 66,140 3.34 85,369 3.69
기업 2,105,528 3.37 2,251,557 3.27 2,318,878 3.24 2,389,333 3.25 2,633,600 3.26
∙ 정부투자기관 41,962 4.71 20,076 2.21 24,308 2.80 27,311 3.12 26,985 3.14
∙ 민간기업 2,063,566 3.35 2,231,481 3.29 2,294,570 3.25 2,362,022 3.25 2,606,615 3.26
합 계 2,548,150 3.23 2,761,302 3.22 2,845,912 3.20 2,936,629 3.16 3,226,992 3.1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8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인천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243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2%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20%
표 3-4-11 ❙ 인천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281 4,087 4,016 4,787 5,243
(2.2) (2.1) (2.0) (2.1) (2.2)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
-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3.8억), 연구개발(R&D)사업 활성화 지원(16억), 산업기술단지 거
점기능지원사업(4.6억) 등
■ 인천형 뉴딜 관련 과학기술 투자 활성화
- AI Playground 인천 조성 사업(30억), 바이오공정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215억), SW융합클러
스터 2.0(29억),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기반센터 구축운영 사업(6.9억) 등
■ 지역 신사업 성장동력 확보 및 혁신기반 구축
-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사업(48.9억),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12.4억), 희소금속산업
육성 지원(35억), 로봇랜드 로봇산업진흥시설 운영(33억) 등
REGIONAL S&T YEARBOOK 2022 183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일자리경제본부 산업정책관의 산업진흥과와 미래산업과 담당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표 3-4-12 ❙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7,411 2 13,772 214 84 48 3,291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나) 역할
표 3-4-13 ❙ 인천광역시 일자리경제본부 전략산업과와 산업진흥과, 투자창업과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전략산업과
∙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시행 수립
∙ 인천과학기술진흥 협의회 운영
∙ 인천시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운영
- 인천시 연구개발 사업 활성화 사업,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
∙ 지역과학 거점센터 운영지원 등
- 인천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 과학관 운영, 인천테크노파크, 생활과학교실 운영 지원 등
∙ 인천 미래산업 육성 및 기획
- 빅데이터, SW, AI, 바이오, 자동차, 로봇산업 육성
산업진흥과
∙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 산학연 기술개발 지원사업
∙ 기술이전 및 기술거래 촉진 관련 업무
∙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개발사업 관련 업무
∙ 특허 및 지식재산권 활성화 지원
투자창업과
∙ 창업지원사업 시행계획
∙ 창업지원사업 발굴 및 시행 등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18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15조 (협의회의 설치)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 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 계획과 연도별 시행 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 정보, 인력 양성 발전 방향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 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 ( 2021.10.27.∼ 2023.10.26. )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1년) : 1회(2021.12.)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추진계획
▣ 위원회 명단
표 3-4-14 ❙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안영규 인천광역시 당연직 현직자
위원 변주영 인천광역시 당연직 현직자
위원 한재길 (재)인천테크노파크 2021.10.27.~2023.10.26.
위원 이용식 인천연구원 2021.10.27.~2023.10.26.
위원 이대성 항공안전기술원 2021.10.27.~2023.10.26.
위원 강성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2021.10.27.~2023.10.26.
위원 박소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10.27.~2023.10.26.
위원 서명국 한국은행 인천본부 2021.10.27.~2023.10.26.
위원 유창경 인하대학교 2021.10.27.~2023.10.26.
위원 김규원 인천대학교 2021.10.27.~2023.10.26.
위원 이주미 인천재능대학교 2021.10.27.~2023.10.26.
위원 한균희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2021.10.27.~2023.10.26.
위원 김희숙 한국폴리텍대학 2021.10.27.~2023.10.26.
위원 한기순 인천대과학영재교육연구소 2021.10.27.~2023.10.26.
REGIONAL S&T YEARBOOK 2022 185
※ 출처 : 인천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인천시의 총 예산은 약 30조 2,50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64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1%
- 과학기술 예산 중 인천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9.27%
표 3-4-15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302,503
재정자주도(%) 68.2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08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64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9.27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서동만 ㈜대림테크 2021.10.27.~2023.10.26.
위원 고춘자 (주)홀리랜드테크놀러지 2021.10.27.~2023.10.26.
위원 서임순 ㈜평산기공 2021.10.27.~2023.10.26.
위원 백영순 엠텍 2021.10.27.~2023.10.26.
위원 함지연 도원바이오테크 2021.10.27.~2023.10.26.
위원 심상미 ㈜파버나인 2021.10.27.~2023.10.26.
18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인천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에 가장 많은 약 364억 원을 투자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국비 177억 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지방비 219억 원으
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4-16 ❙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인천연구원 지원
180 9,496 - 9,67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지원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
(선척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2,636 700 2,339 5,67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인천어린이과학관 위탁운영
글로벐타트업캠퍼스 조성 운영
1,358 7,279 1,631 10,26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타트업파크 운영관리 대상사업(인천)
희소금속산업 육성 지원
7,545 21,863 291 29,699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 지원
연구개발(R&D)사업 활성화 지원
960 3,738 300 4,99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특허 및 지식재산궝 활성화 사업
산업디자인 육성 및 지원
4,985 7,127 - 12,112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한국형 NIBRT 프로그램
운영-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사업
17,726 14,343 4,318 36,387
합 계 35,390 64,546 8,879 108,81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18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인천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3,753개로 전국의 5.9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04% 증가
- 5년간 대학 2개 증가, 공공연구소 11개 증가, 기업 1,271개 증가
표 3-4-17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0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 3.90 15 4.11 18 4.34 16 3.89 18 4.26
∙ 국공립 3 3.37 3 3.80 2 2.38 2 2.35 2 2.33
∙ 사립 13 4.05 12 4.20 16 4.83 14 4.29 16 4.75
공공연구소 15 2.64 19 3.10 24 3.74 24 3.62 26 3.77
∙ 국공립 6 4.72 6 4.58 7 4.90 7 4.90 7 4.58
∙ 정부출연 2 1.25 2 1.20 2 1.18 2 1.23 2 1.18
∙ 병원 및 기타 7 2.49 11 3.50 15 4.55 15 4.20 17 4.64
기업 2,438 5.73 2,970 6.12 3,237 5.90 3,518 6.01 3,709 5.96
∙ 정부투자기관 3 6.12 4 9.52 6 10.91 6 11.11 5 8.47
∙ 민간기업 2,435 5.73 2,966 6.12 3,231 5.90 3,512 6.01 3,704 5.96
합 계 2,469 5.67 3,004 6.09 3,279 5.87 3,558 1.76 3,753 5.9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18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인천 소재 대학 수는 8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3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4-18 ❙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3 3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 6 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인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5만 3,37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702명(전체의 약 8.81%), 공학계열 학생이 2만 801명(전체의
약 38.98%)
표 3-4-19 ❙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702 20,801 25,503 2,512 3,941 5,664 3,616 12,134 53,370
비중(%) 8.81 38.98 47.79 4.71 7.38 10.61 6.78 22.74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18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인천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인하대와 인천대에 각각 4개, 3개의 센터가 존재했지만, ’22년
기준 인하대 1개만 남아 있음
표 3-4-20 ❙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인하대 열플라즈마 환경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19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인천에는 대학・연구기관 등에 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4-21 ❙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인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5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4-22 ❙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인천광역시교육과학정보원 공립
인천어린이과학관 공립
인천나비공원 공립
강화은암자연사박물관 사립
소리체험박물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미래서비스 미래혁신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송도 창업보육센터 2000-06-13
(재)인천테크노파크 인천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2001-08-31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한국폴리텍2대학 한국폴리텍2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02-0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벤처센터 2001-12-01
REGIONAL S&T YEARBOOK 2022 191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인천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2년 인천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91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519명임
표 3-4-23 ❙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234 253 270 313 591
수혜자 수 3,672 4,244 4,335 7,565 5,519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인천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인천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7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7개 지원
표 3-4-24 ❙ 인천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인천대학교 6
전용공간
5개(400㎡)
14 27,223 64.0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19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인천의 특허출원 건수는 7,095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921건
- 특허출원 및 등록 모두 ’20년에 비해 증가
표 3-4-25 ❙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6,633 5,989 6,195 6,236 6,439 6,728 7,095
특허등록 건수 3,214 3,307 3,400 3,499 3,585 3,916 3,92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인천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962편, 주저자 기준 2,15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6.23%, 3.39%를 차지
표 3-4-26 ❙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606 5.92 55,492 15.39 1,601 3.16 22,743 14.21
2018 3,916 6.14 54,204 13.84 1,774 3.38 20,339 11.47
2019 4,328 6.44 45,119 10.42 2,005 3.65 18,713 9.33
2020 4,663 6.32 30,589 6.56 2,109 3.53 11,651 5.52
2021 4,962 6.23 11,159 2.25 2,153 3.39 4,168 1.9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19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기업과 시민이 함께하는 과학기술 공감도시, 인천
■ 전략
-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고도화
-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문화확산
- 지역주도 과학기술 거버넌스 체계 구축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기업과 시민이 행복한 「과학기술 공감도시, 인천」
■ 전략산업기술 혁신주체역량 고도화
■ 지역의 과학기술·산업혁신을 위한 글로벌 개방형혁신 구축
■ 시민주도형 과학기술문화확산
■ 지역주도 과학기술거버넌스체계구축
19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 지역 연구개발투자 사업의 효율화 및 역량 강화 등
을 달성하기 위한 지역과학기술혁신체계 고도화 추진
- 인천과학기술컨트롤타워의 활성화, 지역 주도의 R&D기획 체계구축,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지
역과학기술 성과 제고
- 성과창출형 지역연구개발 지원체계 구축, 전담사업 관리・운영
- 사업종료 후 추적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성과관리
■ (인천형 뉴딜 관련 과학기술 투자 확대) 인천형 뉴딜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수요 맞춤형 연구개
발지원, 인력양성 등을 통한 지역과학기술 투자 활성화 추진
- 산학연관 협력을 통해 지역 내 유입 및 개발된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의 기술 확장 및 신산업 창출
- R&D 혁신주체 간 실효성 있는 연계 체제 강화 및 중앙정부 연구개발 사업의 인천 유치 시스템 구축
■ (지역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확보 및 혁신기반 구축)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산업 및
신산업의 육성을 위한 신성장동력 과제 발굴 및 산업기반인프라 구축
- 지역 미래산업 생태계 분석 및 전망을 통하여 지역 신산업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대안 제시
- 바이오, 미래자동차, 로봇, ICT 등 지역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신성장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2 195
제5절 광주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광주의 인구는 약 147만 명으로 전국의 2.84%가 거주
- 광주의 인구수는 2017년부터 소폭 감소 중
표 3-5-1 ❙ 광주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495,392 1,488,439 1,489,142 1,479,550 1,468,912
전국대비 비율(%) 2.91 2.89 2.88 2.86 2.84
경제활동참가율(%) 60.8 61.7 61.5 61 60.3
실업률(%) 2.9 3.8 3.7 3.9 3.6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19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광주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1.1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3.10%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39.4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6.62%)과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1.29%)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9.45%의 증가율로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이며, 농
림・어업・광업의 경우는 5년 간 산업 비중이 11.59%의 감소율을 보임
표 3-5-2 ❙ 광주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36,384,616 38,216,077 39,624,032 39,530,642 41,118,24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49,531 139,362 133,300 96,223 107,376
(지역내비중, %) (0.41) (0.36) (0.34) (0.24) (0.26)
제조업 9,482,634 9,754,895 9,953,560 10,134,325 10,944,019
(지역내비중, %) (26.06) (25.53) (25.12) (25.64) (26.6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60,499 466,452 559,019 601,919 718,983
(지역내비중, %) (0.99) (1.22) (1.41) (1.52) (1.75)
건설업 1,492,858 1,669,442 1,627,794 1,819,536 1,833,808
(지역내비중, %) (4.10) (4.37) (4.11) (4.60) (4.46)
기타서비스업 15,068,371 15,433,914 16,175,180 15,752,780 16,230,470
(지역내비중, %) (41.41) (40.39) (40.82) (39.85) (39.4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7,715,629 8,074,738 8,447,028 8,443,229 8,752,504
(지역내비중, %) (21.21) (21.13) (21.32) (21.36) (21.29)
순생산물세 2,118,137 2,679,770 2,775,426 2,763,621 2,695,627
(지역내비중, %) (5.82) (7.01) (7.00) (6.99) (6.56)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197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광주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4조 8,881억원이고, 1,232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6만
1,76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14조 2,792억원(전체의 40.94%), 사업체 수에서
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27개(전체의 18.43%),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업’이 7,275명(전체의 11.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5-3 ❙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63,539 2.76 72 5.84 2,235 3.62
음료 제조업 510,104 1.46 4 0.3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8,043 0.14 14 1.14 228 0.3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980 0.04 13 1.06 135 0.2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827 0.06 5 0.41 43 0.0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797,356 8.02 148 12.01 5,189 8.4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98,167 0.57 24 1.95 444 0.72
1차 금속 제조업 938,703 2.69 63 5.11 1,513 2.45
전기장비 제조업 4,933,716 14.14 116 9.42 4,903 7.9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362,479 12.51 227 18.43 7,275 11.7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279,177 40.94 163 13.23 6,755 10.94
가구 제조업 55,054 0.16 13 1.06 214 0.35
기타 제품 제조업 22,165 0.06 9 0.73 162 0.2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2 0.16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8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47,257 4.15 182 14.77 4,379 7.0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0,030 0.80 20 1.62 1,138 1.8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03,827 0.58 46 3.73 1,780 2.8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6,531 0.05 11 0.89 253 0.4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765,065 7.93 61 4.95 1,784 2.8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1 0.08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77,286 0.51 17 1.38 251 0.4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1,637 0.29 19 1.54 179 0.29
합 계 34,880,086 100 1,232 100 61,767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19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없으나, 부가가
치 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으며,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고무 및 플라
스틱제품 제조업’과 ‘전기장비 제조업’이 있음
표 3-5-4 ❙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전기장비 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비교적
높음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음료제조업
낮음
∙식료품제조업
∙담배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
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199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광주시는 ‘광・ICT 융합산업분야(인공지능포함)’와 ‘에너지・환경산업 분야’, ‘디자인・문화콘
텐츠산업’, ‘의료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5-5 ❙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광·ICT융합산업분야 (인공지능포함)
지역SW서비스 사업화지원
광융합산업 히든챔피언육성 지원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인공지능대학원 지원
글로벌광융합비즈니스경쟁력강화지원
에너지·환경산업 분야
친환경자동차부품 클러스터조성
레독스흐름 전지인증센터
에너지밸리기술원 사업지원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산업화 디자인프로젝트
2021 국제문화 창의산업전(ACE fair)
의료산업
한국뇌연구원 협력 치매예측기술개발
시니어 코스메디케어 실증센터 구축
치과생체흡수성 소재부품 중소파트너 지원
ak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 출처 : 광주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20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9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781총 종사자 수는 69,811명
표 3-5-6 ❙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광주첨단과학 9,991 3,643 1,972 1,273 19,789 100 완료
빛그린 1,845 1,498 66 27 893 80 조성중
일반
평동 5,064 5,064 677 676 14,077 100 완료
소촌 190 189 55 55 539 100 완료
송암 415 414 63 63 1,489 100 완료
본촌 877 878 144 140 1,956 100 완료
진곡 1,909 1,909 384 338 4,506 100 완료
평동3차(1단계) 1,175 1,175 142 106 2,850 100 완료
광주에너지밸리 880 879 27 0 0 56 조성중
하남[재생사업지구:부분] 5,944 5,937 1,074 1,034 22,050 100 완료
광주연구개발특구첨단3지구
(광주경제자유구역)
3,617 3,617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남구 467 467 5 5 60 64 조성중
농공 소촌 324 324 64 64 1,602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2 201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광주광역시에는 총 645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08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은 44개, ‘도매 및 소매업’이 1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82개), ‘전기 장비 제조업’(72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6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5-7 ❙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1 -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4 31 33
음료 제조업 2 1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6 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 3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3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1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 5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3 34 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11 1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5 25 1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6 7
1차 금속 제조업 14 12 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6 49 2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8 70 5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7 73 61
전기장비 제조업 95 83 72
20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23 98 8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4 26 2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4 4
가구 제조업 4 3 3
기타 제품 제조업 5 11 1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4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3 1
건설업(41~42) 16 24 17
도매 및 소매업(45~47) 12 16 18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100 102 108
금융 및 보험업(64~66) 1 - 1
부동산업(68) - 1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4 49 4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3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4 6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1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3 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05 769 645
REGIONAL S&T YEARBOOK 2022 20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광주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2위임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5,117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6.20%이
며, 전국의 1.92%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9,006명(전국의 4.29%)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5,026명(전국의 0.99%), 공공연구소는 1,085명(전국의 1.63%)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5-8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602 3.56 8,520 4.43 8,351 4.30 9,199 4.44 9,006 4.29
∙ 국공립 5,908 7.73 6,273 7.90 6,201 7.76 7,148 8.25 6,386 7.35
∙ 사립 694 0.64 2,247 1.99 2,150 1.88 2,051 1.70 2,620 2.12
공공연구소 905 1.62 959 1.64 916 1.47 1,032 1.61 1,085 1.63
∙ 국공립 154 1.44 196 1.60 145 1.12 158 1.23 204 1.52
∙ 정부출연 326 1.02 286 0.88 310 0.90 392 1.15 356 1.05
∙ 병원 및 기타 425 3.24 477 3.51 461 3.06 482 2.77 525 2.73
기업 4,378 1.07 4,718 1.07 4,881 1.06 4,934 1.04 5,026 0.99
∙ 정부투자기관 10 0.25 1 0.03 1 0.03 4 0.11 5 0.13
∙ 민간기업 4,368 1.08 4,717 1.08 4,880 1.06 4,930 1.04 5,021 0.99
합 계 11,885 1.83 14,197 2.05 14,148 1.97 15,165 2.03 15,117 1.9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0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광주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작년도에 비해 3.5명 감소한 63.9명으로 조사됨
표 3-5-9 ❙ 광주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51.6 63.6 63.6 67.4 63.9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광주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1,089억 원(전국의 1.09%)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0.2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730억 원(전국의 5.07%), 공공연구소는
약 2,239억 원(전국의 1.87%), 기업이 약 4,120억 원(전국의 0.51%)
표 3-5-10 ❙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26,446 3.39 289,945 4.11 319,901 4.34 374,822 4.49 473,043 5.07
∙ 국공립 218,750 7.40 236,834 7.67 254,428 7.77 307,241 8.14 373,148 8.85
∙ 사립 7,696 0.21 53,111 1.34 65,473 1.60 67,581 1.48 99,895 1.95
공공연구소 157,946 1.66 217,659 2.21 146,873 1.44 195,437 1.76 223,892 1.87
∙ 국공립 1,316 0.16 11,953 1.47 9,907 1.19 1,147 0.13 3,653 0.38
∙ 정부출연 68,259 0.92 73,179 0.97 66,631 0.85 71,466 0.86 86,373 0.99
∙ 병원 및 기타 88,371 6.65 132,527 8.95 70,335 4.61 122,824 6.19 133,867 5.79
기업 408,873 0.65 393,429 0.57 360,107 0.50 383,687 0.52 411,960 0.51
∙ 정부투자기관 695 0.08 63 0.01 64 0.01 69 0.01 74 0.01
∙ 민간기업 408,178 0.66 393,366 0.58 360,043 0.51 383,618 0.53 411,886 0.52
합 계 793,265 1.01 901,033 1.05 826,881 0.93 953,946 1.02 1,108,895 1.0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20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광주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70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31%
표 3-5-11 ❙ 광주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469 4,474 4,827 5,607 5,708
(2.3) (2.3) (2.4) (2.5) (2.4)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21 투자실적)
■ 4차산업혁명 기반 R&D 확대 및 미래전략기술 개발
- 지역주력산업육성(132억원),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사업(105억원), 광주무인저속특
장차규제자유특구(92억원),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중량 200Kg급 카고드론 기술개발(76억원),
지역발전투자협약시범사업(72억원), 미래형스마트그리드실증연구사업지원(60억원), 무인자율주
행 기술의 언택트 서비스 실용화 기술개발 및 기술실증(58억원), 수소충전소고장예지 및 안전관리
상용화개발(32억원)
■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산·학·연 협력사업 활성화 및 공동연구개발
-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오픈랩조성(65억원), MEMS기반고부가광반도체상용화인프라구축(38억
원), 카메라렌즈용 광학소재 산업화 지원(31억원), 인공지능콘텐츠융합창작랩구축운영(30억),
EV-신재생 연계 DC전력거래 시스템개발(28억원), 인공지능활용이오닉스기반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지원사업(27억원), AI기반 바이오헬스케어 융복합제품 실증센터 구축(27억원)
■ 미래신산업 육성을 위한 및 혁신클러스터 조성
-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886억원),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조성(379억원), 광주 실감콘텐츠 큐
브조성 사업(205억원), 레독스흐름전지인증센터(104억원), 거점형 수소생산기지 구축(97억원), 마
이크로의료로봇 개발지원센터 구축(96억원), 친환경 자동차부품 인증센터 구축(96억원), 그린에너
20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지 ESS발전 전력거래 실증(81억원), 지역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사업(80억원), 빛그린 산학융
합지구 조성사업(70억원), 공공기관연계 오픈랩조성사업(65억원), 창업기업성장지원센터 건립(53
억원),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종합지원센터구축(48억원),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47억원)
■ 4차 산업 대비 융합형 인재육성 및 일자리 창출
- 사회맞춤형 산학렵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162억원), 지역산업맞춤형 자치단체지원(99억
원), SW중심대학(36억원), 광주지역전략산업 및 지식서비스청년채용지원(30억원), 디자인 우수
인재연계 상생일자리지원(29억원), 인공지능대학원지원(29억원), 대학일자리센터 운영지원(22억
원),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지원(19억원),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12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정책과 과학기술부에서 담당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시장
문화경제부시장
인공지능산업국
인공지능정책과 산업혁신성장과 차세대산업과 기반산업과 에너지산업과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표 3-5-12 ❙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9,342 2 7,565 139 34 34 1,568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207
(나) 역할
표 3-5-13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국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수립
∙ 인공지능기반융복합사업 및 ICT산업 진흥계획수립
∙ 연구개발지원단(과학기술진흥위원회 포함) 사업 지원
∙ 인공지능 산업육성 법령 및 조례 제정
∙ 인공지능 집적단지 실증장비 구축 및 R&D 사업 추진
∙ 한국엔젤투자협회 지원 및 엔젤투자펀드 관리
∙ 산업정책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사항
∙ 대표산업 육성 및 지원(관리)에 관한 사항
∙ 대선 공약 발굴 및 관리 미래먹거리사업 발굴 기획에 관
한 사항 스마트특성화사업 등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추
진 국비과제 관리 지역사업평가단 연계사업 추진
∙ 의료관광 활성화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 광주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 사업 추진
∙ 무인항공기(드론)산업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사업
∙ e모빌리티 업무 전반에 관한 사항
∙ 뿌리산업 종합계획 수립 뿌리산업(금형,용접,정밀가공 등
14대산업) 육성사업에 추진 뿌리산업전시회 업무 추진
∙ 한국전기연구원 협력 및 분산에너지 특화단지
∙ 에너지 효율화 관련 신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광주 그린에너지 ESS발전 전력거래 실증(규제자유특구)
∙ EV-신재생연계 DC전력거래 플랫폼 시스템 개발 - 한국
전기연구원 협력 및 분산에너지 특화단지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조례(21.2.25 일부개정) 제4조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
제5조의2 전담기관 지정・운영
■ 주요 기능 및 역할
- (심의 조정)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심의 ・조정
- 지역과학기술의 혁신과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위촉직위원 2년, 연임 1회, 보궐위원 전임위원의 잔여 임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2회
- 1회 (2022.10.04.)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과 관련한 주요정책 및 사업과제 선정
- 2회 (2022.12.20.) : 실·국 차기년도 예산 계획 수립 후, 과학기술진흥 관련 사업 보고·의견수렴
(실·국 통보, 예산 편성 등 사업에 반영)
20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5-14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조인철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부위원장 손경종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김정근 광주대학교 ’18.12.17~’20.12.16
위원 나현식 호남대학교 〃
위원 백란 호남대학교 〃
위원 안기석 광주과학기술진흥원 〃
위원 유진철 조선대학교 〃
위원 정인성 전자부품연구원 〃
위원 한은미 전남대학교 〃
위원 김선옥 국립광주과학관 ’19.11.1~’21.10.31(연임예정)
위원 이성기 조선대학교 〃
위원 임혁 광주과학기술원 〃
위원 홍성금 조선대학교 〃
※ 출처 : 광주광역시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20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광주시의 총 예산은 13조 9,42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2,22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1.60%
- 과학기술 예산 중 광주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2.42%
표 3-5-15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139,423
재정자주도(%) 62.5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86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22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60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2.42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광주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3,150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각각 약 1,876억 원, 1,034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입
표 3-5-16 ❙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발전투자협약시범사업(균형위)
지역맞춤형재난안전 문제해결 기술개발
지원사업
4,890 3,681 134 8,705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지역현안해결형 R&D지원
지역미래먹거리 산업발굴
852 695 - 1,54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
지역산업맞춤형자치단체지원
44,784 14,037 3,354 62,17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광주과학관법인출연
수소연료전지기반 탑재중량 200kg급
카고드론 기술개발
47,836 32,433 6,753 87,022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지역주력산업육성
66,177 39,629 7,392 113,198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BIXPO 개최지원
MEMS기반 고부가 광반도체 상용화 인프라
구축
22,732 13,576 7,115 43,422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광주 연구개발특구 육성
친환경자동차 부품 인증센터 구축
36,641 15,227 3,669 55,537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조성
187,638 103,367 23,938 314,943
합 계 411,550 222,645 52,355 686,55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21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광주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1,072개로 전국의 1.69%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36% 증가
- 5년간 대학은 4개, 공공연구소 3개, 기업 258개 증가
표 3-5-17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2 2.93 16 4.38 17 4.10 16 3.89 16 3.78
∙ 국공립 4 4.49 4 5.06 4 4.76 4 4.71 5 5.81
∙ 사립 8 2.49 12 4.20 13 3.93 12 3.68 11 3.26
공공연구소 19 3.34 21 3.43 21 3.27 22 3.32 22 3.19
∙ 국공립 3 2.36 3 2.29 3 2.10 2 1.40 2 1.31
∙ 정부출연 9 5.63 9 5.39 9 5.33 9 5.52 10 5.88
∙ 병원 및 기타 7 2.49 9 2.87 9 2.73 11 3.08 10 2.73
기업 776 1.82 870 1.79 972 1.77 1,012 1.73 1,034 1.66
∙ 정부투자기관 1 2.04 1 2.38 1 1.82 1 1.85 1 1.69
∙ 민간기업 775 1.82 869 1.79 971 1.77 1,011 1.73 1,033 1.66
합 계 807 1.85 907 1.84 1,010 1.81 1,050 1.76 1,072 1.6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1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광주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10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5-18 ❙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8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6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5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광주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7,47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406명(전체의 약 10.75%), 공학계열 학생이 1만 9,403명(전
체의 약 22.18%)
표 3-5-19 ❙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수 9,406 19,403 28,809 17,951 8,192 8,069 7,730 16,727 87,478
비중(%) 10.75 22.18 32.93 20.52 9.36 9.22 8.84 19.12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21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1년에 광주광역시에는 총 8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전남대가 5개, 광주과학기술원이 2개, 조선대가 1개 센터를 운영
표 3-5-20 ❙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광주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5 극미세 초고속 X-선 과학 연구센터 SRC
2021
도시형 생활폐기물 가스화 물질 혁신적 전환
선도연구센터
ERC
전남대학교
(5개 센터)
2018 복합암면역치료 연구센터 MRC
2018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19 경조직 바이오인터페이스 연구 센터 MRC
2020 심혈관 환자맞춤형 차세대 정밀의료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중성미자 정밀 연구센터 SRC
조선대학교
(1개 센터)
2022 악성암 제어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21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광주 내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조선대(3개), 호남대(1개), 전남대(1개)에 위치했으나, ’18년도
기준 전 사업이 종료되어 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광주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5-21 ❙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기업지원센터 2000-12-14
광주대학교 광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2
(광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광주드림파크 (포스트BI) 1996-12-29
남부대학교 남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1-01
동강대학교 동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8
송원대학교 송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1-30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7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02
호남대학교 호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2-1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2 21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광주에는 과기정통부 산하 국립과학관 1개소와 광주시교육청 산하 공립과학관 1개소, 사립과
학관 1개소로 총 3개소가 운영 중
표 3-5-22 ❙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광주과학관 국립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공립
한수위 사이언스 LAB 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광주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1년 광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1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969명임
표 3-5-23 ❙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68 69 90 73 81
수혜자 수 1,168 1,027 1,149 885 969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21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광주의 특허출원 건수는 3,549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817건
- 특허출원은 ’20년에 비해 0.8% 증가, 특허등록은 ’20년에 비해 1.6% 감소
표 3-5-24 ❙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3,074 3,321 3,279 3,431 3,458 3,522 3,549
특허등록 건수 1,298 1,410 1,694 1,765 1,806 1,846 1,81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광주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202편, 주저자 기준 2,250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28%, 3.54%를 차지
표 3-5-25 ❙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268 5.36 59,405 18.18 1,731 3.42 24,425 14.11
2018 3,410 5.34 51,938 15.23 1,741 3.32 20,735 11.91
2019 3,698 5.50 42,156 11.40 1,891 3.45 16,784 8.88
2020 3,930 5.33 26,329 6.70 2,056 3.45 11,230 5.46
2021 4,202 5.28 8,758 2.08 2,250 3.54 4,006 1.7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21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 경제발전과 삶의 질 향상
■ 목표
- 융복합 신산업 창출형 4차 산업 중심도시 육성
- 첨단과학 융합형 문화예술 선도도시 조성
- 지역 주도 R&D 기반조성을 통한 과학기술혁신체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정책 에 기반을 둔 투자환경 구축
- 광주광역시 R&D 기획역량 강화,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市 과학 기술예산 확대
- 조례개정을 통한 지역과학기술 위원회 위상강화, 지역 R&D 기획・평가관리 전담지원조직 기능 정
비, 광주광역시 R&D 정보시스템 기반 구축
■ 첨단과학기술 R&D혁신 역량강화
- 지역 혁신기관 운영 및 클러스터 효율화,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산・학・연 협력사업 활성화, 경쟁우
위를 갖춘 지역의 신산업 창출, 지역 현안문제 해결에 대한 투자 확대, 지역 벤처・중소・중견기업
R&D 지원 강화
■ 4차산업 혁명 인재육성 및 일자리 창출
- 광주형 일자리 기반 4차산업 대비 산・학・연 연계 융합형 인재양성 사업, 지역의 과학기술 밀착형
전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역특화기술 육성 펀드 확대 및 기술혁신형 창업 활성화, 지역
R&D 성과의 지역 기반 활용・확산 촉진, 과학기술 특화 One-Man 스타트업 지원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미래전략산업 육성
- 지역형 뉴딜 등을 연계한 지역주력산업 개편
- IoT·AI·빅데이터·5G 등 기술융합으로 지능형·스마트형 가전이 확대
■ 인공지능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인공지능 대표도시 구축
21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한국판 뉴딜 기반 디지털혁신 생태계 조성
- 지능화, 스마트화 대응을 위한 광인지, 대용량 광통신 등 개발
- AI로 특화된 광주형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인공지능 데이터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친환경 스마트카 중심 도시 조성
-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62만대)로 최근 광주글로벌모터스 설립
- 친환경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 추진 등을 통한 미래차 핵심부품 생산 거점 확보
■ 글로벌 에너지신산업 메카도시 조성 가속화
-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기반(국가혁신클러스터, 그린에너지 ESS 규제자유특구 등) 및 신기술 연구
인프라(에너지 분야 정부연구기관 집적)
- 친환경 공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및 대기업(LG)과의 협력 프로젝트 추진
- 에너지 융복합단지 활성화 기반 구축 및 신재생에너지 공공·민간 보급 및 에너지 복지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미래주도 ‘자율주행차 산업’ 육성
- 자율주행차·도심항공교통 중심 미래모빌리티 스마트그린산단 조성
- 미래모빌리티 테마파크 조성
- 차량용 전력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 대마산단 크러스터링 추진
- UAM(도심항공교통) 실증구역 지정하여 빛그린산단과 클러스터링 추진
■ 반도체 미래도시 조성
- 세계 최고수준의 「차세대반도체」 호남권 융합인재캠퍼스 구축
- 광주전남 「차세대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 AI사업화 도시플랫폼 구축
- AI기업 유형별 비즈니스 모델발굴 및 레퍼런스 제공
- AI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지원체계 고도화
- AI기업의 성장 단계 별 차등 지원체계 구축
- 데이터 플랫폼 확대 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2 219
- AI집적단지 고도화(국가AI혁신거점 육성, AI영재고 설립)
■ 차세대배터리 글로벌 선도도시
- 광주전남 에너지특별지자체 설립 및 발전재단 조속추진
- 차세대배터리 R&D국제 캠퍼스 조성 및 산업 확대
- 도시첨단산 정주여건 강화 및 에너지박람회 개최
■ 디지털정밀의료 도시기반 조성
- 정밀의료기반 통합를랫폼 구축
- 광주광역권 고당비 관리센터 조성
- 뷰티의료치유 특화산업 육성
22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6절 대전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대전의 인구는 약 148만 명으로 전국의 2.86%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대전 인구의 비중은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임
표 3-6-1 ❙ 대전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527,784 1,513,217 1,503,212 1,491,876 1,478,831
전국대비 비율(%) 2.97 2.93 2.90 2.88 2.86
경제활동참가율(%) 61 61.3 62.4 63.4 63
실업률(%) 3.4 4.2 4.2 4.4 3.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22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전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2.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24%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8.7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22.42%)과 제조업
(16.28%)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4.74%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6-2 ❙ 대전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38,772,485 39,135,729 40,684,092 41,208,249 42,368,245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8,796 37,067 37,045 37,831 39,565
(지역내비중, %) (0.10) (0.09) (0.09) (0.09) (0.09)
제조업 6,474,445 6,257,030 6,518,389 6,605,435 6,899,079
(지역내비중, %) (16.70) (15.99) (16.02) (16.03) (16.2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99,444 480,451 585,233 656,220 687,239
(지역내비중, %) (1.03) (1.23) (1.44) (1.59) (1.62)
건설업 1,449,541 1,435,544 1,591,750 1,739,903 1,872,787
(지역내비중, %) (3.74) (3.67) (3.91) (4.22) (4.42)
기타서비스업 19,179,732 19,534,439 19,987,123 20,322,801 20,641,393
(지역내비중, %) (49.47) (49.91) (49.13) (49.32) (48.7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659,125 8,870,772 9,296,003 9,168,427 9,499,551
(지역내비중, %) (22.33) (22.67) (22.85) (22.25) (22.42)
순생산물세 2,576,180 2,540,150 2,716,620 2,741,574 2,818,513
(지역내비중, %) (6.64) (6.49) (6.68) (6.65) (6.65)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22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대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8조 1,681억 원이고, 93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4만
3,80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각각 2조 4,560억 원(전체의 13.52%), 131
개(전체의 14.07%), 5,160명(전체의 11.78%)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6-3 ❙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363,420 7.50 97 10.42 2,697 6.16
음료 제조업 435,337 2.40 6 0.64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135 0.14 6 0.64 73 0.1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2 2.36 350 0.8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1,596 2.60 24 2.58 1,599 3.6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480,970 8.15 40 4.30 1,022 2.3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90,763 1.60 22 2.36 448 1.02
1차 금속 제조업 256,306 1.41 14 1.50 321 0.73
전기장비 제조업 668,251 3.68 62 6.66 1,039 2.3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456,034 13.52 131 14.07 4,401 10.0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52,821 4.14 38 4.08 1,305 2.9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39,120 0.77 13 1.40 223 0.51
가구 제조업 53,192 0.29 12 1.29 240 0.55
기타 제품 제조업 106,405 0.59 24 2.58 881 2.0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9,122 0.82 5 0.54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0,847 0.11 5 0.54 37 0.0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08,295 7.75 60 6.44 1,028 2.3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8,669 0.71 31 3.33 929 2.1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045,915 5.76 112 12.03 5,160 11.7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8,185 0.43 23 2.47 601 1.3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92,848 12.07 96 10.31 4,051 9.2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2 0.21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38,630 6.82 21 2.26 1,241 2.8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878,977 10.34 63 6.77 2,501 5.71
합 계 18,168,115 100 931 100 43,80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22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
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 정말,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6-4 ❙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
계 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음료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낮음
∙식료품제조업
∙담배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2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전시는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과제 추진 분야’와 ‘스마트시티 조성기반 마련 분야’, ‘바이오
산업 육성 고도화 분야’, ‘ICT융합산업 성장지원 분야’, ‘인공지능산업 육성기반 마련 분야’에
초점을 두었으며, 2018년부터 신규로 ‘신재생에너지산업분야’ 사업들을 운영
표 3-6-5 ❙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과제 추진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사업
마중물플라자조성사업
대전시-대덕특구 융합확산 기획 및 창의 융합사업
스마트시티 조성기반 마련
빅데이터 추진전략 수립용역
스마트시티 대전 주제관 운영
빅데이터 플랫폼(S/W) 유지관리
바이오산업 육성 고도화
유전자 기반 항체 신속제조 지원센터 구축
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
유전체분석시스템 구축
ICT 융합산업 성장 지원
무선통신 정밀기기·부품 기반연계 고도화사업
미래 ICT 유합 디바이스 산업 육성
지역 SW 성장지원사업
대전 인공지능산업 육성기반 마련
충청권 인공지능 · 메타버스 융합 클러스트 구축
제조 AI 플랫폼 구축
출연연연계 AI 학습데이터 전문인력 지원
※ 출처 : 대전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22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3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908개, 총 종사자 수는 42,675명
표 3-6-6 ❙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덕연구개발특구 67,809 67,809 1,499 1,482 37,253 100 조성중
일반
하소친환경 307 307 51 51 726 100 완료
대전산업단지[재생사업지구] 2,317 2,317 386 375 4,696 100 완료
평촌 859 859 0 0 0 0 미개발
도시
첨단
한남대캠퍼스혁신파크 31 32 0 0 0 0 미개발
대전장대 73 73 0 0 0 0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22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대전광역시에는 총 1,41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319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213개, ‘건설업’이 2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56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54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40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6-7 ❙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 4 3
광업(05~08) - 2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7 36 25
음료 제조업 - -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 13 1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4 2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6 6 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4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6 103 9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 33 3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0 14 1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 10 7
1차 금속 제조업 5 3 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8 36 2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7 161 15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65 146 140
전기장비 제조업 93 88 7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0 178 15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3 15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5 17 18
가구 제조업 10 8 6
기타 제품 제조업 30 33 28
REGIONAL S&T YEARBOOK 2022 22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4 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 4 3
건설업(41~42) 32 28 27
도매 및 소매업(45~47) 18 25 22
운수 및 창고업(49~52) -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1
정보통신업(58~63) 315 324 319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85 201 21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2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7 7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2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44 1,509 1,417
22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3위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5만 3,899명(전국의 6.86%)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53%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1,893명(전국의 4.30%)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은 1만5,901명(전국의 7.57%), 공공연구소는 1만 6,105명(전국의 24.2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6-8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830 9.06 17,890 9.30 17,159 8.84 17,068 8.24 15,901 7.57
∙ 국공립 14,438 18.89 14,900 18.76 14,510 18.16 14,385 16.61 13,024 14.99
∙ 사립 2,392 2.19 2,990 2.65 2,649 2.32 2,683 2.23 2,877 2.33
공공연구소 14,538 26.05 14,859 25.45 15,901 25.48 15,983 24.92 16,105 24.20
∙ 국공립 302 2.82 333 2.72 372 2.89 276 2.15 304 2.26
∙ 정부출연 13,957 43.60 14,237 43.71 15,118 43.88 15,402 45.38 15,488 45.70
∙ 병원 및 기타 279 2.13 289 2.13 411 2.73 305 1.76 313 1.63
기업 19,356 4.74 19,329 4.39 20,582 4.45 18,979 3.99 21,893 4.30
∙ 정부투자기관 2,166 55.13 2,008 51.42 2,049 53.30 2,056 54.93 2,159 55.87
∙ 민간기업 17,190 4.25 17,321 3.97 18,533 4.04 16,923 3.58 19,734 3.91
합 계 50,724 7.80 52,078 7.54 53,642 7.46 52,030 6.96 53,899 6.8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229
■ ’21년 대전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7.8명 증가한 257.0명으로 조사됨
표 3-6-9 ❙ 대전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34.0 240.3 248.5 239.2 257.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대전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3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9조 4,428억원(전국의 9.25%)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0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7,429억(전국의 7.96%), 공공연구소는 약
5조 864억원(전국의 42.40%), 기업이 약 3조 6,135억원(전국의 4.47%)
표 3-6-10 ❙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06,691 7.58 536,633 7.61 619,394 8.40 691,423 8.28 742,856 7.96
∙ 국공립 445,761 15.07 472,111 15.29 559,197 17.08 609,300 16.14 665,801 15.79
∙ 사립 60,930 1.64 64,522 1.63 60,197 1.47 82,123 1.79 77,055 1.51
공공연구소 4,145,370 43.44 4,242,119 43.09 4,204,174 41.34 4,988,331 44.86 5,086,426 42.40
∙ 국공립 17,158 2.15 17,456 2.14 17,865 2.14 20,292 2.38 20,881 2.16
∙ 정부출연 4,104,638 55.34 4,196,514 55.59 4,159,456 53.28 4,941,595 59.65 5,036,942 57.77
∙ 병원 및 기타 23,574 1.77 28,149 1.90 26,853 1.76 26,444 1.33 28,603 1.24
기업 3,046,438 4.87 3,213,447 4.67 2,882,330 4.03 3,193,938 4.34 3,613,514 4.47
∙ 정부투자기관 581,731 65.35 628,286 69.16 625,637 72.00 617,295 70.47 618,215 71.93
∙ 민간기업 2,464,707 4.00 2,585,161 3.81 2,256,693 3.19 2,576,643 3.54 2,995,299 3.75
합 계 7,698,499 9.77 7,992,199 9.32 7,705,898 8.65 8,873,691 9.53 9,442,797 9.2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3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대전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조 8,20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2%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23%
표 3-6-11 ❙ 대전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5,630 56,655 58,439 65,132 68,208
(28.9) (28.9) (28.6) (28.7) (28.2)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대전사회지표 조사 및 분석(1.9억원) 등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 대전세종연구원 운영(50.1억원), 대전테크노파크 운영(46.3억원),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운영(30.4
억원) 등
■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해외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27억원), 지역에너지절약사업(11.2억원) 등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64.1억원),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지원(30.9억원), 기초의과학연
구센터(MRC)지원(14.1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 에너지자립마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88.9억원), SW서비스 개발사업(19.5억원), 대덕과학
문화의거리 조성(19.1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2 231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 스마트 적층제조 공정혁신 지원기반 고도화 사업(34.7억원), 이전공공기관연계 육성사업(오픈
랩)(31.4억원), IP스타기업 육성사업(29.6억원),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뿌리산업 혁신성장 고도
화 사업(27.1억원), 뿌리산업 활성화 지원사업(25억원) 등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36억원), 해외우수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 사업(4.6억원), 마스 월
드 포럼(MARS World Forum)(3억원) 등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지역주력산업 지원(187억원), 유전체분석시스템 구축(54.8억원), 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사업(50.7억원), 무선통신 정밀기기‧부품 기반연계 고도화사업(40억원), 기업성장
주기별 3-UP 지원사업(38억원), 의료현장형 ICT융복합 체외진단시스템 고도화(30.5억원) 등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477.6억원),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사업(179.8억
원), IoT센서 신뢰성평가 및 제품화 지원사업(100억원),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구
축(91.5억원), 한남대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76.2억원),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혁
신사업(체외진단분야)(65.8억원),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사업(61.1억원), 광학융합 부품소재
산업화 기반구축(55.5억원) 등
2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산업과, 미래산업과, 기반산업과, 스마트시티과에서 담당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시장)
부위원장 간사 (경제과학국장)
분과위원회
과학기술정책
분과위원회
산·학·연협력
분과위원회
과학문화확산
분과위원회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표 3-6-12 ❙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8,669 2 6,856 117 34 30 1,63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나) 역할
표 3-6-13 ❙ 대전광역시 전략산업추진실 산업정책과와 경제과학국 과학협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전략산업
추진실
산업정책과
∙ 대전시 과학산업육성에 대한 전반적 정책 수립 및 계획 마련
∙ 대전시장 약속사업 추진 및 관리
∙ 지식재산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관리
∙ 디자인뿌리산업 육성계획 수립·지원
∙ 나노반도체산업 육성계획 수립지원
∙ 인공지능 육성계획 수립·지원 등
경제과학국
과학협력과
∙ 출연연 등 협력사업 관리·운영
∙ 대전과학기술위원회 구성·운영
∙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사업 추진 및 관련 업무
∙ 대덕특구 50주년 기념사업 및 대전과학문화 관련 업무 등
REGIONAL S&T YEARBOOK 2022 233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4조(과학기술위원회)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 진흥과 관련한 종합적인 시책 심의
-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과학대중화 실현
- 과학기술진흥 연구개발과 관련 지원사업 심의
- 벤처기업육성․지원 및 중소기업체의 기술혁신 지원 심의
- 기술이전 및 신용평가에 관련한 사항 심의
-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법 제13조 제2항의 심의사항 심의
-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심의
- 그 밖에 시장이 심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 심의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3년(’21. 3. 24 ~ ’24. 3. 23)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연1회(대전 과학산업 중장기발전계획 심의·의결)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6-14 ❙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허태정 대전광역시 2021.03.24.~2024.03.23.
위원 명노충 대전광역시 2021.03.24.~2024.03.23.
위원 오광영 대전광역시 의회 2021.03.24.~2024.03.23.
위원 김복철 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 2021.03.24.~2024.03.23.
위원 김명준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 2021.03.24.~2024.03.23.
위원 임효숙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2021.03.24.~2024.03.23.
위원 안동만 (사)과학기술인연우연합회 2021.03.24.~2024.03.23.
위원 이광형 카이스트 2021.03.24.~2024.03.23.
위원 이진숙 충남대학교 2021.03.24.~2024.03.23.
위원 이광섭 한남대학교 2021.03.24.~2024.03.23.
위원 정태희 대전상공회의소 2021.03.24.~2024.03.23.
23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대전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전시의 총 예산은 약 13조 3,15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228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2%,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비율은 45.03%
표 3-6-15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133,157
재정자주도(%) 68.8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72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22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5.03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김병순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2021.03.24.~2024.03.23.
위원 황순화 대전세종충남여성벤처협회 2021.03.24.~2024.03.23.
위원 강도묵 대전세종충남경영자총협회 2021.03.24.~2024.03.23.
위원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 2021.03.24.~2024.03.23.
위원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2021.03.24.~2024.03.23.
위원 이광축 TJB 2021.03.24.~2024.03.23.
위원 이석봉 대덕넷 2021.03.24.~2024.03.23.
위원 우운택 새로운대전위원회 2021.03.24.~2024.03.23.
위원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2021.03.24.~2024.03.23.
REGIONAL S&T YEARBOOK 2022 235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대전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237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각각 약 814억 원, 약 397억 원 투입
표 3-6-16 ❙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광역협력산업육성사업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250 - 25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대전테크노파크 운영
180 17,632 - 17,812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담금
ICT를 활용한 화훼생산기반 조성
- 323 - 323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지원
10,656 4,152 2,951 17,759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에너지자립마을신재생에너지융복합사업
SW서비스 개발사업
6,152 6,181 1,047 13,38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대전 지역기반 게임산업 육성사업
IP스타기업 육성사업
7,958 16,730 362 25,05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사업
해외수소기반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4,207 4,257 1,900 10,364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주력산업 육성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28,451 33,511 2,157 64,12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덕특구 융합연구혁신센터 조성사업
81,420 39,736 2,523 123,679
합 계 139,024 122,772 10,940 272,737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0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3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대전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038개로 전국의 3.2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9.45% 증가
- 5년간 대학은 5개 증가, 공공연구소 11개, 기업 602개 증가
표 3-6-17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39 21 5.75 22 5.30 22 5.35 23 5.44
∙ 국공립 5 5.62 5 6.33 5 5.95 5 5.88 5 5.81
∙ 사립 13 4.05 16 5.59 17 5.14 17 5.21 18 5.34
공공연구소 35 6.15 41 6.70 45 7.01 45 6.79 46 6.68
∙ 국공립 4 3.15 5 3,82 6 4.20 6 4.20 7 4.58
∙ 정부출연 23 14.38 25 14.97 25 14.79 25 15.34 26 15.29
∙ 병원 및 기타 8 2.85 11 3.50 14 4.24 14 3.92 13 3.55
기업 1,367 3.21 1,576 3.25 1,695 3.09 1,837 3.14 1,969 3.16
∙ 정부투자기관 13 26.53 12 28.57 13 23.64 13 24.07 15 25.42
∙ 민간기업 1,354 3.19 1,564 3.23 1,682 3.07 1,824 3.12 1,954 3.14
합 계 1,420 3.26 1,638 3.32 1,762 3.15 1,904 3.20 2,038 3.2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237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대전 소재 대학 수는 16개
- 일반대학 11개, 전문대학 4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6-18 ❙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4 4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 13 16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대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1만 5,94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4,924명(전체의 약 12.87%), 공학계열 학생이 3만 3,513
명(전체의 약 28.90%)
표 3-6-19 ❙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4,924 33,513 48,437 14,483 10,210 4,946 10,318 27,552 115,946
비중(%) 12.87 28.90 41.78 12.49 8.81 4.27 8.90 23.76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3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에 대전광역시에는 총 1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한국과학기술원에 11개 센터가 구축되어 있고, 충남대에 3개 센터가 구축・운영됨
표 3-6-20 ❙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남대학교
(3개 센터)
2017 감염 제어 컨버전스 연구센터 MRC
2020 마이크로바이옴 - 뇌신경질환 융합연구센터 RLRC
2022 라이프사이클 기반 시니어헬스 융합연구센터 CRC
한국과학기술원
(11개 센터)
2016 응집상 양자 결맞음 연구센터 SRC
2016 자율운전 소형모듈형 원자로 연구센터 ERC
2017 스마트 수중 터널 시스템 연구센터 ERC
2017 인체부착형 빛 치료 헬스케어 공학 센터 ERC
2018 MARS 인공지능 통합 연구센터(AI) ERC
2018 세포 정체성 연구 센터 SRC
2018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SRC
2018 인류세 연구센터 CRC
2019 확률 해석 및 응용 연구센터 SRC
2022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ERC
2022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산 연구센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2 239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전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한밭대 소속 2개의 센터를 비롯하여, 목원대, 대전대, 한국생명공
학연구원, 한남대에 각각 1개씩 운영했으나, ’21년 기준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인 센터는 없으며,
목원대는 성과활용만 진행 중임
표 3-6-21 ❙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목원대 방재정보통신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대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6-22 ❙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대덕대학교 대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7-02-21
대전대학교 대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6
대전보건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11-11
24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총 5개가 운영 중
표 3-6-23 ❙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
대전과학체험관 대전교육과학연구원 공립
대전시민천문대 대전광역시 공립
대전신세계넥스페리움 ㈜신세계 사립
대전엑스포아쿠아리움 ㈜엠케스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목원대학교 목원대학교 창업진흥센터 1999-12-28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5-12-26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 2000-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1-02-23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전력벤처기업육성센터 1999-11-23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창업보육센터(HNU Science Park) 1998-12-23
한밭대학교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01
REGIONAL S&T YEARBOOK 2022 241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대전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2년 대전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49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3,616명임
표 3-6-24 ❙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131 133 124 170 149
수혜자 수 2,775 3,006 2,594 2,895 3,616
※ 주1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대전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대전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5개 지원
표 3-6-25 ❙ 대전광역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대전관광공사 4
전용공간
1개(72㎡)
10 322,896 64.2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24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대전 특허출원 건수는 1만 1,37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6,688건
- 특허출원 건수는 ’20년에 비해 4.7% 증가, 특허등록 건수는 ’20년 대비 0.4% 감소
표 3-6-26 ❙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11,283 10,811 10,734 10,767 10,632 10,867 11,374
특허등록 건수 5,238 5,492 6,503 5,877 6,504 6,712 6,68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대전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1,183편, 주저자 기준 5,674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4.05%, 8.94%를 차지
표 3-6-27 ❙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9,620 15.79 182,141 18.93 4,757 9.40 74,006 15.56
2018 9,922 15.55 152,367 15.36 5,043 9.61 66,100 13.11
2019 10,046 14.94 118,383 11.78 4,986 9.08 50,369 10.10
2020 10,950 14.85 79,294 7.24 5,674 9.51 34,576 6.09
2021 11,183 14.05 28,760 2.57 5,674 8.94 11,332 2.0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24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주도 혁신성장 실현
■ 전략 :
- 지방정부의 지역혁신 리더십 구축
-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 극대화
- 지역혁신 성장체계 고도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주도 혁신 R&D 기획·조정 체계화
- 산·학·연·민・관 협력기반 개방형 혁신 R&D 기획 체계 지속 확산
- 지역 내 R&D 기획 역량 및 추진체계 고도화를 위한 과학기술위원회 분과위원회 역할 및 기능 강화
- 지역 R&D 기획, 관리, 평가, 조정의 선순환 시스템 구축
■ 지역 혁신형 R&D 투자의 지속적 확대
- 지역 혁신형 연구개발 투자예산의 단계적 확대 노력 지속
- 지역현안 문제 및 지역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지역 네트워크 강화 및 우수성과의 공유·확산 촉진
-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개방형 혁신 확대
- 지역 우수인력의 육성・활용 강화 방안 마련
- 우수성과 기반 창업 활성화 및 창업생태계 조성 지원
24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과학수도 대전’ 기반 마련을 위한 대덕특구 재창조 본격 추진
- (대덕특구 재창조 실행계획 마련) 과학산업을 통한 지역혁신 모델 구축 및 과학수도로서의 도약과
위상을 확립할 수 있는 대덕특구 재창조 세부과제별 실행계획 마련
- (대덕특구 재창조 연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수립) 대덕특구 재창조 세부 추진과제와 연계한
제6차 대전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을 통해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의 실행력 강화
■ 지역 우수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강화
- (4차 산업혁명 선도분야 인재양성 지원 촉진) 4차 산업혁명 선도분야의 창의선도형, 현장 문제해결
중심 인재 양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을 통해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채용 연계 및 우수 인재의 지역
정착 기회 확대
- (지역 거점대학-대덕특구 연계 우수 미래인재 육성 강화) 지방 거점대학-대덕특구-공공기관-산업
계 협업으로 이어지는 지역인재 육성전략 강화를 통해 우수 미래인재의 선제적 확보 및 지역혁신
인적역량 증대
■ 지역주도 혁신을 위한 기획·조정 기능 강화
- (지역주도형 과학기술 정책 기획 강화) 중앙정부 주도의 일관된 지역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지양하
고, 지역의 실정에 대한 지속적 분석과 통찰을 통해 지역 스스로 혁신하고 변화해 나갈 수 있는 지
역주도의 과학기술 정책발굴과 기획으로 차별성 강화
- (지역투자 선순환체계 구축을 통한 투자효율성 강화) 데이터 기반의 대전의 R&D 투자, 정책 효과
성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주도 사업에 대한 편향적·과몰입된 투자를 사전에 방지하고, 통합조정을
통해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이를 통한 성과 창출 극대화
■ 시민이 주도하는 지역혁신 강화
- (시민주도형 지역혁신 정책발굴 확대)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지역의 문제해결과 지역 내
혁신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을 기획하는 프로세스 확대 및 체계화
- (지역 실증사업 시민참여 활성화)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정책, 기술, 제품실증 등 다양한 실증사업에 시
민이 참여하여 대전시와 시민이 함께 실험하고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실증형 리빙랩 활성화
- (시민기획형 과학문화 사업 발굴확대) 지역 과학문화 대중화를 위한 콘텐츠 기획에 다양한 분야의 시
민참여 확대를 통해 스스로 제안한 과학문화 콘텐츠를 일상속에서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기반 조성
■ 지역 우수기술 활용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확대
- (대덕특구 우수기술 발굴·활용 연계 강화) 지역과 대덕특구 간 수시 네트워킹·협력 확대를 통해 기
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적정기술 보급 활성화 및 기술사업화, 혁신창업으로 연계·활용이 가
REGIONAL S&T YEARBOOK 2022 245
능한 특구의 다양한 우수기술 발굴 추진
- (우수기술 기반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지원)대덕특구의 우수기술과 시제품 개발 노하우 및 지역 내 창
업 인프라 공간을 연계·활용하여 혁신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창업을 지속 추진할 수 있는 여건 조성
■ 대덕특구-지역 간 협력을 통한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지역-대덕특구 간 네트워킹 강화) 지역과 대덕특구 주체들이 지역 과학산업 발전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 및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유롭고 비정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추진
- (대덕특구 연계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추진) 다양한 지역 내 산학연 네트워크 공동체들이 대덕특
구의 지식과 인프라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공동연구를 기획·추진할 수 있는 상생협력 기반 조성
■ 지역 전략산업 생태계 강화 및 미래전략산업 발굴 확대
- (지역 전략산업의 안정적 생태계 기반 구축 강화) 지역 내 각 전략산업별로 차별화되고 안정적으로
성장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속사업을 마련하여 각 산업군별 지속가능 성장 생태계 구축 추진
- (대전의 새로운 미래전략산업 발굴 확대) 지역의 양적·질적 산업생태계 확장 및 신규 일자리 창출
을 위한 새로운 미래전략산업 발굴 노력 강화
24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7절 울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울산의 인구는 약 112만 명으로 전국의 2.17%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울산 인구의 비중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함
표 3-7-1 ❙ 울산광역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158,787 1,152,725 1,145,761 1,139,069 1,123,676
전국대비 비율(%) 2.26 2.23 2.21 2.20 2.17
경제활동참가율(%) 61.9 61.8 61.7 60.7 59.8
실업률(%) 3.5 4.6 4.2 4.2 3.6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1.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24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울산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69.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약 1.17%씩 감소한 경향
을 보임
- 산업구조 상 제조업이 50.7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이 18.51%를 차지함
- 5년 간 산업구조는 건설업(-14.89%)과 농림・어업・광업(-6.06%)을 제외하고 거의 변동이 없었음
표 3-7-2 ❙ 울산광역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72,968,962 71,344,390 72,024,599 67,136,435 69,621,279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53,642 249,877 213,229 183,193 194,191
(지역내비중, %) (0.35) (0.35) (0.30) (0.27) (0.28)
제조업 36,325,471 35,741,882 36,796,264 33,675,356 35,330,445
(지역내비중, %) (49.78) (50.10) (51.09) (50.16) (50.7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024,633 1,627,138 1,976,375 2,330,972 2,323,368
(지역내비중, %) (2.77) (2.28) (2.74) (3.47) (3.34)
건설업 3,564,908 3,029,518 2,303,180 2,089,984 1,853,290
(지역내비중, %) (4.89) (4.25) (3.20) (3.11) (2.66)
기타서비스업 12,875,046 12,893,578 12,870,215 12,548,918 12,886,628
(지역내비중, %) (17.64) (18.07) (17.87) (18.69) (18.5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993,473 5,124,021 5,381,548 5,351,189 5,582,545
(지역내비중, %) (6.84) (7.18) (7.47) (7.97) (8.02)
순생산물세 12,905,378 12,594,921 12,584,968 11,214,409 11,758,469
(지역내비중, %) (17.69) (17.65) (17.47) (16.70) (16.8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24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울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59조 8,970억 원이고, 1,79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5
만 2,556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약 43조 7,505억원(전체의
27.36%), 321개(전체의 17.8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3만 2,970명(전체의 21.61%)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7-3 ❙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73,165 0.55 37 2.06 932 0.61
음료 제조업 101,122 0.06 4 0.22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9,237 0.07 19 1.06 277 0.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 0.06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3,306 0.05 4 0.22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308,997 1.44 84 4.68 3,318 2.1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537,011 0.34 46 2.56 1,140 0.75
1차 금속 제조업 16,560,414 10.36 91 5.07 5,271 3.46
전기장비 제조업 5,635,210 3.52 79 4.40 3,001 1.9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636,743 2.90 201 11.19 6,985 4.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3,750,526 27.36 321 17.87 20,006 13.1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055,651 6.29 304 16.93 32,970 21.61
가구 제조업 - - 2 0.11 - -
기타 제품 제조업 108,767 0.07 7 0.39 54 0.0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21,823 0.08 30 1.67 913 0.6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6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602,273 1.00 209 11.64 6,628 4.34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16,194 0.45 81 4.51 2,873 1.8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91,570 0.24 44 2.45 885 0.5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4,314 0.01 7 0.39 67 0.0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2,597 0.11 4 0.22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6,101,577 22.58 25 1.39 497 0.3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776,136 0.49 22 1.22 424 0.2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5,179,702 22.00 173 9.63 16,271 10.67
합 계 159,896,998 100 1,796 100 152,556 100
REGIONAL S&T YEARBOOK 2022 24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화
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으로 나타남
표 3-7-4 ❙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기타운송장비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1차금속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낮음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2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울산시는 ‘그린모빌리티’와 ‘스마트조선’, ‘미래화학신소재’, ‘저탄소 에너지’에 초점을 둔 사
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7-5 ❙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그린모빌리티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추진
수소전기차 안전인증센터 구축
지능형 미래차 핵심부품 개발 지원 기반 구축
내연기관차 부품기업의 전력·전자 육합기술 전환지원
스마트조선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정보통신융합 전기추진 스마트 선박 개발 및 실증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
해상물류 통신기술 검증 테스트베드 구축
미래화학 신소재
수요맞춤형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제품화/실증
울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 추진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센터 구축
저탄소 에너지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 추진
부유식 해상풍력 시험평가인증센터 조성
수소시범도시 조성사업
전기차 사용배터리 재사용 사업 기반구축
※ 출처 : 울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25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22개, 도시첨단 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총 29개의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687개, 총 종사자 수는 125,535명
표 3-7-6 ❙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울산ㆍ미포 48,444 45,595 789 657 88,988 100 조성중
온산 25,939 20,513 320 258 14,951 100 조성중
일반
매곡 565 565 56 55 1,632 94 완료
모듈화 863 863 31 31 2,539 100 완료
이화 694 694 1 1 X 100 조성중
중산 134 134 18 18 441 100 완료
길천 1,515 1,515 96 81 2,201 82 완료
신 3,261 2,423 109 107 3,375 100 완료
와지 126 125 25 25 556 100 완료
울산 High Tech
Valley
1,939 1,939 23 23 295 78 조성중
봉계 255 255 10 8 441 100 완료
KCC울산 1,165 1,165 47 29 688 86 조성중
전읍 72 72 4 4 64 100 완료
반천 1,373 1,373 79 66 1,743 100 완료
작동 150 150 - - - 100 조성중
중산2차 364 364 43 39 969 100 완료
매곡2 77 77 13 11 199 100 완료
매곡3 158 158 20 20 627 100 완료
울산테크노 1,287 1,287 144 113 2,801 100 완료
GW 454 454 20 7 201 67 조성중
모바일테크밸리 315 315 - - - - 조성중
에너지융합 1,017 1,017 3 3 20 - 완료
방기 136 136 - - - - 미개발
청양 201 200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울산장현 317 317 - - - - 미개발
농공
달천 260 260 113 99 1,218 100 완료
두동 70 70 4 4 435 100 완료
두서 123 123 15 14 551 100 완료
상북 139 139 14 14 600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25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울산광역시에는 총 418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 중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4개로 가장 많았고, ‘정보통신
업’이 5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72개), ‘전기장비 제조업’(40개), ‘화학 물질 및 화
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3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7-7 ❙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 -
광업(05~08) 1 2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 11 8
음료 제조업 1 1 1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 7 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1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2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1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3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7 31 3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8 12 1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 7 7
1차 금속 제조업 6 8 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9 35 2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 14 1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6 21 18
전기장비 제조업 50 42 40
REGIONAL S&T YEARBOOK 2022 253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7 83 7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8 41 2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2 8 12
가구 제조업 - - -
기타 제품 제조업 11 10 1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1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4 2
건설업(41~42) 13 11 10
도매 및 소매업(45~47) 3 5 4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63 62 53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6 58 5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3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1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544 485 418
25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울산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350명(전국의 1.3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감소율은
약 0.68%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5,453명(전국의 1.07%)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3,820명(전국의 1.82%), 공공연구소는 1,077명(전국의 1.62%)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7-8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394 1.83 3,643 1.89 3,640 1.87 3,720 1.80 3,820 1.82
∙ 국공립 2,157 2.82 2,253 2.84 2,410 3.02 2,522 2.91 2,740 3.15
∙ 사립 1,237 1.13 1,390 1.23 1,230 1.08 1,198 0.99 1,080 0.88
공공연구소 768 1.38 807 1.38 982 1.57 1,084 1.69 1,077 1.62
∙ 국공립 182 1.70 202 1.65 213 1.65 221 1.72 237 1,76
∙ 정부출연 387 1.21 416 1.28 476 1.38 485 1.43 476 1.40
∙ 병원 및 기타 199 1.52 189 1.39 293 1.94 378 2.18 364 1.89
기업 6,473 1.58 6,836 1.55 5,823 1.26 5,479 1.15 5,453 1.07
∙ 정부투자기관 31 0.79 16 0.41 11 0.29 13 0.35 15 0.39
∙ 민간기업 6,442 1.59 6,820 1.56 5,812 1.27 5,466 1.16 5,438 1.08
합 계 10,635 1.64 11,286 1.63 10,445 1.45 10,283 1.38 10,350 1.3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255
■ ’21년 울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3명 증가한 70.7명으로 조사됨
표 3-7-9 ❙ 울산광역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67.4 73.1 70.0 69.4 70.7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울산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1,900억 원(전국의 1.17%) 17개 광역시・도 중 12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3.0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966억 원(전국의 2.11%), 공공연구소는
약 1,318억 원(전국의 1.10%), 기업이 약 8,615억 원(전국의 1.07%)
표 3-7-10 ❙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39,657 2.09 144,199 2.05 160,634 2.18 179,862 2.15 196,612 2.11
∙ 국공립 110,691 3.74 112,819 3.65 125,448 3.83 140,901 3.73 158,755 3.77
∙ 사립 28,966 0.78 31,380 0.79 35,186 0.86 38,961 0.85 37,857 0.74
공공연구소 79,896 0.84 100,529 1.02 108,847 1.07 108,656 0.98 131,821 1.10
∙ 국공립 8,538 1.07 10,964 1.35 11,482 1.37 11,199 1.32 15,230 1.57
∙ 정부출연 65,594 0.88 79,853 1.06 86,085 1.10 77,640 0.94 96,741 1.11
∙ 병원 및 기타 5,764 0.43 9,712 0.66 11,281 0.74 19,816 1.00 19,850 0.86
기업 510,317 0.82 865,574 1.26 840,482 1.18 778,678 1.06 861,528 1.07
∙ 정부투자기관 11,472 1.29 10,913 1.20 4,366 0.50 3,312 0.38 3,294 0.38
∙ 민간기업 498,845 0.81 854,661 1.26 836,116 1.18 775,366 1.07 858,234 1.07
합 계 729,870 0.93 1,110,302 1.30 1,109,963 1.25 1,067,196 1.15 1,189,961 1.1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5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울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65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52%
표 3-7-11 ❙ 울산광역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836 3,031 3,112 3,234 3,651
(1.5) (1.5) (1.5) (1.4) (1.5)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방정부의 지역혁신 리더십 구축(4개 과제, 226억원)
- (지방정부의 R&D기획·평가 역량 확충) 연구개발지원단운영(3.6억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운영
(8억원),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사업(94.3억원), 울산연구원 운영(120억원) 등
■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 극대화(51개 과제, 1,857억원)
- (지역 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262억원), 원자력 융복합 기
술개발(10.2억원), 스마트 원전해체 융합인력양성(7.6억원), 산재전문 공공병원 경쟁력강화를 위
한 인재양성 연구단 운영지원(494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울산시-ETRI공동협력사업(34억원), 울산테크
노산단 P2G기반 한전 MG실증사업(23.9억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26.7억원), 시-화연 정
밀화학 기술협력사업(13억원), 자동차-화학 융합산업 기술개발(19.8억원) 등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208.4억원), 중소중견기업 4차산업 기술적용
에너지효율향상 지원(4.5억원), 고집적에너지 산업응용 R&BD구축(44.6억원), 미래자동차 종합
안전시험장 구축 및 고안전부품개발(34억원) 등
■ 지역 혁신성장체계 고도화(38개 과제, 1,196억원)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3D프린팅응용 친환경자동차부품 R&BD구축(17.7억원), 스마트
REGIONAL S&T YEARBOOK 2022 257
공장 협업패키지 기술개발지원(10억원), 울산산학융합원 출연금지원(3억원) 등
- (지역 내 기술 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식재산 창출지원(12.4억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992.6억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10억원) 등
- (지역 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3D프린팅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체계 구축사업(86.9억원), 차세대 조
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 연구센터 구축(27억원),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24억
원),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176억원) 등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울산광역시
표 3-7-12 ❙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7,247 2 5,702 120 28 20 1,375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25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7-13 ❙ 울산광역시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미래 신산업, 에너지산업, 자동차 조선산업, 화학소재산업
정책 기획
∙ 신산업 발굴 협의 조정 및 현안 추진 등
∙ 과학기술 업무 총괄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및 시행
※ 출처 :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조례)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울산시 과학기술진흥과 관련된 사항에 대해 심의 및 자문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과학기술 정보화의 추진 및 지원
- 과학기술진흥 관련 사업에 대한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생활과학화 촉진 사업
- 과학기술인 포상대상자 선정
- 그 밖에 위원회의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조원경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재임기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1회 (2022. 1. 13.)
- 2022년 울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안)
REGIONAL S&T YEARBOOK 2022 259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7-14 ❙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조원경 울산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박순철 울산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조홍래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5.11.~2022.5.10.
위원 이남우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5.11.~2022.5.10.
위원 이만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0.5.11.~2022.5.10.
위원 이완재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2020.8.10.~2022.5.10.
위원 노승만 한국화학연구원 2020.5.11.~2022.5.10.
위원 권순용 울산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 2020.5.11.~2022.5.10.
위원 이선권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2020.5.11.~2022.5.10.
위원 김기홍 춘해보건대학교 2020.5.11.~2022.5.10.
위원 이유동 (재)울산테크노파크 2020.5.11.~2022.5.10.
위원 이경우 울산발전연구원 2020.5.11.~2022.5.10.
위원 구자록 울산정보산업진흥원 2020.10.14.~2022.5.10.
위원 안도영 울산광역시 의회 2020.8.10.~2022.5.10.
위원 정재오 울산광역시교육청 2020.5.11.~2022.5.10.
※ 출처 : 울산광역시 내부자료
26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울산시의 총 예산은 9조 6,084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776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81%
- 과학기술 예산 중 울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4.31%
표 3-7-15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96,084
재정자주도(%) 68.3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192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77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8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4.31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26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울산시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214억 원
을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약 1,155억 원, 지방비는 ‘지역 혁신클러스
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430억 원이 투입
표 3-7-16 ❙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사업
울산발전연구원 운영
4,836 8,937 7,970 21,743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운영비지원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115,487 3,190 2,693 121,370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울산시-ETRI 공동협력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4,781 4,759 3,336 12,876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25,676 13,302 1,949 40,927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친환경 수소모빌리티용 태양광 수소 온사이트
생산시스템 개발 실증
자동차-화학융합산업 기술개발
6,137 780 210 7,127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수소충전소 증설사업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
2,149 3,630 564 6,34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울산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사업
ICT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
59,355 42,961 6,489 108,805
합 계 218,421 77,559 23,210 319,19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6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울산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745개로 전국의 1.1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9.35% 증가
- 5년간 학교 2개 증가, 공공연구소 36 증가, 기업 216개 증가
표 3-7-17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22 5 1.37 5 1.20 6 1.46 7 1.65
∙ 국공립 1 1.12 1 1.27 1 1.19 1 1.18 1 1.16
∙ 사립 4 1.25 4 1.40 4 1.21 5 1.53 6 1.78
공공연구소 12 2.11 14 2.29 15 2.34 16 2.41 18 2.61
∙ 국공립 4 3.15 4 3.05 4 2.80 3 2.10 4 2.61
∙ 정부출연 6 3.75 6 3.59 6 3.55 7 4.29 8 4.71
∙ 병원 및 기타 2 0.71 4 1.27 5 1.52 6 1.68 6 1.64
기업 504 1.19 625 1.29 643 1.17 678 1.16 720 1.16
∙ 정부투자기관 3 6.12 1 2.38 1 1.82 1 1.85 2 3.39
∙ 민간기업 501 1.18 624 1.29 642 1.17 677 1.16 718 1.15
합 계 521 1.20 644 1.31 663 1.19 700 1.18 745 1.1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263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울산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7-18 ❙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울산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2만 5,956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462명(전체의 약 9.49%), 공학계열 학생이 1만 1,129명(전체
의 약 42.88%)
표 3-7-19 ❙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462 11,129 13,591 4,861 1,616 626 1,325 3,937 25,956
비중(%) 9.49 42.88 52.36 18.73 6.23 2.41 5.10 15.17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6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에 울산광역시에는 총 5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울산과학기술원에 4개, 울산대학교에 1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7-20 ❙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울산과학기술원
(5개 센터)
2016 다공성 플랫폼 기반 생체모방 촉매 SRC
2016 고에너지 천체물리 연구센터 SRC
2018 대사스트레스 세포대응 연구센터 SRC
2020 미세플라스틱 대응 화공/바이오 융합 공정 연구센터 ERC
울산대학교
(1개 센터)
2018 줄기세포 면역제어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2 265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울산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울산대에 2개가 운영했으나, ’22년 기준으로 모두 운영 종료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울산에는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 1개, 울산대학교에 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
치・운영 중에 있음
표 3-7-21 ❙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1-08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26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울산에는 공립 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7-22 ❙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울산과학관 공립
태화강생태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울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1년 울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25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0,521명임
표 3-7-23 ❙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365 400 412 432 525
수혜자 수 6,469 8,279 5,447 7,783 10.52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267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울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2,209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557건
-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는 ’20년 대비 각각 11.6%, 0.2%씩 감소
표 3-7-24 ❙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2,553 2,421 2,267 2,347 2,277 2,499 2,209
특허등록 건수 911 1,016 1,269 1,308 1,268 1,560 1,55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울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2,621편, 주저자 기준 1,313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29%, 2.07%를 차지
표 3-7-25 ❙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1,940 3.18 52,825 27.23 989 1.95 27,706 28.01
2018 2,067 3.24 45,003 21.77 1,113 2.12 22,262 20.00
2019 2,266 3.37 41,114 18.14 1,174 2.14 18,020 15.35
2020 2,579 3.50 27,286 10.58 1,321 2.21 12,310 9.32
2021 2,621 3.29 9,961 3.80 1,313 2.07 4,310 3.2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6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 현황
▣ 비전 및 목표
■ 목표
- 과학기술 기반 기술혁신 중소기업 발굴・육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과학기술 주도 미래신성장산업 집중 육성・지원을 통한 미래도시 선도
- 과학기술 융・복합화를 통한 주력산업 및 미래에너지산업 연계 육성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과학기술 주도 미래신성장산업 집중 육성·지원을 통한 미래도시 선도
- 과학기술 주도 미래선도 과학기술진흥 프로젝트 발굴 및 추진
- 미래에너지산업 전략적인 육성을 위한 기초·원천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 촉진 및 연구개발 능력 제고
-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지식재산권 확보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이차전지, 수소에너지, 부유식 해상풍력 등 미래형 에너지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지원 체계 구축 및
수요 맞춤형 기업지원 체계 구축
■ 과학기술 융·복합화를 통한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신성장산업 연계 육성
- 생산중심 중소기업의 기술중심 중소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전주기적 지원체계 마련
- 4차 산업혁명 대응 울산형 기술혁신 중소기업 발굴 및 육성
- 기존 주력산업과 미래신성장산업 융·복합 기술개발 추진·확대
-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국산화 기술개발 촉진 및 대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
-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대응 신산업 창출을 위한 주력산업 연계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추
- 주력산업 기술연계형 친환경 미래에너지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및 강화
■ 과학기술 기반 지역혁신역량 강화 및 혁신생태계 촉진
- 중소기업 연구개발 역량에 따른 지원체계 마련(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연구개발 역량향상 지원, 사
업화 등)
- 지역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기반 주민공감형 리빙랩 네트워크 활성화
REGIONAL S&T YEARBOOK 2022 269
- 과학기술 중심 과학기술문화 저변 확대 및 과학기술인재 양성
- 산·학·연 네트워크를 통한 미래신성장산업 선도기술 공동 연구개발 및 산업 생태계 강화
- 혁신기술 및 연구개발 능력 보유 중소기업 집중 유치·집적화를 통한 소규모 혁신클러스터 구축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 역량 확충) 울산 지역의 R&D 기획체계 및 R&D 조사·분석·평가
기반 강화
- 지역혁신 지원 등을 위한 지역 R&D 싱크탱크 육성
- 지역 R&D 사업에 대한 정보시스템(사업투자 규모, 인력, 성과 등) 체계화
■ (지역 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울산 지역 대학 연구역량 제고를 위한 지원 확대,
미래 신산업 분야 인력양성, 지역산업 수요 맞춤형 교육 활성화
- 울산 지역 대학의 연구역량 확충 및 연구역량을 활용한 기술혁신 강화 등을 위한 기초연구사업 추
진
- 바이오, IT융합, 차세대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 분야 특화 연구 및 기술확산 등 연계활동 촉진
- 지역대학-기업(기업부설연구소)간 공동연구 지원 추진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지역 내 국민생활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참
여형 R&D 기반 구축 강화
- 울산 리빙랩 네트워크 활성화 및 활동 강화
- 시민 참여로 지역 현안에 대한 과학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리빙랩 확대
- 지역문제 해결형 사회적 기업 육성
- 지역의 과학기술문화 활성화를 위한 시민사회의 지속적 참여 유도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지원 강화, 연구성과 기반 기술혁신형
지역 중소기업 발굴·육성, 인구 유입 촉진
- 중소기업 R&D 기반 마련 및 지원체계 강화
- 중소기업 R&D 연구역량 단계별 맞춤형 지원 추진
27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기술강소기업 육성 및 유치 활성화
- 미래 신산업 기술 역량 확보 및 기술 중심 혁신기업 발굴·육성
- 주력산업 연계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개발 활성화
- 지역 대·중·소 동반성장 기술개발 추진을 통한 생산중심 기업에서 기술중심 기업으로의 사업 다각
화 추진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산·학·연 공동연구 촉진을 위한 기반 강화, 지역 수요기반 산·
학·연 공동연구 강화 및 후속연구 추진
- 지역 기업 수요 대응형 산학연 공동연구 강화
- 울산 주력산업 분야 고도화를 위한 융합 R&D사업 지속 추진
- 지역 산·학·연 전문가들의 교류를 위한 네트워크(플랫폼, 교류회, 연구회 등) 구축
- 산·학·연 공동연구를 위한 공간 연계 확대
■ (지역 내 기술 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기술사업화 사업 확대,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투자
활성화
- 기술사업화 유망기업을 발굴 및 특허 등 기술 이전 활성화 촉진
- 기술사업화 기업에 대한 기술금융(중진공, 기보, 신보 등) 지원체계 구축
- 지역 활동 기술사업화 투자기관 활성화 지원
- 기술사업화 창업 지원 및 지적재산권 창출 지원 등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지역 미래 신산업 육성 및 과학기술 기반 혁신클러스터 연계 고도화
- 울산 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지역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조성, 부유식 해상풍력 종합지원
콤플렉스 조성,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전기차 사용배터리 재사용센터 구축, 울
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 조성,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센터 및 3D프린팅 융합기
술센터 구축, 수소산업 기업지원 혁신 클러스터 조성,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바이오데이터
팜 등 체계적 구축 및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2 271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세종의 인구는 약 37만 명으로 작년 대비 증가
- 전국인구대비 세종 인구의 비중도 0.71%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임
표 3-8-1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현황(2017년~2021년)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265,517 302,249 329,422 348,302 366,165
전국대비 비율(%) 0.52 0.59 0.64 0.67 0.71
경제활동참가율(%) 62.7 63.2 64.3 64.5 64
실업률(%) 2.3 2.3 2.7 2.8 2.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27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세종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2.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5.35%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36.3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제조업이 23.67%, 기타 서비스업
이 22.68%로 그 뒤를 따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의 산업 내 비중은 5년 간 10.51%로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이며, 기타서비스
업이 9.15% 증가하여 세종시 내 산업구조에서 서비스업이 중심적임을 시사함
표 3-8-2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구 분
지역내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10,140,164 10,423,610 11,091,040 11,647,981 12,489,323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53,570 207,928 177,102 159,066 166,717
(지역내비중, %) (2.50) (1.99) (1.60) (1.37) (1.33)
제조업 2,247,609 2,236,617 2,391,190 2,706,830 2,956,119
(지역내비중, %) (22.17) (21.46) (21.56) (23.24) (23.6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93,225 175,862 147,443 224,472 231,355
(지역내비중, %) (1.91) (1.69) (1.33) (1.93) (1.85)
건설업 1,561,125 1,456,476 1,323,239 1,092,471 1,001,605
(지역내비중, %) (15.40) (13.97) (11.93) (9.38) (8.02)
기타서비스업 1,997,674 2,231,386 2,470,393 2,618,978 2,832,779
(지역내비중, %) (19.70) (21.41) (22.27) (22.48) (22.6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3,043,378 3,302,009 3,749,491 4,069,858 4,535,723
(지역내비중, %) (30.01) (31.68) (33.81) (34.94) (36.32)
순생산물세 841,683 808,642 819,720 830,994 839,184
(지역내비중, %) (8.30) (7.76) (7.39) (7.13) (6.7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273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세종시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8조 2,454억 원이고, 29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만
4,25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은 ‘화학 물질 및 화학제춤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1조 1,268억 원(전체의 13.67%), 사
업체 수는 ‘식료품 제조업’이 36개(전체의 12.12%), 종사자 수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1,537명(전체의 10.7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8-3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4,031 12.30 36 12.12 1,317 9.24
음료 제조업 92,657 1.12 2 0.67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889 0.10 3 1.01 36 0.2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3 4.38 196 1.3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11,981 5.00 11 3.70 1,054 7.3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91,694 7.18 35 11.78 1,044 7.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70,866 9.35 27 9.09 1,162 8.15
1차 금속 제조업 198,264 2.40 12 4.04 194 1.36
전기장비 제조업 852,104 10.33 33 11.11 1,254 8.8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5,922 0.80 14 4.71 266 1.8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20,679 6.31 23 7.74 1,537 10.7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638 0.03 1 0.34 - -
기타 제품 제조업 24,863 0.30 4 1.35 -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0,093 0.12 4 1.35 53 0.3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34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57,156 1.91 14 4.71 242 1.7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6,995 0.21 4 1.35 53 0.3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64,339 6.84 10 3.37 239 1.6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64,487 12.91 7 2.36 446 3.1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05,164 7.34 13 4.38 678 4.7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26,767 13.67 30 10.10 777 5.45
합 계 8,245,421 100 297 100 14,25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27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
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8-4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식료품제조업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전기장비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
약품제외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낮음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1차금속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275
(2)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세종시는 ‘신성장동력산업 발굴 및 육성’과 ‘기술・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플랫폼 구축’,
‘과학기술 지속성장 기반 구축’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8-5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신성장동력산업 발굴 및 육성
경제협력권산업 육성사업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자율주행실증 연구개발 지원
자율주행실증 지원 장비 구축・운영
국산 자율주행 셔틀버스 실증연구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 고도화 사업
다부처공동기획 연구사업
지역대표 중견기업 육성
기술・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플랫폼 구축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사업
지역 SW기업 성장지원
지역SW서비스 사업화지원
지역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운영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창업보육 지원사업
과학기술 지속성장 기반 구축
산학연클러스터 지원센터 운영
미래차연구센터 운영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운영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27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세종시에는 일반산업단지 1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단지 4개가 있음
- 총 18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74개, 총 종사자 수는 11,433명
표 3-8-6 ❙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소정 272 272 1 1 X 100 완료
월산 1,380 1,380 1 1 X 100 완료
전의 481 481 7 6 1,383 100 완료
전의2 867 866 35 32 1,445 100 완료
조치원 940 940 16 15 806 100 완료
명학 838 838 39 33 2,956 100 완료
부강(구 부용) 565 565 13 13 2,485 100 완료
세종미래 560 560 18 2 X 66 완료
세종스마트그린 908 908 - - - - 미개발
세종벤처밸리 590 590 - - - - 미개발
세종첨단 664 664 25 18 782 100 조성중
전동 140 140 - - - - 미개발
세종복합 829 829 - - - - 미개발
도시첨단
행정중심복합도시
4-2생활권
898 898 29 27 325 61 조성중
농공
부용 203 201 1 1 X 100 완료
노장 162 162 16 14 546 100 완료
응암 116 116 8 8 493 100 완료
청송 82 82 3 3 212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REGIONAL S&T YEARBOOK 2022 277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세종시에는 총 17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에서는 ‘정보통신업’이 37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2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8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4개), ‘의료, 정밀, 과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4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
업 위치
표 3-8-7 ❙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 - 1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 4 3
음료 제조업 - - -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 2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1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9 7 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 3 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 9 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 1 1
1차 금속 제조업 3 1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1 10 1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 13 1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 11 14
27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전기장비 제조업 14 11 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5 22 1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 6 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 2 2
가구 제조업 1 2 1
기타 제품 제조업 1 1 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 - -
건설업(41~42) 5 5 4
도매 및 소매업(45~47) 2 3 3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
정보통신업(58~63) 34 32 37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1 26 2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 -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1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1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58 177 173
REGIONAL S&T YEARBOOK 2022 27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세종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6,911명으로 전국대비비중은 약 0.88%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
인력 증가율은 약 4.90%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공공연구소가 3,415명(전국의 5.13%)으로 가장 많았고, 기
업이 1,825명(전국의 0.36%), 대학이 1,671명(전국의 0.8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8-8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75 0.47 885 0.46 962 0.50 1,351 0.65 1,671 0.80
∙ 국공립 - - - - - - 108 0.12 155 0.18
∙ 사립 875 0.80 885 0.78 962 0.84 1,243 1.03 1,516 1.23
공공연구소 3,463 6.20 3,326 5.70 3,426 5.49 3,610 5.63 3,415 5.13
∙ 국공립 - - 7 0.06 18 0.14 18 0.14 18 0.13
∙ 정부출연 3,396 10.61 3,318 10.19 3,390 9.84 3,519 10.37 3,327 9.82
∙ 병원 및 기타 67 0.51 1 0.01 18 0.12 73 0.42 70 0.36
기업 1,369 0.33 1,398 0.32 1,438 0.31 1,642 0.34 1,825 0.36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
∙ 민간기업 1,369 0.34 1,398 0.32 1,438 0.31 1,642 0.35 1,825 0.36
합 계 5,707 0.88 5,609 0.81 5,826 0.81 6,603 0.88 6,911 0.88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인력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8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세종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보다 0.1명 감소한 136명으로 조사됨
표 3-8-9 ❙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54.8 134.5 127.5 136.1 136.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세종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6,534억 원(전국의 0.64%)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81%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729억 원(전국의 0.78%), 공공연구소는 약
3,274억 원(전국의 2.73%), 기업이 약 2,531억 원(전국의 0.31%)
표 3-8-10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1,196 0.47 33,405 0.47 44,618 0.61 52,352 0.63 72,941 0.78
∙ 국공립 - - - - - - - - 2,576 0.06
∙ 사립 31,196 0.84 33,405 0.84 44,618 1.09 52,352 1.14 70,365 1.38
공공연구소 292,336 3.06 303,231 3.08 344,229 3.39 350,981 3.16 327,364 2.73
∙ 국공립 - - 707 0.09 1,125 0.13 1,285 0.15 1,495 0.15
∙ 정부출연 291,025 3.92 302,524 4.01 342,227 4.38 346,640 4.18 323,844 3.71
∙ 병원 및 기타 1,311 0.10 - - 877 0.06 3,056 0.15 2,025 0.09
기업 160,183 0.26 180,486 0.26 205,233 0.29 208,211 0.28 253,086 0.31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
∙ 민간기업 160,183 0.26 180,486 0.27 205,233 0.29 208,211 0.29 253,086 0.32
합 계 483,714 0.61 517,122 0.60 594,080 0.67 611,544 0.66 653,391 0.64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비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281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세종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87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54%
표 3-8-11 ❙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234 4,696 4,837 5,159 5,877
(2.2) (2.4) (2.4) (2.3) (2.4)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주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집계 시작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역 과학기술 거버넌스 구축 및 혁신역량 강화
- 대전세종연구원 운영(17.7억원), 세종시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운영(2.6억원), 산학연클러스터 지
원센터 운영(15.5억원), 생활과학교실 운영(1.2억원), 세종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3.6억원) 등
■ 미래형 신산업 육성지원 및 세종 스마트시티 기반 조성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93.1억원), 자율주행실증 연구개발 지원(53.7억원), 미래차연구센터 운
영(30.1억원),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62.9억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14.3억
원),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 고도화사업(60.5억원) 등
■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원천기술 사업화 지원 확대
-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사업(8.2억원), 지역SW서비스사업화지원(15.1억원), 지역SW기업 성장
지원(4.3억), 사이언스비즈플라자 운영(10.7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24.8억원) 등
■ 지역전략산업 R&D 투자 활성화
-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91.6억원), 지역대표 중견기업 육성(47.1억원) 등
28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세종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에서 추진 중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표 3-8-12 ❙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451 1 1,820 37 33 10 55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283
(나) 역할
표 3-8-13 ❙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과학기술기반 新산업 분야 발굴 및 성장기반 조성
∙ ICT/SW기술 기반 지역 산업 역량 강화
∙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을 통한 연구개발 역량 확보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및 4차산업혁명위원회 운영
∙ 민간과학문화 활동 지원 등 지역 과학문화 확산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진흥 조례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
- 산・학・연・관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에 관한 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4차 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자문사항
- 「세종특별자치시 지식재산 진흥 조례」에 따른 위원회의 심의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2회
- 1차(2022.11.) : 제6차 세종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업 추진 내역 보고 및 관련 검토 및 의견수렴
- 2차(2022. 12.) : 제6차 세종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세종과학진흥위원회 심의의결 및 종합계
획 확정, 세종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1년도 추진실적 및 22년도 시행계획 심의 의결
28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위원 소속기관
표 3-8-14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공석) - 세종특별자치시 2021.02.27.~2023.02.26.
당연직 양원창 세종특별자치시 2021.02.27.~2023.02.26.
위원 박경문 홍익대학교 2021.02.27.~2023.02.26.
위원 김영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지방과학진흥협의회 2021.02.27.~2023.02.26.
위원 김차근 한국영상대학교 2021.02.27.~2023.02.26.
위원 김선창 KAIST 생명과학과 2021.02.27.~2023.02.26.
위원 곽수영 한밭대학교 전자제어공학과 2021.02.27.~2023.02.26.
위원 황혜란 대전세종연구원 2021.02.27.~2023.02.26.
위원 서지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02.27.~2023.02.26.
위원 박수정 질병관리청 바이오과학정보과 2021.02.27.~2023.02.26.
위원 정은미 산업연구원 2021.02.27.~2023.02.26.
위원 김영숙 ㈜고려소재연구소 2021.02.27.~2023.02.26.
위원 조윤희 ㈜켐트로닉스 2021.02.27.~2023.02.26.
위원 김민식 ㈜원모어시큐리티 2021.02.27.~2023.02.26.
위원 차영일 메타빌드㈜ 2021.02.27.~2023.02.26.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28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세종시의 총 예산은 약 2조 9,674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60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88%
- 과학기술 예산 중 세종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9.79%
표 3-8-15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29,674
재정자주도(%) 71.23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5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6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8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9.79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8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세종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445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각각 273억 원, 155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8-16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세종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180 2,215 - 2,39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창업보육 지원사업
220 80 41 341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세종 창조경제혁시센터 운영지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
1,638 2,415 - 4,053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 고도화 사업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27,271 15,549 1,670 44,49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 - -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세종창업키운센터 관리운영 - 164 - 164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클로스터 육성(세종)
미래차연구센터 운영
8,324 5,570 - 13,894
합 계 37,633 25,993 1,711 65,337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28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세종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310개로 전국의 0.4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9.11% 증가
- 5년간 학교 2개, 공공연구소 1개, 기업 153개 증가
표 3-8-17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 0.98 5 1.37 4 0.96 5 1.22 6 1.42
∙ 국공립 - - - - - - 1 1.18 1 1.16
∙ 사립 4 1.25 5 1.75 4 1.21 4 1.23 5 1.48
공공연구소 17 2.99 17 2.78 18 2.80 19 2.87 18 2.61
∙ 국공립 - - 1 0.76 1 0.70 1 0.70 1 0.65
∙ 정부출연 14 8.75 15 8.98 15 8.88 14 8.59 13 7.65
∙ 병원 및 기타 3 1.07 1 0.32 2 0.61 4 1.12 4 1.09
기업 133 0.31 169 0.35 210 0.38 249 0.43 286 0.46
∙ 정부투자기관 - - - - - - - - - -
∙ 민간기업 133 0.31 169 0.35 210 0.38 249 0.43 286 0.46
합 계 154 0.35 191 0.39 232 0.42 273 0.46 310 0.4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28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세종 소재 대학 수는 3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1개 존재
표 3-8-18 ❙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 - 2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1 1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 - 3 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 세종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6,77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339명(전체의 약 7.98%), 공학계열 학생이 4,310명(전체의
약 25.70%)
표 3-8-19 ❙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339 4,310 5,649 302 5,113 59 1,357 4,291 16,771
비중(%) 7.98 25.70 33.68 1.80 30.49 0.35 8.09 25.59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28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세종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8-20 ❙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세종창업키움센터 2019-04-25
(주)아이빌트 아이빌트 창업보육센터 2017-07-07
한국영상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28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벤처기업 창업보육센터 1999-10-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세종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2년 세종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8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601명임
표 3-8-21 ❙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74 78 99 93 83
수혜자 수 1,620 1,816 2,051 1,581 1,60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29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세종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세종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3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4개 지원
표 3-8-22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재)세종테크노파크 4
전용공간
1개(1,377m3)
7 18,000 55.0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29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세종시 특허출원 건수는 922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564건
- 특허출원 및 특허등록 건수 증가율은 ’20년 대비 각각 5.5%, 17%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표 3-8-23 ❙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462 548 736 811 813 874 922
특허등록 건수 198 249 307 394 405 482 56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세종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944편, 주저자 기준 402편으로 점유율 면에
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19%, 0.63%를 차지
표 3-8-24 ❙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2019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570 0.94 8,626 15.13 270 0.53 3,278 12.14
2018 605 0.95 6,902 11.41 279 0.53 2,666 9.56
2019 743 1.10 6,357 8.56 335 0.61 2,456 7.33
2020 785 1.06 4,505 5.74 325 0.54 1,645 5.06
2021 944 1.19 1,684 1.78 402 0.63 601 1.5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9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새로운 중심, 스마트 시티 세종
■ 목표 :
-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 및 혁신역량 강화
- 미래형 신산업 육성지원 및 세종 스마트시티 기반 조성
-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원천 기술 사업화 지원 확대
- 지역 주력산업 및 연고(전통)산업 R&D 투자 활성화
■ 전략 :
- 5대 신산업 기반의 산업육성 기반조성
- 충청권 연계 메가시티 조성 사업 기획 및 추진
- 산업간 융복합 혁신기술개발 및 실증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5대 신산업 육성 거버넌스 확립 및 기업유치 활성화
- 지역내 5대 신산업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 신사업 기획 및 과제 관리 전문조직 설립을 통한
지역 주도 R&D 기반 조성
- 지역 외 핵심앵커기업 유치를 위한 추진체계 조성 : 5대 신산업 투자 유치를 추진할 후보 앵커기업
의 167개사 도출(’21.8)
■ 충청권 초광역 산업 도출 및 핵심과제 기획
- 세종시의 부족한 연구 인프라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및 기능 지구인 충청권 연계를 통해 확보
- 대전의 대덕 연구개발 특구와 충북 첨단의료복합단지, 충남의 천안・아산 대규모 기업입지를 연결
하는 중심지로서 개발기술의 실증과 서비스 상용화가 가능한 세종을 거버넌스의 중심으로 육성
- 충청권이 가지고 있는 연구역량을 결집하고, 세종 내 통합 허브 역할을 위한 거버넌스 기반 구축을
통해 신 수도권 혁신 클러스터 조성
■ 융복합 혁신기술 개발 및 세종시 특성을 활용한 실증 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2 293
- 융합기술개발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스마트시티 내 융합기술 적용
- 세종시 혁신자원 활용 핵심산업 분야 실증 및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내 서비스 상용화
- 세종이 보유한 테스트베드 조성을 위한 최적의 도시 인프라 및 산업연계 인프라를 활용하여 자율주
행, 드론, 디지털헬스케어 등 실증 사업 확대
■ 국가 핵심정책에 대응 가능한 세종시 과학기술 정책 수립
- 정부 핵심정책(탄소중립, GVC, ESG, 디지털 경제)에 대응하여 세종시 과학기술 분야 대응전략 수립
- 세종시 기업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4개 정책에 대하여 기업별 대응방안, 애로사항, 추진 정책 수요
등을 조사하여 정책전략 보고서 수립
29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과학기술 거버넌스 구축 및 혁신역량 강화
- 세종시 광역행정 업무의 효과적 수행과 정책역량 제고를 위한 미래 전략 수립 조사 및 연구
- 행정수도 홍보(미디어 및 퍼포먼스), 충청권 상생 발전 포럼 주최 등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공감대
확산에 총력
- R&D사업의 확산과 효율성 강화를 통해 지역 R&D 기반의 자생적 과학기술 혁신생태계 조성
■ 미래형 신산업 육성지원 및 세종 스마트시티 기반 조성
- 자율주행 서비스 신산업 육성을 위한 자율주행 시스템 기술개발 및 자율주행산업 생태계 조성
- 자율주행 실증 및 실외로봇 운영 실증 추진
- 자율주행 전장부품 및 시스템 검증 장비 구축
- 시민체감형 스마트서비스 확충 및 업무 연속성 국제인증 갱신 심사 실시
- 주요현안 해결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추진
- 바이오 관련 기업 활용 장비 구축 및 기술지원, 전문인력 양성
- 충청권 자율주행 상용화 지구 조성 및 여객유상운송 특례 부여
■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원천기술 사업화 지원 확대
- 기업 지식재산 창출 경영 및 기술컨설팅 등 지식재산 역량 강화 기여
- 5대 미래먹거리 산업 입주업종 고도화를 통해 지역육성산업 연계성 강화
- 세종 전략산업분야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통해 지역SW 기술 경쟁력 고도화 및 초기 SW기업 서비
스 사업화 지원
- 유망 창업・벤처기업 발굴・육성 및 판로지원
■ 지역전략산업 R&D 투자 활성화
- 인공지능・블록체인 인재 양성
-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술개발 및 기업지원서비스
REGIONAL S&T YEARBOOK 2022 295
제9절 경기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경기도의 인구는 약 1,360만 명으로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대비 경기도 인구의 비율은 약 26.31%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9-1 ❙ 경기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2,785,790 13,026,541 13,241,253 13,452,422 13,611,628
전국대비 비율(%) 24.89 25.25 25.58 26.00 26.31
경제활동참가율(%) 64.6 64.4 64.3 62.8 63.5
실업률(%) 3.9 3.8 3.8 4 3.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2022.12.
시점)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29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기도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00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3.90%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36.64%)과 제조업(37.46%)이 경기도 산업의 큰 축을 이룸
표 3-9-2 ❙ 경기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426,172,886 451,914,662 462,288,338 470,022,670 496,672,331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477,989 3,578,252 3,659,487 3,396,568 3,451,075
(지역내비중, %) (0.82) (0.79) (0.79) (0.72) (0.69)
제조업 148,256,806 161,040,454 164,243,433 171,457,096 186,069,819
(지역내비중, %) (34.79) (35.64) (35.53) (36.48) (37.46)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381,383 5,531,923 6,070,008 6,994,242 7,574,105
(지역내비중, %) (1.26) (1.22) (1.31) (1.49) (1.52)
건설업 27,105,751 27,485,211 27,016,066 25,566,136 25,556,918
(지역내비중, %) (6.36) (6.08) (5.84) (5.44) (5.15)
기타서비스업 159,528,660 167,755,049 171,722,236 173,896,870 181,996,260
(지역내비중, %) (37.43) (37.12) (37.15) (37.00) (36.64)
정부/민간비영리생산 50,420,160 53,033,834 55,936,820 56,884,543 60,167,404
(지역내비중, %) (11.83) (11.74) (12.10) (12.10) (12.11)
순생산물세 32,060,863 33,397,081 33,760,880 33,140,912 34,101,007
(지역내비중, %) (7.52) (7.39) (7.30) (7.05) (6.87)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297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기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408조 3,210억 원이고, 2만 4,628개의 사업체가 있으
며 91만 3,392명이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147조 8,570
억 원(전체의 36.21%), 17만 5,985명(전체의 19.2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722개(전체의 15.1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9-3 ❙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22,606,402 5.54 1,512 6.14 55,990 6.13
음료 제조업 3,347,509 0.82 51 0.21 2,193 0.2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452,100 0.36 266 1.08 5,392 0.5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42,933 0.06 516 2.10 12,339 1.3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907,234 2.43 257 1.04 20,033 2.1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1,568,420 5.28 2,759 11.20 73,984 8.1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631,512 2.11 738 3.00 21,652 2.37
1차 금속 제조업 13,511,013 3.31 851 3.46 23,906 2.62
전기장비 제조업 19,540,269 4.79 1,912 7.76 61,776 6.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8,581,311 9.45 3,722 15.11 120,489 13.1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2,972,159 10.52 869 3.53 70,454 7.7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34,120 0.18 59 0.24 1,197 0.13
가구 제조업 5,752,343 1.41 910 3.69 19,405 2.12
기타 제품 제조업 2,167,529 0.53 438 1.78 9,732 1.0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806,849 0.44 153 0.62 6,360 0.7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099,801 0.27 170 0.69 4,018 0.4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657,007 4.32 3,327 13.51 76,052 8.3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107,140 1.25 1,036 4.21 24,302 2.6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779,774 2.88 1,093 4.44 40,434 4.4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373,038 0.34 260 1.06 5,684 0.6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7,857,024 36.21 1,721 6.99 175,985 19.2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72,129 0.12 19 0.08 310 0.0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857,367 2.17 913 3.71 25,352 2.7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1,295,950 5.22 1,076 4.37 39,076 4.28
합 계 408,320,933 100 24,628 100 913,392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29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없으나,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으며,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가구 제조업’임
표 3-9-4 ❙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가구제조업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낮음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외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299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기도는 ‘지역의 R&D기획관리 역량 강화’와 ‘경기도 수요맞춤형 R&D사업 추진’, ‘4차 산업
혁명 선도형 기술개발 생태계 구축’, ‘경기도형 클러스터 활성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
관리하고 있음
표 3-9-5 ❙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의 R&D기획관리 역량 강화
경기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과학기술정책 연구지원사업
경기도 수요맞춤형 R&D사업 추진
기술개발사업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
4차 산업혁명 선도형 기술개발 생태계 구축
경기도 로봇산업 육성지원
스마트 제조혁신 기반구축
경기도형 클러스터 활성화
판교 제1테크노밸리 운영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 출처 : 경기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30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175개, 도시첨단단지 11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92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2,734개, 종사자 수는 520,299명
표 3-9-6 ❙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반월특수지역 150,799 38,010 20,414 19,721 248,626 100 조성중
파주출판 1,562 1,514 894 883 6,386 100 완료
파주탄현 80 77 46 42 278 100 완료
아산국가 20,193 17,796 257 243 22,963 100 조성중
동두천 267 266 - - - - 조성중
일반
김포항공 336 336 10 10 234 100 완료
상마 79 79 37 37 434 100 완료
양촌 1,686 1,685 991 991 9,221 100 완료
율생 49 49 13 13 97 100 완료
통진(팬택) 34 34 1 1 X 100 완료
학운 56 56 42 42 354 100 완료
학운2 634 634 133 133 2,906 100 완료
동두천 262 262 46 46 1,071 100 완료
동두천2 187 187 24 24 613 96 완료
상봉암 54 54 7 7 805 100 완료
오정 291 291 101 101 2,255 100 완료
성남[재생사업지구] 1,513 1,511 2,998 2,986 42,703 100 완료
반월도금 162 161 113 110 1,278 100 완료
가율 58 58 2 2 X 100 완료
공도 69 69 5 5 127 100 완료
금산 58 58 12 11 528 100 완료
덕산 59 59 13 13 201 100 완료
동항 57 57 17 16 523 100 완료
두교 56 56 8 7 348 100 완료
미양2 160 160 6 6 891 100 완료
방초 60 60 9 9 196 100 완료
안성제1 668 668 47 41 3,266 100 완료
안성제2 716 716 51 50 2,73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30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안성제3 397 397 43 39 1,271 100 완료
안성제4 811 811 20 17 655 96 완료
용월 59 59 11 10 169 100 완료
원곡 100 100 6 6 532 100 완료
장원1 60 59 11 10 164 100 완료
월정 59 59 3 3 163 100 완료
구암 46 46 2 1 X 100 완료
남면 207 207 27 23 561 100 완료
도하 67 67 1 1 X 100 완료
상수 59 59 10 10 306 100 완료
가장 513 513 40 38 3,938 100 완료
문발1 50 50 15 15 436 100 완료
문발2 206 206 14 14 2,452 100 완료
신촌 190 189 78 55 786 100 완료
일반
오산 232 232 70 33 426 100 완료
축현 298 298 60 24 149 100 완료
파주LCD 1,741 1,740 5 5 16,982 100 완료
법원2 350 348 - - - - 미개발
고덕국제화계획지구 3,906 3,906 1 1 X 100 완료
어연한산 690 690 34 30 5,514 100 완료
오성(외국인) 601 600 8 7 174 100 완료
장당 150 150 5 5 557 100 완료
진위 486 485 17 17 2,477 100 완료
추팔 610 610 32 32 2,399 100 완료
칠괴 641 641 16 15 809 100 완료
평택 535 534 64 62 3,530 100 완료
현곡 723 723 27 27 1,994 92 완료
신평 57 57 9 9 226 100 완료
양문 180 180 51 51 1,150 92 완료
동탄 1,974 1,951 403 295 11,812 100 완료
마도 929 929 269 166 4,097 100 완료
발안 1,825 1,815 531 387 9,654 100 완료
장안첨단(1)(외국인) 602 602 15 14 1,830 69 완료
장안첨단(2)(외국인) 614 614 8 6 836 62 완료
전곡해양 1,617 1,617 280 195 3,581 100 완료
팔탄(한미약품) 80 80 1 1 X 100 완료
향남제약 648 644 49 47 3,455 100 완료
30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남 149 149 37 29 339 100 완료
화성 964 964 1 1 X 100 조성중
장남 99 99 1 1 X 100 완료
청산대전 188 188 15 15 358 100 완료
적성 600 600 32 1 X 100 완료
한강시네폴리스 1,121 1,121 - - - - 조성중
장호원 60 59 9 7 143 100 완료
설성 48 48 7 4 41 100 완료
모가 60 60 2 - - 100 완료
삼교 56 56 2 2 X 100 완료
지문 177 176 1 1 X 100 완료
학운4 492 492 169 169 2,363 100 완료
홍죽 586 582 75 72 1,417 100 완료
가장2 595 595 57 50 3,646 97 완료
신둔 39 39 2 2 X 100 완료
고렴 265 265 12 6 174 64 조성중
용정 947 947 123 81 2,754 100 완료
일반
LG Digital Park 125 125 1 1 X 100 완료
경기화성바이오밸리 1,740 1,740 294 217 4,806 100 완료
한강씨엠 51 50 1 1 X - 조성중
학운3 958 960 334 334 4,091 100 완료
매화 376 376 266 253 1,520 100 조성중
원삼 109 109 2 2 X 100 조성중
진위2 956 956 33 13 783 100 완료
군포첨단 288 287 482 482 4,509 100 완료
장자(구 신평3리) 486 484 79 53 670 75 완료
대월 60 60 8 6 189 100 완료
광릉테크노밸리(구 팔야) 209 208 31 25 1,016 100 완료
백학통구 84 84 - - - 100 완료
제일바이오 60 59 2 2 X 100 조성중
금곡 130 130 28 26 708 100 완료
진관 142 142 59 56 1,369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1블록)(구 수원1) 287 287 339 339 3,670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2블록)(구 수원2) 123 121 55 55 1,387 1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3블록)(구 수원3) 847 847 396 396 10,28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303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개정지방 209 209 12 11 445 100 완료
검준 145 145 56 52 1,229 100 완료
용현 346 345 133 133 2,310 100 완료
당동(외국인) 641 641 9 7 661 100 완료
선유 1,313 805 183 75 1,631 100 완료
금파 80 78 37 29 288 100 완료
월롱 837 836 3 3 649 100 완료
탄현 123 123 71 33 321 100 완료
법원1 345 345 - - - - 미개발
송탄 1,086 1,086 141 139 5,498 100 완료
포승(2) 627 626 7 7 302 88 완료
목동 60 60 14 11 248 100 완료
장안 59 58 1 1 X 100 완료
강천 58 58 7 6 126 100 완료
백학 439 439 58 43 845 100 완료
월롱2 119 119 - - - - 미개발
주곡 200 200 33 22 515 100 조성중
도암 60 60 7 7 110 100 완료
도드람 52 52 1 - - 100 조성중
남여주 71 56 7 2 X 100 완료
팔곡 141 142 - - - - 조성중
농서 54 54 - - - 100 조성중
일반
완장 124 124 2 2 X 100 조성중
마정 61 60 - - - 100 조성중
볼빅 70 70 - - - - 조성중
노곡 73 73 - - - - 조성중
신갈 60 60 1 1 X - 완료
마산 75 75 1 1 X 100 완료
세마 92 92 6 6 1,075 100 완료
금현 141 140 14 13 252 100 완료
화성정남 570 570 114 83 2,778 100 조성중
장원2 60 60 8 7 212 83 완료
평택브레인시티 4,825 4,825 - - - - 미개발
통삼 49 49 1 1 X 100 완료
강문 88 88 - - - - 조성중
서울우유 195 195 1 1 X 100 완료
30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원 121 121 - - - 100 조성중
진위3(kdb Utoplex) 828 826 - - - - 미개발
지곡 72 72 1 - - 76 조성중
동항2 150 150 17 15 453 100 완료
용인패키징디자인 59 50 7 - - 100 완료
관리 38 38 4 2 X - 완료
용인SG패션 50 50 - - - 100 조성중
송문 60 60 1 1 X 100 조성중
화성송산테크노파크 529 528 121 67 1,320 100 조성중
대포 250 250 35 11 220 - 조성중
의왕테크노파크 158 158 610 607 2,256 100 완료
은남 992 992 - - - - 미개발
동방 119 119 - - - - 조성중
가유 114 114 - - - - 조성중
학운6 565 559 174 174 1,778 - 조성중
에코그린 309 309 - - - - 조성중
연천BIX(은통) 600 600 18 - - 16 조성중
영진바이오 45 45 1 1 X 100 완료
학운4-1 137 138 32 10 424 - 조성중
동문 78 78 - - - - 조성중
진목 90 90 1 - - - 미개발
마산2 126 127 - - - - 조성중
북좌 42 42 - - - - 미개발
축현2 71 71 1 1 - - 미개발
용인테크노밸리(구 덕성) 839 839 126 70 2,632 100 완료
평택드림테크(구 신재생) 1,345 1,344 - - - - 미개발
일반
광명시흥 975 973 - - - - 미개발
파주센트럴밸리 491 491 - - - - 미개발
서탄(구 유창) 280 280 - - - - 미개발
평택BIX(경기경제자유구역) 1,044 1,044 30 4 239 34 완료
안성중소기업 709 709 - - - - 미개발
제일 56 56 - - - 100 조성중
안성하이랜드 293 293 - - - - 조성중
학운5 893 893 - - - - 조성중
동진 182 182 1 1 X - 조성중
학운7 187 187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2 305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파평 593 593 - - - - 미개발
오산가장제3 163 162 - - - - 조성중
남이천 55 54 3 - - - 완료
용인반도체클러스터 4,154 4,147 - - - - 조성중
안성테크노밸리 765 765 - - - - 조성중
백암 50 50 - - - - 미개발
이천유산 50 50 - - - - 미개발
제2용인테크노밸리 273 273 - - - - 미개발
도시첨
단
동탄도시첨단 149 149 442 138 3,425 100 조성중
용인기흥힉스 77 77 495 495 883 - 조성중
회천 104 104 - - - - 미개발
용인기흥ICT밸리 42 42 281 281 2,083 100 조성중
용인일양히포 66 66 - - - - 미개발
평촌스마트스퀘어 255 255 28 26 3,752 100 완료
판교제2테크노밸리
(구 판교창조경제밸리)
366 350 207 207 2,794 99 조성중
광명시흥첨단R&D 493 493 - - - - 미개발
한양대에리카캠퍼스혁신파크 79 78 - - - - 미개발
고양일산 100 101 - - - - 미개발
경기양주테크노밸리 218 217 - - - - 미개발
농공 미양 117 117 4 4 188 100 완료
30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경기도에는 총 10,925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1,384개로 가장 많으며, ‘전문, 과학 및 기
술 서비스업’이 82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738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336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91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
의 벤처기업 위치
표 3-9-7 ❙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0 23 32
광업(05~08) 2 9 8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64 330 338
음료 제조업 21 20 13
담배 제조업 - - 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7 151 14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7 68 5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45 43 3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0 39 4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03 107 10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5 58 4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91 551 50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42 133 13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62 497 43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30 101 100
1차 금속 제조업 122 133 12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907 720 59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58 1,454 1,33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21 685 660
REGIONAL S&T YEARBOOK 2022 30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전기장비 제조업 1,072 986 91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45 1,896 1,73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14 163 13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9 65 72
가구 제조업 124 132 112
기타 제품 제조업 289 451 37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7 14 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8 10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4 40 35
건설업(41~42) 204 216 224
도매 및 소매업(45~47) 222 253 263
운수 및 창고업(49~52) 15 20 17
숙박 및 음식점업(55~56) 4 4 5
정보통신업(58~63) 1,355 1,344 1,384
금융 및 보험업(64~66) 4 6 4
부동산업(68) 4 6 6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70 816 827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1 36 36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9 34 3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5 4 3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1 17 1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9 4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2,020 11,637 10,925
30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기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위로 가장 많음
- ʼ21년 연구개발인력은 26만 2,508명(전국의 33.42%)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5.53%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2만 9,662명(전국의 45.13%)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2만 5,387명(전국의 12.08%), 공공연구소는 7,459명(전국의 11.2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9-8 ❙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2,307 12.01 24,194 12.57 24,412 12.57 25,883 12.50 25,387 12.08
∙ 국공립 1,362 1.78 1,675 2.11 1,612 2.02 1,781 2.06 1,671 1.92
∙ 사립 20,945 19.17 22,519 19.93 22,800 19.96 24,102 20.02 23,716 19.23
공공연구소 5,980 10.71 5,985 10.25 6,497 10.41 6,769 10.55 7,459 11.21
∙ 국공립 587 5.48 831 6.79 953 7.39 967 7.54 982 7.31
∙ 정부출연 3,232 10.10 2,664 8.18 2,822 8.19 1,855 5.47 1,841 5.43
∙ 병원 및 기타 2,161 16.49 2,490 18.34 2,722 18.06 3,947 22.72 4,636 24.11
기업 183,333 44.85 195,803 44.48 209,062 45.23 218,000 45.79 229,662 45.13
∙ 정부투자기관 486 12.37 461 11.81 459 11.94 429 11.46 351 9.08
∙ 민간기업 182,847 45.17 195,342 44.77 208,603 45.51 217,571 46.06 229,311 45.41
합 계 211,620 32.54 225,982 32.70 239,971 33.39 250,652 33.54 262,508 33.4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309
■ ’21년 경기도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9명 증가한 158.0명으로 조사됨
표 3-9-9 ❙ 경기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35.0 140.2 148.0 153.1 158.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경기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51조 9,571억 원(전국의 50.87%) 17개 광역시・도 중에
서 연구개발투자 규모가 가장 높음
-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81%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조 4,062억 원(전국의 15.07%), 공공연
구소는 약 9,924억 원(전국의 8.27%)이며, 특히 기업이 약 49조 5,585억 원(전국의 61.33%)으로
전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표 3-9-10 ❙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27,351 13.88 983,165 13.94 1,064,774 14.44 1,201,774 14.39 1,406,156 15.07
∙ 국공립 55,363 1.87 79,820 2.58 77,735 2.37 87,482 2.32 129,831 3.08
∙ 사립 871,988 23.41 903,345 22.80 987,039 24.09 1,114,292 24.34 1,276,325 24.96
공공연구소 841,387 8.82 777,980 7.90 853,919 8.40 887,468 7.98 992,448 8.27
∙ 국공립 50,531 6.33 62,051 7.62 58,193 6.96 58,902 6.92 65,786 6.80
∙ 정부출연 530,677 7.15 427,036 5.66 474,144 6.07 385,310 4.65 416,044 4.77
∙ 병원 및 기타 260,179 19.59 288,893 19.51 321,582 21.07 443,256 22.36 510,618 22.09
기업 36,693,761 58.65 41,854,165 60.80 44,016,140 61.56 44,955,885 61.08 49,558,522 61.33
∙ 정부투자기관 120,488 13.54 105,073 11.57 91,985 10.59 98,012 11.19 71,607 8.33
∙ 민간기업 36,573,273 59.30 41,749,092 61.46 43,924,155 62.18 44,857,873 61.68 49,486,915 61.90
합 계 38,462,499 48.82 43,615,310 50.88 45,934,833 51.58 47,045,127 50.55 51,957,126 50.8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1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경기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조 8,08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63%
표 3-9-11 ❙ 경기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6,326 24,763 24,139 25,611 28,082
(13.7) (12.7) (11.8) (11.3) (11.6)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경기도 수요 R&D기획 추진
- 경기연구개발지원단사업(4억원), 과학기술정책연구지원(2억원),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지원(7억원)
■ 경기도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 기술개발사업(65억원),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118억원), 경기도 바이오기업 R&DB
종합지원(15억원), 섬유분야 연구개발지원 사업(10억원),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 개발(13
억원) 등
■ 기업수요 기반 기술지원 확대
- 기술닥터(67억원), 바이오 소재물질 연구장비 고도화(14억원), 글로벌기업 연계 부품국산화 지원
사업(23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강화
- VR/AR 산업 육성(43억원), 3D프린팅 기술 지원(49억원), 게임산업육성(39억원), AI기술실증 테
스트베드 조성(130억원) 등
■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 경기 안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원(48억원), 판교 1TV지원(64억원), 자율주행실증단지조성(32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2 311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성장정책관 미래산업과와 과학기술과에서 담당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
경기도 과학기술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정책연구실)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표 3-9-12 ❙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5,565 4 53,343 445 609 111 11,053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나) 역할
표 3-9-13 ❙ 경기도 과학기술과와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과학기술과
∙ 과학기술관련 업무 총괄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미래산업과
∙ 미래산업기술 관련 업무 총괄
∙ 미래산업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31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기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혁신 및 인력육성 등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경기도 신기술 제안제도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9조에 따른 신기술 제안 심사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해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행정2부지사/ 위촉직 위원은 도지사가 위촉하며 임기 2년(1회 연임 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2건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1년 추진실적 및 ’22년 시행계획) 심의(’22.1.18 ~ ’22.1.24.)
- 2022년 제2회 경기도 과학기술인상 2차 심의(’22.9.1~’22.9.5.)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9-14 ❙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당연직 이한규 경기도 2020.07.15.~2022.07.14
당연직 최원용 경기도 2020.07.15.~2022.07.14
당연직 류광열 경기도 2020.07.15.~2022.07.14
당연직 유승경 경기도 2020.07.15.~2022.07.14
임명직 임문영 경기도 2020.07.15.~2022.07.14
도의원 김미숙 경제노동위원회 2020.07.15.~2022.07.14
도의원 이원웅 경제노동위원회 2020.07.15.~2022.07.14
유관기관장 (공 석) 경기테크노파크 2020.07.15.~2022.07.14
유관기관장 양은익 경기 대진테크노파크 2020.07.15.~2022.07.14
REGIONAL S&T YEARBOOK 2022 313
※ 출처 : 경기도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기도의 총예산은 116조 66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334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11%
- 과학기술 예산 중 경기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63.94%
표 3-9-15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1,160,665
재정자주도(%) 73.4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08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33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1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63.94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유관기관장 주영창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김경자 드림잇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조중혁 LG유플러스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박승범 호서대 스마트팩토리학과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정진행 분당서울대학교 병리과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 언 가천대 길병원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남명진 가천대 생명학과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동원 아주대 자동차대학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준상 연세대 국제처 교학부 2020.07.15.~2022.07.14
31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경기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585억 원을 투자
- 국비의 경우 ʻ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ʼ에 약 170억 원의 투자비가 투입
- 지방비의 경우 ʻ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ʼ에 약 452억원의 투자비가 투입됨
표 3-9-16 ❙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지원사업
533 133 - 66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경기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
경기과학정책연구 사업
195 400 - 59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농산물소득조사분석 176 124 - 30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
인공지능대학원지원사업
16,954 1,814 1,941 20,709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열린혁신디지털오픈랩구축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운영지원
7,481 21,274 400 29,15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안산강소연구개발특구활성화
지식재산창출및창업지원
12,184 45,194 1,163 58,54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경기지역협력연구 센터(GRRC)
소재부품장비 산업 자립화 연구 지원
사업
8,745 21,820 7,508 38,073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농업신기술시범
경기도기술개발사업
7,856 33,270 1,743 42,869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판교제1테크노밸리관리
경기안산 가소연구개발특구 지원
안산강소연구개발특구 활성화
8,400 9,326 - 17,726
합계 62,524 133,355 12,755 208,634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315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경기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만 1,889개로 전국의 34.5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9.58%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11개 증가, 기업 6,699개 증가
표 3-9-17 ❙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7 18.78 79 21.64 75 18.07 75 18.25 76 17.97
∙ 국공립 6 6.74 6 7.59 5 5.95 5 5.88 6 6.98
∙ 사립 71 22.12 73 25.52 70 21.15 70 21.47 70 20.77
공공연구소 64 11.25 67 10.95 66 10.28 68 10.26 75 10.89
∙ 국공립 11 8.66 10 7.63 11 7.69 13 9.09 13 8.50
∙ 정부출연 12 7.50 11 6.59 10 5.92 8 4.91 8 4.71
∙ 병원 및 기타 41 14.59 46 14.65 45 13.64 47 13.17 54 14.75
기업 15,039 35.36 17,697 36.46 19,368 35.33 20,715 35.41 21,738 34.92
∙ 정부투자기관 6 12.24 7 16.67 7 12.73 6 11.11 6 10.17
∙ 민간기업 15,033 35.39 17,690 36.48 19,361 35.35 20,709 35.43 21,732 34.94
합 계 15,180 34.89 17,843 36.19 19,509 34.91 20,858 35.01 21,889 34.5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1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경기도 소재 대학 수는 62개
- 일반대학 30개, 전문대학 31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9-18 ❙ 경기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9 3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1 - 30 31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 60 6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경기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32만 3,259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만 6,109명(전체의 약 8.08%), 공학계열 학생이 8만 8,371명
(전체의 약 27.34%)
표 3-9-19 ❙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6,109 88,371 114,480 30,684 55,606 15,320 28,264 78,905 323,259
비중(%) 8.08 27.34 35.41 9.49 17.20 4.74 8.74 24.41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317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1년에 경기도에는 총 8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성균관대가 5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가천대, 경희대, 아주대가 각각 1개씩 운영 중임
표 3-9-20 ❙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성균관대
(5개 센터)
2017 비임파성 장기 면역 연구센터 SRC
2016 응용대수 및 최적화 연구센터 SRC
2016 단일세포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9 에피지놈 다이나믹스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R2R 인쇄 유연컴퓨터개발 연구센터 ERC
가천대학교
(1개 센터)
2021 선천면역 매개 만성염증질환 연구센터 MRC
경희대학교
(1개 센터)
2021 결정기능화공정기술센터 ERC
아주대
(1개 센터)
2019 뇌질환 융합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31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는 총 5개로 ’20년 기준 가천대 1개, 경희대 2개, 성균관대 1개, 을지대 1
개가 운영 중이었으나 ’21년 기준 3개로 감소함. 그리고 ‘22년 기준 경희대에 1개 추가됨
표 3-9-21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가천대 나노입자 지역혁신센터
경희대
피부생명공학 지역혁신센터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성균관대 정보통신용 신기능성 소재 및 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경기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9-22 ❙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24
REGIONAL S&T YEARBOOK 2022 319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가톨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12
강남대학교 강남대 창업보육센터 1999-10-2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9-09
경기도일자리재단 여성능력개발본부 경기도여성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벤처 창업보육센터 2007-01-24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경기청) 경기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4-07-16
경기대학교 경기 창업보육센터(경기대) 2001-01-01
경기테크노파크 경기테크노파크 안산 창업보육센터 2014-11-13
경민대학교 경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1-22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창업보육센터 1999-03-02
재단법인 군포산업진흥원 군포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7-06-27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4-15
대진대학교 대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3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BMC 창업보육센터 2011-05-19
동서울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명지대학교 명지대창업보육센터(용인) 1999-02-2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농생명과학창업지원센터 2001-09-24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성남산업진흥원 성남창업센터 정글ON 2021-07-06
수원대학교 수원대 창업보육센터 2001-04-27
수원시청 수원시 시니어 창업보육센터 2012-05-24
시너지아이비투자(주) 시너지 창업보육센터 2017-12-29
신구대학교 신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16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6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여주대학교 여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30
연성대학교 연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3-22
오산대학교 오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올콘텐츠 올콘텐츠 창업보육센터 2022-10-01
32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1-17
주식회사 잡앤조이 잡앤조이&오피스원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중앙대학교 중앙대휴먼테크노 창업보육센터 2000-12-01
(안산)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안산 포스트BI 1994-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스타트업창업보육센터 2017-11-01
투썬인베스트(주) 투썬창업보육센터 2012-05-07
평택대학교 평택대학교 글로벌 피어선 창업보육센터 2017-11-29
한경대학교 한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06
한국공학대학교 한국공학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창업보육센터 2000-10-06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부천창업보육센터 2017-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한국세라믹기술원(이천분원)
공예디자인 창업보육센터
2011-02-2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창업보육센터 2001-03-2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0-04-02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0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6
한양대학교 에리카 한양대학교 에리카 창업보육센터 1999-03-09
협성대학교 협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2-12
REGIONAL S&T YEARBOOK 2022 32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기도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10개소로 16개를 운영 중
표 3-9-23 ❙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과천과학관 국립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공립
의정부과학도서관 공립
의왕조류생태과학관 공립
안성맞춤천문과학관 공립
포천아트밸리천문과학관 공립
우석헌자연사디스커버리센터 사립
한얼테마과학관 사립
한생연마이크로박물관 사립
재단법인 송암스페이스센터 사립
자연과별가평천문대 사립
민제생태환경과학관 사립
어메이징파크과학관 사립
광명에디슨뮤지엄 사립
아쿠아플라넷 일산 사립
아쿠아플라넷광교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32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기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2년 경기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5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0,168명임
표 3-9-24 ❙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277 296 298 621 502
수혜자 수 11,189 11,951 10,216 13,977 16,41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기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기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4개 지원
표 3-9-25 ❙ 경기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기도경제과학
진흥원
4
전용공간
2개(121㎡)
9 98,771 58.0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323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는 5만 7,83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만 4,663건
-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의 경우’16년부터 ‘17년까지 특허출원 건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가 ’18년 부
터 증가하는 추세이고 , 특허등록 건수도 전년도에 비해 9.8% 증가
표 3-9-26 ❙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52,542 48,764 46,133 47,175 49,685 54,696 57,830
특허등록 건수 22,750 23,381 24,820 25,440 27,708 31,565 34,66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경기도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만 7,673편, 주저자 기준으로 8,398편으로
각각의 점유율은 전국 논문 수의 22.21%, 13.23%임
표 3-9-27 ❙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13,705 22.50 238,673 17.42 6,679 13.20 92,759 13.89
2018 14,117 22.13 219,106 15.52 6,888 13.12 84,090 12.21
2019 14,710 21.87 162,162 11.02 7,105 12.94 67,381 9.48
2020 16,134 21.88 110,772 6.87 7,744 12.98 44,321 5.72
2021 17,673 22.21 40,250 2.28 8,398 13.23 16,171 1.9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32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로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경기도
■ 목표 :
- 경기도형 4차 산업혁명 브랜드 창조
- 첨단 산업육성 및 전통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부가가치 향상
- 미래 인재의 육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추진전략 :
- 4차 산업혁명 맞춤형 연구개발 지원
- 경기도형 혁신클러스터 강화
- 과학기술기반의 창업 및 일자리 확대
- 문화와 융합된 과학 진흥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경기도형 혁신클러스터 강화
■ 혁신클러스터 중심의 산학연 협력활동 강화
- 지역중심의 혁신클러스터 협력체계 강화, 클러스터 내부 및 클러스터 간 정보 공유체계 구축
■ 신시장 창출을 위한 테스트베드 확대
-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테스트베드 공간 조성, 테스트베드 기반의 기업육성 사업 추진
■ 신규혁신 클러스터 발굴 성장 지원
- 경기도 선도 혁신클러스터 조성, 신규 혁신클러스터 지속 발굴
REGIONAL S&T YEARBOOK 2022 325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R&D역량 강화
- 글로벌 신산업 육성: 바이오, 미래차, 반도체
- 신기술 실증 및 디지털 전환 촉진: AI기술 , 디지털융합, 스마트제조혁신, 스마트시티 등 실증
- 첨단기술분야 산업·기업 육성: 3D프린팅, 드론, 로봇, VR/AR 등
- R&D 역량 강화 및 기술창업 촉진: 산학연 R&D 지원, 지역특화산업 R&D, 기술창업 촉진
■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혁신클러스터
- 미래첨단산업 거점,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광교, 판교, 안산
- 균형발전과 혁신성장 허브, 신규 혁신클러스터 조성: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제3판교, 광명·시흥,
양주, 일산
■ 도민체감형 사회문제해결 및 과학문화 확산
- 창의적 지역 현안 해결: R&D기반 사회문제 해결, 첨단기술활용 공공서비스
- 과학문화 저변 확대: 시군협력 과학축제, 생애주기별 과학교육 및 강사 양성
■ 과학기술 인프라 및 리더십 강화
- 과학기술 인력양성: AI, 빅데이터, 스마트제조, 메타버스, 바이오헬스 등 첨단기술 교육
- 지역균형발전 기여: 경기북부 혁신역량 확충
- 과학기술정책 실효성 강화: 정책추진체계 강화, R&D 투자 확대, 관리제도 고도화
32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0절 강원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강원도 인구는 약 152만 명으로 작년보다 소폭 증가
- 전국인구대비 강원도 인구 비중 또한 지난 5년간 소폭 감소 및 정체
표 3-10-1 ❙ 강원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520,879 1,521,442 1,520,117 1,519,291 1,520,457
전국대비 비율(%) 2.96 2.95 2.94 2.94 2.94
경제활동참가율(%) 62.6 62.5 64.6 63.3 63.7
실업률(%) 2.6 2.9 3.6 3.9 3.6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
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32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강원도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46.5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55%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35.03%)에 이어 기타서비스업(31.31%)이 강원도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3.86%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0-2 ❙ 강원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43,761,362 44,574,334 46,064,137 44,829,136 46,476,220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074,189 2,831,342 2,996,375 2,808,756 2,858,402
(지역내비중, %) (7.02) (6.35) (6.50) (6.27) (6.15)
제조업 4,421,355 4,522,342 4,513,955 4,435,026 4,540,237
(지역내비중, %) (10.10) (10.15) (9.80) (9.89) (9.7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065,723 1,327,592 1,363,826 1,064,884 1,171,904
(지역내비중, %) (2.44) (2.98) (2.96) (2.38) (2.52)
건설업 3,857,266 3,428,645 3,492,241 3,628,057 3,628,775
(지역내비중, %) (8.81) (7.69) (7.58) (8.09) (7.81)
기타서비스업 14,168,415 14,543,932 15,195,782 13,992,712 14,550,069
(지역내비중, %) (32.38) (32.63) (32.99) (31.21) (31.3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4,180,755 14,872,893 15,249,639 15,479,089 16,280,906
(지역내비중, %) (32.40) (33.37) (33.11) (34.53) (35.03)
순생산물세 2,986,275 3,087,178 3,297,522 3,334,702 3,361,910
(지역내비중, %) (6.82) (6.93) (7.16) (7.44) (7.23)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32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강원도 제조업의 총 생산액은 약 13조 4,737억원, 1,05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만
9,74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모두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약 3조 1,664억 원(전체의 23.22%),
이 334개(전체의 31.78%), 9,979명(전체의 25.11%)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0-3 ❙ 강원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405,770 25.28 334 31.78 9,979 25.11
음료 제조업 1,284,329 9.53 25 2.38 1,500 3.7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3,212 0.25 11 1.05 211 0.5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29 40 0.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82,262 5.06 31 2.95 2,370 5.9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28,287 3.18 49 4.66 1,389 3.4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534,311 18.81 155 14.75 4,782 12.03
1차 금속 제조업 394,035 2.92 11 1.05 130 0.33
전기장비 제조업 564,493 4.19 50 4.76 1,116 2.8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77,144 4.28 61 5.80 1,836 4.6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85,111 9.54 38 3.62 2,249 5.6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863 0.03 2 0.19 - -
가구 제조업 11,271 0.08 11 1.05 161 0.41
기타 제품 제조업 53,948 0.40 16 1.52 256 0.6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66,775 0.50 20 1.90 441 1.1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9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02,028 2.98 67 6.37 1,091 2.7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6,669 0.42 14 1.33 258 0.6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48,738 6.30 50 4.76 2,481 6.2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9,698 0.59 10 0.95 185 0.4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9,830 0.82 14 1.33 252 0.6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8,829 0.29 4 0.38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2,726 0.69 17 1.62 344 0.87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15,117 3.82 56 5.33 2,106 5.30
합 계 13,473,702 100 1,051 100 39,744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32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
료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0-4 ❙ 강원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비교적
높음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기타제품제조업
낮음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3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강원도는 ‘강원도 전략산업 고도화 및 미래첨단산업 육성발굴’과 ‘차세대 생명건강 생태계 조
성을 통한 의료기기 산업육성’, ‘수출규제 첨단부품 소재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육성’, ‘강원 산
학연관 R&D역량강화 및 과학기술 발전 협력’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0-5 ❙ 강원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강원도 전략산업 고도화 및 미래첨단산업
육성발굴
강원도 이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강원국가혁신 클러스터 사업
강원ICT융합 신기술기업지원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차세대 생명건강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의료기기 산업육성
뿌리기술 경쟁력 강화지원
강원 소규모 의료기기 기업 엑셀러레이팅 지원사업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사업
차세대 생명건강산업 생태계 조성사업
수출규제 첨단부품 소재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육성
경석자원을 활용한 세라믹 원료기반 조성사업
퀌텀닷 나노소재 기반연계 플랫폼 사업
강원 산학연관 R&D역량강화 및 과학기술
발전 협력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강원연구원 지원
스크립스 항체연구원지원
한국기후변화원구원
※ 출처 : 강원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33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25개, 도시첨단단지 6개, 농공산업단지 45개가 있음
- 총 7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777개, 총 종사자 수는 29,886명
표 3-10-6 ❙ 강원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북평국가 4,278 1,867 69 48 915 99 완료
일반
강릉과학 1,487 1,487 162 150 1,397 94 완료
강릉중소 164 164 37 23 357 100 완료
원주자동차부품 93 93 6 5 119 100 완료
남면 65 65 1 1 X 100 완료
전력IT문화복합 354 354 13 12 298 100 완료
홍천북방 525 525 2 2 X 100 완료
우천 756 755 16 16 898 73 완료
삼척종합발전 2,583 2,583 1 - - 100 조성중
소방ㆍ방재(구 방재) 782 782 - - - - 조성중
남춘천 1,453 1,453 20 - - 100 조성중
북평제2 593 593 - - - 28 조성중
강릉옥계 482 482 1 - X 100 조성중
송정 323 323 1 1 X 100 완료
동화 409 409 25 24 1,162 100 완료
부론 609 609 - - - - 조성중
플라즈마 316 315 - - - - 조성중
동점(구 태백스포츠) 216 218 2 1 X 57 완료
문막 410 410 25 20 997 100 완료
문막반계 423 420 27 24 691 78 완료
우산 355 355 21 16 1,629 100 완료
포진 96 96 - - - - 조성중
후평[재생사업지구] 483 483 251 246 1,535 100 완료
호산(LNG) 982 980 1 1 X 100 완료
동춘천(구 봉명) 539 539 24 14 495 89 완료
옥계첨단소재융합 383 383 - - - - 조성중
도시 춘천도시첨단문화 187 187 30 27 458 100 완료
3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첨단
춘천도시첨단정보 25 25 1 1 X 100 완료
삼성SDS춘천센터 40 40 1 1 X 100 완료
네이버도시첨단
(구 춘천NHN)
100 100 1 1 X 100 완료
강원대캠퍼스혁신파크 67 66 - - - - 미개발
홍천 46 46 - - - - 미개발
농공
주문진 143 143 41 41 682 100 완료
근덕 130 130 26 26 196 100 완료
도계 71 68 9 9 43 100 완료
대포제2 106 106 30 30 381 100 완료
동화 332 332 42 38 1,270 100 완료
문막 501 501 37 35 1,926 100 완료
태장 298 297 119 110 1,379 100 완료
거두 297 297 26 26 1,329 100 완료
당림 53 53 8 8 104 100 완료
창촌 114 114 26 23 202 100 완료
퇴계 341 341 167 163 2,259 100 완료
수동 77 77 6 6 792 100 완료
장성 137 137 17 13 136 93 완료
철암 127 127 29 27 244 100 완료
고성해양심층수전용 104 103 24 17 233 100 완료
향목 34 33 13 12 93 100 완료
하리 143 142 28 27 229 100 완료
포월 117 115 39 39 358 100 완료
영월 114 114 18 14 113 100 완료
영월제3 259 257 23 18 181 92 완료
팔괴 143 143 28 26 247 100 완료
원통 144 144 36 35 206 100 완료
예미 107 107 7 7 120 89 완료
증산 118 118 41 41 302 100 완료
함백 100 100 5 5 83 100 완료
갈말 129 129 6 4 114 100 완료
김화 148 148 32 26 408 95 완료
방림 62 62 10 10 110 100 완료
평창 106 106 35 35 227 100 완료
상오안 127 127 25 19 29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333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양덕원 42 42 2 2 X 100 완료
화전 269 269 19 16 271 100 완료
원천 112 112 27 26 175 100 완료
농공
공근 329 329 31 27 784 91 완료
묵계 176 175 13 13 861 100 완료
우천 173 173 24 19 312 100 완료
우천제2 329 329 28 24 838 100 완료
대포제3 162 162 49 49 503 98 완료
동송 164 159 16 14 303 83 조성중
양양제2그린 103 102 18 15 53 100 완료
주문진제2 158 158 25 14 213 100 완료
대포제1 178 177 34 34 362 100 완료
귀둔 54 54 - - - 26 완료
북방 101 101 - - - - 조성중
퇴계제2 96 96 33 - - 100 완료
33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강원도에는 총 628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6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
통신업’이 65개, ‘건설업’이 37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72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67개), ‘화학 물
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49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0-7 ❙ 강원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6 5
광업(05~08) 4 3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4 92 72
음료 제조업 8 6 5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11 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2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1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1 8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4 3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3 58 4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3 17 2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5 16 1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7 23 18
1차 금속 제조업 9 8 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7 26 2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3 27 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2 74 67
전기장비 제조업 52 48 36
REGIONAL S&T YEARBOOK 2022 335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6 51 3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 7 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 4 4
가구 제조업 5 7 3
기타 제품 제조업 21 29 2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1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6 2
건설업(41~42) 42 44 37
도매 및 소매업(45~47) 9 11 14
운수 및 창고업(49~52) 2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
정보통신업(58~63) 59 61 65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1 76 6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2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1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2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760 733 628
33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강원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3,488명(전국의 1.7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5.28%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8,099명(전국의 3.85%)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3,325명(전국의 0.65%), 공공연구소는 2,064명(전국의 3.1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0-8 ❙ 강원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942 3.74 6,631 3.45 7,041 3.63 7,404 3.58 8,099 3.85
∙ 국공립 4,407 5.77 4,272 5.38 4,437 5.55 4,581 5.29 4,970 5.72
∙ 사립 2,535 2.32 2,359 2.09 2,604 2.28 2,823 2.34 3,129 2.54
공공연구소 1,443 2.59 1,551 2.66 1,623 2.60 1,712 2.67 2,064 3.10
∙ 국공립 923 8.62 1,021 8.34 981 7.61 985 7.68 1,241 9.24
∙ 정부출연 165 0.52 161 0.49 207 0.60 222 0.65 207 0.61
∙ 병원 및 기타 355 2.71 369 2.72 435 2.89 505 2.91 616 3.20
기업 2,592 0.63 2,924 0.66 3,091 0.67 3,079 0.65 3,325 0.65
∙ 정부투자기관 105 2.67 63 1.61 67 1.74 60 1.60 84 2.17
∙ 민간기업 2,487 0.61 2,861 0.66 3,024 0.66 3,019 0.64 3,241 0.64
합 계 10,977 1.69 11,106 1.61 11,755 1.64 12,195 1.63 13,488 1.7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337
■ ’21년 강원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4명 증가한 52.2명으로 조사됨
표 3-10-9 ❙ 강원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43.8 44.2 46.6 47.8 52.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강원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6,860억 원(전국의 0.67%) 17개 시・도 중 15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2.28%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468억 원(전국의 2.65%), 공공연구소는
약 1,473억 원(전국의 1.23%), 기업이 약 2,917억 원(전국의 0.36%)
표 3-10-10 ❙ 강원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7,073 2.50 173,091 2.46 178,700 2.42 200,785 2.40 246,849 2.65
∙ 국공립 98,852 3.34 97,089 3.14 105,432 3.22 110,209 2.92 124,630 2.96
∙ 사립 68,221 1.83 76,002 1.92 73,268 1.79 90,576 1.98 122,219 2.39
공공연구소 99,166 1.04 105,654 1.07 95,624 0.94 106,830 0.96 147,343 1.23
∙ 국공립 39,066 4.90 41,215 5.06 40,243 4.82 38,381 4.51 49.709 5.14
∙ 정부출연 43,398 0.59 45,835 0.61 31,134 0.40 37,007 0.45 42,461 0.49
∙ 병원 및 기타 16,702 1.26 18,604 1.26 24,247 1.59 31,442 1.59 55,173 2.39
기업 184,050 0.29 203,012 0.29 242,892 0.34 247,475 0.34 291,710 0.36
∙ 정부투자기관 8,288 0.93 6,921 0.76 4,550 0.52 6,976 0.80 12,326 1.43
∙ 민간기업 175,762 0.28 196,091 0.29 238,342 0.34 240,499 0.33 279,384 0.35
합 계 450,289 0.57 481,757 0.56 517,215 0.58 555,090 0.60 685,902 0.6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3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강원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60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67%
표 3-10-11 ❙ 강원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781 2,804 2,996 3,156 3,601
(1.4) (1.4) (1.5) (1.4) (1.5)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21 투자실적)
■ 바이오, 신소재, IT 등 지역 전략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기업의 역량 강화 지원
- IoT기반 스마트토이 클러스터 조성 사업 : 지방비 28.3억원
- 지식재산기반 창업촉진 및 지식재산 창출지원 : 지방비 20.2억원
-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 및 융복합지원사업 : 지방비 137.9억원
- 수소 생산기지 구축사업 : 지방비 21.5억원
- 경석자원 활용 세라믹 원료산업 기반조성사업 : 지방비 11.8억원
- 강원 바이오 스타 및 유망 기업 육성 지원사업 : 지방비 10억원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 지방비 8.7억원
- 강원 소규모의료기기 기업 액셀러레이팅 지원사업 : 지방비 7.5억원
- 강원도 지식재산 권리화 지원 활성화 : 지방비 7.3억원
■ Post 코로나 및 4차산업 혁명 대응을 위한 신산업 육성
- 강원도 e-Mobility 클러스터 조성 : 지방비 114억원
- 차세대 생명·건강 산업생태계 조성사업 : 지방비 38.6억원
- SW 융합클러스터 2.0 (특화산업강화) : 지방비 21.9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2 339
- 강원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 : 지방비 15.5억원
-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구축사업 : 지방비 13억원
- VR·AR 제작 거점센터 운영 사업 : 지방비 12억원
- 퀀텀닷 나노소재 기반연계 플랫폼 사업 : 지방비 11.3억원
-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 지방비 11억원
■ 지역 활력을 위한 산・학・연・관 네트워킹 강화
- 강원 R&D 혁신체계 구축 : 과학기술연구회 구성・운영 2회
-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 지방비 49.4억원
-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운영 지원 : 지방비 18억원
-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운영 지원 : 지방비 3억원
-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지원 : 지방비 9.8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강원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첨단산업국 전략산업과, 바이오헬스과, 에너지과, 정보산업과,
데이터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0-1 강원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표 3-10-12 ❙ 강원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990 - 16,200 298 405 32 4,008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34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0-13 ❙ 강원도 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산업국 ∙ 강원도 산업국 업무 총괄
전략산업과 ∙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추진
∙ 전략과제 총괄 기획 및 디자인 산업 육성 지원
∙ 이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및 미래차 신산업 육성
∙ 강원도 양자정보기술 육성 및 클러스터 조성
∙ 첨단소재산업 및 저탄소 신산업 발굴 육성
투자유치과 ∙ 투자·기업유치 정책개발 및 기본계획 수립
∙ 수도권 및 타시도 이전기업, 국내복귀기업 유치
∙ 외자유치 전략 수립 및 투자기반 조성,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유치
∙ 산업입지 공급계획 및 산업단지 관리계획 수립
∙ 혁신·기업도시 개발 건설 및 공공기관 이전 추진
바이오헬스과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추진
∙ 지역과학기술, 과학문화 육성 및 산·학·연 연구개발 협력체계 강화
∙ 지역특화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조성
∙ 융복합 헬스케어산업 육성 및 바이오․의료기기산업 고도화
∙ 지식재산(IP) 경쟁력 강화를 통한 산업역량 제고
∙ 정밀의료 산업기반 구축 및 기업 육성
에너지과 ∙ 액화수소 생태계 및 수소경제 구축, 탄소중립 실현
∙ 지역에너지 정책 추진 및 이용 합리화 교육․홍보사업 추진
∙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계획 수립 및 개발․보급
∙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친환경 자동차 보급 방안 수립
디지털산업과 ∙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 및 산업 육성
∙ K-CLOULD PARK 기업 유치 및 데이터산업 융합밸리 조성
∙ 빅데이터 산업 육성 기반 구축 및 산업생태계 조성
∙ 지역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한 ICT 및 미디어산업 거점 조성
반도체산업추진단 ∙ 반도체 특화단지 조성 계획 수립 및 관련 제도 개선
∙ 반도체 연관 기업 유치 및 전문인력 양성
∙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등 기반 조성 추진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2 341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현황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강원도과학기술진흥조례」제4조, 제12조(‘13. 5월 출범)
■ 주요기능 및 역할(심의의결 사항 포함)
- 과학기술 진흥 및 연구개발 역량강화, 정책자문, 심의・자문기관의 역할
- 정부동향파악, 지역내 대형 국책과제 수주를 위한 공동 기획・의견 수렴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1회 연임 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3회
- 강원과학기술진흥 2021년 추진실적 보고 및 2022년 시행계획 심의(’22.01.11.~’22.01.13.)
- 제6차 강원도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안) 수립 추진 경과 보고, 제7회 강원과학기술대축천 추진
계획(안) 보고, 제7회 강원과학기술대상 및 제2회 강원미래과학자상 선정 의결(’22.08.19.)
- 강원과학기술위원회 임기만료에 따른 위원 선정 심의,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 결
과 검토(’22.12.)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0-14 ❙ 강원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종석 한림대학교 AI융합전공과 2020.09.04.~2022.09.03.
부위원장 이종영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강원연구개발지원단 2021.08.13.~2023.08.12.
위원 신태민 연세대학교(원주) 의공학부 2020.09.03.~2022.09.02.
위원 노주원 KIST 강릉분원 2020.09.03.~2022.09.02.
위원 송미희 ㈜현대메디텍 2020.09.03.~2022.09.02.
위원 최선용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2020.09.03.~2022.09.02.
위원 채공주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2021.08.13.~2023.08.12.
위촉 신은주 강원대학교 약학과 2020.09.04.~2022.09.03.
위촉 김현경 강원대학교 재료공학과 2020.09.04.~2022.09.03.
위촉 이혜영 연세대학교(원주) 임상병리학과 2020.09.04.~2022.09.03.
34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강원도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강원도의 총예산은 25조 8,08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730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28%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강원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9.08%
표 3-10-15 ❙ 강원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 산 258,089
재정자주도(%) 71.9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48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73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9.08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위촉 성조환 강원TP 융복합혁신지원센터 2020.09.04.~2022.09.03.
위촉 김경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 2020.09.04.~2022.09.03.
위촉 강창수 강원도경제진흥원 지식재산센터 2020.09.04.~2022.09.03.
위촉 박성빈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2020.09.04.~2022.09.03.
위촉 정태윤 강원임베디드SW연구센터 2020.09.04.~2022.09.03.
위촉 정영미 강원대학교 화학과 2020.08.13.~2023.08.12.
위촉 양원모 강원도 첨단산업국 당연직
REGIONAL S&T YEARBOOK 2022 34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강원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470억원을 투자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과제에 국비 약 237억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에 지방비 235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10-16 ❙ 강원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스크립스코리아 항체연구원 운영지원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 2,776 - 2,77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강원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
100 5,533 - 5,633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스마트토이 융합기술 아카데미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수소충전소 및 수소자동차 보급사업
전략적바이오 수출시장 개척사업
23,705 16,810 - 40,51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사업
14,812 13,927 3,454 32,193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식재산 창출지원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
2,293 2,080 - 4,373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강원VR・AR제작거점센터 구축사업
지식재산기반 창업촉진
2,737 2,909 101 5,74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SW융합클러스터2.0(특화산업강화)
디지털헬스케어생태계구축사업
4,359 5,485 667 10,51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e-Mobility 생산, 수출단지 조성
국가혁신클러스터육성 지원
22,927 23,510 567 47,004
합계 70,933 73,029 4,789 148,751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4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강원도의 연구개발조직은 798개로 전국의 1.2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0.21% 증가
- 5년간 대학 2개 감소, 공공연구소 8개 증가, 기업 251개 증가
표 3-10-17 ❙ 강원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39 19 5.21 15 3.61 14 3.41 16 3.78
∙ 국공립 7 7.87 6 7.59 6 7.14 6 7.06 6 6.98
∙ 사립 11 3.43 13 4.55 9 2.72 8 2.45 10 2.97
공공연구소 30 5.27 32 5.23 34 5.30 37 5.58 38 5.52
∙ 국공립 10 7.87 10 7.63 10 6.99 11 7.69 13 8.50
∙ 정부출연 7 4.38 7 4.19 6 3.55 6 3.68 7 4.12
∙ 병원 및 기타 13 4.63 15 4.78 18 5.45 20 5.60 18 4.92
기업 493 1.16 620 1.28 660 1.20 684 1.17 744 1.20
∙ 정부투자기관 2 4.08 2 4.76 2 3.64 2 3.70 2 3.39
∙ 민간기업 491 1.16 618 1.27 658 1.20 682 1.17 742 1.19
합 계 541 1.24 671 1.36 709 1.27 735 1.23 798 1.2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345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강원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0-18 ❙ 강원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강원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7,96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239명(전체의 약 14.42%), 공학계열 학생이 1만 5,004
명(전체의 약 19.24%)
표 3-10-19 ❙ 강원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239 15,004 26,243 16,947 6,144 5,331 5,607 17,692 77,964
비중(%) 14.42 19.24 33.66 21.74 7.88 6.84 7.19 22.69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4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 강원도에는 강원대가 1개, 연세대가 1개, 한림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0-20 ❙ 강원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강원대학교
(1개 센터)
2020 바이오 신약 혁신소재 융합 선도연구센터 RLRC
연세대학교
(1개 센터)
2017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자기방어 연구센터 MRC
한림대학교
(1개 센터)
2022 뇌혈관질환 전주기 관리를 위한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 플랫폼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REGIONAL S&T YEARBOOK 2022 347
■ 한림대와 강릉원주대의 사업이 종료되면서, ’22년 강원도의 지역혁신센터 수는 총 2곳 운영
중
표 3-10-21 ❙ 강원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강원대 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 지역혁신센터
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강원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0-22 ❙ 강원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1-05-23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01
강릉영동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1-29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창업보육센터 2000-11-02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강원 창업보육센터 2000-10-31
강원도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9-21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6-23
동해시청 동해시창업보육센터 2000-11-30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리스트 강원산업기술연구소 창업보육센터 2021-07-06
강원대학교삼척산학협력단 삼척 창업보육센터 2002-04-29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7-23
34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강원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0-23 ❙ 강원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토정중앙천문대 공립
홍천생명건강과학관 공립
화천 조경철천문대 공립
천문인마을 사립
로하스파크와카푸카 사립
한생연자연속과학체험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연세대학교(원주) 연세원주 창업보육센터 2000-01-20
영월군청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2020-03-31
(원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원주 포스트BI 1997-04-21
한라대학교 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7-03
한림대학교 한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4-01
REGIONAL S&T YEARBOOK 2022 349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강원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2년 강원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555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652명임
표 3-10-24 ❙ 강원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256 364 389 443 555
수혜자 수 6,434 9,520 9,928 7,537 11,652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강원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강원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4개 지원
표 3-10-25 ❙ 강원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강원연구원 4
전용공간
1개(32.39㎡)
5 151,466 50.5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12월 말 시점)
3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강원도 특허출원 건수는 2,89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706건
- 특허출원 건수와 특허등록 건수 모두 작년 대비 증가
표 3-10-26 ❙ 강원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2,571 2,410 2,572 2,666 2,604 2,800 2,898
특허등록 건수 1,090 1,291 1,459 1,479 1,462 1,572 1,70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21년 강원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452편, 주저자 기준 1,960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59%, 3.09%를 차지
표 3-10-27 ❙ 강원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200 5.25 61,705 19.28 1,364 2.70 16,143 11.84
2018 3,423 5.37 43,253 12.64 1,497 2.85 15,055 10.06
2019 3,756 5.59 37,926 10.10 1,628 2.97 12,360 7.59
2020 4,186 5.68 24,775 5.92 1,795 3.01 8,952 4.99
2021 4,452 5.59 9,654 2.17 1,960 3.09 3,660 1.87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351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강원특별자치도를 선도하는 혁신적 과학기술 성과 창출
■ 목표 : 과학기술 고도화와 지역산업육성의 연계
■ 추진과제 및 전략
- 강원도내 혁신적 R&D 수행 여건 조성
∙ R&D 투자확대
∙ R&D 기획 관리 역량 체계 정비
∙ 지역 R&D 거점 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강원도형 신산업 육성을 위한 R&D 지원
∙ 지역기반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지원
∙ 지역전략산업 중점 육성
∙ 4차 산업혁명 대응 신산업 발굴 육성
- 과학기술 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 확산
∙ 인프라 운영 효율화 및 과학기술 문화 확산
∙ 기술사업화 및 일자리창출
∙ 지역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 에너지, 청정수소 첨단벨트 조성
- 수소에너지 거점도시 조성
- 액화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실증
- 청정수소 수입 항만 거점 조성, ④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생산 클러스터 조성
■ 미래 모빌리티 첨단 벨트 조성
- e-모빌리티 중심도시 육성, ② 드론산업 클러스터 조성
35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액화수소 어선·열차 개발 및 실증
■ 강원형 바이오 첨단벨트 조성
- 홍천 국가항체클러스터 구축, ② 춘천 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
- 체외진단 플랫폼 고도화 추진
■ 디지털 기반 의료산업 첨단 벨트 조성
- 디지털 헬스케어 메카 조성
- 정밀의료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 강원 정밀의료산업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
■ 강원 퀀텀산업 첨단벨트 조성
- 경량형 무선 양자 중계기 플랫폼 기반 국방기술 융합추진
-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운영, ③ 강원 퀀텀밸리 조성
- 퀀텀닷 나노소재 기반 연계 플랫폼 구축 및 확대
■ 공공 반도체장비 테스트 베드 구축
- 반도체 공정 및 검사 장비 구축을 통한 테스트 베드 기반 마련
- 반도체 생태계 구축을 위한 인력양성 및 반도체 첨단 기술연구소 유치 추진
■ 데이터 산업 수도 육성
- 수열 에너지를 활용한 데이터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 빅데이터 활용 의료 및 건강 생태계 조성(디지털 의료기기 실증)
■ 메타버스 거점 도시 조성
- 국제 메가이벤트 대응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구축
- 메타버스 스타트업 파크 조성을 위한 전문 기업 유치, 인재 육성
■ 탄소중립 융복합 자원화단지 조성
- 시멘트 산업 공정상 발생된 CO2 및 폐열 활용 실증 사이트 구축
- CO2 포집 및 액화 장비 구축 및 실증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2 353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주도 과학기술 혁신체계 정비
- 지역주도 과학기술 기획, 투자 및 평가 혁신을 위한 R&D 전담기관의 기능 강화
- 지역 과학 문화 활성화 지원 확대 사업 추진
■ 전략 산업의 고도화 및 지역 환경 기반의 미래 산업 육성
- 산학연 연계 전략산업의 고도화 실현을 위한 R&D 인프라 개선 및 구축 추진
- 지역 연구 거점 기관 중심의 미래 과학기술 기반 마련 사업 추진
■ 지역혁신을 위한 정주형 과학기술 전문인력 양성 증대
- R&D 성과 기반의 기술 창업 및 사업화 촉진 지원 활성화 체계 구축 사업 추진
- 지역 혁신을 위한 과학기술 전문 인력 양성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추진
35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1절 충청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충북의 인구는 약 163만 명으로 소폭 증가
- 전국인구대비 충북 인구의 비중은 지난 5년간 소폭 증가 및 정체
표 3-11-1 ❙ 충청북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609,061 1,618,090 1,629,249 1,630,839 1,632,358
전국대비 비율(%) 3.13 3.14 3.15 3.15 3.15
경제활동참가율(%) 64 64.9 64.9 65.3 65
실업률(%) 2.2 2.4 3.1 3.2 2.5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35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북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0.1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3.15%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8.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1.51%,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5.88%로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6.12%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1-2 ❙ 충청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61,953,139 65,830,010 66,927,772 65,926,194 70,139,551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2,132,307 2,109,543 2,098,387 1,883,532 1,945,159
(지역내비중, %) (3.44) (3.20) (3.14) (2.86) (2.77)
제조업 27,108,971 29,827,447 30,618,962 30,143,548 33,700,820
(지역내비중, %) (43.76) (45.31) (45.75) (45.72) (48.0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58,089 449,567 459,070 749,203 756,874
(지역내비중, %) (0.74) (0.68) (0.69) (1.14) (1.08)
건설업 3,574,102 4,118,895 3,579,025 3,142,334 3,039,857
(지역내비중, %) (5.77) (6.26) (5.35) (4.77) (4.33)
기타서비스업 14,269,159 14,464,985 14,819,854 14,577,152 15,088,799
(지역내비중, %) (23.03) (21.97) (22.14) (22.11) (21.5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9,613,108 9,937,666 10,379,439 10,642,566 11,137,253
(지역내비중, %) (15.52) (15.10) (15.51) (16.14) (15.88)
순생산물세 4,806,278 4,916,425 5,001,140 4,924,170 4,777,864
(지역내비중, %) (7.76) (7.47) (7.47) (7.47) (6.81)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35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충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4조 5,796억 원이고, 3,24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
만 8,62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이 약 19조 1,303억 원(전체의 20.23%)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각각 491개(전체의 15.14%), 2만 5,891명(전
체의 14.4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1-3 ❙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2,046,124 12.74 491 15.14 25,891 14.49
음료 제조업 1,674,296 1.77 27 0.83 1,559 0.8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55,234 0.27 31 0.96 459 0.2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546 0.01 21 0.65 491 0.2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136,254 5.43 88 2.71 7,108 3.9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065,075 5.36 381 11.74 13,032 7.3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409,318 3.60 270 8.32 8,056 4.51
1차 금속 제조업 2,742,973 2.90 113 3.48 3,702 2.07
전기장비 제조업 19,130,289 20.23 221 6.81 24,552 13.7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375,187 3.57 238 7.34 10,446 5.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701,355 8.14 196 6.04 13,726 7.6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81,580 0.19 11 0.34 243 0.14
가구 제조업 563,290 0.60 44 1.36 1,025 0.57
기타 제품 제조업 349,743 0.37 30 0.92 1,248 0.7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59,723 0.17 28 0.86 850 0.4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17,977 0.12 8 0.25 65 0.0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302,719 3.49 361 11.13 11,337 6.3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65,289 0.91 76 2.34 2,208 1.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812,295 1.92 67 2.07 2,685 1.5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105 0.01 8 0.25 152 0.0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378,650 15.20 121 3.73 23,488 13.1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61,070 0.06 6 0.18 53 0.0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236,683 2.36 117 3.61 4,006 2.24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9,997,821 10.57 290 8.94 11,335 6.35
합 계 94,579,596 100 3,244 100 178,62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35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모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으로 나타남
표 3-11-4 ❙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
업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비교적
높음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
외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가구제조업
낮음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1차금속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5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북도는 ‘지능형 IT 분야’와 ‘바이오헬스 분야’, ‘수송기계 분야’, ‘에너지소재부품 분야’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1-5 ❙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능형 IT
지역특화사업(지능형IT부품)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반도체융합부품)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스마트안전관리)
바이오헬스
바이오 제품 안정성 시험비용 지원사업
바이오세라믹 소재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바이오 국제 공동연구사업
수송기계
지역특화사업(수송기계소재부품)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
자동차 부품산업 경쟁력 고도화 지원사업
에너지소재부품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지정사업
충북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사업
태양광 재활용센터 구축 기반 조성사업
※ 출처 : 충청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35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84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43개가 있음
- 총 131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374개, 총 종사자 수는 113,067명
표 3-11-6 ❙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보은 4,178 4,179 1 1 X 100 조성중
오송생명과학 4,833 2,595 73 60 5,248 100 완료
일반
제천 1,472 1,472 45 42 2,340 100 완료
제천제2 1,307 1,307 53 47 1,921 100 완료
청주[재생사업지구:부분] 4,098 4,098 681 639 25,871 100 완료
청주테크노폴리스 3,804 1,848 18 12 3,159 100 조성중
중원 375 375 25 25 639 100 완료
충주DH 77 77 2 2 X 100 완료
만정 50 50 2 2 X 100 완료
충주제1 1,286 1,286 43 37 2,000 100 완료
충주제3 129 129 7 6 114 100 완료
충주제4 176 176 3 3 255 100 완료
충주첨단 1,992 1,920 59 54 2,184 100 완료
괴산첨단 468 468 9 2 X - 완료
주곡 149 149 - - - - 조성중
영동 999 999 22 19 603 98 완료
청산 353 352 10 10 64 88 완료
금왕 571 571 8 7 1,065 98 완료
대풍 439 435 10 10 964 100 완료
맹동 419 419 48 41 1,252 100 완료
원남 1,113 1,111 79 59 2,042 100 완료
육령 63 63 1 - - 100 완료
음성이테크 135 135 21 13 139 100 완료
음성하이텍 397 397 18 14 721 100 완료
중부 148 148 2 - - 100 완료
증평 682 682 13 10 1,719 100 완료
증평2 702 703 33 28 989 100 완료
이월 300 283 5 5 334 100 완료
36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초평은암 611 611 10 2 X 100 완료
리노삼봉 246 245 9 7 143 100 조성중
문백정밀기계 400 400 4 4 141 100 완료
괴산유기식품 804 804 13 13 198 100 조성중
단양(구 단양신소재) 351 350 9 9 186 87 완료
상우(구 감곡) 581 582 - - - 100 조성중
문백금성 118 118 2 2 X 100 완료
문백태흥(구 태략협동화) 97 97 3 1 X 100 조성중
대신 47 47 1 1 X 100 완료
덕유 60 60 1 - - - 완료
생극 457 457 37 30 414 100 완료
죽현 145 145 2 2 X 100 완료
KGC예본(구 KT&G) 87 87 1 1 X 100 완료
일반
괴산대제(건축자재) 849 849 39 36 532 100 완료
오선 459 459 20 13 257 100 완료
오창과학 9,450 9,090 173 172 21,517 99 완료
오창제2 1,390 1,389 8 8 2,681 100 완료
현도 719 719 4 4 660 100 완료
옥산 1,393 1,393 53 52 2,327 100 완료
청주에어로폴리스2지구 412 412 - - - - 조성중
유촌 413 413 39 22 450 100 완료
강내 69 67 1 - - 100 완료
산수 1,304 1,296 69 65 3,667 100 완료
보은동부 688 688 1 1 X 100 완료
오송제2생명과학 3,284 1,680 103 39 776 98 완료
충주제5 296 296 7 4 562 3 완료
보은 1,276 1,276 53 42 678 91 완료
제천제3 1,091 1,091 - - - - 조성중
충주인프라시티 149 149 - - - - 조성중
옥천테크노밸리(구:옥천제2의
료기기)
352 345 3 3 127 100 완료
성본 2,002 2,002 50 7 1,174 76 조성중
에스폼 414 413 2 2 X 100 완료
케이푸드밸리(구 송두) 832 832 5 3 1,673 100 완료
충청북도수산식품 76 76 3 3 - 52 완료
성안 136 136 - - - 100 조성중
금왕테크노밸리 1,045 1,044 61 24 1,708 97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2 36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석 71 71 - - - - 완료
국사 956 956 - - - - 미개발
오창테크노폴리스 1,494 1,493 - - - - 조성중
충주특화기술(구 녹색패션) 201 201 - - - 100 조성중
신척(구 진천) 1,519 1,519 96 88 2,464 100 완료
오창제3(구 성재) 576 576 34 32 701 100 완료
충주메가폴리스 1,811 1,802 41 40 2,192 91 완료
동충주(구:북부) 1,401 1,400 - - - - 조성중
맹동인곡 1,729 1,729 - - - - 조성중
성안제2 301 301 - - - 100 조성중
산척 132 132 - - - - 조성중
남청주현도 1,051 1,030 - - - - 조성중
용산 1,041 1,041 - - - - 조성중
서오창테크노밸리 901 901 - - - - 미개발
오송화장품 795 795 - - - - 미개발
일반
청주하이테크밸리 1,003 972 - - - - 미개발
북이 1,012 982 - - - - 미개발
제천봉양 134 134 - - - 100 조성중
충주드림파크 1,698 1,683 - - - - 미개발
청주한국전통공예촌복합문화 304 304 - - - - 미개발
진천테크노폴리스 774 774 - - - - 미개발
충주비즈코어시티 274 274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청주도시첨단문화 49 49 63 63 410 100 완료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
224 223 9 5 66 100 완료
농공
강저테크노빌(구 강저) 142 126 22 21 250 100 완료
고암테크노빌(구 고암) 168 168 21 20 231 100 완료
금성테크노빌(구 금성) 86 85 16 15 135 100 완료
송학테크노빌(구 송학) 90 89 8 8 121 100 완료
양화테크노빌(구 양화) 149 148 17 17 132 50 완료
중앙탑(구 가금) 225 225 8 8 356 100 완료
가주 132 132 14 13 104 100 완료
용탄 192 192 23 22 403 100 완료
주덕 159 155 12 12 336 100 완료
괴산 55 55 9 9 120 100 완료
사리 112 112 14 14 624 100 완료
대강 82 80 16 13 163 100 완료
36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매포자원순환 150 149 2 2 X 100 완료
보은 70 69 8 6 366 100 완료
삼승 150 145 14 11 263 100 완료
장안 281 281 36 27 335 100 완료
법화 123 123 5 5 216 100 완료
영동 74 74 8 7 101 100 완료
용산 262 262 3 2 X 100 완료
구일 132 132 9 9 138 100 완료
동이 161 161 15 15 363 100 완료
옥천 282 282 15 15 456 100 완료
이원 142 142 8 8 417 100 완료
청산 65 65 3 3 131 100 완료
금왕 139 132 14 12 438 100 완료
농공
삼성 163 158 9 6 568 100 완료
음성 68 62 27 16 145 100 완료
도안 93 93 5 5 586 100 완료
증평 89 89 2 1 X 100 완료
광혜원 82 82 5 5 492 100 완료
덕산 91 91 5 4 1,799 100 완료
문백전기전자 124 124 3 3 924 100 완료
이월 127 127 10 10 524 100 완료
이월전기전자 329 329 16 15 789 100 완료
진천 58 58 17 17 242 100 완료
초평 136 136 3 3 343 100 완료
적성 124 124 16 12 169 100 완료
내수 110 110 3 3 189 100 완료
현도 72 72 1 1 X 100 완료
광혜원제2 339 335 5 3 285 100 완료
괴산발효식품 321 321 21 21 339 53 완료
옥천의료기기 145 145 7 7 147 100 완료
도안2 133 133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2 363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충북에는 총 869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62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통신업’이 56개,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이 9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23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
외’(109개), ‘식료품 제조업’(80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1-7 ❙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6 7
광업(05~08) 1 1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12 94 80
음료 제조업 4 5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 16 1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6 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0 18 1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4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2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38 125 10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1 19 1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5 71 5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0 33 24
1차 금속 제조업 22 15 1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8 71 6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0 63 5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9 52 43
전기장비 제조업 53 55 5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73 142 123
36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7 26 1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 6 5
가구 제조업 4 3 3
기타 제품 제조업 26 26 2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9 12 9
건설업(41~42) 15 15 8
도매 및 소매업(45~47) 9 7 9
운수 및 창고업(49~52) - -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
정보통신업(58~63) 58 65 5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4 71 6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5 2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3 4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138 1,035 869
REGIONAL S&T YEARBOOK 2022 36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9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2,931명(전국의 2.9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
은 약 4.31%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1,779명(전국의 2.33%)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7,027명(전국의 3.34%), 공공연구소는 4,057명(전국의 6.1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1-8 ❙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496 4.04 6,470 3.36 5,285 2.72 5,629 2.72 7,027 3.34
∙ 국공립 4,048 5.30 3,957 4.98 3,573 4.47 3,861 4.46 4,900 5.64
∙ 사립 3,448 3.16 2,513 2.22 1,712 1.50 1,768 1.47 2,127 1.72
공공연구소 2,714 4.86 3,288 5.63 3,453 5.53 3,972 6.19 4,057 6.10
∙ 국공립 1,109 10.36 1,229 10.04 1,329 10.31 1,242 9.69 1,425 10.61
∙ 정부출연 1,035 3.23 1,481 4.55 1,505 4.37 2,060 6.07 2,112 6.23
∙ 병원 및 기타 570 4.35 578 4.26 619 4.11 670 3.86 520 2.70
기업 9,158 2.24 10,461 2.38 10,332 2.24 10,830 2.27 11,847 2.33
∙ 정부투자기관 54 1.37 61 1.56 62 1.61 64 1.71 68 1.76
∙ 민간기업 9,104 2.25 10,400 2.38 10,270 2.24 10,766 2.28 11,779 2.33
합 계 19,368 2.98 20,219 2.93 19,070 2.65 20,431 2.73 22,931 2.9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6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충청북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9명 증가한 93.6명으로 조사됨
표 3-11-9 ❙ 충청북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76.6 82.8 81.7 86.7 93.6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충청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1,307억 원(전국의 2.09%) 17개 시・도 중 8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85%로 감소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011억 원(전국의 2.16%), 공공연구소는
약 4,702억 원(전국의 3.92%), 기업이 약 1조 4,593억 원(전국의 1.81%)
표 3-11-10 ❙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51,918 2.27 160,065 2.27 194,255 2.64 199,119 2.38 201,105 2.16
∙ 국공립 104,688 3.54 112,767 3.65 141,141 4.31 152,818 4.05 148,440 3.52
∙ 사립 47,230 1.27 47,298 1.19 53,114 1.30 46,301 1.01 52,665 1.03
공공연구소 357,904 3.75 342,986 3.48 346,166 3.40 381,339 3.43 470,210 3.92
∙ 국공립 71,968 9.02 67,743 8.32 74,349 8.90 72,011 8.46 78,022 8.07
∙ 정부출연 240,588 3.24 228,790 3.03 218,983 2.81 269,460 3.25 326,280 3.74
∙ 병원 및 기타 45,348 3.41 46,453 3.14 52,834 3.46 39,868 2.01 65,908 2.85
기업 1,703,042 2.72 1,125,650 1.64 1,119,112 1.57 1,341,262 1.82 1,459,346 1.81
∙ 정부투자기관 6,655 0.75 6,872 0.76 3,511 0.40 7,039 0.80 9,608 1.12
∙ 민간기업 1,696,387 2.75 1,118,778 1.65 1,115,601 1.58 1,334,223 1.83 1,449,738 1.81
합 계 2,212,864 2.81 1,628,701 1.90 1,659,533 1.86 1,921,720 2.06 2,130,661 2.0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36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충청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65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2%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89%
표 3-11-11 ❙ 충청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446 5,863 6,101 7,239 7,656
(2.8) (3.0) (3.0) (3.2) (3.2)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21년 주요투자실적 합계는 179개 과제 3,852.02억 원 규모
- [지역주도 R&D 생태계 고도화] 추진전략 달성을 위한 주요 과제로 54개 과제 596.96억 원을 투
자하였으며, 이 중 지방비는 188.6억원을 차지
- [지역산업 선도·혁신형 R&D 강화] 추진전략의 주요 과제는 75개 과제, 1,195.7억 원이며, 이 중
지방비는 582.41억원을 차지
- [과학기술 성과 확산을 통한 지역성장 견인] 추진전략의 주요 과제는 25개 과제, 1,372.82억원으
로 이 중 지방비는 352.67억 원을 차지
36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 산업육성과, 에너지과에서 담당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표 3-11-12 ❙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6,137 2 12,706 273 361 24 2,728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369
(나) 역할
표 3-11-13 ❙ 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설치근거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9조(위원회 설치), 제10조(위원회 기능), 제11조(위
원회 구성), 제12조(위원회 운영)
■ 주요기능 및 역할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 정책 심의 및 신규 과학기술사업 기획 자문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0.12.20. ~ 2022.12.19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3회
- 지역혁신 메가프로젝트 테마기술 과제 2건 심의(’22.11.1.~’22.11.2.)
- 제6차 충북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2.11.25.)
- 충적북도 과학기술진흥계획 ’22년 실적 및 ’23년 시행계획(안)검토 및 심의(’22.12.)
신성장동력과
∙ 산학연관 협력사업, 사이언스 아카데미 빌리지 단지 조성, 인공지능 융복합 산업 육성, 스마트 제조
혁신 추진 등
∙ 데이터산업 활성화, 충북 빅데이터 허브 플랫폼 구축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업성장지원, SB플라자, 충북연구개발지원단, 연구개발장비 공동 활용, 국
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강소특구 활성화 등
산업육성과
∙ 시군 경쟁력강화산업, 광역협력권사업 육성,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 국가혁신융복합단지 등
∙ 반도체 융복합산업타운 조성,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플랫폼 구축 등, 차세대반도체 기술개발 지원,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 수송기계전자파센터 구축, 순환경제혁신 인프라 구축 등
∙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운영 및 테스트베드 구축 / 자동차기업 선도기술 연구개발 지원
∙ 소재부품장비산업육성, 뿌리기술산업 육성, 석회석신산업육성, 국방산업육성 등, 친환경, 특장차, 자
율차, 드론산업 업무지원
에너지과
∙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정부예산 및 공모사업 관리
∙ 태양광 기반 클러스터 조성,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조성,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등
∙ 솔라 페스티벌, 태양광산업 특구, 태양광산업 육성 등
∙ 에너지인력양성, 이차전지산업 R&D, 지역에너지 신산업 활성화 지원사업, 신재생에너지 통계, 동향
및 협회 관련 업무 등
37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1-14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출처 : 충청북도 내부자료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성 일 홍 충청북도 2020.12.20.~2022.12.19.
위 원 김 상 규 충청북도 2020.12.20.~2022.12.19.
위 원 허 경 재 충청북도 2020.12.20.~2022.12.19.
위 원 남 창 현 충북과학기술포럼 2020.12.20.~2022.12.19.
위 원 송 미 화 세명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현 병 환 대전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박 현 숙 ㈜세포바이오 2020.12.20.~2022.12.19.
위 원 최 형 익 ㈜에코프로 2020.12.20.~2022.12.19.
위 원 황 인 호 충북도립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노 영 희 건국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조 한 진 극동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류 창 수 예원예술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이 지 연 중원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이 두 환 중진공 청년창업사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이 명 선 청주대 2020.12.20.~2022.12.19.
위 원 조 완 섭 충북대 2020.12.20.~2022.12.19.
위 원 송 미 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12.20.~2022.12.19.
위 원 오 세 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12.20.~2022.12.19.
위 원 안 윤 애 한국교통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조 태 남 우석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박 병 준 한국교통대학교 2020.12.20.~2022.12.19.
REGIONAL S&T YEARBOOK 2022 371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북도의 총예산은 21조 5,328억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338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62%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5.77%
표 3-11-15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 산 215,328
재정자주도(%) 70.0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74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33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5.77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7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충청북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가장 많은 약 918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는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가장 많은 예산으로 각각 394억원, 383억
원 투입
표 3-11-16 ❙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
융합바이오세라믹테크노베이터 구축
34,003 12,924 1,320 48,24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
수소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구축
9,070 6,998 156 16,22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충북도립대학교 운영비지원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지원 사업
17,708 15,831 853 34,392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조성
산림환경연구소 운영비
25,485 26,478 5,718 57,68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태양광 ESS융복합 부품 시스템
제조/검증 실증센터 구축
39,416 38,307 14,039 91,76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
오송임상시험센터 건립
28,189 2,431 200 30,820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특화산업(주력산업) 육성지원
산업환경개선지원센터 구축
17,567 10,653 8,100 36,32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조성
수송기계 부품 전자파센터 구축
25,479 20,185 12,918 58,582
합계 196,916 133,807 43,303 374,02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37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873개로 전국의 2.9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76%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9개 증가, 기업 476개 증가
표 3-11-17 ❙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 4.88 18 4.93 19 4.58 19 4.62 19 4.49
∙ 국공립 6 6.74 6 7.59 6 7.14 6 7.06 6 6.98
∙ 사립 14 4.36 12 4.20 13 3.93 13 3.99 13 3.86
공공연구소 25 4.39 28 4.58 29 4.52 31 4.68 34 4.93
∙ 국공립 8 6.30 8 6.11 8 5.59 9 6.29 10 6.54
∙ 정부출연 6 3.75 8 4.79 9 5.33 10 6.13 11 6.47
∙ 병원 및 기타 11 3.91 12 3.82 12 3.64 12 3.36 13 3.55
기업 1,344 3.16 1,640 3.38 1,692 3.09 1,775 3.03 1,820 2.92
∙ 정부투자기관 1 2.04 1 2.38 1 1.82 1 1.85 1 1.69
∙ 민간기업 1,343 3.16 1,639 3.38 1,691 3.09 1,774 3.04 1,819 2.92
합 계 1,389 3.19 1,686 3.42 1,740 3.11 1,825 3.06 1,873 2.9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7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충청북도 소재 대학 수는 17개
- 일반대학 1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5개 존재
표 3-11-18 ❙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4 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1 12 17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충청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7,24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338명(전체의 약 11.85%), 공학계열 학생이 2만 1,026명
(전체의 약 24.10%)
표 3-11-19 ❙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0,338 21,026 31,364 12,417 8,568 11,171 4,678 19,044 87,242
비중 11.85 24.10 35.95 14.23 9.82 12.80 5.36 21.83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37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1년 충청북도에는 충북대가 3개, 건국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20 ❙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북대
(2개 센터)
2017 종양 이환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중증 폐질환 연구센터 MRC
2022 인공지능 시스템반도체 융합 연구센터 RLRC
건국대
(1개 센터)
2016 톨유사수용체 기반 질병 연구 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19년 기준, 충청북도에는 8개의 지역혁신센터가 소재하였으나, 2021년 기준 4개의 지원
센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37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1-21 ❙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1년)
주관기관 센터명
세명대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 지역혁신센터
서원대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및 식품 지역혁신센터
건국대 바이오 식・의약 지역혁신센터
한국교통대 친환경에너지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충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1-22 ❙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12-11-16
대원대학교 대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6
서원대학교 서원대 창업보육센터 2000-11-14
세명대학교 세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0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오송 창업보육센터(고려대) 2012-12-12
유원대학교 유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8
중원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2-29
청주대학교 청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충북청) 충북대학교G-테크벤처센터 2010-05-01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5-01
충북도립대학 충북도립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12-2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7-18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31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2 37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북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가 운영 중
표 3-11-23 ❙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충주기상과학관 국립
한방생명과학관 공립
증평좌구산천문대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공립
충주자연생태체험관 공립
충북산림과학박물관 공립
별새꽃돌과학관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2년 충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52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1,788명임
표 3-11-24 ❙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325 337 560 470 352
수혜자 수 6,055 7,363 9,942 10,572 11,787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37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충북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충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7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10개 지원
표 3-11-25 ❙ 충청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한국교통대학교 3
전용공간
1개(36㎡)
17 131,477 56.8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37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2년도 충청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4,35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413건
- 특허등록 건수는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1-26 ❙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3,440 3,498 3,166 3,509 3,700 4,053 4,353
특허등록 건수 1,431 1,670 1,861 1,921 2,167 2,359 2,41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충청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255편, 주저자 기준 1,403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09%, 2.21%를 차지
표 3-11-27 ❙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2,395 3.93 31,025 12.95 1,013 2.00 10,944 10.80
2018 2,604 4.08 40,517 15.56 1,056 2.01 9,742 9.23
2019 2,776 4.13 24,312 8.76 1,173 2.14 8,513 7.26
2020 2,993 4.06 21,713 7.25 1,279 2.14 7,165 5.60
2021 3,255 4.09 6,684 2.05 1,403 2.21 2,191 1.5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38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과 목표 : 더 나은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시대
■ 추진과제 및 전략
- 국가과학기술 선도 창의연구 인프라 강화
- 산학연 융합을 통한 지역전략산업 성장경로 구축
-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경제, 산업, 안전, 전반의 자생적 성장기반 강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미래수요기반 혁신성장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한 충북형 뉴딜 실현 및 신성장동력 확보
■ 지능형IT
- 사업 간 연계를 통한 혁신기술(5G, AI, IoT) 기반 시스템반도체 개발 활성화
- 후공정플랫폼 구축을 통한 수도권 연계 시스템반도체 밸류체인 완성
- 지능사회 구현을 위한 지능형IT부품 유망기술 경쟁력 확보
■ 바이오헬스
- 혁신자원을 활용한 원천기술 기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강화
- 확보된 핵심기술 기반 제품개발로 글로벌 시장 선점
- 천연물(한방) 소재를 활용한 천연·유기농화장품 개발로 차별성 확보
■ 수송기계
- 그린뉴딜 실현을 위한 친환경 및 지능형 핵심원천기술 확보
- 미래모빌리티의 경량화, 전장화에 맞춘 조기 제품화로 시장 선점
- 중부내륙권 수송기계소재부품 산업 광역클러스터 구축
■ 에너지소재부품
- 고용량·고안전성을 위한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개발
- 수입의존도가 높은 소재·부품 국산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
- 태양광산업과 ESS, ICT 등 타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고부가가치화
REGIONAL S&T YEARBOOK 2022 381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주도 R&D 기반 강화
- 지역주도 R&D 기획역량 강화
- 지역 내 혁신주체 역할 고도화
- 지역 R&D 모니터링체계 구축
∙ 기업성장 지원형 R&D 확대,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중점특화분야 R&D 발굴·지원 강화, 밸류체인
중심 지역과학기술 얼라이언스 구축, 과학기술성과 모니터링 지표 개발
■ 지역산업 선도·혁신형 R&D 추진
- 광역전략산업 선도혁신형 R&D 발굴·추진
- 지역뉴딜 선도혁신형 R&D 발굴·추진
-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활용 R&D 지원
∙ 바이오헬스, 수송기계부품, 첨단에너지 소재부품 선도혁신형 R&D 지원, ICT기반 진단기기 및
디지털병원 지원 기술 개발, 지역 특화 XR 콘텐츠 개발, 방사광가속기 장치개발 R&D 지원
■ 과학기술 중심 지역산업 혁신기반 고도화
- 산학연민 공동연구 활성화
- 과학기술 성과의 기술사업화 확대
- 기술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 거점대학 기초·원천 연구성과 연계 응용연구 활성화, 강소연구개발특구 연구성과 상용화
지원,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기업 공동 R&D 및 사업화 지원, 시군별 특화 클러스터 조성
38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2절 충청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충남의 인구는 약 218만 명으로 작년 대비 소폭 감소
- 전국인구대비 충남 인구의 비중은 지난 5년간 소폭 증가 및 정체
표 3-12-1 ❙ 충청남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2,153,380 2,177,105 2,189,132 2,176,641 2,176,548
전국대비 비율(%) 4.19 4.22 4.23 4.21 4.21
경제활동참가율(%) 64.1 65.6 65.6 64.6 64.5
실업률(%) 2.8 3.1 2.9 3.5 2.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38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남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18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75%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9.41%로 전체 산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17.77%)와 정부/민간비영
리생산(11.65%)이 그 뒤를 이음
표 3-12-2 ❙ 충청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110,165,655 110,873,163 112,310,782 112,762,058 118,002,148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4,185,070 4,126,965 4,327,930 4,080,319 4,438,663
(지역내비중,%) (3.80) (3.72) (3.85) (3.62) (3.76)
제조업 52,636,346 53,764,781 54,143,399 54,645,762 58,300,356
(지역내비중,%) (47.78) (48.49) (48.21) (48.46) (49.4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396,813 5,091,934 5,280,521 4,920,541 4,858,438
(지역내비중,%) (4.90) (4.59) (4.70) (4.36) (4.12)
건설업 6,171,211 5,334,840 4,951,911 5,315,629 5,346,175
(지역내비중,%) (5.60) (4.81) (4.41) (4.71) (4.53)
기타서비스업 19,327,494 19,684,272 20,472,430 20,420,728 20,964,910
(지역내비중,%) (17.54) (17.75) (18.23) (18.11) (17.7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900,102 12,370,527 12,863,189 13,317,146 13,741,564
(지역내비중,%) (10.80) (11.16) (11.45) (11.81) (11.65)
순생산물세 10,537,927 10,426,129 10,254,233 9,893,232 10,251,352
(지역내비중,%) (9.57) (9.40) (9.13) (8.77) (8.6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38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충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81조 3,507억 원이고, 4,38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5
만 6,878개의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40조 7,829억 원(전체의
22.4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각각 620개(전체의 14.14%), 3만 5,336명(전체의 13.7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표 3-12-3 ❙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166,185 5.61 553 12.61 21,091 8.21
음료 제조업 1,004,125 0.55 20 0.46 1,048 0.4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1,499 0.17 43 0.98 846 0.3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2 0.27 150 0.0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811,423 1.55 57 1.30 3,984 1.5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68,653 4.39 406 9.26 16,673 6.4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429,276 2.44 267 6.09 7,267 2.83
1차 금속 제조업 19,042,566 10.50 205 4.68 10,255 3.99
전기장비 제조업 9,877,343 5.45 227 5.18 11,897 4.6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3,163,630 7.26 608 13.87 26,055 10.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3,795,395 13.12 620 14.14 35,336 13.7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31,388 0.18 15 0.34 223 0.09
가구 제조업 153,445 0.08 26 0.59 578 0.23
기타 제품 제조업 44,218 0.02 18 0.41 342 0.1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12,455 0.23 49 1.12 2,673 1.0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05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315,657 2.93 465 10.61 16,329 6.3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48,611 0.47 78 1.78 1,919 0.7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526,509 1.39 121 2.76 6,444 2.5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8,114 0.03 18 0.41 290 0.1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0,782,887 22.49 138 3.15 12,797 4.9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5,761,908 8.69 14 0.32 416 0.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764,216 0.97 117 2.67 4,199 1.6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0,679,184 11.40 305 6.96 17,090 6.65
합 계 181,350,677 100 4,384 100 256,878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38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된 영역이 나타나지 않음
표 3-12-4 ❙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식료품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제
외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낮음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38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남도는 ‘R&D투자 강화’과 ‘R&D 기획·관리역량 체제정비’,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
방형 혁신 촉진’,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투자 강화’,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
역문화의 확산’, ‘기술창업 촉진 활성화’ 사업을 중점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2-5 ❙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투자 강화 지자체 R&D정책 기획능력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 기획 일원화
R&D 기획·관리역량 체제 정비 충남연구개발지원단 미션 강화 및 데이터특화위원회 구성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설립을 통한 지역 R&D 거점 마련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투자 강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신기술 기반의 자생적 혁신생태계 구축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충남 과학기술 인력 육성 방안 마련
기술창업 촉진 활성화 충남 기술창업 활성화를 통한 기술혁신형 가젤기업 20개 육성
※ 출처 : 제5차 충남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38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65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93개가 있음
- 총 16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564개, 총 종사자 수는 125,637명
표 3-12-6 ❙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고정 6,308 6,308 1 1 X 100 완료
대죽자원비축 912 912 1 1 X 100 완료
석문 12,012 9,471 168 74 1,555 67 완료
아산국가 6,156 4,988 138 132 4,931 100 완료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2,751 2,216 25 12 468 67 조성중
일반
탄천 996 996 22 19 511 100 완료
유구자카드 88 96 13 8 46 100 완료
논산 253 253 24 24 621 100 완료
논산2 509 509 11 11 495 100 완료
동산 729 728 22 15 462 70 완료
관창 2,442 2,442 15 15 2,439 100 조성중
영보 1,251 1,251 - - - 100 조성중
대산 1,103 1,103 4 4 1,495 100 완료
대죽 2,101 2,101 12 12 861 100 완료
서산테크노밸리 1,986 1,987 67 50 1,135 100 완료
인주 3,530 3,527 48 43 5,926 100 완료
아산테크노밸리 2,984 2,984 85 85 4,886 100 완료
운용 74 74 6 6 345 100 완료
천안3 2,134 2,100 54 48 16,196 100 완료
천안제2 823 822 81 79 3,977 100 완료
천안제4 1,006 1,006 119 119 3,477 100 완료
천안산업기술 183 183 187 187 1,329 100 완료
천흥 651 649 14 13 1,125 100 완료
38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풍세 1,645 1,644 82 80 3,353 100 완료
합덕 970 969 54 40 1,169 99 완료
홍성 1,135 1,135 5 5 491 95 완료
일반
예산 1,507 1,506 58 45 2,233 100 완료
예산신소재 483 482 27 12 102 71 완료
대산컴플렉스 648 648 3 3 296 100 완료
현대제철(구 송산) 5,837 5,815 1 1 X 100 조성중
합덕인더스파크 641 640 5 5 730 77 완료
당진1철강 2,038 2,012 4 4 1,317 100 조성중
현대대죽 673 671 2 - - 100 조성중
예당 1,042 1,042 67 42 915 98 미개발
계룡제1(구 입암) 323 323 28 21 481 100 완료
세종(구 가산) 664 660 - - - - 미개발
아산디스플레이시티2
(구 탕정2)
2,095 2,095 1 - - 100 조성중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
2,451 2,451 6 6 16,844 100 완료
천안제5 1,995 1,995 63 55 2,269 100 조성중
서산남부(구 서산도시형) 878 878 - - - - 미개발
아산제2테크노밸리 1,200 1,200 81 77 3,014 100 완료
대산3 539 539 12 12 89 100 완료
남공주 730 528 16 - - - 조성중
마정 150 150 54 54 576 100 완료
금산 921 921 1 1 X 100 완료
천안LG생활건강퓨처 389 389 - - - 100 미개발
천안동부바이오 334 334 - - - - 미개발
아산탕정테크노 685 685 - - - - 조성중
탕정 505 505 2 - - 61 조성중
송산2 4,707 4,706 44 38 1,157 75 조성중
아산스마트밸리 451 451 - - - 100 조성중
서산오토밸리(구 서산) 3,990 3,989 46 41 5,990 99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38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서산인더스밸리(구 서산2) 812 812 12 9 412 100 완료
씨지엔대산전력(구 엠피씨) 184 183 1 - - 100 완료
웅천(구 선진) 686 686 - - - 40 완료
아산디지털(구 음봉디지털) 356 356 7 7 1,491 100 완료
쌍신 227 227 - - - - 미개발
염치 381 381 - - - 73 조성중
인주(3공구) 1,817 1,780 - - - - 미개발
천안북부BIT 875 875 - - - - 미개발
일반
동현 301 301 - - - - 미개발
성거 306 305 - - - 27 미개발
예산제2 1,120 1,120 - - - - 미개발
천안테크노파크 918 917 - - - - 미개발
음봉 419 419 - - - - 미개발
풍세2 345 345 - - - - 미개발
천안제6 967 967 - - - - 미개발
현대대죽2 681 681 - - - - 미개발
예당2 719 719 - - - - 미개발
부여 467 467 - - - - 미개발
도시
첨단
태안도시첨단 39 39 1 1 X 100 완료
내포도시첨단 1,260 1,260 5 5 321 100 조성중
천안직산 334 334 - - - - 미개발
농공
검상 408 408 44 43 2,404 100 완료
계룡 50 50 1 1 X 100 완료
보물 134 134 5 5 111 100 완료
우성(전문) 142 142 5 5 60 100 완료
유구 228 228 3 3 450 100 완료
장기 91 91 20 14 196 100 완료
정안2 288 288 20 15 540 100 완료
월미 149 149 16 16 387 100 완료
의당복합 147 147 2 1 X 100 완료
39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가야곡 186 186 18 18 620 100 완료
동산 83 83 2 2 X 100 완료
양지 117 117 5 5 27 100 완료
양지제2 137 137 4 4 240 100 완료
연무 124 123 1 1 X 100 완료
연산 81 81 17 17 148 100 완료
은진 70 70 3 3 136 100 완료
대천 102 102 15 15 411 100 완료
웅천 229 229 33 33 381 100 완료
웅천석재 150 150 21 21 72 100 완료
주산 154 154 3 3 102 100 완료
주포 165 165 19 19 411 100 완료
주포제2 143 143 14 14 94 94 완료
청소 147 146 19 19 250 100 완료
고북 125 124 12 9 99 100 완료
명천자동차전문 143 143 6 6 442 100 완료
성연 777 775 3 3 3,714 100 완료
수석 231 223 22 22 531 100 완료
농공
도고 198 198 7 5 570 100 완료
둔포 74 73 3 3 337 100 완료
둔포제2 116 116 3 3 491 100 완료
득산 216 216 24 23 809 100 완료
배미 75 74 3 3 217 100 완료
신인 64 56 2 2 X 100 완료
신창 56 56 6 6 313 100 완료
영인 154 154 4 4 587 100 완료
탕정 93 93 3 3 219 100 완료
동면 69 69 4 4 396 100 완료
목천 100 100 2 1 X 100 완료
백석 350 350 121 121 2,453 100 완료
직산 172 172 18 17 36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391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금성 222 221 24 23 473 100 완료
복수 118 117 17 13 222 100 완료
인삼약초특화 115 115 10 6 173 72 완료
추부 245 244 30 29 480 100 완료
당진 85 84 14 14 118 100 완료
면천 139 138 11 10 146 100 완료
석문 215 213 4 4 478 100 완료
송악 171 170 21 20 286 100 완료
신평 138 137 12 11 289 100 완료
한진 143 143 2 2 X 89 완료
합덕 106 108 27 22 320 100 완료
서면(김가공특화) 79 77 7 7 163 62 완료
종천 251 251 32 32 569 100 완료
종천2 197 195 7 7 93 67 완료
고덕 159 158 5 4 112 100 완료
관작전문 144 144 10 8 157 100 완료
삽교전문 146 146 10 9 460 100 완료
신암 153 152 15 14 320 100 완료
예덕 205 192 1 1 X 100 완료
예산 189 189 30 27 530 100 완료
응봉 151 150 6 6 542 100 완료
증곡전문 145 144 4 1 X 100 완료
비봉 156 156 10 9 343 100 완료
운곡 149 149 11 9 99 100 완료
농공
정산 274 264 3 3 567 100 완료
학당 130 130 3 3 125 100 완료
화성 144 144 16 13 159 100 완료
태안 105 105 26 26 197 100 완료
갈산전문 122 122 16 16 394 100 완료
갈산2전문 136 136 - - - 30 조성중
결성전문 141 141 29 29 403 100 완료
39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광천 145 145 15 15 165 100 완료
광천김특화 57 57 9 9 276 100 완료
구항 167 167 17 17 473 100 완료
은하 109 109 1 1 X 100 완료
은하전문 95 95 8 8 145 100 완료
운곡2 146 144 9 9 195 100 완료
월미2 69 69 6 5 76 86 완료
계룡제2 192 192 15 15 337 83 완료
강경 130 130 5 4 349 100 완료
은산패션전문 55 55 - - - 100 완료
장항원수 480 480 30 24 525 100 완료
정안1 159 159 8 6 339 100 완료
노성특화 160 159 - - - - 완료
가야곡2 311 311 - - - - 미개발
은산산업단지
(구 은산농공단지)
123 123 20 16 165 100 완료
은산2산업단지
(구 은산2농공단지)
227 226 10 6 61 100 완료
임천산업단지
(구 임천농공단지)
171 171 7 7 76 100 완료
장암산업단지
(구 장암농공단지)
158 157 1 1 X 100 완료
홍산산업단지
(구 홍산농공단지)
132 127 11 9 121 100 완료
정산2 187 187 - - - - 미개발
청라 67 67 - - - - 미개발
제이팜스 45 45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2 393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충남에는 총 1,12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69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6개, ‘건설업’이 19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41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
외’(86개), ‘식료품 제조업’(84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2-7 ❙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8 14
광업(05~08) 2 3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9 81 84
음료 제조업 4 3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 12 1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2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8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 14 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9 86 8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 20 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1 77 5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5 23 22
1차 금속 제조업 25 19 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23 97 8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 73 6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2 49 54
전기장비 제조업 79 83 7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7 282 241
39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4 65 5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1 15 19
가구 제조업 4 5 6
기타 제품 제조업 20 28 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3 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9 8
건설업(41~42) 21 23 19
도매 및 소매업(45~47) 12 13 16
운수 및 창고업(49~52) - -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
정보통신업(58~63) 67 70 69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2 1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7 66 5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2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3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350 1,247 1,126
REGIONAL S&T YEARBOOK 2022 39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6,724명(전국의 3.40)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30% 증가 추세를 나타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7,276명 (전국의 3.39%)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7,376명(전국의 3.51%), 공공연구소는 2,072명(전국의 3.1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2-8 ❙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381 3.44 6,638 3.45 6,713 3.46 7,193 3.47 7,376 3.51
∙ 국공립 1,385 1.81 1,644 2.07 1,520 1.90 1,844 2.13 1,646 1.90
∙ 사립 4,996 4.57 4,994 4.42 5,193 4.55 5,349 4.44 5,730 4.65
공공연구소 1,685 3.02 1,748 2.99 1,755 2.81 1,813 2.83 2,072 3.11
∙ 국공립 620 5.79 692 5.65 680 5.27 680 5.30 867 6.45
∙ 정부출연 595 1.86 575 1.77 619 1.80 641 1.89 641 1.89
∙ 병원 및 기타 470 3.59 481 3.54 456 3.03 492 2.83 564 2.93
기업 15,402 3.77 15,714 3.57 16,500 3.57 16,536 3.47 17,276 3.39
∙ 정부투자기관 16 0.41 34 0.87 35 0.91 17 0.45 51 1.32
∙ 민간기업 15,386 3.80 15,680 3.59 16,465 3.59 16,519 3.50 17,225 3.41
합 계 23,468 3.61 24,100 3.49 24,968 3.47 25,542 3.42 26,724 3.4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39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충청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8명 증가한 89.2명으로 조사됨
표 3-12-9 ❙ 충청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79.6 81.9 84.0 85.4 89.2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충청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6,330억 원 (전국의 3.56%) 17개 광역시・도 중 4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1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551억 원(전국의 2.73%), 공공연구소는
약 3,001억 원(전국의 2.50%), 기업이 약 3조 778억 원(전국의 3.81%)
표 3-12-10 ❙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3,453 3.04 190,998 2.71 207,612 2.82 231,838 2.78 255,090 2.73
∙ 국공립 62,665 2.12 51,948 1.68 44,004 1.34 54,662 1.45 64,902 1.54
∙ 사립 140,788 3.78 139,050 3.51 163,608 3.99 177,176 3.87 190,188 3.72
공공연구소 289,992 3.04 296,357 3.01 546,308 5.37 396,362 3.56 300,057 2.50
∙ 국공립 59,802 7.49 48,717 5.99 51,615 6.18 47,283 5.55 53.590 5.54
∙ 정부출연 168,084 2.27 176,917 2.34 419,522 5.37 246,047 2.97 119,471 1.37
∙ 병원 및 기타 62,106 4.68 70,723 4.78 75,171 4.92 103,032 5.20 126,996 5.49
기업 2,067,911 3.31 2,100,403 3.05 2,721,301 3.81 3,036,888 4.13 3,077,810 3.81
∙ 정부투자기관 1,240 0.14 3,201 0.35 3,383 0.39 1,816 0.21 4,406 0.51
∙ 민간기업 2,066,671 3.35 2,097,202 3.09 2,717,918 3.85 3,035,072 4.17 3,073,404 3.84
합 계 2,561,356 3.25 2,587,758 3.02 3,475,221 3.90 3,665,088 3.94 3,632,957 3.5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39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충청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455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35%
표 3-12-11 ❙ 충청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861 5,301 5,289 5,903 6,455
(2.5) (2.7) (2.6) (2.6) (2.7)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역주도 과학기술 정책기획기반 사업체계 강화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운영(2,213백만 원),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4,818백만 원), 디스플레
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84,440백만 원) 등
■ 과학기술 거버넌스 중심 지역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1,924백만 원), 융합기술 사업화 확산형 전문인력 양성(1,240백
만 원) 등
■ 지역 R&D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
-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 사업(17,484백만 원), SW중심대학 지원(6,567백만 원) 등
39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에서 담당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표 3-12-12 ❙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2,127 2 17,130 277 540 32 4,099 - 47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399
(나) 역할
표 3-12-13 ❙ 충청남도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지방과학기술 진흥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 과학기술 관련 연구개발과제의 발굴·기획
∙ 과학기술 관련 국내외 기술현황의 조사 분석
∙ 신성장동력 관련 연구개발사업 추진(국책연구소 협력)
∙ 지방과학기술 네트워크 구축 및 대중화
∙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및 지방과학축전 지원
∙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
∙ 과학관 등록·사립과학관 설립계획 승인
∙ 제조지원 국가 R&D 특구 조성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육성 시책 추진
∙ 지역과학기술진흥원 건립
∙ 연구개발지원특구내 국책연구기관 및 민간기업연구소 유치
∙ 4차 산업혁명 대응 기본계획 수립 추진
∙ 제조업 혁신 및 고도화 추진에 관한 사항
∙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민간협의체 구성·운영
∙ 3차산업기반 디지털, 물리학, 생물학 융복합산업 육성
∙ 소프트웨어 융합산업 육성 추진
∙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
∙ ICT·IOT 연관산업 발굴 및 육성에 관한 사항
∙ 제조업과 관련한 서비스업(지식서비스산업)의 육성 및
진흥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 제조업의 서비스화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
∙ 제조업과 서비스업 융합 R&D과제 발굴 육성
∙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타 산업과의 융복합 과제 발
굴·육성
∙ 서비스산업에 대한 국내외 산업동향 조사 분석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2장
■ 주요 기능 및 역할 : 충청남도의 과학기술 진흥과 연구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사항의 심의・조정
기구로 충청남도 과학기술위원회를 설립
-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에 관한 사항
-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 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규모조정 등 투자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 사업 기획 및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 대학, 기업체・연구소의 연구개발지원에 관한 사항
- 도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 진흥을 위하여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1회 연임 가능)
- 당연직 위원은 미래성장본부장, 충남테크노파크원장이 함
- 위촉직 위원은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도지사가 위촉함
40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2회
-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서면)(’22.3.24. ~ ’22.3.30.)
- 충청남도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서면)(’22.10.26. ~ ’22.10.3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2-14 ❙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필영 충청남도 행정부지사(당연직)
정책총괄 이태규 충청남도 미래산업국장(당연직)
과학정책 이응기 충남테크노파크 원장(당연직)
과학정책 김광선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원장(임기내)
위원 한영신 충청남도의회 2021.01.1.~2022.12.31
위원 이기녕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2021.01.1.~2022.12.31
위원 이부형 공주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이재종 한국기계연구원(KIMM) 2021.01.1.~2022.12.31
위원 홍원표 충남연구원 2021.01.1.~2022.12.31
위원 박현주 상명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신숙경 한국연구재단 2021.01.1.~2022.12.31
위원 이안호 단국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이화민 순천향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정영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현정은 자동차부품연구원 2021.01.1.~2022.12.31
위원 김옥환 공주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한정수 호서대학교 2021.01.1.~2022.12.31
위원 이재준 한국교통연구원 2021.01.1.~2022.12.31
위원 강석주 한국산업인력공단 2021.01.1.~2022.12.31
위원 정윤선 산업연구원 2021.01.1.~2022.12.31
※ 출처 : 충청남도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401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남도의 총예산은 약 28조 4,338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567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55%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5.81%
표 3-12-15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284,338
재정자주도(%) 69.9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07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67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5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5.81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0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충청남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916억 원을 투자
- 국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과제에 약 1,477억 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과제에
약 547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
표 3-12-16 ❙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충남 지식산업센터 건립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 R&D사업 지원
11,001 6,560 1,207 18,76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사업
충남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충남과학기술진흥원)
2,910 5,534 - 8,444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충남도립대학교 운영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27,749 23,175 3,390 54,313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충남문화산업진흥원 운영
이전공공기관 연계 지원
15,987 28,031 2,172 46,19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
충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
147,675 33,609 110,360 291,643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SW중심대학 지원
제조기술융합센터 테스트베드 구축
6,923 3,600 2,537 13,060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태양광통합 유지관리(O&M) 신산업
업종다변화 기업지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
1,808 1,501 272 3,58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충남국제전신컨벤션센터 건립 사업
94,746 54,721 21,671 171,139
합계 308,798 156,731 141,608 607,13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40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214개로 전국의 3.4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13% 증가
- 5년간 대학 1개 증가, 공공연구소 4개 증가, 기업 528개 증가
표 3-12-17 ❙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 6.83 28 7.67 28 6.75 27 6.57 29 6.86
∙ 국공립 6 6.74 5 6.33 5 5.95 5 5.88 5 5.81
∙ 사립 22 6.85 23 8.04 23 6.95 22 6.75 24 7.12
공공연구소 20 3.51 22 3.59 21 3.27 22 3.32 24 3.48
∙ 국공립 11 8.66 12 9.16 12 8.39 12 8.39 13 8.50
∙ 정부출연 3 1.88 3 1.80 3 1.78 3 1.84 3 1.76
∙ 병원 및 기타 6 2.14 7 2.23 6 1.82 7 1.96 8 2.19
기업 1,633 3.84 1,865 3.84 2,010 3.67 2,070 3.54 2,161 3.47
∙ 정부투자기관 1 2.04 2 4.76 2 3.64 1 1.85 2 3.39
∙ 민간기업 1,632 3.84 1,863 3.84 2,008 3.67 2,069 3.54 2,159 3.47
합 계 1,681 3.86 1,915 3.88 2,059 3.68 2,119 3.56 2,214 3.4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0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충청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3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2-18 ❙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1 13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5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충청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4만 1,94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204명(전체의 약 8.60%), 공학계열 학생이 3만 6,200명
(전체의 약 25.50%)
표 3-12-19 ❙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204 36,200 48,404 17,360 19,618 9,955 13,115 33,492 141,944
비중 8.60 25.50 34.10 12.23 13.82 7.01 9.24 23.60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40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 충청남도에는 단국대학교 1개, 순천향대학교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28 ❙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단국대학교
(1개 센터)
2021 메카노바이올로지 치의학 연구센터 MRC
순천향대
(1개 센터)
2019 대사질환 조직 항상성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21년 기준 3개의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40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2-20 ❙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한국기술교육대 기전 융합형 부품소재 Trouble Shooting 지역혁신센터
공주대 자동차 의장 및 편의부품 지역혁신센터
순천향대 고부가 생물소재 산업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충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표 3-12-21 ❙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양대학교 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7-23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7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8-01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생명공학 창업보육센터 2001-05-11
백석대학교 백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5-01
백석문화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2-03-01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14-02-01
선문대학교 선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4
순천향대학교 순천향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3-30
신성대학교 신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중부창업보육센터 2021-07-06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2-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0
한서대학교 한서대학교 항공해양 창업보육센터 2001-07-19
호서대학교 호서벤처 창업보육센터 1996-01-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2 40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남도에는 공립과학관 8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가 운영 중
표 3-12-22 ❙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장영실과학관 공립
천안홍대용과학관 공립
칠갑산천문대스타파크 공립
홍성 조류탐사 과학관 공립
보령서해갯벌과학관 공립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공립
태안군 별똥별 하늘공원 공립
충청남도교육청과학교육원 공립
천리포수목원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충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2년 충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00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5,023명임
표 3-12-23 ❙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157 281 213 266 200
수혜자 수 3,129 6,842 4,300 4,418 5,023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40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충청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7,27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987건
-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는 ’1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2-24 ❙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6,309 6,578 6,046 6,482 6,917 7,217 7,274
특허등록 건수 2,996 3,008 3,492 3,808 3,966 4,396 4,98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충청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400편, 주저자 기준 1,510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27%, 2.38%를 차지
표 3-12-25 ❙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2,443 4.01 32,967 13.49 1,103 2.18 12,251 11.11
2018 2,643 4.14 27,766 10.51 1,174 2.24 10,805 9.20
2019 2,811 4.18 24,874 8.85 1,250 2.28 8,984 7.19
2020 3,190 4.33 17,538 5.50 1,353 2.27 5,505 4.07
2021 3,400 4.27 6,765 1.99 1,510 2.38 2,336 1.5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40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삶의 행복이 과학기술과 어우러지는 충남
■ 목표 : 과학기술 투자, 역량 향상으로 지역문제 해결능력 확충
▣ 중점과제 및 전략
■ 효율적인 R&D 투자를 통한 과학기술의 기획・관리 강화
- R&D투자 강화
∙ R&D정책 기획능력 강화, 과학기술 기획일원화
- 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정비
∙ 충남연구개발지원단 미션 강화 및 데이터특화위원회 구성
■ 지역 R&D 전문기관 설립을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충남과학기술원 설립을 통한 R&D 거점 마련
■ 지역주도 과학기술기반의 지역 일자리 창출
-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충남 과학기술 인력 육성 방안 마련
■ 혁신을 위한 기술창업 플랫폼 구축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투자 강화
∙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신기술 기반의 자생적 혁신생태계 구축
- 기술창업 촉진 활성화
∙ 충남 기술창업 활성화를 통한 기술혁신형 가젤기업 20개 육성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 전략
■ 지역 주도 과학기술 R&D 거버넌스 체계 강화
- 디스플레이, 바이오, 제조분야 등 지역 주력산업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속적 투자
41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운영을 통해 지역주도 과학기술 및 산업에 대한 연구와 진흥 지속
■ 혁신플랫폼 주도 지역산업 고도화
-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 신산업정책프로젝트 등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을 기획하
고 정부정책과 연계하여 신성장산업 및 신사업 발굴
- 충남연구개발지원단 운영을 통한 기술개발 조사·분석, 평가, 정책기획, 네트워킹, 성과분석 등 추진
■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 고도화 기반조성
- 충남도립대학교운영,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 SW중심대학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여 창의·융합형
인력 양성
- 이전 공공기관 연계지원,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 지원사업 등을 통한 산학연 과학기술 역량 강화 및
네트워크 촉진
- 지역지식재산 창출 및 창업지원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주도 과학기술 R&D 거버넌스 체계 강화
- 과학기술로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혁신 거버넌스 체계 개선
∙ 충남과학기술진흥원의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역할 정립을 통해 지역내 혁신기관들의 정책·사업
별 중복성 개선
∙ 지역 간 강점기술 중심 초광역 개방형 플랫폼 구축 및 전략적 공동사업 활성화 기반구축
∙ 과학기술과 산업, 문화예술 등 융복합 R&D로의 체계 개선
- 디지털 전환 및 탄소중립 주도
∙ 디지털 경제로의 가속화 주도를 위한 규제샌드박스 및 규제자유구역 지정 운영
∙ 탄소중립, 수소사회 실현을 위한 그린수소 생산 및 관련기업 육성 지원사업 발굴·추진
∙ 수소 운송·저장·인프라 및 수소 모빌리티 개발 및 보급확산
■ 혁신플랫폼 주도 지역산업 고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2 411
- 대기업 생산클러스터에서 혁신클러스터로의 대전환
∙ 혁신클러스터의 근간인 대학과 벤처기업에 대한 혁신성장 지원
- 혁신플랫폼 운영을 통한 지역 혁신생태환경 조성
∙ 지역주력산업 및 신성장 산업에 대한 혁신기관, 혁신클러스터 간의 네트워크 중심축 구축을 위한
혁신플랫폼 구성 지원
■ 주력산업 및 미래 신산업 고도화 기반조성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인적자원 고도화
∙ 지역 주력 및 전략산업 중심 교육·연구 협력체계 구축, 대학원 간 상호 기술교류 활성화 및 공동
학위 취득 제도 시행
∙ 해외 우수 인재 유치 및 공동연구, 인력파견 등 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
∙ 고난도 연구 및 초혁신 기술 과학기술자 지원사업 추진
■ 과학기술기반 지역거점 조성
- 천안·아산 R&D 집적지구를 거점으로 대학, 연구소 등이 활발한 네트워킹이 일어날 수 있는 Open
innovation 조성 지원사업 시행
- 출연연 분원 또는 센터, 이전공공기관 유치 지원
- 지역균형발전 차원의 시·군 지역별 특화 혁신센터 지원
■ 지역 균형발전 기반 조성
- 시·군 권역별 특화산업 및 미래유망산업 지원사업 시행
- 권역별 혁신성장 사업발굴 및 사업화 지원
- 농·어촌 낙후지역 및 인구소멸 지역에 대한 스마트팜 인프라 구축
- 소득 취약 농·어촌에 대한 특화작물 보급 및 장비, 인프라 지원
41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3절 전라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전북의 인구는 약 1,794만 명으로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
- 전국인구대비 전북 인구의 비중은 3.47%로 작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경제활동 참가율은
62.6%로 작년 대비 증가함
표 3-13-1 ❙ 전라북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828,527 1,822,635 1,811,958 1,805,688 1,794,192
전국대비 비율(%) 3.56 3.53 3.50 3.49 3.47
경제활동참가율(%) 60.1 59.9 61 61.5 62.6
실업률(%) 2.5 2.7 2.7 2.5 2.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좌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41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북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50.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46%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29.51%), 정부/민간비영리생산(25.18%), 제조업(21.81%)이 각각 20%가 넘는 비
중을 차지하며 산업구조는 5년 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표 3-13-2 ❙ 전라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 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47,553,099 48,350,793 49,506,041 49,116,252 50,398,818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593,170 3,541,442 3,633,751 3,359,667 3,470,677
(지역내비중,%) (7.56) (7.32) (7.34) (6.84) (6.89)
제조업 11,049,658 11,032,002 10,727,471 10,279,431 10,989,970
(지역내비중,%) (23.24) (22.82) (21.67) (20.93) (21.8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286,287 1,196,921 1,266,431 1,469,288 1,533,760
(지역내비중,%) (2.70) (2.48) (2.56) (2.99) (3.04)
건설업 2,991,385 3,136,099 3,148,614 3,171,486 2,972,705
(지역내비중,%) (6.29) (6.49) (6.36) (6.46) (5.90)
기타서비스업 14,031,469 14,427,301 14,885,764 14,408,745 14,871,660
(지역내비중,%) (29.51) (29.84) (30.07) (29.34) (29.5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214,580 11,538,315 12,067,180 12,453,925 12,692,035
(지역내비중,%) (23.58) (23.86) (24.38) (25.36) (25.18)
순생산물세 3,392,176 3,458,905 3,754,265 3,985,799 3,939,514
(지역내비중,%) (7.13) (7.15) (7.58) (8.12) (7.82)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41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전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38조 1,948억 원이고, 1,86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43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8조
5,576억 원(전체의 22.41%), 359개(전체의 19.26%), 1만 5,523명(전체의 18.38%)
표 3-13-3 ❙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557,589 22.41 359 19.26 15,523 18.38
음료 제조업 824,266 2.16 21 1.13 610 0.7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92,104 1.29 38 2.04 566 0.6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741 0.01 8 0.43 116 0.1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08,026 1.59 15 0.80 517 0.6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080,651 2.83 90 4.83 2,733 3.2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659,514 4.34 159 8.53 4,156 4.92
1차 금속 제조업 4,060,332 10.63 86 4.61 3,376 4.00
전기장비 제조업 1,256,048 3.29 73 3.92 2,351 2.7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652,415 6.94 149 7.99 4,699 5.5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120,269 16.02 246 13.20 10,397 12.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76,133 1.25 17 0.91 247 0.29
가구 제조업 46,626 0.12 14 0.75 260 0.31
기타 제품 제조업 191,396 0.50 25 1.34 450 0.5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8,961 0.05 10 0.54 173 0.2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1,532 0.03 2 0.11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172,371 3.07 179 9.60 4,983 5.9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412,017 1.08 65 3.49 2,328 2.7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28,662 0.34 24 1.29 539 0.6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5,417 0.28 66 3.54 1,324 1.5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2,600 1.87 28 1.50 1,873 2.2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6,014 0.07 5 0.27 65 0.0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35,241 3.23 54 2.90 2,260 2.6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342,891 16.61 131 7.03 6,420 7.60
합 계 38,194,816 100 1,864 100 84,434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41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식료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3-4 ❙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비교적
높음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낮음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41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표 3-13-5 ❙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
(탄소소재,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등)
산업・수송용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
이차전지 신소재 융합 실용화 촉진 사업
탄소복합재 신뢰성 시험평가 기반구축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탄소산업 T2B 지원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산업 고도화 기반구축
생체적합성 신소재 의료기기산업 육성
자동차기업 신시장 창출지원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차 부품 고도화 사업
탄소융복합 소재부품 성형지원
탄소복합재 공정장비 활용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
친환경 농생명・에너지산업
(농생명・식품, 바이오, LED, 에너지변환 등)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진흥지원사업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 운영사업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
한국형 글로벌 장건강 프로젝트
국가식품클러스터기업기술지원사업
지역농업연구 기반조성사업
해상풍력산업 지원센터 구축사업
조선기자재기업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지원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종합지원센터 구축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SW융합 플랫폼 구축
수소 시범도시 조성사업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구축사업
사용 후 연료전지 기반구축
효소기반 기능성소재 상용화지원사업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교통실증 연구기반 구축
※ 출처 : 전라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41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6개, 일반산업단지 2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0개가 있음
- 총 9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624개, 총 종사자 수는 81,262명
표 3-13-6 ❙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군산 13,702 6,828 216 182 4,578 100 완료
군산2(구 군장지구) 51,715 14,612 638 546 6,712 100 완료
익산국가산업단지 1,336 1,336 305 272 3,435 100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 2,322 2,190 183 99 1,023 71 완료
새만금지구 18,495 18,495 43 19 955 100 조성중
전주탄소소재 656 656 - - - - 미개발
일반
군산 5,641 5,641 68 68 5,243 100 완료
김제순동 262 262 38 38 877 100 완료
익산제2 3,309 3,309 225 225 8,786 100 완료
전주제2 687 687 26 26 1,087 100 완료
전주친환경첨단복합(1단계) 291 291 49 47 935 100 완료
전주시자원순환특화 80 80 11 10 77 100 완료
정읍제1 185 185 7 7 267 100 완료
정읍제2 999 999 69 68 1,493 100 완료
정읍제3 1,025 1,025 56 54 1,730 100 완료
정읍첨단과학(RFT) 896 871 45 36 747 99 완료
고창 837 837 4 2 X 40 조성중
부안신·재생에너지 354 354 3 - - 77 완료
완주 3,359 3,359 81 81 10,337 100 완료
전주과학 3,074 3,074 226 225 4,918 100 완료
완주테크노밸리 1,311 1,311 213 205 2,383 100 완료
익산제4(구 익산종합의료과학) 503 503 28 27 1,662 92 완료
익산제3 2,793 2,685 106 99 2,742 88 완료
완주테크노밸리(2단계) 2,115 2,115 1 1 X - 조성중
전주친환경첨단복합(3-1단계) 284 284 3 2 X 100 완료
41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지평선 2,986 2,986 112 85 2,633 92 완료
남원 776 717 5 2 X 12 조성중
전주제1[재생사업지구] 1,806 1,806 102 98 2,711 100 완료
백구 336 337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전주도시첨단 110 110 62 62 387 100 완료
농공
서수 287 287 53 53 1,206 100 완료
성산 142 142 26 26 323 100 완료
옥구 140 130 49 49 499 100 완료
대동전문 331 331 22 22 422 100 완료
만경 215 215 30 30 766 100 완료
봉황 233 233 43 43 575 100 완료
서흥 277 277 43 43 571 100 완료
월촌 145 145 27 23 274 100 완료
황산 73 73 11 11 453 100 완료
광치1(구 광치) 140 140 18 17 164 100 완료
광치2 113 112 21 20 161 100 완료
노암 147 147 25 23 184 100 완료
노암제2 179 180 12 12 307 100 완료
어현 117 116 1 1 X 100 완료
인월 51 50 2 1 X 100 완료
낭산 129 128 17 17 407 100 완료
삼기 132 131 30 30 508 100 완료
왕궁 330 330 17 17 802 100 완료
황등 147 147 61 61 270 100 완료
고부 151 151 13 12 397 100 완료
농소 186 185 4 4 272 100 완료
북면 211 211 41 40 674 100 완료
신용전문 143 143 6 5 411 100 완료
신태인 150 150 11 11 118 100 완료
태인 247 247 33 30 312 100 완료
고수 106 106 22 22 185 96 완료
복분자 196 195 14 12 439 90 완료
아산 140 140 27 26 18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419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흥덕 315 315 16 15 246 100 완료
무주 147 147 2 2 X 100 완료
농공
무주제2 98 98 8 7 62 100 완료
안성 94 94 12 11 70 100 완료
부안 149 149 32 32 257 100 완료
부안제2 344 343 11 11 860 100 완료
줄포 89 89 16 16 204 100 완료
가남 83 83 2 2 X 100 완료
쌍암 154 154 7 6 48 88 완료
풍산 138 138 9 8 161 90 완료
이서특별 398 398 6 6 164 100 완료
신평 53 53 10 10 180 100 완료
오수 132 132 22 22 166 100 완료
임실 147 147 1 1 X 100 완료
장계 290 290 9 7 207 100 완료
천천 57 57 12 10 58 100 완료
진안제2 146 146 37 35 248 100 완료
진안홍삼한방 265 266 36 33 177 100 완료
임피 239 238 40 34 390 87 완료
인계(구 제2장류) 149 149 9 9 188 100 완료
노암제3 325 325 25 25 259 84 완료
장수 143 140 16 12 85 77 완료
임실제2 339 339 - - - 100 완료
백구 328 328 32 30 315 100 조성중
풍산제2 169 169 5 5 78 83 완료
소성특화 230 230 16 12 82 23 완료
진안연장 53 53 11 8 80 100 완료
부안제3 327 327 9 6 76 18 완료
함열 329 328 - - - - 완료
철도산업 222 222 2 2 X 58 조성중
완주 298 298 - - - - 조성중
오수제2 171 171 - - - - 조성중
42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전북에는 총 75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68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41개, ‘건설업’이 1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88개), ‘식료품 제조업’(82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60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3-7 ❙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6 5
광업(05~08) - 1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6 91 82
음료 제조업 2 3 2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9 12 1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9 7 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2 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4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 2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1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5 53 4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6 14 14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8 18 1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18 18
1차 금속 제조업 9 12 1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6 67 5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0 58 5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2 26 23
전기장비 제조업 62 59 5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03 93 88
REGIONAL S&T YEARBOOK 2022 421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2 64 6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1 14 13
가구 제조업 8 9 8
기타 제품 제조업 20 29 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1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2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5 5
건설업(41~42) 20 20 15
도매 및 소매업(45~47) 9 10 11
운수 및 창고업(49~52) - 1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 -
정보통신업(58~63) 71 66 68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4 48 4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1 -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1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75 819 757
42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7,505명(전국의 2.23%)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
은 약 4.2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6,731명(전국의 3.20%)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6,435명(전국의 1.269%), 공공연구소는 4,339명(전국의 6.52%)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3-8 ❙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286 3.39 5,941 3.09 5,788 2.98 6,388 3.09 6,731 3.20
∙ 국공립 4,500 5.89 4,308 5.42 4,209 5.27 4,622 5.34 4,774 5.50
∙ 사립 1,786 1.64 1,633 1.45 1,579 1.38 1,766 1.47 1,957 1.59
공공연구소 3,782 6.78 4,052 6.94 3,975 6.37 4,210 6.56 4,339 6.52
∙ 국공립 2,568 23.99 2,782 22.73 2,573 19.96 2,737 21.34 2,811 20.92
∙ 정부출연 690 2.16 765 2.35 843 2.45 883 2.60 904 2.67
∙ 병원 및 기타 524 4.00 505 3.72 559 3.71 590 3.40 624 3.24
기업 4,753 1.16 5,387 1.22 5,820 1.26 5,840 1.23 6,435 1.26
∙ 정부투자기관 87 2.21 80 2.05 90 2.34 108 2.89 114 2.95
∙ 민간기업 4,666 1.15 5,307 1.22 5,730 1.25 5,732 1.21 6,321 1.25
합 계 14,821 2.28 15,380 2.23 15,583 2.17 16,438 2.20 17,505 2.2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423
■ ’21년 전라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9명 증가한 59.5명으로 조사됨
표 3-13-9 ❙ 전라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49.9 53.0 50.8 55.6 59.5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전라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4,112억 원(전국의 1.38%)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8.66%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466억 원(전국의 3.71%), 공공연구소는
약 4,753억 원(전국의 3.96%), 기업이 약 5,893억 원(전국의 0.73%)
표 3-13-10 ❙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0,466 3.45 241,993 3.43 271,432 3.68 317,355 3.80 346,554 3.71
∙ 국공립 156,010 5.27 171,706 5.56 192,617 5.88 244,308 6.47 255,434 6.06
∙ 사립 74,456 2.00 70,287 1.77 78,815 1.92 73,047 1.60 91,120 1.78
공공연구소 378,335 3.96 375,224 3.81 342,801 3.37 396,104 3.56 475,329 3.96
∙ 국공립 132,165 16.56 130,066 15.98 133,310 15.95 145,635 17.11 179,038 18.51
∙ 정부출연 188,122 2.54 181,074 2.40 141,056 1.81 167,378 2.02 188,263 2.16
∙ 병원 및 기타 58,046 4.37 64,084 4.33 68,435 4.48 83,091 4.19 108,028 4.67
기업 423,354 0.68 467,355 0.68 507,461 0.71 522,638 0.71 589,277 0.73
∙ 정부투자기관 12,050 1.35 17,568 1.93 13,189 1.52 16,248 1.85 15,966 1.86
∙ 민간기업 411,304 0.67 449,787 0.66 494,272 0.70 506,390 0.70 573,311 0.72
합 계 1,032,155 1.31 1,084,572 1.27 1,121,693 1.26 1,236,097 1.33 1,411,160 1.3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2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전라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9,29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02%
표 3-13-11 ❙ 전라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7,642 7,238 7,526 8,808 9,296
(3.3) (3.7) (3.7) (3.9) (3.8)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R&D 생태계 조성 및 혁신클러스터 육성
- 새만금 상용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105억), 전북테크비즈센터 건립(48억), 에너지산업 융복합 단
지조성(80억), 홀로그램 콘텐츠 서비스 센터(59억), 전북 국가혁신클러스터(59억)
■ 신산업 육성 대응 지역산업 구조고도화 기반 조성
- 상용차 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394억), 친환경 자동차 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
(146억), 전북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설립(101억)
■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기반구축 및 공동연구개발 활성화
- 공공기관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38억), 혁신성장 R&D+사업(63억), 조선 기자재기업 신재생에
너지 업종전환 지원(102억),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구축(45억), 화장품 지식산
업센터 구축(114억)
■ 과학기술 역량강화 및 융합형 창의인재 양성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사업(7억), 지역특성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45억), 이공계 대학 산학관 커
플링사업(26억),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248억)
REGIONAL S&T YEARBOOK 2022 425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성장산업국 혁신성장정책과에서 담당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표 3-13-12 ❙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100 2 15,965 270 482 51 3,330 -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42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3-13 ❙ 전라북도 미래산업국 미래사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지역 신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산업정책발굴·조정
∙ 지역산업육성 및 위기지역대응 현안 정책수립·조정 등
지역R&D 컨트롤 타워
∙ 산업구조개편 및 규제자유특구, 연구개발특구, 과학관 추
진, 지역 R&D 활성화 체계 구축, 연구기관‧대학‧기업 연
계 지역 혁신 플랫폼 총괄 등
∙ 산업구조 개편 및 성장동력산업 육성계획 수립
∙ 지역산업 발전/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진흥사업 세부
사업 총괄
∙ 규제자유특구 총괄,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
전), 스마트특성화기반 구축사업 추진 등
∙ 과학기술분야(R&D) 정책적 사무의 기획조정자문 지원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사업, 기
술사업화 협업플랫폼 구축, 과학관 관리, 강소연구개발특
구 육성,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 중소기업 기술융
합 활성화, 연구산업진흥단지 사업
∙ R&D기술사업화, 소기업 역량강화, 재난안전 등 긴급분
야 R&D 지원 등
∙ 빅데이터 정책의 총괄ㆍ조정 및 지원, 빅데이터 기본계
획 수립 및 활용 활성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대응 및 빅데이터 센터의 설치, 운영, 데이터기반행정 정
책 총괄·조정 및 지원 등
∙ 새만금 데이터산업 클러스터 조성 업무, 디지털뉴딜 총괄
추진 및 지원, ICT분야 중ㆍ장기 정책 수립, 분야별 4차
산업혁명 계획 수립 및 총괄 등
∙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 및 핵심기술 사업화 실증사업, 홀
로그램 콘텐츠 서비스센터 업무 추진, XR 소재‧부품‧장비
개발지원센터 지원 및 스마트 융복합 멀티플렉스 조성‧운
영, 메타버스 산업육성 지원 등
∙ 미래전지 산업육성 지원, 산학융합플라자 건립 지원, 융
복합 SW강소기업 육성 및 소재‧부품‧장비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과 연구개발 역량강화 사항 심의・조정
- 지방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 자문
- 연구회・TF분과 : 과학진흥정책 및 연구개발사업 발굴・기획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제8기(’20.2~’22.2)
- (위원장) 도지사 1명
- (위원구성) 총 30명(당연직 9, 위촉직 21명)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2회
- 전북도 R&D방향 및 위원 위촉 등(2022.4.21.)
- 신규기획과제 발굴 현황 등 보고회(2022.12.)
REGIONAL S&T YEARBOOK 2022 427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3-14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송 하 진 전라북도 도지사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용 만 전라북도 일자리경제본부 2020.02.23. ~2022.02.22
위원 전 병 순 전라북도 혁신성장산업국 2020.02.23. ~2022.02.22
위원 신 원 식 전라북도 농축수산식품국 2020.02.23. ~2022.02.22
위원 윤 여 일 전라북도 문화체육관광국 2020.02.23. ~2022.02.22
위원 허 전 전라북도 환경녹지국 2020.02.23. ~2022.02.22
위원 강 영 석 전라북도 복지여성보건국 2020.02.23. ~2022.02.22
위원 권 혁 남 전북연구원 2020.02.23. ~2022.02.22
위원 양 균 의 전북테크노파크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남 영 에코융합섬유연구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대 혁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은 미 호원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진 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차 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혜 미 전주비전대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희 경 원광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민 지 호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백 형 희 한국식품연구원 2020.02.23. ~2022.02.22
위원 박 성 신 군산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조 용 철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 2020.02.23. ~2022.02.22
위원 설 경 원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신 찬 훈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0.02.23. ~2022.02.22
위원 양 문 식 한국과학기술단체 전북 연합회 2020.02.23. ~2022.02.22
위원 오 상 남 전주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위 명 환 첨단방사선연구소 2020.02.23. ~2022.02.22
위원 이 말 례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이 미 경 우석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이 홍 기 우석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채 한 정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최 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0.02.23. ~2022.02.22
※ 출처 : 전라북도 내부자료
42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북도의 총예산은 약 26조 5,72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508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94%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1.40%
표 3-13-15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265,727
재정자주도(%) 67.14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058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50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1.40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429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전라북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3,324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약 1,689억 원, 1,292억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
표 3-13-16 ❙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경축순환농업연구
지역전략작목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 1,305 - 1,305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676 1,993 - 2,669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초기창업패키지 지원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38,730 8,076 5,133 51,938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남원 화장품지식산업센터 건립
스마트 융복합 멀티플렉스 조성
20,954 29,824 2,764 53,542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지원사업
전라북도 선도기업 육성사업(지방이양)
22,728 37,850 4,720 65,298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가변 플랫폼 기반 소형 전기버스/트럭
및 운영시스템 개발사업
혁신성장 R&D+ 사업
20,335 15,112 5,749 41,19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조선해양 설치 운송 인프라 구축
23,356 27,444 6,667 57,467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일자리창출펀드 조성 참여
168,932 129,216 34,243 332,391
합계 295,711 250,819 59,275 605,80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3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405개로 전국의 2.2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2.12% 증가
- 5년간 대학 수는 1개 증가, 공공연구소 5개 증가, 기업 510개 증가
표 3-13-17 ❙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39 20 5.48 18 4.34 18 4.38 19 4.49
∙ 국공립 5 5.62 6 7.59 5 5.95 5 5.88 5 5.81
∙ 사립 13 4.05 14 4.90 13 3.93 13 3.99 14 4.15
공공연구소 38 6.68 38 6.21 40 6.23 43 6.49 43 6.24
∙ 국공립 10 7.87 10 7.63 11 7.69 11 7.69 12 7.84
∙ 정부출연 12 7.50 11 6.59 11 6.51 11 6.75 11 6.47
∙ 병원 및 기타 15 5.34 17 5.41 18 5.45 21 5.88 20 5.46
기업 833 1.96 1,019 2.10 1,136 2.07 1,190 2.03 1,343 2.16
∙ 정부투자기관 2 4.08 2 4.76 2 3.64 3 5.56 3 5.08
∙ 민간기업 831 1.96 1,017 2.10 1,134 2.07 1,187 2.03 1,340 2.15
합 계 889 2.04 1,077 2.18 1,194 2.14 1,251 2.10 1,405 2.2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431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전라북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존재
표 3-13-18 ❙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1 -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전라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6,05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059명(전체의 약 11.51%), 공학계열 학생이 2만 572명
(전체의 약 21.42%)
표 3-13-19 ❙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059 20,572 31,631 17,086 12,648 7,434 8,347 18,906 96,052
비중(%) 11.51 21.42 32.93 17.79 13.17 7.74 8.69 19.68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 전라북도에는 원광대 2개, 전북대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3-20 ❙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전북대
(2개 센터)
2017 대사염증 연구센터 MRC
2019 나노탄소기반 에너지소재 응용기술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원광대
(2개 센터)
2017 한방심신증후군연구센터 MRC
2021 근감소증 3단계 토탈솔루션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2년에 원광대가 추가되면서 4개 센터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2 433
표 3-13-21 ❙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우석대 수소연료전지 부품 및 응용기술 지역혁신센터
군산대 고등기술융합연구원(구. 군산대TIC)
캠틱종합기술원 (구. 전북대TIC) 캠틱종합기술원
원광대 차세대 방사선 산업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전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3-22 ❙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군산대학교 군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2-01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바이오플렉스(Bio Plex) 창업보육센터 2014-10-0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코인쇄전자 창업보육센터 2012-07-05
ECO융합섬유연구원 에코파이버 창업보육센터 2014-01-27
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IT·BT 창업보육센터 2001-05-28
(사)전북창업공유지원센터 익산 창업보육센터 2017-12-22
전북과학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1-20
전북대학교 전북대 창업보육센터 1999-09-10
전주대학교 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전주비전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12-17
(재)한국탄소융합기술원 탄소융합부품소재창업보육센터 2013-11-12
한국농수산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0-29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0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희망전북 POST-BI 2010-07-0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43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북에는 국립과학관 2개, 공립과학관 8개가 운영 중
표 3-13-23 ❙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농업과학관 국립
국립전북기상과학관 국립
남원항공우주천문대 공립
무주 반디별천문과학관 공립
전라북도과학교육원 공립
만경강수생생물체험과학관 공립
부안곤충탐사과학관 공립
정읍첨단과학관 공립
순창건강장수체험과학관 공립
순창 옹기종기놀이과학관 공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4개소가 운영 중
■ ’22년 전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782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13,771명임
표 3-13-24 ❙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552 563 693 753 782
수혜자 수 12,840 14,355 12,739 13,260 13,771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43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전북의 특허출원 건수는 4,35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357건
- 특허출원 건수는 ’18년부터 증가하다 ’21년에 감소, 특허등록 건수는 ’15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3-25 ❙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4,007 3,993 4,121 3,995 4,343 4,529 4,354
특허등록 건수 1,338 1,468 1,860 1,995 2,137 2,277 2,35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전라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020편, 주저자 기준 1,892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05%, 2.98%를 차지
표 3-13-26 ❙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141 5.16 48,723 15.51 1,462 2.89 19,400 13.27
2018 3,353 5.26 44,886 13.39 1,603 3.05 19,587 12.22
2019 3,404 5.06 34,042 10.00 1,644 3.00 15,057 9.16
2020 3,768 5.11 23,758 6.31 1,850 3.10 10,490 5.67
2021 4,020 5.05 9,143 2.27 1,892 2.98 3,767 1.9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3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융합과 혁신이 공존하는 스마트 전북 실현
■ 목표
- 4차 산업혁명 연계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 과학기술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 지원 확대
- 전북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R&D 역량 강화
▣ 중점과제 및 전략
■ 과학기술 역량 확충으로 성장동력 창출 및 지역산업 구조고도화를 통한 신산업육성 선도 기반
조성
■ 혁신산업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연구인프라 확충
-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의 다각화, 다양성 확충 등 고부가가치화와 구조고도화를 위한 핵심기
술개발 및 연구인프라 확충
∙ 전북 디지털 융합지원센터, 친환경 전기차 부품소재 클러스터 강소 연구개발특구, 에너지산업 융
복합 단지 조성,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등
∙ 홀로그램, 탄소융복합 소재, 바이오, 그린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 혁신
산업 생태계 조성
∙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기술 융합연구센터,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화 실증기반 구축, 발효 미생물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소재부품장비 혁신랩 기술개발 등
■ 산·학·연 협력 지역혁신 플랫폼 기반의 공동연구 활성화
- 산학연 연구역량 결집을 통해 산업수요에 기반한 스마트·융복합 연구개발 활성화 촉진으로 부가가
치 제고 및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 기능성 소재 부품기업 경쟁력 강화, 바이오 융합소재 상용화 지원, 탄소・소재 부품산업 육성기
반 구축, 규제자유특구(탄소융복합, 친환경 자동차) 육성 지원 등
-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한 융복합 연구개발 지원 확대
∙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SW융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바이오나노산업 기반 고도화 생태계 촉진,
REGIONAL S&T YEARBOOK 2022 437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전북 탄소기업 국내외 밸류체인 구축 지원 등
■ 과학기술 고급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연구인력 다양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에 적합한 인력양성사업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무역량 중점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 ICBMS(Iot, Cloud, Big data, Mobile, Security) 교육 확대
- 과학기술인력 교육 주기별 핵심 교육 개발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전략
■ 전북 R&D 투자 확대 및 투자효율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와 지역특화산업을 확대를 위한 국비 투자 확보
∙ 이슈 도출 ⇨ R&D과제 기획 ⇨ 과학기술위원회 심의 ⇨ 중앙정부 제안
※ 기업 유치 전용 R&D, 지역 현안 해결 R&D, 연고자원 연계 시·군 단위 R&D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산하 연구회를 활용한 과학기술 혁신 기획
∙ 기술·시장·정책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
∙ 실질적 지역 파급성과 창출을 위한 R&D 기획의 실효화
∙ 지역의 성장동력과 일자리를 견인할 있는 새로운 가치 창출
- 선도형 기술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예산의 전략적 투자
∙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융복합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상용차 자율주행, 농업용 로봇, 미생물·발효, 스마트팜/공장, 에너지신산업, 탄소상용화
- 전북 R&D 예산·배분·조정 체계 정비를 통한 투자효율성 점검
∙ R&D 예산의 투자-성과 관리 선순환 구조화(P-D-C-F 체계확립)
∙ R&D 사업의 사업성과 및 파급효과 분석 결과에 따른 ‘구조조정→재투자’선순환 구조 확립
∙ (단기사업) 성과평가 결과에 따른 지자체 실/국 단위의 예산 조정 도입
∙ (장기계속사업) 타당성 평가, 회계연도 일치, 유사 중복 사업에 대한 심의·조정 실시
■ 전북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구축
- 전북형 거버넌스 중심의 R&D 체제 개편
∙ 전북 혁신기관들의 체계적 거버넌스구축 및 지역내 R&D의 효율성 확보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위상 제고 및 운영 활성화
∙ 주요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심의·조정·평가 추진 강화
43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신규 지자체 R&D사업에 대한 사전 심의·의결 권한 확보
∙ 유사·중복사업의 통폐합·검토 등 통합 조정 창구 역할 수행
- 전북 R&D 기획의 전주기 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상향식-하향식 R&D 과제 발굴·기획)
∙ 전주기적 R&D 기획-관리 연계 강화 및 과제 사업화율 제고(모니터링 강화)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전북 특화산업 고도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R&D 집중 지원
∙ 전북 중점투자 산업 선정 및 전략적 투자
※ (중점분야) 미래자동차 산업, 에너지신산업, , 농생명 소재·식품·바이오, 지능형기계부품, 탄
소· 복합소재, 해양설비기자재 등
∙ 기구축 인프라를 활용한 중소제조기업 기술지원
※ 인프라 범위의 산·학·연 소형 클러스터 지원(R&D 기획→연구개발→상용화)
- 전북 R&D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 기업의 성장혁신구조* 고도화 유도를 위한 단계적 R&D 지원
※ 기업 성장 유형 : 단순생산형→기술반응형→기술추격형→기술선도형
∙ 대학, 연구소 중심의 R&D 휴면기업 사업 참여 지원
∙ (공동연구 확대)‘대학+휴면기업’, ‘연구소+휴면기업’ 컨소시엄
∙ R&D사업 운영 교육 병행 : R&D 사업 수주, 진행, 관리 교육
∙ 우수기술 상용화 R&D 투자 확대
∙ 전북 도내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지역 기업 기술이전 촉진
∙ 지식재산 창출‧관리‧중개 지원 강화
∙ 도비 R&D 졸업제도 및 R&D사업 수주역량 Jump up 유도
∙ R&D-표준화 연계 활성화
∙ 차세대 소재‧기술 분야의 R&D 및 표준화 연계전략 수립
∙ 표준 및 인증 기반 R&D 발굴 및 시행
■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기업 성장단계별 기술지원 체계 구축
- 기술 중심 전주기 창업·성장지원 플랫폼 구축
∙ (농생명 허브) 전북특구를 국가 식품바이오분야의 기술창업 허브로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2 439
∙ (첨단기술기업) 첨단소재 분야 신규 창업, 첨단기술기업 육성
- 지역연구성과의 창업 연계 : 지역내 공동연구 성과를 신규 기술창업으로 연계 확산(기술이전 기관
대상 제도적 인센티브 마련)
- 기술사업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시장의 선순환 구조화
∙ 전북 전략산업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특화 펀드 확대
∙ 기술사업화 전주기 통합지원 시스템 구축
∙ 중·장기적인 펀드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
※ 기술사업화 Flow에 따른 주요 지원기반과 사업화 지원과제 마련(대학/연구소 중심 연구·개
발·응용 → 기술이전/기술가치 평가 → 사업화 기획 및 실행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전담기관(TLO)별, 특화기술분야별 기술협력협의체 구성/운영
∙ 전북 내 정부출연연-지자체출연-대학 간 기술정보 공유
∙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용자 간 정보 교류 채널 마련
■ 과학기술 분야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 지역발전을 선도할 미래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운영
∙ 교육 주기별 연계형 교육 개발 : 지역 정착유도 과학기술 진로 교육
- 도내 유입 과학기술인력 전용 R&D지원 프로그램 운영
- 다각적 과학기술인재 지원 확대
∙ 고경력 과학기술 유공자를 활용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
∙ 신진연구자 및 여성과학기술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 확대
44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R&D 경쟁력 강화 및 거버넌스 운영활성화(전북과학기술위원회 중심)
- 추진체계 : 과학기술위원회 위상강화에 따른 지역과학기술 全분야 운영·활성화
- 전담조직 : R&D 총괄 관리체계 마련을 통한 과학기술 전담부서 운영체계 활성화
- 네트워크 : 지역 내 연구기관 연계 R&D 산학연 상호협력체계 구축 및 네트워킹 강화
■ R&D 재정투입 효율화 및 성과 극대화(투자효율성 확보)
- R&D 투자확대 및 과학기술 기반 수요 맞춤형 R&D 활성화
∙ 지역 과학·산업 진흥을 위한 단계별 R&D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 과학기술 기반 수요자중심의 현장접목 R&D 및 신사업기획 확대
- 기획→환류의 전주기 정책관리 체계 완성도 제고
∙ 투입 후 성과중심의 사업기획→예산배분→평가조정→환류 체계 정비(도비투입 사업의 “표준 성
과지표 및 관리 지침” 최신화 및 조례/규정 개정 등)
∙ 사업별 계획서에 성과지표 반영→성과평가→부서단위 사업조정에 반영확대
■ R&D연계형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역량 제고
- 기술혁신형 벤처창업 및 강소기업 집중 육성
∙ 성장사다리 체계(창업→도약→선도→스타→글로벌강소기업)를 통한 강소기업 육성 및 기업의
R&D 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전문인력 양성공급
- 중소기업-공공(연)간 협업 활성화 및 사업화 성과 제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441
제14절 전라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전남의 인구는 약 178만 명으로 작년대비 감소
- 전국인구대비 전남 인구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소폭 감소 및 정체 추세
표 3-14-1 ❙ 전라남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1,795,036 1,796,331 1,793,043 1,793,108 1,782,951
전국대비 비율(%) 3.49 3.48 3.46 3.47 3.45
경제활동참가율(%) 64.1 64.2 65.1 65.4 66.2
실업률(%) 3.2 2.8 2.6 2.4 2.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44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남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77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94%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30.1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2.2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8.25%)이 그 뒤를 이음
표 3-14-2 ❙ 전라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71,340,179 72,888,289 74,618,019 74,972,494 77,027,126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021,304 5,224,826 5,401,669 5,212,672 5,592,028
(지역내비중,%) (7.04) (7.17) (7.24) (6.95) (7.26)
제조업 22,658,078 22,796,915 22,607,350 21,817,489 23,250,572
(지역내비중,%) (31.76) (31.28) (30.30) (29.10) (30.1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105,237 2,899,883 2,882,841 2,904,229 2,976,177
(지역내비중,%) (4.35) (3.98) (3.86) (3.87) (3.86)
건설업 4,091,976 4,277,662 5,071,273 5,717,796 4,901,643
(지역내비중,%) (5.74) (5.87) (6.80) (7.63) (6.36)
기타서비스업 15,517,615 16,059,856 16,788,773 16,410,930 17,150,616
(지역내비중,%) (21.75) (22.03) (22.50) (21.89) (22.27)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2,381,181 12,864,032 13,495,025 13,886,876 14,055,721
(지역내비중,%) (17.36) (17.65) (18.09) (18.52) (18.25)
순생산물세 8,560,327 8,700,732 8,252,498 8,729,528 9,004,832
(지역내비중,%) (12.00) (11.94) (11.06) (11.64) (11.6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443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전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0조 6,519억 원이고, 1,92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62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약 37조 2,103억 원(전체의
41.0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449개(전체의 23.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가 1만 5,024명(전체의 17.75%)으
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4-3 ❙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993,896 4.41 449 23.34 11,857 14.01
음료 제조업 139,779 0.15 11 0.57 107 0.1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6,975 0.10 21 1.09 352 0.4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16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61,210 0.29 8 0.42 47 0.0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53,849 1.93 107 5.56 2,763 3.2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64,578 2.61 186 9.67 5,100 6.03
1차 금속 제조업 17,369,185 19.16 99 5.15 4,542 5.37
전기장비 제조업 1,166,019 1.29 90 4.68 2,532 2.9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69,751 0.96 111 5.77 3,261 3.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77,508 0.31 25 1.30 742 0.8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380,579 5.94 254 13.20 8,432 9.96
가구 제조업 44,222 0.05 11 0.57 110 0.13
기타 제품 제조업 100,030 0.11 12 0.62 201 0.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91,978 0.32 52 2.70 2,427 2.8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5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65,898 1.62 228 11.85 6,444 7.6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2,533 0.16 30 1.56 516 0.6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5,767 0.13 24 1.25 446 0.5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7,634 0.04 7 0.36 48 0.0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09,580 0.12 13 0.68 206 0.2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7,188,068 18.96 9 0.47 57 0.0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78,207 0.31 30 1.56 706 0.8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7,210,329 41.05 143 7.43 15,024 17.75
합 계 90,651,913 100 1,924 100 84,62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44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과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
품 제외)’의 특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표 3-14-4 ❙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기타운송장비제조업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품
제외
∙1차금속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낮음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
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445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라남도는 ‘에너지 분야’, ‘농수산식품 분야’와 ‘생물의약/바이오 분야’, ‘전기자동차’로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4-5 ❙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에너지 분야
나주에너지밸리산학융합지구조성
지능형 저압직류 기술개발
EV-ESS 사용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농수산식품 분야
전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원예작물 경쟁력 향상기술개발
생물의약/바이오 분야
면역세포치료 산업화 기술 플랫폼 구축사업
백신글로벌산업화 기반구축
전기자동차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
미래형 전기차 핵심부품 기술개발사업
※ 출처 : 전라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44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5개, 일반산업단지 30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9개가 있음
- 총 105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096개, 총 종사자 수는 76,384명
표 3-14-6 ❙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삼일자원비축 4,157 4,088 2 2 X 100 완료
여수 51,229 32,550 299 275 25,182 100 조성중
대불국가산업단지 20,886 11,590 389 331 6,931 97 완료
빛그린 2,229 1,616 24 8 212 47 조성중
광양국가 96,405 28,168 188 151 14,187 98 조성중
일반
신금 397 397 40 33 364 89 완료
황금 1,116 1,115 1 1 X 21 조성중
광양익신 474 261 47 44 611 61 완료
나주 549 549 42 37 745 99 완료
문평 323 323 7 7 565 100 완료
세라믹 116 116 10 8 139 22 완료
삽진 218 216 46 46 196 100 완료
대양 1,552 1,545 131 124 978 98 완료
순천[재생사업지구] 583 582 40 38 1,010 100 완료
해룡 1,592 1,592 45 45 588 93 조성중
율촌제1 9,450 9,431 150 123 5,906 93 조성중
여수오천 222 222 40 34 450 100 완료
율촌제2 3,793 3,793 - - - - 미개발
삼호 2,971 2,971 1 1 X 100 완료
장성나노기술 901 901 185 164 1,687 100 완료
군내 686 686 1 - - 100 조성중
세풍(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2,426 2,426 5 2 X 72 조성중
대마전기자동차(구 대마) 1,652 1,652 46 37 592 86 완료
장흥바이오식품(구 해당) 2,892 2,890 65 24 265 62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2 44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화원조선(구 화원) 2,058 2,053 - - - 100 조성중
일반
화순생물의약(구 화순) 755 755 12 12 595 99 완료
용당 351 351 - - - - 미개발
동함평 739 739 77 50 334 88 완료
에코하이테크담양(구 담양) 581 580 109 104 744 100 완료
묘도녹색 368 368 - - - - 조성중
나주신도 298 297 7 7 105 88 완료
운남 85 75 - - - - 조성중
강진 655 646 32 5 89 61 완료
나주혁신(구 나주미래) 1,789 1,787 123 75 777 71 완료
무안항공특화 351 350 - - - - 조성중
도시첨단 순천 190 190 - - - - 조성중
농공
금천 103 103 1 1 X 100 완료
노안 125 125 26 26 319 100 완료
동수 209 209 51 51 355 100 완료
문평 69 69 5 5 30 100 완료
봉황 100 100 14 14 119 100 완료
오량 245 245 46 46 561 100 완료
산정 530 529 131 131 1,025 100 완료
주암 106 105 34 31 172 100 완료
화양 119 119 19 18 253 100 완료
마량 56 56 15 15 105 100 완료
풍양 55 50 9 7 32 100 완료
겸면 301 301 10 6 149 100 완료
석곡 126 126 13 8 139 100 완료
입면 522 522 1 1 X 100 완료
간전 102 102 14 14 76 100 완료
금성 233 233 28 25 591 100 완료
무정 190 187 34 31 252 100 완료
삼향 220 220 41 38 220 100 완료
일로 164 164 24 22 181 100 완료
청계 314 314 47 44 583 100 완료
44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청계2 304 304 26 22 380 100 완료
미력 107 106 17 17 165 100 완료
벌교 145 145 15 15 120 100 완료
농공
조성 146 146 29 26 126 100 완료
지도 272 272 1 1 X 100 완료
군서 118 118 19 19 142 100 완료
칠곡 149 149 1 - - 100 완료
군서 128 128 14 14 137 100 완료
신북 145 145 15 15 243 100 완료
완도 323 323 79 74 447 100 완료
죽청 223 222 43 40 295 100 완료
동화 120 120 25 24 770 100 완료
동화전자종합 284 284 34 33 631 100 완료
삼계 88 88 18 13 139 100 완료
장평 103 102 20 13 114 100 완료
고군 101 101 23 19 119 100 완료
군내 260 260 4 - - 16 완료
학교 171 171 26 24 347 100 완료
함평 103 103 9 9 137 100 완료
옥천 103 103 22 20 147 100 완료
능주 109 109 43 43 152 100 완료
도곡 165 165 39 37 428 100 완료
동면 258 258 69 69 477 100 완료
이양 151 151 13 13 86 100 완료
남평 112 112 - - - - 미개발
장흥 150 148 2 2 X 20 완료
해보 245 245 47 43 252 100 완료
장평제2 47 47 1 1 X 100 완료
영광식품산업특화 109 109 - - - - 조성중
완도해양생물특화 181 110 17 2 X 100 완료
땅끝해남식품특화 143 142 19 11 33 100 완료
청정식품(구 동강) 145 145 20 15 230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449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자연드림파크(구 용방) 144 144 16 16 486 100 완료
영암특화 116 116 16 10 62 100 완료
송림그린테크 (구 송림) 144 144 27 27 247 100 완료
동면제2 147 141 23 21 239 100 완료
농공
에코-하이테크 329 327 41 39 599 100 완료
학교명암축산특화 318 318 1 1 X 9 조성중
화원조선 153 153 1 1 X 100 완료
화순식품 136 136 2 2 X 100 완료
화양한옥 34 34 - - - - 조성중
대서 150 150 - - - - 미개발
동강특화 299 296 - - - - 조성중
해룡선월지구 144 144 - - - 100 조성중
자연드림파크2단지 49 49 3 1 X 100 완료
운곡특화 183 183 - - - - 미개발
칠량 149 149 23 22 220 100 완료
몽탄특화 89 89 3 - - 9 완료
묘량 214 214 - - - - 미개발
4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전남에는 총 66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0개로 가장 많았으며 ‘정
보통신업’이 46개, ‘건설업’이 33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85개), ‘식료품 제조업’(72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
업’(68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4-7 ❙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5 6
광업(05~08) - 2 3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07 101 72
음료 제조업 6 3 4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 7 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5 11 1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7 5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2 54 4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5 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8 47 3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 31 23
1차 금속 제조업 11 11 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9 77 4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9 25 2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3 13 9
전기장비 제조업 96 90 85
REGIONAL S&T YEARBOOK 2022 451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88 82 6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3 10 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9 34 23
가구 제조업 2 1 1
기타 제품 제조업 9 15 1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1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4 11 11
건설업(41~42) 37 36 33
도매 및 소매업(45~47) 15 14 11
운수 및 창고업(49~52) -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1 -
정보통신업(58~63) 66 61 46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1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5 51 5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5 8 7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889 813 662
45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5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9,135명(전국의 1.16%)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6.18%로 감소 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4,367명(전국의 0.86%)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2,947명(전국의 1.40%), 공공연구소는 1,821명(전국의 2.74%)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4-8 ❙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71 1.44 3,597 1.87 3,058 1.58 3,327 1.61 2,947 1.40
∙ 국공립 2,228 2.92 3,077 3.87 2,561 3.21 2,570 2.97 2,447 2.82
∙ 사립 443 0.41 520 0.46 497 0.44 757 0.63 500 0.41
공공연구소 1,360 2.44 1,527 2.62 1,645 2.64 1,704 2.66 1,821 2.74
∙ 국공립 604 5.64 661 5.40 602 4.67 764 5.96 797 5.93
∙ 정부출연 343 1.07 363 1.11 396 1.15 419 1.23 398 1.17
∙ 병원 및 기타 413 3.15 503 3.70 647 4.29 521 3.00 626 3.25
기업 3,155 0.77 3,503 0.80 4,036 0.87 4,102 0.86 4,367 0.86
∙ 정부투자기관 95 2.42 141 3.61 155 4.03 148 3.95 163 4.22
∙ 민간기업 3,060 0.76 3,362 0.77 3,881 0.85 3,954 0.84 4,204 0.83
합 계 7,186 1.11 8,627 1.25 8,739 1.22 9,133 1.22 9,135 1.1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453
■ ’21년 전라남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8명 증가한 34.0명으로 조사됨
표 3-14-9 ❙ 전라남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5.0 28.4 30.9 32.2 34.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전라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8,143억 원(전국의 0.8%)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 연구개발비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1.19%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578억 원(전국의 1.69%), 공공연구소는
약 2,390억 원(전국의 1.99%), 기업이 약 4,174억 원(전국의 0.52%)
표 3-14-10 ❙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27,134 1.90 132,267 1.88 123,345 1.67 133,176 1.59 157,811 1.69
∙ 국공립 110,988 3.75 118,357 3.83 113,864 3.48 117,947 3.12 138,124 3.28
∙ 사립 16,146 0.43 13,910 0.35 9,481 0.23 15,229 0.33 19,687 0.38
공공연구소 142,171 1.49 159,245 1.62 167,093 1.64 194,962 1.75 239,008 1.99
∙ 국공립 35,050 4.39 33,931 4.17 33,713 4.03 25,863 3.04 37,612 3.89
∙ 정부출연 52,626 0.71 59,149 0.78 66,404 0.85 78,636 0.95 89,869 1.03
∙ 병원 및 기타 54,494 4.10 66,165 4.47 66,976 4.39 90,463 4.56 111,527 4.83
기업 279,817 0.45 369,254 0.54 433,398 0.61 376,004 0.51 417,437 0.52
∙ 정부투자기관 24,471 2.75 30,814 3.39 26,313 3.03 29,878 3.41 27,202 3.16
∙ 민간기업 255,346 0.41 338,440 0.50 407,085 0.58 346,126 0.48 390,235 0.49
합 계 549,121 0.70 660,766 0.77 723,836 0.81 704,142 0.76 814,256 0.8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5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전라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654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50%
표 3-14-11 ❙ 전라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736 2,724 3,199 3,671 3,654
(1.4) (1.4) (1.6) (1.6) (1.5)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455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R&D체계 개편을 통한 지역주도 과학기술진흥 리더쉽 구축
- 지역의 R&D투자결정권 강화를 위한 주요부처 R&D 조사·분석 및 미래 신산업 연구개발 기획 등
R&D전담기관 운영(R&D전담기관 운영 지원, 15억원)
- 연구개발 자원관리 및 확산기반 마련과 데이터기반 조사・분석 체계를 확립하여 지역 주도의
R&D생태계 조성 지원(연구개발 지원단 지원사업 3.8억원)
- 전남과학기술정보시스템(JNTIS)를 통해 도내 과학기술 및 R&D와 연구장비 등 과학기술 통합정
보 시스템 기능 고도화를 통한 활용지원 활성화(전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운영사업 0.8억원)
- 전남지역의 기반과 역량을 활용한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위한 과학축전, 문화활동 및 도민과학단 지
원(전남 과학문화 활성화 지원사업 4.5억원)
■ 지역 혁신주체 역할 강화를 통한 연구개발 경쟁력 제고
- 노후 전력기자재 활용 재제조(성능개선)를 통한 자원순환 경제실현 및 도내 에너지기업 新시장 개
척(전력기자재 재제조 성능평가 기반조성, 17억원)
- 전남의 소프트웨어 교육격차 해소 및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SW교육센터 구축과 교육프로그램 운
영(소프트웨어 미래채움사업, 21억원)
- 효율향상을 위한 전원체계 마련 및 전남의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을 위한 표준기술개발(지능형 저압
직류 기술개발, 125억원)
- 초소형전기차 인프라 구축을 통해 관련 기업 유치 및 전후방산업 육성 토대 마련(중소·중견기업 지
원을 위한 전기자동차 개방형 공용 플랫폼 개발, 126억원)
- 초소형전기차 실도로 주행시험을 통한 차량 성능 및 핵심부품 신뢰 검증을 통한 관련분야 비즈니스
모델 도출 및 산업육성(초소형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 실증사업, 68억원)
-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 유도 및 지역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역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지역
수요맞춤형연구개발사업, 40억원)
- 지역 전략 특화산업 중심으로 전담기업인 GS와 함께 지역 창업지원과 벤처·중소기업의 성장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38억원)
-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ICT활용 스마트팜 확산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축산환경 조성
및 신시장 개척(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130억원)
- 지역농업 연구기반 조성과 산학연 광역화 및 지역특화작목 기술개발 지원(연구활동 지원 및 성과관
45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리, 31억원)
- 임상의의 연구환경 보장을 통해 바이오메디컬 산업분야 의사과학자 양성 및 연구성과 추진(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사업, 15억원)
- 산업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각종 사고 예방 및 안전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여수석유화학산단 통합 인프라 구축사업, 68억원)
■ 지역 기술사업화 시스템 강화 및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지역산업 발전에 필요한 우수인재양성 및 기업의 애로기술해소 등 지역대학 및 지역산업간 공생발
전 선도대학 육성(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58억원)
- 지역 내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산학 공동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기업연구역량 강화 및 기업경쟁력
강화(산학연계 농공단지 입주기업 연구개발, 13억원)
- 국제자동차경주장과 튜닝부품 시험·평가·인증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래전기차 핵심부품 산업육성
(미래형 전기차 부품개발사업, 103억원)
- 배터리 리사이클링 센터 구축을 통한 재사용·재제조 제도적 기반 및 산업화 기반확보(EV·ESS 사
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58억원)
- 국제규격의 천연물 의약품원료 생산시설을 통한 지역 바이오미래 신산업 촉진(국제규격 천연물의
약품원료 대량생산시설 구축, 40억원)
- 바이오기업의 글로벌기업 육성 지원을 통해 면역치료분야의 국가거점으로 기반확립을 위한 플랫
폼 구축(면역세포치료 산업화 기술플랫폼 구축, 70억원)
- 친환경/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확대에 따른 미래형 자동차 튜닝 관련 신수요 창출 및 국내 자동차 부
품업체 기술 전환 유도(미래형자동차 튜닝부품 기술개발 지원사업, 13억원)
- 도내 천연물 활용 마이크로바이옴 맞춤형 식/의약품 개발(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스마트웰에이징 기
술개발사업, 18억원)
-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의 전남 유치를 위한 기획, 지역공감대 형성 지원(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구축기반 조성, 0.7억원)
- 지역 내 선박수리산업 등 고부가가치 수리사업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여 지역산업으로 육성 추진(선
박수리지원시스템 구축, 29억원)
- 농작물 재배 환경 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에너지 융합시스템 개발(농작물대상 재생에너지 융복합시
스템 개발 및 실증, 33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2 45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전략산업국 연구바이오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표 3-14-12 ❙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6,012 2 20,381 440 626 44 4,450 - 69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나) 역할
표 3-14-13 ❙ 전라남도 전략산업국 연구바이오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등
∙ 지자체의 R&D 총괄 부서,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과학기술 종합(시행) 계획 수립, 연구개발사업의 총괄 관
리
∙ 과학문화(도시) 사업 총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45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조례)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수립, 과학기술 발전 및 과학 기술인
육성 제도 개선, 과학기술 대상 심사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전라남도 정무부지사(당연직)
- 위원임기 : 위촉직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가능. 다만, 위원이 궐위된 경우 새로 선임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하며, 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해당 위원이 그 직위에 재임하
는 기간으로 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1회 (2022.2.7.~2022.2.10., 안건상정 및 보고)
- 전남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 소속기관
표 3-14-14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윤병태 전라남도 당연직
위 원 명창환 전라남도 당연직
위 원 주순선 전라남도 당연직
위 원 김기태 전라남도 2018.12.03.~2021.12.02.
위 원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2018.12.03.~2021.12.02.
위 원 박종환 목포대학교 2018.12.03.~2021.12.02.
위 원 박종철 순천대학교 2018.12.03.~2021.12.02.
위 원 신말식 전남대학교 2018.12.03.~2021.12.02.
위 원 이인화 조선대학교 2018.12.03.~2021.12.02.
위 원 한순휘 전남대학교(여수) 2018.12.03.~2021.12.02.
위 원 김치연 목포해양대학교 2018.12.03.~2021.12.02.
위 원 안진희 광주과학기술원 2018.12.03.~2021.12.02.
위 원 이명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12.03.~2021.12.02.
위 원 백종협 한국광기술원 2018.12.03.~2021.12.02.
위 원 이종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18.12.03.~2021.12.02.
간 사 이호범 전라남도 2018.12.03.~2021.12.02.
※ 출처 : 전라남도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45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남도의 총예산은 약 33조 1,96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예산은 약 1,924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8%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0.15%
표 3-14-15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 산 331,969
재정자주도(%) 69.7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79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92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0.15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6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전라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774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046억 원과 592억 원이 투입
표 3-14-16 ❙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전남R&D전담기관운영지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운영지원
180 2,740 - 2,92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지원
587 215 865 1,66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전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과수신품종 육성 및 품질향상 연구
54,879 58,019 2,285 115,183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중소•중견기업지원을위한전기자동차개방형공
용플랫폼 개발사업
지능형저압직류기술개발
40,891 20,538 5,184 66,613
지역 산・학・연공동연구 활성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미래 이동수단 사용 경험랩 증진 기반구축
12,827 5,572 419 18,81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미래형 전기차 핵심부품 기술개발사업
조류발전실해역시험장구축
44,238 46,107 6,268 96,613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 면역치료플랫폼 구축
전기추진 차도선 및 이동식전원공급
시스템개발
104,631 59,208 13,603 177,442
합계 258,232 192,399 28,625 479,25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0년도 실적점검 및 2021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46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073개로 전국의 1.6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2.54% 증가
- 5년간 대학 3개 감소, 공공연구소 14개 증가, 기업 393개 증가
표 3-14-17 ❙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 4.15 15 4.11 15 3.61 15 3.65 14 3.31
∙ 국공립 6 6.74 6 7.59 6 7.14 6 7.06 6 6.98
∙ 사립 11 3.43 9 3.15 9 2.72 9 2.76 8 2.37
공공연구소 26 4.57 30 4.90 34 5.30 37 5.58 40 5.81
∙ 국공립 9 7.09 9 6.87 11 7.69 11 7.69 6 6.98
∙ 정부출연 4 2.50 5 2.99 4 2.37 4 2.45 4 2.35
∙ 병원 및 기타 13 4.63 16 5.10 19 5.76 22 6.16 24 6.56
기업 626 1.47 723 1.49 858 1.57 933 1.59 1,019 1.64
∙ 정부투자기관 3 6.12 3 7.14 3 5.45 3 5.56 5 8.47
∙ 민간기업 623 1.47 720 1.48 855 1.56 930 1.59 1,014 1.63
합 계 669 1.54 768 1.56 907 1.62 985 1.65 1,073 1.6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6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전라남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10개, 전문대학 9개 존재
표 3-14-18 ❙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4 - 6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8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3 1 15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전라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5만 1,117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626명(전체의 약 9.05%), 공학계열 학생이 1만 4,329명(전
체의 약 28.03%)
표 3-14-19 ❙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626 14,329 18,955 10,850 4,531 3,043 2,722 11,016 51,117
비중(%) 9.05 28.03 37.08 21.23 8.86 5.95 5.33 21.55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46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 전라북도에는 동신대 1개, 목포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4-20 ❙ 전라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동신대 (1개 센터) 2022 비위(脾胃)조절기반 Gut-Brain 시스템 제어 한의과학 연구센터 MRC
목포대 (1개 센터) 2022 바이오 메디슨 첨단제형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전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2년 기준 목포대 1개, 전남대 1개, 순천대 1개 총 3개 센터가 각각 운영 중.
순천대 1곳의 운영이 종료됨
표 3-14-21 ❙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46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전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4-22 ❙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양보건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나노융합의료부품소재 창업보육센터 2010-04-01
동신대학교 동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10
목포대학교 목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05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2018-06-01
목포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05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생물의약연구센터 바이오소재실용화창업보육센터(생물의약) 2011-06-13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바이오융합 창업보육센터(친환경) 2012-11-01
순천대학교 순천대창업보육센터 1999-12-15
전남대학교 여수사무소 전남대학교 여수창업보육센터 2005-12-08
전남도립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2-01
(재)전남환경산업진흥원 전남환경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재)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천연자원연구센터 천연소재실용화 창업보육센터(천연자원) 2013-08-01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 창업보육센터 2017-02-0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목포대 IT기반 서남권 중형조선산업 지역혁신센터
전남대(여수) 중화학설비 안전진단기술 지역혁신센터
순천대 차세대 전략산업용 희유자원 실용화 지역혁신센터
REGIONAL S&T YEARBOOK 2022 46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남에는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4-23 ❙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전라남도창의융합교육원 공립
고흥우주천문과학관 공립
곡성섬진강천문대 공립
함평자연생태과학관 공립
순천만천문대 공립
장흥 정남진천문과학관 공립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관 공립
섬진강어류생태관 공립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공립
장흥 정남진물과학관 공립
한국토종민물고기과학관 공립
무안생태갯벌센터 공립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사립
국제환경천문대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여수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46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전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1년 전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373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3,230명임
표 3-14-24 ❙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900 293 303 325 373
수혜자 수 6,943 5,677 2,430 3,936 4,506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전남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전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5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5개 지원
표 3-14-25 ❙ 전라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재)전남테크노파크 3
전용공간
10개(4,890㎡)
10 45,085 81.1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467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전라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4,05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101건
- ’14년부터 특허출원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허등록 건수는 전년 대비 증가
표 3-14-26 ❙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2,660 2,700 2,902 3,223 3,424 3,592 4,050
특허등록 건수 1,079 1,201 1,616 1,605 1,836 1,906 2,10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전라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504편, 주저자 기준 585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89%, 0.92%를 차지
표 3-14-27 ❙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1,039 1.71 15,067 14.50 435 0.86 5,014 11.53
2018 1,105 1.73 13,291 12.03 460 0.88 4,132 8.98
2019 1,174 1.75 10,426 8.88 490 0.89 3,315 6.77
2020 1,355 1.84 6,961 5.14 561 0.94 2,200 3.92
2021 1,504 1.89 2,685 1.79 585 0.92 794 1.3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6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지역주도형 R&D 기획관리 체제 정비로 전남 R&D 역량 제고
■ 목표 :
- 지역 R&D 집행절차 개선을 통한 재원 확보
- 지역주도의 R&D 추진을 위한 투자 확대(포괄보조금 점진적 확대)
- 과학기술 예산 투자에 따른 환류, 성과공유 체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R&D 투자 확대 및 국비 R&D 확보전략 강화
- (지자체 주도 R&D 분야 투자 확대) 전라남도 전체 예산대비 과학기술분야(R&D) 투자예산을 단계
적으로 확대
- (민간 R&D 투자 확대 유도) 고용 및 수요기반 R&D 지원 및 중소기업 혁신연구 투자 유도
■ R&D 투자의 평가・조정체계 기능 마련
- (전남 R&D 사업의 전략적인 자원 배분) 국가 R&D와 관련되고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현장 밀착성
혹은 클러스터 연계형 R&D 사업을 중점 지원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지역 기반의 자생적 R&D 혁신생태계 조성
■ 실행전략 :
- R&D체개 개편을 통한 지역주도 과학기술진흥 리더쉽 구축
- 지역 혁신주체 역할 강화를 통한 연구개발 경쟁력 제고
- 지역 기술사업화시스템 강화 및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2 469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정부출연연 등 국·공립 연구기관 유치 및 대형 연구인프라시설 유치를 위한 중·대형 R&D기획
추진
- 도정과 정부정책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맞춤형 중·대형 R&D사업 기획 및 중앙 부처 건의
- 연구바이오산업과를 총괄로 R&D전담기관인 ‘전남테크노파크’를 통해 농업·수산 등 비교우위 자
원 기반의 R&D 사업 공모 집중 대응
■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화·脫탄소화를 통한 미래신산업 선점
- 탄소저감형 및 수소환원 제철기술, 폐열・가스・탄소 고효율 회수기술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지속가능한 주력산업 환경 조성
- eVTOL 자율비행 핵심기술 및 실증,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 저탄소시대 대비 연구개발 및 관
련분야 인프라 조성
■ 차기정부 정책에 맞춘 탄력적 대응 및 초강력 레이저, 인공태양, 우주발사체 연구시설 조성 등
신규 사업 유치 기반 마련
- 초고출력(200 PW, 페타와트) 및 고에너지(40 kJ, 킬로줄) 기반 초강력 레이저시설을 결합한 다목
적‧집약형 연구시설 구축 마련
- 핵융합발전 산업 선점을 위한 한국형핵융합실증로, 핵융합공학연구소 등 인공태양 산업생태계 조
성 선행연구 추진
47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5절 경상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경북의 인구는 약 264만 명으로 작년보다 감소
- 전국인구대비 경북 인구의 비중은 작년 대비 소폭 감소하여 5.10%로 나타남
표 3-15-1 ❙ 경상북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2,675,128 2,675,196 2,671,108 2,651,789 2,640,965
전국대비 비율(%) 5.21 5.19 5.16 5.12 5.10
경제활동참가율(%) 64.2 64.2 64.2 63.7 63
실업률(%) 2.8 4.1 3.9 4 3.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REGIONAL S&T YEARBOOK 2022 47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북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0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16% 증가하였음
- 제조업이 42.51%로 가장 높고, 기타서비스업이 22.50%,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6.26%로 그
뒤를 이음
표 3-15-2 ❙ 경상북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104,429,785 103,149,107 104,417,627 101,370,158 104,960,491
(지역내비중,%)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5,253,510 5,331,923 5,659,475 5,358,121 5,795,998
(지역내비중,%) (5.03) (5.17) (5.42) (5.29) (5.52)
제조업 46,021,132 44,826,227 44,749,360 42,433,513 44,619,841
(지역내비중,%) (44.07) (43.46) (42.86) (41.86) (42.51)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250,034 3,326,614 3,655,638 3,737,286 3,643,244
(지역내비중,%) (3.11) (3.23) (3.50) (3.69) (3.47)
건설업 6,083,027 5,180,091 4,883,559 4,617,768 4,367,693
(지역내비중,%) (5.82) (5.02) (4.68) (4.56) (4.16)
기타서비스업 22,870,001 23,318,220 23,652,222 22,673,509 23,617,641
(지역내비중,%) (21.90) (22.61) (22.65) (22.37) (22.5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5,060,340 15,518,039 16,157,785 16,618,586 17,062,966
(지역내비중,%) (14.42) (15.04) (15.47) (16.39) (16.26)
순생산물세 5,851,514 5,670,015 5,807,681 6,056,821 6,033,008
(지역내비중,%) (5.60) (5.50) (5.56) (5.97) (5.75)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 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47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26조 8,989억 원이고, 5,22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3
만 1,79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33조 3,471억 원(전체의
26.28%)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683개(전체의 13.07%)로 가장 높
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만 5,599명(전체의
15.3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5-3 ❙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4,722,170 3.72 396 7.58 11,816 5.10
음료 제조업 222,703 0.18 27 0.52 629 0.2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40,645 0.19 61 1.17 968 0.4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9,171 0.01 7 0.13 64 0.0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9,602 0.38 20 0.38 354 0.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450,140 5.08 472 9.03 16,546 7.1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531,099 2.78 324 6.20 10,249 4.42
1차 금속 제조업 28,565,066 22.51 357 6.83 16,956 7.32
전기장비 제조업 8,475,558 6.68 246 4.71 14,271 6.1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075,780 4.79 638 12.21 17,212 7.4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911,777 10.17 612 11.71 29,071 12.5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19,331 0.33 65 1.24 1,583 0.68
가구 제조업 282,898 0.22 37 0.71 645 0.28
기타 제품 제조업 412,871 0.33 26 0.50 541 0.2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32,691 0.34 70 1.34 4,366 1.8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436 0.01 4 0.08 0 0.0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522,727 5.93 683 13.07 19,701 8.5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143,292 2.48 400 7.65 10,030 4.3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509,649 1.19 109 2.09 3,410 1.4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0,609 0.05 21 0.40 420 0.1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3,347,101 26.28 244 4.67 35,599 15.3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47,944 0.20 20 0.38 365 0.1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19,431 1.12 127 2.43 3,243 1.4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915,330 4.66 257 4.92 7,929 3.42
합 계 126,898,867 100 5,226 100 231,792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REGIONAL S&T YEARBOOK 2022 47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없음
-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고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으로 나타남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고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1차 금속 제조
업’ 과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가 있음
표 3-15-4 ❙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1차금속제조업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비교적
높음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
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
장비제조업
∙담배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낮음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47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북도는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과 ‘4차산업혁명 기술+인프라 新 성
장동력 확보’, ‘소재부품산업기술혁신으로 경쟁력강화’,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5 ❙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
구미 스마트 산업단지 조성
경북산단대개조사업 추진
수중건설로봇 실용화 사업
로봇직업혁신센터 구축사업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4차산업혁명 기술+인프라 新성장동력 확보
차세대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
소프트웨어 기반 지능형 SoC 모듈화 지원사업
XR 디바이스 개발지원센터 운영
5G 시험망 테스트베드 구축
소재부품산업기술혁신으로 경쟁력 강화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도심형 자율주행셔틀 부품 및 모듈 기반조성
자동차 튜닝기술지원 클러스터 조성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 지역거점 기반조성
탄소소재부품 리사이클링 기반구축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백신산업 전문인력 양성센터 건립
퍼스널케어융합얼라이언스육성
첨단기능성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육성
※ 출처 : 경상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2 47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6개, 일반산업단지 77개 및 농공산업단지 69개가 있음
- 총 152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113개, 총 종사자 수는 166,513명
표 3-15-6 ❙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월성전원 3,693 3,692 1 1 X 100 완료
구미국가(1단지)[재생사업지구] 10,089 10,098 2,561 2,132 80,021 100 완료
구미국가(2-4단지) 16,652 12,133 24 24 4,081 96 조성중
구미하이테크밸리 9,326 6,282 - - - 85 조성중
포항국가 28,755 17,624 107 93 12,442 100 조성중
포항블루밸리 6,080 5,484 21 5 27 20 조성중
일반
경산1 1,577 1,577 194 166 8,113 100 완료
경산2 489 486 105 97 1,746 100 완료
강동 992 991 80 60 641 99 조성중
건천제1 147 147 6 6 494 100 완료
일반
건천제2 990 990 21 21 1,125 100 완료
명계2 104 104 - - - 33 완료
문산 315 315 26 26 363 100 완료
석계 146 146 35 35 429 100 완료
석계2 122 122 14 14 250 100 완료
외동 142 142 22 22 795 100 완료
외동2 603 603 39 39 1,242 100 완료
천북 1,862 1,863 117 116 2,153 98 조성중
화산 150 149 14 14 611 100 완료
신기제2 440 440 15 9 191 100 완료
상주청리 1,295 1,221 7 4 126 98 완료
상주한방 766 766 3 3 6 97 완료
경북바이오 941 940 39 33 1,281 98 완료
47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신흥 112 112 - - - - 조성중
영일만2 720 720 8 8 1,146 100 완료
포항4 2,047 2,047 103 79 1,057 100 완료
개진 148 148 35 35 345 100 완료
성산 113 113 1 - - 100 조성중
성주 851 851 53 51 1,122 100 완료
월항 78 78 14 11 46 100 완료
두전 55 54 5 4 33 90 완료
영주 178 178 38 38 238 100 완료
고경 1,565 1,563 - - - - 조성중
왜관 2,540 2,540 382 378 8,345 100 완료
왜관3 747 744 44 43 1,191 100 완료
가흥 211 210 3 3 250 100 완료
광명 728 728 10 6 262 79 조성중
영일만3 195 195 4 2 X 25 완료
영일만4 2,600 2,600 7 1 X 100 조성중
모화 377 377 43 43 832 100 완료
경산4 2,402 2,402 - - - - 미개발
갈산 149 149 4 3 52 32 완료
영일만 964 964 11 10 894 100 완료
제내2 84 84 4 1 X 98 조성중
일반
서동 270 260 1 1 X 100 완료
구어2 829 829 44 32 843 99 완료
건천용명 116 116 6 6 140 100 조성중
연화 52 52 9 8 140 100 완료
천북2 104 104 1 1 X 13 조성중
녹동 140 140 16 13 184 100 조성중
석포 185 185 - - - - 미개발
성주2 959 959 29 25 499 100 완료
건천3 149 149 - - - - 미개발
나아 120 120 - - - 70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2 477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제내5 137 137 - - - 100 조성중
그린 871 871 - - - - 미개발
문산2 836 836 35 6 454 100 완료
검단 932 932 - - - 52 조성중
석계4 121 117 9 5 56 27 완료
양남 1,739 1,739 - - - - 미개발
열뫼 224 224 - - - 100 조성중
김천1 2,228 2,228 78 78 2,405 100 조성중
신기 126 126 2 1 X 93 완료
영천첨단부품소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1,461 1,459 61 54 2,430 99 완료
월성 668 668 - - - - 조성중
경북바이오2차 299 299 - - - - 미개발
건천4 629 629 - - - - 조성중
명계3 822 822 1 1 X 100 조성중
김천1(3단계) 1,156 1,155 16 16 642 - 조성중
대곡2 242 242 - - - - 조성중
경산3(구 진량2) 1,497 1,456 69 60 3,689 100 완료
경산1-1(구 진량3) 78 78 - - - - 조성중
고령1(구 다산) 636 636 67 64 1,563 100 완료
고령2(구 다산2) 766 704 84 78 1,591 100 완료
SK머티리얼즈(구
OCI머티리얼즈)
171 171 2 2 X 100 완료
동고령(구 박곡) 748 748 66 53 539 100 완료
일반
송곡 262 262 - - - - 미개발
상주 393 393 1 - - - 조성중
외동3 110 110 - - - - 조성중
혁신원자력연구 2,200 2,200 - - - - 조성중
대창 460 460 - - - - 미개발
경산화장품특화 149 149 - - - - 조성중
영천금호 282 282 - - - - 미개발
농공 건천 102 102 4 4 424 100 완료
47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내남 90 90 3 3 302 100 완료
서면 113 113 14 13 202 100 완료
안강 150 150 13 12 364 100 완료
외동 109 109 5 5 1,359 100 완료
고아 206 206 47 44 783 100 완료
산동 69 68 16 15 164 100 완료
해평 62 62 16 16 219 100 완료
감문 113 105 15 15 212 100 완료
대광 557 557 31 28 652 100 완료
아포 190 190 33 31 558 100 완료
지례 57 57 4 4 86 100 완료
가은 82 82 13 10 91 100 완료
가은제2 78 78 8 7 143 100 완료
마성 264 264 17 16 481 100 완료
산양 172 172 15 14 267 100 완료
영순 84 84 4 4 181 100 완료
영순제2 141 141 11 9 244 100 완료
공성 113 100 11 7 106 100 완료
외답 235 210 22 19 298 100 완료
함창 119 119 12 10 181 100 완료
함창제2 126 122 12 7 120 100 완료
화동 94 78 7 4 63 100 완료
화서 105 92 5 3 28 100 완료
화서제2 140 139 5 3 49 89 완료
남선 67 66 12 11 52 100 완료
남후 288 288 39 34 268 100 완료
풍산 215 215 28 26 415 100 완료
문수 149 149 15 14 200 100 완료
농공
반구전문 428 428 4 3 614 100 조성중
봉현 110 110 25 25 383 100 완료
장수 224 224 38 38 364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479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적서 308 308 1 1 X 100 완료
휴천 253 253 1 1 X 100 완료
고경 57 57 10 8 66 100 완료
도남 330 330 17 16 1,563 100 완료
본촌 152 152 13 12 762 100 완료
북안 157 157 15 12 236 100 완료
화산 118 118 17 15 113 100 완료
청하 195 195 24 23 362 100 완료
개진 139 139 32 29 337 100 완료
쌍림 255 255 46 40 510 100 완료
군위 301 301 36 33 724 100 완료
효령 113 113 17 16 210 100 완료
봉화 149 149 16 12 149 100 완료
봉화제2 135 135 16 16 159 100 완료
선남 73 73 10 10 147 100 완료
성주 146 146 12 11 270 100 완료
월항 258 258 27 26 584 100 완료
영덕 150 150 15 14 139 100 완료
예천 129 129 8 8 250 100 완료
울진 126 126 12 11 93 100 완료
다인 206 206 17 11 119 100 완료
봉양 195 194 17 14 192 100 완료
의성 165 165 21 16 194 100 완료
단밀 144 144 16 14 208 100 완료
청도 139 139 14 13 363 100 완료
풍각 252 252 27 25 342 100 완료
기산 176 176 21 19 235 100 완료
산양제2 134 134 8 8 66 57 완료
평해 149 149 15 11 109 61 완료
유곡 248 244 13 8 98 66 완료
영덕로하스특화 148 147 20 12 165 100 완료
48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영덕제2 326 326 7 3 10 22 완료
예천제2 257 257 21 18 185 76 완료
칠곡농기계특화 245 245 26 26 484 100 완료
남영양 30 30 4 3 35 79 완료
죽변해양바이오 149 149 5 4 36 24 완료
고아제2 263 263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2 481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경북에는 총 1,25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82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74개, ‘건설업’이 19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89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
비 제조업’(108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96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
처기업 위치
표 3-15-7 ❙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1 15 14
광업(05~08) 4 2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6 96 86
음료 제조업 10 9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7 47 4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 6 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0 17 1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 14 1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1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3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2 90 7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0 10 1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3 91 6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8 39 30
1차 금속 제조업 45 47 2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86 143 9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13 122 10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5 50 42
전기장비 제조업 100 97 83
48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8 245 18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32 106 8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 6 6
가구 제조업 11 11 9
기타 제품 제조업 30 48 3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2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2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9 19 12
건설업(41~42) 23 29 19
도매 및 소매업(45~47) 12 10 9
운수 및 창고업(49~52) 1 -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 1 1
정보통신업(58~63) 95 86 82
금융 및 보험업(64~66) 1 1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1 77 7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3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2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4 3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1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708 1,551 1,252
REGIONAL S&T YEARBOOK 2022 48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7,398명(전국의 3.49%)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0.95%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4,842명(전국의 2.92%)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9,965명(전국의 4.74%), 공공연구소는 2,591명(전국의 3.89%) 차지
표 3-15-8 ❙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700 5.22 8,579 4.46 9,532 4.91 9,463 4.57 9,965 4.74
∙ 국공립 1,844 2.41 703 0.88 1,009 1.26 1,068 1.23 1,086 1.25
∙ 사립 7,856 7.19 7,876 6.97 8,523 7.46 8,395 6.97 8,879 7.20
공공연구소 2,007 3.60 2,333 4.00 2,709 4.34 2,529 3.94 2,591 3.89
∙ 국공립 682 6.37 947 7.74 1,196 9.28 1,113 8.68 1,019 7.58
∙ 정부출연 234 0.73 242 0.74 238 0.69 246 0.72 286 0.84
∙ 병원 및 기타 1,091 8.33 1,144 8.43 1,275 8.46 1,170 6.74 1,286 6.69
기업 14,671 3.59 14,862 3.38 14,401 3.12 14,035 2.95 14,842 2.92
∙ 정부투자기관 563 14.33 617 15.80 482 12.54 373 9.97 391 10.12
∙ 민간기업 14,108 3.48 14,245 3.26 13,919 3.04 13,662 2.89 14,451 2.86
합 계 26,378 4.06 25,774 3.73 26,642 3.71 26,027 3.48 27,398 3.4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8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경상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9명 증가한 75.3명으로 조사됨
표 3-15-9 ❙ 경상북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72.3 72.6 73.1 72.4 75.3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경상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7,751억 원(전국의 2.72%)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7위에 해당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감소율은 약 3.4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416억 원(전국의 4.73%), 공공연구소는
약 3,640억 원(전국의 3.03%), 기업이 약 1조 9,695억 원(전국의 2.44%)
표 3-15-10 ❙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32,923 4.98 311,501 4.42 337,130 4.57 379,579 4.54 441,565 4.73
∙ 국공립 39,406 1.33 20,244 0.66 28,253 0.86 32,168 0.85 38,560 0.91
∙ 사립 293,517 7.88 291,258 7.35 308,877 7.54 347,411 7.59 403,005 7.88
공공연구소 247,749 2.60 318,988 3.24 282,216 2.78 327,370 2.94 363,987 3.03
∙ 국공립 35,604 4.46 48,600 5.97 54,799 6.56 73,435 8.63 77,511 8.01
∙ 정부출연 68,128 0.92 88,829 1.18 42,293 0.54 47,774 0.58 61,593 0.71
∙ 병원 및 기타 144,017 10.84 181,559 12.26 185,124 12.13 206,160 10.40 224,883 9.73
기업 2,266,110 3.62 2,389,911 3.47 2,186,048 3.06 1,980,108 2.69 1,969,523 2.44
∙ 정부투자기관 46,343 5.21 38,967 4.29 36,853 4.24 32,114 3.67 36,946 4.30
∙ 민간기업 2,219,767 3.60 2,350,944 3.46 2,149,195 3.04 1,947,994 2.68 1,932,577 2.42
합 계 2,846,783 3.61 3,020,401 3.52 2,805,393 3.15 2,687,056 2.89 2,775,075 2.7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48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경상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27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0%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04%
표 3-15-11 ❙ 경상북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451 6,299 6,272 6,882 7,271
(0.6) (3.2) (3.1) (3.0) (3.0)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2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역 R&D 투자 확대
-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10억원), 스마트센서기반 건물안전 지능정보 플랫폼 개발(35.9억
원), 낙동강 녹조제어 통합 플랫폼 개발(25.8억원), 탄소복합재 핵심기술 개발사업(7.8억원) 등
■ 지역 R&D 기획・관리역량 체제 정비
- 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3.8억원), 그린바이오메디컬산업 클러스터 조성 연구용역(2억원), 경북
과학・산업 5대 권역별 전략 프로젝트 연구용역(1.8억원), 에너지 하베스팅 산업생태계 조성 연구
용역(1.7억원), 미래형 자동차 전장부품 클러스터 구축 연구용역(0.9억원) 등
■ 지역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381.8억원), 이전공공기관연계 육성사업(34.9
억원),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21.1억원) 등
■ 지역기반 경제・사회적 성과창출형 R&D 투자 강화
- 수중건설로봇 실용화 사업(101억원),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99.3억원), 재난현
장 로봇 활용지원 사업(24억원),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사업(10억원) 등
48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우수인력 육성 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ICT 명품인재양성 사업(150.3억원), 지역 혁신인재 양성 프로젝트(143억원), SW중심대학 육성지
원(82억원), 인공지능대학원 지원사업(44억원),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28.5억원) 등
■ 지역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대경공동기술지주회사 창업기업 지원(33.8억원), 신전자산업 제품화 기술개발 사업(20억원), 기
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7.7억원), 경상북도기업부설연구소 R&D 레벨업 사업(3억원), 포스텍
바이오벤처펀드 조성지원(2.0억원) 등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과 학 산 업 국
과학기술 정책과
4차산업
기반과
소재부품
산업과
바이오생명
산업과
과학기술혁신
가속기신산업
첨단과학인프라
산학협력
4차산업혁명ICT융합산
업
인공지능산업
소재부품혁신
미래자동차
기계항공방위
탄소섬유화학
바이오청색기술백신신약한
의약
뷰티생명의료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표 3-15-12 ❙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30,410 2 23,774 370 752 33 5,436 - 4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487
(나) 역할
표 3-15-13 ❙ 경상북도 과학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과학기술진흥 종합정책 수립
∙ R&D 전담조직 운영 및 과학연구단지 조성
∙ 국가대형연구시설 구축 및 산업지원
∙ 로봇ㆍ나노산업 육성
∙ 연구개발특구 지정․육성
∙ 산ㆍ학ㆍ연 협력사업 추진
∙ 4차 산업혁명 대응에 관한 사항
∙ SW산업 육성ㆍ지원에 관한 사항
∙ ICT 융복합 신산업 육성
∙ 규제자유특구 및 규제샌드박스에 관한 사항
∙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지능정보기술 육성
∙ 미디어 및 이동통신산업 육성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주력산업 육성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 및 이전공공기관 연계 산업육
성
∙ 철강․자동차․기계․항공․방위산업 육성
∙ 탄소․섬유소재산업 육성
∙ (재)경북테크노파크․(재)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운영
∙ 바이오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추진
∙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추진
∙ 백신산업 기반조성 및 육성 지원
∙ 신약, 한의약, 바이오 메디푸드 산업 육성
∙ 화장품산업, 의료기기산업 육성
∙ (재)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운영 지원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설치근거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조례 제2조 및 제4조
■ 주요기능 및 역할 : 지역 과학기술진흥정책을 자문・심의・의결하는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 심의・의결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식정보산업진흥종합계획, 지자체 R&D사업 신규과제 등
- 자문 :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제도・정책,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신규사업 검토 및
조정, 지방과학기술 아젠다 발굴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1. 1월 ~ 2023. 1월 (2년)
- 위원장 :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하대성
- 위원 : 18명(당연직 3명, 민간위원 15명)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1회
- 1차(’22.01.) : 지역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추진실적 및 2022년도 시행계획(안) 심의・
의결
48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5-14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1년 10월 기준)
※ 출처 : 경상북도 내부자료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2020.08.01.~2022.08.31.
