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영향평가

새창 열림 G1123 KISTEP Only

기술영향평가

업무지원 ⁄ 전략·정책 ⁄ 기술영향평가
기술영향평가, 기술영향, 영향평가, NBIT 융합기술, 나노 기술영향평가, RFID, 나노소재기술, 줄기세포기술, UCT, 기후변화 대응기술, 국가재난질환 대응기술, 뇌기계 인터페이스, 빅데이터, 3차원 프린팅의 활용, 스마트 네트워크 기술, 무인이동체, 초고층 건축물, 유전자가위기술,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기술, 바이오인공장기
K2Base

개요

(정의) 운전자나 승객의 조작 없이 운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영역 또는 무제한 조건 내에서 자동차 스스로 주행환경 모니터링 및 돌발 상황 대응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선정 사유) 전 세계적으로 기술 개발 및 시장 개척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기술 실현 시기*가 임박하였으며, 기존 자동차 및 전·후방 산업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발생 가능한 영향에 대한 사전검토 및 평가가 필요

- 교통사고·체증 개선으로 사회적 비용을 낮추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반면 고용 인력 감소, 사고 책임 소재의 불명확성 등이 우려

* 전국 주요도로 완전 자율주행(레벨4) 상용화 목표(’27년), 현대차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계획(’30년), GM 두바이 무인 로보택시 운행 계획(’23년), 폭스바겐 그룹 완전 자율주행
  (레벨4) 전기밴(ID. Buzz) 출시 계획(’25년)

기술영향평가의 주요내용

경제 분야

  • (산업 구조의 변화) 자동차 산업은 기존 제조업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융복합 산업, 서비스업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
     ※ 자율주행차량용 센서·반도체 업체 입지 강화 및 일부 전후방 산업의 위축
  • (산업 디지털화 대응) 완성차업체와 서비스 사업자 간 전략적 제휴, 선제적 투자 등 산업 디지털 전환 본격화
  • (신산업 육성) 자율주행차량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이 발굴되어 다양한 목적에서의 유관 산업 활성화 기대
  • (일자리 공유 및 창출) 자율주행은 인간 운전자의 역할을 상당 부분 대체하여 물류, 유통, 운송 등 유관 산업 내 고용 형태의 변화 창출

사회 분야

  • (교통 이용환경 및 공공 서비스 개선) 도로의 유지보수, 청소, 및 경찰차, 소방차 등의 긴급 상황에서 자율주행 기술 접목 기대
  • (도시 공간 변화) 자율주행차 보급 및 차량 공유로 인한 도로용량 증가와 녹지대 및 편의시설 확충 등으로 보행자 친화 도시 형성
  • (모빌리티 네트워크 실현) 모빌리티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 증가 및 서비스 간 융합이 촉진되나 택시, 버스 등 기존 운수업계와의 갈등 우려
  • (교통약자 이동권 강화) 장애인·고령자·교통 소외지역을 위한 대중교통 확충 및 지속 공급으로 이동권 사각지대 문제 해결 기대

문화 분야

  • (차량 패러다임 전환) 자동차에 대한 개념이 소유에서 공유로, 제조되는 이동 수단에서 서비스 플랫폼으로 변화
  • (신규 문화) 자율주행차량용 영화, 드라마 등 새로운 문화콘텐츠가 등장하고 개인 이동 시간의 활용 증대
     ※ 자율주행시스템에 대한 과도한 맹신과 의존으로 인한 위험성도 존재
  • (생활 공간의 확장) 이동 시, 자율주행차가 개인생활 공간, 업무 공간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 자동차 공간의 개념과 가치 변화

특성 평가 분야

  • (사용자 특성 분석) 성별, 세대 등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과 수요를 레벨 4 이상 자율주행에 선제적으로 반영해 포용적 기술로 보급 필요
     ※ 운전자 데이터가 과소 대표되어 개발자 중심의 Top-Down 표준이 설정될 시 편향성 우려,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표준화 정립이 중요

윤리 분야

  • (보안 및 데이터 이슈) 교통 환경 데이터 내 개인정보 침해 논란 및 의도적 해킹에 대한 안전 위협 등 우려 존재
  • (윤리적 문제 발생 가능성) 트롤리 딜레마*로 대표되는 사고 발생 상황 및 사고 발생 이후 도덕적 책임의 주체에 대한 윤리적 문제
     * 다섯 사람을 구하기 위해 한 사람을 죽이는 것이 도덕적으로 허용 가능한지에 관한 질문

