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창 열림 KISTEP Only

K2Base
2017년 바이오인공장기 기술영향평가 의견작성 상세보기
등록자 박*환 등록일자 2018-07-16
첨부파일
평가분야-평가주제-소주제
경제-연구개발 경쟁력 제고-의료 선도국가로의 전환
주제에 대한 평가의견
바이오 인공장기에 기반한 연구는 기초과학 및 의학 분야에 혁신적인 접근방법을 도입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임. 이를 위해 기초과학/공학/의학의 융합연구 분야 및 바이오 인공장기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음

   바이오 인공장기 연구의 핵심기술을 선점함으로써 글로벌 기업의 국내 투자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바이오 인공장기의 동물실험 대체율 증가에 따른 신약개발 비용절감 및 효율성 증대

 - 신개념의 의료기술 개발을 통한 장기이식 공급난 해결 및 난치·불치병의 극복방안 마련

 - 환자맞춤형 치료에 대한 임상적,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상용화 및 표준화를 통해 의학 분야의 신 비즈니스 모델 발굴

 - 개인정밀의학을 실현하여 세계 일류 국가 순위에 진입함으로서 새로운 의료수요를 창출하고 의료관광 등의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할 수 있음

 - 만성질병 치료를 통해 기대수명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령인구의 웰빙(well being)과 경제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평가의견에 기반한 제언
- 바이오 인공장기 관련 요소기술 개발 시 연구 간 기술적 고립을 초래하지 않도록 원천기술의 통합화가 필요함

 - 바이오 인공장기 관련 다양한 기술(소재/장비/제작기술 등)에 대한 정부지원을 통해 원천기술 개발 및 고도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음

 - 국가차원의 바이오 인공장기 관련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 지원방안이 필요함