위 원(당연직) 김장호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 2021.01.11.~2023.01.10.
위 원(당연직) 장상길 경상북도 과학산업국장 2021.01.11.~2023.01.10.
위 원 하인성 경북테크노파크 원장 2021.01.11.~2023.01.10.
위 원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1.01.11.~2023.01.10.
위 원 문지훈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소재융합본부장 2021.01.11.~2023.01.10.
위 원 이동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대구경북지원장 2021.01.11.~2023.01.10.
위 원 김상우 포스텍 산학협력단장 2021.01.11.~2023.01.10.
위 원 나혜중 영남대 공업기술연구소 연구교수 2021.01.11.~2023.01.10.
위 원 이대식 대구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2021.01.11.~2023.01.10.
위 원 황형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 원 김상욱 동국대 신소재화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 원 강미숙 영남대 화학과 교수 2021.01.11.~2023.01.10.
위 원 문추연 경운대 부총장 2021.01.11.~2023.01.10.
위 원 이승환 구미대 인재개발처장 2021.01.11.~2023.01.10.
위 원 김춘희 (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장 2021.01.11.~2023.01.10.
위 원 권영희 (사)IT여성기업인협회 영남지회장 2021.01.11.~2023.01.10.
위 원 김부진 코리아향진원 대표 2021.01.11.~2023.01.10.
위 원 서인숙 인당(주) 대표 2021.01.11.~2023.01.10.
위 원 정세현
도의회 운영위, 교육위, 예결위, 신공항이전특위
위원
2021.01.11.~2023.01.10.
REGIONAL S&T YEARBOOK 2022 489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북도의 총예산은 약 39조 3,644 억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891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48%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7.29%
표 3-15-15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393,644
재정자주도(%) 71.0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5,07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891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4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7.29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9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경상북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487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예산으
로 각각 약 646억원, 약 714억 원 투입
표 3-15-16 ❙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낙동강 녹조제어 통합 플랫폼 개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
1,890 3,460 280 5,63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경북 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소재부품 산업 국가 사업화 지원
180 450 - 63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SW중심대학 지원
지역 혁신인재양성 프로젝트
61,197 12,862 22,027 96,08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친환경셀룰로오스소재센터구축
섬유빅데이터 기반 AI플랫폼 구축사업
64,598 71,421 12,639 148,658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생활소비재융복합산업기반구축
스마트공장보급지원사업
47,336 28,452 1,793 77,580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사업 지원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37,858 30,903 1,334 70,095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포항지식산업센터 건립
대경공동기술지주회사창업기업지원
3,512 3,282 715 7,509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차량용 첨단소재 성형가공 기술고도화
기반구축사업
산업용헴프규제자유특구
57,051 38,239 5,619 100,909
합계 273,622 189,069 44,407 507,097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49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136개로 전국의 3.3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6.14% 증가
- 5년간 대학 4개 감소, 공공연구소 9개 증가, 기업 448개 증가
표 3-15-17 ❙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6 6.34 24 6.58 23 5.54 24 5.84 22 5.20
∙ 국공립 5 5.62 4 5.06 4 4.76 4 4.71 3 3.49
∙ 사립 21 6.54 20 6.99 19 5.74 20 6.13 19 5.64
공공연구소 38 6.68 41 6.70 44 6.85 45 6.79 47 6.82
∙ 국공립 15 11.81 15 11.45 19 13.29 18 12.59 18 11.76
∙ 정부출연 6 3.75 7 4.19 7 4.14 7 4.29 9 5.29
∙ 병원 및 기타 17 6.05 19 6.05 18 5.45 20 5.60 20 5.46
기업 1,619 3.81 1,801 3.71 1,857 3.39 1,968 3.36 2,067 3.32
∙ 정부투자기관 2 4.08 2 4.76 2 3.64 1 1.85 1 1.69
∙ 민간기업 1,617 3.81 1,799 3.71 1,855 3.39 1,967 3.37 2,066 3.32
합 계 1,683 3.87 1,866 3.78 1,924 3.44 2,037 3.42 2,136 3.3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9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경상북도 소재 대학 수는 33개
- 일반대학 18개, 전문대학 15개 존재
표 3-15-18 ❙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6 1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14 1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2 1 30 3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경상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4만 5,85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624명(전체의 약 8.65%), 공학계열 학생이 3만 7,118명
(전체의 약 25.45%)
표 3-15-19 ❙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624 37,118 49,742 26,511 13,663 10,342 10,671 34,929 145,858
비중(%) 8.65 25.45 34.10 18.18 9.37 7.09 7.32 23.95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49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 경상북도에는 포항공대에 5개, 영남대에 2개, 경북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에 있음
표 3-15-20 ❙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포항공대
(4개 센터)
2017 세포소기관네트워크연구센터 SRC
2019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 ERC
2020 양자동역학 연구센터 SRC
2021 탄소제로 그린 암모니아 사이클링 연구센터 ERC
2022 헤테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 ERC
영남대
(1개 센터)
2019 자율형 자동차 부품소재 청색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2022 세노테라피 기반 대사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경북대학교
(1개 센터)
2021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시스템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49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동아대의 사업이 종료되었으며, ’22년 경북에는 경일대 1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5-21 ❙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2년)
주관기관 센터명
경일대 자동차 부품 시험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경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2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5-22 ❙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9-07-11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RIST창업보육센터(리스트) 1999-07-10
경북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8-01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9-15
경북전문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2-18
REGIONAL S&T YEARBOOK 2022 495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운대학교 경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4-08
경일대학교 경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2-06
구미대학교 구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구미시 구미시 창업보육센터 2005-12-31
금오공과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창업원 창업보육센터 1999-05-01
대경대학교 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2-28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3-02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2
대구한의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한방바이오창업보육센터 2007-01-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국대학교벤처 창업보육센터(경주) 2000-10-27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27
문경대학교 문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5
안동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8-10-21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영진전문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1-07-06
위덕대학교 위덕대 창업보육센터 1999-12-28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창업보육센터 1998-07-06
포항대학교 포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한동대학교 한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14
49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북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5-23 ❙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해양과학관 국립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공립
구미과학관 공립
경상북도민물고기생태체험관 공립
영천시보현산천문과학관 공립
영양반딧불이천문대 공립
울진 곤충여행관 공립
영천시 최무선과학관 공립
울진해양생태관(울진아쿠아리움) 공립
울진과학체험관 공립
김천녹색미래과학관 공립
콩세계과학관 공립
칠곡 꿀벌테마과학관 공립
로보라이프뮤지엄 사립
신라역사과학관 사립
예천천문우주센터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497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북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2개소가 운영 중
■ ‘22년 경북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11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7,518명임
표 3-15-24 ❙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180 179 153 197 222
수혜자 수 14,922 16,534 12,892 7,215 8,948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북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북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1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8개 지원
표 3-15-25 ❙ 경상북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개, 명)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북테크노파크 6
전용공간
8개(697.6㎡)
9 43,687 59.8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49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경상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6,73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390건
- 특허출원 건수는 전년 대비 0.5% 증가, 특허등록 건수는 전년 대비 3.7% 감소
표 3-15-26 ❙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6,858 7,048 6,764 6,634 6,615 6,698 6,733
특허등록 건수 4,491 4,594 4,633 4,176 4,477 4,557 4,39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경상북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674편, 주저자 기준 2,638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7.13%, 4.16%를 차지
표 3-15-27 ❙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4,463 7.33 88,852 19.91 2,244 4.44 41,441 18.47
2018 4,566 7.16 84,592 18.53 2,241 4.27 33,515 14.96
2019 4,646 6.91 57,741 12.43 2,217 4.04 25,873 11.67
2020 5,110 6.93 41,177 8.06 2,446 4.10 18,764 7.67
2021 5,674 7.13 16,204 2.86 2,638 4.16 6,565 2.4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49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경북 과학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
▣ 중점과제 및 전략
■ 지역의 R&D 혁신역량 강화를 통해 정부의 새로운 과학기술혁신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미래
과학산업 혁신성장 기반 구축
■ 4차산업혁명 기반기술과 융합을 통한 지역 전략산업 고도화 및 디지털 뉴딜 연계로 고부가가
치 미래 신성장 산업 발굴 및 육성
■ 차세대 기술 개발, 제조업 거점 육성을 본격 추진하여 주력산업 고도화 및 혁신 성장 생태계 구축
■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가속기 기반 신산업·미래차산업 육성
- 가속기 활용 첨단산업 육성
- 메타버스(디지털) 기반 제조혁신 허브
- 미래차 소재부품 산업벨트
■ 백신·바이오사넙 육성, 웰니스 산업 추진
- 글로벌 백신·바이오산업 거점화
- 의료웰니스 격차 해소
■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 국가 차세대 원자력 연구개발 거점 도약
- POST탈원전 탄소중립 산업 클러스터
50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미래산업 경쟁력 강화
- 지역과학기술 촉진을 위한 중장기 발전 전략 수립
- 과학역량 강화와 산업단지 혁신을 통한 지역산업 지원
- 첨단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 및 로봇·나노 산업 육성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혁신성장 동력 마련
■ 4차산업혁명 기술+인프라 新성장동력 확보
- 규제혁신을 통한 지역 혁신성장 동력 확보
- 新전자산업 혁신 기반조성으로 전자산업 대전환
-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 미래산업 기반 구축
- D.N.A 분야 인프라 및 산업 생태계 조성
■ 소재부품산업기술혁신으로 경쟁력 강화
- 지역특화산업 육성 지원으로 지속성장 구현
- 자동차산업 선도기술 및 미래자동차 성장기반 마련
- 철강·기계산업 고부가 혁신 인프라 구축
- 탄소·섬유산업 고부가, 친환경 생태계 조성
■ 바이오산업 육성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바이오산업 R&D 혁신기술 선제적 확보
- 글로벌 백신산업 클러스터 고도화 추진
- 첨단기술 기반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 화장품산업 기반 구축 및 뷰티산업 육성
- 의료기기 산업 기술혁신 성장동력 확보
REGIONAL S&T YEARBOOK 2022 501
제16절 경상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경남의 인구는 약 332만 명으로 작년 대비 증가
- 전국인구대비 경남 인구의 비중은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6.41%로 나타내며, 수도권을 제외하고
전국대비 인구비율이 가장 높음
표 3-16-1 ❙ 경상남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3,339,275 3,351,332 3,350,142 3,340,211 3,317,568
전국대비 비율(%) 6.50 6.50 6.47 6.46 6.41
경제활동참가율(%) 62.7 63.3 63.7 63.1 63.2
실업률(%) 2.9 3 3.8 4 4.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50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남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05.3조 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0.29%씩 감소함
- 제조업(35.61%)이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8.26%)과 정부/민간비영
리생산(18.38%)이 그 뒤를 이음
표 3-16-2 ❙ 경상남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106,561,346 107,224,316 109,370,902 103,425,415 105,347,557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3,670,953 3,939,711 4,112,210 3,778,638 3,706,445
(지역내비중, %) (3.44) (3.67) (3.76) (3.65) (3.52)
제조업 39,054,257 39,400,932 40,079,271 36,657,100 37,515,611
(지역내비중, %) (36.65) (36.75) (36.65) (35.44) (35.6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247,629 3,224,179 3,404,645 2,901,739 3,433,946
(지역내비중, %) (3.05) (3.01) (3.11) (2.81) (3.26)
건설업 6,310,432 5,863,635 5,075,589 4,574,795 4,181,171
(지역내비중, %) (5.92) (5.47) (4.64) (4.42) (3.97)
기타서비스업 29,283,561 29,545,316 30,321,909 28,944,597 29,773,584
(지역내비중, %) (27.48) (27.55) (27.72) (27.99) (28.26)
정부 / 민간비영리생산 17,138,979 17,733,907 18,627,174 18,911,836 19,361,880
(지역내비중, %) (16.08) (16.54) (17.03) (18.29) (18.38)
순생산물세 7,847,851 7,514,624 7,845,884 7,607,391 7,572,826
(지역내비중, %) (7.36) (7.01) (7.17) (7.36) (7.19)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503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경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17조 5,794억 원이고, 6,85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0
만 44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약 20조 1,810억원(전체의 17.16%)으로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374개(전체의 20.0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5만 883명(전체의 16.9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6-3 ❙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277,688 5.34 439 6.40 16,348 5.44
음료 제조업 1,371,706 1.17 27 0.39 1,740 0.5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6,709 0.27 86 1.25 1,452 0.4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7 0.39 491 0.1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2,184 0.08 11 0.16 322 0.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120,685 6.06 570 8.31 21,802 7.2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802,913 1.53 269 3.92 6,651 2.21
1차 금속 제조업 8,954,911 7.62 396 5.78 14,708 4.90
전기장비 제조업 11,679,813 9.93 396 5.78 26,173 8.7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755,698 17.65 1,374 20.04 46,175 15.3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334,645 13.04 736 10.73 30,630 10.2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0,180,981 17.16 524 7.64 50,883 16.94
가구 제조업 235,610 0.20 41 0.60 709 0.24
기타 제품 제조업 318,356 0.27 39 0.57 1,079 0.36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84,476 0.07 21 0.31 380 0.1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20,781 0.10 25 0.36 578 0.1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095,770 11.99 1,193 17.40 35,360 11.77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918,202 0.78 149 2.17 3,936 1.3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98,425 0.85 101 1.47 2,747 0.9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85,296 0.07 13 0.19 150 0.0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28,058 1.81 114 1.66 4,301 1.4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87,440 0.24 22 0.32 434 0.1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628,373 1.38 113 1.65 3,444 1.1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957,832 1.67 169 2.46 4,544 1.51
합 계 117,579,394 100 6,857 100 300,440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50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가장 높은 특화도를 나타냄
표 3-16-4 ❙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
외
비교적
높음
∙음료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자동차및트레일러제조업
낮음
∙식료품제조업
∙담배제조업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가구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가죽,가방및신발제조업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제조업
∙코크스,연탄및석유정제품제조업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505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남도는 ‘기계・항공산업’과 ‘조선・해양 산업’, ‘항노화바이오산업’, ‘나노융합・소재부품산
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6-5 ❙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기계·항공 산업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스마트제조 혁신인재 양성
스마트공장 IT
전문인력 양성
5G 활용 차세대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
스마트 제조혁신
선도대학 사업
스마트 산단 표준제조 혁신 공정모듈 구축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스마트산단 디지털 플랫폼 구축
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2.0
혁신데이터센터 구축
ICT융합 제조운영
체제개발 및 실증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
지능형기계 엔지니어링 센터 구축 사업
지역주력산업 (지능형기계) 육성지원
산업기계 에너지 저감형 재제조 기술개발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
스마트 승강기 실증 플랫폼 구축 사업
승강기산업 사업화 기술지원사업
항공 MRO 산업단지 조성 지원
사천에어쇼 개최 지원
도지사배 PAV 및 드론 경연대회 개최
항공기 복합재 부품 시험평가분석시스템 구축
50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무인항공기 통합시험
・훈련기반 구축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정 및 육성
항공ICT 국산화 상용기술 개발 지원
주력산업(항공) 육성 지원
경남항공산업지원단 운영
혁신도시 공공기관 연계사업
항공기 구조물 스마트 엔지니어링
항공 부품 설비·공정
개선 지원사업
현장맞춤형 항공 MRO
인력 양성 지원
경남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계획 수립
로봇문화 확산을 위한 콘텐츠개발 및 마케팅지원
R&D센터 활성화 정책자금 지원
제조로봇 적용 뿌리산업 공정개발 지원
스마트공장용 중소기업 보급형 로봇개발지원
로봇경진대회 지원
서비스로봇 산업육성지원
기업맞춤형 인재육성 및 로봇교육
경남 마산로봇랜드 컨벤션센터 마케팅 지원
빅데이터 활용 마이스터 로봇화 기반구축
미래 모빌리티 연구지원센터 건립
미래자동차 핵심부품
개발 및 실증지원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지원(R&D)
미래자동차 부품실증 및 사업화 지원
자동차 부품제조혁신 제품공정개선 지원
수소전기차 부품 내구성 전주기 지원 인프라 구축
메카트로닉스 융합부품소재 연구센터 지원사업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지원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2 507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극한환경 스마트기계
부품 설계/제조혁신센터 지원사업
조선해양산업
오일메이저 등 해외 발주처 벤더등록 지원
조선해양플랜트기자재 성능시험 인증비용 지원
해양플랜트 기자재 스마트모니터링 기술개발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기반 구축
해양조선산업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기업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스마트화 기술지원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기술 지원
LNG벙커링 이송시스템 테스트베드 기반구축
친환경선박 수리·개조 플랫폼 구축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혁신사업
조선업 생산기술인력 양성사업
2022 국제조선해양산업전
2022
국제LNG컨퍼런스
위기대응지역 기업비즈니스센터 운영
통영마리나비즈센터건립
항노화 바이오산업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선도센터 지원사업
지능형기계 기반 메디컬디바이스 융복합 실용화사업
퇴행성 뇌질환 제어연구 및 사업화
의료기기·의료용품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사업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
지원센터 구축
지역클러스터・병원 연계 창업인큐베이팅 지원
의료기기 업종전환 지원사업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전주기 기술사업화 지원
융복합 의생명 개방형 실험실 구축
바이오 스타트업 스튜디오 운영사업
강소연구개발특구 의료기기 전문제조기업 육성
바이오헬스산업 파트너링&콜라보 포럼 개최
50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경상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0년 추진실적 및 2021년 시행계획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항노화바이오 미래 선도기술 산업화 지원사업
항노화바이오천연물소재
응용 기술개발사업
산림생명자원 소재 발굴연구 지원사업
지역주력산업(항노화)
기업지원사업
항노화바이오 스타기업 육성사업
바이오항노화 의과학연구센터 구축사업
약용작물 소득작목화 연구
산림버섯 및 산약초 실용화 연구
나노융합·소재부품산업
경남 소재부품산업
신사업 연구기획
금속소재 실증테스트베드 구축
수송시스템용 세라믹
섬유 융복합 기반구축
지역 주력산업 세라믹융복합 첨단화 사업
마스크용 활성탄 원료 국산화 및 기업지원
나노기술 기반 대면적기능성필름 사업화지원 플랫폼 구축
경남 세라믹산업 기술 교류회
파워유닛 스마트제조
센터 구축사업
탄성소재
R&D벨트 조성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조성 및 운영
3D프린팅산업 전문인력 양성
주력산업(나노융합부품) 육성 지원
나노피아 전시회 개최 지원
전자빔을 이용한 나노 제품고급화 지원사업
소재부품장비특화단지 인력양성 사업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창원대 신소재연구센터)
실크복합소재 활용제품 개발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2 509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9개, 일반산업단지 115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81개가 있음
- 총 20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960개, 총 종사자 수는 207,621명
표 3-16-6 ❙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옥포 5,987 5,987 1 1 X 100 조성중
죽도 4,184 4,184 1 1 X 100 조성중
지세포자원비축 2,942 2,942 1 1 X 100 완료
안정 3,866 3,776 17 11 1,009 100 조성중
명지·녹산 1,672 1,672 - - - - 완료
창원 35,870 25,726 2,887 2,612 117,228 100 조성중
진해 3,269 1,663 3 3 1,140 100 조성중
밀양나노융합 1,656 1,522 3 3 372 - 조성중
경남항공 1,655 1,592 - - - - 조성중
일반
오비 196 195 5 3 61 100 완료
나전 68 68 - - - 100 조성중
덕암 156 152 24 24 688 100 완료
명동 264 263 27 27 - 30 완료
주호 117 116 10 6 105 100 완료
사포 746 745 48 35 1,151 100 완료
용전 634 634 15 14 431 100 완료
하남 1,020 1,020 43 - - 100 완료
흥사 673 673 - - - 37 조성중
덕계 360 360 23 23 565 95 완료
유산 118 118 12 11 150 100 완료
산막 1,222 1,221 165 165 3,323 100 완료
어곡 1,244 1,244 144 144 3,800 100 완료
가산 296 296 - - - 30 조성중
정촌 1,713 1,713 96 96 2,684 100 완료
51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진주상평 2,135 2,135 429 429 5,488 100 완료
일반
법송동원(구:법송) 621 621 - - - - 조성중
덕포 1,017 1,017 - - - - 미개발
안정 1,305 1,305 - - - - 조성중
거창 741 741 53 47 833 100 완료
내산 523 523 1 1 X 100 조성중
대가룡 74 74 1 1 X 100 완료
대독 266 265 1 1 X 100 조성중
율대 182 182 4 4 69 100 완료
장좌 695 695 1 1 X 100 조성중
매촌 98 98 2 1 X 100 완료
매촌제2 75 75 4 3 67 100 완료
넥센 594 593 1 1 X 100 조성중
대합 949 949 44 44 968 100 완료
억만 82 82 2 1 X 100 완료
갈사만조선 5,613 5,613 - - - - 조성중
대송 1,371 1,371 - - - 16 조성중
군북월촌 188 188 7 6 220 100 완료
법수우거 124 124 11 8 223 100 완료
칠서 3,202 3,030 104 104 3,697 100 완료
함양 741 741 3 2 X 69 완료
휴천 83 83 - - - 100 완료
대사 294 294 31 21 173 95 완료
덕계월라 442 441 - - - - 조성중
법수강주 136 136 20 16 353 100 완료
천선 110 109 25 25 660 100 완료
수곡 79 79 8 8 102 100 조성중
진전평암 81 80 1 1 X 100 완료
진북 875 873 61 61 1,806 100 완료
남양지구 293 293 48 48 667 100 완료
마천 611 611 113 113 1,559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511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죽곡 138 138 7 7 269 100 완료
창원 478 477 54 54 1,124 100 완료
어곡제2 341 330 - - - 30 조성중
일반
나전2 122 122 - - - 60 조성중
지수 123 123 2 2 X 100 완료
오척 149 149 8 8 68 100 완료
김해GoldenRoot(구 김해) 1,524 1,270 152 152 4,875 100 완료
모사 633 633 1 1 X 100 조성중
하리 222 222 1 1 X - 조성중
창곡 64 64 6 6 174 100 완료
축동 270 270 - - - - 조성중
대동 103 103 - - - - 조성중
장지 292 292 1 1 X 100 완료
김해테크노밸리 1,644 1,644 12 12 176 100 완료
대의 298 298 - - - - 조성중
서김해 449 449 - - - 93 완료
정곡백곡 147 147 - - - - 미개발
가산 99 98 - - - 100 완료
이노비즈밸리 212 212 - - - 100 완료
덕암2 42 42 - - - 100 조성중
김해사이언스파크 850 850 - - - 100 조성중
칠북영동 258 258 6 3 30 100 완료
신천 250 247 - - - 100 조성중
사내 139 139 2 1 X 100 조성중
종포 376 376 11 5 593 95 완료
토정 309 309 - - - - 조성중
용당 269 268 34 34 652 100 완료
가연 37 37 - - - - 완료
오비2 109 109 - - - - 미개발
동전 499 480 37 14 214 52 완료
51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서창 276 276 40 40 677 100 완료
병동 296 296 - - - 100 조성중
안골 237 237 - - - - 미개발
덕곡 150 150 - - - - 조성중
석계2 995 995 105 105 1,431 90 완료
법송2 87 87 - - - - 조성중
일반
봉암동원 299 299 1 1 X 74 완료
대진 251 251 - - - - 미개발
화천 296 296 - - - - 미개발
금진 298 298 - - - - 미개발
본산 59 59 - - - - 미개발
용전3 252 252 11 - - - 미개발
죽곡2 251 251 - - - - 미개발
칠원용산 189 189 - - - - 조성중
상복 116 116 6 2 X 42 완료
진주(사봉) 810 810 63 63 933 100 완료
AM하이테크 163 163 - - - 100 완료
이지(Eco-Zone) 304 304 - - - 100 조성중
향촌2 69 68 - - - - 완료
산청한방항노화 159 159 - - - - 완료
사천제1 2,545 2,543 52 48 9,711 100 완료
사천제2 1,616 1,361 20 17 554 100 완료
영남 1,410 1,410 - - - - 미개발
김해대동첨단 2,807 2,804 - - - 77 조성중
가산 672 662 - - - - 조성중
부목2 134 134 - - - - 미개발
양산[재생사업지구] 1,529 1,529 109 109 10,521 100 완료
원지 216 215 - - - - 미개발
뿌리 962 962 28 28 367 69 완료
함안(구 군북) 1,780 1,780 97 97 3,280 100 완료
군북유현 75 75 - - - - 미개발
REGIONAL S&T YEARBOOK 2022 513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용당(항공MRO) 149 149 - - - - 조성중
대성하이스코 72 72 - - - - 미개발
이당 131 119 1 1 X 86 조성중
평성 696 696 - - - - 미개발
덕산 250 250 - - - - 미개발
군북 818 818 - - - - 미개발
일반
부림 352 351 - - - - 조성중
하계 262 261 - - - - 미개발
도시첨단
창원덴소도시첨단
(구 경남지능형홈산업)
145 143 1 1 X 100
농공
한내조선특화 282 278 1 1 X 100 완료
나전 144 144 20 19 619 100 완료
내삼 113 113 25 23 252 100 완료
병동 149 149 18 18 508 100 완료
본산 147 146 10 7 349 100 완료
봉림 93 93 3 3 172 100 완료
안하 127 124 27 24 409 100 완료
진영죽곡 405 405 52 50 2,497 100 완료
하계 137 136 20 20 528 100 완료
미전 166 166 18 16 321 100 완료
부북특별 161 108 3 3 250 100 조성중
상남특별 84 84 2 2 X 100 완료
제대 192 192 2 2 X 100 완료
초동특별 317 307 43 39 652 100 완료
하남 179 177 25 18 535 100 완료
춘화 212 209 21 19 227 100 완료
곤양 84 84 9 9 222 100 완료
두량전문 118 118 20 20 484 100 완료
사남 568 568 42 41 1,968 100 완료
송포 104 104 14 12 154 100 완료
축동구호 117 117 10 10 106 100 완료
51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향촌삽재 92 92 29 26 170 84 완료
웅상 86 86 11 11 385 100 완료
대곡 133 133 16 16 409 100 완료
사봉 148 148 18 18 438 100 완료
생물산업전문 147 147 21 21 340 100 완료
실크전문 132 132 28 28 264 100 완료
이반성 141 141 9 9 448 100 완료
진성 86 86 15 15 222 100 완료
농공
남산 154 154 19 18 83 100 완료
당산 103 103 10 9 38 100 완료
서울우유 93 93 1 1 X 100 완료
석강 152 152 9 9 586 100 완료
정장 52 52 8 8 69 100 완료
석강제2 42 42 4 4 177 100 완료
마동 288 287 7 3 112 100 완료
세송 150 150 6 3 110 100 완료
율대 105 105 12 8 401 100 완료
회화 92 92 8 7 96 100 완료
고현 54 54 11 11 64 100 완료
금서 156 156 11 11 243 100 완료
금서제2 197 197 5 4 425 100 완료
산청 112 112 11 9 101 100 완료
동동 291 275 22 15 129 100 완료
봉수 317 317 31 30 310 100 완료
부림 147 147 8 8 172 100 완료
정곡 62 57 5 5 21 100 완료
남지 44 44 7 6 70 100 완료
대지 64 64 10 7 98 100 완료
대합 86 86 12 10 235 100 완료
서리전문 198 198 19 19 670 100 완료
송진전문 274 274 5 4 141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2 515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고전 76 76 6 6 59 100 완료
금성조선 146 146 - - - 100 조성중
적량 65 65 7 5 24 100 완료
진교 138 138 7 6 94 100 완료
가야 77 77 7 7 5 100 완료
군북 99 99 17 17 330 100 완료
모로 92 91 4 4 106 100 완료
법수 226 226 21 18 665 100 완료
산인 129 129 22 16 480 100 완료
장암 145 145 1 1 X 77 완료
농공
칠원용산 100 97 22 22 259 100 완료
칠원운서 95 95 59 56 386 97 완료
파수 166 166 36 29 616 100 완료
황사 146 144 14 12 260 100 완료
수동 102 102 12 12 184 100 완료
안의전문 147 146 6 6 73 100 완료
원평 136 136 3 3 142 100 완료
이은 40 40 6 6 94 100 완료
야로 114 114 17 10 163 100 완료
율곡 234 234 20 17 253 100 완료
적중 94 94 6 2 X 100 완료
대미 88 65 2 2 X - 완료
진북 133 133 21 21 538 100 완료
제일 44 45 4 4 83 100 완료
승강기전문 308 308 17 15 170 100 완료
안의제2전문 275 272 16 11 116 100 완료
화현 88 88 2 1 X 48 완료
함양중방전문 99 99 6 2 X 100 완료
인산죽염항노화 210 206 1 - - - 조성중
51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경남에는 총 1,30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69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9개, ‘건설업’이 24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10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
외’(138개), ‘정비장비 제조업’(83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6-7 ❙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3 8 4
광업(05~08) - 5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6 83 66
음료 제조업 4 5 6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3 22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1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6 5 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5 13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 9 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7 4 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 1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1 58 5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6 15 1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6 80 6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9 24 21
1차 금속 제조업 53 55 3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80 237 13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4 71 5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9 59 49
전기장비 제조업 113 106 8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79 391 310
REGIONAL S&T YEARBOOK 2022 51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3 105 6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8 82 72
가구 제조업 4 3 5
기타 제품 제조업 30 53 3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4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2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4 11 7
건설업(41~42) 24 21 24
도매 및 소매업(45~47) 12 17 12
운수 및 창고업(49~52) 3 2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 1
정보통신업(58~63) 89 84 69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2 66 5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3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2 4 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1,937 1,710 1,302
51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4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3,947명(전국의 4.32%)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
은 약 4.83%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9,479명(전국의 3.83%)으로 가장 많았고, 대
학이 10,066명(전국의 4.79%), 공공연구소는 4,402명(전국의 6.61%)를 차지
표 3-16-8 ❙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513 4.05 7,405 3.85 8,678 4.47 10,379 5.01 10,066 4.79
∙ 국공립 6,129 8.02 5,954 7.49 7,023 8.79 9,140 10.55 8,631 9.94
∙ 사립 1,384 1.27 1,451 1.28 1,655 1.45 1,239 1.03 1,435 1.16
공공연구소 3,027 5.42 3,441 5.89 4,194 6.72 4,386 6.84 4,402 6.61
∙ 국공립 561 5.24 760 6.21 1,123 8.71 1,079 8.41 957 7.12
∙ 정부출연 2,255 7.05 2,442 7.50 2,567 7.45 2,400 7.07 2,387 7.04
∙ 병원 및 기타 211 1.61 239 1.76 504 3.34 907 5.22 1,058 5.50
기업 17,574 4.30 19,889 4.52 19,702 4.26 19,537 4.10 19,479 3.83
∙ 정부투자기관 33 0.84 49 1.25 35 0.91 32 0.85 20 0.52
∙ 민간기업 17,541 4.33 19,840 4.55 19,667 4.29 19,505 4.13 19,459 3.85
합 계 28,114 4.32 30,735 4.45 32,574 4.53 34,302 4.59 33,947 4.3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519
■ ’21년 경상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명 감소한 69.0명으로 조사됨
표 3-16-9 ❙ 경상남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58.6 65.4 68.1 70.0 69.0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경상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4,080억 원(전국의 3.34%)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5위 수준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55%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759억 원(전국의 2.96%), 공공연구소는
약 9,516억 원(전국의 7.93%), 기업이 약 2조 1,806억 원(전국의 2.7%)
표 3-16-10 ❙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44,190 2.16 172,789 2.45 337,130 4.57 218,661 2.62 275,877 2.96
∙ 국공립 123,749 4.18 152,009 4.92 28,253 0.86 193,580 5.13 241,769 5.73
∙ 사립 20,441 0.55 20,780 0.52 308,877 7.54 25,081 0.55 34,108 0.67
공공연구소 548,811 5.75 605,808 6.15 282,216 2.78 710,301 6.39 951,590 7.93
∙ 국공립 44,009 5.52 49,046 6.03 54,799 6.56 46,492 5.46 45,815 4.74
∙ 정부출연 489,376 6.60 535,486 7.09 42,293 0.54 601,748 7.26 835,040 9.58
∙ 병원 및 기타 15,426 1.16 21,276 1.44 185,124 12.13 62,060 3.13 70,735 3.06
기업 1,760,698 2.81 2,083,869 3.03 2,186,048 3.06 2,160,855 2.94 2,180,569 2.70
∙ 정부투자기관 4,262 0.48 2,409 0.27 36,853 4.24 1,762 0.20 285 0.03
∙ 민간기업 1,756,436 2.85 2,081,460 3.06 2,149,195 3.04 2,159,093 2.97 2,180,284 2.73
합 계 2,453,699 3.11 2,862,466 3.34 2,805,393 3.15 3,089,817 3.32 3,408,036 3.3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2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경상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9,62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8.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1.21%
표 3-16-11 ❙ 경상남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2,832 15,351 18,365 22,156 19,628
(6.7) (7.8) (9.0) (9.7) (8.1)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24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지역 R&D 체계 개선으로 지역 R&D 싱크탱크 육성
< 지역 신사업 창출 기반강화 >
- 미래변화 대응 전략산업 발굴(2억원), 경남 소재부품산업 신사업 연구기획(2.5억원), 경남 수소산
업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2억원), 경남 로봇산업 육성방안 수립 용역(1.2억원), 친환경 토양 관리
기술 연구(6.9억원) 등
< 지역 주도적 R&D 역량 강화 >
-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19.3억원), 신사업발굴 전략기획팀 운영(2억원), 연구개발지원단 지
원사업(3.8억원) 등
■ 지역 핵심산업 혁신성장 기반 구축으로 지역 산업 구조고도화 실현
< 지역 전략산업 혁신성장 기반강화 >
- 스마트 산단 표준제조혁신 공정모듈 구축(245억원),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190억원),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190억원), 용당 산업단지(항공MRO)조성사업(179억원), 무인선박 규제자유
특구 혁신사업(123.8억원), 지능형기계 엔지니어링센터 구축사업(106.9억원), 공정혁신 시뮬레
REGIONAL S&T YEARBOOK 2022 521
이션 센터(101억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70억원),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 기반 구
축(66.9억원), 지역특화산업육성 기업지원(29.5억원) 등
< 미래 먹거리산업 성장주도 >
- 수소액화 실증 플랜트 구축 및 운영사업(254억원),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지원(R&D)(88억원),
미래자동차 핵심부품개발 및 실증지원(85억원), 무인항공기 통합시험・훈련기반 구축(57억원), 제
조로봇 적용 뿌리산업 공정개발 지원(30억원), ICT융합 제조운영체제개발 및 실증(28.9억원) 등
■ 기업 R&D역량 강화 및 산학연 연계강화로 지역 전략산업 고도화 촉진
<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및 기초원천기술 역량강화 >
- 항공기 복합재 부품 시험평가분석시스템 구축(96억원), 금속소재 실증테스트베드 구축(117억원),
경제협력권산업(친환경선박) 육성 지원(58억원),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기술 지
원(64.9억원), 항공 부품 설비공정개선 지원사업(40억원), 초고압 직류기반 전력기기 국제공인시
험인증기반구축(27.6억원) 등
<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촉진 >
- 강소특구 사업화 지원(211억원), 지능형기계기반 메디컬디바이스 융복합 실용화사업(53.6억원),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 구축(16.5억원), 중소기업 R&D사업화지원센터(10억원) 등
■ 기술창업 촉진 및 지역 과학기술 핵심인력 양성, 과학문화 저변 확산
< 대학 R&D 역량강화 및 혁신기관 연계지원, 기술창업 촉진 >
-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282억원), 스마트 제조혁신 선도대학 사업(67.5억원), 국가
혁신융복합단지 지정 및 육성(65억원), 혁신도시 공공기관연계사업(42.5억원), 창업도약 패키지
지원사업(95억원),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56억원), 경남 창업투자펀드 조성
(50억원), 초기 창업패키지 지원사업(26.6억원) 등
< 과학기술 핵심인력 양성 및 과학문화 거점 강화 >
- 로봇문화 확산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마케팅 지원(27.5억원), 2020 국제조선해양산업전(10억원),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지원(9.5억원), 경남형 스마트 일자리 전문인력 양성(7.8억원), 스마트공장
IT 전문인력 양성(6.9억원), 지역과학기술문화 활성화 지원사업(4억원) 등
52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혁신국 신산업연구과에서 담당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도지사
경제부지사
지 역 과 학 기 술 위 원
회
산업통상국
산업정책과
경남테크노파크
(경남연지단)
산업체 혁신기관 학교...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표 3-16-12 ❙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8,550 2 22,371 343 478 50 5,233 - 73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523
(나) 역할
표 3-16-13 ❙ 경상남도 산업통상국 산업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제조업 혁신 등 산업·경제 혁신에 관한 사항 총괄
∙ 기계산업, 로봇산업, 나노융합산업, 자동차산업, 조산해양
산업 육성
∙ 에너지 분야, 원자력산업, 수소산업, 신재생에너지 육성
∙ 국제통상, 수출진흥, 국제교류에 관한 사항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제조업 혁신 등 산업·경제 혁신에 관한 사항 총괄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추진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시행, 연구개발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 바이오헬스산업, 스마트산업, ICT/SW융합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사업 지원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기관 유치‧육성에 관한 사항
∙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 기업연구소 유치‧육성에 관한 사항
∙ 연구소기업, 첨단기술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중소기업 R&D 사업화 지원
∙ 연구개발(R&D)협의회 구성 및 운영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시행
∙ 과학기술인 및 지방과학관 육성 지원
∙ 과학관 등록 및 사립과학관 설립계획 승인
∙ 경상남도 과학대전 개최
∙ 경남과학연구단지 조성 및 운영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 지역 과학기술 혁신과 정보 및 인력개발 등 과학기술 기본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기금 조성・관리 운용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021.03.04.~2023.03.03.(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 (2022년) : 2회
-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內 반영을 위한 경남도 정책과제(’22.10.12.~ ’22.10.14.)
- 제6차 경남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의결(’22.12.)
52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6-14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 출처 : 경상남도 내부자료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종원 경상남도 2021.03.04.~2023.03.03.
위 원 조현준 경상남도 2021.03.04.~2023.03.03.
위 원 김진기 경상남도의회 2021.03.04.~2023.03.03.
위 원 이재현 창원대학교 2021.03.04.~2023.03.03.
위 원 이선아 경상국립대학교 2021.03.04.~2023.03.03.
위 원 김지연 인제대학교 2021.03.04.~2023.03.03.
위 원 지영주 경남대학교 2021.03.04.~2023.03.03.
위 원 김종욱 한국전기연구원 2021.03.04.~2023.03.03.
위 원 김형욱 한국재료연구원 2021.03.04.~2023.03.03.
위 원 김경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2021.03.04.~2023.03.03.
위 원 임근희 한국과총경남지역연합회 2021.03.04.~2023.03.03.
위 원 원기복 경상남도교육청 2021.03.04.~2023.03.03.
위 원 김승철 (재)경남테크노파크 2021.03.04.~2023.03.03.
위 원 김정숙 한국여성경제인협회경남지회 2021.03.04.~2023.03.03.
REGIONAL S&T YEARBOOK 2022 525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남도의 총예산은 약 38조 5,900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2,218억원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5.87%
표 3-16-15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385,900
재정자주도(%) 67.5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6,184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2,21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5.87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2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경상남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3,273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이 투자했으며, 각각 1,381억 원,
1,052억원을 투자
표 3-16-16 ❙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수소버스용충전소실증지원(R&D)
지능형기계기반 메디컬디바이스 융복합
실용화사업
7,598 10,242 358 18,19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무인선박규제자유특구혁신사업
5G 활용 차세대 스마트공장
규제자유특구
12,050 12,899 1,847 26,79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구축 분담금 - 898 - 898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스마트제조혁신선도대학사업
38,875 5,357 2,492 46,72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혁신도시 공공기관연계사업(오픈랩)
방산혁신클러스터시범사업
17,306 21,640 1,820 40,766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수소액화실증플랜트구축및운영사업
스마트산단표준제조혁신공정모듈구축
138,134 105,234 83,940 327,307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통영 마리나비즈센터 건립
유용곤충 이용기술 개발
3,754 7,733 113 11,600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에너지자급자족화인프라구축
초고압직류기반전력기기국제공인시험인
증기반구축
33,846 22,640 10,540 67,02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강소특구 사업화 지원
스마트양식클러스터조성사업
41,015 35,147 2,912 79,074
합계 292,578 221,789 104,022 618,38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527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875개로 전국의 4.54%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08% 증가
- 5년간 대학 수 3개 증가, 공공연구소 9개 증가, 기업 676개 증가
표 3-16-17 ❙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 5.61 26 7.12 27 6.51 27 6.57 26 6.15
∙ 국공립 11 12.36 13 16.46 12 14.29 12 14.12 11 12.79
∙ 사립 12 3.74 13 4.55 15 4.53 15 4.60 15 4.45
공공연구소 33 5.80 34 5.56 36 5.61 40 6.03 42 6.10
∙ 국공립 11 8.66 11 8.40 13 9.09 13 9.09 13 8.50
∙ 정부출연 10 6.25 10 5.99 10 5.92 9 5.52 11 6.47
∙ 병원 및 기타 12 4.27 13 4.14 13 3.94 18 5.04 18 4.92
기업 2,131 5.01 2,493 5.14 2,629 4.80 2,761 4.72 2,807 4.51
∙ 정부투자기관 2 4.08 3 7.14 2 3.64 2 3.70 1 1.69
∙ 민간기업 2,129 5.01 2,490 5.13 2,627 4.80 2,759 4.72 2,806 4.51
합 계 2,187 5.03 2,553 5.18 2,692 4.82 2,828 4.75 2,875 4.5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2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경상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9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1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6-18 ❙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7 9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2 8 1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2 16 2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경상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만 8,33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8,885명(전체의 약 11.3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368명
(전체의 약 28.55%)
표 3-16-19 ❙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8,885 22,368 31,253 16,801 4,017 6,901 4,897 14,469 78,338
비중 11.34 28.55 39.90 21.45 5.13 8.81 6.25 18.47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2 529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
의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
심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2년 경상남도에는 창원대1개, 경상대에 3개, 인제대에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표 3-16-20 ❙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2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창원대
(1개 센터)
2019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 부품 설계/제조 혁신 센터 RLRC
경상대
(3개 센터)
2017 산업수요기반 고효율・안전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ERC
2021 항노화 바이오소재 세포공장 지역혁신연구센터 RLRC
2022 식물생체리듬연구센터 SRC
인제대
(1개 센터)
2018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 2022년 12월 기준 사업종료 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021년 시점으로 운영하는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53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경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6-21 ❙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경남대학교 경남대학교 창업보육관 1999-09-30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거창대학디자인창업보육센터 2000-12-3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4-20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칠암 창업보육센터 2001-06-29
경상남도(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경상남도창업보육센터(GNBI) 2001-10-18
동원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1-17
(재)경남테크노파크 로봇 창업보육센터 2015-05-13
마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9-12-14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창업보육센터 2003-04-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스마트바이오 창업보육센터 2022-11-13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스 창업보육센터 2001-01-05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그린 창업보육센터 2000-02-10
인제대학교 인제대김해 창업보육센터 2001-03-23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22-03-01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14
창원문성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창업지원단 창업보육센터 1999-11-10
한국국제대학교 한국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기술창업센터 2001-07-10
REGIONAL S&T YEARBOOK 2022 53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남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5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가 운영 중
표 3-16-22 ❙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구분
국립밀양기상과학관 국립
거제조선해양문화관 공립
창원과학체험관 공립
통영수산과학관 공립
천적생태과학관 공립
지리산생태과학관 공립
옥포대첩기념공원 공립
의령곤충생태학습관 공립
김해천문대 공립
함양약초과학관 공립
고성공룡테마과학관 공립
사천첨단항공우주천문대 공립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공립
양산3D과학체험관 공립
경상남도교육청 과학교육원 공립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공립
부경동물원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53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경남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3개소가 운영 중
■ ’21년 경남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96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8,874명임
표 3-16-23 ❙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276 231 259 479 337
수혜자 수 9,714 8,013 7,886 9,081 9.874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 과학문화 거점센터
■ 과학문화 거점센터는 지역의 주도적인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지역의 과학문화 정책 수립 및 네
트워크 구축, 지역 내 추진 동력 확보를 위한 민간/단체/클럽/기업 등을 적극 발굴 지원하고,
지역주민 대상 과학문화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한 지역의 과학문화 전담 추진체
- ’20년도부터 지방정부 내에서 과학문화가 과학교육·문화, 혁신정책과 연계된 지역 주도 과학문화
정책 수립·추진하여 지역 간 과학문화 격차 해소 및 활성화 도모를 위해 경남지역 과학문화 거점센
터를 지정·운영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거점센터에서는 각층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음
- 경남지역의 과학문화 활동 주체는 공공‧민간‧단체 7개, 우리동네 과학클럽 6개 지원
표 3-16-24 ❙ 경상남도 과학문화 거점센터 현황(2022년) (단위 : 명, 건)
운영기관 인력현황 시설현황 활동주체 발굴건수 수혜자 수 과학문화 향유도
(재)경남테크노파크 6
전용공간
8개(1,296.7㎡)
13 28,264 57.6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말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2 533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경상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6,96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099건
- 특허출원 건수는 작년 대비 증가
- 특허등록 건수는 ’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6-25 ❙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5,548 6,625 6,609 6,521 6,657 6,810 6,964
특허등록 건수 2,840 3,538 3,738 3,751 3,956 4,059 4,099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경상남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363편, 주저자 기준 2,022편으로 점유
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48%, 3.19%를 차지
표 3-16-26 ❙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060 5.02 54,947 17.96 1,463 2.89 17,472 11.94
2018 3,396 5.32 40,886 12.04 1,599 3.05 15,801 9.88
2019 3,589 5.34 39,145 10.91 1,687 3.07 14,021 8.31
2020 3,977 5.39 24,894 6.26 1,817 3.04 9,005 4.96
2021 4,363 5.48 10,513 2.41 2,022 3.19 3,814 1.8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53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4차 산업혁명 주도형 기술혁신으로 세계 최고의 스마트 경남 실현
■ 목표
-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산학연 협력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제고
- 주력산업 및 신산업 응용기술 및 현장 애로기술 기획‧개발 혁신체계 구축
- 디지털융합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과학기술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촉진 등 도내 과학 거버넌스 확립
- 경남형 뉴딜・메가시티 등 경남도 주요 정책추진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 추진전략
■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산학연 협력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제고
-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기초・원천기술 육성
- 기업·대학 간 연계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유망 중소기업 및 산‧학‧연 연계협력 R&D 지원
■ 주력산업 및 신산업 응용기술 및 현장 애로기술 기획‧개발 혁신체계 구축
- R&D 신산업 및 제조업종별 응용기술 및 애로기술 개발 기획‧발굴‧지원
- 과학기술혁신 거점 지원 및 연계를 통한 R&D 활성화
■ 디지털융합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친환경․디지털 혁신으로 제조산업 활력 제고
- 지역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신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 제조혁신을 위한 산업현장 스마트화 확산
- 첨단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 IT/SW산업 지원
-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첨단산업 집중 육성
■ 과학기술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촉진 등 도내 과학 거버넌스 확립
REGIONAL S&T YEARBOOK 2022 535
- 도내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강화 및 전략산업 핵심인력 양성
- 도민 대상 과학교육 및 과학 기술・문화 중요성 홍보 강화
- 지역 과학관 활성화를 통한 과학기술문화 향유 확대
- R&D 전담기관 역할 확대를 통한 지역 R&D 관리 체계 구축
■ 경남형 뉴딜・메가시티 등 경남도 주요 정책추진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 D·N·A 생태계 조성 및 주력산업 스마트화로 기업, 산업구조의 디지털 기반 대전환 추진
※ D·N·A(Data, Network, Artificial Intelligence(A.I.))
- 환경・사람 중심의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저탄소 신재생 기술 확산
- 부울경의 메가시티 정책추진에 따른 역할 분담으로 시너지 창출 지원
53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기초·원천기술 육성 및 산학연 협력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혁신 제고
-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기초・원천기술 육성
- 기업·대학 간 연계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유망 중소기업 및 산‧학‧연 연계협력 R&D 지원
■ 주력산업 및 신산업 응용기술 및 현장 애로기술 기획‧개발 혁신체계 구축
- R&D 신산업 및 제조업종별 응용기술 및 애로기술 개발 기획‧발굴‧지원
- 과학기술혁신 거점 지원 및 연계를 통한 R&D 활성화
■ 디지털융합 기반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친환경․디지털 혁신으로 제조산업 활력 제고
- 지역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신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 제조혁신을 위한 산업현장 스마트화 확산
- 첨단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 IT/SW산업 지원
-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첨단산업 집중 육성
■ 과학기술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촉진 등 도내 과학 거버넌스 확립
- 도내 대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강화 및 전략산업 핵심인력 양성
- 도민 대상 과학교육 및 과학 기술・문화 중요성 홍보 강화
- 지역 과학관 활성화를 통한 과학기술문화 향유 확대
- R&D 전담기관 역할 확대를 통한 지역 R&D 관리 체계 구축
■ 경남형 뉴딜・메가시티 등 경남도 주요 정책추진을 위한 과학기술적 지원
- D·N·A 생태계 조성 및 주력산업 스마트화로 기업, 산업구조의 디지털 기반 대전환 추진
- 환경・사람 중심의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저탄소 신재생 기술 확산
- 부울경의 메가시티 정책추진에 따른 역할 분담으로 시너지 창출 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2 537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21년 제주도의 인구는 약 67만 명으로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인구대비 제주도 인구의 비중도 1.30%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가장 높은 경제활동참가
율을 보임(69.6%)
표 3-17-1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도
항목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인구(명) 634,919 654,543 663,803 668,699 673,189
전국대비 비율(%) 1.24 1.27 1.28 1.29 1.30
경제활동참가율(%) 72.3 69.8 69.9 68.8 69.6
실업률(%) 1.9 2 2.1 2.5 3.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2. 12.)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노동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시점
: 2022.12.)
3)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결과(11월 1일자)를 기초로 인구동태(출생, 사망)와 국제인구이동 통계를 활용, 기준인구(2021년 7월 1일자) 확정
53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제주도의 ’21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8.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약 1.29%의 감소율을 보임
- 기타서비스업이 약 47.10%로 비중이 가장 높고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4.70%로 그 뒤를 이음
표 3-17-2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지역내총생산 19,144,657 18,968,300 19,186,190 17,957,495 18,175,224
(지역내비중, %) (100) (100) (100) (100) (100)
농림・어업・광업 1,903,679 1,658,229 1,625,596 1,678,348 1,706,072
(지역내비중, %) (9.94) (8.74) (8.47) (9.35) (9.39)
제조업 777,345 749,941 716,737 683,443 709,221
(지역내비중, %) (4.06) (3.95) (3.74) (3.81) (3.9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65,495 349,266 321,341 353,260 378,560
(지역내비중, %) (1.91) (1.84) (1.67) (1.97) (2.08)
건설업 2,145,254 1,752,148 1,560,731 1,257,515 1,019,834
(지역내비중, %) (11.21) (9.24) (8.13) (7.00) (5.61)
기타서비스업 8,424,267 8,904,420 9,187,410 8,201,315 8,561,091
(지역내비중, %) (44.00) (46.94) (47.89) (45.67) (47.10)
정부/민간비영리생산 3,904,838 4,082,347 4,302,225 4,395,741 4,489,275
(지역내비중, %) (20.40) (21.52) (22.42) (24.48) (24.70)
순생산물세 1,628,587 1,504,838 1,503,707 1,425,548 1,383,680
(지역내비중, %) (8.51) (7.93) (7.84) (7.94) (7.61)
※ 주1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2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4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21)
REGIONAL S&T YEARBOOK 2022 539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20년 제주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조 6,345억 원이고, 23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5,425
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식료품 제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각각 약 6,242
억 원(전체의 38.19%), 94개(전체의 40.87%), 2,355명(전체의 43.41%)
표 3-17-3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20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24,232 38.19 94 40.87 2,355 43.41
음료 제조업 370,328 22.66 13 5.65 87 1.6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2 0.87 -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 0.87 -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 1 0.43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8,268 2.34 12 5.22 253 4.6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36,172 14.45 50 21.74 800 14.75
1차 금속 제조업 - - 1 0.43 - -
전기장비 제조업 36,786 2.25 9 3.91 176 3.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1,875 1.34 6 2.61 62 1.14
기타 제품 제조업 4,303 0.26 3 1.30 34 0.6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0.43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5,615 2.18 8 3.48 99 1.8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 1 0.43 -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 2 0.87 -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0.43 -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2,615 5.05 1 0.43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0,479 3.09 8 3.48 182 3.3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7,448 3.51 15 6.52 282 5.20
합 계 1,634,474 100 230 100 5,425 100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사업체 수,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필터적용
생산액 : 광업·제조업>광업제조업조사>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광업,제조업]시·도별/품목별 사업체수, 생산액, 출하 및 연말 재고액(10인이상)
54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분야는 ‘비금
속 광물제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7-4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20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식료품제조업
∙음료제조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비교적
높음
∙펄프,종이및종이제품제조업
낮음
∙화학물질및화학제품제조업;의약
품제외
∙목재및나무제품제조업;가구제외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
∙의료용물질및의약품제조업
∙고무및플라스틱제품제조업
∙1차금속제조업
∙전기장비제조업
∙기타기계및장비제조업
∙기타제품제조업
∙산업용기계및장비수리업
∙금속가공제품제조업;기계및가구제외
∙섬유제품제조업;의복제외
∙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제조업
∙의복,의복액세서리및모피제품제조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조
업
※ 주1 : 매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부가가치: 광업·제조업>조사기반>2020년 기준 조사편>10차 산업분류 개정>[광업,제조업]산업중분류별/시·도별 주요지표(10인이상) /
종사자 수 : 경제일반·경기>전국사업체주사>조사기반>10차개정>시도·산업·종사자규모별 사업체수, 종사자수(’06~)>10인상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2 541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제주도는 ‘스마트아일랜드 구축’과 ‘신재생에너지산업’,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지능형
MICE 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7-5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스마트아일랜드 구축
2021년 스마트시티챌린지 본사업
디지털제조 Try-out 센터 구축사업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 육성을 위한 OpenLAB구축과 기반기술 보급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제주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규제자유특구사업
전기차배터리 재사용 기반 연계 다각화 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전기차 통합유지보수 기반 구축사업
장애인 등 교통약자 맞춤형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사업
8MW 부유식 해상풍력시스템 개발과제
제주 신재생에너지산업 융복합 EV 충전스테이션 구축사업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제주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 운영
청정 기능성 식품산업 기반구축 사업
화장품 임상 솔루션센터 구축사업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화장품 플랫폼 구축사업
자율운영대학 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제주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운영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지능형 MICE산업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
54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및 2022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3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64개, 총 종사자 수는 3,936명
표 3-17-6 ❙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2년 3/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제주첨단과학기술 1,099 1,071 193 190 3,042 100 완료
제주첨단과학기술2단지 848 847 - - - - 미개발
일반 용암해수 197 197 19 19 196 100 완료
농공
대정 115 115 22 20 194 100 완료
구좌 67 67 18 18 158 100 완료
금능 130 130 19 17 346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2, 3/4 분기)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글로벌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지원사업
지역 SW기업 성장지원사업
국제 크루즈산업 네트워크 활성화
방송장비산업 인프라구축사업
제주관광 빅데이터 이슈 분석
REGIONAL S&T YEARBOOK 2022 543
(나) 벤처기업현황
■ ’22년 제주도에는 총 22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75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24개, ‘도매 및 소매업’이 1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식료품 제조업’(29개),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16개),
‘전기장비 제조업’(15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7 ❙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2022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9 7
광업(05~08) - -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2 30 29
음료 제조업 5 5 3
담배 제조업 -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 1 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1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 2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1 17 1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 1 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 2 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 1 1
1차 금속 제조업 - -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 1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4 5 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 2 4
전기장비 제조업 21 15 15
54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부 요청자료, 2022년 12월 말 기준 집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2020 2021 20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7 4 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 1 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1 1
가구 제조업 - 1 -
기타 제품 제조업 7 10 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 3 1
건설업(41~42) 7 6 5
도매 및 소매업(45~47) 14 14 15
운수 및 창고업(49~52) 3 1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 2 1
정보통신업(58~63) 53 62 75
금융 및 보험업(64~66) - - -
부동산업(68) - -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3 20 2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6 4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 -
교육 서비스업(85) -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4 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 -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 -
국제 및 외국기관(99) - - -
총합계 238 222 227
REGIONAL S&T YEARBOOK 2022 54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제주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7위 수준
- ’21년 연구개발인력은 4,039명(전국의 0.51%)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률은
약 5.8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2,180명(전국의 1.04%)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연
구소가 922명(전국의 1.39%), 기업이VK 937명(전국의 0.18%)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7-8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84 1.01 1,811 0.94 1,735 0.89 2,104 1.02 2,180 1.04
∙ 국공립 1,827 2.39 1,751 2.20 1,692 2.12 2,046 2.36 2,144 2.47
∙ 사립 57 0.05 60 0.05 43 0.04 58 0.05 36 0.03
공공연구소 723 1.30 736 1.26 852 1.37 938 1.46 922 1.39
∙ 국공립 422 3.94 373 3.05 466 3.61 576 4.49 575 4.28
∙ 정부출연 74 0.23 80 0.25 84 0.24 90 0.27 94 0.28
∙ 병원 및 기타 227 1.73 283 2.08 302 2.00 272 1.57 253 1.32
기업 614 0.15 714 0.16 788 0.17 798 0.17 937 0.18
∙ 정부투자기관 28 0.71 22 0.56 21 0.55 18 0.48 18 0.47
∙ 민간기업 586 0.14 692 0.16 767 0.17 780 0.17 919 0.18
합 계 3,221 0.50 3,261 0.47 3,375 0.47 3,840 0.51 4,039 0.5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4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21년 제주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1.0명 증가한 34.5명으로 조사됨
표 3-17-9 ❙ 제주특별자치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2017년~2021년) (단위 : 명)
2017년 2018년 2019 2020 2021
28.9 27.9 30.3 33.5 34.5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국가통계포털 추계인구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21년 제주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2,433억 원으로 전국 대비 0.24%
- 지난 5년간 연구개발비의 증가율은 17.28%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842억 원(전국의 0.9%), 공공연구소는 약
943억 원(전국의 0.79%), 기업이 약 648억 원(전국의 0.08%)
표 3-17-10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7년~2021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5,997 0.84 58,688 0.83 64,437 0.87 105,129 1.26 84,206 0.90
∙ 국공립 54,159 1.83 57,330 1.86 63,527 1.94 104,373 2.76 83,538 1.98
∙ 사립 1,838 0.05 1,358 0.03 910 0.02 756 0.02 668 0.01
공공연구소 64,930 0.68 56,258 0.57 58,699 0.58 70,346 0.63 94,260 0.79
∙ 국공립 51,760 6.49 43,036 5.29 44,108 5.28 40,212 4.72 52,785 5.46
∙ 정부출연 9,358 0.13 10,775 0.14 11,160 0.14 15,333 0.19 26,002 0.30
∙ 병원 및 기타 3,812 0.29 2,447 0.17 3,431 0.22 14,801 0.75 15,473 0.67
기업 35,097 0.06 44,017 0.06 51,287 0.07 56,136 0.08 64,847 0.08
∙ 정부투자기관 1,663 0.19 3,453 0.38 2,599 0.30 3,462 0.40 1,594 0.19
∙ 민간기업 33,434 0.05 40,564 0.06 48,688 0.07 52,674 0.07 63,253 0.08
합 계 156,024 0.20 158,963 0.19 174,423 0.20 231,611 0.25 243,313 0.2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54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21년 중앙정부의 제주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858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0.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0.59%
표 3-17-11 ❙ 제주특별자치도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242 1,286 1,487 1,714 1,858
(0.6) (0.7) (0.7) (0.8) (0.8)
전국 192,688 195,745 204,597 22,724 242,125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54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21 투자실적)
▣ 목표 및 추진전략
■ 스마트 아일랜드 구축을 위한 연관 산업 육성 및 지속적 투자
- 2021년 스마트시티챌린지 본사업(100억), 디지털제조 Try-out 센터 구축사업(44.7억원), 창조
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40.1억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 육성을 위한 OpenLAB구축과
기반기술 보급(31.1억원),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19.6억원), 제주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
산 사업(15억), 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조성사업(9억원)규제자유특구 지원사업(5억) 등
■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전후방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규제자유특구사업(104.6억원), 전기차배터리 재사용 기반 연계 다각화 사
업(46.6억원),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38.4억원), 전기차 통합유지보수 기반 구축사업
(37.6억원) 장애인 등 교통약자 맞춤형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사업(30억원), 8MW 부유식 해상
풍력시스템 개발과제(28.5억원), 제주 신재생에너지산업 융복합 EV 충전스테이션 구축사업(20억
원) 등
■ 청정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산업 특화유망 분야 발굴 및 지역특화산업으로의 발전 육성
-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사업(198.5억원),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64.3억원), 제주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 운영(60.2억원), 청정 기능성 식품산업 기반구
축 사업(49.9억원), 화장품 임상 솔루션센터 구축사업(27.8억원),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화장품 플
랫폼 구축사업(21.3억), 자율운영대학 중점연구소 지원사업(14.3억원), 제주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운영(11.7억원)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10.8억원) 등
■ ICT융합기술 개발 및 SW산업 육성을 통한 MICE산업 활성화
-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사업(31억원),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사업 11.2억원) 지역문화산
업연구센터(CRC) 지원사업(6억원), 글로벌 문화콘텐츠 지원사업(6억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
성지원사업(3.7억원) 지역 SW기업 성장지원사업(3억원), 국제 크루즈산업 네트워크 활성화(3억
원), 디지털융합센터 운영지원사업(2.5억원), 방송장비산업 인프라구축사업(2.2억원), 제주관광
빅데이터 이슈 분석(1.4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2 549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제주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전략국에서 담당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표 3-17-12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1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305 5 4,698 137 103 47 1,158 157 -
* 주 : 매년 발간하는 행정안전통계연보의 전년도 지역별 공무원 정원을 기준으로 함
※ 출처 :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2021.12.31. 기준)
55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7-13 ❙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관련 현안 추진
∙ 지역그린뉴딜정책 및 디지털뉴딜정책 기획, 조정, 관리
∙ 4차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지역바이오산업, 화장품산업, 식품산업 등 지역산업 계획
수립 및 시행
∙ 기술거래 및 기술사업화 추진
∙ 지역에너지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추진 총괄
∙ 카본프리아일랜드 조성을 위한 정책 및 실행계획 수립
∙ 신재생에너지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에너지 수급 계획 및 대책 수립
∙ 전기차 및 연관산업(배터리, 충전기 등) 육성 중장기 계
획
∙ 4차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제주 한방·바이오산업 육성 종합 기획 및 조정
∙ 지역산업발전 종합계획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제주혁신클러스터 구축 및 ICT 제조산업 생태계 조성 지
원
∙ 도내 ICT 기술혁신 지원 및 산업 육성, 기업 지원
∙ 지방과학기술문화 확산 시행
∙ 기술거래, 기술사업화 추진
∙ 4차산업혁명 테스트베드 과제 발굴 및 조성
∙ 공공데이터 포털 및 인프라 구축·운영
∙ 스마트시티 사업 전략계획 수립 및 육성
∙ 빅데이터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지원
∙ 방송통신장비 산업 인프라 구축 및 차세대 방송기술 도
입·육성
∙ 지역정보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정보통신 고도화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 국가정보통신망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역 정보화 기반 조성 및 정보 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학산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 주요 기능 및 역할
- 과학기술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사항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2021.2.20.~2023.2.19.)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2년) : 1회(2022.1.24.)
- 2021년도 추진실적 및 2022년도 시행계획(안) 심의
REGIONAL S&T YEARBOOK 2022 551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7-14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1년 10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구만섭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당연직
당연직 윤형석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장 당연직
위촉직 천지연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2021.2.20.~2023.2.19.
위촉직 임희정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조교수 2021.2.20.~2023.2.19.
위촉직 이윤정 제주대학교 전산통계학과 교수 2021.2.20.~2023.2.19.
위촉직 오인실 대정중학교 과학 교사 2021.2.20.~2023.2.19.
위촉직 홍정순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인재육성부장 2021.2.20.~2023.2.19.
위촉직 고봉운 제주국제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2021.2.20.~2023.2.19.
위촉직 한충훈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주지역연합회 사무국장 2021.2.20.~2023.2.19.
위촉직 강도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연구소 소장 2021.2.20.~2023.2.19.
위촉직 오영훈 제주국제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2021.2.20.~2023.2.19.
위촉직 김창숙 제주대학교 분자생명공학전공 교수 2021.2.20.~2023.2.19.
위촉직 김호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주지역본부 본부장 2021.2.20.~2023.2.19.
당연직 양정석 제주특별자치도 바이오산업팀장(미래전략과 업무대행) 당연직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내부자료
55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주도의 총예산은 약 7조 9,874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820억 원
- 과학기술 예산 중 제주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6.68%
표 3-17-15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21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21년
총 예산 79,874
재정자주도(%) 69.6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75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82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0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6.68
※ 주1 : 총 예산 : 2021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2 55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21년 제주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537
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과제에 각각 약 276억 원,
약 242 억 원을 투자
표 3-17-16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1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산업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
친환경 에너지 보급
3,397 4,408 844 8,649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전기차배터리재사용기반연계다각화사업
청정기능성식품기반구축사업
12,020 17,527 973 30,52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서식지외보전기관 운영사업
서식지외보전기관운영
110 180 - 29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재)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운영지원
SW중심대학지원사업
4,490 3,666 938 9,094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스마트시티챌린지사업
제주 지역산업육성기획 지원사업
27,640 24,235 1,796 53,67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용암해수 미네랄 기반
건강지향성 음료 특성화 사업
지역주도형청년일자리창출사업
13,096 15,363 167 28,625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8MW 부유식해상풍력시스템개발과제
고능력수정란이용한우암소개량
3,079 586 361 4,02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축산물 고품질 생산관리 기술개발 지원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사업
1,130 940 710 2,78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제주전기차충전서비스규제자유특구사업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20,983 15,088 1,954 38,025
합계 85,944 81,991 7,743 175,67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도 실적점검 및 2022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5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21년 제주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73개로 전국의 0.43%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6.34% 증가
- 5년간 대학 수 1개 감소,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122개 증가
표 3-17-17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22 6 1.64 4 0.96 4 0.97 4 0.95
∙ 국공립 2 2.25 2 2.53 2 2.38 2 2.35 2 2.33
∙ 사립 3 0.93 4 1.40 2 0.60 2 0.61 2 0.59
공공연구소 17 2.99 16 2.61 18 2.80 19 2.87 20 2.90
∙ 국공립 9 7.09 10 7.63 11 7.69 11 7.69 12 7.84
∙ 정부출연 4 2.50 3 1.80 3 1.78 4 2.45 4 2.35
∙ 병원 및 기타 4 1.42 3 0.96 4 1.21 4 1.12 4 1.09
기업 127 0.30 165 0.34 182 0.33 204 0.35 249 0.40
∙ 정부투자기관 1 2.04 1 2.38 1 1.82 2 3.70 2 3.39
∙ 민간기업 126 0.30 164 0.34 181 0.33 202 0.35 247 0.40
합 계 149 0.34 187 0.38 204 0.37 227 0.38 273 0.4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2 555
(2) 대학
(가) 대학 수
■ ’22년도 제주도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17-18 ❙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2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2년에 제주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8,74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3,012명(전체의 약 16.07%), 공학계열 학생이 2,349명(전체의
약 12.53%)
표 3-17-19 ❙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2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3,012 2,349 5,361 3,100 1,323 1,723 1,620 5,617 18,744
비중(%) 16.07 12.53 28.60 16.54 7.06 9.19 8.64 29.97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55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
사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제주의 경우 2021년 기준 1개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7-20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혁신센터(RIC) 운영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내부자료(2022년 12월 기준)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
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2년 제주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7-21 ❙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2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 창업보육센터 2002-07-19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10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3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2 55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제주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4개소가 운영 중
표 3-17-22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2022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제주미래교육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공립
제주별빛누리공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립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공립
제주해양과학관(아쿠아플라넷제주) ㈜한화호텔&리조트 사립
아이디어생활과학관 제주돔레저 사립
로봇스퀘어 ㈜로봇스퀘어 사립
로봇플래닛 사립
※ 출처 : 전국 등록과학관 명단(한국과학관협회, 2022.10. 기준)
▣ 생활과학교실
■ 생활과학교실은 청소년 및 국민들에게 과학 체험 및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아동센터,
학교, 복지관, 주민센터 등에서 운영되는 과학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임
■ 제주지역에는 생활과학교실 지역운영센터 1개소가 운영 중
■ ’22년 제주지역의 생활과학교실은 2,638개 강좌를 운영, 수혜자 수는 24,115명임
표 3-17-23 ❙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및 수혜자 수(2018년~2022년) (단위 : 개, 명)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강좌 수 754 571 194 471 2,638
수혜자 수 6,308 6,936 5,853 9,560 24,115
※ 주 :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조사자료(2022년 12월 기준)
558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21년도 제주도 특허출원 건수는 1,046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70건
- 최근 6년간 특허출원 건수는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특허등록 건수는 ’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1년에 감소
표 3-17-24 ❙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2015년~2021년) (단위 : 건)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특허출원 건수 630 689 817 837 891 1,003 1,046
특허등록 건수 290 305 384 412 430 485 47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21년 제주특별자치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115편, 주저자 기준 497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1.40%, 0.78%를 차지
표 3-17-25 ❙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2017년~2021년)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676 1.11 8,821 13.05 323 0.64 4,293 13.29
2018 696 1.09 8,047 11.56 337 0.64 4,295 12.74
2019 867 1.29 8,775 10.12 428 0.78 4,235 9.89
2020 1,047 1.42 6,241 5.96 499 0.84 2,942 5.90
2021 1,115 1.40 2,700 2.42 497 0.78 1,195 2.4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2023), 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11~2021)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2 55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스마트한 성장을 준비하는 제주의 미래
■ 목표 :
- 미래주도형 지역 R&D 융합기술 투자 확대
- 산・학・연 중심의 과학기술 산업생태계 조성
- 국내외 과학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 추진전략
■ 디지털트윈 스마트아일랜드 구축
- D.N.A.(Data,Network.AI) 생태계 강화
- 4차 산업혁명의 선도적인 스마트 시티 구현
- 최적화된 정보서비스가 제공되는 ICT융복합 플랫폼 구축
-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기술로 안전하고 편리한 제주 구현
■ 탄소없는 섬, 제주2030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 환경 구축
- 그린 모빌리티 전후방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NET-ZERO 실현을 통한 청정환경 기반 강화
- 스마트그리드 및 청정에너지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
■ 청정자원의 고부가가치 지역특화바이오산업 육성
- 고기능성 원천 소재 발굴 및 활용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 지역산업 다각화 및 제주특화 산업 창출
- R&D-인력양성-고용이 선순환되는 산·학·연생태계 구축
■ 디지털 혁신 지능형MICE산업 활성화
560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서비스 개발
- 포스트코로나 시대 디지털 혁신을 통한 비대면 사회 MICE산업 활성화
- ICT융합산업 기반 미래성장 선도 특성화된 전문인력 양성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디지털트윈 스마트아일랜드 구축
- 공공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
∙ 제주 빅데이터 센터 운영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 컨설팅 지원 등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
는 생태구조 정립
∙ 빅데이터 분석으로 도시문제를 스마트하게 해결하고, 주민 삶의 질을 개선하며 지속가능한 변화
와 혁신 추구
∙ 제주빅데이터 센터를 활용한 민관협업으로 스마트아일랜드 혁신 생태계 확장
- 스마트 기술 활용 제조업 및 농업 활성화
∙ 제조기업 스마트 공장 및 디지털제조 Try-out센터 구축을 통해 시제품 신속 제조, 스마트 역량강
화 지원
∙ 스마트 농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 기상데이터 수집, 분석, 모델링을 실시하고, 맞춤형 솔루션 제공
- 스마트아일랜드 구축을 위한 기관 지원
∙ 신산업 분야 창업 및 육성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규제자유특구(메타버스 관광) 추진을 위한
주관기관 지원
∙ 디지털 참여 플랫폼을 통한 도민 주도형 지역 현안문제 해결
∙ 공공데이터 신규 개발 및 현행화를 통한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구축
∙ 시민 참여 리빙랩 실증을 통한 체감형 서비스 확대 및 비즈니스 모델 발
■ ‘탄소없는 섬, 제주2030’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전기차 기술 생태계 구축
∙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규제자유특구 사업 운영 및 전기차 배터리 산업화센터 운영을 통한 배터
리 재사용, 다각화 실증사업 R&D 추진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인프라 확대 및 재제조 제품 시험 평가 인증지원 기반 구축
∙ 전기차 통합유지보수 기반 구축, 충전서비스 및 충전기 구축사업 추진
-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에너지원 확대
∙ 태양광,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 및 융복합 EV충전스테이션 구축사업으로 청정에너지
REGIONAL S&T YEARBOOK 2022 561
활용 확대
∙ 에너지 수급 자족화 및 효율화를 위한 대체에너지 산업 육성 및 해상부유식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로 새로운 신재생에너지원 확보
- 에너지‧환경 관리 인력 양성
∙ 도민참여 에너지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으로 CFI2030 프로그램 실행
∙ 산학 연계를 통한 기술개발 및 실증,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추진
∙ 전 도민 대상 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스마트그리드/청정에너지 융복합 전문인력양성 지원사
업 추진
■ 청정자원의 고부가가치 지역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 제주지역 주력산업 육성 및 관련기관 지원
∙ 스마트특성화, 국가혁신클러스터 등의 사업추진을 통해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및 미래먹거
리 창출
∙ 제주청정자원 화장품원료 산업화 지원센터,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등 인프라
구축 추진
∙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산학융합원, 제주대학교 부설연구소 등의 지원으로 기초과학분야부터 산업
화까지 수행할 수 있는 연구거점 구축
- 제주 청정자원 활용 지역특화바이오산업 육성
∙ 기능성 식품을 넘어 의학바이오 등 고부가 소재개발 산업분야로 확대하여 미래 바이오 소재 원천
기술 개발 및 실용화 연구
∙ 제주산 농산물 우수성 발굴과 식품소재 연구 및 원료 표준화를 통한 식품가공 원천기술 확
∙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지원센터를 활용한 관련 산업 활성화
- 식품, 화장품산업 육성 지원
∙ 식품·화장품 기업의 생산 지원, 창업 보육 지원으로 지역기업의 역량 강화
∙ KOLAS(국제공인시험기관), ISO-22716(국제 화장품 품질인증) 등 인증활용을 통한 제품 신뢰
도 향상
∙ 로하스 등 바이오 박람회 및 학술포럼을 지원하여 지역의 자원 및 기술개발 역량 강화
■ 디지털 혁신 지능형 MICE산업 활성
- 제주 SW·ICT산업 육성 및 MICE 활성화를 위한 지원
∙ 제주관광 빅데이터 이슈 분석 및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ICT 기술 융합 스마트 관광 서비스 제공
∙ 아시아 최고의 크루즈 허브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크루즈 산업 공동발전·협력
562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및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국제 크루즈 포럼 운영
- 제주 디지털 문화산업 육성 지원
∙ 콘텐츠 산업의 기술변화에 부합하는 융복합 콘텐츠 제작 지원으로 전시·관광 산업과 연계 가능한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 육성
∙ 4차 산업 혁명 및 문화 콘텐츠 변화에 대응하는 연구기획 개발 지원
- 제주IT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육 및 인력양성
∙ 4차 산업혁명 시대 선제적 대응과 SW융합인재 양성체계 구축 및 현장중심의 문제해결능력을 갖
춘 전문 교육 강화
∙ 도내 ICT 기업 연계 프로그래밍, 그래픽, 기획 등 ICT 전문인력 양성 지원 프로그램 운영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디지털트윈 스마트아일랜드 구축
- 디지털 신산업을 통한 스마트시티 기반 조성
∙ SW융합 사업화 지원 등 SW융합클러스터 2.0사업 추진
∙ 디지털트윈, AR기반 공간정보 등 신기술을 도입하여 체감도 높은 디지털 서비스 구현
∙ 스마트시티 데이터 연계·수집·분석을 위한 스마트시티 통합센터 구축
∙ 제주 빅데이터 플랫폼 중심의 데이터 공유·활용 선순환체계 구축
∙ 관광·농업·수산업 등 지역현안 해결 및 산업 육성을 위한 데이터 구축
- 미래 모빌리티 및 항공우주산업 선도지역 육성
∙ 민관협력 기반 제주 특화형 JAM 시범사업 추진 및 전국 최초 상용화
∙ 국가위성정보 빅데이터 센터 유치 및 민간로켓 연구센터 조성
∙ 시범운행지구내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및 국책사업으로 확장, 추진
- R&D 컨트롤 타워 구축 및 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재)제주과학기술정보산업진흥원 설립을 통한 R&D 컨트롤타워 구축
∙ 4차산업 혁명시대를 선도할 제주형 미래인재 육성
∙ 중앙부처 주관 대규모 R&D 사업 유치 및 지역주도형 과학기술 R&D 사업 확대
■ ‘탄소없는 섬, 제주2030’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지속 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2 563
∙ 주민 참여, 상생을 위한 공공주도 풍력개발 사업 추진
∙ 대규모 태양광발전사업(3㎿초과) 허가권한 이양 추진(특별법 제도개선)
∙ 자가용 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한 도민 체감형 에너지 복지 추진
∙ 제주형 RE100, 전문인력 양성,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안전관리 등을 통한 제주형 재생에너지 확
대 보급 기반 조성
-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에너지 자립기반 마련
∙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특별법 시행) 및 조례 제정
∙ 출력제어 해소를 위한 인프라 구축 등 분산에너지 활성화 기반 구축
∙ 분산에너지 특례 제도 활용 전력 신산업 육성‧ 확대
∙ 사용후 배터리 전주기 관리 체계 구축 및 제품 상용화 추진
- 대한민국 그린수소 선도 산업화 기반 조성
∙ 자립형 제주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 전주기적 로드맵 수립
∙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연계 권역별 그린수소 생산단지 구축
∙ 주요 거점별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
∙ 상용차(버스, 청소차) 우선 보급으로 제주형 그린수소 모빌리티 구현
∙ 미래 그린수소도시 구현을 위한 제주형 산업·인프라 구축
■ 청정자원의 고부가가치 지역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 생약자원 기반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 맞춤형식품 ․ 메디컬 기능성 소재개발 및 기업 기술이전 등 사업화 지원
∙ 제주 생물자원 활용 바이오헬스 클러스터 구축, 상장기업 육성기반 마련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개발 등 제주형 뷰티산업 육성
- 제주 농산물 가공식품 산업 육성
∙ 잉여농산물 활용 생산-가공 산업 연계 발전 및 가공 인프라 확대
∙ 농산물 생산비 절감기술 개발, 소비자 수요 맞춤 품종 육성·이용 촉진
∙ 농산물 연중생산 및 다품목체계 구축 지원 먹거리통합지원센터 건립
- 제주 바이오산업 육성 연구개발 역량 강화
∙ 메디컬푸드, 맞춤형식품 기능성소재 개발 및 기업 기술이전 등 지원
∙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화장품 개발 등 제주형 뷰티산업 육성
564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 디지털 혁신 지능형 MICE산업 활성화
- 관광 빅데이터 구축 등 지속가능한 관광 실현
∙ 관광통계 및 기초연구 고도화 : 제주 방문관광객 실태조사(매년), 제주관광산업통계 구축 등
∙ 데이터 기반 업계 지원체계 구축 : (국비)빅데이터센터 구축, 빅데이터 기반 관광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빅데이터 이슈 분석 추진 등
- 미래분야 관광산업 전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저탄소 관광 확산 및 탄소중립 관광도시 육성
∙ 가상현실 플랫폼 활용 제주관광사업체 홍보용 가상공간 구축
∙ 글로벌 소비자 대상 한류 및 웰니스 등 최신 관광트렌드 반영 온·오프라인 홍보 마케팅 강화
- 신남방 K-컬처 산업화 추진
∙ 콘텐츠 전문 아카데미 운영을 통한 글로벌 인재 양성
∙ 제주 콘텐츠 제작 기업 발굴을 통한 콘텐츠 세계화 지원
∙ 미래기술 활용한 글로벌 콘텐츠 발굴 및 제작 지원
∙ 해외사업지원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및 콘텐츠 협력사업 발굴
REGIONAL S&T YEARBOOK 2022 565
참 고 문 헌
강원도 홈페이지 www.provin.gangwon.kr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
경상남도 홈페이지 www.gsnd.net
경상북도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논문(SCI) 질적성과 분석 연구(2011~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관계부처 합동, 지역과 함께하는 ‘지역균형 뉴딜’ 추진 방안(‘20.10.13.)
관계부처 합동, ‘지역균형 뉴딜’ 세부 지원방안(‘21.1.25.)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www.gwangju.go.kr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교육통계연보 2022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www.daegu.go.kr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www.daejeon.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1년 추진실적
벤처인 홈페이지 http://www.venturein.or.kr/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www.busan.go.kr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2년 3/4분기)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www.seoul.go.kr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www.sejong.go.kr
연구개발지원단(공동사업), 전국 연지단 지역혁신기관 활동조사보고서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www.ulsan.go.kr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www.incheon.go.kr
전라북도 홈페이지 www.jeonbuk.go.kr
전라남도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www.jeju.go.kr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http://www.mss.go.kr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www.innobiz.or.kr
566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지방재정 365 http://lofin.mois.go.kr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bi.go.kr
충청남도 홈페이지 www.chungnam.net
충청북도 홈페이지 www.cb21.ne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특허청 홈페이지 http://www.kipo.go.kr
한국RIC협회 홈페이지 http://www.ric.re.kr
행정안전부, 행정안전통계연보
2022 지방과학기술연감
인쇄 : 2023년 2월
발행 : 2023년 2월
편집 및 발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지역혁신정책센터
Tel. 043-750-2502 http://www.kistep.re.kr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94, 세종파이낸스센터 2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국 과학기술전략과
Tel. 044-202-6735 http://www.msit.go.kr
|
과학기술연감 |
2021년 과학기술연감
|
2022-04-13
|
|
<p> </p>
|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2-02-16
|
|
<p> </p>
|
과학기술연감 |
2020년 과학기술연감
|
2021-04-01
|
|
<p><br></p>∙ i∙
2020년은 과학기술이 중심이 되어 일본 수출규제, 코로나19 확산 등 국가적 현안에 대응하고,
효율적·도전적인 연구 환경 조성과 연구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한 해였습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과학기술계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방역 지원, 비대면
활동 지원, 앱을 활용한 공적 마스크 공급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국민 안전에 기여했습니다.
아울러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미래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복합적이고 대형화될 수 있는
미래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했습니다. 산·학·연 전문가가 함께 마련한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는 건강, 풍요, 바람직한 인류사회 등 이상적인 미래상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2021년 국가연구개발예산은 전년대비 13.1% 증가한 27.4조원으로 대폭 확대하였으며, 이는
감염병 대응, 소‧부‧장 경쟁력 강화, 디지털 전환, BIG3 육성, 2050 탄소중립 등에 중점 투자
되어 더불어 잘사는 미래를 실현하고 과학기술 선도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의미있게 쓰일 것
입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에 관한 범부처 공통규범인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제정하여 부처별
286개의 R&D 관리규정을 단일규정 체계로 통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연구자들이
행정 부담 없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는 코로나19로 촉발된 위기와 함께, 인공지능, 바이오 등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글로벌 경제질서 재편과 경제·사회적 변화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난
한 해 과학기술분야 노력과 성과들을 모아 「2020년도 과학기술연감」을 발간하였습니다. 이
연감이 일반 국민에게는 국가 과학기술정책과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 과학기술계 종사자에게는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디딤돌이 되길 바랍니다. 이 자리를
빌려 연감 발간을 위해 노력하여 주신 집필진, 검토진을 비롯하여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앞으로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과 ICT 혁신을 통하여 연구의 자율성을 높이고,
경제성장에 기여하며, 국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끊임없이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최 기 영
∙ ii ∙
제1부 특집테마
1. 추진배경 ··········································································································3
2. 코로나 이후 변화 전망 및 시사점 ····································································8
3.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 ········································································9
제2부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13
제1절 국가과학기술 비전 추진현황 ······································································13
1.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수립 ····································································13
2.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현황 ·········································································17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22
1.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운영 ·········································································22
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28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34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48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48
제2절 국가연구 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58
1.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연구 자율성 강화 ···················································58
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62
3. 국가연구개발 평가제도 개선 ·······································································67
4.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74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83
∙ iii ∙
제1절 과학적 지식 탐구 및 창의도전적 연구 진흥 ··············································83
제2절 연구몰입환경 조성 ····················································································89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89
2. 연구자 주도 R&D 제도혁신 ·······································································96
제3절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102
제4절 과학기술문화 확산 ··················································································107
제5절 과학기술 외교 강화 ················································································113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116
제1절 협력・융합연구 활성화 ·············································································116
1. 융합연구 ···································································································116
2. 나노・소재기술 ··························································································121
제2절 기술혁신형 창업・벤처 활성화 ··································································127
제3절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 창출 ·····································································135
제4절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 ·····························································143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148
제1절 4차 산업혁명 대응 기반 강화 ·································································148
1.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 ·······································································148
2. ICT 분야 경쟁력 강화 ··············································································151
제2절 혁신성장동력 육성 ··················································································159
제3절 제조업 재도약 및 서비스업 육성 ·····························································165
제4절 과학기술 기반 고급일자리 창출 ······························································173
제6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181
제1절 건강하고 활기찬 삶 구현 ········································································181
제2절 안심・안전한 사회 구현 ···········································································189
1. 재난・안전 ·································································································189
2. 국방역량 강화 ··························································································193
∙ iv ∙
제3절 쾌적・편안한 생활환경 구현 ·····································································196
제4절 포용적 사회 실현 ····················································································200
제3부 국가연구개발 활동 현황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209
제1절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및 의의 ······························································209
1. 개요 및 의의 ····························································································209
제2절 주요 조사 결과 ·······················································································211
1. 연구개발비 ·······························································································211
2. 연구개발인력 ····························································································216
3. 기업부문 연구개발비 ·················································································222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229
제1절 개요 및 의의 ··························································································229
제2절 주요 조사・분석 결과 ·············································································231
1. 총괄현황 ···································································································231
2. 전년 대비 비교표 ·····················································································238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239
제1절 기초・기반 연구 ·······················································································239
1. 기초연구 ···································································································239
2. 원자력 ······································································································270
제2절 정보통신기술 ··························································································292
1.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292
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311
3.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320
4. 정보보호 ···································································································327
∙v∙
제3절 생명공학기술 ··························································································339
1. 생명과학 ···································································································339
2. 보건의료 ···································································································349
3. 식품・의약품 등 안전 분야 ········································································362
4. 농림・축산・식품 ························································································374
5. 산림 ·········································································································394
6. 수산 ·········································································································400
제4절 환경공학기술 ··························································································410
1. 환경 ·········································································································410
2. 해양극지개발 ····························································································433
3. 기상 ·········································································································449
4.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457
5. 에너지 ······································································································465
6. 자원탐사 및 개발 ·····················································································473
제5절 나노기술 ·································································································479
제6절 우주항공기술 ··························································································491
제7절 문화기술 ·································································································498
제8절 산업기술 ·································································································512
제9절 국방・재난안전 기술 ················································································550
1. 국방 ·········································································································550
2. 재난안전 ···································································································567
제10절 건설・교통 기술 ·····················································································577
∙vi ∙
제4부 첨부자료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589
1. 주요 과학기술 통계 지표 ··········································································589
2. 연구개발 투자 ··························································································591
3. 연구개발 인력 ··························································································604
4. 과학기술 성과 ··························································································607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623
1. 법률 제・개정 현황 ···················································································623
2.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법률 제・개정 현황 ···············································629
3. 시행령 제・개정 현황 ················································································631
4.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시행령 제・개정 현황 ············································635
5. 시행규칙 제・개정 현황 ·············································································636
6.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시행규칙 제・개정 현황 ·········································638
제3장 2020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639
제4장 2020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671
∙vii ∙
표 목 차
<표 1-1> 감염병 대응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지침(6월) 주요내용 ······························8
<표 2-1> 회차별 상정안건 및 분야별 분류 현황 ····················································23
<표 2-2> 부처별 계획사업 및 2021년 예산반영 현황 ············································25
<표 2-3> 자문회의 소위원회 구성 및 위원구성(문재인 정부 제3기) ························31
<표 2-4> 2021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33
<표 2-5>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실적 ······································36
<표 2-6>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40
<표 2-7>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46
<표 2-8>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49
<표 2-9> 2021년도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51
<표 2-10> 투자효율화 주요 내용 ···········································································52
<표 2-11> 연도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53
<표 2-12> 중점투자분야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54
<표 2-13> 부처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54
<표 2-14> 부처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56
<표 2-15>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2020.11.17.) 주요내용 ··························57
<표 2-16>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확정 14개 기관 PBS 개선 방향 ··························60
<표 2-17>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61
<표 2-18> 연구개발예타 위탁 전후, 종합평가 항목별 가중치 ·································63
<표 2-19> 사업 목적별 유형 구분, 가중치 범위, 경제성 분석방법 ·························64
<표 2-20>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68
<표 2-21> 제4차 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73
<표 2-22> 2020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의 중점 추진과제 ························75
<표 2-23> 정부R&D사업 성과 총괄 현황 ······························································76
<표 2-24>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79
<표 2-25>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 최우수성과 ······················································80
<표 2-26> 국정과제 추진 목표 및 체계 ·································································85
<표 2-27> 수학 분야 지원체계 ··············································································86
<표 2-28> 신진연구사업 우수 연구 성과 ································································87
∙viii ∙
<표 2-29>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주요 개선사항 ························································94
<표 2-30> 부처별 2020년 융합연구개발 신규사업 ···············································119
<표 2-31> 2019년도 융합연구개발 사업의 주요성과 ············································119
<표 2-32> 투자집행 목표 달성 인센티브 패키지 개요 ··········································128
<표 2-33> BIG 3 15개 세부분야 ········································································129
<표 2-34> 제1차∼제4차 규제자유특구 지정현황 ··················································132
<표 2-35> 2020년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R&D에 대한 IP-R&D 지원현황 ····138
<표 2-36> 권역별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사업 운영 방향 ······························147
<표 2-37> 5G+ 전략 품목 ··················································································151
<표 2-38> 2020년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예산 및 중점 추진내용 ························154
<표 2-39> 2020년 기술사업화 사업 주요 성과 ····················································155
<표 2-40> 2020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155
<표 2-41> 2020년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공급안정화 성과 ·····························169
<표 2-42>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 기본계획 주요내용 ·····························170
<표 2-43> 제7차 기술이전 사업화 촉진계획 주요내용 ··········································171
<표 2-44> 연대와 협력 산업전략 주요내용 ··························································172
<표 2-45> 과학기술 기반 고급일자리 창출 ··························································173
<표 2-46> 연도별 기업연구소 설립 추이 ······························································174
<표 2-47> 기업연구소 지원제도 ···········································································175
<표 2-48> 연구소기업 연도별 설립건수 ·······························································176
<표 2-49> 연구소기업 매출액 및 종업원 현황 ·····················································176
<표 2-50> 연구산업 주요 분야 ············································································177
<표 2-51> 신약개발 분야 주요 기술수출 성과(2020) ···········································185
<표 2-52> 보건의료 분야 연구인프라 구축 현황(2008~2020) ·····························187
<표 2-53> SCI 상위 논문 게재 성과(2015∼2019) ·············································188
<표 2-54> 삼극 특허 등록 성과(2015∼2019) ····················································188
<표 3-1> 연구개발활동조사 대상기관 및 회수율 ···················································210
<표 3-2>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추이 ···································216
<표 3-3>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 기업의 연구개발 집중도 추이 ·····························226
<표 3-4> 우리나라 연구개발 항목별 상위 기업 집중도 ·········································228
<표 3-5> 우리나라 매출액 순위별 전년대비 연구개발비 증감 ·······························228
<표 3-6> 2019년 세부과제 지원유형별 연구개발단계 집행 규모 ··························234
<표 3-7> 전년 대비 비교표 ··················································································238
∙ ix ∙
<표 3-8> 물리학 분류 및 설명 ·············································································249
<표 3-9> 재료분류기준에 따른 재료 유형 ····························································259
<표 3-10> 100대 핵심 전략품목 ·········································································259
<표 3-11> NIST 6개 연구실 주요연구활동 ··························································266
<표 3-12> PTB 10대 주요 연구주제 ···································································267
<표 3-13> 영국 NPL의 NMS 4개 연구영역 ························································268
<표 3-14> 2020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추진사업 내역 ·········································269
<표 3-15> 중이온가속기 RAON 배치도 및 주요구성 현황 ···································284
<표 3-16> 장치구축 주요 현황 ············································································286
<표 3-17> 양성자가속기 종류와 설명 ···································································288
<표 3-18> 100 MeV 양성자가속기 이용연구 현황(한국원자력연구원) ··················289
<표 3-19>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현황 ···································································290
<표 3-20> 인공지능 분류 및 설명 ·······································································297
<표 3-21> 딥러닝 기술의 한계 ············································································298
<표 3-22> 블록체인의 분류와 특징 ······································································302
<표 3-23>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 ·······································304
<표 3-24> 2020 선정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 10개 과제 ····························305
<표 3-25> 빅데이터 기술 분류 ············································································307
<표 3-26> 해외 주요국의 데이터 정책 현황 ·························································307
<표 3-27> 이동통신 분야 2020년 대표 성과 ·······················································313
<표 3-28> 네트워크 분야 2020년 대표 성과 ·······················································314
<표 3-29> 전파・위성 분야 2020년 대표 성과 ·····················································315
<표 3-30> 통신 및 전파분야 기술 ·······································································316
<표 3-31> 2020년도 디지털방송 분야 주요 성과 ················································322
<표 3-32> 2020년도 차세대 유망기술 R&D 지원예산 ·········································351
<표 3-33> 2020년도 4차 산업혁명 기반 R&D 지원예산 ·····································352
<표 3-34> 2020년도 사회문제 해결 R&D 지원예산 ············································353
<표 3-35> 2020년도 국민 건강증진 R&D 지원예산 ············································354
<표 3-36> 2020년도 병원 중심 생태계 R&D 지원예산 ·······································355
<표 3-37> 2020년도 핵심인재 양성 R&D 지원예산 ············································355
<표 3-38> 2020년도 국산화 지원 R&D 지원예산 ···············································356
<표 3-39> 「제2차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 비전,목표 및 전략 ·····367
<표 3-40>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 연구분야 투자현황 ··········································377
∙x∙
<표 3-41> 2020년도 수산연구개발사업 투자내역 ·················································401
<표 3-42> 수산 R&D 연도별 투자동향 ································································402
<표 3-43> 수산 분야 기술 분류 및 설명 ·····························································405
<표 3-44> 정부의 환경 분야 주요 성과 ·······························································410
<표 3-45> 환경분야 연구개발 내용 ······································································411
<표 3-46> 해양 R&D 연도별 투자동향 ································································434
<표 3-47> 해양 R&D 분야별 투자비중 ································································435
<표 3-48> 2020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435
<표 3-49>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436
<표 3-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환경 연구개발사업 지원현황 ························459
<표 3-51> 기후기술 분류체계 ··············································································463
<표 3-52> 에너지원 분류 및 종류 ·······································································469
<표 3-53> 자원탐사 및 개발 분류 및 설명 ··························································475
<표 3-54> 2020년도 부처・기관별 나노분야 투자 계획 ········································481
<표 3-55> 2019년도 실적 대비 2020년도 계획 비교 ·········································481
<표 3-56> 주요 부처 나노기술 관련 세부사업 ·····················································482
<표 3-57>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대표성과 ·························································483
<표 3-58> 나노융합2020사업 대표성과 ································································484
<표 3-59>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대표성과 ························································485
<표 3-60> 나노기술의 분류 및 설명 ····································································486
<표 3-61> 우주분야 분류 및 설명 ·······································································493
<표 3-62> 해외 위성항법시스템 구축현황(2020.8 기준) ······································494
<표 3-63> 문화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499
<표 3-64> 문화기술의 개념 및 범위의 변화 ·························································502
<표 3-65> 미래유망핵심기술(6T) 분류 중 CT 분류 ··············································503
<표 3-66> 주요 해외 기술 발전 동향 및 전망 ·····················································504
<표 3-67> 2020년 산업기술 R&D 관련 주요 전략 ·············································513
<표 3-68> 2020년 산업핵심기술사업 ···································································517
<표 3-69> 2020년 산업핵심기술사업의 개편 ·······················································517
<표 3-70> 3대 기술 설명 ····················································································526
<표 3-71> 국가별 수소차 판매 대수 ····································································539
<표 3-72> 주요 완성차별 친환경차 및 자율차 판매/R&D 목표 ····························540
<표 3-73> 주요 완성차별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개발현황 ································541
∙xi ∙
<표 3-74> 로봇 분류 및 사례 ··············································································542
<표 3-75> 로봇발전 3단계 시나리오 ····································································545
<표 3-76> 미 ‘육군 현대화’ 6대 우선순위 ···························································563
<표 3-77> 2019년 부처별 투자계획 및 실적 ·······················································568
<표 3-78> 재난대응기술 분류 및 설명 ·································································573
<표 3-79> 원격 감지(remote sensing) 기술 및 공간정보(spatial data)를 Disaster
Risk Management에 적용하기 위한 요건 ·········································575
<표 3-80> 국토교통 R&D 과학기술 성과 (2015∼2019) ····································578
<표 3-81> 2017년 인프라 평가등급(ASCE) ·························································581
<표 3-82> 일본 노후 인프라(50년 이상) 비율 ·····················································582
<표 3-83>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대상 15종 기반시설 종류 ··························582
<표 3-84> 교통체계의 분류 및 구성 ····································································583
∙xii ∙
그 림 목 차
[그림 1-1] 전 세계 코로나 19 누적확진자 수 ··························································3
[그림 2-1] 미래전략 본 책자 및 홍보용 책자 ························································15
[그림 2-2]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카드뉴스 ·······················································15
[그림 2-3] 미래전략 2045 인터뷰 영상 ·································································16
[그림 2-4]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홍보영상 ·······················································16
[그림 2-5]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18
[그림 2-6]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및 사전행사(2020.10.12.) ·····················27
[그림 2-7] 연도별 자문회의 변천・운용 ···································································29
[그림 2-8] 자문회의 및 심의기구 통합 전・후 비교 ················································30
[그림 2-9]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30
[그림 2-10] 심의회의 구성 ····················································································32
[그림 2-11] 총괄위원회, 분과위원회 및 종합평가위원회 구성 ·································65
[그림 2-12] 연구개발 예타 교육 및 대상사업 설명회 ·············································66
[그림 2-13] 예타사업 현장방문 ··············································································66
[그림 2-14] 정부R&D 예산 대비 분야별 성과현황(2015~2019년, 5년간) ·············77
[그림 2-15] 정부 R&D 논문수 및 피인용도(mrnIF) 추이(2015~2019) ·················77
[그림 2-16] SCIE 논문 1건당 피인용수(2015~2019) ···········································78
[그림 2-17] 기존 정부R&D 관리 법령체계 ····························································89
[그림 2-18]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전・후 기존 법령 비교 ·································90
[그림 2-19]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법령 체제 개편 ····················································91
[그림 2-20]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으로 달라지는 점 ··········································92
[그림 2-21]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 중점 방향(안) ····································103
[그림 2-22] 과학기술인재 육성방안 온라인포럼(左) 및 제4차 기본계획 공청회(右) ···104
[그림 2-23] 제4차 과학기술인재 기본계획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105
[그림 2-24] 2019년, 2020년 과학문화사업 대외 성과평가 ·································107
[그림 2-25] 제3차 과학기술문화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108
[그림 2-26] 과학커뮤니케이터 활동 ·····································································109
[그림 2-27]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110
[그림 2-28] 과학문화콘텐츠 확산 ·········································································112
∙xiii ∙
[그림 2-29] 2020 한-러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막식 및 온라인 이원 중계 모습 ··· 114
[그림 2-30]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중 융합연구 관련 행사 사진 ···········120
[그림 2-31]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2020.10.)」전략 ·······················123
[그림 2-32]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 비전 및 목표 ········124
[그림 2-33]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 비전 및 목표 ··································126
[그림 2-34] K-스타트업 메인 페이지 개편 전후 비교 ··········································128
[그림 2-35] 2020년 신규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130
[그림 2-36] 컴업 2020 3대 주제와 12개 세션 ···················································131
[그림 2-37] K-스타트업 메인 페이지 개편 전후 비교 ··········································132
[그림 2-38] 선제적 구조개선 지원 프로그램 ························································134
[그림 2-39]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별 혁신전략 추진절차 ·································137
[그림 2-40] 특허갭펀드와 기존 지원사업 비교 ·····················································141
[그림 2-41] 2020년 강소특구 지정현황 ······························································145
[그림 2-42] 연구소기업 혁신성장 전략 인포그래픽 ··············································146
[그림 2-43] VR・AR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주요내용 ······································160
[그림 2-44] 성장동력정책 중간점검 절차 ·····························································160
[그림 2-45] 2019년도 실증 지원 과제 ································································162
[그림 2-46] 2020년도 실증 지원 과제 ································································163
[그림 2-47] 데이터 활용 유형에 따른 지원체계 구축 전략 ··································166
[그림 2-48] 화이트바이오 산업과 석유화학 산업 비교 ·········································169
[그림 2-49] 연구산업 체계도 ···············································································177
[그림 2-50] 기대수명 추이(2008~2018) ······························································182
[그림 2-51] 2020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183
[그림 2-52] 보건산업 수출전망(2018~2020) ·······················································185
[그림 2-53] 3대 전략 및 10대 추진과제 별 투자 현황 ·····································190
[그림 2-54] 중앙-지방 재난안전연구개발 협의체 구성 및 기능 ····························191
[그림 2-55] 2020년 중앙-지방 재난안전연구개발 협의체 주요 추진실적 ·············192
[그림 2-56] 미래국방 기초・원천 기술개발 개념 ···················································194
[그림 2-57] 사업추진 절차 ··················································································194
[그림 2-58]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 사업 시범과제 현황 ·································195
[그림 2-59]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주요내용 ···············································197
[그림 2-60] CDM 방법론 개발 프로세스 및 추진경과 ·········································198
[그림 2-61]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사업 추진단계 ··············································201
∙xiv ∙
[그림 2-62] 도시재생 연계 리빙랩 사업 추진절차 ················································201
[그림 2-63] 공공수요 발생 시 혁신제품 활용 체계도 ···········································202
[그림 2-64] 긴급대응 R&D 추진 절차 ································································203
[그림 2-65]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 추진 과제 ·········································204
[그림 2-66] 복합인지기술 개발・활용 개요도 ························································205
[그림 3-1]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211
[그림 3-2]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국제비교 ··························211
[그림 3-3] 우리나라 재원별 연구개발비(좌) 및 비중(우) 추이 ·······························212
[그림 3-4] 주요국의 재원별 연구개발비 비중 ·······················································212
[그림 3-5] 우리나라 연구비사용 주체별 연구개발비(좌) 및 비중(우) 추이 ·············213
[그림 3-6] 주요국의 연구비사용 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213
[그림 3-7] 우리나라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좌) 및 비중(우) 추이 ··················214
[그림 3-8] 주요국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비중 ·············································214
[그림 3-9]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비목별 사용 현황 추이 ······································215
[그림 3-10] 주요국 비목별 연구개발비 비중 ························································215
[그림 3-11] 우리나라 연구원 수(좌) 및 연구개발인력 수(우) 추이 ·······················217
[그림 3-12] 연구원 수(FTE 기준) 국제비교(좌), 주요국 경제활동인구 및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우) (FTE 기준) ·································································217
[그림 3-13]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추이 ·········································218
[그림 3-14] 주요국의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비율 (FTE 기준) ·······················218
[그림 3-15] 우리나라 학위별 연구원 수 ······························································219
[그림 3-16]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 및 학위별 연구원 분포 ·································219
[그림 3-17] 우리나라 성별 연구원 수 및 여성 연구원 비중 추이 ························220
[그림 3-18] 주요국의 여성 연구원 수 및 비중 ····················································220
[그림 3-19] 수도권・대전 지역의 연구원 수 및 비중 추이 ····································221
[그림 3-20] 우리나라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추이(좌) 주요국의 연구원 1인당 연구
개발비(우) (FTE 기준) ······································································221
[그림 3-21]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추이 ··············································222
[그림 3-22]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223
[그림 3-23]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연구개발비 추이 ·············································223
[그림 3-24] 주요국 산업별 연구개발비 비중 비교 ················································224
[그림 3-25]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224
[그림 3-26]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추이 ·················225
∙xv ∙
[그림 3-27]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원 수(좌) 및 비중(우) 추이 ·······················225
[그림 3-28]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227
[그림 3-29]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대상 ········································229
[그림 3-30]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체계와 조사・분석 단위 ···································230
[그림 3-31]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추진체계 ··············································230
[그림 3-32]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액과 세부과제 수 추이(2015∼2019) ·············231
[그림 3-33] 2019년 연구비 구간별 세부과제 수와 연구비 집행현황 ····················232
[그림 3-34] 신규・계속과제의 과제 수와 과제 당 연구비 추이(2015~2019) ·········232
[그림 3-35] 적용분야별 투자 비율 추이(2015∼2019) ········································233
[그림 3-36] 연구수행주체별 투자 추이(2017∼2019) ··········································233
[그림 3-37] 연구개발단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 추이(2015∼2018) ···············234
[그림 3-38] 지역별 집행 비중 추이, 2015∼2019 ··············································235
[그림 3-39]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분야별 집행 비중, 2019 ························235
[그림 3-40] 미래유망신기술(6T)별 집행 비중, 2019 ··········································235
[그림 3-41] 중점과학기술분야별 집행현황, 2019 ·················································236
[그림 3-42] 공동・위탁연구 수행과제 수 추이(2015~2019) ··································236
[그림 3-43] 연구비 규모별 연구책임자 수 비중 추이, 2015∼2019 ····················237
[그림 3-44]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의 분야별 지원체계 개편방안(안) ·····················244
[그림 3-45] 2020년 코로나 19 수리모델링 TF 개최 워크숍 ·······························246
[그림 3-46] 화학산업의 분류 ···············································································253
[그림 3-47] 국가측정표준 보급체계 ·····································································264
[그림 3-48] 진공용기 최초섹터 최종조립 ·····························································277
[그림 3-49] ITER 장치조립 착수 기념식(2020.7.28) ··········································278
[그림 3-50] KSTAR 운전기록,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20초 달성 ······················282
[그림 3-51]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인공지능) 사업 성과 ········································294
[그림 3-52]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295
[그림 3-53] GAIA-X 프로젝트 구조 ····································································302
[그림 3-54] 디지털 위안화 ··················································································303
[그림 3-55] 블록체인 기술 확산 비전・목표・추진전략 ···········································305
[그림 3-56] 5G 표준 Release 별 로드맵 ···························································317
[그림 3-57] 유럽의 6G 초기 개념 ·······································································318
[그림 3-58] 정보보호기술개념 ··············································································333
[그림 3-59] 생명과학 응용분야 및 설명 ······························································345
∙xvi ∙
[그림 3-60] 전통적 백신개발 기간 vs 코로나19 백신개발 기간 ···························346
[그림 3-61] 제1차 기본계획 추진체계 ·································································363
[그림 3-62] 농업현장 애로기술 해결 ····································································383
[그림 3-63] 소득향상 및 노지 디지털농업 ···························································384
[그림 3-64] 식품시스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메가트렌드와 식품 특징적 트렌드 391
[그림 3-65] 해외 대체감미료 관련 제품현황 ························································391
[그림 3-66] 육상 스마트양식장 플랫폼 ································································402
[그림 3-67] 전통시장 조감도 ···············································································415
[그림 3-68] 상수도 웰니스 통합관리 시스템 ······················································415
[그림 3-69] 주요 연구성과 개념도 ·······································································416
[그림 3-70]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418
[그림 3-71] 천식 입원의료지도(2014~2017) ·······················································418
[그림 3-72] 하동 석탄화력발전소 건강영향조사 주민설명회 ··································418
[그림 3-73] 인천 서구 사월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주민설명회 ·····418
[그림 3-74] NOM 유/무에 따른 조류(좌), 물벼룩(중), 어류(우)의 산화아연 생태독성·····419
[그림 3-75]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폐활량 검사 ·····················································420
[그림 3-76]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아동 놀이 치료 ················································420
[그림 3-77] 항공측정용 항공기 및 측정경로 ························································420
[그림 3-78] 선박측정용 선박 및 측정장비 ···························································421
[그림 3-79] 화력발전 상한제약을 위한 예보 정보문 ···········································421
[그림 3-80] 대국민 주간예보(7일) 시범운영 실시 ················································421
[그림 3-81] 천리안위성 2B호 ··············································································422
[그림 3-82] 환경위성을 이용한 대기 관측 영상 ···················································423
[그림 3-83] 자동차 실제 도로 주행 배출가스 시험 및 모니터링 결과 ··················424
[그림 3-84] 녹조 우심지역 조류발생 원인 분석 및 대응 연구 ·····························425
[그림 3-85]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지수 및 등급 ···········································426
[그림 3-86] 분류별 페트플레이크와 플레이크 오염물질 함량비율 ·························427
[그림 3-87] 생물시료를 사용한 환경질 평가시스템 ··············································428
[그림 3-88] 통합환경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429
[그림 3-89] 소음・빛공해 발생 및 노출 관리 ························································430
[그림 3-90] 먹는물 미량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정밀분석 ······························431
[그림 3-91] 먹는물 안전관리 확대를 위한 신종 미량물질 탐색 ··························431
[그림 3-92] 제주도 지하수 수질개선사업 MOU ···················································432
∙xvii ∙
[그림 3-93] ICT 기반 지하수 오염물질 통합시스템 구축 ···································432
[그림 3-94] 해양 R&D 대표 우수성과 ································································437
[그림 3-95] 해양 연구개발 주요 분야 ··································································440
[그림 3-96] 호주에 제공된 천리안위성 2A호 호주산불 분석영상(왼쪽) 및 호주 기상청의
감사 서한(오른쪽) ·············································································452
[그림 3-97] 태풍(바비) 분석 및 대류운탐지 분석 영상제공 및 천리안위성 2A호 때문에
기상청 예보가 더욱 정확해지고 있다는 언론보도 ······························452
[그림 3-98] 신재생에너지 분야 주요 성과 ···························································460
[그림 3-99] 탄소 포집・저장 및 자원화 분야 주요 성과 ·······································461
[그림 3-100] 기후변화적응 및 미세먼지 분야 주요 성과 ·····································462
[그림 3-101] 2020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중점 추진사항 ······························480
[그림 3-102] 나노물질의 특성(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486
[그림 3-103]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 하 6대 분야 사전적 기술지도 ····490
[그림 3-104] 황룡사 중문 및 남회랑 증강현실(AR) 이미지 ··································511
[그림 3-105] 황룡사 중문 및 남회랑 증강현실 콘텐츠 구성 ································511
[그림 3-106] 신규 과제기획 절차 ········································································515
[그림 3-107] 평가체계 개편 ················································································515
[그림 3-108] 표준산업분류상 기계산업 범위 ························································519
[그림 3-109] 3D 인쇄전자 기술의 정의 및 적용 가능 분야 ································526
[그림 3-110] 직류 배전 기술 시장 ······································································527
[그림 3-111] 고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 소재 ························································528
[그림 3-112] 친환경선박 연구개발 및 보급 전략 ·················································534
[그림 3-113] 자율운항선박의 개념 및 정의 ·························································536
[그림 3-114] 2019년/2020년 국방연구개발 예산 현황 ·······································551
[그림 3-115] 국방과학기술 개발 주요성과 ···························································552
[그림 3-116] 국방연구개발을 통한 경제적 성과 ···················································552
[그림 3-117]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별 중・장기 기술발전 방향(예) ······················553
[그림 3-118]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사업 ···················································554
[그림 3-119] 극초음속 공기 흡입 무기(HAWC) 개념 이미지 ······························555
[그림 3-120] JUDI 시스템 ··················································································556
[그림 3-121] 지상・해상・공중 플랫폼용 니녹스103 ··············································557
[그림 3-122] Hydromea사의 LUMA-X(좌), MIT링컨연구소(MITLL)의 2018년 수중
통신 기술을 적용한 해저로봇(우) ····················································558
∙xviii ∙
[그림 3-123] 4G와 5G 기술의 차이 ···································································559
[그림 3-124] 에어버스 NFTS 프로젝트 개념도 ····················································560
[그림 3-125] 호주 ADF의 ‘DST 전략 2030’과 8개 STaR SHOT 개념도 ··········561
[그림 3-126]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Offset Strategy)이 요구하는 핵심기술 ······562
[그림 3-127] 민군기술협력사업 체계도 ································································564
[그림 3-128] 미래 도전 국방기술 개발사엄 432 추진전략 ··································566
[그림 3-129]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계획 ············································570
[그림 3-130] 재난관리 단계에 따른 부처별 투자계획 비율 ··································571
[그림 3-131] DRM(Disaster Risk Managerment) cycle and the importance of
ICTs in various activities and phases ······································572
[그림 3-132] 2020년 국토교통 R&D 중점 추진방향 ···········································577
[그림 3-133] 2020년 국토교통 R&D 주요성과 사례 ···········································579
∙1∙
∙3∙
특집테마
1. 추진배경
가. 코로나 19로 인한 충격과 변화・도전
2019년 11월 17일, 중국의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중국 내에서 코로나 19가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세계 각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
19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하기 시작하였으나, 각국의 대응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
등의 경로를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2021년 1월 24일 기준으로 전 세계 코로나 19
확진자 수는 9,976만 명에 이른다.
※ 자료 : https://www.worldometers.info
[그림 1-1] 전 세계 코로나 19 누적확진자 수
∙4∙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사람이나 동물에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인 코로나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환자의 침방울 등 분비물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주요한 특징은 ①기존 코로나바이러스보다 높은 전파력을 가지며 감염 초기 무증상
으로 인해 전염 차단이 어렵고 ②기저질환자 및 노약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폐렴 및 면역폭풍
등의 합병증을 동반하며 ③빠른 변이로 인해 백신 개발이 어렵다는 것이다.
코로나 19의 급격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해외입국자 출입, 사업체의 대면영업
활동 등을 제한하고 있으며, 국가 간 무역활동도 크게 위축되었다. 이로 인해 실물경제가 위축
되면서 2020년도 세계 경제성장률은 2019년(2.8%)보다 크게 감소한 –5%대로 전망된다. 이
외에도 코로나 19 극복과정에서 발생한 국가별 의료인프라 격차, 산업별 회복세 차이, 실물자
산과 금융자산의 괴리 등으로 인해 국가 간/산업 간/계층 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1)
코로나 이후 사회에서 각국이 직면하게 될 주요 도전과제는 ①코로나 19 치료제・백신 개발,
보급을 통한 코로나 19 사태의 조기 종식 ②코로나 19 극복과정에서 심화된 양극화 문제 해소
③코로나 19에 따라 가속화된 비대면・디지털 전환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적응이 있으며,
이외에도 코로나 19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기후변화, 코로나 19에 따라 심화되는 인구
절벽 현상 등 중장기적 사회문제에 대한 해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나. 대한민국의 과학기술・ICT 기반 코로나 19 대응실적
1) 코로나 19 진단기술 및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
높은 전염력을 가진 감염병의 특성상, 감염병의 확산 차단을 위해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진
단법의 확보가 필수적이었다. 메르스・사스 바이러스 등 과거 감염병 위기를 경험하면서 신종
감염병에 대한 신속한 진단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는 진
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기업이 2020년 1월 코로나 19
유전자 서열 정보 공개 후 약 3주 만에 코로나 19 진단키트를 개발하는 등 우리나라의 신속・
정확한 진단 체계 구축에 기여하였다. 또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기
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한국원자력의학원
등으로 구성된 ‘감염병 의료기기 연구개발 협의체’를 통해 산・학・연・병 협업 연구 추진, 기술
및 임상 자문, 장비 및 시설 제공 등 진단기술 기업의 진단키트 개발 및 현장적용을 적극 지원
하였다.
1) 유진투자증권(2020.9.1.), 글로벌 매크로 위클리,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20.11.12.), 2021년 세계경제 전망 참고
∙5∙
코로나 19의 궁극적인 종식을 위해서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타 병증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을 대상으로 하는 약물재창출 연구와 새로운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적극 지원하였다. 약물재창출 관련, 2020년 2월 파스퇴르연구소 및 한국화학
연구원에서는 약 3,000여 종의 약물을 대상으로 스크리닝 연구를 수행하여 약 20여종의 우수
후보약물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 등 우수 후보약물은
국내・외 임상에 착수하여 진행 중이다. 또한,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한 범정부 지원을 위해
2020년 4월 정부부처와 산・학・연・병이 모두 참여하는 범정부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위원회를
구성(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보건복지부장관 공동위원장)하였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효능 검증을 위한 동물모델 개발, 약효분석・동물실험 및 감염병 연구시설・장비(생물안전3등급
시설 등) 지원, 국내외 감염병 연구데이터 통합 수집 및 연구현장 제공 등을 통해 민간의
치료제・백신 연구개발을 전주기에 걸쳐 적극 지원 중이다.
2) 과학기술과 ICT 기반의 코로나 19 방역 지원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 장기화 및 국내 감염 확산 지속으로 방역 및 의료 인력의 업무 과중
및 소진(burn-out)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코로나 19 확산 추세를 방역당국 및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하여 추적・격리・치료 등 코로나 19 방역활동을 효율화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2020년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토교통부, 질병관리청과 협업하여 통신정보・카드 정보
등을 토대로 확진자의 동선을 신속히 파악하는 역학조사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역학조사 기관이 통신사・카드사 등에 확진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면 관계기관
승인을 기반으로 정보가 입력되어 확진자 동선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수행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R&D(2018~2022)’를
통해 개발된 대규모 도시데이터 분석 도구인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이 활용되었다.
역학조사지원시스템을 통해 통신・카드 정보 등의 제공 절차를 전산화하고, 확진자 동선 데이터
분석을 자동화하여 대규모 확진자 발생 상황에서 역학조사관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역학
조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의료진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확진자의 생체신호를 비대면・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하 생체신호모니터링시스템)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대병원,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생활치료센터(서울대병원인재원(문경), 한국전력인재개발원)에
현장 투입하였다. 이외에도,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발열자・마스크 미착용자 등을 감지・통보할
수 있는 지능형(CCTV) 솔루션을 2개 국립학교(청주교대 부설초, 한국교원대 부설 미호중)에
∙6∙
시범 적용하여, 발열자에 대한 신속한 조기 발견과 조치를 통해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등 과학
기술과 ICT를 활용한 방역기술 개발 및 현장적용을 적극 지원하였다.
3)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비대면 활동 지원
감염병 유행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면서 초・중・고교 온라인 개학, 대면 종교
집회 금지, 일정비율 재택근무 권고 등 사회 여러 분야에서 비대면 활동이 일상화되었다. 이러한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국민 생활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응이 필요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부터 온라인 등교가 시작됨에 따라 원활한 비대면 교육 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하였다. 교육부와 협력하여, 온라인 등교로 인해 동시접속 인원의 대폭 증가가 예상
되는 EBS・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서버・트래픽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교사・학생 대상
으로 망 안전성을 위한 실천수칙을 배포하였다. TV를 통해서도 온라인 개학 프로그램을 원활히
시청할 수 있도록 유료방송사(IPTV, 케이블, 위성 등)의 채널 등록 요건 완화 및 약관 신속
수리를 통해 학년별 원격 교육을 위한 채널(유료방송사별 약 10개 채널)을 지원하였다. 또한,
원격 교육으로 인한 학생들의 통신요금 부담 완화를 위해 4월부터 연말까지 EBS 등 주요 학습
사이트에 대한 데이터 요금을 면제하였다.
종교 시설에서의 코로나 19 집단감염 사례가 다수 발생함에 따라 비대면 종교활동에 대한
지원방안도 마련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업하여, 비대면 종교집회를 위한 영상 전송이 가능
하도록 종교 시설별 최적의 이동통신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영상송출용 데이터(2020년 기준
월 50GB)를 무료로 제공하였다. 또한, 온라인 실시간 동영상 플랫폼 이용 안내서 배포 및 안내
콜센터 운영을 통해 중소 종교단체가 온라인 종교집회를 도입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
하였다. 이외에도, FM 라디오를 활용한 승차 종교활동이 가능하도록 소출력 무선국 한시 허가
등을 지원하였다.
비대면 생활 확산으로 통신・인터넷 이용이 급증하면서 이로 인한 사이버 침해 사고 확산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일반 국민들의 PC를 원격으로 무료 점검해주는 ‘내PC 돌보미’
서비스, 스미싱(악성 앱 설치 유도 문자 메시지) 모니터링, 정보보호 수칙 제정・배포, 학습사이트
집중 모니터링 등 사이버 보안 강화에 적극 대응하였다.
4) 공적 마스크의 안정적 공급 지원
2020년 2월, 대구・경북 중심의 코로나 19 대규모 확산 이후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여 마스크
∙7∙
품귀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마스크 수급 안정화를 위한 대응이 요구되었다. 이에 정부는 마스크
긴급 수급조정 조치(2월)를 통해 마스크 생산량의 50% 이상을 공적 판매처(약국・우체국・농협
하나로마트 등)에 출고하도록 하였으며, 3월 5일 1주 1인 2매 제한, 요일별 구매 5부제 등을
포함하는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여 3월 9일부터 마스크 5부제를 시행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나라의 ICT 역량을 기반으로, 공적 마스크 판매 정보 어플리케이션・
웹 서비스를 민관 합동으로 개발・제공하여 국민들의 공적 마스크 구매 혼란을 개선하는데 기여
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정보화진흥원, 클라우드 기업,
시민 개발자 커뮤니티, 앱・웹 개발 기업 등이 참여하는 마스크 앱 TF를 구성하여, 정부는 공적
마스크 판매처・판매처별 재고 현황 데이터를 개방하고 민간에서는 개방된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하였다.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 발표 5일 만인 3월
10일 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개방, 3월 11일부터 마스크 앱・웹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이후
약 150여 개의 마스크 앱이 개발・서비스되어, 국민들의 마스크 구매 고충과 마스크 판매처의
안내 부담을 개선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연구용 시설을 마스크 필터 생산 설비로
전환하여 마스크 204만장 분량의 마스크 필터를 공급하고, 최일선 방역현장의 의료진과 중앙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4월 15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사무원에게 마스크를 지급함으로써
의료진 보호 및 안전한 선거에도 기여하였다. 한편, 마스크 공급이 취약한 읍면지역 등의 우체국
(1,409국)에서 공적 마스크를 판매하는 등 공적 마스크의 원활한 유통을 적극 지원하였다.
5) 중소・중견기업의 연구개발활동 부담 경감
2020년 3월에 수행한 ‘코로나 19 관련 기업 R&D 활동 실태조사’에서 응답기업의 47.7%는
R&D 투자를 축소할 계획으로 응답하였고, 41.3%는 연구인력에 대한 채용을 축소 계획으로
응답하는 등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경영환경의 악화는 기업 R&D 활동의 전반적인 위축
으로 이어졌다. 특히, 경영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중견기업은 그 여파가 더욱 커,
중소・중견기업 R&D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특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R&D 규정을
적극적으로 해석・적용하여 기업의 R&D 부담을 경감하였다. 범부처 R&D 공통규범인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현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의 특례규정을 적극적
으로 해석한 ‘코로나 19 대응 연구개발 지침’(2월, 4월), ‘감염병 대응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
지침’(6월)을 배포하여 정부R&D에 참여하는 중소・중견기업 부담을 대폭 완화하였다. 또한,
∙8∙
코로나 19로 인해 R&D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투자와 핵심인력
고용 유지를 위한 기본연구과제(400개, 과제당 연 5천만 원)를 지원하고, 과학기술 출연연구
기관이 보유한 연구개발적립금 중 약 305억 원을 중소기업 지원, 일자리 창출, 감염병 R&D
수행에 편성하는 등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중소・중견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였다.
구분 주요내용
공고・신청
∙ 감염병 확산으로 과제 신청이 곤란할 시 과제 신청・접수 기간 연장
∙ 전자적 방법의 과제 신청 원칙화
과제 선정
∙ 서면・화상 등 비대면 선정평가 원칙화
∙ 평가위원 제척기준 완화 허용
협약
∙ 과제 목표・내용・기간 및 연구비 사용계획 등 적극적 협약 변경 허용
∙ 전자 협약 원칙화
연구개발비 관리
∙ 과제 선정 후 협약 체결・연구비 지급 지연 시 연구비 선집행 허용
∙ 중소・중견기업의 연구개발비 민간부담금 비율 및 현금 부담 기준 완화
∙ 중소・중견기업 소속 참여 연구원 중 기존 인력에도 인건비 지급 허용
∙ 감염병 예방・대처 비용 등을 연구개발비 정산에서 폭넓게 인정
결과보고・성과평가
∙ 서면・화상 등 비대면 중간・최종・추적평가 원칙화
∙ 평가위원 제척기준 완화 적용
∙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과제 수행 차질 시 중간・최종・추적평가 반영
기술료 징수 ∙ 정부납부 기술료의 납부기간 연장 및 감면
<표 1-1> 감염병 대응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원지침(6월) 주요내용
2. 코로나 이후 변화 전망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3대 한림원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등 과학기술 유관단체・정책기관과의 분야별 릴레이 포럼을 통해 코로나 19 이후 사회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 이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변화전망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재택・원격근무, 온라인강의, 온라인 금융 및 상거래 등 비대면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일상화되고, 비대면 근무 확산에 따른 자동화 수요가 증가하며, 바이오
헬스 분야에 대한 투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해당 분야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2)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한국공학한림원(NAEK), 대한민국의학한림원
∙9∙
예상된다. 따라서 관련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도전적 R&D투자와 개발된
기술이 적시에 사업화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규제, 환경, 인력 측면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코로나 19 확산 이후 산업의 스마트화・비대면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
기업의 성장과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존 기업의 도태가 예상되며, 코로나 19 방어를 위한
자국우선주의와 보호무역의 확산으로 인해 기존의 글로벌 리더십이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 기업이 변화하는 경제환경을 선도할 수 있도록 리쇼어링, 스마트화, 기술창업 등을
지원하고 코로나 19 대응역량을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관계를 정립해 나가야 한다.
셋째, 전 세계 국가가 온・오프라인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신종 감염병, 자연재해
등 기존에는 지역 단위의 위기로 끝날 수 있는 상황이 국제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국제적 규모의 위기상황이 일상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상시적 위기에 대비
하기 위한 과학기술 기반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이러한 대응체계를 뒷받침하기 위해 데이터
및 통계에 기반한 과학기술적 사실 중심의 정책수립 및 국민소통이 필요하다.
3.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
가. 정책방향
2020년 8월 6일, 정부는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
자원부, 교육부 등 9개 부처 합동으로 「코로나 이후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확정하였다. 동 안건은 과학기술 단체・정책기관의 릴레이 포럼을 통한 변화전망과 과학기술
대응방향 의견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수립하였고, 정책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위기를 기회로
(R&D) 민간이 중심이 되는 과감한 R&D모델 확산
(산업・지역) 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자생력 강화
더 나은
미래로
(인재・교육) 미래 일자리 변화에 맞는 과학기술 인재의 성장 지원
(위기대응・소통) 과학기술 기반으로 산학연이 협력하는 위기대응체계 확립
세계를 선도 (리더십) 과학기술 외교를 통한 글로벌 리더십 확보
∙10∙
첫째, 민간이 중심이 되는 과감한 R&D 모델을 확산한다. 디지털 치료제, 플라스틱 순환기술
등 코로나 이후 유망기술에 대해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민간 전문가에게 사업관리 전권을 부여
하는 도전적 R&D 모델과 민관협업을 통한 수요발굴・기획을 강화한다. 또한, R&D 단계부터
관련 규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대형 R&D 사업에 대한 선제적 규제혁신, R&D 특구 실증특례
등을 도입한다.
둘째, 산업의 디지털전환 대응・자생력을 강화한다.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비대면
서비스 개발, 스마트공장 보급 등을 확대하고 지역과 연계된 기술사업화 플랫폼 조성, 리쇼어링
등을 추진한다. 우수R&D 성과 사업화를 위한 부처 간 이어달리기를 강화하고, R&D 창업기업
육성 및 제도개선, 투자확충을 병행한다.
셋째, 미래일자리 변화에 맞는 과학기술인재의 성장을 지원한다. 일자리 변화에 따른 연구
인력 고용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한 디지털 재교육과 경력전환 지원플랫폼을 강화하고, 체험・
문제해결 중심의 교육혁신모델 개발과 온라인 기반의 맞춤형 교육 활성화를 추진한다.
넷째, 과학기술 기반의 위기대응체계를 확립한다. 주요 위기상황별 전담연구기관을 지정하여
사전감시 및 긴급대응연구를 추진하고, 과학적 근거 기반의 정책 의사결정과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국민소통을 활성화한다.
다섯째, 과학기술 외교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한다. 과학기술 기반의 국가 간 협력,
국제의제 선도를 위한 씽크탱크를 지정・운영하고, 국가전략분야에 대한 전략형 공동연구와
다자중심의 R&D 협력을 강화한다. 또한, 진단키트 수출효과를 바이오헬스 전반으로 확산하기
위해 의료기기 시스템・서비스의 패키지 수출을 추진한다.
나. 이행계획
코로나 이후 과기정책방향에 제시된 추진과제는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세부 방안을 마련,
추진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책이행을 위한 R&D 투자와 제도개선을 적극 지원할 계획
이다. 특히, 우수R&D 성과에 대한 부처 간 이어달리기, 위기상황별 전담연구기관 지정・운영
등 주요 추진과제는 국가R&D 혁신방안 2020 실행계획 수정안(2021.1.21. 과학기술관계장관
회의)에 반영하여 매년 이행실적을 점검한다.
∙11∙
∙13∙
제1장
국가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절 국가과학기술 비전 추진현황
1.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수립
가. 개 요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이하 ‘미래전략’)는 2045년 이상적인 대한민국의 미래모습을
실현해 나가기 위한 과학기술의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과학기술
기본법」 제7조제2항에 따라 과학기술발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2025년을 향한 과학기술 장기비전(1999)」, 「2040년을 향한 과학기술 미래비전
(2010)」 등 역대 정부의 전략을 계승한 국가 과학기술 장기 전략이다. 본 전략은 ‘건강’, ‘풍요’
등 이상적인 2045년을 바탕으로, ‘인간은 몇 살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을까?’와 같이 누구나
던질 수 있는 질문으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과학기술이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와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기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미래전략’은 지난 2019년부터 산・학・연 리더급 전문가로 이루어진 미래전략위원회 및 분과
위원회를 주축으로 대국민 설문조사, 지역토론회, 스타트업 대표 간담회, 기술・정책 분야별
전문가 자문 등 사회 각계각층의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거쳐 수립되었다. 2020년에는 제6회
총괄위원회를 통해 과학기술 도전과제 제시방식, 대국민 홍보방안 등 본 전략이 보완해야 할
사항을 최종적으로 점검하였다. 아울러 책자, 영상, 카드뉴스 등 다양한 홍보방식을 통해 국민들
에게 전략을 널리 확산하고자 하였다.
∙14∙
나. 주요 성과
1) 미래전략 2045 최종 수립
‘미래전략’은 2020년 여러 회의체 상정을 거쳐 보완되어, 8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
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수립되었다. 우선, 2019년부터 정기적으로 운영된 미래전략위원회를
2020년도에도 지속하여, 보완되어야 할 사항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2020년 2월에 개최
된 총괄위원회에서는, 과학기술 도전과제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전략의 보완 방향을 제시하
였다. 본 회의를 거쳐 기초과학 분야의 도전과제를 보완・추가하여 과학 분야와 기술 분야를
균형 있게 다루었고, 과제별로 예시를 추가하여 과학기술 전반을 폭넓게 아우르고자 하였다.
또한, 전략 수립 이후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전략을 널리 알리기 위한 홍보 방향을 논의하
였다. 논의 결과 전략을 상세히 설명하는 책자 외에도 알기 쉽게 설명한 별도 책자를 제작하여
배포하되,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는 이미지를 함께 구상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보완된 미래전략은 2020년 8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회 논의를
시작으로, 운영위원회 상정을 거쳐 심의회의 발표를 통해 최종 확정・수립되었다.
2) 범부처・대국민 전략 확산
가) 책자배포를 통한 오프라인 확산
‘미래전략’이 단발성 기획에 그치지 않고 미래를 능동적으로 개척하기 위한 지침서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에 걸쳐 적극적으로 전략을 확산하였다. 본 전략이 과학기술계 종사자
들을 포함하여, 과학기술에 관심이 많은 일반 국민들에게도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대한민국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책자(이하 ‘본 책자’)를 제작하였다. 본 책자는
미래유망기술을 포함한 과학기술 발전방향과 중장기 정책방향을 제시하면서,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 2045년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2020년 5월부터 작업이 시작된
본 책자는 여러 의견을 수렴하여 보완을 거쳤고, 9월에 완료되어 배포되기 시작하였다. 본 책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연구재단 등 주요 과학기술계 단체・기관을
포함하여 전국 대학, 도서관, 주요 언론사를 대상으로 폭넓게 배포되었다. 아울러 미래전략이
타 정책과도 연계될 수 있도록, 9월에 개최된 제48회 국무회의에 소개하여 타 부처를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본 전략을 확산시켰다.
또한, 2045년을 이끌어 나갈 미래 세대를 위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끔 내용을 각색한 ‘알기
쉽게 쓴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이하 ’홍보용 책자‘)를 함께 제작하였다. 홍보용 책자는 다양한
예시 및 일러스트와 함께 핵심 내용을 제시하여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재구성되었다. 본
∙15∙
책자와 함께 5월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홍보용 책자는 9월에 마무리되어, 국립중앙과학관, 국립
과천과학관 등 주요 과학관과 시・도 교육청, 전국 도서관에 배포되었다. 홍보용 책자는 추후
전시, 교육프로그램 등 과학관 주요행사와 연계되어 관람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폭넓게 배포
될 예정이다.
미래전략 본 책자 홍보용 책자
[그림 2-1] 미래전략 본 책자 및 홍보용 책자
나) 카드뉴스, 영상 등을 통한 온라인 확산
책자 외에도 온라인을 통해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미래전략의 핵심내용을 6장으로 압축한
카드뉴스를 제작하여 언론 보도자료 등과 함께 배포하였다. 또한, 카드뉴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정통부’)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연구재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 주요 과학
기술 단체・기관의 홈페이지 및 뉴스레터 등에 게시되어 책자의 홍보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
되었다.
[그림 2-2]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카드뉴스
∙16∙
아울러, SNS 이용에 친숙한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전략을 알리기 위해 두 가지 종류의 소개
영상을 제작하였다. 우선, 2020년 9월 ‘과학기술로 준비해 나가는 미래’를 주제로 과학기술
혁신본부장 인터뷰 영상을 제작하여, 과기정통부 유튜브 계정을 통해 배포하였다. 이 영상에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 2045년의 모습을 시작으로, 국민이 꿈꾸는 2045년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소개하고 있다.
미래전략 2045 소개 앞으로의 과학기술 정책방향
[그림 2-3] 미래전략 2045 인터뷰 영상
인터뷰 영상 외에도 보다 다양한 세대에게 전략을 소개하기 위하여 별도로 홍보영상을 제작
하였다. 본 영상은 다양한 자료화면을 활용해 우주왕복비행기, 하이퍼 루프, 유전자치료 등
미래 유망기술을 쉽게 설명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미래를 상상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 콘텐츠 전문 유튜버를 통해 전략의 핵심내용을 설명하여, 짧은 영상에 익숙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략을 널리 확산하고자 하였다. 이 영상은 주요 과학관 SNS 채널, 과학기술 단체・
기관의 뉴스레터 등 다방면의 채널을 통해 확산되었다.
미래유망기술 ‘하이퍼루프’ 소개 본 책자 소개
[그림 2-4]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홍보영상
∙17∙
다. 향후 계획
2021년부터는 과학기술기본계획, 국가R&D 중장기 투자전략 등 5년 단위의 중단기 전략・
계획 수립 시 ‘미래전략’을 기본 지침서로 활용하여 본 전략의 실효성과 실행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미래전략이 단순 전략에 그치지 않도록, 제시된 미래 유망기술들은 제6차 과학
기술예측조사를 통해 기술의 실현시기, 중요도, 기술발전 영향 등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구체화 될 예정이다.
아울러, 본 전략이 청소년들에게 미래를 나아가는 유용한 지침서가 될 수 있도록 주요 과학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사를 기획・추진할 예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래전략 내용을 반영한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등 본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과학관 행사 개최 시
미래전략 책자를 함께 배포하여 본 전략이 다양한 세대를 대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할 계획
이다.
2.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현황
가. 개요
과학기술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은 정부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근거하여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과학기술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기본계획에서는 연구개발, 성과확산, 인력양성,
국제협력, 지역혁신, 제도개선, 과학문화 등 과학기술정책 전반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과학기술
발전에 관한 중장기 정책목표와 방향,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과학기술 관련 계획과 시책 등을
종합하여 수립한다.
정부는 2018년 2월에 제4차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150명 이상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수립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였으며 이외에도 온라인 정책플랫폼을 운영
하여 일반 국민이 기본계획 수립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제4차 기본계획에서는
과학기술의 중장기 비전과 미래 모습을 제안하였고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4대 전략,
19대 중점추진과제, 70개 세부추진과제, 120개 중점과학기술을 제시하였다.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따라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매년 기본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을 수립, 이행해야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관별 시행계획과 전년도 추진
실적을 종합한 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거쳐 기본계획의 연도별 시행계획을 확정
하여야 한다.
∙18∙
정부는 2020년 3월에 「제4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시행계획 수립
대상기관은 과학기술정책 또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시행 중인 중앙행정기관이며, 대상사업은
기본계획의 19대 추진과제, 70개 세부추진과제에 해당하는 중앙행정기관의 과학기술분야 정책
및 사업이다.
[그림 2-5]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전략 및 추진과제
∙19∙
나. 주요 성과
1) 2020년도 시행계획 수립
정부는 2020년도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그간의 대내외 환경변화 및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등을 바탕으로 2020년도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기본계획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과기분야 중장기계획 등 현 정부의 주요 과학기술 정책
방향 및 과학기술분야 현안에 예산투자를 집중하고, 이러한 투자를 위해 예비타당성조사 규모의
대형 R&D사업은 기획단계부터 정책부합성을 검토한다. 2020년도의 대표적인 정책/현안연계
투자 분야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2019 1.7조→2020 2.0조),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
(2019 0.8조→2020 1.7조)이다.
둘째, 주요 정책환경 변화와 분야별 중장기계획을 반영하여 기본계획 추진과제를 수정, 보완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본계획 세부과제로 국가R&D의 도전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도전형
연구개발사업 추진’,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자립역량 강화’를
추가하였다.
셋째, 부처 간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부처협업사업에 대한 관리체계를 고도화하고 관련
예산을 확대하였다. 부처협업사업의 추진체계 및 운영방식에 따라 사업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로
차별화된 기획・심의・평가 방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부처협업 R&D 사업의 수량과 예산 규모를
2019년 48개 0.76조 원에서 2020년 54개 0.89조 원으로 확대하였다.
넷째, 정책적 중요도와 국민 체감도가 높은 중점관리 대상과제를 선정하였다. 대한민국 인공
지능 경쟁력 강화, R&D를 통한 소재・부품・장비 분야 내재화 역량 강화, 국가 차원의 선제적
감염병 위기 대비・대응 강화, 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 국민의 과학기술 관심도 제고 등 5가지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각 과제에 대해서는 2020년도 시행계획 추진실적 점검 시 전문가 심층
검토와 이행관리를 추진할 예정이다.
2) 전략 1. 미래도전을 위한 과학기술역량 확충
기본계획의 첫 번째 전략인 ‘미래도전을 위한 과학기술역량 확충’은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체계 구축과 창의적・도전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문화확산, 국제
협력 등을 포괄하는 전략이다. 해당 전략에서는 기초연구 확대, 혁신・도전형 연구개발사업 신규
추진, 연구지원시스템 통합, 과학기술 인재양성, 과학문화 확산, 과학기술외교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20∙
정부는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예산을 2019년 1.71조 원에서 2020년 2.03조 원으로
18.7% 확대하는 한편, 부처별로 따로 운영되던 연구관리규정 업무프로세스의 표준안을 기반
으로 범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와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차세대
공학자 및 현장맞춤인력 등 혁신인재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또한, 과학문화 유관사이트를
‘사이언스올’로 통합하고 과학문화사업을 지속 육성・지원하는 한편 과학기술외교센터를 신설
하여 국가 간 과학기술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과학기술혁신 ODA 확대, 고도화 등을 지속 추진
하였다.
3) 전략 2.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는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기본계획의 두 번째 전략인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는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은 우수 지식재산
창출 및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연구주체 간 연계・협력과 과학기술의 분권(지자체, 국민 참여),
총괄(컨트롤타워) 기능을 포괄하는 전략이다. 해당 전략에서는 융합연구 활성화, 기술창업 지원,
지식재산 전략수립, 지역혁신전략 추진, 국민생활연구,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등의 정책을 추진
한다.
정부는 혁신성장 촉진을 위해 산학협력 중점교수제도를 활성화하는 한편,대학 및 공공연구
기관의 실험실특화 창업선도대학을 2019년 5개에서 2020년 15개로 확대하였다. 출연(연)의
기술창업 혹은 기술사업화 기업 투자유치를 위하여 금융기관 및 보증기관의 기술금융지원 상담
연계를 지원하였으며,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 보호제도를 기존의 특허법에서 상표법과 디자인
보호법으로 확산하였다. 그 외에도 시・도별 지역혁신성장계획을 R&D 예산 편성 시 반영하고,
지역 사회문제해결 실험실을 구축하는 등 지역혁신 전략을 추진하였다.
4) 전략 3.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신산업・일자리 창출
기본계획의 세 번째 전략인 ‘과학기술이 선도하는 신산업・일자리 창출’은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혁신성장동력 육성, 제조업 재도약, 과학기술 기반의 중소기업 지원 및 일자리 창출을 포괄
하는 전략이다. 해당 전략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반산업(Data, Network, AI 등) 육성, 성장
동력 분야 지원 및 규제혁신, 과학기술을 통한 제조업・서비스업 지원육성, 기업 친화적 R&D
투자환경 조성, 과학기술기반 일자리 창출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기반인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관련
시행령 및 행정규칙의 개정안을 마련하는 등 후속조치를 추진하고, 혁신성장동력 분야의 기술
개발과 시장형성 과정에서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규제와 제도를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패키지형
∙21∙
지원을 강화하였다. 이외에도 소재・부품・장비 분야 100+α 핵심전략품목의 개발을 지원하고,
중소・벤처기업 우수 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였다.
5) 전략 4. 과학기술로 모두가 행복한 삶 구현
기본계획의 네 번째 전략인 ‘과학기술로 모두가 행복한 삶 구현’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건강, 안전, 환경, 사회 분야의 과학기술활동을 포괄하는 전략이다. 해당 전략에서는 의료・
사회안전・재난대응・국방 등 건강・안전 분야의 연구개발과 기후산업, 미세먼지대응, 자원순환 등
환경 분야 연구개발, 사회적 약자 대상의 과학기술서비스, 국민생활연구 추진체계 구축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
건강 분야에서는 정부 감염병 R&D의 전략적 투자 분야를 설정하고 감염병 R&D의 부처 간
협력체계를 고도화하는 한편,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을 신규 추진하였다. 안전・환경 분야에서는
식품 안전・위해성 평가의 전주기 체계를 마련하고,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의 주관부처 간
협력체계를 고도화하였다. 환경 분야에서는 해양에너지 개발,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고, 스마트시트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사회 분야에서는 사회문제해결 R&D의
다부처 추진체계를 개선하고, 지역 시민참여형 리빙랩을 운영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1년에는 2020년 주요과제 이행실적 점검결과 및 과학기술 장기비전(미래비전 2045)
등을 바탕으로 시행계획을 수정・보완하고 시행계획과 예산, 정책의 연계성을 지속 강화할 예정
이다. 정부는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미래 모습이 과학기술을 통해 실현될 수 있도록 추진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다.
∙22∙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1.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운영
가. 개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의 운영 근거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규정(대통령 훈령 제391호,
2018.10.5. 시행)」이며, 국무총리가 의장직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부의장직을 맡고,
기획재정부・교육부・국방부・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
복지부・환경부・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과학기술혁신 관련 12개 부처의
장관들을 당연직 위원으로 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매월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 시 수시로
개최할 수 있다. 의장(국무총리)이 주재하는 회의에서는 부처별・분야별 혁신전략 등에 대한
하향식(Top-down) 의사결정을 내리고 광범위한 정책방향을 설정하며, 부의장(과학기술정보
통신부 장관)이 주재하는 회의에서는 장관 간 자유로운 토론 방식을 통해 R&D혁신과 범부처
협업이 필요한 과제를 협의・조정하고 속도감 있게 실행해나간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개최에
앞서 상정할 안건에 대해서는 사전 검토와 협의・조정, 새로운 안건 발굴 등을 위한 실무조정
회의(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 각 부처 실장급 공무원 참여)를 개최하여, 과학기술관계장관
회의의 운영을 지원한다.
올해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4차례 회의를 가졌는데, 연초부터 시작된 코로나 19 사태로
인하여 회의 개최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긴급 현안 대응 및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안건을 상정하여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정운영의 기초를 충실히 이행하였다. 특히 지난
4.27.(월) 개최된 제11회 회의에서는 긴급 안건으로 포스트 코로나 대비 R&D 투자전략을
상정하여 내년도 R&D 예산 배분・조정시 코로나 19 위기극복을 위하여 유연한 심의를 통해
꼭 필요한 R&D사업 예산이 적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운영 측면의 주요 성과
2020년 햇수로 3년째를 맞이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지금까지 총 14회 회의를 개최하
면서 과학기술 분야에 있어서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의 위상을 갖고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
하였다. 비록 코로나 19 사태로 회의 개최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두 번의 총리 주재 회의(제
12・13회)를 통해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먹거리를 위한
∙23∙
초석을 다지는 안건을 상정하는 등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중요 정책을 발표하였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기본적으로 부처의 수요를 받아 안건을 상정하고 있으나 중요 사안의
경우 부처와 협의를 통해 안건을 작성하기도 하는데, 제13회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안건은 국무조정실에서 직접 요청한 주제로써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작성
하게 되었다. 이렇듯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국민 삶 속에 과학기술이 자리할 수 있도록 다
방면으로 안건을 발굴하여 상정시키려 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다섯 가지 목표를 세우고 정부 부처가 관장하고 있는 분야별
정책과 제도를 과학기술 관점에서 혁신하고 고도화하고 있다. 첫 번째는 혁신역량을 극대화
하기 위한 국가기술혁신체계의 고도화, 두 번째는 주도적 혁신으로 미래 신산업과 일자리의
창출, 세 번째는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의 해답을 제시하여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네 번째는 과학기술을 통해 모두가 행복하고 포용적인 사회의 구현, 다섯 번째는 과학기술 강국
으로서 국제적 영향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리더 국가로의 도약이다. 올해 총 4차례 회의에서
논의・확정한 안건은 유형별로 주도적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안건 7건과 ‘국가기술혁신체계
고도화’ 안건 6건,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안건 3건을 다루었으며 분야 간 중복되는 안건은
1건이다.
<표 2-1> 회차별 상정안건 및 분야별 분류 현황
구분 국가기술혁신체계 고도화 혁신주도 경제성장 국민 삶의 질 향상 기타
제11회
(2020.4.27.)
연구지원시스템 통합 실행계획
지능형 스마트부대 구축
자원기술 R&D 투자혁신
포스트 코로나 R&D 투자전략
제12회
(2020.8.6.)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
6G R&D 추진전략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
코로나 19 재확산 대비
과학기술・ICT 기반 계획
제13회
(2020.10.12.)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공공연 R&D 혁신방안 중 국립연
후속조치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제14회
(2020.11.12.)
R&D 투자시시템 혁신방안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 고도화
극지과학 미래발전전략
글로벌 연구자 유치・정착
협력방안
회의는 다양한 관점의 논의를 위해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발제하고 부처 간 자유로운 토론
으로 보완하여 상정 안건의 추진을 합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뿐만 아니라 위원부처와 현장
대응 부처・청이 함께 논의하여 과학기술 기반의 현장감 있는 정책・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아울러
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하여 회의를 통해서 안건별 후속조치 이행과제를 도출하고, 정부R&D
∙24∙
예산 조정・배분과 연계하여 우선적으로 검토하며 지원하고 있다.
의사결정 과정에는 다양한 관점의 논의를 위해 안건별 성격에 따라 산・학・연 전문가를 초청
하여 소신 있는 의견과 정보를 청취할 수 있게 하였고, 부처 간 자유로운 토론을 지향하는 과학
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감초와 같은 역할을 하였다. 올해는 총 4회의 회의를 거치는 동안 7건의
토론안건에 대한 발제를 위해 분야별 산・학・연 전문가가 다양하게 참여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포함하여 12개의 위원부처 외에도 4차 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이
참여하여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생생한 현장의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안건에 따라서는 식품
의약품안전처, 특허청, 산림청, 기상청에서도 참여하여 현장감이 있는 토론을 진행하였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다룬 안건들에 대해서는 정책・전략 수립을 위한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효성이 있는 회의 운영을 위해 안건별 후속조치 이행과제를 도출하는 절차를 운영하고
있다. 매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면서 앞선 회의에서 조치하기로 한 부분에 대해서
이행계획을 과학기술혁신본부장(간사위원)이 보고・공유하는 형식으로 점검하였으며, 관계부처
에서는 후속조치별 이행계획을 협의・수립하였고, 각각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해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 상정한 안건들은 코로나 19 사태로 국가적 위기에 직면한 상황
에서 과학기술적 대응방안 및 코로나 이후 시대의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제시한 안건과 경제
성장의 추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기술 기반의 성장동력 창출 아젠다가 주를 이루었으며,
관계부처들은 확정한 혁신 정책・전략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각각의 관계부처 합동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구체적 논의를 착수하였다. 특히,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안건 추진을
위해 「우수성과 이어달리기 범부처협의회」를 구성 및 운영하여 시범프로젝트의 부처 참여 및
역할을 확정했으며, 내년도 추진계획을 작성 중이다.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안건들은 정책・전략별 추진체계를 갖추어 중점과제를 도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행하기 위한 예산 확보 또한 중요하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상정안건
중 정부안 편성 이전에 상정되어 예산을 수반하는 총 17개 안건 89개 사업에 대해 안건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수행 중인 기능과 연계하여, R&D 예산을
우선 반영하고자 하였고 해당 사업들은 전체 R&D 사업의 증가율보다 높은 수준으로 증액된
6,129억 원이 반영되었다.
∙25∙
<표 2-2> 부처별 계획사업 및 2021년 예산반영 현황
(단위 : 개, 백만 원)
부처명
2020년
예산
2021년 예산
세부사업 수
정부안
신규 계속 합계
과기정통부 80,829 2 16 18 139,985
교육부 28,776 1 1 55,700
행안부 14,839 4 4 17,532
농식품부 59,670 1 9 10 86,131
산업부 30,409 8 8 36,713
복지부 22,512 4 4 20,164
환경부 18,741 4 4 18,629
국토부 89,321 11 11 78,259
해수부 54,875 3 7 10 43,673
농진청 86,254 4 11 15 106,871
산림청 7,995 1 1 3,998
방사청 1,401 1 1 1,165
기상청 2,221 1 1 2,961
문체부 705 1 1 1,095
합 계 498,548 10 79 89 612,876
※ 제7회 안건 ‘소부장 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관련 사업 제외
(2021년도 정부안 기준: 41개 세부사업, 2조 1,515억 원 반영)
2) 상정 안건 측면의 주요 성과
연초부터 시작된 코로나 19 사태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는 그간 걸어보지 않았던 길을
가고 있다. 정부는 모든 자원과 역량을 결집하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집합・모임이 제한되어 회의 운영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위기를 극복
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발굴하여 우리의 과학기술 역량을 보여주었다. 특히, 두 차례 총리 주재
회의를 통해 과학기술을 통한 국정 운영에 힘을 실을 수 있었다.
제1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스마트 국방혁신 추진 및 국가 혁신성장에 기여하기
위해 민・관・군 협력을 통한 지능형 스마트부대 구축전략을 발표하였고, 범부처 연구지원
시스템 통합 구축 실행계획 논의를 통해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종합대책(2019.8.)」에
따른 범부처 연구지원시스템 조기 구축・적용으로 효율적 사업 관리 및 범부처・전문기관 협업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자원기술 R&D 투자혁신 전략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광물자원의 수요 증가와 공급독점국의 자원무기화 등에 의한 주요자원의 수급 불안정과 폐플라
∙26∙
스틱・신규폐기물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폐기물 관련 이슈해결을 위한 자원의 안정적인 수급과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한 자원기술 R&D 전략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당면한 경제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고, 국가혁신 역량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강력한 맞춤형 R&D 투자 조치인
포스트 코로나 대비 R&D 투자 전략을 마련하였다.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코로나 19 위기극복을 넘어 코로나로 인한 거대한 변화와
중대한 도전에 대응하여 과학기술 기반의 선제적 미래 준비 필요에 따라 코로나 이후,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과학기술 단체・정책기관의 릴레이 포럼을 통해 변화를
전망하고 과학기술적 대응방향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마련하였다. 두 번째 안건은 통상 10년
주기로 전환되는 이동통신 세대 특성에 따라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 한발 앞선 기술
개발 착수 및 표준화 선점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6G 등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 선점과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디지털화 대응을 위해 5G의 한계를 뛰어넘는 6G에 대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필요에 의해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를
통해 세계 최초 6G 상용화에 선제 대응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 기회를 확보할 수 있고, 전산업
분야에서 6G 기술이 촉발할 신지능형 서비스를 발굴하여 산업 구조 혁신 및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세 번째 안건인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은 해양
디지털화 정책으로써 맞춤형・디지털 안전정보 및 실시간 해상 내비게이션 제공을 통해 해양
사고 저감이 예상되며, 나아가 해양 분야의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서면 안건인
코로나 19 재확산 대비 과학기술・ICT 기반 활용・지원 세부 실행계획은 가을・겨울 간 코로나
19 재확산 가능성 속에서 코로나 19 종식까지 감염증 확산 추세의 안정적인 유지 및 국민의
사회・경제활동을 지속시키기 위해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한 지원 방안을 다루고 있다.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과학기술정보
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공동으로 상정하였다. 정부는 그간 ‘인공지능’과 ‘시스템반도체’를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국가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여 집중 지원해 왔으며,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라 인공지능 반도체는 인공지능・데이터 생태계의 핵심
기반이자 시스템반도체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각되었고, 이에 정부는 금년부터 대형 R&D
투자에 착수하였으며, 민간도 인공지능・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한 투자를 본격화함에 따라
성장잠재력 확충이 기대된다. 본 안건에서는 제2의 D램 신화를 쓰기 위하여 퍼스트무버형 혁신
기술・인재 양성과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구축 전략을 다루었다. 두 번째 안건은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방안으로 정부R&D 예산 증가에 비해 국민이 성과를 체감
하는데 한계가 있어 국무조정실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요청한 데 따라
마련되었다. 추진 절차는 우선 R&D 우수성과를 발굴 및 선정하고 해당 우수성과에 대한 지원
∙27∙
현황, 상용화・사업화 장애요인 등을 분석하고 후속 지원이 필요한 유형을 마련하여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지원전략 수립 후 부처 역량을 결집하는 것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성과 체감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상기 두 안건에 대한
사전행사로 인공지능 반도체 및 R&D 우수성과에 대한 시연을 실시하였고, 안건과 관련된
연구자들에게 현장 이야기를 직접 듣는 시간을 가졌다. 세 번째 안건은 서면 안건으로 공공
연구기관 R&D 혁신방안 중 국립연구기관 후속조치를 상정하였다. 이는 제10회 안건인 ‘공공
연구기관 R&D 혁신방안’의 후속조치로써 국립연구기관 대상 추진과제를 포함한다. 세부 추진
과제로 연구 중심의 국립연구기관 운영체계 구축과 연구기관 특성을 반영한 성과분석 및 평가
체계 마련 등을 다루었다.
[그림 2-6]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및 사전행사(2020.10.12.)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을 통해 현행 투자시스템을
진단하고, 전문성과 민・관 협업 체제에 기반하여 R&D 투자의 전략성과 효율성을 강화하고,
수요기반의 R&D 투자 강화로 국민의 성과 체감도를 제고할 수 있는 R&D 투자시스템 혁신
과제를 다루었다. 두 번째 안건인 극지과학 미래발전전략에서는 극지과학 연구에 있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미지의 극지 공간 개척을 통해 신 연구영역을 확보하며,
미래 극지과학 수요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및 지원기반 구축을 위한 추진과제를 다루었다. 세 번째
안건인 글로벌 과학기술 연구자 유치・정착을 위한 범부처 협력 방안은 국제사회 과학기술
선도국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연구자 유치・정착 지원책 및 범부처 협력방안
마련 필요에 따라 해외 현지 연구개발 인적자원과 국내 연구기관 간 연결 지원 강화, 국내 연구
기관의 인재영입 규제 개선 및 선도기관과 전략적 협력 기반 마련 등을 제시한다. 네 번째 안건은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체계 고도화 전략으로 R&D 성과제고를 위한 주요 정책기조(이어
달리기 등)를 기초・원천 연구성과 확산체계 전반에 구현・발전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 안건에서는
∙28∙
연구성과 사업화 정책・조직・기관 간 단절 없는 지원체계 구축 및 혁신주체(산・학・연) 간 연구
초기부터 일체화된 협업수행 구조 확보를 전략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공기술 가치가
재창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 향후 계획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정부 현안에 대한 R&D 측면의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고, 내실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 관계부처와 토론 방식으로 논의하며, 정책-예산-평가
연계를 통해 정책의 실행력 확보를 지원하는 등 과학기술 분야의 현안에 대한 범부처 의사결정
회의체로 자리매김하였다.
코로나 19 위기 상황에서 ‘국정 운영의 과학화’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한층 더 다가가기 위해서는 국방・농림・해양・재난안전 등 상대적으로 과학기술적 문제 대응이
미흡한 분야에서의 의제를 발굴하고, 관계부처 간 협업에 초점을 두어 비R&D 영역까지 폭넓은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현장 수요를 반영하는 회의체를 지향하기 위한 노력으로 분야별
전문가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민간위원들을 통해서 상정 예정인 안건에 대한 의견을 사전에 수렴하고, 더욱 촘촘하게
부처 간 의사결정을 뒷받침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기술・사업・제도 분야의 전문가와 소통
하여 정부 부처에서 구상하고 있는 정책과 제도 개선까지 논의할 수 있는 의제를 발굴하여 관계
부처와 논의할 것을 제안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가. 설치목적 및 체제 변천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헌법 제127조를 근거로 과학기술혁신 등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응하기 위해 1989년 한시적 자문기구로 출발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제2조
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 전략
및 주요 정책 방향에 관한 사항, 국가과학기술 분야의 제도 개선 및 정책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대통령의 자문 요구에 응하기 위해 출범하였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최상위의 대통령 자문기구로서 과학기술
정책의 중장기 방향 설정, 과학기술 주요 이슈 등에 대한 자문을 수행하였다. 2008년에는 과학
∙29∙
기술부와 교육부가 통합된 교육과학기술부가 신설・운영됨에 따라 자문회의도 ‘국가교육과학
기술자문회의’로 운영되면서 교육과 인재정책에 대해서도 자문기능을 수행하였다. 2013년
부터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복원되어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자문기구로 운영됐다. 한편,
2017년 12월 국회에서 의결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전부개정법률이 2018년 4월 17일
부터 시행됨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통합되면서 ‘통합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가 출범하여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1991 ~ 2007 2008 ~ 2012 2013 ~ 2017 2018 ~ 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교육과학기술
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舊과학기술부
소관
舊교육과학기술부 소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舊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사무처 독립)
15인 이내 자문위원
(비상설)
30인 이내 자문위원
(상설, 지원단)
30인 이내
자문・심의위원
(상설, 지원단)
[그림 2-7] 연도별 자문회의 변천・운용
나.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대통령을 의장, 민간전문가를 부의장으로 대통령 자문기능을
수행하는 자문회의와, 과학기술 분야 정부정책 방향,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R&D 분야별
산업계획 등을 최종 결정하는 심의회의, 양 회의체를 합친 전원회의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자문이 과학기술 분야 예산 배분과 주요 정책 심의에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게 되어 의사결정의 효율성이 한층 제고되었다.
또한, 기존에 자문기능과 심의기능이 분리된 상황에서 종전 ‘국가과학기술심의회’는 위원장을
국무총리로 하여 범부처 컨트롤타워로서의 한계가 있었던 반면,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여 과학기술 정책과 예산 배분 심의기구로서의 위상이 한층 더 제고되었다.
∙30∙
기존 개편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자문)
국가과학기술
심의회
(심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자문회의 심의회의
[그림 2-8] 자문회의 및 심의기구 통합 전・후 비교
현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총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의장은 대통령, 부의장은
의장이 지명하는 민간위원, 간사위원은 과학기술보좌관이 맡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의장 : 대통령 / 부의장 : 민간 1인 / 간사 1인)
전원회의
(자문회의 및 심의회의
위원 전원)
자문회의
(민간위원/20인 이내)
심의회의
(민간・정부위원/20인 이내)
과
학
기
술
기
반
소
위
원
회
과
학
기
술
혁
신
소
위
원
회
과
학
기
술
사
회
소
위
원
회
운
영
위
원
회
특
별
위
원
회
지
방
과
학
기
술
진
흥
협
의
회
기
초
연
구
진
흥
협
의
회
[그림 2-9]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구성
1) 자문회의 구성
자문회의는 의장 및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20명 이하(의장・간사위원 외 전원 민간위원으로
부의장 포함 현재 13명)로 구성되며, 기존 자문회의 내 소위원회를 그대로 유지하여 ①과학기술
기반소위원회 ②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③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로 운영되고 있다.
∙31∙
<표 2-3> 자문회의 소위원회 구성 및 위원구성(문재인 정부 제3기)
명칭 과학기술기반소위원회 과학기술혁신소위원회 과학기술사회소위원회
소관
분야
∙ 과학기술 중장기 국가전략 및 정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관련 법・제도 개선
∙ 기초연구 진흥
∙ 청년과학자 등 미래인재 성장 지원
∙ 과학기술기반 경제성장 정책
∙ 중소기업 육성, 제조업 혁신
∙ 과학기술기반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 연구성과 활용 및 확산 촉진
∙ 국민의 삶의 질 제고 정책
∙ 과학기술기반 인류 지속가능 발전
∙ 과학기술기반 사회복지 및 보건의료
증진
∙ 과학기술활용 사회구조・문제 해결
위원
구성
총 4명 (분과의장 : 임효숙) 총 4명 (분과의장 : 박종구) 총 4명 (분과의장 : 하경자)
∙ 임효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센터장)
∙ 양은진
(극지연구소 부장)
∙ 최해천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 손병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
위원)
∙ 박종구
(나노융합2020 사업단장)
∙ 김재은
(㈜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
이사)
∙ 김지원
(SK Telecom T-Brain 상무)
∙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하경자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교수)
∙ 백성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임미희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
∙ 성백린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교수)
2) 심의회의 구성
기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역할을 수행하게 된 심의회의는 의장 및 부의장을 포함하여 총
18명으로 구성되었다. 정부위원은 기획재정부・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간사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민간위원은
현재 총 10명(부의장 제외)이다.
심의회의는 심의사항의 사전검토 및 실무적인 자문, 전결안건 심의를 위해 하부에 운영위원회를
두었으며, 심의사항 중 특별한 사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특별위원회3), 특정 분야
추진시책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협의회(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기초연구진흥협
의회)를 두었다. 심의회의 및 운영위원회 상정 안건의 효율적인 검토를 위해 운영위원회 내
전문위원회(총 10개 분야)를 구성・운영하고 있다.
3)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2019.8.)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2019년 10월에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의 전략적 추진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심의회의 산하에 신설하였다.
∙32∙
심의회의
바
이
오
소
재
부
품
장
비
기
술
전
문
기
관
효
율
화
다
부
처
협
력
혁
신
성
장
동
력
미
래
인
재
운영위원회 지
방
과
학
기
술
진
흥
기
초
연
구
진
흥
정
책
조
정
평
가
중
소
기
업
공
공
・
우
주
에
너
지
・
환
경
I
C
T
・
융
합
기
계
・
소
재
생
명
・
의
료
기
초
・
기
반
국
방
전문위원회(10)
특별위원회(6) 협의회(2)
[그림 2-10] 심의회의 구성
다. 2020년 활동실적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20년 자문회의 7회 및 심의회의 5회를 개최하였다. 자문회의를
통해 총 20건의 안건을 토의하였고, 심의회의를 통해 총 11건의 안건을 심의하였다. 특히, 대통령
주재로 제3회 전원회의를 개최하여 ‘국민 안전과 쾌적한 삶을 실현하는 연구개발 전략’ 안건
등 2개의 안건을 대통령께 보고하였다. 아울러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의제 관련 전문가
회의 및 실무회의를 64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하게 자문 활동을 수행하였다. 특히, 코로나 19
등 감염병, 소재・부품・장비 관련 정책, 바이든 정부의 과학기술정책 방향 등 긴급 현안에 대
하여 과학기술과 관련한 의사결정을 적극 지원하였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위원 간 소통을 강화하고 다양한 자문의제를 발굴・의제화하기 위해
소위원회 회의를 월 1회 이상(총 13회) 개최하였다. 또한, 의제별 전문가 회의 및 실무회의를
수시로 개최(총 44회)하여 자문위원과 전문위원뿐만 아니라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자문안을 검토하였다.
연구・산업 현장과의 가교 역할 수행을 위해 출연(연), 정부기관 등과 간담회・토론회를 개최
함으로써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청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아울러 설문조사 등을 통해
연구 현장 의견과 정책제안을 적극 수렴하여 자문안 도출을 뒷받침하였다.
2020년 심의회의는 총 5회의 회의를 통해 총 11건의 안건을 상정하여 심의・의결하였다.
∙33∙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등을 의결하여 국가
과학기술 관련 주요 정책방향을 조율하고 검토하였으며 문화재・인재・생명・과학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 정책을 심의・의결하였다. 특히 정부연구개발투자에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분조정(안)’을 심의・
의결하였고, 이후 기획재정부 예산 편성 과정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 대비 변경된
주요 R&D 예산 배분・조정 내역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검토・보고하는 절차를 가짐으로써
R&D 심의기능이 보다 강화・내실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표 2-4> 2021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실적
의제발굴 회의 운영 연구현장 소통 강화
∙ 자문회의 7회
∙ 심의회의 5회
∙ 전원회의 1회
∙ 소위원회, 간담회 및 워크숍 등 28회
∙ 의제별 전문가회의 및 실무회의 36회
∙ 소부장 전문가 및 중소・중견기업 현장 목소리 청취
∙ 미세먼지 2050 탄소중립 관련 민관 협업사항 발굴 토의
∙ 사회문제해결 R&D 발전방안 관련 산・학・연 검토위원회 구성・운영
라. 제3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 개최
제3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가 대통령 주재로 2년 만에 대면 회의로 개최
(2021.12.21.)되었다. 제3차 전원회의는 ‘국가R&D 100조원 시대, 국민이 투자한 기술 국민의
혜택으로’라는 슬로건 아래 청와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간 화상회의로 진행되었다.
금번 회의는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국가 총 R&D(민간+정부) 100조 원 시대를 열 수 있게
해 주신 국민에게 더 많은 혜택을 드릴 정책을 제시하고자 개최된 것으로, 코로나 충격으로
힘들어진 기업의 R&D 활동에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민간기업 기술혁신 선제적 지원 전략’
안건과 감염병, 미세먼지, 기후변화 등 국민 삶과 밀접한 사회난제 해결을 위해 R&D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한 ‘국민 안전과 쾌적한 삶을 실현하는 연구개발 전략’ 안건 등 국민과 산업・연구
현장의 체감도가 높은 의제 2건을 안건으로 상정하여 대통령께 보고하였다.
‘민간기업 기술혁신 선제적 지원’ 정부안건의 주요 내용으로는 ①연구결과의 실증특례 강화,
정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연구비 매칭부담 감소, 5천억 원의 기술혁신 전문펀드
조성 등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활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②상용화가 중요한 정부 연구
개발사업에서 민간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전문가가 사업의 전권과 책임을 갖고 도전적
목표 달성에 매진하는 연구개발모델 (K-R&D Model)을 제도화하고 원천연구 단계부터 시장
전문가를 참여시켜, 산업 수요와 시장 전망에 근거해 목표를 설정하고, 우수 연구성과에 대해
중계연구(수요⇆공급)・기술실증・규제개선 등의 지원도 강화한다. ③기업이 당장 나서기 어려운
∙34∙
연구개발 분야에 정부의 마중물 역할을 강화하고 Big3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이후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선도기술의 투자전략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④중소・중견
기업과 지역이 연구개발 혁신의 중심이 되도록 현재 4만여개에 달하는 기업부설연구소를 진단
하여 역량(잠재형연구소, 도약형연구소, 선도형연구소)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할 계획 등을
마련하였다.
‘국민 안전과 쾌적한 삶을 실현하는 연구개발 전략’ 자문안건에서는 ①올해 약 1.5조 원에
불과한 감염병・미세먼지・기후변화 등 사회 난제 대응 연구개발 투자를 2025년까지 3배 확대
하고, 중점 투자 분야도 고령화, 폐플라스틱, 재난・재해, 독성물질 등으로 확대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②사회 난제 대응 연구개발을 문제 해결이라는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해 여러 부처와
연구기관이 연계・협력하는 ‘임무 지향 추진체계’로 개편하고, ③연구개발 성과가 사회 난제의
실질적 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인・허가 등 규제 개선, △공공조달 등과 연계한 시장 조성,
△연구개발 과정에 국민 참여 확대 등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가. 설치목적 및 변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18조에 근거하여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원, 육성 및 체계적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1999년 총리실 산하에 기초기술연구회, 공공기술연구회, 산업기술연구회 등 3개
연구회를 설립・운영하였으며, 이후 과학기술부 이관(2004), 공공기술연구회 통폐합 및 교육
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이관(2008)을 거쳐 2014년 6월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 개편되었다.
1) 연구회의 구성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이사회와 사무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하에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근거를 둔 법정자문기구인 기획
평가위원회 및 경영협의회가 구성되어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는 의장인 연구회 이
사장 및 당연직 이사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5개 부처 차관, 그리고 관련 분야 전문가 중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촉하는 14명 이내(2020.12.31. 기준 11명)의 민간이사로 구성
되어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사무기구는 3개 본부, 10개 부, 3개 센터, 18개 팀으로 구성
∙35∙
되어 있으며 총 117명의 직원(2020.12.31. 정원 기준)이 근무하고 있다.
기획평가위원회는 연구기관 간의 기능조정업무와 연구기관에 대한 평가 업무를 지원하고,
연구기관의 장기 발전방향에 대한 자문을 수행한다. 기획평가위원은 연구회 이사회에서 선정한
후 이사장이 위촉하며, 현재 13명의 민간전문가가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경영협의회는 국가
과학기술연구회의 주요 정책결정에 관한 자문을 수행한다. 경영협의회 위원은 연구회 이사장,
선임직 이사와 연구회 산하 출연(연)의 원장으로 구성되며, 총 33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이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근거하며, 회의 운영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동 조항에 따라 연구회 정관
으로 정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기이사회는 매년 3월, 5월, 12월에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감독관청, 감사, 이사의 1/3 이상이 요청할 경우 또는 소관연구기관장의 요청이
있거나 이사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임시이사회를 개최할 수 있다. 아울러 경미한 사항에
대해서는 서면으로 개최할 수 있다.
안건의 처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소관연구기관 및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사무기구 각 부서
에서 상정안건을 제출하면, 연구회 주관부서에서 안건 검토 및 부처 협의 등을 거쳐 최종안을
작성한다. 특히 사업계획 및 예산, 기관평가 등 중요 안건에 대해서는 예산심의위원회, 기획
평가위원회, 경영협의회 등 사전 심의절차를 통해 충분한 검토와 자문을 거쳐 이사회에 상정
후 심의를 거쳐 안건을 처리한다. 이사회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이사
과반 이상의 찬성으로 심의안건을 의결하거나 보고안건을 접수한다. 단, 임원의 해임, 정관의
변경, 법인의 해산, 연구기관 원장 및 감사의 임면, 연구기관의 기능조정에 관한 사항은 재적
이사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상정된 안건은 이사회의 의견에 따라 원안의결(접수), 수정
의결(접수), 조건부 의결(접수), 부결(미접수) 할 수 있다.
나. 운영실적
1)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운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년도 이사회는 총 19회가 개최되었으며(이중 서면이사회 6회) 총
102건의 안건이 상정되어(보고안건 28건, 의결안건 74건), 100건이 원안접수・의결(원안접수
27건, 원안의결 73건) 되었고, 2건의 안건이 부결 되었다.
∙36∙
<표 2-5>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회 개최실적
회차(일자) 참석/정원 안건명 처리결과
제123회 임시이사회(서면)
(2020.1.8.~1.9.)
16명/17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및 한국기계연구원 원장후보자
심사위원회 외부전문가 선임(안)
각 2인 선임
제124회 임시이사회
(2020.2.11.)
16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제123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출연(연) 공동관리아파트 부지개발 사전기획 용역
착수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3호.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제2연구소 건립
사전기획 용역 착수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4호. 소관연구기관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임감사 선임(안) 성진욱 선임
의결안건 제2호. 2020년도 소관연구기관 기관장 및 상임감사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이사장 보수 결정(안) 원안의결
제125회 임시이사회
(2020.2.21.)
16명/17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낙규 선임
의결안건 제2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선임(안) 박현민 선임
제126회 정기이사회(서면)
(’20.03.27.~03.31.)
15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소재혁신선도본부
설치 및 운영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주 감포토지 무상 임대차 계약
체결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2020년 1차 소관연구기관 종합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제3기 기획평가위원회 위원구성 추가 동의(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융합연구사업 관리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5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9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6호. 소관연구기관 2019년도 결산(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7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8호. 소관연구기관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제127회 임시이사회
(2020.4.10.)
17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제126회 정기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부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선임(안) 박상진 선임
제128회 임시이사회(서면)
(2020.4.14.~4.16.)
15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소관연구기관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선임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지역본부 3D프린팅 제조
공정센터 부동산 무상임차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국사무소 이전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한국원자력연구원 경주(감포) 부지 일원 환경방사선
평가 및 지진관측망 설치・운영을 위한 토지 사용
승인(안)
원안의결
∙37∙
회차(일자) 참석/정원 안건명 처리결과
제129회 임시이사회(서면)
(2020.5.12.~5.13.)
14명/17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후보자심사위원회 외부
전문가 선임(안)
2인 선임
제130회 정기이사회
(2020.5.20.)
13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제128회, 제129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한국기계연구원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3호. 제3기 기획평가위원회 위원 추가 구성 결과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4호. 출연(연) 수입구조 포트폴리오(안) 보고 - 3차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5호. 출연(연)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변경(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등 4개 소관연구기관 용역근로자
정규직 전환 및 공동출연법인 출연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화학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사업 필요부지 매입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소관연구기관 본원 외 조직 설치・운영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5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복무규정 및 인사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6호. 소관연구기관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7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1년도 예산요구(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8호. 소관연구기관 2021년도 예산요구(안) 원안의결
제131회 임시이사회
(2020.6.17.)
11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한국원자력연구원 혁신원자력연구개발 기반조성사업
추진현황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한국화학연구원 비상임감사 선임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2020년 소관연구기관 지역조직 평가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장파시험방송국 운영을 위한
KBS 여주송신소 임차계약 연장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한국재료연구원 및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설립
위원회 운영계획 및 초대원장 선임계획(안)
원안의결
제132회 임시이사회
(2020.7.17.)
16명/17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선임(안) 윤석진 선임
의결안건 제2호. 한국화학연구원 비상임감사 선임(안) 조해인 선임
의결안건 제3호. 한국재료연구원 및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후
보자심사위원회 외부전문가 선임(안)
각 2인 선임
의결안건 제4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정관 및 이사장추천위원회 운영
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5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6호. 소관연구기관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제133회 임시이사회
(2020.7.31.)
13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소관연구기관 조직개편(안) 보고 일부 보류
보고안건 제2호. 출연(연) 국내출장 제도개선 계획(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3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주분원 시범사업 운영계획
(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4호. 출연(연) 수입구조 포트폴리오(안) 보고 -4차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소관연구기관 본원 외 조직 설치운영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38∙
회차(일자) 참석/정원 안건명 처리결과
제133회 임시이사회
(2020.7.31.)
13명/17명
의결안건 제2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비대면・디지털 정부일자리
사업수행을 위한 사무공간 임차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2020년 2차 소관연구기관 종합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5호.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6호.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7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제134회 임시이사회(서면)
(2020.8.14.~8.31.)
13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본부 실험동 건물 일부 철거
승인(안)
원안의결
제135회 임시이사회
(2020.9.2.)
12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제134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한국전기연구원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사업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5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6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5개 소관연구기관 용역
근로자 정규직 전환 및 공동출연법인 출연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7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추천위원회 위원 구성(안) 9인 선임
제136회 임시이사회
(’20.09.28)
11명/17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부설 국가핵융합연구소
부동산 재산권 분할 확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사택(APT) 매각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소관연구기관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변경(안) 원안의결
제137회 임시이사회
(2020.10.15.)
17명/17명
보고안건 제1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녹색기술센터 경영체제
효율화 검토 경과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경영체제
효율화 검토 경과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선임(안) 이정환 선임
의결안건 제2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원장 선임(안) 유석재 선임
의결안건 제3호. 한국기계연구원 기관운영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관연구기관 정관 개정(안) 원안의결
제138회 임시이사회
(2020.11.3.)
11명/16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재료연구원 및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설립에
따른 재산 승계 등 확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인사규정 개정(안) 원안의결
제139회 임시이사회(서면)
(2020.11.17.~19.)
12명/16명
의결안건 제1호. 한국천문연구원 등 6개 소관연구기관 원장선임 추진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소관연구기관 2020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변경(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가가치세 환급금 사용계획(안) 원안의결
∙39∙
2) 출연(연) 신임기관장 선임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25명 중 임기종료 등의 사유로 총 7명의
신임 기관장을 선임하였다.
회차(일자) 참석/정원 안건명 처리결과
제140회 임시이사회
(2020.12.7.)
11명/16명
보고안건 제1호. 제139회 임시이사회 서면개최 결과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2호. 소관연구기관 조직개편(안) 보고 원안접수
보고안건 제3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구분원 타당성 재조사 결과
보고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2020년 3차 소관연구기관 종합평가 결과(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서울대
평창 전파천문대 설치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실상의 지역조직 폐지에 따른
시설(건물) 처분 승인(안)
원안의결
제141회 임시이사회
(2020.12.23.)
12명/16명
보고안건 제1호. 출연(연) 수입구조 포트폴리오(안) 보고 -5차 원안접수
의결안건 제1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4개 소관연구기관 용역
근로자 정규직 전환 및 공동출연법인 출연 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2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사업 필요부지 매입 변경
승인(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3호. 2021년 소관연구기관 평가 추진계획(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4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및 소관연구기관 기본사업 운영
규정 제정(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5호.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1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의결안건 제6호. 소관연구기관 2021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안) 원안의결
∙40∙
<표 2-6>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출연(연) 기관장 임명 현황
기 관 명 직위 성명 임 기 주 요 경 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윤석진
2020.7.20.
~2023.7.19.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본부장
∙ KIST 부원장
∙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원장 이낙규
2020.2.24.
~2023.2.23.
∙ 한국생산제조학회 회장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생산기술연구소 연구소장
∙ 서울과학기술대학교(舊 서울산업대) 겸임교수
(부설)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소장 최효진
2020.9.28.
~2023.9.27.
∙ 국가정보원 과학기술부서 관리관(국장)
∙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 행정관
∙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빙교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박현민
2020.2.24.
~2023.2.23.
∙ 독일 RWTH(아헨공대)결정학연구소 Post Doc
∙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성장조정과 과장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부원장
한국기계연구원 원장 박상진
2020.4.13.
~2023.4.12.
∙ 한국기계연구원 연구기획조정본부장
∙ 대한기계학회 플랜트부문 부회장
∙ 지식경제부 플랜트엔지니어링 PD
한국재료연구원 원장 이정환
2020.11.20.
~2023.11.19.
∙ 한국소성가공학회 회장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소재・부품・장비 기술 특별위원회 정책제도
위원장
∙ 재료연구소 소장
한국핵융합
에너지연구원
원장 유석재
2020.11.20.
~2023.11.19.
∙ 국가핵융합연구소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장
∙ 국가핵융합연구소 선임단장
∙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
3) 출연(연) 정책 및 제도 개선
가) 출연(연) 소통기반 연구협력 활성화
2019년 5월 정립된 출연(연) R&R을 기반으로 주요 R&D 분야에 대한 범 출연(연) 차원의
연구지향점과 목표를 제시하고, 이행을 위한 기관 간 협력방안과 중장기 R&D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수평적 R&R(H-R&R) 수립 방안을 검토하였다. 현재 연구현장 의견 및 정치・경제・사회적
환경을 고려하는 한편, H-R&R 도출의 필요성, 시의성, 파급력 등을 감안하여 시범 분야를
탐색 중에 있으며 2021년 시범 분야 정립을 통해 체계를 완성하고 점진적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출연(연) 협업 시너지 창출을 위해 구성된 18개 연구협의체는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해
교류활동이 위축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출연(연) 연구협의체 활성화 방안
(2019.11.)」의 일환으로서 추진된 출연(연) 기술전략 Foresight 프로젝트를 통해 협의체의
씽크탱크(think-tank) 활동을 밀착 지원하고, 협의체 운영 고도화를 위한 현장소통을 추진
하였다. 현장소통은 코로나 19 상황을 고려하여 원격회의 혹은 10인 이내의 소규모 회의, 인터뷰
등의 방식으로 추진하였다.
∙41∙
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 지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의 설립 목적과 운영 취지에 부합하도록 효율성과 책무성 기반의
연구몰입 환경 구축과 PBS 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출연(연)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을
지원해 왔다.
연구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출연(연) PBS 제도개선 TF’를 구성하여 PBS 제도의
현황과 운영 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구 현장의 의견을 PBS 개선 방안에 충분히 반영
하기 위해 총 20여회의 전문가 토론회, 간담회, 세미나 등을 개최(2018.3.∼2019.10.)하여
출연(연)별 특성화된 재정전략(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을 추진하였다.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 과정에서 기관별 의견수렴 현황을 점검(2019.10.~2020.4.)하여
연구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고, 정부부처,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검토
회의’에서 기관별로 2∼3차례 심층 검토를 거쳐 수입구조 포트폴리오에 대한 전문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사회 상정을 통해 2019년부터 전체 25개 기관 중 23개 출연(연)이 수입구조
포트폴리오를 수립하였으며, 기관 특수성을 고려하여 1개 기관에 대해서는 수립 제외 대상으로
확정하였다(2019년 14개 기관, 2020년 9개 기관 수립 완료).
또한, 소・부・장 이슈, 코로나 확산 등 외부 환경변화와 기관의 재정 여건을 고려하여 기 수립한
5개 기관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는 수립절차와 동일한 수준의 전문가 심의 절차를
거쳐 수입구조 포트폴리오를 현실화하였다.
다)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실현
2017년 9월 「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기본 방향」에 따라 ①자기주도적 혁신
역량 강화 ②지역경제 성장 ③주민 삶의 질 향상 ④지역 동반 성장이라는 4대 전략을 수립하여,
‘지자체가 스스로 추진하는 지역과학기술 진흥’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도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기조에 발맞추고
지역의 취약한 혁신 역량에 대해 지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출연(연)의 역할과 책임(Role
& Responsibility)의 5대 가치’ 중 하나로 “국토의 균형 발전과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출연
(연)”을 포함하였다.
그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회는 대부분의 지역조직을 방문하여 연구자들과 소통을 강화
하고 지역조직의 주요 성과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특히,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지역
주도 사업을 도모하기 위해 ‘출연(연) 지역조직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조직들이
권역별 출연(연) 지역조직 협의회에 참여함으로써 주도적으로 지역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협업
∙42∙
가능한 프로젝트를 발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부 지역조직들은 연구회의 융합연구사업과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지역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회는 지역조직의 범위를 재정립하고 설치・운영 상 절차를 재정비하는 한편,
지역조직의 지자체 공유지 활용 등 주요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왔다. 향후에도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기여를 지속적으로 독려하고 지역조직들이 지역 주도 지역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기반을 갖추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조직 설치・운영의 효율화를 제고할 예정
이다.
라) 부설기관 경영체계 개선
부설기관 형태로 운영 중인 국가핵융합연구소 및 재료연구소를 독립 연구기관으로 변경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2020년 4월
국회 본회의에 의결되고 2020년 5월 19일 공포됨에 따라 시행일인 2020년 11월 20일 전까지
연구기관 설립을 완료하기 위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설립준비위원회와 한국재료연구원
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 본격적인 연구기관 설립 준비에 착수하였다.
기관별 설립준비위원회는 해당 연구 분야의 전문성과 기관이해도가 높은 민간 전문가 등 7인
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기관 정관 작성, 설립등기 추진업무 등 법령에서 정한 설립에 관한 사무
처리를 수행하였다. 설립추진위원회 보고 및 이사회 의결을 거쳐 기관별 정관, 초기 연구원의
재산 및 조직, 사업계획 등을 확정하였고, 초대 원장으로는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 및 재료연구소
소장이 각각 선임되었다.
개정 법률 시행일인 2020년 11월 20일 자로 새롭게 출범하는 한국재료연구원과 한국핵융합
에너지연구원은 각각 국가 소재연구의 허브 및 리더 역할과 국가 핵융합 연구 혁신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법안의결
➡
법률개정안
공포 ➡
설립위원회 구성
(공포일로부터
30일 이내) ➡
정관(안)
마련 ➡
정관승인 및
법인설립 허가 ➡
설립등기
(공포일로부터
6개월(경과기간))
국 회 정 부
연구회
(이사회)
설립위원회 과기정통부 설립위원회
➡
원장
선임계획 수립 ➡ 원장 모집
공고
➡
원장 후보자
서류・면접 ➡
이사회 선임 및
임원임명(이사장)
2020.4.29. 2020.5.19.
연구회
(이사회)
원장후보자심사
위원회
연구회
(이사회)
∙43∙
소규모 부설기관인 녹색기술센터 및 세계김치연구소에 대한 국회 지적이 수년째 반복되자
해당 기관들에 대한 경영체제 효율화에 대한 검토도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소규모 부설기관
경영체제 효율화 검토계획(안)(2019.11., 이사회)에 따라 이해관계자 및 해당 분야 전문가들로
기관별 경영체제 효율화 검토 TF를 구성・운영하고, 내・외부 의견 청취 및 법률 자문 등을 거쳐
해당 기관의 바람직한 경영체제에 대해 모색하고 경영체제 효율화를 위한 대안을 도출하였다.
TF에서 검토된 대안에 대해 기획평가위원회에서 심의한 결과, 녹색기술센터는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정책환경 변화를 고려할 때 녹색기술센터의 역할이 향후 더욱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현행 유지’가 바람직한 반면, 세계김치연구소는 발효연구 기능의 시너지 강화
및 김치 산업 진흥의 역할 명확화를 위해 한국식품연구원과의 통합이 바람직하다는 권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절차에 따라 TF 검토 및 기획평가위원회 심의 결과가 이사회에 보고(2020.10.)
되었으나 특별한 후속조치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향후 광주광역시 및 (사)대한민국김치협회,
세계김치연구소 노동조합 등 이해관계자와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기관 발전을 위한 적절한
후속조치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마) 기본사업 자율성 보장을 위한 과기출연기관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에 관한 범부처 공통규범인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하 “혁신법”)」이
제정(2020.6.)되었으며 시행(2021.1.)을 앞두고 있다. 동 법은 부처별로 각각 다르게 적용해
오던 연구개발 관리규정을 체계화하여 연구자의 자율성 제고와 혁신 환경을 조성하였다.
다만, 연구회 및 출연(연) 기본사업의 경우 연구기관 설립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이하 “공동관리규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법령의 적용 제외를 받아왔다. 이에 혁신법 시행 이후에도 현행과 같이 계속하여 연구회
및 출연(연)의 기본사업 수행의 자율성 확보를 위하여 혁신법 제4조에 따라 다른 법률에 기본
사업의 운영에 관한 근거조항 마련을 추진하게 되었다.
따라서 혁신법과 대등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연구기관 및 연구회의 기본사업 운영에 대한 근거를 명확히 하는 법률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2020.9.)되었으며, 본회의에서 개정안이 통과(2020.12.)되어 시행(2021.1.)을 앞두게
되었다. 개정된 법률에 연구기관 또는 연구회의 기본사업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정한다고 규정함에 따라, 향후 동법 시행령도 개정(~2021.2.)을 추진 중에 있다.
∙44∙
4) 출연(연) 기관평가
기관장 임기와 연계하여 연구부문과 연구지원부문을 함께 평가하는 기존 임무중심형 평가
제도는 2020년 12개 기관에 대한 평가를 끝으로 연구사업평가와 기관운영평가로 이원화된
신규 평가제도로 전면 전환될 예정이다.
신규 평가제도는 2018년 말 개편안이 마련되어 2019년 6개 기관, 2020년 6개 기관 등을
대상으로 순차 적용 중에 있으며, 주요 개편사항은 성과지표 단위의 목표 달성도 평가 폐지,
연구결과의 영향력 평가 신설 등으로 출연(연)의 중장기 연구 활성화 및 도전・혁신적 연구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2018년에 구축한 연구사업 단위 평가체계를 지속 운영하여 연구부문 전략목표별
평가결과와 주요사업 대과제 예산 간 연계를 강화하는 등 평가결과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
하고자 노력하였다.
5) 출연(연) 예산안 및 사업계획 심의
2021년도 출연(연) 예산에는 소재・부품・장비, 감염병 대응 등과 연계한 신규 주요사업 예산
847억 원이 반영되었으며, 이로 인해 출연(연)의 국가현안대응 및 고유미션 수행 역량이 강화
되었다. 또한, 기관별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계획에 따라 PBS 개선을 위한 안정적 인건비 89억
원이 반영되었다. 2021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에 대한 전문가 심의를 실시하여 예산 국회의결
내용을 반영 검토하고, 정부수탁, 민간수탁 등 자체수탁사업과 R&R 및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간
연계성, 적정성 등을 판단하여 사업계획의 체계성과 타당성을 강화하였다.
6) 출연(연) 행정업무 효율화
정부는 연구현장의 행정부담 경감 등을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고자 국정과제(35. 자율과 책임의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중 하나로 출연(연) 연구행정
선진화를 추진해 왔다. 출연(연) 연구행정선진화를 위해 2017년부터 총괄자문위원회(정책 자문
기구), 분과운영위원회, 연구자협의체, 분과별 TFT(출연(연) 부서장 중심으로 13개 분과 88명
구성)로 구성된 연구행정선진화추진단을 운영해오고 있으며, 2020년에는 분과 운영을 통한
행정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공모・자기 추천제를 도입하고, 출연(연) 전자정보 통합구매
추진과 자문을 위해 전자정보 분과를 신설하였다. 연구행정선진화추진단은 최근 2년 동안
100여회에 달하는 활동을 통해 과제를 발굴하고 세부 이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출연(연) 연구
환경 인식도 조사(2020.5.), 현안발굴을 위한 정기설문 조사(2020.11.)를 통해 연구현장의
∙45∙
실질적 의견을 수렴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내에 연구행정선진화 전담
조직(SSC)을 신설하여 출연(연) 법무자문, 공동채용, 화상회의, 출연(연) 메신저 및 포털 등 공통
행정서비스를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감사전담조직 TFT 운영을 통해 출연(연) 감사제도 선진화를
추진하고 있다.
7) 출연(연) 연구성과 확산
기초원천기술 및 미래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의 혁신성장을 이끄는 것은 출연(연)의 사명 중
하나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의 연구성과 제고 및 기업으로의 성과 확산을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출연(연)의 우수 연구성과 사업화를 위해 ‘출연(연) 공동기술마케팅’, ‘출연(연)-테크
비즈파트너링’,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술이전 성과확산대전 2019’ 등으로 구성된 프로그램들을
통해 수요기술(Market-Pull) 중심으로 출연(연)과 기업을 연계하여 기술이전 계약 및 사업화
성과를 제고하고 공공기술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더불어 출연(연)의 전반적인 IP 경영전략 강화 및 고도화를 위해 ‘출연(연) IP 경영전략컨설팅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창업을 활성화하고자 ‘예비창업자 발굴・교육’과 ‘창업컨설팅지원
사업’을 시행하여 출연(연)의 호응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출연(연)을 둘러싼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기술창업 금융지원을 도모하였다. 산업은행의 출연(연)
기술사업화 기업에 산업은행 및 민간 벤처캐피털(VC)의 투자유치를 위한 기업활동(IR,
Investor Relations) 기회를 제공하였다(2019년 총 10회 개최, 29개 기업 대상).
한편, 25개 출연(연)의 중소기업 대상 체계적 지원을 위하여 중소기업지원을 담당하는 전담
인력 313명을 운영하였으며, 중소기업으로 출연(연) 고급 연구인력 156명을 파견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였다. 더불어 출연(연)의 연구자원과 중소기업의 수요를 연계하여
R&D 기반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출연(연) 패밀리기업’ 제도 운영을 통해
6,280개 기업을 지원하였다.
8) 출연(연)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
모든 경계가 붕괴되고 융합하는 초융합화 시대에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복잡성도 높아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국민의 삶과 직결되어 실질적인 문제해결
성과 창출에 대한 요구가 높다. 최근 협력 중심의 연구생태계는 전통적인 지식 및 기술의 공공
이전(transfer) 방식에서 벗어나 지식의 공동생산(co-creation of knowledge)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다양한 부문의 협력을 통한 통합적 연계시스템을 강조하며,
∙46∙
이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전환, 거버넌스 개편 등이 함께 추진 중이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하여 연구회는 소관 출연(연)을 중심으로 융합을 통한 더 큰 도전과 혁신에 퀀텀점프를
이룸으로써 대한민국이 당면하고 있는 국가・사회적 현안에 기여하고자 융합연구사업을 운영
하고 있다.
<표 2-7> 융합연구사업 내역사업 별 개요
구분 융합연구단 창의형 선행융합연구 융합클러스터
개요
국가・사회 현안해결 및 신성장
분야 핵심기술 개발
원천・선도 기술 창출 및 기술
한계 극복
연구 주제 및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선행 연구
출연(연) 및 산・학・연 연구자간
교류의 장 지원
추진
현황
∙ 2014∼2020년 15개
∙ 2020년 10개 수행중
∙ 2014∼2020년 43개
∙ 2020년 34개 수행중
∙ 2017∼2020년 27개
∙ 2020년 3개 수행중
∙ 2014∼2019년 153개
∙ 2020년 59개 수행중
연구회는 2020년도 기준 100여개 융합연구 및 융합기획과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On-site,
책임평가위원, 무빙타겟, IP-R&D, 기관부담금 등 융합연구에 특화된 제도를 운영하여 출연
(연) 융합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융합연구사업을 통해 약 2,700여명(누적 8,900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산・학・연 간 활발한 협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형성뿐만 아니라
연구내용 공유, 성과확산 및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까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9) 출연(연) 인재양성 정책 및 성과
연구회는 연구개발업의 주 52시간 적용을 내용으로 하는 근로기준법 개정(2018.7.) 전후부터,
소관 출연(연)의 기관・직무(연구직 등) 특성에 적합한 재량근로시간제 등 유연근로시간제의
도입・운영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2018년, 2019년에 연구회에서 공공기관 최초로 발간한
「주 52시간 근로 참고자료」와 「재량근로시간제 운영 참고자료」를 근간으로, 연구현장의 충분한
의견수렴 및 객관적・합리적 검토를 거쳐 「근로시간제 운영 개선 참고자료」를 마련・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소관 출연(연)이 국내 선도적으로 재량근로시간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 유연근로
시간제를 도입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우려 및 궁금증을 해소하고 연구환경에
적합한 유연근로시간제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연구회는 정부의 비정규직 정책(출연(연)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2017.10.,
과기정통부))에 따른 고용안정 및 일자리 확대 등을 위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을 지원
하였다. 기간제의 경우 기관별 전환추진 세부방법(전환예외사유 적정성 등), 절차 수립을 지원
하여 전환대상 99.5%(2,525명 중 2,512명)가 전환이 완료되었으며 파견직의 경우 전기관
∙47∙
(20개)이 직접고용으로 전환을 추진 중이다. 용역직은 자회사(비영리재단법인) 또는 직접고용
방식으로 전환 중에 있다.
연구・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의 교육・양성기능까지 소관 출연(연)의 R&R을 확장하여 연구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취업 청년들의 취업 활성화라는 공공・사회적 책무 수행에 필요한 ‘출연
(연) 인재양성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연구회는 2009년부터 소관 출연(연)에서 이공계 신진
박사학위 취득자들을 대상으로 박사후연구원 일자리를 창출하고, 핵심 연구 분야 R&D 연수를
통해 취업 및 경력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출연(연)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5년(2015∼2019)간 소관 출연(연)은 박사후연구원 335명의 연수를 지원하였으며, 배출
된 인력들이 산・학・연 다양한 분야의 연구・산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신기술 분야(빅데이터 등)의 연구실무인재 양성과 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해 25개 소관 출연(연)의 우수한 인력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미취업 학사 이상
취득자들에게 6개월 과정(이론교육, 실무교육, R&D 체험, 기업 현장교육)의 현장적합 직무훈련
제공 및 취업 연계를 지원하는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2018∼2020)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 2년(2018∼2019)간 청년층 미취업 학사 이상 취득자 1,398명(2018년 530명, 2019년
868명)을 산업인재로 양성하였으며, 미취업 청년들의 취업(2018년 58.1%, 2019년 71.3%)
활성화에도 기여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1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이 R&R 기반으로 각자의 임무를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 연구몰입 환경 마련을 지원할 것이다. 동시에 연구의 보편가치를 지키고 출연(연)의
특수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연구자의 성과가
인정받고 이러한 결과가 국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져 국가의 희망을 현실로 만들어갈 수 있는
출연(연)이 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고 육성해 나갈 예정이다.
∙48∙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개요
1) 예산 배분・조정 체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경우 기획재정부가 편성하는 일반적인 예산과 달리 과학기술적
전문성에 기반한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혁신본부)의 예산 배분・
조정 절차를 거친다.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와 동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주요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배분・조정 내역을 마련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를 매년 6월 30일까지 기획재정부에 알려야 한다. 기획재정부는 정부 재정여건
등을 감안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한 주요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결과와 일반
연구개발 예산의 심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예산을 편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심의를 거치는 주요 연구개발 예산은 5년 이상의 중장기 대형 국가
연구개발사업,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기초과학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시설・장비 구축
사업, 출연(연) 주요사업비 및 운영경비 등이 해당하며, 기획재정부가 심의하는 일반 연구개발
예산은 인문사회 연구개발, 대학 재정 지원, 국공립 연구기관 운영경비, 정책연구비, ODA 등을
포함한다.
2) 예산 배분・조정 절차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에 따라 관계부처가 차차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의견과 중기사업계획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9∙
이를 검토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차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을 수립하여 관계
부처와 기획재정부에 통보한다. 이는 차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의 가이드라인이자
관계부처 예산 요구의 기준이 된다.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산안 편성지침과 중앙관서별 지출
한도에 따라 관계부처가 예산요구서를 5월 31일까지 제출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배분・
조정을 실시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배분・조정 시에는 기술 분야별 효율적・전문적인
예산 심의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시행령 제9조에 따른 전문위원회 사전
검토를 거치고 있다.
<표 2-8>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
∙50∙
나. 20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방향 및 기준(이하 투자방향)
1) 투자방향 수립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예산 배분・조정의 기본방향
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매년 3월 15일까지 ‘투자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투자방향 수립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처별 투자우선순위를 접수 받아 분야별 전문위원회 등을 통해 검토를
거친다. 2021년의 경우에는 투자방향 수립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
하여 3차례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관계부처 협의와 함께 대국민 온라인 공청회를 통한 폭넓은
소통 과정을 거쳤다. 투자방향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
후, 관계부처에 통보한다. 2021년도의 경우, 코로나 19 대응과 관련된 내용을 추가・보완하여
수정된 투자방향을 운영위원회 심의(2020.5.)를 통해 확정하였다.
2) 2021년도 투자방향 주요 내용
2021년도 투자방향은 과학기술기본법 상의 정부 연구개발 주요 목적인 과학기술 혁신, 국민
경제 발전, 국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3대 기본방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혁신주제의 연구역량 강화, ▲과학기술로 성장동력 기반 확충, ▲국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
개선의 3대 분야의 10대 중점투자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화, 혁신성장 3대 중점산업, 지역과 중소기업 지원, 혁신인재 양성,
재난안전 대응 등을 2021년도 중점투자분야로 설정하였다. 투자시스템 고도화와 관련해서는
▲부처 협업 내실화, ▲목표지향적 범부처 사업관리 강화, ▲정책-투자-평가 연계 강화, ▲대형
R&D 투자 효율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부처 협업에 대한 부분을 강조하여, 협업 사업을
효율적으로 심의하기 위한 통합 예산 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2020년 5월에 수정된 투자방향에는 코로나 19 위기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중점 투자방향이 추가되었다. 중소・중견기업 연구인력의 고용유지와 일자리 창출
사업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디지털・비대면 산업 등 경제사회 변화를 주도할 혁신기술의 투자를
확대하며,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과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등 과학기술에 기반한 위기관리
역량 확보를 특히 강조하였다.
∙51∙
<표 2-9> 2021년도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주요내용
◈ 코로나19 위기의 조기극복 및 혁신역량 확보를 기반으로 혁신주체 연구역량 강화, 성장
동력 기반 확충, 삶의 질 개선 등에 중점 투자
4대 분야 11대 중점투자방향
혁신주체의 연구역량
강화
① 연구자 중심의 창의・도전적 연구 확대
② 공공연구기관의 혁신역량 강화
③ 지역과 중소기업의 연구역량 확충
과학기술로 성장동력
기반 확충
④ 주력산업의 기술자립 경쟁력 제고
⑤ 신산업의 혁신성장 가속화
⑥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혁신인재 양성
⑦ 연구성과 기반의 기술사업화・창업 지원 강화
국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
개선
⑧ 국민의 안전한 삶 지원 강화
⑨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
⑩ 국민건강 및 생활 편익 증진
위기대응 강화 ⑪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응역량 강화
투자시스템 고도화
자율과 협업 기반 투자 강화 투자의 효율성 제고
• 부처 협업 내실화
• 목표지향적 범부처 사업관리 강화
• 연구현장 중심의 연구관리 제도 정착
• R&D PIE 적용 확대 및 고도화
• 정책-투자-평가 연계 강화
• 대형 R&D 투자 효율화
다. 2021년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및 최종 확정 결과
1) 주요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결과(2020.6월 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배분・조정을 수행한 2021년도 주요 연구개발 예산 규모는 21조
6,49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조 9,216억 원이 증가하였다. 전년 대비 84개가 증가한 945개의
세부사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가운데 신규사업은 총 246개(약 1.4조 원), 계속사업은
699개(약 20.3조 원)이다. 2021년도에는 ▲과학기술로 위기극복 선도, ▲혁신과 도전으로 미래
∙52∙
성장 잠재력 확충에 중점을 두고 배분・조정을 실시하였다. 코로나 19 치료제・백신 개발 등을
포함한 감염병 분야 연구개발 예산을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하였고, 한국판 뉴딜, 소재・부품・
장비, 창업・사업화 등 위기극복 분야의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다.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서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바이오헬스・미래차・시스템반도체 등 3대 중점산업, 재난・안전
대응 등에 중점 투자하였다. 아울러 협업사업에 대해서는 통합예산요구서를 기반으로 별도의
통합 심의를 진행하였고, 추진체계, 협업실적 및 계획을 검토하여 총 1.25조 원을 배분・조정
하였다. 투자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는 부처 자율로 추진되던 재량지출 구조조정을 10% 의무
구조조정으로 변경하고, 예산 심의 과정에서 사전기획의 충실성, 일몰・회계연도 일치・집행부진,
평가결과 등을 검토하여 총 1.35조 원의 재원을 절감하였다.
<표 2-10> 투자효율화 주요 내용
2) 2021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편성 결과(2020.9월 기준)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정부 연구개발 예산(주요+일반) 편성 규모는 총 27조 2,003억
원이다. 이 중 주요 연구개발 예산은 22조 3,172억 원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거친
21조 6,492억 원보다 총 6,679억 원이 늘어난 규모이며, 자문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추가로
반영된 세부사업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코로나 19 위기극복, 예타사업 필수소요 및 부처협업
적정 소요 반영 등에 예산이 추가적으로 편성되었다. 2020년 예산의 경우 일본 수출규제
(2019.7.) 등 현안 대응을 위해 기획재정부 편성 단계에서 2.66조 원이 대폭 추가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간의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2021년도에는 연구개발분야 지출한도를 충분히 설정하였고, 자문회의 심의 결과가 대
다수 반영되었다.
∙53∙
3) 2021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국회 최종 확정 결과(2020.12월 기준)
2021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정부안보다 총 2,015억 원 증액된 27조 4,00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조 1,810억 원(13.1%)이 늘어난 규모이다. 이는 정부 총지출 558.0조 원의 총
4.9%에 해당한다. 정부 연구개발 예산은 2019년도에 20조 원을 돌파한 이래, 매년 두 자리
수 증가율을 보이며 가파르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표 2-11> 연도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단위: 조원)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연평균
증가율
(%)
ㅇ R&D투자
(증가율, %)
(총지출대비, %)
14.9
(8.7)
(4.8)
16.0
(7.6)
(4.9)
16.9
(5.3)
(4.9)
17.8
(5.1)
(5.0)
18.9
(6.4)
(5.0)
19.1
(1.1)
(4.9)
19.5
(1.9)
(4.9)
19.7
(1.1)
(4.6)
20.5
(4.4)
(4.4)
24.2
(18.0)
(4.7)
27.4
(13.1)
(4.9)
6.3
ㅇ 정부총지출 309.1 325.4 342.0 355.8 375.4 386.4 400.5 428.8 469.6 512.3 558.0 6.1
분야별로는 코로나 19 치료제 백신・개발, 방역현장 핵심기술 지원 등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에
전년 대비 151.7%가 확대된 0.44조 원을 지원한다. 데이터, 인공지능, 5G 및 비대면 핵심기술
고도화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친환경 도시・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에
총 1.9조 원을 투자한다. 기술개발부터 상용화까지 관계부처의 전주기 협업을 중심으로 바이오
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등 혁신성장 3대 중점산업 연구개발에 전년 대비 27.6%가 증가한
2.3조 원이 투입된다. 코로나 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여 핵심 품목 기술자립화
부터 사업화 연계까지 소재・부품・장비 분야 전주기 연구개발에도 전년 대비 25.2%가 늘어난
2.15조 원을 지원한다. 또한, 개인연구, 집단연구, 학술기반구축 등 연구자 주도 창의・도전적
기초연구에도 15.8% 증액된 2.35조 원을 투자한다.
∙54∙
<표 2-12> 중점투자분야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표 2-13> 부처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55∙
라. 정부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개선
1) 추진배경
2021년도에 우리나라의 국가 연구개발 투자(정부+민간)는 100조 원을 넘길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미국,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5번째이다. 이에 투자 확대에 따른 선진화된 투자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특히 국가 연구개발 투자의 79%를 차지(2018년
기준)하는 민간의 연구개발 역량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민・관 협력 투자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2017년도에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출범한 이후 연구자 중심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R&D 혁신방안(2018.7.) 수립과 연구개발혁신법 제정(2021.1. 시행) 등
정책・제도 측면의 혁신이 지속되었는 바, 이를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현장에 구현되도록
하는 투자시스템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2) 민간주도 투자혁신기획단 구성・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10월 연구개발 투자혁신 전반에 대한 이슈를 도출하고 연구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민간주도 ‘투자혁신기획단’을 구성하였다. 단장인 서울대학교 이신
두 교수를 포함하여 산・학・연 대표 전문가 11인으로 구성된 투자혁신기획단은 매월 1회 정례
회의를 개최하고, 연구개발 투자혁신의 기본방향부터 시작하여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
및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전략을 논의하고 있다.
3)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 수립
과학기술혁신본부의 역할을 주요 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중심에서 국가 CTO(Chief
Technology Officer) 기능으로 확장하여 전략적・효율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이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2020.11.17.)에서 확정
되었다. 동 안건에서는 ▲민・관, 부처 간 연계-협력-공유 강화, ▲선택과 집중으로 국가 연구
개발 중점화・전략화, ▲R&D 투자성과 창출이라는 세 가지 혁신 방향을 중심으로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민・관 협업 활성화를 위해서 선도기업 중심의 산업별 협의체를 구성하여 민간의 연구
개발 수요를 발굴하는 상시적인 소통체계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를
통해 요소산업별로 20명 내외의 기술임원으로 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발굴된
수요는 민・관 혁신포럼을 통해 분야별 투자전략 수립 및 각 부처의 사업기획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한, 협업사업 유형별로 성공 핵심요인을 도출하고, 통합형 관리체계를 갖춘 협업
∙56∙
사업에 지원을 강화하는 등 성과 중심의 협업을 유도할 계획이며, 협업사업 예산반영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도 마련할 계획이다.
<표 2-14> 부처별 정부 연구개발 예산 규모
연구개발 예산 확대에 걸맞게 투자의 전략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투자의 중점화・효율화를
추진한다. 국가・사회적으로 수요가 높고 여러 부처가 연관되어 있음에도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투자 전략이 부재한 기후에너지(탄소중립), 소재, 센서, 양자컴퓨팅, 뇌연구 등의 분야의 투자
전략을 수립하여, 부처의 사업기획과 예산에 연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의 연구개발 전략이
존재하지만 투자의 효율성 제고가 요청되는 감염병, 그린바이오, 자원기술, 재난・안전 등의
분야는 효율화 전략을 수립하여 공백 분야 발굴 및 사업 체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분야별 논문, 특허, 연구개발 사업정보 등을 분석하여 투자 공백 및 필요영역을 도출하는
R&D PIE(Platform for Investment & Evaluation)에 대해서는 정책수립, 사업기획 및 평가
등으로 활용 범위 확대를 추진한다.
연구개발 투자성과 창출 측면에서는 출연(연)・직할(연)이 기술변화와 임무에 맞추어 자율적
으로 혁신・도전적인 연구를 강화할 수 있도록 주요사업비 지원방식을 개선한다. 또한, 대형
연구시설・장비 구축 사업에 대해 종합사업관리(PM, Project Management) 제도를 도입하여
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제고한다. PM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목적으로 사업범위, 비용, 일정, 변화
등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으로, 연구현장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PM 적용을 위한 맞춤형 지침을 마련한 후, 2021년도 시범적용을 거쳐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
한다. 공공구매를 목표로 실증・검증 및 구매・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구매 연계형 기술개발사업에
∙57∙
투자를 확대하며, 공공수요 발굴과 기획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범부처 수요발굴기획단을 발족
한다.
위에 제시된 주요 과제의 실행을 위해 지원체계 개선도 병행한다. 기술 분야별로 상시적인
연구개발 정보수집・분석과 전략수립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표 출연(연)에 씽크탱크 역할을
부여한다. 이를 위해 대표 출연(연)에 (가칭)국가기술전략센터를 2021년부터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투자전략 수립 등을 지원토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연구개발
예산과 심의 대상 세부사업 수 확대에 따른 예산 배분・조정 프로세스도 개선한다. 본격적으로
심의가 시작되는 5월 이전에 계속사업 주요 이슈 등을 사전에 검토하고, 심의 시에는 주요 정책
분야 및 신규사업 등을 중심으로 심의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제시된 연구개발 투자
시스템 혁신을 통해 국가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경제・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민이 체감
하는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표 2-15> 연구개발 투자시스템 혁신방안(2020.11.17.) 주요내용
∙58∙
제2절 국가연구 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1.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연구 자율성 강화
가. 개요
4차 산업혁명 등 기술의 변화와 융합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국가 과학기술정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역할 정립과 사회적 변화를 감안한 미래
방향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정책 관점을 탈피하여 출연(연) 현장이 공감
하면서 스스로 변화도 함께 도모할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연구자와 연구기관에 자율과 책임을, 국민에게는 혜택을 최대화하는 연구지원
체계로 혁신하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2019년에는 특히 각 출연(연) 별 자율적으로 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
으로 기관 운영의 기준 및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대표적으로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을 바탕으로 출연(연)이 스스로의 혁신을 고민하여 출연(연)
역할과 책임(R&R, Roles & Responsibility)을 확장하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연구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여 출연(연) PBS 운영방안 개선, 연구개발목적기관 지정 및 별도 규정
적용 등을 추진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출연(연) 수평적 R&R 수립 방안 검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과학기술 출연(연)의 가치 있는 역할 수행을 위한 출연(연) 변혁 방향의
하나로서, 개별 법인으로 이루어진 출연(연)의 구조적 한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뉴딜의 성공적 추진에 적시적이고 효과적인 과학기술적 기여를 하기 위한
수평적 R&R 정립 체계를 검토하였다.
기존 R&R이 단일기관 중심의 수직적 R&R이라면, 수평적 R&R 정립 체계는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해당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 주체의 역할을 상호정립하고, 공동의 비전・목표와
이를 위한 협력체계를 도출하는 체계라 할 수 있다. 정립 분야는 정치・경제・사회적 환경을 고려
하되 H-R&R 도출의 필요성, 시의성, 파급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예정이며 다수의 분야를
일괄적으로 수립하는 것보다 1~2개 시범 분야를 선정하여 추진한 후, 정립체계를 보완하여
확산하는 방식으로 이행 전략을 수립하였다.
∙59∙
2) PBS 개선
PBS(Project Base System) 제도란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연구개발예산, 성과 등을 프로젝트
(과제, 사업) 단위로 관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1996년 PBS 제도를 전면 도입하면서 출연
(연)에 지원하는 정부예산 중 일정 부분만을 정부출연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각 기관이 경쟁적 과제 수주를 통한 예산 확보를 기반으로 하는 출연(연) 예산체계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PBS 제도는 연구개발예산과 연구활동을 연계하여 투명성 및 관리효율성을 제고하고 연구
개발 주체 간 경쟁을 촉진하여 연구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출연(연)
연구현장에서는 PBS 제도 도입 이후 인건비 및 기관운영비 확보를 위해 다수의 소액과제 수주에
매달리면서 연구 몰입도 저해와 연구성과의 질 저하 등 PBS 제도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PBS 제도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을
수립하였고, 이해관계자와 정부부처 및 외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출연(연) PBS 제도개선
TF’를 구성・운영하는 한편, 일선 연구현장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청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행 PBS 제도의 큰 틀은 유지하되, 출연(연)별 임무와 특성에 부합하는 재정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는 이에 대한 예산 지원을 통해 PBS 제도를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출연(연)에서는 기관별 R&R에 부합하는 연구에 기관의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해 자율적으로 중장기 재정 전략(수입구조 포트폴리오)을 수립하고, 전문가 검토 및
관련 부처 협의를 거쳐 이사회 상정을 통해 확정하고 있다.
2019년에는 14개 기관이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을 완료하였고, 2020년에는 8개 기관이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 완료 및 1개 기관 수립 제외로 확정하여, 전체 25개 출연(연) 중
22개 기관이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을 완료하였다.
또한, 소・부・장 이슈, 코로나 19 확산 등 외부 환경변화와 기관의 재정 여건을 고려하여 기
수립된 5개 기관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는 수립절차와 동일한 수준의 전문가 심의
절차를 거쳐 수입구조 포트폴리오를 현실화하였다.
정부는 미수립 기관의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며, 이후에도 환경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수정・보완되는 R&R에 따라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역시 주기적으로 리뷰・보완
해나갈 예정이다.
∙60∙
<표 2-16>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확정 14개 기관 PBS 개선 방향
구분 기관명
총예산 대비* 인건비 대비**
기관명
총예산 대비 인건비 대비
2017년⇢2023년 2017년⇢2023년 2017년⇢2023년 2017년⇢2023년
1차
KIST 56.0% ⇢ 70% 62.6% ⇢ 70% 천문연 87.8% ⇢ 90% 91.2% ⇢ 95%
한의학연 83.2% ⇢ 80% 87.1% ⇢ 85% 철도연 47.2% ⇢ 60% 60.6% ⇢ 75%
지자연 14.0% ⇢ 70% 75.6% ⇢ 75% 화학연 44.2% ⇢ 50% 59.9% ⇢ 75%
2차
GTC 85.8% ⇢ 85% 93.5% ⇢ 90% 핵융합연 51.3% ⇢ 40% 80.3% ⇢ 90%
생명연 43.2% ⇢ 50% 64.3% ⇢ 70% KISTI 70.2% ⇢ 70% 73.1% ⇢ 75%
건설연 28.3% ⇢ 40% 48.5% ⇢ 55% 표준연 59.1% ⇢ 70% 65.9% ⇢ 80%
기계연 38.1% ⇢ 50% 60.2% ⇢ 65% 전기연 38.6% ⇢ 40% 52.9% ⇢ 55%
3차
에기연 44.1% ⇢ 50% 61.9% ⇢ 70% 재료연 38.0% ⇢ 45% 61.0% ⇢ 65%
생기원 29.7% ⇢ 35% 52.0% ⇢ 55% 식품연 67.2% ⇢ 65% 78.1% ⇢ 75%
ETRI 13.9% ⇢ 20% 17.9% ⇢ 30% 기초연 67.3% ⇢ 75% 72.0% ⇢ 80%
안전연 40.5% ⇢ 55% 46.7% ⇢ 60%
4차 원자력연 28.0% ⇢ 40% 39.2% ⇢ 50%
* 주: 기관 총예산 대비 출연금 예산 비중 / ** 기관 총인건비 대비 출연금 예산 비중
※ 한의학연, 화학연, 건설연, 핵융합연, 전기연의 경우 2020년 5월에 수입구조 포트폴리오 변경
3) 출연(연) 연구행정 선진화 추진
정부는 대학 및 출연(연)의 전문성・자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출연(연) ‘연구행정 선진화’를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연구현장의 행정부담 경감 등을 통해 연구자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우선,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자체적으로 논의해왔던
정보화, 표준화 등 ‘연구행정 효율화’를 포함하여 연구회로 집중할 대상업무를 발굴하고, 실
행방안의 구체화를 추진하였다. 연구자 심층 인터뷰, 연구자협의체 등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추진과제 15개를 도출하여 2018년 3월에 ‘연구행정 선진화 추진방안’을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
으로 연구행정 선진화 추진방안 단계별 실행방안을 마련하였으며, 2019년 4월에 공동행정지원
센터(SSC) 설립을 통하여 공통행정기능 집중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현재, 연구자 행정
부담 경감 6개 과제를 포함한 35개 연구행정선진화과제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하여 2020년
기준 약 394억 원 가량의 정량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에도 연구자의 행정부담
경감 및 연구행정 효율화를 위하여 공통업무를 추가로 발굴해나갈 예정이다.
∙61∙
<표 2-17> 출연연 공통행정기능 추진 과제
과제명 추진내용
법무자문 공동운영 - 연구회를 통한 자문서비스 제공으로 외부자문관리 효율성 및 자문 전문성 제고
의무교육 공동운영 - 통합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기관별 교육 기획 및 운영 업무 경감
채용 공동운영 - 기관별 채용에서 공동채용으로의 전환을 통한 채용업무 투입인력 및 비용 경감
감사기능 선진화 - 연구회 중심의 감사 인력풀(협동감사인) 구성 및 출연(연) 감사기능 연구회 집중
포털시스템 공동운영 - 출연(연) 포털시스템 구축을 통해 정보체계 기반 출연(연) 간 정보공유 및 소통 활성화
화상회의 서비스 공동운영 - 비대면 회의 방식의 확산을 통한 비용절감 및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다. 향후 계획
2021년에도 「과학기술 출연(연) 발전방안」에 따라 차질없이 출연(연) 정책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재정・인력・기관혁신을 통해 자율과 책임 원칙하에 출연(연)의 연구경쟁력을
강화해 나아갈 것이다. 또한 출연(연)을 연구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연구개발
목적기관으로 육성할 것이며, 출연(연) 스스로가 연구자・연구 중심으로 기관의 역할과 임무를
고민하고 발전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62∙
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연구개발 예타’)는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사업비가 500억 원 이상이면서 국비 지원 규모가 300억 원 이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실시한다. 연구개발 예타의 목적은 신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를 실시하여
신규 투자를 우선순위에 입각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과학기술적 타당성, 정책적 타당성,
경제적 타당성에 대해 조사한다.
연구개발 예타를 신청한 연구개발사업은 연구개발 예타의 사전검토 단계로써 「과학기술
기본법」 제12조의3에 따라 기술성을 평가받으며, 평가결과 적합사업에 대하여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게 된다. 기술성 평가는 기술개발의 필요성 및 시급성, 사업계획의 구체성, 기존
사업과의 유사・중복성, 국고 지원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연구개발 예타 대상에 적합한 사업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당초에 연구개발 예타는 사회간접자본(SOC) 등의 재정사업과 함께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하였
으나, 「국가재정법」 제38조의3이 신설되면서 2018년 4월 17일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위탁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에는 연구개발 예타의 과학기술적 전문성을 높이고
연구개발사업의 특성(비정형성, 결과의 불확실성, 효과의 잠재성 및 간접성 등)을 반영한 제도를
안착시키는데 주력하였고, 2019년에는 연구개발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신속히 조사를
수행하면서 다양한 연구개발사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사
항목을 개선하였다. 2020년에는 그동안 운영 성과와 연구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점을 종합적
으로 검토하여 연구개발 예타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제도 개선사항이 현장에 안착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특히 현장 및 수요자 중심의 운영을 위해 소통과 교육의 장을 강화
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연구개발 예타의 신속한 수행과 과학기술적 전문성 강화
국가연구개발예산의 증가와 더불어 계속사업의 일몰 등으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부처
에서는 대규모 신규 사업을 지속적으로 신청하고 있다. 2018년에는 91개 사업, 2019년에는
83개 사업, 2020년에는 75개 사업이 연구개발 예타를 신청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8년 4월 17일 위탁 당시 기획재정부에서 조사가 진행 중이던 16개 사업을 포함하여
∙63∙
2020년 4차 예타 착수사업까지 총 115개 사업이 착수되었고, 조사 완료 사업은 86개이며 현재
29개 사업이 조사 진행 중이다. 조사 완료된 86개 사업 중 시행사업은 43개(50.0%)이며 시행
금액은 17조 252억 원으로 평균 사업기간 7.5년을 고려하면 총사업비 기준 연간 2조 2,806
억 원이 예타를 통해 투자되었으며, 특히 위탁 이전 평균 조사기간이 13.5개월인 반면 위탁
이후 평균 조사기간이 6.3개월로 줄어 상당히 신속하게 연구개발 예타가 수행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속하게 연구개발 예타를 진행하는 한편, 연구개발 예타 시행/미시행
결정을 위한 분석적 계층화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으로 종합평가를 실시할 때
과학기술적 가중치를 최대 60%까지 확대하도록 2018년에 제도를 개선한 바 있다. 그 결과
위탁 이후 2020년 12월 말까지 조사를 마친 연구개발사업의 종합평가 결과를 보면 과학기술적
타당성 가중치는 5.0%p 증가하고, 정책적 타당성은 4.8%p 증가했으며, 경제적 타당성 가중치는
9.8%p 감소하여, 연구개발 예타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평가할 때 경제적 관점보다는 과학
기술적 및 정책적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18> 연구개발예타 위탁 전후, 종합평가 항목별 가중치
위탁 전 (2016.下∼2018.4.16.) 위탁 후 (2018.4.17.∼2020.12.31.)
기술성 정책성 경제성 과학기술성 정책성 경제성
43.7% 24.5% 31.8% 48.7% (+5.0) 29.3% (+4.8) 22.0% (-9.8)
2) 연구개발 예타 제도개선 및 착근
2020년 4월에는 예타 대상선정(기술성평가)과 본 예타 간 관계 재정립이 필요하고 과학기술
혁신본부의 정책-투자-평가 연계체계를 강화하면서 부처별 우선순위 및 부처의 평가 부담 완화를
위해 예타 대상선정 제도를 개편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예타 대상선정은 국가 과학기술 정책 및 투자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도 및 요건심사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하였고, 본 예타는 사업의 추진 타당성에 대한 절대
평가 역할을 수행하여 사업부처에서 제기한 중복평가라는 인식을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운영되었던 사업별 자문위원회와 총괄 자문위원회를 폐지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
위원회(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로 회의기구를 통합하여 예타 전 과정을 논의하는 등 일원화
된 운영체계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과학기술 정책・투자와 예타의 연계를 위해 부처 신청 사업에 대한 과학기술정책 부
합성은 과학기술정책국의 의견을, 연구개발 투자방향과의 부합성은 연구개발투자심의국 의견을
∙64∙
수렴하여 평가의견에 반영하였다. 또한, 사업추진의 필요성・시급성 부분에 부처가 제시한 우
선순위를 비중 있게 반영하고 평가 중 부처와의 대면 토론을 통해 부처와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평가결과 수용성 제고에 기여하였다.
무엇보다 2020년에는 2019년 12월에 마련한 제도 개선사항들의 적시 이행과 현장 착근이
주요 목표였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먼저, 사업 목적에 따라 유형을 구분
하고 유형별로 조사방식을 달리하도록 개선한 내용을 2019년 4차 예타 사업에 적용하였으나,
목적과 내용 간 불분명한 사업의 경우 많은 이견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사업목적은 공익증진
이나 사업내용은 기술 및 서비스의 개선 등 성장을 담고 있어 여러 유형이 혼재된 사업이 존재
하여 1개의 유형으로 확정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에 1차적 사업목적을 우선 반영
하고, 사업특성과 재정규모 비중 등을 고려하여 최종 유형을 확정하게 되었다. 반면 유형별
경제성 분석방법은 개선 방향에 따라 적용 및 실행되고 있다.
<표 2-19> 사업 목적별 유형 구분, 가중치 범위, 경제성 분석방법
목적별
유형
정의 및 사업의 특징
과학기술성
가중치
정책성
가중치
경제성
가중치
경제성
분석방법
도전・
혁신형
과학기술선도를 목표로 하며 영향력과 파급효과가 크지만 실패확률/
불확실성도 높은 R&D
55~65% 20~40% 5% 이하
E/C 기본
(예외적 B/C)
성장형
산업지원 목적의 공정・제품・서비스 개선, 기업 역량 강화 목적의
R&D
40~50%
20~40% 10~40%
B/C 기본
(예외적 E/C)
기반
조성형
연구인력양성, 연구시설・장비구축, 공익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
기술 R&D
30~50% 10~20%
B/C 또는 E/C
(사업별 선택)
둘째, 국가 과학기술정책과 대형 연구개발사업과의 연계 강화를 위한 핵심 소재・부품 분야
사업의 정책적 타당성 가점 부여 제도는 제4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2020.4.17.)
에서 심의・의결된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과 ‘나노・소재융합 2030 사업’이 가점을
받는 등 실질적인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정책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지역
균형발전뿐만 아니라 인력양성효과, 일자리효과, 안전성 평가, 그 밖의 정책효과 등 사업특성에
따라 평가에 중요하게 고려할 사회적 가치가 있는 경우 추가 평가항목 또는 특수평가항목으로
분석한 사례는 아직까지 없다.
셋째, 조사는 조사연구진이 수행하고 평가는 종합평가위원회에서 수행하는 평가체제 개편에
따라 종합평가 위원을 관계 부・처・청 및 관련 기관 추천을 통해 후보자 1,000여 명을 접수
(2~5월)하였고, 서류검토와 추천위원회 및 내부검토, 종합평가 실시 교육 등을 거쳐 155명을
선정하여 9월에 위촉하였다. 예타 사업의 종합평가위원 섭외는 분과별・분야별로 무작위 순위를
∙65∙
추출하고 평가대상 사업의 일정에 맞는 위원부터 순번대로 배정하되 평가대상 사업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이나 이해관계 등을 사유로 본인 스스로 평가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조사와
평가 간 연계성 확보를 위해 조사연구진의 일부 위원(3명)도 평가에 참여하게 되며 섭외된 평가
위원이 사업내용과 조사결과 등을 검토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조사기간을 7개월로 조정
하였다. 단, 조사수행에 소요되는 기간은 변함없이 6개월로 유지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민간위원, 외부전문가
임기는 1년, 연임 가능
성과평가정책국장 (간사)
과학기술 1분과 과학기술 2분과 과학기술 3분과 정책・경제 분과
공공, 우주,
에너지, 환경
생명, 의료,
기초기반
기계, 소재
정보통신, 전자
정책, 경제,
기술경영
【 사업별 종합평가(AHP) 위원회 】
• 역할: 예타 대상사업별로 구성하여 조사 결과에 대해 종합평가(AHP) 수행
• 구성(12명): 분과위원 8명, 조사 참여 전문가 3명, 조사총괄 PM 1명
[그림 2-11] 총괄위원회, 분과위원회 및 종합평가위원회 구성
넷째, 연구개발 사업특성이 다양해지고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추가 조사기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특히 기초연구, 인력양성, 중소기업 및 지역 연구개발 역량 강화 등 사회・정책적
관점에서 추진되는 기술비지정형 사업의 예타를 전담할 조사기관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5월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을 추가 조사수행기관으로 지정하였고, 현재 2020년 1차 2개
사업을 조사 완료하였고, 2차 1개, 3차 3개, 4차 2개 사업 등 총 6개 사업이 조사 진행 중이다.
더불어, 현장 및 수요자 중심의 예타를 위해 조사수행 중 사업부처와 자문위원 간 대면 회의를
1회에서 2회로 늘렸고, 예타 진행사업에 대해 온라인 플랫폼(‘예타로’)에 연구자 의견제시 창구를
개설하여 수렴하였고, 예타 사전컨설팅은 기획 초기단계 사업에 대한 컨설팅 필요성 요청에
따라 기획 초기단계 사업에 대한 컨설팅 유형을 신설하였다. 기획 초기단계에는 사업 필요성,
방향성을 중심으로, 기획 완성단계는 사업 전반을 대상으로 컨설팅 의견을 제시하는 등 컨설팅
유형을 다양화・세분화하였다. 또한, 컨설팅 의견을 반영한 사업기획 보완을 돕기 위하여 컨설팅
실시 시기를 조정하여 운영하는 등 보다 수요자 친화적으로 접근하도록 노력했다.
∙66∙
3) 교육, 현장방문 등을 통해 조사결과의 수용성 제고
제도의 빠른 현장 착근과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부처의 효율적인 예타 준비 지원과 조사
결과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홍보 및 교육활동과 조사 중 현장방문을 수행하였다.
특히 상반기에 실시한 예타 대상선정(기술성평가) 제도개선의 일환으로 보도자료 배포와 설명회
(연 4회) 등을 통해 제도의 조기 안착을 위해 노력하였고 연구자, 전문기관 등 연구개발 분야
관계자를 대상으로 수도권과 지역 권역별로 상・하반기 4회 교육을 실시하였다.
상반기 교육(4.28.~29.) 하반기 교육(11.4.~5.) 예타 대상선정 설명회(연4회)
[그림 2-12] 연구개발 예타 교육 및 대상사업 설명회
더불어 예타 사업별로 수혜 및 지원 대상 시설, 지역 등 현장을 방문하여 의견을 청취하고
현 상황을 인지하는 등 이론적이며 현실과 괴리된 조사・분석을 지양하여 사업부처의 조사결과
수용성을 제고하고자 노력하였다.
원전해체연구소 및 고리원전 부지(10.30.) 고창전력시험센터 시험설비 배치(11.10.)
[그림 2-13] 예타사업 현장방문
∙67∙
다. 향후 계획
2021년에는 사업규모 및 특성에 따른 유연한 조사기간 적용, 기술비지정사업에 적절한 조사
체계 구성 등을 통해 적기에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지고 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강화하며
조사결과의 수용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고도화된 제도 개선을 발굴하고 추진하고자 한다. 또한,
기획재정부가 수행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타 위탁운영평가를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평가
결과에 따른 권고 사항들을 차기 평가 이전까지 반영하고자 하며, 지난해 총괄위원회 및 분과
위원회 운영결과를 바탕으로 위원을 재구성하여 보다 많은 과학기술 최고전문가가 연구개발
예타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그 밖에 연구개발 예타를 운영하면서 드러나는 문제점에 대
해서도 수시로 발굴 및 개선해나갈 예정이며, 2020년과 마찬가지로 연구개발 예타를 신속하면
서도 면밀하게 수행하고 현장과 수요자 중심의 운영을 강화하며 국가 정책적으로 중요한 연구
개발 사업이 적기에 착수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3. 국가연구개발 평가제도 개선
가. 개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자 중심의 창의・도전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국가연구개발의 성과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성과평가제도의 개선을 추진
하고 있다. 「제3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16∼2020)」에 따라 연구자 중심 평가
추진, 질 중심 평가 강화, 평가의 자율성 확대, 정책・투자・예산 연계 등을 핵심 전략으로
운영해왔으며, 2020년 8월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이 수립
됨에 따라 2021년부터는 자율과 책임의 성과평가를 통하여 연구현장의 성과창출 역량을 제고
해나갈 계획이다.
∙68∙
<표 2-20>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체계
종류 평가대상 및 평가절차 평가결과활용
사
업
평
가
중간평가
・
종료평가
・
추적평가
자체평가
(각 부처)
➡ 상위평가
(과기정통부)
➡
예산편성 및
제도개선
(과기정통부)
특정평가 중요사업에 대해 과기정통부가 직접 평가 ➡
과제평가 표준지침 제공
과제운용 및 활용
(부처, 전문기관)
기관평가
[출연(연)]
자체평가
(부처・연구회)
➡ 상위평가
(과기정통부)
➡
기관개선, 기관장 성과급
반영
(부처, 연구회)
나. 주요 성과
1) 사업평가의 실시
가) 중간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는 연구개발의 투자효율성 확보, 성과 창출 및 활용 제고를 위해
사업 중간 단계에서 실시하는 평가로 사업의 성과목표달성도와 성과우수성 등을 평가하는 제도
이다. 부처는 자체평가지침에 따라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위평가에서
자체평가과정・근거・결과에 대한 적절성을 점검하여 ‘부적절’ 사업에 대해 등급을 재산정하는
확인・점검을 수행하였다.
2020년 중간평가는 17개 부처 71개 세부사업(2019년 예산 1조 8,871억 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71개 세부사업에서 8개 사업은 최근 3년간 연평균 투자액 30억 원 이하 소규모 사업
으로 부처 자체평가만 실시하였다. 나머지 63개 사업에 대해 상위평가에서 1단계로 적절성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24개 사업이 적절성을 인정받았다. 전체 사업수 중 ‘적절’ 사업의
비율은 38%로 2019년(19%) 대비 2배 증가하였다. 부적절 사업으로 판정된 39개 사업은
2단계 상위평가 확인・점검을 실시하고 부처 이의신청(서면 및 대면)을 거쳐 최종결과를 확정
하였다. 최종 평가결과는 우수 등급 20개(31.7%), 보통 등급은 37개(58.7%), 미흡 이하 등급은
6개(9.5%)였으며 전체 사업 평균 점수는 77.4점이었다.
∙69∙
2020년도 중간평가에서는 부처의 성과분석・관리 역량 유도 강화를 위해 사업의 개선 필요
사항 발굴 및 개선계획 수립의 적절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종합적 성과분석 항목에
대해서 사업부서가 자체적으로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해 도출을 하였는지 및 향후
개선계획이 반영됐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자율적인 성과관리 체계가 착근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나) 종료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종료평가는 사업종료 다음해에 실시하여 최종 성과목표 달성과 연구성과
활용・확산 계획 등을 평가하는 제도이다. 부처 자체적으로 성과달성 및 성과활용에 대한 종합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하여 자체평가 결과를 제출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자체평가의 과정,
근거, 결과에 대한 적절성 점검 및 확인・점검의 절차로 상위평가를 수행한다. 적절성 점검에서
‘적절’로 인정된 사업은 자체평가 결과가 그대로 인정되고, 부적절 사업은 확인・점검을 수행
하여 평가점수 및 등급이 조정된다.
2020년 종료평가는 2017~2019년에 종료된 8개 부처 18개 세부사업(총 사업비 1조
2,075억 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 중 상위평가 면제인 총사업비 300억 원 미만 5개 사업은
부처에서 자체평가만 실시하였고, 13개 사업은 부처 자체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상위평가에서
1단계로 적절성을 점검받았다. 그 결과 3개 사업이 ‘적절’로 인정되어 자체평가 결과가 그대로
인정되었으며 10개 사업은 2단계로 확인・점검을 받았다. 최종 평가등급은 우수 5개(38.5%),
보통 6개(46.1%), 매우미흡 2개(15.4%)로 분포되었고 전체 사업 평균 점수는 76.2점이었다.
평가결과는 공개를 통해 정보 공유와 유사 및 신규사업 기획 시 활용을 제고하였으며, 우수
사업에 대해서는 포상을 실시하였다. 평가결과와 성과활용・확산 계획은 향후 추적평가 대상
사업 선정 시 근거로 활용된다.
다) 추적평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적평가는 연구개발 종료 후 일정기간(4∼5년) 경과된 사업의 기술이전,
사업화 등 연구성과의 관리 및 활용도 등을 조사・평가하는 제도로, 종료 이후 발생한 성과에
대한 부처의 종합 분석 및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자체평가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확인・점검하는 방식으로 상위평가가 진행된다. 추적평가는 연구성과 활용・확산의
선순환 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도록 유인하며, 종료평가와의 연계를 강화하여 종료평가 시
제출한 성과활용・확산 계획대로 사업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하게 된다.
∙70∙
2020년도 추적평가는 2014~2015년 종료된 3개 부처 9개 세부사업(총사업비 1조 1,517
억 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3개 사업은 총 사업비 300억 원 미만에 해당하여 상위평가를
면제받았다. 상위평가 대상사업 6개 사업을 대상으로 적절성 점검을 한 결과, 4개 사업이
‘적절’로 인정되어 자체평가에서의 등급을 그대로 인정받았다. 최종 평가등급은 우수 4개
(66.7%), 보통 1개(16.65%) 미흡 1개(16.65%)로 분포되었고 전체 사업 평균점수는 79.0점
이었다. 추적평가 결과는 전문기관 기획평가관리비 등 예산 배분에 참고자료로 활용된다.
라) 특정평가
특정평가는 부처의 자체평가 없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요 R&D 사업을 평가대상으로
직접 선정하여 실시하는 정성적인 심층평가로써 2020년 주요 평가방향은 소재・부품・장비 관련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고, 기존의 개별사업 중심의 평가보다는 정책・기술 분야별
특정평가를 통해 평가결과를 예산과 연계하며 분야 차원의 사업・제도 개선사항을 발굴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소재・부품・장비 관련 사업 평가는 일본의 수출규제 대응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소재・
부품・장비 분야 R&D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해 추진 실적 및 성과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예산
배분・조정, 사업개선 등에 활용하기 위해 핵심품목 중심의 6대 산업(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등) 분야별로 2023년까지 매년 1회 평가 실시 등을 포함하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사업 특정평가 추진계획을 마련하여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에
상정・의결(2019.12.5.)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20년에는 소재・부품・장비 관련 37개 사업
(2020년 예산 1.7조 원)을 대상으로, 사업추진 단계 등을 고려하여 2019년 추경 과제에 대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2020.1.22.)에서 심의・의결된 ‘소재・부품・장비 100대 핵심
품목 맞춤형 전략’의 이행실태 점검, 기업의 애로 사항 청취를 위한 현장 방문 및 소재・부품・
장비 상위계획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등 특정평가를 통해 국가적 현안인 소재・부품・장비 분야
R&D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성과관리 체계를 마련하였다.
정책・기술 분야별 특정평가는 그간의 개별 사업(군) 평가로는 평가결과 활용이 개별사업에
국한되는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안 제시 중심의 평가를 실시하여 R&D 정책, 투자방향, 제도
개선 등에 적극 활용하고자 2개 분야를 선정, 2020년 하반기에 정책분석과 사업평가를 결합
하는 방식의 정책・기술 분야별 평가에 시범적으로 착수하였으며 2021년 상반기에 최종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분야별 평가는 처음 도입된 평가방법이므로 평가실시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여 2021년 하반기에는 정책・기술 분야별 특정평가를 본격 시행할 예정
이다.
∙71∙
2) 기관평가의 실시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는 출연연구기관이 중장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2019년 제도개선을 통해 연구사업평가와 기관운영평가를 분리하고, 기관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사업에 대한 평가 주기를 차별화(3년→3・5・6년)하였다(2019년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 이에 따라 2020년에는 15개 기관에서 기관운영계획서와 연구사업계획서를 분리
하여 수립하였다. 이 외에도 2020년 주요 제도개선 사항으로 자체평가의 자율성 확대 및 평가
부담 경감을 위하여 2020년 3차(자체평가: 9월~11월, 상위평가: 12월~1월) 종합평가부터
‘자체평가 결과의 적절성’ 평가항목을 제외하였고 순차적으로 기관운영평가와 연구사업평가
에서도 동일하게 운영할 예정이다.
기관평가는 기관장 임기종료 시점을 고려하여 연 3회로 나누어 수행되며 2020년 기관평가
전체 대상기관 18개 중에서 2개 기관(한국나노기술원, 한국원자력의학원)에 대해서 기관평가
제도개선(기관운영평가와 연구사업평가를 분리)에 따른 기관운영평가가 처음으로 실시되었으며
(2020년 3차) 나머지 16개 기관에 대해서는 종합평가가 수행되었다. 2020년 1차 평가는 종합
평가 2개 기관(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가보안기술연구소), 2차 평가는 종합평가 8개 기관(국가
수리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천문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그리고 3차 평가는 종합평가
6개 기관(한국과학기술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전기
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과 기관운영평가 2개 기관(한국나노기술원, 한국원자력의학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기관평가는 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위사업청) 및 연구회
에서 실시하는 자체평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자체평가의 적절성을
확인하는 상위평가로 나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국가연구개발 성과
평가 실시계획’에 따라 평가지침을 수립하면, 이를 반영하여 각 부처 및 연구회에서 자체평가
계획 및 자체평가 편람을 마련하고, 자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체평가를 진행한다. 이후
상위평가위원회에서 자체평가의 절차 및 체계, 운영 및 결과의 적절성 등에 대해서 점검을 하는
상위평가를 실시하여 자체평가 결과를 확정하고 평가결과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보고한 뒤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제출된다. 2020년 1, 2차 기관평가 결과는 평가 대상 10개
기관 중 6개 기관이 ‘우수’(국가보안기술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개 기관이 ‘보통’(국가과학기술
연구회, 국가수리과학연구소,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급을 받았다.
∙72∙
3) 제4차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기본계획(2021~2025)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의 성과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성과평가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연구개발 성과
평가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한다. 2020년에 ‘제3차 기본계획’이 종료됨에 따라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시행할 ‘제4차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2019년 9월부터 평가제도 혁신 TF를 운영하여 평가제도 관련 이슈와 검토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2020년 3월부터는 제4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약 2,075명에게 현행 평가제도에 대한
인식, 평가제도 개선방향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제4차 기본계획은 창의・선도형 R&D
체계를 뒷받침하는 성과평가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 평가를 위한 평가가 아닌 성과제고 일환
으로의 평가제도 운영 필요성을 변화된 환경으로 진단하고, ‘자율과 책임의 평가를 통한 연구
현장의 성과창출 역량 제고’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목표를 뒷받침하는 기본 방향으로
①연구수행주체의 평가 자율성 및 공개를 통한 책임성 강화, ②국가 차원의 전략성 제고 및
일관된 평가체계 구축, ③R&D 성과가치의 다양성 존중 및 경제・사회적 기여 제고, ④정보의
활용・축적을 통해 데이터 기반 정성평가 강화를 제시하였으며, 중점 추진과제는 아래 표와 같다.
기본계획은 향후 5년에 걸쳐 추진되는 중장기 계획으로, 변화되는 제도가 적용될 현장의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관계부처 및 전문기관, 대학, 출연연구기관 등 연구현장 등을 대상
으로 간담회, 협의회, 공청회 등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추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20년 8월
2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의 심의・의결을 통해 확정되었다.
∙73∙
<표 2-21> 제4차 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목표
자율과 책임의 평가를 통해
연구현장의 성과창출 역량을 제고
기본 방향
▪연구수행주체의 평가 자율성 및 공개를 통한 책임성 강화▪국가 차원의 전략성 제고 및 일관된 평가체계 구축▪R&D 성과가치의 다양성 존중 및 경제・사회적 기여 제고▪정보의 축적・활용을 통한 데이터 기반 정성평가 강화
추진전략 중 점 추 진 과 제
평가의
자율성과 책임성 제고
‣ 연구자 중심 평가체계 지속 강화‣ 자체평가의 자율성 확대‣ 성과평가 정보 공개를 통한 책임성 확보
정책-투자-평가 연계로
환류 강화
‣ R&D 전 주기에서 평가의 일관성 확보‣ 사업에 대한 전략적 조정기능 강화‣ 평가결과 환류의 실효성 제고
효과 중심으로
성과평가 고도화
‣ R&D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평가 추진‣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중심의 평가 강화‣ 연구성과의 관리・활용 강화
성과평가의
인프라 확충
‣ 데이터기반 정성평가 및 정보 활용・축적 강화‣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역량 강화‣ 우수한 평가 인력의 확보 및 역량 제고‣ 성과평가 법제 정비 추진
다.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성과평가 기본계획’에 기초하여 매년 국가연구개발 사업평가 및 기관
평가의 실시, 과제평가 제도의 운영, 평가기반의 관리 등에 대한 세부계획으로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을 수립한다. 2021년 실시계획에는 사업평가에 사업 전략계획서 수립・점검
제도 신설, 상위평가 단계적 축소, 정책・기술 분야별 특정평가 도입 등이 추진되며, 기관평가에
연구사업평가와 기관운영평가의 지속적 운영, 상위평가의 간소화 등을 추진한다. 또한, 주요
과제평가 제도의 현장착근을 위해 ‘국가연구개발 과제평가 표준지침’ 등의 이행현황을 주기적
으로 점검해나간다. 아울러 기본계획의 추진기반 강화를 위해 제4차 기본계획의 중점추진
과제를 반영하여 연구성과평가법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74∙
4.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가. 개요
2020년은 전 세계가 코로나 19 바이러스(Corona 19)의 감염병을 처음 겪으면서 바이러스
치료제와 백신, 바이러스를 예방하고 전파를 막는 데 기여한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은 해였다. 사회는 재택근무, 온라인 등교, 무인주문기기 등 비대면 기술과 디지털
경제로의 급격한 전환을 겪으면서 정보통신과 과학기술이 삶에 직접 미치는 영향을 체감할 수
있었으며, 과학기술이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데 공감하였다. 이에 따라
혁신을 촉진하는 연구성과의 공개, 개방과 공동활용을 통한 확산 정책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정부는 국가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성과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정책으로서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5년 단위로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 또한,
매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태와 성과 현황을 조사하여 정책에 반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과학
기술성과 중 우수한 사례를 발굴하여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체감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현장에서 창출된 성과가 사업화를 통해 경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부처 간 협업하는 체계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나. 주요 성과
1) 연구성과관리활용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2020년은 「제3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2016~2020)」의 이행을 마무리하는 해이다.
정부는 2020년 3월 「2021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을 수립하면서 제3차 기본계획의
주요 추진과제의 이행을 점검하였다. 그 결과 제3차 기본계획의 10대 과제에서 이행을 완료
하거나 통합이 필요한 과제를 8대 과제로 재정리하였다.
∙75∙
<표 2-22> 2020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의 중점 추진과제
성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연구개발 시스템 개선
1 시장・수요・가치 중심의 R&D기획 강화
2. 시장친화적 연구관리 개선과 평가 내실화
연구성과와 사업성・시장성간 간극 최소화
3. 단절 없는 기술이전・사업화 체제 활성화
4. 고부가가치 특허 창출 역량 강화 및 활용 다각화
5. 중소・중견기업의 R&D기반 성장 지원
6. 대학・출연(연)의 성과활용 전담조직 정비 및 역량 강화
성과활용제도의 경직성 완화 및 성과 수집・관리체계 개선
7. 제3자 이전 활성화 및 기술이전 기여자에 대한 정당한 보상
8. 연구성과의 수집・관리 체계 개선
아울러 향후 5년간 이행할 정책으로서 「제4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착수하였다. 다양한 산・학・연 연구자와 관계부처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성과의 개방성과 다
양성, 활용성을 제고하는 정책목표를 도출하였다. 이를 추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성과의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연구현장과 성과의 수요자 간 간극을 좁히는 오픈사이언스(Open
science)와 같은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며, 시스템과 제도 인프라를 고도화하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2)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5년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연
구성과 활용 제고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차년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에
반영하고 있다.
2020년에는 2018년에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한 12,753개 기관의 연구비 규모, 기관 분류
등을 고려하여 1,018개 기관에 대해 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비 100억 원 이상은 전수
조사하였고, 나머지는 기관유형별, 연구비 규모별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문항은 「제3차 연
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 및 「2020년도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시계획」의 중점추진과제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공공기관 작성용(국공립(연), 출연(연), 대학, 기타)’과 ‘기업 작성용’으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설문지는 기본적으로 연도별 추이분석 등 일관성 유지를 위해 전년도와 연속성 있게 구성
∙76∙
하되, 공공기관 작성용 설문지의 경우 조직, 제도, 연구기획・개발, 성과관리, 활용 등 R&D
수행 전반에 걸쳐 성과관리・활용 현황을 진단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기업 작성용
설문지의 경우 기술개발 방식, 기술도입 현황, 공공R&D 활용 시 애로사항 등 공공연구성과
활용과 관련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다.
3)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발생한 성과를 분석하여 R&D 주요 정책에 활용하고 효율적
R&D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2005년 시범 조사를 시작으로 2006년
부터는 모든 사업에 대해 성과자료 입력을 시행하여 매년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올해는 대학,
출연 연구기관, 기업 등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여 2019년도에 발생한 성과를 포함한
5년간(2015∼2019년)의 연구개발 성과를 대상으로 조사・분석이 실시되었다. 847개 세부
사업의 70,327개 세부과제가 조사・분석 대상으로 도출되었다. 조사 4대 성과인 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를 대상으로 연구개발단계, 연구수행주체, 부처, 6T 등 세부 분류별 분석을 실시
하였다.
정부R&D 성과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대부분 정부R&D 투자 증가율(2.2%)보다
높은 2.5∼9.4% 수준이었으며, 국내・외 등록특허와 사업화 성과의 증가율이 높았다. 전년 대비
SCIE 논문, 국내출원・등록 특허, 해외등록 특허, 사업화 성과는 증가하였으나, 해외출원 특허,
기술료는 전년 대비 성과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019년 성과는 당해연도 과제에서
57.2%, 최근 2∼5년 과제에서 36.9%, 그 이전 과제에서 5.9%가 창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등록특허(국내)는 2017년 과제에서 44.8% 도출되었으며, 이것은 출원 후 심사과정의
시차(평균 1.5년 내외) 발생 때문으로 보인다.
<표 2-23> 정부R&D사업 성과 총괄 현황
(단위: 건, 억 원)
구분
과학적 성과 기술적 성과 경제적 성과
SCIE
논문
국내특허 해외특허 기술료
사업화
출원 등록 출원 등록 건수 징수액
2019년 성과 41,881 31,179 20,210 5,298 2,347 8,858 2,582 28,800
2018년 성과 41,143 31,108 19,200 5,711 2,151 9,029 2,892 26,171
전년 대비 증감률 1.8 0.2 5.3 △7.2 9.1 △1.9 △10.7 10.0
연평균 증가율
(2015년~2019년)
4.0 2.5 7.8 5.3 8.9 4.7 △5.0 9.4
∙77∙
[그림 2-14] 정부R&D 예산 대비 분야별 성과현황(2015~2019년, 5년간)
2019년도 정부R&D SCIE 논문은 41,881건으로 국가 전체(정부+민간) R&D SCIE 논문
69,618건의 60.2%를 차지하였다. 정부R&D 논문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질적
지표인 피인용(표준화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 mrnIF) 값은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하였다.
[그림 2-15] 정부 R&D 논문수 및 피인용도(mrnIF) 추이(2015~2019)
2019년도 SCIE 논문 1건당 피인용수는 1.02회로 게재연도 기준 논문 1건당 피인용 수는
최근 5년간 매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78∙
[그림 2-16] SCIE 논문 1건당 피인용수(2015~2019)
국내 출원・등록 특허는 전년 대비 각각 0.2%, 5.3% 증가하여 출원 31,179건, 등록
20,210건이 발생하였으며, 국가 전체 R&D 특허성과 중 정부R&D에서 창출한 출원 특허와
등록 특허 비중은 각각 18.2%, 21.3%로 최근 2~3년 사이 소폭 감소하고 있다.
해외등록 특허는 전년 대비 증가하였고, 해외출원 특허는 소폭 감소하였다. 해외출원에서
PCT(Patent Cooperation Treaty, 특허협력조약) 출원을 제외하면 미국(33.9%), 중국
(8.1%), 유럽연합(5.3%) 순이었으며, 해외등록은 최근 5년간 미국・일본 등록특허의 비중이
감소하고, 중국・유럽연합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경제적 성과를 살펴보면, 기업부담 완화를 위한 기술료 감면 및 경상기술료 적용 확대로 인해
2019년 기술료 징수 건수는 전년 대비 1.9% 감소한 8,858건, 징수액은 전년 대비 10.7%
감소한 2,582억 원이었다. 기술료 징수 건수 중에서 정액기술료의 비중이 71.6%로 가장 높고,
경상기술료는 17.8%를 차지하고 있다. 경상기술료 징수 건수의 비중이 최근 5년간 크게 증가
하고 있다(2015년 9.9%→2017년 10.6%→2019년 17.8%).
사업화 성과는 매년 변동성이 큰 성과 유형으로 2019년 사업화 성과 건수는 전년 대비
10.0% 증가한 28,800건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4%이다. 기술보유자의 직접
사업화가 89.4%로 사업화 성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품화(80.3%), 공정개선
(18.8%), 창업(0.9%) 순으로 조사되었다. 현행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과 관련해서 성과
정보 수집 및 검증체계의 효율화를 위해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등과 협의를 진행하여 절차를
개선할 예정이다.
4)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정부는 연구성과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을 제고하기 위해 성과물별 관리・유통 전담기관을
∙79∙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19년까지 논문, 특허, 시설・장비 등 9개 성과를 관리・유통하는
전담기관이 운영되고 있었다. 2020년 5월 19일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표준’이 추가로 연구성과로 법률에 명시되었다. 이에 따라
‘표준’ 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관리할 전담기관을 추가로 지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정부는
전담기관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기관의 연구성과 수립・관리・유통 업무 전문성과 보안
체계, 시설・장비, 인력의 보유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표준 전담기관으로 ‘한국표준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전담기관으로 지정하였다.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시행되고, 표준 전담기관을 추가로 지정하면서 「연구개발성과 관리・
유통 전담기관 지정 고시」를 개정하였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근거한
기존의 고시를 2020년 12월 31일자로 폐지하였다.
<표 2-24>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 현황
연구성과 전담기관 관리대상(등록・기탁 기준)
논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콘텐츠큐레이션센터)
국내외 학술단체 및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및 학술대회지에 수록된
학술논문(전자원문 포함)
특허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국내외 출원 또는 등록된 특허정보
보고서원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종료 시 제출하는 최종보고서 및 연차보고서(전자원문 포함)
연구시설・
장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 시 취득한 장비 중 가격이 3천만 원 이상인 장비
또는 취득가격이 3천만 원 미만이라도 공동 활용이 가능한 장비
기술요약정보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초・응용・개발단계 등의 최종보고 및 연차보고가 완료된 결과물의 기술정보를
요약하여 공유・활용(기술이전, 사업화 등) 할 수 있도록 작성된 기록정보
신품종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생명정보 중 국내외에 출원 또는 등록된 농업용 신품종에 관한 정보
소프트웨어
한국저작권위원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창작된 소프트웨어 및 등록에 필요한 관련 정보
표준
(2020년 추가)
한국표준협회 「국가표준기본법」 제3조에 명시된 국제표준(ISO, IEC, ITU), 국가표준(측
정, 참조, 성문)으로 채택(등록, 고시)된 공식 표준정보(소관 기술위원회를
포함한 공식 국제표준화기구가 공인한 단체・사실표준화기구에서 채택한 표
준정보를 포함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
명
자
원
생명
정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
유전체 정보(서열, 발현정보 등)
단백질 정보(서열, 구조, 상호작용 등)
발현체 정보(유전자 칩, 단백질 칩 등) 및 그 밖의 관련 정보
생물
자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미생물자원(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동물자원(사람・동물세포, 수정란 등)
식물자원(식물세포, 종자 등)
유전체자원(DNA, RNA, 플라스미드 등) 및 관련 정보
화합물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
합성 또는 천연물에서 추출한 유기화합물 및 관련 정보
∙80∙
5)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발전을 견인해 온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고, 과학기술인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2006년부터 매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하고 있다. 선정된 우수성과에 대해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인증서와 현판이
수여되고 사업과 기관평가 등에서 가점을 받게 되며, 성과를 낸 연구자에게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포상(훈・포장, 대통령 표창, 국무총리 또는 장관 표창) 후보자로 적극 추천된다.
올해는 정부지원을 받아 수행한 약 7만여 연구개발과제(2019년 기준) 중 각 부・처・청으로
부터 추천(2020.4.1.∼5.31.)받은 780건의 후보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
된 우수성과 선정위원회에서 과학기술개발 효과 및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선정위원회는 총괄위원회 및 6대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총 52명의 평가위원이 활동
하였다. 과학기술 개발 효과와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기준으로 질적 우수성을 평가하고,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최종 100선을 선정하였다.
<표 2-25>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 최우수성과
성과명 연구자 소속기관
반도체 공정에서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는 나노계측 기술 개발 조상준 파크시스템스
비희토류계 영구자석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최철진 재료연구소
세노바메이트, 미국 FDA 시판허가 및 유럽지역 기술 수출 계약 이기호 SK바이오팜㈜
콜레스테롤 대사이상이 퇴행성관절염의 원인임을 규명 류제황 전남대학교
2차원 소재 기반 다기능성 투명 태양전지 및 자가 구동형 인공눈
(Self-powered Artificial Eyes)
김준동 인천대학교
원자의 운동을 직접 관측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초고속 전자카메라 개발 정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다양한 의료데이터(진료정보, 영상정보, 유전체정보, 생활습관정보 등)를 활용한
지능형 소프트웨어인 닥터앤서(Dr.Answer) 기술개발
이준영
정보통신
산업진흥원
세계 최고 수준의 비정형 자연어 음성인식 및 비원어민 발음평가 개발 박전규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본인 인증 및 신원 확인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얼굴 인식 기술 개발 김익재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화재 및 폭발이 없는 세라믹 기반의 고전압형 전고체 리튬이차전지
핵심기술 개발
김호성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내 머리 속 공포기억, 시각자극으로 사라진다 신희섭 기초과학연구원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기후 예측 시스템 개발 및 대양간 상호작용 규명 함유근 전남대학교
∙81∙
특히, 2020년도에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창출된 우수성과의 국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선정 과정에 일반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개발성과’ 온라인투표
절차를 최초 도입함으로써 의미를 더하였다.
또한,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을 제작하여(선정 15주년을 맞아 실시한 우수성과 추적조사
결과 사례집 부록 포함),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 연구관리전문기관, 과학기술출연(연), 과학
고등학교, 대학 등에 배포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최우수 성과에 대해서는 홍보 동영상을 제작
하여 전광판 홍보 등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등에 우수성과
100선 사례집을 온라인 배포하였으며, YouTube 채널 등에 홍보 동영상을 게시하는 등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통한 홍보를 추진하고, NTIS 우수성과 콘텐츠 업로드를 통해 NTIS 우수성과
메뉴에 선정된 우수성과와 관련된 검색기능, 과제정보, 성과정보 등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우수성과 연구자는 최우선적으로 훈장, 포장, 대통령・국무총리표창에 추천
되었으며, 그 외 우수성과자 등에게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표창이 추천되었다.
6) 범부처 연구성과 이어달리기 체계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한 관리체계가 파편화되어 성과별로 후속 지원,
규제개선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어렵고 국민이 성과를 체감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부처 칸막이를 없애고 지원역량을 결집한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방안’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여 2020년 10월,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 안건으로 상정
하였다.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는 관계부처가 연구개발사업에서 우수성과를 주기적으로 발굴
하고 선정하며, 선정된 성과에 대하여 지원현황, 상용화・사업화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부처가
후속지원 전략을 맞춤형으로 마련하여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부처의 국장급 공무원
으로 구성된 범부처 협의회와 전문기관 및 사업화 지원기관의 직원으로 구성된 관계기관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2020년에는 시범프로젝트로 정맥주사를 대체하는 피하주사형 신약기술(범부처), 생분해 친
환경 플라스틱(과기정통부→중기부・환경부・농진청), 한국인 맞춤형 질병 조기진단 SW 닥터
앤서(과기정통부→과기정통부・복지부・식약처) 등의 성과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대상으로
선정하고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였다. 2021년에는 상・하반기로 나누어 주기적으로 연구성과를
발굴하고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여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82∙
다. 향후 계획
2021년은 그동안 정책환경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정책이 「제4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
계획」을 통해 수립되고 실행되는 해이다. 정부연구개발 성과 현황에 대한 조사를 비롯하여
체계적으로 다양한 성과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준비하는 정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는 혁신의 속도에 대응하는 유연한 연구성과 확산 생태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또한 연구성과가 신속하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할 것이다.
∙83∙
제3장
국가과학기술 역량 확충
제1절 과학적 지식 탐구 및 창의도전적 연구 진흥
가. 기초연구 진흥 종합계획 개요
정부는 대한민국 기초연구 진흥을 위하여 대내외 환경 변화를 고려한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지원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자,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초
연구진흥 종합계획”을 5년 주기로 수립하고 있다. 기초연구의 특성이 가시적 성과 측정이 어렵고
대표적인 공공재 성격을 가진 영역이므로 안정적・장기적 지원을 핵심 목표로 하여 2018년 6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8∼2022)」을 수립하였다.
종합계획에 따른 지원을 통해 IF 분야별 상위 10% 저널 게재 논문수 24,000편 달성, 기초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학위자 4,000명 양성 및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를 후속연구 및 사업화로
230개 이상 연계한다는 추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추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4대 전략 및 18대 중점 추진과제를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84∙
<투자>
연구자 중심으로 기초연구 혁신
<지원>
전주기 기초연구 지원 체계 구축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확대
연구자 수요를 반영한 지원 개편
정부R&D 기초단계 연구 지원 강화
기초연구 종합 조정체계 개선
젊은 연구자의 조기 연구정착 지원
수월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 지원 확대
생애기본연구비 지원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 기반 조성
세계적 선도 기초연구기관 육성
<효과>
국민이 체감하는 기초연구 생태계 조성
<제도>
자율과 책임에 기반한 연구 몰입 환경 조성
연구정보 공유체계 강화
우수성과 발굴・확산 강화
연구 장비・시설의 활용성 강화
국제 협력 강화
기초연구 사회적 역할 강화
연구수행의 유연성 강화
연구과제 평가제도 혁신
연구 행정 개선
성숙한 기초연구 문화 조성
나. 주요 성과
1)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국정과제 안정적 추진
정부는 기초연구의 자율성을 높이고 연구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혁신을 대비하기 위해 국정
과제로써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강화를 추진 중에 있다. 연구주제・연구비・연구기간을
연구자가 주도적으로 제시하는 자유공모 방식의 기초연구 예산을 2017년 1.26조 원에서
2022년 2배 수준인 2.5조 원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2019년에는 1.71조 원, 2020년에는
처음으로 2조 원을 돌파하였다.
특히 창의・도전적 연구의 핵심 중추인 신진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신진연구사업, 생애
첫연구사업을 2017년 1,490억 원에서 2020년 2,511억 원으로 확대 지원하여 신진연구자들의
독자적 연구 기회를 강화하고 있다.
∙85∙
<표 2-26> 국정과제 추진 목표 및 체계
《 목 표 》
◈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확대와 자율성을 강화하고, 과학기술 혁신 주역인 청년 과학기술인의 연구
환경개선 및 체계적인 육성을 통하여 과학기술 미래역량 확충
《 추진 체계 》
2)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지원 강화
정부는 2017년 국정과제로 연구자가 주도하는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를 2017년 대비
2022년에 2배까지 대폭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자의 역량과 생애 주기를 고려한
촘촘한 지원체계를 기반으로, 연구 의지가 있는 연구자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에 따라 2017년 1.26조 원이었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은 2022년에 2.52조 원까지 확대될 예정이며, 2020년에는 2.0조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기초연구 지원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수 젊은 연구자를 지원하기 위한 신진연구
사업은 2020년 2,146억 원, 연구의 허리층인 중견연구자를 지원하는 중견연구사업은 7,519억
원, 최고 수준의 연구자를 지원하는 리더연구는 638억 원을 지원하였다. 또한, 연구 진입 기회를
제공하는 생애 첫 연구, 소규모 과제를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기본연구, 연구 단절을 방지하는
재도약연구에도 총 1,906억 원을 지원하여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자의 역량과 생애주기를 고려한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생태계 구축을 통해
우수 학술성과가 창출되어 국가의 과학적 발전 및 위상 강화에도 핵심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기초연구사업 예산은 국가 전체 R&D 투자에 대비했을 때 1.7%에 불과하지만, 국내 SCI
논문의 45.3%, 국내 피인용 상위 1% 논문 중에서 36.4%, NSP 저널 논문 중 41.9%를 차지
∙86∙
하고 있다. 또한, 국가 전체의 석・박사 신규 인원 중 27.2%가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배출, 기초
연구를 통해 배출된 우수 인력이 각계로 퍼져나가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3) 분야별 지원체계 시범 도입
정부는 「제4차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2018~2022)」에서 ‘연구자 수요를 반영한 기초연구
사업 지원 개편’을 추진과제로 제시하며 ‘분야별 지원체계’로의 단계적 전환을 추진 중에 있다.
2020년에는 소액 장기 연구, 소규모 집단연구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학 분야에 시범 적용
하였으며 2021년도에는 6개 분야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체계 개편의 핵심 방향은 각 학문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과제 지원 및 우수 성과 창출을 위
하여 중장기적으로 학문 분야별 지원체계로 전환해가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과제 접수 이후
연구자 수요를 고려하여 사업체계(신진/중견/리더연구 등)에 따라 지원하였으나, 앞으로는
분야별 예산을 사전 배분하고 분야별 특성에 따라 연구기간, 연구비, 과제 수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초연구지원 프로그램 신설도 가능해졌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분야별 대표 학회 등 연구 현장이 중심이 되어 연구자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중장기 포트폴리오
및 과학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체계를 마련하였다.
<표 2-27> 수학 분야 지원체계
구분 내용
적용대상 사업 과기정통부 소관 기초연구사업(개인기초연구, 집단연구지원)
예산배분 최근 5년(2015~2019년)간 전체 지원 연구비 대비 수학 분야 지원연구비 비율을 적용하여 사전 예산 배분
연구비/연구
기간 기준
수학 분야 특성을 감안하여 사업별 연구비/연구기간 기준 적용
※ 예시) 중견연구 유형1 연평균 1.5억 원 이내, 유형2 1.5억 원 초과~2.5억 원 이내
지원과제 수학 분야 연구자 수혜 목표 등 중장기 투자포트폴리오에 따른 과제 지원
∙87∙
4) 신진연구자 정착 및 지원
가) 젊은 과학자 연구 기회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업무 보고를 통해 젊은 과학자가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2020년에는 신진연구자가 창의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도전적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신진연구사업, 생애첫연구사업 등 신진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을 확대하였다. 신진연구사업과
생애첫연구사업의 경우 2018년 1,857억 원, 2019년 2,020억 원, 2020년 2,511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진연구자가 역량을 발전시켜 중견 및 리더
연구자로 성장하고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우수 신진연구자를 중견연구사업으로 상위
연계(30%)하여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신진연구자의 경우 실험실이 미비하여 독자적 연구를 하기 어렵다는 현장 의견에 따라
연구시설・장비구축비 등 초기 실험실 구축 비용을 추가 지원(최대 1억 원)하여 신진연구자가
연구 초기부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연구현장의 핵심 인력인 박사후연구원이 연구실을 자유롭게 이동하여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을 2021년 신규로 추진하기 위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11월 공고를 통해 2021년 3월부터 착수할 예정이다. 세종과학펠로우십을 통해
박사후연구원은 인건비 65백만 원 등을 포함하여 연 1.3억 원을 5년간 안정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신진연구자에 대한 연구 기회 확대, 조기 정착 지원은 연구 커리어 초기부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다. 39세 이하 전임교원의 기초연구사업
수혜율은 2016년 35.5%에서 2020년 80.3%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신진연구사업을 통해
우수 연구 성과들도 창출되고 있다.
<표 2-28> 신진연구사업 우수 연구 성과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 IF 상위 10% 논문 게재 실적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국가전체 471 556 550
신진연구 29 32 24
비율 6.2 5.8 4.4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국가전체 6,447 6,841 7,754
신진연구 433 461 540
비율 6.7% 6.7% 7.0%
∙88∙
나) 우수 연구진과의 공동연구 기회 확대
최근 과학기술의 복잡성 증가로 인해 공동연구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실제 2008년
에서 2017년 사이의 노벨과학상 공동수상 비율이 90%에 달하고 국제공저논문이 최근 30년간
9배 가량 급증하고 있다.
이에 신진연구자가 개인의 연구 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우수한 공동연구의 기회를 부여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자로 성장하는 발판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3∼4인의 소규모 기초연구 그룹을 지원하는 기초연구실 사업은 공동연구그룹 구성 시 신진
연구자 1명 이상을 필수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2020년에는 젊은 과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는 ‘개척형 기초연구실’을 신설하여 창의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공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선도연구센터(RLRC) 사업에서는
8명 내외의 공동연구그룹 내 신진연구자 비율을 20% 이상 유지하도록 하여 지역의 신진연구
자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5) 집단기초연구(선도연구센터) 지속 지원
2020년은 집단기초연구를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 사업이 시작된 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국가 연구비라는 개념조차 생소했던 1990년, 13개의 우수한 대학 연구그룹을 선정해 연 10억
원씩 9년간 연구비를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 사업은 현재까지 이어져 대학과 우리나라 기초
과학의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30년간 총 358개의 센터를 지원하였으며,
2018년까지 총 68,325건의 SCI 논문이 게재되었다. 또한, SCI 논문의 5년 주기 평균 피인용
횟수도 7.68회로 세계 평균 5.71을 상회하는 등 연구 성과의 질적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뿐만 아니라 이공계 석사 졸업생 중 4.1%, 박사 졸업생 중 6.0%가 선도연구센터 지원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선도연구센터에 학생연구원으로 참여했던 인력 중 20% 이상이 대학의
전임교원으로 임용되어 핵심 연구 인력으로 성장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에도 창의성과 탁월성을 보유한 우수 연구집단을 육성하기
위해 선도연구센터에 1,795억 원을 투자하여 123개의 센터를 지원하였으며, 2019년에 지역의
지속가능한 혁신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신설된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를 2020년에도 4개를
신규 선정하여 지역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89∙
제2절 연구몰입환경 조성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가. 개요
R&D 투자 대비 질적 성과가 미흡한 문제는 대부분 낡고 복잡한 정부R&D 관리시스템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정부R&D 관리시스템은 각 부처・전문기관
에서 운영 중인 법령・지침・매뉴얼에 근거하고 있으며, KISTEP(2018)에 따르면 그 수가 약
150여 개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다.
법률 과학기술기본법 / 연구성과평가법 부처별 소관 법률
소관 사업 추진 근거, 제재 등
대통령령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부처별 소관 법률 시행령
고시/
훈령
국가연구개발사업 기관별 간접비 계상기준,
국가연구개발정보표준 등
과학기술
소관 사업
정보통신부
처리규정
산업부, 국토부, 환경부 등
부처별 별도 규정
지침/
매뉴얼
연구관리
표준매뉴얼
연구비관리
표준매뉴얼
기술료/평가/…
매뉴얼
연구비
매뉴얼
국책사업
매뉴얼
원천기술개발
사업 매뉴얼
사업별 평가지침,
연구비 관리 지침 등
※ 자료 : 유지은, 이재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그림 2-17] 기존 정부R&D 관리 법령체계
이렇듯 각 부처별 상이한 규정・지침은 연구자의 과도한 연구행정 부담으로 이어져 연구 몰입을
저해하고 부처 간 협업 부족 등 연구관리 비효율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 국내
대학 연구자는 업무시간의 62.7%를 행정업무에 할애하고 있다고 답변하기도 했다(KISTEP,
2016). 따라서 도전과 혁신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R&D 법체계의 혁신이
필수적이며 특히 연구자 중심의 R&D혁신의 핵심 원칙은 법률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2020년 6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제정되었다. 그간 정부의 연구제도 개선 노력이
연구현장까지 전달되는 데 있어 규정 체계를 재정립함으로써 공통 기준으로서의 실효성을 높이고
연구제도 개선의 현장 체감과 연구성과 제고를 촉진하기 위해 체계적인 행정제도 운영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데 제정의 의의가 있다.
∙90∙
나. 주요 성과
1) R&D 법령체계 재정비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은 국가R&D 혁신의 방향성과 철학을 담고 있는 법률로 연구자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기존 공동관리규정 및 각 부처별 R&D법과 규정을 일원화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법률로서 근거를 두어야 할 사항과 하위령에서 구체적으로 정할 사항 등을 구분하여
법-령-행정규칙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R&D법령 구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법률 대통령령
< 혁신법 제정 전 >
과학기술기본법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11조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제11조의2 (참여제한 등)
제11조의3 (성과의 소유・관리)
제11조의4 (기술료의 징수 및 사용)
제16조의2 (성과 보호 및 보안)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공동관리규정)
55개 조, 263여개 항, 11개 별표
국제과학기술협력 규정
49개 조
⇩
< 혁신법 제정 후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41개 조
과학기술기본법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46개 조(예상)
국제과학기술협력 규정
자료: 유지은, 이재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그림 2-18]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전・후 기존 법령 비교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은 과학기술기본법 내 국가R&D 과제와 관련 있는 5개 조문을 이관하고
공동관리규정 중 법률상 기재되어야 할 내용을 국가연구개발혁신법으로 격상하여 구성되었다.
과학기술기본법 내 제11조제2항~제5항, 제11조의2, 제11조의3, 제11조의4, 제16조의2제2항,
제3항은 R&D과제 관련 사항으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으로 이관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연구
∙91∙
개발혁신법 시행일(2021.1.1.)에 공동관리규정은 폐지되고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등은 일부 개정되었다.
더불어 모든 국가R&D 과제가 본 법의 적용을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일부 과제의 경우
특수성을 고려하여 일부 규정을 달리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국립농업
과학원 등 주요 국・공립연구기관 및 중앙행정기관이 직접 수행하는 연구개발사업(과제)과 국제
공동연구 등은 현재와 같이 각 부처별 직제 등 다른 법령과 규정의 예외를 적용받게 된다. 그 외
국가R&D관리체계 하에서는 특별법적 지위를 가짐으로써 연구개발과제가 속한 부처나 사업에
따라 관리와 책임이 상이한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학기술혁신본부)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도록 하여 국가R&D 정책의 컨트롤타워로서 책임성을 강화하였다. 각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소관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에 관한 사무를 관리하되, 소관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에
관한 법령 및 행정제도의 변경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 협의하도록 의무화하여 법령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자료: 이재훈, 유지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그림 2-19]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법령 체제 개편
∙92∙
2) 연구자 중심의 R&D 프로세스 혁신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은 연구자 중심의 R&D 프로세스 혁신, 모든 R&D사업에 대한 동일기준
적용, 연구자 책임성 및 권익강화를 통해 연구자 중심의 R&D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가연구개발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연구계가 스스로 문제를 해소해나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러한 내용은 그간 ‘연구자 중심 R&D 프로세스 혁신방안’(2017.11.), ‘연구제도
혁신기획단’(2017~2018) 등 연구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도출된 혁신 방안과 ‘혁신성장을
위한 국가 R&D 분야 규제혁파 방안’(2018.3.), ‘국가R&D 혁신방안’(2018.8.)을 통해 마련
된 정책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이다.
※자료 : 이재훈, 유지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그림 2-20]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으로 달라지는 점
구체적으로 동 법은 ‘기획-선정-수행・평가-보상-행정’의 R&D 전 단계를 연구자 중심으로
혁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구자의 자율성 확대를 통한 R&D 도전성 강화, 연구행정지원
전문성을 강화하여 연구자의 행정부담 경감, 국가R&D 규정이 실제 집행되고 관리되는 전문
기관의 평가 및 행정서비스에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인 현장 중심의 제도 점검 및 환류
체계를 구축하는 것 등이 그 주요 내용이다.
특히 긴 호흡의 연구개발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관행적으로 유지되던 연차협약, 연차평가
등 연차 관리를 폐지하였다.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 전체 연구개발기간에 대해 협약을 체결하도록
하여 연차협약을 폐지하고 다년도 협약 체결을 원칙으로 하여 연구비 이월을 허용하였다.
명문화된 근거 없이 관행적으로 움직이던 연구관리 행태를 개선하고 연구 행정상 불편을
명백히 줄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관례적으로 실시해온 연차평가를 폐지하고 단계평가 및
최종평가로 간소화하여 잦은 평가로 인한 비효율과 행정부담 초래, 연 단위로 성과를 요구함에
∙93∙
따라서 발생하는 논문 쪼개기 및 특허 쪼개기 등의 문제가 성행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년도 예산안 심의 등을 고려해 1년 단위의 평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연도 연구의 수행내용, 주요 성과, 기대효과를 정리하여 부처와 전문기관에 보고하는 자료로서
연차보고서 점검으로 절차를 간소화하도록 하였다.
그동안 정부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연구지원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법에 따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지원 체계 확립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추진하도록 하고, 연구개발
기관은 연구지원을 전담하는 인력과 조직 등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연구지원 체계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연구지원 기준’을 정하고, 그 준수 정도 등을 포함한 연구지원 체계
구축・운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평가 결과는 연구개발기관별 간접비 계상기준 산정에
반영된다. 연구지원 체계 확립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은 연구지원인력의 전문성은 제고되고,
전담인력 및 조직의 지원을 받으며 연구자가 본연의 연구 업무에 집중하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연구자가 연구비 관리・정산 등 연구지원 업무에 상당 시간을 사용함에 따라 연구 몰입도 및
성과 창출이 저해된다는 지적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현재 기관별
간접비 계상기준을 정하기 위해 2년마다 수행 중인 ‘연구비 관리체계 평가’를 연구지원체계
평가로 확대 실시한다. 연구지원체제를 구축할 의무가 있는 연구개발기관에 대하여 연구지원
기준 준수 정도, 연구개발기관의 연구지원에 대한 소속 연구자의 만족도, 간접비 계상・집행・
관리 실태 등을 포함한 연구지원 체계 구축・운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
연구몰입환경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3)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운영의 제도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통해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운영에 있어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국가
연구개발 행정제도를 운영하되, 이 법의 범위 안에서 운영하도록 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을
넘어 연구현장을 규제할 수 없도록 명시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포괄하는 법률이 없어
타 법률에 기반을 두어 운용 중인 행정제도가 다수 운영 중이었으나, 본 법을 통해 법률과 행정
제도 간 일관성 확보가 가능하다.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소관 관계법령 및 국가연구개발 행정
제도를 해석할 때에도 동 법의 목적과 입법취지를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더불어 관계법령 및 행정제도의 해석 체계를 명확히 하였다.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연구
개발혁신법이 정하는 범위에서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국가연구개발과 관련한 법령 등 또는
각종 시책)을 운영할 수 있으며, 소관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에 관한 민원 역시 본 법의 취지에
맞게 처리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법의 해석이나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운영에 관하여는 과학
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의견을 요청하거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심의를 요청할 수 있도록
∙94∙
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연구개발행정제도 간 정합과 체계적인 유권해석 및 현장에의 전달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을 위한 의견 수렴을 필수적
으로 시행하도록 하였다.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을 위하여 이해
관계인・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도록 규정하였다. 또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소관 연구
개발 시책 마련 시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안의 내용을 반영하도록 의무화하였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소관 연구개발 시책이 파편화되지 않고 일관성을 확보하도록 하려는 취지이다.
<표 2-29>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주요 개선사항
구분 개선 前 개선 後
과제공모
선정
예측 불가능한 공모로 불공정 시비 반복 신규과제 추진 사항 사전 예고
평가위원의 과중한 평가 부담 참여자격 검증(전문기관)과 연구계획 평가 분리
지나치게 많은 필수 평가 항목 사업 목적・성격을 고려한 평가항목 유연화
R&D 관리
1년 단위 과제협약・정산・평가 “연구개발단계별” 과제 관리 원칙
전문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평가단 구성 원칙 평가단 구성 시 전문성 우선 확보
부정행위, 참여제한 등으로 연구중단 특별평가를 통해 과제중단 및 변경 결정
행정규제혁파
경미한 사항까지 협약 변경 요구 경미한 사항은 보고로 협약 갈음
비목별 비현실적 연구비계획서 요구 개괄적 연구비계획서 제출
부처・사업마다 다른 연구비 사용기준 모든 사업에 적용되는 연구비 사용기준 고시
행정부담완화
연구자가 연구행정 직접 처리 연구지원 전담조직・인력이 연구행정 수행
소극행정으로 인한 연구자 부담 집중 책임・권한 명확화로 적극행정 기반 마련
간접비 계상실태에 대한 소극적 반영 연구지원체계 평가의 간접비 계상
연구책임성
강화
논문 중심의 연구윤리 위반 인식 R&D사업 부정행위 범위 정립
참여제한 5년, 제재부가금 5배가 최대 부정행위 시 제재 강화
평가위원 등 윤리확보 장치 미흡 공무원 의제 적용을 통한 책임 강화
연구자
권익
선정평가에만 이의신청제도 운영 모든 평가결과에 대한 이의신청 보장
연구개발기관이 모든 성과 소유 원칙 유형을 고려한 연구성과 소유권 인정
제재 재검토 시 동일기관에서 재검토 과기정통부 소속 별도 위원회에서 재검토
공통
기준
사업, 과제마다 상이한 규정 모든 정부R&D사업에 동법 적용
공동관리규정 대비 타 법률 우선 적용 정부R&D사업은 타 법률 대비 우선 적용
많은 규정으로 인한 연구자 혼란 일관성 있는 법령 및 행정규칙 체계 확립
시스템
구축
연구개발정보 처리 규정 미비 연구개발정보 정의 및 처리규정 신설
연구기관・전문기관별 개별 시스템 운영 범부처 공동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전문기관
책임성
연구행정 서비스 모니터링 미흡 전문기관 연구행정 서비스 평가 및 후속조치
사실 상 전문기관에 대한 파악 불가 전문기관 실태파악 근거 마련
각 기관에서 발생하는 자의적 규제, 감사 제도개선 권고 도입을 통한 자의적 규제 방지
국가R&D
시스템
혁신
법령 및 행정제도 해석체계 미흡 법령 및 행정제도 해석체계 구축・ 운영
부처별 이슈에 따른 규정 개정 시기 차이 매년 국가연구개발제도개선 의무화
규정개정의 현장적용까지 시차 존재 관련 제도의 동시개정을 통한 시차 최소화
∙95∙
다. 향후 계획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입법 의견수렴 추진경과
일 자 주요 내용 장소
2018.12.20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입법 토론회 서울특별시
2019.1.14 국가연구개발특별법 관련 출연연구기관 관계자 의견수렴 세종특별자치시
2019.1.25
대덕 신진연구자 간담회
각 대전광역시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장 간담회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입법 토론회(대전・충청권)
2019.2.15 4대 특성화대학 간담회 대전광역시
2019.2.25 국가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입법 토론회(영남권) 울산광역시
2019.3.6 과학기술계 주요 학회장 간담회 서울특별시
2019.3.21 전국산학협력단장 간담회 서울특별시
2019.3.22 연구소장 협의회 대전광역시
2019.3.27 전국 산학협력단 관리자 협회 제주특별자치도
2019.4.4
호남권 대학 및 출연연 연구자 간담회 광주광역시
국가연구개발혁신을 위한 입법 토론회(호남권) 광주광역시
2019.4.7 과기한림원 등 과학기술주요단체장 간담회 서울특별시
2019.4.17 의과학대학장 간담회 서울특별시
2019.4.18 자연대학장 협의회 제주특별자치도
2019.4.22 대덕이노폴리스 포럼 대전광역시
2019.4.24 전국산학협력단장협의회 제주특별자치도
2019.5.21
전문기관장 협의회
서울특별시
과학기술혁신학회 간담회
2019.9.2 국가연구개발혁신을 위한 특별법 대토론회 서울특별시
2020.6.23 전임출연연구기관장협의회 간담회 대전광역시
2020.6.24 범부처 연구제도협의회 세종특별자치시
2020.7.24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장 간담회 세종특별자치시
2020.8.12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안 공청회 서울특별시
그간 규정 및 제도의 개선을 연구현장에서 체감하기까지는 수년의 시차가 발생한다고 지적
되어 왔다. 앞으로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체제 하에서는 체계화된 행정제도 개선 시스템을 통해
연구자와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불필요한 연구현장의 규제를 개선하는 데 정부가 앞서 노력
할 것이다.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역시 그 근거이자 R&D 법률로서 약 32차례의 연구현장
간담회와 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마련된 법안이다. 앞으로도 ‘제1기, 제2기 연구제도혁신
기획단’, ‘R&D제도개선추진단 ’등 연구자 중심의 규제발굴과 제도개선을 위해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를 중심으로 연구현장이 협업하는 체계를 확립・운영해나갈 계획이다.
∙96∙
더불어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20조에 따라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함으로써 “연구
현장↔법령 및 규정↔통합 시스템” 간 선순환 환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준비 작업으로 제도와 시스템 개선이 단절적으로 수행된 전철을 극복하기 위해 각 부처의
규정에 대한 표준화를 선행하고 이를 시스템에 반영하는 선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과업이 선행
되고 있다. 향후 연구지원시스템 통합 운영 시 발생하는 연구관리 규정의 이질성 최소화, 규제
개선 등은 시스템을 통해 규정 및 제도 문제를 인지하고 부처・전문기관 간 협의를 통해 논의
되어 연구관리 시스템 자체가 자정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2. 연구자 주도 R&D 제도혁신
가. 현장 친화적인 제도개선 추진체계 운영
1)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 수립
정부는 문재인 정부 국정철학인 ‘사람 중심의 연구환경 조성’ 기조 하에 과학기술분야 대학
연구인력의 권익강화 및 연구여건 개선방안(2018.7.), 혁신 성장을 위한 국가R&D 분야 규제
혁파 방안(2018.3.) 및 R&D 프로세스혁신방안(2017.11.) 등에서 연구자의 행정부담 완화,
연구프로세스의 효율화, 학생연구원 처우개선과 같은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제도개선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를 통해 법령을 개정하는 등 제도개선 차원에서는 큰 진전이 있었지만 제도의 변화를 현장
에서 충분히 체감하기 어렵다는 문제제기도 있었다. 이러한 현장체감도 저하의 원인을 알기
위해 2019년 7~8월 ‘과학기술 현장규제점검단(이하 ’점검단‘)을 구성・운영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현장(대학, 출연(연), 기업)에서는 제도개선 사항의 현장이행을 지연 또는 왜곡시키는 여러
불합리한 관행 및 규제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제도개선의 현장 체감도를 떨어
뜨리는 이른바 ‘현장규제’들은 감사결과에 따른 후속조치, 상급관청의 요청, 행정부서의 편의
주의 및 보수적인 규정 운영 등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나며 연구행정 뿐만 아니라 기관행정
전반(인사, 복무, 회계, 구매 등)과 맞물려 관행으로 굳어져 있었다.
‘점검단’의 활동을 통해 500여 개의 현장규제를 발굴하였으며 현장의 의견을 기반으로 단기적
으로 개선이 가능한 단기과제 21개를 추려내었다. 유관기관 협의 등 심층분석을 진행하여 21개
과제에 대한 개선방안인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을 2020년 5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심의・의결하였다.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은 연구자의 연구 자율성 및
연구기관의 연구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과제 개선방안 수립의 기본방향으로 하였으며,
∙97∙
규제 요인들의 현황・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개선 과제별로 ① 「공동관리규정」 및 하위의
「연구관리표준매뉴얼」의 개정, ② 부처별 규정 및 지침・매뉴얼의 개정 또는 적용・이행 독려
③ 기관의 운영규정 개선 등으로 대책의 방향을 세분화 하였다.
목표
현장규제 해소를 통한
연구자 중심의 연구제도 개선 현장체감 강화
세
부
추
진
과
제
1. (연구자) 자율이 존중되는 신뢰 기반의 연구제도 개선
원칙 ① 신뢰 기반의 연구제도 원칙 규정화
유연성 강화
② 연구비 입금 지연 시 선집행 근거 마련
③ 논문게재료 집행 유연성 강화
④ 연구재료비 집행기간 제한 완화・명확화
⑤ 연구용 S/W라이선스 비용집행 합리화
⑥ 연구개발비 지출방식(연구비카드 또는 계좌이체) 제한 완화
⑦ 학생연구원 인건비 학기별 집행 허용
⑧ 학사→석사, 석사→박사 진학 시 학생인건비 지급 허용
행정부담 경감
⑨ 출연(연) 국내출장 운임비 실비 정산 폐지
⑩ 종이영수증 폐지 확대
⑪ 연구활동비 내 정산면제 등 기준 명확화
⑫ 회의비 집행증빙 기준 명확화・간소화
⑬ 연구비 정산 시 서면증빙 부가제출 개선
⑭ 협약변경 사항 통일 및 절차 간소화
⑮ 연구개발 최종보고서 제출기한 합리화
2. (연구기관) 연구지원 역량 제고를 위한 지원 강화
⑯ 연구개발비 직접비・간접비 분리지급 시행
⑰ 비영리기관 연구지원인력 지원 확대
⑱ 연구비관리 최우수기관 우대조치 확대 시행
⑲ 연구비관리시스템 참여율 관리 간소화
⑳ 연구장비 이용료 집행범위 확대
◯21 연구장비 실태조사 통합 실시
∙98∙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의 대표적인 개선사례는 아래와 같다.
가) 연구개발비 입금 지연 시 선집행 근거 마련
(문제점) 전문기관에서 행정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연구자가 연구과제에 선정되었음에도
협약체결이 지연되거나, 협약이 체결되었음에도 연구비 지급이 지연되는 사례가 있었다. 이
경우 연구책임자는 참여연구원 및 학생연구원의 인건비 지급을 지연할 수 밖에 없게되고, 연구
시설・장비의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등 원활한 연구수행에 차질이 발생하였다.