법률 분야

  • (관련 법률 및 제도) ‘자동차관리법’, ‘도로교통법’, ‘도로법’ 등의 인간 중심의 현행 제도에 자율주행시스템을 포섭하는 체제로 정비
  • (법적 분쟁 가능성) 사고 발생 시, 레벨 4 이상 자율주행 관련 운전자, 운행자, 제조사 등의 책임 적용 범위, 손해배상 관련 논쟁

환경 분야

  • (친환경/반환경적 효과) 교통 혼잡 완화 및 군집주행 등으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교통 수요 및 고속도로 주행 속도 증가로 인한 부정적 효과 예상
     * 군집주행으로 차량 간 거리를 약 10m 내외로 유지했을 때 약 12% 정도의 연료 절감 효과가 있음이 실증됨(Lammert and Gonder, 2014)

정책제언

(미래기술 R&D 지원) 자율주행 관련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클라우드, AI, 플랫폼 등 ICT 기술 및 원천기술에 대한 R&D 지원 확대

(표준 데이터 플랫폼 구축) 자율주행차 사업 모델과 연계된 데이터 수집·분석·검증·활용이 가능한 산업표준 데이터 플랫폼 구축 필요

(산업 전환 지원) 택시, 지정구간 셔틀버스 등 일자리 감소가 우려되는 산업에 대한 보완 및 신규 자율주행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

(단계적 실증) 레벨 4 이상 자율주행 기술의 중장기적 비전과 이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 실증사업 시행

(모빌리티 네트워크 인프라) 차세대 정보통신 및 도로교통 인프라 확충과 공공데이터 및 공적 자산의 민간 개방 확대 필요

(교통약자 배려)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의 지속적 예산배정 및 확보를 위한 사회적 배려와 정부와 지자체의 강한 추진 필요

(협력 체계 구축) 다양한 교통서비스를 연계하고 제공하기 위한 민관협력 및 기존 사업자들 간 상생 방안 마련

(오·남용 방지) 기술이 완성되기 전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적절한 안전장치 및 사용자 가이드라인에 오남용 사례 반영 필요

(연구 지원)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및 생활 공간 편입이 갖는 다양한 시사점에 대한 학제적 연구 지원 및 사회적 논의

(사용자 특성 반영) 자율주행 기술 실현 및 시험 평가 프로세스에서 성별 특성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
 ※ 서비스 개발 방향이나 안전성 연구, 시스템 고도화에 투입되는 학습 데이터가 특정인에 편향되지 않도록 조정

(성별 등 특성분석 연구) 기술 개발 단계별로 성별, 나이 등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요구 및 수요를 반영하기 위한 사전검토와 연구개발

(개인정보 보호·활용) 자율주행 데이터의 안전한 보호와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정교화하고 데이터 주권 명시화 등 필요
 ※ 연구목적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제도 등의 도입 필요

(윤리 기준 마련)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등 윤리 기준 마련, 기술에 대한 불신감을 해소하는 과정 필요

(관계적 정체성 연구) 레벨 4 이상 자율주행차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활용되는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윤리적 책임의 틀과 개인 정체성의 재규정에 관한 연구 필요

(관련 법령 정비) 레벨 4 자율주행 서비스의 상용화를 위해서 필요한 제도 도입 및 기존 법령 등 정비 필요
 ※ 자동차관리법(안전기준, 등록제도), 도로교통법(운전면허제도, 교통규칙),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조물 책임법(제조물의 증명책임) 등

(결함증명 방안 마련) 제조물 결함에 의한 사고 원인 증명을 위해 마련된 자율주행정보 기록장치의 강제 부착 및 사고조사위원회 설치 등의 방안을 실행하기 위한 후속 지원 등 필요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정책) 레벨 4 이상 자율주행의 부정적 영향이 극대화되지 않도록 적절한 규제 및 정책 필요
 ※ 자율주행 기술 개발 상황과 자율주행의 환경 효과를 고려할 때 차량 용도별로 승용차, 상용차, 대중교통 등으로 구분하여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