(개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부처로부터 협약 체결 또는 연구비 지급 이전에 연구개시의 필요성을
인정받은 경우 연구기관 자체재원(간접비)을 활용한 연구비 선집행을 허용함으로써, 과제 선정
여부가 확정되기만 하면 빠른 시일 내에 연구를 개시할 수 있게 하였다.
나) 논문게재료 집행 유연성 강화
(문제점) 연구과제 시작 단계에서 논문의 작성 여부는 불확실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계획서에
반영되지 않은 논문게재료는 직접비에서 집행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또한, 대학과 달리
출연(연)의 경우 간접비에서 논문게재료를 집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개선) 연구개발계획서에 반영되지 않은 논문게재료도 직접비에서 집행을 허용하였으며,
대학뿐 아니라 전체 비영리기관을 대상으로 논문게재료의 간접비 집행을 허용하였다.
다) 출연(연) 국내출장 운임비 실비 정산 폐지
(문제점) 권익위의 권고(2017.6.)에 따라 출연(연)의 국내 출장여비 중 운임, 숙박비 지급방식이
실비정산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였다. 하지만, 모든 국내 출장여비에 실비정산을 실시함에
따라 연구자의 행정부담이 가중되고 불필요한 관리비용이 폭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개선) 연구 수행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행정부담을 완화할 필요성에 대해 권익위의 공감을
얻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지급되는 운임비에 대해서는 정액지급으로 환원하였다.
다만, 연구비 집행의 책임성을 확보하고 감사 등에 불이익이 없도록 연구자의 실제 출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증빙을 기관내부시스템에 등록하도록 하였고, 이를 위한 세부적인 기준은 국가
과학기술연구회 주관으로 마련하도록 하였다.
∙99∙
2) 찾아가는 현장설명회 개최
현장규제 점검단은 연구자들이 스스로 현장의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의견을 모아 발전
시키면 제도가 개선될 수 있다는 실례를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더하여 현장에서
제시한 규제개선 의견이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개선되지 않은 의견은 어떤 장애요인 때문에
개선이 어려웠는지, 아직 개선되지 않은 의견은 정부에서 어떻게 개선방향을 잡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제도개선 의견을 제시하였던 30여개 기관들을 대상
으로 수요를 접수하여 7개 기관을 선정하였으며 7월에서 8월까지 방문설명회를 개최하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동아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차례로 방문하였다. 설명회는 제도개선
사항을 설명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앞으로 개선이 필요한 규제의견도 청취하는 자리도
되었다. 이와 같은 현장과 소통하는 창구가 상시화 될 수 있도록 2021년 상반기부터는 현장의
제도개선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창구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현장에서
제기된 의견 중 의미 있는 것은 실제 제도개선으로 반영하기 위한 상시적 추진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3) 연구개발 제도개선 추진단 구성・운영
현장규제 점검단의 활동을 통해 발굴한 21개 단기과제에 대해서는 2020년 상반기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의 심의・의결을 통해 제도개선의 이행 근거를 마련하였다. 한편 당장에
개선방안을 마련하기에는 다양한 관점 및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선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3책5공 개선, 연구노트 작성・관리 방식의 개선, 연구자 중심의 성과
소유 원칙의 개선, 특허 출원・등록비 재원 부족 문제 등의 과제들은 중・장기 과제로 분류하여
2020년 하반기에 개선 노력에 착수하였다.
이를 위한 추진체계로 단기 T/F 형식의 「연구개발 제도개선 추진단」을 2020년 9월 출범
하였다. 이전의 「과학기술 현장규제 점검단」의 위원들을 일부 위촉하여 연속성을 가지되, 중・
장기 과제가 난제인 만큼 운영방식은 기존과 차별화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해당 과제에
대해 오랜 기간 고민해온 전문가들을 위촉하고, 위원별로 하나의 과제를 전담하도록 하였다.
또한,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자체 분과 구성 등에 소요되는 예산 및 행정업무 들을 한국과학
기술기획평가원에서 지원하여 위원들 각자의 경험, 전문지식, 인적네트워크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추진단의 결과물은 과제별 제도개선 제안서로 도출될 예정이며, 현장의 의견
수렴을 거쳐 충분히 공감을 얻은 제안은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29조에 따라 2021년 3월
첫 수립되는 연구개발행정제도 기본지침(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100 ∙
나.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규칙」 및 하위 행정규칙 제정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규칙」 제정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규칙」은 동시에 제정 작업이 진행되던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안」에서 위임한 사항과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였다.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
규칙」은 총 1개의 장, 4개의 조, 10개의 서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서식의 경우 모든 부처에서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과제의 특성에 따른 항목을 모두 포함하되, 과제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계획서는 연구자율성 제고를 위해 세부항목별 상세내역까지 작성하도록 하던 기존 방식
에서 항목별(인건비, 연구활동비, 시설・장비비 등)로 총액만 작성하도록 간소화하였다. 표준
협약서는 부처별로 다른 형식으로 운영하던 방식에서 서식에 관한 연구현장의 혼선을 해소하기
위해 범부처 공통 표준협약서를 제시하였다. 연구자 권익보호를 위한 신규제도인 제재처분
재검토 절차가 마련됨에 따라 제재처분 재검토 요청에 필요한 ‘제재처분 재심의 요청서’ 서식을
신설하였다. 그밖에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안」에서 위임한 연차・단계・최종・성과활용
보고서, 평가결과 이의신청서, 과제 변경・중단 요청서, 연구비 사용실적 보고서의 표준서식을
마련하였다.
2)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사용기준(고시)」 제정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사용기준(고시)」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안」에서 연구개발비
사용기준에 관하여 위임한 사항을 규정하였으며, 본칙 117개조, 부칙 5개조, 별표 7개, 별지
13개 서식으로 구성하였다. 단기간 내 제정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여 원칙적으로 현행규정을
유지하였으며 부처별로 달리 운영되는 사항은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였다. 명시적인
규정 없이 운영되는 사항은 각 부처와 연구현장의 부담이 없도록 실제 부처에서 관리하는 방식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또한, 2020년 5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심의・의결된 「과학기술 현장
규제 개선방안」의 내용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사용기준」은 전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용되는 범부처 기준으로서
부처별로 상이하게 운영하던 연구비 사용기준을 일원화하고, 연구비 사용에 있어 연구기관의
권한을 대폭 확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먼저,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R&D의 특성을 고려
하여 기준에 연구비사용계획 수립 시 상세내역까지 작성하던 것을 인건비, 시설・장비비, 재료비
등 비목별 총액만 작성하도록 변경하였다. 또한, 연구비 사용의 자율성 확대를 위해 연구비
사용계획에 대하여 연구비 총액의 변경, 간접비 총액의 증액, 연구시설・장비비 구입계획의 변경
∙101 ∙
등 일부 중요사항을 제외하고는 일일이 부처의 승인을 받지 않고도 연구기관의 자율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기존에 연도별로 연구비를 정산・회수하던 방식에서 전체 연구기간
또는 단계 연구기간 종료 시에만 정산・회수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전체 연구기간 또는 단계
연구기간 내에서는 연구기관 자율로 연구비의 차년도 이월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3)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제한 기준」의 제정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은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의
하위규정으로서 운영되었으나,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의 제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안」에서 위임한 사항을 규정하는 하위규정으로 새롭게 제정되었다. 단기간 내 제정이
필요한 점을 감안하여 원칙적으로 현행규정을 최대한 유지하였으나, 기존에 연구노트 작성
단위가 모호하던 것을 연구과제별로 참여연구원 공동작성 또는 연구자별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
으로 기준을 확립하였다. 또한, 다양한 연구개발과제의 특성에 맞게 연구노트 규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새롭게 포함된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개발사업의
경우 연구노트 작성의 실익이 크지 않으므로 연구노트 작성을 연구보고서 작성으로 대신하도록
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제한 기준」은 이른바 3책5공이라 불리우는
기준의 세부사항을 정한 규정으로서 기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의 하위
규정으로서 운영되었으나,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의 제정에 따라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안」에서 위임한 사항을 규정하는 하위규정으로 새롭게 제정되었다. 기존 규정에서 크게 개선
된 점은 부처가 사업 추진계획 및 과제를 공고할 시 과제의 3책5공 적용 또는 제외 여부를
고지하도록 하고 참여연구원의 3책5공 해당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3책5공은 정부에서 책임
지고 관리해야 할 기준임을 명확히 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연구기관도 소속 연구자의
과제 참여현황 관리 책임을 지도록 하여 규정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연구자가 선의로 규정을
위배하는 사례가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개발을 주목적으로 하지 않는 기반구축, 대학
재정지원, 인력양성, 학술활동 등을 3책5공의 예외사유로 새롭게 규정하였으며,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의 심의를 거친 과제의 경우도 3책5공의 적용 예외가 되도록 하여 3책5공의 기준을
크게 완화하였다.
∙102 ∙
제3절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가.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개요
팬데믹, 기후변화, 4차 산업혁명 가속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주요 선진국
들은 미래 신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인적자원 개발과 핵심인재 영입・보호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리나라도 코로나 19 위기 극복과 선도형 경제로의 도약을 위해 한국판 뉴딜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 대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과학기술혁신인재의 역할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간 과학기술인재 관련 재정 투자 규모를 확대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과학기술
인력의 양적 규모 확대와 일부 질적 성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인구감소 시대에 직면하면서
향후 이공계 인력 신규 확보에 제약이 예상되며, 미래세대의 수・과학에 대한 흥미・역량도 하락
하고 있다. 또한, 현장의 요구와 교육 간 미스매치가 지속되고, 여성・고경력・해외 등 다양한
인재의 유입과 활약을 위한 생태계 조성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의 체계적인 육성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제4차 과학
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안)(이하 ‘제4차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향후 5년(2021~
2025) 간의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은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제4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과학기술
인력 분야 최상위 계획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2020.12.)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심의・의결(2021.2.25.)를 통해 제4차 기본계획을 확정・발표
하였다.
제4차 기본계획에서는 ‘대전환의 시대, 혁신을 선도하는 과학기술 인재강국’을 비전으로 설
정하고, 관계부처와 산・학・연 전문가를 비롯한 다양한 국민의 목소리를 청취하여 과학기술인재
정책 수립 방향과 추진전략에 반영하였다. 또한, ①미래 변화대응역량을 갖춘 인재 확보, ②
과학기술인재 규모 지속 유지・확대, ③인재유입국가로의 전환을 위한 생태계 고도화를 목표로
설정하여 우수한 과학기술인재의 육성을 지원하고 성장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나. 주요 성과
1)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방향 수립
정부는 제4차 기본계획 수립에 앞서 향후 10년간의 중장기 정책기조를 설정하기 위해 「과학
∙103 ∙
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방향」을 마련하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1회 심의회의(2020.6.)에
보고하였다. 안건에서는 급변하는 환경과 향후 초고령사회, 총인구감소 시대 진입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 과학기술인재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는 진단 아래 3대 정책방향과 9대 중점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정책방향으로는 초중등・대학 등 과학기술인재 육성 체계를 질적으로 혁신하고 우수한
인재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 강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젊은 연구자들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고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정착・활약할 수 있는 성장 기반을 대폭
확충하는 방향과 과학기술 활동 역동성 제고를 위해 인재활용 외연・다양성을 확대하는 방향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공계대학원 총조사, 인재통계 고도화 등 데이터 기반의 과학기술인재
정책 인프라 강화를 위한 과제들도 제안하였다.
중장기 혁신방향에서 제안한 주요 방향성과 추진 검토과제들은 관계부처 및 각계 의견수렴
등을 거쳐 제4차 기본계획에 반영되었으며, 향후 10년의 미래 대비를 위한 과학기술혁신인재
육성・지원 정책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중장기 혁신 중점 방향 기대 효과
과학기술
인재 대상
【미래 정책방향】
미래인재 육성체계 질적 혁신
인재 성장・유지 기반 적극 확충
인재활용 외연・다양성 확대
미래
과학기술인재상
미래인재 역할
▣육성
초・중등생
❶ 기초역량 제고 중심 수・과학 교육 강화
❷ 미래세대 과학기술혁신 분야 유입 촉진
■ 탄탄한 기초
역량, 변화
대응력 보유
◇ 지속적 국가 지식 확대와
과학기술혁신 주도
⇒ 국가 위상제고와
불확실성 돌파 선도
(First-Mover)형
국가 도약 견인
* 인재경쟁력 10위권
진입 (’30, 현재 30위권)
대학(원)생 ❸ 산업수요・현장중심 인력양성 체계 활성화
▣성장 신진연구자
❹ 젊은 연구자 지원 강화
❺ 연구인재 성장기반 확충
■ 세 계 적 연 구
경쟁력, 과학
기술혁신 지속
창출력 보유 재직자 ❻ 전문역량 지속 개발체계 구축
활력 주입(다양성・개방성 확대)
▣유인
❼ 해외인재 활용 전략성 제고
❽ 여성 과학기술인 활동 지원 강화
❾ 고경력 과기인 활약 체계 구축
+〖인재정책 인프라 강화〗 : 통계 고도화, 인재정책전문가 육성,
법제도 정비 등
[그림 2-21]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 중점 방향(안)
∙104 ∙
2) 산・학・연 전문가 및 국민의 의견 수렴
정부는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해 각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먼저 제4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기획총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였다. 2020년 5월 첫 회의를 시작한 위원회에는 오명숙 홍익대학교 신소재화공시스템
공학부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여 대학과 기업체, 연구기관 등 분야별 전문가 12명이 위원으로
참여하였다. 기획총괄위원회는 4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6개 분과위원회(초・중등, 대학,
대학원, 재직자, 해외・여성・고경력, 문화・인프라)와 함께 과학기술인재 확보 전략과 인재양성
과제를 검토하여 2020년 10월 제4차 기본계획 초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제4차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전문가 그룹과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3회에 걸쳐 과학기술인재 육성방안 온라인포럼 시리즈를 개최하였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공동으로 개최한
온라인포럼에서는 ‘급변하는 미래, 과학기술인재 육성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발표와 패널 토의가
이루어졌으며, 포럼을 통해 모아진 현장의 의견은 제4차 기본계획에 반영되어 추진될 예정이다.
[그림 2-22] 과학기술인재 육성방안 온라인포럼(左) 및 제4차 기본계획 공청회(右)
2020년 11월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
기업부 등 주요 관계부처 과제 조정회의를 개최하여 제4차 기본계획의 세부 추진과제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공청회를 개최하여 인재정책 방향과 추진과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추진
하였다. 오명숙 홍익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박계현 제너럴일렉트릭코리아 이사, 안준모
서강대학교 교수, 윤희숙 재료연구소 실장, 이영완 조선일보 기자, 정택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정책과장 등이 제4차 기본계획에 대한 전문가 토론과 현장 질의응답을 진행하였다.
제4차 기본계획은 각계의 목소리를 담기 위한 일련의 노력을 통해 현장 수용성이 높고, 미래
환경변화 대응에 필요한 과학기술인재 육성 방향과 추진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105 ∙
다. 향후 계획
정부는 2021년부터 향후 5년간 제4차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전략으로 ①기초가 탄탄한 미래인재 양성 ②청년 연구자가 핵심
인재로 성장하는 환경 조성 ③과학기술인의 지속 활약기반 확충 ④인재생태계 개방성・역동성
강화를 실행하여 미래 변화대응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고, 다양한 인재가 활약하는 개방적・
역동적 생태계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림 2-23] 제4차 과학기술인재 기본계획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106 ∙
그리고 제4차 기본계획의 체계적 실행을 위해 매년 범부처・지자체 합동으로 연도별 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실적을 점검할 예정이다. 특히 제4차 기본계획부터는 10대 중점관리 과제를
선정하여 주요 정책의 추진 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하는 등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
이다.
∙107 ∙
제4절 과학기술문화 확산
가. 개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과학기술 혁신으로 사회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과 사회의
연결고리인 과학문화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과학대중화를 넘어서 과학기술로 인한
삶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합리적 사고를 위해 국민의 과학 소양을 함양하는 한편, 신기술의
변화속도에 소외될 수 있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기 위해 과학문화 활동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2020년은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기틀을 다졌다고 평가될 수 있는 한해였다. 과학문화 창달을
위한 중장기 계획인 「제3차 과학기술문화 기본계획(2020~2025)」을 수립하였으며, 지역의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신규과제도 추진하였다. 또한, 그간 대면으로 진행된 과학문화 프로그램은
코로나 19로 인해 신속히 비대면으로 전환하여 운영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과학문화 확산 체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로 인해 과학문화 대표 포털인 ‘사이언스올’의
일 평균 사용자는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하였고, 과학문화콘텐츠 확산수도 80% 이상 증가
(2019년 1,078만 건→2020년 1,990만 건)하였으며, 관련하여 추진되는 사업들도 우수한 평가를
받은 한해였다.
과학문화확산사업
“6년 연속 평가 우수 등급“
과학전문방송제작지원
“5년 연속 종합평가 우수
등급“
과학기술문화사업
“과기정통부 2020년
재정사업 자율평가 우수
등급”
사이언스 프렌즈 SNS
“「2020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조선일보 사장상 수상”
[그림 2-24] 2019년, 2020년 과학문화사업 대외 성과평가
∙108 ∙
나. 주요 성과
1)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중장기 전략 마련
그동안 정부는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참여 증진, 과학기술의 사회 전반 확산 등을
위해 과학관 확충 및 다양한 과학 소통사업과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왔으며, 그 결과 청소년
과학 활동 참여 경험과 인식은 많이 향상되었으며, 민간에서도 과학문화 활동을 수행하는 단체・
개인이 늘어나는 등의 성과를 거두어왔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국민의 높아진
문화수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등 사회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과학기술과 사회를 연결하는
과학문화의 중요성이 점점 커져 가고 있어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중장기 전략인 「제3차 과학
기술문화 기본계획(2020~2025)」을 수립(과학문화창달 5개년 계획 제1차(2003~2017), 제2차
(2008~2012))하였다. 이번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2019년 9월부터 산・학・연 전문가 50여 명
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공청회, 관련 부처 협의 등의 의견 수렴을
통해 최종안을 마련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3.24.)를 통해 확정하였다.
제3차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은 그간 청소년 위주의 과학문화 활동 지원에서 벗어나 성인,
고령층, 취약계층을 포함한 전 국민의 과학소양 함양과 참여를 높이고, 중앙 정부의 일방적인
과학문화 사업수행에서 나아가 지역, 민간, 기업 등이 주도하는 과학문화 확산 생태계를 조성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유튜브, 웹툰 등의 국민 주목도가 높은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한 과학
문화 콘텐츠 제작을 지원 및 보급하고, 관련 전문 인력 육성을 추진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그림 2-25] 제3차 과학기술문화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2) 전문성 있는 과학문화 추진주체 육성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다양한 과학문화 주체와 연계하여 지역사회의 과학문화 역량을
발현하기 위한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지역의 자생적인 과학문화
생태계 구축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광역지자체 4곳(경남, 대전, 충북, 부산)에 ‘과학문화 지역
∙109 ∙
거점센터’를 지정하고 기초지자체 1곳(대전광역시 유성구)을 ‘올해의 과학문화도시’로 지정하
였다.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는 각 지역의 과학문화 실태 조사, 공공・민간・단체와 과학클럽의
과학문화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과학문화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특히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와 함께 추진되는 ‘올해의 과학문화도시’에 선정된 대전시 유성구는
유성과학축제(12.3~6.)를 통해 사이언스 씨네톡, 과학골든벨, 랜선 과학여행, 온라인 토론회
등 코로나로 지쳐있는 주민들에게 과학의 즐거움을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온-오프라인의 프로
그램들을 운영하였다.
민간의 과학문화활동 지원은 대학・공공기관 중심에서 전문성 있는 협회 및 단체, 사회적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온라인 컨퍼런스(총 3회, 실시간 조회수
304회)를 개최하여 기업의 과학문화 사회공헌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추진방법을 논의하는 등
참여 기업 간 소통을 통해 향후 과학문화 활동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야기, 강연・공연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대중에게 과학을 전달하는 과학문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과학융합강연자, 과학만화가, 과학저술가, 과학스토리텔러, 과학크리에이터 등
5개의 과정을 운영하여 총 200명을 교육하였다. 2019년에 이어 두 번째로 운영되는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은 전문성과 실효성을 갖춘 교육을 위해 각 직종별 영향력 있는 전문가, 강사진들이
소속된 전문기관(㈜갈다(과학책방), 한국생산성본부, ㈜동아에스엔씨, ㈜CCC, ㈜샌드박스네트
워크)이 참여하였으며, 교육생들의 지속적인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과학문화 전문인력 역량
강화 주간’을 운영하는 등 신직업군으로써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였다. 또한,
페임랩 코리아 등을 통해 위촉된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은 과학강연 「다들배움」, 종합예술 과학
공연 SIZE(13회 운영), 과학 팟캐스트 「과장창」, 과학 공연 「사이언스 버스킹」(58회 운영) 등
대중과의 다양한 과학소통 활동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페임랩 코리아 팟캐스트 ‘과장창 시즌3’ SIZE(Science In the Zone)
[그림 2-26] 과학커뮤니케이터 활동
∙110 ∙
3) 국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과학문화 조성
4월 과학의 달 ‘과학축제’는 올해 최초로 온라인으로 개최하여 코로나 19로 개학이 연기되
거나 온라인으로 개학한 학생들에게 체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영상 20건)하고, 과학을 경험
하고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과학 프로그램을 국민들에게 안전하게 제공하였다. 4월 과학의 달
온라인 과학축제를 담당한 과학문화 포털 ‘사이언스올’은 온라인 과학축제 개최를 통해 우리
나라 대표 과학문화포털로 자리매김(4월 한 달 전년 동기간 대비 페이지뷰 77%, 사용자 수
38% 증가)하게 되었으며 SNS를 통한 콘텐츠 확산으로 새로운 세대와의 소통을 확대(유튜브
구독자 2.5만 명 돌파)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20년 4월 과학의 달에 ‘온라인 과학축제’ 운영으로 연기하였던 국내 최대 규모의 과학
축제인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과 연계하여 일주일간(12.21~27.)
온라인으로 개최하였다. 5대 국가 연구개발 성과전시, e-포럼, 과학문화 콘텐츠, 과학강연 등
총 132개 영상을 사이언스올, 네이버TV, 아프리카TV, 유튜브를 통해 라이브 중계 방영하였다.
특히 주말에는 일반 국민들이 즐길 수 있는 과학퀴즈, 과학공연, 과학게임, 과학개그 등 과학
문화 행사에 집중 편성하여 과학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문화임을
알렸다.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페이지 연구성과 전시 영상 과학예능 ‘미드나잇 사이캠프’
[그림 2-27]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기존의 여름방학에 진행하는 청소년 과학캠프를 코로나 19의 확산방지를 위해 비대면 방식
으로 전환하여 「2020 온라인 청소년 과학한마당」으로 개최하고 ① 청소년 과학탐구 성과를
공유・경연하는 “누리마당”, ② 수・과학콘텐츠 학습에 참여하는 “도전마당”, ③ 과학강연 중심의
“상상마당”, ④ 온라인 전시회 등을 운영하여 총 910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과학 흥미도를 제고하고, 탐구역량을 함양하는 ‘청소년과학탐구동아리(YSC, Youth Science
Club)’는 319개 과제를 대상으로 교류 중심의 청소년 탐구활동 지원으로 운영되었고, 2개 이상
∙111 ∙
학교의 연합으로 이루어진 융합동아리 지원을 통해 학교 간 합동 연구를 장려하였다. ‘과학탐구
동아리 발표대회’를 청소년 과학한마당과 연계 개최하여 우수 과제를 공유하고. 참가 학생들의
발표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등 미래 과학인재 양성 기반을 조성하였다.
과학문화 격차해소를 위하여 생활과학교실(33개 기관, 8만여 명 수혜) 운영, 과학문화바우처
(4.6만 명) 지원, 두드림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도서・벽지 지역에 거주하는 국민과 소외계층
대상으로 과학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생활과학교실과 나눔과학교실은 도서・벽지・
접적지역 학생 4천여 명을 대상으로 운영되었으며, 과학문화바우처는 기존 아동 및 청소년
중심의 지원에서 성・노인 등 신규 과학문화 수요를 발굴하고 4.6만여 명이 과학문화 상품 및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과학출판, 상품 등의 다양한 과학문화상품의
발굴과 보급을 통해 과학문화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는 등 나눔과 배려의 사회적 가치창출을
확대하였다. 특히, 두드림 프로젝트인 ‘찾아가는 과학관’ 및 ‘생활과학교실’은 ‘랜선과학관
나들이’ 5회 및 ‘방구석 과학교실’ 4회를 운영하였으며, 가정에서 체험할 수 있는 과학키트
약 4,700개 지원 등 온라인 수업 운영을 통해 코로나 시대에 안전을 강화하였다.
4) 과학문화플랫폼 운영 및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과학전문신문 ‘사이언스타임즈’, 과학전문방송 ‘사이언스 TV’
등을 통해 과학소통 활성화를 추진하였다. 사이언스올은 과학문화 행사, 전시, 교육 등 통합
정보에 대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도입하고, 기존 여러 사이트를 통해 서비스되던 콘텐츠를 통합
하는 등 사용자 중심의 이용 편의성 향상으로 과학문화 대표 포털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코로나 19 등 이슈에 대한 페이지 운영, 새로운 형식의 과학문화 영상 콘텐츠 제작・확산 등
국민들에게 필요한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여 한국사보협회 ‘2020 대한민국 커뮤니
케이션 대상’ SNS 부문 외부 기관단체상을 수여하는 등 대외적으로도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과학문화 콘텐츠 산업을 활성화하고, 우수한 과학문화 창작자를 육성하기 위해 대형 미디어
(CJ EnM)와 연계하여 웹드라마 제작에 적합한 SF 시나리오 공모전 ‘싸이언_스토리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총 300여 편이 응모하였으며, 심사를 통해 최우수작 2건을 선정하고 웹드라마
사전 홍보용 웹툰을 제작하였다. 이 시나리오는 관계 업계와의 준비 작업을 거쳐 2021년 웹
드라마로 제작될 예정이다. 그 외에도 우수과학문화상품 공모전(10종 선정), 우수과학도서 인증・
보급(50종 선정, 전국 17,460권 보급, 소외계층/지역 보급 83%)을 통해 과학문화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였다.
실감체험형 콘텐츠 플랫폼인 사이언스레벨업은 사이언스올과 통합 서비스하고, 현장 교사
∙112 ∙
들을 통한 126건의 과학문화 학습콘텐츠 검토 및 개발함으로써 활용도를 제고하였다. 고품질의
실감체험형교육 콘텐츠는 생활과학교실, SW교육 등 유관 사업과 연계 운영함으로써 활용기관
(총 308개 기관)을 다양화하고, 체험단 운영의 지속적 확대와 콘텐츠 품질 관리를 통해 고품
질의 과학콘텐츠 확산에 기여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을 일상생활 및 놀이와 연계한 우수한 과학놀이 아이템을 발굴하는 싸이테이
먼트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특히, 올해는 여행이라는 주제로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7개의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5개의 과학여행상품으로 개발하였다. 코로나 19로 대면 활동이 어려워
과학커뮤니케이터들과 함께 떠나는 온라인 과학여행으로 추진 방향을 변경하여 과학문화
콘텐츠로 제작하고 랜선 과학여행 라이브 방송도 진행하는 등 과학에 재미를 더하는 과학놀이
산업 활성화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온라인 과학콘텐츠
통합페이지
YTN 사이언스 프로그램
WAVVE 연동
싸이언-스토리 공모전
싸이테이먼트
(온라인 과학여행)
[그림 2-28] 과학문화콘텐츠 확산
다. 향후계획
코로나의 지속 확산으로 비대면 활동이 강화되고,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등 문화를 소비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전 국민이
과학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첫째, 과학문화 지역거점센터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지역 중심의
과학문화를 확산하고, 둘째, 온라인 플랫폼 활용하는 한편 온・오프 믹스 체계 구축을 통해
코로나 시대 맞춤 서비스를 진행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과학문화 활동에 과학기술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과학기술계와 국민들의 소통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113 ∙
제5절 과학기술 외교 강화
가. 개요
소재・부품・장비 수입 규제 등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고 COVID-19 등
신종감염병이 국제사회를 위협하는 등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면서
과학기술 기반의 국제사회 공조체계 구축과 국제협력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이미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은 2010년부터 ‘과학외교(Science Diplomacy)’라는 개념을 도입하며 자국의
과학기술혁신 역량을 확보하고 국제사회 내 과학기술 기반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는 2019년 10월 「혁신적 포용국가를 위한 과학
기술외교 전략」(이하 과학기술외교 전략)을 발표하며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 과학기술외교 및
국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과학기술 외교 지원체계 구축
가) 국내 : 과학기술 현장의 전문성을 살린 ‘국제협력정책센터’ 신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외교 전략」 수립에 따라 보다 중장기적이고 전략적으로 과학
기술외교・국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2020년 ‘국가간 협력기반조성사업’ 내 ‘과학기술외교’를
신규사업으로 편성하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내에 2020년 4월 ‘국제협력정책
센터’를 신설하였다.
국제협력정책센터 설립으로 과학기술외교 전문가 플랫폼(Science Diplomacy Lab) 구성
및 국가별 과학기술외교 전략 기획을 추진하여 4차 산업혁명・우주・극지・기후변화 등 과학기술
분야마다 현장의 전문성을 반영할 수 있는 외교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고, 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달성에 필요한 과학기술 혁신활동 전략 마련으로 우리의 성장
경험을 개도국과 공유 및 글로벌 동반성장에 기여하면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효과적으로
높일 지원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과학기술외교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통해 과학
기술외교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본격적인 과학기술외교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114 ∙
나) 해외 : 과학기술・ICT 거점공관 확대 및 과학기술협력센터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는 「과학기술외교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과학기술외교의 선도적
추진을 위해 해외 과학기술・정보통신 거점공관 개편을 추진하였다. 최근 과학기술 기반의 국제
사회 지형변화 및 과학을 활용한 외교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현재 운영되는 과학기술・
ICT 거점공관 34개를 스웨덴 등 주요 국가・지역을 포함하여 41개로 확대・개편하여 주요 국가의
강점 분야 정책・동향 파악 및 협력사업 발굴 등의 기능을 강화하고 과학기술외교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2020년 12월에는 스웨덴 스톡홀름에 북유럽 과학기술협력센터를 신설함으로써
노벨상 외교 기반을 마련하였고,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최대 오픈이노베이션
포럼에 주빈국으로 참여(10.21.)하는 등 한-러 과학기술협력센터(모스크바)와 러시아 스콜코
보 재단과의 러시아 현지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한-러 산업・기술협력 파트너십 개최 등 한국
중소기업의 러시아 현지 진출 등을 통한 경제・기술・혁신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2020 한-러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막식 및 온라인 이원 중계 모습
[그림 2-29] 2020 한-러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막식 및 온라인 이원 중계 모습
2) 전략적 과학기술 외교로 코로나 19 및 소재・부품・장비 기술확보 등 협력
가) 코로나 19・기후변화, 전략적인 과학기술 협력・지원을 통한 全 지구적 문제해결
全 인류적 위기상황인 코로나 19 대유행 속에서 영국 등 유럽 선진국과 백신 후보물질 개발
공동연구, 스웨덴 및 중국과 각각 감염병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전략적으로 과학기술을 통한
코로나 19 대유행 극복을 도모하였으며, 이번에 구축된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기반
으로 향후 지속적・상호 발전적인 협력이 기대된다.
더욱이 엄중한 코로나 19 상황에서도 모범적인 대응으로 타 국가에 전염병 극복 희망을 전달
하였던 K-방역의 과학기술적 성공사례에 대해 주요국 정책입안자 등을 대상으로 웹 세미나를
∙115 ∙
개최하였으며, 영문 사례집을 발간하는 등 위기 속에서 국제 위상을 높이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특히 부족한 기술력으로 인해 더욱 심각한 코로나 19 상황을 마주한 파라과이・미얀마 등
개도국에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의료진용 안면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 및 매달 5천 개
이상의 안면 마스크를 보급하였고, 코스타리카 대학에 원격강의 전환을 위한 기술지원을 제공
하는 등 우리의 강점을 살려 개도국의 코로나 19 극복에 적극적으로 임하였다.
또 다른 인류 공동의 문제인 기후변화에 대해 기후변화 대응 선진국인 북유럽 국가들과 함께
2월 한-덴 과학기술협력 액션플랜 마련 및 노르웨이・덴마크와 각각 공동연구를 지원하였으며,
캐나다와 기후변화・미세먼지 공동연구, 베트남과 기후변화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향후 주변국과
함께 관련 기술의 발전과 공동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기반 마련을 도모하였다.
나) 소재・부품・장비 기술 확보
러시아의 원천기술과 국내 응용기술을 결합하여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는 한-러 혁신센터
기술협력을 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중심으로 운영함으로써 러시아와 협력을 통한 금속소재 등
주요 소재・부품・장비 기술확보를 추진하였으며, 독일과 함께 소재 및 정밀분석 툴 개발 공동
연구를 개시함으로써 일본・미국 등 旣 형성된 진입장벽에 대응하여 원천기술 확보를 적극적
으로 지원하였다.
다. 향후 계획
2020년이 과학기술외교의 원년과 다름없었다면 2021년에는 다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보다
전략적인 과학기술외교가 가능하도록 기반을 강화하고 주요 권역별로 꾸준한 전략 수립을 진행
할 계획이다.
코로나 19 이후 세계 각국은 언택트・바이오 기술의 발전 등 과학기술에 기초한 다양한 변화를
마주하게 될 것이며, 미국 바이든 정부 수립・Brexit 등 국제정세 변화로 세계의 주요 과학기술
정책에도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호 발전적인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우리나라의 국제 리더로서 도약을
위해서 주요국의 과학기술 정책 체계 및 특성을 파악하고 기술 분야별 발전 수준 등 기초자료
축적 및 기반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과학기술 및 외교분야 전문가와의
지속적인 논의, 과학기술외교・국제협력 추진현황에 대한 진단과 개선방안 마련을 통해 보다
전략적으로 과학기술외교를 추진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마련하고 체계를 공고히 하여
국가 과학기술외교・국제협력의 전략적 추진을 도모할 것이다.
∙116 ∙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
제1절 협력・융합연구 활성화
1. 융합연구
가. 개요
21세기 초 국내외 다양한 융합연구 정책이 수립된 이래, 2018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세계
각국은 미국의 Convergence Accelerator 등 융합연구를 표방하는 여러 R&D 사업들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등의 융합연구 촉진정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2020년에는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 혁신도전 프로젝트 시범
사업 등 다양한 신규 융합R&D 사업을 출범시켰다. 규모 면에서도 2020년 융합연구에 대한
정부투자 규모를 전년 대비 22% 증가한 4조 3,574억 원으로 확대했다. 2019년 융합연구사업
성과는 사업화가 정부 전체 R&D성과 대비 41.7%인 10,921건으로 가장 높아 경제적 성과가
두드러졌다. 더욱이, 2020년에는 기존 융합만의 행사였던 미래융합포럼의 외연을 확장하여,
우리나라 과기분야 전체행사인 ‘2020년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융합섹션에 대표적 융합연구
사업의 우수성과 발표 및 토론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융합연구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연구자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한층 더 노력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신규 융합R&D 사업 준비 및 추진
가)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
2020년에는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의 7대 중점과제 중 하나인 ‘미래 융합
선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신규사업으로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117 ∙
그 일환으로 연구자의 집단지성과 오픈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과학난제를 발굴하였으며, 기초
과학과 공학 간 융합을 통해 발굴된 과학난제에 도전하고 해결의 가능성 또는 실마리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본 사업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6년간 5개의 선도형 융합연구단과 협력
지원단에 대해서 총 480억 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며, 그 중에서도 선도형 융합연구단의 경우
도전적 연구 특성에 따라 과제별 4.5년 동안 총 90억 원 내외의 큰 규모를 지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020년에는 과학난제 아카데미, 주요 학회회원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총 92건의
후보과제를 발굴하였고, 4월 공개세미나 토론, 연구계획서 평가 등을 거쳐 AST 암 전이 연구,
인공모포제네시스 연구 등 최종 2개 과제를 선정하였다. 향후 2021년에는 당초 계획대로 3개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기존 2개 과제에 대해서도 차질 없이 계속 지원할 계획이다.
나) 혁신도전 프로젝트 시범사업
2020년의 세계적인 화두는 코로나 19에 따른 경제와 사회의 전방위적인 시스템 붕괴로,
우리나라도 이를 대처하기 위해 2020년 하반기부터 ‘혁신도전 프로젝트 시범사업’으로서 융합
연구를 활용해 감염병을 대처하는 <팬데믹(Pandemic) 대응 로봇・ICT 융합 방역체계 개발
사업>을 본격 추진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사업은 코로나 19 확산에 따라 과학기술을 기반
으로 첨단 생활방역의 솔루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2020년 하반기부터 2023년
까지 총 154억 원 내외를 지원할 예정이다. 본 사업 추진을 위해 2020년에 의료현장 방문 및
방역 분야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집중의료현장, 생활치료시설, 일상방역공간 등 3개 방역
현장별로 다양한 연구과제를 발굴, 5개의 신규과제를 최종 선정하였으며 사업 첫해 24.5억
원을 지원하였다.
다) BRIDGE 융합연구개발사업
한편, 2020년에는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 등 2020년 신규사업의 과제 선정뿐만
아니라 2021년 신규사업에 대한 상세한 기획도 준비하였다. 대표적으로 2021년 추진될 예정인
‘BRIDGE 융합연구개발사업’은 기존 R&D성과 간의 융합과 기술중개・수요자 참여 등을 통해
혁신성과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융합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새로운 개념의 융합연구사업으로,
그간 사업기획을 위해서 2018년 하반기부터 2020년까지 2차례의 설문조사, 기술수요조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회 사전컨설팅, 64차 융합기술개발 추진위 안건 심의 등을 추진
하였다. 향후 2021년에는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참여의향서 및 연구계획서 접수, 과제
상세기획 등을 실시함으로써, 9개 내외의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사업 첫해에 37억 원을 지원
할 예정이다.
∙118 ∙
라) 무인이동체
2020년 인천국제공항에서 불법드론 비행으로 인해 항공기가 회항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국내외 주요 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불법드론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안티드론 사업을 기획
하였다. 기존 안티드론 체계는 불법드론에 대한 물리적 무력화에 중점을 두고 있어, 무력화된
드론이 수직 낙하할 경우 인력이나 시설에 2차 피해를 야기할 우려가 있고, 드론이 파괴됨에
따라 사후 사고 조사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레이더, EO-IR 등 지상기반 시스템과 드론캅
등 공중기반 시스템을 융합하여 불법드론을 탐지・식별・추적하고, 지능형 무력화 기술을 이용
하여 불법드론의 제어권을 탈취하는 등 평화적으로 무력화함으로써 용의자 및 위협 내용 추정
등 사고조사까지 가능하도록 연구개발 내용을 구성하였다.
D(데이터), N(네트워크), A(인공지능)와 드론의 융합기술개발을 통해 非가시권・자율비행・
원격운용 등이 가능한 실시간(저지연) 데이터처리 기반 드론 활용 서비스를 개발함으로써 미래
유망 드론 비즈니스 모델을 선도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사업에 착수하였다. 1단계로 폴드론,
수자원드론, 팜드론, 구조물드론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였으며, 실종자 수색, 고층 구조물
모니터링 등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육상, 해양, 공중 단일 환경이 아니라 육상과 해양, 육상과 공중 등 다수 환경에서
병용하거나, 무인이동체가 서로 협력하는 고성능 무인이동체 구현을 위한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도 착수하였다.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총 7년간 1,604억 원이 투자되며, 이를 통해
무인이동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기술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직 국내 드론 산업계의 매출 중 정부기관 조달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고려, 공공수요
창출을 통해 성장동력을 제공하고, 민간투자를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2016년 정부연구
개발 과제로는 최초로 ‘공공혁신조달’ 체계를 도입하여 연구개발을 지속해온 결과, 올해에는
국토정보공사의 수요를 반영해 개발한 ‘해안안전지도 구축용 드론’이 조달청의 심사를 통해
우수조달물품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로써 본 사업을 통해 총 4개의 우수조달물품이 지정
되었고, 선정된 우수조달물품은 모두 3년간 수의계약이 가능해지는 혜택을 부여받는다. 이렇게
개발된 드론들을 통해 2019년부터 지속적으로 매출이 발생한 결과, 2020년 12월 기준 누적
매출 약 96억 원을 달성하는 성과를 창출하였다.
2) 「2020년도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시행계획」 수립
융합연구와 관련된 대표적인 중장기 계획인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2018-
2027)’의 지난 1년간 주요 이행사항을 점검하고 변화된 환경을 체계적으로 반영하고자,
∙119 ∙
2020년 3월 2020년도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2020년 18개 중앙행정기관(11부, 1처, 6청)은 178개 융합연구 사업에 총 4조 3,574억 원을
투자하였고, 이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조 6,464억 원(37.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였다. 특히, 2020년에는 아래와 같이 여러 부처들이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과 같은
다양한 신규R&D사업에 총 1,273억 원을 투자하였다.
<표 2-30> 부처별 2020년 융합연구개발 신규사업
구분 사업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
∙ 혁신도전 프로젝트 시범사업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
∙ 3D생체조직침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기술개발
∙ ICT R&D 혁신 바우처
∙ 5G기반 장비・단말부품 및 디바이스 기술개발
∙ ICT기반 사회문제해결기술개발(복지증긴기술개발)
산업통상자원부
∙ 규제샌드박스 융합신제품 인증기술개발사업
∙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농림축산식품부 ∙ 농촌현안해결리빙랩프로젝트
해양수산부
∙ 스마트 항만 컨테이너 자동통합 검색 플랫폼 기술개발
∙ 수소선박안전기준기술개발
∙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사업
농업진흥청
∙ 신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 구축
∙ 미생물 활용 농업환경문제 개선기술 개발
∙ 과수화상병 등 현안문제 병해충 피해경감기술 개발
2019년에도 이전처럼 융합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SCI(E) 논문 12,612건, 국내특허 10,181건,
해외특허 2,202건, 기술료 529억 원, 사업화 10,921건 등 연구성과가 다수 창출되었다.
특히나 그 중에서도 사업화 비중이 정부전체 R&D성과 대비 41.7%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나,
융합연구에 대한 연구성과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성과를 중심으로 많은 성과가 창출되었다.
<표 2-31> 2019년도 융합연구개발 사업의 주요성과
구분
과학적 성과 기술적 성과 경제적 성과
SCI(E) 논문
(건)
국내특허
(건)
해외특허
(건)
기술료
(억원)
사업화
(건)
융합R&D(2019) 12,612 10,181 2,202 529 10,921
정부R&D(2018) 41,143 50,308 7,862 2,892 26,171
비중(%) 30.7 20.2 28.0 18.3 41.7
주) 201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는 2021년도 상반기 발간 예정으로 2018년도 자료 사용
∙120 ∙
3) 「2020년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참여
그간 융합연구사업의 대표행사는 미래융합포럼이라는 단독행사로 개최하였으나, 2020년에는
융합연구에 대한 홍보를 확대하고자 우리나라 전체 과기분야 행사인 “2020년 대한민국 과학
기술대전” 융합기술 섹션으로 개최하였다. 2020년 12월 21일부터 27일까지 개최된 과학기술
대전은 코로나 19 확산에 따라 온라인 행사로 개최되었으며, “융합기술의 날”인 23일에 사전
제작한 3개 영상(융합연구 사업 성과전시, 국가과학 난제도전 융합포럼, 전통과학포럼)을 실
시간 송출했다. 각각 <성과전시>에서는 STEAM연구사업, 미래선도기술개발사업 등 대표적
융합연구 사업에서 창출된 우수성과들을 소개하였고, <국가과학 난제도전 융합포럼>에는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을 소개하고 토론하는 내용을, <전통과학포럼> 역시 전통문화
융합연구사업의 성과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융합연구 사업 성과전시 국가과학 난제도전 융합포럼 전통과학포럼
[그림 2-30]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중 융합연구 관련 행사 사진
다. 향후 계획
2021년에는 융합연구와 관련된 대표적인 융합촉진 정책인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
계획(2018~2027)에 대한 2021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몇 년간의 3차 기본계획 주요
과제 이행상황 등을 종합 점검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 등 계속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BRIDGE 융합연구개발사업과 같은 2021년에 신규 추진할 사업
들도 차근차근 기획하고 추진할 계획이다. 나아가, 2021년에는 매년 개최하는 미래융합포럼을
더욱더 알차고 풍부한 내용으로 기획하여, 융합연구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제고하고 연구현장
에서 융합연구 생태계가 빠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변함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다.
∙121 ∙
2. 나노・소재기술
가. 개요
나노기술은 첨단기술로서 나노단위(10-9m)에서의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IT, BT 등 다양한
기술의 융합을 통한 혁신을 지향하는 범용기술이다. 소재기술 역시 물리적인 형태로 구현되는
모든 제품들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거의 모든 분야의 기술・산업에 적용되는 기반기술이다. 과학
기술 선도국들은 4차 산업혁명, 신・재생에너지 혁신, 바이오 혁명 등에 이미 나노・소재기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나노・
소재 기술혁신을 통해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 등 글로벌 우위의 주력산업 지속 강화와
함께 신성장동력 창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2020년 한 해는 전 세계가 코로나 19로 몸살을 겪은 한해였다. 전 세계는 코로나 19 감염을
줄이기 위해 각 국별로 일상생활 속에서 ‘마스크 쓰기’ 등 여러 가지 생활방역을 추진함과
동시에 진단기기와 치료제 그리고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PCR
증폭형 진단장비는 코로나 예방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고, 이러한 장비들은 향후 나노기술
적용을 통해 더욱 고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지난 2019년 7월부터 진행된 일본 수출규제는 우리나라 전체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립 이슈로 몰아넣었고, 나노・소재 기술은 이러한 위기해결의 한 축을 담당할 것을 요구받았다.
이에 2020년 하반기 관계부처 합동으로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 역량강화를 위한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2020.10.)을 수립한 바 있으며, 특히 신소재 연구개발의 가속화
등 효율성 제고를 위해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 방안(2020.10.)도 마련
하였다.
아울러 국내외 기술・산업 발전동향과 감염병,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나노기술이 기여할 수 있는 중장기 마스터플랜도 준비 중이다. 나노
기술개발촉진법에 따라, 매 5년마다 수립하는 제5기 국가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을
2020년 3월부터 진행하여 2021년 4월경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나. 주요 성과
1)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을 위한 연구개발 정책수립
소재・부품・장비의 기술자립화를 위한 「소부장 2.0 전략(2020.7.)」에 연계하고, 포스트 코로나
및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 추세에 따라 소부장 연구개발 측면의
∙122 ∙
고도화 전략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19년부터 추진해온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연구단 출범
(2020.6.)」을 통해 대외의존도 해소를 위해 노력해 왔고, 중장기적으로는 견고한 소부장 생태계
구축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2020.10.)」을 수립하였다.
이는 對세계시장에서, 미래 공급망 창출을 도모하는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고, 신속・유연한 연구
환경 조성 및 기술사업화 가속을 통해 소부장 연구개발 성과 창출을 강화하는 한편, 중장기
기술자립 역량 확보를 위한 협력・축적 중심의 연구 생태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에 대응, 소부장 연구개발(R&D) 투자전략을 다각화(①일본→
세계, ②현재 공급망 안정→미래 공급망 창출)하는 이원화 전략 추진
▶ 이원화 전략 ❶연구개발 핵심품목 기술 자립 (현재 공급망 안정)
❷미래선도품목 선제 발굴 (미래 공급망 창출)
8.28 대책 소부장 2.0(7.9) 소부장 R&D 고도화
현재 공급망
안정화
핵심전략품목 GVC핵심품목 ❶R&D핵심품목*
100 (대(對)일본) ➜ 100 (대(對)일본) ➜ 100 (대(對)일본)
238 (대(對)세계) ➜ 85 (대(對)세계)
미래 공급망
창출・선점
+β(신산업) ➜
❷미래선도품목
관계부처 전담반 → 연내 도출
* ‘GVC 핵심품목’ 중에서 기술 내재화가 시급하여 연구개발(R&D)이 필요한 핵심품목
신속・유연한 소부장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기술 → 시장 연계 강화 등을 통해 소부장
연구개발(R&D) 성과 창출 기반 강화
중장기 자립 역량 확보를 위한 협력・축적 중심의 연구 생태계 마련
∙123 ∙
[그림 2-31]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2020.10.)」전략
2) 데이터・인공지능(Al) 기반 미래 신소재연구 관련 정책수립
데이터・인공지능(AI)을 소재연구에 접목하여 실험 및 이론에 의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신소재 개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 방안(2020.10.)」을
수립하여, 산발되어 있는 소재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안정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조기에 구축하고, 소재 연구개발(R&D)에 직접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소재연구 혁신허브
및 3대 서비스를 소재 연구개발(R&D) 전주기에 활용하여 신소재 개발 시간・비용을 절반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 : 지난 대책(‘19.8.28)과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 비교 >
구 분
소부장 연구개발(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19.8.28)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20.8)
➊ 범위 대(對) 일본 (일 수출규제)
⇨
대(對) 세계 (GVC 재편)
➋ 전략 패스트 팔로워(현 공급망 안정화) 퍼스트 무버(미래 신공급망 창출・선점)
➌ 목표 100대 핵심전략품목 자립
확대 R&D핵심품목 추가
신규 미래선도품목 선제 발굴
➍ 사업・
인프라
- 신규 기업 총량제 완화(핵심전략품목 한정)
- 신규 연구장비 신속 도입(Fast Track) 지원
- 신규 공공 연구시설・장비 원스톱 서비스
- 신규 ‘소재+공정+시스템’ 패키지 지원
- 신규 희소금속 저감 R&D
수요기업 투자부담 완화 확대 공급기업 투자부담 완화
이어・함께 달리기 확대 오래달리기 도입
연구 인프라 지정
(3N, 융합혁신지원단 등)
확대
강소특구, 혁신 랩 등 지역거점 확대
이차전지 등 중대형 실증 인프라
∙124 ∙
[그림 2-32]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 비전 및 목표
∙125 ∙
3) 반도체 소부장 및 시스템반도체 개발지원 나노인프라시설 고도화
나노기술 적용 대표제품이자, 국가 주력산업 제품인 반도체 소부장 기술자립을 위해 핵심
사업인 ‘12인치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테스트베드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테스트베드는
대기업 양산설비와 비슷한 실장환경을 나노종합기술원에 구축하여 중소기업의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시험・성능평가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테스트베드에 필요한 반도체 노광장비를 대기업의
협조로 확보하고, 핵심장비 10대를 도입 완료하였다. 동 장비들은 2021년 2월까지 공정셋업을
완료한 후 3월부터 본격적인 서비스에 돌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공정스케일 미세화 등 공정
고도화를 통해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계획이다. 시설・장비・서비스 고도화
뿐만 아니라 테스트베드 실증결과를 실제 수요기업(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나노종합기술원(공공테스트베드)이
공동으로 업무협약(MoU)도 체결하였다.
한편 차세대시스템반도체 개발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해 나노종합기술원과 한국나노기술원의
노후 및 공백장비와 공정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사업도 추진 중에 있다. 동 사업은 그간 메모리
반도체 위주에서 시스템반도체로의 대전환에 필요한 인프라서비스 고도화 필요성에 따라 추진
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신소자를 웨이퍼레벨(Si 8인치, 화합물 6인치)에서 구현해 볼 수
있는 장비와 공정기술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두 개의 사업은 2022년까지 진행되지만, 연도별로 계획된 장비들이 구축될 때마다 단위
공정(또는 측정/분석) 서비스를 즉시 제공하고, 추가적인 공정개발을 통해 미세수준 등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고도화시켜나갈 예정이다.
4)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4조에 따라 매 5년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주무부처로 하여 관계
부처・기관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한다. 동 계획은 우리나라 과학
기술 분야 중 나노분야 최상위 계획인 동시에, 타 분야의 다수 기본계획과 횡적으로 많은 연관성을
보유하고 있다. 계획 수립을 위해 2020년 상반기 중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에서 제4기 계획
성과분석, 국내외 기술・산업 동향분석, 국내외 현안 분석, 나노기술수준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이후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관계부처 추진위원회 개최(2020.6.)를 시작으로, 나노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수립 기획위원회를 구성・운영
하였다. 기획위원회는 6개 분과 및 총괄위원회로 운영하였는데 분과별 회의를 총 50회 이상
개최하는 등 진지하고 열띤 참여와 총괄위원회를 통한 종합검토 과정을 수차례 거쳐 계획(안)을
∙126 ∙
마련하였다. 동 계획(안)은 나노융합성과전(11월)을 통해 한 차례 발표한 바 있고, 2020년
12월 온라인 공청회에 부친 바 있다.
[그림 2-33]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 비전 및 목표
다. 향후 계획
「소부장 연구개발(R&D) 고도화 방안(2020.10.)」의 적극적 이행을 위해 글로벌 공급망
(GVC) 핵심품목 중 R&D가 필요한 품목에 대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주력산업 및
신산업 관련 미래선도품목 발굴 및 추진을 통해 기술 자립 및 미래준비를 병행할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인공지능(AI) 시대에 부합한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 방안
(2020.10.)」을 통해 기존의 실험 및 이론연구 방식 대비 개발 기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신소재 특성 분석(검증)을 위한 측정・분석 기법의 접근성・정확도를 높이고, 실험실 단위
(Lab-scale)에서의 우수성과에 대한 제품적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4조에 따라 수립 중인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은 공청회 결과를
반영하여 안건을 수정・보완한 후 관계부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2021년 4월경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127 ∙
제2절 기술혁신형 창업・벤처 활성화
가. 개요
2020년은 코로나 19(COVID-19)의 전 세계적 유행이라는 미증유의 사건이 세계 경제 전반을
바꾸어 놓은 한해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온라인・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우리 사회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창업・벤처 생태계
에도 비대면 분야가 더욱 부각되는 등 커다란 변화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코로나 19 위기에도 창업・벤처 열기는 뜨겁게 지속되고 있으며,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전환하여 시장에서 도약하는 혁신 창업・벤처기업들의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2020년 1월부터
11월까지 신설된 법인은 총 112,373개로 전년동기대비 13.8% 증가하였으며,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 확실시되며, 2020년 한해 동안의 신규 벤처투자액은 4조 3,045억
원으로 2019년 4조 2,777억 원보다 268억 원이 증가하여,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신선
식품 온라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창업기업 ‘컬리’는 2020년 대비 매출이 2배 이상
늘어나며,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하여 코로나 19 속에서 성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 사례
이다.
나. 주요 성과
1) 창업・벤처 스케일업 생태계 조성
2019년 12월에 국회에서 통과된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과 하위법령이 지난 8월 12일
부터 본격 시행되고 있다. 동 법령은 실리콘밸리식 투자방식(SAFE) 도입, 투자제한 업종 대폭
완화 등 투자 자율성을 확대하는 내용과 벤처펀드 결성의 진입장벽을 완화하는 내용 등을 포함
하고 있어, 벤처투자의 자율성을 크게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코로나 19 위기를 빠르게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적극적인 투자 활성화 정책을 추진
하였다. 먼저, 정부는 모태펀드에 1조 1천억 원을 출자하여, 약 2조 5천억 원 규모의 벤처
펀드를 조성하였다. 특히, 코로나 19 여파로 유망 분야로 부각되고 있는 비대면・바이오・그린
뉴딜 분야 등에 투자 자금을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를 1조 3천
억 원 규모로 조성하였다.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는 선배 멘토기업이 후배기업 성장을 뒷받침
할 후원자로서 펀드 조성에 참여하여, 출자뿐만 아니라 멘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벤처
펀드가 빠르게 시장에 공급될 수 있도록, 최소결성 목표액의 70%를 모집하면 펀드 결성을 허용
∙128 ∙
하는 ‘패스트 클로징 제도’(Fast-Closing)를 포함하여, 투자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패키지’를
2020년에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표 2-32> 투자집행 목표 달성 인센티브 패키지 개요
구 분 투자목표 달성시
투자위험 우선손실 4월 이후 투자분의 손실액 최대 10% 우선 충당
보수체계
성과보수 정책펀드 수익분의 10%를 운용사에 추가 제공
관리보수 투자 목표 초과 달성시, 초과분의 1% 지급
출자우대
출자비율 내년도 출자비율 상향 (최대 +10%p)
평가방식 내년도 정책펀드 출자 신청시 가점부여
또한, 정부와 공공기관 중심으로 운영되던 벤처기업 확인제도를 민간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였다. 동 사항을 담은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2020년 2월 개정되었으며,
2020년 6월에는 민간 벤처확인기관이 지정되어 제도가 운영 중이다.
[그림 2-34] K-스타트업 메인 페이지 개편 전후 비교
스케일업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비상장 벤처기업에 대한 복수
의결권 제도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현행법은 1주 1의결권 원칙이 엄격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1주당 복수의 의결권(이하 ‘복수의결권’)을 발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벤처기업에 대해 복수
의결권이 도입되면, 대규모 투자로 인한 지분 희석시에도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장 벤처기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정부는 전문가 회의와 공청회를 거쳐 비상장 벤처기업에 대한 복수의결권 도입방안을 지난
2020년 10월에 발표하였으며, 입법예고를 거쳐 2020년 12월에 관련내용을 담은 벤처기업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129 ∙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K-유니콘 프로젝트’를 2020년 4월에 발표하였으며,
유니콘 기업 20개 탄생을 목표로 체계적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추진 중이다. 주요 내용
으로는 유니콘 기업까지 성장할 잠재력이 있는 유망 스타트업으로 ‘아기 유니콘’을 민관 합동
으로 발굴하는 1단계 프로그램과, 스케일업 투자, K-유니콘 서포터즈 등을 통해 유니콘 후보
기업이 신속히 투자받을 수 있는 스케일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2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K-유니콘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가치가 1,000억 원 이상인 유니콘 후보기업을 2022년
까지 500개 이상 육성하고, 유니콘 기업 20개는 당초 2022년 목표에서 2021년으로 앞당겨
조기 달성하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2) 혁신창업 활성화
창업준비 및 예비창업 단계(예비창업패키지)부터 초기창업 단계(초기창업패키지), 도약단계
(창업도약패키지)로 이어지는 창업기업 지원 프로그램은 단계별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체계적인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예비창업패키지에서는 창업교육과 멘토링을 통해, 사업의 구체화를
지원하며, 초기창업패키지에서는 기술중심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대학과 창업기업 전문 육성
기관의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창업도약 패키지에서는 기업이 시장에 안착하고, 나아가서는
유니콘 기업까지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도록 지원한다. 2020년부터는 이에 더해,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3대 전략 분야(BIG3)의 15개 세부분야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전주기 특화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표 2-33> BIG 3 15개 세부분야
분야 세부분야
시스템반도체(4) SoC, 아날로그반도체, 스마트센서, 인프라 (패키징, 테스트 등)
바이오(4) 의약, 의료기기, 디지털헬스케어, 바이오소재
미
래
차
(7)
자율주행(4) 자율주행 센서, e-모빌리티 빅데이터, V2X 통신, 인포테인먼트
친환경차(3)
성장지원 (배터리・모터・인버터 등), 수요다변 (조향・현가・제동장치 등),
업종전환 (엔진・변속기・오일류・전달장치 등)
그리고,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상생협력 정책으로서, 대기업이 풀지 못하고 있는 과제를 제시
하면, 스타트업이 창의력과 기술력을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협업 플랫폼으로 ‘대-스타 해
결사 플랫폼’을 시범적으로 도입하여 운영하였다.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은 ‘연결의 힘, 디지털
드림9’과 ‘인공지능(AI) 챔피언십’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대기업 17개사와 창업기업
∙130 ∙
320개사가 참여하여, 창업 생태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의미가 크다. 정부는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을 통해 가능성을 보인 스타트업에게 상금과 후속 정책연계를 통해 최대
25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함께하는 글로벌 협업 프로그램은
2019년 구글 1개사(창구 프로그램)에서 2020년에는 구글을 비롯하여 엔비디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다쏘시스템 등 5개 대기업이 참여하는 형태로 확대되었으며, 유망 창업
기업 200개사가 참여하여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되었다.
[그림 2-35] 2020년 신규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
프리팁스, 팁스, 포스트 팁스로 이어지는 팁스 프로그램은 2020년 12월까지 누적하여
1,234개 창업기업을 선발하였는데, 기업당 신규 일자리를 7.4개 창출하고 후속투자 총 3.7조 원을
유치하였다. 팁스 선정 창업기업과 운용사들이 함께하는 팁스타운은 기존에 서울 강남에 1개소
(5개 건물)이 조성되고 운영되고 있었으나, 앞으로는 대전 충남대 내에 1개소를 추가로 개소
∙131 ∙
할 예정이다. 대전팁스타운은 2020년 12월에 완공되어 지방 창업기업・투자자들을 입주시킬
예정이며, 지역 창업붐을 확산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창업・벤처기업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예산은 2019년 4조 2,280억 원
에서 2020년 6조 2,00억 원으로 대폭 확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창업자금은 2019년 2조 2,000억 원에서 2020년은 2조 7,500억 원 규모까지 확대
되었다.
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컴업(COMEUP) 행사는 코로나 19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성황리에
개최되어 국내 창업생태계를 전 세계에 알리는 한편 스타트업이 해외 벤처투자자들과 연결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번 컴업 2020은 “Meet The Future, Post Pandemic”이라는
슬로건 아래, 사회체계(Social System), 근무환경(Work), 삶의 방식(Life)이라는 3개 주제에
따라 진행되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코로나 19 확산으로 스페인의 모바일월드콩그래스
(MWC), 핀란드의 슬러시(SLUSH) 등 굵직굵직한 국제 행사들이 취소되거나 축소된 가운데
개최되어 온라인・비대면 방식 스타트업 행사의 표준 모델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림 2-36] 컴업 2020 3대 주제와 12개 세션
스타트업 현장에서 기업 성장의 핵심으로 제시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규제 개선이다. 정부는
지역의 혁신기업들이 직면한 ‘덩어리 규제’를 패키지로 해소하는 규제자유특구를 2019년부터
지정하여, 신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2020년은 제3차, 제4차 규제자유특구가 지정되었
으며, 1차∼3차까지 지정한 규제자유특구에서 2020년 말까지 326개 특구사업자가 1,255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혁신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132 ∙
<표 2-34> 제1차∼제4차 규제자유특구 지정현황
구 분 규제자유특구 지정현황
1차
(’19.7)
(강원) 디지털헬스케어, (경북) 차세대배터리리사이클링, (부산) 블록체인,
(대구) 스마트웰니스, (세종) 자율주행실증, (전남) e-모빌리티, (충북) 스마트안전
2차
(’19.11)
(광주) 무인저속특장차, (대전) 바이오메디컬,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전북) 친환경자동차, (전남) 에너지신산업, (경남) 무인선박, (제주) 전기차 충전
3차
(’20.7)
(부산) 해양모빌리티, (대구) 이동식협동로봇, (울산) 게놈서비스,
(강원) 액화수소, (충남) 수소에너지전환, (전북) 탄소융복합, (경북) 산업용헴프
4차
(’20.11)
(경남) 5세대 활용 차세대 스마트 공장, (광주) 그린에너지 에너지저장 장치 발전), (울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창업기업에 대한 정보제공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먼저, 정부 창업지원포털(http://
www.k-startup.go.kr)의 메인 페이지를 정책 수요자인 창업기업들이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메뉴판 방식’으로 2020년 9월부터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창업메뉴판은 창업단계 3개(예비
-초기-도약기)와 관심 분야 6개(사업화, 창업교육, 시설・공간・보육, 멘토링・컨설팅, 행사・네트
워크)로 분류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창업공간의
월 임대료, 입주기업 정보, 공간면적 및 좌석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창업기업들의 쉽게 볼 수
있도록 알리는 창업공간 ‘이룸’ 서비스를 창업지원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 개편 전 >
창업정보를 하나씩, 하나씩 검색
< 개편 후 >
맞춤형 정보를 한번에 검색
[그림 2-37] K-스타트업 메인 페이지 개편 전후 비교
∙133 ∙
혁신창업 활성화를 위해 법령・제도 정비와 인프라 강화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1986년 제정
되어, 제조업 창업 지원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는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은 현재 전부 개정안이
2020년 말 기준 국회 상임위에서 계속 심사 중이며, 2021년 중에 통과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부 개정안은 신산업・기술창업 촉진과 기업가 정신 확산, 창업지원 정책의 조정과 협력,
지역창업 활성화 지원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최근의
창업 생태계 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혁신 창업기업의 판로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한 창업기업제품 공공구매제도(공공기관 총 구매액의 8% 이상을
창업기업 제품으로 구매하도록 의무화)는 2020년 10월 근거법률인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이
개정 시행됨에 따라,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그리고, 창업자, 투자자, 대학・연구소 등 혁신창업의 주요 주체들이 열린 공간에서 자유롭게
네트워킹할 수 있는 혁신 창업 클러스터로서 혁신창업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스타트업
파크는 2020년에 추가로 2개소가 지정되었다. 올해 선정된 스타트업 파크는 대전과 충남 천안
으로, 대전은 충남대와 카이스트 사이 청년층 유동인구가 많은 유성구 궁동 일대를, 충남 천안은
도시재생혁신지구로 지정되어 있는 천안 역사를 중심으로 스타트업 파크를 조성해 나갈 계획
이다. 아울러 2019년에 선정된 인천 스타트업 파크는 2020년 한해동안 건축 설계 및 리모델링
공사를 거쳤으며, 바이오・비대면 분야 스타트업을 중점 육성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2021년 초
개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역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에 설치되어있는 창조경제혁신
센터는 지방자치단체와 파트너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 스타트업의 사업화 전 과정을 지원
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2020년까지 9천개의 창업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를 약 2만 3천개
창출하는 성과를 시현하였다. 그리고 2020년부터는 지역의 혁신 창업가를 육성하는 ‘로컬 크리
에이터’ 지원사업을 신규로 도입하여, 17개 시・도에서 총 280개 기업을 발굴하여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3) 재도전 인프라 확충
경영위기 기업의 정상화 지원을 위해, 사업전환 지원범위를 확대하고, 소요기간을 단축하였
으며, 전용 지원자금인 사업전환자금(융자)도 2020년 1,600억 원까지 대폭 확대하였다. 아울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이 공동으로 일시적 위기에 처한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조기 발굴하여 신속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코로나 19 위기에 따라 부실징후가 나타나는 기업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구조개선과 회생을
∙134 ∙
지원하고 있다. 금융권 채무조정을 포함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도록 컨설팅과 정책사업을
연계하여 지원하고 있다.
[그림 2-38] 선제적 구조개선 지원 프로그램
재도전의 걸림돌이 되는 여러 제도들도 하나하나 제거・개선해나가고 있다. 재창업에 걸림
돌이 되는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정책금융기관이 보유한 부실채권을 단계적으로 정리해나가고
있어 2020년 12월까지 1조 2천억 원을 정리하였으며,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이전에도 70%
(중소기업인)에서 90%(기초생활수급자 등)까지 원금을 감면조치하고 있다.
성실실패에 대한 재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실패・재도전에 대한 인식 개선도 확산해 나가고
있다. 재창업자들이 민간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전용 펀드를 개설하였으며, 2020년 한해동안
4회 투자유치 IR과 네트워킹을 개최하였다. 또한, 사업 실패 후 신용도가 낮아 민간금융 이용이
어려운 재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자금을 2019년 900억 원에서 2020년 1,200억 원까지
확대하여 지원하였다. 실패박람회와 재도전의 날을 개최하고, 다양한 온라인 매체를 통해 송출
하여 사업 실패를 용인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확산해가고 있다.
다. 향후 계획
정부는 우리나라가 혁신 창업국가와 글로벌 벤처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향후 지속적
으로 제도정비, 규제개선, 지원확대 등을 통해 창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그리고,
코로나 19로 변화하는 창업환경을 고려하여, 비대면 분야를 비롯한 신산업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다. 앞으로 우리 혁신 창업・벤처기업들이 미래 경제를 선도하고, 우리나라가
포스트 코로나 선도국가로 우뚝 설 때까지 정부의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135 ∙
제3절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 창출
가. 개요
최근 미・중 경제전쟁, 일본의 핵심소재 수출규제와 같은 지식재산을 무기로 활용한 글로벌
기술패권 다툼이 치열하게 전개되어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주요국은 신속한
핵심특허 선점이 기술・산업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는 인식을 기반으로 특허 확보를 통한 산업
지배력 강화와 미래산업 선점에 주력하고 있다. 보호무역주의의 확대와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미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국가 성장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을
기술자립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자산으로 활용하는 국가전략이 필수적이다.
또한, 코리아 R&D 패러독스라 불리는 우리나라 R&D 효율성 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수의 전문가 집단이 아닌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한 전략적 R&D 투자방향 수립이 필요하며,
4억 5천여만 건에 이르는 특허 빅데이터 분석이 이에 대한 훌륭한 해결책이 될 것으로 판단
된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특허 기반 연구개발(IP-R&D) 전략을 전면적으로 확대하여 경쟁국의
단단한 특허장벽을 극복하고 신속하게 기술자립 및 국산화에 성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더불어 지식재산이 제대로 된 가치를 발휘하여 스타트업 등의 작은 기업도 대기업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식재산 보호를 강화하고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올해 우리나라는 63개국
중 전체 23위로 작년보다 5단계 상승했다. 그 중 과학 인프라 부분은 3위로 세계 최고 수준을
보였으나, 지식재산권 보호 정도는 38위로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지식재산 보호 수준이 우리나라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는 것이다.
세계 6위의 수출강국,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연 우리지만 더 이상 과거의 패스트
팔로워 전략과 느슨한 지식재산 보호 수준으로는 선진국의 문턱을 넘어설 수 없다. 퍼스트
무버로서 기술혁신을 선도하고 이를 지식재산으로 강하게 보호해야만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다.
미국이 중국과 무역전쟁을 치르면서까지 자국의 지식재산을 지키려 했던 것은 기술패권
유지에 지식재산 보호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방증한다. 앞으로도 각국은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지식재산 보호정책을 경쟁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다.
∙136 ∙
우리나라도 지식재산 보호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해 2020년에도 많은 제도개선과 우리
기업의 해외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활동들을 지속하였다. 지식재산의 가치를 높이고 침해를
억제하기 위해 손해배상 제도를 대폭 개선하였고, 침해소송에서 권리자의 입증부담 완화를
위한 증거수집제도 도입을 추진 중이다. 우리 중소기업의 해외 지식재산권 분쟁대응을 효과
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식재산권 분쟁대응센터를 설립하였고, 해외 위조상품 온라인 모니터링
단을 출범하여 해외 위조상품 대응도 강화하였다.
대학・공공연구기관은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69%가 투자되며, 박사급 인력의 76%를 보유한
혁신의 원천으로서, 대학・공공연구기관이 혁신적인 특허기술을 충분히 공급하고 중소・중견
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하여 성장할 때 혁신성장과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것이다.
2020년에는 정부지원 종료 후에도 대학・공공연구기관이 지속적으로 특허상용화 검증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수익재투자 지원사업(舊특허갭펀드)을 확대 수행하여 대학・공공연구
기관에 선순환 특허생태계를 구축하였으며, 시장에서 가치 있는 발명 중심으로 출원하기 위한
수요기반 발명인터뷰를 강화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 전략 수립
특허 빅데이터는 세계 각국의 대학・연구소・기업 등이 기술혁신을 위해 각고의 노력과 비용을
들인 R&D의 성과물임과 동시에 고급 기술정보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하면 경쟁국가나 기업에서 어떠한 R&D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우리의 경쟁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향후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주력해야 할지에 대한 객관적인
전략을 세울 수가 있다.
이에 특허청은 특허 빅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특허청 산하 한국특허전략
개발원에 국가특허빅데이터센터를 개소하였고(2020.6.), 특허청 내 벤처형 조직으로 특허빅
데이터담당관을 신설하여(2020.7.)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등 특허 빅
데이터의 분석・활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2019년의 시범사업에 이어 2020년에는 본격적인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혁신지원
사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력 산업・기술 분야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IoT) 가전, 자율주행차, 드론을 비롯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특허 빅데이터 분석 및 유망기술 도출, 산업혁신전략 수립 등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교육, 제조, 바이오, 물류 등 인공지능이 적용되는 12개 응용산업별로 각각 유망기술을
도출하는 등 전체 5개 산업 분야에서 총 80개의 유망기술을 도출하였다.
∙137 ∙
절차 환경분석 ➡ 정량진단 ➡ 심층분석 ➡ 정책제안
내용
▪산업 기술분류
▪시장・R&D・산업
동향・전망 조사
→
▪기술분야별 특허동향
분석・진단
▪위기신호 탐지 →
▪유망기술 세부분류
▪세부기술별 특허맵 구축
및 이슈발굴
→
▪정부 R&D・산업・인력
등 종합정책
▪기업별 투자전략
부상기술 분석 유망기술 도출 R&D 전략과제 선정 유망산업 육성 전략
[그림 2-39] 특허 빅데이터 기반 산업별 혁신전략 추진절차
특히, 2020년에는 분석 초기단계부터 R&D 전담기관 PD/PM의 분석과정 참여(2020.6~
11.), R&D 전담기관 본부장 참석 간담회(11.4.) 및 실무자 대상 발표회(11.23.) 등 특허 빅
데이터 분석 결과가 정부R&D 과제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였다.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망기술은 해당 부처에서 정부R&D 과제 기획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었으며, 새롭게 구축된 특허빅데이터센터 포털(pbcenter.re.kr)을
통해서도 분석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더불어 비대면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
(12.21.)를 통해 해당 분야 연구자 및 일반 국민에게도 공유함으로써 특허 빅데이터 분석 성과가
널리 확산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2) 지식재산 기반 소부장 기술자립 및 코로나 19 위기극복 추진
2019년 7~8월에 일본의 핵심소재 수출규제에 연이은 화이트리스트 배제조치가 있었다.
경쟁국의 축적된 기술력과 특허 선점에 기반한 기술무기화로 인해 반도체 산업을 비롯한 우리
주력산업의 기업현장에서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수출규제 3대 품목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의
일본 특허출원 점유율이 65%에 달하는 등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특허 선점을 통해 단단한
장벽을 구축하고 후발주자의 추격을 차단하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고 기술자립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 기반 연구개발(IP-R&D)을 통해 종래 핵심기술 및 노하우를 파악하여 R&D 성공률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국가들로부터 대체기술을 도입・확보하고 기존의 특허를 회피・우회하거나
무효화하는 등의 다각적인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이에 특허청은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중소벤처기업부 등 R&D 관계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지식
재산 기반의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을 추진하였다.
먼저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중소벤처기업부 등이 2020년에 투자하는 소재・
부품・장비 핵심품목 R&D에 IP-R&D를 전면적으로 적용하였다. 2019년도에 지원한 산업통상
자원부 20+α 핵심품목 대상 추경 R&D 과제 35개에 대한 IP-R&D 지원에 이어 2020년에는
∙138 ∙
산업통상자원부 297개, 중소벤처기업부 100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9개, 환경부 5개 등 총
471개 과제에 대해 IP-R&D를 전면적으로 적용하였다. 이 중 299개 과제에 대한 IP-R&D
전략수립은 2020년 하반기 중에 추진되었으며, 나머지 172개 과제에 대한 IP-R&D는 2021년
초에 이어서 추진될 계획이다.
<표 2-35> 2020년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R&D에 대한 IP-R&D 지원현황
R&D부처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R&D 사업 IP-R&D 과제수 ’20년내 착수 ’21년 이월
산업부 소재부품 기술개발,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 등 297개 208개 89개
중기부 기술혁신개발,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등 100개 49개 51개
과기부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개발 등 69개 37개 32개
환경부 상하수도혁신기술배발사업 5개 5개 -
합계 471개 299개 172개
소재・부품・장비 분야 IP-R&D 지원을 통해 우회・대체기술 개발을 위한 장벽특허 회피 전략,
선도기업 핵심 특허기술을 통해 도출된 최적의 R&D 방향, 특허기술 보유 해외업체 M&A를
비롯한 대안적 기술확보 방안 등의 다각적인 전략이 제공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특허분쟁 우려
해소 및 R&D 효율성 제고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R&D 추진 시 특허정보를 활용한 효율적 R&D가 이뤄질 수 있도록
소재・부품・장비 특별법(2020.4.)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2020.3.)에 소재・
부품・장비 기술개발 과제에 대한 전략적 지식재산 조사・분석 지원에 관한 근거규정도 마련
하였다.
한편,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을 위한 지원뿐 아니라 코로나 19 위기극복을 위한 IP-R&D도
병행하였다. 2020년 추경 예산으로 50억 원을 확보하여 코로나 19 치료제・백신, 방역・진단
기술 등의 코로나 19 대응기술 50개 과제와 비대면 기술, 디지털 인프라 등 포스트 코로나
성장동력 분야 기술 22개 과제에 대한 IP-R&D 지원을 추진하였다. 지난 5년간(2014~2018)
IP-R&D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 IP-R&D 지원과제는 중소기업이 수행한 정부 R&D 과제 평균
대비 양적(과제당 특허출원 5.4배) 및 질적 특허성과(우수특허비율 1.7배, 삼극특허비율 3.1배)가
우수하게 나타났고, 대학・공공연구기관 IP-R&D 지원과제는 미지원 대학・공공연구기관 대비
산업계에서의 활용도(특허이전율 1.5배, 계약당 기술료 3.8배)가 높은 특허를 창출했던 만큼,
코로나 19 대응기술 개발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9 ∙
3) 중소벤처기업의 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제도 정비
지식재산의 가치를 높이고 침해를 근절해 지식재산이 제대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손해배상
제도 등 지식재산 법제를 개선하였다.
먼저 손해배상 현실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고의적 특허침해에 대해 3배까지 배상
하도록 하는 제도가 2019년 7월 시행되었는데, 3배의 기초가 되는 기본 손해배상이 아직도
낮아 3배 배상의 실효성에 우려가 있었다. 개정 전 특허법의 손해배상은 권리자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만큼만 배상하도록 되어 있었다. 침해자가 10,000개의 침해품을 팔았더라도
권리자가 생산할 수 있었던 수량이 100개라면, 100개에 대한 손해만 배상하면 되었다. 즉,
생산능력이 높은 침해자는 기술 사용에 대한 제값을 지불하는 것보다 침해하는 것이 더 유리한
환경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침해자가 권리자의 생산능력을 넘어서 판매한 수량에 대해서는 합리적
실시료(로얄티)로 손해를 배상하도록 지식재산권법을 개정하였다. 개정법에 따라 침해자는
나머지 9,900개에 대해서도 합리적 실시료로 배상해야 한다. 개정 특허법은 2020년 12월
10일 시행되었고, 개정 상표・디자인・부정경쟁방지법은 2021년 6월 23일 시행예정이다. 이와
함께 특허・영업비밀에만 도입되었던 3배 배상의 범위를 상표・디자인까지 확대하여 2020년
10월부터 시행하였다.
손해배상제도와 함께 침해소송에서 증거수집제도 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특허침해소송은
증거의 대부분을 침해자가 가지고 있어 특허권자가 침해를 당하더라도 이를 입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미국, 독일, 일본 등은 소송에서 특허권자의 증거수집이 용이하도록 증거수집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특허청은 침해자의 공장 등 현장에서 법관이 지정하는 중립적인 전문가가
증거를 조사하는 독일식 전문가 사실조사 도입을 추진 중이며, 제도 도입 추진과정에서 산업계,
법조계, 학계 등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있다.
지식재산 침해에 대한 수사와 부정경쟁행위 조사의 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도 개선하였다.
특허권자의 권리구제 강화를 위해 그동안 친고죄이던 특허침해죄를 고소기간의 제한이 없고
권리자의 의사에 반해 처벌하지 않는 반의사불벌죄로 전환하였다. 아이디어 탈취에 대해서는
그동안 시정권고만 가능해 행정구제에 한계가 있었으나, 시정권고 불이행 시 그 사실을 공표
하도록 근거를 마련해 아이디어 보호의 실효성도 제고하였다.
중소기업 기술탈취를 근절하기 위한 범부처 협업체계도 마련되었다. 특허청・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가 상생조정위원회를 통해 협력하여 기술탈취를 조사하고 있으며, 특허청이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사건조사에 기술자문을 지원하고 있다.
∙140 ∙
4) 해외 지식재산권 보호활동 강화
2020년에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특허분쟁 등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지원을 위한 국내
인프라를 강화하였다. 일본 수출규제(2019.7.) 이후 우리기업이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중심
으로 기술 자립화, 거래선 다변화 및 신규 공급처 확보를 강하게 추진하면서,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일본기업이 특허분쟁을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가 국회와 언론 등을 통해 제기되었다. 그에
따라 소재・부품・장비 분야 등에서 우리기업이 특허분쟁으로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난 11월 지식재산권 분쟁대응센터를 신설
하였다.
또한 수출기업의 분쟁상황에 따른 맞춤형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전략 지원도 강화하였다.
기업이 지식재산권 분쟁위험에 따라 직접 대응전략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듈형 대응전략을 도입
하였고, 분쟁전문가를 활용한 IP보호 사전진단 서비스를 신규 제공하였다.
해외에서 우리기업의 K-브랜드 보호체계도 강화하였다. 중국・베트남・태국 3개 국가를 대상
으로 해외 상표선점 모니터링을 통해 무단선점 의심상표를 발견하여 기업에 정보를 제공하였다.
해외 온라인 위조상품 유통에 대응하기 위해 추경예산을 활용하여 해외 온라인 위조상품 모니터링
단을 출범하고 중국 등 아세안 6개국 및 대만에서 온라인 위조상품에 대한 판매게시물 삭제를
지원하였다.
우리기업 진출이 활발하고 한류 인기가 높아 위조상품 유통 등 지식재산권 침해 우려가 높은
필리핀에 지난 3월 IP-DESK를 신규개소하였고, 해외 현지에서 위조상품 유통 차단을 위해
위조품 행정・형사단속을 지원하였다.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해외 현지 활동이 어려워 해외 현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기업 위조상품 단속을 지속하기 위해 해외 유통
위조품 및 정품 식별 콘텐츠를 동영상과 책자로 제작해 중국과 동남아 지식재산권 단속기관에
보급하고, 화상 상담회와 웹 세미나를 개최해 지식재산권 상담을 지속 수행하였다.
한류 열풍으로 콘텐츠 등 K-브랜드 지식재산권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K-브랜드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유명 유튜버들과 함께 홍보영상을 제작해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5) 공공 IP・연구성과의 경제적 활용성 제고
2019년도에는 정부지원 종료 후에도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이 지속적으로 특허상용화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식재산 수익 재투자 지원사업(舊 특허갭펀드)을 진행하여 대학・공공연구
기관에 선순환 특허생태계를 구축하였다. 해당 사업은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지식재산전담부서가
∙141 ∙
운영하는 특허기술사업화 지원프로그램으로, 기업의 기술수요와 대학・공공연구기관의 공급기술
간 기술성숙도 격차(갭)를 줄이는 활동에 주로 투자하며, 기술이전이 성공할 경우 수익금의
일부를 회수하여 다른 우수 발명에 다시 투자한다. 정부는 2020년에 2019년 선정된 경북대
학교, 고려대학교, 부산대학교, 연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6개 기관 외 서울대학교, 엠포유기술지주회사, 한국재료연구원 3개 기관을 추가로 선정
하여 27억 원을 지원하였다. 그 결과 9개 기관 중 6개 기관이 지식재산 수익을 재투자하도록
기관 자체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사업목적이 제도적으로 정착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기존 사업 (1회성 지원) 특허갭펀드 (선순환 방식 지원)
정부 ⇨ 사업화
검증
⇨ 기술
이전
⇨ 발명자,
대학・공공연
정부 ⇨ 특허
갭펀드
⇨ 기술
이전
⇨ 발명자,
대학・공공연
[그림 2-40] 특허갭펀드와 기존 지원사업 비교
또한, 대학・공공연구기관이 시장에서 가치 있는 발명을 선별하여 출원하도록 수요기반 발명
인터뷰를 30개 기관에 지원하였다. 수요기반 발명인터뷰는 출원 전 기업수요조사를 통해 수요가
있는 발명 중심으로 출원하도록 하는 발명심의 과정으로, 기업 수요가 아직 없는 발명은 전문가
들이 심의하여 출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 향후 계획
지식재산 기반의 기술자립 및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국가 전략산업
분야의 핵심・원천특허 확보와 지식재산 혁신 생태계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 발전에 맞추어 특허 빅데이터 분석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반의 특허 빅데이터 혁신 플랫폼을 점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2021년에는 우선적으로 산업별 특허문서 자동 분류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특허-산업-경제
연계 분석을 위한 모델・방법론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소재・부품・장비 R&D 전반에 확대 적용했던 지식재산 기반 R&D(IP-R&D) 전략
수립을 핵심전략기술 중심으로 지속해서 추진하는 한편, BIG3, DNA, 디지털 뉴딜 등의 혁신
성장동력 분야에 대해서도 IP-R&D를 확산해 나감으로써 미래산업 선점을 위한 우수특허 확보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기획, 선정, 수행, 평가 등 국가 R&D 전 과정에
∙142 ∙
걸쳐 특허 데이터가 접목되어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지속 확충해 나감으로써 지식재산에 기반한
국가 산업육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지식재산권 침해소송에서 권리자의 입증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국형 증거수집제도 도입을
지속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실효성 있는 제도가 도입될 수 있도록 산업계와 긴밀히 소통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기업들의 영업비밀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도 검토해 나갈 것이다.
그리고 우리기업의 해외시장에서의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대응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관계
기관과 합동단속 등 공조를 강화하여 우리기업 상표의 무단선점 감시를 강화하고 온라인 위조
상품 모니터링 대상국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특허청은 앞으로 지식재산 수익재투자 지원사업을 확대하여 특허기술 로열티가 다시 특허에
투자되는 선순환 특허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며, 대학・공공연구기관이 시장에서 가치 있는
특허를 선별하고 충분한 특허비용을 투입하여 강한 특허를 창출하며 특허기술의 기업 이전을
원활하게 추진해 나가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규제를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143 ∙
제4절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
가. 개요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2018~2022)에서 지방
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기본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수도권 등에 편중된 지역혁신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효율화함으로써 지역 내 주체들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는
조력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지역혁신이 단순한 기술개발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주체들 간의 연계 고도화를 통해 지역 내 자생적 성장동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역 내 경제적・
사회적 성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 지역기업, 지역대학, 지역 출연(연) 간
협업을 고도화하고 창의적인 신기술・서비스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과 규제혁신이 필요하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지역경제는 극심한 침체를 경험하였다.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
하기 위해 각 지역이 가진 고유한 강점을 살려 지역이 주도하여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과학
기술기반의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주력하였다. 지역이 스스로 기획한 지역혁신사업에
대한 중앙정부의 협력・지원을 강화하여 지역의 R&D역량을 제고하였다. 또한, 지역별로 지역
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을 기초로 중장기 수요에 근거한 신규 R&D를 발굴하고, 지역혁신 주체
간 협업을 강화하여 혁신역량 결집을 유도하였다. 특히 지역혁신역량을 제고하고 중소기업의
연구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및 강소특구 지정 확대, 연구소기업 확충을 통해 지역의
신산업 창출 및 지역혁신생태계 활성화에 역점을 두었다.
나. 주요 성과
1)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기반 지역경제활력정책 추진
코로나 19로 인한 지역경제위기를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지역혁신성장으로 극복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단기적으로 민간부담 완화, 연구시설 이용료 및 임대료 감면, 혁신기업
판로지원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중장기 지역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과제의
일환으로 지역현안해결형 기술사업화를 신규로 추진하여(2020년 신규, 34억 원), 광주(인공
지능(AI) 서비스신산업), 대구(미래차 전후방 신산업), 부산(스마트물류), 전북(스마트 전기차
(EV) 분야), 대덕(에너지자원화)이 지역 주도의 기획과 중소기업의 참여를 통한 지역의 혁신
성장을 도모하였다.
특히 출연(연) 지역 분원과 4대 과학기술원을 활용하여 지역기업의 생산 효율화를 위한 공정
개선, 지역산업 고도화를 위한 산학협력 지원을 강화하였다. 또한 지역주민과 전문가가 R&D
∙144 ∙
전 과정에 참여하는 지역주민 참여R&D를 확대하고 출연(연)이 보유한 역량을 활용하여 중소
벤처기업 대상 연구개발활동을 지원하는 R&D바우처 신규사업을 제시하였다.
2)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추진실적 점검 및 시행계획 수립
2019년 추진실적으로 총 4조 6,601억 원이 투자되어 2018년 실적 대비 3.1%가 증가하였다.
재원별 비중은 국비 2조 2,683억 원(48.7%), 지방비 1조 8,834억 원(40.4%), 기타 민간
5,084억 원(10.9%)으로 국비 비중이 가장 높았다. 9개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액을 살펴보면
지역혁신클러스터 고도화(1조 1,452억 원), 지역기업의 기술역량 확보(1조 803억 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6,392억 원)순으로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시행계획을 살펴보면, 총 투자규모는 5조 2,961억 원으로 2019년 실적 대비
13.6% 증가하였다. 재원별 비중은 국비 2조 5,557억 원(48.3%), 지방비 2조 2,082억 원
(41.7%), 기타 민간 5,322억 원(10.0%)으로 증가율은 지방비가 크게 나타났다. 17개 시도의
평균 투자규모는 3,115억 원이며 재원별 평균은 국비 1,503억 원, 지방비 1,299억 원, 기타
민간 313억 원이었다. 중점추진과제별로 살펴보면, 지역혁신클러스터 고도화(1조 4,883억 원),
지역기업의 기술역량 확보(1조 1,574억 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7,921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유형별로 기반조성 1조 8,103억 원(34.2%), 기술개발 1조
2,229억 원(23.1%), 기업지원 및 기술이전 1조 1,910억 원(22.5%)에 중점적으로 투자되었다.
2) 지역주도의 강소특구 지정
강소특구는 우수한 혁신역량을 갖춘 기술핵심기관(대학, 출연(연)) 중심의 소규모・고밀도의
공공기술 사업화 거점을 지향하는 새로운 연구개발특구모델이다. 지역주도의 강소특구 육성을
위해 2020년 6개 특구가 추가로 지정되었다. 서울(홍릉-디지털헬스케어), 울산(울주-미래형
전지), 전남(나주-지능형 태양광, 에너지저장), 충남(천안・아산-차세대 자동차부품) 강소특구는
기술핵심기관이 보유한 우수인력, 인프라, 네트워크 등 혁신역량을 기술사업화 전 단계에 연계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경북(구미-스마트제조시스템), 전북(군산-친환경 전기차부품소재) 강소
특구는 지역 소재 민간 수요처(대기업・중견기업)와의 협업을 통해 민간수요 반영 및 판로개척
지원 등 공공-민간 상생협력을 기반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2020년 신규 지정된 6개의 강소
특구는 2025년까지 직간접적으로 1,767개 기업 유치, 13,771명 고용창출, 34조 2천억 원의
매출 증대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145 ∙
[그림 2-41] 2020년 강소특구 지정현황
3) 지역혁신생태계의 핵심기관으로서 연구소기업 1000호 돌파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에 설립된 기업
으로 공공연구기관이 기술공급계약자를 넘어서 책임주주형태로 기술사업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업화 모델이다. 2006년 콜마BNH(주)가 연구소기업 제1호로서 설립된 이후, 다양한
정부정책지원과 공공연구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15년만인 2020년에 연구소기업 1000호
시대를 맞이하였다. 연구소기업은 우수한 기술력과 경쟁력이 있는 제품개발을 통해 2019년
기준 매출액 7,394억 원, 고용 3,910명을 창출하여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지역혁신성장에 기여
하고 있다. 아울러 연구소기업 1,000호 설립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고도화를 위한 ‘연구소
기업 혁신성장전략’을 2020년 10월에 발표하였다.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2배(2,000개) 설립,
K선도 연구소기업 신규 100개 육성, 일자리 창출 10,000명을 목표로 지역혁신거점으로서의
연구소기업 혁신생태계 조성을 추진하였다.
∙146 ∙
[그림 2-42] 연구소기업 혁신성장 전략 인포그래픽
4) 지역 소프트웨어 생태계 육성
지역 중심에서 벗어나 전국 또는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 소프트웨어
생태계 육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다. 지역 소프트웨어 산업을 선도할 지역 SW 강소기업을
2025년까지 100개 육성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역 SW 클러스터를 2025년까지 국내외
주요기업이 참여하는 SW진흥단지로 5개 이상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한국판 뉴딜로서 지역 차원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AI・SW) 10만 인재
양성을 위해 지역 ICT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하였다.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사업은
∙147 ∙
2025년까지 총 1,650억 원을 투자하여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핵심인재 3만 7천 명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전국 4대 권역에 4개의 정보통신기술(ICT) 단지와 18개의 인공지능 복합교육
공간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표 2-36> 권역별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사업 운영 방향
지역 ICT콤플렉스 지역별 AI교육 특화 산업
부산
울산
경남
∙ 인공지능(AI) 딥러닝 워크스테이션 및 클라우드 개발환경 제공
∙ 인공지능(AI) 융합분야 창업지원
∙ 인공지능(AI) 어노테이터(데이터 입력원) 양성
▲(부산) 지능정보서비스, 해양・물류
▲(경남) 스마트 제조
▲(울산) 조선, 화학, 자동차
강원
경북
대구
∙ 일자리 연계
(창업특강, JOB워크숍, 창업 공모전)
∙ 기술/협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세미나, 실증랩, 해커톤 등)
▲(강원)모빌리티, 관광, 의료
▲(경북) 미래형모빌리티, 차세대에너지, 바이오
▲(대구) 자동차, 스마트시티, 의료 기반 산업
광주
전북
전남
∙ 개발자 중심 기술 교류
(개발자 서밋, 소그룹 지원 등)
∙ 아이디어에서 아이템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공모전, 멘토링 등)
∙ 인공지능(AI) 기초 교육(코딩, 인공지능(AI) 어노테이터 등)
▲(광주)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문화콘텐츠
▲(전남) 에너지, 농수산, 트랜스포트
▲(전주) 농생명, 금융
대전
충남
충북
세종
∙ 멘토링, 창업교육 등 창업・개발자 지원
∙ 인공지능(AI) & ICT 메이커톤, 인공지능 포럼
∙ 충청권 데이터・인공지능(AI) 주간운영
∙ 인공지능(AI) 학습데이터 인력 양성 등
▲(대전) ICT융합, 무선통신융합, 로봇지능화
▲(충북) 스마트IT부품(반도체), 바이오헬스
▲(충남) 차세대 디스플레이, 수송기계부품
▲(세종) 첨단 수송기기 부품, 의료정밀
다. 향후 계획
코로나 19 사태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위기를 지역제조혁신과 지역의 산・학・연 협력체계
강화로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강소특구, 지역혁신클러스터, 규제자유
특구와 같은 R&D 거점 간 공간적・기능적 연계 강화를 통해 글로컬 클러스터를 고도화하고,
산업의 스마트화와 지역의 지역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대응하여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의 지역적 차원의 실행을 위해 지역혁신기관이
구심점이 되어 R&D 혁신자원을 연계 조정하는 지역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사업에 역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
∙148 ∙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제1절 4차 산업혁명 대응 기반 강화
1.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
가. 개요
이동통신 인프라는 디지털 뉴딜의 한 축인 ‘데이터 고속도로’의 핵심이자, 국민 편의는 물론
사회와 산업 발전의 필수 기반기술로서, 통상 10년 주기로 세대가 전환되고 있다. 2009년
4G, 2019년 5G 등 각 세대의 기술 등장 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시장 주도권을 가진 기업들의
지형이 급변했던 점을 고려할 때, 이동통신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한발 앞선 기술
개발과 표준 선점이 필수다. 이에 미국・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은 5G 다음 세대 기술인 6G
선점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6G 기술은 2028~2030년 경 상용화가 예상되며, 5G보다 50배 빠른 1Tbps급 전송 속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공중 10km까지 확대된 통신 커버리지 등 5G를 뛰어넘는 기술적 진화를
통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 고도화된 융합서비스의 대중화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코로나 19가 가져온 비대면화・디지털전환 과정에서도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네트
워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편, 우리는 세계최초 5G 상용화에 따른 성과(5G 스마트폰
세계 시장점유율 1위, 5G 장비 세계 시장점유율 3위 달성 등)에도 불구, 상용화 초기 겪고
있는 핵심부품의 높은 외산 의존도, 5G 기반 융합서비스 확산 저조 등은 향후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심화되는 글로벌 기술경쟁 속에서,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을 선점하고, 코로나
∙149 ∙
19 이후 가속화되는 비대면・디지털화에 대응하여 미래 신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국무총리 주재 제12회 과학
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발표(8.6.)하였다.
나.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상상이 현실이 되는 6G 시대 선도’를 비전으로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을 위해, 내년부터 5년 간 총 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선점한다. 플라잉카 지원을
위한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등 당장의 민간 투자가 어려운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수준의
6G 핵심기술개발을 통해 5G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중국 등 주요국
간 기술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각국의 선도 연구기관과 표준화 단체와의
기술교류를 통한 최신 기술동향 공유와 공동연구 추진 등 국제공조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부터는 자율주행차,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5G+ 5대 서비스에 Pre-6G 기술(상용화 전)을 적용하는 6G-Upgrade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 서비스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둘째, 6G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고 고부가가치 표준특허 확보를 지원한다. 내년부터 국제전기
통신연합(ITU)의 6G 국제표준화 착수가 예상되는 바, 6G 비전수립, 요구사항 정의 등 ITU의
국제 표준화 단계별 선제연구와 국제공조 강화를 통해, 표준경쟁에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우리기술의 최종 국제표준선점을 견인할 계획이다. 또한, 특허청과 협력하여,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발굴하는 표준특허 전략맵을 구축하고, 전 세계 특허분석을 통해
기업・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표준 전문
조직(연구실) 육성, 국제 표준화 회의 국내 유치, 우리기업의 국제 표준화 활동지원 등을 통해
국제표준화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역할・기여도를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셋째, 6G 핵심 부품・장비의 국산화 기반 마련과 최고급 인재양성을 통해 튼튼한 연구 기반과
산업성장의 토양을 조성한다. 6G 핵심기술 요구 성능 검증과 핵심부품・장비의 국산화에 활용
될 수 있는 시작품(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을 개발하고, 상용화 시점에는 유망 중소
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위한 바우처 방식 R&D를 지원할 예정이다. 재직자 대상 이론교육, 학생
대상 현장학습 등 R&D 참여 대학(원)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온라인 공개강좌 플랫폼을
활용한 우수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공과 실시간 아이디어・노하우 공유 플랫폼 마련 등을 통해
∙150 ∙
6G 전문인재 양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정부는 「6G R&D 전략」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의 역량을 결집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업계와
관련 전문가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추진현황, 성과를 공유・검증
하여, 국제 표준화 동향, 시장 요구사항 등을 고려, 필요 시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5G에 이어 6G에서도 세계최초 상용화를 실현하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6G 핵심표준특허 보유 세계 1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장비 시장 점유율 세계 2위 등을 목표로 6G 기반을 만들어 갈 것이다. 또한, 5G에서는
부족했던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육성하여 국내 네트워크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6G 관련
보안 산업과 융합서비스 시장도 발굴, 육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모든 국민이 원하는 모든 곳
에서 사람과 사물 구분 없이 통신할 수 있는 미래 초현실 시대를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
이다.
∙151 ∙
2. ICT 분야 경쟁력 강화
2020년도에는 5G에 기반한 미래 융합 신산업 육성 및 창의적 경쟁과 협업을 유도하여 성과
제고를 유인하기 위한 ICT 연구개발사업의 지속적인 투자와 ICT R&D 산출물의 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사업화, 그리고 우리 기술의 국제적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표준화 사업을 추진하
였다.
가. ICT 연구개발사업
1)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전략의 핵심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 5G 기술・제품・서비스 개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전략적 ICT R&D 투자 방향을 마련하고자 2026년까지 우리나라가 확보
가능한 세계최초・최고 수준의 제품(서비스)으로서 시장에서 해당 전략품목의 획기적인 점유
확대가 기대・예상되는 10대 핵심산업・5대 핵심서비스 등 15대 전략품목을 선정하여 로드맵
(2019∼2026)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5G+ 전략품목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하였다.
<표 2-37> 5G+ 전략 품목
구 분 ICT R&D 기술로드맵 분야
5G+ 핵심산업
네트워크・단말 ➊네트워크 장비, ➋차세대 (5G)스마트폰
스마트 디바이스 ➌VR・AR 디바이스, ➍웨어러블 디바이스, ➎지능형 CCTV
무인이동체 ➏(미래형) 드론, ➐(커넥티드) 로봇, ➑(차량용) 5G V2X
보안・컴퓨팅 ➒정보보안, ➓엣지컴퓨팅
5G+ 핵심서비스 서비스 ➊실감콘텐츠, ➋스마트공장, ➌자율주행차, ➍스마트시티, ➎디지털헬스케어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D・N・A(데이터(D)・네트워크(N)・인공지능(A)) 핵심
분야 기술개발 투자를 연계하고, 방송-통신망 융합 등 방송・콘텐츠 핵심기술 개발, 클라우드
엣지 등 소프트웨어(SW)컴퓨팅 핵심 원천 기술개발, 5G 서비스 개시, 인공지능(AI) 보편화 등
보안위협 대응력 강화 및 안전한 서비스 인프라 확보, 양자센서 등 ICT 디바이스 기술경쟁력
확보, 블록체인 및 ICT융합을 통한 ICT 신산업 육성 등에 집중하였으며, ICT 기반 사회문제
해결 연구개발 전담사업을 신규 추진하여 체계적으로 사회문제 해결 R&D 추진의 기틀을 마련
하였고, 5G 기반 융합서비스 실증・확산을 위한 범부처 기가코리아사업에 지원을 지속하였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우리나라 경제・사회 전반의 비대면화(Untact)와 디지털 전환(Digital
∙152 ∙
Transformation) 등이 가속화됨에 따라 단기간(1∼2년) 내 비대면 비즈니스에 필요한 ICT
특화기술을 신속히 개발하고 기(旣) 보유기술 고도화를 통한 비대면 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비대면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영상회의 및 원격 협업, 교육 등에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비대면
특화기술 개발을 추경사업을 통해 본격화하였다.
한편, 민간의 창의・도전적 아이디어 발굴을 지원하고, 연구자 간 경쟁을 통해 성과제고를
유인하기 위해 R&D사업에 복수의 연구주체를 선정하는 경쟁방식을 확대하였으며, 특히 민간의
자율적인 경쟁을 기반으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술경진대회(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여 우승팀에
후속연구를 지원하는 방식도 추진하였다. 아울러 협업과 개방을 통한 연구개발 효용성을 높여
연구개발 결과물이 국민들의 실생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타 부처 및 지자체 등의 수요를
적극 반영한 협업형 R&D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기초연구결과물을 ICT로 연계하여 혁신적인
응용 성과로 도출하기 위해 과학기술과 ICT 간의 이어달리기 연구개발을 본격화하였다.
2) 주요 성과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중심의 혁신성장과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미래 유망분야 핵심기술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다. 기술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ICT융합 분야에서는 서울시 신고 기준의 범죄 유형 31종에 대한 유형 예측 87.8% 정확도를
달성하여 수사데이터(KICS) 및 과학수사데이터(SCAS) 가상데이터 5,000건을 생성 완료(2020.11.)
하였으며, 지하 공동구의 재난상황을 조기 예측하고 사전 대응이 가능한 디지털 트윈 기반의
재난안전관리 통합 플랫폼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통신・전파 분야에서는 5G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5G 장비 부품 국산화 추진을 본격화하였으며 5G 통신 음영지역 및 인구
밀집 지역에서 사용자의 전송용량 증대와 체감통신 속도를 높이는 28㎓ 대역 5G 스몰셀
소프트웨어(SW) 기술을 개발하고, S대역(3.6㎓∼3.8㎓)에서 동작하는 40W급 고출력・고효율의
5G 기지국용 GaN-on-Diamond 전력 증폭기, 산불확산예측과 재발화 감시 모니터링 등이
가능한 수 밀리터급 Disposable IoT 단말 및 PoC 서비스, 세계 최고 수준의 수신칩 소모전력
0.5mW의 새로운 변조방식 기반의 초소형 IoT용 초저전력 송수신칩을 개발하였다. 방송콘텐츠
에서는 ATSC 3.0 기반 세계최초 재난방송 송수신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를 목적으로 이동
환경에서의 리치미디어 UHD 재난방송서비스 기술 시연(2020.8.)을 하였으며, VR 이용에 따른
어지럼증을 사용자 특성 기반으로 해결 및 조절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표준화를 진행 중
이다. 인공지능・데이터 분야는 중환자실 및 일반병동 내의 주요 이벤트를 조기에 예측하여 의료진
에게 알람 및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고도화하였고, 기존 언어분석 모델
대비 오류를 40% 개선한 구어체 형태소 분석, 개체명 인식 OpenAPI 공개 및 빅데이터 기반
∙153 ∙
교통혼잡 예측,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대전시 일부 교차로에 시범 적용하였다. 소프트
웨어(SW)・클라우드 분야에서는 디바이스상의 시각정보 처리 기능을 병렬 컴퓨팅 기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경량화된 온디바이스 비전 처리 플랫폼을 개발하여 국내 최초 국제표준
OpenVX CT 인증을 획득하였고, 8대 질환4)에 대해 의료 빅데이터를 통해 진단 치료를 지원
하는 AI의사(Dr.Answer)를 개발하여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방위부(MNG-HA) 데이터센터 접속을
통한 원격 설치로 교차검증 추진 중이다. 또한 주조해석 소프트웨어(SW) 분야에서 세계 최고
기술력 보유, 주조결함/금속조직을 연계한 통합 열변형 해석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
하여 수출까지 연계되었다. 차세대보안 분야에서는 5G 비단독모드(4G/5G 기지국 및 4G 코어망
혼용 운영 방식) 코어망 전용 침해 대응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이통사 5G 시험망에 적용・실증
하였으며, 온라인 학습 기반 클라우드 인식망 인큐베이팅 플랫폼을 개발하여 선제적 위험에
대응 가능한 지능형 영상인식 솔루션을 확보하였다. 디바이스・양자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자율
주행차, 고성능 서버 등 인공지능을 활용한 1초당 40조회 연산가능, 소모전력 15W인 세계최고
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또한 상온 동작 양자컴퓨터 하드웨어(HW)
구현을 위한 4큐비트 양자 광집적회로를 개발하였다. 블록체인 분야에서는 부정거래・수급
방지를 위해 부정거래 정보공유 블록체인 플랫폼 일반 이용자 대상의 웹 서비스 제공 및 분산
신원(DID) ‘마이키핀’을 연동하였으며, 전자문서 정보와 유통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위변조 방지 및 진위검증 가능한 다큐체인을 개발하였다.
한편, 정책적으로 세계최초 5G 상용화 이후 글로벌 이동통신 기술경쟁력 및 리더쉽 확보를
위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발표(2020.10.) 등 인공지능・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핵심 전략 수립 및 다부처 협력을 추진하였으며, 인공지능융합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인공지능 전문기업을 육성함으로써, 인공지능 분야 산업생산성 및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나. ICT 기술사업화
1) 개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AI), ICBM(IoT, Cloud, BigData, Mobile) 등
관련 핵심기술은 전 산업 분야에 확산, 기업・산업 및 국가경쟁력의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시장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는 공급자 중심의 R&D 지원 방식은 중소기업의 맞춤형 수요와 빠른
사업화를 지원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정부투자가 실질적인 사업화로 잘 이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4) 8대 질환 : 심뇌혈관, 심장질환,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치매, 뇌전증, 소아희귀난치성유전질환
∙154 ∙
발생되어 왔다.
이에, 정부는 사업화 성공률을 높여 R&D 예산 투자효율성을 개선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신시장
조기 창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ICT R&D 바우처’를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지원(총 164개 과제, 617억 원)하였으며, 4년간 지원한 선행 사업의
우수한 성과를 토대로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의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2019.10.)시킴으로써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3,224.1억 원(국고 2,320.2
억 원) 규모로 지원하게 되었고, 이는 ICT 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이 출연(연), 대학 등
연구기관을 통해 사업화에 필요한 ICT 기술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제품화・사업화에 이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
<표 2-38> 2020년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예산 및 중점 추진내용
사업명 2020년 예산 중점 추진내용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
128.54억 원
∙ (융합촉진형)1년 이내 단기사업화가 가능한 ICT 기반 이종기술・산업간 융합 신제품・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지원(18개 과제)
∙ (중기지원형)ICT 혁신기술(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을 통한 ICT 기반 이종기술・
산업간 융합 신제품・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지원(13개 과제)
2) 주요 성과
2020년에는 대학・출연(연) 등이 보유한 ICT 핵심기술을 빠른 시간 내에 전 산업 분야로
확산하여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총 31개 과제(128.54억
원)를 지원하였다. 지원과제의 성격에 따라 전 산업 분야에 ICT 기술의 빠른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융합촉진형’과 한 단계 높은 ICT 융합기술의 확보를 지원하는 ‘중기지원형’으로 구분하여
사업 기간과 예산을 달리하여 지원하였으며, 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개발해 줄 기관을 찾아주기
위해 기술수요기업과 기술공급 가능기관 간 만남의 장인 ICT R&D 혁신 바우처 매칭데이
행사를 개최하여 총 54개 과제에 대한 기술매칭을 성사시키는 등 사업성과 제고 및 타 사업과의
차별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주)트루윈은 나노종합기술원에서 MEMS 반도체 공정기술을
지원받아 비냉각형 열영상 카메라인 “Thermo B 모델”을 출시하여 올해 9.3억 원의 매출실적을
거두었으며, 코로나 19로 인한 해외에서의 주문확대로 2022년까지 약 104억 원의 매출이 예상
되는 등 동 사업은 빠른 사업화 지원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신시장 창출 및 혁신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155 ∙
<표 2-39> 2020년 기술사업화 사업 주요 성과
기존제품 성능 도약 신제품 개발 기존 제품에 ICT 기반 융합 신제품
((주)트루윈 사례)
∙ 주관기업 : 열영상 모듈 및 데모시스템
∙ 공동기관 : MEMS 반도체 공정기술
∙ 융합결과 : MEMS 반도체 공정기술을 활용해 높은 해상도와
작은 사이즈의 열영상 시스템 개발하여 체온 측정을 통한 발열
전염병 예방 및 보안활동 등에 활용
열영상 모듈 시스템 + MEMS 반도체 공정기술
⇒ 고해상도・초소형 열영상 센서 및 모듈
((주)세이브에너지 사례)
∙ 주관기업 : 태양광발전시스템 및 ESS
∙ 공동기관 : 전력관리시스템EMS 및 화재예방시스템
∙ 융합결과 : 태양광 ESS에서 발생하는 로우데이터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EMS에서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조건을
ESS에 적용함으로써 배터리 성능 최적화 및 화재예방
태양광발전시스템 + 빅데이터기반 전력관리시스템
⇒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ESS
2014년을 시작으로 해마다 개최된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은 ICT R&D 성과의 확산과
기술거래・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대표적인 정부 행사로서 매년 12만 명 이상이 참관하는 공공
연구결과물 전시 및 기술교류의 장이다. 특히, 코로나 19의 방지를 위해 2020년은 증강・가상
현실(AR・VR) 중심의 온라인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플랫폼을 구축하여, 25개의 온라인
전시관 운영과 다수의 우수공공기술을 온라인으로 전시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기술수요자와
공급자 간 기술교류의 장을 마련하였다.
<표 2-40> 2020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2020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플랫폼 2020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 온라인 전시홀
∙156 ∙
정부는 ICT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ICT 기반 융합을 촉진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에 능동적
으로 대응하고, 신시장 창출이 가능하도록 ICT 기술사업화를 확대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2021년은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에 총 547.26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매칭코디네이터
및 기술매칭플랫폼(EZ-Matching) 운영을 통하여 기술매칭을 활성화하고,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위해 후속 연계가능 사업을 발굴하는 등 ICT 기술사업화를 촉진할 예정이다.
다. 표준 특허경쟁력
1) 개요
ICT 표준은 제품・서비스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하여 ICT 시스템・단말・서비스 간 정보 교환
및 처리 등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규격으로, 사람 간의 통신에 언어가 필요하듯 ICT 시스템・
단말・서비스에는 표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산업 간의 기술 융복합화가
진행되면서 단일 제품・서비스 호환을 넘어 시스템 간・산업 간・이해관계자 등 모든 것이 네트
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로 인식됨에 따라 ICT 표준의 중요성은 더욱 커
지고 있다.
1997년부터 시작된 ICT 표준화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 ICT 표준 중심의 디지털 경제
실현과 전(全) 산업 분야의 혁신 촉진을 위하여 현재 ‘표준개발’과 ‘표준화 활동’ 내역사업 2
가지로 나누어 지원 중이다. 우선 ‘표준개발’의 경우, 우리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신시장 선점을 목표로 선제적 표준개발이 가능한 핵심기술을 지원 중이며,
‘표준화 활동’의 경우, ICT 표준화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ICT 표준화 전략 수립, 국내 ICT
표준 제・개정, 국제표준전문가 지원, 국제표준화기구 대응, ICT 표준 보급・확산 등 국내・외
다양한 ICT 표준화 활동을 위한 기반체제를 지원하고 있다.
2) 주요 성과
2020년도 ICT 표준화 사업은 4차 산업혁명 조기실현 및 확산을 위해 미래 ICT 분야의 핵심
표준화 이슈를 발굴하고 이중 선제적 표준이 가능한 분야를 지정하여 지원하는 ‘정책실현형’
과제 유형과 국내 보유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신속히 채택될 수 있도록 중소・중견기업 주도의
표준개발을 지원하는 ‘자유공모’ 과제 유형으로 나누어 지원했다.
또한, 올해 처음으로 ‘표준특허’를 목표로 하는 신규과제(2개)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표준화사업’과 특허청의 ‘표준특허창출지원사업’을 연계하여 3년 동안 공동으로 밀착지원을
∙157 ∙
시작했다. ‘표준특허’란, 국제 표준화기구를 타겟으로 표준을 개발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국제
특허 등록을 완료한 기술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특허청이 제공하는
‘표준특허 전략’을 바탕으로 완성도 높은 표준개발을 지원하고, 특허청은 표준문서와 기존 특허를
분석하여 특허출원 및 보정전략 등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한다.
뉴노멀시대, ICT 표준 기반 디지털 뉴딜 정책 실현 가속화를 위해 ICT 표준화 가치사슬(표준
기획→표준개발→국내표준화→국제표준화→보급・확산)에 따른 5G, 인공지능(AI) 등 D.N.A
및 스마트-X 등 ICT 융합 분야에서의 글로벌 이니셔티브 확보와 국제표준 선점을 위한 ICT
표준화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였다.
첫째, 표준화 전문가 340명이 참여하여 디지털 뉴딜 기반의 17개 중점기술 분야, 275개
항목별 표준화 대응 전략이 제시된 ICT 표준화전략맵 Ver.2021을 수립하였으며, 스마트이동체,
스마트에너지 분야 표준 프레임워크, 오픈소스 연계, 코로나 19 대응 등 미래 이슈에 대비하기
위한 표준화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81개의 표준화위원회 활동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 및 공공안전・생활밀착형
ICT 단체표준 286건을 제・개정하였으며, 시장 중심의 글로벌 사실표준화 대응을 위한 미러
포럼 및 ‘학습혁명포럼’, ‘분산신원증명포럼’ 등 ICT 기반 비대면・탈중앙 분야 포함 40개의
ICT 표준화 포럼을 선정・지원하였다.
셋째, ICT 국제표준화 직무・지식체계 기반 교육과정・교재 22종을 개발하여 744명의 교육
수료자를 배출하였으며, 대학특강, 표준기술 세미나, IPR 세미나 등을 개최하여 표준화 역량을
강화하였다. 이와 함께 ICT 국제표준화 전문가 270명을 확보하였으며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142명(263개 의석)이 진출하였다.
넷째, 표준으로 성공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27개사 대상으로 약 86회의 맞춤형 표준
자문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1,496명이 시청한 글로벌 ICT표준 컨퍼런스(GISC2020) 개최,
120어의 ICT 표준용어, 표준 자문 성공기업 소개, 표준해설서, 표준적용 가이드 보급 등 표준
인식 저변 확대에 기여하였다.
2021년은 ICT 표준화 사업을 위한 ‘도약의 해’라고 할 수 있다. ‘표준개발’ 내역사업의 경우,
기존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지원 단일트랙에서, 범부처가 협력하여 융합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ICT 표준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범부처 협력 표준개발」, 시장파급력이 높은 기술
분야에 대하여 표준과 오픈소스를 동시 개발하는 「오픈소스 연계 표준개발」, 그리고 국제표준화
주도권 확보가 필요한 분야에 대한 표준화 의제 선점 및 오피니언 리더 양성을 위한 중장기
∙158 ∙
「표준 전문연구실」 등 지원트랙을 다각화하였다.
‘표준화 활동’ 내역사업의 경우, 한국의 글로벌 ICT 표준화 위상 강화를 위하여 국제공식
및 사실표준화기구에 적극 대응하고, 주요국 ICT 표준화협의체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표준화
협력・공조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중소기업 표준화 역량 강화 및 ICT 융합형 표준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표준 강소기업 육성의 발판을 마련할 것이며, 2020년 5월 연구성과평가
법5) 개정에 발맞춰 ICT 표준 연구성과 검증・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마련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할 예정이다.
5)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 제12조, 제13조
∙159 ∙
제2절 혁신성장동력 육성
가. 개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새로운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과학기술 기반
성장동력의 전략적 육성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2020년에는 비대면 분야 규제를 선제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가상・증상현실(VR・AR) 분야 규제혁신을 추진하는 한편, 현 정부 3년차를 맞아
13대 성장동력 분야의 공공 및 민간 성과에 대한 중간점검을 실시하였다. 또한, 10년 후의
대한민국 미래를 뒷받침하는 미래유망 성장동력 후보군을 발굴하였으며, 성장동력 분야의 연구
개발 성과가 신시장・서비스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융합・실증기획사업을 본격 추진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가상・증상현실 분야 선제적 규제 혁신
2020년도에는 비대면 분야 성장동력의 적시 시장 창출을 위한 규제 이슈를 사전에 발굴하고
선제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가상・증상현실(VR・AR)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이는
한국판 뉴딜 관련 첫 번째 규제혁신 사례이자, 자율주행차 드론, 수소차・전기차에 이어 신산업
분야에서 4번째로 수립된 규제혁신 로드맵이다.
2019년 8월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산업통상자원부・교육부 등
16개 부・처・청과 산・학・연 전문가가 협력하고 소통하면서 가상・증강현실 기술발전 방향과
분야별 서비스 적용・확산 시나리오를 토대로 규제 이슈를 발굴하는 3단계 과정을 거쳐 로드
맵을 수립했다. 첫 번째 단계로 미래 기술의 발전 방향과 본격 상용화 시기를 단계적으로 예측한
후 기술발전에 따라 엔터・문화, 교육, 제조, 교통, 의료, 공공 등 6대 주요 적용 분야 및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서비스 확산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야별 서비스 확산 시나리오에 따라 예상되는 총 35건의 규제이슈를 발굴하여 새로운 서비스의
적시 출시가 가능하도록 서비스 확산 시나리오보다 선행하는 규제혁신 로드맵을 수립하였다.
금번 로드맵에서는 혁신대상 규제로 범분야 공통적용 10개와 엔터・문화, 교육, 교통, 의료
등 6대 분야별 25개의 총 35개 규제이슈를 발굴하였으며, 신제품과 신서비스 출시를 우선 허용
하고, 필요 시 사후 규제하는 방식의 네거티브 규제 개선 방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규제 발굴
과정에서 산업계 간담회 개최 등 업계 의견이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번에 수립
된 가상・증강현실 규제혁신 로드맵은 실감콘텐츠 기술 등 관련 산업 육성을 촉진하고 디지털
뉴딜을 뒷받침하여 관련 산업 등 다방면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160 ∙
[그림 2-43] VR・AR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주요내용
2) 성장동력 분야 공공 및 민간 성과 점검
2020년에는 현 정부 성장동력 육성 3년차를 맞아 그간의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정책과제
도출을 위해 공공 및 민간분야 중간점검을 실시하였다. 중간점검은 현황 분석, 정책우선순위
도출 및 정책과제 도출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 현황 분석 단계에서는 민간실태조사, 공공
추진실적 점검 및 기술수준과 유망성을 분석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정책에 대한 만족도・중요도
기반의 IPA 분석을 실시하고, 3단계 정책과제 도출 단계에서는 정부의 중점투자기술군과 정책
아젠다 및 세부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단계별 세부 추진내용은 다음과 같다.
[1단계] 현황 분석 [2단계] 정책우선순위 도출 [3단계] 정책과제 도출
① 민간 실태조사
② 공공추진실적 점검
③ 기술수준/유망성 분석
④ 정책에 대한 만족도, 중요도 기반의
IPA
⑤ 정부 중점투자기술군
⑥ 정책 아젠다 및 세부추진과제
[그림 2-44] 성장동력정책 중간점검 절차
첫 번째 단계로, 13대 성장동력의 252개 핵심기술과 연관된 국내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민간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3년간의
연구개발 및 시설 투자 현황, 전체 종사자 및 연구개발인력 등 고용 현황, 매출액 및 수출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조사는 크게 표본설계・추출, 설문조사, 모수추정 및 검증의 4단계로
진행되었다. 표본설계・추출은 성장동력 관련 국내 특허(2015년~2019년)를 추출하여 특허와
기업 매칭을 통해 조사대상 기업(9,348개)을 확정하고 종사자 규모 등을 고려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2개월간의 설문조사를 통해 총 1,450개사의 조사결과를 확보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모수를 추정하였고, 성장동력 추진체계 위원 등
∙161 ∙
전문가와 분야별 협회 등 산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검증과정을 거쳤다.
두 번째 단계로, 13대 성장동력 분야별 주관부처를 대상으로 혁신성장동력 시행계획(2018.5.)
수립 이후 현재까지의 공공분야 추진실적을 점검하였다. 점검 항목은 시행계획 추진목표 대비
현재 수준, 대표성과, 로드맵 추진과제별 세부 현황, 향후 추진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로드맵 추진과제별 세부 현황은 연구개발, 실증・시범사업, 인프라 구축, 규제개선 등 분야별로
시행계획 수립 당시 제시한 추진과제의 달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성장동력 분야별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특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특허는 2009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한국, 미국, 일본, EU 특허
청에 공개된 성장동력 분야의 핵심기술 252개와 관련된 특허 40만 4,133건이다. 특허점유율,
피인용도, 주요국 특허확보율 지표를 활용하여 기술경쟁력 지수를 산출하였고, 기술부상도,
해외시장확보, 특허장벽도를 활용하여 기술유망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핵심기술별 정부
중점투자기술군을 도출하기 위해 기술・산업・정책 전문가 59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총 252개의 성장동력 핵심기술 중 분야별 정부 중점 투자가 필요한
핵심기술군 선정과 정부지원 근거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공급망(GVC, Global Value Chain) 개편 등 그간 국내외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성장동력 분야 정책우선순위를 도출하였고 향후 정부 역량을 집중해야 할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분야별 정책과제 발굴을 위해 성장동력 분야별 기술・산업・정책 전문가 5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나타난 정책 만족도와 중요도를 바탕으로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수행하여 정책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은
정책적 우선순위가 높은 정책영역을 분야별로 2~4개 선정하였다. 선정된 정책영역별로 전문가
검토를 통해 정책아젠다와 정책과제로 구체화하였다.
3) 미래 유망 성장동력 후보 아이템 발굴
2020년도에는 현 정부의 대표 혁신성장 정책인 ‘DNA(빅데이터, 5G, AI)+BIG3(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의 뒤를 이어 향후 10년 후의 대한민국 미래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성장동력 후보군 발굴을 위한 노력도 병행하였다. 이번 성장동력 발굴 과정에서는 ‘기술 주도’
(Tech Push) 관점 이외에 미래의 메가 트렌드 기반으로 국민・사회적 수요를 반영하는 ‘시장
지향’(Market Pull)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특히, 앞으로의 사회가 ‘인구 구조 변화
(초고령화, 1인가구 증가 등)로 인한 수요의 다변화’, ‘기후・환경 변화의 위기’, ‘기술 혁신・융합
가속화’라는 메가 트렌드로 변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성장동력 유망 후보 분야를 발굴
하였다. 먼저, 첫 번째 메가 트렌드인 ‘개인・사회 수요의 다변화’와 관련해서는 ‘휴먼 증강 슈트’,
∙162 ∙
‘차세대 건강・예방 솔루션’, ‘마이크로 바이옴’, ‘스마트 공간 정보’의 성장동력 후보군을 도출
하였으며, 두 번째 메가 트렌드인 ‘기후・환경 변화의 위기’와 관련해서는 ‘바이오・재생 플라
스틱’, ‘바이오 푸드’, ‘고밀도・플렉서블 배터리’, ‘자율운항선박’, ‘신재생 화학공정’의 성장동력
후보군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 혁신・융합 가속화’와 관련해서는 ‘미래형 디스플레이’,
‘오가노이드’, ‘유전자 편집’, ‘양자정보컴퓨팅’, ‘스마트공장’ 후보군을 도출하였다. 총 14개
성장동력 후보군은 혁신성장 정책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며, 앞
으로의 우리나라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성장동력 분야 실증 지원 사업 본격 추진
2020년도에는 “혁신성장동력 실증・기획 지원 사업”을 74.1억 원의 예산으로 추진하였다.
성장동력 기술분야 간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실증을 추진함으로써 그간 범정부 차원에서 육
성해왔던 성장동력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가 신서비스・제품의 신시장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ICT 기반 가상현실 어린이
안전 스포츠시스템 융합기술
실증기획
AI기반 홍수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한 독립형
홍수예경보시스템 실증화
5G 기반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 드론 운용 플랫폼 개발
통합환경관리 기반 Smart
Port 사업모델 실증・기획
인체통신기반 개인 일상정보
기록 시스템 활용 실증 기획
IoT 기반의 빛공해
측정・통합조회서비스 실증
무선 환경모니터링 기술 기반
실내공기질 예보 서비스
스마트 항만 환경관리
플랫폼 실증・기획
[그림 2-45] 2019년도 실증 지원 과제
∙163 ∙
2019년 하반기에 선정된 8개 실증과제의 경우 코로나 19로 인해 초등학교・항만 등 실증장소
출입이 어려워지고, 실증장비의 수입 및 설치가 지연되는 등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연구
기관들의 애로사항을 조사하여 2020년 5월 협약 변경을 통해 당초 2020년 12월까지였던 연구
기간을 2021년 3월까지로 연장하고 출입이 어려운 실증장소를 다른 곳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하반기에는 연구기관들이 요청한 조달・특허・홍보・회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대면・비대면 컨설팅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인체통신기반 개인 일상정보 기록 시스템
활용 실증 기획’ 과제의 경우 2020년 정부혁신박람회 부처 대표 사례로 전시되었으며, 2021년
유엔공공행정상 공모에도 출품을 하여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Telefonica(스페인 이동
통신사), Orange(프랑스 이동통신사), REDIT(칠레 IoT기업) 등과 투자협의를 진행하는 등의
경제적 성과도 거두었다. 빛공해 측정・통합조회 서비스의 여수 등 타 지자체 납품, 인공지능
(AI) 기반 홍수 예경보 시스템의 필리핀 ODA 사업 선정 등 타 과제들도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
하고 있다. 2021년 상반기 완료되는 과제들은 혁신조달(혁신제품, 혁신시제품, 우수조달품목)
으로 연계하여 시장 초기 판로 개척을 지원할 예정이다.
난소암 항암치료제 선별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 HRD 검사 실증
TMS를 위한 자동화시스템 개발
네트워크 기반 현장형 혈구
분석용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
4D 이미지 레이다 적용
자율주행차 실증 및 사업화
질병조기발견 및 성장관리를
통한 송아지 개체관리 솔루션
실증
도로교통 CCTV 영상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SafeWay
정보서비스 실증
퀀텀닷소재 광합성기술 기반
스마트 농장 작물 빅데이터
관리재배 실증
인공지능 LiDAR 기반 스마트
시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저가형
5G Edge Device 개발
[그림 2-46] 2020년도 실증 지원 과제
∙164 ∙
2020년에는 성장동력 8대 조기상용화 분야 우수 성과물을 보유한 기업이 기술소관 부처,
지역 등에 구애받지 않고 창의적인 사업모델을 제안할 수 있도록 상향식(bottom-up) 방식으로
과제를 발굴하였다. 71개 신청과제를 대상으로 서면・발표평가를 거쳐 16개 사전기획과제를
7월 선정하였으며 약 2개월간 기획한 사전기획 결과를 평가하여 8개의 실증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증 지원 과제에 대해서는 9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약 18개월 동안 지원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금번에 수립된 가상・증상현실 규제혁신 로드맵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범부처・민간 협의체를
운영하여 35개 과제별 추진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13대 성장동력
분야 중간점검 결과를 기반으로 성장동력 분야 성과 창출이 가시화될 수 있도록 각 성장동력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 지원 및 규제・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성장동력 주관부처들의 우수 R&D 성과를 실증과제로 연계하여 혁신성・효율성을 향상하시고,
공공조달 연계 등을 통해 실증성과의 시장창출에 중점을 두어 성과 가시화에 속도를 더할
계획이다.
∙165 ∙
제3절 제조업 재도약 및 서비스업 육성
가. 개요
우리나라는 제조업 기반 수출주도 성장전략으로 산업 발전을 이뤄왔으나,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중 패권경쟁 등으로 인한 글로벌 가치사슬(GVC) 약화, 코로나 19로 인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 공급망 재편 등의 대외 정세와 주력 산업의 활력 저하, 신산업 창출 미흡 등의 국내
정세로 인해 제조업 경기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높은 제조업 경쟁력을
살려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바, 산업구조 고도화와 체질 개선에 박차를
가하여 주력 산업의 생태계 수성과 신산업의 주력 산업화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20년에는 제조업 관련 다양한 경쟁력 강화대책 및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Big3 산업(반도체, 바이오, 미래차)을 선정하여 투자를 집중하고, 투자를 성과로 연결하기 위한
사업화 정책 등 생태계 구축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2019년 소재・부품・장비 위기 극복 경험을
토대로 산업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고, 코로나 19로 인해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에 맞춰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하기 위해 산・학・연・관 연대와
협력을 통한 실행전략을 마련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코로나 이후 산업전략-포스트 코로나 5대 변화 및 8대 대응과제’ 수립
코로나 19 이후의 글로벌 경제질서 재편에 적극 대응하고자 코로나 19 이후의 경제 및 산업
변화 방향을 보건, 경제, 기업, 사회가치, 교역 등의 관점에서 ① 바이러스와의 전쟁, ② 세계화의
퇴조, ③ 비대면 경제의 급부상, ④ 에너지 산업 변화(저유가 기조 장기화), ⑤ 고비용 경영 시대
도래 등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8대 핵심 대응과제로 ① K-방역・K-바이오 글로벌 상품화, ② 산업현장 대응력 강화,
③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 및 청정 생산기지 구축, ④ 비대면산업 육성, ⑤ 산업구조의
친환경 전환, ⑥ 기업활력 촉진 및 사업재편 활성화, ⑦ 기업 간 연대 및 협력, ⑧ 글로벌 협력
리더십 등으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166 ∙
2)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 수립
디지털 기술을 통해 산업혁신을 달성하고 세계 4대 산업강국으로 도약하고자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발표하였다. 동 전략의 목표는 대-중견-중소기업 협업을 통해 산업
전반에 DNA(Data, Network, AI) 기술을 접목하여 산업의 가치사슬을 혁신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었다. 이를 위해 업종별로 데이터를 수집・활용하여 지능형 가치사슬로 전환하고,
성공사례를 창출하여 신(新)제품・서비스로 확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업종별 문제해결형
데이터 수집・활용을 촉진하고 공공 데이터를 개방, 공유하여 민간의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하는
한편, 제품기획, R&D, 설계, 생산공정, 유통 및 물류 시스템 전반의 지능화를 지원하여, 선도
사례를 창출하고 디지털 기반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 2-47] 데이터 활용 유형에 따른 지원체계 구축 전략
또한, 민간 중심의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산업데이터 활용을 위해 산업 데이터 및 인공지능
(AI) 활용・촉진과 관련된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고, 디지털 핵심 부품장비(차세대 반도체, 스마트
센서, 임베디드 인공지능(AI), 인공지능(AI) 융합 로봇 등) 개발 지원 계획을 제시하였으며, 산업
디지털 혁신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산업 인공지능(AI) 융합인재 양성 계획을 수립・추진
하였고, 글로벌 개방형 혁신 전략을 통해 국제 상호 운영성 확보와 이의 실현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167 ∙
3) 업종별・분야별 비전 및 전략 발표
가) 반도체 산업 육성
글로벌 시장에서 지배적인 선도 기업이 등장하지 않은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해 2019년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에 뒤이어 2020년에는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동 전략은 ‘퍼스트무버형 혁신 기술・인재 확보’와 ‘혁신
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뉴로모픽, 3세대)’ 세계 최초 개발을 목표로 인공지능 반도체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이를 위한 개발전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세계 최고 메모리 기반의
신개념 PIM 반도체(메모리+프로세서 통합) 개발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반도체 분야
에서의 기술사업화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인공지능・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소프트웨어 기업의
기술적 애로 해소를 지원하였으며, 인공지능 반도체 차세대 전문인재 양성에 집중하였다.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자 민간과 공공의 수요를 창출하여 시장을 확대하고, 설계
역량 강화를 위해 연대와 협력의 생태계 조성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규모 성장자금을 확보하여 지원하고 인공지능 반도체 팹리스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기존의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차세대 반도체 설계기술, 미세
공정용 장비・공정기술 등에 대한 투자도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이어
나갔다.
나)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
미래자동차 산업은 전기차, 수소차 등이 등장하면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으로 육성해야만 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산업기술인력 전망을 기초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을 발표하였으며, 기존 자동차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까지 지원하였다.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에서는 2025년까지의 비전을 미래차 중심 사회 및 산업
생태계 구축으로 설정하고,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 국내 보급과 전기・수소차 수출
53만대라는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제시하였다.
2025년까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첫째 미래차 보급정책(보조금・세제정책 개편, 충전・
주차 편의 강화, 대규모 수요자의 환경 개선 책임이행 등)을 다각화하고, 두 번째로 미래차 및
핵심부품, 신(新)비즈니스 모델 등 새로운 수출품목을 집중 육성하는 한편, 마지막으로 부품기업,
∙168 ∙
정비체계, 인력 등 산업생태계도 미래차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마련
하여 추진하였다. 2020년 세부 정책과제로는 ① 편의・가격・수요 3대 혁신을 통한 미래차 친화적
사회시스템 실현, ② 미래차와 전・후방 연관산업의 수출 주력 산업으로의 육성, ③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서비스 활성화, ④ 미래차 생태계로의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다) 바이오산업 육성 및 사업화 촉진
바이오・헬스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는 유망 신산업으로 정부도 Big3 산업(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으로 지정하여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그간의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은
기술개발, 규제해소, 생산 및 수출 확대 중심이었으나, 기업의 투자를 성과로 연결하기 위한
사업화・시장 진출 정책과 이를 통한 산업 전반의 성장 선순환 체계 구축으로 전환하기 시작
하였다.
‘바이오산업 사업화 촉진 및 지역기반 고도화 전략’에서는 의약품,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
케어 분야에서의 사업화와 시장창출을 지원하고 클러스터 육성을 통한 지역기업 성장을 뒷받침
하였다. 동 전략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의약품 분야에서는 생산과 유통구조 고도화, 가치
사슬 단계별 인력양성 지원, 사업화 위험 부담 완화 등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의료기기에 대한 내수시장을 확보하고 통합형 시장진출을 지원함으로써 의료기기 업종의 경쟁력
강화를 발판을 마련하였다. 세 번째 집중 육성 분야인 디지털 헬스케어 업종에서는 기업들이
의료데이터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고 데이터의 표준화를 지원하는 한편,
제도개선 및 실증지원을 통해 초기시장 창출을 도모하였다. 마지막으로 바이오 클러스터를
육성하여 입주 기업들에 대한 지원기능(공용생산, 사업화, 실증 등의 지원)을 강화하고 혁신
주체들 간의 협력을 확대하였다.
바이오산업의 기술을 활용하여 외연을 확장하고자 화이트바이오(바이오+화학 융합) 분야에
대한 정책적 도전을 시작하였다. 화이트바이오 제품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비교적 적지만, 원료인 바이오매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소중립적인 분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 신시장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169 ∙
[그림 2-48] 화이트바이오 산업과 석유화학 산업 비교
화이트바이오 분야에서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
고자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동 전략은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분야
에서의 기술개발과 제품 보급을 확대하여 순환경제를 실현하고 정밀・특수 화학 분야의 가치
사슬을 강화하여 화이트바이오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인력양성, 해외시장
개척, 상용화 지원, 인증제도 현실화, 바이오플라스틱 처리 시스템 등의 기반을 확충하여 바이오
산업 전반에서의 사업화 및 시장확대 정책에 부응하였다.
라)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
2019년 수출규제를 시작으로 코로나 19, 미・중 무역 분쟁 등 연속적인 충격으로 우리 공
급망의 불확실성이 확대되었으나, 민・관의 신속한 대응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2019.8.5.)’ 수립을 통한 자체기술 확보, 생산 다변화, M&A 등 다각적 노력을 통해 단 한건의
수급 및 생산차질 없이 실질적 공급 안정화를 달성하였다. 또한, 정책 수립과 더불어, 20년 만에
특별법을 전면 개편, 범부처 컨트롤 타워인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출범, 독립적
재원 확보를 위한 특별회계를 신설하는 등 강력한 소재・부품・장비 산업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완비하였다.
<표 2-41> 2020년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공급안정화 성과
▸(국내생산) 불화수소 생산능력 2배 확충, 불산 국내생산 성공, EUV 투자유치 등
▸(수입다변화) 대체처 발굴 및 수요기업 생산라인을 활용한 대체품 적합성 테스트
▸(재고확충) 보세구역 반출기간 연장(15일→필요기간), 보세운송 임시제공・검사생략 등
▸(신증설투자) 공장 신증설 및 인허가 절차 fast-track 적용
▸(M&A) 핵심전략품목 국내외 M&A 및 인수 프로젝트에 유동성 지원
∙170 ∙
2020년에는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넘어, 코로나 19 등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에
선제적・공세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발표하고, 글로벌 소재・부품・
장비 강국 도약과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특히 정책대상을 대일
(對日) 100대 품목에서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위해 정책 대상을 338+α로 확대 선정하여 정책의
폭과 깊이를 확장하고,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뿐 아니라 차세대 기술 투자에도 2022년까지
7조 원을 집중 투자하는 등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도 본격화하였다. 아울러, 첨단
기업 집적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화(化)를 목표로 Big3 등
차세대 유망산업을 중심으로 핵심기업 유치를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첨단투자지구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지정・육성하여, 첨단 유치・유턴에 5년간 1.5조 원을
지원하고, 첨단 투자 세액공제 강화 등 맞춤형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였다.
<표 2-42>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 기본계획 주요내용
비전 첨단산업의 세계적 클러스터화를 통한 소부장 강국(强國) 도약
추진
전략
공세적 소부장 정책 확장 + 첨단산업 강력 유치
첨단 소부장 육성을 위한 생산역량 및 공급망 강화
국내외 첨단기업 집적화로 첨단산업 글로벌 허브 구축
범부처・민관의 긴밀한 공조체계 가동을 통한 총력 지원
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소부장 강국 도약
① 미래시장 선도를 위한 소부장 개발・생산역량 확충
② 글로벌 공급망 참여 확대
③ 흔들림 없는 공급망 안정성 강화
② 첨단산업 유치 및 유턴을
통한 세계적 클러스터화(化)
① 세계적 클러스터 조성
② 첨단 R&D기능 등 지식의 On-Shoring 강화
③ 맞춤형 투자유치 인센티브 제공(전략적 유턴 지원 확대)
④ 투자협력을 위한 컨센서스 플랫폼(Sector Deal) 가동
③ 범부처・민관 총력 지원체계
지속 가동
① 범부처・민관 총력 지원체계 지속 가동
마) 기술이전 사업화 촉진계획 수립
R&D 성과가 연구실에 머무르지 않고 기업으로 활발히 이전되어 신속하게 사업화에 성공
하여 산업 혁신을 선도할 수 있도록 기술이전・사업화 지원방안을 마련하였다. 기술혁신이 체감
가능한 산업혁신이 될 수 있도록 ‘기술 → 제품 → 시장’의 간극 해소를 목표로 설정하고, 시장
수요자 중심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지능화 제고(Smart-up)・속도 제고(Speed-up)・
규모 제고(Scale-up)의 3대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 중심의 R&D 성과 창출과
∙171 ∙
효율적인 기술이전 기반을 조성하고, 투자확대를 통한 우리 기업의 사업화 역량 제고에 기여
하였다.
<표 2-43> 제7차 기술이전 사업화 촉진계획 주요내용
지능화 제고(Smart–UP)
1. 시장 중심의 R&D 성과창출
➊ 시장중심 수요연계 R&D 확대
➋ 글로벌 가치사슬(GVC) 연계 글로벌 파트너링 강화
속도 제고(Speed–UP)
2. 신속한 기술매칭 기반조성
➊ 사업화 관점의 과감한 기술이전 제도개선
➋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기술거래 플랫폼 구축
➌ 기술이전 지원조직 역량 강화
규모 제고(Scale-UP)
3. 사업화 투자 확대
➊ 연구실-시장의 간극을 메우는 상용화 R&D 확대
➋ 우수기술 사업화 자금지원 다각화
4. 시장진출・판로확대
➊ 신속한 시장진입을 위한 규제・표준・인증애로 해소
➋ 공공조달 시장을 기술기반 혁신성장 마중물로 활용
➌ 우수 기술 기반 창업 촉진
바) 산업혁신 주체 간 연대와 협력 강화
국가 간 기술경쟁이 치열해지고,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각자도생이
아닌 경제주체 간 협업이 새로운 경쟁전략으로 부상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 제조업 르네상스 등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산업혁신
주체가 힘을 모으기 위한 ‘연대와 협력 산업전략’을 수립하였다. 2021년 신규 R&D 예산의
20%(1,700억 원)를 연대・협력형 과제에 집중 배정하고, 공동사업 시 혁신기관 시설・장비
활용에 1,400억 원을 배정하였다. 이 밖에도 산업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개발・
사업화, 사업재편, 디지털・친환경 전환 등 협력 유형을 확대하였다. 국내 협력을 위해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등 입지 지원과 함께 전력・수도 등 공공인프라를 지원하고, 해외 협력을 위한
정부 간(G2G) 협력과 팀코리아 협의체 가동방안을 마련하였다.
∙172 ∙
<표 2-44> 연대와 협력 산업전략 주요내용
비전 코로나 위기 극복 및 제조업 르네상스 실현
목표 여럿이 함께 하는 연대・협력으로 튼튼한 산업생태계 구축
전략
연대・협력 유형 확산 참여주체의 확대
∙ 위기극복 및 미래준비 모델 확산
∙ 바이오・반도체 등 대표사업 추진
∙ 異업종 기업 협력 확대
∙ 경제단체・공공기관 참여
맞춤형 정책 지원 추진기반 마련
∙ 자금지원 및 수요창출
∙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 「산업발전법」 근거 마련
∙ 정부 포상 및 평가 우대
다.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라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산업현장의 활력 회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디지털과 친환경을 제조업 혁신의
원천으로 활용하여 주력산업의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신산업을 육성하여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산업의 혁신 주체인 기업과 끊임없는 소통과 교감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각종
정책지원이 신속히 이루어져 기업이 새로운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토대를 구축하고, 정부의
마중물 투자도 차질 없이 추진하여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173 ∙
제4절 과학기술 기반 고급일자리 창출
가. 추진배경
4차 산업혁명으로 신산업의 발전, 고부가가치, 전문성이 요구되는 새로운 직업군의 부상
및 기술과 시장의 급속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과학기술, ICT 기반 일자리는 약 400만 개
내외로 추산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3월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에 따르면 과학기술 및 ICT 인력 수요는 2030년까지 약 46만 명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타 분야에 비해 일자리 창출 여력이 높은 상황이다.
반면에 인구 둔화 가속화, 대외 불확실성 지속 등에 따라 고용여건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에코 세대 실업 증가 및 20대 후반 인구의 집중적인 증가로 인해 청년
실업, 자동차・조선 등 제조업 분야의 구조조정에 따른 제조업 분야 고용이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ICT 기반 일자리 창출방안(일자리위원회,
2017.12.)」을 수립하고 5년간 일자리 창출목표 26만 개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험실
일자리(실험실 창업 등), 지역 일자리(연구소기업, 특구 육성), 서비스 일자리(연구산업 활성화),
글로벌 일자리(해외진출), ICT 일자리(4차 산업혁명 핵심인프라 구축) 등 중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한다. 또한, 단기적으로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바이오,
기후기술, 무인이동체, SW, 정보보호 등의 분야에서 기업수요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미취업 이공계 인력을 훈련하는 취업연계 훈련연수를 운영하며, 출연연구기관의 체험형 인턴
등을 통해 청년에게 직무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이공계 인력의 미래성장 잠재력을 확충하고
있다.
<표 2-45> 과학기술 기반 고급일자리 창출
실험실 일자리 지역 일자리 서비스 일자리 글로벌 일자리 ICT 일자리
∙ 기술사업화
∙ 실험실창업 등
∙ 연구개발특구
∙ 연구소기업 등
∙ 연구산업
∙ 과학문화산업 등
∙ 과학기술 국제협력
∙ 해외창업지원 등
∙ 4차산업혁명 관련
핵심인프라구축
∙ 데이터인프라 구축 등
∙174 ∙
나. 주요 성과
1) 실험실 일자리
실험실 창업은 교원, 연구원, 석・박사 학생 등이 R&D 결과물인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창업
하는 연구성과 기반 창업(LAB to Market)을 의미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실험실, 창업을
연구합니다.’라는 구호 하에 석・박사생, 교원 등 대학연구자 중심의 창업 활성화를 추진하였다.
교육부・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창업친화적 제도 및 지원체계를 갖춘 대학 5개교를 ‘과기형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하고, 창업유망기술 27개에 대해 기술고도화 R&D, 기업설립 등을 지원
하였다. 이공계 대학원생 창업팀을 대상으로는 권역별 전담기관을 통해 국내・외 시장조사, 창업
아이템 검증, 제품개발 등 전담 보육을 제공하였다.
5년 이하 초기기업이 겪는 자금조달, 기술력 확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출연(연)이
보유한 우수 공공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한 사업화 R&D를 지원하였다. 특히 신시장 창출 시
파급효과가 크나 자금소요가 많은 기술적 특성으로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바이오・나노 분야를
중점 지원하였으며, 업력 3년 이하 기업의 경우 시제품 제작을 통한 보유기술의 가능성 검증
과정을 별도로 지원하여 초기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의 부족한 투자금을 정부R&D 자금지원을 통해 보완하고, 초기 기업의 매출 확대,
신규 일자리 창출 등의 선순환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과학기술 및 지식기반서비스 분야의 R&D 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일정 요건을 갖춘
기업 내 연구조직을 신고・인정하고 있다. 기업연구소는 2020년 누적 42,155개가 설립되었다.
<표 2-46> 연도별 기업연구소 설립 추이
(단위 : 개소)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연구소 32,167 35,288 37,631 39,313 40,399 40,750 42,155
전담부서 16,349 20,169 23,201 25,167 26,299 28,367 29,864
합계 48,516 55,457 60,832 64,480 66,698 69,117 72,019
기업연구소는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및 산업기술 연구개발 물품 관세 감면 등
세제지원, 전문연구요원제도 등 인력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지원 등의 혜택을 지원받는다.
이를 통해 기업연구소를 내실화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연구소뿐만 아니라 기업
전체의 고용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원・육성하고 있다.
∙175 ∙
<표 2-47> 기업연구소 지원제도
지원 분야 주 요 내 용
조세
∙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신성장동력산업 및 원천기술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연구 및 인력개발
설비투자 세액공제, 기업부설연구소용 부동산 지방세 감면, 연구전담요원 연구활동비 소득세 비과세
관세 ∙ 산업기술 연구개발물품 관세감면
인력 ∙ 전문연구요원제도, 고경력 연구인력 채용사업 등
자금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지원제도, 우수기업연구소육성(ATC+) 사업
기타 ∙ 벤처확인 및 이노비즈 인증
심각한 청년고용문제의 대책으로 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민간 이전과 대학이 배출한 졸업생의
취업 문제를 동시에 해소하기 위해 청년TLO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 산학협력단 등에서
해당 대학의 미취업 이공계 졸업생을 청년 TLO로 일정 기간 채용하여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민간기업으로 이전하거나 창업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미취업 졸업생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0년에 66개 대학에서 3,086명이 대학 연구성과 이전 및 창업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이 사업은 2018년도 추경예산으로 3년 동안 한시 추진해 온 사업으로 올해에 종료되며,
사업 종료 후에도 취업 연계, 기술이전 기여율 등을 관리하여 성공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R&D 주요 11개 부처는 R&D
재원을 활용한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청년고용 친화형 R&D 3종 패키지” 정책을 마련하여
추진 중이다. “청년고용 친화형 R&D 3종 패키지”는 청년실업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
R&D 참여 기업이 ①정부납부기술료, ②R&D 매칭 현금부담금, ③정부 R&D 지원자금을 활용
하여 해당 R&D 과제와 연계한 신규 채용을 확대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동 정책은 그간 정부
R&D 투자가 기업의 연구역량 확보를 위해 시설・장비 등의 물적 인프라 확충에 상대적으로
주안점을 뒀다면, 향후에는 사람에 대한 투자를 통해 기업이 인적 자산 중심의 지속가능한
R&D 혁신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는 취지이다.
2) 지역 일자리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 및 기술 지주회사 등이 보유한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개발특구 안에 설립된 기업으로 국가연구개발성과(공공기술)의 기술사업화 경로를
다양화하는 동시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술사업화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연구소기업은 일반 창업기업에 비해 지속가능성이 높은 특성6)을 가졌으며, 최근에는
매출 및 고용창출이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6) 창업 5년 후 생존율(2019년 중소벤처기업부・특구재단) : 일반창업기업(28.5%), 연구소기업(75%)
∙176 ∙
<표 2-48> 연구소기업 연도별 설립건수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합계 8 43 71 179 181 184 182 217
<표 2-49> 연구소기업 매출액 및 종업원 현황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E)
연평균
증가율(%)
매출액(억원) 1,643 2,365 2,921 3,831 4,739 5,507 7,395 28.5
직원수(명) 640 850 1,194 1,908 2,542 3,470 3,910 35.2
* 출처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성과추적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공연구성과 사업화의 성공 모델인 연구소기업의 설립지원을 통해
과학기술 기반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해왔다. 2020년에는 목표했던 200개를 초과한
217개의 연구소기업이 신규설립 되었고, 현재까지 총 1,108개(누적)의 연구소기업을 설립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소기업 혁신성장전략(일자리위원회, 2020.10.)」을 수립
하여 2025년까지 연구소기업 2,000개 설립, 일자리 창출 10,000명을 목표로 연구소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및 제도 정비방안을 마련하였다. ①연구소기업 창업활성화(신산업
분야 500개 창업・민간 주도형 기획형 창업 확대 등), ②성장단계별 지원체계 다양화(초기→
도약→고도화 단계별 지원책 마련), ③혁신생태계 조성(전용 입주공간 구축, 전용 펀드 및 판로
개척 지원 등) 등 세부 추진전략을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자체의 강소특구 지정요청에
대한 심사 등을 거쳐 6개 강소특구(구미, 홍릉, 울주, 나주, 군산, 천안・아산)를 추가 지정
(2020.8.)하여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장기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3) 서비스 일자리
연구산업은 R&D가 진행되는 과정의 전후좌우에서 R&D 활동을 지원하는 각종 연구관련
서비스 및 연구장비 등 제품을 포괄하는 R&D 연동산업이다.
∙177 ∙
<표 2-50> 연구산업 주요 분야
∙ (주문연구산업) 수요에 맞게 연구와 개발 자체를 위탁・공동연구 형태로 제공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연구개발
전문 산업
∙ (연구관리산업) R&D 기획, IP관리, 기술사업화 등 R&D 프로세스 전반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필요한 전문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 (연구장비산업) 연구활동에 필요한 연구장비와 그 주변시스템 및 부품을 개발하거나 개조, 유지・보수 서비스 하는 산업
∙ (연구재료산업) 연구개발에 필요한 재료나 소재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산업
[그림 2-49] 연구산업 체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산업기업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연구자와의
매칭을 활성화하는 등 연구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였다. 대표적 연구산업기업인 연구개발
서비스업에 대한 서비스 역량 강화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등의 결과로, 연구개발서비스업 신고
기업수는 2020년 한 해 동안 전년 대비 약 15.5%(243개) 증가하였다. 또한 연구장비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판로개척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장비 혁신성장전략」을 수립(2020.8.)
하고, 이공계 미취업자 등을 대상으로 연구장비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등 국내 연구장비
산업 육성 역시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연구장비 국산화 확대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
우수장비기술과 연계한 기술이전・창업 활성화 등 연구산업 육성을 통한 서비스 일자리 창출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야기, 강연, 공연 등을 통해 대중과 과학을 이어줄 과학문화 전문가를
∙178 ∙
양성하고, 다양한 형태의 과학문화 콘텐츠 개발 지원을 통해 과학문화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2020년에는 전문성과 영향력을 갖춘 교육과정 협력기관을 선정하고 과학융합강연자, 과학
만화가, 과학저술가, 과학스토리텔러, 과학크리에이터 등 5개 분야 200명의 교육생을 선발하여
기초 소양과 직종별 실무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과학문화 전문가 양성과정 프로그램을 운영
하였다. 또한, 하나의 콘텐츠로 다양한 활용(OSMU, One Source Multi Use)이 가능한 원천
스토리를 발굴하기 위해 공모전(싸이언-스토리 공모전)을 실시하였으며, 공모전을 통해 발굴
된 최우수 작품은 내년도에 웹드라마로 제작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과학기술과 여가를
결합한 랜선 과학여행상품 5개(경상도, 영주・예천, 경기도, 의왕・과천, 제주도, 대전 유성, 전라도
익산・김제)를 발굴하여 제작하고 랜선 과학여행 라이브 방송 등을 통해 과학놀이 서비스 활성화를
추진하였다.
4) 글로벌 일자리
국내 청년, 고경력 과학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과학기술・ICT 분야 창업・벤처
기업의 성공적 해외 진출을 위해 전략적 거점의 운영, 일자리 DB 구축 등을 포함하는 “과학
기술・ICT 글로벌 일자리 창출방안”을 수립한 이래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과학기술・ICT 연구성과의 글로벌 기술사업화,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혁신센터(KIC, Korea Innovation Center)를 통해 글로벌 창업을
활성화하고, 투자 유치를 지원하였다. D.N.A. 분야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및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워싱턴기술산업협회(WTIA) 등 미국 현지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현지화 멘토링,
액셀러레이팅 등을 지원하였으며, 유럽 최대 규모의 ICT・가전 박람회인 IFA 2020 행사에
한국관을 운영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참여를 지원하였다. ICT 특화 해외 거점인 IT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국내 ICT기업의 현지화 컨설팅, 마케팅 지원 등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신시장
개척을 위해 그리스, 탄자니아, 에콰도르 등 6개국에서 유망 ICT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등 국내
ICT기업의 글로벌 진출 및 신규 판로 개척을 지원해 글로벌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였다.
다. 향후 계획
1) 실험실 일자리
2020년에는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목표를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창업선도대학의
수를 확대(5개→15개)하고 대학에서 매년 발굴되는 창업적합기술의 활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대학당 지원 예산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별 형평성을 고려하여 호남권・동남권 등 창업
∙179 ∙
전담 교육을 위한 보육기관 확대 지정을 추진한다. 또한, 미국 중・서부권 주요 대학의 보유
창업시설,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국내 창업팀의 해외진출을 지원하여 성공모델을 조기에 구축
할 계획이다.
R&D 이후에 사업화로 이어지는 기존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술사업화 사업을 정량 분석하고 결과를 활용해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제고하는 공공
연구성과 공급・확산 플랫폼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술의 사업화 연계를 강화해
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할 동력을 마련하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2020년에는 기업연구소가 혁신성장의 전진기지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한다. 기업현장 등에서 요구된 개선의견을 반영하여 지식서비스 분야의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가능 업종을 확대하고 연구공간 확보 요건에 대한 예외 인정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증빙서류 제출 근거를 마련하는 등 행정관리 강화・효율화 과제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2) 지역 일자리
2020년에는 강소특구 유치를 희망하고 역량이 검증된 시・도 지역을 강소특구로 지정하여
지역 과학기술 거점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소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
하여 글로벌 수준의 유망 기술기반 중소기업을 발굴・육성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3) 서비스 일자리
2021년에는 연구개발서비스바우처를 통해 연구개발서비스업을 중심으로 R&D활동을 촉진
하고, 연구재료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규 지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장비
관련 소프트웨어(SW)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등 연구산업 각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서비스 일
자리 창출을 위한 활동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문화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0년 추진한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 5개 분야에 과학공연가 부분을 추가하여 총 6개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2020년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SF스토리의 웹드라마 제작・방영,
스포츠와 결합한 과학놀이 상품 제작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180 ∙
4) 글로벌 일자리
코로나 19 확산세 지속에 따라, 해외 거점에서 운영되던 기업 지원 프로그램은 대부분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하고, 기업 수요 맞춤형 온라인 멘토링 운영, 참여 기업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웨비나(Web+seminar) 개최 등 온라인 방식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굴・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 19 이후 주목되고 있는 국내 바이오테크 기업 및 비대면 플랫
폼・솔루션, 인공지능(AI)기반 헬스케어 등 유망 ICT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여 코로나
19 이후에도 글로벌 일자리 창출이 촉진될 수 있도록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181 ∙
제6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제1절 건강하고 활기찬 삶 구현
가. 개요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7)은 1970년 62.3세 수준이었으나 2000년 76세, 2010년 80.2세,
2018년 82.7세로 상승하여 OECD 평균 80.7세보다 2년이 길었고,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
(84.2세)과는 1.5년의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생활환경 개선, 교육 수준 향상, 의료
서비스 발달 등으로 기대수명이 증가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OECD 국가 중 상위
국에 속한다.
반면,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주관적 건강인지 비율은 32%로
OECD 국가 중 가장 적었으며, 일본이 그 다음으로 35.5%로 적었다.8) 객관적 건강지표와
국민의 주관적 건강지표가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 원인에 대해서는 조사방법, 국민의 응답
성향과 사고방식 등 사회・문화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7) 해당년도 출생자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
8) 주관적 건강인지(perceived health) : OECD에서 웰빙(well-being)관련 지표로 조사하는 항목으로 ‘자신이 건
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로 2018년 기준으로 OECD 평균 67.9%로 조사
∙182 ∙
* 출처 : 보건복지부, OECD 통계로 보는 한국의 보건의료 보도자료, 2020.07.22
[그림 2-50] 기대수명 추이(2008~2018)
보건복지부는 국민의 건강한 삶을 담당하는 주무부처로서 의료의 질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보건의료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 19가 전세계를 강타한
초유의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국가와 정부는 유행의 심각성에 따른 대응 단계를 구축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철저한 역학조사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였다. 또한 코로나 19 치료제, 백신
개발 및 확보에 총력을 다하였다. 또한 바이오헬스 분야는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차세대
국가 주력산업으로 주목받아 국가 차원의 지원전략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첨단
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개인정보보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데이터3법 등
첨단의료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법령 정비로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확보하였다. 향후 재생의료・신약・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기술의 혁신은 미래 일자리 창출과
국가 경쟁력 우위 선점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 정부도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민건강 증진과 신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정책들을
담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였고, 올해는 감염병 대응과 D.N.A(Data, Network,
AI) 기반의 디지털 전환, BIG3(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육성을 위한 분야별 중점
추진 과제를 집중 지원하여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R&D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83 ∙
나. 2020년도 주요성과
1) 보건의료기술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익적 보건의료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D.N.A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구축과 연구자원 공유・개방의 연구개발 혁신, 미래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 육성 등 중점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점
추진
방향
공익적 가치 중심의 R&D 투자 강화
- 감염병, 치매, 정신건강 등 사회문제 해결형 R&D 투자 확대
- 질환극복, 예방 중심 건강관리 등 국민 건강증진 R&D 지원
- 개인 맞춤의료 실현을 위한 차세대 융・복합 기술 투자 강화
개방・연결・융합을 통한 R&D 혁신
- 연구자원의 활용 촉진을 위한 D.N.A 중심의 연계 플랫폼 구축
기술상용화 촉진을 위한 의료현장 주도의 연구 혁신생태계 조성
혁신 성장을 견인할 보건의료 핵심인재 양성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미래 신산업 육성
- 신약, 재생, 의료기기 등 미래 의료를 선도하는 중점 기술 개발 강화
- 국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백신, 화장품 소재 등 국산화 지원
- 혁신기술의 제품화 촉진을 위한 제도・규제 개선
* 출처 :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18-2022) 2020년도 시행계획
[그림 2-51] 2020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육성 시행계획 추진 방향
가) 공익적 가치 중심의 연구개발
국민건강과 직결되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및 예방・관리 중심의 미래 의료 유망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을 확대한다. 누구나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건강
관리와 취약계층의 재활・돌봄 서비스를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 기술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국민의 의료비용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의료기술 활용을 위해 최적화된 의료기술을 규명
하는 공익적 임상연구 및 비용효과성 비교평가연구, 임상근거 창출 연구를 지원한다.
나) 개방・연결・융합을 통한 혁신시스템 구축
줄기세포, 인체자원, 임상・유전체 연구데이터 등 국가가 보장하는 고품질 연구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국가 인프라의 공유 및 개방 체계를 구축한다.
∙184 ∙
핵심 연구자원 및 정보를 연구자에게 제공하여 활용할 수 있는 공익적 활용기반을 만들고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개정 및 시행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임상현장인 병원을 중심으로 산・학・연의 협동연구를 주도하고, 기초 연구성과가 산업화로
이어지고 의료서비스에 활용되는 선순환 연구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다)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전주기 지원을 통해 미래의료를 선도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민간투자를 견인하기 위해 정책 금융 및 민간
투자연계 사업을 지원한다. 또한 유망기술을 보유한 초기 창업기업의 사업화 성공을 위해 정부와
민간투자 기관이 함께 투자한다.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백신, 화장품 등 국산화 지원을 지속적
으로 지원하고 혁신기술의 제품화를 위해 규제 혁신 방안의 이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혁신
제품에 대한 신속 허가 등 제도와 규제를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보건의료 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해 세계 우수 선도기관과의 네트워크 강화 및 협력연구를 통해 글로벌 인재를 육성・
지원한다.
2) 보건의료 R&D 주요 성과
우리나라 보건산업 수출 전망을 보면 2018년 보건산업(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수출은
144억 달러(전년 대비 18.3% 성장)를 기록하며 최고치를 경신하였으며, 2004년 이래로 15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이어가고 있다. 2019년 보건산업 수출시장은 2018년 대비 19.9% 증가
하며 전년(18.3%)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수출 청신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 2020년
보건산업 수출액은 2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의약품 71억 달러, 의료기기 43억
달러, 화장품은 100억 달러에 근접한 91억 달러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9)
9)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Fichsolutions(2020.01.06. 기준)
∙185 ∙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 헬스케어 이노베이션포럼, 보건산업 주요이슈 및 전망, 2018.11
[그림 2-52] 보건산업 수출전망(2018~2020)
신약 부문에서는 2020년 한 해 동안 약 6.5조 원이 기술 수출 성과를 창출하였는데 이는
2020년 국내 제약・바이오 기술수출 규모(약 10.1조 원)의 약 64%에 해당한다. 특히, 알테오젠은
정맥 주사를 피하주사용 의약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이전하여,
전년도 ‘엑스코프리’ 혁신 신약의 FDA 승인에 이어 보건의료 R&D의 기술 수준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51> 신약개발 분야 주요 기술수출 성과(2020)
주관연구기관 제품(물질)명 종류
기술이전 금액
(선급금)
기술이전 기업
(기술이전일)
비고
(지원사업)
대웅제약 펙수프라잔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제
약 17억원
(5.8억원)
멕시코/목샤8
(’20.1)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사업
알테오젠
ALT-B4
플랫폼기술
피하주사 원천기술
약 4조 7000억원
(192억원)
국외(글로벌 10대 제약사)
(’20.6)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사업
유한양행 YH12852
기능성
위장관질환 치료제
약 5000억원
(24억원)
미국/프로세사파마수티컬
(’20.8)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치료제
약 5,788억원
(545억원)
일본/오노약품공업
(’20.10)
범부처
전주기 신약 개발사업
보로노이 VRN07
돌연변이
비소세포암・고형암
치료제 후보 약물
약 7,200억원
(148억원)
미국/오릭
(ORIC Pharmaceuticals)
(’20.10)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186 ∙
<기술이전 대표성과>
○ 알테오젠 정맥주사를 피하주사용 의약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ALT-B4’ 기술로 2019년에
이어 2020년 대규모 기술 이전(2020.6)
정맥주사를 피하주사용 의약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피하주사 원천기술을 글로벌 10대 제약사에 기술이전
(2020.6)
’19년에 이어 10대 글로벌 제약사와 체결하여 기술 가치를 검증하였으며, 플랫폼 성격으로 추가적으로
기술이전 체결 가능성 있음
※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사업 지원, 총 연구비 약 19.8억 원(2019.7∼2020.6.)
의료기기 부문에서는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및 임상시험 지원을 통해 기술 원천성이 높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한 고등급 의료기기의 사업화 성과들이 창출되고 있다. ‘내시경하 분
말지혈제를 이용한 지혈술’이 사업화가 되기까지, 원천기술에 대한 국내외 특허 등록을 지원
하여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지원했다. 이를
통해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으며, 나아가 제품 상용화를 위한 다기관 임상시험 지원으로
국외 품목허가까지 획득하는 성과가 있었다.
< 혁신의료기기 지정 1호 >
○ 인공지능, 로봇기술 등을 활용한 바이오 융복합 기술개발을 통해 뷰노사의 인공지능 의료기기 뷰노 社 ‘뷰노메
드 펀더스 AI’ 가 국내 1호 혁신의료기기 지정.(2020.4)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우수 성과물들은 건강 보험 급여, 의료 현장에
적용되어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등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의 조기 위암 예방 효과를 입증하여 건강보험급여로 인정
(2018.1)된 데 이어, 위암 환자 가족의 제균 치료시에도 위암 예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청각 중복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의사소통 기기를 개발・보급하는 등 정부 지원과 관련한
장애인 복지법 개정에 기여하였다. 한의학 분야에서는 화병 등 총 9건의 질환에 대해 ‘한의표준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출판・보급함으로써 한의 의료 서비스 현장에서 활용하게 되었으며,
2020년 현재 21건의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이 진행중이다.
∙187 ∙
< 건강보험 급여 인정 사례 >
○ 위암환자 가족에서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의 위암예방효과로 세계적 의학 권위지 NEJM(IF 70.67) 저널
두 번째 논문게재(2020.1)
위암 환자를 둔 가족이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제균 치료를 하면 위암 발생위험을 55% 낮출 수 있고,
제균 치료에 성공하면 위암 발생위험이 73%까지 낮아짐.
조기위암 내시경 절제술 이후 헬리코박터 제균에 따른 위암 예방 효과를 인정받아 보험 급여로 인정되고
(2018.1), 전세계 진료 가이드라인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
※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 사업본부 운영사업 지원, 총 연구비 약 11.4억 원(2013.1∼2018.12)
인프라 분야에서는 연구중심병원을 중심으로 병원이 바이오헬스 기술 혁신의 허브 플랫폼
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산업화 성과가 의료서비스에 연계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연구중심병원 육성 지원 이후(2014-2019) 특허 등록 225건, 기술이전 51건, 신의료기술 2건
등의 성과를 창출해 오고 있다. 또한, 분산된 임상・감염병의 연구자원과 정보를 집적하고 분석
할 수 있는 공공 연구자원 인프라를 구축하여 연구자 및 산업계에 핵심 연구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표 2-52> 보건의료 분야 연구인프라 구축 현황(2008~2020)
인프라명 지원내용 구축연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인체자원을 활용한 질병예방 기초임상연구지원
∙ 93만명의 인체자원 보유, 약 3,138여개 과제에 분양
2008년
국립의과학지식센터
∙ 국내 보건의료 연구성과물, 최신 의학정보 등 수집・공유
∙ Reports 1만5천여종, E-resource 2만3천여종, P-materials 12만여책 등
2014년
국립 줄기세포재생센터
∙ 배아・역분화 줄기세포 기탁, 배양, 품질검증, 분양 등 지원
∙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배아 및 역분화) 29개주 등
2016년
국가병원체자원은행
∙ 병원체자원 882종 5,246주 등재
∙ 연간 약 1,800 건의 병원체자원 분양 활용
∙ 온라인병원체자원분양시스템 개발로 분양활성화
2017년
< 연구중심병원 R&D 기술이전 사례 >
○ (연세대학교의료원) NAMPT 억제용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
㈜체크메이트테라퓨틱스(2020. 3.)에 기술이전(선급기술료: 2억 원, 마일스톤기술료: 50억 원)
※ 2019년 대학 기술이전 건당 수입료 Top 10 평균 1억 원(출처: 대학알리미)
∙188 ∙
마지막으로 새로운 질병 기전을 규명하고, 질병의 예방・진단・치료법에 대한 보건의료
R&D 성과의 우수 논문 게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허 등록의 질적 수준 또한 상승하고 있다.
<표 2-53> SCI 상위 논문 게재 성과(2015∼2019)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계
NSC (자매지 제외) 1건 2건 3건 8건 6건 20건
IF 20 이상 13건 17건 23건 33건 28건 114건
IF 10 이상 102건 84건 148건 167건 140건 641건
<표 2-54> 삼극 특허 등록 성과(2015∼2019)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계
삼극특허 수 12건 17건 25건 28건 18건 100건
다. 향후 계획
공익적 연구개발을 통해 국민의 보건의료 문제 해결 및 첨단 유망 기술 육성을 통하여 국가
주력산업의 도약을 목표로 바이오헬스 분야 R&D 투자를 2025년까지 4조 원 이상 확대하여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균형 있게 확대 추진 할 예정이다.(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2019.5월)
이를 위해 감염병 예방・진단・치료 기술 등 감염병 상시화를 대비한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강화,
재생의료,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첨단 유망기술육성, 사회문제
해결 및 취약계층을 위한 공익적 R&D투자 강화, 병원 인프라를 활용하여 연구 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의료현장 연계 지원 등 중점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189 ∙
제2절 안심・안전한 사회 구현
1. 재난・안전
가. 개요
2020년 1월 국내 첫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12월 31일 기준 61,769명의 누적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전례 없는 감염병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재난을 겪으면서, 단일 부처의 재난 대응에 한계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장에 활용할 수
없는 연구성과물은 반쪽짜리 결과임을 다시 한번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 19 등 당면한
국가적 현안을 해결하고,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과학기술 개발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때이다.
이와 같은 현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8∼2022)’ 뿐만 아니라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2018∼2022)(이하 3차 종합계획)’ 등에서는 재난
으로부터 국민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R&D 성과 도출전략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2020년에는 3차 종합계획의 3차 시행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 운영으로 코로나 19 등 현안 문제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 등 다각적
노력을 계속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시행계획 수립
재난 및 안전사고의 발생특성이 변화하고 파급영향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재난안전 관련
과학기술 개발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국민 체감형
재난안전 기술개발 혁신을 통한 국민안전 확보를 위해 2018년 2월 행정안전부 등 재난안전
관계부처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심의를 통해 3차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실천적인 추진전략 마련을 통해 제3차 종합계획의 비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매년 시행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2020년은 3번째 시행계획을 수립한 해였다. 관계부처 연구개발계획을
연계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의 시행계획 수립・추진으로 연구개발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었다.
2020년에는 교육부가 처음으로 3차 종합계획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총 19개 중앙행정기관이
재난・안전 분야 국가 연구개발사업 또는 정책과제를 시행하였다.
∙190 ∙
2020년에는 국민수요 기반의 맞춤형 R&D를 추진하여 재난안전 R&D 성과를 구체화하고
대국민 재난안전 R&D 체감도 제고 및 현장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있었다. 부처 간 협력,
중앙-지방 및 정부-전문가 협력 강화로 R&D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긴급 현장대응 및 현장
수요를 반영하여 중점연구 분야를 선정하였으며 협업형 R&D를 추진하였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재난관리를 효율화하고, 재난안전산업 실용화를
추진하여 첨단・미래기술을 통한 재난 예방・경감・회복력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추진전략 추진과제
Ⅰ.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
(안전서비스)
1. 국민생활 안심서비스 개발
2. 재난피해자 지원서비스 개발
3. 재난피해로부터 회복력 강화 기술개발
Ⅱ. 미래・신종재난 대비 재난안전기술 선진화
(안전기술)
4. 재난안전 위험요소 예측・영향평가 기술개발
5. 빅데이터 기반 재난안전 정보활용 기술개발
6. 재난안전 융・복합 대응 기술개발
7. 로봇 및 인공지능 기반 재난안전 관리지원 기술개발
Ⅲ. 현장 실용화 중심의 안전생태계 구축
(안전산업)
8. 재난안전 전문인력 양성 기술개발
9. 재난안전산업 실용화지원 기술개발
10. 현장중심 협력형 기술개발
※ 출처: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0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그림 2-53] 3대 전략 및 10대 추진과제 별 투자 현황
∙191 ∙
2020년에는 3차 종합계획의 추진과제(3대 전략 10대 추진과제) 수행을 위하여 재난 예측・
영향평가(3,821억 원, 29%), 재난안전 융복합 기술개발(3,600억 원, 28%) 등 미래・신종재난에
대비한 기술 선진화에 집중 투자하였다. 또한, 재난 예측・영향평가(3,821억 원, 전년 대비
943억 원 증가), 국민안심서비스(2,104억 원, 전년 대비 753억 원 증가) 등의 국민 체감형
사회문제 예방을 위한 투자확대를 추진하였다.
2) 지역 현장 문제 해결 강화를 위한 협의체 연계・협력 강화
최근 재난을 사전에 대비하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단일 부처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18년 3차 종합계획
수립 시 재난안전 R&D 부처 협의체 구성(안)을 마련하였으며, 2019년에는 한 단계 개선된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로 발전시켜 협의체 범주를 실제 재난대응의 주체인
시・도 지방자치단체로까지의 확대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협의체는 전체위원회, 분과위원회, 기술자문위원회로 구성된다. 전체위원회는 중앙부처-지방
자치단체 협업사업 추진 공통 아젠다 발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분과위원회는 중앙부처-지방
자치단체 협업사업 추진계획 및 시행 및 긴급대응연구 시행여부 등 협력방안 수립의 역할을
담당한다. 기술자문위원회는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 협업사업의 정책・기술・경제 분야 등 자문
및 중앙부처-지방자치단체 협업사업의 유사・중복성 검토 등을 수행한다.
※ 출처: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0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그림 2-54] 중앙-지방 재난안전연구개발 협의체 구성 및 기능
∙192 ∙
2020년에는 코로나 19 대유행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총 6회의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
개발 협의체」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다. 이 중 5회는 코로나 19 확산방지를 위한 정부 방역
대책 준수를 위해 비대면 협의로 진행되었다. 주요 안건으로 코로나 등 각종 긴급현안에 대한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한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 현안과제 및 2020년 지역맞춤형 재난
안전 문제해결 R&D 지원사업, 부처협력 R&D 사업 선정・심의를 추진하였다. 이를 통하여
부처 간 단순한 업무의 협력관계를 넘어서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범부처 차원의 연구
개발 협력체계를 확고히 하고, 신속한 연구개발 착수를 위한 사업예산을 확보하는 등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 (2020.1.) 2020년 지역맞춤형 재난안전 문제해결 R&D 지원사업
선정
∙ (2020.2.)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해도 평가를 위한 바이러스 특성
연구’ 등의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추진과제 선정
∙ (2020.11.) 코로나 19 대응 방역 의사결정 지원 긴급대응연구 현안
협의
[그림 2-55] 2020년 중앙-지방 재난안전연구개발 협의체 주요 추진실적
다. 향후 계획
2020년에는 코로나 19의 지속적인 유행 속에 국민들을 재난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실용적 재난안전 R&D 성과 창출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한해였다. 3차
종합계획 시행계획의 수립,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 운영 강화 등의 노력은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재난안전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고, 현안 문제에 대응 가능한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할 수 있는 과학기술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193 ∙
2. 국방역량 강화
가. 개요
국방과학기술 분야는 미래전 양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인공지능(AI), 양자, 우주, 무인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첨단기술에 대한 선제적 확보가 필요하고, 급격한 기술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신기술이 신무기체계 소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 선도형 R&D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에 첨단기술기반 국방 R&D는 민간 R&D와의 협력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코로나
19와 같은 신종 전염병 확산 등 다양한 비군사적 위협 요인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기술 및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국방R&D는
국가R&D와의 협업・분업체계 구축을 통한 개방형 체계로의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코로나 19
대응을 위해 국방R&D 역량 및 인프라를 활용하는 정책을 제시하였다.
나. 주요 성과
1)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협업체계 강화 및 후속사업 준비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은 ‘과학기술기반 미래국방발전전략’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위사업청 협업 사업으로 범부처 과학기술 연계협력 시너지 효과를 통해 국방R&D 역량 제고
및 국방기술력 상승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첨단기술 기반의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한 혁신적 기초・원천기술 확보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며, 혁신적 미래국방
기술 확보를 위해 국가R&D의 혁신역량을 결집・활용하는 새로운 국방기술 혁신모델을 제시
하였다.
기술과제 발굴은 축적된 국가R&D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국방에 대비하는 혁신적 기초원천
기술 개발과제를 발굴・지원하는 ‘기술주도형 방식’과 국방 분야에서 제기하는 장기 기술수요를
기반으로 산・학・연 역량과 결합해 미래국방에 필요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수요견인형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20년은 미래국방 기초・원천기술개발 방향 설정을 위해 기초・원천 R&D 기술로드맵을
수립 중에 있으며, 부처 간 실무협의체 활성화를 통해 사업 운영 내실화 및 협업체계 강화를
꾀하였다.
국방 분야 연계 가능성, 기술 트렌드 및 미래전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8대 요소기술
∙194 ∙
군별(무인화, 센싱, 초지능, 생존방호, 미래추진, 특수소재, 에너지무기, 초연결)로 세부기술을
제시하는 로드맵은 향후 후속사업의 토대로 활용될 예정이다.
[그림 2-56] 미래국방 기초・원천 기술개발 개념
2)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 사업」 구축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 사업’은 민간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은 국방과학기술을 기업에
이전하는 기술이전을 포함하여 상용화 기술 개발과 실제 제품 개발까지 정부에서 일정 예산을
지원하는 ‘국방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체계’의 핵심적인 사업이다.
[그림 2-57] 사업추진 절차
코로나 19 신종 감염병 등 새로운 환경변화에 따른 안전한 사회 구현을 위해 전염병 등 비
전통 위협 관련 기술개발 강화 및 관련 국방기술의 민간이전으로 국방 R&D 활용 범위를 국가
재난대응 분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에, 2020년 국방기술의 민간이전 활성화를 위해 국방기술
이전 상용화 지원 사업을 구축하여 시범사업형태로 추진하였으며, 화생방, 재난, 안전 분야의
국방기술 민수이전(Spin-off)을 확대하여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할 계획이다.
∙195 ∙
<예상 제품> <예상 제품>
휴대용 원격 유독가스 누출 감시 기술
해양 유출오일 실시간 감지 및 초기방재를 위한 드론 탑재형
조기 경보시스템
[그림 2-58] 국방기술이전 상용화 지원 사업 시범과제 현황
사업의 대폭적인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각 지역의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민수사업화 유망
기술을 홍보하고, 지역별 사업설명회를 통해 민간기업의 사업 참여를 적극 장려할 계획이다.
더불어 재난, 안전, 안보 등 민수이전 활성화를 위해 관련 부처와 중점기획을 추진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방위사업청은 기술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고 첨단기술 기반 미래전 대비를 위해 국가R&D
역량을 국방R&D로 연결하는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 후속사업을 신규로 준비할 예정이며,
또한 혁신・도전적 R&D와의 연계를 통해 기획단계부터 실용화에 이르기까지 기술의 가교
(브릿지 R&D)역할로써 민군기술협력사업의 범위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196 ∙
제3절 쾌적・편안한 생활환경 구현
가. 개요
2015년 파리기후협정 체결로 선진국과 개도국 등 모든 당사국은 자발적인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고 한층 강화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담하게 되었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미래비전으로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국제사회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2020년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년 장기저탄소 발전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사회적 의견수렴을 거쳐 UN에 제출하는 등 신기후체계 출범에 따른 국제사회의 약속을 이행
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특히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17년
대비 24.4% 감축하는 절대량 방식으로 변경, 국외감축 비중을 줄이고 국내감축 비중 확대,
2025년 이전에 감축목표량 상향 추진을 명시하였고,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는
계획을 처음 발표하였다. 탄소중립사회로 가는 과정에서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커지고 있다.
나. 주요 성과
1) 「탄소중립」 추진전략 수립(2020.12.)
2020년은 탄소중립이라는 신 패러다임 전환 기로에서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경제성장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경제구조 저탄소화,
저탄소 산업생태계 조성,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이라는 3대 정책 방향과 ‘탄소중립 제도
기반 강화’라는 3+1 전략의 틀을 마련하였다. 특히 탄소중립은 30여 년에 걸친 장기 목표로
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신재생에너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ICT 융합・혁신 등 분야별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탄소
중립 R&D 전략’을 수립, 기술 난이도와 목적을 고려하여 단기 집중투자 및 장기적 혁신기술
개발연구를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197 ∙
[그림 2-59]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주요내용
이와 더불어, 기술혁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기후변화
대응기술개발촉진법 제정안을 마련하였다. 장기적인 R&D 투자를 이어나가기 위한 기본시책
수립, 기술개발 성과의 상용화 촉진, 국제기술협력,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 등 기술개발 체제
근거를 담아 국회와 협력하여 법률안이 제정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2) 기후기술 글로벌 협력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기후변화 대응 기술의 개발 및 이전에 관한
협력을 담당하는 기술메커니즘의 국가지정창구로써, 우리나라의 우수한 기술이 개도국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해왔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작년부터 우리나라가 기술메커
니즘을 담당하는 국제기구인 CTCN(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의 이사국으로
진출하여 실질적인 의사결정권을 갖게 되었다. 2019년 12월에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25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한국대표단으로 참석하여 기술과 관련된 글로벌
의제에 대응하였으며, CTCN의 요청(2018.8.)으로 지속 논의해 오던 CTCN 협력연락사무소의
한국(송도) 유치를 확정지었다. 현재 한국정부와 UNEP은 사무소 설립의 근거문서라 할 수 있는
설립협정의 문안협의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CTCN 협력연락
사무소의 개소를 위해 인천시, UNEP, CTCN 등 관계기관과 지속 협의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에 우수한 기후기술을 보유한 기관이 개도국으로 진출하고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대응 노력에 기여할 수 있도록 CTCN을 통한 사업발굴을 지속 지원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나미비아, 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모잠비크 등 5개국과의 협력 사업을
새롭게 발굴하였다.
∙198 ∙
마지막으로, 국내 기술로 개발된 온실가스 감축기술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청정개발
체제(CDM) 신규방법론으로 승인・공표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청정개발체제란 온실가스 감축
의무 국가가 개도국의 감축사업에 투자하거나, 감축 의무가 없는 개도국이 감축사업에 투자
하여 발생한 감축실적을 탄소배출권 거래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탄소광물플래그십
사업단에서 개발한 이산화탄소 감축 원천기술인 차수성 시멘트 생산 실증기술은 시멘트 원료인
석회석을 산업부산물로 일부 대체하는 기술로, 생산 시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일반시멘트 대비
34.7% 줄였다. 차수성 시멘트 생산 실증기술이 국제적 감축 방법론으로 인정됨에 따라 동 기술이
일반 시멘트 생산공정을 대체하여 이산화탄소 발생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국내에서 개발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개도국과 협력하여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신규 방법론
제출
완전성
검사
초기 평가
권고초안
준비
패널 및 워킹
그룹 심의
집행위
승인
온실가스
감축기술분석
온실가스
정량화
기법개발
UNFCCC
CDM
방법론개발
신규방법론
등록신청
Math
Panel
검토
방법론
승인
(MP)
17.01 18.10 19.06 19.07 19.07~20.06 20.07
‘20년 10월 5일 CDM EB 107차 회의에서 CDM 신규방법론 최종 승인’
(20년 10월 8일 CDM 신규방법론 등록부 등록 및 공표)
[그림 2-60] CDM 방법론 개발 프로세스 및 추진경과
3) 미세먼지 문제해결을 위한 R&D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에 근거하여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먼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세먼지 R&D 추진전략(2020~2024)을 2020년 6월 수립하였으며,
이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난 2019년 11월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전략의 주요내용은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도출해내기 위해 원인규명 연구에 집중 투자하고, 미세먼지 측정, 예보,
배출량 정보의 정확성과 실시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천리안 2B호와 항공기를 활용해 미세
먼지 입체관측을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출연연 미세먼지 R&D 협의체’를 운영하여 미세먼지
R&D 추진 과정상의 병목 문제(Bottle Neck)를 해결하고, 연구자 애로사항 등 현장의 의견을
수렴한다.
∙199 ∙
다음으로 미세먼지 범부처 프로젝트 사업은 2017년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보건
복지부 공동으로 출범한 이후 약 3년간의 연구를 통해 발생・유입, 측정・예보, 집진・저감, 국민
생활보호・대응 등 4대 분야에서 7대 주요 성과를 창출하였다. 7대 주요 성과는 ①미세먼지
저감 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가 되는 연구 결과 도출, ②미세먼지 예보 역량 향상, ③사업장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및 실증, ④미세먼지 연구 인프라 확대, ⑤미세먼지의 인체 영향 과학적
규명, ⑥미세먼지 노출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및 가이드라인 마련, ⑦미세먼지 국민 이해도
제고 등이다.
마지막으로 미세먼지 원인규명 강화 및 예보 모델 고도화를 위해 신규 사업(동북아-지역
연계 초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 사업)을 2020년 6월 출범하였다. 2020년부터 2025년까지
458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사업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 중국, 일본, 몽골 등 동북아
국가 연구자 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미세먼지 생성과정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한다. 또한,
초미세먼지의 장거리 이동과 국외 영향 분석을 위해 2020년 2월 발사된 천리안위성 2B호의
관측 데이터를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미세먼지 중기 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해 우리나라의
기상 환경과 초미세먼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등 기존 예측 모델링 시스템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다. 향후 계획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내년에는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이 훨씬 더 중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탄소중립 R&D 전략을 수립하여 혁신적인
기술이 기후변화 위기 극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국내・외 관련 거버넌스를 점검하고, 기술
혁신을 주도할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 현장에서 원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 추진절차도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 부문 감축수단을 포괄할 수 있는 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탄소중립 R&D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기획할 계획
이다. 또한 기술개발 현황 및 전망 등을 반영하여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탄소중립
시나리오 등이 과학기술에 근거하여 도출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200 ∙
제4절 포용적 사회 실현
가. 개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과학기술 혁신의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고, 그 결과물의
사회적 파급력도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5G,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등의 용어가
일상생활에서 낯설지 않을 정도로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국민들도 인지하고 있다.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생활상의 불편함이나 안전, 환경, 건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라는
국민들의 요구가 점차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범부처 차원의 제1차, 제
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을 수립, 시행하면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사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2020년에 4,528
억 원을 투자하여 바이오기술, 나노기술, ICT 기술 등을 이용하여 건강, 환경, 생활안전, 재난
재해 등 분야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이다.
2020년에는 ‘국민생활연구 추진전략’(2018.3.)에 따라 새로운 체계로 시작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들이 제대로 정착하는데 역점을 두었고, 새로운 방식의 신규 사업으로서 국민공감・
국민참여 R&SD 선도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사업은 수요발굴부터 해결방향의 기획, 기술개발
및 현장 적용까지 전주기에 걸쳐 리빙랩을 활용하고, 연구성과의 후속적용(지자체 예산, 도시
재생사업)과 연계하여 지역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 방식을 수행한다.
나. 주요 성과
1) 지역 현장 중심의 사회문제 해결 R&D를 통한 국민 체감 확대
지역주민・지자체・연구자가 문제해결 전(全) 단계(수요발굴→해결방향 기획→기술개발→현장
적용)에 함께 참여하여 지역의 사회문제 해결과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도출을 위해 올해 신규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세부적으로 2개의 내역사업을 추진하였는데 먼저 기술개발
(R&D, 산업통상자원부)과 적용・확산(비(非)R&D, 행정안전부)의 전주기 협력으로 주민이 체감
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문제해결사업이 있다. 사전기획으로 연구자・지역주민이 함께 참여,
소통하면서 문제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기획 리빙랩을 구성・운영하였다. 여기서 행정안전부는
지자체・지역주민 소통채널을 활용해 지역 사회문제 수요를 발굴하였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과학기술 전문성을 활용해 현안 해결가능 연구자를 매칭하는데 협력하였다. 이렇게 2019년
부터 사전기획을 수행한 13개 문제기획 리빙랩 중에서 문제해결 가능성이 높은 10개 과제를
∙201 ∙
본 연구과제로 선정・지원하였다. 본 연구 수행 시 수요기관, 실증・사업화 전문가, 관련분야
연구자 등으로 ‘문제해결 리빙랩’을 구성하며, 현재 운영 중에 있다. 향후 연구개발 성과를 지
자체에 현장적용・확산 시 행안부의 비(非)R&D 예산을 활용할 예정이다.
1단계(사전기획) 2단계(연구개발) 3단계(적용・확산)
수요 발굴 및 연구자 매칭
연구개발 및 문제해결방안 기획
- 연구자, 주민, 관련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문제해결 리빙랩’ 운영
- 2단계 R&D성과의 지자체 현장
적용 및 확산
과기정통부 + 행안부 과기정통부(연구재단) 행안부 + 지자체
5개월 내외 12개월 내외 12개월 내외
[그림 2-61]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사업 추진단계
또 다른 내역사업으로는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연구자와 수요자가 사업 전주기에
참여, 기존 R&D 성과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지역의 현안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이 있다. 지역의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주관 연구기관이 주도적으로 리빙랩을 구성・운영하여
기획 → 기술개발 → 실증을 추진한다.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 연구자, 코디네이터
등으로 기획 리빙랩을 운영하여 지역 현안문제(환경, 주거교통, 에너지 수급 분야)에 대한 과학
기술적 해결을 위한 사전기획을 추진한다. 리빙랩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기획 추진내용,
도시재생 사업단 등과 연계한 리빙랩 기반 연구개발 및 실증(보급)계획 등을 포함한 연구계획서를
작성, 제출하면 전문가 평가를 통해 본 과제를 선정・지원하게 된다. 2020년에 2개 과제가 선정
되어 연구개발 중에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여 문제해결 리빙랩 운영을
통하여 기술개발, 실증 및 확산(보급)과 동시에 모니터링단을 구성하여 R&D 전(全) 과정을
밀착 지원・관리하고 있다.
현안선정 및 공고 사전기획 선정평가 기술개발 및 적용
지자체 대상 수요조사 등을
종합・분석하여 도시재생
현안선정
주관연구기관은 지자체와
협의하여 기획리빙랩 운영을
통한 연구계획서 제출
전문가 중심 발표평가
및 사업추진위원회 심의를
통한 과제 선정
지자체 도시재생사업단과 연계,
문제해결 리빙랩 운영을 통한
연구개발, 실증 및 확산(보급)
과기정통부/연구재단 과기정통부/연구재단 과기정통부/연구재단 주관연구기관/지자체
[그림 2-62] 도시재생 연계 리빙랩 사업 추진절차
∙202 ∙
2) 사회문제 해결 연구성과의 현장적용을 위한 공공조달 연계 지원
사회문제 해결 등 국민 편익 증진을 위해 필요하지만 공공성이 강해 민간 주도의 기술개발이
어려운 공공서비스 분야의 개선에 대한 R&D 지원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공 수요로
개발된 제품은 시장이 한정되어 사업화 이후 수요확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성과
도출을 위해서는 공공수요를 기반으로 기술개발, 실증과 함께 시범구매 등 공공조달까지 연계한
토탈솔루션형 지원이 필요하다. ‘공공조달 연계형 국민생활연구 실증・사업화 지원사업’은 공공
서비스 혁신과 연구성과의 현장 적용을 위해 우수 R&D 결과를 대상으로 실증, 인증 및 공공
조달 연계 등 패키지 지원사업이다. 기존 R&D 성과를 활용해 사회문제 해결이 가능한 주제를
연구자의 주도로 발굴하여, 공공조달 연계를 위한 리빙랩 기반 실증, 시험・인증 및 제도개선 등
지원을 통해 기술을 고도화한다. 2019년에 9개, 2020년에 2개 과제를 선정하여 연구 수행
중이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조달청 간 MOU 체결(2019.1.)을 통해 동 사업의 과제 R&D 성과
중 성능이 검증된 제품의 우수조달물품 지정 절차를 간소화하여 조달시장 진출 및 판로를 지
원한다. 이와 관련하여 조달청에서는 공공구매 또는 우수조달물품 등록을 통해 트랙레코드
(Track-Record) 부족으로 판로 확보가 어려운 공공기술(제품・서비스)의 테스트 베드 제공
및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혁신시제품 시범구매사업은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시제품을 조달청
예산으로 우선구매 후 수요기관이 테스트하여 상용화를 지원하는 것이고, 우수조달물품 등록
제도는 R&D 성과 중 현장에서 성능이 검증된 제품의 우수조달물품 지정을 통해 조달시장 진출
및 판로를 지원하는 것이다.
[그림 2-63] 공공수요 발생 시 혁신제품 활용 체계도
∙203 ∙
3) 코로나 19 등 예기치 못한 재난안전 이슈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연구지원
신종 감염병, 도심지 대형 싱크홀 등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재난・안전문제가
국민의 일상생활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안전문제들에 대한 실질적인
과학기술적 신속대응 프로세스가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신속한 재난현장 대응 및 피해확산
방지 등, 문제 발생 시 긴급한 현장 수요에 대비한 부처협업 기반의 혁신적 긴급대응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을 추진 중이다.
2019년에는 강원도 산불, 약물 성범죄, 붉은 수돗물, 아프리카 돼지열병 등 현안에 대응하여
10개 과제를 착수하였고, 2020년에는 코로나 19 대응 신속진단제, 치료제 재창출, 긴급임상,
코로나 19 방역정책 의사결정 지원 등 12개 과제를 지원하였다.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재난 관련 부처・청, 지자체와 수요연계, 기술개발・실증・
적용 등 R&SD(Research and Solution Development) 협력 프로세스를 구축하였고, 신속
대응 및 효과적 문제해결을 위한 선제적 사전준비 과제(국민생활과학자문단의 수요제안, 긴급
현안에 대한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 개최)를 운영하였다.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중앙-지방 재난안전 R&D 협의체」를 통해 현장수요 기반의 긴급 현안을 선정하였고, 과제
선정 시 ‘국민생활과학자문단’ 및 ‘수요기관’ 추천자를 평가위원 Pool에 포함함으로써 현장의
성과 활용 가능성에 중점을 둔 과제 및 연구단을 선정하도록 하였다. 과제 선정 후 연구진-수요
기관 간 성과목표 검토회의를 개최하여 연구진과 수요기관 간 성과목표의 협의・조정(수요기관
의견 반영) 후 협약을 체결하였고, 연구성과의 실증・확산 중점 추진을 위한 수요기관 착수
보고회를 개최하여 주관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및 수요기관 간 향후
Test-bed 운영 및 성과 활용계획을 논의하고, 과제수행에 반영하였다.
사전준비
긴급현안
대응여부 결정
긴급현안 기획
및 공고
긴급연구 수행
긴급대응 R&D 수요
사전 발굴, 부처・청,
지자체 등 수요접수
긴급대응 연구
실시여부 판단
※ 필요시 공고생략 등
검토
긴급R&D
상세기획 및 공고
기술개발 및 실증
국민생활과학자문단**/
한국연구재단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
자문단/
국민생활연구지원센터****/
한국연구재단
연구단
** 주요 이슈별로 산・학・연 전문가, 과학기자 등 총 119명으로 구성・운영
*** 19개 부처 및 17개 시・도 국장급 공무원으로 구성된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
**** 과기정통부 지정 국민생활연구 정착・확산을 위한 전담조직(국가과학기술연구회 설치)
[그림 2-64] 긴급대응 R&D 추진 절차
∙204 ∙
4) 대국민 치안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치안현장 문제해결을 위한 R&SD 추진을 통한 국민의 체감 안전도 향상을 목표로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폴리스랩)’을 2018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이 공동으로 추진
해 오고 있다. 2018년 6개 과제, 2019년 2개 과제를 신규로 선정하여 추진 중이다(3개 과제
2020년 종료). 동 사업은 일반국민 대상으로 치안 문제 접수를 위한 참여채널 운영 및 연 1회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아이디어 발굴하고, 과제 기획 시 반영하며, 실제 치안환경기반 기술
개발을 위한 ‘실증실험실’ 구축・운영 등 치안 인프라와 과학기술 전문인력 연계를 통한 부처・
청간 협업 추진을 특징으로 한다. 실증범위는 광역(지방경찰청), 시・군・구(경찰서), 읍・면・동
(지구대・파출소) 등이다. 치안현장 문제의 정확한 진단과 해결을 위해 사업 전 주기에서 수요자
(국민)-사용자(경찰)-생산자(연구자・기업)가 협업 및 공유하며, 폴리스랩 총괄 관리를 위한
사업단을 운영하여 치안현장 문제해결 완성도를 제고하고 있다.
2020년에는 경찰청에서 추진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국내 기술 수준, 연구성과 활용 시점,
사업 규모 등을 바탕으로 분류 재편하였는데, 향후 경찰청 신규 R&D 사업 기획 및 관리 체계
마련 등에 활용 예정이며 추후 다각적인 치안 R&D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기반 치안
R&D 분류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폴리스랩별 연구개발 성과의 개발 수준 및 성격, 내용
등을 기준으로 맞춤형 실증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실증관서를 확대하였다. 코로나 19의 확산
으로 제2회 국제치안산업박람회(2020.10.21~12.31)가 온라인으로 개최됨에 따라 연구과제별
맞춤형 온라인 홍보 영상을 제작・배포하였다. 동 사업을 통해 과학기술 노하우를 지닌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와 치안 인프라를 보유한 경찰청의 적극적인 협업을 바탕으로 치안 현장 문제해결
가능성을 확인함에 따라 본격적인 폴리스랩 2.0 사업을 기획하고, 2021년 예산을 확보하였다.
드론시스템 접이식방패 모바일 지문식별 지능형 영상관제
성범죄대응 챗봇 보이는112 시스템 지역경찰 전자문서
[그림 2-65]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 추진 과제
∙205 ∙
그리고 첨단 ICT 기술을 통한 국민 생활안전 증대를 위해 ‘실종아동 등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사업’을 2018년부터 다부처사업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복합인지기술이란
공간, 시간, 장비 등을 통한 다수의 정보를 융합하여 인지대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 추적, 추론
및 탐색이 가능토록 하는 인지기술을 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복합인지 핵심원천 소프트
웨어(SW)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복합인지를 활용한 신원확인용 웨어러블 디바
이스를 개발하며, 경찰청은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 기술 응용 및 인프라 구축을 맡는다.
2020년엔 연구 3년차로서 실증 현장 한계 극복을 위한 신원 확인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수행
하였으며, 얼굴 정면화 기술, 비제약 얼굴 인식, 귀 인식, 실종자 후보군 객체(보행자) 검출,
추적, 재식별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가공 및 기술성능 고도화를 진행하였다.
유전 정보 연계 얼굴 및 나이 변환 기술 개발을 위해 유전체 데이터 343가구(1,029명) 수집,
41가지 얼굴 표현형 유전지표 발굴, 유전정보 기반 얼굴 변화 예측 회귀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와 관련 본인 인증 및 신원확인을 위한 얼굴인식 기술이 202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그림 2-66] 복합인지기술 개발・활용 개요도
∙206 ∙
다. 향후 계획
2021년에는 현장 중심의 수요발굴 및 성과적용의 사회문제 해결 R&D를 강화할 예정이다.
문제해결의 실효성을 높이고 기술개발과 후속 적용의 유기적 연계를 위해 기술개발 전에
지역의 수요자와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는 사전 기획기능을 강화할 것이다. 또한, 공공 수요를
기반으로 기획부터 공공 조달까지 전주기를 연계하는 혁신제품 개발 과제를 신규로 지원하면
공공 조달 연계 지원단을 추가로 운영한다. 그리고 치안・소방・관세 현장에서 과학기술에 기반한
문제해결 역량 강화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부처협력형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하게 된다.
∙207 ∙
∙209 ∙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제1절 연구개발활동조사 개요 및 의의
1. 개요 및 의의
연구개발활동조사는 국가연구개발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우리
나라의 연구개발활동(연구개발비, 연구개발인력 등) 현황을 조사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OECD
에도 제공된다. 국가의 신뢰도 제고 및 국가 간 비교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매우 가치가 높은
조사활동이다.
가. 조사 근거 및 연혁
1963년에 ‘연구기관실태조사’라는 명칭을 시작으로 2008년부터 ‘연구개발활동조사’라는
명칭으로 현재까지 조사되고 있다. ‘과학기술기본법’ 제26조의2에 따라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통계법에 의한 국가 지정 통계(제105001호, 1982.7.16. 승인)이기도 하다.
나. 조사 개요
OECD FRASCATI Manual(연구개발활동조사 시행지침)에 따라 국내(정부+민간) 전 분야의
연구개발활동을 총망라한 조사로서, 매년 우편 및 온라인을 통한 전수 설문조사를 기본으로
정부R&D조사・분석과 기업DB 등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방식10)으로 이루어진다.
10) 매년 조사된 결과는 기업신용평가전문기관의 기업정보시스템(기업DB)을 활용해 재무제표, 인력 등을 비교분석하여
오류가 있을 시 피조사기관에 수정 요청
∙210 ∙
<표 3-1> 연구개발활동조사 대상기관 및 회수율
구 분
공공부문 민간부문
합 계
공공연구기관 대학 의료기관 기업체
조사대상기관 868 418 437 65,372 67,095
회수기관 851(98.0%) 414(99.0%) 424(97.0%) 61,999(94.8%) 63,688(94.9%)
주: 공공연구기관에는 국・공립연구기관, 출연연구기관, 기타 비영리기관 등이 포함
매년 4월~9월까지 6개월 동안 공공부문(공공연구기관, 대학, 의료기관)과 민간부문(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에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일반 현황, 연구
개발비 현황(연구개발단계, 재원, 비목 등), 연구인력 현황(성별, 학위, 전공 등) 등을 조사한다.
조사는 위탁기관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총괄・공공부문)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민간부문)를
통해 조사되며, 최종 정보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을 통해 제공한다.
∙211 ∙
제2절 주요 조사 결과11)
1. 연구개발비
가. 총 연구개발비
2019년 총 연구개발비는 89조 471억 원으로 전년대비 3조 3,184억 원 증가(3.9%↑)하였다.
환율12)을 적용한 총 연구개발비는 76,403백만 달러로 세계 5위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13)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64%로 전년대비 0.12%p 상승하였으며, 이스라엘
(4.94%, 2018년 기준)에 이은 세계 2위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2]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국제비교14)
11) 각 수치의 마지막 자리는 사사오입으로 산출. 경우에 따라서는 하위항목 합계가 상위항목 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12) R&D 관련 통계에 OECD가 적용하는 2019년 한국의 환율 1,165.50원/US 달러 적용
13) GDP는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ECOS)의 해당연도 자료를 활용
14) OECD가 2020년 8월에 발표(OECD 회원국과 주요 비회원국 대상)한 수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국가별
∙212 ∙
나. 재원별 연구개발비
정부・공공재원은 19조 955억 원(21.4%)이며, 민간재원은 68조 5,216억 원(76.9%), 외국
재원은 1조 4,300억 원(1.6%)으로 조사되었다. 정부・공공재원과 민간재원은 각각 전년대비
7,325억 원(4.0%↑), 2조 8,188억 원(4.3%↑)이 증가하였으나, 외국재원은 2,329억 원
(14.0%↓) 감소하였다. 정부・공공재원 대 민간・외국재원 비중은 21:79로 전년과 동일하였다.
[그림 3-3] 우리나라 재원별 연구개발비(좌) 및 비중(우) 추이
재원별 연구개발비 비중을 주요국과 비교하면 일본(79.7%)을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민간・
외국재원 비중(78.6%)은 높고, 정부・공공재원의 비중(21.4%)은 일본(20.3%), 중국(20.2%)을
제외한 다른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국재원의 비중은 중국(0.4%)과 일본
(0.6%)을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1.6%)이다.
주: 중국은 비중의 합계가 100%가 되지 않음
[그림 3-4] 주요국의 재원별 연구개발비 비중
2019년 데이터가 공표(MSTI 2020-2로 ’21. 2월 발간 예정)되면 순위 변동 가능
∙213 ∙
다. 연구비사용 주체별 연구개발비
공공연구기관이 사용한 연구개발비는 10조 1,688억 원(11.4%)이며, 대학은 7조 3,716억
원(8.3%), 기업체는 71조 5,067억 원(80.3%)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
개발비는 3,249억 원 증가(3.3%↑)하였으며, 대학은 3,212억 원 증가(4.6%↑), 기업체는 2조
6,722억 원 증가(3.9%↑)하였다.
[그림 3-5] 우리나라 연구비사용 주체별 연구개발비(좌) 및 비중(우) 추이
주요국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기업체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주요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일본과 영국을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낮고,
대학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그림 3-6] 주요국의 연구비사용 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214 ∙
라.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연구개발단계별로 살펴보면 기초 연구개발비는 13조 623억 원(14.7%), 응용 연구개발비는
20조 401억 원(22.5%), 개발 연구개발비는 55조 9,446억 원(62.8%)으로 조사되었다. 전년
대비 기초 연구개발비는 8,818억 원 증가(7.2%↑)하였으며, 응용 연구개발비는 1조 2,154억
원 증가(6.5%↑), 개발 연구개발비는 1조 2,211억 원 증가(2.2%↑) 하였다.
[그림 3-7] 우리나라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좌) 및 비중(우) 추이
주요국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기초 연구개발비 비중은 중국(83.3%)보다는 낮고, 영국
(39.7%)과 프랑스(35.4%)보다는 높으며, 미국(63.4%) 및 일본(64.3%)과 유사한 수준이다.
응용 연구개발비 비중은 영국(42.1%)과 프랑스(41.9%)를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서는 높으나,
개발 연구개발비 비중은 영국(39.7%)과 프랑스(35.4%)를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8] 주요국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비중15)
∙215 ∙
마. 연구개발비의 비목별 사용 현황
비목별로 살펴보면 인건비 37조 3,727억 원(42.0%), 기타 경상비 43조 3,754억 원(48.7%),
자본적 지출은 8조 2,991억 원(9.3%)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인건비는 1조 555억 원 증가
(2.9%↑)하였으며, 기타 경상비는 1조 5,614억 원 증가(3.7%↑), 자본적 지출은 7,016억 원
증가(9.2%↑)하였다.
[그림 3-9]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비목별 사용 현황 추이
주요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인건비 비중은 일본(38.9%)과 중국(31.1%)보다는 높으나, 기타
경상비 비중은 중국(57.3%)과 일본(50.9%)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본적 지출 비중
미국(0.3%)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국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0] 주요국 비목별 연구개발비 비중
15) 프랑스, 일본은 기타 부문이 제외되어 있어 합계가 100.0%가 되지 않음.
∙216 ∙
바.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미래유망신기술분야 중 IT(정보기술) 분야의 연구개발비는 33조 158억 원(37.1%), BT(생명
공학기술)는 7조 6,262억 원(8.6%0), NT(나노기술)는 8조 8,185억 원(9.9%), ST(우주항공기술)는
1조 5,436억 원(1.7%), ET(환경기술)는 7조 7,641억 원(8.7%), CT(문화기술)는 8,098억 원
(0.9%)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IT 분야는 2조 2,829억 원 증가(7.4%↑)하였으며, BT 분야는
9,861억 원 증가(14,9%↑), NT 분야는 808억 원 증가(0.9%↑), ST 분야는 647억 원 증가
(4.4%↑), CT 분야는 23억 원 증가(0.3%↑)하였으며, ET 분야는 1,995억 원 감소(2.5%↓)
하였다.
<표 3-2> 우리나라 미래유망신기술(6T)별 연구개발비 추이
(단위 : 억 원, %)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IT
(정보기술)
189,434 202,612 219,391 213,099 234,879 287,317 307,329 330,158
(34.2) (34.2) (34.4) (32.3) (33.8) (36.5) (35.8) (37.1)
BT
(생명공학기술)
42,459 45,043 48,097 59,946 56,137 62,111 66,401 76,262
(7.7) (7.6) (7.5) (9.1) (8.1) (7.9) (7.7) (8.6)
NT
(나노기술)
71,193 78,193 83,587 86,609 85,499 76,201 87,377 88,185
(12.8) (13.2) (13.1) (13.1) (12.3) (9.7) (10.2) (9.9)
ST
(우주항공기술)
7,058 7,312 7,088 13,049 12,230 11,603 14,789 15,436
(1.3) (1.2) (1.1) (2.0) (1.8) (1.5) (1.7) (1.7)
ET
(환경기술)
59,189 60,359 65,577 62,271 62,777 70,009 79,636 77,641
(10.7) (10.2) (10.3) (9.4) (9.0) (8.9) (9.3) (8.7)
CT
(문화기술)
4,525 4,346 4,917 7,027 9,365 7,841 8,075 8,098
(0.8) (0.7) (0.8) (1.1) (1.3) (1.0) (0.9) (0.9)
기타
180,642 195,145 208,683 217,592 233,169 272,810 293,680 294,691
(32.6) (32.9) (32.7) (33.0) (33.6) (34.6) (34.3) (33.1)
총계
554,569 593,077 637,409 659,661 694,122 787,957 857,353 890,47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 연구개발인력
가. 총 연구원 수
총 연구원 수는 538,136명으로 전년대비 23,966명이 증가(4.7%↑)하였으며, 연구보조원이
포함된 연구개발인력 수는 718,759명으로 27,699명이 증가(4.0%↑)하였다. 연구 참여비율을
∙217 ∙
고려한 상근상당 연구원16) 수(FTE)는 430,690명이며 상근상당 연구개발인력 수는 525,622
명이다.
[그림 3-11] 우리나라 연구원 수(좌) 및 연구개발인력 수(우) 추이
주요국 대비 상근상당 연구원 수는 세계 5위 수준이며,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15.4명,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FTE 기준)는 8.3명으로 주요국 대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2] 연구원 수(FTE 기준) 국제비교(좌),
주요국 경제활동인구 및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우) (FTE 기준)
16) 상근상당 연구원(FTE, 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정도에 따른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연구원 수
∙218 ∙
나.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기업체의 연구원 수는 387,448명(72.0%), 대학은 110,619명(20.6%), 공공연구기관은
40,069명(7.4%)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기업체의 연구원 수는 19,211명 증가(5.2%↑)하였
으며, 대학은 2,090명 증가(1.9%↑), 공공연구기관은 2,665명 증가(7.1%↑)하였다.
[그림 3-13]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추이
주요국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는 연구수행주체 중 기업체의 연구원 수 비중이 매우 높고,
상대적으로 대학의 연구원 수 비중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4] 주요국의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비율 (FTE 기준)
∙219 ∙
다. 학위별 연구원 수
연구원의 학위별 분포는 박사 111,955명(20.8%), 석사 149,529명(27.8%), 학사 247,267명
(45.9%), 기타 29,385명(5.5%)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박사 연구원 수는 6,025명 증가(5.7%↑)
하였으며, 석사는 5,130명 증가(3.6%↑), 학사는 13,345명 증가(5.7%↑)하였으며, 기타는 534명
(1.8%↓)이 감소하였다.
[그림 3-15] 우리나라 학위별 연구원 수
연구수행주체별로 연구원의 학위분포를 살펴보면 대학과 공공연구기관은 박사의 비중이 가장
높고, 기업체는 학사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박사 연구원 중 57%가 대학에서
종사하고 있으며, 학사 연구원의 94.5%, 석사연구원의 65.5%가 기업체에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6]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 및 학위별 연구원 분포
∙220 ∙
라. 성별 연구원 수
연구원 중 남성은 424,949명(79.0%), 여성은 113,187명(21.0%)이며, 전년대비 남성은
15.507명 증가(3.8%↑), 여성은 8,459명 증가(8.1%↑)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10년 간
여성 연구원은 그 수와 비중 측면에서 모두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3-17] 우리나라 성별 연구원 수 및 여성 연구원 비중 추이
여성 연구원 수와 비중을 주요국과 비교하면 일본(16.6%)을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수와 비중
측면 모두 낮은 수준이나, 일본과 비교 시 여성 연구원의 수는 적은데 반해 비중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18] 주요국의 여성 연구원 수 및 비중
∙221 ∙
마. 지역별 연구원
연구원의 지역분포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350,654명(65.2%)으로 가장 많고, 대전은
37,357명(6.9%), 그 외 지역은 150,125명(27.9%)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수도권의 연구원
수는 20,453명 증가(6.2%↑)하였으며, 대전은 996명 증가(2.7%↑), 그 외 지역은 2,517명 증가
(1.7%↑)하였다.
[그림 3-19] 수도권・대전 지역의 연구원 수 및 비중 추이
바.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FTE 기준)는 전년대비 317만원 감소(1.5%↓)한 2억 675만원이며,
주요국과 비교해 볼 때 중국과 영국을 제외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20] 우리나라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추이(좌)
주요국의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우) (FTE 기준)
∙222 ∙
3. 기업부문 연구개발비
가. 기업유형별17) 연구개발비
2019년 대기업의 연구개발비는 44조 6,658억 원(62.5%)이며, 중견기업 10조 1,864억 원
(14.2%), 중소기업 8조 48억 원(11.2%), 벤처기업 8조 6,497억 원(12.1%)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대기업의 연구개발비는 8,422억 원(1.9%↑) 증가하였으며, 중견기업은 5,910억 원
증가(6.2%↑), 중소기업은 5,165억 원 증가(6.9%↑), 벤처기업은 7,225억 원 증가(9.1%↑)
하였다.
[그림 3-21]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추이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벤처기업이 0.6%p로 변화폭이 가장 크고, 중소기업과 중견
기업이 각각 0.3%씩 증가하였다. 하지만 대기업은 전년대비 1.25%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17)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에 속하지 않는 기업
중견기업: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정의)에 해당하는 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이 아닌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중소기업자의 범위)에 해당하는 기업
벤처기업: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의2(벤처기업의 요건)에 해당하는 기업
2017년(조사대상년도)부터 기업유형에 중견기업을 추가하여 세분화하였으므로 시계열 분석 시 주의를 요함.
∙223 ∙
[그림 3-22]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나. 산업별 연구개발비
제조업의 연구개발비는 62조 5,550억 원(87.5%)으로 전년대비 1조 3,978억 원 증가
(2.3%↑)하였으며, 서비스업은 전년대비 1조 3,475억 원 증가(21.6%↑)한 7조 5,823억 원
(10.6%)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23]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연구개발비 추이
주요국과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제조업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요국 중 유일하게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이 제조업보다 높게 나타난
영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제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2배 이상, 서비스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1/5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24 ∙
[그림 3-24] 주요국 산업별 연구개발비 비중 비교
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의 비중은 벤처기업이 5.84%로 가장 높고, 대기업 3.94%, 중소기업
2.67%, 중견기업이 2.25%로 조사되었다. 모든 기업유형에서 2018년에 비해 연구개발비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그림 3-25]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4.49%로 산업 전체의 연구개발비 비중(3.51%)을
상회하며,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장비제조업(10.14%)과 의료/정밀/광학기기・시계
제조업(7.94%)은 제조업 평균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비스업의 경우 연구개발비 비중이
2.21% 수준으로 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년 대비 연구개발비의 비중은
모든 산업부문에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25 ∙
[그림 3-26]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추이18)
라. 기업유형별 연구원
대기업의 연구원 수는 123,528명(31.9%)으로 가장 많고, 중소기업이 104,879명(27.1%),
벤처기업이 100,174명(25.9%), 중견기업이 58,867명(15.2%)으로 조사되었다. 전년대비 연구원
수는 모든 기업유형에서 증가하였으나, 연구원 수 비중은 중견기업과 벤처기업은 각각 0.1%p,
0.2%p 증가, 대기업은 0.2%p 하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27]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원 수(좌) 및 비중(우) 추이
마. 상위 기업의 연구개발 집중도
매출액 상위 10개 기업의 연구개발 집중도는 연구개발비 47.0%, 연구원 20.3%, 박사 연구원
32.7%이며, 상위 100개 기업의 집중도는 연구개발비 60.7%, 연구원 29.7%, 박사 연구원 51.1%로
나타나 연구개발비의 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위 100개사를 기준으로 전년대비
연구개발비 집중도는 2.4%p, 연구원 집중도는 0.8%p, 박사 연구원 집중도는 1.3%p 하락하였으며,
18) 2016년(조사대상년도)부터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KSIC) 10차가 적용되었으므로 시계열 분석 시 주의를 요함
∙226 ∙
연구개발비의 집중도는 최근 3년간, 연구원과 박사 연구원의 집중도는 최근 5년간 지속 하락하여
연구개발 집중도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표 3-3>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 기업의 연구개발 집중도 추이
(단위 억 원)
매출액 상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5개사 190,454 (37.2) 203,318 (37.7) 252,885 (40.4) 253,451 (36.8) 241,525 (33.8)
10개사 213,245 (41.7) 238,795 (44.3) 314,085 (50.2) 326,507 (47.4) 335,736 (47.0)
20개사 252,205 (49.3) 278,651 (51.6) 337,705 (54.0) 369,926 (53.7) 377,440 (52.8)
50개사 292,757 (57.3) 303,783 (56.3) 363,051 (58.0) 401,938 (58.4) 404,533 (56.6)
100개사 316,397 (61.9) 336,262 (62.3) 398,346 (63.7) 434,042 (63.1) 434,134 (60.7)
그 외 194,967 (38.1) 203,263 (37.7) 277,289 (36.3) 254,302 (36.9) 280,933 (39.3)
전체 511,364 (100) 539,525 (100) 625,634 (100) 688,344 (100) 715,067 (100)
연구원
5개사 65,691 (20.7) 65,982 (20.5) 67,408 (19.6) 55,751 (15.1) 56,452 (14.6)
10개사 73,244 (23.0) 73,813 (23.0) 79,561 (23.2) 74,202 (20.2) 78,713 (20.3)
20개사 85,156 (26.8) 85,789 (26.7) 88,221 (25.7) 87,937 (23.9) 92,628 (23.9)
50개사 98,381 (31.0) 95,619 (29.8) 99,944 (29.1) 100,330 (27.2) 102,834 (26.5)
100개사 110,827 (34.9) 110,659 (34.4) 113,716 (33.1) 112,432 (30.5) 114,934 (29.7)
그 외 207,015 (65.1) 210,664 (65.6) 229,651 (66.9) 255,805 (69.5) 272,514 (70.3)
전체 317,842 (100) 321,323 (100) 343,367 (100) 368,237 (100) 387,448 (100)
박사
연구원
5개사 6,274 (29.0) 5,798 (26.8) 6,774 (27.8) 6,208 (24.6) 6,599 (23.9)
10개사 7,507 (34.7) 7,135 (33.0) 8,406 (34.5) 8,391 (33.2) 9,003 (32.7)
20개사 8,965 (41.4) 8,726 (40.3) 9,937 (40.7) 10,313 (40.8) 11,021 (40.0)
50개사 10,922 (50.5) 10,129 (46.8) 11,412 (46.8) 11,975 (47.4) 12,786 (46.4)
100개사 11,934 (55.2) 11,739 (54.2) 13,039 (53.4) 13,242 (52.4) 14,074 (51.1)
그 외 9,698 (44.8) 9,903 (45.8) 11,357 (46.6) 12,023 (47.6) 13,490 (48.9)
전체 21,632 (100) 21,642 (100) 24,396 (100) 25,265 (100) 27,564 (100)
∙227 ∙
기업 전체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51%로 전년대비 0.13%p 상승하였다. 매출액
상위 5개 기업과 상위 10개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각각 7.34%, 7.22%로 전체 평균인 2배를
상회하며, 상위 10개 기업은 2018년에 비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28] 우리나라 매출액 상위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바. 연구개발 항목별 상위 기업 집중도19)
연구개발비 상위 5개 기업이 연구개발비의 전체 연구개발비의 약 47%를, 연구원 상위기업은
전체 연구원의 20.4%를, 박사 연구원 상위 5개 기업이 전체 박사 연구원의 33.3%를 차지하여
연구개발비의 집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9) ‘연구개발 항목별 집중도’란 연구개발비, 연구원, 박사연구원별로 각각 정렬한 후, 산출한 항목별 상위 기관의
비중을 의미함. 매출액 상위 기관의 집중도와는 다른 의미임.
∙228 ∙
<표 3-4> 우리나라 연구개발 항목별 상위 기업 집중도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상위 5개사 223,106 (43.6%) 237,413 (44.0%) 294,774 (47.1%) 327,933 (47.6%) 335,545 (46.9%)
상위 10개사 256,834 (50.2%) 276,752 (51.3%) 336,418 (53.8%) 370,893 (53.9%) 378,040 (52.9%)
상위 20개사 281,686 (55.1%) 301,002 (55.8%) 365,990 (58.5%) 401,572 (58.3%) 408,048 (57.1%)
상위 50개사 314,038 (61.4%) 332,517 (61.6%) 401,781 (64.2%) 436,125 (63.4%) 445,092 (62.2%)
상위 100개사 339,489 (66.4%) 357,600 (66.3%) 428,308 (68.5%) 464,399 (67.5%) 475,414 (66.5%)
나머지 기업 171,875 (33.6%) 181,925 (33.7%) 197,327 (31.5%) 223,945 (32.5%) 239,652 (33.5%)
전체 511,364 (100.0%) 539,525 (100.0%) 625,634 (100.0%) 688,344 (100%) 715,067 (100%)
연구원
상위 5개사 72,077 (22.7%) 72,611 (22.6%) 75,261 (21.9%) 74,816 (20.3%) 78,992 (20.4%)
상위 10개사 85,868 (27.0%) 85,534 (26.6%) 89,583 (26.1%) 89,007 (24.2%) 94,222 (24.3%)
상위 20개사 95,832 (30.2%) 95,886 (29.8%) 100,706 (29.3%) 100,608 (27.3%) 105,498 (27.2%)
상위 50개사 109,386 (34.4%) 110,134 (34.3%) 115,357 (33.6%) 116,034 (31.5%) 121,170 (31.3%)
상위 100개사 121,300 (38.2%) 122,315 (38.1%) 127,904 (37.2%) 129,329 (35.1%) 135,112 (34.9%)
나머지 기업 196,542 (61.8%) 199,008 (61.9%) 215,463 (62.8%) 238,908 (64.9%) 252,336 (65.1%)
전체 317,842 (100.0%) 321,323 (100.0%) 343,367 (100.0%) 368,237 (100%) 387,448 (100%)
박사
연구원
상위 5개사 7,418 (34.3%) 6,982 (32.3%) 8,079 (33.1%) 8,542 (33.8%) 9,184 (33.3%)
상위 10개사 9,091 (42.0%) 8,482 (39.2%) 9,691 (39.7%) 10,157 (40.2%) 10,865 (39.4%)
상위 20개사 10,176 (47.0%) 9,769 (45.1%) 11,111 (45.5%) 11,517 (45.6%) 12,317 (44.7%)
상위 50개사 11,857 (54.8%) 11,682 (54.0%) 13,022 (53.4%) 13,398 (53.0%) 14,194 (51.5%)
상위 100개사 13,097 (60.5%) 12,931 (59.7%) 14,400 (59.0%) 14,642 (58.0%) 15,580 (56.5%)
나머지 기업 8,535 (39.5%) 8,711 (40.3%) 9,996 (41.0%) 10,623(33.8%) 11,984 (43.5%)
전체 21,632 (100.0%) 21,642 (100.0%) 24,396 (100.0%) 25,265 (100%) 27,564 (100%)
사. 매출액 순위별 전년대비 연구개발비 증감
매출액 31~50위와 51위~70위 기업군의 연구개발비는 각각 전년대비 8,182억 원 감소
(30.7%↓), 3,813억 원 감소(25.1%↓)하였으나, 그 외 기업군들의 연구개발비는 2018년에
비해 약 3~13%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5> 우리나라 매출액 순위별 전년대비 연구개발비 증감
(단위: 억원)
매출액 상위 2018 2019 전년대비 증감
1-10위 326,507 335,736 9,230 (2.8%)
11-30위 48,772 50,318 1,546 (3.2%
31-50위 26,660 18,478 (-8,182) (-30.7%)
51-70위 15,201 11,388 (-3,813) (-25.1%)
71-100위 16,903 18,213 1,310 (7.8%)
101-1,000위 88,266 99,706 11,440 (13.0%)
1,001-10,000위 78,932 82,266 3,334 (4.2%)
10,001위 이하 87,105 98,961 11,857 (13.6%)
계 688,344 715,067 26,722 (3.9%)
∙229 ∙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제1절 개요 및 의의
1999년도부터 실시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은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와 동법시행령
제20조에 의거하여, 범부처 차원에서 매년 정부가 투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집행 실적과 성과
현황을 조사하는 사업이다. 정부예산(일반+특별회계)과 기금 중 연구개발예산으로 편성된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협약된 과제의 연구비, 연구수행
주체, 연구개발 단계, 및 기술 분야 등을 조사한다.
[그림 3-29]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대상
∙230 ∙
조사 결과는 다각적인 R&D 추진현황 분석자료 산출 및 증거 기반의 효율적 국가연구개발
사업 추진과 정책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된다.
주: 예산체계 상 세부사업으로 집행된 세부(위탁)과제가 최종 분석단위
[그림 3-30]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체계와 조사・분석 단위
[그림 3-31]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추진체계
❖ 201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4ervice)의 “데이터활용_과학기술통계”에서 제공
∙231 ∙
제2절 주요 조사・분석 결과
1. 총괄현황
가. 2019년도 총 집행액
2019년 총 집행액은 20조 6,254억 원으로 2018년도 대비 4.3%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2015∼2019년) 연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통합재정규모의 연평균 증가율
(6.3%)의 약 0.4배 수준이다.
[그림 3-32]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액과 세부과제 수 추이(2015∼2019)
나. 부처별 집행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가장 높은 비중(33.9%, 6조 9,851억 원)을 차지하였으며, 산업통상
자원부(15.7%, 3조 2,339억 원), 방위사업청(15.3%, 3조 1,657억 원), 교육부(9.3%, 1조
9,089억 원), 중소벤처기업부(4.9%, 1조 194억 원) 순으로 5개 부처가 79.1%(16.3조 원)를
차지하였다.
다. 과제 당 집행현황
과제 1개당 연구비20)는 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5.5% 감소하였으며, 3천만 원 미만의 세부
과제 수행 비중이 대폭 증가하고, 3천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2억 원 이상의 세부과제 수행
비중은 다소 감소하였다.
20) 연도별 과제 당 연구비(억 원) : (2015년) 3.5 → (2016년) 3.5 → (2017년) 3.2 → (2018년) 3.1 → (2019년) 2.9
∙232 ∙
[그림 3-33] 2019년 연구비 구간별 세부과제 수와 연구비 집행현황
라. 신규・계속과제별 집행현황
신규과제는 27,606개(4조 3,958억 원), 계속과제는 42,721개(16조 2,295억 원)이며, 최근
5년간(2015∼2019년) 과제 당 연구비의 경우 신규과제는 연평균 4.0% 감소하였고, 계속과제
또한 연평균 7.3% 감소하였다.
[그림 3-34] 신규・계속과제의 과제 수와 과제 당 연구비 추이(2015~2019)
마. 비목별 집행현황
직접비(11.5조 원, 66.0%)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인건비(4.3조 원,
24.5%), 간접비(1.3조 원, 7.6%), 위탁연구비(0.3조 원, 1.9%) 순이며, 전년 대비 인건비 집행
비중이 소폭 증가하였다.
∙233 ∙
바. 부문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1) 적용 분야(공공・산업)별 집행현황
공공분야(13.9조 원, 67.7%)가 산업분야(6.6조 원, 32.3%)보다 2.1배 많으며, 2019년은
산업분야의 집행 비중이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림 3-35] 적용분야별 투자 비율 추이(2015∼2019)
2) 연구수행 주체별 투자
출연(연)(8조 2,597억 원, 40.0%)의 집행 비중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대학(5조 278억 원,
24.4%), 중소기업(3조 910억 원, 1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연(연)의 경우 집행 비중이
40% 이상으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중소・중견기업의 집행액은 꾸준히 증가(2017년 21.2%
→ 2019년 21.9%)하고 있는 반면, 대기업의 집행액은 꾸준히 감소(2017년 2.2% → 2019년
1.8%)하고 있다.
[그림 3-36] 연구수행주체별 투자 추이(2017∼2019)
∙234 ∙
3) 연구개발단계별 투자
기초연구(4조 6,415억 원)가 32.7%를 차지하여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며, 응용연구(3조
458억 원)가 21.55%, 개발연구(6조 4,883억 원)가 45.8%를 차지하였다.
2019년도 기초연구는 자유공모형(상향식) 과제에서 가장 높은 비중(47.0%, 2조 1,824억
원)을 차지하였으며, 하향식, 품목지정형(상향식) 순이었다.
[그림 3-37] 연구개발단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집행 추이(2015∼2018)
<표 3-6> 2019년 세부과제 지원유형별 연구개발단계 집행 규모
(단위 : 억 원, %)
구분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 기타 합계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금액 비중
상향식
자유공모형 21,824 47.0 4,439 14.6 18,311 28.2 14,618 59,193 28.7
품목지정형 5,821 12.5 10,266 33.7 19,683 30.3 4,929 40,699 19.7
하향식 18,770 40.4 15,753 51.7 26,889 41.4 44,950 106,362 51.6
합계 46,415 32.7 30,458 21.5 64,883 45.8 64,497 206,254 100.0
4) 지역별 투자
지방(7.9조 원, 38.8%), 수도권(6.7조 원, 32.62%), 대전(5.8조 원, 28.6%)의 순이며 17개
시・도별로는 대전(5.8조 원, 28.6%)과 서울(3.8조 원, 18.9%), 경기(2.4조 원, 11.8%) 순으로
나타났다.
∙235 ∙
[그림 3-38] 지역별 집행 비중 추이, 2015∼2019
5) 기술 분류별 투자21)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기계 17.5%(3.3조 원), 정보・통신
10.6%(2.0조 원), 전기・전자 9.6%(1.8조 원), 보건의료 9.2%(1.7조 원) 등의 순서로 투자되었으며,
미래유망신기술(6T) 별로는 BT 분야 19.1%(3.6조 원)가 가장 많았으며, IT 분야 18.0%(3.4조
원), ET 분야 11.8%(2.2조 원) 순이었다.
[그림 3-39]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분야별 집행 비중, 2019
[그림 3-40] 미래유망신기술(6T)별
집행 비중, 2019
중점과학기술 분야의 집행액은 10.9조 원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 총 집행액의 56.7%를 차지
하였다. 중점과학기술 분야별로는 생명・보건의료 분야 19.2%(2.0조 원), ICT・SW 분야
16.4%(1.7조 원), 에너지・자원분야 10.4%(1.1조 원) 순으로 투자되었다.
21) 기술 분류별 집행현황 분석은 2019년도 전체 70,327개의 세부과제 중 인문사회 분야를 제외한 과학기술 분야와
국방 분야의 61,701개의 세부과제(19조 2,597억 원)가 분석 대상임
∙236 ∙
[그림 3-41] 중점과학기술분야별 집행현황, 2019
6) 공동・위탁 연구과제22)
공동연구는 20,332건, 위탁연구는 6,640건이며 공동연구는 기업(9,316건, 45.8%), 위탁
연구는 대학(3,728건, 56.1%)에서 주로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42] 공동・위탁연구 수행과제 수 추이(2015~2019)
22) 공동・위탁연구 분석은 인문사회 분야를 제외한 과학기술 분야와 국방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 2019년에는
61,701개 세부과제(19조 2,597억 원)가 분석 대상임
∙237 ∙
사. 연구책임자 현황
세부과제를 수행한 연구책임자는 총 44,578명이며, 여성(7,801명, 17.5%) 연구책임자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2015년 14.2% → 2019년 17.5%).23) 또한, 연구책임자 1인당 연구비는
전년 대비 0.02억 원 증가한 3.6억 원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비 규모별 연구책임자 수 비중을
살펴보면 5천만 원 이상∼1억 원 미만(12,457명, 27.9%)이 가장 많고, 1억 원 이상∼2억 원
미만(8,543명, 19.2%), 3천만 원 이상∼5천만 원 미만(7,587명, 17.0%) 순이었다.
[그림 3-43] 연구비 규모별 연구책임자 수 비중 추이, 2015∼2019
23) 여성 연구책임자 비중 추이(%): (2015년) 14.2 → (2016년) 14.6 → (2017년) 16.1 → (2018년) 16.8 →
(2019년) 17.5
∙238 ∙
2. 전년 대비 비교표
<표 3-7> 전년 대비 비교표
구 분 2018년 2019년
총
집행현황
∙ 686개 사업, 63,697개 과제
∙ 19조 7,759억 원
∙ 847개 사업, 70,327개 과제
∙ 20조 6,254억 원
연구수행
주체별
집행현황
∙ 출연연구소 : 8조 502억 원 (40.7%)
∙ 대학 : 4조 5,365억 원 (22.9%)
∙ 중소기업 : 3조 1,840억 원 (16.1%)
∙ 중견기업 : 1조 692억 원 (5.4%)
∙ 국공립연구소 : 1조 245억 원 (5.2%)
∙ 대기업 : 4,162억 원 (2.1%)
∙ 정부부처 : 2,993억 원 (1.5%)
∙ 기타 : 1조 1,960억 원 (6.0%)
∙ 출연연구소 : 8조 2,597억 원 (40.0%)
∙ 대학 : 5조 278억 원 (24.4%)
∙ 중소기업 : 3조 910억 원 (15.0%)
∙ 중견기업 : 1조 4,165억 원 (6.9%
∙ 국공립연구소 : 1조 527억 원 (5.1%)
∙ 대기업 : 3,735억 원 (1.8%)
∙ 정부부처 : 1,829억 원 (0.9%)
∙ 기타 : 1조 2,212억 원 (5.9%)
연구개발
단계별
집행현황
∙ 기초연구 : 4조 4,651억 원 (32.7%)
∙ 응용연구 : 2조 7,665억 원 (20.2%)
∙ 개발연구 : 6조 4,387억 원 (47.1%)
∙ 기초연구 : 4조 6,415억 원 (32.7%)
∙ 응용연구 : 3조 458억 원 (21.5%)
∙ 개발연구 : 6조 4,883억 원 (45.8%)
지역별
집행현황
∙ 수도권 : 6조 5,025억 원 (33.2%)
∙ 대 전 : 5조 6,655억 원 (28.9%)
∙ 지 방 : 7조 5,064억 원 (37.8%)
∙ 수도권 : 6조 6,726억원 (32.6%)
∙ 대 전 : 5조 8,439억 원 (28.6%)
∙ 지 방 : 7조 9,432억 원 (38.8%)
기술분야별
집행현황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상위 5개 분야 비중
- 기계(17.4%), 정보/통신(9.9%),
전기/전자(9.5%), 보건의료(9.1%),
농림수산식품(6.8%)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상위 5개 분야 비중
- 기계(17.5%), 정보/통신(10.6%),
전기/전자(9.6%), 보건의료(9.2%),
농림수산식품(6.7%)
∙ 미래유망신기술(6T) 비중
- BT(19.2%), IT(18.1%), ET(12.1%),
ST(8.1%), NT(4.4%), CT(1.3%)
※ 기타(6T 외) : 36.8%
∙ 미래유망신기술(6T) 비중
- BT(19.1%), IT(18.0%), ET(11.8%),
ST(9.1%), NT(4.3%), CT(1.1%)
※ 기타(6T외) : 36.5%
∙ 중점과학기술별 비중
- 생명・보건의료(18.2%), ICT・SW(14.0%), 우주・
항공・해양(10.6%), 에너지・자원(10.4%), 소재・
나노(8.6%), 건설・교통(8.4%), 기계・제조(8.3%),
농림수산・식품(8.2%), 환경・기상(6.1%), 국방
(4.7%), 재난안전(2.6%)
∙ 중점과학기술별 비중
- 생명・보건의료(19.2%), ICT・SW(16.4%), 에너지・
자원(10.4%), 농림수산・식품(9.4%), 소재・나노
(8.5%), 기계・제조(8.0%), 우주・항공・해양(7.8%),
환경・기상(6.6%), 국방(6.4%), 건설・교통(4.8%),
재난안전(2.5%)
적용분야별
집행현황
∙ 공공분야 : 13조 2,367억원(66.9%)
∙ 산업분야 : 6조 5,393억원(33.1%)
∙ 공공분야 : 13조 9,594억 원(67.7%)
∙ 산업분야 : 6조 6,660억 원(32.3%)
연구책임자
현황
∙ 총 연구책임자: 43,254명
- 남성 : 36,002명 (83.2%)
여성 : 7,252명 (16.8%)
- 박사 : 30,122명 (69.6%)
∙ 총 연구책임자: 44,578명
- 남성 : 36,777명 (82.5%)
여성 : 7,801명 (17.5%)
- 박사 : 32,879명 (73.8%)
∙239 ∙
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동향
제1절 기초・기반 연구
1. 기초연구
기초연구는 ‘기초과학 또는 기초과학과 공학・의학・농학 등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이론과
지식 등을 창출하는 연구 활동’이다(OECD, 2002). 기초연구를 통한 새로운 지식창출과 창조적
인력양성은 국가 경쟁력의 근본 원천인 과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산업과 경제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성공적인 기초연구를 위해서는 실용적 성과에 대한 높은
불확실성을 감내하고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주요 국가들은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기초연구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초연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2005년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처음으로 ‘기초연구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였으며, 현재까지 기초연구비 확
대를 주요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통해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예산 2배 확대’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기초연구비 확대 기조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 현황
1) 추진현황
가) 예산
정부는 2022년까지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24) 예산을 2017년 대비 2배 확대하는 것을
24) 과기정통부(개인기초연구사업, 집단연구지원사업), 교육부(개인기초연구사업,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사업) 등
4개 사업
∙240 ∙
목표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연구 및 창의적 연구 진흥을
위해 2020년에는 전년대비 24.8% 증가한 1조 5,112억 원(기반구축 포함)을 지원하였다.
(단위 : 백만원)
구분 2019년(A) 2020년(B) 증감액(B-A) 증감율
연
구
자
주
도
기
초
연
구
개
인
연
구
우수연구
리더연구 55,205 63,756 8,551 15.5%
중견연구 647,027 751,888 104,861 16.2%
신진연구 143,368 214,565 71,197 49.7%
계 845,600 1,030,209 184,609 21.8%
생애기본연구
생애첫연구 54,000 36,494 -17,506 △32.4%
재도약연구 20,000 12,605 -7,395 △37.0%
기본연구 60,000 141,530 81,530 135.9%
계 134,000 190,629 56,629 42.3%
소계 979,600 1,220,838 241,238 24.6%
집
단
연
구
선도연구센터 151,044 171,010 19,966 13.2%
기초연구실 69,981 107,900 37,919 54.2%
소계 221,025 278,910 57,885 26.2%
기
반
구
축
전문연구정보활용 1,850 2,100 250 13.5%
기초연구 실험데이터글로벌허브구축 2,777 2,777 0 0.0%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 4,741 5,241 500 10.5%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연구지원 1,364 1,364 0 0.0%
소계 10,732 11,482 750 7.0%
합 계 1,211,357 1,511,230 299,873 24.8%
나) 2020년도 기초연구사업 추진 목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창의적・도전적 기초연구 활성화를 통한 세계적 수준의 우수 연구자
육성 및 국가 기초연구의 질적 수준 향상을 추진목표로 설정하고, 연구 몰입환경 조성,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 지원 등을 중점 추진사항으로 설정하여 사업을 추진하였다.
구분 중점 추진내용
연구 몰입환경 조성
∙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지원 및 연구단절 방지
∙ 연구 윤리의식 제고 및 연구부정행위자 제재 강화
∙ 인공지능 기반 평가시스템 도입 및 연구자와 함께하는 평가 실시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강화
∙ 젊은 과학자 등 우수연구자 지원 강화
∙ 분야별 지원체계 시범 도입
∙ 소규모 집단연구 유형의 다양화
기초연구 기반구축 지원
∙ 분야별 전문연구정보 공유 및 연구커뮤니티 활성화
∙ 국내외 대형 연구시설 및 대용량 연구데이터 활용 확대
∙241 ∙
다) 연구 몰입 환경 조성
➀ 연구자의 안정적 연구지원 및 연구단절 방지
사업별 신규과제 규모를 2020년부터 지속 선정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하여 향후 연구자들의
과제 규모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제고하였고, 출산・육아로 인한 우수연구자의 경력단절 방지를
위하여 신진연구 및 생애첫연구의 경우 출산・육아 시 신청자격 기간을 연장하였다.
➁ 연구 윤리의식 제고 및 연구부정행위자 제재 강화
연구자의 연구윤리 의식 제고를 위하여 기초연구사업을 수행하는 모든 연구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연구윤리교육 참여를 의무화하고, 최근 3년 이내 연구부정행위로 판명된 연구자의 신규과제
신청 시 감점(총점의 10%)을 부여하여 제재를 강화하였다.
➂ 인공지능(AI) 기반 평가시스템 도입 및 연구자와 함께하는 평가 실시
2019년 ‘기본연구사업’에 시범 적용했던 인공지능(AI) 기반 평가위원 후보추천, 군 구성 및
우선순위 도출 방식을 개인연구(온라인 서면평가)로 확대하고, 선정・단계・최종평가 시 평가위원
모니터링 실시 및 결과환류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우수한 연구자가 적극적으로 평가에 참여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과제를 선정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사업 수행 연구책임자의 평가 참여를 의무화하였다.
라)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지원
➀ 젊은 과학자 등 우수연구자 지원 강화
전임 및 비전임 연구원, 우수신임교원 등을 지원하는 ‘신진연구사업’의 연구비 단가를 1억 원에서
1.5억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신규 과제수도 2019년 591개에서 2020년 879개로 확대하여
젊은 연구자들이 조기에 안정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우수 연구성과
창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중견연구사업’의 신규 과제(후속 포함)도 2019년 1,803개에서
2020년 1,946개로 확대하여 우수 연구자들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➁ 소규모 집단연구 유형의 다양화
신분야 개척, 주력산업 지원 등을 위한 소규모 집단연구 지원을 확대하였다. 미래 신학문・
신영역 개척, 국가 차원에서 장기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지원 강화를 목표로 3~4인의
소규모 집단연구를 지원하는 ‘기초연구실’ 사업 내 신규 유형을 신설하였다.
∙242 ∙
이에 젊은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 분야에 도전하는 ‘개척형 연구실’, 주력산업의 핵심기술
확보 및 자립화를 지원하는 ‘돌파형 기초연구실’ 등 새로운 유형의 과제를 지원하였다.
구분 심화형(기존 유형) 개척형(신규 유형) 돌파형(신규 유형)
목적
기존 연구를 심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구를 지원해 소규모
연구집단 체계적 육성
학제적 융합 등 국내에서 거의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의
창의적・도전적 연구 지원을 통해
역량 있는 젊은 연구자의 성장 지원
주력산업 분야 핵심기술 확보 및
자립화 등을 위한 기초연구를
지원하여 과학기술 현안의 근본적
해결 기반 마련
대상 이공계 대학의 전임교원이 포함된 3~4인으로 구성된 연구그룹
연구기간 3년, 3년 후속(30% 이내)
연간연구비 연 5억 원 이내
마) 기초연구 기반구축 지원
➀ 전문연구정보활용
기초연구분야의 연구동향, 학술자료 등 연구정보를 공유하고 연구자 간 소통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6개 분야별 전문연구정보센터(생물학, 의과학, 한의약융합, 기계・로봇, 화공소재, 전자정보)와
중앙센터(한국연구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중앙센터는 각 센터의 인프라를 통합 및 서비스를 표준화
하고 센터들이 생산하는 연구정보를 누적하는 등 센터를 총괄 관리하고, 6개 분야별 센터는
연구정보를 생산하여 연구자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중앙센터는 2020년부터 클라우드 기반의
연구정보 서비스를 위하여 장비 이관을 추진하고 있으며, 각 센터의 전담 인력을 확대하여 양질의
연구 콘텐츠를 지원하고 있다.
➁ 기초연구실험데이터 글로벌허브구축(GSDC)
국내외 첨단연구시설에서 생산되는 대용량 실험데이터를 국내 연구자들이 접근하고 분석하도록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여 기초연구 역량을 제고하고 국내 대형연구장비 활용률을 높이도록
2010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스위스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 미국 중력파 실험 등 해외 실험시설과
함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전자현미경 등 국내 연구장비 데이터 연구그룹이 활용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지원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다.
➂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협력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 대형검출기(CMS, ALICE) 실험 및 이론물리 공동연구에 참여하여
∙243 ∙
국내 기초과학 역량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CMS 실험에 10개 기관이 참여하여 새로운
입자 탐색과 검출기 핵심장치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ALICE 실험에는 7개 국내기관 연구자가
참여해 중이온 충돌실험으로 초기 우주 상태를 재현하고 초기 우주입자들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론물리 분야도 한국물리학회를 통하여 펠로우 및 대학원생을
파견하고 공동학회를 개최하는 등 신진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활발히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➃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연구지원
국내에 구축되어 있지 않거나 국내 대비 우월한 성능의 해외 대형연구시설・장비 등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장・단기 활용 지원 등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0년도에는
한국 SuperKEKB/Belle II 고에너지물리실험 연구단 등 6개 사업단을 통해 국내 33개 기관,
300여명의 연구자가 최첨단 해외연구시설의 활용기회를 제공받아, 코로나 19로 인해 제한적이긴
하나 해외 최첨단 연구시설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참여 확대로 국제협력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FeSe 초전도체에서 전자 궤도의 불균형을 최초로 확인’(Communications Physics,
2020.3월)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 물질의 네마틱 상의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정보
제공을 하였고, ‘근접 효과에 의해 위상 콘도 부도체의 콘도 효과가 그래핀에 전이될 수 있음을
최초 확인’(Nano Letters, 2020.10.)하는 등 우수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였다.
2) 주요 성과
기초연구사업에서 산출된 성과를 살펴보면, JCR 상위 10% 학술지 SCI(E) 논문건수는 2017년
기준 3,181건에서 2019년 3,921건으로 증가하였으며, SCI(E)25) 논문 평균 질적수준(mrnIF*)의
경우에도 2017년 70.0에서 2019년 70.6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전체 논문수
(양적지표) 대비 상위 10% 저널 논문수(질적지표)의 경우 2017년 18.1%에서 2019년 19.3%로
증가하여 기초연구사업 질적 성과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 SCI(E) 논문 영향력지수(Impact Factor)의 분야 간 차이를 순위에 기반하여 보정하는 지표로 논문성과 질적수준
제시(100이 가장 높고, 0이 가장 낮음)
∙244 ∙
※ 출처 : 각 연도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요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보고서
3) 향후 계획
과제 지원 및 성과 창출을 위하여 각 학문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 분야별 지원체계 전환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각 분야의 학회 등을 중심으로 연구현장 합의도출을 2019년도
수학분야 시범사업으로 출발하여 2020년에는 자연과학전분야, 기초생명분야와 기초.응용의학
분야로 확대하였다. 2021년부터는 전 분야로 확대하여 2022년에는 학문분야 중심으로 분야의
특성과 발전 방향에 맞는 구조로 개선하여 학문분야별 지원체계 적용 1단계를 완성함으로써
역량있는 연구자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우수 연구성과를 창출하여 국가
과학기술 역량 향상에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그림 3-44]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의 분야별 지원체계 개편방안(안)
∙245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수학
2020년은 코로나 19 바이러스 펜더믹 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학술교류와 협력연구의 어려움이 많았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온라인 강연과 회의를 통해
수리과학 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뉴노멀에 적응하는 해로 기억될 것이다. 수학은 장기적인
기초 원천연구로부터 산업현장의 문제해결을 통한 기업의 혁신적 성장을 주도하는 산업수학의
성공적 수행까지 다양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특히, 수학의 산업에의 활용 가능성은 금융,
바이오, 의료, 안전, 교통 등의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보기반 신산업의 핵심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로 고도화된 정보(데이터) 기반 기술개발이 산업, 과학, 의료에 직접 활용되는
것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공공영역에서의 수학적 분석에 기반한 알고리즘 개발과 다양한 정책의 효과분석을 통해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특히, 코로나 19 감염증 관련 방역정책의 효과분석과
확진자 예측에 있어 다양한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을 통해 거리두기 중요성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많은 사회적 공감대 확산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사회적・산업적 난제
해결을 목표로 임무지향적 기획을 수행하는 연구를 지원하고 국민의 안전한 삶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계획을 연구개발 중점 투자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방향과 발맞추어
수학계는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의료생체정보와 수학적 해석 및 모델링을 통합적
으로 해결하는 분야인 의료수학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기술혁신의 초석 역할을 하고 있는 산업수학문제해결 사업을 통해 국내의
산업발전과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신・변종 감염병 대응 및 사전대비를
위한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응역량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코로나 19 확산 예측 모델 및 방제정책 효과분석
대한수학회와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공동으로 수학을 기반으로 코로나 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코로나19 수리모델링 TF’를 2020년 6월 16일에 발족하였다. 수리모델링을 통한 코로나19
방제 정책 제안, 정기 온라인 워크숍 개최, 수학계의 감염병 연구결과 공유, 감염병 예측결과
분석에 대한 방역당국 및 언론기관 단일 소통창구 역할 등을 수행하였다. 총 6회에 걸친 코로나19
관련 워크숍을 개최하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립암센터 대학원,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부산
∙246 ∙
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질병관리청, 국제백신연구소의 감염병 관련 전문가들과 수리모델링을
중심으로 확산예측 시뮬레이션을 연구하는 수리과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방역정책 방향에서
백신의 접종전략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로 융합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림 3-45] 2020년 코로나 19 수리모델링 TF 개최 워크숍
또한, 코로나19 대책위원회 청와대 정책제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 코로나19 전문가
회의 자문, 전국 감염병관리 지원단 코로나19 자문, 청와대 코로나19 방역정책 지원 플랫폼
연구팀 활동, 질병관리청 위기대응연구 담당관실 업무협력, 방역당국에 코로나19 확산예측 및
방역 정책레포트 제출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활동들이 KBS, MBC, YTN,
JTBC 등의 공중파는 물론 서울경제, 동아사이언스 등의 다수의 언론 매체에 노출되어 전 국민이
수학적인 용어인 ‘기초감염재생산 지수’의 보통명사화에 기여하였다.
나) 의료수학을 통한 국민의 건강한 삶에 기여
의료수학은 산업수학의 영역 중 하나로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수학적 해석과 모델링의
수학이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해결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의료현장에서는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모델링하여 질환의 예측, 진단, 치료에 이르는 전 과정의 수학적 응용을
담아내고 있다. 저선량 CT 영상 화질 개선은 병원 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과 연동된 보정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상용소프트웨어
(SAFIRE, SIEMENS)와 비슷한 수준의 보정능력을 달성하였다. 또한, 비지도 학습 기반 저선량
∙247 ∙
CT 복원모델을 개발하여 기존의 알려진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가장 좋은 정량적 지표(PSNR,
SSIM, MSE)를 얻었다. 이외에도 2차원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좌심실의 3차원 움직임 복원,
인공지능을 이용한 두부계측 3차원 기준점 예측 연구, 경동맥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동맥경화
체적모델 개발, 발달성 이형성증 스크리닝 알고리즘 개발 등 다양한 의료영상 관련 연구성과가
있었다.
한편, 임상데이터를 활용한 특정 질환 및 질병의 예측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요로결석 쇄석술의 성공률 예측 모델과 당뇨병 전단계에서 당뇨병 단계로 악화되는 요인을
분석하는 수리모델 연구도 진행하여 지역사회의 간단한 혈당체크를 통해 사전에 당뇨 예방을
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생체유체역학과 인체 데이터에 기반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여 개인 맞춤형 의료진단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형태의 의료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이외에도 영상의학과, 비뇨기과, 심혈관내과, 신경과, 구강안면외과, 치의학과 등 다양한
진료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는 특정 분야에 한정하지 않은 데이터가 있는 진료과에서는
어디서든 이러한 융합연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 기반 감염병 확산 수리모델링을 통한 분석으로 방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말라리아 감염예측 초기모델, 아프리카 돼지열병 감염확산 모델개발을
통하여 감염병 확산으로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채널 시계열 데이터 분석연구를 통해 뇌전증 발작 뇌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환자들에게
질환을 조기 경보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또한, 키나아제-활합물의
생리활성도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신약개발의 있어서 가장 많은 시간, 자원이 투입되는 후보물질
발굴작업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병원의 임상의사, 의료 관련 다양한 전공의 연구진과의 협업에 기반한 다학제
융합연구로써 소기의 성과들이 도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융합연구를 수학 분야에서 참여하고
주도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 수학을 통한 수요가 있는 문제해결
산업계에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산업수학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문제의 수학적 해결・지원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타키온테크에서 제시한 “로봇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데이터 분석”의 문제를 기존에 잘 알려진 알고리즘(RRCF)을 개선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경량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상당한 기업의 매출 증대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외에도 객체탐지(Object Detection) 결과를 이용한 구강 건강상태
∙248 ∙
등급화, 절단기의 수평각에 대한 토치각과 거리각의 상관관계 분석, 배터리 관리 시스템 알고리즘
개발, 관성측정 장치를 이용한 요(yaw) 각도 누적오차 최소화 알고리즘 개발, 실거래가 패턴분석을
통한 지역 및 개별 아파트 군집화 모델 개발 등 다양한 문제해결을 진행하였다.
또한,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도 분석을 위한 식물의 개화
시기의 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는데, 많은 인력들이 수작업을 통하여 계산하던 업무를
자동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
센터에서 의뢰한 문제는 국가 예산으로 구축한 연구시설 장비의 연구성과(논문)를 정성 및 정량적
으로 측정하여 계량적인 가치표현을 위한 수학적, 통계적 모델을 개발하여 체계적인 시설・장비
지원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기업뿐 아니라 병원, 공공기관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산업수학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기업인들과 공공기관 관계자
들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산업수학의 가치확산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산업수학의 선두 주자인 미국은 산・학・연 연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산업난제 해결 및 혁신적인 상품개발을 위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산업 트렌드의
변화로 인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산・학・연 간의 교류가 부족하여 기술개발 시 솔루션에
관한 이론 연구가 부족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관련하여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류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 및 산・학・연 간의 협력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단기적인 문제해결의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연구과제 발굴과 수리과학에 특화된 연구사업 구상 및 발굴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장기적으로는 수학적 방법론의 심화에서 비롯하여 단순한 모델이나 이론의
적용과는 차별되는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2) 향후 전망
급변하는 산업 발전의 원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관건은 알고리즘 개발 및 데이터 분석,
모델링이 가능한 수학 기반의 융합적 능력을 보유한 인재양성 및 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소명을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수학계의 대안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의료데이터 분석 및 첨단의학의 필요성, 인공지능(AI)의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
등으로 수학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수학의 역할,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체제,
관련 분야와의 협업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 인공지능 시대에 수학적 지식을 갖춘
인재의 필요성은 기업의 혁신적 성장과 국가 경제발전의 큰 틀에서 중요한 사안이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 중 산업수학의 활용도가 높은 소프트웨어 시장은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술개발에 산업수학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향후 시장 선점을 위해 산업계의
알고리즘 정확도 향상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를 위한
∙249 ∙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 하에서의 로드맵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수학의 활용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수학의 차별적인 역할
수행으로 산업수학이 원천기술 확보와 혁신기술의 근간으로서 자리매김 할 것으로 기대한다.
물리
물리학은 크게 나누어 입자・천체・핵물리, 응집・응용 물리, 광학, 통계물리, 원자・분자 물리,
생물물리 등의 세부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26) 또한 융합연구를 통하여 현재 경제・사회・기술
등의 영역 전반에 기여할 수 있는 양자컴퓨팅, 인공지능(AI)・빅데이터, 우주와 물질의 기원,
생명현상의 물리학적 이해, 양자물질・소재 분야를 타깃으로 하여 기술분야를 세분화 할 수도
있다.
<표 3-8> 물리학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입자・천체・핵물리
∙ 우주의 기원, 입자의 기본 성질 및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
∙ 우주의 탄생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천문 현상을 연구
∙ 핵자와 핵자 간의 상호작용, 구조 및 반응에 관한 연구
응집・응용물리
(반도체 포함)
∙ 다체가 응집된 상태(액체, 고체 기체 등)에 있는 물질의 기본 물성을 연구
∙ 산업기술에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물질/소자/측정 관련 연구
광학 ∙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광원, 광시스템, 광측정 등에 관한 연구
통계물리 ∙ 거시 다체계의 복잡한 현상을 미시적인 상호작용에 기반하여 연구
원자・분자 물리 ∙ 원자 및 분자의 물리적인 성질을 연구
생물물리 ∙ 분자에서 세포, 거시적 개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명현상을 물리적인 방법론에 기반하여 연구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27)
상온 초천도체는 수십 년간 물리학자들이 꿈꾸어온 소재이다. 초전도체의 응용에서 추가의
냉각이 필요 없이 상온에서 저항이 없는 소재를 이용하는 일은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상압의 2백 6십만 배 환경이기는 하나 carbonaceous sulphur hydride
26) 박지용, 물리학 분야 총괄 과학 로드맵, 『물리학과 첨단기술』, 29(1/2), 2020.
https://webzine.kps.or.kr/inc/down.php?fileIdx=9739.
27) Hamish Johnston, “Physics World announces its Breakthrough of the Year finalists for 2020”,
Physicsworld, 10 Dec. 2020, https://physicsworld.com/a/physics-world-announces-its-breakthrough-
of-the-year-finalists-for-2020/ 열 개 분야 중 중요도에 비추어 5개를 선정.
∙250 ∙
compound가 15℃에서 초전도체가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기록은 지금까지 초전도
임계온도를 35℃ 뛰어넘는 기록이다. 현재는 고압 환경에서만 가능하나, 향후 재료의 화학적인
치환을 통하여 이보다 낮은 기압 하에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광전자공학 분야에서 실리콘 기반의 발광물질을 찾는 일은 성배를 찾는 일로 여겨져 왔다.
직접적인 밴드갭(direct bandgab)을 갖는 실리콘 계열의 물질이 HCP(Hexagonal Close-
Packed) 구조를 갖는 SiGe합금의 나노선에서 이와 같은 물성이 구현됨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편평한 기판 위에서 이와 같은 물질을 어떻게 키울 것인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진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소리의 속도의 한계가 얼마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대한 매우 근원적인 보고가 나왔다.
소리는 탄성체에서 일련의 압축과 이완 과정을 통하여 진행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소리의 속도는
공기 중에서는 340m/s, 물속에서는 1500m/s, 철에서는 5000m/s 이상의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우 놀랍게도 이 소리의 속도 크기의 상한값은 두 가지의 상수, 미세구조상수(fine
structure constant)와 양성자 대 전자의 질량비 두 값으로 결정됨이 보고되었다. 이렇게 보고된
값은 지금까지 측정된 최대 소리속도 값의 약 2배에 해당한다.
지난 100년간 발견되지 않았던 강유전체 네마틱(nematic) 상이 RM743 유기분자에서 보고되었다.
1888년 라이니처(F. R. Reinitzer)에 의해 발견된 액체와 고체의 중간 정도 배열에 해당하는
액정은 배열의 상태에 따라 막대기 모양의 액정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층을 이루는 스멕틱
(smectic) 액정과 위치에 대한 규칙성은 없으나 분자축 방향으로 액정분자가 배열된 질서를
갖는 네마틱 액정으로 나뉜다. 이번에 발견된 물성의 경우 기존의 액정이 전기장에 반응하는
속도가 100~1,000배 이상 강하게 반응하며 배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약 이십만 개의 분자 디자인을 통하여 액정화면 분야에 매우 새로운 제품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역학에 친숙한 사람이라면 양자계를 측정하게 되면 확정적인 고전의 상태로 변함을 알고
있다. 즉 중첩의 상태가 측정으로 인해 깨진다는 가정은 폰노이만 등에 의해 양자역학이 체계화될
때 만들어진 아이디어이다. 그러나 최근 스트론튬(Sr) 단원자를 이용한 양자광학 실험을 통하여
보고된 결과에 의하면 어떤 측정들은 관계된 모든 양자 정보를 파괴하지 않을뿐더러 측정의
결과 중첩상태에서 고전상태로 가는 현상도 매우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자컴퓨터에서 에러의 보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51 ∙
나) 국내동향28)
국내에서는 2차원 물질계와 관련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현석
교수팀은 배선공정(interconnect)과 반도체 사이에 들어가는 절연막(dielectric)의 경우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저유전율 물질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비정질 질화붕소(amorphous BN) 3층이
각각 100kHz, 1MHz에서 각각 1.78, 1.16임을 보이고 반도체에서 요구되는 열적,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이영희 교수팀은 고온에서 구리 기판 위에 증착된 Si을 이용하여 Cu-Si 합금
기판을 만들고 웨이퍼 스케일에서 탄화수소의 농도를 조절하여 1~4층의 단결정 그래핀을 성장
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UNIST 및 기초과학연구원(IBS) 사업단의 루오프 교수팀은 구리 포일에 니켈을 도금하고
1,050℃에서 열처리를 하여 합금기판을 만든 후에 그래핀을 성장하여 2~3층의 그래핀이 ㎝스케일
에서 한 방향으로 성장함을 보고하였다. 특히 Ni의 함량이 16.6% 이상의 경우 AB 적층구조를
갖는 2층 그래핀이 잘 성장함을 보여주었다. 이 AB 적층구조를 갖는 두층 그래핀의 경우 밴드갭을
갖고 있으므로 소자에 적용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층간 자성체인 NiPS3 화합물에서 결맞음성이 매우 강한 엑시톤의 신호를 측정하였고
이 엑시톤의 상태가 양자 다체 상태의 엑시톤임을 증명하였다. 양자 다체 상태는 1988년에
제안되었으나 실험적인 증명이 되지 못하여 사장된 이론이었다. 이번에 보고된 엑시톤은 양자역학적
으로 얽힌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형태로 이를 양자 정보 통신에 이용할 경우 새로운
기술의 출현이 기대된다.
양자거리는 두 개의 양자상태가 갖는 유사성을 비교하는 물리량이며 이는 고체 속의 전자
파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 서울대 양범정 교수팀은 이 양자거리의 측정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측정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양자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양자소재의 양자역학적인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안성이 높아 미래통신 기술로 여겨지는 양자통신 및 양자 컴퓨터의 소재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이 비교 우위에 있는 반도체 메모리의 경우 지금까지 소자의 미세화를 통하여 단위 면적당
집적도를 높이는 공정을 개발해 왔다. 그러나 거의 원자의 한계에 접근하면서 관련된 기술이
28) “South Korea,” Nature index, https://www.natureindex.com/country-outputs/South%20Korea Physical
Science에서 Nature, Science, Naure Physics, Nature Materials, Nature Nanotechnology 에 게재된
한국기여 70% 이상의 논문에서 선정.
∙252 ∙
포화 상태에 이르 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준희 교수는 산화하프늄(HfO2) 소재에 전압을
가할 경우 원자의 탄성이 사라지는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소자에 응용할 경우 개별 원자의
제어를 통하여 산소 원자 4개에 1bit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게 되어 집적도를 1,000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특히 산화하프늄의 경우 현재 공정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소재로
실제 이 기술이 적용될 경우 매우 경이적으로 집적도의 향상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반도체 소자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의 하나는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지 않던 전자의 스핀이라고
하는 물리량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스핀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경우 현재 삼성에서 양산을 시작한
자기메모리(MRAM) 이외에도 스핀파를 이용하는 매그노닉스(magnonics)라는 분야의 연구도
매우 활발하다. 표준과학연구원 황찬용 박사팀은 준강자성체에서 처음으로 왼손 방향의 세차운동을
하는 스핀파를 측정하고 이에 기반한 물리 현상들을 새롭게 발표하였다. 오른방향의 세차운동에
이어 60년 만에 밝혀진 왼손방향 세차운동의 스핀파는 매그노닉스 분야에서 새로운 소자의 출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 향후 전망
기초물리 분야에서부터 응용 분야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는 물리분야의 전망을 간단하게
언급하기는 쉽지 않다. 나사에서 개발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은 2021년에 발사될 것으로 예상되고 프랑스의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핵융합 설비에서도
첫 플라즈마가 2020년대 중반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가 된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HL-LHC 또한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고 2027년 이후 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 비슷한
시기에 중국의 지하 중력파 검출기도 완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거대
과학시설이 만들어지고 있어, 이러한 거대 물리학 실험에의 국제 공동 참여 혹은 국내 단독
시설 투자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응용물리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분야는 대표적으로 ①LED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에서 사용될 UV-emitter, ②태양광 발전에 중요한 Photovoltaic technology, ③탄소
중립 등에 필요한 플라즈마 촉매, ④스핀소자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위상학적 스핀구조체인
스커미온을 기반으로 하는 스커미오닉스(Skyemionics) 분야 등이다. 위의 사례는 일례를 든
분야일 뿐 타 여러 분야에서도 실제 응용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결과들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
되는 상황이다.
∙253 ∙
화학
화학은 물질의 조성과 성질을 연구하는 과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화학산업은 전기・전자, 자동차, 기계 등 다양한 수요산업에서 생산
하는 제품에 핵심 소재를 공급하는 기간산업29)으로 석유화학, 정밀화학, 고무・플라스틱으로
분류된다.
[그림 3-46] 화학산업의 분류
1) 연구개발 동향
소수 대기업 중심의 과점 체제인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나프타 기반 납사분해설비(NCC,
Naphtha Cracking Center)를 활용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등 기초유분을 생산하고 있으며
2010∼2019년 평균 8.5%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할 정도로 경쟁력이 높았다. 하지만, 2020년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넘어 탄소중립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며, 한국도
2050년 탄소중립 실현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기술개발 전략을 수립 중이다.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 석유 중심의 화학기술에서 벗어나, 친환경 저탄소 원료를
확보하여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 배출된 온실가스를 포집하고자 하는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며,
대표 사례로는 석유화학 원료(고탄소)를 바이오화학 원료(저탄소)로 대체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을 들 수 있다. 유럽연합(EU)에서는 2020년 3월 순환경제 실행계획을 발표하고, 바이오경제
실행계획 기반의 지속 가능한 바이오산업(화학, 플라스틱 등)을 지원하고,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또한, 2020년 기준 메탄가스 기반 연료생산 기술개발의
REMOTE Program(미국), 거대조류 기반 연료생산 기술 개발의 MARINER Program(미국),
29) 홍정기, 화학산업에 대한 5가지 고정관념, 2005.
∙254 ∙
바이오매스 기반 에너지 및 소재 생산을 위한 전주기 기술 개발의 Bio-based industries joint
undertaking(EU) 등의 프로젝트를 산・학・연을 중심으로 추진 중이다. 한편, 한국 정부 역시
2020년 12월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고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
▲화이트바이오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밸류체인 강화, ▲산업군 형성을 위한 기반구축의
3대 전략 하에 관련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2020년 기준 차세대 바이오매스
연구사업단(미세조류 기반 탄소순환형 시스템개발), 시스템대사공학 기반 바이오리파이너리,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C1가스 리파이너리 사업단 등 바이오리파이너리 관련 주요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한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유용물질로 전환하여 에너지 저장, 온실가스 감축 및 경제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이 있다.
EU는 2020년 3월 ‘EU 기후법’을 제정하여 탄소중립 목표를 법제화하고 EU 배출권 수익으로
조성되는 기금 250억 유로 중 일부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부생가스활용 관점에서 철강부생가스 원료 폴리우레탄 원료제조를 목표로 Arcelor-Mittal,
Covestro, 아헨공대 등 14개의 산학연 중심 협력프로젝트인 Carbon4PUR가 2020년까지 연구비
100억 원 규모로 진행 중이며, 이산화탄소 전환 관점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에너지 구조, Power2X,
산업공정 및 시스템 통합을 목표로 Energiewende Research Forum(90개 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코페르니쿠스 프로젝트(Kopernikus Projekte)가 2025년까지 5,160억 원 규모로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도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 보고서의 주요 추진전략 중 하나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의 적극적 활용을 설정하였다. 또한,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이산화탄소 소규모 저장 실증 및 이산화탄소 전환 이용기술을 목표로 하는 Korea CCS 2020
사업이 2020년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탄소자원화 원천기술 개발의 차세대 탄소자원화 핵심기술개발,
탄소자원화 기술실증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및 산업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 탄소자원화 기술고도화
및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유용물질 생산이 가능한 생물, 화학적 전환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
Carbon to X 사업이 2020년 진행 중이다.
정밀화학산업은 석유화학산업에서 생산되는 기초화학 제품을 공급받아 자동차, 선박, 전자,
섬유, 건축, 의료기기 산업 등 전방 산업에 원・부자재를 공급하는 전형적인 가공형・중간형 소재
산업으로서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의약품 개발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상세한 연구내용은
본 보고서 화공분야를 참고하기 바란다.
고무, 플라스틱 분야는 석유화학산업에서 생산되는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를 공급받아 생산되는
플라스틱 및 고무는 인구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성장세를 지속하였다.
하지만, 2020년 탄소중립이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름에 따라 폐플라스틱을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255 ∙
재사용이 가능한 원료 또는 고부가가치 제품 형태의 자원으로 전환하는 플라스틱 리파이너리
기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플라스틱 리파이너리 관련 국내기술 수준은 최고기술보유국
대비 57~72% 수준으로, 플라스틱 전환을 위한 기술고도화 필요한 상황이다.30) 플라스틱 리파
이너리와 관련하여 주요국은 재생에너지 기반 해중합 기술 개발(Horizon 2020, EU), 폐플라스틱의
가스화 반응을 통한 합성가스 제조 기술 개발(NEDO, 일본), 폐플라스틱 해중합을 통한 화학연료
제조 기술 개발(Loop Ind., 캐나다) 등을 주요 프로젝트로 추진 중이다. 국내에서도 미세플라스틱
측정・분석 및 거동평가 기술개발과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인체 건강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기술을 목표로 한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 평가 기술개발사업,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의
분리・선별, 물질 재활용, 에너지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
사업, 플라스틱 용기류 순환이용성 개선기술 등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개발사업 등이 2020년 진행 중이다.
2) 향후 전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20년 화학산업을 관통하는 핵심 아젠다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친환경 화학기술 개발이며 이는 2021년에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화석연료에 기반한 우리나라의
기술구조로는 탄소중립 사회를 선도하기에는 역부족이며, 탄소중립 기반 파괴적 기술혁신이
필요하다. 탄소중립 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필수 기술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산업확산 전략의
구조적인 접근 필요한 것도 그러한 맥락이다. 또한, 글로벌 핵심 미래 가치로 순환경제가 대두되어
경제・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된 발전방향 설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폐자원 등을 원료로 활용하여 화학산업 구조를 다변화, 고부가
가치화할 수 있는 기술 확보를 2021년에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지구과학
지구과학(Geoscience 또는 Earth Sciences)은 지구의 핵으로부터 고도 약 50㎞ 정도까지의
대기층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을 탐구하고 규명하는 학문으로서 육상, 해양, 대기까지를 일반적
으로 포함한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황사, 온실가스 증가를 포함한 지구온난화 등 순환 관점의
융・복합 분야 주제도 지구과학의 연구개발 범주에 속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분석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전 세계 지구과학 분야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수는 28,165건이었고,
그중 우리나라는 829건, 1.9%의 점유율(세계 21위)로서 타 분야에 비해 다소 열악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3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 기술수준평가, 2019.
∙256 ∙
2020년도는 전 세계의 디지털 혁신 및 비대면 연구환경 여건 속에서 연구활동 등의 수행의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각적인 노력을 수행한 특별한 기간이었다. 특히, 미래유망분야의
도출 등을 위해 지구과학 분야의 연구역량과 연구자원 등을 분석하려는 활동이 돋보였다. 지구과학
분야는 2020년도에 한국연구재단에 의해 외부전문가에 의뢰되어 기초연구 중장기 발전전략
기획연구가 수행되었다. 여기에서는 2030년 지구과학 분야의 비전으로 ‘세계 지구과학 분야
연구 선도 및 인류사회 기여’를 도출하였으며, 지구・지질과학, 대기과학, 해양과학 등의 2030년
까지의 핵심과제와 목표 등을 제시하였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지구과학 분야 기초・원천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국립과학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은 미국 내 지구과학 분야 전체 기초연구 지원예산의 2/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NSF 전체 연구개발예산(2021 회계연도 요구액) 77.40억 달러 중에서 지구과학 분야 전체에
대한 연구비 투자 규모는 극지연구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약 12.56억 달러로서, NSF 전체예산의
16.2%를 차지한다. 세부분야별 예산은 지질과학 1.68억 달러, 해양과학 3.39억 달러, 대기과학
2.34억 달러, 융・복합연구 0.95억 달러, 극지연구프로그램 4.20억 달러이다. 2019년도에 지원한
경쟁과제(Competitive Awards)는 1,366개 과제로 선정률은 약 37% 수준이었고, 연구장려금과제
(Research Grants) 지원은 1,149과제로 선정률은 약 35%이며 평균 지원기간은 약 2.9년 정도였다.
나) 국내동향
비대면 연구환경 하에서, 지구과학 분야 역시, ICT 융합에 의한 지오데이터 구축과 활용의
중요성이 더 한층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연중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황사, 최근의 한반도
동남권의 지진 발생과 활성단층 활동 등이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이 어느 때보다 막대한 시기이다.
이러한 자연 및 인위재해를 경감하고 예측・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전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으나,
지구과학 분야가 발생원 규명과 파급되는 영향 등에서 적극적으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대내외 여건에 따라 부득이 한국지구과학연합회(KGU, Korea Geoscience Union)
연합학술대회가 2020년에는 열리지 못했다. KGU 연합학술대회는 2018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2019년의 제2회 KGU 연합학술대회는 ‘위험한 지구, 도전하는 지구과학’이라는 주제로 대한지질
학회, 한국기상학회, 한국우주과학회, 한국지구과학학회, 한국천문학회, 한국해양학회 등 관련
6개 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융복합분야 세션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하였다. 융복합 세션 주제로는
∙257 ∙
①해수면변동: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②미세먼지, ③지구 전 대기층 에너지 순환, ④해양-대기
상호작용, ⑤생지화학적 순환과 지구시스템 등 지구시스템 연구분야 전체를 망라하였다.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우리나라 기초연구 활동 지원은 대부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
연구개발예산 및 교육부 기초학술연구개발예산을 활용하는 한국연구재단(NRF), 해양수산부 해양
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의 해양과학기술 연구지원 프로그램, 산업통상자원부의 한국에너지
기술평가원(KETEP)과 기상청의 관련 분야 국가연구개발 예산, 전문연구기관에 직접 지원되는
정부출연금 등이 주가 된다. 연구수행은 주로 대학 지구과학 또는 지구환경과학 관련학과,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기상연구소 등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한국
연구재단 연구지원통계에 근거하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의 이공계 연구개발 분야의
연구비 전체규모(2019년도)는 3조 5,954억 원, 25,200개 과제이었고, 이중 지구과학 분야의
지원은 662억 원에 지나지 않은 규모로서 전체 대비 1.84% 정도이며, 과제 수는 642개로서
전체 중 2.55%에 불과하였다.
국내에서 최근 수행 중이거나 수행된 주요 지구과학 기초연구주제들 중에서 지질과학 분야에서는
극한환경에서의 비정질 지구물질의 구조규명을 통한 지구/거대지구의 비가역적과정의 미시적
이해, 탄산수 발생지역에서 지질기원 CO2 배출량 측정 방법 개발, 광물흡착・함유에 의한 금속이온
안정동위원소 분별기작 규명, 지진파 이방성 토모그래피를 사용한 한반도 화산연구, 한반도 지체
구조별 금속광상의 황동위원소조성과 광상생성모델링, 지하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연구, 한반도 암석권과 연약권 경계부의 지진학적 특성연구,
한반도 전기고생대 퇴적분지의 초기 퇴적작용 규명, 동굴생성물을 이용한 제4기 후반 고기후학적
연구, 광화유체 진화의 미시적 해석, 한반도 선캠브리아시대 지질과 지각진화에 관한 연구, 태백산
분지 고생대 고지리와 지구조 진화, 지구/우주 진화과정 해석을 위한 동위원소 및 미량원소
지구화학 프록시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대기과학 분야의 최근 기초연구 활동은 지구시스템 모형기반 의사결정지원 연구, 한반도에서
다양한 연무기간의 기상조건에 따른 에어로졸-구름-강수 상호작용 연구, 전리권 상층지역에서의
지구자기장 섭동 연구,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 변화 패턴과 동아시아 몬순 간 상관관계 규명,
내부변동성에 의한 북극온난화 조절 기작과 중위도 극한기후 반응 민감도 연구, 동아시아 한파의
형태에 따른 계절 내 특성분석 및 통계적, 역학적 예측에의 적용, 질소동위원소를 이용한 질산염과
암모늄 에어로졸의 배출원 규명, 한국 중부 배경지역의 장기간 초미세먼지 질량 농도 감소에
대한 중국 배출물과 기후 요소영향 연구, 토양수분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대규모 산불위험
예측연구 등이 수행 완료 또는 수행되고 있다.
해양과학 분야의 최근 기초연구 활동은 황해 및 남해 연안 지역의 해양-대기 이산화탄소 교환과
∙258 ∙
해양산성화 현황진단 연구, 지구적 규모 범위에서 오염/비오염 기원 더스트 비율변화 파악 및
해양 일차생산성에 대한 영향분석,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경로기반 생물독성영향평가,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 및 통합적 활용, 시공간 변수 분석을 적용한 해안침식 원인분석 연구,
해저 중주파수 음파의 지음향 측정을 위한 다층구조 지음향 모델의 구성, 해양 저서성 요각류의
종 다양성을 활용한 지구환경 기후변화 추적연구, 황해 주요 갯벌의 저서성 규조류 다양성 분석
기법연구 등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의 극지연구는 남극 및 해양 생태계의 메타-후성유전학 연구를 통한 미생물-
숙주간 공생 및 진화전략 파악 연구, 남극 지각자기이상 및 지열류량 모델링, 북극 스발바르
피요르드 연안 산성화에 의한 메틸수은 생물농축 영향 규명, 북극 스발바르 피오르드 지형변화
연구, 환북극 동토층 환경변화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유용물질 응용 기술 연구, 영구동토
활동층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마이크로파 원격탐사 연구, 극지 툰드라 생태계에서 온실기체
연구, 남극해 탄소저감 최적 기능 환경특성 연구 등이 수행되었거나 수행되고 있다.
2) 향후 전망
과학기술에 의한 국가・사회문제 해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과학난제의
도전적 융합연구에 의한 접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이 외부전문가를 통해서 수행한
기획연구에서 전망한 지구과학 미래 핵심연구주제로는 지질과학 분야는 지진, 화산 및 지질재해
과정 이해와 대응능력 향상, 지구 내부구조 및 판구조론적 지질현상 원인 규명, 광물자원 성인과
지열에너지 활용법 연구 등이다. 그리고 대기과학 분야는 지능형 기상재해 예보 가이던스 개발,
도시기후 및 재난 리스크 평가와 예측, 대기-생물간 상호작용 메커니즘 규명 등이며, 해양과학
분야는 기후변화 수반 대양 및 한반도 연근해 순환과 생태계 역학기작 규명,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관리 관측 및 예측방법론 개발과 활용, 인간 활동에 의한 해양오염 물질수지와 해양교란 및
유해생물연구 등이다. 마지막으로 융합분야는 지구시스템 융합 자연재해/사회재난 대응, 극지와
초점지역, 미래지구변화 불확도와 대응, 생지화학적 순환과 환경오염 연구 등이었다.
향후에는 지구과학 분야도 지오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ICT 융합 등을 통한 초연결・초지능화와
관련된 도전적인 연구수행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지진탐지와 피해예측이나 미세먼지 저감 등의
과학난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여 국가・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동북아
및 한반도 중심의 지구시스템 통합적 관점에서 ICT 신기술과 융합하여 광역적인 자연재해 등을
규명하고 이를 저감 또는 예측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에 도전해야 할 것이며, 탄소순환, 질소순환,
물순환, 미세먼지순환 관점의 지권・수권・기권 융복합연구도 활발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전 지구
통합 관점하의 암석권의 역할 관련 거시적인 기초연구, 자연재해인 지진・화산 등 암석권의 심부구조
∙259 ∙
및 지질・지구물리학적 특성 등의 연구가 필요하고, 지진해일과 같은 자연재해와 녹조 등 수중생태계
파괴에 대한 권역 간 상호작용 연구 등이 필요하며, 극한기후(폭설, 폭염, 집중호우, 가뭄 등)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및 기후예측 모델링 및 예측시스템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료
재료(소재)는 크게 금속재료와 비금속재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표 3-9> 재료분류기준에 따른 재료 유형
분류기준 재료유형
성분
금속재료 비금속 재료
철강재료 비철재료 무기재료 유기재료
강, 주철 Al, Ti, Cu, Mg, Ni 합금 세라믹재료 고분자재료
목적 구조재료 기능재료
첨단성 범용재료 첨단재료
가치창출 신소재 첨단소재 고부가가치소재
응용분야 에너지 친환경 바이오 의료 전자 자동차 3D프린팅 기타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소재산업혁신 기술개발 보고서, 2018.11.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강화조치에 대처하기 위하여 2019년 일본 전략물자(1,194개)와 소재・
부품・장비 전체품목(4,708개)을 대상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등 6대 분야 100개 품목을 선정하여 공급안정화 정책을 발표하였다. 또한, 해당 100대
품목을 단기용 20개와 장기용 80개로 구분한 후, 단기용 20개에 대해서는 추가경정예산 투입으로
조기 기술확보를 추진하였으며, 장기용 80개 품목에 대해서는 2020년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새롭게 시작하였다.
<표 3-10> 100대 핵심 전략품목
구분 핵심 전략품목
반도체 (단기 5개, 장기 8개) 불산 등 관련 핵심 소재 및 장비 등 13개
디스플레이 (단기 2개, 장기 9개) 공정용 화학소재, 정밀 결합소재 및 장비 등 11개
자동차 (단기 5개, 장기 8개) 센서 등 자동차 부품, 경량소재(차체, 부품) 등 13개
전기전자 (단기 3개, 장기 16개) 배터리 핵심소재, 광학렌즈, 신소재 전자부품 등 19개
기계・금속 (단기 5개, 장기 34개) 금속가공장비, 초정밀 합금, 금속제조용 분말 등 39개
기초화학 (단기 5개) 불화계 화학소재, 고정밀 접착소재 등 5개
※ 출처 : 관계부처 합동,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발표자료, 2019.8.
∙260 ∙
본 보고서에서는 일본 등의 해외 수출규제강화에 따른 대책 마련을 위해 2020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에너지, 항공・자동차, 바이오센서 및 인공지능 기반 소재개발 분야 관련 연구
개발 동향 및 전망을 기술하였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증기터빈용 경량소재 개발
가혹한 운전조건에서의 내구성 및 경량화 확보를 위하여 증기터빈 블레이드 소재로 고강도
타이타늄 합금이 적용되고 있다. 미국의 GE사에서는 증기터빈에 사용되는 LSB(Last Stage
Bucket)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 Ti-6Al-4V합금에 Sn, Zr, Me, Cr, Si 등을 소량
첨가하여 피로특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켰다. 이외에도 경량화를 목적으로 폴리머(Polymer) 계열의
재료를 사용한 대형 하이브리드 버킷(hybrid bucket)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의
Alstom사에서는 세계 최대 길이인 69인치/75인치 LSB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일본의 Toshiba사
에서는 기존 철강 LSB 소재 대비 무게가 60% 경량되고, 에너지 효율이 1.6% 향상된 40인치
Ti LSB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또한, 일본의 Hitachi사에서는 에너지 효율이 2.5% 향상된 50∼
60인치 Ti-6Al-4V 대형 LSB 제조에 성공하였다.
(2) 항공기용 경량소재 개발
항공기 중량의 감소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은 항공산업에 사용되는 재료의 중요한 인자이다.
온실가스 배출규제로 인한 연료효율 향상을 위해 기존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기체를 탄소섬유
강화복합재료로 대체하는가 하면, 고강도 소재인 타이타늄을 이용하여 연료효율이 높은 항공기를
개발하고 있다. 최신 항공기의 경우 연비향상을 위해 항공기 기체용 소재로 Al-Li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탄소섬유복합재료(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및 Ti64합금과
같은 타이타늄 합금이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대부분 수입 소재를 이용한 부품 제조에
국한되어 있어서 소재 국산화 등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미국의 GE 등 대표 항공기
제조업체에서는 약 1,315℃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한 세라믹 복합소재
(CMC, Ceramic Matrix Composite)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261 ∙
(3) 전기구동용 자성소재 개발
전 세계적으로 영구자석 소재개발의 방향은 고효율화, 탈희토류화, 신규영구자석 개발이며,
현재 일본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다이도스틸은 고특성 나노결정립
네오디뮴 자석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혼다자동차(주)와 협업하여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고
하이브리드자동차 구동모터에 사용 가능한 수준의 자석 개발에 성공하였다. 스웨덴의 회가네스사는
세계적으로 절연 연자성 분말을 판매하는 유일한 회사로, 고순도의 순철 분말 제조는 물론, 표면
균일 절연 코팅 기술, 고밀도 연자성 복합체(SMC, Soft Magnetic Composite) 압축성형 기술에
대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약 80%의 중저가 희토자석을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 기술개발 투자를 강화하여 기술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4) 바이오센서 분야 소재 개발
전 세계적으로 20여종의 플라즈모닉 기판이 상용화되어 시판 중이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덴마크
Silmeco사의 고종횡비 Au 나노필라구조인 SERStrate 제품이 있고, 미국의 HP사는 나노임프린트
및 Au 진공증착기술을 통한 Au 나노필라기판에 대한 100여건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의 Real Time Analyzer 및 NIRMidas사는 기존 효소결합면역흡착어세이(ELISA)
분석법에 사용되는 96 Well-Plates 하부에 플라즈모닉 기판을 담지하여 민감도를 향상시킨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에는 질병・질환의 병태생리학적 복잡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변수 결정지원을 위한 다중 진단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한 번에 여러 가지 질병인자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진단용 어레이 칩 및 센서 시스템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5) 인공지능 기반 소재 개발
미국의 경우 소재 분야 빅데이터 구축 및 연구개발 효율성 향상을 위해 소재게놈 이니셔티브
(MGI) 기반으로 다양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웹 플랫폼 형태의 MDCS(Materials Data
Curation System)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Materials Project 및 OQMD(Open
Quantum Materials Database)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계산과학 및 가상공학 기반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중이다. 유럽의 경우 가상공학 및 전산재료과학 중심의 물성데이터 생성 기반을
구축 중에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소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운영 중이다. NoMAD(Novel
Materials Discovery) 저장소를 통해 계산재료과학 소프트웨어 입출력 파일 수집・저장 및 소재
계산연구와 계산방법론 로드맵 구축 및 국제협력을 통한 데이터베이스를 확장 중에 있으며,
무기결정구조데이터베이스(ICSD)를 이용한 인공지능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262 ∙
NIMS를 기반으로 통합형 재료정보 시스템 개발을 추진 중이며, 응용분야별 데이터에 기반한
신소재 개발을 위해 관련 분야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기술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증기터빈용 경량소재 개발
타이타늄 합금 LSB(Last Stage Bucket)의 제조공정은 타이타늄 합금 용해, 열간단조에 의한
빌렛 제조, 여러 단계의 열간성형, 프리폼(preform) 제조 및 형단조, 열처리, 최종 가공을 거치게
되며, 단조공정에서 30,000톤 이상의 대형 유압프레스가 활용되고 있어, 국내 인프라 및 관련기술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략핵심소재 자립화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250MPa급 고비강도 타이타늄합금 대형 블레이드 제조기술 개발(2020.04~2024.12, 연구비
30억/년)’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발전터빈용 고강도 타이타늄 합금 용해, 중간재(빌렛)
제조, 압축기 및 최후단 블레이드 제조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 POSCO에서는 Ti 잉고트를
수입하여, 순수 Ti 판재를 생산하여 튜브제조 등에 이용하고 있으나 Ti 합금 판재 및 부품은
생산하지 않고 있다. 산업 구조의 고도화에 따른 전력수요 증대로 인해 발전설비 기기의 수요증대가
예상되는바, 고효율 LSB 제조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될 경우 발전, 항공, 생체 등 Ti 합금
제조 산업 전반의 기술 역량에 큰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2) 항공기용 경량소재 개발
국내 항공소재 국산화율은 전무한 상태이며, 외국기업에서 소재를 수입하여 부품을 가공・조립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최근 국내 항공산업이 성장기로 접어들면서 항공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들은 비용과 위험을 분담할 수 있는 RSP(Risk & Revenue Sharing
Partnership)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100% 해외 소재에 의존한 RSP로 인해 국내 항공산업의
부가가치 창출에 한계가 있으나, 최근 국내 항공소재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평균 1조원,
2016~2018년 평균)함에 따라 국산화 개발을 시도할 수 있는 수준의 항공소재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도 다음과 같은 항공용 소재, 부품 개발 및 항공소재 DB 개발 사업에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① 항공기 단조재용 초고강도 알루미늄 소재 및 형단조 공정 기술 개발
② 피로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300mm급 항공용 베타 열처리 Ti 단조소재 개발
③ 항공용 경량소재 국산화를 위한 소재데이터 시험개발
∙263 ∙
(3) 전기구동용 자성소재개발
국내의 경우 개발 부품의 가격 경쟁력 향상 및 안정적 소재 수급을 위해 중희토류 저감 및
대체형 자석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네오디뮴 저감, 탈희토류 자석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도 진행 중이다. 더불어 로봇,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서보모터, 제너레이터 등의 성능향상
및 고효율화 목표 달성을 위해 영구자석 소재뿐만 아니라 연자성 복합체를 활용한 부품 설계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최근 3차원 자유형상 구현이 가능한 연자성 복합체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며, 영구자석 및 연자성 복합체의 동시 개발을 통해 고출력 전기구동부품의 소형화
및 고효율화 달성이 기대된다.
(4) 바이오센서 분야 소재 개발
국내는 아직 플라즈모닉 기판 및 응용센서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주로 대학이나 연구소를
중심으로 플라즈모닉 기판 개발 및 플라즈모닉 바이오센서 응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
진단센서 업체에서는 나노구조의 다공성 Ag 기판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어 향후 2년 내 플라즈모닉
기판의 출시가 예상되며, 나노스코프 시스템즈 및 노스트 등의 국내 분광기 제조업체에서는
현장진단을 위한 소형 라만 및 형광분석기를 활발히 개발 중이다. 대표적으로 한국재료연구원은
플라즈모닉 기판소재 상용화 기술개발을 수행 중이며, 다중진단용 센서칩과 분광분석기의 융합을
통해 3년 내로 플라즈모닉 바이오센서용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5) 인공지능 기반 소재 개발
국내의 경우 시뮬레이션 분야와 데이터 및 실증 기술과의 연계 강화를 통하여 자동차 부품용
고강도 경량소재의 상용화 기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미래형 플랫폼(가상공학플랫폼) 기술
개발을 시작하였다. 개발 단계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품의 품질 향상, 공정 시간 단축, 비용
절감 등이 목표이며, 가상공학이 제공자와 사용자가 공유하는 가상의 공간에서 온라인 방식으로
이뤄지도록 플랫폼을 구성・운영하는 연구과제를 수행 중이다.
2) 향후 전망
국내 소재 산업의 미래 경쟁력 강화와 국내 신규 전방산업 창출을 위해 항공・자동차용 고강도
경량합금 판재, 차세대 발전 플랜트용 터빈 블레이드 소재와 같은 고부가 소재의 개발 및 국산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초고령 사회 진입과 삶의 질 향상이란
사회적 트렌드에 대비하기 위하여 바이오 센서 분야 소재 개발 연구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
∙264 ∙
이를 위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신소재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국가주의에 따른 세계 무역 분쟁과 전 세계적 펜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가치 사슬의 변화는
핵심 소재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고 있다. 국내 소재산업과 국내 전방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소재 분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료측정표준・측정과학
측정표준에 기반한 국가의 측정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표준화(standardization), 인정
(accreditation), 인증(certification), 시험(testing), 측정(metrology) 등 국가품질인프라
(NQI, National Quality Infrastructure) 구성요소 간 조화가 중요하다. 측정신뢰성은 국가측정
표준기관(National Metrology Institute)에서 확립된 국가측정표준이 표준화 및 적합성 평가기관
등을 통하여 수요자에게 전달되면서 확보된다. 2020년 5월 20일, 세계 측정의 날에서는 ‘세계무역을
견인하는 측정표준(Measurements for Global Trade)’을 주제로 하여 측정표준이 국제무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전 세계에서 수많은 상품, 서비스가 국경을 넘어 거래되고
있는데, 이때 정확한 측정은 상품 및 서비스의 안전성, 판매자 간의 상호 신뢰성과 직결된다.
[그림 3-47] 국가측정표준 보급체계
∙265 ∙
2019년 국제단위계(SI)의 7개 기본 측정단위 중 4개를 물리상수에 기반하여 재정의한 새로운
SI 기본단위계가 시행되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SI 기본단위 재정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20년에는 국가측정표준 확립・유지・향상을 위한 연구개발 및 첨단측정장비/양자
기술/소재융합/안전측정 등 국가 미래산업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수행하였으며, 국가측정표준 성과 보급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국가측정표준기관(이하 NMI, National Metrology Institute)은 국가 결정에 의해 운영되는
기관으로서 국가표준을 개발 및 유지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된 추적성을 제공하고, 국가 표준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여 교정서비스 등을 통해 국가 내 사용자에게 측정과학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NMI의 임무는 사회, 과학 및 경제에 도움이 되는 측정과학의 진보와 신뢰성을
유지하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적 필요에 따라 국가측정표준을 유지하고 개발하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 미국, 독일, 영국 등 3개 주요국의 NMI는 전통적인 표준연구에
국한하지 않고, 전략 분야에 대한 측정기술 개발을 통한 전략산업기술 개발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기술 개발까지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1)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국 NIST는 매 3년마다 국가적 우선순위 및 중장기적 트렌드에 대응하는 연구계획인
Three-Year Programmatic Plan을 수립하고 정밀 측정, 사이버 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s),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등의 기술, 측정 및 표준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통신,
공학 등 주요 연구 분야별 6개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의 측정표준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66 ∙
<표 3-11> NIST 6개 연구실 주요연구활동
연구실 부 서 주요연구활동
통신기술연구실
(Communications
Technology
Laboratory)
국가 첨단 스펙트럼 및 통신 테스트 네트워크
∙ 첨단 통신 기술과 관련된 복잡한 시스템 및 물리적
현상에 대한 계측 및 이해를 위한 최신 연구 진행
공공 안전 연구과
무선 주파수 기술 사업부
무선 네트워크 사업부
공학연구실
(Engineering
Laboratory)
에너지 및 환경 사업부 ∙ 스마트 그리드를 비롯하여 제조, 건설 및 사이버
물리 시스템에 대한 측정과학 및 표준 요구사항 등을
예측하고 연구
소방(화재) 연구부
지능 시스템부
재료 및 구조시스템부
정보기술연구실
(Information
Technology
Laboratory)
고급 네트워크 기술부
∙ 사이버 보안 표준 및 지침,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
보안, 신뢰성에 대한 표준, 측정 및 테스트를 개발
응용 수학부
응용 사이버 보안부
컴퓨터 보안부
정보 교류부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사업부
통계공학부
재료측정연구실
(Material
Measurement
Laboratory)
응용 화학 및 재료부
∙ 화학, 생물 및 재료과학의 측정을 위한 국가 표준
실험실 역할 수행, 산업, 생물 및 환경 소재 및 공정의
구성, 구조 및 특성에 대한 기본 및 적용 연구부터
참조 측정 절차, 인증 참조 자료 등의 개발 및 보급
생체 분자 측정부
생물 시스템 및 생체적합물질부
화학부
재료측정과학부
재료과학 및 공학부
물리측정연구실
(Physical
Measurement
Laboratory)
응용 물리학부
∙ 산업 및 연구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측정에 대한
미국 표준 설정 및 재현 가능한 표준체계(traceability)
제공
마이크로 시스템 및 나노기술부
나노 소자 특성화부
양자 전자기학부
양자 측정부
양자 물리학부
방사선 물리학부
센서과학부
시간 및 주파수부
도량형부
중성자 연구센터
(NIST Center for
Neutron Research)
-
∙ 열 중성자와 냉 중성자를 사용하는 연구를 위한 국립
센터, 중성자 기술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연구 프로
그램을 수행하고 새로운 중성자 측정기술을 개발
및 적용
∙267 ∙
(2) 독일, 연방물리기술청(PTB, Physikalisch Techische Bundesanstalt)
독일 PTB는 주로 9개 과학 및 기술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고 있지만, 새로운
기술 발전에 따라 연구그룹을 유연하게 운영하여 측정 분야에 대한 전체 스펙트럼을 포괄하고
있고, 최근 새로운 연구 분야로 ‘의학 계측’, ‘수학 및 정보기술’, ‘물리적 안전 기술 및 방폭’,
‘나노 계측’ 등을 추가하여 연구하고 있다. 또한, 10대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연구 중이다.
<표 3-12> PTB 10대 주요 연구주제
분 야 주요연구내용
혁신 및 산업
∙ 나노 기술, 마이크로 및 나노전자공학, 신소재, 생명공학, 포토닉스 및 정밀생산공학 등 혁신적이고
미래경쟁력이 있는 산업 분야에서의 생산 및 정보기술의 측정 기반 제공
에너지와 환경
∙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공급과 기후 보호를 위한 에너지
관련 물리량 측정 절차의 개발 및 추적성 확보
인간과 건강
∙ 건강한 인류를 위해서 바이오마커의 안전한 식별과 정확한 정량화, 세포농도의 측정, 생체 이미징
등 의료공학 분야의 산업을 지원
법률 및 국제 계측
∙ 전 세계 모든 국가와의 안전하고, 공정한 거래를 위한 측정, 측정도구, 측정값 사용 등의 법적
규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연구개발 수행
새로운 단위 체계 ∙ SI 기본 단위가 재정의 됨에 따라 새로운 단위 체계의 실현과 보급을 위한 기술 개발
양자기술
∙ 양자기술 분야의 새로운 혁신적인 개념과 업계로의 전환을 위한 관련 기업과의 공동 기술개발
및 교육, 홍보활동 수행
자동차 배기가스 측정
∙ 2017년 독일의 새로운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지침에 따른 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배기가스의
적합성 평가 기술 개발
경제 및 사회의
디지털화를 위한 측정기술
∙ 독일 경제 및 사회의 디지털화를 위한 표준화 역할 수행
에너지 혁명
∙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풍력에너지, 태양전지, 유체에너지, LED 조명, 스마트그리드
등을 가능하게 하는 측정 기술 제공
신흥 시장과의
협력을 위한 품질 기반
∙ 신흥 시장과의 협력을 위한 자유롭고 공정한 거래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소비자와 환경을 위한
제품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규제 지침 마련
(3) 영국, 국립물리연구소(NPL,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영국 NPL은 국가 차원의 표준・측정 분야를 NMS(National Measurement System)를 세워
NPL을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연구영역을 설정하고 연구하고 있다. NMS는 ‘제조혁신’, ‘디지털’,
‘에너지 및 환경’, ‘생명과학과 건강’의 4개 연구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최근 새로운 항생제와
효과적인 암 치료법 개발, 무한한 양자 통신, 초고속 5G 개발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제품과 공정을
연구, 개발 및 테스트하기 위한 측정 기능 연구에 주력 중이다.
∙268 ∙
<표 3-13> 영국 NPL의 NMS 4개 연구영역
연구영역 주요연구흐름 측정과제
제조혁신
(Advanced
manufacturing)
∙ Digital Enabling Supply Chain(DESC), 추가적
제조, 하이브리드 추진력
∙ 업계 및 학계의 파트너와 협력하여 제조 분야의 도전과
기회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 분야와 공급망 전반에
새로운 기술과 기술을 이해, 채택 및 포함시키는 작업
가속화
디지털
(Digital)
∙ 성능을 검증하고 탄력성, 신뢰성 및 추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산업 전략 및 5G 전략과 일치
∙ 센서 및 장치의 산업 프로세스 및 네트워크에 대한
추적 가능하고 유비쿼터스한 임베디드 측정 향상
∙ 국가 기술 평가 및 평가 서비스, 양자 기술 역량 확립
에너지 및 환경
(Energy and
environment)
∙ 에너지 및 환경 분야의 과제를 극복하고 가치를
극대화하여 영국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
∙ 청정에너지의 원천 : 신기술 성능 평가, 에너지 기술의
안전 보장, 에너지 비용 절감, 에너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 에너지 시스템 전환 : 기존 인프라에 새로운 기술 통합,
스마트 그리드 개발
생명과학과 건강
(Life sciences
and health)
∙ 약물 발견 및 개발, 우선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디지털 건강, 의약품 제조, 합성생물학
∙ 혁신 및 신약, 치료법에 대한 접근 가속화
∙ 혁신 가속화 및 새롭고 저렴한 의료 기기와 기술에
대한 접근성
∙ 임상 환경의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진단 및 치료 효능의
신뢰도와 재현성 향상
∙ 고품질의 생명과학 및 건강 데이터 사용 확대
나) 국내동향
2018년 11월 16일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국제단위계(SI)의 7 개 기본 측정단위
중 4개의 재정의(안)이 만장일치로 의결된 후, 2019년 5월 20일부터 전 세계 산업계와 학계가
새로운 단위의 정의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단위들의 재정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큰 변화가
없도록 재정의됐지만, 가장 정확한 1차 측정표준기를 연구하는 기관에서는 이 단위들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질량단위 실현을 위한 키블저울 개발, 전류단위 실현을 위한 양자 측정 삼각체계(QMT,
Quantum Metrology Triangle) 구현, 물질량 단위 실현을 위한 동위원소 및 원소 불순물 정밀측정
연구, 온도 단위 실현을 위한 열역학 온도계 개발, 광도 단위 실현을 위한 단일광자광원 개발,
시간 단위 실현을 위한 광격자 시계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제도량형위원회(CIPM)는 무역기술 장벽 제거에 필요한 국가측정표준의 상호인정협정(MRA,
Mutual Recognition Arrangement)을 1999년 세계 각국과 체결하고, 교정 및 시험성적서의
상호인정에 필요한 국가측정표준의 국제적 동등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또한, 국가측정표준의 확립・유지・향상을 위해 국제 물리단위계 측정표준
기술 고도화 등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269 ∙
국내에서도 전통적인 표준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국가표준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을 수립
하여 표준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제4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16∼2020)」의
12대 중점추진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2020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통해 총 3,258억 원이
투자되었다.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개발 및 국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101개 세부과제를 추진하였다.
<표 3-14> 2020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추진사업 내역
기본계획의 4대 분야 기본계획의 12대 중점추진과제 세부사업수/예산
글로벌 시장창출을 위한 표준 개발
① 스마트・융복합 신산업 표준화 확대
② 제조기반 서비스 산업 표준화 추진
③ 시장주도형 국제표준 선점 강화
22개 / 581억
기업성장 지원을 위한 표준기반 확충
① 기업 친화형 표준적합성 체계 확립
②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체계 강화
③ 측정・참조표준 품질 선진화
34개 / 1,341억
윤택한 국민생활을 위한 표준화
① 즐거운 생활 표준화 확산
② 편리하고 건강한 생활 표준화 확대
③ 안전한 생활 표준화 강화
27개 / 1,144억
민간주도의 표준생태계 확산
① 민간자율 표준활동 강화
② 표준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③ 소통・개방형 표준체계 혁신
18개 / 192억
2) 향후 전망
측정표준 및 측정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방향을 국가 측정표준의 확립 및 국가 전략분야 측정과학
기술 확보에 두고 이의 실현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여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다.
새로운 국가표준기본계획의 수립 시점이 도래하여 범부처 TF가 구성되었고 표준 정책의 중장기
비전・목표를 제시하는 전략 마련에 나섰다.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021∼2025)」은 코로나
19 이후, 언택트 경제, 디지털 경제, 원격의료 등 우리 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한 표준화
전략이 제시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선진국 NMI에서도 연구개발 중인 새로운 분야, 즉 첨단통신
기술(5G/6G), 에너지, 신약 개발, 양자기술 등의 측정과학기술 연구개발이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270 ∙
2. 원자력
2-1. 원자력・방사선
원자력・방사선 분야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고 미래 혁신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원자력 기술분야는 원자력 안전기술, 원전 해체 관련 기술 확보, 타기술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분야 개척 등에 중점을 두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이 추진 중이다.
방사선 기술분야는 방사선기술 고도화, 응용 방사선기술 및 차세대 기술개발, 신산업 분야 개척,
연관 산업 발전 지원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기초연구 투자,
인력양성 지원을 통한 원자력・방사선 분야 연구기반 확충에 노력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원자력・방사선 분야에는 2020년 2,319억원이 지원되었다. 원자력 기술분야의 사업은 원자력
기술개발사업, ICT기반원자력안전혁신기술개발사업, 미래선진원자로핵심요소기술개발사업
등 6개 사업, 1,195억원 규모의 예산이 지원되었다. 이를 통하여 가동원전 안전성 향상기술
개발, 원전 해체 핵심기술 확보 등이 추진되었다. 2020년에는 원전기기 구조상태 상시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zero-Pb) 소재 기반 압전 센서 원천 기술이 개발(4월)되었으며, 방사성
화학 폐기물 처리 장치 및 방사성 화학 폐기물의 처리방법에 대하여 한국, 미국, 일본, 중국,
프랑스 등 5개국에 특허가 출원(10월)되었다.
방사선 분야에서는 방사선기술개발사업, 방사선고부가신소재개발사업 등이 지원되었으며,
중입자가속기 구축지원사업, 수출용신형연구로 개발 및 실증사업에 대한 투자가 계속되었다.
이를 통하여 방사선융합기술 개발과 방사선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20년 2월에는 기존 7,000여 돌연변이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중복되지 않는 208개의 방사선
육종 콩 돌연변이 유전자원 MDP(Mutant Diversity Pool)을 구축하였으며, 10월에는 에너지
저장・촉매 소재의 물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특정하고 소재 합성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
(Metal Organic Framework 기반)을 확보하였다. 2019년 사업 주관기관과 사업계획을 정비한
중입자가속기 구축사업은 의료용 중입자가속기 구축 계약 체결(8월)에 따라 중입자가속기 장치
대금 일정과 사업기간이 확정되었으며 2024년 치료센터 개원 및 환자 치료개시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기초연구, R&D협력 기반 조성, 인력양성을 위한 지원 사업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2020년 4월에는 원자력 주변시설 방사선 측정 선진 기반기술 개발 분야 원자력 도전・
∙271 ∙
창의연구센터 1개소가 신규 선정되었다. dfl와 함께 우수 공공기술의 이전으로 민간기업의 사업화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고 있다. 기업수요를 반영하여 방사선 산업 성장・육성을
위한 R&D지원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공공 1건, 기업 3건 등 4건에
대하여 R&D 신규지원이 이루어졌다. 4월에는 마이크로/나노 구조물의 잠닉손상 정밀 진단을
위한 초고분해능 음향현미경(GHz-AMS) 시스템 사용화 장치 국산화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이
이루어졌으며, 다물리 해석 코드 기반 선진 안전해석 핵심기술로 활용가능한 노물리-열수력
코드 다물리 해석 격자 맴핑 정보 전달 기법 개발기술이 기술이전되었다(2020.11).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제5차 원자력연구개발계획(2017~2021)과 제2차 방사선진흥계획(2017~2021)은 4년차가
수행되고 있다. 그동안 정책 변화와 신규 수요 등을 반영한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2019.8.)과 미래 방사선 산업창출 전략 수립(2019.11) 등이 수립되었다. 국제무역
분쟁 대응, 기후협약 대응, 원전해체 기술개발, 원자력 안전 제고, 사용후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의
안전 관리, 방사선 산업 진흥, 연구개발 역량 강화 등이 대두되었다. 특히 시장과 신규 기술의
수요 대응에서 방사선 응용 기술개발과 소형모듈원자로와 초소형원자로 개발이 주목을 받았다.
한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일몰정책 도입에 따른 중장기 연구개발 과제가 2020~2022년 순차적으로
종료되었기에, 후속으로 5개의 연구 사업이 기획되어 예비타당성 조사과정 진행 중에 있다.
국제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에서 청정에너지로서의 원자력 역할이 재조명되었다. 특히 재생에너지
도입에 따른 전력망 안정화, 화력발전 대체, 개도국 원전 시장 등을 위한 소형모듈원자로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신형원자로는 분산 전원 역할, 해수담수화, 공정열 및 수소생산, 해상
및 우주 동력 제공 등 혁신기술개발도 추진되고 있다. 또한, 원전 안전성과 경제성 혁신으로
사고저항성 핵연료, 자율운전과 사고 대응, 슈퍼컴 기반 가상원전, 3D 프린팅 제조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경제 재건을 위해서, 기존 원전의 안전성 및 경쟁력 제고와 소형모듈
원자로에 대한 투자가 권고되었다. 방사선 분야는 첨단 융・복합 방사선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IT소재, 에너지 저장소재 등의 신소재 개발, 차세대반도체 제조, 초정밀 가공제품 품질관리 등의
공정기술과 방사선 기술의 의료산업의 고부가 기술개발이 추진되었다.
∙272 ∙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유럽연합 (EU)
EU에서 원자력연구개발은 ‘Horizon 2020(2014-2020)’의 ‘Euratom 프로그램(2019-
2020)’으로 수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원자력안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하고 장기적인 해결방안,
방사선 방호와 방사성동위원소의 안정적 공급을 포함 방사선의 의학적 응용 지원, 범유럽
연구인프라의 구축과 이용・유지 등에 우선을 두었다. 2, 3세대 원전에 대한 장기운전의 안전평가와
혁신, 소형모듈원전 안전연구, 신형원전의 안전연구와 혁신, 고준위 폐기물군 분리 및 변환의
혁신과 안전연구, 원자력시설 해체 혁신,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용 최적화 연료, 실험로 역량의
유라톰(EURATOM) 사용 로드맵, 유럽연구로의 최적화 이용 등의 17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다.
프랑스는 모든 원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코로나 복구계획으로
소형모듈원자로 개발을 지원한다. 영국은 소형모듈원자로(SMR) 프로젝트 컨소시엄을 롤스로이스
(Rolls-Royce)社가 주도하고 있으며, 10~15기의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12월에 발표한 에너지백서에서 원전역할, 원전건설 자금조달, 소형모듈원자로와 신형원전개발
지원을 명시하였다.
(2) 미국
원전기술 주도권 회복과 미래 원자로 브랜드 확보를 목표로 의회와 정부, 연구기관, 산업체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 원전기술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부는 2020년 5월 신형원전실증프로
그램(ARDP)을 착수하였다. 7년 내 실용화를 목표로 한 경수로 및 비경수로 신형원자로 실증으로
2개 업체를 선정하였고, 신형원자로 실증 위험 감소프로그램으로 5개 팀을 선정하였으며, 실증로
개념 2020(ARC 2020) 프로그램으로 3개 업체 모델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에 국가원자로혁신센터(NRIC)를 설립
하였다. 이와 더불어, 에너지부는 원자로기술 지원프로그램으로 상용 원전 능력 강화, 수소생산
시스템과 연계한 경수로 부하추종 운전, 첨단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등을 선정하였다.
NuScale 소형모듈원자로(SMR)는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 인증을 받았으며, 실증모듈
원자로 건설을 추진하는 UAMPS의 프로젝트(CFPP)에 10년간 14억달러 지원이 발표되었다.
신형원자로 개발과 관련하여 고순도저농축우라늄핵연료(HALEU)를 개발하고 있으며, 고속중성자
다목적시험로(VTR) 건설은 2026년까지 4단계 주요 시점을 설정하고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국립
연구소(INL)가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1단계는 9월 승인되었으며, 환경영향평가보고서는
∙273 ∙
의견수렴 중에 있다. 에너지부는 100kW 미만의 초소형원자로 프로젝트 MARVEL을 수행하고
있으며, 슈퍼컴 기반 가상원전(VERA)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 사용을 전력연구소(EPRI)에 인가하였다.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는 마이크로원자로 크기의 잠수정 선체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하였다.
방사선분야는 전자선가속기 연계 신기술개발, 방사선 진단기기 제품 다양화 등 방사선 기술
개발과 혁신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 일본
일본은 2020년 연구개발 활동으로 원전의 해체와 환경 복원 등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대응,
원자력안전 제고, 고속로와 재처리를 포함한 핵연료재순환 기술 구축, 방사성폐기물의 처리처분
기술개발, 고온가스로 부하추종 운전, 수소 및 열 응용, 이와 관련된 신기술 발굴 지원 원자력
과학・공학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후쿠시마 재건과 재활성화 지침과 해체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에 기초하여 해체 신기술 개발과 환경복원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9년 전략적
로드맵에 따른 고속로와 고온공학시험로, 신형로 등 다양한 원자로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회복 연구에서 방사성물질의 3차원 시각화기술 개발, 제1원전 격납용기의
방사능 분포 평가 방법 개발을 수행하였다.
고온공학시험로(HTTR)는 원자력규제국(NRA)으로부터 재가동 승인을 받았으며 안전검토가
완료되었다. 높은 고유안전성, 유연한 부지조건, 수소생산을 포함한 다목적 열 이용, 슈퍼컴을
이용한 모사, 드론을 이용한 환경감시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고속로는 첨단 원자로 지식과
AI 지원 설계통합(ARKADIA) 시스템의 개발, 부품 시험, 노심 열수력, 중대사고시 용융거동,
소듐-물 반응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40년 이상 운영한 연구시설이 75%이며 2020년 JAEA 중장기 계획에 따라 43개는 해체,
46개는 유지가 결정되었으며, 고속증식로 몬주(Monju), 후겐(Fugen) 원전, 도카이 재처리시설
(Tokai Reprocessing Plant)의 해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 J-PARC 시설의 첨단산업에의
활용, 방사선 연구개발은 화학・생명 분야와의 융합, 융복합 영상기기 개발 등 종합적 연구를
추진하였다.
(4) 소형로 및 기타국 동향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소형모듈원자로(SMR) 현황 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 세계적으로 다양한
목적과 개발 단계의 70개 이상의 소형모듈원자로가 개발되고 있다. 육상 및 해양의 수냉식원자로,
고온가스냉각원자로, 액체금속냉각고속로, 소듐냉각고속로 및 가스냉각고속로, 용융염원자로,
∙274 ∙
그리고 출력 최대 10MW(e)미만의 초소형로 등이 있다.
2020년 주요 실적으로 러시아의 해상부유식 원전 아카데믹 로모노소프(Akademik Lomonosov)의
상업운전이 개시되었고, 아르헨티나의 통합형가압경수로(CAREM)와 중국의 고온가스냉각로
(HTR-PM)는 건설단계에 들어갔다.
러시아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미 등 개도국 원전시장에 소형원전 협력을 추진하였다. 러시아는
3D프린팅 기술센터를 개설하였으며 사고저항성핵연료 개발은 최초 핵연료집합체 제조 및 승인검사를
통과했으며 로스토프 원전에 탑재될 계획이다.
중국은 부유식 원전 ACP100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건설 중인 고온가스로 HTR-PM은
냉온기능시험을 완료하였으며 고온테스트에 착수하였다. 후속 모델인 HTR-PM 600은 타당성
연구 단계다. 실증고속로 CFR-600 1호기 Xiapu-1은 건설 중에 있으며 2023년 가동될 전망이다.
캐나다는 2018년 소형모듈원자로(SMR) 로드맵 발표에 이어 2050년까지의 소형모듈원자로
(SMR) 개발 국가 행동계획을 발표하였다. 2026년까지 쵸크리버(Chalk River) 부지에 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원자력안전위원회(CNSC)는 산업체의 사전 원전
설계 검토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9개 원전 설계 검토가 완료되었고 2개가 2020년에 2단계
검토에 착수하는 등 10개 이상의 원전설계가 검토 단계에 있다. 또한, 캐나다는 통합용융염원자로
(IMSR) 개발에 연방기금 투자를 발표했으며 서스캐처원(Saskatchewan)州, 뉴브런즈윅(New
Brunswick)州, 온타리오(Ontario)州의 3개 주가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협력에 합의했다.
나) 국내동향
국가원자력연구개발사업으로 원자력기술개발사업, 방사선기술개발사업, 원자력 및 방사선 기반
확충사업 등 18개 사업이 수행되고 있다. 원자력기술개발사업에서는 미래형원자로 시스템으로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 납냉각로 고속로에 대한 기초연구 및 핵연료 무교체 초소형(~50MWt)
고온가스로 기초 개념 연구 등이며 핵연료주기분야는 파이로프로세싱 핵심 기술 개발, 원자력시설
해체 미확보 핵심 기반기술 개발, 사고저항성 핵연료(ATF) 등 혁신 금속연료 제조 및 성능평가
기술 개발,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성능 검증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였다. 신규 사업인 방사선고부가
신소재개발사업은 자동차산업 고부가 신소재, 에너지산업 고부가 신소재, 바이오산업 고부가
신소재 개발 등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첨단방사선융합치료기술개발사업은 방사선 기반 첨단의료
융복합 기술개발, 방사선 치료물질 확보 및 선도기술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2020년에 신규 과제로 미래선진원자로핵심요소기술개발, SMART 혁신기술개발, 리스크 정보
기반 중대사고 진행 고속예측 기술, 방사선 방호시스템 고도화 기술, 연구로 시스템 수출지원
∙275 ∙
기술개발 및 고도화 기술개발 과제 등이 착수되었다. 2020년 종료 과제로는 사용후핵연료 독성저감
기술개발, 안전성 향상 혁신 금속연료 제조 및 성능평가 기술개발, 파이로 타당성 검증 및 핵심
기술개발 및 파이로 타당성 한미 공동연구,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스템 성능 검증 기술개발 과제
등이다. 이외에 양자빔기반 초고속 방사선 기술 개발, 원자/핵반응 특성 Data 평가 및 검증
기술개발은 1단계(2018∼2020)를 완료하고 2단계(2021∼2023)를 준비 중이다.
2) 향후 전망
코로나-19 재확산 등 연구 환경은 불확실성이 여전하며, 포스트 코로나 경제 재건 정책과
기후 대응에서 원자력 역할 재조명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는 국책연구사업의 예타
추진으로 프로젝트의 기획과 수행, 평가에서의 변화가 예상된다. 원전 시장과 신규 기술 수요
대응과 기술 경쟁력 확보, 원전안전 산업과 기술의 인프라 능력 강화 등이 주요 초점이 될 것
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원자력 주도권 회복과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지원을 계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미국을 비롯한 러시아, 중국, 유럽, 일본 등 소형모듈원자로 및
초소형원자로 개발 경쟁의 심화가 전망되며, 신형핵연료 및 사고저항성 핵연료, 가상원전, 인공지능
기반 자율운전, 3D프린팅 및 첨단 건설 및 부품 제조기술 등 기술혁신 인프라 확충 등도 전망되며
기술 강국 간 협력 확대도 또한 전망된다. 방사선 분야는 동위원소 생산 기술 개발과 응용,
신소재 개발, 공정기술 혁신, AI 융합, 고부가 의료 서비스 개발 등 첨단 융・복합 방사선 기술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2 핵융합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미래 에너지원은 기본적으로 경제성장과 산업발전, 삶의 질 향상을
뒷받침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대용량 에너지를 생산하면서 동시에 안전하고 청정해야 한다.
핵융합에너지는 이러한 미래 에너지원으로서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일찍이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대규모 투자와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대표적인 신에너지 기술이다.
핵융합에너지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핵융합 반응을 통해 헬륨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
하는 에너지로,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폭발 같은 위험이 없다. 중수소의 경우 바닷물에서
수급이 가능하여 매장자원 사용가능 기간이 약 1,500만년으로 추정되므로 자원고갈의 우려가
없으며, 삼중수소의 경우 핵융합로 내부에 설치될 삼중수소생산장치(Tritium Breeding
Modoule)에 의해 핵융합발전 중에 발생되는 중성자의 일부를 이용하여 생산하므로 연료비용이
∙276 ∙
낮고 효율이 높아 대규모 기저발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핵융합에너지의 이러한 명확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발전 상용화까지는 아직 많은 기술적
난제가 존재한다. 이에 국제사회는 핵융합에너지 개발의 중요성과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공감
하고, 한국을 포함하여 7개국이 참여하는 공동 연구・건설 프로젝트인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세계 주요국은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와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도
핵융합에너지의 2050년대 전력생산 실증을 목표로 국내 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인 KSTAR
운영 및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참여 등 연구개발을 지원해오고 있다.
2020년에는 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가 장치 조립단계에 착수하고,
KSTAR에서 초고온 플라즈마 장시간 운전의 핵심 기술력을 향상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주요
핵융합 선진국과 기술협력을 강화하였으며, 국내 산업체의 ITER 관련 수주도 지속 확대되었다.
1) 주요 성과
가) KSTAR 연구 및 핵융합 연구기반 강화
KSTAR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2년에 걸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초전도 핵융합 연구
장치로, 국제핵융합실험로 장치와 동일한 초전도 재료(나이오븀주석 합금)로 제작된 장치이다.
핵융합 연구의 후발주자였던 한국은 KSTAR 건설을 통해 초전도자석 제작기술 등 원천기술을
확보하였으며, 매년 실험을 통해 기술을 향상해왔다. 2020년 진행된 KSTAR 실험에서는 핵융합
핵심 조건인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도 이상의 지속시간을 전년 5초에서 20초로 연장하는 등
기존보다 강화된 성능 목표를 달성하였다. 또한 ITER 플라즈마 붕괴억제 연구, 플라즈마 경계영역
안정성 확보를 위한 3D 물리연구 등 KSTAR 장치를 활용한 국제협력 연구도 진행되었다.
한편, 2020년 8월에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핵융합 시뮬레이션 연구를 위한 1.56PF급의
슈퍼컴퓨터가 구축되어 운영에 착수하였다. 이와 더불어 핵융합 연구와 인력의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2009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핵융합기초연구사업을 통해 거점센터와 개인기초 연구가
지속 지원되었다.
∙277 ∙
나) ITER 참여 및 기술・인력・산업 기반 강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업은 핵융합 에너지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실증하기 위해 주요
7개국(미국, 러시아, EU, 일본, 중국, 한국, 인도)이 공동으로 대형 초전도 핵융합 실험로를
건설・운영하는 사업이다.
한국은 선진국이 축적한 핵융합 기술을 추적・확보하기 위해 2003년부터 ITER 프로그램에
참여해오고 있으며, 9개 주요 품목(초전도 도체 및 진공용기 본체, 진공용기 포트, 블랑켓
차폐블록, 조립장비, 열차폐체, 삼중수소저장・공급시스템, 전원공급장치, 진단장치)을 개발・제작
및 조달하고, 할당 품목 이외의 핵융합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2025년 장치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ITER는 2020년 11월 기준 건설 공정률 71.7%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여름, ITER 회원국들이 그동안 각자 개발・제작해 온 핵심 품목들의
현장 조달이 시작됨에 따라, 이들을 하나의 장치로 조립하는 단계(Assembly Phase)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특히 한국 산업체들이 핵심 품목이자 극한기술의 결정체로 조립의 첫 순서에 해당하는
진공용기 최초 섹터를 조달(2020년 8월)하고, ITER 전용 특수 조립 장비를 개발・조달하여 장치
조립 시작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림 3-48] 진공용기 최초섹터 최종조립
∙278 ∙
[그림 3-49] ITER 장치조립 착수 기념식(2020.7.28)
2020년 국내 산업체는 ITER 국제기구 및 타 참여국으로부터 약 364억 원(총 13건) 규모의
연구・서비스 용역 및 물품제작을 수주(누적액 6,406억 원) 하였으며, 2020년 3월에는 ITER
국제기구의 장치 건설을 총괄하는 건설부문장에 한국인 전문가가 진출하여 근무에 착수하는
등 인력 및 산업 기반을 지속 강화하였다. 2020년 12월 기준 ITER 국제기구 내 한국인 근무자는
총 51명으로 전체의 5.2%를 차지하며, 이는 EU, 중국, 러시아에 이어 4번째로 큰 규모에 해당한다.
다) 국제 핵융합 연구협력 확대
2020년에는 EU 등 주요 핵융합 투자국과 ITER 실험장치 공동개발 논의가 진전되는 등 핵융합
분야 공동 연구개발 추진을 위한 국제협력도 강화하였다. 2020년 12월에는 양자 핵융합 협력
증진을 위한 제16차 한-일 핵융합협력 공동조정관 회의, 제8차 한-중 핵융합 협력 공동조정위원회를
개최하여 상호 핵융합 연구개발 정책 동향을 공유하고, 각국 장치를 활용한 연구 협력 및 ITER
조달분야 협력 등 분야에서 그간의 실적과 향후 추진 방향을 점검하였다.
2) 향후 계획
2021년에도 핵융합 에너지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ITER 참여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기술개발 및 인력, 산업 기반 강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며 핵융합 분야 5개년 기본계
획인 ‘제4차 핵융합에너지 개발진흥 기본계획’(2022~2026)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할
∙279 ∙
예정이다.
또한, 핵융합 핵심 기술 및 타 분야와의 융합기술 개발을 통해 연구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핵융합선도기술개발사업이 2021년 새로 착수되며, KSTAR 연구를 통한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기술
향상도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진공용기 섹터 등 ITER 한국 조달품목 제작・조달 및 ITER를
통한 인력 양성・산업 역량 강화에도 지속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나. 동향 및 전망
핵융합에너지기술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는 초전도 토카막 장치 KSTAR(2007년 건설)를 중심
으로 실험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핵융합 전기실증(DEMO) 핵심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EU, 일본 등 총 7개 국가가 참여하여 프랑스
카다라쉬에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를 건설하고 있다. ITER는 세계 최대 핵융합 장치이자 전
세계 DEMO의 핵심기반이 될 장치로서, 2020년에 본격적인 조립을 시작하였다. ITER 완공
및 첫 플라즈마는 2025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EU는 2040년대 DEMO 건설, 2050년대 DEMO 전기생산 실증을 목표로 DEMO(핵융합실증로)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DEMO 로드맵의 핵심요소인 DEMO 설계의 경우, 2020년 11월에 DEMO
설계 1단계에 해당하는 “사전개념설계(Pre-conceptual Design)”에 대한 전문가 리뷰를 진행하고,
2단계 “개념설계(Conceptual Design)” 추진을 승인받았다. EU 핵융합 프로그램의 핵심 연구장치
이자 DEMO 설계의 기반이 되는 JET(세계 최대 규모 토카막 장치)은 2021년 예정된 중수소-삼중수소
(D-T) 실험을 위한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고, 핵융합 중성자(중수소-중수소) 핵융합 출력 및 NBI
30MW라는 자체 신기록을 달성하였다. DEMO 핵융합 재료 테스트 및 검증 등을 위해 건설
추진 중인 국제핵융합재료조사시설 IFMIF-DONES(International Fusion Materials Irradiation
Facility–Demo Oriented NEutron Source)의 경우, 건설 사전준비단계로서 DONES-PreP 프로
젝트(2021.9. 완료)에 본격 착수하였다. DONES-PreP 프로젝트에는 EU 16개 기관이 참여하여,
법률적・경제적 관점에서의 거버넌스 및 안전성 연구, 활용성 및 기대효과 등을 종합 검토 중이다.
영국은 2040년까지 세계 최초 핵융합발전소 프로토타입 STEP(Spherical Tokamak for
Energy Production) 건설을 목표로, 산・학・연이 공동참여하여 STEP 개념설계에 본격 착수하였다
(2024년 완료예정). 영국 핵융합에너지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UKAEA(영국 원자력공사)는 STEP
∙280 ∙
건설 후보지 공모를 시작하였고, 2022년에 건설지역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STEP 설계 및
건설 기반 확보에 필요한 신개념 디버터 테스트 수행 등을 위해 영국 국립 핵융합연구기관
CCFE(Culham Centre for Fusion Energy)의 토카막 장치 MAST의 MAST-U로의 업그레이드
작업(작업기간 : 총 7년) 또한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2020.11.). RACE(원격제어 기술개발 시설),
FTF(핵융합 재료연구시설), H3AT(삼중수소 및 핵융합 연료주기 연구시설), MRF(방사화재료
처리 및 분석 연구시설) 등의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고 STEP 건설에 필요한 핵융합에너지개발
난제 해결방안도 적극 모색하고 있다. 한편, 영국은 2020년에 세계 최초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기술 확보 계획이 포함된 녹색 산업혁명을 위한 10대 중점계획을 발표하여, 핵융합에너지
추진에 대한 영국 정부의 의지를 확고히 하고 동시에 STEP 건설 추진의 정책적 기반을 확보하였다.
일본 또한 EU와 유사하게 2040년대 DEMO 건설, 2050년대 DEMO 전기생산 실증을 목표로
DEMO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일본 DEMO 로드맵을 이끄는 핵심축의 하나인, 일본-EU 간
BA(Broader Approach) 활동은 2020년 4월에 1단계(2007.6.~2020.3.)를 완료하고 새롭게
2단계에 돌입하였다. BA 일환으로 추진 중인 JT-60SA(초전도 토카막)는 2020년 3월에 조립을
완료하고, 통합 시험운전을 진행 중이다. DEMO 설계의 경우, “사전개념설계”를 진행 중으로,
2021년에는 “개념설계” 착수에 앞서 사전개념설계 및 R&D 종합 리뷰를 진행할 예정이다. 핵융합
재료연구 등을 위해서는 IFMIF/EVEDA(BA 활동 일환)를 통해 IFMIF 프로토타입 선형가속기인
LIPAc 구축 및 검증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이를 토대로 A-FNS(중성자조사시설) 건설
추진을 위한 설계 작업 또한 진행 중이다.
미국은 2020년 한 해 동안 산・학・연 협력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핵융합에너지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우선, 미국 핵융합 연구지원을 총괄하는 DOE FES(핵융합에너지과학국)
산하의 FESAC(FES 전문가자문위원회)에서 핵융합에너지 개발에 관한 중장기 계획으로서, 2040년
대까지 경제성을 확보한 FPP(핵융합 파일럿 발전소) 건설 추진을 제시하였다. FES와 ARPA-E(에너지
혁신연구청)가 공동으로, 핵융합에너지 개발의 기술적 간극해소를 목표로 산・학・연이 공동참여하는
GAMOW(Galvanizing Advances in Market-aligned fusion for an Overabundance of
Watts) 프로그램 또한 착수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총 14개 프로젝트가 지원받는다. 미국의
최대강점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핵융합 연구에 대한 지원도 지속되고 있다. 인공지능,
머신러닝 관련 핵융합연구 프로그램에 향후 총 3년간 2,100만 달러(한화 약 230억 원)가 투자될
예정이다. 한편, 핵융합 재료연구를 위해 RF(고주파)를 활용한 차세대 초전도 선형 플라즈마
장치 MPEX(Material Plasma Exposure eXperiment) 개발 프로젝트에도 본격 착수하였다.
한편, 중국은 2020년대 CFETR(China Fusion Engineering Test Reactor) 건설 착수, 2030년대
CFETR 1단계 운영을 목표로 DEMO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CFETR은 2020년 공학설계를
∙281 ∙
완료하고, 현재 안전성 및 삼중수소 규제 연구와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CFETR 건설지원 및 핵융합 기술 개발을 위한 종합연구시설 CRAFT(Comprehensive Research
Facilities for Fusion Technology)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을 진행 중이다. CRAFT에는
초전도자석 연구시설 및 디버터 장치 공학시설 등이 구축될 예정이다. CRAFT 건설에는 약
0.4㎢(약 12만평) 부지에 약 60억 위안(한화 1조 125억 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ASIPP(중국과학원
산하 플라즈마물리연구소)에서 운영 중인 EAST의 경우, CFETR를 위한 장시간 고성능 시나리오
개발 및 CFETR 지원을 위해 현재 장치 업그레이드를 진행 중이다. SWIP(중국원자력공사 산하
서남물리연구소)의 HL-2M은 2020년 12월에 HL-2A에서 HL-2M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완료하였다.
나) 국내동향
국내 유일의 초전도 토카막 장치인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가 2020년 10월에 전 세계 최초로 1억도(이온 온도) 초고온 플라즈마 20초 운전을
달성하였다. 그간 KSTAR를 비롯해 일부 장치에서 1억도 달성을 성공한 바 있으나, 이를 20초까지
유지한 것은 KSTAR가 처음이다. 이번 성과는 차세대 운전 모드인 내부수송장벽(ITB) 모드의
성능을 향상시켜, 플라즈마 이온 온도를 장시간 제어하고 플라즈마 경계영역 수송현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달성하였다. 내부수송장벽(ITB) 모드는 내부에 플라즈마 장벽을 생성시켜 플라즈마 성능을
H-모드(고성능 운전모드) 이상으로 확장시키는 차세대 운전 모드이다. KSTAR에 설치된 2개의
대칭형 산탄입자주장치(SPI)를 활용하여, 핵융합로의 손상을 막고 안정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플라즈마 붕괴 완화 기술의 실제 효과를 세계 최초로 검증하는 데에도 성공하였다. 플라즈마
붕괴 완화 기술은 핵융합로 운영 중 갑작스러운 이상 상황으로 발생하는 장치손상을 막는 기술로,
ITER 운전단계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핵심난제 중 하나이다. 현재 ITER에서 계획하고 있는
대칭형 SPI 실험이 가능한 핵융합 장치는 KSTAR가 유일하다.
핵융합 인프라 강화와 관련해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슈퍼컴퓨터 카이로스(1.56PF)
운영에 본격 돌입하였다. 카이로스는 특정 연구분야를 전용으로 하는 슈퍼컴퓨터 중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로, 이를 통해 다차원 동력학 모델을 광범위하게 적용할 핵융합 시뮬레이션 연구 수행
등이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카이로스는 KSTAR 실험뿐 아니라, 2025년 가동될 ITER 실험결과
해석 및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코드 개발, 가상 핵융합 장치 개발, DEMO 설계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282 ∙
[그림 3-50] KSTAR 운전기록,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20초 달성
KSTAR 운영과 함께, 우리나라는 미국, EU, 일본 등 세계 7개국이 공동 추진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 건설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총 9개 주요장치의 제작 및 조달을 담당하고
있으며, 2020년 8월에는 ITER 장치의 총 9개 진공용기 섹터 중 첫 섹터(6번)를 성공적으로
제작・조달함으로써 ITER 주장치 조립 착수에 기여하였다. 진공용기 섹터 6번은 진공용기 조립
설치의 기준점으로, 6번 섹터 설치가 설치된 이후에 다른 섹터들의 조립 설치 진행이 순차적으로
될 수 있다. 섹터 6번은 진공용기 중에서 가장 먼저 제작되는 초대형 장치로서 해결해야 할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나, 새로운 비파괴검사기술, 초정밀 내시경 장치를 활용한 내부
용접부 정밀 측정기술 개발 등을 통해 이를 극복하였다. ITER 조립장비의 최종 조달품인 ‘섹터인양
장비’와 ‘CS자석인양프레임’ 조달 또한 최종 완료하였다. ITER 조립장비는 우리나라가 상세설계부터
제작, 검증시험에 이르는 전 과정을 책임지고 조달하는 품목으로서, ITER 장치 조달품 중 인터페이스가
가장 많아서 매우 정교한 설계와 제작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 외에도, ITER 블랑켓 차폐블록의
초도품 개발에도 성공하였다. 블랑켓 차폐블록은 핵융합의 극한환경으로부터 ITER 주요장치를
보호하는 중요 구조물이다. ITER에는 총 44개의 블랑켓 차폐블록이 설치될 예정이며, 우리나라는
이 중 220개의 조달을 담당하고 있다.
핵융합 핵심 원천기술 개발의 연구기반 및 인력양성 등을 위한 핵융합기초연구에서는, 2020년
기준으로 5개 거점센터, 7개 개인 기초연구가 지원을 받아, SCI 논문 66편, 인력양성 23명(박사
10명, 석사 13명), 지식재산권 출원 5건/등록 7건 등의 성과를 이뤘다. 이 중 울산과학기술원
거점센터에서는 세계 최초로 공명자장 경계면 안정화의 Up/Down 폴로이달 비대칭을 발견하여
디버터 열속 최소화 방법론 개발에 성공하였다. 서울대학교 핵융합연구 거점센터에서는 KSTAR의
∙283 ∙
SPI 2기에 대한 전산모사를 수행하였고, ITER 회원국 토카막 물리 그룹인 ITPA의 붕괴 및
제어 회의 등에서 연구성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2) 향후 전망
향후 핵융합 주요 선도국들의 “세계 최초 핵융합에너지 전기실증(DEMO) 성공”을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EU, 일본은 ITER 일정을 반영하여 2050년대 DEMO
운전을 목표로 DEMO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2030년대 CFETR 1단계, 2040년대
CFTER 2단계(전기실증) 운전 계획을 제시하였다. 미국에서도 최근 경제성을 확보한 핵융합
프로토타입 플랜트 추진에 대한 요구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 영국 또한 지난 2019년에 2040년
완공을 목표로 STEP 건설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STEP 개념설계 및
건설부지공모에 착수하면서, 향후 어느 국가가 세계 최초로 핵융합에너지 전기실증에 성공할
것인가에 더욱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류의 미래 신에너지 확보라는 사회・환경적 관점에서 본다면, 핵융합에너지 개발에서의
국가 간 경쟁은 중요치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미래 신에너지 기술이 향후 국가의 경제성장 및
산업발전의 핵심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핵융합에너지기술 개발에서의 국가 경쟁력 유지 및
기술개발 선도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우리나라는 다가올 핵융합에너지 시대를 대비하여 핵융합 선도국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핵융합에너지기술 확보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핵융합 핵심기술인
블랑켓 및 재료기술 연구 등과 관련된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경제성 및
효율성, 기술 예측력 제고 등을 위하여, 슈퍼컴퓨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핵융합 연구방법 패러다임 전환 및 연구개발 추진을 가속화 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극한조건의
핵융합에너지기술 구현을 위하여 핵융합뿐 아니라 유관 산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2-3 원자력 기반(중이온・양성자 가속기)
중이온가속기
2011년도에 제정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추진 중인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RAON 구축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반 마련과 국내 가속기 전문인력 육성 및 우수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84 ∙
중이온가속기 RAON은 희귀동위원소 생성 및 특성 연구를 위한 대형연구시설로서, 전기장을
이용하여 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한 후 표적 물질에 충돌시켜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거나
자연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데, 그 종류와 생성량은 중이온의
가속에너지31)와 가속출력32)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생성된 희귀동위원소는 재가속 여부에
따라 초저에너지 및 저에너지 영역에 설치된 실험장치로 이송되어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거나,
고에너지 영역에서 더욱 희귀한 동위원소를 생성시켜 극한 환경에서의 원자핵 특성 연구나 응용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방식은 가벼운 이온(양성자 등)을 가속한 후 무거운 표적
원소(우라늄 등)에 충돌시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시키는 ISOL(Isotope Separation On-Line)
방식33)과 무거운 이온(우라늄 등)을 가속한 후 가벼운 표적원소(탄소 등)에 충돌시켜 희귀동위원
소를 생성시키는 IF(In-flight Fragmentation) 방식34)이 존재하는데, RAON은 ISOL, IF 두
가지 방사성동위원소(RI) 생성장치의 독립적 운영뿐만 아니라 융합 운영이 가능하여 각 장치가
가지는 단점의 보완과 장점의 극대화를 통해 기존의 희귀동위원소 시설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희귀동위원소의 생성이 가능한 세계 유일의 시설이다.
<표 3-15> 중이온가속기 RAON 배치도 및 주요구성 현황
구 분 핵심장치 주요구성
중이온
가속기
(RAON)
가속장치
입사기,
초전도선형가속기(SCL3, 2) 등
기반장치 제어시스템, 극저온시스템 등
RI생성장치 ISOL시스템, IF시스템 등
실험장치
초저에너지, 저에너지,
고에너지 실험장치 등
< 중이온가속기 RAON 배치도 > < 중이온가속기 RAON 주요구성 현황 >
31) 가속에너지 : 희귀동위원소 생성을 위해 가속하는 중이온 빔의 에너지로서 발생 가능한 희귀동위원소 결정
32) 가속출력 : 희귀동위원소 생성을 위해 가속하는 중이온 빔의 세기로, 그 세기가 높을수록 생성되는 희귀동위원소의
양이 증가하여 효율성이 높아지고 실험 가능성을 결정
33) ISOL : 두꺼운 표적에 양성자를 충돌시켜 대전류 저에너지 동위원소 빔 생성
34) IF : 얇은 표적에 중이온을 충돌시켜 소전류 고에너지 동위원소 빔 생성
∙285 ∙
1) 사업추진 현황
가) 주요 가속장치 본제품 제작/설치 관리
가속장치는 입사기, SCL3(저에너지 선형가속기), SCL2(고에너지 선형가속기)로 구성된다.
입사기는 중이온을 생성하여 SCL3에 전달하는 장치이며, SCL3는 입사기로부터 전송된 중이온
빔을 18.5MeV/u까지 가속시키는 장치이다. 그리고 SCL2는 SCL3에서 가속된 중이온 빔을
200MeV/u까지 가속시키는 장치이다.
2020년도 사업단은 입사기 구성장치 중 이온을 생성하여 빔을 발진시키는 14.5GHz ECR
이온원 제작, 설치 및 장치시운전을 완료하였다. 또한 이온빔을 SCL3까지 전송하는 LEBT, RFQ,
MEBT, 빔진단계의 제작 및 설치를 완료하였다. 특히 아르곤 빔을 통해 14.5GHz ECR이온원
-LEBT-RFQ-MEBT까지 입사기 빔 시운전을 수행하였고, 현재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또한 SCL3 전단부인 QWR 제작 및 가속터널 설치를 완료하였으며, 현재 후단부에 설치할
HWR 본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SCL2의 전단부에 설치될 SSR1과 후단부에 설치될
SSR2 시제품을 제작하여 성능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나) 기반장치 구축 및 시험시설 운영
기반장치는 중앙제어시스템과, 극저온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중앙제어시스템은 중이온가속기
로컬장치들의 제어시스템을 단일화하고, 주요 구성장치에 대한 정보제공 및 빔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극저온시스템은 극저온플랜트를 통해 생산된 액체헬륨을
초전도선형가속기(SCL3, SCL2)에 공급하여 초전도가속관의 극저온환경을 유지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사업단은 2020년 중앙제어시스템 주요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입사기-SCL3 Timing 연동시운전과
Machime Protection System 설치를 완료하였다. 그리고 SCL3 제어실험 네트워크,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 주제어실 운전환경 구축을 완료하였다. 또한 극저온시스템과 관련하여 극저온
상태의 헬륨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극저온플랜트(SCL3)와 극저온헬륨을 초전도가속모듈에 공급하는
헬륨분배시스템 제작 및 설치를 완료하였다.
∙286 ∙
<표 3-16> 장치구축 주요 현황
14.5GHz ECR 이온원 홍보용 책자SCL3 초전도가속모듈(QWR) 헬륨압축기동
다) RI생성장치 본제품 제작/설치 관리
가속된 중이온빔을 표적에 충돌시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는 RI생성장치는 ISOL시스템과
IF시스템으로 구성된다. ISOL시스템은 사이클로트론에서 가속된 양성자 빔을 표적에 충돌시켜
실시간으로 희귀동위원소를 생성하고 분리하는 장치이며, IF시스템은 SCL2에서 가속된 1차
빔을 표적에 입사하여 희귀동위원소를 생성, 분리, 전송하는 장치이다.
2020년 사업단은 ISOL시스템 핵심장치인 1kW 우라늄 표적 제조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그리고 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현재 공정으로 제작된 표적은 ISOL시스템 운영온도인 2,000℃에
근접한 온도에서도 변형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라늄 표적 이송장치의 제작과 RI
빔분리/수송장치 설치 및 전하증식기(EBIS, RFQ C/B 등) 온라인 주요구간 설치를 완료하였다.
이와 더불어 IF시스템 주요장치인 80kW 표적/빔덤프 제작 및 성능시험을 완료하였고, 중이온
가속기에 세계 최초로 도입되는 고온초전도 전자석 본제품 3기 제작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라) 주요 실험장치 본제품 제작 및 활용연구 주제 발굴
핵구조, 천체 핵반응을 연구하는 KoBRA 실험장치는 방사성 빔을 생성하고 불순물을 거르는
용도로 사용될 Stage1 본제품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21년 내 저에너지구간 빔시운전을 완료할
예정이다.
또한 고속 중성자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핵분열, 방사화 실험 등의 핵데이터를 측정하는
NDPS 실험장치와 레이저분광분석을 통해 희귀동위원소 핵의 전하분포, 크기, 모양 등의 핵
정보를 도출하는 CLS 실험장치는 주요장치 설계가 완료된 상태이다.
핵 대칭에너지 연구를 위해 중이온 충돌로 생성된 입자 및 파쇄핵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LAMPS
실험장치는 본제품 제작이 완료되었으며, 고에너지양성자빔을 이용하여 편극뮤온을 생성한 후
∙287 ∙
물질에 주입하여 물질 내 국소영역의 전자기장 특성을 연구하는 muSR 실험장치는 주요장치
설계완료에 따라 본제품 발주가 완료되었다. 마지막으로 균일빔 조사를 통해 의생명 연구에
필요한 생물학적 효과를 수집하는 BIS 실험장치는 빔라인 전자석 제작이 완료된 상태이다.
한편 희귀동위원소(RI) 관련 이론 개발과 중이온가속기 활용성 제고를 위한 활용연구 주제
발굴은 핵반응 이론 개발, 핵구조 이론 개발, 핵물질 및 핵 이송 이론 개발, 실험장치 연구주제
발굴 등을 수행하면서 핵반응 이론의 통합 GUI 등을 개발하였다.
마) 시설건설
2020년도 시설건설은 극저온설비(SCL2 Coldbox)를 제외한 모든 시설공사를 완료되어 임시
사용승인을 득하였다. 세부적으로 SCL2구역, SCL3구역, IF/고에너지 A・B구역, 저에너지구역,
ISOL구역을 포함한 가속기동 공사를 완료하였다. 또한 헬륨합축기 및 극저온설비동, 본부동,
이용자숙소동, 폐기물보관동 등 연구・업무지원시설의 공사를 완료하였다.
이와 더불어, 가속기동 방사선발생장치 사용변경허가 취득을 완료하고, 중이온가속기 전체
시설에 대한 방사선발생장치 시설검사 1단계 수검을 완료하였다. 또한 체계적인 방사선 안전관리
및 연구실/실험실 안전관리를 통해 무사고를 달성하였다.
< 시설건설 주요 현황 >
시설건설 현장전경 SCL3 구역 본부동
2) 향후 전망
현재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은 SCL2 등 일부 장치의 R&D가 지연됨에 따라, 2020년 하반기
부터 장치구축사업에 대한 총괄점검이 진행되었고, 총괄점검 결과에 따라 2021년 내 저에너지
구간(입사기-SCL3-KoBRA) 구축을 완료하고, 2021년 이후 고너지 구간, 초저에너지 구간 구축을
할 예정이다.
∙288 ∙
이와 더불어, Covid-19 확산에 따라 지연된 SCL2 극저온설비 설치를 금년 내 완료하여
중이온가속기 시설건설사업 건립공사 및 건설사업관리를 종료할 예정이다.
양성자가속기
양성자가속기는 수소 원자핵인 양성자를 고속(고에너지)으로 가속하여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
에서 이용되는 도구이다.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축적한 양성자, 중성자, 뮤온
등 다양한 입자와 물질과의 반응 현상에 관한 과학적 지식은 양성자가속기의 이용 범위를 재료
과학, 생명과학, 나노과학, 화학, 에너지, 환경과학, 의료 및 산업 분야까지 넓히게 되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대형 양성자가속기는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로 양성자를 수십 GeV 이상으로 가속하여 우주의 기본 구성 입자와 그 특성, 우주의
생성과 진화 등을 탐구하는 입자물리학 또는 핵물리 분야의 연구에 이용된다. 두 번째는 대용량
양성자가속기로 양성자를 수백에서 수 GeV로 가속하여 양성자 또는 중성자, 뮤온 등을 만들어
재료과학, 나노과학, 생명과학, 화학, 에너지, 환경 및 산업 분야의 연구개발에 이용된다.
<표 3-17> 양성자가속기 종류와 설명
구분 설명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 우주의 구성체와 상호작용, 생성과 진화 등을 탐구하는 입자물리학 또는 핵물리학 분야의 연구에 이용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재료과학, 생명과학, 나노과학, 화학, 에너지, 환경 및 산업 분야의 연구개발에 이용
1) 국내동향
국내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 이용연구는 전적으로 해외의 양성자가속기(유럽연합 CERN의 LHC,
미국 FNAL의 MI, 일본 J-PARC의 MR 등)을 이용한 국제공동연구에 참여하여 수행하고 있다.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이용연구는 2013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100MeV 양성자
가속기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 2020년에는 빔라인 3기와 가속기 터널 내부의 ‘간이 중성자
이용시설’을 이용하여 총 63건(이용자 188명)의 연구과제를 지원하였다. 2013년부터 2020년
까지 지원한 연구과제는 총 근근득생 87건이며 이용자는 2,151명에 달하였다. 2017년부터
연간 연구과제 지원 건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지원 방침을 ‘이용 저변 확대 중심’에서 ‘이용 성과
제고 중심’으로 전환하여, 우수한 성과가 기대되는 연구과제 또는 첨단 산업체에 가용 빔 타임을
우선적으로 배분하고 나머지 빔 타임을 기초연구를 위한 연구과제에 배분하는 이원화 이용연구
방침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용연구는 신소재, 생명과학, 우주 분야 등에 집중되어 있고,
∙289 ∙
지난해에 이어 2020년도에도 반도체 제품의 대기 및 우주방사선 영향 시험・평가 등 산업 분야의
이용연구가 증가하였다.
<표 3-18> 100 MeV 양성자가속기 이용연구 현황(한국원자력연구원)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누계
연구과제 지원(건) 39 103 124 131 121 105 101 63 787
이용자(명) 84 223 349 392 334 290 291 188 2,151
2020년 3월에는 100MeV 양성자가속기의 이용연구 수요와 국내 첨단 산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성능 향상과 이용시설 증설 계획이 정부의 ‘대형가속기 장기로드맵 및 운영전략’에
반영되었고, 이행에 필요한 상세계획 수립과 가속장치 등 기반기술 연구개발을 시작하였다.
2) 해외동향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는 유럽연합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14 TeV급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 Large hadron collider),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FNAL)의 120 GeV급
MI(Main injector), 일본 양성자가속기연구단지(J-PARC)의 50 GeV급 MR(Main ring) 등이
있다. 유럽연합의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는 2012년에 우주의 생성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힉스입자(Higgs particle)의 발견 이후, 초대칭 입자(supersymmetric particles), 암흑물질
(dark matter) 등 새로운 입자 탐색, 톱 쿼크(top quark), 힉스입자 등의 특성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는 2018~2019년 2년간 가속기와 실험장치 보강을 완료하고
올 2020년도부터 설계 성능으로 운영을 시작하였고 2023년 말까지 입자물리학 연구에 이용할
계획이며, 2023년 이후 2년 반 동안 가속기 성능향상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형강입자충돌기(LHC) 이후 2030~40년대를 대비하여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이 논의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유럽연합의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미래형
원형충돌기(FCC, Future Circular Collider)와 중국 고에너지물리연구소(IHEP)의 원형 전자-
양전자 충돌기(CEPC, Circular Electron-Positron Collider)가 있다. CERN은 2020년 6월
LHC 성능향상과 FCC 구축 사업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관련 연구개발을 시작하였고, 중국
IHEP도 원형 전자-양전자 충돌기(CEPC)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FNAL은
2019년에 착수한 MI 양성자가속기의 빔출력 보강 사업(PIP-II, Proton improvement plan
II)을 2025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고, 일본 양성자가속기연구단지(J-PARC)는 MR의 설계
성능 달성을 위하여 가속기를 보강하고 있다.
∙290 ∙
대용량 양성자가속기로는 영국 러더포드애플턴연구소(RAL, Rutherford Appleton Laboratory)의
ISIS,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LANL,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의 LANSCE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ORNL,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의 SNS, 일본 양성자가속기연구
단지(J-PARC)의 MLF, 중국 고에너지물리연구소(IHEP)의 CSNS가 운영 중이며, 유럽연합은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세계 최고 성능의 ESS를 구축하고 있다. 대용량 양성자가속기가 제공하는
중성자, 뮤온 등 2차입자는 물질의 미세구조, 구성 원소의 기능 등에 대한 정보를 탐구하는 첨단
분석연구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산업적 활용도가 큰 반도체, 자성체, 유전체, 양자물질,
연성물질, 나노촉매 등 차세대 소재 연구개발, 신약 물질 개발을 위한 단백질 구조 및 기능
분석, 우주항공, 자동차 구성부품・소재의 피로도 분석, 반도체 제품(메모리, CPU, GPU 등)의
대기・우주방사선 영향 시험 및 안정성 평가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표 3-19>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현황
시설명 (국가) 빔에너지 빔출력 활용 입자 운영 착수
ISIS (영국) 0.8 GeV 0.24 MW 중성자, 뮤온 등 1985
LANSCE (미국) 0.8 GeV 0.8 MW 양성자, 중성자 등 1989
SNS (미국) 1.0 GeV 1.0 MW 중성자 등 2007
MLF (일본) 3.0 GeV 1.0 MW 중성자, 뮤온 등 2009
CSNS (중국) 1.6 GeV 0.1 MW 중성자 등 2019
ESS (유럽연합) 2.5 GeV 5.0 MW 중성자 등 2023(예정)
해외의 대용량 양성자가속기는 증가하는 이용연구 지원과 새로운 분석기법 이용을 위해 지속적인
성능 보강을 하고 있다. 영국 ISIS는 30년 이상 운영한 제1표적계를 2021년 1월에 해체하고
업그레이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고, 미국 SNS는 제2표적계 구축을 위한 개념설계를 2020년
3월에 완료하고 관련 연구개발에 착수하였다. 일본 MLF의 경우도 증가하는 이용수요에 대응하여
제2표적계 구축을 위한 검토를 시작하였으며, 2019년에 운영을 시작한 중국 CSNS는 올 2020년
3월부터 설계 성능으로 안정적인 운영 단계 진입, 3개의 중성자 연구시설로 이용연구를 지원하고
있고, 대기 중성자 영향 시험시설 등 17개의 분석장치를 순차적 구축할 예정이다.
3) 향후 전망
현재 운영 중인 고에너지 양성자가속기를 이용한 연구는 2030년대 초반까지 지속될 전망이고,
그 이후를 대비한 초대형 양성자가속기 구축에 필요한 가속장치, 실험장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초대형 양성자가속기(유럽연합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FCC,
중국 고에너지물리연구소(IHEP)의 CEPC)는 10조 원 이상의 사업비가 소요되어 국제협력이
∙291 ∙
필수적으로 요구될 전망이다. 한편, 대용량 양성자가속기의 경우 미래 산업에 요구되는 핵심
소재 연구개발을 위한 첨단 연구개발 인프라로 과학기술 선진국이 경쟁적으로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고 새로운 연구분석기법을 이용하기 위한 시설 증설과 업그레이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가 간 과학기술 경쟁의 심화에 따라 대용량 양성자가속기 및 이용연구시설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통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우리나라도 독자적인 기반기술 확보와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292 ∙
제2절 정보통신기술
1.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혁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기술 등이 자리잡고 있다. 이 중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존재하나 일반적으로는 인지, 학습 등 인간의 지적능력(지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컴퓨터를 이용해 구현하는 지능’을 의미한다. 컴퓨팅 성능의 고도화, 대용량의
데이터 축적, 5G 등 네트워크 고도화와 같은 ICT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인공지능은 급성장
하고 있으며, 제조, 의료, 교통, 환경, 교육 등 산업 전반에서 본격적으로 활용・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헬스케어, 금융,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국은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 정책을 수립하여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확보를 꾀하고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디지털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하여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로 정의된다. 사실상 데이터가
공개되고 공유되기 때문에 왜곡이 어려우며, 이 같은 특성은 데이터에 투명성, 불변성 등의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신뢰 기반 사회 실현에 기여한다. 특히,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비대면화를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로 여겨진다. 분산장부 공유기술(1세대)을 시작으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시도하는
2세대에 이어, 확장성, 보안성, 상호운용성 등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3세대로 발전 중에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주요 성과
가) 인공지능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주요국들은 기술력과 인재의 선제적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미국은 기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수립하여 슈퍼컴퓨팅 기술개발로
경제적 이익 추구하는 프론티어 전략과 개방형 생태계를 이용하여 공개를 통한 선도유지 전략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오픈소스 생태계에 편입하여 학습하는 추격형
모델로 성장하였지만, 이제는 국가 주도로 슈퍼컴퓨터 같은 인프라 분야에서는 미국과 유사한
∙293 ∙
프론티어 전략을 통한 대규모・장기적 투자를 유지하면서도 AI 알고리즘과 같은 핵심기술은 ‘국가
차세대 인공지능 개방 혁신 플랫폼’ 구축 계획을 시작으로 미국 주도의 생태계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즉, 미국 주도의 개방형 생태계 참여를 지양하고 직접 오픈소스 생태계를 조성하여
미국식 프론티어 전략과 공개 전략을 추구함과 동시에, 데이터 주권 차원에서 자국 내에서는
데이터 공개를 통한 공유를 활발히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지만 국외로 유출은 어렵게 하는
데이터 블록화 전략을 복합적으로 병행 추진하고 있다. 자체적인 인공지능 기술 확보가 늦어진다면,
향후 국가 간의 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기술 종속화 위험도 커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2019년 10월 ‘대통령 인공지능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이를 기반으로 2019년 12월에는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발표하였다. 2020년부터는 동 전략의
3가지 중점 추진과제인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력 확보, 인공지능을 가장 잘 활용하는
나라,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 구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1)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제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인공지능 선진국 대비 기술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딥러닝 한계를 극복하는 포스트딥러닝 기술
및 딥러닝 고도화 기술을 개발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개발 사업과 5G 상용화에
따라, 5G의 ‘실시간’, ‘초연결’ 특성을 활용하여 다수 로봇을 원격제어하고 평생학습을 통해
지능을 고도화하는 클라우드 로봇복합 인공지능기술개발사업을 2020년부터 신규로 추진하였다.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인공지능)에서는 인공지능 핵심요소 기술개발과 차세대 인공지능 원천
기술개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17년부터 산・학・연 연구개발을 지원하였다. 2020년에는
언어지능(엑소브레인), 시각지능(딥뷰), 음성지능(다중화자) 등의 분야에서 인공지능 핵심요소
기술개발을 통해 33건의 기술이전(기술료 23.9억 원)과 사업화 매출액 약 182억 원을 달성하였다.
또한 설명가능한 AI(XAI), 공정한 AI, 비디오 튜링 테스트, 뇌인지 과정 모사를 포함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원천기술 분야에서는 SCI(E)급 논문을 63건을 발표하였으며, 국내 특허 98건, 국외
특허 20건을 확보하였다.
∙294 ∙
(음성) 범정부 민원상담 365에
음성자동응답 기술 적용
(시각) 쓰레기 무단투기 감지 및 CCTV
실시간 분석에 딥뷰 기술 적용
(학습추론) 포항제철소 용광로에
설명가능 인공지능기술 적용
[그림 3-51]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인공지능) 사업 성과
인공지능을 다양한 산업에 접목한 신규 제품・서비스 개발 지원을 통해 민간 인공지능 응용기술
개발을 촉진하고자 2019년부터 ‘인공지능융합선도프로젝트’사업을 추진하였다. 의료 분야에서
㈜액티브앤씨는 청진 의료기기 시제품을 개발하고 미국 의료기기 업체 메디크로닉과 사업제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서울대학교병원은 머신러닝을 활용한 비대면 피드백 건강모니터링
서비스 ‘K-PT’를 개발하였다. 또한, 금융 분야에서는 딥러닝 기반 부동산 담보대출 리스크 예측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센서 분야에서는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통해 수집된 이종 데이터를
자동 분석하고 그 결과를 설명하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는 다중 CCTV
영상 분석 기술,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등 안전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2) 인공지능 연구생태계 활성화 및 저변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생태계 활성화, 저변확대, 그리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난제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2017년부터 ‘인공지능 R&D 챌린지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우수한 연구팀을 경진대회(챌린지)를 통해 선발하고, 선발팀은 후속연구를
추진하는 새로운 R&D 지원방식이다. 2019년에는 시각지능, 청각지능, 로보틱스 제어지능 등
개별 인지지능을 복합 인지지능으로 구현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단계로 구성된 통합 문제
시나리오를 풀어내는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로 확대 개편하였다. 2020년에는 전년도 주제인
‘인공지능과 로보틱스(드론)을 활용한 복합재난상황에서 인명구조 기술개발(3차 대회)’에 신규주제인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해결(4차 대회)’을 추가하여 통합대회(2020.11.)로 추진하였다.
∙295 ∙
[그림 3-52] 인공지능 R&D 챌린지 추진방식
또한,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강화 및 인공지능 연구자들의 연구방식을 반영하여 4차
대회 1단계 대회(2020.7.)에서 온라인 방식을 대회 최초로 도입하였다. 3차・4차 대회를 통합한
2단계 대회(2020.11.)에서는 인지지능 부문은 온라인으로, 제어지능 부문은 오프라인으로 개최
하여 총 19개의 우수 연구팀을 선발하였다. 2021년도에는 127억 원 규모의 후속연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3)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투자 확대 노력
인공지능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현 인공지능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인간이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부터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사업(2022년~2026년)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준비하고 있다. 2021년 4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게 되면, 인공지능 학습능력
개선(머신러닝의 성능이 양질의 학습 데이터 양에 의존적이고, 학습된 지식에 대해서만 제 성능을
발휘하며, 학습되지 않은 예외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한계 극복), 인공지능
신뢰성 확보(블랙박스와 같은 인공지능의 불투명성 문제나 편향성/공정성 이슈와 같은 인공지능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로 적용을 주저하는 현상 해소), 인공지능 활용성 개선(인간과의 파트너쉽을
위한 소통과 공감 능력에서, 단일지능을 활용하여 직문 직답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답답함을 느끼며 소통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한계 극복)의 3대 원천기술 분야에
대한 대규모 신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술의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는 최고국(美) 대비 80.8% 수준이다(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축소하고,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를 강화하기
∙296 ∙
위해 2018년 6월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꾸준히 시장형성을 지원해 왔고, 2020년
6월 기존 전략을 발전시켜 관계부처 합동으로 초연결 및 비대면 신뢰사회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확산전략」을 마련하여 블록체인 생태계 형성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2020년 블록체인융합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총 160.6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융합기술개발
분야에 116.6억 원(계속과제 11개, 신규과제 4개), 응용플랫폼 개발 분야에는 44억 원(계속과제
6개, 신규과제 3개)을 투자하였다. 2018년부터 추진한 동 사업을 통해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핵심기술과 산업별 특화분야 응용플랫폼 개발을 신속히 추진하여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응을 하고 있다. 블록체인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융합기술개발은 블록체인
기술의 기반이 되는 합의알고리즘 등 블록체인의 기능적 완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술
자체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반기술과 트랜잭션 및 블록 전파 지연 문제 개선 등 확장기술을
지원 중에 있다. 한편, 산업별 특화분야 응용플랫폼개발은 탈중앙화, 불변성, 투명성 등 블록체인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여 블록체인 기반 응용플랫폼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동 사업의 대표 성과로서 전자문서 발급・유통 채널을 통합하여 신청부터 제출, 진본검증까지
온라인상에서 완결된 서비스를 구현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은 취업포털
사이트와 연계하여 ‘취업서류 발급 및 제출 서비스’ 개시(2020년 12월)로 이어졌으며, 구직자가
취업에 필요한 서류를 한 곳에서 발급받아 여러 기업에 반복 제출함으로써, 매번 서류를 발급받아야
했던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다른 성과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증명을 직접 관리하고, 공개
대상과 범위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분산형 자기주권 신원정보관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중앙집중형 신원확인 기술의 개인정보 노출 및 오남용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신원정보 관리 서비스, 금융 산업에서의 기존 시스템 운영 부담
및 개인정보 규제에 따른 기업의 재정적 부담 경감이 기대된다.
한편, 2017년부터 데이터 경제 실현의 기반인 차세대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해 대규모
사업이 기획되었으며, 2019년 사업 재기획을 거쳐, 2020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
하여 중장기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예비타당성조사
사업(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21년부터 5년간 총 1,133억 원
(국고, 민자 합계)을 투자하여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2) 향후 계획
인공지능은 단순한 기술적 차원을 넘어 모든 사회, 문화 영역에 걸친 패러다임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전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정부는 이를 위해 차세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및 인공지능 신뢰성 확보를 통해 다가올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대응 기반을 공고히 마련할 것이다.
∙297 ∙
동시에 인공지능 경쟁력 확보 주체인 기업과 연구소, 미래 방향성을 제시할 학계와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블록체인의 경우에도 2021년부터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사업(과학기술정보
통신부)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동 사업은 고성능 합의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기술, 분산
신원증명 기반 개인정보처리・신원관리기술, 데이터 주권 보장 데이터 관리 기술개발 등 4가지
전략 분야로 구성되며, 2021년에는 9개 신규과제(국고 182억 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 블록체인 기술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블록체인이 4차 산업혁명 선도기술과 융합하고, 타 산업에 접목되어 산업
구조 재편을 촉진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인공지능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적 행위를 모사하여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이해능력 등을
실현하는 기술로 기계학습, 딥러닝, 추론기술을 포함하는 학습지능과 언어・시각・음성 데이터를
인지하는 단일지능, 그리고 인간의 여러 가지 감각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복합지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3-20> 인공지능 분류 및 설명 (참조: IITP ICT연구개발 기술분류체계)
구분 설명
학습지능
∙ 컴퓨터가 데이터로부터 경험을 통해 규칙을 생성하고,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분야. 딥러닝,
강화학습, 비지도학습 등 다양한 학습 방법론과 지식표현 체계, 정의되지 않은 지식을 추론하는 기술
등을 포함
단일지능
∙ 언어,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단일 입력 데이터의 의미를 이해・ 처리하는 인공지능. 뉴스, 사전, 대화
등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처리, 질의응답 등과 같은 언어지능과 이미지, 영상을 이해하는 시각지능,
사람의 음성을 이해하는 청각지능 등을 포함
복합지능
∙ 사람이 다중감각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처럼 언어, 음성, 시각 데이터 및 주변 센서 데이터 등 멀티모달
입력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인공지능 기술. 행동/소셜지능, 상황/감정이해, 지능형 에이전트,
범용 인공지능(AGI) 등을 포함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차세대 인공지능은 사람 수준의 지능을 구현할 수 있는 범용
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을 의미하며, 현재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는
머신러닝 기술이 딥러닝이기 때문에 최근의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은 딥러닝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하고 있다.
∙298 ∙
<표 3-21> 딥러닝 기술의 한계
구분 주요 내용
높은 데이터 의존도
∙ 양질의 학습 데이터가 딥러닝의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에 데이터 구축에 많은 시간 비용 필요
∙ 학습 데이터에 충분한 경우의 수를 포함하지 않으면 성능이 떨어짐
- 철저히 학습 데이터에 기반하여 최적의 판단이나 예측 값을 찾아내므로 학습된 지능의 융통성/
유연성 부족
- 데이터에 없는 지식은 추론 불가하며, 데이터가 많더라도 특정 특징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으면
Overfitting/Underfitting에 의해 추론에 왜곡 발생하여 성능이 떨어짐
데이터 분포 문제
∙ 시뮬레이션 데이터(시험 데이터)와 실제 환경의 데이터(전체 데이터) 간의 차이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대응이 어려움
실시간 학습 어려움
∙ 점진적 학습의 효과를 보장할 수 없고, 한 번에 의미 있는 학습 결과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전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학습의 과정을 반복해야 하며, 재학습 소요시간이 너무 길어 실시간
학습이 어려움
지속적인 학습 불가 ∙ 한번 학습한 모델에 추가 데이터 학습을 하더라도 성능 향상을 담보할 수 없음
낮은 설명가능성
∙ 딥러닝의 핵심인 신경망은 투명성이 없어 블랙박스처럼 학습된 지식에 대해 개발자도 확인할 수
없음
인과관계 표현 능력
부족
∙ 딥러닝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한정되고 인과관계를 보여주기 어려우며, 논리적 추론 능력이
부족함
∙ 입력 데이터의 특성만으로 추론하기 때문에 맥락이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메모리 유지가
어려움 (이전 사건이나 지식처리의 어려움)
∙ 개념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구하기 어려워 추상적 정보(개념,의미, 계층 등) 인식이 어려움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딥러닝 기술은 인공지능 기술의 전환점 가져왔지만, 인간을 모사한다는 측면에서는 여전히
한계점이 있으며, 2020년은 딥러닝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딥러닝 기술은 많은 데이터가 있어야 만족할만한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좋은 성능을 얻은
학습모델도 대상 환경이 조금만 바뀌어도 성능이 현격히 낮아져 다시 학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많은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적은 데이터만으로도 학습모델을 훈련시킬 수
있는 퓨샷/제로샷 (Few-shot/zero-shot) 학습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프로젝트로는 2019년에
종료된 FunLoL(Fundamental Limits of Learning)에 이어 LwLL(Learning with Less
Labels) 과제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프로젝트로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사전에
훈련된 모델을 재사용하는 전이학습,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뉴럴-심볼릭
학습 등 새로운 학습모델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딥러닝 기술의 또 다른 문제점은 결과에 대해서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이다. DARPA는
2020년 기준으로 인공지능 분야 중 가장 큰 예산인 약 2,605만 달러를 신뢰성 확보를 위한
∙299 ∙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분야에 집행하고 있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프로젝트로 eXplainable
AI(XAI)를 2021년까지 진행 중이며, 이와 병행하여 인공지능의 신뢰성(Trustworthy AI)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학습역량을 지식화하여 인지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여 학습방법을
스스로 터득하는 역량인지기계학습(CAML, Competency-aware Machine Learning)도 2023년
까지 연구할 계획이다.
이세돌과 대국한 알파고-Lee를 100:0으로 대파한 알파고-제로를 강화학습으로 만들었던
딥마인드는 2020년 뮤제로(MuZero)라고 하는 새로운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발표하였다.
뮤제로는 게임 규칙을 스스로 학습해나가는 새로운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사람 수준의 학습
능력을 보유한 범용인공지능의 기반기술로 소개하였다. 딥마인드는 뮤제로를 활용하여 게임뿐
아니라 코로나 19와 유사한 SARS-CoV-2 바이러스의 다양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데 성공
하였다. 향후, 뮤제로를 활용하여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단백질 관련 신약개발에 활용할 계획도
발표하였다.
2020년에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은 연구개발 결과는 OpenAI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여 개발한 GPT-3(Generative Pre-Training-3) 모델이다. GPT는
범용적인 언어지능(GLI, General Linguistic Intelligenve) 연구 선도를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었으며,
기존에 발표하였던 GPT-1(2018년)과 GPT-2(2019년)에 비하여 엄청난 규모로 확장된 학습
데이터와 딥러닝 파라메터 수를 기반으로 GPT-3 모델이 만들어졌다. 학습데이터는 GPT-2에
비하여 8배, 모델 파라미터 수는 150배 정도가 확장되었으며, 1만 개의 GPU와 28만 개의
CPU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였다. GPT-3 모델은 비공개로 테스트 인터페이스만 오픈하고 있다.
GPT-3 모델을 활용하는 사용자들은 몇 개의 예제만을 학습시키는 것으로 응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GPT-3는 언어생성과 이해 측면에서 상식이 결여된 문장을 생성하는 등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기존 학습모델로는 불가능한 수준의 일반성을 가지고 있어 범용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발전시킬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300 ∙
나) 국내동향
그동안 수행한 인공지능 연구결과가 딥러닝 기반의 단일 지능을 중심으로 현장에 적용・사용
되고 있다. 한국어와 관련하여 한국인에 최적화된 한국어 음성인식, 한국인의 외국어(영어 등)
발음 인식 등 특정 분야를 타겟으로 성능이 향상되어 비대면 외국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으로
교육 콘텐츠에 활용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가 원어민 교사를 대체, 보완하여 인공지능이 듣고,
말하고 가르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밖에도 콜센터 통화내용을 텍스트로 인식하여 저장
하거나 사용자를 구분하여 회의록을 작성하는 분야에 음성인식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어
질의응답 기술도 국내 특허와 법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시각 분야는 안전과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형태로 여러 지자체에서 실증을 진행
하고 있다. 이는 단순 객체 인식 수준에서 진일보하여 객체를 분할하여 행동을 인식하고, 특정
행동에 대한 행동 구간을 구분하거나, 사람의 자세 변화에 따른 포즈 인식 기술이 병행되어
정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
언어, 시각을 통합하는 복합지능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서울대 중심으로 Visual QA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식 확장이 어려운 딥러닝 기술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자율성장 복합지능 원천기술 개발을 추진하였다. 복합적인 인공지능 지식 축적을 위한
장기・단기 기억 모델을 구분하였으며, 이는 뇌기억을 모사하는 지식 자율성장 체계를 개발하였다.
점진적인 형태로 지식을 성장시키는 자율성장 모델을 패션 코디네이터로 적용하고, 이와 관련한
데이터셋와 모델 API를 오픈하고, 국내 기업과 대학을 대상으로 자율성장 모델 경진대회를 통하여
자율성장 복합 인공지능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2) 향후 전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딥러닝 기술은 특정 분야의 단일데이터에 한정하여 이해력이 높은
좁은인공지능(ANI,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인공지능은 좁은
인공지능 기술한계를 뛰어넘는 범용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미국에서는 인간처럼 일반 상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원전
기술 확보를 위하여 기계 상식(MCS, Machine Common Sense) 과제를 2022년까지 진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이나믹한 실세계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열린 세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SAIL-ON, Science of AI and Learning for Open-World Novelty)를 진행 중이다.
캐나다 몬트리얼 대학 벤지오 교수가 참여하는 밀라 연구소도 사람 수준의 인공지능 원천기술
개발을 시작하였다.
∙301 ∙
향후 5~10년간 범용인공지능(AGI)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해 갈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첫째, 지식 성장 방법으로 사람처럼
새로운 사실을 만나면 새로운 지식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지식을 쌓아가는 자율적인 과정, 둘째,
인공지능이 윤리적이며 인간에게 안전하고 유익하도록 구현하여 인간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셋째, 사람이 오감을 종합하여 상황 판단하듯이 청각, 텍스트, 시각, 센서 등의
입력 데이터를 통합하여 인지하는 복합 모달리티, 넷째, 인간과 인공지능이 상호 협력하는 체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주어진 미션과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인공지능 간의 협력 방법
진화, 다섯 번째, 인공지능이 대상자 인간과 연결된 정보와 상황, 과거 이력 등을 종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여섯 번째, 인공지능은 한 분야에서 습득한 지식을 다른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상식을 가질 수 있는 방향, 일곱 번째, 하워드 가드너의 9대 지능(언어지능, 공간지능,
타인 이해지능, 음악 지능 등)을 통합적으로 가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가속되는 인공지능 기술경쟁 속에서 현재의 딥러닝 기술은 공공분야, 기업의 경쟁력 강화,
과학 분야의 문제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투자와 개발이 이루어질
전망이며,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 강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 인공지능 기반기술에 전 세계적으로
원천기술 개발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분산원장기술의 일종으로 암호화폐(Crypto-currency)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개인정보 등 가치를 가지는 중요 정보가 디지털 자산화되면서
디지털 자산을 다루는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2020년에는 블록체인 산업과 기업
활용에 관심이 늘면서 암호화폐를 배제한 블록체인 기술 응용이 늘어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체인을 만들고 운영하는 좁은 의미의 기술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응용기술까지도 포함하여 블록체인 응용프로그램 제작과 토큰 경제를 만들고 운영
하는 기술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암호화폐 등의 디지털 자산을 다루는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체인 사용자를 특정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개방형 블록체인인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정보 또는 데이터를 공유하여 신뢰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사용할 때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제한되는 허가형 블록체인인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이 활용된다.
∙302 ∙
<표 3-22> 블록체인의 분류와 특징
구분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속도비용 합의가 느림/비용 과다 비교적 빠름/비용 조절 가능
권한 모든 참여자 읽기, 쓰기, 합의 등 권한 참여자별 권한지정 가능
분산노드 수백, 수천 노드 상대적 소수(보통 4~10개)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2020년은 코로나 19의 여파로 전 세계, 전 산업 분야의 움직임이 느려졌으나 비대면 사태와
관련된 IT 기술은 호황을 누렸다. 이에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 되어 여러 가능성에
대한 주요 움직임이 있었으나 아직 시범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데이터 경제의
핵심으로 부각 되면서 유럽에서는 GAIA-X 프로젝트로 명명되는 데이터 경제를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가 구체화 되고 있다. 이는 유럽을 단일 데이터 시장으로 보고 데이터
주도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2020년 6월 독일연방 경제기술부(BMWi)에서는 유럽
디지털 기반(infrastructure) 구축을 위해 독일과 프랑스가 GAIA-X 프로젝트를 선도한다고
발표하였다.
* 출처 : © BMWi
[그림 3-53] GAIA-X 프로젝트 구조
∙303 ∙
또한, 블록체인의 핀테크 적용이 확산되고 있는데, 이는 해외 주요국들이 블록체인이 기업과
경제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아직은 조심스럽게 관련 법률과 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와 투자 프로세스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기업 간, 국가 간, 기업과 기업 간의
눈치 보기가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시진핑 주석이 직접 블록체인을 언급할 정도로 매우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데,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의 신뢰성과 위・변조
방지, 디지털 화폐 발행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중국은 2020년 10월 12일 디지털 위안화라는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세계최초로 법정 디지털 화폐를 도입한 것이다.
* 출처 : 中國農業銀行,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재인용
[그림 3-54] 디지털 위안화
블록체인 관련 국제표준은 공식 표준화 기구와 많은 사설 표준화 기구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며,
구현된 프레임워크 형태를 가지는 사실 표준을 제공하는 사실 표준화 기구가 있다. 공식 표준화
기구인 ISO TC 307, ITU-T, UN/CEFACT에서는 개념, 구조, 상호운용성 등에 관한 표준들이
진행 중이고, 사설 표준화 기구인 IEEE, W3C 등에서는 기술개발 관련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사실 표준화 기구로는 Hyperledger, EEA 등이 있다. 2020년도 표준화 활동의 특징은 공식・사설
표준화 간의 연결이 활발해지면서 상호 협력 개발이 일어나고 있으며, 동시에 사실 표준화 기구들의
시장점유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참조구조가 완성되어 감에 따라
참조구조 기반의 상호 운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그간 다양성을 가지고 발전해
오던 블록체인이 통합과 연결이 중요해지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의 보안성을
위해 아키텍처에 기초한 취약성 분석과 통제가 이슈화 되고 있다.
∙304 ∙
나) 국내동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이 2020년 신년사에서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관련 내용을 언급하면서, 국내 핀테크 관련 업계는 금융업계에 블록체인
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제 내용상으로는 연구수준에 머물 고 블록체인
관련 전문가의 확보 역시 기대 수준을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연말 공인인증서가 폐지됨으로써
이를 대치하기 위한 금융업계의 블록체인 기술 접목이 분산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
기술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3월 국회를 통과한 특금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에 따라 추진되었는데, 여기에는 암호
화폐라는 명칭 대신 가상자산이란 명칭을 사용하고, 암호화폐 거래소 인허가제를 도입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거래세와 소득세 부과 기준이 마련되었다.
<표 3-23>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
구분 과제명
합의 알고리즘
대규모 노드를 위한 탈중앙화 합의체 구성 기술개발
대규모 노드에서 블록 단위의 효율적인 거래 확정을 위한 최종성 보장 기술개발
고성능/대용량 트랜잭션 확장성 보장 기술개발
노드 간 메시지 전달과 합의를 위한 최적 경로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술개발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의 개발-배포-실행의 전주기적 취약점 및 신뢰성 오류 개선 기술개발
분산신원증명
자기주권 신원 활용을 위한 사용자 신원 인증 및 관리 기술개발
블록체인 데이터 암호화 기반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개발
대규모 데이터 처리
다양한 산업 분야 활용성 증대를 위한 대규모/대용량 데이터 고확장성 분산 저장 기술개발
다양한 산업 분야 활용성 증대를 위한 분산 저장된 대규모 데이터 고속 분석 기술개발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2021년부터 5년간
블록체인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1133억 원의 투입이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ITP)에서는 9개의 관련 과제를 마련하여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4차산업혁명위원회
에서는 6월 초연결 비대면 신뢰사회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을 의결하여 7대 전면
도입 분야를 선정하였다.
∙305 ∙
* 출처 : 4차산업혁명위원회, 블록체인 기술 확산 전략, 2020.6.
[그림 3-55] 블록체인 기술 확산 비전・목표・추진전략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2018년부터 매해 수행해온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은 올해에도
10개 과제를 선정하였다. 예년과 달리 다수의 기업이 연합하는 컨소시엄 형태 참여가 많았으며,
내년부터는 공공기관과 민간부문 관계없이 자유공모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블록체인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디지털 화물 운송장 플랫폼 시범사업”, “소상공인과
개인계약자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화상 및 음성 계약 지원체계 구축”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개인 중심 모바일 의료전자문서 플랫폼 구축” 사업이 자유주제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다.
<표 3-24> 2020 선정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 10개 과제
분야 과제명
치안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증거 관리 플랫폼 구축
농업 블록체인 기반 노지작물 생산・유통 관리 플랫폼 구축
사회안전망 블록체인 기반 복지급여 중복수급 관리 플랫폼 구축
식품안전 블록체인 기반 식품안전 데이터플랫폼 구축
의료 블록체인 기반 강원도형 만성질환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
인증 분산신원증명(DID 기반 지역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교통 블록체인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신뢰 플랫폼 구축
교통 블록체인 기반 상호신뢰 통행료 정산 플랫폼 구축
환경 블록체인 기반 상수도 스마트 수질 관리 시스템 구축
환경 블록체인 기반 전기차 배터리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구축
한편,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블록체인 안전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 가이드라인은
안전한 암호 알고리즘 사용을 유도하고 데이터의 위・변조 등 취약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안전한
∙306 ∙
블록체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가이드라인에는 계정관리, 데이터 전송 보안, 합의 프로토콜,
원장, 스마트 컨트랙트, 데이터베이스 등을 다루고 있다. 또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는
국내 표준을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기술 프로젝트그룹(PG1006)을 운영하고 있으며 분산원장기술
표준포럼을 지원하고 있다. 2020년 분산원장기술표준포럼에서는 “분산원장기술 도입 지침”,
“분산원장 기반 분산신원관리시스템 보안 지침”, “분산원장기술 보안 프레임워크”, “분산 식별자
v1.0” 등 정보통신단체 표준을 발표하고 “블록체인 국제 표준화 로드맵”을 작성하였으며, 블록체인
기반기술 프로젝트그룹에서는 표준 1건, 기술보고서 2건 제정, 신규 표준화 과제 5건을 채택하였다.
2) 향후 전망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사회 경험은 앞으로 우리 사회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비대면
으로도 업무 진행이 가능함을 경험한 우리는 사람 간의 만남을 중요시했던 문화에서 벗어나
온라인 원격 업무처리에 익숙해졌고 나아가 교통문제와 시간 자원 절약이 가능한 장점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원격 업무처리에는 신뢰를 담보할 수 있는 공통 기반 자료를 근거로 해야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데, 블록체인 기술은 여기에 적당한 기술로 신뢰 보장 자료 교환에 많이 활용될
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 각국에서도 데이터 경제 인프라 구조로 블록체인을 선택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블록체인 인프라 구조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작년부터 부산에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플랫폼이 운영되고 있는데, 여기에서 가상자산
활성화의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지역 화폐가 사실상 가상자산의 형식으로 발행되고 지역
자체적인 토큰 이코노미가 형성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가상자산을 반대하였던 기존의 정부
입장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데이터댐 등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업에서도 자연
발생적인 데이터 경제가 발생하고 있어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의 적용이 기대된다. 디지털
자산의 형태가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화폐 또는 통화 개념이 아닌 다른 가치 교환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금 또한 가치 교환 매체이기 때문에 이를
대치하는 새로운 개념의 가치 교환 디지털 매체의 등장이 기대된다.
빅데이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 경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경제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각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런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 사용이 크게 확대되면서 빅데이터의 수집・축적・활용이 확산될 전망이다.
빅데이터 기술은 대량(Volume), 고속(Velocity), 다종(Variety)라는 특성을 가진 빅데이터를
∙307 ∙
수집・저장, 가공・분석・활용까지 전주기에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ICT 기술을 의미한다. 빅데이터
기술은 크게 빅데이터 처리・유통과, 빅데이터 분석・활용 기술로 구분할 수 있으며, IITP에서
수립한 기술로드맵에 따른 빅데이터 기술의 분류는 아래와 같다.
<표 3-25> 빅데이터 기술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요소기술
빅데이터
빅데이터
처리・유통
빅데이터 수집・유통기술 고품질 데이터, 자가증식, 데이터 공유, 데이터 탐색
빅데이터 저장/처리/관리 기술 데이터 프로파일링, 실시간 데이터 처리, 프라이버시 보호
빅데이터
분석・활용
빅데이터 분석/예측 기술 지능분석, 분석대중화, 협업분석, 경량분석모델
빅데이터 활용・시각화 빅데이터 응용서비스, 데이터시각화
※ 출처 : IITP, ICT R&D 기술로드맵 2025, 2020년 재가공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데이터 기업은 2020년에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연계
협력을 추진하였다. 코로나 19 환자 추적 앱 개발도구를 개방하거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있다. 해외 주요국 정부도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였다. 2020년에
유럽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유럽 데이터 전략을 발표하고 정책 및 투자 전략을 발표하였다.
중국도 新 인프라 구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표 3-26> 해외 주요국의 데이터 정책 현황
구분 주요 정책내용
미국 ∙ (빅데이터 R&D 전략 계획, 2016) 범부처 차원에서 빅데이터 7대 R&D 전략과 18개 세부과제를 제시하여
미래 빅데이터 환경 변화에 대응
EU ∙ (유럽 데이터 전략, 2020) 데이터 에자일 경제(Data-agile Economy)의 선두에 서기 위해 정책 및 투자전략
발표
중국 ∙ (新 인프라구축 계획, 2020)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스마트 업그레이드, 융합혁신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인프라 구축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각 지방정부도 데이터 플랫폼과 센터 구축에 집중 투자
일본 ∙ (데이터 중심 사회 실현(2014) 및 미래투자전략 2017) 데이터 유통 플랫폼 구축 및 시장형성, 규제개선
등 빅데이터를 ICT 융합 활성화 촉매로의 활용을 적극 추진
∙308 ∙
나) 국내동향
국내 데이터 관련 기술 수준은 2019년 대비 기술경쟁력이 향상되고 있으나, 미국 및 타 주요국의
지속적인 기술경쟁력 확보 노력으로 기술 격차는 종전과 유사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기술 수준은 미국의 상대적 기술 수준을 100%, 기술격차를 0년으로 하였을
때 기술 수준은 87.6%(격차 1.2년)로 조사35)되었다. 미국과의 기술 격차는 중국 0.5년, 유렵
1.3년, 일본 2.6년의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기술 수준은 전년(83.4%)
대비 4.2% 상승하였으며 기술격차는 1.2년으로 전년(1.9년) 대비 0.7년이 감소하여 빠르게 미국을
추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데이터 시장규모는 2019년 16조 8,582억 원으로, 2018년 대비 8.3% 성장했으며,
2020년은 19조 2,736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이 중 데이터 직접 매출 시장 규모는 2019년
9조 9,748억 원으로 2018년 대비 16.4% 성장했으며, 2020년은 11조 4,35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36).
2020년 데이터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은 총 36.6만 명으로 2019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데이터직무 인력은 2020년 10.1만 명으로 2019년 대비 14.5% 증가하였다.
정부는 빅데이터의 구축・유통・활용 등 가치사슬 전반에 쓸만한 데이터가 부족하고, 유통이
폐쇄적이며, 산업・사회적 활용도 저조한 점을 극복하고자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2018.6.),
「혁신성장 전략투자 방향」(2018.8.), 「데이터・AI경제 활성화 계획」(2019.1.), 「인공지능 국가전략」
(2019.12.) 등의 범정부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경제
회복과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 한국판 뉴딜 계획을 발표(2020.7.)하였으며, 이 중 핵심 정책으로
‘디지털 뉴딜’정책을 추진하였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에 2025년까지 44.8조 원을 투자하며 2022년
까지 39만개, 2026년까지 90.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 과제로 데이터 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데 데이터 댐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축적하고,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인공지능 바우처, 인공지능 데이터 가공바우처, 인공지능 융합 프로젝트,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경제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선정하고, 분야별 대책을 발표하여 관련된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집중 투자하고 있다. 데이터・인공
지능 분야 예산은 2019년 8,173억 원에서 2020년 1조 1,220억 원으로 37.3% 증가하였다.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은 분야별 빅데이터 센터를 통해 활용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생산・구축하고 빅데이터 플랫 구축을 통해 분야별 빅데이터를 수집・가공・분석・유통・활용을 지원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기관들의 데이터 활용 확대에 기여하는 데이터 생태계가 마련될
35) IITP, 2019 ICT기술수준조사 및 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 2021.1.
3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데이터 산업 현황 조사, 2020.3.
∙309 ∙
것이다. 빅데이터 플랫폼은 데이터 활용 및 분석을 위해 수집, 저장, 처리, 분석, 시각화까지의
공통 기술과 기능을 일관된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통합 제공하는 형태로 2020년까지 누적 3,200여
종의 빅데이터와 40여 종의 데이터 기반 혁신 서비스를 개방하였다.
분 야 수행기관 센터 구성 플랫폼 주요내용
1 금융 비씨카드
10개 (노타, 닐슨컴퍼니코리아, 바이브컴퍼니,
SBCN, 여기어때, 해빗팩토리, KT, 한국감정
평가사협회, 기웅 정보통신, 한국금융솔루션)
∙ 금융(대출, 보험, 증권), 비금융(통신, 소셜,
유통, 미디어, 상권) 데이터를 융합하여 소상
공인 창업 지도 서비스 및 국민 금융생활 플래너
서비스 등 제공
2 환경
한국
수자원공사
10개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국립생태원, 한국
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GDS
컨설팅그룹, 그린에코스, 아이렉스넷, 한국과학기술원,
순천향대학교, 노바코스)
∙ 물, 기상・기후, 미세먼지, 지질・재해, 생태・
자원, 화학・물질, 환경SNS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맞춤형 수질정보 서비스 및 대기질
야외활동 추천 서비스 등 제공
3 문화
한국
문화정보원
11개 (국립중앙도서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야놀자, 한국청소년활동
진흥원, 부산정보산업 진흥원, 레드테이블,
레드타이, 원투씨엠, 데이터마케팅 코리아,
티엔엠에스)
∙ 문화, 숙박, 레저, 음식, 상권, 도서・출판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문화여가 종합정보 서비스
및 한류 비즈니스 매칭서비스 등 제공
4 교통
한국
교통연구원
10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포항테크노파크,
아이나비시스템즈, SKT, KT, KST플레이스,
코리아크레딧뷰로, 성남시청, 진주시청,
대전광역시청)
∙ 실시간 교통량, 대중교통, 열차, 고속도로,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유동인구, 주차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도로 및 대중교통 개선
서비스 및 스마트 시티 지원 서비스 등 제공
5
헬스
케어
국립
암센터
10개 (삼성서울병원, 연세암병원, 건양대병원,
전북대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원, 서울
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당서울대병원, 화순전남대
병원, 아주대학교병원, 길의료재단)
∙ 10대 암종별 임상데이터를 융합하여 암 진단・
치료 의사 결정 및 항암 치료제 연구개발 등
활용
6 유통 매일방송
10개 (나이스디앤알, 바이브컴퍼니, 데이블,
로플랫, 빌트온, 식신, 온누리에이치엔씨, 지인
플러스, 코리아 크레딧뷰로, 우편사업진흥원)
∙ 유통상품, 카드결제, 택배송장, 통신, 부동산,
상권, 물류, 맛집, 중고차시세, SNS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라이프 스타일별 선호 외식
업종 서비스 및 지역별 온라인 상품 구매정보
서비스 등 제공
7 통신 케이티
14개 (비씨카드, 한국인터넷진흥원, 인천테크노
파크, 소상공인연합회, 경기대, 어메이징푸드
솔루션, 두잉랩, 코난테크놀로지, 오픈메이트,
넥스트이지, 네스,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제로투원파트너스, 모토브)
∙ 유통인구, 상권, 카드소비, 관광, 교통카드정보,
SNS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상권분석 서비스
및 생활인구 분석 서비스 등 제공
8
중소
기업
더존
비즈온
10개 (빅밸류, 한화손해보험, 한국생산성본부,
한국무역정보통신, 와이즈넛, NICE평가정보,
산업기술진흥협회, 인크루트, 녹색기술센터,
선도소프트)
∙ 중소기업 회계정보, 부동산, 보험계약, 기업
고용・복리후생, SNS 등이 데이터를 융합하여
기업 경영정보 분석 서비스 및 일자리 수요예측
서비스 등 제공
9
지역
경제
경기도청
8개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일자리재단,
더아이엠씨, 경기신용보증재단, 한국기업
데이터, 국토연구원, 한양대학교, 한국생산
기술연구원)
∙ 지역화폐 결제정보, 기업정보, 일자리, 신용
평가, 카드사정보, 경기도 인구・주거・환경 등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지역 소비패턴 분석 서비스
및 맞춤형 일자리 매칭 서비스 등 제공
∙310 ∙
개인정보보호법 등 데이터 3법이 본격 시행(2020.8.5.)됨에 따라, 활용도 높은 결합 데이터
생산 가능, 안전한 가명정보 결합을 위한 결합전문기관 지정, 가명정보 처리 대상 데이터 상품의
관리 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익명・가명정보 활용과 데이터 결합이 허용되며 이슈였던 데이터
경제의 법・제도적 한계가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익명정보는 자유로운 활용・거래를, 가명정보는
통계 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 특정목적에 한해 동의 없이 결합 사용이 허용되어
민간의 원활한 양질의 데이터 확보 가능하게 되었다. 아울러, 정보제공을 동의한 후에도, 주도적으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강화를 통해 마이데이터 사업의 법적근거를
마련하였다.
2) 향후 전망
2021년에는 16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 인공지능허브, 공공데이터포털 등을 연계하여 데이터
댐에 수집・유통되는 데이터의 소재 안내, 검색, 연계, 활용을 위한 데이터 지도를 구축하고 데이터
분 야 수행기관 센터 구성 플랫폼 주요내용
10 산림
한국
임업진흥원
10개 (비글, 아로정보기술, 인포보스, 한국산림
복지진흥원, 시선아이티, 우림엔알, 삼아항업,
우림인포텍, 마켓링크, 한국한의학연구원)
∙ 임업, 등산로・숲길・자전거, 대중교통, 산악
기상, 산림재해, 항공영상 등의 데이터를 융합
하여 트래킹 서비스 및 산림재해 예측 서비스
등 제공
11
소방
안전
소방청
7개 (세종소방본부, 울산소방본부, 한국소방
산업기술원, 한국화재보험협회, 올라이트
라이프, 업데이터, 한국건설 생활환경시험
연구원 오창)
∙ 소방재난안전 및 소방산업 데이터 수집・분석을
통한 양질의 소방재난안전정보 제공 및
유통・거래 기반 마련
12
스마트
치안
경찰대학
9개 (더치트, 한국토지주택공사, 앰진시큐러스,
세종특별자치시청, 서울신용보증재단, 지란
지교데이터, 에스 투더블유랩, 아이티로, 이투온)
∙ 위험예측・분석이 가능한 민간・공공의 치안
데이터를 융합하여 대국민 안전 보호 기반 마련
13
해양
수산
한국
해양수산
개발원
10개 (해양교통안전공단, 광주과학기술원,
한국해양대산학협력단, 울산과학기술원, 목포대
산학협력단, 랩오투원, 환경과학기술, 에이치
더블유, 해운항만물류정보협회, 빌리언21)
∙ 해양, 해운, 수산, 항만 전 분야 데이터 수집
체계를 구축하고 데이터 융합, 가공, 유통
가능한 해양수산 빅데이터 마켓플레이스 구축
14 농식품
한국농수산
식품유통
공사
7개 (이지팜, 유로지스넷, 장보고식자재마트,
나이스지니데이타, 케이플러스, 이지에이치
엘디, 푸드팡)
∙ 농식품 생산, 유통, 소비 분야별 공공민간
데이터 통합활용체계를 마련하고 농식품
데이터 유통거래를 위한 통합 데이터 허브 구축
15
라이프
로그
연세대 원주
산학협력단
10개 (고려대학교의료원, 강원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아이센스, 베이글
랩스, 휴레이포지티브, 굿닥, 대한청각학회,
헬스맥스, 케이웨더)
∙ 생애 전주기 라이프로그 수집, 분석, 활용이
가능한 라이프로그 빅데이터 구축 및 산업
생태계 육성
16
디지털
산업혁신
한국산업
기술시험원
7개 (에프앤가이드, 가이온, 알리콘, 대덕넷,
한국M&A거래소, 이앤씨지엘에스, 에스티
에이치아이에스)
∙ 국내 기업의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디지털
산업혁신 지원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디지털
전환 지원
∙311 ∙
맵을 활용한 융합데이터 아이디어 공모전 실시 및 발굴된 아이디어의 사업화 지원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데이터를 통한 혁신적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가치사슬(수집・생성・관리・유통・활용) 전 주기별
맞춤형 지원 정책으로 데이터 경제 기반 조성하고 16대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데이터 바우처 사업 등 지속 추진하고, 인공지능 분야에서의 글로벌 기술격차 해소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학습용 데이터 구축・개방 확대하여 인공지능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데이터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매칭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 수요발굴 채널을 확대하고
데이터 상품 고도화를 추진하며, 플랫폼 분야별 데이터 기반의 상세 서비스를 기획하여 새로운
데이터 활용수요를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전 세계적으로 5G 이동통신 서비스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은
코로나 19 이후 경기 부양 정책과 연계한 5G 인프라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 세계 최초 5G 서비스 상용화에 이어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 및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넥스트G 연합 출범(2020.10.) 및 국방수권법안에 5G/6G 관련 조항 추가
(2020.12.), 중국의 범부처 6G 컨트롤 타워 구축(2019.11.)와 6G 테스트용 인공위성 발사
(2020.11.)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바야흐로 6G 선도를 위한 미국과 중국 등 국가 간 기술전쟁이
시작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삼성전자에서 6G 백서 발표(삼성전자, 2020.7.), 민관합동
으로 Global 6G 2020 국제행사를 개최하는 등 6G를 선도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5G+ 전략’(2019.4.)에
따라 경제・사회 전반에서 5G 기반 디지털 전환과 지능화 혁신을 통한 새로운 선도자(First-
∙312 ∙
Mover)형 산업과 서비스 창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2020.8.)을 수립하고 지난 4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6G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21년부터 6G 기술과 표준의 선점을 위한 R&D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전파
기반 3대 융합분야 혁신성장전략(2020.11.)’을 수립하여 방송・통신 중심의 전파 기술이 센싱,
에너지전송 등 전 산업 영역으로 융합・확대되어, 유무선 통신과 함께 전파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를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유무선 통신 및 전파 분야는 5G+ 전략과 연계한 초연결 지능형 통신 인프라 고도화, 5G+
융합서비스 확산 및 네트워크 장비・부품 경쟁력 강화, 5G 이후(B5G, 6G) 미래통신 핵심기술의
확보와 국제 표준화 선도를 위한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를 위한 2020년 신규
R&D로 차세대 단말/기지국 핵심 부품・장비, 고신뢰・저지연 5G+ 네트워크 및 대용량 광전송
시스템 기술 개발과 5G+ 이동통신 국제 공동연구 등을 위한 과제에 집중 투자하였다. 또한,
전파・위성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정된 주파수 자원의 이용・관리 효율화, 신규 주파수 대역
개척, 전자파 관련 공공안전 등을 위한 기반기술 연구와 초소형・고효율 무선충전, 저궤도 위성
통신 안테나, 위성 기반 IoT 등의 기술 개발을 위한 R&D 과제를 지원하였다.
1) 주요 성과
가) 이동통신
해외 주요국과의 치열한 차세대 통신(6G) 주도권 경쟁에서 리더십을 갖고 핵심원천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6G핵심기술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마치고 2025년까지 총 1,917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였다. 구체적으로 6G 관련 국제 표준화 착수 전부터 핵심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5대 분야 9대 과제에 집중 투자하고 상용화 시점에 6G 핵심 장비・부품 경쟁력의 조기 강화를
추진하는 목표를 수립하였다. 특히, 6G 시대에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전 산업 영역에 안정적으로
적용되기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5G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세부적으로
유선 구간을 포함한 네트워크 종단 간의 초저지연・확정지연 보장, 초고속 융합 서비스 보편화를
위한 Tbps급 전송속도 달성, 유무선 구간에 인공지능(AI)의 완전 적용 및 기존 지상 중심 커버리지를
공간 범위까지 확대하는 것을 주요 기술방향으로 수립하였다.
또한, 5G 조기 상용화 이후 인프라 고도화와 3GPP 표준 고도화에 따른 장비・부품 분야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기지국 소프트웨어 모뎀, 인빌딩 솔루션 개발 등에 약 250억 원의 예산(2020년
54억 원)을 지원하였다. 뿐만 아니라 GaN 기반 공정 기술 및 RF 부품을 개발하고 5G 기지국용
수동부품 중 저손실(High Q) 커패시터 확보를 위해 약 140억 원의 예산(2020년 27억 원)을
∙313 ∙
투입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 핵심전략 품목들을 육성하였다. 이러한 5G 분야 핵심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2020년 10월 국산 소프트웨어(SW) 기반 5G 스몰셀 시연에 성공하였고, 초고주파
대역(28.5∼31㎓)에서 동작하는 차세대 스마트폰용 전력 증폭기 개발을 완료하였다.
<표 3-27> 이동통신 분야 2020년 대표 성과
세부분야 주요내용 2020년 대표성과
이동통신
∙ 5G 통신 음영지역 및 인구 밀집 지역에서 사용자의 전송용량 증대와
체감통신 속도를 높이는 28㎓ 대역 5G 스몰셀 소프트웨어(SW)
기술 개발(2020.10.)
∙ 이종 반도체(InP, CMOS 등)를 집적한 초고주파 대역(28.5㎓∼31
㎓)에서 동작하는 차세대 스마트폰용 전력 증폭기 개발(2020.12.)
28㎓ 지원
소형셀 SW/장비
Ka 대역 차세대 스마트폰용 전력 증폭기
나)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술 분야는 트래픽 폭증에 대응한 대용량 광 네트워크 장비・부품, 고신뢰・실시간・
고품질 유무선 통합 네트워킹, 네트워크-컴퓨팅 융합 및 인공지능 기반 네트워크 운영관리 지능화/
자동화, 기존 인터넷의 한계 극복을 위한 미래 네트워크 구조 혁신 등의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트워크 기술 로드맵 수립을 바탕으로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차세대유선통신 내역사업)을 통해 2020년에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188억 4,800만 원(2019년
172억 1,700만 원)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한 2020년 주요 연구개발 성과로,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를 위한 절대적 연결생존성과 보안성을 제공하는 다매체 다중 경로 기반 고신뢰 네트워킹
기술, 5G 액세스 네트워크 가시성 제공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기반 효율적 서비스
관리가 가능한 오픈 프론트홀 스위치, 임베디드 광집적 및 펄스진폭변조(PAM4) 기반 400Gbps
급 광송수신기 등을 개발하고 상용화를 추진 중이며, 멀티 파이프라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평면
스위치, 정보 중심(ICN) 및 지연 감내(DTN) 기술을 융합한 멀티서비스 에지 컴퓨팅 등의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2020년 신규 과제로 5G 네트워크 종단 간
고신뢰・저지연 보장 기술, 5G+ 트래픽 폭증에 대비한 16Tbps급 패킷광전달망(POTN) 시스템
기술 개발에 착수하였다.
∙314 ∙
<표 3-28> 네트워크 분야 2020년 대표 성과
세부분야 주요내용 2020년 대표성과
네트워크
∙ 임베디드 광집적 및 PAM4 기반 400 Gbps급 QSFP-DD 광트랜시버
기술 개발
∙ 다매체 다중 경로(MMCP) 적응적 네트워크 시제품 개발, 민・군 망 연동시
험 및 국방 실증 연계 추진
임베디드 광집적 기반 400Gbps
광송수신기
MMMP 시제품의 국방통신망
연동시험
다) 전파・위성
전파・위성 분야 연구개발은 5G/5G+, 6G 등 주파수 수요 증가, 사용 주파수 대역 상향 및
비면허 서비스 확대 등 방송・통신 서비스・기술의 변화에 따라 전파 자원의 사용 효율을 향상하는
기술과 전자파로부터 기기 및 시설 보호를 위한 소재・부품 기술을 중심의 연구 개발 지원을
위하여 2020년 166.1억 원을 투자하였다. 이 중 5G+ 주파수 확보를 위한 클린존 보호기술,
한국형 RSEC(레이더 스펙트럼 기준) 연구개발과 함께 전파 사용처 확대에 따른 응용기술과
글로벌 위성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다중액세스 위성통신 기술 개발은 2020년에 착수하였다.
2020년 주요 성과로 넓은 앙각(±)을 갖는 차량용 소형 배열 안테나 시스템, 위성방송
수신에 활용 가능한 초박형 전자식 위상배열안테나, 위성전송 관련 최신 국제표준인 DVB-S2/
S2X와 DVB-RCS2 기반 위성탑재신호처리(OBP, On Board Processor)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대학 중심 연구 개발을 통해 전파 기술을 의료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융합 기술로서 초고출력
테라헤르츠 전자기파를 이용한 암 DNA 탈메틸화, 미약한 뇌신호를 감지 및 저장하고 무선링크를
통해 외부기기에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뇌임플란트용 센싱 및 통신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등 우수 연구성과를 창출하였다.
전파 기반 융합산업 활성화에 따른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 이외에
2021년 별도 신규사업(전파산업핵심기술개발, 전파의료응용기술개발) 예산(2021년 70억 원)을
추가로 확보하여 전파 기반 소재・부품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생체 내 마이크로파를 집속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술 등을 추진할 예정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315 ∙
<표 3-29> 전파・위성 분야 2020년 대표 성과
세부분야 주요내용 2020년 대표성과
전파・위성
∙ 위성전송 관련 최신 국제표준인 DVB-S2/S2X와 DVB-RCS2 기반 통신
방송위성의 중계기에 탑재되는 재구성 가능한 위성탑재신호처리(OBP, On
Board Processor) 시제품
∙ 넓은 앙각(±100°)을 갖는 안테나 소자, 배열 기술 및 차량 V2I용 주파수
(5855-5925MHz) 대역에서 활용 가능한 차량용 소형 배열 안테나 시스템
OBP 시제품(EM급)
차량용 소형 배열 안테나
2)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6G핵심기술개발사업(신규)
등을 통해 총 1,52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유무선 통신 및 전파・위성 기술 경쟁력 강화와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이동통신 분야는 6G 핵심 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세계 최초 5G 조기 상용화에
이어 6G 1등 국가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선도적・도전적인 수준으로
당장의 민간 투자가 어려운 난제 기술 개발을 6G 리서치 센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본격적인 6G 표준화 시작 전 단계부터 중국, 미국, EU 등 해외 주요 선도 국가와의
공동연구를 착수할 계획이다.
네트워크 분야는 국내 5G+ 네트워크 장비・부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방송통신기술개발사업(유선통신)에서 5G+ 트래픽
폭증에 대비한 유무선 액세스 구간과 데이터센터의 초고속 광전송을 위한 대용량 광트랜시버
개발과 네트워크 지능화/자동화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을 시작하고, 6G핵심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Tbps급 광통신 및 종단 간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전파・위성 분야는 방송・통신 서비스 목적의 전파 활용에서 나아가 전파를 다양한 산업에 확대・
적용하기 위한 기술 확보를 위해 ‘전파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2021~2025)’, ‘전파의료응용핵심
기술개발사업(2021~2025)’을 신규로 추진, 투자를 강화하고 혁신적인 전파 수요처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또한, 위성 통신탑재체 국산화 기술 확보를 위해 ‘정지궤도공공복합통신위성(통신
탑재체)(2021~2027)’ 개발을 시작하고 향후 6G 시대를 대비하는 장기 연구개발 사업으로 ‘저궤도
군집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2023~)’을 예타 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316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유무선 통신 및 전파 기술은 스마트폰의 주요 기술인 이동통신,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과
유선전화 및 기가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하는 유선통신, 그리고 통신과 센싱의 기반기술인 전파
기술 및 중요성이 새롭게 부가되고 있는 위성통신 기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세계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성장성이 높고, 특히, 4G, 5G 와 같은 이동통신 분야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어서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기술 분야이다.
2020년에는 이동통신 분야에서 5G가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가 되고 6G에 대한 사전연구가
주요국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다. 그리고 위성통신 분야에서는 저궤도 군집위성체계가 도입되고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초기적인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표 3-30> 통신 및 전파분야 기술
중분류 소분류
차세대통신 통신 서비스, 무선통신 시스템, 유선통신 시스템, 통신 부품/단말
전파・위성 전파 기반, 전파 응용, 전파자원/환경, 위성/무인기
※ 자료 : IITP, ICT R&D 기술분류체계.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5G
5G 기술의 표준화는 3GPP 라는 표준화 단체에서 대부분 진행되며, 주파수 및 세대별 로드맵
등 상위영역은 ITU-R에서 확정된다. 한국이 2019년 초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G 표준은
3GPP 표준의 첫 번째 버전인 Release 15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후에 Release 16(2020.06.)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현재는 Release 17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으로 2022년 3월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차기 버전인 Release 18에 대한 요구사항 및 개념은 2021년 말까지 정의할
예정이다. 5G의 주요 사용 시나리오는 광대역 통신, 고신뢰/저지연 통신, 고밀도/저전력 통신
등이 있는데 각각 Release 15, 16, 17의 대표적 기능이며, 위성이나 드론에의 적용기술 등도
최근 논의되고 있다.
∙317 ∙
※ 자료 : LG 전자 윤영우, GISC 2020.
[그림 3-56] 5G 표준 Release 별 로드맵
(2) 6G
5G 상용화가 본격화 되는 2020년 전후에 6G 연구가 착수되는 것은 과거 전례를 볼 때에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국가 단위로는 핀란드에서 2018년 세계 최초로 6Genesis 라는 6G 국가과제를
Oulu 대학 주관으로 시작하였고, 6G summit을 최초로 개최하면서 세계적인 관심을 유도하였다.
2019년에는 중국에서도 과학기술부 및 공업신식화부를 중심으로 6G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에 착수하였고, 미국은 2020년 정보통신표준화 기구인 ATIS(Alliance
of Telecom Industry Solution) 산하에 Next G Alliance를 구성하여 6G 북미주도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일본도 총무성 중심으로 B5GPC(Beyond 5G Promotion Consortium)을 2020년
12월에 창립하여 범부처 전략수립 및 국제화 주도 준비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다국간 조직으로는
EU 차원의 6G 공동연구 컨소시엄인 Hexa-X가 2020년 말에 발족되었는데, 향후 2년 반 동안
범유럽 6G 비전과 개념 정의, 세부 연구개발 방향 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영국은 Surrey 대학이 6G Innovation Center를 설립하고, 대만은 경제부 산하에 6G Program
Office를 두면서 적극적인 6G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318 ∙
※ 자료 : EU Hexa-X Consortium, 2020.
[그림 3-57] 유럽의 6G 초기 개념
(3) 저궤도 군집위성 체계
지상 고도 수백 Km 상공에 수천에서 수만 개의 소형 위성을 배치하여 전 지구를 대상으로
초고속・저지연 무선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StarLink, OneWeb 등의 회사에서 추진
되어 왔는데 2020년 말부터 Starlink가 수십 Mbps급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0년 전후로
Iridium, Globalstar 등의 유사한 개념의 저궤도 위성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도되었으나 과도한
망구축 및 운용비용 부담으로 실패했는데, 최근에는 발사체의 1단 로켓 회수 재사용 및 수십개의
소형 위성을 궤도에 동시 송출하는 기술의 개발 등으로 로켓 발사 및 위성 운용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산악, 해상, 사막 등 오지는 물론 도시 지역에도 차별 없는 위성접속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319 ∙
나) 국내동향
(1) 5G
2019년 4월 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중대역 3.5 GHz 주파수에서 개시한 이후 20개월만인
2020년 말에 거의 1,200만 5G 가입자를 확보하였고, 2021년 말 85개 시급 지역까지 커버리지를
확보하면 인구의 대부분이 5G 서비스 영역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망구조를 Stand Alone
구조로 업그레이드하여 Network Slic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과 고대역인 28
GHz 망을 Hot Spot과 B2B 중심으로 구축하는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2) 6G
삼성전자, LG 전자, KAIST, 서울대학교 등은 2019년부터 6G 선행연구에 착수하고 대응조직을
신설하는 한편, 6G 백서를 발표(삼성전자, 2020.7.)하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6G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중장기 R&D 예산을 확보하였으며, 민관 협력 작업으로 5G Forum 등에서 6G Vision
초안을 수립하고, 국제 행사로 Global 6G 2020 행사(2020.11.)를 최초로 개최하여 아시아
유럽, 북미 등과의 국제협력 및 교류의 가교를 만드는 등 6G 국제공동 연구를 위한 준비작업을
추진하였다.
2) 향후 전망
5G 기술은 지속적인 진화를 거쳐 교통, 제조, 에너지, 의료 등 다른 전통산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촉매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망이 Stand Alone 구조로 업그레이드
되면 Network Slicing이 용이해져 하나의 망에서 다수의 응용 서비스에 대응하여 망 구성을
다르게 운용하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파수의 일부를 특정 지역・용도・운용자에게
부여하는 5G 특화망 사업이 활성화되면 5G-타산업 융합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에 본격적으로 연구에 들어가는 6G는 2028~2030년 전후 상용화 개시 목표를 전략으로
세우고 있다. 5G가 산업의 혁신을 이루는 도구가 된다면 6G는 사회의 혁신을 이끄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위성 분야는 우리나라가 후발주자였지만 정지궤도 복합위성,
차세대 중형위성과 나로호 기술 등을 활용하면 저궤도 군집위성에서는 세계를 선도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320 ∙
3.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코로나 19로 촉발된 국민생활 전반의 비대면화로 댁내 거주 시간이 늘면서 미디어 소비가
급증하고 온라인 교육 확대 등 방송・미디어 서비스와 콘텐츠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방송・미디어 산업이 경제・사회적으로 혁신 성장할 수 있는 기
회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도 코로나 19로 인한 경기 침체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코로나 19 이후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으로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
방안」(2020.6.)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20.7.)을 발표하는 등 비대면 산업으로 유망한
방송・미디어 분야를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 측면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거쳐 이제는 초고화질 TV(UHDTV) 방송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UHDTV 방송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표준화 및 서비스
도입을 선도하여 2017년 5월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TV 본방송을 실시하였고, 2017년 12월부터
광역시 권역으로 확대하였다. 2023년까지는 지상파 UHDTV 방송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2027년에는 기존의 HDTV 방송을 UHDTV 방송으로 100% 편성할 계획이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방송・미디어 분야 기술개발에 약 164억 원을 지원하였다. 세계
최초로 도입(2017.5.)한 지상파 UHD 방송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송 新서비스를 개발하고
국내 방송장비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통해 방송・미디어 산업 육성을 도모하고
있다. 기존 방송・미디어 서비스의 혁신을 위해 ATSC 3.0 기반의 재난방송 기술과 5G 이동통신망과
지상파 방송망(ATSC 3.0)의 장점을 활용하는 융합서비스 발굴을 위한 이종망간 연동 기술,
방송시스템을 클라우드내 구축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 등 신규 방송서비스 핵심기술 개발과 글로벌
기술 표준화를 이끌고 있다. 또한, 인터넷 매체를 통한 음란 미디어 콘텐츠의 유통 차단과 확산
방지를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유해미디어(음란성) 분석・검출 기술 개발을 추진하였고, 시・청각
장애인도 동등하게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콘텐츠의 감성표현 기술을 개발하여
대국민의 방송・미디어의 보편적 서비스와 복지 향상을 도모하였다.
1) 주요 성과
가) 방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방송 분야의 발전을 견인하기 위하여 차세대방송 핵심원천기술
육성에 2020년 약 117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주요 지원 분야는 ‘차세대(UHD) 방송서비스
∙321 ∙
활성화 기술개발’과 ‘5G와 방송망 연동을 통한 신규 미디어 서비스 기술개발’이다.
차세대 방송서비스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방송의 공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ATSC 3.0
기반 재난경보 기술 개발, 표준 적합성 시험기술 및 장비를 개발하였고, ATSC 3.0 기반의 동일채널
중계기술 개발 등 UHD 방송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미래 방송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였다. 특히, 지난해 수도권에서 개시한 지상파 UHD 재난경보 시범서비스를 광역권(부산,
대구, 광주)까지 확대(2020.11.)하였고, 2022년까지는 전국 시・군・구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ATSC 3.0 기반의 동일채널 중계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2020.12.)하고, ATSC 3.0 OTA/OTT
연동기반 4K-UHD 전송기술을 개발(2020.12.)하는 등 차세대(UHD) 방송기술 선진국으로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통신망과 방송망의 융합 기술은 북미, 유럽 등에서도 정부 주도하에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기반기술로,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서비스한 방송망(ATSC 3.0)과 통신망(5G)의 물리계층과
IP계층에서의 이종망 연동기술과 서비스 개발을 위해 2021년 예산 39억 원을 확보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나) 미디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청각 장애인이 방송시청 환경에서 소외되지 않고 평등하게 미디어를
즐길 수 있고, 어린이・청소년에게는 음란성 있는 미디어 콘텐츠가 노출되지 않고 ‘누구나 안전
하고 평등하게’ 미디어를 즐길 수 있도록 ‘건강한 미디어 환경조성 기술개발’ 등을 위해 2020년
약 47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2020년에는 정부의 ‘코로나19 개인방역지침’(2020.6.)과 ‘코로나19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조치사항’(2020.10.) 안내가 시・청각 장애인에게도 불편없이 전달될 수 있도록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을 합성하고 수어를 표현하는 그래픽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제공함으로써 정보
접근에 취약한 시・청각 장애인들이 코로나 19 대응에 소외되지 않도록 지원하였다. 아울러,
미디어 콘텐츠를 지능적으로 분석・검출하여 유해미디어(음란성)의 유통을 차단하는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업무를 수행하는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웹하드사이트 불법촬영물 삭제지원 시스템’에 2019년부터 적용하여 국내 웹하드사이트에 유포
되는 불법촬영물 삭제에 활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외계층의 미디어 접근권 향상과 유해미디어(음란성) 근절을 위한
기술개발 성과 창출을 위해 2021년 예산 약 39억 원을 확보하여 지원할 계획이다.
∙322 ∙
<표 3-31> 2020년도 디지털방송 분야 주요 성과
분야 주요 내용 2020년 대표성과
방송
∙ 공공장소・미디어를 통해 재난정보를 전달하는 광역권(부산, 대구, 광주) 지상파
UHD 재난경보 시범서비스 개시(2020.11.)
- 수도권(2019.9.)을 시작으로 2022년 시・군・구까지 확대
∙ ATSC 3.0 기반 동일채널 중계기술 세계 최초 개발(2020.12.)
∙ ATSC 3.0 OTA/OTT 연동기반 4K-UHD 전송기술 개발(2020.12.)
* OTA(Over-the-Air) : 무선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방식
OTT(Over-the-Top) : 인터넷 기반 미디어 서비스
재난경보시범서비스
ATSC3.0기반
동일채널 중계기
미디어
∙ 청각장애인 대상 감정표현 아바타 수어 서비스 제공
- ‘코로나19 개인방역지침’(2020.6.)
- ‘코로나19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조치사항’(2020.10.)
∙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웹하드사이트 불법촬영물 삭제지원시스템 적용
(2019.하반기~)
- 음란성 검출 정확도 99%, 검출 속도 0.1초 이내 (정지영상 1컷당)
- 웹하드사이트 검색 시간 단축(1개 사이트당 120분→20분)
코로나19 방역지침
아바타수어 서비스
불법촬영물
삭제지원시스템
2)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방송・미디어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기 위해 방송・통신망
연동서비스, 지상파 방송전환(HD→UHD, 2027년), 미디어 지능화 등 주요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2021년 약 161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방송 분야에서는 5G와 방송망(UHD) 연동 기반기술 뿐만 아니라 방송망의 장점과 통신망의
장점을 활용하는 양방향 데이터캐스팅 서비스 기술 개발과 4K급 지상파 방송망과 5G 이동
통신망을 연동하여 8K급 UHD 방송과 같은 고품질・대용량의 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케일러블 서비스 전송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아울러, 2027년 차세대 지상파방송(HD→
∙323 ∙
UHD) 전환에 대비하여 기존 HDTV 보유자도 ATSC 3.0 기반 지상파 방송 환경에서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주택 내 UHD/HD 통합 신호처리기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등
2021년 약 55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미디어 분야에서는 비대면 시대에 급증한 미디어 콘텐츠 수요에 대응하고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미디어 산업과 융합하여 인터넷 기반 미디어 서비스(OTT) 등
디지털 미디어 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미디어 지능화 기술개발을 2021년 신규로 추진한다.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유통・소비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와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 등 국내 미디어
산업의 성장과 신시장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청각 장애인 등 소외계층의
미디어 접근권 향상과 인터넷 매체를 통한 음란 콘텐츠 유통 근절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 추진
하는 등 2021년 약 106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모든 것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ICT 기반의 초연결사회 지향, 모바일 라이프 추구, 개인화된
감성 중시, 미디어 소비 및 창조의 일상화 등을 추구하는 사회적인 추세는 방송 분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결과 예전에 방송망을 통해서만 미디어가 소비되는 환경에서 최근에는
풍부한 콘텐츠가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통신망과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에 기반한 인간의 지적 활동의 이해
즉 시각, 언어, 학습, 추론 등의 능력을 인공지능에 의해 구현 및 재현함으로써 미디어의 생산,
유통 및 소비 전 과정에서 미디어의 지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실감방송 기술
실감방송은 인간이 오감을 통해 보고, 듣고, 느끼는 것과 같은 수준의 미디어 콘텐츠를 획득,
제작, 압축하여 방송 및 통신 매체를 통해 전달하여 TV 등의 수신기로 재현하는 방송서비스이다.
고품질의 영상을 재현하는 UHDTV 기술은 일본 NHK가 세계 최초로 Super Hi-Vision(8K
UHD)이라는 이름으로 1995년부터 기술개발을 시작하여 2018년 12월 4K 및 8K 방송을 시작
하였다.
∙324 ∙
5G 상용화를 계기로 몰입감과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해 저지연과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가상/증강현실(VR/AR)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유튜브,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VR/AR 하드웨어와 플랫폼 선점을 위해 기술 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스포츠, 온라인 게임, 콘서트, 광고, 교육 등의 분야에서 몰입감과
실감성을 제공하기 위해 VR/AR의 활용과 접목을 확대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생활과 사회활동을 지속하기 위해 도입된 온라인 공연, 원격 수업, 원격 근무와 같은
비대면 서비스에서도 VR/AR을 활용하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
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영상의 품질이 만족할만한 수준에 다다르지 못하였고 특히, 시각피로
등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삼성전자, 퀄컴 등을 중심으로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한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며, 국내외 연구그룹과 테크 스타트업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운동시차와 완전입체
공간정보를 제공하는 라이트필드・홀로그램 기술 등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MPEG에서는 기존의 미디어와 차별화된 몰입감을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를 이머시브 미디어로
정의하고 이머시브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표준 프로젝트인 MPEG-I를 2017년에 시작하였다.
MPEG-I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유도(DoF, Degrees of Freedom)를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형태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회전운동만을 제공하는 3DoF에 대한 표준화를 2020년 완료
하였고, 머리 움직임에 따른 시점변화를 제공하는 3DoF+와 완전한 자유도인 6DoF는 각각
2022년과 2025년까지 표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2) 미디어 부호화 및 전송 기술
미디어 부호화 기술은 고품질의 미디어를 인간이 차이점을 인지할 수 없는 수준으로 품질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데이터량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기술로 모든 미디어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원천기술이다. 비디오 부호화 기술은 1980년대 후반부터 ISO/IEC MPEG과 ITU-T VCEG
(Video Coding Experts Group)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MPEG에서는
CD와 같은 저장 매체를 위한 1세대 비디오 부호화 기술인 MPEG-1부터 8K 고화질 영상과
HDR(High Dynamic Range), 360VR(Virtual Reality)을 모두 지원하는 5세대 비디오 부호화
기술인 VVC(Versatile Video Coding)까지 다양한 비디오 부호화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오디오 부호화 기술은 1980년대 후반부터 MPEG을 중심으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MPEG에서는 1세대 오디오 부호화 기술인 MPEG-1 오디오 부호화 표준을 시작으로
5세대 오디오 부호화 기술인 MPEG-H 3D Audio까지 다양한 오디오 부호화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325 ∙
2018년 1월에 제정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지상파 방송
표준은 방송 시스템의 IP 기반 구조를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방송 시스템을 IP 기반으로 운용
할 수 있어 인터넷 기반 통신망과의 융합이 용이하며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 서비스 발굴을 촉진
하고 있다. 대표적 방송 시장인 미국은 2020년내 62개 지역에서 ATSC 3.0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동통신망 멀티캐스트 방식인 LTE FeMBMS(Further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비스 또한 관심이 점증되고
있다. 5G 시대의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가 현실화되는 시점에는 더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방송 주파수 대역과
송신소를 이용하여 LTE FeMBMS 신호로 다수의 HD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필드테스트가 진행
되고 있으며 5G MBMS에 대한 표준화 논의도 진행되고 있어 향후 방송기술과 이동통신 기술이
결합될 경우 새로운 상승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3) 미디어지능화 기술
미디어 지능화는 미디어가 소비되는 환경에 대해 5G,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 ICT
핵심기술을 접목, 대용량의 수집・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D-I-M(Data-Information- Media) 지식 가치사슬을 완성하는
지능화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인간의 지적 활동(시각,
언어, 감각, 이해, 학습, 추론 등)을 해석함으로써 미디어 전주기(기획-제작-편집-유통-소비)에
걸쳐 미디어 콘텐츠의 품질과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융합분야이다. 미디어에
지능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미디어 생산과 소비 주체가 사람에서 기계로 확장되고, 사람과 사람,
기계와 기계, 사람과 기계 간의 소통을 매개하는 미디어 역할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디어가 단순한 소비재(消費財)로서의 미디어에서 지식 보유재(保有財), 가치재(價値財)로서의
미디어로 변화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실감방송 기술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2017년 5월 지상하 UHDTV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700MHz 대역을
활용한 4K UHD 본방송을 수도권부터 시작하여 2023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020년
에는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4K UHDTV 대비 해상도가 4배 향상된 8K UHDTV를 본격적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위성방송 채널을 통한 실험방송 또한 시도되고 있다.
∙326 ∙
5G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VR/AR 서비스(SK텔레콤의 점프 AR/VR, KT의 슈퍼VR
등)가 통신사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대형 엔터테인먼트사(SM, 빅히트 등)는 VR/AR/유사
홀로그램이 융합된 확장현실(XR) 기술을 접목하여 비대면 시대에 온라인 콘서트를 서비스하여
200억 원 이상의 수입을 거두는 등 실감기술의 미디어 융합도 점점 더 확대되는 추세이다.
(2) 미디어 부호화 및 전송 기술
2017년 5월 시작된 ATSC 3.0 기반 지상파 UHDTV 방송에서는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와 MPEG-H 3D Audio 기술을 비디오/오디오 부호화 표준으로 사용하여, 비디오는
1/200, 오디오는 1/11로 압축한 후 전송하고 있다.
미디어 전송 및 서비스 분야에서는 ATSC 3.0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달력이 향상된 재난방송과
이동통신망과 지상파를 융합하는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2019년에는 수도권에
이어 부산・대구・광주 등 3개 광역시에 UHD 방송망을 활용한 지상파 UHD 재난경보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지상파 UHD 재난경보는 재난상황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전용수신기로 문자,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ATSC 3.0, 5G 등 차세대 방송통신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의 발굴과 효용성을
검증하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세대 방송기술 융합서비스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ATSC 3.0 기반 모바일 다채널 방송, LTE와 융합한 방송서비스, 지상파
VOD 서비스 등에 대한 실증 시연이 진행되고 있다.
(3) 미디어지능화 기술
미디어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 활용은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저화질의 미디어
콘텐츠를 고해상도・고품질의 미디어 콘텐츠로 변환하는 기술에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초고화질 실감형 콘텐츠의 획득・제작 및 편집에서도 학습을 통해 지능적으로 미디어를 생성
하는데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되고 있다. 또한, 대용량 미디어 압축 성능향상을 위한 부호화와
전송 대역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송기술과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와 연령별, 지역별,
시간대별 이용 패턴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미디어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통과 소비 영역까지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2) 향후 전망
미디어의 패러다임이 2차원 평면에서 3차원 공간으로 변화함에 따라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327 ∙
허무는 초실감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개발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4K/8K UHD,
UWV(Ultra Wide Vision), LF(Light Field),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홀로그래피 등을
통해 사실감, 현장감, 입체감,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뿐 아니라 촉감과 냄새를 전달하는
오감방송 기술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미디어 전송 기술에서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
하는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나, 인터넷 기반 미디어 전송으로는 실시간성 보장과 대규모
시청자에 대한 품질 보장에 한계가 있어 방송망의 장점을 결합한 융합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
이다. 전통적인 방송 매체들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매체 간 융합은 필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미디어 패러다임이 스마트화를 넘어 지능화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ICT 산업을 비롯
하여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미디어
부호화에서 압축 효율 향상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미디어에
내포된 다양한 정보를 지능적으로 해석하여 메타데이터화 하여 미디어 융합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미디어의 불법적 사용, 왜곡, 범죄 이용 등을
차단하기 위한 미디어의 역기능 해소에도 접목되어 미디어 서비스의 건전성 유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정보보호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온라인 수요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생활・경제 전 분야의 비대면화・
디지털화가 촉진되고 있다. 재택근무・온라인교육 등 근무・교육 형태가 다변화되고 있고, 대면
중심 상점・매장의 무인・자동화 전환이 확대되고 있다.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 비대면 서비스
증가 및 전통산업과 ICT 기술 융합 가속화로 사이버 영역이 확장되면서 사이버위협 또한 전방
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대면 서비스는 기존 IT 환경과 다른 새로운 보안 위협을 발생시키면서 국가 사이버 대응
체계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보안’은 비대면・디지털 시대의 옵션이 아닌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원격의료(강력한 개인정보보호), 원격교육(학생이 쉽게 이용), 온라인
유통(편리성 고려 필요) 등 분야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보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328 ∙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경제 시대를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국민들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디지털안심 국가’ 실현을 위해 「K-사이버방역 추진 전략」을 2021년 2월
발표하였다. 일상생활과 경제・사회 전반의 다양한 분야에서 온라인 소비, 원격근무, 무인상점 등
비대면・온라인 기반 디지털 서비스가 전면 확산되는 정보보호 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보안 핵심기술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2020년 6월에 발표된 「제2차 정보보호
산업진흥계획」에서는 디지털 전환과정에서의 새로운 사이버 위협에 대비할 수 있는 정보보호
R&D 투자를 확대(‘25년 정보보호 R&D 예산규모 1,000억원)하고, 차세대 정보보호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한편 R&D 지원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2차 정보
보호산업진흥계획」과 「K-사이버방역 추진 전략」을 통해 ➀비대면・디지털보안 핵심기술 개발,
②미래 정보보호 전략기술 선제적 확보, ③수요기반 혁신적 R&D를 추진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코로나 19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 및 비대면 서비스 급증에 따른
사이버보안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2020년(620.71억 원) 대비 약 20% 증가한
747.35억 원을 2021년 정보보호 분야 R&D 사업 예산으로 확보하였다.
1) 주요 성과
가) 비대면 디지털보안 핵심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경제전환을 정보보호산업 성장의 기회로 삼기 위해 「제2차 정보
보호산업 진흥계획」(2020.6.)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였다. 이 진흥계획에는 비대면 환경으로의
전환, 데이터 3법 통과, 인공지능(AI) 기술의 확산 등 최근의 ICT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비대면
환경 대응 기술 및 데이터・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활용한 정보보호 핵심 선도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1) 비대면 보안
2020년에는 비대면 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비대면 환경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편의성이 보장되는 보안기술 개발의 요구가 증대되었다.
기존의 기업망은 내부망과 외부망의 구분이 명확하였지만,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대부분의
기업들에서 재택근무가 일반화되고 있고, 기업망/홈네트워크/클라우드가 복잡하게 혼재된 새로운
기업망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망분리 정책은 변화하는 기업망
∙329 ∙
환경을 반영하기 어렵고 업무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재택근무 시와 같이 회사 내부가 아니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접근제어 및 이상징후 분석기술을 신규과제로 기획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기업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비대면 환경의 정보기술 기반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나 현재의 보안 기능은 이용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노인층, 어린이 등 정보 약자도 보안의
불편함 없이 ICT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보안(Usable Security) 기술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를 통해 비대면 솔루션의 다양한 보안 기능에 대한 사용 편의성
(usability) 평가 및 개선을 위한 객관적인 지침도 제시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비대면 소비 확대 등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동네슈퍼의 스마트화를
지원하는 ‘스마트슈퍼 구축사업’을 2020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처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무인점포의 확산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무인점포 환경에서의 사고・범죄 예방, 안전 서비스 강화 및 범죄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D와 3D Depth 영상을 연계・분석하여 가려짐・혼잡・
겹침 상황에서 객체 행위 중심의 이상행위를 인지하는 무인점포환경 대응형 영상보안시스템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2) 데이터 보호
2020년 1월 데이터 3법(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정 이후로 가명・익명처리를
통한 데이터 활용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하고 규모가 큰 데이터 대상 가명・익명 처리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의 경우 지난 2018년 5월 EU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개정으로 이미 독일 뮌헨공대 의료정보연구실을 비롯한
EU 내 스타트업 기업과 데이터 관련 기업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미국의 경우도
Google을 비롯한 글로벌 IT기업을 중심으로 가명・익명처리 기술인 차등 정보보호기술을 적용하여
마케팅 등에 활용하고 있다. 전 세계 데이터 시장 규모는 2027년 1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데이터 활용에 필수 요소 기술인 가명・익명처리와 맞물리면서 향후 개인정보의 안전성
및 유용성 보장 기술의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용량 정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가명・익명처리를 자동화하고 안전성을
검증하는 핵심기술과 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대상으로 온전한 인공지능 학습/활용이 가능한
복원불가형 개인식별정보 가명・익명처리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테라(Tera)급 이상
∙330 ∙
대용량 정형 데이터의 가명・익명처리, 결합 등 고속화 기술 개발과 함께 가명・익명처리된 개인정보의
안전성 및 유용성에 대한 안전성 검증 자동화 기술 개발을 통해 개인정보의 안전성에 대한 대국민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CCTV통합관제센터 등을 통해서 수집되는 공공
영상 내 개인식별정보를 자동 익명처리・공개하여 범용적 인공지능 R&D에 아무런 제약없이
온전히 활용(학습, 시험 등)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형 멀티미디어 데이터(음성 등)를 맞춤형
익명화하는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복호화 과정 없이 데이터 간의 덧셈, 곱셈 등 연산을 지원하는
4세대 암호기술인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동형암호를 중심으로 특정 응용환경에서 암호데이터 처리를 위한 실용화
연구가 진행 중이며, 통계청의 기술수요에 의해 공공기관의 대용량 행정통계 데이터를 동형암호
기술을 활용하여 암호화된 상태에서 평균, 상관관계, 주성분분석 등 각종 통계분석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분석시스템의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3) AI 기반 지능형 보안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기반 사이버 보안 제품 및 서비스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국내는 영세한 보안업체 규모와 신기술 미확보 등으로 인공지능 기반 사이버 보안 제품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보안관제 자동화 제품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국내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국내외 보안장비의 연동, 복잡한 공격에 대한 동적 대응, 탐지
성능향상 등의 기술 개발 및 선점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 사이버 위협 대응력
강화를 위한 사이버 보안관제 자동화(SOAR, 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국가 사이버방역체계 구축에 일조할 계획이다.
또한, 활용이 급증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자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한 인공지능
모델의 원천 기술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다.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GARD 프로
젝트(2019~), EU의 신뢰 가능한 인공지능(AI) 윤리 강령 제정(2018.12.) 등 전 세계적으로
신뢰 가능한 인공지능 시스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초연결 시대의 핵심기술인 엣지
인공지능 시스템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방어하여 신뢰 가능한 엣지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핵심 기술 및 이를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331 ∙
나) 미래 정보보호 전략기술 선제적 확보
중장기적으로 향후 다가올 6G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규 보안위협과 양자컴퓨팅 시대에 기존
암호체계 무력화에 대비한 선도 기술개발을 준비할 예정이다.
세계 각국이 미래 기술패권 선점을 위해 6G 기술개발을 앞다투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도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2020.6월)을 발표하였다. 6G에서는
초성능, 초지능화된 통신인프라 기반의 대규모・지능화 공격이 일상화되고 新융합 서비스 대상의
보안위협 급증이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초신뢰” 서비스를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의 핵심 서비스의 하나로 선정하고, 사이버위협 걱정없는 안전한 6G 융합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상시적 보안 품질 보장을 바탕으로 6G 자율보안
내재화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8년간 3,000억 원 규모의 6G
플래그쉽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핀란드 오울루 대학과의 국제공동연구도 2021년부터 진행할
예정이다.
미래 정보보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또 다른 요소는 양자컴퓨터 기술이다. 양자 컴퓨터에
의해 현재 암호체계의 붕괴와 암호를 기반으로 한 전체 ICT 인프라가 위협받을 수 있다. 양자
컴퓨터 시대에 대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양자내성암호의 선제적 발굴을 통해 양자 저항성을
가진 국가 ICT 인프라로의 적시 전환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2020년 7월 3차 라운드에서 7개
알고리즘과 대안 후보 8개 알고리즘이 선정되어 평가가 진행 중이며, 양자내성암호 후보군에
대해 저사양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부채널 등 구현 안전성 및 효율성 검증을 통해 고효율 양자내성
암호 설계 원천기술 확보 및 보안응용 기술 적용을 통한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밖에도 국가 핵심 인프라 보호 및 생활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 5G 엣지 보안 및 5G+ 서비스
보안 내재화 등 국가 핵심 인프라 보호를 위한 대응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다) 수요기반 혁신적 R&D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사회안전망을 확보하고 기술수요 기반의 창의・도전형 R&D 추진을
통한 실생활 혁신 연계 기술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 협의회」를
구성・운영하여 사이버 범죄 수사, 개인정보보호 등 각 부처의 고유 업무 수행 중 필요한 사이버보안
기술을 공동 기획・개발하였다. 2020년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특허청 등 협력대상 기관도
확대하고, 2021년 5개의 신규 과제도 도출하였다.
또한, 사이버보안 분야 신기술 개발을 유도하고, 우수 연구자 선별・집중지원을 위해 챌린지
방식의 R&D를 추진하였다. 도전적 목표를 대상으로 자율적・경쟁적 방식으로 솔루션을 도출하는
∙332 ∙
챌린지 R&D 도입으로 민간 자율성 확대와 연구개발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2020년에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확보를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사이버 공격・탐지 기술을 경진대회 형태로
추진하였고, 최우수 연구팀에게는 2021년부터 연 8억 원 이내 규모로 2년간 R&D 예산을 지원한다.
2)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성공을 위하여 튼튼한 사이버대응체계 구축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원격서비스, 무인서비스 등 비대면・디지털전환
환경으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개인을 식별하고 불법접근을 차단하는 등 보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중앙집중식 보안 기술에서 탈피하여 5G/6G 초연결 환경의 분산형
자율보안, 누구나 편하게 보안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비대면 ICT 환경조성, 사람 개입을 최소화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보안 등 비대면・디지털전환 시대에 적합한 보안핵심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제2차 정보보호산업 진흥계획」에 따라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기술과 미래 정보
보호 전략기술에 집중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국내 정보보호 수준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최근 막대한 자본을 기반으로 한 중국의 기술력이 급상승하고 있고, 미국 등 글로벌
보안 기업들은 인공지능 등 신기술로 무장하여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국내 정보보안 업체의
영세성으로 연구개발 인력 확보와 투자 여력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국가 R&D를 통해 보안 기업들이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333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정보보호기술은 생활 속에서 유통되는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는 협의의 보안
기술과 개인・기업・국가의 안전과 신뢰를 보장하는 안전(Safety)기술을 포함한 광의의 보안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정보보호기술은 정보보호 제품 특성과 활용 분야에 따라서 네트워크・시스템
및 서비스・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보보안 기술, 안전・안심 생활을 지원하는 물리보안 기술, IT융합
전통산업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융합보안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암호, PKI, 멀티팩터 인증, 보안 취약점
및 SW 보안 등
공통기반보안
CTI, SDN/NFV 보안, 이동통신 보안,
IoT 디바이스 보안 등
네트워크・시스템・디바이스 보안
클라우드 보안, 웹・이메일보안,
비식별화, 디지털 포렌식 등
응용서비스보안
정보 보안
지능형 영상분석, 영상
침해방지 등
CCTV・무인전자감시
무자각/비제약 인식,
바이오인식 알고리즘 등
휴먼/바이오인식
스마트홈・시티 보안, 지능형 차량 통신보안,
무인이동체 보안, 의료정보 보호
산업제어시스템/지능형차량/헬스케어 보안 등
물리 보안 융합 보안
[그림 3-58] 정보보호기술개념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정보보안 기술
EU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포함한 데이터 프라이
버시 보호 정책이 강화되면서, 프라이버시 보호와 함께 개인데이터 주권 보장이 가능한 데이터
활용 플랫폼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MIT 미디어랩과 Intel은 개인데이터 활용 인프라를 위한
∙334 ∙
Enigm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2020년 2월 MainNet을 구축하는 등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인증 기술 측면에서는 헬스케어, 교육 등 분야의 비대면 서비스에서 바이오인증(FIDO 등)
기술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격증명이나 거래 시에 신상정보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영지식증명, 다자간계산 등 기술이 활발히 연구 중에 있으며, 2020년에 관련
학계 중심의 인터넷 커뮤니티(ZKProof.org)가 설립되었다.
네트워크 보안 기술 측면에서는 5G 보안 기술과 관련하여 3GPP의 Release 16 표준화가
2020년 7월 종료되고, 현재 2021년 9월을 목표로 3GPP Release 17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Release 16의 주요 5G 보안 규격의 특징은 C-IoT, C-V2X, uRLLC 등에 대한 보안 이슈
분석과 함께 5G 보안 보증 규격(Security Assurance Specification)을 새롭게 제정한 것을
꼽을 수 있다.
지능형 사이버 침해대응 기술 측면에서는 경량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여러
백신 엔진을 사용하여 의심스러운 파일을 탐지하는 기술과 인공지능 기반의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EDR, 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이 Webroot, Cylance, Panda Security
등에서 개발되고 있다.
(2) 물리보안 기술
바이오인식 기술 측면에서 미국 등 전통적인 기술 강대국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간의 시각
지능 수준에 근접하는 딥러닝 기술을 개발해서 얼굴 인식・분류・검색에 적용하고 있으며, FBI는
다양한 바이오인식 센서(지문, 얼굴, 홍채, 음성, 걸음걸이 등)를 연동해서 위험인물을 실시간
검색・추적하기 위한 NGI(Next Generation Identification) 시스템을 파일럿으로 운용하는
등, 과거 단순 출입통제시스템에서 벗어나 야외, 공공장소, 비제약적 환경으로 확대・적용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자국 내 사용자 DB와 국가적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글로벌 수준의
얼굴인식 기술을 보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측면에서 국외에서는 CCTV, 차량 번호판 검지기, 방사능 측정기, 911
전화, GPS 등을 실시간 복합・연계해서 도시 전체의 위험상황을 감지・대응하고 예측하기 위한
Intelligent City Surveillance(미국 NYPD의 DAS, 미국 프레드폴(PredPol), 시카고의 헌츠랩
(HunchLab), 중국의 텐왕, 인도의 Cortica AI 등)가 운용 중이고,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알고리즘 방식에서 기계학습 기반 신경망 기술(딥러닝)로 발전하고 있다.
∙335 ∙
(3) 융합보안 기술
지능형 차량 보안 기술 측면에서는 미국, EU 등 자동차 산업 선진국에서 다수의 차량 네트워크
보안 프로젝트를 중장기 연구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선행된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통합・보완,
필드 시험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테슬라(2014년, 2016년, 2018년), 쉐보레(2015년), 미쓰비시
(2016년) 등 차량 해킹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면서, 사이버 위협 사전 예측・탐지・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이상 징후, 비정상행위 탐지기술 등에 대한
연구도 국외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의료・헬스케어 보안 기술 측면에서는 복용형, 체내 이식형, 피부 부착형, 착용형, 독립형 의료기기를
아우르는 의료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이슈가 부각 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의
해킹 대응, 의료 랜섬웨어 대응, 인체 생리 신호(맥파, 심전도 등) 기반 인체영역 통신 보안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질병 분석・예측 인공지능(Medical Decision Support System)에
적용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보존형 기계학습 기술 등의 원천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정보보안 기술
암호 기술 측면에서는 2020년 1월 데이터 3법(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기존에 활용이 어려웠던 개인정보에 대한 산업적 활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비암호화 기반 가명정보는 활용과정의 재식별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개인정보
유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활용 강화형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시스템 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양자내성암호인 PQC(Post Quantum Cryptography)를 이동통신 전송망에 적용
하는 사례 연구개발이 진행 중이며, 양자암호통신에 대한 시험망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인증 기술 측면에서는 바이오인증을 기반으로 한 편리한 인증 기술이 핀테크 서비스에 적용되어
활용 중이며, 인터넷 서비스 전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W3C에서 표준화가 진행 중인 분산 ID
기술은 국내에서 일부 상용화되어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향후 모바일 공무원증,
운전면허증, 학생증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2020.12)되면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화한 다양한 형태의 민간 인증 서비스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안취약성 분석 기술 측면에서는 임베디드 장치의 사이버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펌웨어 수준의 역공학 기반 보안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보안 CPU 아키텍처 기반의 탐지・복원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336 ∙
네트워크 보안 기술 측면에서는 5G 세계 최초 상용화(2019.4.) 이후 4G의 보안 위협뿐만
아니라, 5G의 구조적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잠재적 위협 등이 대두되고 있다. 5G 코어망
에서는 5G 서비스 환경(NSA : Non-Standalone, SA : Standalone) 변화에 따라 5G 코어망
트래픽 수집 및 비정상 공격 탐지 분석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액세스망 및 엣지망에서는
5G+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5G 엣지 보안 기술로서 5G 엣지 네트워크 보안 기술,
MEC(Mobile Edge Computing) 보안 기술 및 지능형 보안위협 분석 및 관제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지능형 사이버 침해대응 기술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다수의 백신을 활용하여 악성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에서 DNA 정보를 추출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신・변종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소와 백신업체 중심으로 개발
되고 있다. 또한, 공격대상(Target)이 스스로 변이(Moving)하여 공격복잡도를 높이는 사이버
자가변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 물리보안 기술
바이오인식 기술 측면에서는 휴먼 바이오인식 기술이 다양한 산업(IoT, 웨어러블, 핀테크
등)에서 길목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 출입통제시스템의 범위를 벗어나 다양한 시스템 접근
제어용으로 사용자 인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수업, 무인점포, 스마트 워크 등 다양한 서비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측면에서는 CCTV, 차량용 블랙박스, 스마트폰, 스마트 글래스, 드론
등 불특정 군중으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서 선제적으로 위험을 감지・대응하는
영상 크라우드 소싱 분석 기술과 사회안전에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미래형 첨단치안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최근에는 강력범죄 해결, 코로나 확진자 이동 동선 분석과 관련해서
다중 CCTV를 동시 연계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3) 융합보안 기술
지능형 차량 보안 기술 측면에서는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서비스 등 신규서비스 출현으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이더넷 도입 및 V2X(Vehicle to Everything) 외부 통신 보안, 차량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접근제어 중심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차량과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도로・교통 인프라 등 기반시설과의 연동
과정에서 신뢰성과 안전성 제공을 위한 보안기술 개발이 지속 추진되고 있다.
∙337 ∙
의료・헬스케어 보안 기술 측면에서는 전자건강기록(EMR/EHR) 등 민감한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보호 중심의 기술에서 랜섬웨어 등 사이버 해킹 공격으로부터 의료기기 및 병원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비침습적 해킹 대응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기기의 인허가를 위한
보안 기준이 강화되면서 의료기기의 가용성을 보장하며 보안을 내재화하기 위한 연구도 일부
진행되고 있다.
2) 향후 전망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시대로의 전환 가속과 데이터 3법 통과로 인한 디지털 경제 활성화
촉진을 위해 데이터・인공지능 보안 新기술 개발이 중요해 지고 있으며, 5G・6G 네트워크 환경과
양자컴퓨팅 시대 도래에 따른 새로운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보안기술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보안 측면에서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암호화를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가 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며, 양자컴퓨터에서도 저항성을
가지는 암호인 PQC 암호를 통신로 보호 및 디바이스 보안에 적용하는 PQC 전환 기술이 5G
인프라를 비롯한 ICT 인프라 전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바이오정보,
행위패턴, 이용환경을 기반으로 한 인증 기술이 중심이 되어 멀티팩터 인증, 무자각 인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실생활에서는 탈중앙화된 분산 ID기술 기반의 디지털 신분증을 통한 신원확인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인공지능 기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사이버 공격에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보안기술로는 대응이 불가하여
방어기술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는 시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론을 시뮬레이션하여 방어전략을 수립해주는 BAS(Breach and Attack Simulation)
기술에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어 공격 가능성 및 보안 취약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사전예방
기술로 발전될 것으로 보인다. CPU 구조적 보안체계에서는 지능형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으로 펌웨어 수준의 보안성 분석과 지능형 보안관리 기술의 결합을 통하여 지능형 사이버면역
기술 및 체계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상용화 이후 기존 보안관제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낮은 수준의 보안 이벤트는 사람의
도움 없이 처리하고, 보안 사고 발생 시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에 따라 직원이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보안 운영 자동화 및 대응(SOAR, 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기술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설계단계부터 보안을 고려하는 6G 보안 내재화 기술 개발도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338 ∙
물리보안 측면에서는 지능형 CCTV와 바이오인식 기술의 트렌드로 구분할 수 있다. 바이오인식
기술의 트렌드는 한 마디로 'Any time, Any one'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언제, 어디서나,
시스템・사용자가 원하는 다중 생체정보를 선택・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온전히 바이오인식
시스템의 몫으로 수행되며 사용자는 전혀 불편함이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지능형
CCTV는 단일 영상에서 선별관제, 단순위험감지 수준을 벗어나 대규모 CCTV 상에서 위험상황을
연계・분석하거나, 엣지 디바이스 자체가 지능을 보유하고 스스로 감지, 대응하는 엣지 인공지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사후 대처가 아닌 미리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하는 예측 치안(Predictive
Policing)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예정이다.
융합보안 측면에서는 현재 차량의 내・외부 통신보안 기술개발에서 클라우드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능형 위협 예측・분석 기술, 도로・교통 인프라 등 기반시설 연계 보안기술, 차량용
이더넷 기반 차세대 차량 네트워크 보안 기술 및 사고・오동작 원인분석 등의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의료・헬스케어 분야는 의료사물인터넷(IoMT, Internet Of Medical Things)
환경이 도래하면서 “다양한 형태・기능의 복용형, 착용형, 이식형, 독립형 의료센서・기기”의 확산,
“인공지능 주치의” 등의 신규 지능형 서비스 등의 도입이 예상된다. 향후, 다양한 의료기기 맞춤형
보안 내재화, 의료 인공지능 학습과 질병 분석과정에서 민감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의료기관의
인공지능 기반 신규 랜섬웨어・해킹 비침습적 대응 등의 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장기적으로는
현재의 의료기기・네트워크・시스템 해킹에서 휴먼 브레인・마인드 해킹까지 대응하는 보안 기술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339 ∙
제3절 생명공학기술
1. 생명과학
최근 기후변화, 화석연료 고갈, 석유화학 제품 처리 문제 등으로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경제
패러다임에서 바이오 기반 산업・경제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경제
수준 향상과 고령화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어,
바이오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산업 분야의 연구개발에는 장기간・고비용이 수반되고 연구개발의 성패가 곧 시장의
성패로 연결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선제적이며 전략적인 R&D
투자가 필수적이며, 특히 기업의 위험부담이 높은 초기 연구개발 단계에 대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2019년 4월 바이오헬스를 시스템반도체와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국가
3대 중점육성산업으로 선정하고, 같은 해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바이오헬스 산업혁신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의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의지를 표명하고 바이오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민간에서도 정부의 지원을 마중물 삼아 바이오 분야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신약 부분에서 2020년 대규모(200억 이상) 기술수출이 10조 원을
돌파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개발을 통해 바이오경제 구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및 ‘바이오 연구개발 고도화 전략’을 수립하여 국가 바이오 R&D의 방향
및 비전을 제시하고, 신약・재생의료・의료기기・뇌연구・생명자원 등 주요 분야에 대한 대규모
연구개발사업(4,626억 원, 18개 세부사업)을 추진하여 바이오헬스 핵심원천기술 확보와 선진화
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였다. 특히 기초연구, 응용연구, 사업화 등 연구 단계별 부처
간 칸막이 없이 효율적으로 전주기를 지원할 수 있도록 치매, 의료기기 분야에서 관계부처 공동으로
범부처 전주기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아울러, 신약분야의 범부처 사업의 종료에 대응하여 대규모 예타 추진으로 2021년부터 10년간
2.2조 원의 대형 사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첨단재생의료분야의 원천기술 확보 등을
위한 범부처 사업, 기초연구 결과를 진단・치료・예방으로 연결하는 중개연구, 감염병 주요 분야(예측-
진단-치료-예방) 플랫폼 확보를 위한 신규예산을 확보하였다.
∙340 ∙
한편, SARS-CoV-2라는 신종 바이러스 출현에 대응하여 생명공학 분야 과학기술계의 역량을
총동원하여 치료제・백신 등 연구개발을 지원 중이며,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여 약물재창출을
통한 치료제 발굴, 치료제・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안전성평가(독성평가) 및 유효성 시험(동물실험)
등 원스톱 연구개발 지원, 혁신형 진단기기 개발 지원 등을 수행하고 있다.
1) 주요 성과
가) 신약개발
신약개발은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국민건강 증진 달성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분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 및 ‘타겟발굴~후보물질
도출’ 등 신약개발 초기단계 지원, 신약개발 기반구축 지원 강화 등 신약개발지원을 위해 약
601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또한, 지난 9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을 추진하여 신약개발 기반기술 및 사업화까지의 전주기에
대한 원천기술개발 경쟁력을 강화해나갔다. 이러한 신약개발 지원을 통해 해외 제약사가 독점하고
있는 제형변환 기술(피하주사)의 국산화 및 글로벌 기술수출에 성공하는 등 실질적인 연구성과를
창출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신약 분야의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유효・선도물질
발굴에서부터 임상(1~2상)에 이르기까지 지원하는 국가신약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2021년 예산
(약 151억 원)을 확보하여 신규 추진하는 등 신약개발 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나) 재생의료
글로벌 의료 패러다임은 세포・유전자치료 등을 활용하여 기존 약물치료의 부작용을 줄이고
아픈 부위를 ‘되살리는’ 재생의료로 전환 중이며, 글로벌 재생의료 시장은 연평균 22.7%씩 확대
(2017년 226억 달러 → 2028년 2,142억 달러)가 예상되는 유망분야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 줄기세포/조직재생 내역사업을 통해 2020년 재생의료분야 연구개발
지원에 약 327억 원(2019년 387억 원)을 지원하여,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응용 가능한
줄기세포 요소기술(세포재생, 장기조직재생 기술 등) 확보에 힘쓰고 있다. 또한, 재생의료 분야에
대한 지원강화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등이 함께 줄기세포・유전자 치료제 및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재생의료 분야 핵심・기초 원천기술확보를 위해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
사업’을 2021년부터 추진하여 재생의료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341 ∙
다) 의료기기
코로나 19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체외진단기기 및 기술에 대한 우수성과 경쟁력이 확인되었으며,
비대면 생활 방식의 확산과 함께 의료용 소프트웨어, 웨어러블 기술을 활용한 첨단기술 기반
의료기기의 등장 등 맞춤형 진단・치료 영역이 확장되었다.
또한 2020년 5월에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과 「체외진단의료기기법」의
시행과 더불어 정부는 범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전주기 연구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2020년 약 296억 원의 예산으로 ①시장 선점과
수출 확대를 위한 프리미엄급 제품 개발 ②미래 의료 시장 진출을 위한 혁신적인 원천기술 확보
및 제품 개발 ③의료기기 수혜 대상 확장을 위한 의료서비스 및 시스템 개발 ④감염병 관련
의료기기 국산화 ⑤밸류체인 강화를 위한 핵심소재・부품 및 요소기술 개발 관련 신규과제 연구를
지원하였다. 2021년에도 기술적 도전성 및 사회적 파급효과가 두드러지는 전략제품의 기술고도화,
의료산업의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한 미래기술 융합의료기기 개발 등을 위한 신규과제 발굴
및 연구개발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라) 융복합헬스케어
의료기술과 BT・IT, 유전정보 등을 접목한 융복합헬스케어는 고령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수요가
급증하는 분야로 특히, 건강정보, 유전정보를 이용한 평생건강관리, 맞춤진단・치료기술 및 서비스
등 소비자에게는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기업에는 새로운 성장동력의 계기로
부각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믹스 기반 정밀의료기술개발 사업(2020년 약 42억
원)을 통해 유전체, 단백체, 전사체 등 생체 오믹스 정보의 통합적 분석에 기반한 암・당뇨 등의
예측・진단기술을 개발을 지원하였다. 또한, 2020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 바이오융복합
내역 사업 추진을 통해 실시간 진단・치료를 가능케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 개발 및 바이오
기술과 IT 기술의 융합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미래혁신형 바이오헬스 분야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였다. 2021년에는 미래 맞춤・예방 정밀의료 구현에 필수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마) 뇌연구
인간 뇌의 작동원리는 현재 과학기술이 밝혀내지 못한 분야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차원의 뇌연구 전략을 수립하여 뇌의 근원적 원리를 밝히고 이를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인간의 두뇌 활동방식을 규명하고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해
∙342 ∙
뇌 관련 과학을 융합하는 기술(미국),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의 뇌를 시뮬레이션하고 ICT
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기술(EU), 비인간 영장류(마모셋 원숭이) 뇌구조 및 기능지도 작성과
뇌신경질환 연구(일본) 등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3차 뇌연구촉진 기본계획」을 수립
(2018.5월)하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뇌질환 연구 및 미래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요소인 인공지능
등 뇌융합 연구에 투자를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제 뇌공동연구 프로젝트 ‘IBI(International
Brain initiative)’ 참여 및 제23회 한국뇌신경과학회 국제학술대회 개최(2020.11, 온라인) 등
뇌과학의 국제협력 활성화를 통한 국내 기술경쟁력 강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2020년 루게릭병 등 퇴행성 질환의 공통 병리 현상인 단백질 응집현상을 일으키는 기전을
규명(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게재, 2020.10.)하였고, 교세포에서 방출되는 신경전달
물질인 가바가 감각 구별 능력을 조절하는 기전을 규명(Neuron 게재, 2020.11.)하는 등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뇌질환 진단 및 치료기술과 미래 뇌융합과학을
위한 연구를 지속 지원하고, 국민 건강을 위한 뇌질환, 치매 극복 등을 위한 신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 감염병
2020년 코로나 19 사태로 국민 건강과 사회・경제에 막대한 손실이 초래됨에 따라, 신・변종
감염병 해외유입에 대한 국가 방역 체계 마련 및 감염병 대응 기술 강화 관련 연구개발 지원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감염병의
‘유입차단-현장대응-확산방지’에 걸친 전주기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지원과 함께 방역역량 강화를
위한 감염병 연구 환경 조성 및 공공백신개발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물론, 추가경정예산 196.5억 원을 확보하여 ‘약물재창출을 통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을
신속 발굴하여 효능이 우수한 치료제・백신 개발 및 효능・독성평가를 지원하였다. 그 밖에도
2020년도 ‘미래 감염병 기술개발 사업’을 통하여 신규 구제역 백신 ‘아주번트’를 개발하였고
(2020.9.), 대표적 슈퍼박테리아인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신규
화합물을 발굴하여 이를 제약회사로 기술이전(2019.12.)하는 등의 성과를 창출하였다.
또한 차세대 대유행 감염병 대응 모델 시스템 구축을 위해 ‘미래 감염병 기술개발 사업’에서
‘미래 위협 CoV-X 대비 바이러스 특성 연구’를 지원(2021년 23억 원)하고, ‘신・변종 감염병
대응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사업’(2021년 102억 원) 신규 추진을 통해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전주기적
(예측-진단-치료-예방) 플랫폼 핵심・공백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343 ∙
사) 그린・화이트바이오
바이오공학의 기술 발전에 따라 바이오는 전통적인 의약품 이외 산업 전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영역 확장으로 새로운 신사업 창출의 동력으로 기대받고 있다. 그린・화이트 바이오는 인구
고령화 문제, 식량 문제,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 등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성장동력 분야로 미래 바이오경제 시대 대응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그린・화이트 바이오의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천연물,장내미생물,바이오플라스틱 등의 연구를 위해 전년
대비 대폭 상향된 약 168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이를 통해 방선균 시스템 재설계 기반
고부가 의약물질 고생산 산업균주 개발(2020.8.),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의 단량체로 널리 사용되는
글루타르산을 시스템 대사공학이 적용된 균주에서 세계 최고 농도로 생산(2020.11.)하는 등의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이와 함께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 사업’지원(2020년 95억 원)
을 통해 천연물 유망소재의 분석기반기술 및 효능해석・예측,안전성 검증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급성대장염의 억제기전을 검증하고, 가상 인체 시스템 기술을 통해 당뇨병 치료 소재의 효능
및 작용기전을 예측・해석하는 등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2021년은 기존의 지원을 지속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 공간 혁신 사업과 맞물려 교실 공간 내 식물재배시스템 교육콘텐츠
개발 및 운영, 합성생물학 기반 “유해선충제어 바이오소재” 및 과수에서의 “무증상 화상병 고감도
진단기술” 등 연구를 신규로 지원할 예정이다.
아) 생명연구자원
바이오 분야 우수 성과창출을 위해서는 연구자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는 「제3차 생명연구자원관리 기본계획(2020~2025)」 및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생명자원의 효율적인 확보・관리, 공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는 국내 생명연구자원을 전략적으로 발굴・관리・육성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전략적 관리가 필요한 ‘10대 국가전략 생명연구자원’37)을 선정(2018.12월, 바이오특별위원회)
하여 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관리, 활용을 위한 지원을 추진하였다. 또한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2019.6월)을 통해 국내외 생명연구자원의 실태 파악 및 생명연구
자원의 분양 및 국외반출 승인 등에 관한 규정을 명시하여 나고야의정서 등에 따라 자원주권과
보호를 강화하는 세계적 흐름에 맞춰 국내 생명자원의 확보, 관리・활용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를
개선・보완하였다.
37) 생쥐, 인삼, 락토바실러스, 세포주, 김, 벼, 돼지, 원숭이, 소, 코
∙34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1년 약 477억 원의 예산으로 생명연구의 핵심자원인 마우스,
유전체, 연구소재 등 바이오 인프라 확보・관리를 위한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였으며, 2021년에는
‘바이오인프라(내역사업)’의 명칭을 ‘바이오혁신기반조성’으로 변경하고, ‘국가마우스표현형 분석
기반 구축사업(내역사업)’과 타 내역사업의 생명연구자원 관련 과제들을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 사업(세부사업)’으로 이관하는 등 생명연구자원 관련 연구를 꾸준히 지원할 계획이다.
자) 창업・사업화
기술확보-창업-성장-재투자의 선순환적 바이오 생태계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창업유도, 기업성장 촉진,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에 2020년 총 297억 원을 지원하였다. 국내외
기업 및 연구소 연수를 통해 기존의 기술성과를 비즈니스모델로 발전시켜 창업으로 연계하도록
지원하고, 임상의(MD)와 이공계 전문가(PhD) 간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현장의 우수한 아이디어가
사업화되기 위한 기술개발과 창업으로 연결되도록 병원에 연구・창업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지원하였다. 또한 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사업, 바이오 기업 출신 연구자 창업지원
사업 등으로 바이오 연구개발에 기반한 창업을 유도하였다. 공공기관이 스타트업을 위한 공간・장비를
구축・제공하거나 의료기관 내 벤처기업 입주 지원, 헬스케어 벤처기업을 IT 플랫폼을 갖춘 대기업과
매칭하여 기술개발비용을 지원해 주는 등 초기 창업기업의 성장을 지원하였다. 바이오 기술개발
부터 기술사업화, 창업, 성장, 회수까지 바이오 생태계 전주기에 관한 정보와 지식 제공 및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네트워크 혁신을 지원하였다. 2021년에도 바이오 연구개발에 기반한
창업을 지속 지원하며 바이오 유망기술 글로벌 창업 지원, 바이오 핵심연구지원센터(Core
Facility) 구축 등을 위한 신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2) 향후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바이오경제 구현을 위해 신약, 의료기기, 재생의료 등 유망분야와 치매,
감염병 등 국민건강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첨단 디지털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바이오 기술을 고도화하고, 바이오 공통핵심기술을
발굴・육성하여 바이오 및 주력 산업 분야의 혁신을 견인토록 할 계획이다. 또한, 소재・데이터
등의 연구 자원을 국가 인프라로 자립화・선진화하고 바이오 분야 우수 연구 성과가 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생태계를 조성하여 바이오산업 도약의 기반도 함께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345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생명과학은 생명(Life)과 관련된 모든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이론, 지식 및 기술 등을
창출하여 건강・인구・자원・환경 등 글로벌 사회문제 대응에 필수적인 분야이다. 이 같은 생명과학의
연구성과는 레드(보건・의료), 그린(농업・식품・자원), 화이트(화학・에너지) 바이오에 응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응용분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기술발전과 제품개발을 혁신하는 플랫폼기술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출처 : 관계부처 합동, 바이오산업 혁신 정책방향 및 핵심과제, 2020.1. / 일부 재가공
[그림 3-59] 생명과학 응용분야 및 설명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2020년은 코로나 19라는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 놓인 한 해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류는
일하고 생활하는 방식을 혁신하고 변화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코로나 19 이후 예상되는 전 세계적인
사회・경제적인 변화로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및 디지털 인프라 확대,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원격진료, 로봇 의존도 증가 등으로 전망(Forbes, 2020.4.)하고 있으며, 이번에 학교 교육, 병원
방문, 운동 등이 디지털 공간으로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감안하면 코로나 이후 오프라인으로
완전히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CB Insights, 2020.6.).
∙346 ∙
코로나 19 백신 개발 기간의 단축(통상 15년 이상 소요 → 10개월∼1.5년 소요)은 그간 인류가
발견하고, 개발해 온 생명과학 연구성과와 바이오기술의 집합체로 역사적인 사건을 목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생명과학의 발전은 바이러스 병원체의 유전체 서열을 그 어느
때 보다 빠르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고, 고해상도 이미징 기술로 바이러스와 인체세포의 결합부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백신 개발과 관련된 플랫폼 기술(mRNA, DNA, 바이러스벡터
백신 등)을 혁신하고, 치료제 및 백신 후보를 신속하게 선별하는 능력을 확장했으며, 방대한
후보물질, 임상시험 데이터의 컴퓨팅을 통해 기존 약물의 용도를 빠르게 재창출하였다. 이러한
혁신은 비단 감염병 뿐만 아니라 바이오기술, 바이오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 출처 : Nature, SARS-CoV-2 vaccines in development, 2020.9. / 일부 재가공
[그림 3-60] 전통적 백신개발 기간 vs 코로나19 백신개발 기간
코로나 19 팬데믹은 헬스케어에 해당하는 레드바이오 뿐만 아니라 그린, 화이트 바이오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올해 디지털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바이오제조에 있어 디지털트윈(Digital
Twins)은 주요 화두였다. Insilico Biotechnology사는 디지털트윈 개발을 통해 바이오제조
(biomanufacturing)에 대한 ‘스마트 프로세스’를 단일클론항체 역가를 최적화하는데 활용하였다
(GEN, 2019.5.). 디지털트윈은 기계식 모델링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하는 방법으로, 가상의
최적화된 공정을 실현하는 방법 등을 통해 바이오의약・소재 제조 프로세스 중 핵심공정인 세포배양
공정 개발을 혁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세포배양 공정의 디지털 전환은 향후 바이오제약 산업이
개인맞춤형 의약품으로 전환되기 위해 제조 공정에서부터 높은 유연성, 효율성 및 견고성의
∙347 ∙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분별한 산림훼손과 토지이용, 생물다양성 감소 등으로 인수공통감염원인 병원체가 인간으로
이동하는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인구증가에 대응한 식량 생산과 더불어 환경영향을
줄이는 방향으로 기존 농업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식품 분야에서는 대체
축산물로서 식물을 활용한 대체육부터 세포배양을 통한 배양육까지 건강과 환경 모두를 고려한
세포농업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2020.1.). 식물성
기반 인공육 대표기업으로는 미국의 Beyond meat(나스닥 상장사)와 임파서블푸드사가 있으며
햄버거 패티, 소시지, 미트볼 등 다양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였다. 한편으로는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 디지털 농업과 같은 시스템 구축에 노력하고 있는데,
특히 디지털 농업에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 농업의 사례로 토양, 기후 및 유전자원을 모니터링, 평가 및 관리하는
디지털기술과 지리공간기술이 농업에 활용되고 있다(Nature sustainability, 2020.4.).
나) 국내동향
올해 국내에서도 코로나 19로 큰 변화를 맞고 있는 가운데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코로나 19는
위기이자 기회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올해 5월 Nature는 한국에서 발표한 우수논문을 분석하여
‘네이처 인덱스 코리아(Nature Index Korea)’ 특집호를 발표하였다. 어느 선진국보다 빠르게
개발했던 코로나 19 진단키트 및 기술에 대해 한국은 ‘fast follower’에서 ‘first mover’로 변화하기
위한 R&D 투자를 강화하고 있으며, 코로나 19 진단키트 개발을 한국 정부의 Top-down 정책의
성공사례로 소개하였다(Nature, 2020.5.).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한국연구재단(NRF)은 감염병
진단 관련업체(코젠바이오텍, 솔젠트, SD바이오센서 등)의 R&D를 지원하여 코로나 19 확산
사태에 성공적으로 대응했다고도 언급하였다. 2020년 국내 우수성과도 코로나 19 관련 내용이
많이 선정되었는데(BRIC, 2020.12.),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 완성(서울대 등, Cell, 2020.4.), 사람 3D 폐포 배양기술로 코로나 19 감염기전 규명(서울대
등, Cell Stem Cell, 2020.10.), 코로나 19를 쉽고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센서(포항공대,
Nat. Biomed. Eng., 2020.9.) 등이 선정되었다.
지난해 말부터 기획재정부는 바이오산업을 반도체를 잇는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기
위해 범부처 ‘바이오산업 혁신 TF’를 구성하였는데, 헬스케어로 대표되는 레드바이오 분야 뿐만
아니라, 그린바이오(식량・자원 등), 화이트바이오(환경・에너지 등) 분야까지 포함하여 전 바이오
분야로 혁신 범위를 확대한 핵심전략(‘바이오산업 혁신 정책방향 및 핵심과제’)을 올해 초 발표하였다
(2020.1.). 이후 2020년 한 해 동안 ‘바이오 연구개발 고도화 전략(과학기술정보통신부,
∙348 ∙
2020.11.)’, ‘그린바이오 융합형 新산업 육성방안(농림축산식품부, 2020.9.)’, ‘바이오헬스 핵심규제
개선방안(보건복지부, 2020.1.)’,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산업통상자원부, 2020.12.)’
등의 후속계획이 발표되었다.
2) 향후 전망
2020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스타트업으로 선정된 36개사 중 50%가 바이오 관련
회사로, 이러한 게임 체인저는 현재 일하는 방식이나 생각하는 방식의 판도를 뒤바꿀 만큼 중요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CB insight, 2019.12.). 바이오 관련 스타트업들은 크리스퍼
2.0(유전자편집 관련), 인공지능 기반 단백질 예측, 전기자극치료제, 마이크로바이옴치료제,
DNA데이터 마켓 등 기술융합을 통한 생명현상 규명, 치료제 개발의 파급효과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올해 게임 체인저로 선정된 36개 스타트업들은 6개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중 64%인
23개 업체가 미국에 기반을 두고 있고,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싱가포르 소재 스타트업(양자암호
관련)이 선정되었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게임 체인저로 선정되는 스타트업이, 특히 바이오 스타트
업이 몇 년 이내에 생겨날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 정부는 비즈니스 말단의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을 위한 지원은 규제 합리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R&D 관점에서는 비즈니스의
근간이 되는 창의적 연구와 혁신기술 개발을 지원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올 한해 코로나 19 위기 국면에서도 준비해온 부처별 전략을 통해
바이오기술 및 산업에 대한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이 내년부터 본격 추진될 것이다. 과학기술정보
통신부는 ‘바이오 연구개발 고도화 전략’을 통해 타 분야와 접목(전자+바이오, 화학+바이오 등),
디지털 기술과 융합, 바이오의 사회시스템 적용 등 바이오 융합을 통해 신기술・신산업 창출을
촉진하고자 하는데, 다양한 바이오기술・산업의 혁신을 유도할 공통핵심기술에 대한 지원을 강화
하고자 추진과제를 구성하였다. 특히, 파급력을 고려하여 원천기술과 응용기술을 동시 확보할
수 있는 범용플랫폼 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 등), 전략적으로 확보해서 공동활용을 중점
지원하는 분석・공정기술(바이오이미징, 단일세포분석 등), 차세대 기술확보를 위한 미래유망
융합기술(유전자・단백질 합성, 인공세포 제작 등)로 구분하여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2006년부터 공통연구비(Common Fund)를 조성(2020년, 약 7,600억 원)
하여 NIH 산하 어느 하나의 연구소나 연구센터가 해결하기 어려우나, NIH 전체 차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공통기술 개발을 통해 새로운 과학적 기회를 창출하고자 목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산업 전반에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공통기술에 대한 지원이 미국에 비해 늦었지만
코로나 19에서 보여준 국내 역량과 가능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니즈와 이슈에 빠르게 다가가
게임판을 뒤바꾸는 한국형 발전모델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349 ∙
2. 보건의료
보건의료기술38)(Health Technology, HT)은 건강문제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약품,
백신, 장치, 제도, 절차 등 다양한 유형의 지식과 기술을 응용하는 것(The Sixtieth World
Health Assembly, WHO)을 통칭한다. 기술의 범위는 단순한 질병치료가 아닌 신체・정신・사회적
측면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진단・치료・사후관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류의 헬스케어
(Healthcare) 실현을 위해 필요한 모든 기술을 포함한다.
보건산업은 전세계적으로 주력산업으로 성장 중으로, 인구 고령화와 건강수요 증가로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며 그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ICT기반과 의료・병원 시스템, 인적자원 등 국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 기간산업으로써 성장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육성, 지원정
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기획재정부 중심으로 바이오산업혁신 TF를 운영하였으며, 최근에는
바이오헬스를 포함하는 BIG3 산업 육성에 집중하기 위한 민관합동협의체도 운영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헬스 시장 규모가 급성장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차세대 국가 주력 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헬스 산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적극적
으로 육성・지원하고, 2025년까지 연간 R&D 투자를 4조 원으로 확대하겠다는 비전(「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2019.5.)을 발표하고, 이어 바이오헬스를 핵심 신산업 분야(BIG3)로 선정하고
중점 육성하겠다는 투자 방향(「혁신성장 2020 전략투자방향」, 2019.8)을 발표하였다.
제도적인 뒷받침도 이어지고 있다. 2020년 8월 데이터 3법으로 불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특히, 가명정보의 정의와 활용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개인정보 보호법」을
근거로 ‘보건의료 데이터활용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현장에서 활용 중이다. 또한, 유전자치료에
대한 연구 허용범위가 넓어지는 등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2020.12.29)되어
시행(21.12.30)을 앞두고 있다. 그리고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의 특성을
반영해서 약사법과 별도 법률로 규제와 지원체계를 마련한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38) ① 세계보건기구(WHO) : 질병을 예방・진단・치료, 환자의 재활・관리・지원에 사용되는 모든 의료기술로 의료기기,
의약품, 내・외과적 의료행위 뿐 아니라 관련된 모든 지식을 포함
②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 의과학・치의학・한의학・의료공학 및 의료정보학 등에 관련되는 기술, 의약품・의료기기・
식품・화장품・한약 등의 개발 및 성능 향상에 관련되는 기술, 그 밖에 인체의 건강과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와 관련되는 보건・의료 관련 기술
∙350 ∙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2020.8.28.), 희귀 난치질환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치료기
회들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예상치 못한 코로나 19 창궐로 인해 코로나 19 관련 미래 신종 감염병에 대비하는
국가적 위기 대응 역량도 강조되고 있다. 전 세계는 코로나 19 치료제・백신 개발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치료 장비나 의료 시설 등 의료 자원 운용의 한계점이 확인됨에
따라, 미래 감염병 창궐에 대비하는 의료 인프라 준비의 중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1) 주요 성과
2020년도 보건복지부 연구개발 사업은 2019.5월 발표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목표인 ‘바이오헬스 분야 정부 R&D 투자를 2025년까지 4조 원 이상으로 확대 추진 – 기초
연구・응용연구를 균형 있게 확대’를 기조로,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으로 사람 중심 혁신성장
실현,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의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전략목표로 설정하였다. 전략
목표에 따른 4대 전략은 ①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② 공익적 R&D 투자 강화, ③ 병원 기반
연구생태계 조성, ④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지원으로, 총 7대 중점 추진 방향으로 나누어 총
5,278억 원의 주요 R&D 예산을 투입하였다.
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미래 의료에 대한 선점 경쟁이 심화되고, 혁신적인 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이 날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정책 여건 하에, 혁신 신약・의료기기, 재생의료 등 차세대 유망기술 중점 지원에 1,281억
원을 지원하였다. 특히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이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2020년부터 6년간 총 1조 1,971억 원의 투자가 시작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수출 주력 및 차세대 융복합 의료기기를 전략 품목군으로 지정하여 기술 고도화를
도모하였으며, 유망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비임상・임상시험을 지원하였다. 또한 재생의료 분야
기초 연구성과의 임상 적용을 위한 중개연구를 지원하였다.
∙351 ∙
<표 3-32> 2020년도 차세대 유망기술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범부처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30,189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2,236
치의학 의료기술 연구개발 2,008
첨단의료기술개발
줄기세포・재생의료 25,256
신약개발지원 15,500
융복합보건의료기술 4,012
제약산업특화지원 833
의료기기기술개발
미래융합의료기기 6,686
의료기기임상시험지원 12,235
치과의료 및 치과 산업기술개발 2,000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 12,156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지원사업 500
한의약선도기술개발 7,235
첨단의료복합단지미래의료산업원스톱지원 4,453
인공지능신약개발플랫폼구축 2,778
소계 128,077
∙352 ∙
나)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 개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최첨단 ICT 기술에 기반한
의료서비스의 전반적 지능화・효율화 경향에 맞추어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의료기술 개발에도
588억 원을 투자하였다.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유전체 및 임상정보를
치료기술, 신약개발 등에 활용하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며, 공공기관이
보유한 의료 빅데이터를 공공적 목적의 연구에 지원하였다. 또한 고부가가치를 가지는 혁신적인
의료로봇 개발과 시장 출시에 지원하고, 유전체 자원 확보 및 분석을 통한 정밀의료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오고 있다.
<표 3-33> 2020년도 4차 산업혁명 기반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바이오 빅데이터구축 시범사업 4,267
의료데이터 보호・활용 기술개발 7,970
마이크로 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 8,704
CDM기반 정밀의료 데이터통합 플랫폼 기술개발 5,366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기술개발 2,800
첨단의료기술개발 인공지능정보의학 3,900
의료기기기술개발 보건의료빅데이터연계활용강화연구 2,200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정밀의료) 11,261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 9,232
심혈관계질환첨단의료기술가상훈련시스템기술개발 855
형질분석연구 2,206
소계 58,761
∙353 ∙
다) 감염병, 치매, 정신건강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 확대
국민들이 최우선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감염병, 치매, 정신건강 분야에도 1,041억 원을 투자
하였다. 2019년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2020년부터
10년간 총 6,240억 원이 감염병 진단기술과 치료제 기술 개발에 투자될 예정이다. 또한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을 통해, 2020년부터 9년간 치매 예방・진단・치료
기술 개발까지 전주기적 치매 연구에 투자가 지속될 예정이다. 또한 중독과 자살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주요 정신건강 분야 연구에도 지원을 확대하였다. 한편 미세먼지 등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에도 투자를 확대하여, 미세먼지에 취약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미세먼지 기인 질병 중재・
치료기술 개발 연구에도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표 3-34> 2020년도 사회문제 해결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2,950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의료현장 맞춤형 진단기술개발 5,175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7,425
국가치매극복기술개발 13,090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국가감염병위기대응 7,200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R&D 4,000
정신건강문제해결연구 6,244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20,492
미세먼지기인 질병대응연구 4,062
암연구소 및 국가암관리사업본부 주요사업비 33,433
소계 104,071
∙354 ∙
라) 의료비 절감 및 예방 중심 건강관리 등 국민 건강증진 R&D 지원
국민 건강 증진과 관련 있는 연구 분야에도 1,022억 원을 투자하였다. 먼저 의료비 절감을
위한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와 희귀질환, 저출산 등 공익적 의료기술 연구에 투자를
확대하였다. 또한 노인・장애인 등 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재활・돌봄 서비스,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연구에도 투자를 지속하였다. 한편 한의약혁신기술개발사업이 201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2020년부터 10년 간 국민들에게 더욱 우수한 한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
<표 3-35> 2020년도 국민 건강증진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국민건강 스마트관리 연구개발 2,966
한의약혁신기술개발 7,779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 19,105
연구자주도질병극복연구 7,584
공익적 질병극복 연구지원사업 6,960
라이프케어융합서비스개발사업 9,072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2,785
돌봄 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2,201
100세사회대응고령친화제품연구개발 1,692
사회서비스 150
한의기반융합기술개발 5,439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17,619
만성병관리기술개발연구 13,485
국립재활원 재활연구 개발용역사업 5,395
소계 102,232
∙355 ∙
마) 병원을 연구 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집중 육성
선진국은 병원을 의료기술의 성장 기반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유망기술을 적극 사업화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병원을 바이오헬스 연구 생태계의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관련 분야에 674억 원을 지원하였다. 산・학・연・병이 의료기술・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병원 중심의 공동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구성과의 상용화 촉진을 위해 질환 유효성
평가 및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을 지원하였다. 또한 국내 임상시험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상시험 인프라 구축에도 투자를 지속하였다.
<표 3-36> 2020년도 병원 중심 생태계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의료기술 상용화 지원센터 6,450
연구중심병원육성사업 37,170
선도형특성화연구개발사업 3,120
스마트임상시험플랫폼기반구축사업 2,780
임상연구인프라조성 12,668
보건의료생물자원종합관리 5,249
소계 67,437
바) 혁신성장을 견인할 보건의료 핵심인재 양성
바이오헬스 산업 규모가 날로 확대됨에 따라, 관련 인력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건의료
인재양성에 192억 원을 지원하였다. 먼저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 연계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이오헬스분야에 접목할 글로벌 인재 양성에 지원을 확대하였다. 또한 질환에 대한 이해가
높은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임상 의사와 기업 간의 협업 연구를 촉진하였다.
<표 3-37> 2020년도 핵심인재 양성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일반회계) 16,300
보건의료 인재양성 지원사업(건강기금) 2,903
소계 19,203
∙356 ∙
사) 백신, 화장품 소재, 보조기기 등 국산화 지원
백신, 화장품, 보조기기 등 주요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지원에도 448억 원을 투입하였다.
특히 국가 백신 주권을 확보하고, 수급 안정화를 위해 해외 의존성이 높은 백신의 자체 개발에
투자를 강화하였다. 역시 수입 의존도가 높은 화장품 기초 소재의 국산화 및 노인・장애인의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보조기기의 국산화에도 신규 지원을 시작하였다.
<표 3-38> 2020년도 국산화 지원 R&D 지원예산
(단위: 백만원)
사업명 2020년 예산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개발 7,740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 4,800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 백신 자급화 기술개발 11,950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면역백신개발 4,424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 15,842
소계 44,756
2) 향후 추진 계획
2021년도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분야의 범정부 R&D 종합계획인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
기본계획(2018∼2022)」과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의 이행을 위해 ‘공익적 R&D 투자 강화로
국민의 보건의료문제를 해결’하고, ‘첨단유망기술육성을 통한 국가 주력산업으로의 도약’을
2021년 전략목표로 삼아 지속적인 지원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코로나 19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신종 감염병에 대비하여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재생의료・
보건의료 D.N.A 기술・신약・의료기기 등 주요 분야별로 첨단 유망기술 육성 투자를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 맞춤형 R&D를 확대하고, 치매나
만성질환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극복에도 중점을 둔 투자로 공익적 R&D를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병원을 연구 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
∙357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한국은 사스(2002), 신종플루(2009), 메르스(2015) 등 과거 여러 감염병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코로나 19 발생 초기에 적극적인 초기 대응을 펼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코로나
19가 다른 감염병에 비해 전염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팬데믹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누적
확진자는 2021년 1월 기준 66,686명에 이르 으며39), 코로나 극복과 더불어 신・변종 감염병・대응
기술개발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D.N.A(Data, Network, AI) 기술이 보건의료
분야에 적용되어 ‘파괴적 혁신’을 불러오고 있으며, 보건의료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법령의 정비로 보건의료분야 디지털전환과
산업 발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이 적용된 혁신적인 의료기기의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시행으로 인공지능 의료기기가
국내 1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되는 등, 보건의료 분야는 어느 때보다도 빠른 혁신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세계 각국은 코로나 19 팬데믹이 초래한 사회・경제적 위기상황에 대응하여 긴급 예산 집행
등 재정적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백신, 치료제의 연구개발 및 수급에 힘쓰고 있다. 코로나 19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지카, 에볼라, 사스,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뚜렷한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중증인 경우 인공호흡기, 체외막산
소화장치(ECMO) 투석 등 대증요법이나 스테로이드, 리바비린 등 일반적인 항바이러스제제,
또는 2차 감염으로 인한 폐렴을 막기 위한 광범위 항균제 투입 등의 방법을 활용하나,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또한, 코로나 19 팬데믹이 불러온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과 인공지능, 고성능 컴퓨팅, 네트워크
기술 등 첨단 기반 기술들의 각 분야로의 적극적인 확산이 가속화되며 보건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도 더욱 빨라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코로나 19를 비롯한 신・변종 감염병의 진단, 백신과
관련한 동향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 보건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요 유망 기술과
연구개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39) 2021.1.6.일자 코로나발생현황
∙358 ∙
가) 백신
코로나 19 백신은 접종을 통해 인체 내 들어온 백신의 항원 성분들이 면역세포(B세포)40)를
자극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만들어 내게 함으로써 추후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았을 때 몸속의 중화항체가 이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하는 원리로 작용된다. 이러한 백신
개발의 기반이 되는 기술은 이는 백신에서 특정 항원이나 유전정보 등만 바꿔 백신을 개발하는
백신 플랫폼 기술이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얀센 등 여러 다국적 제약기업에서
바이러스벡터 백신, RNA백신, 재조합 백신 등 다양한 백신 플랫폼의 백신을 개발한 상태이다.
전 세계적으로 화이자-바이오엔텍과 모더나의 mRNA (Messenger RNA) 백신이 가장 빠르게
긴급 사용이 승인되었다. 이들 백신의 원리는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 mRNA 백신의 경우, 제조 기간이 짧아
신속하게 단기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나, RNA 분해효소(RNase)에 쉽게 주성분인 RNA가
분해되어 안정성이 좋지 않으므로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에 싸서 세포 내로 전달
한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지질나노입자 복합체는 상온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영하 20~75도의
콜드체인이 필요하다. 이밖에도 중국 시노팜에서 불활화 백신41), 러시아 가말레야 연구소, 캔시노
등에서 바이러스벡터 백신42) 등 다양한 종류의 코로나 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 19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에 이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역시 코로나
19 백신의 연구개발에 뛰어들었으며 지난해 3월부터 의약품 개발 소식이 실시간으로 전달되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합성항원 백신, 셀리드는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 그리고 제넥신과 진원생명
과학은 D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DNA 백신은 독성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기술로 신속한 생산이 가능하나 백신이 세포 내로 전달되는 효율이 낮은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기존 DNA 백신의 경우 동물실험에서만 효능을 입증하였으며, 이들 기업들은 임상시험을 통해
인체 대상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다만, 약사법 등 관련규제와 함께 국내에서 코로나19
감염이 잘 통제되어 대규모 참여자가 필요한 임상3상이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나) 진단 기술
감염병 진단기술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크게 항원(병원체)의 유전물질(DNA, RNA 등)을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증폭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분자검사와, 항원의 단백질
40) 백혈구에 속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항체를 생산하는 면역세포(식품의약품안전처, 21,1.7)
41)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항원으로 체내에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전통적인 백신 플랫폼
42) 항원 유전자를 인체에 무해한 아데노 바이러스 등 다른 바이러스 주형에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
∙359 ∙
또는 체내에서 생성된 항원에 대한 항체를 측정하는 혈청학적 검사 방식이 있다. 이 중 인체・바이러스
등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DNA, RNA)을 PCR을 통해 증폭하여 활용하는 분자진단이
가장 정확도가 높은 기술이다.43) 이 분자진단에서 선진국들은 정확도가 가장 높은 RealTime-
PCR(정확도 99%이상)44)방식을 주로 사용하나, 개도국의 경우 conventional PCR(정확도 90%
이상)45)을 주로 사용한다. 애보트,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등 기존 해외 대규모 제약사와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 위주로 분자검사에 대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근 코로나 19와
관련해 우리나라 기업들도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코로나 19 대응과 관련하여 2020년 꾸준히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국내 진단키트는
실시간 유전자 증폭기법(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RC)이 적용된 의료기기
이다. 이 기법은 진단시약 안에 있는 ‘프라이머’라는 물질이 코로나 19에만 나타나는 특이 DNA부위에
달라붙어 이를 증폭시키는 기술이다. 이 증폭 과정을 얼마나 거쳤는지 의미하는 Cq(역치 사이클)값이
일정 기준값보다 낮으면 양성, 높으면 음성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 기법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해 2016년 국제표준화기구 의료기기기술
위원회((ISO/TC 212)에 제안하여 최근 국제표준안(DIS)으로 승인받았다. 이러한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국내 기업들의 진단키트 수출규모는 지난해 말 총 2억 9,424만 달러(약 3,217억 원)로
전년대비 1,299%가 증가하여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하였다.46)
다)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전통적인 신약개발 과정은 평균적으로 약 15년이 소요되며, 약 5,000~1만여 개의 신약 후보물
질 중 단 1개만이 최종 성공 단계에 도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천문학적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신약개발 단계에 인공지능이 활용되며, 신약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있다.
신약개발 첫 번째 단계인 후보 물질 도출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관련 논문 등 자료 탐색에
오랜 기간이 걸린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한 번에 100만 건 이상의 논문 검토와 1010
개의 화합물 탐색이 가능하여, 연구자 수십 명이 해야 할 일을 하루 만에 진행할 수 있다.47)
또한 임상시험 단계에서는 인공지능이 먼저 화합물과 생체 내 단백질의 결합능력을 계산하거나,
질병과 관련이 높은 환자군을 탐색하여 실제 임상 단계에서 마주하는 대상 환자군 확보의 어려움
43)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신종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진단, 치료, 백신), 2020-05호
44) PCR 산물의 증가를 형광물질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증폭되는 산물을 정량하는 PCR기법
45) DNA 증폭 중에는 확인이 불가능하고 증폭을 모두 마친 후 전기영동을 거친 뒤 UV하에서 관찰하는 확인 과정이
별도로 필요한 기술
46) 관세청(2020.12.15.)
47)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20),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국내・외 현황과 과제
∙360 ∙
이나 임상 디자인 설계 등의 난관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신약개발 인공지능의 활용이 가속화 된 배경에는 클라우드 기반 고성능 컴퓨팅
기술이 있다.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복잡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기
떄문이다. 미국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활용하기 위하여 민관 협력 컨소시엄을 구성하였다. IBM, MS, 구글 등 주요
IT 기업과 백악관 등 정부기관, 주요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코로나 19 고성능 컴퓨팅 컨소시엄'을
구축, 슈퍼컴퓨터 자원을 세계 연구자들에게 무료로 개방하여 바이러스 구조 해석, 시뮬레이션
가동 등의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48)
라)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
디지털 치료제는 질병이나 장애를 예방, 관리,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의 치료적
중재(evidence-based therapeutic intervention)를 제공하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정의한다.49) 전통적인 의약품의 형태는 아니지만 어플리케이션, 게임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기존 질병 치료 영역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고,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 약물중독, 수면장애
등 정신・신경계 질환 등의 관리가 또 다른 어려움으로 떠오름에 따라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일반 환자들의 병원 방문이
어려워짐에 따라 디지털 치료제가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2017년 미국 FDA가 약물중독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를 최초로 허가한 이후,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치료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도 2020년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이 시행됨에 따라, 디지털 치료기기의 정의 및
판단 기준 등을 담은 '디지털 치료기기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있다.50) 가이드라인을 통해 축적된 지식과 정보들이 향후 관련 법률 제‧개정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운영 메커니즘(mechanism) 개발도 필요하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치료제가 허가받은 사례는 없으나, 현재 국내에서 개발중인 인지 치료 소프트웨어, 시각 훈련을
위한 소프트웨어 총 2종이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아 진행 중에 있다.51)
48) 정보통신기획평가원(2020), ICT Brief 2020-16호
49)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20), KEIT PD Issue Report 디지털 치료제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50)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020.8.27), 디지털치료기기 규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
51)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021.2.26), 중독장애, 불면증 개선 디지털치료기기 제품화를 지원한다
∙361 ∙
마) 전자약(electroceuticals)
전자약(electroceuticals)이란 전자(electronic)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기존의
약물이나 주사 대신 전기자극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장치이다.52) 전통적인 화학약품이나
바이오의약품은 혈관을 통해 이동하며 병을 유발하는 물질과 결합하여 작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른 곳에 결합해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전자약은 특정 신경에만 자극을 가하기
때문에 부작용 발생이 차단된다. 또한 한 번 전자약을 이식하기만 하면 정해진 시간마다 약을
먹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약을 복용하지 않아 병세가 악화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지난 2018년 세계경제포럼(WEF)은 전자약을 10대 유망기술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지난 2020년 7월, 미국 FDA는 비침습적으로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기도 수축을 억제해 호흡에
도움을 주는 의료기기를 코로나 19에 걸렸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성인 환자의 호흡 악화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우리나라도 2019년 12월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2019년
제28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전자약을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혁신 바이오 분야로 꼽는
등 관련 지원을 하고 있다.53)
2) 향후 전망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에서도 감염병과 관련한 R&D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1년 보건복지부는 코로나 19 백신・치료제 임상/비임상(1,388억 원)과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139억 원), 백신 자급화(248억 원), 병원체 확보 및 특성분석
(240억 원),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136억 원)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감염병
대응역량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2020년 한해 코로나 19에 대한 전 세계 연구자들의 끊임없는 연구개발의 성과로 코로나
19 백신은 1년 만에 mRNA(Messenger RNA) 백신이 개발되었고 이뿐만 아니라 DNA, 합성항원,
전달체 백신 등이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코로나 19가 지속적으로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종식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때문에 2021년
또한 전 세계 과학계가 코로나 19 백신 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전망이며, 바이러스의
변이로 인해 검사의 속도와 정확성에 대한 수요가 여전할 것으로 보여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진단키트의 개발 또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54)
52) 융합연구정책센터(2018), 전자약 연구동향
53) 관계부처 합동(2019.12.4), 혁신성장 추진성과 점검 및 보완계획
54) PharmNews (2020.11.13.)
∙362 ∙
글로벌 백신 시장규모는 2017년 335.7억 달러에서 2028년 1,035.7억 달러로 연평균 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55), 체외진단기기 시장은 2019년 718억 달러에서 2027년 983억 달러로
연평균 4.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56)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춰 우리 정부는 코로나
19에 대한 국산 백신의 개발과 임상시험을 포함하여 감염병 진단 및 치료제・백신 개발 등에
향후 10년간 6,000억 원 이상을 투자하는 등 감염병 대응 체계 구축에 투자할 계획이다.57)
또한, D.N.A 기술이 보건의료 분야에 접목되어 보건의료 프로세스 전주기의 지능화・효율화가
진행되고 혁신 성장 동력으로 부상함에 따라, 관련 지원도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2019년 5월,
2025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 R&D투자를 4조 원으로 늘릴 계획을 담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혁신성장 2020 전략투자방향」에서는 바이오헬스 분야를 핵심 신산업 분야로
선정하여 중점 육성할 계획을 밝혔다. 민간의 투자도 활발하다. 2020년 기준 130개 회사가
바이오헬스 R&D에 3조 4,473억 원을 투자했다.58) 그리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
헬스 분야 주요 기업들도 2023년까지 약 10.5조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59) 이처럼
차세대 국가 주력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헬스에 전폭적 지원이 집중되고 있으며 향후 관련
분야의 인력 수요 및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3. 식품・의약품 등 안전 분야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은 식품, 농축수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한약(생약), 의약외품,
위생용품 등의 기준규격 설정, 안전성・유효성 평가, 위해평가, 시험・분석, 위해 예방, 위해요인
저감화 등 건강과 생명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안전성 확보에 관한 기술이며 공공성이 강하고
규제과학(regulatory science)에 기반한다는 특징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개발을 위해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법」(제정 2015.11.) 제5조에 따라 우리나라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발전방향과 목표,
핵심기술 개발전략 등을 반영하여 「제1차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을 위한 기본계획
(2016~2020)」을 수립하였다. 이 기본계획에 따라 국민체감형 안전기술 개발 및 안전기술 글로벌
수준 확보, 미래 유망분야 안전기술 선제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2020년
55) BIS research(201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인용
56) Reports And Data, Jun 04, 2020, 화학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이슈 리포트 재인용
57)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단(2020.6.3.)
58) 바이오스펙테이터(2021.1) 자체 집계
59) 관계부처 합동(2020.11),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
∙363 ∙
연구개발사업은 미세플라스틱,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생활제품 유해물질 관련 지속적인 사건・사고로
새로운 위해요소에 대한 안전관리에 대한 요구 증대 및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제품 개발 가속화
등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 유해물질 통합위해성평가 등 국민 체감형 안전기술 개발
강화 ▴ 유해물질, 재난・재해 및 기후변화 등에 대한 대응역량 강화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바이오신산업 중점지원 등 4차 산업혁명 선제 대응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확충에 중점을
두고 추진하였다. 연구개발사업으로 식품 등 안전관리, 농축수산안전관리, 의약품 등 안전관리,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안전성평가기술 개발연구, 안전기술 선진화 등 6개 세부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성과는 다음과 같다.
비 전
국민이 안심하는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확보
목 표
안전한 식의약, 건강한 국민, 행복한 사회 달성에 기여
식의약품 안전 사전예방적 체계 및 인허가 신속지원 체계 구축
안전기술 수준 세계 최고(미국 100%) 대비 84% 수준 확보
* 의료분야 77.9% → 83%, 식품 안전성 평가・향상기술 79.2% → 84%
4대 핵심 투자전략
국민 체감형 안전
기술개발 강화
식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글로벌 수준 확보
미래 유망분야 안전
기술 선제대응
R&D 시스템 혁신
1-1. 국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분야 우선
투자
1-2. 국민의 장기적 건강
위해분야 선제대응
2-1. 식품 등 안전기술
선진화
2-2. 의료제품 안전기술
선진화
2-3. 식의약품 독성평가기술
선진화
3-1. 미래 의료 환경 대응
의료 기기 평가기술
개발
3-2.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 평가기술 개발
3-3. 실험동물 자원
개발・활용 기반구축
3-4. 바이오의약품 국제
주도권 확보를 위한
평가기술 개발
4-1. R&D 기획 및 성과
관리 지원 시스템
고도화
4-2. 안전기술 민간투자
참여확대
4-3. 국내외 공동연구
강화
[그림 3-61] 제1차 기본계획 추진체계
∙364 ∙
2) 주요 성과
가) 식품 및 농축수산물 안전분야
인체적용제품 유해물질의 노출경로 및 노출매체에 의한 인체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통합위해성평가(5년간, 총 60종)를 수행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중금속 등 유해물질 33종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예를 들면, 식품 제조과정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 3-MCPD 등 및 유가공품
중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 등의 위해평가를 실시하였고, 아크릴로니트릴 등 기구・용기・포장
이행물질 23종에 대해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크릴오일 중 에톡시퀸 및 잔류용매 시험법, 커피 중 염화메틸렌, 탄산수 중 브롬산염
시험법 등을 개발하였고, 종 특이 식품원료 진위판별법 및 현장신속검출법 등을 개발하여 부정불량
식품 사전관리를 강화하였다.‘국가 식중독 유전체 정보망’을 구축하여 전장유전체 데이터베이스
(5,550건, 누적)를 확보하였고, 섭취량 평가를 위한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3,170건, 누적) 및
기능성분 데이터베이스(7만 여건, 누적)를 구축하였다. 호흡기 건강 등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12종)’을 제・개정하였고, 취약계층 영양과잉/결핍 평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가정간편식(샐러드), 요오드(수유부), 과일・채소 등 적정섭취 관련 연구를 수행하여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농・축・수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 지원을 위한 잔류농약 및 잔류동물용의약품 동시다성분시험법을 개발하였고, 생산단계
축산물의 잔류동물용의약품 신속검사키트를 개발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물 중 해양생물독소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아자스필산독 시험법 개발 및 실태조사, 이종교배로 인한 어종의 생물독소
관리방안 연구 등도 수행하였다.
나) 의약품 등 안전관리
인플루엔자 백신, RNA 백신 등의 효능 평가법, 노로바이러스 감염모델 개발 등 감염병 예방
및 백신자급화를 위한 품질평가 기술을 개발하였고, 사빈주(Sabin Strain)에 유래한 블활화 폴리오
백신 등 국가표준품을 제조하였다. b형 연쇄구균, 중증열성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 백신
등 면역원성 평가시험법 및 참조물질 등 백신 임상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범부처 감염병 R&D
사업에 참여하여 신종감염병 백신, 개인보호구 등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품질평가법 고도화 및 CAR-T 면역세포치료제 안전성 평가모델, 유저자
치료제 off-target 확인분석법 등 줄기・세포치료제 평가기반을 구축하였다.
∙365 ∙
신기술, 신개념 의약품의 제품화를 지원하기 위해 허가심사 평가법 및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고,
의약품 품질관리를 위한 의약품 기준・규격 및 시험법을 제・개정하여 대한민국약전을 선진화하였
다. 약전 표준품을 제조・공급하여 제조업체 품질관리를 지원하였고, 시판 중 약물의 부작용을
조기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 및 DB 구축 등 의약품 전주기 안전관리 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약・생약제제 등 품목별 확인시험법 개선 및 생약규격집 제・개정(안)을 마련하였고, 한약
제제의 특성에 따른 성분 프로파일을 구축하였다. 한약(생약)의 유해물질(잔류농약, 중금속,
벤조피렌 등)을 모니터링하고, 천연물 유래(식약공용) 원료의 독성연구 등을 통해 안심사용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한약(생약)의 품질기준 국제표준화, 생약표준품 개발 및 국내생약정보
DB 구축을 통해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다.
신규 화장품(흑채, 제모왁스 등)의 미생물・유해물질 등 위해요소 관리 연구 및 기능성화장품
효력평가법(탈모 완화, 여드름 피부 개선 등) 등을 개발하였고, 유통화장품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법 및 가이드라인 등을 개발하였다. 휴대용 산소캔, 치아매니큐어 등 신규 의약외품의 기준・
규격 및 보건용 마스크 효력 평가법 등을 개발하고, 위생용품 품질 및 안전관리를 위해 기준・규격
및 유해물질 분석법 등을 개발하여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하였다.
다) 의료기기 등 안전관리
융・복합/신기술 의료기기 분류기준 및 심사・평가 방안, GMP 품질관리체계 고도화,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등을 대상으로 부작용 모니터링체계 구축 등 의료기기 안전관리 정책 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기사용 의료기기, 치과재료 등 품목별 국제조화된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고,
의료용 레이저조사기 성능평가,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기반 연구 등 의료기기 안전성 및 성능
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인플루엔자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등의 국가표준품을 제조하여
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하였다.
3D 프린팅 기술 기반 개인맞춤형 의료기기, 인공지능 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평가기술 등 미래의료환경에 대응하는 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NBIT 융합형 신기술 의료기
기의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국내・국제 표준을 개발하는 등 신기술 의료기기의 개발 단계부터
범부처 전주기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여 지원하였다.
라)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
KNTP(Korea National Toxicology Program)를 운영하여 생활화학물질, 보존제 및 천연색소
등의 독성자료를 마련하였고, 나노물질 OECD 독성동태시험법 국제협력연구, 국내 비임상시험관리
∙366 ∙
기준(GLP) 인프라 구축 연구 등을 수행하여 규제독성 선진화 기반을 마련하였다.
동물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면역독성, 신경독성 동물대체 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화장품
안자극 및 피부감작성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 마련 및 기술지원 등을 통한 국정과제를
수행하였으며, 국내개발 질환모델동물을 이용해 대사질환(당뇨, 비만 등), 단기 발암성 시험・
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식・의약품 첨단 독성 예측 평가기술 및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차세대 독성병리
진단 플랫폼 등 최신 독성평가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심혈관계 안전성 약리 평가, 빅데이터
기반 심혈관계 안전성 예측 플랫폼 및 약물 상호작용 평가 플랫폼 등을 구축하여 의약품 안전성
평가 기반을 마련하였다. 컴퓨터 기반 임상시험(ISCT) 모델링, 의료 빅데이터(RWD/RWE) 임상
평가 등 신기술 응용 임상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오가노이드 기술을 활용한 항암제 내성 평가
둥 약물반응 생체지표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부정・불법 및 허가 외 성분에 대한 분석법 범위를 확대하였고(630여 개, 누적), 천연유래
식용금지원료 사용여부 확인을 위한 이화학-특이유전자 병행시험법을 개발하여 부정・불법물질
혼입 차단에 기여하였다.
마) 안전기술 선진화
나노기술 기반 약물전달시스템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을 개발하였고, 소아용 의약품 개발을
위한 임상평가모델 등을 제시하였다. 식품 유통・보관 중 벌레 등 이물 혼입 방지 기술 및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이물판별 기술을 개발하였다.
바) 민간 안전기술 촉진지원 연구
융복합 의료제품의 안전기술 혁신 및 글로벌 규제과학 환경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민-관 연구협
력체계를 통한 민간 주도 안전기술 발굴・촉진・개발・확산을 목적으로 기획을 수행하였다. 융복합
의료제품을 대상으로 안전기술 수요발굴, 기술개발, 성과확산 3가지 분야로 나누어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그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수요발굴을 위하여 ▴국내
전문가 그룹 구성 및 과학교류활동 지원, ▴시험기관 등 공동사용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데이터
제공 시스템 마련, ▴성과관리체계 구축・운영하고 둘째, 융복합 의료제품 전주기 안전기술 개발을
위해 ▴민간 수요 중심 안전기술 개발(제품 단계별 평가기준, 평가법 개발 및 개선), ▴미래대응
안전기술 개발(디지털기술, 차세대 약물전달체 기술 등 선제적 안전기술 확보), ▴법령・제도
분석(규제기반 마련을 위한 법령 및 제도 분석 등)하며, 마지막으로 연구성과 활용 및 기술 확산을
∙367 ∙
위한▴안전기술 분야별(연구개발 제조품질, GMP, 임상) 맞춤형 컨설팅, ▴최신동향정보 공유(규제
관련 노하우 공유 및 기술이전・사업화 등), ▴전문인력 양성(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하는 것이다.
2) 향후 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코로나 19로 촉발된 디지털 방식의 생산・유통환경과 바이오・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개발 트렌드를 반영하여 「제2차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
(2021~2025)」을 수립에 따라 식품・의약품 등에 대한 국민 안심수준을 더욱 높이고. 2025년
까지 기술수준을 기술최고국 대비 90% 수준까지 발전시킨다는 목표로 4대 핵심전략 12개 세부
전략 및 34개 중점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표 3-39> 「제2차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 비전,목표 및 전략
비전
식품・의약품 등 안전기술 진흥으로
안전한 식품・의약품, 건강한 국민, 행복한 사회
목표
▪ 식품・의약품 등 안전기술 수준 제고 (2020)84% → (2025)90%
▪ 안전기술 진흥으로 국민안심수준 제고 (2020)64% → (2025)74%
▪ 혁신의료기기, 첨단바이오의약품 제품화 5건
▪ 연구데이터공유시스템 개방, 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 600명
핵심
전략
뉴노멀시대 안전기술 고도화
1-1. 데이터 기반 식・의약 스마트 안전관리
1-2. 기준・규격・시험법 국제조화 및 선도
1-3. 식품・의약품 등 안전성 평가 첨단화
국민 생활 속 안전망 강화
2-1. 소비자 중심 생활 안전 강화
2-2. 환자 접근성 및 안전 제고
2-3. 국민 안심 안전 소통 확대
혁신성장 지원 안전기술 개발
3-1. 新식품 산업 혁신성장 지원
3-2. 첨단바이오의약품 등 제품화 견인
3-3. 혁신 의료기기 등 시장진입 촉진
안전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4-1. 전주기 R&D 수행체계 강화
4-2. 연구데이터・자원・성과 공유・개방
4-3. 규제과학 R&D 혁신 역량 강화
특히 이번 제2차 기본계획에서는 비대면, 무인화 등 뉴노멀시대를 대비하여 식품・의약품 등의
생산・유통・소비 단계별 안전기술을 고도화할 것이다. 또한,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국민 누구나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생활 속 안전망을 강화하고, 새로운 소재 식품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인공지능 활용 의료기기 등 혁신제품에 대한 안전기술 개발을 통해 과학 기반의 합리적
규제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아울러, 민관이 함께 개방・공유, 협력하고 전문성을 강화하여 상생
발전하는 규제과학 연구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다.
∙368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앞으로도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사용을 위한 과학적・합리적 규제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농축수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한약(생약), 의약외품, 위생용품
등 안전관리 품목의 기준규격 설정, 안전성・유효성 평가, 위해평가, 시험・분석, 위해 예방, 위해
요인 저감화 등 규제과학 (regulatory science) 기술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국민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융합기술이 식품・의약품 등의 생산, 유통, 소비 등 全단계에 도입되면서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기술의 융합이 식품, 의약품 산업에서
제품화로 구현되는 상황에서 식품・의약품 등 안전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
하기 위해 과학기술・산업동향 및 미국 등 주요국 동향을 4대 주요 연구분야로 구분하여 전망해
보고자 한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식품 및 농축수산물 안전분야
식품안전을 위한 새로운 위해평가 기술개발 및 평가체계가 도입되고, 4차 산업혁명 혁신기술을
응용한 식품의 안전관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은 다양한 노출원으로부터 노출 가능한 유해물질(340여 종)의 인체바이오모니터링 및
비스페놀A 등 유해물질 100여 종에 대한 생리학 기반 약물동태(Physiologically-Based
Pharmacokinetic, PBPK) 모델을 확보하는 등 실제 노출상황을 반영한 총노출량 추정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체내 저용량 수준에서의 인체건강영향 발생 가능성 및 노출 요인(식습관, 생활습관
등)에 대한 연구, 및 건강영향평가의 메타분석 등 새로운 위해평가 기술 개발이 확산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통합위해성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사람중심의 과학적 위해평가를 통해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목표로 통합위해성평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인체적용제품 위해성평가 공통지침서를
마련하였으며, 5년간(2018~2022) 총 60종의 유해물질에 대한 통합위해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식품 및 농산물 등 생산・운송・저장・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 혁신적인 기술이
∙369 ∙
도입되어, 신선 농산물의 실시간 유통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실시간
냉장컨테이너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60)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스마트 HACCP‘ 시스템61)을
도입하여, 생산・가공업체 종사자가 수기 기록으로 관리하던 중요관리점(여과, 세척 등)을 IoT
기반 자동 모니터링, 저장(위・변조방지), 전송, 관리하여 관리수준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시스템62)을 시행하여 수산물 비브리오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미국 FDA 식품안전성・응용영양센터(CFSAN, Center Food Safety & Applied Nutrition)는
식중독 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전장 유전체
분석(WGS, Whole Genome Sequencing) 기술을 활용한 GenomeTrakr 네트워크63)를 구축
및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주요 식중독 병원성 세균인 Salmonella, Listeria, E. coli, Campylobacter,
Cronobacter 균과 기생충 및 바이러스의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대규모 DB 구축이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317,000개 이상의 분리 균주를 서열화하고 300개 이상의 게놈을 차단했으며,
매달 5,000개 이상의 균주를 정기분석 중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로 식중독균 유전체
정보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총 일만 이천여 건의 유전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식중독 사고 등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할 예정이다.
(2) 의약품 안전분야
바이오 신기술(유전자편집, 줄기세포 등) 개발 및 BT-ICT-NT 융합 등으로 혁신적인 의약품・
의료기기 개발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안전성・유효성・품질 평가기술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3차원 장기, 가상장기모델 등 혁신기술을 활용한 평가기술이 개발되고, 유전자가위 기반 제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제제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과 더불어 첨단기술을 활용한 바이오베터
(Biobetter), 희귀병 치료제, 개인맞춤형 약물 등 연구개발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머신러닝 활용 연구 및 예측모델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60) 문영식 외, “IoT 기반 실시간 냉장컨테이너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19, No. 3
: 629~635, 2015.03
61) “식품안전관리인증원 ‘스마트HACCP‘ 본격 도입”, 식품음료신문, 2019.1.25. 게시
62) 비브리오패혈증균 예측시스템 :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관계기관이 실시간 측정・보유하고 있는 환경인자(바닷물
온도와 염도)와 질병관리본부의 과거 검출이력정보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브리오패혈증균발생 가능성을
4단계로 예보하는 시스템
63) GenomeTrakr 네트워크 : 전장 유전체 시퀀싱의 상호 공유를 위한 open-source 네트워크로, 40여개의 연방
정부 및 주 공중 보건, 대학의 연구시설과 20여 개의 국제 연구기관 (호주, 캐나다, 덴마크, 독일, 영국 등)이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
∙370 ∙
미국은 정밀의료 이니셔티브(Precision Medicine Initiative, PMI)를 발표하여, 혁신신약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빅데이터 기반 건강정보 활용 및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유럽은 PRIME(Priority Medicine), 일본은 SAKIGAKE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여 환자
중심 신약개발을 위해 미충족 의약품 개발대상 연구촉진지원, 신속심사프로그램 도입 등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①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한 유전자치료제, 마이크로바이옴 제제 개발
유전자가위기술은 2017년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로 선정되는 등 최근 각광받는 첨단기술로,
의료분야에서는 희귀 유전질환 및 난치질환에 대한 효과적 치료법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전가가위 기술 기반 유전자치료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off-target 확인시험법 등 안전성
평가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기능 활성화, 항산화 물질 생산, 병원균
억제 등 다양한 생리작용 및 장질환, 피부질환 등 각종 질병과의 연관성도 입증되고 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생리적 기능 및 질병과의 연관성에 기반한 다양한 신약 개발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바이오의약품의 정의, 품질 및 안전성
평가기술,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등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② 약물유전체와 대사체를 융합한 약물오믹스를 통한 개인맞춤형 약물 개발
지금까지의 개인맞춤형 약물(Personalized Medicine) 개발은 약물유전체학(Pharmacogenomics)
및 약물대사체학(Pharmacometabolomics) 기술을 통합하여 약물의 반응성, 부작용, 및 독성예측
뿐 아니라 약물농도를 모니터링하고, 약물동태학/약물동력학(Pharmacokinetics/Pharmacodynamic)
모델링을 통한 상관성을 분석하는 체계로 추진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제약요건이 있어, 미래 약물 반응성 예측은 유전체학(Genomics)과 대사체학
(Metabolomics) 뿐만 아니라 전사체학(Transcriptomics), 단백체학(Proteomics)과 임상결과
(Clinical Outcome)를 통합하고, 환경적인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Pharmaco-omics”으로
발전되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③ 오가노이드 기반 기술 및 가상장기모델 개발 기술 활발
오가노이드(Organoid)는 ‘장기’를 뜻하는 ‘Organ’과 ‘유사함’을 뜻하는 접미사 ‘-oid’가 합쳐진
‘기관을 닮은 유기체’를 뜻하며, 줄기세포가 증식/분화하여 자기 조직화를 통해 생성된다. 오가노이드는
인체 조직을 이용하여 제작 가능한 인간 장기 모델로서 인간-동물 간의 차이점을 극복할 수
∙371 ∙
있으며, 장기 수준의 3차원 구조를 지니고 있어 기존의 단층 배양되거나 단순 조직화된 세포를
활용한 연구보다 더욱 생체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오가노이드는 인공장기모델 개발을
통한 다양한 안전성평가 모델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치료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다차원적 인실리코 피지옴(in silico physiome) 모델 등 가상장기모델
개발을 통한 안전성 평가 모델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④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머신러닝 등 활용 연구
신약개발에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기술을 도입하여 개발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하고 있다.
미국 IBM社는 신약개발용 버전 왓슨을 제공하여 약물후보물질을 탐색하고 있으며, 오믹스社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약물 스크리닝을 수행하고 있고, 스위스 노바티스社는 미국 AI기업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과 악성 흑색종 치료 신약 개발 중이다. 우리나라는 빅데이터
기반 심혈관계 안전성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고, 인공지능 기반 약물상호작용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신약개발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임상 빅데이터 기반 심혈관계 안전성
예측 플랫폼, 머신러닝을 이용한 약물상호작용 예측 플랫폼 구축 연구도 수행 중이다.
미국, EU 등 주요국은 뇌지도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손상된 신체 대체 양방향 뇌-기계 인터페이스
연구 등 뇌질환 연구에 투자하고 있으며, 유전체-생활환경-임상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결합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기술간 융합(BINT)을 통해 바이오칩, 생체
이식 소자, 생명정보 분석기술 등 미래유망 제품 및 기술이 개발 중이다.
한약・생약 안전관리에도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맛・
냄새・색깔 등 주관적 요소에 의지하여 판단하는 관능검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
(AI) 기반 이미지 인식 딥러닝(Image Classifica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화장품과 의료기기 융복합 마스크, 섬유와 융합된 입는 화장품64) 등 새로운 융합 화장품 기술의
등장 및 ICT, 빅데이터(Big Data), 증강현실(AR) 등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화장품 시장이 형성됨에
따라 이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의약품 허가심사 및 시판 후 안전관리 등 의약품 전주기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진료현장을 반영한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자 기반연구를 수행 중이다.
64) 입는 화장품(코스메틱 섬유)은 일련 섬유로 웨어러블 스킨케어로, 섬유로부터 유용물질이 방출되어 피부로 전달
되는 개념
∙372 ∙
⑤ 융복합 의료제품 개발
바이오기술(BT),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융복합 의료제품 중심으로 과학기술 트렌드가
변화하여 합성・바이오의약품 또는 의료기기와 인공지능(AI)・로봇・3D프린팅 등 기술 접목된
융복합 제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디지털신약,
자가주입 면역치료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3) 의료기기 안전분야
IT, NT, BT 등 첨단기술(인공지능, 재활로봇, VR・AR, 3D 프린팅 등)이 접목된 혁신 의료
기기 개발이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는 측정한 생체 신호를 건강관리서비스와 병원정보 시스템과 연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웨어러블 의료기기는 피부 부착형에서 이식복용형까지 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료 로봇은 최소침습술을 위한 복강경 수술로봇과 카테터 기반의 중재수술로봇, 인공관절
수술을 위한 관절 수술로봇, 영상 정합 및 증강 현실 기술을 활용한 수술 내비게이션 등이 지속적
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술로봇은 ICT, 3D 프린터, 나노, 바이오 등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환자의 후유증을 줄이고 수술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술을 진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체외진단기기(In Vitro Diagnostics, IVD)는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술과 시장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면역화학적 진단, 자가 혈당 측정, 분자 진단이 주요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65)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적용이 된 디지털헬스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질병의 진단영역을 넘어 예방, 치료영역까지 확대됨에 따라, 그 투자규모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66)
우리나라는 제반기술 발전에 발맞추어, 3D 프린터 이용 환자맞춤형 의료기기, 신체부착형
연속혈당측정기기, 스마트 폐질환관리기기, 이식형 심장충격기 등 첨단의료기기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을 및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앞으로도, 치과용 3D 프린팅 기반 제품, 독립형
소프트웨어 등 신기술 체외진단제품 평가기술 개발 및 인공지능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CDSS) 의료기기의 성능과 안전성 검증 위한 질환별 표준데이터 구축 등 BT-NT-IT 첨단 융목합
기술이 적용된 진단・치료와 로봇 관련 스마트 디바이스 등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65) 체외진단시장 : (‘15) 480 → (’22) 708억달러 (EvaluateMedTech, 2016)
66) 디지털치료기기 세계시장전망 : (’15) 13.7억달러 → (’25) 87억달러(연평균 20.5%↑)
∙373 ∙
(4) 독성/안전성 분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독성예측모델 개발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미국 FDA는 인체독성영향
예측력을 향상시키고 규제과학 발전을 위해 바이오마커 개발 및 오믹스 등 첨단기술 기반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일본은 15개 제약회사 간 컨소시엄을 통해 도출된 독성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신약개발 시 필요한 독성 스크리닝 개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비임상시험데이터표준규격(Standard Exchange for Nonclinical Data, SEND, 미국
FDA)를 마련하여 비임상시험의 표준화・전산화를 통해 데이터 유통, 재분석 등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주도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독성예측모델
개발 및 비임상시험 빅데이터 플랫폼 등을 구축하는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으며, 디지털 병리기술을
위한 자료 확보 및 빅데이터 기반 등을 구축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안전성 약리시험을 위한 줄기세포시험모델을 개발하였고, 오가노이드
등을 활용한 인체모사모델링을 통한 병인 기전 및 약물개발 등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또한, 환자 부작용 및 불필요한 치료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안으로 정밀의료 기반의 개인 맞춤형
치료가 부각되고 있다. 미국 CPIC(The Clinical Pharmacogenetics Implemntation
Consortium)는 유전형에 기반한 용량변경 또는 약물 변경 등 근거 기반의 맞춤치료를 권고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DPWG(Dutch Pharmacogenetics Working Group)는 근거 수준
및 임상적 타당성에 대한 등급을 정해 해당환자의 정도에 따른 맞춤치료 권고의 필요유무를
결정하여 용량조정, 치료전략, 대체약물 선택 등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맞춤형
의약품 예측을 위한 임상평가 시스템 기반을 구축하였고, 인체모사 모델링을 통해 약물반응
예측 평가기술 개발 등 비임상자료의 임상적용 중개기술을 개발하였다. 앞으로도 오가노이드,
인체모사 기술 등을 활용한 의약품 평가기술 및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약품 임상평가기술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주요국은 인체독성 예측 개선을 위해 인체조직 및 장기와 유사한 칩 활용 대체법 개발, 대체법
규제 활용 등 새로운 독성예측 로드맵을 발표(미국 FDA, 2017) 및 혁신연구 프로그램을 통한
동물대체시험법 및 컴퓨터기술을 이용한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EU, Horizon 2020)하는 등
동물대체시험법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규제독성 평가에 활용되는 OECD, ICH, ISO
독성시험 가이드라인 개발 방향이 3Rs(실험동물대체, 동물수 감소, 동물고통 경감) 동물복지
반영 우선으로 전환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유세포분석을 이용한 피부감작성 시험법(OECD
TG4428) 및 인체각막모델을 이용한 안자극시험법(OECD TG492) 가이드라인 등을 OECD에서
채택 받고 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374 ∙
2) 향후 전망
아울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식품・의약품 등 안전분야는 3D 바이오프린팅 3차원 장기
제작, 대체육, 융복합 의료제품 등 첨단혁신제품 개발에 따른 안전기술 개발이 더욱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인공지능 활용 연구, 안전성・유효성 평가 예측모델 개발
연구 등과 더불어 눈으로 보이지 않는 정보의 신뢰성 확보 및 사이버 보안을 위한 끊임없는
도전을 받고 있다. 급격한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식품・의약품
분야 안전기술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국제 수준으로 규제과학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4. 농림・축산・식품
세계농업은 FTA 확대 등에 기인하여 ‘국경 없는 무한경쟁’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국제곡물가격
상승 등 최근 농식품 분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경쟁력을 갖춘 농림축산식품산업 육성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글로벌화, 고령화 및 기후변화 등 급속한 대내외
여건변화 속에서 글로벌 메가트렌드에 부응하는 기술혁신을 위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추진해 왔다. 또한 최근의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글로벌 식량위기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고,
기후위기는 농림축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삶의 질, 공정한
생산과 거래, 친환경 소비 등 국민 가치관과 생활방식의 변화, 식품산업 경제구조의 변화 등에
따라 농림축산업 각 분야는 이에 대비하는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농림축산식품부는 2019년에 종료된 ‘제2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15~2019)’의
성과 및 투자 동향 분석을 통해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을 수립하여
향후 5년의 농식품 분야 R&D 정책 추진방향과 중점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2020년부터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타 분야,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개방형 협력연구 확대, 민간 농식품 R&D 촉진, 개발기술의 사업화 지원 강화,
부청 및 소속기관의 R&D 협업, 정책부서 R&D 참여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대응과 농정과제 이행을 위한 5대 중점 연구분야(ICT 융복합 스마트
농업, 농생명 바이오산업, 고품질 농식품, 기후변화・재난・질병 대응 농산업, 국민 삶의 질)에
집중 투자하기 위하여 관련 사업의 2020년 사업추진 예산을 확보하였다.
∙375 ∙
1) 주요 성과
가) 빅데이터・인공지능(AI)・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농업 고도화
지능형 스마트팜 플랫폼, IoT 기반 국내산 사료 유통, ICT 기반 순환형 농업용수 관리시스템,
데이터 활용 과일 당도 선별시스템, 스마트양잠 영농 자동화, 스마트팜 개방형 제어기 고도화
등 농산업의 첨단화 촉진, 농업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 절감을 위한 ICT 융복합・농기계・스마트팜
기술개발을 통한 농식품 산업의 융복합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부착 방지 장기성 필름, 생약원료식물 재배용 정밀 양액, 냉방 패키지 기술, 태양열
이용 온실 환기 기술, 정밀 제어용 센싱 기술, 농산물 가공 및 포장기계 등 농업경영비 절감을
위한 고효율 농축산 자재 개발 및 수입에 의존하는 주요 자재의 국산화를 위해 첨단기자재 분야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나) 육종기술, 미생물, 신소재 등 농생명 바이오산업 육성
버섯을 활용한 천연 비타민 D 생산, 흑국균을 이용한 천연 흑식품 색소, 밀웜 대량사육, 농산물
유래 고함량 단백질 소재, 작물가치증진 및 저항성 육종 소재 개발,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기술,
유전자변형(GM, Genetically Modified) 작물 대체 육종소재 개발, 약용작물 기능성 탐색 등
농생명 소재(동물, 식물, 곤충, 미생물 등)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개발 및 안정적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기능성 단일세포 고속 분리 및 라만분광법 기반 미생물 탈착 기술, 메타유전체의 통합 분석,
유전체 분석 기반 사과병해 방제 및 가지과 작물 생육촉진 미생물 제제, 벼 유전자 돌연변이
집단 구축, 한우의 번식형질 연관 유전인자 및 바이오마커, 동물 멀티오믹스 데이터 플랫폼 등의
농산업 분야 유용 유전자 해독 등 생명공학기술(BT, Biotechnology)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종자 수출 확대를 위한 가공처리 기술, 중국 백합 종구 생산기지 구축, 중국 및 일본 수출용
양파, 수출국 맞춤형 장미, 수출 농산물 농약 안전성 확보, 수출 유망 유럽종 포도 재배법, 포도・
블루베리 저장유통기술 등 종자 강국 실현 및 민간 종자산업 기반 구축을 위하여 국가전략형
수출・수입대체 종자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다) 소비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식품 개발・유통
흰개미버섯(흑계종) 인공재배, 곤충 키틴 발효 사료첨가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수직형 공기
순환팬, 에너지 절감형 난방장치, 한우거세우의 성장 특성, 산육생리 및 육질변화, 원료사료
∙376 ∙
내 유해물질 모니터링, 국내 저지종 젖소 유전자원 보급 등 소비 다변화, 고령화 등에 대비한
자동화,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기술개발을 통한 농산물의 고품질화를 위하여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시설 과채류 생육 및 수확량 예측 모델 고도화, 토마토의 구조적・기능적 최적화 생육모델,
토마토용 특수 미생물 생산, 참깨 탈립 저항성 품종 육성, 콩 전통식품 가공적성 향상, 글로벌
시장형 난류 육성, 케냐프 바이오 연료화, 영농폐비닐의 작물 영향연구 등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우량품종 개발과 재배기술 첨단화를 추진하고 있다.
소비 트렌드에 맞는 식품 개발을 위해 만성대사성 질환 예방용 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형 메디푸드(Medifood), 유자 제품 수출 확대 원료생산 안정화, 노인의 저영양
해결 김치 유산균, 귀리를 이용한 고령친화 제품, 지역농산물 활용 신선 간편식 개발, 식생활・영양
정보 및 소비기반 연구, 발효・가공기술 개발 및 실용화, 농식품 자원의 기능성 평가 및 소재개발
등 건강 지향적 소비 맞춤형 기술, 간편식품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라) 기후변화, 재난, 질병에 대응하는 안정적 농업생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내습・내한성 품종, 열대/아열대형 고위해성 생물 유입 대응, 생물
다양성 위협 미유입 식물류의 판별 분자마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환경・농업생산성・농업생태계
취약성 평가 및 생산환경 변동 예측, 기후적응형 권역별 작목배치, 아열대 작물 육성 등 선제적
대응체계 확립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산업 실현을 위하여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선제적 재난 예방을 위해 ICT,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위험요인 분석 및 확산 예측 모델
구축, 위험요인 조기발견을 위한 인식능력 향상 방안 연구, 작물 해충 방제용 천적 대량생산
및 현장적용 시스템 개발, 과수화상병 등 고위험 병・해충・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 구명 및
방제기술 개발, 농업 분야 미세먼지 발생실태 및 피해 양상 구명 등 농업기반시설 관리, 병해충
관리 등의 농업 분야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가 재난형 질병 관리 역량 고도화를 위해 가축 질병 취약 단계별 면역증강 물질, Post
Vaccination Monitoring System, 구제역 백신항원 제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구제역 유전자 정보 해석, 인수공통전염병 예방기술 개발 및 관리체계 구축, 구제
역 등 바이러스 감염 저항성 인자 발굴을 통한 면역력 증진기술,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효율적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방법 등 방제 종합관리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377 ∙
마) 농업인, 농촌주민, 국민 삶의 질에 기여
농업・농촌의 가치 창출을 위해 지방 유휴자원 활용 6차산업 제품, 미세먼지에 의한 축종별
피해 예측, 영농폐기물 및 부산물 소각 미세먼지 배출량, 인공광 이용한 미래형 실내농장, 고령자
섭식 단계별 과일 섭취 향상, 농촌관광 성과평가와 서비스 품질 제고, 도시텃밭 조성을 위한
동반식물, 식생활 역량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여성농업인의 정보화능력개발 등 농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구축 및 농촌 비즈니스 다각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맞춤형 먹거리 개발을 위해 발효 식품의 발효 상태 표시 포장 소재, 유기농업자재 품질관리
및 부정유통 방지 검정기술, 농약 신속 검출 시스템, 비의도적 유해물질 오염 예방, 가축분 퇴비의
품질균일화기술, 잔류항생제 안전관리방안, 독소 생산 대장균의 분자진단법 등 농축산물의 유통・
소비 단계에서 발생하는 위해성분 제어 및 위변조 방지기술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표 3-40> 농림축산식품 5대 중점 연구분야 투자현황
(단위 : 억원, %)
구 분
2019 2020 차이
(%)예산 비중 예산 비중
ICT 융복합 스마트농업 603 6.1 872 8.1 2
농생명 바이오산업 1,351 13.6 1,465 13.6 -
수요 트렌드에 맞는 고품질 농식품 1,956 19.7 2,046 19.0 △0.7
기후변화・재난・질병 대응 농업 생산 780 7.9 905 8.4 0.5
농림업인, 농촌주민, 국민 삶의 질 798 8.0 840 7.8 △0.2
5대 중점분야 합계 5,489 55.3 6,128 56.9 1.6
기 타 4,441 44.7 4,642 43.1 △1.6
총 계 9,930 100.0 10,770 100.0 -
2) 향후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물류・운송 스마트화, 블록체인 활용 안심 생산・소비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유통 구현을 통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 및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도입, ‘2050년 목표
탄소중립 선언(VIP, 2020.10.28.)’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발맞춘 신규사업을 기획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종자기업의 디지털 기반 첨단 육종 보편화 추세에 따라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디지털육종기반 종자산업 혁신기술개발사업’과 국가재난형 동물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동물감염병 대응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 중이다.
또한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의 실질적인 추진을 위하여 2021
∙378 ∙
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핵심 추진전략별 실행방안을 마련하여 농식품 R&D 투자 효율성
제고 및 국정・농정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식량
식량작물의 새로운 품종 개발은 연구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지역
또는 수요자 맞춤형 품종개발, 특정 지역에서 재배하기 위한 품종의 전용실시 등 특정 품종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는 품종개발을 위해 육종가와 소비자, 산업체 등 관련분야의 협업을
확대시키고 있다. 또한 농업분야 전반에 걸친 디지털기술과의 접목으로 디지털육종, 스마트농업
기술, 자동 물관리 기술 등 다양한 디지털농업 기술이 개발・보급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 19 감염 지속에 따른 사망자 지속증가와 함께 세계 각국의 사회, 경제, 문화
등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 19의 ‘대유행(pandemic)’ 사태가 장기화
됨에 따라 주요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글로벌 식량위기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
(WFP)에서는 식량위기에 대한 제4차 연례 글로벌 보고서를 발표하고 팬데믹 상황이 길어질수록
심각한 기아로 고통받는 인구가 전년(1억 3,500만 명)의 두 배 가까이 증가될 것을 우려하였다.
실제 일부 곡물 수출국에서 식량주출 제한 및 중단 조치가 잇따르고 있는 상황으로 국가별 식량안보의
중요성이 인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식량자급률제고를 위한 연구가 강화되고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벼) 용도별 품종 다양화, 기후변화 적응 다양한 재배양식별 품종개발
일본은 기후변화 대응 고온등숙성 유전자원 선발과 혐기성 메탄영양세균 활성증진 유전자구명
(OsCCaMK) 등 온실가스 경감을 위한 육종소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Branch&Bound’를 비롯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육종 파이프라인에 도입하여 빅데이터・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육종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사료용 벼 보조금 지원과 경종농가와 축산농가 간 계약재배 등으로 사료용
벼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다(133천ha). 미국은 제초제(Oxyfluorfen) 저항성 품종 Clear field
rice를 개발하고 분자육종기술을 이용한 제초제 내성자원(ROXYTM gene) 이전으로 저투입 품종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379 ∙
(2) (밀) 첨단기술을 활용한 디지털육종기술 활용
일본은 70년대 밀 자급률이 4%였으나 자국밀 가격 보상지원, 생산규모화, 품질 고급화를
통해 2019년 기준 12%로 상승하였다. 수입밀과의 경쟁을 위해 가공 용도별 품종을 개발하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대표품종을 보급하였다. 강력분용(식빵, 중화면용)으로 유메치카라 등 6개
품종, 중력분용(비스켓, 일본과자류) 지역별 맞춤품종 보급으로 자급률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다.
미국과 캐나다, 호주는 품질 균일도 향상을 위해 지역별 Class를 지정하고 대규모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밀 품종개발에도 디지털육종 시스템을 구축하여 세대단축을 위한 Speed
breeding(호주)이나 핵심집단 구축 및 정밀 표현형(중국, 일본) 분석을 통해 표현형, 유전형
집단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밀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밀기울 활용 GABA 고함유 밀기울의
기능성소재 활용(중국), α/β-토코페롤 함량이 높은 영양분 강화 밀 육종(미국) 등 신소재 개발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3) (콩) 최신 육종기법 활용 다수성, 기능성 증진 품종개발
미국은 다국적기업을 중심으로 재해 안정성이 높고, 다수성, 선충저항성이 있는 품종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Roundup Ready(몬산토), LibertyLink(이엘), Optimum GAT(듀폰) 등 LMO
기술을 이용한 품종을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다. 또한 기능성이 향상된 생명공학기술
(CRISPR/CAS9 활용)을 활용해 지방산・단백질 조성, 제초제 저항성, 병해충저항성, 수량성,
복합형질 개량(내충성+제초제 저항성) 등의 개량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최신
육종기술을 활용해 자국 최고 수량(635kg/10a) 다수확 품종인 ‘흑농71호’을 개발하였으며
(2019) 콩 자급률 향상을 위해 고지방・고단백의 초다수성, 내재해, 기계화 적응 품종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은 주로 내탈립성 증진 품종인 'Sachiyutaka A1 gou', 'Fukuyutaka
A1 gou' 및 'Enreinosora'을 개발하였다. 또한 자국에서 생산되는 콩의 소비촉진을 위한 제과원료용,
두유(무비린내), 디저트 등 실수요자 수요 반영 품종 개발 용도별 특화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4) (디지털농업) 데이터기반 ICT 접목 농업기술 개발・보급
와게닝헨대학연구센터(WUR, 네덜란드)는 전략계획(2015∼2018)의 8대 중점연구주제로 빅
데이터 활용기술을 선정하고, ICT 접목 연구를 중점 추진 중이며 세계 농업인공지능 대회 개최로
농업분야 인공지능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농업식품산업기술총합연구기구
(NARO)는 농업정보연구센터를 신설(2018)하고, 데이터 연계를 위해 산관학협의체를 설립・운영
(2017)하고 있다. 농업정보연구센터는 농업・식품분야 Society 5.0실현을 목표로 육종, 생산,
∙380 ∙
가공, 유통, 소비 푸드체인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농업 데이터 수집
플랫폼(WAGRI)을 이용해 생산현장에서뿐만 아니라 유통 및 소비단계에서도 데이터 기반 농업의
구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다국적 농업기업들은 향후 빅데이터가 농업 혁명을 주도할
것으로 보고 새로운 농업기술 개발에 주력 중에 있으며, 다양한 농기구, 기상, 국제 곡물시장
등 농업과 관련된 정보망을 연결・분석해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시장 상황에 맞는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벼) 밥쌀용, 가공용 등 용도별 소비자 중심의 품종개발
밥맛 중심의 품질개선, 토종유전자원을 활용한 식미향상 연구로 최고품질 벼 18개 품종이
전체 벼 재배면적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잡초벼 ‘완도앵미6’의 밥 윤기치 관련 qTV9
탐색 및 식미향상 계통선발을 선발하고 저장성 관련 효소(LOX-3 : 쌀 고온 저장후 고미취 관련
헥산알 저감효과) 결핍 계통 ‘전주624호’를 개발하였다. 가공용 쌀 원료곡 생산비 절감을 위한
수량성 증진 연구를 통해 통일형 초다수성 품종 수량성을 지속적으로 증진시켜 ‘한아름’(753kg/10a)
대비 2017년에 육성된 금강1호의 수량성은 817 kg/10a에 달한다. 또한 분자육종기술을 적용해
자포니카 유래 노화지연 유전자 SGRJP를 구명하고 SGRJp 도입, 인디카 벼의 등숙률(9%) 및
수량성(∼12%)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다양한 산업체 요구에 대응하여 가공용 쌀인 새미면
(쌀파스타, 7.1MT/ha), 새로미(쌀겔, 7.5MT), 한아름4호(막걸리, 7.9MT) 등의 품종을 개발하였다.
(2) (밀) 가공용도 다양화 및 기능성 품종 개발
유용 글루텐 단백질 질적형질 집적을 통한 초강력분 계통육성으로 강력분 전용 밀 품종 ‘백강’(2015),
‘황금’(2019)을 개발하여 보급하였다. 일반 밀 대비 영양과 기능성이 강화된 유색통밀 ‘아리흑’을
개발하고 기능성분 고함유 통밀 다양화 육종소재를 개발하였다. 국산밀 차별화를 위해 알레르기
저감 밀 품종을 육성하였고 밀 알레르기 유발 α, β, ω-글리아딘 단백질 결손 계통 이용 유용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알레르기원 결손 밀 ‘오프리’는 국내에서 산업재산권을 취득하고 유럽, 중국
등에서 국제특허를 출원하였고, 미국에서 국제특허를 등록하였다(2020.9). 또한 ‘오프리’의 면역
반응 평가 및 전임상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밀 육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유전자교정기법
(CRISPR–Cas9 등) 신육종기술(NBT) 활용 시스템을 구축하고 디지털 첨단 환경제어, Growth
room, Spreed breeding 기술 등을 적용하여 품종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381 ∙
(3) (콩) 소비자 수요를 반영한 형질개량 기술 개발 및 품종육성
용도별 다수성, 기계화적응 및 작부체계 적응 품종 개발을 위해 작부체계 적응 내탈립, 내병
다수성 두부용 ‘선유2호’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용도 증진을 위해 콩 비린내가 없는 ‘진품콩2호’,
‘미소’(식량원), 진양콩(경상대) 등의 품종을 개발하고, 소화억제 단백질 제거 품종 개발을 통해
무비린내 및 알레르기・소화불량 없는 ‘하영콩’(경상대)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소플라본 고함유
나물용 및 산업용 아가1호~아가10호를 개발하였다(경북대).
(4) (디지털농업) ICT 기술을 접목한 작물 생산・관리 기술 개발
국내의 디지털 작물재배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단계로 시설재배에서 센서측정, 공정자동화등의
스마트팜 개발과 식량작물 생산량 조기 예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인공지능, 드론
등 ICT 기술을 접목한 재배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상을 이용한 품종의 분류, 병해충
판별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밭작물 대상 자동 관개를 위한 스마트관개시스템(지중점적
관수)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자동수위조절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2) 향후 전망
식량작물의 육종목표는 생산량 증대에서 고품질, 기능성, 수요자 맞춤형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방식에서 디지털육종기술의 실용화를 통해 효율적으로 맞춤형 종자개발이 가능해
지고 있으며 소비자 취향에 맞는 품종개발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또한 코로나 19의 확산 지속으로
식량확보 여건 불안정성 심화 및 곡물 자급률 하락에 대응한 식량안보를 위한 초다수 품종에
관한 연구 요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가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작물 재배관리 자동화를 위해 노지(식량작물 재배지) 디지털농업
기술의 현장적용이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작물 재배지 자동관수시스템 적용이 확대
되고 디지털 트랩을 활용한 주요 해충의 자동예찰 시스템을 개발하여 노력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영상분석기술의 개발과 인공지능을 활용해 작물의 생육을 자동 진단하여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생산량을 조기에 예측하는 기술 등 디지털농업 기술의 적용범위가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382 ∙
원예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세계 농식품 시장에서 국가 간 경쟁은 심화하고 생산 환경은 급속
하게 변하고 있다. 나고야 의정서에 의한 ‘유전자원의 접근・ 이용 및 이익 공유법률’시행
(2018년)으로 종자 등 생물 주권 및 생물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각국의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으며, 농약 허용물질관리제도(PLS, 2018년 12월 31일)로 친환경 안전농산물 생산 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상 발생 빈도 및 강도의 증가는 기후 취약산업인 농업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그 영향이 현실화되고 있고, 가뭄, 냉해 등 재해로 인한 세계 곡창지대의 피해는 글로벌 식료공급
체계의 위기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아열대 작물 재배지대의 지속적인 북상으로 일부 호냉성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이 저하되고 있다. 한편, 삶의 질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건강・휴양 등에
대한 욕구는 확산・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농업・농촌의 발전에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장 중심의 혁신성장기술의 개발과 보급으로 농업인과 국민이 함께 잘 사는
원예특작산업의 구현을 위해 수요자가 원하는 현장 애로기술을 해결하고 현장에서 농업인이
사용하고 있는 우수기술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과 표준화 등 현장 중심의 보급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미래대응을 위해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농업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바이오 신성장 산업의 육성을 위한 미래 대비 연구개발을 강화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미국 농업연구청에서는 원거리 센서를 장착한 무인항공기를 농업에 활용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예측하고, 작물에 필요한 관수량, 병 진단을 위한 이미징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작물의 표현형 분류를 통해 과수 전정(가지치기) 로봇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농업용 로봇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대만은 감귤 황룡병이 1951년 처음 보고된 이래 감귤 산업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고자 감귤 무병묘의 생산과 보급, 황룡병 전염 매개충이 감귤나무이의 적극적인
방제, 그리고 조기 진단기술을 통해 황룡병 확산 방지에 대처하고 있다. 미국 농업연구청에서는
황룡병 내성 교배종의 맞접 및 육종을 이용하여 저항성 감귤 품종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383 ∙
나) 국내동향
(1) 농업현장 애로기술 해결
수요자의 다양한 소비트렌드를 반영하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원예특용작물의 신품종 육성과
보급에 노력하였다. 국산 자급률의 제고를 위해 양파의‘목포 36호’등 24품목에 대해 33계통을
육성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품종에 대한 보급의 확대를 위해 신품종 보급 48품종(채소 12종,
과수 25종, 화훼 7종, 버섯 4종)을 대상으로 77개소 364ha의 거점단지를 조성하였다. 또한
대형마트를 통한 판촉행사와 경매사 마케팅지원단을 대상으로 11품목 15품종에 대해 홍보 등
판매지원에 노력하였다.
원예작물의 수확 후 관리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수출용 딸기의 선도유지를 위한 일관체계확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예냉과 기능성 MA 포장 등 복합처리기술의 적용을 통해 딸기의 선도유지
기간을 9일에서 13일로 연장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산채의 선도유지 유통시스템 개선을
통해 신선도 유지기간을 1.5주에서 2〜3주로 연장하였고 상품화율을 5.6배 향상시켰다.
양파 ‘목포 36호’ 대형마트 판촉행사 딸기 기능성 포장재 인삼2중구조하우스홍보용 책자
[그림 3-62] 농업현장 애로기술 해결
이상기상에 대응하고자 폭염 등 고온 극복 대응연구 강화를 위한 재배기술 실증과 시설하우스를
개발하였다. 인삼에서는 고온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2중 구조 하우스와 피복재를 개발하여 여름
고온기에 관행에 대비하여 최고기온을 4℃(30℃→26℃)로 낮추어줌으로써 인삼의 생육을 양호하게
하고 뿌리의 무게를 28% 높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여름 고온기에 시설재배가 어려운 상황에서
사계절 재배가 가능한 재배기술을 실증하고 보급형 모델을 개발하였다. 사례로 딸기, 파프리카,
토마토 등 작물 재배 실증을 통하여 농가 보급형 모델 6종 설계도서(설계도, 시방서, 자재내역)를
제시하였다.
(2) 소득향상 및 노지 디지털농업
수출용 국산 품종에 대한 무병묘를 농가에 보급하고 수출단지에 기술지원함으로써 소득향상에
노력하였다. 화훼작물인 국화, 심비디움 등 2작목 7품종에 대하여 12만 4천주의 무병묘를 보급
∙384 ∙
하였으며, 국화 수출단지에서는 71만 본을 일본으로 수출하는 데 농업 기술지원을 추진하였다.
아열대 및 열대 작목의 육성기술 확립을 위해 아열대 자원 57종과 차 자원 450종을 도입 평가
하였다. 신소재 개발로는 인삼의 뼈 건강 기능성원료 등록(고시형)을 완료하고, ‘인지기능 개선
잇꽃씨, 흰민들레’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전(1억 3천만 원)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작물의 바이러스
감염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러스 진단키트 18종(채소 16종, 화훼 2종) 18,967점을
전국에 보급하였다. 노지 사과원의 정밀생산기반 조성을 위해 스마트 기계화 자동화 테스트베드
3,409m2을 조성하여 관수자동화, 무인병해충 방제, 기계전정, 빅데이터 수집 등 디지털 기반
확충에 노력하였다.
수출용 호접란 묘 인삼 ‘뼈 건강’ 홍보 바이러스 진단키트 사과원 기계전정
[그림 3-63] 소득향상 및 노지 디지털농업
2) 향후 전망
이상기상, 고령화, 소득 불안정 등 농업과 농촌의 상존위기와 함께 코로나 19, 4차 산업혁명
확산 등 거대변혁의 뉴노멀 시대가 도래하였다. 감염병에 대한 우려는 생활반경, 사회적 네트워크를
축소시키는 반면 면역력 증강, 온라인 유통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켜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되며,
도시민의 의식조사 결과(2020.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코로나 19 이후 친환경 농산물 구매량이
증가했다는 응답 비중이 코로나 19 이전보다 높아져 향후 친환경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ICT와 BT 등 융복합 기술 활용으로 농산물 생산과 관리의 효율 증대와
농업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해 디지털 정밀농업이 노지재배를 중심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축산
축산연구는 가축을 사육하여 사람에게 고기, 우유 및 계란 등 육단백질을 공급하기 위한 연구
중심으로 가축 생산성 향상 및 생산물의 품질 제고 등의 기술 개발을 주로 담당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 많은 분야에서 이슈의 중심이 되면서 생산 위주의 기술개발에서 환경친화적이고 첨단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생산하기 위하여 ICT 및 빅데이터 활용 디지털 축산 기술
∙385 ∙
개발, 축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가축분뇨 배출, 미세먼지 저감 등 축산환경 개선, 축산물 안전
생산 및 관리, 가축 유전체 및 미생물 활용, 동물복지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ICT 기반 디지털 축산 연구
축산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네덜란드, 덴마크, 벨기에 등과 같은 EU 국가들의 경우 정밀축산
(Precision Livestock Farming)의 개념을 일찍이 정립하고 ICT 및 데이터 기반 정밀 가축관리
기술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의 경우 축사 내부 온도, 습도, 열
환경, 분진, 가스 등의 미기상 관련 요소들을 정밀관리하기 위한 환경제어 등에 집중되었다면,
최근에는 동물복지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정보통신기술(ICT) 장치를 활용하여 가축의 행동과
발성음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건강, 이상 징후 탐색, 동물복지 평가 등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행동영상 및 발성음 데이터를 통한 가축 정밀관리로 동물복지 뿐
아니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2) 축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연구
세계 식량기구(FAO)에서는 기후변화 극복과 식량 안보에 있어 축산업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
소비자와 생산자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국가(지역)별 상황에 따른 대응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축 사육을 위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농경목축(Agropastoral,
re-coupling system) 등 방목・초지・탄소와의 유기적 관계를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 강도를 완화
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 심화 및 이상기상현상의 빈발에 따른 가축 피해
경감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3) 가축분뇨, 미세먼지 등 축산환경 개선 연구
1972년 체결된 런던협약에 따라 가축분뇨의 해양 배출이 금지되면서 지금까지 환경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함께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전에는 가축분뇨의 수분함량 및 부자재 종류에
따른 이화학 특성 분석 연구가 주였던 반면, 현재에는 토양환원 및 기타 환경적인 문제 등을
고려한 에너지 생산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유럽에서는 가축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386 ∙
생산 및 효율개선 연구를 진행 중이며,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는 기존 퇴・액비화 공정
중 양분 부하 문제 해결을 위해 분뇨에서 질소(N)나 인(P) 등을 회수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축산분야에서 대다수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진 암모니아는 대기 중 질산화물 및 황산화물과 반응하여
2차 초미세먼지(PM2.5)를 형성하는 주요 발생원이다. 이에 대기 중 암모니아, 질산화물 등이
초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넓은 지역에서의 장기간 측정 및 연구의 수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4) 축산물 안전 생산 및 관리 분야 연구
4차 산업혁명 신기술(블록체인) 기반 식품 공급망 추적 시스템 도입 시도가 글로벌 식품유통기업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유럽 최초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까르푸(Carrefour, 프랑스)는
식품 전단계(생산, 가공, 유통)를 이르는 이력 추적을 통해 제품의 유통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식품안전망을 구축하였다. 2019년 닭고기, 달걀, 신선유, 돼지고기,
치즈 등을 포함한 제품에 대해 블록체인 활용 식품 추적 시스템을 개시하였으며, 닭고기 등을
포함한 일부 품목은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Carrefour News, 2019.6.). 네슬레(Nestle, 스위스)는
지난 3년 동안 유아용 분유, 팜유, 커피 등 블록체인 플랫폼 적용 품목 다양화 시도하였으며,
2019년에는 농장(뉴질랜드)에서 공장(중동)에 이르는 우유 유통과정을 추적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시행하였다. 이 외에도 프랑스 식품업체인 에이브릴 그룹(Avril group)은 달걀, 에콰도르 낙농생산
업체인 엘 오르데뇨(El Ordeño)는 유제품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QR코드가 포함된 제품
패키징을 재출시하였다(Avril Press releases, 20.2.4.; Blockchain Magazine, 20.4.). 이
시스템을 통해 식품공급사슬 프로세스 최적화, 신선도 유지, 식품안전 개선 및 비용 최소화 등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New Food, 2020.5.).
(5) 가축 유전체 및 미생물 연구
최근 유전체와 후성유전체, 전사체, 대사체, 단백체 및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유전체 자료
(Multi-Omics Data)를 통합 분석・해석하기 위해 기계학습, 딥러닝 알고리즘 활용 연구들이
수행 중이며, 유전자 수준의 기능 연구를 위해 가축의 생산능력, 질병과 연관된 유전자를 편집
(Genome-editing)하여 산업화하려는 시도가 있다. 또한 대규모 신규유전체 해독 1000개 주요
동식물 참조유전체 작성 프로젝트(2010년 1000 Plant & Animal Reference Genome
project) 진행과 더불어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와
EBI(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에서는 진행생물에서 해독이 완료된 유전자의 기능정보
수정과 신규 유전자 예측 연구도 별도로 진행 중이다. 대량으로 생산되는 유전체 정보에 대해
∙387 ∙
멀티오믹스 분석 기법과 활용을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장유전체 NGS기반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신규 미생물 대량 발굴, 장내미생물 군집과
가축의 생산성, 건강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거대 연구그룹 위주로 수행하고 있다. 로슬린
연구소에서는 최근 닭의 맹장 내 미생물의 전장유전체 서열분석을 통해 469개의 초안 미생물
유전체를 대량 발굴하였으며(Genome Biology, 2020), 미국과 유럽은 가축의 건강 개선 및
사료효율을 높이는 방안들을 논의하고 있으며, 와게닝헨대학연구센터(WUR, 네덜란드)는 오믹스
기술을 통한 상호작용 구명, 소장내 방어기작, 프로바이오틱스와 숙주간의 상호작용 등 6개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돼지의 성장 및 지방 형성(Nature, 2020), 사료효율
(Frontier, 2020)과 장내 미생물군 간의 상관관계 규명 등 난배양성 축산 미생물들에 대한 NGS
기반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6) 동물복지 환경 조성 연구
2000년대 이후부터 UN에서는 동물복지의 의무를 선언하였고 OIE(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는
동물복지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권고하는 등 세계적으로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국을 포함한 EU에서는 가축의 건강과 관련한 가축관리와 시설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농장동물의 복지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동물복지
의 가치와 축산농가들의 적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동물복지와 관련한 법률 강화와 더불어 소비자들의 적정 지불과 편익에 대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ICT 기반 디지털 축산 연구
현재 국내 축산분야 스마트팜을 구성하는 각종 ICT 장치들의 경우, 독자적인 통신망과 통신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장치 간 상호 운영이 어렵고, 데이터의 형태와 수집 주기, 규격이 상이하여 빅데이터,
인공지능으로 점철되는 2세대 스마트팜 연구 기반 조성에도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데이터의
종류, 수집 주기,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개방형 제어 개념을 도입하여 양방향 통신 및
제어를 위한 기반 기술의 개발 및 적용 중에 있다. 이를 통해 단일의 통합 제어기를 이용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따르는 장치들을 한데 모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수집 및
전송 과정 또한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요구되는 관련 장치 H/W, 데이터 규격, 통신방식에
대한 표준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88 ∙
(2) 축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연구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따라 농축산 분야 7.9%(19백만톤 CO2eq.)감축을 목표로 수립
하였으며, 신(新)농업 기후변화대응 농업연구개발 2단계 사업(2020~2027)에 착수하였다. 이에
따라 축산부문 기후변화 실태조사 및 영향・취약성 평가, 이상기상의 예측 및 평가, 기후변화에
대응한 축산물 안정생산기반 마련, 가축 장내발효와 분뇨처리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저감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3) 가축분뇨, 미세먼지 등 축산환경 개선 연구
국내 가축분뇨 연구는 국내 환경적인 정책에 발맞춰 기존 공정을 높이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2020년 3월 25일에 시행된 ‘퇴비부숙도 검사 의무화’에 발맞춰 부숙도 측정 기술을
개발하거나, 수직종형 퇴비화 장치(콤포스트)를 활용한 퇴비화 생산 기술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기존 가축분뇨 에너지화 연구의 단점인 에너지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분해 공정을
통한 합성가스 생산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축산 분야에서의 미세먼지 등 대기질 연구는 2019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현재는
주로 과거에 산정된 축종별 노후 암모니아 배출계수의 재산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양돈 사육 지역에서의 대기질 특성 평가 등의 연구도 진행 중이다. 최근, 육성돈
및 비육돈의 암모니아 배출량 재산정 연구를 통해 배출계수가 각각 5.27, 7.28 kg-NH3/animal
으로 개정되었다(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배출량 관리위원회, 2020. 7.).
(4) 축산물 안전 생산 및 관리 분야 연구
살충제 계란, 케이크 식중독 사건 등 식품안전 사고가 계속 발생하면서 HACCP(식품안전관리
인증) 제도의 내실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식품안전
관리와 식품생산 경제력 강화를 위해 식약처는 smart HACCP 시스템 구축을 2019년 중점
추진과제로 추진하였다. 2020년도에는 중소규모 업체를 중심으로 ‘스마트 공장 구축 사업’ 연계
smart HACCP 기반 스마트 공장 구축 사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국내 11개 업체에서 시스템을
도입하였다(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2020). Smart HACCP 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HACCP 종합관리시스템으로 수기로 기록하던 각종 기록일지 데이터를 디지털화
하고, 중요관리점(CCP)과 주요공정의 모니터링을 자동화함으로써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389 ∙
(5) 가축 유전체 및 미생물 연구
국내에서는 재래가축의 표준유전체 해독이 201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재래
가축의 경제형질과 연관된 유전자 및 유전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다양한 구조적 변이, 유전자
발현, 집단 유전체 해독 등이 수행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경제형질, 질병과 같은
다양한 표현형 예측을 위한 유전자 칩 개발 등의 바이오 빅데이터 생산 및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의 빅데이터센터 및 플랫폼 구축 계획에 따라 축산의 대량 오믹스 데이터를 통합하여
분석하고 고도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생물 신소재 개발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이 주요 가축들을 대상으로 수행 중이다. 16S rRNA 서열분석 정보의 미생물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영양, 성장, 질병 등에 따른 미생물체 군집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 사업에서, 농림축산식품 미생물유전체 전략연구사업을 통해 경제/반려동물 악취
개선 및 면역증강용 미생물제제 개발, 질병관리 등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6) 동물복지 환경 조성 연구
정부의 환경친화적 축산 및 동물복지 강화를 위해 ‘동물복지 5개년 종합계획(2020~2024)’을
추진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동물복지 향상 요구가 높아짐으로 인하여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중소가축(돼지, 닭)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는데
대부분 동물복지 인증농가에 대한 실태조사 및 사육시설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사육시설 관련 연구는 동물복지와 국내 사육여건을 고려해서 대체 사육시설을 개발하고 적정
사용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일부에서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사회적 인식전환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며 동물복지 수준평가 및 교육에 대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2) 향후 전망
새로운 첨단 기술과의 융・복합, 축산 환경 및 동물복지 기반 구축 등 앞으로의 축산연구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으로 빠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부터 수행되는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촌진흥청의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2세대 스마트팜 도입을 위한 R&D 및 실증 연구 사업이 실시될 예정이고,
2025년 유전체 데이터는 바이오 연구데이터와 함께 빅데이터 시대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되며
2025년에는 연간 약 2,000PB ∼40,000PB의 유전체 데이터 저장 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390 ∙
있다(PLOS biology, 2015). 70개국에서 5,054개의 바이오 빅데이터가 개발되어 운영 중이며,
한국은 123개의 바이오 데이터베이스가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중국 NGDC(National
Genomics Data Center)의 Database commons에 따름). 또한, 미생물과 숙주 동물 간의
상호작용을 구명하는 연구의 중요성은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정 KPMG ‘마이크로바이옴이
몰고 올 혁명’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도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투자금액은 3억 7,100만
달러(약 4,300억 원)로 2013년(3,100만 달러)보다 약 12배로 증가했다. 그린바이오 산업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부문 투자를 2.9조원(2019)에서 7.3조원(2030)으로 확대하여 앞으로도 마이크로
바이옴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온실가스 발생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개선하기 위하여 2050
탄소 중립(Net-zero) 선언에 따라 축산 분야에서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탄소 흡수량을
늘리는 기술 개발 필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 가축분뇨를 활용한
에너지화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므로 국내에서도 이 점에 주목하여 효율이
높은 친환경 에너지 생산 기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식품
식품산업 경제구조 변화의 흐름은 1세대 사냥 및 채집, 2세대 농업, 3세대 대량생산 시대를
거쳐 4세대 개인 맞춤형 스마트식품 생산 시대로 전이되어 나갈 것으로 예측되며, 이를 위해서는
자동화를 통한 생산 효율성 증대의 중요성과 함께 사용할 식품원료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 필수적으로 도래하고 있다. 다수의 불특정한 보편적 영양소 공급의 차원을 넘어서
개인별 생활습관 및 유전 차이, 건강상태와 긴밀하게 연동된 식품 제공에 대한 수요자로부터의
요구가 예상된다. 따라서, 식품의 연구개발과 제품화는 소비자 의식 및 산업 구조와의 밀접한
상호작용에 기반하고 있다.
세계화, 디지털화, 도시화 기반의 인류를 위한 지속적 기술개발의 보편적 메가트렌드는 지구가
제공해줄 수 있는 역량과 환경에 대한 위협 요소를 고려하여 방향 설정되어 가고 있다. ‘당신이
섭취하고 있는 식품이 곧 당신’이라는 의미가 단순히 개인의 식품 자체에 대한 느낌을 넘어서서,
환경에 대한 염려, 공정한 생산 및 거래 방식, 삶 자체에 대한 기회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는
곧 식품 연구개발 분야의 현 트랜드 및 전망에 현실감 있게 반영되어 가고 있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391 ∙
* 출처: Food Economy 4.0, VVT; http://www.vtt.fi/inf/pdf/visions/2017/V10.pdf
[그림 3-64] 식품시스템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메가트렌드와 식품 특징적 트렌드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건강과 웰빙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소비자의 성향은 식생활 습관의 변화를 야기하여
영양소 공급을 통한 열량 섭취의 중요성로부터 식품의 품질과 성분에 대한 의식을 높여주는
방향으로 전이되었다. 과도한 열량의 섭취는 비만, 당뇨 등 생활형 질환에의 노출 가능성을 증대시켜
식품산업계 및 정부 기관의 대응을 필요로 하였으며 저열량 식품 유형 시장의 성장과 함께 설탕세
부과를 통한 규제를 통해 설탕 섭취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글로벌 대체감미료 시장규모는
연평균 6% 이상의 성장세(2018년~2022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대체감미료 시장규모는
2018년 63억 5,000만 달러에서 2022년 81억 787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선진국 중심의 신규 대체감미 핵심소재의 발굴 및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 출처: aT, ‘글로벌 감미료시장 트렌드 및 수출전망’(2020)
[그림 3-65] 해외 대체감미료 관련 제품현황
∙392 ∙
또 다른 활성화된 연구개발 분야는 채식주의 및 비거니즘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대두된 육류 및 유제품의 대체가 가능한 단백질 원료의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제품개발이다.
단순한 식물성 단백질의 농축 가공을 통한 영양소의 공급 차원을 넘어 육류와 비슷한 질감을
모사할 수 있는 가공기법의 연구개발은 바이오리액터를 활용한 생체조직공학과의 접목에 이르 고,
최근 푸사리움(Fusarium) 곰팡이 유래 발효 단백질 제품의 연구개발이 완성 단계에 도달했다.
이는 전통적으로 수평적인 식품 생산 시스템이 고밀도로 집적화된 수직적인 생산 방식으로의
전이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환경오염에 부담이 되는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 국내동향
국내의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건강 및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추이에 따라 차세대
대체식품, 메디푸드, 고령친화제품, 건강기능식품, 포스트바이오틱스 분야를 중심으로 농・식품
분야 연구개발 및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식품의 개인 맞춤형 산업으로의 진화는 보편적인
기호성 증진, 건강지향형 제품 개발을 넘어 선별적인 개인별 기호도 및 연령, 건강 수준을 파악하고
제공 가능한 수준으로 넘어서고 있다. 2019년 12월에 최근 식품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반영하여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분야를 발굴・육성 및 혁신적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식품산업 전체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여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하였다. 인구 구조, 소비 및 유통 트렌드 분석을
토대로 사회・경제적으로 중요한 5대 유망분야로 ① 메디푸드(Medi-Food), 고령친화식품, 대체
식품, 펫푸드 등 맞춤형・특수 식품 ② 기능성 식품 ③ 간편식품 ④ 친환경 식품 ⑤ 수출 식품을
선정하고 제도 정비 및 규제 개선, 연구개발 지원 등을 포함한 분야별 대책과 함께, 전문인력
양성, 민간 투자 확대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2020년 말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스마트농수산업 확산을 위한 그린바이오 연구개발 투자효율화 전략을 발표하고
생명자원 중심의 그린바이오 육성과 함께 생산, 유통, 소비 관련 공백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투자 방향을 수립하였다. 3대 전략 중 하나인 핵심기술 개발 및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측면에서는
제조 장비 측면의 연구개발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와 함께 산업 현장에서 겪고 있는 식품소재
연구개발 내용과 산업적 적용 수준과의 괴리감을 인식하고 수입의존도가 높은 소재에 대한 전략적
방향으로의 기반기술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체감미소재에 대한 지속적 연구개발 및 산업화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설탕을
대체할 감미소재로의 전이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천연추출물 기반의 고감미소재와 생물전환기법을
통한 당질계 감미소재의 커다란 두 축을 중심으로 재편되어 가고 있다. 현재 대체감미소재에
∙393 ∙
대한 연구 및 제품 개발은 국내 식품산업계의 전략적 미래 먹거리 소재이며, 국가 R&D사업
분야에서도 기술개발 및 제품화 분야의 연구 수행 중으로 최근 5년간 연관 과제 검색 결과 122건이
확인되었다(NTIS 2020.11.19. 기준)67)
연구개발이 활성화된 또 다른 분야로써 글로벌 연구개발 추세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프리&프로
바이오틱스, 이들의 조합인 신바이오틱스를 넘어 장관미생물의 대사물질 및 사멸된 균체의 생리적
기능성을 담은 포스트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가고 있다. 전방위적인 기초 및 응용연구를
통해 장내 환경 개선, 심혈관 질환 예방, 뇌 인지능 개선, 피부건강 개선 효능 등의 연구 결과
및 이들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제품 개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68)
2020년의 특수한 상황으로써 코로나 19 발생과 확산은 가정간편식(HMR)과 함께 간편대용식
(CMR)에 대한 관심이 집에서 식사하는 사람들의 수의 증가와 함께 수요의 급증으로 영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우수한 품질의 제품 개발에 대한 국가 R&D사업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개발이
미진한 상황으로 최근 5년 간편대용식 연관 과제의 검색 결과 4건으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NTIS 2020.11.19. 기준)6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2020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농림식품 분야 연구개발
(R&D) 성과 중 식품 분야에서는 “영양과 식감을 개선한 고령자 맞춤형 기호식품 개발” 과제가
식재료 본연의 외관, 성상 및 다즙성을 유지하면서도 숙성 없이 간편하게 식감 연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연화 효소에 증점제와 변성전분 등을 더해 고령자 맞춤형 식품을 개발하여
상품화한 내용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고령식 맞춤형 제품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식품연구개발 분야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의미가 크다.
2) 향후 전망
식품분야의 새로운 당면과제는 세계적으로 식품시스템이 지구 생물다양성 손실의 60%, 온실가스
배출의 24%, 토양 황폐화의 33%에 해당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에 시사점을
갖고 있다. 소비자 개인의 맞춤형 제품 제공과 함께 가치 기반의 소비자 성향의 등장은 지속
가능한 생산기술의 도입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원료로써 생물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소비를 위한 연구와 지구 환경 보존에 악영향을 끼치는 과도한 플라스틱 용기 사용
제한 및 대체 친환경 용기 개발 등은 대표적인 미래 식품기술개발 분야로 확립되어 갈 것이다.
67)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정책개발팀, 대체감미료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20.11.17.
68)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포스트바이오틱스 산업・기술 동향, IPET Issue Report, 2020.08.
69)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정책개발팀,간편대용식(CMR) 산업 현황 및 시사점, 2020.11.12.
∙394 ∙
5. 산림
산림과학기술 R&D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2018~2027)’에 따라 추진된다. 2018년에 ’제2차 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이 국가과학
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기본계획에 따라 ‘산림과학기술로 경제산림・복지
산림・생태산림’ 실현의 비전을 달성하고자 8대 핵심과제의 빠짐없는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림과학기술 R&D는 산림청의 출연 연구개발사업과 소속 연구기관(국립산림과학원, 국립
수목원)의 고유 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산림청이 산림과학기술 분야 R&D를 총괄
하고 있으며, 한국임업진흥원이 연구관리 전문기관으로서 역할하고 있다. 고유 연구개발사업은
기초・원천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출연 연구개발사업은 응용・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소속 연구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이 ‘성과 이어달리기’를 통해 출연 연구개발사업으로
연결되어 실제 국민 삶에 가깝게 연계되는 실효적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1) 주요 성과
가) 예산
2020년 산림청 소관 17개 R&D 사업의 총 예산은 1,289억 원으로 2019년 1,189억 원
대비 8.6% 증가하였으며, 소속 연구기관의 인건비 등을 제외한 주요 R&D 예산은 전년 대비
10.1%가 증가한 1,049억 원으로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산림청의 출연 연구개발사업은 계속
과제에 181억 원, 신규과제에 168억 원을 지원하여 2019년의 신규과제 지원 예산 44억 원
대비 2.84배 증가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계속과제에 477억 원, 신규과제에 47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였으며, 국립수목원은 계속과제에 145억 원, 신규과제에 21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였다.
산림청과 소속 연구기관에서 2020년부터 신규로 추진되는 과제의 총 규모는 7개 사업에 대해
236억 원 규모이며, 특히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공백없는 연구개발 추진을 위한 사업 다각화
및 관련 예산 확보에 주력하였다.
나) 2020년도 신규과제 추진 대상사업
범정부 차원의 신기후체제 대응에 따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및 산림자원의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신기후체제 대응 연구’ 사업에 대해 신규 10억 원을 확보하였다. ‘신기후체제 대응
∙395 ∙
농림위성정보의 산림활용 기반구축을 위한 검보정 기술 개발’ 등 신규 4개 과제를 추진하였다.
잠재가치가 큰 자생 산림생명자원의 고기능성・고부가가치 소재 활용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해
‘산림생명자원 소재발굴 연구’ 사업에 대해 신규 38억 원을 확보하였다. ‘국내 재배 신서란을
활용한 천연 통풍 섬유소재 개발’ 등 신규 22개 과제를 추진하였다.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대량 이용도 제고 및 목재문화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친환경
사회 구축을 위해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개발’ 사업에 대해 신규 48억 원을 확보
하였다. ‘스마트 목조건축 실현을 위한 중층 건축용 프리패브 전단벽시스템 개발’ 등 신규 23개
과제를 추진하였다.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 우수성과 기반의 기술 실용화・사업화・창업 지원으로 ‘기술자립→사업화
성공→매출 상승→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산림산업 생태계 혁신을 견인하기 위해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사업’을 신규 기획하여 51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였다. ‘우수 연구성과 후속지원’,
‘우수개발기술 제품개발・사업화 지원’, ‘산림산업 기술창업 지원’의 3개 내역에 대해 신규 30개
과제를 추진하였다.
지역특화 산림산업・서비스를 육성하고 인력수급 불균형 완화를 위한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및 신규 고용 창출 연계를 위해 ‘산림융복합 전문인력 양성’ 사업에 대해 신규 23억 원을 확보하였다.
2020년에는 ‘산림산업 특화 연구지원’을 위한 4개 센터를 지원하고 ‘대학(원)생 창의도전 아이디어
연구지원’ 신규과제를 추진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의 계속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산림과학연구’를 통해서는 ‘산림생태계 서비스
및 보전・복원 연구’, ‘숲 기반 산림복지 연구’, ‘국제 및 남북 산림협력 연구’, ‘산림생명자원
이용 임업소득 증대 연구’, ‘목재 생산 및 이용기술 연구’ 등 내역사업에 신규 47억 원을 투자하였다.
국립수목원의 계속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산림생물종 연구’를 통해서는 ‘산림생물자원 조사
및 보전・활용’, ‘독성산림생명자원 DB 구축’ 등 내역사업에 신규 21억 원을 투자하였다.
다) 제도 개선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산림・임업 현장애로 해결 등을 위해 노력하였다.
먼저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대외 경쟁력을 제고하고 산업계의 현장문제 해결을 강화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먼저 상향(bottom-up) 방식의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산림산업계의 현장애로 해결을 위한
‘현장눈높이 R&D’를 강화하였다. 2019년에 추진된 ‘국민참여 R&D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396 ∙
문제해결형 R&D 과제를 발굴했으며, 수상 6개 아이디어를 산림과학 R&D 사업의 2020년도
신규과제에 반영하였다. 또한, 임업인・산림산업체 참여 연구과제에 대한 가점을 확대・운영하였다.
기존 임업인 1%, 산림산업체 2%였던 가점을 각 1%포인트 상향 조정하여 참여 확대를 유도하였다.
‘R&D 청원제도’를 통해서는 임업인 100인 이상이 동의한 과제를 우선 반영토록 하였다.
라) 산림과학기술 분야 저변 확대
국민 생활문제 해결형 R&D를 강화하고 부처 간 협력 연구 강화를 통해 산림과학기술 R&D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노력하였다. 미세먼지 R&D 사업의 조기 성과창출을 위한 ‘미세먼지 대응
도시숲 연구개발 협의회’를 발족(2019.8.)하여 운영 중으로, 이를 통해 도시・대기・산림 분야
등 융복합 협업이 강화되었다. 또한,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국가 R&D를
추진하는 17개 부처 및 17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의 심의를
거쳐 산림 재난재해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연구사업에 대한 다부처 공동기획을 추진하고 산불
대응과 관련한 Fast-Track형 과제를 추진하였다.
또한, 산림과학기술 분야의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숙원사업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고 예비
타당성조사 규모의 대형 사업을 기획하였다. 그간 산림청에서 추진하지 못했던 우수 연구성과의
후속 지원, 우수개발기술 제품 개발 및 사업화와 기술창업 지원을 위한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2020~2024)’ 사업을 최초로 추진하게 되었다. 더불어 플라스틱 대체재 개발 등 목재의
첨단 소재화를 통해 영세한 목재산업계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국내 목재문화 활성화를 위한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개발(2020~2024)’ 사업이 신규 추진되었다. ‘첨단 산림
생명공학기술 개발사업’은 산림청에서 최초로 추진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산림생명
자원의 탐색・확보, 첨단 공급기반 구축, 소재 활용기술 개발 및 산업화 지원의 내용으로 기획하여
예비타당성조사 관련 심의가 진행 중에 있다.
마) 주요 성과
소속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국가 산림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연구기반을 구축하는 등 기초・
원천 성과를 도출하고 성과이어달리기를 통해 응용・개발 단계의 연구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산림생명자원 신종 및 미기록 종은 최근 5년간 총 405종을 발굴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초・원천
성과를 기반으로 바이오슈퍼커패시터용 활성탄 개발, 고품위 발전연료 생산기술 개발 등 산업화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세계 최초로 나노셀룰로오스 이용 ‘차세대 리튬-황 종이배터리’를 개발
∙397 ∙
하였으며, 기존 배터리 대비 35배의 가격을 절감하고 용량 2배, 수명 3배, 유연성 2.5배의 고성능을
발현하였다. 또한,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소나무 임목 육종기간을 30년 단축하고 국내
최고 높이 19.5m의 목조건축물을 축조 실현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
2) 향후 계획
2021년 산림과학기술 22개 R&D 사업 예산은 1,493억 원으로 2020년 1,289억 원 15.8%
증가했다. 산림청 출연 연구개발사업은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해결형 연구개발’, ‘스마트
산림경영 혁신성장 기술개발’,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 ‘다부처 국가생명
연구자원 선진화 사업’ 등 신규사업을 적극 기획하여 관련 예산을 확보했으며, 소속 연구기관에서
도 ‘농림위성 융합 지능형 산림특화정보 기반연구’ 등 사업 다각화에 노력하고 있다.
산림과학기술 R&D 분야의 양적인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향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도출을 위한 질적 성장에 더욱 매진할 예정이다. 또한, 산림청과 소속 연구기관(국립산림
과학원, 국립수목원)의 긴밀한 협업 및 역할 분담을 강화하여 기초・원천 연구와 응용・개발 및
산업화 연계 연구개발의 단계별 연구성과 창출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더불어
연구관리 전문기관인 한국임업진흥원의 역량을 강화하여 예산투자와 집행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연구과제의 전주기 관리 강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산림생명공학은 산업적으로 유용한 생산물을 만들거나 생산공정을 개선할 목적으로 산림생명
자원의 생물학적 시스템, 생체, 유전체 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을 연구・활용하는 기술개발
분야이며, 산림생명공학기술은 바이오의약, 바이오화학, 바이오식품 등의 다양한 바이오산업
분야의 원자재 또는 소재로써 활용되는 산림생명자원을 개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세계 각국은 생명산업을 21세기 바이오 경제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요소로 판단하고 국가전략
신산업으로 선정하여 생물유전자원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기능성 생명산업의 빠른 성장에
따라 그 원천이 되는 우수 생명자원 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생물다양성협약(CBD)과
식량농업기구(FAO) 등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산림생물자원을 포함한 생물다양성에 관한 보존과
∙398 ∙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제10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생물다양성 전략목표(아이치타겟, Aichi Target, 2011~2020)가 종료됨에 따라 Post
2020 세계 다양성 프레임워크(GBF,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를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0년 제15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Post 2020
GBF는 2018년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개최된 생물다양성 협약 제14차 당사국총회에서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주제로 제시된 ‘2050 비전’을 목표로 준비되고 있는 사안으로, 생물다양성
체제 이행을 위하여 보다 실현 가능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11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제23차 생물다양성협약 과학기술자문부속기구(SBBSTA) 회의
에서는 Post 2020 GBF 개발을 위하여 생물다양성 관련 과학기술 근거에 기반한 정보 제공에
관하여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제2차 Post 2020 작업반회의(OEWG, Open-ended Working
Group) 등이 지속될 예정이다.
산림 수종은 산림생물자원의 주체가 되는 구성요소로서 세계적으로 80,000~100,000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산림 수종에 대한 기본적인 식물학적 정보는 국가별로 상이하나,
대략 8,000종의 산림 수종이 목록화 되어 있으며, 2,400종이 생산목적(목재, 42%; 비목재 임산물,
41%; 에너지, 19%)에 따라 활발히 관리되고 있다. 그 중에서 단 500~600종에 대해서만 유전자
수준의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상황이다.
2018년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인 빌 게이츠의 “세계를 바꾸게 될 세 가지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매 치료제 그리고 면역항암제”라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발표 이후 많은 글로벌 기업은
마이크로바이옴을 10년 후 미래 생명산업의 먹거리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한
생명산업 선진 국가들은 10여 년 전부터 범국가적인 대형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2019년 811억 달러에서 2023년까지 5년간 연평균 7.6%
성장하여, 1,086억 달러(한화 약 130조 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국가별 시장 규모로는
북미지역 약 389억 달러, 유럽 약 252억 달러, 아시아 약 162억 달러로 추정되었고 각각 연평균
6.5%, 7.5%, 10.2%씩 증가면서 2023년에는 약 500억 달러, 약 337억 달러, 약 239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나) 국내동향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산림은 우리나라 전체 생물자원의 92%가 서식하는 생물자원의 보고이다.
이러한 생물자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류의 미래 먹거리와 건강을 책임질 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바이오산업의 핵심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한 예로, 신종플루 치료제로 유명한 타미플루는
중국에 분포하는 팔각회양이라는 산림생물자원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만든 것이다. 기후변화,
∙399 ∙
인구증가 등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생물자원의 다양성이 전 세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생물다양성협약(CBD) 및 식물유전자원국제조약(ITPGRFA)이 체결됨에 따라 국가별로
생물자원의 주권 확보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생명산업의 시장규모는 연평균 14.2%로
빠른 성장이 전망되나 해외자원 의존도가 높아(약 70%)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산업계 부담
발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 기업의 주요 해외자원 수입 대상국인 중국이 유전자원 조례
초안을 마련(2017)하는 등 법적 규제가 강화될 전망이다. 따라서 국가 차원의 산림생물자원
확보 및 보존・관리 노력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바이오산업의 82.9%를 차지하고 있는 바이오의약(38%), 바이오화학・에너지(14.4%),
바이오식품(30.5%) 분야에서 산림생명자원은 ‘미래자원’으로써 잠재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생물자원에 대한 배타적 권리 이전과 해외 유전자원 접근
및 이용 시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는 것을 의무화한 ‘나고야 의정서’가 2017년부터 국내에서
발효되면서 다른 국가의 생물자원을 원료로 수입해야 하는 비중이 70%에 달하는 화장품, 식료품,
생명 산업계의 비용 부담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입지로 면적에 비해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아 산림 내 생물종은 2만여 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현재 그 중 1.5%인 300여 종만이 연구・산업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산림 자생식물로부터 기능성 식의약품, 화장품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산림생명자원 활용 산업화 대책이 바이오 원료의 해외 의존율을 낮추는 해결책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산림생명자원에 대한 기초정보 분석을 통해 효능 규명 및 소재 발굴 등 국가 산림생명산업
경쟁력 기반을 강화하고, 잠재가치가 큰 미활용 산림생명자원을 고부가가치 소재로 발굴하고
나고야 의정서에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원료의 안정적 공급 지원으로 바이오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2) 향후 전망
2018년 150만 종의 진핵생물 유전체 해독을 목표로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가 시작된
이후 유전체(Genome) 기술력 선점을 위한 각국의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미국은 오믹스 데이터
대용량 분석 및 상호작용 규명을 위한 생명정보 연구를 강화하고 있으며 ICT 기술 접목을 통한
융합기술을 개발 중이다. 2020년 유전자가위 기술의 노벨화학상 수상에 따라 기술력 선점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유전자편집 시장 규모는 2018년 4조 원에서 2023년 8조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2016년 식물의 유전체편집 연구 계획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농산업의 변화를 추진 중이며, 중국 국영화학 기업인 중국화공그룹(ChemChina)은 스위스 농약・
종자기업인 신젠타를 합병하여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옥수수의 내병성 품종 개발 등을 진행 중에
∙400 ∙
있다. 독일은 첨단기술전략 2025(HTS, High-Tech Strategy 2025) 수립하여 바이오경제 연구를
통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체계 수립을 가속화하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2019년 811억 달러에서 2023년까지 5년간 연평균
7.6% 성장하여, 1,086억 달러(한화 약 130조 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9년 국가별 시장규모
로는 북미지역 약 389억 달러, 유럽 약 252억 달러, 아시아 약 162억 달러로 추정되었고 각각
연평균 6.5%, 7.5%, 10.2%씩 증가면서 2023년에는 약 500억 달러, 약 337억 달러, 약 239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작물생육조절, 동물의료, 건강식품, 뷰티제품 등 농업부터 의약 산업까지
다양한 산업의 새로운 분야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연구동향에 따라 국내에도 산림
생태계 곳곳에 분포하며 국내 생물 종의 약 10%를 자치하는 미생물의 기능성을 탐색하여 산림생명
산업의 신소재로써 그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6. 수산
우리나라의 수산업은 연근해의 수산자원 감소, 해양오염 등 어업환경 악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수산물의 생산과 어가인구 감소 및 고령화에 대비한 어촌어항의 활력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WTO/FTA 등 시장개방 가속화, 수산 관련 국제규제 강화, 노르웨이 등
선진 수산국가들과의 기술격차 확대 등의 어려움에도 처해 있다. 이에 정부는 수산업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산업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수산혁신 비전 2030」(해양수산부,
2019.2.)을 발표하고 현 정부 내 4개년 실행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연근해어업은 총허용
어획량(TAC, Total Allowable Catch) 기반 자원관리형 어업구조 정착, 양식어업은 친환경・고부가
가치 스마트양식 체계 구축을 목표로 어업구조를 개편하고, 불법어업을 근절하며, 규모화・스마트화와
친환경・예방양식 위주의 수산정책의 기조를 마련하였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해양수산부는 올해 “바다에서 시작하는 혁신성장, 활력 넘치는 연안・어촌”이라는 목표로 2020
년 주요 업무계획(2020.2.)을 수립하였다. 특히 수산분야는 자원고갈, 해양오염 등 어업환경
악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수산물 생산과 어가인구 감소・고령화에 대비한 어촌어항의 활력 제고가
필요하며, 원물・내수 소비중심에서 수출시장・품목 다변화, 즉석・간편식 등 식품개발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성장 동력의 발굴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401 ∙
해양수산부는 2016년 제정된 「해양수산과학기술육성법」에 따라 수립된 「제1차 해양수산
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18~2022)」에서 제시된 정책과제의 이행 및 수산 R&D의 효율적인
투자와 전략적 추진을 위해 2020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전략산업 육성, 사회문제 해결
및 삶의 질 향상, 민간역량 강화 등 3개 분야의 공모형 11개 사업과 국립수산과학원의 연구
사업 등 수산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였다.
<표 3-41> 2020년도 수산연구개발사업 투자내역
(단위 : 억원)
사 업 명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총계 1,992 2,033
1. 전략산업 육성 560 404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 249 113
수산실용화기술개발 155 98
해양바이오 전략소재 개발 및 상용화 지원 50 84
Golden Seed 프로젝트 57 45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 49 39
극지 유전자원 활용기술개발(신규) - 25
2. 사회문제 해결 및 삶의 질 향상 138 245
어업현장의 현안해결 지원 34 71
차세대 안전복지형 어선 개발 49 65
수산식품산업기술개발 40 55
차세대 수산물 품질관리 및 검역시스템 구축 15 54
3. 민간역량 강화 28 58
수산전문인력양성 28 58
4. 연구기관지원(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 1,266 1,327
수산시험연구 307 334
수산연구시설 및 선박관리 286 322
수산생물 방역 체계 구축 87 90
생태계 기반 수산자원변동 예측기술 개발 42 40
국립수산과학원 정보화사업 등 기타 사업 544 541
“전략산업 육성 분야”는 수산업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해 6개 사업(404억 원)을 추진하였으며,
“사회문제 해결 및 삶의 질 향상 분야”는 검역, 어선어업 등의 현안 해결을 위해 4개 사업(245억
원)을 추진하였다. “민간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수산전문인력양성 1개 사업(58억 원)을 추진하였으며,
수산분야 연구개발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에 1,327억 원을 투자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020년 주요업무 추진계획」(2020.2.)에서 수산자원의 지속 이용을 위한
과학적 자원 관리기반 마련, 4차 산업 융합 연구개발을 통한 수산업의 미래성장 산업화,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분석・대응, 수산식품 소비 트렌드에 맞는 안전한 수산물 생산 환경 조성 및 수산식품
개발을 주요 연구 방향으로 설정하고, 2020년 사업을 추진하였다.
∙402 ∙
1) 투자실적 및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2020년 수산연구개발 예산은 2,034억 원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하였으며, 국가 전체 연구개발
예산의 0.84%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수산 R&D 예산의 연평균 증가율은 3.8%로 정부연구
개발 예산 연평균 증가율(6.1%)에 비해 많이 저조한 수준으로, 먹거리 안전, 어업사고 예방,
깨끗한 바다 조성 등 국민생활에 기여도를 고려할 때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표 3-42> 수산 R&D 연도별 투자동향
(단위 : 억원,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수산 R&D 1,754 1,860 1,971 1,993 2,034
공모형 R&D사업 653 742 739 726 707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 1,101 1,118 1,232 1,266 1,327
정부 R&D 190,942 194,615 197,483 205,328 242,195
수산 R&D 예산 비중 0.9 1.0 1.0 1.0 0.8
나) 주요 성과
(1) 스마트양식 핵심기술 개발 및 우수 수산종자 개발
수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는 스마트양식 기술개발은 해상 스마트
양식장의 테스트베드(Test bed)를 운영하면서 빅데이터 기반의 품종별 최적 성장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육상 스마트양식장 플랫폼 구축을 통하여 요소기술의 표준화, 다변화 및 통합제어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스마트양식장 개념도 스마트양식장 구성 통합 제어실
[그림 3-66] 육상 스마트양식장 플랫폼
∙403 ∙
넙치, 전복, 바리과, 김 등 우수 수산종자개발을 통해 양식생산성과 높은 상품성을 확보하였으며,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에 해외생산기지를 구축・운영함으로써 수산종자수입 대체 및 수출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국내 내륙지역 지하수를 이용한 저염분 바이오플락 새우 양식 기술의 개발과 함께 부가가
치가 높은 흰다리새우의 내륙 양식 시험에 성공하여 양식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양식산업의 생산성 향상, 품종 개발 및 수산식품 개발을 통한 어업인 및 수산
관련 업종의 소득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미래대비 수산기술 개발 연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2) 수산식품 개발 및 수산물 품질・안전관리 기술 확보
맞벌이 가구, 1인 가구, 고령화 등 사회구조의 변화와 간편성과 저비용의 편의주의식 식문화
증가로, 급변하는 식품시장에서 양식산 수산물의 가치창출 및 소비확대를 위하여, 수산가공기술
개발에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간편식 수산식품, 고령자 친화형 영양 강화 및 소화장애 개선
수산식품 개발과 더불어 미세먼지에 따른 폐기종 발생 억제 건강식품 소재 등 호흡기 건강 개선
기능 식품 개발 등에도 역점을 기울여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비린내를 제거한 굴 분말 제조기술 개발 및 굴
간편식 개발품의 산업화 추진 등은 굴 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과 연구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
일본의 수입수산물 검사 강화 등 비관세 무역장벽 극복을 위한 위생수준 제고 기술 및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수산식품 개발에도 착수하였으며, 수산물의 국민 신뢰도 제고를 위해 검역, 원산지
단속, 질병관리 분야에 대한 과학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3) 수산생명자원 활용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
2017년 나고야의정서 비준과 2019년 유전자원의 접근․이용 및 이익공유에 관한 법률(약칭
: 유전자원법) 전면 시행 등에 따른 생명자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수
산생명자원은 자원의 주권화 및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수산생명자원의 수집, 보존, 분석 및 체계적 통합관리를 추진하면서, 유용물질을 활용한
의료・건강 등 관련 바이오 신소재 개발을 추진하였으며, 유전자 맞춤형 어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특히, 유전자 기반 신육종 기술의 하나인 “유전자가위”를 활용한 형질개발 기술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세계 최초로 넙치 수정란에 미세주입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미오스타틴
유전자가위에 의한 근육(체고)이 약 25% 증가한 넙치 생산에 성공하였다.
∙404 ∙
(4) 수산자원관리 기술 고도화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관리를 위하여 수산자원 조사・평가・관리기법의 선진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어장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을 통한 생태계 기반의 어장 관리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자원평가 및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하여 주요 상업 어종에 대한 어획노력량
조사, 선진자원평가 기법 도입 등으로 자원평가를 강화하고 있다. 강화된 수산조사를 기반으로
서식지 환경,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주요 수산자원 변동 예측 정확도 향상을 추진하여 전년
대비 3.5% 이상 향상된 정확도(74.5%)를 목표로 예측 기술 고도화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원양어업
대상 어종별 어획쿼터 확보의 지속적 추진과 함께 생분해 어구의 성능향상을 위한 신규 수지의
개발과 보급 확대, 혼획 저감을 위한 자원관리형 어구 설계 등을 중점 추진하였다.
(5)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확대
수산 분야에는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다양한 수산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빈도와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기후변화 기인 수산재해는 단순히 수온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해생물의
대량 출현, 양식어류의 집단 폐사 등 다양한 형태로 수산업의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적조,
고수온 등 수산재해에 대한 첨단 관측, 예찰 기법 개발 및 기후변화 대응 연구 강화로 수산재해
피해 최소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실시간 적조발생 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적조 발생・이동・확산
예측 모델을 활용한 예측・예보 시스템을 빅데이터 기반 모바일 웹을 활용하여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여객선을 활용한 대형해파리 모니터링 기법 개발・운영 및 시민참여 모바일 등 해파리
신고 시스템을 고도화하였다.
(6) 수산업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선진화 기술개발 확대
연근해어업의 안전 및 어민복지 향상을 위해 근해안강망, 근해연승, 근해자망, 연안개량안강망
어선의 표준선형 개발을 완료하고, 어로시스템 개선, 실증개발어선 시험조업 실증화 및 경제성평가
등을 추진하였다.
연근해・양식・내수면어업 등 어업현장에서 어업인이 요구하는 안전, 복지, 생산성 향상 등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를 2019년 7개에서 2020년 15개로 확대 추진하였으며, 불법어업,
해양수산생태계 모니터링 등을 위한 무인기 시스템 기본설계를 완료하고 상세설계 단계에 진입하였다.
∙405 ∙
2) 향후 계획
수산 R&D는 일몰 또는 종료사업의 영향으로 예산 축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2021년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을 통해 핵심 추진전략별 실행계획을 마련하여, 수산 분야
R&D 투자 효율성 제고 및 국정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수산업 기반구축, 수산혁신을 위한 첨단양식, 스마트 수산식품 개발, 수산자원 관리 및 어업선진화
분야에 투자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첨단양식은 기존에 개발되고 있는 스마트양식 기술의 보급・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고부가가치 양식품종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스마트 수산식품은
코로나 19에 대응하기 위한 간편식 등 맞춤형 수산식품 및 가공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연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며, 수산자원 관리는 총허용어획량(TAC, Total Allowable Catch) 기반
스마트 어업관리, 어업관리 인공지능(AI) 옵서버 개발 등 스마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어업선진화 분야는 전기복합 추진 어선의 원천기술 개발
등 친환경 기술개발과 어민의 안전 및 복지 향상을 위한 표준어선의 현장 보급 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기술개발을 통한 우수 연구성과의 창출과 더불어 융복합 전문인력양성과 신기술 인증,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창업지원 및 투자지원 등 창출된 성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수산자원 감소, 어촌 고령화 등 수산업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성장산업으로 재도약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수산 분야의 기술 분류는 수산양식(증양식 분야와 수산생물 질병관리 분야), 수산자원/어장
환경, 어업생산/이용가공 및 기타 기후변화 대응 및 수산생물자원 분야로 구분된다.
<표 3-43> 수산 분야 기술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수산양식
∙ 수산생물의 유전자원, 유전공학, 육종, 생리, 사육/생산, 사료개발, 양식시설/자재, 질병진단, 예방
및 치료, 질병 방역 및 관리 관련 기술
수산자원/어장환경
∙ 수산자원의 생물, 변동, 생태, 조사평가/관리, 예측과 어장환경의 분석/평가, 복원/처리, 보전/관리,
위해 요소평가 관련 기술
어업생산/이용가공
∙ 어구, 어업기기/기자재/어선 개발, 어군행동/어장탐사, 수산구조물, 수산물의 가공/공정, 저장/포장,
기능성/영양 활용, 수산식품유통, 위생/품질관리, 위해성 관련 기술
기타 기후변화 대응 및
수산생물 자원
∙ 기후변화 반응 평가, 취약성 평가, 예측, 적응・저감, 해양산성화 대응 기술 및 수산생물 종다양성
확보, 계통・계체군 관리, 수산생물자원 생산 관련 기술
∙406 ∙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국제적으로 최근에는 배합사료의 원료 가운데 어분을 줄이고, 곤충, 채소 등을 재료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있고, 최근 “바다음식의 미래”라는 보고서를 통해 곤충과 채소의 배합사료
확대로 양식업의 급격한 성장이 일어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어류・갑각류 등 양식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세계 전체 어획수산물의 20% 가량이 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멸치, 고등어,
전갱이 등 낮은 먹이사슬 단계의 어종들이 양식업의 사료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치어의 비중도
상당히 높게 나타나면서 최근 동애등에를 이용한 배합사료 생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첨단양식인 스마트양식 분야에서도 노르웨이 MPI사에서는 양식장 그물망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로봇청소기가 최근 개발되어 시험단계에 있으며, 미국 Google사의 지주회사인 알파벳
(Alphabet Inc.)사는 해양생태계 보존 및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위하여 2020년 3월 타이달
(Tidal) 프로젝트를 발표하여, 친환경 방식의 양식장 운영과 어류 사육을 위한 수중 탐지 기술
개발 추진을 시작하였다. 노르웨이 선급 DVN GL사는 세계 최초로 해양 어업 양식장에 인증을
제공했으며, 양식업과 해양산업의 솔루션이 최초로 결합된 연어 양식장을 설계 및 제작하여
향후 해양양식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일본 수산업계 및 일반 기업계에서는 폐쇄형
순환여과식 육상 연어 양식에 투자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해양양식에서의 환경문제, 생산성
향상의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육상양식이 적합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연어 소비
시장이 크게 확대되어 시장성이 확보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수산식품 및 수산물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내수 소비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중국의 수산물 소비는 점차 수입산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국의 수산물 수입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2019년 중국의 냉동 온수성 새우의 수입량은 전년 대비 물량은 200% 이상,
금액은 150% 이상 증가하여 이를 입증하고 있다. 2020년 수산물 소비의 주요 키워드를 살펴보면,
세계 어패류 소비는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고단백・저탄수화물 식이요법・
즉석식품 및 밀키트 시장・가정간편식(HMR, Home Meal Replacement)・프리미엄 통조림・미식
투어 등이 활성화되면서 유망 시장에 대한 이해와 수요자 중심의 수산물・수산식품 공급 체계
구축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미국 의회에서는 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IUU, Illegal,
Unreported and Unregulated Fishing)과 관련한 수산물 수입이 세계 전체 어획량의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어업이 수산자원 파괴, 식량안보 타격, 연안국의 생태계 위협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에 미국 시장에서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할 것을 요청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와 관련한 국제적 노력도 지속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총허용어획량 비대상
∙407 ∙
어종의 자원평가를 실시하여 객관적인 자원평가를 통한 자원 회복에 대한 목표 설정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어업관리를 위한 전자감시 프로젝트(Electronic Monitoring Project)에
390만 달러의 보조금을 투자하여 수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감시 및 보고 체계를
현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서는 2020년 1월 어업 및 여가용
수산자원량의 현황을 대표할 수 있는 분기별 지표로서 수산자원 지속가능성 지수 3.0을 마련하여
어업관리 성과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였다. 중국은 2020년 어업법 개정을
통하여 원양어업 관리를 위한 블랙리스트 제도를 도입하여, 중국 원양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다.
캐나다에서는 기후변화 및 해양・담수의 독성 증가 등으로 인한 연어의 서식 환경이 점차 악화됨에
따라 연어 자원량 조사에 대한 보다 효과적이고 정밀도가 높은 방법의 하나로 연어 자원량 조사를
위한 eDNA 기반의 조사기법을 개발하였으며, 향후 어업과 양식업을 포함한 수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은 상업적 사용을 위해 확대할 전망이다.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는
2019년 하반기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및 빙권에 관한 특별보고서를 승인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의 영향 및 향후 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특히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이상
고수온(Marine Heatwaves)이 빈번히 발생하는 해역으로 우리나라 해역이 포함되는 등 기후변화에
대한 종합적 대응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향후 해양・수산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에 의한 수산 분야의 대응도 활발히 진행되어, 미국
하와이주에서는 2020년 3월 수산물 가격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한 해당 지역의 어선어업 및
유통업에 대한 심각한 타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재정 지원의 필요성과 대응 방안 수립을 마련하였다.
미국은 “Buy American” 마케팅의 촉구를 통하여 코로나 19로 인한 미국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 패턴 변화에 따른 수산물 공급업체들의 유통・판매 방식의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2020년 4월에 수산업 및 수산식품산업에 6,250만 캐나다 달러(약 545억 원)의 지원을
통하여 개별 종사자들의 건강관리 지침 준수 및 식품의 위생・안전성 제고 등에 활용을 추진
중이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UN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는
2020년 세계수산물 수출이 평균 대비 약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여, 어업 분야의
코로나 19에 따른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국 정부가 그간의 어업 지원 정책을
제고하고, 특히 조업 선단의 어획 노력량을 증가시키는 보조금에서 벗어나 소규모 어업인을
위한 지원책 마련을 촉구하였다.
∙408 ∙
나) 국내동향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따른 지능화
기술과 해양수산 분야 기반 기술의 융합 확대가 중요한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으며, 수산물의
소비패턴 변화 및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중요성 증대 등에 따른 맞춤형 대체식품 개발 및 식품
안전성 확보가 코로나 19에 따른 보건위기 상황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나고 있다.
자원고갈, 해양오염 등 어업환경 악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수산물 생산과 어가인구 감소,
고령화에 대비한 어촌 및 어항에 대한 활력을 제고하고, 내수 소비중심에서 수출시장・품목 다변화,
즉석・간편식 등 식품개발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2021년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을 마련하여 ①신산업 육성
및 좋은 일자리를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집중 육성, ②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
기술 기반 확보, ③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체계 혁신, ④해양수산과학 기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등을 중점 추진전략으로 수립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히 수산 분야에서는 해양수산
스마트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개발 분야에 인공지능(AI)기반 스마트 어업관리 시스템
개발, 수산물 신선유통 스마트 기술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며, 한국형 뉴딜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상용화 기술 확보 분야에는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어선 개발 연구,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 해양수산산업 핵심 기자재 국산화 및 표준화
기술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 기술 기반 확보 분야에서는
수산식품산업 기술개발, 차세대 수산물품질관리 및 검역시스템 구축, 어업현장의 현안해결 지원,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 해역이용영향평가 기술개발 등이 중점적으로 추진
될 계획이다. 그 밖에 민간의 과학기술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분야에는 수산전문인력 양성,
해양수산기술지역특성화 등이 진행될 계획이다.
2) 향후 전망
코로나 19의 지속적 확산에 따른 수산물의 소비 급감, 소비 패턴 변화, 어업현장과의 대면
곤란 등으로 인하여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간편식・맞춤형 수산식품
개발 등 수산식품 분야에 대한 다양한 변화와 그에 따른 기술 개발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반 연구를 위해 필요한 어업현장 및 어촌현장에 대한 모니터링에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비대면 모니터링 기법이 강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양방향, 모바일 기반 어업현장과의
소통을 통한 현안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것으로 판단된다.
∙409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21~2025) 및 해양수산부의 제4차 해양수산부문 기후변화대응
계획(2021~2025)에 따라 기후변화와 관련한 수산 분야의 리스크 평가 및 주류화와 관련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수산생명자원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수산생명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생산력 향상 및 신물질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또한, 수산업의
스마트화 전략을 추진하기 위한 스마트양식 기술 개발, 스마트 어업관리 기술 개발 및 스마트
피쉬케어 시스템 고도화 등 스마트화와 관련한 수산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410 ∙
제4절 환경공학기술
1. 환경
21세기에 들어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감소 문제가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그 영향이
인류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 문제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에 매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경 위해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복지를 구현하며,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는 국민의 기본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온실가스 저감, 물관리, 화학안전망 구축
등의 기후・환경 정책 및 관련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환경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표 3-44> 정부의 환경 분야 주요 성과
구 분 주요 성과
미세먼지 저감 ∙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전국) : 2017년 25㎍/㎥ → 2020년 19㎍/㎥
온실가스 저감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2018년 727.7백만톤 → 2019년 702.8만톤(잠정)
통합 물관리 ∙ 전국 하천수질 목표기준 달성도 : 2017년 69.6% → 2020년 79.1%
피해예방 및 화학안전망 구축
∙ 가습기살균제 피해인정(누적) : 2017년 280명 → 2020년 4,114명
∙ 화학사고 발생건수 감소 : 2017년 87건 → 2020년 75건
탈플라스틱 전환 ∙ 재활용 어려움 등급 페트병 : 2019년 15.8만톤 → 2020년 9.1만톤
※ 자료 : 환경부, 2021년도 업무계획, 2021.2. 자료 재구성
특히, 2020년에는 기후・환경위기와 경제위기를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그린뉴딜을 발표하였다.
그린뉴딜은 2020년 7월부터 2025년까지 3대 분야(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8대 프로젝트에 총 73.4조 원(국고 42.7조 원)을
투자하고, 이를 통해 모빌리티, 에너지, 기술 등 친환경 산업의 경쟁력을 전방위적으로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을 선점・주도하고자 한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환경 분야 연구개발사업은 환경복지 향상을 위한 공공수요형 사업과 환경규제와 맞물린 환경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계 수요형 사업, 한국판 뉴딜, 그린 뉴딜을 선도할 녹색 기술개발사업, 환경정책
지원을 위한 데이터 구축이나 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연구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등 국민의 안전, 생활환경 개선 등과 밀접한 환경현안 해결 중심의 환경
R&D 사업 필요성과 수요가 증가하며 다양화되고 있다.
∙411 ∙
2020년에는 환경 분야 R&D 중기계획인 ‘제4차 환경기술・환경산업・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
(2018~2022)’의 2020년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범부처의 환경 R&D 및 환경산업・환경기술인력
육성의 지난해 성과 분석과 2020년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깨끗한 대기질, 먹는물 안전,
생활화학제품의 안전한 사용과 관리 등 국민생활・안전 관련 공공수요형 환경R&D를 신규 추진하며,
비대면・배달서비스 등의 수요 증가에 따른 폐비닐・폐플라스틱 폐기물처리, 재활용 등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등 6개 신규사업을 추진하였다. 아울러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대체에너지로써
수열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R&D 및 사업화 패키지형
기술개발 등 신규 추경예산 반영으로 녹색기술 개발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표 3-45> 환경분야 연구개발 내용
(단위: 백만 원)
사업명 주요내용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공공수요형 104,439 114,744
물관리연구
기후변화에 의한 국가 물관리 위기상황 극복 및 물재해 저감, 안전한
하천환경 조성 기술개발
17,055 13,656
수요대응형 물공급서비스 연구 지역 특성에 맞는 IT 기반의 물정보 Data 분석・예측 기술개발 4,280 4,152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 기술개발사업
자연재난(지진, 태풍 등)으로 환경시설의 파괴, 기능정지 등에 신속
대응으로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3,500 4,571
생태모방 기반
환경오염관리기술 개발
생태모방 기초・원천 연구 성과를 활용한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3,152 3,152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기술개발사업
위해도 기반 매체 통합 오염관리기술 고도화 기술개발 10,460 17,900
표토보전관리 기술개발사업 표토침식 고위험지역 방지・복원 및 지역 특이적 최적 관리 기술 확보 2,200 3,245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사업
폐플라스틱, 폐유리병의 선별・회수 등 전처리, 재생원료화,
에너지화 등 순환 전단계에 걸친 기술개발
7,600 11,063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사업
정부주도의 환경문제 해결 및 환경정책을 뒷받침하는 기술개발 21,061 20,011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 인체 및 생태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미래 환경보건 공공기술 개발 15,404 11,628
안심살생물제 관리기반
기술개발사업
살생물제(살충제 등 15개 품목) 안전 확보 위한 정부 사전승인에
필요한 요소기술 개발
4,176 4,437
화학사고 대응
환경기술 개발사업
화학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15,551 11,417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개발사업
생활화학제품 사용으로 발생 가능한 국민 보건상의 위해를
관리하기 위한 유해성 및 노출평가, 위해저감기술 확보
- 7,512
ICT기반 환경영향평가
기술개발사업
개발 사업이 미치는 환경영향을 객관적으로 예측・평가하고, 그
결과를 3D 시각화하여 개발 사업계획 수립과 환경영향평가 시
친환경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개발
- 2,000
산업계 수요형 89,221 88,952
플랜트연구
해수담수화 플랜트 건설사업에 요구되는 핵심공정 개발, 기본설계
및 실증 기술개발
11,893 12,284
∙412 ∙
사업명 주요내용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CO2 저장 환경관리기술 개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국가 CO2 저장 환경관리 시스템 구축 2,565 1,165
상하수도 혁신
기술개발사업
기술적 혁신 수요가 높은 분야에 글로벌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
및 관련사업 육성
3,100 21,475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
폐자원을 처리와 동시에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증시스템 개발
5,433 3,158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
6대 핵심분야 기술개발을 통해 환경산업의 신성장 동력화와
수출산업화
49,433 43,472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5개 분야에 대해 단기간(2~3년) 내 시장 활성화가 가능한
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
16,797 7,398
녹색기술개발 11,404 50,227
지능형 도시수자원관리
기술개발사업
도시 내 수자원 가용량 분석 및 예측 기술개발 및 스마트시티
연계 기술개발
500 2,372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개발사업
인간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도시생태 공간 복원 및 확보기술
개발
1,441 4,663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 생활 및 산업활동 변화로 인해 다양화, 다변화되고 있는
수생태계 건강성 위협 요인의 체계적 관리 기술개발을 통해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 5,969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개발사업
재활용 저해 제품의 순환이용성 개선과 적정 재활용 기술개발을
통한 폐기물 순환이용률 향상 및 최종처분 폐기물 발생량 저감
- 4,738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개발사업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국민 불안을 완화하고 체계적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및 인체 건강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개발
- 4,400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사업
미세먼지 사각지대 배출 미세먼지 직접 저감기술 및 측정・분석
기술 확보를 통한 미세먼지 사각지대 해소・관리 및 국가 미세먼지
관리 정책 기술 지원
- 10,242
기후변화대응환경기술개발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세계최고 수준의
공공기술 확보
8,457 8,034
생물다양성위협
외래생물관리 기술개발사업
유입 외래생물의 예찰 및 위해성 평가 기술,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기술 개발
1,006 3,539
수열 냉난방 및 재생열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수열에너지 융복합 기술 및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 1,000
녹색혁신기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유망 녹색기업 기술혁신
개발사업)
우수・유망 녹색환경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실증 및 시험인증
등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기술 경쟁력 제고 및 환경산업
활성화
- 5,270
조사연구 63,846 65,548
환경과학원 연구 환경건강, 기후대기, 물, 자원 분야 환경정책 지원을 위한 조사연구 48,157 49,503
생물자원발굴 및 분류 국내에 자생하는 생물종의 발굴 및 유전자 다양성 연구 13,913 13,703
야생동물 첨단연구
국가 야생동물 자원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장기적 모니터링 및
현황 연구
1,776 2,342
합 계 268,910 319,471
∙413 ∙
1) 주요 성과
가) 제4차 환경기술・환경산업・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 2020년 시행계획 수립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등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 환경기술개발, 환경산업 고부가 가치화
및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환경시장의 다변화를 통하여 국익 제고를 도모하고, 환경산업을 주도할
환경전문인력의 양성 및 환경산업 일자리 연계 강화를 주요 추진 방향으로 하였다.
2020년 투자계획은 환경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10개
부처・청 1조 1,982억 원으로 전년 실적대비 0.3% 감소하였다. 기술개발 주요계획으로는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생활환경의 화학물질 대응 등을 통한 환경건강・안전 관리, 생태 건강성 유지 등
환경안전사회 구축 기반 기술과 물 이용・관리, 먹는물 안전 및 깨끗한 대기질 확보 등 국민체감형
환경서비스 기술, 신재생에너지화, 재활용 촉진 등 친환경 경제기술 개발 등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8개 부처・청이 8,136억 원 투자를 계획하여 4차 육성계획의
2020년도 시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나) 국민생활과 밀접한 연구개발 추진
환경 분야 R&D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현안 이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수요가 많은 분야로
과학기술 기반의 미세먼지 해결기술, 살생물제 관리를 위한 노출평가기술, 녹조 해결 기술 등의
개발을 추진해왔으며, 2020년에도 미세먼지 사각지대의 관리를 위한 기술,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평가 기술,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기술, 재활용 저해제품의 순환이용성 개선 기술,
수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 등을 추진하였다.
코로나 19의 영향 등으로 실내보다는 야외에서의 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도시생태계의 건강도 진단기술의
실용화와 건강도, 민감성, 취약성 등을 평가하는 기술 개발, 도시의 주요 생물종에 대한 서식환경
및 먹이망 탐지 추적 기술 등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도시의 훼손 정도를 진단하고
공간 특성에 적합한 복원기술을 적용・설계・관리함으로써 전국 주요 도시의 도시생태계 건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돗물 적수, 유충 사태 등 먹는물 안전에 대한 환경 이슈가 생김에
따라 사물인터넷과 감성컴퓨팅을 활용한 상수도 웰니스70) 구현 기술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도 국민 생활과 밀접한 버스정류장 미세먼지 저감시스템과 더불어 지금까지는
관리가 소홀했던 사각지대에 대한 관리로써 중소형 항만 하역장비, 실외 도장공장, 중소 제련소
70) 상수도 웰니스(Wellness)는 건강한 수돗물 구현과 소비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상수도 공급자와 소비자가 같이
만드는 고급화된 상수도 서비스이다.
∙414 ∙
및 전통시장 미세먼지 저감・관리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과학기술적 성과 위주의 R&D는 국민이 체감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특히 환경
현안의 경우 국민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국민 참여를 통한 실증적 해결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경R&D 추진 시에도 국민과 밀접한 환경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 추진
시 리빙랩(Living Lab)71) 형태로 과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먹는물 관리, 전통시장의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 등을 리빙랩(Living Lab) 과제로 추진 중이다. 그 외에도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수자원 통합관리기술, 도시생태계 건강성 확보 기술, 해수담수화 플랜트 기술 등이
리빙랩(Living Lab) 과제로써 추진되고 있다.
먹는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리빙랩(Living Lab) 과제는 보급 위주 서비스 제공과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했던 기존의 상수도 시스템의 단점인 수질에 대한 주민(소비자) 불안・불만 해소에
대처가 미흡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다. 수돗물 적수, 유충 사태 등 소비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건강한 수돗물 공급기술 확보뿐만 아니라 소비자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주민 공감 아카데미 등을 통한 생산자-소비자 간의 소통
강화형 플랫폼 구축으로 모바일 기반의 웰니스 수질 감시가 가능해짐에 따라 국민 서비스 만족도가
15% 이상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리빙랩(Living Lab.) 과제로 전통시장의 오염원을 저감하여 미세
먼지를 저감하는 신규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시민들의 이용이 많으나 미세먼지 관리의 사각지대인
전통시장을 미세먼지 관리 대상으로 하여 ‘전통시장 오염원 저감을 위한 융복합형 저감시스템
개발’ 신규과제에 9억 원을 지원해 복합센서 적용, 서큘레이터, 에어커튼 시스템 제작・적용 등의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리빙랩 운영 최적화를 위하여 실증 대상 전통시장의 지자체 담당자의
피드백, 시장에 상시 거주하는 상인 협의회 의견수렴, 시장을 이용하는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
등을 통한 체감도, 개선사항, 만족도 등을 조사하여 반영하고 있으며, 향후 기술 개발된 시스템의
저감효율 검증을 통하여 전국 약 1,450개 전통시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국민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기술과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수자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녹색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친환경경제 기술
개발을 위하여 신재생에너지화 기술, 유망 환경기업의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패키지형으로 지원하고
있다.
71) 리빙랩(Living Lab)은 ‘일상생활 실험실’이라는 뜻으로, 특정 지역의 문제를 공공・민간・시민 협력으로 해결하는
방식이다.
∙415 ∙
[그림 3-67] 전통시장 조감도 [그림 3-68] 상수도 웰니스 통합관리 시스템
다) 녹색혁신기반 마련을 위한 녹색R&D 추진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하여 3차 추경을 통한 녹색혁신기반 신규 R&D사업을 추진
하였다. 신재생에너지화 관련으로 수열에너지 활용 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해 10억 원의 추경예산을 통하여 3개의 신규과제를 추진하였다. 또한, 녹색산업 분야의 유망
중소기업 대상 기술개발・사업화・해외진출 등 기업 성장 전주기 지원으로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20개 과제를 선정하여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패키지형으로 함께 지원하고 있으며,
기술개발 예산으로 52.7억 원을 추경예산 반영을 통하여 추진하였다.
라) 주요 연구성과
기후변화, 폐플라스틱 발생, 상수관, 싱크홀 문제 등 국민이 직접 생활에서 느끼는 환경 현안이
이슈화되면서 관련 연구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배출가스 및 연비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 엔진
및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바이오에탄올과 가솔린 혼합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유해 배출가스를 저감시키고 엔진 성능을 22% 향상시켰으며, 세계 유수
경쟁사 엔진 대비 우수한 성능을 확보하였다. 인장강도와 낙추충격강도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성능이 향상된 iPVC소재 활용 상수도 파이프 및 이음관 개발을 통하여 지하공간 상수관 파열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관은 세계 최초 내진 기능을 가진 PVC 수도관
및 이음관으로 1,443.6억 원 공사 수주 사업화 실적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생분해성
필름용 재료 개발로 생분해성 필름 소재(PLA/PBAT)의 인장강도, 신장률 등의 개선을 통해 상용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생분해성 필름 성형 공정의 최적화를 통하여 기능적・경제적 문제점을
해결하여 필름 생산성과 후가공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다. 또한, 혼합 폐냉매의
고순도 분리정제 기술을 개발하여 재생냉매를 생산하고 온실가스를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실증형 통합공정증류 시스템 설치 및 운영 결과 HFC-134a와 CFC-12가 혼합된 냉매의 분리・정제
∙416 ∙
후 순도 99% 이상의 HFC-134a 냉매 생산 및 CFC-12제거율 98% 이상(처리용량: 5ton/24h)을
달성하였다.
<터보 직접분사 에탄올 FFV 엔진 및 부품>
<iPVC 소재 아피츠 상수도관 및 이음관> <연속식 교차오염냉매 분리정제 재생설비>
[그림 3-69] 주요 연구성과 개념도
2) 향후 계획
다양해지는 환경 문제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환경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성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환경보건 취약지역의 건강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환경성 질환의 상관성 규명, 예측・평가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며, 대기환경
관리를 위하여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친환경 자동차
보급 촉진을 위한 수소자동차 및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블루수소충전소 실증기술 개발
∙417 ∙
등을 추진하여 대기환경의 근본적인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바이오 자원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여 야생생물을 활용한 바이오 신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코로나 19 등 감염병 발생 시 의료폐기물 급증 문제의 안정적 해결을
위한 멸균・분쇄 기술과 추가 감염 우려 해소를 위한 비대면 수거처리 기술 등의 감염 우려 의료
폐기물 처리 기술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으로, 환경R&D 중장기 추진전략에 따라 미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R&D 추진 계획을 마련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하여 노력할 계획이다.
나. 동향 및 전망
오늘날 환경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피해 범위가 커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나노물질,
기후변화 및 대기질, 유해물질 노출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환경
현안 연구 및 해결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이슈대응을 위해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국민
건강 보호 연구, 기후대기 연구, 물환경 연구, 생활환경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1) 환경분야 조사・연구 동향
가) 안전한 환경조성을 통한 국민건강보호 연구
(1) 국가 단위 환경보건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운영
우리나라 국민의 인체 내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9년에는 전국 200개 조사구 내 성인과 어린이, 청소년을 포함한 국민 2,878명을
대상으로 납, 수은, 비스페놀-A 등 환경유해물질 33종에 대한 체내 노출수준 분석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환경보건 연구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한 조사
자료를 전문가 및 연구자들에게 공개하였다. 또한, 국가통계와 국제기구(WHO, OECD, EU
등)에서 발표한 자료를 활용하여 대기 분야의 환경보건지표를 산출하고 국내외 환경보건수준
및 추세를 비교・평가하였다. 국내연구로는 환경보건지표와 지자체가 발표하는 통계자료를 이용
하여 서울의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환경보건 수준을 누적영향점수로 상대적 순위를 평가하였으며,
국민건강보험공단 의료이용자료를 토대로 호흡기계 등 8개 환경성 질환의 시공간적 분포와 경향을
파악하였다.
∙418 ∙
[그림 3-70]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그림 3-71] 천식 입원의료지도(2014~2017)
(2) 환경오염 취약지역 주민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연구
울산, 포항 등 주요 국가산업단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노출과 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사업을 추진하고, 일반산업단지 내 우선순위에 따라 매년 1~2개의 산업단지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보건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한 예로 화력발전소 주변 지역 주민의 건강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 우선순위에 따라 삼천포, 하동지역을 대상으로 환경과 주민건강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한 2단계 관찰대상 폐금속광산지역 환경보건평가 사업의
종합평가 및 토양오염실태 정밀조사가 완료된 260개 광산의 기획연구 결과를 토대로 2019년부터
3단계 조사를 착수하였다. 한편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하여 익산시 장점마을, 인천시 사월마을,
생리대 유해물질 문제 등 청원에 의한 건강영향조사를 추진하였다.
[그림 3-72] 하동 석탄화력발전소
건강영향조사 주민설명회
[그림 3-73] 인천 서구 사월마을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실태조사 주민설명회
∙419 ∙
(3) 나노물질 평가의 국내 제도화를 위한 시험방법 개선 연구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법(화평법)’에 따라 나노물질 등록 시 국내 제조수입량 및 사용특성을
반영한 제출 항목들을 정하는 시행규칙(안)을 제안했으며, 이와 관련하여 입자 크기 등 물리화학적
특성(15항목) 및 일부 인체유해성평가(28일 반복흡입독성, 90일 아만성독성) 시험지침서도 마련
하였다.
천연유기물(NOM, Natural Organic Matter)을 이용한 분산안정성 시험법을 기존 생태독성
평가방법에 적용한 결과, NOM 첨가에 따라 분산성은 향상되었으나 산화아연 나노물질의 시험
생물종(조류, 물벼룩, 어류)에 대한 독성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림 3-74] NOM 유/무에 따른 조류(좌), 물벼룩(중), 어류(우)의 산화아연 생태독성
(4) 가습기살균제 피해 인정기준 및 건강모니터링 수행 등 피해 지원책 마련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법(2017.8. 제정・시행, 이하 특별법)」에 따라 건강피해
인정기준 및 피해등급을 마련하고 있다. 그간 폐질환, 태아피해, 천식, 기관지확장증, 폐렴 등을
피해로 인정하여 왔으며, 2019년에는 아동 간질성폐질환과 독성간염을 건강피해 인정질환으로
추가하였다.
이와 함께,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인한 장기적인 건강피해와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2018년
부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를 대상으로 신체 및 정신건강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2019년에는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인정자 등 약 4,000명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약 60%의 피해자가
참여하였다. 신체건강 분야는 공통검사(혈액 및 뇨검사, 폐기능 등)와 피해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검사(CT, 알레르기검사 등)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신건강 분야는 정신적 피해를 완화하고 일상생활로
복귀를 돕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심리검사와 상담, 병원연계 진료로 구성되어 있다.
∙420 ∙
[그림 3-75]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폐활량 검사
[서울아산병원 가습기살균제보건센터 제공]
[그림 3-76]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아동 놀이 치료
[연세대학교 가습기살균제보건센터 제공]
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과학적 원인 분석
(1) 미세먼지 측정의 첨병, 항공기와 선박기를 이용한 입체관측
우리가 숨쉬는 공기는 기류에 따라 계속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생성된 오염물질과
장거리를 이동하는 물질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상관측뿐만 아니라 하늘, 바다 등을
포함한 공간을 측정하는 입체관측을 수행하고 있다.
항공관측을 통해 우리나라 상공에서 미세먼지 및 그 전구물질 등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있으며, 기상청과 협업하여 기상관측선으로 미세먼지 및 그 성분을 서해 종단면을 따라 측정하고
있다. 입체관측의 측정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장거리 이동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유입량을
산정하고 국내 배출원의 영향을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미세먼지 감축
정책과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 향상에 활용되고 있다.
[그림 3-77] 항공측정용 항공기 및 측정경로
∙421 ∙
[그림 3-78] 선박측정용 선박 및 측정장비
(2) 국가 대기질 예보제 운영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대기질 농도를 예측하여 국민들에게 사전에 알리는 국가 대기질 예보제를
운영하고 있다. 19개 권역을 대상으로 하루 4회의 미세먼지(PM10, PM2.5) 및 오존(O3)의
정기예보 생산과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선제적 대응을 위한 비상저감조치 발령(23회), 화력발전
상한제약(31회), 재난상황 지원 등의 정책예보도 수행하였다. 또한, 예보 정보 확대라는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여 기존 3일 예보에서 7일로 확대한 주간예보를 시범 도입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민들에게 신뢰도 높은 예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업 예보관 증원과 총괄예보관제를 도입하여
예보제 운영을 강화하였다. 이 같은 다각적 노력을 통해 2019년도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는
87%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농도 시 정확도는 79%로 전년 대비 7% 증가한 예보제 운영 성과를
도출하였다.
[그림 3-79] 화력발전 상한제약을 위한
예보 정보문
[그림 3-80] 대국민 주간예보(7일)
시범운영 실시
∙422 ∙
(3) 정지궤도 환경위성 개발 및 지상국 구축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인 ‘천리안위성 2B호’가 발사체 아리안에 실려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2020년 2월 19일 오전 7시 18분경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 임무 : 해양・환경 관측
▶ 궤도 : 동경 128.2°상의 정지궤도
(35,786km 적도 상공)
▶ 무게 : 3,400kg
▶ 크기(폭×길이×높이)
- 발사시 : 2.4×2.9×3.8m
- 궤도상 : 8.8×2.9×3.8m
▶ 운용 수명 : 10년
[그림 3-81] 천리안위성 2B호
천리안위성 2B호에는 자외-가시영역을 천여 개의 밴드로 구분하여 관측하는 초분광센서인
환경탑재체(GEMS,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가 탑재되어
대기 중 오염물질들(미세먼지, 오존,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하이드)을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정지궤도의 특성에 따라 아시아 영역의 집중 관측이 가능하여, 기존 국외 환경위성
보다 뛰어난 시공간 해상도와 성능으로 아시아 지역 대기오염물질의 생성, 이동 및 소멸을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어 앞으로의 활용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위성은 대기 중 오염물질(가스 및 입자)들을 관측하여 아시아 지역의 대기질 감시, 기후변화
연구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협력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나아가
정지궤도 환경위성 관측 영역 내 아시아 국가 간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지상 원격관측과
국외 환경위성 간 비교 검증을 통해 위성 자료의 정확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423 ∙
미세먼지 관측 영상
오존 관측 영상
[그림 3-82] 환경위성을 이용한 대기 관측 영상
(4) 실제도로 주행기반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배출 모니터링 연구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2017년 9월부터 실제 도로
주행조건에서 배출가스를 측정하고 허용기준을 관리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2012년부터 125대의
자동차에 이동식배출가스측정장치(PEMS, 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를 탑재
하여 실제 도로 주행조건에서 배출가스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도로 주행기반의 배출가스 관리 제도를 도입함에 따라 경유차의 질소산화물 배출은 도입 전과
비교하여 약 90% 정도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실제 도로 주행 시험을 통해 확보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동력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신뢰성 높은 배출가스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424 ∙
배출계수 개발과 미래 자동차 기술의 배출특성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외에도 미세먼지 관리의 사각지대인 운행 경유차 후처리장치의 진단과 감시에 관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기술을 통하여 후처리장치를 비파괴 방식으로 신속하게 진단함
으로써 실제 주행 중인 DPF 부착 경유차의 대기오염 배출 관리를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
감소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림 3-83] 자동차 실제 도로 주행 배출가스 시험 및 모니터링 결과
다) 안전하고 건강한 물환경 기반 조성
(1) 안전한 물환경 조성을 위한 녹조 관리방안 연구
4대강 주요 하천・호소 녹조 우심 지역에서 조류발생 원인 분석 및 대응 기반 마련을 위해
다양한 통계방법(회귀분석, 머신러닝 기법 등)을 이용하여 남조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영향인자를 도출하였다. 또한, 낙동강 3개보(강정고령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에서 남조류
발생・사멸에 영향을 미치는 박테리아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유해남조류-미생물군의 상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류독소 관리기준(안) 마련을 위해 수체의 조류독소(마이크로시스틴, 아나톡신,
∙425 ∙
노둘라린, 실린드로스퍼몹신) 분석법에 대한 표준화(안)을 제시하였으며, 국내 수체에서 유해남조류의
독소 생산능력을 분석하였다. 보 개방에 따른 조류분포 및 녹조발생 특성 규명을 위해 보 구간
56개 지점에서 조류 정성・정량분석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녹조 발생 경향과
기원 등을 확인하였고, 향후 보 개방에 따른 녹조 저감 효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변 또는 저수심 등의 발생 녹조를 직접 제거하기 위한 저에너지 수면유동 유해조류
포집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조류제거선을 적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의 녹조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기술로 저수지의 생태건강성과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회수된 녹조를 농축・무독화・고형화 처리하여 농업재료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재활용 효과를 도모
할 수 있다.
광역 조류 모니터링 현지조사 MRAN구축을 통한 유해남조류 생장과 미생물군집 간 관계규명
[그림 3-84] 녹조 우심지역 조류발생 원인 분석 및 대응 연구
(2)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 및 생태복원 연구
전국 2,031개 하천(3,039개 지점)과 325개 하구(668개 지점)에서 어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부착조류 등 수상생물과 서식 수변환경을 조사하고,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수생태계
현행 조사 정도관리 강화와 평가방법 표준화를 위해 제정한 관련 지침을 따라 조사 및 평가를
하고 있다. 수생생물군은 연 2회, 서식 및 수변 환경은 연 1회 조사하여 연간 대푯값을 산정하여
다음 해에 물환경정보시스템에 공개한다. 각 조사항목(생물군)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성 평가
지수를 도출하고 있으며, 각 조사항목(생물군의 건강성 지수 도출 후 5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426 ∙
또한 어류이동성 및 생물군집의 변화・특성 이해를 통하여 최적의 수생태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어류 이동성 기반 하천의 수생태계 종적 연결성 평가기술’ 및 ‘정수생태계 건강성평가
방법 및 변화예측 모델’ 개발을 통하여 정책도출 시 효율적인 관리기법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성 평가 지수 건강성 평가 등급
[그림 3-85]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평가지수 및 등급
라) 폐기물 자원화 및 통합환경관리 지원
(1) 폐플라스틱 재활용 전 과정 평가연구
일회용 포장용기 사용증가와 부적정한 처리・재활용・수출입문제 등으로 촉발된 방치폐기물
등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해결을 위해 재활용 순환단계별 물질 흐름 및 재활용 저해요인을 파악
하였다.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순환단계별 현장실태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재활용 과정상
에서 재생원료 생산품의 품질 및 품질문서 관리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포장재
및 재생원료(페트플레이크72))의 물성과 재생원료 내 이물질, PVC, 잔류접착제, 중금속, 난연제
등 유해물질을 분석하여 포장재 재질・구조 및 재활용 용이성 판정방법 고시 개정(안)을 제안
하였다.
72) 페트(PET) 재질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해 5mm 이내로 분쇄한 재생원료이다.
∙427 ∙
a b
c d
페트플레이크
(a)이물질제거된 무색페트플레이크, (b)청색,
(c, d)잡색페트플레이크
플레이크 오염물질 함량비율(%)
[그림 3-86] 분류별 페트플레이크와 플레이크 오염물질 함량비율
(2) 생물시료를 활용한 환경질 평가시스템 구축
대기오염도 평가를 위해 소나무를 지표종으로 선정하고 인천・경기 소재 4개 지점에서 솔잎의
유기오염물질 함량 특성 및 침착 먼지량 등을 조사하였다. 유해대기오염물질로 관리되는 대표종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등 66종을 분석한 결과, 4개 지점 모두에서 17종의 PAHs 화합물이
검출됐으며(157~254㎍/㎏), 일부에서는 살충제 성분 중 하나인 헥사클로로벤젠(HCB)도 검출됐다
(2.42~4.85㎍/㎏). 솔잎 표면의 침착 먼지량은 0.017~0.036㎎/㎠ 범위로, 솔잎 대비 무게 비율은
0.14~0.15% 수준으로 조사됐다.
홍합, 잉어, 괭이갈매기 알 등 3종의 생물시료로 제작한 표준물질에 대한 중금속(수은 등 4종)의
단기 안정성(16주 이하)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대상시료 모두 통계적으로 안정된 상태라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험기간을 늘려 장기적인 안정성(32주 이상)에
대한 평가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괭이갈매기 알 잉어 살 적출 작업 안정성 평가용 균질화 바이알
∙428 ∙
홍합 살 분리작업 솔잎 표면적 측정용 작업지 초저온 저장시료 모니터링
[그림 3-87] 생물시료를 사용한 환경질 평가시스템
(3) 원활한 통합허가 시행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2017년 통합관리제도의 정상적인 추진을 위해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등을 순차적으로 발간
하여, 2020년 대상 전 업종에 대해 기준서를 모두 마련하였다. 이는 통합환경계획서 작성(주체:
사업장) 및 심의(주체: 환경부) 시 참고자료로 원료 투입, 생산, 오염배출 등 전 과정을 대상으로
최신의 우수 환경관리기법을 담은 통합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사업장별 통합
환경관리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 통합환경허가시스템을 운영하며, 사업장별 허가배출기준 설
정을 위해 배출영향분석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사업장별 허가배출기준을 검토하고 있다.
대기 분야 표준 프로그램 제공 수질 분야 표준 프로그램 제공
∙429 ∙
업종별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그림 3-88] 통합환경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마)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환경 개선
(1) 옥외 체육시설 소음・빛공해 발생원의 노출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야구장, 축구장 등과 같은 옥외 체육시설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조명은 불가피하지만, 경기장
밖으로 전달될 경우 주변 주민들에게는 소음과 빛공해로 인식되기도 한다. 경기장 주변 소음도는
57.7~68.9dB(A)로 대체로 60dB(A)를 상회하였고, 60dB(A) 이상 영향거리는 약 175~1,000m로
나타났다. 빛공해는 50m 이격 지점에서 야구장은 평균 23lx, 축구장은 평균 21lx로 나타났고,
약 200m 이격 지점에서 10lx이하로 나타났다. 경기장 주변 소음・빛공해 환경영향에 대한 사전
평가를 위해 영향권 분포도 작성 및 공유 방안, 방음벽・관중석 조정 등의 소음 저감방안 적용
및 조명 설치 방식의 최적화를 통한 빛공해 최소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430 ∙
소음 영향권 분석(저감조치 전) 소음 영향권 분석(저감조치 후) 빛공해 영향권 분석
[그림 3-89] 소음・빛공해 발생 및 노출 관리
(2) 전국 주택 라돈 조사(2019-2020)
라돈(Radon)73)은 토양, 암석 등에서 기체로 방출되어 건물의 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0년부터 전국의 주택을 대상으로 실내
라돈 실태조사를 추진해오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2019년 12월부터 2020년 3월까지 3개월
동안 2008년 이후 입주한 전국 공동주택 1,957가구를 대상으로 겨울철 실내 라돈 농도를 측정
하였으며, 그 결과 평균 74Bq/m3로 이는 다중이용시설 및 신축 공동주택 권고기준인
148Bq/m3의 절반 수준이다. 이번 조사 결과 평균 농도인 74Bq/m3은 토양과 인접한 단독주택
(2011~2018년, 총 1만 9,897가구 조사)의 평균 실내 라돈 농도인 112.8Bq/m3보다 낮은 수준
이다. 가구 중 공동주택 권고기준(148Bq/m3)을 초과한 주택비율이 약 3.5%(69가구)였으며,
우리 원에서는 초과한 주택을 대상으로 조사결과를 통보하고 충분히 환기해 줄 것을 안내한
후 환기에 따른 실내 노출 변화를 재조사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해당 가구의 적정한 환기를
돕기 위해‘라돈 저감 진단(컨설팅) 사업’을 통해 라돈 알람기를 지원하였다. 또한,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택 실내 라돈 저감・관리를 위한 안내서(가이드북)에 환기방법 등의 내용을
보완할 계획이다. 실내 라돈 지도와 관련 정보는 생활환경정보센터(http://iaqinfo.nier.
go.kr)에서 전 국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73) 라돈(Radon)은 토양, 암석 등에 존재하는 우라늄-238(238U)의 붕괴로 발생되는 자연방사성 기체로 흡연에
이은 폐암유발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농도단위는 베크렐(Bq/㎥)을 사용한다.
∙431 ∙
(3) 먹는물 중 미량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 연구
새로운 화학물질의 합성 및 분석기술의 고도화로 먹는물에서 노출 가능성이 있는 미량유해물질의
종류는 더 다양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해 인체에 미치는 위해 여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2019년에 전국 주요 70개 정수장에서 과불화화합물
등 우선관찰대상물질 68종에 대한 집중조사를 실시하고, 신종 미량물질 탐색을 위해 농약류
및 의약류 등 총 400여종에 대한 스크리닝 검사74)를 실시하였다. 인체위해도 평가에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퀴놀린, 바나늄, 나이트로사민류 등 주요 검출물질 3종을 신규 수질감시항목
으로 설정할 계획이다. 또한 총 400여종의 신종물질 중 25종을 원수에서 확인하여 향후 정수장
우선관찰대상항목에 포함하고 집중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원수 및 먹는물의 보다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정수・하수처리공정내 미량・신종오염물질의
거동평가와 제거예측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조사 대상 항목의 확대, 미량・신종오염물질 관리
정책지원 등에 개발기술을 활용하여, 보다 안전한 먹는물을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
하고 있다.
[그림 3-90] 먹는물 미량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위한 정밀분석
[그림 3-91] 먹는물 안전관리 확대를
위한 신종 미량물질 탐색
(4) 지하수 현안 신속대응 및 수질관리 내실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파주시 등 6개 시・도, 104개 매몰지)으로 인한 긴급 현안대응 및 지속
관리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천군 핏물유출사고와 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 지침을
제정하고 침출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의 특허를 출원하였다. 과학원-제주도 업무협약
(MOU)을 체결하고 축산분뇨 유출지역 지하수 수질개선사업 및 ICT 기반 감시・예측 시스템(인공
74) 스크리닝 검사(screening)는 먹는 물에서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미량물질에 대한 사전 검사이다.
∙432 ∙
지능 국가전략 100대 과제 선정) 구축하였다. 충남 4개 마을의 지하수 중 질산성질소를 관리하는
조사연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안심지하수 콜센터75)를 운영하여 상수도 미보급지역을 대상으로
‘안심지하수’ 수질검사사업을 수행하였고, 국가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를 검증해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지하수 중 자연방사성물질(라돈 등)의 국가배경농도 파악을 위해 국가지하수측정망
203개에서 함유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미규제 오염물질(과불화화합물 등 19항목) 모니터링・위해성
평가 및 감시항목 지침(안)을 제시하였다.
[그림 3-92] 제주도 지하수
수질개선사업 MOU
[그림 3-93] ICT 기반 지하수 오염물질
통합시스템 구축
2) 향후 전망
국립환경과학원 및 환경부는 국민 건강보호를 위한 환경보건 위해저감 연구, 기후변화 및
대기질 감시・개선 연구, 과학적 물관리 기반 조성 연구, 폐자원 순환과 에너지화 연구, 삶의
질 향상과 환경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기반연구 등 과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환경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국가 환경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환경현안을 해결할
계획이다.
75) 안심지하수 콜센터(1899-0134)는 수질검사 신청 등 1,339건, 안심지하수 수질검사사업 2,019가구를 진행하였다.
∙433 ∙
2. 해양극지개발
지구의 70%를 구성하고 있는 바다는 인류가 앞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자연환경이자
자원이다. 이러한 바다는 지구 식량자원의 25%를 제공하며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고 흡수된 에너지를
순환시킴으로써 기후 조절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 세계 교역의 78%가 이뤄지는
교통의 주요한 매개체로도 활용된다. 인류는 과학기술을 이용해 우리 삶과 밀접한 바다를 지속가능
하게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2016년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자료76)에 따르면 해양산업의 총 부가가치는 2010년에 1.5조 달러에서 2030년에는 3조
달러로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지구의 끝인 ‘남・북극’은 지구 환경의 구성요소이자 지구에서 가장 청정한 지역으로,
기후변화 모니터링에 최적 조건을 갖춰 ‘기후변화의 창’으로 불린다. 최근의 이상고온, 태풍,
홍수 등 자연재해가 국제적으로 더욱 빈번해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의 기상이변
및 자연재해가 북극의 기후・환경변화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음이 최신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또한, 북극의 환경변화에 따른 북극 해빙(海氷)이 감소하면서,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북극의 바닷길인 북극항로에 관심이 증대되고 자원에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과학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산업계의 북극 진출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주요국은 미래시장 선점과 해양이용의 우위 선점을 위해 해양수산 R&D 투자전략을 수립하고
연구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국 중 미국은 과학기술 및 미래산업을
위해 2021년 연방정부가 집중적으로 투자할 5대 분야 14대 과학기술 분야77)에 첨단 군사 과학기술,
인공지능, 양자정보와 함께 해양과학기술을 포함시켰다. 우리나라는 2016년 제정된 「해양수산과학
기술 육성법」에 근거하여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18~2022, 이하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신산업 육성 및 좋은 일자리를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집중 육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해양수산과학기술 기반확보’,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체계 혁신’, ‘해양수산과학기술의 지속
발전을 위한 생태계 조성’ 등 4대 전략을 설정하고,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재원을 확보하고
관련 제도개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연도별 실행계획(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76) OECE. 2016. Development Co-operation Repor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s Business
Opportunities
77) ①첨단 군사 과학기술, ②국가 기반기설 회복성, ③반도체, ④주요 광물자원 과학기술, ⑤인공지능, 양자정보
과학 및 양자컴퓨팅, ⑥첨단통신네트워크 동화, ⑦첨단 제조업, ⑧에너지, ⑨해양, ⑩지구과학, ⑪바이오제약,
⑫재향군인 건강복지, ⑬바이오경제, ⑭우주탐사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 2019.8.)
∙434 ∙
이 시행계획에 따라 2020년에는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 제고, 전략산업 육성, 사회문제 해결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해양 연구개발 분야의 투자를 전년대비 11.5% 증가한 4,872억 원을
편성하였으며, 해양수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기술인증, 창업지원
및 투자지원 등 해양수산 중소・벤처기업과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였다. 또한, 연구개발을
통한 우수성과의 창출과 창출된 성과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제도적 개선도 동시에 추진되는
등 기본계획에 제시된 정책과제 이행을 위한 세부계획이 역동적으로 추진된 한해였다.
1) 투자실적 및 주요 성과
가) 투자실적
2020년도 해양수산부의 정부 R&D 투자액은 2019년도 6,362억 원에서 6,906억 원으로
544억 원이 증가하였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이며, 정부 전체 R&D 투자액 대비
3% 수준에 해당한다. 참고로 주요국의 전체 R&D 예산대비 해양수산 R&D 예산 비중이 6%
내외 수준임을 고려하면, 해양수산 R&D 투자 규모의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표 3-46> 해양 R&D 연도별 투자동향
(단위 : 억원,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해양수산부 R&D 5,723 5,935 6,194 6,362 6,906
정부 R&D 190,942 194,615 197,483 205,328 242,195
예산 비중 3.0 3.0 3.1 3.1 2.9
해양 R&D의 구조는 크게 공모형 R&D사업과 국립수산과학원, 출연연구기관 등 연구기관
지원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공모형 R&D는 해양수산 R&D의 58%인
2,843억 원이 투자되었으며 연구기관 지원사업은 42%인 2,029억 원이 투자되었다.
공모형 R&D사업의 분야별 투자를 살펴보면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의 투자가 항만운영의
스마트 기술확보를 위한 투자로 다른 분야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전략산업 육성 분야”는
기존 일몰사업들의 투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선박 시장 선점 등 산업화를 위한 신규사업
추진으로 투자가 확대되었다. 이외의 분야도 연구와 산업현장의 기술적 요구를 반영한 신규
기술개발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으나 일몰제 도입에 따른 기존사업에 대한 투자 감소로
전체적으로는 2019년도 보다 투자가 축소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차 산업혁명 대응분야”의 경우 선박, 항만, 해상교통 등 해운물류
∙435 ∙
산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복합하기 위한 신규사업 추진으로 기술개발에 614억 원
(12.6%)을 투자하였으며, 친환경선박, 해양에너지, 해양장비 등 “해양수산 전략산업 육성” 분야에
923억 원(18.9%), 선박배출 가스 저감 등 해양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문제해결 및 삶의
질 향상” 분야에 1,127억 원(23.1%), 해양 중소・벤처기업 지원 등 “민간 역량강화” 분야에
179억 원(3.7%)을 투자하였다.
<표 3-47> 해양 R&D 분야별 투자비중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2020년
투자액 비중 투자액 비중
공모형
R&D
4차 산업혁명 대응 109 2.5 614 12.6
해양수산 전략산업 육성 739 16.9 923 18.9
사회문제해결 및 삶의 질 향상 1,238 28.3 1,127 23.1
민간 역량강화 239 5.5 179 3.7
연구기관 지원 2,044 46.8 2,029 41.6
합 계 4,369 100.0 4,872 100.0
2020년 공모형 해양 R&D는 총 28개 세부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에
3개 신규사업, “해양수산 전략산업 육성” 분야에 2개 신규사업, “사회문제해결 및 삶의 질 향상”
분야에 1개 신규사업 등 총 6개 신규 세부사업이 추진되었다.
<표 3-48> 2020년 해양 R&D 사업별 투자현황
(단위 : 억원)
사 업 명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총계 4,369 4,872
4차 산업혁명 대응 109 614
스마트 자동화 항만 상용화 기술개발 30 220
IoT 기반 지능형 항만물류 기술개발 52 191
(신규) 해양PNT고도화 기술개발 - 62
(신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 59
(신규) 항만컨테이너 자동통합검색플랫폼 기술개발 - 55
첨단항만물류기술개발 27 27
해양수산 전략산업 육성 739 923
해양장비개발 및 인프라 구축 327 192
해양청정에너지기술개발 183 179
LNG벙커링 핵심기술 개발 및 체계 구축 55 137
∙436 ∙
나) 주요 연구성과
2020년을 기준으로 해양 R&D에 대한 투자증가와 맞추어 과학기술적 성과인 SCI논문 건수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해양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한 해양모태펀드
출자(200억 원) 및 해양 중소・창업기업 지원을 위한 성장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의 결과로
사업화 성과도 큰 폭으로 향상되고 있다.
<표 3-49> 해양 R&D 과학기술적・사업화성과
(단위 : 건, 백만원)
구분 2017 2018 2019 2020
SIC 논문 299 320 312 352
기술이전 계약 41 35 86 81
기술료 징수액 9,423 10,384 19,732 42,166
* 해양 R&D 중 공모형 R&D 기준
사 업 명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IMO 선박 국제규제 선도 기술개발 67 127
(신규) 전기추진차도선 및 이동식 전원공급 시스템 개발 - 75
미래해양자원기술개발 58 69
해양장비연구성과활용촉진 20 62
조류발전 청정재생에너지 시스템 개발 29 45
(신규) 수소선박 안전기준 개발 - 37
3. 사회문제해결 및 삶의 질 향상 1,238 1,127
해양과학조사 및 예보기술개발 199 250
극지 및 대양과학연구 178 203
해양안전 및 해양교통시설기술개발 439 199
해양수산환경기술개발 187 179
선박배출 미세먼지 통합저감 기술개발 25 110
(신규)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 75
안전한 항만 구축 및 관리기술개발 44 75
무인항공기 기반 해양안전 및 수산생태계 관리 기술 30 36
정지궤도 복합위성개발 136 -
4. 민간역량 강화 239 179
해양산업 수요기반 기술개발 45 127
해양수산기술지역특성화 50 31
해양과학국제연구 22 21
미래해양산업기술개발 122 -
5. 연구기관지원 2,044 2,029
∙437 ∙
‘국내 최초 자율운항 및 해상임무 수행이 가능한 무인선 개발 및 실해역 시연’, ‘세계 최초의
항만 초고속 3차원 컨테이너 검색기술’, ‘남극권에서 새로운 타입의 질란디아-남극 맨틀 발견
및 특성 규명’ 등 총 7개 과제가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선정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무인선 시험선 아라곤
1, 2, 3호(좌측부터)
컨테이너 검색기 제어콘솔 및
운용・판독 소프트웨어
호주-남극 중앙해령 탐사 및
시료 채취 사진
[그림 3-94] 해양 R&D 대표 우수성과
분야별 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주요 연구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차 산업혁명 대응”
분야에서는 최근 가장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자율운항선박기술 개발에 착수하여 자율운항시스템
및 육상제어 시스템 설계와 비상상황 시나리오 및 자동 이/접안 구성을 완료하였으며, 자율운항
시스템 실선탑재 검증을 위한 실증지원 선사를 선정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선박의
안전항해와 자율운항 등 해양 4차산업(Digitalization)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해양 PNT
(위치・항법・시각) 고도화 기술개발’에 착수하였으며, 해외 무인자동화항만의 도입에 따른 컨테이너
위험화물 자동・통합 검색시스템 및 검색정보 공유플랫폼 개발을 신규로 추진하였다.
친환경 선박, 해양에너지, 해양장비・로봇 등 “해양수산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성과를 살펴보면,
국제해사기구(IMO)의 규제와 협약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 중인 황산화물 저감장치(SOx Scrubber)의
육상 실증 및 선박평형수처리설비 핵심기자재의 성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500㎥급 LNG벙커링
선박의 상세설계와 선급승인을 완료하고 건조에 착수(2020.5.)하였다. 해양신재생에너지 1MW급
해수온도차 발전플랜트의 적용성 확대를 위한 해상・접안형 모델 개념설계 및 플랜트 배치설계를
완료하였으며, 1MW급 조류발전 시스템을 상용화하기 위해 도서지역에 적용 가능한 조류발전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상세설계를 완료하였다. 해양장비・로봇 분야에서는 수중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장거리 통신모뎀 및 기지국 기반 수중통신 네트워크 핵심기술의 개발 및
실해역 실증을 완료하였으며, 수중건설로봇의 성능 및 활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실해역 검증,
국내외 수중공사 현장 투입 등 실적(Track-Record)을 확보하였다.
∙438 ∙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우리나라 해상교통환경에 특화된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핵심기술 및 운영시스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LTE-Maritime)체계
등을 개발 완료하였으며, 2021년부터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해양환경오염 예측・제어・저감기술 확보를 위해 해양 미세플라스틱 입자 형태와 크기를
고려한 생태위해성평가를 세계 최초로 수행하였으며, 해양쓰레기의 수거장비 개념설계와 전처리공정
및 친환경 처리공정의 요소기술 개발, 발생원 조사 및 성상별 유입 메커니즘 분석 등에 착수하였다.
또한, 한반도 고수온 현상(8∼9월) 규명 및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해 아북극-서태평양 동시 관측시스템
구축 및 아북극북태평양 해양-대기를 관측 조사하였으며, 남극 빙상 질량 손실량 평가 및 유출
융빙수의 전 지구적 영향을 규명하는 등 글로벌 해양수산 이슈 해결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민간의 역량 강화를 위해 중국, 페루, 인도네시아 등 주요국과의 R&D협력센터를 통한 국제공동
연구 추진을 통해 해당 국가와의 협력관계를 확대하였으며, UN 산하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의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전 지구 해양탐사 프로젝트인 “UN 해양과학 10개년 사업”에 적극
참여하는 등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민간 중심의 협력관계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하였다.
2) 향후계획
기본계획을 토대로 「해양수산 한국판 뉴딜(2020.7.)」 계획을 반영하여 재설정한 「2021년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에 따라, 해운항만 인프라 디지털화, 친환경 선박 전환 등
해양수산 분야 뉴딜 투자와 해양안전확보, 해양환경오염제어・저감, 남북극연구진흥 등 현안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더불어, 우수한 연구성과가 창출될 수 있도록
통계기반의 해양과학기술정책 수립과 혁신도전 R&D 추진, 해양수산 R&D 통합관리와 인프라
공동활용과 기업혁신을 위한 지원제도 확대 등을 통해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업 경쟁력 확보와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갈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해양
극심한 경기침체 극복 및 초유의 감염병 사태에 따른 경제・사회구조 전반의 대대적 변화
대응이라는 이중과제에 직면한 가운데, 새로운 성장동력의 발굴이 국가적인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해양은 식량, 광물, 공간 자원의 보고로서 국가 경제발전의 새로운 돌파구의 희망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조선, 해운, 항만 등 해양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비약적 발전에 상당
∙439 ∙
부분 기여해 왔으며, 해양과학기술은 해양과 관련된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자원
고갈과 지구환경변화 문제까지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이고도 미래지향적인 기술이다.
해양이 품고 있는 생물과 광물자원은 물론 해상풍력 등 환경친화적인 대체에너지의 활용을
위해서는 해양과학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심해 등 미활용 공간에 대한 탐사나 해양환경
보전, 해양안전관리, 해상물류 등 국민들의 실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개발 분야에도
해양과학기술이 근간이 되어야 한다. 현재 정부는 해양과학기술에 데이터(Big Data, Cloud),
네트워크(5G, IoT),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도입・융합하여 전통산업 패러다임에
머물러 있던 산업의 체질을 개선함으로써 미래형 고부가가치 스마트 산업으로의 발전을 도모
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 동향
(1) 해외동향
주요 선진국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디지털 경제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기계학습 등 언택트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해양대기청(NOAA)과 미항공우주국
(NASA)을 중심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양자원조사와 위성 데이터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해양데
이터관리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EU는 완전한 자율운항 항해 시스템, 지능형 기계시스템 등을
테스트하는 노르웨이 자율운항선박 프로젝트에 약 2,2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핵심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일본은 2025년 선박 250척에 자율운항시스템을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며, 중국은 수심 10,000m급 수중 글라이더, 이동식 해양지진계, 수륙양용
항공기 등 해양관측 및 탐사 장비의 개발에 성공하는 등 기술자립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기술 및 ICT 기술과 기존 산업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생산・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에도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스웨덴은 유조선 연료의 20~100%를 바이오 연료로
대체하여 탄소 배출 저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미국, 프랑스 등은 고해상도 해양예측시스템
운영을 통해 기후 및 기상, 해상 수색・탐색, 방사능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확산 예측에 활용하고 있다.
(2) 국내동향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고령화 및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인한 조선, 해운・물류 등
기존 산업 분야의 성장동력 저하 위기를 극복하고,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자율운항
선박기술, IoT 기반 스마트 해운・항만・물류서비스, 스마트 수산, 해양안전통신망 및 첨단 해
∙440 ∙
양로봇・장비 개발 등이 대표적인 연구개발 분야이다.
자율운항선박 스마트 항만・물류 해양로봇・장비 극지탐사, 해저자원
[그림 3-95] 해양 연구개발 주요 분야
자율운항선박은 2025년 국제해사기구(IMO) 자율화 등급 3.078) 수준의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지능형 항로의사결정, 육상과 연계된 도선 지원, 자동계류, 선원 및 화물 관리, 관제
등의 시스템 등 개발에 착수하였다. 해운・항만・물류 시스템의 스마트화를 위해 사물인터넷, 인공
지능 기술을 항만, 배후단지, 항만 연계시설 등에 적용하는 항만물류시스템을 개발 중으로, 해상
운송체계 지능화 및 물류서비스 혁신이 기대된다.
선박의 안전항해와 자율운항 등 해양 4차산업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물류 연계, 해양
PNT(위치・항법・시각) 고도화, 초고속 해상통신망 구축 등 인프라의 첨단화 등도 함께 추진하여
시너지를 모색하고 있다.
해양공간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중무선통신, 무인선박, 수중건설로봇, 수중글라이더
등 해양탐사, 해양자원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해양장비의 성능검증을
위한 시험평가선박의 운항테스트 등 실해역 실증을 통한 기술의 고도화・안정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해양에너지・자원 확보, 경제영토 확장, 생활공간 확대 등을 위해 미개척 극한지 조사・탐사,
극한지 에너지・자원개발 및 활용성 제고, 독자적인 남극 내륙루트 개척 등 극한지 개발 및 이용을
위한 핵심기술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극지 연구 수행에 필수적인 물자 보급루트와
연구 지점을 확보하여, 한반도 기후변화 예측, 남극 환경 보전 이슈 대응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분야의 연구를 확대하였으며, 극지 자원의 경제적 가치 제고를 위한 신소재 개발, 무선통신・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등 실용화 연구를 강화하였다.
더불어, 국제수준의 해양환경・안전 규제 관련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기, LNG 연료 추진
관련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혼합연료 추진기술과 마찰저항저감, 경량화 및 고효율 추진기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브릿지(Bridge) 기술개발과 선체부착생물(Biofouling) 관리를
78) IMO자율화 등급: (level 1) 선원 의사결정지원, (Level 2) 선원승선, 원격제어 가능, (Level 3) 최소인원 승선,
원격제어, 장애예측진단 등 기관 자동화, (Level 4) 완전무인 자율운항
∙441 ∙
위한 친환경적 처리기술 개발로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해양폐기물의 처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유입・이동・확산 및 오염평가, 위험유해물질 원격탐지 및
관리 등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과 더불어, 해양쓰레기 수거장비, 처리, 수거지원 연구도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수산 분야에서는 총허용어획량제(TAC) 기반 어업구조 정착을 위해 인공지능 영상을 통해
어획량, 불법어업 등을 분석하는 AI 기반 스마트 어업관리시스템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어획 수산물 유통 위생・안전 체계 구축과 수산물 유통 현안 해결 및 스마트가공기술개발을 통한
국민 수산물 먹거리 안전 확보, 수산식품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수산물 신선유통 스마트 기술
개발 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해양정보에 대한 공공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해저관측망, 해양과학기지,
해양위성 등으로부터 입체적이고 실시간 관측이 가능한 IoT 기반 4D 해양관측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양환경 및 생태계 변화의 실시간 통합관측
모니터링과 감시체계를 구축하여 고품질 첨단 예보시스템을 제공하면서 해양생태계 보전 및
해양자원, 영토관리, 연안재해 저감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 향후 전망
정부는 해양 신산업 육성 및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2017.6.
시행) 등 해양수산과학기술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생태계 조성,
인프라 확충 등의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양산업의 혁신을 더디게
했던 난제점과 한계 등을 개선함으로써 해양과학기술의 새로운 가치 창출과 국가 사회적 현안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자율운항선박 연계기술,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스마트 항만 및 스마트 해상물류 등
해양 분야의 스마트화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원천・핵심기술 확보와 더불어 실증기반 마련을
통해 국내외의 다양한 수요처에서의 활용성을 높인 산업・상용화 기술이 그 중심에 설 것이다.
친환경선박 세계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LNG, 전기, 하이브리드 핵심 기자재의 개발에서 혼합
연료 등 저탄소선박기술, 더 나아가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기술로 이어지는 해운・조선 분야
전 산업을 아우르는 친환경 선박 관련 선도 기술 개발이 기존 유류선박에서 친환경선박체계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 할 것이며, 조류, 파력, 조력, 해수온도차 발전 등 해양에너지 부문도
실해역에서의 대규모 단지 조성 및 실증, 다양한 현존 기술들의 융합화를 통해 경제성을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기존 사업의 성과・검증을
∙442 ∙
통해 신규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기 구축된 해양바이오수소 플랜트의 운영 최적화 시스템
개발과 고효율 바이오수소 정제시스템 개발 및 ISO 국제표준 개발을 통한 상용화 기술 개발이
추진되고, 빅데이터 기반 해양바이러스 제어 및 마린바이오틱스 개발을 위해 해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한 해양환경내 감염성 바이러스 제어 및 친환경 해양생물 성장 제어 기술개발을 함께
추진하여 연구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로봇, 데이터(Big Data, Cloud), 네트워크(5G, IoT), 증강현실, 디지털트윈 등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여, 해양재난・재해 대응 시스템 혁신, 해양환경오염 제어・저감, 남북극 연구진흥 등에서도
빠른 대응을 통해 기술선점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양 분야에서 미래 해양 과학기술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원천・핵심기술력의 확대와
민간기업의 자생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만큼 많은 관심과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향후 대한민국이
글로벌 해양강국으로 발돋움하여 글로벌가치사슬(GVC) 경쟁력 및 민간 기업의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양수산 한국판 뉴딜” 분야 기술개발을 확대하고, 민간 활용이 가능한 연구성과 활용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전략적 과학기술 육성과 지원체계 혁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극지
남극해 심해퇴적물에는 과거에 일어났던 기후변화와 해빙(海氷) 감소, 해양생태계 변화 등의
지구활동 기록이 그대로 남아 있고, 수백~수천 미터 깊이에 달하는 남극대륙 육상 빙하에 과거의
대기 성분이 그대로 갇혀 있는 등 지구 환경기록보관소로도 불린다. 그래서 과학계는 이러한
과거의 변화기록을 복원하고, 현재의 관측데이터를 연계하여 미래의 환경변화를 예측하고 있다.
여전히 미지의 땅이라 불리는 극지에서 (미)생물을 기반으로 하는 응용연구는 21세기 의약,
산업, 식품 등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는 점에서 블루오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으로, 북극의
얼음 속에서 잠자던 탄저병의 발병은 코로나 19를 겪고 있는 인류에게 극지발(發) 감염병의
우려도 낳고 있다. 이와 함께 남극세종과학기지 인근에서 지진의 빈번한 발생과 장보고기지
인근의 활화산 활동 증대는 극지에서 지질 및 지구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극지에서의 환경문제도 중요한 이슈이다. 전 세계 해양에서 발견되고 있는 미세 플라스틱이
북극해에서도 발견되면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의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노력이 일고
있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북극권 수산물에도 축적될 수 있고, 이는 결국 인간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북극권 해양생물의 플라스틱 오염 문제도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북극권
대기오염과 관련해 오염물질이 비북극권에서 유입, 또는 북극권 자체 발생 등에 대한 주제도
관심이 크다.
∙443 ∙
이와 함께, 기후변화로 인해 남극대륙 및 그린란드 육상빙하가 줄어들면서 해수면 상승 문제,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온도 변화로 해양생물의 서식처 이동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보호 등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가 원초서명국으로 참여한
‘북극공해 비규제어업 방지협정’이 2019년 타결되면서, 북극공해에서의 수산업 관리를 위한
생태계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극지 특성을 바탕으로 극지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글로벌 이슈에 공동으로 대응하면서
동시에 국익을 확보하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극지연구 성과 창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극지연구는 영하 수십 도의 기온과 블리자드 등의 혹한 환경에서 연구탐사가 동반되어야
가능하므로, 극지 인프라 구축과 안전한 운영도 필수적이다. 해양수산부 산하 극지연구소는 이러한
혹한 환경에서 현장연구 지원을 위해 현재 남극세종과학기지와 남극장보고과학기지, 북극다산과학
기지 등 3개의 기지와 쇄빙연구선 아라온 등 극지 인프라를 운영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가) 연구개발 동향
(1) 해외동향
유럽의 경우 영국은 극지연구를 주도하는 ‘영국남극조사소’(BAS, British Antarctic Survey)를
중심으로 PSPE(Polar Science for Planet Earth) 융・복합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화학, 물리학, 생물학, 지구과학 분야 6개 프로그램(기후, 빙상, 화학 및 고(古)기후, 생태계,
환경변화와 진화, 극지해양) 아래 25개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다. 독일은 알프레드베게너극지・
해양연구소(AWI, Alfred Wegener Institute)를 중심으로 ‘해양, 해안 및 극지시스템(Marine,
Coastal and Polar Systems - PACES II)’ 프로그램을 수행 중이다. 이 프로그램은 극지에서
지질・지구과학, 생물학, 기후학 분야와 관련한 연구주제를 테마로 하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의 서브 제목인 PACES II(Polar Regions And Coasts in the changing
Earth System II)는 이러한 극지에서 자연변화를 관측・분석, 모델링을 통한 예측 활동과 지구시스템에
인간활동이 주는 충격에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다. 즉, PACES
II와 연계하여 상기의 해양, 해안 및 극지시스템 융복합 프로그램을 수행 중이다.
미국은 대표적인 북극연구 프로그램으로 국립과학재단(NSF)이 지원하여 미국북극연구컨소
시엄(ARCUS, Arctic Research Consortium of the United States)이 주관하는 SEARCH
(Study of Environmental Arctic Change)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북극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북극권 사회가 변화하는 북극의 이해와 대응을 하는 데 목적이
∙444 ∙
있다. 이를 위해 ‘북극해빙변화의 이해와 예측’, ‘동토층 변화에 대한 이해와 이 변화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 ‘육빙(陸氷)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 등을 주제로 세부과제들을 추진
하고 있다. 또한, SEARCH 프로그램은 2019년 뉴욕 워싱턴에서 ‘Arctic Futures 2050’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미국 주도의 북극과학연구 컨퍼런스의 문을 열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문부과학성(MEXT) 주도로 2015년부터 북극연구 융복합 프로그램으로
‘지속가능성을 위한 북극의 도전 프로그램’(ArCS I : Arctic Challenge for Sustainability,
2015~2019)을 추진하여 북극 기후・환경변화와 이러한 변화가 일본 기후에 미치는 영향, 북극
생태계 변화연구 등 자연과학연구와 이러한 변화가 북극권 인간(원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북극 해빙예측에 따른 북극항로의 활용예측 등 자연과학 기반 활용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문부과학성(MEXT)은 이 프로그램의 후속사업으로 2020년 ArCS II(2020-2025)를 출범시키고
북극 환경변화 관측 및 북극기후예측 고도화, 북극 자연환경변화가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연구성과의 사회적 실현과 법・정책적 대응 등 4개 전략목표의 아래 11개 과제군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남극의 대표적인 국제 공동연구로는 미국(NSF), 영국(NERC), 한국(KOPRI)이 공동 주도
하는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돌발 붕괴가 유발하는 해수면 상승 예측 연구’(2019~2022)를 들
수 있다. 이 과제는 국제사회가 글로벌 이슈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 남극에서 진행되는
가장 큰 규모의 연구사업이다. 연구대상인 남극 스웨이츠 빙하는 지난 5년간 남극에서 가장
빨리 녹아내리면서 이미 붕괴가 시작된 빙하로 얼음 바닥이 해수면보다 낮아 따뜻한 바닷물의
영향을 직접 받고 있으며, 3대 과학저널인 네이처(Nature) 지가 2018년에 선정한 ‘가장 주목해야
할 과학이슈 10개’ 중 1순위에 꼽힌 연구주제이기도 하다. 국제공동연구팀은 이 빙하 붕괴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원인과 과정을 분석하여 해수면 상승예측 체계를 구축 중이다.
MOSAiC(Multidisciplinary drifting Observatory for the Study of Arctic Climate) 프로
젝트는 북극 해빙 무동력 표류탐사 국제공동연구로서 독일 주도로 한국을 포함해 총 20개국이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2019년 9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13개월간 북극 해빙에 정박한
독일 쇄빙연구선 폴라슈테른 호가 북극점을 포함해 약 2,500km 거리를 무동력으로 표류하면서
북극 환경변화를 종합 관측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1억 4,000만 유로(2천억 원 규모)이며, 러시아,
중국, 스웨덴 등 3개국의 쇄빙선이 보급 및 후방지원을 담당하였다. 동 사업은 지구온난화의
진앙으로서 북극에 대해 더 가까운 관측을 하고, 글로벌 기후변화에 더 깊은 통찰력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하며, 우리나라는 극지연구소가 우리 위성인 아리랑 2・3・5호가 보낸 탐사자료(위성
해빙사진)를 분석하여 예상항로에 위치한 해빙의 특성을 파악하고 현장활동이 수월한 지역들을
찾아서 현장연구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8대 북극권 국가 간 포럼인 ‘북극이사회’ 산하 지속가능개발 워킹그룹이 주도하는 ‘One Arctic
∙445 ∙
One Health’는 코로나 19 이후 북극에서 건강 이슈가 더욱 주목됨에 따라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고
건강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목표로 구성되었다. One Health는 북극에서 ‘인간의 건강’, ‘동물의
건강’, ‘환경의 건강’ 등이 하나로 통합된 ‘건강한 사회 및 환경 실현’을 추구하며, 여기에 북극발
감염병이나 비북극권으로부터 코로나 19와 같은 질병유입 대응이 포함되고, 북극권 국가 정부
간 협력 프로젝트 중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프로젝트(미국 주도)이다.
(2) 국내동향
국내에서는 극지연구소 주도로 남・북극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먼저 연구인프라
활용을 기준으로 한 연구 동향 및 성과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극세종과학기지’를
기반으로 한 연구 활동과 성과를 살펴보면, 생물 시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기후변화 연구가
두드러진다. 세종기지를 기반으로 극지생물 유전체와 대사체 연구를 통해 생물의 극한환경 적응
및 진화과정을 이해하고 바이오 신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2018년 6월에는 민간기업에 혈액 동결 보존제 기술이전을 하였으며, 남극 지의류 신규 합성
화합물을 활용한 제2형 당뇨치료제를 개발하여 기술이전을 완료하였다. 그리고 남극 고등생물의
전장 유전체 해독과 남극어류의 극한환경 적응기작을 규명하였으며(2014), 남극 저온내성 유전자
발굴을 통해 ‘저온내성 벼’도 개발했다(2015). 이 연구의 후속연구로 남극 좀새풀 유전자를 기반으로
형질을 변형시켜 일반벼보다 저온에서 생존율 5배, 건조환경에서 3배 이상의 생존율을 높인
벼를 개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2020).
또한, 남극 세종기기 인근에서 발견한 극지 요각류의 유전체 해독으로 저온 적응기작을
규명함으로써 동상으로 인한 세포 괴사 현상 치료 매커니즘 및 한파 저항성 양식어류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2017). 또한, 남극대구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해독・분석
하는 데 성공하였다(2020). 그간 인간과 돼지, 칠면조, 소, 배추 등 가축과 농작물 중심으로
유전자 해독이 이뤄졌으나 남극 고등생물을 대상으로 유전자 해독이 이뤄진 첫 사례이다. 기후
변화 연구로 세종기지에서는 남극 기후변화의 핵심요소인 에어로졸(구름생성과 국지적 눈・비
발생 핵심요소)에 대한 연속관측 자료를 확보하여 발생 패턴을 규명하였고(2017), 극지방 대기
중의 오존을 파괴하고 구름 생성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오드의 생성 원인을 밝혀냈다
(2019). 그리고, 극지얼음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 즉 미세조류가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
탄소를 흡수해, 지구온난화 완화 역할을 하며, 극지의 얼음에서 이러한 미세조류의 성장을 돕는
철 이온이 방출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2019). 한편 올해 세종기지 인근 빙하 호수에서 신종
완보동물 ’물곰’(Water Bear)을 발견하여 실험실에서 번식에 성공하였다(2020). 이 물곰 연구를
통해 앞으로 ‘냉동 생물연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46 ∙
‘남극장보고과학기지’ 기반 연구로는 기후변화연구와 빙저호 연구, K-루트 개척을 들 수 있다.
먼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녹고 있는 남극 아문센해 빙하의 융빙 원인이 남극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적도지방의 기후변동과 연관됨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지구가 하나의 시스템
으로 이뤄졌음을 재확인시켰다(2014). 그리고, 기후변화로 남극 빙붕(Ice Shelf) 하부에 흐르는
물고랑의 영향으로 인해 두께가 점차 얇아져 상부에 균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빙붕이 붕괴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2018). 최근의 남극 스웨이트 빙하 등 서남극 빙하 연구를 통해 최근 10년간의
남극빙하 감소는 해양 온난화뿐만 아니라 남극 강설량 감소도 하나의 원인이며, 그 기여도는
남극빙하 감소의 30% 정도 차지하는 것을 밝혀내었다(2020). 또한, 모델링 연구를 통해 남극
빙하가 녹아 바다에 유입되면 적도의 열대수렴대를 북쪽으로 밀어 올려 동아시아의 수온을 섭씨
0.2도 이상 상승시키는 것을 예측하고 그 성과를 발표했다(2020).
이와 함께 극지연구소는 국내연구팀과 협력하여 지난 수십 년간 남극 온도 관측자료 등을
분석하여 남극대륙의 동남극과 서남극 간 비대칭적 온난화 특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평균 1,000m의 고도차로 인해 녹는 속도가 달라져 고도가 낮은 서남극에서는 바다에서 대륙으로
부는 고기압성 바람이 열을 가져와 온난화 증폭, 반면 고도가 높은 동남극에서는 대륙에서 바다
쪽으로 차가운 바람이 불면서 온난화 지연 현상을 보여 동남극 온난화가 지연됨을 밝혀냈다(2020).
이와 함께 극지연구소는 장보고기지를 기점으로 남극점까지 우리나라 힘으로 루트를 개척하는
K-루트 사업을 추진 중이며, 현재까지 900km 지점까지 내륙진출 루트 개척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루트 개척을 통해 빙하 밑 빙저호수 내 미지의 생물 연구, 심부 빙하시추 연구를 통한
수십~수백만 년 전의 기후 추정, 영하 수십 도에서도 인간 활동을 가능하게 해 줄 극한공학(극한지
건설, 내한 소재, 극한용 장비・기술 개발 등)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북극다산과학기지’를 기반으로 한 연구로는 북극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북극의 급격한 온난화로 인한 해빙감소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겨울철 한파 및 폭설의 주요 원인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2014)한 후 이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해
한반도 기후예측의 정교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열과 수증기로 꽉 찬 태풍급 저기압(Storm
Frank)이 북극에 유입되어 북극의 급격한 이상고온 현상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2017).
그리고 동토층-대기-생태계 연계 연구로 북그린란드 화석연구를 수행하여 약 5억 2,000만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원시 절지동물의 두뇌 진화과정도 확인하였다(2018). 또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주는 극지대기 중의 초미세먼지 생성을 규명하여 극지 환경변화 연구의
기틀도 마련하였다. 특히, 올해는 북극 내륙의 강, 툰드라에서 배출되는 가스 형태의 전구물질과
북극해에 사는 플랑크톤이 극초미세먼지를 생성시키는 한 원인임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쇄빙연구선 아라온’ 기반 연구로는 남극해 맨틀연구, 빙붕-해수면 상승 간 연계연구
∙447 ∙
등을 꼽을 수 있다. 먼저, 아라온을 활용하여 남극 중앙해령 현장탐사를 통해 남극 중앙해령의
현무암질 해양지각에 빙하기-간빙기 순환증거가 기록되어 있음을 밝혀내었고, 빙하기에는 해수의
양이 감소하면서 해저면에 미치는 압력도 감소하여 중앙해령에 더 많은 마그마가 형성되고,
간빙기에는 해수의 양이 증가하여 해저면에 주는 압력이 커져 더 적은 양의 마그마가 형성되어
이것이 지각에 굴곡으로 나타남을 밝혀내어 3대 과학저널인 사이언스(Science)지에 논문을 게재
하였다(2015). 최근에는 남극해에 위치한 ‘호주-남극 중앙해령’ 탐사 결과 남극의 새로운 맨틀의
존재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여 기존의 표준 지구맨틀 대류 전통모델을 바꿀만한 성과를 이뤄냈다
(2019). 그리고 적도 및 저위도 지방의 이상기후 현상이 남극해에 서식하는 동물 플랑크톤의
생존전략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세계 최초로 규명해냈다(2019). 동물 플랑크톤은 바다
속 이산화탄소 조절 및 해양 생물학적 펌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 등 글로벌 기후변화의 남극생태계 영향 연구는 지속될 전망이다.
아라온 활용 2020년 연구성과로 극지연구소와 스웨덴 연구팀은 서남극 아문센해 겟츠 빙붕
주변 바다에서 수심에 따른 유속과 염분 변화를 측정하여 빙붕에 근접할수록 남극대륙으로 흐르는
따뜻한 바닷물 유입을 막는 현상을 관측하였다. 그래서 빙붕이 빙하가 녹는 것을 늦추는 역할을
하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2020년 네이처(Nature)에 게재하였다. 또한, 극지연구소는
호주연구팀 및 국내연구팀과 함께 남미와 남극반도 사이의 스코시아해에서 빙하 기원 퇴적물을
채취・분석하여 약 2만 2,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에 남극 빙하가 붕괴되어 바다로 흘러간 흔적을
발견해 2020년 논문에 게재하였다. 이러한 과거 빙하의 움직임과 붕괴현상 규명은 기후변화
모델링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미래 기후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극지연구소는 국내
및 중국연구팀과 공동으로 아라온을 활용하여 서남극 아문센해에서 미세먼지를 채집하여 미세먼지
주요물질과 남극 식물플랑크톤(페오시스티스), 규조류 등 해양미세조류 조성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을 규명하였다(2020). 즉, 식물플랑크톤이 배출하는 황화합물 등이
바람과 파도에 의해 잘게 부서져 미세먼지화되는 것을 밝혀냈다.
이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위성정보 서비스 등에 기반하여 위성 원격탐사를 통해 기후
요소들의 다양한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육상동물 개체군 관찰이나
해빙변화 관측이 대표적이다. 또한, 원격탐사와 모델링의 융복합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이상기후
예측과 해운업계의 북극항로 운항지원 등 산업계 지원을 위한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성과로 아리랑 5호 위성의 탐사자료를 통해 분석한 다년생 북극해 해빙을 관측하여 해빙의 성장・
이동・변형・소멸 등 해빙의 생애주기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여 앞서 설명한 MOSAiC 프로젝트팀에
관측 및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등 2020년은 더욱 체계적인 국가 극지개발이 되도록 노력한 한
해였다. (2020).
∙448 ∙
나) 향후 전망
앞으로 기후변화와 이에 따른 남북극 환경변화가 가속화되고 한파, 가뭄, 태풍, 산불 등 자연
재해가 빈번해지면서 극지연구는 국제사회에서 더 많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극권 해빙 감소로 인해 북극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되면서 북극 자원개발과 새로운 바닷길인
북극항로 활용을 위해 산업계가 해빙예측 및 안전항로 지원과 같은 과학적 성과를 기대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극지환경과 생태계 변화를 관측・진단하고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무인기를 활용한 육상 모니터링과 쇄빙연구선을 통한 해상 모니터링은
물론 인공위성을 통해 원격으로 극지기후를 관측하고 정교한 모델링을 통해 기후예측을 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가속화될 것이다. 그리고 남북극에서 이러한 환경변화와 함께 생태계 균형이
변화되고 서식처 이동 및 멸종 위기종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서 이에 대응하는 생태계 및 (미)생물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이와 함께 신규 의약품 개발이나 산업 등에서 활용이 가능한 극지생물자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극지 미답지와 연구영역 개척을 통해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밝혀내고, 세계적인 연구성과에 도전하는 융복합 연구도 국제사회에서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이 같은 미래 전망을 토대로 남・북극 국제학술기구도 연구전망을 내놓았다. 남극과학 비정부
국제학술기구인 남극연구과학위원회(SCAR, Scientific Committee on Antarctic Research)는
지난 2017년에 남극연구 전망 7대 주제를 제시하였다. 7대 분야는 △남극 대기와 전 지구적
연관 관계, △더워지는 지구에서 남극해와 해빙, △남극 빙하와 해수면 상승, △남극 얼음 아래
지각의 변동 규명, △극한 환경에서의 남극 생명, △남극에서 우주관측, △남극에서 인간 존재와
영향 등이다. 또한, 북극과학 비정부 국제학술기구인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International
Arctic Science Committee)도 지난 2015년 ICARP III(북극 연구계획 국제컨퍼런스)에서 채택한
‘북극연구 통합-미래를 위한 로드맵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에서 IASC는 2025년까지
△‘글로벌 시스템’에서 북극의 역할, △미래 기후역학 및 생태계 반응에 대한 관측과 예측, △북극
환경과 사회의 취약성 및 복원력의 이해와 지속가능개발 지원 등 3대 핵심주제와 핵심주제별
10개 내외의 세부과제를 설정하여 북극에 대한 국제사회의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연구방향을 고려하여 글로벌 기후환경변화에 민감한 극지 해양-생태계-해저환경 연구를
통하여 극지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북극해 해빙감소, 수온상승, 담수유입으로 인한 온난화-해양
생태계 변화를 감시하면서 미래를 예측하고, 급격한 해빙감소로 접근 가능한 북극해 미답해역의
자원정보를 선점할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남극 로스해 해양보호구역의 보존조치에 따른
생태계 변화 등의 극지 해양환경 및 해저조사 연구를 추진하여 미래 환경 변화에 다각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449 ∙
3. 기상
2020년은 코로나 19 팬더믹 사태 속에서도 기후변화는 멈추지 않았고 이에 따른 기록적인
기상현상들이 나타난 한 해였다. 전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1.2도 높았으며, 역사상
2번째로 따뜻한 해로 기록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역대 가장 따듯한 1월, 역대 가장 긴 장마철(중부
54일, 제주 49일), 7월보다 더운 6월 폭염 등 다양한 기상・기후학적 현상이 발생하였다. 세계적으로는
올해 북대서양 허리케인 활동성은 역대 최고를 기록하였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기록적인
폭염과 산불이 발생하였다. 중국과 베트남에서는 역대급 폭우와 홍수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일본 역시 남부지방은 홍수가, 중부지방은 역대급 폭염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악기상/극한기상에 대응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악기상/극한기상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기상청은 위험기상 대응 강화와 기후예측 및 기후변화 감시를 위하여 한반도 관측공백 해소를
위한 수도권 입체관측망 구축, 수치예보 핵심기술 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아울러,
미세먼지와 같은 사회적 이슈 대응을 위하여 기상조절 기술을 개발하는 등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으로 하는 연구개발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3개의 과제가 선정되었으며 특히, ‘인공지능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기후예측 시스템 개발 및
대양 간 상호작용 규명(전남대 함유근 교수)’ 과제는 순수기초・인프라 분야의 최우수 과제로
선정되었다. 또한, ‘제2회 재난안전 연구개발 우수성과’(기상항공기 활용기술 개발/국립기상과학원),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업 유공’(기상관측 차량을 이용한 기상지원 및 집중호우・태풍 사전 관측자료
제공/국립기상과학원)에 선정되는 성과로 나타났다.
1) 주요 성과
가) 국립기상과학원
국립기상과학원은 1978년 설립된 이래로, 융합과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한 지구시스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거점기관으로, 국가 재난・재해 방지를 위한 과학적 근거마련, 예보정확도
향상, 기상 분야에 첨단 과학기술 적용, 수요자 요구에 반영한 자료제공으로 기상・기후정보의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2020년도에는 기상항공기를 이용하여 국민 건강과 밀접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인공강우
∙450 ∙
등의 기상조절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기상조절기술은 가뭄 예방, 산불방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태풍,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의 연직구조를 관측하여 위험기상에 대응하고
과학적 이해를 향상한 결과, 2020년에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기상현상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는 예보정확도 향상 및 기상정보의 가치창출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이다. 과학원은 수도권 집중관측으로 중규모 대류계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장마철 집중호우 사례에
대한 상세분석으로 한반도 장마철 집중호우 개념모델을 재정립하였다. 아울러, 모바일 관측차량
및 기상드론을 이용하여 강원지역 양간지풍 등 지역적인 기상 현상의 이해를 높였다. 또한, 서울의
기상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특보구역을 세분화하였으며 이는 2020년 5월부터 예보에 반영되었다.
새롭게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기상 분야에 적용하고 기상정보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도 과학원의
중요 업무 중의 하나이다. 과학원은 2020년 인공지능기법을 기반으로 예보관의 강수예측을
지원하는 ‘알파웨더’ 원형을 개발하였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예측성과를 높일 예정이다.
일부 분야 및 지역에서 더욱 상세한 기상정보 제공이 요구된다. 고해상도 규모상세화 수치자료
산출체계(KMAPP)를 마련하여 제주공항에 위험기상 예측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수도권
건물효과를 반영한 초고해상도(50m) 도시기상정보를 시범 산출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기후현상이 나타나면서 기후변화에 의한 이상기상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정보 산출을 위해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였고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자료는 국가기후변화정책에 활용될 예정이다. 장기예보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노력으로 기후예측모델을 개선하여 예측정확도를 3.1% 향상시켰다.
나) 수치모델링센터
수치모델링센터는 위험기상에 대한 예보정확도 향상 및 대응능력 강화를 위하여 2011년부터
개발을 진행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을 2020년 4월에 정식운영하여 예보자료 제공을 시작
하였다. 아울러, 천리안 2A호 위성 자료 등 신규 관측자료 활용,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강수물리과정 개선, 지면자료동화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모델의 예측 성능을
향상시켰다. 2019년부터 대국민 서비스 중인 초단기예측시스템은 강수구조 분석 방법과 강수
물리과정을 개선하고 해양모델과 결합하여 예측 성능을 향상시켰고, 기존 6시간까지만 제공되던
동네예보 요소를 12시간까지 연장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기반 앙상블예측시스템의 해상도를 50km에서 32km로 개선하였고 초기 섭동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한국형지역모델의 규준모델체계 개발 및 시험 운영을 통하여 현업화 체계를 마련하였다.
∙451 ∙
또한,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초단기모델과 한국형수치예보모델(KIM)의 강수물리과정을
개선하였다.
2021년 시행 예정인 태풍 영향예보 시범운영을 위하여 태풍에 의한 지역별 취약성과 피해
노출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호우, 강풍 등 태풍과 관련된 주요 위험요인별 위험수준 임계값을
산정하였다. 또한, 지역 특성을 고려한 폭염, 한파 영향예보 가이던스를 개발하고 수치모델의
태풍 강풍・폭풍 반경 표출, 태풍 진로 지향류와 태풍 발생탐지 산출 개선을 통해 예보 지원을
강화하였다.
다)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는 국내 유일의 기상위성 전문기관으로 날씨・기후・환경 등에 관한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위성 자료를 관측・수집하여 국내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천리안
위성 2A호의 성공적인 정식서비스(2019.7.) 이후 천리안위성 2A호 기반 위험기상 조기탐지
체계 강화를 통한 기상해 피해경감과 고품질 기상위성 정보의 신속한 서비스 인프라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0년도에는 천리안위성 2A호를 활용한 위험기상 탐지정확도를 40%(2019년
이전 3년 평균)에서 64.8%로 향상시켰고 위성 관측에서 자료서비스까지 12분이 소요된 것을
6분으로 줄여 기상재난 대응에 필요한 신속한 위성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이와 더불어, 천리안위성 2A호로 고속관측(2분 간격)을 수행하여 한반도를 내습하는 태풍을
연속적으로 감시하고 중심위치, 강풍반경, 경로 등 보다 정확한 태풍 분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 내습 태풍피해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연근해를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항행을
위하여 상세 해무영상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그 밖에 경북 안동, 전북 곡성, 호주 남동부 등
국내외에서 발생한 산불분석 영상 및 필리핀, 일본 등 국외 화산분출감시 영상 등을 적시에
신속히 제공하여 국민안전 증진과 전 세계 공동번영에 기여하였다.
∙452 ∙
<태풍예보 지원>
<대류운 탐지 >
[그림 3-96] 호주에 제공된 천리안위성 2A호
호주산불 분석영상(왼쪽) 및 호주 기상청의
감사 서한(오른쪽)
[그림 3-97] 태풍(바비) 분석 및 대류운탐지 분석
영상제공 및 천리안위성 2A호 때문에 기상청
예보가 더욱 정확해지고 있다는 언론보도
라) 기상레이더센터
기상레이더센터는 실시간 위험기상 감시, 수치예보 및 수문 모델의 입력 자료로 사용되는
기상레이더 자료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이중편파 강수량 추정 정확도를 84.5%까지 개선하고
위험기상 정확도 향상을 위한 레이더 자료 품질관리 기술을 자체 개발하였다.
일반 국민은 물론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레이더와 낙뢰 기상정보를 확대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위치 기반의 「우리동네 레이더 날씨 알리미」 앱을 개발하였으며, 레이더 기반 통합(관측, 위성,
모델 등) 항공기상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항공위험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등 다분야에서
레이더 자료의 활용 확대와 기술향상에 기여하였다.
마) 지진화산국
지진화산국은 지진・지진해일・화산 등으로 인한 재해를 줄이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진 분야는 조기경보 알고리즘 고도화를 통해 한반도 지진환경에 최적화된 지진조기경보 기술을
개발하고, 지진해일은 수치모델 수행시간 개선을 통해 신속대응에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화산 분야는 국내로의 화산재 유입 시 특・정보 생산을 위한 화산재 확산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반도 지각구조 이해에 필요한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 구조 통합 모델을 개발하고자
전국을 권역별로 나누어 집중 조사 중이며, 1단계로 영남 내륙(동해남부 해역 포함)과 수도권에서
미소지진 근접관측을 통한 지진활동 정밀분석이 수행되었다.
∙453 ∙
바) 출연연구개발사업
기상청에서는 기상연구에 대한 외연을 확대하고 다양한 연구결과를 확보하고자 대학, 민간,
타 부처 협업 등 다양하게 출연연구개발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기상・기후・지진 분야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상・지진See-At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총 153억 5천
7백만 원 규모의 62개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있다. 해당 사업에서는 SCI・비SCI 논문 124건,
특허・등록 28건, 소프트웨어 등록 75건 등 양적 성과와 더불어「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서
4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2020년에는 최우수과제로 선정되는 등 질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이처럼 기상・기후・지진 분야 기초 과학기술을 확보하여 기상업무발전에 기여하고, 연구자
중심의 창의적 연구지원을 통해 자연재해 대응역량 강화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하여 다부처 연구개발사업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방위사업청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연직바람 관측장비 운영기술 개발’ 사업은 군사 부문과 비군사
부문 간 기상 기술협력 활성화를 통해 민・군 공동 활용을 위한 고층기상관측용 연직바람 관측장비
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2020년에는 안테나부 및 송수신기 제작 및 시험 완료, 클러터
펜스 설계 완료, 품질관리, 신호처리 기술의 1차 개발을 완료하였고 시제품 성능시험(2021년)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장소를 선정하였다. 관련 논문 게재 5편, 특허 출원 및 등록 3건, 프로그램
등록 3건 등의 성과를 창출하였다. 그리고 행정안전부, 산림청과는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사업을 통해 호우, 폭염, 한파로 인한 영향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재해영향
모델의 초기분을 개발하고 기상재해로 인한 영향을 지역별, 피해분야별로 차별화하여 예보하기
위한 기술 기반을 확립했다. 특히 폭염 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로 보건, 산업 등 분야별 폭염
영향을 분석하고 영향정보 전달방안을 개발하여 기상청의 폭염 영향예보에 활용하였다. 또한,
국토교통부와 함께 스마트시티 국가시범사업을 통해 도시민의 안전과 생활편익 증진을 위한
‘스마트시티 기상・기후 융합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0년은 도시규모 3차원 기상분석장・
예측장 생산 및 기상기후 융합기술(도로위험기상정보, 생활보건기상정보)의 프로토타입을 개발
하고, 고해상도 기상관측체계 및 기상기후 플랫폼 기본설계 등을 추진하였다.
민간기술을 발굴하고 기상사업에 대한 기반 구축을 위하여 ‘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연구성과를 사업화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0년도에는 ‘블랙아이스 위험진단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도로기상감정 서비스’ 등 7개 과제에 대해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고도화하고 구현 솔루션
기술을 개발하였다. ‘장마철 빗길 교통안전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등 12개 과제에 대해 리빙랩
(Livinglab) 기반의 시범서비스를 운영하여 민간 기상업체 등이 맞춤형 융합 기상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454 ∙
급변하는 기후현상에 대응하고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2020년부터 ‘기후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정보 생산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계절내(2주~
2개월) 규모의 기후예측기술을 강화하기 위해 기후예측모델(GloSea5)을 개선하고 이상기후(폭염,
태풍 등) 예측성을 평가하여 우리나라 중심의 이상기후 예측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온대저기압,
태풍 등의 미래 기후학적 변화를 분석하고 동아시아의 지역기후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2) 향후 계획
기상청에서는 다양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국민의 생활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제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하여 입체적 기상관측 체계 구축, 한반도 단층구조
모델, 지진・지진해일 발생 연구 등 위험기상・지진 대응역량을 강화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빅데이터(Big Data) 수집・유통・활용 생태계 지원, 인공지능(AI)
예보활용 연구,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교통・주거 등 생활 밀착형 콘텐츠 등 첨단 기상과학기술
투자 강화로 기상정보의 신 부가가치 창출과 기상 분야의 기술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기상 분야는 시간 규모에 따라 크게 기상과 기후로 구분된다. 기상 현상은 수일 규모의 현상들로
일상적인 날씨뿐만 아니라 폭염, 열대야, 태풍, 집중호우, 강풍 등 악기상 혹은 극한기상을 포함한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해 악기상이 빈번해지면서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기상 분야를 넘어 산불 및 에어로졸 수송 등 기상 현상과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들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치모델링 및 수치예보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악기상/극한기상 모델링은 수치모델 개발, 인공위성 자료 등 자료동화, 머신러닝 등 통계적
후처리를 포함하여, 전통적인 기상 현상(태풍, 블로킹 등)을 넘어 최근에는 대기의 강과 같은
비정형 현상에 대한 모델링 및 예측으로 확장하고 있다.
기후는 가뭄과 홍수 등 이상 기후, 북극진동과 같은 단기 기후변동성, 태평양순년진동 등
장기 기후변동성 및 기후 변화 등이 포함되며 수개월 이상의 시간 규모에 해당한다. 장기 관측
자료에 대한 분석과 기후모델링이 동반된다. 최근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와 파리기후변화협정 등을 통해 미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고해상도 전구 및 지역기후 모델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저감기술인 지구공학(Geoengineering) 접근들에 대한
모델링도 시도되고 있다.
∙455 ∙
2010년대에 들어서 기상과 기후의 경계에 해당하는 계절내-계절(S2S) 시간 규모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S2S 규모는 보통 2주에서 2달 정도의 시간 규모로, 예측이 거의
불가능한 미지의 분야로 남겨져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국제 공동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사회경제적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각국 기상청 및 기상 관련 연구소 등 현업기관들이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2020년 전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1.2도 높았으며, 역사상 2번째로 따뜻한 해로
기록되었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는 빈번한 악기상/극한기상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전지구 기후현황 보고서, WMO, 2020).
폭염, 장마, 가뭄 등 이상기상 현상들은 종종 S2S 시간 규모에서 나타난다. 이 시간 규모에서
기상/기후 예측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WCRP) 7대 도전 과제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올해는 매든-줄리안 진동(MJO), 적도-중위도 원격상관, 성층권-대류권
접합 등의 S2S 주제들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미국 기상청, 2020).
제6차 결합모델 간 상호비교 프로젝트(CMIP6)에 참여한 최신 기후모델 결과를 활용하여 전지구
대기와 해양-육지-빙권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연구되었다. 다양한 시간 규모에서 최신 기후모델
들의 모의 성능이 평가되었으며,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기대순환의 변화 양상을 모델이
모의할 수 있는지 평가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았다. 성층권에 대한 연구도 활발했는데 올해 역사상
최초로 발견된 북극 오존홀에 대한 관심이 컸다. 지난 40여 년 동안 남극에서만 지속적으로
관측된 오존홀이 북극에서 처음 관측되면서, 그 발생 원인에 대한 일련의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최근 기상학계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전통적인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주목할만한 연구로 엘니뇨 남방진동과 북미기후 패턴을 신경망 기법을 이용해 인식하고
예측한 연구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기상 및 기후 예측에 있어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경제 활동 감소에
따른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의 배출량 감소가 있었다. 이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연구에 따르면 중국, 미국, 브라질, 이탈리아, 인도 등의 대도시에서 경제 활동
감소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감소가 관측되었다. 그러나 온실가스들의 상쇄 효과로 인해, 경제활동
감소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가 지구온난화 감소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456 ∙
또한, 미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코로나 19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새로운 지구과학 연구
(RRNES)’ 프로젝트를 통해 인공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코로나 19에 따른 비행운 감소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 대기오염물질 감소와 미국 서부 강수 감소와의 연관성, 딥러닝 기반 온도와 습도
등 날씨 조건과 대기질이 코로나 19 확산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국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상 및 이상기후 현상의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미래 기상/
기후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기초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서울지역의 지표면 온도가 상승하고
일사량이 증가하면서 지면이 점차 건조해지는 도시사막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폭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장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올해 장마는
6월 10일 제주에서 시작하여 8월 16일까지 무려 54일 동안 이어져 1973년 이후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되었다. 특이 장마의 발생 원인은 시기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되었는데, 6~7월 장마는 온대저기압의
강한 발달, 7~8월 장마는 수증기 유입이 주된 원인이었다(한국기상학회, 2020.10). 그 이외에
조석 효과에 의한 하층 대기 변화가 연안 악기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구온난화에 의한
극한기후의 임계치 결정 연구, 지구온난화와 자연 변동성이 동아시아 강수 및 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북극 해빙 감소와 관련한 태평양 기후 변동성과 미래 예측 연구, 성층권 준2년주기진동
(QBO) 붕괴 메커니즘 규명 연구 등이 수행되었다.
수치모델의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모델 개발 및 이를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일례로 차세대 전지구 모델 개발을 위한 대기 물리과정 모수화 개발 연구 등이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으로 선정되었다. 기후모델 결과를 활용한 연구 중에는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극한기상
현상에 대한 모의성능을 평가하는 연구들이 주목을 받았다. 특히 한반도 폭염 사례와 이와 관련된
원격상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신 CMIP6 기후모델들의 극한기상 모의성능이 CMIP5 기후모델
들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기상/기후 현상의 예측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대표적인
계절변동성 인자인 엘니뇨 남방진동에 합성곱신경망(CNN) 기법을 적용하여 현재와 미래 변수
간 관련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후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동아시아 날씨
및 극한기상 예측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들도 수행되었으며, 일례로 정지궤도 기상위성과
수치예보모델을 함께 활용하여 다중작업학습(MTL) 기반 태풍 예측 시스템이 개발되었다(대한원격
탐사학회, 2020.10.). 인공지능 방법론은 미세먼지농도 분류 및 예측에도 적용되고 있다.
∙457 ∙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인위적인 경제 활동 감소와 에어로졸 및 온실가스 농도 감소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연구가 다수 보고되었으며, 인위적인 활동을 조금만 줄여도 한반도 대기질이
개선될 수 있음을 보였다(한국기상학회, 2020.10). 한편 화산 폭발에 의한 성층권의 에어로졸
증가가 엘니뇨를 유발시켜 몬순 지역을 중심으로 전 지구 강수가 크게 감소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화산을 모방하는 지구공학 기법이 지구온난화는 완화시킬 수 있으나 가뭄 피해를 증가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Science Advances, 2020.5.).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유발물질의 변동성과 특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에어로졸 유형 및 시공간 변동성 분석 연구, 지상, 위성 및 항공관측 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 미세먼지의 연직분포 특성 분석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 에어로졸-구름-강수-기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동아시아 에어로졸이 중규모 대류계와 강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기화학-에어로졸-구름-복사가 상호작용하는 지구시스템 모형 체계 구축 및 활용 연구
등도 활발히 수행되었다.
2) 향후 전망
악기상/극한기상 및 이상기후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 변동성,
계절내-계절 변동성, 기후 변동성 및 기후 변화 등 모든 시간 규모가 복합적으로 고려되고,
관측 자료 분석과 모델링이 병행되는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고해상도 모델링이 확대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공지능이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가까운 미래기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한 방안에 대한 모델링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태양복사조절(Solar Radiation Management)등 지구공학적 접근법의 검증과
신재생에너지(풍력 변화, 태양광 변화, 수자원 변화 등)와 관련된 기후변화 연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2020년 국제사회의 주요 화두는 ‘기후변화’였다. 유럽연합(EU)은 2050년 넷제로를 목표로
그린 딜(Green Deal)을 추진 중이며,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은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추진해
온 화석연료 확대 정책을 뒤집고 파리 기후변화협약 복귀와 2050년 탄소 배출량 제로 실현을
공헌하였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 기조에 발맞춰 그린뉴딜을 경제성장의 중요한 한 축으로
선언하고 선제적으로 친환경 에너지 수급 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하였다. 특히, 올해는 파리협정에서
∙458 ∙
체결된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연말까지 UN에 제출해야 하는 상황으로 EU, 일본,
중국 등 주요국들의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졌다. 협약 당사국인 우리나라도 2020년 10월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하고 해당 목표를 담은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UN에 제출
(2020.12.)하였다. 이렇듯 글로벌 패러다임이 기후변화로 전환됨에 따라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과학기술을 통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은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변화대응기술79)’과 온실
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녹색기술80)’을 총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탄소저감(Mitigation) 기술, 배출된 온실가스를 연료나 화학연료로 재활용하는 탄소자원화
(Utilization) 기술,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국민생활 변화에 대한 적응을 지원하는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 기술로 나눌 수 있으며, 대기오염물질을 줄여 깨끗한 대기질을 확보하기 위한
미세먼지 대응 기술도 포함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친환경 대체에너지로의 전환과 온실가스 감축을
뒷받침하고 기후변화 적응, 미세먼지 대응 등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기후・환경 분야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태양전지, 수소・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CCUS), 기후변화적응 관련 공통 플랫폼 기술 등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로 분류하고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사업 등을 통해 2020년 총 1,329억 원을 지원81)하였다.
79) 기후변화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 ‘16.6)에서는 ’기후기술‘을 크게 ①탄소저감 기술, ②탄소자원화 기술, ③
기후변화적응 기술로 구분하고 있다.
8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2조에 따르면 ‘녹색기술’은, 온실가스 감축 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
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 포함) 등 사회・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
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8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2021년도 시행계획. 범부처 사업은 제외
∙459 ∙
<표 3-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환경 연구개발사업 지원현황
(단위 : 백만 원)
기술분야별 연구개발 추진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전지의 경우,
실리콘 태양전지 이상의 효율을 내거나 발전용 태양전지 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색・유연・친환경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태양전지에 대한 원천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수소
생산 시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물 분해 수소와, 상온・상압
에서 수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화학적 저장 방법 등을 연구하였으며, 수입 의존도가
높은 연료전지 핵심소재에 대한 연구, 연료전지의 활용처를 발전용에서 주파수조정용・백업전원용
등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 연구도 지원하였다. 바이오에너지의 경우 바이오연료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수율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저가 미활용 바이오매스를 발굴하고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차세대
이차전지 전극 소재 등에 대한 핵심기술 개발 연구도 지원 중이다.
탄소 포집・저장 및 자원화 분야에 있어서는, 산업부생가스와 온실가스에 포함된 탄소원(일산화
탄소, 이산화탄소, 메탄)을 회수・전환하여 올레핀 등의 화학원료를 생산하기 위한 촉매 개발
및 공정연구를 추진하였다. 또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수소나 일산화탄소 등 산업계
에서 활용가능한 유용가스로 전환・생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
포름산, 생분해 고분자, 혼소 연료 등으로 전환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을 신규 지원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후변화 적응 연구도 진행하였다.
대기, 수자원 등 환경자원 자립형 도시를 위한 수자원 재이용 및 대체수자원 연구, 도시의 대기환경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연구 등을 추진하였으며,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는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건강에 유해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 개발도 추진하였다.
또한, 배출원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실증 연구를 지원하였으며, 동북아 지역의 초미세
먼지 발생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도 착수하였다.
사업명 2020년 지원예산 비고
계 132,885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102,373 태양전지 등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11,767 수소
동북아-지역 연계 초미세먼지대응 기술개발 4,500 미세먼지
에너지클라우드기술개발 4,445 전력IT
탄소자원화 기술 고도화(플라즈마 활용 탄소자원화) 4,100 CCUS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 4,000 CCUS
기후변화 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1,300 기후변화적응
기후기술협력기반조성 400 글로벌 협력
∙460 ∙
1) 주요 성과
가) 신재생에너지 분야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대표적으로 폴리머 기판 기반의 CIGS(구리・인듐・갈륨・셀레늄) 박막
태양전지 효율 향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CIGS 박막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적은 소재를 사용하고 공정이 간소하며 내구성이 높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건축물 일체형 태양전지로
활용 가능하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저온 성막기술을 개발하여 딱딱하고 무거운 유리
기판 대신 가벼운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면서도 효율은 높은(국내 최고 변환효율 20.4% 달성)
CIGS 박막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2020, Nano Energy 게재).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안정적이고 높은 효율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도
개발하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자체개발한 전극, 분리막 등을 적용하여 수전해 스택을
개발하고 유관기업으로 기술을 이전하였다.
국내 상용기술이 전무하며 일부 국가에서 독점하고 있는 음이온교환막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형
바인더 및 분리막 소재기술도 개발하였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개발한 기술을 유관기업으로 이전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이온교환형 바인더를 제품화하였다(2020,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게재).
또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폭발・화재 위험이 적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전지의
고체전해질 신소재를 개발하고 양산성을 크게 개선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으며(2020, Nano
Letters 게재),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연구한 미생물로부터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경로가 총정리
된 바이오 기반 화학물질 합성지도는 포스터로 제작되어 전 세계로 배포되었다.
고효율 CIGS 박막
태양전지
고효율 알칼라인
수전해 스택
AMFC용 이오노머
소재 국산화
슈퍼 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 신소재
홍보용바이오 기반
화합물 지도 총정리 책자
[그림 3-98] 신재생에너지 분야 주요 성과
∙461 ∙
나) 탄소 포집・저장 및 자원화 분야
탄소자원화 분야에서는 CO2 포집제를 개발하여 0.5MW급 화력발전소에서 실증을 완료하고,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차수성 시멘트를 생산하는 기술이 국제적 온실가스 감축 기술로 인정되는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원천기술을 지속 확보하였다. 특히 2020년에는 관계부처 합동 CCU
로드맵 수립에 착수하여 탄소자원화 기술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CO2 습식
포집제(MAB) 실증
(0.5MW)
구리촉매 표면 반응을
통한 에틸렌 생성
메커니즘 규명
CO2 광물화를 통한
차수성 시멘트 CDM
방법론 승인
일산화탄소 수화효소
개발
세계 최초 메탄전환
플랫폼 균주 모델
구축
[그림 3-99] 탄소 포집・저장 및 자원화 분야 주요 성과
다) 기후변화적응 및 미세먼지 분야
기후변화적응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해수담수화
시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 절감을 위한 역전기투석 발전용 고성능 스택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인공함양을 위한 대수층 모사환경에 대수층 미생물을 배양할 때 동화유기
탄소가 제거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다(2020, Environmental Research).
또한,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배출가스 오염물질을 비용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배출가스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습식세정장치를 개발하였다.
미세먼지 분야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가 도출되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개발 중인 오염물질
연소 플라즈마 버너를 공군부대 차량 50대의 하단부 배기관에 장착하여 운용한 결과, 미세먼지
발생량 95% 이상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광주과학기술원에서는 볏짚 연소에 따라 발생
하는 미세먼지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산화 잠재력을 연구하여 농촌 지역의 미세먼지 고농도
오염 현상 규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2020, Environmental Pollution 게재).
∙462 ∙
역전기투석용 이온
교환막 및 스택 기술
대수층 모사환경 내
미생물의 동화유기탄소
제어특성 파악
배출가스 오염물질
제거 습식세정장치
플라즈마 버너 활용
매연저감장치 실증
농업부산물 연소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특성 연구
[그림 3-100] 기후변화적응 및 미세먼지 분야 주요 성과
2) 향후 계획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따라 관련 기술개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에너지효율 향상 등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 부문 감축 수단을 뒷받침할 수 있는 분야의
기술개발이 강화될 예정이며, 기존에 진행 중인 연구과제들도 안정적으로 지원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2020년은 전 세계 탄소배출 1위인 중국이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하였고,
미국도 조 바이든이 대통령에 당선되며 기후변화 협약에 재가입하며 그린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미 EU, 일본에 이어 한국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는 등 저탄소 경제가 새로운
국제사회의 질서가 되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하에서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은 2021년부터 시행되기로 했고, 2020년에는 기후
기술과 관련한 기술개발 및 이전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평가보고서에도 기술개발과 이전이
감축 부문에 포함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 정부도 에너지시스템 대전환을 통한 분산형 에너지시스템 구축,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신산업 육성과 관련한 기술혁신과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탄소중립 사회’
실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기술을 통한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12.9% 증액된 1,501억 원을 기후・환경연구개발에 투자하기로 하였다.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개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수소생산
∙463 ∙
및 저장, 재생에너지 및 탄소자원화 기술개발이 중점 연구개발 분야이다.
한편 기후기술은 아래 표와 같이 감축, 적응, 감축과 적응이 융합된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표 3-51> 기후기술 분류체계
구분 설명
감축분야
∙ 재생에너지, 신에너지, 비재생에너지(청정화력발전, 핵융합발전, 원자력발전), 에너지저장, 송배전・전력IT, 에너
지수요, 온실가스 고정 등과 관련한 기술
적응분야 ∙ 농업・축산, 물, 기후변화 예측 및 모니터링, 해양・수산・연안, 건강, 산림・육상 등과 관련한 기술
감축, 적응
융합
∙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에너지 생산 시스템과 에너지저장 시스템을 결합한 전력, 열 및 가스공급・관리
시스템 관련 기술과 함께 기타 폐기자원 재활용, 저동력 소모 장비 및 에너지하베스팅 기술 등을 포함하는 기술
※ 출처 : 녹색기술센터, 녹색기후기술백서 2019, 2019, 119-120쪽.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202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CO2 배출량을 줄이는 데 사용되는 혁신적인 기술인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의 진흥에 동참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활동이 Net Zero Teesside(NZT)로, NZT는 산업 공정 및 발전소에서
생성된 CO2를 포집하고 이러한 배출물을 파이프라인을 통해 북해 수 킬로미터 아래의 해양
저장 장소로 운반하는 프로젝트로서 바닷속으로 탄소를 격리해서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2020년 10월에는 일본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 탈탄소 사회 실현을 선언했다. 일본은 발전소와
공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연료 및 화학제품에 재사용하는 ‘탄소재활용’ 기술의 연구개발은
물론 수소 축전지, 해상풍력 등 탈탄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광범위한 ‘녹색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도 펼치고 있다. 환경 관련 설비투자에 감세 혜택을 제공하고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에
연구개발 지원기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미국과 호주, 동남아시아국가
연합(ASEAN)과 공동으로 CCUS 기술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저장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국제
기술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2020년 9월에 발표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의 「Reaching Zero with Renewables
- Summary」 보고서에서는 배터리 기술과 함께 재생에너지 기술이 탄소배출 제로 달성에 비용효과적
이라고 밝혔다. 유럽연합(EU)에서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과 함께 계획하고
있는 ‘지속가능한 산업 밸류체인’에서 재생수소에 대한 산업 수요의 확대 및 이동기술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EU 회원국 중 독일은 수소를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산업 경쟁력을 제고시킬
∙464 ∙
수단’으로 간주하여 연방정부 차원에서 수소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독일은 ‘국가수소
전략(NWS: Die Nationale Wasserstoffstrategie)’을 중심으로 인공광합성과 연료전지, 전기분해,
메탄열분해 등의 수소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탈탄소(Decarbonization)’의 추진은 2020년 전 세계적인 이슈였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녹색・기후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혁신적인 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일례로,
한국 철강업은 녹색기술 상용화를 위한 혁신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 분야이다.
해외 시장의 무역규제 강화와 내수 시장의 철강 수요 정체, 코로나 19로 국내외 철강 수요가
급감하면서 철강업계는 위기를 맞이했고 내년에도 탈탄소 정책에 따른 기업의 환경 비용 부담
확대가 예상된다. 철강 산업은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에 친환경 규제의 ‘타깃’이
되고 있어 고기능성 철강 소재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게 관련 R&D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포스코는 친환경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의 극저온 LNG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에
쓰이는 철강재 생산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2차전지, 촉매 분야 고용량
전극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학계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기공을 동시에 갖는 계층형 다공성 2차원 탄소 나노시트를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합성기술은 다공성 2차원 탄소 소재의 기공 크기와 구조 및 두께 등의 물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원천 기술로 2차전지, 촉매 분야에서 고용량 전극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축 분야에서는 2020년에도 탄소포집(CC, Carbon Capture), 활용(utilization), 저장
(storage), 제거(sequestration) 기술들이 순차적으로 엮인 CCUS 기술에 대한 국내외 연구개발과
관심이 컸다. 2020년 3월,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공간이 좁은 도심발전소에도 하이플럭스 분리막
공정을 통해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를 저렴하고 빠르게 포집・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공개했다. 2020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차수성 시멘트 활용 폐광산 차수, 채움재
실증기술’이 UNFCCC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방법론위원회
에서 승인되기도 하였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플랜츠(Nature Plants) 12월 호에 게재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이 10년 내 산림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판가름할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의 ‘산림식물종 보전・적응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기후변화 대응 대표
기술 10선’에 선정되었다. 산림의 식물 계절 현상 관측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정밀 분석하였고,
인공지능(AI) 기법을 활용해 식물 계절 현상의 예측 모델을 개발한 기술이다.
∙465 ∙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농업재해의 발생 강도와 빈도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국립농업과학원은
이상고온, 이상다우와 같은 이상기후를 관측하는 분석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그 외에 육상생태계와
대기 간의 에너지-물-탄소 순환을 감시하는 플럭스 관측시스템도 농업환경의 변동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2020년을 강타한 코로나 19 외에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국가 재난형 가축전염병도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성이 크다. 2020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지원으로 가축전염병을 막는 친환경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이
개발되어 소독폐수에 의한 환경오염도 저감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지역사회에서는 제주도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넷제로) 목표를 포함한 ‘제주도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2012년 5월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계획을 발표한 이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지속적인 탈석탄 정책을 추진하며 전국 최초로 전기차
2만 대를 보급하였고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배터리 등과 관련한 녹색기술에의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2) 향후 전망
전 세계적으로 2021년 이후 탄소중립 실현과 녹색산업 전환 가속화를 위해 그린뉴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및 전기・수소차를 통한 저탄소 사회 전환과
관련한 기술에의 투자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2020년 12월 14일 제45차 녹색성장위원회에서 ‘2050 저탄소 발전전략(LEDS)’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가 심의되었고 미래 기술 상용화 분야에서는 철강환원제
대체 등 수소기술 개발과 CCUS 상용화가 부각되었다. 또한 바이오플라스틱 확대와 신규 조림・재조림
등 탄소흡수원 확대를 강조했다.
또한 2020년에 한국 정부는 2021년부터의 5년간 국가 적응정책의 목표와 방향, 이행계획
등이 담긴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심의・확정했다. 기후위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홍수・가뭄 조기경보체계를 구축하는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5. 에너지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과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미 태양광,
풍력 발전이 전 세계 신규 발전설비의 64%(2019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소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기술간/산업간 융복합 및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에너지 분야에서
∙466 ∙
신산업 출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20년 한 해의 화두는 탄소중립이었다. 인간의 활동으로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의
기후온난화가 유발되었으며, 최근 10년마다 0.2℃ 상승하고 있다. IPCC의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에서는 지구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상 상승하지 않으려면 2050년에는
탄소중립에 도달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2019년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EU, 중국,
일본이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우리나라도 탄소 중립 동참을 선언하였다(2020.10.).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정부는 이러한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고자 에너지 전환과 신(新)산업 선도를
위한 에너지기술 강국으로의 도약을 실현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2019~2028)(2019.12.)」을 수립하여 에너지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에너지기술개발 중장기
전략목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2020년 에너지기술개발 실행계획(2020.1.)」을 수립하여
한해의 에너지기술개발 투자방향을 수립하고,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20.7)」에 맞추어 그린뉴딜
관련 기술개발 투자를 추경(465억 원)으로 확대하는 등 에너지 신산업, 고효율・저소비 구조
혁신 등을 위한 16대 중점기술분야에 정부예산 9,506억 원을 투자하였다.
1) 주요 성과
가) 신재생에너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저탄소 에너지기술인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미래 에너지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에너지 전환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에 2,798억
원(2019년 2,286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특히 태양광, 풍력, 수소, 연료전지 등 핵심 에너지원의
경제성 확보와 미래 에너지 기술 선점을 위해 고효율화, 단가저감, 차세대 기술 개발에 집중하였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는 알키미스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태양광 분야에 투자하여
26.7%의 초고효율 태양전지를 구현, 사이언스(Science)지에 관련 실적이 게재되었고, 세계 최고
출력 400W 결정질 양면 태양광 모듈을 개발하여 수출에 성공하는 성과를 창출하였다. 풍력
분야에서는 육상 풍력의 운송・설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4MW급 모듈형 풍력발전시스템을
개발한 결과, 봉화 오미산, 양양 만월산 등에 1,789억 원 규모의 계약을 수주하면서 2020년에만
투입 대비 약 18배를 상회하는 매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풍력산업 공급체계 구축을 위해 핵심
소재・부품을 지원하여 블레이드 에폭시 소재를 세계 최대 규모 글로벌 풍력 시스템사에 수출하는
등 투자 효과를 창출하였다. 신에너지인 연료전지도 꾸준히 국산화 기술 개발 연구를 이어가고
∙467 ∙
있으며, 연료전지 핵심 부품인 인산형 연료전지(PAFC) 분리판을 국산화하여 사업화에 성공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뿐 아니라 그린수소 기술과 탈탄소 공급
기술의 지원을 통해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나) 에너지수요관리
에너지수요관리는 소비구조 혁신을 통한 에너지 전환의 주요 기술로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주요 부문별(산업/건물/수송)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에너지 네트워크 솔루션,
에너지 데이터 활용 플랫폼 구축 등의 기술개발에 약 1,692억 원(2019년 약 1,742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또, 에너지효율 혁신전략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의
대규모 실증을 확대하고 스마트센서, 분석・예측 소프트웨어(S/W), 범용 플랫폼 등의 핵심기술
지원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2020년 세계 최고 수준(극초저공해, NOX
9ppm 이하)의 산업용 보일러 연소기술 개발 및 국내 최초 3중 효용 가스직화식 흡수식 냉동기
기술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별도의 분리설비 없이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는 가압 케미컬루핑
연소기술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선정되는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수요관리 분야의 우수성과 창출을 지속 유지하고, 한국판 뉴딜 내 ‘그린뉴딜’ 이행 지원을
위해 “Net-Zero 수요관리” 등의 2021년 신규예산을 확보하는 등 최종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다.
다) 스마트그리드
스마트그리드기술은 전기를 생산하여 전기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데에 필요한 전기설비와 이를
통제・관리하는 시스템에 지능정보기술(ICT)을 적용하여 전력 수요감축・분산 등 에너지효율 극대화
및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기술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관련 국내 산・학・연의
기술개발 및 실증에 약 328억 원(2019년 약 426억 원)의 예산을 지원하였다. 특히, 분산자원
확대, 수요관리 증가, 에너지자립 등 전력 수용가 영역의 패러다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소비자
영역의 지능화 기술개발과 전력망 차원에서의 송・배전 손실 최소화 및 효율 향상을 위한 송・배전용
요소기기 및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해 1,000A/cm의 임계전류를 갖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 제조기술과
나노 입자를 적용한 대용량 초고압직류송전(HVDC) 500kV 90℃급 케이블 시스템 기술을 세계
최초로 보유하게 되었으며, 스마트 에너지시티 조성 및 스마트그리드 대규모 실증 단지 등 국내
스마트그리드 기술 보급・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스마트그리드 국민 수용성
∙468 ∙
제고 및 국가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그린뉴딜 이행을 위해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 등 관련
기술을 계속 지원할 예정이다.
라) 원자력・방사성폐기물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8월 원전산업 연구개발 미래전략 및 투자방향(Nu-Tech 2030)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안전 확보 및 해체기술자립, 방폐물 안전관리 기술 등에 대하여
향후 2030년까지의 투자 방향을 발표하였다. 이에 2020년 총 5개 사업에 대하여 961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향후 신규사업 기획,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등을 통해 매년 1,000억 원 수준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원전 3대 미자립 기술(원전계측제어시스템(MMIS), 원자로냉각재
펌프(RCP), 종합해석코드) 확보, APR+ 독자 노형 개발 등을 통해 선진국과 동등한 수준의 기술을
확보한 상황으로, 향후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 안전성 및 독자적 후행주기 기술 확보 등 원전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진 등 자연재해에 의한 중대사고 완화를
위한 피동고압충수용 혼합형 안전주입탱크(SIT, Safety Injection Tank) 개발, 원전 중대사고
진입 예방을 위한 확대설계조건(DEC, Design Extension Condition) 대처 기술 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원전 지진 대응을 위한 확률론적 지진 안전성 평가, 지진 취약설비 내진 향상(0.6g)
기술 등을 중점 지원하고 있다. 원전 후행주기 기술 확보를 위하여 원전해체 형상관리, 제염계통
실증, 방사화압력용・내부구조물 해체 실증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을
통해 사용후핵연료 운반 기술, 표층처분시설 건설/장기 성능 감시 기술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민이 안심하는 원전 안전성을 확보하고 해체산업을 육성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원전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2)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20.7.)」과 「2050년 탄소중립 추진전략(2020.
12.)」 실현을 위해 재생에너지, 수소, 에너지 IT 등 3대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며,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기술(탄소포집・저장・활용(CCUS), 에너지효율 등) 개발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분야는 태양광, 풍력을 중심으로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 단가저감 공정기술, 건물형
태양광 등 기술혁신을 통한 태양광 산업경쟁력 강화 기술개발과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국산화,
운송설치 기술개발, 주민수용성 확보 등 해상풍력단지 확산 핵심기술개발에 지원할 계획이다.
수소분야는 수소 생산・운송・저장・활용・안전 등 전주기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469 ∙
에너지효율혁신과 스마트 수요관리를 통해 에너지소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에너지 다소비
기기 효율화 등 친환경 관리기술과 에너지수요부문 디지털 플랫폼 핵심기술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
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다부처(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협력을 통한 대규모 탄소포집 및 저장(CCS) 통합실증 및 탄소포집 및 활용(CCU) 상용화
기반구축을 위한 실증연구 과제도 추진할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에너지기술은 자연의 에너지원을 사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추출, 변환, 운송,
저장, 이용과 관련된 다학제적 공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간, 자연, 환경에 주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경제적으로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너지기술은 사용하고자 하는
에너지원에 따라 1차 에너지와 2차 에너지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에너지원은 자연으로부터
얻는 에너지이고, 2차 에너지원은 1차 에너지를 변형 가공하여 사용하기 쉬운 형태의 에너지로
가공한 것이다.
<표 3-52> 에너지원 분류 및 종류
정의 종류
1차 에너지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너지로서 최초의
에너지를 의미
화석 에너지(석탄, 석유, 천연 가스),
자연 에너지(태양열, 지열, 조력, 파력, 풍력, 수력 등)
2차 에너지
1차 에너지를 변형 또는 가공하여 우리 생활이나
산업 분야에서 다루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에너지로 만든 것
전기와 도시 가스, 석유 제품 등
인간의 활동으로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의 기후온난화가 유발되었으며, 최근 10년마다 0.2℃
상승하고 있다. IPCC의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에서는 지구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상 상승하지 않으려면 2050년에는 탄소중립에 도달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2019년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EU, 중국, 일본이 탄소중립을 선언하였으며, 우리나라도 탄소
중립 동참을 선언하였다(2020.10.). 2020년 12월말 기준 탄소중립을 법률로 지정하거나 정책
목표로 선언한 국가는 127개국에 이른다.
탄소 중립은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거대한 도전으로 혁신적 과학기술 기반의 선제적 미래
준비가 중요하다. 에너지 전환은 에너지 공급 체계를 이산화탄소 배출이 큰 화석연료에서 청정한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력, 난방, 운송 부문을 대상으로 한다. 전력 부문에서는
발전 방식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 난방 부문의 지역난방이나 열펌프는 전력과 난방 부문이
∙470 ∙
결합된 형태이고, 전기 운송수단은 전력과 운송을 결합한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주요 에너지
기술은 태양광을 중심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이차전지, 수소로 대표되는 신에너지가 있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태양광 기술은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재-소자-장비-
시스템 성능 개선과 활용 기술을 포함하며 실리콘계 태양전지와 차세대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세계 태양광 시장의 95% 이상은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가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리콘 전지는 가격저감 및 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모듈화, 양면 발전 태양광 모듈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차세대 태양전지는 초경량 태양전지 기술, 고감도 태양전지, 무독성
원소기반 고효율 소재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는 실리콘을
대체하는 태양전지의 ‘광활성층’ 소재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며 괄목한 만한 기술개발 성과
들이 나오고 있다. 홍콩성시대학교(City University of Hong Kong) 연구팀에서는 하나의
비공유 전자쌍을 제공하는 전자쌍 공여체를 갖는 순수 무기페로브스카이트 셀을 개발하여 순수
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16.1%를 달성하였다(2020.1.). 미국의 국립재생에너지
연구소(NREL,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는 페로브스카이스 태양전지
셀 스택의 앞・뒷면에 납 흡착 물질을 코팅하여 셀 손상 시 누출되는 납의 96%를 흡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여 Nature지에 게재 한바 있다(2020.2.).
에너지저장 기술은 분산형 발전원의 안정적인 계통 연계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대용량 에너지
저장과 전기차에 적용 가능한 고효율 이차전지 개발로 구분되어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고체 전지는 전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기존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배터리로
안전성과 효율 측면에서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전지로 각광받고 있다.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팀은 벌집모양 배열의 이온/전자 혼합 전도체로
이루어진 새로운 3차원 나노구조체 전고체배터리 전극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Nature지에 게재하였다
(2020.2.). 대만에서는 기술기업인 프롤로지움(ProLogium)이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이노베이트,
니오와 공동으로 전고체 전지를 탑재한 전기차를 개발 중으로 2020년 1월 CES2020에서 산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전지 시제품을 공개하였다. 일본 도요타는 도전적으로 전고체 전지를
탑재한 차량의 상용화를 추진 중으로 2020년 8월 도쿄올림픽에서 자율주행 버스 ‘e-palette’에
전고체 전지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올림픽이 연기되면서 공개일정이 지연되었다.
∙471 ∙
수소 생산기술은 화석연료나 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재-소자-스택-
시스템의 성능 개선과 활용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 산업용 수소의 대부분은 화석연료 기반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유럽 주도 하에 재생에너지와 연계된 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 및 실증 관련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알칼라인/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성능향상 기술, 스케일업 기술, 저렴한 촉매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Washington State University)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연합 연구팀은 니켈-철 촉매를
사용한 알칼리 수전해 기술과 함께 촉매에 결합하면 빠른 전기화학반응을 보이는 수산화물 전도성
중합체 전극 바인더를 개발하였다. 이 전극 바인더와 니켈-철 촉매는 수소 생산 속도를 이전보다
10배 이상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2020.3.). 한편,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는 가격이 저렴한 철, 질소, 탄소를 포함하는 비백금계 수소연료전지용
촉매를 개발하였다(2020.5.).
나) 국내동향
국내 태양광 분야는, 현재 시장 주력 제품군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차세대 기술에서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된다. 다만, 차세대
태양전지 중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
태양광 연구개발은 중국 등 경쟁국과 기술격차 유지 및 미래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신시장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로 저온 성막 기술을 새로 도입하고, 알칼리 원소(나트륨, 칼륨)를 폴리머에 주입하는 외부
알칼리 주입 기술을 접목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유연・고효율 CIGS 박막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
(2020.1). 그리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새로운 음이온을 포함한 첨가제를 도입해 페로브스카
이트 박막 내부에 형성되는 2차원 안정화 층의 전기・구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히고,
최고 수준의 밴드갭 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하여 26.7%의 효율을 달성하였다(2020.3.). 마지막으로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광활성층의 미세 구조 변형을 최소화해
발전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여 최고효율인 25.17%(공인 인증 효율 24.44%)를
기록 하였다(2020.10.)
국내 이차전지 기술 수준은 리튬전지는 세계 최고수준이나, 다른 전기화학적(Na계, 흐름전지
등)방식은 연구개발 단계이다. 세계 연구 동향과 유사하게 전고체전지와 신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을 위한 대용량 장주기 ESS 시스템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삼성전자종합기술원은
1회 충전으로 800km 주행과 1,000회 이상 재충전이 가능한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였다
(2020.3.).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는 질소 도핑 카본과 폴리브롬화물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472 ∙
폴리브롬화물을 기공 내부에 고정하여 수계 전해질에서 안정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아연-브롬전지를
개발하였다(2020.1.).
수소 기술은 해외수소 도입의 기술적 가능성 확보를 위한 기술과 백금촉매 사용량을 줄여
비용을 낮추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었다. 한전 전력연구원에서는 국내 최초 시간 당 20
N㎥의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 액체기술(LOHC, Liquid OrganicHydrogen Carries) 개발에
성공하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백금(Pt) 대신 다른 종류의 금속을 사용하고, 외곽
표면에 백금 원자를 1개층 두께로 코팅하는 코어쉘(Core-Shell) 방법으로 백금 활용률을 극대화
하는 백금 극소화 기술을 개발하였다(2020.4.).
2) 향후 전망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세계적인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은 기술패권 확보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과학기술 분야 글로벌 리더쉽 강화를 위한 2022년도 R&D 투자 우선순위를
발표(2020.8.)하면서 에너지・환경 리더쉽을 포함시켰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정책에서 기존
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9대 전략적 신흥산업(2020.11.)을 공표하면서 신에너지와 녹색 환경보호
분야를 포함하였다. 일본은 혁신적 이노베이션 전략을 발표하고 온실가스 배출 부문에 따라
전환, 수송, 산업 등 5대 영역에서 집중투자가 필요한 39개의 기술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에너지부문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나라 역시 2050 탄소중립」추진전략(2020.12.) 발표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CCUS, ICT 활용 융합・혁신 등 분야별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에 집중 투자할 전망이다.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 투자 방향은 에너지 전기화, 발전원의 그린화, 에너지 효율향상 등을
목표로 기존 기술의 개선・활용과 함께 새로운 혁신기술에 중점 투자될 전망이다.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CO2 감축 잠재력이 가장 큰 태양광, 풍력과 함께 재생에너지
융복합 기술의 투자가 예상된다. 수소는 각국에서 최근 경쟁적으로 추진하는 초기 단계 시장으로
빠른 시장 선점을 위해 수소 생산・저장・운송・활용 등 기반기술에 투자가 이어질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능형전력망과 에너지저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분산형・참여형 에너지 시스템 전환이 이루어 질 것이다. 에너지 소비 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 ICT 기반 고효율화, 제로에너지 건물 등 고효율・저소비 에너지
구조로의 혁신도 함께 이루어 질 전망이다.
∙473 ∙
6. 자원탐사 및 개발
에너지 전환 및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국가의 자원안보는 석유, 석탄 및 철강 등
전통적인 전략자원 확보에서 이산화탄소가 적게 발생하는 천연가스와 리튬, 코발트 및 니켈
등 4차산업혁명 핵심광물 확보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기술적으로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저자원가의 지속으로 인해 자원생산 비용을 줄이고자 전통자원기술에 AICBM(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data), 모바일(Mobile))을 접목한 디지털 오일
필드, 스마트 마이닝 기술 등 스마트 자원 탐사・개발 기술이 중점 연구되고 있다. 특히,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해 전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촉발됨에 따라 자원탐사 및 개발 분야에서의
디지털 전환 또한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5월 확정한 「자원개발 기본계획」에서 자원안보 인프라 확충 차원에서
현장 문제해결 기술 및 차세대 전략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탐사성공률 및
생산효율 제고 등을 위해 현장 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을 중점 추진하고, 스마트 자원개발 기술,
가스하이드레이트 생산기술, 특수 환경지역 탐사․개발장비 첨단화 등 차세대 전략기술개발을
통해 자원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 에너지 자원의 94%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주요 성과로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자원개발 산업 디지털 전환 기술개발
(2017~2020, 정부출연금 총 719.49억 원)을 추진하여 유가스전을 원거리에서 현장을 실시간으로
평가・원격운영 할 수 있는 유가스전용 디지털 전환기술을 확보하고 미국 및 미얀마 등 자원부국에
기술서비스 사업을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 주요 성과
가) 중소형 유가스전용 디지털오일필드 기술
산업통상자원부는 유가스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석유공사의 캐나다 육상 유가스전 테스트필드를 기반으로 국내 ICT 기업, 서비스 기업, 관련 국책연구원
및 대학 등이 참여하는 “중소형 육상 유가스전을 위한 디지털오일필드 시스템 구축 및 사업화기술
개발(4년, 정부출연금 총 73.5억 원)” 과제를 통하여 유가스전 개발산업의 디지털 전환 원천기술을
확보하였다. 디지털오일필드 기술은 유가스전 현장 생산시설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장착하여
∙474 ∙
취득한 압력, 온도 및 생산량 등 현장자료를 취득하여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해 중앙 자료처리
센터에 취합하고, 인공지능(AI) 기법을 이용하여 유가스전의 매장량 및 생산량 현황 등을 실시간
으로 원격 진단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개발된 기술은 미국 석유개발 전문기업(PetroAlpha
Energy)의 검증을 거쳐 2020년에는 미국 유가스전 투자전문기업과 공동으로 미국에 PetroAI社를
설립하였다. 이 회사는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하여 유가스전의 자산을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 기술은 포스트 코로나 및 저자원가치 시대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로 미국 현지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이 기술은 비용이 경제적이며 사용자에
맞추어 변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중소규모 유가스전 운영사업자들에게도 유용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나) 해양 유가스전 생산시설 역설계 및 유지보수 스마트 솔루션 기술
최근 저유가의 지속으로 해상가스전은 비용 절감이 그 어느 분야보다도 필요한 분야이다.
이 기술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기업 및 대학은 공동으로 정부 지원 하에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민간기업이 보유한 미얀마 해상 가스전을 테스트베드로 하여 “해양 유가스전
생산시설 역설계 및 유지보수 스마트 솔루션 기술(4년, 정부출연금 총 39.43억 원)”을 개발하였다.
이때 개발된 기술은 해양 유가스전 생산시설의 역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해양 유가스전 플랜트
시스템을 온라인상에서 가상화하는 디지털 트윈기술로 축적된 정보 및 기술은 해양 플랜트 설계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 연구 참여기업(해양 플랜트 제조사)은 기술개발에서 축적된 정보 및 기술력을
기반으로 2020년 미얀마 해상가스전 플랜트 설계구축 프로젝트(4억 5천만불)에 국제입찰에 참여
하여 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프로젝트는 자원개발전문기업과 해양 플랜트 제조기업
간 상호 협력을 통해 새로운 시장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2) 향후 계획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전환 및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고 기술 기반의 신산업(해외
자원개발 기술 서비스 산업) 창출을 위해 국내에 발달된 ICT, 부품소재 및 플랜트 산업과 융합한
스마트 자원기술 개발에 적극 노력할 계획이며, 동시에 자원개발 현장 빅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구축을 위해 디지털오일필드 기술이나 스마트 마이닝 기술 등 첨단기술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자원개발 분야는 글로벌 경기 상황과 맞물려 중장기적으로 자원가격이 좌우되므로 저자원가격
시기에 기술개발을 먼저 추진하고 자원가격이 높아졌을 때 확보된 기술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점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근 글로벌 자원개발산업의 패러다임이 빅데이터를
∙475 ∙
지능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랫폼 시대로 전환되는 바, 우리나라도 자원개발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기적으로는 북미 지역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 전체를 커버하는 것은 물론 국내 ICT 및 제조 산업이 자원개발현장
시설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플랫폼 기능을 확대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자원탐사 및 개발은 지하에 부존하는 석유, 가스, 광물자원을 대상으로 탐사를 통해 매장량을
평가하고 경제적으로 개발, 확보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괄하며, 유체인 석유・가스자원과 고체인
광물자원은 탐사기술과 개발 방법이 상이하여 분리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신산업이 대두
됨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자원이 달라지게 되었는데 최근 석유・가스 분야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연료자원, 광물분야는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에 필요한 핵심원료광물로 주 대상 자원이
바뀌었다. 기술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ICBM(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data), 모바일(Mobile))을 접목한 디지털 오일 필드, 스마트
마이닝 기술에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표 3-53> 자원탐사 및 개발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수소 원료자원확보
∙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원료자원확보 기술로 셰일 저류층을 대상으로 메탄회수, CO2 저장, 추출수소,
부생수소의 공급을 위한 원료자원 개발단계에서의 인프라 융합기술 포함
4차산업혁명
원료광물확보
∙ 에너지전환시대 대응을 위해 배터리 소재 및 미래 新산업 성장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산업 소재
원료광물 확보 기술
디지털 오일필드
∙ AICBM 기술을 활용한 유가스전 탐사/생산 및 AI 기반 지능형 유가스전 탐사/개발 통합 플랫폼
구축 기술
스마트 마이닝
∙ AICBM 기반의 무인자원탐사, 채광 자동화/무인화, 선광/제련 원격운영 및 지능형 광물자원개발
통합 플랫폼 구축 기술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은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 위기에 의해 2010년대 이후 연구개발
분야의 방향을 지시하는 가늠자 역할을 해왔는데, 2020년 코로나 19에 의해 이러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자원탐사 및 개발 분야도 이에 대응하는 연구개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476 ∙
미국은 세계 최초의 셰일가스(수소원료) 개발과 상업화를 실현한 국가로서 상업화가 가속되고
있으며, DOE의 NETL(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이 추진하는 연구의 주요
주제는 환경저감기술, 수처리 방법개선, 셰일층의 특성화 개선 그리고 수압파쇄 효율증대이다.
디지털 오일 필드 기술은 슐럼버저(Schlumberger), 베이커 휴즈(Baker Hughes), 핼리버튼
(Halliburton), CNPC(China National Petroleum Corporation), 페트로나스(Petronas) 등
선진 자원개발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주요 석유・가스 개발 기업들은 IT기업과 협력연구를 통해
유가스전 스마트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 핵심원료광물은 리튬, 코발트, 니켈, 및 흑연 등 이차전지 광물과 티타늄, 텅스텐
등 첨단광물을 합한 희소금속을 말하며 디지털전환, 에너지전환에 따른 수요급증으로 인해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매장량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Roskill, 2020). 스마트 마이닝 기술은 탐사에서
채광 및 선광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3차원 지질모델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AI) 기법을 이용한 광물자원 탐사자료 해석이 호주, 캐나다, 중국 등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선진 광물자원 기업인 리오틴토(Rio Tinto)나 BHP 빌리턴(Billiton) 등은 이미 광산개발 활동에서
물류의 원격관리는 물론 모든 단위공정과 공정 내에서 움직이는 장비와 설비, 공정과 공간의
연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수집・저장・분석하고 컴퓨터와 무선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
으로 제어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환경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CNBC news, 2020.7.16.).
나) 국내동향
국내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이노베이션 로드맵을 2020년
2월에 발표하였다.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핵심으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원료자원 확보, 4차 산업혁명 핵심원료 광물 확보, AICBM 기술을 활용한 유가스전
탐사/생산기술 개발, AICBM 기반 스마트 마이닝 현장대응 기술개발,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유가스전 탐사/개발 통합플랫폼 구축, 지능형 광물자원개발 통합 플랫폼 구축 등 6개의 전략과제를
선정하였다.
2020년 5월 12일 발표된 제6차 해외자원 개발 기본계획(2020∼2029) 역시 자원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스마트 자원개발 기술 및 특수 환경지역탐사・개발 장비 첨단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2020). 특히 석・박사급 전문인력의 경우 AICBM 기술을 활용한 자원개발
및 현장 실증연구를 통하여 현장 전문가를 육성하는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5월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일환인 “스마트 자원개발
융합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수행할 사업단으로 서울대학교를 선정하고 최대 5년간 연 5억 원
∙477 ∙
내외를 지원하며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커리큘럼 운영을 통한 현장맞춤형 연구개발(R&D) 전문
인력을 육성할 계획이다.
석유가스 탐사 분야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매우 활발해 한양대학교, 서울대학교, 전남
대학교 등에서 탄성파 자료 내삽 및 외삽, 탄성파 자료 잡음제거, 탄성파 및 전자탐사 역산,
정량적 탄성파 해석 등의 연구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20년
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주요 사업으로 차세대 에너지원인 메탄 하이드레이트 탐사 및 생산기술
연구에서의 딥러닝 활용방안을 모색 중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차전지 원료광물인 바나듐, 리튬의 탐사-개발-선광-제련까지의 전주기
기술 개발을 2020년부터 주요사업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3차원 지질모델링, 드론항공물리탐사,
머신러닝 융합해석 등을 이용해 신규 바나듐 광체를 탐지하는 데 성공하였고 해당 광산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해 스마트 마이닝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부경대학교에서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지하광산 생산관리시스템, 지하광산용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 헬멧과 글라스 등의 광산
안전장치 등을 개발하였다. 한국광물자원공사는 스마트 마이닝의 기본 인프라로 통신과 관련된
디지털 마이닝 가이드라인(광산통신・AI를 중심으로)을 배포해 국내 광산의 광산통신 네트워크
구축 기준을 제시하였다.
2) 향후 전망
자원탐사 및 개발 분야는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에 대비하는 연구개발을 매우 일찍부터
준비하고 있었다. 2018년도에 ‘자원개발 머신러닝 입문’ 전공도서를 자원개발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집필하였으며 디지털 오일필드, 스마트 마이닝 관련 연구도 개별적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2020년 코로나 19는 비대면 사회가 뉴노멀이 되는 시대를 앞당기며 디지털 전환의 변곡점을
만들어 내고, 또한 코로나 19가 결과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해 발생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며
에너지 전환 역시 가속도가 붙는 상황이 되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핵심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이 제시되어 강력한
정책드라이브가 걸릴 예정이며, 해외도 코로나 19에 의한 경제 위축을 타개할 정책으로 디지털,
그린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 EU 등은 디지털 전환과 에너지 전환 핵심 광물을 Critical Mineral로 선정해 국가
차원에서 확보에 나서고 있으며 선진 석유・광물
기업들은 코로나 19 이후 현장에서의 감염과 가동 중단을 겪으면서 디지털 오일 필드와 스마트
∙478 ∙
마이닝 기술개발에 더욱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자원탐사 및 개발 분야는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이노베이션 로드맵에 제시된 것처럼
한국판 뉴딜에 부합되는 연구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미 관련 과제가 진행되거나 준비되고
있다. 바나듐, 리튬, 흑연, 주석, 몰리브덴 등의 희소금속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과제가 진행
또는 준비 중이며 자원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연구개발 또한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장기간 계속될 전망이다.
∙479 ∙
제5절 나노기술
나노기술이란 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을
의미한다. 또는 소재 등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미세하게 가공하는 과학기술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나노기술은 나노 단위의 원자를 기억소자로 활용하여 슈퍼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은
양자컴퓨터와 같이 기존의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기술영역을 구축하거나, OLED보다 수명・경제성이
높은 퀀텀닷과 같이 크기 및 소비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최고의 성능을 구현해 낸다. 나노기술은
대표적인 유망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 GPT)로서 파급성 및 혁신 촉진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1990년대 이후 나노기술은 반도체, 전자, 정보통신, 기계, 화학, 바이오, 에너지,
생명공학 등 거의 모든 산업에 응용되었다. 그리고 최근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 불리우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3D프린팅, 유전학, 생명공학, 자율주행차 기술 등에도 나노기술이
융합기술로 손꼽히면서 나노기술이 가져올 혁신이 기대되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1) 나노분야 연구개발사업 추진 환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나노기술 발전을 위해 제1~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여 나노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노기술 산업화 촉진과 동시에 나노안전성 확립 및 나노인프라 육성・활용
강화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해왔다. 또한, 「제1기~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및 「미래소재원천
기술확보전략」 등을 마련하여 핵심 나노・소재기술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 및 민간의 연구개발
방향과 로드맵을 제시해 왔다.
이렇게 수립된 정책・전략 목표 달성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나노기술개발촉진법과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에 따라 매년 범부처 차원의 전년도 사업추진 실적 점검 및 차년도 세부
추진계획을 포함한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을 수립해오고 있다.
2) 2020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주요내용
2020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에서는 제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에서 제시한 ‘제조업 혁신
선도기술 구현’과 ‘나노기술 산업화 글로벌 리더’라는 2대 목표 달성, 그리고 제5기 나노기술종합
발전계획의 체계적인 준비를 위한 3대 전략과 8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① ‘미래선도 및 핵심전략
∙480 ∙
기술 조기확보 추진’ 전략 달성을 위해 미래대응 나노 원천기술 개발, 도전적・창의적 나노 기초연구
지원,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기술개발 연계를 추진하고, ② ‘혁신성장 견인 나노기술 사업화
촉진’ 전략 달성을 위해 나노기술 기반 기술사업화 지원 강화, 연구・산업 연계지원 나노인프라
강화, 나노기술 사업화지원 신규사업 기획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③ ‘미래 대비 나노혁신 연구기반
확충’ 전략 달성을 위해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연계 지원, 나노안전 관리체계 확보
지속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중점 추진전략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기반기술인 나노기술 기초・원천 연구지원을
강화하며, 전략무기화 대응 핵심품목 개발 연계 확대뿐만 아니라 제조업 혁신을 견인할 산업화
전략기술 개발 및 기술사업화 지원 R&D 강화, 연구・산업 기반시설인 나노팹 고도화 및 지역융합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술・산업의 근간인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 확대 및 산업
수요형 인재 육성강화, 나노물질 위해성으로부터 국민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나노안전성
연구도 지속하여 추진하였다.
[그림 3-101] 2020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중점 추진사항
∙481 ∙
2020년도 나노분야 총 투자 계획은 8,24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9% 증가했으며, 연구개발
(R&D)이 6,554억 원(79.5%), 인프라 996억 원(12.1%), 인력양성 699억 원(8.5%) 순이며,
나노분야 주요투자 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497억 원(54.5%), 산업통상자원부 805억 원
(9.8%), 교육부 765억 원(9.3%), 중소벤처기업부 667억 원(8.1%) 순이다.
<표 3-54> 2020년도 부처・기관별 나노분야 투자 계획
(단위: 백만 원)
구 분 R&D 인프라 인력양성 합계
▪고용노동부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16,756 25,652 7,250 449,658
▪교육부 15,624 - 60,846 76,470
▪농림축산식품부 3,870 - - 3,870
▪보건복지부 1,115 - - 1,115
▪산업통상자원부 70,907 8,589 1,020 80,516
▪중소벤처기업부 66,741 - - 66,741
▪환경부 4,534 - - 4,534
▪식품의약품안전처 2,011 - - 2,011
▪방위사업청 - - - -
▪출연연구기관 73,845 65,312 800 139,957
합 계 655,403 99,553 69,916 824,872
※ 출처 : 2020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표 3-55> 2019년도 실적 대비 2020년도 계획 비교
(단위: 백만 원)
구 분 2019년 실적 2020년 계획 증감액 증감률
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36,119 449,658 113,539 38.8%
▪교육부 83,186 76,470 △6,716 △8.1%
▪농림축산식품부 4,426 3,870 △556 △12.6%
▪보건복지부 5,220 1,115 △4,105 △78.6%
▪산업통상자원부 111,434 80,516 △30,918 △27.7%
▪중소벤처기업부 49,783 66,741 16,958 34.1%
▪환경부 6,659 4,534 △2,125 △31.9%
▪식품의약품안전처 1,460 2,011 551 37.7%
▪출연연구기관 101,135 139,957 38,822 38.4%
합 계 699,422 824,872 125,450 17.9%
부문
▪R&D 583,659 655,403 71,744 12.3%
▪인프라 56,560 99,553 42,993 76.0%
▪인력 59,203 69,916 10,713 18.1%
합 계 699,422 824,872 125,450 17.9%
※ 출처 : 2020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482 ∙
<표 3-56> 주요 부처 나노기술 관련 세부사업
부처명 세부 사업명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나노융합2020,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 기술사업화서비스지원사업,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산학연렵력활성화지원사업, 시스템반도체융합전문인력육성사업, 미세
먼지범부처프로젝트,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소자), 개인기초연구, 집단연구지원, 혁신성장연계
지능형 반도체선도기술개발서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원자력기술개발사업,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방사선기술개발사업, 글로벌프론티어, STEAM연구사업, 국제
연구인력교류, 연구개발특구육성(R&D), 해양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
교육부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BK21플러스사업
산업통상자원부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 나노제품 성능안전 평가기술개발 및 기업지원, 나노융합2020, 창의산업기술개발
기반구축, 시스템산업거점기관지원, 바이오분야국제협약이행, 창의산업거점기관지원,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사업, 소재부품기술개발, 시스템산업미래성장동력, 우수
기술연구센터, 전자시스템전문기술개발사업, 탄소산업기반조성
중소벤처기업부
공정・품질기술개발(R&D), 글로벌중소기업육성프로젝트지원(R&D), 산학연협력기술개발(R&D),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지역특화산업육성(R&D),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산학연
Collabo R&D, 산학연협력 신사업R&D 바우처, 선도연구기관 협력R&D, 중소기업 R&D 기획역량제고
환경부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지중환경오염・위해관리 기술개발
※ 출처 : 2020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 나노 관련 투자 금액이 있는 경우 해당 세부사업명 기준으로 기재
가)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은 소부장 기술자립에 기여하고 나노・소재 분야의 선도적 기술 발굴을
통해 미래사회 기술수요 대응 및 나노기술 산업화를 촉진하고자, 나노・소재 분야 핵심원천기술개발,
나노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나노안전성 기술 확보 등 나노기술 선도 및 확산을
목표로 추진되어 왔으며 2020년 예산은 1,107억 원, 2021년 예산은 1,954억 원이다. 2021년은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 통합, 소재분야 기술개발 대응, 연구데이터/공정설계/측정분석
등 플랫폼형 R&D사업, 인프라혁신 추진 등에 따라 증액되었다. 동 사업의 2020년도 주요성과는
논문 1,373건, 특허 출원/등록 699건 등이 있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Advanced Materials지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된 <자기조립을 통한 단결정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와이어 공정 개발>, <도핑
특성이 제어된 그래핀 기반 고효율 열전소자 제조> 등이 있다.
동 사업은 2004년부터 진행된 사업으로 2019년 사업 일몰 예정이었으나, 일몰혁신으로, 대외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안정적 투자가 가능한 기술개발 및 산업적용 속도가 빠른 나노분야
기술 특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산출되는 기초연구성과와 급변하는 기술수요를 접목할 수
있는 프로그램형 사업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유사한 성격의 과제를 유형화하여 맞춤형 지원을
하며 향후 5년마다 지속지원 필요성을 점검하는 체계로 추진한다.
∙483 ∙
<표 3-57>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대표성과
과제명 대 표 성 과
자기조립을 통한 단결정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와이어 공정 개발
(서울대)
<자기조립을 통한 단결정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와이어 공정 개발>
∙ 주형의 도움 없이 자가조립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단결정이 일차원
형태로 배열되도록 유도하여 광전류를 증가시킴
→ 적은 비용으로 대용량의 페로브스카이트 와이어 생산 가능, 페로브스
카이트 기반 광센서 개발에 활용 기대
∙ Advanced Materials (IF=27.398) 표지논문(2020.8.)
도핑 특성이 제어된
그래핀 기반 고효율 열전
소자 제조
(KAIST)
<도핑 특성이 제어된 그래핀 기반 고효율 열전 소자 제조>
∙ 고품질 비산화 그래핀의 기반 열전 소자 개발
∙ 비산화 그래핀의 표면 개질을 통한 전기적 특성 (3010 S/cm) 및
도핑 특성 (53.1, -45.1 uV/K) 제어
∙ 개발된 비산화 그래핀 기반 열전소자는 기존 산화 그래핀 기반 소자
대비 성능이 약 60배 이상 증가 하는 결과를 나타냄 (비산화 그래핀:
673 uW/mK2, 산화 그래핀 10 uW/mK2)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6.836) 논문 게재
(2020.5.)
분자 양자 포텐셜과
광이온화 지연의 연관성
규명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연구소)
<분자 양자 포텐셜과 광이온화 지연의 연관성 규명 >
∙ 원자에서 아토초 동역학 측정 기술을 활용하여 이온화과정의 지연을
측정함으로써, 광전자 효과, 공명, 전자간 상관 관계 및 전파에 대한
연구 증진. 그러나 이런 측정을 분자계로 확장하는데 있어서는 정확한
ionization channel, 분자 이방성의 지연에 대한 효과 규명 등과 같은
난제 난제 극복하는 새로운 방법 규명하고 제시
・ Nature Physics (IF=19.256) 논문 게재(2020.07)
포토닉 나노 소재를
이용한 영상소리 동시
구현 유연 디스플레이
개발
(서울대)
<포토닉 나노 소재를 이용한 영상소리 동시 구현 유연 디스플레이 개발>
∙ 거미의 행동학적 특성에서 영감을 받아 거미의 먹이 감지 및 포획,
그리고 오염물 제거 능력을 전기적인 방식으로 모사하는 거미줄 로봇
개발
∙ 거미줄 로봇은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물체 표면의 정전하로부
터 나오는 전기장을 감지. 물체가 충분히 접근했을 때만 전기포획 기능
을 작동하여 불필요한 오염물이 포획되는 것을 예방
・ Science Robotics (IF = 18.6) 표지논문 (2020.07)
나) 나노융합2020사업
나노융합2020사업은 나노기술의 정부 R&D성과를 기반으로 공공기술과 사업화 아이디어를
보유한 수요기업을 연계한 R&BD사업으로 추진하여, 조기에 신산업・신시장을 창출하고 지속적인
나노융합기술의 발전을 위한 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자 나노기술 융합분야82)를 중심으로 상용화
∙484 ∙
지원이 추진되어 왔다.
동 사업은 2012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진행해온 사업으로
2020년 사업 종료에 따라 후속 사업인 「나노융합2020+(Plus)사업」을 기획하여 시급한 대응이
필요한 소재・부품・장비의 나노기술 사업화 지원을 2021년 2월부터 추진하게 된다. 2020년도
투자금액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3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57억 원이며, 2021년도 투자금액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0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30억 원이다.
주요성과로는 공공부문 연구성과(특허)를 기업의 사업화 아이디어와 연계하여 지속적 매출을
창출(누적매출 6,826억 원, 2020년 매출 850억 원)하여 총 투입(1,437억 원) 대비 매출 475%를
달성하였다.
<표 3-58> 나노융합2020사업 대표성과
과제명 대 표 성 과
나노분산제 표면레벨링
기술을 이용한
도금대체용 친환경
금속코팅 공정장비
기술개발
(㈜셀코스/이상문(나노
융합2020사업)
<도금공정 대체 친환경 금속코팅 장비 개발>
∙ 표면 평탄화 나노분산제를 이용하여 독성 물질 및 오폐수 발생 없이
고품위 색상을 구현하는 고신뢰성 대면적 인라인 금속코팅 장비
사업화
※ 매출 205억원, 특허 4건
고굴절・고휘도 프리즘
코팅액 및 프리즘 필름
개발
(㈜에스엠에스/손호석(
나노융합2020사업)
<프리즘 필름 구조>
<고굴절・고휘도 프리즘 코팅액 및 프리즘 필름 개발>
∙ 소수성 유기물로 표면이 개질된 고분산성 유-무기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함으로써 굴절률, 투과율, 휘도를 향상시킴. 광학 프리즘 필름의
휘도를 기존 제품 1.54 대비 110% 이상 향상된 고휘도 필름 생산이
가능
※ 매출 300억원, 2019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선정, 특허 11건
다)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은 新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물성과
기능을 구현하는 신소재 개발 및 미래소재 원천특허를 확보하고자 4대 중점추진분야83)를 중심으로
82) 나노융합분야 : NT-IT(차세대반도체, 나노유연소자), NT-ET(나노융합 고효율 에너지 변환기술, 나노융합 고성능
물 환경/자원 처리기술), NT-BT(나노바이오융합)
83) ⓛ 극한물성 구조・환경소재, ② 양자알케미 조성제어화학소재, ③ 스케일링한계극복 정보통신소재, ④ 인간오감
증강 생체소재
∙485 ∙
연구단을 운영하고 있다.
2020년 예산은 409억 원, 2021년 예산은 415억 원이며,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되는
사업으로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미래소재 원천특허 확보를 통해 혁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 관련 분야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여 경제성장을 견인하고자 한다. 2020년도 주요성과는
논문 764건, 특허 출원/등록 474건 등이 있다. 대표성과로는 <파장 초선택성 맞춤형
zeroenergy 냉각소재>와 <멤커패시터 아키텍쳐 구현을 위한 다중 정전용량 소재 개발> 등이
있다.
<표 3-59>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대표성과
과제명 대 표 성 과
파장 초선택성 맞춤형
zeroenergy
냉각소재
(고려대, 이헌)
<높은 태양광 흡수율과 낮은 열방사율을 갖는 복사냉각 소재 개발>
∙ 기존 상용화 페인트의 높은 태양광 흡수율과 낮은 열방사율의
한계를 극복한 저비용, 대면적, 고효율의 페인트 소재 개발
→ 복사냉각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 2020.11월 Science 게재, IF 41.845
멤커패시터 아키텍쳐
구현을 위한 다중
정전용량 소재 개발
(UNIST, 이준희)
<메모리 반도체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소재기술(이론) 개발>
∙ HfO2 산화물에서 산소 원자 4개만을 사용하여 현존 최고 소자
보다 1,000배 이상(400Tb/cm2) 집적도 향상이 가능한 신소자
이론 제시
※ 2020.9월 Science Advances 게재, IF 13.116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물질을 나노미터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분석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새롭거나 개선된 물리적・
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소자 또는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과학기술로, 1~100nm
영역에서 원자와 분자의 배열 제어로 소재, 소자 및 시스템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술이다.
이러한 나노기술을 이용하면 최소의 원료로 최고 성능을 지닌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특별한
기능을 가진 신 물질과 첨단제품의 생산도 가능하다.
∙486 ∙
[그림 3-102] 나노물질의 특성(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표 3-60> 나노기술의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나노소재
∙ 나노미터 스케일에서 소재의 형상을 제어하거나 새로운 물질을 합성・조합하여 소재의 물성이 현저히 향상되거나
기존 소재에서 발현되지 못한 물성과 기능이 발현되는 소재기술
나노공정장비
∙ 미세화를 기반으로 하는 하향식(Top-down)기술, 자기조립기술과 같은 상향식(Bottom-up)기술 및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나노구조체를 제조하고, 나노구조체 내의 조성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고, 이들 나노구조체의 조립 및 추가 가공을 통해 특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는 나노제조기술
나노소자
∙ 나노미터 크기의 물질이나 구조가 갖는 독특한 성질과 현상을 이용하여 특정한 목적의 기능을 발휘하는 소자를
개발하는 과학기술
나노안정성
∙ 안전한 나노소재・제품의 활용을 위해 나노안전성 기준을 성정하고 인증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나노제품이 시장에 출시되도록 법제화 및 나노안전 관리 체계 구측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기술
나노바이오 ∙ 나노기술을 적용하여 생명현상을 규명하고 바이오 및 의료 분야에 활용하는 융합과학 및 기술
나노기술은 대표적인 미래기술 및 차세대 주력산업을 이끄는 기반기술로써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새로운 개념의 전자소자를 개발하는데 바탕이 되고 있다. 나노기술은 AI, 바이오 등과
같이 제조업 전반에 응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며, 지속가능성 및 경제사회적 파급력을 보유하고
있어, 에너지 고갈・지구온난화 등 에너지・환경 분야가 직면하고 있는 기술적 한계를 돌파하고자
연료전지, 수소생산, 태양전지, 나노분리막/필터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올해 글로벌 팬더믹을
만든 코로나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진단기술 및 백신/치료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487 ∙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나노기술에 대한 기초과학부터 응용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올해에는 코로나 19에
대한 연구들이 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2월에 ‘사이언스’는 ‘나노바디’라는 제3의 치료제
기술을 긴급히 공개하였다. 나노바디는 항체의 일부분만 인공적으로 제조한 나노 단백질로 기존의
대표적인 치료제 전략인 화합물 기반 치료제와 항체치료제의 장점을 모은 절충안이다. 이러한
나노바디는 온도 변화에 강하고 안정적이며, 무엇보다 대량생산이 쉽고 싸며, 입자 크기가 작아
흡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었다.
양자컴퓨팅에 대한 연구도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 연구진은 표준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인
가우스보손 샘플링을 통해 최대 76개 광자를 감지할 수 있는 양자 컴퓨터 시제품 '지우장'을
만들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구글은 지난해 슈퍼컴퓨터가 1만 년 걸릴 연산을 200초
만에 처리할 수 있는 양자 컴퓨터를 만들었다고 밝혔는데 ‘지우장’은 이보다 100억 배 더 빨리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를 만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양자 컴퓨터 분야는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컴퓨터 처리 속도와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대형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하고 물리학과 화학 등 여러 연구 분야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친환경 신소재와 공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중국에서는 바이오닉스 구조 디자인
개념을 활용하여 "특정 방향 변형 조립"이 가능하도록 셀룰로오스 나노 섬유와 이산화티타늄
코팅의 운모 시트의 복합화를 통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구조 소재를 개발하였다
(Nature Communications 2020.11.). 벨기에에서는 MOF(metal-organic framework) 필름을
패턴화하기 위해 고해상도 리소그래피 공정을 개발하여 MOF가 저전력 프로세서, 저항성 메모리,
센서 및 유연한 전자 장치와 같은 첨단 소형 장치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Nature
Materials, 2020.10.).
미국은 2021년 나노기술에 총 310억 달러가 넘는 예산을 지원하여 나노물질에 대한 이해와
사회에 이익이 되는 기술혁신으로 변환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 수행할 계획이다. 중국도 나노소재
생산 기술의 개선 및 그래핀 열전도성 필름의 응용 등 기존 산업의 문제점을 해결은 물론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으로서의 카본나노튜브, 디스플레이용 양자점 광변환 필름 등 새 시장을 창출을
위한 투자 확대, 일본과 나노소재, 나노기기 및 시스템, 나노기술의 안전한 개발・응용, 첨단
기술, 측정・장비, 나노기술의 사회적 차원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488 ∙
나) 국내동향
꿈의 소재라고 불리는 그래핀은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고 휘어지기도 해 각종 전자기기 등
활용도가 높지만, 대량생산이 어려워 상용화가 더디었는데, 올해 한국화학연구원이 개발한 신소재
‘그래핀’ 제조기술이 국내 중소기업인 엘브스지켐텍에 기술이전되어 국내 흑연광산에서 채굴한
고품질 흑연으로 그래핀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개발된 차세대 전기화학
박리공정은 ‘멀티전극시스템’이라는 그래핀 제조 공정에 적용되어 고품질 그래핀을 세계에서
제일 빠른 속도인 1시간 만에 생산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래핀 1g 생산 비용도 2,000원으로
저렴하여 각종 전자기기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노 신물질로 각광받고 있는 2차원 ‘맥신’ 신소재를 투명전극으로 사용하는 고효율 발광소자도
개발되었다. 맥신은 2011년 유리 고고치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평판 구조의 새로운 나노 재료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용액 공정으로 박막을 쉽게 형성해 전자소자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표면과 계면을 개질한 맥신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발광효율이 기존 투명 전극과 동등한 수준이고 수차례 굽혔다 펴도 안정적으로 작동했고 (서울대
학교, Advanced Materials, 2020.5.), 유기용매에 분산된 맥신 유기 잉크도 개발되었고 (한국과학
기술연구원, ACS Nano, 2019.8.), 웨어러블 히터 (연세대학교, ACS Nano, 2019.6.), 고분자
발광소자의 전극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0.12.)으로도
활용되었으며, 초소형 마이크로 수퍼캡 (나노종합기술원, Nano Energy, 2020.9.) 응용기술도
발표되었다.
인쇄처럼 찍어내듯 전자소자를 만드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울산과학기술원과 연세대학교는
전용액공정(All-solution process) 방식을 통해 트랜지스터와 논리회로를 제작하는 데 성공하였다.
연구팀은 가교제를 개발하여 전자소자 재료(고분자나 금속 나노입자 등)를 이으면서 단단히 잡아
주어, 소자 재료들을 똘똘 뭉쳐 적층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기계적 손상에도 버티게 하였으며,
분자 하나당 결합할 수 있는 입자가 네 개나 돼 소량사용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Nature
Communications, 2020.3.). 잘 휘어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도 신문을 인쇄하듯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이 개발되었고(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2020.11.), 세계 최고
수준의 고효율 적층형 태양전지(NREL 인증 광전 변환 효율 26.2%)도 개발되었다(Science,
2020.3.). 새로운 음이온 기반의 2차원 첨가제를 도입하여 과거 불안정하다고 알려진 넓은 밴드갭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안정화 및 고효율화하고 이를 실리콘 태양전지와
적층화한 결과로 나노기술을 활용한 태양전지 연구가 여전히 활발히 진행되었다.
전기차의 핵심인 전고체 배터리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안전하고
에너지밀도와 출력이 높으며, 수명이 길고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489 ∙
가지며, 충전시간도 수십 분이 걸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훨씬 짧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전기차를 비롯해 드론, 웨어러블기기 등에 쓰일 것이라 기대된다. 30년간 이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의 가연성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 부풀어 오르거나 외부
충격・노후화로 누수가 일어나면 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일본 도요타는 2010년부터 흑연과
리튬화합물을 각각 양극과 음극으로, 황(S)화합물 고체를 전해질로 사용한 전고체 배터리의 시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고 100도의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낮은 이온전도도
문제로 상용화가 더디었는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액체 전해질과
동등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갖는 고체 전해질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짧은 시간에 대량 생산하는
합성법을 개발하였으며(Nano Letters, 2020), 삼성전자는 3월 전고체 배터리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1회 충전에 800km를 주행하고 1,000회 이상 재충전이 가능해졌다고
발표하였다.
코로나와 관련된 나노기술도 신속히 활발히 진행되었다. 코로나 19의 전 세계적 유행 및 장기화에
따라 나노기술 기반의 신속, 간편, 저렴, 정확한 차세대 진단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코로나 19를 현장에서 단 17분 안에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초고속 '나노PCR' 장비가 개발되었다.
빛에너지를 빠르게 열에너지로 바꿔주는 자성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소량의 DNA로도 정확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었다(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2020.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50분 만에 검출할 수 있는 일회용 키트를 개발하였고(2020.11.), 한국표준
과학연구원은 코로나 진단키트의 정확도를 더 높여줄 바이러스 유전자 표준물질이 개발되었다고
밝혔다(2020.7.). 또한, 피부에 붙이는 초소형 진동 및 온도 센서를 이용해 코로나 19의 주요
증상인 발열과 기침, 호흡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도 개발되었다(Science
Advances, 2020.7.).
이외에도 micro-LED, 홀로그램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다양한 센서 중 특히 전자피부용
센서, 집적도를 높이기 위한 반도체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나노분리막과 미세플라스틱에
관한 연구도 계속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일본 수출규제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100대 품목과 연계한
소재・부품・장비용 핵심나노기술도 연구가 착수되어 진행 중이다.
2) 향후 전망
2025년까지는 ① 나노기술 혁신 창출을 위한 투자 지속 ② 성숙도 높은 기술영역의 산업화
촉진 ③ 개발에서 사업화까지 최적 지원체계 구축 등의 계획이 범부처 차원의 협력으로 계속
진행될 예정이므로 관련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수출규제 대응
소재・부품・장비 개발이 확대되어 국가 핵심산업 미래대응으로 확대될 것이며 시스템반도체,
∙490 ∙
양자컴퓨팅에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 발전할 것이고, 나노소재 상용화의 가속화, 환경과 에너지,
바이오 소자에의 접목이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과학기술의 다양화・복합화・융합화의
추세가 심화되어 학문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기 때문에 나노기술은 특성상 계속 다양한 전
분야에 적용되어 핵심기술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그림 3-103] 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2018-2027) 하 6대 분야 사전적 기술지도
∙491 ∙
제6절 우주항공기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2020년도 우주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발사체 기술자립, 인공위성 개발・활용, 우주탐사,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우주혁신생태계, 우주산업 육성 등 6개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며,
2019년도 대비 6.4% 증가한 6,158억원 규모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2020년은 우주발사체 기술자립을 위하여 중요한 진보가 있었던 해로 기억될 것이다. 한국
형발사체 3단 종합연소시험을 통한 성능검증이 완료되었으며 1단 인증모델 조립(2월)과 종합
연소시험이 착수(11월)되었다. 한국형발사체 발사를 위한 나로우주센터 시설・장비가 11월 추가
구축되었다. 발사통제장비 자료처리시스템 개발과 발사지휘소 현지시스템 구축이 완료되었다.
또한 고효율 다단연소사이클 로켓엔진 개발을 위한 다단엔진 기술검증 모델 연소시험이 추진
되었고, 터보펌프 상세설계 및 터빈 부품이 제작되었다. 소형발사체 플랫폼 확장을 위한 예비
설계 및 저비용 제작 선행기술 연구가 착수되었다.
인공위성 분야에서는 해양・환경 상시관측을 위한 천리안 2B호가 2020년 2월 발사되었고,
10월부터 정상운용되고 있다. 천리안 2A(기상) 및 2B(해양・환경) 발사에 따라 해당 분야에
대하여 보다 향상된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며, 위성정보 활용 또한 증대될 전망이다. 천리안
2A호의 운용으로 위험기상 조기탐지 정확도는 ’19년 40%에서 ’20년 64.8%로 향상되었으며,
모바일을 통한 우리나라 해역의 위성관측 수온 정보제공, 해안 쓰레기 관측 등 위성활용 산출물의
활용성이 검증되었다. 위성영상 기반 작물구분도 제작을 위한 현장 이미지 빅데이터가 구축
되었으며, 국내 작황예측 인공지능 모델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또한 구축되었다. 차세대중형
위성은 1호 위성체가 2021년 3월 발사를 앞두고 선적전 검토회의 등이 마무리되었으며, 2호기
위성체의 총조립・시험이 수행되었다. 4호 시스템설계검토회의가 수행되었으며, 탑재체 개발
사용자 요구분석・시스템 설계가 완료되었다. 다목적실용위성은 6호의 위성체 비행모델 총조립,
7호 본체 비행모델 조립 등이 추진되었으며 7A호 사업이 2020년 2월 착수되었다. 또한 군집형
초소형위성 11기의 개발이 5월 착수되었다. 정부 협의체 간 위성영상 배포 확대를 통하여
부처별 고유 위성정보의 활용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표준영상 9,307장과 부가처리영상
16,038장이 제공되었다. 이를 통한 누적수입대체효과는 2020년 12,266억원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우주탐사 분야에서는 특히, 달 궤도선 상세설계와 탑재체 비행모델을 개발하였다. 달 궤도선
상세설계검토회의, 설계인증검토회의, 총조립시험검토회의 등이 개최되었으며, 달 궤도 전이
∙492 ∙
방식을 변경하였다. 달 궤도 전이방식은 점점 고도를 높여 달에 접근하는 PLT(Phasing Loop
Transfer) 방식에서 지구와 달, 태양의 중력을 이용하여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BLT(Ballistic
Lunar Transfer)/WSB(Weak Stability Boundary)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기본설계
및 예비설계 변경이 2020년 추진되었다. 또한, 우주위험 감시・대응 고도화를 위한 우주물체
감시 인프라개발이 2024년 완료를 목표로 착수되었다. 이와 함께 우주전파재난으로부터 국가
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태양 방출물질 영향 및 피해규모 분석・예측기술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2020년에는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관련 국제협력과 관련 연구개발이 추진되었다. 1월
에는 제2차 한-미 위성항법 전문가회의를 개최하는 한편, UN ICG(UN 산하 국제 위성항법
위원회) 가입신청 서한을 제출하였다. 가입신청은 제15차 ICG 연례회의(2021년 9월 예정)에서
승인될 전망이다. KPS 항법신호 설계를 위한 분석도구 기술 연구, KPS 실측치 기반 정밀궤도
결정 성능/민감도 분석 연구 등 핵심기술에 대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으며, KPS 개발을 위한
본사업이 2020년 10월부터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였다.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2020년에도 지속되었다. 복합재 추진제 탱크
시제품 제작・시험, 우주용 고효율 저잡음 초점면 어레이 선형 TDI(Time-Delay and Intergration)
검출기 개발 등 우주개발 중점기술 확보를 위하여 우주중점기술개발사업이 연중 추진되었다.
NASA SPHEREx 프로젝트의 적외선 영상분광 개발이 2020년 1월 착수되었으며, NASA의
민간 달착륙선 사업(CLPS: 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 참여를 위한 국재 탑재체
개발사업이 신규 착수되었다. 이와 함께 다원화된 국제 우주규범 수립 과정에 적극 동참하고
지속가능한 우주개발을 위한 국제사회 기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우주
비행체 개발 및 운용 권고안 제정(2020.7.)하였고, LTS(Long 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rivities) 대응을 위한 범부처 연구반을 구성(2020.3월)・운영하고 있다.
우주산업 육성, 관련 일자리 창출 분야에도 정부는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2020년 2월에는 기업이 개발한 부품의 우주환경 시험을 지원하기 위하여 우주부품 시험센터를
구축하였으며, 시험방법 연구, 시험료 등을 지원하고 있다. 소자급 우주부품 국산화 연구를
지원하여 산업체 기술개발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대용량메모리모듈, Power MOSFET,
Heater, Thermistor, Magnetics 등 사용빈도가 높은 5개 위성부품 개발 수행기관을 선정
하고 연구에 착수하였다. 우주기술 기반 예비창업자 지원사업(STAR-Exploration), 창업 아카데미
등을 통하여 창업교육, 컨설팅,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인력양성・연수・파견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여 우주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493 ∙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우주 분야는 우주를 기반으로 우리 생활에 필요한 정보(영상, 통신, 기상 등)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인공위성 및 위성활용 분야, 지구 밖을 탐사(달/화성 탐사, 심우주 탐사, 유인 우주비행
등)하는 우주탐사, 그리고 이러한 위성 및 탐사에 필요한 탐사선 등을 우주 공간까지 실어 나를
수 있는 우주수송(발사체)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3-61> 우주분야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비고
인공위성
우주에서 지구의 사진, 기상정보 등의 관측 및 통신/위치정보 제공 등을 위해
필요한 장치인 인공위성 및 위성 개발과 관련된 기술
<다목적실용위성6호>
위성정보활용
위성으로부터 관측된 정보 등을 활용하여 사회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지도제작, 위성통신, 네비게이션의 위치정보 등)와 관련된 기술
<천리안2B호 환경관측영상>
우주수송
(발사체)
위성 및 우주탐사선 등을 지구에서 우주로 수송하기위해 필요한 발사체 등과
관련된 기술 <한국형발사체>
우주탐사
달 탐사와 화성 등 행성 탐사에 사용되는 탐사선/로봇 관련 기술 및 유인 우주
활동 등과 관련된 기술
<한국형달탐사선>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우주발사체 개발기술과 관련하여 선진국에서는 민간 기업이 발사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한 새로운 발사체 개발과 관련 기술을 확보 중이다. 미국은 그간 활용(Atlas
V의 RD-180엔진 사용)해 온 러시아 엔진을 대체할 새로운 엔진과 재사용기술(Space X사는
Falcon-9) 개발로 비용 절감을 추진 중이며, 인도, 러시아, 중국은 발사체기술과 발사장활용에
대한 해외 의존을 탈피하고 자국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독자 역량 강화 중에 있다. 미국의 Space
X사는 차기 발사체인 BFR(Starship)를 개발 중으로 ‘20년에는 시제기 SN2~SN9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유럽은 아리안-5를 대체할 아리안-6 발사체를 개발 중인데, 2020년 첫 비행을
계획하였으나 2022년으로 연기되었다. 일본도 H-II 발사체를 대체하여 발사 비용을 낮춘 H-III
∙494 ∙
발사체를 개발 중으로 2020년도 첫 비행을 계획하였으나 2021년으로 변경하였다.
지구관측위성과 저궤도 통신위성 분야는 여러 우주개발분야 중에서도 가장 많은 투자가 이루어
지는 분야로, 정부주도의 위성개발에서 민간주도의 위성개발로 기업의 투자가 활발하다. 지구
관측위성과 함께 저궤도 통신위성인 스타링크와 원앱 위성은 2020년도 발사된 위성의 수만
각각 833기와 104기로 1년간 937기의 저궤도 통신위성이 발사됐다. 향우 우주 인터넷을 구축
하겠다는 스타링크 위성의 수는 저궤도 지구관측 위성들과 함께 2021년에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구관측위성은 소형화, 대형인 통신・항법위성은 크기가 유지됨에 따라 위성
규모는 (초)소형과 대형으로 양극화되는 추세이다. 최근 (초)소형위성에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신기술을 도입한 저비용 위성망으로 확대되는 특징도 보이고 있다. 또한 주요국은 정찰능력
강화를 위해 0.3m 이하의 초고해상도 광학위성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미국은 0.3m급
위성을 2014년 및 2016년에 발사, 유럽은 2017년에 발사하였으며, 일본은 0.4m급 위성을
2015년에 발사, 0.25m급 위성은 2021년 발사 예정이다. 또한 주요국은 미국 GPS 사용에
따른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고, 자국의 안전 인프라 자산 확보를 위해 독자 위성항법시스템을
구축 추진 중에 있다. 글로벌 위성항법시스템을 기 구축한 미국과 러시아는 시스템을 지속 보완
하고 있으며, 유럽과 중국은 글로벌 위성항법시스템을 신규로 구축 중에 있다. 인도는 지역
위성항법시스템용 위성 7기의 발사를 완료한 상태이며, 일본은 2024년 서비스를 목표로 항법
위성 개발을 지속 추진 중이다.
<표 3-62> 해외 위성항법시스템 구축현황(2020.8 기준)
전지구 위성항법시스템 지역 위성항법시스템
국가
미국
(GPS)
러시아
(GLONASS)
유럽
(Galileo)
중국
(BeiDou)
인도
(IRNSS)
일본
(QZSS)
Ⅱ Ⅲ
위성수
<설계/정상(운영)>
24/28(31) 24/23(27) 30/242(264)
14/12
(12)
30/29
(35)
7/7 7/4(4)
구축연도 1995 1996
2025
(예정)
2012 2020 2016
2024
(예정)
주요국은 달을 미개발된 무한한 잠재력의 영역으로 인식하고, 달에서의 주도권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달 탐사를 경쟁적으로 추진 중이다. 과거 미국, 러시아 2강 구도 경쟁에서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이 참여함으로써 다극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280억 달러를
투입하는 아르테미스(Artemis) 달 탐사 프로그램 추진을 발표하였으며 미국 주도로 달을 중심으로
한 우주 자원 소유나 이용 등에 대한 규범을 정하는 아르테미스 합의에 미국, 일본, 캐나다,
∙495 ∙
영국, 이탈리아, 호주, 룩셈부르크, 아랍에미리트 등 8국이 참여하기로 하였다.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로의 쌍둥이 남매인 달의 여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아폴로 계획
(1961~1972년) 이후 중단되었던 유인 달 탐사를 재개하여 2024년까지 달의 남극에 우주비행사를
보내고 달기지 건설과 ‘게이트웨이(Gateway)’로 불리는 달 궤도 우주정거장 건설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이트웨이는 화성 탐사 등 더 깊은 우주로 떠나는 중간기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달 탐사를 추구하는 동시에 유인 화성 탐사를 위한 기술들을 미리 시험하는 것도 프로그램에
포함된다. 또한, 주요 국가에서는 다양한 임무의 우주탐사 활동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유럽은
2020년 2월 유럽우주청과 미 항공우주국이 공동 운영하는 태양 극지방 및 태양풍 연구 수행용
태양궤도선(Solar Orbiter, Solo)을 발사하였고, 일본은 2014년 3월 발사된 하야부사2 탐사선이
소행성 ’류구‘의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지구 귀환에 성공(2020.12)하였다. 중국은 화성탐사선
Tianwen-1호(2020.7)와 창어 5호(2020.11)를 발사하였으며, 창어 5호는 중국 최초 달 샘플을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하는 데 성공(2020.12)하였다. 아랍에미리트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며 화성 기후연구를 위한 궤도선(Hope) 발사(2020.7) 등을 수행하였다.
나) 국내동향
발사체 분야에서는 한국형발사체를 지속적으로 개발 중에 있으며, 2021년 첫 발사를 목표로
한국형발사체 3단 종합연소시험을 통한 성능검증 완료 및 1단 인증모델 조립 완료 후 종합연소시험을
착수하였다. 주요 성과로는 1단 EM 총조립(2020.2) 및 수류시험 수행(2020.2~9), 1단 QM
총조립(2020.11) 및 종합연소시험 시작(2020.11~)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형발사체 발사를
위한 나로우주센터 시설・장비(발사통제장비 자료처리시스템 개발 및 발사지휘소 현지 시스템
구축)를 추가로 구축(2020.11)하였다.
인공위성 개발 분야에서는 해양・환경 상시관측을 위한 천리안 2B호 발사(2020.2) 및 정상운용
착수(2020.10)와 산업체 주관 차세대 중형위성개발사업 2단계 개발 및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이 추진되었으며, 군집형 초소형위성 11기 개발을 2020년 5월에 착수하여 시스템 설계
검토회의(SDR)를 수행하였다(2020.9.). 차세대중형위성 1단계 사업으로 추진 중인 차세대중형위
성 1호는 시스템 환경시험을 완료하고(2020.4), 2021년 발사를 준비중에 있다. 또한 차세대중형
위성 2단계 사업으로 차세대중형위성 4호인 농림위성 개발에 착수(2019.12)하여 시스템설계검
토회의(2020.8)를 수행하였다. 다목적실용위성개발은 7호의 설계와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관측 효율성을 극대화한 다목적실용위성 7A호 개발이 착수(2020.2)되었으며, 우주과학 연구
임무 수행을 위해 개발 중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시험인증모델의 총조립 및 종합시험
(2020.11)과 상세설계검토회의를 수행하였다(2020.12). 한편, 국가위성 증가에 따른 효율적
∙496 ∙
운영 및 위성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위성 통합운영시스템’ 구축이 2019년 착수되어 예비설계검토
회의(PDR)를 수행하였다.(2020.8)
위성정보활용 분야에서는 천리안 2A(기상, 2018) 및 2B호(해양・환경, 2020) 발사에 따른
해당 분야에 대한 보다 향상된 서비스 제공을 이루었다. 천리안 2A호는 천리안 1호에 비하여
해상도가 4배 향상된 컬러 기상 영상을 8배 빠른 속도로 3배 많은 정보를 관측하며, 위험기상
조기탐지 정확도는 2019년 40%에서 2020년 64.8%로 향상되었다. 천리안 2B호는 한반도 주변
지역 미세먼지의 이동경로 및 국내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적조ㆍ기름유출 등의 해양오염 및
해류・염분농도 등을 관측하는 성과를 얻었다.
우주탐사 분야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달 궤도선 상세
설계(2020.3.) 및 탑재체 비행모델 개발이 수행되었다. 또한 달 궤도 전이방식 변경(BLT/WS
B)84)에 따른 기본 설계 및 예비설계가 수행되었다. 그 외에도 NASA 중형우주망원경 미션인
SPHEREx 프로젝트에 우리나라가 유일한 국제협력 파트너로 참여하여 적외선 영상분광기 개발에
착수(2020.1~) 하였으며, NASA의 민간 달착륙선 사업(CLPS: 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 참여를 위한 한・미 공동연구(2020.2~)로써 과학탑재체 4개(표토 및 부유먼지 관측기,
방사선환경 측정기, 자기장 측정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등)의 개념설계 및 요구사항 검토회의를
개최하였다.
위성항법분야에서는 국내 독자 지역항법시스템인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구축
사업 추진을 위해 예비 타당성 조사 및 국제협력 기반 조성을 추진하였다. 또한 한국형위성항
법시스템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로써 KPS 항법신호 설계를 위한 분석도구 기술 연구 및 KPS를
위한 실측치 기반 정밀궤도결정 성능/민감도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자적인 우주개발 저변 확대 및 우주개발 능력 확보를 위하여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우주
중점기술개발사업, 스페이스챌린지사업(2020.4) 등이 추진되고 있으며, 우주부품시험을 위한
우주부품시험센터를 구축 완료 하였다(2020.2). 체계사업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스 파오니어사업이 2021년 추진될 예정이다.
2) 향후 전망
세계 발사체 분야는 미국의 스페이스 엑스 사의 등장 이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발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발사체를 개량하여 비용을 낮춘 새로운 발사체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84) 점점 고도를 높여 달에 접근하는 PLT(Phasing Loop Transfer) 방식에서 지구와 달,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BLT(Ballistic Lunar Transfer / WSB (Weak Stability Boundary) 방식으로 변경
∙497 ∙
또한 이러한 발사체 개발은 민간 기업(유럽은 아리안 그룹에서 아리안 6 발사체 개발 중, 일본은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H-III 발사체 개발 중)을 중심으로 수행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형
발사체 개발이 2022년 완료됨에 따라, 기존 기술력을 발전시켜서 보다 나은 성능을 발휘하고,
어렵게 구축한 국내 발사체 산업을 유지・발전시켜 주도적으로 발사체 개발 및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후속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사업의 경우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시 2022년 착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 개발사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 PNT(Position, Navigation, Timing) 기반 부가가치
극대화를 위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새로운 기반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의 첫 번째 우주탐사 관련 사업인 ‘한국형 달 탐사선’ 개발이 순조롭게 개발이
추진된다면, 2022년 발사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위성개발을 시작으로 독자
발사체 확보 단계에 도달해 있으며, 달 탐사선 개발을 시작으로 우주탐사 영역까지 그 활용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국가적 우주탐사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향후에는 한국형발사체 개발 완료 및 달 탐사선 발사를 계기로 보다 구체적인
우리나라의 발사체 개발 및 우주탐사 비전/계획 등이 도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498 ∙
제7절 문화기술
문화산업은 글로벌 경제 저성장 기조 속에서 아이디어와 상상력에 기반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성장동력으로 부상,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문화기술(CT, Culture
Technology)은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가상현실, 증강현실, 인공지능, 빅데이터, 5세대
이동통신 등)과 연계하여 문화체육관광 산업 발전에 날개를 달아주고 있으며, 한류를 통해 관련
소비재, 관광, 의료 등 타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지속된 한류 열풍은
최근 ‘방탄소년단’(2020년, 빌보드 HOT100 1위), ‘기생충’(2019~2020년, 칸, 아카데미 영화제
수상) 등의 성과를 토대로 문화・경제적 가치를 창출85)하고 있다.
한편, 문화유산은 과거의 것 중 다음 세대로 계승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특히 건축문화
유산은 현재는 소실되거나 남아있더라도 원래의 모습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건축문화유산의
복원은 다양한 고증연구를 통해 본래의 모습을 추정하고 이를 모형이나 조감도로 가시화하였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3D 모델링과 VR・AR 기술을 활용한 문화재 재현이 가능해
지고 있다. 향후에는 문화유산복원 관련 기술들의 발전으로 장소나 장비의 제약이 없고 실제의
것처럼 실감나는 문화유산 체험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확산으로 비대면(Untact) 경제로의 변화가 촉발되면서,
온라인 문화콘텐츠가 핵심사업모델로 부각되면서 문화・경제・사회 전반에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처럼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 분야는 기술력과 예술성 및 감수성이 결합되어 산업 간 융합을
촉진하고 경제성장을 이끌 뿐만 아니라, 문화향유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만큼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 19의 확산은 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국내외 문화체육관광 분야의 환경, 기술, 창작・제작,
소비 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팬데믹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산업 전반의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한 반면, 문화시설 기반의 현장 관람 중심의 대면 서비스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팬데믹 이후에는 현실과 가상의 융합이 가속화 되어 온오프라인
서비스의 연계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연구개발 전략을 실행할 계획이다.
85) 2020년 빌보드 HOT 100 차트 1위를 차지한 ‘다이너마이트’의 직접 매출(음반・음원・공연・저작권 등)은 2,457억 원,
이와 관련 화장품・식료품・의류 등 연관 소비재 수출 증가 규모는 3,717억 원으로 추산, 산업 생산 유발 효과 1조
2,324억 원, 부가가치 유발 4,801억 원, 고용 유발 총 7,928명으로 잠정 집계(20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 4관왕의 경제적 효과는 1조 4천억 원, 연관 효과 합산 시 약 2조 원 규모로 추계(2020 문화체육관광부)
∙499 ∙
1) 주요 성과
가) 콘텐츠 분야
2020년도 문화콘텐츠 연구개발 사업은 콘텐츠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4차 산업혁명
선도와 중소 콘텐츠 기업의 현장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기술개발 등 콘텐츠산업의 혁신성장과
문화향유를 통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취약계층의 문화향유 기획 확대 등 풍요로운 여가생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문화기술(CT) 기반의 문화콘텐츠산업 환경 조성에 주력하였다.
2020년도 신규과제는 총 47개(지정공모 24개, 자유공모 23개)로 313억 원(지정공모 242억
원, 자유공모 71억 원) 지원하였다. 그 밖에 지역 중심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지역 주민의
문화향유 환경 개선을 위해 지역 유휴 문화공간에 문화기술을 실증하여 첨단 문화공간을 구축하는
‘지역연계 첨단 CT 실증’ 사업(4개 과제, 55.5억 원)과 첨단기술과 콘텐츠 제작 역량을 두루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문화콘텐츠 R&D 전문 인력양성’ 사업(6개 과제, 31.5억 원)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였다.
<표 3-63> 문화기술 연구개발 주요성과
구분 내용
공연
<무대 전용 분산제어시스템 모듈 연구개발>
∙ 무대장치 통합 분산제어 시스템 국산화 개발 추진
∙ <강릉올림픽아트센터> 등 8개 공연장에 기술적용(200억 원 수입 대체효과)
∙ 개발기술 관련 매출 총 129.5억 원(기술사업화 29건)
∙ 세계최고 안전등급인 안전무결성(SIL3) 인증서 획득, 특허 등록 2건, 출원 5건
∙ 2019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R52 장영실상, 2017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신기술 실용화) 수상, 필리핀 정부기관 150만 달러 투자 유치
전시
<숲공원 문화 예술 향유를 위한 자연 친화적인 미디어 아트 플랫폼 개발>
∙ 자연친화적(미세먼지 저감) 미디어아트 콘텐츠 표현기술 개발 및 미디어아트 플랫폼
(옥외환경 맞춤형 미디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
∙ 개발기술을 활용한 통영 남망산 공원 내 국내 최대 규모 야간 디지털 테마파크
‘디피랑’ 기술사업화 추진(2020년 사업화 매출 19.7억 원)
증강현실
<홀로그램 카메라 및 홀로그램 기반 AR 플랫폼 기술개발>
∙ 홀로그램 카메라 및 홀로그램 기반 AR 플랫폼 기술개발
∙ 세계 최고 수준의 고해상도,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쉬운 고시인성, 광(廣) 시야각의
4K급 투시형 증강현실 영상구현을 위한 AR HMD 개발
∙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기반의 고해상도 AR HMD 개발을 통해 기존 한계를
벗어난 세계 최고 수준의 홀로그램 서비스 기반 마련
∙ 기술이전 1건(50백만원), 개발기술 사업화 매출 482백만원(11건), 논문(SCI)
9편, 특허 등록 4건, 출원 19건
∙ 제3회 지식재산의 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20.9월)
∙500 ∙
나) 저작권 분야
2020년도 저작권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저작권 보호 핵심기술 및 서비스 개발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 초연결, 초지능 환경에서의 저작권 보호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술 등과
융합한 차세대 신저작권 서비스 기술개발에 총 18개 과제, 83.9억 원을 지원하였다. 지정공모
13개 과제 외에도 저작권 분야 상용화 기술개발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연계형 자유공모 2개
과제와 저작권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2개 과제를 지원하는 등 기술개발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 수준의 과제를 골고루 지원하였다.
특히, 주배시(주제・배경・시그널) 음원 저작권료의 공정하고 투명한 정산 분배를 위해 Open
API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개발 1개 과제를 신규로 추진하여 저작권 분야의 핵심 이슈를 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국제 저작권기술 콘퍼런스(ICOTEC)를 통해 저작권기술의
발전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코로나 시대 이후 저작권기술의 미래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하는
등 저작권기술 성과 확산 및 협력을 강화하였다.
구분 내용
<감성형 오디오북 제작을 위한 지능형 음성합성 및 음성변환 기술개발>
∙ 전자책의 텍스트 문맥을 고려해 각 문장의 감정과 발화자를 인식하는 기술개발
∙ 특정화자의 음성특징(개성, 감정 등)이 표현된 음성합성/변환 기술개발
∙ MBC 휴먼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2020.2월)의 ‘유아음성’ 인공지능 목소리
제작(조회 수 1,000만 돌파)
디자인
< 캐릭터 등 다양한 콘텐츠 이미지의 피부표현을 위한 사용자 참여형 디바이스
및 서비스 기술개발 >
∙ 피부 표현 디바이스와 사용자 참여형 콘텐츠 제작 공유 플랫폼 개발
∙ 2018년 ‘휴대용 헤어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헤어 프린팅 방법’, ‘스킨프린터’
특허 2건 출원, 2019년 스킨프린터 ‘프링커S’ 제품 상용화
∙ 개발기술 사업화 매출 20.3억 원, 특허 출원 2건, 신규 고용창출 8명
∙ 2017년 아시아태평양 스타트업 피칭대회 대상 수상(싱가폴), 2018년 한국 모바일
기술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2018.12월)
융복합
<체감형 게임 기반의 융복합 테마파크를 위한 IoT 통합 플랫폼 기술개발>
∙ 무동력차량 테마파크 프로젝트 기반 연구개발(IoT 기술 등)
∙ 2017년 250억 원 규모의 <테마파크 9.81XR> 프로젝트 펀딩 완료
∙ 제주도 애월지역 9.81 파크(14만㎡) 개장(2019.5.)
∙ 2019년 제주 1호점 18만명 방문, 개발기술 사업화 매출 57.8억 원, 특허 등록
2건, 출원 6건, 신규 정규인력 채용 73명
∙501 ∙
다) 스포츠 분야
2020년도 스포츠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효과가 높은 서비스업으로 투자
방향을 전환하고, 연구성과 기반의 기술사업화와 창업지원 및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였다. ‘스포츠
서비스 사업화지원’ 사업을 통해 신규 4개 과제 포함 총 6개 과제에 39억 원을 지원하였는데,
안전한 실내스포츠 활동을 위한 지능형 실내 환경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개인 맞춤형 생애주기
스마트 피트니스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여 국민들의 건강・여가・스포츠 활동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국민 편익을 증진하였다.
그 외에도 ‘스포츠 창업・선도기업 육성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신규 3개 과제 포함 총
8개 과제에 37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치료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운동 취약계층의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였다. 스포츠 중소기업의 창업과 R&D를 연계
지원하는 혁신형 창업기업 기술개발 사업과 성숙기 기업(선도기업)의 레벨업 핵심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스포츠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였다.
라) 관광 분야
2020년도 관광 분야 연구개발 사업은 국토교통부를 주관부처로 한 다부처 사업인 「공간정보
제공 기술개발 사업」에 신규 협업부처로 참여하였다. 3D 공간정보를 연계한 실감형 관광콘텐츠
생성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전주 한옥마을 등 시범대상지에서 실제로 체험해볼 수
있는 콘텐츠・서비스 실증을 추진하였다. ‘융복합 관광서비스 사업화 지원’ 사업은 ‘IoT 기반
유원시설 모니터링 및 체험확장 서비스 개발’ 등 신규 3개 과제를 포함한 4개 과제를 지원,
전통적인 관광산업에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관광산업과 첨단기술의 융합 토대를 마련하였다.
마) 문화재 관리
문화재 관리에 있어서는 코로나 19 등 최근 사회변화에 대응하고 국민의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화유산 발전을 위한 ‘문화유산 미래 전략’(2020.12.)을 수립하였다. 본 전략을
바탕으로 기존의 문화유산 정보를 디지털로 전환하고, 인공지능・디지털 트윈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문화재의 재현과 보존・관리 체계를 강화하며, AR・VR 기술 등을 활용하여 실감형
문화유산콘텐츠 제작・보급을 지원하여 신산업의 육성과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품질 문화유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문화유산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문화유산 디지털 기술 표준을 수립 및 고도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502 ∙
2) 향후 계획
2020년 문화산업은 코로나 19로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의 확산, 문화산업 내 장르 간 격차
심화, 집 안에서의 여가활동 증가 등 문화 소비패턴 변화로 인해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였다.
정부는 문화기술을 통해 문화와 첨단기술의 융합을 지원함으로써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과 콘텐츠 제작/서비스 융합 기술개발, 비대면으로 위축된
국민의 문화향유권 확대를 위한 新콘텐츠 서비스 기술개발, 비대면으로 위축된 문화체육관광
분야의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실감서비스 기술개발 등 새로운
환경 변화와 콘텐츠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신규 사업 및 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문화기술
문화기술은 문화콘텐츠 기획・상품화・미디어 탑재・전달 등 기획부터 유통까지 문화콘텐츠 산업
가치사슬 단계에 부가가치를 더해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나아가 이공학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 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포함한 복합적인 기술을 총칭한다. 현재 문화기술은
단순 문화예술 발전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포함을 거쳐 융복합의 개념까지 확장하고 있다.
<표 3-64> 문화기술의 개념 및 범위의 변화
구분
1990년대~2000년대 초반
(문화예술발전)
2000년대 중반
(디지털 콘텐츠)
2010년 이후
(융・복합)
개념
문화예술 산업 발전을
위한기술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기술로서 디지털 기술을 기획,
상품화, 미디어 탑재, 전달 등의
가치사슬(Value Chain)과정에
사용되는 기술
문화산업과 IT 등 타 산업의 결합을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기술로, 문화, 예술적
측면에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술
범위
문화 및 예술의 표현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미술품/공연 등에
필요한 무대장치, ▲출판에
필요한 인쇄기술 등)
문화산업의 가치사슬 (Value
Chain) 전 단계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가치사슬의 각 단계마다
개입하여 부가가치를 더해주는 기술
기존의 문화산업 및 타 산업과 융합가능한
모든 분야(기존 문화(장르)산업과 새로운
유통채널의 융합 등에 필요한 기술 등)
※ 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2017), 문화기술(CT) 로드맵 2020 수립연구 위탁용역 일부 발췌
문화기술(CT)은 미래유망핵심기술(6T)로 분류되는 기술 중 한 종류로, 문화콘텐츠, 생활문화,
문화유산 등으로 중분류하고 있으며, 기술을 콘텐츠 기준으로 분류한다.
∙503 ∙
<표 3-65> 미래유망핵심기술(6T) 분류 중 CT 분류
CT 분류(중분류) 기술명(소분류) 분류기준
문화콘텐츠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응용기술
가상 스튜디오 기술, 스마트 스튜디오 기술, 실감 미디어 공간설계
구축 기술, 실시간 지능형 행위 시뮬레이션/애니메이션 기술
디지털 영상, 음향 및 디자인 기술 미디어 아트, 시각화 기술, 문화예술 전시 기술 분야
디지털 콘텐츠 저작도구
디지털 콘텐츠 유통을 위한 모델 개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워터마킹
기술, Rich Media 컨텐츠 식별체계 및 관리기술
게임엔진 제작 및 기반 기술
무선인터넷 게임용 분산처리 엔진, 지능형 게임 캐릭터 엔진, 동작
애니메이션 처리 엔진, 실시간 랜더링 엔진
기타 문화콘텐츠 기술 기타 분류되지 않은 문화콘텐츠 기술
생활문화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등)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기술
인터넷 세대 문화・윤리・가치 체계, 사이버 스페이스 경영에 관한 방향, 사이버
환경에서의 표현의 자유・검열・사이버 범죄・정보불평 등 구조의 과정
인터랙티브 미디어 기술
텍스트 자동분석을 통한 여론조사, 모바일 커뮤니케이션관련 컨텐츠
구성 및 제공, 인터넷 사이트 실용성(usability)분석 및 평가,
인터랙티브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와 효과 측정기술
제품 디자인 기술
인간중심의 제품디자인 개발, 제품디자인 평가 기술, 디자인에의
감성공학 응용 기술, 제품 안전관련 기술
기타 생활문화 기술 기타 분류되지 않은 생활문화 기술
문화유산
문화원형 복원 기술
문화유적의 탐사・발굴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연계, 원형추정 및
복원기술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연계, 저장 및 관리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연계, 유형문화재(벽화, 미술품, 공예품, 석탑, 불상, 건축물, 구원
등) 및 무형문화재(소리, 춤, 기예 등) 디지털 복원기술
기타 문화유산 기술
디지털 문서보관소 구축, 국가문화자산 디지털화,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이버 박물관 구축, 디지털 관광상품개발 등 달리 분류되지
않은 문화유산 기반기술
※ 자료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한국과학기술평가원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해외의 콘텐츠산업 역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 등과 관련된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AR・VR,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로봇 기술 등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504 ∙
<표 3-66> 주요 해외 기술 발전 동향 및 전망
※ 자료 : 예술경영지원센터, 문화예술 유통・소비 활성화를 위한 4차산업혁명 기술 활용방안 연구, 2019.12.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기반기술인 기계학습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 딥러닝, 전이학습, 강화학습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 전반의 비약적인 발전을 견인한 딥러닝은 시각지능, 언어지능
등에 특화된 학습 알고리즘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딥러닝 기술은 특성상 주로 ‘인식’
유형인 음성인식, 이미지 및 동영상 인식, 생체인식, 얼굴인식, 번역을 포함한 자연어 처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챗봇을 전시 안내에 활용하거나, 미래작품과 IT를
접목하여 체험형 인터랙티브 전시에 활용하는 사례, 딥러닝을 활용하여 관람객을 전시에 적극적
으로 참여시키는 사례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은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지능형 분석을
통한 ‘변화 예측형 빅데이터’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물인터넷 기술이 확산되면서
생성되는 빅데이터에 대한 수집・저장・처리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실시간 처리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은 기업들의 온라인 클릭, SNS 활동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행태를 예측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데 사용된다. 그 사례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하거나 클라우드 기반으로 기계학습, 통계기법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이 있다. 스포티파이(Spotify), Napster, Apple, Deezer 등은
기술 유형
가트너 10대
전략기술(2020)
포브스 7대
중요기술(2020)
딜로이트 테크
트렌드(2019)
주요 발전 방향
인공
지능
∙ 초자동화
∙ 자율 사물
∙ 자율권을 가진 엣지
∙ 전문성의 민주화
∙ 인공지능 보안
∙ 서비스로서의 인공지능
∙ 자율주행
∙ 컴퓨터 비전
∙ 개인화 및 예측 치료
∙ Cognitive, Analytics
∙ 자동화의 확대
∙ 업무 효율화
∙ 기술 접근성 향상
∙ 실시간 분석 및 활용
∙ 보안 문제 등
빅데이터
∙ 자율 사물
∙ 투명성/추적성
∙ 자율주행
∙ 개인화 및 예측 치료
∙ Cognitive
∙ 개인 맞춤형,
∙ 예측의 정확성 제고
네트워크 - ∙ 5G 데이터 네트워크 ∙ Digital Reality
∙ 공유, 향유의 제약 감소
∙ 상호작용(인터렉티브) 등
XR
(확장 현실)
∙ 인간 증강
∙ 다중 경험
∙ 확장 현실
∙ Digital experience
∙ Digital reality
∙ 새로운 스마트 공간의 창출,
체험형, 몰입형 등
블록체인 ∙ 실용적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기술 ∙ Blockchain
∙ 가상화폐 이외의 다양한
응용, 보안 강화
기타 ∙ 분산형 클라우드 ∙ 컴퓨터 비전
∙ Cloud, Business of
Technology
∙ Core modernization
∙ Cyber risk
∙ 협업 플랫폼 고도화
∙ 기존시스템과의 호환,
고도화
∙505 ∙
빅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음원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콘텐츠 추천에도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5G는 연결된 기기를 위한 최신의 네트워크 기술로, 4G보다 약 100배 빠르고 가정용 통신망
네트워크보다는 10배 빠른 인터넷 속도를 낼 수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중계기와 관련하여 국제
표준화 및 5G 관련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5G 기술개발로 인해 그동안 전송속도 제한과
처리속도의 한계로 시도되지 못했던 일상생활 속에서 삶의 방식을 크게 향상시킬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특히, VR・AR과 인공지능이 결합된 인터랙티브 실감 콘텐츠를 신속하게 제작 가능하고,
나아가 인공지능과 연계된 볼륨메트릭 콘텐츠는 실감콘텐츠 생성의 핵심 제작기술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향후, 5G 기반 실감형 콘텐츠 VR OTT・플랫폼 서비스 확대, 5G 기반의
VR・다면영상 스포츠 중계 서비스 등의 활용, 5G 초실감 미디어 수요 증가에 따른 제작방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나) 국내동향
국내 콘텐츠산업의 경우에도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VR・AR로 대표되는 실감콘텐츠의 경우, 게임과 영화 중심에서 공연, 전시, 교육, 건축
등 콘텐츠 산업뿐만 아니라 기존 제조 산업까지 전 산업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술 역시 기존 HMD 형태에서 벗어나 안경, 헬멧, 투명디스플레이, 공간 프로젝션 기술 등을 활용하여
자율주행자동차, 개인 정보 가이드 등 다양한 폼팩터(Form-factor)를 활용, 빠르게 적용, 확대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로 인한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고품질
인터랙션 실감 콘텐츠 기술과 초고속 통신 기술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역시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과거 콘텐츠 분야에서는
게임의 NPC(Non-Player Character) 또는 대전 게임의 PvC(Player vs Computer)에 기본적인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게임 플레이어의 행동에 대한 예측을 통한 게임 운영관리,
게임 중계, 게임 전략에 대한 게임 플레이어의 실력향상 등에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패션 등 다양한 콘텐츠 분야에도 시나리오 및 스토리 제작, 영상, 콘텐츠 제작의 효율화
및 품질 고도화 등 서비스와 기술개발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공연・전시 기술 분야 또한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비대면 중심의 실감서비스 기술과
감염병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오프라인 기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연・전시 분야의
경우 온라인 원격 관람에 필요한 비대면 공연 기술 및 플랫폼 개발을 위해 멀티채널 융합 공연,
인터랙티브 XR 기술, 대규모 관객 참여 및 인터랙션을 위한 라이브셰어(Live Share) 등 기술개발
∙506 ∙
이슈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기반 문화예술 콘텐츠 확장 기술, 실감 콘텐츠
서비스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문화향유 기술개발 등을 통해 현재의 코로나 19 상황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고 논의되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관련 핵심기술이
국내 콘텐츠산업 분야의 시대적 변화를 위한 첫 단계가 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서비스 전달을
위한 전달체계 및 제작, 소비 방식에도 다양한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를 위한 시도로써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의 한 축인 ‘디지털 뉴딜’을 실현하기
위해 콘텐츠산업의 비대면 기반 확충, 고부가가치 차세대 콘텐츠 개발, 세계시장 경쟁력 강화
등을 제시하고 있는데, ‘디지털 뉴딜’의 실현에 기반이 되는 대표 기술이 바로 문화기술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콘텐츠 모험투자 펀드를 815억 원에서 1,500억 원으로 확대하고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분야별 신기술 개발과 적용을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그러나 신기술 적용을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이 현실이다. 국내 문화기술 분야의 기술 격차는 유사 분야 평균 1위인 미국
(100점 기준) 대비 일본(89.1), 유럽(87.9)에 이어 한국(78.8), 중국(71.6)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간으로 환산하였을 때 미국과 약 1.7년, 일본과 0.9년, 유럽과도 0.8년의 격차를 보인다.86)
국가별 기술수준 격차가 크다는 것은 기술을 도입・활용하고자 할 때 그만큼 높은 해외 의존도를
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계적인 추세를 고려할 때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의 문화기술에 대한
정부의 더욱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2) 향후 전망
2020년 콘텐츠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이하고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으로 비대면 콘텐츠 및 서비스의 확산, 콘텐츠 장르 간 격차 심화, 집콕 라이프에
따른 콘텐츠 소비패턴 변화 등은 콘텐츠산업의 환경, 제작・창작, 소비 면에서 매우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신서비스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극복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공연・전시 분야의 당분간 산업적 위기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콘텐츠산업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문화기술 분야는 콘텐츠산업의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제작・유통・
서비스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현실과 가상의 융합이 가속하되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플랫폼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실감 체험 플랫폼은 시공간을 넘어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콘텐츠의
상호 호완성과 재활용성을 높여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실감/실측 디지털
86)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년 문화기술 수준조사, 2018.
∙507 ∙
트윈과 가상증강현실을 연계하여 활용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의 가상자산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위기 대응을 위한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문화기술의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문화유산 관리・복원
문화유산은 과거의 것 중 다음 세대로 계승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것이다. 이 가운데에는 무형의
것도 있고 유형의 것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건축문화유산은 오래전 선조들의 삶과 생활을 담고
있었던 그릇으로 현재에는 사라지고 볼 수 없는 것이 많다. 혹은 현재에는 남아있더라도 모습이
바뀌어 원래의 모습을 알기 어려운 것이 있다. 왜냐하면, 그 안에 담긴 삶과 생활이 바뀌고
또, 이를 담는 기술이 바뀌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문화유산의 과거 흔적을 찾는 것은 문화유산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모습을 되찾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은 건축문화유산에
대한 조사와 복원이라는 관점에서 그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건축문화유산 조사의 시작은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사람이 직접
줄자 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손으로 직접 펜을 이용하여 종이 위에 도면으로
그려야만 하였다. 또한, 도면에 모든 정보를 다 담을 수 없었기 때문에 카메라를 사용하여 여러
각도에서의 형상을 필름 혹은 사진에 담았다. 이렇게 제작된 도면과 필름 및 사진은 별도로
마련된 보관 장소의 캐비닛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 방법은 상당히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방법이었으나 1990년대 이후 컴퓨터의 보급 및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실측에는 3D 스캔을
통한 3차원적 실측과 CAD를 이용한 도면작성이 일반화되었으며, 사진 촬영에는 디지털카메라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도면과 사진은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되기 때문에 더 이상 별도의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다. 오히려 이제는 이러한 디지털 자료의 관리와 활용이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건축문화유산의 복원은 지금은 사라지고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과거에는
발굴조사 등 유적의 현황조사로부터 본래의 모습을 추정하는 다양한 고증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모형이나 조감도의 형태로 가시화하였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3D 모델링이
이루어지고 애니메이션 또는 가상현실(VR)기술 등을 활용하여 가상으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의 건물복원 없이 유적의 현장에서 직접적인
건축문화유산의 공간적 체험이 가능하게 되었다. 단, 아직까지는 태블릿 등 기기를 이용해야만
하는 제약은 있지만, 실내에서만 가능하던 이러한 체험이 실외에서도 가능하다는 점과 건축문화
유산의 복원안에 대해 실제 건물의 건립 없이도 입체적인 검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를
∙508 ∙
갖는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2012년부터 경주 황룡사지에 대한 복원정비 심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건물복원을 위한 기본안을 도출하고 이를 모형으로 제작하면서 3D 모델링
기술을 활용하여 부재 간의 조립상황 등을 미리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였으며, 이후 계속된 연구에서
황룡사 전체에 대한 3D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2018년에는 중문에 대한 기본 설계안을 바탕으로
실제 건물을 재현하기 전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 재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유적의 정확한 위치에 실감형 콘텐츠가 구현되도록 하는 위치정합을 위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디지털 기술은 건축문화유산의 조사와 복원에 있어서 보조적 수단에서 주된 수단으로
변화되었으며, 기존 기술의 활용에서 필요한 기술을 요구하고 제안하는 단계에까지 이르 다.
1) 연구개발 동향
디지털 복원은 현재에는 볼 수 없는 과거의 것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에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황룡사 복원정비연구에서는 2020년, 2018년에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복원된 황룡사 중문을 중심으로 복원의 영역을 확대하고 복원된 콘텐츠를
국민에게 공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원의 범위는 기존의 중층의 중문 이외에 중문에서
이어지는 남회랑을 함께 복원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고증의 또 다른 복원안이었던 단층의 중문과
그에 따른 남회랑을 추가하였다. 또한, 콘텐츠의 사실적 표현과 위치정합성을 향상시키고 황룡사에
대한 다양한 교육적 요소들을 콘텐츠에 부가하여 현장에서 콘텐츠를 체험하는 국민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운영에서는 현장에서의 안전 등을 고려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 사실적 표현
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복원에서 중요한 것은 실제 건축물과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실재감이다.
특히 유적 현장에서 구현하는 경우 이 실재감이 없다면 오히려 체험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축물과 주변 환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실시간 그림자 효과를 적용하면서
풍부한 색감과 시각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베이크드 라이트(baked light) 기술87)을 함께 적용
하였다. 또한 건축물을 이루는 각 부재의 재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87) 장면(scene)에 조명을 라이트(light)로 세팅하고 광원의 정보를 텍스처로 베이크하는 라이팅 기법 (국립문화재연구소,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 증형현실 콘텐츠 개발 연구』, 2020, p.46.)
∙509 ∙
부재특성에 맞추어 적용하고 이에 물리기반 쉐이더(physical based shader) 기술88)을 적용하여
사실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중층의 중문에서는 8m 높이의 상층내부도 구현되어
있으나 실제 높이에서 체험하는 것은 현장 상황상 불가능하므로 해당 높이에서의 계절별 360°
촬영한 이미지를 함께 증강되도록 하여 실재감과 현장감을 높였다.
이렇게 증가된 데이터의 용량은 매우 크기 때문에 모바일기기에서의 실행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원활한 실행을 위한 데이터 최적화가 필요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LOD(level of detail)
기술89)을 적용하였다.
나) 위치정합
위치정합은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의 디지털복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다. 2020년
디지털복원의 목적이 지금은 사라지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황룡사 유적의 현장에서 가상으로
증강된 콘텐츠를 통해 국민들이 직접 실제 건물이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었기 때문에 유적 위에 정확하게 콘텐츠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이러한 위치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한 기술은 마커 인식 방식90)과 카메라 위치추적 방식91)
으로 이를 혼용하였다. 특히 약 280m에 이르는 복원건물의 규모로 인해 체험자가 이동함에도
구현된 콘텐츠의 위치변화가 없도록 운용 장비의 휴대성 및 비용 등을 고려한 후 다수의 마커를
설치하였다.
다) 교육적 콘텐츠의 추가
증강현실로 복원된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에는 체험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별도 가이드의 안내
없이도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교육적 콘텐츠들을 추가하였다. 먼저, 복원된 황룡사
중문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들이 구축되어 가는 과정을 시공순서에 따라 보여줄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여 추가하였다. 또한, 각각 부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체험 도중
체험자의 위치 및 선택에 의해 부재에 대한 해설을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확대도
가능하도록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에 더하여 경주시의 마스코트인 금이와 관이가 음성과 텍스트로
안내하는 도슨트 시스템을 적용하여 가이드 없이 해설과 함께 황룡사지 현장에서의 체험이 가능하도록
88) 표면 재질에 따라 빛의 반사가 물리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시뮬레이션해서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기법
(국립문화재연구소,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 증형현실 콘텐츠 개발 연구』, 2020, p.44. 재인용)
89) 사용자 시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지형, 영상, 3차원 객체의 정밀도와 해상도를 단계적으로 표현하는 기술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내용요약)
90) 현장에 설치된 위치값을 갖는 이미지마커를 인식하여 체험장비의 최초위치를 설정하는 방식
91) 체험 장비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유적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체험 장비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
∙510 ∙
하였다. 이와 함께 보물찾기 게임을 도입하였다. 이는 황룡사지에서 발굴된 중요 유물을 선별하여
체험자가 체험 도중 특정 지역에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고자 한 것이다. 이 밖에
사진촬영 및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증강현실 체험 시 체험자와 복원건물이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로 체험자의 위치를 파악한 후
이를 구현되는 화면과 조합하도록 하여 실제 건물에서 사진촬영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만들었다.
또한 체험자가 복원된 황룡사의 중문과 남회랑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본인의 이메일로 직접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체험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하였다.
2) 향후 전망
건축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복원은 실제 건물을 건립하지 않고서도 건물의 공간감과 현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문화재 자체에 직접적으로 행위를 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적 훼손의 문제에서도 자유롭다. 때문에 세계적으로 건축문화유산의 실물복원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커지는 상황에서 디지털 복원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현재 황룡사에 대한 디지털 복원이 이루어진 것은 중문과 남회랑 뿐으로 향후 목탑, 금당,
강당 등 중요 건물들에 대한 디지털 복원도 예정되어 있다. 최종적으로는 황룡사 전체를 복원하여
누구라도 유적 현장에서 신라 시대의 황룡사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문화재청에서는
최근 ‘미래유산 미래전략’을 수립하고 7대 추진과제를 선정하였다. 이 가운데 5번째와 6번째
과제에서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디지털기술을 융합한 산업 분야의 확대와 실감형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 및 활용 등을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황룡사 중문 및 남회랑과 같은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 복원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러한 문화유산에 대한 디지털복원과 관련된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혼합현실(MR) 기술이 발전함으로써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있으며, 홀로그램 등의 기술도 디지털 복원된 문화유산을 3차원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HMD, 증강현실 글라스/렌즈 등 체험
장비의 발전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모바일 장비가 갖는 화면상의 제약과 하드웨어의 한계 등을
뛰어넘어 보다 몰입감 있는 체험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머지않아 별도의 장비
없이 디지털 복원된 문화유산을 체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며, SF영화에서처럼 한 장소에서
서로 다른 시공간을 체험하는 것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511 ∙
[그림 3-104] 황룡사 중문 및 남회랑 증강현실(AR) 이미지
[그림 3-105] 황룡사 중문 및 남회랑 증강현실 콘텐츠 구성
∙512 ∙
제8절 산업기술
그간 제조업 경쟁력 강화, 소재・부품・장비 분야 위기 극복 등을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국가 R&D 예산이 투입되어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의 R&D 예산은 약 4.17조 원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코로나 19 위기 지원을 위해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수립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운영 등 산업전략을 통한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전략에 예산이 투입되었다.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의 R&D 예산은 4.95조 원(전년 대비 7,800억 원, 18.7% 증가)으로 증가하였으며,
소재・부품・장비 강국도약(1조 5,551억 원), Big3 신산업 활성화(9,931억 원), 디지털 뉴딜
(2,318억 원), 그린뉴딜 및 탄소중립(8,534억 원), 인력양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4,403억 원)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한편, 2018년 기준으로 산업통상자원부 R&D는 기업이 전체사업의 5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산업 발전의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출연(연) 15%, 대학 8.6%,
기타 19%).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코로나 19 여파에 따른 비대면 생활방식 확대와 더불어 양자컴퓨팅, 인공지능(AI) 반도체,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블록체인 기술 등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기술들이 기존 산업과 융합되면서 신산업・신기술 출현과 산업생태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정보화, 자동화 중심의 기존 산업은 지능화, 자율화되고 있으며, 제조업과 제품 중심의 산업은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 또는 서비스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기존의 기업, 제품 중심의 경쟁구도는
시스템・생태계 간 경쟁으로 변화 중이며, 플랫폼을 선점한 글로벌 기업들이 개방과 공유의 전략을
통하여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2020년에는 이러한 급격한 경제・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산업기술혁신계획
시행계획’과 ‘산업R&D 혁신방안’을 수립하였다. R&D의 근본적인 혁신을 위해 ‘산업 R&D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시장・성과 중심의 R&D 시스템, 개방형 혁신 강화 등의 과감한
산업기술 R&D 제도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체계적인 R&D 기획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하는
등 다수의 제도 개선을 추진하였다.
1) 2020년도 정책방향
2020년에는 산업기술 개발 체계, 연구성과 시장진출 시스템 등의 정책방향을 담은 「7차 산업기술
혁신계획(2019.3.)」의 2020년도 시행계획을 수립하였고, 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에 담긴 ‘4대
∙513 ∙
영역 10대 추진전략’에 대한 성과점검과 2020년 세부 추진계획을 제시하였다. 시대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추진계획’과 ‘산업R&D 혁신방안’도 수립하였다.
<표 3-67> 2020년 산업기술 R&D 관련 주요 전략
< 7차 산업기술혁신 계획 추진전략 >
1.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전략성 강화 3. 국가혁신체계를 고도화하는 산업기술 기반 구축
시장 변화에 대응한 R&D 투자전략 수립
데이터 기반의 분야별 투자 규모 및 가이드라인 선정
데이터플랫폼・표준화・실증 위주의 신산업 창출 환경 조성
혁신을 선도할 창의적 기술인력 양성
2. 산업혁신 선도(leading innovation) 기술개발 체계 4. R&D 성과의 신속 시장진출 지원시스템 구축
도전・축적 중심의 기술개발 전략 도입
Plus R&D를 통한 기술개발 시간 단축・성과 극대화
융합 기획 및 목표 중심 성과관리체계 추진
기업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체계 구축
권역별 특화된 글로벌 기술협력 지원
신기술의 시장출시 촉진을 위한 규제샌드박스 추진
< 산업R&D 혁신방안 추진전략 >
1. 연구의 자율과 책임성 강화 2. 시장・성과 중심의 R&D 시스템
◈ R&D 샌드박스 도입
◈ 도전성 강화
◈ 민간부담 완화
◈ 대규모 통합형 R&D 추진
◈ 기술수요자・성과 중심의 R&D
◈ 데이터 기반 R&D 전문성 제고
◈ 서비스 R&D 촉진
◈ 민간투자 방식의 R&D 지원(기술혁신 펀드 조성)
3. 개방형 혁신 강화
◈ 국제공동 R&D의 전략성 제고
◈ 협력 네트워크 강화
◈ 국제협력 확대
< 포스트 코로나 5대 변화 및 8대 과제 >
구분
BC
(Before Corona)
AC
(After Corona)
대응과제
보건환경
간헐적 감염병 감염병 빈발
❶ K-방역・K-바이오 글로벌 상품화
❷ 산업현장 대응력 강화
글로벌 조달 로컬 조달 ❸ GVC 재편 → 청정 생산기지 구축
경제환경
대면
석유수요 증가
非대면
석유수요 감소
❹ 비대면산업 육성
❺ 산업구조의 친환경 전환
기업경영 비용절감, 효율 재고확보, 회복력 ❻ 기업활력 촉진+사업재편 활성화
사회가치 개인・효율 연대・협력 ❼ 기업간 연대 및 협력
교역환경
자유무역
신자유주의
보호무역 ❽ 글로벌 협력 리더십
∙514 ∙
가) 시장 변화에 대응한 R&D 투자전략 수립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투자전략 수립을 위해 다각적 노력을 추진하였다.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 R&D 예산은 총 4조 1,718억 원으로, 기술개발 사업이 2.7조 원, 기반구축
사업이 1.4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수립하였다. 아울러 14개 프로그램, 33개 단위사업, 196개
세부사업을 통해 총 4,326개 과제에 대한 지원이 진행 중이다. 특히, 시장변화에 대응한 R&D
투자를 위해 소부장 경쟁력강화 약 1.3조 원, 미래차 등 3대 미래산업육성 약 1.5조 원 투입을
계획하는 등 국내외 환경 변화, 정책 및 시장 변화 등을 반영하여 전략투자분야 및 핵심기술테마
추가・조정 및 예산반영을 추진하였다. 또한 정부 및 민간 R&D 투자현황 분석, 대외환경 변화
및 제도・규제개선 로드맵의 세부 실행방안, 차기 R&D 투자전략(2022∼2023)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및 분석을 반영한 R&D투자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나) 제도개선 체계 구축
산업통상자원부는 R&D 지원체계 고도화・선진화를 위해 점검 및 개선방안 도출 등을 통해
제도개선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Plus R&D 등을 통한 신속한 기술개발 체계 구축을 위해 R&D
신규과제 선정 시, 국내・외 旣 개발된 기술을 활용하여 최단기간 기술개발을 완료할 수 있는
연구수행자를 우선 고려하는 등 신속한 기술개발을 위해 획기적으로 R&D 제도를 개선하였다.
또한 연구자 행정부담 완화를 위한 사업컨설팅 제도를 통해 연구현장과의 소통・수행역량 강화를 위한
찾아가는 R&D 컨설팅 및 콜센터 상담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R&D 과제와 표준연계
실효성 강화 및 표준특허 창출 지원을 위한 R&D 표준연계 관련규정 개선 및 코디네이터제도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산업현장 R&D 인력의 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인력 활용방안
검토 및 과제종료 후 인력양성 우수기업 우대 등의 제도개선을 추진하였다. 이밖에도 산업기술혁신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과 관련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다) 융합 R&D 기획 체계 구축
기존 R&D 기획 시스템은 개별 PD별 칸막이 기획으로 관련 기술 간 연계・융합이 제한되고,
PD 개인역량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존 R&D 기획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계적 기획시스템을 구축하고자 개별 PD 중심 기획을 전략기획단 중심으로 전환하여,
기획과제 간 연계를 강화하고 중복 방지 및 통합적 과제기획 유도를 추진하였다. 전략기획단이
전체 기획방향을 담은 ‘기술로드맵’을 작성하고 워크샵을 통해 대상 품목pool을 확정하는 한편,
과제 간 연계성과 중복성 심층 검증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데이터 기반 연구관리기획・
∙515 ∙
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기업수요, 연구자, 향후 산업비전 등 각종 정보를 담은 ‘지식정보
플랫폼’을 구축하고, R&D 기획을 위해 플랫폼상의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형태의 R&D 기획
체계 개선을 추진하였다.
[그림 3-106] 신규 과제기획 절차
라) 도전적 R&D 촉진 강화
정부 R&D 투자는 고위험을 분담하는 역할이 중요하나, 그간 안정적 기술개발 위주로 지원하여
성공률만 높은 상황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기술R&D의 도전성
강화를 위한 알키미스트 확대, 챌린지 트랙 신설, 평가체계 개편 3가지 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산업적 파급력이 높은 도전적・혁신적 기술개발을 위해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확대를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경쟁형 개념연구를 도입하고, 총 3단계(개념연구-선행연구-본연구)를 거쳐
우수 연구기관을 선정하여 R&D를 수행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둘째, 산업기술 R&D 사업
전반의 도전성을 높이기 위해 R&D 챌린지 트랙을 신설하였다. 시범적으로 5개 업종사업(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기계로봇, 지식서비스 분야)에 대해 110억 원 규모로 시범 추진하고, 단계적으로
챌린지 과제를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다(2021년 10%→2023년 20%). 셋째, 목표달성 여부를
기준으로 한 ‘성공・실패’ 관점의 평가에서 탈피하여 ‘R&D 완료’ 관점의 체계로 개편하였다. R&D 수행에
대한 성공・실패 구분은 없어지며, 과제종료 후 성과 활용조사 단계(종료 후 3년)에서 ‘사업화 성공’
여부만 평가하고 혁신적 연구성과를 유도하기 위해 ‘우수’ 등급을 확대(10∼15%)하는 한편, R&D샌드
박스 부여, 추가 실증 R&D 지원 등과 같은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림 3-107] 평가체계 개편
∙516 ∙
마) 연구자 편의와 몰입을 위한 관리체계 개선
그간의 산업기술 R&D 관리 체계는 경직된 행정 시스템과 타 부처와 비교하여 민간부담금과
현금 부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연구 효율성을 높이고 파급력이 큰 연구 성과를 창출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연구자 편의와 몰입을 위한 관리체계 개선을 도모하고
산업기술R&D의 연구 자율성과 책임성 강화를 추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우수
R&D 기관에 대해 자율적 연구추진 보장을 위해 수많은 R&D 규제를 시범적으로 일괄 면제하는
R&D 샌드박스 트랙을 신설하였다. 둘째, 수요(대기업)-공급(중소・중견) 밸류체인을 연계하고,
생태계 중심의 R&D 추진을 위해 R&D 민간부담비율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업별심의위원회를
통해 민간부담금 및 현금부담을 조정할 수 있도록 근거를 새롭게 마련하였다.
바) 산업핵심기술개발지원 사업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은 ‘국가 성장전략에 기반을 둔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집중 지원을 통해 미래 신산업을 육성하고, 주력 기간산업의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여 미래
신성장 동력의 창출’을 목표로 한 산업통상자원부의 대표적인 중장기 기술개발사업이다.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산업기술 분야는 ① 시스템산업 ② 창의산업 ③ 소재・부품산업으로
구분된다. 시스템산업은 로봇, 기계, 스마트공장, 자동차, 조선해양, AI바이오로봇의료 및 전자시스템
분야를 포괄하며 창의산업은 바이오, 나노융합, 지식서비스, 엔지니어링 분야를 포함한다. 또한
소재・부품 분야는 산업소재와 전자부품 분야의 기술개발을 포함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일몰제도로 인해 계속사업으로 추진되어 온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예산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도에는 전년 대비 38%가 감소한 3,589억 원을 투입하였다.
시스템산업(2,034억 원, 전년 대비 30% 감소), 창의산업(1,288억 원, 전년 대비 10% 감소),
소재부품산업(267억 원, 전년 대비 82% 감소) 등도 투자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립화와 BIG3(미래자동차, 바이오, 반도체)의 지원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사업의 신설 및
추진을 통해 미래 신산업 육성과 주력 기간산업의 산업 경쟁력 제고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517 ∙
<표 3-68> 2020년 산업핵심기술사업
(단위:억 원)
또한, 연구자 편의성을 고려해 2021년도부터 산업부의 대표적인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일반 세부사업(R&D)을 통폐합하는 등 사업구조를 단순화하여 분야별 산업기술개발사업
으로 추진하고 있다.
<표 3-69> 2020년 산업핵심기술사업의 개편
분야 세부사업명
2019년
예산
2020년 예산
금액 증감액 증감률(%)
시스템
산업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 822 575 △247 △30%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 476 1,014 538 113%
스마트공장제조핵심기술개발 116 0 △116 순감
스마트공장협업패키지 62 0 △62 순감
자동차산업핵심기술개발 788 176 △612 △78%
조선해양산업핵심기술개발 293 269 △24 △8%
인공지능바이오로봇의료융합 28 0 △28 순감
전자시스템산업핵심기술개발 321 0 △321 순감
소계 2,906 2,034 △872 △30%
창의
산업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 593 784 191 32%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 231 77 △154 △67%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 421 427 6 1.4%
엔지니어링핵심기술개발 192 0 △192 순감
소계 1,437 1,288 △149 △10%
소재부품
산업
산업소재핵심기술개발 1,238 196 △1042 △84%
전자부품산업핵심기술개발 213 71 △142 △67%
소계 1,451 267 △1,184 △82%
합계 5,795 3,589 △2,205 △38%
개편 前 개편 後
자동차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자동차산업기술개발
시장자립형3세대xEV산업육성사업(예타)
산업위기지역 미래자동차 종합안전시험장
산업위기지역 친환경 고기능 상용차
자동차부품기업재도약
상용차산업혁신성장
전기자동차개방형플랫폼
가변플랫폼기반소형전기버스/트럭및운영시스템
AI기반자율주행컴퓨팅모듈개발및서비스실증
초소형전기차산업및서비스육성실증
5G기반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
새만금주행테스트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로봇산업기술개발
스마트공장용 중소기업 보급형 로봇개발
∙518 ∙
2) 주요 성과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로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을 받아 수행한 과제 중 기계・소재
분야에서는 ‘반도체 공정에서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는 나노계측 기술 개발’ 과제가 최우수과제로
선정되었고, 생명・해양 분야에서는 ‘고지혈/고혈압 치료용 복합제 개발’ 과제가 우수과제로 선정
되었다. 에너지・환경 분야에서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배출되는 차세대 가스발전
기술’ 과제가 우수과제로 선정되었고, 정보・전자 분야에서는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금융
솔루션 뱅크샐러드 App 개발’ 과제가 우수과제로 선정되는 등 총 4개 분야 8개 과제가 선정되었다.
향후에도 산업기술개발로 지원한 성과물은 신시장・신산업 육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기계
기계공학은 4대 역학(고체・동・유체・열)을 기반으로 기계 및 관련 장치 설비의 설계・제작・운전
등에 관한 분야이고, 기계산업92)은 주력 제조업에 양산용 기계와 장비 및 관련 부품을 공급하는
핵심기반으로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KSIC) 내 ‘(29)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을 의미한다.
92) 광의의 기계산업은 금속제품(C25), 일반기계(C29), 전기기계(C28), 정밀기계(C27), 수송기계(C30~31) 등 5개
산업을 통칭하기도 한다.
개편 前 개편 後
⋅⋅⋅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기계산업기술개발제조장비 시스템 스마트 제어기개발
⋅⋅⋅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바이오산업기술개발PHR기반개인맞춤형건강관리시스템개발
⋅⋅⋅
전자부품산업핵심기술개발
전자부품산업기술개발신산업 창출형 파워반도체 상용화 기술개발
⋅⋅⋅
조선해양산업핵심기술개발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
지식서비스산업기술개발소비재산업고도화기술개발
⋅⋅⋅
39개 세부사업 6개
∙519 ∙
[그림 3-108] 표준산업분류상 기계산업 범위
이와 같이 기계산업은 수요산업에 따라 많은 산업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일반목적용 기계(내연
기관・터빈, 펌프・압축기, 밸브, 베어링, 냉동공조 등), 특정 산업에만 전용되는 특수목적용 기계
(농기계, 공작기계, 건설기계, 섬유기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산업용 로봇 등)로 분류할
수 있다. 기계 분야는 낮은 기술 기회와 점진적 혁신이 일어나며 혁신의 가시성이 낮다. 또한,
높은 혁신 결과의 전유성, 높은 기술 진보 누적성과 암묵적 지식기반 등의 특성으로 경제적
가치 실현 속도가 느린 편이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글로벌 기계산업 규모는 2019년 3,401억 달러에서 2020년 3,040억 달러로 5.2% 감소하였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주요국이 2020년 상반기 락다운 조치를 시행하면서 기업의 투자심리가
위축하였고, 제품 수요도 동시에 하락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2020년 하반기 세계 기계산업은
회복세가 뚜렷하며, 코로나 19가 가장 먼저 발발한 중국에서 가장 먼저 최저점 도달(4월경)
후 반등하였으며, 미국, 유럽은 중국과 시차를 두고 큰 폭으로 하락 후 7월까지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며 반등에 성공하였다.
∙520 ∙
주요국 동향을 살펴보면, 미국은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對中 제재를 지속해왔으며, 코로나
19로 다소 침체되었던 반도체 장비 투자액은 2021년 사상 최고 수준으로 전망된다. 기존 증착장비
선두주자인 미국의 AMAT은 최근 식각・검사・후공정 장비까지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으며,
극자외선(EUV) 공정으로도 한계가 있던 패터닝 작업을 일정 패턴을 가지는 반도체 회로의 양
옆쪽을 깎는 ‘측면 식각(lateral etch)’ 기술로 해결했다. 소자분리막(STI, 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의 난이도가 높은데, 전 방향으로 회로를 깎던 기존의 식각장비를 개선하여,
한 방향으로만 회로를 깎아낼 수 있는 시스템으로 비용은 낮추고 수율은 기존 수준을 유지하였다.
중국은 코로나 19 이후 가장 빠르게 회복했으며, 위축된 경제 활성화를 위해 철도, 건설기계
등 인프라 중심의 경기 부양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 건설기계 분야의 Zoomlion은 세계 최초로
기계 시각, 인공지능, 5G 네트워크 기술을 통합한 전기식 트럭크레인을 개발하였다. 조작 운전석
대신 5G 원격 제어센터에서 조작이 가능하며, 버튼 하나로 스마트 호이스팅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일본은 공작기계, 자동차, 건설농업광산기계 외의 주요 기계산업 분야는 국제경쟁력이
다소 저하되는 상황이며, 산업용 로봇, 공작기계 수주가 코로나 19 이후 6월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미쓰비시는 인공지능 기능 ’Maisart’를 탑재한 형조 방전가공기로 플라스틱 금형가공을
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레이저발진기의 비가공 시 소비전력을 최대 99%까지 절감
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며 에너지 효율과 온실가스 저감까지 고려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Nihon Spindle Manufacturing은 이종 금속의 결합을 위한 세계 최초의 회전성형기를 개발하였다.
나) 국내동향
우리나라의 2020년 기계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생산과 수출은 유사한 수준(124조 원, 476억
달러), 수입은 111% 수준(373억 달러)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기계산업 실적이 약
5% 감소한 것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기계산업 실적은 상대적으로 선방한 것으로 분석된다.
설비투자도 코로나 19 발발 전까지 전 산업 대비 일반기계류의 투자 증가율이 저조하였으나,
발발 이후 일반기계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전 산업 설비투자율을 넘어서면서 기계산업의 회복세가
뚜렷하다. 재고-출하 순환도에서도 1~3월에 경기 회복과 확장을 겪은 후, 코로나 19에 따라
3~5월에 출하증가율과 재고증가율이 동시에 감소하며 경기 수축기에 있었으나, 6월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재고지수보다 출하지수가 큰 폭으로 변화하는 회복 사이클에 진입하였다.
세부 산업별로 보면, 공작기계는 11월까지 공작기계 수주 누계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2%
감소하였고, 코로나 19의 영향권에 있어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수주가 크게 하락하였으나 4사분기에
∙521 ∙
회복 추이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두산공작기계는 가공정밀도를 높인 10인치급 CNC 터닝센터를
출시하였으며, 한국기계연구원과 공동으로 최고 정밀도의 머시닝센터인 지그센터를 개발했다.
에이치케이는 올해 X・Y축에 리니어모터 적용, Z축 가속도 개선을 통해 이전 레이저 가공기
모델 대비 가속도와 속도를 20% 이상 향상시켰으며, (주)SPM은 선도국 수준의 초정밀 μ-홀
가공용 방전기를 정부 R&D로 실증하였다.
건설기계 산업은 2020년 연간 건설기계 수출 누계액은 전년 동기(4,457백만 달러) 대비 14.3%
감소하며, 전년(-17.2%, YoY)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에 있다. 현대건설기계와 현대모비스는
국내 최초로 최대 5톤 화물을 들어 올릴 수 있는 중대형 수소지게차를 개발했으며,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이 적용됐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산업에서 2020년 연간 반도체제조장비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9.2%, 수입은 49.0% 증가하였으며,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수입은
139.3% 증가하였다. 원익IPS는 최근까지 일본 TEL사가 독점하고 있던 Metal CVD장비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10나노 공정의 DRAM High-k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장비 시장에 진입하여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AMAT이 독점하던 10세대 이상 TFT 증착장비는 주성엔지니어링이 10.5세대
OLED 디스플레이 박막트랜지스터 TFT 증착용 CVD 장비를 개발하여 LG 디스플레이에 납품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플랜트 산업은 2020년 10월까지 수주 누계액은 전년 동기간 대비 27.5% 증가하였고, 수주
프로젝트 수는 67.6% 증가하며 2013년 이후 감소하던 수주량 반등에 성공하였다. 성일엔케어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하루 15톤 규모의 LNG를 생산할 수 있는 이동형 플랜트를 개발하여,
소규모 가스전이 많은 인도네시아의 국영기업 바라타와 제작 및 납품을 위한 협력을 체결하였다.
2) 향후 전망
‘글로벌 밸류체인(GVC, Global Value Chain)의 재편’과 ‘소재・부품・장비’ 이슈는 미・중
무역갈등(2018년~), 일본 수출규제(2019년∼), 코로나 19 확산(2020년∼)이 잇따르며 공급망
리스크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주목받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리쇼어링의 다각화가
추진되고, 선진국의 보호무역이 부활하면서 지역 밸류체인(RVC, Regional Value Chain)의
구축이 중요해졌다. 또한, 이번 팬더믹을 계기로 자국 내 제조산업의 필요성을 재차 확인하였으며,
제조업의 기본인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의 필요성은 심화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작년
9월 UN 기후정상회의를 통해 ‘탄소중립’이 글로벌 의제로 떠올랐다. 파리협정 가입국의 장기저탄소
발전전략(LEDS, 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 제출
∙522 ∙
기한이 다가오고,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이 10대 유망기술로 녹색수소,
전기항공, 태양열 기반 화학, 저탄소 시멘트 등 탄소중립 관련 기술을 발표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 정부는 2015년에 발표한 2030년 온실가스에 대한 목표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저감’을 ‘2017년 총배출량 대비 24.4% 감축’으로 강도 높게 개선하며
탄소저감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기계 분야도 「한국판 뉴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등
관련 정부 정책에 대응하며 신재생에너지(풍력, 그린수소, CCUS 등), 그린모빌리티(수소・전기차,
연료전지, 친환경 선박 등), 에너지 효율 분야(건물에너지 저감, 저전력 반도체 등)에서 대형
연구성과 및 사업화를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학공학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에 따라 화학공학 분야는 ‘화학공정’, ‘나노화학공정기술’, ‘고분자
공정기술’, ‘생물화학공정기술’, ‘정밀화학’, ‘화학제품’, ‘섬유제조’, ‘염색가공’, ‘섬유제품’, ‘화학
공정안전기술’ 등 약 10개의 소분야로 구분된다. ‘화학공정’은 화학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는
공정기술, ‘나노화학공정’은 원자・분자 또는 나노 크기의 클러스터를 가공한 나노소재를 활용한
공정, ‘고분자공정’은 유기성 고분자 제조기술, ‘생물화학공정’은 미생물・동식물세포・단백질・
DNA 등을 이용한 공정기술, ‘정밀화학’은 기존의 석유화학산업과 비교하여 고부가의 특수 기능성
화학제품 생산기술, ‘화학제품’은 기타 제지・피혁・시멘트 등 일반화학제품, ‘섬유제조’, ‘염색가공’,
‘섬유제품’은 천연 또는 합성고분자를 이용한 섬유제조・염색가공 및 기타 부직포・편성물・봉제
등의 기술, ‘화학공정안전’은 화학공장의 사고 위험예측・조사・안전성 향상 기술을 의미한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화학공정
국내에서는 화학산업의 필수공정인 ‘수소화 반응’을 일반적인 고온이 아닌, 상온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금속유기골격체(MOF) 촉매’를 개발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였다.
또한 기존 액화천연가스(LNG)에서 수소를 추출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 아닌, 석유화학
공정의 부산물인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40만 메가와트급(MWh) 연료전지 발전소가 준공돼 석유
화학 부산물 응용기술 고도화 및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였다. 국외에서는 미국의 국립연구소에서
차세대(4세대) 원자로의 연료로서 주목받고 있는 ‘악티늄족의 질화물(Actinide nitride)’ 제조공정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고순도의 악티늄족 질화물은 만들기가 매우 어려운데, 이를
대신하여 우선적으로 방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란타넘족(Lanthanide) 물질이 주로 실험에
∙523 ∙
이용된다. 해당 연구팀은 란타넘족-테트라졸-아민 화합물을 연소하는 공정을 개발하여 고순도의
‘란타넘족의 질화물(Lanthanide nitride)’을 생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나) 나노화학공정기술
반도체 생산을 위한 노광(Photolithography) 공정에서 차세대 광원으로 평가받는 극자외선
(EUV)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양산체제('7나노'로 불림) 구축에 있어, 국내의 삼성전자가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0년 8월 IBM의 서버용 중앙처리장치를 EUV 기반 7나노
공정을 통해 위탁생산하기로 발표하였으며, 또한 업계에서는 최초로 7나노 EUV 시스템반도체에
3차원 적층기술인 ‘X-Cube (eXtended-Cube)’를 적용함으로써 웨이퍼 상태의 여러 개의 칩을
쌓아올려 반도체를 만드는 공정을 확보하였다. 해외에서는 비메모리 생산공정인 ‘파운드리’ 세계
1위 업체인 대만 TSMC와 인텔 등도 EUV 공정을 적용한 반도체 생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다) 고분자공정기술
국내에서는 나노패턴 및 이온성 나노고분자 박막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안구 내 수정체 이상을
치료하는 백내장 수술 후 인공수정체에서 자주 발생하는 세균감염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성 인공수정체 개발에 성공하였다. 또한 생물학, 의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생체적합성으로 인해 ‘장기모사칩(Organ-on-a-chip)’으로 널리 활용되는 투명 고분자 물질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에 대해 레이저를 이용한 새로운 제조기술이 개발되었다. 해당 기술은
기존의 고분자 수지를 부어 몰딩하는 방식을 대체하여 틀이 필요 없는 레이저 직접가공법을
개발하였는데, 연속파 레이저를 이용해 기존보다 빠르고 고품질의 PDMS 가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국외에서는 미국의 한 대학에서 고분자 생산공정의 기존 자유라디칼중합법을 대체하여
자외선 광이 아닌 가시광(노란색, 녹색)의 저에너지 광자를 이용하는 공정기술을 개발하였다.
해당 기술은 단량체 용액을 자외선 광에 조사하여 중합반응을 하던 방식이 아닌, 흥분상태
(Excited-state)의 저에너지 광자를 결합하는 광 활성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였다.
라) 생물화학공정기술
국내에서는 모 대학에서 기후변화 대응 분야인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 분야에서
핵심기술인 시스템 대사공학을 이용하여 기존 화석연료 대비 친환경적이고 효율이 좋은 화학원료
생산기술이 개발되었다. 해당 기술은 소(한우)의 특수 소화기관인 되새김위(반추위)에서 분리해낸
∙524 ∙
미생물인 ‘맨하이미아(Mannheimia)’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로서, 미생물이 포도당 및
이산화탄소를 소모하여 숙신산(Succinic acid)을 만들도록 하는 원리다. 이를 이용하면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데 필수적인 물질인 숙신산 균주를 기존보다 7배 생산할 수 있으며(21그램), 미생물의
이산화탄소 소모를 이용함으로써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 정밀화학
2020년은 코로나 19 감염병의 전세계적인 대유행으로 인해, 정밀화학 분야에서는 주로
감염병 치료를 위한 고분자 및 저분자 의약품 개발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진 한해였다. 국내
제약업체들은 코로나에 대응하는 의약품으로, 바이오 기반 접근법인 항체의약품 또는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임상시험에 돌입하고 있고, 약물재창출 접근법을 통한 치료제, 그리고 혈장치료제, 면역
조절 치료제 개발 등을 진행 중이다. 백신 분야에서는 바이오의약품으로서 DNA 백신이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굴지의 전통적 제약기업들과 새로운 바이오벤처들이 코로나
대응 의약품 개발에 뛰어들어 성과를 보였다. 대체적으로 바이오의약품으로서 mRNA 방식의
백신 및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으며, 임상시험의 마지막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라) 화학제품
올해는 감염병의 대유행으로 인해 비대면 소비가 확대되면서 그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일회용 용기를 대체하기 위한 제지 연구의 시급성이 강조되었다. 구체적인 기술개발 성과가
있는 것은 아니나,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주관하여 펄프・종이산업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해당 세미나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관련 제지기술로서 ‘고차단성 배리어층
기반 연포장재’ 및 ‘나노셀룰로오스 대량생산 기술’ 등의 연구개발 사례가 공유되었다. 해외에서는
유럽 오스트리아의 한 대학에서 기존의 천연피혁 및 인조피혁을 대체하는 버섯(균사체) 기반의
생분해성 피혁제조 원천기술이 개발되었다. 연구팀은 농업 및 임업분야에서 쓰고 남은 부산물로
부터 균사체를 만들어내는데, 이 균사체는 키틴(Chitin) 성분을 함유한 긴 튜브 형태로서, 이는
셀룰로오스와 매우 유사한 구조이다. 해당 기술은 기존 피혁기술 대비 친환경성, 비용효율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마) 섬유제조/염색가공/섬유제품
국내의 한 대학이 기존 그래핀 섬유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섬유화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종래에는 섬유로써 활용하기 위해 그래핀을 길쭉한 노즐을 통해 국수가락을 뽑듯 뽑아내지만
∙525 ∙
이럴 경우 그래핀의 구조가 변형됨으로써 성능이 저하되었다. 그러나 해당 연구진은 그래핀
섬유를 ‘칼국수’ 면과 같이 납작한 단면으로 뽑아냄으로써 구조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기존 원형
단면 구조보다 전도성이 1.5배, 단단함이 3.2배 높아진 결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해외
주요 기술개발 사례로는 미국의 한 방적기업이 합성섬유를 천연섬유와 유사한 속도로 빠르게
분해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의료용・실험실용 가운 및 의료용 커튼 등으로
쓰일 수 있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개발한 것이 있다.
바) 화학공정안전기술
올해는 화학분야 대기업의 국내외 사업장에서 연이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화학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기업들을 중심으로 안전경영을 위한 대응책이 수립된 한 해였다.
국내 모 기업은 내년까지 중대 환경안전 사고 제로(0)화를 목표로 전체 사업장의 고위험 공정에
대한 긴급진단을 실시하였다. 특히 여러 업체들이 ICT 기술을 활용해 공정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기술을 활용한 공정 감시 지능형 CCTV,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고징후를 사전에 예측하는 기술개발도 기획되었다. 한편 해외에서는 미국에서 2020년
여름 허리케인 하비(Harvey)로 인해 홍수 피해를 입은 가운데, 일부 화학공정 설비(유기과산화수소수
적재 트레일러)가 분해되면서 화재가 발생해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로 인해
미국 화학안전위원회(CSB)는 극단적 기후에 대한 화학산업계의 대비태세에 관한 지침을 수립
전파하였다.
2) 향후 전망
학문적으로는 수소화 반응을 위한 ‘금속유기골격체(MOF) 촉매’ 연구를 통해 촉매구조 상
기존의 6각링 전이상태가 아닌 8각링 전이상태의 새로운 촉매 반응 경로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저에너지의 가시광을 활용한 고분자 생성기술은 혁신적인 고분자 제조뿐만
아니라, 저에너지의 광자가 고에너지의 흥분상태(Excited states)로 변화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적으로는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바이오 의약품으로서 항체치료제 및 항바이러스제, mRNA 방식의 백신 및 DNA
백신 등의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전세계 시민들에게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사회적인
문제해결의 관점에서는 국내외적으로 화학공정의 안전이 강조되는 가운데, 국내 주요기업들의
자체 안전환경진단 및 변화를 통해 공정안전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극단적 기상조건을 감내하는 탄소저감 화학공정 설비 구축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강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526 ∙
전기
전기공학은 전기에너지 생성 및 공급하는데 관련된 기술 분야와 타 분야 간의 융합을 통해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제품과 관련된 여러 기술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이런 수많은
전기 관련 기술 중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직류(DC) 배전, 전고체전지, 3D 인쇄전자
기술 등 3가지 기술을 다루고자 한다.
<표 3-70> 3대 기술 설명
구분 설명
DC 배전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전송하거나, 직류 전원을 직접 고객에게 공급하는 기술
전고체전지
전지의 구성이 불연성 고체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성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미래전지 기술
3D 인쇄전자 기술
(3D Printed Electronics)
전기・전자소자, 로봇,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기, 자동차 등에 활용 가능한 3D프린팅 기술과
인쇄전자기술이 융합된 신개념의 미래형 제조 기술
[그림 3-109] 3D 인쇄전자 기술의 정의 및 적용 가능 분야
∙527 ∙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DC 배전
미래의 전력 시스템은 지역 AC 송・배전 네트워크와 DC 그리드의 공존이 예상되며, 세계적으로
직류 송배전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전력 시스템 문제 해결 및 전력계통의 안정성 및 자율성을
증대하려는 노력을 진행 중이다.
[그림 3-110] 직류 배전 기술 시장
스위스의 전력기기업체 ABB에서는 ‘Nupharo Park 프로젝트’를 통해 MVDC-LVDC 통합
전력공급 모델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DC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예정이다. 독일의 전력회사 Eon은 아헨공과대학교(RWTH)와 공동으로 MVDC급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력용 반도체 응용 변압기, 고효율 전력변환기, DC 케이블 및 MVDC급
기술을 개발해 10MW 용량의 MVDC 배전 실증선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전력연구소
(EPRI)는 디지털 부하의 급증에 대비하여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구성 방식으로 교류와
직류계통을 동시에 선정하고, 다양한 전압의 직류 공급이 가능한 지능형 다기능 변압기를 개발하고
있다. 일본의 일본전신전화주식회사(NTT)에서는 DC 전력을 기반으로 하는 2개의 스마트시티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고베 대학교에서는 지구온난화 대책 기술개발 실증연구사업의
∙528 ∙
하나로 정부의 지원을 받아 누시마섬에 DC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하여 직류 전원의 효용성
검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 전고체전지
전고체전지는 일본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허 출원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를 통해 전고체전지 관련하여 5년간(2012년
∼2016년) 24.3억 엔(218억 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했으며, 최근 일본 정부에서는 21조3,000억
규모의 탈석탄화 기술지원기금 일부를 전고체전지 개발에 일부 배정할 방침이다. 동경공업대의
칸노 교수팀과 도요타자동차는 공동연구를 통해서 기존 유기 액체 전해질을 뛰어넘는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체전해질을 보고하였으며, 100℃에서 900C의 전류(1회 충・방전에 4초
소모)로 충・방전이 가능함을 보고하였다.
* 출처: Nat. Energy 2016, 1, 16030.
[그림 3-111] 고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 소재
기업에서는 도요타자동차를 중심으로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2021년 중 전고체전지를 탑재한 전기차 시제품을 공개하고 세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
양산 완성차 메이커가 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전고체 전지 시장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독일 폴크스바겐은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인 퀀텀스케이프와 협력하여 2025년
전고체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529 ∙
(3) 3D 인쇄전자기술
2020년 3D 인쇄전자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3D프린팅용 소재와 3D 인쇄전자소자를
개발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인 PEDOT:PSS를
잉크화하고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뇌의 전기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3D 인쇄전자기술이 의료・바이오 분야에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구리 및 은 혼합 잉크로 전극을 제작하고 산화아연
(ZnO) 잉크를 이용하여 광촉매층을 구현하여 유연 및 웨어러블 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자외선
광검출기(UV photodetector)를 개발하였다. 또한, 중국 화중 과기대학교에서는 퀀텀 닷 잉크의
커피 링 효과(Coffer-ring effect) 문제를 해결한 EHD 3D 프린팅 방식으로 고해상도, 고휘도
QLED 소자를 구현했다.
센싱 소자 제작 관련해서는 영스타운 주립대학교(Youngstown State University)에서 웨어러블
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 탄성체 기반 변형 센서를 제작하였고 미국 조지아 공과대학에서는 폴리아마이드
잉크로 기판을 제작하고 전도성 그래핀 및 은을 기반으로 전극을 제작하여 세계 최초로 모션센서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적층 구조의 웨어러블 모듈을 에어로졸 제트 프린팅으로 구현했다.
에너지 소자 관련해서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전도체,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멀티노즐 3D프린터를 자체 개발하여 LiFePO4/Na 기반의 슈퍼 커패시터를
제작하였다. 멀티노즐을 이용한 3D프린터의 경우 다양한 소재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인라인
(in-line) 공정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3D프린팅 기술이 상용화되는 것에 한계로
지적받고 있는 생산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 국내동향
(1) DC 배전
국내 DC 배전기술은 학계 위주로 직류배전 기술의 경제성 및 가능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전력변환기 및 차단기의 설계, 직류기반 전력시스템의 운영 및 보호기술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는
한편, MVDC-LVDC의 계통연계 가능성과 저압 DC 기술의 상용화에 관해서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빌딩 구내를 직류화하여
전기에너지 효율 향상 검증을 추진하였고, 신재생에너지로 발전된 직류 전원을 주택 내 DC
설비에서 소비하는 제로에너지 하우스 실증을 완료한 바 있다. 또한, 직류 배전을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저장장치 직류배전 통합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직류배전 그린빌딩 구조시스템의 설계기준을 마련하여 직류배전 건축물의 시장성 확보에 노력하고
∙530 ∙
있다. 기자재 제조사를 중심으로 직류 변환기 및 차단기 등 하드웨어 개발을 통한 기술완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연구기관에서는 직류홈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DC전원 공급의 타당성 연구를
통해 에너지효율향상을 입증한 바 있으며, 고효율 및 고신뢰성이 확보된 IDC 실증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을 통해 IDC의 소비전력 저감 및 구내 직류배전 표준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13.2kV 3상 전력용반도체 및 대용량 고객용 수배전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직류배전망 전압
제어알고리즘 등 직류배전 기술의 상용화에 앞장서고 있다
(2) 전고체전지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주로 볼밀링 방법으로 생산되며 다소 용액법으로
생산하고 있으나 극소량이며 실험실 규모에 머물고 있으며, 공기와 수분 안전성을 갖지 못하는
기초연구단계이다. 국내 전지 업체의 경우 삼성SDI, 현대자동차, 엘지화학 등에서 전고체전지
기초 기술개발을 시작하고 있으나 셀 제조 기술에 집중되어 있으며 핵심소재인 고체전해질 개발은
미미한 상황이다. 2020년 3월에 삼성전자가 황화물고체전해질과 은/탄소 나노입자 복합층을
적용하여 전고체전지를 실험실 규모에서 구현하였으며, 양산 시 1회 충전에 80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에서는 기존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에 새로운 도핑물질을 사용하고
공기안정성/수분반응성이 억제된 새로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설계하고 제작할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황화물고체전해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는 전량수입에 의존하는데 특히 고가인
Li2S 원료수급 및 저가화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다고 할 수 있지만, KERI에서는 출발물질 가용화
(可溶化)법을 개발하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 3D 인쇄전자기술
KERI는 소재, 공정 및 장비를 동시에 개발하는 전략으로 2011년부터 다양한 3D프린팅용
기능성 소재(전도체, 자성체, 광전체 등)와 나노프린팅 공정 그리고 이것들이 접목된 신개념의
3D프린터를 개발해오고 있다. 2020년에는 세계 최초로 초고해상 디스플레이 화소를 제작할
수 있는 3D 나노프린팅 기술 개발하였고 전자기파 차폐에 활용될 수 있는 3D프린팅용 그래핀-산화철
복합체 잉크를 개발하였다. 장비 관련해서는 PCB 제조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 대면적의 전기・전자회로
제작용 3D프린터 및 전용 S/W를 개발하였고 현재 PCB 제조 전문업체와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전력연구원은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부품과 전자회로가 일체화된 배전용 개폐기 상태
∙531 ∙
감시용 멀티센서모듈을 개발하였다. 전력연구원은 프린팅 공정을 통해 전자소자와 배선이 플라스틱
내부에 완전히 매립된 구조로 제품을 개발하여 수분・염분・먼지 등의 접촉을 차단하여 센서의
내구성을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
한국화학연구원-경희대학교 공동 연구진은 웨어러블 기기 소자에 활용될 수 있는 3D프린팅용
전지 소재를 개발했다. 미래 웨어러블 기기 센서, 소형 로봇, 인체 삽입형 소자 등은 크기가
작고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고 이는 3D인쇄전자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다.
2) 향후 전망
(1) DC 배전
세계적으로 직류 배전 기술 및 시장은 초기 단계이나 전 세계 직류배전 시장은 2025년 241억달러로
성장할 것이며, 설비 규모 면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직류 배전설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직류배전 용도로는 이동통신과 주택부하, 인터넷 데이터센터, 군사용 DC 마이크로그리드
(MicroGrid)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직류 배전의 상용화까지 적지
않은 시간과 많은 초기투자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효율 DC 배전망 도입으로
분산전원 연계용량을 확대하고,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직류 배전 확대 기반을 지속해서 조성해
나간다면 새로운 시장 형성 시 우리나라는 글로벌 직류 배전시장의 선도자로서 도약할 것으로
판단되며, 새로운 전력산업 생태계 조성도 가능하리라 전망한다.
(2) 전고체전지
전고체 이차전지는 기존 리튬 이차전지 시스템 대비 다양한 장점을 기반으로 하여 연평균
32.1% 이상의 급격한 성장률을 나타내며, 2021년에는 6.7억 달러에서 2029년에는 약 78억
달러 규모의 세계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송 산업용 시장은 전기차(EV, Electric
Vehicle)를 기반으로 형성되며, 전고체 전지의 가장 높은 수요처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향상하면서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한 핵심 요소인 이차전지 개발을 위해 도요타자동차
와 BMW 등의 유수 기업들이 전고체전지의 도입을 추진 중으로, 향후 초소형 전기차(micro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V), 순수 전기차(pure EV), 전기버스(electric bus) 등 다양한
형태의 전기차에 전고체 전지가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532 ∙
(3) 3D 인쇄전자기술
3D 인쇄전자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전기・전자기기를 제조하는 세계시장은 2025년까지
1,000억 달러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스마트 소재,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및 로봇 기술 등과의 융합을 통해 전기・전자제품,
의료・바이오, 에너지, 자동차, 항공우주, 등의 산업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미래형 제조
기술로 자리매김하여 전 세계적으로 제조업의 고도화와 고부가가치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해양시스템
조선・해양시스템의 핵심 분야는 조선과 해양플랜트로 구성되며, 선박93)을 만드는 조선(造船)
기술은 다종다양한 기자재를 포함해 선박의 설계, 생산, 운영, 유지・보수에 적용되는 지식기반형
종합엔지니어링 기술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초에 본격적으로 세계 조선시장에 진출하여
유럽 등 선진 국가에 비하여 짧은 기간에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 조선국으로 도약하였다. 또한,
조선산업은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는 물론 기술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인력과 기능인력 등 전문인력이
요구되는 고용창출 효과가 크고 수출기여도가 높은 대표적인 주력산업이다.
해양플랜트는 해저 석유 및 가스자원을 시추, 생산, 저장,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체의
구조물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자원을 특정하지 않고 모든 해양자원과
에너지를 개발 및 이용하기 위한 구조물 전체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협의의
개념인 오일 및 가스 관련 해양플랜트는 해저 자원을 탐사, 시추, 생산하기 위한 해상플랫폼,
해저생산처리시스템, URF(Umbilical, Riser, Flowline), 상부(Topside) 플랜트로 구성되며,
이를 설계, 건조, 운반, 설치・시운전, 운영 및 해체하는 것을 해양플랜트 산업이라고 한다.94)
해양플랜트산업은 조선산업과 마찬가지로 산업 연관효과 및 기술 파급효과가 큰 고용창출형
산업이며, 설계, 생산 및 관리기술 등에 첨단 IT기술과 융복합기술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93) 선박이란 “수상에서(부양성) 사람 또는 물건을 싣고(적재성) 이것을 운반하는데(이동성) 쓰이는 구조물”을 말한다.
94) 해양플랜트 건조 이후의 운반, 설치・운영, 해체 및 관련 부대사업을 해양플랜트서비스 산업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533 ∙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선박에서 기인하는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배출규제, 선박평형수 처리 및 수중소음 저감 등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미국, EU 및 일본은 친환경・고효율 선박 및
관련 기자재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노르웨이, 독일과 영국 등 북유럽 국가의 선급과 엔진메이커 및 연구기관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LNG 연료추진 선박에서, 암모니아와 메탄올 등 다양한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과 수소연료전지(SOFC, PEMFC 등) 및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하이
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신뢰성・안전성 실증평가기술로 연구를 확대
하는 추세이다.
또한, 선박운항의 경제성 및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율운항선박 등 스마트 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박설계, 원격조종, 자율운항 등의 기술을
단계적으로 확보하여 자율운항선박 기술의 기술적, 법・제도적,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자율운
항선박을 둘러싼 행정적 지원, 선박의 안전성과 자동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며, EU의
‘MUNIN, EfficienSea’, 노르웨이의 ‘AUTOSEA, Milli-Ampere, ReVolt’, 핀란드의 ‘AAWA,
ONE SEA’, 중국의 ‘Green-Dolphin’, 일본의 ‘MMS, SSAP’ 등의 프로젝트가 경쟁적으로 추진
되고 있다.
해양플랜트의 경우 건조비용과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개별 기기 및 플랜트 차원의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에너지기업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며, 스마트 조선소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의 지원을 받는 조선소 연합은 스마트 야드 프로젝트
(Smart yards project) 연구개발을 통해 조선소와 협력업체 간 원활하고 정확한 정보교환 체계를
구축하는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나) 국내 동향
(1) 친환경선박법 발효 및 기본계획 수립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규제 강화와 EU의 배출권거래제(EU-ETS) 시행(예정)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조선・해운시장이 기존 유류선박에서 친환경연료선박 체계로 패러다임이
전환 중이다.
정부(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도 해양환경 규제 및 친환경 선박 新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2020.1.)한 데 이어,
∙534 ∙
금번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을 마련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박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2025년 45%에서 2030년 70%까지 감축하고, 미래
친환경선박 세계선도 기술확보를 위해 LNG・전기・하이브리드 핵심기자재 기술의 국산화, 혼합연료
등 저탄소선박 기술,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선박 기술의 단계적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사업’(2022~2031년, 약 9,600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자료 :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 및 보급 기본계획)
[그림 3-112] 친환경선박 연구개발 및 보급 전략
둘째, 친환경기술을 적용한 소형 연안선박을 건조하여 시범 운항한 후, 기술성・경제성이 검증될
경우 대형선박까지 확산되도록 LNG 벙커링 전용선, LNG-암모니아 혼합연료 추진선박 등 친환경
신기술(전기추진, 하이브리드, 혼합연료, 수소연료)을 적용한 10척 이상의 시범선박을 건조하며,
다목적 해상실증용 선박 건조, 퇴역예정 관공선 개조 등을 통해 해상실증테스트베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535 ∙
셋째, LNG・하이브리드 등 상용화된 기술을 우선 적용하여 공공부문부터 선제적으로 친환경선박
으로 전환하고자, 노후 관공선 199척은 대체 건조하고 선령 10년 미만의 189척은 미세먼지
저감장치(DPF)를 설치하여 개조하는 등 2030년까지 총 388척의 관공선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
한다.
넷쨰, 친환경선박 보급 촉진을 위해 LNG벙커링 선박 운영(2020년말 1척, 2022년말 2척),
부산・울산 등 주요항만에 육상 터미널 구축 등 LNG 연료 공급수단을 다변화하고, 접안선박의
육상전원공급장치인 AMP를 소형 전기・하이브리드 선박의 고속 충전설비로 활용하는 등 연료공급
인프라를 확충할 예정이다.
(2)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자율운항선박 개발 착수
유럽, 일본 등 전세계 기술경쟁이 치열한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센서 등을 융합하여,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능화・자율화된 시스템이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
가치 선박이다. 정부(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는 2020년 6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통합사업단을 발족하고 사업에 본격 착수하였다.
국내 산・학・연의 30여 개 기관이 사업단을 구성하여 미래 조선・해운산업을 업그레이드할
자율운항선박의 사업화 실현을 위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약 1,600억 원을 투입하여,
4대 분야(① 지능형 항해시스템, ② 기관 자동화시스템, ③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
및 실증, ④ 운용기술 및 표준화)의 연구 및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으로 대양 항해의 경우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정의하는 자율운항선박의 자율화등급95)
(degrees of autonomy) 3수준(Level 3), 연안 항해의 경우 2수준(Level 2)을 확보한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자율운항선박의 통합 성능검증을 위한 성능실증센터를 구축하여 향후 25m급 시험선과
중형급 상선 등에 단계적으로 실증하는 등 지속적인 적용실적을 확보할 계획이다.
95) 자율화등급(degree of autonomy) : (1수준) 선원 의사결정 지원, (2수준) 선원 승선, 원격제어 가능, (3수준)
최소인원 승선, 원격제어, 장애 예측・진단 등 기관 자동화, (4수준) 완전무인 자율운항
∙536 ∙
(자료 : 자율운항선박개발 통합사업단)
[그림 3-113] 자율운항선박의 개념 및 정의
2) 향후 전망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안전과 환경 관련 국제규제가 강화되고, 온실가스저감 효과가
높은 대체연료 사용이 사용 확대되는 등 연료체계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중국 등 경쟁국의
기술력이 성장하는 등 조선산업의 대외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가 현재의
불황을 타개하고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생산시스템 혁신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와 고효율 친환경연료 기반의 친환경 선박 등 ‘기술경쟁력 확보’ 의 전략이
동시에 요구된다. 조선해양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소형 선박과 기자재 분야의 기술력
강화 및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매진해야 한다. 또한, 친환경 선박과 불가분의 관계인
자율운항선박 등 스마트 선박과 운영서비스 분야도 기술역량 고도화가 요구된다. ICT 기반의
제품서비스 융합산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점을 고려하여, 산・학・연 등 산업생태계 주체별
원천, 응용 및 실용화 기술의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전략이 요구된다.
국내 해양플랜트산업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강점인 세계 최고의 조선기술력을
바탕으로 설계엔지니어링 기술과 고부가가치 분야인 모듈기자재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한 국내
조선 3사와 중소형 기자재 업계 간 상생전략이 필수적이다. 또한 해저 석유・가스 플랜트 외에도
새로운 시장창출을 위한 해양신재생에너지, 심해저 광물자원, 이산화탄소 해저저장플랜트 등
다각화 전략이 동시에 요구된다. 해양플랜트 운영비 절감, 운용인력 축소 등 운영자 요구를 충족하기
∙537 ∙
위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ICT 기술을 접목한 운영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등 해양플랜트
가치사슬(엔지니어링, 제조, 시운전 및 운영서비스)에 ICT 융합기술을 적용하여 산업경쟁력을
확보하는 산・학・연・관 공동의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특히, 심해자원의 가치와 수요를 고려하고
유가 등 변동에 따른 단기적 시장침체 기간에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의 선제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자동차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화석연료를 활용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
동력 기반의 친환경자동차, 자율주행차 등으로 산업의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글로벌 주요
국가들은 온실가스 발생량 감축을 위해 친환경차 보급을 제도적으로 장려하고 있으며, 동시에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배출가스, 연비 규제를 강화 중이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따른 지원과
규제 속에서 완성차 기업들도 친환경차를 포함한 미래차 시장의 점유율 확대를 위해 R&D 투자를
지속하고, 신규 모델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20년을 기준으로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친환경차와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자동차의 판매량이 큰 편은 아니지만, 향후 5~10년 이내에
자동차 시장의 변화는 친환경차 등 미래차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20년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 팬데믹(Coronavirus pandemic) 현상이 발생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되었다. 완성차 및 부품사의 글로벌 주요 공장들은 셧다운이
되면서 완성차 생산과 부품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국내의 경우 중국에서 생산되어 들어오는
와이어링 하네스 부품 수급 차질로 인해 완성차 공장들이 일부 생산이 중단되는 상황도 있었다.
아울러 코로나 사태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 경제 성장률 저하 등으로 자동차의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업계의 위기감도 고조되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2020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약 7천 7백만 대(Marklines 데이터 기준)로, 2019년 전체 판매량인 9천 1백만 대(세계
자동차산업연합회(OICA) 발표)에 비해 약 1천 4백만 대 가까이 감소하였다(전년대비 15% 감소).
해당 추세라면 2020년의 경우 약 7천 5백만 대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 전체 판매량인
9천 1백만 대(세계자동차산업연합회(OICA) 발표)에 비해 약 1천 6백만 대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19의 종식 시점이 아직까지는 확실치 않은 가운데, 주요 분석 기관들은 2021년에
자동차 시장은 회복기에 접어들고, 2022년 이후가 되어서야 원래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측했다.
∙538 ∙
1) 연구개발 동향
가) 전기차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관련 연구개발은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의 성능 개선과
충전 인프라 확대를 통해 그간 시장 도입기의 단계에서 안정적인 성장 단계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들이 진행 중이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은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 및 활용능력 향상, 전비 향상을 위한 고효율화와 경량화,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전력 확대 등을 통해 전기차 소비자들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연구 개발을
추진해왔다.
2020년 국내에서는 전기차 코나가 1회 충전 주행거리 406km로 출시되었으며, 2021년 출시
예정인 다수의 모델(수입차 포함)들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400km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완성차의 전기차 아이오닉은 전비 기준 6.3km/kWh의 우수한 에너지 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코나 5.6km/kWh, 니로 5.3km/kWh로 테슬라의 주력 모델인 모델3의 전비(5.6km/kWh,
Rong range)보다 우수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는 2020년부터 세계 최고 수준의 주행거리, 전비 등 성능 우위를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대형 R&D 사업(시장자립형 3세대 xEV 산업육성)을 시작했다. 전기차 배터리 및 충전시스템
개발사업을 통해 한번 충전으로 운행 가능한 주행거리를 600km로 확대하고, 충전 속도는 현재보
다 3배 수준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특히 고속 급속충전 기술을 통하여 현재 400kW급 급속충전
기가 개발되었고, 유럽은 이미 350kW가 보급되고 있는 상황이며 기존 400V 전압체계에서 800V
고전압체계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이와 연관되어 주행거리와 충전효율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e-파워트레인시스템을 개발하고, 열관리 시스템 등 에너지 이용효율 개선 관련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020년 글로벌 순수전기차는 약 220만 대가 판매되었다. 구매보조금과 세제지원이 없으면
동급 내연기관차에 비해 아직 비싼 가격이기 때문에, 향후에는 전기차의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가격 중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배터리뿐만
아니라, 모터, 인버터 등의 가격을 저감하고,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과 적용 차종 다변화 등을 통해 전기차 시장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될 전망이다.
나) 수소차
최근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대대적인 산업・경제적 변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각종 수송
∙539 ∙
분야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대안으로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모빌리티가 대두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교통수단은 물 이외의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수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 대상이 많다. 해외 주요기관들은 수소전기차 이외에도
중대형 상용차, 항공, 선박, 마이크로모빌리티 등으로 대상 범위를 넓혀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세계 최초로 양산형 수소전기차(투싼 ix FCEV)를 출시하고, 2020년에는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Xcient Fuel Cell)’ 10대를 스위스로 수출하였으며,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약 1,600대를 수출할 계획이다. 개발초기에는 가격, 주행거리, 연료전지시스템 소형화가 주요
개발 이슈였으며, 수소전기차가 양산화되기 시작한 이후로는 품질, 내구성, 차종다양화 및 공용화
등으로 기술개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2020년 들어 전기차의 경우 상품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면 수소전기차는 상용화의 초기 단계에서 상품 가격의 인하를 위한
생산 비용 절감을 중심으로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수소연료전지의 핵심부품에 대한 국산
기술 확보와 내구성을 확보하고, 향후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수소상용차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수소상용차 부문의 전용부품의 신뢰성과 가격 인하에 힘을 쏟고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수소전기차 20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며, 수소차 생산기술 이외에도 수소충
전소 인프라 확대를 위해 충전소 핵심부품 국산화 등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수소충전소의 신뢰성을 확대하기 위해 고장 예방 시스템 기술개발, 수소누출 위험 등에 대응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수소차 보급대수는
급성장 중이며 2020년의 경우 글로벌 판매 1위(5,827대)를 기록했다.
<표 3-71> 국가별 수소차 판매 대수
(단위: 대)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11월)
한국 - 80 61 744 4,194 5,372
미국 74 1,042 2,256 2,368 2,089 795
일본 411 1,055 849 575 644 436
유럽 13 49 95 215 572 456
캐나다 - - 79 17
합계 498 2,226 3,261 3,902 7,578 7,076
* 출처 : 마크라인스 발표 통계 재가공
다) 자율주행차
자율주행차는 센서, 통신장비, 고성능 시스템반도체 및 AI 소프트웨어 등을 활용하여 인간
운전자의 인지, 판단, 제어 기능을 대체한다. 크게 정보・신호를 입력받는 인지기술, 이를 처리하는
∙540 ∙
판단기술, 조향・제동・가감속 등의 제어기술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레벨 2의 자율주행이 상용화
되고 있으며, 일부 완성차 및 IT 기업을 중심으로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실험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 2020년 10월 테슬라는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실도로 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Full
Self Driving)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재 출시된 자율주행(FSD) 기술력은 미국자동차공학회
(SAE) 기준으로 레벨 2 수준이며, 5∼10일 간격으로 OTA(Over The Air, 물리적 연결 없이
무선으로 차량을 업데이트하는 방식)를 통해 지속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며 자율주행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정부는 ‘미래차 확산 및 시장선점 전략’을 통해 2022년까지 부분자율주행 차량
(레벨 3)의 출시를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기술실증을 추진하고, 고도
자율주행 실현을 위한 핵심부품 집적화 및 기능 원격 업그레이드를 위한 시스템 통합 등의 개발을
시작했다. 이러한 자율주행 전반에 대한 기술개발 구심체로 범부처 기술사업단을 가동
(2021.3.)하고, 센서・교통・데이터활용・규제방향 등 자율주행 부품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대규모 R&D 사업을 추진,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뉴
딜 정책을 통해 향후에는 무인・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언택트 서비스 등의 실용화 기술개발도
추진될 계획이다.
<표 3-72> 주요 완성차별 친환경차 및 자율차 판매/R&D 목표
업체 내용
테슬라
∙ 미국내 연44만대 생산(~‘20) 및 3년내 2.5만달러 완전자율주행 전기차 출시(’20)
∙ 전기차 수직계열화 강화(TWh 생산체계)와 배터리 원가절감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자동주행 기능을 개선 중
폭스바겐
∙ 최대 75종의 순수 전기차 출시해 2,600만대 판매 목표(~‘29)
∙ 전기차 부문 총 110억 유로 투자 예정(~‘24)
∙ ’25년 자율주행차 판매 및 자체 개발 S/W 비중 現10% → 60%(~’25) 목표
현대기아차
∙ BEV 11종 출시 및 BEV 56만대, FCEV 11만대 판매 목표(~’25)
∙ `21년 제네시스 BEV 모델 출시와 `24년부터 제네시스 브랜드 본격 전동화
∙ 자율주행 기술개발 등을 위해 41조 투자 계획(~‘25)
도요타
∙ 전기차 라인업 10종 이상으로 확대와 550만대의 전동화 자동차 판매(~’25)
∙ 전기차 전용 플랫폼 e-TNGA를 개발 중(~’22)
∙ 자율주행 플랫폼 ‘e-Pallete’를 통해 우버, 아마존 등과 협업하며 기술 구축
BMW
∙ 25종 전동화 모델 출시・E드라이브 全 요소기술 자체 개발(~‘22)
∙ `30년 신차 판매량의 50% 가량 전동화 달성
∙ ’인텔-모빌아이‘와 손잡으며 레벨3 출시 시기 ’23년으로 목표
∙541 ∙
라) 내연기관/하이브리드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계는 전기차, 수소차, 자율차 등 미래차 개발 계획뿐만 아니라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의 로드맵도 수립하며 병행하여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내연기관 기술개발은 친환경・
고효율이라는 목표 아래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엔진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기술개발 및 배출가스 저감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내연기관의 내구성을
높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내연기관과 배터리시스템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효율 극대화를 위한 기술개발도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차량 연비를 향상시키는 기술로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검토하며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차량 구동을 내연기관이 주도하면서 48V 전기모터가 시동, 토크보조,
회생제동, 발전 등의 작동을 통해 차량 연비 개선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해당 기술
적용을 통해 연비 15% 이상의 개선과 배출가스 저감이 가능하다. 한편 가솔린엔진에 압축착화를
구현하여 연비와 출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기술과, Euro-7 등 차기 배기규제 대응을 위한
배기성능 기술개발도 확대되고 있다.
<표 3-73> 주요 완성차별 내연기관 및 하이브리드 개발현황
업체 개발현황
TOYOTA
∙ TNGA* 기반의 연비와 주행을 양립하는 고효율 Dynamic Force 엔진 개발 중
- 2023년까지 도요타 차량의 80%에 적용, 열효율 목표 : 40%(’15년) → 50%(’25년)
* Toyota New Global Architecture : 플랫폼 하나로 여러 차종을 만들면서 핵심부품을 공유하는 방식
VW ∙ ‘22년까지 22조 투자 (내연기관 연비 10~15% 향상 목표, ‘17.4월)
MAZDA
∙ SPCCI** 연소방식을 적용하여 가솔린엔진 압축착화 최초 실용화 (SKYACTIV-X, ’17)
- 열효율 목표 : 40%(’17) → 50%(’20, 2세대 SKYACTIV), → 56%(’25, 3세대 SKYACTIV)
** Spark Controlled Compression Ignition : 가솔린 엔진을 디젤엔진과 같이 압축착화하는 연소방식
BMW ∙ 디젤 및 가솔린엔진은 각각 향후 20~30년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여 효율 개선 지속
* 출처 : 한국자동차연구원 모빌리티인사이트 7월호 재구성
로봇 및 자동화
지능형 로봇은 외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 장치로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을 요구하는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여 제조 현장 뿐만 아니라, 서비스 자동화 전 분야에
걸쳐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로봇은 활용 분야에 따라 제조 현장에서 공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산업용 로봇,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및 전문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전문 서비스용 로봇, 인간의 생활 범주에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할 수 있다.
∙542 ∙
<표 3-74> 로봇 분류 및 사례
구분 사례
산업용 이적재 로봇, 용접로봇, 조립로봇, 도장로봇, 시험검사 로봇 등
전문 서비스용 물류로봇, 의료로봇, 국방로봇, 농업로봇, 근력증강 로봇, 전문청소 로봇, 방역 로봇, 안내 로봇, 접객 로봇 등
개인 서비스용 청소로봇, 오락로봇, 교육로봇, 고령자 지원 로봇, 가사로봇 등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지속 성장해 오던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미・중(美・中) 무역분쟁으로
인해 2019년에 전년보다 시장규모가 감소했으며, 이후 2020년은 코로나 19로 인해 감소 폭이
더욱 확대되고 2023년이 되어야 코로나 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비스
로봇 분야는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전년보다 성장한 것으로 예측되며 이후에도 지속적인 고성장
이 전망된다(IFR, 2020.9). 그간 제조 현장의 대량생산 작업에 투입되어 산업 효율성 증대에
주로 기여해 온 로봇(산업용)은 앞으로는 인간과 공동의 작업공간에서 소품종 변량생산, 조립,
물류 핸들링, 가사 등과 같은 고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로봇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된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로봇 조작 기술, 로봇 감각 기술 및 그리퍼・핸드 기술 등이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2020년에도 관련 원천기술 연구가 계속되었는데 특히 인공지능과의 융합을 통한 로봇 조작
기술 개발이 활발하였다.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해 대량의 연산을 요구했던 기존 로봇 파지
(Grasping)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기술을 적용한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
(SNN)가 개발(독일 FZI, 2020.10)되었는데, 이 기술은 로봇이 촉각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물체의 움직임에 적응해 자율적으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만든다. 또한 물체를 잡는 로봇들이
어떤 시각적 조건이 중요한지 어떤 장면에서 물체가 재배치되어야 하는지 추론할 수 있도록
하여 블록 피라미드 쌓기, 키트 조립, 밧줄 조작 등 다양한 작업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
'트랜스포터 네트워크(Transporter Network)'가 개발(구글, 2020.11)되었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다양한 로봇 조작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다목적 알고리즘은 샘플 비효율적(Sample-
inefficient)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실세계 적용에 한계가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여 1시간 이내의
짧은 훈련 시간에 물체를 집고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서랍을 열 수 있도록 해주는 로봇 조작
알고리즘 훈련 프레임워크 FERM(Framework for Efficient Robotic Manipulation)을 개발
(UC버클리, 2020.12)하였다. 이와 같이 계산량과 실행시간을 줄이고(FZI) 추론을 통해 환경적응
이 가능하며(구글) 짧은 시간에 훈련이 가능한(UC버클리) 인공지능 기술들이 전통적인 로봇
∙543 ∙
조작 기술과 융합되어 산업용 로봇 뿐 아니라 물류 핸들링 로봇, 가사작업 로봇 등 차세대 전문・개인
서비스 로봇에도 활발히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시장이 축소된 산업용 로봇과 달리 2020년에는 물류산업에서의 로봇
자동화 시스템 도입(2019년 대비 38% 성장 예상, IFR) 및 비대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공장소에서의
전문 서비스 로봇(2019년 대비 33% 성장 예상, IFR)에 대한 연구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하였다.
물류 분야에서는 자율이동로봇(AMR) 도입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자율이동로봇과 협동로봇의
장점을 융합한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원천연구도 다수 수행되고 있다. 인간형 양팔 로봇과 모바일로
봇이 결합된 ‘ARMAR-6’(오카도・KIT/2020.5)의 개선 버전이 공개되었고, 볼바퀴로 이동하면서
로봇팔과 그리퍼를 이용하여 여러 형태의 물체를 핸들링할 수 있는 ‘바이오닉 모바일 어시스턴트’도
개발(훼스토/2020.7)되었다. 전문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는 방역 및 비대면 서비스 제공 로봇의
개발이 두드러졌는데 방역로봇(UVD로봇, Xenex), 체온측정 및 사회적 거리두기 안내 로봇
(UBTECH), 서빙 로봇(베어로보틱스, 푸두로보틱스), 배달 로봇(스타십 테크놀로지, 키위봇) 등의
도입 및 실증이 활발하였다. 의료인의 감염 위험을 줄이고 검사 업무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검체 채취 로봇은 개념 증명 단계(PoC)의 연구가 진행(브레인 내비 바이오테크놀로지, 싱가포르
국립암센터)되었다. 코로나 19 발생 이전에도 장기적으로 산업용 로봇에서 서비스 로봇으로
시장 확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당초 전망보다는 느리게 확장되고 있었는데, 코로나
19가 서비스 로봇의 일상생활 서비스 제공을 더욱 가속화 할 전망이다(IFR, 2020.9).
나) 국내동향
2020년 국내 연구개발 활동은 해외와 마찬가지로 전문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 활발하였으며
기업과 연구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K-방역’의 명성을 이어 방역 로봇(인아텍, 유버,
퓨처로봇,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검체 채취 로봇(한국기계연구원) 등 코로나
19 대응 로봇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전방향 자율주행, 인공지능 학습을 방역과 소독,
로봇팔을 이용한 특정 부위의 방역 기능 등이 개발되었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의 방역 로봇은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형태로 침상 아래와 같은 영역의 방역작업도 가능하다. 서빙・배달 로봇
분야에서는 로봇 기업뿐 아니라 음식 배달 서비스 사업자의 역할도 활발하였다. 식당・카페 서빙
로봇뿐 아니라 실외 자율주행이 가능한 배달 로봇(우아한형제들, 로보티즈)이 개발되어 실증특례를
통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2020년에는 특히 대기업의 서비스 로봇 분야 진출이 가장
활발하였는데 LG전자의 서비스로봇 사용 모델 개발(호텔 실외배달・실내배달・서빙・바리스타・방역
로봇), KT・현대로보틱스의 협력(서빙・실내배달・치킨 로봇) 및 현대자동차그룹의 ‘보스턴 다이내
믹스(Boston Dynamics)’ 인수(2020.12)가 대표적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약 1조원 대 수준의
∙544 ∙
로봇 기업 인수를 계기로 모빌리티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새로운 분야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한다.
기술적인 측면의 대표 성과는 ‘사이배슬론 2020’ 착용형 외골격 로봇 종목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KAIST・엔젤로보틱스, 2020.11)한 것으로, 대회를 통해 하반신 마비 장애인의 보행을 위해
개발된 ‘워크온 슈트4’에 적용된 기술의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외형을 알지 못하는 물체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는 만능 그리퍼 기술(한국기계연구원, 2020.10)은 드라이버, 전구 등 복잡 형상의
물체 뿐만 아니라 두부, 딸기 등 식재료까지 손상 없이 집을 수 있어 가사, 요리부터 포장, 생산
등 로봇의 적용 범위를 혁신적으로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인 서비스 로봇을 위한
기술로는 사람 행위모방을 통한 발화 제스처 생성 및 비언어적 상호작용 행위생성 기술을 개발(한국
전자통신연구원, 2020.11)하였다. 이 기술을 통해 로봇이 말을 할 때 그에 적합한 제스처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사람의 행동에 대한 반사적인 적응형 행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클라우드, 5G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로봇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실제 공간 속에서 로봇이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인 클라우드 기반의 멀티
로봇 인텔리전스 시스템 ‘ARC(AI-Robot-Cloud)'가 공개(네이버랩스, 2020.11)되었다. ARC의
핵심은 AI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로봇들이 고가의 센서에 의존하지 않아도 지능을 지속 업데이트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로봇 서비스의 대중화 시점을 앞당길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으로 발돋움한다는 비전 아래 작년에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발표(2019.8)하였으며, 올해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로봇
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을 발표(2020.10)하였다.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은 공통적용
규제(11건)와 4대 분야별 과제(22건) 등 총 33건의 개선과제로 이뤄져 있다. 로봇은 주력산업의
혁신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핵심 요소이자, D・N・A(Data, Network, 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의료, 돌봄, 재난,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생활을 획기적으로 바꿀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기존 규제체계가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발전 흐름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선제적
규제혁신이 필요한 분야였기에 이번 규제혁신 로드맵은 이러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정부는
향후 산・학・연・관 협의체를 구성해 로드맵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기술발전 양상과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로드맵을 주기적으로 정비해나갈 계획이다.
∙545 ∙
<표 3-75> 로봇발전 3단계 시나리오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연도 2020 ~ 2022 2023 ~ 2025 2026 ~
로봇 역할 단순 보조, 노동력 대체 인간 협업/공존 자율 수행
인식 개별 센서 성능 중심 AI, 클라우드 기반 알고리즘 중심
제어 개별로봇, 원격제어 다중로봇 반자율 다중로봇 자율
활용 환경 실내, 정형환경
비정형 환경 비정형 다양한 환경
실외 확대 실내외 연계
* 출처: 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20.10.28.
2) 향후 전망
디지털 경제 전환 속도가 국가 산업 경쟁력을 좌우함에 따라 전통적 서비스업 및 중소 제조업체
들의 로봇 활용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디지털 뉴딜(2020.7) 주요 과제와
연계하여 5G・AI융합 첨단 제조로봇, 수요기반 서비스 로봇 등의 확대(관계부처 합동 보도자료,
2020.10) 및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로봇을 통한 비대면 서비스 수요
확대가 가속화될 전망(BBC, 2020.4)이다. 2020년 9월 개최된 로봇미래전략컨퍼런스에서도
전문가들은 앞으로 로봇과 인공지능, 클라우드, 플랫폼, 구독경제를 결합한 비즈니스 모델이
부상하고, 로봇과 인간의 협력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측된바 있다. 이상의 사회적,
경제적 요구와 로봇 기술의 발전 방향에 따라, 향후 연구개발의 주요 키워드는 AI・로봇 융합,
클라우드 기반 로봇 지능(증강), 인간-로봇 협업・공존, 다중로봇 협업 등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반도체는 1980년대 이후 PC, 스마트폰 등의 핵심부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산업의 쌀’로
불리며 매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다른 산업에 파급력을 미칠 수밖에 없는 핵심
산업이라, 미국, 중국, 일본 등 선진국들 간 무역 분쟁의 중심에 등장하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전체 반도체 시장의 30% 내외를 차지하고 있는 메모리반도체는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하며 글로벌 경기 변동에 민감하기에, 후발주자의 신규 시장진입이 쉽지 않다. 시스템반도체는
전체 반도체 시장의 6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교적 안정적인 수요・공급의 시장구조를
갖추고 있다. 미국이 원천기술과 고부가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강력한 기술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은 차량용반도체, 전력반도체 등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고, 대만은 웨이퍼 위탁생산
(파운드리) 부문에서 세계 1위의 독점적 지위와 더불어 설계전문기업인 팹리스와의 연계체계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거대한 내수시장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최근 급속히 성장한
∙546 ∙
중국은 핵심인력 영입, 창업 활성화로 팹리스 산업 규모가 급증하였으며, 글로벌 기업과의 적극적인
M&A도 시도하고 있다. 반도체 제조장비 분야는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반도체 제조기업이
보수적 투자로 전환하면서, 공정 미세화로 신뢰성이 확보된 소수 선진국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미국의 AMAT, Lam Research, KLA-Tencor, 유럽의 ASML, 일본의 TEL과 같은 글로벌
Top 5 기업들이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반도체 소재 분야는 일본 기업들이 시장을
석권한 가운데 원재료인 실리콘 웨이퍼를 중심으로 증착소재, 식각가스 등 다양한 신소재에
대한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반도체기술은 최근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기술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등의 기술 발전과 함께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부품으로서 연구개발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반도체 제조, 장비, 소재 분야까지 확대・연계
되고 있는 상황이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메모리반도체
메모리반도체 분야는 한국이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국내의 연구개발동향이 세계적인 연구
개발동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 세계 DRAM 시장의 70% 이상을 한국기업이 점유하고
있으며, 다른 주된 기업으로는 미국의 마이크론(Micron)이 있다. 마이크론(Micron)은 2020년
11월 세계 최초로 176단 NAND Flash를 양산하고, 2021년 1월에는 1x, 1y, 1z에 이은 4세대
1α DRAM을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은 최근 ‘반도체 굴기’를 통한
정부 차원의 메모리 육성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DRAM에서는 이노트론과 푸젠진화
가 2020년에 17nm급 DRAM 제품기술을 선보였으며, NAND Flash에서는 칭화유니그룹 산하의
YMTC에서 128단 NAND Flash 제품기술을 확보하였다고 발표하였다.
(2) 시스템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미국을 포함하여 유럽, 중국이 지능형 및 전력반도체
분야의 혁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은 인텔(Intel)이 대형, 고속의 데이터센터
서버용 프로세서 개발에 집중 및 소비자 기기용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에 공격적으로 투자를
진행하여, 인간의 뇌신경 세포를 반도체로 구현한 뉴로모픽 칩 개발을 진행 중이며, 엣지 디바이스
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각처리 전용 인공지능 칩 모비디우스를 출시한 바 있다. 퀄컴(Qualcomm)은
∙547 ∙
차세대 5G 이동통신 기술의 향상된 기능(다중입출력 네트워크 및 광역망 기술 혁신 등) 개발과
5G에 기반한 로봇 플랫폼, 5세대 인공지능(AI) 엔진 개발을 진행하였다. 엔비디아(NVIDIA)는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을 위해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사,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까지 다양한
기업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은 주요기업을 중심으로 시스템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CPU 등 기존의 선점기술을 앞세워 혁신제품 개발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 및 고효율・저전력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유럽의 경우 차량용 반도체 선도
기술을 앞세워 전력용 반도체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자사 제품・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파워반도체, SiC-컨버터, SiC 인버터 등의 개발 및 양산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은 화웨이
에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와 반도체를 자체 개발하였으며, 데이터센터 및 사물인터넷(IoT)용
칩인 어센드(Ascend)를 선보이며 글로벌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중국 파운드리 기업인 SMIC는 2020년에 설비투자로 전년 매출 대비 2배가 넘는 67억 달러를
집행하였으며, 현재 최첨단 공정이 TSMC 대비 3년 이상 뒤진 14nm 수준에 불과하지만, 투자
확대를 기반으로 7nm 수준까지 업그레이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나) 국내동향
(1) 메모리반도체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경쟁국 및 신생 중국기업과의 미세공정,
양산수준의 기술격차를 현격히 늘리기 위한 초격차 전략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고기술력을 요구하는 모바일 DRAM을 비롯하여 DRAM 전 분야에서 가장 앞선
기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DRAM의 신규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그리고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의 10nm 이하 DRAM 양산을 목표로 연구개발과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DRAM 기술개발은 공정 노드의 축소와 진화를 통한 공격적인 셀 스케일링을 기본으로,
1T1C(1개의 트랜지스터 및 1개의 커패시터) 메모리 셀에 요구되는 최소 셀 커패시턴스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셀 트랜지스터와 셀 커패시터의 구조개선 및 관련 공정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공정 스케일링을 위해 2회 노광을 실시하는 DPT(Double Patterning Technology),
4회 노광을 실시하는 QPT(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공정을 도입하여 10nm 초반의
공정노드에 대응하고 있으나, 노광 공정 스텝의 증가로 공정시간과 비용증가 요소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10nm 이하로의 셀 스케일링을 위해 EUV 리소그래피 양산적용이 필수적으로, 이를
감안한 공정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NAND Flash의 경우에는 CTF(Charge Trap Flash) 단위
셀 스케일링, 적층단수의 고도화를 위한 소재기술 및 공정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548 ∙
(2) 시스템반도체
국내의 시스템반도체 산업은 설계 및 제조에 대한 연구개발이 중소기업 및 대기업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경쟁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2030년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를 목표로 설비투자 및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화성 Fab.에서 세계 최초
EUV 반도체 전용라인 V1을 가동하여 7㎚ 제품으로 시작해 향후 5㎚, 3㎚ 제품들을 생산해
고객사에 공급할 계획이며, 스마트폰 전용의 인공지능 반도체 상용화 및 뉴로모픽 반도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메모리에 주력하고 있는 SK하이닉스 역시 산・학・연(KIST, KAIST, 서울대학교,
UNIST 등) 7개 기관 연구단을 구성하여 2021년까지 자가 학습이 가능한 뉴로모픽 반도체 ‘네오
2C’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시스템반도체 설계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2020년부터 서버・모바일・엣지・
공통 분야에서 높은 연산성능과 전력효율을 갖는 다양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상용화를 위한
정부연구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다. 특히 산업계에서는 자율주행을 위한 기능안전 설계기술 및
딥러닝 기반의 인식/판단/제어를 위한 설계기술, 드론 및 로봇 등의 무인이동체를 위한 컨트롤러
설계기술 및 신호처리 설계기술, 모바일 및 가전제품에 응용되는 프로세서, 영상・음성 등 멀티미디어,
센서 등의 설계기술, 에너지, 전력관리 등에 필요로 하는 전원관리, 아날로그 반도체 설계기술,
웨어러블 제품을 위한 경량 반도체 설계기술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3) 소재・부품 분야
소재・부품 분야는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개정, 특별회계 신설,
예산지원(2조 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효과로 인해, 일본의 수출규제 관련 주요 3대
품목의 국내생산 확대, 수입국 다변화 등 공급안정화에 크게 진전을 보았다고 할 수 있다. 불산액의
경우, 공장 신・증설로 국내 생산능력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제3국을 통한 제품 테스트를 거쳐
생산에 투입되도록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불화수소가스의 경우, 신규공장 완공과 시제품
생산으로 생산기반을 확보하였고, 포토레지스트는 자체 기술개발과 투자유치로 국내 공급기반을
강화한 성과를 내었다. 다만, 아직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분야도 존재한다. 국내에서 연구가
거의 어려운 노광을 비롯해 원자 레벨의 두께 제어가 가능한 식각, 소자 초미세화가 가능한
증착, 원자층 수준의 평탄화 및 고선택비 세정, 고도화된 측정분석이 가능한 반도체 공정을 실현하기
위한 소재 및 부품기술의 연구개발이 공정개발과 연계되어 추진되고 있다.
2) 향후 전망
2021년 이후 DRAM은 1x 이하 공정으로의 스케일링 지속, DRAM 셀의 3차원 다단 적층
∙549 ∙
입체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EUV 리소그래피 공정도입 및 수율,
TAT(Turn-Around-Time) 최적화 등의 연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NAND Flash의
경우 향후 적층 가능한 단수의 증가가 한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어 단위 셀의 스케일링 기술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신규 유전막, 신규 채널 물질 등 신소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거셀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신소재 개발과 단위 셀 스케일링의 경우 연구결과를
직접 제품적용을 통해 검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실효성 있는 제품 특성 예측모델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시장의 중요한 축인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자동차, 산업로봇, 항공 등 차세대 제조산업
분야에 응용을 위한 지능형 센서, 신호처리, 제어, 고신뢰 설계기술이 연구 방향이 될 것이며,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가전, 헬스케어 등 차세대 가전산업 분야에 응용을 위한 CPU, GPU
설계기술 및 SW 설계기술 또한 중점 연구될 것이다. 또한, 전력기기, 신재생에너지, 원격검침
등 차세대 에너지산업용 응용을 위한 전원관리, 전력관리 반도체 설계기술이 연구개발의 방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에서도 시장변화에 따른 국가적 차원의 중요성 인식과 연구개발방향을 설정하고 있는데,
미국은 산・학・연 중심의 중장기 프로젝트를 통한 반도체 기초・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DARPA의
차세대 반도체 R&D 프로그램인 ‘ERI(Electronics Resurgence Initiative)’를 발표하여 미국
반도체 산업의 부활(Resurgence)을 도모하고 있다. EU의 경우 HBP(Human Brain Project)의
대형 프로젝트를 통해 전 세계 100개 이상의 연구기관과 협업하여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반도체 국산화를 위한 산업육성정책을 발표(2020.8.6.), 반도체와
소프트웨어(SW) 산업을 중심으로 최대 10년간의 비과세 혜택과 국가주도 펀드의 대대적인 금융지원
등을 통해 인공지능, 5G 통신 등 첨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표준화를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550 ∙
제9절 국방・재난안전 기술
1. 국방
우리나라의 국방 과학기술 수준은 세계 9위 수준으로 평가된다(국방과학기술조사서, 2019).
이는 세계 최강국인 미국의 약 80% 수준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룬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K-9 자주포 성능 개량, 155mm 사거리연장탄 개발, 지대공유도무기 개발 등 화력 분야는 높게
평가되었으나, 국방 모델링&시뮬레이션, 국방 소프트웨어(SW) 등 첨단기술을 포함한 기타 분야
과학기술 수준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여 미래형 첨단무기 체계의 연구개발 노력이 필요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이에 정부는 2020년 3월 4차 산업혁명(4IR) 시대의 신속한 기술변화에 대응하고, 국방 연구개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소요에 기반하지
않는 미래도전국방기술과 소요를 창출할 수 있는 신기술 및 선도형 기술 연구개발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사업수행 방식도 이전의 ‘계약’이 아니라 국가 R&D와 유사한 ‘협약’ 형식으로 바뀌
어 사업 관리가 한층 유연해지게 되었다. 또한, 이전까지 핵심기술 연구개발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됐던 ‘성실수행 인정제도’가 일부 무기체계 연구개발까지 확대되고, 국가 단독 소유의 지식재
산권이 민간 산・학・연과의 공동 소유로 전환되는 등 우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토대가 만들어져
향후 우리나라 국방 과학기술의 혁신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현재 북한의 비대칭전력 증가 및 주변국의 군사 위협이 지속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무기 소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선진국들은 더욱 강력한 첨단무기 개발에 집중하면서
관련 기술의 유출 통제와 관리가 한층 더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안보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독자적인 방위역량을 갖추기 위해서 첨단 무기체계 개발역량을 확보하고, 도전・혁신적
연구가 가능하도록 연구개발에 관한 개방형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국방기술의 국산화
등 국내 방위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추진전략이 필요하다.
2020년에는 국방 과학기술 연구 개발을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개발’로 전환하고, 개방과
협업을 통해 국방과학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기술이 소요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도전적 기술
개발을 위한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 제도를 신설함으로써 첨단 무기체계 국내개발을 통한 국방력
강화에 기여하였다.
∙551 ∙
2) 주요 성과
가) 국방진흥 재원투자 확대
2020년 정부예산 512조 3,000억 원 중 국방예산은 50조 1,527억 원으로, 정부예산의 9.8%를
차지한다. 2020년 국방예산은 전년 대비 7.4% 증가한 것으로, 그 중 방위력 개선비는 전년
대비 8.5% 증가한 16조 6,804억 원이다.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4IR) 시대에 부합하는 국방과학
기술 개발을 위해 국방R&D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국방R&D 예산 증가율은 2019년
11.3%, 2020년은 21.4%이며, 국가 R&D 예산에서 국방R&D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같은
기간 15.7%에서 16.2%로 증가하였다.
[그림 3-114] 2019년/2020년 국방연구개발 예산 현황
핵심기술개발 예산은 2019년 대비 986억 원을 증액한 4,013억 원, 핵심부품 국산화개발
예산은 2019년 대비 140억 원을 증액한 203억 원을 확보하여 독자적인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및 부품연구개발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방연구개발비는 국방비 대비 7.8%로서 「2019~20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
(이하 ‘정책서’) 목표(7.4%)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핵심기술연구개발비는 4.013억 원을 투자하여
국방연구개발비 대비 10.2%를 차지함으로써 정책서 목표(9.9%)를 달성하였다. 특히, 특정 무기
체계 소요에 기반하지 않고 혁신적 국방과학기술을 개발하는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비는 580억
원(핵심연구개발비 대비 14.4%)을 투자하여 정책서 목표(9.4%)를 초과하여 달성하였다.
또한, 기술독립성 확보를 위한 핵심부품 국산화개발비는 2019년 대비 45% 증가한 203억
원을 투자하여 2020년 목표인 163억 원을 초과 달성하였으며, 국방벤처기업 육성과 관련한
예산은 2019년 대비 103% 증가한 132.5억 원을 투자하였다.
∙552 ∙
<지향성 적외선 방해장비>
아군 항공기로 접근하는 적의 대공미사일의 고출력 또는
변조된 레이저 기만광원을 발사하여 적 미사일의 탐색기를
기만하는 전자광학 생존장비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
개전 초 갱도진지 및 후사면 유개화진지 내 적 장사정포를
최단 시간에 타격 가능한 전술지대지유도무기
[그림 3-115] 국방과학기술 개발 주요성과
<아이쓰리시스템: 감시카메라> <플라즈맵: 플라즈마 멸균기> <아이블토닉스: 초음파 센서>
[그림 3-116] 국방연구개발을 통한 경제적 성과
나) 국방과학기술 혁신전략 수립
「2019~2033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서」에서 제시한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별 중・장기 기술
발전 방향을 수립하였고, 「국방과학기술진흥실행계획」을 통해 국방과학기술 확보계획 및 개발
방안 등 주요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
사업」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였다.
구체적으로 군사적 요구능력, 기술발전 추세 및 기술개발 능력을 분석하여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별 중・장기 기술발전 방향을 수립하였으며 140개 세부 전략기술별 기존 핵심기술과제와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정책방향과 기술기획의 연계성을 점검하였다.
또한,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 중・장기 발전전략에서는 미래 군사력 혁신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인공지능, 양자물리 등 8대 게임체인저(Game Changer) 분야(양자물리, 합성바이오,
∙553 ∙
극초음속, 무인자율, 미래통신, 에너지, 인공지능, 우주)를 설정하여 연구역량 및 투자를 집중
하고, 다양한 아이디어 수용을 위해 아웃소싱(Out-sourcing)과 인하우스(In-house) 역량을
활용하고 하향식(Top-down)과 상향식(Bottom-up)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는 기획방식 등을
통해 국방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을 수립하였다.
[그림 3-117] 국방전략기술 8대 분야별 중・장기 기술발전 방향(예)
다) 국방연구개발 법・제도개선 성과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연구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국방연구개발 분야, 무기체계 획득 분야,
방위산업 육성 분야별 법적 근거 및 절차 마련을 위한 성과를 달성하였다.
국방연구개발 분야는 「국방과학기술혁신촉진법」 하위법령 제정(안) 마련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
업무처리지침」 전부개정을 통해 급변하는 기술변화에 적시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무기
체계와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산・학・연 중심으로 F+1년에 신속하게 착수하여 개발을 추진하는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를 신설하였다.
무기체계 획득 분야는 ‘신속시범획득사업’ 제도화를 통한 창의적인 민간 신기술의 시범운용
및 신속한 국방 분야 도입을 추진하였다.
방위산업 육성 분야는 「방위산업 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제정(안) 마련 및 무기체계
연구개발과 부품 국산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절차를 마련하여 방위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을 확립하였다.
∙554 ∙
[그림 3-118] 무기체계 패키지형 응용연구 사업
2) 향후 계획
방위사업청은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 제도를 활용하여 중점 기술 분야를 선정, 이를 통해 세계
최초・최선두권 기술 분야를 확보하고, 창의적인 민간 신기술의 군 시범운용 및 신속한 국방분야
도입을 위한 「신속시범획득사업」을 제도화할 예정이다. 또한, 사업유형 다양화 및 맞춤형 국산화
개발 추진을 가속화하여 부품국산화개발을 장려하는 등 국방과학기술 기반 방위산업 경쟁력을
제고할 예정이다.
신설되는 국방기술기획・관리・평가 전문기관(국방기술품질원 부설 방위산업기술진흥연구소)
조기 정착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실시하여 전문기관 중심의 종합적인 관리체계 정립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1) 미・러・중 극초음속 무기 개발
미국 국방고등연구기획국(DARPA)과 공군(USAF)이 극초음속 공기 흡입 무기 개념(HAWC,
Hypersonic Air-breathing Weapon Concept) 2개 타입에 대한 탑재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
했다고 9월 1일 발표하였다. 이번에 위험감소 마일스톤을 통과함으로써 2020년 말, 이들 무기개념
형상에 대한 최초 자유 비행시험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555 ∙
국방고등연구기획국(DARPA)은 2016년 9월 록히드마틴사와 1억 7,120만 달러 및 같은 해
10월 레이시온사와 1억 7,470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각각 체결한 후, HAWC 시제품 제작활동을
진행해왔다.
※ 출처 : 미국 국방고등연구기획국(DARPA)
[그림 3-119] 극초음속 공기 흡입 무기(HAWC) 개념 이미지
극초음속 무기는 마하 5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무기체계로 최대 장점은 기존의 무기체계
대비 고속 비행이 가능하고 고기동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극초음속 무기의 고속 비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탐지・추적・결심에 짧은 시간이 요구되며 또한 포물선 비행이 아닌 자유자재로 기동하기
때문에 현재의 미국 본토 및 항모의 미사일방어 체계로는 대응이 어렵다.
극초음속 무기의 운용 방식은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첫 번째는 항공기나 추력을 보유하고
있는 운반체에서 사출하여 초기 속도를 확보하는 방식인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HGV) 방식이다.
두 번째는 고체 부스터를 활용하여 초기 속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유도무기의 운용
방식과 같다.
현재 미국뿐만 아니라 러시아에서도 극초음속 무기를 개발 및 배치하고 있다. 러시아는 아방가르드
(Avangard)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에 대한 초도 비행시험을 성공했다고 2018년 12월 26일에
밝혔다. NPOM(NPO Mashinostroyenia)사가 개발한 아방가르드는 고체 추진 스크램제트
엔진을 탑재하고 마하 27의 속도로 표적을 공격하며 약 6,000km를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안보 위원회에 따르면 아방가르드 체계는 이미 UR-100UTTHkh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에 통합 적합성을 확인했다고 한다.
∙556 ∙
중국도 2019년 국경절 열병식에서 공개한 마하 10, 사거리 2,500km의 극초음속 무기 둥
펑(東風)-17호를 2020년 남동부 해안에 실전 배치한 것으로 홍콩 SCMP가 보도하였다.
(2) 미 육군, 인공지능(AI) 기반 음성인식체계 개발
미 육군연구소(ARL)는 남가주대학(USC) 창의기술연구소와 협력하여 새로운 대화형 인터페이스
체계인 JUDI(Joint Understanding and Dialogue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미 육군은 JUDI의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병사와 자율 시스템간의 양방향 대화형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JUDI의 대화 처리 방식은 통계적 분류를 통해 병사의 언어에서 의도를 해석할 수 있도록
기반을 두고 있으며, JUDI의 음성 인식장치는 소리가 울리고 시끄러운 전장 환경의 소음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특별히 설계된 음성모델을 활용하였다. JUDI 시스템은 병사의 대화 내용뿐만
아니라, 로봇의 시각, 청각 또는 레이더 매핑 등의 인지체계와 같은 여러 맥락의 소스를 활용하여
병사와 자율시스템 간의 협력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JUDI 시스템은 병사의 구두지시를 듣고 지시에 적용할 가장 중첩도가 높은 말을 찾아낼 수
있다. 병사가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명령어 목록을 암기해야 하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병사가 자율 시스템과 팀을 이루어 정찰, 수색, 구조 작업과 같은 상황에서 임무를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림 3-120] JUDI 시스템
∙557 ∙
이 기술은 장차 미 육군 전투능력발전사령부(CCDC, Combat Capabilities Development
Command)의 주도하에 항법・계획・인지・제어・추리 능력 등과 같은 인공지능체계가 요구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및 인공지능 사업에 관한 소프트웨어 구성품에 통합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육군이 보유하게 될 지식재산권은 업계의 파트너와 공유할 예정이다.
(3) 이스라엘, 캡슐형 드론 개발
이스라엘 SpearUAV사는 캡슐형 드론 니녹스를 개발・공개하였다. 니녹스는 스마트 캡슐에
밀봉된 상태의 쿼드콥터 형태 무인항공기시스템(UAS, Unmanned Aerial System)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로 작동하며, 발사체 및 캡슐 구경에 따라 103, 66, 40mm의 세 가지 모델이 있다. 공통적
으로 주・야간 카메라, 인공지능(컴퓨터비전), 자동표적추적, 유도알고리즘, GNSS, 관성측정장치,
양방향 보안데이터링크, 내장형 망네트워킹 및 군집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니녹스 103은 무게가 약 2kg으로 길이 1,050mm의 캡슐을 사용한다. 최대 1.5kg을 탑재할
수 있으며, 60분의 체공시간, 10km의 가시거리(LOS), 1,000시간 이상의 운용시험 및 시연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탑재 플랫폼에 따라 UAS의 크기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SpearUAV사
[그림 3-121] 지상・해상・공중 플랫폼용 니녹스103
니녹스 66은 무게가 약 1kg으로 420mm 길이의 캡슐을 사용한다. 20 노트의 풍속에서 700g을
탑재할 수 있으며, 체공시간은 50분, 통달거리(LOS)는 10km로 추정된다. 니녹스 40의 무게는
약 500g으로 250g 정도의 ISTAR(Intelligence Surveillance Target Acquisition and
Reconnaissance) 탑재체를 포함하며, 체공시간은 40분, 통달거리(LOS)는 4km 정도이나 추가
∙558 ∙
적인 연결을 통해 비행거리를 15km까지 늘릴 수 있다.
SpearUAV사의 캡슐형 드론 기술은 사용자가 탄약을 다루는 방식과 유사하게 운용하고 회수할
수 있으므로 향후 다양한 임무에서 전술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스라엘 국방부는 신속하게
이 기술에 투자하여 현재 니녹스 체계 중 최소 2종을 시험평가용으로 획득하였으며, 근시일
내에 운용평가 및 운용 단계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특히, 니녹스 40 개발에서 관심을 끄는 부분은
ISTAR 장비 대신에 살상력 있는 탑재체를 싣는 것으로, 이 경우 보병부대가 사각지대에서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초고속 수중통신용 광 Wi-Fi
최근 스위스의 Hydromea사는 광 펄스를 이용해 수중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LUMA라는
수중 모뎀을 공개하였다. 물에서는 전자파가 잘 통과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높아
짐에 비례해 물에서의 파장 흡수율이 높아지고, 특히 적외선 파장을 쉽게 흡수한다. 그러나
녹색광과 청색광의 파장(약500nm)에서는 비교적 낮은 흡수율을 갖기 때문에, 청색광을 사용
하여 수중에서 장거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LUMA는 데이터를 광 펄스로 변환하여 송신
하고, 역으로 수신한 광 펄스를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Hydromea사, 영국의 Sonardyne사,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IT)의 링컨(Lincoln) 연구소 등에서는 청색광을 이용한 수중통신 제품을 연구하고 있다.
[그림 3-122] Hydromea사의 LUMA-X(좌), MIT링컨연구소(MITLL)의
2018년 수중통신 기술을 적용한 해저로봇(우)
2020년 10월 출시가 발표된 Hydromea사의 LUMA-X는 10Mbps 전송속도로 120도 콘의
범위에 대해서 수중통신이 가능하며 어두운 물에서 통신을 위한 LOS가 불필요할 정도로 민감하다.
Sonardyne사는 약 10m 단거리 고신뢰성 통신용 장비 BlueComm 100을 출시했으며, 150m
∙559 ∙
전송거리를 기존의 VLF, ELF 전자파에 비해 월등한 10Mbps 전송속도로 수중통신 실험을 수행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음향이 수면에서 RF로 전환되는 현상을 이용한 TARF(Translational Acoustic-RF
communication) 기술 또한 수면 위의 항공기와 수중의 잠수함 간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5) 국방 분야 5G 적용 사례
5G 기술은 기존의 저지연 음성통신 및 시각적 전장통신 뿐만 아니라, 최신 전투관리 및 상황인식
응용 프로그램 운용에 필요한 방대한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임무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Below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
파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 비면허 대역과의 연동까지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물리적 특성상 낮은 주파수에 비해 장애물을 통과하는 투과력이 약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5G 표준 기술로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을 도입하였다.
미 국방부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플랫폼에 대한 빔포밍 기술을 강화하는 소위 ‘스마트안테나’에
대해 연구를 수행 중이다. 또한, 5G 기술로 강화된 무선 네트워크 고밀도화와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을 통한 네트워크 정보 증가 여부, NLCC(National Leadership
Command Capabilities) 네트워크, 군사시설 통신 네트워크의 보안 개선 등을 고려 중이다.
※ 출처 : ITU
[그림 3-123] 4G와 5G 기술의 차이
∙560 ∙
2020년 5월까지 미 국방부는 전국 스펙트럼 컨소시엄(National Spectrum Consortium)
회원으로부터 제안서를 접수하고, 미 육군의 루이스맥코드 합동기지와 미 공군의 힐 기지를
대상으로 혼잡하거나 혹독한 환경에서의 5G 능력과 AR・VR 실험을 추진 중이다.
2019년 11월, 미 국방부는 조지아 주 올버니 지역에 소재한 해병대 군수기지와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해군기지 두 곳을 5G 적용을 통한 스마트 창고 및 시험시설로 선정한
바 있다. 또한, 2019년 미국 뉴포트뉴스 조선소는 미국 방산업체 중 첫 번째로 5G 네트워크화
된 해군 조선소를 공개하기도 하였다. 조선소 엔지니어들은 5G에 연결된 AR 고글을 착용하고
3D 도면을 그리거나, 함정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실시간 영상회의를 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2018년 말, 에어버스는 캐나다에서 고고도 기구를 이용해 4G/5G 성층권의 통신시험을 수행하였다.
태양광 무인기 제피르(Zephyr)와 같은 고고도 플랫폼으로 지속적이고 안전한 통신 셀을 조성하여,
다양한 항공기에 정보를 중계하는 NFTS(Network for the Sky) 프로젝트를 사전 테스트하기
위함이었다. 뿐만 아니라, 전투 클라우드, 재밍 개선, IoT와 UAV 운용 시 5G의 초저지연 특성을
활용하도록 고정 센서 및 이동식 센서 사용방안을 검토하였다. 탈레스도 5G 기술에 관한 무선
단말 및 기반시설,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연구 중이다.
[그림 3-124] 에어버스 NFTS 프로젝트 개념도
(6) 호주 국방과학기술 전략 사업 ‘DST Strategy 2030’
올해 4월 호주방위군(ADF)이 발표한 ‘DST(Defence S&T) Strategy 203096)’은 미국의 문샷
(Moonshot) 프로젝트를 벤치마킹하여 구체적이며 도전적인 소수의 문제에 전략적 연구노력을
96) https://www.dst.defence.gov.au/strategy/defence-science-and-technology-strategy-2030
∙561 ∙
집중하기 위해서 3성 장군의 지휘 아래 8개 STaR SHOT을 추진한다. 각각의 STaR SHOT은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워게이밍, 프로토타이핑, 실험 및 시험, 그리고 호주방위군(ADF) 연습
기간에 시연까지 과정을 포함하며 10년 이내에 도약 능력을 입증할 수 있도록 추진하는 국방
과학기술 전략 사업이다.
※ 출처: 호주 국방성 홈페이지
[그림 3-125] 호주 ADF의 ‘DST 전략 2030’과 8개 STaR SHOT 개념도
8개의 STaR SHOT은 ①탄력적인 다중-임무 공간(Resilient Multi-Mission Space), ②정보전
(Information Warfare), ③민첩한 지휘통제(Agile Command And Control), ④양자 암호화
위치・항법・시각정보(PNT)(Quantum Assured PNT), ⑤파괴적인 무기 효과(Disruptive
Weapon Effects), ⑥CBRN 환경에서 작전(Operating In Cbrn Environments), ⑦전투 준비된
플랫폼(Battle-Ready Platforms), 그리고 ⑧원격 해저 감시(Remote Undersea Surveillance)
이다. 특히, 저궤도 스마트 위성군(LEO Smartsat constellation) 운용을 통한 탄력적인 다중-임무
공간(①Resilient Multi-Mission Space), 양자 암호화 기술 기반의 위치・항법・시각정보(PNT)
서비스(④Quantum Assured PNT), 원격 해저환경 감시를 위한 수상/해저 센서, 정보처리,
통신 및 데이터 융합 체계(⑧Remote Undersea Surveillance) SHOT의 추진이 인상적이다.
(7) 미국 국방과학기술 혁신 전략
미국은 2014년부터 제3차 상쇄전략을 수립하고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무인, 장거리 공중,
저피탐 공중, 수중 및 복합체계통합(GSS) 작전의 5대 핵심군사역량 확보에 집중해오고 있다.
∙562 ∙
역량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딥 러닝, 신속 의사결정 지원체계, 유무인 통합체계, 병사
전투능력 향상체계, 네트워크 자동화체계 등 4차 산업혁명(4IR) 핵심기술이 필수적이라고 판단
하고 있다.
※ 출처 : KIET, ‘중소벤처기업 친화형 방위산업 생태계 조성전략, 2019.
[그림 3-126]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Offset Strategy)이 요구하는 핵심기술
미국 실리콘밸리 중심인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 본부를 둔 국방혁신센터(DIU, Defense
Innovation Unit)가 2018년 8월부터 미 국방성 연구개발차관실에 정식 편제되었다. DIU는
기존 중장기간 소요되는 무기전력화 사업의 공백을 보강하고 4차 산업혁명(4IR) 관련 첨단 민수기술의
국방분야 적용 확대를 위해 민군 간 교량 역할과 3차 상쇄전략 추진의 중요한 동력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DIU를 통해 민간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5개 최첨단 기술 분야, 즉 인공지능(AI),
자율화(autonomy), 사이버(cyber), 휴먼 시스템(human systems), 우주(space) 등에 집중함으로써
특전부대용 초소형 드론, 브래들리 장갑차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정비모니터링 시스템
(Uptake사), 클라우드 기반 항공통제센터 현대화(Pivotal사), 딥 러닝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초소형
인공위성군 개발(Capella Space사) 등을 주도하고 있다.
DIU는 기존 무기획득절차와는 달리 신속획득법령(OTA)의 규정 내에서 민간기업의 최초제안서
(CSO) 접수 후 3개월(90일) 내 계약을 체결하고, 2년(24개월) 내 시제품(Prototypes)을 제작한
다음, 군 시범을 거쳐 후속양산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2020년 초 발간된 DIU의 2019년도
연감은 최근 4년간 시제품 제작에 평균 362일이 소요되었다는 경이로운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미국 국방 및 방산 분야 혁신의 또 다른 트렌드는 MIT, 텍사스주립대, 카네기멜론대 등 우수한
대학 연구소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 국방부와 미 육군 등은 대학 연구소와의
∙563 ∙
협업을 단순한 국방R&D 협력 차원이 아니라 적대국에 대응한 세계 최고의 군사기술력 확보를
위해서 매우 절실하고 유일한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미 육군은 2018년 7월 1일 ‘육군 현대화’를 주 임무로 하는 미래사령부(Army Future
Command)를 창설, 적대국 대비 육군 주요 무기체계의 노후화 심화, 개발기간 장기화(10~15년)의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 사령부 본부를 텍사스대 오스틴(UT Austin)에 두어 대학교,
기업, 창업 허브와 근거리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육군 획득 분야 혁신을 주도하도록 하였다.
<표 3-76> 미 ‘육군 현대화’ 6대 우선순위
※ 출처: 미 교육사령부, ‘육군 현대화’ 전략, 2018.
2) 국내 동향
가) 민군기술협력사업
민군기술협력사업은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에 따라 1999년부터 시작된 대표적인 범
부처 협력사업으로, 지난해까지 20년간 총 1조 3,441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최근 5년간 기술
개발 누적 실용화율은 69%로 사업 성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564 ∙
※ 출처 : 방위사업청
[그림 3-127] 민군기술협력사업 체계도
올해 투자액 1,772억 원은 지난해 1,540억 원에 비해 15% 증가한 것으로 10개 부처에서
신규과제 44개 포함해 총 195개 과제에 투자되었다. 부처별로는 방위사업청 863억 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391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365억 원, 국방부 49억 원, 국토교통부 36억 원, 문화체육
관광부 20억 원, 해양수산부 19억 원, 기상청 13억 원, 중소벤처기업부 8억 원, 해양경찰청
3억 원 등이다. 사업별로는 민군기술겸용개발사업(Spin-up)에 1,593억 원, 민간기술이전사업
(Spin-on&Spin-off)에 110억 원이 투입되었고, 웨어러블 로봇 개발을 위한 복합신호기반 인체
-기계 고속동기화 제어기술 개발 사업 등은 다부처 연계 핵심기술 협력사업으로 추진되었다.
다) 미래국방혁신기술개발사업
대내・외 안보위협과 급속한 미래전장 변화에 한정된 병력・전력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기술에 기반한 미래국방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군수요 중심 국방R&D 체계와 국가R&D
역량의 국방 분야 활용 저조로 인해 기존의 국방R&D만으로는 혁신적 국방기술 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19년 6월 미래국방혁신기술
개발사업에 착수하였다.
∙565 ∙
2019년 정책연구과제로 ‘미래국방 기초원천 R&D 분야별 상세 기술기획 및 생태계 구축방안
연구’가 수행되었다. 국가 R&D 혁신역량을 혁신적 미래국방 기술로 연결하기 위해 미래국방
기초원천 R&D의 분야(요소기술)별 상세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창의・도전적 R&D 수행을 위한
세부기술별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상세 기술로드맵에는 예비타당성조사 규모의 사업 기획이
포함되었으며, 2020년 추가 정책연구의 수행을 통해 핵심기술기획서와 중복성을 최소화하고자
사업범위와 예산규모를 조정하였다.
올해에는 산・학・연 보유역량 기반 상향식(Bottom-Up) 기획, 경쟁형 R&D(토너먼트형) 등을
통해 미래전장을 변혁하는 혁신기술을 개발하는 ‘기술주도형’ 7개 과제에 약 24억 원과 장기적
국방기술 수요에 기반한 기획 및 경쟁형 R&D(병렬형) 등을 통해 국방수요 맞춤형 기초원천
연구를 수행하는 ‘수요견인형’ 9개 과제에 약 26억 원 등 총 약 53억 원을 투자하였다. 과제는
3년 30억 원 내외의 집단연구와 3년 4억 원 내외의 개인연구로 구성되며, 연구목표는 기술성숙도
(TRL) 2~4 수준이다.
라)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은 소요가 결정된 무기체계 중심의 기존 국방R&D 틀에서 벗어나
소요가 결정되지 않았거나 예정되지 않은 무기체계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2020년에는 245건의 과제 중 민・관・군 평가단의 평가를 통해 ‘신종 바이러스 대응 신속 해독
플랫폼 개발’, ‘자유공간 얽힘 양자 송수신 기술’ 등 28건을 선정하고 12월에 개발에 착수하였다.
2018년 69억 원을 시작으로,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의 추진 근거 및 절차 등을 포함한
‘핵심기술 연구개발 업무처리 지침’ 개정을 통해서 2019년 200억 원, 2020년 580억 원으로
예산을 증액, 미래전장 운용개념을 변화시킬 수 있는 양자물리, 합성 바이오, 극초음속, 무인
자율, 미래통신, 에너지, 인공지능, 우주 등 ‘8대 게임 체인저’ 발굴에 연구 역량과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2025년까지 국방 R&D 예산의 5%(약 2천억 원)까지를 사업 예산으로 확보해 안정적인 투자
여건을 통해 국방 R&D에도 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환경을 연구자들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566 ∙
※ 출처 : 미래 도전 국방기술 개발사업 중・장기 발전전략
[그림 3-128] 미래 도전 국방기술 개발사엄 432 추진전략
마) 특화연구센터 운영
특화연구 사업은 우수 연구인력의 기술 잠재력을 국방기술개발에 접목함으로써 국방 분야
핵심 기초기술을 확보하고 관련 분야 인력양성과 저변 확대를 위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
관에 설립하여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화연구센터는 컨소시엄 형태의 센터단
위로 설치, 단계별 3년씩 2단계로 6년간 운영함을 원칙으로 하고, 최대 3단계로 9년간 운영
할 수 있으며, 센터과제의 성격 및 목표에 따라 1년 단위로 단축하거나 연장할 수 있다. 특화
연구센터는 1994년부터 시작해 그동안 총 32개의 센터를 설립되었으며, 2020년 말 현재
KAIST가 주관연구기관인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등 9개의 특화연구센터를 운영
중이다.
올해 특화연구센터는 ‘광역 방어’와 ‘하이브리드 파워팩 전주기 관리’ 2개, 특화연구실은 ‘인공
지능 비행제어’, ‘스텔스 대형 플랫폼 전파해석’, ‘수중 운동체 장기체류’ 3개 사업의 신규 착수가
각각 결정되었다.
∙567 ∙
3) 향후 전망
미국 뉴 디펜스와 제3차 상쇄전략 구현의 핵심은 기존 중장기간 소요되는 무기전력화 사업의
공백을 보강하고 4차 산업혁명(4IR) 관련 첨단 민수기술의 국방 분야 적용을 확대하기 위해서
국가연구기관 중심에서 대학 연구소로 국방R&D 핵심기관을 전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미
국방부와 미 육군 등이 대학 연구소와의 협업을 단순한 국방R&D 협력 차원이 아니라 적대국에
대응한 세계 최고의 군사기술력 확보를 위해 매우 절실하고 유일한 방법이라고 인식한다는 것이
우리나라와 다른 점이다.
한국의 우수 대학과 우수 출연연구기관의 고유 임무에 ‘국가안보를 위한 첨단기술개발’ 임무를
추가로 부여하고 관련 다부처 예산을 지속 투자하여 국가 R&D와 국방R&D 간 융합의 구조로
전환하여야 한다. 연구기관별 강점 분야에 특화된 국방R&D 역량을 강화해나가도록 국가가 지속
지원함으로써 민군협력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국방・비국방 분야를
포괄하는 국가R&D 예산 투자의 효율성과 시너지를 제고함과 동시에 기존의 경직된 국방R&D에서
유연한 국방R&D로의 전환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차 산업혁명(4IR) 시대는 과학기술이 운용개념의 변화를 선도하는 시대, 더 나아가 과학기술력이
바로 국방력, 나아가 국가안보 역량으로 이해되는 시대를 의미한다. 국가과학기술 핵심역량의
현재와 미래는 대학에 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 핵심 지식과 각 분야와의
융합 역량(AI+X)을 갖춘 최고급 선도 연구자를 양성하기 위해 2019년 3개 대학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총 8개 대학에 ‘인공지능(AI) 전문대학원’ 프로그램을 개설한 바 있다. 국방 분야에서도
미래 지향적이고 전방위적인 국방R&D 혁신을 위해 ‘국방 전문대학원’ 프로그램 신설을 신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2. 재난안전
2020년은 코로나 19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하여 유례없는 피해가 발생한 한 해였다.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국민의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으며, 국가의 국민 보호 의무는 더욱 중요해진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재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개발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정부는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거 5년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종합계획(이하 제3차 종합계획)’을
∙568 ∙
수립・시행하고 있다. 2020년은 제3차 종합계획 시행 3차년도이며, 연도별 시행계획을 통해
국가 차원의 재난안전 분야 연구개발사업 진행사항을 매년 점검하고 있다.
1) 주요성과
가)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성과
제3차 종합계획은 재난안전 분야 R&D 사업 추진의 중장기 법정 계획으로, 2020년은 시행한
지 3년째 되는 해이다. 주요 추진성과로는 2019년 정부의 재난안전 R&D 투자실적은 1조 555억
원이며, 이는 2018년 투자실적 대비 21.5% 증가한 규모이다. 부처별 현황을 살펴보면 과학기술
정보통신부는 2,433억 원(23.1%)로 가장 많은 투자를 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1,080억 원
(10.2%), 국토교통부 924억 원(8.8%), 식품의약품안전처 858억 원(8.1%), 해양수산부 804억
원(7.6%) 순으로 상위 5개 부처가 전체 예산의 57.8%를 투자하였다.
재난유형별 투자는 사회재난 6,978억 원(66.1%), 안전사고 1,787억 원(16.9%), 자연재난
1,273억 원(12.1%), 재난안전일반 432억 원(4.1%), 기타 86억 원(0.8%) 순으로 추진되었다.
사회재난은 감염병 및 방사능 등에, 안전사고는 식품사고 및 농어업사고 등에, 자연재난은 지진
및 호우・홍수 분야에 투자가 집중되었다.
재난관리 단계별 투자는 예방 4,681억 원(44.4%), 대비 2,378억 원(22.5%), 대응 2,610억
원(24.7%), 복구 533억 원(5.1%), 기타 353억 원(3.3%)이 투자되었다. 예방・대비 단계의 지속적인
투자로 선제적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현장 대응 및 복구(조사분석 포함) 단계에는 지속적인
사업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3-77> 2019년 부처별 투자계획 및 실적
(단위: 억 원)
구
분
합
계
과
기
정
통
부
행
안
부
농
식
품
부
산
업
부
복
지
부
환
경
부
국
토
부
해
수
부
중
기
부
경
찰
청
소
방
청
농
진
청
산
림
청
기
상
청
해
경
청
식
약
처
원
안
위
계획 10,517 2,563 595 439 1,122 698 781 833 821 98 177 149 302 53 420 172 858 434
실적 10,555 2,433 568 435 1,080 667 759 924 804 104 186 149 414 78 489 172 858 434
※ 출처: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0년 시행계획’, 2020.
2019년도 재난안전 R&D 성과의 경우 현장 실용화 중심의 연구개발에 집중한 결과 기술적
성과(특허) 및 경제적 성과(기술료, 사업화)가 작년보다 증가하였으나, 과학적 성과(논문) 및 사회적
∙569 ∙
성과(법・제도 제・개정)는 다소 감소하였다.
세부적인 성과를 살펴보면 과학적 성과의 경우 국내 논문 게재 건수는 1,220건으로 2018년
대비 2.6% 증가하였으나, SCI 논문의 경우 1,223건으로 2018년 대비 2.5% 감소하였다. 기술적
성과의 경우 국내 특허출원・등록 건수 모두 2018년 대비 25.2%와 30.8% 증가하였으며, 국외
특허출원 또한 20.0% 증가하였다. 10억 원당 국내 특허의 경우 출원 0.88건, 등록 0.51건이었으며,
국외 특허의 경우 0.13건, 0.04건의 R&D 특허 성과가 집계되었다.
경제적 성과의 경우 사업화 건수는 2018년보다 38건 증가, 기술료 및 매출액의 경우 전년과
비교하여 10.8억 원 및 349.6억 원 증가하였다. 10억 원당 기술료 징수액은 2.65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국가 전체 R&D 기술료 성과(0.12억 원)의 22배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
성과는 인력양성은 2019년 대상사업을 통해 총 542명, 법・제도 제・개정 526건과 정책반영
114건이 발생하였다. 10억 원당 인력양성 실적은 0.52명, 법제도 개선 실적은 0.50건, 정책반영
실적은 0.11건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제3차 종합계획의 추진전략인 재난안전 기술만족도, 재난안전 기술수준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성과지표 달성현황을 점검하였다. 이를 위하여 17개 부처 재난안전 전문가 약
600명을 대상으로 ‘재난안전 기술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국내 재난안전 전문가 약 1,200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최고기술국(미국, 일본 등) 대비 기술수준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연구품질
및 전문성, 기술개발 환경, 사회・경제적 성과 등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만족도는 66.3%로 분석되었으며,
예방, 대비, 대응, 복구 4개 단계의 24대 핵심역량 평균 기술수준은 2018년(74.7%)보다 전반적으로
향상된 76.3%로 조사되었다.
나) 2020년 재난안전 R&D 투자현황 분석
2020년 재난안전 분야 R&D 예산은 1조 2,810억 원으로, 국민 안전기본권 및 삶의 질 확보에
따른 재난안전 분야 R&D의 지속적 투자됨에 따라, 제1차 종합계획 수립 이후(2007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예산은 지속적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부처별로 투자계획을 분석한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2,530억 원), 산업통상자원부(1,670억
원), 국토교통부(1,145억 원), 해양수산부(1,033억 원) 순으로 투자하며, 상위 5개 부처의 투자
비중이 57.7%(7,398억 원)로 부처 편중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570 ∙
* 출처: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0년 시행계획’, 관계부처 합동
[그림 3-129] 부처별 재난안전 분야 R&D 투자계획(’20년, 단위: 억 원)
재난유형별 투자는 사회재난은 감염병(1,286억 원), 안전사고는 농어업 사고(494억 원), 자연
재난은 지진(584억 원)에 집중되고 있다. 선제적 재난관리를 위하여 재난관리 단계별로는 예방・
대비 단계에 전년대비 1,507억 원이 증가한 8,566억 원(67%)이 집중 투자되었다.
∙571 ∙
※ 출처 : 관계부처 합동,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20년 시행계획’, 2020.
[그림 3-130] 재난관리 단계에 따른 부처별 투자계획 비율(2020년, 단위: %)
재난안전 연구개발 사업의 특성상 기초연구보다 현장 활용성 및 실용화 등 개발 및 응용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별 투자는 안전사회 조성 및 관리 5,810억 원(45.4%),
통합재난관리 6,426억 원(50.2%), 분류되지 않는 과학기술과 재난안전 574억 원(4.5%)이 투입되었다.
2) 향후 계획
앞으로는 코로나 19의 지속적인 유행으로 인하여 국민의 불안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국민・지자체의 직접참여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개발 전 주기에 국민 참여를
통한 맞춤형 연구개발사업 및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산・학・연 주도의 지역현안 해결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민과 전문가의 재난안전 R&D에 대한 인식과 재난안전 기술수준 체감도를
사업 발굴 및 성과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나. 연구 동향 및 전망
UN 산하 기구인 UN DRR(UN Disaster Risk Reduction)에서 정의한 재난이란 “공동체
또는 사회의 기능에 심각한 혼란을 초래하며, 공동체 또는 사회가 자체 자원을 사용하여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한 상황이 광범위한 인적, 물질적, 경제적 또는 환경적 손실과 영향을 수반되는
사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난은 자연재해가 심각한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 아시아 내륙 지역
등에서 자주 발생하며, UN DRR은 이들의 “회복 탄력성”을 높여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572 ∙
출범하였다. 재난대응기술이란 UN DRR에서 정의한 센다이 프레임워크(Sendai Framework)에
따르면, 재난 후 회복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드론, 로봇, ICT 등의 기술을 의미한다.
재난 사이클에 따른 ICT의 활용 사례는 아래 그림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 출처 : C.J. Van Westen and others, “Multi-Hazard Risk Assessment: Distance education course – Guidebook”,
United Nations University – ITC School on Disaster Geo-information Management, 2011.
[그림 3-131] DRM(Disaster Risk Managerment) cycle and the importance
of ICTs in various activities and phases
재난대응기술은 크게 재난 발생 전에 필요한 재난 예측・예방기술과 재난 발생 후에 필요한
재난 대응・복구기술, 재난구조기술로 나눌 수 있다. 재난대응기술은 최종 사용자가 국가기관이라는
점 때문에 학계 또는 정부 출연기관에 의해 연구되거나, 정부조달로 산업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재난 상황은 통신, 교통, 전력 등의 인프라가 파괴되는 대형 재난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해야 하므로 5G 등 기존 통신망을 활용하는 기술뿐 아니라, 이에 의존하지 않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573 ∙
<표 3-78> 재난대응기술 분류 및 설명
구분 설명
재난 예측 기술
∙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을 예측하거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피해 구역을 예측하는 기술이다. 지진 예측,
홍수 예측, 산불 예측 등의 기술이 있다.
재난 대응・복구
지원 기술
∙ 재난이 발생한 후 조기 경보, 대피 유도, 위험 구역 봉쇄,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긴급 대응 및 피해 추정,
SOC 복구에 필요한 기술이다. 산불 진압용 훈련 시뮬레이터, 재난 구역에서의 근거리 통신, 스마트글래스
활용, SOC 파괴 시설 매핑, 드론을 활용한 Flying router, 중량물 제거 로봇 등이 있다.
재난 구조 기술
∙ 재난 발생 지점에서 실종된 사람을 수색하고 구조하는 기술이다. 초음파, Radar, Lidar, 음파감지 등을
활용한 수색, 로봇을 활용한 위험 구간으로의 진입 등의 기술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진, 산불, 쓰나미, 홍수 등의 대형 재난이 적어 다른 국가 대비 재난대응기술이
크게 발전하지 못하였다. 또한, 정부 및 공기관 주도의 연구개발 및 용역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미국, 일본 대비 수출 경쟁력이 떨어지고, 완성도를 높이는 후속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동향
지진 산불, 쓰나미 등의 국가적 차원의 재난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미국, 일본의 경우
민간 차원의 재난 관련 기술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특히, 대형 재난 시에 사회 인프라가 파괴된
조건에서도 활용 가능한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는데, 통신망이 파괴된 조건에서는 스마트폰의
Wi-Fi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개인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SERVAL, 20~30 피트 깊이의 파괴된
잔해 속에서 생존자의 맥박과 호흡을 레이더를 이용하여 찾아내는 Finder, 지형 및 인프라의
고해상도 3D 렌더링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인 ALIRT(Airborne Ladar Imaging Research
Testbed) 등이 있다.
한편, 재난 시 재난 복구 및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참여기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플랫폼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구글은 재난 상황
시 소셜미디어로 올라오는 사진과 포스팅 정보를 바탕으로 재난 발생 추정 위치, 파괴된 도로망,
건물의 위치를 구글맵에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 정보와 인공위성 데이터,
도로 영상 정보를 활용하는 무인 구조용 드론, 로봇, 차량, 지능형 구조・재난 복구 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드론이 재난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미지 촬영을 활용한 재난상황 매핑
기술, 재산 피해 평가 기술, 열화상 센서 기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존자 검색, 유틸리티
∙574 ∙
및 인프라 손상 평가, 재난 지역의 전・후 지도 생성 기술, 통신망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의
임시 Wi-Fi를 탑재하여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Flying Router 기술이 발달되어 있고, 재난으로
인해 도로 및 건물 파손 지역에서의 긴급 구조대 지원을 위한 물품 공급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재난 관련 데이터들이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많은 민간기업들이 이를 활용하여
재난대응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재난예측시스템,
초동대응솔루션, 구조 인력 및 물품 공급망 최적화 등이 민기업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또한,
대형산불 진압을 위해 필요한 훈련 시뮬레이터, 스마트 글라스를 활용한 지능형구조시스템 등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고, GPS와 디지털트윈,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실내위치인식(Indoor
localization) 기술이 연계된 지능형구조지원시스템도 개발되어 활용 중이다. 아울러 재난 예측・
예방 기술의 고도화도 이루어져 있다. Fluke 사의 음향탐지기술은 미량의 화학물질 유출, 구조의
균열 등을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기술 수준에 이르 고, 진동 센서를 활용한 건축물의 붕괴 예측,
액체 검출 센서를 활용한 홍수 예측, 일산화탄소 검출을 통한 산불 감지를 예측・예방하는 기술들
이 상용화되고 있다.
나) 국내동향
민간에서의 재난대응기술은 ①드론 활용기술, ②재난대응 통신기술, ③재난 시 구조대피기술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작은 규모의 내수 시장으로 인해 많은 기술이 산업안전 진단・분석・
예측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그것을 대형 재난 상황에서 확대 적용하는 형태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었다. 또한, 산업안전 진단 분야의 산업 규모도 크지 않아 전체적으로 관련 시장의 규모가
작고, 그로 인해 참여 기업의 수가 적으며, 재난 대응 기술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기업은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민간에서 기술 고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통신, 전력망이 파괴된 조건에서
활용 가능한 재난대응기술의 개발이 미비한 수준이다. 미국 일본이 주도하는 글로벌 재난대응기술
시장에서 국내 민간의 기술 수준은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 대응에 주요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선도적 기술의 연구개발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 IT 업계를 중심으로 실내위치인식(Indoor localization), 참여형 공간정보(VGI)
플랫폼 기술은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충분히 활용되었고, 음향 센서를 활용한 각종 구조물,
화공 시설 등의 재난예측시스템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또한, 재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초소형
양방향 통신기기, 넥밴드형 360도 영상 촬영용 기기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수준이다.
하지만 이들 기술은 모두 일반적인 재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기술일 뿐이고, 통신, 전력망이
파괴된 대형 재난 상황에서는 활용할 수 없는 기술들이라는 한계가 있다.
∙575 ∙
드론을 활용한 기술들은 국내 시장에서도 어느 정도 발전되어 있다. 드론 기술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ICT 기술과 접목하여 구조, 조난자 수색, 피해 예측, 안전 진단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드론은 지진대비훈련, 산악구조, 산림감시에도 활용되고 있으며, LTE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드론 제어, 재난지역 영상 매핑 지도 구성, 재난지역 긴급 물품 운송,
충돌방지 드론 등의 기술도 상용화되었다. 또한, SOC의 디지털트윈, 자동재난평가시스템, 실종자
예측기술,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재난안전 인증제품, 사물인터넷(IoT) 기반 재난안전 조명,
내진형 배전반, 난간 겸용 접이식 옥외 대피계단, 저시정(Low Visibility) 영상개선 CCTV 카메라
등이 상용화되었다.
<표 3-79> 원격 감지(remote sensing) 기술 및 공간정보(spatial data)를
Disaster Risk Management에 적용하기 위한 요건
※ 출처 : UN ESCAP / APCiCT, “ICT for Disaster Risk Management” Third Edition, 2020.
국내 산업 중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재난 안전에 대응하기 위한 보호구 및 장치의 제조 산업이다.
여러 중소기업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중대 재난의 발생 빈도가 일본, 미국,
중국 등에 비해 현저히 낮고 해외의 인증 기준과 상이하며, 정부 기관에 의한 조달시장에만
의존하고 있어 기술의 고도화나 글로벌 경쟁력이 매우 취약하다. 행정안전부의 우수재난안전인증제
사업화 지원 제도가 있으나, 인증 후 조달시장 진입이 어렵고, 가점 부여가 약해 수의계약 혜택
등의 인센티브가 없어 민간의 연구개발이 활발하지 않다. 또한, 재난 용품들의 원천기술이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기술의 고도화가 어려우며, 대부분 제품이 단순 아이디어 상품에 지나지
않아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576 ∙
2) 향후 전망
2020년을 강타한 코로나 19가 확산되는 조건에서 추가로 지진, 홍수, 쓰나미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복합 재난 발생 상황에서는 무인 시스템의 활용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대표적인 무인
시스템인 드론은 인공지능과 영상판독기술을 탑재하여 더욱 고도화될 것이다. 도심 및 국가
주요 시설의 디지털트윈 정보와 영상 고도화를 통한 재해 지역 조사, 조난자 수색, 구조, 붕괴
조짐 등의 2차 연쇄 재난 방지 기술 등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기술들은 재난 대응
기술뿐만 아니라, 산업계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어 사업화에 유리하며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도
높다.
산업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 빅데이터, 영상 인식 기술이 발달하였으나, 아직 산업 분야로의
응용 분야 확대가 부족한 상황인데, 대기업과 스타트업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X, Digital Transformation)이 본격화될 경우, 이들 기술이 재난 분야로 확대될 것으로 판단
된다. 특히, 무인 로봇, 무인 지게차 등의 기술은 적극적으로 SOC 복구에 사용될 것이다. 다만,
산업계의 DX 추진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는 만큼 재난 분야로의 기술 확대 속도도 느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안전에 대한 시민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시민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재난대응기술로의
확대도 예상된다. 재난 대응 물품, 대피 유도 기술, 재난 대응용 인공지능 챗봇 시스템, 장애인들의
대피를 지원해줄 수 있는 ICT 기술, 대피 유도 기술,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피 정보 안내 기술,
실내에서 운용 가능한 구조용 드론 기술이 고도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내위치인식(Indoor
localization) 기술은 일반 시민의 대형 건물 내에서의 Navigation system은 물론, 재난 구조,
드론 활용, 대피 유도 기술과 접목되어 많은 성장이 예상된다.
∙577 ∙
제10절 건설・교통 기술
가. 연구개발사업 추진현황 (해당 파트 추가)
국토교통 R&D사업은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3.0% 확대되었으며, 2020년도 사업 예산은
전년대비 8.8% 증가한 5,247억원으로 정부 R&D예산(24.2조원)의 약 2.2%에 해당한다. 국토
기술, 교통기술, 기반구축 등 3개 분야에서 각각 22개, 23개, 8개 등 53개 사업을 통하여
2,101억원, 2,371억원, 775억원이 지원되었다.
[그림 3-132] 2020년 국토교통 R&D 중점 추진방향
∙578 ∙
2020년 국토교통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은 제1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2018~
2027),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과 연계하여 혁신성장동력 육성, 사회문제 해결 및
경제활력 제고 분야를 중점 추진하였다.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논문
일반 935 965 1006 864 726
SCI(E) 338 386 435 509 471
소계 1273 1351 1441 1373 1197
특허
출원 801 810 1192 1060 932
등록 422 500 635 684 654
소계 1223 1310 1827 1744 1586
<표 3-80> 국토교통 R&D 과학기술 성과 (2015∼2019)
2020년 국토교통 연구개발을 통하여 지속적인 핵심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지원하였고
SCI(E) 논문, 특허 등이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다. 2020년에는 국토교통분야 차세대기술 선도,
친환경생활 공간 구축,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성과가 도출되었다. 세계 최고 수준 슈퍼콘크리트,
자율주행 인프라 실험도시 K-City 등 국토교통 분야 선도형 기술을 확보하였다. 도시 폐자원
복합플랜트, 미세먼지・열섬현상 저감 물분사 시스템, 에너지 저감형 옥상녹화 유닛 일체화 시스템
등 친환경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스마트시티 코로나 역학조사지원시스템, 사면붕괴 예・경보
시스템 등 국민생활공간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하였다. 2020년 국토교통 연구
개발 주요성과 사례는 다음 그림과 같다.
∙579 ∙
[그림 3-133] 2020년 국토교통 R&D 주요성과 사례
∙580 ∙
나. 동향 및 전망
건설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은 국민의 쾌적한 삶 유지와 국가 경쟁력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제1차 국토종합계획 수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사회기반
시설이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40,244km에 불과하던 도로연장은 2019년 111,314km로
2.76배 증가하였고, 수도권 지하철 연장은 1974년 경부선(서울-수원, 41.5km), 경인선(서울-인천,
38.9km), 경원선(수색-용산-성북, 27.5km)에 걸친 107.9km에서 2019년 22개 노선에 걸친
1,218.4km로 확대되었다. 1970~80년대에 사회기반시설들이 집중 구축된 까닭에 이제는 사용
기간이 30~40년을 경과한 노후 사회기반시설이 동시다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후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 유지보수 기술 확보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시설물의 적절한 유지관리 시기를 놓쳐 방치하는 경우 국민 불편을 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2018년 8월, 이탈리아 모란디 교량 붕괴로 4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는데 유지보수 및 관리부
실이 핵심 원인으로 지적받았다. 서울시의 경우 2016년 해빙기 안전점검 과정에서 내부순환로 정릉천
고가 내부의 강연선 부식으로 인한 중대결함을 조기 발견하고 보수・보강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던 사례가 존재해, 다시 한 번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선제적 투자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1) 연구개발 동향
가) 해외 동향
우리나라보다 사회기반시설을 먼저 구축한 해외 주요 국가들에게도 시설물의 노후화는 중요한
문제이며, 시설물의 안전 확보 및 유지관리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미국의 인프라 노후화 문제가 1980년대에 대두되면서 토목학회(ASCE)는 사회기반시설별로
평가등급(A~F)을 매기고 성능개선을 위한 유지관리(점검, 평가, 보수 등) 전략을 포함하는 인프라
평가 보고서(Report Card)를 4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ASCE, 2017). 2000년대 이후의 시설물
종합평가 등급은 D~D+ 수준에서 머무르는 반면, 성능 개선을 위한 소요 비용은 최근 10여 년
동안 약 2배(2009년 2.2조 달러→2017년 4.59조 달러)로 증가하였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미국이 적절한 유지보수 시기를 놓치는 바람에 최근 많은 비용을 지출한다고 평가한다. 또한,
시설물 사고 후에 대응하기보다는 예방적 성능 확보 측면에서 투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581 ∙
<표 3-81> 2017년 인프라 평가등급(ASCE)
구분 2001 2005 2009 2013 2017
Aviation D D+ D D D
Bridges C C C C+ C+
Dams D D+ D D D
Drinking Water D D- D- D D
Energy D+ D D+ D+ D+
Hazardous Waste D+ D D D D+
Inland Waterways D+ D- D- D D
Levees - - D- D D
Public Park & Recreation - C- C- C D+
Port - - - C C+
Rail - C- C- C+ B
Roads D+ D D- D D
Schools D- D D D D+
Solid Waste C+ C+ C+ B C+
Transit C- D+ D D D-
Wastewater D D- D- D D+
Overall GPA D+ D D D+ D+
Cost to Improve $1.3 trillion $1.6 trillion $2.2 trillion $3.6 trillion $4.59 trillion
* A(매우 우수-미래에 적합), B(우수-현재에 적합), C(보통-주의필요), D(나쁨-위험)
일본의 경우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전후하여 사회기반시설들이 집중적으로 구축되었으며,
내구 수명 50년이 지난 노후 인프라의 유지보수 문제는 일본에게도 큰 과제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노후 인프라 문제와 함께 유지관리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은 기술 수출을 위한 유망시장
으로 전망된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일본 내 유지관리 시장 규모를 약 5조 엔, 세계적으로는
연간 200조 엔 시장으로 평가한 바 있다.
일본은 30년 앞선 미국의 노후인프라 사례를 통해 사고 후 대응보다 예방에 집중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교통성에서도 사고 후 대응보다 사전 예방을 위한 투자 시 30년간 투자하는
비용의 약 30%를 절감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인프라 부분에 디지털 IT 기술과 5G 기술을
조기 도입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일례로 FUJITSU TRAFFIC & ROAD DATA SERVICE는
도로포장 열화 진단에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미쓰이 스미토모 건설과 히타치 산업 및 제어 솔루션
에서는 전문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교량 점검용 로봇 카메라를 활용하여 교량의
손상여부를 파악하는 기술을 도입하였다.
∙582 ∙
<표 3-82> 일본 노후 인프라(50년 이상) 비율
구분 2013 2023 2033
도로 교량 약 18% 약 43% 약 67%
터널 약 20% 약 34% 약 50%
하천 관리시설 약 25% 약 43% 약 64%
항만 약 8% 약 32% 약 58%
국토교통성 관할 인프라의
유지관리, 갱신비용
약 3.6조 엔 약 4.3~5.1조 엔 약 4.6~5.5조 엔
※ 출처: 국토교통성, 야노경제연구소
나) 국내동향
우리나라도 기반시설이 1970년대 경제성장 시기에 집중적으로 구축된 탓에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기반시설 중 30년 이상 경과된 시설은 18% 수준이나
10년 후에는 40%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반시설 관리를 위한 투자 규모도
2015년 9.1조 원에서 2019년 12.6조 원으로 노후인프라 증가와 함께 38% 증가하였다. 더욱이
2018년 발생한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사고 등 노후화가 주요 원인이 된 사고들을 계기로,
사회기반시설물에대한 선제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법적 보완이 추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설물 안전관리 일원화와 성능 중심 유지관리체계 도입을 담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2017년 개정)’과 2020년 1월 시행된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2018년 제정)’을 들 수 있다. 기본법에 따르면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기반시설관리
위원회’를 두어 최소유지관리기준과 성능개선기준을 설정하고 관리 주체의 성능개선 충당금
적립을 의무화하였다. 사회기반시설 15종으로 적용 대상을 구체화하고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통해 생애주기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표 3-83> 지속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대상 15종 기반시설 종류
대분류 소분류 기반시설
중대형 SOC(7)
교통시설(4) 도로・철도・공항(국토부), 항만(해수부)
방재시설(3) 댐(환경・산자부), 저수지(농식품부), 하천(국토부)
지하시설물(8)
지하관로(5) 상수・하수도(환경부), 가스・열수송・송유관(산자부)
지하구(3) 전력구(산자부), 통신구(과기정통부), 공동구(국토・행안부)
2) 향후 전망
생애주기 개념이 도입된 시설물 유지관리 기술은 점검, 평가, 성능유지 및 보강기술을 포함한다.
∙583 ∙
노후 인프라 등에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는 디지털 IT 및 5G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적용한다면,
주먹구구식이 아닌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합리적/체계적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교통
교통은 “여객과 화물의 장소이동”으로 정의되지만, 광범위하게는 정보와 에너지의 장소이동까지
포함하는 국민의 일상과 국가 경제의 기반이 되는 분야이다. 최근 교통 분야의 연구개발은 지능형
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지능형교통체계는 자동차,
열차, 선박, 항공기 등 교통수단과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교통시설에 정보・통신・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교통운영을 최적화, 자동화하고 여행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이동성,
안전성, 편의성, 환경성을 제고하는 시스템으로 정의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통신기술, 엣지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생체인터넷(IoB), 가상・증강현실(AR・VR), 디지털트윈,
정밀지도,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 로봇, 생체보안 등 첨단기술의
융복합을 통하여 시스템이 C-ITS(차세대 ITS)로 고도화되어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표 3-84> 교통체계의 분류 및 구성
구분 자동차・도로 철도 해상 항공
수단
자
동
차
승용차
여객
열차
내항
선박
여객
항공기
버스
DRT
도시철도 화물
택시
화물차
화물 열차
외항
선박
여객 무인기
자전거
화물 도심항공교통
PM
시설
도로
궤도 해로(영해) 항로(공역)
주차장
정류소 간선철도역 항만
무역항
공항
연안항
터미널
지하철/전철역 터미널
컨테이너
환승센터
환승센터 여객
기반 통신기술, 엣지컴퓨팅, 빅데이터, AI, IoT, IoB, AR/VR, 디지털트윈, 정밀지도, LBS, 플랫폼, 로봇, 생체보안 등
※ 출처 : 국토교통부,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 수립연구, 2010.을 기반으로 저자 작성.
∙584 ∙
1) 연구개발 동향
최근 국내외 교통의 최대 화두는 “친환경 교통수단, 자율협력주행 그리고 모빌리티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한 궁극적인 목표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면서 막힘없고 단절없는 복지교통”
이며, 연구개발사업 또한 이들 목표 달성을 위해 추진되고 있다.
가) 해외동향97)
우선 친환경 교통수단은 이미 2019년 제네바모터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전기자동차’이며,
더 나아가 전기차 충전에 다양한 에너지, 특히 신재생에너지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Envision Solar사의 EV ARC와 Solar Tree는 100%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개발하여 하루 1,917km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전기자
동차 배터리에 충전한 전기에너지의 일부를 전력망에 다시 전송하는 기술과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인 V2G(Vehicle-to-Grid)는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협력주행 부분은 자율주행차(stand-alone type) 개발 외 다양한 기술들이 통합・연계된
하나의 시스템(connected type)인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협력
주행, 차세대 ITS)’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의 연구개발은 이 두 가지를
통합한 자율협력주행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2017년 “Connected Vehicle Pilot
Deployment Program”을 시작으로 C-ITS, 자율주행, V2V(Vehicle-to-Vehicl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등 통신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유럽 역시 “교통 2050 비전 및
목표”에서 C-ITS 및 자율주행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으며, 실제 스웨덴은 2025년에는 자율주행
대중교통 전환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교통 분야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러한 지능화된 교통수단과 교통인프라를 기반으로 이용자들에게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대표적인 것이 MaaS (Mobility as a Service)이다. 이는
자전거, 대중교통, 개인교통수단 등 모든 교통 수단을 연계하여 경로안내, 예약, 결제까지 통합하는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2016년 핀란드 “MaaS Global”, 영국의 “MaaS-London” 등 도시별로
특화된 서비스 앱을 개발했고, 구글이나 애플 등도 지속적으로 MaaS에 투자하고 있다. MaaS와
관련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은 다양한 정보의 연계 기술이며, 이를 위한 표준화와 플랫폼 개발이
기술개발의 주를 이루고 있다.
97)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9 국토교통 R&D 동향조사 – 도로교통분야 및 철도교통분야, 2019.12.
∙585 ∙
나) 국내동향
국내에서도 앞서 언급한 외국 선진국의 연구개발 방향과 맥을 같이하여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다. 2020년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은 교통물류연구의 중점분야를 안전(사고없는 안전교통),
소통(막힘없는 첨단교통), 친환경(공해없는 청정교통) 그리고 연계(단절없는 물류교통) 등 4개
분야로 제시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자율주행차의 안전성과 대중화, 자율협력주행,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교통플랫폼 개발, 친환경차량 보급 및 물류시스템의 자동화 및 고도화
기술개발 등을 중점 추진하였다. 그 외에도 도심 도로 자율협력주행 안전・인프라, 스마트도로조명
플랫폼, 수소버스 안전성 평가기술 및 장비, Super BRT 우선 신호기술 및 안전관리기술, 도심
지하 교통인프라 건설 및 운영기술 고도화 연구 등이 추진되었다.98)
한편 2018년에 수립된 제1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2018~2027)99)을 살펴보
면, “혁신, 기술융합, 사람중심, 미래지향적”이라는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교통부문과 관련하
여 자율협력주행, 자율무인비행, 무인자율철도시스템, 친환경초고속철도시스템 등을 주요 실천과
제로 제시하고 있다. 자율협력주행에서는 V2X 자율협력도로시스템, 자율주행차안전플랫폼, 인
공지능교통운영시스템을 세부과제로 담고 있으며, 자율무인비행은 자율비행지원인프라, 자율무인
비행체인증시스템, 유・무인기통합교통관리체계 등을 담고 있다. 철도 분야는 기존 수송시스템에
혁신기술 도입을 목표로 고효율 하이브리드 철도 차량이나 아진공 튜브철도시스템, 자율주행철도
시스템 및 유지・보수시스템 등의 과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이후 이러한 방향은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통 분야에서 자율협력주행과 플랫폼을 통한 모빌리티서비스 그리고 친환경
차량 개발 등이 연구개발사업으로 주로 추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융합 플랫폼 및 스마트시티 등과 연계한
교통서비스 제공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 해외동향에서 언급한 MaaS
관련 연구가 안전하고 편리한 대국민 교통서비스를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연계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하여 표에서 제시된 각 교통수단 간 연계가 이루어지는 환승센터, 터미널 등의 스마트화
(Smart Airport Terminal, Smart Rail Station, Smart Bus-Stop)를 위한 연구개발이 각
분야에서 추진되고 있다.
98)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20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2019.12.
99) 국토교통부, 제1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종합계획, 2018.
∙586 ∙
2) 향후 전망
당분간 가장 중요한 교통 분야의 트렌드는 안전과 복지일 것이다. 이를 위해 자율협력주행
(automated, connected/cooperative)과 복지교통서비스를 위한 MaaS의 고도화 연구개발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러한 연구개발은 친환경(교통수단)을 전제로 진행될 것이다.
자율협력주행은 안전뿐 아니라 용량증대로 인한 교통소통에도 일조를 하게 되어 안전과 소통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자율주행 역시 당분간 자율주행수준의 상향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MaaS 역시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합하는 플랫폼으로서 극복해야 할 많은 문제가 산재해 있어,
이들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및 법적 장애 해결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앞서 언급한 교통결절점의 스마트화 및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교통서비스 개발 외에도 신호최적화, 교통류 예측,
정확하고 신속한 돌발상황 판단 등 교통의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도 지속될 전망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양방향 통신이며, 현재 WAVE,
DSRC, LTE, 5G 등 다양한 통신기술이 적용 혹은 검토 중에 있다. 유럽이나 미국 등도 차세대
통신방식의 선택과정에서 혼란과 어려움을 겪은 점을 고려할 때, 향후 V2V, V2I 외 V2P(Vehicle
to Pedestrian),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등 보다 다양한 통신 수요를 고려한 연구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 다양한 객체 간의 통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킹 방지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보다 안전하고 투명한 보안인증 기술의 개발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통신/보안기술, 빅데이터/딥러닝 기술, 그리고 IoT 등의 첨단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플랫폼의 개발, 새로운 플랫폼과 연계할 첨단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의 개발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교통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589 ∙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1. 주요 과학기술 통계 지표
가.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원 수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연구개발
투자
총 연구개발비(억 원) 593,009 637,341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GDP대비(%) 4.15 4.29 4.22 4.23 4.55 4.81 4.64
정부・공공 : 민간 24 : 76 24 : 76 25:75 24:76 23:77 21:79 21:79
정부연구개발예산(억 원) 171,472 177,793 188,900 191,492 195,018 197,483 208,532
연구원 수
연구원 수(명) 410,333 437,447 453,262 460,769 482,796 514,170 538,136
경제활동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
(FTE기준, 명)
12.4 13.0 13.2 13.3 13.9 14.7 15.4
연구원 1인당 연구비(천원) 144,519 145,696 145,522 150,630 163,194 166,732 165,473
주) 2013년, 2016년, 2017년, 2018, 2019년 자료는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금액임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각년도)
나. 연구개발투자 및 연구원 수 국제 비교
구 분
한국
(2019)
미국
(2018)
일본
(2018)
독일
(2018)
프랑스
(2018)
영국
(2018)
중국
(2018)
연구개발
투자
총연구개발비(억 US달러) 764.0 5,815.5 1,622.8 1,236.1 611.4 494.6 2,974.3
GDP대비(%) 4.64 2.83 3.28 3.13 2.19 1.73 2.14
연구원 수
연구원수(FTE 기준, 천 명) 430.7
1,434.4
(‘17)
678.1 433.7 306.5 305.8 1866.1
인구천명당 연구원수(명) 8.3
4.4
(’17)
5.4 5.2 4.6 4.6 1.3
※ 출처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590 ∙
다. 과학기술논문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인구 만명당 과학기술논문(SCI) 수(편) 13.4 14.7 7.1 15.7 12.6 23.2 3.5
연구원(FTE) 백명당 과학기술논문(SCI)
수(편)
16.16
(’19)
32.13
(’17)
12.49
(’18)
27.93
(’18)
26.25
(’18)
46.25
(’18)
21.31
(’18)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횟수
(2015~2019)
6.90 8.58 6.68 9.01 8.88 8.96 7.22
※ 출처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0-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AIST, 과학기술논문 질적성과 분석연구(2005-20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라. 과학기술성과 국제비교
구 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특허(2018) 삼극특허(건) 2,160 12,753 18,645 4,772 2,073 1,714 5,323
하이테크무역(2019)
수출액
(A, 억 달러)
1,621 3,969 1,096 2,821 1,436 1,066
7,679
(’18)
수입액
(B, 억 달러)
1,080 5,914 1,515 2,317 1,189 1,250
6,478
(’18)
무역수지비
(A/B)
1.50 0.67 0.72 1.22 1.21 0.85
1.19
(’18)
무역수지액
(억 달러)
541 -1,945 -418 504 247 -185
1,201
(’18)
IMD평가(2020)
국가경쟁력순위 23 10 34 17 32 19 20
과학경쟁력 3 1 8 4 14 11 10
기술경쟁력 13 6 31 25 11 15 10
※ 출처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0-1),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591 ∙
2. 연구개발 투자
가. 총연구개발비
1) 재원별 연구개발비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2 ∙
2) 주요국 재원별 연구개발비 비중
주) 중국의 비중 합계는 100.0%가 되지 않음
※ 출처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3)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추이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3 ∙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4) 주요국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 출처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594 ∙
5) 우리나라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추이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5 ∙
6) 주요국 연구개발단계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주) 미국, 프랑스, 일본은 기타 부문이 제외되어 있어 합계가 100.0%가 되지 않음
※ 출처 :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2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7) 우리나라 지역별 연구개발비 추이
(단위 : 억 원)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서울 82,430 92,313 99,167 107,027 96,356 100,306 104,839 131,697 134,754 134,449
부산 8,395 9,068 10,306 9,655 11,048 12,862 12,417 14,033 15,449 15,817
대구 5,900 6,784 8,394 8,212 9,705 11,040 11,958 12,380 13,258 13,360
인천 16,624 19,832 21,319 21,328 22,829 24,996 23,895 25,482 27,613 28,459
광주 5,209 6,901 6,728 5,937 6,798 7,332 8,353 7,933 9,010 8,269
대전 50,122 55,700 55,709 59,401 63,330 66,551 72,741 76,985 79,922 77,059
울산 4,522 7,475 7,214 7,405 8,153 9,723 8,015 7,299 11,103 11,100
세종 1,881 3,925 4,887 4,685 4,837 5,171 5,941
경기 183,129 208,469 251,818 273,095 310,330 318,390 330,506 384,625 436,153 459,348
강원 2,847 3,400 3,514 3,565 3,705 4,142 3,921 4,503 4,818 5,172
충북 7,829 8,813 9,548 10,598 12,539 13,797 21,054 22,129 16,287 16,595
충남 26,866 29,427 25,428 26,282 23,238 22,837 29,801 25,614 25,878 34,752
전북 5,308 6,560 7,969 8,751 8,705 8,043 9,003 10,322 10,846 11,217
전남 4,826 5,329 5,640 6,456 7,485 5,739 5,198 5,491 6,608 7,238
경북 18,286 20,988 21,367 21,355 26,966 26,680 24,177 28,468 30,204 28,054
경남 15,137 16,492 19,171 20,749 20,620 20,948 21,937 24,537 28,625 31,895
제주 1,118 1,354 1,209 1,313 1,609 1,320 1,555 1,560 1,590 1,744
합 계 438,548 498,904 554,501 593,009 637,341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6 ∙
8) 우리나라 미래유망기술(6T)별 연구개발비
(단위 : 억 원)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IT(정보기술) 147,369 168,296 189,434 202,612 219,391 213,099 234,879 287,317 307,329 330,158
BT(생명공학기술) 34,591 40,048 42,459 45,043 48,097 59,946 56,137 62,111 66,401 76,262
NT(나노기술) 55,891 62,200 71,193 78,193 83,587 86,609 85,490 76,201 87,377 88,185
ST(우주항공기술) 5,481 6,809 7,058 7,312 7,088 13,049 12,230 11,603 14,789 15,436
ET(환경기술) 48,196 54,371 59,189 60,359 65,577 62,271 62,777 70,009 79,636 77,641
CT(문화기술) 5,029 5,054 4,525 4,346 4,917 7,027 9,365 7,841 8,075 8,098
기타 141,992 162,127 180,642 195,145 208,683 217,592 233,169 272,810 293,680 294,691
합 계 438,548 498,904 554,501 593,009 637,341 659,594 694,055 787,892 857,287 890,471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7 ∙
나. 기업부문 연구개발 현황
1)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연구개발비 추이
주) 2016년(조사대상년도)부터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KSIC) 10차가 적용되었으므로 시계열 분석시 주의를 요함
주) 2016년(조사대상년도)부터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KSIC) 10차가 적용되었으므로 시계열 분석시 주의를 요함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8 ∙
2) 우리나라 기업유형별 연구개발비 추이
주) 2017년(조사대상년도)부터 기업유형별 구분에 중견기업이 포함되었으므로 시계열 분석시 주의를 요함
주) 2017년(조사대상년도)부터 기업유형별 구분에 중견기업이 포함되었으므로 시계열 분석시 주의를 요함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599 ∙
3) 우리나라 기업용도별 연구개발비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600 ∙
4) 연구개발투자 세계 Top 50 기업(2019년)
순위 기업명 국가 순위 기업명 국가
1 ALPHABET 미국 26 ALIBABA GROUP HOLDING 중국
2 MICROSOFT 미국 27 ORACLE 미국
3 HUAWEI INVESTMENT & HOLDING 중국 28 BRISTOL-MYERS SQUIBB 미국
4 SAMSUNG ELECTRONICS 한국 29 GLAXOSMITHKLINE 영국
5 APPLE 미국 30 ABBVIE 미국
6 VOLKSWAGEN 독일 31 QUALCOMM 미국
7 FACEBOOK 미국 32 ASTRAZENECA 영국
8 INTEL 미국 33 IBM 미국
9 ROCHE 스위스 34 DELL TECHNOLOGIES 미국
10 JOHNSON & JOHNSON 미국 35 NISSAN MOTOR 일본
11 DAIMLER 독일 36 NOKIA 핀란드
12 TOYOTA MOTOR 일본 37 UBER TECHNOLOGIES 미국
13 MERCK US 미국 38 SAP 독일
14 NOVARTIS 스위스 39 PANASONIC 일본
15 GILEAD SCIENCES 미국 40 FIAT CHRYSLER AUTOMOBILES 네덜란드
16 PFIZER 미국 41 BROADCOM 미국
17 HONDA MOTOR 일본 42 DENSO 일본
18 FORD MOTOR 미국 43 SONY 일본
19 BMW 독일 44 PEUGEOT (PSA) 프랑스
20 ROBERT BOSCH 독일 45 TAKEDA PHARMACEUTICAL 일본
21 SIEMENS 독일 46 TENCENT 중국
22 GENERAL MOTORS 미국 47 RENAULT 프랑스
23 SANOFI 프랑스 48 ERICSSON 스웨덴
24 CISCO SYSTEMS 미국 49 AMGEN 미국
25 BAYER 독일 50 CONTINENTAL 독일
※ 출처 : EC, The 2020 EU Industrial R&D Investment Scoreboard
∙601 ∙
다. 정부 연구개발비
1) 정부 연구개발 예산 추이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각년도)
2) 주요국 정부 연구개발 예산 비교
(단위 : 백 만 US달러, %)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한국
정부R&D예산 11,852 13,435 14,225 15,662 16,885 16,700 16,502 17,252 17,945 17,892
GDP 대비 1.04 1.07 1.11 1.14 1.14 1.14 1.10 1.06 1.04 1.09
미국
정부R&D예산 119,382 113,386 116,796 109,608 112,502 115,220 126,093 127,306 144,459 147,945
GDP 대비 0.80 0.73 0.72 0.65 0.64 0.63 0.67 0.65 0.70 0.69
일본
정부R&D예산 40,886 45,920 46,280 36,987 34,464 28,730 32,786 31,988 34,777 38,913
GDP 대비 0.72 0.75 0.75 0.72 0.71 0.65 0.67 0.66 0.70 0.77
독일
정부R&D예산 30,512 33,050 30,925 33,696 33,901 29,439 31,380 34,072 37,193 37,536
GDP 대비 0.90 0.88 0.88 0.90 0.87 0.88 0.90 0.93 0.94 0.98
프랑스
정부R&D예산 21,689 23,404 19,445 19,896 19,686 15,726 15,550 15,371 16,484
GDP 대비 0.82 0.82 0.72 0.71 0.69 0.64 0.63 0.59 0.59
영국
정부R&D예산 14,450 14,595 14,380 15,611 16,747 15,457 13,836 13,965 15,631 12,065
GDP 대비 0.58 0.55 0.53 0.56 0.55 0.53 0.51 0.52 0.55 0.43
주) 한국의 정부R&D예산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자료에 수록된 원화에 OECD MSTI 2020-1에서 제공한 대미환율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외 국가는 OECD MSTI 2020-1에 수록된 예산과 대미환율을 활용하여 산출함
※ 출처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각년도)
∙602 ∙
3) 우리나라 정부예산 대비 정부연구개발예산, 2013-2019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정부
예산
일반회계 예산(A) 2,362,253 2,472,032 2,585,856 2,683,872 2,750,104 3,014,172 2,791,077 1.9%
일반+특별회계예산(B) 2,436,433 2,507,885 2,601,466 2,639,243 2,746,699 2,962,367 3,289,199 6.0%
통합재정 규모(C) 3,020,807 3,253,779 3,441,743 3,552,767 3,686,348 3,977,386 4,398,676 6.3%
R&D
예산
일반(D) 123,417 130,594 139,022 144,170 149,032 153,112 163,686
4.2%
(D/A) 5.2% 5.3% 5.4% 5.4% 5.4% 5.1% 5.9%
일반+특별(E) 150,044 158,602 168,983 172,905 176,136 178,956 187,992
2.7%
(E/B) 6.2% 6.3% 6.5% 6.6% 6.4% 6.0% 5.7%
일반+특별+기금(F) 168,777 177,428 189,231 190,942 194,615 196,681 205,328
2.1%
(F/C) 5.6% 5.5% 5.5% 5.4% 5.3% 4.9% 4.7%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분석」
4) 우리나라 부처별 정부연구개발사업 투자액 추이
(단위 : 억 원)
구 분 2018 2019 전년대비 증가액 전년대비 증가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6,779 69,851 3,071 4.6%
교육부 17,382 19,089 1,708 9.8%
국무조정실 5,022 5,201 179 3.6%
국방부 456 502 46 10.0%
국토교통부 4,565 4,880 315 6.9%
기상청 1,329 1,106 -223 -16.8%
농림축산식품부 1,973 1,956 -17 -0.9%
농촌진흥청 6,454 6,467 13 0.2%
문화재청 451 445 -6 -1.3%
문화체육관광부 744 687 -57 -7.7%
방위사업청 29,442 31,657 2,215 7.5%
보건복지부 5,150 5,142 -8 -0.2%
산림청 1,020 1,088 68 6.7%
산업통상자원부 31,059 32,339 1,280 4.1%
식품의약품안전처 847 862 15 1.7%
원자력안전위원회 692 744 52 7.5%
중소벤처기업부 10,426 10,194 -232 -2.2%
해양수산부 6,126 6,305 179 2.9%
환경부 3,331 3,235 -96 -2.9%
기타 부처 4,513 4,504 -9 -0.2%
합계 197,759 206,254 8,494 4.3%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603 ∙
5) 우리나라 지역별 투자 비중 추이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각년도)
6) 2019년도 6T별 투자현황 및 과학기술표준분류별 투자현황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보고서
∙604 ∙
3. 연구개발 인력
가. 총 연구원
1) 연구원 수 추이
주) FTE(Full Time Equivalent) :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비율을 반영하여 산정한 연구원 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2) 연구개발인력 수 추이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605 ∙
3) 주요국 연구원 수
(단위 : 명, FTE 기준)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한국 264,118 288,901 315,589 321,842 345,463 356,447 361,292 383,100 408,370 430,690
미국 1,200,535 1,254,786 1,253,231 1,294,358 1,340,103 1,369,457 1,372,091 1,434,415
일본 656,032 656,651 646,347 660,489 682,935 662,071 665,566 676,292 678134
독일 327,996 338,689 352,419 354,463 351,923 387,982 399,605 419,617 433,685
프랑스 243,533 249,247 258,913 265,466 271,772 277,631 285,488 295,754 306,451
영국 256,585 251,358 256,156 267,699 276,584 284,483 288,922 295,934 305,795
중국 1,210,841 1,318,086 1,404,017 1,484,040 1,524,280 1,619,028 1,692,176 1,740,442 1,866,109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4) 주요국 경제활동인구 천명당 연구원 수
(단위 : 명, FTE 기준)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한국 10.7 11.5 12.4 12.4 13.0 13.2 13.3 13.9 14.7 15.4
미국 7.7 8.1 8.0 8.3 8.5 8.6 8.5 8.9
일본 9.9 10.0 9.9 10.0 10.4 10.0 10.0 10.1 10.0
독일 7.9 8.2 8.5 8.5 8.4 9.2 9.3 9.7 10.0
프랑스 8.5 8.6 8.9 9.0 9.2 9.4 9.6 10.0 10.3
영국 8.1 7.9 8.0 8.3 8.5 8.6 8.7 8.9 9.1
중국 1.5 1.7 1.8 1.9 1.9 2.0 2.1 2.2 2.3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606 ∙
나. 우리나라 연구수행주체별 연구원 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다. 우리나라 학위별 연구원 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607 ∙
라. 우리나라 전공별 연구원
(단위 : 명, %)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이학
연구원 수 46,023 48,544 53,654 51,494 54,772 57,976 56,710 67,736 72,884 86,248
비중 13.3 12.9 13.4 12.5 12.5 12.8 12.3 14.0 14.2 16.0
공학
연구원 수 231,913 253,445 273,839 279,388 298,436 308,230 312,987 322,952 344,916 350,000
비중 67.0 67.6 68.2 68.1 68.2 68.0 67.9 66.9 67.1 65.0
의약보건학
연구원 수 18,926 20,473 19,945 23,292 23,522 24,066 26,347 27,911 29,774 31,848
비중 5.5 5.5 5.0 5.7 5.4 5.3 5.7 5.8 5.8 5.9
농업과학
연구원 수 9,202 9,841 9,912 10,102 10,662 11,045 11,378 10,423 10,991 11051
비중 2.7 2.6 2.5 2.5 2.4 2.4 2.5 2.2 2.1 2.1
인문학
연구원 수 17,568 19,633 20,413 20,834 22,870 23,996 24,734 26,576 27,931 28,854
비중 5.1 5.2 5.1 5.1 5.2 5.3 5.4 5.5 5.4 5.4
사회과학
연구원 수 22,280 23,240 23,961 25,223 27,185 27,949 28,613 27,198 27,674 30,135
비중 6.4 6.2 6.0 6.1 6.2 6.2 6.2 5.6 5.4 5.6
총계
연구원 수 345,912 375,176 401,724 410,333 437,447 453,262 460,769 482,796 514,170 539,354
비중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각년도)
4. 과학기술 성과
가. 논문
1) 우리나라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 및 세계 점유율
(단위 : 편, %, 순위)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논문 발표수 41,994 46,278 50,368 52,827 55,800 58,849 60,475 61,172 63,311 69,618
세계 점유율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세계 순위 3.11 3.21 3.37 3.36 3.44 3.52 3.49 3.41 3.52 3.45
주) 세계 점유율(%)은 세계 총 논문 수 기준 점유율임. 따라서 각 연도별 국가별 논문 발표수의 합계에 대한 점유율과는
차이가 존재함. 논문 1편을 여러 국가의 과학자가 공저하는 경우가 있어 국가별 논문 발표 수의 합계는 세계 총
논문수보다 많음
※ 출처 : KISTEP·KAIST, 과학기술논문 질적성과 분석연구(2005-2019)
∙608 ∙
2) 주요국 과학기술논문 발표 수 및 세계 점유율
(단위 : 편, %, 순위)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한국
논문 발표수 42,004 46,290 50,375 52,830 55,821 58,940 60,631 61,664 64,179 69,618
세계 점유율 3.11 3.21 3.37 3.35 3.43 3.52 3.48 3.39 3.45 3.45
세계 순위 12 12 12 12 12 12 12 12 12 12
미국
논문 발표수 382,425 403,232 409,580 423,137 434,645 438,642 454,032 469,331 467,112 484,819
세계 점유율 28.32 27.93 27.4 26.87 26.72 26.16 26.03 25.79 25.14 24.02
세계 순위 1 1 1 1 1 1 1 1 1 2
일본
논문 발표수 78,410 80,400 80,213 82,042 80,994 80,426 83,599 85,835 86,657 89,896
세계 점유율 5.81 5.57 5.36 5.21 4.98 4.80 4.79 4.72 4.66 4.45
세계 순위 5 5 5 5 5 5 5 5 5 5
독일
논문 발표수 97,970 102,510 105,511 109,362 112,071 114,304 120,021 123,792 124,561 130,817
세계 점유율 7.26 7.10 7.05 6.94 6.89 6.82 6.88 6.80 6.70 6.48
세계 순위 4 4 4 4 4 4 4 4 4 4
프랑스
논문 발표수 69,075 71,192 73,167 75,855 76,628 78,829 82,507 83,687 82,782 84,811
세계 점유율 5.12 4.93 4.89 4.82 4.71 4.70 4.73 4.60 4.45 4.20
세계 순위 6 6 6 6 6 6 6 6 6 9
영국
논문 발표수 106,869 115,281 118,475 126,533 126,637 133,342 140,998 148,424 147,799 154,906
세계 점유율 7.91 7.98 7.92 8.04 7.78 7.95 8.08 8.15 7.95 7.67
세계 순위 3 3 3 3 3 3 3 3 3 3
중국
논문 발표수 134,857 158,760 183,303 217,256 252,213 282,764 312,957 349,956 401,727 491,960
세계 점유율 9.99 11.00 12.25 13.80 15.50 16.87 17.94 19.23 21.62 24.37
세계 순위 2 2 2 2 2 2 2 2 2 1
주) 세계 점유율(%)은 세계 총 논문 수 기준 점유율임. 따라서 각 연도별 국가별 논문 발표수의 합계에 대한 점유율과는
차이가 존재함. 논문 1편을 여러 국가의 과학자가 공저하는 경우가 있어 국가별 논문 발표 수의 합계는 세계 총
논문수보다 많음
※ 출처 : KISTEP·KAIST, 과학기술논문 질적성과 분석연구(2005-2019)
3) 주요국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평균 피인용횟수
(단위 : 회)
구 분 2010~2014 2011~2015 2012~2016 2013~2017 2014~2018 2015~2019
한국 5.13 5.43 5.79 6.02 6.36 6.90
미국 7.88 7.96 8.09 8.14 8.28 8.58
일본 5.96 6.13 6.22 6.29 6.41 6.68
독일 8.02 8.21 8.43 8.54 8.71 9.01
프랑스 7.68 7.87 8.14 8.32 8.49 8.88
영국 7.81 7.90 8.13 8.26 8.53 8.96
중국 5.09 5.45 5.85 6.22 6.69 7.22
주) 5년 주기별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는 논문 발표연도부터 5년간 누적 피인용횟수의 평균으로 Incites 기준
※ 출처 : KISTEP·KAIST, 과학기술논문 질적성과 분석연구(2005-2019)
∙609 ∙
4) 우리나라 주요 3대 저널 논문 발표 현황 추이
주) 논문유형은 Full Paper(Article+Review)만을 대상으로 함
※ 출처 : KISTEP·KAIST, 과학기술논문 질적성과 분석연구(2005-2019)
나. 특허
1) 우리나라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 추이
※ 출처 : 특허청, 지식재산통계연보(각년도)
∙610 ∙
2) 주요국 PCT 출원 건수 추이
주) 1. PCT(Patent Cooperation Treaty, 특허협력조약) : 외국에서 발명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각 국가의 법규, 절차
및 언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그 나라의 제도와 절차에 따라 특허 출원 절차를 밟아야 했는데, 이러한 불편
함을 해소하고자 국제적인 발명 보호의 간소화를 위한 목적으로 체결한 국제조약
2. 2020년 11 업데이트 기준 자료임
※ 출처 : WIPO, WIPO Statistics Database(2020.11)
다. 기술무역
1) 우리나라 기술무역 추이
(단위 : 백만US달러)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기술수출 3,345 4,032 5,311 6,846 9,765 10,408 10,687 11,798 12,430 13,756
기술도입 10,234 9,900 11,052 12,038 15,540 16,409 14,842 16,476 16,292 17,876
기술무역규모 13,579 13,933 16,363 18,884 25,305 26,817 25,529 28,275 28,722 31,632
기술무역수지 -6,889 -5,868 -5,741 -5,193 -5,775 -6,001 -4,155 -4,678 -3,862 -4,121
기술무역수지비 0.33 0.41 0.48 0.57 0.63 0.63 0.72 0.72 0.76 0.77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기술무역통계조사보고서(각년도)
∙611 ∙
나) 주요국 하이테크 산업 무역수지 추이
주) 하이테크 산업은 OECD가 정의한 3개 산업(Pharmaceutical・Computer, electronic and optical・Aerospace
industry)을 의미
※ 출처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라. 국제경쟁력 평가
1) IMD 평가 결과
가) 주요 국가의 국가경쟁력 순위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한국 23 22 22 22 26 25 29 29 27 28 23
미국 3 1 2 1 1 1 3 4 1 3 10
일본 27 26 27 24 21 27 26 26 25 30 34
독일 16 10 9 9 6 10 12 13 15 17 17
프랑스 24 29 29 28 27 32 32 31 28 31 32
영국 22 20 18 18 16 19 18 19 20 23 19
중국 18 19 23 21 23 22 25 18 13 14 20
※ 출처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년도), https://www.worldcompetitiveness.com/online
∙612 ∙
나) 주요 국가의 과학경쟁력 순위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한국 8 8 7 3 3
미국 1 1 1 1 1
일본 2 2 5 6 8
독일 6 6 6 5 4
프랑스 12 13 12 12 14
영국 9 9 9 11 11
중국 5 3 2 2 10
※ 출처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년도), https://www.worldcompetitiveness.com/online
다) 주요 국가의 기술경쟁력 순위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한국 15 17 14 22 13
미국 3 6 3 6 6
일본 10 19 13 20 31
독일 16 12 16 23 25
프랑스 17 13 11 9 11
영국 11 16 12 12 15
중국 18 4 1 2 10
※ 출처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년도), https://www.worldcompetitiveness.com/online
라) 우리나라 과학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총 연구개발투자 6 5 5 5 5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연구개발투자비 비중 1 2 2 1 2
국민 1인당 연구개발투자 14 13 14 9 8
기업 연구개발비 지출 5 5 5 5 5
GDP 대비 기업의 연구개발비 비중 2 2 2 2 2
총 연구개발인력 6 5 6 6 6
인구 천 명당 연구개발인력 8 8 8 5 3
기업 총 연구개발인력 5 6 6 6 5
인구 천 명당 기업 연구개발인력 4 4 5 3 3
인구 천 명당 R&D 연구자 4 4 3 2 2
과학기술분야 학사학위비율 16 17 11 11 16
과학분야 논문 수 9 9 9 9 10
노벨상 수상 28 29 29 29 29
∙613 ∙
주) *표시는 설문지표
**표시는 신설지표
※ 출처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년도), https://www.worldcompetitiveness.com/online
마) 우리나라 기술경쟁력 세부지표별 순위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국내총생산(GDP) 대비 통신분야 투자 비중 52 24 47 46 42
모바일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4 12 5 10 10
1인당 월평균 이동전화 요금 50 54 52 57 55
기업의 요구에 대한 통신기술의 충족도* 12 16 14 12 10
전세계 사용 컴퓨터 수 대비 점유율 11 11 11 11 11
인구 천 명당 컴퓨터 수 18 18 17 17 17
인구 천 명당 인터넷 사용자 수 16 17 16 16 16
인구 천 명당 브로드밴드 가입자 수 20 22 22 21 27
평균 인터넷 대역폭 속도 1 1 1 27 2
디지털 기술의 사용 용이성** 22 26 26 18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정도* 34 32 32 31 25
공공·민간부문 벤처의 기술개발 지원 정도* 36 29 37 41 29
법적 환경의 기술개발과 응용 지원 정도* 51 47 52 50 44
기술개발자금의 충분성* 44 46 46 42 38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액 5 6 6 8 4
제조업 수출액 중 첨단기술제품 비중 6 7 9 19 6
서비스업 수출액 중 ICT 비중 39 35 32 28 41
사이버보안이 기업에서 적절히 다루어지는 정도* 45 49 24 23 21
종합 순위 15 17 14 22 13
주) *표시는 설문지표
**표시는 신설지표
※ 출처 : IM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각년도), https://www.worldcompetitiveness.com/online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인구 백만 명당 노벨상 수상 28 29 29 29 29
출원인 국적별 특허 출원 수 4 4 4 4 4
인구 10만 명당 출원인 국적별 특허 출원 수 3 3 3 3 3
출원인 국적별 특허 등록 수 4 4 4 4 4
인구 10만 명당 출원인 국적별 권리유효 특허건수 3 3 3 4 4
중간-첨단산업의 부가가치 비중** 4 4
과학연구 관련 법률의 혁신 지원정도* 34 34 37 34 31
지적재산권의 보호정도* 38 44 39 37 38
산학 간의 지식 전달정도* 34 32 29 35 30
종합 순위 8 8 7 3 3
∙614 ∙
2) COSTII(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결과
가) 국가별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나) 국가별 자원 부문 지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615 ∙
다) 국가별 활동 부문 지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라) 국가별 네트워크 부문 지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616 ∙
마) 국가별 환경 부문 지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바) 국가별 성과 부문 지수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617 ∙
마. 기타 과학기술 통계
1) 에너지
가) 우리나라 전력수급 현황
주) 1. 최대전력수요 : 일 년 중 전력사용이 최대로 되는 순간의 전력수요를 의미하며 단위는 kW를 사용. 과거에는
주로 여름철 냉방기기의 가동이 많은 7월 중순∼8월 중순 15시를 전후한 낮 시간대에 발생하였으나, 2009년도
부터는 겨울철에 발생
2. 발전설비 용량 : 전력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전소 용량의 확보 정도를 의미하며, 단위로 kw를 사용
3. 공급능력 : 일정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최대발전가능 출력(공급능력=총설비용량-감발전력,
여기서 감발전력은 고장, 정비 등으로 발전이 불가능한 설비규모)
※ 출처 :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속보, 2020년 12월
나) 우리나라 석유수급 현황
※ 출처 : 한국석유공사・석유수급통계, e-나라지표
∙618 ∙
다) 우리나라 1차 에너지 소비 현황
주) 1. 기타는 수력, 신재생 포함
2. 1차 에너지 : 오랜 세월동안 자연의 역학적인 절차의 반복으로 형성된 천연상태의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
되는 에너지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 수력, 원자력, 태양열, 지열 등을 말함
3. 에너지열량 환산은 에너지법 시행규칙의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에 따름
※ 출처 :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라) 우리나라 신재생 에너지 보급 현황 추이
주) 1. 공급비중은 1차 에너지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임
2.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개정(2019년 10월 1일로 시행)에 따라 폐기물에너지, 즉 비재생폐기물로
부터 생산된 에너지는 재생에너지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통계산출 변경됨
※ 출처 : 신재생에너지센터・신재생에너지보급통계
∙619 ∙
마) 주요국 에너지 공급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 추이
※ 출처 : OECD, Renewable energy(indicator)
∙620 ∙
2) 우주개발예산
가) 주요국 경제사회목적별 정부연구개발예산 중 우주 분야 추이
※ 출처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나) 주요국 기업 연구개발비 대비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 출처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621 ∙
3) 바이오
가) 우리나라 바이오 산업 동향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각년도)
나) 우리나라 바이오 산업 분야 인력 추이
주) 1. 연구인력은 바이오 산업 부문 연구개발 인력을 말함
2. 생산인력은 연구소 이외의 바이오 산업 부문에 근무하는 생산직, 시설・품질 관리직 등을 포함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각년도)
∙622 ∙
바. 경제사회지표
1) 국가별 인구(2019년)
※ 출처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2) 국가별 인구 1인당 GDP(2019년)
※ 출처 : OECD, Main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2020-1)
∙623 ∙
제2장
주요 과학기술 관련
법령 제·개정 현황
1. 법률 제・개정 현황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국가연구개발혁신법
현재 중앙행정기관별로 다르게 운용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이 통합적・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 전반의 비효율과 불필요한
부담을 제거함과 동시에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범부처
공통규범의 제정이 필요한 상황인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에 대한 범부처 공통규범
으로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혁신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국가연구
개발 체제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2020.6.9.
2021.1.1.
과학기술기본법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투자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과학기술
기본계획에 따라 5년 단위의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을 세우도록 하는 한편,
연구개발과제 신청단계에서도 연구자가 책임의식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연구개발을 신청한 자에 대해서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참여제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과학기술기본법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성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과감한
도전이 필요하나, 점수・등급을 매기는 정량제 평가와 단년도 예산편성이 연구자들을
소극적으로 만들고, 연구개발 협약 이후에는 경쟁이 없어 도전적으로 연구할 유인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음. 이에 정부로 하여금 창의적인 연구수행방식의 장려,
연구의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한 선정평가 및 성과평가 등 도전적 연구개발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경쟁형 및 포상금 후불형 등 창의적 방식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과학기술혁신을 위하여 도전적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촉진・지원하도록 하려는 것임.
2020.12.22.
2021.6.23.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온정적 감사행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두는
감사(監事)가 실시하는 감사(監査) 기능을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 이관하고, 연구기관의
연구활동이 감사제도로 인하여 위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부는 연구기관에 대하여
외부감사의 부담을 경감하는 등 연구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감사제도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도록 하는 한편,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
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두는 감사(監事)가 실시하는 감사(監査)기능을 국가
과학기술연구회로 이관하고, 연구기관에 대한 자체감사를 실시하는 전담조직을 국가과학
2020.12.22.
2021.1.1.
∙624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과학기술분야 정부
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기술연구회에 두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
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7341호, 2020. 6. 9. 공포, 2020. 12.
10. 시행)됨에 따라 연구기관에 대한 자체감사를 실시하는 전담조직으로 국가과학기술
연구회 이사장 소속의 감사위원회를 두고, 감사위원회의 위원 수, 위원의 임명방법,
임기, 의사・의결정족수 등 감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안정적이고 일관된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구기관의 원장을 재선임할 수 있는
기준을 연구실적 및 경영 내용에 대한 평가결과 최상위등급을 받은 경우에서 우수
등급 이상을 받은 경우로 완화하려는 것임.
현행법에 연구기관 및 연구회 기본사업 운영에 대한 근거를 명확히 함으로써 「국가연구
개발혁신법」과 현행법과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당초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설립 취지인 자율성을 확보하는 한편, 연구회에 연구자 중심의 연구개발전략위원회를
둘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연구자 중심으로 자율과 책임의 연구환경 기반을
강화하려는 것임.
2020.12.22.
2021.6.23.
과학기술인공제회법
현행법은 과학기술인공제회 회원이 될 수 있는 사람을 규정하고 있는데 과학기술인공제회
회원이 될 수 있는 사람 중 ‘과학기술 분야 비영리법인의 임직원’ 등의 경우 과학기술
분야와 어느 정도의 관련성을 가져야 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명확한 판정기준이 없어
과학기술인공제회는 특정한 법인이나 기관이 과학기술 분야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판단을
법률 전문가 또는 자체 운영 중인 회원자격심의위원회의 자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현재 정관에 근거한 회원자격심의기구를 법률상의 위원회로 격상하여 회원자격
판정기준 정립에 관한 사항, 회원자격 보유 여부 판정 등에 관한 사항을 심사하도록
함으로써 회원자격 심사업무의 법적 정당성 확보 및 투명성 제고를 도모하려는 것임.
2020.12.8.
2021.6.9.
광주과학기술원법
1993년 8월 5일 이후 유지되고 있는 과태료의 상한액을 물가변동률 등 사회적・경제적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광주과학기술원이 아니면서
광주과학기술원의 명칭을 사용한 자에 대한 과태료의 상한액을 100만원에서 500만원
으로 상향 조정하려는 것임.
2020.5.19.
2020.11.20.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
4차 혁명시대에 대량의 데이터 교환 및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도구로서 ‘표준’은 데이터의
품질과 신뢰성 확보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바, 연구개발의 기획 단계부터 표준과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음. 그러나 현행법에서 표준은 특허・논문 등과 달리 국가
연구개발의 주요 과학기술적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이에 국가연구개발을 통하여 창출되는 과학기술적 성과에 표준을 명시함으로써 연구
개발의 기획과 기술 개발 및 사업화 등 전 단계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현행법은 종료된 연구개발사업에 대해서 연구성과의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추적평가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연구성과 결과물 중에서 활용실적이 없거나 미흡한
경우가 많음.
이에 연구성과의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추적평가에서 연구성과의 활용실적이 없거나
미흡한 사업을 분석하고, 그 평가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현장방문조사를 실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성과를 효율적으로 관리・활용하려는 것임.
2020.12.22.
2021.6.23.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초고성능컴퓨터 연구개발 지원 및 산업 육성정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국가초고성능
컴퓨팅자원의 확보 노력을 강화하고, 국가초고성능컴퓨팅센터의 사업 추진실적을 점검
하도록 하며, 초고성능컴퓨팅 관련 산업체에 대한 지원 근거를 보완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5239호, 2017. 12.
19. 공포, 2018. 6. 20. 시행)됨에 따라, 최고 수준의 초고성능컴퓨팅자원 확보를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국가초고성능컴퓨팅센터의 사업 추진실적 점검절차
마련 및 산업체의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연구개발 활동과 결과의 산업화 촉진 시책 마련
2020.6.9.
2020.12.10.
∙625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기술사법
파산을 이유로 기술사 등록 또는 기술사사무소 개설등록이 취소된 경우 취소된 날부터
각각 2년 또는 1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그 등록을 할 수 없도록 하던 것을, 앞으로는
해당 사유가 해소된 때에는 바로 기술사 등록 또는 기술사사무소 개설등록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현행 기술사 등록 또는 기술사사무소 개설등록에 관한 피후견인 결격조항은 정신적
제약의 정도나 행위능력의 제한 범위와 상관없이 피후견인에 해당하기만 하면 기술사
등록 또는 기술사사무소 개설등록에서 배제시키고 있는바, 이는 피후견인의 잔존 행위
능력을 인정하여 행위능력의 획일적・포괄적 배제에서 개별적・한정적 제한으로 전환
하려는 성년후견 제도의 취지와 모순되고 직무수행능력이 인정되는 피후견인의 직업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기술사 등록 또는 기술사사무소 개설등록의
결격사유에서 피성년후견인 및 피한정후견인을 삭제하고 이를 대체하여 정신적 제약자에
관한 사항을 신설함으로써 성년후견제도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직무수행능력이 인정되는
피후견인의 기본권 보장을 강화하려는 것임.
2020.12.22.
2020.12.22.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학문으로서의 기초과학의 진흥과 이를 위한 체계적 지원을 위하여 기초과학의 정의를
명확히 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기초연구 지원은 연구자의 자율성을 중시함과 동시에 기초연구를 통해 창출될 사회경제적
편익,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 양성 등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전방위적으로 나타나야 함.
하지만 제도적 기반이 부족해 기초과학 진흥을 위한 장기적 지원과 국가적 미래 난제
해결이 요원한 현실임.
특히 미래 유망 기술이거나 인류에 공헌하고, 국위를 선양할 세계 최정상급 과학자
및 산업계와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인 기술에 대해서는 지속가능한 지원이 절실함.
하지만 잦은 정책변화와 단기성과 중심의 기준으로 인해 효과적인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또한 세계적・획기적 기술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연구가 가능한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에 도달한 연구자가 은퇴하게 될
경우 연구단절을 방지할 보완책이 미비한 실정임.
우리나라 기초연구의 발전과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 양성을 위해서는 장기연구 지원체계
정립,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 미래 유망 과학분야 육성 등 기초연구 지원 체계의
혁신적인 재정립이 필요함.
이에 기초과학이 단기성과가 아닌 장기적 지원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진흥
종합계획에 연구자가 같은 연구분야에서 20년 이상 기초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운영계획과 재원확보방안을 포함하도록 하는 한편, 우수한 연구자・연구기관의
국제공동연구 협력사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와 미래 유망 과학분야의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시범사업의 실시 근거를 마련하려는 것임.
2020.12.8
2021.6.9.
뇌연구 촉진법
현행법은 뇌연구 촉진 기반을 조성하여 뇌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육성・발전시키고
그 개발기술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제정되었으나, 현행법에 뇌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에 관한 내용은 충분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는바, 뇌연구 촉진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 및 뇌연구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여 뇌연구
촉진에 기여하려는 것임.
2020.12.8.
2021.6.9.
대구경북과학
기술원법
2004년 3월 12일 이후 유지되고 있는 과태료의 상한액을 물가변동률 등 사회적・경제적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또는
2020.5.19.
2020.11.20.
∙626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에 대한 과태료의 상한액을 1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려는 것임.
방송법
국민생활 및 기업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인가 민원의 처리 절차를 법령에서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관련 민원의 투명하고 신속한 처리와 일선 행정기관의 적극행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방송공사 정관의 변경인가 신청을 받은 경우
30일 이내에 인가 여부를 한국방송공사에 통지하도록 하고, 그 기간 내에 인가 여부나
처리기간의 연장을 통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가를 한 것으로 간주(看做)하는 제도를
도입하려는 것임.
2020.12.8.
2020.12.8.
생명공학육성법
생명공학은 고령화, 감염병, 식량안보, 기후변화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최적의 대안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또한, 타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신기술・신산업 등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표적인 유망 분야임.
특히, 최종 결과물인 제품・서비스의 판매에 의해서만이 아닌 연구개발(R&D) 과정
전반에 걸쳐 기술창업・기술이전 등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될 수 있고, 기술기반의 양질의
일자리 확보까지 가능한 혁신 성장의 대표 분야로 주목받고 있음. 이에 주요국은 국가
차원의 바이오 경제 청사진을 마련하고 생명공학 관련 기술의 선점과 시장 주도를
위한 글로벌 경쟁에 본격 참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음.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혁신적 기술개발,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기반환경 조성
등 생명공학 분야를 체계적으로 육성・발전시키기 위한 법률이 미흡한 실정임.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대표적인 법률이라 할 수 있는 현행
「생명공학육성법」도 1983년 제정된 이래로 기술 수준과 사회 환경의 변화에 맞춰
시의적절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 내용 또한 연구개발(R&D) 지원 중심에
그쳐 생명공학 분야의 육성에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는 데 한계가 있음.
생명공학은 우수한 연구개발(R&D) 성과가 바로 시장에서의 성공으로 연결되는 과학・
기술집약적 분야로서 연구개발부터 산업화까지 전주기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함.
또한,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지속 성장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기술・인력・자금이 선순환되고, 산・학・연・의료기관 등 혁신주체 간 발전적 경쟁을 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 등 다양한 국가적 시책이 마련되어야 함.
이에, 기술발전과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전주기적 연구지원과 사업화 역량 강화,
혁신적인 연구 환경 조성 등 국가 미래 신성장동력인 생명공학의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 법적 근거를 규정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
하려는 것임.
2020.5.19.
2020.11.20.
소프트웨어 진흥법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 소프트웨어산업진흥기관 지정, 소프트웨어 창업 및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융합 분야를 아우르는 중앙 및 지역 차원의
소프트웨어산업 지원의 체계를 수립하고, 소프트웨어개발보안을 진흥하고 소프트웨어
안전을 확보하며 국민 대상의 소프트웨어교육을 활성화하여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등 소프트웨어 진흥을 위한 기반 및 문화를 조성하며, 국가기관 등의 소프트웨어
사업 추진 시 소프트웨어사업자와의 계약이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하고 적정 사업기간 및 대가를 산정하도록
하는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경제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국가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을 전부개정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연구개발특구에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조합의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특구진흥재단이 투자조합의 조합원으로 투자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 기업을 연구개발
특구에 있는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으로 일원화하는 한편, 입주승인을 다른
2020.12.22.
2020.12.22.
∙627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산업단지와 유사하게 입주계약으로 변경하는 등 연구개발특구 내 입주기업의 편의
확대 등을 위하여 관련 규정을 정비하려는 것임.
2020.12.22.
2021. 6. 23.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과학기술발전 등 연구환경 변화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연구실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
하기 위하여 정부가 안전기술 개발 및 안전문화의 확산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성이 있고, 대학・연구기관 등의 자율적이고 효율적인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하여
기관장 및 연구자 등의 안전의식을 개선하고, 안전점검 대행기관 등의 기술력 강화
등을 통해 안전관리를 전문화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하여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2020.6.9.
2022. 6.10.
원자력 진흥법
원자력진흥위원회의 심의・의결 사항에 ‘원자력 수출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사항’을 추가
함으로써 원자력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려는 것임.
2020.12.22.
2021.6.23.
전기통신사업법
불법촬영물 등의 유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가통신사업자 등에게 아동・청소년
이용성착취물 등의 유통방지 조치의무 등을 부과하고, 이용자 보호를 위하여 일부 기간
통신사업자의 서비스별 요금 등에 관한 이용약관 인가제를 신고제로 전환하되, 신고
반려 근거를 마련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종이문서 대신 전자문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자문서의 법적 효력 및 전자문서를 서면으로 볼 수 있는 요건을
명확히 하고,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의 신규 진입장벽을 완화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일정한 요건을 갖춘 자를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 지정하여 전자문서유통을 하게 하던
것을 인증제로 변경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전자서명법
공인인증서는 우리나라의 전자서명 제도 도입 초기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면서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국가정보화에 기여하였으나, 현 시점에서는 공인인증서가 시장독점을 초래
하고 전자서명 기술의 발전과 서비스 혁신을 저해하며, 다양하고 편리한 전자서명수단에
대한 국민들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인인증서 제도를 폐지함으로써 민간의 다양한 전자서명수단들이
기술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차별 없이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전자서명의
신뢰성 제고 및 전자서명인증서비스 선택에 필요한 정보 제공을 위하여 국제적 기준을
고려한 전자서명인증업무 평가・인정제도를 도입하는 등 전자서명 제도를 국가 위주에서
민간 위주로 개편하여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국민의 선택권을 확대
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2020.6.9.
2021.6.10.
전파법
현행법은 다른 무선통신에 혼신을 주지 않도록 전파를 이용해야 하는 국제적 전파이용
원칙에 따라 전파방해 또는 차단을 금지하고 있는데, 최근 해외에서 드론을 이용한
테러가 발생하고 국내에서도 드론의 무단비행으로 인해 국가중요시설 등에 대한 안전
위협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인바, 전 세계적으로 드론 탐지기술과 더불어 불법드론 무력
화를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는 드론 제어 주파수에 대한 전파차단 등을
예외적으로 허용할 필요가 있음.
이에 타인의 전파이용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의 원칙을 유지하되,
공공안전을 위해 불가피한 경우에는 드론 및 폭발물 등 공공안전 위협 수단을 대상으로
전파이용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전파차단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규정하고, 전파
차단장치의 오남용 방지를 위하여 전파차단장치 도입・폐기 시 신고, 전파차단장치의
2020.6.9.
2020.12.10.
∙628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제조・수입・판매 시 인가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전파차단장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사상(死傷)에 대한 면책규정을 마련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최근 정보통신망의 정상적인 보호・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정보통신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 등의 백도어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사고 발생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바, 정상적인 보호・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정보통신기반시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 등을 정보통신기반시설에 설치하는
행위를 전자적 침해행위로 규정함으로써 통신장비 보안사고 발생에 대비하려는 것임.
2020.6.9.
2020.12.10.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
한 법률
현행법상 금지되는 정보통신망 침해행위에 최근 정보통신망의 정상적인 보호・인증
절차를 우회하여 정보통신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 등의
백도어를 정보통신망 또는 정보시스템에 설치하는 행위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아
백도어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최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거짓의 음향・화상 또는 영상 등의 딥페이크(Deep
Fake) 정보가 인터넷에 유통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바, 딥페이크 정보가 정교할수록
이용자가 해당 정보의 거짓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보급하는 것이 시급함.
또한, 최근 발생한 텔레그램 N번방 사건처럼 불법촬영물의 유통으로 인한 피해자의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신속한 삭제와 접속 차단이
우선되어야 하고, 특히 해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해외사업자라는 이유로
국내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인바,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한편, 정보통신망에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연결기기 등과 관련된
침해사고가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에 큰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현행법은 정보통신망연결기기 등의 정보보호에 관한 대책이 미흡한바, 이를 보완
할 필요가 있음.
2020.6.9.
2020.12.10.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양자(量子)역학적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암호 및 통신, 양자센서 및 소자, 양자컴퓨터
등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정보통신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양자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하려는 것임.
2020.6.9.
2021.6.10.
지능정보화 기본법
최근 우리 사회는 인공지능, 데이터, 5G 등 첨단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초연결・초지능
기반의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에 접어들고 있는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범국가적 추진체계 구축과 기술혁신을 위한 규제체계
정비가 필요함.
또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모아 가장 효율적인 집행체계를 만드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은 자율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민간이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소규모 개방경제 체제인 우리나라에서는 정부가 전략 기술 개발, 공공투자
확대, 제도정비 및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해 민간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일하는 방식이 변하고 기술 융합으로 산업이 재탄생하는
등 이른바 ‘파괴적 혁신’을 통한 생산성의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는 점에서 일자리・교육・
복지 등 사회제도의 근본적인 변화도 예상됨.
4차 산업혁명은 이러한 변화로 인한 일자리 변동, 양극화 심화, 사생활 침해 등의
부작용과 사회적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이에 정보화 혁명을 성공적으로 뒷받침한 「국가정보화 기본법」을 전면 개정하여 4차
2020.6.9.
2020.12.10.
∙629 ∙
2.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법률 제・개정 현황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지능정보화 기본법
산업혁명 지원을 위한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데이터・인공지능 등 핵심기술
기반과 산업생태계를 강화하는 한편, 정보통신에 대한 접근성 품질인증 등을 실시함
으로써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려는 것임.
양자(量子)역학적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양자암호 및 통신, 양자센서 및 소자, 양자컴퓨터
등을 가능하게 하는 양자정보통신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
로써 양자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하려는
것임.
2020.6.9.
2021.6.10.
한국과학기술원법
1985년 6월 15일 이후 유지되고 있는 과태료의 상한액을 물가변동률 등 사회적・경제적
상황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원이 아니면서
한국과학기술원의 명칭을 사용한 자에 대한 과태료의 상한액을 100만원에서 500만원
으로 상향 조정하려는 것임.
2020.5.19.
2020.11.20.
한국연구재단법
부설기관 운영의 투명성 제고 등을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부설기관을 둘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2020.6.9.
2020.6.9.
주요내용 타법
공포일
시행일
「국가정보화기본법」 전부개정
최근 우리 사회는 인공지능, 데이터, 5G 등 첨단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초연결・초지능 기반의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에 접어들고 있는바, 4차 산업
혁명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범국가적 추진
체계 구축과 기술혁신을 위한 규제체계 정비가 필요함.
또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모아 가장
효율적인 집행체계를 만드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은 자율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민간이 주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규모 개방경제 체제인 우리나라에서는 정부가 전략
기술 개발, 공공투자 확대, 제도정비 및 생태계 구축 등을 통해 민간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일하는 방식이 변하고 기술 융합으로 산업이
재탄생하는 등 이른바 ‘파괴적 혁신’을 통한 생산성의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는
점에서 일자리・교육・복지 등 사회제도의 근본적인 변화도 예상됨.
4차 산업혁명은 이러한 변화로 인한 일자리 변동, 양극화 심화, 사생활
침해 등의 부작용과 사회적 갈등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이에 정보화 혁명을 성공적으로 뒷받침한 「국가정보화 기본법」을 전면 개정
하여 4차 산업혁명 지원을 위한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데이터・인공지능 등 핵심기술 기반과 산업생태계를 강화하는 한편, 정보통신에
대한 접근성 품질인증 등을 실시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과정에서 발생할
과학기술인공제회법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법률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2020.6.9..
2020.12.10.
∙630 ∙
주요내용 타법
공포일
시행일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려는 것임.
피후견인 결격조항 정비를 위한 7개 법률의 일부개정에 관한 법률
현행 피후견인 결격조항은 정신적 제약의 정도나 행위능력의 제한 범위와
상관없이 피후견인에 해당하기만 하면 각종 허가・면허나 임원의 선임 등
광범위한 분야의 직무에서 피후견인을 배제시키고 있는바, 이는 피후견인의
잔존 행위능력을 인정하여 행위능력의 획일적・포괄적 배제에서 개별적・
한정적 제한으로 전환하려는 성년후견 제도의 취지와 모순되고 직무수행
능력이 인정되는 피후견인의 직업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임원의 결격사유에서 피성년후견인 및 피한정후견인을
삭제하는 등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등 7개 법률에 따른
허가・면허나 임원 등의 결격사유에서 피후견인을 삭제하여 성년후견 제도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직무수행능력이 인정되는 피후견인의 기본권 보장을
강화하려는 것임.
우주개발진흥법
우주개발진흥법
2020.6.9.
2020.6.9.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전부개정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 소프트웨어산업진흥기관 지정, 소프트웨어 창업 및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및 소프트웨어융합 분야를 아우르는
중앙 및 지역 차원의 소프트웨어산업 지원의 체계를 수립하고,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을 진흥하고 소프트웨어안전을 확보하며 국민 대상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활성화하여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등 소프트웨어 진흥을
위한 기반 및 문화를 조성하며, 국가기관 등의 소프트웨어사업 추진 시
소프트웨어사업자와의 계약이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하고 적정 사업기간 및 대가를
산정하도록 하는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경제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국가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을 전부
개정하려는 것임.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
에 관한 특별법
2020.6.9.
2020.12.10.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
지금까지 벤처투자 제도는 투자주체별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
법」 및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각각 분산되어 있어 국민들이 쉽고 체계적
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투자대상 등을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벤처투자
시장의 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음.
이에 따라 창업자,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등에 대한 투자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고 벤처투자 산업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개별법에
따라 각각 운영되어 왔던 벤처투자에 관한 사항을 이 법에 통합하여 규정하는
한편,
투자역량을 갖춘 전문적인 개인투자자를 발굴하고 건전한 개인투자 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전문개인투자자 등록제를 도입하고, 성장잠재력이 높은
우수한 기업 등에 대한 다양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하여 벤처투자조합 등의
결성주체를 확대하며, 개인투자조합 및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등의 의무투
자비율 산정기준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등 벤처투자 제도를 근본적으로
시장친화적인 관점에서 체계화, 단순화 및 최소 규제의 방향으로 개편하기
위하여 이 법을 제정하려는 것임.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
2020.2.11.
2020.8.12.
∙631 ∙
3. 시행령 제・개정 현황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투자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으로 하여금
5년 단위의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을 수립하도록 하고, 중장기투자전략에 따라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과학기술기본법」이 개정(법률
제17340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중장기 투자전략에 포함해야 할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투자 분야를 산업
및 기술경쟁력 확보 분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분야, 자율적・도전적 연구환경
조성 분야로 정하고,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추진실적을 제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10.
2020.12.10.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두는 감사(監事)가 실시하는 감사(監査)기능을 국가
과학기술연구회로 이관하고, 연구기관에 대한 자체감사를 실시하는 전담조직을 국가
과학기술연구회에 두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7341호, 2020. 6. 9. 공포, 2020.
12. 10. 시행)됨에 따라 연구기관에 대한 자체감사를 실시하는 전담조직으로 국가과학
기술연구회 이사장 소속의 감사위원회를 두고, 감사위원회의 위원 수, 위원의 임명방법,
임기, 의사・의결정족수 등 감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안정적이고 일관된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구기관의 원장을 재선임할 수 있는
기준을 연구실적 및 경영 내용에 대한 평가결과 최상위등급을 받은 경우에서 우수
등급 이상을 받은 경우로 완화하려는 것임.
2020.12.10.
2020.12.10.
2020.12.10.
2021. 6.10.
광주과학기술원법
시행령
광주과학기술원이 아니면서 광주과학기술원의 명칭을 사용한 자에 대한 과태료의 상한
액을 1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으로 「광주과학기술원법」이 개정
(법률 제17258호, 2020. 5. 19. 공포, 11. 20. 시행)됨에 따라 광주과학기술원이
아닌 자가 광주과학기술원의 명칭을 사용한 경우 위반횟수에 따라 50만원부터 100
만원까지의 과태료를 부과하던 것을 위반횟수와 관계없이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
하도록 과태료의 부과기준을 강화하여 과태료 부과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것임.
2020.11.17
2020.11.20.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현재 중앙행정기관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합적・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 전반의 비효율과 불필요한
부담을 제거하는 동시에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과학
기술기본법」 및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운영・추진 등에 관한 사항을 범부처 공통규범으로 통합・체계화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연구개발혁신법」이 제정(법률 제17343호, 2020. 6. 9. 공포, 2021. 1. 1. 시행)
됨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공모를 통하여 연구개발과제 및 연구개발기관을 선정
하려면 연구개발과제 관련 사항을 30일 이상 공고하도록 하고, 연구개발과제 및 연구
개발기관을 선정하여 통보한 경우 30일 이내에 연구개발과제협약을 체결하도록 하며,
연구개발과제의 수행과정・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등을 평가하도록 하는 한편, 연구개발
과제 관련 부정행위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처분 기준을 마련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29.
2021.1.1.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기업의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활동 분야 중 서비스 분야의 범위를
일반 유흥주점업 등 일부 서비스 업종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 업종으로 확대하고, 직전
3개 사업연도 평균매출액 5천억원 이상 중견기업에 대해서 기업부설연구소를 인정받기
위한 연구전담요원 확보인원수 기준을 10명 이상에서 7명 이상으로 완화하는 한편,
그 밖에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3.3.
2020.3.3.
∙632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법 시행령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아니면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에 대한 과태료의 상한액을 1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으로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이 개정(법률 제17260호, 2020. 5. 19. 공포, 11. 20. 시행)
됨에 따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아닌 자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경우 위반횟수에 따라 50만원부터 100만원까지의 과태료를 부과하던
것을 위반횟수와 관계없이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과태료의 부과기준을 강화
하여 과태료 부과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것임.
2020.11.17.
2020.11.20.
방송법 시행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가 5년 이상 계속하여 방송을 행하지
않거나 신고를 하지 않고 폐업한 경우에 등록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방송
법」이 개정(법률 제16750호, 2019. 12. 10. 공포, 2020. 6. 11. 시행)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그 사유로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등록을 취소하려는 경우
방송 실시결과의 미제출 내역이나 폐업신고 등을 확인하도록 하려는 것임.
2020.6.9.
2020.6.11.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시행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북한의 방송통신 정책・제도 및 현황에
관하여 조사・연구하도록 하고, 방송통신사업자 등에게 협력을 요청하고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이 개정(법률 제16751호,
2019. 12. 10. 공포, 2020. 6. 11. 시행)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등이
방송통신사업자 등에게 협조 요청 및 경비 지원을 할 수 있는 대상을 남북 간 방송통신
기술협력, 전기통신역무 제공에 관한 교류 및 협력 사업 등으로 정하는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등으로부터 권한 또는 업무의 위임・위탁을 받은 기관은 위임・
위탁받은 사무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결과를 위임・위탁기관에 보고하도록 하려는
것임.
2020.8.4.
2020.8.4.
생명공학육성법
시행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소속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 심의할 사항을 사전에 검토
하기 위하여 심의회에 실무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을 사전에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며, 관계 중앙
행정기관의 장은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제품 등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생명공학
분류체계를 수립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생명공학육성법」이 개정(법률 제17261호,
2020. 5. 19. 공포, 11. 20. 시행)됨에 따라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실무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사전에 평가할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의 범위를 정하는 한편,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수립하는 생명공학 분류체계의 수립절차를 마련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1.20.
2020.11.20.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령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지역별 특성에 기반한 소프트웨어산업 진흥을 위하여 지역별
소프트웨어산업 진흥기관을 지정하여 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하고, 공정계약의 원칙에
맞추어 소프트웨어사업에 관한 계약서에는 계약사항을 분명하게 작성하도록 하며, 국가
기관 등의 장은 소프트웨어 산출물에 대하여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그 반출 요청을
승인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이 개정(법률 제17348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지역별 소프트웨어산업 진흥기관의 지정
요건 및 위탁 업무, 공정계약을 위하여 소프트웨어사업에 관한 계약서에 명시해야 할
중요 사항, 소프트웨어사업 산출물의 반출 불승인 사유를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소프트웨어진흥시설 및 소프트웨어진흥단지의 지정요건을 완화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12.8.
2020.12.10.
∙633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연구실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행기관에 대한 행정처분
사유와 연구주체의 장 등에 대한 과태료 부과 사유를 추가하고, 대행기관의 위반행위
경중에 따라 차등화된 행정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대학・연구기관 등의 분교・분원이
소규모인 경우 등에는 별도로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 전부개정(법률 제17350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대행기관에 대한 행정처분의 세부기준과
위반행위별 과태료의 부과기준, 분교・분원에 별도로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행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장비 요건을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합리화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12.10.
2020.12.10.
울산과학기술원법
시행령
유사명칭 사용에 대한 과태료 금액을 위반횟수와 관계없이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광주과학기술원법 시행령」,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시행령」 및 「한국과학기술원법
시행령」의 개정취지에 맞추어 울산과학기술원이 아닌 자가 울산과학기술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경우 위반횟수에 따라 200만원부터 500만원까지의 과태료를
부과하던 것을 위반횟수와 관계없이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과태료의 부과
기준을 강화하여 동일 유형의 행위에 대한 과태료 금액의 편차를 방지하고 과태료
부과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것임.
2020.11.17.
2020.11.17.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불법촬영물 등의 유포・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가통신사업자에게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하도록 하고, 편리하고 안정적인 전기통신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부가통신사업자에게 서비스 안정수단의 확보 등의 조치를 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기통신사업법」이 개정(법률 제17352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불법촬영물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 조치의무가 있는
부가통신사업자의 범위 및 기술적・관리적 조치의 내용, 서비스 안정수단의 확보 등을
위한 조치를 해야 하는 부가통신사업자의 범위와 조치사항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
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사물인터넷 분야의 전기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간통신사업자의 자본금에 관한 등록
요건을 완화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12.8.
2020.12.10.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시행령
전자문서를 송신・수신 또는 중계하는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 하여금 전자문서의 작성자
등에게 전자문서의 유통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고,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의 진입
요건을 완화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지정제를
인증제로 변경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이 개정(법률 제
17353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의 전자문서
유통증명서 발급 절차와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인증요건을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10.
2020.12.10.
전자서명법 시행령
민간의 다양한 전자서명수단들이 기술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차별 없이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공인인증서 제도를 폐지하고, 전자서명의 신뢰성을 높이고
전자서명인증서비스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서명인증업무에 대한
평가・인정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자서명법」이 전부개정(법률 제17354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전자서명인증사업자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정한 운영기준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평가기관의 선정기준 및 업무수행
방법, 전자서명인증사업자의 가입자 신원확인 방법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8.
2020.12.10.
∙634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전파법 시행령
드론 및 폭발물 등 공공안전 위협 수단을 대상으로 공공안전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에
중앙행정기관 등이 전파이용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전파차단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파차단장치의 도입・폐기 신고제 및 전파차단장치의 제조・수입・판매 인가제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파법」이 개정(법률 제17355호, 2020. 6. 9. 개정, 12.
10. 시행)됨에 따라, 전파차단장치의 도입・폐기 신고사항, 전파차단장치의 제조・수입・
판매의 인가 절차 및 인가 요건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으로 하여금 감염병의 확산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무선국 시설자의 전자파 강도 보고 시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12.1.
2020.12.10.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일 평균 이용자 수 등이 일정기준 이상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아동・청소년성
착취물 등 불법촬영물 등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책임자를 지정하도록 하고, 과학기술
정보통신부장관으로 하여금 정보통신망연결기기 등에 대한 정보보호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7358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불법촬영물 등의 유통방지
책임자를 지정해야 하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범위 및 해당 책임자에 대한 교육,
정보통신망연결기기 등에 대한 정보보호인증 신청 절차 및 정보보호인증시험의 대행기관
지정기준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8.
2020.12.10.
2020.12.8.
2021.1.1.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령
정부는 지능정보사회 기반 조성 및 산업의 지능정보화 등을 위하여 주요 부문별 추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연구기관 등으로 하여금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하게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국민의 생명 등에 밀접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관리・
활용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정보화 기본법」이 개정(법률
제17344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부문별 추진계획에 포함할
사항 및 수립절차,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하는 전문적 연구기관 등의 지정기준 및 지정
절차와 국민의 생명 등에 밀접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관리・활용하기 위한 기준의
적용대상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8.
2020.12.10.
한국과학기술원법
시행령
한국과학기술원이 아니면서 한국과학기술원의 명칭을 사용한 자에 대한 과태료의 상한
액을 1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으로 「한국과학기술원법」이 개정
(법률 제17262호, 2020. 5. 19. 공포, 11. 20. 시행)됨에 따라 한국과학기술원이
아닌 자가 한국과학기술원의 명칭을 사용한 경우 위반횟수에 따라 50만원부터 100만원
까지의 과태료를 부과하던 것을 위반횟수와 관계없이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과태료의 부과기준을 강화하여 과태료 부과처분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것임.
2020.11.17.
2020.11.20.
∙635 ∙
4.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시행령 제・개정 현황
주요내용 타법
공포일
시행일
「국가정보화기본법」 전부개정
정부는 지능정보사회 기반 조성 및 산업의 지능정보화 등을 위하여 주요 부문별 추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연구기관 등으로 하여금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하게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국민의 생명 등에 밀접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관리・
활용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정보화 기본법」이 개정(법률
제17344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부문별 추진계획에 포함할
사항 및 수립절차,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하는 전문적 연구기관 등의 지정기준 및 지정
절차와 국민의 생명 등에 밀접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관리・활용하기 위한 기준의
적용대상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와 그 소속기관 직제
2020.12.8.
2020.12.10.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
연구실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행기관에 대한 행정처분
사유와 연구주체의 장 등에 대한 과태료 부과 사유를 추가하고, 대행기관의 위반행위
경중에 따라 차등화된 행정처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대학・연구기관 등의 분교・분원이
소규모인 경우 등에는 별도로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 전부개정(법률 제17350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대행기관에 대한 행정처분의 세부기준과
위반행위별 과태료의 부과기준, 분교・분원에 별도로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지정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대행기관으로 등록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장비 요건을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합리화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2020.12.10.
2020.12.10.
「생명공학육성법」 일부개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소속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 심의할 사항을 사전에 검토
하기 위하여 심의회에 실무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을 사전에 평가하여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며, 관계 중앙
행정기관의 장은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제품 등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생명공학
분류체계를 수립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생명공학육성법」이 개정(법률 제17261호,
2020. 5. 19. 공포, 11. 20. 시행)됨에 따라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실무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사전에 평가할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의 범위를 정하는 한편,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수립하는 생명공학 분류체계의 수립절차를 마련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뇌연구 촉진법
시행령
2020.11.20.
2020.11.20.
규제 재검토기한 해제 등을 위한 144개 대통령령의 일부개정
2014년 및 2017년에 3년을 주기로 재검토기한을 설정한 규제의 재검토기한이 도래함에
따라 사업장별 고용관리 책임자 지정 등 규제의 타당성에 대해 추가적인 검토 실익이
적은 229개의 규제에 대해서는 규제의 재검토기한 설정을 해제하고, 지능형전력망
관련 인증기관 지정기준 등 3개의 규제에 대해서는 재검토주기를 변경하며, 에너지다소
비업자의 기준에 관한 규제에 대해 3년 주기의 규제 재검토기한을 새로 설정하고 기한
도래 시마다 해당 규제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도록 하는 한편,
과징금 및 과태료에 관한 사항은 「행정규제기본법」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과징금 및 과태료의 부과기준 등의 규제에 대해서는 규제의 재검토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사선및방사성동위
원소이용진흥법시행
령
이동통신단말장치유
통구조개선에관한법
률시행령
2020.3.3.
2020.3.3.
∙636 ∙
5. 시행규칙 제・개정 현황
주요내용 타법
공포일
시행일
등 규제를 실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
144개 대통령령을 정비하려는 것임.
「국가정보화기본법시행령」 전부개정
정부는 지능정보사회 기반 조성 및 산업의 지능정보화 등을 위하여 주요 부문별 추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연구기관 등으로 하여금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하게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국민의 생명 등에 밀접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관리・
활용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국가정보화 기본법」이 개정(법률
제17344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부문별 추진계획에 포함할
사항 및 수립절차, 지능정보기술을 개발하는 전문적 연구기관 등의 지정기준 및 지정
절차와 국민의 생명 등에 밀접한 지능정보기술을 개발・관리・활용하기 위한 기준의
적용대상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인터넷주소자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20.12.8.
2020.12.10.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생명연구자원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에 2023년
10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으로 생명연구자원과를 신설하면서 이에 필요한
인력 2명(4급 1명, 5급 1명)을 한시적으로 증원하는 내용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가 개정(대통령령 제31142호, 2020. 11. 10. 공포・시행)됨에 따라
변경되는 사항을 반영하는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그 소속기관에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하여 증원한 인력 6명(7급 2명, 9급 4명)의 존속기한을 2020년 12월 27일에서
2022년 12월 27일까지로 2년 연장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11.10.
2020.11.10.
기술사법 시행규칙
기술사 교육기관의 지정을 희망하는 기관이나 단체가 기술사 교육기관 공모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술사 교육기관의 요건 중 기술사 교육훈련 관련
전담 강사 확보 및 강의실 면적 요건을 삭제하려는 것임.
2020.7.27.
2020.7.27.
무선설비규칙
무선국 검사업무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무선국 송신
설비와 동일한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통합공공망용 전용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국 송신
설비에 대해서도 같은 안테나공급전력 허용편차를 적용하려는 것임.
2020.12.24.
2020.12.24.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규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소프트웨어사업자 및 소프트웨어사업 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유치함으로써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영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진흥시설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프트웨어의 품질 확보 및 유통 촉진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기술 및 지식 등을 가진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인력 양성기관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소프트웨어 진흥법」 및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소프트웨어진흥
시설의 지정 절차,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신청 절차 및 소프트웨어인력 양성기관의
지정 절차 등을 마련하는 등 법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23.
2020.12.23.
∙637 ∙
법령명 주요내용
공포일
시행일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연구실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연구실책임자는 연구실에 연구활동에 적합한 보호구를
비치하고 연구활동종사자로 하여금 이를 착용하도록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연구활동종사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임시건강검진의 실시를 명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 전부개정됨에 따라 연구실에 비치해야 하는 보호구의 종류와 임시건강검진의
대상 및 검진 항목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연구주체의 장이 연구활동종사자의 상해・사망에 대비하여 가입해야 하는 보험의 급여별
보상금액 기준 중 요양급여의 보상금액 한도를 상향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020.12.18.
2020.12.18.
2020.12.18.
2020.12.19.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시행규칙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의 진입 요건을 완화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공인
전자문서중계자 지정제를 인증제로 변경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및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인증신청서 및 인증서 서식을 마련하고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인증의 갱신절차를 마련하는
등 법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22.
2020.12.22.
전자서명법 시행규칙
전자서명의 신뢰성을 높이고 전자서명인증서비스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서명인증업무에 대한 평가・인정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자서명법」 및
같은 법 시행령이 전부개정됨에 따라 평가기관 선정 방법, 운영기준 준수사실을 인정받은
경우 그 표시방법 및 본인확인기관인 전자서명인증사업자가 실지명의를 기준으로 가입
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등 법률 및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10.
2020.12.10.
전파법 시행규칙
드론 및 폭발물 등 공공안전 위협 수단을 대상으로 공공안전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에
드론 제어 주파수 등을 방해・차단하는 전파차단장치의 제조・수입・판매 인가제를 도입
하는 등의 내용으로 「전파법」 및 「전파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전파차단장치의
제조・수입・판매 인가의 신청절차에 필요한 신청서 서식을 마련하려는 것임.
2020.12.24.
2020.12.24.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으로 하여금 정보통신망연결기기 등에 대한 정보보호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법률 제17358호, 2020. 6. 9. 공포, 12. 10. 시행)되고, 정보통신망연결기기
등에 대한 정보보호인증 신청 절차 및 정보보호인증시험의 대행기관 지정기준 등의
내용으로 「정보통신망의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개정(대통령령
제31247호, 2020. 12. 8. 공포, 12. 10. 시행)됨에 따라, 정보보호인증 신청 절차에
필요한 신청서 서식을 마련하고, 정보보호인증 유효기간의 연장 신청 절차를 정하는
등 법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10.
2020.12.10.
지능정보화 기본법
시행규칙
정보통신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다수의 정보통신기반을 일정한 공간에 집적시켜 통합
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일정한 민간 데이터센터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장애인・고령자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 편의를 증진하는 유・무선
정보통신에 대한 정보통신품질접근 인증제도를 마련하는 내용 등의 내용으로 「국가
정보화 기본법」 및 「국가정보화 기본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지원 대상이 되는 민간 데이터센터의 요건 및 규모를 정하고, 정보통신품질접근
인증제도의 지정 절차, 인증을 대행하는 대행기관의 지정 절차 등을 마련하는 등 법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020.12.24.
2020.12.24.
∙638 ∙
6. 타법 제・개정으로 인한 시행규칙 제・개정 현황
주요내용 타법
공포일
시행일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시행규칙」 전부개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소프트웨어사업자 및 소프트웨어사업 시설 등을 집단적으로
유치함으로써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영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진흥시설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프트웨어의 품질 확보 및 유통 촉진을 위하여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기술 및 지식 등을 가진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인력 양성기관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소프트웨어 진흥법」 및 「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소프트웨어진흥
시설의 지정 절차,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 신청 절차 및 소프트웨어인력 양성기관의
지정 절차 등을 마련하는 등 법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비상대비자원
관리법 시행규칙
2020.12.23.
2020.12.23.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
연구실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하여 연구실책임자는 연구실에 연구활동에 적합한
보호구를 비치하고 연구활동종사자로 하여금 이를 착용하도록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연구활동종사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임시건강검진의 실시를 명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 전부개정됨에 따라 연구실에 비치해야 하는 보호구의 종류와
임시건강검진의 대상 및 검진 항목 등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연구주체의 장이 연구활동종사자의 상해・사망에 대비하여 가입해야
하는 보험의 급여별 보상금액 기준 중 요양급여의 보상금액 한도를 상향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2020.12.18.
2020.12.18.
∙639 ∙
제3장
2020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 지능형 CCTV로 범죄 예측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 2020년 시무식 및 유공자 포상식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
KMTNet 망원경으로 외계에서 날아온 성간천체 보리소프(2I/Borisov)을 지구 접근
직전 촬영 성공
한국천문연구원(KASI)
1.2 원자력硏, 겨울방학 ‘초록공감 연구원 개방의 날’ 운영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 강시용 한국육종학회장 취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 2019 KBSI人 장기수 책임연구원 선정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2 “친환경 GABA생성 기능성 김치유산균 WiKim0118”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3 핵융합(연) 자랑스런 NFRI人 수상자 발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3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개최 한국천문연구원(KASI)
1.3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 WiKim38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골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6 국산 농약 최초 전 세계 1위 미국 시장 진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7 『IEEE체스터살』상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7 경주양성자가속기누적가동2만시간돌파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7 한-중 희토 신소재 기술 발전 세미나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8 수요 맞춤형 현장 중심 엔지니어링 교육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9 원자력硏 김형규 박사,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회장 취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9 인공 땀샘 박막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9 수전해 효율·안정성 개선하는 분리막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9 ITER블랑켓차폐블록2차분제작계약체결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9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차례술 빚기 행사 한국식품연구원(KFRI)
1.10 원자력硏, 교원 초청 원자력 세미나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0 수소 유량 교정시스템 개발… 충전소 신뢰성 UP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10
우간다 Natural Chemotherapeutics Research Institute (NCRI 센터) 세계김치
연구소 방문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1 유성구청협력씨네톡톡'영화속핵융합이야기'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640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3 5G 스몰셀 퀄컴과 공동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3 KIST 유영숙 박사, 기후변화센터 제5대 이사장 취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3~17 2020년동계교원천문연수행사개최 한국천문연구원(KASI)
1.14 노인성 질환 치료 등 노화연구 특화시설 준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14 싱가포르 철도시험선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싱가프로 육상교통청과 철도기술 협력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14 경남 창원 제조 AI-Changwon 비전 선포식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14 2020 Fusion School 동계과학캠프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15 식물유로부터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세바식산) 대량생산 미생물 화학공정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15 생명연 김승준 부원장, 한국생물물리학회 14대 회장 선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15 방사선 노출 대폭 줄인 엑스선 소스 상용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5
연구소 기업 설립을 통한 5kW 고온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 사업화 추진(차세대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 진출 가시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5 KIST, 대한민국 공군과 국방기술 협력 기반 마련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5 산업ODA사업성공사례공유세미나개최(강성룡한국산업기술진흥원국제협력단장) 녹색기술센터(GTC)
1.15 무인운반차의 정지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 및 이전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6
신남방정책 중심국가 베트남과 철도협력 본격화를 위한 (베)교통부 차관과 협력간담회
및 (베)철도청과 한-베 철도기술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16 원자력(연), 미생물로 방사선 신시장 나선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6 “김치를 이용한 김치맛 소금 및 그 제조방법”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7 건설연-경기도시공사 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17 나노기술 국제표준화 총회 참여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7 종이처럼 여러 번 접었다 펴는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19 마침내 베일 벗은 반데르발스 자성체 비밀, 차세대 스핀트로닉스 반도체 개발 청신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0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기술거래사회) 한국전기연구원(KERI)
1.20 베트남 하노이 도시철도 8호선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착수보고회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20~21 2020년 천문연 동계 방문의 날 행사 개최 한국천문연구원(KASI)
1.21 독성연구를 통한 국내 최초 US EPA 등록에 기여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1
미생물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녹조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상세한 생물학적
메카니즘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1 2020년 AI 7대 트렌드'발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1 초경량유연CIGS박막태양전지효율향상매커니즘규명(국제학술지'NanoEnergy'게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1 자가치유와 건강측정, 두 마리 토끼 잡는 ‘웨어러블센서’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21 전기차 주행거리 2배 이상 늘어난다, 고용량 배터리 음극 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1 HPC ASIA 2021 국제학술대회 한국 유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21 한국식품연구원-전남대학교 업무협약 한국식품연구원(KFRI)
1.21 한반도 북부의 지질 및 광물자원 지침서 “한반도 북부의 지질과 광화작용” 책자 발간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21~2.14 시험용 달 궤도선 상세설계점검회의 (KPLO CDA)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22 2020 1차 경영자문위원회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641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2 에너지연-(주)솔로이엔씨 공조용 제습장치 기술 이전 체결식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3 동의보감 속 약재 파킨슨병 운동장애 개선 효능 입증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23 달걀 옮기기부터 가위질까지 척척 ‘인간형 로봇 손’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1.28 AI와 의료 3D프린팅 융합해 국제표준화 주도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9 휴대용 선로진단 장비 개발, 북한철도조사 적용 가능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29 화학연-전기연-안전성연 간 업무협약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9
전기, 화학 및 안전성 평가 분야 연구 활성화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화학연-안전성
평가연)
한국전기연구원(KERI)
1.30 복제 불가능한 ‘바이오인식’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30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원광연 이사장 초청 강연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31 생명연, ‘설립 35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31 녹색기술센터 창립 7주년 기념식 녹색기술센터(GTC)
2.1~12.31 다음 카카오 연계 “프리미엄 갤러리” 전시(온라인) 세계김치연구소(WiKim)
2.3
소재, 부품, 장비 산업 육성 협력 협약 체결(부산시-부산테크노파크-소부장플랫폼 등
12개 기관)
한국전기연구원(KERI)
2.3 안전성평가연구소 박준우 박사 미세플라스틱 관련 온라인 강의 제작 안전성평가연구소(KIT)
2.3 빅데이터 및 AI기술 기반 미래 10대 유망기술 선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3 ㈜센트랄, 재료연구소의 헌신적 R&D기업지원에 우수협력기관 감사패 전달 한국재료연구원(KIMS)
2.4 EGFR 변이 폐암 치료제 세계적 혁신 기술로 선정 한국화학연구원(KRICT)
2.4
기계연-국가보훈처-중앙보훈병원, 상이국가유공자 스마트 로봇의족 지원을 위한
시연회 개최
한국기계연구원(KIMM)
2.5 한약재 감별에도 인공지능 기술 도입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2.5 안전성평가연구소, 청년일자리 대책 추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2.5 ScienceON, 리뉴얼 오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7 스크래치·주름 발생 줄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2.10 원자력硏 김형택 박사, 유럽방사선량연구그룹 젊은 과학자상 수상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2.11 건설연,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스마트시티 기술 꽃피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2.11 KBSI-고려대, 가속기 기술 기반 분석연구장비 개발위해 맞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2.11
생명연, 바이오 인프라서비스 관련정보 제공 ‘KRIBB 인프라서비스 활용 가이드’ 제작
및 배포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2.11 ETRI 자율주행 인프라 기술, 유럽서 큰 호응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11 실시간 3차원 나노소자 측정기술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2.11 재료연, 인제대와 업무협약 통해 지역대학 살리기와 인력양성 교두보 역할에 나서 한국재료연구원(KIMS)
2.12 사우디 Tanal Global Holdings 그룹과 BIM기술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2.12 생명연, 『2020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발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2.12 발전소 무인화기술도입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2.13 ‘떼어 붙이는’ 신공정 개발로 '만능’ 전자기소재 가능성 열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2.13 기계기술정책 97호 '기계산업 2019년 성과와 2020년 전망' 발간 한국기계연구원(KIMM)
∙642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2.13 물체의 미세한 표면정보 보여주는 압력 디스플레이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13 세계 최고 수준 순산소 순환유동층 연소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2.13 제1회 2020 기후기술 리더스포럼 개최(유연철 기후변화대사) 녹색기술센터(GTC)
2.14 안전성평가연구소,2019년우수성과선정발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2.16 북미 연구진과 함께 바이오연료 생산공정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17 서울프로폴리스(주)구강향균‘프로비프로폴리스스프레이’신제품출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2.17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건설총괄직에김근경전한수원처장선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2.17 도경기술, 재료연 지원 통해 인젝션 슬리브 수명 대폭 늘려 한국재료연구원(KIMS)
2.17 취향존중 김치의 맛! 세계김치연구소, 김치 전문 마켓 앱 ‘김치온’ 개발 세계김치연구소(WiKim)
2.18 시험사업 운영을 위한 이행 협약 체결(전기연-한국전기산업진흥회) 한국전기연구원(KERI)
2.18 페트병 대체 친환경 플라스틱 페프 핵심 원료 생산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2.19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과 스마트 건설기술 협력을 위한 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2.19 생체조직투명화기술해외특허등록 안전성평가연구소(KIT)
2.19 나노캡슐 통해 환경 유해물질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2.19 슈퍼컴 마하, 인간 암유전체 지도 완성에 공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19 광유도력' 발생원리 학계 논쟁 종지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2.19 소형·경량화된 신개념 연료전지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20 원자력(연), 연구로 수요국에 기술 컨설팅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2.20 KIST, 『K-Club 소재·부품·장비 산·연 협력 추진단』출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20
차세대 함정 전기추진체계 공동연구 상호협력 협약 체결(전기연-현대중공업-한국조선
해양-(사)한국선급)
한국전기연구원(KERI)
2.20 P4G 정상회의 민간자문위원 위촉식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2.21 파킨슨병의 신규 원인 현상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2.21 현장으로 찾아가는 태양광발전소 이동형 검사 진단 플랫폼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2.24 건설연, “국민 밀착체감형” 화재안전 기준 제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2.24 화훼농가 돕기 꽃 선물 릴레이 한국식품연구원(KFRI)
2.24 미세플라스틱의 독성 연구 결과 발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2.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15대 박현민 원장 취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2.24 KISTI 개발 SW AMGA, 국제 거대실험 Belle II 데이터처리 SW로 선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24 제12대 이낙규 신임 원장 취임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2.25 극저온에서 더 질긴 첨단 합금의 비밀 규명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2.25 KIST,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와 도핑방지 프로그램 업무협약 체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2.26 홀로그래피·인공지능 기술로 질환 연구 새 지평 열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2.26 기계연-AI 연구그룹 공공데이터 활용한 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한국기계연구원(KIMM)
2.26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형 이차전지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2.26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의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전략분야 인력양성사업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2.27 침 치료의 알츠하이머 개선 효능 과학적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643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2.27 기관협착 막는 ‘3D 튜브형 인공 기관’ 제작 기술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2.27 “기능성 김치유산균 WiKim39”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2.28 약물성 간손상 예측모델 ‘ToxSTAR’ 개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2.28 항암제 내성 관련된 ‘일차섬모’ 생성 원리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2.28
기술사업화 촉진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창원 강소특구 협의체 업무협약 체결(창원시
및 소재 산학연 17개 기관)
한국전기연구원(KERI)
2.28 한국형발사체 1단 체계개발모델(EM) 조립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3.1 양자컴퓨터 소재의 정확한 분석위한 전자특성 규명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3.2 건설연, BIM/GIS 기반 “건축물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2 국내 유일의 미니픽 독성시험체계 구축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3 KIST, 치매 원인 물질 (베타-아밀로이드)만 빨아들여 제거하는 나노 청소기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3~5 시험용 달 궤도선 상세설계검토회의 (KPLO CDR)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3.4 차세대 암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구리-67 국내 최초 생산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3.4 코로나19 치료용 항체·진단 관련 연구결과 발표 한국화학연구원(KRICT)
3.4 유해화학물질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발견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4 재료연,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성금 대한적십자사에 기탁 한국재료연구원(KIMS)
3.5 나노안전 측정기술 국제표준 채택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3.5 청와대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 전문가회의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3.5 한의약 처방 ‘비염고’ 비염 증상 개선 효능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3.5 녹색기술센터-GGGI 협력 워크숍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3.5 NTIS, 국가재난(코로나19) 이슈 관련 큐레이션 서비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6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중앙연동제어장치 출하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3.6 미세먼지 발생 시스템 특허등록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6 염색과정 실시간 모니터링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3.8 새만금개발청과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및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8 KIST, 새로운 청색광 반도체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9 건설연,신개념방탄‧방폭‧EMP복합기능방호구조물기술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9 안전성평가연구소, KIT 톡톡 기자단 모집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9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2020 CENIC 네트워킹 혁신상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10 염분차발전 효율·경제성 개선하는 전극소재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3.10 감염병 대응 의료진 위한 기술개발 속도 높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10 김완두 연구위원 '미래혁신기술-자연에서 답을 찾다' 발간 한국기계연구원(KIMM)
3.11 원자력(연), 원자력 안전문화 조성 위해‘KAERI 안전문화 서포터즈’모집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3.11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 발전기금 전달식(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3.11 김치 발효를 유도하는 유산균은 배추와 마늘에 있다 세계김치연구소(WiKim)
3.11
지질자원硏,‘차세대 칼륨 및 나트륨 이온 전지용 활성 그래핀 제조 기술’세계 최초
개발 Advanced Energy Material 게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3.12 과학기술 ODA 간담회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644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3.12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기부 한국식품연구원(KFRI)
3.12 기계기술정책 98호 ‘글로벌 농기계 산업 동향 분석’ 발간 한국기계연구원(KIMM)
3.12 안전성평가연구소, ‘코로나19’ 극복에 동참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12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촉진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전기연
-창원시-15개 유관기관)
한국전기연구원(KERI)
3.12 KISTI HPC 클라우드 서비스, KI(KISTI Intelligent) Cloud 오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13 창업보육률 달성(창업기업 성공률 13.3% 달성, 창업보육기업 65개사 중 52개사 생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3.13 전자파 차단 신소재‘맥신(MXene)’으로 초박막 나노 필름 제조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13 드론등신기술활용 관련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3.16 인공태양KSTAR,1억도초고온플라즈마8초간운전성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3.16 건설연, 국내 최초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16 코로나19 위기 극복위한 성금 및 손세정제 기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3.16 기술협력 및 인적교류 상호협력 협약 체결(전기연-광주과학기술원) 한국전기연구원(KERI)
3.17 미활용 자원 유래 탄소저장 및 온실가스 저감 바이오차 생산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3.17 코로나19 지원 위한 지역 아동센터 성금 및 마스크 기부 한국전기연구원(KERI)
3.17 연어의 DNA로 고용량 배터리 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17 세계김치연구소, 김치 문화 확산을 위한 종합 교육 서비스에 앞장 세계김치연구소(WiKim)
3.18 수중 환경에서 ‘메티오졸린‘ 제초제의 거동 밝혀내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18 생명연, 코로나19(COVID-19) 연구정보 포털 오픈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3.18 양자기술 새 지평…‘비밀공유 양자원격전송’ 완성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3.18 한국형발사체 3단 인증모델(QM) 종합연소시험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3.19 음식물쓰레기로 깨끗한 전기 생산하는 시대 눈앞에 성큼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19 한약소재 활용, 줄기세포 치료 부작용 극복 기술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3.19 ETRI, 유연소자 시제품 제작길 열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3.19 햇빛에 의해 자동으로 색이 변하는 스마트 윈도우 기술 구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3.19 이산화탄소를 화학 원료로 만드는 저비용 고효율 인공광합성 촉매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20 정병선 과기부 제1차관, MB필터 생산 파일럿 플랜트 방문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3.20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업무협약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20 재료연, 과학체험키트 무료 배송 프로그램 시범운영해 한국재료연구원(KIMS)
3.23 『KISTI 정책총서』 발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24 건설연, 방사성 세슘 99.8% 제거하는 고효율 저비용 수중 방사능 흡착제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24 KIST, 접을 수 있고 세탁도 가능한 초고효율 근적외선 시각화 광필름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24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SAFE) 베타서비스 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24
항우연-인천국제공항공사 항공교통관리시스템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서(MOU)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3.24 재료연구소, 필터용 항균소재-플라즈마 융합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3.25 코로나19 극복 : 화훼농가 돕는 '플라워 버킷 챌린지' 릴레이 캠페인 동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25 이동형 음압기 성능 인증 규격 개발 착수 한국기계연구원(KIMM)
∙645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3.25 ETRI, 400G 光 송·수신 엔진 세계 최초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3.25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기업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상호협력 협약 체결(전기연-다쏘
시스템)
한국전기연구원(KERI)
3.25 버려지는 PET 병 활용한 고효율 흡착 소재 개발, 물 속 항생제 제거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25 국가 오픈액세스 플랫폼(KOAR) 서비스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26 n-Lorem과 희귀난치병 치료제 개발 위한 협력 안전성평가연구소(KIT)
3.26
KIST 슈퍼 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 신소재 개발, 폭발·화재 위험이 없는 배터리의
상용화 이룬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27 건설연-LH, 스마트건설기술 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3.27 국내 개발 우주 관측기기 초소형 3채널 우주전파 수신시스템 이탈리아 수출 계약 체결 한국천문연구원(KASI)
3.29 전자의 스핀을 이용한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30
생명연, ‘생명공학자가 들려주는 코로나19와 바이러스 이야기’ 온라인 라이브 특강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3.30 화학산업 필수기술 수소화 반응 상온서도 가능 한국화학연구원(KRICT)
3.30~31 ODA 외부전문가 세미나 및 자문회의 개최(안창욱 바켈라 대표이사) 녹색기술센터(GTC)
3.31 ETRI AI드론 SW, 美 항공청 최고 안전등급 획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3.31 KIST, 늘어나는 리튬 이온 배터리 개발 신개념 그래핀 구조체로 구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3.31 제2회 2020 기후기술 리더스포럼 개최(유승직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녹색기술센터(GTC)
4.1 재료연, 3개월 간 대외 시험검사 및 교정 수수료 감면 결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4.1 International Data Week 2021 유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4.1 재료연, 용역근로자의 직접고용 전환 완료해 한국재료연구원(KIMS)
4.1~3 제 20차 TEC 이사회 화상회의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4.2 원자력(연), 차세대 액정 ‘블루페이즈’ 상전이 비밀 규명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4.2 표준연, 코로나19 극복위해 중소기업 지원 총력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4.2 SF6 대체가스 개발 관련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표준연-화학연-안전성평가연) 한국전기연구원(KERI)
4.2 한의학연, 남북 전통의학 교류․협력 방안 제시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4.2 기술창업아이디어공모전시상식진행 안전성평가연구소(KIT)
4.2 KIST, 부탄가스로도 작동하는 고성능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3 중소기업 장비이용료 감면 등 코로나19 극복 지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4.3 4월 8일 2020년 가장 큰 달 관련 천문정보 제공 한국천문연구원(KASI)
4.6 2020 과학의 달 과학상상 그림 공모전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4.7 냉장배송식료품상했는지알려주는스티커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4.7 해수담수화 기술, 마그네슘을 투입하여 안정성 확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7
KREONET 활용 코로나-19 대응 위한 한국-파키스탄 의료진간 온라인 협업 세미나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4.7 공주대학교와의 최첨단 미래기술 산학연협력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4.8 그래핀 기반 양자홀 표준저항소자 개발 성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4.8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배출되는 차세대 가스발전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46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4.8 딥러닝 기반 ‘피킹·적재 시스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8 ScienceON, 코로나19 관련 과학기술정보·데이터 제공 코너 신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4.8. 산업제어시스템 보안 분야 우리나라 최초 KS 국가표준 제정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4.9 원자력(연), 현대엔지니어링과 원자력 활용 친환경 수소생산 분야’등 업무협약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4.9 건설연, 남북한 건설기준 전문용어 1,100여개 단어 비교 분석 결과 공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4.9 에너지최소화 제습냉방기 및 건조공기 시스템 사업화 한국화학연구원(KRICT)
4.9 범부처 연구장비지식 온라인 통합 서비스 개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4.9 열차 소음 잡는 ‘철도차량 저소음 연결막’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9 KIST,신축성투명전극대형화성공스트레처블디스플레이제작가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9 아카이브 데이터와 알트메트릭 지수 통해 코로나19 연구최전선 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4.13 원자의움직임이가장빠르고밝게포착하는‘전자카메라’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4.13 건설연, 대한민국 건설산업에 스마트 바람 일으킨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4.13 미니트램 차세대 에너지저장시스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13 기계연, 제18대 박상진 원장 취임 한국기계연구원(KIMM)
4.14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19년 소관 출연(연) 『우수직원 이사장상 포상』 수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4.14 KIST-가톨릭대 공동연구진, 다양한 바이러스에 적용 가능한 백신 플랫폼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14 영아 돌연사 예방하는 에어백 조끼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4.15 DNA 메틸화 변화에 따른 갑상선암 발생 원인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4.16 도침(刀針)의 요추 추간판 탈출증 증상 개선 효능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4.16 전라남도청과의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활용 공동 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4.16 ‘코로나19’치료제및백신후보물질안전성평가신속지원 안전성평가연구소(KIT)
4.16 재료연, 조산초교에 과학체험키트 및 과학도서 교육 기부 한국재료연구원(KIMS)
4.17 ETRI, 청각장애인 촉각통해 소리전달 시스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4.18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시스템 (UTM) 1단계 개발 성능 시연 (무인비행장치
인천 영종도 GX칼텍스 원유 샘플 이송)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4.19 KIST,줄기세포를이용한중증하지허혈치료제임상승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20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진공용기최초섹터완성기념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4.20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슬러지 최소화 기술 개발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4.20 한국 철도시험인프라 구축기술, 민관협력 통해 싱가포르 진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0 철도차량 차체-대차 진단기술 및 장비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1 진동·충격 50% 이상 줄이는 철도화물 진동저감장치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1 제53회 과학의 날 기념 정부포상 및 장관표창 수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4.21 코로나19 국내 기업 지원을 위한 8억 규모 전력기기 시험인증 수수료 인하 한국전기연구원(KERI)
4.21 KIST, 신규 치매 플랫폼 개발, 머릿 속 치매 원인물질을 초기 단계부터 관찰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22 코로나19 감염 여부 실시간 확인 바이오센서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4.22 철도표준 통합 관리체계 구축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2
생명연 김승준, 오두병, 민정기 박사, 과학기술진흥 도약장·대통령표창·국무총리표창
수상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647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4.22 NST 이사장 현장방문 간담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4.23 한의학연, 한의사협과 중의약 통계 정책 보고서 공동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4.23 미래조선해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4.23 노후 콘크리트 시설물 보수보강기술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3 우주산업 경쟁 핵심인 에너지부품 개발 성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4.24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발표 한국천문연구원(KASI)
4.24 빅데이터로 철도 전기시설 고장 예측 기술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4 포름알데히드 노출로 인한 면역계교란 밝혀내 안전성평가연구소(KIT)
4.24 KOAR 및 DataON 통해 코로나19 관련 논문 및 연구데이터 전 세계 공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4.24 재료연, 소재연구 43주년, 창립 13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재료연구원(KIMS)
4.27 ‘철도역사 시각장애인 길 안내 핵심기술’ 이전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7 항암면역치료에 최적화된 자연살해세포의 3D 배양 구조체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4.28 세계 최초, 텅 빈 겹꽃 모양 티타늄-페로시아나이드 나노입자 개발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4.28 핵융합로 손상 막을 기술 KSTAR에서 검증 성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4.28 건설연, 고양시민의 안전과 쾌적한 생활환경을 책임진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4.28 화재 등 재난 전개 상황에 따라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능동형 대피지원장치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4.28 지카바이러스RNA염기서열(RNA-seq)분석법으로 코로나19기전연구가능할것 안전성평가연구소(KIT)
4.28 ETRI, 전염병 옮기는 멧돼지 유인 성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4.28 콜로이드 액체의 결정화 방법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4.28 ‘수소 생산과 전력 생산을 한 번에’ 일체형 재생 연료전지 저가형 전극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4.29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승격관련과기정출연법본회의통과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4.29 OWL-Net으로 아틀라스 혜성((C/2019 Y4) 포착 한국천문연구원(KASI)
4.29 안전성평가연구소,18주년설립기념맞아국민건강과안전사회실현역할다짐 안전성평가연구소(KIT)
4.30 “절임배추 안전관리 매뉴얼” 발간 세계김치연구소(WiKim)
5.1 2020 화학창의콘텐츠 공모전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5.1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사업단 발족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5.1~12.31
세계김치발효교육원 운영(김치최고전문가과정, 김치 소믈리에 과정, 어린이 김치
교실 등)
세계김치연구소(WiKim)
5.5 “창의력과 상상력을 자유롭게” 원자력硏,‘KAERI 꿈꾸는 연구실’ 운영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5.6 생명연,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개발 및 기술이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5.6 SCIENTIFIC REPORTS 화학분야 다운로드 TOP 100 중 2건 선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5.6 차기구축함(KDDX) 전기추진시스템 상호협력 협약 체결(전기연-대우조선해양) 한국전기연구원(KERI)
5.6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뿌리산업 혁신성장 고도화 사업 주관기관 선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5.7 코로나19 극복 및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과기부장관 ·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5.7 한약제제 진해거담제 ‘GHX02’ 국내 임상3상 시험 승인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5.7 건국대학교차세대비임상산업인재양성사업단업무협약 안전성평가연구소(KIT)
5.7 KIST, 종이접기 방식 탄소 복합재 성형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5.7 시험용 달 궤도선 제1차 총조립시험준비현황 검토회의 (KPLO IRR#1)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48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5.7~7.20 우주환경 예보 나노위성(SNIPE)에 이름 새기기 대국민 이벤트 시작 한국천문연구원(KASI)
5.8 냉장식품 변질 여부 알려주는 스티커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5.11 녹색기술센터-WIPO Green 파트너십 체결 녹색기술센터(GTC)
5.11 재료연 박성규 박사 연구팀,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 선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5.12 생명연-한국체외진단의료기기협회 MOU 체결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5.12 ETRI, 660배 감도 뛰어난 비접촉 센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5.13 원자력(연), KAERI 안전문화 서포터즈 출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5.13 기계연, 대전 유성구 행복누리재단에 과학체험물품 기탁 한국기계연구원(KIMM)
5.13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 수행 한국전기연구원(KERI)
5.14 충전소별 정량 차이 해결하는 수소 유량 현장교정시스템, ㈜피디케이에 기술이전 성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5.14 대국민 맞춤형 기후변화대응 정보 수록 「기후변화? 기후기술!」 발간 녹색기술센터(GTC)
5.14 외부 기온에 따라 실내 온도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우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5.15 ‘유해가스 공포’ 초경량 소재로 잡는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
5.15
ACS Applied Nano Materials 저널 표지 논문 선정(물과 접촉하여 열을 발산하는
신규 열저장 소재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5.15 KNOM 2020 학술대회 비대면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5.15 노사협력 아젠다’ 협약식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5.18 국가보훈가족대상자 가족위한 온라인 과학맛보기 행사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5.18 산업융합 해커톤 대회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5.19 표준연, 세계 측정의 날 온라인 기념행사 개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5.20 생명연,바이오기업현장방문프로그램 ‘KRIBB 테크브릿지’ 추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5.20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류병기·정재환·박수동 박사팀 열전발전 기술 성과, 국제 학술지
‘APL’의 ‘Featured Article’ 선정
한국전기연구원(KERI)
5.20 꿈의 신소재 그래핀 연내 대량 생산한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5.20 제1회 IPCC 대응을 위한 전문가 포럼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5.20 빅데이터 기반 코로나 19 국가 R&D 투자방향 의사결정 지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5.20 ‘단일채널펌프(Single-Channel Pump)’ 국산화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5.20 시험용 달 궤도선 설계인증검토회의 (KPLO DCR)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5.21
국내 녹색·기후기술 정보 총망라 「Korea Green Climate Technology Outlook
2020」 발간
녹색기술센터(GTC)
5.21 검은콩 처리 하수오, 골다공증 개선 효능 증가 과학적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5.21 새로운 간독성 발현경로(AOP) 모델 제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5.21 코로나19 연구현황 공유 심포지엄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5.21 KIST, 효성화학(주)과 공동으로 ‘기체차단 패키징 신소재’개발 성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5.21 ScienceON, 기계연의 메타물질 공학설계 플랫폼(EDPM)과 연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5.22 LEAP 모델 국내 활용사례 세미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5.22 활동성은하핵을 활용한 우주 거리 측정용 표준촛불 후보 검증 한국천문연구원(KASI)
5.22 국립전북과학관 유치 운영 업무협약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649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5.25 대국민 비대면 과학키트 나눔 행사 '쪼물딱 전기톡' 진행 한국전기연구원(KERI)
5.25 과학기술 ODA 리더스포럼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5.26 건설연, 서울시 등 6개 기관과 스마트 건설기술 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5.26 KIST, 연료전지에서 활용되는 소재 적용한 초저전력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5.27 생명연, 플라스틱 분해효소 발현을 통한 페트병 분해 식물성 플랑크톤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5.27 온실가스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5.27 김치 매운맛 성분, 1분 안에 동시 분석한다! 세계김치연구소(WiKim)
5.28 ‘AI로 원전 손상 예측’ 경진대회 열린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5.28 KSTAR리서치포럼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5.28 행정안전부 주관 2020년 재난안전사업 평가 ‘우수’ 선정(3년 연속)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5.28 산업부, 중소기업중앙회와의 뿌리산업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5.28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5.29 제5기 대학생 블로그 기자단 수료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5.29 세포 파괴 없이 발암 가능성 잡아낸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
5.29 KAIST <녹색기후기술의 현재와 미래> 특강(김형주 선임부장 강연) 녹색기술센터(GTC)
5.29 “요거트 제조 기능성 김치유산균 WiKim38” 세계김치연구소(WiKim)
6.1 원자력(연), 3세대 개량 핵연료 피복관의 산화 반응 최초 규명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6.1 중소・중견건설기업의 코로나19 위기극복, 건설연이 도와 드립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6.1 KBSI, 석유관리원과 연료유 분석기술 향상 위한 협약 맺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6.1 기계연, 소부장 지원체계 구축 중심 조직 개편 단행 한국기계연구원(KIMM)
6.1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 개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2 원자력(연), ‘후쿠시마 사고’ 방지 위한 '원전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6.2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역기업 제품 개발 지원사업 시행 한국전기연구원(KERI)
6.2 배터리 용량 25% 증가, 고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3 건설연, 국가물관리위원회-공공・연구기관 통합물관리 협의체 참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6.3 ‘국내 모듈러 건축’을 한눈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6.3 ETRI, 장애인 위한 코로나19 지침 아바타 수어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6.3 KBSI-광주시, 자기 응용과학 관련 산업 관련 협약 체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6.3 한국식품연구원-코스맥스엔비티(주) 업무협약 체결 한국식품연구원(KFRI)
6.3 배추 저장 기간 연장되는 ‘팰릿 단위 CA 저장시스템’ 개발 세계김치연구소(WiKim)
6.3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시스템 (UTM) 1단계 개발 공개 실증 시연 (영월 드론
비행시험장)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4 한약재, 차세대 항암제로서 가능성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6.4 세계최초 개발한 교량용 급속경화궤도 교통신기술 획득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6.4 저탄소발전전략 시나리오 관련 세미나 개최(KEI 이상엽 박사) 녹색기술센터(GTC)
6.4 ADS-B기반 무인항공기 충돌회피시스템 개발을 위한 KUCAS 2호기 초도비행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5 R3D Alliance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6.8 융합신제품개발전략‘K-MOOC’에최초공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50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6.9 CEVI(신종바이러스)융합연구단 기술이전 협약식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6.9 기계기술정책 99호 ‘포스트 코로나(Post COVID-19), 유망 기계기술 및 제언’ 발간 한국기계연구원(KIMM)
6.9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안전성평가연구소,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레코켐
바이오사이언스 기술이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6.9 우수연구원 선정 안전성평가연구소(KIT)
6.9 불에타지않는친환경 탄소 플라스틱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9 현대중공업과의 연구과제·기술의 실용화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력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9 제9차 전북지역 혁신 협의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6.9 위기상황시 주요국면조치 자체훈련 한국식품연구원(KFRI)
6.9 美 NASA 청장 주관 유무인 탐사 준비회의 참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10 기존 1 kg 원기 대신할 키블저울 이용, 첫 국제비교 참가 성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6.10 시장보급형 고순도 수소생산유닛 100% 국산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10 국내 최초 ‘단락발전기 1호’ 안전기원제 개최 한국전기연구원(KERI)
6.10
항우연-원자력안전기술원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공중 방사능탐지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서(MOU)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11 반도체 생산성 100배 높이는 ‘Gang Bonder’ 상용화 기술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6.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출연(연) 우수성과 제고 기여』 장관 표창 수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12 미국 국립에너지기술연구소(NETL)와 국내 첫 국제공동연구협약 체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12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거버넌스 구축 협력 협약 체결(경상남도-한국토지
주택공사 등 16개 기관)
한국전기연구원(KERI)
6.12 KISTI Smart K2C, 인텔리전스 비즈니스 대상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6.15 대덕특구 대표 과학축제 ‘제13회 주니어닥터’ 신청 개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6.15 분석기술 활용 전기재료 연구분야 활성화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KERI)
6.15 AI기술 적용으로 제조 중소기업 불량률 개선 지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16 원자력연구원, 일사일촌 자매결연마을 일손 돕기 활동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6.16 전량 수입 의존 질량분석장비 핵심요소 국산화 성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6.16 2021년도 월력요항 발표 한국천문연구원(KASI)
6.16 전자담배연기 표준발생시스템 개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6.16 K-진단, 더 빠르고 정확하게...다중 PCR 진단 기술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16 소재기술백서 2019 발행 한국재료연구원(KIMS)
6.17 스마트건설지원센터 제2센터 착수식 및 기념 심포지엄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6.17 단백질 작용원리 규명으로, 환경 유해물질 탐지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6.17 재생에너지 이용 그린수소 생산기술 국산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17 RCA 사무총장 기관 내방 녹색기술센터(GTC)
6.17 제3회 2020 기후기술 리더스포럼 개최(임태훈 KIST 책임연구원) 녹색기술센터(GTC)
6.17 KISTI-KAIST, 학·연 공동연구센터 개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6.18 한의학연, 일선 한방병의원 치료사례 과학적 검증 지원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6.18 ETRI, AI 영상압축 대회서 세계 1위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651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6.18
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차세대 태양전지, 수퍼컴퓨터로 외부압력에 의한 성능저하
원인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18 방제 드론용 지능형 작업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18 재료연, 2020 중소기업 지원 선도연구기관 지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6.19 김해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1주년 기념 기술박람회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6.19 생명연, ‘코로나19가 불러온 플라스틱 지구’ 온라인 라이브 특강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6.19 김해 강소특구 1주년 기념 포럼 및 전시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6.19 부산 지역 현안 해결 위한 개방형데이터융합연구단 출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6.19 김해연구개발특구기술박람회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6.21 6월 21일 부분일식 SNS 생중계 한국천문연구원(KASI)
6.21 대기·수중 나노 입자 잡는 ‘유전영동 집게’ 상용화 급물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23 비대면 원격 검체 채취 로봇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6.23 수직으로 쌓은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6.23
항공기 온실가스 저감의 대안인 바이오항공유, 목재 폐기물로 대량생산하는 기술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23 강원도형 그린뉴딜 및 저탄소융합 신산업 발전방안』국회포럼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6.23~24 2020 테크비즈파트너링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6.23~7.3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주니어닥터 참여 안전성평가연구소(KIT)
6.24 UCAIug로부터 디지털변전소 핵심 통신기술 ‘GOOSE’ 국제공인 시험자격 획득 한국전기연구원(KERI)
6.24 KIST-농촌진흥청공동연구로기능성콩개발, 결점 없앤 우수한 블랙푸드 나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24 제7차 그린라운드테이블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6.24 NST 이사장 출연연 현장방문 간담회 녹색기술센터(GTC)
6.24 로봇산업 및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조로봇혁신지원단 상호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24 김치의 매운맛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 세계김치연구소(WiKim)
6.24
도심항공교통 민관협의체(UAM Team Korea) 발족(국토부 총괄부처/항우연 간사
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24 재료연, 2020 환경기술개발 우수성과 20선 선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6.25 단국대학교와의 업무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25 AI와 IoT 센서 활용한 시설물 재난 안전 관리 시스템 개발 착수 한국기계연구원(KIMM)
6.25 ETRI, 친환경 컬러 박막 태양전지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6.25
수소에너지 및 친환경 건축 기반의 미래 청정에너지 주거 모델 실증 연구 및 개발
착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25 투명도가 10배 향상된 전도성 플라스틱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25 지질자원연, ‘탈질폐촉매재활용 기술상용화’ 성공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6.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간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25~26 한국기후변화학회 상반기 특별세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6.29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조립장비 최종 조달 완료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6.29 천체관측을 방해하는 스타링크(starlink)위성들포착 한국천문연구원(KASI)
∙652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6.29 생명연, ‘제11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 산업토론대회’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6.29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주도 R&D 활성화 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6.29 재료연-한동대 연구팀, 금속.반도체 융합 적층제조 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6.30 핵융합연구자들과 함께하는 온라인 멘토링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6.30 스핀을 이용한 초저전력, 초고속, 대용량 메모리 소자개발 박차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6.30 친환경 에너지 기술인 인공광합성, 고성능 대면적 전극 시스템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30 전기차 유지보수 기술도급 선도기지 구축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30 다목적 활용 가능한 표준 플랫폼의 무인 헬기 블레이드 피로시험 종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7.1 원자력(연), 원자력 기술 통해 난치성 질환 진단하는 바이오소재 규명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1 KBSI-광주시, 2020 자기응용과학 기술포럼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7.1 니오와이즈혜성(C/2020F3,NEOWISE)포착 한국천문연구원(KASI)
7.1.~3 나노코리아 2020 전시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7.1~3 나노코리아 2020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7~8월 KIT 랜선과학교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
7.2 시민이 직접 운영하는 <원자력시설 시민안전소통센터> 출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2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실내 공기질 개선 솔루션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7.2 복잡한 단백질 분석, 이제는 클릭 한번으로 해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7.2 재료연, 2020년 합동소방훈련 실시 한국재료연구원(KIMS)
7.2
햇빛으로 먹는 물 만든다.물 생산량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고효율 태양열 막증류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3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형 뉴딜, 지구물리탐사의 역할’ 2020 공동 심포지엄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7.6 광주지역본부 준공 승인 한국전기연구원(KERI)
7.6 ScienceON 논문 요약 서비스 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7.7 ‘급전시스템 해석 시뮬레이터 핵심기술’ 이전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7.7 KIST, 새로운 항암면역치료 전략 개발, 암세포에 ‘표적 신호’를 이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7 포항공과대학교의 업무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7 우리술 전문가 양성과정 입교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7.8 원자력(연), ‘전자선 그라프트 기술 기반 금속염 흡착제 제조 기술’ (주)앱스필에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8 기업지원 공정혁신 시뮬레이션센터 1차 수혜기업 탄생 한국전기연구원(KERI)
7.8 한의학연, 코로나-19 대응 중의약 동향 보고서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7.9 2020년 상반기 양성자/이온가속기 이용자 워크숍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9 생명연, 바이오창업과 혁신성장 성과사례집 발간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7.9 신재생에너지 기반 그린뉴딜 산업 활성화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부산테크노파크) 한국전기연구원(KERI)
7.9 연구장비분야 교육공백 온라인 교재 배포로 최소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7.9 기계연,로봇제어기술지역중기지원해사업화성공 한국기계연구원(KIMM)
7.9 KIST 뇌과학 연구팀 고혈압 원인인자 밝혔다.심장의 혈압 감지 유전자 발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10 플랫폼연구실·기술사업화실·기업협력실, 국가연구협의체(N-TEAM) 지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7.13 인천시·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수도권통합센터 구축 협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653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7.13 서울대학교병원 질환유효성평가지원센터 업무협약 안전성평가연구소(KIT)
7.13 ‘KITECH AI 스마트 제조 플랫폼 포럼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14 국가 대형연구시설 보유 경주-포항 지역 거점 연구기관 R&D 협력 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14
건설연-서울지방국토관리청, 도로인프라 국가성능시험장의 성공적 건설을 위한 MOU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7.14 2020 제1차 녹색기후기술 정책포럼 개최(이정동 경제과학특별보좌관) 녹색기술센터(GTC)
7.14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0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7.14 국내 최초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표준물질 개발, 중국 이어 세계 두 번째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7.14 2020 이노베이트코리아 전시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7.14 물대포 쏘듯 분사해 화학물질 누출사고 골든타임 잡는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7.14 KIST-서울대, 마이크로 입체 구조를 이용한 세라믹 연료전지 한계 돌파 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14 지질자원연, ‘해남지진 중간 분석결과’ 발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7.14.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0 포럼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7.15 원자력(연),‘경주 지진’실험 통해 원전 안전성 확인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15 기계연, 산학연 손잡고 발전용 수소 가스터빈 개발 착수 한국기계연구원(KIMM)
7.15 장내미생물이 조절하는 새로운 노화조절 기전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7.15 ETRI, ‘감염병 재난 대응 의료 인공지능 기술 및 표준’ 동향 보고서 발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7.15 수전해 장치 성능·효율 정밀 평가 가능 장비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7.15 KERI-워털루대 창원인공지능연구센터 개소 한국전기연구원(KERI)
7.15 제1차 기후빅데이터 세미나 개최(조성준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녹색기술센터(GTC)
7.15 베어링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구축사업 공동협력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15 한국형발사체 2단 인증모델(QM) 조립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7.16 건설연-육군본부 과학화 기술교류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7.16 경남·창원 스마트산단 핵심사업 추진 선포식 개최 한국전기연구원(KERI)
7.16 KIST, 망막 변성 환자들에 필요한 인공 시각 성능향상의 실마리 발견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16 기후변화대응 민-관-국제기구 MoU 체결 녹색기술센터(GTC)
7.16 미 백악관 주도 코로나19 고성능컴퓨팅 컨소시엄 합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7.16.~18. 2020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 전시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7.17
핵융합(연)-완주군-전북 테크노파크 MoU 체결, 플라즈마 기술 기반 농산물 스마트
저장시스템 실증 추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7.17 제1차 산업·에너지 한국판 뉴딜 추진단 회의 참석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17 소셜미디어 기자단 발대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7.20 ETRI, AI 음향 인식 대회서 세계 1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7.20 언택트 시대, 온라인 화학사랑방 ‘케미러브’ 오픈 한국화학연구원(KRICT)
7.20 윤석진 박사, KIST 제 25대 신임 원장 취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20 산업미세먼지 잡는 마이크로버블시스템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20
생산성 혁신 Go Together 사업 추진을 위한 포스코, LG전자와의 상호 업무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54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7.20 R&D 필수역량 아카데미 한국식품연구원(KFRI)
7.21 S-BRT 실증사업 전국 지자체 대상 공모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7.21 인천광역시 도시문제해결 솔루션 활용성과 보고회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7.21 한국인이코로나에강한이유,과학적으로밝힌다! 세계김치연구소(WiKim)
7.22 수소 생산성 2배 높인 니켈 나노촉매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7.22 녹색기술센터-KT-UN IOM 디지털 기술 기반 기후기술 협력 MoU 체결 녹색기술센터(GTC)
7.22 한양대학교와의 공동학과 설치에 관한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23 건설연,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90개 기업 대상 49억원 규모 지원 확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7.23 미세먼지, 섬유아세포에 손상입혀 안전성평가연구소(KIT)
7.23 ETRI, 고령인 위한 착용형 보행보조시스템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7.23 초음파를 활용한 뇌졸중 재활 치료법, 뇌파 분석으로 발전 가능성 발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24 건설연, 중소・중견기업 성장을 위한 맞춤형 직접지원 착수설명회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7.24 이낙연 국회의원(전 국무총리) 제주글로벌연구센터 방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7.24 전자파 차폐/흡수 특성이 극대화 된 나노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27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설명회 및 고객만족 서비스 교육 한국식품연구원(KFRI)
7.27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 2기 참여자 모집 한국전기연구원(KERI)
7.27 2020년 KRICT 유망기술 소개자료집 발간 한국화학연구원(KRICT)
7.27 재료연, 공공특허 기술이전 우수기관 선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7.27~8.6 코로나19 대응 GLP 독성평가시험지원사업 신청 접수(1차) 안전성평가연구소(KIT)
7.28 원자력(연), 사업화 유망 기술 이전 설명회 온라인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28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조립 착수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7.28 도시·광역철도 급행화를 위한 건설기술(비개착 터널 확폭 공법)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7.28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 조성 촉진을 위한 바이오 분야 학회 회장 초청 간담회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7.28 중국발 미세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등 국내 오염물질과 만나 악화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28 광주 무인 저속특장차 실증을 위한 광주광역시・특구사업자 업무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29 원자력(연),당면한원전해체핵심기술실용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7.29 한국 최초 토카막장치 SNUT-79 국가과학기술자료 등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7.29 ETRI, 자체 5G 기술로 스마트공장에 적합한 산업용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7.29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태양전지 플랫폼 센터 구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7.29 유기태양전지 제조비용 획기적으로 낮췄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7.29 제4회 2020 기후기술 리더스포럼 개최(손지우 SK증권 연구위원) 녹색기술센터(GTC)
7.29 2020년 제1회 KESLI 오픈지식세미나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7.29 연구개발특구 공공기술 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30 초분광 광유도력 현미경 개발… 나노입자의 표면분자층 영상화 성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7.30 SNS 채널 과학문화 콘텐츠 3년 연속 대국민 조회수 100만뷰 돌파 한국전기연구원(KERI)
7.30 KIST, 색변환 잉크 대체할 위·변조 방지 액정입자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7.30 제4회 과학기술정보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655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7.30 한러혁신플랫폼기반기술협력사업공유및기술교류회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7.31 건설연, 화재분야 건축모니터링 전문기관 지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7.31 코로나19 항원진단키트 제작을 위한 신속진단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8.2 침 치료 효능, 우리 뇌는 이미 알고있다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8.2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해양경찰청 간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8.3 韓·美, 손잡고 소형 고온가스로 개발 박차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3 김치, 세계인의 건강한 일상 속으로 세계김치연구소(WiKim)
8.4 원자력硏, 비대면 체험 활동 '여름방학 KAERI 탐구생활' 운영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4 생명연, 코로나19 항체진단기기 개발을 위한 항원공급 지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8.4 한의약 주요현황 및 통계 담은 한국한의약연감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8.4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사체의 유해성파악 안전성평가연구소(KIT)
8.5 차세대 나노소재와 원자력 기술 접목해 신기술 개발 나선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5 건설연, 국토교통 스타트업의 미래와 함께하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8.5 2020년 페르세우수 유성우 관련 천문정보 제공 한국천문연구원(KASI)
8.6 ETRI, 구어체 엑소브레인 언어분석 API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8.6 암모니아로 대용량 수소를 공급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8.7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블랑켓차폐블록초도품개발성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8.10 영상 스토리 이해 인공지능 국제대회'에서 준우승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10 장내미생물 연구를 위한 고기능 ‘장기 유사체’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8.11 디지털 뉴딜 성공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8.11 도시철도 지하구간 강체 전차선로를 세척하는 자동세척시스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8.11 신재생에너지 확산 인프라 기술 3종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8.11 폭발, 화재없는 차세대 아연이온 배터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8.12 디스플레이 제조용 나노포토닉 3D프린팅 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8.12 2020 글로벌 젠더 서밋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8.12 제10회 에디슨(EDISON) SW 활용 온라인 경진대회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8.13 원자력연, 방사화학 여름학교 온라인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13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열에 의한 성능저차 원인 규명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8.13 ETRI, 오픈소스 R&D 플랫폼 본격 가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8.13 병원별 방사선 치료품질 격차 해소할 측정표준 기술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8.13 엔지니어링 전문 교육용 가상현실(VR) 스마트 솔루션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8.13
KISTI-KBS, 국가재난상황 재난정보 분석·제공 및 재난예방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8.14 미세플라스틱 환경오염 문제해결 솔루션 개발 선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8.14 기고문집 독성관망 발간(Vol.1) 안전성평가연구소(KIT)
8.15~8.17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국내 최장시간(53시간) 연속비행 성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8.18
성간천체 오우무아무아(1I/2017 U1, 'Oumuamua)의 정체에 대한 기존 유력 가설을
뒤집는 연구결과 발표
한국천문연구원(KASI)
∙656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8.18 생명연 개발 영장류 감염모델 통해, 코로나19 후보물질 효능 검증 결과 도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8.18 수면‧보행‧운전 등 실생활 활용 기술, ㈜세원인텔리전스에 기술이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8.18 배송 식품 상했는지 알려주는 스티커 내년까지 상용화 한국화학연구원(KRICT)
8.19 ETRI, 5G 엣지 보안 기술 개발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8.1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기관방문 간담회 녹색기술센터(GTC)
8.20 건설 R&D로 국가 재난 복구와 예방에 힘 보탠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8.20 KAERI-ETRI 융합연구팀, 세계 최초 초저전력 누출진단 기술 개발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20 제주글로벌연구센터 ‘초고속 충전 스테이션 기술 워크숍’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8.20 제1회 IPCC 국내 대응협의회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8.21 2020 무인이동체 기업 디렉토리 발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8.21 한-아프리카 P4G 협력 포럼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8.21 마이데이터 기반 장애인 이동지원 교통서비스 활용 체계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8.24 핵융합 상용화 난제 해결할 슈퍼컴퓨터 구축 완료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8.24 새글 불연소재로 낡은 터널과 교량의 성능을 2배 향상시킨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8.24 PAN계 탄소섬유 표면 부착 나노입자의 새로운 합성법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8.24
CharIN 2021(국제 전기차 충전기술 협의체) 행사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독일 thecademy GmbH)
한국전기연구원(KERI)
8.25 2020년 중성자 여름학교 온라인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25 생명연, ‘환경오염유래 유해인자와 미래 인류건강’ 주제로 바이오 이슈 컨퍼런스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8.25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및 응용기술 연구협력 협약 체결(전기연-범한퓨얼셀 주식회사) 한국전기연구원(KERI)
8.25 차세대 전력부품 공동개발 상호협력 협약 체결(전기연-주식회사 화승소재) 한국전기연구원(KERI)
8.25 음이온교환막수전해 소재-부품-시스템 전주기 통합 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8.25~26 2020년 하계 온라인 교원천문연수 행사 개최 한국천문연구원(KASI)
8.26 ETRI, 온디바이스 비전처리 국제 표준 인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8.26 미국 국립에너지기술연구소(NETL)와 공동연구개발협정 체결(순산소 연소 발전 기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8.26 코로나19 국내 기업 지원을 위한 비대면 입회시험 서비스 실시 한국전기연구원(KERI)
8.26 2020 탈석탄 기후위기 대응 국제 컨퍼런스 세션 운영 녹색기술센터(GTC)
8.27 비대면 원자력 체험 활동, ‘신청대란’ 겪으며 인기몰이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27 페인트처럼 칠해서 만들 수 있는 태양전지, 실험실 밖으로 나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8.27 뿌리산업 지원 10년 역사 담긴 뿌리산업백서 발간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8.27 소셜미디어 기자단 온라인 워크숍 한국식품연구원(KFRI)
8.27 재난치안용 소형무인기 통합시스템 운용성평가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8.28 한의학연, 한의약 정책 전문저널 한의정책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8.28 코스타리카 과학기술정보서비스 고도화 LOC 체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8.28 똑똑한 김치 공장, 한국형 뉴딜에 맞춰 스마트화 본격 시동 세계김치연구소(WiKim)
8.30 세계 최초 유연성과 투광성을 동시에 가지는 CIGS 박막 태양전지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8.30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국내 최고고도 (22km) 비행 성공 (국산 고성능 배터리 적용)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8.30 재난치안용 소형무인기 통합시스템 개발 완료 및 사업 종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57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8.30 항공기 출발 및 도착 통합관리 기술 연구 과제 종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8.31 원자력연, 원전 도입 준비하는 가나에 기술 지원 시작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8.31 재료연, 국가연구실(N-LAB) 및 국가연구협의체(N-TEAM) 추가 지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9.1 보다 정확히 표적 잘라내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1 ETRI 홀로그램, 세계적 디스플레이 학회 최고상 수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9.1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9.1 한국화학연구원 창립 제44주년 기념 온라인 행사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9.1 2020년 올해의 KASI인 상 선정 결과 발표 한국천문연구원(KASI)
9.1 나노물질의 독성평가 표준시험법 개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1 주변의 진동에서 전기를 생산한다.셀프 튜닝 에너지 하베스터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1 한국형발사체 1단 체계개발모델(EM) 수류시험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9.2
기계기술정책 100호 '우리나라 제조장비기업의 성장·혁신·수익 패턴 분석과 시사점’
발간
한국기계연구원(KIMM)
9.2 고성능 열전 소재 개발 및 상용화 가능성 열어 한국재료연구원(KIMS)
9.3 과기부 1차관 과학기술 연구현장 방문 간담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9.3 시험기획실 이경준 팀장, IEC Young Professionals 한국대표 선정 한국전기연구원(KERI)
9.3 곤충 탈피 호르몬, 파킨슨으로 인한 운동장애 증상 개선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9.3 고속·대용량 ‘미세 대상물 관찰 장치‘ 기술이전 쾌거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3 생기원 스마트 안전 리빙랩, 유럽 리빙랩 네트워크 ‘엔롤’에 정식 가입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9.4 원자력연, 집중호우 피해복구 성금 1,300만원 전달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9.4 국토부 2차관 연천SOC실증연구센터 도로인프라 국가성능시험장(K-ROAD) 방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9.4 건설연, 코로나 위기 속 중소·중견기업의 단절없는 기업활동 지원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9.4 표준연, 버추얼랩(Virtual Lab) 출범식 및 간담회 개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9.4 창립 43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9.7 생명연, 항암 효능 펩타이드 기술 기반으로 원천기술 사업화 추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7 구리 및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와 상반특성 동시 향상 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9.8 건설연, 제1호 연구소기업 등록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9.8 전고체전지 대량생산을 위한 특수 습식합성법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9.8 스펀지로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소재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9.8 건물 외벽이 여름철 폭염 줄여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8 녹색기술센터-KOICA-KEI-KEITI-Keco, 그린 ODA 파트너십 체결 녹색기술센터(GTC)
9.8 통일 김치에 거는 기대 세계김치연구소(WiKim)
9.8.~10.19. 2020 KIMM 과학꿈나무 기계제작대회 온라인 개최 한국기계연구원(KIMM)
9.9 신규 유전자가위, 표적에 정확히 작동하는지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9 ETRI, ATSC 3.0 동일채널 중계기 세계최초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9.9 전기식 온구기(溫灸器], ISO 국제표준 제정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9.9 Mario Negri와 업무협약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9~16 아시아 OA 미팅 2020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658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9.10 온택트 웨비나(Web+Seminar)를 통한 글로벌 토론의 장 마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9.10 정전기로 작동하는 터치 패드용 센서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10 기계연, 모듈형 AI 자율작업 로봇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9.11 생명연, 정부 출연연 최초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도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11 지질자원연, 북한 광물자원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온라인 심포지엄 열어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9.11 지질자원연, 창립72주년(기원102년) 기념 포상식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9.13 고성능 ‘원자촉매’ 개발, 전력·수소 동시생산 청신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14 플레이크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 평가법 국제 표준화 성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9.14 빛을 내는 단백질로 암세포 사멸시키는 암 치료기술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9.14 한의학연, 국제 침(針)연구학술대회 성황리에 마쳐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9.14 다제 내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항체 직접 검출법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14 제1회 수소경제와 한국의 수소기술' 심포지움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9.15 태양광으로 안정적·고효율 수소 생산하는 광촉매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9.15 온실가스인이산화탄소활용해화장품쿠션,건축단열재만든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9.15 KIST, 재래식 정수시설에서도 녹조 문제 극복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15 재료연, 대국민 과학문화 프로그램 '배달해 과학' 추가 실시 한국재료연구원(KIMS)
9.16 방사성으로 오염된 건축물을 ‘물처럼 뿌리고 씻어’ 제염하는 신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9.16 ETRI, 서울대와 차세대 AI 반도체 협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9.16 노로바이러스의 공기 중 전파 제어 기술 개발 세계김치연구소(WiKim)
9.16 금속몰드 기술을 활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세계 최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9.17 원자력연, KAERI 과학문화소통 캐릭터 명칭 공모전 진행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9.17 실제 크기 사용후핵연료 운반용기로 국내 최초 육상운반 테스트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9.17 폐 속의 나노 플라스틱, 전기적 특성이 세포 운명을 결정한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9.17 상반기 뉴스레터 발간(Vol.29)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17 연구소 브로슈어 발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17 한국화합물은행 2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9.17 영지버섯의 새로운 효능 발견. 지긋지긋한 아토피, 건선 등 피부염증 치료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17 보안 정책 및 대규모 로그 가시화 원천기술 민간이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9.17 KISTI 오픈액세스(OA) 지원시스템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9.17 2020 산업융합 아이디어 사업화 해커톤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9.18 ‘비임상데이터 표준변환의 이해’ 세미나 개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20 백금촉매 OUT, 값싸고 오래가는 수소 생산 촉매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21 미래 원자력기술 반짝이는 아이디어 공모 시작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9.21 ETRI, 9대 AI 연구성과 선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9.21 환경정책학회 녹색기술센터 세션 운영 녹색기술센터(GTC)
9.21 ScienceON 논문타임라인 서비스 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9.21 2020 김치 마스터 셰프 요리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세계김치연구소(WiKim)
∙659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9.21 무인복합형전투회전익기용고추력덕티드팬시스템축소풍동시험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9.22 최고 정밀도의 머시닝센터인 지그센터 국내 최초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9.22 용혈성요독증후군 유발 독소의 고감도 검출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22 KIST, 항암제 내성과 부작용 동시에 잡는 신규 약물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22 중소제조 근로자와 협동하는 3개의 로봇 손가락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9.23 10월 1일 한가위 보름달 관련 천문정보 제공 한국천문연구원(KASI)
9.23 신남방 중심국가 베트남 철도발전을 위한 ‘한-베트남 화상 세미나’ 개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9.23 세계 최초 5G기반 열차자율주행시스템 기술 시험 성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9.23 생명연-한국발명진흥회,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MOU 체결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23 ETRI, 실감형 소방 훈련 VR 기술로 해결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9.23 표준연, 반도체용 불화수소 품질평가 시작… 소재 국산화 지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9.23 전기재료연구본부 국가연구실 및 국가연구협의체 지정 한국전기연구원(KERI)
9.23 가벼운 스테인리스 철강 세계 최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9.23~24 2020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9.24 기계연, 함정 전투손상 통제관리SW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9.24 독성예측연구를 위한 국제협력발판 확보 안전성평가연구소(KIT)
9.24 초강력 초음파로 수술없이 암, 종양 파괴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24 넥스트 노멀(Next Normal)시대, 유망 기술사업기회 10선 선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9.24 실시간 초고속 열화상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9.24 KFRI 반부패청렴 슬로건 공모전 시상 한국식품연구원(KFRI)
9.24 청렴부패방지교육 한국식품연구원(KFRI)
9.24 호흡기 병원체 검출시간 줄여주는 광센서 소재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9.25 제2차 기후빅데이터 세미나 개최(백승욱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녹색기술센터(GTC)
9.28 한의학연, 통합의학연구(IMR) 코로나-19 특집호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9.28
생명연, 코로나시대의 온‧오프라인 혼합형 ‘제11회 전국 고등학생 바이오안전성‧바이오
산업토론대회’성료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9.28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내구성· 효율 향상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9.28 시험용 달 궤도선 제2차 총조립시험준비현황 검토회의 (KPLO IRR#2)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9.29 KIST, 공간과 장소를 기억하는 원리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9.29 SDN/NFV 포럼 양자암호 키 관리 워킹그룹 신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9.30 소형민수헬기(LCH) 개량형 주로터 블레이드 훨시험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0.3 KMTNet외 계행성 탐색시스템으로 우리은하에서 지구크기만한 ‘나홀로행성’ 발견 한국천문연구원(KASI)
10.5 제4회 KIGAM 지구사랑 미술대회 비대면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0.5 국가혁신전략으로서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 발전방향 합동포럼 참가 녹색기술센터(GTC)
10.5
“락토바실러스플란타럼 WiKim18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용 조성물” 기술
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0.5 항우연, ECCV 주최 VisDrone 대회(AI를 활용한 드론 영상 분석 대회) 1위 수상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0.5~31 사이언스데이 참가 안전성평가연구소(KIT)
∙660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0.6 원자력연, 전국 중고생 대상 '제6회 원자력 창의력 대회'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6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 분야 출연기관의 협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0.6 ETRI, 국내최초 수직형 질화갈륨 전력반도체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6 연료전지연구실 국가연구실(National-Laboratory) 선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0.6 외산 장비 완전 대체 가능 전자기 물성측정장비 7종 상용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0.6 바이오 분야 출연기관 업무협약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0.6 임플란트에 인공뼈 코팅해서 염증 해결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0.6 K-뉴딜위원회 전문위원 간담회 녹색기술센터(GTC)
10.6 인권보호·존중을 위한 인권경영선언식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6 고품질 절임배추 생산공정 표준화 시뮬레이터 세계김치연구소(WiKim)
10.6 김치제조용 종균 WiKim0121 및 이를 이용한 김치제조방법 세계김치연구소(WiKim)
10.7 원자력연 ‘하이브리드 소재 제조 3D 프린팅 기술’ 기술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7 ETRI, ITU서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AI 기술’ 발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7 신재생자원지도 공공데이터 전면 개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0.7 방사광가속기 활용 및 인력양성 위한 미래전략 심포지엄 개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0.7 동물용의약품 시험기관으로 대전 본소·전북 분소 동시인증 쾌거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0.7 세계 최초 ‘유기골격 구조체 기반 반도체 센서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7 2020년도 한국식품연구원 패밀리기업 Day 한국식품연구원(KFRI)
10.7 ‘그곳에 화산이 있었다’ 지질박물관 특별전 개최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0.7 사우디 주최 G20 우주경제 리더스 회의 참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0.8 차세대 휴대용 다목적 엑스선 발생장치 기술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8 인공지능 기술로 마스크 품질검사 자동화 지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12 퇴행성 뇌질환 주요 원인 타우단백질 연구 집대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0.12 강원도와액체수소열차기술개발을위한업무협약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0.12 제5회 2020 기후기술 리더스포럼 개최(김성우 김&장 환경에너지연구소장) 녹색기술센터(GTC)
10.12 유해생물 방제용 김치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0118 세계김치연구소(WiKim)
10.13 차세대 발전 시스템 핵심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13 발수코팅 유지력 높이는 자기회복 자기세정 유리 개발 한국기계연구원(KIMM)
10.13 장(腸)내 염증 진단 스마트 미생물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0.13 ETRI,사물스스로행동케만드는‘액션브레인’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13 에너지연-전자통신연, 지질연 융합을 위한 쉼터(융합정) 마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0.13 버려지는 택배박스로 디젤연료 만든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0.13 상하 개폐식 스크린도어 기술 지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13 건설연, 터널 공사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0.14 원자력연 이유한 박사, 0.1% 캐글 그랜드마스터 티어 등극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14 고 콜레스테롤에 의한 대장암 전이 과정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0.14 연료전지 성능 2배 이상 향상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661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0.14 KISTI-STEPI, 2021년 협동연구 추진 경과 및 향후 중장기 운영 방안 논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0.14 한국기술거래사회와의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14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한국식품연구원(KFRI)
10.14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 전환 완료! 세계김치연구소(WiKim)
10.14 지질자원연, 강릉시와 저탄소 신산업 창출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분야 업무협약 체결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0.14~15 2020 대한민국 원자력 산업대전 전시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0.15 우리 원전해체 기술, 체르노빌서 테스트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15 대전지역 청소년 대상 비대면 과학체험 ‘찾아가는 과학교실’ 진행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0.15 기계연, 만능 그리퍼로 언택트 사회를 위한 로봇기술 확보 한국기계연구원(KIMM)
10.15 ETRI, DGIST와 새로운 전고체 이차전지 전극 구조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15 창원지역 방위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창원시-재료연-경남대-창원대) 한국전기연구원(KERI)
10.15 피부처럼 멍드는 소재가 있다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0.15 수소생산효율 향상시킨 수전해 촉매 소재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16 가습기 살균제 성분, 동물실험에서 폐 섬유화 유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0.16 표준연, 창립 45주년 온라인 기념행사 개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0.16 항공우주 부품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18 중소형원자로 핵심연구시설 공동활용 협약 체결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18 온택트 ‘2020 KIER 모형 태양광 자동차 경주대회’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0.19 범용, 의료용 플라스틱으로 사용 가능한 고강도의 생분해성 소재 개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0.19 ETRI, IoT 기기 위한 SW 개발용 프로그램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19 세계 최대 규모 우주론적 유체역학 시뮬레이션 수행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0.19 제4회 KIMS-ASIA 국제심포지엄 개최! 한국재료연구원(KIMS)
10.20 반도체에 빛으로 지문 만들어 해킹 막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0.20 재료연, ‘2020 대한민국 SNS대상’ 연구소부문 최우수상 수상 한국재료연구원(KIMS)
10.21 국내 최초 고순도 진단치료용 동위원소 2종 생산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21 원자력 로봇 투입해 2020 하나로시설 방사능방재 합동훈련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21 코로나19로 인한 폐손상 염증 유발 단백질 발견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0.21 2020 기술교류회 개최(온라인) 세계김치연구소(WiKim)
10.21 건설연, 케냐판 녹색건축인증(G-SEED Kenya)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0.21~23 2020 국제수소에너지전시회 및 포럼(H2World 2020) 전시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0.21~23 2020 H2world 전시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0.22 중소·중견기업 화상대면 온택트(On:Tact) 기술상담회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0.22 ETRI, ‘AI 패션 코디네이터’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22 KRISS, 원자 수준 정밀측정기술개발로 차세대 신물질 ‘훈트금속’ 원리 밝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0.22 한반도 땅의 백과사전 한국지질도 24년 만에 개정판 발간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0.22 세계 최고 수준의 고체섬유형 태양전지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10.26 원자력연 국가 방사선 반응지도 모델링 플랫폼, 데이터 품질 최고등급 획득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662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0.26 빛이 만드는 금속표면의 정공(hole) 세계 최초 실시간 관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0.26 미래 IoT, 착용형기기 시대 여는 3D프린팅용 전지소재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0.26~30 소방청 AI 활용 빅데이터 분석 교육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0.27 원자력연, 방사성 오염수 쫓는 분석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27 자갈궤도의 궤도 틀림을 줄이는 광폭침목·반격자침목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0.27 한국형 경항공모함 핵심기술 개발 착수 한국기계연구원(KIMM)
10.27 전북분소, 영장류 시험 인증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0.27 ETRI, mmWave 5G 스몰셀 SW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27 국내 최초 ‘드론용 발전기 및 전동기 기술’ 독자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10.27 미래를 오늘로 만드는 GRaND KIST, 기관운영방향 공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0.28 첨단 중성자 영상산란장치 이용 재료 분석 국제 심포지엄 열려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28 한국원자력연구원 2020년 비상대비태세 훈련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0.28 초저온전자현미경으로 밝혀낸 세포 간 신호전달의 비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0.28 기계연-LG생산기술원 국산 제조장비 기술 경쟁력 강화 맞손 한국기계연구원(KIMM)
10.28 산업 디지털 전환 과제 발굴 및 시행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28 산업 디지털전환을 촉진을 위한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 출범식 참여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28 UST 학술제 한국식품연구원(KFRI)
10.28 비상대비태세 훈련 한국식품연구원(KFRI)
10.28 건설연-경상남도-경남연구원 스마트 건설기술 업무협약 체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0.28~11.9 코로나19 대응 GLP 독성평가시험지원사업 신청 접수(2차)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0.28~30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전시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0.29 ETRI, 상온에서 작동하는 양자 인터넷 핵심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0.29
창원 강소특구 활성화를 위한 사업주체간 역할분담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경상남도-
창원시-리치앤타임)
한국전기연구원(KERI)
10.29 한국전기연구원 창립 44주년 기념식 개최 한국전기연구원(KERI)
10.29 앞뒤가 다른 ‘야누스’ 유리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0.29
202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2개 분야 선정(AI·가시화 기반 사이버공격
자동분석 상용화 기술 및 ScienceDMZ 기술개발·서비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0.29 미래 고성장 과학기술 100선 및 7대 이슈 도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0.29 건설연, 중소기업에 건설기술정보 지원 확대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0.29.~30. 사이버 회복력 강화를 위한 2020 사이버공격방어대회 개최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10.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금호석유화학 CCUS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0.30 의료용 전기제품 표준화 관련 온라인 워크샵 개최 한국전기연구원(KERI)
10.30 로봇기반 차세대 조선 생산기술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0.31
ADS-B기반 무인항공기 충돌회피시스템 성능검증을 위한 비행시험 100회 수행 완료
및 과제 종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1 분산전원설비 시험평가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1 부작용 무서운 조영제 없이 치매 원인 물질 모니터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63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2 국산 기술 활용한 대형 풍력발전기 형식시험 적합확인서 획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2 PHMG(가습기살균제성분) 독성증상 보인 임신동물의 태아도 간접영향 받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2 KIST, 꺼지지 않는 연구의 불빛 밝힌 故 송곡 최형섭 박사 탄신 100주년 기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2 NDSL, ScienceON과 통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3 표준연, 융합연구 통해 초고감도 실시간 바이오센싱 장비 개발 성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1.3 ETRI, 심혈관 질환 자동 분석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3 광주 에너지신산업 특화분야 육성 위한 기술교류회 개최 한국전기연구원(KERI)
11.3 코로나19 기업 지원을 위한 시험인증 선진 예약 시스템 도입 한국전기연구원(KERI)
11.3 건설연 김병석 박사 “200년 가는 슈퍼콘크리트”로 R&D 우수성과 100선 선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1.3 국내 최초 초임계 CO2 발전 시스템 원천기술 확보 한국기계연구원(KIMM)
11.3 안전성평가연구소,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을 위한 GLP 독성평가시험 지원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3 제36회 한국독성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3 제36회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3 화재, 폭발 위험 없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을 위한 전극소재 열분석 기법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3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부터 메탄가스를 97.7%의 고순도로 회수
하는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3 서울예술대학교와의 산학협력 업무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3 재료硏 개발 기술 3건, '국가 우수 연구성과 100선' 선정 한국재료연구원(KIMS)
11.4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오작동 여부, 고민감도로 검측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1.4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적용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실증 사업 추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4
국가 재해 재난 공동대응 위해 업무 협약 체결(한국전기연구원-한국전력공사 경남본부
-한국전기안전공사 경남지역본부-한국전기기술인협회 경상남도회-한국전기공사
협회 경상남도회)
한국전기연구원(KERI)
11.4 한의학연, 한약처방의 대사질환 치료 기전 과학적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1.4 조규혁박사, KSQA위원회장 취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4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 특별 토론회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1.4 제5회 과학기술정보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4 유무인겸용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OPPAV) 축소기 초도비행(고흥항공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5 ETRI, 고령자 돕는 로봇 특화된 데이터·SW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5 원자력연 임인철 박사, 한국방사선산업학회장 선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5 국내 최초 승강장 안전문 상호호환 제어시스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1.5 2020 테크비즈코리아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1.5 건설연, 퍼스널 모빌리티 기반 재난 전조 현상 감시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1.5 온실가스 이산화탄소와 버려지는 부생가스로부터 고급 화학물질 만드는 공정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1.5 국산 생체영상장비 활용 촉진위한 전문실험시설 개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1.5 한의학연, 한의학으로 실현될 미래모습 ‘2050 미래비전’ 발표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1.5 KIST, 중국발 미세먼지 국내 유입 한-중 공동연구로 입증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5 제16차 CTCN 이사회 화상회의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664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5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물리적 방식으로 탄소나노튜브에서 그래핀 양자점을 제작할
수 있는 메커니즘 규명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5 대한민국 청정사회 전환을 위한 기술정책 포럼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5~6 2020 테크비즈코리아 온라인전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1.6 원자력연, 과학꿈나무 육성 위해 '찾아가는 원자력 과학교실' 개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6 하이브리드형 분산전원 전기차 충전시스템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6 KREONET Workshop 2020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8 이산화탄소가 ‘산업의 쌀’ 에틸렌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9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에디팅의 정확성 검증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1.9 제2차 청렴부패방지 교육 한국식품연구원(KFRI)
11.9 김치 수출 성장세 이어가려면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10 산업폐기물 매립장 침출수 해결하는 신기술, 기술이전 실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10 햇빛만으로 깨끗해지는 수처리 분리막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10 ETRI, 세계 최초 40기가급 네트워킹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10 프리앰프 내장 탄성파 전기 센서 기술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11.10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 조직위원회 출범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1.10 건설공사 사후평가센터 개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1.10 화학(연)-프라운호퍼 FEP 온라인 국제심포지엄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1.10~12 H2WORLD 컨퍼런스 2020 특별 세미나 참가 및 발표 녹색기술센터(GTC)
11.11 경주 양성자가속기, HDT㈜와 손잡고 차세대 의료용/산업용 장비 상용화 착수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11 한의학연, 2020 한‧중 전통의학 국제 심포지엄 온라인 개최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1.11 하이퍼튜브 축소형 튜브 공력시험장치에서 시속 1,019km 공력시험 성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1.11 2020 글로벌 기계기술 포럼 온라인 개최 한국기계연구원(KIMM)
11.11 국내 산업·발전 현장 온실가스 배출량 정확히 측정할 핵심 기술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1.11
이산화탄소가 분리되어 배출되는 '케미컬루핑 연소기술'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11 대한환경공학회 특별세션 주관 녹색기술센터(GTC)
11.11 에콰도르 생산산업부 차관 방문 한국식품연구원(KFRI)
11.11 세계 최초 TBM 전용 시뮬레이터 개발 성공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1.11~11.13 2020 국제해양안전대전 전시 참가(송도 컨벤시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12 항우연-LIG넥스원 항공분야 상호협력 업무협약(MOU) 체결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12 국내 하천 고유어(漁)종 피라미로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생태환경을 지킨다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12 공기 중 바이러스, 현장에서 일회용 키트로 바로 검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12 비대면 점핑 피트니스 시스템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12 “항암 기능성 김치유산균 WiKim0102, WiKim28, WiKim30”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12 “파킨슨병 개선 기능성 김치유산균 WiKim27, WiKim31”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12 “비알콜성지방간 개선 기능성 김치유산균 WiKim0103, WiKim0104”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13 대한환경공학회 신진연구자상 수상 안전성평가연구소(KIT)
∙665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13 2020 한-세계화상 비즈니스위크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1.13 제21차 TEC 온라인 화상회의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11.13 한국형발사체 1단 인증모델(QM) 조립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13 한국형발사대 발사대(제2발사대) 구축 및 독립성능시험 수행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13 한국화학연구원-SK건설, 친환경 기술로 활용도 낮은 자원 고부가가치화 업무협약 한국화학연구원(KRICT)
11.14~15 2020 충무공이순신방위산업전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11.14~15 2020 이순신 방위산업전 전시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1.15 KIST 유럽(연), 인공 제브라피쉬로 화학물질 장기적 유해성 평가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16 창원지역 스마트 방문간호 시스템 구축 한국전기연구원(KERI)
11.16 핵융합(연)-식품진흥원 플라즈마 살균기술 농식품 적용 워크숍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1.16 가볍고 잘 휘어지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롤투롤 공정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1.17 ETRI, 최신 ICT로 스마트 자주국방 앞장선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17 인공지능으로 반도체 소재 분석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17 우리술 전문가 양성과정 수료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11.17 제17회 KICT-IWHR 세미나 온라인 개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1.17~19 폐기물 처리 분야 전문가 세미나 개최(KEI 안준영 박사) 녹색기술센터(GTC)
11.18 원광대학교 광주 한방병원 임상 빅데이터 위한 EMR 항목 표준화 적용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1.18 KREONET, 한-미 ScienceDMZ 기반 컴퓨팅자원 공유체계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18 포항가속기연구소와의 연구 및 기술 협력 협약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18~11.21 DX Korea 2020(대한민국방위사업전) 전시 참가(일산 킨텍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18~20 2020 대한민국 방위산업전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1.19 ETRI, 자폐스펙트럼 장애 선별 인공지능 개발 나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19 ‘집콕’이 건강 해치지 않으려면 실내 환기 중요… 표준연 측정 결과로 증명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1.19 무선 보안 난방 및 온수 스마트미터 시스템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19 스마트폰 액정, 돈 내고 수리하세요? 깨져도 알아서 고쳐지는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19 인도네시아 BPPT 환경기술센터 주관 웨비나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11.19 제10차 국내 CTCN 회원기관 협의회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1.19~20 나노피아 2020 온라인 전시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1.19~20 나노피아2020(온라인)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11.20 KIST, 코로나19 관련 연구현황 발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20 2020 김치 마스터셰프 콘테스트 개최(김정숙여사 방문)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20 제1회 김치의 날 기념 특별전시 "김치를 만나는, 창" 운영(김정숙여사 방문)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20
제1회 김치의 날 기념 김치 세미나 "김치의 건강 기능성과 글로벌 확산을 위한 전략"
개최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20 한국재료연구원 초대 원장, 이정환 박사 취임! 한국재료연구원(KIMS)
11.20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유석재 초대원장 취임식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1.22 각종 혈관질환 줄기세포 치료제, 실시간 관찰 통해 효능 예측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666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1.22~12.13 영국 “Kimjang Festival 2020” 공동 개최(온라인)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23 녹색기술센터, 국내 최초 GCF 레디니스 사업 수행 자격 획득 녹색기술센터(GTC)
11.23 인공태양 KSTAR, 1억도 20초 운전으로 세계 신기록 달성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1.24 국내 최초 하천모의생태계 구축으로 환경유해성 평가 가능해져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24 DMC융합연구단, AESA 레이더 핵심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24
에너지효율화 기술 및 에너지공유 플랫폼 기술 등 적용한 최적 에너지공유 커뮤니티
구축 및 보급 모델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24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개발 패러다임이 바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24 KISTI, 아시아-북미-유럽 간 autoGOLE 국제 연구망 서비스 체계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25 ‘H2 에너지 테크포럼 2020’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25 한국식품연구원-(주)장수농가 업무협약 한국식품연구원(KFRI)
11.25 서울국제식품산업전 패밀리기업관 및 국제협력관 운영 한국식품연구원(KFRI)
11.25~12.8 '전기의 길을 따라서' 온라인 전시 개최 한국전기연구원(KERI)
11.26 주니어닥터 등 ‘2020 과학문화확산 통합 시상’ 장관상 등 수상자 발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1.26 한의학연, 첨단센서 융합한 복진(腹診)기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1.26 한중일 철도기술 교류회 온라인 개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1.26 니코틴 의존 제어가 가능한 천연소재 발굴 및 기술이전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1.26 항체 복합체 기반 전분화성 세포 제어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1.26 ETRI, VR 멀미 정량화 분석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1.26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수용성 악취가스 동시 제거 가능 흡수액 개발(녹색기술인증
획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1.26 당뇨, 신장질환 환자들에게 희소식.저칼륨 케일 스마트팜 재배기술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26 제3차 기후빅데이터 세미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1.26 2020 미래유망기술세미나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1.26 산화물계 전고체전지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일체형 복합양극소재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26 김치 쓴맛의 비밀! '글루코시놀레이트' 신속 분석법 개발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27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개원식 개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1.27 중견기업-공공연 간 기술개발 협력 선언 참여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1.27 똑똑한 ‘김치 키트’로 김장 체험해 보세요!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29 화재 위험 낮은 전고체 배터리 소재 핵심 설계전략 찾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1.30 원자력연, 미래 원자력기술 반짝이는 아이디어 공모 입상작 발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1.30 “헬로우 김치_지속가능한 음식, 김치” 발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30 “김치종균 적용 매뉴얼” 발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30 한국의 김치와 중국의 파오차이는 전혀 다른 식품 세계김치연구소(WiKim)
11.30 한국형발사체 3단 비행모델(FM1) 조립 완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1.30 온실가스 이산화탄소와 폐글리세롤로부터 유용한 자원 생산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2.1 원자력연, 다중이용시설 코로나-19 전파 위험도 예측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1 25Gbps급 무선백홀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667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1 정밀화학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고점도 물질용 복합 건조장치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1 금속-그래핀 복합잉크 제조기술, '2020년도 10대 나노기술' 선정 한국전기연구원(KERI)
12.1 건설연, IoT 기반 초소형 하천 위험 감시 네트워크 원천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12.1 암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2.1 2020년 쌍둥이자리 유성우 관련 천문정보 제공 한국천문연구원(KASI)
12.1 Big3 사업 기여로 중소벤처기업부 표창장 수상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1
피부 위에서 체온만으로 에너지 하베스팅, 어디든 밀착해 높은 전력 생산하는 열전소자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1 탄소중립기술 전문가협의체 출범식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1 제2회 IPCC 대응을 위한 전문가 포럼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12.2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국제인증 ISO 45001, 국내인증 KOSHA-MS 동시 획득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2 사용후핵연료 속 핵심원소 지하수 화학반응 규명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2 STI for SDGs 지식공유 워크숍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2 김치 맛의 비결, ‘종균 김치’ 시대 열린다!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2~3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통합기술워크숍 개최(온라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2.3 원자력연 제5호 연구소기업 출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3 태양광 사업 전주기 플랫폼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3 광(光) 데이터 전송 속도 10,000배 이상 높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3 2020 미래연구정보 포럼 개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2.3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추 무름병 방제용 조성물”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4 인체의 약물반응 연구를 위한 신규 생체모사 시스템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4 100MW급 태양광 기업공동활용연구센터 구축 사업 총괄 주관기관 선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4 2020 과학기술 ODA 국제컨퍼런스 공동주관 및 세션 운영 녹색기술센터(GTC)
12.4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 기관 내방 녹색기술센터(GTC)
12.4 한국재료연구원, 개원식 개최 한국재료연구원(KIMS)
12.6 5G 스마트시티 기술로 폭설 재난 대응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6 빛으로 하는 항암치료, 주사는 한 번만 맞으세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7 원자력 꿈나무를 위한 창의력 경진대회 온라인 본선 개최 및 수상자 선정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7 원자력연에서 로봇 방재시대 시작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수소연료전지 소재 연구단 출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7 UN 파트너 기관과 기후변화 대응 분야 기술 분류 체계 개발 녹색기술센터(GTC)
12.7 김치의 기능성 물질 '오르니틴' 생성의 이유를 밝히다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8 세계 최초, 나노 두께 2차원 유무기 자성체 합성 성공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8 한국전기연구원 진・출입로 ‘전기의길’로 공식 도로명 변경 한국전기연구원(KERI)
12.8 ‘맑은 공기를 위한 친환경 화학 기술의 노력’ 주제 미세먼지 포럼 개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2.8 콜드체인 단절 없는 냉동 컨테이너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2.8 CDR 포럼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668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8 제6회 2020 기후기술 리더스포럼 개최(국립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권이균 교수) 녹색기술센터(GTC)
12.8 블록체인 활용 개방형 동료심사 시스템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12.8 첨단소재부품뿌리산업기술대전(온라인)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12.9 생명연, 12월 9일(수) ‘2020 KRIBB Annual Conference’ 온라인 개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9 DNA 니들패치·스마트 로봇의족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선정 한국기계연구원(KIMM)
12.9 GTC-UDP 공동 웨비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9 재료硏, 차세대 비정질 금속 소재 제조기술 국산화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12.10 지난 20년간 세계 인간신뢰도분석 연구분야 주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10 생명연, 뿌리 유익균이 식물냄새로 이웃 식물뿌리의 유익균 조절 기전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10 세계 최초 실내 5G 광중계기 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10 고효율 연료전지용 1kW급 스택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10 조직문화 개선 프로젝트 E-Board 4기 마무리 워크숍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10
강소특구 연구소기업 및 창업기업 투자유치 활성화 협력 협약 체결(전기연-주식회사
경남벤처투자)
한국전기연구원(KERI)
12.10 6th Climate Change Project and Programmes 세미나 참석 및 발표 녹색기술센터(GTC)
12.11 경주 양성자가속기, ㈜라드피온과 손잡고 문화유산 진단 및 복원기술 공동연구 착수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11 심우주지상안테나 주반사판 상량식 개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2.13 대통령 표창 및 장관상 수상 한국식품연구원(KFRI)
12.14 제7기 철도연 블로그기자단’ 화상 대면 발대식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2.14 전북테크노파크업무협약체결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14 기존보다 100배 넓은 면적 한 번에 검사, 표면 미세 결함까지 확인 가능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12.14 지질자원연, 한반도 최초 운석충돌구 발견 Gondwana Research 게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2.14 TR-60 무인기를 활용한 공중방사능 탐지 초도 비행시험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2.14 기존대비 36%의 초고효율 성능을 증강하는 섬유형 태양전지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12.14
어떤 형태로 변형해도 스스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정전기 소재 원천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KRICT)
12.15 원자력연, 저에너지 전자가속기 활용 악취제거 융합시스템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15 9월 23일 서천 관측 화구 궤도분석 정보 제공 한국천문연구원(KASI)
12.15 전자파 유해성 검증 위한 평가모델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15 전체 구성원 지식 공유를 위한 『KIER Conference 2020』 개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15 한-부탄 저탄소 폐기물 통합관리시스템 협력 워크샵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15~16 연수성과 교류회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16 지역 이웃을 위한 ‘사랑의 손길 나누기’ 행사 한국전기연구원(KERI)
12.16 폐기물 사업화 관련 전문가 세미나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16 수소전기차 전문가 세미나 개최(문진영 한국교통연구원 미래차교통연구센터단장) 녹색기술센터(GTC)
12.16 에폭시수지 원천기술 개발 및 에폭시 밀봉재 국산화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2.16 2020 산업융합 선도기업 선정서 수여식’ 온라인 개최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2.16 영주시, (주)성진CBK와의 투자협정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669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16 한국 김치와 김장문화, 영국 국립도서관에 공식 등재됐다!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16~18 2020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 온라인 전시회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2.16~18 2020 산업기술 R&D대전 온라인전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2.17 '안전과 소통의 날' 비대면 운영 개시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17 2020년 12월 31일 일몰 및 2021년 1월 1일 일출시각 발표 한국천문연구원(KASI)
12.17 국산 극저온 냉동기 시스템 실증 성공 한국기계연구원(KIMM)
12.17 연구기반 통합관리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표창 수상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17 AI를 도입한 미생물 바이오센서로 환경 유해물질 탐지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17 생명연 김승준 부원장, OECD 바이오나노융합기술작업반 부의장 선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17 인공지능 오픈 API 및 데이터 공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17 한국형발사체 1단 인증모델(QM) 종합연소시험 착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2.18 생명연 한문희 초대원장, 과학기술유공자 선정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18 2020대한민국과학기술대전기후기술국제협력부문성과전시참여 녹색기술센터(GTC)
12.18 2020년 종합평가 자체평가 결과(우수 등급) 한국전기연구원(KERI)
12.20 착용형 무선 초음파 기기로 수술 없이 뇌졸중 치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21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 초저온전자현미경으로 규명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2.21 2020 연구성과 발표회 및 기관운영성과 발표회 녹색기술센터(GTC)
12.21~27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온라인 전시회 참여 한국기계연구원(KIMM)
12.21~27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온라인) 참가 한국재료연구원(KIMS)
12.21~27 YTN사이언스함께만드는미래대한민국캠페인(정병기소장출연)방영 녹색기술센터(GTC)
12.21~27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온라인전 참가 한국전기연구원(KERI)
12.21~31 녹색기술센터, 글로벌 기후기술 협력 전문기관 자격 획득 녹색기술센터(GTC)
12.22 원자력연, 우리씨드에 배롱나무 신품종 기술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22 고속철도 터널 폭발음 저감 후드 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12.22 ‘세포내막의 유동성 감소’로 인한 노화 현상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12.22 폐기물로부터 유용 자원 회수 기술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12.22 수소경제, 암모니아로 운반해서 추출한다.수소추출 효율 2.5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22 2020 녹색글로벌협력전략포럼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22 탄소중립기술 전문가 협의체 수소, 태양광 분과위원회 포럼 개최 녹색기술센터(GTC)
12.23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 구축 및 개방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2.23 기계연 2020년최우수 연구 성과 ‘나노마이크로 DNA 니들패치’ 선정 한국기계연구원(KIMM)
12.23 서버 침입경로 혼란시켜 해킹 막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23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체계적 육성지원 및 청년일자리 창출 협력 협약(전기연-경상남
도경제진흥원)
한국전기연구원(KERI)
12.23 “기능성 포장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24 2020 과학기술대전 연구성과 영상 송출 및 온-오프라인 연계 포럼 운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12.24 2019 무인이동체 산업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670 ∙
월일 주요 일지 기관명
12.24 하반기 뉴스레터 발간(Vol.30)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24 기고문집 독성관망 발간(Vol.2)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24 인공지능으로 소변검사를 통한 암 진단 정확도 높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12.24 제15차 CTCN 이사회 화상회의 참석 녹색기술센터(GTC)
12.24 “배추 부위별 절단분리 장치와 기술”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24 재료硏, ㈜하이박과 격자구조소재 기술을 활용한 전기차용 배터리 열관리 시제품 개발 한국재료연구원(KIMS)
12.24.~30 “김치 골마지 생성 억제기술” 기술이전 세계김치연구소(WiKim)
12.26 국내기업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진단장치 1차벽 제작 사업 수주 성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KFE)
12.28 KBSI 이석훈 박사, 연총 제13대 회장으로 선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2.28 실험동물연구동 위령비 제막식 및 위령제 한국식품연구원(KFRI)
12.29 KBSI, 사랑의 연탄 나눔으로 따뜻한 온기 나눠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12.29 국민 삶의 질 높이는 미세먼지 저감 연구 박차 한국기계연구원(KIMM)
12.29 KIT 톡톡 기자단 온라인 해단식 개최 안전성평가연구소(KIT)
12.29 5G 네트워크용 광통신 핵심 부품 국산화 착착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2.29 한국재료연구원-대한적십자사 경남혈액원, 업무협약 체결! 한국재료연구원(KIMS)
12.30 한의학연, 한의약 정책 전문저널 한의정책 발간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12.30 원전 해체공정 시뮬레이션 기술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12.30 생활폐기물 탈(脫)플라스틱 대책 밀착 지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12.30 창립33주년 기념 시상 및 종무식 한국식품연구원(KFRI)
12.30 건설연, 2020 일자리창출 유공 대통령표창 수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671 ∙
제4장
2020년도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2020 과학기술연감 원고 집필진
목차 집필
제1부 특집테마: 코로나 이후 시대를 대비하는 과학기술
정책 방향
1. 추진배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한철환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코로나19대응과 이태호 사무관
2. 코로나 이후 변화 전망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한철환 사무관
3. 코로나 이후 과학기술 정책방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한철환 사무관
제2부 과학기술정책 추진 현황
제1장 과학기술 비전 및 운영체계
제1절 국가 과학기술 비전 추진현황
1.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수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지원팀 정승지 사무관
2. 과학기술기본계획 추진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책과 한철환 사무관
제2절 국가과학기술정책 운영체계
1.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지원팀 이재덕 사무관
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 김혜민 사무관
3.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기관지원팀 곽성안 사무관
제2장 국가과학기술 투자의 전략적 배분과 시스템 혁신
제1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의 전략적 배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예산총괄과 이지은 사무관
제2절 국가연구 개발 투자의 시스템 혁신
1.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 연구 자율성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기관지원팀 송호준 사무관
2. 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 심재충 사무관
3. 국가연구개발 평가제도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신은경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평가심사과 원성태 사무관, 이영경 사무관
4.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성과 활용・확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과평가정책과 최부용 사무관
∙672 ∙
목차 집필
제3장 국가과학기술역량 확충
제1절 과학적 지식 탐구 및 창의・도전적 연구 진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진흥과 김미미 사무관
제2절 연구몰입환경 조성
1.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도혁신센터 유지은 연구원
2. 연구자 주도 R&D 제도 혁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제도혁신과 정재헌 사무관
제3절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인재정책과 김주연 사무관
제4절 과학기술문화 확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문화과 장태은 사무관
제5절 과학기술 외교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주아프리카협력담당관 구서희 사무관
제4장 혁신적 과학기술생태계 조성
제1절 협력・융합 연구 활성화
1. 융합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김애화 사무관, 이경운 사무관
2. 나노소재기술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양민영 사무관, 홍석범 사무관
제2절 기술혁신형 창업・벤처 활성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정책총괄과 김현동 사무관
제3절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 창출
특허청 특허빅데이터담당관 윤재욱 사무관
특허청 산업재산창출전략팀 박재용 사무관, 나승규 사무관
특허청 산업재산보호정책과 정수환 사무관
제4절 지역주도의 지역혁신시스템 확립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지역정책팀 천세봉 연구위원
제5장 신산업・일자리 창출 지원
제1절 4차 산업혁명 대응 기반 강화
1. 미래 이동통신 주도권 선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과 한성민 사무관
2. ICT 분야 경쟁력 강화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기획총괄팀 유영수 수석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기술사업화팀 기주희 수석, 최성원 수석
제2절 혁신성장동력 육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장동력기획과 김수연 사무관
제3절 제조업 재도약 및 서비스업 육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 김수희 사무관
제4절 과학기술 기반 고급일자리 창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 이동근 사무관
제6장 국민의 행복한 삶 구현
제1절 건강하고 활기찬 삶 구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김성겸 사무관
제2절 안심・안전한 사회 구현
1. 재난・안전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윤우석 연구사
2. 국방역량강화 방위사업청 기술정책과 공희정 주무관
제3절 쾌적・편안한 생활환경 구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과 지은환 서기관
제4절 포용적 사회 실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기술기반팀 이향수 사무관
∙673 ∙
목차 집필
제3부 국가연구개발 활동 현황
제1장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과 홍재표 사무관
제2장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과 유회일 사무관
제3장 부처별 연구개발사업 추진
제1절 기초・기반 연구
1. 기초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진흥과 박만석 사무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산업수학연구본부 조도상 본부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스핀팀 황찬용 팀장
한국화학연구원 정책연구실 화학정보팀 김용진 팀장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김성용 책임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연구기획실 이승건 실장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책전략부 이진환 부장
2. 원자력
2-1 원자력・방사선 한국원자력연구원 미래전략연구부 양맹호 책임연구원
2-2 핵융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협력과 황동민 사무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연구전략팀 조아라 박사후연구원
2-3 원자력 기반(중이온・양성자 가속기)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권영관 부사업단장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성자과학연구단 김귀영 책임연구원
제2절 정보통신기술
1.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진흥과 박석춘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사회기획과 민가홍 사무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정보연구본부 민옥기 본부장
단국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박용범 교수
한국정보화진흥원 지능데이터기반팀 이용진 팀장
2. 유무선 통신 및 전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과 한성민 사무관, 이정기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기획과 이종혁 사무관
단국대학교 모바일시스템공학과 이현우 교수
3. 방송통신융합(디지털방송)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과 박성준 사무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방송정책과 어정욱 사무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연구본부 김흥묵 본부장
4. 정보보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기획과 박태성 사무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보호연구본부 진승헌 책임연구원
제3절 생명공학기술
1. 생명과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송영훈 사무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김무웅 정보분석실장
2. 보건의료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 김성겸 사무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 전략단 R&D정책조정팀 조종선 연구원
3. 식품・의약품 등 안전 분야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조정과 강주혜 과장
4. 농림・축산・식품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 박연주 사무관
국립식량과학원 기획조정과 김숙진 연구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임태준 연구사
국립축산과학원 기획조정과 전략기획팀 윤호백 연구관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유상호 교수
∙674 ∙
목차 집필
5. 산림
산림청 산림정책과 이상준 연구사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기획과 김용석 연구사
6. 수산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한인성 연구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기획조정실 최애선 선임연구원
제4절 환경공학기술
1. 환경
환경부 녹색기술개발과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전략기획과 이은효 주무관
2. 해양극지개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기획조정실 최애선 선임연구원
극지연구소 전략기획부 정책개발실 서현교 책임기술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기획조정실 최애선 선임연구원
3. 기상
기상청 연구개발담당관 원덕진 사무관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손석우 교수
4. 기후변화 및 녹색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천기술과 손효진 사무관
녹색기술센터 정책연구부 김민철 선임연구원
5. 에너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술과 김태훈 사무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정책연구실 이유아 실장
6. 자원탐사 및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자원안보정책과 성상훈 사무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탐사개발연구센터 조성준 센터장
제5절 나노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융합기술과 홍석범 사무관, 양민영 사무관,
김명희 사무관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융합장비연구부 임현의 부장
제6절 우주항공기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정책팀 임종빈 팀장
제7절 문화기술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강여원 사무관, 구자환 주무관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본부 조현훈 본부장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 한욱 학예연구관
제8절 산업기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과 김수희 사무관
한국기계연구원 기계기술정책센터 김희태 선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정책연구실 화학정보팀 김용진 팀장
한국전기연구원 미래전략실 김태현 실장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정책개발실 정인 책임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기술정책실 김세엽 실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김재홍 실장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연구지원본부 김휘원 본부장
제9절 국방・재난안전 기술
방위사업청 기술정책과 공희정 주무관
광주과학기술원 GIST 연구원 이기훈 교수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안전연구실 윤우석 연구사
㈜피엔에스 김대우 대표이사
제10절 건설・교통 기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정책실 윤혜진 수석연구원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김경석 교수
제4부 첨부자료
제1장 주요 과학기술 통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혁신정보분석센터 김행미 부연구위원
제2장 주요 과학기술 법령 제・개정 현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도혁신센터 이재훈 연구위원
제3장 2020년 과학기술활동 연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홍보문화팀 김영미 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 과학기술정책과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94(어진동)
Tel: 044-202-6729, http:// www.msit.go.kr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과학기술정책센터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Tel: 043-750-2415, http:// www.kistep.re.kr
인 쇄
발 행
편집 및 발행
제 작
: 2021년 4월
: 2021년 4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화신문화(043-882-5583)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0년 지방과학기술연감
|
2021-01-01
|
|
<p>1</p>목 차
제1장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3
1. 발간배경 ···············································································································3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4
1. 중앙부처의 2020년 주요 정책 동향 ······································································4
2.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계획 및 방안 ······································································11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9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19
2. 지방 과학기술예산 ······························································································21
제2장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25
1. 인구 ····················································································································25
2. 지역내총생산 ······································································································26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29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33
1. 투입 ····················································································································33
2. 역량 ····················································································································43
3. 성과 ····················································································································54
제3장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제1절 서울특별시 ···············································································64
1. 지역・산업현황 ····································································································64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71
3. 성과 ····················································································································86
4. 중점 추진사항 ·····································································································87
제2절 부산광역시 ···············································································89
1. 지역・산업현황 ····································································································8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98
3. 성과 ·················································································································113
4. 중점 추진사항 ···································································································114
제3절 대구광역시 ·············································································117
1. 지역・산업현황 ··································································································11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125
3. 성과 ·················································································································138
4. 중점 추진사항 ···································································································139
제4절 인천광역시 ·············································································142
1. 지역・산업현황 ··································································································142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150
3. 성과 ·················································································································162
4. 중점 추진사항 ···································································································163
제5절 광주광역시 ·············································································165
1. 지역・산업현황 ··································································································16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173
3. 성과 ·················································································································186
4. 중점 추진사항 ···································································································187
제6절 대전광역시 ·············································································190
1. 지역・산업현황 ··································································································19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197
3. 성과 ·················································································································209
4. 중점 추진사항 ···································································································210
제7절 울산광역시 ·············································································213
1. 지역・산업현황 ··································································································21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221
3. 성과 ·················································································································233
4. 중점 추진사항 ···································································································234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238
1. 지역・산업현황 ··································································································23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246
3. 성과 ·················································································································256
4. 중점 추진사항 ···································································································257
목 차
제9절 경기도 ····················································································260
1. 지역・산업현황 ··································································································26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272
3. 성과 ·················································································································286
4. 중점 추진사항 ···································································································287
제10절 강원도 ·················································································290
1. 지역・산업현황 ··································································································290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300
3. 성과 ·················································································································314
4. 중점 추진사항 ···································································································315
제11절 충청북도 ··············································································319
1. 지역・산업현황 ··································································································31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330
3. 성과 ·················································································································345
4. 중점 추진사항 ···································································································346
제12절 충청남도 ··············································································349
1. 지역・산업현황 ··································································································349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361
3. 성과 ·················································································································374
4. 중점 추진사항 ···································································································375
제13절 전라북도 ··············································································378
1. 지역・산업현황 ··································································································378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388
3. 성과 ·················································································································401
4. 중점 추진사항 ···································································································402
제14절 전라남도 ··············································································406
1. 지역・산업현황 ··································································································406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417
3. 성과 ·················································································································431
4. 중점 추진사항 ···································································································432
제15절 경상북도 ··············································································435
1. 지역・산업현황 ··································································································43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447
3. 성과 ·················································································································462
4. 중점 추진사항 ···································································································463
제16절 경상남도 ··············································································467
1. 지역・산업현황 ··································································································46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483
3. 성과 ·················································································································497
4. 중점 추진사항 ···································································································498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501
1. 지역・산업현황 ··································································································50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510
3. 성과 ·················································································································523
4. 중점 추진사항 ···································································································524
참 고 문 헌 ·······················································································531
표 목 차
<표 1-3-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행정조직 현황 ··································································19
<표 1-3-2>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18-2019년) ·······························21
<표 2-1-1>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5년~2019년) ······················································26
<표 2-1-2>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6년~2020년) ····················································32
<표 3-1-1> 서울특별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64
<표 3-1-2> 서울특별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65
<표 3-1-3>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66
<표 3-1-4>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67
<표 3-1-5>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68
<표 3-1-6>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68
<표 3-1-7>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69
<표 3-1-8>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71
<표 3-1-9> 서울특별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 ··················································72
<표 3-1-10>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72
<표 3-1-11> 서울특별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73
<표 3-1-12>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0년) ···············································································75
<표 3-1-13>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75
<표 3-1-14>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76
<표 3-1-15>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77
<표 3-1-16>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78
<표 3-1-17>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79
<표 3-1-18>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0년) ···················································································80
<표 3-1-19>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80
<표 3-1-20>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81
<표 3-1-21>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83
<표 3-1-22>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0) ···········································································85
<표 3-1-23>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85
<표 3-1-24>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86
<표 3-1-25>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 ··················································································86
<표 3-2-1> 부산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89
<표 3-2-2> 부산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90
<표 3-2-3>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91
<표 3-2-4>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92
<표 3-2-5>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93
<표 3-2-6>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94
<표 3-2-7>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96
<표 3-2-8>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98
<표 3-2-9> 부산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 ···················································99
<표 3-2-10>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99
<표 3-2-11> 부산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100
<표 3-2-12>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103
<표 3-2-13> 부산광역시 일자리경제실 혁신경제과와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103
<표 3-2-14>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105
<표 3-2-15>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106
<표 3-2-16>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107
<표 3-2-17>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108
<표 3-2-18>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109
<표 3-2-19>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109
<표 3-2-20>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110
<표 3-2-21>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111
<표 3-2-22>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111
<표 3-2-23>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112
<표 3-2-24>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112
<표 3-2-25>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113
<표 3-2-26>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113
<표 3-3-1> 대구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117
<표 3-3-2> 대구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118
<표 3-3-3>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119
<표 3-3-4>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120
<표 3-3-5>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121
<표 3-3-6>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19년 2/4분기) ·······························································122
표 목 차
<표 3-3-7>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123
<표 3-3-8>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125
<표 3-3-9> 대구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126
<표 3-3-10>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126
<표 3-3-11> 대구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127
<표 3-3-12>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129
<표 3-3-13> 대구광역시 혁신성장정책과와 창업진흥과, 스마트시티과 과학기술 관련 역할 ················129
<표 3-3-14>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131
<표 3-3-15>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132
<표 3-3-16>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132
<표 3-3-17>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133
<표 3-3-18>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134
<표 3-3-19>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134
<표 3-3-20>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135
<표 3-3-21>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136
<표 3-3-22>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136
<표 3-3-23>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137
<표 3-3-24>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137
<표 3-3-25>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138
<표 3-3-26>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138
<표 3-4-1> 인천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142
<표 3-4-2> 인천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143
<표 3-4-3>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144
<표 3-4-4>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145
<표 3-4-5>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146
<표 3-4-6>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147
<표 3-4-7>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148
<표 3-4-8>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150
<표 3-4-9> 인천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151
<표 3-4-10>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151
<표 3-4-11> 인천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152
<표 3-4-12>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153
<표 3-4-13> 인천광역시 일자리경제본부 산업정책관 산업진흥과,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154
<표 3-4-14>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155
<표 3-4-15>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156
<표 3-4-16>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157
<표 3-4-17>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158
<표 3-4-18>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19년) ·················································································159
<표 3-4-19>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159
<표 3-4-20>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160
<표 3-4-21>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160
<표 3-4-22>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161
<표 3-4-23>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161
<표 3-4-24>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161
<표 3-4-25>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162
<표 3-4-26>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162
<표 3-5-1> 광주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165
<표 3-5-2> 광주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166
<표 3-5-3>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167
<표 3-5-4>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168
<표 3-5-5>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169
<표 3-5-6>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170
<표 3-5-7>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171
<표 3-5-8>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173
<표 3-5-9> 광주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174
<표 3-5-10>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174
<표 3-5-11> 광주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175
<표 3-5-12>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178
<표 3-5-13>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국 과학기술 관련 역할 ·························································178
<표 3-5-14>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179
<표 3-5-15>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179
<표 3-5-16>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0년) ·························································180
<표 3-5-17>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181
<표 3-5-18>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182
표 목 차
<표 3-5-19>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182
<표 3-5-20>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183
<표 3-5-21>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184
<표 3-5-22>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185
<표 3-5-23>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185
<표 3-5-24>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186
<표 3-5-25>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186
<표 3-6-1> 대전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190
<표 3-6-2> 대전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191
<표 3-6-3>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192
<표 3-6-4>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193
<표 3-6-5>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194
<표 3-6-6>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195
<표 3-6-7>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195
<표 3-6-8>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197
<표 3-6-9> 대전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198
<표 3-6-10>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198
<표 3-6-11> 대전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199
<표 3-6-12>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200
<표 3-6-13> 대전광역시 과학산업국 과학산업과와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201
<표 3-6-14>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201
<표 3-6-15>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202
<표 3-6-16>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203
<표 3-6-17>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204
<표 3-6-18>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205
<표 3-6-19>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205
<표 3-6-20>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206
<표 3-6-21>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207
<표 3-6-22>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207
<표 3-6-23>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208
<표 3-6-24>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208
<표 3-6-25>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209
<표 3-6-26>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209
<표 3-7-1> 울산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213
<표 3-7-2> 울산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214
<표 3-7-3>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215
<표 3-7-4>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216
<표 3-7-5>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217
<표 3-7-6>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218
<표 3-7-7>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219
<표 3-7-8>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221
<표 3-7-9> 울산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222
<표 3-7-10>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222
<표 3-7-11> 울산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223
<표 3-7-12>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225
<표 3-7-13> 울산광역시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225
<표 3-7-14>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226
<표 3-7-15>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226
<표 3-7-16>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227
<표 3-7-17>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228
<표 3-7-18>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229
<표 3-7-19>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229
<표 3-7-20>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230
<표 3-7-21>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231
<표 3-7-22>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232
<표 3-7-23>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232
<표 3-7-24>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233
<표 3-7-25>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233
<표 3-8-1> 세종특별자치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238
<표 3-8-2>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239
<표 3-8-3>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240
<표 3-8-4>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241
<표 3-8-5>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242
<표 3-8-6>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243
<표 3-8-7>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244
표 목 차
<표 3-8-8>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246
<표 3-8-9> 세종특별자치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247
<표 3-8-10>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247
<표 3-8-11> 세종특별자치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248
<표 3-8-12>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0년) ·······································································250
<표 3-8-13>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250
<표 3-8-14>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250
<표 3-8-15>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251
<표 3-8-16>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252
<표 3-8-17>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253
<표 3-8-18>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0년) ··········································································254
<표 3-8-19>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254
<표 3-8-20>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255
<표 3-8-21>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255
<표 3-8-22>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256
<표 3-8-23>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 ··········································································256
<표 3-9-1> 경기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260
<표 3-9-2> 경기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261
<표 3-9-3>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262
<표 3-9-4>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263
<표 3-9-5>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264
<표 3-9-6>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265
<표 3-9-7>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270
<표 3-9-8>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272
<표 3-9-9> 경기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 ·······················································273
<표 3-9-10>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273
<표 3-9-11> 경기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274
<표 3-9-12>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0년) ···················································································275
<표 3-9-13>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 미래산업과와 과학기술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276
<표 3-9-14>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277
<표 3-9-15>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278
<표 3-9-16>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278
<표 3-9-17>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279
<표 3-9-18> 경기도 대학 현황(2020년) ······················································································280
<표 3-9-19>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280
<표 3-9-20>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281
<표 3-9-21>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282
<표 3-9-22>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283
<표 3-9-23>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 ··························································································285
<표 3-9-24>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285
<표 3-9-25>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286
<표 3-9-26>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 ······················································································286
<표 3-10-1> 강원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290
<표 3-10-2> 강원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291
<표 3-10-3> 강원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292
<표 3-10-4> 강원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293
<표 3-10-5> 강원도 중점전략분야 ·······························································································294
<표 3-10-6> 강원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295
<표 3-10-7> 강원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298
<표 3-10-8> 강원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300
<표 3-10-9> 강원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 ················································301
<표 3-10-10> 강원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301
<표 3-10-11> 강원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302
<표 3-10-12> 강원도 공무원 현황(2020년) ·················································································303
<표 3-10-13> 강원도 첨단산업국 전략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304
<표 3-10-14> 강원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305
<표 3-10-15> 강원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306
<표 3-10-16> 강원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306
<표 3-10-17> 강원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308
<표 3-10-18> 강원도 대학 현황(2020년) ·····················································································309
<표 3-10-19> 강원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309
<표 3-10-20> 강원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310
<표 3-10-21> 강원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311
<표 3-10-22> 강원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312
표 목 차
<표 3-10-23> 강원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313
<표 3-10-24> 강원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313
<표 3-10-25> 강원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314
<표 3-10-26> 강원도 SCI 논문 게재 현황 ····················································································314
<표 3-11-1> 충청북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319
<표 3-11-2> 충청북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320
<표 3-11-3>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321
<표 3-11-4>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322
<표 3-11-5>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323
<표 3-11-6>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324
<표 3-11-7>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328
<표 3-11-8>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330
<표 3-11-9> 충청북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 ·············································331
<표 3-11-10>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331
<표 3-11-11> 충청북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332
<표 3-11-12>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0년) ·············································································335
<표 3-11-13> 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335
<표 3-11-14>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336
<표 3-11-15>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337
<표 3-11-16>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338
<표 3-11-17>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339
<표 3-11-18>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0년) ··················································································340
<표 3-11-19>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340
<표 3-11-20>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341
<표 3-11-21>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342
<표 3-11-22>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343
<표 3-11-23>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344
<표 3-11-24>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344
<표 3-11-25>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345
<표 3-11-26>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 ·················································································345
<표 3-12-1> 충청남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349
<표 3-12-2> 충청남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350
<표 3-12-3>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351
<표 3-12-4>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352
<표 3-12-5>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353
<표 3-12-6>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354
<표 3-12-7>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359
<표 3-12-8>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361
<표 3-12-9> 충청남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362
<표 3-12-10>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362
<표 3-12-11> 충청남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363
<표 3-12-12>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0년) ···············································································364
<표 3-12-13> 충청남도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365
<표 3-12-14>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366
<표 3-12-15>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367
<표 3-12-16>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368
<표 3-12-17>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369
<표 3-12-18>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0년) ··················································································370
<표 3-12-19>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370
<표 3-11-27>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371
<표 3-12-20>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372
<표 3-12-21>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372
<표 3-12-22>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373
<표 3-12-23>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373
<표 3-12-24>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374
<표 3-12-25>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374
<표 3-13-1> 전라북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378
<표 3-13-2> 전라북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379
<표 3-13-3>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380
<표 3-13-4>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381
<표 3-13-5>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382
<표 3-13-6>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383
<표 3-13-7>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386
<표 3-13-8>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388
표 목 차
<표 3-13-9> 전라북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389
<표 3-13-10>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389
<표 3-13-11> 전라북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390
<표 3-13-12>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0년) ···············································································392
<표 3-13-13> 전라북도 혁신성장산업국 혁신성장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392
<표 3-13-14>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393
<표 3-13-15>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394
<표 3-13-16>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395
<표 3-13-17>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396
<표 3-13-18>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0년) ··················································································397
<표 3-13-19>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397
<표 3-13-20>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398
<표 3-13-21>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399
<표 3-13-22>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399
<표 3-13-23>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400
<표 3-13-24>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400
<표 3-13-25>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401
<표 3-13-26>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 ·················································································401
<표 3-14-1> 전라남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406
<표 3-14-2> 전라남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407
<표 3-14-3>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408
<표 3-14-4>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409
<표 3-14-5>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410
<표 3-14-6>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411
<표 3-14-7>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415
<표 3-14-8>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417
<표 3-14-9> 전라남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 ············································418
<표 3-14-10>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418
<표 3-14-11> 전라남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419
<표 3-14-12>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0년) ·············································································422
<표 3-14-13> 전라남도 경제에너지국 신성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422
<표 3-14-14>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 (2020년 12월 기준) ····································423
<표 3-14-15>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424
<표 3-14-16>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425
<표 3-14-17>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426
<표 3-14-18>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0년) ··················································································427
<표 3-14-19>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427
<표 3-14-20>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428
<표 3-14-21>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429
<표 3-14-22>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430
<표 3-14-23>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430
<표 3-14-24>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431
<표 3-14-25>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431
<표 3-15-1> 경상북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435
<표 3-15-2> 경상북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436
<표 3-15-3>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437
<표 3-15-4>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438
<표 3-15-5>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439
<표 3-15-6>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439
<표 3-15-7>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445
<표 3-15-8>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447
<표 3-15-9> 경상북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448
<표 3-15-10>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448
<표 3-15-11> 경상북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449
<표 3-15-12>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0년) ·············································································452
<표 3-15-13> 경상북도 과학산업국 과학기술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452
<표 3-15-14>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453
<표 3-15-15>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454
<표 3-15-16>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455
<표 3-15-17>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456
<표 3-15-18>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0년) ··················································································457
<표 3-15-19>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457
<표 3-15-20>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458
<표 3-15-21>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459
표 목 차
<표 3-15-22>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460
<표 3-15-23>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461
<표 3-15-24>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461
<표 3-15-25>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462
<표 3-15-26>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 ·················································································462
<표 3-16-1> 경상남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467
<표 3-16-2> 경상남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468
<표 3-16-3>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8년) ·······························································469
<표 3-16-4>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8년) ······································································470
<표 3-16-5>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471
<표 3-16-6>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474
<표 3-16-7>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481
<표 3-16-8>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483
<표 3-16-9> 경상남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484
<표 3-16-10>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484
<표 3-16-11> 경상남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485
<표 3-16-12>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0년) ·············································································487
<표 3-16-13> 경상남도 산업혁신국 신산업연구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488
<표 3-16-14>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489
<표 3-16-15>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490
<표 3-16-16>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491
<표 3-16-17>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492
<표 3-16-18>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0년) ··················································································493
<표 3-16-19>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493
<표 3-16-20>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494
<표 3-16-21>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495
<표 3-16-22>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496
<표 3-16-23>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496
<표 3-16-24>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497
<표 3-16-25>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497
<표 3-17-1> 제주특별자치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501
<표 3-17-2>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502
<표 3-17-3>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8년) ·····················································503
<표 3-17-4>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8년) ·····························································504
<표 3-17-5>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505
<표 3-17-6>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507
<표 3-17-7>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508
<표 3-17-8>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510
<표 3-17-9> 제주특별자치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511
<표 3-17-10>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511
<표 3-17-11> 제주특별자치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512
<표 3-17-12>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0년) ····································································515
<표 3-17-13>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 미래전략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515
<표 3-17-14>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0년 11월 기준) ··························516
<표 3-17-15>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517
<표 3-17-16>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518
<표 3-17-17>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519
<표 3-17-18>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0년) ········································································520
<표 3-17-19>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520
<표 3-17-20>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522
<표 3-17-2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522
<표 3-17-22>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522
<표 3-17-23>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523
<표 3-17-24>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 ········································································523
그 림 목 차
[그림 1-2-1] 지역별 대표산업 육성 ··································································································6
[그림 1-2-2] 지역혁신체계 ·············································································································9
[그림 1-2-3]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흐름 및 운영체계 ·······································13
[그림 1-2-4]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흐름 및 운영체계 ·······································15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19년) ···························································································25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2019년) ·····································································26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19년) ········································································27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28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9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18년~2019년) ···························30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31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18년~2019년) ································································33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18년~2019년) ············································34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19년) ·····35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18년~2019년) ································································36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18년~2019년) ············································37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18년~2019년) ······················································38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18년~2019년) ···············································39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5년~2019년) ··········40
[그림 2-2-9] 최근 5년(2015년~2019년) 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 ·····························41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19년) ··························42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43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44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45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46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47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48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0년) ················································49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50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51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52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53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19년) ···························································54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18년~2019년) ·························································55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18년~2019년) ·························································56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19년) ····························57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17년~2018년) ····················································58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19년) ·······················································59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19년) ····························································60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74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102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128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153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177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200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224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249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275
[그림 3-10-1] 강원도 과학기술 조직도 ·························································································303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334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364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391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421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451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487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514
1 개 요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18년 주요 정책 동향
2.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계획 및 방안
3.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및 균형발전사업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2. 지방 과학기술예산
REGIONAL S&T YEARBOOK 2020 3
1 개요
제1절 발간 목적
1. 발간배경
최근 제4차 산업혁명, 저출산・고령화 등 다양한 경제사회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혁신에 효율적
으로 대응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는 지역의 자율성과 지역 과학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혁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있어 근간이 되는 각 지역의
과학기술과 산업 수준 파악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지역
산업 육성 정책, 수도권을 비롯한 광역시・도의 산업, 인프라, 과학기술 현황 등을 담아 1997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는 지방과학기술연감의 필요성 또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과학기술연감의 목적은 관련 연구자와 정책결정자 등에게 지방과학기술 및 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연구, 정책수립 등에 활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연감은 과학기술기본계획,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등 중앙정부의 중장기계획 수립과 지방
자치단체 차원의 지역 R&D 정책 추진 등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다. 또한, 지역정책 유관
기관이 소관 지역 정책연구를 수행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데이터로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감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장에서는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19년 주요 부처의 정책 동향과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 계획, 지자체 과학기술
관련 행정체계 및 예산 등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주요 산업지표 및 과학기술지표, 성과지표를 중심
으로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한 총괄적 현황 및 특징을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 17개 시・도별
로 각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혁신역량과 관련한 현황, 논문, 특허 등의 성과 현황 등을 점검하고 지
역별 향후 중점 추진전략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2절 국내 지방과학기술진흥 정책의 현황 및 전망
1. 중앙부처의 2020년 주요 정책 동향1)
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 업무계획에서, ‘혁신, 포용, 사람의 기본철학을 바탕으로 “더불어
잘사는 미래” 실현’을 업무추진 방향으로 밝혔으며, “과학기술 ICT 혁신으로 열어가는 더불어 잘사는
미래”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혁신, 우리의 미래를 창출’과 ‘포용, 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설정
하였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① D.N.A.(Data-Network-AI) 기반 글로벌 디지털 선도국가, ②
기초가 튼튼한 과학기술 강국, ③ 과학기술・ICT 기반 포용사회, ④ 혁신을 선도하는 R&D 생태계 등을
4대 추진전략 및 과제로 설정하였다. 4대 추진전략 및 과제 중 전반적으로 ‘혁신을 선도하는 R&D 생
태계’ 측면에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와 관련된 전략이 포함된다.
혁신을 선도하는 R&D 생태계의 주요 내용은 범부처 R&D 리더십을 강화하여 혁신을 선도하고 과
학기술・ICT 인프라를 적극 운용해 국민 체감성과를 창출하는 것으로서 이 중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
성장판 구축, 과학기술 연구기관의 미션 혁신이 지역과학기술 역량 제고의 내용이다.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성장판 구축의 경우, 첫째로 R&D 특구 혁신과 풀뿌리 R&D역량을 강화하는
내용으로서 R&D 특구인 4차 산업혁명 선도지역화(대덕), 지역주도 R&BD 집중화(광주・대구・전북・
부산), 강소특구 확산 및 강소특구 중심 기술사업화 혁신(기초지자체)으로 R&D 특구를 유형화 지원한다.
또한, 지역수요맞춤형 R&D, 지역의 미래를 여는 과학기술 프로젝트 등의 지역 R&D 시범사업을 발전・
확대해 17개 시・도별 과학기술진흥 및 R&D 생태계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을 기획 추진한다.
둘째로 R&D 혁신 플랫폼 재구축 및 특구기능을 고도화한다. 기존 R&D 사업 중 밸리 육성과 연계가
가능한 사업을 분류하고 지역에 구축된 대학, 출연연, 연구소기업, 연구 인프라 등의 R&D 자원을 ‘재배
치-집중-연결’하는 패키지를 지원한다. 또한, 「특구 법」개정을 통해 특구 내 신기술 실증특례를 도입하
고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여 R&D 전 과정의 실증을 지원하며, 특구 내 기술기반 초기・창업 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펀드를 확충하고 연구소기업 1000개를 달성하는 기획을 추진한다.
1) 각 부처의 2019년 업무보고(3월) 및 각 부처 보도자료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5
과학기술 연구기관의 미션 혁신의 경우, 국가・지역 수요의 대응을 위한 출연연 R&D 플랫폼의 역할을
확대하는 것으로서 국가 측면에서는 사회 이슈・연구 분야별(소재, 바이오, 미세먼지, 국방 등)로 출연
(연) 중심의 협의체를 구성해 융합・협력 연구를 촉진하는 기획・관리 체계를 확립한다. 지역 측면에서는
지역별로 협의기구(과기정통부-지자체-출연(연))를 구성하여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출연연의 기능을
조정하고 조직・R&D 운영을 효율화 한다.
이외에도 D.N.A. 기반 글로벌 디지털선도국가 전략 중 ‘미래를 대비하는 튼튼한 DNA 기반조성’의
내용으로 인재 양성을 위해 지역 ‘SW미래채움센터’를 통해 양질의 SW・AI 교육을 제공하며, 기초가 튼
튼한 과학기술 강국 전략 중 ‘소재부품장비 기술 내재화’의 내용으로 현장 긴급대응 및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3N(N-lab, N-facility, N-team)을 지역혁신거점과 연계하여 추진한다. 또한, 과학기술・ICT
기반 포용사회 전략 중 사회문제해결 협력체계 고도화 및 국민 참여, 지역 수요에 기반한 사회문제해결
R&D 신규 추진의 내용으로 부처간・중앙지방간 연계・협력을 위한 ‘사회문제해결 민관협의회’의 운영
활성화, ‘주요 사회문제 영역별 TF 확대를 추진하고 지자체・주민이 ’수요 발굴-기획-기술개발-현장
적용‘단계에 함께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사회문제해결 R&D 사업을 추진한다.
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흔들리지 않는 산업강국‘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① 협력과 상생으로 소재・
부품・장비의 확신 자립 실현, ② 역동적 신산업으로 “포스트 반도체” 육성, ③ 혁신적 주력산업의 스마
트화・친환경화・융복합화로 구조 혁신, ④ 깨끗한 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창
출, ⑤ 실물경제 활력 회복 및 당당한 통상 구축을 5개의 핵심 추진 계획으로 설정했다. 다섯 개의 핵심
추진 계획 중 ⑤ 실물경제 활력 회복 및 당당한 통상 구축 계획에서 ‘지역별 대표산업활성화로 지역 중심
의 투자・일자리 창출’의 세부내용으로 지역 산업과 관련된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국가혁신클러스터 중심으로 지역별 전략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국가혁신클러스터 내 대규모 R&D사업을 추진하고 클러스터별 중장기 투자유치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신산업 활성화 기반을 조성한다. 나아가 지역 전략산업별 특화 장비구축, 전문인력 양성, 기술지원 등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전략산업 지원 인프라를 구축한다. 둘째, 일감확보, 노후산단 개선 등을 통해 지
역 주력산업 활력을 회복하고자 한다. 14+7 지역활력 프로젝트를 확대하고(19년 14개 → 20년 7개 신
규 추가) 조선・자동차부품 등의 일감확보 및 사업전환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스마트산단을
19년 4개에서 20년 7개로 추가 지정함으로써 지역별로 첨단 스마트 산업단지가 중심이 되는 제조업 혁
신과 신산업 투자 붐 확산을 계획하였다. 셋째, 투자세액공제, 지역투자촉진보조금 한도 상향, 국공유
재산 사용료 감면 등 재정・세제・금융 등 패키지 지원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20년 4월에 시행되는「국가
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균형발전 특별법」개정에 맞춰 기존 상생・투자 협약 체결지역(광주・밀양 등)을 대상으로 법정 상생형지
역일자리를 선정하고 지원한다.
※ 출처 : 2020년 산업부 업무계획 자료(’20.2.17.)
이외에도 역동적 신사업의 세부계획인 ‘미래차’ 부분에서 수소 충전인프라가 구축된 울산・부산 등 지
역에서 이용승객이 많은 노선을 중심으로 수소버스를 집중 투입(19년 15대 → 20년 195대)하고자 한
다. 또한, 서울과 세종에서 자율주행셔틀 실증을 지속하며 대구에서는 규제샌드박스와 결합해 국내 최
초 자율주행셔틀의 상업운행 서비스를 개시하고 이는 부산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한편, 세부계획 중
‘바이오헬스’ 부분에서는 송도・원주 등에 바이오 클러스터, 오송・대구에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글로벌
바이오 생산허브를 구축한다. 더불어, 안동・화순에 중소기업 백신 위탁생산시설이 완공되며, 바이오
생산인력 양성센터를 설계 및 착수함으로써 바이오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림 1-2-1 지역별 대표산업 육성
REGIONAL S&T YEARBOOK 2020 7
깨끗한 에너지 구축전략의 세부계획인 ‘에너지 전환을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서는 첫째로, 새
만큼 태양광, 제주 한림 해상풍력 등 32개 대규모 프로젝트를 연내 조기에 착공을 추진한다. 이는 지역
및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이익공유 기준을 마련하고 발전공기업의 주민참여형 사업 확대 및 주민
참여형 협의회 운영을 추진한다. 둘째로, 지역특화 에너지산업과 연계하여 에너지융복합단지를 추가
지정하고 이를 지역별 에너지 신사업 거점 및 클러스터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에너지 특화기업 범위확
대, 융복합단지 내 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 등 단지 조성・지원을 위한 제도정비를 병행한다고 밝혔다.
다.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 및 소상공인 중심의 스마트 대한민국 구현’을 비전으로 삼고 ‘디지
털 경제로 대전환할 수 있도록 관점의 이동을 통해 스마트 대한민국 추진’을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추진계획으로 ①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 ② 디지털 경제의 중추, 혁신 기업 스
케일업 ③ 디지털 경제의 밑거름, 상생과 공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추진계획에 전반적으로
지역과학기술과 관련된 정책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경제로의 대전환, 스마트 대한민국’ 부분에서는 세부 이행계획으로 중소기업 제조공장인 스
마트공장을 제시하였는데, 스마트공장 내용 중 보급・고도화의 내용을 지역 과학기술과 연계하여 설명
할 수 있다. 보급・고도화는 개별기업・업종・배류체인 등 입체적 방식으로 스마트 공장 보급을 확대하고
최적생산체계(CPS) 등을 고도화 추진하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는 AI・디지털트윈 기술 융합의 5G 스
마트공장 보급, 노동친화형 생산 및 주문형 제조 서비스 등의 스마트 공장 고도화 기술 확보를 위한 다
부처 R&D 추진, AI 활용 공정 최적화・유연생산・스마트센서 등 핵심기술 개발 및 지역별(부산, 전남)
테스트베드 활용 기술 실증, AI 중심 고도화를 뒷받침하고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공급
기업 육성대책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외에도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상점, 스마트공방에 대한 정책의
일환으로 예비 창업 소상공인들에게 지역・업종별 상권정보를 제공하는 상권정보시스템의 AI 분석 기
능을 고도화하여 향후 매출액 등 경영성과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고 온라인쇼핑몰, SNS 등 소비 트렌드
를 소상공인이 분석・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정보시스템’ 구축을 계획하였다.
‘디지털 경제의 중추, 혁신기업 육성’ 부분에서는 벤처 4대 강국: K-유니콘 프로젝트에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K-유니콘 프로젝트는 민관합동으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후보기업을 집중발굴
하고 체계화된 스케일업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다. 세부 계획 중 민간 주도로 혁신창업기업을 발굴하고
민・관 협력으로 R&D와 사업화를 연계 지원하는 TIPS 확대(서울・대전) 및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민간
VC 등이 주도해 인천 송도에 스타트업파크를 조성하는 것이 지역과 관련된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다.
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디지털 경제의 중추, 혁신기업 육성’ 전략에서 규제자유특구와 관련한 계획은 대표적인 지역과학기
술과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세계 최초 규제자유특구를 통한 과감한 규제혁신
을 하겠다고 밝혔다.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 R&D, 사업화, 인프라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
여 성과를 창출하고, 유사 사업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해 특구 간 연계, 여타 국책사업과의 연계 등 다양한
협력 모델을 검토한다고 하였다. 또한, 현장점검, 특구옴부즈만,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등의 사후관리
강화를 통해 성과를 창출하고, 혁신기업 참여 제고를 위해 특구사업자 인정대상 확대를 검토하며, 지역
의 혁신 파급력이 높은 규제자유특구를 추가 지정 하는 등의 활동으로 규제혁신을 구체화하였다.
표 1-2-1 ❙ 규제자유특구 주요 성과 현황
규제자유특구 성과 현황
경북 특구사업자인 GS건설 1,000억원 신규 투자 유치(‘20.10월 착공 예정)
세종
팬텀AI(미국 자율차 전문기업) 한국 지사 설립과 라이드플럭스(국내 자율주행 전문 기업)의 특구사업
추가 참여 협의 중(’20.3월)
부산 빗썸코리아의 자회사인 GCX Alliance가 100억원 투자를 검토 중
강원
디지털헬스케어 솔루션 기업 ㈜메쥬는 VC(창업투자회사)로 부터 10억원 규모 투자 유치(‘19.11월)
하여 해외 진출(북미시장) 및 수출 예정(`21.상)
대구
바이오헬스케어 의료기기 개발 업체인 ㈜블록체인씨앤에스는 해외시장(호주)
시범테스트 추진 협의 및 구매계약 예정 (‘20.상)
※ 출처 :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업무계획(’20.2.17.)
표 1-2-2 ❙ 연계형 특구 협력모델 유형(안)
구분 내용
주요 국책사업과 연계
전문가 TF를 통해 경제정책방향 등 주요국정과제와 연계가 필요한 과제를 발굴하고 지자체에 제시
(Top-Down방식)
특구 간 연계
수평적 연계: 사업분야가 같고 세부사업이 중복되지 않는 특구
수직적 연계: 유사한 사업분야간 수요-공급의 계열화로 연계
과기부 R&D와 연계 중기부 실증지원R&D와 과기부 원천기술 개발지원 R&D 연계
※ 출처 :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 업무계획(’20.2.17.)
REGIONAL S&T YEARBOOK 2020 9
라. 교육부
교육부는 2020년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혁신’,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양성’을 비전으로 삼고 ‘포용,
혁신, 공정, 미래’를 업무추진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 중 ‘혁신’ 계획에서 미래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 측면 중 하나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대학과 연계된 지역혁신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역 내 다
각적 협업의 장을 지원한다. ‘지역혁신 핵심분야’를 발굴하고 분야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기
관과 협업과제 수행 및 이를 지원하는 교육혁신을 추진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 내 분절적으로 운영
중인 다양한 대학 관련 사업들에 대한 정보 공유 및 사업 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이끌 계
획이다. 예를 들어, 산업부 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이 부설 연구소를 갖춘 기업에 한해 R&D 수행을
지원해 중소기업 R&D 확대가 곤란했다면, 지역혁신체계에서 연구기반을 갖춘 대학이 부설연구소가
없는 중소기업의 R&D를 지원하게 된다. 셋째, 제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지역혁신 범부처 협력과제를 발굴한다. 이는 관계부처 및 지자체 합동으로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지원 목표, 지방대학 특성화, 지역인재 채용촉진 방향, 행・재정적 지원방안을 제시하
게 된다.
그림 1-2-2 지역혁신체계
※ 출처 : 2020년 교육부 업무계획 자료(’20.3.2.)
1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한편, 추진 방향 중 ‘미래’ 계획 측면에서 지방 관련 교육 거버넌스에 대해 언급하였다. 시・도교육
청, 단위 학교로 유・초・중등교육 단계적 이양을 통해 교육자치를 실현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이는
기초지자체-교육(지원)청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지구 내 학교 혁신 선도,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특색사업 개발 및 내실화 등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내 교육혁신을 지원하는 미래형
교육가치 협력지구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또한, 지방교육 재정과 행정 시스템을 통합한 ‘K-에듀파
인’ 개통을 통해 지방교육재정 운영의 신속성 및 효율성 제고를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0 11
2. 지역혁신 관련 중장기계획 및 방안
가. 국가균형발전사업 개요 및 현황2)
국가균형발전정책은 2003년 참여정부에 들어서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전에도 인구 및 공공기
관 분산정책, 수도권 및 대도시 입지규제정책, 지방공업 육성정책 등이 추진되었으나, 법제적, 재정적
수단과 강력한 추진기구를 종합적으로 갖추고 전국을 대상으로 국가균형발전정책을 강력히 추진한 것
은 참여정부가 최초이다(지역발전위원회, 2009:24).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총괄하는 국가균형발전위원
회는 ‘국가균형발전’이란 지역 간 발전의 기회균등을 촉진하고 지역의 자립적 발전역량을 증진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여 전국이 개성있게 골고루 잘 사는 사회를 구현하는 것
(균특법 제2조)으로 정의하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은 현재 제4차 국가균현발전 5개년 계획(’18-’22) 중 2020년 국가균형발전 시행계획
으로 전개되고 있다. 3년차 실행계획안인 2020년 국가균형발전 시행계획은 4월 8일 구각균형발전위원
회를 통해 의결되고, 20개 중앙부처의 부문별 시행계획과 17개 시도의 시도 발전계획으로 구성되어 있
다. 2020년에는 지역혁신성장의 동력인 ’사람‘에 초점을 두어 지자체-대학 혁신플랫폼 구축(‘20년
1,080억원), 지역 실정을 반영한 일자리 창출 및 인재양성 제도 등을 확대 추진하고, 스마트특성화 기
반구축사업(‘20년 567억원) 등 ’19년 기반조성을 마친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23개)를 본격 추진하는
등 총 39.2조원(국비・지방비・민자 포함)을 투입한다.
표 1-2-3 ❙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23개)
(단위: 조원, 잠정)
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보도자료(2020년 4월) 및 각 부처 보도자료 참고
구분 총사업비
비고
(예타 선정 등)
< 계 > 24.1
1. R&D투자 등 지역전략산업 육성(5개) 3.6
◊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R&D)
0.2
◊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0.4
◊ 수산식품 수출단지 조성 0.1
◊ 지역특화산업육성+(R&D) 1.9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R&D) 1.0
2. 지역산업 인프라 확충(7개) 5.7
1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2019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19.1.29)
첫째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은 ① 지역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 지역혁신체
계 구축 필요, ② 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전략적 특성화 및 자율적 혁신 필요, ③ 지방대학이 지역혁신
주체로서의 위치를 정립하도록 지원 필요라는 세 가지 배경으로부터 제시되었다. 이 사업은 3개 지역의
지역혁신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며, 사업기간은 2021년 2월까지로 계획되어 있다. 지자체-대학 협력기
반 지역혁신 플랫폼의 주요 역할은 크게 핵심분야 선정, 역할분담, 대학교육혁신 추진, 지역혁신 과제
수행 등 네 가지로 구성된다.
핵심분야 선정의 경우, 지역혁신 목표를 고려하여 대학의 지역혁신역량이 발휘될 수 있는 핵심분야
를 ’선택과 집중‘ 원칙에 의하여 선정하며, 지역혁신에 필요한 최우선순위 분야를 선정하되, 핵심분야
선정의 타당성과 시급성이 명확해야 한다. 역할 분담의 경우, 부서별 소관 업무 및 대학별 특성화 전략
을 고려하여 분야별 지역혁신을 총괄할 ‘지자체 부서’와 ‘중심대학’ 등을 결정한다.
구분 총사업비
비고
(예타 선정 등)
◊ 석문산단 인입철도* 0.9
◊ 대구산업선 철도(서대구~대구국가산단) 1.1
◊ 울산 외곽순환도로(미호-강동) 1.0
◊ 부산신항-김해 고속도로 0.8
◊ 서남해안관광도로(압해~화원 등) 1.0
◊ 영종~신도 평화도로 0.1
◊ 새만금 국제공항 0.8
3. 광역 교통・물류망 구축(5개) 10.9
◊ 남부내륙철도(김천~거제) 4.7 제천~영월 고속도로(1.2)
◊ 충북선 철도 고속화(청주공항~제천) 1.5 문경~김천 철도(1.4)
◊ 세종-청주 고속도로 0.8 경전선 전철화(1.7)
◊ 제2경춘국도(남양주~춘천) 0.9
◊ 평택-오송 복복선화 3.1
4.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6개) 4.0
◊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0.4 사상~해운대 고속도로
민자적격성 조사(2.0) ◊ 산재 전문 공공병원 0.2
◊ 대전 도시철도 2호선(트램) 0.7
◊ 도봉산 포천선(옥정~포천) 1.0
◊ 동해선 단선 전철화(포항~동해) 0.4
◊ 국도 위험구간 등 1.2
REGIONAL S&T YEARBOOK 2020 13
그림 1-2-3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흐름 및 운영체계
< 플랫폼 운영 흐름 >
< 플랫폼 운영 체계 >
※ 출처 : 교윳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중요사항 (’20.1.20.)
1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또한, 대학이 지역혁신에 필요한 다양한 역할(인재양성, 연구분석, 사업화지원, 지역재생 지원 등)을
수행하게 한다. 대학교육혁신 추진의 경우, 핵심분야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역 대학 간 전략적 특성화
및 역할분담, 학사구조・교육과정 개편 등 대학교육혁신 성과 총괄・관리하며, 첨단학과 및 융합학과 설
치‧운영 등 지역 전략산업 등과 연계한 학과 개편, 지역수요와 연계한 혁신 교육과정 개발 및 공동 운영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혁신 과제 수행의 경우, 대학의 자원을 활용하여 핵심분야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다양한 추진과제를 설정, 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 협업하여 과제를 추진하며, 대학의 자원을 활용하
여 핵심분야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추진과제를 설정, 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 협업하여 과제 추
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표 1-2-4 ❙ 지역혁신 과제 추진 예시
핵심분야
스마트 선박 건조 산업
지자체 산업정책국 해양산업과
대학 중심대학 A
대과제 조선부품 분야 핵심인재 양성 및 기술개발
소과제1
‣ (조선부품 계약학과 운영) 공업고등학교 기계과-전문
대학 기계공학과-부품소재기업 연계교육과정 마련
및 계약학과 운영
참여대학 E(기계공학과) + 특성화고 H + 기업 I
소과제2
‣ (고교학점제 연계 추진) 특성화고 기계・부품 관련 전공
학생들이 대학 내 기계공정 과목을 수강하면 학점으로
인정하도록 고교학점제 연계 추진
중심대학 A(기계공학과) + 특성화고 F + 교육청 G
소과제3
‣ (제조공정 효율화 방안 연구) 부품 기업들의 제조공정
효율성 진단 및 효율화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실시
중심대학 A(경영학과, 기계공학과) + 지역기업 D
소과제4
‣ (지역 부품사업체 연구개발 지원) 자체 연구개발 부서가
없는 소규모 부품업체의 부품공정효율화 개발지원
참여대학 K(시스템공학과) + 지역기업 J
※ 출처 : 교윳부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기본계획 중요사항 (’20.1.20.)
둘째로,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은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의 세부적인 계획으로서 지역이 보
유하고 있는 자원과 역량을 활용해 지역산업의 고도화, 다각화, 전환을 추진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지역 혁신 자원 및 역량을 강화하여 기업의 혁신 활동을 촉진함으로써 지역 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지
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사업은 2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며, 1단계
(‘20~’22), 2단계(‘23~25) 총 6년간에 걸쳐 국비 6,72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의 산업
육성 수요와 국가의 산업발전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역별로 특성화된 55개 산업(시도별
3~4개)을 선정하고, 산업별 스마트특성화를 위해 산학연 혁신기관과 장비가 연계된 플랫폼 구축, 장
비확충, 기술지원 및 전문인력양성 등을 지원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0 15
※ 출처 : 산업부 보도자료 (’19.12.11.)
그림 1-2-4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흐름 및 운영체계
1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Post 코로나에 대응한 부처별 한국판 뉴딜 계획3)
한국판 뉴딜이란 코로나19로 인해 최악의 경기침체와 일자리 충격 등에 직면한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코로나 이후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마련된 국가발전전략이다. 이러한 한국판 뉴딜은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불평등 사회에서 포용 사회로 도약’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디지털 뉴딜・그린 뉴딜추
진, 안전망 강화, 재정 투자 및 제도 개선 병행, 10대 대표과제 선정을 주요 추진전략으로 삼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판 뉴딜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지역 인공지능・소프트웨어 실무인재
3만 7천명을 양성한다고 밝혔다. 이는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사업으로 13개 지자체가 참여한다.
ICT이노베이션스퀘어는 소프트웨어 개발공간, 테스트 장비 등을 제공하는 ICT콤플렉스와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신기술 관련 인력양성을 위한 AI복합교육공간으로 구성된다. ICT콤플렉스는 권역별 1
개소가 구축되며, 인공지능(AI) 교육공간은 15개 시도에 전체 18개가 분산되어 구축된다.
표 1-2-5 ❙ ICT콤플렉스 및 AI복합교육공간 구축 위치
선정지역 ICT콤플렉스 AI복합교육 공간
부산
울산
경남
∙ 센텀벤처타워
(부산센텀시티 소재)
∙ 총 6개소
- (부산) 센텀벤처타운, 신라대학교
- (울산)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벤처빌딩, 울산VR・AR제작거점
센터
- (창원) 경남테크노파크 정보산업진흥본부
대구
경북
강원
∙ 지텍크리스탈파크
(김천혁신 도시 소재)
∙ 총 5개소
- (강릉) 녹색체험센터
- (원주) 원주의료기기종합지원센터
- (춘천) 강원정보문화진흥원
- (포항) 경북SW융합진흥센터
* 지텍크리스탈파크와도 향후 연계
- (대구) 대구시청별관
광주
전북
전남
∙ 광주영상복합문화관
(광주광역시 소재)
∙ 총 3개소
- (광주)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
광주영상복합문화관(21년 구축)
- (전주) 전북VRAR제작거점센터
- (광양) 커뮤니티센터
대전
충남
충북
세종
∙ 대전세종연구원
(대덕연구단지 소재)
∙ 총 4개소
- (대전)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영상특수효과타운
- (아산) 한국폴리텍대학 아산캠퍼스
- (청주) 청주미래누리터 지식산업센터
- (세종) 고려대 세종캠퍼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20.9.17.)
3)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20년 7월) 및 각 부처 보도자료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17
ICT콤플렉스는 인공지능 학습・개발에 관심있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공간으로 머신러닝
이 가능한 고성능 PC 및 테스트용 스마트 기기 등 시설・장비 기반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아이디어
구현 및 검증, 아이템 사업화, 커뮤니티 활동 및 취・창업 연계 등도 지원받을 수 있다. AI복합교육은
각 지역별 산업의 특성과 수요를 기반으로 운영 될 예정이며, 교육을 수료한 우수한 인력이 지역 산업
계에 진출하여 산업 혁신을 촉진할 수 있도록 재직자 전환 교육, 취・창업 지원도 추진한다. 각 지자체
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실시간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구축
하여, 코로나19 확산 시 온‧오프라인 전환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비대면 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 지
원(협업툴, 개발도구 등) 등 만반의 채비를 갖출 계획이다.
표 1-2-6 ❙ 권역별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사업 운영 방향
지역 ICT콤플렉스 지역별 AI교육 특화 산업
부산
울산
경남
∙ AI 딥러닝 워크스테이션 및 클라우드 개발환경 제공
∙ AI 융합분야 창업지원
∙ AI 어노테이터(데이터 입력원) 양성
▲(부산) 지능정보서비스, 해양・물류
▲(경남) 스마트 제조
▲(울산) 조선, 화학, 자동차
강원
경북
대구
∙ 일자리 연계
(창업특강, JOB워크숍, 창업 공모전)
∙ 기술/협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세미나, 실증랩, 해커톤 등)
▲(강원)모빌리티, 관광, 의료
▲(경북) 미래형모빌리티, 차세대에너지, 바이오
▲(대구) 자동차, 스마트시티, 의료 기반 산업
광주
전북
전남
∙ 개발자 중심 기술 교류
(개발자 서밋, 소그룹 지원 등)
∙ 아이디어에서 아이템 사업화까지 원스톱 지원(공모전,
멘토링 등)
∙ AI기초 교육(코딩, AI 어노테이터 등)
▲(광주)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문화콘텐츠
▲(전남) 에너지, 농수산, 트랜스포트
▲(전주) 농생명, 금융
대전
충남
충북
세종
∙ 멘토링, 창업교육 등 창업・개발자 지원
∙ AI & ICT 메이커톤, 인공지능 포럼
∙ 충청권 데이터・AI 주간운영
∙ AI 학습데이터 인력 양성 등
▲(대전) ICT융합, 무선통신융합, 로봇지능화
▲(충북) 스마트IT부품(반도체), 바이오헬스
▲(충남)차세대 디스플레이, 수송기계부품
▲(세종) 첨단 수송기기 부품, 의료정밀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20.9.17.)
산업통상자원부의 경우, 국토교통부와 함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노후거점산업단지를 대개조하
는 계획을 세웠다. 산업단지 대개조는 코로나19 이후 중요성이 부각된 국내 제조업의 중추인 산업단
지를 지역산업 혁신거점으로 집중 지원하는 지역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로서 경북(거점산단: 구미국
가산단), 광주(광주첨단국가산단), 대구(성서일반산단), 인천(남동국가산단), 전남(여수국가산단) 등
5곳이 포함된다. 내용을 살펴보면, 광역지자체가 주력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 내 거점산단
(스마트산단 등)을 허브로 하고, 연계 산단 또는 도심 지역을 묶어 산단혁신계획을 수립하면, 중앙정
부가 컨설팅을 통해 계획 보완 및 평가를 통해 지역을 선정하여 3년간 부처 예산을 집중 투자해 육성・
지원하는 중앙-지방 협력형 사업이다. 추가적으로, 산업부는 선정된 5곳 중 거점산단인 성서, 여수,
광주첨단 산단을 신규 스마트산업단지로 선정하였다.
1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향후 선정된 5곳의 지역에 대해서 산업부, 국토부 등 11개 부처와 일자리위원회는 산업단지 스마
트화, 환경개선, 창업ㆍ고용ㆍ문화여건 제고 등 다부처 융합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선정된
지역의 혁신 계획에 대해 부처별 검토 및 예산 심의, 시・도의 계획 보완 등을 거쳐 20년 12월에 계획
을 확정하게 된다. 산업부는 기존 스마트산단과 함께 신규 선정 스마트산단 및 연계산단에 제조-서
비스업 융합 및 다수 기업 간 공동혁신 R&D, 제조혁신 기반구축 사업 등을 통해 주력산업 다각화, 공
정혁신 등을 지원하고, 국토부는 산단 재생사업*을 신규로 계획한 지역인 경북(구미2・3・왜관산단),
인천(부평・주안산단), 전남(율촌산단)과 기존 재생지역인 경북(구미1산단), 광주(하남산단), 대구(성
서・제3・서대구산단), 인천(남동산단)에 대해 기반시설 확충, 정주환경 개선 등을 적극 지원한다.
REGIONAL S&T YEARBOOK 2020 19
제3절 지방 과학기술 행정체계와 예산
1.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 행정체계
17개 광역자치단체는 과학기술진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소관 지역의 과학기술진흥정책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를 두고 있다. 2020년에는 큰 틀에서의 과학기술관련 조직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으나, 4차 산업혁명, 소재부품산업 및 지역 중심 연구개발 등 새로운 중앙정부 정책기조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2020년 각 광역지자체의 과학기술관련 행정조직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1-3-1 ❙ 지방자치단체의 과학기술관련 행정조직 현황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서울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
산학협력팀,
혁신기술팀
∙ 혁신성장편드, 4차산업혁명편드, 스마트시티펀드 조성운영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서울시 산학연 R&D 지원사업 총괄 및 서울테크노파크 관련 업무
∙ 신기술 인증 공공구매 업무 및 로봇과학관 건립 업무
∙ 4차산업 및 혁신기술 육성・지원 및 혁신기술 사업화 지원 관리 대외협력
∙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운영 및 테스트베드 서울 관련 업무 총괄
부산
일자리경제실
혁신경제과,
미래산업국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부산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개발계획
∙ 과학기술 관련(ICT, 로봇, SW서비스, 드론, 항공) 산업생태계 조성 및 운영
∙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수립 및 신산업발굴육성
∙ 혁신거점(부산글로벌테크비즈센터, 비스텝 등) 운영지원
대구
혁신성장국
혁신성장정책과,
스마트시티과/
일자리투자국
창업진흥과
∙ SW융합클러스터 조성 및 활성화, SW융합제품 상용화, 기술지원센터 운영
∙ 지역산업기반 과학기술분야 플랫폼 연구개발 및 융합사업 발굴 및 추진
∙ 첨단의료 관련 R&D 및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및 운영・관리
∙ 연구개발사업조정, 연구개발지원단 연구개발특구 테크비즈센터, 신기술사업화 프로젝트
관리, 산학협력팀 소관업무(글로벌산업기술교류, 산학협력 지원)
인천
일자리경제본부
산업진흥과,
미래산업과
∙ 과학기술진흥 종합/시행계획, 4차산업혁명 대응 기본/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 과학기술협의회, 연구개발지원단, 과학영재생활과학교실 운영지원
∙ 첨단의료 관련 기반시설 구축, 바이오/자동차/로봇산업 활성화・사업화 추진
∙ 산학연기술개발 및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벤처기업 육성지원계획 수립
광주 인공지능산업국
∙ 규제자유특구지정 업무, 지역산어발전계획/진흥계획,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4차산업관련 중장기 발전전략 및 단기 실행계획 수립, 인공지능 규제/제도 개선
∙ 스마트특성화, 산학연협의회 운영, 산학융합지구 조성 사업 등
대전
과학산업국
과학산업과,
미래산업과
∙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설립, 스마트공장 구축, 연구개발특구 평가 등
∙ 산학연관 협력사업 추진, 특구펀드 조성 및 운영
∙ 시 과학기술 정책수립 시행 및 과학기술위원회, 연구개발지원단 운영
∙ 국가혁신클러스터, SW융합클러스터 육성사업, ICT/SW/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울산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
∙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계획, 지역혁신성장계획,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규제자유특구 지정, 연구개발특구 유치, 연구개발역량강화 교육 등
∙ ICT융합, AI 및 SW산업, 제조서비스융합, 드론산업 육성 및 R&D 사업관리
2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각 시・도청 홈페이지 참고
시・도 담당부서 주요 업무
세종
경제산업극
경제정책과
∙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위원회 운영 등
∙ SB플라자 운영, 생활과학교실 운영
∙ 바이오메디컬 활성소재센터 구축
∙ 미래차, 자율주행차, 지역SW, 드론산업 관련 업무
경기
미래성장정책관
과학기술과,
미래산업과
∙ 과학기술정책 및 지방과학기술진흥 관련 사항, 과학기술진흥기금 운용
∙ 혁신클러스터 육성・지원 및 연구기관 유치・지원, 국가지원 R&D 협력사업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지도감독, 경기테크노파크 운영
∙ 산학공동기술개발 지원, 산업혁신클러스터협의회(IICC) 지정 및 지원
강원 첨단산업국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 수립 및 조정
∙ 강원도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촉진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및 추진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지원
∙ 연구개발 성과 활성화 지원
충북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
∙ 인공지능 융복합산업 육성
∙ 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 4차산업혁명 계획수립 및 대응 산업 업무 추진
∙ 지역혁신성장계획 및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 방사광가속기 구축지원
충남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대응 과제 발굴 추진
∙ 산학연협력 네트워크 구축 운영
∙ 지역수요맞춤형 R&D 사업 추진
전북
혁신성장산업국
혁신성장정책과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시행
∙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 지원
∙ 지역수요맞춤형 R&D 사업 추진
∙ 전북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추진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 지원사업
전남
경제에너지국
신성장산업과
∙ 연구개발특구 육성
∙ 4차 산업혁명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지방과학 연구단지의 조성 및 육성지원 사업
∙ 지방기술혁신사업(지자체 주도 연구개발사업, 지역수요맞춤형 연구개발)
경북 과학산업국
∙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및 실행계획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지원사업, 경북 산학융합본부 운영 지원
∙ 4차산업혁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소재부품산업 업무 지원
경남
산업혁신국
산업혁신과,
신산업연구과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종합・시행계획 수립
∙ 신소재분야 신사업 기획 및 조정
∙ 소재부품산업 중장기 육성 계획 과제 추진
∙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기업지원
제주
미래전략국
미래전략과
∙ 4차 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추진
∙ 지역혁신성장특구 지원 업무
∙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관리・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0 21
2. 지방 과학기술예산
시도별 총 예산 중 과학기술관련 분야 투자 비중에 대한 2019년도 시・도별 지자체 평균은 순계 기
준 0.43%로 이는 2018년도 0.42%와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가장 높은 투자 비율을 보인 지역은 광
주(1.33%)이며 대전과 울산이 그 뒤를 이었다. 전국의 재정자주도는 76.42%로, 작년의 77.93%에
비하여 소폭 하락하였다. 그 중 가장 높은 재정자주도를 보인 서울시(85.82%)는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중이 0.3%로 2018년의 0.26%에 비교하여 상승하였다.
표 1-3-2 ❙ 시・도별 지자체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투자 현황(2018-2019년) (단위 : 억원)
지역
총 예산(순계)(A)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B)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
자체투자 예산(B/A×100, %)
재정자주도(%)
2018 2019 2018 2019 2018 2019 2018 2019
서울계 585,676 661,237 1,550 1,993 0.26 0.30 87.82 85.82
부산계 213,255 241,589 1,238 1,220 0.58 0.50 68.07 67.89
대구계 150,695 167,095 1,015 1,137 0.67 0.68 73.80 72.39
인천계 203,950 227,864 341 503 0.17 0.22 77.35 75.56
광주계 94,134 106,899 1,392 1,418 1.48 1.33 72.50 71.86
대전계 102,036 111,591 974 1,297 0.95 1.16 75.25 73.19
울산계 73,861 81,201 664 845 0.90 1.04 75.06 74.10
세종계 23,724 26,490 174 183 0.73 0.69 75.06 72.91
경기계 768,999 896,937 1,367 1,533 0.18 0.17 81.17 78.83
강원계 192,707 222,352 350 324 0.18 0.15 79.36 76.93
충북계 148,167 174,935 985 1,080 0.66 0.62 76.99 76.65
충남계 205,837 243,759 853 951 0.41 0.39 75.99 74.76
전북계 196,731 229,367 1,142 1,379 0.58 0.60 72.33 72.42
전남계 239,623 287,747 738 1,140 0.31 0.40 73.88 74.07
경북계 290,914 338,633 1,204 1,271 0.41 0.38 74.97 73.58
경남계 272,141 318,549 1,472 1,844 0.54 0.58 75.66 74.08
제주계 66,590 73,854 588 716 0.88 0.97 75.57 73.02
합계(전국) 3,829,038 4,410,099 16,048 18,834 (평균) 0.42 (평균) 0.43 77.93 76.42
※ 주1 : 순계(협의의 세출결산) = 일반회계+특별회계-회계 간 내부거래/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 지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투자(실적) / 재정자주도
= 결산, 순계 기준(시도별 평균)
주2 : 예산순계는 자치단체 내 회계 간(일반회계-특별회계) 내부거래, 자치단체 간(시도-시군구) 외부거래 중복계상분을 공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실질 지방재정의
전국 및 시도별(시군구 포함) 규모를 파악/분석하는데 유용하다
※ 출처: 총 예산(순계):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결산기준>지역통합재정통계>지역통합재정규모[결산상잉여금] 中 시도별 세출현황
재정자주도: 지방재정365>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재정여건>재정자주도[결산]>개편 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2. 지역내총생산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2. 역량
3. 성과
REGIONAL S&T YEARBOOK 2020 25
2 과학기술 진흥 총괄현황
제1절 산업 관련 주요 지표
1. 인구
▣ 경기(1,324만 명), 서울(966만 명), 부산(337만 명), 경남(335만 명) 순으로 인구가 많음
■ 2019년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약 2,584만 명이며,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의 비중은
50.0%로 전년도에 비해 소폭 상승함
그림 2-1-1 시・도별 인구수(2019년)
※ 주 : 추계인구 기준(조사시점 : 2020.10월)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인구・가구>장래인구 추계
※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2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내총생산
▣ 2019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약 1,851조 원
■ 17개 시・도 중 경기(462조 원), 서울(411조 원), 충남(114조 원), 경남(109조 원) 순으로 지역내
총생산 규모가 큼
■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GRDP는 약 961조 원으로 총 GRDP의 51.92%를 차지
그림 2-1-2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2019년)
※ 주 : 2015년 기준 환산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적으로 미약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
2019년에는 2018년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음
표 2-1-1 ❙ 지역내총생산 중 수도권 비중 추이(2015년~2019년)
연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수도권 비중(%) 50.11% 50.46% 51.14% 51.92% 51.92
※ 주 : 2015년 기준 환산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0 27
▣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울산(63.13백만 원), 충남(51.91백만 원), 서울(42.58백만 원), 전남
(42.1백만 원) 순으로 높음
■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전체 평균은 35.81백만 원으로 전체 평균을 넘는 시・도는 서울, 울산, 충북,
충남, 전남, 경북의 총 6개 지역으로 나타남
■ 특히 울산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체 평균 대비 1.76배인 63.13백만 원으로 타 시・도에 비
하여 월등히 높음
그림 2-1-3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2019년)
※ 주 : 1인당 지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2015년 기준 환산치) ÷ 지역별 추계 인구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지역별 추계 인구(2019년)
2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별 산업 구조 현황을 살펴보면, 울산, 충남, 충북, 경북, 경남, 경기, 전남 순으로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편임(30% 이상)
■ 반면, 서울, 부산, 대전, 제주, 대구, 인천, 광주 등은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
업, 금융 및 보험업 등 기타 서비스업에 대한 비중이 높았음(40% 이상)
그림 2-1-4 시・도별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GRDP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백만원) 411,371,029 88,729,865 54,599,110 87,671,521 39,281,803 40,444,834 72,380,076 11,118,121 462,406,736 45,891,953 66,974,613 113,564,245 49,459,526 74,638,452 105,034,691 108,712,745 19,142,277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29
3. 산업 관련 기관 현황
▣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 ~ 제8조에 의거하여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
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및 농공단지를 조사 대상으로 함
■ 한국산업단지공단 2020년도 2/4분기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가산업단지 51개, 일반산업단지
674개, 도시첨단산업단지 30개, 농공단지 472개로 총 1,227개의 산업단지 조성
■ 경남(205개), 경기(184개), 충남(158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많으며, 반면 서울(3개),
대전(4개), 제주(6개) 등은 산업단지 수가 매우 적게 나타남
■ 부산, 대구, 울산 등의 광역시, 경기, 충북, 경남 등은 일반산업단지의 비중이 높은 반면, 강원,
충남, 전북, 전남 등은 농공단지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그림 2-1-5 시・도별 산업단지 현황(2020년)
※ 출처 :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20.2/4분기),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3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수는 경기 447개, 서울 199개로 집중되어 있
으며, 전국적으로 신규지정된 INNOBIZ 기업은 2018년에 비하여 총 37개(3%) 감소
■ 인천, 광주, 울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은 그 수가 증가하였으나, 나머지 지역에서는
신규지정 수가 감소
그림 2-1-6 시・도별 신규 INNOBIZ(기술혁신형 중소기업)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REGIONAL S&T YEARBOOK 2020 31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경기, 서울이 각각 11,901개, 9,769개로 높게 나타남
■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벤처기업 수는 총 2만 3,419개로 전국 총 벤처기업 수
대비 59.8%를 차지
그림 2-1-7 시・도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 출처 : 벤처인 홈페이지(http://www.venturein.or.kr), 2020.11.25. 기준
3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벤처기업 수는 ’16년 3만 5,282개에서 ’20년에 3만 9,167개로 증가하여 5년간 연
평균 4.09% 증가
■ 최근 5년간(’16∼’20) 연평균 증가율은 세종이 16.90%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제주
9.23%, 전남 7.08%, 서울 6.70% 순
표 2-1-2 ❙ 시・도별 벤처기업 수의 연도별 추이(2016년~2020년)
지역별 2016 2017 2018 2019 2020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서울 7,536 8,180 8,708 8,843 9,769 6.70
부산 2,186 2,240 2,301 2,214 2,202 0.18
대구 1,556 1,689 1,622 1,637 1,652 1.51
인천 1,510 1,544 1,680 1,650 1,749 3.74
광주 781 834 842 8,04 803 0.70
대전 1,243 1,305 1,426 1,455 1,535 5.42
울산 464 498 469 459 541 3.91
세종 83 90 108 127 155 16.90
경기 10,243 10,653 11,307 11,521 11,901 3.82
강원 616 665 695 705 746 4.90
충북 948 1,014 1,033 1,026 1,132 4.53
충남 1,158 1,304 1,354 1,309 1,340 3.72
전북 740 756 769 810 888 4.66
전남 670 753 780 800 881 7.08
경북 1,672 1,705 1,729 1,668 1,708 0.53
경남 1,791 1,871 1,815 1,805 1,933 1.93
제주 163 181 182 211 232 9.23
합계 33,360 35,282 36,820 37,044 39,167 4.09
※ 주 : 각 년도 말 기준
※ 출처 : 벤처인 홈페이지(http://www.venturein.or.kr), 2020.11.25.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0 33
제2절 과학기술 관련 주요 지표
1. 투입
가. 총 연구개발비4)
▣ 2019년도 총 연구개발비는 89조 471억 원이며, 시・도별로는 경기(45조 9,348억 원), 서울
(13조 4,449억 원), 대전(7조 7,059억 원) 순으로 많음
■ 2019년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34.3%), 세종(14.9%), 경남
(11.4%), 제주(9.7%) 순이며, 광주(-8.2%)와 경북(-7.1%), 대전(-3.6%), 서울(-0.2%) 지역은
감소함
■ 2019년 17개 시・도별 연구개발비의 평균은 5조 2,381억 원이며, 서울, 경기, 대전 지역만 평균
보다 연구개발비가 높음
그림 2-2-1 시・도별 연구개발비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 정부・공공재원, 민간재원, 외국재원에서 투입되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총액
3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가 많은 지역은 경기(2.34억 원), 대전(2.06억 원), 충남
(1.89억 원) 순
■ 2018년 대비 2019년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충남(30.2%), 세종(11.2%), 전북(8.4%), 경남
(7.0%) 지역이며, 광주(-8.2%), 경북(-7.7%), 대전(-6.2%), 서울(-4.5%) 등 8개 지역은
감소세를 보임
그림 2-2-2 시・도별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현황(2018년~2019년)
※ 주 :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 총 연구개발비 ÷ 총 연구원 수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5
▣ 2019년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은
대전이 각각 19.05%, 14.45%로 가장 높음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경기(9.93%), 세종
(5.34%), 서울(3.27%), 인천(3.25%) 지역으로 대전 및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하여 상대적
으로 높은 경향을 보임
■ 지역내총생산 대비 총 국가연구개발 사업비 비중이 대전 다음으로 높은 지역은 세종(4.35%),
경남(1.69%), 전북(1.52%), 광주(1.23%)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2-2-3 시・도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및 국가연구개발사업비 비중(2019년)
※ 주 : GRDP 대비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 총 연구개발비(국가연구개발사업비) ÷ GRDP
※ 출처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0),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2020)
3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7개 시・도 중 서울이 2조 6,001억 원의 가장 많은 대학 연구개발비를 보유
■ 17개 시・도의 대학 연구개발비 평균은 4,336억 원이며,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2조
6,001억 원), 경기(1조 648억 원), 대전(6,194억 원)
■ 2018년 대학 연구개발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세종(33.6%), 충북(21.4%), 경남(17.2%),
대전(15.4%) 순으로 높음
그림 2-2-4 시・도별 대학 연구개발비(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7
▣ 2019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4조 2,042억 원, 41.3%), 서울(1조 159억 원,
10.0%), 경기(8,539억 원, 8.4%) 순
■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는 대전,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세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총합은 4조 947억 원으로 전체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의 40.3%를 차지
- 공공연구기관의 지속적인 지방이전에 의해 2018년의 39.1% 대비 향상
■ 2018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비 대비 2019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충남(84.3%), 경남
(26.8%), 세종(13.5%), 경기(9.8%) 등 9개 지역으로 증가세를 보임, 나머지 8개 지역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총 연구개발비(2018년~2019년)
※ 주1 : 공공연구기관은 국공립연구기관, 출연연, 기타비영리기관으로 한정
주2 : 출연연 = 정부출연연구기관 + 지방자치단체출연연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44조 161억 원, 61.6%), 서울(9조 8,289
억 원, 13.7%), 대전(2조 8,823억 원, 4.0%) 순으로 높음
■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는 경기와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두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총합은 17조 6,616억 원으로 전체 기업체 연구개발비 71조 5,067억 원의 24.7%를 차지
■ 2018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 대비 2019년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충남, 강원, 전남 등으로
각각 전년 대비 29.6%, 19.6%, 17.4%씩 증가
그림 2-2-6 시・도별 기업체의 총 연구개발비(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9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 2019년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는 대전(5조 8,439억 원, 28.6%), 서울(3조
8,571억 원, 18.9%), 경기(2조 4,139억 원, 11.8%) 순으로 높게 나타남
■ 2018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대비 2019년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남, 부산, 전북 지역
으로 각각 전년 대비 18.22%, 10.68%, 9.93%씩 증가
그림 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수도권 32.6%, 대전 28.6%, 그 외 지역
38.8%로 나타남
■ 2018년 대비 2019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0.8%p 감소하였으며,
대전 지역은 0.3%p 감소, 그 외 지역은 1.1%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지역(대전 제외)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은 2017년을 기점으로 수도권과 대전의 비중보다
높고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 점은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임
그림 2-2-8 수도권, 대전 및 여타 시・도의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 비중 비교(2015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REGIONAL S&T YEARBOOK 2020 41
▣ 최근 5년(2015년~2019년) 간 시・도별 평균 투자점유율은 대전, 서울, 경기 순으로 각각
평균 29.40%, 19.24%, 13.07%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증가율은 경남, 부산, 전북이 각각
18.22%, 10.68%, 9.93% 순으로 높았음
■ 경기도는 투자점유율이 13.07%로 전체 시・도 중 세 번째로 높았으나, 연평균 증가율은
1.94% 하락하여 전년도(0.76% 하락)보다 더욱 낮아짐
그림 2-2-9 최근 5년(2015년~2019년) 간 시・도별 투자점유율 및 연평균 증가율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자체별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 투자 현황
▣ 2019년의 각 시・도별 자체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5)의 평균은 2,650억 원, 그 중 국비와 기
타 민간예산을 제외한 지방비의 평균은 약 1,108억 원임
■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1,993억 원), 경남(1,844억 원),
경기(1,533억 원), 광주(1,418억 원) 순
■ 재정자주도 및 지자체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이 평균보다 낮은 지역은 충남(951억 원,
74.76%), 울산(845억 원, 74.1%), 제주(716억 원, 73.02%), 인천(503억 원, 75.56%), 세종
(183억 원, 72.91%) 임
그림 2-2-10 지자체별 재정자주도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예산 투자 현황(2019년)
※ 주 : 재정자주도는 세입결산, 순계 기준이며, 재정자주도 평균은 전국 대상 기준임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방재정365(http://lofin.moi.go.kr)
5) 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총예산은 국비+지방비+기타민간 예산의 합계로, 본 보고서에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의 2019년 추진실적을 기준으로 함
REGIONAL S&T YEARBOOK 2020 43
2. 역량
가. 연구인력
▣ 2019년도 총 연구원 수는 경기(19만 5,972명, 36.42%), 서울(13만 2,997명, 24.71%), 대전
(3만 7,357명, 6.94%) 순으로 많음
■ 2019년도의 총 연구원 수는 53만 8,136명이며, 17개 시・도의 평균 연구원 수는 3만 1,655
명으로 2018년 대비 4.66% 증가
■ 2018년 대비 2019년 총 연구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9.90%), 전남(8.34%), 인천
(7.37%) 순이며, 울산(-4.71%), 전북(-4.62%), 충북(-0.65%), 광주(-0.01%) 지역은 감소
그림 2-2-11 시・도별 총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ISTEP
4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인구 천 명당 연구원 수는 대전(24.8명), 경기(14.8명), 서울(13.8명) 순으로 많음
■ 2018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전남(9.4%), 제주(8.8%), 인천(7.2%) 순으로 높으며, 세종
(-5.3%), 울산(-4.1%), 전북(-3.7%), 충북(-1.1%) 지역은 감소
그림 2-2-12 시・도별 인구 천명 당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 주 : 인구는 추계인구 기준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REGIONAL S&T YEARBOOK 2020 45
▣ 2019년도 여성 연구원은 17개 시・도 중 서울(3만 9,231명, 34.7%), 경기(3만 2,573명,
28.1%)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 2019년 전국 여성 연구원 수는 11만 3,187명으로 2018년 대비 8.1% 증가
■ 2018년 대비 2019년 여성 연구원 수는 경남(17.6%), 전남(14.0%), 제주(12.0%) 등 6개 지역이
1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17개 시・도 중 전북만이 전년 대비 4.6% 감소
그림 2-2-13 시・도별 여성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대학 연구원 수는 서울(4만 293명, 36.4%), 경기(1만 3,623명, 12.3%), 대전
(9,048명, 8.2%), 경북(6,106명, 5.5%) 순으로 많음
■ 2019년도 전국 대학 연구원 수는 11만 619명으로 2018년 대비 1.9% 증가
■ 2018년 대비 2019년 대학 연구원 수 증가율은 경남(22.0%), 제주(11.0%), 세종(6.9%), 경기
(6.2%) 순으로 높으나, 전북(-20.9%), 전남(-9.0%), 충북(-5.5%)을 포함한 7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4 시・도별 대학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7
▣ 2019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는 대전(1만 1248명, 28.1%), 서울(5,855명, 14.6%), 경기
(4,347명, 10.8%) 순으로 많음
■ 2019년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의 총합은 4만 69명으로 2018년 대비 7.1% 증가
■ 2018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전남(24.2%), 경남(22.3%), 경북(15.9%), 인천(15.8%) 순으로
높으며, 전북(-4.6%), 광주(-0.9%) 2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5 시・도별 공공연구기관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기업체 연구원은 경기(17만 8,002명, 45.9%), 서울(8만 6,849명, 22.4%) 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음
■ 2019년도 기업체 연구원 수의 총합은 38만 7,448명으로 2018년 대비 1만 9,211명(5.2%)
증가
■ 2018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전남(14.2%), 전북(8.3%), 인천(7.6%) 순으로 높음
그림 2-2-16 시・도별 기업체 연구원 수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9
▣ 2020년도 이공계 석사 및 박사과정 대학원생 수의 총합은 각각 4만 5,101명, 2만 9,647명
■ 2020년도 이공계 박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942명, 36.91%), 대전(5,629명,
18.99%), 경북(1,934명, 6.52%) 순이며, 전체 이공계 박사의 62.42%가 이 세 지역에 분포
■ 2020년도 이공계 석사과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만 8,008명, 39.93%), 경기(4,237명,
9.39%), 대전(3,958명, 8.78%) 순이며, 이 세 지역에 전체 이공계 석사의 58.1%가 분포
그림 2-2-17 시・도별 이공계 대학원생(박사 및 석사) 현황(2020년)
※ 주 : 이공계 대학원생 수는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대학원생 수를 의미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시스템(2020.11 기준)
5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연구개발조직
▣ 2019년도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 수는 5만 5,879개로 2018년(5만 1,769개)에 비하여
7.9% 증가
■ 총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1만 9,509개, 34.9%), 서울(1만 3,438개,
24.0%) 순으로, 전국 총 연구개발조직의 59.0%가 이 두 지역에 분포
■ 2018년 대비 2019년의 총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21.5%), 전남
(18.1%), 광주(11.4%), 전북(10.9%) 순
그림 2-2-18 시・도별 총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51
▣ 2019년 전국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415개로 2018년 425개에 비하여 10개(2.4%)
감소
■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86개, 20.7%), 경기(75개, 18.1%), 충남
(28개, 6.7%), 경남(27개, 6.5%) 순
■ 2018년 대비 2019년의 대학 연구개발조직 수의 증가분은 인천(3개), 광주(1개), 대전(1개),
충북(1개), 경남(1개) 5개 지역이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변동이 없는 부산, 울산, 충남, 전남을
제외한 8개 지역은 감소
그림 2-2-19 시・도별 대학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전국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642개로 2018년(612개)에 비하여
4.9% 증가
■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132개, 20.6%), 경기(66개,
10.3%), 대전(45개, 7.0%) 순
■ 2018년 대비 2019년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조직 수는 경기(1개), 충남(1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전년 대비 증가 또는 유지하였으며,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5개,
26.3%), 전남(4개, 13.3%), 제주(2개, 12.5%) 순
그림 2-2-20 시・도별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53
▣ 2019년 전국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5만 4,822개로 2018년(5만 732개)에 비하여
8.1% 증가
■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은 경기(1만 9,368개, 35.3%), 서울(1만 3,220개, 24.1%)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음
■ 전년 대비 2019년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
(24.3%), 전남(18.7%), 광주(11.7%) 순
그림 2-2-21 시・도별 기업체의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2019년)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지식창출 성과
▣ 공저자 기준 2019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수는 총 10만 1,315건이며, 서울 지역이 3만
4,175건(33.73%)으로 타 지역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서울 다음으로는 경기(1만 4,385건, 14.20%), 대전(9,923건, 9.79%), 부산(5,244건, 5.18%)
순으로 많은 논문을 발표
■ 논문 1편당 피인용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31)이며, 경북(2.21), 서울(2.16) 지역 순
으로 피인용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음
그림 2-2-22 지역별 과학기술논문(SCI) 발표 현황(2019년)
※ 주 : 논문 발표 건수 및 논문 1편당 피인용 횟수는 공저자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REGIONAL S&T YEARBOOK 2020 55
▣ 2019년 국내 전체 특허 출원 수는 총 17만 1,603건이며, 이 중 서울(5만 2,270건, 30.5%),
경기(4만 9,685건, 29.0%) 지역이 전체의 59.4%를 차지
■ 2018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서울(10.9%), 전북(8.7%), 충남(6.7%) 순으로 높으며, 울산
(-3.0%), 강원(-2.3%), 부산(-1.8%), 대전(-1.3%), 경북(-0.3%)의 5개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3 시・도별 국내 특허 출원 현황(2018년~2019년)
※ 주 : 교포 등 기타(19개, 전체의 0.01%)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5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국내 전체 특허 등록 수는 총 9만 4,852건이며, 이 중 경기(2만 7,708건, 29.2%)
및 서울(2만 6,483건, 27.9%) 지역이 전체의 57.1%를 차지
■ 2018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전남(14.4%), 충북(12.8%), 대전(10.7%), 대구(10.4%) 지역
순으로 높으며, 부산(-3.3%), 울산(-3.1%), 강원(-1.1%) 3개 지역은 전년 대비 감소
그림 2-2-24 시・도별 국내 특허 등록 현황(2018년~2019년)
※ 주 : 교포 등 기타(581개, 전체의 0.6%)는 그래프에 미포함
※ 출처 : 특허청(http://www.kipo.go.kr)
REGIONAL S&T YEARBOOK 2020 57
▣ 연구원 1인당 특허 등록 수는 전남(0.332건), 전북(0.232건), 경북(0.229건) 순으로 높으며,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은 강원(2.83건), 전남(2.54건), 제주(2.47건) 순으로
높게 나타남
그림 2-2-25 시・도별 연구원 수 및 연구비 10억 원 대비 특허 등록 현황(2019년)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연구비, 연구원 수), 특허청(특허등록 건수)
5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경제적 성과
▣ 2018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50.9백만 원), 충남(46.1백만 원),
서울(38.0백만 원) 순
■ 2017년 대비 2018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5.95%), 경기
(4.19%), 서울(4.15%) 순
그림 2-2-26 시・도별 인구 1인당 총 부가가치(2017년~2018년)
※ 주1 : 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는 실질 부가가치 기준으로 하며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통계정보를 기준으로 함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주제별통계>국민계정>지역소득>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및 요소소득(20.12.23 갱신)
REGIONAL S&T YEARBOOK 2020 59
▣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업화 건수는 총 2만 8,487건이며, 그 중 서울(3,561건,
12.5%) 및 경기(7,415건, 26.0%) 지역이 전체 사업화 건수의 38.5%를 차지
■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의 평균은 1,676건으로, 경기(7,415건), 서울(3,561건),
대전(2,412건), 전북(1,850건), 충남(1,686건) 순으로 평균보다 높은 사업화 건수를 기록
그림 2-2-27 시・도별 국가연구개발사업 사업화 건수(2019년)
※ 출처 : 2019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6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2019년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의 총합은 8,821건, 기술료 징수액은 총 2,573억 원으로
기술이전 1건당 약 0.29억 원의 기술료 징수
■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1,957건, 22.2%), 서울(1,780건, 20.2%),
대전(1,383건, 15.7%)
■ 시・도별 기술료 징수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660억 원, 25.7%), 서울(643억 원, 25.0%),
경기(459억 원, 17.9%), 경북(140억 원, 5.4%)
그림 2-2-28 시・도별 기술료 징수 건수 및 징수액(2019년)
※ 출처 : 2019년 국가연구개발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KISTEP
3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제1절 서울특별시
제2절 부산광역시
제3절 대구광역시
제4절 인천광역시
제5절 광주광역시
제6절 대전광역시
제7절 울산광역시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제9절 경기도
제10절 강원도
제11절 충청북도
제12절 충청남도
제13절 전라북도
제14절 전라남도
제15절 경상북도
제16절 경상남도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REGIONAL S&T YEARBOOK 2020 63
3 시・도별 과학기술 진흥 현황
▣ 17개 각 광역시・도별 과학기술 관련 지표를 선정, 해당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
■ 지역별 과학기술 진흥 척도로서 분석 지표들을 활용하고 향후 유관 정책 수립에 근거 자료로
활용
▣ 분석 대상 지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역 산업 현황
인구현황
∙ 인구수
∙ 전국대비 비율
∙ 경제활동참가율
∙ 실업률
산업현황
∙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구조
∙ 특화제조업
∙ 지자체 중점전략분야
∙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투입지표
∙ 과학기술자원
∙ 조직체계
∙ 과학기술 투자
과학기술 하부구조
∙ 연구개발조직 현황
∙ 대학
∙ 주요 R&D 거점 현황
성과
특허
∙ 특허 출원
∙ 특허 등록
논문 현황
∙ 논문수 및 점유율
∙ 피인용수
∙ 1인당 피인용수
6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절 서울특별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서울의 인구는 약 966만 명으로 작년 대비 감소
- 전국인구대비 서울 인구의 비중은 2010년부터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임
표 3-1-1 ❙ 서울특별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9,860,372 9,805,506 9,776,305 9,704,546 9,662,041
전국대비비율(%) 19.48 19.13 19.00 18.80 18.69
경제활동참가율(%) 62.6 62.8 63.1 61.9 62.7
실업률(%) 4.2 4.3 4.5 4.2 4.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65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서울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411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6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서울의 경우 전체의 2/3 이상을 차지하는 기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이루어져 있음
표 3-1-2 ❙ 서울특별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370,167,867 380,679,274 389,584,629 403,605,888 411,371,029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96,537 393,450 398,611 460,226 473,000
(지역내비중,%) (0.11) (0.10) (0.10) (0.11) (0.11)
제조업 16,667,606 16,063,831 15,370,138 15,095,113 15,288,603
(지역내비중,%) (4.50) (4.22) (3.95) (3.74) (3.72)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704,435 1,838,816 1,912,500 1,994,744 2,313,802
(지역내비중,%) (0.46) (0.48) (0.49) (0.49) (0.56)
건설업 10,478,842 11,310,791 11,807,884 12,142,426 12,016,912
(지역내비중,%) (2.83) (2.97) (3.03) (3.01) (2.92)
기타서비스업 263,014,659 270,645,222 277,987,889 288,811,798 294,797,192
(지역내비중,%) (71.05) (71.10) (71.35) (71.56) (71.6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7,533,846 49,262,150 49,430,697 50,902,502 52,746,461
(지역내비중,%) (12.84) (12.94) (12.69) (12.61) (12.82)
순생산물세 30,371,942 31,165,014 32,762,686 34,324,997 34,005,758
(지역내비중,%) (8.20) (8.19) (8.41) (8.50) (8.27)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6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서울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31조 315억 원이고, 4,09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0만
3661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이 생산액(약 11조 905억 원, 38.36%), 사업체 수(1,265개,
30.90%), 종사자 수(3만 3,092명, 31.92%)의 모든 부분에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
표 3-1-3 ❙ 서울특별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280,066 4.13 123 3.00 3,364 3.25
음료 제조업 113,012 0.36 8 0.20 222 0.2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204,588 3.88 183 4.47 3,386 3.2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1,904,649 38.36 1,265 30.90 33,092 31.92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665,433 5.37 163 3.98 3,838 3.7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5,005 0.02 3 0.07 45 0.0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68,634 2.15 90 2.20 2,709 2.6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752,467 5.65 394 9.62 9,373 9.0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0,147 0.06 3 0.07 52 0.0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50,147 3.38 87 2.13 2,623 2.5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53,992 0.82 34 0.83 1,540 1.4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84,677 2.21 80 1.95 1,845 1.7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55,586 1.15 21 0.51 765 0.74
1차 금속 제조업 55,344 0.18 22 0.54 303 0.2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63,403 2.46 132 3.22 2,800 2.7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033,191 9.77 330 8.06 9,280 8.9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687,647 5.44 328 8.01 8,757 8.45
전기장비 제조업 1,409,230 4.54 239 5.84 5,873 5.6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756,662 5.66 279 6.81 7,130 6.8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4,630 0.11 12 0.29 208 0.2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1,054 0.23 13 0.32 333 0.32
가구 제조업 91,590 0.30 24 0.59 492 0.47
기타 제품 제조업 1,135,419 3.66 248 6.06 5,421 5.2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4,963 0.11 13 0.32 210 0.20
합 계 31,031,536 100.00 4,094 100.00 103,661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67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기타 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4 ❙ 서울특별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비교적
높음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낮음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6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서울시는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5 ❙ 서울특별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R&D 중심, 첨단지식산업(IT, BT, CT 등)
서울형 R&D 지원(제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개발 지원)
혁신성장 펀드 조성 운영(4차 산업혁명 펀드)
서울형 R&D 지원(기술상용화 지원 사업)
서울혁신챌린지
혁신기술 공공테스트베드 제공사업(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사업)
태양광 활용 기술개발사업
서울형 R&D 지원(도시문제 해결형 기술개발 지원)
※ 출처 : 서울특별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로 서울디지털(한국수출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인 마곡산업단지와 서울
온수산업단지 2개가 서울에 위치
- 총 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0,726개, 총 종사자 수는 180,066명
표 3-1-6 ❙ 서울특별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서울디지털
(한국수출산업)
1,925 1,925 11,872 10,425 147,024 100.0 완료
일반
마곡 1,124 1,124 150 78 31,072 74.5 조성 중
서울온수 158 158 225 223 1,970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020, 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69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11월 기준, 서울시에는 총 9,671개의 벤처기업이 위치해 활동하고 있으며 이는 경기도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수임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 분야가 4,585개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313개, ‘도매 및 소매업’ 498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24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395개), ‘전기 장비 제조업’(279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28개) 부분에 상대적
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1-7 ❙ 서울특별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광업(05~08)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42
음료 제조업 12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8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5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3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1차 금속 제조업 1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2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95
전기장비 제조업 27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2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
7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0
가구 제조업 20
기타 제품 제조업 177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0
건설업(41~42) 156
도매 및 소매업(45~47) 498
운수 및 창고업(49~52) 24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5
정보통신업(58~63) 4585
금융 및 보험업(64~66) 29
부동산업(68) 1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31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3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1
교육 서비스업(85) 10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66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9,671
REGIONAL S&T YEARBOOK 2020 7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서울은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연구개발인력을 보유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18만 311명으로 ’15년부터 ’18년의 총연구개발인력은 계속 증가 추세를 보임
-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감율은 5.63%이며 ’19년 전국대비비중은 전국의 25.09% 차지
- 연구주체별로 기업 연구개발인력은 10만 3,134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 6만 8,830명, 공공연구소
8,347명으로, 주체별 총계에 대한 전국대비 비중은 각각 22.31%, 35.45%, 13.37%로 나타남
표 3-1-8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7,982 31.32 62,782 33.80 64,749 34.88 67,541 35.10 68,830 35.45
∙ 국공립 12,695 16.04 14,075 18.32 14,460 18.92 16,510 20.78 16,800 21.03
∙ 사립 45,287 42.74 48,707 44.73 50,289 46.04 51,031 45.16 52,030 45.55
공공연구소 8,550 15.78 7,956 18.78 8,288 14.85 7,978 13.66 8,347 13.37
∙ 국공립 703 6.52 303 2.90 329 3.07 325 2.66 345 2.68
∙ 정부출연 4,477 13.49 3,734 11.69 3,794 11.85 3,349 10.28 3,474 10.08
∙ 병원 및 기타 3,370 33.01 3,919 30.66 4,165 31.79 4,304 31.70 4,528 30.05
기업 78,298 20.57 79,572 20.72 88,617 21.68 98,116 22.29 103,134 22.31
∙ 정부투자기관 297 8.31 123 3.23 122 3.11 175 4.48 176 4.58
∙ 민간기업 78,001 20.69 79,449 20.90 88,495 21.86 97,941 22.45 102,958 22.46
합 계 144,830 23.36 146,394 23.92 161,654 24.86 173,635 25.13 180,311 25.0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9년 서울시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4명 증가한 137.6명임
표 3-1-9 ❙ 서울특별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06.3 111.8 121.4 131.2 137.6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대학, 공공연구소, 기업을 합친 ’19년 서울의 총 연구개발비는 13조 4,449억 원으로 전국의
15.10%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6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기업은 작년대비 증가하여 ’19년 9조 8,288억 원을 기록하였고,
대학과 공공연구소의 투자액은 지난해 대비 감소하여 각각 2조 6,001억 원과 1조 159억 원을 차지함
- 전국 대비 비중을 살펴보면 대학과 공공연구소, 기업 비중 모두 감소하여 각각 35.27%, 9.99%, 13.75%를
차지함
표 3-1-10 ❙ 서울특별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대비
비중
대학 2,249,897 37.51 2,422,740 38.21 2,501,918 37.44 2,677,232 37.97 2,600,120 35.27
∙ 국공립 778,441 28.67 841,818 29.29 807,570 27.30 836,351 27.08 802,306 24.50
∙ 사립 1,471,456 44.81 1,580,922 45.62 1,694,348 45.49 1,840,880 46.46 1,797,814 43.88
공공연구소 1,166,722 13.22 1,113,441 12.22 1,071,572 11.23 1,021,909 10.38 1,015,931 9.99
∙ 국공립 74,062 9.53 48,703 6.52 54,516 6.83 47,098 5.79 38,725 4.63
∙ 정부출연 801,469 11.50 749,037 10.49 697,205 9.40 644,888 8.54 591,688 7.58
∙ 병원 및 기타 291,191 26.99 315,701 25.75 319,852 24.08 329,923 22.28 385,518 25.26
기업 6,614,019 12.93 6,947,758 12.88 9,596,183 15.34 9,776,223 14.20 9,828,888 13.75
∙ 정부투자기관 36,308 5.74 24,392 3.03 24,494 2.75 29,990 3.30 22,731 2.62
∙ 민간기업 6,577,711 13.02 6,923,366 13.03 9,571,689 15.52 9,746,233 14.35 9,806,157 13.88
합 계 10,030,638 15.21 10,483,939 15.11 13,169,674 16.72 13,475,364 15.72 13,444,939 15.1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73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서울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조 8,571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18.9%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40%
표 3-1-11 ❙ 서울특별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6,485 35,925 37,019 36,175 38,571
(20.1) (19.6) (19.0) (18.5) (18.9)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기술개발 사업 지속 추진
- 서울형 R&D 지원 사업 확대 : 총 292개 과제, 336억원 지원
- GT(녹색기술) 육성을 위한 R&D 지원 : 3.6억원, 4개 과제
- 미세먼지 저감 및 태양광 활용 기술개발 추진 : 48억원, 7개 과제
■ 지역경제 활성화
- 거점별 신성장산업 R&D 지원 : 81.6억원, 40개 과제
- 캠퍼스타운 육성 : 32개 대학, 140개 사업(프로그램), 253억원 지원
- 바이오허브 3개동 완공 및 바이오기업 지원 : 615억원 투자유치, 67개 창업기업 입주
■ 다양한 R&D 혁신(X&D, 오픈 이노베이션 등) 지속적 도모
- 경쟁형 R&D 추진 : 36.4억원, 66개 과제
- 테스트베드 실증 지원 : 100억원, 40개 과제
7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서울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에서 담당
그림 3-1-1 서울특별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75
표 3-1-12 ❙ 서울특별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53529 1 45297 395 24 237 7055 - 520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1-13 ❙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산학협력팀 ∙ 산학협력팀 업무 총괄
∙ 혁신성장펀드 조성・운영 총괄 관리 및 지원
∙ 혁신성장펀드 조성・운영 관련 주요업무 추진(계획수립,
투자심사・출자동의)
∙ 펀드운영위원회 구성・운영
∙ 4차산업혁명펀드 조성・운영
∙ 스마트시티펀드 조성・운영
∙ 펀드대행・R&D위탁기관 지도・감독
∙ 서울시 산학연 R&D 예산・회계・BSC 등
∙ 서울시 산학연 R&D 지원사업 총괄
∙ 중소기업육성기금(투자계정) 운용・관리 지원
∙ 혁신성장위원회 운영
∙ 정부지원 대응투자 및 공동협력 기술개발 지원사업
∙ 시장상황 분석, 리스크 관리
∙ 서울시 지식재산 업무 총괄
∙ 서울테크노파크 관련 업무
∙ 로봇과학관 건립
∙ 서울시립과학관 지도 점검
∙ 과학관 (변경)등록 등 관련 업무
∙ 신기술 인증 공공구매 업무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혁신기술팀 ∙ 4차산업 및 혁신기술 육성・지원
∙ 혁신기술 사업화 지원 관리 대외협력
∙ 테스트베드 서울 관련 업무 총괄(기획・운영, 수요기관
의견조회 및 실증협의・조정, 성과분석 및 정책확산)
∙ 개포디지털혁신파크 운영(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포함)
지원
∙ 서울혁신챌린지, 서울글로벌챌린지 기획・운영
∙ 서울시 드론챌린지 기획・운영
∙ 서울시 드론산업 육성계획 수립 및 총괄
※ 출처 :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설치근거 : 서울특별시 미래혁신기술 진흥 조례
■ 주요기능 및 역할
- 미래혁신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및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혁신 및 인력육성 등에 관한 사항
- 미래혁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발전 방안에 관한 사항
- 미래혁신기술 진흥을 위한 연구개발지원사업 및 미래혁신기술 공공 실증사업의 기획・평가・사업규
모 등 시행에 관하여 중요한 사항
- 산학연 협력체계 및 기반구축 등 활성화에 관한 사항
7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기술기반 기업 지원에 관한 사항
- 지식재산 관련 계획의 수립과 시행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미래혁신기술 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2019.05.16.~2021.05.15.(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2회
▣ 위원회 명단
표 3-1-14 ❙ 서울특별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 출처 : 서울특별시 내부자료
구분 성명 소속 임기
공동 위원장 서정협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 2019.05.16.~2021.05.15.
공동 위원장 진대제 스카이레이크 인베스트먼트 2019.05.16.~2021.05.15.
위원 김상헌 네이버 경영고문 2019.05.16.~2021.05.15.
위원 김이식 밸런스히어로 공동창업자 2019.05.16.~2021.05.15.
위원 김학용 순천향대학교 교수 2019.05.16.~2021.05.15.
위원 김현우 아시아경제TV 대표이사 2019.05.16.~2021.05.15.
위원 양윤선 메디포스트 대표이사 2019.05.16.~2021.05.15.
위원 윤소라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2019.05.16.~2021.05.15.
위원 윤혜정 KT 빅데이터센터 센터장 2019.05.16.~2021.05.15.
위원 이경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2019.05.16.~2021.05.15.
위원 이병헌 광운대 경영학부 교수 2019.05.16.~2021.05.15.
위원 이승건 바바리퍼블리카 대표 2019.05.16.~2021.05.15.
위원 이치형 디지털재단 이사장 2019.05.16.~2021.05.15.
위원 장영승 서울산업진흥원 대표이사 2019.05.16.~2021.05.15.
위원 정주환 카카오 모빌리티 대표이사 2019.05.16.~2021.05.15.
위원 조대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단장 2019.05.16.~2021.05.15.
위원 조인동 서울시 경제진흥본부장 2019.05.16.~2021.05.15.
REGIONAL S&T YEARBOOK 2020 7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서울시의 총예산은 66조 1,23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993억 원 규모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30%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서울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99.95%
표 3-1-15 ❙ 서울특별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661,237
재정자주도(%) 85.8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994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99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30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99.95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서울시는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556억 원 투자
- 국비는 ‘지방정부의 R&D기획평가역량 확충’에 1억 4천만 원, 지방비는 ‘지역 R&D 투자 결정권 강
화’에 556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1-16 ❙ 서울특별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서울형 R&D 지원
혁신 거점별 신성장산업 R&D 지원
- 55,640 - 55,64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학연협력사업심의위원회 구성・운영
서울연구개발지원단 운영
140 150 - 29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 25,305 - 25,30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서울창업허브 운영
동북권창업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
- 35,985 - 35,98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테스트베드 서울 실증지원 사업
경쟁형 R&D 추진
- 18,648 - 18,648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산학연협력포럼활성화
재외한인과학자 단체롸의 협업
- 250 - 250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서울산업진흥원 출연 - 53,048 - 53,04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홍릉 바이오 의료 클러스터 조성・운영
마곡 R&D단지 활성화
- 10,237 - 10,237
합 계 140 199,263 0 199,403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7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서울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3,438개로 전국의 24.0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0.19%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12개 증가, 기업 4,302개 증가
표 3-1-17 ❙ 서울특별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7 21.12 87 20.81 85 20.73 88 24.11 86 20.72
∙ 국공립 12 13.64 12 13.33 12 13.48 12 15.19 11 13.10
∙ 사립 75 23.15 75 22.87 73 22.74 76 26.57 75 22.66
공공연구소 120 22.39 121 21.80 124 21.79 128 31.92 132 20.56
∙ 국공립 10 7.94 6 5.08 9 7.09 9 12.50 9 6.29
∙ 정부출연 25 12.69 23 14.20 21 13.13 22 28.95 25 14.79
∙ 병원 및 기타 85 39.91 92 33.45 94 33.45 97 38.34 98 29.70
기업 8,909 24.46 9,475 24.75 10,101 23.75 12,319 25.38 13,220 24.11
∙ 정부투자기관 10 22.22 5 11.63 6 12.24 7 16.67 9 16.36
∙ 민간기업 8,899 24.46 9,470 24.77 10,095 23.76 12,312 25.39 13,211 24.12
합 계 9,116 24.39 9,683 24.67 10,310 23.70 12,535 25.42 13,438 24.0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8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서울 소재 대학 수는 51개
- 일반대학 3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 방송통신대, 기술대학 및 기능대학이 각각 1개씩 존재
표 3-1-18 ❙ 서울특별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1 34 38
산업대학 - - - 0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9 9
방송통신대 1 - - 1
기술대학 - - 1 1
기능대학 - - 1 1
합계 5 1 45 51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서울시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74만 3,99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6만 9,347명(전체의 9.3%), 공학계열 학생이 14만 5,180명(전체의
19.5%)
표 3-1-19 ❙ 서울특별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69,347 145,180 214,527 38,941 82,503 55,381 131,286 221,352 743,990
비중(%) 9.3 19.5 28.8 5.2 11.1 7.4 17.6 29.8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8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12월 기준 서울특별시에는 총 47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서울대 12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연세대가 8개,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가 4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20 ❙ 서울특별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가톨릭대학교
(1개 센터)
2019 빅데이터 기반 암진화 연구센터 MRC
건국대학교
(1개 센터)
2015 인간화 돼지 연구센터 SRC
경희대학교
(2개 센터)
2017 뉴로바이오타 연구센터 MRC
2020 한약물 재해석 암 연구 센터 MRC
고려대학교
(5개 센터)
2015 터널링 나노튜브 연구센터 SRC
2016 나노-생체유체 검사 연구단 ERC
2016 초저에너지 자동차 초저배출 사업단 ERC
2018 극한핵물질연구센터 SRC
2020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 ERC
국민대학교
(2개 센터)
2015 모듈형 스마트 패션 플랫폼 연구센터 CRC
2016 하이브리드 디바이스를 이용한 일주기 ICT 연구센터 ERC
동국대학교
(2개 센터)
2018 암 관해 표적제어 혁신의약품 연구센터 MRC
2018 스마트 커뮤니티 폴리싱 시스템(Googi) 개발 CRC
서울대학교
(12개 센터)
2011 종양 미세환경 연구센터 GCRC
2016 [지정]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ERC
2017 [지정]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 ERC
2018 식물면역연구센터 SRC
8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2018 코팅기반 화학공정 연구센터 ERC
2018 생체지질 인터액토믹스 연구센터 MRC
2018 치아-치주 복합체 연구센터 MRC
2018 기억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후속] 전략 구조소재 신공정 설계 연구센터 ERC
2020 세포 분해 생물학 연구단 SRC
2020 모듈과 공간의 양자구조 연구센터 SRC
2020 시스템스 노화기전 연구센터 SRC
숙명여자대학교
(1개 센터)
2016 이질성기반 세포적응 연구센터 SRC
숭실대학교
(1개 센터)
2017 지능형 바이오메디컬 무선전력전송 연구센터 ERC
연세대학교
(8개 센터)
2015 응용해석 및 계산 센터 SRC
2015 초정밀 광 기계기술 연구센터 ERC
2016 당 수식화 네트워크 연구센터 SRC
2016 미각연구센터 MRC
2017 반데르발스 물질 연구센터 SRC
2018 비가역적 기후변화 연구 센터 SRC
2018 만성난치질환 시스템의학 연구센터 MRC
2020 에어로겔소재연구센터 ERC
이화여자대학교
(4개 센터)
2017 혼성계면 화학구조 연구센터 SRC
2018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 MRC
2019 세포항상성 연구센터(후속) SRC
2020 염증-암 미세환경 연구센터 MRC
중앙대학교
(4개 센터)
2015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SRC
2018 미생물 생존 시스템 연구센터 SRC
2020 베리곡률 기반 신물성 연구센터 SRC
2020 나노-광 융합 바이오의료 진단 연구센터 ERC
한양대학교
(4개 센터)
2014 차세대유기합성연구센터 SRC
2017 세포내외 노화 및 병적환경개선에 의한 조직재생 촉진 연구 MRC
2018 생존 신호정보 연구센터 CRC
2018
초연결사회 위험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 사회 환경 실시간
모니터링/사회 시뮬레이션 시스템
CRC
REGIONAL S&T YEARBOOK 2020 83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
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서울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1개의 지원센터가 존재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과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서울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21 ❙ 서울특별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한국산업개발연구원 BLUE BI(블루) 2015-12-16
서울대학교기술지주㈜ S-INNOVATION(에스이노베이션) 2013-10-18
창업진흥원, 한국엔젤투자협회 TIPS타운(팁스타운) 2015-07-14
건국대학교 건국대벤처창업지원센터 1999-05-11
경희대학교 경희창업보육센터(서울) 2000-12-15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크림슨창업지원단 2000-03-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운창업보육센터 2020-02-03
국민대학교 국민대창업보육센터 1999-10-27
(주)닷네임코리아 글로벌벤처센터 2012-06-01
서울대학교 덴탈메디케어 창업보육센터 2012-05-01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창업지원센터 2000-02-26
8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서울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13개소가 운영 중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주)르호봇비즈니스인큐베이터 르호봇 창업보육센터 2013-11-18
마포구 마포비즈니스센터 2008-07-14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03-01
서강대학교 서강비즈니스센터 1999-11-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창업보육센터 2000-04-10
(사)벤처기업협회 서울벤처인큐베이터 1999-12-16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창업보육센터 2000-04-28
(재)서울특별시서울산업진흥원 서울신기술창업센터 1995-09-15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0-31
한성대학교 성북구한성대벤처창업지원센터_SHBI 2001-03-12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벤처창업보육센터 2001-01-11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대창업보육센터 2012-03-05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센터 2000-01-17
창업진흥원 스마트세계로누림터 2012-07-23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 1999-03-0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5-14
인덕대학교 인덕대학창업지원단 2000-03-31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서울지역센터) 2011-12-23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출판지식창업보육센터 2014-10-04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7-09-01
호서대학교 호서대학교 시니어특화창업보육센터 2012-05-15
(재)한국기술벤처재단 홍릉벤처밸리창업보육센터 2001-12-15
REGIONAL S&T YEARBOOK 2020 85
표 3-1-22 ❙ 서울특별시 과학관 개소 현황(2020)
과학관명 소속 구분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 서울시교육청 공립
노원우주학교 서울시 노원구청 공립
서울시립과학관 서울시 공립
육영재단어린이회관 (재)육영재단 사립
LG사이언스홀 ㈜LG 사립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사립
한생연휴먼탐구과학관 ㈜한생연 사립
한생연융합교육과학관 ㈜한생연 사립
한생연실험누리과학관 ㈜한생연 사립
한생연인간과로봇과학관 ㈜한생연 사립
한생연생명과학박물관 ㈜한생연 사립
충우곤충박물관 ㈜충우 사립
과학동아천문대 동아사이언스 사립
롯데월드아쿠아리움 ㈜롯데월드아쿠아리움 사립
아쿠아플라넷 63 ㈜한화호텔&리조트 사립
코엑스아쿠아리움 ㈜서울오션아쿠아리움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 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서울의 생활과학교실은 강좌 수 237개 운영함
표 3-1-23 ❙ 서울특별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64 565 542 435 338 302 237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8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서울시 특허출원 건수는 5만 2,57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만 6,483건
- 특허출원 건수와 등록건수 모두 ’18년 대비 각각 11%, 5% 증가
표 3-1-24 ❙ 서울특별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47,737 48,969 48,030 47,288 45,482 47,123 52,570
특허등록 건수 29,369 28,315 22,305 25,087 27,527 25,224 26,483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서울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만 4,175편, 주저자 기준 2만 1,78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3.73%, 40.21%를 차지
표 3-1-25 ❙ 서울특별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1,410 34.01 310,064 9.87 20,829 41.17 158,487 7.61
2018 31,942 33.44 187,984 5.89 20,686 39.85 95,527 4.62
2019 34,175 33.73 73,933 2.16 21,782 40.21 36,254 1.6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8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4차 산업혁명 First Mover 도시, 서울
■ 목표 : 2022년까지 과학기술혁신역량 및 혁신생태계 강화
■ 전략
- 5대 핵심요소 : R&D혁신, 과학기술 거버넌스, 도시문제 해결, 인재양성, 창업지원
- 3대 기반구축 : 인재-창업-테스트베드를 연결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서울소재 중소기업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R&D 지원 강화
- 중소기업 기술상용화 R&D 지원 2배 확대
- 경쟁형 R&D 추진을 통해 단기간 내 압축적 기술개발 지원
- R&D 지원체계 개편을 위한 R&D Tech Platform 구축 및 운영
- 서울과학기술정보시스템(STIS) 구축 및 국가과학기술정보시스템(NTIS) 연계
■ 전략산업 클러스터 조성 지원 및 신성장거점 수요맞춤형 R&D 지원 확대
- 홍릉(서울바이오허브), 양재(R&CD혁신허브) 등 전략산업 클러스터별 앵커시설 확대
- 홍릉(바이오), 양재(AI) 등 신성장 거점지역 R&D 지원 3배 확대하여 거점 입주 기관(기업・연구소・
대학 등) R&D 사업화 적극 유도로 거점 활성화 도모
■ ‘동북권창업지원센터’ 등, 창업을 위한 혁신거점 발굴
- 서울소재 창업지원 기관 네트워킹을 통한 창업기업 발굴, 글로벌 투자 연계로 유망 창업기업 성장 촉진
- 서울시 균형발전 차원에서 서울 동북권 혁신거점(동북권창업지원센터) 운영 등을 통한 경제 활성화
도모
8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기술 경쟁력 강화) 기업 R&D 지속 지원을 통한 서울소재 중소기업의 자생력 확보 및 경쟁력
강화
- 포스트코로나 시대 위기에 취약한 중소기업의 기술상용화 R&D 지원 확대
- 바이오, 인공지능, 핀테크, 블록체인 등 비대면 분야 R&D 지원을 통한 기술개발 수요 대응
- 경쟁형 R&D 추진을 통해 단기간 내 압축적 기술개발 지원
- 서울과학기술정보시스템(STIS) 고도화를 통한 R&D 지원체계 강화
■ (클러스터 활성화) 거점별 대학 및 기업의 R&D 활동 지원 확대
- 대학 및 지역 협력 중심 R&D 활동 기반 마련을 위한 캠퍼스타운 확산
- 홍릉 바이오 클러스터, 서울창업허브 창동 등 거점시설 확대 조성 및 본격 운영을 통한 기업 R&D 활
동 촉진
- 홍릉(바이오), 양재(AI), G밸리(융복합), 동대문(패션) 등 신산업 수요 기반의 신성장 거점지역 R&D
지원 지속
■ (판로개척)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R&D 기술지원으로 위기극복 및 기회선점
- ‘서울창업허브 창동’의 디지털・비대면 기반 특화 지원을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개발 창업
기업 판로 개척
- ‘서울혁신챌린지’ 등 개방형 R&D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연계 및 진출 지원
■ (과학문화 확산) 온라인 콘텐츠 활용 확대 등 과학문화 확산 방안 모색
- 코로나-19 대응 서울시립과학관 맞춤형 온라인 컨텐츠 확대 운영
- 과학문화 접근성 강화 및 체험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과학버스 운영
REGIONAL S&T YEARBOOK 2020 89
제2절 부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부산의 인구는 약 337만 명으로 작년 대비 소폭 감소
- 전국대비 비율 모두 2010년부터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임
표 3-2-1 ❙ 부산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단위: 명)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3,400,069 3,440,484 3,428,923 3,400,027 3,372,763
전국대비 비율(%) 6.72 6.71 6.67 6.59 6.52
경제활동참가율(%) 58.7 58.5 59.0 58.1 58.8
실업률(%) 4.1 3.9 4.6 4.1 3.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
인구(2020. 10. 갱신)
9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부산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89조 원이며, 최근 5년간 평균 증가율은
1.77%
- 부산시 산업 구조는 기타서비스업이 지역내 총생산의 49.1%로 거의 절반을 차지
표 3-2-2 ❙ 부산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 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82,701,497 84,114,530 85,441,974 86,889,875 88,729,865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550,477 526,822 532,262 453,226 402,837
(지역내비중,%) (0.67) (0.63) (0.62) (0.52) (0.45)
제조업 14,937,643 14,620,868 14,318,723 14,187,013 14,723,580
(지역내비중,%) (18.06) (17.38) (16.76) (16.33) (16.59)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869,034 1,853,719 1,622,172 1,730,861 1,672,827
(지역내비중,%) (2.26) (2.20) (1.90) (1.99) (1.89)
건설업 4,095,585 4,600,841 4,819,775 4,868,200 4,895,869
(지역내비중,%) (4.95) (5.47) (5.64) (5.60) (5.52)
기타서비스업 40,296,790 40,950,175 41,791,054 42,973,636 43,592,093
(지역내비중,%) (48.73) (48.68) (48.91) (49.46) (49.13)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4,939,853 15,344,964 16,015,631 16,492,769 17,064,970
(지역내비중,%) (18.06) (18.24) (18.74) (18.98) (19.23)
순생산물세 6,012,115 6,217,141 6,388,458 6,284,848 6,445,837
(지역내비중,%) (7.27) (7.39) (7.48) (7.23) (7.26)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9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부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43조 7,512억 원이고 4,16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3만
3,55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 측면에서 ‘1차 금속 제조업’이 6조 8,314억 원(전체 15.61%), 사업체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696개(16.71%), 종사자 수에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만 9,695명(전체
14.7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2-3 ❙ 부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
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139,749 7.18 293 7.04 10,326 7.73
음료 제조업 281,923 0.64 13 0.31 432 0.3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362,806 3.11 206 4.95 6,220 4.6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25,148 1.66 191 4.59 5,564 4.1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889,607 2.03 188 4.51 4,568 3.4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40,010 0.55 34 0.82 876 0.66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44,257 0.56 54 1.30 1,193 0.8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87,055 0.20 48 1.15 757 0.5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91,632 0.90 6 0.14 198 0.1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459,527 3.34 67 1.61 2,704 2.0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18,292 0.50 14 0.34 552 0.4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425,949 5.54 317 7.61 9,717 7.2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633,580 1.45 74 1.78 1,620 1.21
1차 금속 제조업 6,831,389 15.61 303 7.28 10,802 8.0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211,769 9.63 668 16.04 16,151 12.0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74,812 3.14 54 1.30 6,973 5.2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413,430 3.23 108 2.59 4,207 3.15
전기장비 제조업 2,995,141 6.85 253 6.08 8,722 6.5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495,076 12.56 696 16.71 19,695 14.7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303,533 14.41 245 5.88 11,317 8.4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279,546 5.21 127 3.05 6,745 5.05
가구 제조업 161,290 0.37 39 0.94 759 0.57
기타 제품 제조업 153,249 0.35 58 1.39 1,249 0.9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32,484 0.99 108 2.59 2,208 1.65
합 계 43,751,254 100.00 4,164 100.00 133,555 100.00
9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산업임
표 3-2-4 ❙ 부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 가구 제외
∙ 1차 금속 제조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전기 장비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낮음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9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부산시는 ‘지능형기계(정밀기계, 스마트팩토리, 하이테크소재, 로봇)’와 ‘클린테크(에너지시스템,
에너지저장 및 서비스, 환경대응)’, ‘스마트해양(친환경스마트선박, 항만물류, 해양바이오, 수산
가공)’, ‘지능정보서비스(서비스플랫폼 콘텐츠, 스마트금융)’, ‘라이프케어(스마트헬스케어,
리빙케어, 라이프스타일)’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2-5 ❙ 부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능형기계
(정밀기계, 스마트팩토리, 하이테크소재, 로봇)
노후산단 제조공정혁신 지원사업
설계기반 미래성형 기술개발센터 지원
친환경 고효율 공기조화기부품기술고도화지원
부산표면처리 고도화지원
정밀지능기계부품 융합기술 고도화 지원
극한환경용 구조물 부식제어기술기반구축
클린테크
(에너지시스템, 에너지저장 및 서비스, 환경대응)
녹색기업 지원사업
에너지 인력양성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스마트해양(친환경스마트선박, 항만물류,
해양바이오, 수산가공)
부산항 선용품산업 생태계 지원사업(해운항만산업 우수기업 인증지원)
조선해양플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
조선기자재 성능고도화 기반구축
심해공학수조 건립
지능정보서비스
(서비스플랫폼, 콘텐츠, 스마트금융)
부산콘텐츠마켓 지원
부산문화콘텐츠 스타프로젝트 운영
부산콘텐츠코리아랩 운영
부산콘텐츠아카데미 운영
부산문화콘텐츠콤플렉스 운영지원
지역SW산업진흥 지원사업
3D프로덕션센터 설립 및 운영(2단계)
부산아시아영화학교 설립 및 운영
라이프케어
(스마트헬스케어, 리빙케어, 라이프스타일)
고령친화용품 산업화지원 기반구축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 사업
수출용 신형연구로 건설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기반 구축
건강데이터 유효성 검증 의료임상
말초신경병증연구센터 지원사업
임상의과학자 연구 역량 강화사업
레포츠 섬유발전 기반구축
※ 출처 : 부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9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 산업단지 30개, 도시첨단단지 4개 및 농공단지 1개가 있음
- 36개 단지의 가동 업체는 8,452개, 총 종사자는 101,626명
표 3-2-6 ❙ 부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명지・녹산 8,841 8,813 1,539 1,454 30,142 100.0 완료
일반
부산과학 1,967 1,967 237 226 5,637 100.0 완료
부산신항배후국제산업물류
도시(1단계)
5,711 5,708 516 283 6,351 67 완료
명례 1,566 1,564 77 63 1,336 100 완료
산양 54 54 - - - 100 조성중
신평ㆍ장림 2,815 2,815 628 595 13,595 100 완료
센텀시티 1,178 1,178 2,123 2,123 13,960 100 완료
풍상 61 61 3 2 X 100 완료
생곡 557 557 95 91 1,013 93 완료
명동지구 506 506 - - - - 조성중
미음지구 3,549 3,549 412 387 8,161 77 완료
동남권방사선의과학 1,478 1,477 - - - - 조성중
부산신소재 256 255 1 1 - 100 완료
반룡 547 547 49 49 - 100 완료
오리 606 606 - - - 9 조성중
기장대우 344 343 1 - - - 미개발
에코장안 201 200 - - - 53 완료
정주 94 94 - - - 100 조성중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지구]
3,021 3,021 2,284 2,284 - 100 완료
성우(구:거화) 64 63 14 6 110 100 완료
기룡 83 83 1 1 X 100 완료
기룡2 46 46 1 1 X 100 완료
장안 1,301 1,300 68 61 3,16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95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 가동업체 개수가 2개 이하인 단지의 생산, 수출, 고용 정보는 개별 업체정보보호를 위해 ‘X’로 표기함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정관 1,209 1,209 208 204 3,546 100 완료
정관코리 84 84 4 3 123 100 완료
신호 3,121 3,121 77 70 3,311 100 완료
화전지구 2,448 2,448 300 286 6,156 100 완료
강서보고 104 103 20 20 229 100 완료
지사글로벌 416 415 - - - - 미개발
강서해성 104 104 - - - - 미개발
지사2(구 진우) 99 99 18 17 155 100 완료
도시
첨단
부산에코델타시티 660 660 1 1 X - 조성중
회동.석대 229 228 107 107 2,440 100 완료
모라 11 11 181 91 516 100 조성중
금곡 46 46 - - - - 미개발
농공 정관 258 258 27 26 1,683 100 완료
9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11월 기준으로 부산시에는 총 2,182개의 벤처기업이 위치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 분야에 305개 업체로 가장 높았으며, ‘전문, 과
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211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68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68
개), ‘전기 장비 제조업’(152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이 분포
표 3-2-7 ❙ 부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광업(05~08) 0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8
음료 제조업 5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4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4
1차 금속 제조업 4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6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00
전기장비 제조업 15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6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90
가구 제조업 7
REGIONAL S&T YEARBOOK 2020 9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기타 제품 제조업 4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건설업(41~42) 51
도매 및 소매업(45~47) 40
운수 및 창고업(49~52) 4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정보통신업(58~63) 305
금융 및 보험업(64~66) 1
부동산업(68) 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1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7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2,182
9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부산의 연구개발인력은 전국 8위에 랭크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3,115명으로 전국 대비 3.22%이며 ’15년부터 ’19년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율은 약 1.15%로 감소 추세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대학 9,313명(전국의 4.80%), 공공연구소 2,385명(전국의 3.82%), 기업 11,417명
(전국의 2.47%)으로 나타남
표 3-2-8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3,162 7.11 11,709 6.30 9,053 4.88 9,321 4.84 9,313 4.80
∙ 국공립 7,379 9.32 7,309 9.51 4,600 6.02 4,689 5.90 4,980 6.23
∙ 사립 5,783 5.46 4,400 4.04 4,453 4.08 4,632 4.10 4,333 3.79
공공연구소 1,714 3.16 1,796 4.24 1,769 3.17 2,386 4.09 2,385 3.82
∙ 국공립 464 4.30 416 3.98 459 4.29 480 3.92 409 3.17
∙ 정부출연 597 1.80 534 1.67 602 1.88 1,202 3.69 1,286 3.73
∙ 병원 및 기타 653 6.40 846 6.62 708 5.40 704 5.19 690 4.58
기업 9,338 2.45 8,890 2.32 9,693 2.37 11,084 2.52 11,417 2.47
∙ 정부투자기관 3 0.08 - - - - - 0.00 10 0.26
∙ 민간기업 9,335 2.48 8,890 2.34 9,693 2.39 11,084 2.54 11,407 2.49
합 계 24,214 3.91 22,395 3.52 20,515 3.15 22,791 3.30 23,115 3.2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99
■ ’19년 부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8명 증가한 48.9명으로 조사됨
표 3-2-9 ❙ 부산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45.0 42.6 42.0 48.1 48.9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부산의 총 연구개발비는 1조 5,817억 원으로 전국의 1.78%를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31%
- 연구주체별로 살펴보면 대학의 연구개발비는 3,849억 원(전국의 5.22%), 공공연구소는4,037억 원(전
국의 3.97%),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7,930억 원(전국의 1.11%)으로 나타남
표 3-2-10 ❙ 부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80,906 6.35 393,789 6.21 422,944 6.33 380,463 5.40 384,992 5.22
∙ 국공립 260,342 9.59 277,825 9.67 279,063 9.43 263,417 8.53 263,124 8.04
∙ 사립 120,564 3.67 115,964 3.35 143,881 3.86 117,046 2.95 121,868 2.97
공공연구소 253,242 2.87 247,128 2.71 317,280 3.32 431,635 4.38 403,748 3.97
∙ 국공립 76,808 9.88 61,603 8.25 112,669 14.12 104,957 12.90 99,354 11.89
∙ 정부출연 108,440 1.56 100,097 1.40 134,766 1.82 235,405 3.12 224,339 2.87
∙ 병원 및 기타 67,994 6.30 85,428 6.97 69,845 5.26 91,273 6.16 80,055 5.24
기업 652,018 1.28 600,800 1.11 663,049 1.06 732,825 1.06 792,966 1.11
∙ 정부투자기관 - 0.00 - 0.00 - 0.00 - 0.00 1,142 0.13
∙ 민간기업 652,018 1.29 600,800 1.13 663,049 1.08 732,825 1.08 791,824 1.12
합 계 1,286,165 1.95 1,241,716 1.11 1,403,273 1.78 1,544,922 1.80 1,581,706 1.7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부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9,120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4.5%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0.68%
표 3-2-11 ❙ 부산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6,078 6,572 7,798 8,765 9,120
(3.3) (3.6) (4.0) (4.5) (4.5)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 [에너지 산업]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154억원), 원전부품설비통합인증 기반구축(37억원),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26억원)
- [ICT 융합 산업] 클라우드기반 해양플랜트 O&엔지니어링 가상시스템 기술기반구축(49억원), 선박
ICT융합장비 실증화 시험인정체계기반구축(22억원), 노약자용 소프트웨어러블 슈트 기술개발사업
(40억원)
- [의료・바이오 산업] 중입자가속기구축지원(486억원),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육성사업(79억원),
항노화바이오 기능성 소재개발 및 글로벌 사업화(7억원),
- [융합형 컨텐츠 산업] 부산콘텐츠마켓 개최 지원(23억원), 3D프로덕션센터 설립 및 운영(20억원), 부
산문화콘텐츠스타프로젝트 운영(6억원)
■ 전통 주력산업(제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R&D투자
-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지원(177억원)
- 조선해양플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70억원)
- 자동차 메커니즘부품 고도화 협력기술개발 기반구축(44억원)
- 지능형 신발공장 구축(52억원)
- 조선기자재 성능고도화 기반구축(21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0 101
■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374억원)
- 육・해상 풍력터빈 O&M기술 고급인력양성(9억원)
- 지역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사업(7억원)
-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사업(11억원)
- 부산형 SW인재 사관학교 운영(7억원)
■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 대학 산학연 연구단지 조성사업(57억원)
- 산학 융합지구 조성 지원(62억원)
- 지역특화기술개발확산 개방형연구실 운영(20억원)
- 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촉진사업(7억원)
- 부산과학축전 개최 지원 및 부산과학기술상 지원(2억원), 로봇경진대회(2억원)
10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부산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일자리경제실 혁신경제과와 미래산업국에서 담당
그림 3-2-1 부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103
표 3-2-12 ❙ 부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9,013 - 15,465 224 38 61 3,225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2-13 ❙ 부산광역시 일자리경제실 혁신경제과와 미래산업국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미래산업국 ∙ 미래산업정책 기획,발굴,협의,조정, 미래산업 관련 현안
추진
∙ 4차산업 특별위원회 설치 및 운영
∙ 국가혁신클러스터 사업, 전략산업, 구상사업 발굴, 건의
사항, 현장방문 등
∙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 시의회, 회의
∙ 기술지원팀 업무 총괄
∙ 부산국제기계대전에 관한 사항, 레이저 가공기술 산업화
지원센터에 관한 사항, 청정공기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로봇R&D 및 로봇산업 육성 사업, 신기술융합 지능형
기계부품산업 고도화 기반조성사업, 인공지능 로봇활용
기업경쟁력 고도화 사업, ICT 해양로봇융합 기술지원사업,
노후 상수관 갱생 로봇 시스템 개발사업, 노약자용 소
프트 웨어러블 슈트 기술개발사업, 로봇기반 혁신선도
전문인력양성사업, 부산로봇경진대회 개최, ICT 로봇체
험관 운영, 2026 IFAC 국제학술대회 부산유치 지원,
2022 IEEE RO-MAN 국제학술대회 부산유치 지원
∙ 미래형자동차항공팀 업무총괄
∙ 드론 및 항공산업 육성 업무
∙ ICT 융합신산업 육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 모바일AI센터 운영관리
∙ 가상증강현실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육성
∙ 부산 가상증강현실 융복합센터 운영 및 관리
∙ 부산 VR/AR제작거점센터 운영 및 관리
∙ 부산 어린이 VR 재난안전체험교육장 구축・운영
∙ 실감콘텐츠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ICT인프라팀 업무총괄
∙ 부산정보고속도로 운영
∙ 정보통신공사 감리원 배치 신고
∙ 부산국제자동차 모터쇼
∙ 자동차 부품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재)부산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도감독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성과 평가
∙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추진
∙ 수소차 보급 및 지원 관련 업무
∙ 조선해양플랜트팀 업무총괄
∙ 스마트시티기획팀 업무 총괄
∙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
∙ 스마트도시 구축사업 국가공모사업, 시범사업 추진
∙ EDC 스마트시티 생태계조성
∙ 해외협력(스마트시티포럼, ITU전권회의 후속)
∙ 사물인터넷 창업생태계 조성 등
∙ 부산 EDC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디지털 트윈,
데이터센터, 스마트IOT, 혁신생태계) 등 스마트시티
인증 및 표준화
∙ 스마트시티 공공기관, 기업, 민간투자 등 협력 추진
∙ 스마트시티 규제샌드박스
∙ 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수립 및 신산업발굴육성
∙ 융합기술센터 설립
∙ 지역SW사업진흥지원사업
∙ 지역SW융합클러스터 조성사업
∙ SOS랩 구축 및 SW서비스 개발사업
∙ 수도권 마케팅 지원센터 운영관리
∙ IT EXPO BUSAN
∙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 구축 사업
∙ IT.CT산업 육성 펀드
∙ ETRI공동연구실 지역협력사업
∙ 동남권 Grand ICT연구센터 운영 지원 등
∙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
∙ SW중심대학, SW인재사관학교, 정보통신교육
혁신경제과 ∙ 산업R&D혁신팀 업무총괄
∙ 국가핵심기술 선도프로젝트 사업운영
∙ 연구개발 조정회의 운영
∙ R&D 예산배분 조정 등
∙ 부산연구개발지원단 운영, R&D통계
∙ 과학문화업무 총괄
∙ 과학기술정책 수립 및 시행
∙ 국립부산과학관 운영 및 지원
∙ 과학기술문화 확산 기관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 어린이과학체험관 건립 등 국립부산과학관 관리운영
10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개요
■ (근거) 부산과학기술진흥조례 제4조(설치・기능) ~ 제14조(시행세칙)
■ (기능) 부산시 과학기술진흥 관련 계획수립, R&D사업의 기획・평가, R&D예산 투자 효율화
등에 대한 자문・심의・의결 수행
■ 심의・의결 사항
- 시의 과학기술진흥의 방향과 전략에 관한 사항
-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혁신 및 연구개발의 지원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사업의 기획・평가 및 관리에 관한 사항
- 연구개발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조정 등 연구개발예산의 투자효율화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에 관한 사항
-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균형적 지원 및 발전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위원장이 회의에 부치는 사항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체계) R&D사업의 정책개발, 평가 등에 대한 효율적 심의를 위하여 3개 분과 운영
- (운영위원회) 위원회 안건 사전검토, 위원회에서 위임된 사항 심의 등
- (기획전략위원회) 중대형 R&D 과제 심의 및 선정, 예비타당성사업 발굴 및 지원 등
- (평가조정위원회) R&D 사업 평가 규정재개정, 연차별 R&D 사업 평가계획・결과 심의 등
∙ 부산과학연구단지 육성지원
∙ 부산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지원
∙ 부산 R&D주간
∙ 비스텝 운영지원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추진
∙ 연구성과 사업화 혁신지구 조성 등
∙ 부산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개발계획 등 총괄 관리
∙ 부산글로벌테크비즈센터 지원・운영
지원
∙ 과학축전 개최지원 등
∙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지역과학문화 거점센터 운영
과학기술교류회 CTO 이사회 미래산업혁신관 건립
∙ 부산특구 성과창출 및 확산 촉진사업 추진
∙ 공공기술기반펀드(이노폴리스펀드) 운영・지원
∙ 미음 R&D허브단지 조성
REGIONAL S&T YEARBOOK 2020 105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
- 본위원회 1회 개최(11월/ 주요안건 : 부산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운영규정 개정(안)외 5건)
- 운영위원회 4회 개최(1, 5, 11, 12월/ 주요안건 : 부산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19년 추진 실적 및 20년도
시행계획, 위원회 운영규정 개정(안), 분과위원회 위원변경(안) 등)
- 기획전략위원회 5회 개최(4, 6, 9월/ 주요안건 : 지역혁신네트워크 기반 신규발굴사업 전문평가위원회
결과, 지역혁신사업 신규발굴사업, 부산형뉴딜 등 지원사업의 기획지원여부 등)
- 평가조정위원회 3회 개최(4, 7, 11월/ 주요안건 : 부산시 연구개발 성과평가 실시계획 및 결과(안), 부
산기술전문위원회 설치계획 및 운영요령(안) 등)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 위원장 및 위원의 구성
- 총 20명으로 구성(당연직 4명, 위촉직 16명)되며 임기는 2년(최대 1회 연임 가능)
- 위원장 : 부산시장(現부산시장 권한대행), 부위원장 : 경제부시장 및 위촉직 중 1인(現 BISTEP 원장)
표 3-2-14 ❙ 부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변성완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박성훈 부산광역시 당연직
부위원장 김병진 부산산업과학혁신원 2019.9.23 ~ 2021.9.22
위원 김선조 부산광역시 당연직
위원 김윤일 부산광역시 당연직
위원 도용회 부산광역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2020.8.24 ~ 2021.9.22
위원 이진규 부산대학교 2019.9.23 ~ 2021.9.22
위원 최종열 부산테크노파크 2019.9.23 ~ 2021.9.22
위원 강병윤 중소조선연구원 2019.9.23 ~ 2021.9.22
위원 이정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9.9.23 ~ 2021.9.22
위원 이두희 산업연구원 2019.9.23 ~ 2021.9.22
위원 옥영석 부경대학교 2019.9.23 ~ 2021.9.22
위원 이종수 부산대학교 2019.9.23 ~ 2021.9.22
위원 이근재 부산대학교 2019.9.23 ~ 2021.9.22
위원 강기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9.9.23 ~ 2021.9.22
위원 김종복 ㈜동남의화학연구원 2019.9.23 ~ 2021.9.22
위원 박인덕 한국기계연구원 2019.9.23 ~ 2021.9.22
위원 이석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19.9.23 ~ 2021.9.22
10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부산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부산시의 총 예산은 약 24조 1,589억 원으로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220억원
- 지역 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50%
- 과학기술 예산 중 부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9.49%
표 3-2-15 ❙ 부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41,589
재정자주도(%) 67.89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13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22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0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9.49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부산시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371억 원을 투자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에 국비는 623억 원, 지방비는 415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정세진 삼진야드 2019.9.23 ~ 2021.9.22
위원 표중규 KNN 2019.9.23 ~ 2021.9.22
REGIONAL S&T YEARBOOK 2020 107
표 3-2-16 ❙ 부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CENTAP 운영 128 1,220 - 1,34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재)부산산업과학혁신원 운영지원
국가핵심기술 선도프로젝트 기획유치사업
340 7,983 - 8,323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조선해양플랜트 글로벌 핵심센터 지원
56,601 4,386 10,131 71,11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
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
국립부산과학관운영지원
62,331 41,548 33,301 137,18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지원
신산업 창출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56,172 35,954 7,970 100,09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글로벌벤처 모태펀드조성
대학 산학연 연구단지 조성사업
20,774 9,810 10,010 40,594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극한환경용 부식제어융합기술기반구축
레포츠 섬유발전 기반구축
10,400 10,503 2,683 23,586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차세대 재활복지의료기기산업 육성사업
산학융합지구 조성 지원
14,721 10,619 6,109 31,449
합 계 221,467 122,023 70,204 413,693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0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부산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435개로 전국의 4.3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42% 증가
- 5년간 대학은 3개 , 공공연구소 9개 증가, 기업 843개 증가
표 3-2-17 ❙ 부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1 5.10 23 5.50 23 5.61 24 6.58 24 5.78
∙ 국공립 6 6.82 5 5.56 5 5.62 5 6.33 5 5.95
∙ 사립 15 4.63 18 5.49 18 5.61 19 6.64 19 5.74
공공연구소 26 4.85 25 4.50 29 5.10 35 8.73 35 5.45
∙ 국공립 6 4.76 4 3.39 6 4.72 6 8.33 5 3.50
∙ 정부출연 10 5.08 9 5.56 11 6.88 12 15.79 12 7.10
∙ 병원 및 기타 10 4.69 12 4.36 12 4.27 17 6.72 18 5.45
기업 1,533 4.21 1,515 3.96 1,758 4.13 2,241 4.62 2,376 4.33
∙ 정부투자기관 1 2.22 - - - - - - 1 1.82
∙ 민간기업 1,532 4.21 1,515 3.96 1,758 4.14 2,241 4.62 2,375 4.34
합 계 1,580 4.23 1,563 3.98 1,810 4.16 2,300 4.67 2,435 4.3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09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부산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2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가 존재
표 3-2-18 ❙ 부산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9 1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9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 부산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8만 5,66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6,103명(전체의 약 8.7%), 공학계열 학생이 4만 9,713명(전체의
약 26.8%)
표 3-2-19 ❙ 부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6,103 49,713 65,816 18,293 19,423 10,807 19,196 52,133 185,668
비중(%) 8.7 26.8 35.4 9.9 10.5 5.8 10.3 28.1 1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1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인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
과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
연구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부산광역시에는 총 9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동아대에 1개, 부산대에 8개 센터 설치・운영
표 3-2-20 ❙ 부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동아대학교
(1개 센터)
2016 말초신경병증 연구센터 MRC
부산대학교
(8개 센터)
2011 조선해양플랜트 글로벌핵심연구센터 GCRC
2014 건강노화 한의과학 연구센터 MRC
2015 혈관성 질환 유전자세포치료 연구센터 MRC
2017 [지정]빅데이터 기반 금융 ・ 수산 ・ 제조 혁신 산업수학센터 ERC
2018 태양광 에너지 지속가능 활용 연구센터 ERC
2018 치주질환신호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9 설계기반 미래성형 기술개발(후속) ERC
2020 친환경스마트선박부품기술혁신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REGIONAL S&T YEARBOOK 2020 111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부산의 지역혁신센터는 총 3개로, 동의대, 동아대, 동서대가 각각 1개를 운영 중에 있음
표 3-2-21 ❙ 부산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동의대 블루바이오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동아대 고기능성 밸브기술지원 지역혁신센터
동서대 첨단 아케이드 게임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부산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6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2-22 ❙ 부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1-30
동명대학교 동명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2-03-29
동서대학교 동서대Dream.E.Valley 1999-11-22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2-24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2
동주대학교 동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부경대학교 부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12-22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중소기업창업보육센터 1999-11-12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부산이노비즈센터 2005-02-01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 지식창업보육센터 1999-12-13
11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부산에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로 총 8개의 과학관이 운영 중
표 3-2-23 ❙ 부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부산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
수산과학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
부산광역시어린이창의교육관 부산시교육청 공립
부산과학체험관 부산시교육청 공립
부산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부산시교육청 공립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부산시교육청 공립
낙동강하구에코센터 부산광역시 공립
LG사이언스홀 부산 ㈜LG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 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부산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560개
표 3-2-24 ❙ 부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46 584 563 544 530 525 560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중소조선연구원 중소조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0-09-0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3-04-30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한국폴리텍대학 부산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0-04-27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벤처진흥센터 2001-06-01
REGIONAL S&T YEARBOOK 2020 113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부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6,05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300건
- 특허출원과 등록건수 모두 ‘18년 대비 2%, 3% 감소
표 3-2-25 ❙ 부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4,738 5,337 5,786 5,989 6,422 6,172 6,058
특허등록 건수 2,850 2,790 2,281 2,527 3,061 3,412 3,30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19년 부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5,244편, 주저자 기준 2,660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5.18%, 4.91%를 차지
표 3-2-26 ❙ 부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4,414 4.78 41,289 9.35 2,352 4.65 15,021 6.39
2018 4,699 4.92 21,884 4.66 2,598 5.00 9,546 3.67
2019 5,244 5.18 9,304 1.77 2,660 4.91 3,566 1.3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11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로 융성하는 품격도시 부산 창조
■ 목표 :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스마트 제조혁신 플랫폼 구축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경제체제) 플랫폼구축, 혁신성장 기반 강화
- 7대 전략산업 육성
- 혁신도시(센텀・문현・동삼), 산단(센텀2・신평・장림・녹산)
- 규제자유특구 확대(블록체인→해양)
- 스마트시티, ICT융합, 창업촉진지구
■ (주력산업) 스마트 제조혁신, 산업경쟁력 확보
- (자동차・조선) 친환경 접복, 유망품목 집중
- (기계부품・로봇) 스마트팩토리(900개)
- (신발・섬유) 혁신기술 융복합 고부가 전환
- (소재) 4대 산업 집중(탄성・점착・탄소・해양)
■ (혁신인재) 창의・기업맞춤인재 양성
- 생애전주기 SW인재 양성(연간 2만명)
- 산업별 핵심인력 양성(AI, 금융, 로봇, 마이스 등)
- 글로벌 인재양성 기반 구축
■ (신산업) 미래 트렌드, 고부가 신산업 육성
- (친환경에너지) 파워반도체, 방사선 의과학, 수소 등
- (첨단산업) 헬스케어, 바이오, 드론, 스마트팜 등
- (신서비스) 중장기계획(5년), 투자펀드(75억원)
- (특화금융) 핀테크, 파생시장 활성화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115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미래변화 대응) 4차산업 핵심기술 기반 ICT・SW융합 산업생태계 조성 및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 신산업 컨트롤타워 구축
- (ICT・SW융합) 해양 ICT융합 비즈니스벨트 조성, 한-아세안융합빌리지, 5G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SW융합클러스터 2.0 조성, SW중심대학, SW 기업성장 및 신사업발굴・인재양성
- (컨트롤타워) 4차 산업혁명 추진본부 구축운영, 정보화총괄자문관 운영, 서울 등 타 지자체-유관기관-
기업 등과 협력체계 구축, 4차 산업혁명 특위 내실화 및 민간전문가 네트워크 활성화 추진
■ (경제체질 개선) 스마트 제조혁신으로 지역 주력산업의 기술 고도화・첨단화 실현 및 지역특화
해양부문의 ICT 융・복합을 통한 해양신산업 창출 및 고부가 수산업 육성기반 강화
- (자동차) 자동차 매커니즘 부품고도화 협력기술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수소차 보급확대・충전인
프라 확충 등 미래차 관련 기술고도화 지원
- (조선) 친환경 수소연료선박 R&D 플랫폼 구축, 중소형 고속선박 설계 지원센터 구축 등 지역 조선업
기후변화 대응 및 경쟁력 강화 지원
- (해양) 인프라-R&D-기업발굴-비즈니스 모델개발 등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으로 첨단 해양신산업 창출
- (수산) 양식산업과 ICT 등 첨단기술 융합 신개념 양식시스템 구축 및 4차산업 기술과 수산업 융・복합
을 위한 플랫폼 구축
■ (인프라 조성) 국립부산과학관 인프라 확충 및 과학기술・문화 관련 콘텐츠 보급・개발로 과학
기술문화 확산 및 대중화와 함께 미래 신산업 저변 확대
■ (네트워크 구축) 부산산업과학혁신원을 거점으로 지역대학이 보유한 우수 인프라 및 연구성
과를 활용할 수 있는 대학 중심의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 및 혁신역량 강화 추진
▣ 전략별 중점추진 과제
전략 중점 추진과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미래형 신산업
창출
ICT융합기술 개발 및
해양 신산업 기술경쟁력 제고
해양데이터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VR・AR, AI, 디지털트윈 등) 연계를
통한 해양 신산업 창업 및 육성 생태계 조성
부산형 서비스 신산업 창출
R&D기반의 서비스산업 고도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선제적 대응과
新성장동력으로 서비스산업 육성
융합부품・소재 기업의 고도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수요 기반형 근접기술지원 및 R&D역량 강화지원을
통하여 공통애로기술 해결 및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전략・특화산업 기업의
R&D경쟁력 강화
주력산업(조선기자재, 자동차, 기계, 신발 등)의 고부가가치화와 R&D기반
인프라 구축을 통한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11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전략 중점 추진과제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혁신 촉진
대학 및 연구기관의 인적・물적 인프라를 활용한 신기술, 신제품 및 기술
개발 R&D지원을 통해 성과창출 극대화
R&D투자 확대 및
효율화
부산시 과학기술
정책방향 실현
과학기술 정책방향 실현을 강화할 수 있는 R&D분야 집중 투자확대와 4
차산업 및 미래신산업 R&D사업 기획 및 유치 활성화
R&D투자 확대
미래 산업생태계를 주도할 신산업・융합산업창출을 통한 국가 R&D사업 유치
및 자체 연구개발 투자확대로 지속가능한 부산 혁신성장 기반구축
R&D투자 방향 수립
한정된 부산시 R&D예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 및 전문
성이 확보된 배분을 통한 투자의 전략성 제고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
자동차・조선산업 친환경화로 고부가 유망품목 중심 전환 및 기계부품・로
봇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지역 주력산업의 미래산업으로 이행
지역R&D 역량강화를
위한 미래 창의인재
양성
미래 신직업군 대응
우수인재 양성
미래사회 변화 요구에 대응하는 부산의 신직업군 선제적 발굴 및 고부가가
치 미래 신직업・신산업(블록체인·인공지능 등) 분야 일자리 창출
창의・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공학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 및 지역 및 국가 산
업을 선도할 창의․융합형 글로벌 공학인재 양성
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 강화
환자치료 위주 전문의를 의료산업 연구자・창업자로 역량 강화, 의료현장
기반 과제 발굴을 통한 특허 등록 및 사업화 지원체계 조성
과학기술 혁신플랫폼
활성화
R&D집적 단지 조성
및 고도화
부산연구개발특구 내 부산글로벌테크비즈센터(B-TBC)와 미음R&D허브단지
를 동남권 기술사업화 지원의 거점으로 육성
주력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
해양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소재․부품들의 수입 대체 및 해외수출로 해양 융
복합소재 산업 생태계 제고 및 혁신소재 중심의 산업구조 개편
지역대학을 활용한 R&D협력
대학 산학연 연구단지(URP) 조성을 통한 미래산업 클러스터 거점 대학 역할
강화, 후속사업 대학혁신연구단지(I-URP) 기획 및 연계 지원
시민체감형 과학문화 확산 및
저변확대
「과학문화도시-부산」을 구현하기 위한 사업으로 시민 모두가 쉽게 과학
기술에 접근하고 즐길 수 있는 과학체험 프로그램 추진
지역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기술개발
개인맞춤형 정밀의료 기술
및 서비스 고도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급형 안과질환 진단 안저촬영기 개발, 안과질환
조기진단 및 치료 솔루션 개발 및 진단서비스 보급
방사선 의・과학산업 고도화
방사선 의・과학산업의 육성을 통해 국민 의료복지 향상 기여 및 고부가
가치 의료산업 발전 선도 추진
첨단영상의 미래 산업화
디지털콘텐츠 및 영상분야 신기술을 개발하여 지역전략산업(영상) 육성,
지역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및 인력 양성
기술개발을 통한
주력 제조 기반산업 고도화
자동차부품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부품공급 확대 및
기술력 향상과 신뢰성 확보 등으로 수출경쟁력 향상 도모
REGIONAL S&T YEARBOOK 2020 117
제3절 대구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대구의 인구는 약 243만 명으로 전국의 4.70%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대구 인구의 비중은 20187년 대비 소폭 하락함
표 3-3-1 ❙ 대구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2,454,733 2,461,002 2,465,268 2,449,789 2,432,442
전국대비 비율(%) 4.85 4.80 4.79 4.75 4.70
경제활동참가율(%) 61.3 61.7 61.2 60.0 60.2
실업률(%) 3.5 4.2 4.0 2.9 3.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11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구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54.6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1.31%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5.2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19.75%로 뒤를 이음
표 3-3-2 ❙ 대구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51,822,013 51,823,902 52,721,214 53,964,991 54,599,110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47,192 152,486 156,574 133,367 128,388
(지역내비중,%) (0.28) (0.29) (0.30) (0.25) (0.24)
제조업 10,897,982 10,619,719 10,984,937 11,421,725 10,782,515
(지역내비중,%) (21.03) (20.49) (20.84) (21.17) (19.7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45,374 372,843 394,464 377,427 383,584
(지역내비중,%) (0.67) (0.72) (0.75) (0.70) (0.70)
건설업 2,903,947 3,002,378 2,552,943 2,358,042 2,539,065
(지역내비중,%) (5.60) (5.79) (4.84) (4.37) (4.65)
기타서비스업 22,784,010 23,234,969 23,580,531 24,279,722 24,694,003
(지역내비중,%) (43.97) (44.83) (44.73) (44.99) (45.23)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083,640 10,698,589 11,250,556 11,617,260 12,149,004
(지역내비중,%) (21.39) (20.64) (21.34) (21.53) (22.25)
순생산물세 3,659,868 3,742,918 3,802,070 3,791,220 3,908,202
(지역내비중,%) (7.06) (7.22) (7.21) (7.03) (7.16)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119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대구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29조 5,074억 원이고, 3,264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0만 3,15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5조 6,098억 원(전체의 19.00%),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708개(전체의 21.69%), 종사자 수에서는 ‘금속 가공
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1만 7,661명(전체의 17.11%)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3-3 ❙ 대구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 주1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
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375,385 4.66 135 4.14 4,539 4.40
음료 제조업 333,979 1.13 7 0.21 645 0.62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760,343 9.35 537 16.45 13,854 13.4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16,660 1.07 96 2.94 2,308 2.2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06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93,286 0.32 21 0.64 443 0.4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167,988 3.96 83 2.54 2,900 2.8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29,010 0.78 51 1.56 1,331 1.2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1 0.03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0,624 1.32 42 1.29 968 0.94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9,450 0.30 11 0.34 432 0.4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150,721 7.29 259 7.94 9,339 9.0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40,386 1.15 49 1.50 1,112 1.08
1차 금속 제조업 1,621,568 5.49 84 2.57 3,017 2.92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266,765 14.45 708 21.69 17,661 17.1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16,169 2.76 56 1.72 3,480 3.3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05,213 3.74 154 4.72 4,551 4.41
전기장비 제조업 1,550,760 5.25 127 3.89 4,899 4.7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071,761 17.18 503 15.41 15,380 14.9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609,813 19.00 277 8.49 14,940 14.4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0,773 0.10 9 0.28 229 0.22
가구 제조업 93,954 0.32 17 0.52 458 0.44
기타 제품 제조업 78,064 0.26 28 0.86 533 0.52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4,741 0.05 7 0.21 136 0.13
합 계 29,520,768 100.00 3,264 100.00 103,209 100.00
12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섬유제품 제조업(의복 제외)’으로 나타남
표 3-3-4 ❙ 대구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음료 제조업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낮음
∙ 식료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
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121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구광역시는 ‘메카트로닉스산업육성’과 ‘의료산업육성’ 사업을 집중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3-5 ❙ 대구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메카트로닉스산업 육성
대구 튜닝전문지원센터 설립
자율주행차 실도로기반 실증평가 기술개발
의료산업 육성
신활력 한방산업육성사업
비만매개질활 연구센터 지원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지원
한의약소재은행구축사업
한약제제 제형 현대화사업
의료기기 표준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활성화 지원사업
의료용 유용단백질 핵심기술지원센터 구축
※ 출처 : 대구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12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16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2개가 있음
- 단지 21곳의 가동 업체는 9,257개, 총 종사자는 119,501명
표 3-3-6 ❙ 대구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19년 2/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구국가 8,549 7,480 178 69 2,598 - 조성중
일반
성서1차 2,687 2,687 835 833 11,987 100.0 완료
성서2차 4,750 4,101 1,007 1,006 21,031 100.0 완료
성서3차 3,329 2,831 666 664 11,105 100.0 완료
성서4차 433 433 55 54 3,855 100.0 완료
대구출판 243 243 87 85 1,079 100.0 완료
대구이시아폴리스 1,176 1,176 62 55 1,351 100.0 완료
검단 782 782 557 544 7,855 100.0 완료
대구염색 846 846 126 121 5,065 100.0 완료
달성1차 4,079 4,079 344 343 13,283 100.0 완료
달성2차 2,707 2,582 279 259 4,562 100.0 완료
대구테크노폴리스 7,258 7,258 92 67 3,020 72.6 조성중
성서5차첨단 1,470 1,406 109 107 4,617 100.0 완료
대구제3[재생사업지구] 1,685 1,679 2,498 2,498 12,493 100.0 완료
금호워터폴리스 1,117 1,117 - - - - 미개발
달성대성하이스코 58 58 - - - - 조성중
서대구(재생사업지구) 2,662 2,662 2,486 2,486 14,522 100.0 완료
도첨
대구신서혁신도시
(공공주택지구)도시첨단
149 149 - - - 18.4 완료
율하 167 167 - - - - 미개발
농공
구지 193 193 19 19 520 100.0 완료
옥포 160 160 47 47 558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3/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123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11월 기준 대구시에는 총 1,63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236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84개로 그 뒤를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83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0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3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3-7 ❙ 대구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광업(05~08)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40
음료 제조업 4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0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
1차 금속 제조업 2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37
전기장비 제조업 9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8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9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
가구 제조업 8
12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기타 제품 제조업 2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5
건설업(41~42) 24
도매 및 소매업(45~47) 32
운수 및 창고업(49~52) 0
숙박 및 음식점업(55~56) 0
정보통신업(58~63) 236
금융 및 보험업(64~66) 0
부동산업(68)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6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1,637
REGIONAL S&T YEARBOOK 2020 125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구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9위 수준
- ’19 연구개발인력은 1만 9,739명으로 전국 대비 2.75%를 차지하였고, 최근 연구개발인력 5개년 증감
율은 약 3.92%로 증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0,000명(전국의 2.1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8,096명(전국의 4.17%)으로 대학이 뒤를 이었으며, 공공연구소는 1,643명(2.63%)으로 가장 적게
나타남
표 3-3-8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625 3.58 6,824 3.67 6,959 3.75 7,815 4.06 8,096 4.17
∙ 국공립 5,365 6.78 5,370 6.99 5,572 7.29 5,990 7.54 6,155 7.70
∙ 사립 1,260 1.19 1,454 1.34 1,387 1.27 1,825 1.61 1,941 1.70
공공연구소 1,471 2.72 1,586 3.74 1,640 2.94 1,511 2.59 1,643 2.63
∙ 국공립 85 0.79 98 0.94 257 2.40 415 3.39 488 3.79
∙ 정부출연 493 1.49 408 1.28 403 1.26 478 1.47 525 1.52
∙ 병원 및 기타 893 8.75 1,080 8.45 980 7.48 618 4.55 630 4.18
기업 8,827 2.32 8,255 2.15 8,299 2.03 9,634 2.19 10,000 2.16
∙ 정부투자기관 43 1.20 40 1.05 44 1.12 57 1.46 49 1.27
∙ 민간기업 8,784 2.33 8,215 2.16 8,255 2.04 9,577 2.19 9,951 2.17
합 계 16,923 2.73 16,665 2.72 16,898 2.60 18,960 2.74 19,739 2.7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2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9년 대구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9명 증가한 57.7명으로 조사됨
표 3-3-9 ❙ 대구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47.6 46.5 47.9 54.8 57.7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대구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3,360억 원으로 전국의 1.50% 차지
-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4.88%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456억(전국의 4.69%), 공공연구소는 약
2,094억 원(전국의 2.06%), 기업이 약 7,810억 원(전국의 1.09%)을 기록
표 3-3-10 ❙ 대구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80,797 4.68 305,103 4.81 306,097 4.58 326,642 4.63 345,594 4.69
∙ 국공립 242,136 8.92 265,549 9.24 264,317 8.94 276,975 8.97 291,210 8.89
∙ 사립 38,661 1.18 39,554 1.14 41,780 1.12 49,667 1.25 54,384 1.33
공공연구소 188,038 2.13 220,249 2.42 272,819 2.86 215,880 2.19 209,394 2.06
∙ 국공립 5,536 0.71 6,542 0.88 20,819 2.61 27,653 3.40 35,041 4.19
∙ 정부출연 85,995 1.23 84,004 1.18 121,628 1.64 107,320 1.42 101,405 1.30
∙ 병원 및 기타 96,507 8.95 129,703 10.58 130,372 9.81 80,907 5.46 72,948 4.78
기업 635,151 1.24 670,462 1.24 659,037 1.05 783,257 1.14 781,038 1.09
∙ 정부투자기관 3,518 0.56 3,635 0.45 4,321 0.49 3,841 0.42 6,550 0.75
∙ 민간기업 631,633 1.25 666,827 1.25 654,716 1.06 779,416 1.15 774,488 1.10
합 계 1,103,985 1.67 1,195,814 1.24 1,237,953 1.57 1,325,779 1.55 1,336,026 1.5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27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대구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30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62%
표 3-3-11 ❙ 대구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465 5,661 6,104 6,233 6,301
(3.0) (3.1) (3.2) (3.2) (3.1)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민관협업 거버넌스형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을 통한 4차산업 대응체제 구축
- 지역 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5억원), 지역 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2.7억원),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
육성사업(8억원) 등
■ 클러스터 활성화를 통한 중점 추진사업의 가치창출 경로 다양화
- 첨복단지 건립운영 등(551억), 한국뇌연구원 운영(256.2억원), 연구중심병원육성 R&D 사업(46.9억원),
자성 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2.4억원), 의료기기 표준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 활성화 지원사업
(25억원), 스마트헬스케어 종합지원센터 구축(27억) 등
■ 경쟁력 있는 4차 산업혁명 대응기술 확보로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
- 사물인터넷기반 스마트시티조성 확산사업(9.5억원), 첨단 운전자지원 시스템 플랫폼 구축(28억원),
미래형자동차 선도기술 개발 지원사업(38억원), 지역산업기반 스마트이동체 융합기술 개발(35억원)
■ 지역 전통산업분야에 대한 지역 제조업의 스마트 혁신 전기 마련
- 안광학렌즈 소재기술 및 신뢰성 기반구축(12억원), 대구국제안경전(14.3억원), 뿌리산업 경쟁력강화
지원사업(5억원), 중소 뿌리기업 육성지원(1.6억원), 기계부품산업 스마트화 지원(4.2억원) 등
12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구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성장국 혁신성장정책과 스마트시티과와 일자리투자국 창업
진흥과에서 담당
그림 3-3-1 대구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129
표 3-3-12 ❙ 대구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2,995 - 10,253 148 50 31 2,513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3-13 ❙ 대구광역시 혁신성장정책과와 창업진흥과, 스마트시티과 과학기술 관련 역할
혁신성장국
스마트시티과
∙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 안전, 지자체 제안분야 관련 사항
∙ 첨단산업기술지원센터 관리
∙ SW융합산업 중장기계획 수립
∙ SW융합클러스터 조성 및 활성화에 관한 업무
∙ SW융합테크비즈센터 운영
∙ 혁신성장주도 SW융합 대표기업 육성사업
∙ SW융합클러스터 2.0사업
∙ 블록체인 및 에듀테크 산업육성
∙ 지역SW산업 생태계분석사업
∙ 기업지원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 레이저 융합기기산업‧첨단소재 가공산업, 3D융합산
업, 3D휴대용 스캐너 산업 등 육성
∙ 3D프린팅 지원센터 운영 지원
∙ 대구 DRONE FESTA 개최 지원
∙ 미래첨단사용자편의서비스 기반조성사업
∙ 대구정보보호지원센터 및 보안 산업 지원
∙ 그린 IT여성 창업 지원
∙ 지역 제조업 설계지원
∙ 지능형 스마트홈 디바이스 제품화 지원
∙ 군집지능형 IoT플랫폼 연구개발 지원
∙ VR/AR산업육성(혼합현실 콘텐츠 실증확산사업, 지
역 VR/AR 제작지원센터 거점구축사업, 대구 SOS랩
운영 및 SW서비스 개발사업, 지역 첨단 HCI 산업기
반구축사업, 대경권SW품질역량강화사업, (재)대구디
지털산업진흥원 운영 등)
∙ 지역SW기업 성장・지원, 지역SW융합제품 상용화 지
원, 초기기업 SW제품 상용화 지원, SW융합기술지원
센터 운영, 클라우드산업 육성, 지역 ICT기업 인력채
용 지원, SW인력양성 등)
∙ ICT산업육성사업 발굴・기획 및 지원
∙ 드론산업 육성, 무인비행장치 안전성 검증 시범사업
추진, 드론 국가 전용비행장 구축, 안전편의 서비스
용 스마트드론 활용기술 기반구축
∙ ICT 융합사업 발굴 및 추진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경권연구센터 지원
∙ 지역산업기반 스마트이동체 융합기술개발 지원
∙ 지역산업기반 ICT융합기술 고도화 지원
∙ 모바일융합센터 지원, ICT 스마트디바이스 개발 지원,
K-ICT 디바이스랩 운영 및 관련산업 육성,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지원
∙ 스마트특성화 기반 구축(IoT안전산업분야) 사업
혁신성장국
혁신성장정책과
∙ 대경혁신인재양성 프로젝트 사업 등
∙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 등
∙ 차세대선도팀 업무 총괄(지역전략 및 미래산업 육성
및 지원, 스마트웰니스 규제자유특구 기획,미래산업육성
추진단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이전공공기관연계
육성사업 등)
∙ 의료산업육성업무 총괄(의료융합콘텐츠사업,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사업(인체결합의료기기), 자성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 지원, 지역기반 스마트의료ICT 융복합중소기업
활성화 사업 등)
∙ 비대면 의료산업 육성 지원
∙ 의료R&D지구 입주기업 통근셔틀버스 운영지원
∙ 영상진단 의료기기 탑재용 AI기반 의료영상분석
솔루션 개발
∙ 대구국제치과종합학술대회(DIDEX) 개최 지원
∙ 인체맞춤형 치료물 제작기반 구축, 첨단의료기기
공동제조소 구축
∙ 의료허브조성팀 업무 총괄(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
첨단의료유전체연구소 설립,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기업
입주기업 인ㆍ허가
∙ 첨복단지 입주심사위원회 구성 및 운영, 입주(변경)승인
∙ 소규모 생산시설 설치(변경)승인
∙ 첨복단지 행정처분(시정명령, 입주 승인 취소, 청문)
처리 및 첨복재단 입주지원팀 업무 지원
∙ 뇌연구원 운영 및 연구개발사업 지원(인프라 확충,
치매 등 뇌관련 R&D지원,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의료기업 창업 및 취업지원) 사업, 첨복 내 도첨산
업단지 관리 등)
∙ 대구형 뉴딜TF 업무 총괄
∙ 국립대구과학관 파견
∙ HuStar(대경혁신인재양성프로젝트) 추진
∙ 의료기기표준플랫폼 기술개발 및 보급활성화 지원
13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관련규정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3장 과학기술진흥위원회
■ 위원회의 주요 기능 및 활동에 대한 설명
- 주요 기능
∙ 대구광역시의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관련되는 사항 등을 심의
- 심의 사항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의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정보・인력개발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유공자 선정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
- 위원회의 구성
∙ 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한 12명 이상 15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
∙ 위원장 : 경제부시장/ 부위원장 : 위원 중에서 호선으로 선출
일자리투자국
창업진흥과
∙ 창업진흥과 업무 총괄(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ㆍ지원,
C-Fund 조성・운영, C-Lab 운영・지원, C-Corridor,
창업카페, 벤처오피스 운영, 대구스타트업 어워즈 개
최 등)
∙ DASH(대구창업허브) 구축 및 운영
∙ 대구스타벤처 육성사업
∙ 제조기반 기업 실태조사 및 계획수립 등
∙ 대구리더스포럼 및 리더스펀드 운영(TIPS프로그램
운영,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 창업펀드 조성・운영,
연구개발특구 펀드 조성・운영 등)
∙ R&D 조사분석평가
∙ 연구개발사업조정회의
∙ 연구개발지원단 연구개발특구 테크비즈센터
∙ 지식재산센터 운영
∙ 차세대 선도산업기술개발 사업
∙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사업지원
∙ 신기술사업화 프로젝트 육성
∙ 산학협력팀 소관 업무 총괄(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운영 지원,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GIF)지원,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 대학 산학협력단 지원. 랩
투마켓 지원사업, 벤처기업 집적시설 및 육성촉진지구
활성화,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 글로벌 산업기술 교류협력사업 지원
∙ 사이언스파크 이노페어 지원
∙ 벤처기업(여성,첨단벤처,이노비즈 등) 지원 등
∙ 기업성장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지원 메이커 문화 확산
사업
∙ C-Seed 육성사업 지원
∙ 창업보육센터 지원
∙ 산업현장 기술지원 핫라인센터 지원
∙ 기술사관 육성프로그램 지원
∙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
∙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업사이클센터
REGIONAL S&T YEARBOOK 2020 131
∙ 당연직 위원 : 경제부시장(위원장), 경제국장(위원)
∙ 위촉직 위원 : 학계, 출연연, 기업지원기관, 기업인 등 직능별로 지역 과학기술진흥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인사로 구성
- 위원의 임기 : 2년(1회에 한해 연임가능)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2020. 01. 13)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19년 추진실적 및 ’20년도 시행계획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3-14 ❙ 대구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홍의락 대구광역시 -
위 원 최운백 대구광역시 -
위 원 양승한 경북대학교 2019.09.09.~2021.09.08.
위 원 송규호 대구기계부품연구원 2019.09.09.~2021.09.08.
위 원 문제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019.09.09.~2021.09.08.
위 원 석춘희 ㈜지주소프트 2019.09.09.~2021.09.08.
위 원 정성진 한국뇌연구원 2019.09.09.~2021.09.08.
위 원 김인선 계명대학교 2019.09.09.~2021.09.08.
위 원 김혜경 영남대학교 2019.09.09.~2021.09.08.
위 원 유영진 대구가톨릭대학교 2019.09.09.~2021.09.08.
위 원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2019.09.09.~2021.09.08.
위 원 김용욱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 2019.09.09.~2021.09.08.
위 원 조정일 (재)대구테크노파크 2020.09.09.~2021.09.08.
※ 출처 : 대구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구시의 총예산은 약 16조 7,095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137억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68%
- 과학기술 예산 중 대구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5.76%
13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3-15 ❙ 대구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167,095
재정자주도(%) 72.39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41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137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5.76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대구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692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는 각각 1,037억 원, 514억 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이 투자됨
표 3-3-16 ❙ 대구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대구경북디자인센터 운영 지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운영
한국염색기술연구원 운영 위탁
- 2,910 50 2,960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구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지역지원사업 통합성과관리
215 725 - 94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하협력선도(전문)대학육성사업
지능형 건설자동화연구센터 지원
33,451 3,793 4,765 42,009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대구과학관 운영지원
창업보육센터지원사업
19,471 4,295 2,893 26,65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103,741 51,471 14,025 169,237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출연금
한국뇌연구원 건립(운영)
65,203 18,724 30,287 114,214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우수기업성장동력화사업
로봇산업 시장창출 및 부품경쟁력강화사업
8,774 8,959 2,735 20,46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대구테크비즈센터 건립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35,262 22,852 6,667 64,781
합 계 266,117 113,729 61,422 441,26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3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대구의 연구개발조직 수는 총 2,122개로 전국의 3.80%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25%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3개 증가, 기업 516개 증가
표 3-3-17 ❙ 대구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 3.88 16 3.83 15 3.66 16 4.38 15 3.61
∙ 국공립 5 5.68 6 6.67 5 5.62 5 6.33 5 5.95
∙ 사립 11 3.40 10 3.05 10 3.12 11 3.85 10 3.02
공공연구소 27 5.04 28 5.05 27 4.75 29 7.23 30 4.67
∙ 국공립 1 0.79 2 1.69 1 0.79 2 2.78 2 1.40
∙ 정부출연 13 6.60 10 6.17 10 6.25 11 14.47 12 7.10
∙ 병원 및 기타 13 6.10 16 5.82 16 5.69 16 6.32 16 4.85
기업 1,561 4.29 1,499 3.92 1,609 3.78 1,939 3.99 2,077 3.79
∙ 정부투자기관 2 4.44 2 4.65 3 6.12 2 4.76 2 3.64
∙ 민간기업 1,559 4.29 1,497 3.92 1,606 3.78 1,937 3.99 2,075 3.79
합 계 1,604 4.29 1,543 3.93 1,651 3.79 1,984 4.02 2,122 3.8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3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대구 소재 대학 수는 12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7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3-18 ❙ 대구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 3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7 7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0 9 1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 대구 내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5,34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415명(전체의 약 12.0%), 공학계열 학생이 2만 3,211명(전체의
약 24.3%)
표 3-3-19 ❙ 대구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415 23,211 34,626 15,582 8,677 7,280 7,331 21,846 95,342
비중(%) 12.0 24.3 36.3 16.3 9.1 7.6 7.7 22.9 100
※ 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13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대구광역시에는 총 9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경북대가 4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 2개, 계명대, 영남대, 대구한의대학교에
각각 1개가 있음
표 3-3-20 ❙ 대구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북대학교
(4개 센터)
2014 종양 이형성 및 네트워크 제어 연구센터 MRC
2017 얼굴 신경-뼈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8 지능형 건설자동화 연구센터 ERC
2020 혈관-장기 상호작용 제어 연구센터 MRC
계명대학교
(1개 센터)
2014 비만 매개 질환 연구센터 MRC
영남대학교
(1개 센터)
2015 스마트에이징 융복합연구센터 MRC
대구한의대학교
(1개 센터)
2018 간질환 한약 융복합활용 연구센터 M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8 자성기반 라이프케어 연구센터 ERC
2018 암흑데이터 극한활용 연구센터(빅데이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13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구의 지역혁신센터는 총 2개로, 계명대가 2개를 운영 중에 있음
표 3-3-21 ❙ 대구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계명대
예측설계기반 전자화자동차부품 지역혁신센터
전통미생물 자원개발 및 산업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대구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2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3-22 ❙ 대구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2-29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창업지원단 1998-06-22
계명문화대학교 계명문화창업보육센터 2017-06-30
대구경북지방중소기업청(지방청) 대구경북중소기업청경북대학교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9-12-24
대구공업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9-06-08
(사)대구의료관광진흥원 대구광역시 의료관광창업지원센터 2017-04-04
(대구)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대구드림파크 (포스트BI) 1998-05-28
대구보건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30
수성대학교 수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7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0-27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청년ICT창업성장센터 2014-12-29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6-09-29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0 137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구는 국립과학관 2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로 총 7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3-23 ❙ 대구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대구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
국립대구기상과학관 대구기상지청 국립
대구창의융합교육원 대구시교육청 공립
대구광역시어린이회관 대구시 공립
아이니테마파크 ㈜아이니그룹 사립
네이처파크 전문과학관 ㈜스파밸리 사립
대구 아쿠아리움 전문 과학관 ㈜아쿠아월드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대구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219개
표 3-3-24 ❙ 대구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4 217 196 225 250 332 219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13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대구 특허출원 건수는 4,80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781건
- 특허출원 및 등록 모두 ‘18년 대비 증가
표 3-3-25 ❙ 대구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4,054 4,470 4,864 4,735 4,779 4,619 4,801
특허등록 건수 2,641 2,701 2,043 2,365 2,612 2,519 2,781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대구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025편, 주저자 기준 2,058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97%, 3.80%를 차지
표 3-3-26 ❙ 대구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755 4.07 32,844 8.75 1,953 3.86 13,608 6.97
2018 3,962 4.15 19,417 4.90 2,110 4.06 8,813 4.18
2019 4,025 3.97 7,531 1.87 2,058 3.80 2,815 1.37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139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 기반 미래 융복합 신성장산업 선도도시
■ 목표 :
- 지속적 과학기술 기반 및 역량 강화를 통한 과학기술 중심 도시
- 과학기술 기반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융복합 신산업 창출
- 산업・기술 융복합을 통한 혁신생태계 활성화
■ 전략 :
- 주력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기반 강화
- 미래 신성장 분야 인프라 확충을 통한 거점 강화
- 지역 주도형 R&D 확충을 위한 기획역량 강화 및 투자 확대
- 미래 신성장 산업 창출을 통한 지역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유망기업 체계적 발굴・육성을 위한 산학연 연계・협력 강화
- 과학 및 산업기술 연계 정책 수립을 위한 新거버넌스 구축
- 지역 R&D 추진 체계 개선을 통한 투자 효율성 강화
- 미래 신성장 분야 우수인력 역외 유출 방지 및 양성체계 구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민관협업 거버넌스형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을 통한 4차산업 대응체제 구축
- 과학기술과 산업기술 연계 정책(사업) 수립을 위한 新거버넌스 구축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활성화 및 대구시 연구개발사업조정회의 실행력 강화를 통한 지역 R&D 종합
조정 체계 구축
- 산업경제 거버넌스 운영, 기업패널 DB운영 및 성과분석 관리 등을 통한 지역 산업경제 관련 기획・분석
강화
14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혁신성장을 통한 주력산업 재도약 및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
- 지역 주력산업에 대한 고부가가치 산업구조의 개편, 신성장사업 분야 개척, 업종 다변화 등을 통한 지
역 주력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강화
- 다양한 도시문제를 공공・민간이 함께 ICT를 활용하여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미래 新성장동력 발굴
- 수성알파시티에 구축된 기반시설과 연계하여 5G 기반기술 확산
■ 의료산업 육성 및 글로벌 의료관광 기반 확보
- 의료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인프라 추가 확보와 첨복단지를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클러스터
구축으로 첨단의료산업 생태계 조성
- 의료와 관광, 산업과 서비스를 융합하고 공격적인 해외시장 개척을 통해 시장확대 및 다양한 수익모델
창출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대구주요지역에 자율주행 Test-Bed化 및 대구産 자율차 개발・실증을 통한 서비스 기반 新산업 육성
으로 자율주행 허브도시 구축
-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미래차 구조전환 R&D지원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첨단 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를 추진
- 과학과 공연・강연・전시를 융합한 선도적 과학소통의 지속적 추진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기 구축된 창업보육센터, 창업보육시스템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창업기업 육성과 성장 지원
- 생활밀착형 창업 공간 운영과 창업 체험 활동 등 창업문화 확산, 기술력‧잠재력있는 기업에 대한 스케
일업 지원 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0 141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구축
- 과학기술진흥위원회 활성화, 대구시 연구개발사업 조정회의 실행력 강화로 지역 R&D 종합조정 체계
구축
- 대구 산업경제 혁신성장 거버넌스 운영, 지역기업의 니즈를 반영한 산업별 육성방안 수립 등 중장기적・
체계적 정책 추진
■ 의료산업 육성 및 위드 코로나 대구의료관광 활성화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의료서비스 인프라 추가 확보 및 성과중심 R&D 육성을 통한 경쟁력
있는 의료중심도시 육성
- K방역 선도 의료관광도시 전략적 홍보 및 ICT 기술 활용 비대면 의료관광 마케팅 강화
■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 조성
- 기구축된 자율주행 인프라 통합관리 및 대시민 자율주행 유상운송 서비스 제공을 통한 완성형 자율
주행 실증도시 생태계 구축
- 지역 자동차부품기업의 기술개발 사업 참여 확대 및 금융지원으로 중소중견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및 미래차 전환 신속 지원
■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
- 수성알파시티 통합 데이터 허브의 개방・공유를 통해 스마트시티 관련 기업의 테스트베드 활용
- 시민체감 실증사업 추진 및 시민참여 리빙랩 활성화
- SW융합산업 인프라 확대, AI, 5G기반 융복합 신기술 집중 투자 및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 양성
■ 혁신형 창업생태계 조성
- 기 구축된 창업보육센터 및 창업보육시스템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창업기업 육성과 성장 지원
- 생활밀착형 창업 공간 운영과 창업 체험 활동 등 창업문화 확산 및 기술력‧잠재력있는 기업에 대한
스케일업 지원 확대
■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과학교육 인프라 확충 및 지역 과학기술문화 진흥
- 생활 속 과학기술문화 공간 확충 및 체험 프로그램 확대로 첨단 과학기술문화의 생활화 추진
- 과학과 공연・강연・전시를 융합한 선도적 과학소통 지속 추진
14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4절 인천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인천의 인구는 약 294만 명으로 전국의 5.69%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인천 인구의 비중은 2018년 대비 소폭 상승
표 3-4-1 ❙ 인천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2,886,172 2,913,024 2,923,047 2,938,875 2,943,992
전국대비 비율(%) 5.70 5.68 5.68 5.69 5.69
경제활동참가율(%) 64.2 64.8 64.7 65.6 65.4
실업률(%) 5.1 4.9 4.6 3.7 4.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143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인천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88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2.27%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2.4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이 23.48%로 그 뒤를 이음
표 3-4-2 ❙ 인천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80,137,506 82,257,112 85,791,563 86,426,825 87,671,521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70,169 395,417 386,260 345,002 339,776
(지역내비중,%) (0.46) (0.48) (0.45) (0.40) (0.39)
제조업 20,030,797 20,466,278 21,509,944 21,204,060 20,589,252
(지역내비중,%) (25.00) (24.88) (25.07) (24.53) (23.48)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511,849 4,191,747 4,355,448 3,855,800 3,983,370
(지역내비중,%) (5.63) (5.10) (5.08) (4.46) (4.54)
건설업 3,817,269 4,585,024 4,798,296 4,431,636 4,452,094
(지역내비중,%) (4.76) (5.57) (5.59) (5.13) (5.08)
기타서비스업 33,242,261 33,636,029 34,561,889 36,179,216 37,185,155
(지역내비중,%) (41.48) (40.89) (40.29) (41.86) (42.4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0,876,758 11,299,059 11,952,236 12,496,071 13,226,360
(지역내비중,%) (13.57) (13.74) (13.93) (14.46) (15.09)
순생산물세 7,288,403 7,683,558 8,226,001 7,855,623 7,883,080
(지역내비중,%) (9.09) (9.34) (9.59) (9.09) (8.99)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점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14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인천의 제조업을 통한 총 생산액은 66조 6,237억 원이고, 4,59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1,477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약 9조 5,141억 원(전체의 14.28%),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826개(전체의 18.00%),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만 8,578명(전체의 16.67%)으로 가장 높은 비중
표 3-4-3 ❙ 인천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
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5,311,164 7.97 211 4.60 7,650 4.46
음료 제조업 - - 2 0.04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78,784 0.42 58 1.26 1,384 0.8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63,574 0.40 62 1.35 1,512 0.8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06,576 0.31 12 0.26 304 0.1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885,222 2.83 156 3.40 4,788 2.79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429,012 0.64 69 1.50 1,929 1.1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07,865 0.31 50 1.09 1,429 0.8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7,164,381 10.75 7 0.15 747 0.44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473,407 3.71 215 4.68 8,034 4.6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113,636 3.17 19 0.41 6,172 3.6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236,257 4.86 359 7.82 13,426 7.8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76,345 1.92 97 2.11 2,954 1.72
1차 금속 제조업 7,290,561 10.94 228 4.97 9,155 5.3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105,954 6.16 826 18.00 20,298 11.8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016,384 9.03 401 8.74 21,557 12.5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72,819 1.46 155 3.38 4,387 2.56
전기장비 제조업 3,374,915 5.07 385 8.39 12,378 7.2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514,142 14.28 870 18.95 28,578 16.6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9,275,385 13.92 195 4.25 18,895 11.0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3,980 0.16 19 0.41 479 0.28
가구 제조업 734,042 1.10 100 2.18 2,814 1.64
기타 제품 제조업 334,914 0.50 87 1.90 2,225 1.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7 0.15 - -
합 계 66,623,699 100.00 4,590 100.00 171,477 100.00
REGIONAL S&T YEARBOOK 2020 145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4-4 ❙ 인천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가구 제조업
비교적
높음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1차금속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낮음
∙ 코크스, 연탄 및 석유 정제품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
신장비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14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인천시는 ‘메카트로닉스 분야(자동차산업, 로봇산업)’와 ‘바이오’, ‘ICT‘, ‘항공’ 사업을 중점적으로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4-5 ❙ 인천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메카트로닉스분야
(자동차산업, 로봇산업)
중소기업 모터시험 인증지원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지원사업
기업간 제조협력 서비스 플랫폼 운영
로봇랜드 로봇산업진흥시설 운영
바이오
바이오지식공유 아카데미
바이오제품 유효성평가 지원
바이오헬스케어 제품개발 지원
바이오 아시아 국제교류협의회 운영
저산소표적질환센터 지원
뷰티도시 조성사업
ICT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기반센터 구축 사업
지역SW기업성장지원
SW미래채움
SW융합클러스터 2.0
항공
인천항공센터 운영 및 선도기업 육성지원
인천 산학융힙지구 조성사업
※ 출처 : 인천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0 14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2개, 도시첨단산업단지 2개가 있음
- 총 16개 산업단지의 가동업체는 10,926개이며 , 총 종사자 수는 167,709명
표 3-4-6 ❙ 인천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남동 9,574 9,574 6,846 6,657 102,400 100.0 완료
한국수출산업 1,787 1,786 2,126 2,108 25,673 100.0 완료
일반
인천기계 350 350 174 173 3,190 100.0 완료
인천 1,136 1,136 493 478 6,583 100.0 완료
검단 2,251 2,251 951 910 10,921 97.3 완료
인천서부 939 938 283 271 5,423 100.0 완료
청라1지구 194 194 34 34 826 100.0 완료
송도지식정보 2,402 2,400 198 196 9,861 90.9 완료
강화하점 59 59 15 8 81 100.0 완료
강화 462 462 74 40 575 100.0 완료
I-FoodPark 283 283 57 5 92 0.0 조성 중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 56 56 - - - 0.0 미개발
서운 525 525 70 40 1,614 100.0 완료
영종항공
(인천경제자유구역)
508 508 - - - 0.0 조성 중
도시첨단
남동 233 233 - - - 0.0 미개발
IHP
(인천경제자유구역)
1,171 1,171 30 6 470 33.1 조성 중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14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인천시에는 총 1,739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41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
비스업’이 92개로 그 뒤를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54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87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7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
처기업 위치
표 3-4-7 ❙ 인천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
광업(05~08)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47
음료 제조업 1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0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1
1차 금속 제조업 3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8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0
전기장비 제조업 16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5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7
REGIONAL S&T YEARBOOK 2020 14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가구 제조업 18
기타 제품 제조업 4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건설업(41~42) 24
도매 및 소매업(45~47) 30
운수 및 창고업(49~52)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0
정보통신업(58~63) 141
금융 및 보험업(64~66) 1
부동산업(68) 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9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1,739
15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인천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5위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8,856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32%이며, 전국
대비 비중은 4.01%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1,204명(전국의 4.59%)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은
5,543명(전국의 2.86%), 공공연구소는 2,109명(전국의 3.38%) 차지
표 3-4-8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106 3.30 6,023 3.24 6,018 3.24 5,567 2.89 5,543 2.86
∙ 국공립 1,322 1.67 1,479 1.92 1,561 2.04 1,484 1.87 1,211 1.52
∙ 사립 4,784 4.51 4,544 4.17 4,457 4.08 4,083 3.61 4,332 3.79
공공연구소 1,572 2.90 1,697 4.00 1,722 3.09 1,899 3.25 2,109 3.38
∙ 국공립 766 7.10 797 9.63 945 8.83 983 8.03 999 7.75
∙ 정부출연 610 1.84 553 1.73 520 1.62 513 1.57 590 1.71
∙ 병원 및 기타 196 1.92 347 2.71 257 1.96 403 2.97 520 3.45
기업 17,641 4.63 17,883 4.66 19,331 4.73 19,854 4.51 21,204 4.59
∙ 정부투자기관 88 2.46 87 2.28 89 2.27 120 3.07 142 3.69
∙ 민간기업 17,553 4.66 17,796 4.68 19,242 4.75 19,734 4.52 21,062 4.60
합 계 25,319 4.08 25,603 4.18 27,071 4.16 27,320 3.95 28,856 4.0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51
■ ’19년 인천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4.9명 증가한 73.7명으로 조사됨
표 3-4-9 ❙ 인천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61.1 63.4 67.2 68.7 73.7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인천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8,459억 원(전국의 3.20%),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3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522억(전국의 3.42%), 공공연구소는 약
2,749억 원(전국의 2.70%), 기업이 약 2조 3,189억 원(전국의 3.24%)
표 3-4-10 ❙ 인천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4,688 2.75 208,479 3.29 207,069 3.10 237,339 3.37 252,153 3.42
∙ 국공립 25,543 0.94 27,006 0.94 25,883 0.88 28,716 0.93 33,499 1.02
∙ 사립 139,145 4.24 181,473 5.24 181,186 4.86 208,623 5.27 218,654 5.34
공공연구소 281,114 3.19 239,200 2.62 235,553 2.47 272,406 2.77 274,881 2.70
∙ 국공립 107,711 13.86 58,205 7.80 62,923 7.89 68,665 8.44 77,884 9.32
∙ 정부출연 147,076 2.11 149,980 2.10 143,454 1.93 155,925 2.07 143,554 1.84
∙ 병원 및 기타 26,327 2.44 31,015 2.53 29,176 2.20 47,816 3.23 53,443 3.50
기업 2,053,750 4.02 1,941,860 3.60 2,105,528 3.37 2,251,557 3.27 2,318,878 3.24
∙ 정부투자기관 20,743 3.28 32,806 4.07 41,962 4.71 20,076 2.21 24,308 2.80
∙ 민간기업 2,033,007 4.03 1,909,054 3.59 2,063,566 3.35 2,231,481 3.29 2,294,570 3.25
합 계 2,499,552 3.79 2,389,539 3.60 2,548,150 3.23 2,761,302 3.22 2,845,912 3.2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인천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016억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0%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0.96%
표 3-4-11 ❙ 인천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174 4,385 4,281 4,087 4,016
(2.3) 2.4 (2.2) (2.1) (2.0)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고도화
- 인천항공센터 운영 및 선도기업 육성지원(3.4억),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지원사업(8.6억),
바이오헬스케어 제품개발 지원(4.5억), 저산소표적질환센터 지원(21억)
■ 글로벌 역량 강화
- 글로벌스타트업캠퍼스 조성 운영(21.9억), SW융합클러스터 2.0(20억), 지역SW기업성장지원(1억)
■ 시민참여형 과학기술문화확산
- 인천광역시생활과학운영교실(2.2억), 인천과학영재프로그램운영지원(6.9억), 바이오지식공유 아카
데미
■ 지역주도 과학기술거버넌스 체계 구축
- 인천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3.8억),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5.2억), 인천연구원 지원사업
REGIONAL S&T YEARBOOK 2020 153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일자리경제본부 산업정책관의 산업진흥과와 미래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4-1 인천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표 3-4-12 ❙ 인천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5,915 - 12,599 194 81 46 2,995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15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4-13 ❙ 인천광역시 일자리경제본부 산업정책관 산업진흥과,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관련 역할
미래산업과 ∙ AI Playground(생태계) 조성 사업
∙ 글로벌스타트업 캠퍼스 운영
∙ SW융합클러스터, 지역 SW산업성장 지원, SW미래채움
사업 운영 등
∙ 인천 성장편드 조성・운영
∙ 뷰티도시 조성사업 계획수립 추진, 화장품 공동브랜드
어울육성 지원
∙ 기업간 제조협력 서비스(B2B), 규제샌드박스제도 활성화
관련 업무
∙ 과학기술혁신팀 업무(4차 산업혁명 대응 기본계획・시행
계획,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시행계획, 과학기술진흥협
의회 운영, AI산업진흥추진전략 수립 등)
∙ 4차 산업혁명핵심기술기반센터 구축, 인공지능융합연구
센터 구축 및 운영(과기부 공모사업), SOS랩 구축 및
SW서비스 개발사업
∙ 중소기업빅데이터 분석・활용 지원, 연구개발(R&D) 사업
활성화 추진
∙ 인천연구개발지원단, 과학영재생활과학교실 운영지원
∙ 바이오사업 예산지원 및 미래차산업팀, 로봇산업팀 업무
총괄
∙ 첨단의료 복합단지 지정조성, 의료기기 임상평가 지원
센터 구축운영, 의료기기 글로벌실증 트레이닝 센터 구축
운영 등
∙ 바이오융합 산업기술단지,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 구축
∙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운영, 자동차 전장부품 육성
지원사업
∙ 로봇랜드 조성사업(조성실행계획, 개발계획, 실시계획,
로봇랜드 공익시설 공사, 로봇랜드 기반시설공사 추진
및 관리운영 등)
∙ 로봇산업 발전 종합계획 수립, 로봇산업 혁신 클러스터
구축, 로봇 스타트업 및 스타기업 육성, 로봇기업 사업화
및 마케팅 지원
∙ 로봇대회 및 로봇캠프(교실) 개최, 로봇밴 운영, 인천형
특화로봇 및 비대면 서비스로봇 육성지원, 협동로봇 지원,
물류로봇 시험인증지원센터 구축 및 관련 세미나, 포럼,
자문회의 등 개최, 정책연구 및 실태조사
산업진흥과 ∙ 산단 대개조 : 혁신계획 수립 및 사업시행
∙ 남동스마트산단 조성사업 : 사업계획 및 사업시행
∙ 산단 대개조, 스마트산단 추진 업무(협약체결, 사업관리,
정산, 자료제출,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 스마트공장 교육
및 진단컨설팅,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일반산업
단지구조고도화, PM사업(스마트공장) 추진 등)
∙ 산업단지 대규모 인적사고 등 재난관리
∙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및 벤처기업집적시설 업무
∙ 벤처기업 관련 지원업무(법령, 조례, 벤처협회 등)
∙ 기술경쟁력 강화사업 평가 및 조정
∙ 기술-지식재산 Cross-Over 사업 조정 및 관리
∙ 지역산업육성위원회 운영(산업입지 정보 시스템 운영 등
∙ 융합기술 업무(중소기업 기술교류단(국내외), 기술지원단
운영, 기술거래 촉진, IP 투자조합 관련, 희소금속산업
육성, 한・러 혁신센터 및 PAV산업기획 관련 등)
∙ 지식재산권 활성화 지원, 시 소유 지식재산권 관리 및
공무원 직무발명 관련 업무
∙ 쾌속조형 시제품 제작지원, 모터산업 육성
∙ 산학연기술개발사업,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사업,
벤처기업 육성 및 지원계획 수립, 벤처지원
※ 출처 :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회의 주요 기능 및 활동에 대한 설명
- 과학기술 정책 및 계획 수립ㆍ조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과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혁신, 정보, 인력양성 등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REGIONAL S&T YEARBOOK 2020 155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 원 장 :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 위원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 ( 2019.10.27.∼ 2021.10.26. )
- 위원구성 : 시, 산업체, 대학, 연구(출연)기관
- 간사 및 서기 : 미래산업과장(간사), 업무담당팀장(서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개최횟수 : 1회(2020년 11월)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 시, 산업체, 대학, 연구(출연)기관 소속자 20명
표 3-4-14 ❙ 인천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최장혁 인천광역시 행정부시장 당연직
위원 변주영 인천광역시 일자리경제본부장 당연직
위원 권기현 (재)인천테크노파크 ′19.10.27.∼ ′21.10.26.
위원 이용식 인천연구원 ′19.10.27.∼ ′21.10.26.
위원 김연명 항공안전기술원 ′19.10.27.∼ ′21.10.26.
위원 강성호 극지연구소 ′19.10.27.∼ ′21.10.26.
위원 김택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9.10.27.∼ ′21.10.26.
위원 박소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9.10.27.∼ ′21.10.26.
위원 서명국 한국은행 인천본부 ′19.10.27.∼ ′21.10.26.
위원 조원승 인하대학교 ′19.10.27.∼ ′21.10.26.
위원 옥우석 인천대학교 ′19.10.27.∼ ′21.10.26.
위원 김선여 가천대학교 ′19.10.27.∼ ′21.10.26.
위원 김희숙 한국폴리텍대학 ′19.10.27.∼ ′21.10.26.
위원 서동만 (사)인천벤처기업협회장 ′19.10.27.∼ ′21.10.26.
위원 이민섭 ㈜이원다이애그노믹스 ′19.10.27.∼ ′21.10.26.
위원 서임순 ㈜평산기공 ′19.10.27.∼ ′21.10.26.
위원 백영순 엠텍 ′19.10.27.∼ ′21.10.26.
위원 함지연 도원바이오테크 ′19.10.27.∼ ′21.10.26.
위원 심상미 ㈜파버나인 ′19.10.27.∼ ′21.10.26.
위원 주세돈 포스코기술연구원 ′19.10.27.∼ ′21.10.26.
※ 출처 : 인천광역시 내부자료
15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인천시의 총 예산은 약 22조 7,864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50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0.22%
- 과학기술 예산 중 인천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70.55%
표 3-4-15 ❙ 인천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27,864
재정자주도(%) 75.5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71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50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22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70.55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57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인천시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에 가장 많은 약 260억 원을 투자
- 국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51억 원, 지방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에 22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자
표 3-4-16 ❙ 인천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인천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
394 458 - 852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저산소표적질환센터 지원 1,000 100 1,000 2,100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인천연구원 지원
인천어린이과학관위탁운영
2,550 22,180 1,342 26,072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실감형 콘텐츠산업 육성사업
희소금속산업 육성 지원
5,108 4,050 227 9,385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산학연공동 기술개발사업
쾌속조형 시제품 제작지원
900 900 450 2,250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특허 및 지식재산궝 활성화 사업
산업디자인 육성 및 지원
2,853 4,164 - 7,017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인천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5,191 18,471 - 23,662
합 계 17,996 50,323 3,019 71,33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인천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3,279개로 전국의 5.87%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94% 증가
- 5년간 대학 6개 증가,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1,175개 증가
표 3-4-17 ❙ 인천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2 2.91 14 3.35 16 3.90 15 4.11 18 4.34
∙ 국공립 2 2.27 2 2.22 3 3.37 3 3.80 2 2.38
∙ 사립 10 3.09 12 3.66 13 4.05 12 4.20 16 4.83
공공연구소 14 2.61 16 2.88 15 2.64 19 4.74 24 3.74
∙ 국공립 4 3.17 4 3.39 6 4.72 6 8.33 7 4.90
∙ 정부출연 4 2.03 3 1.85 2 1.25 2 2.63 2 1.18
∙ 병원 및 기타 6 2.82 9 3.27 7 2.49 11 4.35 15 4.55
기업 2,062 5.66 2,257 5.90 2,438 5.73 2,970 6.12 3,237 5.90
∙ 정부투자기관 3 6.67 3 6.98 3 6.12 4 9.52 6 10.91
∙ 민간기업 2,059 5.66 2,254 5.89 2,435 5.73 2,966 6.12 3,231 5.90
합 계 2,088 5.59 2,287 5.83 2,469 5.67 3,004 6.09 3,279 5.8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59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인천 소재 대학 수는 8개
- 일반대학 3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3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4-18 ❙ 인천광역시 대학 현황(2019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 3
산업대학 - - - 0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3 3
방송통신대 - - - 0
기술대학 - - - 0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0 6 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인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5만 5,34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791명(전체의 약 8.7%), 공학계열 학생이 2만 1,146명(전체의 약
38.2%)
표 3-4-19 ❙ 인천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791 21,146 25,937 2,570 4,081 5,928 3,746 13,086 55,348
비중(%) 8.7 38.2 46.9 4.6 7.4 10.7 6.8 23.6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16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학
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센터
(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인천광역시에는 총 1개의 선도연구센터(인하대)가 후속 진행 중에 있으며 ’21년 2월
종료예정임
표 3-4-20 ❙ 인천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인하대
(1개 센터)
2014 저산소 표적질환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인천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인하대와 인천대에 각각 4개, 3개의 센터가 존재했지만, ’18년에
2개가 되어 ’19년부터 인하대 1개소만 남아 있음
표 3-4-21 ❙ 인천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인하대 열플라즈마 환경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161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인천에는 대학・연구기관 등에 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4-22 ❙ 인천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3-01
한국폴리텍2대학 한국폴리텍2대학 창업보육센터 1999-02-01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송도창업보육센터 2000-06-13
(재)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재)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2001-08-3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벤처센터ETBI 2001-12-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인천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로 5개 과학관을 운영 중
표 3-4-23 ❙ 인천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인천광역시교육청교육과학정보원 인천광역시 교육청 공립
인천어린이과학관 인천광역시 공립
인천나비공원 인천광역시 부평구청 공립
강화은암자연사박물관 개 인 사립
소리체험박물관 개 인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인천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210개
표 3-4-24 ❙ 인천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50 195 273 218 234 253 210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16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인천의 특허출원 건수는 6,439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585건
- 특허출원 및 등록 모두 ’18년에 비해 증가
표 3-4-25 ❙ 인천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6,185 6,438 6,633 5,989 6,195 6,236 6,439
특허등록 건수 4,478 4,351 3,214 3,307 3,400 3,499 3,585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인천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4,278편, 주저자 기준 1,984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4.22%, 3.66%를 차지
표 3-4-26 ❙ 인천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600 3.90 28,335 7.87 1,601 3.16 11,883 7.42
2018 3,876 4.06 19,337 4.99 1,760 3.39 7,415 4.21
2019 4,278 4.22 7,784 1.82 1,984 3.66 3,210 1.6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16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기업과 시민이 함께하는 과학기술 공감도시, 인천
■ 목표 : 지역 과학기술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 성장동력 공급
■ 전략
-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고도화
-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문화확산
- 지역주도 과학기술 거버넌스 체계 구축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전략산업 기술혁신 역량 고도화
- 지역경제성장 모멘텀 구축을 위한 전략산업군의 기술개발-사업화 지원등 기술혁신역량강화 생태계 육성
∙ 지역특화산업을 기반으로 지역인프라활용과 정부정책에 부합하는 전략산업군 도출
∙ 도출된 전략산업군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역량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에서부터 사업화에 이르는 지원
체계 구축
■ 글로벌 역량 강화
- 지역 과학기술 및 산업 고도화를 위한 글로벌 개방형혁신 구축
∙ 글로벌 기업 및 인재 유치를 통한 글로벌 협업체계 구축
∙ 글로벌 연구소 유치를 위한 인프라 구축
∙ 지역 기업 및 창업인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기반 구축
■ 시민참여형 과학기술문화확산
- 시민 참여확대를 위한 소통융합방식 과학기술문화 생태계 육성
∙ 과학기술문화 인식확산 및 인프라 확대
∙ 과학기술문화 산업화 촉진
∙ 시민주도 지역사회문제 대응체계 구축
16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주도 과학기술거버넌스 체계 구축
- 지역 주도 과학기술 추진체계 기반 新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과학기술정책 다변화 도모
∙ 지역 과학기술 전담기관 역할 강화를 통한 혁신거점 기능 수행
∙ 과학기술과 사회혁신 결합의 새로운 플랫폼 구축
∙ 지역 주도 민・산・학・연・관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연계협력 활성화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자체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고도화(5차 종합계획 Ⅰ-2.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
역량 확충)
- 지역 연구개발투자 사업의 효율화 및 역량 강화 등을 달성하기 위한 지역과학기술혁신체계 고도화
추진
- 인천과학기술컨트롤타워의 활성화, 지역 주도의 R&D 기확관리 체계구축, 산학연 연계협력을 통한
지역과학기술 성과 제고
■ 인천형 뉴딜 연관 과학기술 투자 활성화(5차 종합계획 Ⅲ-6. 지역 기업의 기술역량 확보)
- 인천형 뉴딜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수요 맞춤형 연구개발지원, 인력양성 등을 통한 지역과학기술 투
자 활성화 추진
- R&D 혁신주체 간 실효성 있는 연계 체제 강화 및 중앙정부 연구개발 사업의 인천 유치 시스템 구축
■ 지역 신사업 성장동력 확보 및 혁신기반 구축(5차 종합계획 Ⅲ-7.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
성화, Ⅲ-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산업 및 신산업의 육성을 위한 신성장동력 과제 발굴 및 산업기반인프라
구축
- 지역 미래산업 생태계 분석 및 전망을 통하여 지역 신산업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대안 제시
REGIONAL S&T YEARBOOK 2020 165
제5절 광주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광주의 인구는 약 149만 명으로 전국의 2.89%가 거주
- 광주의 인구 수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다 2019년에 소폭 상승함
표 3-5-1 ❙ 광주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516,527 1,501,557 1,500,977 1,493,417 1,493,571
전국대비 비율(%) 3.00 2.93 2.92 2.89 2.89
경제활동참가율(%) 60.1 59.9 60.8 61.3 61.5
실업률(%) 3.0 3.1 2.9 3.4 3.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16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광주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3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3.04%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0.0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제조업(25.48%)과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1.46%)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8.7%의 증가율로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이며, 농림・
어업・광업의 경우는 5년 간 6.32% 산업 비중이 감소함
표 3-5-2 ❙ 광주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34,845,589 35,933,462 36,384,616 38,216,077 39,281,803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74,369 153,353 149,531 139,362 134,310
(지역내비중,%) (0.50) (0.43) (0.41) (0.36) (0.34)
제조업 9,149,672 9,145,206 9,482,634 9,754,895 10,009,922
(지역내비중,%) (26.26) (25.45) (26.06) (25.53) (25.48)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86,621 330,644 360,499 466,452 558,892
(지역내비중,%) (0.82) (0.92) (0.99) (1.22) (1.42)
건설업 1,403,575 1,518,245 1,492,858 1,669,442 1,648,190
(지역내비중,%) (4.03) (4.23) (4.10) (4.37) (4.20)
기타서비스업 14,318,263 14,835,589 15,068,371 15,433,914 15,749,067
(지역내비중,%) (41.09) (41.29) (41.41) (40.39) (40.09)
정부/민간비영리생산 7,098,024 7,426,091 7,715,629 8,074,738 8,429,958
(지역내비중,%) (20.37) (20.67) (21.21) (21.13) (21.46)
순생산물세 2,415,065 2,524,334 2,118,137 2,679,770 2,792,443
(지역내비중,%) (6.93) (7.03) (5.82) (7.01) (7.11)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167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광주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33조 8,065억원이고, 1,315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6만
4,64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약 14조 5,315억원(전체의 42.98%),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238개(전체의 18.10%),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1만
5,056명(전체의 23.2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5-3 ❙ 광주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27,937 2.45 80 6.08 2,382 3.68
음료 제조업 726,803 2.15 5 0.38 528 0.82
담배 제조업 - - 1 0.08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01,563 0.89 20 1.52 1,285 1.9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378 0.03 10 0.76 187 0.29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5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54,478 0.16 16 1.22 277 0.4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84,163 0.54 19 1.44 644 1.0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0,460 0.18 17 1.29 356 0.5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1 0.08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24,589 0.37 20 1.52 561 0.8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2,911 0.04 4 0.30 72 0.1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928,267 8.66 156 11.86 8,079 12.5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62,212 0.48 28 2.13 575 0.89
1차 금속 제조업 1,072,571 3.17 73 5.55 1,926 2.9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659,556 4.91 208 15.82 4,988 7.7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809,224 8.31 63 4.79 7,310 11.3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35,131 0.70 53 4.03 1,850 2.86
전기장비 제조업 2,822,573 8.35 121 9.20 6,004 9.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069,428 15.00 238 18.10 11,977 18.5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531,474 42.98 161 12.24 15,056 23.2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 1 0.08 - -
가구 제조업 29,127 0.09 8 0.61 138 0.21
기타 제품 제조업 14,472 0.04 10 0.76 151 0.23
합 계 33,806,528 100.00 1,315 100.00 64,649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16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5-4 ❙ 광주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고무제품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낮음
∙ 1차 금속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제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식료품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169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광주시는 ‘광・ICT 융합산업분야’와 ‘에너지・환경산업 분야’,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의료
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5-5 ❙ 광주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광・ICT 융합산업분야
OLED 조명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
광기반공정혁신플랫폼 구축 및 산업화
광산업점프업 프로그램개발
광의료산업육성지원
광융복합산업 글로벌 경쟁력강화기반구축
글로벌광융합비즈니스경쟁력강화지원
광산업시험・평가 인증획득지원
광산업통계조사분석
광산업히든챔피언육성
국제광산업전시회 및 컨퍼런스개최
광산업홍보 및 공동브랜드인증지원
에너지・환경산업 분야
에너지신산업SW융합클러스터조성
녹색환경지원센터 운영
스마트에너지캠퍼스실증
한국 전기연구원 광주지역조직설립
에너지밸리기술원 사업지원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
하늘땅바람에너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지역조직설립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
디자인・문화콘텐츠산업
ACE Fair(국제문화창의 산업전) 개최
지역S/W산업진흥지원
문화콘텐츠전문인력양성 및 취업지원
문화콘텐츠기획・창작 스튜디오운영
CG활용프로젝트제작지원
문화산업투자진흥지구 활성화
CGI센터운영
(재)광주디자인센터 지원
지역AR・VR제작지원센터 구축
문화콘텐츠창작인발굴 및 마케팅지원
17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의료산업
의료산업 산학병연관 협의체 운영
안과광학의료기기글로벌화지원
한국뇌연구원 협력 치매예측기술개발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정형외과 용생체이식융합 의료기기산업 지원센터구축
미래형생체부품소재 산업육성
치매환자 관리 기술개발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 기술개발센터
※ 출처 : 광주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9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3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943개, 총 종사자 수는 66,414명
표 3-5-6 ❙ 광주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광주첨단과학 9,991 3,645 1,148 821 16,806 100.0 완료
빛그린 1,847 1,758 14 3 80 - 조성 중
일반
평동 4,966 4,965 509 509 16,137 100.0 완료
진곡 1,909 1,909 308 308 4,241 100.0 완료
소촌 190 189 37 31 349 100.0 완료
하남 5,944 5,937 1,020 1,012 23,271 100.0 완료
송암 415 394 66 66 1,716 100.0 완료
본촌 937 878 147 145 2,020 100.0 완료
평동3차(1단계) 1,178 1,178 - - - - 미개발
광주에너지밸리 944 944 - - - - 미개발
광주연구개발특구첨단3
지구(광주경제자유구역)
3,617 3,617 - - - - 미개발
도시첨단 남구 486 486 - - - - 조성 중
농공 소촌 324 324 48 48 1,794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171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는 총 80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101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45개, ‘건설업’이 16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27개), ‘전기 장비 제조업’(95개), ‘전자 부품, 컴퓨
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69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5-7 ❙ 광주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
광업(05~08) 0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5
음료 제조업 2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7
1차 금속 제조업 1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2
전기장비 제조업 9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2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
17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가구 제조업 4
기타 제품 제조업 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건설업(41~42) 16
도매 및 소매업(45~47) 11
운수 및 창고업(49~52) 0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정보통신업(58~63) 101
금융 및 보험업(64~66) 1
부동산업(68) 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0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803
REGIONAL S&T YEARBOOK 2020 17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광주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2위임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4,148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율은 약 3.82%이며,
전국의 1.97% 차지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8,351명(전국의 4.30%)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4,881명(전국의 1.06%), 공공연구소는 916명(전국의 1.4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5-8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618 4.07 8,115 4.37 6,602 3.56 8,520 4.43 8,351 4.30
∙ 국공립 5,834 7.50 5,880 7.65 5,908 7.73 6,273 7.90 6,201 7.76
∙ 사립 1,784 1.63 2,235 2.05 694 0.64 2,247 1.99 2,150 1.88
공공연구소 706 1.36 827 1.95 905 1.62 959 1.64 916 1.47
∙ 국공립 167 1.48 164 1.57 154 1.44 196 1.60 145 1.12
∙ 정부출연 210 0.67 275 0.86 326 1.02 286 0.88 310 0.90
∙ 병원 및 기타 329 3.55 388 3.04 425 3.24 477 3.51 461 3.06
기업 3,854 1.05 4,256 1.11 4,378 1.07 4,718 1.07 4,881 1.06
∙ 정부투자기관 11 0.30 1 0.03 10 0.25 1 0.03 1 0.03
∙ 민간기업 3,843 1.06 4,255 1.12 4,368 1.08 4,717 1.08 4,880 1.06
합 계 12,178 2.01 13,198 2.16 11,885 1.83 14,197 2.05 14,148 1.9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7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9년 광주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와 동일한 63.4명으로 조사됨
표 3-5-9 ❙ 광주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54.8 56.5 51.6 63.4 63.4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광주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13위
- 총 연구개발비는 약 8,269억 원(전국의 0.93%)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05%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199억 원(전국의 4.34%), 공공연구소는 약
1,469억 원(전국의 1.44%), 기업이 약 3,601억 원(전국의 0.50%)
표 3-5-10 ❙ 광주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59,417 4.32 274,499 4.33 226,446 3.39 289,945 4.11 319,901 4.34
∙ 국공립 203,688 7.50 223,918 7.79 218,750 7.40 236,834 7.67 254,428 7.77
∙ 사립 55,729 1.70 50,581 1.46 7,696 0.21 53,111 1.34 65,473 1.60
공공연구소 149,122 1.69 136,741 1.50 157,946 1.66 217,659 2.21 146,873 1.44
∙ 국공립 1,120 0.14 1,340 0.18 1,316 0.16 11,953 1.47 9,907 1.19
∙ 정부출연 67,385 0.97 64,573 0.90 68,259 0.92 73,179 0.97 66,631 0.85
∙ 병원 및 기타 80,617 7.47 70,828 5.78 88,371 6.65 132,527 8.95 70,335 4.61
기업 324,630 0.63 424,035 0.79 408,873 0.65 393,429 0.57 360,107 0.50
∙ 정부투자기관 0 0.00 65 0.01 695 0.08 63 0.01 64 0.01
∙ 민간기업 324,630 0.64 423,970 0.80 408,178 0.66 393,366 0.58 360,043 0.51
합 계 733,169 1.11 835,275 0.79 793,265 1.01 901,033 1.05 826,881 0.9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7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광주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82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43%
표 3-5-11 ❙ 광주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560 4,573 4,469 4,474 4,827
(2.5) (2.5) (2.3) (2.3) (2.4)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19 투자실적)
■ 지역주도의 과학기술정책에 기반을 둔 투자환경구축
- 지역의 R&D투자 결정권 강화
∙ 지역발전투자협약시범사업(28.6억원)
- 지역주도형 R&D 기획․평가 역량 확충
∙ 광주연구개발지원단육성(3.8억원), 지역미래먹거리신산업발굴(8억원)
■ 첨단과학기술 R&D 혁신역량강화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 국립광주과학관 출연(200억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지역조직설립(29억원), 지역스마트시티
챌린지사업(15억원), 광주CGI센터 운영(11억원) 등
- 지역기업의 기술역량 확보
∙ 도심특화MG부품및시스템개발산업육성(111억원), 신재생에너지융복합지원(10억원) 등
- 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R&D사업 추진
∙ 지역주력산업육성(124억원), IOT빅데이터기반 금형제작 가치사슬 혁신지원(91억원), 마이크로의료
로봇실용화기술개발센터(77억원), 초경량고강성자체샤시부품기술개발(66억원),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8.5억원) 등
17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4차 산업혁명 인재육성 및 일자리 창출
- 지역 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159억원), SW중심대학지원(32억원) 등
-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연구개발특구 육성지원(92억원), 치과생체흡수성소재부품중소파트너지원(35억원), 중소기업혁
신지원보증펀드운용지원(20억원), 지역기반게임산업육성지원(20억원), 청년창업특례보증지원
(20억원), 지식재산창출지원사업(14억원) 등
-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조성(722억원), OLED조명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115억원), 에너지
신산업SW융합클러스터조성(55억원),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52억), 에어가전혁신지원센터 구축
(15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17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인공지능산업국 미래산업정책과에서 담당
그림 3-5-1 광주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17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5-12 ❙ 광주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8,675 - 7,055 115 26 36 1,443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5-13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산업국 과학기술 관련 역할
∙ 11대 대표산업 육성
∙ 산학융합지구 조성
∙ 스마트 특성화 사업
∙ 산학연협의회 운영 지원
∙ 규제자유특구지정 업무에 관한 사항
∙ 총선・대선 공약 발굴 및 관리
∙ 국방벤처센터 지원에 관한 사항
∙ 지역산업발전계획.진흥계획 수립에 관한 업무
∙ 광주TP운영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추진 등
∙ 4차 산업관련 중장기 발전전략 및 단기 실행계획 수립
∙ 신규 국비 과제발굴 미래먹거리사업발굴・기획 산업정책연구회 운영
지원 4차산업 조례 제규정
∙ 인공지능정책 업무(인공지능산업육성 기획 및 총괄, 인공지능 집적
단지 사업기획・조정, 주요업무계획 작성, 의회) 전반
∙ 인공지능 규제 발굴 및 제도 개선
∙ 인공지능 관련 법.조례 제정 추진
∙ AI 집적단지 내 인공지능 연구기관 설립방안 연구용역, AI 기업
유치 등
∙ 4차 산업혁명 AI산업융합 실무인재양성 사업(인공지능 사관학교
운영) 등
※ 출처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회 주요기능 및 활동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수립・조정에 관한 사항
- 지역 과학기술의 혁신과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발전에 관한 사항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의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 추진에 관한 사항
- 그 밖의 과학기술진흥을 위하여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근 거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 조례」
- 인 원 : 13명 (위원장 1명, 부위원장 1명, 위원 11명)
- 당 연 직 : 문화경제부시장(위원장), 인공지능산업국장(부위원장)
- 위 촉 직 : 11명(학계 8명, 연구기관 2명, 공공기관 1명)
- 임 기 : 2년 / 위촉직위원 2년, 연임 1회, 보궐위원 전임위원의 잔여 임기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 (2020. 12, 10)
REGIONAL S&T YEARBOOK 2020 179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5-14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조인철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부위원장 손경종 광주광역시 재임기간
위원 김정근 광주대학교 2018.12.17. ~ 2020.12.16
위원 나현식 호남대학교 2018.12.17. ~ 2020.12.16
위원 백 란 호남대학교 2018.12.17. ~ 2020.12.16
위원 안기석 광주과학기술진흥원 2018.12.17. ~ 2020.12.16
위원 유진철 조선대학교 2018.12.17. ~ 2020.12.16
위원 정인성 전자부품연구원 2018.12.17. ~ 2020.12.16
위원 한은미 전남대학교 2018.12.17. ~ 2020.12.16
위원 김선아 국립광주과학관 2019.11.1. ~ 2021.10.31
위원 이성기 조선대학교 2019.11.1. ~ 2021.10.31
위원 임혁 광주과학기술원 2019.11.1. ~ 2021.10.31
위원 홍성금 조선대학교 2019.11.1. ~ 2021.10.31
※ 출처 : 광주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광주시의 총 예산은 10조 6,89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418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비율은 1.33%
- 과학기술 예산 중 광주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5.34%
표 3-5-15 ❙ 광주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106,899
재정자주도(%) 71.8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01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418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3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5.34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8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광주시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760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각각 약 992억 원, 612억 원으로 가장 많이 투입
표 3-5-16 ❙ 광주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20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역발전투자협약시범사업(균형위) 2,730 - 128 2,85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광주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지역미래먹거리 산업발굴
180 1,130 - 1,31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
과학영재학교운영지원
22,707 6,790 4,228 33,72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국립광주과학관법인출연
한국전기연구원 광주분원설립
26,897 29,338 4,006 60,24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주력산업육성
도심특화MG부품및시스템개발산업육성
50,155 26,246 8,299 84,700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정형외과용융합의료기기산업지원센터
BIXPO 개최지원
5,813 6,327 6,916 19,05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친환경자동차 부품 인증센터 구축
광주디자인비엔날레
9,787 10,847 2,700 23,334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친환경자동차부품클러스터조성
전기자동차 보급
99,171 61,159 15,717 176,046
합 계 217,440 141,837 41,994 401,27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81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광주시의 연구개발조직수는 총 1,010개로 전국의 1.81%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7.72% 증가
- 5년간 대학은 3개, 공공연구소 5개, 기업 252개 증가
표 3-5-17 ❙ 광주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백만원)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4 3.40 14 3.35 12 2.93 16 4.38 17 4.10
∙ 국공립 4 4.55 5 5.56 4 4.49 4 5.06 4 4.76
∙ 사립 10 3.09 9 2.74 8 2.49 12 4.20 13 3.93
공공연구소 16 2.99 17 3.06 19 3.34 19 5.24 21 3.27
∙ 국공립 2 1.59 2 1.69 3 2.36 3 4.17 3 2.10
∙ 정부출연 9 4.57 8 4.94 9 5.63 9 11.84 9 5.33
∙ 병원 및 기타 5 2.35 7 2.55 7 2.49 9 3.56 9 2.73
기업 720 1.98 703 1.84 776 1.82 870 1.79 972 1.77
∙ 정부투자기관 0 0.00 1 2.33 1 2.04 1 2.38 1 1.82
∙ 민간기업 720 1.98 702 1.84 775 1.82 869 1.79 971 1.77
합 계 750 2.01 734 1.87 807 1.85 907 1.84 1,010 1.8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8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광주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10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5-18 ❙ 광주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8 10
산업대학 - - - 0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 6 6
방송통신대 - - - 0
기술대학 - - - 0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0 15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광주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99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388명(전체의 약 10.3%), 공학계열 학생이 2만 496명(전체의
약 22.5%)
표 3-5-19 ❙ 광주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수 9,388 20,496 29,884 16,613 8,718 8,742 8,710 18,325 90,992
비중(%) 10.3 22.5 32.8 18.3 9.6 9.6 9.6 20.1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183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광주광역시에는 총 7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전남대가 4개, 광주과학기술원이 2개, 조선대가 1개 센터를 운영
표 3-5-20 ❙ 광주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광주과학기술원
(2개 센터)
2015 극미세 초고속 X-선 과학 연구센터 SRC
2016 세포 로지스틱스 연구센터 SRC
전남대학교
(4개 센터)
2018 복합암면역치료 연구센터 MRC
2018 인공지능 활용 이오닉스 기반 소재개발 플랫폼 연구센터 ERC
2019 경조직 바이오인터페이스 연구 센터 MRC
2020 심혈관 환자맞춤형 차세대 정밀의료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조선대학교
(1개 센터)
2015 암악성화돌연변이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18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광주 내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조선대(3개), 호남대(1개), 전남대(1개)에 위치했으나, ‘’18년도
기준 전 사업이 종료되어 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광주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5-21 ❙ 광주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광주드림파크 (포스트BI) 1996-12-29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기업지원센터 2000-12-14
광주대학교 광주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2-02
광주보건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1-17
남부대학교 남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1-01
동강대학교 동강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2-28
송원대학교 송원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2-01-30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2-27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6-02
한국광기술원 한국광기술원 신기술창업센터 2007-01-24
호남대학교 호남대창업보육센터 1999-12-18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0 18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광주에는 과기정통부 산하 국립과학관 1개소와 광주시교육청 산하 공립과학관 1개소가 운영 중
표 3-5-22 ❙ 광주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광주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광주광역시 교육청 공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광주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16개 운영함
표 3-5-23 ❙ 광주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9 70 64 61 68 69 16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18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광주의 특허출원 건수는 3,458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806건
-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는 ’18년에 비해 각각 1%, 2% 증가
표 3-5-24 ❙ 광주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2,436 2,612 3,074 3,321 3,279 3,431 3,458
특허등록 건수 1,589 1,626 1,298 1,410 1,694 1,765 1,80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광주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3,522편, 주저자 기준 1,864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3.48%, 3.44%를 차지
표 3-5-25 ❙ 광주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163 3.42 27,773 8.78 1,732 3.42 12,323 7.11
2018 3,230 3.38 16,843 5.21 1,726 3.32 7,716 4.47
2019 3,522 3.48 6,573 1.87 1,864 3.44 2,694 1.45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18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 경제발전과 삶의 질 향상
■ 목표
- 융복합 신산업 창출형 4차 산업 중심도시 육성
- 첨단과학 융합형 문화예술 선도도시 조성
- 지역 주도 R&D 기반조성을 통한 과학기술혁신체계 구축
▣ 중점과제 및 전략
■ R&D투자 확대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市과학기술 예산확대
∙ 지방혁신 프로젝트(균형위, 계획계약)인 「지역발전투자협약시범사업」에 선정
■ 기획관리역량체제 정비
- 조례개정을 통한 R&D전담지원조직 기능정비
∙ 연구개발장비 공동 활용에 관한 조례 제정 및 연구개발장비 공동 활용 플랫폼 구축으로 연구시설
및 연구장비 효율적 관리 및 효율성 제고
∙ 과학기술진흥조례 개정으로 과학기술진흥위원회 기능 확대 및 市 과학기술 싱크탱크 역할 강화
■ R&D거점기관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지역혁신운영 및 클러스터 효율화
∙ 인공지능(AI)산업융합 집적단지 광주조성사업에 선정됨에따라 첨단 3지구를 비롯하여 광주 4개
산단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예비지정될 전망
∙ 의료 신기술 개발 및 창업지원 등 의료산업 육성(전국 최초 헬스케어로봇 실증센터 개관(’19.11. /
연면적 3,345㎡)) 헬스케어로봇 안전성 시험 및 로봇제품 상용화를 위한 실증 지원
∙ 무인저속특장차 규제자유특구 지정
∙ 에너지신산업SW융합클러스터조성 : 신규고용창출 76명, 신규창업11개사, 전문인력 양성 533명,
해외수출 333만불
18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경제사회적성과 창출형 R&D투자강화
- 4차산업혁명 대비 지역현안 R&D투자 및 지원 확대
∙ 민선7기 11대 미래대표산업 추진전략 및 육성계획 수립
∙ 5G 통신망용 광모듈 핵심기술 개발 및 지원(기술이전 5건, 대표기술 10건, 사업화 등 직접매출 100
억원, 간접 매출 320억원의 성과를 창출)
∙ 지역주력산업육성 (기업지원 249개, 고용 271명, 매출 389억원)
■ 지역우수인력육성 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 확산
- 4차산업혁명 대비 산학연 연계 융합형 및 과학기술인재 양성
∙ ‘에어가전혁신지원센터구축사업(2017~)(기업지원 20개社, 전년대비 약 909억원↑(직/간접 매출
포함), 수출 약 3.5억원↑, 28명 신규고용성과 (간접 고용)창출
∙ 광주과학기술원(GIST)인공지능대학원 설립 승인(20.~24. 90억원)으로 석․박사 통합과정운영으로
AI전문 인재육성
∙ 광주인공지능사관학교 설립 및 운영(2020.7~)
■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치과생체흡수성 소재부품 중소파트너지원(기업지원(인증패키지 26건, 기술사업화컨설팅 20건, 해외
마케팅 51건, 임상컨설팅 15건), 제품고도화 지원 7건, 시제품제작 11건, 장비구축 27종)
- 지식재산창출 지원사업( 글로벌 IP스타기업 발굴 및 육성 지원 32개사 59건)(중소기업 특허맵, 브랜
드 개발, 특허기술사업화 및 활용 등 71건)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디지털 헬스케어
- 개인맞춤형 생체의료기기 기술고도화 및 생체적합제품 구현
- 디지털생체의료산업 인프라고도화 및 수출지향형 기업지원기반조성
- 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신산업과 연계하여 의료형 빅데이터 구축
■ 수소연료전지
- 그린수소 대량생산기술 선행적 확보 및 선제적 연구개발 투자확대
- RE2030정책에 부합한 안정적인 수소연료전지(신에너지원) 기술자립화 및 고도화
- 광산업과 연계성을 극대화하여 안정성 있는 실증데이터 베이스 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0 189
■ 인공지능플랫폼
- AI클러스터 조성 및 광주형 AI비즈니스 생태계 조성
- AI인재 양성 및 R&D 역량제고를 통한 AI기반 과학기술혁신 국가 성공모델 확립
- AI기술을 활용한 생활문제 해결등 시민참여 활성화
■ 미래차
- 배터리센서등 핵심기술개발 및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마련
- 전기수소차 보급확대등을 통한 미래차 기술경쟁력 제고
- 전기차수소차 및 충전인프라 대폭 보급 확대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과학기술 정책사업의 기획 및 관리 기능 역할 강화(Ⅰ-2.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
역량 확충)
- 과학기술 R&D관리체계 구축 및 과학기술진흥조례 개정
- 지역에 필요한 R&D 이슈 발굴 및 역매칭 사업등 지역 주도의 R&D 사업 추진
- 市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강화 및 R&D 기획관리 효율성 제고
■ 중소・중견기업이 경제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투자확대 및 R&D 지원체계 정비(Ⅱ-6. 지역
기업의 기술역량 확보)
- 대기업 협력업체 경쟁력 확보를 통한 내적․외적 양적확대
- 창업기업 지원, 성장촉진, 혁신형 기업 지원, 중견기업 지원, 인프라 지원 등 관련 사업의 예산을 확대
- 신시장 창출을 선도할 고급 R&D 현장인력양성에 대한 지원을 강화
■ 산학연 일체화를 위한 공동연구공간 조성(Ⅱ-7.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초지능・초연결 기반 과학기술정보통신 혁신 플랫폼을 구축 및 지역 R&D 네트워크를 연계
- 이전공공기관과의 R&D 공동 협력사업 발굴
- ICT 융복합 사업 추진으로 신사업 분야의 신규 사업화 가능성 제고
■ R&D 기술사업화 및 창업 혁신생태계 조성・확대(Ⅲ-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인공지능과 지역 주력산업(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문화콘텐츠)를 융합한 산업혁신으로 인공지능
관련 창업활성화
- 지역 연구소 기업 육성을 통한 지역특화 공공기술기반 혁신형 창업 강화
19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6절 대전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대전의 인구는 약 151만 명으로 전국의 2.92%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대전 인구의 비중은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임
표 3-6-1 ❙ 대전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535,639 1,535,445 1,531,256 1,517,902 1,508,753
전국대비 비율(%) 3.03 2.99 2.98 2.94 2.92
경제활동참가율(%) 62.2 62.4 61.0 60.9 62.4
실업률(%) 3.5 3.3 3.4 4.2 4.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19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대전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40.4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
로 2.14%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49.0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22.93%)과 제조업
(15.87%)이 그 뒤를 이음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6.7%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6-2 ❙ 대전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37,162,614 38,456,557 38,772,485 39,135,729 40,444,834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1,644 40,020 38,796 37,067 38,357
(지역내비중,%) (0.11) (0.10) (0.10) (0.09) (0.09)
제조업 6,544,721 6,604,395 6,474,445 6,257,030 6,420,506
(지역내비중,%) (17.61) (17.17) (16.70) (15.99) (15.87)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15,408 363,332 399,444 480,451 583,991
(지역내비중,%) (0.85) (0.94) (1.03) (1.23) (1.44)
건설업 1,319,758 1,492,235 1,449,541 1,435,544 1,611,009
(지역내비중,%) (3.55) (3.88) (3.74) (3.67) (3.98)
기타서비스업 18,328,194 19,072,142 19,179,732 19,534,439 19,849,309
(지역내비중,%) (49.32) (49.59) (49.47) (49.91) (49.0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222,776 8,326,936 8,659,125 8,870,772 9,273,062
(지역내비중,%) (22.13) (21.65) (22.33) (22.67) (22.93)
순생산물세 2,390,113 2,557,497 2,576,180 2,540,150 2,716,440
(지역내비중,%) (6.43) (6.65) (6.64) (6.49) (6.72)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19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대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7조 5,044억 원이고, 91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4만
2,46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모두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각각 2조 2,054억 원(전체의
12.60%), 132개(전체의 14.39%), 5,720명(전체의 13.47%) 으로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6-3 ❙ 대전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
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100,571 6.29 100 10.91 2,971 7.00
음료 제조업 424,521 2.43 4 0.44 300 0.71
담배 제조업 - - 2 0.22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4,041 0.65 25 2.73 687 1.6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2,164 0.41 24 2.62 723 1.7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2,480 0.13 6 0.65 161 0.3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6,240 0.15 7 0.76 100 0.24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36,539 7.64 22 2.40 1,577 3.7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8,974 0.28 20 2.18 329 0.7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 2 0.22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636,656 9.35 60 6.54 3,899 9.1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38,440 2.50 22 2.40 1,394 3.2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805,883 10.32 38 4.14 3,957 9.3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79,810 1.60 21 2.29 559 1.32
1차 금속 제조업 210,745 1.20 15 1.64 509 1.2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304,300 7.45 60 6.54 2,910 6.8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797,066 10.27 100 10.91 5,114 12.0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09,307 6.34 112 12.21 4,736 11.15
전기장비 제조업 774,475 4.42 55 6.00 1,759 4.1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205,426 12.60 132 14.39 5,720 13.4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918,821 5.25 38 4.14 2,436 5.7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5,690 0.60 12 1.31 555 1.31
가구 제조업 44,593 0.25 13 1.42 203 0.48
기타 제품 제조업 113,059 0.65 24 2.62 894 2.1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8,526 0.05 3 0.33 77 0.18
합 계 17,504,360 100.00 917 100.00 42,462 100.00
REGIONAL S&T YEARBOOK 2020 19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를 동시에 고려할 때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의료, 정말,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6-4 ❙ 대전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낮음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전기 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19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대전시는 ‘나노융합산업분야’와 ‘정보통신산업분야’, ‘대표산업분야’, ‘ICT융복합 산업분야’,
‘바이오의약산업분야’에 초점을 두었으며, 2018년부터 신규로 ‘신재생에너지산업분야’ 사업
들을 운영
표 3-6-5 ❙ 대전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나노융합산업분야
나노코리아 전시회 참가지원
해외우수연구기관과의 기술협력 사업
나노종합기술원 특성화고 인력양성
나노종합기술원 선행공정기술개발
T2B활용 나노융합 R&DB촉진사업
국제나노산업도시 연계 나노공정 상용화 지원
국제나노산업도시 포럼 및 전시회
정보통신산업분야
지역SW기업 성장지원사업
지역SW 융합제품 상용화
대표산업 분야
지역주력산업 지원
광역협력권산업 지원
ICT융복합 산업분야 미래ICT융합 디바이스 산업육성
바이오의약산업분야
바이오상용기술 고도화플랫폼 구축사업
스마트유전자 의약기반 기술플랫폼 구축사업
스마트헬스케어 VR기반구축
모듈형 나노바이오칩 플랫폼 기술상용화
유전체분석 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산업분야
수소충전소 구축
미니태양광 보급지원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사업
에너지자립마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 출처 : 대전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0 195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개, 일반산업단지 3개가 있음
- 총 4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355개, 총 종사자 수는 26,939명
표 3-6-6 ❙ 대전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대덕연구개발특구 67,809 67,809 1,025 985 22,205 100.0 조성 중
일반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
2,313 2,313 349 337 4,359 100.0 완료
평촌 859 859 - - - - 미개발
하소친환경 307 307 56 33 375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대전광역시에는 총 1,52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중분류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307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
비스업’은 175개, ‘건설업’이 3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94개),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169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47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6-7 ❙ 대전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
광업(05~08) 0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5
음료 제조업 0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19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
1차 금속 제조업 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49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69
전기장비 제조업 9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9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5
가구 제조업 10
기타 제품 제조업 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0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
건설업(41~42) 30
도매 및 소매업(45~47) 16
운수 및 창고업(49~52) 0
숙박 및 음식점업(55~56) 0
정보통신업(58~63) 307
금융 및 보험업(64~66) 0
부동산업(68) 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7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0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1,526
REGIONAL S&T YEARBOOK 2020 19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대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3위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5만 3,642명(전국의 7.46%)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2.3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만 582명(전국의 4.45%)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은 1만
7,159명(전국의 8.84%), 공공연구소는 1만 5,901명(전국의 25.48%)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6-8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287 8.80 16,122 8.68 16,830 9.06 17,890 9.30 17,159 8.84
∙ 국공립 13,128 16.59 13,562 17.65 14,438 18.89 14,900 18.76 14,510 18.16
∙ 사립 3,159 2.98 2,560 2.35 2,392 2.19 2,990 2.65 2,649 2.32
공공연구소 14,396 26.57 14,719 34.74 14,538 26.05 14,859 25.45 15,901 25.48
∙ 국공립 296 2.74 283 2.71 302 2.82 333 2.72 372 2.89
∙ 정부출연 13,925 41.97 14,185 44.42 13,957 43.60 14,237 43.71 15,118 43.88
∙ 병원 및 기타 175 1.71 251 1.96 279 2.13 289 2.13 411 2.73
기업 18,263 4.80 18,691 4.87 19,356 4.74 19,329 4.39 20,582 4.45
∙ 정부투자기관 1,861 52.10 2,163 56.76 2,166 55.13 2,008 51.42 2,049 53.30
∙ 민간기업 16,402 4.35 16,528 4.35 17,190 4.25 17,321 3.97 18,533 4.04
합 계 48,946 7.90 49,532 2.16 50,724 7.80 52,078 7.54 53,642 7.4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9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9년 대전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8.1명 증가한 247.6명으로 조사됨
표 3-6-9 ❙ 대전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22.1 224.6 234.0 239.5 247.6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대전시의 연구개발비 투자는 17개 광역시・도 중 3위 수준
- 총 연구개발비는 약 7조 7,059억원(전국의 8.65%)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0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6,194억(전국의 8.40%), 공공연구소는 약 4조
2,042억원(전국의 41.34%), 기업이 약 2조 8,823억원(전국의 4.03%)
표 3-6-10 ❙ 대전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17,502 7.24 454,348 7.17 506,691 7.58 536,633 7.61 619,394 8.40
∙ 국공립 365,288 13.86 401,237 13.96 445,761 15.07 472,111 15.29 559,197 17.08
∙ 사립 52,214 1.67 53,111 1.53 60,930 1.64 64,522 1.63 60,197 1.47
공공연구소 3,553,484 43.80 4,043,350 44.37 4,145,370 43.44 4,242,119 43.09 4,204,174 41.34
∙ 국공립 32,799 4.35 17,530 2.35 17,158 2.15 17,456 2.14 17,865 2.14
∙ 정부출연 3,513,226 54.95 4,006,919 56.11 4,104,638 55.34 4,196,514 55.59 4,159,456 53.28
∙ 병원 및 기타 7,458 0.77 18,901 1.54 23,574 1.77 28,149 1.90 26,853 1.76
기업 2,362,029 4.74 2,776,398 5.15 3,046,438 4.87 3,213,447 4.67 2,882,330 4.03
∙ 정부투자기관 358,401 56.33 495,312 61.50 581,731 65.35 628,286 69.16 625,637 72.00
∙ 민간기업 2,003,628 4.07 2,281,086 4.29 2,464,707 4.00 2,585,161 3.81 2,256,693 3.19
합 계 6,333,015 9.94 7,274,095 5.15 7,698,499 9.77 7,992,199 9.32 7,705,898 8.6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199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대전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조 8,43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8.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72%
표 3-6-11 ❙ 대전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4,584 56,115 55,630 56,655 58,439
(30.0) (30.6) (28.9) (28.9) (28.6)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지역 R&D 투자확대
-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111.23억원), UNESCO-WTA 공동협력사업 등
■ 지역 R&D 기획・관리역량 체제정비
- 원도심 지식산업센터 건립(38.25억원), 대전세종연구원 운영(107억원), 대전테크노파크 운영(48억원) 등
■ 지역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혁신 촉진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2억원)
■ 지역 기반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SW서비스 개발사업(9.17억원),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11.6억원), 대전시민천문대 전시개선 사업(10억원)
■ 지역 우수인력 육성・활용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지원(14.15억원),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208.05억원), 대전창업성장
캠퍼스 조성‧운영(25.3억원), 고용우수기업 등 청년채용 지원사업(10.9억원) 등
■ 지역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기업수요 맞춤형 R&D 및 기술사업화 지원(20억원), 중소기업 혁신성장 및 기술경쟁력 강화사업(12.8억원), 전
통제조기업 첨단화 지원(20억원), 소프트웨어융합클러스터사업(38.75억원), 초기창업 투자전용 펀드조성
(207.76억원), IP스타기업 육성사업(19.68억원),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사업(58.28억원), T2B활용
나노융합 R&BD촉진사업(20억원), 기술사업화 종합지원(20억원), 지역주력산업지원(169.1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육성
-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구축(22억원),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사업(11.38억원), 대전디
자인센터 건립(64.64억원), 첨단센서 플랫폼 기반구축사업(34억원),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사업
(51.67억원), 광학융합부품소재 산업화 기반구축사업(51.83억원) 등
20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산업국 과학산업과와 미래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6-1 대전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표 3-6-12 ❙ 대전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8,036 - 6,340 104 33 30 1,529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01
(나) 역할
표 3-6-13 ❙ 대전광역시 과학산업국 과학산업과와 미래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과학산업과 ∙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설립 및 관리업무추진
∙ 연구개발지원단 업무추진
∙ 시 과학기술 정책・수립 시행 및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 고경력과학기술인 지원계획 수립・시행
∙ 은빛 멘코칭 사업, 소외계층 과학영재 발굴 사업
∙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IR영상센터 운영 지원 등
∙ 기술사업화 종합지원 및 성과분석 평가
∙ 대덕특구 재창조 및 선도사업 추진
∙ 대덕과학문화센터 등 특구 내 숙원사업 관리
∙ 과학산업국 국 예산, 의회 관련
∙ 과학기술 대전형 일자리창출사업, 일자리정보마당사업 추진
∙ 과학대중화 사업
∙ 연구개발특구 평가, 대덕특구 통계 관련
∙ 산업교육 및 산학연 협력 시행계획 수립
∙ 산학연관 협력사업 추진
∙ 전통제조기업 첨단화 지원
∙ 유망 중소기업 글로벌업 지원
∙ 특구펀드 조성 및 운영
∙ 지역 R&D 역량강화사업
∙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운영관리
∙ 과학체험시설 설치에 관한 사항
미래산업과 ∙ 4차산업혁명특별시 육성 지원
∙ ICT산업 육성기본계획 수립 및 지원 등
∙ SW융합클러스터 사업
∙ SW서비스 개발사업
∙ 지역SW산업 육성 및 신규사업 발굴 등
∙ 지역SW산업진흥지원(성장지원, 품질역량강화, 서비스사업화)
∙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총괄
∙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사업
∙ 바이오산업 생태계 육성
∙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 특구 운영
∙ 바이오헬스케어협회에 관한 사항
∙ 유전자 및 융복합 바이오산업 육성기반 조성
※ 출처 :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종합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에 관련되는 사항 심의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3년(’18.3.24~’21.3.23)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 (2020. 12.)
- 회의 안건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심의(‘19년도 추진실적 및 ’20년도 시행계획)
표 3-6-14 ❙ 대전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허태정 대전광역시청 2018.07.01.~
간사 문창용 대전광역시청 2019.01.01.~
위원 양선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8.03.24.~2021.03.23
위원 성은정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018.03.24.~2021.03.23
위원 고영주 한국화학연구원 2018.03.24.~2021.03.23
위원 박상진 한국기계연구원 2018.03.24.~2021.03.23
20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대전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대전시의 총 예산은 약 11조 1,591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297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16%,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비율은 47.63%
표 3-6-15 ❙ 대전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구 분 2019년
총 예 산 111,591
재정자주도(%) 73.19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723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297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16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7.63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황경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18.03.24.~2021.03.23
위원 심시보 기초과학연구원 2018.03.24.~2021.03.23
위원 조기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18.03.24.~2021.03.23
위원 배종성 카이스트 글로벌산학협력연구센터 2018.03.24.~2021.03.23
위원 윤혜온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2018.03.24.~2021.03.23
위원 이정순 (사)과학기술인연우연합회 2018.03.24.~2021.03.23
위원 박찬구 이노폴리스벤처협회 2018.03.24.~2021.03.23
위원 윤병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8.03.24.~2021.03.23
위원 안정희 에이티 2018.03.24.~2021.03.23
위원 이수민 한국센서연구소 2018.03.24.~2021.03.23
위원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2018.03.24.~2021.03.23
위원 박수경 카이스트 2018.03.24.~2021.03.23
위원 부하령 대한여성과학기술인협회 2018.03.24.~2021.03.23
위원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18.03.24.~2021.03.23
REGIONAL S&T YEARBOOK 2020 203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854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각각 가장 많은 약 379억 원, 약 410억 원투입
표 3-6-16 ❙ 대전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광역협력산업육성사업
WTA 사무국운영
7,786 4,540 300 12,62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대전테크노파크 운영
1,796 24,060 - 25,856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국가균형발전박람회 참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담금
- 280 - 28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지원
27,435 5,859 3,772 37,06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에너지자립마을신재생에너지융복합사업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3,906 7,808 986 12,700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초기창업 투자전용 펀드 조성
대학(청년)혁신창업 스타트업타운조성
37,942 40,967 6,527 85,436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한의약임상인프라 구축지원
생생기업 해커톤 캠프사업
1,456 3,096 549 5,101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주력산업 육성
메이커스페이스운영
25,788 22,908 1,995 50,69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대전디자인센터 건립
스마트 헬스케어 VR기반 구축사업
17,338 20,227 4,987 42,552
합 계 123,447 129,745 19,116 272,30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대전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762개로 전국의 3.15%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8.38% 증가
- 5년간 대학은 3개 증가, 공공연구소 12개, 기업 470개 증가
표 3-6-17 ❙ 대전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9 4.61 20 4.78 18 4.39 21 5.75 22 5.30
∙ 국공립 5 5.68 5 5.56 5 5.62 5 6.33 5 5.95
∙ 사립 14 4.32 15 4.57 13 4.05 16 5.59 17 5.14
공공연구소 33 6.16 35 6.31 35 6.15 41 10.22 45 7.01
∙ 국공립 3 2.38 4 3.39 4 3.15 5 6.94 6 4.20
∙ 정부출연 25 12.69 24 14.81 23 14.38 25 32.89 25 14.79
∙ 병원 및 기타 5 2.35 7 2.55 8 2.85 11 4.35 14 4.24
기업 1,225 3.36 1,265 3.30 1,367 3.21 1,576 3.25 1,695 3.09
∙ 정부투자기관 13 28.89 13 30.23 13 26.53 12 28.57 13 23.64
∙ 민간기업 1,212 3.33 1,252 3.27 1,354 3.19 1,564 3.23 1,682 3.07
합 계 1,277 3.42 1,320 3.36 1,420 3.26 1,638 3.32 1,762 3.1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05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대전 소재 대학 수는 16개
- 일반대학 11개, 전문대학 4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6-18 ❙ 대전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0
교육대학 - - - 0
전문대학 - - 4 4
방송통신대 - - - 0
기술대학 - - - 0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0 13 16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대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2만 3,648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5,769명(전체의 약 12.8%), 공학계열 학생이 3만 4,857명(전체의
약 28.2%)
표 3-6-19 ❙ 대전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5,769 34,857 50,626 15,474 10,460 5,700 11,835 29,553 123,648
비중(%) 12.8 28.2 40.9 12.5 8.5 4.6 9.6 23.9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0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대전광역시에는 총 1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한국과학기술원에 10개 센터가 구축되어 있고, 충남대에 2개 센터가 구축・운영됨
표 3-6-20 ❙ 대전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남대학교
(2개 센터)
2017 감염 제어 컨버전스 연구센터 MRC
2020 마이크로바이옴 - 뇌신경질환 융합연구센터 RLRC
한국과학기술원
(10개 센터)
2016 응집상 양자 결맞음 연구센터 SRC
2016 자율운전 소형모듈형 원자로 연구센터 ERC
2016 웨어러블 플랫폼소재 기술센터 ERC
2017 스마트 수중 터널 시스템 연구센터 ERC
2017 인체부착형 빛 치료 헬스케어 공학 센터 ERC
2018 MARS 인공지능 통합 연구센터(AI) ERC
2018 세포 정체성 연구 센터 SRC
2018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SRC
2018 인류세 연구센터 CRC
2019 확률 해석 및 응용 연구센터 S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0 207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대전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한밭대 소속 2개의 센터를 비롯하여, 목원대, 대전대,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한남대에 각각 1개씩 운영했으나, ’20년 기준 목원대(1개), 한밭대(1개), 대전대
(1개)로 3개 센터가 운영 중
표 3-6-21 ❙ 대전광역시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한밭대 화학소재 상용화 지역혁신센터
목원대 방재정보통신지역혁신센터
대전대 난치성 면역질환 동서생명의학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대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6-22 ❙ 대전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대덕대학교 대덕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7-02-21
대전대학교 대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6
대전보건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11-11
20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대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2개소로 총 3개가 운영 중
표 3-6-23 ❙ 대전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대전광역시 교육청 공립
대전시민천문대 대전광역시 공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대전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124개 운영함
표 3-6-24 ❙ 대전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8 148 131 124 131 133 124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목원대학교 목원대학교창업진흥센터 1999-12-28
배재대학교 배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5-12-26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7-01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창업보육센터(카이스트) 1994-12-16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비즈니스스튜디오 2014-08-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 2000-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01-02-23
한남대학교 한남대학교창업보육센터(HNU Science Park) 1998-12-23
한밭대학교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01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전력벤처기업육성센터 1999-11-23
REGIONAL S&T YEARBOOK 2020 209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대전 특허출원 건수는 1만 632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6,504건
- 특허출원 건수는 ’18년 이후 소폭 감소(1%)했으나 특허등록 건수의 경우 ’18년에 비해 11% 증가
표 3-6-25 ❙ 대전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11,197 11,118 11,283 10,811 10,734 10,767 10,632
특허등록 건수 7,809 7,550 5,238 5,492 6,503 5,877 6,504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대전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9,923편, 주저자 기준 4,906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9.79%, 9.06%를 차지
표 3-6-26 ❙ 대전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 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9,609 10.40 94,475 9.83 4,754 9.40 37,928 7.98
2018 9,840 10.30 54,032 5.49 5,004 9.64 24,509 4.90
2019 9,923 9.79 20,887 2.10 4,906 9.06 8,546 1.74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1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주도 혁신성장 실현
■ 목표 : 대전과학기술정책 추진을 통한 과학기술거점도시 정립과 4차산업혁명 선도지역맞춤형
R&D 생태계 표준모델 제시
■ 전략 :
- (대전과학기술 혁신성장 플랫폼) 개방과 혁신으로 과학도시 경쟁력 강화
- 유망기술 및 문화콘텐츠 산업 지속 발굴‧지원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주도 R&D기획・조정 플랫폼 구축
- 산・학・연・민・관 협업과 상생의 개방형 구조화 구축
∙ R&D컨트롤러로서 조직과 산업간 연계 역량 기반구축
- 변화하는 기술혁신과 정책, 새로운 R&D 정합성
∙ 최근 개방형 4세대 R&D와 AI기반 R&D로 빠르게 전환, 지원
∙ NIS중심의 출연연의 RIS연계, 정부정책의 지역화 등 연계
- 융합혁신과 확산의 선순환 체계 역점
∙ 융합을 위한 기반조성과 확산을 통한 선순환체계 구축
■ R&D 기반확충
- 지역 R&D 투자확대
∙ 지역 R&D 콘트롤 타워로의 DISTEP 구축 및 전체 대전시 예산대비 과학기술분야(R&D) 투자예산의
단계적 확대
- 지역 R&D기획・관리역량 체제정비
∙ 지역 R&D 기획, 관리, 평가, 활용 역량제고를 위한 과학기술위원회 심의기능 강화
∙ R&D 전담부서 설치 및 관련기관 인력교류 등 전문성제고
∙ 지역과학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의사결정 및 조정등 R&D정책결정 구도 마련
REGIONAL S&T YEARBOOK 2020 211
■ 성과확산 및 공유를 통한 시너지 창출
- 지역 R&D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혁혁신 촉진
∙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 대전시-대덕특구 상생협력, 융합공동연구 활성화, 연구소기업 종합지원, 스
마트제조혁신기술센터, 인공지능 클러스터, SW산업 육성, 산학연 연구네트워크 확산
- 지역기반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기업수요 맞춤형 R&D 및 기술사업화, 바이오의약산업 허브구축, 국방 ICT첨단산업 육성, IoT기반
첨단센서 산업육성, IoE기반 에너지공유 거래시장, 지역사회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 강화 등
- 지역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 확산
∙ 국민생활 선도사업(과학기술기반 지역R&D), 수요기반의 전문 기술인력 양성, 지역특화형 연구개발
인력 양성,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 운영, 시민참여형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 기반 창업 및 지역문화의 확산
∙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창업 생태계조성 및 지원, 지역 연구소기업 육성, R&D 성과기반 기술사업화 활성화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혁신 주도 R&D 지획・조정 기능강화
- 대전지역 R&D환경 특수성을 반영한 생태계 조성과 R&D투자 확대 및 결정권 강화를 위한 기획・관리
체제 확립
∙ (지자체 R&D전담조직 설립 ; 대전과학산업진흥원(DISTEP)) 대전 지역실정에 맞는 과학기술혁신
정책수립 및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컨트롤 타워로의 위상확립
∙ (R&D 투자효율성 증대) 대전시 R&D 자원 및 자원의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통합된 조정기능을 통해 R&D 성과 창출 극대화
■ 미래예측・과학기술 기반 신산업 발굴・기획 R&D 보완
- 신산업 창출, 혁신클러스터 촉진 등 혁신 생태계 관점 기획추진
∙ 전문성 기반의 과학기술 혁신 정책기획 플랫폼 구축
∙ 지역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미래 신산업 집중지원
∙ 지역특화산업 기술사업화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맞춤형 R&D 발굴․지원
∙ ICT 기술 융합을 통한 첨단산업 육성
∙ 기술융합 혁신생태계 조성 및 신산업 육성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창출
21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R&D기술사업화 및 창업 혁신생태계 조성・확대
- 지역 내 혁신기관 간 연결‧공유를 통한 생태계 형성
∙ (대덕특구와 상생협력) 상생협력 확대를 통한 정책발굴로 과학도시 경쟁력 강화(대전시-대덕특구 간
4차 산업혁명 육성을 위한 교류․협력 강화)
∙ (창업 혁신생태계 조성) 대덕특구의 우수한 연구역량을 활용 혁신생태계 조성
∙ 출연(연)의 R&D와 연계한 창업하기 쉬운 환경 구축
∙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협업과 혁신의 플랫폼, R&D 성과물 테스트베드, 핵심기술 융합 TFLO 등
기능 구축 연계․활용
∙ (R&D기반 시민생활 개선) R&D 기술 활용 시민생활문제 개선을 위한 R&D기획 사업발굴․지속 확대
■ 시민참여시스템 강화 및 정책홍보 활동 지속 강화
- 참여형 과학기술활동+과학문화 활동 연계를 통한 시민참여형 과학문화 활동 적극 발굴‧확대
∙ (시민참여 시스템 미흡) 계획수립 및 사업추진 등에 있어서 시민들의 의견 반영 및 참여 시스템 부족
및 활동 미흡
∙ 과학문화 사업과 연구개발 사업간 협업 및 연계를 통한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지속 발굴
∙ 단순히 보고 즐기는 문화에서 참여하고 체험하는 과학문화로 변화, 시민에 대한 과학문화의 인식
제고→국민생활 속에서 일상이 되고 국민이 과학의 주체가 되는 새로운 미래산업 육성
※ (시민참여형 과학문화 활동 적극적 추진) 과학+문화+실험+시도+놀이+쉼+재미
∙ 지역 주민생활 현안관련 R&D 이슈 발굴‧추진, 과학기술 적용 문제해결 ‘리빙랩’활성화, 과학기술
기반 사회혁신 지원조직 육성 등
■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미래성장 생태계 조성
- (4차 산업혁명 혁신모델 구축)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여 생태계, 실증화 등 전분야에 대한민국의 표준
모델 제시
∙ 4차 산업혁명 R&D기반 구축, 과학벨트성공 조성 등
∙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 및 첨단기술 중점 투자를 통한 미래 성장동력 창출
∙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과학기술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교류 촉진
∙ 유망기술 및 문화콘텐츠 산업 지속 발굴․지원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대덕특구와 상생협력 강화를 통한 4차 산업혁명의 성공적 인프라 구축
∙ 대전 과학기술 고경력 일자리 및 4차산업혁명 신기술 일자리 창출‧확대
■ 대덕특구, 과학기술전문가, 중앙정부, 인근 지자체와의 협업활동 강화
- 대덕특구와 협업 강화, 중앙정부 및 혁신기관 등 전문가와 네트워킹 활성화
∙ (과학계와의 협업확대) 대덕특구 연구기관, 지역 대학 등 지역 내 혁신기관 및 전문가와의 협업 네트
워크 강화
∙ (중앙정부와의 협력강화) 중앙정부와 인근 지자체와의 협업 활동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0 213
제7절 울산광역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울산의 인구는 약 115만 명으로 전국의 2.22%가 거주
- 전국인구대비 울산 인구의 비중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함
표 3-7-1 ❙ 울산광역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142,469 1,166,033 1,165,646 1,154,482 1,146,561
전국대비 비율(%) 2.26 2.27 2.27 2.24 2.22
경제활동참가율(%) 60.4 61.0 61.9 61.2 61.7
실업률(%) 2.9 3.8 3.5 4.6 4.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21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울산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7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약 0.16% 감소한 경향을 보임
- 산업구조 상 제조업이 51.3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이 17.52%를 차지하고 있으며
5년 간 산업구조에 거의 변동이 없었음
표 3-7-2 ❙ 울산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72,854,409 73,477,668 72,968,962 71,344,390 72,380,076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254,583 246,904 253,642 249,877 219,451
(지역내비중,%) (0.35) (0.34) (0.35) (0.35) (0.30)
제조업 37,769,463 37,714,630 36,325,471 35,741,882 37,159,220
(지역내비중,%) (51.84) (51.33) (49.78) (50.10) (51.34)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860,348 1,773,267 2,024,633 1,627,138 1,974,767
(지역내비중,%) (2.55) (2.41) (2.77) (2.28) (2.73)
건설업 2,514,887 2,785,832 3,564,908 3,029,518 2,317,241
(지역내비중,%) (3.45) (3.79) (4.89) (4.25) (3.20)
기타서비스업 13,188,441 13,119,170 12,875,046 12,893,578 12,681,595
(지역내비중,%) (18.10) (17.85) (17.64) (18.07) (17.5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608,459 4,799,838 4,993,473 5,124,021 5,375,529
(지역내비중,%) (6.33) (6.53) (6.84) (7.18) (7.43)
순생산물세 12,658,228 13,038,027 12,905,378 12,594,921 12,749,663
(지역내비중,%) (17.37) (17.74) (17.69) (17.65) (17.61)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0년 기준)>행정구역(시도)별/경제활동별 지역내 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215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울산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93조 1,669억 원이고, 1,816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85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이 약 61조 5,208억원(전체의 31.85%),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354개(전체의 19.49%),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5만 2,662명(전체의 30.8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7-3 ❙ 울산광역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
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41,555 0.44 35 1.93 1,119 0.65
음료 제조업 93,719 0.05 4 0.22 103 0.0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759,120 0.39 70 3.85 2,872 1.6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5,605 0.01 8 0.44 132 0.08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1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8,551 0.06 19 1.05 429 0.2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220,262 0.63 24 1.32 1,543 0.9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1 0.06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61,520,756 31.85 24 1.32 5,231 3.0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8,555,181 19.96 175 9.64 16,722 9.7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5,185 0.01 4 0.22 88 0.0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263,969 1.17 80 4.41 5,660 3.3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88,857 0.25 42 2.31 1,202 0.70
1차 금속 제조업 17,533,903 9.08 97 5.34 6,817 3.9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940,007 1.52 241 13.27 9,136 5.35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97,243 0.05 5 0.28 301 0.18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18,070 0.11 43 2.37 893 0.52
전기장비 제조업 4,110,169 2.13 85 4.68 8,129 4.7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089,623 2.63 185 10.19 9,468 5.5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5,429,671 23.52 292 16.08 52,662 30.8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1,707,391 6.06 354 19.49 47,329 27.70
가구 제조업 - - 2 0.11 - -
기타 제품 제조업 29,729 0.02 8 0.44 159 0.0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78,436 0.04 16 0.88 712 0.42
합 계 193,166,850 100.00 1,816 100.00 170,852 100.00
21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7-4 ❙ 울산광역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
업; 의약품 제외
비교적
높음
∙ 1차 금속 제조업
낮음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전기 장비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217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울산시의 중점전략분야는 ‘지역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이며 전년대비 ’19년 투자액 크게 증가하여
’20년 투자액 또한 증가 계획임
표 3-7-5 ❙ 울산광역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해수자원화 기술 연구센터 건립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분원 설립
울산테크산단 P2G기반 한전 MG 실증사업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기반구축 사업
바이오데이터 팜 사업
고효율 차량경량화 부품소재 개발
고효율 차세대 촉매 제조공정개발 기반구축
분리막 소재평가 표준화 및 공정실증화 기반구축
조선해양기자재 장수명 기술지원센터 구축
수소산업 기업지원 혁신 클러스터 조성사업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징센터 구축사업
3D프린팅 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체계 구축사업
차세대 조선에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 연구센터 구축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건립
산학융합원 하이테크타운 건립
※ 출처 : 울산광역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21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22개, 농공산업단지 4개가 있음
- 총 28개의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461개, 총 종사자 수는 125,760명
표 3-7-6 ❙ 울산광역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울산・미포 48,444 45,595 816 637 91,532 100.0 조성중
온산 25,939 20,513 320 261 15,554 100.0 조성중
일반
매곡 556 556 55 55 1,768 100.0 완료
모듈화 863 863 30 27 2,007 100.0 완료
이화 694 694 1 - - 100.0 조성중
중산 128 128 18 18 456 100.0 완료
길천 1,516 1,516 85 81 3,391 100.0 조성중
신 2,423 2,404 104 100 3,658 94.5 완료
와지 126 125 7 7 142 100.0 완료
울산 High Tech Valley 1,939 1,939 10 6 87 - 조성중
봉계 255 255 10 7 532 94.8 완료
KCC울산 1,165 1,165 34 18 322 74.8 조성중
전읍 72 72 2 2 X 100.0 완료
반천 1,373 1,373 67 49 1,333 100.0 완료
작동 150 150 - - - 100.0 조성중
중산2차 364 364 43 36 848 100.0 완료
매곡2 77 77 12 9 209 100.0 완료
매곡3 158 158 20 18 505 100.0 완료
청양 201 200 - - - - 미개발
울산테크노 1,287 1,287 86 10 70 97.9 완료
모바일테크밸리 314 314 - - - - 미개발
에너지융합 1,017 1,017 - - - - 미개발
방기 136 136 - - - - 미개발
GW 450 450 - - - - 미개발
농공
달천 260 260 96 91 1,440 100.0 완료
두동 70 70 4 4 530 100.0 완료
두서 123 123 15 13 551 100.0 완료
상북 139 139 12 12 825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219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울산광역시에는 총 53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 중 ‘정보통신업’이 62개로 가장 많았고,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55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95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59개), ‘전기 장비
제조업’(55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7-7 ❙ 울산광역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0
광업(05~08)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7
음료 제조업 1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5
1차 금속 제조업 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7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5
전기장비 제조업 5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9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1
22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가구 제조업 0
기타 제품 제조업 1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0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
건설업(41~42) 12
도매 및 소매업(45~47) 3
운수 및 창고업(49~52) 0
숙박 및 음식점업(55~56) 0
정보통신업(58~63) 62
금융 및 보험업(64~66) 0
부동산업(68) 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0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536
REGIONAL S&T YEARBOOK 2020 22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울산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10,445명(전국의 1.45%)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1.6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5,823명(전국의 1.26%)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3,640명(전국의 1.87%), 공공연구소는 982명(전국의 1.57%)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7-8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730 1.47 3,096 1.65 3,394 1.83 3,643 1.89 3,640 1.87
∙ 국공립 1,540 1.95 1,851 2.41 2,157 2.82 2,253 2.84 2,410 3.02
∙ 사립 1,190 1.12 1,215 1.12 1,237 1.13 1,390 1.23 1,230 1.08
공공연구소 662 1.22 896 2.11 768 1.38 807 1.38 982 1.57
∙ 국공립 20 0.19 174 1.67 182 1.70 202 1.65 213 1.65
∙ 정부출연 332 1.00 388 1.22 387 1.21 416 1.28 476 1.38
∙ 병원 및 기타 310 3.04 334 2.61 199 1.52 189 1.39 293 1.94
기업 6,404 1.68 6,140 1.60 6,473 1.58 6,836 1.55 5,823 1.26
∙ 정부투자기관 56 1.57 46 1.21 31 0.79 16 0.41 11 0.29
∙ 민간기업 6,348 1.68 6,094 1.60 6,442 1.59 6,820 1.56 5,812 1.27
합 계 9,796 1.58 10,105 1.65 10,635 1.64 11,286 1.63 10,445 1.4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9년 울산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명 감소한 70.0명으로 조사됨
표 3-7-9 ❙ 울산광역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60.0 63.2 67.4 73.0 70.0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울산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1,100억 원(전국의 1.25%) 17개 광역시・도 중 12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37%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606억 원(전국의 2.18%), 공공연구소는
약 1,088억 원(전국의 1.07%), 기업이 약 8,405억 원(전국의 1.18%)
표 3-7-10 ❙ 울산광역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13,638 1.89 123,748 1.95 139,657 2.09 144,199 2.05 160,634 2.18
∙ 국공립 82,282 3.03 94,439 3.29 110,691 3.74 112,819 3.65 125,448 3.83
∙ 사립 31,356 0.95 29,309 0.85 28,966 0.78 31,380 0.79 35,186 0.86
공공연구소 69,976 0.79 82,130 0.90 79,896 0.84 100,529 1.02 108,847 1.07
∙ 국공립 1,367 0.18 9,078 1.22 8,538 1.07 10,964 1.35 11,482 1.37
∙ 정부출연 64,274 0.92 68,499 0.96 65,594 0.88 79,853 1.06 86,085 1.10
∙ 병원 및 기타 4,335 0.40 4,553 0.37 5,764 0.43 9,712 0.66 11,281 0.74
기업 788,704 1.54 595,598 1.10 510,317 0.82 865,574 1.26 840,482 1.18
∙ 정부투자기관 15,700 2.48 19,799 2.46 11,472 1.29 10,913 1.20 4,366 0.50
∙ 민간기업 773,004 1.53 575,799 1.08 498,845 0.81 854,661 1.26 836,116 1.18
합 계 972,318 1.47 801,477 1.10 729,870 0.93 1,110,302 1.30 1,109,963 1.2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23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울산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11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60%
표 3-7-11 ❙ 울산광역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808 2,691 2,836 3,031 3,112
(1.5) (1.5) (1.5) (1.5) (1.5)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지방정부의 지역혁신 리더십 구축(5개 과제, 129억원)
- (지방정부의 R&D기획・평가 역량 확충)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R&D지원사업(12.6억원), 연구
개발지원단지원사업(6억원) 등
■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 극대화(47개 과제, 1,874억원)
- (지역 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73.8억원), AI국가
전략 프로젝트 지원사업(38.5억원),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 건립사업(93.2억원), 울산 만명 게놈프로
젝트 사업(40억원) 등
-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울산시-ETR공동협력사업(50.8억원), 고집적 에너지
산업응용 R&BD구축(72.7억원), 시-화연 정밀화학 기술협력사업(20억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분원
건립(95.7억원) 등
-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141.4억원),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89.2억원),
미래자동차 종합안전시험장 구축 및 고안전부품개발(70억원) 등
■ 지역 혁신성장체계 고도화(42개 과제, 908억원)
-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3D프린팅응용 친환경자동차부품 R&BD구축(27억원), 그린자동차 부품
실용화 및 실증지원(63.4억원), 5MW급 부유식 대형 해상풍력 발전시스템 설계기술 개발(25.9억원),
분리막 소재평가 표준화 및 공정실증화 기반구축(36억원),비식용 그린카본 기반 바이오슈가 대량생산
기술개발(42.5억원) 등
22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내 기술 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식재산 창출지원(12.4억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
더등록 지원(15억원), 울산 청년 CEO운영(16억원) 등
- (지역 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3D프린팅소재 상용화 품질평가체계 구축사업(38.5억원), 차세대 조선에
너지부품 3D프린팅 제조공정 연구센터 구축(70억원),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건립(59.2억
원), 산학융합원 하이테크타운 건립(92.4억원),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5.2억원), ICT융합 전기추
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55억원) 등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7-1 울산광역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225
표 3-7-12 ❙ 울산광역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661 - 5,351 97 27 20 1,166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7-13 ❙ 울산광역시 혁신산업국 미래신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테크노파크 운영지원
∙ 산업분야 혁신성장 업무(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등)
∙ 주요 현안업무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지역산업 지원사업 총괄
∙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
∙ 규제자유특구 지정
∙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산업골든벨 추진
∙ R&D 사업관리 전반
∙ 연구개발특구 유치
∙ ICT융합 지역SW산업 울산정보산업진흥원 관리
∙ 제조서비스융합 지식산업센터 구축
∙ 드론산업 육성
∙ 인공지능 및 SW 산업
∙ 3D프린팅 업무 총괄(3D프린팅 산업 육성, 산업융합 콘텐츠 지
원, 스마트팩토리 지원)
∙ 과학기술진흥 종합 및 시행 계획수립
∙ 연구개발역량강화 교육
※ 출처 :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주요 기능 및 활동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종합계획 수립
- 산・학・연・관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특화적 기술개발
- 시가 주관하는 과학기술 혁신 및 연구개발에 관한 지원사업
- 과학기술 정보화의 추진 및 지원
-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및 생활과학화 촉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조원경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재임기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 (2020. 12. 15. ~ 12. 22.)
- 회의 안건
⦁ 2021년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안)
22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7-14 ❙ 울산광역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조원경 울산광역시 재임기간
위 원 심민령 울산광역시 재임기간
위 원 조홍래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5.11.~2022.5.10.
위 원 이남우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5.11.~2022.5.10.
위 원 이만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0.5.11.~2022.5.10.
위 원 이완재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2020.8.10.~2022.5.10.
위 원 노승만 한국화학연구원 2020.5.11.~2022.5.10.
위 원 권순용 울산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 2020.5.11.~2022.5.10.
위 원 이선권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2020.5.11.~2022.5.10.
위 원 김기홍 춘해보건대학교 2020.5.11.~2022.5.10.
위 원 이유동 (재)울산테크노파크 2020.5.11.~2022.5.10.
위 원 이경우 울산발전연구원 2020.5.11.~2022.5.10.
위 원 구자록 울산정보산업진흥원 2020.10.14.~2022.5.10.
위 원 안도영 울산광역시 의회 2020.8.10.~2022.5.10.
위 원 정재오 울산광역시교육청 2020.5.11.~2022.5.10.
※ 출처 : 울산광역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울산시의 총 예산은 8조 1,201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845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1.04%
- 과학기술 예산 중 울산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26.88%
표 3-7-15 ❙ 울산광역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81,201
재정자주도(%) 74.10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144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845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1.04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26.88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27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울산시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341억 원을
투자
- 국비는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에 약 1,112억 원, 지방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305억 원이 투입
표 3-7-16 ❙ 울산광역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울산발전연구원 운영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R&D 지원사업
936 6,299 5,226 12,46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운영비 지원
해수자원화 전력시스템 연구센터 건립사업
111,191 17,692 5,193 134,07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분원 건립
울산시-ETRI 공동협력사업
14,558 6,179 4,107 24,845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광역협력권 육성사업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R&D, 비R&D)
26,502 14,349 1,444 42,294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그린자동차 부품실용화 및 실증지원
비식용 그린카본 기반 바이오슈가 대량생산 기술개발
19,537 4,631 5,456 29,624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건립
조선해양기자재 국제인증 및 벤더등록 지원
7,703 4,760 421 12,88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산학융합형 하이테크타운 건립
고집적에너지 산업응용 R&BD구축
25,585 30,548 2,111 58,244
합 계 206,012 84,458 23,958 314,428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울산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663개로 전국의 1.19%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9.57% 증가
- 5년간 대학 1개 감소, 공공연구소 4개 증가, 기업 200개 증가
표 3-7-17 ❙ 울산광역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 1.46 6 1.44 5 1.22 5 1.37 5 1.20
∙ 국공립 1 1.14 1 1.11 1 1.12 1 1.27 1 1.19
∙ 사립 5 1.54 5 1.52 4 1.25 4 1.40 4 1.21
공공연구소 11 2.05 13 2.34 12 2.11 14 3.49 15 2.34
∙ 국공립 2 1.59 4 3.39 4 3.15 4 5.56 4 2.80
∙ 정부출연 6 3.05 6 3.70 6 3.75 6 7.89 6 3.55
∙ 병원 및 기타 3 1.41 3 1.09 2 0.71 4 1.58 5 1.52
기업 443 1.22 445 1.16 504 1.19 625 1.29 643 1.17
∙ 정부투자기관 1 2.22 2 4.65 3 6.12 1 2.38 1 1.82
∙ 민간기업 442 1.21 443 1.16 501 1.18 624 1.29 642 1.17
합 계 460 1.23 464 1.18 521 1.20 644 1.31 663 1.1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29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울산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7-18 ❙ 울산광역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0
교육대학 - - - 0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0
기술대학 - - - 0
기능대학 - - - 0
합 계 1 0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울산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2만 7,34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584명(전체의 약 9.5%), 공학계열 학생이 1만 1,514명(전체의 약
42.1%)
표 3-7-19 ❙ 울산광역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584 11,514 14,098 4,675 1,848 684 1,496 4,540 27,341
비중(%) 9.5 42.1 51.6 17.1 6.8 2.5 5.5 16.6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23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
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울산광역시에는 총 6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울산과학기술원에 5개, 울산대학교에 1개의 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7-20 ❙ 울산광역시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울산과학기술원
(5개 센터)
2015 사이언스 월든 CRC
2016 다공성 플랫폼 기반 생체모방 촉매 SRC
2016 고에너지 천체물리 연구센터 SRC
2018 대사스트레스 세포대응 연구센터 SRC
2020 미세플라스틱 대응 화공/바이오 융합 공정 연구센터 ERC
울산대학교
(1개 센터)
2018 줄기세포 면역제어 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REGIONAL S&T YEARBOOK 2020 231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울산의 지역혁신센터는 과거 울산대에 2개가 운영 중이었으나, ’20년 기준 운영하고 있는 센터는
없는 것으로 조사 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울산에는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에 1개, 울산대학교에 1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
운영 중에 있음
표 3-7-21 ❙ 울산광역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울산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8-11-08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23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울산에는 공립 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7-22 ❙ 울산광역시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울산과학관 울산광역시 교육청 공립
태화강생태관 울산시 울주군수 공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울산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308개 운영
표 3-7-23 ❙ 울산광역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42 356 278 350 365 400 308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REGIONAL S&T YEARBOOK 2020 233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울산시 특허출원 건수는 2,27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268건
- 특허출원 및 등록 건수는 ’18년 대비 각각 3%씩 감소
표 3-7-24 ❙ 울산광역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3,072 2,825 2,553 2,421 2,267 2,347 2,277
특허등록 건수 1,149 1,284 911 1,016 1,269 1,308 1,268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울산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2,246편, 주저자 기준 1,16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2.22%, 2.15%를 차지
표 3-7-25 ❙ 울산광역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1,940 2.10 28,431 14.66 989 1.95 15,143 15.31
2018 2,042 2.14 17,337 8.49 1,104 2.13 8,259 7.48
2019 2,246 2.22 7,432 3.31 1,162 2.15 3,096 2.66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23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 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중심의 글로벌 미래첨단 산업도시 울산 재도약
■ 목표
- 산업혁신기반 : 연구개발 투자유형(인프라 → 기술개발) 변화
- 경제적성과 : 인구1인당 총 부가가치 지속 성장
- 혁신기업활성화 : 신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확대
■ 전략 : 4차산업혁명 신산업육성, 그린&스마트 주력산업고도화, 글로벌 강소기업육성, 창의
적 기술 인력 양성
▣ 중점 과제 및 전략
■ 지역 R&D 투자 확대
- R&D 기반 초광역 기간산업-Belt 구축
- 중점전략 프로젝트별 R&D 투자 확대
■ 지역 R&D 기획・관리역량 체제 정비
- 지역 R&D 기획・관리・평가 역량강화
- 지역 R&D 통합정보관리 시스템 활성화
- 지역-중앙간 R&D 관리 노하우 공유
■ 지역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혁신 촉진
- 지역 R&D 거점기관 및 클러스터 확대
- 지역 개방형 산・학・연 연구 네트워크 확산
-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산학연 협력사업 활성화
REGIONAL S&T YEARBOOK 2020 235
■ 지역 기반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투자 강화
- ICT를 기반으로 한 제조혁신과 산업생태계 지원체계 구축
- 웰에이징에 대한 글로벌 시장확대에 따른 신수종 산업화 추진
- 미래제조산업 글로벌 트렌드 대응 가능한 산업 구조 고도화
- 기업 성장단계 및 경영전략에 부합하는 단계별 정책지원
■ 지역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글로벌 교육 인프라확충 및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
- 핵심인력 확보지원 및 과학기술인력 경력개발관리
- 지역연구인력 유입 및 정착을 위한 지원제도 강화
- 글로벌 MICE 산업도시구축으로 지역 과학기술문화 확산
■ 지역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기업성장주기 R&D 인프라 구축・강화
- 기술자문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 중견기업 스케일업 및 글로벌 브랜드화
- 기술기반 중소기업 육성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추진체계
국가과학기술심의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울산광역시 ↔ 울산과학기술진흥위원회 ↔ 울산연구개발지원단
↕
지역혁신기관 / 산・학・연
■ 과학기술 기반 R&D 역량 강화 및 시민 참여 R&D 생태계 확산
- 울산 과학기술진흥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및 실천과제 발굴
- 지역현안 문제 및 지역수요에 기반 한 문제해결 전주기 지원시스템 강화
- 울산 지역 R&D의 효율적 관리, 평가를 위한 체계적 시스템 마련 및 운용
23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과학기술 기반 기업수요 맞춤형 혁신성장형 기업 육성 및 생산성 향상
- 일본 수출규제 대응 소재・부품 국산화를 통한 화학소재산업 경쟁력 강화
- 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을 통한 지역대표 중소・중견기업 지속 발굴
- 기업체감형 AI 머신러닝 기반의 공정 지능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 4차 산업혁명 대응 인공지능 분야 원천기술 확보로 신산업 분야 개척
- 우수 기술 및 연구개발능력 보유 벤처기업의 집적화 및 조기 사업화 유도
■ 과학기술 융・복합화를 통한 미래신재생에너지 산업 주도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기술개발 연구 활성화 및 친환경에너지 지역 조성
- 미래 그린에너지 산업을 위한 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
- 조선・해양 분야 에너지 신산업 창출 및 해수자원화 연구 거점 확보
- 고집적 에너지 기술 허브 및 차세대 전지연구개발 성장 동력 마련
- 부유식 해상풍력 및 대형 해상풍력 발전시스템 기술 확보
■ 과학기술 주도 주력산업 고도화 및 울산형 신성장 동력 산업 육성
- 친환경 수소모빌리티 생산시스템 개발 및 수소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 울산형 수소기반 혁신성장 밸류체인 구축으로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
- 차세대 미래선박 연구거점 및 조선해양기업 업종전환
- 조선・해양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차세대 미래선박 연구 거점 마련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지역 R&D 기획・조사분석・평가기반 구축(Ⅰ-2.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 울산 R&D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구축
- 울산 R&D 사업에 대한 조사・분석 체계화 운영
■ 기술혁신 및 지역수요맞춤형 교육 강화(Ⅱ-4.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 미래 신산업 수요 특화형・기업연계형 교육
- 빅데이터・AI・나노・바이오・원자력 등 기초연구 추진
- 공학교육혁신센터 운영, 및 ICT R&D 고급인력 양성
REGIONAL S&T YEARBOOK 2020 237
■ 지역 혁신플랫폼 육성 및 시민 참여형 R&D 기반 구축(Ⅱ-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혁신 역할 강화)
- 공공기관연계 R&D 투자 확대
- 시민참여 활성화 및 리빙랩 연계
■ 수요자 중심 기업 R&D 지원 및 기술혁신형 기업 창출(Ⅱ-6. 지역 기업의 기술역량 확보)
- 3D프린팅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건립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지원사업 추진
■ 지역 전략분야 융합 R&D 및 교류 플랫폼 활성화(Ⅲ-7.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 3D프린팅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 건립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지원사업 추진
■ 실증 R&D 확대 및 투자유치 활성화(Ⅲ-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 지역 기업 R&D 맞춤형 기술정보 제공
- 현장 맞춤형 기술지원 및 위기업종(조선, 자동차) 사업화 지원
- 우수기술 발굴・마케팅・중개・이전 활성화
■ 지역 혁신자원 및 혁신성장플랫폼 활용 기술개발 강화(Ⅲ-9.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 울산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특구사업 추진
-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활성화 및 선진 원자력 연구거점 구축
23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8절 세종특별자치시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세종의 인구는 약 33만 명으로 작년 대비 증가
- 전국인구대비 세종 인구의 비중도 0.64%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임
표 3-8-1 ❙ 세종특별자치시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97,345 242,507 275,594 303,582 331,136
전국대비 비율(%) 0.39 0.47 0.54 0.59 0.64%
경제활동참가율(%) - - 62.7 63.2 64.3
실업률(%) - - 2.3 1.9 2.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23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세종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11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4.67%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33.9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 서비스업이 22.71%, 제조업이
20.91%로 그 뒤를 따름
- 기타서비스업의 산업 내 비중은 5년 간 11.14%로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이며, 정부/민간비영리생산
은 9.02% 증가하여 세종시 내 산업구조가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하고 있음을 시사함
표 3-8-2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구 분
지역내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9,261,543 9,729,904 10,140,164 10,423,610 11,118,121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217,914 236,003 253,570 207,928 173,085
(지역내비중,%) (2.35) (2.43) (2.50) (1.99) (1.56)
제조업 2,284,382 2,292,367 2,247,609 2,236,617 2,324,253
(지역내비중,%) (24.67) (23.56) (22.17) (21.46) (20.91)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69,193 162,323 193,225 175,862 146,295
(지역내비중,%) (1.83) (1.67) (1.91) (1.69) (1.32)
건설업 1,517,706 1,656,834 1,561,125 1,456,476 1,337,023
(지역내비중,%) (16.39) (17.03) (15.40) (13.97) (12.03)
기타서비스업 1,654,943 1,824,626 1,997,674 2,231,386 2,525,336
(지역내비중,%) (17.87) (18.75) (19.70) (21.41) (22.7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2,672,764 2,813,656 3,043,378 3,302,009 3,775,385
(지역내비중,%) (28.86) (28.92) (30.01) (31.68) (33.96)
순생산물세 744,641 744,095 841,683 808,642 816,804
(지역내비중,%) (8.04) (7.65) (8.30) (7.76) (7.35)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24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세종시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7조 4,085억 원이고, 303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만
7,29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과 사업체 수, 종사자 수에서 모두 ‘식료품 제조업’이 약 9,395억 원(전체의 12.68%), 36개(전
체의 11.88%), 2,057명(전체의 11.9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8-3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39,498 12.68 36 11.88 2,057 11.90
음료 제조업 - - 2 0.66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892 0.09 3 0.99 41 0.2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33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9,581 0.13 4 1.32 57 0.33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40,443 8.64 13 4.29 681 3.9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75,066 1.01 13 4.29 468 2.7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94,490 10.72 33 10.89 1,799 10.4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17,213 4.28 10 3.30 842 4.8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81,681 7.85 35 11.55 1,503 8.6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13,280 10.98 32 10.56 1,808 10.46
1차 금속 제조업 213,778 2.89 17 5.61 547 3.1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5,231 0.88 13 4.29 231 1.3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34,940 11.27 8 2.64 2,048 11.84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11,503 6.90 11 3.63 1,010 5.84
전기장비 제조업 725,011 9.79 25 8.25 1,597 9.2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4,844 0.88 14 4.62 319 1.8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86,735 7.92 25 8.25 1,531 8.8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 1 0.33 - -
기타 제품 제조업 19,440 0.26 5 1.65 154 0.8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2 0.66 - -
합 계 7,408,533 100.00 303 100.00 17,292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
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24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높은 제조업은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8-4 ❙ 세종특별자치시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비교적
높음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낮음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24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세종시는 ‘신성장동력산업 발굴 및 육성’과 ‘기술・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플랫폼 구축’,
‘과학기술 지속성장 기반 구축’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8-5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신성장동력산업 발굴 및 육성
경제협력권산업 육성사업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
자율주행실증 연구개발 지원
자율주행실증 지원 장비 구축, 운영
국산 자율주행 셔틀버스 실증연구
지역대표 중견기업 육성
기술・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플랫폼
구축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사업
지역 SW기업 성장지원
지역 SW융합제품 상용화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창업보육 지원사업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과학기술 지속성장 기반 구축
산학연클러스터 지원센터 운영
미래차연구센터 운영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0 243
(3)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세종시에는 일반산업단지 12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단지 4개가 있음
- 총 1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56개, 총 종사자 수는 10,701명
표 3-8-6 ❙ 세종특별자치시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부강(구 부용) 565 565 14 14 2,483 100.0 완료
소정 272 272 1 1 X 100.0 완료
월산 1,380 1,380 1 1 X 100.0 완료
전의 481 481 8 5 1,051 100.0 완료
전의2 867 866 33 30 1,339 100.0 완료
조치원 940 940 12 11 1,117 100.0 완료
명학 838 838 35 28 2,745 100.0 완료
세종첨단 664 664 25 17 773 100.0 조성중
세종미래 560 560 18 2 X 66.1 완료
세종스마트그린 908 908 - - - - 미개발
세종벤처밸리 590 590 - - - - 미개발
전동 140 140 - - - - 미개발
도시첨단
행정중심복합도시
4-2단계생활권
898 898 69 22 153 61.4 조성중
농공
부용 203 201 1 1 X 100.0 완료
노장 162 162 16 13 591 100.0 완료
응암 116 116 8 8 232 100.0 완료
청송 82 82 3 3 217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24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세종시에는 총 152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에서는 ‘정보통신업’이 33개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16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도 ‘전기 장비제조업’(15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4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11개)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8-7 ❙ 세종특별자치시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0
광업(05~08) 0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
음료 제조업 0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0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0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
1차 금속 제조업 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
전기장비 제조업 1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7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
REGIONAL S&T YEARBOOK 2020 245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가구 제조업 1
기타 제품 제조업 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0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0
건설업(41~42) 6
도매 및 소매업(45~47) 2
운수 및 창고업(49~52) 0
숙박 및 음식점업(55~56) 0
정보통신업(58~63) 33
금융 및 보험업(64~66) 0
부동산업(68) 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1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1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152
24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세종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6위 수준
- ’19년 연구개발인력은 5,826명으로 전국대비비중은 약 0.81%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56%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공공연구소가 3,426명(전국의 5.49%)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1,438명(전국의 0.31%), 대학이 962명(전국의 0.50%)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8-8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84 0.48 623 0.34 875 0.47 885 0.46 962 0.50
∙ 국공립 0 0.00 1 0.00 0 0.00 0 0.00 0 0.00
∙ 사립 884 0.83 622 0.57 875 0.80 885 0.78 962 0.84
공공연구소 3,032 5.60 3,065 7.23 3,463 6.20 3,326 5.70 3,426 5.49
∙ 국공립 0 0.00 0 0 0 0.00 7 0.06 18 0.14
∙ 정부출연 2,972 8.96 3,038 9.51 3,396 10.61 3,318 10.19 3,390 9.84
∙ 병원 및 기타 60 0.59 27 0.21 67 0.51 1 0.01 18 0.12
기업 1,149 0.30 1,220 0.32 1,369 0.33 1,398 0.32 1,438 0.31
∙ 정부투자기관 0 0.00 0 0 0 0.00 0 0.00 0 0.00
∙ 민간기업 1,149 0.30 1,220 0.32 1,369 0.34 1,398 0.32 1,438 0.31
합 계 5,065 0.82 4,908 0.80 5,707 0.88 5,609 0.81 5,826 0.81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인력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47
■ ’19년 세종시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보다 7.1명 감소한 126.8명으로 조사됨
표 3-8-9 ❙ 세종특별자치시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90.4 152.0 154.8 133.9 126.8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세종시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5,941억 원(전국의 0.67%) 17개 광역시・도 중 15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5.0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446억 원(전국의 0.61%), 공공연구소는 약
3,442억 원(전국의 3.39%), 기업이 약 2,052억 원(전국의 0.29%)
표 3-8-10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5,518 0.43 26,487 0.42 31,196 0.47 33,405 0.47 44,618 0.61
∙ 국공립 0 0.00 0 0.00 0 0.00 0 0.00 0 0.00
∙ 사립 25,518 0.78 26,487 0.76 31,196 0.84 33,405 0.84 44,618 1.09
공공연구소 291,551 3.30 287,722 3.16 292,336 3.06 303,231 3.08 344,229 3.39
∙ 국공립 0 0.00 0 0.00 0 0.00 707 0.09 1,125 0.13
∙ 정부출연 288,353 4.14 285,614 4.00 291,025 3.92 302,524 4.01 342,227 4.38
∙ 병원 및 기타 3,198 0.30 2,108 0.17 1,311 0.10 0 0.00 877 0.06
기업 171,647 0.34 154,325 0.29 160,183 0.26 180,486 0.26 205,233 0.29
∙ 정부투자기관 0 0.00 0 0.00 0 0.00 0 0.00 0 0.00
∙ 민간기업 171,647 0.34 154,325 0.29 160,183 0.26 180,486 0.27 205,233 0.29
합 계 488,716 0.74 468,534 0.29 483,714 0.61 517,122 0.60 594,080 0.67
※ 주1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비 집계 시작
주2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4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세종시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4,83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4%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7.05%
표 3-8-11 ❙ 세종특별자치시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682 4,170 4,234 4,696 4,837
(2.0) (2.3) (2.2) (2.4) (2.4)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주 : ’13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연구개발투자 집계 시작
※ 출처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세종 과학기술 거버넌스 구축 및 지역 주도형 R&D투자 확대
- 사이언스비즈플라자 운영(11.3억원), 대전세종연구원 운영(14.3억원),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25.0
억원), 지역특화산업육성(81.4억원),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85.4억원),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3.6억원) 등
■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구축 및 과학기술 미래역량 확보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26.2억원), 미래차연구센터 운영(19.9억원),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
(16.1억원),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10억원), 산학연클러스터 지원센터 운영(12.4억원) 등
■ 글로벌 과학기술 인재육성 및 고부가가치 창출 미래형 신산업 육성
- 대학사업화역량강화사업(4.0억원),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5.0억원),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9.0
억원), 과학벨트 창업·성장지원 사업(5.0억원), 지역 SW융합제품 상용화지원(11.4억원), 지역SW기업
성장지원(4.7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249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세종시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 과학기술담당에서 추진 중
그림 3-8-1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25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8-12 ❙ 세종특별자치시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163 1 1,633 27 34 10 458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8-13 ❙ 세종특별자치시 경제산업국 경제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미래차산업
∙ SB플라자 운영
∙ 생활과학교실 운영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운영 등
∙ 지역 소프트웨어산업 진흥사업 지원
∙ 드론산업 관련업무 추진
∙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센터 구축
∙ 4차 산업혁명 대응 및 위원회 운영 등
∙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2020.12.29)
- 과학기술진흥위원 구성 및 ’19년도 운영방향 보고, 과학기술분야 현안사업 보고
▣ 위원회 명단 및 위원 소속기관
표 3-8-14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류순현 세종특별자치시 행정부시장 2019.02.27.~2021.02.26.
당연직 박형민 세종특별자치시경제산업국장 2019.02.27.~2021.02.26.
위촉직 김기수 홍익대학교 부총장 2019.02.27.~2021.02.26.
위촉직 김선창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2019.02.27.~2021.02.26.
위촉직 김성표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 2019.02.27.~2021.02.26.
위촉직 김영숙 ㈜고려소재연구소 대표 2019.02.27.~2021.02.26.
위촉직 김영준 고려대학교 교수 2019.02.27.~2021.02.26.
REGIONAL S&T YEARBOOK 2020 251
※ 출처 : 세종특별자치시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세종시의 총 예산은 약 2조 6,490억 원으로 이 중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8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69%
- 과학기술 예산 중 세종시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3.88%
표 3-8-15 ❙ 세종특별자치시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6,490
재정자주도(%) 72.91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17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8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3.88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위촉직 김일수 한국영상대학교 부총장 2019.02.27.~2021.02.26.
위촉직 서정열 ㈜동양에이.케이코리아 대표 2019.02.27.~2021.02.26.
위촉직 서지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2019.02.27.~2021.02.26.
위촉직 이준배 ㈜아이빌트세종 대표 2019.02.27.~2021.02.26.
위촉직 정은미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본부장 2019.02.27.~2021.02.26.
위촉직 조윤희 ㈜켐트로닉스 이사 2019.02.27.~2021.02.26.
위촉직 홍순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과학벨트사업지원단장 2019.02.27.~2021.02.26.
25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세종시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243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각각 160억 원, 82억 원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
표 3-8-16 ❙ 세종특별자치시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 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대전세종연구원 운영
연구개발지원단 육성지원사업
180 1,607 - 1,78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대학사업화역량강화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730 120 23 873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스마트서비스 조성 및 운영
1,775 2,574 - 4,34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경제협력권산업 육성사업
지역특화산업 육성산업
16,012 8,235 25 24,272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공동연구법인 설립 지원사업
603 225 225 1,053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 SW융합제품 상용화지원
과학벨트 창업성장지원 사업
1,068 778 274 2,120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육성
미래차연구센터 운영
2,511 4,764 - 7,275
합 계 22,879 18,303 547 41,72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실적점검 및 2020년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53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세종시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32개로 전국의 0.4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4.92% 증가
- 5년간 대학 수는 변함없음, 공공연구소 2개, 기업 97개 증가
표 3-8-17 ❙ 세종특별자치시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4 0.97 5 1.2 4 0.98 5 1.37 4 0.96
∙ 국공립 0 0.00 1 1.11 0 0.00 0 0.00 0 0.00
∙ 사립 4 1.23 4 1.22 4 1.25 5 1.75 4 1.21
공공연구소 16 2.99 15 2.70 17 2.99 17 4.24 18 2.80
∙ 국공립 0 0.00 0 0.00 0 0.00 1 1.39 1 0.70
∙ 정부출연 13 6.60 14 8.64 14 8.75 15 19.74 15 8.88
∙ 병원 및 기타 3 1.41 1 0.36 3 1.07 1 0.40 2 0.61
기업 113 0.31 118 0.31 133 0.31 169 0.35 210 0.38
∙ 정부투자기관 0 0.00 0 0.00 0 0.00 0 0.00 0 0.00
∙ 민간기업 113 0.31 118 0.31 133 0.31 169 0.35 210 0.38
합 계 133 0.36 138 0.35 154 0.35 191 0.39 232 0.4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5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세종 소재 대학 수는 3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1개 존재
표 3-8-18 ❙ 세종특별자치시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 - 2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1 1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 - 3 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 세종시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만 7,292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252명(전체의 약 7.2%), 공학계열 학생이 4,323명(전체의 약
25.0%)
표 3-8-19 ❙ 세종특별자치시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52 4,323 5,575 243 4,989 170 1,417 4,898 17,292
비중(%) 7.2 25.0 32.2 1.4 28.9 1.0 8.2 28.3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255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 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세종시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8-20 ❙ 세종특별자치시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주)아이빌트세종 아이빌트창업보육센터 2017-07-07
한국영상대학교 한국영상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28
홍익대학교 홍익대학교 벤처기업창업보육센터 1999-10-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생활과학교실
■ ’20년 세종시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50개 운영
표 3-8-21 ❙ 세종특별자치시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8 79 63 66 74 78 50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25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세종시 특허출원 건수는 81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05건
- 특허출원 및 특허등록 건수 증가율은 ’18년 대비 각각 0.25%, 3%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표 3-8-22 ❙ 세종특별자치시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267 326 462 548 736 811 813
특허등록 건수 175 179 198 249 307 394 405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세종시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661편, 주저자 기준 302편으로 점유율 면에서
우리나라 전체 논문의 각각 0.65%, 0.56%를 차지
표 3-8-23 ❙ 세종특별자치시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499 0.54 3,444 6.90 229 0.45 1,403 6.13
2018 522 0.55 2,069 3.96 230 0.44 785 3.41
2019 661 0.65 969 1.47 302 0.56 401 1.3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25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새로운 중심, 스마트 시티 세종
■ 목표 :
-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 및 혁신역량 강화
- 미래형 신산업 육성지원 및 세종 스마트시티 기반 조성
-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원천 기술 사업화 지원 확대
- 지역 주력산업 및 연고(전통)산업 R&D 투자 활성화
■ 전략 :
- R&D 투자 확대
- R&D 기획‧관리역량 체제 정비
-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강화
-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 및 혁신역량 강화
‐ 국가균형발전 정책 지원을 위한 정책개발 및 현안대응, 시민참여와 자치역량강화 사업, 행정수도 기능
강화 등에 필요한 사업 추진
‐ 지역내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과제 관리 전문조직 육성을 통한 지역 주도 R&D 기반 조성
■ 미래형 신산업 육성지원 및 세종 스마트시티 기반 조성
- 4차 산업혁명 대응 신기술・신산업 기술혁신 거점 조성을 위한 자율주행차 서비스 산업 중점 육성 및
자생적 산업육성기반 마련
- ‘세종 자율주행실증 규제자유특구’ 지정(중기부 고시 제2019-41호, ‘19.8.9.)에 따라 국내 최초 자율차
상용화 실증을 위한 핵심 기반 장비・시설 구축 추진
25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확충 및 업무연속성 관리로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서비스
제공
- 산학연 개방형 연구 및 제품 상용화 전주기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기초・원천기술 사업화 지원 확대
- 산재되어 있는 세종 기능지구 지원사업 연계를 통해 세종기업 육성의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 및 기술
사업화의 시너지 제고
- 기능지구의 특정분야 연구그룹(집단연구) 지원을 통해 거점지구 기초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위한 중
개연구 역량 강화
- 과학벨트 기능지구 대학 등의 혁신자원을 활용한 기능지구 내 창업 붐 조성, 예비창업자 발굴을 통해
창업역량 강화
- 4차 산업혁명 대비 기업에서 원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프로젝트 중심의 맞춤형 인력양성 지원
■ 지역 주력산업 및 연고(전통)산업 R&D 투자 활성화
- 지역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력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
- 지역기업의 기술혁신, 일자리창출을 위한 기술 개발(R&D) 및 기업지원서비스(비R&D) 등 기술집약형
기업육성을 위한 지원 확대
- 경제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도간 협력 산업에 대해 중점 지원을 통해 광역적 산업생태계 육성
- 지역 특화산업 분야의 경쟁력 있는 유망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학·연구기관과 공동기술개발 지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세종 과학기술 거버넌스 고도화 및 지역 과학기술 인프라 활용 기반 구축
- 세종과학기술진흥위원회 등 과학기술 거버넌스 및 네트워크 고도화를 통해 지역 과학기술 사업의
전문성 제고
- 지역내 R&D 사업 관리체계 마련을 통한 체계적인 사업 관리 시스템 구축
- 기 구축된 과학기술 인프라*의 활용 및 연계전략 수립을 통해 지역내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 필요
※ 세종 SB플라자,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 미래차연구센터, 바이오메디컬활성소재센터,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등
- 연구장비 공동이용 체계, 조건부 장비구매, 공동연구개발 지원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 투자
확대 방안 마련
REGIONAL S&T YEARBOOK 2020 259
■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 구축 및 과학기술 미래역량 확보
- 4차 산업혁명 및 지역 핵심시책(스마트시티, 자율주행산업)의 선도적 대응을 위한 융합·신산업분야
발굴 및 육성
- 비대면 서비스 산업 수요 급증에 따라 지자체에서 필요로 하는 비대면 서비스 관련 기술개발 사업 적극
발굴 및 정부 건의
- 과학벨트 자원(가속기 및 ICT융합)을 활용한 인근 충청권과의 지역상생발전 모델 발굴을 통한 지역
경쟁력 확보
■ 과학기술 인재육성 및 고부가가치 창출 미래형 신산업 육성
- 국가정책(과학‧산업) 실행기반 과학기술 전문인력 육성 및 고용창출 지원 강화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인력양성프로그램 운영
- 지역기업, 대학창조일자리 센터, 고용센터 등과 협력체계 구축으로 지역 내 일자리 발굴과 지역대학
졸업자의 일자리 창출 기반조성
- 지역 과학기술 관련 사업과 관내 대학 학과와의 연계를 통한 산-학 인력 연계 시스템 마련
26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9절 경기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경기도의 인구는 약 1,324만 명으로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 대비 경기도 인구의 비율은 약 25.6%로 작년 대비 증가
표 3-9-1 ❙ 경기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2,397,902 12,671,956 12,809,379 13,031,356 13,237,797
전국대비 비율(%) 24.49 24.72 24.90 25.25 25.60
경제활동참가율(%) 64.0 64.0 64.6 63.4 64.3
실업률(%) 3.9 3.9 3.9 3.6 3.8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26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기도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462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4.89%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37.38%)과 제조업(35.19%)이 경기도 산업의 큰 축을 이룸
표 3-9-2 ❙ 경기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381,978,306 399,827,962 426,172,886 451,914,662 462,406,736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796,279 3,528,888 3,477,989 3,578,252 3,618,151
(지역내비중,%) (0.99) (0.88) (0.82) (0.79) (0.78)
제조업 128,250,645 134,492,313 148,256,806 161,040,454 162,734,286
(지역내비중,%) (33.58) (33.64) (34.79) (35.64) (35.19)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765,314 4,747,196 5,381,383 5,531,923 6,070,389
(지역내비중,%) (1.25) (1.19) (1.26) (1.22) (1.31)
건설업 19,835,514 23,664,175 27,105,751 27,485,211 27,558,702
(지역내비중,%) (5.19) (5.92) (6.36) (6.08) (5.96)
기타서비스업 151,079,484 155,522,657 159,528,660 167,755,049 172,860,918
(지역내비중,%) (39.55) (38.90) (37.43) (37.12) (37.38)
정부/민간비영리생산 46,136,806 47,733,897 50,420,160 53,033,834 55,776,476
(지역내비중,%) (12.08) (11.94) (11.83) (11.74) (12.06)
순생산물세 28,114,264 30,138,836 32,060,863 33,397,081 33,887,053
(지역내비중,%) (7.36) (7.54) (7.52) (7.39) (7.33)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26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경기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411조 9,898억 원이고, 2만 4,810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1만 3,678명이 종사 중
- 생산액과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149조 5,345억 원
(전체의 36.30%), 18만 1,518명(전체의 19.8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730개(전체의 15.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9-3 ❙ 경기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21,790,425 5.29 1,451 5.85 57,112 6.25
음료 제조업 3,208,405 0.78 52 0.21 3,274 0.36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128,670 1.24 970 3.91 23,814 2.6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510,414 0.37 299 1.21 6,601 0.72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457,000 0.35 191 0.77 4,884 0.53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501,794 0.36 293 1.18 5,272 0.5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755,181 2.13 906 3.65 25,527 2.7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191,664 0.53 525 2.12 12,593 1.38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584,395 0.14 18 0.07 562 0.0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9,718,771 4.79 1,063 4.28 38,371 4.2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505,852 2.31 245 0.99 19,017 2.0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1,444,804 5.21 2,834 11.42 76,501 8.3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8,984,097 2.18 720 2.90 23,160 2.53
1차 금속 제조업 13,513,205 3.28 866 3.49 24,088 2.6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9,835,570 4.81 3,473 14.00 78,179 8.5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49,534,543 36.30 1,758 7.09 181,518 19.87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003,199 2.67 1,075 4.33 40,467 4.43
전기장비 제조업 19,715,073 4.79 1,948 7.85 61,172 6.7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8,066,291 9.24 3,730 15.03 119,272 13.0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5,507,800 11.05 852 3.43 74,043 8.1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41,112 0.13 55 0.22 2,041 0.22
가구 제조업 5,184,104 1.26 913 3.68 19,686 2.15
기타 제품 제조업 2,349,992 0.57 449 1.81 10,114 1.1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957,398 0.23 124 0.50 6,410 0.70
합 계 411,989,759 100.00 24,810 100.00 913,678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주2 : ‘-’ 부분은 집계가 되었으나 비밀보호 처리된 내역으로 세부항목의 총합과 합계가 다를 수 있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시도/산업분류
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26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없으나, 종사자수기준
특화도가 매우 높으며,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가 비교적 높은 제조업은 ‘가구 제조업’임
표 3-9-4 ❙ 경기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 가구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낮음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1차 금속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기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 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부가가치, 종사자 수 참고
26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기도는 ‘지역의 R&D기획관리 역량 강화’와 ‘4차 산업혁명 선도’, ‘기초지자체 R&D역량 강화’
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9-5 ❙ 경기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지역의 R&D기획관리 역량 강화
경기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과학기술정책 연구지원사업
4차 산업혁명 선도
3D프린팅 기술지원
드론활성화 지원사업
경기도 로봇산업 육성지원
VR/AR산업 육성
기초지자체 R&D역량 강화
강소기업 육성 R&D지원사업
성남 모바일 앱 센터 운영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지원
성남특허은행 운영
콘텐츠기업 종합지원
안산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사업
※ 출처 : 경기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1개, 일반산업단지 170개, 도시첨단단지 8개, 농공산업단지 1개가 있음
- 총 19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8,494개, 종사자 수는 503,911명
REGIONAL S&T YEARBOOK 2020 265
표 3-9-6 ❙ 경기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반월특수지역 150,079 37,276 19,641 19,002 247,622 100.0 조성중
파주출판 1,562 1,514 584 313 4,515 100.0 완료
파주탄현 80 77 40 35 316 100.0 완료
아산국가 20,193 17,790 260 251 24,434 100.0 조성중
시화 125,401 16,121 11,381 11,064 122,230 100.0 완료
시화MTV 10,038 6,515 1,001 929 11,561 100.0 조성중
반월특수(안산신도시) 14,640 14,640 7,259 7,009 113,831 100.0 완료
원정지구 8,587 8,587 - - - 100.0 완료
포승지구 8,078 5,675 259 250 11,240 100.0 완료
우정지구 3,528 3,528 1 1 X 100.0 조성중
동두천 267 267 - - - - 미개발
일반
김포항공 336 336 9 9 312 100.0 완료
상마 79 79 41 41 562 100.0 완료
양촌 1,687 1,687 776 776 8,227 100.0 완료
율생 49 49 9 9 212 100.0 완료
통진(팬택) 34 34 1 - - 100.0 완료
학운 56 56 37 37 310 100.0 완료
학운2 634 634 109 109 2,043 100.0 완료
동두천 262 262 45 45 1,459 100.0 완료
동두천2 187 187 26 26 617 96.2 완료
상봉암 54 54 6 6 1,192 100.0 완료
오정 291 291 74 72 1,892 100.0 완료
성남[재생사업지구] 1,513 1,511 3,189 3,182 42,947 100.0 완료
반월도금 162 161 99 97 1,218 100.0 완료
가율 58 58 2 2 X 100.0 완료
공도 69 69 5 5 105 100.0 완료
금산 58 58 11 11 564 100.0 완료
덕산 59 59 14 13 187 100.0 완료
동항 57 57 16 14 352 100.0 완료
두교 56 56 7 7 347 100.0 완료
미양2 160 160 7 7 1,035 100.0 완료
방초 60 60 9 9 193 100.0 완료
안성제1 668 668 48 45 3,069 100.0 완료
안성제2 716 716 54 50 2,621 100.0 완료
안성제3 397 397 42 35 1,277 100.0 완료
안성제4 811 811 17 12 569 95.7 완료
용월 59 59 11 10 159 100.0 완료
26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원곡 100 100 6 6 597 100.0 완료
장원1 60 59 12 11 153 100.0 완료
월정 59 59 3 2 X 100.0 완료
구암 46 46 2 2 X 100.0 완료
남면 207 207 26 22 560 100.0 완료
도하 67 67 1 1 X 100.0 완료
상수 59 59 10 10 298 100.0 완료
가장 513 513 40 40 3,109 100.0 완료
문발1 50 50 15 15 436 100.0 완료
문발2 206 206 14 14 2,452 100.0 완료
신촌 190 189 75 58 766 100.0 완료
오산 232 232 62 29 386 100.0 완료
축현 298 298 60 24 149 100.0 완료
파주LCD 1,741 1,740 5 5 16,982 100.0 완료
법원2 350 348 - - - - 미개발
고덕국제화계획지구 3,906 3,906 1 1 X 100.0 완료
어연한산 690 690 34 30 5,514 100.0 완료
오성(외국인) 601 600 5 5 174 100.0 완료
장당 150 150 5 5 557 100.0 완료
진위 486 485 24 20 2,054 100.0 완료
추팔 610 610 42 35 2,415 100.0 완료
칠괴 641 641 23 22 777 100.0 완료
평택 535 534 63 61 3,530 100.0 완료
현곡 723 723 31 28 2,825 91.6 완료
신평 57 57 9 9 226 100.0 완료
양문 180 180 51 51 1,150 89.6 완료
동탄 1,974 1,974 421 335 13,271 100.0 완료
마도 929 929 255 168 4,522 100.0 완료
발안 1,839 1,839 514 401 8,784 100.0 완료
장안첨단(1)(외국인) 602 602 14 14 1,666 69.3 완료
장안첨단(2)(외국인) 614 614 7 6 842 61.8 완료
전곡해양 1,617 1,617 251 144 4,091 89.9 완료
팔탄(한미약품) 70 70 1 1 X 100.0 완료
향남제약 648 648 55 52 3,807 100.0 완료
화남 149 149 35 21 280 100.0 완료
화성 964 964 1 1 X 100.0 조성중
장남 86 86 1 1 X 100.0 완료
청산대전 188 188 1 1 X 100.0 완료
적성 600 600 32 1 X 100.0 완료
한강시네폴리스 1,121 1,121 - - - - 조성중
장호원 60 59 8 6 207 10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26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설성 48 48 - - - - 조성중
모가 60 60 2 - - 100.0 완료
삼교 56 56 2 2 - 100.0 완료
지문 177 176 1 1 - 100.0 완료
학운4 492 492 147 147 2,176 100.0 완료
홍죽 586 582 66 60 1,320 98.0 완료
가장2 595 595 52 31 3,221 73.3 완료
신둔 39 39 2 2 - 100.0 완료
고렴 265 265 3 3 174 64.3 조성중
용정 947 947 123 73 2,754 84.9 완료
LG Digital Park 125 125 1 1 - 100.0 완료
경기화성바이오밸리 1,740 1,740 261 171 3,972 100.0 완료
덕평 43 43 - - - - 조성중
한강씨엠 51 50 1 - - - 조성중
학운3 959 959 174 174 2,032 100.0 완료
매화 377 376 75 35 564 92.0 조성중
원삼 109 109 2 - - 100.0 조성중
진위2 956 956 33 13 752 100.0 완료
군포첨단 288 287 48 43 4,176 100.0 완료
장자(구 신평3리) 486 484 57 39 670 66.3 완료
대월 60 60 7 7 197 100.0 완료
광릉테크노밸리(구 팔야) 216 216 25 13 912 74.8 완료
백학통구 84 84 - - - 100.0 완료
제일바이오 60 59 2 - - 100.0 조성중
금곡 130 130 25 13 705 100.0 완료
진관 142 142 48 46 1,108 10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1블록)(구 수원1) 287 287 336 336 5,088 10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2블록)(구 수원2) 123 121 46 46 1,075 100.0 완료
수원델타플렉스(3블록)(구 수원3) 847 847 354 354 14,205 100.0 완료
개정지방 209 209 13 12 438 100.0 완료
검준 145 145 56 52 1,229 100.0 완료
용현 346 345 110 110 1,987 100.0 완료
당동(외국인) 641 641 9 7 661 100.0 완료
선유 1,313 805 183 75 1,631 100.0 완료
금파 80 78 19 11 288 100.0 완료
월롱 837 836 3 3 649 100.0 완료
탄현 123 123 71 33 321 100.0 완료
법원1 345 345 - - - - 미개발
송탄 1,086 1,086 150 146 5,639 100.0 완료
포승(2) 627 626 4 4 302 87.6 완료
26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목동 60 60 14 11 223 100.0 완료
장안 59 58 1 1 - 100.0 완료
강천 58 58 7 6 136 100.0 완료
백학 439 439 58 45 466 100.0 완료
월롱2 119 119 - - - - 미개발
주곡 200 200 31 21 500 100.0 조성중
도암 60 60 7 5 110 100.0 완료
도드람 52 52 - - - - 조성중
남여주 71 56 4 1 - 72.5 완료
팔곡 141 140 - - - - 미개발
농서 54 54 - - - 100.0 조성중
완장 124 124 2 - - 72.0 조성중
마정 61 60 - - - 100.0 조성중
볼빅 69 69 - - - - 미개발
노곡 73 73 - - - - 미개발
신갈 60 60 1 1 - - 완료
마산 75 75 1 1 - 100.0 완료
세마 92 91 2 - - 100.0 조성중
금현 141 140 14 12 412 100.0 완료
화성정남 570 569 89 40 2,583 100.0 조성중
장원2 60 60 8 7 204 82.5 완료
평택브레인시티 4,825 4,825 - - - - 미개발
통삼 49 49 1 - - 100.0 조성중
강문 91 91 - - - - 조성중
서울우유 195 195 - - - 100.0 조성중
원 125 121 - - - 100.0 조성중
진위3(kdb Utoplex) 828 826 - - - - 미개발
지곡 68 68 1 - - 66.7 조성중
동항2 150 150 16 10 373 100.0 완료
용인패키징디자인 60 59 1 - - 43.2 조성중
관리 38 38 4 - - - 조성중
용인SG패션 50 50 - - - 50.0 조성중
송문 60 60 - - - 100.0 조성중
화성송산테크노파크 529 528 65 8 906 100.0 조성중
대포 250 250 - - - - 미개발
의왕테크노파크 159 159 - - - - 조성중
은남 687 687 - - - - 미개발
동방 119 119 - - - - 조성중
가유 114 114 - - - - 미개발
학운6 541 565 - - - -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0 269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무촌 54 54 1 - X - 조성중
에코그린 309 309 - - - - 미개발
연천BIX(은통) 600 600 - - - - 조성중
영진바이오 45 45 1 1 X - 조성중
학운4-1 157 149 - - - - 조성중
동문 78 78 - - - - 미개발
진목 90 90 - - - - 미개발
마산2 126 126 - - - - 미개발
북좌 41 41 - - - - 미개발
축현2 71 71 - - - - 미개발
용인테크노밸리(구 덕성) 840 840 - - - 100.0 조성중
평택드림테크(구 신재생) 1,345 1,344 - - - - 미개발
광명시흥 975 975 - - - - 미개발
파주센트럴밸리 491 491 - - - - 미개발
서탄(구 유창) 280 280 - - - - 미개발
평택BIX(황해경제자유구역) 1,040 1,040 - - - - 미개발
안성중소기업 707 707 - - - - 미개발
제일 56 56 - - - - 미개발
안성하이랜드 293 293 - - - - 미개발
학운5 893 864 - - - - 미개발
동진 182 182 1 - - - 미개발
학운7 187 187 - - - - 미개발
파평 593 593 - - - - 미개발
도시
첨단
동탄도시첨단 149 149 205 114 2,166 100.0 조성중
용인기흥힉스 76 75 168 - - 83.3 조성중
회천 104 104 - - - - 미개발
용인기흥ICT밸리 42 42 - - - 100.0 조성중
용인일양히포 66 66 - - - - 미개발
평촌스마트스퀘어 255 255 28 26 3,752 100.0 완료
판교제2테크노밸리(구
판교창조경제밸리)
430 430 229 229 2,659 100.0 조성중
광명시흥첨단R&D 494 493 - - - - 미개발
농공 미양 117 117 4 4 239 10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27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경기도에는 총 11,81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제조업 분야 제외한 세부 산업분야로는 ‘정보통신업’이 1,323개로 가장 많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750개로 그 뒤를 이음
-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2,026개),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365개), ‘전기장비 제조업’(1,059개)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처기업 위치
표 3-9-7 ❙ 경기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23
광업(05~08)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57
음료 제조업 20
담배 제조업 0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48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5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78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3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5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23
1차 금속 제조업 12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73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6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803
전기장비 제조업 105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026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0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48
가구 제조업 125
기타 제품 제조업 28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43
REGIONAL S&T YEARBOOK 2020 271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건설업(41~42) 200
도매 및 소매업(45~47) 212
운수 및 창고업(49~52) 1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3
정보통신업(58~63) 1323
금융 및 보험업(64~66) 3
부동산업(68) 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5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0
교육 서비스업(85) 2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0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0
국제 및 외국기관(99) 0
총합계 11,813
27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기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위로 가장 많음
- ʼ19년 연구개발인력은 23만 9,971명(전국의 33.39%)이며 최근 5개년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4.37%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20만 9,062명(전국의 45.23%)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2만 4,412명(전국의 12.57%), 공공연구소는 6,497명(전국의 10.41%)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9-8 ❙ 경기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9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2,203 11.99 22,659 12.20 22,307 12.01 24,194 12.57 24,412 12.57
∙ 국공립 1,365 1.72 1,231 1.60 1,362 1.78 1,675 2.11 1,612 2.02
∙ 사립 20,838 19.66 21,428 19.68 20,945 19.17 22,519 19.93 22,800 19.96
공공연구소 7,132 13.16 6,566 15.50 5,980 10.71 5,985 10.25 6,497 10.41
∙ 국공립 874 8.10 666 6.38 587 5.48 831 6.79 953 7.39
∙ 정부출연 3,986 12.01 3,813 11.94 3,232 10.10 2,664 8.18 2,822 8.19
∙ 병원 및 기타 2,272 22.25 2,087 16.33 2,161 16.49 2,490 18.34 2,722 18.06
기업 172,932 45.43 175,912 45.81 183,333 44.85 195,803 44.48 209,062 45.23
∙ 정부투자기관 467 13.07 455 11.94 486 12.37 461 11.81 459 11.94
∙ 민간기업 172,465 45.74 175,157 46.15 182,847 45.17 195,342 44.77 208,603 45.51
합 계 202,267 32.63 205,137 33.51 211,620 32.54 225,982 32.70 239,971 33.3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73
■ ’19년 경기도 인구 만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7.9명 증가한 148.0명으로 조사됨
표 3-9-9 ❙ 경기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32.9 132.3 135.0 140.2 148.0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9년 경기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45조 9,348억 원(전국의 51.58%)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연구개발투자 규모가 가장 높음
-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상승하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60%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조 648억 원(전국의 14.44%), 공공연구소는
약 8,539억 원(전국의 8.40%)이며, 특히 기업이 약 44조 161억 원(전국의 61.56%)으로 전국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표 3-9-10 ❙ 경기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9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94,819 13.25 827,663 13.05 927,351 13.88 983,165 13.94 1,064,774 14.44
∙ 국공립 51,933 1.91 45,621 1.59 55,363 1.87 79,820 2.58 77,735 2.37
∙ 사립 742,886 22.62 782,042 22.57 871,988 23.41 903,345 22.80 987,039 24.09
공공연구소 926,735 10.50 800,270 8.78 841,387 8.82 777,980 7.90 853,919 8.40
∙ 국공립 75,716 9.74 58,975 7.90 50,531 6.33 62,051 7.62 58,193 6.96
∙ 정부출연 615,413 8.83 508,135 7.12 530,677 7.15 427,036 5.66 474,144 6.07
∙ 병원 및 기타 235,606 21.84 233,159 19.02 260,179 19.59 288,893 19.51 321,582 21.07
기업 30,117,459 58.90 31,422,618 58.24 36,693,761 58.65 41,854,165 60.80 44,016,140 61.56
∙ 정부투자기관 103,298 16.33 132,025 16.39 120,488 13.54 105,073 11.57 91,985 10.59
∙ 민간기업 30,014,161 59.43 31,290,593 58.88 36,573,273 59.30 41,749,092 61.46 43,924,155 62.18
합 계 31,839,012 48.27 33,050,550 58.24 38,462,499 48.82 43,615,310 50.88 45,934,833 51.5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7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경기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조 4,13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1.8%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94%
표 3-9-11 ❙ 경기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6,112 23,740 26,326 24,763 24,139
(14.4) (12.9) (13.7) (12.7) (11.8)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경기도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 기업기술개발사업(260억원), 경기지역협력연구센터(GRRC)지원(92억원), 바이오신소재 개발
(19억원), 원예작물신품종육성 및 품질고급화 연구(13억원) 등
■ 기업수요 기반 기술지원 확대
- 제약・바이오인프라서비스(12억원), 기술닥터(76억원),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연구지원(1.4억원),
경기도 반도체 전문인력양성사업(4억원)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지원 강화
- 스마트제조혁신기반구축(59억원), 드론활성화 지원사업(6억원), 3D프린팅 기술지원(12.5억원),
경기도 로봇산업육성지원(6.9억원), 블록체인 캠퍼스 운영(5.5억원) 등
■ 도민 체감형 과학문화 환경 조성
- 경기과학멘토(3억원), 경기과학축전(10.6억원), 생활과학교실(0.76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275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성장정책관 미래산업과와 과학기술과에서 담당
그림 3-9-1 경기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표 3-9-12 ❙ 경기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59,599 - 48,785 419 608 103 9,684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27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9-13 ❙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 미래산업과와 과학기술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과학기술과
∙ 혁신클러스터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항
∙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
∙ 국가지원 R&D 협력사업
∙ 경기도지역협력연구센터 육성 및 지원
∙ 차세대 성장동력 기술개발사업 육성 및 지원
∙ 차세대융합기술원 운영 및 지도・감독
∙ 지식재산 진흥 및 그 밖의 기술개발사업 지원
∙ 공무원 직무발명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진흥기금 운용에 관한 사항
∙ 기술거래 네크워크 구축ㆍ운영
∙ 과학관 관리 및 등록
∙ 광교테크노밸리 조성 및 지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과학기술과 소관사무 지도・감독
∙ 경기테크노파크 운영 및 지도・감독
∙ 산・학공동기술개발 및 기업부설연구소 지원
∙ 산업혁신클러스터협의회(IICC) 지정 및 지원
∙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지원에 관한 사항
미래산업과
∙ 4차산업혁명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
∙ 4차산업혁명 연구 및 워킹그룹 운영에 관한 사항
∙ 게임산업 육성 및 진흥에 관한 사항
∙ VR/AR 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신산업 등 경제분야 규제개혁에 관한 사항
∙ 신산업 육성에 관한 사항
∙ 블록체인 기반사업 발굴, 확산
∙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및 지원
∙ 제2판교테크노밸리 및 자율주행 실증단지 조성
∙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구축(드론, 센서, 3D프린팅, 스
마트제조혁신)
∙ 스마트시티 추진 총괄
∙ 뷰티산업 육성 및 지원
∙ 대한민국 뷰티박람회 개최 등
※ 출처 : 경기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행정2부지사
- 위촉직 위원은 도지사가 위촉하며 임기 2년으로 한 차례만 연임
(보궐 위원의 임기는 전임위원의 남은 기간으로 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2020년 2회 개최 (2020.1, 11)
- 주요안건 : 경기도과학기술진흥계획 ’19년도 추진실적 및 ’20년도 시행계획 보고 외
REGIONAL S&T YEARBOOK 2020 277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9-14 ❙ 경기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당연직 이용철 경기도 행정2부지사 2020.07.15.~2022.07.14
당연직 최원용 경기도 기획조정실장 2020.07.15.~2022.07.14
당연직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 2020.07.15.~2022.07.14
당연직 김기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2020.07.15.~2022.07.14
임명직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 2020.07.15.~2022.07.14
도의원 - 추천의뢰 중 2020.07.15.~2022.07.14
도의원 - 추천의뢰 중 2020.07.15.~2022.07.14
유관기관장 배수용 경기TP원장 2020.07.15.~2022.07.14
유관기관장 임영문 경기 대진TP 원장 2020.07.15.~2022.07.14
유관기관장 주영창 차세대융합기술원장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김경자 드림잇 대표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조중혁 LG유플러스 책임(부장)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박승범 호서대 스마트팩토리학과 교수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김성욱 안산산업경제혁신센터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 언 가천대 길병원 교수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남명진 가천대 생명학과 교수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동원 아주대 자동차대학 부교수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준상 연세대 국제처 교학부 처장 2020.07.15.~2022.07.14
민간전문위원 이주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단장 2020.07.15.~2022.07.14
※ 출처 : 경기도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기도의 총예산은 89조 6,93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533억 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17%
- 과학기술 예산 중 경기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76,04%
27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9-15 ❙ 경기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896,937
재정자주도(%) 78.83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01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533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76.04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경기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657억 원을 투자
- 국비의 경우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ʼ에 약 130억 원의 투자비가 투입
- 지방비의 경우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ʼ에 약 565억원의 투자비가 투입됨
표 3-9-16 ❙ 경기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 - - - -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경기연구개발지원단 운영사업
경기과학정책연구 사업
180 380 - 56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공학교육혁신센터2단계지원사업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13,020 2,088 890 15,998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경기연구원 지원
판교테크노밸리지원 경상적대행사업비
6,033 56,507 - 62,54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기업 중심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
(기업 기술개발사업)
기술닥터(사업)*경기도
3,840 55,546 6,356 65,742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경기 지역협력연구센터(GRRC) 지원
한독 융합기술 공동연구 협력사업
5,971 8,508 6,340 20,81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VR/AR산업 육성
T2B활용 나노융합 R&BD촉진사업
4,472 14,983 1,226 20,68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판교제1테크노밸리관리
판교제2테크노밸리 관리
- 15,278 - 15,278
합계 33,516 153,290 14,812 201,619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27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9년 경기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만 9,509개로 전국의 34.91%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96% 증가
- 5년간 대학 3개 감소, 공공연구소 4개 감소, 기업 7,102개 증가
표 3-9-17 ❙ 경기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9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8 18.93 76 18.18 77 18.78 79 21.64 75 18.07
∙ 국공립 7 7.95 7 7.78 6 6.74 6 7.59 5 5.95
∙ 사립 71 21.91 69 21.04 71 22.12 73 25.52 70 21.15
공공연구소 70 13.06 69 12.43 64 11.25 67 16.71 66 10.28
∙ 국공립 11 8.73 10 8.47 11 8.66 10 13.89 11 7.69
∙ 정부출연 18 9.14 15 9.26 12 7.50 11 14.47 10 5.92
∙ 병원 및 기타 41 19.25 44 16.00 41 14.59 46 18.18 45 13.64
기업 12,266 33.67 13,368 34.92 15,039 35.36 17,697 36.46 19,368 35.33
∙ 정부투자기관 5 11.11 5 11.63 6 12.24 7 16.67 7 12.73
∙ 민간기업 12,261 33.70 13,363 34.95 15,033 35.39 17,690 36.48 19,361 35.35
합 계 12,414 33.22 13,513 34.43 15,180 34.89 17,843 36.19 19,509 34.9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8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경기도 소재 대학 수는 62개
- 일반대학 30개, 전문대학 31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9-18 ❙ 경기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29 30
산업대학 - - - 0
교육대학 - - - 0
전문대학 1 - 30 31
방송통신대 - - - 0
기술대학 - - - 0
기능대학 - - 1 1
합 계 2 0 60 6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경기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34만 3,06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2만 7,303명(전체의 약 8.0%), 공학계열 학생이 9만 3,342명(전체의
약 27.2%)
표 3-9-19 ❙ 경기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27,303 93,342 120,645 28,891 57,335 17,938 31,661 86,591 343,061
비중(%) 8.0 27.2 35.2 8.4 16.7 5.2 9.2 25.2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28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에 경기도에는 총 9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에 있음
- 성균관대가 6개로 가장 많이 운영 중이며, 경희대, 아주대, 한양대가 각각 1개씩 운영 중임
표 3-9-20 ❙ 경기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경희대
(1개 센터)
2014 결정 기능화 공정기술 센터 ERC
성균관대
(6개 센터)
2017 비임파성 장기 면역 연구센터 SRC
2014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 통신 융합 연구센터 ERC
2016 응용대수 및 최적화 연구센터 SRC
2016 단일세포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19 에피지놈 다이나믹스 제어 연구센터 MRC
2020 R2R 인쇄 유연컴퓨터개발 연구센터 ERC
아주대
(1개 센터)
2019 뇌질환 융합연구센터 MRC
한양대
(1개 센터)
2015 건설구조물 내구성 혁신 연구센터 E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20년 12월 기준 사업종료된 센터는 제외함
28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
보통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는 총 5개로 ’20년 기준 가천대 1개, 경희대 2개, 성균관대 1개, 을지대
1개가 운영 중임
표 3-9-21 ❙ 경기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가천대 나노입자 지역혁신센터
경희대
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피부생명공학 지역혁신센터
성균관대 정보통신용 신기능성 소재 및 공정 지역혁신센터
을지대 바이오-메디테크 산업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283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경기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9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에 있음
표 3-9-22 ❙ 경기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고등기술연구원 IAE창업보육센터 2000-09-01
KTB네트워크(주) KTB인큐베이팅센터 2012-06-28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24
가톨릭대학교 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3-12
강남대학교 강남대창업보육센터 1999-10-2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09-09
경기도일자리재단 여성능력개발본부 경기도여성창업보육센터 2008-12-24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벤처창업보육센터 2007-01-24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경기청) 경기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2004-07-16
경기대학교 경기창업보육센터(경기대) 2001-01-01
경기테크노파크 경기테크노파크 안산창업보육센터 2014-11-13
경민대학교 경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1-22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창업보육센터 1999-03-02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0-04-15
대진대학교 대진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13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BMC 창업보육센터 2011-05-19
동서울대학교 동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명지대학교 명지대창업보육센터(용인) 1999-02-27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농생명과학창업지원센터 2001-09-24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수원대학교 수원대창업보육센터 2001-04-27
수원시청 수원시 시니어창업보육센터 2012-05-24
수원여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1
시너지아이비투자(주) 시너지 창업보육센터 2017-12-29
신구대학교 신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0-16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25
28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06
안양대학교 안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02-01
여주대학교 여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1-30
연성대학교 연성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2-03-22
오산대학교 오산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04-28
용인송담대학교 용인송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11-17
을지대학교 을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11
전자부품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0-04-02
중앙대학교 중앙대휴먼테크노창업보육센터 2000-12-01
(안산)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안산 포스트BI 1994-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의과학대학교 바이오스타트업 창업보육센터 2017-11-01
투썬인베스트(주) 투썬창업보육센터 2012-05-07
평택대학교 평택대학교 글로벌 피어선 창업보육센터 2017-11-29
한경대학교 한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06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10-06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부천 창업보육센터 2017-01-02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한국세라믹기술원(이천분원) 공예디자인 창업보육센터 2011-02-28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창업보육센터 2001-03-24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0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6
한양대학교 에리카 한양대학교 에리카 창업보육센터 1999-03-09
협성대학교 협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3-12-12
REGIONAL S&T YEARBOOK 2020 285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기도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9개소로 15개를 운영 중
표 3-9-23 ❙ 경기도 과학관 개소 현황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과천과학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 경기도교육청 공립
의정부과학도서관 의정부시 공립
의왕조류생태과학관 의왕시 공립
안성맞춤천문과학관 안성시 공립
포천아트밸리천문과학관 포천시 공립
우석헌자연사디스커버리센터 우석헌자연사디스커버리센터 사립
한얼테마과학관 한얼전통문화보존협회 사립
한생연마이크로박물관 ㈜한생연 사립
재단법인 송암스페이스센터 (재)송암별빛 사립
자연과별가평천문대 개인 사립
민제생태환경과학관 ㈜민제생태환경과학관 사립
어메이징파크과학관 ㈜코라사이언스월드 사립
광명에디슨뮤지엄 ㈜광명에디슨과학관 사립
아쿠아플라넷 일산 ㈜한화호텔&리조트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경기도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166개 운영함
표 3-9-24 ❙ 경기도 생활과학교실 운영개소(~2014) 및 강좌(2015~) 수 (단위 : 개소, 개)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52 457 389 341 277 156 166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창의과학교실+나눔과학교실)로 집계
※ 주 : 최신년도 집계는 10월 말까지 운영한 강좌 수까지만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내부자료(20.11.18 시점)
28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는 4만 7,175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만 5,440건
- 경기도 특허출원 건수의 경우’16년부터 ‘17년까지 특허출원 건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가 ’18년 부터
증가하는 추세이고 , 특허등록 건수도 전년도에 비해 9% 증가
표 3-9-25 ❙ 경기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50,234 50,468 52,542 48,764 46,133 47,175
특허등록 건수 26,558 28,275 22,750 23,381 24,820 25,44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경기도 SCI 논문 게재 건수는 공저자 기준 1만 4,385편, 주저자 기준으로 7,015편으
로 각각의 점유율은 전국 논문 수의 14.20%, 12.95%임
표 3-9-26 ❙ 경기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13,579 14.70 116,755 8.60 6,679 13.20 47,356 7.09
2018 13,828 14.48 76,723 5.55 6,808 13.12 29,921 4.39
2019 14,385 14.20 26,840 1.87 7,015 12.95 11,360 1.6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287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로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경기도
■ 목표 :
- 경기도 4차 산업혁명 브랜드 창조
∙ 경기도 특화형 미래 산업을 육성하고 경기도 4차산업혁명 브랜드를 창출
- 첨단 산업육성 및 전통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부가가치 향상
∙ 경기도 과학기술의 진흥을 통해 첨단산업, 전통산업 등 전 산업에 걸친 성장과 가치의 혁신 유도
- 미래 인재의 육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
∙ 경기도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과학기술인재의 육성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전략 :
-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경기도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4차 산업혁명 맞춤형 연구개발 지원
- 경기도형 혁신클러스터 강화
- 과학기술기반의 창업 및 일자리 확대
- 문화와 융합된 과학 진흥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경기도형 혁신클러스터 강화
■ 혁신클러스터 중심의 산학연 협력활동 강화
- 지역중심의 혁신클러스터 협력체계 강화
- 클러스터 내부 및 클러스터 간 정보 공유체계 구축
■ 신시장 창출을 위한 테스트베드 확대
-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테스트베드 공간 조성
- 테스트베드 기반의 기업육성 사업 추진
28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신규혁신 클러스터 발굴 성장 지원
- 경기도 선도 혁신클러스터 조성
- 신규 혁신클러스터 지속 발굴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경기도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혁신 활동 활성화 및 투자효과 극대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노력
∙ 정기적․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미래성장동력 사업 발굴, 사회적 수요기반 사업 발굴 및 혁신주체간
의 공동연구 및 협력 활동 활성화
∙ 경기도 과학기술사업 고도화를 위한 효율적 거버넌스 확보 및 효율적 과학기술사업 추진을 위한
추진체계 및 기반구축
∙ 중앙정부-타지자체-기초자치단체 간의 교류․협력을 활성화하고, 정책을 연계하여 R&D사업의 일
관성과 효과성 강화
∙ 4차 산업혁명 선도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의 핵심 기반 마련 및 17개 광역지자체의 지역과학기술
진흥 선도
■ 4차 산업혁명 맞춤형 연구개발 지원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기도 산업경쟁력 강화 및 도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 사업 추진
∙ 4차 산업혁명 요소기술 및 서비스와 연계된 응용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대
응 역량 강화
∙ 신제품 개발 및 제조․업무 애로사항 해결 등 기업 수요를 반영한 기술지원 확대를 통해 경기도 기업
의 경쟁력을 강화
∙ 편리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해 과학기술 성과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발굴
■ 경기도형 혁신클러스터 강화
- 미래산업과 경제의 중심이 될 경기도형 혁신클러스터 육성
∙ 혁신주체간의 협력을 통해 입주기관 기업의 동반 성장과 이를 통한 경기도 지역경쟁력 강화
∙ 4차 산업의 선제적 대응을 위한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하여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 도약
∙ 4차 산업혁명의 실현 플랫폼으로서 혁신클러스터의 조기조성을 통한 신성장산업 육성으로 일자리
창출
REGIONAL S&T YEARBOOK 2020 289
■ 과학기술기반의 창업․일자리 확대
- 과학기술 기반의 일자리 창출 및 수요 맞춤형 인재 육성
∙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고 첨단기술분야의 R&D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기반 창업지원을 강
화하고 R&D일자리 발굴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 대응을 위한 융합형 인력양성 강화
■ 문화와 융합된 과학 진흥
- 일상에서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이해하여 활용할수 있는 환경 조성
∙ 4차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인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과학문화 환경 조성
∙ 도민을 위한 과학기술정책 수립을 위하여 도민의 정책 참여 기회 제공
29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0절 강원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강원도 인구는 약 151만 명으로 작년보다 소폭 감소
- 전국인구대비 강원도 인구 비중 또한 지난 5년간 소폭 감소 및 정체
표 3-10-1 ❙ 강원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516,636 1,520,686 1,520,879 1,520,816 1,516,629
전국대비 비율(%) 2.98 2.97 2.96 2.95 2.93
경제활동참가율(%) 59.4 59.7 62.6 58.6 64.1
실업률(%) 3.3 2.9 2.6 2.4 2.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291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강원도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46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94%
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정부/민간비영리생산(33.36%)에 이어 기타서비스업(32.55%)이 강원도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은 5년 간 12.49% 증가해 가장 많이 성장한 산업으로 나타남
표 3-10-2 ❙ 강원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40,867,985 42,047,331 43,761,362 44,574,334 45,891,953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2,919,985 2,963,158 3,074,189 2,831,342 2,940,740
(지역내비중,%) (7.14) (7.05) (7.02) (6.35) (6.41)
제조업 3,864,751 4,012,264 4,421,355 4,522,342 4,542,210
(지역내비중,%) (9.46) (9.54) (10.10) (10.15) (9.90)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848,462 811,348 1,065,723 1,327,592 1,358,490
(지역내비중,%) (2.08) (1.93) (2.44) (2.98) (2.96)
건설업 3,695,872 3,896,827 3,857,266 3,428,645 3,522,609
(지역내비중,%) (9.04) (9.27) (8.81) (7.69) (7.68)
기타서비스업 13,494,015 13,866,632 14,168,415 14,543,932 14,938,309
(지역내비중,%) (33.02) (32.98) (32.38) (32.63) (32.55)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3,216,183 13,548,361 14,180,755 14,872,893 15,311,065
(지역내비중,%) (32.34) (32.22) (32.40) (33.37) (33.36)
순생산물세 2,828,717 2,948,741 2,986,275 3,087,178 3,312,922
(지역내비중,%) (6.92) (7.01) (6.82) (6.93) (7.22)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29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강원도 제조업의 총 생산액은 약 13조 6,372억원, 1,023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만
8,58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약 3조 1,664억 원(전체의 23.2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327개(전체의 31.9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1만 1,121명(전체의 28.8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0-3 ❙ 강원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166,459 23.22 327 31.96 11,121 28.58
음료 제조업 1,297,442 9.51 27 2.64 1,819 4.68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8,694 0.21 11 1.08 254 0.7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70,779 0.52 8 0.78 423 1.1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8,544 0.14 3 0.29 82 0.2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41,082 0.30 13 1.27 244 0.5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09,346 0.80 20 1.96 504 1.0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5,840 0.26 5 0.49 210 0.1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47,713 0.35 6 0.59 111 0.34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515,065 3.78 51 4.99 1,889 4.37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60,411 5.58 33 3.23 1,967 4.71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07,698 2.99 49 4.79 1,578 4.10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515,843 18.45 150 14.66 4,851 13.26
1차 금속 제조업 561,453 4.12 12 1.17 671 1.7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504,347 3.70 64 6.26 1,786 3.95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5,570 0.63 9 0.88 261 0.6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96,164 5.84 48 4.69 2,587 6.19
전기장비 제조업 573,752 4.21 51 4.99 1,558 4.4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90,160 4.33 59 5.77 2,220 6.8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367,549 10.03 40 3.91 3,111 9.1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 1 0.10 - -
가구 제조업 - - 7 0.68 - 0.26
기타 제품 제조업 66,897 0.49 12 1.17 572 1.2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61,778 0.45 17 1.66 653 1.55
합 계 13,637,220 100.00 1,023 100.00 38,584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293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가 동시에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으로 나타남
표 3-10-4 ❙ 강원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비교적
높음
∙ 기타 제품 제조업
낮음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1차 금속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제조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29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강원도는 ‘강원도 전략산업 고도화 및 미래첨단산업 육성발굴’과 ‘차세대 생명건강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의료기기 산업육성’, ‘수출규제 첨단부품 소재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육성’, ‘강원 산학연관 R&D역량강화
및 과학기술 발전 협력’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0-5 ❙ 강원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강원도 전략산업 고도화 및 미래첨단산업
육성발굴
3D프린팅 강원권 거점센터 구축
강원도 이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성
특수목적형 자동차 튜닝 클러스터 조성
강원ICT융합 신기술기업지원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국가혁신 클러스터 사업
차세대 생명건강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의료기기 산업육성
뿌리기술 경쟁력 강화지원
바이오 예비스타기업 튜자유치
강원의료기기 스타트업 지원사업
디저털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사업
차세대 생명건강산업 생태계 조성사업
수출규제 첨단부품 소재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육성
경석자원을 활용한 세라믹 원료기반 조성사업
세라믹복합신소재산업 고부가 가치 시제품 제작
산학연 협력 기술개발사업
강원 산학연관 R&D역량강화 및 과학기술
발전 협력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강원연구원 지원
스크립스 항체연구원지원
한국기후변화원구원
※ 출처 : 강원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3개, 일반산업단지 26개, 도시첨단단지 4개, 농공산업단지 44개가 있음
- 총 7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1,493개, 총 종사자 수는 29,677명
REGIONAL S&T YEARBOOK 2020 295
표 3-10-6 ❙ 강원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북평국가 4,030 1,866 58 40 832 94 완료
북평 3,782 1,624 42 28 660 100 완료
동해(자유무역) 248 242 16 12 172 60 완료
일반
강릉과학 1,486 1,486 127 117 936 92 완료
강릉중소 164 164 38 25 371 100 완료
원주자동차부품 93 93 6 6 168 100 완료
남면 65 65 1 1 X 100 완료
전력IT문화복합 354 354 13 13 322 100 완료
홍천북방 525 525 2 2 X 100 완료
우천 756 755 14 7 145 73 완료
삼척종합발전 2,583 2,583 1 - - 100 조성중
소방ㆍ방재(구 방재) 782 782 - - - - 조성중
남춘천 1,446 1,445 9 - - 60 조성중
북평제2 599 599 - - - 30 조성중
강릉옥계 484 482 1 1 X 100 조성중
송정 323 323 1 1 X 81 완료
동화 409 409 23 22 1,060 100 완료
부론 609 609 - - - - 조성중
플라즈마 319 319 - - - - 조성중
동점(구 태백스포츠) 219 219 1 - - 8 완료
문막 410 410 30 22 1,794 100 완료
문막반계 423 419 23 21 670 69 완료
문막반계 324 324 19 17 550 80 완료
문막반계(문막중소협력외국인) 99 95 4 4 120 47 완료
우산 355 355 24 18 1,613 100 완료
포진 96 96 - - - - 조성중
후평[재생사업지구] 444 443 77 65 916 100 완료
호산(LNG) 982 980 1 1 X 100 완료
동춘천(구 봉명) 538 538 15 11 420 56 완료
29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도시
첨단
춘천도시첨단문화 187 187 31 25 374 100 완료
춘천도시첨단정보 25 25 1 1 X 100 완료
삼성SDS춘천센터 40 40 1 - X - 완료
네이버도시첨단
(구 춘천NHN)
100 100 1 1 X 100 완료
농공
주문진 143 143 33 33 683 100 완료
근덕 130 130 25 25 207 100 완료
도계 71 68 10 10 54 100 완료
대포제2 106 106 30 28 388 100 완료
동화 332 332 52 43 1,252 100 완료
문막 501 501 45 36 2,145 100 완료
태장 298 297 143 108 1,339 100 완료
거두 297 296 28 25 1,049 100 완료
당림 53 53 1 1 X 100 완료
창촌 114 114 22 21 189 100 완료
퇴계 341 341 162 160 2,335 100 완료
수동 77 77 5 5 1,651 100 완료
장성 137 137 17 13 136 93 완료
철암 127 127 29 27 244 100 완료
고성해양심층수전용 103 103 25 20 123 100 완료
향목 34 34 11 11 114 100 완료
하리 143 142 27 22 135 100 완료
포월 117 115 39 39 358 100 완료
영월 114 114 19 16 126 100 완료
영월제3 259 259 6 4 53 45 완료
팔괴 143 143 30 25 270 100 완료
원통 148 144 25 25 114 100 완료
예미 107 107 5 4 107 56 완료
증산 118 118 22 22 145 100 완료
함백 100 100 5 5 67 100 완료
갈말 129 129 6 4 110 100 완료
김화 148 148 33 25 407 95 완료
방림 62 62 8 8 130 80 완료
평창 106 106 35 35 219 100 완료
상오안 127 127 24 20 316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29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양덕원 42 42 2 2 X 100 완료
화전 269 269 19 12 245 100 완료
원천 112 112 26 25 173 100 완료
공근 329 329 30 29 649 100 완료
묵계 176 175 24 12 769 100 완료
우천 173 173 24 19 327 100 완료
우천제2 329 329 26 20 604 97 완료
대포제3 162 162 47 42 496 96 완료
동송 148 148 13 7 312 80 조성중
양양제2그린 103 103 11 5 43 88 완료
주문진제2 158 158 17 11 110 41 완료
대포제1 177 177 30 28 360 78 조성중
귀둔 54 54 - - - - 조성중
북방 101 101 - - - -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29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강원도에는 총 74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세부적으로는 ‘식료품 제조업’이 90개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이 79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이 74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0-7 ❙ 강원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4
광업(05~08)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0
음료 제조업 8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6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7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8
1차 금속 제조업 9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2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9
전기장비 제조업 5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
가구 제조업 4
기타 제품 제조업 1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REGIONAL S&T YEARBOOK 2020 29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8
건설업(41~42) 41
도매 및 소매업(45~47) 11
운수 및 창고업(49~52) 2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정보통신업(58~63) 58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746
30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강원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1,106명(전국의 1.61%)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4.60%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6,631명(전국의 3.45%)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2,924명(전국의 0.66%), 공공연구소는 1,551명(전국의 2.66%)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0-8 ❙ 강원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365 3.94 6,834 3.69 6,376 3.43 6,942 3.74 6,631 3.45
∙ 국공립 4,468 5.74 4,175 5.28 3,969 5.17 4,407 5.77 4,272 5.38
∙ 사립 2,897 2.65 2,659 2.51 2,407 2.21 2,535 2.32 2,359 2.09
공공연구소 1,244 2.40 1,171 2.16 1,340 3.16 1,443 2.59 1,551 2.66
∙ 국공립 838 7.41 691 6.41 855 8.19 923 8.62 1,021 8.34
∙ 정부출연 219 0.70 285 0.86 134 0.42 165 0.52 161 0.49
∙ 병원 및 기타 187 2.02 195 1.91 351 2.72 355 2.71 369 2.72
기업 2,004 0.55 2,341 0.62 2,264 0.59 2,592 0.63 2,924 0.66
∙ 정부투자기관 73 1.99 0 0.00 81 2.13 105 2.67 63 1.61
∙ 민간기업 1,931 0.53 2,341 0.62 2,183 0.57 2,487 0.61 2,861 0.66
합 계 10,613 1.75 10,346 1.67 9,980 1.63 10,977 1.69 11,106 1.61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01
■ ’18년 강원도 인구 만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4명 증가한 44.3명으로 조사됨
표 3-10-9 ❙ 강원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 (단위 : 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41.0 41.8 38.7 43.8 44.3
※ 출처 : 과학부,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강원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4,817억 원(전국의 0.56%) 17개 시・도 중 16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9%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730억 원(전국의 2.46%), 공공연구소는 약
1,056억 원(전국의 1.07%), 기업이 약 2,030억 원(전국의 0.29%)
표 3-10-10 ❙ 강원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4,286 2.85 177,337 2.96 162,145 2.56 167,073 2.50 173,091 2.46
∙ 국공립 85,987 3.26 112,522 4.14 105,300 3.66 98,852 3.34 97,089 3.14
∙ 사립 78,299 2.50 64,815 1.97 56,845 1.64 68,221 1.83 76,002 1.92
공공연구소 74,598 0.92 77,858 0.88 78,955 0.87 99,166 1.04 105,654 1.07
∙ 국공립 38,083 5.06 32,771 4.22 35,247 4.72 39,066 4.90 41,215 5.06
∙ 정부출연 30,053 0.47 40,405 0.58 26,638 0.37 43,398 0.59 45,835 0.61
∙ 병원 및 기타 6,462 0.67 4,682 0.43 17,070 1.39 16,702 1.26 18,604 1.26
기업 131,586 0.26 159,037 0.31 150,998 0.28 184,050 0.29 203,012 0.29
∙ 정부투자기관 9,003 1.41 0 0.00 5,861 0.73 8,288 0.93 6,921 0.76
∙ 민간기업 122,583 0.25 159,037 0.31 145,137 0.27 175,762 0.28 196,091 0.29
합 계 370,470 0.58 414,232 0.63 392,099 0.28 450,289 0.57 481,757 0.5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0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강원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2,99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5%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90%
표 3-10-11 ❙ 강원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2,673 2,654 2,781 2,804 2,996
(1.5) (1.4) (1.4) (1.4) (1.5)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19 투자실적)
▣ 기본전략 및 주요투자 실적
■ 강원도 첨단 융복합 전략산업 육성 및 신성장동력 확충
- 이모빌리티 특화 클러스터 구축 및 모빌리티 지식산업센터 구축(450억)
- 특수목적형 자동차 튜닝클러스터 조성(82억원)
- 플라즈마 탄소나노융합복합소재 거점 기반 구축(46억원) 및 수소융복합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예비
타당성 조사연구 선정
■ 강원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및 지역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 의료기기 생산․수출 거점 육성(85억원) 및 스타트업 기업지원(39과제, 8억원)
- 지역산업거점과 연계한 국가 혁신 클러스터 육성(52억원)
- 혁신도시 공공기관 연계사업 추진을 퉁한 혁신산업 생태계조성(19억원)
- 헬스케어 힐링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35억원), 규제자유특구 실증지원(30억원)
■ 산학연관 공조체제 구축을 통한 혁신역량 강화
- 강원R&D 혁신체계 구축 : 과학기술연구회 구성운영(7개 분과 68명)
- 제3회 강원과학기술대축전 확대 개최 : 참여확대 및 컨텐츠 다양화
- 지식재산 창출・사업화 지원 : IP스타기업(26개 기업), 경영・권리화 지원(71개 기업)
REGIONAL S&T YEARBOOK 2020 303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강원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첨단산업국 전략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0-1 강원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표 3-10-12 ❙ 강원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0,244 - 15,787 290 399 34 3,687 - 47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30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0-13 ❙ 강원도 첨단산업국 전략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환경친화적 자동차 운영・관리
∙ 광역경제권 선도산업(기능성신소재, 바이오메디칼 등)
육성지원
∙ 바이오산업・의료기기산업・녹색소재산업 등 지식산업 육성지원
∙ 강원도 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지원
∙ 강원 과학기술 대축전 및 강원과학기술대상 운영
∙ 산학연 협력을 통한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
∙ 소프트웨어산업・멀티미디어 정보기술산업 육성지원
∙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지원
∙ 스마트 데이터 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관한 사항
∙ 수열에너지 공급시스템 구축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시행계획 수립
∙ 바이오헬스산업 발전방안 추진
∙ 바이오헬스・뷰티 신규 사업 및 정책과제 발굴 추진
∙ 변전소 신설 및 수상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
∙ 친환경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조성
∙ K-Cloud Park 특화전략 수립
∙ 클라우드 비즈니스 플랫폼 융합단지 구축
∙ 국내・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유치
∙ 클라우드 전문기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기반 구축
∙ 민관합동 공동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
∙ 테이터 산업과 연계한 국내・외 IT기업 유치
∙ 차세대 데이터센터 연구조합 설립 추진
∙ 스마트팜 특화산업단지 조성 총괄
∙ 강원 바이오 연구개발 지원사업 추진
∙ BIO Asia・USA 전시회 참가 지원
∙ 강원 바이오 수출상담회 개최 지원
∙ 강원의료기기 전시회 개최 지원
∙ 첨단의료기기 생산・수출단지 조성 추진
∙ 강원 의료기기 스타트업 지원사업 추진
∙ 차세대생명・건강산업생태계 조성 추진
∙ 첨단의료기기산업 신기술 개발 육성・지원
※ 출처 : 강원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현황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1회 연임 가능)
- 강원과학기술위원회 : 2018.07.17.~2020.07.16.(2년)
- 강원도과학기술연구회 : 2018.03.22.~2020.03.21.(2년)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4회
- 과학기술위원회 3회 개최 (1월: 서면, 5월: 대면, 9월: 서면)
- 과학기술연구회(ICT 분과) 1회 개최 (6월: 대면)
■ 구성 및 추진체계
- 강원과학기술위원회는 강원과학기술연구회에서 도내 과학기술 진흥 및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분과별로 발굴된 R&D 사업을 검토 기획, 정책제언, 동향 파악을 한 안건을 조정 및 심사하는 강원도
과학기술정책 최고 결정기구로 도내 R&D 자문 및 정책결정에 대한 주된 역할을 함
REGIONAL S&T YEARBOOK 2020 305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17명 (당연직 1명, 선임직 16명)
표 3-10-14 ❙ 강원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이종석 한림대학교 AI융합공학과 2020.09.04.~2022.09.03.
부위원장 이종영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강원연구개발지원단 2019.08.13.~2021.08.12.
위원 신태민 연세대학교(원주) 의공학부 2020.09.03.~2022.09.02.
위원 노주원 KIST 강릉분원 스마트팜연구센터 2020.09.03.~2022.09.02.
위원 송미희 ㈜현대메디텍 2020.09.03.~2022.09.02.
위원 최선용
(재)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나노소재사업본부
2020.09.03.~2022.09.02.
위원 채공주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2019.08.13.~2021.08.12..
위촉 신은주 강원대학교 약학과 2020.09.03.~2022.09.02.
위촉 김현경 강원대학교 재료공학과 2020.09.03.~2022.09.02.
위촉 이혜영 연세대학교(원주) 임상병리학과 2020.09.03.~2022.09.02.
위촉 성조환 강원테크노파크 융합혁신지원센터 2020.09.03.~2022.09.02.
위촉 김경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원본부 2020.09.03.~2022.09.02.
위촉 김영관 (재)스크립스코리아 항체연구원 연구본부 2020.09.03.~2022.09.02.
위촉 강창수 강원도경제진흥원 지식재산센터 2020.09.03.~2022.09.02.
위촉 박성빈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기업지원본부 2020.09.03.~2022.09.02.
위촉 정태윤 강원임베디드SW연구센터 (센터장) 2020.09.03.~2022.09.02.
※ 출처 : 강원도 내부자료
30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강원도의 총예산은 22조 2,352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324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15%
- 과학기술관련 예산 중 강원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4.07%
표 3-10-15 ❙ 강원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22,352
재정자주도(%) 76.93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95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32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15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4.07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강원도는 ‘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분야에 가장 많은 264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과제에 가장 많은 약 128억원,
121억원이 투입
표 3-10-16 ❙ 강원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스크립스코리아 항체연구원 운영지원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100 2,835 - 2,935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강원연구원 운영 지원
플라즈마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180 5,700 5,000 10,880
REGIONAL S&T YEARBOOK 2020 307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스마트토이 융합기술 아카데미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바이오 예비스타기업 투자유치 지원사업
전략적바이오 수출시장 개척사업
433 1,632 232 2,29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뿌리기술 경쟁력 강화지원
12,837 12,187 1,467 26,49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지식재산 창출지원
취업연계 IP지역인재 양성
1,219 1,241 - 2,460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
지식재산기반 창업촉진
1,793 2,310 734 4,837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창업인큐베이팅지원사업
강원 의료기기 스타트업 지원사업
950 1,297 45 2,292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e-Mobility 생산, 수출단지 조성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10,597 5,203 2,756 18,556
합계 28,109 32,405 10,234 79,345
30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강원도의 연구개발조직은 671개로 전국의 1.3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4.02% 증가
- 5년간 대학 2개 증가, 공공연구소 4개 증가, 기업 268개 증가
표 3-10-17 ❙ 강원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 4.14 21 5.10 19 4.55 18 4.39 19 5.21
∙ 국공립 5 6.17 7 7.95 7 7.78 7 7.87 6 7.59
∙ 사립 12 3.64 14 4.32 12 3.66 11 3.43 13 4.55
공공연구소 28 5.43 27 5.04 28 5.05 30 5.27 32 7.98
∙ 국공립 11 8.21 9 7.14 9 7.63 10 7.87 10 13.89
∙ 정부출연 8 4.57 11 5.58 6 3.70 7 4.38 7 9.21
∙ 병원 및 기타 9 4.35 7 3.29 13 4.73 13 4.63 15 5.93
기업 352 1.13 442 1.21 429 1.12 493 1.16 620 1.28
∙ 정부투자기관 1 2.22 0 0.00 2 4.65 2 4.08 2 4.76
∙ 민간기업 351 1.13 442 1.21 427 1.12 491 1.16 618 1.27
합 계 397 1.24 490 1.31 476 1.12 541 1.24 671 1.3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09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강원도 소재 대학 수는 18개
- 일반대학 8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8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0-18 ❙ 강원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7 8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4 18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강원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5,85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2,539명(전체의 약 14.6%), 공학계열 학생이 1만 6,376명
(전체의 약 19.1%)
표 3-10-19 ❙ 강원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2,539 16,376 28,915 16,988 6496 5488 5895 22,068 85,850
비중(%) 14.6 19.1 33.7 19.8 7.6 6.4 6.9 25.7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1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강원도에는 연세대가 1개, 강원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0-20 ❙ 강원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연세대
(1개 센터)
2017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 자기방어 연구센터 MRC
강원대
(1개 센터)
2020 바이오 신약 혁신소재 융합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11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19년 기준, 강원도의 과거 지역혁신센터 수는 총 7곳이었으나, 2020년 기준 4개의 지원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표 3-10-21 ❙ 강원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한림대 식의약품효능 평가 및 기능성소재 지역혁신센터
강원대 강원웰빙특산물산업화 지역혁신센터
관동대 첨단해양공간개발 지역혁신센터
강릉원주대 파인세라믹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31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강원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0-22 ❙ 강원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1-05-23
가톨릭관동대학교 가톨릭관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4-01
강릉영동대학교 강릉영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1-29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창업보육센터 2000-11-02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 강원창업보육센터 2000-10-31
강원도립대학교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9-21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6-23
동해시청 동해시창업보육센터 2000-11-30
강원대학교삼척산학협력단 삼척창업보육센터 2002-04-29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3-07-23
연세대학교(원주) 연세원주창업보육센터 2000-01-20
영월군청 영월군 창업보육센터 2020-03-31
(원주)중소기업진흥공단(중진공) 중진공 원주 포스트BI 1997-04-21
한라대학교 한라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2-07-03
한림대학교 한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4-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0 31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강원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0-23 ❙ 강원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토정중앙천문대 강원도 양구군 공립
홍천생명건강과학관 강원도 홍천군 공립
화천 조경철천문대 강원도 화천군 공립
천문인마을 개인 사립
로하스파크와카푸카 로하스리조트 사립
한생연자연속과학체험관 (주)한생연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강원도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54개로 전년 강좌 수 대비 증가
표 3-10-24 ❙ 강원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409 251 173 256 364 54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31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강원도 특허출원 건수는 2,60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462건
- 특허출원 건수와 특허등록 건수 모두 작년 대비 감소
표 3-10-25 ❙ 강원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2,441 2,571 2,410 2,572 2,666 2,604
특허등록 건수 1,381 1,090 1,291 1,459 1,479 1,462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
나. 논문 현황
■ ’19년 강원도 SCI 논문 게재 건수는 3,700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3.65%
- 전년대비 논문 수와 점유율 모두 증가
표 3-10-26 ❙ 강원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182 3.44 24,624 7.74 1,365 2.70 7,772 5.69
2018 3,379 3.54 14,238 4.21 1,470 2.83 5,101 3.47
2019 3,700 3.65 5,979 1.62 1,611 2.97 1,967 1.22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31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휴머니티와 첨단과학기술이 공존하는 이상적 미래형 도시 구현
■ 목표 : 강원도형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첨단산업 육성
■ 추진과제 및 전략
- 강원도 주도 융・복합 신산업 육성 및 혁신성장 기반 구축
⦁ 강원도 미래 먹거리 산업 발굴 및 핵심기술에 대한 산업화 육성
⦁ 바이오헬스 관련 소재・부품 및 제조, 첨단 융・복합 산업군 발굴 및 R&D 연계지원
-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R&D 연계 및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 강원혁신도시 중심의 공공기관, 산업단지와 연계한 지역산업 발굴
⦁ 혁신성장 거점 마련과 지역산업과 연계한 R&D 발굴
- 지역수요 기반 산・학・연・관 공조체제 구축강화
⦁ 강원도의 선점 기술 및 신규 R&D 대형과제 발굴 네트워킹
⦁ 지역산업과 지역수요에 적합한 기술경쟁력 강화를 통한 인식 전환
⦁ 강원도 전략산업의 역량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전문성 구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차세대 생명건강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의료기기산업 경쟁력 강화”
- IoT기반의 헬스케어 신규 시장 형성 및 플랫폼 구축, 글로벌 시장 타겟
- 바이오산업과 연계한 항체 개발 및 신약개발과 연계 및 기술이전
■ “강원 산・학・연・관 R&D 역량강화 및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연계 협력”
- 강원도 혁신기관 R&D 지원체계 구축 및 지역혁신기관 네트워킹
- 혁신기관의 연구개발 인프라 활용으로 강원도 과학기술 역량 고도화
■ “강원도 전략산업 고도화 및 미래첨단 산업 육성 발굴”
- 지역산업(주력, 광역)의 고도화를 통한 강원도형 신산업 R&D 지원
- 정부부처의 미래성장동력 산업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TF 운영
31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수출규제 첨단부품소재 산업 육성을 통한 소재부품 산업육성”
- 세라믹, 비철, 금속 등 스마트 특성화를 통한 첨단부품소재 산업 발굴 및 기업육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강원도 E-mobility 클러스터 조성
- 소형 전기차, 퍼스널 모빌리티 등 E-mobility 제조 및 관련 인프라 생산기업 집적을 통한 수출 전문 클러
스터를 육성하여 강원도 미래 신산업 추진
- 소형 전기차 및 퍼스널 모빌리티 연관 산업 집적화
■ 스마트 토이시티 육성
- 스마트 토이 산업 지역 거점센터 구축을 통한 산업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
- 지역대표 스마트토이 제품 개발 및 상용화 지원
■ 플라즈마 탄소나노 융복합소재 거점기반 구축
- 4차산업 혁명 및 기업수요에 대응한 탄소나노융복합소재/중간재 양산장비 국산화 및 관련 부속산업
플랫폼 구축
- 탄소나노복합소재 상용화지원센터 및 장비 구축, One-stop 사업화 지원 서비스
■ 퀀텀닷(QD) 나노소재상용화사업
- QD 나노소재 핵심기반기술 확보 및 대량 생산 설비 구축
- QD 나노소재를 활용한 스마트팜 관련 기업 유치 및 강원도 스마트팜 혁신 밸리 조성
■ 지역SW기업 성장지원사업
- 강원도내 ICT/SW 산업의 경쟁력 확보, 기업 영세화 극복 및 강소기업 발굴 및 육성
- 지역내 공동 마케팅, 기술지원 및 지역기업 네트워크 지원
■ 강원 ICT 융합 신기술개발 기업지원
- 강원도내 ICT융합 분야 유망 신기술 보유기업 발굴 및 제품개발 지원을 통한 ICT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강소기업 육성
- ICT 관련 우수 기술 및 아이디어 제품을 보유한 기업의 시제품 제작 및 제품 개발관련 고도화 육성
■ 기능성 미세조류 활용 웰니스식품 산업모델 개발지원
REGIONAL S&T YEARBOOK 2020 317
- 미세조류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생산 기술 개발
-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통한 사업화 전략 개발 및 관련 창업 기업의 지원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
- 노인성질환 중심 사회문제 해소형 오픈랩 생태계 구축
-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자유특구 실증을 위한 관련 기업 지원
- 소규모 의료기기산업 엑셀러레이팅 및 지역 병원과 연계한 상용화 지원
- 차세대 생명 및 건강 산업 생태계 구축
■ 신소재 융복합 고기능 의료기기 및 바이오소재 활성화 기반 구축
- 체외진단기기 산업화 촉진을 위한 플랫폼 구축
- 강원 바이오 유망 및 스타기업 발굴 및 제품개발, 판로개척 등의 기업 지원
- 바이오신약 소재 융합 선도 센터 구축
■ 중화항체 면역치료제 개발센터 구축
-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한 중화항체 소재개발 관련 장비 구축 및 제품 상용화 지원
- 최단기간 바이러스 인간유래 중화항체 확보 및 기술 서비스 지원
■ 플라즈마산업 상용화 기술 개발 지원
- 플라즈마 이용 첨단소재 제조 기업의 기술 이전 혹은 관련 기술을 이용한 조기 사업화 촉진을 위한 상용
화 기술개발 지원
- 플라즈마 산업 정보 교류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
■ 뿌리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 비철금속을 활용한 국내 근간 산업 적용을 위해 고도화 및 집적화된 지역내 뿌리산업 기반 조성
- 도내 비철관련 유망 제조 기업의 One-stop 종합기술 지원 및 첨단 R&D 지원
■ 반도체 제조장비용 세라믹 부품 생산기반 고도화
- 반도체 제조를 위한 장비내 관련 세라믹 소재 및 부품 제조 관련 도내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지원 및 관련 인력 교육
-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관련 기업의 기술 지도, 시제품 제작 및 인력 교육 지원
■ 경석자원을 활용한 세라믹 원료기반조성사업
- 강원도내 경석자원을 첨단 세라믹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및 사업화 기반 조성
- 센터 및 장비 구축, 관련 기업의 시제품 개발 지원 등 산업 생태계 조성
31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한국기후변화연구원 운영
- 도내 기후변화 적응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자체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한국기후변화연구
원 운영 및 지원
- 기후변화 조사연구, 정책개발,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 등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운영 지원
- 국내 항체기반 바이오 및 의약분야 핵심기반기술 개발
- 핵심 항체 기술 및 항체치료제 연구 및 개발
■ 강원연구개발지원단 지원
- 강원도내 R&D 사업 및 역량에 관한 조사, 분석, 평가 지원
- 강원도 맞춤형 R&D 사업 발굴 기획, 평가, 관리 지원 및 유망 과학기술 R&D 지원
■ 강원발전연구원 운영 지원
- 정부정책 및 도저 주요현안을 반영한 새로운 정책수요에 대한 능동적 대응 및 연구
- 4차산업혁명 핵심 산업 육성 및 도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연구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0 319
제11절 충청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충북의 인구는 약 162만 명으로 소폭 증가
- 전국인구대비 충북 인구의 비중은 3.14%로 작년과 동일
표 3-11-1 ❙ 충청북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560,784 1,603,404 1,605,139 1,618,877 1,625,607
전국대비 비율(%) 3.08 3.13 3.12 3.14 3.14
경제활동참가율(%) 63.9 63.6 64.0 62.9 65.2
실업률(%) 2.6 2.6 2.2 2.3 3.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32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북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67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4.96%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5.7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이 22.09%,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5.50%로 그 뒤를 이음
- 충북지역의 산업은 농림・어업・광업을 제외하고 5년 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표 3-11-2 ❙ 충청북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55,191,633 58,380,533 61,953,139 65,830,010 66,974,613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2,165,869 2,079,956 2,132,307 2,109,543 2,061,738
(지역내비중,%) (3.92) (3.56) (3.44) (3.20) (3.08)
제조업 23,109,795 24,563,772 27,108,971 29,827,447 30,662,395
(지역내비중,%) (41.87) (42.08) (43.76) (45.31) (45.78)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335,156 391,658 458,089 449,567 457,865
(지역내비중,%) (0.61) (0.67) (0.74) (0.68) (0.68)
건설업 2,791,510 3,265,582 3,574,102 4,118,895 3,613,295
(지역내비중,%) (5.06) (5.59) (5.77) (6.26) (5.40)
기타서비스업 13,575,955 14,163,743 14,269,159 14,464,985 14,793,572
(지역내비중,%) (24.60) (24.26) (23.03) (21.97) (22.09)
정부/민간비영리생산 8,984,732 9,228,077 9,613,108 9,937,666 10,383,052
(지역내비중,%) (16.28) (15.81) (15.52) (15.10) (15.50)
순생산물세 4,228,616 4,687,745 4,806,278 4,916,425 5,023,440
(지역내비중,%) (7.66) (8.03) (7.76) (7.47) (7.50)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32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충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91조 0,131억 원이고, 3,15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17만
5,749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기장비 제조업’이 약 16조 6,474억 원(전체의 18.2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475개(전체의 15.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2만 7,984명(전체의 15.9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1-3 ❙ 충청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10,791,124 11.86 475 15.05 27,984 15.92
음료 제조업 1,964,469 2.16 32 1.01 2,824 1.6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49,621 0.93 72 2.28 2,264 1.2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8,673 0.03 8 0.25 417 0.24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53,045 0.17 12 0.38 343 0.20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78,794 0.31 33 1.05 669 0.3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249,743 2.47 119 3.77 4,542 2.5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3,997 0.05 19 0.60 398 0.2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59,742 0.07 8 0.25 132 0.08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7,629,760 8.38 269 8.52 11,855 6.75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4,731,447 5.20 79 2.50 7,684 4.3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290,750 5.81 370 11.72 14,802 8.4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313,359 3.64 231 7.32 8,829 5.02
1차 금속 제조업 2,649,831 2.91 109 3.45 3,879 2.2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3,945,999 4.34 376 11.91 11,174 6.36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5,664,618 17.21 125 3.96 24,231 13.7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871,709 4.25 68 2.15 4,474 2.55
전기장비 제조업 16,647,469 18.29 207 6.56 21,321 12.1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225,092 3.54 237 7.51 9,808 5.58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345,897 6.97 203 6.43 13,892 7.90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87,825 0.21 11 0.35 662 0.38
가구 제조업 629,716 0.69 42 1.33 1,728 0.98
기타 제품 제조업 326,066 0.36 28 0.89 1,136 0.6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34,427 0.15 24 0.76 701 0.40
합 계 91,013,173 100.00 3,157 100.00 175,749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32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모두 매우 높은 제조업은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및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으로 나타남
표 3-11-4 ❙ 충청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비교적
높음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제조업; 의약품
제외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가구 제조업
낮음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32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북도는 ‘바이오(의약) 산업 분야’와 ‘태양광・신재생에너지산업 분야’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1-5 ❙ 충청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바이오(의학)산업 분야
바이오제품 안전성시험비용지원
기능성약용수목 생산기반 구축
글로벌 천연물 원료제조 거점시설 구축
의료기기센터 GLP 시험시설 구축
기초피부연구소 운영
바이오 세라믹 안전성・ 유효성 평가센터 구축
바이오세라믹 소재기업 역량강화 지원
바이오 국제공동연구사업
천연물 제제 시생산시설 구축
태양광・신재생에너지산업 분야
그린IT기반 중소기업 기술지원사업
태양광 재활용센터 구축 기반조성
그린빌리지 조성사업
글로벌 스마트 솔라밸리 충북 조성
태양광 아이디어 시제품 사업화 지원 센터 구축
수소경제활성화 핵심기술개발 지원 사업
에너지 인력양성 사업
※ 출처 : 충청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32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80개, 도시첨단단지 2개, 농공산업단지 43개가 있음
- 총 127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027개, 총 종사자 수는 115,015명
표 3-11-6 ❙ 충청북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보은 4,178 4,178 1 1 X 100 조성중
오송생명과학 4,628 2,595 72 63 3,983 100 완료
일반
제천 1,472 1,472 45 41 2,339 100 완료
제천제2 1,307 1,307 53 40 1,424 100 완료
청주[재생사업지구:부분] 4,099 4,098 449 420 27,911 100 완료
청주테크노폴리스 3,797 1,948 15 7 676 100 조성중
중원 375 375 26 24 575 100 완료
충주DH 77 77 1 1 X 100 완료
만정 50 50 2 2 X 100 완료
충주제1 1,286 1,286 42 38 1,916 100 완료
충주제3 129 129 7 6 150 100 완료
충주제4 176 176 3 2 X 100 완료
충주첨단 1,992 1,920 59 53 1,722 100 완료
괴산첨단 465 465 2 - - - 조성중
주곡 149 149 - - - - 조성중
영동 999 999 9 9 149 84 완료
청산 353 352 10 10 41 88 완료
금왕 571 571 6 6 457 98 완료
대풍 439 435 10 10 717 100 완료
맹동 419 419 41 41 1,243 100 완료
원남 1,113 1,113 65 65 2,331 100 완료
육령 63 63 1 - X 100 완료
음성이테크 135 135 18 18 141 100 완료
음성하이텍 397 397 18 18 862 100 완료
중부 148 148 1 - X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25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감곡상우 75 75 - - - - 미개발
증평 682 682 8 6 1,405 100 완료
증평2 704 701 30 24 507 100 완료
이월 300 283 6 6 285 100 완료
초평은암 611 611 - - - - 조성중
리노삼봉 165 165 8 8 146 100 조성중
문백정밀기계 400 400 4 2 X 100 완료
괴산유기식품 804 801 6 5 52 100 조성중
단양(구 단양신소재) 351 351 7 7 156 63 완료
상우(구 감곡) 541 541 - - - 100 조성중
문백금성 118 116 2 2 X 100 완료
문백태흥(구 태략협동화) 36 36 2 - X - 완료
대신 47 47 1 1 X 100 완료
덕유 60 60 1 1 X - 완료
생극 457 457 18 5 431 100 완료
죽현 145 145 2 2 X 100 완료
KGC예본(구 KT&G) 87 87 1 1 X 100 완료
괴산대제(건축자재) 849 849 34 16 386 96 완료
오선 459 459 6 - - 100 완료
오창과학 9,450 9,090 167 158 18,392 100 완료
오창과학 8,644 8,644 155 147 15,582 100 완료
오창(외국인) 806 446 12 11 2,810 100 완료
오창제2 1,390 1,390 7 7 2,038 100 완료
현도 719 719 4 4 674 100 완료
옥산 1,364 1,364 52 46 2,006 100 완료
청주에어로폴리스2지구 321 320 - - - - 미개발
유촌 411 413 - - - 100 완료
강내 69 67 2 - - 100 완료
산수 1,304 1,304 65 65 3,112 100 완료
산수 1,196 1,196 62 62 3,080 100 완료
산수(산수중소협력외국인) 108 108 3 3 32 100 완료
보은동부 688 688 1 1 X 100 완료
오송제2생명과학 3,284 1,611 85 - - 90 조성중
충주제5 296 296 6 1 X 3 완료
32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보은 1,276 1,276 13 13 158 100 조성중
제천제3 1,122 1,122 - - - - 조성중
충주인프라시티 149 149 - - - - 조성중
옥천제2의료기기 352 352 - - - - 미개발
성본 2,219 2,219 - - - - 조성중
에스폼 415 415 2 1 - 100 조성중
케이푸드밸리(구 송두) 829 828 5 1 X 100 완료
충청북도수산식품 76 75 - - - - 완료
성안 136 136 - - - 100 미개발
금왕테크노밸리 1,044 1,044 3 - X 100 미개발
화석 71 71 - - - - 미개발
국사 956 956 - - - - 미개발
오창테크노폴리스 1,494 1,493 - - - - 미개발
충주특화기술(구 녹색패션) 201 201 - - - 100 조성중
신천보부(구 음성임대) 145 145 - - - - 미개발
신척(구 진천) 1,514 1,486 56 56 1,712 100 완료
오창제3(구 성재) 576 576 33 23 561 100 완료
충주메가폴리스 1,811 1,802 23 22 1,191 91 완료
북부 1,401 1,400 - - - - 조성중
맹동인곡 1,716 1,716 - - - - 미개발
성안제2 301 301 - - - - 미개발
산척 132 132 - - - - 미개발
남청주현도 1,051 622 - - - - 미개발
도시
첨단
청주도시첨단문화 39 39 60 60 376 100 조성중
충북진천・음성혁신도시
도시첨단
224 224 4 - X 51 완료
농공
강저테크노빌(구 강저) 142 126 29 25 255 100 완료
고암테크노빌(구 고암) 168 168 16 13 245 100 완료
금성테크노빌(구 금성) 86 85 11 10 122 100 완료
봉양 133 127 2 2 X 100 완료
송학테크노빌(구 송학) 90 89 9 8 131 100 완료
양화테크노빌(구 양화) 149 148 6 6 6 50 완료
중앙탑(구 가금) 225 225 9 9 370 100 완료
가주 132 132 10 9 128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2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용탄 192 192 15 15 371 100 완료
주덕 159 155 16 16 400 100 완료
괴산 55 55 8 8 132 100 완료
사리 112 112 8 8 624 100 완료
대강 82 80 13 11 138 100 완료
매포자원순환 150 149 2 2 X 100 완료
보은 70 69 8 6 367 100 완료
삼승 150 145 14 11 219 100 완료
장안 281 281 36 27 335 100 완료
법화 123 123 5 5 248 100 완료
영동 74 74 8 6 94 100 완료
용산 262 262 3 2 X 100 완료
구일 132 132 9 9 138 100 완료
동이 161 161 15 15 363 100 완료
옥천 282 282 15 15 456 100 완료
이원 142 142 8 8 417 100 완료
청산 65 65 3 3 131 100 완료
금왕 139 132 12 12 548 100 완료
삼성 163 158 8 8 547 100 완료
음성 68 62 25 25 289 100 완료
도안 93 93 4 4 502 100 완료
증평 90 89 2 2 X 100 완료
광혜원 82 82 6 6 372 100 완료
덕산 91 91 5 4 1,789 100 완료
문백전기전자 124 124 3 3 924 100 완료
이월 127 127 7 7 546 100 완료
이월전기전자 329 329 14 13 563 100 완료
진천 58 58 14 14 206 100 완료
초평 136 136 3 3 445 100 완료
적성 124 124 17 12 187 100 완료
내수 105 105 3 3 196 100 완료
현도 68 66 1 1 X 100 완료
광혜원제2 339 335 5 1 X - 조성중
괴산발효식품 321 321 11 11 335 53 완료
농공 옥천의료기기 145 145 7 7 147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32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충북에는 총 1,124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65개로 가장 많았으며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이 142개, ‘식료품 제조업’이 105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1-7 ❙ 충청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4
광업(05~08)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05
음료 제조업 5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4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2
1차 금속 제조업 2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8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56
전기장비 제조업 5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6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8
가구 제조업 3
기타 제품 제조업 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REGIONAL S&T YEARBOOK 2020 32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9
건설업(41~42) 17
도매 및 소매업(45~47) 10
운수 및 창고업(49~52)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정보통신업(58~63) 57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5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1124
33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9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219명(전국의 2.93%)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율은 약
4.63%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461명(전국의 2.38%)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6,470명(전국의 3.36%), 공공연구소는 3,288명(전국의 5.63%)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1-8 ❙ 충청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455 4.52 5,947 3.21 6,181 3.33 7,496 4.04 6,470 3.36
∙ 국공립 6,128 7.88 4,110 5.19 3,409 4.44 4,048 5.30 3,957 4.98
∙ 사립 2,327 2.13 1,837 1.73 2,772 2.55 3,448 3.16 2,513 2.22
공공연구소 2,172 4.19 2,369 4.37 2,640 6.23 2,714 4.86 3,288 5.63
∙ 국공립 1,476 13.06 1,477 13.69 1,172 11.22 1,109 10.36 1,229 10.04
∙ 정부출연 526 1.68 546 1.65 962 3.01 1,035 3.23 1,481 4.55
∙ 병원 및 기타 170 1.83 346 3.39 506 3.96 570 4.35 578 4.26
기업 8,245 2.25 8,594 2.26 8,527 2.22 9,158 2.24 10,461 2.38
∙ 정부투자기관 54 1.47 59 1.65 55 1.44 54 1.37 61 1.56
∙ 민간기업 8,191 2.26 8,535 2.26 8,472 2.23 9,104 2.25 10,400 2.38
합 계 18,872 3.12 16,910 2.73 17,348 2.83 19,368 2.98 20,219 2.9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31
■ ’18년 충청북도 인구 만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0명 증가한 82.8명으로 조사됨
표 3-11-9 ❙ 충청북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 (단위 : 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71.5 72.6 71.8 76.8 82.8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충청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6,287억 원(전국의 1.90%) 17개 시・도 중 8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76%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600억 원(전국의 2.27%), 공공연구소는 약
3,429억 원(전국의 3.48%), 기업이 약 1조 1,256억 원(전국의 1.64%)
표 3-11-10 ❙ 충청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38,160 2.40 134,191 2.24 138,079 2.18 151,918 2.27 160,065 2.27
∙ 국공립 98,328 3.73 89,667 3.30 93,091 3.24 104,688 3.54 112,767 3.65
∙ 사립 39,832 1.27 44,524 1.36 44,988 1.30 47,230 1.27 47,298 1.19
공공연구소 114,898 1.42 160,755 1.82 299,423 3.29 357,904 3.75 342,986 3.48
∙ 국공립 60,361 8.01 60,272 7.75 59,199 7.93 71,968 9.02 67,743 8.32
∙ 정부출연 42,190 0.66 75,941 1.09 206,645 2.89 240,588 3.24 228,790 3.03
∙ 병원 및 기타 12,347 1.28 24,542 2.28 33,579 2.74 45,348 3.41 46,453 3.14
기업 1,000,890 2.01 1,084,794 2.12 1,667,864 3.09 1,703,042 2.72 1,125,650 1.64
∙ 정부투자기관 6,764 1.06 6,093 0.96 6,264 0.78 6,655 0.75 6,872 0.76
∙ 민간기업 994,126 2.02 1,078,701 2.14 1,661,600 3.13 1,696,387 2.75 1,118,778 1.65
합 계 1,253,947 1.97 1,379,741 2.09 2,105,365 3.09 2,212,864 2.81 1,628,701 1.90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3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충청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101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0%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07%
표 3-11-11 ❙ 충청북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820 4,962 5,446 5,863 6,101
(2.7) (2.7) (2.8) (3.0) (3.0)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투자실적)
■ 과학기술 인프라 확충으로 지역특화산업 역량 제고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200억원)
- 반도체 융합부품 실장기술 지원센터 구축(87억원)
- 융합바이오세라믹테크노베이터 구축(55억원)
- 플렉서블 전자소재 기반구축(53억원)
- 혁신도시 공공기관연계 육성사업(49억원)
- 태양광 재활용센터 구축 기반조성(41억원)
- 바이오세라믹 안정성・유효성 평가센터 구축(21억원)
-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구축(21억원) 등
■ 지역 혁신주체의 역량 극대화
-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320억원)
- 충북도립대학교 운영비지원(99억원)
-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93억원)
- 태양광 아이디어시제품 사업화지원센터 구축(70억원)
- 충북스마트안전제어 규제자유특구 추진(53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0 333
- 산림환경연구소운영비(39억원)
- 소재부품 분야 기술개발 지원사업(37억원)
-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지원(31억원)
- 지역VR.AR 제작거점센터 운영(31억원) 등
■ 지역혁신 성장체계 고도화
-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조성(358억)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191억원)
-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조성(163억원)
-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72억원)
- 충북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원사업(51억원)
- 4D 융합소재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39억원)
- 지식재산권 창출지원 사업(25억원)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지원(8억원)
33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에서 담당
그림 3-11-1 충청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335
표 3-11-12 ❙ 충청북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4,777 - 11,895 243 342 24 2,230 - 43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11-13 ❙ 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 신성장동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지방과학기술진흥계획 수립
∙ 방사광가속기 부지 조성, 활용지원센터 구축, 홍보
∙ 인공지능 융복합산업 육성
∙ 4차산업혁명 대응산업 및 수송기계진흥 업무 추진(자율차,드론등)
∙ 4차산업혁명 계획수립, 선도기술개발지원사업 추진
∙ 스마트 제조혁신 촉진 지원
∙ ICT산업 신규사업 발굴 및 사업화
∙ 연구개발지원업무
∙ 산학연 연계 협력사업 발굴
∙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업무 추진
∙ 선도기술개발지원사업 추진
∙ ICT융복합 충북 글로벌 게임센터 운영지원,
지역SW품질인증센터 운영관리
∙ 블록체인 산업육성
∙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및 주력산업 육성사업 추진
∙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보육센터 업무
∙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기업성장지원, SB플라자,
충북연구개발지원단,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 출처 : 충청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충청북도 과학기술위원회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 조례 제9조(위원회 설치), 제10조(위원회 기능), 제11조(위원회 구성) 및
제12조(위원회 운영)에 따라 충청북도 과학기술위원회 운영.
- 충청북도 과학기술위원회회는 과학기술진흥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을 통해 과학기술진흥종합계
획 수립에 관한 심의자문이 주된 활동임.
- 특히, 과학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제도, 신사업 발굴 육성과 도민의 과학기술 이해 증진을 위한 과학
기술 문화 확산 등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함.
-’14년 11월 제1기 위원회 구성 및 신규사업과제 자문 등을 시작으로 ’20년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
계획 및 ’21년 시행 계획 심의 진행 함.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2018.12.20. ~ 2020.12.19.)
- 당연직 위원은 해당직위의 재임기간으로 하고, 위촉직 위원은 임기를 2년으로 하며 1 차례 연임할
수 있음
- 전문위원 구성비율: ICT(33%), 바이오・의료(28%), 과학기술 R&D(28%), 에너지・태양광(11%)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 (2020. 12. 28.)
- 회의 안건
⦁제5차 충북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1년 시행계획 (서면)심의
33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1-14 ❙ 충청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성 일 홍 충청북도 당연직
위 원 박 해 운 충청북도 당연직
위 원 이 재 영 충청북도 당연직
위 원 남 창 현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2020.12.20.~2022.12.19.
위 원 송 미 화 세명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현 병 환 대전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박 현 숙 ㈜세포바이오 2020.12.20.~2022.12.19.
위 원 최 형 익 ㈜에코프로 2020.12.20.~2022.12.19.
위 원 황 인 호 충북도립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노 영 희 건국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조 한 진 극동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류 창 수 예원예술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이 지 연 중원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이 두 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2020.12.20.~2022.12.19.
위 원 이 명 선 청주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조 완 섭 충북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송 미 영 국가과학기술연구회 2020.12.20.~2022.12.19.
위 원 오 세 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12.20.~2022.12.19.
위 원 안 윤 애 한국교통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조 태 남 우석대학교 2020.12.20.~2022.12.19.
위 원 박 병 준 한국교통대학교 2020.12.20.~2022.12.19.
※ 출처 : 충청북도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37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북도의 총예산은 17조 4,935억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1,080억원
-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62%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3.74%
표 3-11-15 ❙ 충청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174,935
재정자주도(%) 76.65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201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08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3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3.74
※ 주1 : 총 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일반회계, 세입결산, 순계 기준(전국평균 및 시도별 평균)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과학기술관련 예산 국비+지방비+기타 투자(실적)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지방재정 전문통계>지방재정 통합공시>항목별 현황>결산기준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3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충청북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에 가장 많은 약 885억원을 투자
- 국비,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과제에 가장 많은 약 430억원, 281억원이 투입
표 3-11-16 ❙ 충청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지원
융합바이오세라믹테크노베이터
구축
40,382 25,405 4,556 70,34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충북 소프트웨어 미래채움
충북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1,580 1,862 - 3,442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충북도립대학운영비지원
지방대학 지역전략산업 인재양성
육성
6,205 10,712 792 17,709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신재생에너지 융복합타운조성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사업
19,574 22,182 2,174 43,931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
43,088 28,160 17,285 88,533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육성사업
의약품 품질분석지원센터 구축
21,603 1,957 346 23,907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바이오세라믹 안전성・유효성 평가센터
구축
7,517 5,200 198 12,91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조성
반도체 융합부품 실장기술
지원센터 구축
34,000 12,472 12,871 59,343
합계 173,949 107,950 38,222 320,123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3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충청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686개로 전국의 3.42%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2.52% 증가
- 5년간 대학 변화 없음, 공공연구소 6개 증가, 기업 628개 증가
표 3-11-17 ❙ 충청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8 4.38 18 4.37 20 4.78 20 4.88 18 4.93
∙ 국공립 5 6.17 6 6.82 6 6.67 6 6.74 6 7.59
∙ 사립 13 3.94 12 3.70 14 4.27 14 4.36 12 4.20
공공연구소 22 4.26 26 4.85 25 4.50 25 4.39 28 6.98
∙ 국공립 12 8.96 12 9.52 9 7.63 8 6.30 8 11.11
∙ 정부출연 6 3.43 7 3.55 6 3.70 6 3.75 8 10.53
∙ 병원 및 기타 4 1.93 7 3.29 10 4.73 11 3.91 12 4.74
기업 1,012 3.26 1,189 3.26 1,198 3.13 1,344 3.16 1,640 3.38
∙ 정부투자기관 1 2.22 1 2.22 1 2.33 1 2.04 1 2.38
∙ 민간기업 1,011 3.26 1,188 3.27 1,197 3.13 1,343 3.16 1,639 3.38
합 계 1,052 3.29 1,233 3.30 1,243 3.17 1,389 3.19 1,686 3.4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4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충청북도 소재 대학 수는 17개
- 일반대학 1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5개 존재
표 3-11-18 ❙ 충청북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8 11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4 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1 12 17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충청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9만 3,52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030명(전체의 약 11.8%),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707명
(전체의 약 24.3%)
표 3-11-19 ❙ 충청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030 22,707 33,737 12,204 9,096 11,629 5,587 21,271 93,524
비중 11.8 24.3 36.1 13.0 9.7 12.4 6.0 22.7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34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충청북도에는 충북대가 2개, 건국대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20 ❙ 충청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충북대
(2개 센터)
2017 종양 이환 네트워크 연구센터 MRC
2020 중증 폐질환 연구센터 MRC
건국대
(1개 센터)
2016 톨유사수용체 기반 질병 연구 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34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19년 기준, 충청북도에는 8개의 지역혁신센터가 소재하였으나, 2020년 기준 4개의 지원 센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표 3-11-21 ❙ 충청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세명대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 지역혁신센터
서원대 친환경 바이오 소재 및 식품 지역혁신센터
건국대 바이오 식∙의약 지역혁신센터
한국교통대 친환경에너지 부품소재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343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충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1-22 ❙ 충청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국대학교 로컬캠퍼스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12-11-16
대원대학교 대원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2-16
서원대학교 서원대창업보육센터 2000-11-14
세명대학교 세명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0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오송창업보육센터(고려대) 2012-12-12
유원대학교 유원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04-28
중원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12-29
청주대학교 청주대학교창업보육센터 1999-12-07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충북대학교 미래융합 T-팩토리 2016-08-01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충북청) 충북대학교G-테크벤처센터 2010-05-01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05-01
충북도립대학 충북도립대학창업보육센터 1999-12-2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07-18
충청대학교 충청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01-31
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2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34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북도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5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11-23 ❙ 충청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충주기상과학관 청주기상지청 국립
제천한방생명과학관 충청북도 제천시 공립
증평좌구산천문대 충청북도 증평군 공립
충주고구려천문과학관 충청북도 충주시 공립
충주자연생태체험관 충청북도 충주시 공립
충북산림과학박물관 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 공립
별새꽃돌과학관 삼육재단 사립
발효과학관 개인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충북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425개로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함
표 3-11-24 ❙ 충청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322 429 281 325 337 425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0 345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충청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3,700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167건
- 특허출원 건수는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 17년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 18년, `19년에
증가하였음
- 특허등록 건수는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1-25 ❙ 충청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3,226 3,440 3,498 3,166 3,509 3,700
특허등록 건수 1,854 1,431 1,670 1,861 1,921 2,16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건수는 2,745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2.71%
- 전년대비 논문 수 및 점유율 증가
표 3-11-26 ❙ 충청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2,389 2.59 15,361 6.43 1,009 1.99 5,458 5.41
2018 2,562 2.68 11,619 4.54 1,041 2.01 3,472 3.34
2019 2,745 2.71 3,885 1.42 1,152 2.13 1,346 1.17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34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과 목표 : 국가 성장을 견인하는 지역과학기술 성과 창출
■ 추진과제 및 전략
- 지역 주도 R&D 생태계 고도화
⦁지역주도 R&D 기획역량 강화
⦁지역 내 혁신주체 역할 고도화
- 지역전략산업 선도・혁신형 R&D 강화
⦁광역전략산업 선도혁신형 R&D 발굴・추진
⦁지역뉴딜 선도혁신형 R&D 발굴・추진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활용 R&D 지원
- 과학기술 성과 확산을 통한 지역성장 견인
⦁산학연민 공동연구 활성화
⦁과학기술성과의 기술사업화 확대
⦁기술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 중점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지역주도 R&D 기획역량 강화
- 기업성장 지원형 R&D지원 확대
-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중점특화분야 R&D 발굴・지원 강화
- 산학연관민 R&D발굴 기획단 운영
- 지역 전략산업 석・박사 및 신진연구자 양성
■ 지역 내 혁신지원 역할 고도화
- 출연(연) 연계 지역R&D 혁신플랫폼 구축
- 밸류체인 중심 지역과학기술 얼라이언스 구축
- 연구기획・수행, 창업・보육, 혁신형 기업육성 지원체계 고도화
REGIONAL S&T YEARBOOK 2020 347
■ 지역 전략산업 선도혁신형 R&D 발굴・추진
- 바이오헬스 선도혁신형 R&D 추진
- 시스템반도체 선도혁신형 R&D 추진
- 수송기계부품 선도혁신형 R&D 추진
■ 지역뉴딜 선도혁신형 R&D 발굴・추진
- 강소연구개발특구 연계 스마트IT 기술개발
- ICT기반 진단기기 및 디지털 병원 지원 기술 개발
- VR・AR 테마파크 컨텐츠 및 지원기술 개발
- 비대면 맞춤형 화장품 개발 풀랫폼 구축
- 농공단지 스마트 생산시스템 패키지 구축
■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활용 R&D 지원
- 방사광가속기 활용 기초・응용 연구수요 발굴
- 방사광가속기 활용 연구비 지원
- 해외 우수연구자 협력네트워크 운영
■ 산・학・연・민 공동연구 활성화
- 지역 거점대학 기초・원천 연구성과 연계 응용연구 활성화
- 지역 주민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형 R&D 기반(리빙랩 등) 구축
- 산・학・연 오픈 이노베이션 R&D 지원
■ 과학기술 성과의 기술사업화 확대
- 강소연구개발특구 연구성과 상용화 지원
- 청주 SB플라자 과학기술 사업화 강화
-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 기업 공동 R&D 및 사업화 지원
- 미래형 선도・혁신형 스타트업 생태계 고도화
■ 기술혁신 클러스터 고도화
- 세계 수준 바이오클러스터 구축
∙ 오송 첨복단지, 1, 2생명과학단지, 제3국가산단(예타 통과)
∙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예타 통과)
∙ K-뷰티(화장품산단, 청주전시관 등) 클러스터 기반 구축
34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시스템 반도체 후공정 융복합타운 조성
- 미래차 기술상용화 혁신밸리 조성
- 미래형 에너지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 드론 및 UAM 기술혁신거점 강화
- 4차산업혁명 대응 D.N.A. 인프라 고도화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혁신주체간 네트워킹 활성화
- 다양한 시장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대학간, 동종 및 이종기업 간 등의 네트워킹
활성화
- 산・학・연・관 혁신주체 간 지속적인 정보교류 및 협력 도모
■ 시장수요 기반 기술개발 기획체계 확립
- 기술개발 기획 단계부터 기술수요자가 참여함으로써, 사업화 가능성을 제고
- 기획단계부터 기술이전 및 지적재산권에 대한 컨설팅이 가능한 통합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성과
예측 및 기술사업화에 대한 방향 설정
■ 기술-시장 연계를 통한 기술사업화 촉진
- 공동 기술사업화 추진으로 규모의 경제 실현
- 기술의 수요검증 체계 강화
- 기술사업화 혁신 플랫폼 구축
■ 기술사업화 환경 고도화를 통한 기업 성장 지원
- 국내외 투자 유치 지원
- 민간 투자 역량 활용 연계 촉진
- R&BD 기술사업화 규제 개선 및 기업 지원제도 정비
REGIONAL S&T YEARBOOK 2020 349
제12절 충청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충남의 인구는 약 218만 명으로 작년 대비 증가
- 전국인구대비 충남 인구의 비중 역시 증가하여 전국의 4.23%가 거주
표 3-12-1 ❙ 충청남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2,089,470 2,132,566 2,147,723 2,179,663 2,187,752
전국대비 비율(%) 4.13 4.16 4.17 4.22 4.23
경제활동참가율(%) 64.6 64.0 64.1 63.2 66.5
실업률(%) 3.5 3.1 2.8 2.8 2.7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35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충남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114조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9%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8.73%로 전체 산업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며 기타 서비스업(18.02%)와 정부/민간비영리
생산(11.34%)이 그 뒤를 이음
표 3-12-2 ❙ 충청남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01,299,131 104,503,363 110,165,655 110,873,163 113,564,245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639,736 4,228,148 4,185,070 4,126,965 4,249,305
(지역내비중,%) (4.58) (4.05) (3.80) (3.72) (3.74)
제조업 46,169,789 48,190,717 52,636,346 53,764,781 55,335,845
(지역내비중,%) (45.58) (46.11) (47.78) (48.49) (48.73)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4,832,875 4,656,937 5,396,813 5,091,934 5,280,727
(지역내비중,%) (4.77) (4.46) (4.90) (4.59) (4.65)
건설업 6,179,099 6,260,429 6,171,211 5,334,840 4,987,645
(지역내비중,%) (6.10) (5.99) (5.60) (4.81) (4.39)
기타서비스업 18,421,092 19,364,711 19,327,494 19,684,272 20,459,712
(지역내비중,%) (18.18) (18.53) (17.54) (17.75) (18.02)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192,933 11,563,430 11,900,102 12,370,527 12,876,748
(지역내비중,%) (11.05) (11.07) (10.80) (11.16) (11.34)
순생산물세 9,863,607 10,238,991 10,537,927 10,426,129 10,332,975
(지역내비중,%) (9.74) (9.80) (9.57) (9.40) (9.10)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351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충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91조 7,704억 원이고, 4,308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5만
1,974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39조 6,954억 원(전체의
20.7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594개(전체의 13.7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4만 1,166명(전체의 16.3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2-3 ❙ 충청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9,800,844 5.11 533 12.37 21,199 8.41
음료 제조업 996,598 0.52 21 0.49 1,288 0.51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879,923 0.46 81 1.88 2,485 0.9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20 0.46 -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05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82,677 0.15 43 1.00 1,006 0.4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824,226 0.95 104 2.41 3,852 1.5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02,798 0.05 10 0.23 544 0.22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3,096,885 12.04 14 0.32 1,918 0.7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7,212,229 14.19 286 6.64 16,885 6.7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565,208 1.34 57 1.32 4,347 1.7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8,423,714 4.39 407 9.45 20,522 8.1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818,186 2.51 276 6.41 11,990 4.76
1차 금속 제조업 18,944,180 9.88 220 5.11 17,918 7.1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6,025,973 3.14 478 11.10 16,329 6.48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9,695,440 20.70 135 3.13 36,855 14.6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733,180 0.90 113 2.62 5,967 2.37
전기장비 제조업 9,910,158 5.17 225 5.22 14,971 5.94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1,868,639 6.19 594 13.79 28,273 11.2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22,811,661 11.90 591 13.72 41,166 16.3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31,277 0.12 17 0.39 987 0.39
가구 제조업 128,883 0.07 23 0.53 483 0.19
기타 제품 제조업 57,502 0.03 20 0.46 372 0.1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00,611 0.16 38 0.88 2,020 0.80
합 계 191,770,427 100.00 4,308 100.00 251,974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35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된 영역이 나타나지 않음
표 3-12-4 ❙ 충청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 의약품 제외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낮음
∙ 1차 금속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음료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 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353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충청남도는 ‘전자융합부품소재산업’과 ‘차세대에너지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
관리하고 있음
표 3-12-5 ❙ 충청남도 중점전략 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전자융합부품소재산업
융복합 디스플레이 소재부품허브 구축사업
기전 융합형 소재, 부품시험평가인증 기반구축
자동차 의장・전장 고감성시스템 개발 육성사업
자동차 주행안전 동력전달 핵심부품 개발
퍼블릭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시장 활성화 지원
충남 디스플레이 품질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사업
충남SW융합제품 상용화
충남형 스마트 공장 구축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 사업
자동차부품 세계화 지원
소형전기상용차 부품기업 육성
융합형 전장모듈 고안전 기반구축사업
ESS 전지시스템 기능 안전성 설계 기술지원
차세대에너지산업
이차전지관리시스템(BMS) 산업육성 기반구축사업
수소연료전지차 부품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
충남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
미세먼지 감축 수소버스 시범도시 선정・지원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 기술개발
충남 에너지산업 소재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
※ 출처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35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7개, 일반산업단지 69개, 도시첨단단지 3개, 농공산업단지 92개가 있음
- 총 171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534개, 총 종사자 수는 151,693명
표 3-12-6 ❙ 충청남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고정 6,308 6,308 1 1 X 100 완료
대죽자원비축 912 912 1 1 X 100 완료
석문 12,012 9,475 119 62 651 35 완료
아산국가 6,156 5,953 136 120 4,565 100 완료
고대지구 3,037 3,024 9 6 780 100 완료
부곡지구 3,119 2,929 127 114 3,785 100 완료
장항국가생태산업단지 2,751 2,211 13 3 51 - 조성중
일반
탄천 997 988 26 23 511 88 완료
유구자카드 96 96 13 8 46 93 완료
논산 253 253 24 24 543 100 완료
논산2 509 509 11 11 494 100 완료
동산 729 708 24 17 580 73 완료
관창 2,442 2,442 15 15 2,439 100 조성중
영보 1,251 1,251 - - - 100 조성중
대산 1,103 1,103 4 4 1,581 100 완료
대죽 2,101 2,101 10 10 858 100 완료
서산테크노밸리 1,986 1,986 83 53 860 98 완료
인주 3,530 3,528 46 39 5,639 100 완료
인주1 1,553 1,552 38 31 1,750 100 완료
인주(외국인) 165 165 7 7 434 100 완료
아산현대모터스밸리(구 인주2) 1,812 1,811 1 1 X 100 완료
아산테크노밸리 2,984 2,984 89 83 6,133 100 완료
운용 74 74 6 6 351 100 완료
천안3 2,134 2,124 57 47 20,445 100 완료
천안제3 1,624 1,614 17 15 16,220 100 완료
천안3(외국인) 510 510 40 32 4,225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55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천안제2 823 823 71 69 3,870 100 완료
천안제4 1,006 1,006 92 77 3,506 100 완료
천안산업기술 183 183 83 83 895 100 완료
천흥 651 649 16 14 965 100 완료
풍세 1,645 1,645 83 81 3,426 79 완료
합덕 970 970 33 17 712 99 완료
홍성 1,135 1,135 5 5 429 95 완료
예산 1,507 1,506 55 43 1,609 100 완료
예산신소재 482 479 20 1 X 100 조성중
대산컴플렉스 648 648 3 3 291 100 완료
현대제철(구 송산) 5,837 5,837 1 1 X 100 조성중
합덕인더스파크 641 640 5 2 X 77 완료
당진1철강 2,018 2,018 3 3 2,674 100 조성중
현대대죽 673 672 2 - - 100 조성중
예당 1,043 1,042 60 34 469 98 미개발
예당(1공구) 995 994 60 34 469 98 완료
예당(2공구) 48 48 - - - - 미개발
송선 314 189 - - - - 미개발
계룡제1(구 입암) 323 323 26 23 681 100 완료
세종(구 가산) 664 660 - - - - 미개발
아산디스플레이시티2(구 탕정2) 2,095 2,095 1 - - 100 조성중
아산디스플레이시티1
(구 탕정컴플렉스)
2,451 2,450 6 6 18,490 100 완료
천안제5 1,523 1,523 69 57 1,337 87 조성중
천안제5 1,187 1,187 54 46 973 85 조성중
천안5(외국인) 336 336 15 11 364 92 완료
서산남부(구 서산도시형) 878 878 - - - - 미개발
아산제2테크노밸리 1,200 1,200 80 76 2,295 100 완료
대산3 540 539 2 1 X 100 완료
남공주 400 400 - - - - 미개발
마정 150 150 55 55 529 100 완료
금산 921 921 1 1 X 100 완료
천안LG생활건강퓨처 386 386 - - - - 미개발
천안동부바이오 354 354 - - - - 미개발
아산탕정테크노 686 687 - - - - 미개발
탕정 505 505 - - - - 미개발
송산2 4,707 4,706 18 5 419 74 조성중
35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송산2(산업단지) 4,290 4,290 14 3 404 78 조성중
송산2(송산2중소협력외국인) 417 416 4 2 X 51 완료
아산스마트밸리 450 451 - - - - 조성중
서산오토밸리(구 서산) 3,990 3,989 47 38 3,684 99 완료
서산인더스밸리(구 서산2) 812 812 12 8 437 100 완료
씨지엔대산전력(구 엠피씨) 184 184 1 - - - 조성중
웅천(구 선진) 686 686 - - - - 미개발
아산디지털(구 음봉디지털) 351 351 6 6 1,067 100 완료
쌍신 226 226 - - - - 미개발
염치 306 303 - - - - 미개발
인주(3공구) 1,817 1,780 - - - - 미개발
천안북부BIT 875 875 - - - - 미개발
동현 301 301 - - - - 미개발
성거 306 305 - - - - 미개발
태안도시첨단 39 39 - - - 100.0 완료
도시첨
단
태안도시첨단 39 39 - - - 100 완료
내포도시첨단 1,260 1,260 2 2 X 97 조성중
천안직산 334 334 - - - - 미개발
계룡 50 50 1 1 X 100 완료
보물 135 135 5 4 129 100 완료
우성(전문) 142 142 5 5 60 100 완료
유구 228 228 3 3 450 100 완료
장기 91 91 20 14 196 100 완료
정안2 295 295 20 15 540 100 완료
월미 150 149 16 16 387 100 완료
의당복합 147 147 2 1 X 100 완료
가야곡 186 186 18 18 663 100 완료
동산 83 83 2 2 X 100 완료
양지 117 117 5 5 24 100 완료
양지제2 137 137 4 4 239 100 완료
연무 124 123 1 1 X 100 완료
연산 81 81 17 17 167 100 완료
은진 70 70 3 3 141 100 완료
대천 102 102 15 15 411 100 완료
웅천 229 229 33 33 381 100 완료
웅천석재 150 150 21 21 7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57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주산 154 154 3 3 102 100 완료
주포 165 165 19 19 411 100 완료
주포제2 143 143 14 14 94 94 완료
청소 147 146 19 19 250 100 완료
고북 125 124 17 14 135 100 완료
명천자동차전문 143 143 7 6 443 100 완료
성연 777 775 4 4 2,255 100 완료
수석 231 223 21 21 483 100 완료
도고 198 197 7 7 662 100 완료
둔포 74 73 3 3 389 100 완료
둔포제2 116 116 4 4 580 100 완료
득산 216 216 27 25 839 100 완료
배미 75 74 3 3 225 100 완료
신인 64 64 2 2 X 100 완료
신창 56 56 7 6 321 100 완료
영인 146 146 4 4 536 100 완료
탕정 93 93 3 3 250 100 완료
동면 69 69 4 4 473 100 완료
목천 105 100 2 1 X 100 완료
백석 350 350 125 124 2,370 100 완료
직산 172 172 22 21 503 100 완료
금성 222 221 27 22 413 100 완료
복수 118 117 17 16 230 100 완료
인삼약초특화 115 115 7 3 45 72 완료
추부 245 244 30 28 473 100 완료
당진 85 85 10 10 144 100 완료
면천 139 139 9 9 245 100 완료
석문 215 215 4 4 181 100 완료
송악 171 171 13 13 267 100 완료
신평 138 138 8 8 298 100 완료
한진 143 143 2 2 X 89 완료
합덕 106 106 17 17 395 100 완료
서면(김가공특화) 79 77 7 7 63 60 완료
종천 251 251 33 32 652 100 완료
종천2 197 197 5 5 85 56 완료
고덕 159 158 4 4 152 100 완료
관작전문 144 144 11 9 418 100 완료
35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삽교전문 147 146 7 7 456 100 완료
신암 153 152 14 14 637 100 완료
예덕 205 205 1 1 X 100 완료
예산 189 189 26 26 612 100 완료
응봉 151 150 5 5 405 100 완료
증곡전문 145 144 4 1 X 100 완료
비봉 156 156 11 10 333 100 완료
운곡 149 149 15 14 110 100 완료
정산 274 264 3 3 675 100 완료
학당 130 130 3 2 X 100 완료
화성 144 144 15 13 112 100 완료
태안 105 105 21 21 184 100 완료
갈산전문 122 123 16 16 345 100 완료
갈산2전문 136 136 - - - 30 조성중
결성전문 141 141 28 28 268 100 완료
광천 145 145 14 14 128 100 완료
광천김특화 57 57 9 8 292 100 완료
구항 167 167 15 15 383 100 완료
은하 109 109 1 1 X 100 완료
은하전문 95 95 7 7 137 100 완료
운곡2 146 144 9 9 265 100 완료
월미2 69 69 6 5 76 86 완료
계룡제1 192 192 13 8 147 52 완료
강경 130 130 5 4 241 100 완료
은산패션전문 62 59 - - - - 조성중
장항원수 473 473 28 25 496 100 완료
정안1 152 151 8 6 412 100 완료
노성특화 174 169 - - - 100 조성중
가야곡2 311 311 - - - - 미개발
은산산업단지(구 은산농공단지) 123 123 21 17 176 100 완료
은산2산업단지(구 은산2농공단지) 227 226 9 4 43 100 완료
임천산업단지(구 임천농공단지) 171 171 7 7 69 100 완료
장암산업단지(구 장암농공단지) 158 157 1 - - 100 완료
홍산산업단지(구 홍산농공단지) 132 127 11 9 109 100 완료
청라 67 67 - - - -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359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충남에는 총 1,33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13개로 가장 많았으며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제외)’은
122개, ‘식료품 제조업’이 93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2-7 ❙ 충청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5
광업(05~08) 2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3
음료 제조업 4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4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4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86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2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5
1차 금속 제조업 26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2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71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0
전기장비 제조업 8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8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
가구 제조업 3
기타 제품 제조업 2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36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건설업(41~42) 22
도매 및 소매업(45~47) 11
운수 및 창고업(49~52)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정보통신업(58~63) 65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76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1336
REGIONAL S&T YEARBOOK 2020 361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7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4,100명(전국의 3.49%)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0.33% 감소추세를 나타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5,714명(전국의 3.57%)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6,638명(전국의 3.45%), 공공연구소는 1,748명(전국의 2.99%)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2-8 ❙ 충청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901 3.15 7,386 3.99 6,835 3.68 6,381 3.44 6,638 3.45
∙ 국공립 1,146 1.47 1,971 2.49 1,549 2.02 1,385 1.81 1,644 2.07
∙ 사립 4,755 4.35 5,415 5.11 5,286 4.85 4,996 4.57 4,994 4.42
공공연구소 1,631 3.15 1,763 3.25 1,649 3.89 1,685 3.02 1,748 2.99
∙ 국공립 450 3.98 689 6.39 611 5.85 620 5.79 692 5.65
∙ 정부출연 700 2.24 644 1.94 567 1.78 595 1.86 575 1.77
∙ 병원 및 기타 481 5.19 430 4.21 471 3.68 470 3.59 481 3.54
기업 15,296 4.17 15,204 3.99 15,438 4.02 15,402 3.77 15,714 3.57
∙ 정부투자기관 0 0.00 14 0.39 14 0.37 16 0.41 34 0.87
∙ 민간기업 15,296 4.21 15,190 4.03 15,424 4.06 15,386 3.80 15,680 3.59
합 계 22,828 3.7 24,353 3.93 23,922 3.91 23,468 3.61 24,100 3.4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6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8년 충청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2.0명 증가한 81.8명으로 조사됨
표 3-12-9 ❙ 충청남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 (단위 : 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79.2 84.1 81.4 79.8 81.8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충청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5,587억 원 (전국의 3.02%) 17개 광역시・도 중 7위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73%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909억 원(전국의 2.71%), 공공연구소는 약
2,963억 원(전국의 3.01%), 기업이 약 2조 1,004억 원(전국의 3.05%)
표 3-12-10 ❙ 충청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61,495 2.80 185,542 3.09 183,385 2.89 203,453 3.04 190,998 2.71
∙ 국공립 43,251 1.64 42,642 1.57 43,670 1.52 62,665 2.12 51,948 1.68
∙ 사립 118,244 3.78 142,900 4.35 139,715 4.03 140,788 3.78 139,050 3.51
공공연구소 288,959 3.56 294,789 3.34 282,044 3.09 289,992 3.04 296,357 3.01
∙ 국공립 37,215 4.94 51,900 6.68 49,862 6.68 59,802 7.49 48,717 5.99
∙ 정부출연 174,343 2.73 169,580 2.43 166,021 2.32 168,084 2.27 176,917 2.34
∙ 병원 및 기타 77,401 8.01 73,309 6.80 66,161 5.40 62,106 4.68 70,723 4.78
기업 1,873,338 3.76 1,803,412 3.53 2,514,713 4.66 2,067,911 3.31 2,100,403 3.05
∙ 정부투자기관 0 0.00 2,745 0.43 3,559 0.44 1,240 0.14 3,201 0.35
∙ 민간기업 1,873,338 3.81 1,800,667 3.57 2,511,154 4.72 2,066,671 3.35 2,097,202 3.09
합 계 2,323,791 3.65 2,283,743 3.46 2,980,142 4.66 2,561,356 3.25 2,587,758 3.0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63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충청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5,28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2.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21%
표 3-12-11 ❙ 충청남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4,662 4,843 4,861 5,301 5,289
(2.6) (2.6) (2.5) (2.7) (2.6)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기본전략
■ 과학기술 거점 기능강화를 통한 지역성장동력 확보
-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사업(27.8억원)
-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사업(13.9억원) 등
■ 산업ㆍ기술간 융복합화 통한 지역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203.75억원)
- 수소연료전지차 부품 실용화 및 산업기반 육성(163.62억원)
-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146.48억원) 등
■ 지역성장을 위한 혁신주체 네트워크를 활용한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
-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 지원(25억원)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23.7억원) 등
36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에서 담당
그림 3-12-1 충청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표 3-12-12 ❙ 충청남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9,922 - 15,739 247 510 31 3,349 - 46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65
(나) 역 할
표 3-12-13 ❙ 충청남도 미래산업국 미래성장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대학 R&D 지원
∙ R&D 집적지구 조성 추진 총괄
∙ R&D 집적지구 내 국책연구기관, 민간연구소 유치
∙연구기관(국책연구기관 분원) 유치
∙ 국가 R&D 공모사업 대응(대학 R&D지원)
∙ R&D 집적지구 운영전략 수립
∙ 집적지구 부지조성 업무 추진
∙ 충남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 지원
∙ 연구기관(국책연구기관 분원) 유치
∙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
∙ 특구조성 추진단(실무협의회) 운영
∙ 4차 산업혁명 연구소 및 기업연구소 유치 지원
∙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규과제 발굴
∙ 4차 산업혁명특별위원회(분과위원회) 운영
∙ 4차 산업혁명 대응 과제 발굴 추진
∙ 4차 산업혁명 네트워크 운영
∙ 4차 산업혁명 대응 강화 및 과제 발굴
∙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 지원
∙ 산학연협력 네트워크 구축 운영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추진
∙ 서비스산업 촉진을 위한 정책 수립 총괄
∙ 소프트웨어 융합산업 육성 추진 총괄
∙ 서비스산업 분야의 신규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육성
∙ 제조업과 관련한 지식서비스산업의 육성 및 진흥
∙ 생활소비재산업 육성을 위한 얼라이언스 운영
∙ 서비스산업과 타 산업간 융복합 과제 발굴 육성
∙ 서비스산업 분야의 신규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육성
∙ 서비스산업에 대한 국내외 산업동향조사분석
∙ 지식재산 창출 지원 사업 추진 및 활용 기반 조성
∙ 충청남도지식재산위원회 운영
∙ 소프트웨어 융합산업 육성 지원
∙ 소프트웨어 융합제품 상용화 지원
∙ 지역 소프트웨어 서비스사업화 지원
∙ 지역수요맞춤형 R&D 공모대응 예산지원
∙ 충남과학축전 운영
∙ 과학관 등록(변경,취소), 사립과학관 설립 계획 승인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회의 주요 기능 및 활동
- (구성취지) 충청남도의 과학기술 진흥과 연구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사항의 심의・조정 기구로 충청남도 과학
기술위원회를 설립
- (위원회 주요기능)
①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주요정책 수립 및 조정에 관한 사항
② 종합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③ 사업별 정책방향의 적합성, 우선순위 및 사업비 규모조정 등 투자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④ 연구개발 사업 기획 및 평가・관리에 관한 사항
⑤ 연구기관 유치・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⑥ 대학, 기업체・연구소의 연구개발지원에 관한 사항
⑦ 도민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증진에 관한 사항
⑧ 그 밖에 과학기술 진흥을 위하여 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36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위원회 구성)
① 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② 위원장은 행정부지사가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함
③ 위원은 당연직 위원과 위촉직 위원으로 아래와 같이 구분함
∙ 당연직 위원은 미래성장본부장, 충남테크노파크원장이 함
∙ 위촉직 위원은 과학기술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도지사가 위촉함
④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으며,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 위원의 남은 기간으
로 함
⑤ 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 1명을 두되, 간사는 충청남도의 과학기술 담당부서 과장
(현재 미래성장과장)으로 함
- (위원회 운영) 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개최하며, 정기회의는 연 1회 개최하며, 임시
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한 경우에 개최함. 또한,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함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2020년 충청남도 과학기술위원회(20. 3. 28)
∙ 충청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19년 실적 및 ’20년 계획, 충청남도 신산업 프로젝트 추진현
황 등 2개 안건 심의(※ 코로나19로 인해 서면심의)
■ 참석 : 충청남도 과학기술위원회 위원 20명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2-14 ❙ 충청남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김용찬 충청남도 행정부지사(당연직)
위원 정병락 충청남도 미래산업국장(당연직)
부위원장 이응기 충남테크노파크 원장(당연직)
위원 한영신 충청남도의회 2019.01.1~2020.12.31
위원 노주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9.01.1~2020.12.31
위원 오세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01.1~2020.12.31
위원 하태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9.01.1~2020.12.31
위원 박문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19.01.1~2020.12.31
위원 장석인 산업연구원 2019.01.1~2020.12.31
REGIONAL S&T YEARBOOK 2020 367
※ 출처 : 충청남도 홈페이지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충청남도의 총예산은 약 24조 3,75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951억 원
지역예산 대비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은 0.39%
- 과학기술 예산 중 충청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1.78%
표 3-12-15 ❙ 충청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43,759
재정자주도(%) 74.76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276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951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39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1.78
※ 주1 : 총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결산, 총계 기준(본청)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계획) : 과학기술관련 국비+지방비+기타 투자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한범석 자동차부품연구원 2019.01.1~2020.12.31
위원 박종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01.1~2020.12.31
위원 이재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9.01.1~2020.12.31
위원 조은애 한국과학기술원 2019.01.1~2020.12.31
위원 이나경 순천향대학교 2019.01.1~2020.12.31
위원 장영주 단국대학교 2019.01.1~2020.12.31
위원 김은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9.01.1~2020.12.31
위원 김영학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9.01.1~2020.12.31
위원 이기녕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9.01.1~2020.12.31
위원 이부형 공주대학교 2019.01.1~2020.12.31
위원 이재종 한국기계연구원 2019.01.1~2020.12.31
36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충청남도는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분야에 가장 많은 약 869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과제에 에 가장 많은 약 452억 원, 312억 원이 투입
표 3-12-16 ❙ 충청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기전융합형 소재・부품
시험평가 인증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
9,838 3,133 2,437 15,40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연안바다목장 조성사업 지원
충남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사업
4,665 5,796 - 10,461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 사업
충남도립대학교 운영
17,649 16,363 503 34,515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충남연구원 운영 지원
수산자원연구소 운영
3,148 19,116 300 22,564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수소연료전지차부품실용화 및
산업기반육성
지역특화산업(주력산업) 육성지원
45,227 31,259 10,425 86,911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충남 산학연융합촉진센터 운영사업
1,981 1,234 694 3,909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기술거래촉진네트워크 지원
충청권 중소벤처기업 박람회
460 561 490 1,511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29,839 17,338 4,888 52,065
합계 112,807 94,800 19,737 227,344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6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충청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915개로 전국의 3.8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0.42% 증가
- 5년간 대학 3개 증가, 공공연구소 2개 감소, 기업 626개 증가
표 3-12-17 ❙ 충청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5 6.08 27 6.55 25 5.98 28 6.83 28 7.67
∙ 국공립 4 4.94 5 5.68 5 5.56 6 6.74 5 6.33
∙ 사립 21 6.36 22 6.79 20 6.10 22 6.85 23 8.04
공공연구소 24 4.65 21 3.92 19 3.42 20 3.51 22 5.49
∙ 국공립 12 8.96 11 8.73 11 9.32 11 8.66 12 16.67
∙ 정부출연 6 3.43 5 2.54 2 1.23 3 1.88 3 3.95
∙ 병원 및 기타 6 2.90 5 2.35 6 2.18 6 2.14 7 2.77
기업 1,239 3.99 1,422 3.90 1,418 3.70 1,633 3.84 1,865 3.84
∙ 정부투자기관 0 0.00 1 2.22 1 2.33 1 2.04 2 4.76
∙ 민간기업 1,239 3.99 1,421 3.91 1,417 3.71 1,632 3.84 1,863 3.84
합 계 1,288 4.02 1,470 3.93 1,462 3.72 1,681 3.86 1,915 3.8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7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 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충청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3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6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2-18 ❙ 충청남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1 13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1 5 6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3 1 18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충청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5만 650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3,174명(전체의 약 8.7%), 공학계열 학생이 3만 6,423명(전체의약
24.2%)
표 3-12-19 ❙ 충청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3,174 36,423 9,597 17,294 20,070 10,781 14,731 38,177 150,650
비중 8.7 24.2 32.9 11.5 13.3 7.2 9.8 25.3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37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학
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센터
(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충청남도에는 순천향대학교가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표 3-11-27 ❙ 충청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순천향대
(1개 센터)
2019 대사질환 조직 항상성 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업
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2019년 기준, 충남의 지역혁신센터의 수는 13곳이었으나, 2020년 기준 4개의 센터가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37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2-20 ❙ 충청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충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표 3-12-21 ❙ 충청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건양대학교 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7-23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27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8-01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생명공학창업보육센터 2001-05-11
백석대학교 백석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05-01
백석문화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2-03-01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14-02-01
선문대학교 선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1-24
순천향대학교 순천향BIT창업보육센터 1999-03-30
신성대학교 신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8-12-24
청운대학교 청운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4-02-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창업보육센터 1999-12-20
한서대학교 한서대학교 항공해양창업보육센터 2001-07-19
호서대학교 호서벤처창업보육센터 1996-01-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주관기관 센터명
한국기술교육대 기전 융합형 부품소재 Trouble Shooting 지역혁신센터
공주대 자동차 의장 및 편의부품 지역혁신센터
순천향대 고부가 생물소재 산업화 지원 지역혁신센터
순천향대 고부가생물소재 산업화지원 지역혁신센터
REGIONAL S&T YEARBOOK 2020 373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충청남도에는 공립과학관 9개소, 사립과학관 2개소가 운영 중
표 3-12-22 ❙ 충청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당진해양테마과학관 충청남도 당진시 공립
장영실과학관 충청남도 아산시 공립
천안홍대용과학관 충청남도 천안시 공립
칠갑산천문대스타파크 충청남도 청양군 공립
홍성 조류탐사 과학관 충청남도 홍성군 공립
보령서해갯벌과학관 충청남도 보령시 공립
서산류방택천문기상과학관 충청남도 서산시 공립
태안군 별똥별 하늘공원 충청남도 태안군 공립
충청남도교육청과학교육원 충청남도 교육청 공립
천리포수목원 재단법인 천리포수목원 사립
에너지생태과학관 개 인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기준, 충청남도의 생활과학교실 강좌는 152개가 운영 중임
표 3-12-23 ❙ 충청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26 148 104 157 281 152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37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충청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6,91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966건
- 특허출원 건수는 17년 이후로 지속 증가, 특허등록 건수는 ’15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2-24 ❙ 충청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6,473 6,309 6,578 6,046 6,482 6,917
특허등록 건수 3,598 2,996 3,008 3,492 3,808 3,96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충남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2,834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2.80%
표 3-12-25 ❙ 충청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2,515 2.72 17,146 6.82 1,150 2.27 6,346 5.52
2018 2,688 2.81 10,166 3.78 1,196 2.30 4,021 3.36
2019 2,834 2.80 4,142 1.46 1,258 2.32 1,545 1.23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375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삶의 행복이 과학기술과 어우러지는 충남
■ 목표 : 과학기술 투자, 역량 향상으로 지역문제 해결능력 확충
▣ 추진과제 및 전략
■ 과학기술의 기획・관리 강화
- R&D투자 강화
∙ R&D정책 기획능력 강화, 과학기술 기획일원화
- 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정비
∙ 연구개발지원단 기능 강화 및 4차 산업 효율적 대응
■ 전문기관 설립으로 신성장동력 확보
-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충남과학기술원 설립을 통한 R&D 거점 마련
■ 지역주도의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과학기술 인력 육성 로드맵 마련
■ 혁신을 통한 기술창업 플랫폼 구축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투자 강화
∙ 신기술 기반의 자생적 혁신생태계 구축
- 기술창업 촉진 활성화
∙ 기술혁신형 가젤기업 20개 육성
37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 전략
■ 추진목표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설립을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통합
- 지역주도의 과학기술 정책기획을 통한 신성장동력 및 신산업 적극 발굴
- 혁신네트워크를 활용한 선도형 기술개발 및 연구인프라 확충
■ 중점 정책 및 사업 방향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설립으로 과학기술기반 지역 성장동력 확보
⦁ 과학기술 거점기관 설립을 통한 지역주도의 정책 및 R&D사업 추진, 성과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
의 실질적 효과성 제고
- 혁신성장기반 및 신성장도력 확보를 위한 혁신기반 강화 사업 확대
⦁충남지식산업센터 건립을 통한 기술이전, 기술거래 등 산업활성화 지원
⦁충남 SW융합 클러스터 2.0을 통한 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업지원
⦁수소 관련 융합형 전장모듈 고안전 기반구축사업, 에너지산업 소재 부품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
⦁중소기업 R&D지원체계 구축사업, 산학연융합촉진센터 구축 사업 등
- 지역혁신기관 공동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과학기술 및 산업역량 제고
⦁ 4차 산업혁명 추진계획 수립을 통한 제조업의 서비스산업의 한계 극복
⦁ 기업의 잠재력 증대를 위한 기술주도 자립형 지원체계 마련(지역 지식재산 창출지원, 벤처창업 촉진
및 브랜드 개발 등)
- 융합형 우수 연구자 지원, 우수인재 양성 및 연구 인프라 확충
⦁ 지역 내 강점을 활용한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 지원, 지역거점 혁신형 의사과학자 공동연구 등
⦁ SW중심대학 지원, 충남지역산업 인력양성 사업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377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혁신클러스터 중심의 지역 과학기술 역량 강화
- 「R&D 집적지구 중심 과학기술 역량 강화
⦁ 이전 공공기관 유치로 연구 인프라 구축 및 우수 인력 유입
⦁ 제5차 종합계획 중점 추진 분야와 연계한 과학기술기반 지역산업 혁신 및 新산업 도출
- 「충남과학기술진흥원」 설립에 따른 과학기술 거버넌스 강화
⦁ 충남과학기술진흥원의 R&D 거점기관 역할 수행으로 R&D 집적을 통한 기술혁신 역량 강화
⦁ 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 급변하는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기적 협력 체계 구축
- 지역혁신기관 간 네트워킹 강화
⦁네트워킹 결과의 정책 실효성 강화를 위한 충남지역혁신협의회와 충남과학기술혁신협의회 연계 운영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관이 참여할 수 있는 네트워크 협의체 구성
■ 지역 R&D 기획⋅평가⋅관리 체계 강화
- 지역 R&D 사업 효율성 강화
⦁R&D 기획 과정에서 사회문제 등 지역이 필요로 하는 수요 반영으로 지역 R&D 사업 효율성 제고
⦁정기적인 사회문제 데이터 수집, 주민 공청회 개최 등 지역 사회문제를 도출하기 위한 경로 다변화
- 지역 R&D 사업 평가⋅관리 체계 개선
⦁충남 데이터기반 성과분석 통계관리 시스템과 연동을 통한 사업 지원-평가-관리 통합 시스템 구축
⦁지속적인 성과관리를 위한 지방비 R&D 관리 조례 제정
■ 과학기술 사업화 역량 강화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연계를 통한 기술사업화 기반 확대
⦁ 대덕연구개발특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등 주변 우수 과학기술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여건 조성
⦁ 기업의 비즈니스 니즈 파악을 통한 기술 창업 환경 조성
- 지역이 필요로 하는 과학기술 인재 육성
⦁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맞춤형 우수 인재 양성
⦁ 지역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37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3절 전라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전북의 인구는 약 180만 명으로 작년대비 감소
- 전국인구대비 전북 인구의 비중은 3.49%로 작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경제활동 참가율은 62.9%로
작년대비 증가
표 3-13-1 ❙ 전라북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798,234 1,833,168 1,829,707 1,820,168 1,803,291
전국대비 비율(%) 3.55 3.58 3.56 3.53 3.49
경제활동참가율(%) 59.5 60.7 60.1 59.7 62.9
실업률(%) 1.7 2.1 2.5 3.0 2.2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379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북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4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1.27%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29.96%), 정부/민간비영리생산(24.44%), 제조업(21.80%)이 각각 20%가 넘는 비중을차지하며
산업구조는 5년 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표 3-13-2 ❙ 전라북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 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47,018,028 46,664,550 47,553,099 48,350,793 49,459,526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818,733 3,507,674 3,593,170 3,541,442 3,549,791
(지역내비중,%) (8.12) (7.52) (7.56) (7.32) (7.18)
제조업 11,594,813 10,983,976 11,049,658 11,032,002 10,780,635
(지역내비중,%) (24.66) (23.54) (23.24) (22.82) (21.80)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213,444 1,219,885 1,286,287 1,196,921 1,264,092
(지역내비중,%) (2.58) (2.61) (2.70) (2.48) (2.56)
건설업 3,007,885 2,806,022 2,991,385 3,136,099 3,176,480
(지역내비중,%) (6.40) (6.01) (6.29) (6.49) (6.42)
기타서비스업 13,649,402 13,912,175 14,031,469 14,427,301 14,817,226
(지역내비중,%) (29.03) (29.81) (29.51) (29.84) (29.9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0,363,437 10,817,610 11,214,580 11,538,315 12,088,548
(지역내비중,%) (22.04) (23.18) (23.58) (23.86) (24.44)
순생산물세 3,370,314 3,417,208 3,392,176 3,458,905 3,756,096
(지역내비중,%) (7.17) (7.32) (7.13) (7.15) (7.59)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38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전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39조 6,795억 원이고, 1,80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8만
4,562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약 8조 665억 원(전체의 21.84%)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361개(전체의 19.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1만 8,137명(전체의 21.4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3-3 ❙ 전라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8,665,329 21.84 361 19.98 18,137 21.45
음료 제조업 672,583 1.70 21 1.16 1,174 1.39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40,832 0.86 54 2.99 1,686 1.9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54,305 0.39 73 4.04 1,376 1.63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2 0.11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526,411 1.33 39 2.16 1,281 1.5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313,488 3.31 56 3.10 2,626 3.1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8 0.44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22,601 0.06 4 0.22 52 0.0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908,714 17.41 129 7.14 8,448 9.99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574,951 1.45 10 0.55 913 1.08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303,105 3.28 100 5.53 3,448 4.08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1,599,603 4.03 163 9.02 4,739 5.60
1차 금속 제조업 4,399,309 11.09 74 4.10 5,096 6.0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210,155 3.05 169 9.35 4,880 5.77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596,262 1.50 26 1.44 2,792 3.30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13,273 0.29 21 1.16 556 0.66
전기장비 제조업 1,257,344 3.17 64 3.54 2,371 2.80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852,781 7.19 144 7.97 5,812 6.8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806,222 17.15 228 12.62 17,214 20.3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5,153 0.19 9 0.50 403 0.48
가구 제조업 53,360 0.13 14 0.77 392 0.46
기타 제품 제조업 181,487 0.46 29 1.60 760 0.9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22,544 0.06 9 0.50 199 0.24
합 계 39,679,588 100.00 1,807 100.00 84,562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381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식료품 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가구제외)’, ‘음료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로 나타남
표 3-13-4 ❙ 전라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식료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음료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 1차 금속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낮음
∙ 가구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38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라북도는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 (탄소소재,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등)’과 ‘친환경 농생명・
에너지 산업(농생명・식품, 바이오, LED, 에너지변환 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
하고 있음
표 3-13-5 ❙ 전라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탄소・융복합 부품소재 산업
(탄소소재, 자동차, 기계, 조선・해양 등)
나노탄소소재 실용화 및 신뢰성 기반구축
자동차부품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재난대응 특수목적기계 종합기술개발
친환경 토공기계 종합시험 설비구축
탄소기업 R&D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사업
탄소산업 T2B 지원
탄소산업 글로벌 카본로드 구축
글로벌 빅바이어 연계 수출기업화 촉진사업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산업생태계 구축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차 부품 고도화 사업
탄소융복합 소재부품 성형지원
탄소복합재 공정장비 활용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
친환경 농생명・에너지산업
(농생명・식품, 바이오, LED, 에너지변환
등)
국가식품클러스터 투자유치 및 홍보
부안 신재생 에너지단지 운영지원
동부권 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
한국형 유용균주 산업화 기반구축
농생명 SW융합 클러스터 구축
고부가가치식품 가공기술개발
국가식품클러스터 기업기술지원
지역농업연구 기반조성사업
연료전지 시스템 전주기R&D고급 트랙
동부권 신소득작목 발굴 및 실용기술개발
조선기자재기업 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지원
※ 출처 : 전라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0 383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0개, 일반산업단지 26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59개가 있음
- 총 9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636개, 총 종사자 수는 90,481명
표 3-13-6 ❙ 전라북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군산 13,702 6,828 206 154 4,217 100 완료
군산2(구 군장지구) 50,459 14,612 605 456 7,041 99 완료
군산2국가산업단지(구 군장) 49,203 13,356 541 399 5,131 100 완료
군산(자유무역) 1,256 1,256 64 57 1,910 92 완료
익산국가산업단지 1,336 1,336 290 235 2,991 100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 2,322 2,191 132 53 772 54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산업단지) 2,206 2,075 131 52 753 50 완료
국가식품클러스터(중소협력외국인) 116 116 1 1 X 100 완료
새만금지구 18,495 18,497 28 4 243 47 조성중
전주탄소소재 656 656 - - - - 미개발
일반
군산 5,641 5,641 63 63 5,181 100 완료
김제순동 262 262 42 42 1,116 100 완료
익산제2 3,309 3,309 190 190 7,566 100 완료
전주제2 687 687 30 30 1,011 100 완료
전주친환경첨단복합(1단계) 291 291 49 47 960 100 완료
전주시자원순환특화 80 80 11 7 51 100 완료
정읍제1 202 202 7 7 267 100 완료
정읍제2 999 999 69 68 1,493 100 완료
정읍제3 1,025 1,025 53 52 1,448 100 완료
정읍첨단과학(RFT) 896 896 27 10 521 54 완료
고창 848 848 3 - - 9 조성중
부안신・재생에너지 354 354 - - - 100 완료
완주 3,359 3,359 83 83 10,602 100 완료
전주과학 3,074 3,074 175 165 5,326 100 완료
완주테크노밸리 1,311 1,311 73 64 1,787 100 완료
익산제4(구 익산종합의료과학) 503 503 28 19 1,600 89 완료
38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익산제3 2,794 2,740 89 80 2,572 80 완료
익산제3 2,453 2,399 86 77 2,454 91 완료
익산제3(외국인) 341 341 3 3 118 39 완료
완주테크노밸리(2단계) 2,115 2,115 - - - - 조성중
전주친환경첨단복합(3-1단계) 284 284 3 2 X 100 완료
지평선 2,986 2,986 90 68 2,616 80 완료
지평선 1,995 1,995 60 43 2,205 72 완료
김제(자유무역) 991 991 30 25 411 92 완료
남원 776 776 - - - - 조성중
전주제1[재생사업지구] 1,806 1,806 119 119 3,328 100 완료
도시첨단 전주도시첨단 110 110 56 56 365 100 완료
농공
서수 287 287 48 48 1,004 100 완료
성산 142 142 24 23 365 100 완료
옥구 140 130 39 39 403 100 완료
대동전문 331 331 20 19 453 100 완료
만경 215 215 26 26 731 100 완료
봉황 233 233 44 44 586 100 완료
서흥 277 277 44 44 619 100 완료
월촌 145 145 25 18 310 100 완료
황산 73 73 11 11 453 100 완료
광치1(구 광치) 140 140 18 17 246 100 완료
광치2 113 112 21 20 151 100 완료
노암 147 147 19 18 206 100 완료
노암제2 168 168 11 10 347 100 완료
어현 117 116 1 1 X 100 완료
인월 51 50 2 1 X 100 완료
낭산 129 128 17 17 408 100 완료
삼기 132 131 27 27 505 100 완료
왕궁 330 330 17 17 767 100 완료
황등 147 147 51 51 246 100 완료
고부 151 151 16 15 399 100 완료
농소 186 185 6 6 246 100 완료
북면 211 211 40 39 582 100 완료
신용전문 143 143 6 4 430 100 완료
신태인 150 150 14 13 94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385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태인 247 247 19 17 261 100 완료
고수 106 106 23 23 205 96 완료
복분자 196 196 15 11 225 66 완료
아산 140 140 25 23 158 100 완료
흥덕 315 315 14 14 194 100 완료
무주 147 147 2 2 X 100 완료
무주제2 98 98 10 9 63 100 완료
안성 94 94 11 7 91 100 완료
부안 149 149 31 27 233 100 완료
부안제2 344 343 9 9 797 96 완료
줄포 89 89 16 14 101 100 완료
가남 83 83 2 2 X 100 완료
쌍암 121 121 5 4 35 22 완료
풍산 138 138 10 6 138 96 완료
이서특별 398 398 5 5 179 100 완료
신평 53 53 10 8 218 100 완료
오수 132 132 23 20 172 100 완료
임실 147 147 1 1 X 100 완료
장계 290 290 10 7 216 100 완료
천천 57 57 10 9 63 100 완료
진안제2 146 146 38 37 261 100 완료
진안홍삼한방 265 265 32 28 232 96 완료
임피 239 239 24 20 191 68 완료
인계(구 제2장류) 149 149 11 11 175 100 완료
노암제3 349 349 19 14 149 40 완료
장수 143 143 11 7 42 39 완료
임실제2 338 338 - - - 100 완료
백구 328 328 30 25 286 100 완료
풍산제2 170 170 6 2 X 81 완료
소성특화 230 230 10 6 40 25 완료
진안연장 53 53 9 8 149 100 완료
부안제3 329 318 3 - - 3 조성중
함열 329 328 - - - - 미개발
철도산업 222 222 2 1 X 58 조성중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38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전북에는 총 887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07개로 가장 많았으며 ‘식료품 제조업’과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각각 98개, 74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3-7 ❙ 전라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3
광업(05~08)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98
음료 제조업 1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0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1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2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9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5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6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9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4
1차 금속 제조업 1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74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1
전기장비 제조업 6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0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6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4
가구 제조업 7
기타 제품 제조업 2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REGIONAL S&T YEARBOOK 2020 387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2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6
건설업(41~42) 20
도매 및 소매업(45~47) 9
운수 및 창고업(49~52)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정보통신업(58~63) 66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49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887
38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1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1만 5,380명(전국의 2.23%)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율은
약 3.53%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5,941명(전국의 3.09%)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5,387명(전국의 1.22%), 공공연구소는 4,052명(전국의 6.94%)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3-8 ❙ 전라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7,694 4.11 6,993 3.78 6,373 3.43 6,286 3.39 5,941 3.09
∙ 국공립 4,594 5.91 5,893 7.45 4,450 5.79 4,500 5.89 4,308 5.42
∙ 사립 3,100 2.84 1,100 1.04 1,923 1.77 1,786 1.64 1,633 1.45
공공연구소 2,439 4.70 3,503 6.47 3,480 8.21 3,782 6.78 4,052 6.94
∙ 국공립 1,654 14.63 2,696 24.99 2,598 24.88 2,568 23.99 2,782 22.73
∙ 정부출연 665 2.13 580 1.75 420 1.32 690 2.16 765 2.35
∙ 병원 및 기타 120 1.29 227 2.22 462 3.61 524 4.00 505 3.72
기업 4,779 1.30 4,669 1.23 4,629 1.21 4,753 1.16 5,387 1.22
∙ 정부투자기관 0 0.00 68 1.90 81 2.13 87 2.21 80 2.05
∙ 민간기업 4,779 1.32 4,601 1.22 4,548 1.20 4,666 1.15 5,307 1.22
합 계 14,912 2.46 15,165 2.45 14,482 2.37 14,821 2.28 15,380 2.2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89
■ ’18년 전라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2명 증가한 53.0명으로 조사됨
표 3-13-9 ❙ 전라북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47.6 48.6 50.0 49.9 53.0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전라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1조 845억 원(전국의 1.27%) 17개 광역시・도 중 12위
- 총 연구개발비의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5.65%로 증가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2,419억 원(전국의 3.43%), 공공연구소는
약 3,752억 원(전국의 3.81%), 기업이 약 4,673억 원(전국의 0.68%)
표 3-13-10 ❙ 전라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30,384 3.99 184,598 3.08 199,044 3.14 230,466 3.45 241,993 3.43
∙ 국공립 160,914 6.11 162,299 5.98 154,365 5.37 156,010 5.27 171,706 5.56
∙ 사립 69,470 2.22 22,299 0.68 44,679 1.29 74,456 2.00 70,287 1.77
공공연구소 179,927 2.22 214,949 2.44 289,964 3.18 378,335 3.96 375,224 3.81
∙ 국공립 71,559 9.50 127,704 16.43 165,063 22.11 132,165 16.56 130,066 15.98
∙ 정부출연 98,041 1.53 74,197 1.06 85,240 1.19 188,122 2.54 181,074 2.40
∙ 병원 및 기타 10,327 1.07 13,048 1.21 39,661 3.24 58,046 4.37 64,084 4.33
기업 460,165 0.92 404,776 0.79 411,244 0.76 423,354 0.68 467,355 0.68
∙ 정부투자기관 0 0.00 10,424 1.65 10,455 1.30 12,050 1.35 17,568 1.93
∙ 민간기업 460,165 0.93 394,352 0.78 400,789 0.75 411,304 0.67 449,787 0.66
합 계 870,475 1.37 804,323 1.22 900,252 0.76 1,032,155 1.31 1,084,572 1.2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9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전라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7,526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9.93%
표 3-13-11 ❙ 전라북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5,154 6,712 7,642 7,238 7,526
(2.8) (3.7) (3.3) (3.7) (3.7)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과학기술 기반 산업 육성
- 혁신성장 R&D+사업(65억), R&D 기술 사업화 지원 사업(22억), 전라북도 도약기업 육성 사업(10억)
등
■ 지역특화형 R&D 생태계 조성
-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부품 고도화 사업(65억), 탄소산업 글로벌 연구네트워크(카본로드) 구축(16
억), 특장차산업 활성화 및 산업생태계 모델 구축 사업(10억) 등
■ 산학연 협력네트워크 결집 및 융합형 창의인재 육성
- 생산기반업체 공정개선 및 네트워킹 지원 사업(20억), 식품산업 전문인력 양성(5.9억), 맞춤형 기술
인력 교육 지원 사업(9억) 등
■ 과학기술 거버넌스 고도화 및 실효적 성과 창출
-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6.8억),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활성화 지원사업(1.1억), 연구개발 성과
분석 지원 사업(1.5억)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391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혁신성장산업국 혁신성장정책과에서 담당
그림 3-13-1 전라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39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3-12 ❙ 전라북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18,631 - 15,004 241 467 45 2,874 -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13-13 ❙ 전라북도 혁신성장산업국 혁신성장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안전보호 융복합제품산업 육성사업 추진
∙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역량 강화 지원
∙ 전북 섬유산업 육성 및 신규사업 발굴 추진 등
∙ 전북 산업구조 개편방안 연구용역 추진
∙ 지역산업 발전 진흥계획 수립 및 지역산업
진흥사업(주력.협력)세부사업 총괄
∙ 성장동력산업 육성 마스터플랜 수립 및 관리
∙ 기술개발제품 인증취득 사업 추진
∙ 전북 지식재산진흥종합게획 수립 및 지식센터 운영지원
∙ 민간사회단체 지원, 공무원 직무 발명 보상
∙ 전북테크노파크 역량 강화 지원
∙ 산업기술단지 거점지원 및 입주기업 지원사업
∙ 산업부소관 균특예산 평가 총괄(지역특성화산업육성)
∙ 지방과학문화 확산사업(전북과학축전)
∙ 지역혁신성장 바우처 및 개방형 바우처지원사업
∙ 스마트특성화기반 구축사업 추진
∙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 추진
∙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 지원
∙ 전북테크비즈센터 건립 추진
∙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
∙ 연구개발특구 업무보고, 의회 업무대응 지원
∙ 지역 수요 맞춤형 R&D지원사업
∙ 국립 전북과학관 건립 추진
∙ 전략산업 기업부설연구소 활성화 지원
∙ 국가영장류자원지원센터 관련업무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 지원사업
∙ 공학교육혁신(선도)센터 지원사업
∙ 지역이공계여성인재 활용 촉진사업 지원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지원사업
∙ 기술지주회사 육성 지원
∙ 전북새만금산학융합지구 지원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운영
∙ 과학기술분야(R&D)정책적사무의기획・조정・자문위원
∙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수립・시행
∙ R&D 포럼 운영
∙ 과학기술진흥포럼 및 릴레이 세미나 운영
∙ 홀로그램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
∙ 품질표준 관련 장비구축 품질표준 개발
∙ 스마트 융복합 멀티플렉스 건립 운영
∙ 4차 산업혁명계획수립 및 총괄
∙ R&D종합계획 및 총괄
∙ 전라북도 R&D 기관장 간담회 운영
∙ 연구개발장비 공동활용 지원사업
∙ 홀로그램 업무
∙ 과학기술 릴레이 세미나 운영
∙ 과학인재육성 종합계획 수립
∙ 전라북도 산업교육 및 산학협력 시행계획
∙ 정부 연구개발 정책동향 파악 및 대응
∙ R&D 종합정보시스템 운영 관리
∙ 전북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추진
※ 출처 : 전라북도 홈페이지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도지사 1명
- (위원구성) 총 30명(당연직 9, 위촉직 21명)
※ 선임기준 : 산・학・연 전공, 도정 방향 등을 고려하여 균형 있게 위촉
※ 양성평등법 준용 : 여성인력 비율 40%이상(9명)으로 구성
REGIONAL S&T YEARBOOK 2020 393
■ 추진체계도
- 도정 R&D 전반 확대 및 과제 발굴 활성화를 위한 연구회 확대(7대 →10대)
⦁ 연구회 구성(10개) : ① 농생명・식품 ② 바이오・융합, ③ 탄소․융복합 , ④ 미래형 자동차 ⑤ 지능형
기계조선 ⑥ 신재생에너지 ⑦ 정보통신융합 ⑧ 사회복지‧의료 ⑨ 문화‧관광콘텐츠 ⑩ 환경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미실시(계획 중)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3-14 ❙ 전라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송 하 진 전라북도 2020.02.23. ~2022.02.22
위원 나 석 훈 일자리경제본부 2020.02.23. ~2022.02.22
위원 전 병 순 혁신성장산업국 2020.02.23. ~2022.02.22
위원 최 재 용 농축수산식품국 2020.02.23. ~2022.02.22
위원 윤 여 일 문화체육관광국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인 태 환경녹지국 2020.02.23. ~2022.02.22
위원 오 택 림 복지여성보건국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선 기 전북연구원 2020.02.23. ~2022.02.22
위원 양 균 의 전북테크노파크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남 영 에코융합섬유연구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대 혁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은 미 호원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진 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북분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차 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혜 미 전주비전대 2020.02.23. ~2022.02.22
위원 김 희 경 원광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민 지 호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박 동 준 한국식품연구원 2020.02.23. ~2022.02.22
위원 박 성 신 군산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서 동 경 전북연구개발특구본부 2020.02.23. ~2022.02.22
39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 설 경 원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신 찬 훈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0.02.23. ~2022.02.22
위원 양 문 식 한국과학기술단체 전북 연합회 2020.02.23. ~2022.02.22
위원 오 상 남 전주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위 명 환 첨단방사선연구소 2020.02.23. ~2022.02.22
위원 이 말 례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이 미 경 우석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이 홍 기 우석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채 한 정 전북대학교 2020.02.23. ~2022.02.22
위원 최 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북본부 2020.02.23. ~2022.02.22
※ 출처 : 전라북도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북도의 총예산은 약 22조 9,36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379억 원
-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1.78%
표 3-13-15 ❙ 전라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29,367
재정자주도(%) 72.4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4,33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379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60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1.78
※ 주1 : 총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결산, 총계 기준(본청)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계획) : 과학기술관련 국비+지방비+기타 투자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95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전라북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644억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각각 약 907억 원, 493억원을 투입
표 3-13-16 ❙ 전라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과학기술기반 지역 수요맞춤형
R&D지원
화훼 로열티 절감 신품종 육성 연구
1,078 1,146 163 2,387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사업
전북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1,035 1,502 - 2,537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연구개발 성과분석 지원사업 - 150 - 150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초기창업패키지 지원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38,187 9,618 5,801 53,606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중소기업 환경개선 사업
발효미생물산업화지원센터 구축
13,751 16,625 2,213 32,58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대형 해상풍력 터빈 해상실증 연구개발
친환경 고기능 상용.특장부품 고도화
사업
35,956 19,526 4,121 59,602
지역 산・학・연 공동연구 활성화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
(경제협력권산업)
혁신성장 R&D+ 사업
29,339 15,724 4,323 49,386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산업진흥을 위한 주력산업
육성
전북-에스제이 퍼스트무버 벤처펀드
38,382 24,298 6,519 69,199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일자리창출펀드 조성 참여
공공기술기반펀드 조성 참여
90,774 49,355 24,275 164,404
합계 248,502 137,944 47,415 433,860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9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전라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077개로 전국의 2.1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0.25% 증가
- 5년간 대학 수는 유지, 공공연구소 10개 증가, 기업 338개 증가
표 3-13-17 ❙ 전라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0 4.87 18 4.37 21 5.02 18 4.39 20 5.48
∙ 국공립 4 4.94 4 4.55 4 4.44 5 5.62 6 7.59
∙ 사립 16 4.85 14 4.32 17 5.18 13 4.05 14 4.90
공공연구소 28 5.43 29 5.41 32 5.77 38 6.68 38 9.48
∙ 국공립 8 5.97 9 7.14 8 6.78 10 7.87 10 13.89
∙ 정부출연 14 8.00 13 6.60 11 6.79 12 7.50 11 14.47
∙ 병원 및 기타 6 2.90 7 3.29 13 4.73 15 5.34 17 6.72
기업 681 2.19 786 2.16 751 1.96 833 1.96 1,019 2.10
∙ 정부투자기관 0 0.00 2 4.44 2 4.65 2 4.08 2 4.76
∙ 민간기업 681 2.19 784 2.16 749 1.96 831 1.96 1,017 2.10
합 계 729 2.28 833 2.23 804 2.05 889 2.04 1,077 2.1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397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전라북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8개, 산업대학 1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9개 존재
표 3-13-18 ❙ 전라북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6 8
산업대학 - - 1 1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1 - 8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4 - 15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전라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0만 77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1,781명(전체의 약 11.7%), 공학계열 학생이 2만 2,058명
(전체의 약 21.9%)
표 3-13-19 ❙ 전라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1,781 22,058 33,839 16,631 12,511 7,621 9,015 21,154 100,771
비중(%) 11.7 21.9 33.6 16.5 12.4 7.6 8.9 21.0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39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전라북도에는 원광대 1개, 전북대 2개의 선도연구센터가 구축・운영 중
표 3-13-20 ❙ 전라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전북대
(2개 센터)
2017 대사염증 연구센터 MRC
2019 나노탄소기반 에너지소재 응용기술 지역혁신선도 연구센터 RLRC
원광대
(1개 센터)
2017 한방심신증후군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
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전북의 경우 2019년 기준 센터가 총 6개 운영 중이었으나, 2020년 기준 3개 센터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0 399
표 3-13-21 ❙ 전라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군산대 자동차기계 부품 신뢰성 기술 지역혁신센터
원광대 차세대 방사선 산업기술 지역혁신센터
우석대 수소연료전지 부품 및 응용기술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전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5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3-22 ❙ 전라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군산대학교 군산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2-01
(재)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플렉스(Bio Plex) 창업보육센터 2014-10-01
전자부품연구원 에코인쇄전자창업보육센터 2012-07-05
ECO융합섬유연구원 에코파이버 창업보육센터 2014-01-27
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30
원광대학교 원광대학교 IT・BT창업보육센터 2001-05-28
(사)전북창업공유지원센터 익산창업보육센터 2017-12-22
전북과학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01-20
전북대학교 전북대창업보육센터 1999-09-10
전주대학교 전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2-07
전주비전대학교 전주비전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12-17
(재)한국탄소융합기술원 탄소융합부품소재창업보육센터 2013-11-12
한국농수산대학 한국농수산대학창업보육센터 2002-10-29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01-20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지방청) 희망전북 POST-BI 2010-07-07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40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북에는 국립과학관 2개, 공립과학관 7개가 운영 중
표 3-13-23 ❙ 전라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농업과학관 농촌진흥청 국립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전주기상지청 국립
남원항공우주천문대 전라북도 남원시 공립
무주 반디별천문과학관 전라북도 무주군 공립
전라북도과학교육원 전라북도 교육청 공립
만경강수생생물체험과학관 전라북도 완주군 공립
부안곤충탐사과학관(누에곤충과학관) 전라북도 부안군 공립
정읍첨단과학관 전라북도 정읍시 공립
순창건강장수체험과학관 전라북도 순창군 공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전북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599개로 전년 대비 증가
표 3-13-24 ❙ 전라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698 569 534 552 563 599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0 40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전북의 특허출원 건수는 4,343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2,137건
- 특허출원 건수는 ‘18년에 비해 증가, 특허등록 건수는 ‘15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3-25 ❙ 전라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3,501 4,007 3,993 4,121 3,995 4,343
특허등록 건수 1,777 1,338 1,468 1,860 1,995 2,13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 전북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3,379(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3.34%
표 3-13-26 ❙ 전라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029 3.28 22,558 7.45 1,463 2.89 10,019 6.85
2018 3,255 3.41 15,842 4.87 1,582 3.05 7,353 4.65
2019 3,379 3.34 6,188 1.83 1,637 3.02 2,737 1.67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0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융합과 혁신이 공존하는 스마트 전북 실현
■ 목표
- 4차 산업혁명 연계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성장동력 창출 가속화
- 과학기술 고급 연구인력 양성 및 신규 일자리 창출 지원 확대
- 전북 과학기술 혁신체계 구축 및 R&D 역량 강화
▣ 중점과제 및 전략
■ 기본방향 : 지역산업 구조고도화를 통한 성장동력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산업육성
선도 기반 조성
■ 세부방향 1: 신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인프라 확충
-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역산업의 다각화, 다양성 확충 등 고부가가치화와 구조고도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연구인프라 확충
※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기반구축, 수상형 태양광 종합평가
센터 구축 등
- 홀로그램, 탄소융복합 소재, 바이오, 그린에너지 등 신산업 기반조성을 위한 인프라 및 지원체계 구축
등 혁신산업 생태계 구축
※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화 실증기반 구축, 탄소산업 클러스터 조성, 바이오 융합소재 상용화, 새만금 상용차
자율 주행 테트스베드 구축 등
■ 세부방향 2: 산․학․연 혁신주체 네트워크 기반의 융복합 연구개발 활성화
- 산학연 연구역량 결집을 통해 산업수요에 기반한 스마트・융복합 연구개발 활성화 촉진으로 부가가치
제고 및 산업구조 고도화 추진
※ 기관-기업, 기관-기관 간 연계협력형 R&D, 조선기자재기업 신재생에너지 업종전환 지원, 스마트 건설기계
융복합 부품 평가기술 기반 구축 등
- 도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한 기술/산업간 융복합화 지원 확대
※ 탄소 융복합 소재부품 성형, 탄소복합재-수소 융복합 드론 상용화, 중대형 상용차 부품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
- 지역 내 기업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민간R&D 투자유도 및 전북 맞춤형 R&D지원 프로그램 개발/확대
REGIONAL S&T YEARBOOK 2020 403
- 지역 내 연구소 기업 및 우수기술집약형 기업R&D강화를 위한 이종 산업간 연구R&D 융복합 지원체계
확대
- 기업의 성장혁신구조 고도화 유도를 위한 단계적인 R&D 지원체계 구축
※ 기업 성장 유형 : 단순생산형→기술반응형→기술추격형→기술선도형
■ 세부방향 3: 과학기술 고급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연구인력 다양성 확보
⦁ 4차 산업혁명 분야에 적합한 인력양성사업 개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무역량 중점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
※ 복합문제해결 능력, 사회적 능력, 인지 역량, 콘텐츠 능력 등
※ ICBMS(Iot, Cloud, Big data, Mobile, Security) 교육 확대
⦁ 과학기술인력 교육 주기별 핵심 교육 개발
⦁ 교육 주기별 연계형 교육 개발 : 지역 정착유도 과학기술 진로 교육
※ 교육주기 : ① 초・중・고 ② 대학・대학원 ③ 창업・취업
⦁ 교육 및 인력양성 사업 개발 플랫폼 구축
⦁ 인력양성 협의체 중심 상시적 인력양성 사업 개발 체계 구축
※ 인력 양성 이슈 발굴, 중장기 인력양성 계획 수립, 시대・상황 가변형 교육 제안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전략
■ 전북 R&D 투자 확대
- 지역 과학기술진흥 분야 투자 확대
⦁ 전북도 자체 과학기술 예산의 단계적 확대
⦁ 4차 산업혁명 분야와 지역특화산업을 육성을 위한 예산투자 확대
- 전북 R&D 예산・배분・조정 체계 정비를 통한 투자효율성 점검
⦁ R&D 예산의 투자-성과 관리 선순환 구조화(P-D-C-F 체계확립)
⦁ R&D 사업의 성과분석・평가 및 피드백 체계 정착
■ 전북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구축
- 전북형 거버넌스 중심의 R&D 체제 개편
⦁ 전북 혁신기관들의 체계적 거버넌스구축 및 지역내 R&D의 효율성 확보
⦁ 전북과학기술위원회 위상 제고 및 운영 활성화
40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전북 R&D 기획의 전주기 체계 확립
⦁ 지역 맞춤형 R&D 기획 체계 고도화(상향식-하향식 R&D 과제 발굴・기획)
⦁ R&D 기획의 전주기적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새만금 글로벌화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기반구축
⦁ 새만금 중심의 과학기술 기반구축 투자(새만금 지능형 농생명 실증단지 구축 등을 통한 농생명 4차
산업혁명 촉진)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IoT, Cloud, Bigdata, Mobile, Security)*을 활용 신산업 선점(드론, 3D, 공
간정보 및 바이오 등)
- 전북 특화산업 고도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R&D 집중 지원
⦁특화산업 연계 고부가가치 신산업 R&D 투자
※ (중점분야) 미래자동차 산업, 에너지신산업, 농생명 소재・식품・바이오, 지능형기계부품, 탄소・복합소재, 해양
설비기자재 등
⦁ 전북 제조업 기반기술 경쟁력 강화(스마트 팩토리 구축확대 등)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거버넌스 구축
- 추진체계 : 과학기술위원회 위상강화를 통한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체계 강화
- 전담조직 : R&D 총괄 관리체계 마련을 통한 과학기술 전담기관(부서) 구성・운영
- 네트워크 : 지역 내 연구기관(정출연 및 혁신기관 등) 연계 R&D 산학연 상호협력체계 구축 및 네트워
킹 강화
■ 인프라확대
- 생태계 기반 : 4차산업혁명 및 혁신성장 기반 촉진을 위한 공공인프라 조성
- 하드웨어 : 장비공동 활용・정보공유 확대
- 인재육성 : 총괄기구 설치・종합계획 수립(과학기술 전문인력 확보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0 405
■ 프로세스내실화
- R&D 기획 : 전북도 R&D사업 총괄관리 컨트롤타워 기능 확립
- R&D 관리 : 예산분류확립・중장기 투자계획 수립
- 도비 R&D관리 : 예산확대・성과관리 강화, 과학기술지표 분류 및 정례화 확대
■ 기술사업화 확대 및 시장 선순환 구조화
-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특화 펀드 확대
⦁ 전북 전략산업과 미래 성장산업 등 특화 분야의 기술성장을 위한 투자금 형성
- 기술사업화 전주기 통합지원 시스템 구축
⦁ 공공기술사업화 거점, 전북테크비즈센터 건립・운영
- 전북지역 혁신주체 간 기술협력네트워크 강화
⦁ 공공연구기관 기술협력협의체 운영(술이전전담기관(TLO)별, 특화기술분야별 기술협력협의체
구성)
40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제14절 전라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전남의 인구는 약 177만 명으로 작년대비 감소
- 전국인구대비 전남 인구의 비중은 3.43%로 소폭 감소함
표 3-14-1 ❙ 전라남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1,756,831 1,796,017 1,795,956 1,790,233 1,772,926
전국대비 비율(%) 3.47 3.50 3.49 3.47 3.43
경제활동참가율(%) 63.1 63.4 64.1 64.1 65.7
실업률(%) 2.5 3.0 3.2 1.6 1.3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REGIONAL S&T YEARBOOK 2020 407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전남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7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2.03%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30.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2.44%),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8.06%)이 그 뒤를 이음
- 전남의 산업구조는 5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을 제외하고
미약하게나마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표 3-14-2 ❙ 전라남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68,878,376 70,449,724 71,340,179 72,888,289 74,638,452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4,938,393 4,897,521 5,021,304 5,224,826 5,319,159
(지역내비중,%) (7.17) (6.95) (7.04) (7.17) (7.13)
제조업 21,801,529 22,325,932 22,658,078 22,796,915 22,638,198
(지역내비중,%) (31.65) (31.69) (31.76) (31.28) (30.33)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944,529 2,881,902 3,105,237 2,899,883 2,882,043
(지역내비중,%) (4.27) (4.09) (4.35) (3.98) (3.86)
건설업 4,334,986 4,251,351 4,091,976 4,277,662 5,102,934
(지역내비중,%) (6.29) (6.03) (5.74) (5.87) (6.84)
기타서비스업 14,908,689 15,331,449 15,517,615 16,059,856 16,751,145
(지역내비중,%) (21.64) (21.76) (21.75) (22.03) (22.44)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1,685,889 12,008,915 12,381,181 12,864,032 13,481,997
(지역내비중,%) (16.97) (17.05) (17.36) (17.65) (18.06)
순생산물세 8,264,361 8,752,654 8,560,327 8,700,732 8,335,737
(지역내비중,%) (12.00) (12.42) (12.00) (11.94) (11.17)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40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전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08조 6,350억 원이고, 1,797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9만
3,173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이 약 36조 9,352억 원(전체의 34.00%)
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438개(전체의 24.3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2만 3,568명(전체의 25.29%)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4-3 ❙ 전라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3,556,391 3.27 438 24.37 11,281 12.11
음료 제조업 158,590 0.15 12 0.67 396 0.4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3,704 0.10 25 1.39 590 0.63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35,565 0.03 5 0.28 241 0.26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 1 0.06 -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05,757 0.10 25 1.39 442 0.47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270,252 0.25 28 1.56 784 0.84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3 0.17 -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2,395,913 29.82 11 0.61 2,343 2.51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6,935,215 34.00 130 7.23 15,742 16.9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91,060 0.18 3 0.17 415 0.4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469,839 2.27 109 6.07 4,808 5.1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227,145 2.05 185 10.29 4,993 5.36
1차 금속 제조업 20,654,747 19.01 101 5.62 11,592 12.44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756,686 1.62 193 10.74 6,019 6.46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94,108 0.09 9 0.50 480 0.52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74,179 0.16 27 1.50 633 0.68
전기장비 제조업 804,600 0.74 69 3.84 2,306 2.47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763,180 0.70 106 5.90 2,982 3.2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63,550 0.15 22 1.22 604 0.65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5,369,363 4.94 231 12.85 23,568 25.29
가구 제조업 52,953 0.05 9 0.50 234 0.25
기타 제품 제조업 33,706 0.03 12 0.67 213 0.23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304,561 0.28 43 2.39 2,450 2.63
합 계 108,635,050 100.00 1,797 100.00 93,173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409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및 ‘1차 금속 제조업’의 특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
표 3-14-4 ❙ 전라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1차 금속 제조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비교적
높음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낮음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주1 : 2019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41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전라남도는 ‘에너지 분야’, ‘농수산식품 분야’와 ‘생물의약/바이오 분야’, ‘전기자동차’로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4-5 ❙ 전라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에너지 분야
지능형 저압직류 기술개발
조류발전 실해역 시험장 구축
EV-ESS 사용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추진
에너지신산업 SW융합클러스터 조성
초대형 풍력 실증기반구축사업
농수산식품 분야
전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곤충 잠업 실용화 기술개발
원예작물 경쟁력 향상기술개발
연구기반조성사업
친환경안정축산물 생산연구 및 기술개발
생물의약/바이오 분야
면역세포치료 산업화 기술 플랫폼 구축사업
천연물원재료 GAP/GMP 연계처리시스템 구축사업
국제규격 천연물의약품원료 대량생산시설 기반구축사업
백신글로벌산업화 기반구축
바이오 헬스케어소재 산업육성
전기자동차
e-모빌리티 규제자유 특구지원사업
초소형 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지원 실증사업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전기자동차 개방형 공용플랫폼 개발사업
미래형 전기차 핵심부품 기술개발사업
미래 이동수단 사용자 경험랩 증진 기반구축
※ 출처 : 전라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0 411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9개, 일반산업단지 33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68개가 있음
- 총 111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3,200개, 총 종사자 수는 86,321명
표 3-14-6 ❙ 전라남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삼일자원비축 4,157 4,088 2 2 X 100 완료
여수 51,229 32,550 294 262 24,925 100 조성중
대불국가산업단지 20,886 11,591 369 331 7,280 96 완료
대불(산업) 17,434 9,184 308 277 4,813 95 완료
대불(외국인) 1,614 1,183 27 26 1,323 99 완료
대불(자유무역) 1,838 1,224 34 28 1,144 98 완료
빛그린 2,224 1,355 - - - - 조성중
빛그린(전라남도 구역) 2,224 1,355 - - - - 조성중
광양국가 96,405 27,600 178 156 11,666 100 조성중
일반
신금 397 394 33 28 263 69 완료
황금 1,116 1,116 - - - 20 조성중
광양익신 474 473 31 24 429 72 완료
나주 549 549 42 37 745 99 완료
문평 323 323 7 7 565 100 완료
세라믹 116 116 10 8 114 22 완료
삽진 218 212 48 42 400 100 완료
대양 1,552 1,552 81 56 893 46 완료
순천[재생사업지구] 583 582 36 36 1,197 100 완료
해룡 1,592 1,592 36 36 504 59 조성중
율촌제1 9,108 9,102 144 119 5,801 80 조성중
율촌제1 8,764 8,764 123 107 5,578 80 조성중
율촌(자유무역) 344 338 21 12 223 70 완료
여수오천 222 222 51 34 516 100 완료
율촌제2 3,793 3,793 - - - - 미개발
율촌제3 9,762 9,762 - - - - 미개발
41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삼호 2,971 2,926 1 1 X 100 완료
장성나노기술 901 901 124 123 1,344 100 완료
군내 686 686 1 - - 100 조성중
세풍(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
2,426 2,433 - - - 27 조성중
대마전기자동차(구 대마) 1,652 1,652 30 24 542 45 완료
장흥바이오식품(구 해당) 2,892 2,892 36 12 320 43 조성중
화원조선(구 화원) 2,058 2,053 - - - 100 조성중
화순생물의약(구 화순) 755 754 12 10 475 83 완료
용당 351 351 - - - - 미개발
동함평 739 739 66 28 322 88 완료
에코하이테크담양(구
담양)
581 580 73 53 396 49 완료
묘도녹색 368 368 - - - - 조성중
나주신도 298 297 7 7 105 88 완료
운남 85 85 - - - - 조성중
강진 655 646 32 5 89 61 완료
나주혁신(구 나주미래) 1,789 1,787 123 75 777 71 완료
무안항공특화 350 350 - - - - 미개발
도시첨단 순천 190 190 - - - - 미개발
농공
금천 103 103 1 1 X 100 완료
노안 125 125 26 26 319 100 완료
동수 209 209 51 51 355 100 완료
문평 69 69 5 5 30 100 완료
봉황 100 100 14 14 119 100 완료
오량 245 245 46 46 561 100 완료
산정 530 529 144 133 1,132 100 완료
주암 106 105 37 37 268 100 완료
화양 119 119 19 17 199 100 완료
마량 56 56 14 14 104 100 완료
풍양 55 50 9 7 31 100 완료
겸면 301 301 10 5 142 100 완료
석곡 126 126 13 8 133 100 완료
입면 522 522 1 1 X 100 완료
간전 102 101 15 15 103 100 완료
금성 233 233 27 26 610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413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무정 190 187 29 23 244 100 완료
삼향 220 220 42 38 249 100 완료
일로 164 164 24 21 300 100 완료
청계 314 314 46 41 593 100 완료
청계2 304 304 24 24 453 100 완료
미력 107 106 16 13 152 100 완료
벌교 145 145 12 12 184 100 완료
조성 146 146 22 20 42 100 완료
지도 272 272 1 1 X 100 완료
군서 118 118 23 18 105 100 완료
칠곡 149 149 1 1 X 100 완료
군서 128 127 14 14 175 100 완료
신북 132 132 15 14 184 100 완료
완도 323 323 78 73 447 100 완료
죽청 223 222 43 40 295 100 완료
동화 120 120 23 23 863 100 완료
동화전자종합 284 284 34 33 631 100 완료
삼계 88 88 15 14 118 100 완료
장평 103 102 21 14 88 100 완료
고군 101 101 23 19 119 100 완료
군내 260 260 4 - - 16 완료
학교 165 165 25 23 344 100 완료
함평 103 103 9 8 128 100 완료
옥천 103 103 29 23 179 100 완료
능주 109 109 33 33 276 100 완료
도곡 165 165 31 31 468 100 완료
동면 258 258 58 56 603 100 완료
이양 151 151 15 15 154 100 완료
남평 112 112 - - - - 미개발
장흥 150 150 2 2 X 6 완료
해보 245 245 36 29 218 100 완료
장평제2 47 47 1 1 X 100 완료
영광식품산업특화 109 109 - - - - 조성중
완도해양생물특화 181 108 17 2 X 67 완료
41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땅끝해남식품특화 143 142 18 9 34 100 완료
청정식품(구 동강) 145 145 20 17 220 100 완료
자연드림파크(구 용방) 144 144 16 15 492 100 완료
영암특화 116 116 14 8 106 95 완료
송림그린테크 (구 송림) 144 144 27 27 232 100 완료
동면제2 147 146 20 15 108 92 완료
에코-하이테크 329 327 36 35 522 100 완료
학교명암축산특화 144 143 - - - - 조성중
화원조선 153 153 1 1 X 100 완료
화순식품 136 136 2 2 X 100 완료
화양한옥 34 34 - - - - 조성중
대서 150 150 - - - - 미개발
동강특화 299 296 - - - - 조성중
해룡선월지구 144 144 - - - 100 조성중
자연드림파크2단지 49 49 3 1 X 100 완료
운곡특화 183 183 - - - - 미개발
칠량 149 149 24 19 140 100 완료
몽탄특화 89 89 - - - - 조성중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415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전남에는 총 870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식료품 제조업’이 110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93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4-7 ❙ 전라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8
광업(05~08) 1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110
음료 제조업 6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1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7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46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
1차 금속 제조업 10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5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0
전기장비 제조업 9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9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2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8
가구 제조업 1
기타 제품 제조업 11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41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2
건설업(41~42) 38
도매 및 소매업(45~47) 12
운수 및 창고업(49~52) -
숙박 및 음식점업(55~56) 1
정보통신업(58~63) 61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54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4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1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870
REGIONAL S&T YEARBOOK 2020 41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5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8,627명(전국의 1.25%)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6.01%로 증가 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3,597명(전국의 1.87%)으로 가장 많았고, 기업이
3,503명(전국의 0.80%), 공공연구소는 1,527명(전국의 2.62%)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4-8 ❙ 전라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236 1.73 2,938 1.59 2,952 1.59 2,671 1.44 3,597 1.87
∙ 국공립 2,784 3.58 2,436 3.08 2,442 3.18 2,228 2.92 3,077 3.87
∙ 사립 452 0.41 502 0.47 510 0.47 443 0.41 520 0.46
공공연구소 864 1.67 1,111 2.05 1,220 2.88 1,360 2.44 1,527 2.62
∙ 국공립 459 4.06 417 3.87 514 4.92 604 5.64 661 5.40
∙ 정부출연 350 1.12 633 1.91 344 1.08 343 1.07 363 1.11
∙ 병원 및 기타 55 0.59 61 0.60 362 2.83 413 3.15 503 3.70
기업 3,261 0.89 3,020 0.79 2,809 0.73 3,155 0.77 3,503 0.80
∙ 정부투자기관 93 2.54 92 2.58 101 2.65 95 2.42 141 3.61
∙ 민간기업 3,168 0.87 2,928 0.78 2,708 0.71 3,060 0.76 3,362 0.77
합 계 7,361 1.22 7,069 1.14 6,981 1.14 7,186 1.11 8,627 1.2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1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8년 전라남도 인구 만 명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3.5명 증가한 28.5명으로 조사됨
표 3-14-9 ❙ 전라남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당 연구원 수 추이(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4.8 24.1 23.4 25.0 28.5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전라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6,607억 원(전국의 0.77%) 17개 광역시・도 중 14위
- 연구개발비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3.07%로 감소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322억 원(전국의 1.88%), 공공연구소는
약 1,592억 원(전국의 1.62%), 기업이 약 3,692억 원(전국의 0.54%)
표 3-14-10 ❙ 전라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27,204 2.21 124,439 2.07 125,411 3.14 127,134 1.90 132,267 1.88
∙ 국공립 112,983 4.29 108,689 4.00 112,311 5.37 110,988 3.75 118,357 3.83
∙ 사립 14,221 0.45 15,750 0.48 13,100 1.29 16,146 0.43 13,910 0.35
공공연구소 92,190 1.14 172,436 1.95 135,952 3.18 142,171 1.49 159,245 1.62
∙ 국공립 35,856 4.76 28,220 3.63 36,241 22.11 35,050 4.39 33,931 4.17
∙ 정부출연 36,332 0.57 112,234 1.61 58,709 1.19 52,626 0.71 59,149 0.78
∙ 병원 및 기타 20,003 2.07 31,982 2.96 41,002 3.24 54,494 4.10 66,165 4.47
기업 529,153 1.06 277,072 0.54 258,484 0.76 279,817 0.45 369,254 0.54
∙ 정부투자기관 11,334 1.78 15,047 2.38 17,653 1.30 24,471 2.75 30,814 3.39
∙ 민간기업 517,819 1.05 262,025 0.52 240,831 0.75 255,346 0.41 338,440 0.50
합 계 748,547 1.17 573,946 0.87 519,846 0.76 549,121 0.70 660,766 0.7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19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전라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3,199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1.6%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57%
표 3-14-11 ❙ 전라남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3,005 3,057 2,736 2,724 3,199
(1.7) (1.7) (1.4) (1.4) (1.6)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자치분권을 위한 지역주도형 R&D 기반구축
- 지역주도의 R&D를 추진할 수 있도록 투자-기획-평가 등 과학기술관리 일원화를 위한 전라남도 조직
개편(’18. 하반기)
■ R&D 기획・관리체계 정비를 통한 과학기술혁신체계 구축
- 지역주도의 R&D를 추진할 수 있도록 투자-기획-평가 등 과학기술관리 일원화를 위한 전라남도 조직
개편 (연구개발팀 신설, ‘19. 상반기)
- R&D전담기관 지정(전남과학기술진흥조례, 전남테크노파크) 및 운영을 통해 전남 R&D활성화 촉진
(R&D전담기관 운영사업, 2.2억원)
- 연구개발 자원관리 및 확산기반 마련과 데이터기반 조사・분석 체계를 확립하여 지역 주도의 R&D
생태계 조성 및 지원(연구개발 지원단 지원사업 3.8억원)
- 전남과학기술정보시스템(JNTIS)을 통해 도내 과학기술 및 R&D, 연구장비 등 관련 과학기술 통합정보의 체계
적 관리와 효율적 활용지원 실시(전남 과학기술 정보시스템 운영사업 0.8억원)
- 지역의 중요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R&D과제 발굴・기획・실행을 통한 지역주도 R&D역량제고 달성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연구개발 지원사업, 21.5억원)
42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R&D 거점기관 경쟁력 제고를 통한 지역 혁신 역할 강화
- 지역산업 발전에 필요한 우수인재 양성 및 기업의 애로기술해소 등 지역대학과 산업간 공생발전을 위한
선도대학 육성(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72.5억원)
- 대학 및 기업의 공간적 통합으로 기업의 현장 수요에 기초한 인력양성, 연구개발을 통한 맞춤형 일자
리 창출(나주 에너지밸리 산학융합지구 조성, 51억원)
- 생산・교육・연구기능이 집약된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해 시설 원예 농업 첨단화 및 부가가치
창출(전남 스마트팜 핵신밸리 조성사업, 100억원)
-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첨단 고무소재 기술개발 지원(고성능 첨단고무소재 상용화 기반
구축, 36억원)
- CO2 저감 친환경 등 신기술 적용 전력기기에 대한 신속한 상용화 및 해외시장진출을 위한 시험
설비 인프라 기반구축(고효율 전력설비 신뢰성 평가기반 구축, 88.7억원)
- 기초화학 소재산업의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화학소재 산업으로 고도화 및 제품차별화를 통해 석유
화학산업 경쟁력 확보 지원(기능성 화학소재 클러스터 구축, 125.6억원)
- 국가백신산업 육성 및 글로벌 산업화 촉진을 위한 국제수준 백신 임상용 및 상업용 완제품 백신
생산인프라 구축(백신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사업, 26억원)
- 고부가가치 수리사업의 역외 유출을 방지하여 지역사업 육성 지원(선박수리지원시스템 구축, 64억원)
- 에너지신산업분야 SW융합 및 기업성장지원 등을 통한 지역 ICT/SW산업 활성화 지원(에너지신산
업 SW융합클러스터 조성, 55억원)
- 천연물 의약품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선진국형 고품질 의약품원료 생산시설의 구축지원(국제규
격 천연물 의약품 원료 대량생산시설 구축, 65억원)
■ 지역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전남지역 연구개발 활성화 유도 및 지역과학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기업 수요맞춤형 연구개발사
업 추진(지역 수요맞춤형 연구개발사업, 40억원)
- 제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의 품질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업 연구개발지원(뿌리산업 선도기업
육성사업, 27억원)
-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따른 e-모빌리티산업 각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개발과 실증을 통한 관련산업
육성 토대 마련(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지원사업, 81억원)
- 해외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제품개발 및 국산화에 필요한 성능시험인증 기반과 체계적 기업지
원시스템 구축(레저선박 부품・기자재 고급화 기술 기반구축, 52억원)
- 미래형 전기차 핵심기술 확보 및 상용화를 통한 산업위기지역의 미래차 업종전환 및 신규 청년일자
리 창출(미래형 전기차 핵심부품 기술개발사업, 92.2억원)
REGIONAL S&T YEARBOOK 2020 421
- 초소형 전기차 인프라 구축을 통해 관련 산업 기업유치 및 전후방산업 육성 토대 마련(중소・중견기
업 지원을 위한 전기자동차 개방형 공용플랫폼 개발사업, 116억원・초소형전기차 산업육성 서비스지원
실증사업, 87억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경제에너지국 신성장산업과에서 담당
그림 3-14-1 전라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42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4-12 ❙ 전라남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3,752 - 19,167 396 605 42 3,473 - 69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14-13 ❙ 전라남도 경제에너지국 신성장산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산업정책업무 총괄
∙ 신산업(미래산업) 발굴
∙ 전남테크노파크 운영 관리
∙ 지역특화사업 운영 지원
∙ 4차 산업혁명위원회 구성 및 운영
∙ 레이저센터 운영 지원
∙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
∙ 한국한의학연구 전남센터 건립
∙ 지방과학 연구단지 조성
∙ 연구개발특구 육성
∙ 전남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 지방과학관 육성 및 지원
∙ 생물의약산업벨트 구축
∙ 생물의약연구센터 운영 지원
∙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 사업 운영 지원
∙ 생물산업진흥원 운영 지원
∙ 청색기술 산업화 및 화순국제백신포럼
∙ 신소재우주항공 업무 전반
∙ 신소재 산업 발굴
∙ 무인기 산업 육성
∙ 국가 비행종합성능시험장 구축
∙ 무인기(드론) 특화 지식산업센터 구축
∙ 우주항공첨단소재센터 운영 지원
∙ 해양 융복합소재 산업화 사업 추진
∙ 팀 소관 4차산업 신규사업 발굴
∙ 전기자동차 충전기 관련산업 육성
∙ 전기자동차 서비스산업 육성
∙ 자율주행 자동차산업 육성
∙ 전기자동차 스마트시티
∙ 지식산업센터 건립
∙ e-모빌리티기업 역량 강화
∙ 지방과학기술 진흥사업 종합기획 조정
∙ 지방과학 연구단지의 조성 및 육성지원 사업
∙ 과학기술 정보교류・홍보 및 학술활동 지원
∙ 과학기술 문화사업의 진흥
∙ 과학기술인 육성 지원
∙ 과학기술 대상 운영
∙ 과학기술 진흥 조례 운영
∙ 지방과학관 육성 및 지원
∙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 유치 및 지원
∙ 연구개발 특구 육성 지원
∙ 생활과학 교실, 과학문화 도시 운영 지원
∙ 과학축전 행사 운영 지원
∙ 전문경력 인사 초빙 활용사업
∙ 과학영재 육성・지원
∙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산업 융・복합화 계획의 수립 추진
∙ IT, BT, NT 등의 융・복합화를 통한 제품의 수요 기반
조성
∙ 융합산업기술 개발과 활용을 통한 신산업의 창출 지원
∙ 산업 융・복합화에 관한 각종 협력사업의 추진
∙ 정보화산업 육성 및 정보기술 개발지원
∙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사업 지원
∙ 융복합산업 광역경제권 연계 협력사업 발굴 추진
∙ LED 산업 육성
∙ 이차전지 산업육성, EV・ESS 사용후 배터리 산업화 추진
∙ 사물인터넷 클러스터 조성
∙ 로봇산업 육성
∙ 신산업 동향파악 및 신산업 발굴 육성
∙ 지방기술혁신사업(지자체 주도 연구개발사업,
지역수요맞춤형 연구개발)
∙ R&D 전략 및 계획수립 등 연구개발 종합기획 조정
∙ 연구개발사업 평가 및 성과분석
※ 출처 : 전라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423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 원 장 : 전라남도 정무부지사(당연직)
- 위원임기 : 위촉직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연임가능. 다만, 위원이 궐위된 경우 새로 선임된
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 기간으로 하며, 당연직 위원의 임기는 해당 위원이 그 직위에 재임하는
기간으로 한다.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안건상정 1건)
- 회의 개최 일시 : 2019. 12. 22 (화) 10:30 ~ 12:30(예정)
- 회의 개최 장소 : 전남테크노파크 조선산업지원센터 2층 중회의실
- 회의 안건 :
∙ 제1호 안건 : 전남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심의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명단 및 원 소속기관
표 3-14-14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 명단 (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윤병태 정무부지사 당연직
위 원 고광완 기획조정실장 당연직
위 원 안상현 경제에너지국장 당연직
위 원 김기태 전라남도의회 도의원 2018.12.03.~2021.12.02.
위 원 오병기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 2018.12.03.~2021.12.02.
위 원 박종환 목포대학교 교수 2018.12.03.~2021.12.02.
위 원 박종철 순천대학교 교수 2018.12.03.~2021.12.02.
위 원 신말식 전남대학교 교수 2018.12.03.~2021.12.02.
위 원 이인화 조선대학교 교수 2018.12.03.~2021.12.02.
위 원 한순희 전남대학교(여수캠퍼스) 교수 2018.12.03.~2021.12.02.
위 원 김치연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2018.12.03.~2021.12.02.
위 원 안진희 광주과학기술원 과학기술응용연구단장 2018.12.03.~2021.12.02.
위 원 이명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2018.12.03.~2021.12.02.
위 원 백종협 한국광기술원 미래전략본부장 2018.12.03.~2021.12.02.
위 원 이종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지역본부장 2018.12.03.~2021.12.02.
간 사 김종갑 전라남도 신성장산업과장 2018.12.03.~2021.12.02.
※ 출처 : 전라남도 내부자료
42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전라남도의 총예산은 약 28조 7,747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예산은 약 1,140억 원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전라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8.40%
표 3-14-15 ❙ 전라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287,747
재정자주도(%) 74.07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2,96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140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40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8.40
※ 주1 : 총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결산, 총계 기준(본청)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계획) : 과학기술관련 국비+지방비+기타 투자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25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전라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090억 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에 가장 많은 약 566억 원과 354억 원이 투입
표 3-14-16 ❙ 전라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R&D지원사업
친환경 사료첨가소재 개발・보급을 통한
축산농가 악취문제 해결
1,637 719 - 2,356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해양바이오연구센터 운영 지원
전남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
180 1,380 - 1,56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지원
734 265 873 1,872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전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
e-모빌리티 엑스포 개최 지원
19,890 26,688 1,671 48,24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중소•중견기업지원을위한전기자동차개방
형공용플랫폼 개발사업
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지원사업
35,419 16,368 4,819 56,606
지역 산・학・연공동연구 활성화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미래 이동수단 사용자 경험랩 증진
기반구축
10,391 3,736 588 14,715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기능성 화학소재 클러스터 구축
미래형 전기차 핵심부품 기술개발사업
28,049 29,403 5,025 62,477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백신글로벌산업화 기반구축사업 유치
수출형기계부품가공기반구축
56,675 35,408 16,968 109,050
합계 152,975 113,967 29,944 296,88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2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전라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768개로 전국의 1.56%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3.86% 증가
- 5년간 대학 2개 감소, 공공연구소 9개 증가, 기업 304개 증가
표 3-14-17 ❙ 전라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7 4.14 17 4.13 16 3.83 17 4.15 15 4.11
∙ 국공립 6 7.41 6 6.82 6 6.67 6 6.74 6 7.59
∙ 사립 11 3.33 11 3.40 10 3.05 11 3.43 9 3.15
공공연구소 21 4.07 24 4.48 27 4.86 26 4.57 30 7.48
∙ 국공립 12 8.96 12 9.52 10 8.47 9 7.09 9 12.50
∙ 정부출연 5 2.86 8 4.06 5 3.09 4 2.50 5 6.58
∙ 병원 및 기타 4 1.93 4 1.88 12 4.36 13 4.63 16 6.32
기업 419 1.35 532 1.46 517 1.35 626 1.47 723 1.49
∙ 정부투자기관 2 4.44 3 6.67 3 6.98 3 6.12 3 7.14
∙ 민간기업 417 1.34 529 1.45 514 1.34 623 1.47 720 1.48
합 계 457 1.43 573 1.53 560 1.43 669 1.54 768 1.56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27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전라남도 소재 대학 수는 19개
- 일반대학 10개, 전문대학 9개 존재
표 3-14-18 ❙ 전라남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7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8 9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3 1 15 19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전라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5만 5,40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4,981명(전체의 약 9.0%), 공학계열 학생이 1만 4,982명(전체의
약 27.0%)
표 3-14-19 ❙ 전라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4,981 14,982 19,963 11,965 4,898 3,274 3,049 12,255 55,404
비중(%) 9.0 27.0 36.0 21.6 8.8 5.9 5.5 22.1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2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
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전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020년 기준 목포대 1개, 전남대 1개, 순천대 2개 총 4개 센터가 각각
운영 중
표 3-14-20 ❙ 전라남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목포대 IT기반 서남권 중형조선산업 지역혁신센터
전남대 중화학설비 안전진단기술 지역혁신센터
순천대 차세대 소재 퓨전 그린테크놀로지 지역혁신센터
순천대 차세대 전략산업용 희유자원 실용화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429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전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3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4-21 ❙ 전라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광양보건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2-02-25
(재)전라남도 생물산업진흥재단 나노융합의료부품소재창업보육센터 2010-04-01
동신대학교 동신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6-10
목포대학교 목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11-05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창업보육센터 2018-06-01
목포해양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05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생물의약연구센터 바이오소재실용화창업보육센터(생물의약) 2011-06-13
(재)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생물방제연구센터 바이오융합 창업보육센터(생물방재) 2012-11-01
순천대학교 순천대창업보육센터 1999-12-15
전남대학교 여수사무소 전남대학교 여수창업보육센터 2005-12-08
전남도립대학교 전남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15-02-01
(재)전남환경산업진흥원 전남환경산업진흥원창업보육센터 2014-04-22
(재)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천연소재실용화 창업보육센터(천연자원) 2013-08-0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43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전남에는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4-22 ❙ 전라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전라남도과학교육원 전라남도 교육청 공립
고흥우주천문과학관 전라남도 고흥군 공립
곡성섬진강천문대 전라남도 곡성군 공립
함평자연생태과학관 전라남도 함평군 공립
순천만천문대 전라남도 순천시 공립
장흥 정남진천문과학관 전라남도 장흥군 공립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관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 공립
섬진강어류생태관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 공립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전라남도 목포시 공립
장흥 정남진물과학관 전라남도 장흥군 공립
한국토종민물고기과학관 전라남도 함평군 공립
무안생태갯벌센터 전라남도 무안군 공립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사립
국제환경천문대과학관 (재)국제청소년교육재단 사립
아쿠아플라넷 여수 ㈜한화호텔&리조트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기준, 전남의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는 155개로 집계됨
표 3-14-23 ❙ 전라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소,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33 246 288 900 293 155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0 431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전라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3,424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1,836건
- ’14년부터 특허출원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허등록 건수는 전년 대비 증가
표 3-14-24 ❙ 전라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2,533 2,660 2,700 2,902 3,223 3,424
특허등록 건수 1,445 1,079 1,201 1,616 1,605 1,83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전남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1,163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1.15%
표 3-14-25 ❙ 전라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1,040 1.13 7,397 7.11 436 0.86 2,431 5.58
2018 1,102 1.15 4,761 4.32 461 0.89 1,429 3.10
2019 1,163 1.15 1,783 1.53 481 0.89 527 1.10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3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천혜의 땅 전라남도, 과학기술로 역동적 삶의 터전 창출
■ 목표 : 4차 산업 혁명에 대비한 신산업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 삶의 질 향상
▣ 추진전략
■ 과학기술 혁신 체계 구축
- R&D 투자 확대
- R&D 기획・관리역량 체제 정비
■ 지역주도 사업기반 조성
-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혁신 촉진
-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 창출
-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4차 산업혁명 대비) 신성장・융복합 산업발굴을 위한 기술개발
▣ 추진조직 및 부서
■ 전라남도 과학기술 총괄 업무 : 경제에너지국 연구바이오산업과 담당
- 「전라남도 과학기술진흥 조례」제16조에 따른 전라남도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 총괄부서(’18. 12. 지정)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지역 주도형 R&D 혁신체계 고도화를 통한 과학기술 기반의 지역성장 선순환 체계
구축
■ 실행전략
- 지역주도 R&D 기획・실행・평가・관리 등 총괄 기능 강화
⦁전남도 연구바이오산업과 신설(’20. 7.), R&D 전담기관(TP) 기능 및 역할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0 433
- R&D 혁신주체 간 연계협력 강화을 통한 지역혁신성장 체계 구축
- 에너지, 석유화학, 농수산식품, 생물의약바이오, 소재부품, e-모빌리티 등 지역 대표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지역 성장 동력 마련
- R&D 거점 대학・연구기관 경쟁력 제고를 통한 지역 혁신 강화
- 지역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R&D지원 확대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지역 수요맞춤형 연구개발(40억원), 농공단지 R&D(10억원), 중소기업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 산・
학・연 연계 협력 사업 등 추진
- 블루이코노미 실현을 위한 R&D 사업(과제)집중 발굴 및 추진
⦁ Blue 에너지, Blue 투어, Blue 바이오, Blue 트랜스포트, Blue 농수산, Blue 시티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추진목표
-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
- 지역주도의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신성장산업 창출
■ 중점 정책 및 사업 방향
- 지자체 주도 R&D 분야 투자 확대
⦁전라남도 과학기술분야(R&D) 투자예산의 단계적 확대 추진(자율계정 등)
⦁지역주도 현안문제 해결 과제 등 발굴・기획 후 국비 역매칭 추진
⦁기초지자체와 연계한 R&D사업 기획을 통한 각 시・군 주도 확대
⦁중소기업 연구조직(연구소, 전담부서) 및 수요맞춤형 R&D지원 확대
- 지역주도 R&D 기획・실행・평가・관리 등 총괄기능 강화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장비 전담기관(전남테크노파크)의 역할 강화
⦁지역 R&D사업의 기획・관리・조사・분석 및 성과 환류체계 강화
⦁ 전남과학기술정보시스템(JNTIS)의 정보 수집・제공・유통체계 강화
- 연구인프라의 확충 및 R&D 혁신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 지역 강점 분야 R&D 및 4차 산업 연구개발 거점 단지 등 조성 중장기 추진
⦁ 열악한 지역 연구인프라 확충 위한 정부연구기관, 연구센터 등의 유치 추진
43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대학, 연구혁신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 체계 구축 및 연계사업의 효율성 제고
⦁ 중소기업 R&D 역량강화를 위한 혁신성장플랫폼 구축 및 운영
- 전남 대표산업의 스마트화를 통한 지역 성장동력 마련
⦁ ICT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석유화학 중심의 스마트산단을 구축하여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 제고
와 스마트제조시설의 기반 마련
⦁전기・수소・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개발을 통한 중소형 친환경선박 시장창출과 자율운행선박 추진
등 조선해양산업의 신기술 대응
- 전남 소재・부품산업 발전대책을 통한 전남 미래비전 추진
⦁ 공급안전 핵심 전략품목 개발 및 에너지 대응 소재・부품 개발과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여 Global
Leading 기업 창출
⦁ 기업 맞춤형 실증・양산 Test-bed 구축과 고기능성 소재부품 개발 및 글로벌 수요기업 매칭지원
으로 국내외 시장진입 전략 다각화
⦁ 소재・부품 연구인력 역량강화, 연구개발 대행 서비스 등으로 핵심 연구개발 인력난 해소
- 블루이코노미 실현을 위한 5대 분야 과학기술정책 지원
⦁ (블루 에너지) 한전공동 설립 추진, 빛가람 혁신도시 중심의 에너지 밸리 조성 및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등으로 에너지분야 혁신생태계 마련
⦁ (블루 바이오) 전남형 첨단의료복합단지 및 신소재의약의 글로벌생산거점 조성, 국립 심뇌혈관질
환 센터 건립 등으로 바이오산업 혁신에 기여
⦁ (블루 트랜스포트) 드론개발 및 시험평가, 인증 등 ONE-STOP 지원체계 구축과 e-모빌리티 전주
기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미래먹거리 산업 선점
⦁ (블루 시티) 산업활동과 정주환경 등 도시운영 전반에 5G,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이
결합된 혁신적인 스마트도시 조성
⦁ (블루 농수산)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아쿠아팜 4.0, 첨단농기계시범단지 등을 통한 농・수산분야
의 지속가능한 스마트 생태계 조성
- 우수 과학기술인력 육성・활용강화 및 지역 과학문화의 확산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과학기술 인재육성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우수 연구자 유치 및 정주여건 개선사업 점진적 도입
⦁과학기술 기반 지역문화, 산업, 과학관, 생활 속 과학 등의 체험활동 지원 확대로 지역민의 과학문화
인식 제고
REGIONAL S&T YEARBOOK 2020 435
제15절 경상북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경북의 인구는 약 266만 명으로 작년보다 감소
- 전국인구대비 경북 인구의 비중은 작년 대비 소폭 감소하여 5.15%로 나타남
표 3-15-1 ❙ 경상북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2,641,879 2,682,169 2,681,097 2,674,333 2,664,642
전국대비 비율(%) 5.22 5.23 5.21 5.18 5.15
경제활동참가율(%) 63.9 64.1 64.2 62.8 64.2
실업률(%) 3.1 3.2 2.8 3.7 3.4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43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북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105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46%의 증가율을 나타냄
- 제조업이 43.25%로 가장 높고, 기타서비스업이 22.46%,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15.43%로 그 뒤를
이음
표 3-15-2 ❙ 경상북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03,120,174 105,745,496 104,429,785 103,149,107 105,034,691
(지역내비중,%)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5,669,905 5,164,756 5,253,510 5,331,923 5,570,703
(지역내비중,%) (5.50) (4.88) (5.03) (5.17) (5.30)
제조업 47,125,916 48,333,913 46,021,132 44,826,227 45,428,301
(지역내비중,%) (45.70) (45.71) (44.07) (43.46) (43.2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2,856,358 2,939,710 3,250,034 3,326,614 3,653,498
(지역내비중,%) (2.77) (2.78) (3.11) (3.23) (3.48)
건설업 6,003,570 6,161,338 6,083,027 5,180,091 4,923,106
(지역내비중,%) (5.82) (5.83) (5.82) (5.02) (4.69)
기타서비스업 22,591,033 22,608,517 22,870,001 23,318,220 23,585,646
(지역내비중,%) (21.91) (21.38) (21.90) (22.61) (22.46)
정부/민간비영리생산 13,311,684 14,790,148 15,060,340 15,518,039 16,201,863
(지역내비중,%) (12.91) (13.99) (14.42) (15.04) (15.43)
순생산물세 5,561,708 5,747,114 5,851,514 5,670,015 5,811,765
(지역내비중,%) (5.39) (5.43) (5.60) (5.50) (5.53)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437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9년 경북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39조 6,657억 원이고, 5,139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23만
9,45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약 36조 2,566억 원(전체의
25.9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이 673개(전체의 13.1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3만 7,266명(전체의 15.56%)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5-3 ❙ 경상북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9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4,528,491 3.24 384 7.47 13,174 5.50
음료 제조업 281,935 0.20 23 0.45 983 0.41
담배 제조업 1,019,734 0.73 3 0.06 589 0.25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3,869,179 2.77 415 8.08 12,021 5.0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68,545 0.05 21 0.41 606 0.2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9,195 0.01 3 0.06 97 0.0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81,052 0.20 66 1.28 1,014 0.42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195,304 0.86 121 2.35 3,596 1.5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28,619 0.02 8 0.16 171 0.07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169,162 0.12 19 0.37 384 0.1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413,032 4.59 253 4.92 9,856 4.1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370,226 0.27 15 0.29 794 0.3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951,796 4.26 472 9.18 17,077 7.1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858,366 2.76 319 6.21 11,189 4.67
1차 금속 제조업 35,293,928 25.27 359 6.99 25,921 10.8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8,425,335 6.03 673 13.10 23,404 9.77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6,256,617 25.96 240 4.67 37,266 15.5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1,669,506 1.20 95 1.85 4,713 1.97
전기장비 제조업 8,440,303 6.04 237 4.61 18,406 7.6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6,070,752 4.35 638 12.41 17,793 7.4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088,448 10.09 599 11.66 32,892 13.74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58,962 0.26 59 1.15 1,621 0.68
가구 제조업 288,112 0.21 32 0.62 738 0.31
기타 제품 제조업 264,792 0.19 24 0.47 687 0.2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464,397 0.33 61 1.19 4,458 1.86
총 계 139,665,788 100.00 5,139 100.00 239,450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43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제조업 분야는
‘1차 금속 제조업’, ‘담배 제조업’,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으로 나타남
표 3-15-4 ❙ 경상북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9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1차 금속 제조업
∙ 담배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비교적
높음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전기장비 제조업
낮음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주1 : 2018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439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북도는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한 첨단 과학 인프라 구축’과 ‘IT융복합 첨단 신산업 창출 기반
확충 및 산학협력 연계 맞춤형 인력 양성’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있음
표 3-15-5 ❙ 경상북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을 위한 첨단 과학
인프라 구축
막스플랑크한국연구소 연구개발 지원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지원
IT융복합 첨단 신산업 창출 기반 확충 및
산학협력 연계 맞춤형 인력 양성
ICT명품인재 양성사업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 (LINC+) 육성사업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 출처 : 경상북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1개, 일반산업단지 76개 및 농공산업단지 69개가 있음
- 총 15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240개, 총 종사자 수는 181,488명
표 3-15-6 ❙ 경상북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월성전원 3,693 3,692 1 1 X 100 완료
구미국가(1단지)[재생사업지구]
10,089 10,089 2,451 2,025 78,892 100 완료
구미국가(2-4단지) 16,652 12,155 24 23 4,088 97 조성중
구미국가(2-3단지) 7,410 7,410 - - - 100 완료
구미국가(4단지) 6,766 4,236 24 23 4,088 92 완료
▷구미4(산업) 5,175 3,657 - - - 100 완료
▷구미4(구미외국인) 1,591 579 24 23 4,088 66 완료
구미(확장단지) 2,476 509 - - - 100 조성중
구미하이테크밸리 9,337 6,978 - - - 96 조성중
44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포항국가 37,868 37,868 104 84 11,680 100 조성중
포항블루밸리 6,080 5,483 11 - - 57 조성중
일반
경산1 1,577 1,577 194 172 8,056 100 완료
경산2 489 486 105 97 1,746 100 완료
강동 992 992 80 60 641 98 조성중
건천제1 147 147 7 7 342 100 완료
건천제2 990 990 21 21 1,125 100 완료
명계2 104 104 - - - 33 완료
문산 315 315 26 26 363 100 완료
석계 146 146 35 35 429 100 완료
석계2 122 122 14 14 250 100 완료
외동 142 142 22 22 795 100 완료
외동2 603 603 39 39 1,242 100 완료
천북 1,862 1,852 117 116 2,153 98 조성중
화산 150 149 14 14 611 100 완료
봉룡 410 410 - - - - 조성중
신기제2 440 440 16 7 188 53 완료
상주청리 1,295 1,221 5 3 107 98 완료
상주한방 766 766 5 4 19 97 완료
경북바이오 941 940 28 24 815 98 완료
신흥 112 112 - - - - 조성중
영일만2 720 720 8 8 1,146 100 완료
포항4 2,047 2,047 92 69 1,035 100 완료
개진 148 148 35 35 345 100 완료
성산 113 113 1 - - 100 조성중
성주 851 851 53 51 1,122 100 완료
월항 78 78 14 11 52 100 완료
두전 55 54 5 4 33 90 완료
영주 178 178 38 38 238 100 완료
고경 1,565 1,563 - - - - 조성중
왜관 2,540 2,540 371 360 8,724 100 완료
왜관(기존) 1,668 1,668 275 267 5,533 100 완료
왜관(추가) 872 872 96 93 3,191 100 완료
왜관3 747 744 39 33 1,186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441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가흥 211 210 3 3 250 100 완료
광명 728 728 9 6 262 79 조성중
영일만3 195 195 - - - 20 완료
영일만4 2,600 2,600 2 1 X 100 조성중
모화 377 377 43 43 832 100 완료
경산4 2,402 2,402 - - - - 미개발
갈산 149 149 4 3 52 32 완료
영일만 964 964 11 9 894 100 완료
영일만 699 699 7 7 561 100 완료
영일만(포항외국인) 265 265 4 2 X 100 완료
제내2 84 84 4 1 X 98 조성중
서동 266 266 - - - 100 조성중
구어2 829 829 44 32 843 99 완료
건천용명 116 116 6 6 140 100 조성중
연화 52 52 9 8 145 100 완료
천북2 104 104 1 1 X 13 조성중
녹동 140 140 16 13 207 100 조성중
석포 185 185 - - - - 미개발
성주2 959 959 27 20 596 100 조성중
건천3 149 149 - - - - 미개발
나아 116 116 - - - 51 조성중
제내5 137 137 - - - 100 조성중
그린 871 871 - - - - 미개발
문산2 850 850 35 6 454 100 조성중
검단 931 931 - - - - 미개발
석계4 121 117 4 - - 88 완료
양남 1,739 1,739 - - - - 미개발
열뫼 224 224 - - - 100 조성중
김천1 2,228 2,228 40 38 1,879 100 조성중
신기 126 126 1 1 X 83 완료
영천첨단부품소재(대구경북경제
자유구역)
1,461 1,459 73 64 3,047 99 완료
월성 672 672 - - - - 미개발
경북바이오2차 299 299 - - - - 미개발
44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건천4 629 629 - - - - 미개발
명계3 819 819 - - - - 미개발
김천1(3단계) 1,157 1,157 1 1 X - 미개발
대곡2 242 242 - - - - 미개발
경산3(구 진량2) 1,497 1,456 69 60 3,689 100 완료
경산1-1(구 진량3) 78 78 - - - - 조성중
고령1(구 다산) 636 636 67 63 1,597 100 완료
고령2(구 다산2) 766 704 83 77 1,773 100 완료
SK머티리얼즈(구
OCI머티리얼즈)
171 171 2 2 X 100 완료
동고령(구 박곡) 753 751 - - - - 조성중
송곡 272 271 - - - - 미개발
농공
건천 102 102 6 6 486 100 완료
내남 90 90 3 3 302 100 완료
서면 113 113 14 13 202 100 완료
안강 150 150 13 12 364 100 완료
외동 109 109 5 5 1,359 100 완료
고아 206 206 52 50 1,195 100 완료
산동 69 68 16 16 191 100 완료
해평 62 62 16 16 243 100 완료
감문 113 105 13 13 177 100 완료
대광 557 557 32 29 1,001 100 완료
아포 190 190 33 31 610 100 완료
지례 57 57 4 3 81 100 완료
가은 82 82 14 11 101 100 완료
가은제2 78 78 9 7 121 100 완료
마성 264 264 17 17 492 100 완료
산양 172 172 15 15 334 100 완료
영순 84 84 4 4 203 100 완료
영순제2 141 141 11 10 226 100 완료
공성 113 100 10 8 109 100 완료
외답 235 210 24 20 236 100 완료
함창 119 119 10 9 190 100 완료
함창제2 126 122 12 8 133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443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화동 94 78 7 5 64 100 완료
화서 105 92 5 3 46 100 완료
화서제2 140 139 2 1 X 35 완료
남선 67 66 11 10 38 100 완료
남후 288 288 38 33 273 100 완료
풍산 215 215 28 26 393 100 완료
문수 149 149 15 14 210 100 완료
반구전문 299 299 4 3 614 100 완료
봉현 110 110 25 25 383 100 완료
장수 224 224 38 38 364 100 완료
적서 308 308 1 1 X 100 완료
휴천 253 253 1 1 X 100 완료
고경 57 57 11 6 68 100 완료
도남 330 330 19 18 1,656 100 완료
본촌 152 152 14 12 768 100 완료
북안 157 157 12 9 203 100 완료
화산 118 118 19 17 111 100 완료
청하 195 195 20 18 294 100 완료
개진 139 139 32 29 337 100 완료
쌍림 255 255 46 40 510 100 완료
군위 301 301 36 33 663 100 완료
효령 113 113 16 14 198 100 완료
봉화 149 149 16 14 218 100 완료
봉화제2 135 135 16 16 88 100 완료
선남 73 73 10 8 141 100 완료
성주 146 146 12 11 280 100 완료
월항 258 258 27 26 633 100 완료
영덕 150 150 15 14 142 100 완료
예천 129 129 8 8 243 100 완료
울진 126 126 13 12 90 100 완료
다인 206 206 13 11 111 100 완료
봉양 200 194 21 19 248 100 완료
의성 165 165 19 16 184 100 완료
단밀 144 144 13 11 111 100.0 완료
44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 지 명
지정
면적
(천㎡)
관리
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청도 139 139 12 11 433 100 완료
풍각 252 252 27 27 416 100 완료
기산 176 176 21 18 224 100 완료
산양제2 134 134 11 8 66 47 완료
평해 150 149 15 11 93 60 완료
유곡 248 248 12 6 54 56 완료
영덕로하스특화 148 147 20 10 - 100 완료
영덕제2 326 324 2 2 X 9 완료
예천제2 257 257 15 15 127 64 완료
칠곡농기계특화 245 245 27 24 483 100 완료
남영양 30 30 4 1 X 79 완료
죽변해양바이오 149 149 6 3 10 23 완료
고아제2 263 263 - - - - 미개발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445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경북에는 총 1,683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12개로 가장 많았으며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은 181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136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5-7 ❙ 경상북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0
광업(05~08) 4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4
음료 제조업 10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5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5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21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1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11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1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45
1차 금속 제조업 4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8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16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6
전기장비 제조업 96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12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3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7
가구 제조업 11
기타 제품 제조업 29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44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0
건설업(41~42) 23
도매 및 소매업(45~47) 11
운수 및 창고업(49~52) 1
숙박 및 음식점업(55~56) 2
정보통신업(58~63) 93
금융 및 보험업(64~66) 1
부동산업(68)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68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2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1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1683
REGIONAL S&T YEARBOOK 2020 447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6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2만 5,774명(전국의 3.73%)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3.32%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4,862명(전국의 3.38%)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8,579명(전국의 4.46%), 공공연구소는 2,333명(전국의 4.00%) 차지
표 3-15-8 ❙ 경상북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9,419 5.03 8,794 4.75 9,066 4.88 9,700 5.22 8,579 4.46
∙ 국공립 1,538 1.98 1,605 2.03 1,656 2.16 1,844 2.41 703 0.88
∙ 사립 7,881 7.21 7,189 6.78 7,410 6.80 7,856 7.19 7,876 6.97
공공연구소 1,416 2.73 1,422 2.62 2,061 4.86 2,007 3.60 2,333 4.00
∙ 국공립 422 3.73 355 3.29 772 7.39 682 6.37 947 7.74
∙ 정부출연 359 1.15 468 1.41 253 0.79 234 0.73 242 0.74
∙ 병원 및 기타 635 6.85 599 5.87 1,036 8.10 1,091 8.33 1,144 8.43
기업 13,558 3.70 15,125 3.97 13,533 3.52 14,671 3.59 14,862 3.38
∙ 정부투자기관 5 0.14 477 13.35 544 14.27 563 14.33 617 15.80
∙ 민간기업 13,553 3.73 14,648 3.88 12,989 3.42 14,108 3.48 14,245 3.26
합 계 24,393 4.03 25,341 4.09 24,660 4.03 26,378 4.06 25,774 3.73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4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8년 경상북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5명 증가한 72.6명으로 조사됨
표 3-15-9 ❙ 경상북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65.6 68.1 66.6 72.1 72.6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경상북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3조 204억 원(전국의 3.52%)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4위에 해당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약 2.88%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3,115억 원(전국의 4.42%), 공공연구소는
약 3,189억 원(전국의 3.24%), 기업이 약 2조 3,899억 원(전국의 3.47%)
표 3-15-10 ❙ 경상북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18,924 5.53 329,651 5.50 313,747 4.95 332,923 4.98 311,501 4.42
∙ 국공립 36,924 1.40 39,072 1.44 38,558 1.34 39,406 1.33 20,244 0.66
∙ 사립 282,000 9.01 290,579 8.85 275,189 7.94 293,517 7.88 291,258 7.35
공공연구소 206,397 2.54 184,314 2.09 221,072 2.43 247,749 2.60 318,988 3.24
∙ 국공립 22,216 2.95 23,205 2.99 46,501 6.23 35,604 4.46 48,600 5.97
∙ 정부출연 56,707 0.89 61,717 0.89 58,255 0.82 68,128 0.92 88,829 1.18
∙ 병원 및 기타 127,474 13.19 99,392 9.21 116,316 9.49 144,017 10.84 181,559 12.26
기업 2,171,236 4.36 2,154,018 4.21 1,882,890 3.49 2,266,110 3.62 2,389,911 3.47
∙ 정부투자기관 372 0.06 61,571 9.73 52,427 6.51 46,343 5.21 38,967 4.29
∙ 민간기업 2,170,864 4.41 2,092,447 4.14 1,830,463 3.44 2,219,767 3.60 2,350,944 3.46
합 계 2,696,556 4.23 2,667,983 4.04 2,417,710 3.49 2,846,783 3.61 3,020,401 3.52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49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경상북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6,272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3.1%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73%
표 3-15-11 ❙ 경상북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 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7,006 6,165 6,451 6,299 6,272
(3.9) (3.4) (0.6) (3.2) (3.1)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지역 R&D 투자 확대
-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사업(314억원),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구축 지원(107억원), 세포막단백
질연구소 지원(15억원), 탄소산업클러스터 지원 기반조성(6억원) 등
■ 지역 R&D 기획 관리역량 체제 정비
- 연구개발지원단지원사업(6억원), 이차전지 신소재 특화 클러스터 조성 연구용역(2억원), SiC전
력반도체 상용화 핵심기반조성 연구용역(1.5억원), 스마트팩토리 제조혁신특구조성 연구용역(2억원),
『드론 비행시험장 및 연구기관 설립』기본계획수립 및 타당성조사 연구용역(0.8억원) 등
■ 지역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촉진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334억원), 이전공공기관연계 육성사업(19억원), 산
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51억원), 지역혁신센터(RIC) 지원사업(6억원) 등
■ 지역기반 경제 사회적 성과창출형 R&D 투자 강화
-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63억원), 수중건설로봇 실용화 사업(43억원), 백신 상용화 기술
지원기반시스템 구축사업(26억원), 재난현장 로봇 활용지원 사업(18억원), 중소기업 빅데이터 활용지원
사업(17억원), 탄소복합재 핵심기술 개발사업(15억원),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개발사업(15억원) 등
45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 우수인력 육성 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ICT 명품인재양성 사업(158억원), 지역 혁신인재 양성 프로젝트(90억원), SW중심대학 육성 지원
사업(57억원), SW창의인재 교육 지원사업(3억원), 백신산업육성 전문인력 양성(1.6억원), 경북과
학축전 개최(4억원), 생활과학교실 사업 지원(3억원) 등
■ 지역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창조경제 펀드지원(40억원),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7억원), 포스텍 바이오벤처펀드 조성지원
(2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451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과학산업국 과학기술정책과에서 담당
그림 3-15-1 경상북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45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5-12 ❙ 경상북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8,654 - 22,846 357 739 33 4,636 - 43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15-13 ❙ 경상북도 과학산업국 과학기술정책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차 산업혁명 전략・실행위원회 운영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개발사업
∙ 4차 산업혁명 신규사업 발굴 및 추진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5개년계획 및 실행계획
∙ 지역수요맞춤형 및 국민생활문제해결형 R&D 추진
∙ 미래전략아카데미, 미래유망과학기술, 일자리창출
∙ 인공지능거점센터운영 사업추진
∙ 중소벤처 성장촉진프로그램 운영
∙ 중소기업 미래아이템 발굴 사업
∙ 과학기술진흥 기획/관리
∙ NBA프로젝트(가속기 반 신약프로젝트)
∙ 가속기 기반 그린 신소재산업
∙ 과학기술 국내외 연구기관 유치
∙ 양성자가속기신산업, 막스플랑크, 아태이론물리센터,
대구경북중소벤처기업대축전 지원
∙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 과학관 육성 지원
∙ 로봇, 나노 등 지원
∙ 경북로봇산업 육성
∙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지원
∙ 나노산업, 타이타늄, 인쇄전자, 3D 프린팅, 전력반도체
산업교육
∙ 산학연협력 시행계획 수립
∙ R&D특구 지정 추진
∙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
∙ 지역대학 산학협력단 운영
∙ 차세대 그린백신상용화 실증지원사업, 건강산업
(K-health)기반 구축사업,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지
원
∙ 스마트공장 보급지원사업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지원사업, 경북 산학융합본부 운영 지원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연계 과제개발
∙ 재활산업기술 전문인력 양성 사업,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
사업, 대학ICT연구센터 육성 지원 사업,
ICT명품인재양성사업 지역 SW 산업 성장 지원
∙ 홀로그램 기술개발 사업
∙ CES 경북관 조성 및 운영
∙ 규제자유특구 지정 추진
∙ 경북 POST전자산업 발굴 및 육성
- 중소기업형 반도체 융합부품 클러스터 조성
- 미래형 자동차 전장부품(인휠시스템) 개발
- 지능형 홈케어가전 산업 육성
∙ 경북 빅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
- 중소기업 빅데이터 활용 지원
- 경북 과학・산업 빅데이터 분석
- 경북 클라우드 데이터 서비스 산업 육성
∙ 웨어러블 디바이스 부품소재 개발 및 육성
∙ 실감미디어산업 R&D기반구축 및 성과확산
∙ IPTV 기반 문화관광글로벌 방송 기반 구축
∙ 창조 미디어랩 설립
∙ 모바일융합기술센터 지원
∙ 4차 산업혁명 대응[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 K-ICT 경북 스마트미디어센터 구축 (스마트미디어센터
구축・운영)
∙ 지역기반 게임 산업 육성
∙ 유비쿼터스 경북 조성 과제 발굴
∙ 무선전력전송 산업 기반 구축 사업
∙ 해외 통신망사업자 인증 랩 구축
∙ 스마트시티 공모사업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 출처 : 경상북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453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기능
■ 위원회의 주요 기능 및 활동
- 설치근거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조례 제3조
∙ ’14년 9월 조례 개정으로 명칭 변경(협의회→위원회) : 심의・자문기구로 격상
- 주요기능 : 지역 과학기술진흥정책을 자문・심의・의결하는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 심의・의결 :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지식정보산업진흥종합계획, 지자체R&D사업 신규과제 등
∙ 자문 : 과학기술기본정책의 발전방향・제도・정책, 지방과학기술진흥 시행계획, 신규사업 검토 및
조정, 지방과학기술 아젠다 발굴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하대성
- 임기 : 2020. 8월 ~ 2020. 8월 (2년)
- 위원 : 18명(당연직 3명, 민간위원 15명)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20년 현재 미실시, `20년 12월 개최 예정
‐ 회의 안건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 20년도 추진실적 및 ̀ 21년도 시행계획
∙ 경북 과학・산업 기획평가원 설립방안 보고
∙ 지역주도형 R&D사업 추진현황 및 추진계획
∙ 지자체 R&D사업 추진체계 및 현황 보고 등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5-14 ❙ 경상북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하대성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2020.08.24.~2022.00.00.
위 원 김 장 호 경상북도 기획조정실장 2018.09.01.~2020.08.31.
위 원 김 호 진 경상북도 일자리경제산업실장 2018.09.01.~2020.08.31.
위 원 이 재 훈 경북테크노파크 원장 2018.09.01.~2020.08.31.
위 원 신 훈 규 나노융합기술원 기획실장 2018.09.01.~2020.08.31.
위 원 김 병 태 대구경북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2018.09.01.~2020.08.31.
위 원 박 수 영 포항테크노파크 SW융합센터 팀장 2018.09.01.~2020.08.31.
45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출처 : 경상북도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북도의 총예산은 약 33조 8,633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271억 원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북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31.85%
표 3-15-15 ❙ 경상북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338,633
재정자주도(%) 73.5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990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271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3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31.85
※ 주1 : 총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결산, 총계 기준(본청)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계획) : 과학기술관련 국비+지방비+기타 투자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 원 이 동 원 KISTI 대구경북지원장 2018.09.01.~2020.08.31.
위 원 하 상 태 KEIT 산업융합기술본부장 2018.09.01.~2020.08.31.
위 원 김 칠 민 DGIST 융합연구센터장 2018.09.01.~2020.08.31.
위 원 김 형 섭 포스텍 연구처장 2018.09.01.~2020.08.31.
위 원 황 형 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8.09.01.~2020.08.31.
위 원 정 재 학 영남대 화학공학부 교수 2018.09.01.~2020.08.31.
위 원 김 명 희 영남대 식품공학과 교수 2018.09.01.~2020.08.31.
위 원 이 창 언 대구한의대 화장품약리학과 교수 2018.09.01.~2020.08.31.
위 원 이 소 영 ㈜시현코리아 대표 2018.09.01.~2020.08.31.
위 원 하 정 희 대구경북 여성과학기술인 회장 2018.09.01.~2020.08.31.
위 원 정 세 현 도의회 교육위원회 부위원장 2018.09.01.~2020.08.31.
REGIONAL S&T YEARBOOK 2020 455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경상북도는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236억원을 투자
- 국비 및 지방비 모두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에 가장 많은 약 617억원, 357억 원 투입
표 3-15-16 ❙ 경상북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스마트센서기반 건물안전 지능정보
플랫폼 개발
낙동강 녹조제어 통합 플랫폼 개발
3,796 5,115 330 9,241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경북 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소재부품 산업 국가 사업화 지원
180 900 - 1,080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 - - - -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항(LINC+)육성사업
ICT명품인재양사업
53,303 15,630 15,757 84,690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수중건설로봇 실용화 사업
지역산업연계 IT융합기술 개발사업
8,345 14,442 4,999 27,786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지원 사업
광역협력권산업 육성사업
35,376 14,858 426 50,659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구축사업
지원
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
61,722 35,756 26,134 123,612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포항지식산업센터 건립
창조경제 펀드지원
6,035 5,375 2,315 13,725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지원
탄소성형부품 설계해석 및 상용화
기반구축
49,771 34,975 3,486 88,232
합계 218,528 127,051 53,447 399,025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5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경상북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866개로 전국의 3.7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65% 증가
- 5년간 대학 6개 감소, 공공연구소 9개 증가, 기업 662개 증가
표 3-15-17 ❙ 경상북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30 7.30 27 6.55 28 6.70 26 6.34 24 6.58
∙ 국공립 5 6.17 5 5.68 5 5.56 5 5.62 4 5.06
∙ 사립 25 7.58 22 6.79 23 7.01 21 6.54 20 6.99
공공연구소 32 6.20 31 5.78 37 6.67 38 6.68 41 10.22
∙ 국공립 14 10.45 11 8.73 14 11.86 15 11.81 15 20.83
∙ 정부출연 12 6.86 14 7.11 7 4.32 6 3.75 7 9.21
∙ 병원 및 기타 6 2.90 6 2.82 16 5.82 17 6.05 19 7.51
기업 1,139 3.66 1,398 3.84 1,355 3.54 1,619 3.81 1,801 3.71
∙ 정부투자기관 1 2.22 1 2.22 2 4.65 2 4.08 2 4.76
∙ 민간기업 1,138 3.67 1,397 3.84 1,353 3.54 1,617 3.81 1,799 3.71
합 계 1,201 3.75 1,456 3.90 1,420 3.65 1,683 3.87 1,866 3.7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57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경상북도 소재 대학 수는 33개
- 일반대학 18개, 전문대학 15개 존재
표 3-15-18 ❙ 경상북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2 - 16 18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1 14 15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2 1 30 33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경상북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15만 2,843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1만 4,219명(전체의 약 9.3%), 공학계열 학생이 3만 8,556명(전체의
약 25.2%)
표 3-15-19 ❙ 경상북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14,219 38,556 52,775 26,431 14,270 10,859 11,786 36,722 152,843
비중(%) 9.3 25.2 34.5 17.3 9.3 7.1 7.7 24.0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5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경상북도에는 포항공대에 4개, 영남대에 1개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에 있음
표 3-15-20 ❙ 경상북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포항공대
(4개 센터)
2017 세포소기관네트워크연구센터 SRC
2018 [후속] 토폴로지 물질 연구센터 SRC
2019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 ERC
2020 양자동역학 연구센터 SRC
영남대
(1개 센터)
2019 자율형 자동차 부품소재 청색기술 선도연구센터 RL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459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
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상북도는 2019년 기준 지역혁신센터의 수가 5곳이었으나, 2020년 현재는 3곳으로 조사됨
표 3-15-21 ❙ 경상북도 지역혁신센터(RIC) 현황(2020년)
주관기관 센터명
경일대 자동차부품 시험 지역혁신센터
대구가톨릭대 해양바이오산업 지역혁신센터
영남대 대경 태양전지/모듈 소재공정 지역혁신센터
※ 출처 : 한국RIC협회 홈페이지(http://www.ric.re.kr)
46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경북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22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5-22 ❙ 경상북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재)환동해산업연구원 창업보육센터 2019-07-11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RIST창업보육센터(리스트) 1999-07-10
경북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과학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8-01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도립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3-09-15
경운대학교 경운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3-04-08
경일대학교 경일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3-02-06
구미대학교 구미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22
구미시 구미시 창업보육센터 2005-12-31
금오공과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창업원 창업보육센터 1999-05-01
대경대학교 대경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12-28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03-02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2-22
대구한의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한방바이오창업보육센터 2007-01-24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국대학교벤처창업보육센터(경주) 2000-10-27
동양대학교 동양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04-27
문경대학교 문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1-09-25
안동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8-10-21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위덕대학교 위덕대창업보육센터 1999-12-28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주식회사)
포항공과대학교 기술지주 창업보육센터 1998-07-06
포항대학교 포항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12-27
한동대학교 한동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04-14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REGIONAL S&T YEARBOOK 2020 461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북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2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5-23 ❙ 경상북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해양과학관 해양수산부 국립
경상북도교육청과학원 경상북도교육청 공립
구미과학관 경상북도 구미시 공립
경상북도민물고기생태체험관 경상북도민물고기연구센터 공립
영천시보현산천문과학관 경상북도 영천시 공립
영양반딧불이천문대 경상북도 영양군 공립
울진 곤충여행관 경상북도 울진군 공립
영천시 최무선과학관 경상북도 영천시 공립
울진해양생태관(울진아쿠아리움) 경상북도 울진군 공립
울진과학체험관 경상북도 울진군 공립
김천녹색미래과학관 경상북도 김천시 공립
콩세계과학관 경상북도 영주시 공립
칠곡 꿀벌테마과학관 경상북도 칠곡군 공립
로보라이프뮤지엄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사립
신라역사과학관 개인 사립
예천천문우주센터 (재)스타항공우주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기준, 경북의 생활과학교실 강좌는 144개가 운영 중임
표 3-15-24 ❙ 경상북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39 115 125 180 179 144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46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경상북도 특허출원 건수는 6,615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477건
- 특허출원 건수는 ‘16년 이후 감소 추세, 특허등록 건수는 전년 대비 증가
표 3-15-25 ❙ 경상북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7,235 6,858 7,048 6,764 6,634 6,615
특허등록 건수 5,723 4,491 4,594 4,633 4,176 4,477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경북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4,577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4.52%
표 3-15-26 ❙ 경상북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4,463 4.83 45,034 10.09 2,243 4.43 21,480 9.58
2018 4,502 4.71 28,308 6.29 2,207 4.25 12,782 5.79
2019 4,577 4.52 10,112 2.21 2,188 4.04 4,558 2.08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463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비전 : 과학기술의 융합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경상북도
■ 목표
- 지역 R&D 투자 확대 및 기획・관리 역량 체체 정비를 통한 지역혁신역량 강화
- 지역 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성과 창출형 투자 강화를 통한 지역 R&D 성과 확산
- 지역 우수인력 육성 및 창업・기술사업화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
▣ 추진전략
■ 지역 주도형 R&D 투자로 혁신역량 강화
- 지역 R&D 전담기관 설립을 통해 R&D 조사・분석을 포함한 기획・평가기능 확보
■ 과학기술이 지역 경제성장 주도하는 선순환 시스템 구축
- 인공지능, 빅데이터, 지능형 SW,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개발과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 스마트팩토리 보급・확산과 중소・중견기업의 스케일업 지원을 통한 지역 주력산업의 고도화
■ 지역 맞춤형 인재양성으로 일자리 창출
- 지역 과학기술 인력양성과 고용연계에 중점을 둔 채용 연계형 R&D 사업의 발굴 및 지원 확대
▣ 중점 실천과제 및 이행방안
■ 지역 R&D 투자 확대
- 기존 R&D 조사・분석을 포함한 기획・・평가 기능 확보를 위해 장기적으로 과학기술전담기관 설립 검
토
- 연구개발특구 육성과 과학기술 연구개발, 중소・벤처기업의 육성,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신기술 개발
등 과학기술진흥의 체계적인 지원을 위하여 과학기술진흥기금 설치 추진
■ 지역R&D 기획・관리 역량 체제 정비
-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R&D 사업의 기획 및 자율적 추진을 위해 포괄보조금 제도 도입 건의
- 경상북도 공무원교육원의 ‘과학기술정책 과정’ 프로그램 신설과 ‘과학기술 전문위원 제도’ 도입 등
지역 과학기술정책 전문성 확보
46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지역R&D 거점기관 효율화 및 개방형 혁신
- 유사 및 중복성 있는 지역 R&D 거점기관의 기능적 통합과 공동사업 추진을 통한 운영의 효율성 제고
- 지역 R&D 거점기관 간 연계를 강화하고 기 구축된 연구시설과 장비 활용의 극대화 춫진
■ 지역기반 경제・사회적 성과창출형 R&D 투자 강화
-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반 육성
-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및 보급・확산으로 지역 제조업 경쟁력 강화
- 경북형 중소・중견기업 성장 지원 강화 및 지역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투자 확대
- IoT 기반 스마트기기 산업, 탄소・타이타늄・경량 알루미늄 등 첨단 신소재 산업 육성, 백신 개발 및
한의신약 산업화,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 추진
■ 지역 우수인력 육성 및 지역문화 확산
- 지역 대학의 경쟁력 제고 및 특성화를 추진하고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전문인력 양성 추진
- 지역 R&D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과학기술 인력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 확충
- 과학기술 문화의 지역 내 공유와 확산을 위한 채녈을 다양화하고 과학기술과 인문・사회・예술의 융
합콘텐츠 개발 및 보급
■ 지역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산학연을 통한 중소기업 기술지원을 강화하고 지역대학・연구기관 핵심 기술인력의 창업 도전 환경
조성
- 공공기술사업화 대표 성공모델인 연구소 기업 육성을 위해 연구개발특구 신규 및 확대 추진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아젠다 : 과학기술 간 융합으로 4차 산업혁명 선도하고 권역별・산업별 체계적 전략 수립
■ 실행전략
- 경북 과학산업 5대 권역별 전략 프로젝트
⦁ 경북지역 23개 시・군의 혁신인프라 및 산업특성과 확장성을 기준으로 5대 권역(동해안 메가 사이
언스밸리, 낙동강 ICT 융합산업벨트, 금호강 지식산업벨트, 백두대간 네이처 생명산업 특구, 혁신
도시 드림모아 프로젝트)으로 재정비하여 지역내 균형발전 촉진
⦁ 과학기술로 ①위기극복 선도, ②미래선도 핵심산업 육성, ③성장동력 기반 확충을 통한 23개 시군
이 다함께 뛰는 경북 실현
⦁ 상생협력 벨트 지정, 비대면 공유플랫폼 구축, 항공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소외지역 자립적 생태
계 견인
REGIONAL S&T YEARBOOK 2020 465
- 2030 경북형 新전략산업 육성
⦁ 청색기술 산업, 뷰티・화장품 산업, 이차전지 산업, 재난안전 산업, 항공방위 산업, 환경자원 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과 과학기술정책 및 기업지원 사업의 연계・융합
- 지역주도형 기획-과학기술 혁신-인재양성-성과창출-기술사업화-과학기술 문화 확산의 가치사슬 정비
및 강화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향후 추진방향
■ (중점과제1) 지역 R&D 투자 확대
- 도 산하R&D전담기관 설립 검토 및 추진으로 지역 R&D기획・관리 기능 강화
- R&D 투자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생태계 조성을 통해 대형 국가프로젝트 유치
■ (중점과제2) 지역 R&D 기획・관리역량 체제 정비
- 지역 R&D 정책과 사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종합 조정-조사・분석-기획-성과평가」 환류체
계 구축 모색
- 5대권역 과학산업 전략 프로젝트, 2030 신경북형 미래전략산업 추진계획 수립에 따른 실행전략 수립
■ (중점과제3) 지역 R&D 거점기관의 조직 및 인프라 운영 효율화
- ‘경북과학기술진흥위원회’,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 운영 활성화 및 ‘경북 R&D 기관 협의체’, ‘경
북 소재부품 종합기술지원단’ 등 다양한 회의체를 활용하여 체계적 산・학・연 네트워킹 구축
- 경북형 산․학․연 혁신 플랫폼을 본격 운영하여「경북 기업연구소 협의회」구성을 통해 기업중심의 신규 사
업발굴 추진하고, 기업연구소협의회↔학・연↔대기업 간 상생협력 정례화
- 지역 R&D 정보시스템과 NTIS(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 간, 지역-중앙
간의 정보 공유 활성화 추진
■ (중점과제4) 지역 기반 경제・사회적 성과 창출형 R&D 투자 강화
- 지역 신산업(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스마트기기, 첨단신소재 산업 등) 창출 및 철강・전
자・자동차부품 산업 고도화를 위한 투자 확대
- 오픈랩 구축, 신성장 전략산업 사업전환 컨설팅 지원 등을 통해 경북형 중소・중견기업 성장
(Scale-Up) 지원 강화
- 지역 과학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특구 공모사업 지속 추진하여 현재 지정된 포항규제자유특구
에서 타 지역으로 확산
46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중점과제5) 지역 우수인력 육성・활용 강화 및 지역문화의 확산
- 사회수요를 반영한 학과 개설 운영, 채용조건형 학과 운영, 소프트웨어(SW) 중심대학 지원 등을 통한
지역대학의 경쟁력 제고 및 특성화 추진
- 대구와 함께 신산업분야의 지역혁신인재양성사업을 지역에서 설계하여 중앙주도에서 지역주도의 인력
양성 사업으로 패러다임 전환
- 채용연계형 R&D 사업 발굴 및 기획, 중소기업 고급연구인력 고용지원 제도 시범 운영 등을 통해 과학
기술 기반 지역 일자리 창출
- 지역주민과 밀착하여 특성에 맞는 과학기술문화 확산 채널 다양화 및 콘텐츠 확대
■ (중점과제6) 지역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 지역 과학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특구 공모사업 지속 추진
- 대학 연구성과 기반의 기술창업 및 지역특화 VC 확대
- 공공연구기관 보유 기술사업화, 기술업그레이드, 창업기획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지역 R&D 성과의 지역
기반 활용・확산 촉진
REGIONAL S&T YEARBOOK 2020 467
제16절 경상남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경남의 인구는 약 334만 명으로 작년 대비 감소
- 전국인구대비 경남 인구의 비중은 전년보다 소폭 감소한 6.48%로 나타내며, 수도권과 부산을 제외
하고 전국대비 인구비율이 가장 높음
표 3-16-1 ❙ 경상남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3,285,260 3,339,633 3,355,238 3,355,874 3,349,656
전국대비 비율(%) 6.49 6.51 6.52 6.50 6.48
경제활동참가율(%) 61.6 62.2 62.7 62.8 63.4
실업률(%) 2.6 3.3 2.9 2.8 4.0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46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경남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약 109조 원으로, 2015년 환산치 기준으로 최근 5년간 평균
0.49%의 증가율을 보임
- 제조업(36.58%)이 산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기타서비스업(27.57%)과 정부/민간비영리
생산(17.1%)이 그 뒤를 이음
표 3-16-2 ❙ 경상남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지역내총생산 106,590,936 107,343,355 106,561,346 107,224,316 108,712,745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3,677,397 3,535,921 3,670,953 3,939,711 4,084,175
(지역내비중, %) (3.45) (3.29) (3.44) (3.67) (3.76)
제조업 40,762,093 40,720,648 39,054,257 39,400,932 39,770,836
(지역내비중, %) (38.24) (37.93) (36.65) (36.75) (36.5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2,986,099 3,051,389 3,247,629 3,224,179 3,404,387
(지역내비중, %) (2.80) (2.84) (3.05) (3.01) (3.13)
건설업 5,708,458 5,978,586 6,310,432 5,863,635 5,122,941
(지역내비중, %) (5.36) (5.57) (5.92) (5.47) (4.71)
기타서비스업 29,186,204 29,369,970 29,283,561 29,545,316 29,970,747
(지역내비중, %) (27.38) (27.36) (27.48) (27.55) (27.57)
정부 / 민간비영리생산 16,193,510 16,623,906 17,138,979 17,733,907 18,589,887
(지역내비중, %) (15.19) (15.49) (16.08) (16.54) (17.10)
순생산물세 8,077,175 8,062,935 7,847,851 7,514,624 7,853,015
(지역내비중, %) (7.58) (7.51) (7.36) (7.01) (7.22)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469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8년 경남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28조 9,442억 원이고, 7,011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32만
5,730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약 24조 5,959억원(전체의 19.0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1,404개(전체의 20.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6만 803명(전체의 18.6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6-3 ❙ 경상남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8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522,484 5.06 445 6.35 16,936 5.20
음료 제조업 1,204,571 0.93 28 0.40 1,829 0.56
담배 제조업 - - 2 0.03 -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1,028,452 0.80 150 2.14 4,162 1.28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105,445 0.08 19 0.27 659 0.20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187,127 0.15 27 0.39 790 0.24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311,666 0.24 82 1.17 1,579 0.4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959,899 1.52 112 1.60 3,834 1.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89,381 0.07 24 0.34 510 0.1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340,196 0.26 21 0.30 489 0.15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014,630 1.56 165 2.35 4,560 1.40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97,064 0.08 9 0.13 383 0.1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929,575 6.15 606 8.64 27,748 8.5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2,281,401 1.77 277 3.95 7,286 2.24
1차 금속 제조업 10,295,332 7.98 409 5.83 17,858 5.4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153,481 10.98 1,227 17.50 43,870 13.47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1,911,234 1.48 107 1.53 6,161 1.89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971,993 0.75 95 1.36 3,724 1.14
전기장비 제조업 14,119,691 10.95 387 5.52 27,958 8.5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1,348,497 16.56 1,404 20.03 51,612 15.85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5,974,291 12.39 779 11.11 39,345 12.08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24,595,978 19.07 535 7.63 60,803 18.67
가구 제조업 249,451 0.19 45 0.64 940 0.29
기타 제품 제조업 247,756 0.19 45 0.64 1,464 0.45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1 0.16 260 0.08
총 계 128,944,250 100.00 7,011 100.00 325,730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47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이 가장 높은 특화도를 나타냄
표 3-16-4 ❙ 경상남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8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기장비 제조업
비교적
높음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1차 금속 제조업
∙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식료품 제조업
낮음
∙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제외
∙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제외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가구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주1 : 2018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471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경상남도는 ‘기계・항공산업’과 ‘조선・해양 산업’, ‘항노화바이오산업’, ‘나노융합・소재부품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6-5 ❙ 경상남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기계・항공산업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 지원
R&D신사업 발굴전략기획팀 운영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경남형 스마트일자리 전문인력 양성
스마트공장 재직자 및 전문가 교육
스마트 제조혁신 선도대학 사업
스마트 산단 표준제조혁신 공정모듈 구축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지역 VR AR 제작센터 운영
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2.0
제조데이터센터 구축
지능형기계 엔지니어링센터 구축 사업
지역주력산업 (지능형기계) 육성지원
방산기업 역량강화 및 수출지원
경남 항공우주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당 산업단지(항공MRO) 조성 지원
사천에어쇼 개최 지원
도지사배 PAV 및 드론 경연대회 개최
항공기 복합재 부품 시험평가분석시스템 구축
무인항공기 통합시험・훈련기반 구축
항공전자기 기술센터 구축 지원
항공ICT 국산화 상용기술 개발 지원
주력산업(항공) 육성 지원
경남항공산업지원단 운영
혁신도시 공공기관 연계사업
항공기 구조물 스마트 엔지니어링
하이브리드 스마트 경량항공기 상용화 플랫폼 연구용역
로봇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
로봇핵심기술 상품화 지원
47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기계・항공산업
지역유망 중소기업 과제지원
지역맞춤 기초원천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지능형로봇 인력양성센터 운영
로봇문화 확산을 위한 콘텐츠개발 및 마케팅지원
R&D센터 활성화 정책자금 지원
제조로봇 적용 뿌리산업 공정개발 지원
스마트공장용 중소기업 보급형 로봇개발지원
경남 로봇산업 육성방안 수립 용역
3D프린팅 제조혁신 지원센터 구축
자동차섀시 모듈화 전략부품 기술개발 및 기반 구축
경제협력권산업(전기・자율차) 육성지원
미래자동차 핵심부품개발 및 실증지원
미래 모빌리티 연구지원센터 건립
미래자동차 부품실증 및 사업화 지원
중소기업 첫걸음 과제지원
지역유망 중소기업 과제지원
지역맞춤 기초원천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미래철도기술 사업화 진흥사업
항공핵심기술연구센터 (ERC) 지원사업
중소기업 R&D 사업화 지원센터
승강기산업 사업화 기술지원사업
조선・해양 산업
무인화 선박산업 육성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사업
경제협력권사업(친환경선박) 육성 지원
오일메이저 등 해외발주처 벤더등록 지원
조선해양플랜트기자재 성능시험 인증비용 지원
해양플랜트 복합소재 및 위험감지, 예방시스템 개발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기반 구축
해양조선산업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기업 지원
조선업 구조개선펀드 조성
2020 국제조선해양산업전
친환경선박 START 엔지니어링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스마트화 기술지원
LNG특화 설계엔지니어링 대-중소 협력 기술 지원
LNG벙커링 이송시스템 테스트베드 기반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0 473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조선・해양 산업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지원사업
위지대응지역 기업비즈니스센터 운영
조선산업 퇴직 핵심인력 지원사업
해양레저산업 기술력 제고
통영 마리나비즈센터 건립
항노화바이오산업
시스템합성 농생명공학사업 지원
양방항노화 의생명 R&D 센터 구축
양방항노화 힐링・서비스 체험관 구축
항노화바이오 미래 선도기술 산업화 지원사업
항노화바이오 천연물 소재 응용 기술개발사업
바이오항노화 의과학연구센터 구축사업
산양삼 유효성분 극대화 기술개발 지원사업
해양치유 가능자원 발굴 및 실용화기반 연구지원사업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 지원사업
양방항노화 정밀의료기기 업종전환 지원사업
양방항노화산업 기술개발‧사업화 지원
의료기기 중개임상시험 지원센터 구축
지역클러스터‧병원 연계 창업인큐베이팅 지원
항노화 핵심 IP 산업화 플랫폼 구축사업
경남항노화플랫폼 구축 운영
항노화바이오 스타기업 육성사업
약초 소득작목화 연구
산림버섯 및 산약초 실용화 연구
나노융합・소재부품산업
경남 소재부품산업
신사업 연구기획
경남 극한소재 부품네트워크 운영
희유금속 산업육성 기반조성 연구용역
나노금형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주력산업(나노융합부품) 육성 지원
경제협력권(첨단신소재)육성사업
나노피아 국제콘퍼런스 개최
※ 출처: 경상남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47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12개, 일반산업단지 116개, 도시첨단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81개가 있음
- 총 210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5,728개, 총 종사자 수는 222,713명
표 3-16-6 ❙ 경상남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옥포 5,987 5,987 1 1 X 100 조성중
죽도 4,187 4,187 1 1 X 100 조성중
지세포자원비축 2,942 2,942 1 1 X 100 완료
안정 3,866 3,776 15 6 422 100 조성중
명지・녹산 1,672 1,672 - - - - 완료
녹산지구(주거단지) 1,672 1,672 - - - - 완료
창원 35,870 25,302 2,688 2,475 120,942 100 조성중
진해 3,269 1,663 3 3 1,219 100 조성중
밀양나노융합 1,656 1,522 - - - - 조성중
경남항공 1,639 1,597 - - - - 조성중
경남항공(사천지구) 819 803 - - - - 조성중
경남항공(진주지구) 820 794 - - - - 조성중
일반
오비 196 195 6 6 96 100 완료
나전 68 68 - - - 100 조성중
덕암 156 152 24 24 688 100 완료
명동 264 263 - - - 30 완료
주호 117 116 10 6 105 100 완료
사포 746 745 44 44 1,151 100 완료
용전 634 634 24 15 431 100 완료
하남 1,020 1,020 43 1 X 100 완료
흥사 673 673 - - - 37 조성중
덕계 360 360 21 21 466 95 완료
유산 118 118 12 12 156 100 완료
산막 1,222 1,221 159 159 3,139 100 완료
어곡 1,244 1,244 144 144 3,722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475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가산 256 253 - - - 30 완료
정촌 1,713 1,708 100 100 2,662 100 완료
진주상평 2,135 2,135 500 500 6,465 100 완료
법송 621 621 - - - - 조성중
덕포 1,017 1,017 - - - - 미개발
안정 1,305 1,305 - - - - 조성중
거창 741 741 57 50 829 100 완료
내산 583 583 1 1 X 100 조성중
대가룡 74 74 1 1 X 100 완료
대독 266 265 1 1 X 100 조성중
율대 182 182 4 2 X - 완료
장좌 695 694 1 1 X 100 조성중
매촌 98 98 2 1 X 100 완료
매촌제2 75 75 3 2 X 100 완료
넥센 594 593 1 1 X 100 조성중
대합 949 949 44 44 968 100 완료
억만 82 82 2 1 X 100 완료
갈사만조선 5,613 5,612 - - - - 조성중
대송 1,367 1,367 - - - - 조성중
군북월촌 188 188 7 6 220 100 완료
법수우거 124 124 11 8 223 100 완료
칠서 3,202 3,030 104 104 3,697 100 완료
함양 741 741 2 1 X 69 완료
휴천 83 83 - - - 100 완료
대사 294 294 31 21 260 95 완료
덕계월라 437 437 - - - - 조성중
법수강주 136 136 20 16 353 100 완료
천선 110 110 24 24 702 100 완료
수곡 79 79 8 8 156 100 조성중
진전평암 81 81 1 - X 100 완료
진북 875 873 56 56 1,409 100 조성중
남양지구 293 293 45 44 767 100 완료
마천 611 611 114 113 2,241 100 완료
47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죽곡 138 137 8 8 1,811 100 완료
창원 478 478 49 47 1,063 100 완료
어곡제2 331 330 - - - 30 조성중
나전2 122 122 - - - 60 조성중
지수 122 122 2 2 X 100 완료
오척 149 149 8 8 68 100 완료
김해GoldenRoot(구
김해)
1,524 1,270 143 143 5,033 100 완료
모사 414 414 1 1 X 100 조성중
하리 222 222 1 1 X - 조성중
창곡 64 60 5 5 158 100 완료
축동 270 270 - - - - 조성중
대동 103 103 - - - - 조성중
장지 292 292 1 1 X 100 완료
김해테크노밸리 1,644 1,644 12 12 176 100 조성중
대의 298 298 - - - - 조성중
서김해 449 449 - - - 55 조성중
정곡백곡 147 147 - - - - 미개발
가산 99 99 - - - 100 조성중
이노비즈밸리 212 212 - - - 100 완료
송현 187 187 - - - 100 조성중
덕암2 42 42 - - - 100 조성중
김해사이언스파크 845 850 - - - 100 조성중
칠북영동 258 258 6 - X 100 완료
신천 250 247 - - - 100 조성중
사내 139 139 2 - X 100 조성중
종포 376 376 11 5 593 95 완료
토정 308 308 - - - - 조성중
용당 269 268 29 29 540 100 완료
가연 37 37 - - - - 완료
오비2 109 109 - - - - 미개발
동전 500 500 - - - - 미개발
서창 276 276 31 31 490 100 완료
병동 297 297 - - - 100 조성중
REGIONAL S&T YEARBOOK 2020 477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안골 237 237 - - - - 미개발
덕곡 150 150 - - - - 조성중
석계2 995 995 54 54 815 90 완료
법송2 87 87 - - - - 조성중
봉암동원 298 298 1 1 X 29 조성중
대진 251 251 - - - - 미개발
화천 296 296 - - - - 미개발
금진 298 298 - - - - 미개발
본산 59 59 - - - - 미개발
용전3 252 252 11 - - - 미개발
죽곡2 251 251 - - - - 미개발
칠원용산 189 189 - - - - 조성중
상복 116 116 - - - - 조성중
진주(사봉) 810 810 56 56 890 98 완료
AM하이테크 163 162 - - - 100 조성중
이지(Eco-Zone) 306 301 - - - 100 조성중
향촌2 69 68 - - - - 조성중
죽곡 96 96 - - - - 미개발
산청한방항노화 159 159 - - - - 완료
사천제1 2,555 2,348 50 48 9,861 100 완료
사천제1 2,059 1,852 32 31 8,941 100 완료
사천(외국인) 496 496 18 17 920 100 완료
사천제2 1,616 1,430 20 16 611 100 완료
영남 1,410 1,410 - - - - 미개발
김해대동첨단 2,807 2,804 - - - 76 조성중
주남 221 220 - - - - 미개발
가산 672 662 - - - - 미개발
부목2 134 134 - - - - 미개발
양산[재생사업지구] 1,529 1,529 107 107 11,331 100 완료
원지 216 215 - - - - 미개발
뿌리 965 964 13 - X 13 조성중
함안(구 군북) 1,780 1,780 97 97 3,280 100 완료
군북유현 75 75 - - - - 미개발
47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일반
용당(항공MRO) 149 149 - - - - 조성중
대성하이스코 72 72 - - - - 미개발
이당 131 131 - - - - 미개발
평성 696 696 - - - - 미개발
도시첨단
창원덴소도시첨단
(구 경남지능형홈산업)
145 143 1 1 X 100 완료
농공
한내조선특화 282 278 1 1 X 100 완료
나전 144 144 20 19 619 100 완료
내삼 113 113 25 23 252 100 완료
병동 149 149 18 18 508 100 완료
본산 147 146 10 7 349 100 완료
봉림 93 93 3 3 172 100 완료
안하 127 124 27 24 409 100 완료
진영죽곡 405 405 52 50 2,497 100 완료
하계 137 136 20 20 528 100 완료
미전 166 166 16 14 321 100 완료
부북특별 161 108 3 3 250 100 조성중
상남특별 84 84 2 2 X 100 완료
제대 192 192 2 2 X 100 완료
초동특별 317 307 42 38 704 100 완료
하남 179 179 27 27 580 100 완료
춘화 212 209 25 21 227 100 완료
곤양 84 84 8 8 218 100 완료
두량전문 118 118 20 20 447 100 완료
사남 568 568 37 37 1,412 100 완료
송포 104 104 14 12 158 100 완료
축동구호 117 117 10 8 101 100 완료
향촌삽재 92 92 30 25 180 84 완료
웅상 86 86 12 10 339 100 완료
대곡 133 133 17 17 365 100 완료
REGIONAL S&T YEARBOOK 2020 479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사봉 148 148 17 17 488 100 완료
생물산업전문 147 147 18 18 340 100 완료
실크전문 133 132 24 24 258 100 완료
이반성 141 141 9 9 450 100 완료
진성 86 86 16 16 265 100 완료
남산 154 154 19 17 99 100 완료
당산 103 103 11 9 37 100 완료
서울우유 93 93 1 1 X 100 완료
석강 152 152 9 8 448 100 완료
정장 52 52 7 6 65 100 완료
석강제2 42 42 4 3 296 100 완료
마동 288 287 7 3 101 100 완료
세송 150 150 6 6 238 100 완료
율대 105 105 8 7 372 100 완료
회화 92 92 7 7 228 100 완료
고현 54 54 9 9 55 100 완료
금서 156 156 12 10 258 100 완료
금서제2 197 197 6 3 432 100 완료
산청 112 112 10 10 206 100 완료
동동 291 275 26 22 304 100 완료
봉수 317 317 30 28 638 100 완료
부림 147 147 8 7 123 100 완료
정곡 62 57 5 5 41 100 완료
남지 44 44 7 6 70 100 완료
대지 64 64 10 7 114 100 완료
대합 86 86 12 10 235 100 완료
서리전문 198 198 19 19 670 100 완료
송진전문 274 274 5 4 141 100 완료
고전 76 76 6 6 59 100 완료
금성조선 146 146 - - - 100 조성중
적량 65 65 7 5 24 100 완료
진교 138 138 7 6 94 100 완료
가야 77 77 4 4 82 100 완료
48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농공
군북 99 99 17 17 330 100 완료
모로 92 91 4 4 106 100 완료
법수 226 226 22 20 663 100 완료
산인 129 129 22 21 480 100 완료
장암 145 145 1 1 X 41 완료
칠원용산 100 97 22 22 259 100 완료
칠원운서 95 95 34 32 361 97 완료
파수 166 166 35 35 616 100 완료
황사 146 144 14 14 260 100 완료
수동 102 102 11 10 182 100 완료
안의전문 147 146 6 6 88 100 완료
원평 136 136 3 3 147 100 완료
이은 40 40 7 7 95 100 완료
야로 114 114 17 10 163 100 완료
율곡 234 234 20 17 253 100 완료
적중 94 94 6 2 X 100 완료
대미 88 65 1 1 X 100 완료
진북 133 133 18 18 585 100 완료
제일 43 43 1 1 X 100 완료
승강기전문 308 308 8 7 67 55 완료
안의제2전문 275 275 12 11 121 100 완료
화현 88 88 3 - - 100 완료
함양중방전문 99 99 7 2 X 100 완료
인산죽염항노화 207 206 1 - - - 조성중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한국산업단지통계(2/4 분기)
REGIONAL S&T YEARBOOK 2020 481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경남에는 총 1,925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473개로 가장 많았으며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은 270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146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6-7 ❙ 경상남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13
광업(05~08)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80
음료 제조업 4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2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15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9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6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6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6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9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1
1차 금속 제조업 51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70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65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71
전기장비 제조업 10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7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46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107
가구 제조업 4
기타 제품 제조업 30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1
48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13
건설업(41~42) 25
도매 및 소매업(45~47) 12
운수 및 창고업(49~52) 3
숙박 및 음식점업(55~56) -
정보통신업(58~63) 88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83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3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3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1925
REGIONAL S&T YEARBOOK 2020 483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4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3만 735명(전국의 4.45%)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가율은 약
5.10%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기업이 1만 9,889명(전국의 4.52%)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7,405명(전국의 3.85%), 공공연구소는 3,441명(전국의 5.89%)를 차지
표 3-16-8 ❙ 경상남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8,532 4.56 10,718 5.79 7,935 4.27 7,513 4.05 7,405 3.85
∙ 국공립 7,216 9.28 9,172 11.59 6,594 8.58 6,129 8.02 5,954 7.49
∙ 사립 1,316 1.20 1,546 1.46 1,341 1.23 1,384 1.27 1,451 1.28
공공연구소 2,721 5.25 2,976 5.49 2,994 7.07 3,027 5.42 3,441 5.89
∙ 국공립 721 6.38 594 5.51 505 4.84 561 5.24 760 6.21
∙ 정부출연 1,934 6.18 2,300 6.93 2,256 7.07 2,255 7.05 2,442 7.50
∙ 병원 및 기타 66 0.71 82 0.80 233 1.82 211 1.61 239 1.76
기업 15,254 4.16 14,024 3.68 15,440 4.02 17,574 4.30 19,889 4.52
∙ 정부투자기관 0 0.00 33 0.92 0 0 33 0.84 49 1.25
∙ 민간기업 15,254 4.20 13,991 3.71 15,440 4.06 17,541 4.33 19,840 4.55
합 계 26,507 4.38 27,718 4.47 26,369 4.31 28,114 4.32 30,735 4.45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8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18년 경상남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6.9명 증가한 65.3명으로 조사됨
표 3-16-9 ❙ 경상남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53.7 51.0 53.1 58.4 65.3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경상남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약 2조 8,624억 원(전국의 3.34%)으로 17개 광역시・도 중
5위 수준
- 연구개발비 지난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8.55%로 증가추세를 보임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1,727억 원(전국의 2.45%), 공공연구소는
약 6,058억 원(전국의 6.15%), 기업이 약 2조 838억 원(전국의 3.03%)
표 3-16-10 ❙ 경상남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16,708 2.02 107,381 1.79 115,220 1.82 144,190 2.16 172,789 2.45
∙ 국공립 82,068 3.11 82,990 3.06 86,946 3.02 123,749 4.18 152,009 4.92
∙ 사립 34,640 1.11 24,391 0.74 28,274 0.82 20,441 0.55 20,780 0.52
공공연구소 493,595 6.08 533,780 6.05 577,861 6.34 548,811 5.75 605,808 6.15
∙ 국공립 53,708 7.13 39,123 5.03 45,590 6.11 44,009 5.52 49,046 6.03
∙ 정부출연 435,045 6.80 483,790 6.94 515,568 7.22 489,376 6.60 535,486 7.09
∙ 병원 및 기타 4,842 0.50 10,867 1.01 16,702 1.36 15,426 1.16 21,276 1.44
기업 1,451,722 2.91 1,453,645 2.84 1,500,637 2.78 1,760,698 2.81 2,083,869 3.03
∙ 정부투자기관 0 0.00 547 0.09 - 0.00 4,262 0.48 2,409 0.27
∙ 민간기업 1,451,722 2.95 1,453,098 2.88 1,500,637 2.82 1,756,436 2.85 2,081,460 3.06
합 계 2,062,025 3.24 2,094,806 3.18 2,193,717 2.78 2,453,699 3.11 2,862,466 3.34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85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경상남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조 8,365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9.0%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8.22%
표 3-16-11 ❙ 경상남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9,403 9,721 12,832 15,351 18,365
(5.2) (5.3) (6.7) (7.8) (9.0)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과학기술 R&D체계 혁신을 통한 혁신성장 기반 조성
- (R&D혁신거점 육성)산업기술단지거점기능 지원(15억원), 신사업발굴 전략기획팀 운영(3억원), 연
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4억원), 경남과학기술진흥센터활성화 사업(1억원)
- (R&D기획 및 정책발굴)경남항공우주산업육성 기본계획 수립(2억원), 희유금속산업육성 기반조성
연구용역(3억원), 미래변화 대응 전략산업 발굴(0.9억원) 등
■ 전략산업 고도화로 신산업 창출 기반 마련 및 지역 발전 견인
- (전략사업 핵심기술 고도화) 지능형기계기반 메디컬디바이스 융복합 실용화사업(78억원), 지능형기계
엔지니어링센터구축 사업(94억원), 자동차섀시 모듈화 전략부품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38억원), 항
공전자기 기술센터 구축(37억원),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80억원), 해양레저산업 기
술력 제고(1.9백만원)
- (제조업 혁신 인프라 확충) 소프트웨어 융합클러스터 2.0(35억원), 용당 산업단지(항공MRO) 조성(545
억원),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정 및 육성(52억원), 나노금형기반 맞춤형융합제품 상용화 지원센터 구
축(100억원), 로봇비즈니스벨트조성(62억원), LNG벙커링 핵심기자재 지원 기반 구축(51억원), 양방항
노화 의생명R&D센터 구축(17억원),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0.2억원) 등
48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산학연 협력으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제고 및 기초원천기술 육성
- (중소기업 R&D활성화 지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201억), 미래자동차 핵심부품개발 및 실증지원
(85억원), 혁신도시 공공기관 연계사업(28억원),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지원(16억원), 지역특화
산업육성 기업지원(27억원), 지역주력산업(지능형기계)육성지원(33억원), 지역SW기업성장 지원(6
억원), 산업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지원(4억원), 중소기업 첫걸음 과제 지원(6억원), 지역맞춤형 기초원천
기술 사업화 지원사업(2억원), 주력산업(나노융합부품)육성지원(19억원) 등
- (산학연 연계 기술사업화 촉진) 중소기업 R&D사업화 지원센터(10억원),항노화 핵심 IP 산업화 플랫
폼 개발사업(10억원), 항공ICT 국산화 상용기술 개발 지원(3억원),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3억
원), 경남 스타트업 아이디어 고도화 지원사업(10억원),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운영지원(5억원), 초기
창업패키지 지원사업(23억원), 기술창업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1억원) 등
■ 과학기술 혁신인재 양성 및 과학기술문화 대중화 촉진
- (전략산업 핵심인력 양성)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240억원), 경남형 스마트 일자리 전문
인력 양성(20억원), 조선산업 퇴직 핵심인력 지원사업(10억원), 스마트공장 재직자 및 전문가 교육(4억
원), 무인화 선박산업 육성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사업(3억원), 3D프린팅산업 전문인력 양성(1.5억원)
- (과학기술인력양성 기반조성) 지능형 로봇 인력양성 센터 운영(6억원),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지원
사업(29.5억원),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15억원/2개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6억원), 바이오항노화 의과학연구센터 구축사업(1억원)
- (과학기술문화 확산)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사업(15억원), 경남사천에어쇼 개최 (13억원), 도지사
배 PAV 및 드론 경연대회 개최(6억원), 양방항노화 힐링서비스 체험관 구축(7억원), 경남과학대전 개
최(4억원), 나노피아 국제콘퍼런스 개최(3억원), 국제수소에너지 전시회 및 포럼 개최(5억원), 과학
체험대학 운영(1.5억원), 등
REGIONAL S&T YEARBOOK 2020 487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산업혁신국 산업혁신과에서 담당
그림 3-16-1 경상남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표 3-16-12 ❙ 경상남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26,471 - 21,217 291 476 50 4,365 - 72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자치부
48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역할
표 3-16-13 ❙ 경상남도 산업혁신국 신산업연구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신소재분야 신사업 기획 및 조정
∙ 소재부품산업 육성 전문가 협의회 운영
∙ 재료연구소 원 승격 관련 업무
∙ 희유금속 소재부품 클러스터 조성
∙ 파워유닛 스마트제조센터 구축사업
∙ 3D프린팅 인증지원체계 구축사업 추진
∙ 3D프린팅 제조혁신 지원센터 운영 지원
∙ 3D프린팅 인력양성사업 추진
∙ 소재부품산업 관련 신사업 발굴
∙ 소재부품산업 중장기 육성 계획 과제 추진
∙ 경남 극한소재부품 네트워크 운영
∙ 소재부품장비산업 상생협의회(소재팀) 과제 추진
∙ TCT KOREA 등 소재・부품 산업 전시회 개최 지원
∙ 나노융합산업 관련 신사업 발굴
∙ 나노금형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추진
∙ 나노기업 유치(기업유치단) 관련 업무
∙ 나노피아 산업전 추진
∙ 세라믹 소재부품 관련 신사업 발굴
∙ 수송시스템용 세라믹섬유 융복합 기반구축사업 추진
∙ 주력산업 고품질화를 위한 융합세라믹산업 육성사업
∙ 경남 세라믹 기술교류회 운영
∙ 나노산업 중장기육성계획 과제 추진
∙ 주력산업(나노융합부품) 육성 지원
∙ 나노제품 고급화 지원사업
∙ 광역협력권산업(첨단신소재)육성 지원
∙ 진주뿌리센터, 양산 하이브리드센터 운영 지원
∙ 자동차부품산업 육성 및 신사업 기획・조정
∙ 경남 자동차산업 얼라이언스 설립 추진
∙ 경남 자동차부품산업 중장기 육성계획 과제 추진
∙ 미래자동차 핵심부품개발 및 실증사업 추진
∙ 전기・자율차 R&D사업 발굴 등 신 사업 추진
∙ 자동차 관련 정부 신규 공모과제 추진
∙ 미래 모빌리티 연구지원센터 건립 지원
∙ 한국자동차연구원 동남본부 설립 및 지원
∙ 경상남도 자동차부품산업 발전협의회 운영
∙ 자동차 섀시 모듈화 전략부품 개발 기반구축사업 추진
∙ 광역협력권(전기・자율차) 육성 사업 추진
∙ 자동차부품기업 유동성 지원 관련
∙ 미래자동차 부품실증 및 사업화 지원사업 추진
∙ 경남자동차산업협회 등 유관기관 관련 업무
∙ 자동차부품산업 동향 및 기업 현황 관리
∙ 지역 VR・AR 인프라 구축사업
∙ 지역 SW품질역량센터 지원사업
∙ 지역 SW성장지원사업
∙ 지역 SW융합제품상용화사업
∙ 수소생산기지구축 사업 추진
∙ 정부 공모사업, 신사업 및 기술개발 사업 추진
∙ 수소산업 육성 협의체 구성・운영 및 산・학・연・관 협력사업
추진
∙ 동남권 수소경제권 위킹그룹 및 실무협의회 운영 지원
∙ 수소전기차 및 충전소 보급 중장기 계획 수립
∙ 수소전기차 및 충전소 인프라 확충 사업 추진
∙ 국제수소에너지 전시회 및 포럼 행사 추진
∙ 수소산업 기업 육성(기업지원) 및 인력양성
∙ 수소 관련 민간단체 설립 인・허가 및 관리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 종합・시행계획 수립
∙ 경남과학기술진흥협의회 운영
∙ 연구개발사업 육성 및 개발
∙ 경남연구개발특구 지정(변경) 추진
∙ 연구개발(R&D)협의회 구성 및 운영
∙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 지역특화 맞춤형 원천기술이전 및 사업화지원
∙ 미래철도기술사업화 진흥사업 지원
∙ 경남과학기술진흥센터 운영・관리 지원
∙ 과학기술문화진흥사업
∙ 중소기업 R&D사업화 지원센터 운영
∙ 기업비즈니스센터 설치
∙ 위기지역 중소기업 Scale-up R&D지원
∙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사업 지원
∙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기관 유치・육성
∙ 대기업 R&D센터 유치
∙ 시스템 농생명공학사업 지원
∙ 메카트로닉스융합부품소재 연구센터(ERC) 지원
∙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등
∙ 항공핵심기술 선도연구센터(ERC) 지원
∙ 지역혁신선도연구센터(RLRC) 지원사업
∙ 백엽장학재단 운영 및 기금관리
∙ 품질분임조 활성화 사업 추진 지원
∙ 경남 및 전국(국제) 품질분임조대회 개최 지원
∙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 과학관 육성 시행계획 수립 및 과학문화시설 등록
∙ 과학기술인재 육성・여성과학기술인 육성・과학기술 유공자
예우 시행계획 수립
∙ 경남과학대전 개최(경남과학기술대상시상) 지원
∙ 과학체험대학 운영 지원
∙ 경남과학기술포럼 지원
∙ 경상남도 추천상품(QC) 지정 관리
∙ 스마트 공장 민관합동 추진협의회 운영
∙ 스마트 공장 구축 금융 지원
∙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 출처 : 경상남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489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위원장 : 경상남도 경제부지사(당연직)
- 위원의 임기 : 위촉일로부터 2년간(2019. 3. 4. ~ 2021. 3. 3.)
■ 위원회 연간 일정 (2020년) : 1회 (2020. 12. 24.)
- 과학기술진흥시행계획,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조례 개정, 경남 과학문화 활성화 계획 등 안건 보고
및 심의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표 3-16-14 ❙ 경상남도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명단(2020년 12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박종원 경상남도 경제부지사
위 원 김영삼 경상남도 산업혁신국장
위 원 이옥철 경상남도의회 농해양수산 위원회 위원
위 원 김윤희 경상대학교 화학과 교수
위 원 이재현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교수
위 원 김향숙 인제대학교 응용수학과 교수
위 원 성윤희 경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위 원 김종욱 한국전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
위 원 채재우 재료연구소 경영전략부장
위 원 이정숙 한국과총 경남지역연합회 (전임)회장
위 원 이국식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국장
위 원 고수형 (재)경남테크노파크 수석연구원
위 원 조유섭 (재)경남테크노파크 정보산업진흥본부장
위 원 김정숙 한국여성경제인 협회경남지회 부회장
※ 출처 : 경상남도 내부자료
49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경상남도의 총예산은 약 31조 8,549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1,844억원
- 총 과학기술 예산 중 경상남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47.05%
표 3-16-15 ❙ 경상남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318,549
재정자주도(%) 74.08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3,919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1,844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58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47.05
※ 주1 : 총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결산, 총계 기준(본청)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계획) : 과학기술관련 국비+지방비+기타 투자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91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경상남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1,567억 원을 투자
- 국비와 지방비 모두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이 투자했으며, 각각 601억 원, 788
억원을 투자
표 3-16-16 ❙ 경상남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지능형기계기반 메디컬디바이스
융복합 실용화사업
양방항노화 힐링서비스 체험관 구축
6,242 12,900 4,396 23,538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지원
연구개발지원단 지원사업
875 1,590 - 2,465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차세대 지방세정보시스템구축 분담금
경남과학기술진흥센터 활성화 사업
- 344 - 344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시스템합성 농생명공학사업 지원
36,744 2,420 1,103 40,267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혁신도시 공공기관연계사업(OpenLAP)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지원
7,638 12,271 1,883 21,792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지능형기계 엔지니어링센터 구축 사업
35,688 64,304 12,295 112,286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나노금형기반 맞춤형융합제품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축산분야 ICT 융복합 지원
9,823 5,222 8,533 23,578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지역활력화작목 기반조성
초기 창업패키지 지원사업
4,334 6,554 - 10,88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로봇비즈니스벨트조성
용당 산업단지(항공MRO) 조성 지원
60,113 78,816 17,799 156,728
합계 161,457 184,421 46,009 391,886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9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경상남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2,553개로 전국의 5.1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4.22% 증가
- 5년간 대학 수 1개 증가, 공공연구소 5개 증가, 기업 1,047개 증가
표 3-16-17 ❙ 경상남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25 6.08 23 5.58 23 5.50 23 5.61 26 7.12
∙ 국공립 12 14.81 11 12.50 11 12.22 11 12.36 13 16.46
∙ 사립 13 3.94 12 3.70 12 3.66 12 3.74 13 4.55
공공연구소 29 5.62 32 5.97 32 5.77 33 5.80 34 8.48
∙ 국공립 14 10.45 14 11.11 11 9.32 11 8.66 11 15.28
∙ 정부출연 9 5.14 12 6.09 9 5.56 10 6.25 10 13.16
∙ 병원 및 기타 6 2.90 6 2.82 12 4.36 12 4.27 13 5.14
기업 1,446 4.65 1,727 4.74 1857 4.85 2,131 5.01 2,493 5.14
∙ 정부투자기관 0 0.00 1 2.22 0 0 2 4.08 3 7.14
∙ 민간기업 1,446 4.66 1,726 4.74 1857 4.85 2,129 5.01 2,490 5.13
합 계 1,500 4.69 1,782 4.77 1912 4.87 2,187 5.03 2,553 5.1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493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경상남도 소재 대학 수는 22개
- 일반대학 10개, 교육대학 1개, 전문대학 10개, 기능대학 1개 존재
표 3-16-18 ❙ 경상남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3 - 7 10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1 - - 1
전문대학 - 2 8 10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1 1
합 계 4 2 16 22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경상남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8만 6,551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9,825명(전체의 약 11.4%), 공학계열 학생이 2만 5,186명(전체의
약 29.1%)
표 3-16-19 ❙ 경상남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9,825 25,186 35,011 16,542 4,351 7,470 5,771 17,406 86,551
비중 11.4 29.1 40.5 19.1 5.0 8.6 6.7 20.1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49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20년 경상남도에는 창원대, 경상대에 2개, 인제대에 1개씩의 선도연구센터 구축・운영 중
표 3-16-20 ❙ 경상남도 선도연구센터 설치 현황(2020년)
설치대학 선정 센터명 유형
창원대
(2개 센터)
2018 메카트로닉스 융합 부품 소재 연구센터 (후속) ERC
2019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 부품 설계/제조 혁신 센터 RLRC
경상대
(2개 센터)
2015 바이오항노화 의과학연구센터 MRC
2017 산업수요기반 고효율・안전 항공핵심기술 연구센터 ERC
인제대
(1개 센터)
2018 결핵 정밀맞춤치료 선도연구센터 MRC
※ 출처 : 한국연구재단 내부자료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
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경남의 지역혁신센터는 2020년 시점으로 운영하는 지원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REGIONAL S&T YEARBOOK 2020 495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경남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17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표 3-16-21 ❙ 경상남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창업보육센터 2014-04-2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경남과학기술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1-06-29
경남대학교 경남대학교 창업보육관 1999-09-30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거창대학디자인창업보육센터 2000-12-30
경상남도(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 경상남도창업보육센터(GNBI) 2001-10-18
경상대학교 경상대창업보육센터 2000-04-20
동원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동원과학기술대학교창업보육센터 2000-11-17
(재)경남테크노파크 로봇창업보육센터 2015-05-13
마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창업지원센터 1999-12-14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창업보육센터 2003-04-30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스창업보육센터 2001-01-05
영산대학교 영산대학교그린창업보육센터 2000-02-10
인제대학교 인제대김해창업보육센터 2001-03-23
창원대학교 창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03-14
창원문성대학교 창원문성대학교 창업지원단 창업보육센터 1999-11-10
한국국제대학교 한국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8-12-01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창업보육센터 2001-07-10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49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경남에는 국립과학관 1개소, 공립과학관 15개소, 사립과학관 1개소가 운영 중
표 3-16-22 ❙ 경상남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국립밀양기상과학관 부산지방기상청 국립
거제조선해양문화관 경상남도 거제시 공립
창원과학체험관 경상남도 창원시 공립
통영수산과학관 경상남도 통영시 공립
천적생태과학관 경상남도 거창군 공립
지리산생태과학관 경상남도 하동군 공립
옥포대첩기념공원 경상남도 거제시 공립
의령곤충생태학습관 경상남도 의령군 공립
김해천문대 경상남도 김해시 공립
함양약초과학관 경상남도 함양군 공립
고성공룡테마과학관 경상남도 고성군 공립
사천첨단항공우주과학관 경상남도 사천시 공립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경상남도 거창군 공립
양산3D과학체험관 경상남도 양산시 공립
경상남도교육청 과학교육원 경상남도교육청 공립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경상남도 밀양시 공립
부경동물원 ㈜아이니그룹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
▣ 생활과학교실
■ ’20년 기준, 경남의 생활과학교실 강좌는 193개가 운영 중임
표 3-16-23 ❙ 경상남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99 251 232 276 231 193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0 497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경상남도 특허출원 건수는 6,657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3,956건
- 특허출원 건수는 작년 대비 증가
- 특허등록 건수는 ’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표 3-16-24 ❙ 경상남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5,502 5,548 6,625 6,609 6,521 6,657
특허등록 건수 3,465 2,840 3,538 3,738 3,751 3,956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경남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3,530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3.48%
표 3-16-25 ❙ 경상남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3,056 3.31 27,840 9.11 1,463 2.89 8,594 5.87
2018 3,348 3.51 15,072 4.50 1,576 3.04 5,591 3.55
2019 3,530 3.48 6,573 1.86 1,657 3.06 2,309 1.39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49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4차 산업혁명 주도형 기술혁신으로 세계 최고의 스마트 경남 실현
■ 목표
- 지역 주도적 R&D 역량강화로 경남 R&D체계 혁신
- 기존 산단의 구조고도화, ICT융합 등 경남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기초‧원천기술개발 지원강화로 소재부품산업 활성화 촉진
- 기술사업화 촉진 및 핵심인력양성, 과학기술문화 저변 확산
▣ 추진전략
■ 지역 R&D 체계 개선을 통한 R&D 전담 싱크탱크 육성
- 지역 수요맞춤형 R&D발굴 및 기획 등 지역 신사업 창출 기반강화
- R&D전담기구 설치운영으로 지역 주도적 R&D 역량 강화
■ 경남 핵심산업 혁신성장 기반 구축으로 지역 산업 구조고도화 실현
- 노후 산단의 스마트 산단화 촉진, 지역 전략산업 혁신성장 기반강화
- 수소산업 및 미래자동차산업, 로봇산업 등 미래 먹거리산업 성장주도
■ 기업 R&D역량 및 산‧학‧연 연계 강화로 지역 전략산업 고도화 촉진
- 산‧학‧연 공동 R&D 및 기초원천기술 역량강화로 소재부품산업 육성
- 강소연구특구 중심의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촉진으로 기업 R&D역량 제고
■ 기술창업 촉진 및 지역 과학기술 핵심인력 양성, 과학문화 저변 확산
- 지역 대학 R&D 역량강화 및 지역혁신기관 연계지원으로 기술창업 촉진
- 과학기술분야 핵심인력 양성 및 주민참여형 과학기술문화 거점 강화
REGIONAL S&T YEARBOOK 2020 499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강소연구개발특구 등을 통한 중소기업 R&D 사업화 지원
- 공공기술 사업화를 위한 기술 발굴‧기획, 기술이전 사업화, 기업 성장지원
- 중소기업 R&D사업화 지원센터 운영을 통한 R&D과제, 기술사업화 지원
-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 등 대학 R&D 공모사업 지원
■ 경남 주력산업 고도화로 지역혁신성장 체계 구축
- 지능형 기계산업 기반 구축 및 R&D 등 기업지원을 통한 고도화 추진
- 로봇랜드 활성화 및 로봇 보급‧개발지원을 통한 제조혁신 추진
- PAV, 하이브리드 경량항공기 연구 등을 통한 미래신성장산업 육성
- 조선 기자재 친환경‧스마트화 기업선정 및 기술지원
■ 신산업 육성을 통한 미래 먹거리 발굴
- 미래 소재‧부품 전략산업 발굴 및 기업중심 산업생태계 조성
- 미래자동차 부품실증 및 사업화 지원 등 자동차부품 생태계 기반 강화
- ICT융합으로 제조업 스마트‧고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지역위기 극복
- 초대형 풍력시스템, 가스터빈, 초전도 첨단기술 등 미래 유망산업 육성
■ 경남형 스마트산단, 혁신성장 표준모델로 조성
- 기계산업 중심으로 가치사슬‧생태계 차원의 중소기업 스마트화 지원
- 제조업과 ICT 융합을 통한 스마트산업 혁신 기반 구축
- IT 접목으로 공유경제 활성화를 통한 미래형 산단 조성
■ 지역 주도의 지역혁신성장계획 수립
- 지방분권‧균형발전 국정기조를 반영한 지자체 주도의 산업혁신생태계 구축
50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 향후 추진방향
■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정부의 미래 성장잠재력 투자 확대에 따른 지역 특화형
성장기반 조성
- 경남 제조업의 대외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금속소재 실증단지 구축,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 등 관련
산업 규제특례 및 각종 기반시설 설치 지원
- 경남형 그린뉴딜 관련 R&D사업 발굴, 기존산단의 스마트그린산단 리모델링사업 등을 통한 지역 주도형
신재생에너지사업 추진
■ 지역 산‧학‧연 유관기관 연계 협력을 통한 지역현장 맞춤형 R&D 및 사업화 활성화
- 경남 R&D 전담기구 중심의 기업‧혁신기관 연계형 R&D지원사업 발굴
- R&D 사업화 활성화을 위한 산‧학‧연 기술사업화 및 혁신 창업생태계 기반 조성 등 원스톱 지원체계 마련
- 비대면 소비, 원격 헬스케어 및 학습 시스템 등 언택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지원을 통한 포스트 코로나
대응 능력 제고
- 경남형 공유대학 USG(University System of Gyeongnam) 모델을 통한 지역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추진
■ 신기술 중심의 R&D지원 확대를 통한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발굴
- 스마트기계, 첨단항공, 나노융합스마트부품, 항노화메디컬 등 주력산업 연계형 중소기업 R&D지원 확대
및 리쇼어링 기업 지역유치 활성화
- 지역 주력산업 성장 지원을 위한 실용기술 및 특화제품 양산기술 개발 지원 등 현장 애로사항 해소
- 경남 주력산업 관련 핵심기술 및 주요부품에 나노‧ICT기술 적용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달성
■ 제조업 중심의 지역 산업과 ICT 융합 촉진을 통한 스마트 제조혁신 실현
- 지역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 등 제조업과 소프트웨어 융합을 위한 혁신 생태계 조성
- 산학 협력에 기반한 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AI, 블록체인 등 ICT 지역인재 양성 확대
- 스마트공장 연계 제조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한 제조공정 혁신 및 지역 스마트 제조 생태계 육성
■ 전문성 기반의 과학문화 추진체계 고도화 및 서비스 강화
- 지역 과학문화 전담기구인 경남과학문화거점센터 운영을 통한 전문화‧체계화된 과학문화 활동 전개
- 연령별‧지역별 수요에 맞는 맞춤형 과학문화 콘텐츠 발굴 및 학생‧일반인‧기업 등 민간 주도의 과학문화 프
로그램 지원 확대
- 지역 내 온‧오프라인 과학문화 인프라 실태 조사‧분석을 통한 지자체 과학문화 정책 기획 및 모니터링 기반 마련
REGIONAL S&T YEARBOOK 2020 501
제17절 제주특별자치도
1. 지역・산업현황
가. 인구현황
■ ’19년 제주도의 인구는 약 65만 명으로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
- 전국인구대비 제주도 인구의 비중도 1.28%로 작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가장 높은 경제활동참가율을
보임(68.9%)
표 3-17-1 ❙ 제주특별자치도의 인구현황(2015년~2019년)
연도
항목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인구(명) 587,217 623,332 634,161 652,693 659,539
전국대비 비율(%) 1.16 1.22 1.23 1.26 1.28
경제활동참가율(%) 69.2 70.1 72.3 70.2 68.9
실업률(%) 1.9 2.2 1.9 2.2 2.1
※ 출처 : 1) 인구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인구・가구 - 장래인구추계 – 연령별(시도) 추계인구(조사 시점 : 2020. 10.)
2) 경제활동참가율・실업률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고용노동임금 – 고용 – 경제활동인구조사 – 경제활동인구총괄 – 행정구역(시도)별 경제활동인구
(2019. 6. 27. 시점)
3) 2017년 인구총조사(11월 1일자)의 성연령별 인구 기초로 기준인구(2017년 7월 1일자) 확정해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 분석하였음
50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산업현황
(1) 지역 총 생산 및 산업구조
■ 제주도의 ’19년 지역내 총생산은 2015년 환산치 기준 약 19조 원으로, 최근 5년간 평균 약
3.09%의 증가율을 나타냄
- 기타서비스업이 약 47.81%로 비중이 가장 높고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이 22.45%로 그 뒤를 이음
표 3-17-2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내총생산 및 산업구조(2019년) (단위 : 백만원, %)
구 분
지역내 산업구성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지역내총생산 16,946,709 18,307,842 19,144,657 18,968,300 19,142,277
(지역내비중, %)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농림・어업・광업 1,756,527 1,854,819 1,903,679 1,658,229 1,608,275
(지역내비중, %) (10.37) (10.13) (9.94) (8.74) (8.40)
제조업 647,834 710,446 777,345 749,941 711,436
(지역내비중, %) (3.82) (3.88) (4.06) (3.95) (3.72)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369,349 335,850 365,495 349,266 320,732
(지역내비중, %) (2.18) (1.83) (1.91) (1.84) (1.68)
건설업 1,530,408 1,916,635 2,145,254 1,752,148 1,575,526
(지역내비중, %) (9.03) (10.47) (11.21) (9.24) (8.23)
기타서비스업 7,680,793 8,260,408 8,424,267 8,904,420 9,151,373
(지역내비중, %) (45.32) (45.12) (44.00) (46.94) (47.81)
정부/민간비영리생산 3,573,946 3,656,334 3,904,838 4,082,347 4,297,054
(지역내비중, %) (21.09) (19.97) (20.40) (21.52) (22.45)
순생산물세 1,387,852 1,573,350 1,628,587 1,504,838 1,509,146
(지역내비중, %) (8.19) (8.59) (8.51) (7.93) (7.88)
※ 주1 : 2015년 기준 환산치 적용
주2 : 기타서비스업은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사업서비스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을 포함
주3 : 정부/민간비영리생산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을 포함
주4 : 순생산물세는 생산물세에서 정부보조금을 공제한 것을 말함
주5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국민계정,지역계정>지역계정>지역소득(2015년 기준)>시도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2019)
REGIONAL S&T YEARBOOK 2020 503
(2) 특화제조업
(가)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
■ ’18년 제주도의 제조업 총 생산액은 약 1조 7,866억 원이고, 205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5,165명이
제조업에 종사 중
- 생산액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약 6,383억 원(전체의 35.73%)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87개(전체의 42.4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종사자 수에서는 ‘식료품 제조업’이 2,204명(전체의 42.6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표 3-17-3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의 산업 내 구성비(2018년)
구 분
산업내 구성비
생산액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백만원) (%) (개) (%) (명) (%)
식료품 제조업 638,382 35.73 87 42.44 2,204 42.67
음료 제조업 348,221 19.49 13 6.34 800 15.49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 1 0.49 -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62,865 3.52 9 4.39 217 4.20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 2 0.98 -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37,014 2.07 11 5.37 234 4.53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 1 0.49 -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56,484 3.16 11 5.37 230 4.45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64,533 20.40 50 24.39 803 15.55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14,283 0.80 4 1.95 62 1.20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 2 0.98 - -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 - 2 0.98 - -
전기장비 제조업 21,710 1.22 6 2.93 116 2.2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6,272 0.91 4 1.95 89 1.72
기타 제품 제조업 - - 1 0.49 - -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 1 0.49 - -
총 계 1,786,658 100.00 205 100.00 5,165 100.00
※ 주 : 2007년 이후 5명 이상 기준에서 10명 이상 기준으로 변경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업・제조업조사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출하액, 생산액, 부가가치 및 주요생산비(10인 이상)-생산액, 사업체 수
[광제조]시도/산업분류별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및 급여액(10인 이상)-종사자 수 참고
50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제조업 특화도
■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를 동시에 고려할 때 특화도가 매우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분야는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으로 나타남
표 3-17-4 ❙ 제주특별자치도 제조업 특화도 분포(2018년)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
매우 높음 비교적 높음 낮음
부
가
가
치
기
준
특
화
도
매우
높음
∙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
업
∙ 식료품 제조업
∙ 음료 제조업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비교적
높음
낮음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전기장비 제조업
∙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
외
※ 주1 : 2018년 제조업의 산업 중분류별 현황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여 가공함
주2 : 매우 높음은 특화계수가 2.0 이상을, 비교적 높음은 1.0 이상 2.0 미만을, 낮음은 1.0 미만을 가리킴
주3 : 부가가치 기준 특화도와 종사자 수 기준 특화도는 각각 다음과 같이 산정
부가가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해당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지역의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 (전국 전산업부가가치 생산액)
종사자 수 특화도 =
(지역의 해당산업종사자 수) / (전국 해당산업 종사자 수)
(지역의 전산업종사자 수) / (전국 전산업종사자 수)
※ 출처 :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광공업・에너지>광업・제조업조사>산업편>10차개정>시도/산업분류/종사자 규모별 주요지표(10명 이상)>광역시・도별
부가가치 및 종사자 수 활용
REGIONAL S&T YEARBOOK 2020 505
(3) 지자체의 중점전략분야
■ 제주도는 ‘스마트아일랜드 구축’과 ‘신재생에너지산업’,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지능형
MICE 산업’에 초점을 둔 사업들을 중점 운영・관리하고 있음
표 3-17-5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전략분야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스마트아일랜드 구축
버스정보시스템(BIS) 확대 구축
개방형 스마트관광서비스 플랫폼 활성화 사업
플랫폼 고도화
빅데이터 플랫폼 활용체계 구축
스마트그리드 및 재생에너지 부품소재업 기술개발사업
제주 빅데이터센터 운영지원 사업
빅데이터 분석, 컨설팅
도내 ICT기업 지원
(제주지역 ICT 신기술 개발 지원사업, IT제품 Step-up 지원사업)
중소기업 빅데이터 활용 지원사업
디지털 참여 플랫폼 운영 및 활성화
첨단제조기업 제조설비 투자비용 지원사업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기업지원
기술거래촉진 네트워크 사업
제주IP디딤돌(창업존) 운영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교육장 조성
제주 제조기업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지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육성을 위한 OpenLAB 구축과 기반기술 보급
신재생에너지산업
제주 전기차 에코랠리
제6회 국제전기자동차 엑스포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사업
풍력관련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EV 폐배터리 재활용센터 구축사업
전기차 재사용 배터리 활용 인프라 실증 사업
장애인 등 교통약자 맞춤형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전기차 민간 충전서비스 사업 육성 사업
친환경 에너지 보급
50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중점관리사업 주요사업
신재생에너지산업
청소년 환경교육프로그램
전기차 정책 연구센터 운영
전기버스 개방형 충전기 구축사업
제주환경대학 운영지원
고급환경전문가과정 위탁교육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제주바이오산업 육성 기반 강화 사업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제주지역산업육성기획 지원사업
제주생물종다양성 연구소 운영사업
축산물 고품질 생산관리 기술개발 지원(제주흑우 대량증식 및 산업화)
6차산업화 지원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지원
청정자원기반 화장품 원료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용암수 융합산업 육성
제주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
지역과학축전 운영사업
바이오(로하스, 항노화, 화장품 등)박람회 및 학술 포럼 지원사업
식품산업 육성을 위한 세미나 및 학술대회
제주화장품산업 육성 및 제품생산 활성화 사업
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사업
지능형 MICE산업
지역SW진흥지원사업 (지역 SW기업 성장 지원사업 등 2개 사업)
코딩교육 프로그램 확산사업
제주국제크루즈산업 네트워크 활성화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 사업
방송장비산업 인프라 구축사업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양성 지원사업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영
제주ICT 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 지원사업
문화・예술・콘텐츠 스타트업 육성사업
지역SW 서비스 사업화 사업
테크플러스 제주 개최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지방과학기술진흥 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및 2020년 시행계획
REGIONAL S&T YEARBOOK 2020 507
(4) 산업단지 및 벤처기업 현황
(가) 산업단지현황
■ 국가산업단지 2개, 일반산업단지 1개, 농공산업단지 3개가 있음
- 총 6개 산업단지의 가동 업체는 215개, 총 종사자 수는 3,431명
표 3-17-6 ❙ 제주특별자치도 산업단지 현황(2020년 2/4분기)
단지명
지정면적
(천㎡)
관리면적
(천㎡)
입주업체(개) 종사자 수
(명)
분양률
(%)
비고
계약 가동
국가
제주첨단과학기술 1,099 1,071 162 159 2,594 100 완료
제주첨단과학기술2단지 848 847 - - - - 미개발
일반 용암해수 197 197 9 5 146 100 완료
농공
대정 115 115 21 19 221 100 완료
구좌 67 67 16 15 183 100 완료
금능 130 130 19 17 287 100 완료
※ 출처 : 한국산업단지통계 e-cluster(http://www.e-cluster.net),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4분기)
50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벤처기업현황
■ 2020년 기준으로 제주도에는 총 236개의 벤처기업이 있음
- 업종별로는 ‘식료품 제조업’이 32개로 가장 많았으며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이 22개로 그 뒤를 이음
표 3-17-7 ❙ 제주특별자치도 업종별 벤처기업 현황(2020년) (단위 : 개)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농업, 임업 및 어업(01~03) 6
광업(05~08) -
제조업(10~34)
식료품 제조업 32
음료 제조업 6
담배 제조업 -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2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1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3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2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
1차 금속 제조업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2
전기장비 제조업 21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3
가구 제조업 -
기타 제품 제조업 6
REGIONAL S&T YEARBOOK 2020 509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코드 및 항목의 대분류에 따라 기업 수를 산출하며, 제조업은 중분류로 세분화하여 기업 수를 산출
※ 출처 : 기술보증기금 요청자료(http://www.kibo.or.kr), 2020년 11월말 기준
대분류 중분류 기업 수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35)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36~39) 2
건설업(41~42) 7
도매 및 소매업(45~47) 14
운수 및 창고업(49~52) 3
숙박 및 음식점업(55~56) 3
정보통신업(58~63) 51
금융 및 보험업(64~66) -
부동산업(68)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0~73) 22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4~76) 6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4) -
교육 서비스업(85)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86~87)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0~91) 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94~96) 2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 소비 생산활동(97~98) -
국제 및 외국기관(99) -
총합계 236
51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지역 과학기술혁신 역량
가. 투입지표
(1) 과학기술자원
(가) 연구개발인력
■ 제주도의 연구개발인력은 17개 광역시・도 중 17위 수준
- ’18년 연구개발인력은 3,261명(전국의 0.47%)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연구개발인력 증감율은 약
7.54%
- 연구주체별로 보면 연구개발인력 수는 대학이 1,811명(전국의 0.91%)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
연구소가 736명(전국의 1.26%), 기업이 714명(전국의 0.16%)으로 그 뒤를 이음
표 3-17-8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인력 현황(2018년) (단위 : 명,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인력
전국
대비
비중
대학 1,381 0.74 1,306 0.71 2,093 1.13 1,884 1.01 1,811 0.94
∙ 국공립 1,330 1.71 1,258 1.59 2,013 2.62 1,827 2.39 1,751 2.20
∙ 사립 51 0.05 48 0.05 80 0.07 57 0.05 60 0.05
공공연구소 524 1.01 564 1.04 665 1.57 723 1.30 736 1.26
∙ 국공립 486 4.30 504 4.67 514 4.92 422 3.94 373 3.05
∙ 정부출연 38 0.12 60 0.18 68 0.21 74 0.23 80 0.25
∙ 병원 및 기타 0 0.00 0 0.00 83 0.65 227 1.73 283 2.08
기업 588 0.16 550 0.14 557 0.15 614 0.15 714 0.16
∙ 정부투자기관 5 0.14 14 0.39 20 0.52 28 0.71 22 0.56
∙ 민간기업 583 0.16 536 0.14 537 0.14 586 0.14 692 0.16
합 계 2,493 0.41 2,420 0.39 3,315 0.54 3,221 0.50 3,261 0.47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511
■ ’18년 제주도 인구 만 명 당 연구원 수는 전년도보다 0.9명 감소한 28.0명으로 조사됨
표 3-17-9 ❙ 제주특별자치도의 최근 5년간 인구 1만 명 당 연구원 수 추이(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6.5 26.4 27.8 28.9 28.0
※ 출처 :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나) 연구개발투자
▣ 총 연구개발투자
■ ’18년 제주도의 총 연구개발비는 1,589억 원으로 전국 대비 0.19%
- 지난 5년간 연구개발비의 증가율은 –0.30%로 감소추세
- 연구주체별 연구개발비 투자액을 살펴보면, 대학이 약 586억 원(전국의 0.83%), 공공연구소는 약
562억 원(전국의 0.57%), 기업이 약 440억 원(전국의 0.06%)
- ’17년과 비교하여 전국대비 비중은 공공연구소는 감소, 대학 및 기업은 소폭 증가
표 3-17-10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기관별 연구개발비 동향(2018년) (단위 : 백만원,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비
전국
대비
비중
대학 65,555 1.14 54,831 0.91 66,002 1.04 55,997 0.84 58,688 0.83
∙ 국공립 63,961 2.43 52,740 1.94 62,835 2.19 54,159 1.83 57,330 1.86
∙ 사립 1,594 0.05 2,091 0.06 3,167 0.09 1,838 0.05 1,358 0.03
공공연구소 58,346 0.72 49,289 0.56 57,669 0.63 64,930 0.68 56,258 0.57
∙ 국공립 51,207 6.80 40,636 5.23 46,905 6.28 51,760 6.49 43,036 5.29
∙ 정부출연 7,139 0.11 8,653 0.12 6,815 0.10 9,358 0.13 10,775 0.14
∙ 병원 및 기타 0 0.00 0 0.00 3,949 0.32 3,812 0.29 2,447 0.17
기업 36,981 0.07 27,848 0.05 31,788 0.06 35,097 0.06 44,017 0.06
∙ 정부투자기관 380 0.06 1,301 0.21 1,174 0.15 1,663 0.19 3,453 0.38
∙ 민간기업 36,601 0.07 26,547 0.05 30,614 0.06 33,434 0.05 40,564 0.06
합 계 160,882 0.25 131,968 0.20 155,459 0.06 156,024 0.20 158,963 0.19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1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정부 연구개발투자
■ ’19년 중앙정부의 제주도에 대한 연구개발투자액은 1,487억 원으로 정부투자 총액의 약 0.7%
차지
-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6.97%
표 3-17-11 ❙ 제주특별자치도의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투자금액(억원)
(전국대비비중(%))
1,136 1,410 1,242 1,286 1,487
(0.6) (0.8) (0.6) (0.7) (0.7)
전국 181,807 183,355 192,688 195,745 204,597
※ 출처 : 각 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 지자체 과학기술혁신역량
(1) 목표 및 기본전략(ʼ19 투자실적)
▣ 목표 및 추진전략
■ 스마트 아일랜드 구축을 위한 연관 산업 육성 및 지속적 투자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지원(39억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육성을 위한 OpenLAB 구
축과 기반기술 보급(22억원),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18억원), 제주 디지털 제조 Try-out센터 구축사
업(17억원), 버스정보시스템(BIS) 확대 구축(14억원), 제주 제조기업 스마트 공장 보급・확산사업지
원(10억원), 제주 빅데이터 센터 운영(5억원),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5억원), 디지털 참여 플랫
폼 운영 및 활성화(4억원) 등
■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전후방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 글로벌 EV 폐배터리 재활용센터 구축사업(52억원), 장애인 등 교통약자 맞춤형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30억원), 전기차 민간 충전서비스 사업 육성 사업(14억원), 친환경 에너지 보급(14억원), 제주 신
재생에너지 융복합 EV충전스테이션 구축(10억원), 대기측정망 및 대기오염경보제 운영(10억원), 풍
력관련 전문인력양성(7억원), 도 구축 개방형 충전기 통합 운영관리(7억원), 전기버스 개방형 충전
기 구축사업(5억원) 등
■ 청정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산업 특화유망 분야 발굴 및 지역특화산업으로의 발전 육성
- 제주지역주력산업 육성사업(청정헬스푸드 등 190억원), 용암수 융합산업 육성사업(108억원), 경제
협력권산업 육성사업(화장품뷰티산업 등 91억원), 제주 청정자원 화장품원료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REGIONAL S&T YEARBOOK 2020 513
(77억원), 제주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52억원), 제주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39억원), 제
주연구원 운영지원(39억원), 제주테크노파크 운영지원(21억원), 축산물 고품질 생산관리 기술개발 지
원(21억원), 유용 아열대 미생물자원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15억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운영(13억원), 제주한의약연구원 운영 지원(13억원), 6차산업화 지원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지원
(11억원), 수산산업 창업투자지원(11억원), 제주화장품 인증제도 활성화사업(10억원), 지역산업 맞
춤형 인력양성사업(10억원), 종자생산 연구기반 조성사업(7억원), 제주바이오산업 육성 기반강화사
업(6억원) 등
■ ICT융합기술 개발 및 SW산업 육성을 통한 MICE산업 활성화
-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리모델링사업(18억원), 지역SW융합제품 상용화 지원사업(11억원), 코
딩교육 프로그램 확산사업(7억원),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6억원), 제주국제크루즈산업 네트워
크 활성화(5억원), 지역SW성장지원사업(4억원),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 지원사업(3억원), 지역문화
산업연구센터 지원사업(CRC)(3억원), 제주 ICT 전문인력 양성센터 운영(3억원), 디지털융합센
터 운영지원사업(3억원) 등
51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조직체계
(가) 조직도
■ 제주도 과학기술관련 업무는 미래전략국 미래전략과에서 담당
그림 3-17-1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 조직도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REGIONAL S&T YEARBOOK 2020 515
표 3-17-12 ❙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 현황(2020년) (단위 : 명)
계 정무직 일반직 연구직 지도직 별정직 소방직 경찰직 교육직
6,077 3 4,647 137 103 47 989 151 -
※ 출처 : 2020 행정안전통계연보, 행정안전부
(나) 역할
표 3-17-13 ❙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 미래전략과의 과학기술 관련 역할
∙ 4차 산업혁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 4차 산업혁명 연계 융합사업 발굴
∙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관리
∙ 제주4차 산업혁명 전략펀드 1,2호 펀드 운영 및 투자대상
기업 발굴
∙ 제주4차 산업혁명 전략펀드 3,4호 펀드 조성 및
투자운용사 발굴 및 선정
∙ 4차 산업혁명 기술적용 및 실증기업 관련 업무 추진
∙ 테스트베드 과제 발굴조성 및 실무협의회 업무
∙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규제 개선
∙ 4차 산업혁명 정책 제도개선 계획 수립
- 관련 부처 협의 및 규제 발굴
∙ 디지털사회혁신(DSI)사업추진
- 스스로해결단 구성ㆍ운영
- 디지털기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발굴ㆍ추진
∙ 지식재산권 육성 및 지원 추진
∙ 지식재산진흥계획 수립 및 추진
∙ 지식재산 페스티벌/제주발명축제 운영 추진
∙ 국가혁신클러스터 조성 추진
∙ 제주테크노파크 운영 지원 및 지도・감독
∙ 제주벤처마루 운영관리
∙ 지역혁신거점 육성 사업
∙ 제주지역 산업 육성 기획 지원 사업
∙ 경제협력권산업 육성 사업
∙ 지역 기반구축 기획・대상사업 선정 지원
∙ 제주지역사업평가단 운영 지원
∙ 지역혁신성장특구 지원 업무
∙ 지방과학기술진흥 계획 수립
∙ 지역 R&D사업 지원관리
∙ 제주연구개발지원단 지원 사업
∙ 과학기술 연구기관 유치 업무
∙ 도내 ICT 교육 관련
- ICT 전문 인력 양성사업 지원
- 코딩 교육 운영 및 활성화
∙ 도내 ICT 기술혁신 지원 및 산업 육성
∙ 지역산업 연계 ICT 융・복합 사업 발굴 유치
∙ 블록체인, AI, 3D프린터, 5G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 제도
관련 (지역혁신 특구 등) 업무 추진 및 신기술 적용 사업
발굴 및 추진
∙ 과학관 설립 계획 승인 및 등록, 관리 업무
∙ 지방 과학기술문화 확산 업무
∙ 과학관련 축제 및 행사 지원
∙ 첨단제조기업 지원
∙ 산학융합지구 조성 및 운영 지원
∙ 혁신도시 공공기관연계 육성 사업
∙ 기술융복합 제품개발 및 성능인증 지원 사업
∙ 기술거래, 기술사업화 촉진사업 추진
∙ 스타트업 실태조사 용역기관 선정 및 보고서 작성 관리 및 감독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제주혁신성장센터 운영 및 지원
∙ 신산업 관련 외부자문단 구성ㆍ운영
∙ 타기관 공모사업 참여 지원
- 연구개발과제 참여 및 실증 지원
∙ 디지털융합과제 발굴 추진
∙ 데이터기반 행정 빅데이터 컨설팅
∙ 국민참여협업프로젝트 사업 추진
∙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관리・운영
∙ 빅데이터 시스템 유지 관리 및 사용자 권한 관리
∙ 공공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운영 관리
∙ 빅데이터 기본/시행 계획 수립
∙ 빅데이터 및 공공데이터 제도 정비 및 운영
∙ 공공빅데이터 이용활성화 교육 추진
∙ 데이터 기반 과학적 행정 구현 및 활성화 추진
∙ 공공빅데이터 실무협의회 구성 운영
∙ 빅데이터 관련 각종 위원회 운영
∙ 제주데이터 허브 운영 및 민간 활용 활성화
∙ 지역 중소기업 빅데이터 활용 지원 사업
∙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 관리
∙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 정책 발굴 및 추진
∙ 빅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및 분석사업 추진
∙ 빅데이터센터 설립 및 운영
∙ 빅데이터 민관 협력 및 인프라 구축・관리・운영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관리(고정밀 GNSS
데이터, 이동형 IoT센서 데이터 등)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51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다) 지역과학기술위원회
▣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추진체계
■ 위원회의 주요 기능 및 활동
- 협의회 기능(심의)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진흥조례」 제6조
∙ 과학기술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사항
∙ 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육성 및 발전방안에 관한 사항 등
■ 위원장 및 위원의 임기(기간)
- 2년 (2019. 2. 12 ~ ’2021. 2. 11)
■ 연간 회의 개최횟수(2020년) : 1회(서면)/연간
■ 위원회 연간 일정(2020년) :
- 2020. 3월 ’19년도 추진실적 및 ’20년도 시행계획(안) 심의
- 코로나-19로 인한 서면 심의 진행
▣ 위원회 명단 및 원소속기관
■ 위원장, 담당 부처 국장 : 당연직(2명), 간사(1명)
- 담당부처 :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 미래전략과
- 위촉위원 11명으로 구성(남6, 여5)
표 3-17-14 ❙ 제주특별자치도 지역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명단 (2020년 11월 기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원장 최승현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당연직
당연직 윤형석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국장 당연직
위촉직 김영철 前 (재)제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2019.2.~2021.2.
위촉직 박현정 제주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2019.2.~2021.2.
위촉직 박찬정 제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2019.2.~2021.2.
위원장 이은주 제주국제대학교 컴퓨터응용공학과 교수 2019.2.~2021.2.
위 원 오인실
제주중앙여중학교 과학 교사
(前 제주학생발명교육연구회 회장)
2019. 2. 12 ~ ’2021. 2. 11
REGIONAL S&T YEARBOOK 2020 517
※ 출처 : 제주특별자치도 내부자료
(3) 과학기술 투자
(가)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주도의 총예산은 약 7조 3,854억 원으로 이 중 자체 과학기술 관련 예산은 약 716억 원
- 과학기술 예산 중 제주도가 투자하는 지방비의 비중은 51.70%
표 3-17-15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기술관련 예산 현황(2019년) (단위 : 억원, %)
구 분 2019년
총 예 산 73,854
재정자주도(%) 73.0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1,385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中 지방비) 716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0.97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51.70
※ 주1 : 총예산 - 2019년 시・도별 세출결산, 순계 기준
주2 : 재정자주도 - 결산, 총계 기준(본청)
주3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계획) : 과학기술관련 국비+지방비+기타 투자
주4 : 지역예산 대비 과학기술관련 예산 비율(%)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예산 × 100(%)
주5 : 지역 총 과학기술예산 대비 지방비 투자비중(%) = 자체 과학기술관련 예산(지방비) ÷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100(%)
※ 출처 : 1) 총예산, 재정자주도 - 지방재정365(http://lofin.mois.go.kr),
2) 총 과학기술관련 예산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분 성명 소속 임기
위촉직 홍정순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전략기획부장 2019.2.~2021.2.
위촉직 김세재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교수 2019.2.~2021.2.
위촉직 이호원 제주대학교 기계메카에너지화학공학부 교수 2019.2.~2021.2.
위촉직 김정혁 제주국제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2019.2.~2021.2.
위촉직 오영훈 제주국제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2019.2.~2021.2.
위촉직 김창숙 제주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2019.2.~2021.2.
간 사 한영수 미래전략과장 당연직
51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
■ ’19년 제주도는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분야에 가장 많은 약 429억 원을 투자
- 국비의 경우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과제에 약 232억 원을 투자
- 지자체가 투자하는 지방비는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역할 강화’ 과제에 약 192억
원을 투입
표 3-17-16 ❙ 제주특별자치도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실적(2019년) (단위 : 백만원)
중점추진과제 주요사업 국비 지방비 기타 합계
지역의 R&D 투자 결정권 강화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친환경에너지보급
7,693 6,252 578 14,523
지방정부의 R&D 기획・평가역량 확충
제주연구원 운영 지원
버스정보시스템(BIS) 확대 구축
2,513 8,785 - 11,298
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체계 개선
서식지외보전기관 운영사업
말 연관산업 인프라 조성사업
105 203 60 368
지역거점대학의 연구 및 교육 경쟁력
제고
(재)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운영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1,894 4,106 331 6,331
지역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지역 혁신
역할 강화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지원
제주형 스마트 아그로팜 산업육성을 위한
OpenLAB 구축과 기반기술 보급
5,571 19,204 465 25,239
지역 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
제주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
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19,798 12,397 243 32,438
지역산・학・연공동연구활성화
고능력 수정란 이용 한우 암소개량
디지털융합센터 운영지원
534 973 - 1,507
지역 내 기술사업화 촉진 시스템 강화
축산물 고품질 생산관리 기술개발 지원
6차 산업 활성화 지원
1,620 1,461 737 3,818
지역 혁신클러스터 고도화
용암수 융합산업 육성사업
제주 청정자원 화장품원료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
23,203 18,207 1,520 42,930
합계 62,931 71,588 3,934 138,452
※ 주1 : 중점추진과제는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상의 9대 중점추진과제를 의미
주2 : 주요사업은 단위사업 중 중점추진과제별 투자실적 기준 상위 2개 사업 기입
※ 출처 :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9년도 추진실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REGIONAL S&T YEARBOOK 2020 519
다. 과학기술하부구조
(1) 연구개발조직 현황
▣ 연구개발조직
■ ’18년 제주도의 연구개발조직은 총 187개로 전국의 0.38% 비중을 차지
- 최근 5년간 연구개발조직은 연평균 11.27% 증가
- 5년간 대학 수 1개 증가, 공공연구소 5개 증가, 기업 59개 증가
표 3-17-17 ❙ 제주특별자치도 연구개발조직 현황(2018년) (단위 : 개, %)
연구주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연구
개발
조직
전국
대비
비중
대학 5 1.22 4 0.97 5 1.20 5 1.22 6 1.64
∙ 국공립 2 2.47 2 2.27 2 2.22 2 2.25 2 2.53
∙ 사립 3 0.91 2 0.62 3 0.91 3 0.93 4 1.40
공공연구소 11 2.13 13 2.43 16 2.88 17 2.99 16 3.99
∙ 국공립 8 5.97 9 7.14 10 8.47 9 7.09 10 13.89
∙ 정부출연 3 1.71 4 2.03 4 2.47 4 2.50 3 3.95
∙ 병원 및 기타 0 0.00 0 0.00 2 0.73 4 1.42 3 1.19
기업 106 0.34 97 0.27 109 0.28 127 0.30 165 0.34
∙ 정부투자기관 1 2.22 1 2.22 1 2.33 1 2.04 1 2.38
∙ 민간기업 105 0.34 96 0.26 108 0.28 126 0.30 164 0.34
합 계 122 0.38 114 0.31 130 0.33 149 0.34 187 0.38
※ 주 : 병원 및 기타 항목에는 지방자치단체출연, 기타비영리, 국공립병원, 사립병원이 포함
※ 출처 : 각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2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2) 대학
(가) 대학 수
■ ’20년도 제주도 소재 대학 수는 4개
- 일반대학 2개, 전문대학 2개 존재
표 3-17-18 ❙ 제주특별자치도 대학 현황(2020년) (단위 : 개교)
구분 국립 공립 사립 합계
일반대학 1 - 1 2
산업대학 - - - -
교육대학 - - - -
전문대학 - - 2 2
방송통신대 - - - -
기술대학 - - - -
기능대학 - - - -
합 계 1 - 3 4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나) 대학교 재학생 현황
■ ’20년에 제주도 소재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은 총 2만 1,414명임
- 이공계 재학생은 자연계열 학생이 3,331명(전체의 약 15.6%), 공학계열 학생이 2,799명(전체의 약
13.1%)
표 3-17-19 ❙ 제주특별자치도 고등교육기관 계열별 재학생 수(2020년) (단위 : 명, %)
구분
이공계
의약학 예체능 교육계 인문계 사회계 전체
자연계 공학 소계
재학생 수 3,331 2,799 6,130 3,103 1,642 1,804 1,933 6,802 21,414
비중(%) 15.6 13.1 28.6 14.5 7.7 8.4 9.0 31.8 100.0
※ 고등교육기관 대상이며, 일반대학, 전문대학, 교육대학, 기술대학, 사내대학, 기능대학, 전공대학, 대학원, 각종학교,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원격대학이 포함됨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REGIONAL S&T YEARBOOK 2020 521
(3) 주요 R&D 거점 현황
(가) 기술개발거점
▣ 선도연구센터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은 각 대학에 흩어진 우수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결집하여 체계적 지원을
통한 “세계적인 연구그룹”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1990년부터 꾸준히 시행
- 목적과 연구분야에 따라 ‘이공학연구센터(SRC/ERC)’와 기초의과학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초의과
학연구센터(MRC)’, 초학제간 융합 그룹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 분야(CRC)’와 ‘글로벌핵심연구
센터(GCRC)’, ‘지역특화분야(RLRC)’ 등으로 구분
■ 제주는 ’20년 기준 운영하고 있는 선도연구센터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됨
▣ 지역혁신센터
■ 지역혁신센터(RIC)는 대학의 연구기반과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산학협력과 중소기업의 기
술혁신을 선도하기 위해 1995년도부터 시행한 대표적인 R&D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 기존의 산업통상자원부 지역기술혁신센터(TIC: Technology Innovation Center) 사업과 과학기술정보통
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RRC: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을 통합한 모델임
- 해당 사업은 ’04년 산업통상자원부로, ’18년 다시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된 후, 사업종료 된 일몰사
업이나, 현존하는 센터에서 자체사업을 통해 센터 운영 중임
■ 제주의 경우 지역혁신센터 또한 2020년 기준 운영 중인 센터가 없는 것으로 조사됨
(나)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
■ 창업보육센터란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자금, 사업장 및 시설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에게 입주공간 제공 및 경영, 세무, 기술지도 등을 지원함으로써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시설을 지칭함
■ ’20년 제주도에는 대학・연구기관・기업 등에 4개의 창업보육센터가 설치・운영 중
52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표 3-17-20 ❙ 제주특별자치도 창업보육센터(BI) 현황(2020년)
기관명 센터명 개소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관광대학 창업보육센터 2002-07-19
제주국제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0-12-1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1999-07-10
제주한라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창업보육센터 2002-12-31
※ 출처 :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http://www.bi.go.kr)
(다) 과학문화 하부구조
▣ 과학관
■ 제주도에는 공립과학관 3개소, 사립과학관 3개소가 운영 중
표 3-17-21 ❙ 제주특별자치도 과학관 개소 현황 (2020년)
과학관명 소속 구분
제주미래교육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공립
제주별빛누리공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공립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공립
제주해양과학관 ㈜한화호텔&리조트 사립
아이디어생활과학관 제주돔레저 사립
로봇스퀘어 ㈜로봇스퀘어 사립
※ 출처 : 한국과학관협회 내부자료(2020. 11월 기준)
▣ 생활과학교실
■ ’20년 기준, 제주도의 생활과학교실 강좌는 173개가 운영 중임
표 3-17-22 ❙ 제주특별자치도 생활과학교실 강좌 수 (단위 : 개)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47 30 69 754 571 173
※ 주 : 2014년까지 운영개소 수, 2015년부터 강좌 수로 집계
※ 출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0년 10월말 기준
REGIONAL S&T YEARBOOK 2020 523
3. 성과
가. 특허 현황
■ ’19년도 제주도 특허출원 건수는 891건이고, 특허등록 건수는 430건
- 최근 6년간 특허출원 건수는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특허등록 건수는 ’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표 3-17-23 ❙ 제주특별자치도 특허출원 및 등록건수 현황 (단위 : 건)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특허출원 건수 574 630 689 817 837 891
특허등록 건수 413 290 305 384 412 430
※ 주 : 출원은 제1출원인의 주소지 기준, 국내 출원에 한함, 등록은 국내 권리자 중 제 1권리자의 주소 기준
※ 출처 : 특허청 홈페이지(http://www.kipo.go.kr)>IPSS 지식재산통계서비스>시도별 출원 및 등록 건수
나. 논문 현황
■ ’19년 제주도의 SCI 논문 게재 건수는 856편(공저자 기준)으로 전국 논문 수의 0.84%
표 3-17-24 ❙ 제주특별자치도 SCI 논문 게재 현황 (단위 : 건, %)
연도
공저자 기준 주저자 기준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논문수
전체논문대
비
점유율(%)
피인용수
1편당
피인용수
2017 676 0.73 4,409 6.52 324 0.64 2,214 6.83
2018 685 0.72 2,970 4.34 329 0.63 1,648 5.01
2019 856 0.84 1,476 1.72 422 0.78 763 1.81
※ 주 : 전체논문은 지역미상의 논문을 제외한 논문 수 기준
※ 출처 : KAIST 학술문화원 내부자료(과학기술 논문성과 분석연구(2005~2019), 2020.11월)
※ 추출시전에 따라 연도별 논문 수의 차이가 있으며, 피인용도는 유동적임; 매년 과거연도 소급적용
524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4. 중점 추진사항
가. 중점현황
▣ 비전 및 목표 : 지역 특화 과학기술로 스마트아일랜드 구축
■ 미래주도형 지역 R&D 융합기술 투자 확대
- 미래유망산업 R&D 집중 투자
- 융합기술을 위한 지역혁신 주체간 특성화 유도 및 투자확대
- 4차 산업기술 연계 제주 미래유망산업 발굴 및 추진
■ 산・학・연 중심의 과학기술 산업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정책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 혁신 도시 공공기관 및 거점기관 협력 연구를 통한 산업생태계 조성
■ 국내외 과학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 R&D 혁신 주체간 정보・지식교류
- 국내외 유관기관 업무협약 등 과학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 지능형 MICE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역량 강화
■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 지역특화산업, 융합기술, SW산업 관련 전문인력 양성
- 지역 유입 고급전문 인력 활용
- 4차 산업혁명시대 제주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 추진전략
■ 미래주도형 지역 R&D 융합기술 투자 확대
- 4차 산업기술 연계 미래유망산업 R&D 발굴 및 추진
- 융합기술을 위한 지역혁신 주체간 특성화 유도 및 투자확대
- 미래주도형 기초・원천 융합기술 조기 확보를 위한 창의적, 도전적 아이디어 발굴에 R&D 사업 집중 투자
- 원천융합기술의 조기 확보 및 수준 향상을 위한 지역 혁신 주체간 특성화 유도
- 지역 내 R&D거점기관을 중심으로 한 미래유망 기초・원천 융합기술 개발 추진 및 6차산업 고부가
제품기술 개발 집중
REGIONAL S&T YEARBOOK 2020 525
■ 산・학・연 중심의 과학기술 산업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정책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 혁신도시 공공 및 거점기관 협력 연구를 통한 산업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정책 추진의 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예산 확보 및 거버넌스체계 구축 추진
- 산학연 R&D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제주도 내 과학기술 연구 및 고급인력 양성의 허브로 육성
- 과학기술 기반의 연구형 중・소 벤처기업 집중 육성 기반 조성
- 국가클러스터 유치 및 혁신도시를 거점으로 공공기관 연계 협력
■ 국내외 과학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 지역 MICE 활성화를 통한 제주형 교류 플랫폼 구축
- 국내외 유관기관 업무협약 등 과학기술 네트워크 활성화
- 제주 지역 내 기업, 대학, 연구 기관 등 과학기술 혁신 주체 간의 과학기술 정보・지식을 교류 및 공유
할 수 있는 과학기술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 테스트베드 중심의 글로벌 표준의 경쟁의 장 마련 등
- 지능형 MICE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내 네트워크 환경 조성 및 지역 역량 강화
■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 지역특화산업, 융합기술, SW산업 관련 전문인력 양성
- 지역 유입 고급전문 인력 활용 수요 맞춤형 인력 양성
-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연수, 교육, MICE 기능을 연계한 인재양성 프로그램 고도화
- 창조적 융합기술 전문인력 양성 추진을 위한 혁신 주체간 역할 분담
- 제주대학교와 지역 내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기초기술 전문인력 양성 추진
- 제주테크노파크와 지역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현장중심형 전문인력 양성 추진
- 4차 산업혁명시대 제주지역 일자리 창출 및 인력양성
▣ 중점 추진 아젠다 및 실행전략
■ ICT를 활용한 스마트 관광 섬 기반 강화
- 제주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감성과 경험을 극대화하여, 환경변화에 민감한 창조적인 ICT스마트 관광서비
스를 창출하고 디지털 컨시어지 활용 웰니스 및 제주 관광의 예약, 결제 등 원스톱 서비스 마련
- 빅데이터 활용 맞춤형 관광상품 개발, 심층 컨설팅,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관광
공사, 다음카카오 등 제각각 운영되는 웹 페이지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통합적 플랫폼 구축
526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통해 증강현실, 위치기반 중심 관광 빅데이터 수집 및 관광안내
정보 제공
■ 민간 빅데이터 활용 생태계와 데이터 유통체계 구축
- 빅데이터 전문센터 지정으로 ‘스마트 아일랜드’ 본격 추진
- 스마트카드 등 교통데이터 수집・분석, 공공 와이파이(WiFi) 접속 정보를 활용한 관광객 이동 경로 분석
등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 고정밀 위치정보분석을 위한 위성항법시스템(GNSS)을 도내 버스에 부착해 이를 이용형 사물인터
넷(IoT) 센서로 활용
- 파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는 제주데이터허브를 통해 민간에 개방
■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모델 발굴에 중점 투자
- 블록체인 전후방 연관 산업분야 저변확대와 도민의 인식개선을 위한 각종 포럼 및 홍보지원사업 추진
- ICT신산업 육성사업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시범사업, 블록체인 등 ICT 신사
업 육성 홍보, ICT 신기술 관련 포럼 등 ICT 신기술 산업생태계 조성 추진
■ ‘CFI 2030’을 비전으로 에너지, 전기차 세부 계획 수립
- ①제주 CFI 2030 계획(1차, 2012), ②제주 전기차 중장기 종합계획(2015) ③전기차 연관산업 육성
정책 수립(2017), ④지역에너지계획(5차, 2018), ⑤제주 CFI 2030계획 수정보완 계획(2018), ⑥전
기차 중장기 종합계획 수정계획(2018) 수립
■ 전력수요 100% 신재생 설비 도입, 37.7만대의 전기차 보급 추진
- 제주도의 에너지정책 비전은 「Carbon Free Island JEJU」로 에너지 정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3대 가
치는 청정, 안정, 성장으로 선정
⦁ (청정)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청정 에너지 시스템 구축
⦁ (안정) 에너지 생산 자립화, 거래 최적화, 소비를 최소화하는 안정적 에너지 수급 구조 구현
⦁ (성장) 도민이 주도하는 혁신성장 에너지산업 생태계를 조성
- 비전 달성을 위한 2030년 CFI 계획 4개 정책 목표를 설정
⦁ ①도내 전력수요 100%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도입, ②37.7만 대의 친환경 전기차 도입, ③최
종에너지 원단위 0.071 TOE/백만원 실현, ④에너지 융・복합 신산업 선도
■ 전기자동차 전 주기 라이프 사이클을 반영한 정책 수립
- 전기자동차 전 주기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한 ‘구매→이용→재활용 및재사용→가치 확산’ 정책 추진
REGIONAL S&T YEARBOOK 2020 527
- 제주 지역의 전기차 보급 촉진 및 이용 활성화를 유도하고 산업 육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 발굴
및 전기차 생태계 구축 방안 마련 추진
■ 용암해수 고부가가치 산업화 육성
- 용암해수 산업단지 확장(20㎡→35만㎡) 및 첨단제조 빌딩 등 기반시설 조성, 기업지원을 위한 용암
수를활용한 융복합산업 연구개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업지원, 웰니스 연계 용암수 고도화사
업 추진
■ 식품산업이 ‘프리미엄 소비재’ 선정됨에 따라 지역 식품산업 육성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 민선 7기 공약사항 중 바이오산업 분야 내 제주형 스마트팜(farm)/몰(mall) 구축을 통한
6차 산업화 육성 추진
- 제주도는 제주식품산업경쟁력 강화(2018~2022)를 위해 5년간 158억원을 투입하여 농산물 가공
공장 및 가공설비 구축 지원, HACCP시설 지원 등 추진
■ 도내 식품/음료 기업체 제품 개발 및 생산 지원
- 식품가공 연구 및 품질검사센터 지원 사업과 식품전용 파일럿플랜트(시험생산) 운영지원 사업 수행
- 생산설비 지원(7.2만톤 가공), 음료제조 생산 시설 운영 및 지원(57만병 생산, 2017년 기준)
■ 도내 기업 화장품 제형개발 및 생산지원 실시
- 제주화장품 인증제도 활성화 사업, 제주화장품 생산지원 및 판로개척 활성화 사업과 화장품공장 운영
사업 수행
⦁ 2017년 기준 제주화장품 29개사 86개 제품 인증획득(2017년 기준)
- 제주특별자치도는 2016년부터 제주화장품 인증제도를 도입(제주도 조례제정, 2016.3.) 및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내 화장품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사업 실시
■ 기존 관광시설의 고부가가치화 추진
- 관광산업과 ICT산업과의 융・복합을 추진하기 위해 AR・VR기술을 활용한 관광 상품 개발
⦁ 이와 관련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VR 게임 체험, VR 테마파크 분야 등에 5년간(2016∼2020) 약
4,050억 원을 투자
- 제주지역 문화・관광자원을 콘텐츠화하고, 이를 AR・VR기술을 이용한 상품으로 리뉴얼하여 旣 관
광 사업자에게 공급함으로써 관광산업의 생산성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 추진
■ 문화・자연・관광자원 기반 콘텐츠 발굴
- 제주지역 문화・관광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한 주기적인 수요 조사를 통해, AR・VR 콘텐츠 기반 관광
프로그램 개발 시 활용 가치가 높은 문화・관광 콘텐츠를 발굴 및 DB화
528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나. 향후 추진방향 및 계획
▣ 스마트 아일랜드 구축
■ 공공데이터 정보화 계획 수립 및 조직 구성
- 공공데이터 통합 및 개방을 위해서 공공데이터 표준화 체계 및 계획 수립
- 스마트시티 관련 행정 부서 담당자를 구성원으로 스마트시티 추진단 구성
■ 아일랜드형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
- 스마트시티 표준화 기구(조직)를 설치하여 국제 표준화 도입 및 설계 추진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위해 제주도 전 지역 무선 네트워크화를 추진
■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모델 발굴
- IoT 기술 이용, 도시의 모든 요소들이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
국제 표준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으로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
■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
- 스마트시티 사업 모델이 집중된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
제주 전역에 확산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사업 모델 적용 단지 계획 수립・추진
■ 4차 산업혁명 대응 융・복합 R&D 지원
- AI의 기술개발 및 스마트시티와 연계하여 공공서비스 신규 적용 추진
- 빅데이터를 개방하고 서비스를 확대하여, 공공과 민간 데이터의 통합을 추진
■ 산학공동연구 확산과 기술개발 추진
- 전략산업 연계 실무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콘텐츠 강화
- 아이디어 구현, 프로토타입 제작 및 R&D지원을 위한 대학별 이노베이션센터 구축
▣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 신재생에너지 기반 청정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시스템 실현
- 2019년~2023년까지 5년간 개별 주택에 태양광 발전설비 보급을 위한 에너지자립형 주택 태양광 지원
사업 시행
■ 전기차와 충전기 확대로 청정 수송 시스템 달성
- 전기차 보급 단계별 목표를 연도별로 세부 설정 및 추진
- 전기차 관련 가치창조를 목표로 국제전기차엑스포 지속 개최
REGIONAL S&T YEARBOOK 2020 529
■ 에너지수요관리 고도화로 고효율 저소비 사회 구현
- 고효율 에너지사용 기기 및 스마트에너지 시스템 도입
- 산업체에 공장에너지관리스시템(FEMS) 보급: 에너지 및 설비운영 효율화를 통한 공장에너지 소비
의 효율 향상 및 에너지 절감 도모
■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에너지신산업 혁신성장 동력 확보
- 전기차 폐배터리를 활용해 재생전력, 전기차 충전기(RECharge), 건물, UPS 등에 ESS로 재사용을 통
한 배터리 재활용 ESS 활용 비즈니스모델 확산
- 블록체인 기술을 에너지 분야에 적용해 전기공급자-소비자 간, 소비자-소비자 간 전력 거래, 탄소자
산 거래 및 대금 청산 등에 활용함
■ 도민참여 에너지 거버넌스 구축
- 도민참여 에너지정책 역량 강화, 주민참여 활성화 및 주민수용성 확보
- 지역에너지계획수립 단계에 다양한 관련 기관 및 도민참여 확대로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전문성 강화
및 이행평가 체계 마련
- 지역에너지계획 및 관련 위원회에 도민 참여 확대를 통한 에너지민주주의 구현
▣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 지역 기반산업 연계 지역 특화바이오산업 육성
- 제주의 산업구조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반산업을 중심으로 지역특화 바이오산업 육성 및
산업간 연관관계 강화
- 지역 특화자원 활용 원료를 이용하여 식품과 한방 및 뷰티케어 제품 개발
- 산업인프라 구축 계획 수립, 향토자원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화 기술개발
- 제주 천연자원 활용 기술지원과 청정이미지 브랜드 연계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제품개발 및 해
외시장 진출 집중 지원
■ 시장 중심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지역특화바이오+서비스산업 연계
- 제주지역 경제환경에 적합한 제조+서비스 융합사업의 전략적 투자확대를 통한 신성장동력화 지원
사업 마련
- R&D 성과 극대화와 사업화 촉진을 위한 지역특화바이오사업 활성화 방안 도출
- 활성소재기술확보 및 화장품뷰티산업의 내실화, 글로벌 시장 점유 확대 및 프론티어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바이오의약, 의료기기, ICT 등 타산업과 의료, 관광 등 서비스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한 산업 고도화
530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 친환경, 효능 중심 등의 트렌드를 반영한 고기능성 원천 소재화 및 고기능 제품 개발 집중 지원
- 코스메슈티컬 시장성장에 따른 메디컬 화장품 기술 확보 및 글로벌 시장점유 확대를 위한 수출중심의
전사적 기업지원 통합프로그램 추진 및 관련산업 융복합기술 및 서비스산업연계 기술 확보
▣ 지능형 MICE산업 육성
■ 지능형관광콘텐츠 발굴
- 관광자원 기반의 AR・VR 콘텐츠 개발 및 문화・관광 프로그램화를 통한 旣 관광사업자의 부가가치 창
출
- 제주지역 문화・관광자원 기반의 AR・VR 콘텐츠를 공공데이터화 하고 플랫폼을 구축하여 新 관광비즈
니스 기회 창출
■ 지능형관광콘텐츠산업 생태계 기반 강화
- 4차산업혁명 시대 융복합 지능형관광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자원인 관광인프라, 문화콘텐츠를 활용
한 앵커기업 육성
- 기술사업화가 가능한 사업을 중심으로 유망품목 기획을 실시하여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 지역
내 추진사업과 기능적 연계로 성과 극대화
- 신성장동력 창출 및 스마트관광 콘텐츠, ICT 융복합 서비스 플랫폼 기술개발 등 관광서비스 인프라 활용
기술개발 지원
- 중국발 관광수요 증대, 친환경 수요 대두, 타산업과 연계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는 개발
지원 추진 ⇒ 수요창출형 新서비스 개발지원
- (Healthcare) 헬스케어타운과 R&D 연계 농업기술원・중문관광당지・호텔&리조트 스파테라피 관련
산업과 연계 활용
- (빅데이터 융합) 한국정보화진흥원, 국립기상과학원, 국가태풍연구소와 연계하여 기상 플랫폼을 구축
하고, 관련 데이터를 지능형 MICE산업 육성 연계
REGIONAL S&T YEARBOOK 2020 531
참 고 문 헌
강원도 홈페이지 www.provin.gangwon.kr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
경상남도 홈페이지 www.gsnd.net
경상북도 홈페이지 www.gyeongbuk.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논문(SCI) 질적성과 분석 연구(2003~20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활동조사 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www.gwangju.go.kr
교육통계서비스시스템(http://std.kedi.re.kr), 교육통계연보 2019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www.daegu.go.kr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www.daejeon.g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5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18년 추진실적
벤처인 홈페이지 http://www.venturein.or.kr/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www.busan.go.kr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e클러스터)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2019년 2/4분기)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www.seoul.go.kr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 www.sejong.go.kr
연구개발지원단(공동사업), 전국 연지단 지역혁신기관 활동조사보고서
울산광역시 홈페이지 www.ulsan.go.kr
인천광역시 홈페이지 www.incheon.go.kr
전라북도 홈페이지 www.jeonbuk.go.kr
전라남도 홈페이지 www.jeonnam.go.kr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www.jeju.go.kr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공고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http://www.mss.go.kr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www.innobiz.or.kr
지방재정 365 http://lofin.mois.go.kr
창업보육네트워크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bi.go.kr
532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충청남도 홈페이지 www.chungnam.net
충청북도 홈페이지 www.cb21.ne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특허청 홈페이지 http://www.kipo.go.kr
한국RIC협회 홈페이지 http://www.ric.re.kr
행정안전부, 행정안전통계연보
2020 지방과학기술연감
인쇄 : 2021년 1월
발행 : 2021년 1월
편집 및 발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 책에 수록된 내용 중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원중로 133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본부 사회혁신정책센터 지역정책팀
Tel. 043-750-2406 http://www.kistep.re.kr
30121 세종특별자치시 가름로 194, 세종파이낸스센터 2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전략과
Tel. 044-202-6736 http://www.msip.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